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
stringlengths 46
13.3k
|
---|
어휘: -구로,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게’의 방언, 방언 지역: 경북, 범주: 방언 |
어휘: -구료,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하오할 자리에 쓰여, 화자가 새롭게 알게 된 사실에 주목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흔히 감탄의 뜻이 수반된다. ⇒규범 표기는 ‘-구려’이다. |
어휘: -구료,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원어·어종: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하오할 자리에 쓰여, 상대에게 권하는 태도로 시키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규범 표기는 ‘-구려’이다. |
어휘: -구마는,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건마는’의 방언, 방언 지역: 경남, 범주: 방언 |
어휘: -구만,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군’의 본말. ⇒규범 표기는 ‘-구먼’이다. |
어휘: -구먼,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군’의 본말., 용례: 학교가 참 크구먼.
그것참 그럴듯한 생각이구먼그래.
가지가 실하니 열매도 많이 열리겠구먼.
20년이 지났으니 그 아이가 벌써 대학생이 되었겠구먼., 관련 어휘: 준말 -군
참고 어휘 -는구먼, -더구먼, -로구먼, 수어 정보: http://sldict.korean.go.kr/front/sign/signContentsView.do?origin_no=19615 |
어휘: -구면,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군’의 본말. ⇒규범 표기는 ‘-구먼’이다. |
어휘: -국,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局, 원어: 局, 품사: 접사, 뜻풀이: ‘업무 부서’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사무국.
편집국.
총무국., 관련 어휘: 참고 어휘 국(局) |
어휘: -국,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國, 원어: 國, 품사: 접사, 뜻풀이: ‘나라’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가입국.
강대국.
독립국.
중립국.
회원국., 수어 정보: http://sldict.korean.go.kr/front/sign/signContentsView.do?origin_no=11 |
어휘: -군,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해할 자리나 혼잣말에 쓰여, 화자가 새롭게 알게 된 사실에 주목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흔히 감탄의 뜻이 수반된다. 뒤에는 보조사 ‘요’가 오기도 한다., 문법: ((‘이다’의 어간, 형용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용례: 학교가 참 크군.
그것 참 그럴듯한 생각이군그래.
가지가 실하니 열매도 많이 열리겠군요., 관련 어휘: 본말 -구먼
참고 어휘 -는군, -더군, -로군, 수어 정보: http://sldict.korean.go.kr/front/sign/signContentsView.do?origin_no=19632 |
어휘: -군,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구나’의 준말., 용례: 꽃이 참 예쁘군.
날씨가 참 좋군., 관련 어휘: 본말 -구나
참고 어휘 -는군, -더군, -로군, 수어 정보: http://sldict.korean.go.kr/front/sign/signContentsView.do?origin_no=19632 |
어휘: -군,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群, 원어: 群, 품사: 접사, 뜻풀이: ‘무리’, ‘떼’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식물군. |
어휘: -궂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원어·어종: 고유어, 품사: 접사, 뜻풀이: ‘그러한 상태가 심함’의 뜻을 더하고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나 어근 뒤에 붙어)), 용례: 심술궂다.
앙살궂다.
왁살궂다.
험궂다. |
어휘: -권,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券, 원어: 券, 품사: 접사, 뜻풀이: ‘자격이나 권리를 증명하는 표(票)’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관람권.
상품권.
승차권.
입장권. |
어휘: -권,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券, 원어: 券, 품사: 접사, 뜻풀이: ‘지폐’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액수를 나타내는 명사 뒤에 붙어)), 용례: 천 원권.
오천 원권.
만 원권. |
어휘: -권,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圈, 원어: 圈, 품사: 접사, 뜻풀이: ‘범위’ 또는 ‘그 범위에 속하는 지역’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고기압권.
수도권.
상위권.
당선권.
검역권.
북극권. |
어휘: -권,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權, 원어: 權, 품사: 접사, 뜻풀이: ‘권리’나 ‘자격’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사법권.
평등권.
참정권.
소유권.
피선거권.
투표권. |
어휘: -귀,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접사, 뜻풀이: 죽죽 내리거나 내뻗치는 줄이라는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특정 명사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녀르멘 더운 귀 잇고 겨렌 누니 잇니라.≪남명 하:57≫
원문 夏有炎暉, 冬有雪.
번역 여름에 더운 햇귀가 있고 겨울에는 눈이 있느니라. |
어휘: -그러,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도록’의 방언, 방언 지역: 경상, 범주: 방언 |
어휘: -그레,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기에’의 방언, 방언 지역: 전남, 범주: 방언 |
어휘: -그로,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게끔’의 방언, 방언 지역: 경남, 범주: 방언 |
어휘: -금,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金, 원어: 金, 품사: 접사, 뜻풀이: ‘돈’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계약금.
기부금.
장학금.
찬조금.
축하금., 관련 어휘: 참고 어휘 금(金) |
어휘: -급,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級, 원어: 級, 품사: 접사, 뜻풀이: ‘그에 준하는’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재벌급.
국보급.
조수 노릇을 하던 카센터 직원의 수리 실력도 이제는 전문가급이다.
그는 들어온 지 얼마 되지도 않았으면서 거드름 피우는 모습은 사장급이다., 관련 어휘: 참고 어휘 급(級) |
어휘: -긔,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게., 문법: ((주로 동사, 형용사 어간이나 어미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馬勝이 舍利弗 보아 偈 닐어 들여 스을 곧 닛긔 니.≪월곡 상:41≫
번역 마승이 사리불을 보아 한 게송을 일러 듣게 하여 스승을 곧 잇게 하니.
金床애 迦葉이 안 五百弟子히 十二頭陀行 닷긔 니.≪월곡 상:67≫
번역 금상에 가섭이 앉고 제자 오백명이 열 두 가지의 두타행을 또 닦게 하니.
네 가짓 受苦 여희여 涅槃 得호 부텨 시긔 리다.≪석상 6:4≫
번역 네 가지 수고를 여의어 열반을 얻음을 부처 같으시게 하겠습니다.
南녀긔셔 수므면 北녀긔 내고 모미 크긔 외야 虛空애 야 잇다가 젹긔 외며.≪석상 6:34≫
번역 남쪽에서 숨으면 북쪽에 내달리고 몸이 크게 되어 허공에 가득해 있다가 또 적게 되며.
믈읫 有情을 利樂긔 코져 노다.≪석상 9:2≫
번역 무릇 유정을 이락하게 하고자 합니다. |
어휘: -긧고,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게 하고자., 문법: ((주로 동사,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庶幾 그러긧고 라노라 논 디라.≪월석 석서:6≫
번역 거의 그러하게 하고자 바란다고 하는 뜻이다.
사마다 수 아라 三寶애 나가 븓긧고 라노라.≪월석 석서:6≫
번역 사람마다 쉬이 알아 삼보에 나아가 의지하게 되도록 바란다. |
어휘: -기,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그 말이 명사 구실을 하게 하는 어미., 문법: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용례: 혼자이기는 해도 외롭지 않다.
밥을 먹기 싫다.
사람이 많기도 하다.
그 시인은 화가이기도 하다.
한글은 배우기가 쉽다.
농부들은 비가 내리기를 기다리고 있다.
여자는 남편의 손을 잡고 엉엉 울기 시작했다.
그들은 모두 돈을 벌기 위해서 각지에서 모인 사람들이었다.
피로하면 잘 때 코를 골기 마련이다.
제비는 겨울이 오기 전에 떠날 것이다.
그이도 술을 마시기는 한다.
그에게 덤비다가는 얻어맞기 십상이야.
배꽃은 희기가 눈과 같다.
윗물이 흐린데 어찌 아랫물이 맑기를 바라겠느냐.
경치가 좋기로는 금강산이 최고다.
기다리고 있었기는 했는데 만나지는 못했다.
사단이 거기에 이르자, 이용익도 서둘러 이근영의 집으로 회정할 수밖에 없었다. 일각이라도 앞을 당겨서 민영익을 만나야 방책이 나서겠기 때문이었다.≪김주영, 객주≫
쇠닻을 내린 듯이 무거운 몸을 질질 끌 듯하며 마당으로 내려간 그는 모깃불을 피웠다. 내일 품을 팔기 위해서 잠을 자지 않으면 안 되겠기 때문이다.≪박경리, 토지≫, 관련 어휘: 참고 어휘 -ㅁ, -음 |
어휘: -기,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접사, 뜻풀이: 명사를 만드는 접미사., 문법: ((일부 동사나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용례: 굵기.
달리기.
돌려짓기.
모내기.
사재기.
줄넘기.
크기., 관련 어휘: 참고 어휘 -ㅁ, -음 |
어휘: -기,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氣, 원어: 氣, 품사: 접사, 뜻풀이: ‘기운’, ‘느낌’, ‘성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시장기.
소금기.
기름기.
화장기.
간기.
바람기. |
어휘: -기,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記, 원어: 記, 품사: 접사, 뜻풀이: ‘기록’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여행기.
옥중기.
유람기.
일대기.
방랑기.
탐방기. |
어휘: -기,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期, 원어: 期, 품사: 접사, 뜻풀이: ‘기간’, ‘시기’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방황기.
유아기.
장년기.
청년기. |
어휘: -기,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器, 원어: 器, 품사: 접사, 뜻풀이: ‘도구’ 또는 ‘기구’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녹음기.
주사기. |
어휘: -기,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器, 원어: 器, 품사: 접사, 뜻풀이: ‘그러한 활동을 위한 기관’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생물체의 활동을 나타내는 몇몇 명사 뒤에 붙어)), 용례: 생식기.
소화기.
호흡기. |
어휘: -기,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한자어, 원어·어종: 한자 機, 원어: 機, 품사: 접사, 뜻풀이: ‘그런 기능을 하는 기계 장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비행기.
이앙기.
전투기.
탈곡기. |
어휘: -기,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기에., 문법: ((주로 동사, 형용사 어간이나 어미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닙고 시브냐 시기 슬오이다.≪한중 26≫
번역 입고 싶냐 하시기에 내가 대답하되 싫습니다. |
어휘: -기-,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접사, 뜻풀이: ‘피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동사 어간 뒤에 붙어)), 용례: 안기다.
뜯기다.
담기다.
찢기다.
쫓기다., 관련 어휘: 참고 어휘 -리-, -이-, -히- |
어휘: -기-,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접사, 뜻풀이: ‘사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동사 어간 뒤에 붙어)), 용례: 신기다.
남기다.
웃기다.
맡기다.
옮기다., 관련 어휘: 참고 어휘 -구-, -리-, -우-, -이-, -추-, -히- |
어휘: -기나,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거나’의 방언, 방언 지역: 경남, 범주: 방언 |
어휘: -기로,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문법: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더-’, ‘-으리-’를 제외한 어미 뒤에 붙어)), 용례: 행동이 타의 모범이 되기로 이에 표창을 함. |
어휘: -기로,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아무리 그렇다 하더라도’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문법: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더-’, ‘-으리-’를 제외한 어미 뒤에 붙어)), 용례: 아무리 바쁘기로 네 생일을 잊겠니.
아무리 그가 좋기로 그렇게까지 할 필요가 있니? |
어휘: -기로니,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기로’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 문법: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더-’, ‘-으리-’를 제외한 어미 뒤에 붙어)), 용례: 이제 돈을 좀 벌기로니 금방 부자가 될까?
아무리 바쁘기로니 전화 한 통 못 하랴.
아무리 시골이기로니 약국 하나 없을까?
옷 모양이 우스워 좀 웃었기로니 그렇게 서운하십니까?
그놈이 출세를 좀 했기로니 제 형제를 무시해?, 관련 어휘: 비슷한말 -기로서 |
어휘: -기로서,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기로’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 문법: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더-’, ‘-으리-’를 제외한 어미 뒤에 붙어)), 용례: 아무리 많이 먹기로서 하마만 할까?
눈이 좀 좋기로서 망원경을 당하겠소?
아무리 상관이기로서 사적인 일에까지 간섭할 수 있습니까?
점수가 좀 떨어졌기로서 그렇게 야단을 칠 거야 있나?, 관련 어휘: 비슷한말 -기로니 |
어휘: -기로서니,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기로서’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 문법: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더-’, ‘-으리-’를 제외한 어미 뒤에 붙어)), 용례: 아무리 크기로서니 코끼리만 할까?
아무리 사장이기로서니 아버지 뻘인 사람에게 반말을 해도 되는 겁니까?
한 번 약속을 어겼기로서니 절연까지 할 것은 뭐 있나?, 관련 어휘: 참고 어휘 -로서니 |
어휘: -기로선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기로서니’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 문법: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었-’ 뒤에 붙어)), 용례: 아무리 돈이 없기로선들 도둑질을 할 수야 있나.
아무리 약골이기로선들 쌀 한 말을 못 들까? |
어휘: -기에,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원어·어종: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원인이나 근거를 나타내는 연결 어미., 문법: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용례: 반가운 손님이 오셨기에 버선발로 달려 나갔다.
한데 어제는 어디를 가셨기에 왜 그렇게 뵐 수가 없었어요?≪염상섭, 무화과≫
빈집이야 얼마든지 있었지만 그래도 훗날 말썽이 없어야겠기에 우선 피난 간 언니네다 짐을 풀었다.≪박완서, 도시의 흉년≫
네, 그게 실은, 서방님을 꼭 뵈어야겠기에 소승이 본댁으로 찾아가서 서울의 거처하시는 곳을 물었습지요.≪박경리, 토지≫, 관련 어휘: 참고 어휘 -길래, 수어 정보: http://sldict.korean.go.kr/front/sign/signContentsView.do?origin_no=19651 |
어휘: -기요,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해할 자리에 쓰여, 청유를 나타내는 종결 어미., 문법: ((어간 뒤에 붙어)), 범주: 북한어, 용례: 승리하고 돌아오는 날 평양에서 만나기요.≪선대≫ |
어휘: -길래,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기에’를 구어적으로 이르는 말., 문법: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뒤에 붙어)), 용례: 배가 고프길래 라면을 끓여 먹었다.
무슨 일이길래 이렇게 시끄러워., 관련 어휘: 참고 어휘 -기에 |
어휘: -까장,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원어·어종: 고유어, 품사: 접사, 뜻풀이: ‘-끼리’의 방언, 방언 지역: 전남, 범주: 방언 |
어휘: -까짓,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접사, 뜻풀이: 업신여기는 뜻에서 ‘…만 한 정도의’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대명사 뒤에 붙어)), 용례: 이까짓.
저까짓.
그까짓 사랑 때문에 울긴 왜 울어.
네까짓 놈 따위는 두렵지 않다. |
어휘: -깔,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접사, 뜻풀이: ‘상태’ 또는 ‘바탕’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몇몇 명사 뒤에 붙어)), 용례: 맛깔.
빛깔.
성깔. |
어휘: -꺼니,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니까’의 방언, 방언 지역: 평안, 범주: 방언 |
어휘: -꺼마,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ㄹ게’의 방언, 방언 지역: 경남, 범주: 방언 |
어휘: -껏,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접사, 뜻풀이: ‘그것이 닿는 데까지’의 뜻을 더하고 부사를 만드는 접미사., 문법: ((몇몇 명사 뒤에 붙어)), 용례: 마음껏.
정성껏.
힘껏. |
어휘: -껏,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접사, 뜻풀이: ‘그때까지 내내’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때를 나타내는 몇몇 부사 뒤에 붙어)), 용례: 지금껏.
아직껏.
여태껏.
이제껏. |
어휘: -께,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원어·어종: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구어체로) 해할 자리에 쓰여, 어떤 행동을 할 것을 약속하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규범 표기는 ‘-ㄹ게’이다., 문법: ((받침 없는 동사 어간이나 ‘ㄹ’ 받침인 동사 어간 뒤에 붙어)) |
어휘: -께,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접사, 뜻풀이: ‘그때 또는 그 장소에서 가까운 범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시간이나 공간을 나타내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이달 말께.
서울역께., 관련 어휘: 참고 어휘 -경(頃), -경(頃) |
어휘: -껜,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품사 없음, 뜻풀이: ‘-께는’이 줄어든 말., 용례: 보름껜 꼭 갚겠다. |
어휘: -꼬,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문법: ((어미 ‘-ㄹ’ 뒤에 붙어))((의문사와 함께 쓰여)), 범주: 옛말, 용례: 조왼 길헤 어느 나래 긴 戈戟을 말꼬 사호미 靑羌로브터셔 白蠻에 니도다.≪두시-초 10:27≫
원문 要路何日罷長戟, 戰自靑羌連白蠻.
번역 중요한 길에 어느 날에야 긴 창을 그만둘까 싸움이 청강으로부터 백만에 이어 있도다.
세 발 가진 가마괴 바리 어러 버흘가 전노니 羲和ㅣ 서르 보내야 어드러 갈꼬.≪두시-초 10:41≫
원문 三足之烏足恐斷, 羲和迭送將安歸.
번역 세 발 가진 까마귀 발이 얼어 베어지까 두려워하니 희화가 서로 보내어 장차 어디로 갈 것인가.
뉘 能히 이 娑婆 國土애 妙法華經을 너비 니꼬.≪법화 4:134≫
원문 雖能於此娑婆國土, 廣說妙法華經.
번역 누가 능히 이 사바 국토에 묘법연화경을 널리 이를까. |
어휘: -꼴,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접사, 뜻풀이: ‘그 수량만큼 해당함’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수량을 나타내는 명사구 뒤에 붙어)), 용례: 100원꼴.
한 명꼴.
열 개꼴. |
어휘: -꾸러기,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접사, 뜻풀이: ‘그것이 심하거나 많은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장난꾸러기.
욕심꾸러기.
잠꾸러기.
말썽꾸러기.
걱정꾸러기. |
어휘: -꾸마,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마’의 방언, 방언 지역: 경상, 범주: 방언 |
어휘: -꾼,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어원: <軍, 품사: 접사, 뜻풀이: ‘어떤 일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 또는 ‘어떤 일을 잘하는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살림꾼.
소리꾼.
심부름꾼.
씨름꾼. |
어휘: -꾼,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어원: <軍, 품사: 접사, 뜻풀이: ‘어떤 일을 습관적으로 하는 사람’ 또는 ‘어떤 일을 즐겨 하는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낚시꾼.
난봉꾼.
노름꾼.
말썽꾼.
잔소리꾼.
주정꾼. |
어휘: -꾼,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어원: <軍, 품사: 접사, 뜻풀이: ‘어떤 일 때문에 모인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구경꾼.
일꾼.
장꾼.
제꾼. |
어휘: -꾼,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어원: <軍, 품사: 접사, 뜻풀이: ‘어떤 일을 하는 사람’에 낮잡는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용례: 과거꾼.
건달꾼.
도망꾼.
뜨내기꾼.
마름꾼.
머슴꾼.
모사꾼 |
어휘: -꾼,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원어·어종: 고유어, 어원: <軍, 품사: 접사, 뜻풀이: ‘어떤 사물이나 특성을 많이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나 부사 뒤에 붙어)), 용례: 건성꾼.
꾀꾼.
덜렁꾼.
덤벙꾼.
만석꾼.
재주꾼.
천석꾼. |
어휘: -끔,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접사, 뜻풀이: ‘-쯤’의 방언, 방언 지역: 평북, 범주: 방언 |
어휘: -끼,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접사, 뜻풀이: ‘-께’의 방언, 방언 지역: 경남, 범주: 방언 |
어휘: -끼리,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접사, 뜻풀이: ‘그 부류만이 서로 함께’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문법: ((복수성을 가지는 대다수 명사 또는 명사구 뒤에 붙어)), 용례: 우리끼리.
자기들끼리.
집안끼리.
같은 학교 사람들끼리. |
어휘: -나,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앞 절의 내용과 뒤 절의 내용이 서로 다름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문법: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사오-’ 따위 뒤에 붙어)), 용례: 눈이 내리나 쌓이지는 않는다.
키는 크나 힘은 약하다., 관련 어휘: 참고 어휘 -으나, 수어 정보: http://sldict.korean.go.kr/front/sign/signContentsView.do?origin_no=19673 |
어휘: -나,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여러 가지 중에서 어느 것을 선택해도 상관없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문법: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사오-’ 따위 뒤에 붙어))((‘-나 -나’ 구성으로 쓰여)), 용례: 눈이 오나 비가 오나 그는 신문을 돌린다.
부모는 자식들이 미우나 고우나 똑같이 뒷바라지한다. |
어휘: -나,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형용사 어간을 반복하여 그러한 상태를 강조하는 연결 어미., 문법: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사오-’ 따위 뒤에 붙어))((‘-나-ㄴ’ 구성으로 쓰여)), 용례: 머나먼 길.
크나큰 사람. |
어휘: -나,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하게할 자리에 쓰여,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문법: ((주로 동사 어간이나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용례: 자네 언제 떠나나?
자네 그 소식 듣고 얼마나 기뻤나?
여보게, 자네가 날 도와주겠나?, 수어 정보: http://sldict.korean.go.kr/front/sign/signContentsView.do?origin_no=19674 |
어휘: -나,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해할 자리나 혼잣말에 쓰여, 물음이나 추측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문법: ((주로 동사 어간이나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주로 ‘-나 하다’, ‘-나 싶다’, ‘-나 보다’ 구성으로 쓰여)), 용례: 얼굴이 붉어서 난 자네가 술을 마셨나 했어.
그 애가 많이 아팠나 싶었다.
저 애가 왜 화가 났나 싶어서 내 행동을 곰곰이 되짚어 보았다.
밖에는 비가 내리나 보다.
아침저녁 선선한 바람이 부니 이제 가을이 되었나 보다.
이 일을 어떡하나?
어제 무슨 일이 있었나?
밖에 비가 오나? |
어휘: -나,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원어·어종: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해라할 자리에 쓰여,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방언 지역: 경상, 문법: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에서 용언의 어간이나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범주: 방언 |
어휘: -나,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너라’의 방언, 방언 지역: 평북, 범주: 방언 |
어휘: -나,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원어·어종: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해라할 자리에 쓰여,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방언 지역: 강원, 문법: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범주: 방언, 용례: 니가 말한 기 이기 다나?
번역 네가 말한 게 이게 다니?
느 돼지 죽 잘 먹나?
번역 너희 돼지 죽 잘 먹니? |
어휘: -나-,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거-., 문법: ((다른 어미 앞에 붙어))((‘오다’의 어간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그저긔 多寶佛이 뎌 菩薩 니샤 善男子아 오나라 文殊師利法王子ㅣ 네 모 보고져 다.≪석상 20:41≫
번역 그때에 다보불이 저 보살께 이르시되 선남자야 오너라 문수사리 법왕자가 네 몸을 보고자 한다.
사미 講法 해 안자 이셔 다 사미 오나 勸야 안자 듣긔 커나.≪석상 19:6≫
번역 또 사람이 강법하는 땅에 앉아 있어 다른 사람이 오거든 권하여 앉아 듣게 하거나. |
어휘: -나기,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접사, 뜻풀이: 그 지역에서 태어나고 자라서 그 지역 특성을 지니고 있는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규범 표기는 ‘-내기’이다. |
어휘: -나뇨,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문법: ((‘오다’의 어간 뒤에 붙어))((의문사와 함께 쓰여)), 범주: 옛말, 용례: 제 너교 바 가다가 귓것과 모딘 이 므엽도소니 므스므라 바 나오나뇨 야.≪석상 6:19≫
번역 스스로 여기되 밤에 가다가 귀신과 모진 중생이 무서우니 무슨 까닭으로 밤에 나왔느냐 하여.
十方諸天이 이 긔별 닐어늘 현맛 供養이 모다 오나뇨 이 大衆이 十方世界 보니 현맛 나라히 어울어뇨.≪월석 18:2≫
번역 시왕의 제천이 이 기별을 말하였는데 얼마의 공양이 모여 왔는가? 여기에 있는 대중이 시왕세계를 보니 얼마의 나라가 한데 어울렸는가?
놀라 두려 제 荒唐히 너겨 엇던 젼로 이 오나뇨 고 法報ㅅ 이 두려 내 智分 아니라 니라.≪법화 2:239≫
원문 驚怖自怪, 何故至此.
번역 놀라 두려워하여 스스로 황당히 여겨 어떤 까닭으로 이곳에 왔느냐 하고 법보의 일을 두려워하여 나의 지분이 아니라 하니라. |
어휘: -나니,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앞말이 뒷말의 원인이나 근거, 전제 따위를 나타내는 연결 어미. 근엄하게 말할 때 쓴다., 문법: ((동사 어간이나 어미 ‘-으시-’, ‘-었-’, ‘-겠-’, ‘-삽-’, ‘-옵-’ 따위의 뒤에 붙어)), 용례: 국모는 한 사람의 어머니가 아니요…소신 임사흥의 국모도 되옵나니 소신 임사흥은 성지(聖旨)를 거스를지언정 죄 없으신 어버이를 버리지 못하겠사옵나이다.≪박종화, 금삼의 피≫ |
어휘: -나니,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어떤 사실을 먼저 진술하고 이와 관련된 다른 사실을 이어서 설명할 때 쓰는 연결 어미. 근엄하게 말할 때 쓴다., 문법: ((동사 어간이나 어미 ‘-으시-’, ‘-었-’, ‘-겠-’, ‘-삽-’, ‘-옵-’ 따위의 뒤에 붙어)), 용례: 자네를 믿나니 나를 실망시키지 말게.
다시 묻나니 너는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느냐. |
어휘: -나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접사, 뜻풀이: 그런 성질이 있음을 더하고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 문법: ((일부 명사나 명사성 어근 뒤에 붙어)), 용례: 맛나다.
별나다. |
어휘: -나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ㄴ다., 문법: ((‘오다’의 어간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내 本來 求 업다니 오 寶藏이 自然히 오나다 니.≪월석 13:32≫
번역 내 본래 얻을 마음이 없더니 오늘 보장이 자연히 왔구나 하니.
수울 어드라 가더니 다 도라오나다 勘合 잇녀 몯 녀 어더 가져오라.≪번박 상:3≫
원문 討酒的都廻來 勘合有了不曾 討將來了.
번역 술 가지러 갔던 사람이 다 돌아왔다. "감합은 있는가?", "얻어가지고 왔다." |
어휘: -나도,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아도., 문법: ((‘오다’의 어간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모로매 上番에 대 일어든 보리라 야 소니 오나도 믜요 므던히 너기고 나 迎逢 아니노라.≪두시-초 25:23≫
원문 會須上番看成竹, 客至從嗔不出迎.
번역 모름지기 상번에 대나무 이루거든 보리라 하여 손님이 와도 소홀히 여기고 맞이해 만나지 아니한다.
許梅 므레 드러 주그니 밀므리 밀여오나도 주거미 흘러가디 아니더라.≪속삼 열:4≫
번역 허매가 물에 들어가 죽으니 밀물이 밀려와도 주검이 흘러가지 아니하더라. |
어휘: -나든,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거든., 문법: ((‘오다’의 어간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내 바 닐오마 길 마갓 퍼깃 사미 비 오나든 곳 퓌오 겨든 여름 거셔.≪번박 상:40≫
원문 我猜着 當路一科麻 下雨開花 刮風結子.
번역 "내가 바로 말하마.", "길을 막은 한 포기 삼이 비가 오면 꽃이 피고 바람이 후려치면 열매 맺는 것은?" |
어휘: -나따나,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원어·어종: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나마’의 방언, 방언 지역: 경남, 범주: 방언 |
어휘: -나따나,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원어·어종: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더라도’의 방언, 방언 지역: 경상, 범주: 방언, 용례: 일 몬 하나따나 사람이 있이야지.
번역 일 못 하더라도 사람이 있어야지. |
어휘: -나라,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너라., 문법: ((‘오다’의 어간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내 니마해 론 香이 몯 랫거든 도로 오나라.≪월석 7:7≫
번역 내 이마에 바른 향이 마르지 않았으니 나중에 도로 오너라. |
어휘: -나마,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어떤 상황이 마음에는 차지 아니하나 아쉬운 대로 접어주는 조건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문법: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 용례: 변변치는 못하나마 많이 잡수십시오.
여자의 뺨에는 희미하나마 눈물이 흐른 자국까지 있었다.
도와주지는 못하나마 방해를 해서야 말이 되나., 관련 어휘: 참고 어휘 -으나마 |
어휘: -나새나,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해당 사실이 일어나는 것을 비난하면서 그렇게 되지 말라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주로 구어체에서 쓴다., 문법: ((어간이나 명사형 어미 ‘-기’의 뒤에 붙어)), 범주: 북한어, 용례: 큰무당이 코앞에 왔는데 세기나새나.≪성황당, 선대≫
캄캄한 밤에 마차를 타고 가는데 맵시나새나….≪봄 우뢰, 선대≫ |
어휘: -나시든,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시거든., 범주: 옛말, 용례: 用兵如神샤 가샤 이기시릴 西예 오나시든 東鄙 라니.≪용가 38장≫
원문 用兵如神 往則莫抗 我西曰來 東鄙竚望
번역 용병을 귀신같이 하셔서 가셔야 이기실 것이므로 서쪽에 오시면 동쪽 변방 사람들이 고대하였습니다.
阿彌陁佛이 眷屬과로 金色光 펴시고 七寶蓮華 가지샤 行者 알 오나시든.≪월석 8:57≫
번역 아미타불이 권속과 더불어 금색 빛을 펴시고 칠보 연꽃을 가지시고 행자의 앞에 오시거든. |
어휘: -나시,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시거늘., 범주: 옛말, 용례: 부톄 오나시 보 나 죠고맛 거슬 주어시든.≪석상 6:44≫
번역 부처가 오시거늘 보아 사뢰되 나에게 조그만 것을 주시거든.
摩耶ㅣ 文殊려 니샤 내 부텨와 야 母子 왼 後로 즐거미 오 니 업다 시고 즉자히 文殊와 샤 世尊 오나시 世尊이 라시고 샤 涅槃 닷가 苦樂 기리 여희리다.≪석상 11:3≫
번역 마야가 문수더러 이르시되 내가 부처와 모자가 된 후로 즐거움이 오늘 같은 때가 없다 하시고 즉시 문수와 세존께 오시거늘 세존이 바라보시고 말씀하시되 열반을 닦아야 고락을 길이 여읠 것입니다.
摩耶夫人이 오나시 如來 後世옛 不孝 衆生 위야 金棺 여르시고 니르샤.≪석상 23:30≫
번역 마야부인이 오시거늘 여래가 후세의 불효하는 중생들을 위하여 금관을 여시고 이르셔서. |
어휘: -나이까,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예스러운 표현으로) 하십시오할 자리에 쓰여,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문법: ((‘있다’, ‘없다’, ‘계시다’의 어간, 동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사옵-’ 뒤에 붙어)), 용례: 주여, 어디로 가시나이까?
주인님, 부르셨나이까?
어찌 감히 어명을 거역하겠나이까?
제가 어찌 그런 말을 하겠사옵나이까? |
어휘: -나이다,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예스러운 표현으로) 하십시오할 자리에 쓰여, 단순한 서술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문법: ((‘있다’, ‘없다’, ‘계시다’의 어간, 동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사옵-’ 뒤에 붙어)), 용례: 신령님께 비나이다.
부디 쾌차하시기를 바라옵나이다.
마침 이곳에 이르렀나이다.
명대로 거행하겠나이다.
나라를 위하여 죽는 것이 제 소원이옵나이다.
제 소원을 들어주시기를 간절히 원하옵나이다. |
어휘: -나지라,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아지라. ‘오다’의 어간 뒤에 붙는다., 범주: 옛말, 용례: 오이 어미 놀랄가 녀겨 아 밥 야 이받고 누의 지븨 잠 녀러 오나지라 야 말라 대.≪삼강-중 효:29≫
원문 吳恐驚其母, 凌晨具饌以進, 白云, 將他適, 請暫詣妹家, 母不許.
번역 오이가 어미가 놀랄까 여겨 아침에 밥하여 봉양하고 누이 집에 잠깐 갔다 오고자 한다 하거늘 말라 하니. |
어휘: -나,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거늘., 문법: ((‘오다’의 어간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리 사 마자 馬廐에 드러오나 聖宗 뫼셔 九泉에 가려 시니.≪용가 109장≫
원문 我馬孔瘏 于岡靡陟 言念君子 金罍欲酌
번역 말이 화살을 맞아 마굿간에 들어오거늘 성스러운 임금을 모셔서 구천에 가려 하시니.
그 리 드러 니대 護彌長者ㅣ 나아오나 婆羅門이 安否 묻고 닐오.≪석상 6:14≫
번역 그 딸이 들어와 이르니 호미장자가 나아오거늘 바라문이 안부 묻고 이르되.
그 나랏 十八億 사미 그런 祥瑞 보고 모다 오나.≪석상 6:39≫
번역 그 나라의 십팔억 사람이 그런 상서를 보고 모여 오거늘.
이고 어미 밥 가져오나 머구려 시 예.≪석상 11:41≫
번역 이윽고 어미가 밥 가져오거늘 먹으려 하시는 때에.
優婆掬多尊者ㅣ 一萬 八千 阿羅漢 리고 오나 王이 臣下ㅣ며 眷屬 리고 尊者 가 밥 받고.≪석상 24:34≫
번역 우바국다 존자가 일만 팔천 아라한을 데리고 오거늘 왕이 신하이며 권속 데리고 존자께 가서 밥을 바치고. |
어휘: -나,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거든., 문법: ((‘오다’의 어간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須達이 무로 婚姻 위야 아미 오나 이바도려 노닛가.≪석상 6:16≫
번역 수달이 또 묻되 혼인 위하여 친척이 오거든 대접하려 합니까? |
어휘: -나,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접사, 뜻풀이: 그 수보다 좀 더 됨을 나타내는 접미사., 문법: ((일부 수사 뒤에 붙어)), 범주: 옛말, 용례: 안시 주그니 셜흔나 사미러라.≪삼강-중 충:13≫
원문 顔氏死者, 三十餘人.
번역 안씨가 죽으니 서른남짓한 사람이더라. |
어휘: -난,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니’의 방언, 방언 지역: 제주, 범주: 방언 |
어휘: -난, 구성 단위: 단어, 고유어 여부: 고유어, 품사: 어미, 뜻풀이: ‘-니까’의 방언, 방언 지역: 제주, 범주: 방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