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
stringlengths 46
13.3k
|
---|
어휘: 솔-밧,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잔솔밭’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솔밧 언덕 굴쥭 고래논을.≪교시조 2491, 봉래악부≫
번역 잔솔밭 언덕 아래 굴죽 같은 고래실을. |
어휘: 자리,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잠자리’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數업슨 자리 기 오리거.≪두시-초 7:2≫
원문 無數蜻蜓齊上下
번역 수 없는 잠자리는 가지런히 오르내리는데.
므레 다히 자리 조 놋다.≪두시-초 11:19~20≫
원문 點水蜻蜓款款飛
번역 물에 닿는 잠자리는 자주 나는구나.
蜓 今俗呼蜻蜒 자리.≪사해 하:49≫
蜻蜒子 자리.≪동해 하:42≫
螞螂 자리.≪한청 14:51≫ |
어휘: 시,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부사, 뜻풀이: 짯짯하게., 범주: 옛말, 용례: 시 븕그니 피 덥단디라.≪언두 상:53≫ |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자루’의 옛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가운데 ‘와’를 제외한 조사 앞에서 나타나며, 휴지(休止) 앞에서나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공동격 조사 ‘와’ 앞에서는 ‘’로 나타난다., 범주: 옛말, 용례: 긴 鑱 긴 鑱이여 나모 이니 내 너브터 목수믈 삼노라.≪두시-초 25:26≫
원문 長鑱長鑱白木柄 我生托子以爲命
번역 긴 참 긴 참이여 흰 나무 자루이니 내가 너로부터서 목숨을 삼노라.
微賤 나 나 適主야 좃고져 노니 이 두 그르가 疑心노라.≪두시-중 1:50≫
번역 미천한 나는 하나를 주인으로 맞아 좇고자 하나니 이 두 자루를 잘못할까 의심한다.
오래 兵馬ㅅ 일헷다 야 브른대.≪삼강 충:16≫
원문 久失兵柄 遣騎召之
금 단디예 쇠 의 안해 사밀 다맛 거셔.≪번박 상:41≫
원문 金罐兒 鐵携兒 裏頭盛着白沙蜜
번역 금 단지에 쇠 자루 안에 꿀을 담은 것은?
쇠 다님쇠 로 묘히 고 탄 아 머리예 게도 실 도툐리라.≪번박 상:15≫
원문 梁兒 束兒 打的輕妙着 紫檀把兒 象牙頂兒也是走線
번역 마루쇠, 쇠테는 가볍고 정교하게 만들고, 자단 자루에 상아 머리에 거기에도 또 선을 도드라지게 할 것이다. |
어휘: 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형용사, 뜻풀이: ‘잘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동녁흐로 향 복셩화 가지를 게 싸흐라.≪벽신 15≫
이를 게 싸라.≪언태 50≫
번역 이를 잘게 썰어.
동녁흐로 향 복셩화 가지를 게 싸흐라 달힌 믈의 모욕 므라.≪벽신 14≫ |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창포(菖蒲). 부들., 범주: 옛말, 용례: 믌 조차 잇고.≪두시-초 10:4≫
원문 渚蒲隨地有
번역 물가에 창포는 땅을 따라 있고.
믌 어미 오 브렛 荇草ㅣ 퍼러도다.≪두시-초 8:31≫
원문 渚蒲牙白水荇靑
번역 맑은 창포의 잎이 희고 행초가 퍼렇도다.
버들와 새 왜 누를 爲야 프르럿니오.≪두시-초 11:15≫
원문 細柳新蒲爲誰綠
번역 가는 버들과 새로 난 창포는 누구를 위하여 푸르러 있느냐. |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자루’의 옛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가운데 ‘와’를 제외한 조사 앞에서 나타나며, 휴지(休止) 앞에서나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공동격 조사 ‘와’ 앞에서는 ‘’로 나타난다., 범주: 옛말, 용례: 紫檀 레 象牙 머리.≪박언 상:15≫
원문 紫檀把兒 象牙頂兒
번역 자단나무로 된 자루, 상아를 댄 머리.
鼈兒 기 져기 납죡이 고 부리와 아직 라 내 보와든 라.≪박언 하:29≫
원문 鼈兒打的匾着些箇 觜兒把兒且打下我看着銲
번역 자라병 만들기를 조금 납작이 하고, 부리와 자루를 나중에 만들어서 내가 보거든 때워라.
小大男眞의 밥을 담다가 놋 쥬걱 를 불으질러신이 이 이를 어이 연요 싀엄어님아.≪교시조 1960-3≫
번역 샛서방의 밥을 담다가 놋 주걱 자루를 부러뜨렸으니 이를 어찌하려는가 시어머님아. |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잠’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아로 며 자매 날 이런로 요브터 기시니라.≪능엄 3:14≫
원문 意入主於憶知 憶知生於寤寐 故扥睡寤 以明也
번역 아는 것은 깨며 자는 것에서 나므로 그런 까닭으로 잠 깨우는 것으로부터 맑히시는 것이다.
처 出家샤 잘 자거시늘.≪남명 상:25≫
번역 처음 출가하시어 잠 잘 자시거늘.
여러 아 니기 드럿거늘 블러 니르와다.≪두시-중 1:13≫
번역 여러 아이 잠 깊이 들었거늘 불러 일으켜서.
梅窓 아젹 볏 香氣예 을 니 仙翁의 욜 일이 곳 업도 아니다.≪송강-관 성산별곡≫
번역 매창 아침 볕의 향기에 잠을 깨니 선옹이 시킬 일이 곧 없지도 아니하다. |
어휘: -곕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형용사, 뜻풀이: 자고 싶다., 범주: 옛말, 용례: 睡的狼 곕다.≪동해 상:27≫ |
어휘: -들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잠들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류 겨집히 니기 드러.≪석상-중 3:22≫
번역 풍류하는 계집들이 익히 잠들어.
苦樂報 受야 기리 生死애 드러 能히 벗디 몯니 業繫苦相이 그러니.≪월석 11:76≫
번역 고락의 과보를 받아 오랜 세월 생사에 잠들어 능히 벗지 못하니 업계고상이 또 그러하니. |
어휘: -자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잠자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珍羞盛饌 맛내 좌시며 자 제 風流ㅣ 더니.≪월곡 상:43≫
셴 머리예 자 長常 일 노니.≪두시-초 23:15≫
원문 白髮寢常早
번역 센머리에 잠자기를 내내 하니.
미 허손야 자미 편안티 아니고.≪구간 1:116≫
원문 膽虛 睡臥不安
번역 마음이 허손하여 잠자는 것이 편안하지 않고. |
어휘: -대,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잠꼬대’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夢話 대.≪역보 26≫ |
어휘: 기-이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잠기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水淹了 믈 기이다.≪역해 상:2≫ |
어휘: 기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잠기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믌 뉘누리 기퍼 리 기고.≪두시-초 15:8≫
원문 碾渦深沒馬
번역 물의 소용돌이는 깊어 말이 잠기고.
그윗것과 아거시 제여곰 해 브터셔 겨 저저 리 업도다.≪두시-초 7:36≫
원문 公私各地著 浸潤無天旱
번역 공물과 사유물이 제각기 땅에 의지하여서 잠겨 젖어 하늘의 가뭄이 없도다.
아라히 하햇 므레 겻니.≪번박 상:68≫
원문 遠浸碧漢
번역 아스라이 하늘의 물에 잠기었으니 .
사 사오나옴으란 듣고 베퍼내여 브졍고 샤특 듸 기여 젓 야 德義 슬워 여리면 의관을 갓 둔 죵놈과 엇디 다리오.≪소언 5:17≫
원문 聞人之惡 揚之 浸漬頗僻 銷刻德義 簪裾徒在 廝養何殊
번역 사람의 악함은 듣고 떨쳐 부정하고 사특한 데에 잠기어 젖듯 하여 덕과 의를 스러지게 하여 손상되게 하면 의관을 겨우 갖춘다고 할지라도 종놈과 무엇이 다를까.
潛 길 .≪신합 하:4≫
이 드레 믈에 기디 아니니.≪노언 상:32≫
원문 這洒子是不沉水
번역 이 두레박이 물에 잠기지 않으니.
믈 아래 긴 龍이 야 니러날 .≪송강-관 성산별곡≫
번역 물 아래 잠긴 용이 잠 깨어 일어날 듯.
桃花 근 믈에 山影조 겨셰라.≪교시조 919-16≫
번역 도화 뜬 맑은 물에 산영조차 잠겼구나. |
어휘: 기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잠그게 하다., 범주: 옛말, 용례: 門 다 구디 겨 뒷더시니.≪석상 6:2≫
번역 문들을 다 굳게 잠가 두고 있으시더니. |
어휘: 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잠그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뎐이 은 재 두고 여디 말나 시니 못 여노라 더라.≪계축 하:45≫
번역 내전이 잠근 체 두고 열지 말라 하시니 못 하였노라 하더라. |
어휘: 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잠그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須彌 미러 그우리와다 玉蟾 도다.≪금삼 2:68≫
원문 推倒須彌浸玉蟾
번역 수미산을 밀어 굴려서 옥섬을 잠그도다.
바므리 미러 먼 셔믈 맛 도다.≪두시-초 22:31≫
원문 溟漲浸絶島
번역 바닷물이 밀어 먼 섬을 잠그는 듯하도다.
西江은 술위 맛도다.≪두시-초 21:28≫
원문 西江浸日車
번역 서강은 해 탄 수레를 잠갔도다.
大黃 兩 수레 고.≪구방 하:33≫
번역 대황 한 량을 술에 잠그고.
므로 蘆溝橋ㅅ 란간앳 머리를 마 너머.≪번박 상:9≫
원문 水渰過蘆溝橋獅子頭
번역 물이 노구교 난간의 사자 머리를 잠가 넘어. |
어휘: 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잠기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그 거부비 나못 굼글 어더 디 아니건마.≪석상 21:40≫
번역 그 거북이 나무의 구멍을 얻어서 잠기지 아니하건마는.
善友太子와 한 벋 福德이 열 므레 마 다 주그니다.≪월석-중 22:50≫
번역 선우태자와 많은 벗들은 복덕이 엷기에 물에 잠겨 다 죽었습니다.
沈香 므레 香이라.≪월석 2:29≫
번역 침향은 물에 잠기는 향이다.
一切 萬物이 본래 生死ㅣ 업거늘 妄量 미 부러 受苦ㅅ 바다해 마 잇니.≪월석 9:22≫
번역 일체의 만물이 본래 생사가 없거늘 헛된 생각의 바람이 불어 고통스러운 바다에 잠겨 있으니.
愛河애 간 낫다가 도로 다.≪남명 하:31≫
원문 愛河暫出 還沈沒
번역 애하에서 잠깐 나왔다가 도로 잠긴다.
새 죠개 외면 로 蛻야 거시 외니디 아니 形으로 서르 로미 다 올며 蛻호미라.≪능엄 7:83~84≫
원문 如雀爲蛤 則蛻飛爲潛 凡以不同形相禪 皆轉蛻也
번역 새가 조개가 되면 낢을 벗어나서 잠기는 것이 되나니 같지 않은 형상으로 서로 바뀌는 것이 다 옮으며 탈하는 것이다.
맛 고기 매 本來 잇니라.≪두시-초 22:47≫
원문 潛魚本同河
번역 잠긴 고기는 강에 온래 함께 있느니라.
淹 沒也 今俗語水淹了 믈 다.≪사해 하:84≫
매 드러도 두터비 디 아니니.≪두시-중 12:1≫
원문 入河蟾不沒
번역 강에 들어가도 두껍게 잠기지 아니하니.
念覺支 定慧 아라 平等케 샤 念도 며 몸 이쇼 보디 몯실씨오.≪법화 2:91≫
블근 거시 마시니 珊瑚ㅣ 뎌르고.≪두시-초 16:44~45≫
원문 紅浸珊瑚短
번역 붉은 것이 잠기었으니 산호가 짧고. |
어휘: 보기,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부사, 뜻풀이: 잠뽁. 가득., 범주: 옛말, 용례: 야 비단으로 보기 치질 고이 후시 엿고.≪번박 상:26≫
원문 絟着一副鴉靑段子滿刺嬌護膝
번역 야청 비단으로 가득 수를 곱게 놓은 슬갑을 매었고. |
어휘: 탹-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잠착하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衆生이 諸根이 鈍야 미혹호매 탹야 잇니.≪석상 13:57≫
번역 중생이 제근이 둔하여 미욱함에 잠착하여 있나니.
子弟 경박며 라니 분별리 오직 실오로 쳐 글 닐기 탹게 고 글 지란 아니케 홀디니.≪번소 6:6≫
원문 子弟之輕俊者 只敎以經學念書 不得令作文字
번역 아들이 경박하며 날랜 사람을 염려하는 것은 오직 경학으로 가르쳐 글 읽기를 열중하게 하고 글짓기는 시키지 말 것이니. |
어휘: -이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잠기게 하다., 범주: 옛말, 용례: 罔 貪린 여 그기 어드우니 어드우믈 맛나 魘이 외요미 다 그 어두운 이리라.≪능엄 8:116≫
원문 貪罔者 潛心陰昧 遇幽爲魘 皆陰昧事也
번역 망을 탐할 이는 마음을 잠기게 하여 그윽이 어두우니 어두움을 만나 염이 됨이 다 그윽한 어두운 일이다. |
어휘: 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잠기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랏 고기 므릐 健壯호 슬코.≪두시-초 25:4≫
원문 潛鱗恨水壯
번역 잠긴고기는 물에 건장함을 싫어하고.
이슬 디며 믌올 로미 눈 니.≪남명 상:60≫
원문 露滴漚沈 瞬息閒
번역 이슬 떨어지며 물방울 잠기는 것이 눈 깜짝할 사이이니.
고기 낛 本來로 로 보디 아니니라.≪금삼 5:34≫
원문 漁艇從來 不見沈
번역 고기 낚는 배는 본래 잠기는 것을 보지 못한다. |
어휘: 미,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부사, 뜻풀이: ‘잠잠히’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그러나 미 알며 말 아니 야 信호.≪법화 1:133≫
원문 然默而識之 不言而信 非垢重衆生所及 |
어휘: -코,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부사, 뜻풀이: ‘잠자코’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세헨 부톄 神足 닷고 닐어시 코 對答 아니 미오.≪석상 24:2≫
번역 셋에는 부처가 신족 닦음을 이르시거늘 잠자코 대답 아니함이고.
그제 뎌 龍王이 坐로셔 니러 … 世尊하 내 이제 疑心이 이셔 如來至眞等正覺 묻고져 노니 부텨옷 許시면 묻리다 고 코 잇거늘.≪월석 10:67~68≫
번역 그때에 그 용왕이 자리에서 일어나 … "세존이시여 제가 이제 의심이 있어서 여래진진등정각께 묻고자 하니 부처님께서만 허락하시면 묻겠습니다."라고 하고 잠자코 있으니까.
블근 벼개 노호 미 覺觀애 어울에 야 이 道애 코 處호미오.≪법화 2:74≫
원문 安置丹枕者 使心冥覺觀 而默處是道也
번역 붉은 벼개를 놓음은 마음이 각관에 어울게 하여 이 도에 잠잠하게 머묾이고.
말이 나디 아녀 코 이시니 저희 짓고 닐오.≪계축 상:32≫
번역 말이 나지 아니하여 잠자코 있으니 저희 또 꾸짖고 이르되. |
어휘: -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형용사, 뜻풀이: ‘잠잠하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如來 三味예 드러 괴외야 겨실 一切 大衆도 다 얫거늘.≪석상-중 11:16≫
번역 여래 삼매에 들어 고요하게 계시므로 일체의 중생도 다 잠잠하게 있거늘.
世尊이 샤 말이디 아니시니라.≪석상 13:46≫
번 녀며 번 머물며 번 말며 번 요 모로매 다 도리예 밋게 거시니라.≪번소 8:33≫
원문 一行一住一語一默 須要盡合道理
번역 한 번 가고 한 번 머물며 한 번 말하고 한 번 잠잠하기를 모름지기 다 도리에 미치게 해야 한다.
님금이 왼 사 샤 샤직을 마 몹시 실 티 못야 엿오니.≪삼강-중 충:32≫
원문 曰 見上委政非人 將危社稷 不得默默 |
어휘: 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잠그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엇뎨야 西ㅅ녁 지븻 王 給事 柴門을 쇽졀업시 다다 솔와 댓 서리예 갯고.≪두시-초 7:33≫
원문 何爲西莊王給事 柴門空閉鎖松筠
번역 어찌하여 서녘 집에 있는 왕 급사는 사립문을 속절없이 닫아 소나무와 대나무 사이에 잠그고 있는가.
두 대궐 이문을 가 두고 열 제면 관이 여러야 죠셕 문안 샹궁이 니더라.≪계축 상:47≫
번역 두 대궐 샛문을 잠가 두고 열 적이면 내관이 열어야 조석 문안 상궁이 다니더라. |
어휘: 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잠그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믈 든 뵈 가 우러난 즙 서 되 머그라.≪구간 6:36≫
원문 靑布 쳥믈 든 뵈 浸汁 服三升
번역 푸른 물 들인 베를 잠가 우러난 즙 서 되를 먹으라. |
어휘: -귀,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글자와 글귀를 아울러 이르는 말., 범주: 옛말, 용례: 字히 본 소 두고 다 다 소로 면 그 달이 소로 그 귀예 돌임 니.≪훈몽 범례:4≫
번역 또 글자들이 본래의 소리를 두고 다른 뜻이나 다른 소리로 사용되면 그 다르게 사용되는 소리로 글자와 글귀에 두르는 동그라미를 하니. |
어휘: -믭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형용사, 뜻풀이: ‘잔밉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져 건너 月仰바회 우희 밤마치 부헝이 울면 녯사 니론 말이 의 싀앗 되야 믭고 양믜와 百般巧邪 져믄 妾년이 急殺 마자 죽다 데.≪교시조 2547-2≫
번역 저 건너 월앙 바위 위에 밤중마치 부엉이 울면 옛사람 이른 말이 남의 시앗 되어 잔밉고 얄미워 배반교사하는 젊은 첩년이 급살 맞아 죽는다 하더이다. |
어휘: 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잣다’의 옛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으로 나타난다., 범주: 옛말, 용례: 紡 사믈 又 .≪훈몽 하:8≫
紡線 실 다.≪역보 39≫ |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부사, 뜻풀이: 순수하고 맑고 깨끗하게., 범주: 옛말, 용례: 도 제 븕고 블거셔 변여 검븕고.≪언두 상:53≫ |
어휘: 기라이,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부사, 뜻풀이: 재미있고 고소하게., 범주: 옛말, 용례: 打趣 기라이 너기며 바로 니지 아니타.≪한청 7:13≫ |
어휘: 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잦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섯돌며 소 十里의 자시니 들을 제 우레러니 보니 눈이로다.≪송강-관 관동별곡≫
번역 섞여 돌며 뿜는 소리 십리에 잦았으니 들을 적에는 우레이더니 본 것은 눈이구나. |
어휘: 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형용사, 뜻풀이: ‘잦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習은 나며 갓가며 디라.≪월석 13:47≫
번역 습은 태어나며 가깝고 젖는다는 뜻이다.
病이 며 苦惱ㅣ 자 범그러 機緘이 잇 야 能히 제 그르디 몯호 아랫 習의 블로미라.≪능엄 7:4≫
원문 數病數惱 綿然若有機緘而不能自釋者 宿習之召也
번역 병이 잦으며 고뇌가 잦아 버물어 기함이 있는 듯하여 능히 스스로 끄르지 못하는 것은 이전 습성의 부름이다.
時節이 危亂야 賦斂이 니 것 바 조 너희 爲야 흗노라.≪두시-초 15:5≫
원문 時危賦歛數 脫粟爲爾揮
번역 시절이 위란하여 조세를 거두는 것이 잦으니 겉 벗은 좁쌀을 너희를 위하여 흩는다.
子夏의 흐러 사로미 조라.≪두시-초 19:5≫
원문 子夏索居頻
번역 子夏에 흩어져 사는 것이 잦구나
上이 해 말 주심이 조 내내 됴티 못엿더니.≪소언 6:37≫
원문 上常賜告者數 終不瘉
古者애 祭祀 遠近으로 드믈며 삼음을 可히 보리로다.≪가언 10:7≫
원문 然有月祭享嘗之別 則古者祭祀以遠近爲疏數 亦可見矣
번역 과거에 제사를 원근으로써 드물며 잦음을 삼는 것을 또한 가히 볼 것이다.
頻 빈 屢 루.≪신합 하:57≫
즐 루 屢 드믈 희 稀.≪유합-칠 31≫ |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재’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白氎 인 쟉쟉 호아 주어 寶塔 일어 供養게 고 녀나 모 사미 各各 제 로 다마다가 塔 일어 供養더라.≪석상 23:48≫
브를 브티니 道士 經은 다 라 외오 부텻 經은 그저 겨시고.≪월석 2:74~75≫
번역 불을 붙이니 도사의 경은 다 타서 재가 되고 부처의 경은 그저 남아 있고.
一寸이 도다.≪두시-초 15:48≫
원문 丹心一寸灰
번역 붉은 마음은 한 치가 재 같도다.
내 브리 식거 주어 묻오려 노라.≪삼강-중 충:27≫
원문 吾俟火滅灰寒 收瘞其骨
灰 회.≪훈몽 하:15≫
鍛鐵竈中灰 불무질 브억의 冬灰 명회 .≪동의 1:19≫
灰 .≪동해 상:63≫ |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잿빛’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灰猫 괴.≪역해 하:33≫ |
어휘: 가,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재강’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볏디프로 라 새 니근 수 가 조쳐 소곰 녀허 믈 글혀 섯거.≪구방 하:34≫
번역 또 볏짚을 재로 살라 새 익은 술을 재강에 아울러 소금 넣어 잿물 끓여 섞어. |
어휘: 간-젓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형용사, 뜻풀이: 재사(才思)가 있어 보이거나 재사스럽다., 범주: 옛말, 용례: 너희 이런 간저은 예 曹操 두루면 되려니와.≪삼역 7:23≫
번역 너희 이런 재사스러운 꾀에 조조를 속이면 되려니와. |
어휘: 간-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어떤 일을 처리하거나 재량(裁量)하다., 범주: 옛말, 용례: 아므려나 看品坐의셔 토디 아니케 간소.≪첩신-초 3:29≫
번역 어쨌거나 간품좌에서 다투지 아니하게 처리하소.
어와 오은 右之道理 正官도 분별 두셔 氣味 됴케 간소.≪첩신-초 4:3≫
번역 어와 오늘은 우지도리를 정관도 염려 두고 있어 기미 좋게 처리하소.
기로디 말고 잘 쥬션야 림 업게 간시소.≪첩신-초 5:24~25≫
번역 기다리지 말고 잘 주선하여 꺼림 없게 처리하시오. |
어휘: 강,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재강’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酒糟 강.≪역해 상:49≫
糟 강 조.≪천자-석 35≫
酒糟 강.≪동해 상:60≫
黃酒糟 강.≪한청 12:42≫
강이라 (糟).≪무원 1:19≫ |
어휘: 계,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재계’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祭義예 오 안햇 계 닐위고 밧긔 계 흗야 계 날애 그 겨시던 듸 각며.≪소언 2:26≫
원문 祭義曰 致齋於內 散齋於外 齋之日 思其居處
번역 제의에 이르기를 안에서 재계를 이르게 하고 밖에서 재계를 흩어지게하여 재계하는 날에 그 계시던 데를 생각하며.
양 긔일을 만나면 젼긔 만의 목욕고 계 닐위더라.≪동신 효5:7≫
번역 매양 기일을 만나면 전기前期 한 달만에 목욕하고 재계를 이루어지게 하더라.
齋 계 .≪신합 하:14≫
長齋 긴 계 短齋 졀은 계.≪역보 10≫ |
어휘: 계-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재계하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계 날애 그 겨시던 듸 각며.≪소언 2:26≫
원문 齋之日 思其居處
번역 재계하는 날에 그 계시던 데를 생각하며. |
어휘: 곡고기,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부사, 뜻풀이: 차곡차곡. 꼬박꼬박., 범주: 옛말, 용례: 남지늬 갑새 조야 곡고기 맛다가.≪삼강 열:10≫ |
어휘: 믈,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재물’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貨 믈 화 財 믈 .≪신합 하:35≫
인군이 겸공고 경신며 믈을 졀용고.≪오륜 2:2≫
번역 인군이 공경하고 경신하며 재물을 아껴 쓰고.
집 뎐디 믈를 다 아 주고.≪이륜-옥 2≫
어딜오 믈이 하면 그 을 해고 어리고 믈이 하면 그 허믈을 더니.≪소언 6:83≫
원문 賢而多財則損其志 愚而多財則益其過
블한당이 이셔 밤을 타 돌입야 블 로코 믈을 다 가지고.≪동신 열 3:63≫
번역 불한당이 있어 밤을 타 돌입하여 볼 놓고 재물을 다 가지고. |
어휘: 상-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어버이의 상중(喪中)에 있다., 범주: 옛말, 용례: 丁憂 상다.≪동해 하:9≫ |
어휘: 의-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유의하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거리로 외디 말며 더욱 의야 브즈러니 호라.≪번박 상:50≫
원문 街上休遊蕩 越在意勤勤的學着
번역 거리로 나와 방황하지 말며 더욱 유의하여 부지런히 배워라. |
어휘: 졔-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절제하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를 졔며 법도 삼가면 여도 넘 아니니.≪소언 2:30≫
원문 制節謹度 滿而不溢
번역 마디를 절제하고 법도를 삼가면 가득하여도 넘지 않으니. |
어휘: 조,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재주’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呈才 조 뵐씨니.≪석상-중 11:29≫
번역 정재는 재주를 남에게 보이는 것이니.
사회 야 조 몯 미다 님금 말 거스니.≪월곡 상:14≫
번역 사위를 가리어 재주를 믿지 못하여 임금의 말을 거스르니.
조 잇고 命은 업서 百寮ㅅ 아래셔 니놋다.≪두시-초 8:16≫
원문 有才無命百寮底
번역 재주는 있고 명은 없어 백료 아래서 다니는구나.
世間앳 利와 어즈러운 빗난 것과 소리와 조와 노뇨로.≪내훈 1:28≫
원문 於世利紛華 聲伎游宴
번역 세간의 이와 어지러운 빛나는 것과 소리와 재주와 노니는 것으로.
이 사히 비록 글 죄 이셔도.≪번소 10:11≫
원문 勃等雖有文才而浮躁淺露
번역 이 사람들이 비록 글을 하는 재주가 있어도.
傑 조 노 걸 才過萬人謂之傑.≪훈몽 하:11≫
才 좃 術 좃 슐.≪훈몽 하:13≫
네 므슴 조앳 사고져 다.≪번박 상:62≫
원문 你待買甚麽本事的馬
번역 너는 무슨 재주의 말을 사여고 하는가?
才 조 .≪신합 하:1≫
本事 조 比試 조 밧다.≪역해 상:15≫ |
어휘: 조-롭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형용사, 뜻풀이: 재주가 있다., 범주: 옛말, 용례: 건 해 이 조롭디 몯홈 음홈이오.≪소언 4:45≫
원문 沃土之民 不材 淫也
번역 기름진 땅에 사는 백성이 재주가 있지 못함은 음탕하기 때문이고. |
어휘: 조-밧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시합하거나 시험하다., 범주: 옛말, 용례: 比試 조밧다.≪역해 상:15≫ |
어휘: 조-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재주를 발휘하다., 범주: 옛말, 용례: 벼슰 次第 潘生이 疎拙고 조 일후믄 賈誼 하도다.≪두시-초 15:25≫
원문 官序潘生拙 才名賈誼多
번역 벼슬의 차례는 재주를 발휘하는 이름은 가의 많도다.
그 조 사 유미 어려우믈 보디 아니다.≪두시-초 25:51≫
원문 君不見才士汲引難
번역 그대는 재주를 발휘할 사람의 쓰임이 어려움을 보지 아니하는가?
후에 나 사미 조 이 두곤 더으니 저프디 아니고.≪번소 8:37≫
원문 後生才性過人者 不足畏
번역 후배 중에 재주를 발휘할 성품이 남보다 뛰어난 사람은 두렵지 않고. |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자갈. 조약돌., 범주: 옛말, 용례: 忽然히 집터 닷다가 으로 대수 툔 소리예 알며.≪몽법 10≫
번역 홀연히 집터를 닦다가 조약돌로 대숲을 치는 소리에 알며.
져머 아로미 업서 디샛 을 가져 믈 안해 드리텨 므를 닐어 소리 짓고 도라보고 니거늘.≪능엄 5:72≫
원문 童稚無知 取一瓦礫 投於水內 激水作聲 顧眄而去
번역 어려서 아는 것이 없어서 한 기와의 조약돌을 물 안에 들이쳐 물을 일으켜 소리를 내고 돌아보고 가거늘. |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재상’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宰 周官冢宰 又制也 相 本平聲 서르 .≪훈몽 중:1≫
뎌노미 고려 해셔 온 네손 가 즈름아비 도의엿니.≪번박 상:33≫
원문 那廝高麗地面來的宰相們上做牙子
번역 저 놈이 고려 땅에서 온 재상네에게 가서 주릅이 되었나니. |
어휘: -나비,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잔나비’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믈며 무덤 우 나비 람 불 제 뉘우 엇디리.≪송강-관 장진주사≫
번역 하물며 무덤 위에 잔나비 휘파람 불 적에 뉘우친들 어찌하리. |
어휘: -믈,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잿물’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目連이 가다가 믈 地獄을 보니 南閻浮提옛 衆生이 믈 가온 이셔 믌겨 조차 헤니니 모미 다 데여 므르닉더니.≪월석-중 23:80≫
번역 목련이 또 가다가 한 잿물 강 지옥을 보니 남염부제의 중생이 잿물 강의 가운데에 있어 물결을 따라 헤매어 다니니 몸이 다 데어 무르익더니.
곳갈와 왜 묻거든 믈 골아 로 請며.≪내훈 1:50≫
원문 冠帶垢 和灰請漱
번역 고깔과 띠가 때 묻거든 잿물 섞어 빠는 것을 청하며.
므레 프러 우희 며 믈로 시스라.≪구방 하:8≫
번역 찬 재를 물에 풀어 위에 바르며 또 잿물로 씻으라.
冠과 지거든 믈 시서다 請며 옷과 치매 지거든 믈 아다 請며.≪소언 2:7≫
원문 冠帶垢 和灰請漱 衣裳垢 和灰請澣
번역 관과 띠에 때가 끼면 “잿물에 타서 씻고 싶습니다”라고 청하며, 옷과 치마에 때가 끼면 “잿물에 타서 빨고 싶습니다”라고 청하며. |
어휘: -빗,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잿빛’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빗 니 혈이 쇠고 긔운이 톄디라.≪언두 상:53≫
번역 잿빛 같은 것은 혈이 쇠하고 기운이 체한 것이다.
핏긔 브죡면 세 증을 닐위니 빗 니과 자리 븕디 아니니과 윤디 아닌니.≪언두 상:57≫
번역 핏기 부족하면 세 증세를 일으키니 잿빛 같은 것과 자리 붉지 않은 것과 윤택하지 않은 것이.
靑牛 빗 쇼.≪한청 14:36≫ |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쟁’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箏 .≪동해 상:53≫ |
어휘: 강-강,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부사, 뜻풀이: ‘쟁강쟁강’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銅鐵玉相 磞聲 강강.≪동해 하:57≫ |
어휘: 도림-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주사위 따위를 던져서 순서를 정하다., 범주: 옛말, 용례: 네 엇디 몬져 더딜 우리 도림쟈.≪박언 중:49~50≫
원문 你怎麼先擲 咱比賽
번역 어찌 네가 먼저 던질 것인가? 우리 주사위를 던져서 순서를 정하자. |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징’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鉦 小曰鉦 鑼 라 大曰鑼 俗呼銅鑼.≪훈몽 중:14≫ |
어휘: -히,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부사, 뜻풀이: ‘쟁쟁히’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찻 玉이 히 우니.≪소언 3:18≫
원문 玉鏘鳴也
번역 찬 옥이 쟁쟁이 우니. |
어휘: 젹,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재물’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그 식 아홉 아와 두 로 여곰 百官이며 쇼와 羊이며 젹을 초아 舜을 받이럼 가온대 가 셤기게 시니.≪소언 4:8≫
원문 使其子九男二女 百官牛羊倉廩備 以事舜於畎畒之中
번역 자기의 자식 아홉 아들과 두 딸로 하여금 모든 관원과 소와 양과 재물을 갖추어 순을 밭이랑 가운데로 가서 섬기게 하셨으니. |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창’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뎌 훠 이 다 두 조 애 호와 잇 시른 밀텨 잇고.≪번노 하:53≫
원문 那靴底都是兩層淨底上的線蠟打了
번역 저 목화(木靴)의 밑창은 두 층의 좋은 창에 박은 실은 밀납(密蠟)을 칠해 있고. |
어휘: -르,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신창의 밑., 범주: 옛말, 용례: 바래 시넛노니…부리 두의걷고 르 분칠얏 오 므든 실로 麒麟 슈질고.≪번박 상:26≫
원문 脚穿着…捲尖粉底 五綵繡麒麟
번역 발에 신은 것은…부리를 뒤집어서 걷고 신창의 밑을 분칠하였는데, 오색실로 기린을 수놓고. |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창자’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뷔트리허 거두쥐 야.≪구간 2:46≫
원문 其膓絞縮
번역 창자가 비틀려 오그라드는 듯하여.
의 .≪번노 하:38≫
고기 구으니와 도 봇그니와.≪번박 상:5≫
원문 焩牛肉 炮炒猪肚
번역 쇠고기 구운 것과 돼지 창자 볶은 것과. |
어휘: -날,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첫날’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나래 讒訴 드러 兇謀ㅣ 날로 더을.≪용가 12장≫
원문 始日聽讒 兇謨日熾
번역 첫날에 참소를 들어 흉악한 계략이 날로 더하므로. |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청’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힘과 脈과 頭腦와 과 누른 痰과 痰과.≪영가 상:35≫
원문 筋脈腦膜 黃痰白痰
번역 힘줄과 맥과 두뇌와 청과 누른 가래와 흰 가래와.
膜 누네 이라.≪원각 하3-1:17≫
번역 막은 눈에 낀 청이다.
도 기르믈 아 힘과 과 업게 고므레 녀허 달효 올오미 기름가티 외어든.≪구방 하:38≫
번역 돼지의 기름을 취하여 힘줄과 청을 없게 하고 물에 넣어 달이되 떠오르는 것이 기름같이 되거든. |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버선이나 신발의 목., 범주: 옛말, 용례: 보라온 시욱 우희 록비쳇 비단으로 곗곳 슈질 후시를 엿고.≪번박 상:29≫
원문 靑絨氈襪上 絟着一對明綠綉四季花護膝
번역 부드러운 모전 버선 목 위에 한 쌍 명록빛 비단으로 사계화 수질한 슬갑을 매었고.
시욱 은 됴 오 보라온 터리로 미론 시너 이쇼.≪번노 하:53≫
원문 氈襪 穿好絨毛襪子
번역 모전으로 된 버선은 좋고 가늘고 보드라운 털로 짠 버선을 신었는데. |
어휘: -갈외,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청가뢰’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갈외 다 나 머리와 발와 래와 앗고 리 라.≪구간 6:37≫
원문 用斑猫쳥갈외五箇 去頭足翅 硏爲細末
번역 청가뢰 다섯 개를 머리와 발과 날개 떼고 가늘게 갈아. |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버선이나 신발 목의 가장자리., 범주: 옛말, 용례: 류 비단 돌온 훠의.≪번박 상:26≫
원문 柳綠紵絲抹口的靴子
번역 유록색 비단 버선깃을 두른 신의. |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청대’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𪑩 뎐…黛 .≪훈몽 중:14≫
금관과 옥회 거므며 니 빗치 업며 혜 쳥믈 드리니 며 혹 희기 삭근 쟈 다 흉니라.≪마경 상:26≫
원문 金關玉戶暗昧 排齒無光 舌如靛染 或白如枯骨者 皆凶
번역 금관金關과 옥호玉戶가 검으며 이 빛이 없으며 혀에 청대물 들인 것과 같으며 혹 흰 것이 삭은 뼈 가튼 놈은 다 흉하니라.
馬藍 .≪역해 하:41≫ |
어휘: -갇,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말총, 종려모 따위로 만든 갓., 범주: 옛말, 용례: 롣 갇 일 낫 호박 일 갇 일 낫.≪번노 하:67≫
원문 桃尖椶帽兒一百箇 琥珀頂子一百副 結椶帽兒一百箇
번역 뾰족한 말총 갓 백 개, 호박 증자[頂子] 백 벌, 말총 갓 백 개. |
어휘: -나모,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종려나무’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진짓 나못 거픐 실로 긷 우희 됴 옥으로 히 설픠에 사긴 주지 브텻.≪번박 상:27≫
원문 十分上等眞結椶帽兒上 綴着上等玲瓏羊脂玉頂兒
번역 가장 상등의 진짜 종려나무 거풀의 실로 맺은 갓 위에 상등의 좋은 옥으로 영롱히 설피게 새긴 증자[鏳子'를 붙였고.
됴 나못 실로 고 금 브틴 갇이니.≪번노 하:52≫
원문 好纏椶金頂大帽子
번역 좋은 종려나무 실로 맺고 금으로 된 증자[頂子]를 붙인 갓이니. |
어휘: -무,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털구멍’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무 잇 烏犀角으로 근 를 엿고.≪번노 하:51≫
원문 又繫有鬉眼的烏犀繫腰
번역 또 털구멍[鬉眼] 있는 오서각(물소뿔)으로 만든 허리띠를 띠었고. |
어휘: 이-,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총이말’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디튼 이리 잘 로.≪번박 상:62≫
원문 一箇黑鬃靑馬快走
번역 한 짙은 총이말이 잘 달리되.
이 이리 나히 언멘고.≪번노 하:8≫
원문 這箇靑馬多少歲數
번역 이 총이말[靑馬]은 나이가 얼마인가? |
어휘: 관,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총사령관’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므슴 죠셰신고 도과 관 가 죠셰시니라.≪번박 상:8≫
원문 甚麽詔 都堂總兵官的詔書
번역 이 총이말[靑馬]은 나이가 얼마인가?
"무슨 조서이신고?", "도당과 총병관께 가는 조서입니다." |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용평상’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丁字街ㅅ 가온 면 우희 皇帝 안시 옥셕으로 룡을 설픠에 사긴 잇고.≪번박 상:69≫
원문 丁字街中間正面上 有官裏坐地白玉石玲瓏龍床
번역 丁字街 가운데 정면 위에는 황제가 앉으시는 백옥으로 용을 성기게 새긴 용평상이 있고. |
어휘: -가,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겹으로 된 까풀., 범주: 옛말, 용례: 가 갈 열 .≪번노 하:68≫
원문 雙鞘刀子一十把
번역 겹으로 된 칼집을 한 칼 열 자루. |
어휘: 모-검,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아주 날카로운 검., 범주: 옛말, 용례: 이 에 모검 자바 니와면 구로미 제 얼굴 업서 리 제 리라.≪야운 62≫
원문 箇中拈起吹毛利 雲自無形月自明
번역 이 중에 취모검을 잡아 일으키면 구름이 저절로 형체가 없어져서 달이 저절로 밝을 것이다. |
어휘: -돌,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차돌’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돌 단 을 라.≪분문 25≫
번역 또 차돌 닷 냥을 갈아.
方解石 돌.≪동의 3:47≫ |
어휘: -이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채워지다., 범주: 옛말, 용례: 고모장 셰살장 가로다지 여다지예 암돌져귀 수돌져귀 목걸새 뚝닥 박고 龍거북 물쇠로 수기수기 엿듸 屛風이라 덜걱 져븐 簇子ㅣ라 글 다 네 어 틈으로 드러온다.≪교시조 3181-2≫
번역 고미장지 세살장지 가로닫이 여닫이에 암톨쩌귀 수톨쩌귀 배목걸쇠 뚝딱 박고 용거북 자물쇠로 수기수기 채워졌는데. |
어휘: -조,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차조’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小黃米 조.≪동해 하:2≫
粱 조 薌萁 仝.≪물명 3:2≫ |
어휘: -조,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차좁쌀’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黃小米 조.≪역해 하:9≫ |
어휘: 긔,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자기’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긔 사뎝시 나모뎝시 옷칠 뎝시.≪번노 하:33≫
원문 瓷楪子 木楪子 漆楪子
번역 자기(瓷器), 사기(沙器) 접시, 나무 접시, 옻칠한 접시.
瓷 긔 .≪훈몽 중:9≫ |
어휘: 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원어·어종: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차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닐웨 디 몯야 羅漢果 得야.≪월곡 상:66≫
번역 이레가 차지 못하여 라한과를 얻거늘.
百千歲 後에 도로 舌相 가샤.≪월석 18:6≫
번역 백천세가 찬 후에야 도로 그 혀 모양을 걷으시어.
삿기 여 거늘.≪석상-중 11:25≫
번역 새끼 배어 달 차거늘.
三年이 니 八婇女ㅣ 됴 根源을 닷가 無上道理 일우미 머디 아니더라.≪월석 8:91≫
번역 삼 년이 차니 여덟 궁녀가 좋은 근원을 닦아 무상의 도리를 이룸이 멀지 아니하였다., 역사 정보: 설명 15세기 초 자료인 ≪조선관역어≫에는 ‘路濫 吉自大 落藍’으로 표기되어 있다. |
어휘: 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차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바래 가 므른 吳ㅅ 하 놋다.≪두시-초 20:2≫
원문 朝海蹴吳天
번역 바다에 가는 물은 오나라의 하늘을 차는구나.
고개예 다라 밠가락 고 頌云샤.≪남명 상:50≫
번역 고개에 다다라 발가락을 차고 頌云하시되.
踶 뎨.≪훈몽 하:4≫
蹄馬 掠蹄 上仝.≪역해 하:29≫ |
어휘: 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차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弓劍 고 左右에 좇니.≪용가 55장≫
원문 常佩弓劒 左右跜侍
번역 칼과 환을 차고 곁을 따르니.
珮 玉이라.≪월석 10:45≫
번역 패는 차는 옥이다.
치맛 허리예 갈 열 .≪번노 하:68≫
원문 裙刀子一十把
번역 치마 허리에 차는 칼 열 자루.
칼 고 노 여셔 셰야 닐오.≪동신 속열:13≫
원문 佩刀帶繩以自誓曰
번역 칼 차고 노를 띠고서 맹세하여 이르되. |
어휘: 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형용사, 뜻풀이: ‘차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블이 도라 디고 불어늘.≪월곡 상:37≫
번역 불이 돌려 지고 찬 바람이 불거늘.
모미 겨렌 덥고 녀르멘 고.≪월석 1:26≫
번역 몸이 겨울엔 덥고 여름엔 차고.
恩惠로 녀 사티 어름티 니 화 주시니라.≪두시-초 20:22≫
원문 恩分夏簟冰
번역 은혜로 여름 삿자리 얼음같이 찬 것을 나누어 주시니라.
다가 勢ㅣ 하면 더운 거시 닐 좃고 다가 더운 功이 이긔면 거시 더우미 외야.≪능엄 3:11≫
원문 若冷勢多 熱者從冷 若熱功勝 冷者成熱
번역 만약에 찬 기운이 많으면 더운 것이 찬 것을 좇고 만약 더운 공력이 이기면 찬 것이 더운 것이 되어. |
어휘: 례,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차례’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四時 례로 가맨 百年 안햇 미로다.≪두시-초 10:13≫
원문 時序百年心
번역 사시가 차례로 가는 것에는 백년 안의 마음이로다.
모 사을 조차 례로 절게 라.≪여씨-화 38주≫
번역 또 모든 사람을 따라 차례로 절하게 하라.
아다온 말이니 례예 다재라.≪소언 5:2≫
원문 嘉言五
번역 아름다운 말씀이니 차례로 다섯째이다.
얼운과 져므니 례 이시며.≪소언 1:9≫
원문 長幼有序
번역 어른과 젊은이는 차례가 있으며. |
어휘: 리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정신을 차리다. 깨닫다., 범주: 옛말, 용례: 疏 經 들 올오리 릴씨오.≪능엄 1:16≫
번역 소는 경의 뜻을 올올이 깨닫는 것이고.
다가 宗旨 려 通면.≪남명 하:19≫
번역 만약 종지를 깨달아 통하면. |
어휘: 림,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미리 알고 정신을 차리거나 깨달음., 범주: 옛말, 용례: 迦葉이 다시 비러 머리 우희 고 해 디여 림 몯 얫다가 오라거 야.≪석상 23:41≫
번역 가섭이 다시 빌어 머리 위에 얹고 땅에 넘어지어 차림 못하고 있다가 오래되어서야 깨어.
원이 그 들 깁피 아라 이믜 라난 여 리 더욱 히 여셔.≪이륜-옥 48≫
번역 원정이 그 뜻을 깊이 알아 이미 자라서는 가리어 차림을 더욱 깨끗이 하여서.
어버 림 업서 子息 제 로 려 두면.≪칠대 21≫
번역 어버이 차림 없어 자식을 제 마음대로 버려 두면. |
어휘: 마,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부사, 뜻풀이: ‘차마’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나 如來 쩌글 마 보디 몯야 가노라.≪석상 23:36≫
번역 나는 여래 사를 적을 차마 보지 못하여 가노라 하시고.
지븻 어딘 겨지비 오히려 나라햇 어딘 宰相과 니 엇뎨 마 니리오.≪내훈 2:92≫
원문 家之良妻 猶國之良相 豈忍忘之
번역 집에 있는 어진 부인이 오히려 나라에 있는 어진 재상과 같으니 어찌 차마 잊으리오. |
어휘: 셔,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차서’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셰 이셔 례예 넘디 아니 톄라.≪소언 6:10≫
번역 차서가 있어서 예에 넘치지 아니한 체이다.
循循히 셰 잇게 더시니.≪소언 6:17≫
원문 循循有序
번역 순순히 차서가 있게 하시더니.
序 당 셔 셔 셔.≪신합 상:18≫ |
어휘: 소기,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차조기’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蘇 소기 소.≪훈몽 상:8≫
紫蘇 소기.≪사해 상:40≫ |
어휘: 쇠,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차조기’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기르메 쇠 담가 두고셔 라.≪구간 6:58≫
원문 香油기름 浸紫蘇쇠 塗之
번역 참기름에 차조기 담가 두고서 바르라. |
어휘: 자-가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찾아가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부러 뷘 길 자가더니 世尊 맞나며.≪월곡 상:65≫
번역 일부러 빈 길을 찾아가더니 세존을 만나며.
져믄 아 믌 자가니 올로 듣디 몯리로다.≪두시-초 25:16≫
원문 稚子尋源獨不聞
번역 어린 아이가 물의 근원을 찾아가니 홀로 듣지 못하리로다. |
어휘: 자-보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찾아보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내 마 아와 누위 자볼 지비 업수니 그듸 이제 어듸 가 庭闈 무를다.≪두시-초 23:46≫
원문 我已無家尋弟妹 君今何處訪庭闈
번역 내 벌써 아우와 누이를 찾아볼 집이 없으니 그대는 이제 어디 가 정위를 묻겠느냐. |
어휘: 자-오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찾아오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孫子 자오라.≪두시-초 8:32≫
원문 且復尋諸孫
번역 또 손자를 찾아오라. |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참외’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고고리 반 라.≪구간 1:110≫
원문 用瓜蔕고고리 半兩爲末
번역 참외의 꼭지 반 량을 갈아.
지 복가.≪벽신 11≫
번역 참외의 꼭지를 볶아. |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부사, 뜻풀이: ‘차차’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여 가마로셔 달혀 두 가마 될 제면 네 가마ㅣ 븰 거시니.≪염소 13≫
번역 여섯 가마로 달여 두 가마 될 적이면 네 가마가 차차 빌 것이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