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
stringlengths
46
13.3k
어휘: 동쳥,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송골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海靑 동쳥.≪역해 하:25≫
어휘: 로,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부사, 뜻풀이: 해마다., 범주: 옛말, 용례: 내 病은 로 슬푸미 기다.≪두시-초 23:39~40≫ 원문 余病長年悲 번역 내 병은 해마다 슬픔이 길다.
어휘: 마,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해마’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海馬 마.≪물보 상:13≫
어휘: 삼,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해삼’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土肉 方言 뮈 海蔘 삼.≪물명 2:5≫
어휘: 소-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상(喪) 등이 지나 소밥 먹기를 그치다., 범주: 옛말, 용례: 喫齋 소다…開齋 소다.≪역해 상:42≫
어휘: 야-디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해어지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玉  이스레 싣나못 수프리 드러 야디니 巫山과 巫峽엣 氣運이 蕭森도다.≪두시-초 10:33≫ 원문 玉露凋傷楓樹林 巫山巫峽氣蕭森 번역 옥 같은 이슬에 단풍나무 수풀이 뚝뚝 떨어져 해어지니 무산과 무협의 기운이 쓸쓸하도다.
어휘: 양,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해파리’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海䖳 양.≪한청 14:46≫
어휘: 여-곰,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부사, 뜻풀이: ‘하여금’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夫人이 寬으로 여곰 怒호 試驗코져 야.≪내훈 1:16≫ 원문 夫人欲試寬令恚 번역 부인이 관으로 하여금 노하는 것을 시험하고자 하여. 화독탕은 쾌히 솟디 아닌  고티고  여곰 드믈고 쟉게 니.≪언두 상:19≫ 번역 화독탕은 쾌히 솟지 아니한 데를 고치고 또 그것으로 하여금 드물고 작게 한다. 도미의 안해 곱더니 개루왕이 듣고  신하로 여곰 왕의 오 니펴 밤의 그 지븨 니러 쟝 난려 거.≪동신 열:1≫ 원문 都彌妻美麗 盖婁王聞之 使一近臣 假王衣服 夜抵其家 將亂之 번역 도미의 아내 곱더니 개루왕(蓋婁王)이 듣고 한 신하로 하여금 왕의 옷을 입혀 밤에 그 집에 이르러 장차 난행(亂行)하려 하거늘.
어휘: 여-디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해어지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이스리 드롓  울워러 보니 믈어디디 아니며  여디디 아니얫도다.≪두시-초 16:28≫ 원문 仰看垂露姿 不崩亦不騫 번역 이슬이 드리운 모양을 우러러 보니 무너지지 아니하며 또 해어지지 하나하였도다.
어휘: 이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하게 하다. 시키다., 범주: 옛말, 용례: 왜난의 곰티  마가 도적을 주기기 무수히 니 공으로 튱쳥 병 이신대 조 각별 공을 셰더라.≪동신 충1:41≫ 원문 壬辰倭亂扼熊峙 殺盜賊無數 以功超拜忠淸兵使 屢立殊勳 번역 왜란에 곰곰이 땅을 막아 도적을 죽이기를 무수히 하니 공으로 충청 병사를 하게 하시니까 자주 각별한 공을 세우더라. 질박니런 녀름지이고 혬 잘리런  이고 교 잇니런 을 욜디니.≪정속-이 8≫ 번역 질박한 이는 농사짓게 하고 셈 잘할 이는 흥정을 시키고 교성 있는 이는 공장을 시킬지니. 모 며리들흘 겨집븨 일만 이고 집븻  참예 아니케터라.≪이륜-옥 31≫ 번역 모든 며느리들이 계집의 일반 시키고 집의 공사에 참여 아니하게 하더라. 관원토 여러 예 올아셔 이바디시니 효근 류와 굴근 뉴 다 이시며 므를 조차셔 노시다가.≪번박 상:71≫ 원문 官人們也上幾隻船 做箇筵席 動細樂大樂 沿河快活 번역 관원들도 여러 배에 올라서 잔치하시니 세악과 대악들을 다 시키시며 물을 좇아서 노시다가.
어휘: 쟝-대,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해장죽’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筤 幼竹 쟝대.≪물명 3:4≫
어휘: 홍이,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나문재’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海紅菜 홍이.≪물명 3:28≫
어휘: 별,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일월성신’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曜 별 요.≪신합 하:12≫
어휘: 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하게 하다.시키다., 범주: 옛말, 용례: 사마다  수 니겨 날로 메 便安킈 고져  미니라.≪훈언 3≫ 번역 사람마다 하여금 쉬이 익혀 날로 쓰는 데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해자’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壕  호.≪훈몽 중:5≫
어휘: 리,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해파리’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泥 리.≪물보 상:13≫
어휘: -검부기,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벼의 하나., 범주: 옛말, 용례: 白黔夫只 검부기.≪금양 곡품≫
어휘: -나,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흰나비’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미 가야오니 나 깃거고.≪두시-초 21:6≫ 원문 風輕粉蝶喜 번역 바람이 가벼우니 흰나비 기뻐하고 .
어휘: -머리,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흰머리’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고파 머리 빗고 胡盧 잡고 소로 菊花 긼  兼노라.≪두시-초 17:33≫ 원문 强梳白髮提胡盧 手兼菊花路傍摘 번역 힙겹게 흰머리를 빗고 호로를 잡고 손으로 길가에 국화를 따는 것을 겸한다.
어휘: -몰애,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흰모래’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 돌콰 몰애  서르 헤여뎻니 슬픈 그려기 오 우러셔 제 무를 언놋다.≪두시-초 25:13≫ 원문 白石素沙亦相蕩 哀鴻獨呌求其曹 번역 흰 돌과 흰모래가 또 서로 헤어졌나니 슬픈 기러기가 혼자 울어서 스스로 물을 얻는구나.
어휘: -밥,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흰밥’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으란 바 주고 란 프른  호리라.≪두시-초 8:23≫ 원문 與奴白飯馬靑芻 번역 종에게는 흰밥을 주고 말은 푸른 꼴을 해 주리라.
어휘: -부루,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상추의 하나., 범주: 옛말, 용례: 白苣 부루 萵苣 부루.≪사해 상:30≫
어휘: -북,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백복령’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몬져 북  돈을 십고.≪구간 6:6≫ 원문 先嚼白茯苓一錢 번역 먼저 백복령 한 돈을 씹고.
어휘: -아가외,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아가위의 하나., 범주: 옛말, 용례: 棠 아가외.≪시물 3≫
어휘: -어르러지,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백납. 백전풍(白癜風)., 범주: 옛말, 용례: 어르러지 모매 퍼디여 어르눅고 랍거든.≪구간 6:84≫ 원문 白癜風 徧身班點 瘙痒 번역 백납이 몸에 퍼져 얼룩얼룩하고 가렵거든.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흰말’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白馬 리라.≪월석 2:66≫ 번역 백마는 흰말이다.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흰쌀’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鴛鴦夫人이 말  金바리예  기 다마 比丘ㅅ 알 나니거.≪월석 8:90≫ 번역 원앙부인이 한 말들이 금바리에 흰쌀을 가득 담아 비구 앞에 나아가거늘.   되예  두 되 닷 홉이 나니라.≪구촬 9≫ 원문 白米一升 可出末二升五合 번역 흰 쌀 한 되에 가루 두 되 닷 홉이 나온다.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흰자위’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알  나 거플 앗고 누른  고게 저 머그라.≪구간 2:68≫ 원문 鷄子 알一枚 去殼攪 令黃白勻 服之 번역 달걀 한 개를 껍질 빼고 노른자위를 흰자위에 고르게 저어 먹으라.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백토’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堊  악.≪훈몽 중:14≫
어휘: -귀,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햇귀’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녀르멘 더운 귀 잇고 겨렌 누니 잇니라.≪남명 하:57≫ 원문 夏有炎暉 冬有雪 번역 여름엔 더운 햇귀가 있고 겨울에는 눈이 있느니라. 暾 귀 돈 旭 귀 욱.≪훈몽 하:1≫ 귀 희 羲 귀 휘 暉.≪천자-칠 30≫
어휘: -모로,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햇무리’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暈 모로 운 日暈 모로 月暈 모로.≪훈몽 하:1≫ 日暈 ㅅ모로 日圈 ㅅ모로 日欄風 日暈면 람 잇다.≪역해 상:1≫
어휘: -바회,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해의 덩어리., 범주: 옛말, 용례: 命終 저긔 金蓮花ㅣ 바회 니 알 왯거든 보아.≪월석 8:75≫ 번역 목숨이 끊어질 때에 금련화가 해의 덩어리 같으니 앞에 와 있거든 보아.
어휘: -발,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햇발’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노 블근 구룸 西ㅅ녀킈 바리 平地에 리 솻도다.≪두시-중 2:65≫ 번역 높은 붉은 구름 서녘 햇발이 평지에 내리 쏘여 있도다.
어휘: -빛,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햇빛’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  비 時節에 마 이   十方世界 가지로 비치 외리어늘 엇뎨 空中에  두려운  보뇨.≪능엄 4:41≫ 원문 且日照時 旣是日明 十方世界 同爲日色 云何空中 更見圓日 번역 또 해가 비칠 때에 이미 해 밝으므로 시방세계가 한가지로 햇빛이 될 것이거늘 어찌 허중에 또 둥근 해 보느냐. 비츤 仙掌애  비취여 뮈오 香ㅅ 袞龍袍 바라 도다.≪두시-초 6:5≫ 원문 日色纔臨仙掌動 香煙欲傍袞龍浮 번역 햇빛은 선장에 갓 비취여 움직이고 향내는 곤룡포를 바라보고 떠있도다.
어휘: -소옴,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햇솜’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겨을 칠팔 년을 디내되 소옴이 업서 너터더니.≪계축 하:42≫ 번역 겨울을 칠판 년을 지내되 햇솜이 없어 덜덜 떨더니.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광음’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大禹 聖人이샤 치만  앗기시니 모 사애 니르러 맛히 분만  앗길 거시니.≪소언 6:109≫ 원문 大禹聖人 乃惜寸陰 至於衆人 當惜分陰 번역 대우는 성인이시되 치만한 광음을 아끼시니 모든 사람에 이르러서는 마땅히 분만한 광음을 아낄 것이니.
어휘: -믈,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햇나물’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졀이 다 디나 믈 어더먹을 길히 업더니.≪계축 하:43≫ 번역 사절이 다 지나되 햇나물 얻어먹을 길이 없더니.
어휘: 각,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행각’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翼廊 각.≪동해 상:34≫ 廂房 각…露頂 각  지은 집.≪한청 9:67≫
어휘: 니-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먼길을 떠나다. 나가 다니다., 범주: 옛말, 용례: 굿브러 쳥노니 니쇼셔.≪권념 4≫ 번역 엎드려 청하니 멀리 떠나소서.
어휘: 담,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행담’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開披 담 竹萋子 대광조리.≪역보 44≫
어휘: 리,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행리’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壘墜 리 무겁다.≪한청 14:31≫
어휘: 보,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행보’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표의 나히 늙어 뵈 더듸니.≪오륜 1:32≫ 번역 표의 나이가 늙어서 행보가 더디니. 도장문의셔 라나 보 닉디 몯여라.≪동신 열5:27≫ 번역 도장문에서 자라나 행보를 익지 못하여라.
어휘: 침,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바느질의 하나., 범주: 옛말, 용례: 一列針 침.≪역해 하:6≫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행색’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쥬인이 그 을 고이히 너겨.≪오륜 3:32≫ 번역 주인이 그 행색을 괴이하게 여겨.
어휘: -졉,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접붙이기의 하나., 범주: 옛말, 용례: 한식 젼후 삼일에 과목을 졉니…엇졉 피졉 도마졉이 졉이 잘 니.≪농월 5≫ 번역 한식 전후 삼사일에 과목을 접하니…엇접 피접 도마접이 행차접이 잘 사니.
어휘: -칼,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행차칼’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行枷 칼.≪역해 상:66≫
어휘: -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행하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이 곧 내 몸 일워나 道를 야 후셰예 일홈 베퍼 내여 부모를 나토와 내요미 효도의 초미니라.≪번박 상:50≫ 원문 這的便是 立身行道 揚名於後世 以顯父母 孝之終也 번역 이 곧 내가 몸을 일으켜 도를 행하여 후세에 이름을 떨쳐 부모를 드러나게 함이 효도의 마침이니라. 덕이라 혼 거 닐온 어딘 이 보고 반시 며 내 허므 듣고 반시 며.≪여씨-화 3≫ 번역 덕이라 하는 것은 이른바 어진 것을 보고 반드시 행하며 내 허물을 듣고 반드시 고치며.
어휘: 역,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두창’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痘 역 두 瘰 련쥬 라.≪훈몽 중:16≫
어휘: 혀,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부사, 뜻풀이: ‘행여’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혀 유여히 갈 시져리면 곧 네 집 자 가마.≪번노 상:45≫ 원문 若能勾去時節 便尋你家裏去 번역 행여 여유가 있어 갈 때에는 네 집에 찾아가겠다.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행주’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抹 스슬 말 俗稱  曰抹布.≪훈몽 하:9≫
어휘: -쵸마,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행주치마’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帍 쵸마 호.≪훈몽 중:7≫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행행’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셔울셔 이 언제 나시리러뇨.≪번박 상:53≫ 원문 京都駕幾時起 번역 서울서 (임금의) 행행이 언제 나서시겠더냐?
어휘: 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끌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엇뎨 惡報ㅣ 六根을 브터 나뇨 나 見報ㅣ 惡果 블러 니.≪능엄 8:96≫ 원문 云何惡報, 從六根出, 一者, 見報招引惡果. 번역 어찌 악보가 육근으로부터 나는가? 하나는 견보가 과보를 불러 당기나니.  爲引.≪훈해 합자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