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
stringlengths
46
13.3k
어휘: 십,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수·관, 뜻풀이: ‘이십’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이 미 십 릿 히니.≪번박 상:11≫ 원문 離這二十里地. 번역 사이가 벌어짐이 이십 리 땅이니.
어휘: 간,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인간’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이 간앳 도솔텬이러라.≪번박 상:71≫ 원문 只此人間兜率. 번역 이는 인간세계의 도솔천이구나.
어휘: -혈,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인중(人中)의 혈(穴)., 범주: 옛말, 용례: 혈 고 아래 입시울 우희 오목 라.≪구간 1:42≫ 번역 인중혈은 코 아래 입술 위에 오목한 데이다.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인삼’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화졔애  패독산 블환금 긔산 쇼싀호 대싀호 소음과 머고미 맛니라.≪구간 1:100≫ 원문 宜服和劑方, 人參敗毒散, 不換金正氣散, 小柴胡湯, 大柴胡湯, 參蘇飮. 번역 화제방에 인삼 패독산 불환금 정기산 소시호탕 대시호탕 삼소음을 먹음이 마땅하니라.   의론저.≪번노 하:56≫ 원문 商量人蔘價錢. 번역 인삼 값 의논하자. 우리  갑도 다 간슈져.≪번노 하:65≫ 원문 咱們人蔘價錢也都收拾了. 번역 우리 인삼 값도 다 간수하자(정리하자).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인생’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닐오 애 닐흔 사로미 녜브터 드므다 니.≪번박 상:76≫ 원문 說道人生七十古來稀 번역 이르되 인생에 일흔을 사는 것은 예부터 드물다 하나니.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인기척. 인사., 범주: 옛말, 용례: 마자  몯 리고.≪구간 1:3≫ 원문 中風不省人事. 번역 바람맞아 인사 못 차리고. 미친가히 믈인 도기 애 드러 답답야  몯 리거든.≪구간 6:39≫ 원문 狂犬咬毒, 入心悶絶, 不識人. 번역 미친 개에 물린 독이 속에 들어 답답해 인사 못 차리거든.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인정’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 의 얼굴 사다가  마 가 저 주워  단리 므슴 느즌 고디 이시료.≪번박 상:67≫ 원문 買一箇羊腔子 做人情去 饋他補生日 有甚麽遲處. 번역 한 양의 얼굴을 사다가 인정 삼아 가서 그에게 주어 생일 부조한들 무슨 늦은 것이 있겠는가?
어휘: -기슭,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안자락’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俗呼底襟 기슭.≪훈몽 중:12≫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암. 암컷.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암’으로 나타난다., 범주: 옛말, 용례: 제 겨지비 죽거늘 다 암 어른대 한 獼猴히 怒야 닐오 이 암 모다 뒷논 거시어늘 엇뎨 오 더브러 잇다.≪월석 7:16≫ 번역 제 계집이 죽자 다른 암컷으로 짝을 삼으니 많은 원숭이들이 노하여 이르되 "이 암컷은 모두 가질 수 있는 것인데 어찌 혼자 데리고 있느냐?"라고 하였다. 搶佯瞥捩야 암히 수흘 좃놋다.≪두시-초 17:5≫ 원문 搶佯瞥捩雌隨雄. 번역 搶佯瞥捩하여 암컷이 수컷을 좇는구나.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아우’의 옛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가운데 ‘와’를 제외한 조사 앞에서 나타나며, 휴지(休止) 앞에서나 공동격 조사 ‘와’ 앞에서는 ‘아’로 나타난다., 범주: 옛말, 용례: 이 모딜오도 無相猶矣실.≪용가 103장≫ 원문 弟雖傲矣 無相猶矣 번역 아우가 모질어도 모두 용서해주시므로 樹神이 듣고 소리 내야 닐오 그딋 이 모딘 도기니.≪월석-중 22:10≫ 번역 수신이 듣고 소리 내어 이르되 그대의 아우가 모진 도적이니. 四寸  사미 다 뒷거 나 모미 록 슬후미 平티 아니리로다.≪두시-초 24:61≫ 원문 從弟人皆有, 終身恨不平. 번역 사촌 아우 사람이 다 되었거늘 나는 몸이 마치도록 슬프니 편안하지 않겠도다.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모양’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보리 方正샤 獅子ㅣ  시며.≪월석 2:41≫ 번역 볼이 방정하시어 사자의 모양 같으시며. 눈섭 미틧 두 누니  分明니 도혀 眸子 보라 엇던  지뇨.≪금삼 3:19≫ 원문 眉底兩眼, 極分明, 反觀眸子作何樣. 번역 눈썹 밑의 두 눈이 가장 분명하니 도리어 모자를 보라 어떤 모양을 지었는가.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식’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다가 有情히 不孝 거나 信戒 헐어나 면 琰魔法王이 罪 야로 詳考야 罪 주니.≪석상 9:38≫ 번역 만약 유정들이 불효를 하거나 신계를 헐거나 하면 담마법왕이 죄의 식으로 상고하여 죄주나니. 열세헤 어미 죽거늘  그 오로 더니.≪속삼 효:16≫ 번역 열셋에 어머니가 죽거늘 또 그 식으로 하더니.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위’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의  머리 발  눈올.≪번노 하:38≫ 원문 羊雙腸 頭 蹄 肚兒 睛. 번역 양의 창자, 머리, 발굽, 양, 눈망울 胃  위.≪훈몽 상:14≫
어휘: -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보조 동사, 뜻풀이: ‘양하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得디 몯 거슬 得호라 닐오 일후미 增上慢이오 劣로 제 어딘 호 일후미 卑劣慢이라.≪능엄 9:78≫ 원문 未得謂得, 名增上慢, 以劣自矜, 名卑劣慢. 번역 얻지 못한 것을 얻었다 말하는 것은 이름이 증상만이고 열로 스스로 어진 체하는 것은 이름이 비열만이다. 夫人이 새와 네 아 업게 호리라  어 됴 고 조심야 녀.≪월석 2:5≫ 번역 부인이 질투하여 네 아들을 없애리라 마음 먹고 잘 꾸며 좋은 양하고 조심하여 다니니.
어휘: 긔,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양기’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열통 쟈 긔 너모 셩홈이니.≪마경 하:13≫ 원문 熱痛者, 陽氣太盛也, 皆因暑月炎天. 번역 열통하는 놈은 양기가 너무 성한 것이니. 이 일홈을 외로온 긔과 그처딘 음긔니 고티기 어려우니.≪언태 55≫ 번역 이 이름은 외로운 양기와 그친 음기이니 고치기 어렵다. 역은 긔예 쇽니 도다나미 슌니.≪언두 상:51≫ 번역 천연두는 양기에 속하니 돋아나는 것이 순하니.
어휘: 지-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양치하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 차 다릴 만커든 내야 시 야 지야 라.≪구방 상:51≫ 번역 차 한 번 달일 시간만큼 되거든 내어 다스하게 하여 양치하여 삼키라. 몬져 채나 박하 달힌 믈로 지고  십고.≪언태 5≫ 번역 먼저 채나 박하 달인 물로 양치질하고 찬찬히 씹고. 리 다 겨집으로 야 더운믈로 지고.≪언태 70≫ 번역 빨리 다른 부인으로 하여금 더운물로 양치하고.
어휘: 짓믈-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양치질하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 남긧 벌에 머근  초애 달혀 며 짓믈면 제 리리라.≪구간 6:7≫ 원문 桑木上虫屑【 남긧 벌에 머근 】, 米醋【 초】煎灌, 漱自下. 번역 또 벌레먹은 뽕나무 가루를 초에 달여 삼키며 양치질하면 저절로 내려갈 것이다. 다 셰수고 짓믈며.≪소언 2:2≫ 원문 咸盥漱. 번역 다 세수하고 양치질하며.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양자(樣子). 모양., 범주: 옛말, 용례: 罪苦 衆生애 니르리 네 일훔 드르니와 네  보니와.≪월석-중 21:158≫ 번역 죄고 중생에 이르도록 너의 이름 들은 사람과 너의 양자를 본 사람과. 내 다봇 지븨 살 로 외오 金門엣 籍을 通호라.≪두시-초 8:20≫ 원문 顧我蓬屋姿, 謬通金門籍. 번역 내 쑥집에 살 모양으로 그릇되게 금문에 호적을 통한다. 믈읫 와 얼굴와 소리와 빗 잇니.≪영가 하:125≫ 원문 凡有貌像聲色者, 皆物也. 번역 무릇 모양과 형체와 소리와 빛이 있으니.
어휘: -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양재하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禳  .≪훈몽 하:14≫ 歲ㅅ 긔운 泄호미 인  니라.≪분문 3≫ 번역 세의 기운 세함이 있는 데이므로 양재하니라.  법이라.≪언두 하:46≫ 번역 양재하는 법이다.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감탄사, 뜻풀이: ‘예’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舍利佛이   올시다.≪석상 13:47≫ 번역 사리불이 사뢰되 예 옳으십니다.
어휘: 엊,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둘레. 언저리., 범주: 옛말, 용례: 域 엇 역.≪훈몽 상:3≫ 몬져  즐 대 빈혀로 딜어 헐운 후에 약 브티고.≪구간 3:12≫ 원문 先將瘡周廻, 用竹鏎刺破, 然後用瘡藥於瘡上攤之. 번역 먼저 둘레를 대나무 비녀로 찔러 헐게한 후에 약을 붙이고.
어휘: 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엮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簫 효 대 엿거 부는 거시라.≪석상 13:53≫ 번역 소는 작은 대를 엮어 부는 것이다.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여우’의 옛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가운데 ‘와’를 제외한 조사 앞에서 나타나며, 휴지(休止) 앞에서나 공동격 조사 ‘와’ 앞에서는 ‘여’로 나타난다., 범주: 옛말, 용례: 은 畜性으로 제 좃 젼로 거슬 좃디 아니코.≪능엄 8:127≫ 원문 狐以畜性, 自徇故, 很戾不率. 번역 여우는 축생으로 스스로 좇는 까닭으로 거슬러 좇지 아니하고. 의 갗 爲狐皮.≪훈해 종성해≫ 햇 아히   갓오 니벳도다.≪두시-초 25:42≫ 원문 鄕里小兒狐白裘. 번역 마을의 아이들이야 여우의 흰 가죽옷을 입고 있구나.
어휘: 오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엿보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佛祖도 올 分이 업스시니라.≪남명 상:3≫ 번역 불조도 엿볼 분이 없으시니라. 눈 이시면 이셔지 옴도 能히 몯 려니와.≪남명 상:65≫ 원문 有眼, 不能窺髣髴. 번역 눈이 있으면 비슷이 엿보는 것도 능히 못하려니와. 天魔 ㅣ 와 그便을 得호미오.≪능엄 10:41≫ 원문 前云, 禪那現境, 乃天魔, 候得其便. 번역 천마가 엿보아 그 편을 얻음이고.
어휘: 의오좀-플,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여우오줌풀’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벌엣 긔운으로 가 알거든 의오좀플  을 라 다 초  되예 프러 심에 머그면 벌에 토야 나리라.≪구간 2:38≫ 원문 蟲心痛, 鶴蝨【의오좀플】一兩爲末, 以溫酢【초】一盞和, 空腹服之, 蟲當吐出. 번역 벌레의 기운으로 가슴 아프거든 여우오줌풀 한 냥을 갈아 다스한 초 한 되에 풀어 공심에 먹으면 벌레 토하여 나오리라.
어휘: -히,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부사, 뜻풀이: 길이. 영원히., 범주: 옛말, 용례: 병이 됴하 잇더니 병이 다시 나거  티 니 병이 영히 됴니라 주그매 미처.≪동신 효2:47≫ 원문 以進病愈, 後病復發, 亦如之, 病永愈, 及歿. 번역 병이 나았더니 병이 다시 나거늘 또 (그와) 같이 하니 병이 영원히 나으니라 죽음에 미쳐서는. 어믜 병이 도로 닐거  손가락글 근처 라 나오니 그 병이 영히 됴니라.≪동신 효4:8≫ 번역 어미의 병이 도로 일거늘 또 손가락을 끊어 살라 받드니 그 병이 영원히 나으니라.
어휘: 노-갑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형용사, 뜻풀이: 영악하다. 약삭빠르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노살-’이나 ‘노살가오-’로 나타난다., 범주: 옛말, 용례: 아니면 그를 사디 몯리로다 해 진실로 노갑고 가올셔.≪번박 상:15≫ 원문 買不得他的 咳 眞箇好摽致. 번역 아니면 그것을 사지 못하리로다. 야, 진실로 영악하고 철저하구나. 이 두 사 부쳬  노갑다 샹녯 말매 닐오 밤 부쳬 일 밤 은혜라 니라.≪번박 상:47≫ 원문 這兩口兒夫妻好爽利 常言道 一夜夫妻百夜恩. 번역 이 두 사람 부처[夫婦]가 가장 영악하다. 속담에 이르기를 하룻밤 부부의 인연은 일백 밤의 은덕이 쌓여 이뤄지는 은혜라 한다.
어휘: 노-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형용사, 뜻풀이: ‘영리하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져머서 아바님 일흐시고 오라비 客卿이 노더니 일 죽거늘.≪내훈 2:37≫ 원문 少喪父母, 兄客卿敏惠早夭. 번역 어려서 아버님을 잃으시고 맏오빠 객경이 영리하였는데 일찍 죽거늘.
어휘: 화-로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형용사, 뜻풀이: ‘영화롭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高允이 닐오 내 崔浩와 긔 이를 진실로 가지로 호니 주그며 살며 화로며 욕도요매 혼자 달오미 몯 거시니.≪번소 9:48≫ 원문 允曰, 臣與崔浩, 實同史事, 死生榮辱, 義無獨殊. 번역 고윤이 이르되, 내가 최호와 사기(史記) 일을 질실로 함께 하였으니 살고 죽으며 영화로움이며 욕됨에 혼자만 다름을 못 할 것이니.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영생이’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을 츠면 즉재 됴리라.≪구간 6:65≫ 원문 薄荷【】擦之, 立效. 번역 영생이를 문지르면 즉시 좋아질 것이다. 蔢 박핫 파 國語又呼 .≪훈몽 상:8≫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장사’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주근 형이며 아  둘 남진얼이며  몯 열아 상 니.≪번소 9:36≫ 원문 嫁兄弟之孤女二人, 葬其不能葬者十餘喪. 번역 죽은 형과 아우의 딸 둘을 시집보내고 가난하여 장사를 치르지 못한 여남은 상사를 장사하니 그 본성이 이렇더라. 宋大明 시졀의 동녁 히 가난고 니어 군 니러날 여듧 도록 을 몯야 나쟈 바먀 우루.≪번소 9:32≫ 원문 屬大明末, 東土饑荒, 繼以師旅, 八年不得營葬, 晝夜號哭. 번역 마침 송 대명 시절에 동녘 땅이 가난하고 이어 군사가 일어나므로 여덟 해 동안이나 장례를 못 지내어 낮이나 밤이나 울되. 노글 다  고애 뫼화 사 혀여 나날이 바 거슬 주며 혼인이며  의  거시 다 일 쉬 이시며.≪번소 9:108≫ 원문 及有官者俸祿, 皆聚之一庫, 計口日給餉, 婚姻喪葬所費, 皆有常數. 번역 녹봉을 모두 한 창고에 모아 사람으로 하여금 날마다 받을 것을 주며 혼인이나 초상 장사에 쓸 것이 다 일정한 수가 있으며.
어휘: -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장사하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주근 이며 아  둘 남진얼이며  몯 열아  니 그 본셩이 이러터라.≪번소 9:36≫ 원문 嫁兄弟之孤女二人, 葬其不能葬者十餘喪, 盖其天性如此. 번역 죽은 형과 아우의 딸 둘을 시집보내고 가난하여 장사를 치르지 못한 여남은 상사를 장사하니 그 본성이 이렇더라. 신안니 식 업서  몯여 커 후개 슈고여 옷 람 슈공 주어 내내 니라.≪이륜-옥 43≫ 원문 신안리가 자식이 없어서 장사 못지내고 있거늘 후개가 수고하여 옷 파람 수공을 주어 끝끝내 {장사하니라}.
어휘: 도,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옹두리’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柳廮은 버드나못 브르도 되니 樽 니라.≪두시-초 20:30≫ 번역 류영은 버드나무의 부르돋은 옹두리로 술통을 만든다.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옹자배기’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 玉甁은 茶 다린 오 黃金 碾은 다  硏이라.≪시식 49≫ 번역 푸란 옥병은 차를 다리는 옹자배기이고 황금 전은 다 가는 병이다.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왕래’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마초와 내 아니 갈셔  쳔 리 해 뎨 가 석 리나 묵노라 야 집삭 무러 쇽졀업시 허비리랏다.≪번박 상:53≫ 원문 遭是我不去 往廻二千里田地 到那裏住三箇月 納房錢空費了. 번역 내 안 갈 것이다. 왕래 이천 리 땅에 거기 가서 석 달이나 묵는다 하면 속절없이 집값만 허비하겠구나.
어휘: 쇽-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형용사, 뜻풀이: ‘용속하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쇽 무리라 면 호시 수이 거츠러 아라도 마 뉘우조미 어려오니라.≪번소 6:19≫ 원문 以勤事爲俗流, 習之易荒. 번역 용속한 무리라고 하면 버릇이 쉬이 거칠어 알아도 이미 뉘우침이 어려우니라. 잘 티 몯니 호바니며 쇽 사미 모다 우며 하패케 호믄 일로 그러니라.≪번소 8:29≫ 원문 不能行之, 武人俗吏所共嗤詆, 良由是耳. 번역 잘 행하지 못하나니, 무인이나 용속한 사람이 모두 함께 비웃고 헐뜯는 것이 이로 인하여 그런 것이다. 사이 글 닐구 다믄 能히 닐만 고 能히 行티 몯니 호반이며 쇽 관원의 가지로 우으며.≪소언 5:108≫ 원문 世人讀書, 但能言之, 不能行之, 武人俗吏所共嗤詆, 良由是耳. 번역 세상 사람이 글을 읽되 다만 능히 읽기만 하고 능히 행하지 못하니 호반이며 용속한 관원과 한가지로 웃으며 헐뜯는 바가 진실로 이것으로 말미암는다.
어휘: 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움츠리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 이 보미 큰 거시 움처 져기 외니가 반기 담과 집괘  긋게 니가≪능엄 2:40≫ 원문 爲復此見, 縮大爲小, 爲當牆宇, 夾令斷絶. 번역 또 이 봄이 큰 것이 움츠려 적게 된 것입니까 반드시 담과 집이 끼어서 끊어지게 한 것입니까. 입시우리 드리디 아니며 디 아니며.≪석상 19:7≫ 번역 입술이 드리워지지 아니하며 움츠리지 아니하며.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움. 움집.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움’이 된다., 범주: 옛말, 용례: 赤島 안 움흘 至今에 보니 王業艱難이 이러시니.≪용가 5장≫ 원문 赤島陶穴, 今人猶視, 王業艱難, 允也如此. 번역 적도 안의 움집을 지금에 보니 왕업을 이루는 어려움이 이러하였습니다. 窨 움 음.≪훈몽 중:5≫
어휘: -이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웃음을 받다. 웃음거리가 되다., 범주: 옛말, 용례: 菩薩 윰 어두미 이 잇니라.≪금삼 4:59≫ 원문 取笑菩薩, 其在茲焉. 번역 보살께 웃음 받는 것을 얻음이 여기에 있느니라. 서르 버므러 쥬변 몯니 유믈 取호미 어긔 잇도다.≪금삼 5:10≫ 원문 相緣不自由, 取笑於焉在. 번역 서로 얽매여 주변하지 못하니 웃은 맏음을 취하는 것이 여기에 있도다. 모미 주그며 나라히 亡야 天下애 유미 외니.≪내훈 2:120≫ 원문 身死國亡, 爲天下笑. 번역 몸이 죽으며 나라가 망하여 천하에 웃음거리가 되니.
어휘: -이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웃기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西로셔 온 눈 파란  이리라.≪남명 하:65≫ 원문 笑殺西來碧眼僧. 번역 서녘에서 온 눈 파란 중을 웃기리라. 位 업슨 眞人을 이리로다.≪금삼 2:28≫ 원문 笑殺無位眞人. 번역 位 없는 진인을 웃기겠다. 南無觀世音을 이리라.≪금삼 4:58≫ 원문 笑殺南無觀世音. 번역 나무 관세음을 웃기리라.
어휘: -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형용사, 뜻풀이: ‘우습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올모려 님금 오시며 姓 야 員이 오니 오나래 내내 리.≪용가 16장≫ 원문 欲遷以幸 擇姓以尹 當今之日 曷勝其晒 번역 (도읍을) 옮기려고 임금이 오시며 성씨를 가리어 수령이 오니 오늘날 내내 우스울 것입니다.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부사, 뜻풀이: 우습게., 범주: 옛말, 용례: 世尊ㅅ 말  너기니 忉利天을 뵈시고 地獄 뵈여시.≪월곡 상:65≫ 번역 세존의 말을 우습게 여기니 도리천을 보이시고 지옥을 보이시거늘.
어휘: 긔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웅그리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紅桃花티 븕거신 모야해 五香 마샤 웅긔어신 고해.≪악학 처용가≫ 번역 紅桃花같이 붉으신 모양에 오향 맡으시어 우멍하신 코에.
어휘: 에,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드렁허리’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그 에 므레 노면 이 다시 나디 아니리라.≪구간 1:21≫ 원문 大鱔魚【큰 에】一條, …… 鱔魚放之, 則不發. 번역 그 드렁허리를 물에 놓으면 병이 다시 나지 아니할 것이다.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인꼭지’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鈕  뉴.≪훈몽 하:7≫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이끼’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黃金殿 우희 파란 잇기 나도다.≪남명 상:28≫ 원문 黃金殿上, 綠苔生. 번역 황금전 위에 파란 이끼 나도다. 므렛 효 잇글 즛두드려  즙을 머그라.≪구간 1:108≫ 원문 水中細苔【므렛 효 밋】, 擣絞汁服. 번역 물에 있는 작은 이끼를 짓두드려 짠 즙을 먹으라.
어휘: 란,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조사, 뜻풀이: 일랑., 문법: ((끝음절의 모음이 ‘ㆍ, ㅏ, ㅗ’인 체언류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란 아니 닷고 오로 오 이 붓그리다니.≪월곡 상:44≫ 번역 마음은 아니 닦고 옷으로 꾸밈을 이를야 부끄러워하더니.  그딋 모 두고 남란 내 모 두어 둘히 어우러 精舍 라.≪석상 6:26≫ 번역 땅은 그대의 몫에 두고 나무는 나의 몫에 두어 둘이 합쳐서 정사를 만들어. 利養 됴히 칠씨니 란 분별 아니코 제 몸 됴히 츄미라.≪석상 13:36≫ 번역 이양은 잘 기르는 것이니 다른 사람은 염려 아니하고 제 몸만 잘 기르는 것이다. 善男子 善女人이 如來ㅅ 智慧 信 사란 이 法華經을 불어 닐어 드러 알에 디니.≪석상 20:2≫ 번역 선남자 선여인이 여래의 지혜를 믿는 사람일랑 이 법화경을 불려 말하여 들어서 알게 할 것이니.
어휘: 로,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조사, 뜻풀이: 으로., 문법: ((받침 있는 체언류 뒤에 붙어))((주로 끝음절의 모음이 ‘ㆍ, ㅏ, ㅗ’인 체언류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즉자히 다시 니러 네 사 논 로 禮數고 녀긔 안니라.≪석상 6:21≫ 번역 즉시 다시 일어나 네 사람이 하는 것처럼 예수하고 한쪽에 앉으니라. 須達이 精舍 이르고 窟 오 栴檀香ㄱ 로 고.≪석상 6:38≫ 번역 수달이 정사 이르고 굴 만들고 전단향의 가루로 바르고. 王이 다 돈  나로 供養대.≪석상 24:39≫ 번역 왕이 다만 돈 한 낱으로 공양하니까. 도 五百이 그윗거슬 일버 精舍ㅅ 겨로 디나가니.≪월석 1:6≫ 번역 도적 오백이 공물을 훔쳐 정사 옆으로 지나가니.
어휘: 마,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아마’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小馬 마.≪한청 14:19≫
어휘: 목,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묘목’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小樹 목.≪한청 13:26≫
어휘: 스슥,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부사, 뜻풀이: ‘아삭아삭’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外骨 內肉 兩目이 上天 前行 後行 小아리 八足 大아리 二足 靑醬 스슥 동난지 사오.≪교시조 844-2≫ 번역 외골 내육 양목이 상천 전행 후행 소 다리 팔족 대 다리 이족 청장 아사삭하는 게젓 사오.
어휘: 양-피,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아양피’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羊羔皮 양피.≪한청 11:14≫
어휘: -벼,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움벼’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稻孫 刈後再生 벼.≪물명 3:1≫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감탄사, 뜻풀이: ‘에헴’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門밧긔 뉘  며 낙시 가쟈 니.≪교시조 1037-2≫ 번역 문밖에 누가 에헴 하며 낚시 가자 하니.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조사, 뜻풀이: 은., 문법: ((끝음절의 모음이 ‘ㆍ, ㅏ, ㅗ’이고 받침 있는 체언류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불휘 기픈 남 매 아니 뮐 곶 됴코 여름 하니.≪용가 2장≫ 원문 根深之木, 風亦不扤, 有灼其華, 有蕡其實. 번역 뿌리 깊은 나무는 바람에 흔들리지 않으므로 꽃이 좋고 열매가 풍성합니다. 아마니 大愛道 니르시니 大愛道ㅣ 摩耶夫人ㅅ 兄니미시니.≪석상 6:1≫ 번역 아주머니는 대애도를 이르시니 대애도는 마야부인의 형님이시니. 眷屬 가시며 子息이며 이며 집사 다 眷屬이라 니라.≪석상 6:5≫ 번역 권속은 아내며 자식이며 종이며 집안사람을 다 권속이라 한다.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조사, 뜻풀이: 을., 문법: ((끝음절의 모음이 ‘ㆍ, ㅏ, ㅗ’이고 받침 있는 체언류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目連이 耶輸ㅅ 宮의 가 보니 門 다 고 유무 드 사도 업거늘.≪석상 6:2≫ 번역 목련이 야수의 궁에 가 보니 문을 다 잠그고 소식 들을 사람도 없거늘. 慈悲 衆生 便安케 시 거시어늘 이제 도  어 아 여희에 시니.≪석상 6:5≫ 번역 자비는 중생을 편안하게 하는 것이거늘 이제 도리어 남의 부모자식을 여의가 하시니. 出家샤 道理 닷샤 六年 苦行샤 正覺 일우샤.≪석상 6:17≫ 번역 출가하여 도리를 닦으시어 육년 고행하시어 정각을 이루시어.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감탄사, 뜻풀이: ‘얘’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 슬프다 셜우믈 매 얼규니 슬푸믄 一方 누니 滅시니.≪영가 서 15≫ 원문 嗚呼哀哉, 痛纏心腑, 所嗟一方眼滅. 번역 얘, 슬프다. 서러움을 마음에 얽히게 하니 슬픔으로 한 방편의 눈이 멸하시니. 後에  닐오  男子아 네 녜 이 짓고 외 년 가디 말라.≪법화 2:211≫ 원문 後復告言, 咄男子, 汝常此作, 勿復餘去. 번역 애달프게 우는 새로 하여금 기쁜 마음의 벗을 삼으리라. 後에 親 버디 보고 닐오  丈夫ㅣ여 엇뎨 衣食 爲야 이 호매 니르뇨.≪원각 서:76≫ 원문 於後親友見之, 而作是言, 咄哉, 丈夫何為衣食, 乃至如是. 번역 나중에 친한 친구가 보고 이르되 얘 장부여 어찌 의식을 위하여 이 같음에 이르냐.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조사, 뜻풀이: 에., 문법: ((끝음절의 모음이 ‘ㆍ, ㅏ, ㅗ’인 체언류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逃亡애 命을 미드며 놀애예 일훔 미드니 英主ㅿ 알 내내 붓그리리.≪용가 16장≫ 원문 恃命於逃 信名於謳 英主之前 曷勝其羞. 번역 도망하면서도 천명을 믿으며 노래에 나오는 이름을 믿으니 영주의 앞에서 내내 부끄러워할 것입니다. 兄님 모 발자쵤 바다 남 여 性命을 시니.≪월곡 상:2≫ 번역 형님인 줄 모르기에 발자취를 밟아가서 나무에 꿰어 생명을 마치시었습니다. 어버 子息 호 아니 한 어니와  아 命終야 모딘 길헤 러디면.≪석상 6:3≫ 번역 어버이가 자식 사랑함은 많지 않은 동안이거니와 어느날 아침에 목숨이 다하여 모진 길에 떨어지면. 一切 外道 얽요 버서나게 호리니.≪석상 9:8≫ 번역 일체 외도에 얽매임을 벗어나게 하리니.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조사, 뜻풀이: 의., 문법: ((끝음절의 모음이 ‘ㆍ, ㅏ, ㅗ’인 평칭의 유정 체언류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羅睺羅 소 자바 目連일 맛디시고 울며 여희시니라.≪석상 6:9≫ 번역 나후라의 손을 잡아 목련이를 맡기시고 울며 여의시니라.  衆生 香 야 아라 象 香  香  香 羊 香 남지늬 香 겨지븨 香과  香 갓나 香과 草木叢林香 갓갑거나 멀어나 믈읫 잇 香 다 마타 야.≪석상19:17≫ 번역 또 짐승의 향을 가리어 알아 코끼리의 향 말의 향 소의 향 양의 향 남자의 향 계집의 향과 사내아이의 향 계집아이의 향과 초목총림향을 가깝거나 멀거나 무릇 있는 향들을 다 맡아 가리어. 舍衛國 須達이 婆羅門 브려 아기아 각시 求더니.≪월곡 상:54≫ 번역 사위국 수달이 바라문을 시켜 막내아들의 각시를 구하더니.
어휘: -슬피,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부사, 뜻풀이: 애달프게., 범주: 옛말, 용례: 슬피 우 새로 깃 매 버 사모리라.≪발심 26≫
어휘: 걸-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애걸하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그 아비 리오고 브르지져 걸호 도적이 내 그 아비 해고.≪동신 열6:51≫ 번역 그 아비를 가리고 부르짖어 애걸하되 도적이 마침내 그 아비를 해하고.  번 걸면 관이 지.≪계축 하:39≫ 번역 백 번 애걸하면 내관이 꾸짖되. 부쳬 자피이 니버 뉴 시 걸야 그 지아비 벗겨 내니.≪동신 열4:66≫ 번역 부처가 잡힘을 입어 유 씨 애걸하여 그 지아비를 벗겨 내니.
어휘: 게,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조사, 뜻풀이: 에게., 문법: ((끝음절의 모음이 ‘ㆍ, ㅏ, ㅗ’인 평칭의 유정 체언류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서르 害  야 뫼히며 수프리며 즘게며 무더멧 神靈게 니고.≪월석 9:35-1≫ 번역 서로 해할 꾀를 내어 산이며 수풀이며 큰 나무이며 무덤에 있는 신령들에게 이르고. 어린 사마 내 엇뎨 阿羅漢게 새옴  내리오.≪월석 9:35-3≫ 번역 어리석은 사람아 내 어찌 아라한에게 샘하는 마음을 내겠는가? 僧伽梨 리 動야 겨틧 사게 미츠면  미 뎌 사  리니.≪능엄 3:82≫ 원문 僧伽梨角, 動及傍人, 則有微風, 拂彼人面. 번역 승가리 뿔이 움직여 곁의 사람에게 미치면 가만한 바람이 얼굴을 스치니.
어휘: 그,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조사, 뜻풀이: 에게., 문법: ((끝음절의 모음이 ‘ㆍ, ㅏ, ㅗ’인 평칭의 유정 체언류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阿藍迦蘭그 不用處定을 三年을 니기시니.≪월곡 상:21≫ 번역 아람가란에게 불용처정을 삼 년을 익히시니. 나 어버 여희오 그 브터 사로 우리 어 아리 외고 입게 외야.≪석상 6:5≫ 번역 나는 부모를 여의고 남에게 의지하여 살되 우리 부모 자식이 외롭고 고달프게 되어 인생이 즐거운 뜻이 없고. 優塡王히 阿難그 가 무로 如來 어듸 겨시니잇고.≪석상 11:10≫ 번역 우전왕들이 아난에게 가서 묻되 여래가 어디에 계십니까. 太子ㅣ 臣下그 가 닐오 아바 病이 기프시니 엇뎨려.≪석상 11:18≫ 번역 태자가 신하에게 가서 이르되 아버님의 병이 깊으시니 어찌할까.
어휘: 긍,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애긍’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矜 쟈랑 긍 긍 긍.≪신합 하:16≫
어휘: 손,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조사, 뜻풀이: 에게., 문법: ((끝음절의 모음이 ‘ㆍ, ㅏ, ㅗ’인 평칭의 유정 체언류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婆羅門이 글왈야 須達손 보내야 須達이 깃거 波斯匿王 가아.≪석상 6:15≫ 번역 바라문이 편지하여 수달에게 보내거늘 수달이 기뻐하여 바사닉왕께 가서. 阿彌陁佛이 比丘콰 眷屬이 圍繞 金色光 펴샤 그 사손 오샤 苦空無常無我 너펴 니르시고.≪월석 8:55≫ 번역 아미타불이 비구들과 권속에게 둘러싸여 금빛을 펴시고 그 사람에게 오시어 고공과 무상과 무아를 넓혀 이르시고.
어휘: 쳬-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애체하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滯礙 쳬다.≪한청 8:20≫
어휘: 통-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애통하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이 말대로 대뎐과 뎐긔 뎐라 오시고 통오시니.≪계축 상:33≫ 번역 이 말대로 대전과 내전에 전하라 하시고 애통하시니. 셩왕을 각오면 이리 셟게 랴 오시고 하 통오시니 관이 눈믈을 며.≪계축 상:36≫ 번역 성왕을 생각하면 이리 섧게 하랴 하시고 매우 애통하시니 내관이 눈물을 닦으며. 우흔 도로 드러와 겨오샤 하흘 웨여 통오셔 여러 번 긔졀오시고.≪계축 상:37≫ 번역 우는 도로 들어와 계시어 하늘을 외치어 애통하시어 여러 번 기절하시고.
어휘: 훼-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애상하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홍무 임오년의 지아비 애뎐 역애 죽거 한 시 훼야 을 그쳣더니.≪동신 열1:19≫ 번역 홍무 임오년에 지아비가 애전(艾田) 역사(役事)에 죽거늘 한(韓) 씨(氏) 애상[哀毁]하여 쌀을 끊었더니. 오래 긔졀엿다가 다시 사니 훼야 만 셔 인야 폐질 사이 되니라.≪동신 열4:25≫ 번역 오래 기절하였다가 다시 사니 애상하여 뼈만 서므로 폐질한 사람이 되니라. 일 남진을 일코 머리털을 버히고 훼여 거상을 녜로 더니.≪동신 열7:66≫ 번역 일찍 남편을 잃고 머리털을 베고 애상하여 거상을 예(禮)로 하더니.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애매함., 범주: 옛말, 용례: 寃  원.≪신합 하:21≫ 寃枉 .≪동해 하:29≫
어휘: -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형용사, 뜻풀이: ‘애매하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너도 사이니 현마 내의 코 셜워 줄을 모다.≪계축 상:32≫ 번역 너희도 사람이니 설마 나의 애매하고 서러워하는 줄을 모를까. 문이나 열거든 본겻틀 만나오샤 코 셜운 말도 통오시고.≪계축 상:38≫ 번역 문이나 열거든 본곁을 만나시어 애매하고 서러운 말씀도 통하시고. 법 국무녀 슈난개 친국엿다가 도로 타 고.≪계축 상:17≫ 번역 법사의 국무녀 수란개를 친국하였다가 도로 애매하다 하고.
어휘: -수,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액수’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학교 天下앳 道德엣 션 마자 오며  수를 더러  利로 달애옴을 업시 며.≪소언 6:15≫ 원문 制尊賢堂, 以延天下道德之士, 鐫解額, 以去利誘. 번역 학교는 천하의 도덕이 있는 선비를 맞아 오며 향공 액수를 덜어서 이익으로 달램을 없이하며.
어휘: 도,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앵두’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櫻 도 .≪신합 상:9≫  라 도티 환 지어.≪언태 29≫ 번역 한데 말아 앵두같이 환 만들어. 도마곰 비븨여 머구머.≪언태 45≫ 번역 앵두만큼 비벼 머금어.
어휘: 속-각,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앵속각’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生菜蓮 속각.≪물보 상:7≫
어휘: 혈,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수궁’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守宮 혈.≪물보 상:14≫
어휘: 속,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앵속’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罌粟 生菜蓮子 속.≪물보 상:7≫
어휘: 무,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앵무’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鸚 무  鵡 뭇 무.≪훈몽 상:9≫ 鸚 무  鵡 무 무.≪신합 상:12≫ 鸚哥 무.≪역해 하:26≫
어휘: 무-,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앵무배’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贏…又作杯者曰 鸚鵡贏 무.≪사해 하:27≫ 鸚鵡螺 무.≪역해 하:13≫
어휘: 간,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부, 뜻풀이: ‘잠깐’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 소 드거나 간 머리 수기거나 야 像 供養며.≪석상 13:53≫ 번역 한 손을 들거나 잠깐 머리를 숙이거나 하여 상을 공양하며. 미쳐 저호미 거츠리 딘댄 간도 變易이 업거니 엇뎨 因緣 브트리오.≪능엄 4:67≫ 원문 狂怖妄出, 曾無變易, 何藉因緣. 번역 미쳐서 두려워함이 거칠게 날진댄 잠깐도 변역이 없는데 어찌 인연을 의지하리오. 간 안라  가마괴 두 삿기 더브렛고.≪두시-초 7:1≫ 원문 暫止飛烏將數子. 번역 잠깐 앉았다가 날아가는 까마귀는 새끼 두어 마리를 데리고 있고. 毗盧遮那佛 내 모미 주그나 사나 홀디라도 간도 여희디 몯리라.≪칠대 11≫ 번역 비로자나불은 내 몸이 죽으나 사나 할지라도 잠깐도 여의지 못할 것이다.
어휘: 믈,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장물’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贓 믈 .≪훈몽 하:12≫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연장이나 무기., 범주: 옛말, 용례: 잉 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악장 청산별곡≫ 번역 이끼 묻은 쟁기는 가지고 물 아래 가던 새 보느냐.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자루’의 옛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가운데 ‘와’를 제외한 조사 앞에서 쓰이며, 휴지(休止) 앞에서나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공동격 조사 ‘와’ 앞에서는 ‘쟈’가 쓰인다., 범주: 옛말, 용례: 도랏슬 조히 씨서 무르게 마 쟐릐 녀허 므레 가 즛라 쓴 마슬 다 나게 고 즉긔여 밥을 석거 머그라.≪신구-가 보2≫ 번역 도라지를 깨끗이 씻어 무르게 삶아 자루에 넣어 물에 담가 짓밟아 쓴 맛을 나게 하고 짓개어 밥을 섞어 먹으라. 숑엽을 허 아 쟐 녀커나 헝거싀 거나  여.≪신구-윤 4≫ 번역 송엽을 찧어 빻아 자루에 넣거나 헝겊에 싸거나 단단히 매어.
어휘: -믈,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장물’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믈와 파와 약  노하 젓고.≪번노 상:22≫ 원문 調上些醬水 生葱 料物拌了. 번역 장물과 파와 양념을 타서 다시 젓고
어휘: 긔,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장기’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 삳과 설 바래셔 바독 긔 보노라.≪두시-초 14:17≫ 원문 淸簟疎簾看弈碁. 번역 맑은 삿자리와 설핀 밭에서 바둑 장기를 보노라. 나 론 수울 먹고 쥬며 륙 긔 두어  것 던기 즐기며.≪여씨-화 6≫ 번역 하나는 이른바 술 먹고 주졍하며 쌍륙 장기 두어 남의 것 내기하는 것을 즐기며. 棊 바독 긔 俗呼圍棊 又 긔 曰象棊.≪훈몽 중:9≫ 긔 열 부.≪번노 하:68≫ 원문 象棊十副. 번역 장기 열 벌.
어휘: 긔-판,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장기판’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늘근 겨지븐 죠 그려 긔파 어.≪두시-초 7:4≫ 원문 老妻畵紙爲碁局. 번역 늙은 아내는 종이에 그려 장기판을 만들지만.
어휘: 셕,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온역’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한 사미 셕  難이어나.≪석상 9:33≫ 번역 한 사람이 온역 앓는 재난이거나. 네  艱難고 셕 흔거늘 그 나랏 王이 두리여 神靈 비다가.≪월석 7:28≫ 번역 네 해를 고생하고 온역이 흔하거늘 그 나라의 왕이 겁내어 신령께 빌다가. 瘟 셕 온 俗稱瘟疾 疫 셕 역.≪훈몽 중:16≫ 다 가짓 셕 귓것도 피리라.≪분문 4≫ 번역 다섯 가지의 온역 귀신도 피하리라.
어휘: 앳-디히,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장아찌’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다 됴 앳디히 밥야 먹다가.≪번박 상:55≫ 원문 只着些好醬瓜兒就飯喫. 번역 다만 좋은 장아찌에 밥 먹다가.
어휘: -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동사, 뜻풀이: ‘장만하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사미 病을 여희오져 거든 그 사 위야 닐웨 밤나 八分齋戒 디녀 제 혼 야로 쥬 供養고.≪석상 9:32≫ 번역 사람이 병을 여의고자 하거든 그 사람 위하여 이레 밤낮을 팔분재계를 지녀 스스로 장만한 양으로 중을 공양하고. 各各 兵 잠개 라.≪월석 11:29≫ 번역 각각 병장기를 장만하러 가서. 내 모미 밧긔 이셔 별히 혼 것 업서.≪내훈 3:57≫ 원문 臣身在外別無調度 번역 내 몸이 밖에 있어 특별히 장만한 것이 없어서. 時節 차바 초 고.≪속삼 열:21≫ 번역 시절 차반을 갖추어 장만하고.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장인’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갈 잘 글 이 어듸 잇뇨.≪번박 상:15≫ 원문 快打刀子的匠人那裏有 번역 칼 잘 만드는 장인이 어디 있는가? 匠  .≪훈몽 중:1≫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발솥’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鐺   俗呼脚鐺.≪훈몽 중:6≫ 鐺 三足溫器  通作鎗 集韻云俗音當.≪사해 하:61≫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부사, 뜻풀이: ‘장차’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이 다 地藏菩薩이 오라건 劫으로셔 마 濟渡니며 이제 濟渡니며  濟渡리히라.≪석상-중 11:5≫ 번역 이 다 지장보살이 오래된 겁으로써 이미 제도한 것이며 이제 제도하는 것이며 장차 제도할 것들이다. 잇비 내닷디 아니야도  如來ㅣ 나 三昧 주시리라.≪능엄 1:92≫ 원문 無勞我修 將謂如來 惠我三昧 번역 고단히 내닫지 않아도 장차 여래가 나에게 삼매 주시리라 여기고. 나랏 사미 다  君王을 爲야 주구려 리니.≪내훈 2:28≫ 원문 國人皆將爲君王死 번역 나라의 사람이 다 장차 군왕을 위하여 죽으려 할 것이니. 이 믜 因緣은 네  부텨  相이로다.≪월석 1:18≫ 번역 이 꿈의 인연은 네 장차 부처 될 상이로구나.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부사, 뜻풀이: 한껏. 마음껏. 함부로., 범주: 옛말, 용례: 봇그며 구  먹더니.≪월석-중 21:54≫ 번역 볶으며 구워 마음껏 먹더니. 제 허므리 잇거든  이 드러내에   닐온 自恣ㅣ라.≪능엄 1:29≫ 원문 自有愆失 恣任僧擧 曰自恣 번역 스스로 허물이 있거든 한껏 중이 드러내게 하는 것을 이른 바가 자자이다. 그 시혹 五欲애   커나.≪원각 상1-2:93≫ 원문 其有或恣心五欲 或宗習異道 번역 그 혹 오욕에 마음을 함부로 하거나. 바   먹디 말며 그지업시 마시디 말며 飮啖을 소리 나게 말며.≪내훈 1:3≫ 원문 毋放飯 毋流歠 毋咤食 번역 밥을 한껏 떠서 먹지 말며 그지없이 마시지 말며 음담을 소리 나게 말며.
어휘: -답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형용사, 뜻풀이: 정대(正大)하고 올바르다., 범주: 옛말, 용례: 세츠고 질긔우며 답고 고며 말 세욤을 반시 믿비 며.≪소언 5:107≫ 원문 強毅正直 立言必信 번역 세차고 질기고 굳으며 정답고 곧으며 말씀 세움을 반드시 믿음직하게 하며. 文忠公 곧애 손이 되야셔 嚴고 거여우며 모나고 답거늘 正獻公이 블러 마자다가 여곰 모 아을 치더니.≪소언 6:4≫ 원문 客文忠公所 嚴毅方正 正獻公招延之 使敎諸子 번역 문충공이 곧 손님이 되어서 엄하고 굳세며 모나고 정대하고 올바르거늘 정헌공이 불러 맞아다가 그로 하여금 모든 아들을 가르치더니.
어휘: -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형용사, 뜻풀이: 정대하다. 올바르다., 범주: 옛말, 용례: 혜아리 미 사오나온 이레 달애여 곧텨 오야 그  이를 업시 니라.≪번소 8:9≫
어휘: 다이,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부사, 뜻풀이: 정대하게. 올바르게., 범주: 옛말, 용례: 仁 사믄 올 이를 다이 고 리케 요 디 아니며.≪번소 8:1≫ 원문 仁人者 正其誼不謀其利 번역 어진 사람은 옳은 일을 정대하게 하고 이롭게 함을 꾀하지 않으며.
어휘: 다이,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부사, 뜻풀이: ‘단정히’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 이실 제도 말미 셔고 양 다이 니 三輔ㅅ 닷 사히 버블 삼더라.≪번소 10:3≫ 원문 及在鄕黨 詳言正色 三輔以爲儀表 번역 마을에 있을 때에도 말이 자세하고 용모를 단정히 하니 삼보의 다른 사람들이 그를 근본으로 삼더라. 모로매 괴오 지븨 다이 안자 삼 번을 닐거.≪번소 8:35≫ 원문 須靜室危坐 讀取二三百遍 번역 모름지지 고요한 집에 단정히 앉아 이삼 백 번을 읽어.
어휘: 원,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진정’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이제 쳔  거시 업슨 젼로 원으로 긔약야.≪번박 상:60≫ 원문 今爲缺錢使用情愿立約 번역 이제 재물 쓸 것이 없는 이유로 진정으로 기약하여.
어휘: -도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형용사, 뜻풀이: ‘정성스럽다’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도 드로 감케 홀디니.≪번소 7:25≫ 원문 伊川先生曰 當以誠意動之 번역 정성스러운 뜻으로 감동하게 할 것이니.
어휘: 도이,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부사, 뜻풀이: 정성스럽게., 범주: 옛말, 용례: 나라 바라온 주를 보고 내 목수믈 려 밧조오며 도이 간호믈 닛디 아니여.≪번소 8:26≫ 원문 見危授命 不忘誠諫 번역 나라가 위태로운 줄을 보고 내 목숨을 버려 바치며 정성스럽게 충간함을 잊지 않아.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정사’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政  .≪훈몽 하:13≫
어휘: ,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명사, 뜻풀이: ‘종’의 옛말., 범주: 옛말, 용례:  爲奴.≪훈해 용자례≫ 眷屬 가시며 子息이며 이며 집 사 다 眷屬이라 니라.≪석상 6:5≫ 번역 권속은 아내며 자식이며 종이며 집안사람을 다 권속이라 한다. 으란 바 주고 란 프른  호리라.≪두시-초 8:23≫ 원문 與奴白飯馬靑芻 번역 종에게는 흰밥을 주고 말은 푸른 꼴을 하리라.  잘 졔어며  엄엄이 잘며.≪여씨-화 3≫ 번역 종을 잘 통제하며 공사를 엄하게 잘 하며.  樣子로 牽馬고 채 자바 니더라.≪삼강 효:27≫ 원문 操卽執鞭引繩如僮僕 만히 아며 의 더러이미 도며.≪번소 8:39≫ 원문 多爲童幼婢妾所點汚 번역 많이 아이며 종의 더럽힘이 되며. 僮   僕  복 僕從傔僕.≪훈몽 상: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