audio
audioduration (s)
2.05
65.2
sentence
stringlengths
2
505
id
stringlengths
10
10
meta
dict
다음에 꿩에 자/ 요거 같은 경우는요. 무슨 음운의 변동까지는 아닌데 그냥 발음을 (알려드리려고)/(알려드릴려고) 왜.
0000087954
{ "original": "broadcast_00087954.wav", "start": "0.0", "end": "7.04", "length": "7.04",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부분에 대해서는 다섯 번째 거센 소리 되기.
0000087669
{ "original": "broadcast_00087669.wav", "start": "0.0", "end": "3.58", "length": "3.58",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두 개 모음이 왔는데 똑같은 모음이 와요. 그럼 아마 발음할 때 불편하죠. 같.
0000087474
{ "original": "broadcast_00087474.wav", "start": "0.0", "end": "4.48", "length": "4.48",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어미니까 변하죠. 눈을 (감자)/(감짜). 감으니 막/ 변한 거야. 그.
0000087434
{ "original": "broadcast_00087434.wav", "start": "0.0", "end": "4.1", "length": "4.1",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자/ 한번 써볼게요 음절 끝소리 규칙.
0000087703
{ "original": "broadcast_00087703.wav", "start": "0.0", "end": "2.94", "length": "2.94",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뒤에 이불이라고 이불이라는 거는 실질적인 의미를 가진 아이잖아요. 연음 시켜버리면 안 돼요. 우선 홑은 (홀대로)/(홑대로) 발음해야 됩니다.
0000087644
{ "original": "broadcast_00087644.wav", "start": "0.0", "end": "7.81", "length": "7.81",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자/ 요렇게 확인하면 되겠습니다. 자/ 그다음에 화살나무 자/ 화살나무 요 부분에서 문제가 있죠. 리을이 니은 만났어요.
0000087938
{ "original": "broadcast_00087938.wav", "start": "0.0", "end": "9.34", "length": "9.34",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유음 리을로 발음되는 현상.
0000087196
{ "original": "broadcast_00087196.wav", "start": "0.0", "end": "2.94", "length": "2.94",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뭐 (넘고)/(넘꼬) 요런 것들.
0000087908
{ "original": "broadcast_00087908.wav", "start": "0.0", "end": "2.18", "length": "2.18",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아/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어미일 때는 그냥 연결하는 거구나 이런 것처럼 오시 이런 조사.
0000087124
{ "original": "broadcast_00087124.wav", "start": "0.0", "end": "6.91", "length": "6.91",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음운의 변동이 일어나는 거 일어나지 않는 것을 골라서 고.
0000087914
{ "original": "broadcast_00087914.wav", "start": "0.0", "end": "3.58", "length": "3.58",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앞에 걸 무엇으로 된소리로 발음해라 요거예요.
0000087395
{ "original": "broadcast_00087395.wav", "start": "0.0", "end": "3.58", "length": "3.58",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변하지 않는 아이를 뭐라고 부른다 어간이라고 부른다.
0000087427
{ "original": "broadcast_00087427.wav", "start": "0.0", "end": "3.46", "length": "3.46",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신고)/(신꼬) 요렇게 된소리로 발음해야 되겠다.
0000087442
{ "original": "broadcast_00087442.wav", "start": "0.0", "end": "3.07", "length": "3.07",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그다음 두 개 음운이 합쳐져서 하나가 된다.
0000087589
{ "original": "broadcast_00087589.wav", "start": "0.0", "end": "3.07", "length": "3.07",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그다음에 첨가 같은 경우는 반모음 첨가.
0000087728
{ "original": "broadcast_00087728.wav", "start": "0.0", "end": "3.07", "length": "3.07",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위 뒤에 어미 어가 올 때 반모음이 첨가되어 무엇으로 여로 발음되기 때문에 (발음된다고)/(발음된다라고) 했습니다. 지금 그러면 어가 여가 됐다는 것은 원래 어였어요. 거기에 뭐가 반모음 이가 들어갔다는 거죠. 반모음.
0000087769
{ "original": "broadcast_00087769.wav", "start": "0.0", "end": "16.77", "length": "16.77",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시옷 있어요 그냥은 안된다. 거.
0000087931
{ "original": "broadcast_00087931.wav", "start": "0.0", "end": "2.82", "length": "2.82",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자/ 으/ 탈락이라고 했어요. 자.
0000087467
{ "original": "broadcast_00087467.wav", "start": "0.0", "end": "2.05", "length": "2.05",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된소리되기 중에서 첫 번째 규.
0000087682
{ "original": "broadcast_00087682.wav", "start": "0.0", "end": "2.69", "length": "2.69",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그리고 여러분 이건 무슨 말이에요 쓰.
0000087485
{ "original": "broadcast_00087485.wav", "start": "0.0", "end": "2.3", "length": "2.3",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이 일곱 자음 중에 하나로 발음되는 현상 이게 음절 끝소리 규칙입니다.
0000087041
{ "original": "broadcast_00087041.wav", "start": "0.0", "end": "4.22", "length": "4.22",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뒤에 어서 가 살아남고 앞에 있는 으가 탈락했죠.
0000087473
{ "original": "broadcast_00087473.wav", "start": "0.0", "end": "3.33", "length": "3.33",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끝말잇기를 모르는 친구네 (그렇죠)/(그쵸). 자/ 끝말잇기는 무엇을 기준으로 다음 말을 잇는 건가요.
0000087744
{ "original": "broadcast_00087744.wav", "start": "0.0", "end": "5.5", "length": "5.5",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우리 교과서에서 공부했던 내용들 요 네 가지였죠 어떤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뀐다 방금했어요. 교체.
0000087721
{ "original": "broadcast_00087721.wav", "start": "0.0", "end": "6.66", "length": "6.66",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피여도 맞는 발음으로 하겠다 이거예요.
0000087550
{ "original": "broadcast_00087550.wav", "start": "0.0", "end": "3.58", "length": "3.58",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침에 디귿이 있어요. 뒤에 똑같이 디귿을 만났어요. 된소리로 발음해라. (된소리도)/(된소리되) 기.
0000087817
{ "original": "broadcast_00087817.wav", "start": "0.0", "end": "5.5", "length": "5.5",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형태를 위해서 이응 쓴 거죠. (그렇죠)/(그쵸).
0000087028
{ "original": "broadcast_00087028.wav", "start": "0.0", "end": "2.18", "length": "2.18",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예쁜 상태입니다. 그런데 예쁘다에다가.
0000087867
{ "original": "broadcast_00087867.wav", "start": "0.0", "end": "2.94", "length": "2.94",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표기는 쌍기역으로 하지만.
0000087047
{ "original": "broadcast_00087047.wav", "start": "0.0", "end": "2.18", "length": "2.18",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뭐가 어미 어와 결합하면서 뜨의 뭐 요거 으/.
0000087791
{ "original": "broadcast_00087791.wav", "start": "0.0", "end": "3.58", "length": "3.58",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그러면 이게 다양하게 나올 수 있거든요.
0000087875
{ "original": "broadcast_00087875.wav", "start": "0.0", "end": "2.82", "length": "2.82",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요게 바로 어간이었죠 용언의 (여건)/(어건) 끝의 모음.
0000087660
{ "original": "broadcast_00087660.wav", "start": "0.0", "end": "3.84", "length": "3.84",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품다 품고 품으니+ 품으니까 등등등 용언이네요. 아/ 용언이면은 받침 미음이 올 때 어떻게 해라 뒤에 걸 된소리로 발음해라 (품고)/(품꼬).
0000087438
{ "original": "broadcast_00087438.wav", "start": "0.0", "end": "10.11", "length": "10.11",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엑스 에이 와이 이렇게 있었는데 얘가.
0000087601
{ "original": "broadcast_00087601.wav", "start": "0.0", "end": "2.56", "length": "2.56",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요거 한번 봅니다. 맛있는 감자. 자.
0000087431
{ "original": "broadcast_00087431.wav", "start": "0.0", "end": "3.46", "length": "3.46",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그냥 옷이 예쁜 거거든요. 근데 자꾸 음절 끝소리 규칙을 생각해.
0000087089
{ "original": "broadcast_00087089.wav", "start": "0.0", "end": "3.58", "length": "3.58",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어떤 음운의 변동이 들어가는지까지도 알고 있어야 된다는 얘기겠죠 자/ 그러면 우선 일 번부터 오 번까지 쭉 발음 나는 대로 한번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자/ 옷 같은 경우는 어때요 시옷은 발음이 안 돼요. 디귿으로 대표음으로 발음을 해야 됩니다. 음절 끝소리 규칙이죠.
0000087702
{ "original": "broadcast_00087702.wav", "start": "0.0", "end": "15.87", "length": "15.87",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응 그렇다. 그러면 여기에 계속 응원.
0000087897
{ "original": "broadcast_00087897.wav", "start": "0.0", "end": "3.2", "length": "3.2",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된소리도 발음해라. 독.
0000087400
{ "original": "broadcast_00087400.wav", "start": "0.0", "end": "2.69", "length": "2.69",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유음화됩니다. 물론 유음은 리을 하나밖에 없기 때문에.
0000087199
{ "original": "broadcast_00087199.wav", "start": "0.0", "end": "4.22", "length": "4.22",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반모음이 들어가서 여가 됐대요.
0000087551
{ "original": "broadcast_00087551.wav", "start": "0.0", "end": "2.18", "length": "2.18",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큰일 나요 새 (오실)/(오슬) 입는구나.
0000087284
{ "original": "broadcast_00087284.wav", "start": "0.0", "end": "2.18", "length": "2.18",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선생님이 수업을 하면서도 조금 걱정이 됩니다. 왜냐면 우리 교과서에서 문법에 전 시간에도 얘기했지만.
0000087529
{ "original": "broadcast_00087529.wav", "start": "0.0", "end": "6.91", "length": "6.91",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그러면 가고 가니 가서 가니까 등등등 여러 개로 변형이 됩니다. 이 중에서 여기 둘로 딱 나누는 거예요.
0000087426
{ "original": "broadcast_00087426.wav", "start": "0.0", "end": "8.58", "length": "8.58",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되겠지 돼요+ 안돼요. 왜 디귿하고 지읒 만났잖아요. 그러면 최종 발음으로는 어떻게 되겠지.
0000087687
{ "original": "broadcast_00087687.wav", "start": "0.0", "end": "7.3", "length": "7.3",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축약이죠 거센소리되기 자.
0000087781
{ "original": "broadcast_00087781.wav", "start": "0.0", "end": "2.05", "length": "2.05",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히읗이 앞에 있어도 되고 뒤에 있어도 상관없습니다. 그럼 이거 어떻게 어/.
0000087832
{ "original": "broadcast_00087832.wav", "start": "0.0", "end": "4.22", "length": "4.22",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자/ 됐습니다. 요렇게 다한 다음에는 교과서에 요런 게 나와 있어요.
0000087609
{ "original": "broadcast_00087609.wav", "start": "0.0", "end": "4.86", "length": "4.86",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자/ 우리 교과서에 요런 예를 요런 걸 가지고 와서 얘기한 이유는 (뭐예요)/(뭐에요) 저 히읗을 디귿으로 먼저 바꾼 다음에.
0000087837
{ "original": "broadcast_00087837.wav", "start": "0.0", "end": "6.78", "length": "6.78",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우리 참 발전했어 하지 않죠. (발전했다고)/(발쩐했다고) 얘기합니다. (발전)/(발쩐). 아/ 리을 뒤에.
0000087447
{ "original": "broadcast_00087447.wav", "start": "0.0", "end": "5.5", "length": "5.5",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자/ 그 열아홉 개 안에 뭐 있어요. 기역부터 히읗까지 열네 개에다가 쌍기역 쌍디귿 쌍비읍 쌍시옷 쌍지읒까지 다섯 개를 더해서 열아홉 개입니다.
0000087510
{ "original": "broadcast_00087510.wav", "start": "0.0", "end": "8.96", "length": "8.96",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우리가 학교에서 시험 문제 구성하고 이럴 때 보통은 이제 교과서에 나와 있는 단어들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요것만큼은 반드시 알아야 (된다는)/(된다라는) 생각으로 요 색깔로 표시를 해놓았습니다.
0000087064
{ "original": "broadcast_00087064.wav", "start": "0.0", "end": "10.37", "length": "10.37",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기역 니은 디귿 리을 미음 비읍 이응 이외의 자음이 왔다. 어디에 받침에 그러면 음절 끝에 오면 어떤 음운으로 바뀌어서 발음한다 자/ 똑같습니다. 기역 니은 디귿 리을 미음 비음 이응 중 하나로 발음된다. 예를 들면.
0000087297
{ "original": "broadcast_00087297.wav", "start": "0.0", "end": "14.85", "length": "14.85",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응원할게요. 대신 발음할 때는 (할게요라고)/(할께요라고) 이야기하는 거 요렇게 확인하면 되겠습니다. 그래서.
0000087902
{ "original": "broadcast_00087902.wav", "start": "0.0", "end": "6.91", "length": "6.91",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다음에 이제 (굳이)/(구지). 와 가치 같은 경우에는 아주 전형적으로 구개음화 나오면은 항상 나오는 예시들입니다. (굳이)/(구지)
0000087362
{ "original": "broadcast_00087362.wav", "start": "0.0", "end": "7.55", "length": "7.55",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어/ 이렇게 다+ 하다 보면요.
0000087972
{ "original": "broadcast_00087972.wav", "start": "0.0", "end": "2.69", "length": "2.69",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뜻하곤 아무 관계가 없어요. 그냥 발음.
0000087024
{ "original": "broadcast_00087024.wav", "start": "0.0", "end": "2.43", "length": "2.43",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선생님 얘기한 대로 자음 탈락이라든지 뭐 니은 첨가 등등을 다 아울러서+ 아울러서 가르쳐주신 학교도 있을 겁니다. 여러분 학교에서 받은 여러 프린트물 그리고 학교에서 공부했던 내용들 합쳐서 공부해야 될 것 같아요. 그래서.
0000087733
{ "original": "broadcast_00087733.wav", "start": "0.0", "end": "12.42", "length": "12.42",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아까 살짝 알려드립니다. 자/ 이제는요 내용 다 (했고요)/(했구요). 이제 마지막 여행 후기 한번 써 봅니다. 오늘 여행 후기는요.
0000087269
{ "original": "broadcast_00087269.wav", "start": "0.0", "end": "8.7", "length": "8.7",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아/ 그러면 요렇게 요 붙는이라는 게 나와 있을 때는 음절 끝소리 규칙과 비음 화가 일어났군 요렇게 알아들으면 됩니다.
0000087169
{ "original": "broadcast_00087169.wav", "start": "0.0", "end": "8.19", "length": "8.19",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용언 어간 끝에 모음 아나 어가.
0000087465
{ "original": "broadcast_00087465.wav", "start": "0.0", "end": "3.2", "length": "3.2",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선생님 왜요라고 한다면.
0000087508
{ "original": "broadcast_00087508.wav", "start": "0.0", "end": "2.43", "length": "2.43",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선생님 왜 바뀌어요라고 한다면 이제 복잡한 과정을 거치는데 여기서 이것을 비음화라고 언급하는 이유는 비음이 아닌 것이 비음으로 바뀌었기 때문이에요.
0000087950
{ "original": "broadcast_00087950.wav", "start": "0.0", "end": "8.96", "length": "8.96",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그다음에 어/ 탈락이라는 게 있는데요.
0000087479
{ "original": "broadcast_00087479.wav", "start": "0.0", "end": "3.07", "length": "3.07",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이제 어떤 규칙처럼 이게 (보이면은)/(보여지면은) 훨씬 더 이렇게 한눈에 좀 잘 띄고 외우기가 쉽기 때문에 선생님이 이렇게 간단하게 써놨어요. 간단하게.
0000087130
{ "original": "broadcast_00087130.wav", "start": "0.0", "end": "9.22", "length": "9.22",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니은은 (뭐예요)/(뭐에요) 비음이잖아요.
0000087197
{ "original": "broadcast_00087197.wav", "start": "0.0", "end": "2.18", "length": "2.18",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딱 얘기를 해줬죠. 희가 결합이 되면 티.
0000087368
{ "original": "broadcast_00087368.wav", "start": "0.0", "end": "2.82", "length": "2.82",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선생님이 이비에스 아이에서 강의한 거 중에 수능 국어 문법이라는 거 있어요.
0000087267
{ "original": "broadcast_00087267.wav", "start": "0.0", "end": "4.61", "length": "4.61",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그래서 우리 교과서에서 이제 두 가지를 물어보고 있어요. 놀랐네냐 놀란네냐.
0000087852
{ "original": "broadcast_00087852.wav", "start": "0.0", "end": "4.48", "length": "4.48",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자/ 두 번째 입학 자/ 비읍하고 히읗이 만났습니다. 그럼 어떻게 돼요 거센 소리가 되죠. 그래서 (이팝)/(이팍) 요렇게 발음이 됩니다. 요건 우리가 거센 소리 되기라고 했어요.
0000087704
{ "original": "broadcast_00087704.wav", "start": "0.0", "end": "12.54", "length": "12.54",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끝소리가 디귿 티읕인 티읕.
0000087652
{ "original": "broadcast_00087652.wav", "start": "0.0", "end": "2.3", "length": "2.3",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반모음이 첨가된다.
0000087548
{ "original": "broadcast_00087548.wav", "start": "0.0", "end": "2.3", "length": "2.3",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살짝 학교에서 더 언급해 주실지도 몰라서 음절 끝소리 규칙과 관련된.
0000087255
{ "original": "broadcast_00087255.wav", "start": "0.0", "end": "5.5", "length": "5.5",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요기 키읔 티읕 피읖 치읓 요런 아이들이 거센 소리죠 우리가 한자로 하면 격음이라고 합니다.
0000087572
{ "original": "broadcast_00087572.wav", "start": "0.0", "end": "6.14", "length": "6.14",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봤고요)/(봤구요). 이제 마지막 문제입니다.
0000087672
{ "original": "broadcast_00087672.wav", "start": "0.0", "end": "2.56", "length": "2.56",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물론 아는 친구도 있겠지만 자/ 형식 형태소라는 거는 쉽게 얘기하면.
0000087322
{ "original": "broadcast_00087322.wav", "start": "0.0", "end": "4.35", "length": "4.35",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그때 구개음화할 때 그냥 외웠는데 이제 왜 저게 치인지 알 수 있다는 거야. 우리가.
0000087621
{ "original": "broadcast_00087621.wav", "start": "0.0", "end": "4.74", "length": "4.74",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요것으로 발음되는 것 요게 바로 된소리되기 일정한 환경은 여러분 다시 한번 생각해 보세요. 다.
0000087657
{ "original": "broadcast_00087657.wav", "start": "0.0", "end": "5.5", "length": "5.5",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이거 몇 (음절이라고요)/(음절이라구요) 뜻은 생각하지 말아요. 선생님 세상에 말이 어디 있어요. 근이 어디 있어요 이런 거 아니야 그런 게 아니라.
0000087034
{ "original": "broadcast_00087034.wav", "start": "0.0", "end": "6.27", "length": "6.27",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티가 되는 것은 뭐로 치로 발음해라. 아/ 뒤에 희가 와도 똑같이 적용해라라는 거예요.
0000087369
{ "original": "broadcast_00087369.wav", "start": "0.0", "end": "7.42", "length": "7.42",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자/ 그다음에 비읍이 미음을 만났습니다. 자.
0000087810
{ "original": "broadcast_00087810.wav", "start": "0.0", "end": "3.58", "length": "3.58",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미닫이)/(미다지) 다음에 여기까지 하면 알겠는데 선생님 갑자기 이로 시작하는 형태소라고 했는데 뒤에 보니까 희가 나왔어요.
0000087365
{ "original": "broadcast_00087365.wav", "start": "0.0", "end": "7.3", "length": "7.3",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그다음에 첨가는 우리 반모음 첨가입니다.
0000087980
{ "original": "broadcast_00087980.wav", "start": "0.0", "end": "3.2", "length": "3.2",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여 왔어요. 이 (약여요)/(야여요) 유 요런 이 관계 이 계열 모음이 왔을 때는 니은을 첨가해라 다시 말하면 어떻게 솜이불 아니다 솜.
0000087640
{ "original": "broadcast_00087640.wav", "start": "0.0", "end": "10.24", "length": "10.24",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자/ 뒤에 여기에 디귿이 쌍디귿으로 발음되는 것은 아직은 몰라도 돼요. 여러분 여기서는 요기 시옷이 디귿으로 발음되는 것만 확인하면 됩니다. 자.
0000087070
{ "original": "broadcast_00087070.wav", "start": "0.0", "end": "9.34", "length": "9.34",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그 지하철 노선표가 나오거든요. 거기 (문래역)/(물래역) 있습니다. 문래라고 (쓰여있는데)/(써있는데) 발음은 어떻게 해 (물레)/(물래).
0000087227
{ "original": "broadcast_00087227.wav", "start": "0.0", "end": "6.53", "length": "6.53",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이해 가죠 앞 밑에 것도 똑같습니다.
0000087409
{ "original": "broadcast_00087409.wav", "start": "0.0", "end": "2.94", "length": "2.94",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와 근데 우리 이제 문제가 뭐냐면.
0000087861
{ "original": "broadcast_00087861.wav", "start": "0.0", "end": "2.3", "length": "2.3",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규칙이 (똑같아요)/(똑같애요). 지금 봅니다. 모음으로 끝났어요.
0000087566
{ "original": "broadcast_00087566.wav", "start": "0.0", "end": "3.2", "length": "3.2",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무엇으로 놀란네 비음화된.
0000087851
{ "original": "broadcast_00087851.wav", "start": "0.0", "end": "2.82", "length": "2.82",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그럼 결국 뭡니까 그 아이들은 이런 쌍기역 같은 요런 아이들은 하나의 자음인 거예요. 자음이 두 개 있는 게 아니야.
0000087513
{ "original": "broadcast_00087513.wav", "start": "0.0", "end": "6.02", "length": "6.02",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그다음에 유음화 유음이 아닌 니은이 리을을 만나서 유음. 리을로 발음되는 거 유음화. 그다음 구개음화 끝소리가 디귿 티읕인 형태소가 주로 모음 이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나 자/ 형식 형태소 뭐였어요 문법 형태소 형식적인 의미 문법적인 의미를 가진 아이들 조사 접사 뭐 이런 것들 어미 이런 것들이죠 만나 구개음 지읒이나 치읓으로 발음되는 것. 구개음화 다음 된소리되기 기.
0000087977
{ "original": "broadcast_00087977.wav", "start": "0.0", "end": "25.47", "length": "25.47",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앞뒤 다 괜찮아요. 다른 음운으로 바뀌어 발음한다. 유음.
0000087279
{ "original": "broadcast_00087279.wav", "start": "0.0", "end": "3.58", "length": "3.58",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자/ 여기 기역 보이죠 기역과+ 쌍기역과 키읔을 가져왔습니다. 아/ 같이 가져온 이유가 있겠죠 응 발음 한번 해보면 기역은 그대로 기역.
0000087045
{ "original": "broadcast_00087045.wav", "start": "0.0", "end": "11.52", "length": "11.52",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해놓고 이거를 우리의 학력평가에서 교체라고 설명한 거예요.
0000087598
{ "original": "broadcast_00087598.wav", "start": "0.0", "end": "3.46", "length": "3.46",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예를 들면 이런 겁니다. 여러분 한번 보세요. 가.
0000087866
{ "original": "broadcast_00087866.wav", "start": "0.0", "end": "2.56", "length": "2.56",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뒤에 뭐 왔어요 단모음 왔어요. 단모음 중에 대표 (알잖아요)/(아잖아요). 왔습니다. 그럼 어떻게 반모음으로 첨가시켜라.
0000087567
{ "original": "broadcast_00087567.wav", "start": "0.0", "end": "6.91", "length": "6.91",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여기에서 이 어가 단모음이고 앞에 나온 요 이가 진짜 이가 아니라 반모음 이. 요 아이인 겁니다.
0000087554
{ "original": "broadcast_00087554.wav", "start": "0.0", "end": "6.27", "length": "6.27",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딱딱한 부분 오도도 톨 한 부분이 나오죠. 자/ 그 부분이 경구개에요. 거.
0000087347
{ "original": "broadcast_00087347.wav", "start": "0.0", "end": "3.46", "length": "3.46", "subject": "방송", "topic": "교육", "gender": "여", "generation": "일반성인", "location": "서울/경기", "dialect": "서울/경기", "source": "방송", "quality": "정상" }

한국인 대화음성

AIHub
builder_code

Downloads last month
293
Edit dataset card

Collection including jp1924/KoreaSpee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