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
stringlengths
95
1.98k
<s>[INST] 메시지허브란 무엇인가요? [/INST] 1. 메시지허브는 커뮤니케이션 시장의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Total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여 기업 자신의 본연의 비즈니스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LGU+에서 출시한 메시징기반의 서비스입니다. 2. 메시지허브는 웹콘솔 환경 뿐만 아니라 Restful API 및 Agent 에서 SMS/LMS/MMS, 카카오 비즈톡(알림톡/친구톡), RCS, 앱PUSH 메시지 등 다채널 발송환경을 지원하는 비즈니스 플랫폼입니다. 3. 메시지허브는 다채널 통합발송을 지원합니다.2개 이상의 채널(문자/RCS/알림톡/앱푸시)을 지원함으로써 기업의 예산 및 고객의 성향에 따라 발송채널의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s>
<s>[INST] 메시지허브 회원가입 시 이메일인증은 어떻게 하는건가요? [/INST] 1. 메시지허브 홈페이지(https://msghub.uplus.co.kr)에서 약관 동의 및 아이디로 사용할 이메일을 입력 후 [인증메일 발송]버튼을 클릭합니다. 2. 입력한 이메일 주소로 인증 메일이 발송되며, 메일 화면 내[인증]버튼을 눌러 본인 이메일이 맞는지 확인 후 인증을 진행합니다. 이때, 입력하신 이메일은 회원 아이디로 사용합니다. 3. 이미 등록되어 있는 이메일은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4. 이메일 인증 유효 시간은 24시간입니다.(24시간 초과 시 재인증 요청을 진행하셔야 합니다.) </s>
<s>[INST] 메시지허브 회원가입 시 비밀번호 생성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INST] 1. 회원가입 시 입력하는 비밀번호는 대/소문자,숫자,특수문자 조합으로 입력합니다. 2. 길이는 8자리~16자리 사이로 입력 가능합니다. </s>
<s>[INST] 메시지허브 회원가입 시 사업자등록증 등록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INST] 1. 사업자등록증 이미지는 jpg, jpeg, pdf, gif, png, tiff 확장자로 업로드 가능합니다. 2. 사업자등록증의 이미지 크기는 최대 5M까지 업로드 가능합니다. </s>
<s>[INST] 메시지허브 회원가입 시 재직증명서 등록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INST] 1. 대리인이 가입신청을 하실 경우, 발급일 1개월 이내 재직증명서를 첨부합니다. 2. 사업자등록증 상의 대표자 본인이 가입신청을 하실 경우, "계정 담당자가 사업자등록증의 대표자 본인입니다.(증빙서류 제외 대상)"에 체크하신 후 대표자 신분증을 첨부합니다. 3. 첨부시 주민등록번호 뒷자리는 반드시 마스킹(=가림 처리) 후 첨부합니다. 4. 상기 안내사항을 지켜주시지 않는 경우, 가입이 거절될 수 있습니다. </s>
<s>[INST] 메시지허브 요금제 구분은 어떻게 되나요? [/INST] 1. 메시지 사용료에 대한 요금제를 선택해 주십시오. 2. 선불요금제 - 별도의 계약기간 없이 필요할 때마다 요금을 선불충전하여 발송하는 요금제 - 선불요금제 충전 결제수단은 신용카드/계좌이체/무통장입금으로 가능합니다. - 재판매 고객사는 선불로 계약 진행합니다. 3. 후불요금제 - 영업담당자와 별도의 계약절차를 통해 가입 가능합니다. - 청구분리(청구서 분리청구) 및 RCS 양방향 등 특정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후불요금제에 가입되어 있어야 합니다.(선불요금제 이용 불가) - 후불요금제 청구방법은 지로/자동이체/카드결제로 가능합니다. - 청구서 수신방법은 이메일/문자/우편 중 원하는 수신방법으로 선택 가능합니다. </s>
<s>[INST] 메시지허브 가입 시 제출해야 하는 서류는 어떻게 되나요? [/INST] 1. 1개월 이내 발급받은 사업자등록증 사본 및 재직증명서가 필요합니다. </s>
<s>[INST] 문자 발신번호를 등록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INST] 문자 발신번호 사전등록 안내 1. 전기통신사업법 제84조에 따라 2015년 10월 16일부로 '발신번호 사전등록제'가 시행되었습니다. 발신번호 사전 등록제’란, 거짓으로 표시된 전화번호로 인한 이용자 피해 예방을 위한 것으로, 문자 메시지 발송 시 사전 인증된 발신 번호로만 사용할 수 있도록 등록하는 제도 입니다. 이에 따라, 전기통신사업법 제 84조 2항(전화번호의 거짓 표시 금지 및 이용자 보호)에 위반되지 않도록 자신의 발신번호를 사전에 등록하고, 등록된 번호로만 문자 메시지를 발송해야 합니다. 또한, 발신 번호는 기업, 기관 혹은 본인이 소유한 번호 여야 하며, 등록된 발신 번호로 전송한 메시지가 발신 번호 변조로 의심되어 KISA(한국인터넷진흥원)로부터 소명 요청을 받을 경우, 해당 고객의 발신 번호 소유를 증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2. 문자 발신번호 등록 안내 i. 휴대폰번호 등록 휴대폰에 설치된 PASS로 본인인증 후 아래 서류를 첨부하시면, 고객센터에서 검토 후 발신번호가 등록됩니다.(1~3일 소요) - 휴대폰 소유자 재직증명서(대표자는 제외) - 사업자등록증 - 통신서비스 가입증명원 ii. 유선 번호 등록 유선번호 입력 후 아래 서류를 첨부하시면, 고객센터에서 검토 후 발신번호가 등록됩니다.(1~3일 소요) - 통신서비스 가입증명원 iii. 타인/타사 번호 등록 타인/타사 번호 등록 신청 시 아래 서류를 첨부하시면, 고객센터에서 검토 후 발신번호가 등록됩니다. (1~3일 소요) - 신분증 사본(위임업체 대리인/수임업체 대리인) - 재직증명서(위임업체 대리인/수임업체 대리인) - 인감증명서((위임업체/수임업체) - 인감이 날인된 위임장 - 위임-수임관계 확인 서류 - 통신서비스 가입증명원 iv.대리인 등록 대리인은 기업 또는 기관으로부터 권한을 위임 받은 사람으로서 기업 또는 기관을 대신하여 발신번호를 등록, 수정, 삭제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권한과 책임을 갖습니다. 대리인 등록 절차 : 대리인 등록 신청서를 작성하여 증빙서류와 함께 대리인 등록 요청 하시면 서류 심사 후 대리인으로 등록됩니다. (1~3일 소요) 대리인 등록이 되면 발신번호를 직접 등록할 수 있습니다. 첨부 파일 확장자는 png, jpg, jpeg, pdf, zip, tif, tiff만 허용됩니다.(5M 이하) 대리인 등록 제출서류 - 발신번호 변작방지 및 사전등록 동의서 - 대리인 등록 신청서 - 법인인감 증명서 - 법인인감이 날인된 위임장 - 재직증명서 </s>
<s>[INST] RCS 발신번호를 등록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INST] RCS 발신번호 사전등록 안내 1. 전기통신사업법 제84조에 따라 2015년 10월 16일부로 ‘발신번호 사전등록제’가 시행되었습니다. ‘발신번호 사전 등록제’란, 거짓으로 표시된 전화번호로 인한 이용자 피해 예방을 위한 것으로, 문자 메시지 발송 시 사전 인증된 발신번호로만 사용할 수 있도록 등록하는 제도 입니다. 이에 따라, 전기통신사업법 제 84조 2항(전화번호의 거짓 표시 금지 및 이용자 보호)에 위반되지 않도록 자신의 발신번호를 사전에 등록하고, 등록된 번호로만 문자 메시지를 발송해야 합니다. 또한, 발신번호는 기업, 기관 혹은 본인이 소유한 번호 여야 하며, 등록된 발신번호로 전송한 메시지가 발신번호 변조로 의심되어 KISA(한국인터넷진흥원)로부터 소명 요청을 받을 경우, 해당 고객의 발신번호 소유를 증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2. RCS 발신번호 등록 안내 i. RCS Biz Center 에서 브랜드를 생성해야 RCS 발신번호 등록이 가능합니다. - RCS 발신번호 등록을 위해서는 RCS Biz Center 가입 후 , 브랜드를 생성해야 합니다. - 등록된 RCS 발신번호는 선택한 브랜드에 종속됩니다. - 사업자등록증 사본이 필요합니다. ii. 등록된 RCS 발신번호는 문자 발신번호에 동시 등록됩니다. iii. RBC에서 등록한 브랜드에 "LG유플러스" 대행사 지정을 반드시 해 주세요. IV. RCS 발신번호 등록 요청 - RBC 로그인 ID , RBC API Key 가 필요합니다. - 통신서비스 이용증명원이 필요합니다. - RCS 발신번호는 RBC의 승인과정을 통해 등록됩니다.(1~3일 소요) V. RCS 발신번호 관리 - RCS 발신번호가 등록되면 문자 발신번호도 동시에 등록됩니다. - 발신번호는 브랜드 1개당 N개 추가 할 수 있습니다. </s>
<s>[INST] 프로젝트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INST] 1. 프로젝트를 생성하여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채널을 설정 및 관리할 수 있습니다. 2. 프로젝트는 메시지허브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반드시 1개 이상 생성해야 합니다. 3. 후불 요금제 고객은 후불 사용 승인을 받은 후에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승인 처리는 요청 후 1~3일 소요됩니다.) 4. 프로젝트 별로 채널을 다르게 생성할 수 있습니다. 5. 프로젝트 별로 사용자를 따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6. 프로젝트 생성 시, [재발송 제목]은 간혹 RCS 발송 후 통신사로 레포트가 늦게 와서 실패와 성공여부를 하루 지나서 알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에 사용자가 메시지 발송에 실패하였다 판단하여 메시지를 다시 보낼 경우, [재발송 제목]을 문자 앞에 붙여 전송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추후 [수정]버튼을 눌러 문구 수정이 가능합니다. 7. [문자]는 기본채널로 미사용으로 설정할 수 없습니다. 8. [RCS], [PUSH], [카카오], [MO]는 필요에 따라 미사용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선불 고객은 [MO] 사용이 불가합니다. MO채널을 사용하고 싶을 경우 후불 고객으로 변경신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후불변경신청 방법-우측상단 로그인 아이디-고객사 정보 클릭-후불요금제 변경신청) </s>
<s>[INST] 프로젝트 대시보드란? [/INST] 1. 프로젝트 정보는 선택한 프로젝트의 생성일, 생성자, 이용 서비스, ID 등 기본적인 정보를 간략하게 볼 수 있습니다. 2. 공지사항은 메시지허브 운영자가 게시한 서비스 이용 및 운영 관련 공지사항들을 볼 수 있습니다. 3. 채널별 성공/실패율에서는 채널별 탭을 클릭하면 원하는 채널의 메시지 발송 성공/실패율을 그래프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실패코드 현황에서는 발송 실패 코드를 사유별로 분석하여 그래프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4. 당일 실시간 이용현황에서는 당일 실시간 이용현황 탭에서는 어떤 채널의 메시지 이용률이 높은지 분석할 수 있습니다. 성공률이 높은 채널과 이용률이 높은 채널을 분석하여 고객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해보세요. </s>
<s>[INST] 프로젝트 기본정보에 대한 설명 [/INST] 1. 기본정보 탭에서는 프로젝트명, 프로젝트 설명, 야간 메시지 허용여부 및 프로젝트 사용여부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2. 현재 프로젝트의 결제유형이 선불인지 후불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SMS/MMS]는 기본채널로 사용에 고정되어 있으며, 미사용으로 변경할 수 없습니다. 4. [RCS], [PUSH], [카카오톡], [MO] (후불 고객의 경우)는 필요에 따라 미사용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5. 선불 고객은 MO 사용이 불가합니다. 따라서 선불 가입 계정은 MO채널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없습니다. MO채널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싶을 경우 후불 고객으로 변경신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후불변경신청 방법-우측상단 로그인 아이디-고객사 정보 클릭-후불요금제 변경신청) 해당 채널의 세부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채널을 [사용]으로 선택하셔야 합니다. </s>
<s>[INST] 멤버 관리 [/INST] [멤버 검색] 1. 해당 프로젝트와 연결된 사용자들을 사용자명, 아이디, 이용권한, 상태 등에 따라 검색하여 조회할 수 있습니다. 2. 사용자를 해당 프로젝트의 멤버로 추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관리에서 먼저 등록을 해야 가능합니다. 3. 이용권한은 해당 프로젝트와 연결된 멤버(사용자)의 계정 권한을 뜻하며, 해당 프로젝트 내에서의 이용권한이 아닙니다. 4. 이용권한은 오너(Owner), 관리자(Admin), 사용자(User) 로 총 3 종류가 있습니다. 5. 이용권한 [오너]는 해당 프로젝트의 고객사로 처음 메시지허브에 가입신청을 한 계정을 뜻하며, 해당 프로젝트를 생성한 계정과 오너는 다를 수 있습니다. 6. 프로젝트 생성자는 해당 프로젝트 상세 페이지의 대시보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7. 이용권한 [관리자] 와 [오너]는 해당 프로젝트와 연결된 멤버 사용자 중 관리자 콘솔 및 사용자 콘솔에 접속할 수 있는 메시지허브 계정권한입니다. 8. 청구분리>빌링코드 등록 등 일부서비스는 [오너] 권한에서만 신청 가능합니다. 9. 이용권한 [사용자]는 해당 프로젝트와 연결된 멤버 사용자 중 사용자 콘솔에만 접속이 가능한 메시지허브 계정권한입니다. [멤버 추가] 1. 멤버추가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관리에 등록되어 있는 멤버들을 해당 프로젝트의 멤버로 추가할 수 있습니다. 2. 멤버로 추가하게 되면, 사용자관리 페이지에서는 해당 사용자가 연결된 프로젝트 목록에 멤버로 추가된 프로젝트가 추가됩니다. 현재 사용자(멤버)와 프로젝트를 연결하는 것은 프로젝트 상세 페이지에서 멤버 추가 버튼을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멤버 삭제] 1. 프로젝트에서 삭제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삭제] 버튼을 눌러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삭제 처리된 사용자는 언제든지 멤버 추가 기능을 통해 다시 프로젝트 멤버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s>
<s>[INST] 채널 관리-RCS [/INST] [RCS] 1. RC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통3사에서 공동으로 운영하는 RCS Biz Center(이하 RBC)에 기업회원으로 등록해야 합니다. 2. RCSBizCenter(https://rcsbizcenter.com) 을 통해 RCS 회원 등록을 먼저 해 주세요. RCS Biz Center 로그인 페이지에서 기업담당자 또는 대행사가입 신청을 눌러 회원가입을 합니다. 메시지허브에서 RCS를 관리하기 위해 RBC 로그인 ID와 API Key가 필요합니다. RCS Biz Center에 로그인 후 오른쪽 상단 “고객명>내 계정관리”에서 API Key 를 확인하세요. 3.브랜드 관리정보 i. 해당 프로젝트와 연결된 RCS 브랜드를 브랜드 ID 또는 브랜드명으로 검색하여 조회할 수 있습니다. ii. 목록 상의 브랜드 명을 클릭하면, 등록된 브랜드 상세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RBC 로그인 ID, RBC API Key 입력이 필요합니다.) iii. 등록된 RCS 템플릿 개수 및 상세, 등록된 발신번호 개수 및 목록, 브랜드 승인상태, 연결된 프로젝트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iv. [연결해제]를 클릭하면, 프로젝트와 RCS브랜드가 연결해제 됩니다. 해제 후 언제든지 재연결이 가능합니다. v. 해당 브랜드의 등록 템플릿 개수를 클릭하면, 해당 브랜드에 등록되어 있는 템플릿의 목록 및 템플릿정보, 승인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vi. 해당 브랜드의 등록 발신번호 개수를 클릭하면, 해당 브랜드에 등록되어 있는 발신번호 리스트 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vii. 해당 브랜드의 연결 프로젝트를 클릭하면, 연결되어 있는 프로젝트 리스트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4. 브랜드 연결 i. 다른 프로젝트에서 등록한 RCS 브랜드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연결한 프로젝트는 다시 해제 가능합니다. </s>
<s>[INST] 채널 관리-Push [/INST] 1. Push APP ID 관리 i. 등록한 Push App의 ID, 인증서 등록여부 등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ii. [수정] 버튼을 눌러 App 명, FCM, APNS 정보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삭제된 Push App ID는 복구가 불가능합니다. 2. Push APP 등록 i. Push Application 등록 내용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안드로이드는 FCM 프로젝트를 생성 해야 하고, IOS는 App ID의 Push Notifications을 활성화 해야 합니다. FCM 또는 APNS 둘 중 한가지는 반드시 입력해야 합니다. - 다음 URL로 이동하여 FCM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https://console.firebase.google.com/) - 다음 URL로 이동하여 IOS의 (APNS)를 생성합니다.(https://idmsa.apple.com/IDMSWebAuth/signin?appIdKey=891bd3417a7776362562d2197f89480a8547b108fd934911bcbea0110d07f757&path=%2Faccount%2Fresources%2Fidentifiers%2Flist&rv=1) 3. 안드로이드(FCM) Push App 등록하기 i. Google Firebase Console 에 접속합니다. ii. Add Project 를 클릭합니다. iii. 프로젝트 첫 페이지 왼쪽 위에서 톱니바퀴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iv. Project settings 를 클릭합니다. v. Settings 페이지에서 Cloud Messaging 탭을 클릭합니다. vi. Server Key와 Sender ID를 확인합니다. vii. 확인한 FCM 정보를 입력하여 Push App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4. iOS(APNS) Push App 등록하기 i. Apple Developer 콘솔에서 Certificates, IDs & Profiles로 이동합니다. ii. Keys 를 선택합니다. iii. Create a key 를 선택합니다. iv. Register a New Key에서 키 이름을 입력하고, ENABLE 항목에서 Apple Push Notifictions service (APNs) 선택한 후 Continue로 계속 진행합니다. v. 내용 확인 후 Register 를 선택합니다. vi. Download 선택해 암호 키 파일을 받습니다. vii. 확인한 APNS 정보를 입력하여 Push App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s>
<s>[INST] 채널 관리-카카오톡 [/INST] 1. 카카오톡 메시지를 발송하려면 카카오톡 채널 등록이 먼저 필요합니다. 기존 보유하고 있는 카카오 비즈니스 채널을 추가하거나, 채널이 없는 경우 카카오 비즈니스 센터(https://accounts.kakao.com/login)에서 생성하시면 됩니다. 2. 카카오 채널 연결 다른 프로젝트에 카카오 채널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 채널을 손쉽게 불러와서 등록할 수 있습니다. 3. 카카오 채널 추가 i. [카카오 채널 추가]를 통해 새로 생성한 카카오 비즈니스 채널 or 기존에 보유한 비즈니스 채널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ii. 채널 검색용 아이디에 카카오에 등록된 검색용 ID를 입력해 주세요. iii. 관리자 연락처는 카카오 비즈니스 채널 생성시 등록한 관리자 연락처를 입력해 주세요. iv. 관리자 연락처 입력 후 인증번호 받기를 클릭하시면 카카오톡으로 인증번호를 수신 받을 수 있습니다. v. 사업자 카테고리는 채널을 생성할 때 선택한 부가정보 입니다. 혹시 기억이 나지 않더라도 아무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저장하면 실패 되지만 선택 했었던 카테고리로 자동 세팅 되어 다시 저장 버튼을 누르면 카카오 채널을 성공적으로 추가하실 수 있습니다. </s>
<s>[INST] 채널 관리-MO [/INST] 1. MO 서비스는 휴대폰 사용자가 특정 번호가 부여된 서버나 PC로 문자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i. MO 서비스는 후불 고객만 사용 가능합니다. ii. 등록한 MO 수신 번호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iii. [삭제]버튼을 클릭하면 MO 수신번호를 삭제 할 수 있습니다. 2. MO 수신번호 신청 i. MO 수신 번호를 등록 요청합니다. ii. MO 수신 번호와 MO 유형은 필수 입력사항입니다.(MO유형은 중복 선택가능) 같은 수신번호여도 MO 유형에 따라 따로 저장 가능합니다. iii. 웹훅 URL은 사용자가 메세지를 전송할 때 수신 받을 수 있는 서버의 URL입니다. 필수 입력사항은 아닙니다. iv. 웹훅 URL을 등록하시려면 〈연결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연결되어 있는 URL인지 확인합니다. </s>
<s>[INST] API Key 생성 [/INST] 1. APIKey 는 Agent/RestAPI 발송방식을 이용할 경우 필수입니다.(웹발송 시 APIKey 생성 불필요) 2. KEY 생성버튼을 클릭하면 API KEY를 추가 생성할 수 있습니다. API KEY는 최대 10개까지 발급받을 수 있으며, 서비스 이용 시 인증에 사용합니다. 3. Key생성 i. API Key명: API Key 사용목적을 구분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객사에서 임의로 입력 ii. API Key 암호: RestAPI/Agent 연동 시 필요한 필수정보이므로 내부 관리 필요 iii. 발송TPS: 50~100까지 입력가능(100 TPS 이상으로 조정이 필요한 경우, 영업담당자를 통해 업무지원시스템에 요청 등록 필요) iv. 라인타입 - 일반으로 Default 설정(더미/실시간/배치로 변경 시 영업담당자 통해 별도협의 필요) v. 고객 접속 IP: 최대 10개까지 등록가능(D클래스는 *로 입력가능) vi. 상태: 해당 APIKey 사용/미사용 설정 vii. 결과수신여부: 사용(Default). 사용으로 설정 시 리포트 처리결과를 API로 받을 수 있습니다. viii. 결과수신방법: Polling - 사용자가 메시지허브의 리포트 목록을 주기적으로 호출하는 방법으로 호출 가능한 주기는 10초 이상입니다. Webhook - 메시지허브가 사용자 지정 URL(Webhook URL)로 리포트 목록(최대100건)을 전달하는 방법으로 메시지 발송이 완료될 때마다 결과 리포트를 전달합니다. IX. 결과 딜러사 정보 제공: API 연동 리포트를 고객사에 전달 시 딜러사 정보 전달 유무를 위한 설정입니다. X. 중복체크 타입: 중복체크는 API로 메시지 발송 시, 10분 내 "CLIKEY"가 동일하면 실패로 처리하여 메시지 중복 발송을 방지하는 기능입니다. Default는 API KEY별입니다. API KEY별: 단일 API KEY를 대상으로 "CLIKEY"중복체크를 합니다. (프로젝트 별 "CLIKEY" 중복체크에서 제외되어 독립적으로 사용됩니다.) 동일 API KEY에 대해서 중복발송 시 실패처리 Ex) 발송1) API KEY-1, CLIKEY-1 →요청성공 발송2) API KEY-1, CLIKEY-2 →요청성공 발송3) API KEY-2, CLIKEY-1 →요청성공 발송4) API KEY-1, CLIKEY-1 →실패 프로젝트 별: 중복체크 타입이 프로젝트 별인 API KEY를 대상으로 중복체크를 합니다. 프로젝트별로 선택된 API KEY 그룹에 대해서 중복 시 실패처리 Ex) API KEY-1, API KEY-2가 프로젝트별 체크로 되어 있는 경우 발송1) API KEY-1, CLIKEY-1 →요청성공 발송2) API KEY-1, CLIKEY-2 →요청성공 발송3) API KEY-2, CLIKEY-1 →실패 발송4) API KEY-1, CLIKEY-1 →실패 </s>
<s>[INST] 프로젝트 수정 [/INST] 1. 프로젝트 수정 i. [수정] 버튼을 누르면 프로젝트 생성시 입력했던 정보들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ii. [재발송 제목]은 통신사로 RCS 발송 후 레포트가 가끔 늦게 오는 경우가 있어 실패와 성공여부를 하루 지나서 알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에 사용자가 메시지 발송에 실패하였다 판단하여 메시지를 다시 보낼 경우, [재발송 제목]을 문자 앞에 붙여 전송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iii. [재발송 제목]은 차후에도 [수정] 버튼을 눌러 수정이 가능합니다. iv. [문자]는 기본채널로 미사용으로 설정할 수 없습니다. v. [RCS], [PUSH], [카카오], [MO] (후불 고객의 경우)는 필요에 따라 미사용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vi. 선불 고객은 MO 사용이 불가합니다. 따라서 선불 가입 계정은 MO채널의 사용 버튼이 비활성화 되어있습니다. MO채널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싶을 경우 후불 고객으로 계정을 다시 만들어 주세요. </s>
<s>[INST] 프로젝트 삭제 [/INST] 1. 프로젝트 삭제 i. [삭제] 버튼을 누르면 프로젝트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삭제한 프로젝트는 복구가 불가능하므로, 신중히 결정해주십시오. </s>
<s>[INST] 발신제한-스팸문구 [/INST] 1. 스팸문구 i. 스팸문구는 잦은 스팸문구 수신으로 인해 고객 이탈 또는 광고 수신거부 발생을 미리 막는 기능입니다. ii. 스팸 문구를 등록하면 메시지 발송 시 스팸으로 분류되어 메시지 발송을 제한 합니다. iii. 메시지 발송 시 스팸 문구가 포함된 메시지는 스팸으로 분류되어 발송되지 않습니다. Iv. 문구를 입력하시고 [추가] 버튼을 클릭하시면 문구가 추가되고 추가된 문구에서 ? 를 클릭하시면 제거 됩니다. </s>
<s>[INST] 발신제한-발송 한도 금액 [/INST] 1. 고객사 한도 금액 i. 고객사의 현재 설정된 월 발송 한도 금액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2. 한도 금액 설정 i. 발신제한 > 발송 한도금액 > 한도금액 설정 > 한도금액 상향 요청을 통해서 고객사의 월 발송한도 상향 요청할 수 있습니다. (요청하신 발송 한도는 메시지허브에서 고객사의 발송량과 신용도를 통해 심사합니다. ) ii. 고객 일일 한도를 설정/미설정 및 금액을 한도 금액을 설정 할 수 있습니다. 3. 프로젝트 한도 금액 i. 각 프로젝트 별 월/일 한도 금액을 확인 및 설정 할 수 있습니다. ii. 프로젝트 금액 한도는 선택된 프로젝트의 메시지 발송 시 한도금액을 체크합니다. (한도 금액을 초과하게 되면 메시지발송이 실패 처리 됩니다.) iii. 한도 금액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월/일 한도에 사용을 체크하시고 월/일 한도 금액을 입력해 주십시오. </s>
<s>[INST] 이용현황 [/INST] 1. 프로젝트의 기간별 이용 내역과 이용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메뉴 탭입니다. 2. 이용상세 i. 사업자 별로, 또는 프로젝트 별로 검색 기간 동안의 채널별 발송 건수 및 금액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이용현황 i. 최근 1개월, 3개월, 6개월 이용(발송성공)건수 내역을 히스토그램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ii. 최근 1개월, 3개월, 6개월간 이용서비스별(채널별) 점유율을 원형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실패현황 i. 프로젝트 별로 발송이 실패한 내역과 실패사유,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ii. 일시, 사업자/프로젝트 명, 수신자번호, 식별값(clilKey), 발송구분, 요청 채널, 최종 채널, 실패사유 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s>
<s>[INST] 정산-선불요금제 [/INST] 1. 선불 캐시를 충전하고 선불 정산 내역을 관리합니다. 2. 선불 충전 관리 i. 남아있는 캐시 금액을 보여줍니다. ii. [캐시 충전] 버튼을 누르면 선불 캐시를 충전할 수 있습니다. 3. 캐시 충전 i. [캐시 충전] 버튼을 누르면 캐시 충전 팝업이 뜹니다. ii. 충전 금액은 천원 단위로 가능합니다. iii. 충전 결제 수단은 신용카드, 계좌이체, 가상계좌(무통장입금) 입니다. iv. 원하는 충전 금액을 입력, 결제수단을 선택한 후 결제 버튼을 누르면 PG사 결제창으로 진행됩니다. 4. 충전 이력조회 선불 캐시 충전 이력을 조회합니다. 5. 선불 이용금액 i. 기간별, 항목별 이용 금액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ii. 상위 영역에서 현재 월의 이용 금액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iii. 하단 표에서 각 항목 별로 이용 금액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프로젝트: 각 프로젝트 별 이용 금액 ? 이용채널: 각 프로젝트에서 이용된 채널 ? 결제유형: 각 프로젝트의 결제 유형 ? 신청일: 프로젝트의 생성일 ? 건수: 발송된 건수 ? 이용요금: 발송한 메시지에 따른 이용 요금 합계 6. 서비스 요금 i. 메시지별 요금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ii. 해당 요금을 기준으로 이용 건수에 따라 요금 합계가 계산 됩니다. 7. 환불 i. 충전금액 환불은 고객센터 ,1:1문의, 담당영업사원을 통해서 요청(사업자등록증 첨부, 가상계좌로 충전했을경우 환불받을 통장사본 첨부) ii. 환불은 마지막 문자 발송 후 최대 3일 후부터 가능합니다. </s>
<s>[INST] 정산-후불요금제 [/INST] 1. 정산금액 i. 지난달에 대한 정산 금액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ii. 달력에 월을 선택해서 확인하고자 하는 월을 선택해서 정산금액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iii. 청구유형은 부서빌링=청구분리 , 프로젝트=통합과금 두 가지 유형으로 확인 됩니다. 2. 이용금액 i. 월별 통합빌링, 청구빌링과 각각의 건수 및 이용금액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ii. 당월 사용 금액이 확인 가능합니다. 3. 서비스요금 i. 메시지허브의 각 채널별 계약 단가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4. 청구분리 i. 청구 분리를 통해서 하나의 청구서가 아닌 프로젝트별(ex부서별,용도별,각사업부 등)로 각각의 청구서를 나눠서 받으실 수 있습니다. ii. 청구 분리를 하기 위해서는 빌링코드를 등록해야 됩니다. iii. 청구 분리로 생성한 빌링 코드를 api연동, agent 발송 고객은 dept code 테이블에 빌링 코드를 삽입하여 발송하여야 됩니다. 만약에 빌링코드를 삽입하지 않으면 청구 분리가 아닌 기존 청구서로 통합 청구 됩니다. 5. 빌링코드 등록 i. 빌링코드는 영문,숫자만 입력이 가능합니다.(한글 및 중복 코드는 등록 불가) ii. 빌링코드 등록 시 청구서 번호가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신규 청구서 번호 연결을 원하시면 청구서 번호에 신규 생성을 체크하시고 청구정보를 등록해 주십시오. 빌링코드 등록/수정은 Owner 권한 사용자만 가능합니다.) iii. 청구 시작일은 익월 1일부터 입니다. (익익월 청구서 발행 기준) iv. 프로젝트 미 선택 시, 해당 빌링코드는 웹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API를 통한 메시지 발송 시에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v. 이미 다른 빌링코드에 연결되어 있는 프로젝트는 연결하실 수 없습니다. vi. 청구계정 신규생성을 통해서 타 사업자로도 청구서 분리가 가능합니다. 6. 청구정보 i. 청구서는 회원 가입 시 생성되는 프로젝트 청구서(통합빌링 1개)와 청구 분리시에 생성한 청구서로 구분 됩니다. ii. 프로젝트 청구는 생성되는 프로젝트 모두 하나의 청구서로 관리되고 있고 청구분리는 빌링코드 생성 시 신규 청구서를 생성하거나 기존 청구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iii. 청구서 번호를 클릭 하시면 청구 상세를 보실 수 있고, 청구서 연결 빌링코드를 클릭하시면 청구서에 연결된 빌링코드명, 빌링코드, 가입번호를 보실 수 있습니다. iv. 청구서이메일 변경, 납부방법 변경드의 정보 변경은 담당 영업사원, 고객센터, 1:1문의를 통해 문의 바랍니다. </s>
<s>[INST] 주소록 관리는 어떻게 하나요? [/INST] 1. 주소록 개요 i. 주소록을 선택하면 트리 구조의 주소록이 좌측에 표현됩니다. ii. 주소록 하위의 그룹 중 하나를 선택하면 우측에 그룹 구성원이 나타납니다. iii. 우측 하단의 추가 버튼을 눌러 해당 그룹에 구성원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iv. 구성원으로 추가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신자 탭에서 수신자로 등록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v. 주소록, 그룹, 구성원은 등록/수정/삭제가 가능합니다. 2. 주소록 등록/수정/삭제 i. 주소록은 가장 상위의 수신자 그룹 개념으로, 등록, 수정, 삭제가 가능합니다. ii. 주소록명은 주소록의 이름을 적는 곳입니다. (예시 : 주소록) iii. 주소록 설명은 주소록에 대한 설명 문구를 적는 곳입니다. (예시 : 사용자가이드 설명용 주소록) iv. 주소록명과 주소록 설명은 수정이 가능합니다. 3. 그룹 추가/수정/삭제 i. 그룹이란 주소록의 하위 항목으로써, 임의의 수신자 집합을 말합니다. ii. 그룹은 주소록 아래에 3단계 까지의 하위그룹까지 추가할 수 있으며, 같은 단계 내에서는 여러 개의 그룹을 만들 수 있습니다. 예 : [주소록] > [그룹A](1단계) > [그룹B] (2단계) > [그룹a], [그룹b], [그룹c] (3단계) 4. 그룹 등록 i. 그룹을 추가하려면, 추가하려는 그룹이 속한 상위 그룹을 클릭하고 [그룹 추가] 버튼을 눌러야 합니다. 예를 들어, <그룹A> 의 하위 그룹으로 <그룹B>를 추가하고 싶다면, <그룹A> 를 선택한 뒤 [그룹 추가] 버튼을 눌러주세요. 5. 그룹 수정 i. [수정] 버튼을 누르면 그룹명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상위 그룹을 다른 상위 그룹으로 변경하는 기능은 현재 제공하고 있지 않습니다. 6. 그룹 삭제 i. 삭제하고자 하는 그룹을 선택한 뒤 [삭제] 버튼을 누르면 해당 그룹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만약, <그룹A> 를 삭제할 경우, <그룹A>의 구성원과 <그룹A>의 하위 그룹인 <그룹 a>, <그룹 b>가 모두 삭제됩니다. 7. 구성원 추가/삭제 i. 선택한 그룹으로 추가 가능한 구성원을 조회 합니다. (구성원은 수신자 관리(링크)에서 미리 수신자로 추가하여야 합니다.) ii. 추가 하실 구성원을 체크하고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구성원이 추가됩니다. iii. 그룹과 연결되지 않는 사용자 ID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iv. 국내/국외 등으로 조건을 필터링하여 목록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v. 한 페이지당 정렬되는 목록의 개수를 설정하여 목록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vi. 그룹 구성원은 타 그룹 구성원의 목록과 중복하여 추가가능합니다. vii. 구성원을 삭제하고 싶을 경우, 해당 구성원이 속한 그룹을 클릭한 뒤 해당 그룹의 목록에서 구성원을 체크해 [삭제] 버튼을 눌러주세요. viii. 구성원 삭제는 해당 그룹에 속한 선택한 구성원에만 한정되며, 다른 모든 그룹의 구성원 목록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ix. 삭제 후에도 언제든지 다시 구성원 추가가 가능합니다. </s>
<s>[INST] 주소록에 수신자 관리는 어떻게 하나요? [/INST] 1. 수신자 검색 i. 수신자 명, 휴대폰 번호, 앱 로그인 ID, 그룹 명, 사용여부로 수신자를 검색 및 필터링 할 수 있습니다. ii. 앱 로그인 ID는 Push 사용자 ID를 의미합니다. 2. 수신자 추가 i. 수신자명은 한글 이외의 문자로도 입력이 가능합니다. ii. 수신자 아이디에는 앱 로그인 ID (Push 사용자 ID)를 기입해주세요. iii. 국가번호는 대한민국의 휴대폰번호일 경우 입력하지 않아도 됩니다. 3. 수신자 일괄등록 i. 대량의 수신자 정보를 Excel 파일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등록하는 기능입니다. ii. [수신자 일괄등록] 버튼을 누르면 뜨는 팝업창에서 업로드용 샘플 파일을 다운받아 양식에 맞게 리스트를 기재해주세요. iii. 양식에 맞지 않을 경우 수신자 등록이 되지 않을 수 있으니 반드시 샘플 양식대로 입력하고 파일을 업로드해주세요. iv. 수신자명과 휴대폰번호는 필수 입력 사항입니다. 4. 수신자 삭제 i. 삭제하고자 하는 수신자를 선택한 뒤 [삭제] 버튼을 누르면 수신자가 삭제됩니다. 5. 엑셀 다운로드 i. 수신자 목록을 위 양식의 엑셀 파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s>
<s>[INST] 발송통계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INST] 1. 발송 통계 i. 등록된 프로젝트의 문자, RCS, 카카오톡, Push 등 채널별 발송 일/월별 통계를 보여줍니다. 2. 문자 i. 설정한 발송 기간 동안의 통계를 일별 또는 월별로 볼 수 있습니다. ii. 프로젝트 별로 검색하여 통계를 볼 수 있습니다. iii. 서비스 타입 (전체, SMS, LMS, MMS) 별로 검색하여 통계를 볼 수 있습니다. iv. 발송구분 (전체, 웹 발송, API 발송) 별로 검색하여 통계를 볼 수 있습니다. v. 전환발송 해당 여부 별로 검색하여 통계를 볼 수 있습니다. vi. 조회한 내역은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3. RCS i. 설정한 발송 기간 동안의 통계를 일별 또는 월별로 볼 수 있습니다. ii. 프로젝트 별로 검색하여 통계를 볼 수 있습니다. iii. 서비스 타입 (전체, RCS SMS, RCSLMS, RCS MMS, RCS 템플릿) 별로 검색하여 통계를 볼 수 있습니다. iv. 발송구분 (전체, 웹 발송, API 발송) 별로 검색하여 통계를 볼 수 있습니다. v. 전환발송 해당 여부 별로 검색하여 통계를 볼 수 있습니다. vi. 조회한 내역은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4. 카카오톡 i. 설정한 발송 기간 동안의 통계를 일별 또는 월별로 볼 수 있습니다. ii. 프로젝트 별로 검색하여 통계를 볼 수 있습니다. iii. 서비스 타입 (전체, 친구톡, 알림톡) 별로 검색하여 통계를 볼 수 있습니다. iv. 발송구분 (전체, 웹 발송, API 발송) 별로 검색하여 통계를 볼 수 있습니다. v. 전환발송 해당 여부 별로 검색하여 통계를 볼 수 있습니다. vi. 조회한 내역은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5. PUSH i. 설정한 발송 기간 동안의 통계를 일별 또는 월별로 볼 수 있습니다. ii. 프로젝트 별로 검색하여 통계를 볼 수 있습니다. iii. 발송구분 (전체, 웹 발송, API 발송) 별로 검색하여 통계를 볼 수 있습니다. iv. 전환발송 해당 여부 별로 검색하여 통계를 볼 수 있습니다. v. 조회한 내역은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6. MO i. 설정한 기간 동안의 MO 수신 통계를 일별 또는 월별로 볼 수 있습니다. ii. 프로젝트 별로 검색하여 통계를 볼 수 있습니다. iii. 서비스 타입 (전체, SMS MO, LMS MO, MMS MO) 별로 검색하여 통계를 볼 수 있습니다. iv. 조회한 내역은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s>
<s>[INST] RCS 반응통계는 어떤건가요? [/INST] 1.RCS 반응통계 i. RCS 메시지에 포함된 버튼의 클릭 수를 통계로 집계하여 보여줍니다. (해당 통계는 RCS Bizcenter에서 제공합니다.) ii. 메시지에 포함된 버튼의 클릭수를 집계합니다. (메시지 발송시, 캠페인 ID를 선택한 메시지만 집계합니다.) iii. 브랜드를 먼저 선택한 뒤, 캠페인 ID를 선택하십시오. iv. 발송 성공 건수, 메시지 읽은 건수, 버튼클릭 수, 버튼클릭율, 버튼타입, 버튼명 등 세부적인 분류에 따른 지표를 볼 수 있습니다. v. 조회한 내역은 엑셀 다운로드버튼을 클릭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버튼 클릭 집계 기준] - 이통사별 발송 성공건수 100건 이상인 경우에 한해 집계합니다. - 동일 캠페인 ID 발송일 기준 3일동안 클릭수를 집계합니다. (단, 집계시점 차이 등으로 인해, RBC 기준의 결과치와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수신자가 1개 이상의 버튼을 클릭한 경우만 집계합니다. (단, 수신자의 중복 클릭은 집계에서 제외됩니다.) [조회 기간 제한] - 검색 가능 기간은 최대 1개월입니다. - 최근 1년 6개월 이내 통계만 제공됩니다. </s>
<s>[INST] 양방향 메시지 통계는 어떤건가요? [/INST] 1.RCS 양방향 메시지 통계 i. 선택한 대화방에서 발생한 총 요청 건수와 과금 건수를 월별로 표시합니다. ii. 조회 가능 범위는 조회일부터 18개월 이전까지 입니다. iii. 당월의 경우 1일부터 조회일까지의 과금만 집계됩니다. (과금 기준은 전일 04:00 ? 조회일 03:59) 브랜드명을 선택한 뒤, 대화방 명을 선택해주세요. iv. reply ID, 단말 수, 총 요청 건수, 과금 건수 등 세부적인 분류에 따른 지표를 볼 수 있습니다. v. 조회한 내역은 [엑셀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vi. 상세보기에서는 해당 대화방 관련 통계를 월 / 일 / 시간 별로 표시합니다. vii. 타임라인을 선택한 뒤, 조회기간을 선택해주세요. viii. 조회 기간, reply ID, 총 요청 건수, 과금 건수 등 세부적인 분류에 따른 지표를 볼 수 있습니다. </s>
<s>[INST] 알람설정은 어떻게 설정하고, 어떤 항목에 대해서 알림을 받을 수 있나요? [/INST] 1.알람은 메시지 발송 성공률, 유입, IP 체크, 선불 금액, 발송 제한 등 서비스 운영에 있어 중요한 측정값들에 알람을 설정하여 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2. 메시지 발송 성공률 알람 - 메시지 발송 성공률 알람은 중요한 메시지의 성공률을 요일/시간별로 모니터링 하기 위한 알람 설정 입니다. [설정 방법] i. 알람명을 입력합니다. ii. 수집 요일/시간을 하나 이상 선택하고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각각 선택합니다. iii. 수집 최소 건수를 숫자로 입력해 주세요. (필수입력사항) iv. 발송 성공률을 숫자로 입력해 주세요. (필수입력사항) v. 수집 대상 API의 [등록] 버튼을 클릭하여 원하는 API를 등록합니다. vi. 알람 수신의 [등록] 버튼을 클릭하여 원하는 수신그룹 or 수신자를 등록합니다. vii.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알람을 저장합니다. 3. 유입 알람 - 유입 알람은 API키 별로 최근 10~60분 사이에 메시지 발송 건수가 설정 값 이하가 되면 관리자에게 알람을 보내는 기능입니다. [설정 방법] i 알람명을 입력합니다. ii. ‘수집 요일/시간’을 하나 이상 선택하고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각각 선택합니다. iii. 인입 건수는 숫자로 필수적으로 입력해야 합니다. iv. 알람 수신의 [등록] 버튼을 클릭하여 원하는 수신그룹 or 수신자를 등록합니다. v.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알람을 저장합니다. 4. IP 체크 알람 - IP 체크 알람은 API 키에 설정하지 않은 다른 IP에서 접근이 감지 되었을때 관리자에게 알람을 보내는 기능입니다. [설정 방법] i. 알람명을 입력합니다. ii. ‘수집 대상 API’의 등록 버튼을 클릭하여 알람받을 API키를 선택합니다. iii. 알람 수신의 [등록] 버튼을 클릭하여 원하는 수신그룹 or 수신자를 등록합니다. iv.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알람을 저장합니다. 5. 선불 금액 알람 - 선불 금액 알람은 선불 충전금액이 소진되어 메시지가 발송 중단되기 전에 관리자에게 알람을 보내는 기능입니다. [설정 방법] i. 알람명을 입력합니다. ii. 알람 금액은 숫자로 입력 합니다. iii. 알람 수신의 [등록] 버튼을 클릭하여 원하는 수신그룹 or 수신자를 등록합니다. iv.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알람을 저장합니다. 6. 발송 제한 금액 알람 - 발송 제한 금액 알람은 API키 별로 일/월별 한도 금액을 설정하여 과도한 메시지 발송시 관리자에게 알람을 보내는 기능입니다.(계획에 없는 갑작스러운 대량 발송을 사전에 감지) [설정 방법] i. 알람명을 필수적으로 입력해야 합니다. ii. 일 한도 금액은 숫자로 입력하고, 초과 %를 체크 합니다. (복수 선택 가능) iii. 월 한도 금액은 숫자로 입력하고, 초과 %를 체크 합니다.(복수 선택 가능) iv. 수집 대상 API의 [등록] 버튼을 클릭하여 원하는 API를 등록합니다. v. 알람 수신의 [등록] 버튼을 클릭하여 원하는 수신그룹 or 수신자를 등록합니다. vi.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알람을 저장합니다. 7. 전달 일 평균 건수 초과 알람 - 전달 일 평균 건수 초과 알람은 만약 당일 메시지 발송 건수가 설정한 알람 최소 건수와 지난 달 일 평균 건수보다 클 경우 관리자에게 알람을 보내는 기능입니다.(과도한 메시지 비용 예방 관리용) [설정 방법] i. 전달 일 평균 건수 초과 알람은 전달 일 평균 건수를 초과 했을 때 알람을 보냅니다. ii. 수집 대상 API의 [등록] 버튼을 클릭하여 원하는 API를 등록합니다. iii. 알람 수신의 [등록] 버튼을 클릭하여 원하는 수신그룹 or 수신자를 등록합니다. iv.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알람을 저장합니다. </s>
<s>[INST] 수신그룹은 어떻게 설정하나요? [/INST] 1.수신그룹 검색 - 알람을 수신받을 그룹을 조회/등록/수정/삭제 할 수 있습니다.또한 그룹에 수신자를 추가/삭제 할 수 있습니다. 2. 수신그룹 등록/수정/삭제 i. [수신그룹 등록] 버튼을 클릭하여 수신그룹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ii. 수신그룹명을 필수로 입력한 뒤,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수신그룹을 저장합니다. iii. 조회목록상의 수정하고자 하는 수신그룹의 수신그룹명 (예 : 메시지허브스쿼드) 를 클릭하면 그룹명, 사용정보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iv. 삭제를 원하는 수신그룹명을 선택하고 [수신그룹 삭제] 버튼을 누르면 삭제할 수 있습니다. 3. 그룹 수신자 추가/삭제 i. [그룹 수신자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원하는 그룹에 원하는 수신자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먼저 수신자 탭에서 수신자를 등록해야 목록에서 조회됩니다. ii. 삭제를 원하는 수신자를 선택하고 [그룹 수신자 삭제] 버튼을 누르면 삭제할 수 있습니다. </s>
<s>[INST] 수신자는 어떻게 설정하나요? [/INST] 1.수신자 검색 - 알람 수신자를 조회, 등록, 수정, 삭제를 할 수 있습니다. - 알람 수신자를 알람그룹명, 수신자명, 휴대폰 번호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2. 수신자 추가/삭제 i. [수신자 추가] 버튼을 클릭한 뒤, 수신자명, 휴대폰번호, 알람그룹을 입력하여 수신자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ii. 수신자명과 휴대폰 번호는 필수 입력 사항입니다. iii. 삭제를 원하는 수신자를 선택하고 [수신자 삭제] 버튼을 누르면 삭제할 수 있습니다. </s>
README.md exists but content is empty. Use the Edit dataset card button to edit it.
Downloads last month
6
Edit dataset c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