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
stringlengths 46
13.3k
|
---|
어휘: -겠-,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가능성이나 능력을 나타내는 어미., 문법: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뒤에 붙어))((다른 어미 앞에 붙어)), 용례: 그런 것은 삼척동자도 알겠다.
이걸 어떻게 혼자 다 하겠니? |
어휘: -겠-,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완곡하게 말하는 태도를 나타내는 어미., 문법: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뒤에 붙어))((다른 어미 앞에 붙어)), 용례: 들어가도 좋겠습니까?
내가 말해도 되겠니?
이제 그만 돌아가 주시겠어요?
너는 공부를 좀 더 열심히 해야 하겠다.
네가 와 주면 고맙겠구나. |
어휘: -겠-,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헤아리거나 따져 보면 그렇게 된다는 뜻을 나타내는 어미., 문법: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뒤에 붙어))((다른 어미 앞에 붙어)), 용례: 별사람을 다 보겠다. |
어휘: -결,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접사, 뜻풀이: ‘지나가는 사이’, ‘도중’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꿈결.
무심결.
잠결., 관련 어휘: 참고 어휘 결 |
어휘: -경,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頃, 원어: 頃, 품사: 접사, 뜻풀이: ‘그 시간 또는 날짜에 가까운 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시간이나 날짜 따위를 나타내는 대다수 명사 또는 명사구 뒤에 붙어)), 용례: 오전 9시경.
16세기경.
월말경.
9월 초순경., 관련 어휘: 참고 어휘 전후(前後) |
어휘: -경,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頃, 원어: 頃, 품사: 접사, 뜻풀이: ‘그 일에 걸리는 정도의 시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특정한 절차를 나타내는 한자 구성 뒤에 붙어)), 용례: 일다경.
탄지경., 관련 어휘: 참고 어휘 전후(前後) |
어휘: -경,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鏡, 원어: 鏡, 품사: 접사, 뜻풀이: ‘무언가를 보기 위한 기구’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망원경.
식도경.
후두경. |
어휘: -경,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鏡, 원어: 鏡, 품사: 접사, 뜻풀이: ‘안경’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근시경.
노인경.
원시경. |
어휘: -경,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鏡, 원어: 鏡, 품사: 접사, 뜻풀이: ‘거울’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반사경.
구면경.
회전경. |
어휘: -곁,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접사, 뜻풀이: 그 나무의 껍질이라는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나무를 나타내는 일부 말의 어근에 붙어)), 범주: 북한어, 용례: 가래곁.
피곁.
봇곁. |
어휘: -계,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系, 원어: 系, 품사: 접사, 뜻풀이: ‘계통’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고유 명사를 포함한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독일계.
야당계.
열대계.
중국계. |
어휘: -계,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屆, 원어: 屆, 품사: 접사, 뜻풀이: ‘문서’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결근계.
결석계.
사망계. |
어휘: -계,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係, 원어: 係, 품사: 접사, 뜻풀이: ‘사무나 작업 분담의 단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몇몇 명사 뒤에 붙어)), 용례: 관리계.
서무계.
인사계. |
어휘: -계,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界, 원어: 界, 품사: 접사, 뜻풀이: ‘분야’ 또는 ‘영역’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교육계.
언론계.
제조업계. |
어휘: -계,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界, 원어: 界, 품사: 접사, 뜻풀이: ‘경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행정 구역을 나타내는 몇몇 명사 뒤에 붙어)), 용례: 군계.
도계.
시계. |
어휘: -계,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界, 원어: 界, 품사: 접사, 뜻풀이: ‘세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물질계.
가상계. |
어휘: -계,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計, 원어: 計, 품사: 접사, 뜻풀이: ‘그것의 정도를 재는 기구’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고도계.
습도계.
지진계.
체온계.
온도계. |
어휘: -고,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원어·어종: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두 가지 이상의 사실을 대등하게 벌여 놓는 연결 어미., 문법: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리-’, ‘-더-’를 제외한 다른 어미 뒤에 붙어)), 용례: 오고 가는 정.
높고 낮은 산봉우리.
여름에는 비가 내리고 겨울에는 눈이 내린다.
물이 맑고 차다.
나는 먼저 한국인이고 그다음에 예술가이다.
원한이 쌓이고 또 쌓였다.
떡도 먹었고 고기도 먹었다.
그 아이가 형이겠고 이 아이가 동생이겠다. |
어휘: -고,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앞뒤 절의 두 사실 간에 계기적인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문법: ((동사 어간이나 어미 ‘-으시-’ 뒤에 붙어)), 용례: 오빠는 나에게 얼른 눈짓을 하고는 나가 버렸다.
동생은 여행을 다녀오고부터 사람이 달라졌다.
할머니께서는 상한 음식을 드시고 탈이 나셨다., 관련 어휘: 참고 어휘 -고서 |
어휘: -고,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앞 절의 동작이 이루어진 그대로 지속되는 가운데 뒤 절의 동작이 일어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문법: ((동사 어간이나 어미 ‘-으시-’ 뒤에 붙어)), 용례: 어머니는 나를 업고 병원까지 달려가셨다.
언니는 오늘 새 옷을 입고 출근했다.
선생님께서는 내 손을 쥐시고 말씀하셨다. |
어휘: -고,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서로 뜻이 대립되는 말을 벌여 놓는 연결 어미. ‘하다’의 선행 형식이 되게 하거나 명사적으로 쓰이도록 한다., 문법: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리-’, ‘-더-’를 제외한 다른 어미 뒤에 붙어)), 용례: 누가 우등생이었고 누가 열등생이었고 간에 서로 친하게 지내도록 하여라.
실성한 사람처럼 울고 웃고 하더라.
누가 잘했고 못했고가 문제가 아니다.
써 보지도 않고 좋고 나쁘고를 알 수 있나? |
어휘: -고,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형용사 어간을 반복하여 그 뜻을 강조하는 연결 어미. 흔히 ‘-고 -은’ 구성으로 쓴다., 문법: ((일부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용례: 길고 긴 세월.
멀고 먼 고향.
넓고 넓은 하늘. |
어휘: -고,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본용언에 붙는 연결 어미., 문법: ((‘-고 있다’, ‘-고 싶다’, ‘-고 지고’, ‘-고 나다’, ‘-고 보다’, ‘-고 보니’, ‘-고 보면’, ‘-고 말다’, ‘-고 들다’ 등 보조 용언이 있는 구성에서)), 용례: 천년만년 살고 지고.
너 아직도 울고 있구나.
나는 금강산을 보고 싶다.
숙제부터 하고 나서 놀아라.
밥을 먹고 나니 힘이 솟는다.
치료비 걱정은 말고 우선 사람부터 살리고 봅시다.
너도 그 사람 이야기를 듣고 보면 생각이 달라질 것이다.
사람들은 그 말을 듣고 웃음을 터뜨리고 말았다.
자꾸 따지고 들지 마라., 수어 정보: http://sldict.korean.go.kr/front/sign/signContentsView.do?origin_no=19570 |
어휘: -고,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해할 자리에 쓰여, 어떤 물음 표현이 뒤 절로 올 것을 생략하고 문장을 끝맺음으로써 물음, 부정(否定), 빈정거림, 항의 따위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앞에 있는 상대편의 어떤 말에 대한 대꾸의 성격을 띤다., 문법: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사옵-’ 따위의 뒤에 붙어)), 용례: 그래, 아버님은 안녕하시고?
이것이 개살구라면 그것은 개떡이고?
흥, 내가 그런 말에 속을 줄 알고?
그럼 나는 무얼 먹고? |
어휘: -고,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해할 자리에 쓰여, 또 다른 명령 표현이 뒤 절로 올 것을 생략한 듯한 여운을 둠으로써 부드럽게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문법: ((동사 어간이나 어미 ‘-으시-’ 뒤에 붙어)), 용례: 자, 이제 자네는 가고.
서류를 낸 학생들은 이쪽으로 오시고. |
어휘: -고,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원어·어종: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냐’의 방언, 방언 지역: 경남, 문법: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에서 ‘이다’, ‘아니다’의 어간 뒤에 붙어)), 범주: 방언 |
어휘: -고,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高, 원어: 高, 품사: 접사, 뜻풀이: ‘양’ 또는 ‘액수’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생산고.
수출고.
판매고. |
어휘: -고,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문법: ((어미 ‘-ㄴ’, ‘-ㄹ’ 뒤에 붙어))((의문사와 함께 쓰여)), 범주: 옛말, 용례: 셜 잀 中에 離別이 甚니 어 아 離別이 엇던고.≪월곡 상:52≫
번역 서러운 일 중에 이별이 심하니 부모 자식의 이별이 어떠한가
六師 무리 閻浮提예 야도 내 바랫 터리 몯 무으리니 므슷 이 겻고오려 고.≪석상 6:27≫
번역 육사의 무리가 염부제에 가득하여도 나의 발에 있는 터럭 하나를 못 움직이리니 무슨 일을 겨루려 하는가.
부텻 舍利 이대 호아 供養 리니 엇뎨 兵馬 니르다 서르 싸홈호려 시고 야.≪석상 23:54≫
번역 부처의 사리를 잘 나누어 공양하여야 하리니 어찌 병마를 일으켜서 서로 싸우려 하시는가 하거늘.
巴蜀애 와 病이 하니 荊蠻애 가 어느 고.≪두시-초 7:4≫
원문 巴蜀來多病, 荊蠻去幾年.
번역 파촉에 와서 병이 많은데 형만에 가는 것은 어느 해일까. |
어휘: -고나,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구나., 문법: ((어간이나 어미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이 버다 네 기 아디 몯 고나.≪번노 상:19≫
원문 這火伴 你敢不會煮料.
번역 이 친구야, 너는 콩 삶는 것을 알지 못하는 듯하구나.
네 독벼리 모고나.≪번노 상:27≫
원문 你偏不理會的.
번역 너희들만 유달리 모르는구나.
예셔 뎨 가매 시론 칠파 릿 길히 잇고나.≪번노 상:60≫
원문 這裏到那裏還有七八里路.
번역 여기서 저기까지 가려면 아직 7, 8리 길이 남아 있구나.
舍人이 됴 거슬 모 고나.≪번박 상:73≫
원문 舍人敢不識好物麽.
번역 舍人이 좋은 것을 모르는 듯하구나. |
어휘: -고녀,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구나., 문법: ((어간이나 어미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晏平仲은 사 더블어 사괴욤 잘놋다 오라되 고녀.≪소언 4:40≫
원문 晏平仲善與人交, 久而敬之.
번역 안평중은 사람과 함께 사귐을 잘하였다고 오래도록 공경하는구나.
뉘 닐오 鄹人의 子를 禮를 안다 더뇨 大廟애 드러 每事를 묻고녀.≪논언 1:24≫
원문 孰謂鄹人之子知禮乎. 入太廟, 每事問.
번역 누가 이르되 추인의 아들을 예를 안다 하더냐 대묘에 들어 매사를 묻는구나.
진실로 허믈이 잇거든 사이 반시 알고녀.≪논언 2:25≫
원문 丘也幸, 苟有過, 人必知之.
번역 진실로 허물이 있거든 사람이 반드시 아는구나.
君이 샤 三子의게 告라 시고녀.≪논언 3:61≫
원문 君曰告夫三子者.
번역 임금이 말씀하시기를 삼자에게 고하라 하시는구나. |
어휘: -고는,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같은 일이 반복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문법: ((동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고는 하다’ 구성으로 쓰여)), 용례: 할아버지는 일요일이면 우리들을 데리고 공원에 가시고는 하였다.
불안감은 어김없이 현실로 나타나고는 한다., 관련 어휘: 준말 -곤 |
어휘: -고는,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원어·어종: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앞의 내용이 뒤에 오는 내용의 전제나 조건이 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흔히 뒤에는 부정 형식이 온다., 문법: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 용례: 그는 남에게 빚지고는 못 배기는 성미였다.
돋보기가 아니고는 글을 못 보시는 모양이셨다.≪김구, 백범일지≫
천주쟁이를 혹독하게 다스린다 해서 비난하는 백성은 그놈의 무리를 빼놓고는 한 사람도 없을 것이다.≪서기원, 조선백자 마리아상≫
막걸리의 힘을 빌리지 않고는 마음대로 크게 웃을 권리도 없고….≪김동인, 운현궁의 봄≫, 관련 어휘: 준말 -곤 |
어휘: -고뎌,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고자., 문법: ((주로 동사,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萬國애 다 사호맷 리로소니 醉코 놀애 블로매 눈믈리 드리고뎌 다.≪두시-중 11:28≫
원문 萬國皆戎馬, 酣歌淚欲垂.
번역 만국에 가득 싸움에 쓰는 말이니 취하고 노래 부름에 눈물이 떨어지고자 한다. |
어휘: -고도,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어떠한 사실이나 느낌을 나타내면서, 뒤이어 이에 상반되거나 또 다른 특성이 있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문법: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이나 ‘-으시-’ 뒤에 붙어)), 용례: 슬프고도 아름다운 이야기.
졸고도 졸지 않은 체하다.
오시고도 연락을 안 하셨다니 섭섭합니다. |
어휘: -고라,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고 싶다., 문법: ((주로 동사,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出家야 現 뉘예 一切 智慧 得고라 시니라.≪석상 11:39≫
번역 출가하여 보인 세상에 일체 지혜를 얻는다 하시니라.
佛子 文殊아 모 疑心 決고라.≪석상 13:25≫
번역 불자 문수여 모든 의심을 끊으라.
녀나 天衆 眷屬 百千萬이 나 轉法고라 請거늘.≪석상 13:58≫
번역 여남은 천중 권속 백천만 명이 나에게 전법하라고 청하거늘.
願 조차가고라.≪월석 22:35≫
번역 원컨대 좇아가고 싶구나. |
어휘: -고라,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어라., 문법: ((주로 동사,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사발 잇거든 나 다고라.≪번노 상:42≫
원문 有椀與一箇.
번역 사발 있으면 하나 다오(빌려주구려).
큰님 아란 일 인야 우리 뎌긔 오나든 小人을 리디 아니커시든 모로매 지부로 오고라.≪번노 상:44≫
원문 大哥因事到我那裏 不棄嫌小人時 是必家裏來.
번역 형님이 무슨 일로 인해 우리 쪽에 오시면 저를 버리지 않으신다면 꼭 저희 집에 오십시오.
아란 브리 업스니 아 야 잔 가져오게 고라.≪번노 상:56≫
원문 沒甚麽火 敎小孩兒拿箇燈來.
번역 아무런 불이 없으니 아이를 시켜서 등잔불을 가져오게 하십시오.
江革이 믄득 울오 에엿비 너기고라 비러 닐오 늘근 어미 이셰라 야.≪번소 9:20≫
원문 革輒涕泣求哀, 言有老母.
번역 강혁이 갑자기 울고, "불쌍히 여기십시오."라고 빌며 이르되, "늙은 어미가 있답니다."라고 하여. |
어휘: -고라쟈,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기 바라다., 문법: ((주로 동사,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뎌긔 셧 뎌 소나모 길 의 셜 줄 엇디 져근덧 드리혀 뎌 굴헝의 셔고라쟈.≪교시조 2556-송관≫
번역 저기 서있는 저 소나무 길 가에 설 줄 어찌 적이 들이켜 구렁에 서기 바라랴
世事ㅣ 삼 울이라 허틀고 쳐셰라 거귀여 드리치고 나 몰래라 고라쟈.≪교시조 1612-2≫
번역 세사가 삼거웃이라 흐트러지고 맺혔구나 구기어 들이치고 나 몰라라 하기 바란다.
쎄고 크나 큰 게 시름 등 게 시러 酒泉 바다 풍 드릿쳐 둥둥 여 두고라쟈.≪교시조 1641-1≫
번역 세차고 크나 큰 말에게 내 시름 등 빠르게 실어 주천 바다에 풍 들이쳐 둥둥 띄워 두기 바란다. |
어휘: -고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구려., 문법: ((주로 동사,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내 아기 위야 어더 보고려.≪석상 6:13≫
번역 나의 아기를 위하여 얻어 보구려.
의원 님하 네 이 됴 법을 날려 치고려.≪번박 상:13≫
원문 太醫哥 你敎與我這好法兒.
번역 의원 형님아, 당신이 이 좋은 법을 나에게 가르치시오.
바이 너므 기니 네 나 나와 뎌르게 야 다고려.≪번박 상:18≫
원문 䩠帶忒長了 你饋我趲短些.
번역 바탕이 너무 기니 네가 나를 바쳐 짧게 해 주구려.
우리 이바디 던져 그리 져 네 나를 헐겁지 빌이고려.≪번박 상:54≫
원문 咱賭一箇筵席着 那般着 你借饋我包指麽.
번역 "우리 한 잔치 내기하자.", "그리 하자.", "네가 나에게 깍지를 빌려 주구려."
내 아 가디 아니 얏다니 네 날려 뎌긧 티를 니고려.≪번박 상:67≫
원문 我不曾到來 你說與我那裏的景致麽.
번역 내가 전에 가지 않았으니 네가 나에게 거기 경치를 말해 주구려.
쥬하 다 드 쟉도 나 비러오고려.≪번노 상:19≫
원문 主人家別處快 刀借一箇來.
번역 주인(아저씨)! 다른 데서 잘 드는 작두 하나 빌려 오세요.
갑 듣보라 가고려.≪번노 상:70≫
원문 明日打聽價錢去來.
번역 내일 값을 들어보러 가구려. |
어휘: -고말고,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상대편의 물음에 대하여 그 사실을 긍정함을 강조하여 나타낼 때 쓰는 종결 어미., 문법: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뒤에 붙어)), 용례: 기쁜 일이고말고.
나야 물론 좋고말고.
철수가 오고말고., 관련 어휘: 비슷한말 -다마다 |
어휘: -고사,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고야., 문법: ((주로 동사,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네 키 능히 耆를 羞고사.≪서언 4:4≫
원문 爾大克羞耈.
번역 네가 크게 능히 기를 수하고서야. |
어휘: -고서,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앞뒤 절의 두 사태 간에 계기적인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앞 절의 사태가 뒤 절의 사태에 앞선 것임이 강조된다., 문법: ((동사 어간이나 어미의 ‘-으시-’ 뒤에 붙어)), 용례: 그는 나에게 얼른 눈짓을 하고서 나가 버렸다.
그는 장가를 가고서 사람이 달라졌다.
너도 치마를 입고서 걸어 봐.
상한 음식을 먹고서 배탈이 났다.
어머니는 나를 업으시고서 병원까지 달려가셨다., 관련 어휘: 참고 어휘 -고 |
어휘: -고서,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앞의 사실을 전제하지 않으면 뒤의 사실이 성립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문법: ((동사의 어간이나 ‘아니다’의 어간 뒤에 붙어)), 용례: 그래 가지고서 오늘 안에 학교에 도착할 수 있겠어?
바보가 아니고서 그런 말을 하지는 않겠지. |
어휘: -고야,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동작이나 행위가 계속되거나 끝났음을 강조하여 나타내는 말. 연결 어미 ‘-고’에 보조사 ‘야’가 붙은 말., 문법: ((동사 어간이나 어미 ‘-으시-’ 뒤에 붙어)), 용례: 그 많은 밥을 다 먹고야 배가 부르더라.
마지못해 책을 보고야 있지만 마음은 딴 데 있다.
나도 부자가 되고야 싶지.
이번에는 운전면허 시험에 합격하고야 말겠다. |
어휘: -고야,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구나., 문법: ((주로 동사,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金幱窟 도라드러 叢石亭 올라 니 白玉樓 남은 기동 다만 네히 셔 잇고야.≪송강-이 관동별곡≫
번역 금란굴 돌아들어 총석정 올라 하니 백 남은 기둥 다만 넷이 서 있구나. |
어휘: -고자,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어떤 행동을 할 의도나 욕망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문법: ((‘있다, 없다, 계시다’의 어간, 동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 용례: 그는 특별히 예의라는 것을 엄격히 지키고자 노력하였다.
나도 자네 이야기를 듣고자 찾아왔네.
남의 윗사람이 되고자 하는 자는 남을 섬겨야 한다.
선생님께서 말씀하시고자 했던 부분이 이 편지 속에 있다.
남이 나를 해롭게 함을 원치 않듯이 나 또한 남에게 해를 가함이 없고자 한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관련 어휘: 비슷한말 -자
참고 어휘 -려, -려고, -으려, -으려고, 수어 정보: http://sldict.korean.go.kr/front/sign/signContentsView.do?origin_no=19578 |
어휘: -고장,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고자’의 방언, 방언 지역: 제주, 범주: 방언 |
어휘: -고쟈,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고자., 문법: ((주로 동사,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과 과 즐기시던 것과 고쟈 시던 것슬 애 닛디 아니시니.≪소언 2:27≫
원문 心志嗜欲, 不忘乎心.
번역 마음과 뜻과 즐기시던 것과 하고자 하시던 것을 마음에 잊지 아니하셨으니.
조 도적을 만나 或 겁틱야 잡아가고쟈 거든 革이 믄득 울오.≪소언 6:18≫
원문 數遇賊, 或劫欲將去, 革輒涕泣求哀, 言有老母.
번역 자주 도적을 만나 혹 겁칙하여 잡아가고자 하거든 혁이 문득 울고.
겨월 날 스 볏츨 님 계신 듸 비최고쟈 봄 미나리 진 마슬 님의게 드리고쟈 님이야 무어시 업스리마 내 못 니저 노라.≪교시조 153-2≫
번역 겨울 날 따스한 볕을 임 계신 데 비추고자 봄 미나리 살진 맛을 임에게 드리고자 임이야 무엇이 없으리마는 내 못 잊어 하노라. |
어휘: -고저,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원어·어종: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어떤 행동을 할 의도나 욕망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규범 표기는 ‘-고자’이다., 문법: ((‘있다, 없다, 계시다’의 어간, 동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 |
어휘: -고져,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고자., 문법: ((주로 동사, 형용사 어간이나 어미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랑 아기아리 양며 죄 그티니 그딋 맛고져 더다.≪석상 6:15≫
번역 사랑하는 아기아들 하나가 모습이며 재주가 한 끝이니 그대의 딸을 맞이하고자 하였습니다.
兜率天에 가아 兜率 天子ㅣ 외야 世尊 뵈고져 너겨.≪석상 6:45≫
번역 도솔천에 가서 도솔 천자가 되어 세존 뵙고자 여겨.
다가 有情이 주으려 밥 얻고져 야 모딘 罪 지 예.≪석상 9:9≫
번역 만약 유정이 굶주려 밥을 얻고자 하여 모진 죄를 지을 경우에.
뎌 부텻 世界예 나고져 發願야 리라.≪석상 9:11≫
번역 저 부처의 세계에 나고저 발원하여야 하리라.
萬國에 다 사호맷 리로소니 醉코 놀애 블로매 므리 드리고져 다.≪두시-초 11:28≫
원문 萬國皆戎馬, 酣歌淚欲垂.
번역 만국에 다 싸움말이니 취하여 노래 부름에 눈물이 떨어지려고 한다. |
어휘: -고졔니,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고자 하니., 문법: ((주로 동사,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宗과 旨와 달옴 업수 言과 觀 方 조차 올몸 이쇼 기고졔니.≪영가 하:31≫
원문 欲明宗旨無異, 言觀有逐方移.
번역 종(宗)과 지(旨)는 다름이 없되 말과 관(觀)은 방편에 따라 옮음이 있음을 밝히고자 하니. |
어휘: -고프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원어·어종: 고유어, 품사: 품사 없음, 뜻풀이: ‘-고 싶다’가 줄어든 말., 용례: 봄나들이 가고픈 날씨.≪뉴스1 2018년 3월≫ |
어휘: -고,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고는., 문법: ((어간이나 어미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로 잇비 야 날 니케 홈도 오히려 올티 몯고 며 주겨 내 몸 살오 엇디 리오.≪야운 50≫
원문 勞彼功而利我, 尙不然, 況殺他命而活己, 奚可忍乎.
번역 남의 공으로 고단히 하여 나를 이롭게 함도 오히려 옳지 못하고는 하물며 남의 명을 죽여 내 몸 살림을 어찌 참으리오. |
어휘: -고,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고야., 문법: ((주로 동사,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조 겻구고 須達이 와 舍利弗왜 精舍 짓더니.≪석상 6:35≫
번역 재주를 겨루고서야 수달이 와서 사리불과 정사를 짓더니.
내 몬져 됴 차바로 브르긔 고 法味로 乃終에 便安코 즐겁긔 호리라.≪석상 9:9≫
번역 내가 먼저 좋은 차반으로 배부르게 하고서야 법미로 나중에 편안하고 즐겁게 하리라.
내 王 말 듣고 내 미 과다.≪석상 24:29≫
번역 내가 왕의 말씀을 듣고서야 나의 마음이 깨달았습니다.
淨居天藻缾이 주근 벌에 외야 보시고 안디시 시니.≪월곡 상:16≫
번역 정거천의 조병이 죽은 벌레가 되었거늘 보시고야 안 듯 하시니. |
어휘: -곡,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曲, 원어: 曲, 품사: 접사, 뜻풀이: ‘노래’ 또는 ‘악곡’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용례: 교향곡.
승전곡.
인기곡.
합주곡.
합창곡. |
어휘: -곡,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원어·어종: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고’를 강조하여 말할 때 쓰는 연결 어미., 문법: ((어간이나 어미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어마니미 니샤 너희 出家거든 날 리곡 머리 가디 말라.≪석상 11:37≫
번역 어머님이 이르시되 너희가 출가하거든 나를 버리고 멀리 가지 말아라.
如來ㅣ 大衆中에 다 輪指 구피샤 구피시곡 펴시며 펴시곡 구피시고.≪능엄 1:108≫
원문 如來於大衆中, 屈五輪指, 屈已復開, 開已又屈.
번역 여래께서 대중 중에 다섯 윤지를 굽히시어 굽히시고 또 펴시며 펴시고 또 굽히시고.
간 몸 아 義分을 갑곡 녯 수픐 기세 도로 드로리라.≪두시-초 7:8≫
원문 暫酬知己分, 還入故林棲.
번역 잠깐 나를 알아 주는 의분을 갚고서 옛 수풀의 깃에 도로 들어가겠다.
사 든 저 類 아닌 거슬 보곡 녀름지 지븐 그 거츠루믈 警戒니라.≪두시-초 7:34≫
원문 人情見非類, 田家戒其荒.
번역 사람의 뜻은 자기 부류가 아닌 것을 보고 농사 짓는 집은 그 거친 것을 경계하느니라.
너와 다야 山林에 사로 서르 일티 마락 모매 藥 거슬 갓가이곡 수를 가쥬리라.≪두시-초 8:34≫
원문 與汝林居未相失, 近身藥裹酒長携.
번역 너와 더불어서 산림에 사는 것을 서로 잃지 마라. 몸에 약 싼 것을 가까이하고는 술을 당장 가지리라. |
어휘: -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고는’의 준말., 용례: 일요일이면 아이들을 데리고 공원에 가곤 하였다.
그는 저녁마다 내게 찾아오곤 하였다., 관련 어휘: 본말 -고는 |
어휘: -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고는’의 준말., 용례: 난 남에게 빚지곤 못 배기는 성미다., 관련 어휘: 본말 -고는 |
어휘: -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품사 없음, 뜻풀이: 연결 어미 ‘-고’와 조사 ‘는’이 결합한 ‘-고는’이 줄어든 말., 용례: 참을성이 없는 사람들은 한두 번 출석하곤 끝날 때까지 결석하기도 해요.
그는 나에게 얼른 눈짓을 하곤 나가 버렸다. |
어휘: -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고는., 문법: ((어간이나 어미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뎌 娑婆도 오히려 모디로 두리곤 十方 眞實로 어려울 부텻 히메 功 보내와 守護 더으샤 求시니라.≪법화 4:193≫
원문 彼一裟婆, 尙怯弊惡, 卽十方誠難故, 歸功佛力, 復求加護.
번역 저 한 사바도 오히려 모짊을 두려워하고는 시왕은 진실로 어렵기 때문에 부처의 힘에 공을 보내서 또 수호 더하심을 구하시니라.
제 죄도 벗디 몯곤 죄예 슈쇽 몯리라.≪계초 32≫
원문 自罪未脫, 他罪不贖.
번역 제 죄도 벗지 못하고는 남의 죄를 수속 못하리라.
누릿 가온 나곤 몸하 올로 녈셔 아으 動動다리.≪악학 동동≫
번역 세사의 가운데 나고는 몸이여 홀로 가구나. 아아 동동다리. |
어휘: -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거늘., 문법: ((어간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내 智慧精進 持戒禪定이 잇고도 오히려 이 受苦 시름곤 며 地獄앳 智慧 업슨 사미녀.≪월석 11:5≫
번역 내가 지혜의 정진과 지계의 선정이 있고도 오히려 이 수고를 시름하거늘 하물며 지옥에 있는 지혜 없는 사람은 어떻겠는가?
사 勸야 가 法 듣게 혼 功德도 이러곤 며 一心로 니거든.≪월석 17:53≫
번역 한 사람을 권하여 가서 법을 듣게 한 공덕도 이러하거늘 하물며 일심으로 말하면.
뎨 貪瞋癡 조 神力이 오히려 이곤 며 法界慧自在力이 니녀.≪월석 18:5≫
번역 제가 탐냄과 성냄과 어리석음을 갖추었지만 신력이 오히려 이같은 즉 하물며 법계혜가 자재력을 갖춘 것이야 말해 무엇하겠는가. |
어휘: -곤대,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기에., 문법: ((어간이나 어미 뒤에 붙어))((의문사와 함께 쓰여)), 범주: 옛말, 용례: 世尊하 摩耶夫人이 엇던 業을 지시곤대 畜生 中에 나시니고.≪석상 11:40≫
번역 세존이시여 마야부인이 어떤 업을 지으셨는데 축생 중에 나신 것입니까? |
어휘: -곤여,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구나., 문법: ((어간이나 어미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魯ㅣ 그 亡린뎌 아로 여곰 관원을 초고 듣디 몯엿곤여 안라 내 너려 닐오리라.≪소언 4:44≫
원문 魯其亡乎. 使僮子備官而未之聞耶. 居吾語女.
번역 노나라는 망하겠구나. 아이로 하여금 관원을 갖추고. 듣지 못하였구나. 앉아라. 내 너에게 말할 것이다. |
어휘: -곰,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원어·어종: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곤., 문법: ((주로 어간 바로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甁의 거든 甁이 곰 야 계도록 긷다가 몯야 너교 比丘히 제 와 기르려니 지븨 두고 가리라 야 지븨 드려두고 부체 다니 부체 열이곰 .≪월석 7:9≫
번역 한 병에 가득하면 다른 병이 넘치곤 하여 한 때가 지나도록 긷다가 다 못하여 생각하되 '비구들이 자기가 와 길을 것이니 집에 두고 가리라.'라고 하고 집에 들여 놓고 한 문짝을 닫으니 다른 문짝이 열리곤 하므로.
이 아기 아나다가 므레 리곰 호미 두 번이러니.≪불정 10≫
번역 이 아기를 안아다가 물에 버리곤 함이 두 번이더니.
猶 의 일후미니 性이 疑心 하니 山中에 이셔 아모 소리나 드르면 미리 남긔 올아 오래 사 업슨 後에 려 아니 한 더데 오곰 ≪법화 1:164≫
번역 유(猶)는 짐승의 이름인데 습성이 의심이 많으니 산속에 있으면서 어떤 소리든 들으면 미리 나무에 올라가 오랫 동안 (있다가) 사람이 없어진 후에야 내려와 얼마 되지 않아 또 올라가곤 하므로 |
어휘: -곰,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접사, 뜻풀이: -씩., 문법: ((주로 수량을 나타내는 체언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舍利弗의그 무라 두 즘겟 길마다 亭舍 세콤 지니.≪월곡 상:56≫
번역 사리불에게 물어 육십 길마다 정사를 셋씩 지으니.
王이 太子 夫人곰 맛디샤.≪석상 11:33≫
번역 왕이 한 태자를 한 부인씩 맡기셔서.
四方이 各各 變야 十方곰 외면 四十方이 일오 四十方이 各各 變야 十方곰 외면 四百方이 일리니.≪석상 19:12≫
번역 사방이 각각 변하여 십방씩 되면 사십방이 각각 변하여 십방씩 되면 사백방이 일 것이니.
七寶床ㅅ 四方애 各各 雙곰 셔엣더니.≪석상 23:18≫
번역 칠보상의 사방애 각각 한 쌍씩 섰더니.
그 五百 사미 弟子ㅣ 외아지다 야 銀돈 낟곰 받니라.≪월석 1:9≫
번역 그 오백 사람이 "제자가 되고 싶습니다."라며 은돈 한 개씩을 바쳤다. |
어휘: -곱-,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접사, 뜻풀이: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나 동사, 형용사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打醋心 목곱다 惡心 아닉곱다.≪역해 상:37≫
이내 몸애 병 드러 곤고히 아야라 우릴 저긔 피치 못 져 길힐쇠 곱고 더욱 셜다.≪염보-동 31≫
번역 이내 몸에 중병 들어 곤고히 아야 하고 울 적에 피치 #못할 저 #길의 소가 고단하고 더욱 서럽다. |
어휘: -공,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工, 원어: 工, 품사: 접사, 뜻풀이: ‘기술직 노동자’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기능공.
선반공.
숙련공.
식자공.
용접공.
인쇄공.
전기공. |
어휘: -공,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公, 원어: 公, 품사: 접사, 뜻풀이: ‘높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고유 명사를 포함하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목면공.
충무공.
태사공. |
어휘: -곶,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串, 원어: 串, 품사: 접사, 뜻풀이: ‘바다로 뻗어 나온 모양을 한 곳’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공단곶.
동외곶.
장기곶.
장산곶. |
어휘: -과,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課, 원어: 課, 품사: 접사, 뜻풀이: ‘업무 부서’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인사과.
총무과., 관련 어휘: 참고 어휘 과(課) |
어휘: -과댜,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고자., 문법: ((주로 동사,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戊寅년 애 사이 수이 알과댜 야 字 밧긔 註엣 말을 아오로 드려 사겨시모로.≪소언 범:1≫
원문 戊寅本欲人易曉, 字義之外, 幷入註語爲解故.
번역 무인년 책에 사람이 쉽게 알고자 하여 글자의 뜻 밖에 주의 말을 아울러 들여 새겼으므로.
아나죄로 나 경계야 오 반시 先人의 일을 廢티 말라 과댜 라더니 네 이제 오 엇뎨 스스로 편안티 아니뇨 니.≪소언 4:46≫
원문 吾冀而朝夕修我曰, 必無廢先人, 爾今曰, 胡不自安.
번역 아침저녁으로 나를 경계하여 이르기를 반드시 선인의 일을 그만두지 말라고 하고자 바라더니 네가 이제 이르기를 어찌하여 스스로 편안하지 아니하냐고 하니. |
어휘: -과뎌,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고자., 문법: ((주로 동사,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時節이 便安고 녀르미 외며 福이 오고 厄이 스러디과뎌 노니.≪월석 서:25≫
번역 시절이 편안하고 농사가 잘되며 복이 오고 액이 없어지고자 하느니.
이 慧力이 定에 너머 다 서르 글우미 잇 젼로 티 가지과뎌 시니라.≪능엄 9:73≫
원문 此又慧力過定, 皆互有所失故, 欲等持也.
번역 이에는 또 혜력이 정에 넘어 다 서로 그름이 있는 까닭에 같이 가지고 싶다 하시니라.
나라해셔 모로매 사호 行홀 디어니와 사 戈鋌을 그치시과뎌 놋다.≪두시-초 20:4≫
원문 國須行戰伐, 人憶止戈鋋.
번역 나라에서 모름지기 싸움에 행할 것이니와 사람은 과정을 그치고자 생각하는구나. |
어휘: -과라,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었다., 문법: ((주로 동사,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주로 일인칭 주어와 함께 쓰여)), 범주: 옛말, 용례: 圍繞 도 보고 다 장 깃거 녜 업던 이 얻과라 더니.≪석상 19:40≫
번역 위요해 있는 모습도 보고 다 매우 기뻐하여 옛날에 없던 일을 얻고자 하더니.
房 딕 비 야 오 얻과라 깃거 더니.≪월석 7:9≫
번역 하루는 방 지킬 채비를 하며 '오늘에야 틈을 얻었다.' 하고 기뻐했는데.
얼구리 이제 이 니 나 가거나 믈러오거나 호 길 녀 뇨매 리과라.≪두시-초 6:53≫
원문 形骸今若是, 進退委行色.
번역 형상이 이제 이 같으니 나아가거나 물러오거나 함을 길 다니는 것에 맡겨 버렸었다.
赤甲애 사롤 占卜야 올마 사로미 새로외니 巫山과 楚水ㅅ 보 두 번 보과라.≪두시-초 7:13≫
원문 卜居赤甲遷居新, 兩見巫山楚水春.
번역 적갑에 살 땅을 정하여 옮겨 사는 것이 새로운데 무산과 초수의 봄을 두 번 보았다. |
어휘: -과소라,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었도다., 범주: 옛말, 용례: 江淹 鮑照의 긄 體ㅣ 流傳호매 서르 도라본 아 업소 免콰소라.≪두시-초 21:31≫
원문 流傳江鮑體, 相顧免無兒.
번역 강엄과 포조의 문체가 유전하매 서로 돌아보니 아들 없음을 면했도다. |
어휘: -과쟈,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게 하고자., 문법: ((주로 동사,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어버이 날 나흐셔 어질과쟈 길러 내니 이 두 分 아니시면 내 몸 나셔 어질소냐.≪교시조 1917-2≫
번역 어버이 나를 낳으시고 어질게 하고자 길러 내니 이 두 분 아니시면 내 몸 나서 어질 것이냐. |
어휘: -과녜니라,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고자 함이니라., 문법: ((주로 동사,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며 연 음식을 어더 이바도믈 보고 놀라이 붓그리며 저허 닐와다 과녜니라.≪번소 8:25≫
원문 以致甘腝, 惕然慙懼, 起而行之也.
번역 달고 연한 음식을 얻어드림을 보고 놀라서 부끄럽고 두려워 일으켜 행하고자 함이니라. |
어휘: -과여,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고자., 문법: ((주로 동사,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그저긔 모댓 大衆히 이 말 듣고 닐오 一切 衆生이 다 버서나과여 願노다.≪석상 11:3≫
번역 그때에 모여 있는 대중들이 이 말을 듣고 함께 이르되 일체 중생이 다 벗어나고자 원합니다.
뎌주 지 그를 퍼 보니 다시 이 吹噓과여 노라.≪두시-초 20:34≫
원문 嚮來披述作, 重此憶吹噓.
번역 저 즈음 때 지은 글을 펴 보니 다시 이 칭찬하여 천거하고자 생각한다.
이베 어루 시러 니디 몯과여 노라.≪내훈 1:37≫
번역 입으로 가히 능히 이르지 않고자 하노라. |
어휘: -과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었습니다., 문법: ((주로 동사, 형용사 어간이나 어미 뒤에 붙어))((주로 1인칭 주어와 함께 쓰여)), 범주: 옛말, 용례: 父母하 出家 利益을 이제 마 得과다.≪석상 11:37≫
번역 부모이시여 출가한 이익을 이제 이미 얻으셨습니다.
光明이 十方 비취시니 내 아래 供養다가 이제 親近과다.≪석상 20:15≫
번역 광명이 십방을 비추시니 내 아래 공양하다가 이제 또 친근하였습니다 하고.
내 王 말 듣 고 내 미 과다 生老 病死ㅣ 眞實로 슬 이리로소다.≪석상 24:29≫
번역 내가 왕의 말씀을 듣고서야 나의 마음이 깨달았습니다.
큰 善利 어더 그지업슨 보 아니 求야셔 얻과다.≪월석 13:6≫
번역 (우리가) 큰 선리를 얻어 한없는 보배를 구하지 않고도 얻었습니다. |
어휘: -관,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官, 원어: 官, 품사: 접사, 뜻풀이: ‘공적인 직책을 맡은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감독관.
경찰관.
법무관.
사령관.
소방관., 수어 정보: http://sldict.korean.go.kr/front/sign/signContentsView.do?origin_no=8730 |
어휘: -관,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館, 원어: 館, 품사: 접사, 뜻풀이: ‘기관’ 또는 ‘건물’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대사관.
도서관.
박물관.
영사관.
영화관.
체육관. |
어휘: -관,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觀, 원어: 觀, 품사: 접사, 뜻풀이: ‘관점’ 또는 ‘견해’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가치관.
세계관.
인생관. |
어휘: -관대,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기에., 문법: ((주로 동사,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의문사와 함께 쓰여)), 범주: 옛말, 용례: 득 怒 고래 뉘라셔 놀내관대 불거니 거니 어즈러이 구디고.≪송강-이 관동별곡≫
번역 가뜩 노한 고래 누구라서 놀래기에 불거니 뿜거니 어지럽게 구는지고. |
어휘: -관데,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예스러운 표현으로) 원인이나 근거를 나타내는 연결 어미. 앞에는 의문사가 오며 뒤에는 의문 형식이 온다., 문법: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뒤에 붙어)), 용례: 누가 왔관데 이리 소란스러울까?
내 코가 어떻게 생겼관데 주먹코라 하느냐?
그대가 누구관데 나를 찾으시오? |
어휘: -관뎌,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았네., 문법: ((주로 동사,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주로 1인칭 주어와 함께 쓰여)), 범주: 옛말, 용례: 그 어미 닐오 아가 아가 긴 劫에 몯 볼까 다니 오날 地獄門 알셔 아기와 서르 보관뎌.≪월석 23:87≫
번역 그 어미가 이르되 아가 아가 긴 겁에 못 볼까 하였더니 오늘날 지옥문 앞에서 아기와 서로 보는구나. |
어휘: -관듸,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기에., 문법: ((주로 동사,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의문사와 함께 쓰여)), 범주: 옛말, 용례: 淸江에 비 듯는 소릐 긔 무어시 우읍관듸 滿山 紅綠이 휘드르며 웃는고야.≪교시조 2831-3≫
번역 청강에 비 듣는 소리 그 무엇이 우습기에 만산 홍록이 휘휘 떨어지며 웃는구나.
득 노 고래 뉘라셔 놀내관듸 불거니 거니 어즈러이 구지고.≪송강-관 관동별곡≫
번역 가뜩 노한 고래 누구라서 놀래기에 불거니 뿜거니 어지럽게 구는지고. |
어휘: -관,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기에., 문법: ((주로 동사, 형용사 어간이나 어미 뒤에 붙어))((의문사와 함께 쓰여)), 범주: 옛말, 용례: 世尊하 이 菩薩이 므슴 三昧예 住관 能히 이티 곧마다 變化로 現야 衆生 度脫니고.≪석상 20:50≫
번역 세존이시여 이 보살이 무슨 삼매에 머물렀기에 능히 이처럼 계시는 곳마다 변화로 나타나시어 중생을 해탈(解脫)하게 하는 것입니까.
長者 아리 부텻 相好ㅣ 즈믄 福로 莊嚴샤 보고 뎌 부텨 묻 엇던 行願을 지시관 이 相 得시니고.≪월석 21:18≫
번역 장자의 아들이 부처의 상호가 천 개의 복으로 장엄하심을 보고 저 부처께 묻되 어떤 행원을 지으셨기에 이러한 모습을 얻으셨습니까?
世尊하 地藏菩薩이 여러 劫브터 오매 各各 엇던 願을 發시관 이제 世尊ㅅ 브즈러니 讚歎샤 닙니고.≪월석 21:49≫
번역 세존이시여 지장보살이 여러 겁부터 오기에 각각 어떤 바람을 발하시었기에 이제 세존이 부지런히 찬탄하심을 입었습니까?
男子아 엇던 이 爲야 길헤 든다 엇던 다 術을 뒷관 能히 한 毒 이다.≪월석 21:118≫
번역 야 남자야 어떤 일을 위하여 이 길에 들었느냐? 어떤 다른 기술을 두었기에 능히 많은 독을 이기는가?
내 언맛 恩分이 잇관 이런 쳔랴로 갑거시뇨.≪월석 22:60≫
번역 내 얼마 은혜가 있기에 이런 재물로 갚으시는가?
이 獄앳 衆生 前生애 므슷 罪業을 짓관 이런 受苦 뇨.≪월석 23:78≫
번역 이 옥에 있는 중생은 전생에 무슨 죄업을 지었기에 이런 수고를 하는가? |
어휘: -광,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狂, 원어: 狂, 품사: 접사, 뜻풀이: 열광적으로 정신을 쏟는 사람이라는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독서광.
연극광.
축구광., 수어 정보: http://sldict.korean.go.kr/front/sign/signContentsView.do?origin_no=1659 |
어휘: -광,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鑛, 원어: 鑛, 품사: 접사, 뜻풀이: 광석이나 광산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금광.
우라늄광. |
어휘: -괴야,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구나., 문법: ((흔히 동사,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拜揖노니 主人 형아 애 王가든 형이로괴야.≪노언 상:15≫
원문 拜揖主人家哥 噯却是王大哥.
번역 "안녕하십니까, 주인 형님.", "아이고 또 왕씨 형이구나"
그리쟈 네 믈 깃기 니근 괴야.≪노언 상:31≫
원문 那般着 你敢慣打水.
번역 그렇게 하자. 너는 물 긷는 것에 익숙한 듯하구나.
그저 간대로 혜아리 이로괴야.≪노언 하:11≫
원문 只是胡商量的.
번역 그저 마음대로 계산하는 이로구나.
이 활을 네 간대로 흔나므라괴야.≪노언 하:28≫
원문 這弓你却是胡𩢃彈.
번역 이 활을 네 마음대로 마구 헐뜯는구나. |
어휘: -구,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口, 원어: 口, 품사: 접사, 뜻풀이: ‘구멍’ 또는 ‘구멍’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통풍구.
출입구.
분화구. |
어휘: -구,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口, 원어: 口, 품사: 접사, 뜻풀이: ‘출입구’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비상구.
승강구.
승차구.
하차구. |
어휘: -구,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口, 원어: 口, 품사: 접사, 뜻풀이: ‘창구’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매표구.
접수구.
출납구.
투약구. |
어휘: -구,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具, 원어: 具, 품사: 접사, 뜻풀이: ‘용구’ 또는 ‘도구’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피임구.
운동구.
필기구.
방한구. |
어휘: -구,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조사, 뜻풀이: 인가., 문법: ((의문 대명사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釋迦彌勒이 오히려 이라 니 누구.≪몽법 20≫
원문 釋迦彌勒, 猶是他奴, 他是阿誰.
번역 석가와 미륵이 오히려 남의 종이라 하니 남은 누구인가? |
어휘: -구,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고., 문법: ((주로 동사,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王獻之ㅣ 盜賊 더브러 닐오 靑氈은 我家 舊物이니 두구 가라 니라.≪두시-초 15:28≫
번역 왕헌지가 도적과 더불어 말하기를 청전은 우리집의 대대로 전하는 물건이니 두고 가라 했다. |
어휘: -구-,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접사, 뜻풀이: ‘사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몇몇 동사 어간 뒤에 붙어)), 용례: 달구다.
솟구다.
돋구다., 관련 어휘: 참고 어휘 -기-, -리-, -우-, -이-, -추-, -히- |
어휘: -구나,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해라할 자리나 혼잣말에 쓰여, 화자가 새롭게 알게 된 사실에 주목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흔히 감탄의 뜻이 수반된다., 문법: ((‘이다’의 어간, 형용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용례: 경치가 참 아름답구나!
네가 벌써 대학생이구나!
너의 아버지가 우리 아버지와 동갑이시구나.
네가 이렇게 장성한 줄을 나는 몰랐구나.
너도 엄마가 미웠겠구나., 관련 어휘: 준말 -군
참고 어휘 -는구나, -더구나, -로구나, 수어 정보: http://sldict.korean.go.kr/front/sign/signContentsView.do?origin_no=19609 |
어휘: -구래,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구려’의 방언, 방언 지역: 평안, 범주: 방언 |
어휘: -구레,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구려’의 방언, 방언 지역: 평북, 범주: 방언 |
어휘: -구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하오할 자리에 쓰여, 화자가 새롭게 알게 된 사실에 주목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흔히 감탄의 뜻이 수반된다., 문법: ((‘이다’의 어간, 형용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용례: 옷감이 색이 참 좋구려.
정말 깨끗한 동네이구려.
참 딱하기도 하시구려.
나는 아무것도 모르고 있었구려.
그 소식에 참 서운하셨겠구려., 관련 어휘: 참고 어휘 -는구려, -더구려, -로구려, 수어 정보: http://sldict.korean.go.kr/front/sign/signContentsView.do?origin_no=19612 |
어휘: -구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하오할 자리에 쓰여, 상대에게 권하는 태도로 시키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문법: ((동사 어간이나 어미 ‘-으시-’ 뒤에 붙어)), 용례: 더 늦으면 어두워질 테니 어서 가구려.
큰애가 그 사람을 좋아한다니 당신이 한번 만나 보시구려.
이 사람에게도 한 잔 권하시구려., 수어 정보: http://sldict.korean.go.kr/front/sign/signContentsView.do?origin_no=19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