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
stringlengths
3.39k
214k
Human: 아래 공혜왕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공혜왕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공혜왕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공혜왕후 지위 왕비 재위 1469년 ~ 1474년 전임자 안순왕후 후임자 폐비 윤씨 이름 별호 천안군부인 휘호 휘의신숙(徽懿愼肅) 시호 공혜(恭惠) 신상정보 출생일 세조 2년(1456) 10월 11일 출생지 연화방(蓮花坊) 사저 사망일 성종 5년(1474) 4월 15일 사망지 창덕궁 구현전(求賢殿) 능묘 순릉 부친 상당부원군 한명회 모친 황려부부인 민씨 배우자 성종 자녀 없음 공혜왕후 한씨(恭惠王后 韓氏, 1456년 11월 8일(음력 10월 11일) ~ 1474년 4월 30일(음력 4월 15일))는 조선 성종의 원비(元妃)이다. 시호는 휘의신숙공혜왕후(徽懿愼肅恭惠王后)이다. 한명회의 딸로 언니이자 시숙모인 장순왕후와 마찬가지로 20세를 못 넘기고 요절했다.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목차 1 생애 2 가족 관계 3 관련 작품 3.1 드라마 4 각주 생애[편집] 한씨는 상당부원군 충성공 한명회(上黨府院君 忠成公 韓明澮)와 황려부부인 민씨(黃驪府夫人 閔氏)의 막내딸로 1456년 연화방(蓮花坊)에서 태어났다.[1] 1467년 1월 12일 세조의 손자이자 의경세자의 아들인 한 살 연하의 잘산군(乽山君)과 혼인했다.[2] 이 해에는 잘산군의 형 월산군과 누이 명숙공주도 혼인을 했는데 한명회의 집에 예단이 보내진 것은 월산군의 혼례가 있은 지 5일만이었다.[3] 훗날 공혜왕후의 지문에 따르면 잘산군의 배필로 한씨를 택한 것은 세조의 의향이었다고 한다.[1] 그러나 실제로는 잘산군의 어머니인 수빈 한씨가 잘산군과 함께 피접을 나갔다가 허계지(許繼智)라는 사람의 집에서 그 수양딸이었던[4] 한씨를 눈여겨보고 며느릿감으로 골랐다는 견해도 있다.[3] 실제로 잘산군이 직계 왕손인 제안대군이나 형 월산군을 제치고 성종으로 즉위할 수 있었던 데에는 권신 한명회의 딸을 아내로 맞은 일이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5][6] 한씨는 잘산군과 혼인 후 천안군부인(天安郡夫人)으로 불리다 1469년 잘산군이 예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르자 왕비에 책봉되었다.[7] 인수대비는 며느리들에게 무척 엄격한 시어머니였는데 한씨에게 중국의 현모양처들에 관한 이야기인 《열녀전》을 읽게 하는 등 유교 윤리에 따라 철저히 교육했다.[3] 한씨가 자식을 두지 못하자 성종은 후궁을 들였는데 한씨는 싫어하는 내색 없이 그들에게 옷을 준비해서 내리고 그 뒤에도 패물 등을 선물했다.[1] 한씨는 1473년 음력 7월에 병으로 친정(한명회의 집)으로 거처를 옮겼는데, 성종이 하루 걸러 한명회의 집에 들러 그녀의 상태를 살폈다.[1] 이후 회복하여 궁궐로 돌아왔으나, 이 해 12월에 병이 다시 도지고 말았다.[1] 병이 낫지 않을 것을 예감한 왕후 본인의 요청으로 1474년 음력 3월에 창덕궁 구현전(求賢殿)으로 처소를 옮겼고, 성종과 삼대비(정희왕후, 소혜왕후, 안순왕후)가 날마다 구현전으로 가 그녀를 보살폈다.[1] 친정 부모인 한명회와 부인 민씨도 입궐해 병을 돌보았지만 차도가 없었고 한씨는 죽기에 앞서 부모가 며칠째 밥을 먹지 못하는 것을 보고 밥을 먹도록 명했다.[1] 1474년 음력 4월 15일, 19세의 젊은 나이로 훙서하였다. 이에 성종은 공경하고 유순하게 윗사람을 섬김을 공(恭)이라 하고, 너그럽고 부드러우며 인자함을 혜(惠)라 하여 공혜왕후(恭惠王后)의 시호를 올렸으며, 능호는 순혼(順魂, 나중에 순릉이 되었다), 전호는 소경전(昭敬殿)으로 정하였다. 연산군 4년(1498년)에는 휘의신숙(徽懿愼肅)이라는 존호가 더해지기도 했다. 종묘 정전(正殿)에 왕후의 신위가 모셔져 있다. 능은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봉일천리 파주삼릉 내에 위치한 순릉(順陵)이다. 가족 관계[편집] 본가 청주 한씨(淸州 韓氏) 고조부 : 판후덕부사 청성군 증 좌의정 문경공 한수(判厚德府事 淸城君 贈 左議政 文敬公 韓脩, 1333~1384) 고조모 : 시중 길창부원군 권적(侍中 吉昌府院君 權適)의 딸 정녕택주 안동 권씨(靜寧宅主 安東 權氏) 종증조부 : 한성부윤 한상환(漢城府尹 韓尙桓) 종증조모 : 문하평리 충간공 윤승순(門下評理 忠簡公 尹承順)의 딸 파평 윤씨(坡平 尹氏) 재종대고모 : 여성군 민무질(驪城君 閔無疾, ?~1410)과 혼인 - 태종비 원경왕후의 남동생 종증조부 : 우의정 서원군 문간공 한상경(右依政 西原君 文簡公 韓尙敬, 1360∼1423) 종증조모 : 판도판서 오준양(版圖判書 吳俊良)의 딸 마한국대부인 해주 오씨(馬韓國大夫人 海州 吳氏) 재종조부 : 함흥부윤 증 영의정 서원부원군 한혜(兼咸興府尹 贈 領議政 西原府原君 韓惠, 1403~1431) 재종조모 : 동지총제 이수(同知摠制 李穗)의 딸 증 정경부인 성주 이씨(贈 貞敬夫人 星州李氏) 재종조모 : 판중추부사 양혜공 성달생(判中樞府事 襄惠公 成達生)의 딸 증 정경부인 창녕 성씨(贈 貞敬夫人 昌寧 成氏) 재종숙부 : 영중추부사 서원부원군 문양공 한계미(領中樞府事 西原府院君 文襄公 韓繼美, 1421∼1471) 재종숙모 : 안성군부인 파평 윤씨(安城郡夫人 坡平 尹氏) - 세조비 정희왕후의 언니 재종숙부 : 좌찬성 문정공 한계희(左贊成 文靖公 韓繼禧, 1423∼1482) 재종숙모 : 호조참판 여계(戶曹參判 呂稽)의 딸 정경부인 함양 여씨(貞敬夫人 咸陽 呂氏, ?~1455) 증조부 : 대제학 증 좌찬성 문렬공 한상질(大提學 贈 左贊成 文烈公 韓尙質, 1350?~1400) 증조모 : 시중 월성부원군 이성림(侍中 月城府院君 李成林)의 딸 창화부인 경주 이씨(昌化夫人 慶州 李氏) - 1女 生 생증조모 : 청풍도사 송신의(淸風都事 宋臣議)의 딸 창화부인 청풍 송씨(昌化夫人 淸風 宋氏) - 1男 2女 生 조부 : 사헌부감찰 증 영의정 한기(司憲府監察 贈 領議政 韓起, 1393~1429) 조모 : 예문관대제학 이척(藝文館大提學 李逖)의 딸 증 정경부인 여주 이씨(贈 貞敬夫人 驪州李氏) 숙부 : 서원군 이양공 한명진(西原君 夷襄公 韓明溍, 1426~1454) 숙모 : 우찬성 문경공 권제(右贊成 文敬公 權題, 1387∼1445)의 딸 고령현부인 고령 권씨(高靈縣夫人 安東 權氏) 아버지 : 영의정 상당부원군 충성공 한명회(領議政 上黨府院君 忠成公 韓明澮, 1415~1487) 외조부 : 판중추원사 증 좌의정 민대생(判中樞院事 贈 左議政 閔大生, 1372~1467) 외조모 : 전리판서 허금(典理判書 許錦)의 딸 양천 허씨(陽川 許氏) 어머니 : 황려부부인 여흥 민씨(黃驪府夫人 驪興 閔氏, ?~1479) 언니 : 고령부원군 신숙주(高靈府院君 申叔舟, 1417~1475)의 장남 신주(申澍)와 혼인 조카 : 예조참판 신종호(禮曹參判 申從濩, 1456∼1497) 조카손자 : 고원위 문효공 신항(高原尉 文孝公 申沆 1477~1507) 조카손부 : 성종의 서장녀 혜숙옹주(惠淑翁主, 1478~?) 언니 : 윤사로와 정현옹주의 아들 윤반(尹磻)과 혼인 언니이자 시숙모 : 장순왕후 한씨(章順王后 韓氏, 1445~1461) 형부이자 시숙부 : 제8대 예종대왕(睿宗大王, 1450~1469) 조카 : 인성대군 분(仁城大君 糞, 1461~463) 오빠 : 낭성군 양호공 한보(琅城君 襄胡公 韓堡, 1447~1522) 올케언니 : 좌찬성 한성군 안소공 이훈(左贊成 韓成君 安昭公 李塤, 1429∼1481)의 딸 정부인 한산 이씨(貞夫人 韓山 李氏) 조카 : 돈령부정 한경기(敦寧府正 韓景琦, 1472~1529) 질부 : 종실 학림군 이이(鶴林君 李頤)의 딸 숙인 전주 이씨(淑人 全州 李氏) 질부 : 숙천부사 김극장(肅川府使 金克鏘)의 딸 숙인 언양 김씨(淑人 彦陽 金氏) 조카 : 청녕위 한경침(淸寧尉 韓景琛, 1482~?) 질부 : 성종의 서3녀 공신옹주(恭愼翁主, 1481~1549) 서모 : 정종성(鄭宗誠, 1374~1442)의 서녀 정경부인 연일 정씨(貞敬夫人 延日 鄭氏) 서모 : 이공조(李功曺)의 딸 정경부인 전주 이씨(貞敬夫人 全州 李氏) 왕가(王家 : 전주 이씨) 시고조부 : 제3대 태종대왕(太宗大王, 1367~1422) 시고조모 : 원경왕후 민씨(元敬王后 閔氏, 1365~1420) 시증조부 : 제4대 세종대왕(世宗大王, 1397~1450) 시증조모 : 소헌왕후 심씨(昭憲王后 沈氏, 1395~1446) 시종조부 : 제5대 문종대왕(文宗大王, 1414~1452) 시종조모 : 현덕왕후 권씨(顯德王后 權氏, 1418~1441) 종숙부 : 제6대 단종대왕(端宗大王, 1441~1457) 종숙모 : 정순왕후 송씨(定順王后 宋氏, 1440~1521) 시조부 : 제7대 세조대왕(世祖大王, 1417~1468) 시조모 : 정희왕후 윤씨(貞熹王后 尹氏, 1418~14~1483) 시숙부이자 형부 : 제8대 예종대왕 (睿宗大王, 1450~1469) 시숙모이자 언니 : 장순왕후 한씨(章順王后 韓氏, 1445~461) 시아버지 : 추존 덕종대왕(德宗大王, 1438~1457) 시어머니 : 소혜왕후 한씨(昭惠王后 韓氏, 1437~1504) : 인수대비(仁粹大妃) 남편 : 제9대 성종대왕(成宗大王, 1457~1494) 관련 작품[편집] 드라마[편집] 《한명회》 (KBS2, 1994년 배우:김은혜) 《왕과 비》 (KBS1, 1998년~2000년 배우:신지수) 《왕과 나》 (SBS, 2007년~2008년 배우:한다민 / 아역:김희정) 《인수대비》 (JTBC, 2011년~2012년 배우:이지우)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성종실록》 5년(1474) 6월 7일 1번째 기사 ↑ 《세조실록》 13년(1467) 1월 12일 1번째 기사 ↑ 가 나 다 신명호, 《조선왕비실록(숨겨진 절반의 역사)》 역사의 아침, 2007, p.198~ ISBN 978-89-958849-6-6 ↑ 《성종실록》 1년(1470) 5월 28일 4번째 기사 ↑ 최선경, 《왕을 낳은 후궁들》 김영사, 2007, p.65, ISBN 978-89-349-2668-9 ↑ 강현식, 《심리학으로 보는 조선왕조실록》 살림, 2008, p.81, ISBN 978-89-522-1018-0 ↑ 《성종실록》 2년(1471) 1월 19일 1번 째기사 전임안순왕후 조선 역대 왕후1469년 ~ 1474년 후임폐비 윤씨(폐 제헌왕후) vdeh 조선의 후비와 대한제국의 후비4대조추존 목조 효공왕후 이씨 추존 익조 정숙왕후 최씨 부인 손씨 추존 도조 경순왕후 박씨 후궁 조씨 추존 환조 의혜왕후 최씨 부인 이씨 정빈 김씨 조선후비태조 신의왕후 한씨 신덕왕후 강씨 성비 원씨 정경궁주 유씨 화의옹주 김씨 찬덕 주씨 정종 정안왕후 김씨 성빈 지씨 숙의 지씨 숙의 기씨 숙의 문씨 숙의 이씨 숙의 윤씨 초궁장 태종 원경왕후 민씨 효빈 김씨 신빈 신씨 선빈 안씨 명빈 김씨 의빈 권씨 소빈 노씨 정빈 고씨 숙의 최씨 숙공궁주 김씨 의정궁주 조씨 혜순궁주 이씨 신순궁주 이씨 덕숙옹주 이씨 혜선옹주 홍씨 순혜옹주 장씨 서경옹주 세종 소헌왕후 심씨 영빈 강씨 신빈 김씨 혜빈 양씨 귀인 박씨 귀인 최씨 숙의 조씨 소용 홍씨 숙원 이씨 상침 송씨 사기 차씨 문종 현덕왕후 권씨 폐 휘빈 김씨 폐 순빈 봉씨 숙빈 홍씨 소의 류씨 숙의 문씨 소용 권씨 소용 정씨 소용 윤씨 상궁 장씨 사칙 양씨 단종 정순왕후 송씨 숙의 김씨 숙의 권씨 세조 정희왕후 윤씨 근빈 박씨 폐 소용 박씨 추존 덕종 소혜왕후 한씨 귀인 권씨 귀인 윤씨 숙의 신씨 예종 장순왕후 한씨 안순왕후 한씨 공빈 최씨 상궁 기씨 후궁 이씨 성종 공혜왕후 한씨 폐비 윤씨(제헌왕후) 정현왕후 윤씨 명빈 김씨 귀인 정씨 귀인 엄씨 귀인 권씨 귀인 남씨 소의 이씨 숙의 하씨 숙의 홍씨 숙용 심씨 숙용 권씨 숙원 윤씨 연산군 거창군부인 신씨 숙의 곽씨 숙의 이씨 숙의 윤씨 숙의 권씨 숙의 민씨 숙용 장씨 숙용 전씨 숙용 조씨 숙원 최씨 숙원 김씨 숙화 김씨 궁인 안씨 내인 정금 중종 단경왕후 신씨 장경왕후 윤씨 문정왕후 윤씨 경빈 박씨 희빈 홍씨 창빈 안씨 귀인 한씨 숙의 나씨 숙의 김씨 숙의 홍씨 숙의 이씨 숙원 이씨 숙원 권씨 인종 인성왕후 박씨 숙빈 윤씨 혜빈 정씨 귀인 정씨 양제 윤씨 명종 인순왕후 심씨 경빈 이씨 순빈 정씨 소의 신씨 숙의 한씨 숙의 신씨 숙의 정씨 숙의 정씨 선조 의인왕후 박씨 인목왕후 김씨 공빈 김씨(공성왕후) 인빈 김씨 순빈 김씨 정빈 민씨 정빈 홍씨 온빈 한씨 귀인 정씨 숙의 정씨 소원 윤씨 광해군 문성군부인 류씨 소의 윤씨 소의 홍씨 숙의 허씨 숙의 원씨 숙의 권씨 소용 정씨 소용 임씨 소원 신씨 상궁 이씨 상궁 최씨 궁인 조씨 궁인 변씨 추존 원종 인헌왕후 구씨 후궁 김씨 인조 인렬왕후 한씨 장렬왕후 조씨 폐 귀인 조씨 귀인 장씨 숙의 나씨 숙원 장씨 상궁 이씨 효종 인선왕후 장씨 안빈 이씨 숙의 김씨 숙원 정씨 현종 명성왕후 김씨 숙종 인경왕후 김씨 인현왕후 민씨 인원왕후 김씨 희빈 장씨 화경숙빈 최씨 명빈 박씨 영빈 김씨 귀인 김씨 소의 유씨 경종 단의왕후 심씨 선의왕후 어씨 영조 정성왕후 서씨 정순왕후 김씨 정빈 이씨 영빈 이씨 귀인 조씨 폐 숙의 문씨 추존 진종 효순왕후 조씨 추존 장조 헌경왕후 홍씨 숙빈 임씨 경빈 박씨 양제 가선 정조 효의왕후 김씨 의빈 성씨 수빈 박씨 원빈 홍씨 화빈 윤씨 순조 순원왕후 김씨 숙의 박씨 추존 문조 신정왕후 조씨 헌종 효현왕후 김씨 효정왕후 홍씨 경빈 김씨 정빈 윤씨 숙의 김씨 철종 철인왕후 김씨 귀인 박씨 귀인 조씨 숙의 방씨 숙의 범씨 숙의 김씨 궁인 이씨 궁인 박씨 대한제국후비고종태황제 명성태황후 민씨 순헌황귀비 엄씨 영보당 이씨 귀인 장씨 광화당 이씨 보현당 정씨 내안당 이씨 복녕당 양씨 삼축당 김씨 정화당 김씨 궁인 서씨 궁인 김씨 궁인 장씨 순종효황제 순명효황후 민씨 순정효황후 윤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공혜왕후&oldid=21286263" 분류: 1456년 태어남1474년 죽음조선의 왕비한명회병사한 사람서울특별시 출신청주 한씨15세기 한국 사람조선 덕종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ไทย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5월 18일 (금) 01:0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공혜왕후 한씨(恭惠王后 韓氏, 1456년 11월 17일(음력 10월 11일) ~ 1474년 5월 9일(음력 4월 15일))는 조선 성종의 원비(元妃)이다. 시호는 휘의신숙공혜왕후(徽懿愼肅恭惠王后)이다. 한명회의 딸로 언니이자 시숙모인 장순왕후와 마찬가지로 20세를 못 넘기고 요절했다.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상당부원군 한명회와 황려부부인 민씨 사이에서 출생한 막내딸인 한씨는 1467년에 어떤 사람과 혼인을 올렸을까? Assistant: 잘산군 Human: 아래 엘리자베스_올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엘리자베스 올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엘리자베스 올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엘리자베스 올슨Elizabeth Olsen 샌디에이고 코믹콘 인터내셔널에서본명 엘리자베스 체이스 올슨Elizabeth Chase Olsen출생 1989년 2월 16일(1989-02-16) (30세)미국 셔먼오크스국적 미국다른 이름 리지 올슨Lizzie Olsen직업 배우활동 기간 1993년 - 현재 형제자매 애슐리 올슨 (언니)메리케이트 올슨 (언니)트렌트 올슨 (오빠)테일러 올슨제이크 올슨 엘리자베스 올슨(영어: Elizabeth Olsen, 1989년 2월 16일 ~ )은 미국의 배우이다.[1] 독립 스릴러 드라마 영화 《마사 마시 메이 마릴린》에 출연하여, 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 여우주연상,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 여우주연상 외 다른 시상식에서 후보에 오른 2011년부터 두각을 드러냈다. 그 뒤로 《사일런트 스크림》 (2011), 《리버럴 아츠》 (2012), 《올드보이》 (2013), 《고질라》 (2014), 《빛을 보았다》 (2015), 《언프리티 소셜 스타》 (2017), 《윈드 리버》 (2017)에 출연했다.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 (2014)의 엔딩 크레딧 장면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 스칼렛 위치 역으로 출연하여, 세계적인 인지도를 얻었고, 그 후로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2015),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2016),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2018), 《어벤져스: 엔드게임》 (2019)에 출연했다. 목차 1 어린 시절 2 생애 3 사생활 4 출연 작품 4.1 영화 4.2 텔레비전 4.3 단편작 5 수상 및 후보 6 각주 7 외부 링크 어린 시절[편집] 올슨은 캘리포니아주 셔먼오크스에서 연예 매니저 재닛 “재니”와 부동산업자 및 담보은행가 데이비드와 데이비드 "데이브" 올슨의 딸로 태어났다.[1][2] 그녀는 어린 시절부터 텔레비전과 영화 스타로 주목받은 올슨 자매의 여동생이었다. 올슨은 오빠인 트렌트와 배다른 형제 두 명이 있다. 1996년에 아버지와 어머니가 이혼을 했다.[3] 올슨은 노르웨이인과 잉글랜드인 혈통을 지녔다.[4] 어릴 적에, 올슨은 발레와 가창 수업을 들었다.[5] 언니들이 출연한 영화에 출연하면서, 어렸을 때 연기를 시작했다. 11세가 되기 전에, 올슨은 《하우 디 웨스트 워스 펀》과 곧바로 비디오로 직행한 《디 어드벤처스 오브 메리케이트 앤 애슐리》에서 작은 배역을 맡았다.[6] 당시 4학년 때 언니들의 비디오에 출연한, 올슨은 다른 작품들에도 오디션을 보기 시작했다. 그는 유치원 때부터 12학년까지 캘리포니아 노스할리우드에 있는 캠벨 홀 스쿨에 다녔다.[7] 졸업 후에, 그는 뉴욕 대학교의 티시 예술대학으로 진학했다. 2009년, 올슨은 유진 오닐 시어터 센터의 MATS 프로그램 과정을 통해 모스크바 예술극장 학교에서 한 학기를 공부했다.[7] 생애[편집] 《마사 마시 메이 마릴린》 시사회 중인 2011년 토론토 국제 영화제에서 올슨 올슨은 4살 때 연기를 시작했고 메리케이트와 애슐리가 출연한 영화 6편에 같이 출연했으며, 영화 《스파이 키드》 오디션을 보기도 했다.[8] 그는 메리케이트의 식사장애 문제에 대한 광적인 미디어의 관심으로 2004년에 연기를 사실상 관뒀다.[9] 오늘날 올슨을 있게 하도록 주목을 받은 것은 2011년 영화 《마사 마시 메이 마릴린》 이었다. 올슨의 연기와 함께 이 영화는 비평적 호평을 받았다. 올슨은 주인공이기도 한 컬트 집단에 빠졌다가 집으로 돌아온 후 망상과 불면증으로 고통받는 소녀 마사 역에 대한 연기로 수많은 영화상에서 후보에 올라 수상했다.[6][10][11] 그후에 리메이크 공포 영화 《사일런트 스크림》에 출연하여, 세라 역을 연기했다. 영화는 엇갈린 반응을 받았지만,[12] 올슨의 연기는 극찬을 받았다.[11] 올슨은 카를로타의 곡 "The Queen"의 뮤직 비디오에 출연하기도 했다.[13] 올슨은 2011년 중반에 영화 《레드라이트》를 찍었으며, 영화는 2012년 7월 13일 미국에서 개봉했다.[14] 그는 2012년 1월 22일에 개봉한 조시 래드너의 영화 《리버럴 아츠》에 출연했다.[15] 그는 다코타 패닝과 같이 2013년에 개봉한 영화 《베리 굿 걸》에 출연했다.[16][17] 2013년 코믹콘에서 올슨 2013년 1월, 올슨은 영국 아카데미상 라이징 스타 후보로 선정됐다.[18] 그는 2003년에 제작된 대한민국의 영화 《올드보이》의 2013년 미국 리메이크 작품에 출연했으며, 조슈 브롤린이 연기한, 주인공과 연인 사이로 발전하게된 젊은 사회복지사 메리 역을 연기했다.[19] 그는 《킬 유어 달링》 에서 잭 케루악의 첫 번째 남편이자 비트세대 회고록 《You'll Be Okay》의 작가인 이디 파커 역을 연기했다. 또한 2013년에는 에밀 졸라의 1867년 고전 소설 《테레즈 라캥》을 각색한 영화에서 주연을 맡았다.[20] 2014년에, 올슨은 레전더리의 리부트 영화 《고질라》에서, 브라이언 크랜스턴과 애런 테일러존슨의 상대역으로 출연했다.[21][22] 올슨은 《어벤저스》의 2015년 후속작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에 스칼렛 위치 역을 연기하며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 합류했다.[23][24] 그는 남동생 역인 퀵실버를 연기했고, 《고질라》에서 같이 출연한 테일러존슨과 함께 영화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 의 크레딧 장면 중간에 해당 배역으로 첫 출연했다.[25] 그는 2016년 영화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와 2018년 후속작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에 같은 배역으로 재출연했다.[26] 2014년 9월, 올슨이 마크 에이브러험이 연출하고, 행크 윌리엄스 역을 맡은 톰 히들스턴이 출연한 2015년 전기 영화 《빛을 보았다》 에서 행크 윌리엄스의 아내이자 매니저 및 듀엣 파트너 오드리 윌리엄스 역을 연기할 것이라고 알려졌다.[27] 2016년 1월, 올슨이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에 같이 출연한 제레미 레너와 같이, 테일러 셰리던의 감독 데뷔작 《윈드 리버》에 출연한다고 보도되었다.[28] 2016년 8월, 올슨이 맷 스파이서의 《언프리티 소셜 스타》에서 오브리 플라자의 상대역으로 출연할 것이라는 것이 알려졌다.[29] 두 영화 모두 2017년 8월에 개봉되었다.[30] 사생활[편집] 올슨은 뉴욕 대학교의 티시 예술대학과 애틀래틱 시어터 컴퍼니에 진학했고 6년간 간헐적인 학업 끝에 2013년 3월에 졸업했다.[31][32] 언니들의 의류 브랜드 "엘리자베스 앤 제임스"는 올슨과 올슨의 오빠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7] 올슨과 보이드 홀브룩은 2014년 3월에 약혼을 했으나,[33][34] 2015년 1월에 결렬되었다.[35] 출연 작품[편집] 영화[편집] 연도 제목 배역 참고 2011 사일런트 스크림 사라 2011 마사 마시 메이 마를린 마사 2011 피스, 러브 &미스언더스탠딩 조이 2012 레드라이트 샐리 오웬 2012 리버럴 아츠 지비 2013 킬 유어 달링 에디 파커 2013 베리 굿 걸 제리 2013 테레즈 라캥 테레즈 라캥 2013 올드 보이 메리 세바스찬 / 미아 도쳇 2014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 완다 막시모프 / 스칼렛 위치 카메오[36] 2014 고질라 엘리 브로디 2015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완다 막시모프 / 스칼렛 위치 2015 빛을 보았다 오드리 윌리엄스 2016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완다 막시모프 / 스칼렛 위치 2017 언프리티 소셜 스타 테일러 슬론 2017 윈드 리버 제인 배너 2017 코다크롬 주이 컨 2018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완다 막시모프 / 스칼렛 위치 2019 어벤져스: 엔드게임 텔레비전[편집] 연도 제목 배역 참고 1994 하우 디 웨스트 워스 펀 차 속 소녀 텔레비전 영화 2016 드렁크 히스토리 노마 코프 에피소드: "Siblings" 2017 하몬퀘스트 스터립 에피소드: "The Keystone Obelisk"[37] 2018-현재 소리 포 유어 로스 리 쇼깁스 책임 프로듀서 겸함 2020 완다비전 완다 막시모프 / 스칼릿 위치 제작전 단편작[편집] 연도 제목 배역 Notes 1993 Our First Video 본인 1993 Olsen Twins Mother's Day Special 본인 1994–1996 어드벤처스 오브 메리케이트 앤 애슐리 본인 4편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작품 시상식 부문 결과 각주 2011 마사 마시 메이 마릴린 전미 여성 영화 언론인 연맹 신인상 수상 시카고 영화 비평가 협회 최우수 유망상 수상 [38] 플로리다 영화 비평가 협회 Pauline Kael Breakout Award 수상 [39] 헨트 국제 영화제 Special Mention 수상 [40] 로스엔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 차세대 상 수상 [41] 벤쿠버 영화 비평가 협회 여우주연상 수상 [42] 방송 영화 비평가 협회 여우주연상 후보 [43] 시카고 영화 비평가 협회 여우주연상 후보 [44] 디트로이트 영화 비평가 협회 Best Breakthrough Performance 후보 [45] 고섬 어워드 Best Breakthrough Actress 후보 [46] 고섬 어워드 최우수 앙상블 연기상 후보 [46]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 여우주연상 후보 [47] 온라인 영화 비평가 협회 여우주연상 후보 [48] 샌디에이고 영화 비평가 협회 여우주연상 후보 [49] 새틀라이트상 영화 부문 여우주연상 후보 [50] 새턴상 여우주연상 후보 [51] 토론토 영화 비평가 협회 여우주연상 후보 [52] 워싱턴 D.C. 영화 비평가 협회 여우주연상 후보 [53] 2013 본인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BAFTA 떠오르는 스타상 후보 [54] 사일런트 스크림 팬고리아 체인소 어워드 여우주연상 수상 [55] 2014 고질라 틴 초이스 어워드 Choice Movie: Breakout Star 후보 [56] 2015 빛을 보았다 도빌 미국 영화제 할리우드 신인상 수상 [57]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틴 초이스 어워드 Choice Movie: Breakout Star 후보 [58] 2016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틴 초이스 어워드 Choice Movie: Chemistry크리스 에반스, 세바스티안 스탄, 앤서니 매키, 제레미 레너와 공동 후보 [59] 2018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MTV 무비 & TV 어워드 Best Fight다나이 구리라, 스칼릿 조핸슨, 캐리 쿤과 공동 후보 [60] 틴 초이스 어워드 Choice Action Movie Actress 후보 [61][62] 각주[편집] ↑ 가 나 “Elizabeth Olsen”. 《Hollywood.com》. 2017년 5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15일에 확인함.  ↑ “Mary-Kate Olsen Biography (1986-)”. Filmreference.com. 2013년 10월 4일에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5일에 확인함.  ↑ Tauber, Michelle (2004년 5월 3일). “Two Cool”. 《피플》. 2016년 11월 21일에 확인함.  ↑ Briodagh, Kenneth (2010년 3월 11일). “Mobile Marketing Gets Cool”. 《EventMarketer.com》. 2016년 6월 22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7일에 확인함. JCPenney for four days in October last year hit the streets of New York City with a mobile ice cream truck filled with goodies and samples of its Olsenboye collection, a new line of junior apparel designed by Mary Kate and Ashley Olsen for sale at its stores this spring. The name, Olsenboye, derives from the twins’ Norwegian ancestry.  ↑ Bakker, Tiffany (2012년 1월 15일). “Elizabeth Olsen admires her sisters”. 《데일리 텔레그래프》. 2018년 5월 15일에 확인함.  ↑ 가 나 Bierly, Mandi (2010년 9월 3일). “Elizabeth Olsen, younger sister of Mary-Kate and Ashley, makes name for herself”. 《Entertainment Weekly》. 2013년 10월 12일에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5일에 확인함.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Bierly"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가 나 다 Connor, Katie L. (2011년 11월 21일). “Lizzie Olsen: Miss Independent”. 《마리끌레르》. 2013년 6월 20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Grady, Pam (2011년 10월 23일). “Elizabeth Olsen, character caught between 2 worlds”.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 2012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2일에 확인함.  ↑ Malkin, Marc; Malec, Brett (2011년 10월 6일). “Elizabeth Olsen Almost Quit Acting Because of Sisters Mary-Kate and Ashley (Thankfully, She Didn't!)”. 《E!》. 2017년 8월 29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17일에 확인함.  ↑ Wilson, Stacey (2011년 1월 21일). “Olsen twins' little sister makes Sundance debut”. 《로이터》. 2018년 1월 30일에 확인함.  ↑ 가 나 “Elizabeth Olsen: 5 Things You Need to Know”. 《할리우드 리포터》. 2011년 1월 24일. 2018년 7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5일에 확인함.  ↑ “Silent House (2012)”. 《로튼 토마토스》. 2018년 5월 3일에 확인함.  ↑ Balser, Erin (2007년 6월 27일). “Lizzie Olsen is the Queen!”. 《Crushable.com》. 2013년 1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5일에 확인함.  ↑ White, James (2011년 1월 24일). “Elizabeth Olsen Joins Red Lights”. 《엠파이어》. 2016년 3월 8일에 보존된 문서. 2018년 1월 24일에 확인함.  ↑ Kit, Borys (2011년 3월 23일). “Josh Radnor, Elizabeth Olsen Teaming for Indie 'Liberal Arts'”. 《The Hollywood Reporter》. 2015년 10월 7일에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25일에 확인함.  ↑ Gallagher, Brian (2011년 5월 12일). “Very Good Girls Lands Dakota Fanning and Elizabeth Olsen”. 《무비웹》. 2018년 4월 8일에 확인함.  ↑ Fleming, Mike (2011년 5월 12일). “Cannes: Ealing Metro/Prescience To Finance Very Good Girls With Dakota Fanning And Elizabeth Olsen”. 《데드라인 할리우드》. 2013년 1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5일에 확인함.  ↑ Lankester, Mark (2013년 1월 7일). “BAFTA 2013 Rising Star Award: nominees announced”. Yahoo! Movies UK. 2013년 11월 17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17일에 확인함.  ↑ Rosen, Christopher (2012년 9월 11일). “Elizabeth Olsen: Oldboy Role Is 'Really Exciting'”. 《허핑턴 포스트》. 2018년 2월 26일에 확인함.  ↑ “Principal Photography Commences on LD Entertainment Production "Therese"”. 2013년 8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28일에 확인함.  ↑ Kroll, Justin (2013년 2월 6일). “Elizabeth Olsen, Bryan Cranston circling Godzilla”. 《버라이어티》. 2018년 11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3월 17일에 확인함.  ↑ Gettell, Oliver (2014년 2월 25일). “Godzilla trailer: Bryan Cranston panics, destruction rains down”.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2014년 4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3월 17일에 확인함.  ↑ “Official: Elizabeth Olsen & Aaron Taylor-Johnson Join Avengers: Age of Ultron”. 마블 엔터테인먼트. 2013년 11월 25일. 2013년 1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25일에 확인함.  ↑ Ryan, Mike (2013년 11월 15일). “Oldboy's Elizabeth Olsen On Her 'Damaged' Avengers: Age Of Ultron Character”. 《허핑턴 포스트》. 2016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Milly, Jenna (2014년 3월 14일). “Captain America: The Winter Soldier premiere: Crossover is the word”.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2014년 10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3월 17일에 확인함.  ↑ Johnson, Zach (2015년 4월 23일). “Elizabeth Olsen Will Star in Captain America: Civil War!”. 《E!》. 2019년 3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4월 23일에 확인함.  ↑ Bernstein, Jonathan (2014년 9월 12일). “Elizabeth Olsen to Play Hank Williams' Wife in Upcoming Movie”. 《롤링 스톤》. 2015년 9월 8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15일에 확인함.  ↑ Robinson, Will (2016년 1월 15일). “Jeremy Renner, Elizabeth Olsen leading crime drama Wind River by Sicario writer”.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2016년 1월 23일에 확인함.  ↑ Kroll, Justin (2016년 8월 1일). “Aubrey Plaza, Elizabeth Olsen to Star in Dark Comedy ‘Ingrid Goes West’”. 《버라이어티》. 2017년 8월 15일에 확인함.  ↑ Kaufman, Amy (2017년 7월 28일). “Elizabeth Olsen does double duty in 'Wind River' and 'Ingrid Goes West'”. 《로스엔젤레스 타임스》. 2017년 8월 15일에 확인함.  ↑ “Elizabeth Olsen and Eric Ripert Prepare Wild Boar Ragu”. 유튜브. 2013년 3월 21일. 2013년 7월 23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17일에 확인함.  ↑ Rozen, Leah (2011년 10월 11일). “An Olsen Sister Finds a Spotlight All Her Own”. 《뉴욕 타임스》. 2016년 12월 22일에 보존된 문서.  ↑ Maresca, Rachel. “Elizabeth Olsen engaged to boyfriend Boyd Holbrook: report - NY Daily News”. 《nydailynews.com》 (영어). 2018년 6월 14일에 확인함.  ↑ “Elizabeth Olsen Engaged to Boyd Holbrook!”. 《유에스 위클리》 (영어). 2014년 3월 12일. 2018년 6월 14일에 확인함.  ↑ “Elizabeth Olsen, Boyd Holbrook Split, Break Off Engagement: Details”. 《유에스 위클리》 (영어). 2015년 1월 19일. 2018년 6월 14일에 확인함.  ↑ Varma, Arjun (2014년 3월 12일). “Captain America The Winter Soldier: Leaked Post-Credits Scenes Feature Quicksilver and Scarlet Witch”. 《인터내셔널 비즈니스 타임스》. 2014년 3월 19일에 보존된 문서.  ↑ “HarmonQuest S02E08 - The Keystone Obelisk”. 2018년 4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18일에 확인함.  ↑ “CFCA Names Tree of Life Best Picture”. 시카고 영화 비평가 협회. 2012년 1월 7일. 2015년 4월 17일에 보존된 문서.  ↑ Strout, Justin (2011년 12월 19일). “Florida Film Critics Circle awards The Descendants best picture”. 《올랜드 위클리》. 2015년 5월 8일에 보존된 문서.  ↑ “Elena Wins Top Prize at Ghent Film Festival”. 《인디와이어》. 2011년 10월 20일. 2011년 10월 21일에 보존된 문서.  ↑ Pond, Steve (2011년 12월 11일). “The Descendants Is Best, Say L.A. Film Critics”. 《디랩》. 2015년 5월 8일에 보존된 문서. 2017년 11월 3일에 확인함.  ↑ Vlessing, Etan (2012년 1월 9일). “Michel Hazanavicius' The Artist Named Best Film by Vancouver Film Critics”. 《할리우드 리포터》. 2014년 1월 3일에 보존된 문서.  ↑ Kilday, Gregg (2011년 12월 13일). “Hugo and The Artist Top the Broadcast Film Critics' List of Nominations With 11 Each”. 《할리우드 리포터》. 2012년 1월 7일에 보존된 문서.  ↑ “Tree of Life Leads CFCA Nominations with 7; Descendants, Drive Follow with 6”. Chicago Film Critics Association. 2011. 2015년 4월 17일에 보존된 문서.  ↑ Hall, Corey (2011년 12월 12일). “The Detroit Film Critics society weighs in”. 메트로 타임스. 2015년 5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가 나 Kilday, Gregg (2011년 10월 20일). “Gotham Award Noms Go to The Descendants and Martha Marcy May Marlene”. 《The Hollywood Reporter》. 2015년 3월 24일에 보존된 문서.  ↑ DiMeglio, Mary J. (2012년 2월 25일). “Independent Spirit Awards 2012: Winners List”. 《MTV News》. 2015년 5월 8일에 보존된 문서.  ↑ “2011 Awards (15th Annual)”. 온라인 영화 비평가 협회. 2011. 2015년 3월 16일에 보존된 문서.  ↑ “San Diego Film Critics Select Top Films for 2011”. 샌디에이고 영화 비평가 협회. 2011년 12월 12일. 2013년 1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8일에 확인함.  ↑ Kilday, Gregg (2011년 12월 2일). “The Artist, War Horse Among Contenders Nominated for Satellite Awards”. 《할리우드 리포터》. 2012년 1월 6일에 보존된 문서.  ↑ Goldberg, Matt (2012년 2월 29일). “Saturn Award Nominations Announced; Hugo and Harry Potter Lead with 10 Nominations Each”. 《콜리더》. 2015년 4월 16일에 보존된 문서.  ↑ “The Tree of Life Named Best Picture of 2011”. Toronto Film Critics Association. 2011년 12월 14일. 2015년 5월 8일에 보존된 문서.  ↑ “The 2011 WAFCA Awards”. 워싱턴 D.C. 영화 비평가 협회. 2011년 12월 5일. 2014년 10월 18일에 보존된 문서.  ↑ Tartaglione, Nancy (2013년 1월 7일). “BAFTA Rising Star Award Nominees Include Elizabeth Olsen, Juno Temple”. 《데드라인 할리우드》. 2014년 8월 13일에 보존된 문서.  ↑ Gingold, Michael (2013년 6월 13일). “The 2013 Fangoria Chainsaw Awards Results!”. Fangoria. 2013년 12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8일에 확인함.  ↑ “Teen Choice Awards: The Complete Winners List”. 2017년 8월 15일에 확인함.  ↑ Richford, Rhonda (2015년 8월 24일). “Robert Pattinson, Elizabeth Olsen to Be Honored at Deauville Film Fest”. 《The Hollywood Reporter》. 2015년 12월 11일에 보존된 문서. Deauville is adding star power to this year's program, with Robert Pattinson and Elizabeth Olsen set to receive the Hollywood Rising Star awards at the 41st edition of the film festival.  ↑ “Teen Choice Awards 2015 Winners: Full List”. 《Variety》. 2015년 8월 16일.  ↑ “Wave 2 Teen Choice Nominees!”. Teen Choice Awards. 2016년 6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8일에 확인함.  ↑ Nordyke, Kimberly (May 3, 2018). “MTV Movie & TV Awards: 'Black Panther,' 'Stranger Things' Top Nominations”. 《할리우드 리포터》. May 3, 2018에 보존된 문서. May 3, 2018에 확인함.  ↑ “Teen Choice Awards: Winners List”. 《할리우드 리포터》. 2018년 8월 12일. 2018년 8월 13일에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14일에 확인함.  ↑ Douglas, Esme. “Teen Choice Awards 2018: See the full list of winners”. 《EW》. 2018년 8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1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엘리자베스 올슨 (영어) 엘리자베스 올슨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엘리자베스 올슨 - 인스타그램 (영어) 엘리자베스 올슨 - 페이스북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32505986 LCCN: no2012023015 ISNI: 0000 0003 6671 1633 GND: 1025833430 SUDOC: 164974512 BNF: cb16623696p (데이터) NKC: xx0183389 BNE: XX532135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엘리자베스_올슨&oldid=24529093" 분류: 1989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미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미국의 여자 영화 배우미국의 여자 어린이 배우티시 예술대학 동문로스앤젤레스 출신 배우덴마크계 미국인노르웨이계 미국인잉글랜드계 미국인1993년 데뷔숨은 분류: 참조 오류가 있는 문서CS1 - 영어 인용 (en)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বাংলাکوردی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हिन्दी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Қазақша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Bahasa MelayuNederlandsNorskOccitan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5일 (금) 17: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엘리자베스 올슨(영어: Elizabeth Olsen, 1989년 2월 16일 ~ )은 미국의 배우이다. 독립 스릴러 드라마 영화 《마사 마시 메이 마릴린》에 출연하여, 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 여우주연상,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 여우주연상 외 다른 시상식에서 후보에 오른 2011년부터 두각을 드러냈다. 그 뒤로 《사일런트 스크림》 (2011), 《리버럴 아츠》 (2012), 《올드보이》 (2013), 《고질라》 (2014), 《빛을 보았다》 (2015), 《언프리티 소셜 스타》 (2017), 《윈드 리버》 (2017)에 출연했다.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 (2014)의 쿠키 영상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 스칼렛 위치 역으로 출연하여, 세계적인 인지도를 얻었고, 그 후로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2015),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2016),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2018), 《어벤져스: 엔드게임》 (2019)에 출연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엘리자베스 올슨은 2013년에 무슨 후보로 뽑혔어? Assistant: 영국 아카데미상 라이징 스타
Human: 아래 고쿠후_문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고쿠후 문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쿠후 문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7월) 고쿠후 문화 (일본어: 国風文化 고쿠후 분카[*], "국풍 문화")는 일본(日本)에서 10세기 초부터 11세기 셋칸 정치(摂関政治) 시기를 중심으로 발달한 문화로, 12세기 인세이(院政) 시기의 헤이안 말기 문화로 이어졌다. 이 시기에 당나라로 사신을 파견하는 견당사(遣唐使) 제도가 폐지되었으며, 정토교(淨土敎)가 유행하였고, 무라사키 시키부(紫式部) 같은 여성 작가들이 활동하였으며 가나 문자(假名文字)가 발생하였다. 중국(당나라)의 영향을 강하게 받던 나라(奈良) 시대의 당풍(唐風) 문화와 대조되는 단어로서 이것을 국풍, 또는 와풍(和風)・왜풍(倭風) 문화로 부르기도 한다. 현재까지도 대부분의 일본 문화 속에 남아 이어지고 있는 것이 많다.[1] 목차 1 특색 1.1 견당사 폐지 1.2 정토교의 유행 1.3 여방문학의 발달 1.4 가나 문자의 사용 2 문학 2.1 시가(詩歌) 2.2 이야기집(物語) 2.3 일기・수필 2.4 기타 3 복장 3.1 남성용 3.2 여성용 4 악기 5 종교 6 건축 7 조각 8 회화 9 서예 10 공예 10.1 도검 10.2 마키에(蒔絵) 11 같이 보기 12 각주 특색[편집] 견당사 폐지[편집] 간표(寛平) 6년(894년) 일본 조정은 스가와라노 미치자네의 건의를 받아들여 견당사 제도를 폐지하였고, 이것은 그 전까지 중국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유입된 문화적 영향에서 탈피할 계기를 마련한 사건으로 해석되어 일본 독자문화가 발전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 일반적인 해석이다. 그러나 견당사 폐지 이후에도 일본은 여전히 대외교류가 활발하였고 중국의 문물도 당나라가 멸망하고 송나라가 들어설 때까지 지속적으로 일본에 유입되었다. 때문에 견당사 폐지를 국풍문화의 시발점으로 보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게다가 당풍의 문화를 답습하는 한편으로 일본적인 풍토나 생활감정을 지칭하는 이른바 '고쿠후(国風)'를 중시하는 경향이 이미 나라 시대부터 이어져오고 있었다는 점에서, 견당사 폐지란 고쿠후 문화의 시작이 아니라 그것을 더욱 가속화시킨 요인이었다고 보는 것이 더 적당하다. 정토교의 유행[편집] 말법(末法) 사상을 배경으로 하는 정토교 즉 정토신앙이 유행하게 되었다. 9세기 전반에 엔닌(円仁)이 중국 당나라 오대산(五台山)의 염불삼매법(念仏三昧法)을 배워서 히에이(比叡) 산을 중심으로 전수하였고, 당시의 조정 대신이었던 미나모토노 마코토(源信)가 『왕생요집(往生要集)』을 지어 천태정토교(天台浄土教)라 불리던 정토교 신앙을 대성시켰다. 또한 코우야(空也)는 서민들을 대상으로 이러한 정토교의 포교를 행하여 '시장의 성인(聖人)'이라고까지 불렸다. 이러한 정토신앙에 심취해 있었던 교토의 귀족들에 의해 오늘날 고쿠후 문화의 상징으로 불리는 대표적인 불교건축, 불상, 불화(佛畵) 등에 그 영향을 남기게 되었던 것이다. 여방문학의 발달[편집] 후지와라(藤原) 집안(후지와라 홋케北家)에 의한 셋칸 정치란 후지와라의 딸을 천황의 비로 들임으로서 그 소생의 황자가 천황으로 즉위하면 황자의 생모의 아버지는 천황의 외조부로서 권력을 장악한다는, 이미 고대 한국이나 중국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전형적인 외척 정치였다. 후지와라의 자녀를 궁중에 들이고 또 천황의 환심을 사기 위해서는 유능한 여성을 뽑아 그 옆에서 뇨보(女房)로서 모시게 할 필요가 있었다. 이때의 뇨보는 수령층 같은 중급 귀족의 자녀가 대부분으로, 중급 귀족들은 후지와라에 발탁될 수 있도록 자녀 교육에 힘을 쏟았고 그 결과 세이 쇼나곤(清少納言)이나 무라사키 시키부 같은 많은 여성 작가들이 탄생하기에 이르렀다. 가나 문자의 사용[편집] 나라 시대부터 이미 한자(漢字)의 음과 뜻을 빌려 일본어를 표기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었던 만요가나(万葉仮名)는 이 시대가 되면 가나 문자(히라가나, 가타가나)로서 널리 쓰이게 된다. 가타가나는 한자의 일부에서 그 글자의 모양이 유래하였는데(예: 伊→イ) 한문 훈독을 위한 보조문자로서 쓰였다. 또한 히라가나는 한자의 초서체(草書體)에서 기원한 것으로(安→あ) 주로 여성들이 많이 사용하였다. 기노 쓰라유키(紀貫之)가 편찬한 『고킨와카슈(古今和歌集)』의「가나서(仮名序)」는 한문 용법의 잔영이 남아있는 한편으로 히라가나로 쓰여진 일본어 문장으로서는 가장 초기의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문학[편집] 시가(詩歌)[편집] 고킨와카슈: 엔기(延喜) 5년(905년)에 다이고(醍醐) 천황이 기노 쓰라유키(紀貫之), 기노 도모노리(紀友則), 오오시코우치노 미쓰네(凡河内躬恒), 미부노 다다미네(壬生忠岑) 등에게 편찬하게 한 최초의 칙선(勅撰) 와카집. 와칸로에슈(和漢朗詠集): 간닌(寛仁) 2년(1018년) 무렵에 후지와라노 기미토(藤原公任)가 편찬한 한시집(漢詩集). 이야기집(物語)[편집] 다케토리 이야기(竹取物語): 현존하는 일본 최고(最古)의 가나(仮名) 이야기집. 이세 이야기(伊勢物語): 아리와라노 나리히라(在原業平)를 주인공으로 한 것으로 여겨지는 이야기집. '노래'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쓰호 이야기(うつほ物語): 견당부사(遣唐副使) 기요하라노 도시카게(清原俊蔭)와 그 자손들을 주인공으로 한 이야기집. 오치쿠보 이야기(落窪物語): 의붓형제들의 괴롭힘에 괴로워하던 아가씨가 귀공자와 결혼해 행복해진다는 내용을 담은 이야기. 겐지 이야기(源氏物語): 일본 왕조문학의 최고 걸작으로 꼽히는 무라사키 시키부의 수작. 일기・수필[편집] 《도사일기》(土佐日記): 기노 쓰라유키가 도사노카미(土佐守)로서의 임무를 마치고 교토로 돌아오는 동안의 여정을 그린 일기. 남자임에도 여자의 이야기인 것처럼 가장하여 히라가나로 쓰여진 것이 특징. 《가게로 일기》(蜻蛉日記): 후지와라노 미치쓰나(藤原道綱)의 어머니가 남편 후지와라노 가네이에(藤原兼家)와의 생활에서 느낀 불만을 수록한 일기. 《이즈미 시키부 일기》(和泉式部日記): 이즈미 시키부(和泉式部)가 자신의 연애에 대해서 수록한 일기. 《무라사키 시키부 일기》(紫式部日記): 무라사키 시키부가 궁중에서 뇨보로서 일하던 때의 일을 수록한 일기. 《마쿠라노소시》(枕草子): 세이 쇼나곤의 수필. 가모노 조메이(鴨長明)의 《호조키》(方丈記), 요시다 겐코(吉田兼好)의 《쓰레즈레구사》(徒然草)와 함께 일본의 3대 수필로 꼽힌다. 《사라시나 일기》(更級日記): 스가와라노 다카스에(菅原孝標)의 딸이 자신의 인생에 대해서 남긴 자전적 형식의 회상록. 《소우기》(小右記): 후지와라노 사네스케(藤原実資)의 일기(한문). 《미도 간파쿠기》(御堂関白記): 후지와라노 미치나가(藤原道長)의 일기. 기타[편집] 와묘뤼죠쇼(倭名類聚抄): 미나모토노 시타고(源順)가 편찬한 일본 최초의 백과사전. 롯카센(六歌仙): 아리와라노 나리히라, 오노노 고마치(小野小町), 승정(僧正) 헨조(遍昭), 기센 법사(喜撰法師), 훈야노 야스히데(文屋康秀), 오오토모노 구로누시(大友黒主)를 총칭하여 부르는 말. 복장[편집] 일본의 습도 높은 기후에 적응하기 위해 소맷부리가 넓어지는 등 통풍이 좋고 풍성한 실루엣의 복장으로 바뀌었다. 남성용[편집] 이칸(衣冠) 소쿠타이(束帯) 노시(直衣) 가리기누(狩衣) 여성용[편집] 쥬니히토에(十二単) 호소나가(細長) 악기[편집] 간지(寛治) 7년(1093년) 시라카와인(白河院)의 가스가 신사(春日社) 행차. 정면에 와곤과 함께 횡적(横笛), 홀박자(笏拍子) 등을 연주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와곤(和琴): 일본 가가쿠(雅楽)의 국풍가무(国風歌舞)에서 연주되는 일본 고유의 현악기로서 야요이 시대에서 고분 시대에 걸치는 유적에서 이미 와곤의 원형으로 보이는 토용이 발굴되고 있는데, 일본에서는 가장 오래된 악기로 여겨진다. 다른 이름으로는 야마토고토(大和琴), 아즈마고토(東琴) 등이 있다. 현재도 일본의 궁중 제사에서 연주되는 「가구라우타(神楽歌)」, 「구미노우타(久米歌)」, 「아즈마아소비(東遊)」 등의 국풍가무에만 이용되며, 아악기 가운데 가장 격이 높고 옛날에는 고위 관위를 가진 자만이 그것을 연주할 수 있었다(현재도 궁내청 악부에서는 주로 악단의 지휘자가 연주하고 있다) 현행 와곤의 본체는 주로 오동나무로 만드는데 속은 비어있으며, 나뭇가지를 다듬지 않고 그대로 발을 삼는다. 길이 약 190cm에 옆은 머리 부분이 약 16cm이고 꼬리 부분은 약 24cm이다. 현은 비단실로 여섯 줄로 만드는데 꼬리 부분에서부터 비단으로 엮은 아시즈오(葦津緒)라는 끈으로 잇는다. 도래(渡來) 악기에 해당하는 쟁과는 달리 앞에서부터 1, 2, 3, 4, 5, 6현으로 센다. 종교[편집] 어령신앙(御靈信仰) 음양도(陰陽道) 불교는 일본의 교유 신앙인 신도 속으로 포섭되어 일본화하였는데, 본지수적설(本地垂迹說)로 나타난 신불습합이다. 즉 부처(본지)가 임시로 일본 신도의 신이 되어 나타났다는 것이다. 즉 모든 신도의 신은 보편적인 불교신의 지방적인 표현이라는 것이다. 천황의 조상신인 아마테라스 오미카미는 최고 부처인 비로자나불의 지방적 표현이며, 이세의 신은 대일여래와 연결되었다. 건축[편집] 신덴즈쿠리(寝殿造)라고 불리는, 3품 이상의 고위 귀족 주택의 건축양식에서 비롯되었다. 당시 귀족들의 저택은 신덴으로 불리는 중심 건물이 남쪽의 뜰에 접하게 지어지고 그 뜰에는 홍예다리를 놓은 연못을 파서 동서로 대실(對室)이라는 부속 건물을 배치하여 그것들을 다시 복도로 잇고, 동서의 대실에서 또 복도를 남쪽으로 내서 그 앞에 조전(釣殿)이라는 공간을 마련하였다. 뵤도인(平等院)에서 그 영향을 볼 수 있다. 불교건축으로서는 정토교의 영향을 받은 아미타도(阿弥陀堂)가 많이 지어졌다. 법성사(法成寺) 무량수원(無量寿院): 간닌 4년(1020년)에 후지와라노 미치나가가 지었다. 현재는 전하지 않는다. 뵤도인(平等院) 봉황당(鳳凰堂): 덴기(天喜) 원년(1053년)에 후지와라노 요리미치(藤原頼通)가 지었다. 법계사(法界寺) 아미타도: 에이쇼(永承) 5년(1050년) 무렵 니치노 스케나리(日野資業)가 자신의 별장을 내놓아 절로 꾸몄다. 조큐(承久)의 난 때에 화재로 소실된 뒤 재건되었다. 아미타도 이외의 건축으로는 덴랴쿠(天曆) 5년(951년)에 지어진 다이고지(醍醐寺) 절의 오중탑(五重塔)이 유명하다. 조각[편집] 조쵸가 제작한 아미타여래 좌상. 그의 작품 가운데 유일하게 현존하는 것이다. 아미타여래상을 대량생산하기 위해서 따로 제작된 부품들을 조립해 세우는 기법이 널리 쓰였다. 이 기법은 조쵸(定朝)라는 불사(佛師)에 의해 완성되었는데, 마찬가지로 불사였던 아버지의 뒤를 이어, 지안(治安) 2년(1022년) 법성사 금당과 오대당(五大堂)의 불상을 제작하였고 그 공으로 불사로서는 최초로 법교(法橋)라는 자리를 얻었다. 당시 조쵸의 공방 규모는 몹시 컸는데, 반슈(万寿) 3년(1026년) 8월부터 10월에 걸친 중궁의 순산 기도를 위해 27체(体)의 등신불(等身仏)을 만들 때는 조쵸 휘하에 무려 125인의 불사가 동원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만년의 덴기 2년(1054년)에 제작한 교토 사이인(西院)의 아미타장륙좌상은 당시 조정의 구게들로부터 크게 칭송받았다고 한다. 부드러운 곡선과 곡면으로 처리한, 얕게 평행을 그리며 흘러내리는 듯한 옷의 무늬며 둥근 얼굴에 가느다란 눈을 한 온화하고 명상적인 부처의 표정이 특징으로 나무 하나하나의 중량감이나 물질감을 제거한 듯한 조쵸의 불상은 당시 귀족들의 취미에 부합하는 것으로 귀족들로부터 '부처의 본모습'이라는 칭송을 받았다. 그의 조각은 기존의 헤이안 전기의 것이 아닌 나라 시대, 덴표(天平) 시기의 고전조각 기법을 배운 것으로 여기에 장식물들을 어울리게 배치하는 등 독자적인 작풍을 여는데 성공하였다. 이러한 양식을 조쵸 양식이라고까지 부르고 있다. 뵤도인 봉황당 아미타여래상 법계사 아미타여래상 뵤도인 봉황당 운중공양보살상(雲中供養菩薩像) 회화[편집] 야마토에(大和絵)라고 불리는 일본적인 회화가 발달하였다. 불교미술이나 월차회(月次絵), 사계회(四季絵)라고 불리던 풍경이 그려진 장병화(障屏画, 일종의 산수화 병풍), 벽화(뵤도인 봉황당의 그림 등)가 그려졌는데, 불교 미술을 제외하고 남아있는 것은 극소수이다. 또한 대부분의 모노가타리에(物語絵, 일종의 삽화)가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11세기 말 이전에 제작된 작품은 현존하는 것이 없다. 불교미술에서는 내영도(來迎圖)라 불리는, 자주색 구름을 탄 아미타여래가 임종을 맞이한 불자를 극락정토로 맞이하기 위해 보살과 여러 신중을 거느리고 오는 모습을 테마로 한 회화가 주로 그려졌다. 고야(高野) 산 소장 열반도(涅槃図)(ACE 1086년작) 고야 산 소장 성중내영도(聖衆来迎図) 교토 도지(東寺) 소장 십이천(十二天)(ACE 1127년작) 도쿄국립박물관 소장 普賢菩薩像 뵤도인 봉황당 병풍그림(ACE 1053년 전후) 교토국립박물관 소장 산수병풍(山水屏風) 겐지모노가타리 에마키(源氏物語絵巻): 헤이케(平家) 정권 또는 인세이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 진키산연기(信貴山縁起): 인세이 시기에 만들어진 것. 도모 다이나곤 에마키(伴大納言絵巻): 인세이 시기에 만들어진 것. 조수인물희화(鳥獣人物戯画) 갑(甲), 을(乙)의 권(巻): 인세이 시기에 만들어진 것(나머지 병, 정은 가마쿠라 시대의 작으로 여겨진다). 서예[편집] 오노노 미치카제(小野道風)・후지와라노 스케마사(藤原佐理)・후지와라노 유키나리(藤原行成)가 당대의 삼적(三蹟)으로 불렸다. 11세기가 되면 가나 서도(かな書道)의 고전이라고 할 수 있는 고야기레(高野切)가 제작되어 12세기까지 다양한 서풍(書風)으로 전개되었다. 공예[편집] 도검[편집] 일본도(日本刀)의 양식(주조 제작・만곡형 칼날)이 확립된 시기였다. 산조 무네지카(三条宗近) 고가라스마루(小烏丸) 부젠 국(備前国) 도모나리(友成) 도지기리야스쓰나(童子切安綱) 등이 이 시기에 만들어진 대표적인 도검이다. 마키에(蒔絵)[편집] 나라 시대에 일본에서 고안된 마키에(蒔絵), 즉 금칠 기법이 크게 발전하였다. 같이 보기[편집] 헤이안 시대 스가와라노 미치자네 롯카센 각주[편집] ↑ 후세에는 일본 문화의 「유직고실(有職故実)」의 「정통적인 원류」로 여겨지게 되었다. 실제로 고대의 「쇼토쿠 태자(聖徳太子)」・「다이카 개신(大化改新)」・「임신의 난(壬申乱)」을 그린 여러 그림들에서 주인공인 태자나 소가노 이루카(蘇我入鹿) 등의 복식은 모두 헤이안 시대의 정장이었던 이칸소쿠타이(衣冠束帯)를 따르고 있으며, 큰 갑옷을 입고 큰 칼을 휘두르는 중세의 모습과 같은 전투를 하고 있다. 고대의 실상이 분명해진 것은 길게 이어진 중세(난세라 불리던)가 막을 내린 근세, 에도(江戸) 시대 중기에 고문사학(古文辞学)・가학(歌学)・국학(国学)・능묘(陵墓) 연구가 활발해지고 나서였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고쿠후_문화&oldid=21317150" 분류: 헤이안 시대헤이안 시대의 문화일본의 문화사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7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5월 19일 (토) 13: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국풍 문화(일본어: 国風文化 고쿠후 분카[*])는 일본에서 10세기 초부터 11세기 셋칸 정치 시기를 중심으로 발달한 문화로, 12세기 인세이 시기의 헤이안 말기 문화로 이어졌다. 이 시기에 당나라로 사신을 파견하는 견당사 제도가 폐지되었으며, 정토교가 유행하였고, 무라사키 시키부 같은 여성 작가들이 활동하였으며 가나 문자가 발생하였다. 중국(당나라)의 영향을 강하게 받던 나라 시대의 당풍(唐風) 문화와 대조되는 단어로서 이것을 국풍, 또는 와풍(和風・倭風) 문화로 부르기도 한다. 현재까지도 대부분의 일본 문화 속에 남아 이어지고 있는 것이 많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견당사 제도는 언제 폐지되었어? Assistant: 간표(寛平) 6년(894년) Human: 아래 이란의_민족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란의 민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란의 민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이란의 민족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란의 인구는 2016년 기준으로 약 8천만 명이며, 다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페르시아인(마잔다란인, 길라키인 포함)이 61%, 아제리인(아제르바이잔인)이 16%, 쿠르드인이 10%, 루르족이 6%, 발루치족이 2%, 아랍족이 2%, 투르크멘족이 2%를 차지하며, 그 밖에 아르메니아인, 조지아인, 체르케스인, 아시리아인 등이 거주하고 있다. 목차 1 개요 2 페르시아족 2.1 마잔다란인과 길라키인 3 아제리족 4 쿠르드족 5 투르크멘족 및 기타 소수 민족 개요[편집] '고귀하다'라는 뜻을 가진 이란 사람들은 대체로 온순하며 여러 사람이 함께 토론하고 대화하는 것을 선호한다. 또한 대부분의 이슬람 국가에서 널리 사용되는 말인 "인샬라"(모든 것은 신에게 달려있다)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며 이러한 정신이 삶 속에 깊이 새겨져 있어서 매사에 느긋하며 의사결정에 상당한 시일이 소요된다. 성격이 급하고 다혈질이어서 상대방이 자신에게 직설적으로 잘못을 지적하는 경우 이를 잘 참지 못하는 면이 있다. 또한 과거 페르시아 상인이라는 말이 있듯 상술에 정통하다. 한편, 이란은 지역마다 서로 다른 인종, 언어, 문화적인 독립성을 가지고 있어서 지방색이 강하다. 이란에서는 다음의 이야기가 있다. 이스파한 출신은 열성적이고 지혜로워서 명석한 사업가가 많다. 야즈드 사람은 부지런한 농부가 많다. 타브리즈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아제르바이잔인들은 강건하여 군인과 상인이 많다. 서부 자그로스 산지에 분포하는 쿠르드족은 종교적으로나 인종적으로 독립성이 강하여 과격한 전사가 많다. 시라즈 출신은 그 천성이 정열적이어서 시인이 많다. 페르시아족[편집] 이란의 인구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페르시아족은 기원전 12세기로부터 기원전 9세기까지 지금의 이란지역으로 이주하여 정착하였던 아리얀족의 대표적인 무리였으며 이들이 이란 중남부 지역의 파르스 지방에 정착하였기 때문에 이 지역명으로부터 페르시아라는 명칭을 가지게 되었다. 페르시아족은 쿠르드족과 같이 인도유럽어족의 일원이며 본래 백색 피부에 곱슬머리카락을 가진 자들로서 유럽인들과 같은 체질을 가지고 있었던 민족이다. 페르시아족이 이란 역사의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흔히 '이란인'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은 바로 페르시아인을 뜻한다. 마잔다란인과 길라키인[편집] 마잔다란인과 길라키인은 이란의 북중부 카스피해 연안의 마잔다란 주와 길란 주에 많이 거주하며, 페르시아어와 비슷한 마잔다란어와 길라키어를 쓴다. 언어와 혈통적으로 페르시아인과 큰 차이가 없다. 아제리족[편집] 이란에서 두 번째로 많은 민족인 아제리족(아제르바이잔인)은 터키인과 같은 튀르크족의 일파이다. 아제리족이 사용하는 아제리어는 아제르바이잔의 아제리족이 사용하는 언어와 같으며, 원주민들은 터키 사람들과 통역 없이도 어느 정도 의사전달이 가능할 정도이다. 주로 이란 북서부의 이란령 아제르바이잔에 거주하고 있다. 쿠르드족[편집] 인구 3천만 명 이상의 거대 민족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국가를 가지지 못한 쿠르드족은 서부의 산악지대에 거주하고 있다. 이란에 살고 있는 쿠르드족은 약 800만 명에 달한다. 투르크멘족 및 기타 소수 민족[편집] 투르크메니스탄과 접경한 후라산 지역에는 투르크멘족이 살고 있으며, 이란의 남부 지역에는 여러 소수 민족이 아직도 유목 생활을 유지하며 살아가고 있다. 이밖에도 북서부 지역에는 소수의 아르메니아인, 조지아인도 거주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란의_민족&oldid=23067929" 분류: 이란의 민족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1월 21일 (수) 00:4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 문서는 이란의 민족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란의 인구는 2016년 기준으로 약 8천만 명이며, 다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페르시아인(마잔다란인, 길라키인 포함)이 61%, 아제리인(아제르바이잔인)이 16%, 쿠르드인이 10%, 루르족이 6%, 발루치족이 2%, 아랍족이 2%, 투르크멘족이 2%를 차지하며, 그 밖에 아르메니아인, 조지아인, 체르케스인, 아시리아인 등이 거주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란이 지방색이 강한 이유는 무엇인가? Assistant: 지역마다 서로 다른 인종, 언어, 문화적인 독립성을 가지고 있어서
Human: 아래 아이팟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아이팟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이팟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아이팟 분야 포터블 미디어 플레이어 보유자 애플 본거지 미국 기간 2001년 10월 23일 ~ 자매 브랜드 아이패드, 아이폰 등 웹사이트 공식 사이트 아이팟(영어: iPod)은 미국의 애플사의 포터블 미디어 플레이어 브랜드 및 시리즈이다. 아이팟은 MPEG-2와 MPEG-4의 일부로 규정된 AAC 포맷의 음악 파일과 MP3, WAV, AIFF, 애플 무손실 형식의 음악 파일(아이팟 셔플 제외), Audible 형식의 오디오북을 재생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와 대용량 저장 공간, 아이튠즈를 통한 편리한 곡 관리, 아이튠즈 스토어를 통한 편리한 곡 구매 기능으로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출시 당시 부가 기능이 부족하고 지나치게 무거우며 가격이 높아 실패할 것으로 여겨졌으나, 미국에서는 2004년말 기준으로 전체 디지털 음악 재생기기 시장에서 70% 이상의 점유율을 기록하였다. 2004년 초 1.0인치 하드 디스크를 사용해 크기가 작아진 아이팟 미니가 출시되었고, 2004년 10월에는 최초로 컬러 화면을 지원하고 사진 보기 기능을 추가한 아이팟 포토가 출시되었다. 또 2005년 1월에는 하드 디스크 방식이 아닌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고 화면이 없는 아이팟 셔플이 출시되었으며, 2005년 9월에는 컬러 화면을 갖추고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2 GB와 4 GB 용량을 갖춘 아이팟 나노가 출시되었다. 2005년 10월에는 비디오 재생 기능이 추가된 5세대 아이팟이 출시되었다. 2006년 9월에는 아이팟 미니의 디자인을 채용한 새로운 아이팟 나노와 더 작아지고 옷에 물릴 수 있도록 클립이 달린 새로운 아이팟 셔플이 출시되었다. 2007년 9월에는 디자인이 대폭 변화된 아이팟 나노 3세대와 케이싱 재질이 알루미늄으로 변화된 아이팟 클래식(아이팟 6세대)과 함께 새로운 라인 아이팟 터치가 출시되었다. 아이팟 터치는 기존 제품에 비해 더 커진 화면에 인터넷, 일정, 날씨 등을 지원하는 PDA형 아이팟이다. (아이팟 터치는 아이폰에서 전화, 메시지 등을 뺀 제품이며, 아이폰보다는 전체적인 사양이 낮다. 현재 6세대까지 발매되어 있다.) 한편, 아이팟의 인기에 힘입어 아이팟의 기능을 내장한 휴대전화 아이폰이 2007년 1월 11일에 발표되기도 하였다. 목차 1 모델 2 판매 3 논란 3.1 브랜드 이름 3.2 보안 문제 4 아이팟 레드 스페셜 에디션 5 연표 6 같이 보기 7 각주 8 외부 링크 모델[편집] 모델 세대 그림 용량 연결 발매 일자 아이팟 1세대 5, 10 GB 파이어와이어 2001년 10월 23일 2세대 10, 20 GB 파이어와이어 2002년 7월 17일 3세대 10, 15, 20, 30, 40 GB 파이어와이어 2003년 4월 28일 4세대 20, 40 GB 파이어와이어, USB 2004년 7월 19일 아이팟 포토 20, 30, 40, 60 GB 파이어와이어, USB 2004년 10월 26일 5세대(아이팟 비디오) 30, 60, 80 GB USB 2005년 10월 12일 6세대(아이팟 클래식) 80, 120, 160 GB USB 2007년 9월 5일 아이팟 미니 1세대 4 GB USB, 파이어와이어 2004년 2월 20일 2세대 4, 6 GB USB, 파이어와이어 2005년 2월 22일 아이팟 나노 1세대 1, 2, 4 GB USB 2005년 9월 7일 2세대 2, 4, 8 GB USB 2006년 9월 12일 3세대 4, 8 GB USB 2007년 9월 5일 4세대 8, 16 GB USB 2008년 9월 9일 5세대 8, 16 GB USB 2009년 9월 9일 6세대 8, 16 GB USB 2010년 9월 8일 7세대 16 GB USB 2012년 9월 12일 아이팟 셔플 1세대 512 MB, 1GB USB 2005년 1월 11일 2세대 1, 2 GB USB 2006년 9월 12일 3세대 4 GB USB 2009년 3월 12일 4세대 2, 4 GB USB 2010년 9월 8일 아이팟 터치 1세대 8, 16, 32 GB USB 2007년 9월 5일 2세대 8, 16, 32 GB USB 2008년 9월 9일 3세대 8, 32, 64 GB USB 2009년 9월 9일 4세대 8, 32, 64 GB USB 2010년 9월 8일 5세대 32, 64 GB USB 2012년 9월 12일 6세대 16, 32, 64, 128 GB USB 2015년 6월 15일 판매[편집] 아이팟 판매량 변화 아이팟은 2004년 10월부터 미국 하드 드라이브형 음악 플레이어 시장의 90%, 전체 음악 플레이어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4년 1월의 점유율 31%가 2005년 1월에는 65%로 상승했으며, 2005년 7월에는 점유율이 74%에 달했다. 애플의 회계 연도는 9월에 끝나기 때문에, 크리스마스 기간은 다음 해의 1분기에 속하게 된다. 이 때문에 1분기의 판매량이 다른 분기에 비해 매우 높은 편이다. 2007년 4월 9일 애플은 2001년 첫 출시 이후 아이팟을 1억대 판매하였다고 발표하였다.[1] 그러나 대한민국에서의 판매량은 경쟁사에 비해 최근 증가하였지만 미국에 비하면 저조한 편이다. 그 이유로는 아이팟이 인기를 끈 주된 원인인 아이튠즈의 뮤직 스토어가 한국에서는 서비스되지 않고 있음과 한국인들의 다기능 선호 현상이 지목되고 있다. 또한 아이팟 셔플 3세대 출시 때(2009년 3월 12일)에는 한국 애플 스토어에서 최초로 환율을 적용해 아이팟 전제품에 대해 가격을 10~30% 인상하여 판매율이 더 떨어지는 역효과가 생겼다.[출처 필요] 논란[편집] 브랜드 이름[편집] 애플은 i로 시작하는 모바일 기기를 연속으로 출시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래서 i로 시작하는 브랜드명의 제품들은 애플이 원조이고 나머지는 아류라는 인식이 있다. 그러나 코원의 iAudio는 2000, 2001년 3월에 출시하였기 때문에 애플과는 무관하며, 오히려 원조이다. 또한 iPhone, iPad도 애플이 출시하기 이전에 각각 미국, 일본, 한국(LG)에 존재하였던 브랜드 명이다. 보안 문제[편집] 2010년 8월 4일, 독일 연방정보보안청은 애플의 운영체제를 쓰는 아이폰과 아이패드, 아이팟에 심각한 보안상 결함이 발견되었다면서 애플이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기 전까지 PDF 문서나 수상한 웹사이트에 접근하지 말 것을 경고했다. 연방정보보안청은 해커가 악성코드를 심은 뒤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빼낼 수 있다고 지적하면서 해커들이 조만간 취약점을 이용해 공격을 시도할 것이라고 경고했다.[2] 아이팟 레드 스페셜 에디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PRODUCT RED입니다. iPod nano 3세대 (PRODUCT)REDSpecial Edition 애플은 아이팟 나노 2세대부터 (PRODUCT)RED 스페셜 에디션을 발매했다. 오직 애플의 온라인 스토어인 애플 스토어 전용으로 판매하지만, 가격은 일반 아이팟과 같다. 다만 판매 수익금의 일부를 아프리카의 HIV/에이즈(병) 퇴치를 위한 국제기금으로 쓰인다. 케이스는 빨간색이며, 그 수가 다른 제품에 비해 희귀하기 때문에 일부러 스페셜 에디션만 구입하는 사용자들도 있다. 현재(2013.3)는 아이팟 셔플 4세대 2GB, 아이팟 나노 7세대 16GB, 아이팟 터치 5세대 32GB, 64GB 버전에서 (PRODUCT)REDSpecial Edition 제품을 구입할 수 있다. 연표[편집] Sources: Apple press release library,[3] Mactracker Apple Inc. model database[4] 같이 보기[편집] 아이폰 아이패드 각주[편집] ↑ (영어) 아이팟 1억대 판매 관련 애플 보도자료 Archived 2007년 4월 16일 - 웨이백 머신 ↑ 조형래, 장상진 (2010년 8월 6일). “"아이폰·패드, 보안에 결함"”. 조선일보. 2010년 8월 6일에 확인함.  ↑ 애플, Apple press release library, Retrieved September 19, 2007. ↑ Mactracker (mactracker.ca), Apple Inc. model database, version as of July 26, 2007.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아이팟 애플 코리아 아이팟 - 공식 웹사이트 vdeh아이팟제품 아이팟 터치 아이팟 클래식 아이팟 나노 아이팟 셔플 아이팟 미니 아이팟 비디오 아이팟 포토 같이 보기 애플 iOS (버전 목록 제품 목록 탈옥) 아이튠즈 앱 스토어 프로덕트 레드 웹사이트: www.apple.com/ipod vdeh애플창립자 스티브 잡스 스티브 워즈니악 로널드 웨인 이사회 윌리엄 캠벨 밀러드 드렉슬러 앨 고어 앤드리아 정 아서 D. 레빈슨 팀 쿡 하드웨어 애플 TV (1세대 · 2세대 · 3세대) 아이패드 1세대 2 3세대 4세대 에어 에어 2 5세대 6세대 아이패드 미니 1세대 2세대 3세대 4세대 아이폰 1세대 3G 3GS 4 4S 5 5S 5C 6 6+ 6s 6s+ SE 7 7+ 8 8+ X XS / XS 맥스 XR 아이팟 터치 클래식 나노 셔플 맥 (아이맥, 맥북 (에어, 프로), 미니, 프로, 엑서브) 애플 워치 주변기기 에어포트 시네마 디스플레이 애플 마우스 매직 마우스 매직 트랙패드 애플 키보드 타임 캡슐 소프트웨어 제품 애퍼처 벤또 파일메이커 프로 파이널 컷 스튜디오 개러지밴드 아이라이프 iOS (버전 목록) IPadOS WatchOS 아이튠스 아이워크 모션 로직 스튜디오 메인스테이지 맥 OS X (서버) 퀵타임 사파리 Xsan 아이무비 스토어 및 서비스 ADC Siri 애플케어 애플 스페셜리스트 애플 스토어 앱 스토어 증명서 프로그램 게임 센터 지니어스 아이북스 스토어 · 아이튠스 스토어 아이워크 아이클라우드 모바일미 원투원 프로케어 · 에어플레이 홈킷 애플 TV+ 임원 팀 쿡 피터 오펜하이머 필 실러 조너선 아이브 론 존슨 시나 타마돈 스콧 포스톨 · 밥 맨스필드 산하 회사 이매직 핑거웍스 인트린시티 라라 넥스트 낫띵리얼 P.A. 세미 폴리9 실리콘 컬러 Siri Spruce 테크놀리지 쿼트로 와이어레스 해외 지사 같이 보기 애플 디자인 어워드 역사 iOS 탈옥 광고 1984 Think Different Get a Mac 아이팟 슬로건 브래번 캐피탈 필름메이커 vdeh애플의 하드웨어 (1998년 이후)보급/일체형 데스크탑 eMac 아이맥 G3 G4 G5 인텔 맥 미니 고급형 데스크탑 맥 프로 파워 매킨토시 G3 G4 G4 큐브 G5 엑서브 보급형 노트북 아이북 맥북 (레티나) 맥북 에어 고급형 노트북 파워북 G3 G4 맥북 프로 기타 전자제품 애플 TV 1세대 2세대 3세대 4세대 애플 디스플레이 썬더볼트 시네마 스튜디오 아이패드 1세대 2 3세대 4세대 에어 에어2 5세대 아이패드 미니 1세대 2세대 3세대 4세대 아이패드 프로 2세대 아이폰 1세대 3G 3GS 4 4S 5 5S 5C 6 6 플러스 6s 6s 플러스 SE 7 7 플러스 8 8 플러스 X XS / XS 맥스 XR 아이팟 클래식 포토 미니 iPod+HP 셔플 나노 터치 뉴턴 메시지 패드 eMate 300 주변기기 에어포트 무선랜 아이팟 클릭휠 아이팟 하이-파이 Nike+iPod 아이사이트 키보드 무선 매직 트랙패드 애플 마우스 USB 프로 무선 마이티 매직 리모트 슈퍼드라이브 애플 모뎀 엑서브 RAID 애플의 하드웨어 (1998년 이전) 전거 통제 LCCN: sh2004002275 GND: 4744904-4 BNF: cb14548815k (데이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이팟&oldid=24059911" 분류: 아이팟숨은 분류: 타임라인을 사용하는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09년 3월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Emiliàn e rumagnòl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ગુજરાતી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ಕನ್ನಡKurdî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ietuviųLatviešuMalagasy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NāhuatlNederlandsNorsk nynorskNorskDiné bizaadOccitanPapiamentuPolski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аха тыла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తెలుగు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ייִדיש中文粵語IsiZulu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03: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아이팟(영어: iPod)은 미국의 애플사의 포터블 미디어 플레이어 브랜드 및 시리즈이다. 아이팟은 MPEG-2와 MPEG-4의 일부로 규정된 AAC 포맷의 음악 파일과 MP3, WAV, AIFF, 애플 무손실 형식의 음악 파일(아이팟 셔플 제외), Audible 형식의 오디오북을 재생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와 대용량 저장 공간, 아이튠즈를 통한 편리한 곡 관리, 아이튠즈 스토어를 통한 편리한 곡 구매 기능으로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출시 당시 부가 기능이 부족하고 지나치게 무거우며 가격이 높아 실패할 것으로 여겨졌으나, 미국에서는 2004년말 기준으로 전체 디지털 음악 재생기기 시장에서 70% 이상의 점유율을 기록하였다. 2004년 초 1.0인치 하드 디스크를 사용해 크기가 작아진 아이팟 미니가 출시되었고, 2004년 10월에는 최초로 컬러 화면을 지원하고 사진 보기 기능을 추가한 아이팟 포토가 출시되었다. 또 2005년 1월에는 하드 디스크 방식이 아닌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고 화면이 없는 아이팟 셔플이 출시되었으며, 2005년 9월에는 컬러 화면을 갖추고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2 GB와 4 GB 용량을 갖춘 아이팟 나노가 출시되었다. 2005년 10월에는 비디오 재생 기능이 추가된 5세대 아이팟이 출시되었다. 2006년 9월에는 아이팟 미니의 디자인을 채용한 새로운 아이팟 나노와 더 작아지고 옷에 물릴 수 있도록 클립이 달린 새로운 아이팟 셔플이 출시되었다. 2007년 9월에는 디자인이 대폭 변화된 아이팟 나노 3세대와 케이싱 재질이 알루미늄으로 변화된 아이팟 클래식(아이팟 6세대)과 함께 새로운 라인 아이팟 터치가 출시되었다. 아이팟 터치는 기존 제품에 비해 더 커진 화면에 인터넷, 일정, 날씨 등을 지원하는 PDA형 아이팟이다. (아이팟 터치는 아이폰에서 전화, 메시지 등을 뺀 제품이며, 아이폰보다는 전체적인 사양이 낮다. 현재 6세대까지 발매되어 있다.) 한편, 아이팟의 인기에 힘입어 아이팟의 기능을 내장한 휴대전화 아이폰이 2007년 1월 11일에 발표되기도 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아이팟 모델 목록 중 아이팟 미니 1세대의 용량은 몇 GB인가? Assistant: 4 GB Human: 아래 LATAM_칠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LATAM 칠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LATAM 칠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란 항공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LATAM 칠레 LATAM 칠레의 보잉 787-9 IATA ICAO 항공사 콜사인 LA LAN LAN Chile 창립일 1929년 허브 공항 코모도로 아르투로 메리노 베니테스 국제공항 동맹체 원월드 상용고객우대제도 LANPASS VIP 라운지 VIP Lounge Neruda / oliMistral 보유 항공기 139 취항지 수 66 슬로건 El encanto de volar (The charm of flying) 본사 칠레 산티아고 핵심 인물 Enrique Cueto Plaza (CEO) 모기업 LATAM 항공 그룹 웹사이트 https://www.latam.com/es_co/ LATAM 칠레(영어: LATAM Chile)는 칠레의 산티아고에 거점을 둔, 칠레의 국책항공사다. 칠레의 대표적인 항공사로 라틴 아메리카의 대형 항공사들 중 하나이며, 남아메리카, 북아메리카, 서인도 제도, 오세아니아, 유럽을 오가는 항공편을 운영하고 있다. 원월드 항공 동맹의 일원에 속하기도 한다. 목차 1 역사 2 운항 노선 2.1 코드쉐어 협정 3 보유 기종 3.1 현재 사용하는 기종 3.2 퇴역 기종 4 각주 5 사진 6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29년 칠레 항공 국장이던 아르투로 메리노 베니테즈(스페인어: Arturo Merino Benitez)가 세웠다. 1929년 3월 5일 첫 취항을 시작했다. 1932년 회사의 정식 명칭을 란 칠레 항공(스페인어: Línea Aérea Nacional de Chile)으로 정했다. 1970년 로스 세릴로스 공항에 본사를 두었다. 1989년 9월 칠레 정부는 주식 대부분을 스칸디나비아 항공에 매각하여 민영화했다. 1995년 8월 칠레 2위 항공사인 라데코 항공(영어: Ladeco)의 경영권을 인수했다. 1998년 10월 패스트 항공(영어: Fast Air)과 합병했다. 2004년 란 칠레 항공은 계열사인 란 페루, 란 에콰도르, 란 도미니타나, 란 익스프레스와 통합된 이후 브랜드를 통일했다. 2004년 6월 17일 회사명을 란 항공(영어: Lan Airlines)으로 바꾸었다. 2005년 중반 아르헨티나에 계열사인 란 아르헨티나를 세웠다. 아메리칸 항공, 알래스카 항공과 미국의 주요 도시 취항 노선을 제휴한다. 영국항공, 이베리아 항공과 유럽 노선 취항을, 캐세이퍼시픽 항공, 대한항공과 아시아 노선을, 콴타스 항공과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노선을 업무 제휴하고 있다. 2006년 8월 1등석과 비즈니스석 등급을 통합하여 프리미엄 비즈니스 등급을 신설했다. 2010년 8월 브라질 항공사인 TAM 항공과 합병하여 라탐 그룹을 신설하기로 합의했다.[1] 두 회사의 합병은 시너지 효과와 중남미 항공 업계에 새로운 경쟁구도가 형성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2] 2010년 10월 콜롬비아 2위 항공사인 아이레스 항공의 지분 98%를 인수해 란 콜롬비아로 변경했다. 2012년 6월에 TAM 항공과 합병을 마무리 하면서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의 최대 항공사 세계 10위권 항공사로 부상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3] 2015년 8월에 통합 브랜드를 발표한데 이어 2016년 5월에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했다. 향후 2018년까지 모든 기종에 통합 브랜드 도장을 적용할 예정이다.[4][5] 운항 노선[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LATAM 칠레의 운항 노선입니다. 2012년 7월 기준으로 LATAM 칠레는 다음과 같은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코드쉐어 협정[편집] LATAM 칠레는 다음과 같은 항공사와 코드쉐어를 하고 있으며 * 표시는 원월드 회원에 해당된다. LATAM 브라질 (원월드) LATAM 파라과이 대한항공 (스카이팀) 아메리칸 항공 (원월드) 아에로멕시코 (스카이팀) 알래스카 항공 영국항공 (스카이팀) 웨스트 제트 이베리아 항공 (원월드) 인터제트 일본항공 (원월드) 제트스타 항공 중국국제항공 (스타 얼라이언스) 캐세이퍼시픽 항공 (원월드) 콴타스 항공 (원월드) 보유 기종[편집] 2012년 6월 기준으로 LATAM 칠레는 다음과 같은 기종을 보유하고 있으며 평균 기령은 5.8년이다.[6][7] 현재 사용하는 기종[편집] LATAM 칠레의 보유 기종 기종 대수 주문 좌석 비고 J Y 합계 에어버스 A319-100 17 0 0 144 144 에어버스 A320-200 51 0 12 138 150 1대는 원월드 도장 적용 0 174 174 에어버스 A320neo 4 7 TBA 2017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 예정 에어버스 A321-200 18 0 0 220 220 에어버스 A321neo 0 5 TBA 2017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 예정 보잉 767-300ER 19 0 30 191 221 1대는 원월드 도장 적용 보잉 777-200ER 2 0 TBA 구. 싱가포르 항공 퇴역 항공기를 인수 보잉 787-8 10[8] 0 30 217 247 보잉 787-9 14 8 45 260 305 합계 111 24 퇴역 기종[편집] LATAM 칠레의 퇴역 기종[9] 기종 대수 도입 년도 퇴역 년도 비고 에어버스 A318-100 15 2007년 2013년 아비앙카 브라질에 매각 에어버스 A340-300 5 2004년 2015년 4대는 예비용으로 저장1대는 스칸디나비아 항공에 매각 보잉 707-320B 불명 보잉 727-100 불명 보잉 737-200 25 2003년 2008년 보잉 747-100 1 1988년 1990년 에어 링구스 임차 운항 보잉 757-200 1 1996년 1997년 임차 운항 보잉 767-200ER 6 1990년 1996년 더글러스 DC-3 불명 더글러스 DC-4 불명 드 하빌랜드 도브 DH-104 불명 드 하빌랜드 DHC-6 불명 록히드 C-60 불명 록히드 일렉트라 L-10A 불명 맥도넬더글러스 DC-10-30 5 1980년 1986년 에어 뉴질랜드, 팬아메리칸 월드 항공 임차 운항 BAe 146-200 3 1990년 1997년 수드 에이비에이션 카라벨 불명 콘베어 880 불명 포드 5 ATC 불명 하빌랜드 기피시 모스 불명 각주[편집] ↑ 중남미 최대 항공사 `라탐` 탄생 ↑ "브라질-칠레 항공사 합병 효과 8천40억원" ↑ 칠레-브라질 유력 항공사 합병 마무리 ↑ "LAN and TAM to operate as LATAM with a new livery" retrieved 9 August 2015 ↑ "LATAM's entire fleet to have new livery by 2018" retrieved 9 August 2015 ↑ “Fleet age LAN Airlines”. Airfleets.net. 2010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fleet list for LATAM Airlines Chile”. Planespotters.net. 2016년 5월 14일에 확인함.  ↑ http://finance.yahoo.com/news/boeing-celebrates-delivery-lan-airlines-194100092.html;_ylt=A2KJ3CWVu0ZQ8BAAD8DQtDMD[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fleet list for LAN Chile”. Planespotters.net. 2011년 5월 14일에 확인함.  사진[편집] LATAM 칠레의 에어버스 A320-200 LATAM 콜롬비아의 보잉 737-700 LATAM 칠레의 보잉 767-300ER LATAM 카고 칠레의 보잉 767-300F LATAM 카고 칠레의 보잉 777F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LATAM 칠레 LATAM 칠레 홈페이지 LAN mobile site Route Maps LAN Airlines inflight magazine LAN Airlines Facebook LAN Airlines YouTube Channel About LAN Airpasses vdehLATAM 항공 그룹항공 동맹 원월드 주요 항공사 LATAM 브라질 LATAM 칠레 전체 소유 항공사 LATAM 아르헨티나 LATAM 에콰도르 LATAM 익스프레스 LATAM 콜롬비아 LATAM 파라과이 LATAM 페루 화물 항공사 LATAM 카고 멕시코 LATAM 카고 브라질 (ABSA 카고 항공) LATAM 카고 콜롬비아 LATAM 카고 칠레 과거 소속 법인 PLA 항공 LAN 도미니카 플로리다 웨스트 국제항공 운항 노선 LATAM 브라질의 운항 노선 LATAM 아르헨티나의 운항 노선 LATAM 에콰도르의 운항 노선 LATAM 칠레의 운항 노선 LATAM 콜롬비아의 운항 노선 LATAM 페루의 운항 노선 vdeh원월드 회원사창립 회원 아메리칸 항공 영국항공 캐세이퍼시픽 항공 콴타스 항공 일반 회원 S7 항공 LATAM 항공 그룹 (LATAM 브라질 · LATAM 칠레) 로열 요르단 항공 말레이시아 항공 스리랑카 항공 이베리아 항공 일본항공 카타르 항공 핀에어 가맹 회원 BA 시티플라이어 J-에어 LATAM 항공 그룹 (LATAM 아르헨티나 · LATAM 에콰도르 · LATAM 익스프레스 · LATAM 콜롬비아 · LATAM 페루) 글로부스 항공 노르딕 리저널 항공 니키 항공 선에어 오브 스칸디나비아 엔보이 항공 오픈스카이스 이베리아 리저널 이베리아 익스프레스 일본 트랜스오션 항공 제트 커넥트 컴에어 콴타스 링크 캐세이 드래곤 항공 과거 회원 JAL 익스프레스 US 에어웨이스 US 에어웨이스 셔틀 US 에어웨이스 익스프레스 말레브 헝가리 항공 멕시카나 링크 멕시카나 클릭 멕시카나 항공 아메리칸 커넥션 에어링구스 에어 베를린 영국항공 리미티드 캐나디안 항공 킹피셔 항공 트랜스월드 항공 vdeh 칠레의 항공사여객 항공사 DAP 헬리콥터 PAL 항공 LATAM 익스프레스 LATAM 칠레 스카이 항공 아에로비아 DAP 아에로제컷티비아 아에로카델 화물 항공사 LATAM 카고 칠레 그룹 회사 LATAM 항공 그룹 폐지된 항공사 아에로 콘티넨털 칠레 아에로 칠레 에어 커뮤터 칠레 AVANT 항공 라데코 항공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LATAM_칠레&oldid=24470464" 분류: 1929년 설립칠레의 항공사IATA 회원LAN 항공국영 항공사칠레의 다국적 기업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스페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Žemaitėška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3일 (일) 17: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LATAM 칠레(영어: LATAM Chile)는 칠레의 산티아고에 거점을 둔, 칠레의 국책항공사다. 칠레의 대표적인 항공사로 라틴 아메리카의 대형 항공사들 중 하나이며, 남아메리카, 북아메리카, 서인도 제도, 오세아니아, 유럽을 오가는 항공편을 운영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LATAM 칠레의 설립자는 누구입니까? Assistant: 아르투로 메리노 베니테즈
Human: 아래 혁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혁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혁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임현제 (가수)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혁오hyukoh 180110 제 32회 골든디스크 기본 정보 국가 대한민국 장르 인디 록, 모던 록, 포크 록 활동 시기 2014년 ~ 현재 레이블 지니뮤직토이스 팩토리 소속사 두루두루amc[1] 구성원 오혁임동건이인우임현제 혁오는 대한민국의 4인조 인디 록 밴드이다. 본래는 오혁의 1인 그룹이었으나, 2014년 5월, 임동건, 이인우, 임현제 세 명이 합류하면서 4인조 밴드로 체제를 바뀌었다. 밴드 이름인 '혁오'는 리더인 오혁의 이름에서 성과 이름의 순서를 바꾼데서 온 것이다.[2] 목차 1 구성원 2 음반 목록 3 출연 작품 3.1 버라이어티 쇼 4 수상 및 후보 4.1 가요 프로그램 1위 5 각주 6 외부 링크 구성원[편집] 이름 소개 오혁 생년월일 : 1993년 10월 5일(1993-10-05) (25세) 학력 : 홍익대학교 예술학과 포지션 : 리더, 보컬, 기타 임동건 생년월일 : 1993년 4월 4일(1993-04-04) (26세) 학력 : 호원대학교 실용음악과 포지션 : 베이스 이인우 생년월일 : 1993년 6월 14일(1993-06-14) (26세) 학력 : 서울실용음악고등학교 포지션 : 드럼 임현제 생년월일 : 1993년 7월 31일(1993-07-31) (25세) 학력 : 서울예술대학교 포지션 : 기타 음반 목록[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혁오의 음반 목록입니다. 출연 작품[편집] 버라이어티 쇼[편집] 년도 방송사 제목 역할 참고 2015 KBS2 《유희열의 스케치북》 게스트 2015년 4월 24일 방송 MBC 《무한도전 - 영동고속도로 가요제》 게스트 2015년 7월 4일 ~ 2015년 8월 22일 방송 Mnet 《쇼미더머니4》 게스트, with 타블로 "Airbag" 피처링 2015년 7월 17일 방송 KBS2 《유희열의 스케치북》 게스트 2015년 10월 16일 방송 2016 KBS2 《유희열의 스케치북》 게스트 2016년 12월 3일 방송 수상 및 후보[편집] 년도 상 부분 곡/수상자 결과 2015 제7회 멜론 뮤직 어워드 Top 10 가수 빈칸 수상 올해의 가수상 빈칸 후보 올해의 앨범상 22 후보 올해의 노래상 "와리가리" 후보 제17회 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베스트 밴드 퍼포먼스 후보 유니언페이 올해의 노래상 후보 2016 제25회 서울가요대상 공연문화상 혁오 수상 제30회 골든 디스크 베스트 록밴드상 수상 제5회 가온 차트 K-POP 어워드 올해의 발견상 인디 부문 수상 올해의 롱런음원상[3] 후보 제13회 한국대중음악상 올해의 노래상 "와리가리" 미결정 올해의 가수상 혁오 미결정 올해의 신인상 미결정 베스트 모던록 앨범상 22 미결정 베스트 모던록 노래상 "와리가리" 미결정 올해의 네티즌 인기상 혁오 미결정 가요 프로그램 1위[편집] 연도 수상 내역 (총 1회) 2017년 (총 1회) TOMBOY (총 1회) 5월 11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각주[편집] ↑ 김가영 기자 (2015년 7월 21일). “두루두루AMC "혁오, 좋은 음악할 수 있도록 서포트할 것"”. TV 리포트.  ↑ “밴드 '혁오' 무한도전 출격, 아이유도 극찬한 뮤지션(동영상)”. 《The Huffington Post Korea》. HuffingtonPostKorea, Ltd. 2015년 7월 21일에 확인함.  ↑ “5th Gaon Chart K-pop Awards, Popular Singer of the Year Nominees”. 《5th Gaon Chart K-pop Awards》. Kpop Construction. 2016년 1월 2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혁오 - 인스타그램 혁오 - 트위터 혁오 - 페이스북 vdeh혁오 오혁 임동건 이인우 임현제 LP 23 EP 20 22 참여 무한도전 영동고속도로 가요제 관련 문서 하이그라운드 YG 엔터테인먼트 두루두루amc 음반 목록 수상 및 후보 목록 vdehYG 엔터테인먼트경영진 양현석 (회장·총괄 프로듀서) 황보경 (대표이사·사장) 가수현재 소속 그룹 지누션 지누 션 원타임 테디 오진환 송백경 태빈 빅뱅 G-Dragon T.O.P. 태양 대성 악동뮤지션 이찬혁 이수현 WINNER 강승윤 김진우 이승훈 송민호 iKON 김진환 송윤형 BOBBY 김동혁 구준회 정찬우 젝스키스 은지원 이재진 김재덕 장수원 블랙핑크 지수 제니 로제 리사 트레저 13 방예담 최현석 김준규 윤재혁 하루토 박정우 소정환 하윤빈 마시호 김도영 요시노리 박지훈 아사히 현재 소속 솔로 이하이 원 CL 박산다라 과거 소속 그룹 킵식스 박동호 심영호 이새영 스위티 안내영 성미현 빅마마 이영현 이지영 신연아 박민혜 XO 전승우 강성민 바운스 강진우 김우근 원티드 김재석 전상환 하동균 서재호 비바소울 Jood Samuel D'low 소울스타 이창근 이승우 이규훈 45RPM 이현배 J-Kwondo 에시리 G.R. 스토니 스컹크 스컬 쿠시 YMGA 마스타 우 디지털 마스터 에픽하이 타블로 DJ 투컷 미쓰라 진 과거 소속 솔로 휘성 거미 렉시 세븐 프라임 레드락 JC지은 공민지 박봄 남태현 싸이 강성훈 승리 B.I 유닛 · 프로젝트 그룹 무가당 GD&TOP GD X TAEYANG 하이 수현 BOM&HI CL&민지 수펄스 MOBB 배우현재 소속 이수혁 임예진 차승원 정혜영 최지우 장현성 유인나 남주혁 손호준 이성경 갈소원 강동원 김희애 김희정 김새론 황승언 과거 소속 구혜선 박한별 임아람 정성일 허이재 강혜정 양경모 양현모 이종석 프로듀서현재 소속 FUTURE BOUNCE (최필강 a.k.a PK·DEE.P) BIGTONE 강규용 a.k.a Q Rovin 함승천 강욱진 Choice37 Lydia Paek 장석준 a.k.a AiRPLAY 조성확 민연재 과거 소속 용감한 형제 강동철 강흑철 DJ Murf 방송인현재 소속 안영미 과거 소속 유병재 오상진 더블랙레이블 테디(대표) 자이언티 R.Tee DRESS 서원진 전소미 Joe Rhee 24 Peejay 재규어중사 Bryan Cha$e 오케이션 Seoppoem DJ BOID YGX 안다 권현빈 Blue.D 연습생 장한나 조미연 문수아 이채영 지니 박 임수아 박서영 최래성 김종섭 YG케이플러스현재 소속여성 모델 허보미 한혜연 이루영 오혜지 강승현 박예운 지호진 김현희 이승미 정지영 이수진 최영지 김예지 신하영 이성경 최소라 황소희 유은비 정한솔 신해남 이송이 이호정 신현지 지이수 김효정 주희정 이정현 이재이 엄유정 박수진 정유정 이하은 송현민 여연희 황현주 김혜아 현지은 홍효 엄예진 배윤영 엘리스 나딘 박선하 이다정 김수빈 김은선 정소현 윤선아 권지야 최하림 신예민 이연주 김예림 박세진 신혜진 박정민 최정인 전민옥 김세인 윤은화 심소영 안예원 박효린 김설희 최세희 고은비 남성 모델 송재희 김영 최창욱 박병민 이현욱 김필수 박형섭 장기용 변우석 남주혁 주우재 정성중 김보헌 임후석 김종훈 이봄찬 조환 서홍석 맹주호 이후림 김태완 김기범 김태우 이석찬 정용수 강희 박기태 서수원 이규호 박보성 신재혁 이현준 김학수 김성욱 신용국 최한빈 데이비드 권현빈 정의성 김정식 김민종 최연규 방주호 김현진 조효인 강성진 이지석 조성훈 휘황 야마토 코타 칸슈지 타모츠 관련 문서 YG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YG PLUS 하이그라운드의 음반 더블랙레이블의 음반 YGX의 음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혁오&oldid=24027007" 분류: 혁오대한민국의 인디 밴드대한민국의 록 밴드남성 음악 그룹4인조 음악 그룹2010년대 음악 그룹2014년 데뷔YG 엔터테인먼트 소속멜론 뮤직 어워드 수상 음악가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수상 음악가하이그라운드 음악가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Português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4일 (일) 04: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혁오는 대한민국의 4인조 인디 록밴드이다. 본래는 오혁의 1인 그룹이었으나, 2014년 5월, 임동건, 이인우, 임현제 세 명이 합류하면서 4인조 밴드로 체제를 바뀌었다. 밴드 이름인 '혁오'는 리더인 오혁의 이름에서 성과 이름의 순서를 바꾼데서 온 것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혁오 출연 버라이어티 쇼는 무엇인가요? Assistant: 년도 방송사 제목 역할 참고 2015 KBS2 《유희열의 스케치북》 게스트 2015년 4월 24일 방송 MBC 《무한도전 - 영동고속도로 가요제》 게스트 2015년 7월 4일 ~ 2015년 8월 22일 방송 Mnet 《쇼미더머니4》 게스트, with 타블로 "Airbag" 피처링 2015년 7월 17일 방송 KBS2 《유희열의 스케치북》 게스트 2015년 10월 16일 방송 2016 KBS2 《유희열의 스케치북》 게스트 2016년 12월 3일 방송 Human: 아래 찰리야_부탁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찰리야 부탁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찰리야 부탁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찰리야 부탁해 Good Luck Charlie 장르 가족 시트콤 방송 국가 미국 방송 채널 디즈니 채널 방송 기간 2010년 4월 4일 ~ 2014년 2월 16일 방송 분량 23분 방송 시즌 4 방송 횟수 97회 제작사 디즈니 채널 오리지널 프로덕션It's a Laugh Production 연출 에릭 딘 시튼밥 코헤르셸리 젠슨애덤 웨이스먼 극본 필 베이커드루 보펜 출연자 브리짓 멘들러리앨린 베이커브래들리 스티븐 페리미아 텔러리코에릭 앨런 크레이머제이슨 돌리 언어 영어 음성 2채널 돌비 디지털 자막 폐쇄 자막 방송 외부 링크  공식 홈페이지 (한국) 《찰리야 부탁해》(영어: Good Luck Charlie 굿 럭 찰리[*])는 디즈니 채널에서 방송된 미국의 가족 시트콤이다. 목차 1 등장인물 1.1 덩컨 가 1.2 그 밖의 인물 2 우리말 제작 3 외부 링크 등장인물[편집] 덩컨 가[편집] 테디 덩컨 (Teddy R. Duncan, 배우-브리짓 멘들러/더빙-홍수정) 작품의 주인공으로 찰리의 유일한 언니로 덩컨가의 둘째이자 장녀. 항상 긍정적이고 열심히 생활하려고 노력하는 찰리의 언니. PJ 덩컨 (Paul James "PJ" Duncan, 배우-제이슨 돌리/더빙-장민혁) 덩컨 가의 첫째로 장남이다. 뭔가 모자른듯 하지만, 사랑 많고 덤벙대는 테디의 큰오빠. 게이브 덩컨 (Gabriel B. "Gabe" Duncan, 배우-브래들리 스티븐 페리/더빙-배정미) 덩컨 가의 셋째로 차남이다. 장난치는 거 좋아하고 가끔씩 문제를 일으키지만 가족을 사랑하는 찰리의 오빠. 찰리 덩컨 (Charlotte "Charlie" Duncan, 배우- 미아 탈레리코/더빙-홍수정) 덩컨 가의 넷째로 막내이다. 언제나 행복한 덩컨 가족의 행복전도사! 에이미 덩컨 (Amy B. Duncan, 배우-리앨린 베이커/더빙-김옥경) 덩컨가 4남매의 엄마. 간호사 출신에 여전히 하고 싶은 거 많은 사랑스러운 엄마. 밥 덩컨 (Robert "Bob" Duncan, 배우-에릭 알란 크레이머/더빙-송준석) 덩컨가 4남매의 아빠. '해충 밥과 함께 사라지다'를 운영하며 아내와 아이들을 사랑하는 멋진 아빠. 그 밖의 인물[편집] 아이비 웬츠 (Ivy Renee Wentz, 배우-레이븐 굿윈/더빙-배정미) 테디의 베스트 프렌드. 데브니 부인 (Mrs. Estelle Dabney, 배우-파트리시아 벨처/더빙-안경진) 던컨가 옆집에 사는 부인. 게이브와 앙숙이다. 스펜서 월시 (Spencer Walsh, 배우-셰인 하퍼/더빙- ) 테디의 전 남친. 에밋 (Emmett, 배우- /더빙- ) PJ의 베스트 프랜드이자 테디를 좋아한다. 스카일러 (Skyler, 배우-사만다 보스카리노/더빙- ) 테디의 친구이자 PJ의 여자친구. 우리말 제작[편집] 한국어 제작 : Disney Character Voices International, Inc. 외부 링크[편집] (영어) 찰리야 부탁해 - 공식 웹사이트 (한국어) 찰리야 부탁해 - 공식 웹사이트 vdeh디즈니 채널 오리지널 시리즈과거1990년대 《플래시포워드》 (1996-97) 《버그 주스》 (1998-2001) 《페이머스 제트 잭슨》 (1998-2001) 《소 위어드》 (1999-2001) 《더 저지》 (1999-2003) 2000년대 《토탈리 서커스》 (2000) 《이븐 스티븐스》(2000-2003) 《인 어 하트비트》 (2000-2001) 《토탈리 후프스》 (2001) 《리지의 사춘기》 (2001-2004) 《더 프라우드 패밀리》 (2001-2005) 《킴 파서블》 (2002-2007) 《토탈리 인 튠》 (2002) 《댓츠 소 레이븐》 (2003-2007) 《릴로 & 스티치》 (2003-2006) 《미래에서 온 필》 (2004-2006) 《데이브 더 바바리안》 (2004-2005) 《브랜디와 미스터 위스커스》 (2004-2006) 《아메리칸 드래곤: 제이크 롱》(2005-2007) 《잭과 코디, 우리집은 호텔 스위트 룸》 (2005-2008) 《더 버즈 온 매기》 (2005-2006) 《쿠스코? 쿠스코!》 (2006-2008) 《한나 몬타나》 (2006-2011) 《리플레이스먼트》 (2006-2009) 《코리 인 더 하우스》 (2007-2008) 《피니와 퍼브》 (2007-2015) 《우리가족 마법사》 (2007-2012) 《잭과 코디, 우리 학교는 호화 유람선》 (2008-2011) 《유쾌한 서니》 (2009-2011) 《조나스 L.A.》 (2009-2010) 2010년대 《찰리야 부탁해》 (2010-2014) 《어항 속의 하이틴》 (2010-2014) 《우리는 댄스소녀》 (2010-2013) 《앤트 팜》 (2011-2014) 《소 랜덤!》 (2011-2012) 《프랭크스타스》 (2011) 《제시》 (2011-2015) 《오스틴 & 앨리》 (2011-2016) 《디퍼와 메이블의 미스터리 모험》 (2012-2016) 《스탠의 블로그 일기》 (2012-2015) 《코드: 9》 (2012) 《완다가 간다》 (2013-2016) 《리브 & 매디》 (2013-2017) 《윈, 루스 오어 드로잉》 (2014) 《내가 하지 않았어》 (2014-2015) 《라일리의 세상》 (2014-2017) 《언제나 베프》 (2015-2016) 《KC 언더커버 하이스쿨 스파이》 (2015-2018) 《디센던츠: 악동들의 세상》 (2015-2017) 《중간딸은 힘들어》 (2016-2018) 현재 《미키 마우스》 (2013-) 《키키와카 캠프》 (2015-) 《핵꿀잼 Bizaardvark》 (2016-) 《아발로 왕국의 엘레나》 (2016-) 《Tangled: The Series》 (2017-) 《앤디 맥》 (2017-) 관련 주제 ­It's a Laugh Productions 디즈니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Brookwell McNamara Entertainment 크로스오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찰리야_부탁해&oldid=22250256" 분류: 미국의 시트콤2010년대 미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디즈니 채널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콜로라도주를 배경으로 한 작품십대 시트콤숨은 분류: 오래된 그림 구조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zərbaycancaBoarisch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uskaraSuomiFrançais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7일 (금) 19: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찰리야 부탁해》(영어: Good Luck Charlie 굿 럭 찰리[*])는 디즈니 채널에서 방송된 미국의 가족 시트콤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찰리야 부탁해에서 주인공 테디 덩컨을 연기한 배우의 이름은? Assistant: 브리짓 멘들러
Human: 아래 광개토왕의_신라_구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광개토왕의 신라 구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광개토왕의 신라 구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삼한정벌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삼한정벌(三韓征伐, 일본어: 三韓征伐)이란 고대 일본 주아이 천황(仲哀天皇)의 황후이자 오진 천황(応神天皇)의 어머니인 진구 황후(神功皇后)가 신라에 군대를 보내 굴복시켰다는 이야기로 《일본서기》(日本書紀)에는 기록되어 있지만, 동시대의 《삼국지》나, 《삼국사기》와 같은 다른 사서에는 없는 기록이다. 신라정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목차 1 개요 2 일본 역사학의 해석 2.1 2차 대전 이전의 해석 2.2 2차 대전 이후의 해석 2.2.1 4세기 왜의 한반도 진출 경위와의 관련 3 관련 항목 4 각주 5 참고문헌 개요[편집] 신화적 요소가 많이 포함돼 있는 《일본서기》의 〈진구 황후 즉위 전기〉(神功皇后即位前紀)에는 삼한정벌의 동기로서 재화와 보물을 얻으려는 욕망이 있었고, 또 황후가 신라를 항복시켜서 '우마카이'(馬飼い; 말처럼 여겨달라는 것으로, 복종의 의미)로 삼으려 하였다고 쓰여져 있다[1]. 이 기록은 신라를 비하하려는 의식이 보이는 한편, 신라를 금은보화가 가득한 나라로 동경하는 상반된 면도 나타난다[1]. 가마쿠라 말기의 《하치만구도쿤》(일본어: 八幡愚童訓)의 갑본(甲本)에 의하면 정벌의 동기가 재화,보물에 대한 욕망에서 원수 갚기로 바뀌어 있어 삼한 정벌에 앞서 신라가 일본을 먼저 침공했다는 내용이 새로 창작되어 있다[1]. 또 우마카이 이야기는 황후가 화살의 오늬(화살의 머리를 활시위에 끼도록 에어 낸 부분)로 돌에 “신라의 대왕은 일본의 개이다”(新羅国ノ大王ハ日本ノ犬也(なり))라고 새겼다는 이야기로 변질되어 있다[1]. 일본 남북조 말기의 《태평기》(太平記) 39권의 〈신공황후공신라급사〉(일본어: 神功皇后攻新羅給事)에서는 이야기 뼈대는 《하치만구도쿤》에서 변한 것이 없으나 “삼한의 오랑캐”(三韓の夷(えびす))'라는 말이 새롭게 등장하며, 그 때의 삼한이란 동시대 한반도 나라인 고려로 보인다.[1] 일본 역사학의 해석[편집] 2차 대전 이전의 해석[편집] 일본서기에는 '삼한정벌'에 의해 한반도가 일본의 속국이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720년에 완성된 일본서기의 해당 기록을 많은 일본인이 2차 세계대전이 끝나기까지 역사적 사실로 믿었다[2]. 이 삼한정벌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한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의 조선출병에 개전 명분인 ’조선은 진구황후의 삼한정벌 이래 일본의 속국이었기 때문에 지배할 권리가 있다’가 적극 활용되었다. 에도 시대에 들어서는 고쿠가쿠(国学; 국학) 연구에서 삼한정벌 및 이를 대의명분으로 써먹은 임진-정유재란을 긍정적으로 해석하는 견해(야마가 소코(山鹿素行)의 《무가사기》(武家事紀) 등)가 널리 퍼져 있었다. 이 경향은 메이지 시대 이후에도 계속되어 정한론이 대두하였을 때와 실제로 대한제국을 병합하였을 때(한일병합), 일제시대 일선동조론이 생겨나 외지(外地, 일본 제국의 식민지를 가리키는 용어)에 대한 동화정책(황민화교육 등)이 진행할 때도 그 사상적 바탕을 이루었다. 황국사관에 의한 제약 때문에 기키(記紀, 《고사기》와 《일본서기》를 묶어서 부르는 명칭)의 기술을 의심하는 것은 터부시되었기 때문에 진구 황후의 존재도 역사적 사실로서 받아들여졌다. 쓰다 소키치(津田左右吉)는 저서 《일본 고전의 연구》(日本古典の研究)에서 진구황후의 전설은 후세에 덧붙여진 것으로 역사적 사실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다고 하였다. "신라 정벌"에 대해선 '사실의 기록 또는 구비전승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꽤 후대에 아마도 신라 정토(征土)의 진실이 잊혀질 쯤에 이야기로서 꾸며진 것 같다'라고 분석하면서, 전설이 성립된 시기를 6세기 게이타이 천황 때나 긴메이 천황 때라고 서술하였다. 쓰다의 이러한 견해는 당시 황국사관을 거스리는 것으로 문제가 되어 발매금지 처분을 당했으며, 쓰다 자신도 상당한 곤욕을 치렀다. 2차 대전 이후의 해석[편집] 4세기 왜의 한반도 진출 경위와의 관련[편집] 전전(2차대전 종전 이전)에 쓰다는 '천황', '황국'사관의 속박을 타파하려 '국가신도의 경전'(神典)으로 이용되는 기키에 날카로운 사료 비판을 행하고 기키의 과학적 연구를 위한 기초를 구축하였다[3]. 전후의 학자는 기키의 연구를 이어가서 그 문제점, 사료가치에 대한 분석을 진전시켰다. 전후 일본의 역사학에서는, 전전의 황국사관으로부터 해방되었기 때문에 기키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진일보하였으며, 그 결과 학계의 주류에서는 '삼한정벌'에 관한 기술은 구체적이지 않고 신화적 과장이 다분하여[3]'삼한정벌설은 당시의 신라 상황과 맞지 않는다'[3]는 등, 진구 황후의 실재여부 또한 증명할 수 없다고 하여, 4세기 왜의 한반도 진출여부에 대해서는 광개토왕릉비나 칠지도 등, 《일본서기》가 아닌 당대사료에 의해 논의하게 되었다. 이진희(李進煕) 와코대(和光大) 명예 교수에 의해, 한 때에는 광개토왕릉비의 비문이 일본 육군의 한반도 진출을 정당화하기 위해 개찬한 것이라는 설이 강한 힘을 얻었으나, 현재 이 학설은 대체적으로 부정되고 있다.[4] 또한 4세기 후기 무렵부터 왜국의 야마토 정권이 한반도 남부에 진출했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문헌사료와 고고학 사료가 조금씩 나타나기 시작하며, 또한, 호태왕비문에서 왜가 한반도에 진출하여 백제와 신라를 복속시켜 고구려와 격렬히 싸우게 되었다는 서술이 '공적을 크게 보이기 위한 과장이 있다고 해도 대강의 역사적 사실을 반영한 것'이라고 하는 평가가 일본학계에서 정착되는 경향을 보였다. 중국 사서인 《송서》 의 기술을 근거로, 왜국이 한반도 남부의 소국가군에 대해서 어떠한 형태로든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고 방증하는 견해도 있으며, 한국 측의 사서 《삼국사기》에서도 거듭되는 왜의 침공이나 신라와 백제가 왜에 왕자를 인질로 보냈다는 기록과 한반도 남부 지역의 전방후원분 발굴조사에서 왜국산으로 보이는 유물이 출토된 것을 토대로 왜국의 한반도 진출이 사실이었다는 견해를 밝히기도 한다. 이러한 것들로 인해, 한반도 진출설의 근거로서 '삼한정벌' 설화를 신뢰하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4세기 후반 이후 왜의 한반도 진출에 대해서는 역사적 사실로서 입증할 수 있다는 견해가 일본 고대사학계에서 자리잡고 있다. 하지만, 기키에는 광개토왕비에 보이는 것과 같은 고구려 등과의 격렬한 전투를 전하는 부분이 전혀 없어, 이 무렵의 일본은 사실을 구체적으로 문자 기록으로 남기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토대로, 우에다 마사아키(上田正昭), 나오키 고지로(直木孝次郎)는 일찍이 일본이 한반도에서 싸웠던 적이 있었다고 하는 희미한 기억과, 여제 사이메이 천황이 신라 원정을 위해, 쓰쿠시 아사쿠라궁(筑紫 朝倉宮)까지 거동한 역사적 사실이 결합되면서, 진구황후 전설이 창작된 것이라는 견해를 보였다.[5]. 관련 항목[편집] 일본서기 이주갑인상 임나일본부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마 村井(1999) ↑ 《요미우리 신문》2004년 2월 6일 ↑ 가 나 다 沈(2003) ↑ ‘구일본육군이 입수한 것보다 오래된 호태왕비 탁본이 발견되었는데 구일본육군 입수본과 일치하였다.’, '개찬논쟁에 종지부', 《요미우리 신문》, 2006년 4월 12일자 12면 ↑ 直木孝次郎《神話と歴史》, 2006年吉川弘文館) 참고문헌[편집] 田村圓澄《東アジアのなかの日本古代史》吉川弘文館, 2006년 沈仁安《中国からみた日本の古代》藤田友治, 藤田美代子訳, ミネルヴァ書房, 2003년 津田左右吉《日本古典の研究》岩波書店, 1972년 直木孝次郎《古代日本と朝鮮・中国》講談社学術文庫, 1988년 文芸春秋編《幻の加耶と古代日本》文春文庫, 1994년 村井章介《中世日本の内と外》筑摩書房, 1999년 上垣外憲一《倭人と韓人》講談社学術文庫, 2003년 鈴木英夫「加耶・百済と倭 -《任那日本府》論-」《朝鮮史研究会論文集》第29集, 1991년 沈仁安《中国からみた日本の古代》藤田友治, 藤田美代子訳, ミネルヴァ書房, 2003년 堀敏一《東アジアのなかの古代日本》研文出版, 1998년 山内弘一《朝鮮からみた華夷思想》山川出版社, 2003년 山尾幸久「倭王権と加羅諸国との歴史的関係」《青丘学術論集》第15集, 1999년 vdeh한반도 국가와 일본열도 국가 사이의 분쟁고대 광개토왕의 신라 구원(3세기?) 백강 전투(663년) 신라정토계획(753년) 중세 전기 왜구 대마도 정벌(1389, 1396, 1419) 근세 삼포왜란(1510년) 사량진왜변(1544년) 을묘왜변(1555년) 정해왜변(1587년) 임진왜란(1592년 ~ 1594년) 정유재란(1597년 ~ 1598년) 근현대 운요호 사건(1875년) 항일의병운동(1895년 ~ 1911년) 임정의 대일선전포고(1941~1945) 독도의용수비대(1953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광개토왕의_신라_구원&oldid=24195548" 분류: 일본 신화일본의 역사신라일본의 전쟁신라의 전쟁삼국 시대일본-한국 관계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21: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신라-왜 전쟁(新羅·倭戰爭, 영어: Silla–Wa War) 혹은 광개토대왕의 신라 구원, 일본서기의 삼한정벌(일본어: 三韓征伐 (さんかんせいばつ)) 또는 신라 정벌(일본어: 新羅征伐)이란 고대 일본 주아이 천황의 황후이자 오진 천황의 어머니인 진구 황후가 신라에 군대를 보내 굴복시켰다는 이야기로 《일본서기》에는 기록되어 있지만, 동시대의 《삼국지》나, 《삼국사기》와 같은 다른 사서에는 없는 기록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우마카이는 어떤 의미를 담고 있어? Assistant: 말처럼 여겨달라는 것으로, 복종의 의미 Human: 아래 진주시의_시내버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진주시의 시내버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진주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진주시내버스 188번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진주시의 시내버스 진주시내버스 구 131번 (운행구간: 경상대~진주여고~희망교~진주역)관리 주체 진주시청 교통행정과차적지 경상남도 진주시 일원운행 지역 고성군, 사천시, 산청군, 의령군 노선 수 85차량 수 256(정규 237)웹사이트 진주버스정보관리시스템 진주시의 시내버스는 진주시의 핵심적인 대중교통으로서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과 그 시행령에 의해 주로 경상남도 진주시 일원을 운행하는 시내 버스의 체계를 통칭한다. 지역적으로 진주시 관내를 그 범위로 하고 있으나 일부 노선은 시계를 벗어나 고성군이나 사천시, 산청군, 의령군 지역까지 운행하기도 한다.[1] 목차 1 노선 및 체계 1.1 노선 번호 부여 체계화 작업 1.2 남부공영(내동)차고지·경상대 기점 1.3 진양호 기점(종점) 1.4 판문동차고지,대아고교 기점 1.5 내동~시내~진양호,집현 1.6 농산물도매시장(초전동) 기점 1.7 판문동 기점 2 업체 3 차량 3.1 차종 3.2 도색 3.3 설비 4 연혁 5 운임 5.1 대체 지불 수단 5.2 무료 환승 제도 6 각주 7 외부 링크 노선 및 체계[편집] 노선 번호 부여 체계화 작업[편집] 일반 간선 노선의 노선 번호는 서울특별시 간선 버스와 비슷한 형태인 '기점 권역 번호 + 종점 권역 번호 + 일련(순서) 번호'의 3자리 수로 체계화되어 있다. 권역 번호는 다음과 같다. 남부공영차고지, 정촌면, 진주역 , 내동면 일부 : 1 진양호차고지/진양호공원 및 인근 : 2 판문동차고지/대아고교 및 인근 : 3 서부권역(내동면 일부, 수곡면, 대평면, 명석면) : 4 명신고/농산물도매시장 및 인근 : 5 금산면 : 6 북부권역(집현면, 미천면, 대곡면) : 7 동부 권역(문산읍 동부, 진성면, 일반성면, 이반성면, 지수면, 사봉면) : 8 남부권역(문산읍 남부, 금곡면) : 9 혁신도시(충무공동주민센터) : 0 이 중에서 1,2,3,4,5권역만 기점권역이다. 300,301번 신설로 0번이 등장 이에 따라 진주시의 시내버스는 진주시내 간 또는 진주시내-읍면지역간 일반[2]버스가 있다 개략적인 번호별 노선정보는 아래와 같다. 남부공영(내동)차고지·경상대 기점[편집] <경상대-진주역,정촌>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100 남부공영차고지 ↔ 진주역 대동, 율곡입구, 가좌그린빌, 경상대학교 25~35 진주역 도착 후 151번으로 변경해서 운행 110 남부공영차고지 ↔ 예하(정촌) 대동, 율곡입구, 가좌그린빌, 모심, 정촌면사무소 30~40 예하 도착 후 140번으로 번경해서 운행 111 남부공영차고지 ↔ 예하(정촌) 대동, 율곡입구, 가좌그린빌, 모심, 정촌면사무소 25~35 예하 도착 후 160번으로 변경해서 운행 <경상대~시청~진양호>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120 남부공영차고지 ↔ 진양호공원 대동, 율곡입구, 가좌그린빌, 경상대학교, 한일병원, 공단광장, 진주시청, 기계공고, 시외주차장, 중앙시장, 롯데시네마, 이마트, 진주교대, 10호광장, 평거주공 6~9 121 진양호차고지 ↔ 봉전(정촌) 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대,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시외터미널,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한일병원, 목천빌딩, 경상대학교, 모심, 정촌면사무소 5회 122 진양호차고지 ↔ 소곡(정촌) 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대,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시외터미널,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한일병원, 목천빌딩, 경상대학교, 진주역 5회 123 죽봉(정촌) ↔ 진양호차고지 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대,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시외터미널,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한일병원, 목천빌딩, 경상대학교, 모심, 정촌면사무소 7회 죽봉기준 21:10 출발차량(진양호방향)은 정촌산단 단지내 경유 124 진양호공원 ↔ 문산(신촌) 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대,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시외터미널,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한일병원, 목천빌딩, 경상대학교, 진주역 4회 125 진양호공원 ↔ 율곡(경상대) 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대,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시외터미널,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한일병원, 목천빌딩, 경상대학교, 가좌그린빌, 율곡입구 4회 마지막회차 진양호차고지 출발 126 남부공영차고지 ↔ 신풍(대평) 대동, 율곡입구, 경상대학교, 한일병원, 공단광장, 진주시청, 기계공고, 시외터미널, 중앙시장, 롯데시네마, 이마트, 진주교대, 10호광장, 평거주공, 판문동차고지, 가화 3회 <경상대~중앙시장~보건대>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130 남부공영차고지 ↔ 덕산아파트 대동, 율곡입구, 가좌그린빌, 경상대학교, 연암공대, 은빛한보, 제일병원, 제일예식장, 농협중앙회, 중앙시장, 갤러리아, 진주여고, 보건대, 촉석초교, 대아중고교 6~9 대아고교 7:29~7:53출발차량은 은빛한보->연암공대->가좌길->후문->사대부고->대학본부(사회과학대)->남문(수의대)->차고지 순으로 운행함(6분 간격) 131 진양호차고지 → 봉전(정촌) 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대, 보건대, 진주여고, 갤러리아, 중앙시장, 제일예식장, 제일병원, 은빛한보, 연암공대, 경상대학교, 진주역 5회 132 진양호차고지 → 소곡(정촌) 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대, 보건대, 진주여고, 갤러리아, 중앙시장, 제일예식장, 제일병원, 은빛한보, 연암공대, 경상대학교, 정촌면사무소 5회 133 진양호차고지 ↔ 심대(정촌) 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대, 보건대, 진주여고, 갤러리아, 중앙시장, 제일예식장, 제일병원, 은빛한보, 연암공대, 경상대학교, 정촌면사무소 7회 134 남부공영차고지 ↔ 봉원중학교 대동, 율곡입구, 경상대학교, 연암공대, 주약초교, 망경동, 육거리, 농협중앙회, 중앙시장, 갤러리아, 강동한의원, 진주여고사거리 30~40 일부시간대 기동 지원운행 <경상대~이현동~명석>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140 예하(정촌) ↔ 외율(명석) 정촌면사무소, 경상대학교, 연암공대, 은빛한보, 제일병원, 제일예식장, 중앙시장, 갤러리아, 진주여고, 서부시장, 북파, 이현웰가, 명석면사무소 30~40 일부시간대 내율 지원운행 141 남부공영차고지 ↔ 추동/남성(명석) 경상대학교, 연암공대, 은빛한보, 제일병원, 제일예식장, 중앙시장, 갤러리아, 진주여고, 서부시장, 북파, 이현웰가, 명석면사무소 5회 142 남부공영차고지 ↔ 신기(명석) 경상대학교, 연암공대, 은빛한보, 제일병원, 제일예식장, 중앙시장, 갤러리아, 진주여고, 서부시장, 북파, 이현웰가, 명석면사무소 14회 143 남부공영차고지 ↔ 신풍(명석) 경상대학교, 연암공대, 은빛한보, 제일병원, 제일예식장, 중앙시장, 갤러리아, 진주여고, 서부시장, 북파, 이현웰가, 명석면사무소 3회 144 남부공영차고지 ↔ 비실(명석) 경상대학교, 연암공대, 은빛한보, 제일병원, 제일예식장, 중앙시장, 갤러리아, 진주여고, 서부시장, 북파, 이현웰가, 명석면사무소 4회 145 남부공영차고지 ↔ 대평면사무소 경상대학교, 연암공대, 은빛한보, 제일병원, 제일예식장, 중앙시장, 갤러리아, 진주여고, 서부시장, 북파, 이현웰가, 명석면사무소 11회 146 남부공영차고지 ↔ 내팔미(명석) 경상대학교, 연암공대, 은빛한보, 제일병원, 제일예식장, 중앙시장, 갤러리아, 진주여고, 서부시장, 북파, 이현웰가, 명석면사무소 2회 <경상대~초전동>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150 남부공영차고지 ↔ 로컬푸드직매장 대동마을, 경상대학교, 진주역, 혁신도시, 종합경기장, 한전사거리, 구35종점, 하대탑마트, 중앙고교, 동명중고교, 명신고교 20~30 151 진주역 ↔ 명신고등학교 경상대학교, 대동마을, 남부공영차고지, 남강휴먼빌, 10호광장, 진주교대, 운동장, 진주여중, 대아중고교, 이현웰가, 보건대, 진주여고, 갤러리아, 중앙시장, 시외주차장, 말티고개 25~35 160 예하(정촌) ↔ 석교(금산) 정촌면사무소, 경상대학교, MBC, 한일병원, 공단광장, 공단시장, 구35종점, 하대탑마트, 중앙고교, 동명중고교, 서부청사, 금산 25~35 161 남부공영차고지 ↔ 공교사(금산) 대동마을, 경상대학교, MBC, 한일병원, 공단광장, 홈플러스, 선학아파트, 동명중고교, 서부청사, 금산 16회 170 남부공영차고지 ↔ 교도소(대곡) 대동마을, 경상대학교, MBC, 한일병원, 공단광장, 홈플러스, 선학아파트, 동명중고교, 명신고교, 대곡면사무소 2회 171 남부공영차고지 ↔ 추계(미천) 대동마을, 경상대학교, 연암공대, 제일병원, 천전시장, 중앙시장, 갤러리아, 진주여고, 봉원중학교, 기동, 안간 2회 진양호 기점(종점)[편집] <진양호~경상대~혁신도시>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200 진양호차고지 ↔ 속사리(공교사) 평거주공, 희망교, 내동초교, 남부공영차고지, 대동, 율곡입구, 경상대학교, 진주역, 혁신도시 21회 <경상대~진주여고~진양호>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210 남부공영차고지 ↔ 진양호공원 대동마을, 경상대학교, 연암공대, 대학병원, 문화예술회관, 제일예식장, 중앙시장, 갤러리아, 진주여고, 이마트, KBS방송국, 신안강변, 제일중학교, 10호광장, 평거주공 35~45 <진양호~대평,수곡,초전동)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240 진양호 ↔ 대평면사무소 소싸움경기장, 판문동차고지, 상촌, 명석, 조비 5회 241 진양호 ↔ 신촌(수곡) 소싸움경기장, 명석, 이현웰가, 오죽광장, 서부시장, 진주여고, 갤러리아, 중앙시장, 육거리, 망경한보, 남강휴먼빌, 삼계, 가호, 완사, 수곡면사무소 2회 250 진양호공원 ↔ 로컬푸드직매장 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대, 천수교, 육거리, 제일병원, 고속터미널, 진주시청, 공단광장, 구35종점, 하대탑마트, 중앙고교, 동명중고교, 초장동주민센터, 명신고교 17 251 진양호차고지 ↔ 로컬푸드직매장 평거주공, 10호광장, 보건대, 진주여고, 중앙시장, 제일예식장, 제일병원, 고속터미널, 진주시청, 공단광장, 홈플러스, 선학아파트, 동명중고교, 초장동주민센터, 명신고교 4~11 252 상촌(판문동) ↔ 중촌(초장동) 평거주공, 10호광장, 보건대, 진주여고, 중앙시장, 제일예식장, 제일병원, 고속터미널, 진주시청, 공단광장, 홈플러스, 선학아파트, 동명중고교, 초장동주민센터, 명신고교 7회 253 남부공영차고지 ↔ 농산물도매시장 남강휴먼빌, 희망교, 제일중학교, 신안주공, KBS방송국, 이마트, 진주여고, 갤러리아, 중앙시장, 제일예식장, 제일병원, 고속터미널, 기계공고, 진주시청후문, 상대현대, 도동초교, 동명중고교, 서부청사 25~35 <진양호~초전동~금산>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260 진양호차고지 ↔ 국제대(금산) 평거주공, 10호광장,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시외터미널, 말티고개, 동명중고교, 초장동주민센터, 서부청사, 금산, 문산 12회 261 진양호차고지 ↔ 속사리(금산) 평거주공, 10호광장,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시외터미널, 진주시청, 공단광장, 홈플러스, 선학아파트, 동명중고교, 초장동주민센터, 서부청사, 금산 21회 <진양호~초전동~대곡, 미천, 집현>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270 판문동차고지 ↔ 교도소(대곡) 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대,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시외터미널, 말티고개, 동명중고교, 초장동주민센터, 명신고교, 대곡면사무소 12회 271 진양호차고지 ↔ 교도소(대곡) 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대,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시외터미널, 진주시청, 공단광장, 홈플러스, 동명중고교, 초장동주민센터, 명신고교, 대곡면사무소 30~45 272 진양호차고지 ↔ 냉정(집현) 평거주공, 10호광장, 이마트, 진주교대,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시외터미널, 진주시청, 공단광장, 홈플러스, 동명중고교, 초장동주민센터, 명신고교, 대곡면사무소 12회 <진양호~시내~국제대, 반성>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280 진양호차고지 ↔ 국제대(문산) 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대, 이마트, 롯데시네마, 농협중앙회, 제일병원, 고속터미널,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종합경기장, 혁신도시, 문산 20~25 281 진양호차고지 ↔ 남산(반성터미널) 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대,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시외터미널,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종합경기장, 혁신도시, 문산, 국제대, 진성, 반성수목원 16회 282 진양호차고지 ↔ 지수(반성터미널) 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대,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시외터미널,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종합경기장, 혁신도시, 문산, 국제대, 진성, 사봉, 북마성, 무등 16회 <진양호~시내~금곡>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290 진양호차고지 ↔ 문산노인요양병원 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대, 이마트, 롯데시네마, 농협중앙회, 제일병원, 고속터미널,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종합경기장, 혁신도시, 원촌, 문산 20~25 292 진양호 ↔ 가봉(금곡) 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대,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시외터미널,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종합경기장, 혁신도시, 원촌, 문산, 금곡면사무소 9회 293 진양호 ↔ 상인담(금곡) 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대,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시외터미널,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종합경기장, 혁신도시, 원촌, 문산, 금곡면사무소 4회 294 진양호 ↔ 덕계(금곡) 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대,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시외터미널,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한일병원, 목천빌딩, 원촌, 문산, 금곡면사무소 4회 295 진양호 ↔ 송정(문산) 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대,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시외터미널,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한일병원, 목천빌딩, 원촌, 갈곡 8회 판문동차고지,대아고교 기점[편집] <판문동~시내~혁신도시(혁신도시순환노선)>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300 판문동차고지 ↔ 혁신도시(충무공동주민센터) 소싸움경기장, 평거주공, 대아고교, 촉석초교, 보건대, 진주여고, 갤러리아, 중앙시장, 시외주차장, 기계공고, 공단광장, 종합경기장 35~40 종합경기장에서 혁신도시 내부 편도운행(반시계방향) 301 판문동차고지 ↔ 혁신도시(충무공동주민센터) 소싸움경기장, 평거주공, 대아고교, 촉석초교, 보건대, 진주여고, 갤러리아, 중앙시장, 시외주차장, 기계공고, 공단광장, 종합경기장 35~40 종합경기장에서 혁신도시 내부 편도운행(시계방향) <판문동~시내~완사>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340 판문동차고지 ↔ 대우(수곡) 대아고교, 촉석초교, 진주여중, 이마트, 롯데시네마, 시외터미널, 고속터미널, 제일병원, 육거리, 남강휴먼빌, 내동, 완사, 수곡면사무소 4회 341 판문차고지 ↔ 자매(수곡) 대아고교, 촉석초교, 진주여중, 이마트, 롯데시네마, 시외터미널, 고속터미널, 제일병원, 육거리, 남강휴먼빌, 내동, 완사, 수곡면사무소 5회 342 판문동차고지 ↔ 백곡(수곡) 대아고교, 촉석초교, 진주여중, 이마트, 롯데시네마, 시외터미널, 고속터미널, 제일병원, 육거리, 남강휴먼빌, 내동, 완사, 수곡면사무소 8회 343 판문동차고지 ↔ 대평면사무소 대아고교, 촉석초교, 진주여중, 이마트, 롯데시네마, 시외터미널, 고속터미널, 제일병원, 육거리, 남강휴먼빌, 내동, 완사 4회 344 판문동차고지 ↔ 유동(내동) 대아고교, 촉석초교, 진주여중, 이마트, 롯데시네마, 시외터미널, 고속터미널, 제일병원, 육거리, 남강휴먼빌, 내동, 삼계 6회 <이현동~시내~초전동>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350 남부공영차고지 ↔ 농산물도매시장 남강휴먼빌, 희망교, 10호광장, 대아고교, 서부시장, 갤러리아, 중앙시장, 시외주차장,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구35종점, 하대대림 8~15 351 남부공영차고지 ↔ 농산물도매시장 남강휴먼빌, 희망교, 들말대경, 숯골, 진주여중, 서부시장, 갤러리아, 중앙시장, 시외주차장, 도동구도로, 도동초교, 하대탑마트, 하대대림 35~50 352 남부공영차고지 ↔ 농산물도매시장 남강휴먼빌, 희망교, 들말대경, 숯골, 진주여중, 서부시장, 갤러리아, 중앙시장, 제일예식장, 제일병원, 고속터미널, 상평공단, 한일병원, 구35종점, 하대대림, 하대탑마트, 중앙고교, 동명중고교, 서부청사 15~45 353 판문동차고지 ↔ 송백마을 대아고교, 촉석초교, 진주여중,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시외주차장, 옥봉동, 중앙시장, 제일예식장, 제일병원, 고속터미널,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선학아파트, 동명중고교, 초장동주민센터, 농산물도매시장 6회 <판문동~시내~금산>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360 판문동차고지 ↔ 가방(금산) 대아고교, 촉석초교, 서부시장, 중앙시장, 시외주차장, 말티고개, 동명중고교, 서부청사, 금산 10~35 361 판문동차고지 ↔ 공교사(금산) 대아고교, 촉석초교, 서부시장, 청과시장, 시외주차장,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선학아파트, 동명중고교, 초장동주민센터, 서부청사, 금산 18회 362 판문차고지 ↔ 덕의(금산) 대아고교, 촉석초교, 서부시장, 청과시장, 시외주차장,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선학아파트, 동명중고교, 초장동주민센터, 서부청사, 금산 9회 363 판문차고지 ↔ 가방(금산) 대아고교, 촉석초교, 서부시장, 청과시장, 시외주차장,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선학아파트, 동명중고교, 초장동주민센터, 서부청사, 금산 15회 <판문동~시내~초전동~대곡, 미천, 집현>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370 판문동차고지 ↔ 월암(대곡) 대아고교, 촉석초교, 서부시장, 중앙시장, 시외주차장,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도동초교, 동명중고교, 명신고교, 대곡면사무소 6회 371 판문동차고지 ↔ 송곡/유동(대곡) 대아고교, 촉석초교, 서부시장, 중앙시장, 시외주차장,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도동초교, 동명중고교, 명신고교, 대곡중고교 2회 372 판문동차고지 ↔ 덕곡(대곡) 대아고교, 촉석초교, 서부시장, 중앙시장, 시외주차장,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도동초교, 동명중고교, 명신고교, 대곡중고교 4회 373 판문동차고지 ↔ 한실(대곡) 대아고교, 촉석초교, 진주여중,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시외주차장,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도동초교, 동명중고교, 서부청사, 대곡중고교 8회 374 판문동차고지 ↔ 어옥/덕진(미천) 대아고교, 촉석초교, 진주여중,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시외주차장,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도동초교, 동명중고교, 서부청사, 미천면사무소 4회 375 판문동차고지 ↔ 상미(미천) 대아고교, 촉석초교, 진주여중,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시외주차장,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도동초교, 동명중고교, 서부청사, 미천면사무소 6회 376 판문동차고지 ↔ 추계(미천) 대아고교, 촉석초교, 진주여중,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시외주차장,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도동초교, 동명중고교, 서부청사, 안간 6회 377 판문동차고지 ↔ 응석사(집현) 대아고교, 촉석초교, 진주여중,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시외주차장,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도동초교, 동명중고교, 서부청사, 집현면사무소 6회 <이현동~시내~반성, 금곡>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380 판문동차고지 ↔ 평촌/발산(반성터미널) 대아고교, 촉석초교, 보건대학, 진주여고, 중앙시장, 제일예식장, 제일병원, 연암공대, 정촌초교, 혁신도시, 문산, 국제대, 진성, 사봉, 장안 14회 381 판문동차고지 ↔ 부계(반성터미널) 대아고교, 촉석초교, 보건대학, 진주여고, 중앙시장, 제일예식장, 제일병원, 연암공대, 정촌초교, 혁신도시, 문산, 국제대, 진성, 사봉 8회 382 판문동차고지 ↔ 지수/안계(반성터미널) 대아고교, 촉석초교, 보건대학, 진주여고, 중앙시장, 제일예식장, 제일병원, 연암공대, 정촌초교, 원촌, 문산, 국제대, 진성, 사봉, 용봉 4회 383 판문동차고지 ↔ 하촌/구천(반성터미널) 대아고교, 촉석초교, 보건대학, 진주여고, 중앙시장, 제일예식장, 제일병원, 연암공대, 정촌초교, 원촌, 문산, 국제대, 진성, 사봉 6회 390 진양호차고지 ↔ 금곡종점 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대, 보건대, 진주여고, 갤러리아, 중앙시장, 제일예식장, 제일병원, 연암공대, 정촌초교, 원촌, 문산 30~65 내동~시내~진양호,집현[편집]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420 남부공영차고지 → 삼계(진양호) 남강휴먼빌, 육거리, 농협중앙회, 롯데시네마, 이마트, 진주교대, 10호광장, 평거주공, 무지개동산 25~30 470 남부공영차고지 → 원동(집현) 남강휴먼빌, 망경동, 고속터미널, 진주시청, 공단광장, 도동초교, 동명중고교, 명신고교, 집현현대 16회 471 남부공영차고지 → 원동(집현) 남강휴먼빌, 육거리, 제일병원, 고속터미널, 진주시청, 공단광장, 도동초교, 동명중고교, 명신고교, 집현현대 23회 농산물도매시장(초전동) 기점[편집]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550 농산물도매시장 → 농산물도매시장 서부청사, 동명중고교, 중앙고교, 하대탑마트, 구35종점, 공단광장, 진주시청, 청락원, 기계공고, 시외주차장, 옥봉동, 중앙시장, 시외주차장, 상평동, 한일병원, 구35종점, 하대탑마트, 중앙고교, 동명중고교, 서부청사 9회 551 농산물도매시장 → 농산물도매시장 서부청사, 동명중고교, 중앙고교, 하대탑마트, 구35종점, 한일병원, 상평동, 시외주차장, 중앙시장, 옥봉동, 시외주차장, 기계공고, 청락원, 진주시청, 공단광장, 구35종점, 하대탑마트, 중앙고교, 동명중고교, 서부청사 9회 판문동 기점[편집] <판문동~시내~집현>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730 판문동차고지 ↔ 원동삼거리(집현) 대아고교, 촉석초교, 진주여중, 이마트, 중앙시장, 갤러리아, 강동한의원, 진주여고사거리, 봉원중학교, 기동, 장흥, 집현현대 6회 731 판문동차고지 → 어옥/덕진(미천) 대아고교, 촉석초교, 진주여중, 이마트, 중앙시장, 갤러리아, 강동한의원, 진주여고사거리, 봉원중학교, 기동, 원동, 집현현대, 오방 2회 업체[편집] 아래의 4개 업체가 운행에 참여하고 있다. 삼성교통 (97대(정규90) 진주시민버스 (79대(정규 77)) 부산교통 (41대(정규 35)) 부일교통 (39대(정규35))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3개의 업체라고 봐도 무방한데 그 이유는 부산교통과 부일교통은 계열사로서 차고지 공동 사용 및 공동 배차, 예비차 공동 사용 등을 하며 대표 이사도 동일 인물이기 때문이다. 또한 양 사의 주주 구성도 대부분 비슷하며 운수 종사자도 특정 회사에 고정되지 않고 이동되기도 한다. 이외에 삼성교통과 진주시민버스 두 회사는 각각 독립된 별개의 회사이기는 하나 차고지 공동 사용과 공동 배차를 하는 공동 운수 협정을 맺고 있다. 두 업체는 진주시민버스의 전신인 舊. 신일교통이 삼성교통으로부터 분리(분리 당시 삼화교통, 이후 신일교통으로 사명 변경)되어 나온 1981년부터 30년 이상 공동 운수 협정을 통해 차고지 공동 사용과 공동 배차를 지속하고 있으며, 종사자 간에도 친분이 대단히 두텁다. 또한 삼성ㆍ시민 공동운수협의회를 발족, 시내 버스 관련 행정이나 타 업체와 관련한 사안에 공동으로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진주 시내 버스는 전국에서도 보기 드문 2 vs 2 의 업체 간의 특이한 경쟁 구도가 형성되어 있다. 차량[편집] 2018년 1월 현재 총 256(정규 237)대의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전 차량은 도시형 입석 버스 또는 초저상/중저상 버스로서 좌석형 버스는 지난 2003년 2월을 끝으로 없어진 바 있다. 252대의 차량이 10.6~11m 급 대형 버스이며 4대의 8~9m 급 중형 버스가 있다. 차종[편집] 현재 운행되는 차량은 현대자동차 생산 차량의 비중이 높은편이다(256대 중 212대). 천연가스버스는 2004년 5월부터 운행[3]되었으며, 이후부터 신규 차량은 천연가스버스로 출고되다가, 2014년 11월 이후로는 줄곧 디젤버스만 출고되었다. 2018년 3월 현재, 디젤 중형 버스 4대, 대형 버스 99대를 제외한 전 차량이 천연가스버스이며 천연가스버스의 비율이 59.76%(256대 중 153대)에 이르고 있다. 도색[편집] 전 차량이 흰 색 바탕에 청록색과 경상남도 로고를 응용한 경상남도 2000년대형 입석 표준 도색을 적용하고 있다. 차량 전, 후면의 도색 기본 형태는 동일하나 측면 도색의 경우 제조사 및 년식에 따라 일부 차이가 있다. 특히 진주시민버스는 2011년부터 대형 차량에 한해 경상남도 로고를 적용하지 않은 상태로 출고 및 운행하였다. 2015년 3월부터 삼성교통도 신규 차량에 경상남도 로고를 적용시키지 않고 있고, 부산교통과 부일교통도 몇 개월 뒤에 동참하였다. 설비[편집] 냉방 버스 보급률은 2003년 5월에 100%가 달성되었는데, 냉방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개조 차량이 전혀 없이 출고 시부터 냉방 설비가 적용된 차량으로만 이루어진 성과로 당시 이는 전국에서 최초였다. 2015년 12월 현재 대형 버스 전체 258대에 5팬 에어컨이 장착되어 있으며, 중형 버스 4대에만 3~4팬 에어컨이 장착되어 있다. 현재 시내 버스 대형 차량 전체에 5팬 에어컨이 장착된 사례는 전국에서 진주시와 사천시 단 2곳 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최근에 출고된 차량들의 경우, 초저상 버스 뿐만 아니라 일반 버스에서도 자동 변속기를 채택하는 현상이 노동자자주관리기업인 삼성교통과 진주시민버스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부산교통의 계열사인 부일교통에서도 자동 변속기 차량을 시범적으로 출고하여 운용하였고, 2015년 8월 이후 정식으로 자동 변속기 차량을 출고하고 있다. 과거와 달리 현재 생산되는 자동 변속기 차량은 수동 차량과 연비 차이가 거의 없는데다 고장이 덜하고, 무엇보다도 운전하기 편하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특히 진주시민버스에서는 수동 차량을 자동 변속기 차량으로 조기 대차 시키고 있는 현상이 두드러진다. 2018년 3월 현재, 자동 변속기 적용 차량의 비율은 90.23%(256대 중 231대(초저상 18대+일반 213대))이다. 연혁[편집] 1965년 4월 : 삼성교통이 마산 시내버스 출신 중고 마이크로버스 10대로 본격 운행 최초 시작 1970년 9월 14일 : 삼성교통 22대가 시내버스로 면허 전환, 본격적인 시내버스 운행 개시 1981년 6월 1일 : 삼성교통에서 삼화교통(舊 신일교통 전신)이 분리 설립 1988년 1월 1일 : 안내양제를 폐지하고 시민자율버스로 전환 1993년 5월 27일 : 舊 진양군 일부 지역에 시외 노선을 전환한 시내 버스 운행 시작 1994년 : 부산교통이 전환 시내 버스 운행에 참여하면서 진주 시내 버스 사업에 착수 1995년 1월 : 도농 통합으로 진주시와 진양군이 통합하여 통합 진주시 출범, 시외 노선의 시내 버스 전환 본격화 1995년 3월 : 냉방 버스, 좌석 버스 도입 (동일 차량) 1996년 1월 : 대한여객, 영화여객이 운행에 참여 1996년 : 좌석버스제 폐지, 해당 차량 입석 격하 및 해당 노선 폐지 또는 형간 전환 2001년 12월 : 舊 동남교통(거창고속 계열사)의 진주 시내 버스 부문(차량 8대 및 노선 전체)이 대한여객과 영화여객 진주 시내 사업부에 분리 흡수 2003년 5월 15일 : 전국 최초로 전 차량 냉방 기본 장착(개조 ×) 완료 2003년 11월 1일 : 선불ㆍ후불 교통 카드제 시행 2003년 12월 23일 : 도내 최초로 버스 도착 안내 시스템 도입 2004년 5월 25일 : 천연가스버스 도입 2006년 1월 27일 : 도내 최초 계약분 초저상버스 도입 (삼성교통) 2006년 10월 13일 : 舊 신일교통 면허 취소 2006년 12월 ??일 : 삼성교통에서 시내버스 10대 임시 증차, 이후 진주시민버스 출범 2007년 2월 26일 : 진주시민버스가 운행에 참여 2007년 3월 19일 : 자동 변속기 적용 일반 버스 도입 (진주시민버스) 2007년 3월 31일 : 승차권 제도 폐지 2007년 11월 22일 : 도내 최초로 중저상버스 도입 (삼성교통) 2008년 9월 8일 : 무료 환승제 시행 2008년 11월 25일 : 동부 지역 순환 버스 001~005번 운행 개시 2010년 12월 : 도내 최초로 한국형 표준 저상 버스인 한국화이바 프리머스 도입 (진주시민버스) 2012년 5월 : 대한여객, 영화여객 진주 시내 사업부가 부일교통으로 통합 2012년 5월 11일 : 교통 카드 전국 호환 실시 2012년 8월 1일 : 전체 노선 번호를 3자리 수로 일괄 개편 2014년 9월 : 전 차량 전, 후면 LED 행선지판 설치 완료 2017년 3월 25일 : 시내버스 부분 개편 및 동부 지역 순환버스 001~005번 폐지 및 일반노선 전환(281~286번) 2017년 6월 1일 : 시내버스 전면 개편 2018년 3월 2일 : 시내버스 부분 재개편 2018년 12월 : 지간선체계 도입 및 환승센터 설치, 대중교통 시설 개선 운임[편집] 현행 운임 요금 체계는 2015년 8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4] 운임 지불은 현금으로 납부하는 방식 외에도 선불 및 후불 교통 카드로 결제하는 방법이 있다. 종류 나이 현금 (원) 카드 (원) 일반 성인 (만 19세 이상) 1300 1250 청소년 (만 13세 ~ 18세) 900 850 어린이 (만 7세 ~ 12세) 650 600 신생아 및 영/유아의 경우 무임이 원칙이나 2인 이상의 해당자를 인솔하고 탑승할 시에는 해당자 2인에 어린이 1인당 요금을 부과한다. 대체 지불 수단[편집] 대체 지불 수단으로 크게 대중화되어 있는 교통 카드 서비스는 2003년 11월부터 실시[5]되었으며, 2012년 5월부터는 전국의 모든 교통 카드로 진주시의 시내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2015년 8월부터 시행된 현행 운임 체계로는 교통 카드 사용 시 현금 대비 성인과 청소년, 어린이는 각 50원의 할인 혜택이 있다. 교통 카드 충전 및 구입은 지정된 슈퍼 마켓이나 편의점, 할인 마트, 가로변 교통 카드 충전소 등 기존에 승차권을 판매하던 거의 모든 곳에서 가능하다. 고급 국가 유공자와 중증 장애인, 군경 등은 해당 증서를 제시할 시 무료로 탑승이 가능하다. 무료 환승 제도[편집] 무료 환승 제도는 2008년 9월 8일부터 실시되고 있으며,[6] 교통 카드 사용 시 하차 후 30분 이내, 1회에 한해 다른 노선의 버스로 갈아탈 때 요금을 면제하여 궁극적으로 교통 카드의 이용률 상승 및 1회의 요금 지불로 시내버스가 운행되는 모든 지역에 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시행하는 제도이다. 이는 해마다 줄어들던 시내버스 이용객이 늘어남과 동시에 교통 카드 사용률이 상당히 제고되는 효과를 가져왔다.[7] 그러나 배차 간격이 30분을 넘는 노선에 대해서도 하차 후 30분 이내 환승 시 무료 규정이 그대로 적용되는 점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무료 환승 제도의 세부 규정은 다음과 같다. 교통 카드 사용 시에만 가능 동일 노선에 다시 탑승할 때에는 무료 환승 불가 하차 시 반드시 하차 문 주변에 설치된 하차 단말기에 카드를 접촉 후 확인 필요 동부 지역 5개면 순환 버스에서 일반 간선 버스로 환승한 후 다시 일반 간선 버스로 환승하거나 일반 간선 버스 간 1회 환승 후 동부 지역 5개면 순환 버스에 환승하는 경우에 한해서는 2회의 무료 환승이 가능 최초 탑승 시 1개의 교통 카드로 2인 이상의 요금을 지불한 후 환승할 경우에는 1인에 한해 무료 혜택이 적용 운행 구간이 중첩되는 고성군내버스[8], 사천시내버스[9], 산청군내버스[10], 하동군 농ㆍ어촌버스와는 무료 환승이 불가능[11] 각주[편집] ↑ 다음 노선이 여기에 해당한다 : 121/122/131/132번(사천시 축동면), 140번(산청군 단성면), 241/340/341번/343번(사천시 곤명면), 292/293/294번(고성군 영오면), 342번(사천시 곤명면, 산청군 단성면), 376번(산청군 생비량면, 의령군 대의면) ↑ 85개 노선 ↑ 진주에도 천연가스버스 시대 개막, 《경남일보》, 2004년 6월 18일 ↑ 진주 시내버스 요금 인상[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1년 1월 10일 ↑ 진주 시내버스 전자화폐 내달 사용, 《연합뉴스》, 2003년 10월 9일 ↑ 진주시 시내버스 전 구간 무료환승 실시, 《연합뉴스》, 2008년 9월 5일 ↑ 진주 시내버스 이용률 '껑충', 《부산일보》, 2009년 6월 9일 ↑ 고성군 영오면에서 운행 구간 중첩 ↑ 진주시 내동면, 사천시 곤명면에서 운행 구간 중첩 ↑ 산청군 생비량면에서 운행 구간 중첩 ↑ 진주 시가 지역, 사천시 곤명면에서 운행 구간 중첩 외부 링크[편집] 진주버스정보관리시스템 vdeh진주시의 교통철도노선 경전선 역 반성역 진주역 고속도로노선 남해 (10) 통영대전 (35) 나들목·분기점 사천 서진주 진주 문산 진성 지수 진주 분기점 일반도로국도 2호 3호 33호 국지도 30호 지방도 1001호 1002호 1004호 1006호 1007호 1009호 1013호 1049호 1014호 1037호 1040호 주요 간선도로간선도로 경서대로 곤수로 광제산로 남강로 대신로 동부로 동진로 문산로 방어산로 사군로 순환로 오방로 오봉산로 월아산로 정촌우회로 지수로 진마대로 진의로 진주대로 진주성로 호반로 교량 김시민대교 남강대교 진수대교 진주대교 금산교 대관교 대평교 덕천교 월강교 진양교 진주교 창촌교 버스시내 진주 시내버스 고속·시외 진주 진주시외 개양 반성 항공공항 사천공항 기타시내 마이비카드 캐시비 vdeh 대한민국의 시내버스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서울특별시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인천광역시 강화 옹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고양 과천 광명 광주 이천 여주 구리 김포 남양주 동두천 부천 성남 수원 시흥 안산 안성 안양·군포(의왕) 양주 오산 용인 의정부 파주 평택 포천 하남 화성 강원도 강릉 동해 삼척 속초 원주 춘천 태백 충청남도 계룡 공주 논산 당진 보령 서산 아산 천안 충청북도 제천 청주 충주 전라북도 군산 김제 남원 익산 전주 정읍 전라남도 광양 나주 목포 순천 여수 경상북도 경산 경주 구미 김천 문경 상주 안동 영주(봉화) 영천 포항 경상남도 거제 김해 밀양 사천 양산 진주 창원 통영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제주·서귀포)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농어촌버스· 마을버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진주시의_시내버스&oldid=24181886" 분류: 경상남도의 버스 교통대한민국의 버스 노선진주시의 교통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20: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진주시의 시내버스는 진주시의 핵심적인 대중교통으로서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과 그 시행령에 의해 주로 경상남도 진주시 일원을 운행하는 시내 버스의 체계를 통칭한다. 지역적으로 진주시 관내를 그 범위로 하고 있으나 일부 노선은 시계를 벗어나 고성군이나 사천시, 산청군, 의령군 지역까지 운행하기도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진주시 시내버스는 어떤 설비가 돼있는가? Assistant: 냉방 버스 보급률은 2003년 5월에 100%가 달성되었는데, 냉방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개조 차량이 전혀 없이 출고 시부터 냉방 설비가 적용된 차량으로만 이루어진 성과로 당시 이는 전국에서 최초였다. 2015년 12월 현재 대형 버스 전체 258대에 5팬 에어컨이 장착되어 있으며, 중형 버스 4대에만 3~4팬 에어컨이 장착되어 있다. 현재 시내 버스 대형 차량 전체에 5팬 에어컨이 장착된 사례는 전국에서 진주시와 사천시 단 2곳 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Human: 아래 김규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규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규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죽적 김규식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같은 이름을 가진 다른 사람에 대해서는 김규식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김규식金奎植 1946년 당시의 김규식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의장 겸 상임위원장 임기 1946년 12월 12일 ~ 1948년 2월 27일 신상정보 국적 대한민국 출생일 1881년 2월 28일 출생지 조선 경상도 동래도호부[주해 1] 사망일 1950년 12월 10일 (69세)[주해 2] 사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 만포군 만포진읍에서 심장병, 천식, 폐렴, 동상, 뇌출혈 등의 합병증으로 병사 거주지 조선 경상남도 동래군→강원도 홍천군→한성부→ 대한제국 한성부→미국 버지니아주 세일럼→뉴저지주 프린스턴→ 일본 제국 일제 강점기 경성→만주→몽골 울란바토르→중화민국 난징→톈진→베이핑→쓰촨 성 청두 → 충칭→ 미군정 남조선과도정부 서울특별자유시 종로정 삼청동 삼청장→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 삼청장 본관 청풍(淸風) 학력 로노크 대학교 영문학 학사프린스턴 대학교 대학원 영문학 석사 경력 前 민족자유연맹 총재 우사(尤史) · 죽적(竹笛)이라는 아호를 사용 변갑, 번개비라는 별명을 사용 김성(金成) · 중문(仲文) · 일민(一民) ·여일민(余一民) ·왕개석(王介石)이라는 가명을 사용 정당 무소속 부모 김지성(김용원)(父), 경주 이씨 부인(母) 배우자 조은수(사별), 김순애(재혼) 자녀 김진필(男), 김진동(男), 김진세(男), 김한애(女), 김민애(女), 김우애(女) 친인척 백부 김우성, 형 김규찬, 사촌 김은식, 처제 김필례, 당숙 김익남, 친족 김관식, 동서 최영욱, 인척 서병호, 김필순, 김염, 김마리아가 있었음. 종교 개신교(장로회) 독립운동가 김규식의 필체 김규식(金奎植, 1881년 2월 28일 ~ 1950년 12월 10일)은 대한제국의 종교가,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 학자, 시인, 사회운동가, 교육자였다 언더우드 선교사의 비서, 경신학교의 교수와 학감 등을 지내고 미국에 유학하였다. 1918년 파리에 신한청년당의 대표로 파견되어 이후 10여년간 외교 무대에서 종횡무진으로 활약하며 한국의 독립운동이 국제 승인을 받도록 하기 위하여 심혈을 기울였다.[1] 각지에서 세워진 임시정부로부터 전권대사와 외무부서장에 임명되었다. 1919년 4월 상해임시정부의 외무 총장에 임명되고 파리대표부를 조직하고 위원장이 됐으며, 구미외교위원부 위원장, 부위원장, 학무총장 등으로 활동하다가 1921년 임시정부의 창조파와 개조파를 놓고 갈등할 때는 창조파의 입장에 서기도 했다. 그 뒤 임정을 떠나 독립운동단체의 통합노력과 교육 활동 등을 하다가 1935년 민족혁명당 결성을 주도하고 좌우합작의 일환으로 임정에 다시 참여, 1944년부터 1947년까지 대한민국 임시정부 부주석을 지냈으며 주로 외교활동을 전개해나갔다. 광복 후에는 김구 등과 함께 임정 환국 제1진으로 귀국하여 신탁통치 반대운동[주해 3] 에 나섰으나 모스크바 3상회의의 결정은 임시정부 수립에 있다는 것을 깨닫고 견해를 수정, 여운형과 함께 좌우합작운동에 앞장섰다. 3상결정 부분 지지와 미소공위, 좌우합작 당시 테러에 시달려야 했다. 1948년 2월 남한의 단독 총선거에 반대하여 김구(金九), 조소앙 등과 함께 북한으로 건너가 4월의 남북협상에 참여하였다. 단독정부 수립에 반대하였으나 1948년 5월 귀환 후, 불반대 불참가로 입장을 바꾸고 민족자주연맹 당원들에게 초대 제헌의원 선거와 제2대 국회의원 총선거에 출마할 것을 권고하기도 했다. 1950년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병으로 사망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으로는 1919년 4월 임시의정원 의원, 외무총장, 파리위원장, 8월 구미외교위원부 위원장, 부위원장, 1920년 학무총장, 1930년 8월 학무장, 11월 국무위원, 1932년 11월 국무위원 등을 지내고 1944년부터는 대한민국임시정부 부주석이었다. 대중정치나 선동정치를 경멸하였고 정당활동을 기피하였으며, 정당활동으로는 민족혁명당 주석, 민중동맹 위원장, 민족자주연맹 위원장 등을 지내기도 했다. 교명(敎名)은 요한(Johann), 아호는 우사(尤史), 죽적(竹笛) 등이다. 본관은 청풍(淸風). 중국에서 활동할 당시의 가명은 '김성'(金成) · '김중문'(金仲文) · '김일민'(金一民) · '여일민'(余一民) · '왕개석'(王介石) 등이며, 별칭으로는 '변갑'이라는 이름도 있었다.[2] 노론 중신인 김상로, 김재로, 김치인, 김종수 등의 방계 후손이었다. 본적은 경상남도 동래군이나 부친이 관리로 집무하던 중 태어난 출생지는 강원도 홍천군이다.[3] 목차 1 생애 1.1 생애 초기 1.1.1 출생과 가계 1.1.2 유년기와 소년기 1.1.2.1 불우한 유년기 1.1.2.2 언더우드 소학교 재학 시절 1.1.3 청소년기와 방황 1.2 청년기 1.2.1 청년기 활동과 도미 유학 1.2.2 대학교 재학 시절 1.2.3 대학원 재학 시절 1.2.4 교육과 신앙 활동 1.2.5 선교와 사회단체 활동 1.3 독립운동 1.3.1 중국 망명 초기 1.3.2 독립자금 모금, 무역상 활동 1.3.2.1 신한청년당 창당과 재혼 1.4 임시정부 국무위원 활동 1.4.1 정치 및 외교활동 1.4.1.1 파리강화회의 대표자 파견 1.4.1.2 파리위원부 설치 1.4.1.3 파리강화회담 참가와 실패 1.4.1.4 질병과 도미 1.4.1.5 구미위원부 활동 1.4.2 두통 수술과 병원 입원 기간 1.4.3 상하이 귀환과 미국 왕래 1.4.4 국민대표회의 창조파 활동 1.4.5 임정 탈퇴, 민족유일당 운동 1.4.5.1 극동인민회의 참가 1.4.5.2 교육지원 활동 1.4.5.3 소련 방문과 복귀 1.4.6 민족유일당 운동 1.4.6.1 임시정부 재입각 1.4.6.2 민족유일당 운동과 교관 생활 1.4.6.3 민족혁명당 주석에 선출 1.4.7 임시정부 재입각 1.4.8 일제 강점기 후반 1.5 정부수립 활동 1.5.1 광복과 귀국 1.5.2 해방후 정치활동 1.5.2.1 신탁통치 반대와 모스크바 3상 결정 지지 1.5.2.2 군정과 임정의 갈등 조절 노력 1.5.2.3 우익 정치인 활동 1.5.2.4 미소공위와 좌우 합작 노력 1.5.3 미소공위 지지 선언 1.5.4 좌우합작운동 전개 1.5.5 과도입법의원 활동 1.5.6 박헌영과의 관계 1.5.7 장택상과의 갈등 1.5.8 미소 공위 성사 노력과 좌우합작운동의 실패 1.5.9 우익 진영과의 갈등 1.6 생애 후반 1.6.1 정당 활동과 암살 위협 1.6.2 민족자주연맹 창당 1.6.3 북한과 교섭 1.6.4 남북협상에 대한 만류 1.6.5 남북협상 참석 1.7 말년 1.7.1 제2차 남북협상 불참 1.7.2 정치적 몰락 1.7.3 대한민국 단독 정부 승인과 말년 1.8 최후 2 사후 3 연보 4 기타 노력 4.1 외교적 노력 4.2 무장 투쟁 노력 4.3 그밖의 활동 5 일화 6 평가 6.1 당대의 여론 6.2 평가와 비판 6.2.1 1990년대 이후의 평가 6.2.2 부정적 평가 6.3 기타 평가 7 성격 8 사상과 신념 8.1 한국인의 민족성 8.2 자유주의관 8.3 국제정세에 대한 관점 8.4 공산주의에 대한 시각 8.5 남북협상의 실패 예견 8.6 경제관 9 상훈 10 학력 11 저서 12 가계 13 작품 속에서 김규식 14 같이 보기 15 기타 16 참고 자료 17 주해 18 각주 19 외부 링크 생애[편집] 생애 초기[편집] 출생과 가계[편집] 김규식은 1881년 2월 28일(족보에 의하면) 조선 경상남도 동래부사 종사관인 아버지 김지성(金智性)(김용원)과 어머니 경주 이씨(慶州李氏)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태어나자 마자 아버지 김지성(김용원)을 따라 그는 본가가 있는 강원도 홍천으로 갔다. 따라서 그를 강원도 출신으로도 간주하기도 한다. 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구성포리에는 아버지 김지성(김용원)과 할아버지 김동선 내외의 묘소가 소재하고 있다.[4] 김규식은 청풍 김씨 중방파(仲房派) 23세손으로, 전라도관찰사 증 의정부 영의정 김징(金澄)의 8대손이었다. 김구(金構), 김유(金楺)는 그의 7대 방조였다. 그의 가계는 김상로, 김재로, 김치인 등을 배출한 노론가의 방계였다. 노론 명문가의 후예로 노론 벽파의 거두였던 김상로, 김양로, 김재로, 노론 청명당의 지도자였던 김치인과 김종수 등은 그의 방계 선조들이었다. 김익로는 현감을 지냈지만 당대의 정치 거물인 김상로, 김양로, 김재로의 사촌 형제였다. 김익로는 김규식의 6대조였다. 그러나 노론 벽파로 분류된 그의 가계는 순조대 이후 몰락했고, 할아버지 김동선(金東璇)의 대에 다시 벼슬에 올라 참봉(參奉)을 지냈다.[4] 아버지 김지성(김용원)은 일본에서 신학문을 익혔으며 선전관을 역임하였고[5], 15세 때부터 왕실의 시종무관으로 근무했다.[6] 개항 이후에는 외무관리로 일본, 러시아에 파견되었다가 돌아왔으며[5] 당시 동래부사의 부관으로 근무하고 있었다.[4] 유년기와 소년기[편집] 불우한 유년기[편집] 4~8세 무렵의 김규식, 경성부 언더우드 학당에서 촬영 당시 조선에 파견된 청나라의 위안스카이(袁世凱)가 내정간섭을 단행하고, 일본과의 불평등한 교역으로 인해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자 아버지 김지성(김용원)은 민씨정권의 대일무역정책을 비판하는 상소문을 올린 것이 빌미가 되어 유배를 당하였다.[5] 형 김규찬은 큰아버지 김우성의 양자로 갔고, 그는 의지할 곳이 없었다.[5] 1887년 어머니(혹은 법적 어머니) 경주이씨마저 죽었기 때문에 어린 김규식은 숙부들의 집에 맡겨졌으나, 숙부들과 친척들도 생활 형편이 어려웠다. 1886년 5월 구걸을 하던 김규식이 언더우드 선교사를 찾아갔는데, 외모는 남루했지만 아이의 눈엔 총기가 있어 보였다고 한다. 김규식은 조선의 첫 고아원 겸 예수학당(경신학당)의 학생이 됐다. 온 동네를 휘젓고 다닌다고 해서 언더우드는 그를 '번개비'라고 불렀다.[7] 언더우드는 내한후 1년뒤 고종의 호의로 승인을 얻고 고아원을 설립했으며 처음에는 직원수가 부족하여 언더우드 선교사가 직접 고아원을 관리하며 학생들을 가르쳤다.[2] 유아를 맡기 힘든 언더우드의 고아원은 다시 김규식을 그의 일가에게로 돌려보냈다.[8] 열병에 걸려 치료도 못받고 방치되어 있었다고 한다.[9] 중병에 걸려서 돌보는 사람이 없어 위독하다는 소식을 전해들은 언더우드 선교사는 자신도 병환 중이었으나, 약과 우유를 들고 강원도 홍천으로 갔다. 당시 고열과 질병에 시달리던 어린 김규식을 포기한 숙부들은 병풍을 쳐놓고 그 뒤에 눕혀놓았고, 병과 함께 굶주림에 허덕이던 김규식은 벽지를 뜯어먹으며 먹을 것을 달라며 울며 애걸하였다 한다.[8] 언더우드 소학교 재학 시절[편집] 조선인 최초의 유아세례자 중 4인(뒷줄 좌로부터 서병호, 김규식, 앞줄은 김일, 원한경 병약한데다가 영양실조까지 걸렸던 그는 영양실조로 인해 여러가지 잔병치레를 하기도 했다. 후일 김순애(金順愛)에 의하면 그는 위장병이 심했고 오랫동안 간질병에도 시달렸다고 증언하기도 하였다.[10] 그러나 아이가 몹시 아픈데도 아무도 돌보아주지 않는다는 소식을 들은 언더우드는 자기도 많이 아픈데도 불구하고, 분유와 약을 들고 아이가 있는 곳으로 찾아갔다. 너무 굶주린채 방치되었던 김규식은 먹을 것을 달라고 울부짖으며 벽지를 뜯어 삼키고 있었다.[2] 언더우드는 그 아이를 돌보는 일이 어려운 입장이었으나 그를 고아원으로 데려가고자 노력했고, 주변 사람들은 그 아이가 틀림없이 죽을 것이라고 하면서, 언더우드의 그러한 행동을 말렸다.[2] 그러나 언더우드 목사는 주변의 반대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어린 김규식을 자신의 집으로 데리고 갔다. 언더우드는 간질과 위장병과 굶주림으로 쇠약해진 그를 돌보며 하나님께 기도하면서 그 아이를 극진히 간호했다. 간질과 위장병을 심하게 앓던 그는 언더우드의 지극정성과 간호로 죽음의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었다.[2] 그 뒤 언더우드는 그에게 기독교와 영어를 가르쳤고 그는 빨리 영어 단어와 기독교 교리를 이해하였다. 당시 김규식은 아버지 김지성(김용원)의 동의하에 언더우드에게 영어교육차 보내졌다는 설이 있고, 김지성(김용원) 유배 후 방치된 그를 언더우드가 데려다 간호한 뒤, 언더우드 자신의 양자로 삼았다는 설도 있다. 이후 김규식은 언더우드의 집에서 그가 세운 학당을 다니며 소년기를 보냈다.[8][11] 청소년기와 방황[편집] 언더우드 학당 시절 (1888년경), 맨 앞줄 가운데가 김규식 1888년부터 김규식은 언더우드 학당에 다니면서 영어와 수학, 라틴어, 신학, 과학 등을 배웠다. 김규식은 영어를 빨리 배우고 정확하게 구사하였다.[12] 그러나 언더우드 몰래 가출하여 아버지를 찾는다고 경성부를 거리를 다니다가 교인들에 의해 잡혀서 다시 언더우드의 집으로 되돌아가기를 반복하고는 하였다. 그 뒤 우연한 기회에 부친 김지성(김용원)을 상봉하여 고향 홍천으로 돌아갔다. 이 일로 김규식은 언더우드목사의 눈밖에 나게 되었다. 그러나 1891년 할머니가 사망하고, 1892년 부친마저 사망했다.[13] 1894년 가을 할아버지 김동선과 큰형이 사망했고, 김규식은 완전히 고아가 되었다. 가정 형편이 어려웠던 숙부들 역시 그를 돌볼 여력이 없었다.[13] 청소년기에 계속된 비극과 철없는 동네 소년들, 무정한 어른들이 보여준 멸시와 차별은 그의 성격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13] 성인이 된 뒤에도 다정한 인간이라기보다는 냉정하고 차가운 인간이라는 평을 받게 되었다.[13] 이정식에 의하면 이러한 성격의 근원은 유년기와 소년기에 형성되었을 것이라 보았다.[13] 후일 그는 정치, 외교, 독립운동 활동을 진행하면서도 어떤 계파나 파벌에 연연하거나 스스로 엮이려 하지 않았다. 이를 두고 대한민국의 사학자 도진순은 이처럼 김규식이 '가족, 집안, 씨족, 파벌 등과 같은 한국의 토착적 기반과 일찍부터 유리되었으며, 이것은 그가 평소 정치적 파벌과 일정한 거리를 두면서 합작에 노력하는 하나의 배경이 되었다.[13]'고 보았다. 주변의 냉담한 시선과 고아라는 차별대우(혹은 서자라는 멸시), 그의 불우한 처지를 고려하지 않는 무정함 등은 후일 그를 냉소적이고 회의적인 시선을 갖게 만들었다. 청년기[편집] 청년기 활동과 도미 유학[편집] 독립신문 독립신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언더우드 선교사의 세심한 배려와 지원으로 김규식은 서양문물과 근대교육을 폭넓게 접할 수 있었다.[2] 언더우드의 배려로 언더우드가 세운 사립학당인 예수교학당 혹은 민노아학당으로도 불리던 언더우드 학당에 입학하였다. 이후 신앙활동에도 투신하여 그는 한국인 교역자들 중에서 가장 성실하고 유능한 사람의 하나로 인정을 받으며 성장하였다.[2] 언더우드의 극진한 배려와 친자식과 다름 없는 릴리스 여사의 간호와 양육에도 불구하고 주변인들의 멸시와 험담은 그에게 큰 상처를 주었다. 성인이 되면서 그런 상처를 극복하지만 그는 합리적이고 냉철한 사람으로 변모해간다. 1894년 언더우드 학당을 마치고 김규식은 1894년 3월 한성 관립영어학교(官立英語學校)에 1기생으로 입학하였다. 당시 한성 관립영어학교는 영국인 허치슨(W. F. Hutchison, 轄治臣)이 교장으로 있었다.[2] 병약하고 체구가 작았던 그는 연애나 운동을 하는 것 보다는 주로 그늘에서 독서와 사색을 즐겼다. 그 뒤 1896년 서재필이 귀국하자 그를 찾아가 면담하였다. 귀국한 서재필(徐載弼)이 독립신문사를 설립하자, 언더우드 목사와 관계가 다소 소원해졌으며 직업이 없어 고민중이던 그를 자신이 운영하는 〈독립신문〉의 취재기자로 받아들였다. 그가 경영하는 〈독립신문〉에 잠시 근무하다가, 미국 유학을 강권하는 서재필 등의 권유와 언더우드의 후원을 받아 1896년 미국에 건너갔다. 서재필은 청년들에게 나라의 개화를 위한 길은 서구의 문물을 배워오는 길이라며 미국 유학의 필요성을 역설하였고 그에게도 미국으로의 유학을 적극 권고하였다.[14] 1896년부터 1897년부터 미국 버지니아주의 목가적인 환경에서 공부하게 되었다.[15] 그곳에서는 그를 괴롭히거나 따돌리는 사람도 없었고 그의 출신 환경을 비웃는 사람이 없었다. 1897년 초 아르바이트와 막노동으로 스스로 학비를 조달하였다. 서재필 등이 학비를 고국에서 부쳐주었으나, 김규식은 고국에서 부쳐주는 학비에만 의존하지 않고, 등록금과 기타 학비를 스스로 마련하였다. 1897년 9월 버지니아주에 있는 루터교 계열 인문대학 로노크 대학교의 대학 준비과정인 로노크 대학교 예과(예비 고등학교 과정)에 입학하여 수학하였다.[15] 대학교 재학 시절[편집] 10대 때의 김규식 (1890년대 중반) 로노크 대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00년 가을 정식으로 로노크 대학교(Roanoke College)에 입학, 1903년까지 로노크 대학교에서 공부했다.[16] 이후 언더우드 선교사의 지원과 함께 아르바이트로 학비를 조달하기도 했다. 로노크 대학교에 재학 중 그는 대한제국 고종의 서자(庶子) 의친왕(義親王)과 만나 교우관계를 형성하였다. 1900년 5월에는 학교 잡지에 한국어에 대한 논문을 실었고, 1902년 2월호에는 '동방의 아침'이라는 이름으로 연설논문이 실리기도 했다.[16] 한편 한국어에 관련된 논문을 발표할 때는 한국어와 영어, 불어, 독일어, 라틴어, 산스크리트어와도 비교하면서 쓴 글이라 한다.[16] 2006년 한국의 역사학자 이정식은 김규식의 글을 읽고 '그만한 글을 발견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며 찬탄하기도 하였다.[16] 1901년 1월에 개최된 연설 경연대회에서 최고상을 받고 대학 잡지에 특집으로 실리기도 했다.[16] 로노크 대학교 재학 당시 김규식은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라틴어 등에 뛰어났고[16][17] 동아리 활동으로는 웅변부에서 활동하였다. 또한 데모스테니언 문학회 라는 문학클럽에도 가입하여 활동하였으며, 1902년 1월 문학 동호회의 회장이 되었다.[16] 1902년 5월 로노크 대학교를 휴학하고, 미국 뉴욕주의 어빙턴에서 취직하였다. 학창시절의 학력 평점은 92.2점을 유지하였으며 1903년 6월 로노크 대학교를 졸업하였다.[16] 대학 졸업 당시 성적은 전체 3등이었으며, 한국인으로는 두 번째 학사였다. 1903년 5월에는 로노크 대학교 교내 잡지에 《러시아와 한국문제》라는 글을 기고하였는데, 이 글에서 '한국의 정부는 천하고 무능력하며 정직하지 못한 정치가들의 정부이며 한국은 음모와 역 음모, 타성과 보수주의에 잠겨 있고 나라는 반역자들과 비겁한 겁쟁이들로 가득차있다'고 비판하였다.[18] 대안으로 '한국이 지금이라도 깨어난다면 머지않아 드리워질 침략의 멍에에서 벗어날 수도 있을 것'이라며 한탄하기도 하였다.[18] 졸업식 당시 졸업 기념 연사 4인 중의 1인으로 선발되어 '러시아와 극동'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였다. 이때 그는 일본의 러시아 침략과 러일전쟁의 결과를 예견, 분석하였다.[18] 동아시아의 미래는 다가오는 러시아나 일본의 갈등에 전적으로 달려있다. 동아시아의 땅과 바다엔 한 번 더 전쟁이 울릴 것이다. — [18] 러일전쟁을 사전에 예언하였고, 1904년 러일전쟁이 발생하였으며, 1905년 9월 5일 전쟁의 최종 승리는 김규식의 예견대로 일본의 승리로 종결되었다. 1903년 10월 28일 국내에서 조직된 황성기독교청년회의 간사로 선임[19] 되었다. 대학원 재학 시절[편집] 김규식의 모교 프린스턴 대학교. 김규식은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프린스턴 대학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03년 가을 그는 미국 뉴저지주의 프린스턴 대학교(Princeton University) 대학원 석사과정에 입학, 1904년 프린스턴 대학교 대학원에서 영문학 석사학위를 받고 귀국했다.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박사학위 과정을 장학생으로 선발하고 학비를 지원한다 하였으나 러일전쟁이 전개됨에 따라 그는 '고국의 독립을 위해서' 라며 거절하고 귀국하였다. 1904년 가을 그는 YMCA 청년회 교육부 간사에 임명되었다.[20] 그 뒤 YMCA 이사회 이사 겸 서기를 거쳐 YMCA 교사로 임명되었다. 얼마 뒤에는 YMCA 중학교 교장에 임명됐다.[20] 1905년 8월 미국 포츠머스에서 개최된 강화회의에 참석하고자 청나라 상하이까지 갔으나 실패하고[18], 11월 7일 귀국하였다. 그 해 만주의 뤼순 항구가 일본에 함락되자 로노크 대학의 잡지에 여순항의 함락을 크림 전쟁에서의 세바스토폴의 함락과 비교한 '근대 세바스토폴의 함락'이라는 논문을 발표하였다.[18] 교육과 신앙 활동[편집] 1904년 언더우드 선교사의 비서가 되었다. 1905년 그는 상동교회를 찾아, 전덕기·이동녕 등과 교류하는 가운데 한민족의 나갈 길을 의논하였다.[21] 1904년 윤치호와 함께 황성기독교청년회(皇城基督敎靑年會)의 이사로 선출되었다. 1904년부터 1913년까지 언더우드의 비서로 있으면서 YMCA학교 학생부 담당 겸 간사, YMCA 학교 교사, 경신학교 교사, 기독교 주일학교 교장, 배재전문학교 영어강사, 연희전문학교 영어강사, 조선기독교 대학교 1학년 2개반 담당 교수 등을 지냈다.[12] 배재학당에서 그는 영어 과목과 수사학 과목을 가르쳤다. 1906년 5월 21일에는 전 군수 조순환(趙淳煥)의 무남독녀인 조은수(趙恩受, 당시 16세)와 결혼하였다. YMCA청년회 학관의 학감으로 재직 중일 때는 양반 출신 학생들은 스포츠를 천히 여기고 그 시간을 거부했다 한다.[22] 그러나 김규식 박사는 강제로 체조를 시키고 스포츠를 장려했다.[22] 이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학교를 떠나는 소동이 일어나기도 하였다.[22] 선교와 사회단체 활동[편집] 1907년 장남 김진필(金鎭弼)이 출생했으나 6개월 만에 병으로 사망하였다. 1907년 2월 대한유학생회(大韓留學生會)의 초청연사로 초빙되어 강연하였다. 1909년 7월 한국문법 책을 펴냈고, 로노크 대학교 학보의 1909년 7월호에 실렸다.[20] 1910년 경신학교 교감에 선임되었다.[12] 종교 활동으로는 1907년 '제7회 세계기독학생연맹세계대회'가 일본 동경에서 열렸을 때 윤치호(尹致昊)·김정식 등과 함께 대회에 참석하였다.[23] 새문안교회 집사로 교회 예배당 건설을 추진하였고 1910년에 새문안교회 예배당 헌당과 함께 새문안교회 장로가 되었으며[24], 1910년 숭실중학교 교사로 출강하였다. 숭실중학교에서 그는 수사학(修辭學) 과목을 가르쳤다.[25] 조병옥에 의하면 김규식은 수업 시간에 종종 영어시를 읊어주곤 하였다고 회고하였다. 셀리, 키이츠, 테니슨, 바이런 등의 시들을 잘 읽어 주었다.[25] 조병옥은 숭실중학교 편입생 시절, 가장 재미있게 청강한 과목으로 김규식이 가르치던 수사학이었다 고 회고하였다.[25] 1911년 12월 경기·충청도장로교 연합회 서기로 뽑혔고, 1912년 2월 전국주일학교연합회 집행위원회 부위원장직을 맡기도 하였다. 1912년 9월 1일 김규식은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평양)에 영문(英文)으로 보고하였다.[25] 1913년 봄 김규식은 조선총독부 학무국으로부터 장학금과 도쿄 외국어대학교 영어교수직, 도쿄 제국대학 동양학과 장학생 특별 입학(入學)을 제의받았으나 거절하였고, 조선총독부는 다시 사람을 보내 도쿄 제국대학교 동양학과의 장학금을 제의하였으나 거절하였다.[25] 독립운동[편집] 중국 망명 초기[편집] 새문안 교회 전별식 105인 사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11년 9월 조선총독부는 105인 사건을 날조하여 한국의 독립운동가와 기독교 지도자들을 대거 구속, 투옥한다. 김규식은 극적으로 투옥은 모면하였다.[26] 1914년 몽골 이동 중 (왼쪽이 김규식, 가운데는 차남 김진동, 왼쪽은 사촌 누이 김은식(金殷植) 1911년 105인 사건 이후로 일본의 기독교회에 대한 탄압이 시작되자, 그는 1913년 초 인삼장사를 할 목적으로 중국으로 망명하였다. 경상남도의 한 갑부는 그에게 1천원의 자금을 지원해주기도 했다. 중국으로 망명할 때 그는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 '왜놈들이 하도 못살게 굴어서 모든 것을 집어치우고 새로운 길을 개척해 보기로 했다'고 표현하였다.[27] 중국 망명후 신규식·여운형 등의 주도로 창설된 동제사의 중견임원으로 선임되었다. 윤치호의 이복동생인 윤치왕이 군사훈련을 배우겠다고 상하이를 찾아왔으나, 그는 기회가 많으니 영국에 가서 의학을 배워볼 것을 권고하여 영국으로 보내주었다.[28] 또한 그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어느 대학에 가서 문학 공부를 계속한다, 미국에 간다는 등의 뜬소문을 유포시키기도 했다. 그의 후원자였던 언더우드의 부인 릴리스 언더우드 역시 그의 이런 계획을 전해듣고, 그가 오스트레일리아의 어느 대학에 진학하여 목회자가 될 것이라고 소문을 냈다. 그의 출국 소식을 접한 조선총독부에서는 국내 기독교계 인사들을 의심하였으나 미국인 선교사들 댁을 수색할 수는 없어 윤치호의 집을 수색하기도 했으나 그의 출국을 도왔다는 어떤 근거도 찾지 못하고 만다. 1913년 김규식은 베이징·상하이·난징 등지에 먼저 와 있던 여러 애국지사들과 접촉했다.[29] 13년 3월 쑨원, 친치메이, 황싱, 탕샤오이, 왕쳉팅, 웰링턴 V. 쿠 등 중국의 혁명 지도자들과 만나 교분을 쌓았고, 혁명파의 제2혁명에도 관여하였다.[29] 김규식은 중국 혁명 당시 냉휼(冷橘) 장군의 군대에 합류하여 방부(邦阜)[29] 까지 올라갔는데, 이 부대는 서주부(徐州府)에서 내려온 복벽파 장훈(張勳)의 군대 앞에서 어지러이 후퇴했다.[30] 1913년 9월 중국 혁명은 실패하고 쑨원 등은 망명하면서 그는 다시 상하이로 되돌아오게 되었다.[31] 1918년때 김규식 박사. 1913년 11월 춘원 이광수가 상하이에 도착했을 때 그는 단재 신채호에게 영어를 가르치고 있었다. 독립자금 모금, 무역상 활동[편집] 1910년대 김규식은 몽골에서 군관학교 설립을 추진했다.[32] 1914년부터 2년간 화북과 몽고 지방에서 상업에 종사하기도 하였으며 동제사에 가입하였고[33] 신채호·홍명희·서병호(1885~1972) 등과 친분관계를 맺었다. 1914년 1월 독립자금을 모금하러 변복하고 압록강을 건너 평안북도 신의주에 갔다가 일본경찰의 검거를 피해 되돌아가야 했다. 그해 가을 장래의 독립군단 또는 게릴라 부대를 양성할 목적으로 류동렬, 이태준과 청년들을 이끌고 몽골의 울란바토르로 건너갔다. 여기서 상업과 노동으로 비용을 조달하며 초보적인 군사학교 설립을 추진하였으나, 자금이 쉽게 조달되지 않았고 이태준은 병사하여 항일군대 결성에는 실패하고 말았다.[34] 이후 피혁 장사를 하다가 잠시 공장에 취직하였으나 맞지 않아 바로 그만두고 허베이 성(河北省)으로 건너가 성경과 기독교 용품을 판매하다가 상하이로 내려와서는 발동기계를 판매하였다. 두 번째 부인 김순애 1916년에 앤더슨&마이어회사(Anderson & Meyer Company)에 입사하여 몽골 접경의 장가구 앤더슨&마이어회사 지점에서 2년간 근무했다. 1916년 아내 조은수 여사가 차남 김진동을 데리고 외몽골로 찾아와 상봉하였으나, 1917년 여름 폐병으로 조은수 여사와 사별하였다.[35] 1918년 3월초 앤더슨&마이어 상사에서 외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에 지점을 열기로 계획하였는데, 그에게 지점장으로 부임해줄 것을 전보로 보내왔다. 아무도 울란바토르로 가려 하지 않았으므로 그는 자청해서 지점장으로 부임하게 되었다. 이때 그와 동행한 이는 앤더슨마이어 상사 사원 몇 명과 둘째 아들 김진동, 사촌 여동생 김은식(金殷植)이 동행하였다. 그 뒤 장가구에서 만리장성을 넘은 뒤 자동차로 사막을 횡단하였다. 그러나 차량 고장과 심한 눈보라로 하루 만에 내린 뒤 11일간 산지에 고립되어 있다가, 몽골어를 구사할 줄 알았기에 지나가던 몽골인에게 도움을 청하여 낙타를 타고 37일간 몽골 초원을 거쳐 울란바토르로 갔다. 1918년 6월, 출발 3개월만에 몽골 울란바토르에 도착하였다. 어학 재능이 뛰어났던 김규식은 다국어를 구사하였는데, 한국어 외에 영어, 한자(漢字), 일본어, 프랑스어, 독일어, 러시아어, 몽골어, 산스크리트어를 모두 구사할 수 있었다.[36][37] 중국은 지역마다 방언의 차이가 심하였으나 한자를 잘 구사하던 그는 방언의 차이에 상관없이 어려움을 겪지 않고 중국인과도 대화할 수 있었다. 1917년 12월 친러한족중앙총회의 조직에 참여하였다.[36] 신한청년당 창당과 재혼[편집] 파리강화회담에 참석한 김규식 (앞줄 오른쪽 끝) 신한청년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18년 여운형, 서병호 등의 초청으로 중국 톈진에서 상하이(上海)로 건너왔다. 1918년 8월 신한청년당(新韓靑年黨)이 조직되자, 여운형, 서병호, 조동호(趙東祜) 등과 함께 신한청년당의 창립에 참가하였다. 동제사와 신한청년당 등의 단체 설립 이후 한국인 청년들이 너도나도 자원하였다. 그러나 김규식은 그들에게 일시적인 감정보다는 먼 길을 내다보고 유학을 하여 공부할 것을 권고하며 돌려보내거나 프랑스, 미국, 영국 등을 추천해주기도 했다. 1918년 12월, 신한청년당은 독립청원서를 미국의 우드로 윌슨 대통령에게 전달했다. 1919년 1월, 신한청년당은 김규식을 파리강화회의 대표단의 수석 대표로 임명하고[38] 프랑스로 파견하였다. 김규식은 우드로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원칙에 깊이 공감하였다. 그러나 그의 희망은 파리강화회의에서의 좌절 이후 절망으로 변하였다. 파리강화회의에 참석차 프랑스에 있을 때 (1919년 1월 ~ 3월 무렵) 프랑스 파리에서 김규식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표 명의로 된 탄원서를 제출하고, 《한국 민족의 주장》·《한국의 독립과 평화》 등의 인쇄물을 출간하여 각국 대표들에게 일제의 침략상과 한민족의 독립에 대한 당위성을 널리 홍보했다.[38] 이는 우드로 윌슨이 주장한 민족자결주의 선언에 기대한 것이었다. 이때 그는 상처한 처지였는데 1918년 12월에 서병호와 김필순의 소개로 황해남도 장연군 출신 김순애를 만나 재혼한다. 본래 김규식은 조은수와의 첫 결혼 이전에 김순애와도 혼담이 오갔다. 김규식은 결혼 직후 구식 여성이던 본처 조은수를 정신여학교에 입학시켰는데, 김순애는 조은수의 정신여학교 동창이기도 했다. 김순애의 사람됨을 알아본 조은수는 죽기 전 김순애와 재혼하라고 권고했다 한다. '당신에게 좋은 사람을 소개시켜줄 것이니 꼭 김순애 양과 결혼하라'는 것이었다. 처음 그가 청혼했을 때 김순애는 받아주지 않았다. 김순애는 고된 결혼생활에 매력을 느끼지 못하고 독신주의를 고집했는데, 병중에 있던 친정어머니 안성은이 '너를 시집보내지 않으면 내가 죽어도 눈을 감지 못하겠다'라고 애원하여 결국 결혼을 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1918년 12월 말 난징의 한 선교사의 집에서 김순애와 간소하게 결혼식을 올린 뒤 다시 상하이로 되돌아왔다. 임시정부 국무위원 활동[편집] 정치 및 외교활동[편집] 파리강화회의 대표자 파견[편집] 1920년대의 이화여전 교수이자 YWCA 창립자인 김활란과 그의 처제 김필례 김규식은 재혼 후 보름 만에 김탕, 여운홍 등의 대표단을 이끌고[38] 가명으로 중국인 여권을 발급받아 신분을 위장한 뒤 상하이를 출발하였다. 프랑스로 떠나는 김규식의 여비를 마련하기 위해 상하이에 있던 신한청년당원들은 자신이 갖고 있던 푼돈을 모두 김규식에게 희사하고, 독립운동가들 중 결혼 예복과 반지가 있는 지사들은 이를 팔아서 돈을 희사하였다. 신한청년당원과 전파통신으로 교신, 신한청년당원들은 로비에 필요한 자금을 모금하여 송금해주었다. 김규식의 파리강화회의 파견은 3.1 운동과 임시정부 수립의 계기를 마련한다.[39] 여권을 얻지 못하던 그는 중국인 쑨원 정부에서 파리강화회의에 파견하려던 중화민국 대표단 중 정육수를 만났다. 그는 중국어와 한자에도 유창하였는데, 그들이 한국인이며 파리행을 계획한 것을 알아본 정육수 등은 자신들의 배표를 김규식 일행에게 건네주었다. 출국 전 김규식은 신한청년당 당원들에게 다음과 같이 독립 시위를 벌일 것을 주문하였다. 김규식의 독립 시위 주문은 3·1 운동이 벌어지는 계기가 되었다.[39] 파리에 파견되더라도 서구인들이 내가 누군지 알리가 없다. 일제의 학정을 폭로하고 선전하기 위해서는 누군가 국내에서 독립을 선언해야 된다. 파견되는 사람은 희생당하겠지만 국내에서 무슨 사건이 발생해야 내가 맡은 사명이 잘 수행될 것이다.[40] 신한청년당이 파리강화회의에 제출한 13개조. 그의 독립 시위 주문은 3·1 만세 운동이 벌어지는 계기가 되었다.[39] 김규식의 주장에 고무되어 신한청년당은 국내에 사람을 파견하여, 함태영, 조만식 등의 민족지도자를 만나기도 했다. 김규식의 부인 김순애는 배를 타고 국내에 잠입하여 애국부인회 결성을 추진하였다. 함태영을 만나 국내 독립운동 방법을 의논하였으나 체포되어 투옥될 경우 해외에서 활동하는 남편의 활동에 타격을 줄수 있다는 함태영의 설득으로 김순애는 다시 상하이로 귀환하였다.[39] 그의 독립 시위 주문은 3·1 만세 운동이 벌어지는 계기가 되었다.[39] 파리위원부 설치[편집] 파리위원부 발행 '꼬레아 리뷰'(La Coree libre) 제2호 (1919년 2월호) 1919년 2월 1일 김규식은 우편선을 타고 상하이를 출항하여, 그해 3월 13일 프랑스 파리에 도착했다.[41] 프랑스 파리 시내 파리 9구 샤토당가 38번지에 건물을 마련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외교대표부인 임정 파리위원부 사무실을 개설하였다. 이어 파리위원부 내 신한청년당과 조선공보국을 개설하였다. 이들은 계속 수작업으로 '한국의 독립과 환호'(L'INDEPENDANCE de LA COREE et LA PAIX) 등 계속 문건과 홍보 팜플렛을 만들고 모임을 개최, 조선의 현실을 알렸다. 이어 장택상 등 유학중인 청년들이 자발적으로 파리위원부로 찾아와 그의 일을 도왔다. 1919년 1월 18일 파리강화회의가 열렸다.[39] 김규식은 파리한국통신부를 설립해 유럽에서는 처음으로 임시정부 차원의 공식적 외교활동을 전개했는데 후일 그가 떠나고 이 활동이 중단된 이후 한인들은 자체 힘으로 비공식 외교 활동을 추진했다.[42] 국내·외의 한국인 독립운동가들은 우드로우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발표에 기대를 걸었고, 김규식 역시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에 기대를 걸고 회의장에 조선의 문제 역시 처리되리라 기대하였다. 그러나, 김규식과 그 일행은 파리강화회의에 참석하려다가 거절당하면서, 프랑스 외교부 측은 '회의 참석대상은 정부의 대표자 자격이어야만 참가할 수 있다.'는 조건을 제시해 왔다. 김규식은 이를 상하이의 신한청년당에 알려 왔다. 김규식에게 공식적으로 한국 임시정부의 대표라는 신임장을 보내주기 위해서 독립운동가들은 임시정부를 설립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39] 당시 이들이 사무실로 사용했던 파리 시내 건물은 파리 시내 '샤토등' 거리 38번지에 위치한 건물로, 2006년에 발견되었다.[43] 파리강화회담 참가와 실패[편집] 파리강화회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한국민회, 한성임시정부, 상하이 임시정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19년 3월 17일 노령의 대한국민의회로부터 외무총장 겸 파리강화회의 강화대사에 선임되었다.[44] 이어 1919년 4월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자, 4월 10일 부재중 상하이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4월 11일 파리 현지에 체류 중 외무총장에 선출되고, 파리 현지 주재위원으로 임명되었다. 4월 13일 상해 임정으로부터 외무총장 임명장과 파리강화회의 전권대사 신임장을 전보로 발송받았다. 4월 23일에는 한성임시정부의 학무총장에 선출되었다. 1919년 4월 1일 기호지방에서 설립되려다가 취소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는 의정부장관에 피선되었다. 1919년 4월 17일 평안북도에서 설립된 신한민국임시정부에서는 외무부 차장(次長)으로 추대되었다. 그는 파리에서 각지의 임시정부에서 보내온 임명장을 받거나 전보로 소식을 접하였다.[45] 국내에서는 137명의 유림(儒林)들이 별도로 한국의 독립을 청원하는 탄원서를 작성, 그에게 보내려다가 실패한 일이 있었다.[46] 파리 장서사건의 실패로 일본의 감시는 더해갔다. 일본은 김규식 일행에 위협을 느꼈고, 일본 경찰의 감시와 탐문에도 계속해서 홍보책자 등을 인쇄하여 돌리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고, 일본의 부탁을 받은 프랑스 경찰들이 이들의 일거수 일투족을 감시하게 했다. 파리강화회의에 참석하였고, 여러가지 외교문서를 계속 만들어서 프랑스 외무성에 보내고, 강화회의 의장이 프랑스 대통령 크레망스에게도 발송하였고 세계열강들 대표에게도 여러가지 문서, 한국의 독립을 촉구하는 내용, 일본의 만행을 규탄하는 그런 문서를 작성·발송하였다.[41][47] 질병과 도미[편집]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원칙에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기대를 하였고, 김규식도 1918년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원칙 발표에 기대를 걸고 있었다. 파리강화회의는 제1차 세계 대전의 종결과 함께 패전국 처리를 논의하던 것이었다. 각지에서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으나 강화회의에서는 답을 주지 않았고, 1919년 7월 14일 김규식은 프랑스 대혁명 기념일 행사에 한국대표로 참석할 수 있도록 프랑스 외교부에다 초청장을 보내달라고 서신을 보냈으나, 응답은 행사끝난 다음에 왔다. 이때 심한 두통으로 눈이 안 보일 정도까지 갔다.[41][47] 열강의 그 어느 국가나, 그 누구도 아무도 김규식 일행의 한국독립 청원을 호응해주지 않게되면서 김규식은 크게 실망하였고, 활동무대를 옮겨 8월 프랑스 파리에서 배를 타고 미국으로 건너갔다.[41] 8월 9일 김규식은 김복, 김탕, 여운홍, 장택상 등과 함께 뉴욕으로 향했다. 선실에서 김규식은 활동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쉬지 않고 타이프를 쳤다 한다.[41] 파리 강화회의 열강들의 외면에 실망과 회의감을 느낀 김규식은 파리위원부위원장직을 사직, 파리위원부를 부위원장 이관용(李灌龍)에게 넘기고 여운홍, 김탕, 장택상 등을 데리고 미국으로 건너와 필라델피아에 도착하였다.[48] 배로 도미하는 동안, 만성 두통과 소화불량, 배멀미에 시달리면서도 수반 이승만에게 보고할 보고서를 타이프로 작성하였다. 8월 6일 김규식 일행은 워싱턴 D.C의 한인위원회에 도착하였다.[47] 구미위원부 활동[편집] 구미외교위원부 시절 김규식과 이승만 구미위원부에서 발행한 코리아 리뷰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19년 8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미위원부 위원장에 임명 되었으며 이승만은 그에게 하와이 및 멕시코 등지의 한국인 교포들로부터 공채금과 의연금을 징수하는 역할을 부여하였다.[49] 이후 애국공채표를 작성, 이승만과 공동명의로 발행, 독립운동자금을 모금하여 상하이에 보내는 일을 하였다.[47] 이어 서재필을 부위원장으로 임명하였다. 구미위원부 위원장으로 재직하며 김규식은 '극동 정세'(Far Eastern Situation)라는 보고서를 작성했다.[47] 여기서 김규식은 '극동에서 일본의 팽창을 막아야 한다'고 역설하면서 '일본의 팽창이 그대로 허용된다면 영국과 미국(의 영향력)이 극동에서 제거될 뿐만 아니라 앞으로 15년 후 일본은 중국, 시베리아 및 한국의 인적 자원을 이용하여 영·미 각국에 무력으로 대항할 수도 있을 것[47]'이라고 내다보았다.[47] 이는 한동안 묻혀져 있다가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역사학 교수 이정식에 의해 발견되었다. 두통에 시달리면서도 그는 줄곧 국내외 언론에 칼럼과 기고문을 송고하여 싣기도 하였다.[47] 9월 임시정부의 개편때 구미위원부도 함께 개편되면서 그는 구미위원부 부위원장으로 물러났다. 군자금을 모금하여 상하이 임정에 송부하는 한편 이승만과 함께 독립공채표를 작성하여 기금을 마련하였다. 독립 공채표의 금액은 독립 후 정부가 수립되면 정부에서 지급하기로 한 채권이었다. 10월 캘리포니아의 샌프란시스코를 방문하여 한국인 교민들과 면담하였고, 10월 30일 캘리포니아주 맥스웰, 10월 31일 캘리포니아 새크라멘트, 11월 1일 띠뉴바, 11월 2일 로스앤젤레스 등의 한국인 교포들을 순방하고 11월 3일 다시 워싱턴 구미위원부로 돌아왔다.[47] 구미위원부 활동 내내 미국의 정객들을 상대로 한국독립의 정당성을 역설하기도 했다.[1] 또한 미국 하원에도 한국독립문제를 청원, 3·1독립운동을 계기로 고조된 분위기를 활용하여 한국독립문제가 미국하원에서 상정 토의되도록 하였으나, 별다른 소득은 없었다. 미국과 상하이에 체류하는 동안 그는 윤치호, 조병옥 등과 서신을 주고받기도 했다. 윤치호와는 주로 국내외의 정세와 임시정부의 동정을 서로 서신과 연락으로 주고받았다. 그러나 윤치호는 이들의 행적을 수시로 접하면서도 조선총독부나 일본 제국 정부 당국에 이를 발설하지는 않았다.[1] 두통 수술과 병원 입원 기간[편집] 1920년 3월 1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3·1절 1주년 기념식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한 임정 구미위원부 간부들(앞줄 가운데가 이승만 박사, 그 오른쪽이 김규식 박사) 계속된 두통으로 1919년 말 김규식은 미국체류 중 두골 전면 좌측부분을 절개하는 수술을 했다. 1919년 말 뇌종양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았는데, 수술 부작용으로 그 뒤로 간질병이 나타나 고통을 받기도 하였다.[50] 그의 병원비는 이승만이 부담하였다. 그러나 구미위원부 활동 내내 그는 이승만과 갈등하게 되었고, 상하이에서는 이승만이 그의 속을 썩여서 병세가 악화되었다는 루머가 돌기도 했다. 이는 그의 부인 김순애가 사실이 아니라고 해명하면서 가라앉게 되었다. 이후 중국 상하이에 독립운동 자금을 보내는 일을 하다가 1920년 상하이에 귀환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 학무총장 등에 선임되었다. 중국에 도착한 후 김규식은 임시정부의 정무활동과 교육사업에도 힘을 쏟았다. 4월 25일 구미위원부 부위원장직을 사퇴하였다.[50] 1919년초 그는 김구 등과 국내에 연락, 고종의 서자이자 순종의 이복동생인 의친왕의 탈출 사업에 참여하였으나 실패하였다.[주해 4] 1919년 봄 영친왕(英親王)의 왕비로 간택되었다가 파혼당한 민갑완(閔甲完)의 일족이 중국 상하이로 건너오자, 김규식은 민갑완 일족을 맞이한 후 이들의 생활비를 아낌없이 지원하였다. 김규식은 상하이 현지에 미국인이 운영하는 학교의 간부를 설득하여 민갑완을 입학시켜 공부하게 하였다.[51] 그러나, 민갑완은 신학문 공부에 한창 재미 들일 무렵, 일본영사의 압력으로 학교에서 퇴학당했다.[51] 김규식은 민갑완에게 '독립운동에 투신할 것.'을 권고하였으나, 민갑완은 '나 하나의 희생으로 만사가 평온하기를 바랄 뿐'이라며 그의 권고를 거절하였다.[51] 임정 구미위원부 발행 50달러권 대한독립공채표 그러나 미국에서의 진료 후에도 통증이 계속되어 다시 수술하러 미국으로 떠나게 되었다. 상하이에 체류 중 갑자기 심한 두통과 원인을 알수 없는 전신 통증으로 고생하였다. 1920년 김규식은 신경통으로 오래 고생하던 끝에 뇌종양 의심을 받아 미국 월터리드 병원[52] 에서 뇌수술을 받았다.[53] 의사는 장기간 휴식을 처방하였으나, 그는 퇴원 3주 후에 의사의 권고를 무시하고 육로로 미국 서해안을 따라 여행하면서 각지에 흩어져 있는 한국인 교민들을 찾아다니며 '독립공채'를 판매하였다.[53] 3주 만에 약 5만 2천 달러의 자금을 마련, 상하이로 모금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 재무부장이던 이시영(李始榮)에게 송금하였다.[53] 그가 두뇌에 혹이 생긴 것과 두뇌수술을 한 것에 대해 이승만 때문이라는 소문이 상하이에 돌았다. 미국에서 김규식이 이승만에 의해 심한 스트레스와 심리적 고통을 받아 병세가 악화되었다는 소문이었다. 그러나 후일 김순애나 서병호는 회고담에서 김규식이 파리 체류 중 생긴 것이며 상해 인사들의 말은 근본적인 원인은 아니라 하였다. 상하이 귀환과 미국 왕래[편집] 김규식 1919년 9월부터 1920년 9월 미국 서부지구를 왕래하며 워싱턴 위원부와 국민회의가 협력하는데 기여하였다. 1920년 10월 미국을 떠나 하와이를 거쳐 호주에 도착했다. 호주로 건너가 호주의 정치인들을 만났고, 10월 3일에는 호주 수상 월리엄 휴그(William Hughes)를 만나 한국의 독립을 후원해줄 것을 청원하였다.[54] 12월 22일 하와이 호놀룰루를 경유, 노백린을 만나 선박 난징 호(南京號)를 타고 상하이로 건너갔고 이는 일본밀정의 첩보망에 입수되기도 했다.[55] 1921년 1월 상하이로 돌아와 임정에 합류하였다. 이때 상하이 임시정부에서 대통령 이승만과 전 국무총리 이동휘간의 알력으로 이동휘가 총리직을 사퇴하면서 발생한 내분 문제가 닥쳤다. 그는 문제 해결의 시일을 최대한 미루며 내분 수습을 위한 중재안 마련을 고심하였다. 1921년 2월 10일 김규식은 신규식, 안창호와 함께 임시정부 기초 변경위원의 한사람으로 선출되고 2월 21일에는 신규식, 노백린, 신익희, 안창호 등과 함께 외교위원의 한사람으로 피선되었다. 이때 대통령 이승만의 성토 문제가 나타났다. 이때 그는 말썽많은 대통령제 대신 한성 임시정부의 원래의 직제인 집정관 총재직으로 개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상하이에서 이승만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계속되자 상하이에 와 있던 이승만도 대통령직에서 사퇴할 수도 있다는 의사를 밝힘에 따라 그를 설득하려 하였다. 그러나 이승만은 조건을 거부하였고 자신이 워싱턴에서 김규식을 구미위원부 위원장과 부위원장으로 등용한 사실과 수술 등의 곤란한 일을 겪으면서 활동에 적지 않은 타격을 주었는데 이제와서 자신과 정적들 사이에 중립적 입장을 견지한다며 불만을 드러냈다. 그러나 구미위원장을 임명해놓고도 이승만은 그를 거치지 않고 자신의 측근인 구미위원부 위원의 한사람인 임병직과 상의하는 등의 문제를 야기했다. 내분 수습책은 실패하게 된다. 국민대표회의 창조파 활동[편집] 1921년 중국 상하이에서 한중호조사의 임정 요인들. 21년 4월 26일 구미위원부 부위원장직을 사퇴하였다. 1921년 4월 신익희, 이유필, 조동호 등과 중국의 독립운동가 심합작, 오산, 주검추 등과 한중호조사에 참여하였다. 4월 29일에는 임정 학무총장직과 의정원 의원직을 사퇴하였다. 그해부터 임정의 창조, 개조 등을 놓고 논란이 발생하자 그는 창조파에 가담하였다.[56] 9월 한중호조사의 한국인측 평의원의 한사람으로 선출되었다.[57] 이후 임정의 해체를 주장하는 창조파의 영수가 되어 소련에 들어가기도 했다.[13] 독립운동가 사이의 갈등과 내분이 심화되자 그는 독립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갖고 교육 활동에 투신하려 했다. 그러나 1921년 1월 초 국민대표자회의에서 그를 모스크바에서 열릴 동방피압박민족대회의 대표단의 한사람으로 선출하였다. 1921년 김규식은 소련의 모스크바에서 열린 동방피압박민족대회에 참석하여 상설기구를 창설하고, 1922년 5월은 국민대표대회를 소집하기 위한 국민대표대회주비위원회 주비위원에 피선되었다.[58] 1921년 11월부터 여운형, 나용균, 박헌영, 원세훈 등과 함께 장가구에서 자동차편으로 출발, 러시아 이르쿠츠크에 도착하였다. 한파가 닥치지 않아 8일만에 차량으로 몽골 고륜(울란바토르)에 도착, 양털가죽과 낙타 가죽 장화, 모피 등을 구비, 6일만에 마차로 극동공화국(極東共和國)의 수도 우딘스크에 도착했다가 다시 3일만에 이르쿠츠크에 도착했다. 12월 이르쿠츠크에 체류 중, 러시아군에 의해 체포된 독립군들의 재판정에 배심원으로 참석했다. 이들 독립군은 그해 6월에 자유시 참변 당시 생포된 독립군들과 백러시아군에 가담해서 활동하던 조선인 등으로, 이들에게는 유형과 징역 등의 처분이 내려지는 것을 목격했다. 이르쿠츠크 체류 중, 이르쿠츠크에서 열리기로 예정된 극동피압박민족대회가 모스크바에서 열리니 모스크바로 가라는 소식이 통지되었다.[13] 임정 탈퇴, 민족유일당 운동[편집] 극동인민회의 참가[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극동인민회의입니다. 1922년 1월 김규식은 여운형, 원세훈, 박헌영 등과 함께 교통편을 이용하여 몽골을 지나 소련 모스크바로 갔다. 열차편으로 중국 국경지대에 도착한 뒤, 몽골에 가서는 말과 낙타로 소련의 국경지대로 이동했다. 이때 털로 된 가죽모피와 통조림 형태의 고기로 추위를 견뎠다. 소비에트 연방에 도착한 뒤 김규식과 일행은 열차편을 이용했다. 소련의 모스크바에 도착한 그는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극동 노력자대회에 참석했다.[5] 극동인민대표대회에 참석했을 무렵 그는 공산당 후보당원에 명단이 올라 있었다.[59] 인민대표자 대회 회의장에서 그는 여운형 등과 함께 참석하여 한국인 대표자의 한사람으로 선출됐고, 이어 인민대표자 대회의 5인 의장단의 일원으로 선출되어 개회사를 발표하였다.[5] 대회에서 발표에 참가하였고 그는 '아시아 혁명운동과 제국주의'라는 제목으로 논문을 발표하였다.[60] “ 우리는 원동(遠東)에서의 혁명 과업과 관련하여 왕왕 '연합전선'과 '협동'의 필요성을 운위합니다. 최근에 우리는 이의 필요성을 더욱 절실히 느끼게 되었습니다. 왜냐하면 서구라파와 미국의 자본주의 열강이 동아시아 전체를 공동으로 착취하기 위해 서로 어떻게 결탁하였는지를 목도하였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자국의 '이타주의'(利他主義) 지향성과 '민주주의' 원칙의 범세계적 적용을 그토록 떠들어온 미 공화국조차 워싱턴 회의에서 영국·프랑스·일본 등 악명 높은 3대 흡혈귀 국가와 가증할 4강 협정을 체결함으로써 자신의 가면을 벗어던졌습니다. ”   — 김규식, The Asiatic Revolutionary Movement and Imperialism, Communist Review, 1922[61] 논문에서 그는 한반도의 지정학적 중요성을 강조하며 '한국은 극동아시아의 문제의 핵심이다. 그러므로 러시아, 중국, 일본의 누가 관련되어 있건 간에 한국문제가 올바르게 해결되지 않는다면 극동아시아 전체상황은 혼란 속에 있을 것이다.' 등 극동아시아의 제국주의 침략에서의 해방에 대한 지원을 촉구할 것과 "악명 높은 흡혈국가로-영국, 프랑스, 일본" 등을 지목하며 규탄하기도 하였다. 극동 노력자 대회가 끝난 후에는 레닌을 만나 면담하였다.[5] 이때, 그는 '일본의 침략이 중국 대륙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하는 내용의 논문인 '아시아의 혁명운동과 제국주의'를 영어로 써서 '한·중 양국 인민이 연합전선을 형성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5] 그러나 소련의 반응도 미온적이었고 강대국의 힘을 인정하고 그힘을 이용하려 했던 김규식의 실망은 우리손으로 독립을 쟁취해야 한다고 바꾸게 되었으며, 그는 흩어져 있던 독립운동 단체를 규합해 힘을 모아야 한다고 생각을 바꾸게 되었다. 임시정부가 창조파와 개조파로 나뉘었을 때는 신채호, 서병호, 신숙, 윤해(尹海), 원세훈 등과 더불어 임정을 해산하고 재창조하자는 '창조파'에서 활동하였다. 그리고 창조파의 영수로 추대되기도 했다.[62] 1923년 창조파에서는 임시정부 해산을 주장하며 조선공화국(朝鮮共和國) 임시정부를 세우고 그를 수반으로 하여 소련의 레닌에게 보고하였으나 승인거절당하였고, 6월 6일 임시정부 내무부 총장 김구(金九)는 국민대표회의의 강제해산을 명한뒤 개조파와 창조파를 추방하고 만다.[63] 개조파와 창조파가 축출되면서 상하이를 떠났다가 미국으로 건너갔다. 1923년 자국의 독립운동과 사회활동에 대한 공로가 인정되어, 모교인 미국 로노크 대학교로부터 명예법학박사(LL.D.) 학위를 수여받았다. 다시 중국으로 돌아와 1924년 김구, 김창숙 등과 함께 의열단(義烈團) 고문으로 추대되었다.[주해 5] 교육지원 활동[편집] 상하이로 귀환한 1920년 2월 이후 김규식은 서병호와 함께 어학원 설립을 계획하였다. 이 어학원 설립 계획은 상하이에 오는 한국인 청년들에게 영어 등을 가르칠 계획이었다. 김규식은 서병호와 몇몇 중국인 자선사업가들과 함께 500원씩 투자하였다. 이 계획은 1921년부터 그가 모스크바에서 열린 동방피압박민대회에 다녀오느라 상하이를 떠나야 했으므로 일시 중단되었다. 1922년부터 1927년까지 상해 월리엄즈 대학의 교수로 초빙되었고 윌리엄즈대학 학장에 선임되어 학장 겸 교수가 되었으며 나중에 월리엄즈 대학이 4년제로 승격하면서 동 대학의 총장을 역임했다. 대학 출강 활동과 함께 김규식은 여러 활동을 동시에 병행하였는데, 1923년 서병호(徐丙浩) 등과 함께 중국 상하이에 남화학원(南華學院) 설립을 추진하였다. 1919년 이후로 중국으로 유학오는 한국인 학생들이 급격히 늘어났지만 의사소통이 되지 않아 중도에 포기하는 것을 목격하고 교육기관 설치를 고심하던 김규식은 중국인 유지 및 서병호 등과 함께 중국학생과 한국학생을 대상으로 중학예과 2년제, 고등과 4년제, 특별상과 2년제, 대학 각과 4년제의 대규모 학교설립을 계획하여 1923년 9월 11일 중학과와 특별상과를 우선 개교하였다.[64] 개교후 남화학원 교장에 취임하고, 중국어교사 이외에는 전 교수용어를 영어로 사용하게 하여 영어전문학교 성격을 띄게 하였다. 구미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중국인을 교사로 채용, 한국인 학생에게는 한국학생특별학급을 설치, 중국어와 영어의 집중적 교육을 실시하려고 하였다.[64] 1923년 푸단 대학 상하이 캠퍼스의 영문학 교수로 초빙되었다. 그러나 푸단 대학은 상하이 프랑스 불조계나 영국 조계지가 아닌 시내에 있었다. 그가 푸단 대학에서 영어영문학을 가르친다는 사실이 일본 상하이 영사관 경찰에 제보되면서 상하이 시내에서 일본 경찰을 만나 간신히 벗어난 일도 있었다. 여러 번 쫓겨다니면서 그는 변장, 김성(金成), 김중문, 여일민, 왕개석 등의 가명을 사용하며 중국인으로 행세하면서 일본의 의심으로부터 겨우 벗어날 수 있었다. 그러나 그에게는 위 질환이 있었고, 위통증 외에도 1920년 미국에서 한 뇌수술의 후유증으로 강의 도중 기절, 실신하기도 했다. 이 후유증은 1940년경 쓰촨 성에서 진통제와 약물을 구할 수 있을 때까지 그를 수시로 괴롭혔다. 1924년 6월 상하이 인성학교(仁成學校) 내에 중국에 유학 온 한국 학생을 위한 강습소(예비학교) 설립을 주관하였고, 1924년 9월 15일에는 최창식과 함께 상해고등보수학원을 개설하고 자신은 원장, 최창식은 원감에 취임하고, 여운형 등 강사들을 초빙하였다.[65] 1924년 상해고등보수학원을 승격시켜 삼일중학교(三一中學敎)로 개편하고 원장에 취임하였다. 삼일중학교는 1932년까지 존속되었다.[66] 삼일학교에서 원장이자 영어교사를 겸하던 김규식은 임시정부 요인들과 의열단 단원들에게 영어와 한자를 가르쳤다. 1924년 8월 김규식은 상하이항에서 원세훈 등과 함께 조선인이 운영하는 선박을 타고 소련의 블라디보스토크로 건너갔다가 다시 돌아오게 되었다. 소련 방문과 복귀[편집] 러시아 출발 직전에 촬영한 사진(1925년 1월) 1925년 1월 1일 러시아 니콜리스크에 있는 문창범(文昌範)의 집에서 이청천, 윤해, 신숙 등을 만났다. 1925년 1월 니콜리스크에서 문창범·윤해·신숙 등과 회담, 소련의 지원을 얻는 문제에 대한 협의도 하였으나, 소련은 카라한(Lev. M. Karakhan) 외무상을 일본 외무상 요시자와 겐키치(芳澤謙吉)에게 보내 일본과 밀약을 맺고 한국의 민족주의자들을 축출, 체포할 것을 협약하여 소련공산당의 지시대로 움직이지 않는 한국의 민족주의자들을 축출했는데, 원세훈, 조완구 등이 포함돼 있었다.[67] 김규식도 이때 소련정부로부터 강제로 축출되었다.[67] 소련에서의 축출 이후, 김규식은 실망감과 함께 미국·프랑스·소련을 비롯한 외세를 불신하는 자세를 취하게 되었다. 도진순에 의하면 그의 외세에 대한 입장은 전반적으로 시시비비주의에 입각한 가변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하였다.[13] 2월초 일시적으로 승선하여 상하이로 되돌아왔다. 2월 7일 상하이의 삼일당에서 열린 '한인 유학생회'가 주최한 강연회에 참석하였다. 주요한의 웅변에 이어 그는 '한국과 동아의 관계'라는 주제로 연설하였다.[68] 1925년 2월 8일[69] 과 2월 9일[70] 2월 10일[71] 3회에 걸쳐서 '반성과 단결의 필요'라는 주제로 칼럼을 발표하였다. 한편 그가 보습학원을 설치하고 독립운동가들을 가르친다는 정보가 1925년 5월 일본인 밀정에 의해 입수되어 조선총독부에 보고되기도 했다.[72] 5월 29일 상하이 주일본 총영사 명의로 발송된 이 문건은 6월 15일부로 일본 외무대신에게 보고되었다.[72] 3월 초 다시 상하이에서 배편으로 러시아 니콜라스크에 도착했다. 그의 기대와는 달리 소련은 1925년 11월 외무상 카라한(Lev. M. Karakhan)을 일본 외무상 요시자와 겐키치(芳澤謙吉)에게 보내 일본과 밀약을 맺고 한국의 민족주의자들을 축출, 체포할 것을 협약하였다. 11월 원세훈, 조완구 등 독립지사들과 함께 선박 레닌 호에 강제로 승선당한 뒤 상하이로 추방되어 되돌아왔다. 소련이 일본과 비밀리에 거래한 것을 알고 분개한 그는 국제정세에 대한 이상주의를 버리고 냉소적으로 변하게 된다. 또한 원세훈의 약혼녀는 모스크바에 남겨두고 원세훈만 강제 추방당한 사실을 알게 되면서 소련과 사회주의에 대한 그의 감정은 극도로 악화되었다. 1926년 최창식(崔昌植)·김기형(金基瀅) 등과 함께 상해 천상리(天祥里)에 삼일공학(三一公學)의 설립에 가담하였다.[73] 한편으로는 1926년부터 1927년에 열린 민족유일당 운동에도 참여하였다.[74] 민족유일당 운동[편집] 임시정부 재입각[편집] 1930년 대학 교수로 재직 중 1926년 5월 임시의정원에서 양기탁의 후임으로 안창호를 국무령에 선임하자, 기호파의 중심인 안공근, 김규식, 김구, 김보윤(金甫潤) 등은 서북파인 안창호가 국무령이 되는 것을 반대하였다.[75] 김규식은 기호파는 아니었으나 기호파와 함께 연대하여 안창호의 취임을 반대했다. 결국 안창호는 국무령에 선출된 지 13일 만에 사퇴하여 사태를 수습하였다. 1926년 10월 김원봉, 의열단원 등과 함께 조선민족혁명당을 창당, 조직하였다. 1927년 2월 난징에서 유자명·이광제(李光濟)·안재환(安載煥), 중국인 무광루(睦光錄), 인도인 간다싱·비신싱 등과 함께 동방피압박민족연합회를 조직했다. 유자명은 중국 국민당 중앙본부와 협의하여 적극 후원을 약속받은 뒤 그를 회장으로 추대했다.[76] 동방 피압박 민족 대회의 회장직을 맡으면서 기관지 《동방민족》을 창간하였다. 1927년 텐진(天津)으로 옮겨가 북양대학(北洋大學)의 영문학 교수로 초빙되어, 1929년까지 교수생활로 자녀와 생계를 꾸려나갔다. 그러나 교수 생활로 벌어들이는 수입은 한계가 있었고, 이것조차 일본영사관 경찰의 눈을 피해다니느라 일정하지도 못하여 생계는 어려웠다. 1927년에는 둘째 딸 민애를, 1930년에는 큰딸 한애를 병으로 잃었다.[3][31] 1930년 8월 4일 임시의정원 의원에 선출되고 임시정부에 다시 입각, 동 4일 임정 국무위원 겸 학무부장에 선임되었다. 1930년 11월 임시정부 국무위원에 재선되었다. 1931년 9월 18일 만주사변이 발생하자 미국으로 파견되었다. '만주 사변'이 폭발하자 김규식은 '중한 민중 대동맹'의 수석 전권을 위임받아 다시 미국으로 떠나게 된다.[77] 이것은 민간 외교 사절을 파견 하여 미국 정계와 일반 국민의 만주 사변과 일제의 침략상에 대한 공분을 불러일으키고자 한 것으로 선전 강연과 동시에 기부금 모집에 노력 하였다.[77] 1932년 1월 귀국한다. 한편 그는 미국에서 돌아온 이후 다시 임시정부로 돌아가게 되어 국무위원을 1935년 10월까지 역임하게 된다.[77] 민족유일당 운동과 교관 생활[편집] 1932년 1월 이봉창 의거와 4월 상해 윤봉길 의거 직후, 김원봉이 '남경중앙정치학원'에 한인특별반을 설치하자 김규식은 '남경중앙정치학원' 한인특별반의 군사교관이 되었다. 임시정부의 요인으로 지명수배를 당하기도 했지만 그는 대학 교수라는 신분 때문에 체포 위기를 모면할 수도 있었다. 또한 의정원 활동 보다는 재야에서 민족유일당 운동과 교육 활동에 더욱 치중하였으므로 동료들로부터 비협력자, 부도원의원 등으로 비난을 받기도 했다. 1932년 11월부터 1935년 10월까지 임시정부의 송병조·양기탁 등의 요청으로 국무위원에 취임하였다. 1932년 겨울 '중·한 민중대동맹', 대일전선통일연맹, 한국광복동지회 등의 단체를 결성, 조직하였으며 이후 항일독립을 위해 민족정당의 통합을 역설하였다. 특히 '중·한 민중대동맹'(SKPL)은 지하조직으로, 미국에까지 지부를 두고, 워싱턴지부 책임자로는 재미교포 한길수를 임명했다.[78] 그해 10월 12일 상해 민국로 동방여사에서 한독당의 이유필, 송병조, 김두봉, 조선혁명당의 최동오, 한국혁명당의 윤기섭, 신익희, 의열단의 한일래, 박건웅 등과 함께 민족유일당 창당회담을 가졌다.[31] 1933년 '남경중앙정치학원' 영어교관이 되었다. 1933년 3월 6일의 제25회 임시 의정원 회의에서 무임소 국무위원에 보궐 당선되었다.[79] 1933년 4월 5일 미국으로 건너가 로스앤젤레스에서 500여명이 모인 구류노류 대학교에서 열린 한국독립에 관한 연설로 청중을 매료시켰다. 그것도 유창한 영어를 구사하여 미국인을 탄복케 하였다 한다. 그해 6월 21일 임시정부 외무부장 신익희의 사퇴로 후임 외무부장이 되었다. 1933년 7월 중한민중대동맹 대표 자격으로 미국을 방문하고 돌아왔다. 귀국 후 그는 7월 21일 하와이 한인 교포에게 서한을 보냈다. 김규식이 중국으로 떠난 뒤 본 동맹의 비밀요원인 리·한(이용직과 한길수)을 개인적으로 미주 대표로 임명하여 본 동맹과 정보교신을 담당시키겠다는 내용이었다. 11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에 재선되었다.[31] 1930년대 중반부터 중국 국민당 정권은 김규식과 김구, 조소앙, 김원봉 등 한국인 지도자들에게 단체 통합을 주문한다. 그러나 각자 의견의 대립과 김구의 임정 법통 고집 등으로 성사되지 못하였다.[31] 민족혁명당 주석에 선출[편집] 김원봉 이 부분의 본문은 조선민족혁명당입니다. 1934년 1월 3일 임시정부 국무위원 개보선에서 임시정부 외무부장으로 재선출되었다.[80] 1934년 최동오, 김두봉 등과 함께 독립운동가들의 단결과 규합을 부르짖고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韓國對日戰線統一同盟)을 조직, 발기하였다.[81] 1934년 임시정부 국무위원이 되었으며, 여일민이라는 가명으로 활동하였으나 그 정체가 탄로나 1935년 일본의 추격을 받게 되자, 난징 중앙정치학교에서는 비교적 안전한 쓰촨 성 성도(成都)에 있는 쓰촨 대학 교수 자리를 추천해 주었다. 1935년 중앙정치학교 영어강사직을 사퇴하였고, 이후 쓰촨 대학의 영문학 교수로 임용되었다. 1935년 11월 일시적으로 임시정부 국무위원직을 사퇴하고, 1940년까지 임정을 떠나 있었다. 임정에 몸담고 있으면서 임정 요인들에 대한 일제의 탄압이 가해질 때, 김규식은 대학 교수의 신분으로 이 위기를 모면하곤 하였다. 그것이 청·장년층의 일부 임시정부 고수파로부터는 비협조자로 몰려 비판받기도 하였다. 쓰촨 성으로 피신했다가 1935년 2월 6일 재미국민총회 위임대표 자격으로 '대일전선통일동맹' 제3차 회의에 참석했다. 1935년 6월 난징으로 돌아와 지청천 등 민족정당 지도자를 소집하였고 7월 5일 통합 민족혁명당을 재창당, 조직하여 그 주석에 선출되었다.[주해 6] 1935년 7월 5일 민족혁명당이 발족되고 중앙집행위원회를 구성하자[82] 그는 민족혁명당 중앙집행위원회 국민부 부장에 선출됐다.[83] 그 뒤 민족혁명당 중앙상무위원 겸 훈련부장에 선출되었으나 1935년 10월 민족혁명당 훈련부장직을 사퇴했다.[84] 김원봉은 그에게 당수직을 양보했고, 당내 무력을 장악한 실권자이면서도 반드시 그의 자문을 구하였다. 10월 임정 국무위원 임기가 만료되자 바로 민족혁명당 주석에 취임하였다. 의열단, 사회주의자, 김원봉 등과 함께 활동하였다 하여 이승만과 그의 추종세력들은 그를 사회주의자, 과격파로 몰고 가기도 했다. 동시에 쓰촨 대학의 영문학 교수로 있었고 1942년까지 쓰촨 대학의 영문학 교수로 봉직하였다. 또한 쓰촨 대학의 문학부 외국어학과장, 외국문학과장 등을 지냈고, 동시에 교재를 집필하기도 했다. 이 때의 김규식은 아호인 우사를 이름으로 써서 '김우사'(金尤史)로 활동하였다. 중국에서 대학교수와 교육자로 활동하며 김규식은 월급의 전부를 독립운동자금으로 사용했고, 부인 김순애는 삯바느질 등으로 식구들의 살림을 꾸려야 했다.[31] 임시정부 재입각[편집] 임시정부 주석 김구 1938년 쓰촨 성에 도착한다. 일본의 영향력이 미치지 않는 쓰촨 성에 도착한 뒤 진통제와 페니실린을 구할 수 있었다. 그 뒤 국민당 정부에서는 김규식, 김구, 김원봉에게 합작하라며 합작을 권고하였고 그는 합작을 결정한다. 김원봉의 반대와 김성숙의 입각 설득 등 내홍이 있었으나 임시정부 입각이 결정되었다.[85] 1943년 5월 중경에서 열린 '재중 한인대회'에서. 사진 왼 쪽이 우사 김규식. 그 옆에 안경을 쓴 사람이 윤기섭 1939년 임시정부에 재입각을 결정하고 임시의정원 의원에 선출되었다.[86] 1940년 민족유일당 운동의 확장으로 김구 등과 협의하였으나 의견 차이로 유일당은 실패하고 대신 항일 공동연합전선 설립을 결정하여 임시정부에 다시 입각, 1940년 임시정부 국무위원회 부주석이 되고, 1941년 10월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보궐선거에서 의정원 의원에 당선되었으며, 1942년 10월 25일 임시정부 국무위원 겸 선전부장에 선출되었다. 1942년 10월 11일 손과(孫科)·김구·김원봉 등과 중경에서 400명을 이끌고 중한문화협회(中韓文化協會)를 조직하였으며, 문화와 혁명사업을 달성하고자 노력하였다. 1943년 1월 사천대학 영문학 교수직을 사퇴했다. 1943년 민족혁명당 주석에 재선출되었다.[59] 7월 26일 미국방송에 출연, 재미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한 방송에 출연했다. 방송에서 그는 7월 26일 김구, 조소앙, 이청천, 김약산, 김규식 등이 중국 국민당 총통 장개석과 가진 인터뷰의 결과 및 그에 대한 대책, 조선민족혁명당 LA 총지부와 하와이 총지부의 집행위원 임명 및 집행권의 소재를 밝히는 것, 조선민족 전선연맹의 해산을 공개적으로 언명하고 있다. 항일운동 중 사망한 석정김창화문명철의 업적을 기리며, 하와이 한인대표 황사용 목사의 중경 입국문제 등을 언급하였다. 일제 강점기 후반[편집] 1944년 충칭에서 실용영문작법(Hints on English Composition Writing)을 출간하였다. 1943년 3월 12일 김규식은 미주에 있는 동포들에게 중국 국제 방송 을 통하여 영문으로 임시정부의 활동과 광복군의 활동상을 소개하는 방송을 하였고, 1943년 10월 6일자로 신문 독립 지에 이를 한글로 번역 게재하였다. 1943년 8월 5일과 8월 24일에는 미국·하와이·쿠바·멕시코·기타 지역에 있는 독립운동 동지와 미국인 친구들 을 향해서 "조선 민족 혁명당의 전후 계획"을 발표하였다. 1944년 4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회 부주석에 선임되었다. 부주석직이 한국독립당의 김구를 주석으로 선출한데 대하여 원내 두 번째로 다수당의 당수인 그가 부주석으로 안배되었다. 부주석 취임 이후 그는 국민당정부와 협의하며 임시정부를 국제적으로 승인받기 위해 노력했으나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는 못하였다.[5] 또한 부주석의 지위 역시 국무위원 선출권한이 없는 '투표권도 없는 투명치 않은 자리'로서 선전·외교문제에 치중하였다. 그는 종종 영어와 불어 등으로 자신의 동창, 지인들과 편지 연락을 주고받았다. 그러나 국내외와 중국에 파견된 일본 경찰들 중 영어를 해석하지 못하는 형사들이 많았으므로 중간에 유실되지 않고 전달될 수 있었다. 8월 11일 로노크 대학 동창인 알렌 그린랜드(J. Allen Greenland)에게 편지를 보냈는데 이 편지에서 그는 '나는 지금 임시정부의 부주석으로 있지만 이 자리는 투표권도 없는 투명치 않은 자리이다. 그래서 나는 대체로 선전사업과 임정 내부 문제에 주력하고 있고 늘 군사, 외교, 기타 사업의 계획을 세우는 데 주력하고 있소'라고 했다. 1944년 6월 1일에는 중국 국민당 정부측의 오철성(吳鐵成) 등과 한국 측의 엄항섭(嚴恒燮)·안원생(安原生) 등을 설득, 기독교 한교복리회(基督敎韓僑福利會)를 조직하였다. 기독교 한교복리회는 한교의 생활증진과 독립운동의 진행을 촉진함에 기여하였다. 1945년 3월 임시정부는 김규식과 외무부장 조소앙·정환범(鄭桓範)·임의택(林義澤) 등을 미국 샌프란시스코 회의에 파견하려고 국민당 정권의 승인과 군자금까지 결재를 받았으나, 미국의 거부로 무산 당하였다.[87] 1945년 5월 25일 임정 김규식 부주석이 중국<大公報> 기자에게 얄타밀약이 허위임을 답변 함. 1945년 충칭에서 실용영문(Practical English)을 출간하였다. 이 책은 대학생용으로 300여 페이지였다. 정부수립 활동[편집] 광복과 귀국[편집] 1945년 8월 15일 대한민국이 광복이 되자 1945년 9월 7일 조선인민공화국 내각의 외무부장에 선임되었다.[88] 그러나 김규식은 인공 내각 외무부장 취임을 거절하였다. 8월말 광복과 2차 대전 전승을 기념하여 시집 《양자유경 (양자강의 유혹)》을 내다. 상해비행장에 내린 임정요인들이 공항에서 환영 나온 교민들과 기념사진 1945년 11월 23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환국 때 그는 민족혁명당의 대표이자 임시정부 부주석 자격으로 김구 등과 함께 임정 1진으로 귀국하였다. 임정 귀국을 놓고도 먼저 귀국해야 한다는 한국독립당계와 민족혁명당계 간에 싸움이 발생했다. 그러나 김원봉의 양보, 혹은 당수인 김규식을 귀국 제1진에 넣는 조건으로 귀국문제가 종결되었다. 11월 23일 군산비행장에 착륙하여 차로 서울까지 올라갔다. 그러나 조국은 미국과 소련에 의해 분할되어 있었고, 김규식은 한탄하였다. 김규식 필체, 하단 중간, 해방후 환국기념서명포(보존자 안봉순 “ "우리가 피흘려 싸운 것이 고작 이런 대가 밖에 없다니 이게 무슨 운명의 장난이란 말인가"[89] ” 1945년 12월 3일. 임시정부요인 귀국기념 사진. 한편 그는 8.15 광복에 대해 이런 견해를 피력하였다. “ "진정한 민족의 광복은 해방, 그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다. 어떻게 하면 본래 하나였던 우리 한민족이 불편 없이 통일되어 교류하고 상호 신뢰와 보완성을 유지해 나가느냐에 달려 있다. 다른 민족이 우리 민족을 일러 단일 민족이니 우수한 민족이라고 지칭하는 것도 우리의 단결된 완전 독립국가 달성이 조금도 흔들리지 않을 때 그러한 평가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 점을 우리 이천만 동포는 애 일같이 주인 정신을 살려 단합과 통일을 이루기 위해 전력투구해야 할 것이다."[90] ” 1945년 9월 서울 종로구 안국동에서 창설된 한국민주당에서는 민족지도자와 독립운동 지도자를 당의 영수로 추대했다. 그러나 한민당에서는 김규식을 우익성향이 아닌 것으로 간주했기 때문에 한민당의 영수 추대에서 제외되었다.[91][92] 9월 초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는 그를 미국에 파견, 전후 대책과 함께 이승만과 다른 교민지도자들과 연대함과 동시에 미국 정부의 의중을 볼 계획이었다. 그러나 출국 직전 중국 정부가 허가를 내주지 않아 출국이 무산되었다. 11월 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을 방문, 임시정부 환송 송별회에 참석하였다. 국민당 관계자들과의 만찬 시 김규식은 승전축하 시를 한수 지어 헌정했다. 11월 3일 임시정부 요인들이 귀국하는 문제로 한독당계와 민혁당계 간 논쟁이 벌어졌을 때 그는 임정 요인 제1진으로 귀국하게 되었다. 한독당계와 민혁당계 간 귀국순서를 놓고 싸움이 벌어지자 민혁당의 서기장이었던 김원봉은 한독당계에 1진을 양보했고, 민혁당계는 한독당에 양보하는 조건으로 부주석이자 민혁당 위원장인 김규식도 귀국 1진에 포함하라고 요구했다.[93] 11월 3일 상하이 비행장에서 김구, 장준하, 안미생 등과 비행기를 타고 경기도 김포 비행장에 귀국했다.[93] 11월 귀국 직후 김규식은 윤치호를 방문했다. 이후 여러 번 윤치호를 방문했으나 윤치호는 김규식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지는 않았다.[94][95] 해방후 정치활동[편집] 1945년 12월 19일 임시정부요인 환국기념회에서 (단상 첫줄 왼쪽 두 번째가 김규식, 좌측은 김구) 임시정부의 부주석으로 귀국하였지만 그는 임시정부에 대해 매우 소극적이거나 비판적인 입장이었다.[13] 귀국 초, 기자회견을 가졌다. 기자회견장에서 기자들이 그에게 무슨 병을 앓고 있느냐고 질문하자, 그는 '내가 무슨 병을 앓고 있느냐를 묻지 말고 내가 앓고 있지 않는 병이 무엇인가라고 묻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대답하기도 하였다.[50] 1945년 11월 28일 정동교회에서 개최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요인 환영회에 이승만, 김구와 함께 참석하였다. “ 카이로 회담에 "적당한 시기에 조선독립을 준다"고 한 '적당한 시기'란 우리가 늦출 수도 있는 것이고 빠르게 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 즉 우리손에 달렸단 말입니다. 우리가 바로만 하면 미군과 소련군이 내일이라도 없어질 것입니다. 이 사람들을 못 보내고 있는 것은 우리 조선사람 전체의 책임인 것입니다. ” 11월 귀국 후 그는 서울의 삼청장(三淸莊)에 여정을 풀었다. 귀국 초기 새문안교회를 찾아 새문안교회 인사들과 면담하였으며, 김구와 함께 의친왕을 방문, 면담하기도 했다. 중도파 혹은 온건우파 성향 때문에 좌익으로 인식되기도 했던 그는 김구, 이승만, 권동진, 오세창 등이 한민당의 영수로 추대되었을 때 배제되었다. 그러나 귀국 후 한민당으로부터도 꾸준한 교섭 제의를 받게 되었다. 미군정청 사령장관 존 하지, 그는 군정청 최고지도자 존 하지와 친밀하였으나, 이승만과 김구는 하지와 수시로 마찰을 빚는다. 1945년 12월 서울운동장에서 열린 임시정부 환영회 참석하였다. 12월 1일 하오 2시 20분경 조선생명회사 2층에서 김구를 중심으로 좌우에 이승만, 이시영, 김규식, 류동렬 등이 창을 일시에 열고 임정 환영행렬을 맞이하였다.[96] 삼청장에 기거하며 이시영, 조소앙, 류동렬 등과 함께 경교장을 수시로 방문하였다.[주해 7] 귀국 직후 인사차 임정을 방문한 여운형을 만났으나, 뒤이어 여운형이 경비원에게 끌려가 몸수색을 당하고 다시 들여보내지는 것을 목격했으나 이를 말리지 않았다. 1945년 12월 1일 돈암장의 이승만으로부터 초대받았다. 김구와 김규식은 이승만의 초대를 받고 12월 2일 돈암장을 방문, 2시간 동안 회담하였다.[97] 12월 9일 윤치호의 장례식에 참석하였다. 12월 경교장 임정 요인을 찾아온 청년 중 윤판석이 자신의 손가락을 깨물어 혈서를 썼다. 그러자 김규식은 "일본 놈한테 배웠구먼, 왜놈들한테 배웠다...여보게 청년들 그런 짓은 하지 말게." 하며 만류하였다.[98] 1945년 12월 24일 한국 소년군 총본부 부총재에 추대되었다.[99] 신탁통치 반대와 모스크바 3상 결정 지지[편집] 삼청장에서 망중한을 보내는 김규식 (1946년) 1945년 12월 27일 미국의 프랭클린 루즈벨트, 소련의 이오시프 스탈린, 영국의 윈스턴 처칠 등 미영소 3개국 수뇌의 모스크바 3상회의에서 한반도의 신탁통치가 결정되자 김규식은 신탁통치 결정문의 원문을 즉시 입수하여 해석, 국민에게 발표하고 즉각 반탁운동을 전개하였다. 1945년 12월 30일 신탁통치반대국민총동원위원회 76명의 중앙위원에 선출되었다. 그 뒤 김규식은 모스크바 3상회의의 내용을 신중하게 검토하였으며, 그 내용이 현실적으로 남·북이 미소에 의해서 분할 점령되어 있는 상태에서 결코 우리에게 불리한 내용이 아니라는 판단을 내리자, 그는 반탁운동으로부터 이탈하였다. 그러나 김규식은 모스크바 3상 회의 전문을 입수하고 읽은 이후에 부분적인 지지를 하였고, 반탁운동에서 탈퇴하였다고 하여 모스크바 3상 협정의 내용을 찬성하는 좌파들의 조직에도 가담하지는 않았다.[100][주해 8] 그러나 찬탁으로 노선을 전환하면서 김규식을 암살하려는 극우단체가 비밀리에 조직되기도 하였다.[101][102] 1945년 12월 말에는 미국에서 귀국한 김호 등 일부 재미인사들이 그를 도와 활동하기도 했다.[103] 신탁통치 반대 입장에서 찬탁으로 선회하면서 그는 우익측으로부터 매국노라는 비난에 시달려야 했다. 1946년 1월 미소공동위원회가 결정되었다. 이승만과 김구는 미소공위 반대와 공위 불참을 선언했다. 그러나 김규식은 공위 찬성의 입장에 서게 됐다. 장덕수가 이승만과 김구를 방문하여 이승만과 김구에게 미소공위 참가를 설득했으나, 이승만과 김구는 이를 거절하였다. 그러나 미소공위의 불가피성을 이해한 김규식은 미소공위에도 찬성입장을 보였다. 미소공위에 찬성 내지는 지지 입장을 발표하자 역시 우익세력으로부터 비난받았다.[104][105] 1946년 1월 6일 기독교청년연합회가 서울 정동교회에서 주최한 강연회에 초빙되었다.[106] 1월 16일부터 2월 6일까지 미소공위 예비회담이 열렸다. 1946년 1월 27일 남한에 세워질 정부가 중앙정부로서 유엔의 인정을 받으며, 또 이북과의 통합 방도가 세워진다면 남조선에서의 단독선거 문제를 고려하겠다고 발표했다. 후일 그의 비서실장을 지낸 송남헌은 그가 '김규식이 군중에게 말하기를 '정부가 제주도에 세워졌더라도 그건 중앙정부다'라고 하던 분이 후에 가서는 주장이 완전히 달라졌다'고 했다.[107] 송남헌에 의하면 김규식이 초기에 반탁을 지지했던 것에 대해 그는 '(모스크바)3상회의 결정의 내용이 정확히 무엇인지 몰랐던' 것이라고 했다.[107] 중국 체류 중에도 일본 영사관 경찰과 밀정의 테러와 암살 위협에 시달렸으나, 귀국 후에도 동포에 의한 테러, 암살 위혐은 그에게 비애감을 심어 주었다. 군정과 임정의 갈등 조절 노력[편집] 미군정 시기의 김규식 미군정기간 내내 김규식은 미군정과 한국인 지도자들 간의 협력을 위해 노력하였다. 상대적으로 나이가 어린 하지 미군정청 사령관의 호출을 불쾌해하며 미군정 방문을 거절하는 김구(金九)에게 '시대가 바뀌었다'며 미군정청을 방문하도록 설득한 것도 김규식이었다. 한편 그는 미군정의 각별한 호의를 받았다. 당시 한국 민간인 중 미군 군용 전화가 가설된 집은 이승만과 김규식의 집뿐이었으며[108], 이승만은 미군정과 갈등하다가 3월 20일 전화가 끊기게 된다. 민주의원 회의 진행 중인 김규식 (1946년 2월) 1946년 2월 1일 대한민국 비상국민회의가 개최되었는데 김규식은 이승만, 김구, 조만식, 권동진, 김창숙, 오세창, 홍명희 등과 함께 비상국민회의 대의원에 선출되었다.[109] 1946년 2월 13일 비상국민회의(독립촉성중앙협의회와 비상정치회의 주비회 통합체)에서 최고정무위원직(총 28명)에 선출되었다. 2월 14일 서울에서 열린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약칭 민주의원) 개원에 참석했다. 민주의원이 개원 후, 김규식은 민주의원 부의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김규식은 이승만, 김구 등이 주도하는 우익의 반탁운동에는 소극적이었다. 미군정이 민주의원을 만들 때 여운형을 중심으로 한 온건한 좌파세력들을 포섭, 참여시키기 위하여 설득, 노력하였으나 여운형의 참여거부로 실패하였다. 미소공위에 참여해야 된다는 주장을 피력하면서 그는 매국노로 규탄당했고, 그를 암살하기 위한 백의사 조직원들이 삼청장을 쳐들어오려다가 제지당하기도 했다. 우익 정치인 활동[편집] 김규식, 이승만, 김구 1946년 3월 미소공위 참관 한인의 대표자로 선출됐다. 미소공위 참관 문안 작성 중 김준연(金俊淵)의 방문을 받았다. 그러나 타이프로 신탁통치 관련 문서를 작성하던 중 찬성이라는 단어를 보고 김준연(金俊淵)은 이를 문제삼기도 했다. 또한 미군정청의 사령관 존 하지 장군은 이승만의 동의를 얻어 김규식을 좌우합작위원회의 위원장으로 임명하였으며, 과도입법의원의 의장이 되게 하였다.[110] 1946년 2월 14일 민족혁명당 당수직을 사퇴하였다. 김성숙, 장건상, 김원봉 등이 임정을 떠나 민족주의민주전선에 가담하자, 민족혁명당을 탈당하였으며 여운형과 함께 좌우합작운동을 진행하였다. 좌우합작 참여 배경은 미국 국무성의 요구로 실시된 것에서 비롯되었다. 1946년 5월 미소공위가 열린 덕수궁 앞에서 개최된 신탁통치 반대 집회 1946년 3월 1일 '3.1.기미년독립선언 기념사업회' 고문에 취임하였고, 3월에 미·소공위가 개최 예정되자, 그는 미소공동위원회의 성공을 기원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3월 7일 소련 군정청 사령관 스티코프가 짠 초안에서 그는 향후 수립될 정부의 부수상으로 지목되기도 했다.[111] 1946년 3월 19일 민주의원 의장 직무대리에 선출, 3월 20일 미소공위 개최때 미국은 이승만의 반소반탁으로 인해, 이승만이 회의 전면에 나오는 것을 꺼렸고, 김규식이 대신 민주의원 의장대리로 미소공위에 참석하였다. 46년 3월 24일 미소공위에 대처하기 위한 민주의원내 미소공위 교섭단을 구성하여 단장에 취임했다. 3월 19일 이승만이 민주의원 의장직을 사퇴했다.[108] 하게 되어 김규식은 민주의원 의장 대리에 취임했다. 이승만의 사퇴 이유는 표면상 이유는 건강문제였지만, 사실은 미군정이 미소공위 개최를 앞두고 철저한 반소(反蘇)주의자이며 신탁통치안을 격렬히 비판해 온 이승만을 정치 일선에서 배제할 필요를 느꼈기 때문이었다. 미군정은 의장 대리에 김규식을 앉혔던 것이다.[108][112][113] 1946년 3월 10일 서울시내 시천교당(侍天敎堂)에서 열린 대한노총(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결성대회에 참석하고 대한노총 고문으로 선임되었다.[114] 한편 하지는 한때 좌익의 힘을 약화시키기 위해 중도우파인 김규식(金奎植)을 이승만 대신 대통령으로 앉힐 생각도 했다고 한다.[115] 미소공위와 좌우 합작 노력[편집] 1946년 3월 20일에 열린 미,소 공동위원회에서 소련측은 미국측이 예상했던 대로 모스크바결정을 지지하지 않는 반탁세력은 한국 임시정부 구성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난항을 거듭하던 미소공위는 소련측이 양보하여 반탁투쟁을 했더라도 이후에 그러한 활동을 하지 않겠다고 서약하면[116] 임시정부에 참가할 수 있다는 방안을 제시했고 이것에 토대를 두어 공동성명 5호가 발표되었다.[117] 김구는 미소공위 공동성명 5호에 서명하지 앉하 하지와 민주의원 의장대리 김규식은 김구에게 서명할 것을 종용하면서, 서명이 곧 신탁문제에 언질을 준 것은 아니라는 특별성명 등을 발표했다.[117] 그리하여 이승만, 한민당 측에 이어 김구가 서명에 동의하자 소련측이 그것에 이의를 제기하였고, 5월 초 미·소 공동위원회는 결렬되었다.[117] 1946년 4월 26일 경성 정동교회에서 한국청년회를 결성하고 초대 총재에 선임되었다.[118] 한국청년단은 우익 청년단체이면서도 온건한 성향을 띄고 있었고, 주요한, 장준하 등이 한국청년단에 가입하여 활동하기도 했다. 6월 10일 민주일보(民主日報) 창간때 명예사장에 추대되었다.[119] 그러나, 5월 10일 제1차 미소공위가 결렬되면서 이와 동시에 이승만이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을 정읍에서 발언하는 사건이 터지자, 김규식은 이승만의 남한만의 단독정부론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난하였다. (단독정부수립운동은) 친일파,민족반역자 자본가들의 이익을 테러로 옹호하면서 민족분열을 내란으로 하고, 극소수의 이익을 위한 정권이라도 세워보자는 가공 가증의 음모이다. 지금이야 우리민족은 통일된 정부를 세워서 공존번영을 누리느냐, 분열된 전제정치를 세워 상잔상학의 비운에 빠지느냐 하는 가장 위험한 기로에 서있다. 우리 인민은 가장 냉정하게 이 두가지중 하나를 취하여야 할 것이다. 1946년 5월 경제보국회로부터 정치자금을 제공받았다. 경제보국회는 이승만, 김구, 김규식 등 우익 정치인들에게 정치자금을 제공하였는데, 이들 중 가장 큰 혜택을 받은 것은 이승만이었다.[120] 1946년 5월 12일 이승만 등과 독립전취대회에 참석하였다. 5월 19일 이승만은 미소공위에 불참할 것을 공식 성명으로 발표했고, 김규식은 반박성명을 내고 전체 애국자는 적극 미소공위에 참가하라고 공식성명을 발표했다.[121] 그러자 이승만의 측근이었던 박용만은 '김규식 박사의 주장에 따른다면 미소 공동위에 끝까지 불참을 표명했던 이승만 박사나 김구 선생은 애국자가 아니고 자기만이 애국자라는 어처구니없는 결론'이라며 비난하였다.[121] 미소공위 지지 선언[편집] 1946년 7월 좌우합작위원회에서 미소공위지지 선언을 발표했다. 김규식은 이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했다.[122] 그러나 그의 미소공위 지지는 우익 진영의 온갖 인신공격의 원인이 된다. 김규식은 좌우합작이 안될 것이라고 절망하였다. 그러나 이것이 독립국가를 수립하기 위한 길이라면 실패하겠지만 기꺼이 해야 한다고 다짐한다. 한편 좌우합작위원회에 한민당에서는 대표를 보내기를 꺼려했다. 그러나 김규식의 설득으로 한민당에서도 좌우합작위원회에 대표를 보냈다. 김규식은 한민당에서 온건한 분파의 지도자인 원세훈을 참가하게 하였다.[123] 1946년 6월과 7월 동안 좌우합작위원회의 비공식적인 회의는 계속되었다. 4사람의 만장일치에 의하여 하지중장의 정치고문이 초대되어 중재자로서 그 회의에 참석하였다. 그러나 김규식은 회의 초에 버치의 노력이 없었다면 그들이 함께 화합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논평하였다.[123] 제2차 미소공위 당시 소련은 미소 양군의 철수를 주장했다. 소련측의 미소 양군 철퇴 주장에 대해서 김규식과 홍명희는 신중한 반응을 보였으나, 중도파 정당들은 민족자주의 입장에서 원칙적으로는 양군 철수를 지지했다.[124] 좌우합작운동 전개[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좌우합작운동입니다. 덕수궁 석조전. 이곳에서 미소공위가 개최되어 좌우합작위원회 회담이 열리곤 했었다. 1946년 5월 김규식은 원세훈과 여운형을 찾아가 좌우합작을 시도하였고 여운형이 이를 승낙함으로써 좌우합작운동이 시작되었다. 5월 15일 서울운동장에 모인 군중들 앞에서 '한구석에서라도 독립정부가 세워진다면 주권을 되찾는 것'이라고 연설하였다. 6월 전향한 조봉암이 중간운동 하던 리극로와 손잡고 조직한 민주주의독립전선을 만들었다. 그런데 독립전선이 좌우합작위원회에 참여하려 하자 김규식은 이를 거부했다.[125] 조봉암은 공산당을 탈당한 후 김규식 박사를 만나려고 했는데, 김규식은 조봉암의 면담요청을 거부하였다. 강원용이 김규식 박사한테 “만나야지 왜 거부합니까” 했더니 “이 사람아, 한 번 공산당 한 사람은 바뀌지 않아. 조봉암씨는 믿을 수 없어. 공산당 하던 사람을 어떻게 믿어” 하는 것이었다.[125] 그 무렵 조봉암이 공산당을 탈당한 게 아니라 박헌영이 이승엽을 인천지구당 책임자로 앉혔기 때문에 반발했을 뿐이라는 소문이 돌았다.[125] 조봉암은 김규식을 지지하고 좌우합작운동에 참여하려고 했지만, 김규식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125] 김규식은 공산당이라고 하면 전향 여부를 떠나 아예 상대를 하지 않았다. 강원룡에 의하면 그래서 조봉암이 좌우합작위원회에 들어오지 못하고 이극로와 민주주의독립전선을 만들게 되었던 것이라 한다.[125] 좌우합작위원회 위원(앞줄 가운데가 김규식, 오른쪽은 김붕준과 안재홍, 오른쪽 맨 끝은 원세훈) 1946년 7월 3일 김규식은 친일파 처단을 요구하였다가 안재홍과 함께 용공분자로 모는 삐라가 나돌고 벽보가 붙기도 했다. 기독연맹 모임에서 김구의 연설에 이어 김규식이 연설을 하였을 때 참석자들이 모두 귀를 막아 김규식은 퇴장하였다.[126] 거리에는 그들을 공격하는 내용이 잔뜩 담긴 전단이 살포되고 벽보가 나붙었다. 전단이 뿌려진 그날 괴청년들은 김규식의 집을 둘러싸고 김규식과 안재홍의 사퇴를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으며, 안재홍의 사무실을 습격하여 반탁, '반(反) 과도입법위원회'의 내용을 담은 전단을 살포하였다.[126] 1946년 6월 15일 오후 5시 40분 서울역에 마중 나가 서울역에 도착한 삼의사 유골을 영접하였다. 이어 태고사(太古寺)에 마련된 빈소에 참석하였다. 1946년 10월 남조선과도입법의원 대의원에 선출되었고[110] 1946년 10월 민중동맹(民衆同盟)을 창당 조직하고 총재가 되었다. 과도입법의원은 각 리단위 마을 대표자가 읍면 단위 대표자를 선발하고 읍면 대표자는 군단위, 군단위 대표자는 도단위, 도단위 대표자가 입법의원 의원을 최종 선발하는 제도였다. 과도입법의원은 합작 7원칙에 따라 출범되었고, 김규식은 과도입법의원을 통해 좌우합작을 모색하였으나 여운형 일파와 장택상 일파가 과도입법의원 참가를 거부하여 처음부터 난항했다.[2] 또한 과도입법위원회 선거에서 부정한 방법으로 당선된 한민당 일파를 낙선시켰다 한다. 이 일로 한민당의 강한 반발을 사게 된다. 좌우합작에 적극 참여하는 그의 포용적인 자세를 높이 평가한 미 군정측은 이승만이나 김구 대신 그를 과도정부의 대통령으로 세울 계획을 세우기도 했다.[2] 소련 역시도 조만식과 함께 그를 과도정부의 총리 혹은 수반으로 계획하기도 했다.[2] 과도입법의원 활동[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남조선과도입법의원입니다. 1946년 12월 12일 김규식은 과도입법의원에서 위원장에 선출되었다.[110] 김규식은 남조선과도입법의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입장을 밝혔다. “ ...(이상 생략)...이 의원[주해 9] 이 결코 미 주둔군 사령장관이나 미 군정청의 자문기관이 아니며, 또 미군정을 연장시키기 위한 것도 아니다. 오히려 말하면 말하자면, 즉 남에 있는 미군정이나 북에 있는 어떠한 군정이나 그 존재를 단축시키려는 것이다. 우리는 우리의 땅에서 완전한 자격을 얻어, 우리의 일을 우리의 손으로 하며, 우리에게 대한 법령제정도 우리의 손으로 하고 우리의 운명을 우리로서 자정하는데 매진할 것이다. ”   — 남조선 과도입법의원, 개원연설 내용 中 1947년 1월 과도입법위원회 신년사(가운데 털모자에 지팡이를 쥔 이가 김규식, 왼쪽 맨 끝은 서재필, 둘째 줄 왼쪽에서 세 번째는 여운홍, 세 번째 줄 왼쪽에서 네 번째는 장면) 김규식 (1947년 1월) 입법의원 의장이었지만 그는 소수파였다. 입법의원을 그의 사회로 개최하고 난 지 며칠 뒤 신탁통치 반대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가결시켰다.[127] 홀로 신탁통치의 불가피성을 역설하던 김규식은 탁치 반대에 대한 99%의 찬성에 경악하여 발언을 포기하였다. 그러나 곧 과도입법의원에서 누군가 안재홍과 김규식을 찬탁 매국노라는 규탄 발언을 하면서 여러 번 곤경에 처하게 된다. 1946년 12월에 민중동맹이 공식 출범되었으나, 활동 중 김규식은 소극적 반응을 보였고 중도우파 내부도 복잡해 일부 세력만 남게 되었다.[128] 민중동맹이 창당되자 원세훈 등은 그를 당수로 추대했다. 그가 민중동맹의 위원장에 추대된 배경으로는 한민당의 토지정책 등에 반발하여 탈당한 원세훈·김약수·이순탁 등은 민중동맹을 조직하고 그를 당수로 추대했[129] 던 것이다. 1946년 12월에 민중동맹이 공식 출범되었으나, 활동 중 김규식은 소극적 반응을 보였고 중도우파 내부도 복잡해 일부 세력만 남게 되었다.[128] 12월 24일 남조선과도입법위원회에서 성탄절과 신년이 다가오므로 특별히 2주간 휴회하자는 안건이 들어오자 거절하였다. 그는 쉬지 말고 일하자고 간곡하게 호소하였다. 그는 독립운동 당시를 말하며 입법의원들은 민족의 자주 독립을 위해서는 희생해야 된다고 설득, 입법의원 회의는 성탄절 당일과 12월 30일까지 계속 개원되었다. 1947년 1월 4일, 김규식은 통일입법기구 수립을 위해 '북한측에 특사를 파견하겠다.'는 의사를 미군정에 밝힌다. “ 우리는 과거 1년간의 쓰라린 경험에 의하여 그릇된 노선의 지도를 청산하기 시작하였고, 동시에 광명한 전도를 전망하면서 가장 옳은 노선을 확립하였습니다. 이것이 즉 합작 7원칙의 노선입니다. 합작7원칙의 노선은 우리민족의 진정한 의사와 요구를 대표한 것이므로, 반드시 민중의 지지와 옹호를 받을 것이며, 편파한 일부노선은 필경 민족의 무자비한 비판에서 스스로 청산될 것입니다. 나는 몸이 비록 우익에 속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좌익동지들과 합작할 필요를 느낄 뿐만 아니라, 반드시 합작할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나는 오직 이러한 신념을 가지고 좌우합작위원회에 임하였으며, 또 남북통일의 임시정부 수립이 실현될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   — 1947년, 신년사 내용 中 과도입법의원이 개설된 뒤 그는 아직까지 회의 절차에 참석해본 적이 거의 없는 입법의원들을 위해 직접 미국식, 유럽식 회의 과정, 원탁토의와 직선 회의 등 회의 방법을 일일이 설명하고, 동의와 제청, 재청, 삼청의 의미가 무엇이라고 계속 설명하였으며, 의원들이 투표 전후에 앞서 어떻게 해야 된다고 훈시를 하는 등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1947년 3월 과도입법의원 의장으로서 미군정청측 인사와 면담중인 김규식 1947년 4월 22일 김포공항에서 지청천 장군의 귀국을 영접하는 김구, 김규식, 이승만, 프란체스카 도너 1947년 1월 20일, 과도입법위원회에서 이승만 진영과 한민당계인사들이 반탁결의안을 통과시켰으나 수적으로 불리하여 김규식은 손을 쓸 수 없었다. 입법의원 회의장에는 우익 청년단체 회원들이 진입해 장덕수, 장택상 등의 지휘 아래 반대파들에게 야유를 보내는 등 공포분위기를 조성하였고 반탁결의가 통과되었다. 반탁결의안의 통과로 김규식의 위신은 크게 실추당했다.[130] 김규식은 한민당과 이승만 세력이 지배하는 입법의원에서는 아무것도 기대할 수 없다며 시골로 내려갔다.[130] 1월 29일 휴양차 경기도 가평에 내려갔다가 2월 1일 휴양을 마치고 귀경했다. 1월~2월 이승만주도의 독립촉성중앙회는 김규식 중심의 좌우합작위원회를 '독립운동'의 반역집단이라고 규정하고 이들의 회색행동을 철저히 소탕할 것을 결의했으며[131], 김구가 위원장으로 있는 반탁투쟁위원회에서는 합작위원회를 유령집단으로 매도했다.[131] 1947년 7월, 서재필 박사와 김규식과 여운형. 1947년, 이승만을 견제할 목적으로 미군정청 사령관 존 하지가 미국에 있던 서재필을 군정 고문관으로 초빙하려 하자 김규식 역시 서재필의 귀국을 원하였다.[132] 그는 군정청과 하지의 의견을 물어본 뒤 서재필 귀국에 적극 찬성, 지지한다. 그는 직접 서재필 귀국 환영 성명서를 지어 발표하였고, 서재필이 귀국하자 김규식은 여운형, 이승만, 김구 등과 친히 공항에 나가 서재필을 환영하기도 했다.[133] 우익 진영과 좌익 진영의 양면 공세에 시달림을 당하면서도 그는 조병옥, 장택상, 김준연, 김성수, 이순탁, 원세훈, 허정 등 우익 인사들을 상대로 미소공위에 참석해야 한다는 것을 역설, 설득하고 다녔다. 1947년 2월 남로당은 2.7파업에 들어가 3월 초까지 대규모 투쟁을 벌였다. 이들은 이승만, 김구, 김규식 등을 친일반동이자 제국주의의 앞잡이로 싸잡아 비난하며 사회 혼란을 더욱 가속화시켰다.[134] 1947년 3월 15일 조선적십자사 총재에 선출되었다. 적십자사 활동 중 그는 정식 대한적십자사의 부활을 위해 노력하였다. 1947년 조선적십자사의 국제적십자사 가입요청 서한을 미국적십자사를 통해 연맹에 보냈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135] 박헌영과의 관계[편집] 그는 여운형, 김원봉 등과의 대화·합작과는 대조적으로 박헌영을 몹시 싫어하였다. 미군정에 의해 좌우합작운동에 뛰어들게 되었음에도 그는 박헌영과의 합작은 거부하였다.[125] 적십자사 활동 중 조선공산당의 총수 박헌영이 조선적십자사(대한적십자사의 전신)에 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자격으로 가입, 조선적십자사의 이사로 선출되자 김규식은 "나는 박헌영이 이사를 맡은 조직에 앉아서 일 못한다"고 반발했다.[125] 여운형의 측근이었다가 김규식 진영으로 넘어간 강원룡이 김규식에게 "그렇게 공산당을 싫어해서야 어떻게 좌우합작을 합니까"하고 항의하였다.[125] 그러자 김규식은 자신이 소련에서 겪었던 일을 소개하였다.[125] “ 내가 러시아에 자주 다녀왔는데, 러시아 사람들은 참 선량하다. 그런데 그곳에서 레닌이 1917년에 혁명을 일으켜 1922년까지 5년 사이에 700만 명을 죽였다. 또한 알바니아라는 조그마한 나라에서 공산당이 혁명을 일으켰는데, 단 하루 만에 6만 명을 죽였다. 그런데 한국 사람들은 러시아 사람들과는 비교가 안 될 만큼 잔인하다. 만일 한국에서 공산당이 정권을 잡게 되면 피바다가 된다. 그러니까 절대로 공산당이 들어와선 안 된다.[125] ” 그는 박헌영과 절친하게 지내던 조봉암 역시 혐오하였다. '조봉암 씨는 믿을 수 없어. 공산당 하던 사람을 어떻게 믿어?[125]'라면서 거부감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김규식에 의하면 한국인들은 잔인하고 비겁한 심성을 가졌고, 그때문에 공산주의가 들어오면 외국보다 더 심한 유혈사태나 학살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장택상과의 갈등[편집] 한편 존 하지는 장택상과 조병옥에게 김규식을 도울 것을 요구했지만 그들은 거절했다. 특히 장택상은 대놓고 거절하였다. 이에 김규식은 장택상에게 악감정을 품게 된다. 1946년 6월 경 하지 장군이 통역관 이묘묵을 통해 수도청으로 전화를 걸어 하지 중장이 할 얘기가 있으니 곧 들어오라는 것이었다. 사령관실에 들어서니 하지 중장은 파이프를 입에 물고 있었으며 장택상이 앉자 김규식을 지지하라고 강요했다.[136] “ 중요한 문제가 있어 오늘 장 총감을 불렀소. 다름 아니라 앞의 정책을 의논하자는 것이오. 지금까지 미 국무성에서는 이승만 박사를 지지해 왔는데, 이제부터는 좌우 합작을 위하여 중립적인 김규식 박사를 지지하기로 바꾸었습니다. 장 총감도 앞으로는 김규식 박사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일을 해주기 바라오.[137] ” 그러자 장택상은 '이러한 그의 말은 나로서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제안이었다.'라며 지체 높은 사령관의 말을 제가 감히 어떻게 거역하겠습니까? 그리고 지금 그 말은 오히려 늦은 감이 있지만 참 잘하셨습니다. 잘 알았소 하고는 비꼬는 투로 말하였다. 그리고는 안주머니에서 봉투 한 장을 내어 그에게 주었다.[138] 하지는 이게 무어요 하고 의아스럽게 물었다. 그러자 장택상은 펴 보시면 알 것 아닙니까? 하고 퉁명스럽게 말했다. 그 봉투 속에 있는 것이 사표임을 알자 그는 얼굴이 굳어지더니 언성을 높여 "당신이나 조 부장이나 다 나쁜 사람이오."하면서 심한 욕설까지 했다. 장택상이 하지의 방을 나와서 조병옥을 만나 보았더니 그도 하지의 그같은 제의를 받고 사표를 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일이 있고 난 뒤부터 하지는 두 번 다시 김규식 박사를 지지하라는 말을 하지 않았다.[138] 군정의 좌우 합작 정책에 따라 두드러지게 된 사람이 김규식이었다. 그러나 김규식은 당시 치안의 책임을 지고 있던 조병옥과 장택상이 여전히 이승만을 지지하는 데 대하여 몹시 못마땅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하루는 장택상이 김규식을 만났다.[139] 김규식은 장택상에게 "장 총감은 이제 사표를 내는 것이 어떻겠소? 그렇지 않아도 곧 갈리게 될 터인데?" 라고 말하였다. 이 말을 듣고 장택상은 하지 중장이 김규식에게 무슨 말을 하였을 것이라고 생각하여 하지 중장을 만났다. 그리고 하지 중장에게 이러한 이야기를 하였더니 하지는 "당신과 조 부장은 우리 국무성에서 절대 신임하고 있는 사람인데 어찌 일개 사령관인 내가 마음대로 할 수 있겠소?"라고 대답하는 것이었다.[138] 고 하였다. 장택상은 '우리가 김 박사를 지지하지 않는 데는 적이 불만을 가지고 있던 하지 중장이었다. 그러나 우리를 다른 인물로 갈아치운다면 치안을 유지하기가 어려우리라는 사실을 구는 잘 알고 있었다.[139]'고 했다. 한편 김규식은 장택상더러 사퇴하라는 압력을 가했지만 장택상은 묵살해버렸다. 미소 공위 성사 노력과 좌우합작운동의 실패[편집] 1947년 이 무렵에는 미국 정가에서는 소련과의 협력무드가 깨졌고, 뒤이어 매카시즘 열풍이 불면서 미 국무성 안에 있던 일부 관리들이 '빨갱이'로 몰려 투옥되는 사태를 빚으면서 미국의 대한정책도 반공노선으로 급선회하게 되고, 여기서 미군정기 조선의 상황도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중도파 정치세력은 수차례 테러를 당하게 된다.[140] 이러한 상황에서 5월 21일 제2차 미소공동위가 재개되었다. 김규식은 미.소공위의 성공만이 분단을 막을 길임을 역설했다. “ 우리민족이 공위의 무기휴회로 말미암아 지난 1년 동안 받은 온갖 불행과 상처는 형언할 수 없다. 금번에 재개되는 미소공위는 작년과 같은 복철을 밟지 않으리라고 확신한다. 우리는 좌우남북이 일치단결하여 천재일우의 이 기회를 놓치지 말고 3천만겨레가 한가지로 결심하고 노력하기를 바라고 믿는다. ”   — 1947년 5월 13일, 담화문 중 일부[141] 1947년 5월, 제2차 미소공위당시 사진. 오른쪽부터 여운형,김규식,이묘묵,말리크, 테렌티 스티코프(소련군정 사령관),허헌 미소 공위 참관 후 현 코리아하우스에서 앨버트 브라운 소장이 여는 만찬에 여운형, 이묘묵을 대동하고 참석했다. 1947년 5월 21일 제2차 미소공위가 재개되었다. 모스크바 3상회의의 결의를 통해 통일정부를 세울 수 있는 마지막 기회로 처음 제2차 미소공위는 순조롭게 진행되어 갔었다. 6월 25일 공동위원회 참가를 청원한 남한의 정당 및 사회단체 대표 400여명과 미소 두 나라 대표의 합동회의가 개최됐고, 7월 1일에는 북한 정당 및 사회단체 대표와 미,소 두나라 대표의 합동회의가 개최됐다. 그러나 7월 10일 소련 대표가 공동위원회 참가단체로 등록한 남한의 425개 단체를 118개로 제한하자고 제의해서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다. 단체 참여수 문제를 놓고 미국과 소련 양측은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았으며, 국내에서도 좌파·우파 양 진영 역시 한걸음도 물러서지 않으려 했다. 그러던 중 7월 19일 서울 혜화동 로터리에서 좌우합작위원회 좌측 대표 여운형이 백의사 단원 한지근외 4명 등이 쏜 권총에 맞고 피습 절명하자, 김규식은 여운형의 죽음에 매우 크게 충격 받았다. 김규식은 여운형 영결식에 참석하여 추모사를 남기면서 평가하였는데, 그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3] “ 우리는 한 위대한 혁명투사를 잃었을 뿐만 아니라, 유일목표인 신국가 건설을 위하여 전 민족이 합작으로부터 완전 통일에 나아감으로 최후 목적을 달하기를 제창하여 이에 최종까지 노력하던 지도자를 상실하였다. 그러므로, 나는 몽양 동지의 영별에 대하여 정실상의 감촉보다도 우리 민족의 자유를 획득하려는 공동진영의 한 용장을 상실하였다고 본다. 곧 민족 전체의 손실이다.[141] ”   — 여운형 서거 담화, 1947년 7월 22일, 김규식 1947년 12월, 좌우합작위원회 해단식. 1947년 7월 19일 IOC가입 축하기념으로 한국과 영국의 친선축구경기가 서울운동장(현재 동대문 운동장)에서 열린 날, 당시 미군정청 조선 체육부장이자 조선체육회(대한체육회의 전신) 회장으로 좌우합작위원회를 이끌었던 여운형은 경기 참관을 하기 전에 옷을 갈아입겠다고 차를 타고 집으로 가던 중, 혜화동 로터리 근방에서 배후를 알 수없는 한지근(韓智根, 본명은 이필형(李弼炯))에 의해 흉탄에 맞아 피습 절명하였다.[142] 여운형이 죽기 몇 시간 전에 또한 김규식도 '죽이겠다'는 협박편지를 받았다고 한다.[143] 김규식은 여운형과 사적으로 형님·아우님 하던 사이였고, 오래전 상해 임시정부 시절부터 해방이후 좌우합작운동까지 함께해온 동지였기에 여운형에 대한 그의 특별한 동지애는 1947년 12월, 좌·우합작이 실패로 끝난 뒤에 촬영한 기념사진에 손수 여운형의 얼굴이 든 사진을 오려서 붙이는 것으로도 표현되었다.[3] 우익 진영과의 갈등[편집] 당초 우익 진영에서는 그를 이승만, 김구와 함께 우익 3영수, 또는 김성수를 포함하여 4영수로 보았지만 그가 좌우합작에 뛰어들면서 그를 공격하는 이들도 나타났다. 1947년 7월 28일 서울에서 열린 기독교청년연합회 주최 강연회에 김구, 김규식은 연사로 참여하였다. 김구가 연설을 마치고 내려왔다. 다음 연사인 김규식이 장내에 소개되었다. 장내의 열띤 청중들은 김규식의 예정된 연설을 들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두고 논란을 벌였다. 마침내 한 청년이 나와서 김규식과 같은 유물론자의 연설을 들어서는 안 된다고 하면서 그 대안으로 모두가 귀를 막자고 제안했다. 청중들은 이 문제를 표결에 붙여버렸다.[144] 김규식의 연설을 듣지 말자는 주장은 바로 가결시켰고, 이어 김규식은 조용히 퇴장해버렸다.[145] 김구는 이를 보고 말리지도 않았다. 김규식에 대한 살해 협박은 계속되었다. 삼청장으로 수시로 협박 편지와 투서가 날아왔다. 1947년 7월 19일에는 여운형이 죽기 몇 시간 전에 김규식도 죽이겠다는 협박편지를 받았다고 한다.[146] 이는 'G-2 보고서[146]'를 통해 미국무성으로도 보고되었다. 그가 신탁통치와 미소공위 참가를 선언한 이래 수시로 그에게 협박 투서나 협박전화 등이 걸려왔다. 생애 후반[편집] 정당 활동과 암살 위협[편집] 민족자주연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그 이후 김규식은 원세훈, 조소앙, 안재홍, 여운홍 등과 함께 좌우합작운동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김규식 역시 극우단체로부터 수시로 암살위협과 테러의 위협에 시달렸고, 조선공산당은 김규식의 주변에 프락치를 보내 교란했다. 1947년 10월 14일 한미문화협회(韓美文化協會) 총회에서 명예회장으로 선출되었다. 여운형 암살 이후 극좌, 극우 양측으로부터 암살·테러위협과 협박 투서, 프락치 침투 등에 시달림을 당했으며 좌우합작운동의 구심점을 잃어간 상태에서 12월 5일, 그는 좌우합작운동을 포기를 선언하고 말았다.[147] 1947년 10월 1일 민족자주연맹 결성준비위원회에 참여하였다.[148] 정당정치를 혐오하였지만 정치결사체의 필요성을 느낀 그는 일부 중도좌파, 중도우파 정치인과 청년들의 정치조직 결성 건의를 받아들여 민족자주연맹 결성에 착수하게 된다. 민족자주연맹은 경성부 천도교 강당에서 결성되었다. 1947년 12월 20일 민족자주연맹의 의장에 선임되었다.[148][149] 결성식에서 그는 극좌-극우를 반대하고 민족주체성을 찾자고 역설하였다.[148] 1947년 미군정에서는 이승만이나 김구대신 김규식을 대통령으로 임명하고자 생각하였고, 한동안 그 생각을 갖고 있었다. 소련 군정에서도 통일 한국의 수상으로 김규식의 임명을 고려하기도 하였다.[150] 김규식은 박헌영을 미워하여 조선적십자사 이사로 박헌영이 참여하자 박헌영이 이사로 있는 곳에서는 일 못한다고 항의하기도 했다.[151] 그러나 박헌영은 김규식에게도 프락치를 보냈다. 뒤에 김규식의 삼청장에 파견된 기자 이본영은 송남헌에 의하면 '일종의 박헌영 프락치'라 증언했다.[152] 민족자주연맹의 비서처장으로 있던 송남헌은 그에게 권태양을 추천했다. 송남헌은 뒤에 '권태양은 내 밑에 있던 사람으로 내가 추천해서 썼다', '(권태양은) 성시백의 바로 직계이다. 내가 감쪽같이 속았지, 성시백이 선이라는 것을 전혀 몰랐'다고 진술했다.[153] 1947년 6월 16일 8명의 괴청년들이 김규식의 삼청동 자택 침입을 시도했다[104] 가 실패하고 도주하였다. 김규식은 자신이 머무르는 삼청장 안에서도 테러단을 피해 침실을 자주 옮겨다니기까지 했으며, 측근들은 만일의 테러 사태를 염려해 강원도 홍천군에 있는 아버지의 묘소에 참배를 가는 것도 만류하였다.[154][155] 민족자주연맹 창당[편집] 1947년 10월 1일 창립발기회[156] 를 개최하고 민족자주연맹을 공식 창당하였다. 12월 20일 서울특별자유시 천도교당에서 민족자주연맹 결성식이 있었다. 15개 정당과 사회단체 25개가 통합하여 결성되었다. 민족자주연맹의 총재에는 김규식, 정치위원에는 홍명희, 원세훈, 이극로, 손두환, 윤기섭, 김성규, 김순애가 선임되었다. 민족자주연맹의 결성식에는 하지 미국 육군 중장, 윌리언 딘 군정장관, 브라운 미육군 소장, 헬믹 미육군소장, 장건상, 조병옥, 장택상 등이 축사를 하였는데, 장건상을 제외하고는 모두 미군정의 핵심인물들이었다.[157] 또한 남조선노동당의 당수 박헌영, 민족주의독립전선 측의 조봉암도 사람을 보내 개회사 직전에 참여하여 내빈축사를 낭독하고 돌아갔다. 미군정 수뇌들은 민족자주연맹 결성식에 참석하여 축사를 함으로써, 이 당시 이승만에게 보낸 반응과 대조적으로 김규식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였지만, 그러나 미군정측이 남북지도자회의를 지지한 것은 아니었다. 이 점에서 개인 김규식에 대해서 보인 호의와는 무관하게, 민자련은 미군정, 미국과 대립되지 않을 수 없었다.[157] 김규식을 정점으로 한 민족자주연맹은 미군정의 지원을 받고 있었지만, 원칙적으로 미소 양군의 철퇴를 지지하여 미국측 입장과는 차이를 보였다.[156] 북한과 교섭[편집] 김구 1947년 11월 김규식은 남북 지도자 회의 소집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158] 12월 발생한 장덕수 사건으로 이승만 계열과 한국민주당 등과의 관계가 완전히 틀어진 김구 계열이 합류하면서, 김규식은 남북협상에 김구의 협력을 얻어냈다. 1948년 1월 김규식은 남북협상과 단독정부 수립 반대의사를 공식 피력하였다. 2월 4일 삼청장에서 민족자주연맹 지도부를 소집시키고, 이 자리에서 김구와 공동명의로 북측에 서신을 보내 김일성(金日成)과의 회담을 제의하기로 결의하였다. 이후 김구와 함께 북행길을 결심하여 1948년 2월 16일 김구와 함께 공동명의로 단독선거 강행을 저지하고 통일국가수립을 위해 남북지도자회의를 소집할 것을 주장하는 내용의 서신을 북한의 김두봉에게 보내 남북 지도자 회담을 제안하였다.[100] 북한에서는 인편을 보내 남북협상 제의가 내려왔다. 그러나 북한의 제의가 당초의 남북요인 회담과는 거리가 있다고 추정하였다. 그는 김일성에게 보내는 서신을 통해 다음과 같이 5개항의 전제 조건을 먼저 수락할 것을 요구하였다. 독재정치제도를 배격할 것 사유재산제도를 승인하는 국가를 수립할 것 전국적 총선거를 통하여 통일중앙정부를 수립하는데 동의할 것 외국에 군사기지를 제공하지 말 것 미·소 양군의 철퇴 공포할 것 이에 김일성이 5개항 전제조건을 수락할 용의가 있다고 응답하자 김규식은 북행을 결심한다.[주해 10] 11월 4일 미국 육군 소장 윌리엄 F. 딘이 미 군정청 군정장관으로 부임하였다. 그는 즉시 내빈으로 참석하여 축사를 발표하였다. “ 조선 속담에 초불득삼(初不得三)이라는 말이 있는데, 이것은 첫 번에 성공하지 못하면 세 번째 노력했을 때는 반드시 성공한다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제1대 군정장관 아놀드 장군 때와 2대 군정장관 러치 장관 때에 성공하지 못한 자주 독립을 제3대 군정장관인 딘 장군을 맞이함으로써 이 소망을 달성할 것을 확신하는 바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보통 환영사에서는 되도록이면 오랫 동안 우리와 함께 있기를 원하는 것이나, 금일 이 석상에서는 장군에게 환영사를 드리는 나로써는 될 수 있는 대로 단시일에 군정장관의 자리를 물러가고, 제1대 주한미국대사나 특별대사의 자격으로 오랫동안 우리와 함께 있기를 원하는 바입니다. ”   — 제3대 미군정청 군정장관 딘 소장 환영사 1947년 12월 말 그는 남북분단을 현실적으로 인정하고 다시 민족자주연맹과 중도파를 규합하여 남북협상을 추진하였다. 한민당 탈당파인 원세훈, 김약수, 이순탁 등이 그의 노선에 동조하였다. 1948년 2월 4일 김구를 방문하였다.[157] 1948년 2월 4일 민족자주연맹은 남북통일 문제를 토의하기 위해 남북 요인회담을 열 것을 요망하는 서한을 김일성과 김두봉에게 발송하기로 건의했다.[157] 이 결의에 따라 김규식은 장덕수 살해사건 관련설로 난처한 입장에 빠져 있던 김구를 방문하고, 김일성에게 보내는 서한은 신기언(申基彦)이, 김두봉에게 보내는 서한은 엄항섭이 기초하여 김구와 김규식 두 사람 연서의 사신 형식으로 발송할 것에 합의했다.[157] 남북협상에 대한 만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입니다. 1948년 3월 1일 남로당 중앙위원회로부터 "제국주의자의 앞잡이가 되어 조국의 분할 침략계획을 지지하고 나라를 팔아먹는 이승만, 김구, 김규식, 김성수 등의 정체를 폭로하고 인민으로부터 고립·매장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는 비판을 받았다.[159] 한편 한민당으로부터 김구와 김규식의 주장이 남로당 주장을 대변하고 있는 것 같다느니, 그들이 "크레믈린 궁의 사자"라느니 하며 비난을 받았다.[159] 한민당은 총선거에 임하여 만천하 동포에게 고함 에서 김규식은 한때 공산당원이었으니 그 태도가 공산당과 동일할 것은 필연의 귀결로 볼 수 있고, 김구도 토지국유정책 등을 볼때 공산당과 통할 가능성이 있다.[159] 는 공격을 당했다. 김규식 (1948년 4월) 4월 3일 김규식은 서울 필동의 호국역경원에서 열린 통일독립운동자 협의회 결성식에 참석하여 훈화하였다. 김규식은 남북협상의 실패를 예견하였고, 자신이 남북협상에 참여했다가 실패하면 이승만이 대통령이 될 것이라는 것도 미리 예상하고 있었다. 국민들이 심정적으로는 남북협상을 지지하겠으나 현실적인 선택에 있어서는 이승만을 선택하리라는 것도 인식하고 있었다.[160] 1948년 4월 평양 을밀대에서왼쪽부터 선우진, 김규식, 김구, 원세훈 순 1948년 4월 김규식이 남북협상에 참여하려 할 때 주변에서는 그에게 북한에 가지 말 것을 여러번 권고하였다. 남북협상이 정치적 자살 행위임을 김규식은 잘 알고 있었다. 조병옥은 '남북협상을 한다고 하더라도 결국은 하등의 결론도 못 얻고 그대로 돌아올 것이라고 확신하였다.[161]' 그래서 조병옥은 김규식을 찾아가 북한에 가지 말 것을 설득하였다. 조병옥은 김규식을 방문하여 3시간 동안 면담하면서 현존 국제정세 하에 있어서 공산주의자들과 독립정부 수립을 협상한다는 것은 무익한 일이며 협상을 하기 위하여 북행을 한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허행(虛行)이 될 뿐만 아니라 마침내는 정치적 자살을 하게 될 것이라고 하였다.[161] 김규식도 그의 의견을 존중히 여기고 북행하지 않을 것을 말하였던 것이다.[161] 민족자주연맹과 좌우합작파, 우파 일각에서도 그의 남북협상 참여를 만류하였다. 김규식의 비서로 지냈던 송남헌에 의하면 장건상과 원세훈 등은 김규식이 남북협상에 참가할 때, 김규식의 직접 참여가 장차 정치계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김규식의 북행을 만류했다고 한다.[160] 장건상은 특히 후일을 도모하기 위해서라도 박사님은 북행해서는 안 된다고 조언하였다. 1948년 4월 14일 서울에서 남북협상을 지지하는 '문화예술인 108인 성명'이 발표되었다. 한편 김규식은 김일성에게 5개 조항의 전문을 보내고 수용할 것을 요구했다. 그는 북한이 5개 조항을 수용할리 없다고 판단하였으나 김일성이 3월 초 답신을 보내 5개항을 수용할 의사가 있다 하였고, 그로서도 거절할 명분이 없었다. 문화 예술계 인사 108명이 남북협상에 대한 열렬한 지지와 찬성 서명을 발표하자 그도 더이상 남북협상을 기피할 방도가 없었다. 그는 실패를 예상하고 3.8선을 넘어 북행하게 된다.[162] 남북협상 참석[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입니다. 김구는 1948년 4월 14일 북한으로 갔고, 김규식 일행은 4월 21일 남북연석회의가 열리는 북한으로 갔다. 남북협상의 실패와 민중들이 이승만을 선택하리라는 것을 각오하였으나 그는 4월 21일 기자들에게 남북협상의 성공을 예상한다는 성명을 발표하고 비서 송남헌을 대동하고 3.8선을 넘어 북행하였다.[160][163] 김규식의 남북협상 배경에 대해 리처드 로빈슨은 '이승만에 대한 두려움, 개인적 혐오감, 애국심이 복합된 것이었다.[164]'라는 평을 내리기도 했다. 평양에 도착한 뒤 평양의 특별호텔에 숙소를 정했다. 평양의 특별호텔에 있을 때 김원봉(金元鳳), 허헌, 박헌영(朴憲永) 등의 방문을 받았다.[165] 환영 피로연에서 그는 '우리는 우리 장단에 맞추어 우리춤을 추자'며 자주성을 역설하기도 했다. 그러나 남한의 주요 정치인사들은 북행하였으나 연석회의에는 불참하였다. 이는 철저히 소련 군정청의 민정청장 레베데프가 세운 각본대로 진행되었던 것이다. 이를 눈치챈 김규식과 김구는 4월 22일 회의에만 참석해 간단한 인사말을 했을 뿐이다. 4월 22일 평양시내에 도착한 김규식은 4김회동에만 참석했을 뿐, 이후 병을 이유로 숙소에 머무르며 한 번도 회의에 참가하지 않았다.[163] 1948년 4월 30일 평양의 김두봉의 집에서 김구, 김일성, 김두봉과 함께 '4김 회동'에 참석하였다.[166] 이 자리에서 김구와 김규식은 이승만의 단선·단정 반대를 주장하면서 김일성에게도 북한의 단독정부 건설을 중단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1948년 5월 5일 김구와 함께 서울로 돌아왔다.[166] 말년[편집] 제2차 남북협상 불참[편집] 김규식은 남북협상에 참석하기 전에 실패를 예상하였다. 성과 없이 돌아온 김규식과 김구는 5월 14일 북한 측의 제2차 남북협상 제의를 거절하고, 5·10 총선거에는 ‘불반대·불참가’의 성명을 발표함으로써 건국기초작업에 대한 그의 정치활동에 종지부를 찍었다. 공식적으로는 제헌국회의원 선거에 불반대, 불참가를 천명했으나, 그럼에도 그는 비밀리에 연락을 취해 민족자주연맹 당원들에게 5·10 총선거에 출마할 것을 권유하기도 했다. 단독정부의 수립에는 반대하였으나 그는 대한민국 정부를 합법적인 정부로 인정하였다.[167] 1948년 7월 21일 김구와 함께 통일독립촉진회를 결성하였다. 김규식은 통일독립촉성회 부주석에 추대되었다. 축사에서 그는 '남한이라도 철같이 단결하여 통일 독립 쟁취에 매진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김구는 반공주의자였고[167] 김규식 또한 반공적이어서 두 사람은 통일독립촉진회에 친북인사들이 들어오는 것을 크게 경계하고 북의 정부수립을 배신행위로 단죄하고 북한·좌익과 선을 긋고자 끊임없이 노력하였다.[167] 1948년 6월 29일 북한에서 황해도 해주에서 열리는 제2차 남북지도자협의회 개최에 초청하였으나 거절하였고, 8월 한국민주당에서 뒤에 그를 대통령 후보로 추대하려 하였으나 그는 한민당의 이 요청 역시 거절하였다. 9월 북한 단정이 확정되자 7월 19일 김구와 함께 북한의 선거는 4월의 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에서의 약속위반이라고 비난 성명을 발표하였다.[168] 1948년 10월 잡지 학풍(學風)이 창간되자 필진으로 참여하였다.[169] 1948년 12월 일부 남북협상파는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되는 제3차 국제 연합 총회에 단정 반대 입장을 발표할 대표자로 그를 선정하였으나, 그는 파리에 가기를 거절하였다. 정치적 몰락[편집] 위키문헌에 이 글과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전 임시정부 주석 김구 국민장 김규식 추도사 전문 단정 수립 당시 김규식은 이승만박사에게 '나중에 역사의 심판을 받게 되지 않느냐? 역사의 심판을 두려워해야 한다.'라고 충고를 하기도 했다. 이에 이승만은 '역사의 심판은 내가 다 받겠다. 그건 걱정은 말라.'라고 대응했다.[170] 유엔의 승인 이후 그는 대한민국 정부를 인정했고 현실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다.[171] 1949년 5월 15일 서울 조선정치학관(건국대학교의 전신) 개교 3주년 기념식에 내빈으로 참석하였다. 통일독립촉진회에서 활동하던 중 1949년 6월 26일, 김규식과 함께 통일정부 수립운동에 같이 활동한 김구가 암살되었다. 김구의 장례를 놓고 정부와 장례위원회의 갈등이 발생하였다. 김구의 장례는 7월 5일 김규식이 절충하여 국민장으로 치러졌다. 정부 측이 국장을 제의하자, 장례위원회 측이 너희들이 죽여 놓고선 무슨 국장이냐?며 반발하며 민족장을 추진하려고 했다. 결국 김규식이 양자의 의견을 조정, 조율하여 국장과 민족장을 합친 국민장(國民葬)으로 하기로 결정하였다.[172] 김규식은 조소앙과 함께 김구의 장례식을 주관하였고, 한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남북협상 당시 끊지 않겠다는 송전을 끊어 그의 정치적 입지를 궁지로 몰고 갔다. 송전이 마비된 뒤 미군에 의해 전기 공급이 복귀되기는 하였으나, 송전 중단의 원인을 김규식의 탓으로 몰고 가는 비난 여론이 나타났었다.[173] 이후 우파 청년들이 드나들던 그의 사저 삼청장은 썰렁하게 변모해갔다. 1949년 7월 30일 '민족진영강화위원회' 결성준비위원회(약칭 민강위)에 참석하였다.[174] 8월 20일 '민족진영강화위원회' 상무위원에 선출되었고,[175][176] 이어 김규식은 '민족진영강화위원회 의장에 피선되었다.[177] 그러나 9월 20일 '민강위' 의장직을 사퇴하였고[178], 민강위 연석회의에 참석했다.[178] 또한 49년 북한에서 송전을 끊어버림으로서 남북 협상에 참여했던 정치인들의 입지는 더욱 약화되었다. 대한민국 단독 정부 승인과 말년[편집] 49년 8월 15일 정부수립 기념 1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하여 기념사를 발표하였다. "UN"과 열국이 승인한 대한민국의 1주년을 맞이함에 있어 누구나 다 경하할 바이다. 그러나 오늘까지 국토의 완전 통일을 보지 못하고 해방된 이 나라 백성들이 생활고에 허덕이고 있는 현장은 목불인견이라 아니할 수 없다. 그럼으로 민국은 앞으로 진정한 독립국가로서의 명실상부하게 완미한 발전이 있어야 하겠고, 자주통일된 국가로서 국가주인공인 전체 인민의 생활 안정과 행복을 제일로 획득하기에 전력을 다할 것이며 따라서 인류평화에 공헌하여야 할 것이라고 믿는다.[179] 1950년 4월 서재필에게 편지를 보냈는데, 그 내용에는 자신이 좌파로 몰리는 것에 대한 억울함을 토로하였다. “ '(중략)...우리가 누구인지 하느님과 우리가 아는데, 왜 남들이 우리를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해 근심해야 합니까? 사람들이 저를 보고 빨갱이라 부른곤 합니다.'(하략) ” 1950년 5월 30일, 제2대 국회의원 총선거가 예정되자, 김규식의 지지자들은 그의 총선 참여를 권유하였으나 김규식은 단독정부 수립에 대한 반발로 참여하지 않았다. 그러나 민족자주연맹 내 다른 당원들의 출마는 허용하여, 2대 총선에도 불반대 불참가 성명을 발표하였다.[180][181] 공식적으로는 불반대 불참가 성명을 발표했다. 그러나 김규식은 전국 각지로 은밀히 사람을 보내 당선 가능성이 높은 민족자주연맹 당원들에게 입후보를 권유하였다.[180] 민족자주연맹 공천으로 출마한 후보자들은 원세훈(서울 중구 갑), 최동오(서울 중구 을), 김붕준(서울 성동 갑), 박건웅(서울 용산 을), 김성숙(金星淑, 경기 고양), 조일근(전북 전주), 박종운(경남 의령), 송일환(경남 울산 갑), 최관수(경남 창원 갑), 김성숙(金成璹 제주도 남제주) 등이었다.[180] 그러나 "북측으로부터 선거자금을 받아썼다"는 따위의 누명을 씌워 반이승만 성향의 입후보자들을 구금하는 등 관권개입과 폭력, 금력이 판쳤던 게 5·30 선거였다. 그런 탓도 작용해 민족자주연맹 후보 가운데 금배지를 단 이는 원세훈 하나뿐이었다.[180] 최후[편집] 6월 25일, 한국 전쟁 직후 공산 치하의 서울에서 김규식을 마지막으로 본 강원룡에 의하면 여전히 건강이 안좋은 상태였으나 자신의 신변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는 눈치였다 한다.[182] 이승만의 정치적 반대자이고 단독정부 수립에 반대해 평양에까지 다녀온 자신을 설마 북한 정권이 어떻게 하리라고는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182] 그 해 6월, 김규식은 한국전쟁때 조선인민군에 의해 납북되었으며[183], 이때 아무도 그에게 피신할 자동차를 보내주지 않았다 한다. 북한 인민군이 소환을 재촉하자 아들 김진동이 동행하려 하였으나 비서인 권태양이 그와 함께 나갔다.[주해 11] 한편 김규식을 인도한 권태양은 조선로동당에서 침투시킨 첩자였다. 송남헌과 강원룡은 권태양을 첩자로 지목했다. 김규식의 측근이었던 강원룡은 공산 치하의 서울에서 권태양이 박소붕이라는 사람에게 '당신 지금 내가 누군지 알고 이러는 거야? 함부로 떠들지 말아.' 라고 하는 말과 그 뒤에 박씨에게 뭐라 하자 박소붕의 태도가 싹 달라지는 것을 보고 권태양의 정체를 의심하였다.[184] 김규식은 북에 가지 않을 목적으로 그를 보냈으나, 그가 김규식이 북에 가도록 일을 만든 것은 아닌가 하고 의혹을 제기하였다.[184] 김규식의 비서였던 송남헌은 권태양이 성시백이 보낸 프락치라고 증언하였다.[185] 송남헌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민족문화연구소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도처에 공산당의 프락치들이 들어가지 않은 곳에 없었다고 증언하였고[185] '권태양은 내(송남헌)가 속을 정도로 은밀히 활동하였'다고 진술했다.[185] 송남헌은 또한 '권태양이 성시백의 직접선'이라 하였고[185] '8월 25일 공산당에서 하는 해주회의에도 갔다'[185] 고 진술했다. 그는 북한 인민군이 유엔군의 공세에 밀려 평안북도 만포진 부근 압록강 한 귀퉁이까지 끌려갔다가 1950년 12월 10일, 오랫동안 앓아왔던 심장병, 천식 등의 병세가 악화되면서 68세를 일기로 숨을 거뒀다.[183] 강원룡은 그가 만포진 부근 별오동에서 사망했다고 보았으나[17] 사망 장소도 만포진의 민가에서 사망하였는가 북한 인민군 군병원에서 사망하였는가 여부도 불확실하다. 1950년 12월에 사망했다는 설은 북한에서 공식 주장한 것으로 확실하지는 않다. 1952년에 사망했다는 설도 있다.[주해 12] 사후[편집] 이승만의 정적이자 납북자인 까닭에 금기시되다가 제2공화국 시절에도 부정적인 평가는 계속되었다. 1960년대 후반 관련 서적 출간 이후 1970년대 후반 이후 재조명 논의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고인의 공헌을 기리기 위하여 1989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1991년 11월 21일 광복회는 국립묘지 애국지사묘역 선열제단에 그의 위패를 모셨다.[5] 12월 31일 우사연구회 발기인총회가 열리고 우사연구회가 창립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김규식이 미군정에 의해 수립된 민주의원과 과도입법의원의 의장직에 있을 때 그에게 비난을 퍼부었지만, 그의 소중함을 무시할 수 없었고, 결국 그를 소위 ‘애국열사릉’에 안장했다.[186] 1990년 8월 1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조국통일상이 추서되었다.[187] 연보[편집] 1881년 2월 28일 출생 1886년 어머니 사망, 숙부들 집을 전전하게 됨. 1886년 숙부들은 기독교인 선교사 언더우드에게 그를 맡기려고 했으나, 발육부족으로 4세 미만의 어린이로 본 언더우드의 교회(敎會)에서는 받아들일 수 없다 하여 다시 숙부들 댁을 전전하다. 1886년 숙부들도 포기하고 병풍 뒤에 뉘여있던 김규식은 언더우드 목사에 의해 발견되다. 1886년 5월 11일 고아원을 설립하고 돌아온 언더우드의 집에 데려가 극진히 간호하여 병이 완쾌되었다. 그 뒤 다시 숙부들에게 돌려보내졌다. 1887년 언더우드의 양자가 되다. 1891년 아버지 김지성, 유배지에서 풀려나 귀향하였다. 1891년 여름 조모 사망 1891년~1894년 부친과 조부와 함께 살며 서당에 다니며 한학(漢學)을 수학하였다. 1894년 한성 관립영어학교에 1기생으로 입학하였다. 1894년 가을 할아버지 김동선과 형이 연이어 사망하다. 1896년 3월 한성 관립영어학교 1반 재학생 중 수석으로 졸업하였다. 1896년 3월 졸업 직후 조선인 식품점의 영업사원으로 취직하였다. 1896년 4월 7일 최초의 한글판과 영문판 일간지 독립신문을 발행한 서재필을 찾아가 면담, 그의 독립신문사에 입사하였다. 1896년 4월 8일 독립신문사 영어 사무원 겸 회계담당 1897년 서재필 등의 권고로 미국으로 건너갔다. 1897년 9월 미국 버지니아주 로노크 대학교(Ronaoke College) 예과(豫科:고등학교 과정) 과정에 입학하였다. 1899년 8월 로노크 대학교(Ronaoke College) 예과(豫科:고등학교 과정) 과정을 졸업했다. 1899년 9월 로노크 대학교(Ronaoke College) 1학년에 입학 1899년 여름 유일한 한국인 학우였던 이종계는 아버지 이범진의 부임지를 따라 유럽으로 떠났다. 1901년 3월 수행원 2명을 데리고 로노크에 온 의친왕을 접견하다. 1901년 1학기 당시 질병과 의친왕 수행을 이유로 98일간 대학 강의에 결석하였고, 학교의 허가를 받아 공가처리 되었다. 1901년 6월 28일~7월 7일 의친왕과 한국인 학생들을 수행하여 미국 매사추세츠주 노스필드에서 열린 학생대회에 참석하였다. 1901년 7월 7일 매사추세츠를 떠나 뉴욕주 버팔로에서 열린 남북아메리카 박람회에 참석하였다. 1902년 5월 로노크 대학교를 휴학하였다. 1903년 3월 로노크 대학교에 복학하였다. 1903년 6월 로노크 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 프린스턴 대학교 대학원에 입학하였다. 1903년 겨울, 귀국 직전까지 뉴욕에 머물러 있었다. 1904년 프린스턴 대학교 대학원 영문학 석사(M. A) 1904년 프린스턴 대학교 대학원에서 장학금을 지원하는 조건으로 박사 과정 진학을 권고하였으나 거절하고 귀국 수속을 밟다. 1904년 각국의 상사와 광산회사, 은행 등에서 스카우트 제의가 들어왔으나 모두 거절하였다. 1904년 배재학당 영어, 수사학 과목 교사 1905년 1월 18일 일본이 여순을 공격하여 함락시키자, 모교 로노크 대학교 잡지 5월호에 <근대의 세바스토폴리의 함락>이라는 주제로 글을 기고하였다. 1910년 숭실학교 영어, 수사학 과목 교사 1913년 언더우드 목사의 비서직을 사퇴하고 만주로 건너감. 1913년 3월 27일 ~ 3월 29일 모트 박사의 부탁으로, 모트 박사의 특별 강연을 모두 통역하였다. 1913년 5월 언더우드 목사의 부인 릴리스 언더우드는 '한국 선교회'보 1913년 5월호에 1913년 4월 김규식이 오스트레일리아의 한 대학원에 입학하여 학위를 받으러 출국했다는 거짓 기사를 발표했다. 1913년 12월 17일 상하이의 박달학원 설립에 참여하였으며, 김규식은 박달학원 영어 교수로 초빙되었다. 1913년 11월 춘원 이광수를 만나다. 그는 상하이 성 요한 대학(St. Johan collige)에 입학하려는 이광수에 대한 소개장을 써서 주었다. 1918년 3월 앤더슨&마이어 회사 고륜(高倫, 울란바토르) 지점의 지점장으로 부임하였다. 아들 김진동, 사촌 여동생 김은식을 대동하고 장가구지점에서 출발 직후, 자동차로 가다 11일간 폭설로 중도에 여관에 숙박하였다. 1918년 3월~4월 37일간 낙타를 타고 사막을 건넜다. 3월 출발 후 50일 만인 5월 중순에 몽골에 도착, 6월 초 울란바토르에 도착하였다. 1918년 7월 안창호의 영향을 받아 만주에 땅을 개척, 목장을 경영할 계획을 세웠으나 일본 총독부의 방해로 실패하다. 1918년 11월 신한청년당에서 파리 강화회의로 보내는 사절단을 선발할 때, 김규식은 여운형의 추천으로 대표단에 선발되다. 여운형은 그가 영어를 잘 하는 점을 들어 그를 사절단으로 추천하였다. 1919년 프랑스 파리강화회의에 참여하려 하였으나 프랑스 외무성으로부터 참여를 거절당하였다. 정부 자격이어야만 회의에 참여할 수 있다는 프랑스 외무성의 응답을 듣고 상하이로 알렸고, 2·8 독립선언과 3·1 만세운동을 일으키는 도화선을 제공하였다. 1923년 상하이 푸단대학의 영문학 강사 1923년 로노크 대학교 명예 법학박사 학위 취득. 로노크 대학교는 김규식이 1919년의 파리 강화회의에서의 식민지 조국의 독립을 위한 애국운동에 기여한 공로로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하였다. 1923년 장녀 김한애 출생 1924년 1월 코민테른에서 창조파 국민위원을 국경 밖으로 추방하여 여운형, 원세훈 등과 함께 각지를 방황하다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했다. 1924년 5월 블라디보스토크를 떠나 만주를 거쳐 상하이로 돌아왔다. 1924년 둘째 딸 김민애 출생 1924년 의열단 고문 1925년 셋째 딸 김우애 출생 1927년 2월 유자명, 이광제, 안재환, 중국인 목광록, 왕조후, 인도인 간타싱 비신싱 등과 난징에서 동방피압박민족연합회 조직하였다. 김규식은 회장으로 추대되었고, 기관지 [동방민족]을 중국어, 영어, 한글로 월간 발행했다. 1927 4년 전민족독립당 결성 선언문을 발표하고, 이동녕, 이시영, 조완구, 조봉암 등과 함께 한국유일독립당 상해촉성회집행위원이 되었다. 1927년 7월 5일 '연합' 지에다가 영국과 미국의 침략성을 규탄·배척하는 기사를 투고했다가, 영국영사관과 밀통한 일본영사관 경찰의 수배를 받고 체포령이 내려졌다. 1927년 둘째 딸 김민애 사망 1930년 첫째 딸 김한애 사망 1932년 7월 만주 조선혁명당의 최동오, 한국독립당의 김두봉과 함께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 준비회를 구성 대일전선통일동맹 결성, 각지의 독립운동 단체에 통일전선을 설립하기 위한 회의에 참석할 것을 권고하는 서한을 보내다. 1932년 11월 중국에서 만주사변에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고, 국제 사회에 홍보할 사절단을 파견하려 할 때, 북양대학교 교수 자격으로 민간외교사절단 수석전권대표로, 20여명의 수행원을 데리고 미국으로 떠났다. 이는 11월 5일자 한국 동아일보에 실렸다. 1933년 초 조선총독부 경무국이 파견한 첩자의 미행을 당하였다. 조선총독부 경무국은 첩자를 통해 입수한 자료로 보고서를 작성, 그가 '북미 각지를 다니며 대일전선통일동맹과 중한민중대동맹을 홍보하고 기부금 모집을 노력하였다.', '뉴욕 등지에 대일전선통일동맹, 중한민중대동맹의 지부를 설치한 것' 등이 입수되었고, 그가 '8천 달러의 기부금을 모집하였을 것'으로 추정했다. 1933년 9월 16일 약산 김원봉이 교장으로 있는 조선혁명간부학교 제2기생 입학식에 참석해 "세계정세와 민족혁명의 전도" 라는 주제로 훈화를 하였다. 1935년~1942년 사천성 성도 아미산의 국립 사천대학교 영문학 교수 사천대학교 외국어학과 과장, 외국문학과 과장 1942년 10월 11일 한중문화 협회 설립대회 개최 1943년 1월 20일 임정 선전부장으로 새한일보에 일체의 과거를 다 쓸어버리고 임시정부에 충성하기로 결심하는 내용을 발표함 1944년 7월 3일 김규식은 김구와 김구, 김규식, 임정 내각의 명의로 중화민국중국 총통 장개석에게 중국정부가 한국정부를 정식으로 승인해주기를 요청함 1945년 11월 3일 상하이 비행장으로 갔다. 당시 민족혁명당의 대표이자 임시정부의 부주석 자격으로 환국 제1진에 끼어서 함께 귀국하였다. 1945년 12월 28일 임시정부 주석 김구와 함께 대한민국임시정부임정 긴급국무회의를 열어 반탁을 주장하였다. 1946년 1월 신탁통치의 불가피성을 인정하고 반대에 보류하는 입장을 발표, 그 뒤 김규식을 암살하려는 암살단이 조직되어 그는 암살단을 피해 거처와 숙소를 옮겨다녀야 했다. 1946년 4월 한국청년회를 창단하고 회장이 되다. 1946년 말 모교 로노크 대학교에 미화 1천만 달러를 기부하였다. 1947년 한민당과 공산당의 무고로 김규식이 일본으로부터 받은 적산을 팔아 돈을 벌었다는 등 그가 부정한 자금을 축재했다는 루머가 확산되었다. 그러나 별다른 소득원이 없었던 김규식은 아내 김순애가 삯바느질과 재봉틀을 돌려 생계를 유지할 만큼 가난한 생활을 하고 있었다. 1947년 3월 16일 조선적십자사 총재 1947년 10월 14일 한미문화협회(韓美文化協會) 명예회장으로 선출되었다. 기타 노력[편집] 외교적 노력[편집] 그는 국제사회에 있어서 각국가는 자국의 이익에 의해서 서로 동맹도 되었다가 적이 된다고 확신했다. 1919년 4월의 파리강화회의 참여 이전까지는 이상론자였으나, 파리 참석이 좌절되고 소련조차도 조선의 독립에 미온적인 반응을 보이자 그는 좌절, 보편적인 정의가 존재한다는 믿음에서 자국의 이익에 의한 합종연횡론으로 세계관을 바꾸게 된다. 그는 친미(親美) 인사이면서 친중국(親中國)인사였고, 소련과도 우호적인 노선을 유지했다. 그러나 미국에서 활동하였고 주로 미 군정청과 교섭하였으므로 친미적 성향이 강하였다. 그러나 미국문명의 장단점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는 미국에 대해 상당히 비판적이었다.[188] 김규식은 외교 관계를 중요시 하면서도 자주성, 자립성과 경계를 강조하였다. 1919년 4월~7월의 파리강화회담에서 외면당한 것에 대한 미국, 프랑스, 영국 등 구미 유럽 각국의 민주주의(民主主意) 정책에 대한 불신을 갖게 되었고, 미국, 프랑스, 영국을 흡혈귀들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구미유럽에 대한 대안으로 김규식은 사회주의를 택하였다. 소련의 레닌과 스탈린이 한국의 독립을 지원해줄 것을 확신한 그는 사회주의자들과 손잡고 소련을 찾게 되었다. 그러나 소련에서 조차도 1924년 10월 추방당하면서 불신을 갖게 되었다. 그는 미국을 흡혈귀와 같은 제국주의 침략국가로 보기도[189] 했다. 친미국인사이면서도 미국을 신뢰할 수 없었던 김규식은 해방 직후 미국과 가까이 지내면서도 항상 미국을 경계할 것을 주문하기도 했다. 무장 투쟁 노력[편집] 무장투쟁론과는 거리가 있었으나 무력부대 육성에도 노력을 기울였다. 1913년부터 류동렬, 이태준 등과 몽골로 건너가 무장투쟁을 위한 한인부대 육성을 목적으로 한 군사학교 설립을 추진하였다.[190] 그러나 일본 경찰의 감시와 방해, 마적단의 출현, 적은 월급 등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1919년 1월에는 모금을 위해 만주를 거쳐서 압록강을 건너 비밀리에 국내에 진입했다가 되돌아가기도 했다. 1923년 만주로 건너가 고려혁명군 조직에 관여했다.[190] ← 앞 내용 모두 삭제할 것. 군사에 관여한 사람은 우사(尤史) 김규식이 아니라 노은(芦隱) 김규식이다. 김규식은 3명이다. 활동영역도 서간도, 북간도, 외교무대로 제각각이다. 그밖의 활동[편집] 교육가와 학자로서의 활동은 1913년 12월 17일 상해의 박달학원 영어 교수, 1923년 만주 복단대학 상하이 분교 영문학 교수, 1923년 모교인 로노크대학교에서 명예법학박사 학위를 받고, 1927∼1929년 톈진(天津) 북양대학(北洋大學) 영문학 교수, 1932년~1937년 난징(南京) 중앙정치학원의 정치교관, 1937년~1940년 쓰촨대학(四川大學) 영문학 교수 강의및 외국어과장, 외국문학과장 등과 같은 강단생활을 하였다.[191] 사회단체 활동으로는 온건 우파 청년들로 구성한 한국청년단 총재로 청년단을 이끌었고, 1947년에는 조선적십자사 총재에 임명되었다. 정치 활동으로 실제 활동은 부총재 백상규가 대리하였으며 48년 8월 정부수립 이후부터는 49년 대한적십자사가 정식으로 부활할 때까지 임시로 적십자사를 이끌었다.[192] 일화[편집] 국어와 함께 영어와 한자, 독일어, 라틴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몽골어, 산스크리트어 등 다국어를 구사할 수 있었던 김규식은 상하이에서 신한청년당원, 대한민국임시정부 직원, 의열단 단원, 한국인 공산주의자 등을 모아놓고 영어와 한자(漢字)를 가르쳤다. 상하이에 도래한 초기에 그는 단재 신채호의 요청으로 그에게 영어를 가르쳤다. 그러나 신채호는 영어단어 뒤에 하였을람 이라는 접속사 등을 반드시 붙여서 읽었다. 김규식은 문법과 철자를 꼼꼼히 보고 틀린 점을 지적한 반면, 신채호는 단어의 뜻만 알면 되지 않느냐며 반발하였다. 김규식은 신채호와 영어 발음, 철자 문제를 놓고 크게 싸웠고, 신채호는 뒤에 이광수를 찾아가 다시 영어를 배웠다고 한다.[193] 목사 강원룡에 의하면 '그의 영어 실력은 미국 사람이 앞에 나와서 하는 영어를 듣다가 영어발음이 틀렸다며 그의 말을 바로잡아줄 정도로 뛰어났다' 한다.[17] 독실한 신앙인이었던 그는 매일 주말이면 그는 꾸준히 교회 예배에 출석하기도 하였다. 이승만과 대등하게 대화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인물이기도 했다.[주해 13] 그는 이승만과 한글, 한자, 영어 등으로 자유롭게 대화를 구사할 수 있었다.[194] 평가[편집] 당대의 여론[편집] 1945년 10월 10일부터 11월 9일까지 선구회(先毆會)라는 단체에서 가장 뛰어난 지도자를 지목하는 설문조사 결과에 5%가 김규식을 지목하였다.[195] 한편 최고의 혁명가를 꼽는 설문에서는 978명 중 52표를 얻었다.[195] 1946년 7월 조선 여론협회가 서울에서 누가 초대대통령에 적합한가를 조사한 설문결과에는 694표로 전체의 10.3%를 확보했다 한다.[195] 1948년 6월 23일 조선여론협회에서 다시 조사한 결과(누가 초대대통령이 되기를 바라는가?)에서는 89표로 4위를 하였다.[195] 소련군정 사령관 테렌티 스티코프의 비밀수첩에는 '장차 한국의 통일 임시정부가 세워졌을시 내각의 총리는 김규식이다.'라고 적어놓았다. 미군정 사령관 아처 로치 소장은 1947년 3월 6일에 작성한 '한국 대통령 임명에 관한 메모'란에 김규식을 대통령으로 추천했다. 그만큼 그는 좌우세력에 균형을 이루도록 노력했다는 평가가 있다.[196] 미군정당국의 한 장교는 "임정의 부주석 김규식 박사를 대하고 보니 그처럼 세련되고 견식이 높은 분이 있었는가 싶을 정도였다. 그래서 그를 보고 임정 요인에 대한 그간의 인식을 다시 하게 되었다. 특히 국제적인 정치 감각과 세련된 매너, 달변, 그리고 훌륭한 영어 회화 실력은 놀랄 만한 일이다."[197] 라고 평가하였다. 조병옥은 그가 영어에 능란하였으며, 또 한문도 쉽게 습득해 종횡으로 구사하였는데 그 재주에는 놀라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라고 회고하였다.[25] 조병옥은 그가 파리 강화회의에까지 가서 국제적으로 활약을 눈부시게 하였던 고로 그가 귀국하였을 때는 많은 기대를 가졌으나 중간노선을 걸어 퍽이나 실망했던 것이다.[25] 상하이에서 신한청년당원, 대한민국임시정부 직원, 의열단 단원, 한국인 공산주의자 등을 모아놓고 영어와 한자를 가르쳐서 명망이 높았다. 그러나 1920년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존폐를 놓고 창조론과 개조론, 임정고수파로 분열했을 때 창조파에 속했고, 1930년대 이후 임시정부가 일제의 탄압으로 중국 관내를 옮겨 다니고 다른 독립운동가들이 일본 영사관 경찰에 피체되었을 때에도 그는 대학 교수라는 신분을 통해 위기를 극적으로 모면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33년 남경군관학교 당시에는 이봉창, 윤봉길 사건이 연이어 터지면서 그도 난징에서 피신해야 했다. 그러나 이렇게 위기를 피하게 되면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측으로부터는 한때 비협조적인 인사로 몰리기도 했다.[198] 영리하고 야심만만한 인사였다는 시각도 있다. 미국 기자 마크 게인은 그도 대통령이 되려는 뜻이 있었다고 한다. 그에 의하면 김규식은 영리하고 야심적인 인간이었고, 그의 주변에 있던 미군 중위 버치는 전능자의 역할을 하는 것을 즐기는 동시에 자기 친구인 김규식을 수반으로 하는 한국 정부의 고문관이 될 것을 꿈꾸고 있는 듯하다.[199] 평가와 비판[편집] 1990년대 이후의 평가[편집] 남북협상에 실패한 후 납북되어 잊혀졌다가 2000년대 이후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200] 이승만 정권에서 금기인물로 지정되었다는 주장까지도 있다. 2000년 8월 김규식의 생애와 사상 5권이 출간되었으며[200], 그 해 12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되었다. 부산대학교 교수 이철순은 "명분에만 집착한 정치가가 아니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일성 정권에는 의심을 가지고 신중하게 접근했고 정세에 따라서는 현실에 적합한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며 "김규식은 이상주의 일변도의 정치가가 아니라 현실주의적 측면도 있는 정치가로 본다"고 밝혔다.[201] 1921년~1922년 모스크바에 갔을 때 그와 동행했던 나용균에 의하면 '천재적인 머리를 가지고 있었고 어학에 능통했으며 기억력이 뛰어난 사람이다. 깨끗한 사람'이라고 평가하였다.[202] 합리주의자라는 평가도 있다. 이철순 교수는 그를 현실적인 인물이라고 평하였다. '남북 협상에 참여하면서도 북한 정권에 대해 신중하게 접근했던 것도 그런 모습 중 하나다. 그는 유엔의 승인 이후 대한민국 정부를 인정했고 현실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다[171]'며 '상당히 현실적인 면모를 보였다.[171]'고 평하였다. 부정적 평가[편집] 강원룡은 그는 깨끗한 학자가 적격이었는데, 어쩌다 혼란스러운 정치판에 떠밀려 정치가로서 힘든 길을 걷다가 불행한 최후를 맞게 된 비운의 인물이라 평가하였다.[203] 권모술수를 쓰지 않은 몇 안 되는 정치인이라는 시각도 있다. 그러나 그에 대해서 정치적 카리스마가 부족하고 성격이 우유부단하다는 비판이 있다. 성격이 냉정하고 차갑다는 비판과 편협하다는 지적도 있다. 나용균에 의하면 그는 (성격이) 약간 편협한 편이었다고 평하였다.[202] 한편 김준연(金準淵)은 그가 배짱이 없었고 마음이 약했다고 보았다.[202] 윤보선은 그가 '한 번 적이 되면 영원한 적이 된다'고도 평하였다.[202] 강원용은 그가 직선적이고 날카롭고 냉정했다고 보았다.[202] 여운홍은 그가 성격이 급했고 고집이 세고 집착이 강하다고 평하였다. 그런가 하면 배짱이 없었다. 여운홍은 그가 '이승만의 배짱의 10분의 1만 가졌더라면' 하는 평을 내리기도 했다.[202] 허정은 그가 상당히 냉정하다고 평가하였다. 명분론에 치우쳤다는 비판도 있다. 제주 4.3사건에 대한 언급이 없었던 점도 부정적 평가의 하나로 지적된다. 한편 그는 선동에 호소하는 대중정치를 싫어하였고, 달변으로 국민들을 선전, 선동하는 정치인을 경멸하기도 했다. 대중정치와 여론선동을 기피하는 점을 그의 정치적으로 실패할 수 밖에 없었던 실패요인으로 보기도 한다. 신복룡은 그가 '학자 타입에 건강도 좋지 않았기 때문에 당초부터 정치를 해선 안될 사람'이라고 비판하였다.[204] 기타 평가[편집] 김규식의 비서로 있었던 송남헌에 의하면 이상주의자라고 평가하였다. 강원룡은 그가 직선적이고 날카로웠으며 냉정하고 세심했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통찰력이 있고 지식이 풍부하였지만 비관적이었다고도 보았다.[162] 한편 둘째아들 김진동은 그가 규율에 엄격한 사람이었으나 모순투성이였다고 평하였다.[162] 한편 광복 직후 45년 12월 경교장 방문 청년 중 윤판석이 자신의 손가락을 깨물어 혈서를 썼다. 그러자 김규식은 이를 만류하기도 하였다.[98] 당대의 다른 독립운동가들은 조국의 독립과 애국, 헌신을 강조한 것에 반해 그는 한국인은 잔인한 심성을 가진 민족[125] 이라는 평을 내려 맹목적인 애국심에서는 거리를 두기도 했다. 매국행위를 찬양하지는 않았음에도 맹목적인 애국심을 거부한 것에서 그는 일부 한국인들로부터 거부감과 배척을 당하기도 했다. 1919년말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 부위원장으로 미국에 체류할 때 두골절제수술을 받았다. 머리 뒷부분에 혹이 있었던 그는 동료 독립운동가들로부터 우사(尤史, 혹있는 양반)라는 별명을 받았고, 그는 '우사'라는 이름을 아호이자 필명으로 썼다. 유년 시절에 얻은 병으로 적은 키에 체구는 작았고, 약간 배가 나온 이미지였다고 한다. 2008년 1월 7일 경기도 이천시 호법면의 '이천 냉동창고 화재'로 사망한 중국인 김군은 그와는 동명이인으로 만주에서 활동하던 '노은 김규식'의 후손으로 알려졌다.[205][206][207][208] 몸이 약해서 항상 아팠다고 한다. 간질 증세가 수시로 일어났고 뇌종양 수술도 받고 신경통, 소화불량에 시달렸다. 미군정 쪽에서 그에게 붙인 별명은 'sickly'(약골)이었다. 광복 후 어느 기자가 그와 인터뷰를 하는데 '어디가 편찮으신 것이냐?'고 물었더니 김규식은 "차라리 안 아픈 곳이 어디냐고 묻는 게 더 빠를 것이오"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한편 그는 대화를 할 때 '학자풍', '선생이 학생을 가르칠 때 쓰는 화법'을 썼다고 한다. 1918년 상하이에서 여운형을 만난 이래로 여운형과 '형님', '아우님' 하며 계속 여운형과 친분관계를 유지했다. 1947년 여운형이 암살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큰 충격과 슬픔에 빠졌다고 한다. 로노크 대학교에서 만난 고종 황제의 서자 의친왕과도 친분이 있는 사이였다. 귀국 직후 김규식은 김구와 함께 의친왕을 찾아가기도 했다. 그의 부인이 바느질로 생계를 유지할 만큼 생계가 어려운 형편이었으나 한민당과 공산당에서는 '그가 일본인에게 뇌물을 받았다.', '일제시대의 적산회사의 재산을 착복했다.'는 등의 근거없는 헛소문을 내서 곤경에 빠뜨리기도 했다고 한다. 강원룡은 그에게 이런 비방을 가하던 사람 중의 한사람으로 한민당계의 한 정치인을 지목했다. 이 정치인은 김준연으로 일제시대에 ML파 공산당에 가담했다가 해방 후 한민당에 가담했던 정치인이었다.[209] 한민당원 김준연은 특정 정치인에 대한 악의적인 내용의 벽보를 잘 붙였는데, 강원룡에 의하면 '김규식이 일본으로부터 받은 적산을 팔아 돈을 벌었다.[209]'는 글을 써붙이기도 했다는 것이다. 성격[편집] 차갑고 냉정한 학자풍 성격이라는 평가가 있다. 고려대학교 사학과 교수 김준엽(金俊燁)은 김규식이 인간적으로 가깝게 하기는 어려운 성품이라 지적했다. '김규식은 우리들을 혁명 후배라기 보다는 학생으로 간주하려는 듯하였다. 그는 백범과는 달리 이론적이고 서구적이었으며 인간적으로 좀 가깝게 하기는 어려운 성품으로 느껴졌다'고 하였다.[210] 다른 사람을 쉽게 신뢰하지 않았으나, 한편으로 한번 신뢰한 사람은 끝까지 신뢰하는 성격이었다. 자신이 신뢰하는 사람들에게는 유난히 호의를 베풀고 사소한 것도 잊지 않고 챙겨줄 만큼 각별하였다 한다. 윤치호는 1921년 신흥우를 통해 접한 소식을 통해 그가 다른 임정 요인들과 관계가 원만하지 못하다는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신흥우군의 말로는 김규식이 상하이 임시정부 인사들과 불화를 겪고 있다고 한다.[211]'는 것이다. 아들 김진세에 의하면 그는 단호한 면이 있었다고 한다. 김진세는 “아버지는 '항일'에 대해서는 정말 철두철미 하신 분이셨다”면서 “중국에서 활동하면서는 물론 귀국 이후에도 일본 사람 만나는 것도 싫어하셨고 일본 음식조차 드시지 않았다.[212]”고 하였다. 대한민국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를 지낸 허정(許政)은 김규식의 성격을 차갑다며, '무척 냉정한 분[213]'이라고 지적했다. 김규식은 그가 미주에 있을 때 뉴욕에서 만났다. 허정이 본 그의 첫 인상은 무척 냉정한 분이라는 것이었다. 김규식을 처음 만난 날 허정은 김규식과 저녁을 함께 하면서 프랑스에서 고생하는 한국청년들을 데려와야 한다고 말했다.[213] 허정은 미국과 유럽에 유학하는 고학생들의 학비를 지원해줄 것을 김규식에게 부탁하였지만 거절당하였다. 허정에 의하면 "김규식은 내가 워싱턴에 있을 때, 한국인 유학생들이 나를 찾아와 괴롭혔다고 말하면서, ‘자기가 좋아서 미국에 왔으면 노동을 하든 공부를 하든 자신의 역량껏 할 것이지 왜 구미위원부를 찾아와 괴롭히느냐?’ 라고 쌀쌀한 어조로 말했다."[213] 는 것이다. 그러나 그의 성격이 합리주의에 기인한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교의 교수 이정식은 무정한 어른들과 또래들의 차별대우가 그의 성격이 차갑고 냉정한 성격으로 만든 원인으로 보고 있다. 사상과 신념[편집] 한국인의 민족성[편집] 김규식은 자신이 공산주의를 반대하는 배경에는 한국인의 민족성 때문이라고 밝혔다. 한국인의 민족성은 잔인하다[125] 는 것이다. 공산주의 자체가 잔인한 사상이지만 한국인은 민족성이 잔인한 민족이다. 따라서 공산주의나 사회주의를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고 보았으며 그는 공산주의자, 사회주의자들을 극도로 미워하였다. 그는 박헌영을 극도로 혐오하였고, 박헌영과 절친하게 지냈던 조봉암 역시 미워하였다. 자유주의관[편집] 허정 등이 임정 요인에게 인사하러 경교장을 방문했는데, 임정 요인들 옆에서 김진동은 흡연을 했는데 아무도 그가 담배피우는 것을 문제 삼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허정에 의하면 아들 김진동은 아버지 김규식 앞에서 담배를 피운다고 했다. 허정은 '나는 지금도 그 때의 임정 요인들의 모습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다. 위엄이 넘치는 김구 선생, 서양 신사와 같은 풍채의 김규식 박사, 체구가 작으면서도 퍽 늠름해 보이는 이시영 선생은 퍽 인상적이었다. 이시영 선생은 임정 요인들 중에서는 가장 나이 많은 분이었지만, 피로의 기색이나 늙은 티가 조금도 없었고 눈이 번쩍번쩍 빛나 위엄이 있었다.[214]'며 '나에게 기이한 느낌을 갖게 한 것은 김규식 선생의 아들 김진동이 아버지 옆에서 파이프로 담배를 피우고 있는 광경이었다.[214]'고 했다. 몸이 병약하면서도 애연가였던 김규식은 아들 김진동이 자신의 앞에서 담배피우도록 허락하였다. 당시의 한국 사람들은 그런 김규식의 태도를 이해하지 못했다. 국제정세에 대한 관점[편집] 미국 대통령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에 감격했고 국제사회의 도덕적 이상주의를 확신했던 김규식은 파리강화회의의 실패 이후 미국과 프랑스, 영국, 독일 등에 대한 혐오감과 냉소를 갖게 되었다. 파리강화회의의 실패 이후 그는 도덕적 이상주의를 버리고 국제사회의 이해관계에 따라 약소국을 이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 '서유럽과 미국의 자본주의 열강이 동아시아 전체를 공동으로 착취하기 위해 결탁[61]'했다, '미국은 영국·프랑스·일본 등 악명 높은 3대 흡혈귀 국가와 가증할 4강 협정을 체결함으로써 자신의 가면을 벗어던졌다.[61]'며 격렬하게 비난하였다. 그 뒤 그는 임시정부 시절과 미군정기를 통해 미군정 및 미국과도 친하게 지내며 친미인사로 활동하였다. 그러나 그는 미국을 신뢰하지 말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그는 민중을 별로 신뢰하지 않았다. 대중을 상대로 하는 연설을 기피하였으며, 대중을 선동하는 정치인을 경멸하였다. 공산주의에 대한 시각[편집] 파리강화회의에서 한국 문제가 외면당한 뒤 그는 미국, 영국, 프랑스를 제국주의 집단[61] 이자 '흡혈귀'라고 비판하였다. 구미위원부를 거쳐 상하이로 돌아온 김규식은 1918년에 만난 여운형 등을 통해 사회주의자·공산주의자들을 소개받았고, 1920년부터 사회주의자·공산주의자들과도 교류한다. 1922년 극동인민대표대회에 참석했을 무렵 그는 공산당 후보당원[59] 으로도 명단이 올라 있었다. 중국에서 활동할 당시에는 독립운동가나 지식인들로부터 공산주의자로 오해받았던 김원봉과도 연대해서 활동했다. 그러나 그는 공산주의에는 반대하였다. 그리고 공산주의자들의 집권을 반대하였다. 김규식은 공산주의자가 집권해서는 안되는 이유로 '내가 러시아에 자주 다녀왔는데, 러시아 사람들은 참 선량하다. 그런데 그곳에서 레닌이 1917년에 혁명을 일으켜 1922년까지 5년 사이에 700만명을 죽였다. 또한 알바니아라는 조그마한 나라에서 공산당이 혁명을 일으켰는데, 단 하루 만에 6만명을 죽였다. 그런데 한국 사람들은 러시아 사람들과는 비교가 안 될 만큼 잔인하다. 만일 한국에서 공산당이 정권을 잡게 되면 피바다가 된다. 그러니까 절대로 공산당이 들어와선 안 된다.[125]'는 것이었다. 남북협상의 실패 예견[편집] 48년 3월 그는 남북협상의 실패를 예측하였다. 그리고 남북협상의 실패 이후 이승만이 대통령이 될 것이라는 것을 예견하였다. 그에 의하면 국민들이 감정적으로는 남북협상에 동조하나 현실적인 이익 앞에서는 이승만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3월초 그는 5가지 원칙을 내세워 북행길을 피할 계획이었으나 김일성이 이를 수락하면서 북행길에 오르게 되었다.[162] 김규식이 북행길에 오를 결심을 하자 장건상 등 남북협상차 방북하는 인사들 중에서도 삼청장을 찾아와 그의 북행길을 만류하기도 했다. 송남헌은 장건상과 원세훈 등은 김규식이 남북협상에 참가할때, 김규식의 직접 참여가 장차 정치계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김규식의 북행을 말렸[160] 다고 증언했다. 중도파의 영수이며 남북협상으로 정치적 몰락이 예상되니 남북협상은 자제하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1948년 4으월 14일 문화 예술계 인사 108명이 남북협상에 대한 열렬한 지지와 찬성 서명을 발표하자 그도 더이상 남북협상을 기피할 방도가 없었다. 그는 실패를 예상하고 3.8선을 넘어 북한을 다녀왔다.[162] 남북협상에 참여하기 전 국민들이 감정적으로는 남북협상에 동조하나 현실적인 이익 앞에서는 이승만을 선택한다고 예상했던 그는 1948년 5월 10일 공식적으로는 5.10 단독 총선거에 불반대 불참가(반대하지는 않으나, 참가하지도 않겠다)고 선언한다. 그러나 그는 비밀리에 전국 각지의 민족자주연맹 지역 지구당에 비밀리에 연락하거나 전보를 보내 당원들에게 5.10 제헌국회의원 총선거에 출마할 것을 권고하기도 했다.[162] 김규식은 미군정의 권고에 따라 좌우합작운동에 참여한다.[215] 1946년의 좌우합작운동에도 그는 '좌익과의 합작이 쉽지 않다'고 보았기 때문에 회의적이었으며, 좌우합작의 실패를 예상하였다. 그는 좌우합작에 참여를 권하는 미군정 측의 요구를 끈질기게 거절하다가 1946년 4월 경에 이를 수락한다.[216] 좌우합작에 부정적이었던 것에는 좌익기피증도 작용하였다.[162][217] 한편 김규식이 남북협상에 참여하게 된 배경에는 이승만에 대한 공포감과 이승만에 대한 인격적인 불신도 함께 작용하였다. 경제관[편집] 1946년 10월 마크 게인, 레오너드 버치 미육군 중위 등과의 대담에서 그는 경제관에 대해 밝혔다. 그는 주요 기반 산업의 국유화와 농지 개혁, 그리고 사회 보장을 주장하였다.[218] 상훈[편집] 1989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대한민국장(훈 1등) 1990년 8월 1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국통일상[219] 학력[편집] 1903년 2월 미국 로노크 대학교 영어영문학 학사 (Bachelor of Arts) 1905년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 문학 석사(M.A) 1923년 미국 로노크 대학교 명예 법학 박사[주해 14] 저서[편집] 시집, 양자강의 유혹(揚子幽景) 《영작법》 《실용영어》 《엘리자베드시대의 연극입문》 번역, 원용사(婉容詞)의 영문번역 번역,《한국교회현황》의 영문번역(1945년 4월 24일) 논문, '아시아 혁명운동과 제국주의'(1921) 가계[편집] 전라도관찰사를 지낸 김징의 8대손이다. 김상로, 김약로, 김재로, 김치인, 김종수 등은 모두 그의 방계 선조들이다.[220][221] 그의 부인 김순애(金淳愛) 는 제중원 의학교 1회 졸업생이자 독립운동가인 김필순의 동생으로 그녀 역시 독립운동가였다.[220] 귀국 후 교육사업을 하였으며 정신여자고등학교의 재단 이사장이었다. 둘째 아들 김진동은 아버지 김규식의 비서와 언론인 등을 지내다가 도미 미국에서 사망하였고, 딸 김우애는 미국에서 교수로 살다가 사망하였다. 셋째 아들 장로 김진세는 미국 텍사스 샌안토니오로 이주하였다.[221] 사촌 여동생 김은식은 김규식 등을 따라 몽골행에 동행하기도 했다. 김관식 역시 그의 친척으로 김관식의 사위 목사 엄요섭은 그가 김규식의 사촌이 된다[222] 고 했다. 한편 김관식의 프린스턴 대학교 동문인 윤치영은 김관식이 김규식의 재종(6촌)이라 진술했다.[223] 고조부 : 김종민(金鍾敏) 증조부 : 김정연(金正淵), 노론 문신 김종수의 재종손 할아버지 : 김동선(金東璇, ? ~ 1894년, 참봉 역임) 할머니 : ?(? ~ 1891년) 백부: 김우성(金祐性) 숙부: ? 사촌 여동생 : 김은식(金銀植) 사촌 매부 : 이태준(李泰俊), 독립운동가, 의사 아버지 : 김지성(김용원)(金智性, ? ~ 1892년) 친로파로 고종의 러시아 밀사, 신사유람단 비공식 사절, 우리나라 최초의 사진관, 사진술, 자전거, 유리제조술, 금은 분석술 도입 어머니 : 경주김씨(慶州金氏, 아버지 김지성의 본처[주해 15]) 어머니 : 경주이씨(慶州李氏, ? ~ 1887년?[224][주해 16]) 형님 : 김규찬(金奎贊, ? ~ ?, 백부 김우성의 양자로 감) 조카 : 김진성(金鎭成, ? ~ ?, 세브란스 의전 출신, 독립군 군의관, 의사) 형님 : 이름 미상, 요절 본처 : 조은수(趙恩受, 본관은 한양, 1890년 ~ 1917년) 장남 : 김진필(金鎭弼, 1910년 ~ 1910년, 요절) 차남 : 김진동(金鎭東, 독립운동가(1912년 ~ 1997년)) 손자 : 김건필(金健必, 김건영(金健永), 1941년[225] ~ ) 손자 : 김영국(金永國, 김국영(金國永) 손자 : 김한영(金韓永) 손녀 : 김수산(金秀山), 김수옥(金秀玉), 김수진(金秀珍), 김수영(金秀英), 김수림(金秀琳), 김수정(金秀晶), 김수송(金秀松) 후처 : 김순애(金淳愛, 1889년 음력 5월 12일 ~ 1976년 5월 17일, 독립운동가) 장녀 : 김한애(金漢愛, 1923년~1930년) 차녀 : 김민애(金敏愛, 1924년~1927년) 삼녀 : 김우애(金尤愛, 1925년 ~ 2001년 1월, 대학교수) 삼남 : 김진세(金鎭世) 자부 : 원정애(元貞愛) 당숙 : 이름 미상 6촌 동생 : 김관식(金觀植, 1887년 ~ 1948년 10월 18일) 당숙 : 김익남(金益南, 1870년 ~ 1937년, 의사) 장인 : 김성담, 후처 김순애의 친정아버지 처남 : 김윤방 처조카 : 김용은 처조카 : 김함라 처조카사위 : 남궁혁 처조카 : 김미렴 처조카 : 김점동(金點童, 다른 이름은 박에스터, 1876년 ~ 1910년 4월 13일) 처조카 : 김마리아 처남 : 김윤오 처남댁 : 김경애 처조카 : 김세라 처조카사위 : 고명우, 세브란스 의전 출신 처외종손 : 고황경, 김순애의 둘째 오빠 김윤오의 외손녀 처남 : 김윤렬 처형 : 김구례(金求禮) 처형부 : 서병호(徐丙浩, 1885년 7월 7일 ~ 1972년 6월 7일, 김구례의 남편) 처외종손 : 서경석, 목사, 처형 김구례와 서병호의 손자 처형 : 김노득 처형부 : 양은수 처제 : 김필례(金弼禮, ? ~ ?, 김순애의 동생, 평양 장대현교회의 여전도회장[222]) 동서 : 최영욱[222] ( 세브란스 의과전문학교 출신, 미군정기 때 전라남도도지사를 역임[222]) 처남 : 김윤렬 처남 : 김필순 처남 : 김인순 외척 : 김익승(金益昇, 1848년 ~ ?, 본관은 경주) 기타 : 정율성, 사돈, 동서 최영욱의 외조카[주해 17] 작품 속에서 김규식[편집] 이묵원 - 《제1공화국》(1981년 MBC 드라마) 김규식 - 《새벽》(1985년 KBS1 드라마) 문회원 - 《야인시대》(2003년 SBS 드라마) 이대로 - 《서울 1945》(2006년 KBS 드라마)[주해 18] 같이 보기[편집] 파리강화회의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위원부 민족자주연맹 민족혁명당 민주의원 독립협회 독립신문 신한청년당 로노크 대학교 삼청장 김지성 김순애 김구 김원봉 박헌영 언더우드 여운형 여운홍 안창호 이승만 서병호 서재필 신채호 좌우합작운동 윤치호 고황경 한중호조사 극동인민대표회의 조선인민공화국 조소앙 김점동 김원봉 김마리아 김염 김익남 김규흥 김시현 경교장 박찬익 기독교청년회 연희전문학교 이광수 조병옥 한국 광복군 민주의원 민중동맹 남북협상 남조선과도입법위원회 권태양 송남헌 민필호 허정 기독교청년회 정동교회 좌우합작위원회 남북협상 안재홍 원세훈 장면 장건상 장택상 장준하 조만식 존 하지 한민당 홍천군 제1공화국 제1공화국 (드라마) 의친왕 이범진 남북협상 윤치영 조병옥 김관식 김진동 김붕준 김마리아 김종수 독립신문 신한청년당 경교장 김성수 김염 서병호 김필순 박중양 서재현 서재필 성주식 신익희 엄항섭 윤치왕 프린스턴대학교 영문학 유자명 의열단 김시현 유시태 미군정 한국전쟁 독립유공자로 대한민국장을 수여받은 사람 기타[편집] 미국 유학시절(1897∼1903)부터 빼어난 영어 실력으로 정평이 났었고 중국 상하이 윌리엄즈대 교수로 재직할 때(1922∼27)는 셰익스피어 권위자로 이름이 높았다.[226] 그는 외부의 일을 집안에 알리지 않았고, 내부의 일을 외부에 알리지도 않았다. 아들 김진세에 의하면 아버지는 중국에서 활동할 때나 한국에 돌아왔을 때나 일에 대해서는 말씀을 잘 안 하셔서 아버지가 어떤 활동을 했는 지를 나중에 책보고 알 정도였다”면서 “사실 우리 가족들이 모두 모여 산 적이 거의 없었다”고[212] 한다. 참고 자료[편집] 김규식, 《양자유경 (전승을 기념하여)》(The lure of the Yangtze) (황건 역, 한울, 2000) 송남헌, 《송남헌 회고록(김규식과 함께한 길)》 (심지연, 한울(한울아카데미), 2000) 강원룡, 《역사의 언덕에서 1 (엑소더스, 국판)》 (한길사, 2003) 우사연구회, 《우사 김규식 생애와 사상》(도서출판 한울, 2000) 강만길 외, 《우사 김규식 생애와 사상(1세트 전5권)》 (한울, 2000) 강만길, 《항일독립투쟁과 좌우합작》 (한울, 2000) 강만길, 《한국민족운동사론》 (강만길, 서해문집, 2008.10.17)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1 (인물과사상사, 2006)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 (인물과사상사, 2006) 김동선, 《김규식의 정치노선과 민족자주연맹의 결성》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4) 김재명, 《한국현대사의 비극 (중간파의 이상과 좌절)》 (선인, 2003) 김학준, 《해방공간의 주역들》(동아일보사, 1996) 도진순, 《분단의 내일 통일의 역사》 (도서출판 당대, 2001) 류근일, 《이성의 한국인 김규식》 (동서문화사, 1981) 박명수, 《잊을 수 없는 신앙선배들의 이야기》 (국민일보사, 2005) 브루스커밍스, 한국전쟁의 기원(김자동 역, 일월서각, 1986) 서중석 (역사학자), 《남북협상-김규식의 길, 김구의 길》 (한울, 2000) 서중석 (역사학자), 《비극의 현대지도자》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2) 신복룡, 《한국분단사연구 1943~1953》 (한울아카데미, 2001) 여운홍, 《몽양 여운형》 (청하각, 1967) 연시중, 《한국 정당정치 실록 1권》(항일 독립운동부터 김일성의 집권까지)(지와사랑, 2001.01.20) 우사연구회, 《우사 김규식 통일ㆍ독립의 길 가다 1·2》(우사연구회 지음, 논형, 2007) 우사연구회, 《우사 김규식 전집》(전5권)(우사연구회, 한울, 2000)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믿음, 그리고 겨레사랑》(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1) 이명화, 《김규식의 생애와 민족운동》 (독립기념관, 1992) 이정식, 《김규식의 생애(신구문고 13) 》 (신구문화사, 1974)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이준식, 《김규식의 민족운동 노선과 이념》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4) 우사연구회 엮음, 《몸으로 쓴 통일독립운동사:우사김규식의 생애와 사상》 (한울, 2000) 이영학, 《63인의 역사학자가 쓴 한국사 인물 열전 (3)》 (돌베개, 2003) 이현희, 《이야기 인물한국사(2005)》 (이현희, 청아출판사, 2007) 정용욱, 《존 하지와 미군 점령통치 3년》 (중심, 2003) 정태영, 《한국사회민주주의 정당의 역사적 기원》 (후마니타스, 2007) 최경봉, 《국어학 : 김규식 『대한문법』의 국어학사적 의의》 (우리어문학회, 2004) 최낙복, 《개화기 국어문법의 연구》 (역락, 2009) 최종고 외, 《인물과 전기》 (한들출판사, 2002) 한국사학회, 한국현대인물론 II, (을주문화사, 1987) 한국사학회, 한국현대인물론 1,2(을유문화사, 1987) 한영우, 《한국사 인물 열전 3》 (한영우, 돌베개, 2007.01.20) 《한국정당사》(한태수, 신태양사, 1965) 홍우출판사, 정계야화 (전2권) (홍우출판사, 1966) 주해[편집] ↑ 동래도호부는 아버지 김지성의 집이 아니라 부임지였으므로 김지성의 집인 강원도 홍천을 고향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 1952년 사망설도 있다. ↑ 처음에는 신탁통치에 반대의사를 표했으나, 뒷날 모스크바 3상회의 전문을 입수하고 읽은 후 부분적인 찬성을 했다. -김규식의 비서로 지낸 독립운동가 송남헌의 증언中..- ↑ 임정 수립 초기까지만 해도 고종과 순종, 혹은 고종의 서자들을 망명시켜서 수반으로 추대하려는 시각을 가진 인사들이 있었다. 당시 임시정부의 헌법에는 황실을 우대한다는 내용이 써 있었다.강만길. 《한국민족운동사론》. 서해문집. 412쪽.  이때 여운형, 이승만은 왕실 추대에 강하게 반대하였다. 그러나 김규식의 입장은 어떠하였는가는 불명확하다. ↑ 그는 상하이에서 임시정부 직원 외에 의열단 단원들에게도 영어와 한자, 중국어를 가르친 인연이 있었다. ↑ 민족혁명당 주석직은 1946년 2월 탈당할 때까지 유지한다. ↑ 다른 임정요인들은 조선호텔과 반도호텔에 각각 숙소를 정했다. ↑ “ 모스크바 3상회의는 신탁통치안이 문제가 아니라 어떻게하면 한국에 새로운 통일 임시정부를 수립하느냐? 이것이 모스크바 3상회의의 주요 원문이었다. 그런데, 그것을 쏙 빼먹어 신탁통치안 부분만 부풀려놓았다. ”   — 김규식의 비서로 지낸 독립운동가이자, 근현대사 연구자인 송남헌의 증언 실제로 모스크바 3상회의 결의 1항은 임시정부의 구성과 임시정부의 성격과 임무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그래서 김규식은 신탁통치가 임시정부를 구성한 다음에 생각할 사안이라고 보았었다.서중석 (역사학자).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역비한국학연구총서 1)》. 304쪽.  ↑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을 지칭. ↑ 김규식은 공산주의의 특성 상 북측에서 자본주의적 사유재산 요구를 포함한 5개항을 수용하지 않을것이라고 예상하였으나 북한의 김일성이 수용하자 어쩔수 없이 북행하게 되었다. ↑ 김규식의 3남인 김진세의 증언에 의하면 "그쪽에서 '차를 대기시켰으니 우리가 모셔가겠다.'라고 했다. 아버지가 어떻게 되실지는 대략 짐작은 하고 있었다."라고 하였다. KBS 인물 현대사, 김규식편 참조. ↑ 국립묘지의 무후선열제단 자료와 과목별학습대백과 사전 14, 인명·색인사전(계몽사 편집국, 계몽사, 1987) 등에는 1952년 사망으로 되어 있다. ↑ 이승만과 쉽게 대화할 수 있는 인물, 혹은 이승만 앞에서 5분 이상 대화 할 수 있는 인물은 김규식, 김구, 서재필, 이시영 등 극소수였다. ↑ 박사학위는 모교 로노크 대학교에서 수여한 명예박사였다. ↑ 경주김씨의 아들로 보는 설도 있다. 따라서 그의 남자 형제인 김익승을 김규식의 외삼촌으로 보는 설도 있다. ↑ 경주이씨가 아니라 첩의 소생이라는 견해도 있다. ↑ 최영욱의 누나 최영온이 정율성(정부은)의 어머니이다. ↑ 그러나 좌우합작운동 해설소개 장면이 나올 때 잠시 등장하나, 대사는 없다. 각주[편집] ↑ 가 나 다 이현희, 《이야기 인물한국사(2005)》 (이현희, 청아출판사, 2007) 501페이지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허명섭 칼럼]김규식과 언더우드 선교사의 만남 크리스찬투데이 ↑ 가 나 다 라 KBS방송 인물현대사 김규식편 Archived 2016년 4월 10일 - 웨이백 머신 방송내용 참고 ↑ 가 나 다 손인수, 《원한경의 삶과 교육사상》, (연세대학교출판부, 2009) pp.10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위클리조선 - 1등 인터넷뉴스 조선닷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우사연구회, 《우사 김규식의 생애와 사상1》 (한울, 2000) 23페이지 ↑ 윤중식, 새문안교회 - 한국 장로교단 꼿꼿한 ‘'21세 어머니' Archived 2010년 8월 30일 - 웨이백 머신, 국민일보 ↑ 가 나 다 [허명섭 칼럼]김규식과 언더우드 선교사의 만남 :: 1등 기독교신문 크리스천투데이 Christian Today ↑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241쪽 참조. ↑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233쪽 참조. ↑ 갓피아 사랑이야기[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가 나 다 경신학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도진순, 《분단의 내일 통일의 역사(당대총서 15)》 (당대, 2008) 265페이지 ↑ 《8.15의 기억》,한길사. p420 ↑ 가 나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253쪽 참조.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254쪽 참조. ↑ 가 나 다 강원룡, 《역사의 언덕에서 2:전쟁의 땅 혁명의 땅》 (한길사, 2006) 66페이지 ↑ 가 나 다 라 마 바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255쪽 참조. ↑ 박형우, 《금파 홍석후》 (연세대학교출판부, 2008) 65페이지 ↑ 가 나 다 한국사 인물 열전 3(한영우 지음 | 돌베개 | 2007) 262페이지 ↑ 이현희, 《이야기 인물한국사(2005)》 (이현희, 청아출판사, 2007) 500~501 ↑ 가 나 다 “생명평화센터 - 11. 초창기 신교육의 개척자 우사 김규식 박사”. 2011년 1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2월 12일에 확인함.  ↑ 김정식, 네이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손인수, 《원한경의 삶과 교육사상》, (연세대학교출판부, 2009) pp.55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조병옥 《나의 회고록》(조병옥, 도서출판 해동, 1986) 48페이지 ↑ 《한국체육사연구》,이학래 저. 국학연구원. p335 ↑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256쪽 참조. ↑ 《남북한 경제구조의 기원과 전개(북한농업체제의형성을중심으로)》,김성보 저. 역사비평사. p44 ↑ 가 나 다 한영우, 《한국사 인물 열전 3》(돌베개, 2007) 263페이지 ↑ 한영우, 《한국사 인물 열전 3》(돌베개, 2007) 264페이지 ↑ 가 나 다 라 마 바 《한국사 시민강좌 제47집》,일조각. p83~85 ↑ "한국 독립운동때 몽골은 중요 거점" 조선일보 2001.08.20 ↑ “보관 된 사본” (PDF). 2013년 12월 1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23일에 확인함.  ↑ 《한국사 시민강좌 제47집, 대표적인 독립운동가 12인》, 일조각. p72~73 ↑ 《한국사 시민강좌 제47집, 대표적인 독립운동가 12인》, 일조각. p73 ↑ 가 나 《원한경의 삶과 교육사상(연세총서 3)》, 손인수 저. 연세대학교출판부. p81 ↑ 12월의 독립운동가 김규식선생 선정 ↑ 가 나 다 1919년 1월~: 이이화, 《한국사이야기21. 해방 그 날이 오면》(한길사, 2004) 23쪽.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한국독립운동사사전,3-7 :운동·단체편(4),p 337~ p 339》,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저 ↑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269쪽 참조 ↑ 가 나 다 라 마 한영우, 《한국사 인물 열전 3》(돌베개, 2007) 266페이지 ↑ “일제시대 유럽 한인 독립운동 활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동아일보 2006.08.09 ↑ ‘임시정부 대표단’ 佛사무실 발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동아일보 2006.02.17 ↑ '대한국민의회' - 네이트 백과사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이승만과 한국독립운동(현대한국학연구소 학술총서 8) ↑ 파리 장서사건 - Daum 백과사전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강만길, 《조선민족혁명당과 통일전선》 (역사비평사, 2008) 414페이지 ↑ 《범재 김규흥과 3.1혁명》김상철,김상구 공저. 이담북스 ↑ 유영익, 《이승만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연세대학교출판부, 2009) 47페이지 ↑ 가 나 다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243쪽 참조. ↑ 가 나 다 영친왕의 약혼녀 민갑완 한겨레신문 1997년07월31일자 기사 ↑ 후일 1960년 조병옥이 입원하는 그 병원이다. ↑ 가 나 다 한영우, 《한국사 인물 열전 3》(돌베개, 2007) 267페이지 ↑ 《한민족독립운동사연구》,이연복 저. 국학자료원. p209 ↑ 부-상해가정부(3)[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국사편찬위원회 ↑ “국가보훈처”.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3월 8일에 확인함.  ↑ 이현희, 《유정 조동호 평전》 (솔과학, 2007) p145~153 ↑ '국민대표대회주비위원회' - 네이트 백과사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가 나 다 한영우 《한국사 인물 열전 3》 (돌베개, 2007) 257페이지 ↑ DOCUMENT'S OF KOREAN COMMUNISM 1918 - 1948 (서대숙) 참고 ↑ 가 나 다 라 박노자 외, 《열강의 소용돌이에서 살아남기》 (푸른역사, 2005) 40페이지 ↑ 도진순, 《분단의 내일 통일의 역사(당대총서 15)》 (당대, 2008) 266페이지 ↑ ‘연석회의’ 주장이 못미더운 이유 ↑ 가 나 '남화학원' - 네이트 백과사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상해고등보수학원' - 네이트 백과사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삼일중학' - 네이트 백과사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가 나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58페이지 ↑ 동아일보 1925년 2월 17일자, 2면 ↑ 동아일보 1925년 2월 8일자, 反省과 團結의 必要, 上海에서 金奎植轉士談(제1회, 全3回)[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동아일보 1925년 2월 9일자, 1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동아일보 1925년 2월 10일자, 1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가 나 국사편찬위원회[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김기형' - 네이트 백과사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한국사 시민강좌 제47집-대표적인 독립운동가 12인》, 일조각. p83 ↑ 오영섭 《한국 근현대사를 수놓은 인물들(1)》(오영섭 저, 한영희 발행, 2007.4, 경인문화사) 288페이지 ↑ 유자명 - Daum 백과사전 ↑ 가 나 다 이기형, 《역사 의 진실》 (녹두, 1990) 122페이지 ↑ 진주만 공습일 美에 예고…'한길수의 X-파일' 조선일보 2002.03.11 ↑ 이현희, 《광복 전후사의 재인식》 (범우사, 1991) 214페이지 ↑ 이현희, 《광복 전후사의 재인식》 (범우사, 1991) 215페이지 ↑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64페이지 ↑ 통일지향 우리 민족해방운동사(강만길 외 지음 | 역사비평사 | 2007) 216페이지 ↑ 통일지향 우리 민족해방운동사(강만길 외 지음 | 역사비평사 | 2007) 217페이지 ↑ 내일을 여는 역사 엮음, 《나를 깨워라:서해역사책방 10》 (서해문집, 2006) 220페이지 ↑ 《약산 김원봉 평전》,김삼웅 저. 시대의창. p497 ↑ “보관 된 사본”. 2007년 3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대한민국의 기원 : 해방전후 한반도 국제정세와 민족지도자 4인의 정치적 궤적》, 이정식 저. 일조각. 2006년 ↑ 허은, 〈8·15직후 민족국가 건설운동〉,강만길 외, 《통일지향 우리 민족해방운동사》(역사비평사,2000)307~308쪽. ↑ 이현희, 《이야기 인물한국사(2005)》 (이현희, 청아출판사, 2007) 507~508쪽에서 재인용 ↑ 이현희, 《이야기 인물한국사(2005)》 (이현희, 청아출판사, 2007) 508쪽에서 재인용 ↑ 《한국근현대사 사전》, 가람계획 출판사. 2005년 ↑ 그러나 1947년부터 한민당은 김규식을 대선 후보로 내보내려고 당수직을 제의해오기도 한다. ↑ 가 나 《약산 김원봉》,이원규 저. 실천문학사. p462~470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 (인물과사상사, 2004) 139쪽. ↑ 《윤치호 일기》 ↑ 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1993). 《비운의 역사현장, 아! 경교장》. 145쪽.  ↑ 아 비운의 역사현장 경교장(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1993), 146 ↑ 가 나 강원용 (2006). 《역사의 언덕에서 1:엑소더스》. 한길사. 215쪽.  ↑ 아 비운의 역사현장 경교장(1993, 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221페이지 ↑ 가 나 웹진 민족화해 > 통일의 발자취 > 우사 김규식, 민족주의자인가! 미국식합리주의자인가! ↑ 정병준, 《우남 이승만 연구》 (정병준, 역사비평사, 2006) ↑ 《반민특위의 조직과 활동 : 친일파 청산 그 좌절의 역사》, 허종 저. 선인 ↑ '김호' - 네이트 백과사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가 나 정병준, 《우남 이승만 연구》 (정병준, 역사비평사, 2006) 663페이지 ↑ 《반민특위의 조직과 활동 : 친일파 청산 그 좌절의 역사》,허종 저. 선인. ↑ 1946년 1월 7일자, 2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가 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민족문화연구소, 《내가 겪은 해방과 분단》(선인, 2001) 31페이지 ↑ 가 나 다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235쪽. ↑ 이승만의 정치 이데올로기(서중석, 역사비평사, 2006) 362페이지 ↑ 가 나 다 이정식, 구한말의 개혁, 독립투사 서재필 363-364쪽, 2003년 서울대학교 출판부 ↑ 분단 50년과 통일시대의 과제(역사문제연구소 지음, 역사비평사, 1995) 88, 89페이지 ↑ 역사비평 제32호 (1996년 봄) (역사비평사, 1996) 266쪽 ↑ 김재명, 《한국현대사의 비극-중간파의 이상과 좌절》 (선인, 2003) 321페이지 ↑ 한국노총-민주노총 “우린 물과 기름” ↑ 한반도 정치 설계자 하지를 아십니까 조선일보 2003.08.22 ↑ 《논쟁으로 본 한국사회 100년》(편집부 지음, 역사비평사, 2007) 168페이지 ↑ 가 나 다 《논쟁으로 본 한국사회 100년》(편집부 지음, 역사비평사, 2007) 169페이지 ↑ 한국청년회 - 네이트 백과사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민주일보' - 네이트 백과사전 ↑ 강준만의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1권(인물과사상사, 2006) 223 ↑ 가 나 박용만, 경무대 비화 (내외신서, 1986년 중판) 47 ↑ 리처드 로빈슨, 《미국의 배반:미군정과 남조선》 (정미옥 역, 과학과 사상, 1986) 220페이지 ↑ 가 나 리처드 로빈슨, 《미국의 배반:미군정과 남조선》 (정미옥 역, 과학과 사상, 1986) 126페이지 ↑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역사비평사, 1992) 589페이지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강원용 목사의 체험 한국 현대사 ② ] 이승만·조봉암 사이에서 양다리 걸친 미국 신동아 2004 년 1월호 ↑ 가 나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46~47쪽 ↑ 조병옥, 《나의 회고록》 (도서출판 해동, 1986) 162페이지 ↑ 가 나 한영우, 《한국사 인물 열전 3》 (돌베개, 2007) 282페이지 ↑ 강만길, 《한국민족운동사론》 (서해문집, 2008) 78페이지 ↑ 가 나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13~14쪽 ↑ 가 나 역사비평편집위원회, 《역사용어 바로쓰기》 (역사비평사, 2006) 171페이지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 1940년대편 2권 43쪽 ↑ “칼을 든 혁명투사에서 청진기 든 의사가 된 서재필”. 2012년 1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26일에 확인함.  ↑ 1948년 그 해에 무슨 일이 있었을까 Archived 2013년 12월 18일 - 웨이백 머신 조선일보 2008.01.21 ↑ <한국과학사는 그를 아버지라 부른다> ↑ 장택상, 《대한민국 건국과 나》 (창랑장택상 기념사업회, 1993) 75페이지 ↑ 장택상, 《대한민국 건국과 나》 (창랑장택상 기념사업회, 1993) 75~76페이지 ↑ 가 나 다 장택상, 《대한민국 건국과 나》 (창랑장택상 기념사업회, 1993) 76페이지 ↑ 가 나 장택상, 《대한민국 건국과 나》 (창랑장택상 기념사업회, 1993) 77페이지 ↑ 이정식, <여운형 - 시대와 사상을 초월한 융화주의자> 참고. ↑ 가 나 “좌우를 넘어 민족을 하나로- 제 3편 김규식”. 2012년 1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4월 15일에 확인함.  ↑ <<여운형 평전>>,이기형 지음. p479 ↑ 《G-2 정보참모부 일일보고서》, 1947년 7월 24일자 p101 ↑ 리처드 로빈슨, 《미국의 배반:미군정과 남조선》 (정미옥 역, 과학과 사상, 1986) 200페이지 ↑ 리처드 로빈슨, 《미국의 배반:미군정과 남조선》 (정미옥 역, 과학과 사상, 1986) 201페이지 ↑ 가 나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역사비평사, 1992) 586페이지 ↑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서중석 저. 역사비평사. p590~593 ↑ 가 나 다 김학준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민음사, 2007) 173페이지 ↑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해방후 민족국가 건설운동과 통일전선》(역사비평사, 1991),545쪽. ↑ KBS '인물현대사'방송 내용中. ↑ (강원용 목사의 체험 한국 현대사②) 이승만·조봉암 사이에서 양다리 걸친 미국 - 신동아 ↑ 내가 겪은 해방과 분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민족문화연구소 저, 선인, 2001) 37페이지 ↑ 내가 겪은 해방과 분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민족문화연구소 저, 선인, 2001) 36페이지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52쪽 ↑ 김재명, 《김규식:한 온건 지식인의 실패한 이상주의》〈한국현대사의 비극-중간파의 이상과 좌절〉(선인, 2003) 331쪽 ↑ 가 나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역사비평사, 1992) 590페이지 ↑ 가 나 다 라 마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역사비평사, 1992) 593페이지 ↑ 서중석, 《한국현대사》( 웅진지식하우스, 2006) 57쪽. ↑ 가 나 다 역사비평편집위원회, 《역사용어 바로쓰기》 (역사비평편집위원회, 역사비평사, 2006) 172페이지 ↑ 가 나 다 라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2006, 일조각) 414페이지 ↑ 가 나 다 조병옥, 나의 회고록 (도서출판 해동, 1986) 192페이지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233~234쪽 참조. ↑ 가 나 (동아광장/윤평중)민족은 主義를 초월하는가 동아일보 2007년 10월 03일자 ↑ 리처드 로빈슨, 《미국의 배반》 (정미옥 역, 과학과 사상, 1988) 275페이지 ↑ 내가 겪은 해방과 분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민족문화연구소 저, 선인 2001) 37페이지 ↑ 가 나 1948년 4월 21일~서울로 돌아왔다.: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115~118쪽. ↑ 가 나 다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2》 (역사비평사, 1996) 23페이지 ↑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2》,서중석 저. 역사비평사. p158 ↑ 정진숙, 《출판인 정진숙》 (을유문화사, 2007) 180페이지 ↑ KBS 한국사전 <이승만 2부> 편. 2008년 8월 30일자 ↑ 가 나 다 "대한민국은 알고 있나, 대한민국의 아버지들을"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강준만, 인물과사상사, 2004) 253쪽 ↑ 《통일운동론》,전상봉. p47 ↑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2(역비한국학연구총서 13)(서중석 지음| 역사비평사 펴냄 | 2008) 301 ↑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2(역비한국학연구총서 13)(서중석 지음| 역사비평사 펴냄 | 2008) 302 ↑ 서중석, 《이승만의 정치 이데올로기》 (역사비평사, 2006) 378페이지 ↑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2(역비한국학연구총서 13)(서중석 지음| 역사비평사 펴냄 | 2008) 302페이지 ↑ 가 나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인류평화에 공헌", 동아일보 1949년 08월 15일자 1면, 정치 ↑ 가 나 다 라 김재명, 《한국현대사의 비극-중간파의 이상과 좌절》 (김재명, 선인, 2003) 83페이지 ↑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2》,서중석 저. 역사비평사. ↑ 가 나 강원룡, 《역사의 언덕에서 2:전쟁의 땅 혁명의 땅》 (한길사, 2006) 65페이지 ↑ 가 나 [책갈피 속의 오늘1950년 우사 김규식 사망 ↑ 가 나 강원룡, 《역사의 언덕에서 2:전쟁의 땅 혁명의 땅》 (한길사, 2006) 71페이지 ↑ 가 나 다 라 마 내가 겪은 해방과 분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민족문화연구소 저, 선인, 2001) 34페이지 ↑ 좌우통합 노력 좌절 … 납북당한 뒤 북한에서 숨진 김규식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북한,조국통일상에 임양ㆍ운동권 학생도, 한국일보 1990-08-17자, 02면 ↑ 강규형, 《청소년을 위한 우리 역사 바로 보기》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2007) 188페이지 ↑ 박노자 외, 《열강의 소용돌이에서 살아남기》 (푸른역사, 2005) 41페이지 ↑ 가 나 《한국사 시민강좌 제47집》,일조각. p73 ↑ 《한국사 시민강좌 제47집》,일조각. p69~87 ↑ 韓赤 100년.."평화위해 헌신할 것" ↑ 《역사의 언덕에서 2:전쟁의 땅 혁명의 땅》,강원룡 저. 한길사. p68 ↑ 《역사의 언덕에서 2:전쟁의 땅 혁명의 땅》,강원룡 저. 한길사. p68 ↑ 가 나 다 라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226~228쪽 참조. ↑ KBS 인물현대사 ,-김규식 편- 인용. ↑ 이현희, 《이야기 인물한국사(2005)》 (이현희, 청아출판사, 2007) 500페이지에서 재인용 ↑ 《한국사 시민강좌 제47집》, p79~82. 일조각 ↑ 마크 게인, 일본일기 (筑摩書房, 1952) pp.357~358 ↑ 가 나 尤史선생기념사업회 이안성 초대회장 - munhwa.com ↑ 해방공간 수놓은 9명의 정치 지도자들 ↑ 가 나 다 라 마 바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232~233쪽 참조. ↑ 강원용, 《역사의 언덕에서 2:전쟁의 땅 혁명의 땅》 (한길사, 2006) 66페이지 ↑ ‘한국분단사연구’ 출간 신복룡 교수 조선일보 2001.09.14 ↑ 희생 中동포에 ‘독립군 후손’도 있었다 경향신문 2008-01-09일자 ↑ 이천 화재로 숨진 김군씨는 독립운동가 후손(종합2보) 연합뉴스 2008-01-09일자 ↑ 이천 화재 참사, 유가족 안타까운 사연들 Archived 2011년 11월 23일 - 웨이백 머신 한국일보 2008/01/09일자 ↑ 이천냉동창고 화재가 준 교훈[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성남뉴스 2008-01-08일자 ↑ 가 나 [강원용 목사의 체험 한국 현대사②] 이승만·조봉암 사이에서 양다리 걸친 미국 신동아 2004년 01월호(통권532호) ↑ 김준엽, 《장정2-나의 광복군 시절 (하)》 (도서출판 나남, 1991년 3쇄) 431페이지 ↑ 윤치호, 《윤치호일기:1916~1943》 (김상태 편역, 역사비평사, 2001) 236페이지 ↑ 가 나 "반세기 넘어서야 성묘라니…"[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조선일보 2001.09.28 ↑ 가 나 다 허정,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81페이지 ↑ 가 나 허정, 《내일을 위한 증언》 (도서출판 샘터사, 1979) 118페이지 ↑ <7>복간과 함께 대한민국 기초를 닦다 동아일보 2010.08.16 ↑ 《객관적20세기 전반기史》,이윤섭 저. 필맥. p306 ↑ 《해방 3년사 1,2권》,까치,1985년. 송남헌 저 ↑ 이정식, 김규식의 생애 (신구문화사, 1984) 139 ↑ 북한, 조국통일상에 임양ㆍ운동권 학생도, 한국일보 1990-08-17자, 02면 ↑ 가 나 연세의료원 뉴스, 490호 6쪽 ↑ 가 나 신념(信念)의 사람 우사 김규식 Archived 2005년 1월 27일 - 웨이백 머신, 이승종 ↑ 가 나 다 라 성갑식, 《하나님의 나라와 하나님의 선교》 (대한기독교서회, 2004) 13페이지 ↑ 윤치영 《윤치영의 20세기:동산회고록》 (삼성출판사, 1991) ↑ 청풍김씨 세보 ↑ 매일경제 1989년 3월 1일자 기사 ↑ [학술신간]올 광복절 더 그리워지는 우사 김규식 동아일보 2000.08.04 외부 링크[편집] 김규식 : 독립유공자 공훈록국가보훈처 한국방송, 〈광복 60년 특집 3부작 / 좌우를 넘어 민족을 하나로- 제 3편 김규식〉, 《인물현대사》 (2005년 1월 21일 방영)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이 달의 독립운동가 상세자료 - 김규식, 2000년 네이버캐스트: 독립운동가 김규식 네이버캐스트: 독립운동가 김순애 "반세기 넘어서야 성묘라니…"[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조선일보 2006.09.28 佛서 독립운동한 김규식 선생 ‘파리강화회의’ 당시 친필서한 발굴 동아일보 2011.12.12 12월의 독립운동가 김규식 선생 조선일보 2000.11.30 임정요인 후손 반세기만의 '감격성묘'[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조선일보 2006.10.01 전임- 제1대 조선적십자사 총재1947년 3월 15일 ~ 1948년 8월 15일 후임김규식 전임김규식(조선적십자사 총재) 대한적십자사 임시 총재1948년 8월 15일 ~ 1949년 10월 27일 후임양주삼(대한적십자사 총재) 전임초대 제1대 대한민국임시정부 파리위원부 위원장1919년 4월 2일 ~ 1919년 8월 후임황규환(직무대리) 전임초대 제1대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 위원장1919년 8월 ~ 1919년 9월 후임이승만 전임초대 제1,2대 대한민국 임시정부 부주석1940년 10월 1일 ~ 1948년 8월 15일 후임이시영 전임- 대한민국 임시정부 선전부장1942년 ~ 1944년 후임엄항섭 전임초대 제1대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위원장1946년 12월 12일 ~ 1947년 6월 3일 후임신익희 vdeh무오 독립선언 민족대표 39인 김교헌 김규식 김동삼 김약연 김좌진 김학만 류동렬 문창범 박성태 박용만 박은식 박찬익 손일민 신규식 신채호 안정근 안창호 여준 윤세복 이광 이대위 이동녕 이동휘 이범윤 이봉우 이상룡 이세영 이시영 이탁 이승만 이종탁 임방 정재관 조용은 조욱 최병학 한흥 허혁 황상규 vdeh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 이승만 이시영 제임스 밴 플리트 장제스 하일레 셀라시에 1세 응오딘지엠 아드난 멘데레스 허위 김좌진 오동진 조병세 안중근 윤봉길 이준 강우규 김구 안창호 신익희 김창숙 손병희 이승훈 한용운 최익현 이강년 민영환 더글러스 맥아더 해리 S. 트루먼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프랑수아 톰발바예 다비드 다코 수루 미강 아피디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레온 음바 아마두 아히조 하마니 디오리 조모 케냐타 무테사 2세 필리베르트 치라나나 퉁쿠 압둘 라흐만 푸트라 알 하즈 타놈 키티카초른 쑹메이링 천궈푸 쑨원 천치메이 피델 산체스 에르난데스 조만식 임병직 서재필 박정희 최규하 시리낏 끼띠야꼰 푸미폰 아둔야뎃 전두환 김규식 조소앙 유관순 vdeh2000년 선정 이 달의 독립운동가 1월 유인석 2월 노태준 3월 김병조 4월 이동녕 5월 양진여 6월 이종건 7월 김한종 8월 홍범식 9월 오성술 10월 이범윤 11월 장태수 12월 김규식 vdeh2019년 선정 이 달의 독립운동가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유관순 김마리아 손병희 안창호 김규식·김순애 한용운 이동휘 김구 지청천 안중근 박은식 윤봉길 전거 통제 WorldCat VIAF: 57927718 LCCN: n8100722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규식&oldid=24536858" 분류: 김규식1881년 태어남1950년 죽음한국의 혁명가대한제국의 교육인일제 강점기의 종교인일제 강점기의 교육인일제 강점기의 전문학교 교수일제 강점기의 대학 교수일제 강점기의 기업인일제 강점기의 외교관일제 강점기의 시인일제 강점기의 작가일제 강점기의 번역가일제 강점기의 학자일제 강점기의 정치인일제 강점기의 기독교운동가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반중국의 대학 교수한국의 독립운동가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부산광역시 출신홍천군 출신청풍 김씨한성관립영어학교 동문경신고등학교 (서울) 동문로노크 대학교 동문프린스턴 대학교 동문범죄 피해자테러 피해자암살 미수 생존자납북자혁명가반파시스트자유주의자공화주의자반공주의자대한적십자사 관련자대한국민의회한성 임시 정부조선민족혁명당조선인민공화국신민회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비상국민회의민족자주연맹신한청년당한국의 극동인민대표회의 참석자한국의 군정기대한민국 제1공화국한국독립당의 당원대한민국의 교육인대한민국의 시인대한민국의 영문학자대한민국의 종교 지도자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애국렬사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국통일상 수상자대한민국의 장로교도반일 감정장로교 독립운동가인성학교 교사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알찬 글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인용집위키문헌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Bikol CentralBosanskiČeština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Français贛語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atina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Türkmençe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inaray吴语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7일 (일) 08:1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규식(金奎植, 1881년 1월 29일 ~ 1950년 12월 10일)은 대한제국의 학자·종교인·교육자,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통일운동가·정치가·학자·시인·사회운동가·교육자, 대한민국의 정치가·종교인이다. 1989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본적은 경상남도 동래군이나 부친이 관리로 집무하던 중 태어난 출생지는 강원도 홍천군이다. 노론 중신인 김상로, 김재로, 김치인, 김종수 등의 방계 후손이다. 언더우드 선교사의 비서, 경신학교의 교수와 학감 등을 지내고 미국에 유학하였다. 1918년 파리 강화회담에 신한청년당의 대표로 파견되어 이후 10여년간 외교 무대에서 종횡무진으로 활약하며 한국의 독립운동이 국제 승인을 받도록 하기 위하여 심혈을 기울였다. 1919년부터 상해 임시정부 외무총장, 파리위원부 위원장, 대한민국 임시정부(임정) 학무총장, 구미위원부 위원장과 부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1921년 임정의 창조파와 개조파를 놓고 갈등할 때는 창조파의 입장에 섰다. 그 뒤 임정을 떠나 독립운동단체의 통합노력과 교육 활동 등을 하다가 1933년 외무부장으로 복귀하였다. 좌우합작의 일환으로 1935년 조선민족혁명당 재창당을 주도하였고, 그 뒤 다시 임정을 떠났다가 1942년 선전부장으로 복귀하였고 1944년부터 1947년까지 대한민국 임시정부 부주석을 역임하였으며 주로 외교독립활동을 전개하였다. 광복 직후 신탁 통치 반대 운동에 가담하였으나, 1946년 미소공동위원회 때부터 적극적인 반탁론을 보류하고 先과도정부수립 後탁치논의를 주장하며 미소공위에도 협조하였다. 1946년 여운형과 함께 좌우합작운동을 주도하였다. 1946년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의장, 1947년 민족자주연맹 위원장을 역임했다. 1948년 남한 단독 총선거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김구, 조소앙 등과 함께 북한으로 건너가 남북협상에 참여하였다. 남북협상을 마치고 귀환한 후 총선거 불반대 불참가 입장으로 바꾸고 민족자주연맹 당원들에게 총선거 출마를 권고하기도 했다. 1950년 6.25 전쟁 중 납북되어 병으로 사망하였다. 교명(敎名)은 요한(Johann), 아호는 우사(尤史), 죽적(竹笛) 등이다. 본관은 청풍(淸風). 중국에서 활동할 당시의 가명은 김성(金成), 김중문(金仲文), 김일민(金一民), 여일민(余一民), 왕개석(王介石) 등이며, '변갑'이라는 별칭도 있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규식의 아들 이름은? Assistant: 김진동 Human: 아래 목암생명과학연구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목암생명과학연구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암생명과학연구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재단법인 목암생명과학연구소 형태 재단법인 산업 분야 의약품 연구개발 창립 1984년 5월 9일 창립자 허영섭 국가 대한민국 본사 소재지 대한민국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이현로 30번길 93 사업 지역 전 세계 핵심 인물 허영섭 (창업주), 허일섭 (이사장), 조의철 (연구소장(대행)) 웹사이트 목암생명과학연구소 목암생명과학연구소(MOGAM Institute for Biomedical Research, 구 목암생명공학연구소)는 우리나라 민간 연구기관으로는 최초로 과학기술처(現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승인을 받은 기업 출연 비영리 연구재단법인으로 WHO 협력센터에 지정된 바 있으며, 국문약자로는 목암연구소, 영문약자로는 MOGAM, MIBR로 부르기도 한다. 주사무소는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이현로 30번길 93에 위치하고 있다. 목차 1 설립 목적 2 주요 연구개발 3 연혁 4 역대 연구소장 5 외부 링크 설립 목적[편집] 질병의 예방, 진단 및 치료에 필요한 의약품을 개발함으로써 국민보건 향상과 인류복지 실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주요 연구개발[편집] 세계 최초 유행성출혈열백신 'Hantavax' 개발 세계 두번째 수두백신 'Suduvax' 개발 연혁[편집] 1984년 05월 목암생명과학연구소 설립(설립 당시 이름 녹십자연구소) 1985년 12월 법인명 개칭(녹십자연구소 -> 목암생명공학연구소) 1981년 06월 세계 최초 유행성출혈열백신 'Hantavax' 개발 1993년 06월 세계 두번째 수두백신 'Suduvax' 개발 2014년 08월 호중구감소증치료제 'Neulapeg' 개발 2016년 05월 법인명 개칭(목암생명공학연구소 -> 목암생명과학연구소) 역대 연구소장[편집] 1대 소장 김경호(1984 ~ 1989) 2대 소장 백승복(1989 ~ 1992) 3대 소장 문홍모(1992 ~ 1996) 4대 소장 정수일(1996 ~ 2000) 5대 소장 박두홍(2000 ~ 2008) 6대 소장 윤 엽(2008 ~ 2013) 7대 소장 허은철(2013 ~ 2015) 8대 소장 최승현(2015 ~ 2018) 9대 소장 조의철(2018 ~ 현재) 외부 링크[편집] 목암생명과학연구소 홈페이지 vdeh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재부 교육부 과기정통부 외교부 통일부 법무부 국방부 행안부 문체부 농식품부 산업부 복지부 환경부 고용부 여가부 국토부 해수부 중기부 본부 소속 장관 차관(2인) 과학기술혁신본부 본부장 우정사업본부 국립중앙과학관 국립과천과학관 국립어린이과학관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 위원회 목록) 국립전파연구원 전파시험인증센터 우주전파센터 중앙전파관리소 위성전파감시센터 서울전파관리소 서울북부사무소 부산전파관리소 광주전파관리소 대전전파관리소 당진사무소 대구전파관리소 강릉전파관리소 전주전파관리소 제주전파관리소 청주전파관리소 울산전파관리소 산하 공공기관 광주과학기술원 국립광주과학관 국립대구과학관 국립부산과학관 기초과학연구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별정우체국연금관리단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우체국금융개발원 우체국물류지원단 우체국시설관리단 울산과학기술원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나노기술원 한국데이터진흥원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한국연구재단 한국우편사업진흥원 한국원자력의학원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정보화진흥원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소관기관 한국과학기술한림원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과학기술인공제회 지식정보보안산업협회 한국과학관협회 한국전파진흥협회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정보통신공제조합 (소관 사단법인 소관 재단법인)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대학(또는 대학원) 기능을 가진 법인이다. 이 글은 단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목암생명과학연구소&oldid=24415704" 분류: 재단법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대한민국의 연구소용인시1984년 설립숨은 분류: 단체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12일 (수) 14: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목암생명과학연구소(牧岩生命科學硏究所, MOGAM Institute for Biomedical Research, MIBR)는 생명공학기술 발전을 통한 사회 기여와 이익 창출을 도모하고 이를 연구 개발에 재투자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연구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1984년 GC(녹십자)가 출연하여 설립한 비영리 연구재단법인이다. 우리나라 민간 연구기관으로는 최초로 과학기술처(現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승인을 받고 WHO 협력연구기관에 지정된 바 있으며, 국문약자로는 목암연구소, 영문약자로는 MOGAM, MIBR로 부르기도 한다. 주사무소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41길 15-19에 위치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목암생명과학연구소의 3대 소장의 이름은? Assistant: 문홍모
Human: 아래 비키니의_역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비키니의 역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비키니의 역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비키니의역사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비키니를 입은 여자, 시카고 (1973년) 아래는 비키니의 역사에 대한 설명이다. 비키니와 유사한 여성복의 증거는 기원전 5,600년 초기에 발견되었으며, 비키니의 역사는 그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로마시대 때, 비키니와 유사한 의복을 입은 여성에 대한 묘사는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가장 유명한 작품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있는 이탈리아 시실리에 위치한 저택 카살레의 빌라 로마나에 있는 모자이크이다.[1] 고대에 비키니와 유사한 의복을 입은 여성들의 묘사가 남아 있지만, 이러한 의복들이 현대의 비키니처럼 수영이나 일광욕을 즐기기 위한 것이었다는 증거는 없다. 고전 수영복과 현대 비키니 사이에는 큰 간극이 있다. 서양 기독교 국가에서는 수영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18세기까지는 수영복이 필요하지 않았다. 19세기에 들어와선 여성도 수영을 하는 것이 허용되었으나, 여성 수영복은 일상복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초창기 수영복은 외출복 디자인을 모방한 정도였다. 19세기 수영복은 목에 깃이 달려 있었고 상의는 소매가 팔꿈치까지 내려와야 했으며, 무릎을 덮는 스커트와 검은 스타킹을 입어야 했다. 심지어는 코르셋 위에 드레스를 입거나 긴 바지를 입고 수영을 해야 했다. 이후 20세기가 되어서야 여성의 수영복은 평상복보다 몸의 굴곡을 조금 더 드러낼 수 있었다. 물에 젖어도 무거워지지 않고 잘 마르는 수영복의 요구가 높아지자 소매와 바지의 길이가 짧은 원피스 형태의 수영복이 처음 등장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패션은 더욱 편리하고 활동적이게 변하였다. 또한 전쟁 후 수영복에 쓰이는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같은 섬유가 부족해졌고 미국은 재화 배급제도를 시행하였다. 수영복도 이러한 사회적 영향을 받아, 몸에 밀착되는 신축성 있는 원단으로 제작되고 더욱 짧아진 투피스 수영복이 유행하였다.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비키니는 지금으로부터 70여 년 전에 등장하였다. 1946년 7월 5일에 프랑스의 디자이너 루이 레아르(Louis Réard)는 미셸린 베르나르디니(Micheline Bernardini)를 모델로 내세워 현대의 비키니를 처음 선보였다. 레아르의 비키니는 신체 부위를 최소한으로 가린 디자인이었고 여성의 배꼽을 드러낸 최초의 의복이었다. 비키니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핵폭탄 실험 장소였던 비키니 섬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는데, 이는 핵폭탄과 같은 충격적인 파급을 가져올 것이라는 예상 때문이었다. 실제로 대중들은 비키니의 등장에 큰 충격을 받았다. 그러나 20세기 초까지도 여성의 노출은 여전히 비난을 받았고, 때문에 비키니를 입으려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비키니가 처음 등장하였을 때, 일부 프랑스 여성들은 이를 환영하였으나 가톨릭과 미디어 그리고 대다수의 대중들은 비키니를 외설적이라고 생각하였다. 이후 1950년대부터 유명한 여배우들이 영화에서 비키니를 입고 나오면서 대중의 인식은 변화하기 시작했다. 1953년 칸 영화제 때, 배우 브리지트 바르도(Brigitte Bardot)는 해변에서 비키니를 입고 사진을 찍어 눈길을 끌었다. 리타 헤이워드(Rita Hayworth)와 에바 가드너(Ava Gardner) 또한 비키니를 착용해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007 시리즈의 첫 번째 영화 007 살인번호(Dr. No, 1962)에 출연한 우슬라 안드레스는 지금은 해변의 상징이 된 비키니를 입고 바다에서 나오는 장면으로 주목을 받았다. 영화 공룡 백만 년(One Million Years B.C., 1966)에서 라켈 웰치(Raquel Welch)가 입은 사슴가죽 비키니는 그녀를 세계적인 섹스 심벌로 만들어 주었고 1960년대 최고의 의상으로 묘사되었다. 영화와 히피 문화의 영향으로 서양사회에서 비키니는 점차 받아들여졌다. 프랑스인 패션 큐레이터 올리비에 사이야르(Olivier Saillard)는 비키니는 아마 “패션의 힘이 아닌 여성의 힘” 때문에 전 세계에서 가장 사랑받게 된 수영복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그는 수영복의 해방은 언제나 여성의 해방과 연결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2000년대 초 비키니 매년 미 달러로 8억 1천 1백만 달러의 사업이 되었고, 비키니 왁싱과 태닝 같은 파생사업들도 크게 성장하였다.[2] 목차 1 현대 비키니의 등장 2 사회적 반발 3 칸 영화제와 배우들의 영향 4 대중매체 속 비키니 5 대중적 수용 6 평가 7 출처 현대 비키니의 등장[편집] 프랑스인 패션 디자이너 자크 헤임(Jacques Heim)은 1956년 5월에 최소주의 디자인의 투피스 수영복을 선보였다. 그는 이 수영복을 가장 작은 물질로 알려진 원자의 이름을 따 ‘아토메' (Atome)라고 이름을 붙였다.[3] 그가 디자인한 수영복은 착용자의 배꼽만 겨우 가릴 정도의 크기였다. 이와 같은 시기에, 자동차 엔지니어였던 루이 레아르(Louis Réard)는 프랑스 파리에 있는 카바레(Les Folies Bergères) 근처에서 모친이 운영하던 여성 속옷 사업을 물려받았다.[4][5] 그는 프랑스 생트로페(St. Tropez) 해변에서 태닝하기 위해 수영복의 끝을 말아 올린 여성들을 보았고[6], 이에 영감을 받아 아토메보다 더 작은 디자인의 수영복인 '비키니'를 만들었다. 레아르의 끈 비키니는 30인치 천으로 만든 신문지 패턴의 네 개의 삼각형 모양으로 되어 있다.[7] 레아르는 기자회견에서 직접 디자인한 비키니를 입어 줄 모델을 찾고 있었다. 하지만 현역 모델들은 아무도 그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결국 레아르는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유명한 공연장인 카지노 드 파리(Casino de Paris)에서 스트립 댄서로 일하던 19살의 미쉘린 베르나르디니(Micheline Bernardini)를 모델로 고용하였다.[8] 태평양 마셜제도의 비키니 환초에서 미국이 최초 공개 핵실험을 한 5일 후인 1946년 7월 5일, 프랑스 파리의 공공 수영장(Piscine Molitor)에서 레아르는 비키니를 대중에 선보였다.[9][10][11] 레아르의 비키니는 세상을 깜짝 놀라게 했는데 역사상 최초로 여성의 배꼽을 드러낸 의복이었기 때문이다.[12] 헤임은 아토메를 홍보하기 위해 스카이 라이터를 고용하여 지중해 휴양지 상공에 “세상에서 가장 작은 수영복”이라며 광고하였다. 이에 지지 않고 3주 후, 레아르 또한 비키니를 홍보하기 위해 스카이 라이터를 고용하여 프랑스 리비에라 상공에 “세상에서 가장 작은 수영복 보다 더 작은 수영복”이라는 광고하였다.[13][14][15] 레아르는 또한 투피스 수영복은 진정한 비키니가 아니라고 말하는 대담한 광고를 시작하였다.[16] 비록 사람들은 헤임이 디자인 한 아토메를 먼저 입었지만, 레아르가 지은 비키니란 이름이 더 각인되었다.[17] 한편으로는 사회적 반발이 상당하였지만, 레아르는 팬들로부터 5만 통 이상의 편지를 받았다. 사회적 반발[편집] 하지만 많은 여성들이 여전히 전통적인 투피스 수영복을 고집했기 때문에 비키니는 수요가 그리 많지 않았다. 1959년 7월에 뉴욕 포스트(the New York Post)는 조사차 뉴욕 시 주변에서 비키니를 찾아보았지만, 겨우 몇 개만 발견했다. 패션 및 디자인 기획 연구소의 큐레이터이자 패션 역사가인 케빈 존스(Kevin Jones)는 “레아르는 약 15년에서 20년 정도 시대를 앞서 갔다. 사회의 선봉에 선 상류층의 유럽 여성들만이 비키니를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라는 말을 하였다.[18] 실제로 제1차 세계대전 후 상류층 유럽 여성들이 가장 먼저 코르셋을 벗어던졌던 것처럼, 그들은 가장 먼저 비키니를 받아들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나라에서 비키니는 환영받지 못하였다. 비키니는 스페인, 벨기에, 이탈리아, 포르투갈, 호주, 미국의 일부 주에서 착용이 금지되었고, 다른 나라에서도 입는 것이 금기시되었다.[19][20] 1951년 에릭 몰리(Eric Morley)가 주최한 첫 미스 월드 대회에서[21], 비키니를 입은 스웨덴의 키키 하칸손(Kiki Håkansson)이 우승자로 뽑혔다. 이에 종교적인 전통을 중요시 한 국가들은 대표단을 철수시키겠다고 으름장을 놓았고[22], 교황 피우스 12세 또한 "비키니는 죄" 라며 비난하였다.[23] 결국, 논란 끝에 전 세계 미인 대회에서 비키니를 입는 것이 금지되었고[24], 하칸손은 비키니를 입은 처음이자 마지막 미스 월드가 되었다. 미국의 한 종교단체(The National Legion of Decency)는 할리우드 영화에서 비키니가 등장하지 못하도록 압력을 가했다.[25] 1950년대 미국 영화에선 비키니가 모두 삭제된 후에야 바다가 나오는 장면이 상영될 수 있었다.[26] 이외에도 많은 소녀들의 우상들이 비키니를 외설적이라고 비난하였다. 1949년 로스앤젤레스 타임스(Los Angeles Times)에 보도된 내용에 의하면, 미스 아메리카 비비 쇼프(Bebe Shopp)는 프랑스 파리를 방문하였을 때 "프랑스 소녀들이 비키니를 입는 것에 대해서는 신경 쓰지 않지만 미국 소녀들이 비키니를 입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 고 말 하였다. 미국의 수영 선수이자 배우인 에스터 윌리엄스(Esther Williams)도 “비키니를 입는 것은 생각 없는 행동” 이라며 비난하였다.[27] 또한 1965년 독일 뮌헨에서 한 학생은 비키니를 입고 광장을 가로질러 걸어갔다는 이유로 6일 동안 낡은 집을 청소하는 벌을 받아야 했다.[28] 칸 영화제와 배우들의 영향[편집] 사회적 논란에도 불구하고, 1953년 칸 영화제(the Cannes Film Festival) 기간 동안 해변에서 비키니를 입고 사진을 찍은 브리지트 바르도(Brigitte Bardot)는 1950년대에 유럽에 비키니를 대중화하고, 미국에 비키니 시장을 개척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29] 영국의 영향력 있는 일간지 가디언(The Guardian)은 비키니를 입은 바르도의 사진은 생트로페(Saint-Tropez) 해변을 비키니의 성지로 만들었다고 보도했다.[30] 1955년 베니스 영화제(Venice Film Festival)에서 영국 배우 다이아나 도스(Diana Dors)는 그녀를 위해 맞춤 제작된 밍크 비키니를 입고 이탈리아 베니스 대운하(Venice's Grand Canal)를 지나 성 마크 광장(St. Mark's Square)까지 곤돌라를 탔다.[31] 이외에도 베티 그레이블(Betty Grable) 또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비키니를 입고 성적 매력을 뽐냈으며, 아니타 에크베르그(Anita Ekberg)와 소피아 로렌(Sophia Loren)도 비키니를 입어 많은 사랑을 받았다. 유명 배우들이 비키니를 입자, 비키니는 일부 유럽과 미국의 대중들에게 점차 받아들여졌다. 대중매체 속 비키니[편집] 1960년대 잡지와 영화 등 대중매체와 미국에서 일어난 히피 문화와 성혁명의 유행으로 비키니는 청년 문화의 상징이 되었다. 1962년 성인 잡지 플레이보이(Playboy)는 처음으로 비키니를 표지에 등장시켰다.[32] 1964년 미국의 스포츠 주간지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Sports Illustrated)는 독일 모델 바베트 마치(Babette March)가 흰 비키니를 입고 있는 사진을 표지로 실었다.[33] 이후 영향력을 인정받아, 비키니를 입은 모델이 등장하는 간행물들이 매년 수백만 부 판매되었다.[34] 1967년, 미국의 대표적인 시사 주간지 타임(the magazine)은 젊은 여성 65%가 비키니를 입는다는 내용을 보도하였다.[35] 영화에서 배우들이 비키니를 입은 장면들은 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고, 비키니의 대중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1962년, 본드 걸 우슬라 안드레스(Ursula Undress)는 영화 007 살인번호(Dr. No)에서 흰색 비키니를 입었다. 안드레스의 비키니 장면은 007 시리즈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영국의 텔레비전 네트워크 채널 4(Channel 4) 또한 이를 역사상 최고의 비키니 장면으로 선정하였다.[36] 안데라스의 하얀 비키니는 1960년대 영화의 에로티시즘을 자유롭게 표현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1996년, 영화 공룡 100만 년(One Million Years B.C.)에서 사슴가죽 비키니를 입은 라켈 웰치(Raquel Welch)는 60년대의 패션 아이콘이 되었다. 이 외에도 유명한 영화배우 마릴린 먼로(Marilyn Monroe), 제인 맨스필드(Jayne Mansfield), 지나 롤로브리지다(Gina Lollobrigida), 제인 러셀(Jane Russell) 등 할리우드 스타들이 비키니를 입은 사진들은 비키니를 대중화 시키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37] 대중적 수용[편집] 레아르가 죽은 후 4년 뒤 1988년엔, 비키니는 프랑스 수영복 매출의 20%를 차지했다.[38] 1990년대 이후, 비키니의 인기는 치솟기 시작했다. 미국 시장 조사 업체 NPD는 비키니의 매출이 전 세계적으로 80%가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NPD는 2000년대 초까지 비키니는 연간 8억 1천 1백만달러 규모의 사업이 되었다고 하였다.[39][40] 비키니 등장 51년 만인 1997년, 미국의 미인대회 참가자들은 전통적인 수영복뿐만 아니라 비키니를 입을 수 있게 되었다. 최종 17명의 참가자 중 두 명은 비키니를 입었고, 그중 한 명이었던 하와이를 대표하는 에리카 카프만(Erika Kauffman)은 그 해 미인대회에서 우승했다.[41] 또한 사람들은 비키니를 수영이나 태닝 때문만이 아니라 사회의 이목을 끌어 그들의 의견을 표출하기 위해 입기도 하였다. 동물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세계적인 동물보호단체인 페타(PETA)는 파멜라 앤더슨(Pamela Anderson), 트레이시 빙햄(Traci Bingham), 알리샤 메이어(Alicia Mayer)와 같은 유명 인사들이 상추로 만든 비키니를 입는 광고를 하여 채식주의 캠페인을 홍보하였다.[42] 컬럼비아 대학(Columbia University)의 학생들은 이란 대통령 마흐무드 아흐마디네자드(Mahmoud Ahmadinejad)의 미국 뉴욕 방문을 비난하기 위해 비키니를 입고 시위를 하였다.[43] 평가[편집] 프랑스 패션 역사학자 올리비에 사이야르(Olivier Saillard) 패션의 힘이 아니라 여성의 힘 때문에 비키니는 21세기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수영복이 되었다고 하였다. 그는 수영복의 해방은 항상 여성의 해방과 관련이 있다고 덧붙였다.[44] 또한, 메트로폴리탄 미술관(Metropolitan Museum of Art)의 의상 연구소 연구원 베스 찰스턴(Beth Charleston)은 비키니는 여성의 육체와 도덕, 성 의식의 사회적 도약을 의미한다고 말하였다.[45] 출처[편집] ↑ Westcott, Kathryn (June 5, 2006). "The Bikini: Not a brief affair". BBC News. Retrieved September 17, 2008. ↑ Lorna Edwards, "You've still got it, babe, The Age, June 3, 2006 ↑ Sage, Adam (April 16, 2006). "Happy birthday: the 'shocking and immoral' bikini hits 60". London: The Times. ↑ Westcott, Kathryn (June 5, 2006). "The Bikini: Not a brief affair". BBC News. Retrieved September 17, 2008. ↑ Rosebush, Judson. "Michele Bernadini: The First Bikini". Bikini Scien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7, 2007. Retrieved September 19, 2007. ↑ Westcott, Kathryn (June 5, 2006). "The Bikini: Not a brief affair". BBC News. Retrieved September 17, 2008. ↑ Westcott, Kathryn (June 5, 2006). "The Bikini: Not a brief affair". BBC News. Retrieved September 17, 2008. ↑ David Louis Gold (2009). Studies in Etymology and Etiology: With Emphasis on Germanic, Jewish, Romance and Slavic Languages. Universidad de Alicante. pp. 99–. ISBN 978-84-7908-517-9. Retrieved March 9, 2013. ↑ Campbell, Richard H. (2005). The Silverplate Bombers: A History and Registry of the Enola Gay and Other B-29s Configured to Carry Atomic Bombs. Jefferson, North Carolina: McFarland & Company. pp. 18, 186–189. ISBN 0-7864-2139-8. OCLC 58554961. ↑ The Beginning History of Swimwear, Global Intimate Wear, 08-07-2012 ↑ "Bikini". Fashion Encyclopedia. Retrieved August 30, 2013. ↑ Cocozza, Paula (June 10, 2006). "A little Piece of History". London: The Guardian. ↑ Sage, Adam (April 16, 2006). "Happy birthday: the 'shocking and immoral' bikini hits 60". London: The Times. ↑ "The Bikini Turns 60, 1946 to 2006: 60 Years of Bikini Bathing Beauties". Lilith E-Zine. ↑ "The History of the Bikini". Elle. April 23, 2013. Retrieved August 20, 2013. ↑ Rubin, Sylvia (July 2, 2006). "Fashion shocker of '46: the naked belly button". San Francisco Chronicle. Retrieved August 28, 2013. ↑ Westcott, Kathryn (June 5, 2006). "The Bikini: Not a brief affair". BBC News. Retrieved September 17, 2008. ↑ Patrik Alac, Bikini Story, page, 52, Parkstone International, 2012, ISBN 9781780429519 ↑ Lena Lanček and Gideon Bosker, Making Waves: Swimsuits and the Undressing of America, page 90, Cronicle Books, 1989, ↑ Elissa Stein & Lee Meriwether, Beauty Queen, page 45, Chronicle Books, 2006, ISBN 0-8118-4864-7 ↑ Han Shin, Beauty with a Purpose, page 193, iUniverse, 2004, ISBN 0-595-30926-7 ↑ Keith Lovegrove, Pageant: The Beauty Contest, page 1967, teNeues, 2002, ISBN 3-8238-5569-7 ↑ Maass, Harold (June 7, 2013). "The controversial bikini ban at the Miss World beauty pageant". Retrieved August 22, 2013 ↑ Miss America Stops in Paris—Traffic, Too". Los Angeles Times. August 7, 1949. p. 1. ↑ Gerald R. Butters, Banned in Kansas: Motion Picture Censorship, 1915-1966, page 284,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2007, ISBN 9780826266033 ↑ Daniel Delis Hill, Advertising to the American Woman, 1900-1999, page 162, Ohio State University Press, 2002, ISBN 0-8142-0890-8 ↑ Miss America Stops in Paris—Traffic, Too". Los Angeles Times. August 7, 1949. p. 1. ↑ Jennifer Craik, The Face of Fashion, page 148, Routledge, 1993, ISBN 0-415-05262-9 ↑ William Oscar Johnson, "In The Swim", Sports Illustrated, 1989-02-07 ↑ "The Bikini Turns 60, 1946 to 2006: 60 Years of Bikini Bathing Beauties". Lilith E-Zine. ↑ Giles Tremlett, "How the bikini SDaved Spain", Ghosts of Spain: Travels Through a Country's Hidden Past, page 102, Faber & Faber, 2008, ISBN 9780571247905 ↑ James Kitchling, "Short History of Bikinis and Swimsuits", Articles Central, 2008-08-02 ↑ "The History of the Bikini". Time. 3 July 2009. Retrieved 17 August 2013. ↑ Gibson, Megan (5 July 2011). "Sports Illustrated's First Swimsuit Issue". Time. Retrieved 15 August 2013. ↑ Turner, Julia (29 July 2013). "A Brief History of the Bikini". Slate. Retrieved 27 August 2013. ↑ 100 Greatest Sexy Moments (in film), Channel 4 ↑ Lorna Edwards, "You've still got it, babe, The Age, June 3, 2006 ↑ Rubin, Sylvia (July 2, 2006). "Fashion shocker of '46: the naked belly button". San Francisco Chronicle. Retrieved August 28, 2013. ↑ Westcott, Kathryn (June 5, 2006). "The Bikini: Not a brief affair". BBC News. Retrieved September 17, 2008. ↑ Rubin, Sylvia (July 2, 2006). "Fashion shocker of '46: the naked belly button". San Francisco Chronicle. Retrieved August 28, 2013. ↑ Patton, Susan Ruiz (11 September 1997). "A Bikini Isn't The Choice Of Miss Pa. For The First Time In 77 Years, Contestants In Miss America Pageant Can Choose Their Swimwear. Heather Busin Prefers One-piece". McCalls. Retrieved 27 August 2013. ↑ Karen A Arenson,"A Campus Buzzes With Protest and Political Debate", The New York Times, 2007-09-25 ↑ Karen A Arenson,"A Campus Buzzes With Protest and Political Debate", The New York Times, 2007-09-25 ↑ Westcott, Kathryn (June 5, 2006). "The Bikini: Not a brief affair". BBC News. Retrieved September 17, 2008. ↑ Rubin, Sylvia (July 2, 2006). "Fashion shocker of '46: the naked belly button". San Francisco Chronicle. Retrieved August 28, 2013.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비키니의_역사&oldid=24229965" 분류: 의류사숨은 분류: ISBN 매직 링크를 사용하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EspañolFrançais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6일 (목) 13:2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아래는 비키니의 역사에 대한 설명이다. 비키니와 유사한 여성복의 증거는 기원전 5,600년 초기에 발견 되었으며, 비키니의 역사는 그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로마시대 때, 비키니와 유사한 의복을 입은 여성에 대한 묘사는 여러 지역에서 발견 되었다. 가장 유명한 작품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있는 이탈리아 시칠리아에 위치한 저택 빌라 로마나 델 카살레에 있는 모자이크이다. 고대에 비키니와 유사한 의복을 입은 여성들의 묘사가 남아 있지만, 이러한 의복들이 현대의 비키니처럼 수영이나 일광욕을 즐기기 위한 것이었다는 증거는 없다. 고전 수영복과 현대 비키니 사이에는 큰 간극이 있다. 서양 기독교 국가에서는 수영이 금지 되었기 때문에 18세기까지는 수영복이 필요하지 않았다.하지만 19세기에 들어와선 여성도 수영을 하는 것이 허용되었으나, 여성 수영복은 일상복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초창기 수영복은 외출복 디자인을 모방한 정도였다. 19세기 수영복은 목에 깃이 달려 있었고 상의는 소매가 팔꿈치까지 내려와야 했으며, 무릎을 덮는 스커트와 검은 스타킹을 입어야 했다. 심지어는 코르셋 위에 드레스를 입거나 긴 바지를 입고 수영을 해야 했다. 이후 20세기가 되어서야 여성의 수영복은 평상복보다 몸의 굴곡을 조금 더 드러낼 수 있었다. 물에 젖어도 무거워지지 않고 잘 마르는 수영복의 요구가 높아지자 소매와 바지의 길이가 짧은 원피스 형태의 수영복이 처음 등장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패션은 더욱 편리하고 활동적이게 변하였다. 또한 전쟁 후 수영복에 쓰이는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같은 섬유가 부족 해졌고 미국은 재화 배급제도를 시행하였다. 수영복도 이러한 사회적 영향을 받아, 몸에 밀착되는 신축성 있는 원단으로 제작되고 더욱 짧아진 투피스 수영복이 유행 하였다.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비키니는 지금으로부터 80여 년 전에 등장하였다. 1946년 7월 5일에 프랑스의 디자이너 루이 레아르(Louis Réard)는 미셸린 베르나르디니(Micheline Bernardini)를 모델로 내세워 현대의 비키니를 처음 선보였다. 레아르의 비키니는 신체 부위를 최소한으로 가린 디자인 이었고 여성의 배꼽을 드러낸 최초의 의복 이었다. 비키니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핵폭탄 실험 장소였던 비키니 섬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는데, 이는 핵폭탄과 같은 충격적인 파급을 가져올 것이라는 예상 때문이었다. 실제로 대중들은 비키니의 등장에 큰 충격을 받았다. 그러나 20세기 초까지도 여성의 노출은 여전히 비난을 받았고, 때문에 비키니를 입으려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비키니가 처음 등장하였을 때, 일부 프랑스 여성들은 이를 환영 하였으나 가톨릭과 미디어 그리고 대다수의 대중들은 비키니를 외설적이라고 생각하였다. 이후 1950년대부터 유명한 여배우들이 영화에서 비키니를 입고 나오면서 대중의 인식은 변화하기 시작했다. 1953년 칸 영화제 때, 배우 브리지트 바르도(Brigitte Bardot)는 해변에서 비키니를 입고 사진을 찍어 눈길을 끌었다. 리타 헤이워드(Rita Hayworth)와 에바 가드너(Ava Gardner) 또한 비키니를 착용해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007 시리즈》의 1번째 영화 《007 살인번호》(Dr. No, 1962)에 출연한 우슬라 안드레스는 지금은 해변의 상징이 된 비키니를 입고 바다에서 나오는 장면으로 주목을 받았다. 영화 공룡 백만 년(One Million Years B.C., 1966)에서 라켈 웰치(Raquel Welch)가 입은 사슴가죽 비키니는 그녀를 세계 적인 섹스 심벌로 만들어 주었고 1960년대 최고의 의상으로 묘사 되었다. 영화와 히피 문화의 영향으로 서양사회에서 비키니는 점차 받아들여졌다. 프랑스인 패션 큐레이터 올리비에 사이야르(Olivier Saillard)는 비키니는 아마 “패션의 힘이 아닌 여성의 힘” 때문에 전 세계에서 가장 사랑받게 된 수영복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그는 수영복의 해방은 언제나 여성의 해방과 연결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2000년대 초 비키니 매년 미 달러로 8억 1천 1백만 달러의 사업이 되었고, 비키니 왁싱과 태닝 같은 파생 사업들도 크게 성장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플레이보이 잡지에서 비키니를 처음 선보였던 때는 몇년도 인가? Assistant: 1962년 Human: 아래 롯데글로벌로지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롯데글로벌로지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롯데글로벌로지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현대로지스틱스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롯데글로벌로지스(주)LOTTE GLOBAL LOGISTICS CO., LTD. 형태 주식회사, 대기업 산업 분야 운수업 창립 1988년 6월 13일 이전 상호 아세아상선㈜ (1988 ~ 1993)현대물류㈜ (1993 ~ 1999)현대택배㈜ (1999 ~ 2010)현대로지엠㈜ (2010 ~ 2012)현대로지스틱스(주) (2012 ~ 2016) 시장 정보 K-OTC: 040830 상장일 비상장 국가 대한민국 본사 소재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 10 (세브란스병원빌딩) 핵심 인물 박찬복(대표이사 사장(CEO)) 사업 내용 화물운송 중개, 대리 및 관련서비스업화물자동차 운송업 제품 롯데택배 자본금 118,569,565,000원(2017년 12월 31일) 매출액 1,759,351,471,985원(2017년 12월 31일) 영업이익 (17,419,838,649)원(2017년 12월 31일) 순이익 (29,718,950,934)원(2017년 12월 31일) 자산총액 818,382,852,014원(2017년 12월 31일) 주요 주주 롯데지주(계열회사) 15.22%롯데케미칼(계열회사) 14.53%호텔롯데(계열회사) 11.53%롯데지알에스(계열회사) 11.35%(2018년 4월 9일) 모기업 롯데지주 종업원 1,490명 (2017) 웹사이트 롯데글로벌로지스 롯데글로벌로지스(주)(Lotte Global Logistics)는 대한민국의 운수 기업이다. 대한민국의 택배업에서 업계 1위인 CJ대한통운에 이어 업계 2위를 차지하고 있다. 본래 현대그룹의 계열사였으나 2014년 7월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현대로지스틱스 지분 전량(88.8%)을 이지스일호에 매각했다. 이지스일호는 롯데그룹 계열사 8곳과 현대상선, 일본계 사모펀드 오릭스가 현대로지스틱스를 인수하기 위해 만든 특수목적법인이다. 롯데그룹이 이지스일호가 보유하고 있던 현대로지스틱스의 지분 가운데 71%를 인수한 데 따라 현대로지스틱스의 경영권은 롯데그룹으로 넘어갔다. 2016년 12월 16일 현대로지스틱스(주)에서 롯데글로벌로지스(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목차 1 역사 2 사업 3 연표 3.1 1980년대 3.1.1 1988년 3.2 1990년대 3.2.1 1990년 3.2.2 1992년 3.2.3 1993년 3.2.4 1994년 3.2.5 1996년 3.2.6 1997년 3.2.7 1998년 3.2.8 1999년 3.3 2000년대 3.3.1 2000년 3.3.2 2001년 3.3.3 2002년 3.3.4 2003년 3.3.5 2004년 3.3.6 2005년 3.3.7 2006년 3.3.8 2007년 3.3.9 2008년 3.3.10 2009년 3.3.11 2010년 3.3.12 2012년 3.3.13 2013년 3.3.14 2014년 4 주요 사업 5 같이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88년 6월 13일에 아세아상선 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 1993년 12월 현대물류 주식회사로, 1999년 12월에는 현대택배 주식회사로 바꾸었다가, 2010년 4월 현대로지엠 주식회사로 2012년 4월 '현대로지스틱스 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현대로지스틱스는 현대그룹의 핵심 기업인 현대엘리베이터의 대주주였다. 현대로지스틱스는 2014년 7월 일본의 사모펀드인 오릭스에 인수되었다. 현대로지스틱스는 부채가 동종업계의 타 회사에 비해 비교적 많은 편인데, 사모펀드는 기업의 외형적 성장보다는 내실 다지기를 중시하는 성향을 보이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이 해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택배 업계는 대표적인 레드오션으로 치열한 단가 인하 등 대형 업체들의 치킨 게임이 심한 분야인데, 2위 업체인 현대로지스틱스가 점유율 경쟁보다는 부채 해소 등 내실강화에 주력함으로써 택배 업계의 경쟁은 다소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1] 사업[편집] 택배업은 온라인 쇼핑의 증가로 시장 전망이 밝으며, 미국에서도 택배 회사들의 주가가 2013년부터 많이 상승하고 있다.[1] 2012년 현대로지스틱스는 미국에 해외직송 물류센터를 설립하고 "아이딜리버"라는 해외특송 서비스를 런칭, 본격적으로 해외직구 시장에 뛰어들었다. 이는 한진택배에서 운영하는 이하넥스처럼 택배회사가 운영하는 배송대행 서비스다. 대한민국 내 해외직구의 급증으로 관련 사업의 전망은 좋은 편이다.[2] 현재 아이딜리버는 미국 뉴저지, 델라웨어, 오리건에 배송대행 센터를 운영 중이다. 연표[편집] 1980년대[편집] 1988년[편집] 06월 아세아상선㈜ 설립 08월 복합 운송업 면허 취득 12월 FIATA 회원 가입 1990년대[편집] 1990년[편집] 03월 항공화물 대리점업 면허 취득 1992년[편집] 04월 IATA 가입 1993년[편집] 04월 특별간이 보세운송업 면허 취득 05월 국내 긴급상업용 서류 송달업 인가 11월 소화물일관 수송업 면허 취득 12월 현대물류주식회사로 상호변경 1994년[편집] 02월 우신국제운송㈜, 대성기업 흡수합병 1996년[편집] 11월 대구터미널 개장 1997년[편집] 03월 국내최초 택배전용 부곡터미널 개장(현 군포복합터미널) 10월 한국 물류대상 대통령산업포장 수상, 동서울터미널 개장(현 성남터미널) 1998년[편집] 04월 한국로지스틱스학회 물류대상 수상 05월 국내 최초 ISO 9002 물류 전부문 인증획득 09월 자본금 330억으로 증자 11월 '98소비자만족베스트상품 선정 1999년[편집] 01월 남서울터미널(현 구로터미널), 대전터미널 개장 07월 양산터미널 개장 11월 최초 은행에서 선하증권 교부 서비스실시 12월 자본금 405억으로 증자, 현대택배주식회사로 사명 변경 2000년대[편집] 2000년[편집] 02월 광주터미널 개장 03월 국내 최초 의류행거배송 서비스 실시 04월 마산터미널 개장, 전보택배 서비스 실시(한국통신) 06월 2010년 비젼 선포식(Millennium Best) 10월 국내최초 의류택배 전용 경안터미널 개장 12월 중앙일보 히트상품 선정 2001년[편집] 02월 한국일보 코리아 웹어워즈 우수상 수상 03월 인천 터미널 개장 04월 한국능률협회 대한민국 1위 웹사이트 선정 05월 한국산업단지공단 공동물류 지원사업 수주 06월 전자신문 2001년 상반기 히트상품 선정 08월 ISO 9001:2000 전부문 국제표준인증 획득 09월 서울북부터미널 개장 11월 전주터미널 개장 12월 전자신문 2001년 히트 인기상품 선정, 한국경제 소비자대상 수상, 서울경제 브랜드 경쟁력 1위 선정 2002년[편집] 09월 천안터미널 개장, 서울남부터미널 개장 2003년[편집] 06월 국내업계 최초1급 면허 중국현지법인설립(상해현대아륜국제화운유한공사) 08월 신택배시스템 HYDEX Ⅱ 오픈 12월 서울경제 베스트 히트상품 선정 2004년[편집] 01월 서울경제 히트 예감상품 선정 11월 한국 SCM대상 수상(대기업부문) 2005년[편집] 03월 한국 마케팅대상 수상(유통부문) 11월 중국 시노트랜스와 전략적 제휴 2006년[편집] 06월 종합물류업 1차 인증 획득 09월 독일 현지법인 설립(Hyundai Logistics GMBH) 10월 자본금 610억원으로 증자, 국내 최대 처리규모 대전HUB 터미널 개장 2007년[편집] 08월 인도 현지법인 설립(Hyundai Logistics India Private Limited.), 신선물류센터(오포) 개장 10월 서울세관과 남북교역물품 통관협력체제 MOU 체결 2008년[편집] 01월 영국 현지법인 설립(Hyundai Logistics UK.) 03월 베트남 현지법인 설립(Hyundai-Vinatrans Logistics), 중국홈쇼핑(아이즈비전) 물류시장 진출 06월 ISO 14001 환경경영체제 국제규격 인증 획득, 대한민국 신뢰경영 대상 수상 07월 양산터미널 신축 개장 2009년[편집] 10월 현대코스코로지스틱스 합작법인 설립 11월 부산신항 항만하역서비스 개시 2010년[편집] 3월 현대그룹 빌딩으로 사옥이전, 현대로지엠(주)로 사명변경 2012년[편집] 4월 현대로지스틱스(주)로 사명변경 6월 국토해양부 글로벌물류기업 육성대상 선정 11월 한국물류대상 대통령상 수상 2013년[편집] 1월 우수 물류창고업체 인증 12월 군포 터미널 신축(일처리능력 40만 박스) 2014년[편집] 7월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도매시장 시설 현대화산업 주요 사업[편집] 택배서비스: 개인, 기업 서비스, 첨단 택배 시스템 국내물류서비스: 컨테이너 운송, 벌크, 대북물자운송, 국내물류시스템 해운/항공서비스: 해운운송, 항공운송, 사이로직스시스템 TPL서비스: TPL서비스, TPL시스템 같이 보기[편집] 롯데그룹 현정은 각주[편집] ↑ 가 나 치킨게임 종료…활짝 갠 택배 시장, 현대로지스틱스 사모 펀드에 인수돼, 업계 1위 CJ대한통운 ‘강추’, 한국경제 Aug 12, 2014 ↑ 훨씬 싸니까 해외직구한다 2, 더 낮아지는 해외직구 장벽, 월간마이더스 2014년 7월호 외부 링크[편집] 롯데글로벌로지스 홈페이지 vdeh현대그룹관광 현대아산 에이블현대호텔앤리조트 현대종합연수원 제조업 현대엘리베이터 연구원· 자원 현대경제연구원 현대인재개발원 현대투자네트워크 이전 계열사 현대건설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 현대자원개발 현대상선 인천제철 현대미포조선 현대엔지니어링 현대해상화재보험 현대종합상사 현대정공 현투증권 현대투자신탁운용 현대캐피탈 현대오토넷 현대정유 금강 금강개발산업 기아자동차 동서산업 고려산업개발 하이닉스반도체 한국프랜지 한라건설 이미지퀘스트 문화일보 현대방송 현대로지스틱스 현대코스코로지스틱스 현대증권 현대저축은행 현대자산운용 동해해운 해영선박 현대부산신항만 대한알루미늄공업 현대시멘트 현대양행 방계기업 현대자동차그룹 현대중공업그룹 현대백화점그룹 HDC그룹 현대해상화재보험그룹 KCC그룹 한라그룹 서한그룹 기타 현대고등학교 현대차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 현대차 컨벤션 호텔 관련 항목 현대자동차그룹 현대중공업그룹 왕자의난 vdeh롯데그룹 창립: 1948년(일본), 1967년(대한민국) 창립자: 신격호(시게미쓰 다케오) 지주회사일본 롯데홀딩스 한국 롯데지주 식품일본 롯데 롯데건강산업 메리초콜릿컴퍼니 롯데리아 (일본) 크리스피 크림 도넛 재팬 긴자코지코너 롯데주류재팬 한국 롯데제과 롯데칠성음료 충북소주 CH음료 HUI 백학음료 MJA와인 롯데아사히주류 롯데푸드 롯데네슬레코리아 롯데GRS 롯데리아 (한국) 엔제리너스 T.G.I. 프라이데이스 크리스피 크림 도넛 나뚜루 버거킹 (일본) 유통, 미디어일본 롯데상사 미도리상사 롯데물산 고준샤 롯데면세점 패밀리 롯데온라인샵 한국 롯데쇼핑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토이저러스 (한국)) 롯데슈퍼 롭스 롯데하이마트 롯데시네마 (롯데엔터테인먼트) CS유통 (하모니마트, 굿모닝마트) 한국STL FRL코리아 (유니클로 (한국)) 디시네마오브코리아 NCF 롯데닷컴 시네마통상 시네마푸드 롯데역사 롯데상사 한국후지필름 무인양품 (한국) 코리아세븐 (세븐일레븐 (한국)) 우리홈쇼핑 (롯데홈쇼핑) 관광일본 롯데 미나요시다이 컨트리 클럽 롯데 가사이 골프 롯데호텔 롯데시티호텔 긴시초 한국 호텔롯데 롯데호텔 롯데시티호텔 롯데면세점 제주 롯데DF글로벌 롯데DF리테일 롯데월드 김해 롯데워터파크 롯데월드 아쿠아리움 롯데월드 키즈파크 롯데호텔부산 롯데JTB 롯데물산 인천종합버스터미널 석유·화학·건설·제조한국 롯데케미칼 롯데MCC 롯데미쓰이화학 롯데베르살리스엘라스토머스 롯데정밀화학 롯데BP화학 롯데첨단소재 롯데건설 롯데렌탈 (롯데렌터카) 롯데알미늄 롯데기공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한국후지필름 금융한국 롯데카드 롯데멤버스 롯데캐피탈 마이비카드 이비카드 (캐시비) 부산하나로카드 한페이시스 서비스·연구일본 롯데부동산 롯데서비스 롯데그린서비스 한국 롯데정보통신 현대정보기술 롯데피에스넷 롯데스카이힐C.C. 대홍기획 모비쟆미디어 엠허브 롯데자산개발 롯데수원역쇼핑타운 유니버셜자산관리 롯데송도쇼핑타운 롯데인천개발 롯데인천타운 롯데김해개발 롯데몰 롯데 피트인 롯데글로벌로지스 에스앤에스인터내셔날 롯데중앙연구소 롯데인재개발원 롯데미래전략센터 사회·문화·교육한국 롯데장학재단 롯데복지재단 롯데삼동복지재단 스포츠일본 지바롯데마린스 한국 롯데자이언츠 이전 계열사한국 롯데대산유화 KP케미칼 롯데제약 기린식품 롯데브랑제리 롯데전자 롯데주류BG 롯데우유 파스퇴르유업 롯데후레쉬델리카 웰가 롯데햄 롯데나뚜루 롯데스퀘어 롯데미도파 롯데손해보험 롯데공업 율촌인쇄 (구)롯데건설 국제신문 바이더웨이 방계기업일본 산사스 한국 농심그룹 푸르밀 동화면세점 SDJ코퍼레이션 BNK금융그룹 국제신문 BNF통상 관련인물 신격호 신춘호 신선호 신준호 신정희 신동빈 신동주 시게미쓰 하쓰코 서미경 신유미 신영자 장선윤 박정희 전두환 노신영 김현철 이명박 장경작 이인원 소진세 기시 노부스케 고다마 요시오 쓰쿠다 다카유키 고초 에이이치 고바야시 마사모토 황각규 송용덕 장훈 조치훈 웹사이트: lotte.co.kr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롯데글로벌로지스&oldid=24486217" 분류: 장외주식시장 지정 기업롯데그룹1988년 설립된 기업대한민국의 운수 기업서울특별시의 기업대한민국의 기업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Tiếng Việt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6일 (수) 14: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롯데글로벌로지스(주)(Lotte Global Logistics)는 대한민국의 운수 기업이다. 대한민국의 택배업에서 업계 1위인 CJ대한통운에 이어 업계 2위를 차지하고 있다. 본래 현대그룹의 계열사였으나 2014년 7월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현대로지스틱스 지분 전량(88.8%)을 이지스일호에 매각했다. 이지스일호는 롯데그룹 계열사 8곳과 현대상선, 일본계 사모펀드 오릭스가 현대로지스틱스를 인수하기 위해 만든 특수목적법인이다. 롯데그룹이 이지스일호가 보유하고 있던 현대로지스틱스의 지분 가운데 71%를 인수한 데 따라 현대로지스틱스의 경영권은 롯데그룹으로 넘어갔다. 2016년 12월 16일에 현대로지스틱스(주)에서 롯데글로벌로지스(주)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롯데글로벌지스는 어떤 역사를 가진 기업이야? Assistant: 1988년 6월 13일에 아세아상선 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 1993년 12월 현대물류 주식회사로, 1999년 12월에는 현대택배 주식회사로 바꾸었다가, 2010년 4월 현대로지엠 주식회사로 2012년 4월 '현대로지스틱스 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현대로지스틱스는 현대그룹의 핵심 기업인 현대엘리베이터의 대주주였다. 현대로지스틱스는 2014년 7월 일본의 사모펀드인 오릭스에 인수되었다. 현대로지스틱스는 부채가 동종업계의 타 회사에 비해 비교적 많은 편인데, 사모펀드는 기업의 외형적 성장보다는 내실 다지기를 중시하는 성향을 보이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이 해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택배 업계는 대표적인 레드오션으로 치열한 단가 인하 등 대형 업체들의 치킨 게임이 심한 분야인데, 2위 업체인 현대로지스틱스가 점유율 경쟁보다는 부채 해소 등 내실강화에 주력함으로써 택배 업계의 경쟁은 다소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1]
Human: 아래 중추신경계통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중추신경계통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추신경계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추신경계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뇌 2.중추신경계통 3.척수 중추신경계통(中樞神經系統, 영어: central nervous system; CNS)은 중추신경계라고도 부르며 두개골에 싸여있는 뇌와 척수를 포함하는 신경계로 말초신경계통(Peripheral Nervous System; PNS)과 함께 동물의 행동이나 신체 기작을 제어한다. 척추동물의 중추신경계통은 배아시기 관찰되는 속이 빈 등쪽 신경삭으로부터 유래하며 이와 같은 특징은 척삭동물의 계통적 특징이다. 목차 1 뇌 2 척수 3 진화 4 같이 보기 5 참고 자료 뇌[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뇌입니다. 뇌는 발생학적으로는 신경관의 앞쪽이 부풀어서 발달한 것으로, 대뇌·간뇌·중뇌·소뇌·연수의 5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연수의 끝은 척수와 연결되어 있다. 호흡, 순환, 심장박동, 소화 등의 생명활동과 직결된 작용을 조절하는 부위인 중뇌, 뇌교, 연수를 묶어서 뇌간(brain stem)이라고 한다. 뇌의 각 부분의 발달 정도는 동물의 진화 정도에 따라 다를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행동을 하는 동물의 종에 따라서도 차이를 볼 수 있다. 대뇌는 기억과 판단 등을 관장하는 정신활동의 중추이며 또한 감각과 수의운동의 중추로서, 대부분의 행동을 통합하고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고등 정신 작용의 중추이다. 그 작용은 신경 세포체가 모인 회백질에서 일어나는데, 대뇌의 단면을 보면 바깥쪽 부분(피질)은 회백색, 속부분(수질)은 백색을 띠고 있어서 회백색 부분은 '회백질', 백색 부분은 '백질'이라고 한다. 회백질부는 신경 세포체가 많이 모여 있고, 백질부는 축색 돌기가 많은 부분이다. 대뇌피질은 감각영역과 연합영역,운동영역으로 나뉘며 감각영역은 구심성뉴런을 통한 일반감각과 특수감각을 인지한다. 운동영역의 경우 크게 두가지 경로로 나뉘며 추체로와 뇌간로가 이에 속한다. 전자의 경우 다듬어지지않은 운동형태로 나타나며 아주 기본적으로 설계된 운동을 수행한다.뇌간로에서는 이와같은 운동을 정교하고 세심하게 교정하는데 주변환경과 감정적 요소들을 고려한다.연합영역은 위의 두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를 말하며 보통은 감각과 운동영역을 통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소뇌는 뇌교와 연수의 뒤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뇌 반구로 덮여있다. 소뇌는 신체와 대뇌 운동영역의 중계자 역할을 하며 몸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중추이며, 약 120g의 무게를 가지고 있다. 소뇌의 주요 기능은 신체 각부의 수의근의 수축과 이완을 조절하는 역할과 자세와 평형감각 정보를 받아들여 신체의 평형을 조정한다. 한편, 운동학습 기능이 있어 연습이나 훈련에 의한 운동패턴을 기억하여 숙련된 운동에 대하여는 대뇌피질의 명령이 아닌 소뇌가 직접 주관하여 말초조직에 명령을 전달한다. 간뇌는 중뇌의 앞쪽으로 이어져 좌우 대뇌 반구 사이에 위치하며, 항상성을 유지하는 작용을 하는 자율신경계와 내분비계의 중추이다. 시상, 시상상부 및 시상하부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시상하부는 자율신경계의 최고 중추이다. 시상상부는 성과 생식계의 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대표적으로 송과체를 예로 들 수 있는데 송과체는 성선의 조기발육을 억제하는 호르몬을 분비한다.뇌간에는 중뇌,뇌교,연수가 포함된다.중뇌는 뇌교와 소뇌 위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안구의 운동을 조절하며, 소뇌와 함께 자세 유지에 관여한다.뇌교는 중뇌와 연수 사이에 위치해 연결한다.연수에는 침분비·기침·재채기의 반사·호흡·순환 운동 등의 조절 중추가 있다. 또, 연수에는 대뇌의 좌우 반구에서 나가는 신경 섬유(수의 운동에 관한 신경)의 80% 정도가 교차된다. 나머지 20%는 척수 내에서 교차하므로, 대뇌의 우반구는 몸의 좌반신을, 좌반구는 우반신을 지배하게 된다. 척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척수입니다. 척수는 연수에 이어진 신경 중추로서 척추 속에 들어 있다. 척수는 대뇌와는 반대로, 바깥쪽(피질)이 백질, 안쪽(수질)은 H자 모양의 회백질로 되어 있다. 백질은 주로 축색 돌기(신경 섬유)로 이루어지며, 회백질은 신경 세포체가 모여 있어서 시냅스는 이 부분에 집중되어 있다. 척수의 백질에서는 배쪽과 등쪽에서 좌우 1쌍의 척수 신경이 갈라져 나오는데, 배쪽으로 나온 신경은 전근(복근)으로서 운동 신경으로 되어 있고, 등쪽으로 나온 신경은 후근(배근)으로서 감각 신경으로 되어 있다. 전근과 후근은 척추 안에서 하나가 되고, 척추를 나와 각각 근육이나 감각기에 분포한다. 척수는 뇌와 감각 기관이나 근육 등에 분포하는 말초 신경 사이를 연락하는 작용 외에, 무조건 반사의 중추로서 연수·간뇌 등의 지배를 받아 땀·젖분비 및 배변·배뇨 등의 작용을 하고 무릎 반사에도 관계한다. 진화[편집] 해면동물을 제외한 모든 동물은 신경계를 가지고 있지만, 편형동물부터 활발한 움직임을 필요로 하게 되어 두화가 일어나게되며 신경세포들이 개체의 앞쪽으로 집중되어 뇌와 신경삭을 이루게 되었다. 관상 신경계는 원색동물인 창고기 등에서도 볼 수 있지만, 뇌와 척수가 뚜렷이 구별되는 것은 척추동물 가운데 원구류 이상인 동물에서이다. 원구류 먹장어 등의 원구류의 경우, 연수는 다른 척추동물의 것과 비슷하고, 또 중뇌·간뇌·단뇌(端腦) 및 후구 등도 구별되지만 소뇌는 형성되어 있지 않든가 있어도 아주 작다. 연골어류 연골어류의 상어류에서는 후각기의 발달과 더불어 단뇌(후엽)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또 소뇌도 현저하게 발달되어 있다. 간뇌나 중뇌는 뇌의 등쪽에서는 거의 볼 수 없다. 경골어류 경골어류는 생활 양식에 따라 뇌의 발달도 다양하다. 단뇌는 대부분이 후각의 중추로 후뇌 또는 후엽이라 불리며, 후구·후색 등의 돌기물이 분화되는 것도 있다. 특히, 간뇌의 하면에는 뇌하수체나 혈맥층이라 불리는 구조가 있는데, 혈맥층은 혈관이 많은 부속물로 수압에 의해 수심을 감지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양서류 양서류는 계통적으로는 어류보다도 발달한 동물이지만, 뇌의 발달면에서는 오히려 원시적인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다. 그러나 단뇌는 고등한 척추 동물의 기본 요소를 가지고 있어서, 등쪽 부분에는 대뇌 피질로 발달된 조직이 나타나 있다. 단뇌의 대부분은 후각 중추이나, 배쪽 부분에는 대뇌핵이 길게 발달되어 있어서 후각 이외의 각종 구심성 회로의 중추 역할을 한다. 소뇌는 동물에 따라 다르지만, 개구리 등에서는 평형 감각의 발달과 함께 소뇌도 잘 발달되어 있다. 파충류 파충류는 소뇌가 작은 것이 특징적이다. 중뇌는 시각과 관계되는 시엽(視葉)과, 그 뒤쪽에 청각에 관계되는 1쌍의 융기가 생김으로써 '사구체(四丘體)'라고 하는 구조가 처음으로 나타난다. 단뇌는 양서류보다 더욱 발달되는데, 포유류에서 볼 수 있는 신피질의 근원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대뇌핵과 구피질과의 구별도 뚜렷해져 처음으로 뇌실을 가진 대뇌 반구가 나타난다. 조류 조류는 전뇌, 즉 대뇌·간뇌가 두드러지게 발달되는데, 이것은 대뇌핵의 선상체가 발달한 것으로, 피질은 파충류에 비해 그다지 진보되지 않았다. 그러나 사물을 잘 보므로 시엽이 두드러지게 발달하여, 간뇌의 양쪽에 튀어나오게 된다. 포유류 포유류에는 다른 척추동물에 비해 대뇌가 현저하게 발달되어 있다. 대뇌 이하의 부분, 즉 간뇌·중뇌·연수는 '뇌간'이라 하여 대뇌와 구별한다. 대뇌는 고등 동물일수록 잘 발달하며, 그 대부분은 대뇌 피질로 되어 있다. 대뇌의 표면에는 주름이 있는데, 고등한 동물일수록 주름이 많아진다. 간뇌는 대뇌 바로 아래쪽에 위치하는데, 간뇌의 시상(視床)도 대뇌 피질의 발달에 따라 현저하게 발달한다. 소뇌는 대뇌에서 뇌간을 통하여 척수로 연결되는 신경으로부터 옆으로 빠져나와 있는 것으로, 대뇌처럼 좌우 양반구로 나뉘어 있다. 소뇌도 대뇌가 발달함에 따라 신소뇌에 의한 소뇌 반구가 형성되는데, 이것은 2차적으로 생긴 것으로 여겨진다. 같이 보기[편집] 말초신경계통 참고 자료[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중추신경계통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vdeh신경계통중추신경계통 뇌척수막척수뇌: 마름뇌(숨뇌, 다리뇌, 소뇌) 중간뇌 앞뇌(사이뇌, 대뇌) 말초신경계통몸신경계통 감각신경 운동신경 뇌신경 척수신경 자율신경계통 교감신경계통 부교감신경계통 창자신경계통 전거 통제 GND: 4067637-7 NDL: 0098965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중추신경계통&oldid=23864031" 분류: 신경계통신경과학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ܐܪܡܝܐঅসমীয়াAsturianu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DanskDeutschދިވެހިބަސް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TaqbaylitҚазақшаКыргызчаLatinaLingála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తెలుగు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5일 (금) 14: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중추신경계(中樞神經系, 영어: central nervous system; CNS)는 중추신경계(中樞神經系統)로도 부르며 두개골에 싸여있는 뇌와 척수를 포함하는 신경계로 말초신경계(末梢神經系統, Peripheral Nervous System; PNS)과 함께 동물의 행동이나 신체 기작을 제어한다. 척추동물의 중추신경계는 배아 시기 관찰되는 속이 빈 등쪽 신경삭으로부터 유래하며 이와 같은 특징은 척삭동물의 계통적 특징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대뇌, 간뇌, 중뇌, 소뇌, 연수의 발달 정도는 무엇에 따라 차이가 있을까? Assistant: 동물의 진화 정도에 따라 다를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행동을 하는 동물의 종 Human: 아래 고대_그리스의_과학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고대 그리스의 과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대 그리스의 과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플라톤(좌측)과 아리스토텔레스(우측). 과학사 배경 이론과 사회학 역사학 의사과학 시대별 고대 문화 고대 그리스 중세 르네상스 과학 혁명 낭만주의 문화별 아프리카 비잔티움 중국 인도 중세 이슬람 자연 과학 천문학 생물학 식물학 진화학 생태학 고생물학 화학 지질학 물리학 지구물리학 수학 대수학 미적분학 조합학 기하학 논리학 확률 통계학 삼각법 사회 과학 인류학 경제학 지리학 언어학 정치 과학 심리학 사회학 지속 가능성 기술 농과학 컴퓨터 과학 재료 과학 공학 의학 인의학 수의학 해부학 신경과학 신경학 영양학 병리학 약학   연표 포털 분류 v • d • e • h 고대 그리스 전성기의 0소크라테스나 플라톤과 같은 철학자들의 관심은 인간의 사회나 윤리 문제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런데 이들 이전에 자연을 이루고 있는 근본 물질이 무엇9이며, 이 물질들이 어떤 성질을 지니고 있어 자연 현상을 일으키게 되는가 하는 문제들에 관심을 보였던 학자들이 있었다. 즉, 보다 더 이전의 신화 시대에 자연 현상을 대체로 초자연적인 존재의 탓으로 돌리던 관습에서 벗어나서, 이들 소크라테스 이전의 학자들은 자연 안에서 자연 현상의 원인 또는 기원을 찾았다. 이런 뜻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들을 자연철학자라 불렀으며, 따라서 자연 철학 또는 과학이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되었다고 간주된다. 목차 1 소크라테스 이전의 자연철학자들 2 플라톤 3 아리스토텔레스 4 함께보기 5 참고문헌 6 주해 및 인용자료 소크라테스 이전의 자연철학자들[편집] 아리스토텔레스는 최초의 자연철학자로 밀레토스 지역 출신의 탈레스를 꼽았다. 탈레스는 만물의 근원의 물이라는 의견을 제시하면서, 지진이 일어나는 원인을 물 위에 떠 있는 땅덩이의 흔들림으로 설명하려 하였다. 이는 이전의 고대인들이 흔히 신의 분노와 같은 초자연적 설명에 그쳤던 자연 현상들의 원인을 자연 안에서 찾아보려는 시도였다. 이어서 아낙시만드로스는 만물의 근원으로 구체적인 물질이 아닌 추상적 개념인 ‘무한자’개념을 제시하였으며, 아낙시메네스는 만물의 근원인 ‘공기’이며 만물은 이 공기가 희박해지거나 밀집되면서 생겨난다고 주장했다. 아마도 이들은 물질의 근원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자연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서 이러한 주장을 펼쳤을 것이다. 이들에게 만물이 끊임없이 변하는 것은 당연한 사실로 여겨졌다. 헤라클레이토스는 이를 매우 극적으로 표현하였는데, “모든 것은 흐른다”라는 유명한 문구 속에 이러한 입장이 잘 드러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이탈리아 지역인 엘레아 지방 출신인 파르메니데스는 자명해 보이는 만물의 변화를 부정하면서 존재는 유일한 것이고 변화하거나 운동할 수 없는 것이라는 기묘한 명제를 제시했다. 이는 일견 터무니 없는 주장처럼 보이지만, 그의 제자인 제논이 도전적으로 제시한 몇 가지 역설[1]들은 변화를 자명한 것으로 보는 인간의 감각 경험을 논리적으로 설명해 내기가 쉬운 일이 아님을 보여준다. 엠페도클레스는 만물을 이루는 근원으로 흙, 물, 불, 공기의 네 ‘뿌리’를 지세했다. 이 뿌리들이 ‘사랑’의 힘으로 결합하여 만물을 이루고, 이들이 분해되면 다시 이 네 종류의 뿌리로 되돌아간다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받아들인 ‘4원소설’은 근대 화학이 탄생하기까지 약 2천 년 간 서양인들의 물질관을 지배해 왔다. 그리고 이 아리스토텔레스의 물질관은 르네상스에 이르기까지 서양인들의 우주관, 운동관 등과 결합하여 정연한 자연관의 체계를 이루었다. 레우키포스와 데모크리토스는 ‘물질을 계속 쪼개어 나가면 최종적으로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원자에 이르게 된다.’는 원자설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물질관에서는 입자들이 무질서하고 기계적인 운동이 가정되고 입자 사이의 진공 개념이 전제되기 때문에 근대 이전에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창조주가 의미 없는 진공을 만들 이유가 없다고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플라톤[편집]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의 주된 관심사는 인간사(人間事)에 대한 것이었다. 그러나 인간사에 대한 그의 논의들을 뒷받침하기 위한 자연 철학의 내용을 다룬 대화편인 티마이오스는 중세의 자연철학적 논의뿐만 아니라 근대 및 현대과학의 성격에도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중세부터 15세기 후반까지도 플라톤의 저작 중 유일하게 널리 알려져 있던 플라톤의 대화편이 바로 티마이오스였는데, 이 책이 기독교의 창조주를 연상하게 하는 우주를 설계해 낸 데미우르고스를 논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사실, 플라톤의 데미우르고스는 기독교의 창조주와는 전혀 다른 존재였다. 데미우르고스는 우주를 만들어 낸 창조주가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혼돈 속의 물질에 질서와 조화를 가하여 우주를 다듬어 낸 장인으로 인식된다. 그렇지만 기독교 문명권에서의 후세 과학자들은 우주 속에서 창조자의 계획과 목적 그리고 그 창조물이 보여줄 조화와 균형을 찾으려 집착했다. 이 때문에 과학의 역사 곳곳에서 플라톤의 영향이 미쳐있다. 플라톤은 우주를 구성하는 근본 물질로 4원소설을 수용하고, 설계자 데미우르고스가 우주에 질서를 부여하여 이 4가지 원소를 만드는 과정을 다소 길게 논한다. 즉, 이들 4원소를 가장 간단한 입체 도형으로 설명하는 기하학적 원소론을 제시한다. 플라톤은 흙은 정육면체, 불은 정사면체, 공기는 정팔면체, 물은 정십이면체라고 주장하면서 흙을 제외한 나머지 3개의 원소들은 그들을 이루고 있는 기하학적인 성분들의 이합집산을 통하여 그 구성 성분이 바뀔 수 있는 것으로 그린다. 또한, 그는 가장 완벽한 도형은 원이라 간주하고 천체의 운동은 원운동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인 물질 대신 추상적인 기하학적 도형으로 물질의 근원을 나타낸 플라톤의 태도는, 파르메니데스와 마찬가지로 지각 경험보다는 이성적인 추론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의미를 지닌다. 예를 들어, 우리의 감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칠판 위에 그려진 원은 우리의 마음 속에 존재하는 개념으로서 원과 같이 온전하지 못하며, 따라서 지각 경험보다는 합리적 추론에 근거한 지식이 진정한 지식이라는 것이다. 파르메니데스가 감각 경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지식이란 피상적이고 불완전함을 보여주려 했듯이, 플라톤 역시 감각을 통해 얻은 지식이란 어차피 불완전한 것임을 말하고자 했다. 이러한 플라톤의 태도는 후대 과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를 들어, 17세기 갈릴레이가 자연 현상을 수학적인 언어로 그려내려는 태도에서 이러한 플라톤의 영향을 읽을 수 있다. 그리고 20세기 현대 물리학의 형성 과정에서 하이젠베르크 역시 자신의 물리학적 상상력은 플라톤의 기하학적 물질관의 영향을 받았다고 강조한다. 아리스토텔레스[편집] 20년 가까이 플라톤의 아카데미에서 공부한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이 쓰기 시작한 많은 용어나 개념들을 사용하게 된다는 점에서도 플라톤의 제자임이 명백하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지식이란 어떠한 사실의 근거가 되는 원인들을 알고 있으며, 그것이 달리 설명될 수 없다는 논증이 이루어져야만 참된 지식일 수 있다는 다분히 기하학적인 지식관을 매우 정교한 논리를 통해 펼쳐 나간다. 지식을 만들어 내는 도구라는 뜻으로 통틀어서 ‘기관(Organon)’이라고 불렸던 논리학 저술들이 바로 이러한 기하학적 도구가 잘 드러나 있는 글들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적 태도 역시 플라톤의 유산처럼 보인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자연현상을 이해한다는 것은 그 현상의 원인들을 아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가 보기에 소크라테스 이전의 자연철학자들은 지나치게 현상의 물질 원인에 집착하였으며, 플라톤은 지나치게 물질이 지닌 형상 또는 개념에 집착했다. 그런데 아리스토텔레스는 진정한 원인의 이해란 그 자연 현상의 물리적 원인이나 형상뿐만 아니라 그 작용, 그리고 그 무엇보다도 그러한 현상이 무엇을 이루게 되는가 하는 목적을 아는 것이라고 말하며, 추구해야 할 지식의 폭을 확장했다. 모든 자연 현상의 원인을 추적해서 설명하고자 했던 아리스토텔레스는 당시까지 알려져 있던 중요한 학자들의 자연관을 분석, 비판해가면서 그 후 2천년 가까이 서양 문명을 주도하는 우주관, 물질관, 변화관을 창현해 낸다. 우선 그는 엠페도클레스의 4원소설을 받아들인다. 지상의 물질은 이 4가지원소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중 불과 공기는 지구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성질을 지니며, 흙과 물은 지구의 중심으로 향하는 본성을 지닌다. 그러므로 우주는 지구와 이를 중심으로 하여 동심원을 그리며 선회하는 달과 해, 행성들, 항성들 및 이들을 움직이게 하는 천구들로 이루어진다. 하늘 위의 행성이나 항성은 지상의 4가지 원소들과 달리 지구를 중심으로 하여 원을 기리는 원운동을 보이므로 지상의 4가지 원소와는 다른 제5원소라 이름을 붙였다. 따라서 위로 또는 아래로 움직이는 4원소를 지닌 지상계와 언제나 원운동이나 원운동들의 결합으로 나타나는 제5원소로 이루어진 천상계라는 두 구조로 이루어진 우주관이 형성되는 셈이다. 그는 또한 플라톤과 달리 물질의 근원인 4원소를 도형이 아닌 성질로 파악하였다. 즉, 그는 따뜻함 - 차가움과 축축함 - 건조함의 두 쌍의 성질을 바탕으로 해서 흙(차가움과 건조함), 물(차가움과 축축함), 공기(따뜻함과 축축함), 불(따뜻함과 건조함) 등 4원소의 성질들을 연결시켰다. 이것으로 그는 물이 가열되면 물의 차가운 성질이 따뜻한 성질에 굴복해서 공기로 변화한다는 식으로 물질의 변화를 설명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모든 변화를 운동으로 파악했다. 그에 의하면 모든 운동에는 ‘원인 운동’이 있어야 하며, 원인은 직접적으로 작용해야 한다고 보았다. 지상에서의 운동에는 2가지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자연스러운 운동’이고 다른 하나는 ‘강제 운동’이다. 자연스러운 운동은 물체가 지닌 본래의 속성으로, 가벼운 것은 본연의 위치인 위쪽으로 올라가고 무거운 것은 아래쪽 땅으로 내려가는 직선 운동이다. 강제 운동은 반드시 외부에서 운동 원인이 접촉해서 작용하는 것으로 던져진 물체의 운동이 여기에 속한다. 함께보기[편집] 과학사 헬레니즘, 알렉산드리아와 로마의 자연과학 참고문헌[편집] 그림으로 보는 시간의 역사, 까치, 1998, ISBN 8972911976 로마 기원에서부터 2000년까지, 법문각, 1991 주해 및 인용자료[편집] ↑ 「David C. Lindberg,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에서 “‘날아가는 화살은 과녁에 당도할 수 없다.’는 제논의 역설은 감각을 통해 얻은 상식적인 경험 지식을 논리적으로 확인하는 것은 간단한 일이 아님을 보여준다.” vdeh고대 그리스역사 에게 문명 키클라데스 문명 미노스 문명 미케네 문명 그리스 암흑기 그리스 고졸기 그리스 고전기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로마 제국 시대의 그리스 지리 고대 그리스 식민지 다르다넬스 해협 델로스섬 델포이 도리스 로도스섬 마그나 그라이키아 마케도니아 왕국 밀레토스 스파르타 아이올리스 아테나이 안티오케이아 알렉산드리아 에게해 에페소스 에페이로스 올림피아 이오니아 이오니아해 코린토스 크레타 키프로스 테바이 테르모필라이 트로이아 페르가몬 펠로폰네소스반도 폰토스 생활 경제 교육 노예 제도 농업 민주주의 매춘 법률 신화 올림픽 음식 전쟁 종교 철학 축제 포도주 종교 다신교 밀의종교 디오니소스 엘레우시스 오르페우스 신플라톤주의 영지주의 사후 세계 인물철학자 고르기아스 데모크리토스 디오게네스 레우키포스 소크라테스 아낙사고라스 아낙시만드로스 아낙시메네스 아리스토텔레스 안티스테네스 에피쿠로스 에픽테토스 엠페도클레스 이암블리코스 제논 (엘레아) 제논 (키티온) 카르네아데스 크라테스 크리시포스 크세노파네스 클레안테스 탈레스 테아노 테오프라스토스 트라시마코스 파르메니데스 포르피리오스 포세이도니오스 프로타고라스 플로티노스 플라톤 피론 피타고라스 헤라클레이토스 히피아스 작가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 루키아노스 메난드로스 바킬리데스 사포 소포클레스 스트라본 시모니데스 아라토스 아르케스트라토스 아리스토파네스 아이소포스 아이스킬로스 아폴로도로스 에우리피데스 칼리마코스 크세노폰 테스피스 투키디데스 폴리비오스 플루타르코스 핀다로스 헤로다스 헤로도토스 헤시오도스 호메로스 수학자·과학자 디오판토스 마리노스 메나이크모스 아르키메데스 아리스타르코스 아폴로니오스 에라토스테네스 에우독소스 에우클레이데스 코논 테오도로스 프톨레마이오스 헤론 히파르코스 히파소스 히파티아 히포크라테스 정치가·웅변가 데모스테네스 레오니다스 리산드로스 리쿠르고스 솔론 아리스티데스 알렉산드로스 알키비아데스 에우메네스 크리티아스 키몬 테미스토클레스 티몰레온 페리클레스 프톨레마이오스 피로스 건축 사모트라키섬의 신전군 아고라 아르테미스 신전 아크로폴리스 제우스 신전 파르테논 신전 헤파이스토스 신전 예술 건축 도자기 문학 연극 음악 조각 주화 과학 과학 기술 수학 의학 천문학 언어 원시 그리스어 미케네어 호메로스 그리스어 고대 그리스어 방언《도리스 로크리스 마케도니아 아르카디아 아이올리스 아티케 이오니아 팜필리아》 코이네 그리스어 문자 선문자 A 선문자 B 그리스 문자 쿠마이 문자 vdeh과학사고대의 과학 고대 그리스의 과학 헬레니즘, 알렉산드리아와 로마의 자연과학 중세의 과학 조선 시대의 전통 과학 기술 이슬람 세계의 과학 중세 유럽의 과학 과학 혁명 코페르니쿠스 혁명 고전 역학의 혁명 근대 과학 근대 화학의 성립 물리학의 발전 지질학의 발전 진화와 유전 개념의 변화 과학의 제도화 기술의 발전 동양의 근대 과학 현대 과학 현대물리학 현대 화학 현대 지구과학 현대 생물학 한국의 현대 과학 연관문서 중국의 수학 중세 대학 스콜라 철학 과학학 과학철학 과학 방법론 과학적 방법 박물학 물리학사 천문학의 역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고대_그리스의_과학&oldid=22397988" 분류: 고대 그리스의 과학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SuomiFrançaisItalianoLingua Franca NovaNederlandsPortuguêsРусский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5일 (토) 10: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고대 그리스 전성기의 소크라테스나 플라톤과 같은 철학자들의 관심은 인간의 사회나 윤리 문제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런데 이들 이전에 자연을 이루고 있는 근본 물질이 무엇이며, 이 물질들이 어떤 성질을 지니고 있어 자연 현상을 일으키게 되는가 하는 문제들에 관심을 보였던 학자들이 있었다. 즉, 보다 더 이전의 신화 시대에 자연 현상을 대체로 초자연적인 존재의 탓으로 돌리던 관습에서 벗어나서, 이들 소크라테스 이전의 학자들은 자연 안에서 자연 현상의 원인 또는 기원을 찾았다. 이런 뜻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들을 자연철학자라 불렀으며, 따라서 자연 철학 또는 과학이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되었다고 간주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엠페도 클레스가 제시한 네가지 만물의 근원은? Assistant: 흙, 물, 불, 공기
Human: 아래 밀레니엄_개발_목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밀레니엄 개발 목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밀레니엄 개발 목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밀레니엄 개발 목표 (뉴욕) 밀레니엄 개발 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는 UN에서 2000년에 채택된 의제로, 2015년까지 세계의 빈곤을 반으로 줄인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목차 1 8대 목표 2 8대 목표별 주요 지표 3 21개 세부 목표 4 같이 보기 5 외부 링크 8대 목표[편집] 절대빈곤 및 기아 근절 보편적 초등 교육 실현 양성평등 및 여성능력의 고양 아동사망률 감소 모성보건 증진 AIDS, 말라리아 등 질병 예방 지속가능한 환경 확보 개발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쉽 구축 8대 목표별 주요 지표[편집] 1일 소득 1.25달러 미만 인구 반감 모든 혜택 부여 모든 교육수준에서 남녀차별 철폐 5세 이하 아동사망률 2/3 감소 산모사망율 3/4 감소 말라리아와 AIDS 확산 저지 안전한 식수와 위생환경 접근 불가능 인구 반감 MDGs 달성을 위한 범지구적 파트너쉽 구축 21개 세부 목표[편집] 1990년에서 2015년까지 하루 1불 이내의 소득으로 생활 하는 사람들의 비율을 절반으로 감소시킨다 완전하고 생산적인 고용 및 여성과 청년층을 포함한 모두에게 '일다운 일자리'(decent work)를 제공한다. 1990년에서 2015년까지 기아로 고통 받는 사람들의 비율을 절반 수준으로 감소시킨다. 2015년까지 전 세계 모든 남녀 어린이들이 동등하게 초등교육 전 과정을 이수하도록 한다. 2005년까지 초등교육과 중등교육에 대한 성별 불균형을 없애고, 2015년까지 모든 수준의 교육에서 성별 균형에 도달한다. 2015년까지 1990년 기준 5세 미만 유아사망률의 2/3를 감소시킨다. 2015년까지 1990년 기준 산모사망률의 3/4를 감소시킨다. 2015년까지 모든 여성이 출산 시 건강관리를 받을 수 있게 한다. 2015년까지 HIV/AIDS 확산을 멈추고 감소세로 돌려놓는다. 2010년까지 HIV/AIDS 치료를 원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보편적 접근권을 이룩한다. 2015년까지 말라리아 및 다른 주요 질병의 발생을 막고 감소세로 전환시킨다. 지속가능 발전의 원칙을 국가 정책과 계획에 통합시키고 유실된 환경자원을 회복시킨다. 생물 다양성 손실을 줄이며 급속도로 진행되는 멸종율을 2010년까지 완화시킨다. 2015년까지 안전한 식수와 기본적인 위생 시설에 접근하지 못하는 인구 비율을 절반으로 줄인다. 2020년까지 빈민가에 거주하는 적어도 1억 명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최빈국의 특별한 요구를 다룬다. 최빈국, 내륙국가, 소규모 도서개발도상국의 특별한 필요를 다룬다. 개방적이고 공정하며 예측가능하고 비차별적인 무역과 금융시스템을 더욱 발전시킨다. 개발도상국의 외채문제를 포괄적으로 취급한다. 제약회사와 협력하여 필수의약품을 개발도상국에 적정가격으로 제공한다. 민간부문과 협력하여 개발도상국이 신기술, 특히 정보통신기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한다. 같이 보기[편집] 지속가능 개발 목표 외부 링크[편집] 밀레니엄 개발 목표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밀레니엄 개발 목표 vdeh 유엔주요 기구 총회(→ 의장) 안전 보장 이사회(→ 이사국) 경제 사회 이사회 신탁 통치 이사회 국제사법재판소 사무국 사무총장 사무부총장 주요 본부 뉴욕 (본부) 나이로비 빈 제네바 기금 및 계획 유니세프(UNICEF) 유엔 개발 계획(UNDP) 유엔 난민 기구(UNHCR) 세계 식량 계획(WFP) 유엔 마약 범죄 사무소(UNODC) 유엔 인구 기금(UNFPA) 유엔 무역 개발 회의(UNCTAD) 유엔 환경 계획(UNEP) 유엔 팔레스타인 난민 구호 사업 기구(UNRWA) 유엔 여성기구(UN Women) 유엔 인간 주거 계획(UN-Habitat) 전문 기구 세계은행(World Bank) 국제 통화 기금(IMF) 세계 보건 기구(WHO) 유네스코(UNESCO) 국제 노동 기구(ILO) 식량 농업 기구(FAO) 국제 농업 개발 기금(IFAD) 국제 해사 기구(IMO) 세계 기상 기구(WMO) 세계 지식 재산권 기구(WIPO) 국제 민간 항공 기구(ICAO)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 유엔 산업 개발 기구(UNIDO) 만국 우편 연합(UPU) 세계 관광 기구(UNWTO) 기타 기구 유엔 에이즈 합동 계획(UNAIDS) 유엔 재해 경감 국제 전략(UNISDR) 유엔 프로젝트 조달 기구(UNOPS) 관련 기구 국제 원자력 기구(IAEA) 세계 무역 기구(WTO)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 기구(CTBTO) 화학 무기 금지 기구(OPCW) 국제 형사 재판소(ICC) 국제 무역 센터(ITC) 회원국 정회원 옵서버 역사 국제 연맹 대서양 헌장 연합국 공동 선언 유엔(UN) 회원국 확장의 역사 결의안 총회 결의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관련 항목 유엔 헌장 유엔기 유엔의 날 국제 기념일 유엔 글로벌 콤팩트 유엔 기념 공원 밀레니엄 개발 목표 지속가능 개발 목표 유엔 대학교 이 글은 유엔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밀레니엄_개발_목표&oldid=22362647" 분류: 경제 지표개발빈곤유엔사회경제학공문서숨은 분류: 유엔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Bamanankanবাংলা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हिन्दी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ҚазақшаLatina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Bahasa Melayu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ਪੰਜਾਬੀ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2일 (수) 17: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밀레니엄 개발 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는 UN에서 2000년에 채택된 의제로, 2015년까지 세계의 빈곤을 반으로 줄인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밀레니엄 개발목표에서 초등과 중등교육에 대한 성별 불균형을 몇년도까지 없애기로 목표했는가? Assistant: 2005년 Human: 아래 예문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예문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예문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예문관(藝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다. 칙령과 교명을 기록하는 일을 관장하였다. 목차 1 기능 2 연혁 3 구성 4 각주 5 같이 보기 기능[편집] 칙령(勅令)[1]과 교명(敎命)[2]을 관장하였으며 봉교 이하의 관원들은 번을 갈라 승지와 함께 궁중에서 숙직하며 조회,조참,상참,수대 등 정례행사와 백관회의 등 기타 중대회의에 참석하여 회의록을 기록, 사초(史草)를 작성하고 시정기(時政記)를 편찬하여 실록편찬의 자료를 편찬하였다. 요즈음의 방송통신위원회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해당한다. 연혁[편집] 예문관은 고려시대에 처음 등장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제찬과 사명에 관한 일을 관장하였으며 뒤에 한사원, 한림원으로 고쳤다. 그후로도 문한서, 사림원, 예문춘추관으로 불리다가 1325년(충숙왕 12년)에 춘추관을 분리하여 예문관으로 하였다. 1356년(공민왕 5년)에 다시 한림원으로 개칭되었다가 1362년(공민왕 11년)에 다시 예문관으로 환원되었으나 1389년(공양왕 1년)에 춘추관과 합하여 다시 예문춘추관으로 개편되어 조선에 이어졌다. 그렇게 조선에서도 고려의 제도를 따라 예문춘추관으로 지속되던 중 1401년(태종 1년)에 춘추관을 분리하여 예문관으로 개편하였다. 그 후 1478년(성종 9년)에 집현전에 의거하여 홍문관과 분리, 개편하여 대우를 극진히하였으나 세종대의 집현전에 이르지 못하였다. 예문관은 이후 1894년(고종 31년)에 갑오개혁 때 경연청(經筵廳)에 병합되었다. 구성[편집] 품계 관직 정원 비고 정1품 영사(領事) 1명 영의정(領議政) 겸직(兼職) 종1품 정2품 대제학(大提學) 1명 겸직(兼職) 종2품 제학(提學) 1명 겸직(兼職) 정3품(당상) 부제학(副提學) 1명 정3품(당하) 직제학(直提學) 1명 승정원(承政院) 도승지(都承旨) 겸직(兼職) 종3품 정4품 응교(應敎) 1명 홍문관(弘文館) 관원 겸직(兼職) 종4품 정5품 종5품 정6품 종6품 정7품 봉교(奉敎) 2명 춘추관(春秋館) 기사관(記事官) 겸임(兼任) 종7품 정8품 대교(待敎) 2명 춘추관(春秋館) 기사관(記事官) 겸임(兼任) 종8품 정9품 검열(檢閱) 4명 춘추관(春秋館) 기사관(記事官) 겸임(兼任) 종9품 정4품 응교는 홍문관 직제학(정3품 당하)에서 교리(정5품) 중 뽑아서 겸직함. 각주[편집] ↑ 임금이 관부에 내리는 명령 ↑ 왕비•왕세자•왕세자빈 등을 책봉할때 내리는 훈유문서(가르침과 경계의 글) 같이 보기[편집] vdeh 조선의 통치 기구의정부 / 비변사 승정원 의금부 사헌부 사간원 집현전 규장각 훈련도감 포도청 한성부 개성부 종친부 충훈부 의빈부 돈녕부 봉조하 중추부 내금위 겸사복 오위 경연 이조 충익부 내시부 상서원 종부시 사옹원 내수사 액정서 호조 내자시 내섬시 사도시 사섬시 군자감 제용감 사재감 풍저창 광흥창 전함사 평시서 사온서 의영고 장흥고 사포서 양현고 오부 예조 홍문관 예문관 성균관 춘추관 승문원 통례원 봉상시 교서관 내의원 예빈시 악학 관습도감 악학도감 장악원 관상감 전의감 사역원 세자시강원 세손강서원 종학 소격서 종묘서 사직서 빙고 전생서 사축서 도화서 혜민서 활인서 귀후서 사학 문소전 연은전 기자전 병조 5위 훈련원 사복시 군기시 전설사 세자익위사 세손위종사 형조 장례원 전옥서 공조 상의원 선공감 수성금화사 전연사 장원서 조지서 전설서 와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예문관&oldid=20120573" 분류: 조선의 행정기관예조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7년 11월 22일 (수) 14: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예문관(藝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다. 칙령과 교명을 기록하는 일을 관장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예문관 정1품 관직 영사의 정원은 몇명인가? Assistant: 1명
Human: 아래 스미다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스미다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미다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미다 구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스미다 구 스미다 구의 위치 한자 표기 墨田区 가나 표기 すみだく 나라 일본 지방 간토 지방 도도부현 도쿄 도 분류코드 13107-5 면적 13.77 km² 인구 269,163명(추계인구,2019년 6월 1일) 스미다 구(일본어: 墨田区)는 일본 도쿄도에 있는 특별구의 하나이다. 시타마치(下町)라고 불리는 전쟁 이전부터의 주택 지역이다. 또 프로 스모의 대회가 열리는 료고쿠 국기관(両国国技館)이 있다. 2019년 4월 1일 실시한 인구조사에 의하면 인구는 268,192명으로 집계됐고, 인구 밀도는 19,361km²였다. 면적은 13.77 km²이다. 목차 1 지리 2 지역 2.1 북부(구 무코지마 구(向島区)) 2.2 중앙부(구 혼조 구(本所区)) 2.3 남부(구 혼조 구(本所区)) 3 역사 4 시설·건축물 5 산업 6 교통 6.1 도로 6.2 철도 7 자매 도시 8 출신자 9 참조 10 외부 링크 지리[편집] 스미다 구는 도쿄의 본토 부분의 북동부에 위치한다. 주요 강으로 스미다 강과 아라카와 강이 있으며 구의 경계를 일부를 이룬다. 북쪽으로 아다치 구, 북서쪽으로 아라카와 구, 동쪽으로 가쓰시카 구, 남동쪽으로 에도가와 구, 서쪽으로 다이토 구, 남서쪽으로 주오 구, 남쪽으로 고토 구와 접한다. 지역[편집] 북부(구 무코지마 구(向島区))[편집] 스미다(墨田) 쓰쓰미도리(堤通) 히가시스미다(東墨田) 야히로(八広) 히가시무코지마(東向島) 다치바나(立花) 분카(文花) 교지마(京島) 오시아게(押上) 중앙부(구 혼조 구(本所区))[편집] 아즈마바시(吾妻橋) 히가시코마가타(東駒形) 혼조(本所) 나리히라(業平) 요코카와(横川) 남부(구 혼조 구(本所区))[편집] 요코아미(横網) 료고쿠(両国) 치토세(千歳) 이시와라(石原) 가메자와(亀沢) 미도리(緑) 다테카와(立川) 기쿠카와(菊川) 다이헤이(太平) 긴시(錦糸) 고토바시(江東橋) 역사[편집] 1947년 3월 15일에 이전의 혼조 구와 무코지마 구가 합쳐져 성립되었다. 시설·건축물[편집] 아사히 맥주 본사 도쿄 스카이 트리-NHK와 다른 방송국들은 새로운 탑의 건설을 제의하였다. 이것이 완공되어서 세계에서 가장 높은 독립 구조로 서있는 탑이자 일본에서 가장 높은 인공 구조물이 되었다. 2011년에 탑이 완성돼서 본 전역에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이 가능하다. 료고쿠 국기관 에도-도쿄 박물관 아사히 맥주 본사 : 아사히 맥주 본사의 아사히의 불꽃은 1989년 프랑스의 디자이너 필립 스탁이 디자인했다. 아사히 맥주 본사는 도쿄에서 유명한 현대식 건축물 중 하나다.[1] 산업[편집] 도부 철도(본사) 아사히 맥주(본사) 일본담배산업(공장) 라이온(본사) 교통[편집] 도로[편집] 수도고속도로 제6호 무코지마 선: 고마가타 나들목 - 무코지마 나들목 - 쓰쓰미도리 나들목 수도고속도로 제7호 고마쓰가와 선: 긴시초 나들목 국도 제6호선 국도 제4호선 철도[편집] 게이세이 전철 오시아게 선: 오시아게 역 - 게이세이 히키후네 역 - 야히로 역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1호선 아사쿠사 선 : (다이토 구) - 혼조아즈마바시 - 오시아게 지하철 10호선 신주쿠 선: 기쿠카와 역 지하철 12호선 오에도 선: 료고쿠 역 도쿄 지하철 11호선 한조몬 선: 긴시초 역 - 오시아게 역 동일본 여객철도 소부 본선: 료고쿠 역 - 긴시초 역 도부 철도 이세사키 선: 나리히라바시 역 - 히키후네 역 - 히가시무코지마 역 - 가네가후치 역, 오시아게 역 - 히키후네 역 가메이도 선: 히가시아즈마 역 - 오무라이 역 - 히키후네 역 자매 도시[편집] 서대문구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2003년 10월 3일 - ) 스징산 구 ( 중국 베이징, 1997년 12월 13일 - ) 출신자[편집] 가쓰시카 호쿠사이 가쓰 가이슈 참조[편집] ↑ Bolstad, Max. Asahi Beer Hall. bento.com Tokyo Architecture Review, 1998. Accessed 2016-09-19.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스미다구 (일본어/영어) 공식 홈페이지 (한국어) 스미다 구 관광 vdeh도쿄도의 행정 구역도쿄 23구 신주쿠구 가쓰시카구 고토구 기타구 나카노구 네리마구 다이토구 도시마구 메구로구 미나토구 분쿄구 세타가야구 스기나미구 스미다구 시나가와구 시부야구 아다치구 아라카와구 에도가와구 오타구 이타바시구 주오구 지요다구 다마 지역시부 고가네이시 고다이라시 고마에시 고쿠분지시 구니타치시 기요세시 니시토쿄시 다마시 다치카와시 마치다시 무사시노시 무사시무라야마시 미타카시 아키루노시 아키시마시 오메시 이나기시 조후시 하무라시 하치오지시 후추시 훗사시 히가시무라야마시 히가시야마토시 히가시쿠루메시 히노시 니시타마군 미즈호정 오쿠타마정 히노데정 히노하라촌 도서부오시마 지청 오시마정 고즈시마촌 니지마촌 도시마촌 미야케 지청 미야케촌 미쿠라지마촌 하치조 지청 하치조정 아오가시마촌 오가사와라 지청오가사와라촌 전거 통제 VIAF: 254403225 NDL: 0026357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스미다구&oldid=24496098" 분류: 스미다구도쿄도의 구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cèhالعربيةمصرى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CatalàCebuano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贛語GalegoKreyòl ayisyen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ietuvių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venska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inaray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8일 (금) 21: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스미다구(일본어: 墨田区)는 일본 도쿄도에 있는 특별구의 하나이다. 시타마치(下町)라고 불리는 전쟁 이전부터의 주택 지역이다. 또 프로 스모의 대회가 열리는 료고쿠 국기관(両国国技館)이 있다. 2019년 4월 1일 실시한 인구조사에 의하면 인구는 268,192명으로 집계됐고, 인구 밀도는 19,361km2였다. 면적은 13.77 km2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도쿄 스미다구의 지역명 중 한자 여덟 팔 자가 포함되는 지역명은 무엇인가? Assistant: 야히로 Human: 아래 로어노크_식민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로어노크 식민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로어노크 식민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로어노크 식민지 로어노크 식민지(Roanoke Colony)는 현재의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데어 카운티 지역에 16세기 후반 엘리자베스 1세에게 칙허를 받은 월터 롤리 경의 주도로 최초로 건설된 유럽 식민지이다. 월터 롤리 경은 1583년 뉴펀들랜드의 세인트 존스의 식민지를 개척하려다가 익사한 배다른 형제인 험프리 길버트 경의 칙허를 이어받았으며, 먼 친척이자 그의 대리인이었던 랠프 래인과 리처드 그렌빌을 통해 세부적 계획을 실천하려 하였다.[1] 존 화이트에 의해 노스캐롤라이나주 로어노크 섬에 개척되었으나, 실패로 끝난다. 1585년에서 1587년 여러 무리들이 식민지를 개척하려 시도를 했지만, 거주지를 버리거나 죽기도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남은 섬의 주민들은 영국-스페인 전쟁(1585년) 동안 보급을 받지 못했으며, 존 화이트가 식량과 물품을 조달 받기 위해 영국으로 건너간 3년간에 흔적없이 사라져 잃어버린 로어노크 식민지라고 부른다. 목차 1 롤리의 개발권 획득 2 최초의 개척자 3 두 번째 개척자 3.1 화이트의 잉글랜드 귀환 4 토머스 해리엇 5 로어노크 탐문 조사 6 로어노크 식민지 실종에 대한 가설 6.1 현지 부족과의 통합 6.2 다른 이론 6.2.1 체서피언족 6.2.2 해상조난, 기아 6.2.3 스페인인 6.2.4 데어 스톤즈 6.2.5 버지니아 파즈 지도 6.2.6 고고학적 증거 6.2.7 잃어버린 식민지 DNA 프로젝트 6.2.8 기후 요인 7 로어노크의 실종 8 같이 보기 9 각주 10 외부 링크 롤리의 개발권 획득[편집] 월터 롤리 경 1584년 3월 5일,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1세는 월터 롤리 경에게 북아메리카 버지니아 땅에 식민지를 건설할 수 있는 칙허를 허가했다. 이 칙허는 롤리가 10년 이내에 북아메리카에 개척지를 건설할 것을 요구했고, 그것을 성공시키지 못하면 권리는 사라진다고 규정되어 있었다.[2]:9 롤리와 여왕은 이 사업으로 신세계에서 부를 이끌어 내고, 보물을 실은 스페인 함대에 해적선을 보내 습격할 수 있는 기지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3]:135 롤리 자신이 직접 북미를 방문하지는 않았지만, 1595년과 1617년, 남미 오리노코 강 유역의 습지에서 전설의 엘도라도를 찾아 탐사 원정대를 이끈 바 있다. 1584년, 롤리는 북아메리카의 동해안에서 적절한 개척지를 탐사하기 위해서 원정대를 파견했다. 이 원정대는 필립 아마다스와 아서 버로우가 지휘했으며, 현재의 노스캐롤라이나주 아우터 뱅크스를 선택했다. 거기에서는 남쪽으로 개척지를 가지고 있는 스페인을 습격할 수도 있었고, 토착 민족인 캐롤라이나 알곤킨 어족의 크로아탄 부족과 접촉할 수도 있는 이상적인 위치에 있었다. 최초의 개척자[편집] 1584년 4월 27일, 월터 롤리 경은 북미 해안을 탐사하기 위해 필립 아마다스와 아서 바로우가 이끄는 원정대를 파견했다. 그들은 7월 4일 로어노크 섬에 도달하였고[2]:32, 이내 현지의 서코탄과 코로아토안 인디언과 교류 관계를 맺었다. 바로우는 만테오와 완치즈라는 이름을 가진 2명의 코로아탄 인디언을 데리고 귀환했다.[2]:44–45 그들은 그 지역의 정치적 관계와 지리를 롤리 경에게 설명해줄 수 있는 인물들이었다. 이 정보에 근거하여, 롤리 경은 리처드 그렌빌 경이 이끄는 두 번째 탐사대를 조직했다. 그렌빌은 자신이 타고 있던 타이거호(Tiger)와 로벅호(Roebuck), 레드 라이언(Red Lion), 엘리자베스호(Elizabeth)와 도로시호(Dorothy)를 이끌고 1585년 4월 9일 플리머스를 출발했다. 불행하게도 투르투갈 해안 근처에서 심한 폭풍을 만나 타이거호는 나머지 함대들과 떨어지게 되었다.[2]:57 선장들은 우발적인 사태를 만난다면 푸에르토리코에서 재회하기로 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고, 타이거호는 5월 11일 머스키토 만[4](과야닐리 만)에 도착하였다. 다른 배를 기다리는 동안, 그렌빌은 그곳의 스페인인들과 친교를 쌓으면서도 한편으로는 약탈을 했으며[2]:62, 요새도 구축했다.[5]:91 그 요새가 만들어진 직후 엘리자베스호가 도착했으며, 결국 그렌빌은 나머지 배를 기다리다 지쳐서 6월 7일 다시 출발을 하였다. 요새는 폐기되었으며, 현재 그 위치는 알려지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 6월 26일, 타이거호가 오크라콕 만을 항해하다가 여울에 부딪쳐 대부분의 보급품을 유실하게 된다.[2]:63 탐사대는 배를 수리를 하고, 7월 초에 로벅호와 도로시호와 재회를 하게 되는데 두 배모두 아우터 뱅크에 미리 도착을 해 있었다. 레드 라이언호도 그들과 함께 있었지만, 도중에 승객을 내려주고는 약탈을 하기 위해 뉴펀들랜드로 떠났다.[2]:64 본토 해안과 그곳에 있는 원주민 거주지를 초도 탐사한 이후에, 아쿠아스코콕 마을의 원주민들은 은잔을 훔쳤다고 욕을 먹었다. 그 보복으로 마을은 약탈당하고 불태워졌다.[2]:72 월터 롤리 경 등을 포함한 여러 후원자들의 후원으로 잉글랜드의 작가이자, 궁정 관료였던 리처드 하클룻에 의해 편찬된 당시의 최초의 로어노크 항해 보고서 또한 이 사건을 서술하고 있다.[6](하클룻 자신이 직접 신세계를 여행한 적은 없다.) 이 사고와 식량 부족에도 불구하고, 그렌빌은 1586년 4월에 추가 인원과 보급품을 가지고 돌아오기로 약속하고 노아노크 섬의 북단에 랠프 레인과 107명을 식민지를 개척하기 위해 남기기로 결정했다. 그들은 1585년 4월 17일 하선을 했다.[7] 레인은 섬에 작은 요새를 세우고, 주변 지역에 대한 탐사를 하게 했다. 현존하는 로어노크 요새에 대한 그림은 남아있지 않지만, 과야닐라 만에 존속했던 요새와 구조가 유사할 것이라고 추측되고 있다. 1586년 4월이 저물 무렵에도 그렌빌의 구호선이 당도할 기미는 보이지 않았다. 한편 6월에, 마을의 파괴로 인해 야기된 증오는 요새에 대한 습격에 불을 붙였으며, 식민지 개척자들은 습격을 물리치지 못했다.[8]:5 그 습격 직후, 프랜시스 드래이크경이 카리브해에서 성공적인 해적질을 하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들러서 야금술사인 조아킴 간스를 포함한 일행들을 잉글랜드로 되돌려보내 주기로 제안을 했고, 그들은 이 제안을 받아들였다. 이 귀향 항로 중에 로어노크 개척민들은 담배와 옥수수 그리고 감자를 가지고 왔다.[8]:5 구호 함대는 그래이크 일행이 개척민들과 떠난 직후 도착했다. 식민지가 버려진 것을 발견하고서 그렌빌은 로어노크 섬에 대한 롤리 경의 영유권을 주장을 보호하기위해서, 또한 잉글랜드의 존재를 유지하기 위해서 소규모 분견대만 남기로 같이 간 군대와 함께 잉글랜드로 돌아왔다. 두 번째 개척자[편집] 북미에서 탄생환 최초의 잉글랜드계 어린이 버지니아 데어의 세례, 석판화, 1880 1587년, 롤리 경은 체사피크 만에 식민지를 세우기 위해 115명의 새로운 개척민을 파견했다. 이들을 이끈 이는 이전의 로어노크 탐사에 동행했던 예술가이자, 롤리 경의 친구였던 존 화이트였다. 화이트는 이후 지사로 임명을 받았으며, 롤리는 로어노크 개척지에서 도움을 줄 12명의 보좌관을 임명하였다. 그들은 우선 로어노크로 가서 그렌빌의 사병들을 모으라고 명령을 받았지만, 1587년 7월 22일 그들이 도착했을 때는 잉글랜드 요새를 지켰던 한 명의 유해로 추정되는 해골 한 구를 제외하고는 아무 것도 발견하지 못했다.[6] 그들은 당시 새로운 식민지를 돕는데 이 병력에 의존하고 있었지만, 아무도 발견할 수 없게 되자 그렌빌의 병력이 생존해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버리게 되었다.[6] 함대 사령관 시몬 페르난데스는 그들이 로어노크에 새로운 식민지를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이제 식민지 정착민들을 배에 싣고 귀환하는 것을 거부했다.[5]:215 그의 그러한 행동에 대한 동기는 여전히 밝혀지지 않은 채 남아있다. 화이트는 크로아탄 부족들과 새로운 관계를 설정했으며, 전년에 전투를 벌였던 랄프 레인 부족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기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적의에 가득한 부족들은 그들과의 만남을 거부했다. 그 직후, 식민지 개척민 조지 하우가 알베말 만에서 게잡이를 하려 홀로 탐사를 하다가 한 인디언에게 살해를 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9]:120–23 생명의 위협을 느끼고, 개척민들은 화이트 지사에게 잉글랜드로 돌아가서 현재의 절망적인 상황을 설명하고 도움을 청하자고 설득한다.[9]:120–23 잔여한 개척민들은 대서양을 건너서 온 남녀와 미국 땅에서 최초로 출생한 잉글랜드인이었던 화이트의 손녀까지 모두 115명이었다.[10]:19 화이트의 잉글랜드 귀환[편집] 화이트는 1587년 말 잉글랜드로 향행했다. 그 시기에 대서양을 건너는 것은 페르난데스가 좀처럼 귀환하기 힘들었다는 주장처럼 상당히 위험했다.[11] 구조선 계획은 겨울에 돌아가기를 거부한 선장으로 인해 지연되었다. 게다가 스페인 무적함대와 교전에 동원된 잉글랜드 배들로 인해 로어노크로 돌아갈 수 있는 여분의 배들의 남아 있지 않았다.[3]:125–26 크로아탄이라는 글자의 발견 스페인과의 전쟁이 계속되고 있었기 때문에, 화이트는 3년동안 재보급 시도를 할 엄두를 내지 못했다. 마침내 그는 사략선 원정대를 데리고, 카리브해에서 돌아 오는 길에 로어노크 섬 앞바다에 들를 수 있는 약속을 받아냈다. 화이트는 손녀의 3번째 생일인 1590년 8월 18일 로어노크 섬에 상륙했지만, 개척지는 버려져 있었다. 그의 대원들도 남자 90명, 여자 17명, 어린이 11명의 개척민들에 대한 흔적을 찾을 수 없었고, 전투가 일어난 것 같은 흔적도 찾을 수 없었다.[3]:130–33 실종에대한 유일한 단서는 마을 둘러 친 울타리 기둥 위에 새겨진 ‘크로아토안’라는 글자였으며, ‘크로’는 나무 근처에 새겨져 있었다. 모든 주택과 요새는 허물어져 있었고, 이것은 그들이 서둘러서 떠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했다. 식민지를 떠나기 전에, 화이트는 그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 강제로 떠나야 할 일이 생긴다면, 몰타 십자를 나무 근처에 새겨두게 지시했다. 십자가가 없었기 때문에, 화이트는 이것을 그들이 크로아토안 섬(현재의 해터러스 섬)으로 이주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였지만, 그는 수색을 진행할 수 없었다. 큰 폭풍이 불어닥치고 있었으며, 그의 병력들도 더 이상의 진행을 거부했고 다음 날 그들은 길을 떠났다.[3]:130–33 토머스 해리엇[편집] 1560년생인 토머스 해리엇은 롤리 경의 고용인으로 1580년대 초반에 옥스퍼드 대학을 졸업한 이후 들어왔다. 그가 최초의 항해에 동반하지는 않았지만, 해리엇은 1584년 식민지 탐사대에 아서 바로우의 군인으로 있었던 것 같다. 그는 롤리 경의 1차 로어노크 탐사대의 인원들에게 항해법을 교육했고, 결국에는 로어노크에 두 번째 개척대로 항해를 하게 되었다. 그곳에서 그는 박물학자로 화가들과 개척민들의 지도자인 존 화이트와 함께 특히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12] 그들이 로어노크에 도착한 1585년 4월부터, 그들이 떠나게 된 1586년 7월까지, 해리엇과 화이트 모두 로어노크 지역에 대한 상세한 연구를 했다. 해리엇과 함께 샘플과 노트를 여러권의 노트로 만들었지만, 식민지의 실종으로 남아있지 못했다. 그러나 해리엇도 주변 지역의 식생에 대한 세부내용을 기록했으며, 그것은 그가 편찬한 《버지니아의 새롭게 발견된 땅에 대한 짧고, 사실적인 보고서》(A Brief and True Report of the New Found Land of Virginia)로 남아있다. 이것은 원래 식민지의 진행사항을 롤리 경의 요청으로 영국 정부에 보고할 내용이었다. 현대 사학자들은 이것을 홍보자료로 여기고 있으며, 이 기록은 해리엇의 야생생물에 대한 관찰뿐만 아니라 식민지가 사라졌을 무렵의 인디언 활동에 대한 그림으로 인해 로어노크 역사에 상당히 귀중한 자료가 되었다.[12] 해리엇의 보고서에는 로어노크 인디언과 잉글랜드 개척민들과의 사이가 상호 조용하고, 건설적이었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로어노크 인디언과 롤리의 사령관, 리처드 그렌빌과 그의 후계자인 랄프 레인 모두 유혈 투쟁을 나타내는 다른 역사적 증거들과는 배치되는 것이었다. 해리엇의 잉글랜드에 보낸 그의 보고서에서 이러한 정황들을 거의 설명하지 않았으며, 그렌빌 또는 레인의 토지보유권 하의 혼란스런 상황에 대해서도 언급하지 않았고, 이러한 사실들은 더 많은 정착민들이 로어노크를 얻지 못하도록 하고자 했다고 가정하고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해리엇의 보고서는 1588년이 되어서야 잉글랜드나 잉글랜드의 출판사에 남겨졌으며, 이때는 잃어버린 식민지의 운명이 이름을 빼고는 총체적인 상황이 숨겨져 있었다.[12] 로어노크 탐문 조사[편집] 재건된 롤리 요새 국립사적지 12년이 흐른 뒤, 롤리 경은 그의 식민지에 무슨 일이 있었는 지 알아내고자 했다. 새뮤얼 메이스가 탐사대를 이끌었으며, 이 1602년 탐사는 롤리 경이 직접 배를 구매하였고, 약탈을 막기 위해 선원들의 임금을 보전해 주기로 했다는 점에서 이전의 항해와는 다른 점이 있었다. 그러나 롤리 경은 여전히 그 여행으로 돈을 벌고자 했으며, 메이스의 선단은 향나무나 잉글랜드로 가져오면 돈이되는 사사프러스와 같은 식물들을 채집하고자 아우터 뱅크스에 상륙을 했다. 그들의 관심을 식민지로 돌릴 수 있게 되었을 즘에 기상이 악화되었고, 로어노크 섬에는 가지도 못하고 귀환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이후 롤리 경은 반란으로 체포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의 탐사대를 보낼 수 없었다.[3]:134–35 스페인은 식민지를 발견하기는 원하는 다른 이유를 가지고 있었다. 로어노크를 해적 기지로 이용하려는 롤리 경의 계획을 알고서, 스페인은 로어노크를 파괴하기를 원했다. 게다가, 그곳의 활동에 대해 대부분 부정확한 보고를 얻고 있었으며, 실제보다 식민지 개척이 훨씬 잘 되었을거라고 상상했다.[3]:135–37 1590년, 그들은 아주 우연히 식민지의 잔해를 발견했지만, 주요 본거지의 외곽에 만들어 둔 지기일 뿐이라고 생각했고, 본거지가 체사피크 만 지역(존 화이트가 예정한 위치)에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영국-스페인 전쟁으로 화이트가 적절한 때 돌아오지 못하자, 신대륙에 있었던 스페인 당국은 그러한 모험을 할만한 충분한 지원 병력을 모으지 못했다.[3]:135–37 로어노크 식민지 실종에 대한 가설[편집] 1587년 실종된 식민지의 끝은 기록되어 있지 않았고('잃어버린 식민지'라고 불리게 되었다.), 식민지들의 운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추측이 생겨났다. 주류가 된 가설은 그들이 지역의 크로아탄 족 또는 핫테라스 족 또는 다른 알곤 족 인디언에 의해 분산 흡수되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들이 원주민과 동화할 수 있었는지 여부에 대한 확실한 증거는 발견하지 못했다. 현지 부족과의 통합[편집] 프랜시스 넬슨의 지도, 1607년경 2000년 사학자 리 밀러는 저서 《로어노크: 잃어버린 식민지의 미스테리 풀기》(Roanoke: Solving the Mystery of the Lost Colony)라는 책에서 잃어버린 식민지의 일부 생존자들이 제임스타운 식민지에 의해 만도아그(적 부족에게 흔히 부여된 알곤킨 명칭)로 밝혀진 다른 인디언 부족들에게 습격을 당한 초와노크 부족에게 피난처를 구했다고 가정하고 있다. 만도아그 부족은 이로쿼이 어를 말하는[13]:45 부족인 투스카로라나 와이노크로 알려진 이노 족이라고 믿어지고 있다.[10]:255–56 소위 주니가 지도(Zuniga Map, 스페인 국왕 펠리페 3세에게 이 지도를 확보하여 건네 준 잉글랜드에 파견된 스페인 대사 페드로 드 주니가의 이름을 딴)는 약 1607년 제임스타운의 개척민 프랜시스 넬슨에 의해 그려졌으며, 이것 또한 이 주장에 신빙성을 더하고 있다. 이 지도는 "루녹에서 온 옷을 입을 네 남자"가 누스 강의 이로쿼이 족 지역에 살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제임스타운 식민지의 책임자 윌리엄 스트라치는 1612년 페카리카닉과 오차나호엔 인디언 정착촌에서 쓴 《영국령 버지니아 여행의 역사》(The historie of travaile into Virginia Britannia)에서 전하는 바에 의하면 돌 벽을 가진 2층의 가옥이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아마도 그 인디언들은 로어노크 정착민들로부터 그런 기술을 배웠을 것이라고 추측했다.[14]:222 또한 동일한 시기에 여러 인디언 거주지에서 유럽인 포로들이 목격되었다는 보고도 있었다.[10]:250 1612년 스트라치는 리타녹에 있는 에노 족 정착촌에서 에야노코라고 불리는 추장의 보호 하에 있는 4명의 잉글랜드인 성인 남성과 2명의 소년, 1명의 소녀가 목격되었다고 전했다. F. 로이 존슨의 저서 《진실과 전설 속의 잃어버린 식민지》에서 공동 저자 토마스 C. 패러 모어는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 1610년까지 타스카로라 족 국가에서 잃어버린 식민지들의 일부가 살아 있었다는 증거가 인상적이다. 1608 년에 제임스타운의 개척자 프랜시스 넬슨가 그린 현재 노스캐롤라이나 내륙 지도는 이것을 가장 잘 설명하는 증거이다. 다른 이론[편집] 체서피언족[편집] 사학자 데이빗 비어즈 퀸은 식민지 전체가 이주를 하고, 이후 파괴되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존 스미스 선장과 제임스타운 개척민들이 1607년 정착을 했을 때, 그들에게 부여된 임무 중 하나는 로어노크 개척민들의 위치를 찾는 것이었다. 웨로안스 부족의 추장 포우하탄은 스미스 선장에게 버지니아에 기반을 둔 포우하탄 연맹에 대해 말을 했으며, 제임스타운 개척민들이 도착하기 전에 포우하탄 연맹에 가맹을 거부한[15]:21–24 오늘 날의 사우스 햄든가 외곽 지역의 동부에 살고 있었던 체서피언 부족들과 함께 때문에 로어노크 개척민들을 쓸어버렸다고 말을 했다. 그들이 그의 제국을 파괴하기 위해 봉기할 것이라는 예언이 있었다고 말했다.[16]:101 해상조난, 기아[편집] 또 하나의 가능성으로는 식민지 개척민들이 단순히 기다리는 것을 포기하고, 혼자 힘으로 잉글랜드로 돌아가려고 했지만, 그러한 시도를 하다가 자멸했다는 것이있다. 1587년 화이트 주지사가 출발할 때, 해안 탐사 또는 식민지 본토에 이주를 위하여 1척의 핀네스(소형 범선)와 몇 척의 소형 선박을 남겨두었기 때문이었다. 스페인인[편집] 또 다른 이론은 스페인이 식민지를 파괴했다는 것이있다. 로어노크 이전 시대에, 스페인은 사우스캐롤라이나 해안 찰스 요새에 있던 프랑스 식민지의 흔적을 파괴했다. 또한 현재 플로리다 잭슨빌에 있던 카로리누 요새의 주민을 학살했다. 하지만 화이트가 식민지 사라진 것을 발견했을 때부터 10년 후 1600년이 되어도, 스페인은 잉글랜드 실패한 식민지의 위치를 찾고 있었다는 사실 때문에 이 이론의 가능성은 희박하다.[3]:137 데어 스톤즈[편집] 1937년부터 1941년까지, 한 무더기의 암석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버지니아 데어의 어머니였던 엘레노어 데어에 의해 기록되었다고 주장을 했다. 이 돌에는 식민지의 여행과 그들의 최후에 대해 말해 주고 있었다. 대부분의 역사학자들은 이것들을 사기라고 믿고 있지만, 오늘 날에도 이 돌들이 진짜라고 믿고 있는 학자들도 일부 있다.[17] 버지니아 파즈 지도[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고고학적 증거[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잃어버린 식민지 DNA 프로젝트[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기후 요인[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로어노크의 실종[편집] 2010 개봉 영화 '베니싱'의 소재가 된 실화 같이 보기[편집] 버지니아 식민지 각주[편집] ↑ “Charter to Sir Walter Raleigh, March 25, 1584”. 흐로닝언 대학교. 2013년 1월 5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Quinn, David B. (1985년 2월). 《Set Fair for Roanoke: Voyages and Colonies, 1584–1606》. UNC Press Books. ISBN 978-0-8078-4123-5. 2011년 7월 3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Kupperman, Karen Ordahl (1984년 1월 25일). 《Roanoke, The Abandoned Colony》. Rowman & Littlefield. ISBN 978-0-8476-7339-1. 2011년 6월 3일에 확인함.  ↑ “Teacher Handbook to Roanoke Revisited”. 《Fort Raleigh National Historic Site》. 미국 국립공원관리청. 2011년 7월 10일에 확인함.  ↑ 가 나 Milton, Giles (2001년 10월 19일). 《Big Chief Elizabeth: The Adventures and Fate of the First English Colonists in America》. Macmillan. ISBN 978-0-312-42018-5. 2011년 6월 3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Blacker, Irwin (1965). 《Hakluyt's Voyages: The Principle Navigations Voyages Traffiques & Discoveries of the English Nation》. 뉴욕: The Viking Press. 522쪽.  ↑ Lane, Ralph. “The Account by Ralph Lane. An account of the particularities of the imployments of the English men left in Roanoke by Richard Greenevill under the charge of Master Ralph Lane Generall of the same, from the 17. of August 1585. until the 18. of June 1586. at which time they departed the Countrey; sent and directed to Sir Walter Ralegh.”. 《Old South Leaflets (General Series) ; No. 119.》. 노스캐롤라인 대학교 at Chapel Hill. 2011년 1월 17일에 확인함.  ↑ 가 나 Fleming, Walter Lynwood (1909). 《The South in the Building of the Nation: History of the States》. The Southern historical publication society. 2011년 6월 3일에 확인함.  ↑ 가 나 Grizzard, Frank E.; Smith, D. Boyd (2007). 《제임스타운 식민지: A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History》. ABC-CLIO. ISBN 978-1-85109-637-4. 2011년 6월 3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Miller, Lee (2000). 《Roanoke: Solving the Mystery of the Lost Colony》. Arcade Publishing. ISBN 978-1-55970-584-4. 2011년 6월 3일에 확인함.  ↑ Neville, John D. “The John White Colony”. 국립공원국. 2008년 10월 8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Harriot, Thomas. Nina Baym, 편집. 《A Brief and True Report of the New Found Land of Virginia》. The Norton Anthology of American Literature.  ↑ Smallwood, Arwin D. (2002년 10월 16일). 《Bertie County: An Eastern Carolina History》. Arcadia Publishing. ISBN 978-0-7385-2395-8. 2011년 6월 9일에 확인함.  ↑ Stick, David (November 1983). 《Roanoke Island, The Beginnings of English America》. UNC Press Books. ISBN 978-0-8078-4110-5. 2011년 6월 9일에 확인함.  ↑ Parramore, Thomas C.; Stewart, Peter C.; Bogger, Tommy L. (2000년 4월). 《Norfolk: The First Four Centuries》. 버지니아 대학교 출판사. ISBN 978-0-8139-1988-1. 2011년 8월 17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Strachey, William (1612). 《The Historie of Travaile into Virginia Britannia: Expressing the cosmographie and comodities of the country, togither with the manners and customes of the people》. Hakluyt Society. 2011년 8월 17일에 확인함.  ↑ La Vere, David (2009년 7월). “The 1937 Chowan River ‘Dare Stone’: A Re-evaluation”. 《North Carolina Historical Review》.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로어노크 식민지 잃어버린 식민지를 찾아서 DNA Blog 1590년 8월 존 화이트의 귀환 기록 룸비와 잃어버린 식민지에 대한 애틀랜타 저널의 글 잃어버린 식민지 뮤지컬 드라마 Roanoke: The Lost Colony Feature film - 웨이백 머신 Brit Films Catalogue - Roanoke: The Lost Colony The Center for Lumbee Studies/what happened to the lost colony The Lost Colony Center for Science and Research Mysteries of the Lost Colony (노스캐롤라이나 역사박물관의 전시) Robeson County Tuscarora Chronology 잃어버린 식민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로어노크_식민지&oldid=23089312" 분류: 미국의 역사노스캐롤라이나주영국의 옛 식민지이로쿼이 연맹실종자숨은 분류: 인용 오류 - 날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CatalàCymraeg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SuomiFrançaisעברית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Nederlands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24일 (토) 16:2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로어노크 식민지(Roanoke Colony)는 현재의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데어 카운티 지역에 16세기 후반 엘리자베스 1세에게 칙허를 받은 월터 롤리 경의 주도로 북미에 건설된 잉글랜드의 식민지이다. 월터 롤리 경은 1583년 뉴펀들랜드의 세인트 존스의 식민지를 개척하려다가 사망한 이부(異父)형제인 험프리 길버트 경의 칙허를 이어받은 후, 먼 친척이자 그의 대리인이었던 랠프 래인과 리처드 그렌빌을 통해 세부적 계획을 실천하려 하였다. 존 화이트에 의해 노스캐롤라이나주 로어노크섬에 개척되었으나, 실패로 끝난다. 1585년에서 1587년 여러 무리들이 식민지를 개척하려 시도를 했지만, 거주지를 버리거나 죽기도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남은 섬의 주민들은 영국-스페인 전쟁(1585년) 동안 보급을 받지 못했으며, 존 화이트가 식량과 물품을 조달 받기 위해 영국으로 건너간 3년간에 흔적없이 사라져 잃어버린 로어노크 식민지라고 부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화이트가 로어노크 섬에 상륙한 해는 어느 해인가? Assistant: 1590년
Human: 아래 뷰티르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뷰티르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뷰티르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뷰티르산 일반적인 성질 IUPAC 이름 butanoic acid 화학식 C4H8O2 CAS 번호 107-92-6 PubChem 264 ChemSpider 259 물리적 성질 분자량 88.11 g/mol 녹는점 268.05 K-5.1 °C22.82 °F 끓는점 436.9 K163.75 °C326.75 °F 밀도 0.9528 g/cm3 형태 무색 유성 액체 열화학적 성질 안전성 뷰티르산(영어: butyric acid, 그리스어 "βούτῡρον"에서 유래, "butter"를 의미함)은 계통명은 부탄산(영어: butanoic acid)이고, BTA로 약칭되며,[1] 화학식이 CH3CH2CH2-COOH 인 카복실산이다. 뷰티르산의 염 및 에스터(에스테르)는 뷰티레이트(butyrate) 또는 부타노에이트(butanoate)로 알려져 있다. 뷰티르산은 우유 특히 염소, 양 및 아메리카들소의 젖, 버터, 파르미자노 레자노 치즈 및 혐기성 발효 산물(결장 및 액취증 포함)에서 발견된다. 또한 뷰티르산은 허쉬 공정에 의해 생산된 밀크 초콜릿에서 발견되거나, 허쉬 초콜릿의 맛을 모방하기 위해 첨가된 것으로 추측된다.[2] 뷰티르산은 사람의 구토물에 존재하며, 불쾌한 냄새를 낸다.[3] 뷰티르산은 불쾌한 냄새와 콕 쏘는 맛을 가지며, 에테르와 유사한 약간 감미로운 뒷맛을 가진다. 개와 같은 좋은 냄새 탐지 능력이 있는 포유류는 뷰티르산을 10ppb(parts per billion)로 탐지할 수 있는 반면에 사람은 10ppm(parts per million)이상의 농도에서 뷰티르산을 탐지할 수 있다. 뷰티르산은 1814년 프랑스의 화학자 미셀 외젠 슈브뢰이(Michel Eugène Chevreul)에 의해 불순한 형태로 처음 관찰되었다. 1818년까지 슈브뢰이는 뷰티르산을 특징짓기 위해 충분하게 정제했다. 그러나 슈브뢰이는 뷰티르산에 대한 초기 연구를 발표하지 않았고, 대신 프랑스 파리에 있는 과학 아카데미에 원고 형태로 연구 결과물을 맡겼다. 또한 프랑스의 화학자인 앙리 브라코노(Henri Braconnot)도 버터의 성분을 연구하고 연구 결과를 발표했는데 이것이 우선권에 대한 논쟁으로 이어졌다. 1815년 초에 슈브뢰이는 버터 냄새의 원인이 되는 물질을 발견했다고 주장했다.[4] 1817년에 슈브뢰이는 뷰티르산의 성질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뷰티르산의 이름을 지었다.[5] 그러나, 1823년에 이르러서야 뷰티르산의 특성이 자세히 밝혀졌다.[6] 뷰티르산이란 이름은 처음 발견된 물질인 butyrum (또는 buturum)이라는 버터의 라틴어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목차 1 화학 1.1 안전성 2 제조 3 사용 4 생화학 4.1 미생물의 생합성 5 약리학 5.1 약력학 5.2 약동학 5.2.1 물질대사 6 연구 6.1 말초 치료 효과 6.1.1 면역 조절과 염증 반응 6.1.2 암 6.1.3 당뇨병 7 같이 보기 8 주해 9 각주 10 외부 링크 화학[편집] 뷰티르산은 동물성 지방에서 에스터의 형태로 발견되는 지방산이다. 뷰티르산의 트라이글리세라이드는 버터의 3~4%를 차지한다. 버터가 산패할 때,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세라이드로부터 뷰티르산이 유리되어 불쾌한 냄새가 난다. 뷰티르산은 짧은 사슬 지방산이라고 불리는 지방산 하위 그룹의 주요 구성원이다. 뷰티르산은 염기와 강력한 산화제와 반응하여 많은 금속을 공격하는 중-강산이다.[7] 뷰티르산은 물, 에탄올 및 에테르에 쉽게 용해되는 유성의 무색 액체이며 염화 칼슘과 같은 염으로 포화되어 액상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뷰티르산은 중크롬산 칼륨과 황산을 사용하여 이산화 탄소와 아세트산으로 산화되는 반면, 알칼리성 과망간산 칼륨은 뷰티르산을 이산화 탄소로 산화시킨다. 칼슘 염인 Ca(C4H7O2)2·H2O 은 뜨거운 물보다 차가운 물에 더 잘 녹는다. 뷰티르산은 이소뷰티르산(2-메틸프로판산)이라 불리는 구조 이성질체를 갖는다. 안전성[편집] 뷰티르산을 취급할 때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무 또는 PVC 장갑, 보호 안경, 화학 반응 저항성 옷, 신발과 같은 개인 보호 장비를 사용한다. 뷰티르산을 흡입하면 목이 아프고, 기침, 작열감, 호흡 곤란을 유발할 수 있다. 뷰티르산의 섭취는 복통, 쇼크 및 쇠약을 초래할 수 있다. 뷰티르산에 물리적으로 노출되면 통증, 물집, 피부 화상을 유발할 수 있지만 눈에 노출되면 통증, 심한 화상 및 시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7] 제조[편집] 뷰티르산은 당분 또는 녹말의 발효에 의해 산업적으로 제조되며, 탄산 칼슘은 제조 공정에서 형성된 산을 중화하기 위해 첨가된다. 녹말의 뷰티르산 발효는 고초균(Bacillus subtilis)의 직접 첨가에 의해 촉진된다. 뷰티르산의 염 및 에스터(에스테르)는 뷰티레이트 또는 뷰타노에이트로 불린다. 뷰티르산 또는 뷰티르산 발효는 돼지풀의 일종인 Heracleum giganteum 의 오일에서 헥실 에스터 헥실 뷰티레이트로 발견되며, 파스닙(Pastinaca sativa)에서 옥틸 에스터 옥틸 뷰티레이트로 발견된다. 또한 뷰티르산은 피부균총 및 땀에서 주목받아 왔다. 사용[편집] 뷰티르산은 다양한 뷰티레이트 에스터 제조에 사용된다. 메틸 뷰티레이트와 같은 뷰티르산의 저분자 에스터는 대부분 기분 좋은 향과 맛을 가진다. 그래서 식품 및 향수에 첨가제로 사용된다. 또한 뷰티르산은 병원성 세균의 증식을 감소시키는 능력 때문에 동물 사료 보충제로도 사용된다.[8] 뷰티르산은 EU FLAVIS 데이터베이스(번호 08.005)에서 식품 향료로 승인되었다. 또한 강한 냄새 때문에 뷰티르산은 낚시 미끼 첨가제로도 사용되었다.[9] 잉어(Cyprinus carpio) 미끼에 사용되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많은 향들은 에스터 염기로 뷰티르산을 사용한다. 뷰티르산 자체 또는 뷰티르산이 첨가된 물질에 의해 어류가 유인되는지는 불분명하다. 그러나 뷰티르산은 유럽 잉어나 유럽 납줄개의 입맛에 맞는 몇몇 유기산들 중 하나였다.[10] 뷰티르산은 해양 생물 보호 단체가 일본 포경선 선원들을 방해하거나,[11] 낙태에 반대하는 시위자들이 낙태 크리닉의 활동을 방해하기 위한 악취탄으로도 사용되어 왔다.[12] 뷰티르산은 아세트산과 함께 셀룰로스와 반응하여 다양한 도구, 부품 및 코팅에 사용되는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뷰티레이트(CAB)를 생산할 수 있으며 셀룰로스 아세테이트보다 분해에 대한 저항성이 더 크다.[13] 그러나, CAB는 열기 및 습기에 노출되면 뷰티르산을 방출하며 분해될 수 있다.[14] 이 과정은 오래된 스크루 드라이버 및 기타 수공구의 구토물 냄새 같은 불쾌한 냄새로 종종 관찰된다.[15] 생화학[편집] 미생물의 생합성[편집] 뷰티레이트는 혐기성 세균에 의해 수행되는 발효 공정의 최종 생성물로 생산된다. 발효차인 콤부차는 발효로 생성된 뷰티르산을 포함하고 있다. 이 발효 경로는 1861년 루이 파스퇴르에 의해 발견되었다. 세균에서 뷰티레이트 생성 세균 종류의 예시 : Clostridium butyricum Clostridium kluyveri Clostridium pasteurianum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Fusobacterium nucleatum Butyrivibrio fibrisolvens Eubacterium limosum 그 경로는 대부분의 생물체에서 일어나는 포도당이 2분자의 피루브산으로 분해되는 해당과정으로 시작된다. 피루브산은 피루브산 생성효소(피루브산:페레독신 산화환원효소)로 불리는 효소 시스템을 포함하는 독특한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아세틸-CoA로 산화된다. 2분자의 이산화 탄소(CO2)와 2분자의 수소 원자(H2)가 세포로부터 부산물로 생성된다. 반응 효소 아세틸-CoA → 아세토아세틸-CoA 아세틸-CoA-아세틸 전이효소 아세토아세틸-CoA → β-하이드록시부티릴-CoA β-하이드록시부티릴-CoA 탈수소효소 β-하이드록시부티릴-CoA → 크로토닐-CoA 크로토네이스 크로토닐-CoA → 부티릴-CoA (CH3CH2CH2C=O-CoA) 뷰티릴-CoA 탈수소효소 CoA가 인산기로 대체되어 뷰티릴 포스페이트를 생성함 포스포부티릴레이스 인산기가 ADP와 결합하여 ATP와 뷰티레이트을 생성함 뷰티레이트 카이네이스 발효의 마지막 단계에서 ATP가 생성된다. 포도당 1분자당 3분자의 ATP가 생성되는 비교적 높은 수율을 가진다. 이러한 발효 과정의 전체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C6H12O6 → C4H8O2 + 2 CO2 + 2 H2 몇몇 세균 종류은 뷰티레이트 발효로 시작하는 대체 경로에서 아세톤과 n-뷰탄올을 형성한다. 이들 세균 종류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 Clostridium acetobutylicum, 산업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아세톤 및 프로판올 생산자 Clostridium beijerinckii Clostridium tetanomorphum Clostridium aurantibutyricum 이러한 세균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뷰티레이트 발효로 시작하지만, pH가 5미만으로 떨어지면 pH가 더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뷰탄올과 아세톤 생산으로 대사가 전환된다. 아세톤 1분자 당 2분자의 뷰탄올이 생성된다. 대사 경로의 변화는 아세토아세틸-CoA 생성 이후에 일어난다. 이 과정의 중간 생성물은 2가지 가능한 대사 경로를 취한다: 아세토아세틸-CoA → 아세토아세테이트 → 아세톤 아세토아세틸-CoA → 뷰티릴-CoA → 뷰틸알데하이드 → 뷰탄올 저항성 녹말, 귀리 시리얼, 펙틴, 구아 등으로부터 유래한 고발효성 섬유 잔류물들은 셀룰로스와 같은 저발효성 섬유보다 대장균에 의한 뷰티레이트를 포함하는 짧은 사슬 지방산을 더 많이 생성한다.[16] 한 연구에 따르면 저항성 녹말은 다른 형태의 식이 섬유보다 지속적으로 많은 뷰티레이트를 생성한다.[17] 소와 같은 반추동물에서 식이 섬유로부터 짧은 사슬 지방산을 생성하는 것은 우유와 버터 속에 뷰티레이트가 들어있는 원인이다.[18] 프룩탄은 프리바이오틱(prebiotic) 가용성 식이 섬유의 또 다른 공급원이다. 프룩탄은 부추속(Allium) 식물과 십자화과(Cruciferous) 식물과 같은 황이 많이 포함된 채소의 가용성 섬유에서 종종 발견된다. 프룩탄의 공급원은 밀,[19] 호밀, 보리, 양파, 마늘, 아스파라거스, 비트, 치커리, 파의 흰색 부분, 브로콜리, 방울 양배추, 양배추, 회향 등을 포함하고, 프럭토올리고당(FOS), 올리고프럭토스, 이눌린과 같은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를 포함한다.[20][21] 이러한 식품의 대부분은 저항성 녹말에 비해 뷰티레이트 생성이 부족하지만 많은 장점을 가진다. 이들 식품은 일반적으로 낮은 혈당 지수를 가지며,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histone deacetylase, HDAC) 저해제로 혈액뇌장벽을 통과하여 뇌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서 연로로 사용되는 β-하이드록시뷰티르산으로부터 혜택을 보는 케톤생성성 식이를 하는 사람들의 관심을 끈다.[22] 뷰티레이트 생성 식품의 다른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저해제는 설포라판(sulforaphane)[23] 으로 사람의 유방암 세포를 억제하는데 도움을 준다.[24] 설포라판은 쥐에서 모발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25] 궤양을 예방하는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으며,[26] 쥐의 인지 능력에 도움을 준다.[27] 브로콜리의 설포라판은 적절하지 않게 준비되면 파괴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28] 마늘에 함유된 프럭탄에서 발견된 디알릴 디설파이드(diallyl disulfide)는 설치류에서 화학 독성 및 발암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으며,[29] 사람의 대장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할 때 뷰티레이트와 함께 시너지 효과를 나타냈다.[30] 약리학[편집] 약력학[편집] 다른 짧은 사슬 지방산(short-chain fatty acids, SCFAs)들과 마찬가지로 뷰티레이트는 에너지 균형을 조절하는데 도움을 주는 영양 센서로 기능하는 유리 지방산 수용체인 FFAR2와 FFAR3의 작용 물질이다.[31][32][33] 다른 짧은 사슬 지방산들과는 달리,[33] 뷰티레이트는 니아신 수용체 1(NIACR1, 또는 GPR109A로도 알려진)의 작용 물질이기도 하다.[31][32][33] 뷰티르산은 특히 대장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서 사용되고, 간에서 지방산 대사 과정 동안 ATP를 생성하는데 이용된다.[31] 뷰티르산은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저해제(구체적으로, HDAC1, HDAC2, HDAC3, and HDAC8)로 작용하여 세포에서 히스톤이 아세틸화된 상태로 머물게 한다.[31] 히스톤의 아세틸화는 히스톤 단백질과 DNA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을 줄임으로써 염색질의 구조를 느슨하게 풀어준다.[31] 일반적으로 전사인자는 히스톤이 DNA와 단단하게 결합된 영역(즉, 탈아세틸화된, 예를 들어 이질염색질)에 접근할 수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뷰티르산은 프로모터에서 전사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되며,[31]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활성으로 인해 보통 침묵되거나 하향 조절된다. 약동학[편집] 식이 섬유의 미생물 발효를 통해 결장에서 생산되는 뷰티레이트는 결장세포와 간에서 흡수되어[주 1] 에너지 대사 과정 동안 ATP를 생성한다.[31] 그러나 일부 뷰티레이트는 결장 말단부에서 흡수되고, 간문맥으로 들어가지 않아 순환계를 통해 뷰티레이트가 전신의 여러 장기에 분포될 수도 있다.[31] 전신 순환을 하는 뷰티레이트는 모노카복실레이트 수송체(즉, SLC16A 수송체들의 일종)를 통해 혈액뇌장벽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34][35] 세포막을 가로지르는 뷰티레이트의 통과를 매개하는 다른 수송체로는 SLC5A8(SMCT1), SLC27A1(FATP1), SLC27A4(FATP4)가 있다.[35] 물질대사[편집] 뷰티르산은 뷰티레이트-CoA 리게이스라고도 불리는 사람에 있는 다양한 XM-리게이스(xenobiotic/medium-chain fatty acid-ligase)(ACSM1, ACSM2B, ASCM3, ACSM4, ACSM5, ACSM6)에 의해 대사된다.[3] 이 반응에 의해 생성된 대사 산물은 뷰티릴-CoA이며, 다음과 같이 생성된다.[3] ATP + 뷰티르산 + CoA → AMP + 피로인산(PPi) + 뷰티릴-CoA 짧은 사슬 지방산인 뷰티레이트는 지방산 대사를 통한 에너지(즉, 아데노신 삼인산 또는 ATP) 공급원으로써 미토콘드리아에 의해 이용된다. 사람에서 트라이아실글리세롤 라이페이스는 다음 반응을 통해 뷰티레이트의 프로드러그인 트라이뷰티린(tributyrin)을 다이뷰티린(dibutyrin)과 뷰티레이트(Butyrate)로 전환시킨다.[36] 트라이뷰티린 + H2O= 다이뷰티린 + 뷰티레이트 연구[편집] 말초 치료 효과[편집] 뷰티레이트는 에너지 항상성 및 관련 질환(당뇨병 및 비만), 염증 및 면역(예: 항균 및 항암 효과가 있음)과 관련해서 사람에게 많은 유익한 효과를 제공한다.[32][37] 이러한 효과는 지방산 대사 동안 ATP를 생성하는 미토콘드리아에 의한 뷰티레이트의 이용을 통해 일어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뷰티레이트의 히스톤 변형 효소 표적(즉, I형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및 G-단백질 연결 수용체(즉, FFAR2, FFAR3, and NIACR1)를 통해 일어난다.[32] 면역 조절과 염증 반응[편집] 뷰티레이트의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은 I형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의 억제와 뷰티레이트의 G 단백질 연결 수용체 표적인 NIACR1(GPR109A), FFAR2(GPR43), FFAR3(GPR41)의 활성화를 통해 매개된다.[33][38] 짧은 사슬 지방산 중 뷰티레이트는 시험관 내에서 장 조절 T세포의 가장 강력한 프로모터이며, NIACR1 리간드들 중에서 유일하다.[33] 뷰티르산은 결장에서 염증 반응의 중요한 매가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르산은 염증 매개 궤양성 대장염과 대장암을 막는 예방적, 치료적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뷰티레이트는 항균 펩타이드 LL-37을 통해 사람에게 항균성을 부여하며, 이는 히스톤 H3에 대한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억제를 통해 유도된다.[38][39][40] 뷰티레이트는 FOXP3(Tregs의 전사인자)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고, I형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의 억제를 통해 결장 조절 T세포(regulatory T cells, Tregs)를 촉진시킨다.[33][38] 이러한 작용을 통해 뷰티레이트는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 10의 발현을 증가시킨다.[38][33] 뷰티레이트는 또한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저해를 통해 부분적으로 매개되는 IFN-γ–STAT1 신호전달경로를 억제함으로써 대장 염증을 막는다. 일시적인 IFN-γ 신호전달은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숙주의 면역 반응과 관련이 있는 반면 만성적인 IFN-γ 신호전달은 종종 만성적인 염증과 관련이 있다. 뷰티레이트가 T세포의 Fas 유전자 프로모터에 결합된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1(HDAC1)의 활성을 억제하여 Fas 프로모터의 과아세틸화 및 T세포 표면의 Fas 수용체의 상향 조절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다.[41] 이는 뷰티레이트가 결장 조직에서 T세포의 세포 사멸을 증가시켜 염증의 원인(IFN-γ 생성)을 제거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41] 다른 NIACR1 작용제와 마찬가지로 뷰티레이트도 뇌, 위장관, 피부 및 혈관을 비롯한 다양한 조직에서 현저한 항염증효과를 나타낸다.[42][43][44][45] FFAR3에 결합한 뷰티레이트는 신경펩타이드 Y의 방출을 유도하고, 결장 점막 및 장 면역계의 기능적 항상성을 촉진한다.[46] 뷰티르산은 포유류 결장(결장세포)의 막을 형성하는 세포의 에너지(ATP) 공급원으로 중요하다. 뷰티르산을 에너지로 사용하지 않으면, 결장세포는 상향조절된 자가소화 작용(즉, 자기소화)을 겪는다.[47] 암[편집] 뷰티레이트는 정상세포와 암세포에서 서로 다른 효과를 나타낸다. 이는 "뷰티레이트의 역설(butyrate paradox)"로 알려져 있다. 특히 뷰티레이트는 결장 종양 세포는 억제하고, 정상적인 결장상피 세포는 촉진시킨다.[48] 그 신호전달 메커니즘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49] 보고서는 뷰티레이트의 화학적 예방 효과가 부분적으로 종양 형성 과정과 관련된 노출량, 노출시간 및 식이 지방의 종류에 달려 있다고 제안했다.[16] 발효될 수 있는 섬유에서 뷰티레이트와 같은 휘발성 지방산(짧은 사슬 지방산)의 생산은 대장암에서 식이 섬유의 역할에 기여할 수 있다.[16] 뷰티르산을 포함한 짧은 사슬 지방산은 적절한 양의 식이 섬유가 함유된 식물성 식품인 프리바이오틱스를 먹이로 하거나 발효시키는 유익한 장내 세균(프로바이오틱)에 의해 생산된다. 이 짧은 사슬 지방산은 에너지 생성과 세포 증식을 증가시켜 결장 세포에 도움이 되며, 결장암을 예방할 수 있다.[50] 반대로 일부 연구자들은 뷰티레이트를 제거하려고 시도하며 뷰티레이트를 잠재적인 암 유발자로 간주하고 있다.[51] 생쥐에 대한 연구 결과 뷰티레이트가 MSH2 결핍 결장 상피세포의 형질전환을 유도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52] 이는 유전자 결핍과 관련이있다. 유전적으로 문제가 있는 경우 나이아신, β-하이드록시뷰티레이트 및 커규민은 효과적인 보조 치료제가 될 수 있다.[53] 당뇨병[편집] 미생물과 당뇨병의 관계에 대한 보고서는 뷰티레이트가 모델 동물과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심각한 면역 대사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37] 또한 비만, 당뇨병과 인체 내에서 현저한 장내 세균의 불균형 간의 관계 역시 주목받았으나, 아직 이에 대해선 완전하게 이해되고 있지는 않다.[37] 이러한 질병에서 뷰티레이트의 사용에 대한 강력한 증거가 있음을 인정하면서, 이 보고서는 이들 질병의 치료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질병의 병태생리학(즉, 생체분자의 메커니즘)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를 요구했다.[37] 같이 보기[편집] 히스톤 히스톤 변형 효소 히스톤 아세틸화효소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하이드록시뷰티르산 α-하이드록시뷰티르산 β-하이드록시뷰티르산 γ-하이드록시뷰티르산 β-하이드록시 β-메틸뷰티르산 β-메틸뷰티르산 주해[편집] ↑ 결장에서 흡수된 대부분의 뷰티레이트는 간문맥을 통해 순환계로 들어간다.[31] 간문맥으로 들어가는 대부분의 뷰티레이트는 간을 거친다.[31] 각주[편집] 본 문서에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한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Butanoic Acid”. ALS Environmental. 2014년 6월 13일에 확인함.  ↑ Moskin, Julia (2008년 2월 13일). “Dark may be king, but milk chocolate makes a move”. 《The New York Times》. 2016년 1월 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Butyric acid〉. 《Human Metabolome Database》. University of Alberta. 2015년 8월 15일에 확인함.  ↑ Chevreul (1815) "Lettre de M. Chevreul à MM. les rédacteurs des Annales de chimie" (Letter from Mr. Chevreul to the editors of the Annals of Chemistry), Annales de chimie, 94 : 73–79; in a footnote spanning pages 75–76, he mentions that he had found a substance that is responsible for the smell of butter. ↑ Chevreul (1817) "Extrait d'une lettre de M. Chevreul à MM. les Rédacteurs du Journal de Pharmacie" (Extract of a letter from Mr. Chevreul to the editors of the Journal of Pharmacy), Journal de Pharmacie et des sciences accessoires, 3 : 79–81. On p. 81, he named butyric acid: "Ce principe, que j'ai appelé depuis acid butérique, … " (This principle [i.e., constituent], which I have since named "butyric acid", … ) ↑ E. Chevreul, Recherches chimiques sur les corps gras d'origine animale [Chemical researches on fatty substances of animal origin] (Paris, France: F.G. Levrault, 1823), pages 115–133. ↑ 가 나 ICSC 1334 – BUTYRIC ACID. Inchem.org (23 November 1998). Retrieved on 2014-03-31. ↑ Supplementation of Coated Butyric Acid in the Feed Reduces Colonization and Shedding of Salmonella in Poultry[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Ps.fass.org. Retrieved on 31 March 2014. ↑ Freezer Baits Archived 2010년 1월 25일 - 웨이백 머신, nutrabaits.net ↑ Kasumyan AO, Døving KB (2003). “Taste preferences in fishes”. 《Fish and Fisheries》 4 (4): 289–347. doi:10.1046/j.1467-2979.2003.00121.x.  ↑ Japanese Whalers Injured by Acid-Firing Activists, newser.com, 10 February 2010 ↑ National Abortion Federation, HISTORY OF VIOLENCE Butyric Acid Attacks Archived 13 June 2010 - 웨이백 머신.. Prochoice.org. Retrieved on 31 March 2014. ↑ Lokensgard, Erik (2015). 《Industrial Plastics: Theory and Applications》 6판. Cengage Learning.  ↑ Williams, R. Scott. “Care of Plastics: Malignant plastics”. 《WAAC Newsletter》 (Vol. 24, No. 1) (Conservation OnLine). 2017년 5월 29일에 확인함.  ↑ “Why screwdriver handles smell like vomit and make your tongue numb.”. 《The Garage Journal》. 2017년 5월 2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Lupton JR (February 2004). “Microbial degradation products influence colon cancer risk: the butyrate controversy”. 《The Journal of Nutrition》 134 (2): 479–82. PMID 14747692.  ↑ Cummings JH, Macfarlane GT, Englyst HN (February 2001). “Prebiotic digestion and fermentation”.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73 (2 Suppl): 415S–420S. PMID 11157351.  ↑ Grummer RR (September 1991). “Effect of feed on the composition of milk fat” (PDF). 《Journal of Dairy Science》 74 (9): 3244–57. PMID 1779073. doi:10.3168/jds.S0022-0302(91)78510-X.  ↑ webmed. “Frequently asked questions in the area of diet and IBS”. 《www.med.monash.edu》. 2016년 3월 24일에 확인함.  ↑ Gibson, Peter R.; Shepherd, Susan J. (2010년 2월 1일). “Evidence-based dietary management of functional gastrointestinal symptoms: The FODMAP approach”. 《Journal of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25 (2): 252–258. ISSN 1440-1746. PMID 20136989. doi:10.1111/j.1440-1746.2009.06149.x.  ↑ Gibson, Peter R.; Varney, Jane; Malakar, Sreepurna; Muir, Jane G. (2015년 5월 1일). “Food components and irritable bowel syndrome”. 《Gastroenterology》 148 (6): 1158–1174.e4. ISSN 1528-0012. PMID 25680668. doi:10.1053/j.gastro.2015.02.005.  ↑ Owen, O. E.; Morgan, A. P.; Kemp, H. G.; Sullivan, J. M.; Herrera, M. G.; Cahill, G. F. (1967년 10월 1일). “Brain metabolism during fasting”.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46 (10): 1589–1595. ISSN 0021-9738. PMC 292907. PMID 6061736. doi:10.1172/JCI105650.  ↑ Ho, Emily; Clarke, John D.; Dashwood, Roderick H. (2009년 12월 1일). “Dietary Sulforaphane, a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for Cancer Prevention”. 《The Journal of Nutrition》 139 (12): 2393–2396. ISSN 0022-3166. PMC 2777483. PMID 19812222. doi:10.3945/jn.109.113332.  ↑ Pledgie-Tracy, Allison; Sobolewski, Michele D.; Davidson, Nancy E. (2007년 3월 1일). “Sulforaphane induces cell type–specific apoptosis in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Molecular Cancer Therapeutics》 (영어) 6 (3): 1013–1021. ISSN 1535-7163. PMID 17339367. doi:10.1158/1535-7163.MCT-06-0494.  ↑ Sasaki, Mari; Shinozaki, Shohei; Shimokado, Kentaro (2016년 3월 25일). “Sulforaphane promotes murine hair growth by accelerating the degradation of dihydrotestosterone”.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472 (1): 250–254. ISSN 1090-2104. PMID 26923074. doi:10.1016/j.bbrc.2016.02.099.  ↑ Moon, Joon-Kwan; Kim, Jun-Ran; Ahn, Young-Joon; Shibamoto, Takayuki (2010년 6월 9일). “Analysis and anti-Helicobacter activity of sulforaphane and related compounds present in broccoli ( Brassica oleracea L.) sprout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8 (11): 6672–6677. ISSN 1520-5118. PMID 20459098. doi:10.1021/jf1003573.  ↑ Dash, Pramod K.; Zhao, Jing; Orsi, Sara A.; Zhang, Min; Moore, Anthony N. (2009년 8월 28일). “Sulforaphane improves cognitive function administered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Neuroscience Letters》 460 (2): 103–107. ISSN 1872-7972. PMC 2700200. PMID 19515491. doi:10.1016/j.neulet.2009.04.028.  ↑ Ghawi, Sameer Khalil; Methven, Lisa; Niranjan, Keshavan. “The potential to intensify sulforaphane formation in cooked broccoli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using mustard seeds (Sinapis alba)”. 《Food Chemistry》 138 (2–3): 1734–1741. doi:10.1016/j.foodchem.2012.10.119.  ↑ Yang, C. S.; Chhabra, S. K.; Hong, J. Y.; Smith, T. J. (2001년 3월 1일). “Mechanisms of inhibition of chemical toxicity and carcinogenesis by diallyl sulfide (DAS) and related compounds from garlic”. 《The Journal of Nutrition》 131 (3s): 1041S–5S. ISSN 0022-3166. PMID 11238812.  ↑ Sundaram, Sujatha G.; Milner, John A. (1996년 4월 1일). “Diallyl disulfide induces apoptosis of human colon tumor cells”. 《Carcinogenesis》 (영어) 17 (4): 669–673. ISSN 0143-3334. PMID 8625476. doi:10.1093/carcin/17.4.669.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Bourassa MW, Alim I, Bultman SJ, Ratan RR (June 2016). “Butyrate, neuroepigenetics and the gut microbiome: Can a high fiber diet improve brain health?”. 《Neurosci. Lett.》 625: 56–63. PMID 26868600. doi:10.1016/j.neulet.2016.02.009. Butyrate is an attractive therapeutic molecule because of its wide array of biological functions, such as its ability to serve as a histone deacetylase (HDAC) inhibitor, an energy metabolite to produce ATP and a G protein-coupled receptor (GPCR) activator. ... Histone acetylation is a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by an epigenetic protein, which are proteins that bind to chromatin and influence chromatin structure to change the propensity that a gene is transcribed or repressed. Acetylated histones cause the chromatin structure to loosen by weakening electrostatic attraction between the histone proteins and the DNA backbone. This process enables transcription factors and the basal transcriptional machinery to bind and increases transcription. ... However,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at least some of these beneficial effects can be attributed NaB’s ability to increase acetylation around the promoters of neurotrophic factors, such as BDNF, GDNF and NGF and thus increasing their transcription [41], [42], [43], [44], [45], [46], [47] and [48]. ... Butyrate also signals through GPR109a ... Much of the butyrate produced in the colon is used as an energy source by the colonocytes, but some butyrate can also exit the colon through the portal vein, where the liver absorbs another large portion [74] and [75]. However, the distal colon is not connected to the portal vein, allowing for some systemic butyrate to be circulated. Indeed, there are many reports of high fiber diets increasing blood levels of circulating butyrate [75], [76] and [77]. These later reports raise the possibility that increases in circulating butyrate could affect CNS function directly.  ↑ 가 나 다 라 Kasubuchi M, Hasegawa S, Hiramatsu T, Ichimura A, Kimura I (2015). “Dietary gut microbial metabolites, short-chain fatty acids, and host metabolic regulation”. 《Nutrients》 7 (4): 2839–49. PMC 4425176. PMID 25875123. doi:10.3390/nu7042839. Short-chain fatty acids (SCFAs) such as acetate, butyrate, and propionate, which are produced by gut microbial fermentation of dietary fiber, are recognized as essential host energy sources and act as signal transduction molecules via G-protein coupled receptors (FFAR2, FFAR3, OLFR78, GPR109A) and as epigenetic regulators of gene expression by the inhibition of histone deacetylase (HDAC). Recent evidence suggests that dietary fiber and the gut microbial-derived SCFAs exert multiple beneficial effects on the host energy metabolism not only by improving the intestinal environment, but also by directly affecting various host peripheral tissues.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Hoeppli RE, Wu D, Cook L, Levings MK (February 2015). “The environment of regulatory T cell biology: cytokines, metabolites, and the microbiome”. 《Front Immunol》 6: 61. PMC 4332351. PMID 25741338. doi:10.3389/fimmu.2015.00061. Specific species that have been recognized by their high levels of butyrate production include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and the cluster IV and XIVa of genus Clostridium ... Administration of acetate, propionate, and butyrate in drinking water mimics the effect of Clostridium colonization in germ-free mice, resulting in an elevated Treg frequency in the colonic lamina propria and increased IL-10 production by these Tregs (180, 182). Of the three main SCFAs, butyrate has been found to be the most potent inducer of colonic Tregs. Mice fed a diet enriched in butyrylated starches have more colonic Tregs than those fed a diet containing propinylated or acetylated starches (181). Arpaia et al. tested an array of SCFAs purified from commensal bacteria and confirmed butyrate was the strongest SCFA-inducer of Tregs in vitro (180). Mechanistically, it has been proposed that butyrate, and possibly propionate, promote Tregs through inhibiting histone deacetylase (HDAC), causing increased acetylation of histone H3 in the Foxp3 CNS1 region, and thereby enhancing FOXP3 expression (180, 181). Short-chain fatty acids partially mediate their effects through G-protein coupled receptors (GPR), including GPR41, GPR43, and GPR109A. GPR41 and GPR43 are stimulated by all three major SCFAs (191), whereas GPR109A only interacts with butyrate (192). Figure 1: Microbial-derived molecules promote colonic Treg differentiation. ↑ Tsuji A (2005). “Small molecular drug transfer across the blood-brain barrier via carrier-mediated transport systems”. 《NeuroRx》 2 (1): 54–62. PMC 539320. PMID 15717057. doi:10.1602/neurorx.2.1.54. Other in vivo studies in our laboratories indicated that several compounds including acetate, propionate, butyrate, benzoic acid, salicylic acid, nicotinic acid, and some β-lactam antibiotics may be transported by the MCT at the BBB.21 ... Uptake of valproic acid was reduced in the presence of medium-chain fatty acids such as hexanoate, octanoate, and decanoate, but not propionate or butyrate, indicating that valproic acid is taken up into the brain via a transport system for medium-chain fatty acids, not short-chain fatty acids.  ↑ 가 나 Vijay N, Morris ME (2014). “Role of monocarboxylate transporters in drug delivery to the brain”. 《Curr. Pharm. Des.》 20 (10): 1487–98. PMC 4084603. PMID 23789956. doi:10.2174/13816128113199990462. Monocarboxylate transporters (MCTs) are known to mediate the transport of short chain monocarboxylates such as lactate, pyruvate and butyrate. ... MCT1 and MCT4 have also been associated with the transport of short chain fatty acids such as acetate and formate which are then metabolized in the astrocytes [78]. ... SLC5A8 is expressed in normal colon tissue, and it functions as a tumor suppressor in human colon with silencing of this gene occurring in colon carcinoma. This transporter is involved in the concentrative uptake of butyrate and pyruvate produced as a product of fermentation by colonic bacteria.  ↑ “triacylglycerol lipase – Homo sapiens”. 《BRENDA》. Technische Universität Braunschweig. 2015년 5월 25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Tilg H, Moschen AR (September 2014). “Microbiota and diabetes: an evolving relationship”. 《Gut》 63 (9): 1513–1521. PMID 24833634. doi:10.1136/gutjnl-2014-306928. Recent studies have suggested that gut bacteria play a fundamental role in diseases such as obesity,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Data are accumulating in animal models and humans suggesting that obesity and type 2 diabetes (T2D) are associated with a profound dysbiosis. First human meta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demonstrated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s of specific intestinal bacteria, certain bacterial genes and respective metabolic pathways with T2D. Importantly, especially butyrate-producing bacteria such as Roseburia intestinalis and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concentrations were lower in T2D subjects. This supports the increasing evidence, that butyrate and other short-chain fatty acids are able to exert profound immunometabolic effects.  ↑ 가 나 다 라 Wang G (2014). “Human antimicrobial peptides and proteins”. 《Pharmaceuticals (Basel)》 7 (5): 545–94. PMC 4035769. PMID 24828484. doi:10.3390/ph7050545. The establishment of a link between light therapy, vitamin D and human cathelicidin LL-37 expression provides a completely different way for infection treatment. Instead of treating patients with traditional antibiotics, doctors may be able to use light or vitamin D [291,292]. Indeed using narrow-band UV B light, the level of vitamin D was increased in psoriasis patients (psoriasis is a common autoimmune disease on skin) [293]. In addition, other small molecules such as butyrate can induce LL-37 expression [294]. Components from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may regulate the AMP expression as well [295]. These factors may induce the expression of a single peptide or multiple AMPs [296]. It is also possible that certain factors can work together to induce AMP expression. While cyclic AMP and butyrate synergistically stimulate the expression of chicken β-defensin 9 [297], 4-phenylbutyrate (PBA) and 1,25-dihydroxyvitamin D3 (or lactose) can induce AMP gene expression synergistically [294,298]. It appears that stimulation of LL-37 expression by histone deacetylase (HDAC) inhibitors is cell dependent. Trichostatin and sodium butyrate increased the peptide expression in human NCI-H292 airway epithelial cells but not in the primary cultures of normal nasal epithelial cells [299]. However, the induction of the human LL-37 expression may not be a general approach for bacterial clearance. During Salmonella enterica infection of human monocyte-derived macrophages, LL-37 is neither induced nor required for bacterial clearance [300]. Table 3: Select human antimicrobial peptides and their proposed targetsTable 4: Some known factors that induce antimicrobial peptide expression ↑ Yonezawa H, Osaki T, Hanawa T, Kurata S, Zaman C, Woo TD, Takahashi M, Matsubara S, Kawakami H, Ochiai K, Kamiya S (2012). “Destructive effects of butyrate on the cell envelope of Helicobacter pylori”. 《J. Med. Microbiol.》 61 (Pt 4): 582–9. PMID 22194341. doi:10.1099/jmm.0.039040-0.  ↑ McGee DJ, George AE, Trainor EA, Horton KE, Hildebrandt E, Testerman TL (2011). “Cholesterol enhances Helicobacter pylori resistance to antibiotics and LL-37”. 《Antimicrob. Agents Chemother.》 55 (6): 2897–904. PMC 3101455. PMID 21464244. doi:10.1128/AAC.00016-11.  ↑ 가 나 Zimmerman MA, Singh N, Martin PM, Thangaraju M, Ganapathy V, Waller JL, Shi H, Robertson KD, Munn DH, Liu K (2012). “Butyrate suppresses colonic inflammation through HDAC1-dependent Fas upregulation and Fas-mediated apoptosis of T cells”.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302 (12): G1405–15. PMC 3378095. PMID 22517765. doi:10.1152/ajpgi.00543.2011.  ↑ Offermanns S, Schwaninger M (2015). “Nutritional or pharmacological activation of HCA(2) ameliorates neuroinflammation”. 《Trends Mol Med》 21 (4): 245–255. PMID 25766751. doi:10.1016/j.molmed.2015.02.002. Neuroinflammatory cells express HCA2, a receptor for the endogenous neuroprotective ketone body β-hydroxybutyrate (BHB) as well as for the drugs dimethyl fumarate (DMF) and nicotinic acid, which have established efficacy in the treatment of MS and experimental stroke, respectively. This review summarizes the evidence that HCA2 is involved in the therapeutic effects of DMF, nicotinic acid, and ketone bodies in reducing neuroinflammation.  ↑ Chai JT, Digby JE, Choudhury RP (May 2013). “GPR109A and vascular inflammation”. 《Curr Atheroscler Rep》 15 (5): 325. PMC 3631117. PMID 23526298. doi:10.1007/s11883-013-0325-9. As GPR109A's primary pharmacological ligand in clinical use, niacin has been used for over 50 years in the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mainly due to its favourable effects on plasma lipoproteins. However, it has become apparent that niacin also possesses lipoprotein-independent effects that influence inflammatory pathways mediated through GPR109A.  ↑ Graff EC, Fang H, Wanders D, Judd RL (February 2016).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hydroxycarboxylic acid receptor 2”. 《Metab. Clin. Exp.》 65 (2): 102–113. PMID 26773933. doi:10.1016/j.metabol.2015.10.001. HCA2 is highly expressed on immune cells, including macrophages, monocytes, neutrophils and dermal dendritic cells, among other cell types. ... Recent studies demonstrate that HCA2 mediates profound anti-inflammatory effects in a variety of tissues, indicating that HCA2 may be an important therapeutic target f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 processes.  ↑ Wakade C, Chong R (December 2014). “A novel treatment target for Parkinson's disease”. 《J. Neurol. Sci.》 347 (1-2): 34–38. PMID 25455298. doi:10.1016/j.jns.2014.10.024. GPR109A and its agonists are known to exert anti-inflammatory actions in the skin, gut and retina.  ↑ Farzi A, Reichmann F, Holzer P (2015). “The homeostatic role of neuropeptide Y in immune function and its impact on mood and behaviour”. 《Acta Physiol (Oxf)》 213 (3): 603–27. PMC 4353849. PMID 25545642. doi:10.1111/apha.12445. In the context of this review it is particularly worth noting that short chain fatty acids such as butyrate, which the colonic microbiota generates by fermentation of otherwise indigestible dietary fibre (Cherbut et al. 1998), stimulate L cells to release PYY via the G-protein coupled receptor Gpr41 (Samuel et al. 2008). In this way, short chain fatty acids can indirectly attenuate gastrointestinal motility as well as electrolyte and water secretion (Cox 2007b). More importantly, short chain fatty acids exert homeostatic actions on the function of the colonic mucosa and immune system (Hamer et al. 2008, Tazoe et al. 2008, Guilloteau et al. 2010, Macia et al. 2012a, Smith et al. 2013). Whether PYY plays a role in these effects of short chain fatty acids awaits to be investigated, but may be envisaged from the finding that PYY promotes mucosal cell differentiation (Hallden & Aponte 1997).  ↑ Donohoe, Dallas R.; Garge, Nikhil; Zhang, Xinxin; Sun, Wei; O’Connell, Thomas M.; Bunger, Maureen K.; Bultman, Scott J. (2011년 5월 4일). “The Microbiome and Butyrate Regulate Energy Metabolism and Autophagy in the Mammalian Colon”. 《Cell Metabolism》 13 (5): 517–526. ISSN 1550-4131. PMC 3099420. PMID 21531334. doi:10.1016/j.cmet.2011.02.018.  ↑ Vanhoutvin SA, Troost FJ, Hamer HM, Lindsey PJ, Koek GH, Jonkers DM, Kodde A, Venema K, Brummer RJ (2009). Bereswill S, 편집. “Butyrate-induced transcriptional changes in human colonic mucosa”. 《PLOS ONE》 4 (8): e6759. PMC 2727000. PMID 19707587. doi:10.1371/journal.pone.0006759. [깨진 링크] ↑ Klampfer L, Huang J, Sasazuki T, Shirasawa S, Augenlicht L (August 2004). “Oncogenic Ras promotes butyrate-induced apoptosis through inhibition of gelsolin expression” (PDF).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79 (35): 36680–8. PMID 15213223. doi:10.1074/jbc.M405197200.  ↑ Lupton, Joanne R. (2004). 《Microbial Degradation Products Influence Colon Cancer Risk: the Butyrate Controversy》. vol. 134 no. 2: J. Nutr. 479–482쪽.  ↑ “Low-carb diet cuts risk of colon cancer, study finds | University of Toronto Media Room”. 《media.utoronto.ca》. 2016년 5월 4일에 확인함.  ↑ Belcheva, Antoaneta; Irrazabal, Thergiory; Robertson, Susan J.; Streutker, Catherine; Maughan, Heather; Rubino, Stephen; Moriyama, Eduardo H.; Copeland, Julia K.; Kumar, Sachin (2014년 7월 17일). “Gut microbial metabolism drives transformation of MSH2-deficient colon epithelial cells”. 《Cell》 158 (2): 288–299. ISSN 1097-4172. PMID 25036629. doi:10.1016/j.cell.2014.04.051.  ↑ “Colon Cancer Shuts Down Receptor That Could Shut It Down”. 《ScienceDaily》. 2016년 5월 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영어) International Chemical Safety Card 1334 vdeh지질: 지방산포화 지방산 뷰티르산 (C4) 발레르산 (C5) 카프로산 (C6) 에난트산 (C7) 카프릴산 (C8) 펠라르곤산 (C9) 카프르산 (C10) 운데실산 (C11) 라우르산 (C12) 트라이데실산 (C13) 미리스트산 (C14) 펜타데칸산 (C15) 팔미트산 (C16) 마르가르산 (C17) 스테아르산 (C18) 노나데실산 (C19) 아라키드산 (C20) 헨에이코실산 (C21) 베헨산 (C22) 트라이코실산 (C23) 리그노세르산 (C24) 펜타코실산 (C25) 세로트산 (C26) 헵타코실산 (C27) 몬탄산 (C28) 노나코실산 (C29) 멜리스산 (C30) 헨트라이아콘틸산 (C31) 라세로산 (C32) 프실산 (C33) 게드산 (C34) 세로플라스트산 (C35) 헥사트라이아콘탄산 (C36) 헵타트라이아콘탄산 (C37) 불포화 지방산ω-3 지방산 α-리놀렌산 (18:3) 스테아리돈산 (18:4) 에이코사펜타엔산 (EPA, 20:5) 도코사헥사엔산 (DHA, 22:6) ω-6 지방산 리놀레산 (18:2) γ-리놀렌산 (18:3) 디호모-γ-리놀렌산 (20:3) 아라키돈산 (20:4) 아드렌산 (22:4) ω-7 지방산 팔미톨레산 (16:1) 박센산 (18:1) 파울린산 (20:1) ω-9 지방산 올레산 (18:1) 엘라이드산 (트랜스-18:1) 곤도산 (20:1) 에루크산 (22:1) 네르본산 (24:1) 미드산 (20:3) 생체분자: 탄수화물 알코올 당단백질 글리코사이드 지질 에이코사노이드 지방산 / 지방산 대사 중간생성물 인지질 스핑고지질 스테로이드 핵산 구성 성분 뉴클레오타이드 대사 중간생성물 단백질 표준 아미노산 / 아미노산 대사 중간생성물 테트라피롤 헴 대사 중간생성물 전거 통제 LCCN: sh85018405 GND: 4448004-0 BNF: cb12561820m (데이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뷰티르산&oldid=23726431" 분류: 생화학 물질지방산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웹아카이브 틀 웨이백 링크CS1 - 영어 인용 (en)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1911년판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을 인용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ಕನ್ನಡКыргызчаLatinaLatviešuമലയാളം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తెలుగు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8일 (월) 12:5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뷰티르산(영어: butyric acid, 그리스어 "βούτῡρον"에서 유래, "butter"를 의미함)은 계통명은 부탄산(영어: butanoic acid)이고, BTA로 약칭되며, 화학식이 CH3CH2CH2-COOH 인 카복실산이다. 뷰티르산의 염 및 에스터(에스테르)는 뷰티레이트(butyrate) 또는 부타노에이트(butanoate)로 알려져 있다. 뷰티르산은 우유 특히 염소, 양 및 아메리카들소의 젖, 버터, 파르미자노 레자노 치즈 및 혐기성 발효 산물(결장 및 액취증 포함)에서 발견된다. 또한 뷰티르산은 허쉬 공정에 의해 생산된 밀크 초콜릿에서 발견되거나, 허쉬 초콜릿의 맛을 모방하기 위해 첨가된 것으로 추측된다. 뷰티르산은 사람의 구토물에 존재하며, 불쾌한 냄새를 낸다. 뷰티르산은 불쾌한 냄새와 콕 쏘는 맛을 가지며, 에테르와 유사한 약간 감미로운 뒷맛을 가진다. 개와 같은 좋은 냄새 탐지 능력이 있는 포유류는 뷰티르산을 10ppb(parts per billion)로 탐지할 수 있는 반면에 사람은 10ppm(parts per million)이상의 농도에서 뷰티르산을 탐지할 수 있다. 뷰티르산은 1814년 프랑스의 화학자 미셀 외젠 슈브뢰이(Michel Eugène Chevreul)에 의해 불순한 형태로 처음 관찰되었다. 1818년까지 슈브뢰이는 뷰티르산을 특징짓기 위해 충분하게 정제했다. 그러나 슈브뢰이는 뷰티르산에 대한 초기 연구를 발표하지 않았고, 대신 프랑스 파리에 있는 과학 아카데미에 원고 형태로 연구 결과물을 맡겼다. 또한 프랑스의 화학자인 앙리 브라코노(Henri Braconnot)도 버터의 성분을 연구하고 연구 결과를 발표했는데 이것이 우선권에 대한 논쟁으로 이어졌다. 1815년 초에 슈브뢰이는 버터 냄새의 원인이 되는 물질을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1817년에 슈브뢰이는 뷰티르산의 성질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뷰티르산의 이름을 지었다. 그러나, 1823년에 이르러서야 뷰티르산의 특성이 자세히 밝혀졌다. 뷰티르산이란 이름은 처음 발견된 물질인 butyrum (또는 buturum)이라는 버터의 라틴어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뷰티르산은 암세포에서 어떤 효과가 있나요? Assistant: 뷰티레이트는 정상세포와 암세포에서 서로 다른 효과를 나타낸다. 이는 "뷰티레이트의 역설(butyrate paradox)"로 알려져 있다. 특히 뷰티레이트는 결장 종양 세포는 억제하고, 정상적인 결장상피 세포는 촉진시킨다.[48] 그 신호전달 메커니즘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49] 보고서는 뷰티레이트의 화학적 예방 효과가 부분적으로 종양 형성 과정과 관련된 노출량, 노출시간 및 식이 지방의 종류에 달려 있다고 제안했다.[16] 발효될 수 있는 섬유에서 뷰티레이트와 같은 휘발성 지방산(짧은 사슬 지방산)의 생산은 대장암에서 식이 섬유의 역할에 기여할 수 있다.[16] 뷰티르산을 포함한 짧은 사슬 지방산은 적절한 양의 식이 섬유가 함유된 식물성 식품인 프리바이오틱스를 먹이로 하거나 발효시키는 유익한 장내 세균(프로바이오틱)에 의해 생산된다. 이 짧은 사슬 지방산은 에너지 생성과 세포 증식을 증가시켜 결장 세포에 도움이 되며, 결장암을 예방할 수 있다.[50] 반대로 일부 연구자들은 뷰티레이트를 제거하려고 시도하며 뷰티레이트를 잠재적인 암 유발자로 간주하고 있다.[51] 생쥐에 대한 연구 결과 뷰티레이트가 MSH2 결핍 결장 상피세포의 형질전환을 유도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52] 이는 유전자 결핍과 관련이있다. 유전적으로 문제가 있는 경우 나이아신, β-하이드록시뷰티레이트 및 커규민은 효과적인 보조 치료제가 될 수 있다.[53] Human: 아래 암보이나_사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암보이나 사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암보이나 사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암보이나사건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암보이나의 네덜란드와 잉글랜드의 거주지 (위)와 반다네이라 (아래), 1655년 판화 암보이나 사건(네덜란드어: Ambonse Moord, 영어: Amboyna Massacre)은 1623년에 네덜란드령 동인도(현 인도네시아) 말루쿠 제도의 암보이나 섬(암본 섬)에 있는 잉글랜드의 길드 사무소를 네덜란드가 습격해 길드 사무소 직원을 모두 살해한 사건이다. 암본 사건 또는 암보이나 학살이라고 불린다. 이로 인해 잉글랜드의 향신료 무역은 좌절되었고, 네덜란드는 섬의 이익을 독점했다. 동남아시아에서 철수한 잉글랜드는 인도에 화살을 조준하게 되었다. 이 사건은 향신료 무역을 둘러싼 영국 동인도 회사와 네덜란드 공화국 간의 치열한 경쟁의 결과였으며, 17세기 후반까지 두 나라의 긴장 관계의 근원으로 남았다. 목차 1 배경 2 사건 3 결과 4 참고문헌 5 각주 6 외부 링크 배경[편집] 암보이나 섬은 말루쿠 제도 남쪽 스람 섬의 남서쪽에 위치한 섬으로, 정향 등의 향료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유럽에서 비싸게 거래되던 이 향신료를 구하기 위해 이 섬에 진출을 시도하는 나라가 잇따랐다. 1512년에 포르투갈인들이 최초로 진출한 이래, 암보이나 섬의 향료는 포르투갈이 독점했다. 그러나 1599년에 네덜란드인들이 무역을 통해 진출한 이래, 1605년 2월 스티븐 반 데르 하겐이 무혈로 뉴빅토리아 요새를 점령하고, 지배권을 확립했다. 반면 잉글랜드도 1615년에 진출하여 향료 무역을 하면서 치열하게 경쟁했다.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영란 양국 정부는 1619년 런던에서 방위조약(Treaty of Defence)을 체결하고, 아래의 사항을 서로 확인했다. 향료 무역은 향후 양국이 공동으로 실시하며, 이익 분배에 있어서 네덜란드 기득권을 존중하고 3분의 2를 네덜란드에, 나머지 잉글랜드가 얻는다. 그동안 양국이 점령한 지역의 영유권은 그대로 간직되지만, 향후 정복한 땅은 양국에서 절반씩 나눈다. 그러나 네덜란드 현지 당국은 이 협정을 무시하고 거래를 했고, 격노한 영국인은 바타비아의 네덜란드를 내쫒는다. 양자의 갈등과 대립은 전혀 나아질 기미가 없었다. 사건[편집] 이 조약에도 불구하고 두 회사는 긴장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양 당사자는 거래하던 현지의 통치자들과의 관계를 맺고 서로를 깎아내리기 위해 나쁜 믿음, 조약 의무 불이행, 비열한 시도를 포함하여 서로 수많은 불평을 했다. 암보이나 지역에서, 지방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총독인 헤르만 반 스페울트는 1622년 후반에 충성의 대상을 스페인으로 바꾸려고 하는 트르나테 술탄과 분쟁을 겪었다. 반 스페울트는 잉글랜드가 이런 문제를 비밀스럽게 야기했다고 의심했다.[1] 그 결과, 암보이나의 네덜란드인들은 무역소를 그들과 공유하고 있는 영국 무역상을 의심하게 되었다. 이러한 막연한 의심은 1623년 2월 일본인 용병 중 하나인 로닌(또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고용한 주인없는 사무라이[2])이 빅토리아 요새의 방어 감시의 현장에서 붙잡히면서 확고해졌다. 고문으로 심문을 하자, 그 군인은 다른 일본 용병과 요새를 점거하고 총독을 암살하려 했다는 음모를 고백했다. 그는 또한 음모를 꾸민 일원으로 잉글랜드인 수장인 가브리엘 토어슨을 연루시켰다. 그 후 토어슨과 암보이나와 인접한 섬의 다른 잉글랜드인 직원이 체포되어 심문을 받았다.[3] 전부는 아니지만[4] 대부분의 경우 심문을 당하면서 고문을 당했다.[5] 고문은 머리 위에 천을 덮고 물을 끼얹어 질식시키는 방식의 물고문이 행해졌다. (오늘 날에는 워터보딩이라고 불린다.) 이것은 당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에서 행해지던 통상적인 수사 고문이었다. 네덜란드의 재판 기록에 따르면 대부분의 용의자는 고문 여부에 상관없이 유죄로 판결났다. 고소된 혐의가 반역이었기 때문에, 자백을 한 자들(자백은 로마 네덜란드 법률에 따라 유죄 판결을 위해 필요했다)은 암보이나의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총독과 협의회로 구성된 법원에 의해 사형을 선고 받았다. 그러나 영국인 4명과 일본인 2명은 사면되었다. 결과적으로 10명의 영국인, 9명의 일본인과 1명의 포르투갈인(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에 고용되었던)이 참수를 당했다. 1623년 3월 9일에 그들은 참수를 당했고, 영국인 수장인 가브리엘 토어슨의 머리는 모두가 볼 수 있게 기둥에 찔려 세워졌다. 이 사건은 양국 정부가 수년간 추구해 온 목표였던 이 지역에서의 영국 - 네덜란드 협력에 대한 희망을 끝장냈으며, 동인도 제도에서 네덜란드의 지배력의 시작을 알렸다. 결과[편집] 이 사건은 이내 잉글랜드 본국에 전달되었고, 양국 간에 진행하고 있던 동인도 회사의 합병 협상은 결렬되면서, 결국 외교 문제로까지 발전했다. 사건 발생 31년이 지난 1654년 네덜란드가 8만 5000 파운드의 배상금을 지불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이 사건을 계기로 동남아시아에서 잉글랜드의 영향력은 축소되었고, 네덜란드가 지배권을 강화했다. 하지만 일단 같은 양의 금과 교환된 적이 있었을 정도의 고급품이었던 향료의 가격은 점차 하락했다. 이에 따라 네덜란드의 세계적 지위도 떨어지기 시작했다. 이에 반해 새로운 해외 거점을 인도에 요구한 잉글랜드는 좋은 면제품의 대량 생산으로 국력을 키웠다. 참고문헌[편집] Coolhaas, W. Ph., "Aanteekeningen en opmerkingen over den zoogenaamden Ambonschen moord", in: Bijdragen tot de Taal-, Land- en Volkenkunde van Nederlandsch-Indië, Vol. 101 (1942), p. 49–93 Evans, M.D. (1998): Preventing Torture: A Study of the European Convention for the Prevention of Torture and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Oxford U.P.; 512 pages, ISBN 0-19-826257-4 Hunter, W.W., Roberts, P.E. (1899): A History of British India, Longman, Green & Co. Jourdain, J. e.a. (1905): The Journal of John Jourdain, 1608–1617, Describing His Experiences in Arabia, India, and the Malay Archipelago, Hakluyt Society Markley, R. (2006): The Far East and the English Imagination, 1600–1730, Cambridge U.P.; 324 pages ISBN 0-521-81944-X Milton, G., Nathaniel’s Nutmeg: How one man's courage changed the course of history, 2000 Sceptre; 400 pages, ISBN 0-340-69676-1 Records of the special committee of judges on the Amboyna Massacre (Ambonse moorden), at the Nationaal Archief of the Netherlands in The Hague (part of the records of the Staten Generaal, records number 1.01.07, inventory number 12551.62) A Reply to the Remonstrance of the Bewinthebbers or Directors of the Dutch East-India Company, East-India Company (1632) Shorto, R., The Island at the Center of the World. Doubleday 2004 Schmidt, B. (2001): Innocence abroad: The Dutch imagination and the New World, 1570–1670, Cambridge University Press; 480 pages, ISBN 0-521-80408-6 Zwicker, S.N. (2004): The Cambridge Companion to John Dryden, Cambridge U.P., 318 pages ISBN 0-521-53144-6 각주[편집] ↑ State Papers, No. 537I ↑ 일본인 용병들은 포르투갈과 태국 왕들도 고용하고 있었다. 야마다 나가마사 참조 ↑ State Papers, No. 499I ↑ A number of the factors from the adjacent islands(Powle, Ladbrooke, Ramsey, and Sadler) had unshakeable "alibis" and were therefore left in peace; State Papers, No. 499I ↑ Under Roman Dutch Law, as under other continental European systems of law, based on the ius civile, torture was allowed in specific circumstances; Evans pp. 4–6. Though the English common law did not need torture for investigative purposes (as a confession was not required for conviction), the English did torture in cases of treason. For this purpose, a royal or Privy Council warrant was required, based on the Royal Prerogative.For a contemporary instance see the entry about the torture in February 1620/21 of one "Peacock of Cambridge" in the diary of William Camden in connection with the trial of Thomas Lake. A warrant for the torture of John Felton was quashed in 1628. 외부 링크[편집] Sainsbury, W. Noel (ed.), Calendar of State Papers Colonial, East Indies, China and Japan – 1622–1624, Volume 4 (1878) [1] (네덜란드어) Resolutiën Staten-Generaal 1626–1630, Bewerkt door I.J.A. Nijenhuis, P.L.R. De Cauwer, W.M. Gijsbers, M. Hell, C.O. van der Meij en J.E. Schooneveld-Oosterling [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암보이나_사건&oldid=23559695" 분류: 네덜란드-영국 관계스튜어트 시대영국 동인도 회사말루쿠주숨은 분류: 네덜란드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فارسیBahasa Indonesia日本語മലയാളംNederlandsРусскийTürkçe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28일 (월) 14: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암보이나 사건(네덜란드어: Ambonse Moord, 영어: Amboyna Massacre)은 1623년에 네덜란드령 동인도(현 인도네시아) 말루쿠 제도의 암보이나섬(암본섬)에 있는 잉글랜드의 길드 사무소를 네덜란드가 습격해 길드 사무소 직원을 모두 살해한 사건이다. 암본 사건 또는 암보이나 학살이라고 불린다. 이로 인해 잉글랜드의 향신료 무역은 좌절되었고, 네덜란드는 섬의 이익을 독점했다. 동남아시아에서 철수한 잉글랜드는 인도에 화살을 조준하게 되었다. 이 사건은 향신료 무역을 둘러싼 영국 동인도 회사와 네덜란드 공화국 간의 치열한 경쟁의 결과였으며, 17세기 후반까지 두 나라의 긴장 관계의 근원으로 남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암보이나 사건 때문에 어떤 결과가 생겼어? Assistant: 그 결과, 암보이나의 네덜란드인들은 무역소를 그들과 공유하고 있는 영국 무역상을 의심하게 되었다. 이러한 막연한 의심은 1623년 2월 일본인 용병 중 하나인 로닌(또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고용한 주인없는 사무라이[2])이 빅토리아 요새의 방어 감시의 현장에서 붙잡히면서 확고해졌다. 고문으로 심문을 하자, 그 군인은 다른 일본 용병과 요새를 점거하고 총독을 암살하려 했다는 음모를 고백했다. 그는 또한 음모를 꾸민 일원으로 잉글랜드인 수장인 가브리엘 토어슨을 연루시켰다. 그 후 토어슨과 암보이나와 인접한 섬의 다른 잉글랜드인 직원이 체포되어 심문을 받았다.[3] 전부는 아니지만[4] 대부분의 경우 심문을 당하면서 고문을 당했다.[5] 고문은 머리 위에 천을 덮고 물을 끼얹어 질식시키는 방식의 물고문이 행해졌다. (오늘 날에는 워터보딩이라고 불린다.) 이것은 당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에서 행해지던 통상적인 수사 고문이었다. 네덜란드의 재판 기록에 따르면 대부분의 용의자는 고문 여부에 상관없이 유죄로 판결났다. 고소된 혐의가 반역이었기 때문에, 자백을 한 자들(자백은 로마 네덜란드 법률에 따라 유죄 판결을 위해 필요했다)은 암보이나의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총독과 협의회로 구성된 법원에 의해 사형을 선고 받았다. 그러나 영국인 4명과 일본인 2명은 사면되었다. 결과적으로 10명의 영국인, 9명의 일본인과 1명의 포르투갈인(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에 고용되었던)이 참수를 당했다. 1623년 3월 9일에 그들은 참수를 당했고, 영국인 수장인 가브리엘 토어슨의 머리는 모두가 볼 수 있게 기둥에 찔려 세워졌다. 이 사건은 양국 정부가 수년간 추구해 온 목표였던 이 지역에서의 영국 - 네덜란드 협력에 대한 희망을 끝장냈으며, 동인도 제도에서 네덜란드의 지배력의 시작을 알렸다.
Human: 아래 플라시도_도밍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플라시도 도밍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플라시도 도밍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영어 위키백과의 Plácido Domingo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신뢰성 있고 확인할 수 있는 출처가 제시되도록 번역하여 주십시오. 번역을 완료한 후에는 {{번역된 문서}} 틀을 토론창에 표기하여 저작자를 표시하여 주십시오. 문맥상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 문서를 같이 번역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번역을 확장할 필요가 있는 다른 문서를 보고 싶으시다면 분류:번역 확장 필요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플라시도 도밍고Plácido Domingo 기본 정보본명 호세 플라시도 도밍고 엠빌José Plácido Domingo Embil출생 1941년 1월 14일(1941-01-14) (78세)스페인 마드리드직업 오페라 가수, 뮤지컬 배우활동 시기 1959년 ~ 현재 호세 플라시도 도밍고 엠빌(스페인어: José Plácido Domingo Embil, 1941년 1월 14일 ~ )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출생한 오페라 가수, 성악가이자 지휘자이다. 1959년 멕시코 시티의 국립 가극장에서 데뷔했다. 1961년 몬테레이에서 연기한 《라 트라비아타》의 알프레도 역이 본격적인 첫 주연이다. 1968년 프랑코 코렐리의 대역으로 《아드리아나 르쿠브뢰르》의 마우리치오 역을 맡아 뉴욕 메트로폴리탄 무대에 데뷔했다. 루치아노 파바로티, 호세 카레라스와 함께 The three tenors(3대 테너)라 불렸다. 목차 1 약력 2 평가 3 트리비아 4 서훈 5 외부 링크 약력[편집]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태어났고, 양친은 모두 스페인 민속 오페라인 사르수엘라(Zarzuela) 극단에서 활동하던 가수였다. 여덟 살 때 부모를 따라 멕시코로 이주하였으며, 그 곳에서 성장했다. 멕시코시티 음악원에서 피아노와 지휘를 전공했지만, 이후 성악으로 전공을 바꾸어 부모처럼 사르수엘라 극단의 가수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1961년 멕시코시티 오페라극장에서 바리톤으로 공식 데뷔했고, 이후 성역을 끌어올려 베르디의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에서 남주인공인 알프레도 역으로 출연하면서 테너로 전향하여 활동하기 시작했다. 1962년에서 1965년 동안에는 이스라엘 국립오페라단에서 활약하다가 1968년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극장에서 프랑코 코렐리의 대역을 훌륭히 소화하여 일약 세계적인 스타가 되었다. 이후 세계 각지의 오페라 극장 무대를 석권했고, 도이체 그라모폰이나 데카, RCA 등 세계 유수의 클래식 레이블들에서 음반을 발매하며 엄청난 존재감을 과시하기 시작했다. 2009년 메트로폴리탄 극장에서 바리톤으로 회귀하여 시몬 보카네그라의 타이틀 롤로 재데뷔했다. 시몬 역을 맡는 도중에 직장암으로 고생하기도 했지만, 2010년 봄에 수술을 받은 뒤 완쾌되었고, 현재 오페라 무대와 콘서트에서 다시 활동 중이다. 수술 후에는 무대 출연을 자제하는 편이라지만, 전보다 약간 줄었을 뿐 아직도 꾸준히 활동 중이다. 특히 일반적인 성악가들은 좋은 기량을 보여주기 어렵다고 생각하는 고희를 훌쩍 넘긴 나이에도 은퇴는 커녕 여전히 현역으로 뛰는 수준을 넘어서서, 잊혀진 작품이나 초연작, 바리톤 배역에 출연하는 등 아직도 새로운 배역을 맡으며 레퍼토리를 넓히고 있는 노익장을 발휘 중이고, 물론 전성기 만큼은 아니지만 여전한 가창을 보여주고 있다. 2013년 7월에도 색전증으로 입원하였으나, 퇴원하자마자 원래 잡혀있던 페스티벌 일정을 모두 소화하는 강철 체력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현재는 아무래도 건강 때문인지 타이틀 롤 보다는 조연 역할로 출연하는 경우가 많다. (덕분에 레퍼토리는 더 넓어진다. 공식적으로 확인할 수는 없지만 인류 역사상 평생 가장 많은 배역을 맡은 오페라 가수가 확실할 거라는 얘기도 들린다.) 평가[편집] 원래는 루치아노 파바로티, 호세 카레라스와 더불어서 세계 3대 테너로 불렸지만, 파바로티 사후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테너다. 옥스퍼드 대학교 명예 박사학위를 비롯한 수많은 학위와 미국의 자유의 훈장, 프랑스의 레종 도뇌르 훈장 등 온갖 상훈, 영국의 명예 기사작위까지도 있다. 물론 이런 영예는 도밍고 뿐만 아니라 파바로티와 카레라스 역시 휩쓸었지만 말이다. 파바로티와 비교하여 목소릴 분류하자면 그는 리릭 테너보다 좀 더 무거운 성질인 스핀토 테너라 할 수 있겠지만, 그렇게만 한정하기에는 리리코와 드라마티코의 배역에도 잘 어울리는 음성을 가지고 있다. 성악가들의 가장 큰 숙제 중 하나인 언어의 장벽도 거의 없어서 모국어인 스페인어 레퍼토리는 물론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독일어, 영어, 러시아어 등등 엄청나게 폭 넓은 언어로 된 오페라 배역들을 소화해낸다. 심지어 이들 언어로 어느 정도 회화까지 가능한 수준이라고. 학생 시절에 이런저런 연극 무대에 단역으로 출연한 경험도 있어서 연기력도 상당히 뛰어나며, 대사와 음악을 빨리 외우는 능력 또한 갖춰 레퍼토리 확장에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쉬지 않고 연구하는 그의 열정이 도밍고가 가진 최고의 무기라고 할 수 있다. 원래 바리톤 출신이었기 때문에 바리톤 배역을 부른 적도 있다. 대표적인 것은 본인이 피가로역을 맡은 세비야의 이발사.[5] 다만 바리톤으로 시작해 테너 성부로 음역대를 끌어올린 탓에, 파바로티처럼 투명하고 파워풀한 고음을 내지는 못한다. 물론 도밍고만 못 내는 게 아니긴 하지만 말이다. 어쨌거나 안티들의 경우에는 테너이면서도 커리어의 대부분에 걸쳐 높은 도(Do)를 내지 않았던 도밍고의 약점을 희화화시켜 'Mingo'라고 부르기도 한다. 쉽게 말해 '도'밍고에서 '도'를 뺀 거다. 대신 그 약점을 잘 생긴 외모와 세련된 목소리, '쓰리 테너' 중 가장 다양한 레퍼토리와 뛰어난 연기력으로 손쉽게 커버해낸다. 외모와는 달리 상당한 학구파로 유명하다. 음대에서 피아노와 지휘를 전공했던 탓에 이 분야들에서도 나름대로의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데, 특히 지휘 쪽에서는 자신의 장기인 오페라 뿐 아니라 관현악 작품들에도 손을 대고 있는 중이다. 오페라 가수로선 매우 한정된 레퍼토리만 반복적으로 소화했던 파바로티와는 달리 끊임없이 새로운 배역에 도전해 현재 126개의 배역을 소화한 기네스북 기록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그 중 몇 개는 바리톤 배역이다. 새로운 레퍼토리 도전과 관련해 특히 커리어 후기에 접어들어서 바그너 테너 역에 도전한 것이 눈에 띈다. 처음에는 로엔그린 등 다소 가벼운 역부터 시작했지만 종국에는 트리스탄이나 지크프리트 같은 정통 헬덴 테너의 배역까지 소화했다. 때마침 90년대 바그너 가수 기근 현상과도 맞물려 이 분야에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성과를 이루어냈다. 바그너 음악의 성지인 바이로이트에도 진출해서 꽤 오랫동안 활동하기도 했다. 음악 역사상으로도 이탈리아 오페라와 바그너 오페라 양쪽에 정통한 거의 유일한 테너라 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로엔그린 실황 영상물이 추천할 만하다. 목소리 뿐만 아니라 외모도 상당히 잘 생겼기 때문에 극장용 또는 비디오용 오페라 영상 주역을 자주 맡았다. 지금껏 도밍고가 출연한 오페라 영상물은 50여개에 달한다고 한다. 가히 오페라 영화의 제왕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이 지휘한 푸치니의 오페라 나비부인에선 음반에서는 파바로티가 캐스팅 됐었지만, 음반 녹음 직후에 진행된 영상물에서는 도밍고가 기용되었다. 파바로티와 도밍고 이외의 다른 배역은 다 동일하다. 트리비아[편집] 한 때 루치아노 파바로티와는 서로 경쟁 관계에 있었다. '쓰리 테너 콘서트' 이전까지만 해도 그리 살가운 사이는 아니었던 모양이다. 오페라와 성악은 물론이며 일반 대중가요까지도 폭 넓게 불러왔으며, 존 덴버와 같이 불러 유명한 Perhaps Love, 모린 맥기번과 같이 부른 A Love until the end of time 등등 팝송을 담은 크로스오버 앨범들도 많이 내놓았다. 파바로티가 유명 가수들을 섭외해 진행한 자선 공연 시리즈인 '파바로티와 친구들' 을 벤치마킹 했는지, 1992년부터 2000년까지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는 유명 가수들을 불러모아 오스트리아의 수도 빈에서 빈 교향악단의 반주로 크리스마스 대중 콘서트를 개최하고 그 실황으로 라이브 앨범을 발매해 짭짤한 수익을 올리기도 했다. 마드리디스타이기도 하다. 레알 마드리드 홈 경기 오프닝도 도밍고가 불렀다. 테니스 선수 라파엘 나달, 비센테 델 보스케 감독 등과 더불어 2012년 레알 마드리드의 명예 회원으로 임명되었다. 성악가로서의 전성기에도 콘서트에서 직접 지휘를 하기도 했으며 "나이가 들어서 더 이상 성악을 하기 힘들어지면 지휘자로 먹고 살겠다" 라고 말하고 다녔는데, 실제로도 나이가 들면서 점점 지휘자로서의 활동이 많아지고 있다. 다만 아직 성악가로서도 은퇴는 하지 않은 듯 보인다. 사생활도 첫 번째 결혼에 실패한 이후에는 마르타와 30년 이상을 탈 없이 잘 지내고 있다. 아들 중 플라시도 도밍고 주니어는 싱어송라이터와 프로듀서로 활동하고 있고, 아버지가 개최한 크리스마스 콘서트를 비롯한 무대에서 자작 가요들을 내놓은 바 있다. 1990년대 초반에는 자신의 이름을 딴 국제 성악 콩쿨을 만들어 계속해서 성악 인재들을 발굴하고 있기도 하다. 또한 그리운 금강산의 한국어 발음이 한국인 성악가보다 정확했다는 풍문이 있다. 서훈[편집] 2002년 영국 명예 대영 제국 훈장 2등급(honorary KBE, 외국인대상 정원외 명예훈장) 2002년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 코망되르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플라시도 도밍고 음악 포털 전거 통제 WorldCat VIAF: 97777704 LCCN: n81014470 ISNI: 0000 0001 2144 7141 GND: 118680242 SELIBR: 280359 SUDOC: 027771202 BNF: cb12404462r (데이터) 뮤직브레인즈: 521df2bd-01f6-456e-9d5f-f081068819c2 NDL: 00438076 NKC: jn19990210180 ICCU: IT\ICCU\INTV\025676 BNE: XX904915 CiNii: DA0209295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플라시도_도밍고&oldid=23917896" 분류: 1941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스페인의 남자 가수스페인의 오페라 가수멕시코의 남자 가수멕시코의 오페라 가수스페인의 남자 뮤지컬 배우1959년 데뷔멕시코의 남자 뮤지컬 배우이탈리아의 남자 뮤지컬 배우스페인계 멕시코인테너마드리드 출신그래미상 수상자명예 대영제국 훈장 사령관 기사미국에 거주한 스페인인멕시코에 거주한 스페인인울프상 예술 부문 수상자숨은 분류: 번역 확장 필요 문서스페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B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ymar aruAzərbaycanca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Ido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atinaLëtzebuergesch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Napulitano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inaray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6일 (화) 13: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호세 플라시도 도밍고 엠빌(스페인어: José Plácido Domingo Embil, 1941년 1월 14일 ~ )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출생한 오페라 가수, 성악가이자 지휘자이다. 1959년 멕시코 시티의 국립 가극장에서 데뷔했다. 1961년 몬테레이에서 연기하는《라 트라비아타》의 알프레도 역이 본격적인 첫 주연이다. 1968년 프랑코 코렐리의 대역으로 《아드리아나 르쿠브뢰르》의 마우리치오 역을 맡아 뉴욕 메트로폴리탄 무대에 데뷔했다. 루치아노 파바로티, 호세 카레라스와 함께 The three tenors(3대 테너)라 불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플라시도 도밍고의 약력은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태어났고, 양친은 모두 스페인 민속 오페라인 사르수엘라(Zarzuela) 극단에서 활동하던 가수였다. 여덟 살 때 부모를 따라 멕시코로 이주하였으며, 그 곳에서 성장했다. 멕시코시티 음악원에서 피아노와 지휘를 전공했지만, 이후 성악으로 전공을 바꾸어 부모처럼 사르수엘라 극단의 가수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1961년 멕시코시티 오페라극장에서 바리톤으로 공식 데뷔했고, 이후 성역을 끌어올려 베르디의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에서 남주인공인 알프레도 역으로 출연하면서 테너로 전향하여 활동하기 시작했다. 1962년에서 1965년 동안에는 이스라엘 국립오페라단에서 활약하다가 1968년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극장에서 프랑코 코렐리의 대역을 훌륭히 소화하여 일약 세계적인 스타가 되었다. 이후 세계 각지의 오페라 극장 무대를 석권했고, 도이체 그라모폰이나 데카, RCA 등 세계 유수의 클래식 레이블들에서 음반을 발매하며 엄청난 존재감을 과시하기 시작했다. 2009년 메트로폴리탄 극장에서 바리톤으로 회귀하여 시몬 보카네그라의 타이틀 롤로 재데뷔했다. 시몬 역을 맡는 도중에 직장암으로 고생하기도 했지만, 2010년 봄에 수술을 받은 뒤 완쾌되었고, 현재 오페라 무대와 콘서트에서 다시 활동 중이다. 수술 후에는 무대 출연을 자제하는 편이라지만, 전보다 약간 줄었을 뿐 아직도 꾸준히 활동 중이다. 특히 일반적인 성악가들은 좋은 기량을 보여주기 어렵다고 생각하는 고희를 훌쩍 넘긴 나이에도 은퇴는 커녕 여전히 현역으로 뛰는 수준을 넘어서서, 잊혀진 작품이나 초연작, 바리톤 배역에 출연하는 등 아직도 새로운 배역을 맡으며 레퍼토리를 넓히고 있는 노익장을 발휘 중이고, 물론 전성기 만큼은 아니지만 여전한 가창을 보여주고 있다. 2013년 7월에도 색전증으로 입원하였으나, 퇴원하자마자 원래 잡혀있던 페스티벌 일정을 모두 소화하는 강철 체력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현재는 아무래도 건강 때문인지 타이틀 롤 보다는 조연 역할로 출연하는 경우가 많다. (덕분에 레퍼토리는 더 넓어진다. 공식적으로 확인할 수는 없지만 인류 역사상 평생 가장 많은 배역을 맡은 오페라 가수가 확실할 거라는 얘기도 들린다.) Human: 아래 김순옥_(작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순옥 (작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순옥 (작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순옥 출생 1971년 (47–48세) 직업 작가 국적 대한민국 소속 지담 (구 예인 E&M), SM 라이프디자인 그룹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 학사 활동기간 2000년 ~ 현재 장르 TV 드라마 대표작 내 딸 금사월 (2015-2016)왔다! 장보리 (2014)아내의 유혹 (2008-2009) 김순옥(1971년 ~ )은 대한민국의 드라마 작가다. 2000년 MBC 베스트극장 《사랑에 대한 예의》로 데뷔하였다. 이후 2007년 MBC 아침드라마 《그래도 좋아!》가 좋은 반응을 얻은 뒤부터 특유의 빠른 스토리 전개와 파격적인 설정으로 《아내의 유혹》과 《천사의 유혹》 등 막장 스토리를 히트시키며 인기 작가의 대열에 합류하게 된다. 그러나 비현실적인 소재와 개연성이 없는 전개 등으로 막장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목차 1 학력 2 집필 활동 2.1 텔레비전 드라마 3 작품의 특징 4 같이 보기 5 각주 학력[편집]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 학사 집필 활동[편집] 텔레비전 드라마[편집] 2000년 MBC 단막극 《MBC 베스트극장 - 사랑에 대한 예의》 2000년 MBC 단막극 《MBC 베스트극장 - 아버지의 가을》 2001년 MBC 단막극 《MBC 베스트극장 - 바다끝 물고기》 2002년 MBC 단막극 《MBC 베스트극장 - 겨울이 갈 때까지》 2002년 MBC 단막극 《MBC 베스트극장 - 천국에서 굽는 붕어빵》 2004년 MBC 소설극장 《빙점》 2007년 MBC 아침드라마 《그래도 좋아!》 2008년 SBS 일일드라마 《아내의 유혹》 2009년 SBS 월화드라마 《천사의 유혹》 2010년 SBS 주말극장 《웃어요, 엄마》 2012년 SBS 특별기획 《다섯 손가락》 2012년 SBS 일일드라마 《가족의 탄생》[1] 2014년 MBC 주말드라마 《왔다! 장보리》 2015년 MBC 주말 특별기획 《내 딸, 금사월》 2017년 SBS 특별기획 《언니는 살아있다》 2018년 SBS 드라마스페셜 《황후의 품격》 작품의 특징[편집] 김순옥 작가의 작품에서 가장 큰 특징은 악녀가 큰 화제를 불러일으킨다는 것이며, 그 등장 인물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MBC 아침드라마 《그래도 좋아!》 : 서명지 (고은미 분) SBS 일일드라마 《아내의 유혹》 : 민소희 (장서희 분), 신애리 (김서형 분) SBS 월화드라마 《천사의 유혹》 : 주아란 (이소연 분) SBS 주말극장 《웃어요, 엄마》 : 조복희 (이미숙 분), 황보미 (고은미 분) SBS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다섯 손가락》 : 채영랑 (채시라 분) MBC 주말드라마 《왔다! 장보리》 : 연민정 (이유리 분), 도혜옥 (황영희 분), 김인화 (김혜옥 분) MBC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내 딸, 금사월》 : 신득예 (전인화 분), 오혜상 (박세영 분) SBS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언니는 살아있다》 : 양달희 (김다솜 분), 구세경 (손여은 분), 이계화 (양정아 분) SBS 드라마 스페셜 《황후의 품격》: 태후 강씨 (강은란) (신은경 분), 민유라 (이엘리야 분), 서강희 (윤소이 분) 같이 보기[편집] 막장 드라마 각주[편집] ↑ 김영인 작가의 건강 악화로 작가 교체 이 글은 작가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순옥_(작가)&oldid=24379459" 분류: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각본가이화여자대학교 동문1971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숨은 분류: 작가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5일 (수) 02:4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순옥(金顺玉, 1971년 5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드라마 작가이다. 2000년 MBC 베스트극장 《사랑에 대한 예의》로 데뷔하였다. 이후 2007년 MBC 아침드라마 《그래도 좋아!》가 좋은 반응을 얻은 뒤 《아내의 유혹》과 《천사의 유혹》 등 막장 스토리를 히트시키며 인기 작가의 대열에 합류하게 된다. 그러나 비현실적인 소재와 개연성이 없는 전개 등으로 막장 드라마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작가 김순옥이 쓴 드라마는 뭐가 있을까? Assistant: MBC 아침드라마 《그래도 좋아!》 : 서명지 (고은미 분) SBS 일일드라마 《아내의 유혹》 : 민소희 (장서희 분), 신애리 (김서형 분) SBS 월화드라마 《천사의 유혹》 : 주아란 (이소연 분) SBS 주말극장 《웃어요, 엄마》 : 조복희 (이미숙 분), 황보미 (고은미 분) SBS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다섯 손가락》 : 채영랑 (채시라 분) MBC 주말드라마 《왔다! 장보리》 : 연민정 (이유리 분), 도혜옥 (황영희 분), 김인화 (김혜옥 분) MBC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내 딸, 금사월》 : 신득예 (전인화 분), 오혜상 (박세영 분) SBS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언니는 살아있다》 : 양달희 (김다솜 분), 구세경 (손여은 분), 이계화 (양정아 분) SBS 드라마 스페셜 《황후의 품격》: 태후 강씨 (강은란) (신은경 분), 민유라 (이엘리야 분), 서강희 (윤소이 분)
Human: 아래 이현보_종가_문적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현보 종가 문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현보 종가 문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현보 종가 문적(李賢輔 宗家 文籍) 대한민국의 보물 종목 보물 제1202호 (1994년 7월 29일 지정)수량 일괄(고문서23매,전적7책,회화1첩)시대 조선시대소유 이성원위치 안동시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태사길 69-7 (옥정동)좌표 북위 36° 34′ 0.2″ 동경 128° 44′ 5.8″ / 북위 36.566722° 동경 128.734944°  / 36.566722; 128.734944좌표: 북위 36° 34′ 0.2″ 동경 128° 44′ 5.8″ / 북위 36.566722° 동경 128.734944°  / 36.566722; 128.734944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이현보 종가 문적(李賢輔 宗家 文籍)은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기록유산이다. 1994년 7월 29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202호로 지정되었다.[1] 목차 1 개요 2 세부목록 3 같이 보기 4 각주 5 참고 자료 개요[편집] 이 문적류들은 조선 중종 때의 문신이며 시조작가로 유명한 농암 이현보(1467∼1555)와 그의 종손가에서 소장하고 있는 교지 고문서와 전적류, 회화류 등이다. 이현보는 연산군 4년(1498) 문과에 급제한 뒤 내직으로 예문관검열, 사간원정언과 외직으로 밀양과 안동, 충주 등지의 지방관을 지냈다. 이후 형조참판, 호조참판 등의 벼슬을 지내고 1542년 76세 때 병을 핑계로 벼슬을 그만두고 말년을 고향에 돌아와 지냈다. 조선시대에 자연을 소재로 삼아 시조를 지은 대표적인 문인으로 국문학 사상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인물이다. 고문서류인 교지는 총 23매로써 연산군 4년(1498)∼명종 15년(1560) 사이의 것으로 이현보(14매), 이파(1매), 이문량(8매)과 관련된 교지들이다. 전적류로서는『애일당구경첩』으로 모두 2책으로 되어있다. 한책은 당시 명사들의 친필로 쓴 시를 모아 하나의 첩으로 만든 것이고,『애일당구경별록』은 생일가를 포함한 국문가사 등 이현보의 작품과 행적을 별도로 모아 편성한 것이다. 또한 회화류의 『은대계회도(銀臺契會圖)』는 이현보가 동부승지로 재직시 승정원 관원 10명과 계모임하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이는 훼손이 심하기는 하나, 다른 계회도와는 달리 『은대계회도』가 처음 발견되었다는 점에서 계회도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특히, 교지 등의 자료는 조선 전기 인사행정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사료들로써 평가되며, 전적류들은 국문가사와 국문학 연구자료로 주요한 것들이다. 세부목록[편집] 농암유고초(聾巖遺稿草) 1책 정동면례시일록(亭洞緬禮時日錄) 1책 계사구로회첩(癸巳九老會帖)) 1첩 분천강호록(汾川講好錄) 1책 당음비사(棠陰比事) 3권(卷) 1책 애일당구경별록(愛日堂具慶別錄) 1책 애일당구경첩 <상>(愛日堂具慶帖 <上>) 1책 애일당구경첩 <하>(愛日堂具慶帖 <下>) 1책 성균생원이현보문과병과 급제교지(成均生員李賢輔文科丙科 及第敎旨) 1건 이현보 교지-홍치십사년사월일(李賢輔 敎旨-弘治十四年四月日) 1건 이현보 교지-홍치십오년시월일(李賢輔 敎旨-弘治十五年十月日) 1건 이현보 교지-홍치십칠년정월일(李賢輔 敎旨-弘治十七年正月日) 1건 이현보 교지-홍치십칠년이월일(李賢輔 敎旨-弘治十七年二月日) 1건 이현보 교지-정덕이년십이월일(李賢輔 敎旨-正德二年十二月日) 1건 이현보 교지-정덕구년시월이십일(李賢輔 敎旨-正德九年十月二十日) 1건 이현보 교지-정덕십년삼월일(李賢輔 敎旨-正德十年三月日) 1건 이현보 교지-가정오년이월십구일(李賢輔 敎旨-嘉靖五年二月十九日) 1건 이현보 교지-가정오년시월십구일(李賢輔 敎旨-嘉靖五年十月十九日) 1건 이현보 교지-가정오년십일월십칠일(李賢輔 敎旨-嘉靖五年十一月十七日) 1건 이현보 교지-가정칠년삼월일(李賢輔 敎旨-嘉靖七年三月日) 1건 이현보 교지-가정이십이년삼월일(李賢輔 敎旨-嘉靖二十二年三月日) 1건 이현보 교지-가정삼십육년삼월이십이일(李賢輔 敎旨-嘉靖三十六年三月二十二日) 1건 이파 증직교지-가정이십오년십일월초이일(李坡 贈職敎旨-嘉靖二十五年十一月初二日) 1건 이문량 교지-정덕십오년윤팔월일(李文樑 敎旨-正德十五年閏八月日) 1건 이문량 교지-가정십삼년윤이월일(李文樑 敎旨-嘉靖十三年閏二月日) 1건 이문량 교지-가정이십이년시월일(李文樑 敎旨-嘉靖二十二年十月日) 1건 이문량 교지-가정이십이년십일월일(李文樑 敎旨-嘉靖二十二年十一月日) 1건 이문량 교지-가정이십사년삼월일(李文樑 敎旨-嘉靖二十四年三月日) 1건 이문량 교지-가정이십육년삼월일(李文樑 敎旨-嘉靖二十六年三月日) 1건 이문량 교지-가정삼십일년시월일(李文樑 敎旨-嘉靖三十一年十月日) 1건 이문량 교지-가정삼십구년구월초삼일(李文樑 敎旨-嘉靖三十九年九月初三日) 1건 같이 보기[편집] 이현보 각주[편집] ↑ 문화체육부고시제1994-19호, 《보물지정》, 문화체육부장관, 대한민국 관보 제12778호, 72면, 1994-07-30 참고 자료[편집] 이현보 종가 문적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이 문서에는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한 국가문화유산포털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현보_종가_문적&oldid=16010143" 분류: 경상북도의 보물안동시의 문화재교지계회도조선의 책영천 이씨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공공누리 제1유형 저작물을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6년 3월 15일 (화) 23:3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현보 종가 문적(李賢輔 宗家 文籍)은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기록유산이다. 1994년 7월 29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202호로 지정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농암 이현보가 태어난 해는 언제야 Assistant: 1467 Human: 아래 뇌척수액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뇌척수액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뇌척수액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뇌척수액의 맥동을 보여주는 MRI 사진 뇌척수액은 뇌와 척수 주위의 거미막밑 공간을 순환한다. 뇌실계통 뇌척수액(腦脊髓液, cerebrospinal fluid, CSF)은 수액이라고도 부른다. 뇌와 척수를 둘러싼 연질막과 지주막(거미막) 사이에 있는 공간인 지주막 하강(거미막밑 공간)과 뇌실을 채우고 있는 액체를 말한다. 뇌의 고랑과 수조, 척수의 중심관에 들어 있는 액체도 뇌척수액이다. 뇌와 척수를 뇌척수강 내에 부유시켜서 뇌 피질을 물리적·면역학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완충 역할을 한다. 대뇌 혈류를 자가조절하고, 뇌와 척수의 조직액을 대신하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뇌의 맥락얼기에서 생산되고, 무색·투명하며 약알칼리성으로 전체의 양은 100∼150 mℓ이다. 조성은 림프와 거의 같으나 단백질은 매우 적다. 목차 1 구조 1.1 생산 1.2 순환 1.3 재흡수 1.4 구성성분 1.5 발생 2 기능 2.1 부력 2.2 보호 2.3 화학적 안정 2.4 노폐물 제거 3 임상적 중요성 3.1 수두증 3.2 요추천자 3.3 비중 3.4 알츠하이머병 4 같이 보기 5 각주 및 참고 문헌 6 외부 링크 구조[편집] 생산[편집] 뇌척수액은 하루에 약 500 ml[1](약 0.4 ml/분[2])가 생산되고, 일정하게 재흡수되어 양은 100-160 ml로 유지된다. 맥락얼기의 뇌실막 세포가 전체 뇌척수액의 2/3 이상을 생산한다. 맥락얼기는 제4뇌실에 있는 정맥얼기로, 뇌척수액으로 가득 찬 빈 공간이다. 나머지 뇌척수액은 뇌실의 표면과 거미막밑 공간 주위의 표면에서 생산된다.[3] 뇌실막 세포는 가쪽뇌실로 나트륨 이온을 능동적으로 분비한다. 이에 따라 삼투압이 형성되어 뇌척수액이 있는 공간으로 물이 유입된다. 음전하를 띠는 염화물은 양전하를 띠는 나트륨 이온과 함께 움직이면서 전기적으로 중성을 유지한다. 따라서 뇌척수액은 혈장보다 나트륨과 염화물의 농도가 높고, 칼륨, 칼슘, 포도당 및 단백질의 농도는 낮다.[3][4] 순환[편집] 뇌실계통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뇌척수액은 뇌실계통을 따라 순환한다. 뇌실은 뇌에 있는 빈 공간이다. 대부분의 뇌척수액은 두 개의 가쪽뇌실에서 생성되어 뇌실사이구멍(interventricular foramina of Monro)을 지나 제3뇌실로 이동하고, 이어서 중간뇌수도관(cerebral aqueduct of Sylvius)을 거쳐 제4뇌실로 이동한다. 제4뇌실은 뇌줄기의 뒤쪽에 있는 부푼 부분이다. 제4뇌실에서 뇌척수액은 세 구멍을 지나 거미막밑 공간으로 들어간다. 가운데로는 정중구멍(foramen of Magendie)을, 양 가쪽으로는 가쪽구멍(foramen of Luschka)을 지난다. 거미막밑 공간은 뇌와 척수를 덮고 있다.[3] 뇌척수액은 박동하면서 이동하고, 유속은 약 0.77 ml/분이다.[5] 재흡수[편집] 뇌척수액은 거미막과립을 통하여 경질막정맥굴로 들어가서 혈관계로 돌아간다는 설이 지배적이다. 한 연구는 뇌척수액이 뇌신경을 따라 흐르고 척수신경뿌리가 뇌척수액을 림프로 들어가게 한다고 보고하였으며,[6] 이렇게 흐르는 뇌척수액이 거미막과립이 발달하지 않은 신생아의 뇌척수액 재흡수에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뇌척수액은 머리뼈 바깥의 림프관, 특히 체판(cribriform plate)을 통하여 코의 점막밑 림프관으로 대부분 흡수된다.[7] 구성성분[편집] 머리뼈 안에 있는 뇌척수액, 혈액, 실질(parenchyma)의 부피 분포 각 부분에 존재하는 뇌척수액의 부피 뇌척수액은 표본 채집 위치에 따라 혈장단백질의 약 0.3% 혹은 15-40 mg/dL을 포함한다.[8] 뇌와 척수를 둘러싼 거미막밑 공간에는 135-150 ml이 들어 있을 수 있으므로 많은 양이 거미막밑 과립을 통하여 위시상정맥굴의 혈액으로 유출된다. 뇌척수액은 하루에 3.7번, 혹은 6-7시간마다 한 번씩 교환된다.[1] 뇌척수액이 연속적으로 정맥으로 흐르면서 뇌와 뇌척수액로 투과되는 큰, 지질에 용해되지 않는 분자의 농도를 낮춘다.[9] 뇌척수액의 압력은 요추천자를 통하여 잴 수 있다. 옆으로 누워 있는 사람은 10-18 cmH2O(8-15 mmHg 혹은 1.1-2 kPa), 앉아 있는 사람은 20-30 cmH2O(16-24 mmHg 혹은 2.1-3.2 kPa)이다.[10] 신생아는 8-10 cmH2O(5.9-7.4 mmHg 혹은 0.78-0.98 kPa)이다. 뇌척수액의 압력이 변화하는 원인은 대개 기침을 하거나 목정맥의 내부 압력 변화 때문이다. 누운 자세일 때 요추천자로 추정된 뇌척수액 얍력이 머리속압력(intracranial pressure)과 유사하다. 뇌척수액에 있는 단백질의 양은 상이하다. 일반적으로 요추나 수조에 있는 뇌척수액에 비하여 뇌실에 있는 뇌척수액에 구형 단백질과 알부민이 더 적다.[11] IgG 양을 측정하는 IgG 지수는 I g G C S F I g G s e r u m a l b u m i n C S F a l b u m i n s e r u m {\displaystyle {{IgG_{CSF} \over IgG_{serum}} \over {albumin_{CSF} \over albumin_{serum}}}} [12]와 같이 구한다. IgG 지수 기준치는 0.73으로, 값이 더 높으면 다발성 경화증이 있음을 나타낸다.[12] 뇌척수액에 있는 이온과 금속의 표준범위 뇌척수액 내의 이온과 금속의 표준범위[13] 물질 최저[13] 최고[13] 단위 혈장에 포함된 양 대비 백분율[13] 삼투질농도[14] 280 300 mmol/L 나트륨[14] 135 150 mmol/L 칼륨[14] 2.6 3.0 mmol/L 염화물[14] 115 130 mmol/L >100% 칼슘[14] 1.00 1.40 mmol/L ~50% 마그네슘[14] 1.2 1.5 mmol/L >100% 철 0.2 0.4 µmol/L 뇌척수액에 있는 기타 분자의 표준범위 뇌척수액에 있는 기타 분자의 표준범위 물질 최저 최고 단위 혈장에 포함된 양 대비 백분율 포도당[14] 50[15] 80[15] mg/dL ~60%[13] 2.2,[16] 2.8[13] 3.9,[16] 4.4[13] mmol/L 단백질[14] 15[13][15] 40,[8] 45[13][15] mg/dL ~1%[13] 알부민 7.8[17] 40[17] mg/dL 0[18] - 0.7%[18] 젖산 1.1[13] 2.4[13] mmol/L 크레아티닌 50[13] 110[13] µmol/L 인 0.4[13] 0.6[13] µmol/L 요소 3.0[13] 6.5[13] mmol/L 이산화탄소 20[13] 25[13] mmol/L 뇌척수액에 있는 기타 구성 물질의 표준범위 뇌척수액 기타 구성 물질의 표준범위 물질 최저 최고 단위 혈장에 포함된 양 대비 백분율 적혈구 n/a[15] 0[15] / negative cells/µL or cells/mm3 백혈구 0[15] 3[15] cells/µL cells/mm3 pH[14] 7.28[13] 7.32[13] (-log M) PCO2[14] 44[13] 50[13] mmHg 5.9[19] 6.7[19] kPa PO2 40[13] 44[13] mmHg 5.3[19] 5.9[19] kPa 발생[편집] 발생 3주 경에 배아는 세 엽으로 분화한다. 배아의 등쪽 표면을 덮고 있는 세포층을 내배엽이라고 한다. 등쪽 표면의 가운데에 있는 직선형 구조를 척삭이라 한다. 내배엽이 증식하면서 척삭은 발생하는 배아 가운대로 이끌려오고, 신경관으로 발달한다.[20] 뇌는 배아 발생 4주 째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 시기에는 머리가 생길 신경관 주위가 여러 군데 부풀고, 이후에 각각 중추신경계의 구성요소로 분화한다. 이 시기의 뇌는 앞뇌(prosenchephalon), 중간뇌(mesencephalon), 마름뇌(rhombencephalon) 세 부분으로 나뉜다.[20] 발생하는 전뇌는 신경관(neural cord)을 감싸고 있다. 신경관은 궁극적으로 가쪽뇌실이 된다. 뇌실의 안쪽 표면을 따라서 얇은 뇌실 벽이 있고, 맥락얼기가 발달하여 뇌척수액을 방출한다. 뇌척수액은 재빨리 신경관(neural canal)을 채운다.[20] 기능[편집] 부력[편집] 사람의 뇌는 질량이 약 1400 g 정도이지만, 뇌척수액에 떠있는 뇌의 무게는 25 g까지 감소한다.[21] 뇌는 중성부력 상태로 존재하면서 스스로의 무게에 눌리지 않고 밀도를 유지한다. 뇌척수액이 없으면 뇌의 아래쪽 부분에는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고 뉴런이 괴사할 것이다.[22] 보호[편집] 뇌척수액은 급격한 움직임이나 타격으로부터 뇌 조직을 보호한다. 교통 사고나 스포츠 부상 등 특수한 상황에서 뇌척수액이 두개골에 가해지는 힘을 이기지 못하고 출혈이나 뇌 손상을 일으키고 심하면 죽음에 이르기도 한다.[22] 화학적 안정[편집] 뇌척수액은 뇌실계통 안을 흐르고 혈액뇌장벽을 지나 혈류로 다시 흡수되면서 중추신경계에서 생기는 대사 부산물을 제거한다.[23] 이를 통하여 신경내분비인자 분포의 항상성 조절이 이루어진다. 신경내분비인자는 약간의 변화로도 신경계 기능에 문제를 일으키거나 손상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라이신 농도가 높으면 체온과 혈압 조절 기능이 교란되고, 뇌척수액 pH가 높으면 어지럼증이 생기거나 실신하기도 한다.[22] 노폐물 제거[편집] 덴마크어: Maiken Nedergaard는 뇌의 글림프계(glymphatic system)의 뇌척수액이 대사 결과 생산된 독소와 노폐물을 뇌 조직의 세포 사이질액에서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고 주장하였다.[24] 글림프계의 활성은 수면 중에 증가한다. 수면 중에, 신경아교세포의 수축으로 통제되는 세포외 채널이 열려서 뇌척수액이 뇌로 급격하게 유입된다.[25] 이를 통하여 각성 상태에서 뇌의 활동으로 생산된 대사 노폐물, 예를 들면 베타 아밀로이드 등을 수면 중에 제거하는 데에 뇌척수액이 큰 역할을 한다고 추측할 수 있다. 임상적 중요성[편집] 뇌척수액 압력이 높아지면 뇌의 혈류가 제한될 수 있다. 뇌척수액이 원활하게 흐르지 못하면 뇌척수액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두개척수 순응도(craniospinal compliance)와 두개골내 혈류에도 영향을 미쳐 뉴런과 신경아교세포를 취약하게 한다. 또 정맥계통도 여기에 관여한다. 유아와 어린이는 특히 뇌척수액 압력과 뇌실 크기 사이의 관계가 예상을 벗어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것은 정맥압 변화에 일부 기인한다.[26] 몇몇 포유류에서 뇌척수액과 림프계통이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자궁에서 맥락얼기가 뇌척수액을 분비하는 능력이 형성되는 시기에 뇌척수액-림프 연결이 형성된다. 수두증을 포함하는 뇌척수액 장애와 비정상적인 뇌척수액-림프 수송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다.[26] 수두증[편집] 수두증은 말 그대로 머리(뇌)에 물이 찬 상태로, 뇌척수액 흐름이나 재흡수가 정상적이지 않거나 과다하게 많은 뇌척수액이 생산되어 생긴다. 뇌에 있는 빈 공간인 뇌실에 뇌척수액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두개골내 압력(ICP)이 높아질 수 있다. 수두증이 발생 중에 발생하면 두개골이 커질 수도 있다.[27] 흔히 정신적 장애를 동반하며, 경련성 발작(convulsive episode)이나 터널시야를 동반하기도 한다. 수두증은 빨리 교정하지 않으면 위험할 수 있으며, 영아와 나이가 많은 어른에게서 빈도가 더 높다. 요추천자[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요추천자입니다. 사람의 뇌척수액 뇌척수액은 다양한 신경계질환을 진단하는 데에 사용되며, 요추천자를 통하여 수집한다.[28] 요추천자는 무균 조건에서 거미막밑 공간, 대개는 세 번째와 네 번째 허리뼈 사이에 바늘을 넣어 실시한다. 바늘을 통해 수집된 뇌척수액에 있는 세포의 수를 세고 단백질과 포도당 농도를 검사한다. 이러한 지표만으로도 거미막밑 출혈과 중추신경계 감염(수막염 등)을 진단하는 유용한 도구이다. 뇌척수액 배양 검사를 통하여 감염의 원인이 된 미생물을 얻을 수 있다. 올리고클론띠(oligoclonal band) 등 더욱 정교한 방법으로는 진행중인 염증 상태(예를 들면 다발성 경화증)를 알 수도 있다. 베타-2 트랜스페린 분석은 뇌척수액 누수를 감지하는데 매우 민감하고 특이적인 분석법이다.[29] 두개골내 압력을 측정할 때에 요추천자를 행하기도 한다. 특정한 수두증의 경우 두개골내 압력이 높아지기도 한다. 두개골내 압력이 종양 등으로 인하여 높아진 것으로 의심될 때에는 요추천자를 실시해서는 안 된다. 뇌 헤르니아를 일으켜 죽음에 이르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29] 요추천자를 받은 사람의 1/3은 두통을 경험한다.[29] 비중[편집] 뇌척수액은 마취과학에도 중요한 요소이다. 비중(baricity)은 사람의 뇌척수액 대비 물질의 밀도(농도)이다. 마취를 할 때에 비중을 통하여 특정한 약물이 경막내 공간에 퍼지는 정도를 알 수 있다. 알츠하이머병[편집] 뇌척수액에 있는 단백질 표지자 세 개를 통하여 알츠하이머병이 있는지 알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단백질 표지자는 각각 뇌척수액 아밀로이드 베타 1-42과 뇌척수액 내 총 타우 단백질 및 P-τ181p이다. 단백질 표지자를 통한 검사에서 민감도는 높았지만 특이도는 낮았다.[30][31] 같이 보기[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뇌척수액 수막염 수두증 각주 및 참고 문헌[편집] ↑ 가 나 Netter FH (2000년 3월 10일). CIBA 원색도해의학총서 편찬위원회 편, 편집. 《CIBA원색도해의학총서》. 1(Part 1). 도서출판 정담. 31쪽. ISBN 8980850980.  ↑ David N. Irani (2008). 〈Chapter 3 CSF Secretion, Recirculation, and Resorption〉. 《Cerebrospinal Fluid in Clinical Practice》. Elsevier Health Sciences. 12쪽. ISBN 1-4160-2908-7.  ↑ 가 나 다 Guyton AC, Hall JE (2005).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11판. Philadelphia: W.B. Saunders. 764쪽. ISBN 978-0-7216-0240-0.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Saladin, Kenneth (2012). 《Anatomy and Physiology》 6판. McGraw Hill. 519–20쪽.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Brinker T, Stopa E, Morrison J, Klinge P (2014). “A new look at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on”. 《Fluids Barriers CNS》 11: 10. PMC 4016637. PMID 24817998. doi:10.1186/2045-8118-11-10.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Zakharov A, Papaiconomou C, Djenic J, Midha R, Johnston M (2003). “Lymphatic CSF absorption pathways in neonatal sheep revealed by sub arachnoid injection of Microfil”. 《Neuropathol. Appl. Neurobiol.》 29 (6): 563–73. PMID 14636163. doi:10.1046/j.0305-1846.2003.00508.x.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Johnston M (2003). “The importance of lymphatics in cerebrospinal fluid transport”. 《Lymphat. Res. Biol.》 1 (1): 41–4. PMID 15624320. doi:10.1089/15396850360495682.  ↑ 가 나 Felgenhauer K (1974). “Protein size and CSF composition”. 《Klin. Wochenschr.》 52 (24): 1158–64. PMID 4456012. doi:10.1007/BF01466734.  ↑ Saunders NR, Habgood MD, Dziegielewska KM (1999). “Barrier mechanisms in the brain, I. Adult brain”. 《Clin. Exp. Pharmacol. Physiol.》 26 (1): 11–9. PMID 10027064. doi:10.1046/j.1440-1681.1999.02986.x.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Dimitri Agamanolis (2013년 1월). “Chapter 14 - Cerebrospinal Fluid :THE NORMAL CSF”. 《Neuropathology》. Northeast Ohio Medical University. 2014년 12월 25일에 확인함.  ↑ Merril CR, Goldman D, Sedman SA, Ebert MH (1981년 3월). “Ultrasensitive stain for proteins in polyacrylamide gels shows regional variation in cerebrospinal fluid proteins”. 《Science》 211 (4489): 1437–8. PMID 6162199. doi:10.1126/science.6162199.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가 나 Hische EA, van der Helm HJ, van Walbeek HK (1982년 2월). “The cerebrospinal fluid immunoglobulin G index as a diagnostic aid in multiple sclerosis: a Bayesian approach”. 《Clinical Chemistry》 28 (2): 354–5. PMID 7055958.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PATHOLOGY 425 CEREBROSPINAL FLUID [CSF] Archived 2012년 2월 22일 - 웨이백 머신 at the Department of Pathology and Laboratory Medicine at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By Dr. G.P. Bondy. Retrieved November 2011 [깨진 링크]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깨진 링크를 대신하여 아래 문헌을 참고할 수 있다. David N. Irani (2008). 〈Chapter 3 CSF Secretion, Recirculation, and Resorption〉. 《Cerebrospinal Fluid in Clinical Practice》. Philadelphia: Saunders Elsevier. 12–13쪽. ISBN 978-1-4160-2908-3.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Normal reference range Table Archived 2011년 12월 25일 - 웨이백 머신 from The University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at Dallas. Used in Interactive Case Study Companion to Pathologic basis of disease. [깨진 링크] ↑ 가 나 Department of Chemical Pathology at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Archived 2015년 1월 5일 - 웨이백 머신, in turn citing: Roberts WL et al. Reference Information for the Clinical Laboratory. In Tietz Textbook of Clinical Chemistry and Molecular Diagnostics, 4th edn. Burtis CA, Ashwood ER and Bruns DE eds. Elsevier Saunders 2006; 2251 - 2318 ↑ 가 나 Lab Manual for SFGH > PROTEIN, CSF - IgG INDEX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Last updated 10/4/2010. ↑ 가 나 Standardization of procedures and methods in neuroimmunology Archived 2013년 10월 21일 - 웨이백 머신[쪽 번호 필요] from the Italian Association of Neuroimmunology. Retrieved January, 2012 ↑ 가 나 다 라 Derived from mmHg values using 0.133322 kPa/mmHg ↑ 가 나 다 Schoenwolf GC, Larsen WJ (2009). 〈Development of the Brain and Cranial Nerves〉. 《Larsen's human embryology》 4판. Philadelphia: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ISBN 978-0-443-06811-9. [쪽 번호 필요] ↑ Noback, Charles (2005). 《The Human Nervous System》. Humana Press. 93쪽. ISBN 978-1-58829-040-3.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 |author= 및 |last= (도움말) ↑ 가 나 다 Saladin, Kenneth (2007). 《Anatomy and Physiology: The Unity of Form and Function》. McGraw Hill. 520쪽. ISBN 978-0-07-287506-5. , ↑ Allan H. Ropper, Robert H. Brown (2005년 3월 29일). 〈30〉. 《Adams and Victor's Principles of Neurology》 8판. McGraw-Hill Professional. 530쪽.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Iliff JJ, Wang M, Liao Y; 외. (2012년 8월). “A paravascular pathway facilitates CSF flow through the brain parenchyma and the clearance of interstitial solutes, including amyloid β”. 《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4 (147): 147ra111. PMC 3551275. PMID 22896675. doi:10.1126/scitranslmed.3003748.  CS1 관리 - et al.의 직접적인 사용 (링크)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Xie L, Kang H, Xu Q; 외. (2013년 10월). “Sleep drives metabolite clearance from the adult brain”. 《Science》 342 (6156): 373–7. PMID 24136970. doi:10.1126/science.1241224.  CS1 관리 - et al.의 직접적인 사용 (링크)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가 나 “Hydrocephalus: Myths, New Facts, Clear Directions”.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 NIH. 2011년 3월 10일. 2015년 1월 5일에 확인함.  ↑ “Hydrocephalus Fact Sheet”.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 2014년 4월 16일. 2015년 1월 5일에 확인함.  ↑ Seehusen DA, Reeves MM, Fomin DA (2003년 9월). “CSF analysis”. 《Am Fam Physician》 68 (6): 1103–8. PMID 14524396.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가 나 다 Colledge NR, Walker BR, Ralston SH, 편집. (2010). 《Davidson's principles and practice of medicine》 21판.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1147–8쪽. ISBN 978-0-7020-3084-0.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De Meyer G, Shapiro F, Vanderstichele H; 외. (2010년 8월). “Diagnosis-independent Alzheimer disease biomarker signature in cognitively normal elderly people”. 《Archives of Neurology》 67 (8): 949–56. PMC 2963067. PMID 20697045. doi:10.1001/archneurol.2010.179.  CS1 관리 - et al.의 직접적인 사용 (링크)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Herskovits AZ, Growdon JH (2010년 8월). “Sharpen that needle”. 《Archives of Neurology》 67 (8): 918–20. PMID 20697041. doi:10.1001/archneurol.2010.151.  외부 링크[편집] (영어) 뇌척수액의 순환 전거 통제 GND: 4125641-4 NDL: 0057495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뇌척수액&oldid=23073331" 분류: 체액중추신경계통신경학숨은 분류: CS1 관리 - 추가 문구CS1 관리 - 여러 이름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문장에 쪽 번호가 필요한 글/2015년 1월문장에 쪽 번호가 필요한 글인용 오류 -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CS1 관리 - et al.의 직접적인 사용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덴마크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rezhoneg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LatinaLietuviųLatviešu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ଓଡ଼ିଆ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21일 (수) 22:1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뇌척수액(腦脊髓液, cerebrospinal fluid, CSF)은 수액이라고도 부른다. 뇌와 척수를 둘러싼 연질막과 지주막(거미막) 사이에 있는 공간인 지주막 하강(거미막밑 공간)과 뇌실을 채우고 있는 액체를 말한다. 뇌의 고랑과 수조, 척수의 중심관에 들어 있는 액체도 뇌척수액이다. 뇌와 척수를 뇌척수강 내에 부유시켜서 뇌 피질을 물리적·면역학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완충 역할을 한다. 대뇌 혈류를 자가조절하고, 뇌와 척수의 조직액을 대신하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뇌의 맥락얼기에서 생산되고, 무색·투명하며 약알칼리성으로 전체의 양은 100∼150 mL이다. 조성은 림프와 거의 같으나 단백질은 매우 적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뇌척수액을 수집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의 이름은 무엇인가? Assistant: 요추천자
Human: 아래 NeXTSTEP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NeXTSTEP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NeXTSTEP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NeXTSTEP NeXTSTEP에서 돌아가는 Nethack회사 / 개발자 NeXTOS 계열 유닉스상태 역사적소스 형태 일부 오픈 소스 구성 요소를 포함한 클로즈드 소스최초 버전 출시일 1989년 9월 18일 (29년 전)(1989-09-18)마지막 버전 3.3마지막 버전 출시일 1995년마케팅 대상 기업, 아카데미 프로그래밍 언어 C, 오브젝티브-C지원되는 플랫폼 모토로라 68000, 인텔 x86, SPARC, PA-RISC커널형태 하이브리드기본 UI 그래픽라이선스 사유 EULA NeXTSTEP(넥스트스텝)은 애플사의 공동 설립자인 스티브 잡스가 1985년 설립한 넥스트 사(NeXT Inc.)에서 개발한 객체 지향형 운영 체제이다. 넥스트 워크스테이션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한 유닉스 계통의 운영 체제로서, 소프트웨어 개발을 마우스 조작에 의한 그래픽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는 객체 지향형 기능을 제공하므로 프로그램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후에 랩소디(Rhapsody)를 거쳐 OS X으로 발전되었다. 넥스트스텝은 발매 당시 혁신적인 개발환경으로 사람들에게 큰 인상을 남겼다. 당시 객체지향개발 방법론과 개발도구가 생소하던 시점에 '모든것이 객체다' 다른 기치를 걸고 현재의 컴포넌트 지향적인 개발 환경과 비슷한 환경을 하였다. 당시 오브젝티브-C라는 생소한 언어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개발의 효율성으로 인하여 엔터프라이즈업계와 국방부에서 심심치 않게 사용되었다. 넥스트스텝은 현재 macOS과 iOS, tvOS, watchOS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목차 1 기능 2 역사 3 버전 4 참고 사항 5 같이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기능[편집] NeXTSTEP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마하 커널 기반의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 (BSD로부터의 소스 코드 포함) 디스플레이 포스트스크립트 및 윈도잉 엔진 오브젝티브-C 언어 및 런타임 일부 키트를 포함한 객체 지향 (OO) 응용 프로그램 계층 OO 계층을 위한 개발 도구 역사[편집] 넥스트스텝의 미리보기 출시판은 1988년 10월 12일 넥스트 컴퓨터의 런칭과 함께 등장하였다. 최초의 완전한 출시판인 넥스트스텝 1.0은 1989년 9월 18일 출시되었다.[1] 최신 버전 3.3은 1995년 초에 출시되었고 당시 넥스트 컴퓨터에 쓰인 모토로라 68000 계열 프로세서뿐 아니라 인텔 x86, 썬 SPARC, HP PA-RISC 기반 시스템에도 동작하였다. 버전[편집] 버전 출시일 설명 0.8 1988년 10월 12일 0.8a 1988년 0.9 1988년 넥스트 하드웨어만 지원하는 버전 1.0 1989년 1.0a 1989년 2.0 1990년 9월 18일 2.1 1991년 3월 25일 2.1a 2.2 3.0 1992년 말 3.1 1993년 5월 25일 i486, PA-RISC, SPARC 아키텍처 지원. 3.2 1993년 10월 3.3 1995년 2월 NeXTSTEP이란 이름으로 출시되었음 4.0 (베타) 1996년 오픈스텝과 애플 인수 이전의 개발자들을 위한 베타 버전 애플사가 NeXT를 사들인 뒤에 실질적으로 마지막 버전은 3.3까지 나와 있다. 참고 사항[편집] 1990년 최초의 웹 브라우저와 월드 와이드 웹이 NeXTSTEP 플랫폼에서 개발되었다. 같이 보기[편집] 오픈스텝 윈도 메이커 그누스텝 (GNUstep) 각주[편집] ↑ Singh, Amit (December 2003). “What is Mac OS X?”. 《osxbook.com》. 2011년 4월 1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NeXTComputers.org (영어) NeXT - Curlie (DMOZ 기반) vdeh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 AIX BSD 드래곤플라이 BSD FreeBSD HP-UX IRIX 리눅스 LynxOS macOS 미닉스 NetBSD NEXTSTEP OpenBSD QNX SCO 오픈서버 솔라리스 시스템 V Tru64 제닉스 유닉스웨어 VxWorks 티맥스OS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85163749 LCCN: n91092798 GND: 4309098-9 이 글은 운영 체제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NeXTSTEP&oldid=21566404" 분류: BSD유닉스 계열숨은 분류: 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운영 체제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Italiano日本語Lietuvių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Kiswahili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6월 15일 (금) 05:0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NeXTSTEP(넥스트스텝)은 애플사의 공동 설립자인 스티브 잡스가 1985년 설립한 넥스트 사(NeXT Inc.)에서 개발한 객체 지향형 운영 체제이다. 넥스트 워크스테이션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한 유닉스 계통의 운영 체제로서, 소프트웨어 개발을 마우스 조작에 의한 그래픽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는 객체 지향형 기능을 제공하므로 프로그램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후에 랩소디(Rhapsody)를 거쳐 OS X으로 발전되었다. 넥스트스텝은 발매 당시 혁신적인 개발환경으로 사람들에게 큰 인상을 남겼다. 당시 객체지향개발 방법론과 개발도구가 생소하던 시점에 '모든것이 객체다' 다른 기치를 걸고 현재의 컴포넌트 지향적인 개발 환경과 비슷한 환경을 하였다. 당시 오브젝티브-C라는 생소한 언어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개발의 효율성으로 인하여 엔터프라이즈업계와 국방부에서 심심치 않게 사용되었다. 넥스트스텝은 현재 macOS과 iOS, tvOS, watchOS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NEXTSTEP 0.9버전은 오직 무엇만 지원하는가? Assistant: 넥스트 하드웨어만 Human: 아래 늑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늑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늑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늑대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늑대 일본 오사카 텐노지 동물원의 늑대. 생물 분류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식육목 과: 개과 속: 개속 종: 회색늑대 아종: 늑대 학명 Canis lupus chancoGray, 1863 이명 * coreanus (Abe, 1923) dorogostaiskii (Skalon, 1936) ekloni (Przewalski, 1883) filchneri (Matschie, 1907) karanorensis (Matschie, 1907) laniger (Hodgson, 1847) niger (Sclater, 1874) tschiliensis (Matschie, 1907) "saxicolor" (Smith, 1834)[1] 몽골늑대(영어: Mongolian Wolf)는 러시아 동부, 몽골 지역, 위구르 지역을 포함한 중국 북부에 서식하고 있는 회색늑대의 아종 중 하나이다. 이 늑대 아종은 안정적인 개체수 동향과 상대적으로 광범위한 서식지 때문에 2004년부터 IUCN이 관심 필요에 등극했다.[2] 늑대는 늑대의 최근에 이전 아종을 더 적은 범위에서 새로운 이름으로 지정하는 경향에 따라 동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3] 늑대는 일부 과학자들이 모두 그렇지 않은 다른 늑대의 아종에 비해 작은 크기, 하악골 형태 등으로 개와 가까운 계열로 추측한다.[4] 목차 1 특성 2 이주 및 서식지 3 위협 4 보호 5 각주 6 외부 링크 특성[편집] 늑대의 털은 황갈색이며, 등 뒤는 진한 검정색과 회색이 섞여 있다. 목, 가슴, 배, 다리 안쪽은 순백색이고 머리는 옅은 회갈색, 이마는 검회색을 띈다. 두개골은 유라시아늑대와 거의 닮았지만, 유라시아늑대에 비해 다리가 짧다.[5] 털 색은 계절마다 다르다. 겨울 털은 허리와 꼬리가 검은색 또는 흰색, 담황색 등의 털이 섞여 있으며, 어깨에서 허리로 내려가는 털은 검은색과 흰색으로 되어 있다. 머리 아래의 털은 배와 다리 바깥쪽의 털처럼 희고 회색이 거의 없다. 때때로, 앞다리에 다양한 명도의 어두운 줄무늬가 있을 수 있다. 귀는 창백한 회색 또는 짙은 황토색이다. 정수리와 턱은 검은색 얼룩의 줄무늬가 있으며, 이는 뺨 윗부분과 귀, 눈 아래까지 나 있다. 턱 색은 검정부터 흰색까지 다양하다. 겨울 털은 어깨 털이 100~120mm이고, 등 뒤는 70~80mm, 측면은 40~60mm 정도의 길이이다. 이 종의 무게는 45kg을 거의 초과하지 않는다.[6] 이주 및 서식지[편집] 1847년부터 1923년까지, 늑대는 다양한 학명을 가지고 있었으며 중국 북부, 러시아, 외몽골, 한반도에 이르는 넓은 서식지를 가지고 있었다.[7] 인도나 네팔, 중국령 티베트 지역, 중앙아시아에 서식하는 개체들은 현재 chanco 아종으로 보지 않는다. 위협[편집] 늑대의 주요천적은 표범과 호랑이, 곰, 검독수리, 인간이다. 늑대는 지속적인 가축 약탈로 인한 큰 박해와 독 중독으로 인한 지속적인 위협에 처하고 있다. 서식지의 단편화로 인해, 결과적으로 지역의 장기 생존에 필요한 인구에 비해 서식지가 작아지게 되었다. 몽골 지역의 종은 털을 이용하기도 한다.[2] 일제 강점기 조선에서는 호랑이, 표범, 곰, 멧돼지들과 함께 사람에 해로운 동물로 몰려 구제당했다.[8] 보호[편집] 현재 늑대는 몽골, 중국, 러시아에서는 보호 지역을 제외하고는 보호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한반도 지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선 현재 서식이 불명확하고, 대한민국 지역의 늑대는 절멸한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각주[편집] ↑ Wozencraft, W.C. (2005). 〈Order Carnivora〉 [식육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가 나 Mech, L.D., Boitani, L. (IUCN SSC Wolf Specialist Group) (2010). “Canis lup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1.2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Mech, L. D., Boitani, L. (2003). 《Wolves: Behaviour, Ecology and Conserva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London. ISBN 0-226-51696-2.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Olsen, S.J., Olsen, J.W. (1977). The Chinese wolf, ancestor of new world dogs. Science 197: 533–535. ↑ Gray, J. E. (1863). Notice of the Chanco or Golden Wolf (Canis chanco) from Chinese Tartary. Proceedings of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94 ↑ Geptner, V. G., Nasimovich, A. A., Bannikov, A. G. (1972). Mlekopitaiuščie Sovetskogo Soiuza. Vysšaia Škola, Moskva. (In Russian; English translation: Heptner, V.G., Nasimovich, A. A., Bannikov, A. G.; Hoffmann, R.S. (1988). Mammals of the Soviet Union. Vol II, Part 1a: Sinenia and Carnivora (sea cows, wolves and bears). Smithsonian Institute and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 Washington DC). ↑ Ellerman, J. R., Morrison-Scott, T. C. S. (1966). Checklist of Palaearctic and Indian mammals 1758 to 1946. Second edition. British Museum of Natural History, London. Page 219. ↑ Neff, R. (2007). Devils in the Darkness: Korea’s Gray Wolves. OhmyNews, 23 May 2007. 외부 링크[편집] 위키낱말사전에관련된 항목이 있습니다. 늑대 (영어) The IUCN Wolf Specialist Group: Canis lupus (영어) Arkive Images of Life on Earth: Canis lupus vdeh회색늑대 동물계 포유강 식육목 개과 개속 회색늑대 종 및 아종본종회색늑대유라시아 유라시아늑대(승명아종) 툰드라늑대 아라비아늑대 카스피해늑대 몽골늑대 (한국늑대) †에조늑대 †일본늑대 인도늑대 이탈리아늑대 이베리아늑대 극지 북극늑대 †베르나드늑대 맥킨지강늑대 배핀섬늑대 그린란드늑대 알래스카툰드라늑대 유콘늑대 †케나이반도늑대 허드슨만늑대 미주 멕시코늑대 †뉴펀들랜드늑대 브리티시컬럼비아늑대 밴쿠버섬늑대 †플로리다검은늑대 †캐스케이드산늑대 †그레고리늑대 †매니토바늑대 북부록키산늑대 래브라도늑대 알렉산더군도늑대 동부늑대* †모골룬산늑대 †텍사스늑대 대평원늑대 매켄지계곡늑대 †남부록키산늑대 기타 개 기원 딩고 혼종 코이늑대 늑대개 흑색늑대 동부늑대* 역사 브리튼 아일랜드 옐로스톤 국립공원 한반도 생태 서식지 의사 소통 늑대의 질병 외톨이 늑대 이주 패턴 팩 늑대 재도입 늑대 사냥 사냥에서 개 이용 늑대의 인간 공격 늑대의 애완 및 사역 늑대고기 문화 늑대와 민속, 종교, 신화 문장학에서의 늑대 볼프 아세나 펜리르 늑대인간 바르그 형태 변환자 구비오의 늑대 암늑대 울버 크고 나쁜 늑대 * 회색늑대의 아종이라는 설과 늑대와 코요테의 혼종이라는 설이 논쟁중이다. 공용 문서  · 위키스피시즈 문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늑대&oldid=24389131" 분류: 늑대회색늑대의 아종1863년 기재된 동물네팔의 포유류몽골의 포유류부탄의 포유류인도의 포유류중국의 포유류파키스탄의 포유류러시아의 포유류개과육식성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CS1 관리 - 여러 이름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낱말사전과 연결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생물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Čeština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SuomiFrançais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talianoКырык марыBahasa Melayu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6일 (목) 18: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늑대(학명: Canis lupus chanco)는 러시아 동부, 중앙아시아, 몽골, 인도, 부탄을 포함한 히말라야 산맥 북부 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회색늑대의 아종 중 하나이다. 이 늑대 아종은 안정적인 개체수 동향과 상대적으로 광범위한 서식지 때문에 2004년부터 IUCN이 관심 필요에 등급에 포함되었다. 국내에서도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늑대는 늑대의 최근에 이전 아종을 더 적은 범위에서 새로운 이름으로 지정하는 경향에 따라 동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늑대는 일부 과학자들이 모두 그렇지 않은 다른 늑대의 아종에 비해 작은 크기, 하악골 형태 등으로 개와 가까운 계열로 추측한다.육식성이어서 주로 사슴, 멧돼지, 돼지, 양, 염소, 송아지, 토끼, 쥐, 닭, 오리를 잡아먹는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늑대의 생김새는 어떨까? Assistant: 늑대의 털은 황갈색이며, 등 뒤는 진한 검정색과 회색이 섞여 있다. 목, 가슴, 배, 다리 안쪽은 순백색이고 머리는 옅은 회갈색, 이마는 검회색을 띈다. 두개골은 유라시아늑대와 거의 닮았지만, 유라시아늑대에 비해 다리가 짧다.[5] 털 색은 계절마다 다르다. 겨울 털은 허리와 꼬리가 검은색 또는 흰색, 담황색 등의 털이 섞여 있으며, 어깨에서 허리로 내려가는 털은 검은색과 흰색으로 되어 있다. 머리 아래의 털은 배와 다리 바깥쪽의 털처럼 희고 회색이 거의 없다. 때때로, 앞다리에 다양한 명도의 어두운 줄무늬가 있을 수 있다. 귀는 창백한 회색 또는 짙은 황토색이다. 정수리와 턱은 검은색 얼룩의 줄무늬가 있으며, 이는 뺨 윗부분과 귀, 눈 아래까지 나 있다. 턱 색은 검정부터 흰색까지 다양하다. 겨울 털은 어깨 털이 100~120mm이고, 등 뒤는 70~80mm, 측면은 40~60mm 정도의 길이이다. 이 종의 무게는 45kg을 거의 초과하지 않는다.[6]
Human: 아래 이종석의_수상_및_후보_목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종석의 수상 및 후보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종석의 수상 및 후보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종석의 수상 및 후보 목록 2013년 9월 27일 보그 패션 나잇 아웃에서 이종석. 수상 및 후보 시상식 수상 후보 KBS 연기대상 1 1 SBS 연기대상 5 7 MBC 연기대상 3 3 서울 드라마 어워즈 0 0 코리아드라마어워즈 3 4 아시아태평양 스타 어워즈 2 4 대종상 0 0 청룡영화상 0 0 백상예술대상 1 7 총계 수상 합계 27 후보 합계 43 다음은 대한민국의 배우 이종석의 수상 및 후보 목록이다. 목차 1 텔레비전 1.1 SBS 연기대상 1.2 MBC 연기대상 1.3 KBS 연기대상 1.4 MBC 방송연예대상 1.5 백상예술대상 1.6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1.7 아시아 태평양 스타 어워즈 1.8 그리메상(한국방송촬영감독연합회) 1.9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1.10 더 서울어워즈 1.11 스타일 아이콘 아시아 어워즈 1.12 Mnet 20's Choice 1.13 숨피 어워즈 2 영화 2.1 대종상영화제 2.2 백상예술대상 3 기타 시상식 4 시간 순 목록 5 같이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텔레비전[편집] SBS 연기대상[편집] 연도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13 《너의 목소리가 들려》 미니시리즈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수상 [1] 10대 스타상 수상 베스트 커플상 (with 이보영) 후보 2014 《닥터 이방인》·《피노키오》 특별상 수상 [2] 《피노키오》 중편드라마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후보 베스트 커플상 (with 박신혜) 수상 《닥터 이방인》·《피노키오》 10대 스타상 수상 2017 《당신이 잠든 사이에》 수목드라마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수상 베스트 커플상 (with 수지) 수상 MBC 연기대상[편집] 연도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16 《W》 대상 수상 [3][4] 미니시리즈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수상 베스트 커플상 (with 한효주) 수상 KBS 연기대상[편집] 연도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12년 《학교 2013》 남자 신인연기상 수상 [5] MBC 방송연예대상[편집] 연도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11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 코미디/시트콤부문 남자 신인상 후보 백상예술대상[편집] 연도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12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 TV부문 남자예능상 후보 TV부문 남자인기상 후보 2014 《너의 목소리가 들려》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후보 [6] TV부문 남자인기상 후보 2015 《피노키오》 TV부문 남자인기상 수상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편집] 연도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13 《너의 목소리가 들려》 남자 우수연기상 수상 [7] 베스트 커플상 (with 이보영) 수상 2014 《닥터 이방인》 남자 최우수연기상 후보 2015 《피노키오》 남자 최우수연기상 수상 [8] 아시아 태평양 스타 어워즈[편집] 연도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13 《학교 2013》·《너의 목소리가 들려》 남자 우수연기상 수상 [9] 《너의 목소리가 들려》 베스트 커플상 (with 이보영) 수상 2016 《W》 중편드라마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후보 베스트 커플상 (with 한효주) 후보 2018 《당신이 잠든 사이에》 중편드라마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후보 남자 케이스타인기상 후보 그리메상(한국방송촬영감독연합회)[편집] 연도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14 《피노키오》 최우수 남자연기자상 수상 [10]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편집] 연도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13 《너의 목소리가 들려》 드라마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수상 빈칸 문화부문 한류대상 수상 더 서울어워즈[편집] 연도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18 《당신이 잠든 사이에》 드라마부문 남자인기상 후보 스타일 아이콘 아시아 어워즈[편집] 연도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11 빈칸 SIA's 초이스상 수상 2013 빈칸 스타일 아이콘 본상 수상 2014 빈칸 스타일 아이콘 본상 후보 Mnet 20's Choice[편집] 연도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12 빈칸 20's 부밍스타 후보 2013 《너의 목소리가 들려》 드라마 스타 남자부문 후보 숨피 어워즈[편집] 연도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15 《피노키오》 남우주연상 수상 [11] 영화[편집] 대종상영화제[편집] 연도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14 《피끓는 청춘》 인기상 후보 백상예술대상[편집] 연도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13 《코리아》 영화부문 남자인기상 후보 2014 《피끓는 청춘》 영화부문 남자인기상 후보 기타 시상식[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출처 2005 신 한류스타 선발대회 신인광고모델부문 네티즌상 빈칸 수상 2006 스마트 모델 선발대회 포토제닉상 빈칸 수상 2014 제9회 아시아 모델상 시상식 한국 모델스타상 빈칸 수상 2015 제1회 한빛상 시상식 배우부문 한빛상 빈칸 수상 [12] 2015 대한민국 올해의 브랜드 대상(한국소비자브랜드위원회) 중국소비자가 뽑은 대한민국 올해의 브랜드 특별상 - 한류스타부문 빈칸 수상 [13] 제6회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국무총리 표창 빈칸 수상 [14] 2016 건국대학교 전기 학위수여식 공로상 빈칸 수상 [15] 시간 순 목록[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05 신 한류스타 선발대회 신인광고모델부문 네티즌상 수상 2006 스마트 모델 선발대회 포토제닉상 수상 2011 제4회 스타일 아이콘 어워즈 SIA's 초이스상 수상 MBC 방송연예대상 코미디/시트콤부문 남자 신인상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 후보 2012 제48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예능상 후보 TV부문 남자인기상 후보 제6회 Mnet 20's Choice 20's 부밍스타 후보 KBS 연기대상 남자 신인연기상 《학교 2013》 수상 2013 제49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남자인기상 《코리아》 후보 제7회 Mnet 20's Choice 드라마 스타 남자부문 《너의 목소리가 들려》 후보 제6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남자 우수연기상 《너의 목소리가 들려》 수상 베스트 커플상 (with 이보영) 수상 제6회 스타일 아이콘 어워즈 스타일 아이콘 본상 수상 제2회 에이판 스타 어워즈 남자 우수연기상 《학교 2013》《너의 목소리가 들려》 수상 베스트 커플상 (with 이보영) 수상 제21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드라마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너의 목소리가 들려》 수상 문화부문 한류대상 수상 SBS 연기대상 미니시리즈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너의 목소리가 들려》 수상 10대 스타상 수상 베스트 커플상 (with 이보영) 후보 2014 제50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너의 목소리가 들려》 후보 TV부문 인기상 후보 영화부문 인기상 《피끓는청춘》 후보 제51회 대종상영화제 인기상 후보 제9회 아시아 모델상 시상식 한국 모델스타상 수상 제7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남자 최우수연기상 《닥터 이방인》 후보 제6회 스타일 아이콘 어워즈 스타일 아이콘 본상 후보 제27회 그리메상 남자 최우수연기자상 《피노키오》 수상 SBS 연기대상 특별상 《닥터 이방인》·《피노키오》 수상 중편드라마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피노키오》 후보 10대 스타상 수상 베스트 커플상 (with 박신혜) 수상 2015 제10회 숨피 어워즈 남우주연상 《피노키오》 수상 제51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인기상 수상 제1회 한빛상 시상식 배우부문 한빛상 수상 대한민국 올해의 브랜드 대상 중국소비자가 뽑은 대한민국 올해의 브랜드 특별상 수상 제8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남자 최우수연기상 《피노키오》 수상 제6회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국무총리 표창 수상 2016 건국대학교 전기 학위수여식 공로상 수상 제5회 에이판 스타 어워즈 중편드라마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W》 후보 베스트 커플상 (with 한효주) 후보 MBC 연기대상 대상 《W》 수상 미니시리즈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수상 베스트 커플상 (with 한효주) 수상 2017 SBS 연기대상 수목드라마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당신이 잠든 사이에》 수상 베스트 커플상 (with 수지) 수상 같이 보기[편집] 이종석의 작품 목록 각주[편집] ↑ 너목들' 이종석, SBS연기대상 미니 男우수연기상 스타뉴스 2013-12-31 ↑ 'SBS연기대상' 이종석 "귀한 배우 되지 않겠다" 개념소감 뉴스엔 2015-01-01 ↑ 황소영 기자 (2016년 12월 30일). “[MBC 연기대상] 김소연X서인국X이종석 등 총 7인 대상 후보”. 일간스포츠. 2017년 8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최진실 기자 (2016년 12월 31일). “이종석, 맥락있는 대상…인생작 만나 날았다”. 엑스포츠 뉴스.  ↑ 이종석 신인상 “오래보아야 사랑스러운 배우될 것" (KBS 연기대상) 티브이데일리 2012-12-31 ↑ 김승현 기자 (2014년 4월 28일). “김수현·유아인·이종석…백상 男연기상으로 대세 격돌”. 엑스포츠뉴스.  ↑ ★포토 이종석,'2013 KDA 남자우수상 수상' 스타뉴스 2013-10-02 ↑ '코리아드라마어워즈' 이종석 "'너목들' 식구들과 다시 만나 좋은 성과 기분 좋아" 스포츠투데이 2015-10-09 ↑ 이종석, 남자 우수연기상 "특별한 감성 없다고 생각했는데…"(대전드라마페스티벌) TV리포트 2013-11-16 ↑ 이종석, 촬영감독들이 뽑은 ‘그리메상’ 남자 최우수연기상 역대 최연소로 수상 스포츠경향 2014-12-09 ↑ “Announcing the Results of the 10th Annual Soompi Awards 2014”. 《Soompi》. 2015년 2월 16일.  ↑ 한류선정조직위원회 제1회 '2015 한빛상 시상식' 개최 국제뉴스 2015-06-18 ↑ 2015 대한민국 올해의 브랜드 대상 흔들리지 않는 브랜드 철학, 소비자 신뢰 높였다 한국경제 2015-10-15 ↑ 이종석 데뷔 6년만 국무총리표창, 남다른 행보 뉴스엔 2015-10-27 ↑ 이종석, 22일 건국대 졸업…공로상 수상 스포츠조선 2016-02-19 외부 링크[편집] (한국어) 이종석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Jong-Suk Lee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종석의_수상_및_후보_목록&oldid=24204215" 분류: 배우의 수상 목록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13: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다음은 대한민국의 배우 이종석의 수상 및 후보 목록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종석이 2005년도에 신 한류스타 선발대회 시상식에서 수상한 부문은? Assistant: 신인광고모델부문 네티즌상 Human: 아래 유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유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유아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유아(幼兒)는 걸음마를 시작할 즈음부터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까지의 어린이를 가리킨다.[1] The Mighty Toddler와 The Emotional Life of the Toddler에 따르면 유아는 만 1세부터 만 5세까지의 나이대에 속하는 어린이다.[2][3] 대한민국의 국어사전에 따르면 유아는 생후 1년부터 초등학교 입학 전까지의 어린아이를 가리키며, 대한민국 영유아보육법에서 영유아란 만 6세 미만의 취학 전 아동을 말한다.[4] 이 시기에는 신체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상당히 발달하게 되며, 유치원 또는 보육원에서 보육되는 시기에 해당한다.[5] 목차 1 유아기의 발달 1.1 행동 1.2 운동 발달 1.3 정서 1.4 사회성 1.5 인성 1.6 신체발달 1.6.1 1. 신체적 성장 1.6.2 2. 뇌의 성장 2 유아 감염병 3 기타 3.1 각국의 유아 4 같이 보기 5 각주 유아기의 발달[편집] 유아기에는 체중의 증가가 현저하고, 체격이 눈에 띄게 튼튼해진다. 그리고, 이 시기에는 뛴다든지, 달린다든지, 기어오른다든지 하는, 몸 전체를 사용하는 신체의 운동이 발달하게 된다. 또한, 언어생활이 급속하게 발달하게 된다.[5] 행동[편집] 이 시기에 유아는 사회적 역할과 이동 능력을 많이 배운다. 이 시기에 적어도 아기는 어떤 물건을 짚고 걸어간다. 보통 유아는 먼저 배우는 것과 나중 배우는 것이 다르다. 또한, 형제 자매들 사이에도 배우는 데 걸리는 시간이 차이가 많이 난다. 유아기에는 언어를 배울 때 '맘마', '멍멍' 등의 한 단어 수준에서 벗어나 '엄마, 까까' 등의 두 단어 수준으로 올라가게 되고, 만 4세가 되면 말은 어느 정도 배워서 대화가 가능하다.[6] 이 시기를 때로는 "미운 네살" 이라고 불리는데, 변덕이 빈번하며 짜증을 많이 내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계는 아이들의 사회 환경마다 다르지만 빠르게는 9개월부터 시작된다. 이것은 아이가 엄마나 돌보아 주는 사람들과 다르다는 것을 서서히 발견하는 과정이며, 자신을 둘러싼 세상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시험해 보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만 2세부터 만 5세까지 사이에 자신의 독립성을 발견하는 일을 되풀이한다. 따라서 아이를 돌보는 사람이 일관되게 반응하고, 아이들의 안전과 돌보는 사람의 용납함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사회적인 상호작용은 유아 발달에 아주 중요하다. 아이들이 계속해서 어른의 목소리와 행동을 보고 듣고 반복하면서 언어와 걸음마, 사회 기술을 익힌다. 대부분은 유아기에 기저귀를 빼고 배변을 훈련한다. 약간의 개인적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의 서구 국가에서는 17개월부터 배변 훈련을 하게 되며, 만 3살이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훈련을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경우 평균적으로 24개월 이후에 배변 훈련을 시작한다. 그러나 너무 이른 배변 훈련은 유아가 강박관념을 갖게 되므로 피해야 한다. 야뇨증에 걸린 유아는 기저귀를 더 차게 되며, 배변 훈련을 늦게 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아즈란식 배변 훈련이라고 해서 아이의 심리를 파악해서 단 하루 만에 기저귀를 떼는 훈련법도 개발되었다. 운동 발달[편집] 유아기에 있어서 운동발달은 현저하다. 이동운동으로서 1세 전후로 기기·서기·걷기 등이 가능해지고, 손·팔의 운동으로서 물건에 대한 도달·파악·손놀림이 가능해진다. 이후로는 다시 많은 운동이 발달한다. 불안정했던 보행은 속도나 거리가 증가하고, 양쪽 다리의 벌린 간격이 좁아진다. 3세에서는 계단 오르기가 가능해지고, 4세에서 달리기·뛰기·던지기·미끄러지기·올라가기·스킵(skip) 등이 최초엔 어설프지만 차차 가능하게 된다. 5세에서는 동작이 민첩해지고, 6세에서는 자유로이 뛰어다닌다.[7] 손끝의 운동은 약간 늦어지나 2세에서 토막쌓기로 집짓기를 할 수 있고, 3세에서 수직선을 그리며, 가위나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고, 4세에서 원이나 사각형을 그리며, 5세에서 삼각형을 그리고, 6세에서 손끝을 상당히 자유롭게 쓸 수 있게 된다.[7] 정서[편집] 유아기에는 언어생활이 발달하여 대체로 자유로이 이야기할 수 있게 되고, 동무들이나 어른들과도 그런대로 대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심리적으로는 자기중심적·의존적(依存的)·정서적이다.[5] 유아기 정서는, 지속시간이 짧고, 폭발적·일과적(一過的)이고, 자주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시기이다.[8] 유유아기(乳幼兒期)에는, 소음이나 낯선 물건·낯선 장면·낯선 사람, 위에서 떨어지는 물건 등을 두려워하며, 6세경이 되면서 상상력의 발달과 더불어 상상의 생물·괴물 등에 대한 무서움이 증가한다. 또한 어두움이라든가 위험한 것, 유해물 등에 대한 두려움도 증가한다.[8] 사회성[편집] 1년쯤 되면 어른의 요구나 의사를 조금씩 이해하기 시작하며 모방도 나타나는데, 이 무렵이 되면 처음 수동적이었던 어른과의 사회적 관계가 능동적·적극적·상호교섭적인 것으로 발전한다. 2세 이후가 되면 본격적인 어린이끼리의 상호교섭이 나타난다. 다른 어린이에게 말을 건다거나, 간단한 놀이에 함께 참가하는데 아직 따로따로이다. 소위 평행(平行)놀이가 특징적이다. 그러나, 진정한 의미로서의 사회성은 3세 이후가 아니면 나타나지 않는다. 그 무렵이 되면 어린이끼리 함께 놀려고 하는 의욕이 나타나고, 서로 주고받고 하면서 논다. 반면 자기주장이 강하고, 경쟁의식도 나타나게 된다. 싸움이 많고, 어른에 대해서 반항하려는 경향도 나타난다. 5, 6세가 되면 집단의식이 명료해진다. 놀이상대의 수나 놀이시간은 증가하고, 서로 교섭이 있는 놀이가 전개되어, 다른 어린이에 대한 우호적·협력적인 접근을 찾는 행동을 차차 나타내게 된다. 동무들의 집에 놀러 간다든지, 간단한 심부름이 가능해진다. 유치원생활 따위의 생활공간의 확대도 있으며, 사회성이 여러 가지 면에서 발달하는 시기이다.[9] 인성[편집] 유아기는 인성의 형성에 중요한 시기로 여겨진다. 유아기의 어린이는 주된 생활공간이 가정이며, 부모와의 접촉에 의해서 여러 가지 반응양식을 학습해 나간다. 가정이 인성의 정상적인 발달에 필요하다는 것은, 어떤 사정으로 양친에서 떨어져서 유아원이나 고아원 등에 수용된 어린이에 관한 연구에서도 명백하다. 다만, 모든 가정이 바람직한 역할을 수행한다고는 할 수 없으며, 관련 연구에 의하면 부모의 교육태도가 어린이의 인성에 많은 영향을 준다.[10] 어린이의 인성 형성은 양친과의 인간관계뿐만 아니라, 친구와의 관계에도 의존하고 있다. 그 경향은 아동기 및 그 이후가 되면 더욱 강해진다. 친구관계가 인성의 형성에 끼치는 영향의 형태는 부모자식관계와 다르게 상호작용적이다. 즉 어린이의 인성이 친구관계에 영향을 주는 반면, 그와 같은 친구 관계가 반대로 어린이의 인성을 형성하는 하나의 원인이 된다.[11] 신체발달[편집] 유아기의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신체의 크기나 모습에서 현저한 변화한다. 영아기 이후에 신장은 매년 7cm씩 증가하여 6세가 되면 115cm 정도로 성장한다. 유아기의 신장은 성인이 되었을 때에 얼마만큼 자랄 것인가를 어느 정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신체의 비율에서도 신장에 대한 머리 크기의 비율이 급격히 감소하여, 초등학교 입학시기가 되면 머리가 크고 무거워 보이는 모습에서 벗어나게 된다. 체중의 증가도 완만하게 이루어져, 6시가 되면 20kg 정도가 된다. 두뇌의 발달은 영어기와 마찬가지로 급속하게 이루어지며, 2세경에는 성인의 두뇌크기의 75%, 5세경에는 성인의 90%까지 성장한다. 1. 신체적 성장[편집] 2. 뇌의 성장[편집] 유아기의 가장 중요한 신체발달 중 하나는 뇌와 신경계의 지속적인 성장이다. 영아기만큼 빠른 속도는 아니지만 뇌는 유아기에도 계속해서 성장한다. 유아 감염병[편집] 일생 동안에 한 번은 걸리는 감염병으로 대개 유아기에 병에 걸려 면역이 되는 것에 홍역·백일해 및 볼거리(유행성이하선염) 등이 있다. 그 밖에 꼭 걸리는 것은 아니지만 디프테리아·성홍열·이질·유행성소아마비·뇌막염·수족구병 등이 유유아기(乳幼兒期)에 많으며, 이들은 각각 특유한 증상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의사는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디프테리아나 성홍열·이질 등에는 항균제가 잘 듣기 때문에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를 받으면 된다. 홍역·볼거리에는 특효약은 없지만 성인의 혈청을 사용하여 가볍게 치료한다든지, 항균제로써 여병을 방지한다.[12] 기타[편집] 유아가 걷게 되더라도 아기들이 지치거나 빨리 가고 싶은 경우 유모차나 버기에 태워 가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은 유아기에 유치원에 다니게 된다. 조선 시대에는 유아기의 아이들은 오방장 두루마기를 입었다. 유아기의 아이들에게 일어나는 교통 사고도 '어린이 교통 사고'의 범주에 포함된다. 각국의 유아[편집] 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지금 바로 이 문단을 편집하여, 참고하신 문헌이나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각주 등으로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5년 7월 21일에 문단의 출처가 요청되었습니다.) 앙골라, 케냐, 탄자니아, 토고, 에티오피아 등 아프리카 국가 또는 후진국에서는 유아기의 아이들이 죽는 경우도 있다. 중국이나 인도네시아에서는 유아기의 아이들이 담배를 피우기도 한다. (아르디 리잘과 알디 수간다는 하루에 두 갑씩 담배를 피웠으나 현재는 알디 수간다만 하루에 2갑씩 담배를 피우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유아기의 아이들을 대부분 유아원 또는 유치원에 보낸다. 축구 강국인 네덜란드에서는 축구 신동인 유아기의 아이가 프로 축구팀과 계약을 맺은 경우도 있었다. 영국에서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 입단한 유아라 해서 5살짜리 축구 신동인 찰리 윌슨이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 입단하여 화제가 되었다. 같이 보기[편집] 영아 어린이 보육 교육 각주[편집] ↑ 이에 해당하는 영어의 ‘toddler’는 아장아장 걷는 이를 뜻한다. ↑ Barker, Robin (2001) The Mighty Toddler: The essential guide to the toddler years, Pan Macmillan Australia, Sydney, p1. ↑ Lieberman, Alicia F, (1993) The Emotional Life of the Toddler, The Free Press, New York, p1. ↑ 현재시행법령보기 ↑ 가 나 다 유아기의 교육, 《글로벌 세계 대백과》 ↑ 출처: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 제 6단원 '언어의 세계' 212쪽;저자:교육과학기술부 ↑ 가 나 유아기의 운동발달, 《글로벌 세계 대백과》 ↑ 가 나 유아기 - 정서·욕구·동기의 발달, 《글로벌 세계 대백과》 ↑ 유아기의 사회성 발달, 《글로벌 세계 대백과》 ↑ 부모·자식관계와 인성, 《글로벌 세계 대백과》 ↑ 친구관계와 인성, 《글로벌 세계 대백과》 ↑ 유아전염병, 《글로벌 세계 대백과》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유아 vdeh사람의 발달 과정 유년기 소년기 청년기 장년기 갱년기 노년기 중장년은 장년기와 갱년기 두 시기를 함께 어우러 말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거 통제 GND: 4031081-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유아&oldid=24272809" 분류: 인간의 발달 과정어린이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5년 7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문단에 출처가 필요한 글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ČeštinaDeutschEnglishفارسیBahasa IndonesiaमराठीNederlandsPolskiРусскийSicilianuSimple EnglishSvenska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4일 (금) 21:2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유아(幼兒)는 만 2세부터 만 5세까지의 어린아이를 가리킨다.The Mighty Toddler와 The Emotional Life of the Toddler에 따르면 유아는 만 4세부터 만 6세까지의 나이대에 속하는 어린이다.대한민국 영유아보육법에서 영유아란 만 6세 미만의 취학 전 아동을 말한다.이 시기에는 신체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빠르게 발달하게 되며, 유치원 또는 보육원에서 보육되는 시기에 해당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유아기때의 인성 형성 과정에서 인간관계를 통해 받는 영향은 어떻게 되나요? Assistant: 유아기는 인성의 형성에 중요한 시기로 여겨진다. 유아기의 어린이는 주된 생활공간이 가정이며, 부모와의 접촉에 의해서 여러 가지 반응양식을 학습해 나간다. 가정이 인성의 정상적인 발달에 필요하다는 것은, 어떤 사정으로 양친에서 떨어져서 유아원이나 고아원 등에 수용된 어린이에 관한 연구에서도 명백하다. 다만, 모든 가정이 바람직한 역할을 수행한다고는 할 수 없으며, 관련 연구에 의하면 부모의 교육태도가 어린이의 인성에 많은 영향을 준다.[10] 어린이의 인성 형성은 양친과의 인간관계뿐만 아니라, 친구와의 관계에도 의존하고 있다. 그 경향은 아동기 및 그 이후가 되면 더욱 강해진다. 친구관계가 인성의 형성에 끼치는 영향의 형태는 부모자식관계와 다르게 상호작용적이다. 즉 어린이의 인성이 친구관계에 영향을 주는 반면, 그와 같은 친구 관계가 반대로 어린이의 인성을 형성하는 하나의 원인이 된다.[11]
Human: 아래 예종석_(1953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예종석 (1953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예종석 (1953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08년 5월) 예종석(芮鍾碩, 본관 의흥, 부산광역시 출생, 1953년 12월 13일 ~ )은 대한민국의 경영학자이다. 정치인 예춘호의 아들로, 마케팅 전문가로 알려져 있고 한양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아름다운재단 이사장 등으로 활동하였다.[1] 2017년 2월 17일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선 캠프 홍보본부장이 되었다.[2][3] 목차 1 학력 2 현재 3 경력 4 역임 5 저서 6 수상 7 각주 8 외부 링크 학력[편집] 1980년: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 경제학 학사 1982년: 인디애나 대학교 경제학석사 1985년: 인디애나 대학교 경영학석사 1986년: 인디애나 대학교 경영학박사 현재[편집] 1989년 -: 한국 경영 연구원(KMDI) 연구위원 1995년 -: 한국 마케팅 연구원 연구위원 1996년 -: (주) 한독약품 고문 1998년 -: (주) 제일모직 사외이사 2001년 -: (주) 두산 사외이사 2001년 -: 에스콰이아 문화재단 이사 2005년 -: 한국일보 '한국교육산업대상' 심사위원장 2005년 -: 인터넷 신문 프레시안 편집위원 2005년 -: 월간 마케팅 편집위원 2005년 -: 일본능률협회 글로벌 경영위원회 GCSI 평가위원회 위원장 2006년 -: (주) 제일모직 감사위원회 위원장 2006년 -: (주) 두산 감사위원회 위원장 2006년 -: 대한적십자사 사회협력 위원 2007년 -: 분당제생병원 자문위원 2007년 -: HKC 담배주식회사 경영고문 2007년 -: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장 2007년 -: 재단법인 영도육영회 이사장 2007년 -: 서울경제신문 교육산업 경영인대상 심사위원장 2007년 -: 한국비영리학회 이사 2008년 -: 아름다운재단 이사 2008년 -: 한양대학교 글로벌경영전문대학원장 2008년 -: 인디애나대학교 한국총동문회 회장 2014년 -: 비영리민간단체 십시일밥 이사장 2017년 -: 문재인 대선 캠프 홍보본부장 경력[편집] 1980년 - 1983년: Indiana 대학교 Research Fellow 1983년 - 1986년: Indiana 대학교 강사 및 교수 1986년 - 현재: 한양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1991년 - 1995년: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 마케팅 주임교수 1995년 : 한양대학교 상경대학 경영학부장 2000년 - 2004년: 한양대학교 경영연구소 소장 역임[편집]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 소장 대한 적십자사 총재 특별보좌역 한국 소비자학회 회장 한국 경영학회 부회장 한국 마케팅학회 부회장 한양대학교 경영연구소 소장(2000~2004) 동아일보 ‘2007 대선 매니페스토 평가위원 한국 마케팅저널 편집위원장 한국 경영학회 상임이사 학술 진흥재단 심사평가 위원 소비자 보호원 정책 심의 위원(2003 ~ 2006) 한국공항공사 자문위원(2002~2006) 아름다운재단 정책 자문 단장(2000) 한국 능률협회 고객만족대상 심사 위원(2003) 한국 경영학회 상남경영학자상 선정 위원(2003) 동아일보 내셔널 어젠다 위원회 경제 과학기술 분과 위원장(2003) 두산그룹, 제일모직, 포스코 개발, 매일유업, 에스콰이어, 한국공항공사 경방필백화점, 한국인삼공사 등 다수기업 자문교수 및 고문역임 삼성그룹, 현대그룹, LG그룹, SK그룹, 코오롱 그룹, 태평양그룹, 대상그룹 등에 마케팅 자문 및 CS경영, 경영전략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자문 및 교육 수행 한솔교육 사회공헌 위원장 한겨레신문 사외이사 저서[편집] 《예종석 교수의 아주 특별한 경영수업》. 리더스북. 2006년. ISBN 9788901059822 《예종석 교수의 희망경영》. 마젤란. 2008년. ISBN 9788991059276 《활명수 100년 성장의 비밀》. 리더스북. 2009년. ISBN 9788901101170 수상[편집] 2004년: 소비자학연구 최우수 논문상 2006년: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우수 논문상 각주[편집] ↑ 김성휘. '마케터' 예종석 '정책통' 김수현 교수, 문재인 합류 의미는. 머니투데이. 2017년 2월 17일. ↑ 이지상. 문재인, 홍보본부장에 예종석 교수 영입…손혜원은?. 중앙일보. 2017년 2월 17일. ↑ 손병관. "악의적인 '문재인 공격'에는 맞대응 안희정의 '대연정', 더 세게 반박했어야". 오마이뉴스. 2017년 3월 3일. 외부 링크[편집] 예종석의 '선거마케팅, 알아야 이긴다' 제1회 아버지 예춘호를 말하다. 2017년 2월 18일. 예종석의 '선거마케팅, 알아야 이긴다' 제2회 마케팅 전략의 승리, 트럼프 선거. 2017년 2월 20일. 예종석의 '선거마케팅, 알아야 이긴다' 제3회 선한 의지. 2017년 2월 21일. 예종석의 '선거마케팅, 알아야 이긴다' 제4회 정치는 음식이다. 2017년 2월 25일. 예종석의 '선거마케팅, 알아야 이긴다' 제5회 황교안이 차린 특검 제사상. 2017년 2월 27일. 예종석의 '선거마케팅, 알아야 이긴다' 제6회 예폭선생의 오마이뉴스 인터뷰 후기. 2017년 3월 4일. 예종석의 '선거마케팅, 알아야 이긴다' 제7회 김종인 의원 탈당. 2017년 3월 7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예종석_(1953년)&oldid=24205358" 분류: 195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 동문의흥 예씨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대한민국의 대학 강사대한민국의 저술가인디애나 주립 대학교 동문대한민국의 사외이사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08년 5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14: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예종석(芮鍾碩, 1953년 12월 13일 ~ )은 대한민국의 경영학자이다. 정치인 예춘호의 아들로, 마케팅 전문가로 알려져 있고 한양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아름다운재단 이사장 등으로 활동하였다. 2017년 2월 17일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선 캠프 홍보본부장이 되었다. 2018년 6월 4일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회장이 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예종석씨가 한국비영리학회 이사를 맡게 된 것은 언제부터인가? Assistant: 2007년 Human: 아래 막돼먹은_영애씨_17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막돼먹은 영애씨 17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막돼먹은 영애씨 17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막돼먹은 영애씨 17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tvN 방송 기간 2019년 2월 8일 ~ 2019년 4월 26일 방송 시간 매주 금요일 오후 11시 방송 시즌 17 방송 횟수 12부작 추가 채널 O tvN 기획 이명한 책임프로듀서 안상휘 제작사 CJ ENM 연출 한상재, 윤재순, 김새별, 조제욱 조연출 홍경득, 김태경, 유아라 극본 한설희, 백지현, 홍보희, 오은지 출연자 김현숙, 이승준 외 해설 박형욱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전편 막돼먹은 영애씨 16 외부 링크  막돼먹은 영애씨 17 홈페이지 《막돼먹은 영애씨 17》은 tvN에서 2019년 2월 8일부터 2019년 4월 26일까지 방영된 《막돼먹은 영애씨》 시리즈 중 열일곱 번째 드라마다. 목차 1 소개 2 등장 인물 2.1 영애네 2.2 낙원사 2.3 영애 가족들 2.4 그 외 인물 2.5 특별출연 3 시청률 4 각주 5 외부 링크 소개[편집]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17이라 쓰고 엄마영애 시즌 1이라 읽는다. 등장 인물[편집] 영애네[편집] 김현숙 : 이영애 역 - 낙원사 디자인팀장 이승준 : 이승준 역 - 회사원, 이영애의 남편 이규한 : 이규한 역 - 성인 웹툰 작가, 승준의 사촌동생 연제형 : 연제형 역 - 규한의 어시스턴트 낙원사[편집] 정보석 : 정보석 역 - 사장 라미란 : 라미란 역 - 디자인팀 부장 윤서현 : 윤서현 역 - 영업팀 차장 정지순 : 정지순 역 - 영업팀 과장 고세원 : 김혁규 역 - 영업팀 대리, 이영채의 남편 박수아 : 나수아 역 - 경리, 라미란의 동생 영애 가족들[편집] 송민형 : 이귀현 역 - 아버지 김정하 : 김정하 역 - 어머니 정다혜 : 이영채 역 - 동생, 치킨집 사장 그 외 인물[편집] 김지아 : 이헌 역 - 이영애와 이승준의 딸 정윤건 : 김해밀 역 - 이영채와 김혁규의 장남 전성애 : 전성애 역 - 김정하의 친구이자 앙숙관계 김재화 : 김재화 역 - 청산유주 대표 김정남 주부진 김영희 엄태옥 안영미 박선우 이용규 김사훈 최화영 김한규 강태식 박기륭 국중웅 김해곤 손주환 노희중 김기탁 정탁 윤다예 이수아 김도진 전은미 남윤서 : 가은 역 성민준 : 윤찬 역 특별출연[편집] 문세윤 : 무당 역 (1화) 허안나 : 박안나 역 - 나이트클럽 박 사장 딸 (2회) 송영재 : 정보석의 친구 역 (3회) 강예빈 : 강예빈 역 - 전직 낙원사 직원, 다이어트 회사 직원 (6회) 장광 : 왕회장 역 - 정보석의 매형 (8회) 시청률[편집] 최저 시청률과 최고 시청률은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9년 회차 방송일 부제 AGB 시청률[1]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제1회 2월 8일 맘 돼버린 영애씨 2.562% 2.707% 제2회 2월 15일 에~라이(lie) 낙원사 2.617% 2.894% 제3회 2월 22일 다 터져버린 하루 2.420% 3.043% 제4회 3월 1일 젖 끊고 하이킥 2.865% 3.247% 제5회 3월 8일 아뿔싸! 갑분사(寺) 2.239% 2.392% 제6회 3월 15일 금쪽같은 내 새끼, 반쪽같은 내 세 끼 2.368% 2.381% 제7회 3월 22일 오 마이, 갓영애 2.682% 3.195% 제8회 3월 29일 죄와 벌: 배반의 낙원 2.707% 3.308% 제9회 4월 5일 모(母)르는 사이, 봄 2.559% 2.766% 제10회 4월 12일 헌이 아빠를 부탁해 2.686% 3.068% 제11회 4월 19일 워킹 MOM대로 안 되네요 3.077% 3.553% 제12회 4월 26일 그래도 막돼먹은! 2.926% 3.027% 평균 시청률 2.642% 2.965% 각주[편집] ↑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 Archived 2016년 6월 1일 - 웨이백 머신 유료플랫폼 가입 가구 기준. 외부 링크[편집]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17 홈페이지 tvN 불금시리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톱스타 유백이(2018년 11월 16일 ~ 2019년 1월 25일)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17(2019년 2월 8일 ~ 2019년 4월 26일) 쌉니다 천리마마트(2019년 9월 ~ ) vdeh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현재와 예정)스케치 코미디 및인포테인먼트 《코미디빅리그》 《프리한 19》 리얼리티 쇼 《강식당2》 《고교급식왕》 《놀라운 토요일》 《서울메이트3》 《슈퍼히어러》 《신서유기7》 《씬의 퀴즈》 《유 퀴즈 온 더 블럭》 《짠내투어》 《플레이어》 《현지에서 먹힐까? - 미국 편》 토크 쇼 《곽승준의 쿨까당》 《문제적 남자》 《쇼! 오디오자키》 《수미네 반찬》 《어쩌다 어른》 드라마 월화 《60일, 지정생존자》 수목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www》 불금 《쌉니다 천리마마트》 토일 《아스달 연대기》 《드라마 스테이지》 다큐멘터리 《tvN 스페셜》 《리틀빅 히어로》 vdeh의 텔레비전 드라마현재 월화 《60일, 지정생존자》 수목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www》 불금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17》 토일 《아스달 연대기》 드라마 스테이지† 과거 금토드라마 시트콤 아침드라마 일요드라마 †부정기적 프로그램 KBS MBC SBS tvN OCN JTBC MBN 채널A TV조선 vdeh 불금불토드라마2010년대 후반2016년 《신데렐라와 네명의 기사》 《안투라지》 2018년 《빅 포레스트》 《톱스타 유백이》 2019년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17》 《쌉니다 천리마마트》 아침 | 월화 | 수목 | 금토 | 토일 | 불금불토 † 2018년부터는 불금시리즈로 방영됨. vdeh막돼먹은 영애씨 시리즈 막돼먹은 영애씨 1 (2007) 막돼먹은 영애씨 2 (2007) 막돼먹은 영애씨 3 (2008) 막돼먹은 영애씨 4 (2008) 막돼먹은 영애씨 5 (2009) 막돼먹은 영애씨 6 (2009) 막돼먹은 영애씨 7 (2010) 막돼먹은 영애씨 8 (2010) 막돼먹은 영애씨 9 (2011) 막돼먹은 영애씨 10 (2012) 막돼먹은 영애씨 11 (2012) 막돼먹은 영애씨 12 (2013) 막돼먹은 영애씨 13 (2014) 막돼먹은 영애씨 14 (2015) 막돼먹은 영애씨 15 (2016) 막돼먹은 영애씨 16 (2017) 막돼먹은 영애씨 17 (201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막돼먹은_영애씨_17&oldid=24261191" 분류: TvN 불금불토드라마2019년 드라마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2일 (수) 21:0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막돼먹은 영애씨 17》은 tvN에서 2019년 2월 8일부터 2019년 4월 26일까지 방영된 tvN 금요 드라마로 《막돼먹은 영애씨》 시리즈 중 열일곱 번째 드라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막돼먹은 영애씨 17에서 2019년 2월 8일에 방송된 제1회의 전국 AGB 시청률은? Assistant: 2.562%
Human: 아래 K리그_2000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K리그 2000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리그 2000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삼성 디지털 K-리그 개요 대회 명칭 삼성 디지털 K-리그 시즌 2000 우승 안양 LG 치타스 정규리그 1위 안양 LG 치타스 준우승 부천 SK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안양 LG 치타스수원 삼성 블루윙즈 각종 기록 최다 득점 김도훈 (15득점) 최다 점수 경기 전남 3 - 7 수원 (10월 11일) 최다 연승 기록 10경기 안양 (6월 14일 ~ 7월 29일) 최다 연패 기록 9경기 울산 (4월 22일 ~ 6월 14일) 최다 관중 – 최소 관중 – 평균 관중 – 인접 대회 이전← 1999 다음2001 → 2000년 K-리그는 1983년에 아시아 최초의 프로축구리그로 출범한 K-리그가 맞이하는 18번째 시즌이다. 삼성과의 리그 메인 스폰서 계약에 따라 2000년 대회의 정식 명칭은 '삼성 디지털 K-리그 2000'이다. 시즌은 5월 14일에 열린 수원 삼성 블루윙즈 대 부천 SK의 경기로 개막하였으며, 11월 15일에 열린 안양 LG 치타스 대 부천 SK의 경기로 폐막하였다. 정규 시즌과 포스트 시즌을 포함하여 총 10개 구단이 모두 140경기를 벌였다. 흥행에 있어서 2000년 대회는 전반적인 '흉작'의 와중에도 프로축구의 흥미를 배가시키는 경기도 있었는데, 대표적인 것이 10월 11일 광양에서 열린 전남 드래곤즈 대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정규 리그 최종전이다. 이 경기에서 양팀은 '총 10개'의 소나기골을 뽑아냄으로써 K리그 역사상 단일경기 최다 득점 기록(9골)을 경신했다. 수원 삼성 블루윙즈는 구단 역사상 단일경기 최다 득점 공동 기록(7골)과 함께 단일경기 해트트릭 2번(데니스, 산드로)이라는 진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리그 구성원에 몇 가지 변화가 있었다. 시즌에 앞서 충청남도 천안시를 연고지로 삼던 '천안 일화 천마'가 경기도 성남시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성남 일화 천마'가 되었다. 리그 방식은 전년 대회와 마찬가지로 2000년 대회는 정규 리그와 챔피언십으로 구성된 K-리그 및 조별 리그와 결선 토너먼트로 구성된 리그컵이 함께 진행되었다. 2000년 대회는 각 팀들의 전력이 평준화되어 치열한 접전이 전개되었다. 특히 강팀으로 분류되었던 부산 아이콘스, 울산 현대 호랑이, 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나란히 부진하고, 반대로 중하위권으로 분류되었던 안양 LG 치타스, 성남 일화 천마, 부천 SK가 나란히 전력이 향상되면서 팬들에게 색다른 재미를 선사했다. 안양 LG 치타스는 구단의 과감한 투자와 조광래 감독의 뛰어난 용병술이 어우러져 많은 이들의 예상을 깨고 정규 리그 1위를 차지했다. 6월 14일에 1위에 등극한 뒤 단 한 차례의 양보도 없이 순위를 수성하다가 9월 30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를 상대로 역전승하며 순위를 확정지었다. 이로써 안양 LG 치타스는 럭키금성 황소라는 이름으로 1990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이후 10년만에 정규 리그 정상에 오르는 기쁨을 누렸다. 한편, 안양 LG 치타스는 10년 만에 부활한 2군 리그에서도 정상에 오르는 경사를 누렸다. 목차 1 참가 구단 2 운영 방식 3 순위 3.1 정규 리그 3.2 시즌 최종 4 정규 시즌 5 포스트 시즌 5.1 준플레이오프 5.2 플레이오프 5.3 챔피언 결정전 6 우승 7 기록 7.1 득점 7.2 도움 8 수상 8.1 최우수선수상 8.2 득점상 8.3 도움상 8.4 신인선수상 8.5 베스트 11 8.6 감독상 8.7 기타 9 각주 참가 구단[편집] 시즌에 앞서 충청남도 천안시를 연고지로 삼던 '천안 일화 천마'가 경기도 성남시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성남 일화 천마'가 되었다. 팀 연고지 데뷔 시즌 참가 횟수 전년 순위 대전 시티즌 대전광역시 1997년 4 8위 부산 아이콘스 부산광역시 1983년 18 2위 부천 SK 부천시[1] 1983년 18 3위 성남 일화 천마 성남시 1989년 12 10위 수원 삼성 블루윙즈 수원시 1996년 5 1위 안양 LG 치타스 안양시 1984년 17 9위 울산 현대 호랑이 울산광역시 1984년 17 6위 전남 드래곤즈 전라남도 1995년 6 4위 전북 현대 모터스 전라북도 1995년 6 7위 포항 스틸러스 포항시 1983년 18 5위 운영 방식[편집] 단일 리그 제도: 총 10개 팀이 참가하여 각 팀이 다른 팀과 모두 세 번씩 경기를 치르는 '정규 리그'(정규 시즌)를 진행한다. 이에 따라 2000년 대회의 정규 리그에서는 총 135경기가 진행되며, 각 팀은 27경기를 치른다. 정규 리그 1위에서 4위를 기록한 팀들은 '챔피언십'(포스트 시즌)에 진출한다. 정규 리그 5위에서 10위를 기록한 팀들은 해당 순위가 시즌 최종 순위가 된다. 4강 플레이오프 제도: 정규 리그 순위를 기준으로 1위는 '챔피언 결정전'에, 2위는 '플레이오프'에, 3위와 4위는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준플레이오프의 승자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며, 패자는 시즌 최종 순위 4위가 된다. 플레이오프의 승자는 챔피언 결정전에 진출하며, 패자는 시즌 최종 순위 3위가 된다. 챔피언 결정전의 승자는 리그 우승 팀에 등극하며, 패자는 리그 준우승 팀이 된다. 연장전・승부차기 제도: 정규 시간(전반전 45분, 후반전 45분 및 인저리 타임) 내에 승패를 가리지 못하는 경우 경기는 무승부로 종료되지 않으며 연장전에 돌입한다. 연장전에서 승리한 팀에게는 승점 2점을 부여한다. 연장전 내에 승패를 가리지 못하는 경우 경기는 종료되지 않으며 승부차기에 돌입한다. 승부차기에서 승리한 팀에게는 승점 1점을 부여한다. 정리하자면 정규 시간 승리 시에는 승점 3점을, 연장전 승리 시에는 승점 2점을, 승부차기 승리 시에는 승점 1점을, 패배 시에는 승점 0점을 부여한다. 순위[편집] 정규 리그[편집] 순위 팀 경기 승1 승2 승3 패 득 실 차 승점 참가 자격 및 강등 1 안양 LG 치타스 (Q) 27 17 0 2 8 46 25 +21 53 챔피언 결정전 2 부천 SK (Q) 27 10 0 6 11 45 35 +10 36 플레이오프 3 성남 일화 천마 (Q) 27 12 0 6 9 43 33 +10 42 준플레이오프 4 전북 현대 모터스 (Q) 27 11 0 4 12 34 40 -6 37 5 수원 삼성 블루윙즈 27 11 0 3 13 48 43 +5 36 6 부산 아이콘스 27 9 0 2 16 42 42 0 29 7 전남 드래곤즈 27 8 0 4 15 28 35 -7 28 8 대전 시티즌 27 7 0 3 17 26 40 -14 24 9 포항 스틸러스 27 5 0 7 15 31 39 -8 22 10 울산 현대 호랑이 27 6 0 2 19 26 37 -11 20 * 2000년 5월 14일부터 동년 10월 11일까지 치른 모든 경기를 대상으로 함. * 출처 : 한국프로축구연맹 *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 (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시즌 최종[편집] 순위 팀 경기 승1 승2 승3 패 득 실 차 승점 참가 자격 및 강등 1 안양 LG 치타스 (C) 27 17 0 2 8 46 25 +21 53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2001-02 2 부천 SK 27 10 0 6 11 45 35 +10 36 3 성남 일화 천마 27 12 0 6 9 43 33 +10 42 4 전북 현대 모터스 27 11 0 4 12 34 40 -6 37 5 수원 삼성 블루윙즈 27 11 0 3 13 48 43 +5 36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2001-02 6 부산 아이콘스 27 9 0 2 16 42 42 0 29 7 전남 드래곤즈 27 8 0 4 15 28 35 -7 28 8 대전 시티즌 27 7 0 3 17 26 40 -14 24 9 포항 스틸러스 27 5 0 7 15 31 39 -8 22 10 울산 현대 호랑이 27 6 0 2 19 26 37 -11 20 * 마지막 업데이트 : 2000년 12월 31일 * 출처 : 한국프로축구연맹 *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 (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정규 시즌[편집] 정규 시즌의 자세한 경기 결과에 대해서는 K리그 2000의 경기 결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포스트 시즌[편집] 포스트 시즌의 자세한 경기 결과에 대해서는 K리그 챔피언십 2000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준플레이오프[편집] '2000년 K-리그 챔피언십 준플레이오프'에서는 정규 리그 3위와 정규 리그 4위가 맞붙는다. 경기는 단판 승부이며, 정규 리그 3위의 홈에서 진행한다. 준플레이오프의 승자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준플레이오프의 패자는 시즌 최종 순위 4위가 된다. 챔피언십 준PO 11월 1일 전북 현대 모터스 1 – 2 (a.e.t.) 부천 SK 전주시   UTC+9 19:00 박성배  53'  66' 전경준  94' 이원식 경기장: 전주종합경기장 관중 수: 10,068 플레이오프[편집] '2000년 K-리그 챔피언십 플레이오프'에서는 정규 리그 2위와 준플레이오프의 승자가 맞붙는다. 경기는 홈・어웨이로 치뤄지며, 정규 리그 2위 팀을 기준으로 1차전은 원정에서, 2차전은 홈에서 진행한다. 플레이오프의 승자는 챔피언 결정전에 진출한다. 플레이오프의 패자는 시즌 최종 순위 3위가 된다. 챔피언십 PO 1차전 11월 5일 성남 일화 천마 1 – 3 부천 SK 성남시   UTC+9 15:00 김대의  46'  20' 윤정춘  47' 강철  85' 곽경근 경기장: 성남종합운동장 관중 수: 12,784 챔피언십 PO 2차전 11월 8일 부천 SK 2 – 3 (a.e.t.) 성남 일화 천마 서울특별시   UTC+9 19:00 윤정춘  59' 곽경근  102'  51' 홍도표  66' 박남열  78' 황연석 경기장: 목동운동장 관중 수: 6,832 챔피언 결정전[편집] 챔피언 결정전의 자세한 경기 결과에 대해서는 K리그 챔피언 결정전 2000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00년 K-리그 챔피언 결정전'에서는 정규 리그 1위와 플레이오프의 승자가 맞붙는다. 경기는 홈・어웨이로 치뤄지며, 정규 리그 1위 팀을 기준으로 1차전은 원정에서, 2차전은 홈에서 진행한다. 챔피언 결정전의 승자는 리그 우승 팀에 등극하며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2001-02 2라운드 출전권이 주어진다. 챔피언 결정전의 패자는 리그 준우승 팀이 된다. 챔피언 결정전 1차전 11월 12일 부천 SK 1 – 4 안양 LG 치타스 서울특별시   UTC+9 15:00 이원식  후39'  후13' 왕정현  후23' 정광민  후34' 최용수  후44' 유상수 경기장: 목동운동장 관중 수: 13,825 챔피언 결정전 2차전 11월 15일 안양 LG 치타스 1 – 1 (4 – 2 승부차기) 부천 SK 안양시   UTC+9 18:30 안드레  76'  59' 곽경근 경기장: 안양종합운동장 관중 수: 20,883     승부차기   김성일 안드레 김성재 한상구 히카르도   이임생 곽경근 김기동 강철 우승[편집] K-리그 우승 안양 LG 치타스 1 1 1  제18대 대한민국 챔피언 (3회 우승) 1985년・1990년・2000년 기록[편집] 득점[편집] 득점 순위 상위 10인은 다음과 같으며, 전북 현대 모터스의 김도훈이 15득점을 기록하여 득점상을 수상했다. 순위 선수 소속 득점 경기 1 김도훈 전북 현대 모터스 15 27 2 최용수 안양 LG 치타스 14 34 3 이원식 부천 SK 13 32 4 정광민 안양 LG 치타스 13 34 5 이상윤 성남 일화 천마 13 36 6 박남열 성남 일화 천마 13 41 7 박성배 전북 현대 모터스 11 32 8 세자르 전남 드래곤즈 11 39 9 안정환 부산 아이콘스 10 20 10 데니스 수원 삼성 블루윙즈 10 27 * '득점 수'가 동률인 경우에는 '경기당 득점'을, '경기당 득점'이 동률인 경우에는 '시간당 득점'을 기준으로 득점 순위가 산정되었다. 도움[편집] 도움 순위 상위 10인은 다음과 같으며, 안양 LG 치타스의 안드레가 14도움을 기록하여 도움상을 수상했다. 순위 선수 소속 득점 경기 1 안드레 안양 LG 치타스 14 38 2 전경준 부천 SK 13 38 3 최용수 안양 LG 치타스 10 34 4 마니치 부산 아이콘스 9 34 5 데니스 수원 삼성 블루윙즈 7 27 6 양현정 전북 현대 모터스 7 32 7 신태용 성남 일화 천마 7 34 8 신진원 대전 시티즌 6 30 9 샤리 부천 SK 6 32 10 서혁수 전북 현대 모터스 6 32 * '도움 수'가 동률인 경우에는 '경기당 도움'을, '경기당 도움'이 동률인 경우에는 '시간당 도움'을 기준으로 도움 순위가 산정되었다. 수상[편집] 최우수선수상[편집] vdehK리그1 최우수선수상 K리그1 (MVP・득점왕・도움왕・베스트 11・감독) K리그2 (MVP・득점왕・도움왕・베스트 11・감독) 영플레이어 팬타스틱 플레이어 1983: 박성화 1984: 박창선 1985: 한문배 1986: 이흥실 1987: 정해원 1988: 박경훈 1989: 노수진 1990: 최진한 1991: 정용환 1992: 홍명보 1993: 이상윤 1994: 고정운 1995: 신태용 1996: 김현석 1997: 김주성 1998: 고종수 1999: 안정환 2000: 최용수 2001: 신태용 2002: 김대의 2003: 김도훈 2004: 나드손 2005: 이천수 2006: 김두현 2007: 따바레즈 2008: 이운재 2009: 이동국 2010: 김은중 2011: 이동국 2012: 데얀 2013: 김신욱 2014: 이동국 2015: 이동국 2016: 정조국 2017: 이재성 2018: 말컹 제18대 MVP 선수 소속 비고 최용수 안양 LG 치타스 제18대 K-리그 챔피언 2000시즌 K-리그 베스트 11 fw 득점상[편집] vdehK리그1 득점상 K리그1 (MVP・득점왕・도움왕・베스트 11・감독) K리그2 (MVP・득점왕・도움왕・베스트 11・감독) 영플레이어 팬타스틱 플레이어 1983: 박윤기 1984: 백종철 1985: 피아퐁 1986: 정해원 1987: 최상국 1988: 이기근 1989: 조긍연 1990: 윤상철 1991: 이기근 1992: 임근재 1993: 차상해 1994: 윤상철 1995: 노상래 1996: 신태용 1997: 김현석 1998: 유상철 1999: 샤샤 2000: 김도훈 2001: 산드로 2002: 에드밀손 2003: 김도훈 2004: 모따 2005: 마차도 2006: 우성용 2007: 까보레 2008: 두두 2009: 이동국 2010: 유병수 2011: 데얀 2012: 데얀 2013: 데얀 2014: 산토스 2015: 김신욱 2016: 정조국 2017: 조나탄 2018: 말컹 제18대 득점왕 선수 소속 비고 김도훈 전북 현대 모터스 20경기 12득점 (경기당 득점: 0.60) 2000시즌 K-리그 베스트 11 fw 도움상[편집] vdehK리그1 도움상 K리그1 (MVP・득점왕・도움왕・베스트 11・감독) K리그2 (MVP・득점왕・도움왕・베스트 11・감독) 영플레이어 팬타스틱 플레이어 1983: 박창선 1984: 렌스베르겐 1985: 피아퐁 1986: 강득수 1987: 최상국 1988: 김종부 1989: 이흥실 1990: 최대식 1991: 김준현 1992: 신동철 1993: 윤상철 1994: 고정운 1995: 아미르 1996: 라데 1997: 데니스 1998: 정정수 1999: 변재섭 2000: 안드레 2001: 우르모브 2002: 이천수 2003: 에드밀손 2004: 홍순학 2005: 히칼도 2006: 슈바 2007: 따바레즈 2008: 브라질리아 2009: 루이스 2010: 구자철 2011: 이동국 2012: 몰리나 2013: 몰리나 2014: 이승기 2015: 염기훈 2016: 염기훈 2017: 손준호 2018: 세징야 제18대 도움왕 선수 소속 비고 안드레 안양 LG 치타스 29경기 10도움 (경기당 도움: 0.34) 제18대 K-리그 챔피언 2000시즌 K-리그 베스트 11 mf 신인선수상[편집] vdehK리그 영플레이어상 K리그1 (MVP・득점왕・도움왕・베스트 11・감독) K리그2 (MVP・득점왕・도움왕・베스트 11・감독) 영플레이어 팬타스틱 플레이어 1985: 이흥실 1986: 함현기 1987: 김주성 1988: 황보관 1989: 고정운 1990: 송주석 1991: 조우석 1992: 신태용 1993: 정광석 1994: 최용수 1995: 노상래 1996: 박건하 1997: 신진원 1998: 이동국 1999: 이성재 2000: 양현정 2001: 송종국 2002: 이천수 2003: 정조국 2004: 문민귀 2005: 박주영 2006: 염기훈 2007: 하태균 2008: 이승렬 2009: 김영후 2010: 윤빛가람 2011: 이승기 2012: 이명주 2013: 고무열 2014: 김승대 2015: 이재성 2016: 안현범 2017: 김민재 2018: 한승규 2012년까지는 신인선수상 수상자 제16대 신인왕 선수 소속 비고 박성배 전북 현대 모터스 – 베스트 11[편집] vdeh2000 K리그 베스트 11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GK 신의손 DF 강철 이임생 김현수 마시엘 MF 안드레 신태용 전경준 데니스 FW 최용수 김도훈 감독상[편집] vdehK리그1 감독상 K리그1 (MVP・득점왕・도움왕・베스트 11・감독) K리그2 (MVP・득점왕・도움왕・베스트 11・감독) 영플레이어 팬타스틱 플레이어 1983: 함흥철 1984: 장운수 1985: 박세학 1986: 최은택 1987: 이차만 1988: 이회택 1989: 김정남 1990: 고재욱 1991: 비츠케이 1992: 이회택 1993: 박종환 1994: 박종환 1995: 박종환 1996: 고재욱 1997: 이차만 1998: 김호 1999: 김호 2000: 조광래 2001: 차경복 2002: 차경복 2003: 차경복 2004: 차범근 2005: 장외룡 2006: 김학범 2007: 파리아스 2008: 차범근 2009: 최강희 2010: 박경훈 2011: 최강희 2012: 최용수 2013: 황선홍 2014: 최강희 2015: 최강희 2016: 황선홍 2017: 최강희 2018: 최강희 기타[편집] 부문 선수 소속 비고 특별상 이용발 부천 SK 2000시즌 전경기 전시간 출전 조성환 부천 SK 2000시즌 전경기 전시간 출전 최우수 심판상 이상용 – 주심 부문 수상 곽경만 – 부심 부문 수상 각주[편집] ↑ 부천 SK의 연고지는 경기도 부천시였지만 당시 부천종합운동장의 공사로 인해 실제 경기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목동종합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 vdeh K리그1 시즌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vdehFC 서울 (안양 LG 치타스) - 2000년 K-리그 우승 (3회)← 이전 1998년 대한민국 FA컵 우승2006년 삼성 하우젠컵 우승 다음 → 1 정길용 2 김도용 3 손현준 4 김동진 5 이상헌 6 무탐바 7 장형석 8 김성재 9 최태욱 10 최용수 11 드라간 12 이영표 13 최원권 14 박용호 15 김병채 16 이동준 17 김귀화 (주장) 18 안드레 19 김성일 20 정현호 22 김주영 23 정광민 24 강준호 25 제용삼 26 박종인 27 장영훈 28 왕정현 29 김대성 30 유진오 31 원종덕 32 정창근 33 한상구 34 이재천 35 에릭 36 진순진 37 최승범 38 허성욱 39 김진용 40 박정환 41 백민철 42 김기현 43 유상수 44 신의손 45 최윤열 46 김범수 47 쿠벡 48 히카르도 감독: 조광래 수석 코치: 이춘석 코치: 이영진, 신재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K리그_2000&oldid=24424419" 분류: K리그 시즌2000년 대한민국2000 축구 리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FrançaisPortuguês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4일 (금) 05:0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00년 K-리그는 1983년에 아시아 최초의 프로축구리그로 출범한 K-리그가 맞이하는 18번째 시즌이다. 삼성과의 리그 메인 스폰서 계약에 따라 2000년 대회의 정식 명칭은 '삼성 디지털 K-리그 2000'이다. 시즌은 5월 14일에 열린 수원 삼성 블루윙즈 대 부천 SK의 경기로 개막하였으며, 11월 15일에 열린 안양 LG 치타스 대 부천 SK의 경기로 폐막하였다. 정규 시즌과 포스트 시즌을 포함하여 총 10개 구단이 모두 140경기를 벌였다. 흥행에 있어서 2000년 대회는 전반적인 '흉작'의 와중에도 프로축구의 흥미를 배가시키는 경기도 있었는데, 대표적인 것이 10월 11일 광양에서 열린 전남 드래곤즈 대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정규 리그 최종전이다. 이 경기에서 양팀은 '총 10개'의 소나기골을 뽑아냄으로써 K리그 역사상 단일경기 최다 득점 기록(9골)을 경신했다. 수원 삼성 블루윙즈는 구단 역사상 단일경기 최다 득점 공동 기록(7골)과 함께 단일경기 해트트릭 2번(데니스, 산드로)이라는 진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리그 구성원에 몇 가지 변화가 있었다. 시즌에 앞서 충청남도 천안시를 연고지로 삼던 '천안 일화 천마'가 경기도 성남시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성남 일화 천마'가 되었다. 리그 방식은 전년 대회와 마찬가지로 2000년 대회는 정규 리그와 챔피언십으로 구성된 K-리그 및 조별 리그와 결선 토너먼트로 구성된 리그컵이 함께 진행되었다. 2000년 대회는 각 팀들의 전력이 평준화되어 치열한 접전이 전개되었다. 특히 강팀으로 분류되었던 부산 아이콘스, 울산 현대 호랑이, 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나란히 부진하고, 반대로 중하위권으로 분류되었던 안양 LG 치타스, 성남 일화 천마, 부천 SK가 나란히 전력이 향상되면서 팬들에게 색다른 재미를 선사했다. 안양 LG 치타스는 구단의 과감한 투자와 조광래 감독의 뛰어난 용병술이 어우러져 많은 이들의 예상을 깨고 정규 리그 1위를 차지했다. 6월 14일에 1위에 등극한 뒤 단 한 차례의 양보도 없이 순위를 수성하다가 9월 30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를 상대로 역전승하며 순위를 확정지었다. 이로써 안양 LG 치타스는 럭키금성 황소라는 이름으로 1990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이후 10년만에 정규 리그 정상에 오르는 기쁨을 누렸다. 한편, 안양 LG 치타스는 10년 만에 부활한 2군 리그에서도 정상에 오르는 경사를 누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K리그 2000 정규 리그의 순위별 팀들의 시합 성적과 참가자격 및 강등 내용은 어떠한가요? Assistant: 순위 팀 경기 승1 승2 승3 패 득 실 차 승점 참가 자격 및 강등 1 안양 LG 치타스 (Q) 27 17 0 2 8 46 25 +21 53 챔피언 결정전 2 부천 SK (Q) 27 10 0 6 11 45 35 +10 36 플레이오프 3 성남 일화 천마 (Q) 27 12 0 6 9 43 33 +10 42 준플레이오프 4 전북 현대 모터스 (Q) 27 11 0 4 12 34 40 -6 37 5 수원 삼성 블루윙즈 27 11 0 3 13 48 43 +5 36 6 부산 아이콘스 27 9 0 2 16 42 42 0 29 7 전남 드래곤즈 27 8 0 4 15 28 35 -7 28 8 대전 시티즌 27 7 0 3 17 26 40 -14 24 9 포항 스틸러스 27 5 0 7 15 31 39 -8 22 10 울산 현대 호랑이 27 6 0 2 19 26 37 -11 20 Human: 아래 천상지희_다나&선데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천상지희 다나&선데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천상지희 다나&선데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천상지희 다나&선데이 기본 정보 국가 대한민국 장르 댄스 팝 활동 시기 2011년 ~ 레이블 SM 엔터테인먼트 소속사 SM 엔터테인먼트 관련 활동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구성원 다나 선데이 천상지희 다나&선데이는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의 다나와 선데이로 구성된 2인조 유닛 그룹이다. 목차 1 구성원 2 발매 음반 3 같이 보기 4 외부 링크 구성원[편집] 이름 소개 다나 본명: 홍성미 (Hong Sung-Mi, 洪性美) 소속그룹: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소속사 : SM 엔터테인먼트 생년월일: 1986년 7월 17일(1986-07-17) (32세) 포지션: 리더, 메인보컬 학력: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학과 학사 선데이 본명: 진보라 (Jin Bo-Ra, 秦寶拉) 소속그룹: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소속사 : SM 엔터테인먼트 생년월일: 1987년 1월 12일(1987-01-12) (32세) 출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포지션: 리드보컬 학력: 중앙대학교 연극학과 재학 발매 음반[편집] 나 좀 봐줘 (One More Chance) 지금 그대 처음엔 아메리카노 같이 보기[편집]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SM 엔터테인먼트 외부 링크[편집] vdeh천상지희 더 그레이스린아 · 다나 · 선데이 · 스테파니정규 음반대한민국 《한번 더, OK?》 일본 《Graceful 4》 《Dear...》 싱글대한민국 〈Too Good〉 〈The Club〉 〈열정 (My Everything)〉 일본 〈Boomerang〉 〈The Club〉 〈Sweet Flower〉 〈juicy LOVE〉 〈Piranha〉 〈Stand Up People〉 〈Here〉 천상지희 다나&선데이 〈나 좀 봐줘 (One More Chance)〉 〈처음엔 아메리카노〉 관련 항목SM 엔터테인먼트 · 에이벡스 · 리듬존 vdehSM 엔터테인먼트경영진 이수만 (회장·총괄 프로듀서) 김영민 (사장) 가수현재 그룹 틴틴파이브 (표인봉, 이웅호, 홍록기, 이동우, 김경식) 동방신기 (유노윤호, 최강창민)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린아, 다나, 선데이) 슈퍼주니어 (이특, 희철, 예성, 강인, 신동, 성민, 은혁, 동해, 시원, 려욱, 규현) 소녀시대 (태연, 써니, 효연, 유리, 윤아) 샤이니 (온유, 키, 민호, 태민) f(x) (빅토리아, 엠버, 루나, 크리스탈) EXO (수호, 카이, 시우민, 백현, 레이, 디오, 찬열, 세훈, 첸) 레드벨벳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NCT (태일, 태용, 쿤, 도영, 텐, 재현, 마크, 쟈니, 유타, 윈윈, 정우, 루카스, 해찬, 런쥔, 제노, 재민, 천러, 지성) 현재 솔로 강타 보아 추가열 제이민 조미 과거 그룹 메이저 (임범준, 서연수) J&J (김주현, 강준식) H.O.T. (문희준, 장우혁, 토니 안, 이재원) 배드 보이스 써클 (최일권, 신태권, 여인택, 송운석) 플라이 투 더 스카이 (환희, 브라이언) @ (에디, 앤서니) 밀크 (박재영, 김보미, 배유미, 서현진) 블랙 비트 (황상훈, 이소민, 정지훈, 심재원, 장진영) 슈가 (아유미, 이하린, 육혜승, 황정음, 박수진) 신비 (유수진, 오상은, 유나) 모닝 (백보람, 신성희, 김부연, 장민경) JYJ (영웅재중, 믹키유천, 시아준수) 트랙스 (제이, 김정모, 긴조) 과거 솔로 현진영 한동준 김광진 이지훈 장나라 장리인 윤상 스테파니 티파니 수영 서현 크리스 루한 타오 종현 헨리 유닛 · 프로젝트 그룹 SM TOWN S.M. THE BALLAD S 강타 & 바네스 M&D 천상지희 다나&선데이 슈퍼주니어-K.R.Y. 슈퍼주니어-T 슈퍼주니어-M 슈퍼주니어-Happy 슈퍼주니어-D&E 소녀시대-태티서 소녀시대-Oh!GG Younique Unit EXO-CBX 비트버거 NCT U NCT 127 NCT DREAM 배우 · 희극인현재 소속 이재룡 유호정 김민종 이연희 설리 최종윤 김이안 과거 소속 손지창 윤다훈 유준상 고아라 박명수 김영철 김미진 김완기 전환규 함효주 김이삭 노민우 강정우 한경 김기범 작곡가 · 프로듀서현재 소속 유영진 유한진 송광식 켄지 히치하이커 디즈 앤드류 최 Coach & Sendo 과거 소속 홍종화 Groovie K 장용진 이윤재 김영후 김지후 에스엠컬처앤콘텐츠현재 소속 신동엽 강호동 전현무 이수근 김병만 김생민 류담 장동혁 김태현 김미정 황신혜 김시후 송재림 백현 이학주 김수로 윤소희 오정연 장위안 한석준 공다임 김재범 김여진 박정복 박진 성두섭 윤나무 윤소호 이경화 이나윤 임병근 장유상 정하루 조민성 김현주 배다빈 김관수 최연우 김수연 박성광 과거 소속 한지민 한채영 공형진 장동건 정소민 김하늘 강예원 갤럭시아에스엠소속 선수 추신수 손연재 고진영 김자영 안신애 양지승 김비오 김민선 심석희 최민정 차준환 김민석 김민선 최재우 강영서 방수빈 정해림 김국영 우상혁 에스팀소속 모델 장윤주 송경아 한혜진 전은주 진아름 지현정 수주 양윤영 진정선 백지원 이혜정 장수임 김성희 송해나 태은 이현이 여혜원 정호연 이선정 김현진 홍지수 고소현 김진경 아이린 주선영 안재현 이철우 박지운 조민호 김종훈 황기쁨 윤소정 기도훈 미스틱엔터테인먼트미스틱89현재 아티스트 조규찬 신치림(윤종신, 하림, 조정치) 정진운 퓨어킴 에디킴 장재인 투개월(도대윤) 박재정 박상돈 포르테 디 콰트로(손태진) 퍼센트 정인 조원선 과거 아티스트 박지윤 김예림 김연우 뮤지 현재 MC 이지연 서장훈 김영철 기안84 과거 MC 박지윤 현재 크리에이터 정석원 과거 크리에이터 윤혜진 에이팝아티스트 브라운 아이드 걸스(제아, 미료, 나르샤, 가인) 조형우 천둥 민서 크리에이터 조영철 이민수 김이나 AIKM아티스트 스쿠비 두(브레이, 덕배) 자이언트핑크 크리에이터 케이준 미스틱액터스현재 아티스트 강래연 고민시 김기방 김사권 김석훈 김성은 노수산나 박시연 박혁권 오지은 오타니 료헤이 유주혜 이규한 이아리 이정혁 장준유 조한선 태항호 하재숙 한채아 과거 아티스트 신소율 장소연 손은서 키이스트vdeh키이스트 (콘텐츠와이)경영진 신필순(CEO) 배성웅(CEO) 양근환(CEO) 배용준(이사) 소속 배우 (키이스트)남성 김수현 김현중 배용준 인교진 주지훈 김희찬 서동건 우도환 손현주 김동욱 윤형렬 여성 문가영 배누리 박수진 소이현 손담비 이세나 정려원 한예슬 한보름 김혜인 지소연 천민희 박선아 조영서 김시은 정해나 남경 엄정화 윤혜진 소속 배우 (콘텐츠와이)남성 김지훈 이지훈 이현우 김도완 문성호 이강민 홍승범 한도우 여성 홍수현 이다인 한지혜 서효림 장다윤 류한비 과거 소속남성 류상욱 박서준 소지섭 엄태웅 권화운 여성 조안 이나영 임수정 홍진영 여의주 박은빈 안소희 구하라 관련 회사 SM 엔터테인먼트 연습생현재 연습생 SM 루키즈 (라미, 히나, 고은, 닝닝, 샤오쥔, 양양, 헨드리) 과거 연습생 지노 SM 루키즈 (혜린, 한솔, 이양) 관련 문서 SM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SM STATION 에스엠컬처앤콘텐츠 갤럭시아에스엠 에스팀 미스틱엔터테인먼트 미스틱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키이스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천상지희_다나%26선데이&oldid=19439804" 분류: 2011년 데뷔2인조 음악 그룹유닛 음악 그룹SM 엔터테인먼트 소속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7년 8월 29일 (화) 10: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천상지희 다나&선데이는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의 다나와 선데이로 구성된 2인조 유닛 그룹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천상지희의 멤버 선데이의 생일은 몇 월 며칠일까? Assistant: 1월 12일
Human: 아래 기독교의_교육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기독교의 교육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독교의 교육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기독교의 교육에 대해 설명한다. 중세문화의 기본은 기독교이다. 학문에 있어서는 신학이 가장 중시되었으며, 철학은 '문학의 종(從)'이었다. 기독교 그 자체의 발전이 중세의 사상적·문화적·교육적 특징을 뒷받침했다. 대학에서는 신학부가 가장 격식이 높았다. 기독교 문화가 그리스·로마의 문화와 대조되어 서양 문화의 2대 조류를 만들었기 때문에, 기독교가 교육제도·내용 및 방법에 끼친 영향은 지대한 것이었다. 고대교육에 있어서 인간본위 및 주지주의(主知主義)가 중시된 데 비하여, 기독교의 이상은 신을 본위로 한 주정주의(主情主義)에 입각했다. 이러한 신 본위와 주정주의가 고대교육의 인간본위 및 주지주의와 대조된 것이 원시 기독교 이상의 특색이었다. 이러한 이상은 내세(來世)에서만 추구할 수 있다는 것이며, 현세에서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초현세주의, 내세주의, 도야사상(陶冶思想)이 원시 기독교의 이상이었다. 또한 동포애 정신과 사해동포주의(四海同胞主義)를 표방, 적극적인 의미에 있어서 적을 사랑할 수 있는 정신을 도야하였다. 이와 같은 기독교의 이상을 중심으로 한 초기 기독교는 종교 자체를 하나의 교육으로 받아들였다. 그들에게는 지적 발달을 위한 어떤 것보다 도덕적 훈련이 최고의 과제였다. 그리스도의 설교와 교훈 자체가 그들이 주장하는 높은 이상이었고, 교육의 목적임과 동시에 내용이었다. 그러므로 그들에게는 내세를 위한 영원한 생명을 위하여 준비하는 일이 곧 교육적 이상이었다. 이와 같은 교육적 이상은 교육제도에 있어서도 종교를 중심으로 하여 신을 신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중세의 교육사에 있어서 기독교가 로마 황제의 박해에도 불구하고 중세의 정신계에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기독교의 희생과 사도(使徒)의 전도, 신자의 순교정신이 민심을 감동케 하였기 때문이었다. 이때부터 이교도를 그리스도 교도화하기 위한 학교가 발달하게 되어, 2세기경에는 문답학교·고급문답학교·사원학교 등 세 가지 단계의 학교가 성립되었다. 이어 6세기경부터는 수도원이 기독교 승려의 수양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리하여 수도원은 현세의 향락주의를 거부하고, 영적(靈的) 생활을 찾기 위한 승려들의 은둔처가 되었다. 이 수도원제도는 로마의 퇴폐와 더불어 교회 안에서 심오한 종교적 생활을 영위하자는 운동으로 나타나, 13세기에 이르러 유럽 각지에 널리 전파되었다. 수도원제도는 인간의 금욕적인 요소를 강조하며, 은거생활을 주장하는 한편, 육체적 고통을 인내하려는 습관과 정신을 훈련시켰다. 그 이상은 빈곤·순결·복종이었고, 수도생활을 실천하려는 승려는 개인생활·사유재산·개인의 자유를 부정하였다. 이러한 사상을 구체적으로 발전시키고 실천한 사람이 성(聖)베네딕트였다. 베네딕트는 529년에 이탈리아의 몬테 카시노 산상(山上)에 수도원을 창설하였고, 수도생활에 관한 세 가지 규칙을 제정하였다. 한편, 중세기의 교육사상 제2기에 속할 수 있는 스콜라주의 운동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이 발견되고, 그의 사상이 기독교 신학자들에게 이용되기 시작할 때부터 비롯되었다. 이 시기에는 보나벤투라(Bonaventura), 알베르트 승정(Albert 僧正), 아퀴나스(Tomas Aquinas) 등 저명한 신학사상가가 출현하여 신학사상에 있어서는 눈부신 발전을 보였지만, 교육사상에 있어서는 그렇지 못하였다. 아퀴나스와 같은 뛰어난 재능을 가진 사람의 경우도 교육사상 그 자체에는 별반 창조적인 것이 없었다. 아퀴나스는 지식의 습득을 도덕의 습득과 마찬가지로 인간에게 존재하는 어떤 가능성의 발전에 있다고 보았다. 또 그는 지식이란 '어떤 보편적 원리'에 내재하는 능동적 지성이라 하여, 인간으로 하여금 단순한 감각적 지각으로부터 지적 개념을 이끌어 내게 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런데 아퀴나스를 비롯한 스콜라 철학자들은 교육적 문제보다도 형이상학적 문제에 더욱 관심을 기울였다. 이것은 스콜라주의적·아리스토텔레스적 지식원리에 더욱 심취했던 스콜라 철학자들의 당연한 귀결이었다. 요컨대 중세기를 통해 아퀴나스와 같은 당대의 위대한 인물에서도 교육에 대한 관심이 희박했음을 알 수 있지만, 역사의 진전과 더불어 교육도 근대교육을 지향하면서 발전하게 되었다. 목차 1 문답학교 2 고급문답학교 3 사원학교 4 수도원 학교 5 스콜라 철학과 교육 문답학교[편집] 문답학교라는 말은 '말로써 가르친다'는 뜻이며, 문답방법에 의하여 교육하는 학교를 말한다. 이 학교의 목적은 아직 세례를 받지 않은 아동과 이교도(異敎徒)들에게 세례를 받게 하기 위한 준비교육을 실시하는 데 있었다. 단시일에 걸친 세례 후보자 양성교육을 실시하던 초기 수업 기간은 점차 길어져 2년 내지 3년으로 연장되었다. 교과내용은 기독교 교리에 관한 간단한 지식을 전달하며, 세례를 받기에 적당한 예비교육을 시켰다. 이 학교에서는 읽기·쓰기·셈하기 등에 관한 것은 그다지 중요시하지 않았고, 교육정도는 낮았으며, 교회학교에 지나지 않았다. 고급문답학교[편집] 문답학교는 기독교를 희망하는 일반 민중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그 교육정도가 낮았다. 이러한 학교의 교사 또는 교회의 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해 발달한 것이 고급문답학교였다. 그래서 이 학교를 다른 말로 문답교사학교라고도 한다. 이 학교의 교육내용은 신학·철학·자연과학·수사학·천문학·수학·문학·역사학 등으로 교육정도는 상당히 높았으며, 로마·아테네·동방 알렉산드리아 지방에서 특히 발달하였다 사원학교[편집] 일명 본산(本山)학교라고도 한다. 이 학교는 각 교구의 본산 소재지에 세운 학교로 각 교구(敎區)의 감독이 유지·경영하였으므로 감독학교(監督學校:episcopal school)라고도 하였다. 이 학교는 교회의 지도자와 성직자를 양성하는 데 목적을 두었으나, 나중에는 일반 자녀도 받아들여 중세 교육의 일대 중심을 이루게 되었다. 교육내용은 읽기·쓰기·찬송가 등 기초적 공통교과를 이수한 후에 성경·철학·그리스 문학·신학 등을 가르쳤다. 수도원 학교[편집] 수도원의 기원은 동방에서 일어났다. 이것이 일어나게 된 동기는 첫째, 정신적인 면에서 로마 말기에 팽배하였던 사회의 타락과 향락주의에 대한 반발이었다. 둘째, 직접적인 계기를 마련해 준 것은 역시 로마 말기에 있었던 기독교에 대한 심한 박해 때문이었다. 이미 데키우스 황제(Gaius, Messius Quintus Trajanus Decius, 재위 249-251)의 박해 때에 이 난을 피하여 이집트 사막에서 집단을 이루어 은둔생활을 영위하는 사람들이 많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은거(隱居) 수도자들 가운데 당시에 특히 큰 영향을 끼친 사람은 이집트인 안토니우스였다. 많은 사람들이 그의 밑에 모여들어 공동생활을 하게 되었고, 이것이 수도원의 모체가 되었다. 이러한 형태의 종교적 집단생활은 차츰 서방으로 전파되어 성 베네딕트(St. Benedict, 480?-547?)의 손에 의해 완성되었다. 그는 520년경 남(南)이탈리아의 몬테 카시노(Monte Cas­sino)산 위에 수도원을 건립하고, 수도자들에게 청빈·정결·복종에 의한 생활을 하도록 하였다. 이들은 인간의 세속적 욕망을 부정하고 금욕적 생활을 강조하였으며, 신의 세계에 도달하기 위하여 육체적 고통을 견디어 내는 습관과 정신을 훈련하였다. 한가한 시간을 갖는 것은 죄악이라고 생각하고 심한 노동과 기도에 전념하는 한편, 종교에 관한 독서에 몰두하였으며 명상에 잠긴 채 정신적인 순화를 꾀하였다. 그러므로 수도원은 중세에 있어서 학예(學藝) 발달의 온상이었고, 그 중심이 되었다. 수도원 학교라는 것도 따로 독립된 학교가 있었던 것이 아니고, 수도원 생활의 정신, 즉 종교생활의 궁극적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수도원에 부설된 교육소였었다. 이와 같은 수도원 학교는 그 수용대상에 따라서 두 가지로 나뉘었다. 하나는 수도원 생활을 통하여 승려를 지망하는 5세 내지 7세의 아동을 양성하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승려를 지망하지 않는 일반 아동을 수용하여 교육하는 것이었다. 교육내용은 종교적인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 외에도 초등교육과에 있어서는 읽기·쓰기·셈하기을 가르쳤고, 고등교과에 있어서는 7자유과를 교수하였다. 후에 일부 진보적인 수도원학교에서는 이러한 7자유과 외에 그리스·로마의 고전들을 교재 속에 채택하기도 하였다. 교육방법은 금욕적 정신에 입각하여 엄격하게 훈련하였으며, 체벌을 가하기도 하였다. 또한 종교적 영감을 얻게 하기 위하여 사색과 명상을 하게 하였다. 이와 같이 수도원 교육은 유럽 각지에 보급되었다. 특히 8세기에서 10세기에 걸쳐 전성시대를 이루었고, 서양 중세에 있어서 학문의 중심이 되었다. 그러나 11세기 이후부터 수도원의 사회적 지위가 높아짐에 따라 차차 귀족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마침내는 본래의 숭고하고 엄격한 취지가 희박해졌다. 스콜라 철학과 교육[편집] 스콜라 철학은 기독교를 학문적으로 체계화해 철학적 기초를 마련하여 중세 후기에 와서는 공식철학이 되었고, 주로 본산학교(本山學校)·수도원 학교에서 유행하였다. 6세기에서 10세기에 이르는 중세 초기에는 교회의 교리가 의심없이 받아들여졌으나, 그리스와 아라비아에 머무르던 십자군의 귀환 이후 회의주의가 싹터, 종전과 같이 무조건 교회의 교리를 승인하지는 않게 됐다. 이에 자극을 받아 본산학교·수도원학교는 더 활발히 신학을 학문적으로 체계화하려고 하여, 그리스의 철학 체계를 빌려 교회의 교리를 이성적 견지에서 재정립하려고 했던 것이다. 스콜라 철학의 사실상의 발달은 아일랜드의 스코투스(J. Scotus, 815-877)로부터 비롯하였다. 스코투스는 진리의 표준은 이성에 있다고 했으며, 교회의 권위를 옹호하는 안셀무스(Anselmus, 1033-1109)는 "신앙은 인식에 선행하므로 알기 위하여 믿으라" "그리스도 교인은 신앙을 통해서 지식으로 나아갈 것이요, 지식을 통해서 신앙에 이르러서는 안 된다"라고 주장했다. 무엇보다 스콜라 철학이 추구하는 것은 인간의 이성을 존중하는 그리스 철학을 빌려 신앙을 합리화하고, 신학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하려는 점에 있었다고 하겠다. 스콜라 철학이 당시의 교육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종래 맹목적으로 받아들이던 교회의 권위에 대해 다소나마 인간으로서 회의(懷疑)할 수 있는 자유가 허용되었다는 것이고, 둘째, 이름난 스콜라 철학자의 명성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모여들어 대학의 발전에 자극을 주게 되었다는 점이다. 셋째, 스콜라 철학에 대한 반동으로 16세기에 와서 문예부흥, 종교개혁을 통한 인문주의 교육과 17세기에 와서 실학주의 교육사상을 낳게 한다는 점 등이다.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기독교의_교육&oldid=22683763" 분류: 기독교 교육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0월 5일 (금) 20:4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기독교의 교육에 대해 설명한다. 중세문화의 기본은 기독교이다. 학문에 있어서는 신학이 가장 중시되었으며, 철학은 '문학의 종(從)'이었다. 기독교 그 자체의 발전이 중세의 사상적·문화적·교육적 특징을 뒷받침했다. 대학에서는 신학부가 가장 격식이 높았다. 기독교 문화가 그리스·로마의 문화와 대조되어 서양 문화의 2대 조류를 만들었기 때문에, 기독교가 교육제도·내용 및 방법에 끼친 영향은 지대한 것이었다. 고대교육에 있어서 인간본위 및 주지주의(主知主義)가 중시된 데 비하여, 기독교의 이상은 신을 본위로 한 주정주의(主情主義)에 입각했다. 이러한 신 본위와 주정주의가 고대교육의 인간본위 및 주지주의와 대조된 것이 원시 기독교 이상의 특색이었다. 이러한 이상은 내세(來世)에서만 추구할 수 있다는 것이며, 현세에서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초현세주의, 내세주의, 도야사상(陶冶思想)이 원시 기독교의 이상이었다. 또한 동포애 정신과 사해동포주의(四海同胞主義)를 표방, 적극적인 의미에 있어서 적을 사랑할 수 있는 정신을 도야하였다. 이와 같은 기독교의 이상을 중심으로 한 초기 기독교는 종교 자체를 하나의 교육으로 받아들였다. 그들에게는 지적 발달을 위한 어떤 것보다 도덕적 훈련이 최고의 과제였다. 그리스도의 설교와 교훈 자체가 그들이 주장하는 높은 이상이었고, 교육의 목적임과 동시에 내용이었다. 그러므로 그들에게는 내세를 위한 영원한 생명을 위하여 준비하는 일이 곧 교육적 이상이었다. 이와 같은 교육적 이상은 교육제도에 있어서도 종교를 중심으로 하여 신을 신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중세의 교육사에 있어서 기독교가 로마 황제의 박해에도 불구하고 중세의 정신계에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기독교의 희생과 사도(使徒)의 전도, 신자의 순교정신이 민심을 감동케 하였기 때문이었다. 이때부터 이교도를 그리스도 교도화하기 위한 학교가 발달하게 되어, 2세기경에는 문답학교·고급문답학교·사원학교 등 세 가지 단계의 학교가 성립되었다. 이어 6세기경부터는 수도원이 기독교 승려의 수양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리하여 수도원은 현세의 향락주의를 거부하고, 영적(靈的) 생활을 찾기 위한 승려들의 은둔처가 되었다. 이 수도원제도는 로마의 퇴폐와 더불어 교회 안에서 심오한 종교적 생활을 영위하자는 운동으로 나타나, 13세기에 이르러 유럽 각지에 널리 전파되었다. 수도원제도는 인간의 금욕적인 요소를 강조하며, 은거생활을 주장하는 한편, 육체적 고통을 인내하려는 습관과 정신을 훈련시켰다. 그 이상은 빈곤·순결·복종이었고, 수도생활을 실천하려는 승려는 개인생활·사유재산·개인의 자유를 부정하였다. 이러한 사상을 구체적으로 발전시키고 실천한 사람이 성(聖)베네딕트였다. 베네딕트는 529년에 이탈리아의 몬테 카시노 산상(山上)에 수도원을 창설하였고, 수도생활에 관한 세 가지 규칙을 제정하였다. 한편, 중세기의 교육사상 제2기에 속할 수 있는 스콜라주의 운동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이 발견되고, 그의 사상이 기독교 신학자들에게 이용되기 시작할 때부터 비롯되었다. 이 시기에는 보나벤투라(Bonaventura), 알베르트 승정(Albert 僧正), 아퀴나스(Tomas Aquinas) 등 저명한 신학사상가가 출현하여 신학사상에 있어서는 눈부신 발전을 보였지만, 교육사상에 있어서는 그렇지 못하였다. 아퀴나스와 같은 뛰어난 재능을 가진 사람의 경우도 교육사상 그 자체에는 별반 창조적인 것이 없었다. 아퀴나스는 지식의 습득을 도덕의 습득과 마찬가지로 인간에게 존재하는 어떤 가능성의 발전에 있다고 보았다. 또 그는 지식이란 '어떤 보편적 원리'에 내재하는 능동적 지성이라 하여, 인간으로 하여금 단순한 감각적 지각으로부터 지적 개념을 이끌어 내게 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런데 아퀴나스를 비롯한 스콜라 철학자들은 교육적 문제보다도 형이상학적 문제에 더욱 관심을 기울였다. 이것은 스콜라주의적·아리스토텔레스적 지식원리에 더욱 심취했던 스콜라 철학자들의 당연한 귀결이었다. 요컨대 중세기를 통해 아퀴나스와 같은 당대의 위대한 인물에서도 교육에 대한 관심이 희박했음을 알 수 있지만, 역사의 진전과 더불어 교육도 근대교육을 지향하면서 발전하게 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수도원의 기원은 어디에서 시작되었나요? Assistant: 동방 Human: 아래 손영목_(작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손영목 (작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손영목 (작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손영목 출생 1966년 8월 25일(1966-08-25) (52세) 직업 작가 국적 대한민국 학력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 학사 장르 텔레비전 드라마 대표작 메이퀸, 황금 무지개 손영목(1966년 8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각본가이다. 1992년 《내일은 사랑》를 아내 김지수와 공동 집필하면서 드라마 작가로 데뷔하였다.[1] 목차 1 학력 2 집필 활동 2.1 텔레비전 드라마 2.2 라디오 프로그램 3 수상 4 각주 학력[편집] 밀양동강중학교 브니엘고등학교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 학사 집필 활동[편집] 텔레비전 드라마[편집] 연도 제목 방송사 유형 연출 공동 집필 2017 도둑놈, 도둑님 MBC 주말 특별기획 오경훈, 장준호 차이영 2015-2016 화려한 유혹 MBC 월화 김상협 김희원 2013-2014 황금 무지개 MBC 주말 특별기획 강대선 이재진 2012 메이퀸 MBC 백호민 이성준 빈칸 2010-2011 프레지던트 KBS2 수목 김형일 정현민 손지혜강희연 황금창 2009 천추태후 KBS1 대하 신창석 황인혁 이상민 강영란 2005 바람꽃 KBS1 TV소설 한철경 빈칸 2000-2001 천둥소리 KBS2 수목 이상우 김정록 빈칸 1999-2000 누나의 거울 KBS1 TV소설 이상우 빈칸 1998-1999 천사의 키스 KBS2 월화 전산 빈칸 1997-1998 그대 나를 부를 때 KBS2 수목 김종창 빈칸 1997 테마 드라마 - 강아지와 육법전서 KBS2 주말 김종식 빈칸 1996-1997 머나먼 나라 KBS2 수목 김종식 정성효 빈칸 1995 바람의 아들 KBS2 수목 김종식 빈칸 1994 마지막 승부 MBC 월화 장두익 빈칸 1992 내일은 사랑 KBS2 청춘 이영희 전산윤석호 이덕건 김지수 라디오 프로그램[편집] 《사람 사는 세상》[1] (SBS, 1989년) 수상[편집] 1997년 제33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극본상 - 머나먼 나라 2012년 MBC 연기대상 올해의 작가상 - 메이퀸 각주[편집] ↑ 가 나 유인경 (1993년 7월 17일). “夫婦(부부) 시대(22) 방송작가"드라마 엮듯 사랑도 엮지요"”. 경향신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손영목_(작가)&oldid=23930501" 분류: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각본가1966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브니엘고등학교 동문고려대학교 동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3월 28일 (목) 21:0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손영목(1966년 8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각본가이다. 1992년 《내일은 사랑》를 아내 김지수와 공동 집필하면서 드라마 작가로 데뷔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손영목 작가의 작품 중 2009년에 KBS1에서 방영된 대하드라마 제목은? Assistant: 천추태후
Human: 아래 차명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차명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차명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차명환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출생 1989년 11월 27일(1989-11-27) (29세)대한민국 전라북도 남원시 프로게이머 정보 랭킹 19 종족 스타크래프트: 저그스타크래프트 II: 테란 아이디 KT.MGW)Great 별명 몽환이, 명환의숲, 차레기, 차pp, 몽환저그, 하이브저그, 차이코패스, 준우스운자 웹사이트 http://www.cyworld.com/chamyunghwan 차명환(1989년 11월 27일 ~ )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목차 1 생애 2 차명환과 하이브 3 주요 기록 3.1 전적 3.2 개인리그 3.3 별명 4 외부 링크 5 각주 생애[편집] 대한민국 공군 사병으로 복무한 그는 KT.MGW)Great라는 아이디를 사용하며, 공군 ACE 소속이었다. 브루드워 종족은 저그이며 스타크래프트2 종족은 테란이다. 2007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삼성전자 칸의 1차 지명으로 입단하였다.[1] 2011년 7월 28일 공군 ACE 입대 지원을 신청하여 9월에 공군 입대가 확정되면서 11-12 시즌에는 두 시즌 내내 공군 ACE의 유니폼을 입었다. 2012년 초부터 그해 여름까지는 공식전 12연패를 하기도 했다. 그 뒤 2013년 9월 25일 제대했는데, 제대 이후 소식이 없는 걸로 보아 은퇴한 것으로 보인다. 차명환과 하이브[편집] 차명환과 하이브는 상당히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대개 저그vs저그 동족전의 경우에는 다른 종족전들에 비해 최소의 적은 유닛(드론,저글링,뮤탈리스크,스커지), 최소의 시간, 최저의 자원채취로 매우 빨리 게임이 끝나는 경기가 많은데 차명환의 경우 이런 평소의 저저전보다는 하이브 저그전에 관해 상당히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빅파일 MSL 2010 32강에서 김명운을 상대로 하이브 저그전을 상대로 승리함으로써 하이브 경기의 가능성을 보였다. 김명운은 웅진 스타즈 저그의 특징이라 할 수 있던 하이브 운영에 일가견이 있었던 선수였고 하이브 운영 또한 많이 안나오는 경기였기때문에 그 해 MBC Game AWARD에서 명경기들 중 하나로 뽑히기도 한다. 또, 2010년 6월 12일 프로리그 경기에서 웅진 스타즈의 김명운의 후배 김민철을 만나 또다시 하이브 운영을 선보여 승리하고 승자 인터뷰에서 '앞으로 저그전에서 다양한 운영을 시도하고 싶고 그 트렌드를 이끌고 싶다.'라고 포부를 밝힌다. 이후 피디팝 MSL 2010 32강에서 며칠 전까지 10연승을 달리던 신상문을 꺾고 김민철을 다시 만나 초반의 유리함을 이용해 하이브 운영까지 끌고가 상대의 본진에 나이더스 커널을 뚫거나 러커로 저글링을 방어, 울트라로 러커밭을 뚫고 가디언으로 상대방의 드론을 견제하는 기막힌 하이브 운영으로 해설자들에게 감탄을 쏟게 만드는 경기를 만들었다. 이후 차명환에게는 '하이브저그, 몽환저그, 차이브' 등의 별명이 붙여지면서 모두가 차명환에게 앞으로의 저저전 하이브 운영을 기대했다. 결국 차명환은 16강에서는 김성대를 2:0으로 완파, 8강에서는 우승 후보였던 김구현도 3:2로 꺾고 4강에 진출했다. 4강 상대는 빅파일 MSL 2010에서 인연을 맺었던 김명운이었다. 차명환은 1세트에서 본진 트윈 해처리이후 앞마당에 해처리를 한번 더 펼친 3해처리상태에서 쏟아지는 올저글링으로 상대를 저글링 숫자로 압도하여 경기를 승리한다. (이 빌드가 결승전 1세트의 복선이 된다.) 2세트에서는 모두가 고대하던 하이브 운영을 선보였지만 멀티 차이를 극복하지 못해 패한다. 하지만 이후 내리 두 세트를 따내 3:1로 피디팝 MSL 2010 결승전에 진출한다. 결승에서는 CJ 엔투스의 신동원을 만나 1:3으로 패배하였으나, 1세트에서 선보인 뮤탈리스크와 퀸, 러커를 적절히 활용한 하이브 운영은 어느 정도 관심을 끌었다. 주요 기록[편집] 전적[편집] 통산전적 (12.07.16 기준, 스타2 전적포함) 경기 승-패 승률 대 테란 53 23–30 43.4% 대 저그 92 48–44 52.2% 대 프로토스 69 30–39 43.5% 총합 214 101–113 47.2% 개인리그[편집] 개인리그 준우승 1회[2] 2006년 4월 엘리트 학생복 캠퍼스 챔피언십 광주지역 고등부 준우승 2007년 1월 제28회 커리지매치 입상 2008년 5월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1 32강 2010년 4월 하나대투증권 MSL 2010 8강 2010년 7월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36강 2010년 7월 빅파일 MSL 2010 32강 2010년 10월 박카스 스타리그 2010 36강 2011년 2월 피디팝 MSL 2011 준우승 (1:3 신동원) 2011년 4월 ABC마트 MSL 2011 32강 별명[편집] 몽환이,몽환저그 : 이름인 명환과 몽환이 발음과 글자가 거의 비슷해서 붙여진 별명. 명환의숲 : 키네틱플로우의 히트곡인 몽환의 숲과 몽환과 비슷한 이름인 명환을 합성. 하이브 저그 :하이브 운영을 잘해 붙여졌다. 준우스운자 : 신동원 과 같이 ABC마트 MSL 2011 조지명식에서 우승자,준우승자 의권리를 행사해 D조에 이제동,이영호,김택용,염보성을 몰아 넣어 사상 최고의 죽음의 조를 만든 데서 비롯. 차이코패스 : 2011년에 자신의 미니홈피에 오해의 소지가 있는 글을 올려 빈축을 샀고, 앞선 '준우스운자'란 별명이 붙은 죽음의 조 사건을 비아냥하는 인터넷 카툰 제목과, 죽음의 조 사건에 분노한 일부 팬들에게서 붙은 별명. 외부 링크[편집] 차명환 미니홈피 2011 ABC Mart 조지명식 '차명환이 택동록을 만든 이유는?' 2011 ABC Mart 조지명식 '차명환과 신동원의 합작품' 2011 ABC Mart 조지명식 DC 스타크래프트 갤러리 'Maestro'의 분석글 각주[편집] ↑ 김동현 (2007년 3월 13일). “상반기 프로게이머 신인 드래프트 50명 중 37명 '안착'”. 《게임동아》 (게임동아). 2017년 5월 31일에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31일에 확인함.  ↑ MSL 1회 준우승. vdeh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리그리그개인전 스타리그 MBC게임 스타리그 곰TV 클래식 소닉 스타리그1 아프리카TV 스타리그1 SSL 시리즈1 단체전 프로리그 (1군) 드림리그 (2군) MBC게임 팀리그 위너스리그 경남 - STX컵 마스터즈 조직협회 한국e스포츠협회 게임 개발사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게임 배급사 한빛소프트 방송국 OGN MBC 게임 곰TV 아프리카TV SPOTV GAMES 경기장 용산 e-Sports 스타디움 (온게임넷→OGN, 철거됨) 히어로센터 (MBC 게임, 철거됨) 곰TV 목동 스튜디오 (곰TV, 철거됨) ITV 랭킹전 iTV 스튜디오/인천 종합문화예술회관 야외 특설무대(iTV 경인방송, 철거됨) 프릭 업 스튜디오 (아프리카TV) 넥슨 아레나 (SPOTV GAMES) 방송인OGN 정소림 엄재경 김정민 아프리카TV 박상현 이승원 임성춘 SPOTV GAMES 김철민 한승엽 이성은 과거 게임단 KT 롤스터 STX SouL 웅진 스타즈 SK텔레콤 T1 CJ 엔투스 삼성 칸 제8프로게임단 공군 ACE 이스트로 위메이드 폭스 온게임넷 스파키즈 MBC게임 히어로 화승 OZ 기타 e스포츠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명예의 전당 골든 마우스 MSL 금배지 KeSPA컵 1KeSPA 비공인 리그2012년 9월 22일부로 대한민국의 모든 KeSPA 공인 스타크래프트 리그가 완전히 종료됨. 단, KeSPA 비공인 리그는 열리고 있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차명환&oldid=21757278" 분류: 1989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e스포츠 선수남원시 출신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저그 선수삼성 갤럭시 (e스포츠)의 선수공군 ACE의 선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7월 14일 (토) 16: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차명환(1989년 11월 27일 ~ )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0년 MSL 32강에서 김명운을 이긴 프로게이머는 누구야? Assistant: 차명환 Human: 아래 전주곡_(드뷔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전주곡 (드뷔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주곡 (드뷔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8번 전주곡의 테마 클로드 드뷔시의 전주곡(Préludes)은 피아노를 위한 독주곡이다. 1권과 2권으로 나뉘어 있으며 각각 12개 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흐나 쇼팽의 전주곡과 달리, 곡들 사이의 조성에 연관성을 찾아보기는 힘들다. 제1권은 1909년 12월에서 이듬해 2월, 제2권은 1912년 말에서 1913년초 사이에 작곡하였다. 목차 1 제 1권 (1e Livre) L. 117 2 제 2권 (2e Livre) L. 123 3 같이 보기 4 외부 링크 제 1권 (1e Livre) L. 117[편집] I. 델피의 무희들 (Danseuses de Delphes) II. 돛(Voiles) III. 들을 지나는 바람 (Le vent dans la plaine) IV. 소리와 향기가 저녁 대기 속에 감돈다 (Les sons et les parfumes tournent dans l'air du soir) V. 아나카프리의 언덕 (Les collines d'Anacapri) VI. 눈 위의 발자국 (Des pas sur la neige) VII. 서풍이 본 것 (Ce qu'a vu le vent d'Ouest) VIII. 아마빛 머리의 처녀 (La fille aux cheveux de lin) IX. 끊어진 세레나데(La sérénade interrompue) X. 가라앉은 성당 (La cathédrale engloutie) XI. 퓌크의 춤 (La danse de Puck) XII. 음유시인 (Minstrels) 제 2권 (2e Livre) L. 123[편집] I. 안개 (Brouillards) II. 고엽(Feuilles mortes) III. 비노의 문 (La puerta del Vino) IV. 요정의 무희 (Les fées sont d'exquises danseuses) V. 히드가 무성한 황무지 (Bruyère) VI. 괴짜 라빈 장군 (General Lavine-eccentric) VII. 달빛 쏟아지는 테라스 (La terrasse des audiences du clair de lune) VIII. 물의 요정 (Ondine) IX. 피크윅 경을 예찬하며 (Hommage à S.Pickwick Esq.P.P.M.P.C.) X. 카노프 (Canope) XI. 교대하는 3도 (Les tierces alternées) XII. 불꽃 (Feux d'artifice) 같이 보기[편집] 클로드 드뷔시 작품 목록 외부 링크[편집] 악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전주곡_(드뷔시)&oldid=22794251" 분류: 클로드 드뷔시의 작품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Italiano日本語NederlandsPortuguês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15일 (월) 10: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클로드 드뷔시의 전주곡(Préludes)은 피아노를 위한 독주곡이다. 1권과 2권으로 나뉘어 있으며 각각 12개 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흐나 쇼팽의 전주곡과 달리, 곡들 사이의 조성에 연관성을 찾아보기는 힘들다. 제1권은 1909년 12월에서 이듬해 2월, 제2권은 1912년 말에서 1913년초 사이에 작곡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드뷔시의 전주곡 제 1권의 첫번째 곡은 무엇일까? Assistant: I. 델피의 무희들 (Danseuses de Delphes)
Human: 아래 이시애의_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시애의 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시애의 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시애의 난(李施愛-亂)은 1467년(세조 13년) 5월부터 8월까지 함경도 길주의 호족 이시애 등이 세조의 집권 정책에 반대해 일으킨 반란이다. 당시 이시애는 길주 출신의 호족 토반으로 1458년 경흥진병마절제사, 1461년 행지중추부사를 역임하고, 1463년 회령부사로 있다가 어머니의 상을 당해 관직에서 물러나 있었다. 함길도는 이성계의 고향으로 조선왕조의 주요 연고지 중의 하나였으며, 지리적으로 북방 이민족과 접해 있는 특수 사정을 고려해 지방관은 인망 있는 호족 중에서 임명해 대대로 다스리게 하였다. 그러나 함경도인에 대한 지역차별과 외지에서 부임한 관리들에 대한 반발로 함경도내 유향소 세력을 규합, 1467년 5월 이시애 등은 함경도인에 대한 지역차별과 단종 폐위 등을 반역으로 규정하여 거병하였으나 거병 3개월만에 내부 분열로 이시애의 처조카 허유례(許惟禮)가 관군과 내통함으로써 진압되었다. 목차 1 개설 2 배경 3 경과 3.1 반란 초기 3.2 교전 3.3 교전 상황 3.4 진압 3.5 결과 4 사후 5 각주 6 함께 보기 개설[편집] 세조는 중앙집권을 강화하기 위해 지방에도 중앙의 관리를 많이 파견했다. 그리고 남방의 백성을 이주시켜 여진세력을 꺾는 데 힘을 기울였다. 그리하여 함길도(咸吉道)에도 수령이 중앙에서 파견되어 본도인(本道人)의 반발이 있었는데, 때마침 조정에서 호패법을 실시하여 농민들의 자유로운 이주가 불가능해졌다. 세조 13년(1467) 5월 회령부사 이시애는 그의 본거지 길주(吉州)에서 군사를 일으켜 함길도의 수령을 함길도인으로 삼을 것을 요구했다. 함흥 이북의 주군(州郡)이 이에 호응하였으며, 각지 유향소(留鄕所)가 지도 세력을 이루었다. 그러나 반군은 정부군에게 대패(大敗)하고 이시애는 여진으로 도망하려다. 체포·참수되었다. 배경[편집] 세조는 즉위하면서 중앙집권의 강화를 위해 북도 출신 수령의 임명을 제한하고 경관(京官)으로 대체하였으며, 수령들에게 지방유지들의 자치기구인 유향소(留鄕所)의 감독을 강화하게 하여 출신인 수령들과 유향소와는 사이가 좋지 않았다. 회령부사(會寧府使)를 지내다가 상(喪)을 당하여 관직을 사퇴한 이시애는 유향소의 불만·불평과 백성의 지역감정에 편승해서 아우 이시합(李施合), 매부 이명효(李明孝) 등과 함께 조정의 함경도인 지역차별과 단종 폐위 등을 반역으로 규정하고 거사를 모의, 1467년(세조 13) 5월 회령에서 거병, 반란을 일으켰다. 경과[편집] 반란 초기[편집] 이시애는 길주로부터 단천, 북청, 홍원으로 남하하면서 중앙에서 파견된 그곳 지방관들을 모두 죽이고 자기 스스로 왕명을 받은 절도사라 칭하여 거병하였다. 이시애는 '함길도의 절도사(節度使)가 진장(鎭將)들과 함께 반역을 음모하고 있다'고 선동하여 절도사 강효문(康孝文), 함경도관찰사 신면, 길주목사(吉州牧使) 설징신(薛澄新) 등을 죽이고 체찰사 윤자운(尹子雲)을 사로잡았다. 이어 '방금 남도의 군대가 바다와 육지로 쳐올라와서 함길도 군민(軍民)을 다 죽이려 한다'고 선동하자 흥분한 함길도의 군인과 민간인들이 유향소를 중심으로 일어나 타 지역 출신인 이 곳 수령들을 살해하는 등 함길도는 대혼란에 휩싸이게 되었다.[1] 조정에서는 어유소, 귀성군, 남이 등에게 소수의 토벌대를 이끌고 출정시켰다. 그러나 반군의 기세가 거세자 구성군 준의 관군은 철원까지 퇴각했고 더 이상 진격하지 못하였다. 반란군은 함길도와 평안도까지도 영향을 넓혀가고 있었다. 세조는 다시 도총관 강순을 진북대장(鎭北大將)으로 삼아 평안도병력 3천명의 지휘권을 주어 영흥으로 나아가게 하고, 병조참판 박중선(朴仲善)을 평로장군(平虜將軍)으로 임명하여 황해도 병사 1천명을 이끌고 문천군으로 들어가게 하였다. 장군 어유소에게는 한성부 소속 경병(京兵) 1천명을 보내 구성군군을 돕게 하였다. 이시애는 중앙에서도 연락통을 띄워 '병마절도사 강효문 등이 한성부의 한명회(韓明澮), 신숙주(申叔舟) 등과 결탁하여 함길도 군대를 이끌고 서울로 올라가서 모반하려 하여 민심이 흉흉하니 함길도 사람을 고을의 수령으로 삼기 바란다'는 등 모략전술을 폈다. 세조는 이에 속아 한명회, 신숙주 등을 한때 투옥하였다가, 신면, 강효문 등이 처형된 소식을 접하고는 곧 구성군 준(龜城君 浚)을 병마도총사(兵馬都摠使)로 삼아 토벌군을 출동시켰다. 교전[편집] 1467년 5월 15일 귀성군은 겨우 강원도 북부에 있던 이시애군을 패퇴시키고 회양(淮陽)으로 나아갔다. 세조는 5월부터 각종 효유문(曉諭文)을 내려 보내고 지금이라도 항복하면 처벌하지 않겠다는 조건을 내세웠으나, 통지문을 들고 간 사자는 죽임당했다. 동시에 반군 지휘자들을 체포하는 자들에게는 현상금을 조건으로 걸었다. 6월 1일 억류되었던 체찰사 윤자운이 병사 한 사람과 옷을 갈아입고 극적으로 이시애의 진영에서 탈출해오자 귀성군은 윤자운을 호송한 뒤 철령을 넘어 안변에 진을 쳤고, 허종은 영흥으로 들어가 반군과 교전하였다. 그 동안에도 이시애는 때로 2백~5백여명의 군졸을 이끌고 마곡역(麻谷驛)에 나오기도 하고, 이시합은 홍원군 하탄동에서 귀성군의 부장 차운혁(車云革)에게 사로잡혔으나 거짓 속임수로 빠져나가기도 하였다. 당시 반군은 함흥, 관군은 영흥에서 서로 대치하고 있었다. 세조는 효유문으로 마무리 지으려고 하였던 정책을 거두고, 궐내에 금고했던 신숙주 등의 중신을 풀어주는 동시에, 친정(親征)을 계획하는 등 강경책을 강구하였다. 이시애는 이같은 세조의 강경정책에 당황해 북청을 거쳐 이성(利城, 지금의 이원군) 다보동으로 본부를 옮겼다가 다시 북청군으로 근거지를 옮겼다. 이시애의 후퇴로 구성군의 관군은 6월 19일 함흥을 점령하고 홍원으로 나아가 서쪽인 함관령(咸關嶺) 아래 신원(新原)에 새 막사를 짓고 근거지로 하여 전군을 지휘하였다. 구성군은 강순을 북청 공략의 선봉으로 삼고 종개(鐘介), 산개(山介)의 두 산에 진지를 구축하게 하였다. 귀성군의 군사는 안변에서 평안도 지역의 이시애군을 격퇴하는 한편 강순은 박중선, 허종, 어유소 등과 더불어 종개령을 넘어 북청 앞의 평포(平浦)에서 이시애군을 궤멸시키고 진을 쳤다. 교전 상황[편집] 6월 19일 이시애군은 북청을 떠나 퇴각하고, 이시합은 2만여 명의 군졸을 북청 근처인 여주을현(汝注乙峴)에 주둔시키는 한편, 자신은 단천 이북의 여러 진군(鎭軍)과 여진족 500여 명을 합쳐 이성 고사리포(高沙里浦)에서 북청 어소(於所)로 나아가 관군을 협공하려 했다. 이를 모르는 관군은 북청성으로 진격해 들어갔다가 이시애군은 없었고, 주변에 있던 이시합군에 의해 포위되었다. 강순은 마침내 김교(金嶠)의 건의에 따라 목책(木柵)을 두르고, 또 밖에는 녹각(鹿角 : 사슴뿔과 같이 대나무로 짜서 만든 적을 막는 물건)을 늘어놓는 한편, 성 밖에는 갱도를 파고 그위를 평지처럼 하여 적군의 침략에 대비하였다. 6월 24일 밤 4고(四鼓[2])에 이시애군의 기습 공격을 받았으나, 강순은 말에 재갈을 물리고 다리를 묶어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동시에 성문을 굳게 닫아걸어 공격을 무시하고 응전하지 않았다. 날이 밝자 북도 사람을 시켜 대의(大義)로써 이시애군을 효유하니 그들이 동요하기 시작하였고, 이시애는 10여회나 싸움을 걸었으나 관군의 북청 수비진을 뚫지 못하고 패퇴하였다. 관군은 이시애에게 대궐에 나아가 자수(自首)할 것을 권하였으나 듣지 않았다. 북청에서 패퇴한 이시애군은 다시 군세를 정비하였다. 7월 14일 이시애는 자신의 사위인 이명효(李明孝)로 하여금 홍원·북청·갑산·삼수의 백성들을 모아 탕구령(湯口嶺)을 넘어 홍원 서쪽인 신익평(申翌坪)에 주둔해 관군의 함흥과 북청 통로와 보급로를 차단하였다. 이시합은 이성 이북의 백성을 이끌고 마어령(磨於嶺)을 넘어 2진을 형성하게 하는 동시에, 이시애 자신은 회령 이북의 백성을 이끌고 대문령(大門嶺)을 넘어 열여문평에 진을 쳐서 장기전을 펴고 관군의 자멸을 기다렸다. 한편, 관군은 북청에 있는 군사를 홍원으로 후퇴시키려 하여 1·2·3진으로 나누어 이시애군을 뚧고 나가 장기전에 대비하였다. 이시애는 이 틈을 타서 북청을 점령하였다. 그 동안에도 관군은 이시애 등에게 효유에 나섰으나 이시애가 듣지 않자 결국 장기전으로 나가게 되었다. 진압[편집] 7월 25일 관군은 한밤중에 비밀리에 행동을 개시해 진북장군 강순의 군사를 1진으로 삼아 산개령을 넘게 하고, 2진 대장 어유소의 군사는 종개령을 넘게 해 북청으로 진입, 양면공격을 하게 하는 동시에 귀성군의 군사는 평포로 진격하였다. 강순과 어유소의 군사는 협공을 하여 산개·종개령의 이시애군을 격파하고 북청으로 쇄도해 들어가 이시애가 임명한 가짜 부절도사 유득지(劉得之)의 군을 격퇴시키고 그 병력을 흡수하여 당시 관군의 수는 약 5만 명으로 늘어났다. 이시애는 북청 패퇴의 소식을 듣고 1만여 명의 군병을 이끌고 북청 동쪽 68리에 있는 천험의 만령(蔓嶺)으로 갔다. 만령은 남으로는 바다, 북으로는 태산을 등지고 있어 관군과의 전투에는 비교적 유리하였다. 관군은 다시 만령 공격에 나섰다. 강순의 1진이 먼저 만령 밑에 도착하고 어유소의 2진을 기다렸다가 7월 말 강순군, 어유소군, 귀성군군이 집결하면서 일제히 공격을 개시하였다. 먼저 귀성군과 강순, 박중선 등이 이끄는 군사는 큰길로 나아가고, 허종 등은 큰길 남쪽 중봉(中峰)으로 가갔다. 또한 우공(禹貢)은 큰길 중봉, 그리고 어유소는 바닷가와 동령(東嶺)으로, 김교 등은 북산(北山) 밑으로 나아가 각각 만령을 향해 4면에서 포위, 협공하는 전술을 써서 진격하여 이시애군의 선봉진인 만령 주봉(主峯)을 점령하는 데 성공하고 이시애가 있는 중봉으로 공격해 갔다. 7월말 전세가 상당히 불리해지자, 밀리던 이시애는 여진족과도 내통, 여진족을 끌어들여 대항하였으나 여진족에 파견했던 사자가 당도하기도 전에 신숙주, 허종(許琮), 강순, 어유소(魚有沼), 남이(南怡) 등이 이끄는 3만 군대가 함경남도 홍원(洪原), 북청(北靑)에 주둔하던 이시애군을 격파하고 이원군의 만령(蔓嶺)에서 반란군 주력부대를 분쇄하였다. 7월 31일 이시애는 중봉을 거점으로 2천 명의 병력으로 3중 포열을 한 뒤 결사적으로 버텼다. 그날 유시(酉時[3])에 이르러 만령 동봉에서 어유소군이 이시애군이 중봉으로 간 것을 접하고, 이시애군의 좌측 허를 찔러 방어선의 일각을 통과함으로써 방어선을 무너트렸다. 이어 관군은 육탄전으로 이시애군을 패퇴시켰다. 결국 이시애는 야음을 틈타 이성 쪽으로 도망쳤다. 결과[편집] 8월 1일 관군은 이시애군을 추격해 이성까지 쫓아갔으나 이시애군은 이성군의 객사, 창고 등을 불사르고 다시 북으로 패주하였다. 8월 8일 이성을 출발한 귀성군 등의 관군은 마운령(磨雲嶺)을 넘어 영제원으로 나아가고, 이시애는 단천에 진을 쳐서 남대천(南大川)을 사이에 두고 저항을 시도하였으나 다시 패주하여 길주로 달아났다. 8월 12일 관군 연합군은 이시애군을 추격하여 단천에서 교전하여 패퇴시키고 탈환, 다시 마천령(磨天嶺)을 넘어 영동역(嶺東驛)까지 이시애군을 밀고 나갔다. 이 때 이시애는 허종 휘하의 허유례(許惟禮)의 계교에 빠져 이시합과 함께 체포되었다. 이시애는 길주를 거쳐 경성(鏡城)으로 퇴각하여 여진으로 도망치려 하였다. 그러나 이시애의 처조카인 사옹원별좌(司饔院別坐) 허유례는 자기 아버지가 억지로 이시애의 일파에게 끌려갔다는 소식을 듣고 이시애의 부하인 이주(李珠), 황생(黃生) 등을 포섭한다. 허유례는 자신의 아버지가 이시애의 수하에서 길주권관(吉州權管)으로 있음을 알고 거짓 항복하는 척 하고는 경성 운위원(雲委院)으로 들어가 아버지와 이시애의 수하인 이주(李珠)·이운로(李雲露)·황생(晃生) 등을 설득해 이시애와 이시합 등을 체포게 했다. 이들을 설득하여 자연스럽게 이시애 형제에게 접근하여 이시애 형제를 묶어 남이 등 토벌군에게 인계하였다. 사후[편집] 8월 이시애 군은 남이 등의 토벌대에 의해 궤멸당하고, 이시애 등 생포된 자들은 8월 12일 토벌군의 진지 앞에서 구성군 준에 의해 참수형되고 효수되었다. 이로써 3개월에 걸쳐 함경도를 휩쓴 이시애의 난은 평정되었다. 이시애의 난으로 길주는 길성현(吉城縣)으로 강등되고 함길도는 남·북 2도로 분리되었으며, 함경도의 유향소는 폐지되었다. 구성군 이준과 남이, 조석문(曺錫文), 어유소, 허종, 허유례 등은 정충적개공신(精忠敵愾功臣)으로 녹훈되고 김서형(金瑞衡)등 많은 적개원종공신(敵愾原從功臣)들이 책록되었다. 각주[편집] ↑ 이후 함길도를 임지로 꺼리는 현상까지 나타나게 되었다. ↑ 밤 4경, 오전 2시~4시 ↑ 오후 5시∼7시 함께 보기[편집] 이징옥의 난 남이의 옥사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조선 왕조의 경제·사회적 구조"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시애의_난&oldid=23537586" 분류: 1467년 분쟁1467년 한국조선의 반란쿠데타 미수조선 세조한명회신숙주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25일 (금) 15: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시애의 난(李施愛ㅡ亂)은 1467년(세조 13년) 5월부터 8월까지 함경도 길주의 호족 이시애 등이 세조의 집권 정책에 반대해 일으킨 반란이다. 당시 이시애는 길주 출신의 호족 토반으로 1458년 경흥진병마절제사, 1461년 행지중추부사를 역임하고, 1463년 회령부사로 있다가 어머니의 상을 당해 관직에서 물러나 있었다. 함길도는 이성계의 고향으로 조선왕조의 주요 연고지 중의 하나였으며, 지리적으로 북방 이민족과 접해 있는 특수 사정을 고려해 지방관은 인망 있는 호족 중에서 임명해 대대로 다스리게 하였다. 그러나 함경도인에 대한 지역차별과 외지에서 부임한 관리들에 대한 반발로 함경도내 유향소 세력을 규합, 1467년 5월 이시애 등은 함경도인에 대한 지역차별과 단종 폐위 등을 반역으로 규정하여 거병하였으나 거병 3개월만에 내부 분열로 이시애의 처조카 허유례(許惟禮)가 관군과 내통함으로써 진압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시애의 난 당시 사옹원별좌이면서 이시애의 처조카인 사람은 누구야? Assistant: 허유례 Human: 아래 날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날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날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날개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날개를 펼친 혹고니 참새의 날개. 양력을 발생시키는 구조를 볼 수 있다 날개 또는 나래[1] 는 새나 곤충등의 몸 양쪽에 붙어서 날 수 있게 해주는 기관을 말하며, 비행기 등의 물체를 날 수 있게 해주는 장치를 의미하기도 한다. 곤충의 날개는 외골격이 바뀌어서, 새나 박쥐의 날개는 앞다리가 변화하여 생겼다. 목차 1 어휘 1.1 유체역학에서의 날개 1.2 그 외의 용법 2 생물의 날개 2.1 소사 2.2 홰치지 않는 날개 3 항공기의 날개 3.1 날개에 관계된 용어 3.1.1 형상관계 3.1.2 성능관계 3.2 날개 이론 3.2.1 기본 3.2.2 2차원날개와 3차원날개 3.2.3 회전날개 4 문화속의 날개 4.1 신화·종교에서의 날개 4.2 자유의 상징으로서의 날개 4.3 그 외 5 날개를 이용한 스포츠 6 각주 7 같이 보기 어휘[편집] 유체역학에서의 날개[편집] #항공기의 날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세기에 들어가면 비행기가 등장해, 비행기의 날개라는 개념이 태어남과 동시에, 유체역학 등의 새로운 학문 분야가 발전해, 날개라는 말도 새로운 정의를 얻게 되었다. 그 정의는 대개, 유체와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효율적으로 양력을 얻을 수 있는 형상을 한 물체라는 것이다. 또 이 정의로부터, 이 말은, 비행기의 날개 이외에도 다양한 것을 가리킬 수 있다. 수중익선의 수중날개 등도 날개의 일종이다. 레이싱 카 등에 장착되는 윙은, 상하를 반대로 한 날개이며, 차체를 지면에 꽉 누르기 위해서 아래로 향한 양력(다운 포스) 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범의 한 형태인 세로돛은, 수평 방향의 양력을 얻는 날개라 생각할 수 있다. 프로펠러나 로터 등의 회전날개도 날개의 일종이다. 산업용의 압축기나 풍력 터빈[2]의 블레이드 등도 회전날개로서 이해할 수 있다. 그 외의 용법[편집] 전의로서 일반적으로, 중앙에 위치하는 중심적인 구조로부터 좌우에 내다 붙인 것 같은 구조를 칭해 날개라고 부르거나 또 윙 등으로도 부른다. 사상적 입장을 의미하는 좌익, 우익은 혁명기 프랑스의 의회에서의, 좌우로 나누어진 의원석을 그렇게 불렀던 것에 유래한다고 한다. 건축물의 예로서는, 우지 뵤도인 봉황당의 익랑이나, 하네다 공항 (빅 버드)의 동명 윙 등을 들 수 있다. 생물의 날개[편집] 조류의 날개에서는 부위에 따라 각종의 기능을 담당한다, 여러가지 형상의 깃털이 발달했다. 생물학등의 분야에서 특히 엄밀한 날개의 정의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인 용법으로 말하면, 날개를 가진 생물은 이하의 3종류다: 익룡류: 멸종. 비교적옆에 긴, 막상의 날개였다고 생각된다. 조류: 깃털을 휘감은 날개를 가진다. 날개깃, 조류용어#익우부 등을 참조. 박쥐류: 길게 뻗은 손가락의 뼈와 피막에 의해 구성된 날개를 가진다. 이것에 가세해 곤충류의 시를 날개로서 취급하기도 한다. 모두, 비상(범상 및 공중 정지를 포함)을 목적으로 한, 홰치는 기능을 가진 것이다. 소사[편집] 날개의 홰침에 의한 비상을 최초로 한 생물은 고생대의 곤충이며, 이 능력의 획득이 곤충의 오늘날 번영의 하나의 요인이라 생각된다. 곤충은, 홰침에 의한 비상 능력을 획득한 유일한 무척추동물이다. 중생대가 되면 척추동물에도 홰침 비상을 실시하는 날개의 소유자가 나타났다. 현재로서는, 삼첩기 중순의 익룡이 그 전조였다고 생각된다. 쥬라기 무렵이 되면, 공룡의 계통의 일부로부터, 새가 태어났다. 그렇다고는 해도, 깃털이 화석에 남기 어려운 일도 있어, 공룡-새계통의 진화 중에서 홰침 비상이 언제, 어떻게 시작되어, 날개의 진화가 어떠한 과정을 밟아 왔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3]. 마지막에 등장한 홰침 비상을 실시하는 생물은 포유류의 박쥐이며, 신생대의 제3기였다고 생각된다. 홰치지 않는 날개[편집] 이상과 같이 일반적인 용법을 고집하지 않고, 항공기적인 날개의 의미를 유용한다면, 글라이더와 같이 활공하는 능력을 가진 여러가지 생물이 시야에 들어 온다. 홰쳐 상승하거나 장거리를 항속하는 능력은 그들에게는 없지만, 안에는 고도차이의 4~5배의 거리를 활공하는 것도 있다. 여러가지 접근의 것이 알려져 있다. 날다람쥐, 하늘 다람쥐, 후크로모몬가, 날원숭이: 사지의 사이 등에 발달한 피막의 "날개"를 가진다. 트비트카게: 늑골이 옆으로 늘어나 체 간으로부터 크게 쑥 내민 형태가 되어, 거기에 피막이 발달한다. 평상시는 작게 접어져 있다. 현금 척추동물 속에서 사지로부터 독립한 "날개"를 가진 유일한 생물이다. 트비야모리: 트비트카게만큼 발달하지 않지만 늑골이 퍼져 날개의 역할을 완수한다. 롱기스쿠아마: 화석종. 발달한 동체의 복수의 비늘이 날개의 역할을 완수했다. 트비헤비: 늑골을 펼쳐 몸을 평평하게 해, 전신을 S자형으로 하는 것으로, 거의 전신을 날개로서 사용한다. 트비가엘류: 사지의 손가락이 길고, 거기에 발달한 "물갈퀴"를 사용해 활공한다. (나무위생이며, 유영은 하지 않는다) 날치류: 가슴비레, 배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가 발달해, 날개의 역을 완수한다. 트비이카: "앞뒷날개(카너드)"를 갖춘 것과 동시에, 다리와 점액으로 타원 평면형의 "날개"를 형성. 식물: 일부의 식물의 과실에는, 동적 양력을 이용해 이동거리를 버는 것이 있어, 시과로 불린다. 대부분은 일종의 회전날개이며, 단풍나무속의 종자가 유명. 특징적인 것은 보르네오섬의 삼림에 나는 하네후크베 (Zanonia Macrocarpa; 박과)로, 이것은 좌우 대칭인, 무뒷날개의 글라이더다. 한층 더 의미를 펼친다면, 수생생물이 많게 볼 수 있는 지느러미도 또한 유체역학적인 의미로 날개라고 말할 수 있다. 그래도 이런 생물이 활공이나 유영을 위해서 발달시킨 기관은 제일적으로는 피막이며 지느러미인 것이고, 이것들을 날개라고 부르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다. 미국 하늘 다람쥐 트비트카게(날개를 반 정도 전개한 상태) 트비가엘 트비워 익과의 여러 가지 참새의 왼쪽 날개  항공기의 날개[편집] B-2는 수평꼬리도 수직꼬리도 가지지 않은 무미익기(전익기라고도 함). 제트 엔진도 날개에 내장했다(앞의 부푼 곳). 항공기, 특히 부력이 아니고 동적 양력을 이용해 비행하는 중항공기에서, 날개는 엔진 이상으로 중요한 필수의 장비품이다(예를 들어, 글라이더에는 엔진이 없지만, 날개는 있다). 역사적 경위에 대한 자세한 것은 비행기의 역사 등을 참조. 고양력장치 양력의 크기는 비행 속도의 2제곱에 비례하기(양력 참조) 때문에 저속이 되지 않을 수 없는 이착륙시에는 비행 속도를 올리는 이외 방법으로 충분한 양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사용되는 플랩 등의 장치는 고양력장치라 불린다. 자세한 것은 링크를 참조. 날개의 구조 항공기의 날개 구조는, 동체 등 다른 부분의 구조와 같이, 시대와 함께 변화해 오고 있다. 자세한 것은 비행기#주 날개 등을 참조. 날개에 관계된 용어[편집] 간단한 설명만 적혀 있다.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각 용어의 링크를 참조. 형상관계[편집] 주 날개의 익형의 모델과 각부의 명칭. A익현장, B중심선, C최대익후, D최대 캐파, E익현선, F전연, G 후연. 전연 날개의 앞쪽 가장자리. 자주 영어의 Leading Edge로부터 LE로도 표기된다. 후연 날개의 뒷쪽 가장자리. 자주 영어의 Trailing Edge로부터 TE로도 표기된다. 익현선 코드 라인(chord line)이라고도 말한다. 전연과 후연을 묶은 직선이다. 이 부분의 길이는 익현장 혹은 코드장이라고 하여(단지 익현으로 길이에 임해서 말하기도 한다), 수식에서는 c나 l 등으로 표기된다. 익형 날개를 익현에 따라서 세로로 자른 단면. 에어 포일(airfoil/aerofoil), 날개 단면이라고도 한다. 흐름의 성질(속도·점성 등)에 따라 여러가지 모습이 존재해, 날개의 성능을 크게 특징짓는 중요한 요소. 중심선 날개의 표면과 아래쪽 면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는 점을 전연으로부터 후연까지 연결한 선. 캠버 중심선의 휘어진 상태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쉽게 말하면 중심선과 익현선의 차이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캠버라면 가장 차이가 큰 부분(최대 캠버)을 가리키는 것이 많아, 최대 캠버를 익현장으로 나누어 백분율(%)로 고쳐 표시한다. 최대 야영자의 위치는, 전연으로부터 익현장의 15-40% 전후가 많아, 또, 캠버가 있는 경우, 영각이 0도 상태에서도 양력을 발생한다. 또 캠버가 0인 익형을 대칭날개라고 한다. 익후 날개의 최대의 두께를 익후라고 하여, 최대익후를 익현장으로 나누어 백분율(%)로 고치고 나서, 최대익압비로서 표시한다. 최대익후의 위치는, 일반날개에 전연으로부터 익현장의 20% 전후가 많아, 고속기에 사용되고 있는 층류날개에서 40%까지 내려 항력을 줄이고 있다. 익폭 날개의 가로폭의 길이. 스팬(span), 윙 스팬이라고도 한다. 회전날개의 경우, 브레이드 한 장의 길이. 수식에서는 b로 표기되는 것이 많다. 익평면형 날개를 바로 위에서 보았을 때의 형태. 단지 평면형이라고도 한다. 테이퍼(테이퍼)이거나, 타원형이거나, 후퇴각이 붙어 있거나 한다. 이 형상이 날개의 특성을 크게 좌우한다. 자세한 것은 링크를 참조. 날개 면적 날개 평면형의 면적. 투영 면적이라고도 한다. 날개를 평면에 투영했을 때의 최대 투영 면적을 날개 면적으로 한다. 동체와 겹치는 부분도 포함하고 생각한다. 수식에서는 S로 나타내지는 것이 많다. 가로세로비 일반적으로는 장방형의 세로와 가로길이의 비. 세장비 혹은 어스펙트 레시오라고도 한다. 날개의 경우, (익폭) sup2/sup÷날개 면적이라는 무차원수로 나타낸다. 예를 들면, 날다람쥐는 1~2, 보잉 747-400은 약 8, 폭 신천옹은 15 정도. 후술의 양항비에 크게 영향을 준다. 극히 대략적으로 말하면, 날개는 얇을수록 효율이 좋다. 예를 들면 장거리의 해상 비행이 요구되는 해조는, 일반적으로 육지의 새보다 얇은 날개를 가진다. 수식에서는 AR나 A 등으로 표기된다. 가는 초비 날개 중앙부의 익현장과 날개 단부의 익현장의 비율. 일반적으로 λ(Lambda)로 나타내진다. 영각 AoA(Angle of Attack)라고도 한다. 익현선(코드 라인)과 흐름이 이루는 각도. 수식에서는 α(알파)로 표기되는 것이 많다. 양력의 크기는 대체로 영각에 비례해 증대한다. 비행기의 동체선과 익현선이 이루는 모퉁이인 부착각(angle of incidence), 진행 방향이 이루는 각도와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An-225의 주 날개에는 하반각을 붙였다. 상반각 수평면으로부터 기울기상에 쑥 내밀듯이 설치된 날개의 경우에, 수평면과 날개가 이루는 모퉁이. 간단하게 말하면, 날개가 만세하고 있는 각도. 비행의 안정성에 관련되는 요소로 간단하게 말하면, 상반각을 붙이면 뱅크를 되돌릴 방향으로 힘이 가한다. 즉, 외력에 의한 혼란에 대해서 자세를 바탕으로 되돌리는 복원력이 가한다. (다만 상반각을 너무 붙이면 , 복원력이 뱅크각을 넘어 버려, 결과적으로 기체를 반대에 넘어뜨리려는 힘이 가해, 오히려 불안정이 된다. 또, 방향 안정성이 약한 경우라면 더치 롤이라 불리는 사행 운동을 일으킨다. 그 경우, 상반각을 줄이거나 반대로 하반각을 부록, 또는 뒷날개의 재검토등의 설계 조사를 실시한다) 초음속으로의 순항이 요구되었기 때문에 콩코드의 주 날개는 얇았다. 하반각 수평면으로부터 기울기하에 쑥 내밀듯이 장착된 날개의 경우에, 수평면과 날개가 이루는 모퉁이. 하반각을 붙이면 안정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옛날에는 금기로 여겨졌지만, 주 날개에 큰 후퇴각이 있는 고속 제트기에서는 후퇴각에 의한 복원력이 너무 커서 하반각을 붙여 조정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안정성보다 자재로 비행하는 것이 중요한 전투기는 하반각을 붙인 것이 있다. 성능관계[편집] 레이놀즈 수 물체에서의 주위의 흐름의 끈기를 나타내는 무차원수. 유체의 점성·날개의 크기·흐름의 속도에 의해서 정해져, 날개의 성능에 크게 영향을 주는 매우 중요한 파라미터. 보통은 자리수 단위로 표현한다. 수식에서는 R나 Re로 표기되는 것이 많다. 양력 날개에 생기는 공기력 가운데, 흐름과 수직인 성분. 수식에서는 L로 표기되는 것이 많다. 항력 날개에 생기는 공기력 가운데, 흐름과 평행한 성분. 수식에서는 D로 표기되는 것이 많다. 양항비 양력÷항력(L/D) 혹은 양력 계수÷항력 계수(CsubL/sub/CsubD/sub)로 나타내지는 무차원수. 날개의 성능을 특징짓는 중요한 값. 간단하게 말하면, 양항비가 큰 날개는, 성능이 좋다고 말할 수 있다. 다만, 양력이나 항력은 속도나 영각등에 의해서 변화하기 때문에, 1개의 날개도 상태에 의해서 변화한다. 날개뿐만이 아니고, 항공기나 새 등 비상체 전체에서도 말하는 일이 있다. 익면하중 기체 중량을 날개 면적으로 나눈 값. 즉 날개(의 단위면적 근처)가 결려야 할 중량을 나타낸다. 실속 날개(특히 표면)로부터 흐름이 박리하는 현상. 스톨(stall)이라고도 한다. 실속 상태에 빠지면 항력이 증대해, 양항비가 작아져, 또 기류의 혼란에 의해서 안정성이 악화된다. 날개 이론[편집] 기본[편집] 자가용 소형기와 같은 저아음속기의 날개는 일반적으로 이하와 같은 단면 형상(익형)을 하고 있다: 전연은 둥글고, 전연으로부터 1/3 정도의 곳에서 최대의 두께가 되어, 후연이 예리한 얇은 우적형상 단면의 상하 중간을 묶는 선이 원호상 이것을 닮은 익형을 가진 것이 날개로 불리거나 이러한 형상을 가리켜 편 날개모양 등이라 하는 것이 많다. 그렇지만, 현실에는 사용되는 흐름의 성질(속도·점성 등)에 의해서 단면 형상은 여러가지가 있다. 비행기 등의 고정익기는, 날개를 갖춘 기체 전체가 전진해, 날개에 바람을 받는 것으로 양력을 얻는다. 활공중의 새 등도 같다. 자세한 양력 발생의 원리, 양력과 항력의 관계등에 대해서는 양력이나 항력을 참조. 2차원날개와 3차원날개[편집] 2차원날개 균일한 익형 (어디를 잘라도 같은 단면형)으로, 익폭이 무한대의 날개를 생각해 이 날개에 대한 흐름을 논의하는 일이 있다. 이러한 날개를 2차원날개라고 부른다. 익형의 형상에만 주목해 그 특성만을 논의하고 싶을 때에 상정한다. 반드시 공상상의 날개라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풍동에 익형을 시험한다는 경우, 균일한 익형을 가진 날개의 모형을 풍동내의 전체 폭에 걸쳐서(벽에서 벽으로) 달아 중앙 부근에서는 익폭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어 2차원날개로 취급한다. 3차원날개 현실에 사용되는 날개는 길이가 유한하다. 익평면형이나 상하 방향의 변화(상반각) 등이 문제가 된다. 더욱 익폭방향으로 익형이 변화하는 것도 드물지 않다. 이와 같이 익형(날개 단면)이라는 2차원(평면) 이외의 요소도 고려할 때의 날개를 3차원날개라고 부른다. 헬리콥터의 로터도 양력 발생 원리 자체는 같다. 사진은 시코르스키 CH-53 시 스탤리온. 회전날개[편집] 어느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대속도를 얻는 날개를 회전날개라고 한다. 양력을 발생하는 원리 그 자체는 고정날개과 다르지 않지만, 날개 자체가 회전하는 것으로 주위의 유체와의 상대속도를 얻을 수 있다(즉, 양력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회전날개로 불리는 것은, 회전축이 얇은 편 날개모양 물체의 일단에 있는 것으로, 헬리콥터의 로터·비행기나 선박의 프로펠러·단풍의 종자 등이 같은 것을 가리킨다. 이 경우, 회전축측과 첨단측에서 흐름의 속도에 차이가 성과 양력의 차이가 되기 위해, 양력차이의 경감을 목적으로, 비틀림을 붙이는·위치에 의해서 익형을 바꾼다는 대책이 채택해지는 것이 많다. 자세한 것은 프로펠러·로터·터빈을 참조. 한편, 이러한 원반면내 운동이 아니고 수차와 같은 회전을 하는 날개도 존재한다. 이러한 것은, 별로 회전날개라고 하지 않는다. 문화속의 날개[편집] 신화·종교에서의 날개[편집] 이시스 신(기원전 14세기, 이집트) 페르세폴리스에 남은 조로아스터교의 심볼Faravahar (기원전 6세기?) 사모트라케의 니케 상(c. 190 BC) 무하마드에게 천계를 주는 천사 지브리르(가브리엘) (1307) 아야 소피아 내벽에 복원된 사랍. 6매의 날개만으로 표현되고 있다. (14세기) 비슈누신의 탈 것, 가루다 아즈텍의 유익사신 켓살코아틀  자유의 상징으로서의 날개[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그 외[편집] 이카로스 날개를 이용한 스포츠[편집] 행글라이더 패러글라이더 카이트서핑 각주[편집] ↑ 김태식 기자, '짜장면', 표준어 됐다, 《연합뉴스》, 2011년 8월 31일 작성. ↑ 다만 이 경우는 바람으로부터 동력을 얻는 쪽이다. ↑ 깃털을 가진 공룡이나, 비상 가능한 단계에 이른 소형 공룡의 존재가 알려지게 된 것은, 간신히 20세기 말 이후, 최근 20년 정도의 일에 지나지 않는다. 같이 보기[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날개 위키낱말사전에관련된 항목이 있습니다. 날개 비행 항공: 비행기(항공기) (여객기, 전투기, 제트기 ...등) 동물 및 곤충 (새, 잠자리, 드래곤, 익룡, 박쥐 ...등) 전거 통제 GND: 4419759-7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날개&oldid=24370274" 분류: 유체역학비행항공기 부품조류학곤충해부학숨은 분류: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위키낱말사전과 연결된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አማርኛالعربيةAymar aru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ahasa BanjarMìng-dĕ̤ng-ngṳ̄ČeštinaCymraegDanskEnglishEsperantoEesti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eilge贛語Gàidhlig客家語/Hak-kâ-ngîעבריתHrvatskiKreyòl ayisyenMagyarBahasa IndonesiaIñupiakId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АдыгэбзэҚазақшаಕನ್ನಡKurdîLatinaLingálaLatviešuBahasa MelayuNorsk nynorskNorskOccitanPicardPiemontèisPortuguêsRuna SimiRomânăArmãneashti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Winaray中文文言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3일 (월) 18: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날개 또는 나래는 새나 곤충등의 몸 양쪽에 붙어서 날 수 있게 해주는 기관을 말하며, 비행기 등의 물체를 날 수 있게 해주는 장치를 의미하기도 한다. 곤충의 날개는 외골격이 바뀌어서, 새나 박쥐의 날개는 앞다리가 변화하여 생겼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차원 이외의 요소를 고려할 때의 날개를 무엇이라고 부를까? Assistant: 3차원날개
Human: 아래 검독수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검독수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검독수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검독수리 보전 상태 관심대상(LC), IUCN 3.1 생물 분류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조강 목: 수리목 과: 수리과 아과: 검독수리아과 속: 검독수리속 종: 검독수리 학명 Aquila chrysaetosLinnaeus, 1758 검독수리의 분포 검독수리(Golden eagle)는 수리과에 속하며, 학명은 Aquila chrysaetos 이다. 목차 1 개요 2 외형 3 종 분류 3.1 각 아종과 분포 구역 4 생태 4.1 먹이 활동 4.2 번식 4.2.1 서식 4.2.2 번식 활동 5 개체 수 보존 및 현 상태 6 인간과의 관계 6.1 매사냥 6.2 문장으로의 사용 6.3 종교 6.3.1 북아메리카 6.3.1.1 독수리 포획 문제에 관한 추가 내용 6.3.2 힌두교 7 각주 개요[편집] 북반구에서 가장 잘 알려진 맹금류 중 하나로, 다른 수리과 조류처럼 주행성 맹금류에 속한다. 한 때 전북구 전역에 널리 퍼져 있었으나, 인간의 거주 구역으로부터 점차 사라져갔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멸종되었거나 희귀해 졌으나, 여전히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그리고 일부 아프리카 지역에 흔하게 존재한다. 세계에서 검독수리가 가장 흔하게 서식하는 곳으로는 캘리포니아의 앨러미다 군의 남부 지역이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멸종위기 1급으로 매우 희귀하며, 천연기념물 243-2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1][2][3][4] 검독수리는 전체적으로 어두운 갈색을 띄고 있으며, 머리와 목에 보다 연한 색의 깃털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에 서식하는 종의 몸 길이는 수컷 81cm, 암컷 89cm로 암컷이 더 크며, 날개길이 57~63cm, 꽁지길이 31~35cm, 몸무게 약 4.4kg이고, 날개를 폈을 때의 길이는 2m에 달한다.[5] 검독수리의 먹이로는 토끼, 다람쥐, 청설모, 너구리, 뱀 등이 있으며, 사냥 시 재빠른 속도와 민첩함, 강한 발톱으로 먹이를 공격해 들어올리거나 머리를 제압하는 방법을 쓴다. 먹이가 부족할 때는 사체를 먹기도 하고, 사슴, 산양, 아이벡스등의 대형 포유류나 살쾡이, 여우 등의 육식성 포유류를 사냥하기도 한다. 유라시아에 분포하는 대형종들은 늑대를 사냥하거나 사살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한다. 심지어 불곰의 새끼를 채 간 사례도 있다. 이외에 까마귀, 갈매기와 같은 조류와 함께 백조나 두루미와 같은 대형 조류까지도 먹이가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검독수리는 155km² 정도의 영역을 차지해 생활하며, 수컷 한 마리가 암컷 한 마리와 생활하는 일부일처제를 유지한다. 일부일처제는 암컷을 차지하기 위한 검독수리 수컷간의 싸움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이며, 검독수리 수컷이 암컷보다 작은 이유이기도 하다(수컷간의 경쟁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 수컷의 크기가 클 필요가 없다). 검독수리의 둥지는 절벽, 나무 등의 높은 곳에 지어지며, 전신주와 같은 인공 구조물에 지어지기도 한다. 검독수리는 몇 년에 한 번씩 돌아오는 번식기에 큰 둥지를 짓고, 암컷은 여기에 한 개에서 네 개 가량의 알을 낳으며, 40일 전후의 부화기간을 갖는다.[2] 깨어난 새끼가 둥지를 떠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약 3개월이며, 이 기간동안 1~2마리 정도만이 살아남는다. 외형[편집] 검독수리의 아성체. 꽁지에는 흰 깃털이 있으며 어두운 색의 목 깃털을 가지고 있다. 다 자란 검독수리의 크기는 매우 다양한데, 그 중 가장 큰 종류는 수리과 내에서 가장 큰 종류로 꼽힌다. 검독수리의 몸 길이는 66~90cm이며, 날개 편 길이는 180~234cm, 몸무게는 2.5에서 7kg까지 나간다.[6][7] 가장 작은 종류는 현재 대한민국과 일본에 서식하며, 가장 큰 종류는 카자흐스탄 남부와 중국 남서부 지역, 만주, 인도 북부 등지에 서식한다. 다른 맹금류와 같이, 암컷이 수컷에 비해 훨씬 크며, 검독수리의 경우 암컷의 몸무게가 수컷에 비해 1.25배에서 1.3배 정도 더 나간다. 비행 중인 검독수리. 목 뒤쪽의 노란색 깃털, 꼬리와 날개 관절 부분의 흰 깃털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깃털의 색은 검은 갈색에서 짙은 갈색까지 다양한데, 여기에 정수리와 목 뒤쪽의 깃털은 두드러진 황금빛의 노란색을 띄고 있으며, 햇빛을 받으면 이것이 더욱 두드러져 영어로 "Golden Eagle"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또, 날개의 위쪽도 비교적 밝은 색을 띄고 있다. 다 자라지 못한 새끼도 어미와 대체로 비슷하나, 약간 칙칙한 반점이 여기저기 나 있는 모습을 띄고 있다. 또, 이들은 꼬리에 하얀 줄무늬가 있으며 날개 관절 부위에도 하얀 깃털이 있는데, 이들은 완전히 자라는 5세가 되기까지 서서히 사라지게 된다. 겉 깃털은 짧은 기간안에 털갈이를 한다.[8] 종 분류[편집] 이 종은 카를 폰 린네가 그의 저서 자연의 체계(Systema Naturae)에서 처음으로 분류하였다.[9] 검독수리는 수리과에서 가장 큰 조류 중 하나이며, 세계 대부분의 지역에 광범위하게 서식하고 있는 종이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검독수리는 흰허리독수리, 항라머리검독수리, 쐐기꼬리수리와 함께 범세계적인 우수종을 형성하고 있다고 한다. 각 아종과 분포 구역[편집] Aquila c. chrysaetos (린네, 1758년) – 이베리아 반도를 제외한 유라시아 전 지역, 동,서 시베리아 여기에, 크기나 깃털의 외형면에서 차이를 보이는 5개의 종이 다음과 같이 존재한다. 이들은 세계의 서로 다른 각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Aquila chrysaetos canadensis (린네, 1758년) - 북아메리카. Aquila chrysaetos kamtschatica (니콜라이 세베르조프, 1888년) – 동시베리아의 알타이 산맥에서 캄차카 반도까지. A. c. canadensis속에 속하여 분류되는 경우도 있음. Aquila chrysaetos daphanea (니콜라이 세베르조프, 1888년) – 카자흐스탄 남부, 만주 동부, 중국 남동부, 파키스탄 북부, 카슈미르, 그리고 인도 서부. Aquila chrysaetos homeryi (니콜라이 세베르조프, 1888년) – 이베리아 반도와 북아프리카, 터키 동부와 이란. Aquila chrysaetos japonica (니콜라이 세베르조프, 1888년) – 대한민국과 일본. 중기 홍적세에 현 프랑스 지역에서 존재하던 더 큰 종류의 검독수리는 직계후손종인 Aquila chrysaetos bonifacti로 분류되며, 크레타 섬의 리코 동굴에서 발견된 후기 홍적세의 거대종은 Aquila chrysaetos simurgh라 이름 붙여졌다.[10]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검독수리 위키생물종에 관련된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검독수리 생태[편집] 먹이 활동[편집] 검독수리의 얼굴 모습. 휘어진 부리는 먹이를 찢기에 적합한 도구이다. 검독수리의 주된 먹이는 토끼류나 다람쥐류(들다람쥐, 프레리도그 등)와 같은 작은 포유류로, 이들의 비율이 전체 먹이의 50%에서 94%를 차지한다. 다른 포유동물로는 쥐, 담비, 여우, 새끼 사슴, 산양 등이 자주 먹이로서 사냥당한다.[11] 포유류 다음으로 중요한 먹잇감은 다른 조류들이다. 여기에는 닭목에 속하는 조류가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나, 이외에 어치나 백조 역시 잠재적인 사냥감이다. 먹이가 부족한 겨울에는 사체 또한 검독수리의 먹이에 포함된다. 하지만 그조차도 없을 때에는 다 자란 영양이나 순록과 같이 자신보다 몇 배나 큰 동물조차 먹이로 삼는다.[12] 심지어는 불곰의 새끼를 채 간 1건의 사례가 보고되고 있으며, 다 자란 불곰조차도 검독수리 두 마리의 공격을 받고 달아나는 장면이 촬영된 바 있는데, 여기서 검독수리의 공격은 먹이로 삼기 위해서라기보다는 자신의 영역에 침입한 상대를 쫓아내기 위해 감행된 공격으로 추정된다.[13] 검독수리는 조류 중 단연 최상위 포식자로, 다 자란 검독수리는 다른 맹금류처럼 다른 포식자의 먹이가 되지 않는다. 반면 다른 맹금류에 대한 검독수리의 공격행위는 몇 건 보고된 바 있는데, 개중에는 바다매, 참매, 말똥가리 등이 새끼나 알, 심지어는 성체까지 공격을 받은 사례가 보고되었다. 한편 매, 도둑갈매기, 말똥가리 등은 검독수리의 경쟁 포식자로서 활동하며, 집단적으로 둥지를 틀고 이에 근접해 오는 검독수리에 집단 대항하는 방식으로 검독수리에 대항한다.[14] 한 예로, 매의 둥지에 접근하던 검독수리가 둥지를 지키던 매 암수의 급습을 받고 사망한 사례가 있다.[15] 이러한 사례는 수리류가 매들에 비해 훨씬 크고 강하다는 점을 염두에 둘 때, 극히 드물게 일어나는 일이며 실제로 그 반대의 사례가 훨씬 자주 일어나는 일이다.[16] 그러나 이보다도 검독수리는 다른 맹금류로부터 먹이를 빼앗는 방식을 선호한다. 이들은 시체를 먹는 큰 수리류에 비해 훨씬 작음에도 불구하고, 다수가 연계하여 이들을 사체로부터 몰아낼 수 있다. 검독수리의 시력은 매우 뛰어나며, 극히 먼 거리에서도 먹이를 찾아낼 수 있다. 그 예로, 검독수리가 2km 거리에서 토끼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17] 다만 이는 낮에만 가능하며, 따라서 검독수리는 낮에만 먹이 활동을 할 수 있다. 검독수리의 결단력은 사람보다 몇 배나 뛰어나다. 검독수리의 커다란 발톱은 먹이를 부수거나 죽이고, 운반하는데 주로 사용되며, 휘어진 부리는 먹이를 찢고 삼키는데 사용된다. 검독수리 암수는 역할 분담을 통해 사냥을 하며, 주로 한 쪽이 먹이를 다른 한 쪽이 기다리는 곳으로 모는 방식을 사용한다. 한편, 검독수리 암수간의 크기 차이는 암컷을 사이에 둔 수컷간의 경쟁이 없는데서 비롯된 것으로, 이는 짝짓기를 하지 못한 다른 검독수리가 영역 내에 살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는 원인이 되며, 검독수리의 수명이 매우 길어 자라는 속도가 느림에도 불구하고 많은 개체수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원인이기도 하다. 번식[편집] 서식[편집] 프랑스 알프마리팀주에 위치한 시앙 계곡에 틀려 있는 검독수리의 둥지(왼쪽 중앙부). 검독수리는 보통 집단을 이뤄 함께 살아간다. 이들은 영역 내에 여러 개의 둥지를 틀고 몇 년에 걸쳐 번갈아 가며 사용하는데, 이 둥지들은 주로 굵고 튼튼한 나뭇가지를 골격으로 하고, 여기에 다른 풀들로 장식된 형태를 하고 있다. 오래된 둥지는 지름 약 2미터에 높이 1미터에 달하는데, 이는 검독수리가 필요할 때마다 둥지를 보강하고, 수시로 넓히기 때문에 그 크기가 늘어나는 것이다. 이러한 대규모의 둥지를 나무에 틀 경우, 나뭇가지가 둥지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부러질 수도 있다. 한편 검독수리가 먹이로 하기에 너무 작은 동물들은 검독수리의 둥지를 피난처로 삼기도 하는데, 이는 이들을 먹이로 하는 포식자들의 경우 검독수리의 먹잇감으로 적합한 크기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검독수리의 영역 내로 접근하지 않으려 하며, 따라서 자연적으로 검독수리의 둥지 근처에 거주할 경우 이들로부터 안전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번식 활동[편집] 생후 14일이 된 검독수리의 새끼. 일반적으로 검독수리는 4~5살을 전후해 번식 활동을 시작한다. 일부일처의 대표적인 동물로써 검독수리는 짝짓기 후 수 년간 서로간의 신뢰를 굳건히 하는 행동을 하는데, 이를 위해 암수는 각각 서로를 다른 맹금류로부터 헌신적으로 보호하며, 추운 겨울철에도 서로의 곁을 떠나지 않는다. 검독수리 암컷은 한 개에서 네 개 까지의 알을(보통 두 개 정도) 1월에서 9월 사이에 낳는다. 알은 순백색에서부터 계피색, 혹은 갈색의 점이나 얼룩이 섞인 형태 등 다양한 색을 띈다. 이들은 첫 번째 알을 낳은 직후부터 부화를 시작해 새끼가 태어나는 40-45일까지 이를 계속한다.[18] 갓 태어난 새끼는 하얀 솜털로 덮여 있으며, 나는 법을 배워 직접 사냥을 할 수 있는 50일이 되기까지 어미로부터 먹이를 받아 먹는다. 거의 대부분의 경우 새끼 중 먼저 태어난 쪽이 살아남으며, 다른 한 쪽은 둥지를 떠나지 못하고 죽는데, 이는 먼저 태어난 새끼가 자라는데 보다 유리하며, 따라서 어미가 가져온 먹이를 둔 다툼에서 대부분 승리하여 먹이를 독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새끼간 먹이 경쟁은 먹이가 부족할 때 어미의 먹이 활동량을 줄일 수 있으며, 다른 새끼의 몫까지 챙기려 들 경우 오히려 먼저 난 새끼가 부화 직후 사망할 수 있기 때문에 종족 번식을 위해서는 효율적인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먹이가 풍족할 때는 두 마리가 무사히 성체가 된다. 검독수리는 새끼를 돌보고 키우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며, 사냥을 할 수 있을 정도까지 무사히 자란 대부분의 검독수리는 수 년간 생존할 수 있으나, 그 이전에는 가장 먼저 태어난 새끼조차도 생후 일주일 간이 가장 큰 고비로, 이 기간 동안의 사망률이 매우 높은 편이다. 개체 수 보존 및 현 상태[편집] 모스크바 동물원의 검독수리. 한 때, 검독수리는 유럽, 아시아 북부, 북아메리카, 북아프리카, 일본 등지에 서식했다. 과거 검독수리는 숲과 평원에도 널리 살았지만, 현재에는 거의 대부분 산지에 서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최근에는 덴마크, 스웨덴 등지에서 검독수리가 다시 저지대에 둥지를 틀기도 한다. 중부 유럽에 거주하던 검독수리의 수는 크게 줄어, 현재는 아펜니노, 알프스, 카르파티아 산맥과 같이 인간의 거주가 극히 제한된 지역에서만 서식한다. 영국의 경우, 2003년 대대적인 조사가 이루어진 결과 442개의 거주지를 발견하였다.[19] 한편, 2007년에 이루어진 보다 작은 규모의 조사에 따르면 스코틀랜드 고지대와 헤브리디스 제도에 대규모의 서식지가 추가로 발견되었으며, 스코틀랜드 남부와 잉글랜드 북부에도 소규모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20] 또한, 1969년과 2003년 사이 컴브리아주의 레이크 디스트릭트에도 이들이 서식하고 있다고 한다.[19] 아일랜드의 검독수리는 사냥으로 인해 1912년에 멸종되었는데, 이를 재도입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다. 이에 따라, 2001년에서 2006년까지 총 46마리의 검독수리가 글렌비히 국립 공원과 더니골주에서 방사되었는데, 이후 최소 3마리의 검독수리 암컷이 사망했음을 확인하였다. 이외에도 안정적인 개체 수 확보를 위해 앞으로 총 60마리의 검독수리를 방사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러한 노력으로 2007년 4월에는 검독수리 암수 한 쌍이 아일랜드에서 100여 년 만에 처음으로 새끼를 부화시켰다. 한편, 글렌비히 국립 공원에서 검독수리의 번식을 촉진하려던 계획은 실패로 돌아갔다.[21] 북아메리카의 경우 심각한 수준은 아니지만 개체 수의 눈에 띄는 감소가 일어나고 있다. 개체 수 감소의 가장 큰 원인은 19세기 말부터 진행된 거주하던 영역의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이다.[22] 20세기에는 중금속 중독 또한 빈번한 문제였지만, 이는 환경 오염에 대한 강력한 규제로 인해 그 심각성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미국에서 검독수리는 흰머리독수리와 함께 보호 법령 제정을 통해 법적으로 보호받고 있다. 현대에 검독수리에게 주어진 거주지와 먹이의 양은 극히 제한적인 요소이다. 20세기 초 송전선과의 충돌은 검독수리의 매우 심각한 사망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볼 때, 검독수리의 개체 수는 여전히 아시아 및 아메리카에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는 상태로, 국제 자연 보호 연맹의 기준으로 볼 때 멸종 위기에 있지는 않은 안전 상태이다. 인간과의 관계[편집] 키르기스 사냥꾼과 검독수리. 매사냥[편집] 주로 매를 길들여 샤낭에 이용하는 매사냥은 검독수리에게도 해당되는 것으로, 이들을 생포한 후 길들여 사냥에 이용하는 사냥법이 일부 지역에서 진행되었다. 이것이 이루어지는 대표적인 곳은 중앙아시아로,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몽골과 같은 지역의 유목민들이 검독수리를 이용한 사냥을 계속하고 있다.[23] 이러한 사냥의 전통은 매우 오래되었는데, 몽골 지역에서 청동기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매사냥에 사용되는 암석 조각이 발견되었다.[24] 이러한 사냥을 하는 사냥꾼들은, 이 기술을 어린 시절부터 익히고 그 후대에 다시 익히게 하는 방법으로 대대로 전승시켜왔는데, 이 기술을 익히는 것은 한 번이 아닌 여러 단계에 걸쳐 서서히 이루어진다. 이렇게 기술을 익힌 사람만이 보다 크고, 강하고, 위험한 검독수리를 훈련시킬 수가 있는데, 이마저도 그 기술을 가르쳐준 스승의 감시하에 행해진다.[25] 한편, 카자흐스탄의 경우 이렇게 길들여진 검독수리의 이름은 그 나이에 따라 다르게 불리게 된다. 검독수리를 매사냥에 이용하기 위해 훈련할 때는 아성체, 즉 갓 날기 시작한 어린 검독수리를 주로 사용한다. 검독수리를 포획하는데는 약 1~2일이 걸리는데, 사냥꾼은 이를 위해 비둘기와 같은 먹잇감을 미끼로 이들을 유인해 사로잡는다. 이렇게 사로잡은 검독수리를 수 일간 방치해 두면, 이들은 굶주림과 불면증으로 쇠약해지는데, 이 때 조련사가 악기 등을 연주하며 이들과의 교감을 시도하고, 이후에는 직접 먹이를 주면서 이들을 훈련하기 시작한다. 검독수리는 인간에 대한 경계심이 극도로 높아 이를 대부분 거부하며, 심지어는 조련사를 공격하려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후에는 점차 익숙해지고, 조련사에게 복종적으로 변해가기 시작한다. 다음에는 본격적으로 훈련을 시작하는데, 마치 개를 훈련시킬 때 줄로 묶은 공을 사용하는 것처럼 고기를 채워넣은 동물 인형을 이용해 훈련을 한다. 굶주린 검독수리는 이를 실제 먹잇감처럼 사냥해 운반하고, 속에 채워진 먹이를 먹음으로써 사냥에 대한 능력을 키워가게 된다. 이외에 조련사는 검독수리를 안장 위에 앉혀, 함께 사냥터로 나가는데, 이는 흔들림과 말발굽 소리에 적응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조련사의 손등 위로 돌아오도록 하는 훈련도 하는데, 이렇게 여러 가지의 훈련을 거친 후에야 검독수리는 사냥 도구로서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며, 더 이상 조련사로부터 벗어나려는 시도를 하지 않게 된다.[26][27] 문장으로의 사용[편집] 멕시코의 독수리 문장. 검독수리는 현재 독일, 알바니아, 오스트리아, 멕시코, 카자흐스탄 5개 국의 국조이며, 이 중 독일, 알바니아, 오스트리아는 신성 로마 제국으로부터 계승한 것이다. 또, 검독수리는 아랍 국가들의 문장으로도 널리 쓰이는데, 대표적인 예가 살라딘의 독수리 문장이다. 이 영향으로, 현재 이 문장은 이집트, 이라크, 팔레스타인에서 계속 사용되고 있으며, 리비아와 예멘에서도 과거에 사용했었다. 검독수리는 독수리자리의 모태인데, 이 독수리자리는 로마 군단의 깃발로 사용되었다. 이는 이후에도 독일, 알바니아, 오스트리아, 멕시코, 이집트, 루마니아, 이외에 다른 여러 국가들에서도 문장으로써 사용되었다. 종교[편집] 북아메리카[편집] 검독수리의 깃털로 된 모자를 쓰고 있는 파토와미족 추장. 1925년. 독수리류는 일부 문화권, 특히 아메리카 원주민 및 캐나다 원주민들 사이에서 라틴아메리카의 원주민들 만큼이나 많은 수에 의해 종교적으로 신성시되는 새이며, 특히 독수리의 깃털은 종교 의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상징물이다. 일부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독수리를 신성시하여 존경하며, 흰머리독수리 및 검독수리의 깃털 외 다른 신체 부분 또한 신성시한다. 독수리의 깃털은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머리 장식으로 자주 사용되는데, 이 장식은 기독교의 성경이나 십자고상에 비견될 만한 중요 상징물이다. 독수리 깃털은 또한 원주민들의 각종 의식과 행사에 널리 사용되는데, 주로 우수한 능력을 발휘한 지도자에 대한 영예와 같은 부족에 경사스러운 일을 기리는 의식에 많이 사용된다. 현재 미국 정부는 독수리 깃털에 관련해 법률을 제정하여 의식에 사용하기 위해 독수리의 깃털을 얻으려 할 경우 선조 대에 등록을 신청하여 미 연방에 의해 정식 부족으로써 인정을 받은 원주민에 한해서만 이를 허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전통 의식을 위한 독수리 깃털의 보급은 세습 재산으로써 취급되어 이에 대한 전통적으로 소유권을 지닌 이에 한해서 제한없이 행해질 수 있다. 한편, 검독수리나 그 깃털 및 신체 일부에 대한 상업적 거래는 불법으로 간주된다.[28] 2006년 2월 1일, USFWS의 대표인 데일 홀은 2006년 호피족의 독수리 깃털 채집에 대한 새로운 내용을 허가하여 이슈가 되었다. 또, 이듬해 4월 26일에는 또다른 허가 여부가 관심사로 떠오르기도 했다. 이전 허가 사항에서 호피족에게는 40마리의 검독수리 새끼를 깃털 채집을 위해 포획하는 것이 허용되어 있었다. 2003년 발족한 이래, 뉴멕시코 주의 앨버커키 시 담당자를 제외한 USFWS의 수뇌부는 2006년과 2007년에 독수리 깃털 채집에 대한 허가를 하여 이슈화되었다.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새롭게 종교 의식으로써 시작한 독수리 수집은 호피족을 선두로 다른 부족들까지 살아있는 독수리를 포획하기 위해 USFWS의 허가를 받으려 하게 하고 있다. 독수리 포획 문제에 관한 추가 내용[편집] 예메즈 푸에블로 카운티 - 2006년 10월, USFWS에 의해 예메즈 푸에블로 카운티에 대해 미국 산림청이 관리하는 발데스 칼데라에 서식하는 개체 중 2마리의 검독수리 포획하는 것을 허가하였다. USFWS는 2002년 예메르 푸에블로의 독수리 채집 신청을 기각한 바 있었다. 이 허가 이후 2007년 예메즈 푸에블로는 검독수리 미성체 2마리를 성공적으로 포획하였다고 보고하였다. 타오스 푸에블로 카운티 - 2007년 2월, USFWS는 뉴멕시코의 타오스 카운티에 위치한 타오스 푸에블로족 영토 내의 검독수리 성체 1마리를 사냥하는 것을 허가하였다. 여기에 허가인에 대해 사냥한 검독수리의 신체 부분을 미국 내 어디로든 이송할 수 있다는 추가적인 허가가 내려졌다. 이슬레타 푸에블로 카운티 - 2007년 4월, 뉴멕시코의 베르나릴로 및 발렌시아 카운티에서 2마리의 검독수리 성체를 포획하는 것에 대한 허가가 있었다. 힌두교[편집] 비슈누 신의 동물인 가루다의 모습. 힌두교에서 가루다는 하급 신성물로, 비슈누신의 이동 수단으로서 묘사된다. 가루다는 황금색 신체를 가진 건장한 남성의 모습에 흰 얼굴, 붉은 날개, 그리고 독수리의 입을 가졌고 머리에는 왕관을 쓰고 있다. 이 고대 신은 태양을 가릴 정도로 거대하다고 한다. 각주[편집] ↑ Petersen-Raptors of California ↑ Kqed.org, "Cool critters the Golden Eagle". ↑ Kqed.org, "fatal attraction birdsd and wind turbines". ↑ 검독수리(Golden Eagle, 천연기념물 제243-2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깨진 링크([http://web.archive.org/web/*/http://100.naver.com/100.nhn?docid=8315 과거 내용 찾기)] 네이버 백과사전, 검독수리 [golden eagle]][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Ferguson-Lees & Christie (2001). Raptors of the World. Houghton Mifflin Company ISBN 978-0-618-12762-7 ↑ Golden Eagle. San Diego Zoo Animal Bytes ↑ David H. Ellis, James W. Lish, Marc Kery and Stephen M. Redpath (2006) Short-term oscillations in avian molt intensity: evidence from the golden eagle Aquila chrysaetos. Journal of Avian Biology 37:642-644 ↑ "[Falco] cera lutea, pedibus lanatis, corpore fusco ferrugineo vario, cauda nigra basi cinereo-undulata." - "A [diurnal raptor] with yellow cere, [feathered tarsometatarsus], body dusky brown variegated with rusty, tail black with ashy-waved base." (Linnaeus 1758) ↑ Sánchez Marco (2004) ↑ Youtube.com ↑ Cornell University ↑ Sørensen, Ole; Mogens Totsås, Tore Solstad, Robin Rigg (2008). “Predation by a Golden Eagle on a Brown Bear Cub” 19 (2): 190–193.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Cornell University ↑ [1] ↑ Cornell.edu ↑ Molly Kirk, David Denning. “What animal has the sharpest eyesight?”. 《BioGalleries》. BioMedia Associates. 2008년 1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 декабря 2009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도움말) ↑ Golden Eagle. (2009). Encyclopædia Britannica. Ultimate Reference Suite. Chicago: Encyclopædia Britannica. ↑ 가 나 Mark Holling and the Rare Breeding Birds Panel Report for 2003-4 accessed 4 March 2010. ↑ Mark Holling and the Rare Breeding Birds Panel (2010). “Rare breeding birds in the United Kingdom in 2007”. 《British Birds》 103: 45–6.  ↑ RTÉ News (2007) ↑ E.g. Henninger (1906) ↑ Gates (1990) ↑ 인용 틀이 비었음 (도움말)  ↑ Рудь М. “Беркут”. Натуралист (украинский журнал). 8 декабря 2009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도움말) ↑ “Охота с ручным беркутом”. ЮНЕСКО. 8 декабря 2009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도움말) ↑ Энциклопед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 Ф. А. Брокгауз, И. А. Ефрон — СПб., 1891 Т. 3А (6): Бергер — Бисы. ↑ USDCDN (1986), USFWS-SR (2001), USFWS-OLE (2004a,b), e-CFR (2008) 생물 분류 식별자 Wd: Q41181 ADW: Aquila_chrysaetos ARKive: aquila-chrysaetos Avibase: 5F8E7CA845BD413F BioLib: 8534 eBird: goleag EoL: 10985575 EPPO: AQUICR 유럽식물데이터베이스: 96734 화석연구데이터베이스: 94489 GBIF: 2480506 IBC: golden-eagle-aquila-chrysaetos iNaturalist: 5074 IRMNG: 10194898 ITIS: 175407 IUCN: 22696060 NCBI: 8962 Species+: 6150 WoRMS: 159107 Xeno-canto: Aquila-chrysaetos 전거 통제 GND: 4183017-9 NDL: 0106267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검독수리&oldid=24475460" 분류: IUCN 적색 목록 관심대상종검독수리속일본의 천연기념물1758년 기재된 동물수리멕시코의 새미국의 새캐나다의 새아시아의 새유럽의 새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인용 오류 - 날짜인용 오류 - 인용 틀이 비었음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From 변수가 없는 생물 분류 식별자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생물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АҧсшәаAlemannisch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rezhonegCatalàНохчийнCebuanoᏣᎳᎩTsetsêhestâheseCorsu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FryskGaeilgeGàidhlig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Interlingua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urdîКыргызчаLatinaLumbaart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မြန်မာဘာသာ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Diné bizaadOccitanИрон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Саха тыла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ТоҷикӣไทยTürkmençe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inaray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4일 (월) 20: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검독수리(영어: golden eagle, 학명: Aquila chrysaetos)는 수리과에 속하는 맹금류다. 북반구에서 가장 잘 알려진 맹금류 가운데 하나이며, 다른 수리과 조류처럼 주행성 맹금류에 속한다. 한때 전북구 전역에 널리 퍼져 있었으나, 인간 거주 지역부터 점차 사라졌으며, 일부 지역에서 멸종했거나 희귀하며, 여전히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일부 아프리카 지역에서 흔하게 서식한다. 세계에서 가장 큰 검독수리 서식지는 캘리포니아의 앨러미다군 남부 지역이다. 대한민국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희귀한 겨울철새이자 텃새다. 또한 천연기념물 243-2호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경기도 천마산, 내장산, 영월 동강, 두타연 등지에서 번식하였으나, 현재 거의 사라졌다. 한국에 서식하는 아종은 일본에도 서식하며 다른 아종에 비해 몸집이 작다. 대한민국 환경부 조사에 따르면, 비무장지대에도 서식한다고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갓 태어난 검독수리가 나는 법을 배우고 직접 사냥을 할 수 있게 되기까지는 몇 일이 걸립니까? Assistant: 50일 Human: 아래 아라곤_연합왕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아라곤 연합왕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라곤 연합왕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아라곤 연합왕국 아라곤어: Corona d'Aragón카탈루냐어: Corona d'Aragó라틴어: Corona Aragonum스페인어: Corona de Aragón ←  ← 1162년 – 1716년 →  →   → 국기 문장 수도 불명확 정치공용어 아라곤어, 카탈루냐어, 카스티야어, 라틴어정부 형태 전제군주제역사 • 연합왕국 성립 1162년지리1443년 어림 면적 250,000km2인구1443년 어림 300,000명 인구 밀도 1.2명/km2기타국교 로마 가톨릭 아라곤 연합왕국(아라곤어: Corona d'Aragón, 카탈루냐어: Corona d'Aragó, 라틴어: Corona Aragonum, 스페인어: Corona de Aragón)은 아라곤의 군주가 지배하는 국가들의 동군 연합으로 이뤄진 왕국이다. 14세기와 15세기에 전성기를 맞은 아라곤 연합왕국은 오늘날의 스페인 동부와 프랑스 남서부, 그리고 그리스까지 걸친 지중해의 주요 섬으로 해양 왕국이었다. 각 왕국들은 같은 왕이 지배한다는 것 외에는 정치적으로 통일되어 있지 않았다. 현대적 의미에서 아라곤 연합왕국은 단일한 국가라기보다는 연방제의 형태를 갖고 있었으며, 이런 의미에서 아라곤 연합왕국은 그 일부인 아라곤 왕국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1469년 가톨릭 군주들의 결혼으로 아라곤 연합왕국과 카스티야 왕국이 결합하여 스페인 왕국의 토대를 쌓았다. 이후 아라곤 연합왕국은 합스부르크 왕가가 세습하게 되어, 1716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의 결과로 아라곤 연합왕국이 해체될 때까지 이어졌다. 목차 1 배경 2 역사 2.1 기원 2.2 영토확장 2.3 카스티야와의 연합 2.4 해체 3 수도 4 영토 5 각주 6 외부 링크 배경[편집] 아라곤 연합 왕국의 정치적 수도는 사라고사로, 아라곤의 왕은 이 도시의 라 세오 대성당에서 대관식을 치렀다. 아라곤의 경제 중심지는 바르셀로나와 발렌시아였다. 팔마데마요르카 또한 중요한 항구도시였다. 아라곤 연합 왕국은 최종적으로 아라곤 왕국, 바르셀로나 백작령, 발렌시아 왕국, 마요르카 왕국, 시칠리아 왕국, 몰타, 나폴리 왕국, 사르데냐 왕국을 포함하게 되었다. 또한 몽펠리에, 프로방스, 코르시카, 네오파트리아 공국, 아테네 공국을 잠시동안 지배하였다. 오늘날의 스페인과 포르투갈 지역은 722년부터 "레콘키스타"라 불리는 주기적인 전투와 함께 중세를 보냈다. 북부의 기독교 왕국들은 알안달루스의 이슬람 소왕국들과 싸우고, 때로는 서로 싸우기도 했다. 중세 후기에 들어서 남쪽으로 확장을 계속한 아라곤 연합 왕국과 무르시아 동쪽으로 확장한 카스티야 연합 왕국이 서로 만나게 되었다. 이후 아라곤 연합 왕국은 그리스에서 바르바리 해안에 걸친 지중해 방향으로 힘을 기울였다. 아라곤의 지중해 제국 건설 과정에서, 각 연합 왕국에서 온 "알모가바르"라는 용병들이 참여하였다. 어떤 이들은 아라곤 연합 왕국을 수백년동안 지중해를 지배한 해양 제국으로 간주한다. 예를 들어 카탈루냐어로 쓰인 《바다의 영사》는 세계 최초로 편찬된 해양법 법전이다. 아라곤의 전성기에는 실제로 유럽의 주요 강대국 가운데 하나였다. 그러나 서로 다른 왕국이 국왕을 통해서만 정치적 연합을 이루었으므로, 동시대인 Marqués de Lozoya는 아라곤 연합 왕국이 연방제 국가일 뿐 중앙집권화된 왕국이 아니며, 제국은 더더욱 아니라고 서술했다.[1] 아라곤을 제국으로 언급하는 당시의 공식 문서도 존재하지 않으며, 자치 국가들의 연합으로 간주되었다. 역사[편집] 기원[편집] 16세기 회화에 묘사된 아라곤 여왕 페트로넬라와 바르셀로나 후작 라몬 베렝게르 4세 아라곤 연합 왕국은 1137년 아라곤 여왕 페트로넬라와 바르셀로나 백작 라몬 베렝게르 4세의 결혼으로 아라곤 왕국과 바르셀로나 백작령(프로방스 후작령 포함)이 연합하면서 시작되었다.[2][3] 두 사람 사이에 낳은 아들 알폰소 2세가 1162년 왕위에 오르면서 두 왕국의 군주가 되었다. 연합 후에도 양국의 통치기구와 의회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바르셀로나 백작령이 더 부유했으나, 아라곤 왕가가 "에스파냐의 황제"라 불린 나바라의 산초 3세의 후손으로 더 높은 작위를 가졌으므로 연합 왕국의 이름은 아라곤이 되었다.[4] 또한 군사적 재능이 형편없어 "수도승"이란 별명으로 불린 페트로넬라 여왕의 아버지 라미로 2세가 딸을 바르셀로나 백작 라몬 베렝게르 4세와 혼인시키기로 결정하면서, 자신을 "나의 왕이자 주군이시며 아버지"라고 부르도록 요구하였다. 따라서 라몬 백작은 형식적으로 아라곤 왕가의 일원이 되어 아라곤 공작의 작위를 받았다. 영토확장[편집] 알폰소 2세는 발렌시아를 정복할 기회를 노렸으나, 나바라의 산초 6세의 침공으로 야심을 버려야 했다. 알폰소 2세는 전선의 안정을 꾀하기 위해 카스티야의 알폰소 8세와 카졸라 협정을 맺어, 각자 점령할 수 있는 이슬람 영토의 한계를 정하고, 카스티야가 무르시아를 점령하는 대신 발렌시아는 아라곤 왕국이 갖기로 협정을 맺었다. 9세기 이후 아키텐 공작, 푸아 후작, 툴루즈 후작과 아라곤의 군주들은 오시타니아의 여러 지역들을 지배하기 위해 경쟁하였다. 카타리파 또는 알비파라 불린 기독교 교파가 로마 가톨릭에 대항해 반란을 일으켜, 아라곤은 프랑스 남부에서의 영향력을 잃었다. 교황 인노첸시오 3세의 요청을 받아 알비 십자군을 일으킨 프랑스의 필리프 2세는 오시타니아 지방을 완전히 점령하여, 프랑스 북부의 카페 왕조가 이 지역을 지배하게 되었다. 아라곤의 페드로 2세가 1212년 가을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에서 이슬람군을 물리치고 돌아왔을 때, 레스터 백작 시몽 드 몽포르는 툴루즈를 점령하고 페드로 2세의 매형이자 신하인 툴루즈 후작 라몬 6세를 추방했다. 군대를 이끌고 피레네 산맥을 넘어 진군한 페드로는 뮤헤에서 라몬 6세의 군대와 합류하여 시몽 드 몽포르와 맞섰다. 1213년 9월 12일 벌어진 뮤헤 전투에서 페드로는 만용을 부리다 전사하고, 아라곤 군대는 대패하였다. 이 전투의 결과로 아라곤 연합 왕국은 프랑스 왕국의 오시타니아 지배를 인정해야 했다. 13세기 아라곤의 하이메 1세는 영토 확장 전쟁을 개시하여 마요르카 섬을 합병하고 발렌시아 왕국을 절반 이상 차지하였다. 마요르카의 하우메 2세가 지배하고 있던 세르다냐, 루시용, 몽펠리에는 이때부터 사실상 아라곤에 합병되었고, 발렌시아는 기존의 통치기구를 그대로 유지한 채 연합 왕국의 세 번째 구성원이 되었다. 1258년 아라곤과 프랑스는 협정을 맺어, 아라곤은 피레네 이북에서의 영향력을 포기하고 프랑스는 카탈루냐에 대한 영유권을 포기하기로 하였다.[5] 1266년 1월 하이메 1세는 무르시아를 점령하고 자신의 카탈루냐 백성들을 이주시킨 후, 카졸라 협정에 따라 카스티야에 넘겼다.[6] 1282년 시칠리아인들이 앙주 왕가에 반란을 일으켜 주둔군을 학살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아라곤의 페드로 3세는 시칠리아인들의 요청을 받고 성대한 환영을 받으며 시칠리아에 상륙했다. 이 사건에 분노한 교황 마르티노 4세는 시칠리아에 성무금지 조치를 내리고, 페드로 3세를 파문했다. 아라곤의 하이메 2세는 발렌시아를 완전히 점령하여, 아라곤을 유럽의 강대국으로 끌어올렸다. 1297년 교황 보니파시오 8세는 사르데냐-코르시카 왕국을 하이메 2세에게 주어 연합 왕국에 추가시켰으나, 이 연합은 1세기도 유지되지 못했다. 1381년 아라곤의 페드로 4세와 시칠리아의 마리아 여왕의 결혼으로 시칠리아 왕국, 아테네 공국, 네오파트리아 공국이 연합에 추가되었다. 그러나 1388년 네리오 1세 아치아이올리에게 그리스 영토를 잃었다. 1422년 알폰소 5세는 나폴리 왕국을 점령했다. 중세 사회에서 근대 초기의 절대 왕정으로 전이하는 다른 왕국과 마찬가지로, 아라곤 국왕은 귀족들과 끊임없이 세력다툼을 하였다. 아라곤 국왕은 무어인들에게서 빼앗은 발렌시아, 마요르카 등의 도시를 귀족들에게 나눠주는 대신, 일종의 자치 기구인 "푸에로"(스페인어: fuero, 카탈루냐어: furs)를 설치하여 귀족들의 권력을 제한했다. 이웃의 카스티야 왕국 또한 마찬가지로 레콘키스타에서 획득한 도시를 봉건 귀족의 영지로 주는 대신 자치권을 부여했다. 카스티야와의 연합[편집] 카스티야와 레온, 그리고 아라곤, 발렌시아, 시칠리아, 마요르카의 왕과 여왕이 된 페르난도 5세와 이사벨 1세 1410년 아라곤의 마르티노 1세가 후사를 남기지 못하고 죽었다. 따라서 아라곤, 발렌시아, 바르셀로나의 대표가 모여 난투극으로 이어진 격렬한 논쟁 끝에 페드로 4세의 외손자이자 카스티야의 왕족인 페르난도 엘 데 안테케라가 추대되어 페르난도 1세로 왕위에 올랐다. 페르난도 1세의 손자 페르난도 2세는 프랑스와 나바라에 빼앗긴 카탈란 북부의 루시용과 세르다냐 지방을 다시 빼앗아 왔다. 1469년 페르난도 2세는 카스티야 엔리케 4세의 이복누이이자 나중에 카스티야와 레온 왕국의 여왕이 된 이사벨 왕녀와 결혼식을 올렸다. 그들의 결혼으로 이루어진 두 왕국의 연합은 장차 스페인 왕국의 기반이 되었다.[7][8][9] 이 시점에서 아직 카스티야와 아라곤 연합 왕국은 각각 기존의 통치기구를 유지한 채 독립적인 왕국으로 남았다. 신성 로마 제국의 카를 5세이기도 했던 카를로스 1세는 1516년 포르투갈과 알가르브를 제외한 이베리아 반도의 왕국들을 통합하여 단일한 국가로서의 스페인을 완성하였다. 해체[편집] 발렌시아, 마요르카, 시칠리아의 점령이 가져온 급격한 인구증가는 아라곤 연합 왕국의 전성기를 가져온 한편, 사회적 갈등도 불러왔다.[10] 이후 아라곤의 경제력과 군사력은 성장을 멈추고, 아라곤 왕국의 권력은 차츰 새로운 스페인 연합 왕국으로 이동했다. 아라곤은 1659년 루시용을 잃고, 1707년-1716년 미노르카 및 이탈리아 영토들을 잃었으며, 스페인 궁정의 정책으로 정부의 공용어 또한 카스티야어로 변경되었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직후인 1716년, 스페인의 펠리페 5세는 아라곤 연합 왕국과 그 통치기구들을 폐지하고 모든 영토를 카스티야 왕국에 흡수하여, 부르봉 왕가가 지배하는 단일한 전제주의 왕국으로서의 스페인 통합을 완료했다.[11] 수도[편집] 알폰소 5세와 페르난도 2세가 나폴리에 수도를 정한 뒤, 15세기와 16세기에 걸쳐 아라곤 연합 왕국의 실질적 수도는 나폴리였다. 특히 알폰소 5세는 나폴리를 수도로 삼기 위해 큰 돈을 들여 나폴리의 궁정을 아름답게 꾸몄다.[12] 이후 펠리페 2세 시대까지 아라곤 궁정은 고정된 도시에 있지 않고 이동하였다.[13] 아라곤 왕들은 사라고사의 라 세오 대성당에서 대관식을 올렸으므로 사라고사를 상징적 수도로 볼 수는 있으나, 경제적 행정적 수도는 아니었다. 영토[편집] 안도라 코르시카 아테네 공국 네오파트리아 공국 아라곤 왕국 마요르카 왕국 나폴리 왕국 사르데냐 왕국 시칠리아 왕국 발렌시아 왕국 몰타 카탈루냐 루시용 프로방스 몽펠리에 제보당 각주[편집] ↑ Marqués de Lozoya, Historia de España, Salvat, ed. 1952, vol. II page 60: "El Reino de Aragon, el Principado de Cataluña, el Reino de Valencia y el Reino de Mallorca, constituyen una confederación de Estados". ↑ Thomas N. Bisson, The Medieval Crown of Aragon: a short history, 1986, chapter II. The age of the Early Count-Kings (1137–1213) (The Principate of Ramon Berenguer IV 1137–1162), page 31 ↑ Cateura Benàsser, Pau. “Els impostos indirectes en el regne de Mallorca.” (PDF). 2008년 4월 24일에 확인함.  El Tall dels Temps, 14. (Palma de) Mallorca: El Tall, 1996. ISBN 84-96019-28-4. 127pp. ↑ “The Kingdom of Aragon”. Aragón Turismo. 2010년 9월 20일에 확인함.  ↑ H. J. Chaytor. “Chapter 6, James the Conqueror”. 《A History of Aragon and Catalonia》. 2008년 4월 25일에 확인함.  ↑ Bisson 1986:67 ↑ Stanley G. Payne. “Chapter Nine, The United Spanish Monarchy”. 《A History of Spain and Portugal》. 2008년 4월 17일에 확인함.  ↑ H. J. Chaytor. “Juan II. Union of Aragon with Castile”. 《A History of Aragon and Catalonia》. 2008년 4월 17일에 확인함.  ↑ Richard Herr. “Chapter 3, The Making of Spain”. 《An historical essay on modern Spain》. 2008년 4월 17일에 확인함.  ↑ Bisson T. N. Epilogue, page 188-189 ↑ Bisson T. N. Epilogue, page 189 ↑ History books (Donzelli), Medieval Historic, Rome 1998, ISBN 88-7989-406-4 ↑ A team of investigators of the UIB directed by Doctor Josep Juan Vidal. “Felipe II, the King that defended Majorca but didn't want to recognize all its privileges” (PDF). Servei de Comunicacions de la UIB. 2008년 5월 29일에 보존된 문서 (PDF). 2008년 4월 17일에 확인함.  (스페인어) 외부 링크[편집] 아라곤 연합 왕국의 카탈루냐 문학 vdeh아라곤 국왕Rei d'Aragón시메나가 레미로 1세 산초 페로 1세 알리폰소 1세 로 바탈레로 레미로 2세 오 몬체 페이로넬라 바르셀로나가 알리폰소 2세 오 카스토 페로 2세 오 카톨리코 차이메 1세 오 콘퀘리도르 페로 3세 로 그란 알리폰소 3세 오 리베랄 차이메 2세 엘 후스트 알리폰소 4세 로 부에노 페로 4세 오 케리모니오소 추안 1세 오 카사타이레 마르틴 1세 루마니스타 트라스타마라가 페란도 1세 단테케라 알리폰소 5세 로 마그나니모 추안 2세 엘 센세페 페란도 2세 오 카톨리코 추아나 1세 라 로카 압스부루고가 카를로스 1세 엘 케사르 펠리페 1세 로 푸르덴트 펠리페 2세 오 피아도소 펠리페 3세 로 그란 카를로스 2세 엘 헤치사도  « 나바라 국왕 스페인 국왕 »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라곤_연합왕국&oldid=24390288" 분류: 아라곤 연합왕국스페인의 중세사유럽의 옛 왕실이탈리아반도의 옛 나라프랑스의 중세사숨은 분류: 아라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카탈루냐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스페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lemannisch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rezhoneg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Hrvatski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atinaLatviešuМакедонскиمازِرونی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PortuguêsRuna SimiРусскийSardu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Українськаاردو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6일 (목) 23:0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아라곤 연합왕국(UK: /ˈærəɡən/ ARR-ə-gən, US: /-ɡɒn/ -⁠gon)은 국왕이 다스리는 봉건군주제로 아라곤 왕국과 바르셀로나 백국의 왕조적 연합에 의해 시작되었고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의 결과로 끝났다. 14세기와 15세기에 권력이 절정에 달했을 때 아라곤 연합왕국은 오늘날 스페인 동부의 상당 부분, 현재 프랑스 남부의 일부, 발레아레스 제도와 시칠리아를 포함하는 지중해의 제국을 지배하는 탈라소크라시였다. 코르시카, 사르데냐, 몰타, 이탈리아 남부(1442년부터) 및 그리스(1388년까지)의 일부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알폰소 2세가 왕이 된 년도는? Assistant: 1162년
Human: 아래 안토니오_비발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안토니오 비발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안토니오 비발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비발디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비발디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안토니오 비발디Antonio Lucio Vivaldi 기본 정보출생 1678년 3월 4일(1678-03-04) 이탈리아 베네치아사망 1741년 7월 28일 (63세) 이탈리아 베네치아직업 바이올린 연주가, 작곡가장르 클래식 음악악기 바이올린활동 시기 1701년 ~ 1741년 배우자 無종교 천주교(가톨릭 사제) 안토니오 루치오 비발디(이탈리아어: Antonio Lucio Vivaldi, 문화어: 안또니오 비발디, 1678년 3월 4일 ~ 1741년 7월 28일)는 이탈리아 베네치아의 성직자, 작곡가이자 바이올린 연주가이다. ‘붉은 머리의 사제’(司祭, il Prete Rosso)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음악가로서 대중화를 시도한 인물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4개의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된 《사계》의 작곡가로 잘 알려져 있다. 붉은 머리라서 평생 붉은 머리의 신부라는 조롱과 멸시를 당하기도 했다. 또한 체력이 좋지 않았던 그는 미사보다는 작곡이나 성가대 업무를 주로 보았다. 목차 1 생애 2 주작품 3 영화화 4 미디어 5 참고 자료 6 외부 링크 생애[편집] 베네치아 산 마르코 대성당의 바이올린 주자였던 조반니 바티스타의 아들로 태어나, 부친에게 음악의 기초를 배웠다. 아버지는 베네치아의 성 마르코 대성당 성가대의 바이올리니스트를 하기도 했다. 이후 레그렌치에게 작곡을 배웠다. 15세 신학교에 가 23살에 서품을 받았으나, 본디 몸이 약하여 숨이 차서 미사를 올릴 수가 없었기 때문에 음악에 전념하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한편 그는 머리가 붉은 색이라 평생 '빨강 머리의 신부'라는 놀림을 받았다. 비발디는 1703년부터 1740년에 걸쳐 대체로 베네치아의 여자 고아원 겸 음악학교이던 피에타 고아원에 근무했으며 1716년에는 피에타 고아원 밴드부의 합주장(合奏長)이 되었다. 이 학원의 학생들의 오케스트라는 당시 유럽에서도 명성을 떨쳤기 때문에 비발디는 마음껏 해볼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비발디는 그 동안에도 자작한 오페라를 상연하기 위하여 이탈리아 각지를 순회하기도 하고 빈이나 암스테르담으로 가기도 하였다. 1741년에 빈으로 간 비발디는 빈궁 속에 객사(客死)하여 그 곳 빈민묘지에 안치되었다. 이 때의 빈 방문 목적은 명확하지는 않으나 황제 카를 6세의 후원을 받으러 간 것으로 추측된다. 비발디의 이름은 그 후 잊혀져 있었으나 대 바흐가 편곡한 작품이 계기가 되어 그 전모가 밝혀졌다. 주작품[편집] 그의 작품은 오페라와 여러 곡의 교회 음악과 기악곡이 많은데, 그 중에서도 바이올린을 주로 한 협주곡이 유명하며, 그 때까지의 악곡에 비하여 리듬이 활발하고 노래하듯 아름다운 선율이 특징이다. 그의 작품은 독일 음악가들에게도 큰 영향을 주었으며, 바흐는 그의 작품을 건반악기 연주용으로 편곡하였다. 주요 작품으로 신포니아 23곡, 합주 협주곡 <조화의 영감>,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4계> 등이 있다. 특히 <4계>는 표제 음악의 표본으로 불린다. 그는 약 500곡이나 되는 기악작품, 약 40곡의 오페라 외에 모테토, 오라토리오, 칸타타 등을 작곡했다. 작곡은 처음에는 베네치아나 암스테르담에서 출판되었으나 대부분은 수고(手稿) 형태 외엔 남아 있지 않다. 비발디는 무엇보다 우선 토렐리(1658년~1709년), 알비노니(1671년~1750년)들에 의하여 개발된 독주 콘체르토의 세계에서 안정된 양식을 확립시킨 작가로 알려져 있다. 그는 또 복수(複數)의 독주악기로 하는 콘체르토도 수없이 썼으나 이것은 대개 빠르게-느리게-빠르게의 3악장으로 되었으며 전합주와 독주가 교대하는 리토르넬로 형식으로 했다. 영화화[편집] 대한민국에서 2009년 1월 8일에 그의 생애를 영화화한 《안토니오 비발디-베니스의 왕자》가 개봉되었다. 안토니오 비발디 역에는 스테파노 디오니시가 열연하였다. 미디어[편집] Op. 4 Concerto 1 "Spring" mvt 1: Allegro 비발디의 사계 중 봄 1악장 알레그로, 요한 해리슨 바이올린 Op. 4 Concerto 1 "Spring" mvt 2: Largo 비발디의 사계 중 봄 2악장 라르고, 요한 해리슨 바이올린 Op. 4 Concerto 1 "Spring" mvt 3: Allegro From Vivaldi's Four Seasons. John Harrison, Violin Op. 4 Concerto 2 "Summer" mvt 1: Allegro non molto From Vivaldi's Four Seasons. John Harrison, Violin Op. 4 Concerto 2 "Summer" mvt 2: Adagio From Vivaldi's Four Seasons. John Harrison, Violin Op. 4 Concerto 2 "Summer" mvt 3: Presto From Vivaldi's Four Seasons. John Harrison, Violin Op. 4 Concerto 3 "Autumn" mvt 1: Allegro From Vivaldi's Four Seasons. John Harrison, Violin Op. 4 Concerto 3 "Autumn" mvt 2: Adagio molto From Vivaldi's Four Seasons. John Harrison, Violin Op. 4 Concerto 3 "Autumn" mvt 3: Allegro From Vivaldi's Four Seasons. John Harrison, Violin Op. 4 Concerto 4 "Winter" mvt 1: Allegro non molto From Vivaldi's Four Seasons. John Harrison, Violin Op. 4 Concerto 4 "Winter" mvt 2: Largo From Vivaldi's Four Seasons. John Harrison, Violin Op. 4 Concerto 4 "Winter" mvt 3: Allegro From Vivaldi's Four Seasons. John Harrison, Violin Concerto for Oboe and Orchestra in C major (RV 447) - 2. Andante Performed by the Advent Chamber Orchestra with oboeist Edino Biaggi Credo (RV 591) - 1. Credo in Unum Deum Performed by the Advent Chamber Orchestra with the Advent Choir directed by Gabriel Pavel Credo (RV 591) - 2. Et Incarnatus Est Performed by the Advent Chamber Orchestra with the Advent Choir directed by Gabriel Pavel Credo (RV 591) - 3. Crucifixus Performed by the Advent Chamber Orchestra with the Advent Choir directed by Gabriel Pavel Nulla in mundo pax sincera (RV 630) - 1. Larghetto Performed by the Advent Chamber Orchestra with soprano Cristina Piccardi Nulla in mundo pax sincera (RV 630) - 2. Recitativ Performed by the Advent Chamber Orchestra with soprano Cristina Piccardi Nulla in mundo pax sincera (RV 630) - 3. Allegro Performed by the Advent Chamber Orchestra with soprano Cristina Piccardi 재생에 문제가 있으면 미디어 도움말을 보십시오. 참고 자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안토니오 비발디 (영어) 안토니오 비발디 - 월드캣 안토니오 비발디 - 국제 악보 도서관 프로젝트 전거 통제 WorldCat VIAF: 42027007 LCCN: n79021280 ISNI: 0000 0001 2129 9169 GND: 118627287 SELIBR: 100018 SUDOC: 027472183 BNF: cb139008966 (데이터) BIBSYS: 90224852 ULAN: 500336474 뮤직브레인즈: ad79836d-9849-44df-8789-180bbc823f3c NLA: 36529158 NDL: 00527045 NKC: jn19990008800 ICCU: IT\ICCU\CFIV\005228 BNE: XX95876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안토니오_비발디&oldid=24491957" 분류: 바로크 시대 작곡가이탈리아의 클래식 작곡가이탈리아의 클래식 바이올린 연주자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 성직자베네치아 출신1678년 태어남1741년 죽음오페라 작곡가17세기 클래식 작곡가18세기 클래식 작곡가17세기 이탈리아 사람18세기 이탈리아 사람오스트리아에 거주한 이탈리아인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 신부숨은 분류: 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문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15 종류의 전거 통제 정보를 포함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ULA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B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ymar aruAzərbaycancaБашҡортсаBoarisch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islama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Mìng-dĕ̤ng-ngṳ̄НохчийнCebuanoChamoru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FurlanGaeilgeGalegoBahasa HulontaloGaelg客家語/Hak-kâ-ngîעבריתFiji Hindi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KabɩyɛҚазақшаಕನ್ನಡ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ingua Franca NovaLimburgsLigureLumbaartLietuviųLatviešuMalagasyОлык марий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Кырык марыBahasa MelayuMirandésNāhuatlPlattdüütsch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LivvinkarjalaਪੰਜਾਬੀPicard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ArmãneashtiTarandíne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Саха тыла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eeltersk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Vepsän kel’Tiếng ViệtVolapükWinaray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7일 (목) 19: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안토니오 루치오 비발디(이탈리아어: Antonio Lucio Vivaldi, 문화어: 안또니오 비발디, 1678년 3월 4일 ~ 1741년 7월 28일)는 이탈리아 베네치아의 성직자, 작곡가이자 바이올린 연주가이다. ‘붉은 머리의 사제’(司祭, il Prete Rosso)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음악가로서 대중화를 시도한 인물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4개의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된 《사계》의 작곡가로 잘 알려져 있다. 붉은 머리라서 평생 붉은 머리의 신부라는 조롱과 멸시를 당하기도 했다. 또한 체력이 좋지 않았던 그는 미사보다는 작곡이나 성가대 업무를 주로 보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음악가 안토니오 비발디의 인생은 어떠했는가? Assistant: 베네치아 산 마르코 대성당의 바이올린 주자였던 조반니 바티스타의 아들로 태어나, 부친에게 음악의 기초를 배웠다. 아버지는 베네치아의 성 마르코 대성당 성가대의 바이올리니스트를 하기도 했다. 이후 레그렌치에게 작곡을 배웠다. 15세 신학교에 가 23살에 서품을 받았으나, 본디 몸이 약하여 숨이 차서 미사를 올릴 수가 없었기 때문에 음악에 전념하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한편 그는 머리가 붉은 색이라 평생 '빨강 머리의 신부'라는 놀림을 받았다. 비발디는 1703년부터 1740년에 걸쳐 대체로 베네치아의 여자 고아원 겸 음악학교이던 피에타 고아원에 근무했으며 1716년에는 피에타 고아원 밴드부의 합주장(合奏長)이 되었다. 이 학원의 학생들의 오케스트라는 당시 유럽에서도 명성을 떨쳤기 때문에 비발디는 마음껏 해볼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비발디는 그 동안에도 자작한 오페라를 상연하기 위하여 이탈리아 각지를 순회하기도 하고 빈이나 암스테르담으로 가기도 하였다. 1741년에 빈으로 간 비발디는 빈궁 속에 객사(客死)하여 그 곳 빈민묘지에 안치되었다. 이 때의 빈 방문 목적은 명확하지는 않으나 황제 카를 6세의 후원을 받으러 간 것으로 추측된다. 비발디의 이름은 그 후 잊혀져 있었으나 대 바흐가 편곡한 작품이 계기가 되어 그 전모가 밝혀졌다. Human: 아래 장희진_(1944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장희진 (1944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희진 (1944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장희진(張僖辰, 1944년 8월 16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79년 KBS 드라마 동심초로 데뷔하였다. 목차 1 출연작 1.1 드라마 1.2 연극 1.3 뮤지컬 2 학력 3 경력 4 수상 5 외부 링크 출연작[편집] 드라마[편집] 1995년 《장녹수》 (KBS2) 1997년 《욕망의 바다》 (KBS) 1998년 《왕과 비》 (KBS) 2002년 《야인시대》 (SBS) 2003년 《찔레꽃》 (KBS) 2008년 《우리들의 해피엔딩》 (MBC) 2008년 《땀의 순교자 탁덕 최양업》 (평화방송) 2011년 《광개토태왕》 (KBS) 2012년 《해피앤드 101가지 부부이야기 - 내 어머니, 당신 어머니》 (채널A) 연극[편집] 2010년 《존왕》 2005년 《악극 꿈에 본 내 고향》 뮤지컬[편집] 2010년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학력[편집] 명지대학교 국어국문학 학사 계성여자고등학교 경력[편집] 1997년 제4회 세계여성극작가대회 한국대표 수상[편집] 1982년 동아연극상 연기상 외부 링크[편집] 네이트 인물정보 - 장희진 네이버 인물정보 - 장희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장희진_(1944년)&oldid=20258352" 분류: 1944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서울특별시 출신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연극인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명지대학교 동문계성여자고등학교 동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7년 12월 18일 (월) 13: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장희진(1944년 8월 16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탤런트 장희진이 2011년 출연한 KBS 드라마로 고구려의 제 19대 군주의 이름이기도 한 이 작품의 제목은? Assistant: 광개토태왕
Human: 아래 1991년_FIFA_세계_청소년_축구_선수권_대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1991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991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20세 이하 대회에 관한 것입니다. 17세 이하 대회에 대해서는 1991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991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Campeonato Mundial de Júniores Portugal '91대회 개요개최국 포르투갈개최 기간 6월 14일 ~ 6월 30일참가국 16개 (6개 대륙)경기장 5개 (5개 도시) 최종 순위● 우승국 포르투갈 (2번째 우승)● 준우승국 브라질● 3위 소련● 4위 오스트레일리아통계총 경기수 32경기득점 총합 82골 (경기당 2.56골)총 관중수 731,500명 (경기당 22,859명)최다 득점 선수 세르게이 셰르바코프 (5골)최우수 선수 이밀리우 페이시페어 플레이 소련이전 대회 / 다음 대회 ← 1989 1993 → v • d • e • h 1991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1991년 6월 14일부터 6월 30일까지 포르투갈에서 열린 8번째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이다. 이 대회부터 연령 제한이 기존의 19세 이하에서 20세 이하로 상향 조정되었다. 목차 1 개최 도시 및 경기장 2 본선 진출 팀 3 조별 리그 3.1 A조 3.2 B조 3.3 C조 3.4 D조 4 결선 토너먼트 4.1 8강전 4.2 준결승전 4.3 3·4위전 4.4 결승전 5 우승 6 수상 7 최종 순위 개최 도시 및 경기장[편집] 기마랑이스 - 이스타디우 D. 아폰수 엔히크스 리스본 - 이스타디우 다 루스 브라가 - 이스타디우 프리메이루 드 마이우 파루 - 이스타디우 드 상 루이스 포르투 - 이스타디우 다스 안타스 본선 진출 팀[편집] 연맹 예선 본선 진출 팀 AFC (아시아) 1990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코리아* 시리아 CAF (아프리카) 1991년 아프리카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코트디부아르 이집트 CONCACAF (북중미&카리브) 1990년 CONCACAF U-20 토너먼트 멕시코 트리니다드 토바고^ CONMEBOL (남아메리카) 1991년 CONMEBOL U-20 축구 선수권 대회 아르헨티나 브라질 우루과이 OFC (오세아니아) 1990년 OFC U-20 축구 선수권 대회 오스트레일리아 UEFA (유럽) 1990년 UEFA U-18 축구 선수권 대회 잉글랜드 아일랜드 소련 스페인 스웨덴^ 개최국 포르투갈 (*) :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남북 단일팀(코리아)을 구성하여 참가했다. 이에 따라 시리아가 남은 한 자리를 승계받아 참가했다. (^) : 처음으로 참가한 팀. 조별 리그[편집] 보기    조별 리그를 통과하여 8강에 진출한 팀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 A조[편집]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포르투갈 6 3 3 0 0 6 0 +6 코리아 3 3 1 1 1 2 2 0 아일랜드 2 3 0 2 1 3 5 −2 아르헨티나 1 3 0 1 2 2 6 −4 1991년 6월 14일21:00 포르투갈 2 : 0 아일랜드 이스타디우 다스 안타스 (포르투) 관중수: 65,000명 심판: 피에를루이지 파이레토 (이탈리아) 핀투  17'카푸슈  78' 리포트 1991년 6월 15일19:00 아르헨티나 0 : 1 코리아 이스타디우 다 루스 (리스본) 관중수: 2,000명 심판: 에르네스토 필리피 (우루과이) 리포트 조인철  88' 1991년 6월 17일19:00 아일랜드 1 : 1 코리아 이스타디우 다 루스 (리스본) 관중수: 5,500명 심판: 로버트 소텔 (캐나다) 매카시  58' 리포트 최철  89' 1991년 6월 17일21:30 포르투갈 3 : 0 아르헨티나 이스타디우 다 루스 (리스본) 관중수: 60,000명 심판: 기 후탈스 (벨기에) 질  56'토흐스  80'토니  86' 리포트 1991년 6월 20일19:00 아일랜드 2 : 2 아르헨티나 이스타디우 다 루스 (리스본) 관중수: 38,000명 심판: 라울 도밍게스 (미국) 오코너  9'갤러거  63' 리포트 델가도  55'몰리나  57' (페널티골) 1991년 6월 20일21:30 포르투갈 1 : 0 코리아 이스타디우 다 루스 (리스본) 관중수: 38,000명 심판: 엔리케 마린 가요 (칠레) 토흐스  42' 리포트 B조[편집]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브라질 5 3 2 1 0 6 3 +3 멕시코 4 3 1 2 0 6 3 +3 스웨덴 2 3 1 0 2 4 6 −2 코트디부아르 1 3 0 1 2 3 7 −4 1991년 6월 15일19:00 멕시코 3 : 0 스웨덴 이스타디우 다스 안타스 (포르투) 관중수: 2,000명 심판: 다치 기이치로 (일본) 에르난데스  20'피네다  51'알바레스 아르코스  64' 리포트 1991년 6월 15일21:30 브라질 2 : 1 코트디부아르 이스타디우 다스 안타스 (포르투) 관중수: 8,000명 심판: 리샤르트 부이치크 (폴란드) 안드레이  29'루이스 페르난두  79' 리포트 티에히  48' 1991년 6월 17일19:00 브라질 2 : 2 멕시코 이스타디우 다스 안타스 (포르투) 관중수: 3,500명 심판: 레슬리 어빈 (북아일랜드) 누니스  18'루이스 페르난두  45' 리포트 피네다  57', 67' 1991년 6월 18일19:00 코트디부아르 1 : 4 스웨덴 이스타디우 다스 안타스 (포르투) 관중수: 1,500명 심판: 주앙 마르팅스 핀투 코헤이아 (포르투갈) 맘보  64' (페널티골) 리포트 뢰들룬드  13'빌드  23', 46'안데르손  87' 1991년 6월 20일19:00 코트디부아르 1 : 1 멕시코 이스타디우 다스 안타스 (포르투) 관중수: 4,000명 심판: 알리 부지사임 (아랍에미리트) 세리  79' 리포트 피네다  83' 1991년 6월 20일21:30 브라질 2 : 0 스웨덴 이스타디우 다스 안타스 (포르투) 관중수: 4,000명 심판: 피에를루이지 파이레토 (이탈리아) 누니스  29'에우베르  78' 리포트 C조[편집]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오스트레일리아 6 3 3 0 0 4 0 +4 소련 4 3 2 0 1 5 1 +4 이집트 2 3 1 0 2 6 2 +4 트리니다드 토바고 0 3 0 0 3 0 12 −12 1991년 6월 15일19:30 트리니다드 토바고 0 : 2 오스트레일리아 이스타디우 프리메이루 드 마이우 (브라가) 관중수: 1,720명 심판: 알베르토 테하다 노리에가 (페루) 리포트 오콘  52'실  76' 1991년 6월 16일17:00 이집트 0 : 1 소련 이스타디우 D. 아폰수 엔히크스 (기마랑이스) 관중수: 5,680명 심판: 후안 파블로 에스코바르 로페스 (과테말라) 리포트 셰르바코프  6' 1991년 6월 18일19:30 트리니다드 토바고 0 : 6 이집트 이스타디우 프리메이루 드 마이우 (브라가) 관중수: 10,000명 심판: 웨이지훙 (중국) 리포트 후세인  8'사데크  24'이스마일  36'사크르  60'엘셰시니  79'압델 아지즈  82' 1991년 6월 18일21:30 오스트레일리아 1 : 0 소련 이스타디우 프리메이루 드 마이우 (브라가) 관중수: 10,000명 심판: 베른트 하이네만 (독일) 멀로니  21' 리포트 1991년 6월 20일17:00 오스트레일리아 1 : 0 이집트 이스타디우 D. 아폰수 엔히크스 (기마랑이스) 관중수: 8,800명 심판: 프란시스코 라몰리나 (아르헨티나) 트라야노프스키  43' 리포트 1991년 6월 20일19:30 트리니다드 토바고 0 : 4 소련 이스타디우 D. 아폰수 엔히크스 (기마랑이스) 관중수: 8,800명 심판: 이드리사 사르 (모리타니) 리포트 포흘레바예우  9'코노발로프  15'미하일렌코  22'셰르바코프  35' D조[편집]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스페인 5 3 2 1 0 7 0 +7 시리아 4 3 1 2 0 4 0 +4 잉글랜드 2 3 1 0 2 3 4 −1 우루과이 1 3 0 1 2 0 7 −7 1991년 6월 15일19:30 잉글랜드 0 : 1 스페인 이스타디우 드 상 루이스 (파루) 관중수: 11,500명 심판: 헤나투 마르시글리아 (브라질) 리포트 피에르  84' 1991년 6월 16일19:00 시리아 1 : 0 우루과이 이스타디우 드 상 루이스 (파루) 관중수: 5,500명 심판: 알하기 파예 (감비아) 마다나  57' 리포트 1991년 6월 18일19:00 스페인 6 : 0 우루과이 이스타디우 드 상 루이스 (파루) 관중수: 11,500명 심판: 다니엘 로뒤트 (스위스) 피에르  10' (페널티골), 34'우르사이스  22', 75', 80' (페널티골)마우리시오  36' 리포트 1991년 6월 18일21:30 잉글랜드 3 : 3 시리아 이스타디우 드 상 루이스 (파루) 관중수: 11,500명 심판: 존 매코넬 (오스트레일리아) 앨런  12'오퍼드  69', 84' 리포트 라마단  18'아와드  27'헬루  65' 1991년 6월 20일19:00 스페인 0 : 0 시리아 이스타디우 드 상 루이스 (파루) 관중수: 5,000명 심판: 레슬리 어빈 (북아일랜드) 리포트 1991년 6월 20일21:30 잉글랜드 0 : 0 우루과이 이스타디우 드 상 루이스 (파루) 관중수: 5,000명 심판: 풀 샨도르 (헝가리) 리포트 결선 토너먼트[편집] 8강전 준결승전 결승전                     6월 22일 - 리스본           포르투갈 (AET)  2 6월 26일 - 리스본   멕시코  1     포르투갈  1 6월 23일 - 브라가     오스트레일리아  0     오스트레일리아 (PSO)  1 (5) 6월 30일 - 리스본   시리아  1 (4)     포르투갈 (PSO)  0 (4) 6월 22일 - 포르투     브라질  0 (2)   브라질  5 6월 26일 - 기마랑이스   코리아  1     브라질  3 3·4위전 6월 23일 - 파루     소련  0     스페인  1   오스트레일리아  1 (4)   소련  3     소련 (PSO)  1 (5) 6월 29일 - 포르투 8강전[편집] 1991년 6월 22일18:30 포르투갈 2 : 1 (연장) 멕시코 이스타디우 다 루스 (리스본) 관중수: 90,000명 심판: 리샤르트 부이치크 (폴란드) 토흐스  3' (페널티골)토니  101' 리포트 멘도사  35' 1991년 6월 22일21:30 브라질 5 : 1 코리아 이스타디우 다스 안타스 (포르투) 관중수: 25,000명 심판: 기 후탈스 (벨기에) 마르키뉴스  15'에우베르  41', 67'자이르  47', 53' 리포트 최철  40' 1991년 6월 23일17:00 오스트레일리아 1 : 1 (연장) 시리아 이스타디우 프리메이루 드 마이우 (브라가) 관중수: 10,000명 심판: 헤나투 마르시글리아 (브라질) 실  20' 리포트 A. 만도  56'     승부차기   실 오콘 키트너 머스캣 바비치 스탠턴 5 : 4 F. 만도 알칼리파 가에브 압둘 라자크 라마단 시바이   1991년 6월 23일21:30 스페인 1 : 3 소련 이스타디우 드 상 루이스 (파루) 관중수: 13,000명 심판: 프란시스코 라몰리나 (아르헨티나) 우르사이스  85' 리포트 셰르바코프  35', 64'만드레코  80' 준결승전[편집] 1991년 6월 26일18:30 브라질 3 : 0 소련 이스타디우 D. 아폰수 엔히크스 (기마랑이스) 관중수: 22,000명 심판: 라울 도밍게스 (미국) 마르키뉴스  15'카스트루  18'에우베르  32' 리포트 1991년 6월 26일21:30 포르투갈 1 : 0 오스트레일리아 이스타디우 다 루스 (리스본) 관중수: 112,000명 심판: 풀 샨도르 (헝가리) 후이 코스타  31' 리포트 3·4위전[편집] 1991년 6월 29일21:30 오스트레일리아 1 : 1 (연장) 소련 이스타디우 다스 안타스 (포르투) 관중수: 6,000명 심판: 이드리사 사르 (모리타니) 실  87' 리포트 셰르바코프  39' (페널티골)     승부차기   실 오콘 코리카 바비치 포포비치 스탠턴 4 : 5 포흘레바예우 부시마노프 바발라랸 맘추르 셰르바코프 민코   결승전[편집] 1991년 6월 30일19:00 포르투갈 0 : 0 (연장) 브라질 이스타디우 다 루스 (리스본) 관중수: 127,000명 심판: 프란시스코 라몰리나 (아르헨티나) 리포트     승부차기   조르즈 코스타 피구 토흐스 후이 코스타 4 : 2 하몽 에우베르 안드레이 마르키뉴스   우승[편집] 1991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팀 포르투갈2번째 우승 수상[편집] 골든 슈 골든 볼 페어 플레이상 세르게이 셰르바코프 이밀리우 페이시 소련 최종 순위[편집] 순위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승점 1 포르투갈 6 5 1 0 9 1 +8 11 2 브라질 6 4 2 0 14 4 +10 10 3 소련 6 3 1 2 9 6 +3 7 4 오스트레일리아 6 3 2 1 6 3 +3 8 5 스페인 4 2 1 1 8 3 +5 5 6 시리아 4 1 3 0 5 4 +1 5 7 멕시코 4 1 2 1 7 5 +2 4 8 코리아 4 1 1 2 3 7 -4 3 9 이집트 3 1 0 2 6 2 +4 2 10 스웨덴 3 1 0 2 4 6 -2 2 11 잉글랜드 3 0 2 1 3 4 -1 2 12 아일랜드 3 0 2 1 3 5 -2 2 13 코트디부아르 3 0 1 2 3 7 -4 1 14 아르헨티나 3 0 1 2 2 6 -4 1 15 우루과이 3 0 1 2 0 7 -7 1 16 트리니다드 토바고 3 0 0 3 0 12 -12 0 vdeh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U-20 월드컵본선 튀니지 1977년 일본 1979년 오스트레일리아 1981년 멕시코 1983년 소련 1985년 칠레 1987년 사우디아라비아 1989년 포르투갈 1991년 오스트레일리아 1993년 카타르 1995년 말레이시아 1997년 나이지리아 1999년 아르헨티나 2001년 아랍에미리트 2003년 네덜란드 2005년 캐나다 2007년 이집트 2009년 콜롬비아 2011년 터키 2013년 뉴질랜드 2015년 대한민국 2017년 폴란드 2019년 미정 2021년 예선 AFC CAF CONCACAF CONMEBOL OFC UEFA 선수 명단 1977년 1979년 1981년 1983년 1985년 1987년 1989년 1991년 1993년 1995년 1997년 1999년 2001년 2003년 2005년 2007년 2009년 2011년 2013년 2015년 2017년 2019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1991년_FIFA_세계_청소년_축구_선수권_대회&oldid=24490415" 분류: FIFA U-20 월드컵포르투갈에서 개최된 축구 대회1991년 청소년 축구1991년 6월1991년 포르투갈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MagyarItaliano日本語Nederlands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7일 (목) 14:1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1991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1991년 6월 14일부터 6월 30일까지 포르투갈에서 열린 8번째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이다. 이 대회부터 연령 제한이 기존의 19세 이하에서 20세 이하로 상향 조정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91년 FIFA 세계청소년 축구 선수권대회에서 조별리그A조의 경기결과는 어떻게 되었을까? Assistant: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포르투갈 6 3 3 0 0 6 0 +6 코리아 3 3 1 1 1 2 2 0 아일랜드 2 3 0 2 1 3 5 −2 아르헨티나 1 3 0 1 2 2 6 −4 Human: 아래 라응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라응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라응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글의 정확성과 사실 여부에 대해 논란이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0년 10월 13일) 라응찬출생 1938년 11월 25일(1938-11-25) (80세)국적 대한민국 경상북도 상주 본관 안정학력 상주초등학교 졸업상주중학교 졸업선린상업고등학교 졸업직업 기업인소속 前 신한금융그룹 대표이사 회장상훈 1987년 국민훈장 목련장(4등급)1996년 국민훈장 목단장(현 모란장, 2등급)2003년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 라응찬(羅應燦, 1938년 11월 25일~)은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목차 1 경력 2 수상 3 차명계좌 논란 4 각주 경력[편집] 2001년 8월~2010년 10월 - 신한금융그룹 대표이사 회장 2000년 5월~2001년 8월 - 신한은행 비상근 회장 1999년 8월 - 제9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경제과학분과 위원장 1999년 2월~2000년 5월 - 신한은행 부회장 1998년 4월~현재 - 한일경제협회 부회장 1991년 2월~1999년 2월 - 신한은행 은행장 1988년 2월 - 신한은행 전무이사 1982년 7월 - 신한은행 상무이사 1979년 2월 - 제일투자금융(현 신한은행) 상무이사 1977년 7월 - 제일투자금융 이사 1975년 - 대구은행 지점장, 비서실장 1959년 - 1977년 - 농업은행 입사, 근무 수상[편집] 2009년 언스트앤영 최우수기업가상 금융서비스부문상 2007년 월간조선 2007 대한민국 경제리더 대상 2003년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 1999년 한국능률협회 한국의 경영자상 1996년 국민훈장 목단장(현 모란장, 2등급) 1995년 산업포장 1987년 국민훈장 목련장(4등급) 차명계좌 논란[편집] 2010년 9월 2일, 신한은행이 신상훈 신한금융그룹 사장을 의해 횡령, 배임의 혐의로 검찰에 고소하는 것으로 논란이 진행되었다. 이어서 9일, 라응찬은 신상훈 신한금융지주 사장과 이백순 신한은행장과 함께 일본 나고야로 출국하였다. 이어 13일, 라응찬 회장은 5개의 시민 단체들에 의해 2007년 3월 박연차 전 태광실업 회장에게 차명계좌를 이용하여 50억원을 송금하는 등 금융거래실명제법을 위반했다는 의혹을 제기하여 고발되었다. 16일에 사내 게시판을 통해 사태를 설명하는 글을 올렸고, 신한금융은 일간지를 통하여 대국민 사과를 하기에 이르렀다. 10월 7일, 금융감독원은 금융실명제법 위반 혐의로 라응찬 회장에 대한 중징계를 통보하였다.[1] 라응찬 회장은 27일에 귀국하려던 일정을 단축하여 25일 오후 일본 하네다 공항에서 대한항공 편으로 김포공항에 당도하였다.[2] 결국 10월 30일에 라응찬 회장은 공식 사퇴하고, 류시열 이사가 직무대행을 맡게 되었다.[3] 금융감독원에 의해 3개월 직무정치가 처분되었다. 각주[편집] ↑ `신한금융사태 일지`..라응찬 회장 사퇴까지 ↑ '빈손 귀국' 라응찬 자진사퇴 수순? 30일 이사회서 거취 표명 여부 촉각 ↑ 라응찬 회장 사퇴...류시열 직무대행 선임 이 글은 금융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라응찬&oldid=24220734" 분류: 1938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은행가상주중학교 (경북) 동문상주초등학교 (경북) 동문선린상업고등학교 동문상주시 출신안정 라씨숨은 분류: 정확성에 논란이 있는 글/2010년 10월정확성에 논란이 있는 모든 글금융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4일 (화) 17:2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라응찬(羅應燦, 1938년 11월 25일~)은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라응찬 회장이 공식적으로 물러난 후 누가 직무를 대신하였나? Assistant: 류시열 이사
Human: 아래 Deli_Spice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Deli Spice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Deli Spice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Deli Spice델리스파이스의 정규 음반발매일 1997년 8월 8일2005년 12월 7일 (재발매)녹음 1997년장르 모던 록인디록길이 44:23레이블 뮤직디자인(전)디앤씨뮤직(후)프로듀서 델리스파이스델리스파이스 연표 Deli Spice(1997년) Welcome To The Delihouse(1999년) 《Deli Spice》는 1997년 8월 8일에 발매된 델리스파이스의 데뷔 및 첫 번째 정규 앨범이다. 총 11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타이틀 곡은 2번 트랙인 〈가면〉이다. 3번 트랙 〈차우차우〉가 2002년에 개봉된 영화 《후아유》의 삽입곡으로 쓰이면서 밴드의 이름이 알리지게 되었는데, 영화에 삽입된 판은 보컬을 맡았던 김민규의 목소리가 낮춰지는 대신 현악기의 음색이 강조되어 있다. 밴드의 리더인 김민규에 의해 음반의 판권이 뮤직디자인에서 문라이즈로 이양되면서, 디앤씨뮤직을 통해 2005년 12월 7일에 재발매되었다. 목차 1 음반 소개 2 수록곡 3 만든 사람들 4 각주 5 외부 링크 음반 소개[편집] 델리스파이스의 시그니쳐송을 넘어 올타임 클래식이 된 ‘챠우챠우’는 Nirvana의 ‘Smells Like Teen Spirit’, 혹은 R.E.M.의 ‘Losing My Religion’에 대한 국내 인디의 서정적인 대답으로 해석할 수도 있을 것 같다. 대안문화의 붐이 일던 1990년대의 특수성이 깃들어 있고, 영향받았으되 온전히 로컬한 문화적 감수성으로 재현한 노래이기 때문이다. 당시 라디오와 공연을 관람한 이들의 입소문으로 호응을 얻었던 ‘챠우챠우’는 같은 프레이즈가 반복되는 형식이면서도 ‘(아무리 애를 쓰고 귀를 막아보려 해도) 너의 목소리가 들려’가 전부인 단조로운 가사를 신선한 연주와 아름다운 멜로디로 뛰어넘은 특별한 노래가 되었다. ‘인디펜던트’ 이전에 ‘언더그라운드’가 추구하던 헤비메탈 밴드의 스타일을 탈피, U2나 R.E.M.이나 스미스로부터 영향받았을 찰랑거리는 기타 위주의 유미적인 노래를 선보였던 델리스파이스는 도발적인 펑크의 축을 담당한 크라잉 넛이나 노브레인과 함께 국내 인디 문화의 시작을 설명하는 중요한 키워드가 된다. 당시 델리의 초기 멤버는 김민규, 윤준호, 이승기, 오인록으로, 통신 모임 하이텔에서 구인을 통해 만났다는 후일담이 전해진다. 수록곡 중 ‘No Carrier’는 통신상에서 접속 불능을 의미하는 표시다.[1] 수록곡[편집] Disk 1 # 제목작사작곡 재생 시간 1. 노 캐리어  윤준호윤준호 4:13 2. 가면  김민규김민규 4:07 3. 챠우챠우-아무리 애를 쓰고 막아보려 해도 너의 목소리가 들려  김민규김민규 4:28 4. 콘 후레이크  김민규김민규 3:01 5. 기쁨이 들리지 않는 거리  김민규김민규 4:37 6. 저승 탐방기  김민규김민규 3:19 7. 귀향  김민규김민규 3:40 8. 누가?  김민규김민규, 오인록 4:00 9. 투명인간  김민규김민규 2:57 10. 오랜만의 외출  김민규김민규 3:32 11. 사수자리  김민규김민규 6:29 총 재생 시간: 44:23 만든 사람들[편집] 프로듀서: 델리스파이스 레코딩 엔지니어: 변성복, 배진호 믹싱 엔지니어: 변성복 기획사: 뮤직디자인 레코딩 스튜디오: 광화문 스튜디오 마스터링 스튜디오: 지구스튜디오 믹싱: 광화문 스튜디오 보컬, 기타: 김민규 보컬, 베이스: 윤준호 키보드: 이승기 드럼: 오인록 각주[편집] ↑ 평론가 이민희 K-POP 아카이브 외부 링크[편집] 9위 델리스파이스 《Deli spice》 경향신문 한국대중음악 100대 명반 8위 9위Deli Spice - 델리스파이스 10위 멀고 먼 길 - 한대수 공무도하가 - 이상은 vdeh델리스파이스 김민규 윤준호 이전 구성원: 최재혁 정규 음반 1집 Deli Spice 2집 Welcome To The Delihouse 3집 《슬프지만 진실...》 4집 D 5집 Espresso 6집 Bombom 7집 Open Your Eyes 참여 음반 A Tribute To 들국화 EP 연(聯) 대표곡 〈차우차우〉, 〈고백〉, 〈항상 엔진을 켜둘게〉 소속사 문라이즈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Deli_Spice&oldid=23680327" 분류: 델리스파이스의 음반1997년 음반모던 록 음반1997년 데뷔 음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2월 11일 (월) 02: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Deli Spice》는 1997년 8월 8일에 발매된 델리스파이스의 데뷔 및 첫 번째 정규 앨범이다. 총 11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타이틀 곡은 2번 트랙인 〈가면〉이다. 3번 트랙 〈차우차우〉가 2002년에 개봉된 영화 《후아유》의 삽입곡으로 쓰이면서 밴드의 이름이 알리지게 되었는데, 영화에 삽입된 판은 보컬을 맡았던 김민규의 목소리가 낮춰지는 대신 현악기의 음색이 강조되어 있다. 밴드의 리더인 김민규에 의해 음반의 판권이 뮤직디자인에서 문라이즈로 이양되면서, 디앤씨뮤직을 통해 2005년 12월 7일에 재발매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델리스파이스의 대표곡이 뭐야? Assistant: 챠우챠우 Human: 아래 긴조_다쓰히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긴조 다쓰히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긴조 다쓰히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긴조 다쓰히코金城 龍彦 Tatsuhiko Kinjoh 요미우리 자이언츠 No.74 긴조 다쓰히코(2015년) 기본 정보 국적 일본 생년월일 1976년 7월 27일(1976-07-27) (42세) 출신지 오사카부 오사카 시 히가시나리 구 신장 177 cm 체중 80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양타 수비 위치 외야수, 3루수 프로 입단 연도 1998년 드래프트 순위 5순위 첫 출장 1999년 10월 3일 마지막 경기 2015년 경력 선수 경력 스미토모 금속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1999 ~ 2014) 요미우리 자이언츠(2015) 코치 경력 요미우리 자이언츠(2016 ~ ) 일본 국가대표팀 WBC 2006년 긴조 다쓰히코 일본어식 한자 표기: 金城 龍彦 가나 표기: きんじょう たつひこ 국립국어원 표준 표기: 긴조 다쓰히코 통용 표기: 킨죠우 타츠히코 로마자: Tatsuhiko Kinjoh 메달 기록 일본의 선수 남자 야구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금 2006 샌디에이고 2006 WBC 긴조 다쓰히코(일본어: 金城 龍彦, 1976년 7월 27일 ~ )은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야구 지도자이다. 한국계 일본인으로 귀화 전 한국명은 '김용언(金龍彦)'이다. 현역 시절에는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와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활약했고 2015년 시즌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2016년부터는 요미우리의 3군 타격 코치를 맡고 있다. 목차 1 인물 1.1 프로 입단 전 1.2 프로 입단 후 1.2.1 1999년 ~ 2002년 1.2.2 2003년 ~ 2005년 1.2.3 2006년 ~ 2007년 1.2.4 2008년 1.2.5 2009년 ~ 2010년 1.2.6 2011년 1.2.7 2012년 2 상세 정보 2.1 출신 학교 2.2 선수 경력 2.3 지도자 경력 2.4 수상·타이틀 경력 2.4.1 타이틀 2.4.2 수상 2.5 개인 기록 2.5.1 첫 기록 2.5.2 기록 달성 경력 2.5.3 기타 2.6 등번호 2.7 연도별 타격 성적 2.8 연도별 수비 성적 3 같이 보기 4 외부 링크 인물[편집] 프로 입단 전[편집] 긴테쓰 버펄로스에서 2년간 뛰었던 긴조 아키요(한국명: 김황세, 金晃世)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재일 한국인 3세 출신이며 한국 이름은 김용언(金龍彦)이고, 2000년에 결혼과 동시에 일본으로 귀화했다. 긴키 대학 부속 고등학교에 재학할 당시 2학년 때인 하계 오사카 대회 결승전에서 마쓰이 가즈오, 후쿠도메 고스케가 소속된 PL가쿠엔 고등학교에 승리하여 고시엔 대회 진출에 성공했다. 이후 고시엔 대회에서는 가네코 마코토가 소속된 조소가쿠인 고등학교에게 패했고 당시 포지션은 투수였는데 후지이 아키히토와 함께 배터리를 짜고 있었다. 1994년에는 재일동포 선수단의 일원으로 동대문운동장에 내한했던 적도 있다. 고교 졸업 후 사회인 야구팀인 스미토모 금속에 소속되었고 속구와 크게 구부러지는 커브를 주무기로 활약하는 등 팀을 도시 대항 야구 대회에 우승으로 이끌면서 1997년에는 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1998년 프로 야구 드래프트에서 5순위 지명으로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에 입단했다. 프로 입단 후[편집] 1999년 ~ 2002년[편집] 프로에 입문함과 동시에 타자로 전향했고 스위치 히터에 도전했던 것도 이 때가 처음이다. 1년째인 1999년 10월 3일 주니치 드래건스전에 처음으로 출전했고 이듬해 2000년에는 뚜렷한 결과를 남기지 않으면 2군으로 떨어질 위기에 처해있는 상황에서 프로 데뷔 1호 홈런이 되는 대타 홈런을 마키하라 히로미로부터 기록했다. 이것을 계기로 타격 능력을 키우며 주전 3루수를 차지해 8월 18일의 한신 타이거스전에서 규정 타석을 채웠다. 그 해에 일본 프로 야구 사상 최초로 수위타자와 신인왕 타이틀을 동시에 차지하면서 요코하마의 선수가 신인왕이 되는 것은 사이토 아키오 이래 23년 만이었고 타율은 일시 4할을 넘고 있었다. 그 해에 결혼함과 동시에 일본 국적을 취득했다. 3루수로서는 눈에 띈 실책이나 강한 어깨를 살리기 위해 2001년부터 본격적인 외야수로 전향해 타율은 크게 떨어졌지만 구단 기록이 되는 43개의 희생타를 기록했다. 2002년에는 타율이 1할 대로 떨어질 정도의 극심한 부진을 겪으면서 38개의 안타를 기록하는 데에만 그쳤다. 2003년 ~ 2005년[편집] 2003년에는 1번 타자로서 3할 대의 타율과 16개의 홈런을 기록하여 장타력도 몸에 익히는 등 슬럼프에서 벗어났고 1경기에서 좌우 양타석에 홈런을 두 차례나 달성했다. 외야수로 전향한 후에는 주로 중견수를 지키고 있었지만 2004년부터 종합적으로 수비력이 높은 다무라 히토시가 중견수에 들어가면서 자신도 우익수를 지키게 되었다. 동시에 타순도 6번 타자가 되었지만 2년 연속으로 3할이 넘는 타율을 기록하는 등 좋은 성적을 유지했다. 2005년에 타순은 3번 타자가 되면서 로버트 로즈가 수립한 구단 기록(192안타)에 1개 차가 되는 191개의 안타를 날려내 타점도 개인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게다가 수비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아 처음으로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다. 이러한 활약으로 다음해 2006년 3월에 개최된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일본 국가대표팀 선수로 발탁되었다. 2006년 ~ 2007년[편집] 2006년에는 작년에 이어 3번·우익수로서 출전했지만 후반기가 되면서 타격 부진에 시달리며 7번 타자로서도 뛰는 등 시즌 타율은 2할 6푼 8리를 기록했다. 그러나 팀에 부상자가 속출하고 있는 와중에 144경기에 출전하여 호수비로 몇 차례나 위기를 구했다. 2007년에 다무라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 이적했기 때문에 다시 중견수로 돌아와 전반기에는 타격이 좋지는 않았지만 후반기에 타율을 2할 8푼대로 끌어올리는데 성공했다. 그리고 통산 두 번째가 되는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다. 2008년[편집] 4월에 맹타상을 3차례나 기록하는 등의 순조로운 시작을 보였지만 5월 이후에는 거듭된 부진으로 선발 명단에서 제외되는 일도 자주 있었다. 타율은 2할 4푼 7리로 침체되었고 홈런도 9개에 그치는 등 두 자릿수에는 이르지 않았다. FA를 취득하고 있었기 때문에 시즌 종료 후 향후 거취에 대한 관심이 쏠렸지만 FA를 행사하지 않고 잔류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2년 간의 재계약을 맺었다. 2009년 ~ 2010년[편집] 2009년 이후에는 선발 출전이 급격하게 줄어들었고 대수비나 대타로서 출전하는 일이 자주 있었다. 이듬해 2010년 시즌 종료 후 FA를 행사했지만 타 구단으로부터의 영입 제의는 없었고 연봉 5,000만 엔의 1년 재계약으로 요코하마에 잔류했다. 2011년[편집] 그 해에는 체중을 수위타자를 차지할 당시에 되돌리면서 재기를 건 시즌이 되었다. 개막전 엔트리에서 제외되었지만 4월 15일의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전에서 대타로 출전해 히다카 료로부터 결승 홈런이 되는 역전 3점 홈런을 때려내고 나서 컨디션을 끌어올리는 등 선발 출전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여름이 되면서 극심한 부진에 시달려 선발에서 제외되는 일이 많아졌는데도 안정된 성적을 남기고 있었지만 9월 26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전에서 주루 플레이 도중에 왼발을 다쳐 심각한 부상으로 여겨질 정도로 그대로 1군에 복귀하지 못한 채 시즌을 마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08경기에 출전하는 등 팀의 90패를 저지하는 활약을 보였다. 2012년[편집] 개막전에 선발로 출전했고 4월 1일의 개막 3경기째가 되는 한신 타이거스전에서 그 해에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라는 팀 이름이 변경된 이후 팀으로서는 제1호 홈런을 때려냈다. 9월 14일 메이지 진구 야구장에서의 야쿠르트전에서 무라나카 교헤이로부터 이 날 두 번째 안타를 기록하면서 통산 1500안타를 달성했다. 선발 출전의 기회는 많았지만 대타로서의 타율이 3할 대를 기록했고 득점권 타율이 1할 3푼 2리라는 저조한 성적을 남겼다. 11월 21일에 40%가 삭감된 3000만 엔으로 재계약을 맺었다. 상세 정보[편집] 출신 학교[편집] 긴키 대학 부속 고등학교 선수 경력[편집] 사회인 시대 스미토모 금속 프로팀 경력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1999년 ~ 2014년) 요미우리 자이언츠(2015년) 국가 대표 경력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일본 국가대표팀 지도자 경력[편집] 요미우리 자이언츠 3군 타격 코치(2016년) 요미우리 자이언츠 2군 외야 수비 주루코치(2017년 ~ ) 수상·타이틀 경력[편집] 타이틀[편집] 수위 타자 : 1회(2000년) 수상[편집] 신인왕(2000년) 골든 글러브상 : 2회(2005년, 2007년) JA 전농 Go·Go상 : 2회(2001년, 2007년 9월) 월간 MVP : 1회(2000년 7월) 올스타전 MVP : 1회(2005년 1차전) 개인 기록[편집] 첫 기록[편집] 첫 출장 : 1999년 10월 3일, 대 주니치 드래곤스 27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 8회말에 가와하라 류이치의 대타로 출장 첫 타석 : 상동, 8회말에 나카야마 히로아키 앞에서 2루 땅볼 병살타 첫 선발 출장 : 1999년 10월 11일, 대 야쿠르트 스왈로스 24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 8번·3루수로서 선발 출장, 4타수 무안타 첫 안타·첫 타점 : 1999년 10월 15일, 대 야쿠르트 스왈로스 27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 6회말에 다카기 고지로부터 우전 적시타 첫 홈런 : 2000년 4월 16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1차전(도쿄 돔), 9회초에 모리나카 마사오의 대타로 출장, 마키하라 히로미로부터 우월 솔로 홈런 첫 도루 : 2000년 7월 8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14차전(히로시마 시민 구장), 6회초에 2루 안착(투수 : 야마사키 겐, 포수 : 세토 데루노부) 기록 달성 경력[편집] 통산 1000안타 : 2007년 6월 3일, 대 오릭스 버펄로스 2차전(스카이마크 스타디움), 2회초에 유키로부터 우전 안타 ※역대 246번째 통산 1000경기 출장 : 2007년 7월 28일, 대 한신 타이거스 12차전(한신 고시엔 구장), 3번·중견수로서 선발 출장 ※역대 420번째 통산 1500경기 출장 : 2011년 8월 25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17차전(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 6번·중견수로서 선발 출장 ※역대 172번째 통산 1500안타 : 2012년 9월 14일, 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20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7회초에 무라나카 교헤이로부터 중전 안타 ※역대 112번째 통산 100홈런 : 2013년 5월 25일, 대 지바 롯데 마린스 1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 5회말에 나루세 요시히사로부터 좌월 솔로 홈런 ※역대 268번째(스위치 히터로는 7번째) 기타[편집] 올스타전 출장 : 3회(2003년, 2005년, 2006년) 시즌 타율 : 0.34606(2000년) ※스위치 히터로서는 역대 최고 시즌 희생타 : 43개(2001년)※구단 기록 시즌 안타 : 191개(2005년) ※스위치 타자로서는 니시오카 쓰요시, 마쓰이 가즈오를 뒤를 이은 역대 3위 끝내기 안타 : 8개 ※구단 타이 기록 선두 타자 홈런 : 총 7개 좌우 양타석 홈런 ※역대 16번째(같은 기록 3차례 이상은 역대 6번째이자 센트럴 리그에서는 처음)   일시 상대팀 구장 이닝 타석 상대 투수 이닝 타석 상대 투수 1 2003년 8월 13일 한신 22차전 삿포로 돔 4회말 좌 야부 게이이치 9회말 우 제프 윌리엄스 2 2003년 8월 16일 히로시마 17차전 히로시마 시민 구장 3회초 좌 사사오카 신지 4회초 우 니시카와 신이치 3 2006년 8월 19일 히로시마 15차전 요코하마 스타디움 4회말 좌 후안 펠리치아노 7회말 우 다카하시 겐 등번호[편집] 37(1999년 ~ 2000년) 2(2001년) 1(2002년 ~ 2014년) 33(2015년) 9(2006년 WBC) 103(2016년 ~ 2017년) 71(2018년) 74(2019년 ~ ) 연도별 타격 성적[편집] 연도 소속 경기 타석 타수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루타 타점 도루 도루자 희생번 희생플 볼넷 고의사구 몸맞 삼진 병살타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1999년 요코하마DeNA 6 11 11 1 2 0 0 0 2 1 0 0 0 0 0 0 0 0 2 .182 .182 .182 .364 2000년 110 475 419 60 145 18 3 3 178 36 8 7 17 0 37 0 2 58 6 .346 .402 .425 .827 2001년 138 579 480 68 130 19 2 3 162 49 10 10 43 0 56 0 0 57 6 .271 .347 .338 .685 2002년 111 258 224 13 38 8 1 0 48 13 5 0 14 3 14 2 3 35 2 .170 .225 .214 .440 2003년 136 592 549 78 166 26 1 16 242 40 4 13 2 4 33 3 4 60 7 .302 .344 .441 .785 2004년 133 527 486 53 147 15 2 13 205 52 0 5 6 0 29 3 6 74 12 .302 .349 .422 .771 2005년 144 642 590 70 191 30 1 12 259 87 1 2 5 8 32 1 7 63 6 .324 .361 .439 .800 2006년 144 618 552 60 148 22 2 11 207 59 2 1 8 3 48 7 7 57 14 .268 .333 .375 .708 2007년 139 580 511 66 145 27 2 14 218 66 2 2 12 4 49 1 4 64 11 .284 .349 .427 .775 2008년 136 532 489 44 121 16 1 9 166 41 0 4 6 2 32 1 3 64 11 .247 .297 .339 .636 2009년 118 341 312 37 88 21 2 9 140 34 1 3 5 1 18 6 5 44 6 .282 .330 .449 .779 2010년 96 149 130 9 27 7 0 1 37 10 0 0 4 0 15 1 0 17 3 .208 .290 .285 .575 2011년 108 354 324 24 88 13 1 3 112 29 1 0 6 5 16 0 3 35 8 .272 .307 .346 .653 2012년 129 331 294 29 70 11 0 3 90 18 2 1 3 2 26 0 6 37 1 .238 .311 .306 .617 2013년 118 334 306 33 89 12 1 6 121 36 3 0 2 1 17 2 8 40 8 .291 .343 .395 .739 2014년 90 175 160 9 32 6 0 0 38 11 0 1 1 0 13 2 1 21 3 .200 .264 .238 .502 2015년 요미우리 36 95 90 9 21 3 0 1 27 10 1 0 1 0 3 0 1 11 0 .233 .266 .300 .566 통산 : 17년 1892 6593 5927 663 1648 254 19 104 2252 592 40 49 135 33 438 29 60 737 106 .278 .332 .380 .714 굵은 글씨는 시즌 최고 성적. 요코하마(요코하마 베이스타스)는 2012년에 DeNA(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로 구단명을 변경 연도별 수비 성적[편집] 연도 2루 3루 유격 외야 경기 척살 보살 실책 병살 수비율 경기 척살 보살 실책 병살 수비율 경기 척살 보살 실책 병살 수비율 경기 척살 보살 실책 병살 수비율 1999 - 3 1 6 1 0 .875 3 0 0 0 0 ---- - 2000 1 2 1 0 1 1.000 83 69 130 12 9 .943 - 25 39 2 0 0 1.000 2001 - - - 137 281 14 5 1 .983 2002 - - - 102 136 7 3 1 .979 2003 - - - 136 268 15 5 1 .983 2004 - 1 0 0 1 0 .000 - 133 216 7 4 1 .982 2005 - - - 144 290 11 1 4 .997 2006 - - - 144 274 8 4 2 .986 2007 - - - 137 257 10 4 2 .985 2008 - - - 132 223 2 2 0 .991 2009 - - - 97 146 3 0 1 1.000 2010 - - - 47 66 2 1 0 .986 2011 - - - 94 166 5 0 1 1.000 2012 - - - 95 122 3 0 0 1.000 2013 - - - 87 122 0 1 0 .992 2014 - - - 61 59 0 0 0 1.000 통산 1 2 1 0 1 1.000 87 70 136 14 9 .936 3 0 0 0 0 ---- 1571 2665 89 31 14 .989 2014년 시즌 종료 기준. 같이 보기[편집] 가네모토 도모아키 아라이 다카히로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긴조 다쓰히코 (일본어) 공식 홈페이지 Kinjoh-1.com (일본어) 개인 연도별 성적 - 긴조 다쓰히코 - 일본 야구 기구 공식 홈페이지 vdeh센트럴 리그 신인왕1950년대 1950: 오시마 노부오 1951: 마쓰다 기요시 1952: 사토 다카오 1953: 곤도 마사토시 1954: 히로오카 다쓰로 1955: 니시무라 가즈노리 1956: 아키야마 노보루 1957: 후지타 모토시 1958: 나가시마 시게오 1959: 구와타 다케시 1960년대 1960: 호리모토 리쓰오 1961: 곤도 히로시 1962: 조노우치 구니오 1964: 다카하시 시게유키 1966: 호리우치 쓰네오 1967: 다케가미 시로 1968: 다카다 시게루 1969: 다부치 고이치 1970년대 1970: 야자와 겐이치 1971: 세키모토 시토시 1972: 야스다 다케시 1974: 후지나미 유키오 1976: 다오 야스시 1977: 사이토 아키오 1978: 스미 미쓰오 1979: 후지사와 기미야 1980년대 1980: 오카다 아키노부 1981: 하라 다쓰노리 1982: 쓰다 쓰네미 1983: 마키하라 히로미 1984: 고바야카와 다케히코 1985: 가와바타 준 1986: 나가토미 히로시 1987: 아라이 유키오 1988: 다쓰나미 가즈요시 1989: 도마시노 겐지 1990년대 1990: 요다 쓰요시 1991: 모리타 고이치 1992: 구지 데루요시 1993: 이토 도모히토 1994: 야부 게이이치 1995: 야마우치 야스유키 1996: 니시 도시히사 1997: 사와자키 도시카즈 1998: 가와카미 겐신 1999: 우에하라 고지 2000년대 2000: 긴조 다쓰히코 2001: 아카호시 노리히로 2002: 이시카와 마사노리 2003: 기사누키 히로시 2004: 가와시마 료 2005: 아오키 노리치카 2006: 소요기 에이신 2007: 우에조노 게이지 2008: 야마구치 데쓰야 2009: 마쓰모토 데쓰야 2010년대 2010: 조노 히사요시 2011: 사와무라 히로카즈 2012: 노무라 유스케 2013: 오가와 야스히로 2014: 오세라 다이치 2015: 야마사키 야스아키 2016: 다카야마 슌 2017: 교다 요타 2018: 아즈마 가쓰키 ※상기 이외의 연도는 수상자 없음 vdeh센트럴 리그 수위 타자1950년대 1950: 후지무라 후미오 1951: 가와카미 데쓰하루 1952: 니시자와 미치오 1953: 가와카미 데쓰하루 1954: 요나미네 가나메 1955: 가와카미 데쓰하루 1956: 요나미네 가나메 1957: 요나미네 가나메 1958: 다미야 겐지로 1959: 나가시마 시게오 1960년대 1960: 나가시마 시게오 1961: 나가시마 시게오 1962: 모리나가 가쓰하루 1963: 나가시마 시게오 1964: 에토 신이치 1965: 에토 신이치 1966: 나가시마 시게오 1967: 나카 아키오 1968: 오 사다하루 1969: 오 사다하루 1970년대 1970: 오 사다하루 1971: 나가시마 시게오 1972: 와카마쓰 쓰토무 1973: 오 사다하루 1974: 오 사다하루 1975: 야마모토 고지 1976: 야자와 겐이치 1977: 와카마쓰 쓰토무 1978: 미즈타니 지쓰오 1979: 펠릭스 미얀 1980년대 1980: 야자와 겐이치 1981: 후지타 다이라 1982: 나가사키 게이지 1983: 마유미 아키노부 1984: 시노즈카 도시오 1985: 랜디 바스 1986: 랜디 바스 1987: 시노즈카 도시오, 쇼다 고조 1988: 쇼다 고조 1989: 워렌 크로마티 1990년대 1990: 짐 파치오렉 1991: 후루타 아쓰야 1992: 잭 하웰 1993: 토머스 오말리 1994: 알론조 파웰 1995: 알론조 파웰 1996: 알론조 파웰 1997: 스즈키 다카노리 1998: 스즈키 다카노리 1999: 로버트 로즈 2000년대 2000: 긴조 다쓰히코 2001: 마쓰이 히데키 2002: 후쿠도메 고스케 2003: 이마오카 마코토 2004: 시마 시게노부 2005: 아오키 노리치카 2006: 후쿠도메 고스케 2007: 아오키 노리치카 2008: 우치카와 세이이치 2009: 알렉스 라미레스 2010년대 2010: 아오키 노리치카 2011: 조노 히사요시 2012: 아베 신노스케 2013: 토니 블랑코 2014: 맷 머턴 2015: 가와바타 신고 2016: 사카모토 하야토 2017: 미야자키 도시로 2018: 다얀 비시에도 vdeh센트럴 리그 골든 글러브상 (외야수 부문)1970년대 1972: 다카다 시게루, 야마모토 고지, 시바타 이사오 1973: 다카다 시게루, 야마모토 고지, 시바타 이사오 1974: 다카다 시게루, 야마모토 고지, 시바타 이사오 1975: 야마모토 고지, 다카다 시게루, 론 우즈 1976: 야마모토 고지, 시바타 이사오, 이케베 이와오 1977: 야마모토 고지, 시바타 이사오, 와카마쓰 쓰토무 1978: 야마모토 고지, 와카마쓰 쓰토무, 짐 라이틀 1979: 야마모토 고지, 존 스콧, 짐 라이틀 1980년대 1980: 야마모토 고지, 짐 라이틀, 존 스콧 1981: 짐 라이틀, 야마모토 고지, 마쓰모토 다다시 1982: 히라노 겐, 마쓰모토 다다시, 기타무라 데루후미 1983: 기타무라 데루후미, 나가시마 기요유키, 마쓰모토 다다시 1984: 야시키 가나메, 나가시마 기요유키, 야마사키 류조 1985: 야시키 가나메, 야마사키 류조, 히라노 겐 1986: 히라노 겐, 야시키 가나메, 나가시마 기요유키 1987: 야시키 가나메, 야마사키 류조, 나가시마 기요유키 1988: 야시키 가나메, 야마사키 류조, 히코노 도시카쓰 1989: 히코노 도시카쓰, 야마자키 겐이치, 구리야마 히데키 1990년대 1990: 히코노 도시카쓰, 야마자키 겐이치, 야나다 고이치 1991: R. J. 레이놀즈, 마에다 도모노리, 이이다 데쓰야 1992: 이이다 데쓰야, 마에다 도모노리, 가메야마 쓰토무 1993: 마에다 도모노리, 신조 쓰요시, 이이다 데쓰야 1994: 마에다 도모노리, 이이다 데쓰야, 신조 쓰요시 1995: 이이다 데쓰야, 오가타 고이치, 오토 시게키 1996: 오가타 고이치, 이이다 데쓰야, 신조 쓰요시 1997: 이이다 데쓰야, 오가타 고이치, 신조 쓰요시 1998: 다카하시 요시노부, 오가타 고이치, 신조 쓰요시 1999: 다카하시 요시노부, 오가타 고이치, 신조 쓰요시 2000년대 2000: 신조 쓰요시, 다카하시 요시노부, 마쓰이 히데키 2001: 다카하시 요시노부, 마쓰이 히데키, 아카호시 노리히로 2002: 마쓰이 히데키, 다카하시 요시노부, 후쿠도메 고스케 2003: 아카호시 노리히로, 후쿠도메 고스케, 다카하시 요시노부 2004: 알렉스 오초아, 히데노리, 아카호시 노리히로 2005: 후쿠도메 고스케, 아카호시 노리히로, 긴조 다쓰히코 2006: 후쿠도메 고스케, 아오키 노리치카, 아카호시 노리히로 2007: 아오키 노리치카, 다카하시 요시노부, 긴조 다쓰히코 2008: 아오키 노리치카, 아카호시 노리히로, 스즈키 다카히로 2009: 아오키 노리치카, 마쓰모토 데쓰야, 가메이 요시유키 2010년대 2010: 아오키 노리치카, 히로세 준, 아카마쓰 마사토 2011: 아오키 노리치카, 조노 히사요시, 오시마 요헤이 2012: 오시마 요헤이, 조노 히사요시, 아라나미 쇼 2013: 조노 히사요시, 마루 요시히로, 아라나미 쇼 2014: 마루 요시히로, 오시마 요헤이, 야마토 2015: 후쿠도메 고스케, 마루 요시히로, 오시마 요헤이 2016: 마루 요시히로, 오시마 요헤이, 스즈키 세이야 2017: 마루 요시히로, 스즈키 세이야, 구와하라 마사유키 2018: 마루 요시히로, 오시마 요헤이, 히라타 료스케 ※1972년부터 1985년까지는 다이아몬드 글러브상. vdeh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우승 감독89 오 사다하루코치 84 다케다 가즈히로(투수) 85 쓰지 하쓰히코(내야 수비 주루) 86 가토리 요시타카(투수) 87 오시마 야스노리(타격) 88 히로타 스미오(외야 수비 주루) 투수 11 시미즈 나오유키 12 후지타 소이치 15 구보타 도모유키 18 마쓰자카 다이스케 19 우에하라 고지 20 야부타 야스히코 21 와다 쓰요시 24 후지카와 규지 31 와타나베 슌스케 40 오쓰카 아키노리 41 고바야시 히로유키 47 스기우치 도시야 61 이시이 히로토시(중도 이탈) 61 마하라 다카히로(추가 소집) 포수 22 사토자키 도모야 27 다니시게 모토노부 59 아이카와 료지 내야수 1 이와무라 아키노리 2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3 마쓰나카 노부히코 7 니시오카 쓰요시 8 이마에 도시아키 10 미야모토 신야 25 아라이 다카히로 52 가와사키 무네노리 외야수 5 와다 가즈히로 6 다무라 히토시 9 긴조 다쓰히코 17 후쿠도메 고스케 23 아오키 노리치카 51 이치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긴조_다쓰히코&oldid=24370238" 분류: 1976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일본의 야구 선수일본 프로 야구 외야수요코하마 베이스타스 선수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선수요미우리 자이언츠 선수일본 프로 야구 신인왕 수상자오사카시 출신한국계 일본인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연도별 타격 성적을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3일 (월) 18:3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긴조 다쓰히코(일본어: 金城 龍彦, 1976년 7월 27일 ~ )은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야구 지도자이다. 한국계 일본인으로 귀화 전 한국명은 '김용언(金龍彦)'이다. 현역 시절에는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와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활약했고 2015년 시즌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2016년부터 지도자로 활동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긴조 다쓰히코가 프로 입단 후 2003년에서 2005년까지의 활약상은 어떠한가? Assistant: 2003년에는 1번 타자로서 3할 대의 타율과 16개의 홈런을 기록하여 장타력도 몸에 익히는 등 슬럼프에서 벗어났고 1경기에서 좌우 양타석에 홈런을 두 차례나 달성했다. 외야수로 전향한 후에는 주로 중견수를 지키고 있었지만 2004년부터 종합적으로 수비력이 높은 다무라 히토시가 중견수에 들어가면서 자신도 우익수를 지키게 되었다. 동시에 타순도 6번 타자가 되었지만 2년 연속으로 3할이 넘는 타율을 기록하는 등 좋은 성적을 유지했다. 2005년에 타순은 3번 타자가 되면서 로버트 로즈가 수립한 구단 기록(192안타)에 1개 차가 되는 191개의 안타를 날려내 타점도 개인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게다가 수비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아 처음으로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다. 이러한 활약으로 다음해 2006년 3월에 개최된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일본 국가대표팀 선수로 발탁되었다.
Human: 아래 SKY_프로리그_2004_1라운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SKY 프로리그 2004 1라운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SKY 프로리그 2004 1라운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스카이 프로리그 2004 1라운드SKY PROLEAGUE 2004 1R 대회 정보차수 제3회 대회기간 2004년 4월 17일 ~ 2004년 7월 18일주관방송사 온게임넷스폰서 SKY참가팀 11팀 슈마 G.O 투나 SG → SG 패밀리 한빛 스타즈 SouL KOR KTF 매직엔스 SK텔레콤 T1 헥사트론 드림팀 KTEC 플러스 P.O.S 삼성전자 칸공식맵 Nostalgia (3시즌)Neo Guillotine (수정, 3시즌)Requiem (신규)XENO SKY (신규)바람의 계곡 (신규, 시즌중 퇴출)Huntress (팀플레이, 3시즌)Vertigo Plus (팀플레이, 2시즌)경기장소 서울 삼성동 코엑스 메가스튜디오 결승전장소 부산 광안리 해수욕장해설 전용준 (캐스터) 김동수 (해설) 김도형 (해설)최종 순위우승 한빛 스타즈 (1번째 우승)준우승 SK텔레콤 T13위 SG 패밀리4위 슈마 G.O개인수상 및 통계MVP 강도경Z (한빛 스타즈)총 8승 5패팀플레이 8승 5패결승MVP 김선기T (한빛 스타즈)결승 개인전 1승 0패 (제5경기 승리 vs 임요환T)나도현T (한빛 스타즈)결승 개인전 1승 0패 (제7경기 승리 vs 김현진T)최다승 차재욱T (KOR)개인전 5승 0패감독상 이재균 (한빛 스타즈)이전 대회 / 다음 대회 ← 네오위즈 피망컵 2003 SKY 2004 2R → SKY 프로리그 2004 1라운드 (SKY Pro League 2004 1Round) 는 프로리그의 3번째 시즌이며, 2004 시즌 첫 리그이다. 프로리그를 상징하는 파란색별 로고(SKY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까지 사용)가 도입된 시즌이기도 했다. 목차 1 개요 2 순위 3 경기 기록 4 결승전 5 대회 결과 6 결승전 7 각주 8 외부 링크 개요[편집] 리그기간 : 2004년 4월 17일 ~ 2004년 7월 17일 이번 시즌에서 3라운드 시즌까지 동족전 제어를 위한 특단의 조치로 동일 종족 동일 맵 연속 출전 금지규정을 적용하였다. 이는 지난 시즌이었던 피망컵 프로리그의 'Another Day' 맵 때문이었다. 이 맵에서의 경기가 테테전만(테란 대 저그전이 두 번 정도 제외하곤 테테전만 진행)나오자 결국 동족전 제어를 위해 시행되었다. 이 규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A팀이 레퀴엠 맵에 테란을 출전시키면 그다음 경기에서는 레퀴엠에 테란을 내보낼 수 없다. 즉, 어떤 팀에서 특정종족이 특정 맵에 나오면 다음 경기에서는 그맵에 다른 종족을 내보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감독들의 용병술의 제약이 뒤따르자 2005 시즌에는 폐지되었다 순위[편집] 순위기준: 다승 → 승점 → 승자승 순 순위 팀 경기수 승 패 승률 승점 벌점 진출여부 1 한빛 스타즈 10 8 2 80% 10 결승진출 2 SK텔레콤 T1 10 7 3 70% 7 1 결승진출 3 SG 패밀리 10 7 3 70% 5 4 슈마 GO 10 6 4 60% 4 1 5 KOR 10 5 5 50% 0 6 SouL 10 5 5 50% -1 7 KTF 매직엔스 10 5 5 50% -4 2 8 POS 10 4 6 40% -5 2 9 헥사트론 드림팀 10 3 7 30% -6 10 삼성전자 칸 10 3 7 30% -6 11 Plus 10 2 8 20% -12 2 2라운드 탈락 경기 기록[편집] 1라운드 경기 기록 주차 경기일 승리 패배 점수 1 4월 17일 슈마 GO 헥사트론 드림팀 2-0 SouL 삼성전자 칸 2-1 4월 21일 투나 SG Plus 2-1 KOR KTF 메직엔스 2-0 2 4월 24일 한빛 스타즈 SKT T1 2-0 POS SouL 2-0 4월 28일 KTF 메직엔스 헥사트론 드림팀 2-1 투나 SG 슈마 GO 2-0 3 5월 1일 Plus POS 2 - 1 한빛 스타즈 삼성전자 칸 2 - 1 5월 5일 SouL KOR 2-1 KTF 매직엔스 SK텔레콤 T1 2 - 1 4 5월 8일 헥사트론 드림팀 삼성전자 칸 2 - 0 투나 SG POS 2 - 1 5월 12일 KOR Plus 2 - 0 한빛 스타즈 슈마 GO 2 - 1 5 5월 15일 투나 SG 2 - 0 삼성전자 칸 SK텔레콤 T1 SouL 2 - 0 5월 19일 SouL KTF 매직엔스 2 - 0 슈마 GO 1 - 2 KOR 한빛 스타즈 POS 2-0[1] 6 5월 22일 Soul Plus 2-0 헥사트론 드림팀 SK텔레콤 T1 2-0 5월 26일 POS KOR 2-0 헥사트론 드림팀 한빛 스타즈 1-2 삼성전자 칸 KTF 메직엔스 2-1[1] 7 5월 15일 Plus 슈마 GO 0 - 2 SK텔레콤 T1 KOR 2 - 0 6월 2일 삼성전자 칸 SK텔레콤 T1 2-0 슈마 GO 2 - 0 Plus POS 헥사트론 드림팀 2-1[1] KTF 메직엔스 투나 SG 2-1[1] 8 6월 5일 한빛 스타즈 SouL 2 - 0 SK텔레콤 T1 2 - 0 슈마 GO 6월 9일 투나 SG 0 - 2 한빛 스타즈 슈마 GO 2 - 0 POS KOR 삼성전자 칸 2-1 KTF 매직엔스 Plus 2-1 9 6월 16일 헥사트론 드림팀 0 - 2 SG 패밀리 SK텔레콤 T1 2 - 0 POS 10 6월 19일 Plus 한빛 스타즈 2-1 KTF 매직엔스 슈마 GO 1-2 헥사트론 드림팀 KOR 2-1[1] 6월 23일 한빛 스타즈 1 - 2 KTF 매직엔스 Plus 2 - 0 헥사트론 드림팀 삼성전자 칸 POS 2-0[1] SG 패밀리 KOR 2-1[1] 11 6월 26일 SouL 2 - 0 헥사트론 드림팀 Plus 0 - 2 SK텔레콤 T1 6월 30일 SK텔레콤 T1 2 - 0 SG 패밀리 POS 2 - 0 KTF 매직엔스 슈마 GO 삼성전자 칸 2-0[1] 12 7월 3일 Plus 삼성전자 칸 2-0 한빛 스타즈 KOR 2-1 SG 패밀리 SouL 2-1[1] 순위 팀 경기수 승 패 승률 승점 벌점 1 한빛 스타즈 10 8 2 80% 10 2 SK텔레콤 T1 10 7 3 70% 7 1 3 SG 패밀리 10 7 3 70% 5 4 슈마 GO 10 6 4 60% 4 1 5 KOR 10 5 5 50% 0 6 SouL 10 5 5 50% -1 7 KTF 매직엔스 10 5 5 50% -4 2 8 POS 10 4 6 40% -5 2 9 헥사트론 드림팀 10 3 7 30% -6 10 삼성전자 칸 10 3 7 30% -6 11 Plus 10 2 8 20% -12 2 결승전[편집] 2004년 7월 18일 한빛 스타즈 4 - 3 SK텔레콤 T1 광안리 해수욕장 관중수: 10만명 SKY 프로리그 2004 1라운드 결승전 경기 목록 순 선수 맵 선수 1 박경락 승 노스탤지아 패 박용욱 2 강도경, 나도현 패 버티고 플러스 승 이창훈, 임요환 3 박영민 패 레퀴엠 승 최연성 4 강도경, 박영민 패 헌트리스 승 김성제, 이창훈 5 김선기 승 네오 기요틴 패 임요환 6 강도경, 조형근 승 버티고 플러스 패 김성제, 이창훈 7 나도현 승 제노스카이 패 김현진 대회 결과[편집] 최종결과 우승 : 한빛 스타즈 , 준우승 : SK텔레콤 T1 결승전[편집] SKY 프로리그 2004의 결승전은 2004년 7월 17일 광안리 해수욕장에서 치러졌으며 같은 날 사직 야구장에서 열린 프로야구 올스타전 관중 1만 5천명을 훨씬 압도하는 10만관중이 몰려 세계적으로 E-스포츠의 위상을 크게 보여주었다. 경기 결과 4:3로 한빛 스타즈가 우승했다. 입장 관객수는 약 10만명(추산).[2]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방송되지 않은 경기 ↑ 스타 프로리그 결승 10만관객 영광 회복하나(2007년 8월 3일 일자 조이뉴스24 스포츠면 기사) 외부 링크[편집] 오프닝 결승전 오프닝 KeSPA 프로리그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Neowiz Pmang컵 온게임넷 프로리그(2003.10.11 ~ 2004.02.29) SKY 프로리그 2004 1Round(2004.04.17 ~ 2004.07.17) SKY 프로리그 2004 2Round(2004.08.11 ~ 2004.10.30) vdeh 역대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2003년~2005년 2003 KTF EVER(예선) 2003 Neowiz Pmang(예선) 2004 SKY 1라운드 2004 SKY 2라운드 2004 SKY 3라운드 2004 SKY 그랜드 파이널 2005년~2007년 SKY 2005 전기 SKY 2005 후기 SKY 2005 그랜드파이널 SKY 2006 전기 SKY 2006 후기 SKY 2006 통합챔피언전 2007년~2008년 2007 신한은행 전기 2007 신한은행 후기 신한은행 2007 통합챔피언전 2008 신한은행 2008년~2011년 08-09 신한은행 09-10 신한은행 10-11 신한은행 2011년~2013년 11-12 SK플래닛 2012 SK플래닛 12-13 SK플래닛 2013년~2016년 2014 SK텔레콤 2015 SK텔레콤 2016 SK텔레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SKY_프로리그_2004_1라운드&oldid=22797053" 분류: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2004년 이스포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0월 15일 (월) 18:4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스카이 프로리그 2004 1라운드(SKY Pro League 2004 1Round)는 프로리그의 3번째 시즌이며, 2004 시즌 첫 리그이다. 프로리그를 상징하는 파란색별 로고(SKY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까지 사용)가 도입된 시즌이기도 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SKY 프로리그 2004 1라운드의 경기 결과는 어땠을까? Assistant: 순 선수 맵 선수 1 박경락 승 노스탤지아 패 박용욱 2 강도경, 나도현 패 버티고 플러스 승 이창훈, 임요환 3 박영민 패 레퀴엠 승 최연성 4 강도경, 박영민 패 헌트리스 승 김성제, 이창훈 5 김선기 승 네오 기요틴 패 임요환 6 강도경, 조형근 승 버티고 플러스 패 김성제, 이창훈 7 나도현 승 제노스카이 패 김현진 Human: 아래 카롤리나_코스트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카롤리나 코스트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롤리나 코스트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글의 정확성과 사실 여부에 대해 논란이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0년 1월 23일) 카롤리나 코스트너Carolina Kostner 2007년 네벨혼트로피 시상식의 카롤리나 코스트너출생 1987년 2월 8일(1987-02-08) (32세)이탈리아 볼차노국적 이탈리아 메달 기록 이탈리아의 선수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 올림픽 동 2014년 소치 여자 싱글 ISU 세계선수권 금 2012년 니스 은 2013년 런던 은 2008년 예테보리 동 2011년 모스코바 동 2005년 모스크바 동 2014년 사이타마 ISU 유럽선수권 금 2013년 자그레브 금 2012년 셰필드 금 2010년 탈린 금 2008년 자그레브 금 2007년 바르샤바 은 2011년 베른 은 2009년 헬싱키 동 2014년 부다페스트 동 2006년 리옹 ISU 그랑프리 파이널 금 2011년 퀘벡 은 2010년 베이징 동 2008년 고양 동 2007년 토리노 카롤리나 코스트너(독일어: Carolina Kostner, 1987년 2월 8일 ~ )는 이탈리아의 여자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이탈리아 선수로는 최초로 2014년 소치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ISU 유럽선수권 대회 5회 우승자이며, 2011년 그랑프리 파이널 우승. 2012년 피겨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자이다. 목차 1 기본정보 2 개인 생활 3 경력 4 스케이팅 기술 5 주요 대회 기록 6 각주 7 외부 링크 기본정보[편집] 생년월일: 1987년 2월 8일(1987-02-08) (32세) 신장: 169cm[1] 출생지: 이탈리아 볼차노 거주지: 이탈리아 오르티세이(Ortisei) 학력 : 토리노 대학교 세계랭킹: 10위[2] 좋아하는 선수: 스테판 랑비엘 코치: 미하엘 후트 안무가: 로리 니콜 전지훈련지: 독일 오베르스도르프 ISU 공인 개인 최고 기록 쇼트프로그램: 80.24 (2018 세계선수권) 프리스케이팅: 142.61 (2014 소치동계올림픽) 총점: 216.73 (2014 소치동계올림픽) 개인 생활[편집] 카롤리나 코스트너의 집안은 동계스포츠로 유명하다. 그녀의 아버지는 올림픽과 세계선수권에 참가한 이탈리아 국가대표 아이스하키 선수였으며, 두 명의 남자 형제도 독일, 핀란드 등지에서 아이스하키 선수로 활동해 오고 있다.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의 알파인스키 은메달 수상자인 이졸데 코스트네르의 사촌이기도 하다. 독일어를 사용하는 주민이 많은 남티롤의 볼차노에서 태어난 그는 이 지방의 소수민족 언어인 라딘어를 구사하며, 동시에 독일어와 이탈리아어를 원어민 수준으로 구사할 수 있으며, 영어와 프랑스어도 할 수 있다. 한편 코스트네르는 2008년 하계 올림픽 경보에서 금메달을 딴 세계적인 경보 선수인 알렉스 슈바처와 연인 관계이다.[3] 소치올림픽 이후 연인 슈바처가 도핑문제로 국제적으로 이슈가 되자 코스트너 본인도 검사를 받고 연인 슈바처의 도핑사실을 묵인한 죄로 선수생활을 정지당했으나, 2016-2017시즌 복귀 예정에 있다. 경력[편집] 2005-2006 시즌, 토리노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부문 여자싱글 이탈리아 대표, 총점 9위를 기록했다. (우승자는 일본의 아라카와 시즈카.) 2006-2007시즌, 유럽선수권대회 우승. 2007-2008시즌, 07-08 시즌에 참가하는 첫 국제대회인 그랑프리 3차 대회 컵 오브 차이나에서 쇼트 1위를 기록하나 프리에서의 실수로 김연아(1위)와 2007년 주니어세계선수권 우승자인 캐롤라인 장(2위)의 뒤를 이어 총점 3위를 기록해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 후 일본에서 열리는 6차 그랑프리 시리즈인 NHK 트로피에서 안도 미키(4위) 등의 라이벌들을 누르며 총점 1위를 기록, 금메달을 획득해 자국인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열리는 그랑프리 파이널 진출권을 획득했는데 NHK 트로피에서 스텝 레벨 4를 기록했다. 토리노 그랑프리 파이널 쇼트에서는 1위 김연아, 2위 캐롤라인 장의 뒤를 이어 3위를 기록, 프리와의 총점에서는 김연아(우승)와 아사다 마오(2위)의 뒤를 이어 동메달을 획득한다. 그 뒤 유럽선수권에서는 2006-2007에서처럼 1위를 차지 유럽선수권 2연패를 기록했다. 또 2008년 세계선수권대회에서는 쇼트 1위를 기록하나 프리에서의 잦은 실수로 아사다 마오(우승)에 이어 2위를 차지, 은메달을 획득하며 본인의 세계선수권대회 최고 순위를 경신했다. 2008-2009시즌, 참가하는 첫 국제대회인 그랑프리 2차 대회 Skate Canada에서 쇼트에서 난조를 보이며 7위를 기록하고 프리에서 점수를 만회해 4위를 기록했다.(우승자는 캐나다의 조아니 로셰트.) 두 번째 국제대회인 컵 오브 러시아, 쇼트 프로그램에서는 점프 후 착지 불안 등과 같은 작은 실수로 일본의 수구리 후미에의 뒤를 이어 2위를 기록했고 프리 스케이팅에서는 역전하여 금메달을 차지하였다. 대한민국 고양시에서 열린 2008-2009 시즌 그랑프리 파이널, 컴비네이션 점프로 예정한 첫 점프에서 넘어져 2번째 점프를 연결하지 못하는 등, 김연아, 아사다 마오, 나카노 유카리의 뒤를 이어 쇼트 프로그램 4위를 기록했고 프리 스케이팅에서의 경기 후 총점 3위를 기록해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2009-2010시즌, 그랑프리 첫 대회인 Trophee Eric Bompard와 그랑프리 3차대회 Cup of China에서 모두 6위를 기록하며 그랑프리 파이널 진출에 실패하는 부진한 모습을 보이다가 유럽선수권에서 1위에 올라 부진을 씻는 듯 했으나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서는 프리 스케이팅에서 난조를 보이며 16위에 머물렀다. 시즌 마지막의 세계선수권에서는 6위에 올랐다. 2010-2011시즌, 그랑프리 1차대회에서 1위, 4차대회에서 3위를 차지하여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해 일본의 무라카미 가나코 선수를 0.01점 차이로 누르며 2위에 올랐다. 유럽선수권에서는 2위, 세계선수권에서는 안도 미키, 김연아 선수에 이어 3위에 올랐다. 2011-2012시즌, 그랑프리 세 개 대회에 출전하여 금메달 2개, 은메달 1개를 기록하여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하였고, 파이널에서도 1위에 오른다. 유럽선수권에서도 1위에 올라 4번의 우승을 기록하였고, 세계선수권에서 자신의 최고 기록을 경신하며 1위에 올라 첫 세계챔피언에 오른다. 2012-2013시즌, 그랑프리 시리즈 두 개 대회에 배정되었으나, 은퇴를 선언했다. 그러나 은퇴를 번복하고 2012년 하반기에 복귀하였으며, 2013년 1월에 열린 유럽선수권에 참가하여 다시 우승하였다. 유럽선수권 통산 5차례 우승이며, 8회 연속 입상이었다. 그리고 세계선수권에서 프리 프로그램과 총점에서 자신의 최고 기록을 경신하며 김연아에 이어 준우승하였다. 하지만 그 해 세계선수권 쇼트 프로그램에서 난도가 가장 낮은 연결점프인 트리플 토룹+트리플 토룹에서 넘어짐에도 불구하고 출전 선수 중 프로그램 구성점수부문(PCS)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아 논란이 된 적이 있다. 2013-2014시즌, 컵 오브 차이나 대회에서 3위, 컵 오브 러시아 대회에서 2위에 올랐으나, 그랑프리 파이널 진출자격은 얻지 못했다. 2014년 1월 유럽 선수권에서 동메달을 얻어, 유럽선수권 9회 연속 입상을 기록했다. 2014년 동계 올림픽 단체전과 여자 싱글에 참가했으며, 단체전에서는 이탈리아 팀이 4위를 했으며, 여자 싱글에서 아델리나 소트니코바, 김연아에 이어 3위에 올라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탈리아 여자 싱글 선수로는 처음으로 올림픽 메달을 얻은 것이었다. 현재 아델리나 소트니코바가 금지약물 복용 의혹을 받고 있어 사실로 밝혀질 경우 은메달로 승계된다. 스케이팅 기술[편집] 왼손잡이이기 때문에 보통의 선수들과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한다(오른쪽→왼쪽). 3회전의 러츠, 플립, 룹, 살코, 토룹을 구사할 수 있다. 2006-2007시즌과 2007-2008 시즌에 3회전 플립+3회전 토룹의 연결점프를 프로그램에 넣었으며 성공하였다. 그러나 현재 2009-2010 시즌에는 3회전+3회전 점프를 프로그램에 넣지 않으며, 대신 3회전 플립+2회전 토룹 점프를 프로그램에 포함 시키고 있다. 2010-2011시즌 이후 다시 3회전+3회전 연결점프를 실전에서 구성하고 있으나 트리플 플립, 트리플 러츠에서 이어지는 고난이도 3회전+3회전이 아니라, 점수상으로 가장 난이도가 낮은 3회전+3회전인 트리플 토룹+트리플 토룹을 구성하고 있다. 2011-2012시즌 이후 점프 구성에서 트리플 러츠를 제외하였다. 2012-2013시즌 세계선수권 부터 소치올림픽까지 프리 스케이팅에서 트리플 러츠 1회를 수행 하였다. 주요 대회 기록[편집] 대회/시즌 00-01 01-02 02-03 03-04 04-05 05-06 06-07 07-08 08-09 09-10 10-11 11-12 12-13 13-14 동계올림픽 9 16 3 세계선수권 10 5 3 12 6 2 12 6 3 1 2 3 유럽 선수권 4 5 7 3 1 1 2 1 2 1 1 3 이탈리아 선수권 1 J. 1 2 1 1 1 1 1 2 1 WD 1 그랑프리 파이널 3 3 2 1 컵 오브 러시아 2 7 1 2 스케이트 캐나다 5 7 4 컵 오브 차이나 3 6 1 3 NHK 트로피 6 1 트로피 에릭 봉파르 2 6 2 스케이트 아메리카 9 3 2 주니어 세계선수권 11 10 3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2 주니어 그랑프리 중국 4 주니어 그랑프리 프랑스 1 주니어 그랑프리 노르웨이 9 주니어 그랑프리 독일 7 핀란디아 트로피 4 3 네벨혼 트로피 1 1 J.(주니어) 13세 이상 각주[편집] ↑ “Biography”. 국제빙상연맹.  ↑ “ISU World Standings for Single Ladies”. 국제빙상연맹.  2014년 12월 현재 ↑ “'카롤리나의 연인' 슈바처, 도핑으로 올림픽 퇴출”. OSEN.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카롤리나 코스트너 (영어/독일어/이탈리아어) 카롤리나 코스트너 공식 웹사이트 (영어) 카롤리나 코스트너 - 국제 빙상 연맹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32600358 LCCN: no2015082095 ICCU: IT\ICCU\LO1V\35626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카롤리나_코스트너&oldid=24463983" 분류: 1987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이탈리아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독일계 이탈리아인이탈리아의 올림픽 동메달리스트올림픽 피겨스케이팅 메달리스트이탈리아의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2014년 동계 올림픽 메달리스트2006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2010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2014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2018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숨은 분류: 정확성에 논란이 있는 글/2010년 1월정확성에 논란이 있는 모든 글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B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SuomiFrançaisHrvatskiMagyarՀայերենIdoItaliano日本語LatviešuമലയാളംМонгол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cots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Vèneto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2일 (토) 12:3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카롤리나 코스트너(독일어: Carolina Kostner, 1987년 2월 8일 ~ )는 이탈리아의 여자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피겨를 시작한 나이는 11살 이탈리아 선수로는 최초로 2014년 소치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ISU 유럽선수권 대회 5회 우승자이며, 2011년 그랑프리 파이널 우승. 2012년 피겨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00-01시즌 카롤리나 코스트너의 주니어 세계선수권의 기록은? Assistant: 11
Human: 아래 미네르바_맥고나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미네르바 맥고나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네르바 맥고나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해리 포터》 등장인물 미네르바 맥고나걸 성별 여 학교 호그와트 기숙사 그리핀도르 배우 매기 스미스 최초 등장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미네르바 맥고나걸(Minerva McGonagall)은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1] 을 기준으로 41년째 호그와트의 교수를 맡고 있는[2] 마녀이며 현재 그리핀도르 기숙사의 사감과 변신술 수업을 맡고 있으며 덤블도어가 죽기 전엔 교감을 맡았었다. 또한 볼드모트와 죽음을 먹는 자들에 대항하는 조직인 불사조 기사단의 구성원이기도 하다. 또한 얼룩고양이로 변신이 가능한 애니마구스이기도 하다. 후에 교장으로 승차한다. 목차 1 해리 포터와의 관계 2 각 권에 나오는 맥고나걸의 모습 2.1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2.2 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 2.3 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 2.4 해리 포터와 불의 잔 2.5 해리 포터와 불사조 기사단 2.6 해리 포터와 혼혈 왕자 2.7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3 각주 해리 포터와의 관계[편집] 기본적으로는 해리 포터와 사제 지간이지만 실제로는 해리의 부모인 제임스 포터와 릴리 포터, 그리고 해리의 대부인 시리우스 블랙과도 아는 사이였으며[3] 호그와트의 전투에서 해리 포터가 호크룩스를 찾는 동안 시간을 벌어주기도 한다. 각 권에 나오는 맥고나걸의 모습[편집]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편집] 얼룩고양이로서 처음 등장하게 되는데, 더즐리 가의 사람들을 관찰하는 데서 시작해 덤블도어의 도착 이후 해리가 더즐리 가에 맡겨지는 모습을 지켜 보게 된다. 하지만 그들은 아주 못된 머글이라고 덤블도어에게 반대를 하고 흉터도 없애면 안 되냐고 묻기도 한다. 해리가 입학한 이후엔 교칙에 엄격하고 까다로운 마녀로서의 모습을 보이나[4] 중간중간에 인간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5] 또한 마법사의 돌을 지키기 위해 변신술 주문을 이용해 살아 있는 거대 체스 말을 만들어 설치하기도 했다.[6] 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편집] 맥고나걸은 여전히 엄격한 모습을 보이며 아서 위즐리의 날아다니는 차로 학교에 도착한 해리 포터와 론 위즐리에 대해 징계를 내리는 한편 약간의 인간적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7] 또한 바실리스크의 공격 속에서도 맥고나걸이 감정을 드러내는 부분이 많이 보인다.[8] 하지만 그런 와중에도 냉정을 잃지 않는 모습이 두드러진다.[9] 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편집] 아즈카반의 죄수에서는 맥고나걸의 비중이 매우 적은 편이다. 먼저 디멘터에 의해 기절한 해리를 걱정해 주는 모습이 나왔으며[10] 3학년 첫 학기에 헤르미온느 그레인저에게 거꾸로 가는 시계를 주기도 한다.[11][12] 그리고 제임스 포터와 시리우스 블랙의 관계를 알려주기도 한다.(주석 3 참조) 아즈카반의 죄수에선 맥고나걸이 트릴로니를 경멸하는 부분이 나오기도 한다.[13] 해리 포터와 불의 잔[편집] 불의 잔에서 맥고나걸은 편집증 환자인 은퇴한 오러 앨러스터 무디[14] 와 보바통과 덤스트랭의 방문, 해리의 챔피언 선정 등으로 인해 다른권보다 유달리 곤경을 겪는 경우가 많다. 불의 잔 첫 등장에선 소리의 요정 피브스때문에 곤경을 겪었고[15] 무디가 말포이를 변신술로 혼내는 바람에[16] 당황하기도 하며 5학년때 치르게 될 표준 마법사 수준 테스트인 O.W.L과 보바통, 덤스트랭의 방문 등으로 다른권 보다 다소 날카로운 모습을 보인다.[17] 또한 여전히 세베루스 스네이프를 싫어하는 모습을 보이며(주석 5 참조) 덤블도어를 옹호 하기도 한다.[18] 또한 해리를 걱정하는 모습도 많이 보인다.[19] 그리고 트리위저드 시합을 위해 마법을 걸기도 한다.[20] 또한 덤블도어의 지시에 따르는 모습도 보였으며[21] 중간에 당시 마법부 장관이었던 코넬리우스 퍼지의 만행으로 분노하기도 한다.[22] 해리 포터와 불사조 기사단[편집] 불사조 기사단에서는O.W.L시험을 위해 해리의 진로 상담을 조언해주고 해리의 악몽을 걱정해 주고 믿어준다. 하지만 엄브릿지의 만행을 경멸하게 싫어하고 맞서기도 한다. 엄브릿지 일당이 해그리드의 오두막으로 가 기절마법을 쏘려고 하는 것에 실패하여 O.W.L시험을 보고 있던 학생들과 맥고나걸 교수가 이를 목격을 하게 되고 그녀는 해그리드를 피신시키기 위해 달려가다가 엄브릿지 일당에 의해 기절마법에 맞아 성 뭉고 병원으로 이송되며 엄브릿지가 해임된 후 호그와트로 돌아왔다. 해리 포터와 혼혈 왕자[편집] 해리가 오러가 되기 위해 진로와 과목 성적을 걱정을 해주고 해리가 싫어하던 마법약 수업을 매일 듣기를 권유한다. 6월에 알버스 덤블도어가 스네이프에게 암살되자 교장실에서 그녀는 해리에게 "그동안 너에게 모든 걸 바치고 너를 아꼈고 널 위해 희생된 죽음이니 잊지 마라"라고 충고한다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편집] 마지막 편에서는 그동안 볼 수 없었던 맥고나걸 교수의 재밌는 면을 잠깐 볼 수 있다. 캐로우 남매와 다툴 때 해리를 보호하고 애정이 있는 마음을 보여준다. 호그와트 전투를 위해 복도에 있는 갑옷 동상과 각 물건에 주문을 걸어 전투를 진행하고 신입생과 재학생들을 다른 곳으로 피신시킨다. 해리가 남은 호크룩스를 찾을 수 있도록 시간을 벌어준다. 마지막에서 슬러그혼,킹슬리와 함께 3:1로 볼드모트에 맞서는 모습이 보이며, 전투에서 승리 후 그녀는 호그와트 교장으로 오르게 되었다. 각주[편집] ↑ 이 문서의 주석에 달린 해리포터 시리즈는 모두 2000년도 이후의 문학수첩에서 낸 한글판 해리포터 시리즈를 기준으로 했다. ↑ 불사조 기사단에서 맥고나걸이 엄브릿지의 수업 참관 과정에서 '올 12월이면 39년'이 된다고 했다. 죽음의 성물은 그로부터 2년 뒤이므로 41년이 맞다. 다만 에필로그인 19년 후를 기준으로 한다면 미네르바 맥고나걸이 아직 재직중이라는 가정하에서 12월에 60년을 맞이하게 될 것이다. 해리포터와 불사조 기사단 Ⅱ p253 ↑ 마법사의 돌 중에서 맥고나걸은 '릴리와 제임스'라는 성이 아닌 이름을 부른다. 이는 포터 부부와 맥고나걸이 서로 잘 알고 있었을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또한 해그리드가 뒤늦게 도착했을때 아즈카반의 죄수를 보게 되면 맥고나걸이 제임스 포터와 릴리 포터의 학창시절에 대해 말하는 장면이 나왔으며 불사조 기사단 이후에 나오는 제임스 포터나 시리우스 블랙에 대한 부분을 볼때 미네르바와 제임스 포터, 시리우스는 이전부터 같은 불사조 기사단 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릴리 포터 역시 기사단일 가능성이 있으나 제임스 포터와는 달리 릴리 포터가 불사조 기사단 인원이었다고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증거는 보이지 않는다.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Ⅰ p26, 해리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 Ⅰ p265~273 ↑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Ⅰ p190~191,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Ⅱ p118~120 ↑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Ⅰ p212~215←이 대목에선 슬리데린과 기숙사 사감 세베루스 스네이프 교수를 싫어한다는 내용도 나와있다.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Ⅱ p66, p153 ↑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Ⅱ p171~175 ↑ 해리포터와 비밀의 방 Ⅰ p115~119 ↑ 해리포터와 비밀의 방 Ⅱ P109~111, p153 ↑ 해리포터와 비밀의 방 Ⅱ p147, p159~162 ↑ 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 Ⅰ p120~122 ↑ 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 Ⅰ p122, 해리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 Ⅱ p227~228 ↑ 거꾸로 가는 시계는 아즈카반의 죄수 편에서 스토리를 이끌어나가는 핵심 소재이다. ↑ 해리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 Ⅰ p145, p297~299 ↑ 하지만 불의 잔 Ⅳ을 보게 되면 결국 학교에 온 무디는 가짜로 밝혀졌다. ↑ 해리포터와 불의 잔 Ⅰ p272~273 ↑ 해리포터와 불의 잔 Ⅱ p29~31 ↑ 해리포터와 불의 잔 Ⅱ p73~74, p78, p86 해리포터와 불의 잔 Ⅲ p11~15 ↑ 해리포터와 불의 잔 Ⅱ p140 ↑ 해리포터와 불의 잔 Ⅱ p247~248, p261 해리포터와 불의 잔 Ⅳ p203 ↑ 해리포터와 불의 잔 Ⅲ p211 ↑ 해리포터와 불의 잔 Ⅳ p204, p224~225, p256 ↑ 해리포터와 불의 잔 Ⅳ p239~242, p248 vdeh해리 포터 (저자: J.K. 롤링)소설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 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 해리 포터와 불의 잔 해리 포터와 불사조 기사단 해리 포터와 혼혈 왕자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영화 시리즈영화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 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 해리 포터와 불의 잔 해리 포터와 불사조 기사단 해리 포터와 혼혈 왕자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1부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2부 사운드 트랙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 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 해리 포터와 불의 잔 해리 포터와 불사조 기사단 해리 포터와 혼혈 왕자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1부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2부 비디오 게임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 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 해리 포터와 불의 잔 해리 포터와 불사조 기사단 해리 포터와 혼혈 왕자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1부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2부 관련 출연 배우들 등장인물주연 해리 포터 론 위즐리 헤르미온느 그레인저 볼드모트 알버스 덤블도어 세베루스 스네이프 루베우스 해그리드 드레이코 말포이 조연 지니 위즐리 시리우스 블랙 미네르바 맥고나걸 돌로레스 엄브릿지 세드릭 디고리 초 챙 네빌 롱바텀 루나 러브굿 리무스 루핀 불사조 기사단 덤블도어의 군대 죽음을 먹는 자 세계 호그와트 마법 목록 마법 생물 마법 물체 마법부 머글 장소 마법 약 퀴디치 호크룩스 관련된 작품 신비한 동물 사전 퀴디치의 역사 음유시인 비들 이야기 해리 포터 프리퀄 포터모어 해리 포터와 저주받은 아이 호그와트: 불완전하고 믿을 수 없는 가이드 게임과 장난감 해리 포터: 퀴디치 월드컵 레고 해리 포터 레고 크리에이터: 해리 포터 레고 해리 포터: 이어스 1-4 레고 해리 포터: 이어스 5-7 마법 약 책 마법 주문 책 해리 포터 트레이딩 카드 게임 액션 피겨 명소 더 위저딩 월드 오브 해리 포터(올랜도, 오사카, 할리우드) (드래곤 챌린지, 플라이트 오브 더 히포클리프, 해리 포터와 그린고트 탈출, 해리 포터와 금지된 여행, 호그와트 익스프레스) 해리 포터 영화 마술 체험 워너 브라더스 런던 스튜디오 투어 팬덤 해리 포터 연합 더 리키 콜드런 머글넷 리키콘 위저드 록 록스톡 볼드 모트 : 후계자의 기원 포터헤드 관련 목록 영향과 아날로그 법적 분쟁 패러디 정치 종교적 논쟁 번역 어 베리 포터 뮤지컬 해리 포터 렉시콘 해리 포터의 마법의 세계 포터 펍펫 팔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미네르바_맥고나걸&oldid=21523211" 분류: 해리 포터의 등장인물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rezhonegBosanskiDeutschEnglishEspañolEuskaraFrançaisעבריתHrvatskiInterlingua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rtuguêsRomână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6월 7일 (목) 00:4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미네르바 맥고나걸(Minerva McGonagall)은 해리 포터와 저주받은 아이를 기준으로 60년째 호그와트의 교수를 맡고 있는 마녀이며 현재 그리핀도르 기숙사의 사감과 변신술 수업을 맡고 있으며 덤블도어가 죽기 전엔 교감을 맡았었다. 또한 볼드모트와 죽음을 먹는 자들에 대항하는 조직인 불사조 기사단의 구성원이기도 하다. 또한 얼룩고양이로 변신이 가능한 애니마구스이기도 하다. 후에 교장으로 승진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불의 잔 등장씬에서 소리의 요정의 이름은 뭘까? Assistant: 피브스 Human: 아래 필_존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필 존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필 존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필 존스 개인 정보전체 이름 Philip Anthony Jones출생일 1992년 2월 21일(1992-02-21) (27세)출생지 잉글랜드, 프레스턴키 186 cm포지션 센터백, 라이트 백, 수비형 미드필더클럽 정보현 소속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등번호 4청소년 클럽 기록2002-2009 블랙번 로버스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2009-2011 2011- 블랙번 로버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035 00(0) 127 00(2)국가대표팀 기록‡2009-2010 2010-2011 2011- 잉글랜드 U-19 잉글랜드 U-21 잉글랜드 004 00(0) 009 00(0) 023 00(0)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17년 9월 17일 기준이다.‡ 국가대표팀의 출장수와 골은 2017년 9월 4일 기준이다. 필립 앤서니 존스(영어: Philip Anthony Jones, 1992년 2월 21일 ~ )은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이다. 포지션은 센터백이고, 현재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 잉글랜드에서 뛰고 있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 입단하기 전에 블랙번 로버스의 유소년과 성인 팀에서 뛰었다. 목차 1 클럽 경력 1.1 블랙번 로버스 1.2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 국가대표 경력 3 기록 3.1 클럽 4 각주 5 외부 링크 클럽 경력[편집] 블랙번 로버스[편집] 존스는 프레스턴에서 태어났고, 2002년 블랙번 로버스의 유소년 팀에 입단했다.[1] 이후 2009-10 시즌을 앞두고 블랙번과 2년 프로 계약을 맺은 후 성인 팀 소속으로 뛰기 시작했다.[2] 그리고 28번 등번호를 받았다. 그는 2009년 9월 22일 노팅엄 포리스트와의 리그 컵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고, 이 경기는 블랙번이 1-0으로 승리를 거두었다.[3] 2010년 3월 21일에는 프리미어리그 데뷔전을 치렀는데, 홈인 이우드 파크에서 첼시를 만나 1-1 무승부를 기록하였다.[4] 2010년 5월 4일, 존스는 블랙번 로버스와 새로운 5년 계약을 체결했다.[5] 프리미어리그 2010-11 시즌 초에 존스는 수비형 미드필더로 뛰었고, 주전으로 자리를 잡았으나 2010년 12월 웨스트 햄 유나이티드 전에서 당한 무릎 부상으로 약 5개월 동안 경기를 뛰지 못할 것이라 예상했다.[6] 맨체스터 유나이티드[편집] 2010-11 시즌이 끝난 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존스와의 계약에 관심이 있었다. 블랙번 로버스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간의 이적료 협상에서 블랙번은 이적 허용 조항인 1600만 파운드를 요구했다.[7] 이때 존스는 잉글랜드 대표로 2011 UEFA 유러피언 U-21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덴마크로 떠난 상태였다. 2011년 6월 13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는 존스와의 국가대표 소집이 끝난 후에 계약을 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는 필 존스의 이적료로 1600만 파운드(약 270억 원)를 지불하려했지만. 블랙번이 갑자기 거절하여 맨유는 100억가까이되는 돈을 더지불하여 총 350억의 이적료로 존스를 영업하였다. 존스는 그 후 이적하였고 맨체스터의 주전 센터백 비디치와 리오 퍼디난드의 부상으로 주전으로 자리 잡기 시작했고, 풀백과 중앙 미드필더 등 수비의 모든 위치를 가리지 않고 뛸 수 있다. 등번호는 과거 하그리브스가 썼던 4번을 받았으며, 맨유에서 4시즌 동안 128경기를 출전하였다. 그리고, 필 존스는 2015년 6월 30일. 맨유와 2019년 7월까지 재계약을 맺었다. 국가대표 경력[편집] 존스는 2009년 11월 17일 터키 U-19와의 경기에서 잉글랜드 U-19 대표팀 데뷔전을 치렀고, 경기는 3-1로 승리했다. 2010년 8월 4일, 존스는 잉글랜드 U-21 대표에 차출되었다. 8월 10일, 우즈베키스탄과의 경기에서 선발로 첫 출전하였고, 46분 마틴 켈리와 교체될 때까지 뛰었다.[8] 기록[편집] 클럽[편집] 2011년 5월 30일 기준 클럽 시즌 리그 국내 컵 리그 컵 대륙 대회 통산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블랙번 로버스 2009-10 9 0 1 0 2 0 - 12 0 2010-11 26 0 0 0 2 0 - 28 0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11-12 29 1 1 0 1 0 9 1 41 2 2012-13 17 0 4 0 0 0 3 0 24 0 통산 80 1 6 0 5 0 12 1 105 2 각주[편집] ↑ “Manchester United secure deal for Blackburn's Phil Jones”. BBC Sports. 2011년 6월 13일.  ↑ “Jones Signs 2-year Deal at Rovers”. Blackburn FC. 2009년 9월 4일. 2009년 9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15일에 확인함.  ↑ “Nottm Forest 0–1 Blackburn”. BBC Sports. 2009년 9월 22일.  ↑ Mark Ashenden (2010년 3월 21일). “Blackburn 1–1 Chelsea”. BBC Sports.  ↑ Andy Cryer (2010년 5월 4일). “Jones signs new five-year deal at Blackburn Rovers”. Lancashire Telegraph.  ↑ “Blackburn defender Phil Jones faces lengthy absence”. BBC Sport. 2010년 12월 21일.  ↑ Andy Hunter (2010년 12월 21일). “Ashley Young heads to Manchester United but Phil Jones deal stalls”. The Guardian.  ↑ Jamie Bradbury (2010년 8월 10일). “Rose and Kelly on the mark”. The FA.  외부 링크[편집] 필 존스 - 사커베이스 vdeh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현재 명단 1 데 헤아 2 린델뢰프 3 바이 4 존스 6 포그바 7 산체스 8 마타 9 루카쿠 10 래시퍼드 11 마르시알 12 스몰링 13 그랜트 14 린가드 15 페레이라 16 로호 17 프레드 18 영 20 달로트 21 에레라 22 로메로 23 쇼 25 발렌시아 27 펠라이니 31 마티치 36 다르미안 39 맥토미니 -- 완비사카 -- 제임스 감독: 솔셰르 vdeh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 UEFA 유로 2012 1 하트 2 존슨 3 콜 4 제라드 (주장) 5 켈리 6 테리 7 월컷 8 핸더슨 9 캐럴 10 루니 11 영 12 베인스 13 그린 14 존스 15 레스콧 16 밀너 17 파커 18 자기엘카 19 다우닝 20 체임벌린 21 디포 22 웰벡 23 버틀런드 감독: 호지슨 vdeh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 2014년 FIFA 월드컵 1 하트 2 존슨 3 베인스 4 제라드 (주장) 5 케이힐 6 자기엘카 7 윌셔 8 램파드 9 스터리지 10 루니 11 웰벡 12 스몰링 13 B. 포스터 14 헨더슨 15 체임벌린 16 존스 17 밀너 18 램버트 19 스털링 20 랄라나 21 바클리 22 F. 포스터 23 쇼 감독: 호지슨 vdeh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 2018년 FIFA 월드컵 4위 1 픽퍼드 2 워커 3 로즈 4 다이어 5 스톤스 6 매과이어 7 린가드 8 헨더슨 9 케인 (주장) 10 스털링 11 바디 12 트리피어 13 버틀런드 14 웰벡 15 케이힐 16 존스 17 델프 18 영 19 래시퍼드 20 알리 21 로프터스치크 22 알렉산더아널드 23 포프 감독: 사우스게이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필_존스&oldid=23525774" 분류: 199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잉글랜드의 축구 선수블랙번 로버스 FC의 축구 선수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의 축구 선수축구 수비수UEFA 유로 2012 참가 선수2014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잉글랜드 U-21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잉글랜드 청소년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프리미어리그의 축구 선수2018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ietuviųLatviešuमैथिलीMalagasy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Malti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संस्कृतम्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Volapük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24일 (목) 09: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필립 앤서니 존스(영어: Philip Anthony Jones, 1992년 2월 21일 ~ )은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이다. 포지션은 센터백이고,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 입단하기 전에 블랙번 로버스의 유소년과 성인 팀에서 뛰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블랙번이 필 존스 이적에 대해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 요구한 금액은? Assistant: 1600만 파운드
Human: 아래 센히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센히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센히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센히메 초상화 히메지 성의 센히메 모형 센히메(千姫, 게이초 2년 4월 11일(1597년 5월 26일) - 간분 6년 2월 6일(1666년 3월 11일))은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 - 에도 시대의 인물로, 에도 바쿠후 2대 쇼군인 도쿠가와 히데타다(徳川秀忠)의 장녀이자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의 손녀로 도요토미 히데요리(豊臣秀頼), 후의 혼다 다다토키(本多忠刻)의 정실이다. 원호는 덴주인(天樹院)이다. 도요토미 가문과 도쿠가와 가문의 정쟁에 휘말려 정략결혼의 희생물이 된 그녀의 일생은 각종 소설, 영화, 드라마의 소재가 되고 있다. 목차 1 일생 1.1 첫 결혼 1.2 혼다 다다토키와의 재혼 2 같이 보기 3 외부 링크 일생[편집] 첫 결혼[편집] 게이초 2년(1597년) 야마시로 국(山城国) 후시미 성(伏見城)의 도쿠가와 저택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후계자인 도쿠가와 히데타다와 그의 정실 에요(江与) 사이의 장녀로 태어났다. 유모는 교부쿄노 쓰보네(刑部卿局)이다. 도요토미 히데요리 게이초 8년(1603년) 3월 24일 센히메의 조부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도요토미 정권 휘하의 고다이로(五大老)의 일원이라는 지위에서 벗어나 도요토미 가문을 제치고 세이이타이쇼군(征夷大將軍)에 취임하여 에도에 바쿠후를 설립하였다. 같은 해 센히메는 7세의 나이로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외아들이자 도요토미 가문의 당주인 히데요리(秀頼)와 혼인하여 오사카 성(大坂城)에 입성하였다. 히데요리의 생모는 센히메의 생모 에요의 언니인 요도도노(淀殿; 차차)로, 히데요리와 센히메는 사촌 남매간이기도 하였다. 두 부부 관계는 원만하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자녀는 없었다. 게이초 10년(1605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오고쇼(大御所)로 물러나고 센히메의 아버지 도쿠가와 히데타다가 2대 쇼군으로 취임하였다. 게이초 19년(1614년) 도요토미 가문과 도쿠가와 가문이 결별하면서 오사카 전투가 발발하였다. 게이초 19년의 오사카 겨울 전투(大坂冬の陣), 게이초 20년의 오사카 여름 전투(大坂夏の陣)를 거치면서 패배한 도요토미 가문은 당주 도요토미 히데요리와 히데요리의 생모 요도도노가 함께 자살하면서 멸망하였으나 센히메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구출되었다.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리와 측실 사이에서 출생한 나아히메(奈阿姫)가 처형당할 위기에 놓이자 센히메는 나아히메를 자신의 양녀로 삼아 구하기도 하였다. 나아히메는 덴슈니(天秀尼)라는 법명을 받고 불문에 귀의한 뒤 1645년 36세로 자녀 없이 요절하여 도요토미 가문은 단절되었다. 혼다 다다토키와의 재혼[편집] 겐나 2년(1616년) 구와나 번(桑名藩)의 번주이자 혼다 다다카쓰(本多忠勝)의 손자인 혼다 다다토키와 재혼하였고 동시에 화장비 명목으로 10만 석의 영지를 받았다. 이 때 쓰와노 번(津和野藩)의 번주인 사카자키 나오모리(坂崎直盛)가 구와나 번으로 향하는 센히메의 혼례 행렬을 덮쳐 센히메의 가마를 탈취하려는 계획을 세웠다가 발각당하여 사카자키 나오모리는 할복하고 사카자키씨는 개역(改易) 처분을 당하는 센히메 사건(千姫事件)이 발생하였다. 이후 쓰와노 번은 시카노 번주였던 가메이 마사노리가 수여받게 된다. 히메지 성 겐나 3년(1617년) 혼다 가문이 하리마(播磨) 히메지(姫路)로 영지가 변경되면서 남편 혼다 다다토키와 함께 8월 28일 히메지 성(姫路城)으로 거처를 옮겼다. 이듬해인 겐나 4년(1618년)에는 장녀 가쓰히메(勝姫), 겐나 5년(1619년) 장남 고치요(幸千代)가 태어나는 등 혼다 다다토키와 센히메는 금슬도 좋았지만, 겐나 7년(1621년) 아들 고치요가 세 살의 나이로 사망하고 간에이 3년(1626년) 남편 혼다 다다토키와 어머니 에요가 연이어 사망하자 딸 가쓰히메와 함께 혼다 가문을 나와 친정 에도 성(江戸城)으로 되돌아왔다. 불교에 입문하여 덴주인이라는 법명을 받은 센히메는 가쓰히메와 함께 에도의 다케바시 저택에서 거처하였다. 가쓰히메는 간에이 5년(1628년) 외조부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양녀가 되어 이케다 미쓰마사(池田光政)와 혼인하였다. 같이 보기[편집] 도요토미 히데요리 외부 링크[편집] 桑名の殿様御台所祭・千姫折鶴祭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8426666 LCCN: n82143048 ISNI: 0000 0000 2654 8147 NDL: 0062475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센히메&oldid=24481865" 분류: 1597년 태어남1666년 죽음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여자헤이하치로 혼다씨도쿠가와씨도요토미씨구와나번 사람히메지번 사람17세기 일본 사람숨은 분류: 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5일 (화) 17:3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센히메(千姫, 게이초 2년 4월 11일(1597년 5월 26일) - 간분 6년 2월 6일(1666년 3월 11일))는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 - 에도 시대의 인물로, 에도 바쿠후 2대 쇼군인 도쿠가와 히데타다(徳川秀忠)의 장녀이자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의 손녀로 도요토미 히데요리(豊臣秀頼), 후의 혼다 다다토키(本多忠刻)의 정실이다. 원호는 덴주인(天樹院)이다. 도요토미 가문과 도쿠가와 가문의 정쟁에 휘말려 정략결혼의 희생물이 된 그녀의 일생은 각종 소설, 영화, 드라마의 소재가 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626년 가족의 잇따른 사망 이후 센히메가 불교에 입문하면서 얻은 법명은? Assistant: 덴주인 Human: 아래 홍윤성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홍윤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홍윤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영해 홍윤성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인산부원군 홍윤성仁山府院君 洪允成 前 조선국 의정부 영의정(前 朝鮮國 議政府 領議政) 임기 1469년 8월 22일 ~ 1470년 4월 6일 군주 조선 예종 이황조선 성종 이혈 섭정 귀성군 이준한명회정희대왕대비 파평 윤씨 前 조선국 상급 국상 부원위(前 朝鮮國 上級 國相 府院位) 임기 1470년 5월 31일 ~ 1471년 12월 5일 군주 조선 성종 이혈 섭정 정희대왕대비 파평 윤씨 전임 구치관 후임 한백륜 신상정보 국적 조선 출생일 1425년 출생지 조선 충청도 보은군 회인현 사망일 1475년 음력 9월 8일 (51세) 사망지 조선 한성부 본관 회인 학력 1450년 식년문과 병과 급제 정당 훈구파 세력 부모 홍제년(부) 형제 홍대성(형) 배우자 부인 3명 자녀 홍진(아들) 친인척 홍용(할아버지) 홍연보(증조부) 남육(장인) 김자모(장인) 별명 초명(初名) 홍우성(洪禹成) 자(字) 수옹(守翁) 호(號) 영해(領海)·경해(傾海)·경음당(鯨飮堂) 시호(諡號) 위평(威平) 종교 유교(성리학) 홍윤성(洪允成, 1425년 ~ 1475년 음력 9월 8일[1])은 조선의 문신이다. 본관은 회인(懷仁). 초명은 우성(禹成), 자(字)는 수옹(守翁)이고, 호(號)는 영해(領海)·경해(傾海), 경음당(鯨飮堂)이다. 1450년(세종 32년)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1453년 계유정난으로 수양대군이 단종을 보좌하던 황보 인(皇甫仁), 김종서(金宗瑞) 등을 살해하는 데 협력하여 정난공신 2등에 책록되었다. 1455년 세조 반정 직후 좌익공신 3등이 되고 예조판서 등을 거쳐 모린위 여진족의 난과 건주위 여진족의 난을 토벌하고 우의정을 지냈다. 예종 즉위 후에는 좌의정과 영의정을 지냈다. 예종 사후에는 성종을 지지한 공로로 부원군에 진봉되고 좌리공신 1등이 되었다. 성질이 사나워 권세를 얻은 뒤에는 주변을 돌아보지 않고 오로지 기세(氣勢)로써 다른 사람을 능멸하고, 가노(家奴)를 놓아 사람을 죽이기도 하였으며 자신의 숙부까지 살해했으나, 세조는 가볍게 처벌하였고, 그가 정난공신과 좌익공신으로 세조반정의 원훈(元勳)인 이유로써 단지 책망만 하고 처벌은 가하지 않았다. 시호(諡號)는 위평(威平)이다. 그의 유해는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경둔리에 있다. 목차 1 생애 1.1 초기 삶 1.1.1 출생과 가계 1.1.2 청년 시절 1.2 관료 생활과 정치 활동 1.2.1 관료생활 초반 1.2.2 계유정난과 세조 반정 1.2.3 외교, 군사 활동 1.2.4 권력 남용 1.3 생애 후반 1.3.1 예종, 성종 즉위 전후 1.3.2 최후 1.4 사후 2 작품 3 가족 관계 4 대중문화에 나타난 홍윤성 4.1 드라마 4.2 영화 4.3 문학 5 연보 6 기타 7 같이 보기 8 관련 서적 9 각주 10 외부 링크 생애[편집] 초기 삶[편집] 출생과 가계[편집] 영해 홍윤성은 1425년 충청도 보은군 회인에서 홍제년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본관은 회인(懷仁)이다. 증조부는 홍연보(洪延甫)이고, 할아버지는 홍용(洪容)이며, 아버지는 홍제년(洪齊年)이다. 초명은 우성(禹成)이고 자는 수옹(守翁)이며 뒤에 윤성으로 이름을 고쳤다. 충청북도 회인현 교동(현, 보은군 회인면 부수리) 출신이다. 청년 시절[편집] 그의 초기 삶에 대한 기록은 전하지 않는다. 전설에 의하면 세종 때 충청도 회인에 살던 그는 형 대성(大成)은 주점을 하는 설패두의 데릴사위가 되고, 자신은 군관이 되어 공주감영으로 갔고, 공주감영의 토포군관(討捕軍官)까지 승진했다. 그러나 태만석의 유혹에 넘어간 형수 설씨가 병든 그의 형 홍대성을 독약으로 독살하자 그가 돌아와 형이 갑작스러운 죽음이 독살이며 형수 설씨와 태만석이 살해했음을 밝혀내고 태만석과 설씨를 죽여 복수한다. 곧 충청도관찰사부에까지 올라가 심문 끝에 사형은 면하여 양산으로 유배형을 받았으나 추풍령에 이르러 태만석의 아우 태만흥의 습격을 받기도 했다. 이춘달의 술청을 부수었으며 백성들의 민심을 현혹하던 양산군 통도사의 괴승 청월을 처단하고, 밀양의 어느 양인 노인의 딸을 재취로 데려다 주막집 시킨다는 이춘달을 살해하고 풀어주었다는 전설도 전한다. 그 뒤 경상북도 청도에 있다가 밀양을 거쳐 충청북도 황간의 당숙의 집에까지 갔으나 공교롭게 당숙모가 원수 태만석의 누이임이 밝혀져 영동 마니산으로 다시 떠났다고 한다. 이러한 전설을 근거로 1925년 소설가 이해조(李海朝)는 홍장군전을 쓰기도 했다. 관료 생활과 정치 활동[편집] 관료생활 초반[편집] 세종 때 음보로 출사하여 군관이 되었다. 는 일찍이 한강 제주정(濟州亭)에서 수양대군과 겨루다가 그와 가까워졌다. 수양대군은 널리 인재를 찾아서 심복에 두었고, 제주정에서 활쏘기를 겨루다가 그를 만나서 자신의 측근으로 두게 되었다. 그 뒤 공주 토포군관을 거쳐 교도(敎導)로 재직 중 1450년(세종 32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권지승문원 부정자가 되었다. 무인의 기질이 있어 사복시(司僕寺) 직을 겸하였으며 사복시주부에 올랐다. 1450년 승문원 정자, 사복시 주부, 한성부 참군, 통례문 봉례 등을 역임했다. 1451년 한성부참군(漢城府參軍)·통례문봉례랑(通禮門奉禮郎)에 임명되었다.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문종의 명을 받아 《진서 陣書》를 찬술할 때 좌랑으로서 참여하였으며, 문종이 죽고 단종이 즉위하자 수양대군에게 임금이 나이가 어리다며 수양대군에게 집권을 건의하였다. 그는 단종의 나이가 어리고 나라가 위태하니 정국(政局)을 바로잡을 큰 일을 일으켜야 된다고 진언(進言)하고는 권람(權擥)을 모사(謀士)로 천거하였다. 그의 권고를 받아들인 수양대군은 권람을 통해 다시 신숙주, 정인지를 얻게 된다. 계유정난과 세조 반정[편집] 계유정난, 세조반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453년 수양 대군을 옹위하여 정난의 공을 세우고 수양대군이 절재 김종서를 베러 갈 때 동참하였으며[2] 황보 인(皇甫仁)·김종서(金宗瑞) 등 원로대신을 살해·제거하는 등 계유정난에 공을 세워 수충위사협찬정난공신 2등관(輸忠衛社協贊 靖難功臣 二等管)이 되었으며 이어 사복시판관에 승진되고 사헌부장령이 되었다. 그 뒤 여러 벼슬을 거쳐 1455년 초 판사복시사가 되었다. 1455년(단종 3년) 세조가 즉위하자 예조참의가 되었으며, 세조가 즉위 직후 성주군 월항에 있는 세종대왕의 왕자들의 태실비 중 세조의 태봉비문을 지어 비석으로 세웠다. 그러나 후대에 심하게 마모되어 판독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세조 즉위 초반, 홍윤성의 종들이 횡포를 자행하자 포도청 사졸이던 전림(田霖)이 밤에 홍윤성의 집 근처에 숨어 있다가 그의 종들을 묶어서 체포한 뒤 엄히 다스리고, 아침에 홍윤성의 집으로 데리고 가 항의했다. 홍윤성은 처음에는 화를 냈으나 나중에 전림의 용기를 가상히 여겨 술과 음식을 주니, 전림은 많은 음식을 단 번에 먹어 치웠다. 전림은 활쏘기와 말타기에 능했는데, 그의 재주를 본 홍윤성은 전림을 칭찬하고 왕에게 선전관으로 추천하였으며, 이때부터 전림은 홍윤성의 측근이 되어 수시로 홍윤성의 집을 출입했다 한다. 한 번은 홍윤성이 화를 참지 못하고 여자 종을 나무에 묶은 뒤 활로 쏘려 하자, 전림이 청하여 죽이지 말고 자신의 첩으로 달라고 하여 평생을 데리고 살았다 한다. 외교, 군사 활동[편집] 좌익공신, 여진족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그해 세조의 즉위를 도운 공로로 수충위사동덕좌익공신(輸忠衛社同德 佐翼功臣) 3등관에 책록되었다. 이어 참판에 승진, 인산군(仁山君)에 봉군되었다. 그 뒤 예조판서, 를 거쳐 경상우도 도절제사로 나갔다. 1457년(세조 3) 도진무(都鎭撫)를 거쳐, 문무과의 초시를 주관하였다. 1457년 사신의 수행원으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그해 다시 예조판서, 경상우도도절제사를 거쳐 1459년(세조 5) 다시 예조판서에 임명되었다. 그해 명나라에 사신이 파견되자 수행원의 한사람으로 다녀왔다. 1460년 모린위(毛憐衛) 여진족이 국경지대를 침입하여 변경을 소란하게 하자 대장(大將) 신숙주(申叔舟)의 부장(副將)으로 출정, 이를 토벌하고 돌아와 숭정대부로 승진했으며, 다시 인산군(仁山君)에 봉군되었다. 권력 남용[편집] 그는 홀로 사는 한 노파의 전재산인 논밭을 빼앗았는데 노파가 울면서 땅을 돌려달라고 호소하자 홍윤성은 그 노파를 돌 위에 거꾸로 매달고 모난돌로 때려 죽인 후 시신을 길곁에 버려두었으나 사람들이 감히 거두어 장사지내지 못했다.[2] 이조판서로 있을 때 홍윤성의 숙부가 아들의 벼슬을 부탁하자 그는 논 20두락을 요구했다. 숙부가 '그대가 옛날 어렵게 살때 내게 의탁한 지 30년이 지났는데 이제 재상이 되었다고 이럴 수 있는가'라고 따지자 홍윤성은 숙부를 타살한 후 후원에 암매장했다.[2] 숙모가 고소장을 올렸으나 형조에서는 접수받기를 꺼려했으며 사헌부에서도 듣지 않았다 한다.[2] 세조가 온양의 온궁으로 행차한다는 소식을 들은 홍윤성의 숙모는 세조가 도착하기 전날 밤부터 버드나무에 올라가 기다렸다가 어가가 나타나자 나무 위에서 길게 호곡했다.[2] 세조가 관리를 시켜 묻자 그의 숙모는 '공신에 관계된 것이므로 한 걸음 사이에도 그 말이 변할 것이니 감히 말할 수 없다'라고 하여 세조가 직접 어가를 멈추고 말하라고 하자 그때서야 홍윤성의 만행을 호소했다.[2] 또한 자기 집 앞을 흐르는 한강변에 말을 목욕시키면 쫓아가서 쳐 죽였고, 자신의 집 근처에서 하마하지 않고 말을 타고 지나가도 역시 죽여버렸다. 세조는 분노했으나 공신이란 이유로 치죄하지 못하고 그의 종을 베는 것으로 대신한 후 그 자리를 떠났다. 세조는 그의 행동들에 크게 불쾌해하고 노하였으나 지난날의 공로가 크다 하여 용서해 주었다고 한다. 용모가 크고 힘이 장사였으나 재물을 탐하고 횡포한 성질이 있어 온양(溫陽)에 땅을 많이 장만하고 종을 많이 부리면서 심히 학대하고 함부로 죽이므로 백성들의 원성이 높았다. 세조가 듣고 크게 노했으나 역시 지난날 그의 공이 크다 하여 윤성의 부하 두목들과 집 노비 등 10여 명을 대신 국문, 사형에 처하는 것으로 사건을 종결시켰다. 생애 후반[편집] 예종, 성종 즉위 전후[편집] 1467년 우의정이 되고, 건주위 토벌에 출정하여 공을 세워 그해 12월 군공 3등(軍功三等)에 녹훈되었다. 1468년 세조가 죽자 신숙주, 정인지, 한명회(韓明澮) 등과 함께 원상(阮相)의 한 사람으로 서정(庶政)을 처리하고 정사를 수습하였다. 1469년(예종 2) 의정부좌의정이 되고, 그해 명나라에 파견되는 사은사(謝恩使)로 연경에 다녀왔으며 귀국 후 곧 영의정이 되었다. 1469년(예종 2년) 예종이 병사하자 영의정으로 신숙주, 한명회, 정인지와 함께 다시 원상의 한사람이 되어 혼란을 수습하고 정무를 처결하였다. 이때 왕위 계승자 후보자를 낙점할 때 의경세자의 차남 자을산군 혈을 지지하였다. 홍윤성은 여러 차례 훈적(勳籍)에 참가하였고 벼슬이 영의정에 이르러 세력이 막강, 조정에서 그를 건드리는 사람이 없자, 이를 심히 불쾌하게 여긴 왕족 오산군이 그의 기세를 꺾기 위하여 비오는 날 조정에 나가는 홍윤성에게 비에 관복이 흠뻑 젖어 관복을 갈아 입도록 하는 굴욕을 안겨줌으로써 욕을 보이기도 하였다.[3] 최후[편집] 만년에는 충청도 부여로 낙향, 부여군 은산면 경둔리 근처에 자리잡았다. 그는 자신의 집 근처에서 하마하지 않거나 거만한 기색을 보이는 자는 반드시 불이익을 가했다. 한편 이웃 사람이 좋은 이야기를 들러주면 홍윤성은 많은 재물을 아끼지 않고 상으로 주는 등 여러 가지 알 수 없는 행동을 했다고도 한다. 1471년(성종 2) 성종을 지지하고 구성군(龜城君)을 숙청한 공로로 좌리공신(佐理功臣) 1등의 호를 받고, 인산부원군(仁山府院君)에 진봉되었다. 용모가 크고 힘이 장사였으나 재물을 밝히고, 성격은 횡포하여 백성의 원성이 높았으나 세조, 예종, 성종의 비호를 받았으므로 아무도 그에게 이의를 제기하지 못하였다. 1475년에 병으로 죽었다. 사후[편집] 사후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경둔리(敬屯里) 정수터(현,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경둔리 산56-1 경수터)에 안장되었다. 위평(威平)의 시호(諡號)가 추서되었다. 후에 계실 고령김씨는 그의 묘소 앞에 매장되었다. 신도비문은 김수온(金守溫)이 지었다. 성종 때부터 사림파가 집권하면서 그는 포악무도한 인물이며 권력남용을 이유로 조선이 멸망할 때까지 지탄받았다. 그의 저서와 작품들은 성주군 세조대왕태실비문을 제외하고는 전부 유실, 실전되었다. 묘소는 방치되었고, 묘비문과 신도비는 마멸되어 해석이 불가능하며, 부인의 묘비는 깨져 있었다. 후에 신도비와 묘비, 부인의 묘비 등을 다시 세웠다. 홍윤성의 묘소와 부인 묘소, 그의 신도비를 포함한 묘역은 후일 대한민국에 와서 부여군 향토유적 제49호로 지정되었다. 2003년에는 홍윤성의 묘소 앞 장명등이 도난되는 수난도 있었다.[4] 작품[편집] 성주 세조대왕태실비문 가족 관계[편집] 증조부 : 홍연보(洪延甫) 할아버지 : 홍용(洪容) 숙부 : 이름 미상 아버지 : 홍제년(洪齊年) 어머니 : 이름 미상 형님 : 홍대성(洪大成) 본처 : 남씨 후처 : 정경부인 고령 김씨 아들 : 홍진(洪珍) 측실 : 이름 미상, 양주군 좌수의 딸[출처 필요] 장인 : 남륙(南陸) 장인 : 김자모(金子謀) 대중문화에 나타난 홍윤성[편집] 드라마[편집] 《설중매》 (MBC, 1984년~1985년 배우:이대근) 《파천무》 (KBS, 1990년 배우:백인철) 《한명회》 (KBS, 1994년~1994년 배우:김형일) 《왕과 비》 (KBS, 1998년~2000년 배우:김형일) 《인수대비》 (JTBC, 2012년~2013년 배우:박정학) 영화[편집] 《칠삭동이의 설중매》(1988년, 배우:김희라) 《관상》(2013년, 배우:유상재) 문학[편집] 홍윤성전 (洪允成傳) - 조선시대 역사소설로 작가와 시대 미상 홍윤성전 (洪允成傳) - 1925년, 이해조 작 연보[편집] 음서로 출사하여 군관, 공주 토포관, 교도 등을 역임 1450년(세종 32) 교도 재직 중, 문과에 급제 1450년 승문원 정자 사복시 주부·한성부 참군·통례문 봉례 등을 역임했다. 1453년(단종 1)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수양대군(首陽大君, 세조)을 도와 김종서, 황보인을 척살 1453년 계유정난에 공을 세워 정난공신 2등(靖難功臣 二等)이 되다. 사헌부장령을 거쳐 판사복시사에 올랐다. 1455년(단종 3) 세조가 즉위하자 예조참의가 됨 1455년 좌익공신 3등으로 책록되고 참판에 승진, 인산군에 봉군되었다. 예조판서, 경상우도 도절제사를 역임, 1460년(세조 5) 신숙주(申叔舟)의 부장이 되어 모련위 여진족의 반란을 토벌 1460년 숭정대부로 승진, 다시 인산군에 봉군됨 1467년(세조 12) 의정부우의정에 승진 1469년(예종 2) 좌의정 1469년 영의정 1470년(성종 1) 좌리공신 1등에 녹훈되고 인산부원군으로 진봉 기타[편집] 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지금 바로 이 문단을 편집하여, 참고하신 문헌이나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각주 등으로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6년 2월 22일에 문단의 출처가 요청되었습니다.) 권세를 얻은 뒤에는 주변을 돌아보지 않고 친척과 친지들을 외면하였으며 기세(氣勢)로써 다른 사람을 능멸하고, 가노(家奴)를 시켜서 사람들을 함부로 잡아 죽이기도 하였으나 세조는 가볍게 처벌할 뿐 그가 정난(靖難)과 반정공의 원훈(元勳)인 이유로써 단지 책망하거나 그 노비들을 데려다가 가볍게 처벌할 뿐 그에게는 처벌을 가하지 않았다. 그에게는 본처 남씨와 후처 김씨 이외에 기녀 또는 평민 출신의 부인이 한 명 더 있었다. 그는 경기도 양주군의 좌수의 딸이라고도 하고, 전라북도 순창군 출신의 기녀 모란(牧丹)이라고도 한다. 좌수의 딸이라는 설에 따르면, 양주로 행차했던 그가 좌수의 딸의 미모를 보고, 그를 첩으로 삼으려 하자 좌수의 딸이 자신을 정실로 거두지 않으면 자결하겠다고 하여 그가 정식으로 혼례를 하고 데려온 것이라 한다. 순창 기녀 설에 따르면, 야밤에 어느 산에서 호랑이를 만나 죽을 위기에 처한 기녀 모란을 그가 호랑이를 화살로 맞추어 구해주고 백년가약을 맺게 되었다. 그가 병조판서로 재직할 당시 세조가 그의 집 잔치에 미복으로 참석했는데, 그의 사연을 듣고 형수라 하여 그를 정처(正妻)로 인정하였다 한다. 후일 그 여자가 자신은 정식으로 데려온 부인이라 하자 김씨가 항소하니, 평민 여자는 세조가 자신을 형수라 했다 하여 왕조실록과 승정원 기록에 세조가 방문하자 부인이 술을 따랐다는 구절을 찾아서 제시했다고 한다. 같이 보기[편집] 세조 계유정난 세조 반정 신숙주 성삼문 하위지 한명회 정창손 이개 김질 홍달손 곽연성 폐비 윤씨 양정 정보 황보인 김종서 한계미 한치형 한보 신면 신정 신용개 윤사흔 윤사분 윤필상 인수대비 정희왕후 윤곤 관련 서적[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1996) 이가원, 《이조명인열전》(을유문화사, 1965) 각주[편집] ↑ 성종실록 59권, 성종 6년 9월 8일 갑인 4번째기사 ↑ 가 나 다 라 마 바 조선을 망친 것은 공신들이었다 Archived 2003년 10월 1일 - 웨이백 머신 동아일보역사산책 - 이덕일 ↑ 오산군 ↑ 문화재청 홍윤성의 묘 장명등 도난 공지사항 외부 링크[편집] 홍윤성 조선을 망친 것은 공신들이었다 동아일보 역사산책 홍윤성전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임구치관 조선의 상급 국상1470년 5월 31일 ~ 1471년 12월 5일 후임한백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홍윤성&oldid=23807388" 분류: 1425년 태어남1475년 죽음회인 홍씨보은군 출신과거 급제자조선의 문신조선의 정치인조선의 외교관조선의 작가조선의 시인조선의 서예가조선의 군인육군 장군한국의 장군정난공신좌익공신좌리공신영의정훈구파가족 살해자조선 세조조선 단종한명회신숙주병사한 사람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6년 2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문단에 출처가 필요한 글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5일 (화) 01: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홍윤성(洪允成, 1425년 ~ 1475년 음력 9월 8일)은 조선의 문신이다. 본관은 회인(懷仁). 초명은 우성(禹成), 자(字)는 수옹(守翁)이고, 호(號)는 영해(領海)·경해(傾海), 경음당(鯨飮堂)이다. 1450년(세종 32년)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1453년 계유정난으로 수양대군이 단종을 보좌하던 황보 인(皇甫仁), 김종서(金宗瑞) 등을 살해하는 데 협력하여 정난공신 2등에 책록되었다. 1455년 세조 반정 직후 좌익공신 3등이 되고 예조 판서 등을 거쳐 모린위 여진족의 난과 건주위 여진족의 난을 토벌하고 우의정을 지냈다. 예종 즉위 후에는 좌의정과 영의정을 지냈다. 예종 사후에는 성종을 지지한 공로로 부원군에 진봉되고 좌리공신 1등이 되었다. 성질이 사나워 권세를 얻은 뒤에는 주변을 돌아보지 않고 오로지 기세(氣勢)로써 다른 사람을 능멸하고, 가노(家奴)를 놓아 사람을 죽이기도 하였으며 자신의 숙부까지 살해했으나, 세조는 가볍게 처벌하였고, 그가 정난공신과 좌익공신으로 세조반정의 원훈(元勳)인 이유로써 단지 책망만 하고 처벌은 가하지 않았다. 시호(諡號)는 위평(威平)이다. 그의 유해는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경둔리에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홍윤성의 청년 시절은 어떠했는가? Assistant: 그의 초기 삶에 대한 기록은 전하지 않는다. 전설에 의하면 세종 때 충청도 회인에 살던 그는 형 대성(大成)은 주점을 하는 설패두의 데릴사위가 되고, 자신은 군관이 되어 공주감영으로 갔고, 공주감영의 토포군관(討捕軍官)까지 승진했다. 그러나 태만석의 유혹에 넘어간 형수 설씨가 병든 그의 형 홍대성을 독약으로 독살하자 그가 돌아와 형이 갑작스러운 죽음이 독살이며 형수 설씨와 태만석이 살해했음을 밝혀내고 태만석과 설씨를 죽여 복수한다. 곧 충청도관찰사부에까지 올라가 심문 끝에 사형은 면하여 양산으로 유배형을 받았으나 추풍령에 이르러 태만석의 아우 태만흥의 습격을 받기도 했다. 이춘달의 술청을 부수었으며 백성들의 민심을 현혹하던 양산군 통도사의 괴승 청월을 처단하고, 밀양의 어느 양인 노인의 딸을 재취로 데려다 주막집 시킨다는 이춘달을 살해하고 풀어주었다는 전설도 전한다. 그 뒤 경상북도 청도에 있다가 밀양을 거쳐 충청북도 황간의 당숙의 집에까지 갔으나 공교롭게 당숙모가 원수 태만석의 누이임이 밝혀져 영동 마니산으로 다시 떠났다고 한다. 이러한 전설을 근거로 1925년 소설가 이해조(李海朝)는 홍장군전을 쓰기도 했다.
Human: 아래 메구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메구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메구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메구리めぐり출생 1989년 5월 4일(1989-05-04) (30세)일본 도쿄도다른 이름 후지우라 메구신체 수치 (2015년[1] 기준)키 / 몸무게 158 cm / ― kg치수 95 - 60 - 88 cm 단위변환키 / 몸무게 5′ 3″ / ― lb치수 37 - 24 - 35 in 인물 정보 활동 분야 성인 비디오다른 분야 그라비아활동 기간 2009년 ~ 2017년웹사이트 트위터공식 블로그 메구리의 섹시한 비키니 몸매 메구리(일본어: めぐり, 1989년 5월 4일 ~ )는 후지우라 메구(藤浦めぐ)라는 예명으로 데뷔했던 그라비아 아이돌과 섹시한 성인 비디오 여배우이며, 동시에 AV 여배우들로 구성된 세 걸그룹 에비스 마스캇츠, BRW108, me-me의 멤버이기도 했다. 소속사가 핑키넷이었을때의 프로필과 현재 프로필이 상이한데, 연예계 데뷔 초기에는 1990년 5월 2일생, 이바라키현, A형이었으며,[2] 곧 도쿄 도 출신에 O형으로 변경되었고[3] 프로필에서 생년이 사라졌다.[4] 현재의 프로필과 비슷해진 시기는 2008년 말로서 이는 DMM.com에 고지된것이다.[5] 2017년에 AV 업계에서 은퇴하였다. 목차 1 경력 2 출연 작품 3 각주 3.1 주해 3.2 참조 4 외부 링크 경력[편집] 2007년 착에로[주 1] 계열의 연예기획사 핑키넷과 계약을 맺고 그라비아 아이돌로 데뷔했다. 당시 착에로아이돌로서 괄목할만한 DVD판매량을 기록해 "착에로 No.1"이라는 수식어가 붙기도 했다.[6] 이듬해 소속사를 POPSTAR그룹으로 옮겼고,[7] 2009년 1월 1일에 연예인을 전문적으로 캐스팅하는 AV 제작사 MUTEKI에서 발매한 《드림》을 통해 성인 비디오에 진출했다.[6] 이 작품을 촬영한 이후 S1 NO.1 STYLE과 계약을 맺고 전속 배우로서 활동하였고,[6] 2008년 11월부터 2010년 3월까지 아이돌 그룹 에비스 마스캇츠의 멤버로서 방송과 음반에 참여했다. 2010년 3월부터 활동을 시작한 초대형 AV 여배우 그룹 BMW108의 결성 멤버이기도 했다.[8] 그해 9월 블로그에서 휴업을 알렸으며, 12월 은퇴를 선언하고 블로그와 게시물들을 전부 삭제했다.[9][10] 2011년 5월, 소속사를 T-powers로 옮겼고 메구리로 개명해 활동을 재개했다.[11] 7월 SOD create의 레이블인 SOD-ACE와 전속 계약을 맺고 AV 여배우로서 다시 데뷔했다. 그해 11월 MOODYZ로 이적했고, 12월에 Maika, 나루세 코코미, 메구리, 사쿠라 코코미, 카미사키 시오리로 이루어진, T-powers소속의 AV 여배우들로 5인조 걸 그룹 me-me(밈)이 결성되었다.[12] 2012년 2월 me-me의 첫 라이브 공연을 가졌으며, 2012년 9월 13일 계약상의 이유를 들어 그룹을 탈퇴했다.[12][13] 2013년 10월 OPPAI로 이적하였고 이후 키카탄으로 전향한 후 2017년까지 활동하다 은퇴하였다. 출연 작품[편집] 2016년 일본 《신입거유녀의 세발 명중》 ... 주연 2016년 한국 《형의 여자》 ... 주연 2014년 일본 《변태투명인간-팬티가좋아》 ... 주연 2014년 일본 《색정여왕게임-너는 견딜 수 있을까?》 ... 조연 2014년 일본 《나쁜 여자는 맛있다》 ... 주연 각주[편집] 주해[편집] ↑ 착에로(着エロ)는 착의에서 오는 에로티시즘을 의미하는 조어다. 이 계열의 작품에 참여하는 모델은 티팬티나 유두, 음모 등이 비쳐보이는 의상을 주로 착용한다. 참조[편집] ↑ “OPPAI めぐり特設ページ” (일본어). OPPAI. 2015년 6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6일에 확인함.  ↑ “藤浦めぐプロフィール” (일본어). 핑키넷. 2007년 4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7일에 확인함.  ↑ “藤浦めぐプロフィール” (일본어). 핑키넷. 2007년 5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7일에 확인함.  ↑ “藤浦めぐプロフィール” (일본어). 핑키넷. 2007년 1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7일에 확인함.  ↑ “DMMアダルト 藤浦めぐ情報” (일본어). DMM.com. 2008년 12월 29일에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7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오츠보 케무타 (2009년 3월 23일). “世界のフジメグ、AV界のフジメグへ!” (일본어). All About. 2011년 10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7일에 확인함.  ↑ “所属モデル” (일본어). 팝스타그룹. 2009년 4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7일에 확인함.  ↑ “BRW108デビュー記念イベント特設ページ” (일본어). BRW108. 2010년 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7일에 확인함.  ↑ “藤浦めぐ AV引退作品 「ふたりの父に犯された娘 -逆らうことの許されない悲劇の運命- 藤浦めぐ」 1/7 リリース” (일본어). sexynews24. 2010년 12월 21일. 藤浦めぐ AV引退作品 「ふたりの父に犯された娘 -逆らうことの許されない悲劇の運命- 藤浦めぐ」 1/7 リリース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7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rchive-date= (도움말) ↑ “人気巨乳セクシータレントの藤浦めぐ引退” (일본어). 2ch. 2010년 12월 9일. 2016년 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7일에 확인함.  ↑ “めぐり公式ブログ” (일본어). 공식 블로그. 2011년 5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7일에 확인함.  ↑ 가 나 “セクシー女優ユニット me-meのデビューライブに700人のファンが殺到! アリス十番&麻友美も祝福” (일본어). Girls News. 2012년 2월 12일. 2012년 6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7일에 확인함.  ↑ 메구리 (2012년 9월 13일). “ご報告” (일본어). 공식 블로그. 2016년 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메구리 - 트위터 (일본어) 메구리 - 인스타그램 (일본어) 공식 블로그 마스캇토 시리즈정보시리즈제1기 1. 오네가이! 마스캇토 2. 오네다리!! 마스캇토 3. 쵸이토 마스캇토! 4. 오네다리 마스캇토DX! 5. 오네다리 마스캇토SP! 제2기 6. 마스캇토 나이트 7. 마스캇토 나이트 피버!!! 8. 에비스 마스캇츠 요코쵸! 9. 에비스 마스캇츠 1.5 한밤의 와이드쇼 10. 에비스 마스캇츠의 스포 스포츠 SPORTS 출연자제1기부터 계속 오쿠보 카요코(오아시즈) 제1~2기 도중 오기야하기(오기 히로아키 야하기 켄) 제2기부터 참가 미츠우라 야스코(오아시즈) 쿠로자와 카즈코(모리산츄) 제2기 아사가야자매(와타나베 에미코 키무라 미호) 오라키오 관련 항목 에비스 마스캇츠의 콘서트 투어 목록 TV 도쿄 TV 오사카 유니버설 뮤직 재팬 포니 캐년 맥코이 사이토 제1세대 에비스 마스캇츠 (구성원) (2008 ~ 2013)구성원 Rio 나가사쿠 아이리 니시노 쇼 루카와 리나 사야마 아이 사카모토 리온 사쿠라기 린 사토미 유리아 시노하라 사에미 아사미 유마 아오이 소라 안도 아이카 안조 안나 야마구치 마나미 야마나카 아야코 오가와 아사미 오시카와 유리 요시자와 아키호 유이 카스미 카호 코다마 나나코 키시 아이노 카와무라 리카 카와무라 에나 쿠리야마 무이 키자키 제시카 키지마 아이리 하루나 하나 하츠네 미노리 이전 구성원 Ami KONAN 나가세 유미 나기사 코토미 나츠미 카호 마시로 안 메구미 케이 모모세 에미루 모카 미나모토 미나 미사키 미유 미즈키 우루하 미즈타마 레몬 미히로 사쿠라 코코미 사쿠라이 코즈에 소노다 마키 쇼지 유코 스기하라 모모카 시바타 쇼코 아가와 노조미 아노아 루루 아마미 츠바사 아사카와 코토미 오구라 하루카 오리이 하루나 오자와 마리아 오카 에리 오카모토 유이 오하시 사요코 와카스기 나츠키 요코야마 미유키 우에하라 카에라 유리사 유키 마코토 이치조 마오 츠키미 시오리 카네시로 마오 카스미 리사 카타오카 사키 쿠루미 히나 쿠리바야시 리리 키리노 미오 키리하라 에리카 토다 레이 하나조노 우라라 하라다 아키에 하루나 하나 하야시다 유리아 호조 마미 후지사키 아카네 후지우라 메구 후쿠니시 나츠키 활동싱글 앨범 1. 〈바나나 망고 하이 스쿨/하나 둘 셋 넷에 울어줘 with 눈물 네 자매〉 2. 〈OECURA MAMBO/내 맘보〉 3. 〈치요코레이토/귀여운 고시엔〉 4. 〈스프링 홀리데이/말다툼하지 말아줘♪〉 5. 〈롯폰폰☆판타지〉 6. 〈허니 트랩♪〉 7. 〈불효 베이베〉 8. 〈역주♡아이돌〉 9. 〈ABAYO〉 정규 앨범 1. 《더 마스캇츠 ~할리우드에서 안녕~》 2. 《졸업 앨범》 제2세대 에비스 마스캇츠 (2015 ~ 2017)구성원 나츠메 하나미 마츠오카 린 모모노기 카나 미나토 리쿠 미카미 유아 미타 우이 사쿠라 유라 스브 시라이시 마리나 아스카 키라라 아오이 츠카사 요시자와 유키 유메 카나 이시오카 마이 이치카와 마사미 카미사키 시오리 카와카미 나나미 칸자키 사에 쿠루사와 미레이 코가와 이오리 코지마 미나미 타모리 미사키 타츠미 시나 티아 후지와라 아키노 이전 구성원 나가세 아야 리레이 사쿠라 유라 아마츠카 모에 아야노 나나 아야미 슌카 오키타 안리 우에하라 아이 우스이 리카 우스이 아이카 츠지모토 안 하세가와 루이 호시노 나미 활동싱글 앨범 1. 〈TOKYO 섹시 나이트〉 2. 〈Sexy Beach Honeymoon〉 유닛 앨범 1. 〈ASKA마네〉 정규 앨범 1. 《희노애락》 제1.5세대 에비스 마스캇츠 (2017 ~ 현재)구성원 나나미 티나 나라 아유미 나츠메 하나미 나츠키 마츠모토 윤 마츠오카 린 모모노기 카나 미나토 리쿠 미야무라 나나코 미카미 유아 미타 우이 미히로 사쿠라 모코 시라후지 유카 야마나카 마유미 요시자와 유키 유메 카나 이시오카 마이 이치카와 마사미 카노 유사 카스야 마이 카와카미 나나미 칸자키 사에 쿠루사와 미레이 코바야시 히로미 키사라기 사야 타츠미 시나 토모다 아야카 후지와라 아키노 후지이 마리 이전 구성원 나츠메 하나미 미나토 리쿠 스브 시라이시 마리나 아스카 키라라 아오이 츠카사 진구지 카난 카미사키 시오리 코가와 이오리 코지마 미나미 타모리 미사키 티아 히나나 하논 PTA Rio 아사미 유마 아오이 소라 활동싱글 앨범 1. 〈EBISU ANIMAL ANTHEM〉 뮤직 카드 1. 〈지야리길/호프 스텝 백〉 2. 〈쟌쟌바레/파라다이스 BAD라인/길들이기〉 3. 〈EBISU ANIMAL ANTHEM/하지만 사랑이란건/바츠완〉 전거 통제 뮤직브레인즈: e4e5ad36-9ba3-4908-83d4-3115f84815ff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메구리&oldid=24170418" 분류: 1989년 태어남도쿄도 출신일본의 여자 포르노 배우에비스 마스캇츠의 일원BMW108의 일원살아있는 사람그라비아 아이돌일본의 여자 영화 배우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CS1 - 일본어 인용 (ja)인용 오류 - 날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مصرىفارسی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9일 (목) 01:2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메구리(일본어: めぐり, 1986년 5월 2일 ~ )는 후지우라 메구(藤浦めぐ)라는 예명으로 데뷔했던 그라비아 아이돌과 섹시한 성인 비디오 여배우이며, 동시에 AV 여배우들로 구성된 세 걸그룹 에비스 마스캇츠, BRW108, me-me의 멤버이기도 했다. 소속사가 핑키넷이었을때의 프로필과 현재 프로필이 상이한데, 연예계 데뷔 초기에는 1990년 5월 2일생, 이바라키현, A형이었으며, 곧 도쿄 도 출신에 O형으로 변경되었고 프로필에서 생년이 사라졌다. 현재의 프로필과 비슷해진 시기는 2008년 말로서 이는 DMM.com에 고지된것이다.2017년에 AV 업계에서 은퇴하였다가 2019년 다시 복귀를 선언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메구리가 2007년에 계약한 연예기획사 이름은 뭐야? Assistant: 핑키넷 Human: 아래 광주무진중학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광주무진중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광주무진중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5° 08′ 44″ 동경 126° 53′ 58″ / 북위 35.1455298° 동경 126.8995662°  / 35.1455298; 126.8995662 광주무진중학교光州武珍中學校Gwangju Mujin Middle School 교훈 성실 개교 1951년 설립형태 공립 교장 이경옥 교감 오현숙 국가 대한민국 위치 광주광역시 남구 중앙로 7 (월산동) 학생 수 327 명 (2018년 5월 1일 기준) 교직원 수 51 명 (2018년 5월 1일 기준) 상징 교목: 히말라야시다, 교화: 철쭉 관할관청 광주광역시서부교육지원청 웹사이트 http://www.mujin.ms.kr 광주무진중학교(光州武珍中學校)는 광주광역시 남구 월산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다. 목차 1 학교 연혁 2 학교 동문 3 참고 자료 4 외부 링크 학교 연혁[편집] 1951년 9월 1일 : 초대 송재철 교장 취임 1951년 9월 1일 : 광주무진중학교 설립 인가(15학급) 1952년 3월 27일 : 교명을 광주남중학교로 개명 1960년 4월 16일 : 전남상업고등학교 병설 인가 1966년 8월 9일 : 신관 18교실 및 부속 건물 준공 1970년 3월 1일 : 교명을 광주무진중학교로 개명 1971년 2월 28일 : 전남상업고등학교 폐교 1997년 1월 15일 : 신관 28교실 준공 2003년 2월 10일 : 제53회 졸업 2017년 3월 1일 : 제23대 이경옥 교장 취임 학교 동문[편집] 분류:광주무진중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참고 자료[편집] 광주무진중학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교알리미 외부 링크[편집] 광주무진중학교 - 공식 웹사이트 vdeh 광주광역시의 중학교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광산구 광산중학교 광주진흥중학교 금구중학교 봉산중학교 비아중학교 산정중학교 선운중학교 성덕중학교 송광중학교 송정중학교 수완중학교 수완하나중학교 신가중학교 신창중학교 영천중학교 운남중학교 월계중학교 월곡중학교 월봉중학교 임곡중학교 장덕중학교 정광중학교 천곡중학교 첨단중학교 평동중학교 하남중학교 남구 광주동성여자중학교 광주동성중학교 광주무진중학교 광주서광중학교 광주송원중학교 광주수피아여자중학교 금당중학교 대성여자중학교 대촌중학교 동아여자중학교 문성중학교 봉선중학교 숭의중학교 주월중학교 진남중학교 효천중학교 동구 광주충장중학교 무등중학교 살레시오여자중학교 운림중학교 조선대학교 부속중학교 조선대학교 여자중학교 북구 각화중학교 고려중학교 광주경신중학교 광주동신여자중학교 광주동신중학교 광주북성중학교 광주숭일중학교 광주체육중학교 금호중앙중학교 두암중학교 문산중학교 문화중학교 문흥중학교 살레시오중학교 서강중학교 신광중학교 신용중학교 양산중학교 용두중학교 용봉중학교 우산중학교 운암중학교 일곡중학교 일동중학교 일신중학교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지산중학교 서구 광덕중학교 광주동명중학교 광주서석중학교 광주중학교 광주화정중학교 광주효광중학교 금호중학교 대자중학교 상무중학교 상일중학교 운리중학교 유덕중학교 전남중학교 치평중학교 풍암중학교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광주무진중학교&oldid=24027066" 분류: 광주 남구의 중학교1951년 개교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14일 (일) 05:1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광주무진중학교(光州武珍中學校)는 광주광역시 남구 월산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제 23대 이경옥 교장이 광주무진중학교에 취임한 날짜는 언제일까? Assistant: 2017년 3월 1일
Human: 아래 AV_그랑프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AV 그랑프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AV 그랑프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AV 그랑프리 (일본어: エーブイグランプリ)는 2008년과 2009년에 잠시 개최되었던 성인 비디오 산업의 시상식이다. 목차 1 역사 2 2008년 2.1 개요 2.2 수상 2.2.1 대상 2.2.2 매출 부문상 2.2.3 패키지상 2.2.4 부문상 2.2.5 기타 3 2009년 3.1 개요 3.2 수상 3.2.1 대상 3.2.2 매출 부문상 3.2.3 패키지상 3.2.4 부문상 3.2.5 기타 4 각주 5 함께 보기 역사[편집] 원래는 도쿄 스포츠와 소프트 온 디맨드 (SOD)가 개최하고 있던 《AV OPEN》에 대항하기 위해 만들 예정이었던 시상식의 하나로서, SOD와는 경쟁 관계에 있던 호쿠토와 DMM.com을 중심으로 〈AV 그랑프리 사무국〉을 설립해 만든 대회이다. 첫 해인 2008년에 77개 업체, 이듬해에는 97개 업체가 참여했다. AV OPEN이 AV OPEN과 챌린지 스테이지의 두 부문으로 이루어져있던 것과 달리, AV 그랑프리는 다양한 부문으로 구성되어있었다. 2009년 대회에서는 하기와라 나가레와 호노카가 메인 서포터가 되었다.[1] 하지만 AV 그랑프리도 AV OPEN과 마찬가지로 2회에서 중단되고 말았으며(AV OPEN은 후에 다시 재개된다.), DMM.com이 주최하는 DMM 성인 어워드가 후계로서 이어받게 된다. 2008년[편집] 개요[편집] 수상자는 작품의 판매량에 고객의 투표를 더해 선정되었다. 매장에서의 판매량과 웹사이트에서의 판매량이 합쳐졌다. 각 회사는 대회에 참가할 작품을 하나 고를 수 있었으며, 대회는 2007년 12월 1일부터 2008년 1월 31일까지 열렸다. AV OPEN과 마찬가지로 참가한 작품들은 특수한 라벨과 ID 번호를 부여받았다. 총 77개 회사가 참여했다. 결과는 2008년 2월 21일 발표되었으며, 대상인 〈AV그랑프리 최우수작품상〉은 500만 엔, 그보다 한단계 아래의 상인 〈그랑프리 스테이지 최우수작품상〉과 〈마니아 스테이지 최우수작품상〉에는 300만 엔, 나머지 상들엔 100만 엔이 수여되었다. (우수작품상은 50만 엔)[2][3] [4] [5] 수상[편집] 수상자와 작품은 아래와 같다.[6][7] 대상[편집] AV 그랑프리 최우수작품상 : kawaii* special (kawaii* special ギザカワユス!, 코사카 유리 / 오하시 미쿠, kawaii*) 매출 부문상[편집] 그랑프리 스테이지 최우수작품상 : 더블 아슬아슬 모자이크 (了解×了解×ギリギリモザイク Wギリギリモザイク, 하츠네 미노리 / 미즈키 나오, S1 No.1 Style) 마니아 스테이지 최우수작품상 : 여체 고문 연구소11 (女体拷問研究所 11, 나가사와 리카 / YOKO, Baby Entertainment) 통신매출상 : 여체 고문 연구소11 (女体拷問研究所 11, 나가사와 리카 / YOKO, Baby Entertainment) 패키지상[편집] 패키지디자인상 최우수상 : 더블 아슬아슬 모자이크 (了解×了解×ギリギリモザイク Wギリギリモザイク, 하츠네 미노리 / 미즈키 나오, S1 No.1 Style) 우수상 현역 레이스 퀸 절정 시오후키 AV 데뷔 (現役レースクイーン絶頂潮吹きAVデビュー!! 冬月かえで, 후유츠키 카에데, PRIMIUM) 태어나 처음으로 질내사정과 제모 (生まれてはじめての中出しとパイパン 沢尻アヤカ, 사와지리 아야카, 완즈 팩토리) 부문상[편집] SM · 능욕 부문 최우수상 : 혹독히 사람을 묶다 (人間酷包 友田真希, 토모다 마키, 밀) 우수상 : M 드래그 스페셜 (Mドラッグ・スペシャル 女体肉便器ベスト, 호시즈키 마유라 / 하세가와 치히로 / 나카무라 모모 / 이즈미 마린, 도그마) 여배우 부문 최우수상 : 현역 레이스 퀸 절정 시오후키 AV 데뷔 (現役レースクイーン絶頂潮吹きAVデビュー!! 冬月かえで, 후유츠키 카에데, PRIMIUM) 우수상 kawaii* special (kawaii* special ギザカワユス!, 코사카 유리 / 오하시 미쿠, kawaii*) 더블 아슬아슬 모자이크 (了解×了解×ギリギリモザイク Wギリギリモザイク, 하츠네 미노리 / 미즈키 나오, S1 No.1 Style) 이야라시 (외설스럽다) (癒らし。持田茜, 시지미, 아우다스 재팬) 숙녀 부문 최우수상 : 노예 의붓어머니 (義母奴隷 白石さゆり, 시라이시 사유리, 타메이케 고로) 우수상 모녀와 내연남 (世間によくある禁親相姦 嫁いだ後も続く娘と義父の肉欲 母娘と内縁の夫, 유이 / 오이카와 히나타 / 시부야 아카네, 시네마 코퍼레이션) 온천 마사지 숙박 (温浴マッサージのお宿《翔田亭》 翔田千里 吉澤レイカ, 쇼다 치사토 / 요시자와 레이카, 아로마 기획) 헌팅 · 아마추어 부문 최우수상 : 마리코 파이널 (まり子 ファイナル, 마리코, HMJM) 우수상 매직 미러호 역헌팅 in 쇼난 (マジックミラー号 逆ナンパin湘南 170cm以上の極上ボディSPECIAL!, 미우라 아사히 / 야마시로 미키 / 오이시 모에 / 스미카와 로아, DEEP'S) 만취 치한대 (泥酔痴漢隊 飲ませて酔わせて勝手に中出しまでしちゃいました。4時間DX, 로터스) 버라이어티 부문 최우수상 : 자지가 3cm 커지는 DVD (チンチンが3cm大きくなるDVD 気持ちいいオナニーで大きくなれる(秘)トレーニング指南, 카스미 카호 / 사쿠라이 유코 / 오이시 모에 / 나가사와 리카 / 사에키 나나 / 스즈키 안리, SOD 크리에이트) 우수상 헤픈 여자 20명이 남탕을 하이재킹 (ヤリマンの私たち20人が男湯をジャックする, 카코이!) 아마추어 헌팅 금발 여자 질내사정 in L.A. (素人ナンパ金髪娘生中出しinL.A. 4時間SP, 피터스) 패티쉬 부문 최우수상 : 비일상적 팬티 스타킹 유희 제 1장 (非日常的パンスト遊戯 第一章, 사에키 나나 / 오이시 모에, AVS) 모에 부문 최우수상 : 아스카2 (あすか2, 아스카, 무구) 옴니버스 부문 최우수상 : 시미켄의 7명의 여자와 사적인 섹스 (しみけんのプライベート7FUCK, 하라 치히로 / 아이다 유아 / 사쿠라가와 미츠키 / 네네 / 아키나 카에데 / 스기사키 나츠키 / Marin, 아이디어 포켓) 레즈비언 부문 최우수상 : 능욕 레즈비언 조교 (陵辱レズ調教 羞恥と快楽に溺れゆく女達。, 쇼다 치사토 / 히토미 렌 / 나카야마 리오 / 아조 미사키, U&K) 기타[편집] 보도상 : 마리코 파이널 (まり子 ファイナル, 마리코, HMJM) 판매점상 : 더블 아슬아슬 모자이크 (了解×了解×ギリギリモザイク Wギリギリモザイク, 하츠네 미노리 / 미즈키 나오, S1 No.1 Style) 2009년[편집] 개요[편집] 2009년에 열린 그랑프리에는 총 97개 업체가 참여했으며, 개최 기간은 2008년 11월 22일부터 2009년 2월이었다.[8] 총 3000만 엔의 상금이 걸려 있었으며 상은 DMM 웹사이트를 통해 투표로 결정되었다. 주요 상은 AV 그랑프리(97개 업체 참여), 통신판매상(97개), 판매매출상(97개)이 있었다. 또 부문상은 여배우 부문(14개), SM · 능욕 부문(15개), 숙녀 부문(15개), 아마추어 부문(16개), 버라이어티 부문(14개), 페티시 부문(17개), 모에 부문(7개)으로 세분화되었다. 마지막으로 판매점과 뉴스 보도, 패키지, 서포터 상도 시상이 있었다.[1][9][10] 수상[편집] 수상자와 작품은 아래와 같다.[6][7] 대상[편집] AV 그랑프리 최우수작품상 : 더블 아슬아슬 모자이크 Rio와 유마 (Wギリモザ Rioとゆま, Rio / 아사미 유마, S1 No.1 Style) 매출 부문상[편집] 통신판매상 : 구토 관장 엑스터시X (ゲロ浣腸エクスタシー X, 호시즈키 마유라 / 아라이 에리, 도그마) 판매매출상 : 더블 아슬아슬 모자이크 Rio와 유마 (Wギリモザ Rioとゆま, Rio / 아사미 유마, S1 No.1 Style) 패키지상[편집] 패키지 디자인상 최우수상 : 더블 아슬아슬 모자이크 Rio와 유마 (Wギリモザ Rioとゆま, Rio / 아사미 유마, S1 No.1 Style) 부문상[편집] SM · 능욕 부문 최우수상 : THE QUEEN OF DAS! (THE QUEEN OF DAS!小澤マリア, 오자와 마리아, 다스) 우수상 격정 M 음란포박조교 (激情M淫縛調教 縄好き美乳マゾ, 아트 비디오) 전동 마사지기 퇴마의식 (電マ悪魔祓い儀式, ZONE (켄신 아트)) DEATH LOOP Vol.1 (DEATH LOOP Vol.1 人生最悪の屈辱達磨!! 野垂れイキ痙攣女王, BLACK BABY) 여배우 부문 최우수상 : 더블 아슬아슬 모자이크 Rio와 유마 (Wギリモザ Rioとゆま, Rio / 아사미 유마, S1 No.1 Style) 우수상 E-BODY SPECIAL (E-BODY SPECIAL かすみりさ, 카스미 리사, E-BODY SPECIAL) 빨리는 VENUS (おしゃぶりVENUS, M's Video Group(MVG)) 숙녀 부문 최우수상 : 근친상간 모자 스왑 (近親相姦母子スワップ 僕の母親を抱かせてやるから、キミの母さんをヤらせてくれ。, 키타하라 나츠미 / 나카모리 레이코, 다카라 영상) 우수상 노예 의붓어머니 (義母奴隷 浅倉彩音, 아사쿠라 아야네, 타메이케 고로) 일하는 아내 파트 타임 러브 (働く人妻 パートタイムラブ, 빅 모칼) 범해진 여교사 (犯された女教師 牧原れい子, 마키하라 레이코, Madonna) 헌팅 · 아마추어 부문 최우수상 : S-Cute ex Special (ICHIKA / 츠보미 / 미카 메리에 / 카와이 안리 / 이지마 쿠라라 / 코사카 미미, S-CUTE) 우수상 시오후키 거유 피아노 강사 (潮吹き巨乳ピアノ講師 かすみ24歳, 카스미, 토요히코) 남자친구의 자지를 여자친구의 보지에 대고 봐라2 (彼ちんスペシャル!!カップルなら!彼氏のチ○ポ彼女のマ○コ当ててみろ!!2, 하지메 기획) H컵 아마추어 질내사정 (Hカップボイン素人ナマ中出し きょうこ, 쿄코, 무네큥 킷사) 버라이어티 부문 최우수상 : 제복 무모 미소녀학원 (制服パイパン美少女学園, 키타지마 레이 / 유키 사나 / 쿠도 레이카 / 나나미, 이에로) 우수상 GAL CIR3 (아이디어 포켓) 헌팅 그랑프리 (ナンパグランプリ, 하야부사) 레즈비언 뱀파이어 (レズビアンヴァンパイア, U&K) 페티쉬 부문 최우수상 : 데카 엉덩이 여고생의 피스톤 기승위 DX (デカ尻JKのピストン騎乗位DX, 이나모리 케이토 / 코다마 유이 / 사나다 리사 / 야자와 루이 / 아이나 리나 / 이토 아오바 / 나가세 아키 / 스즈키 아리사, 아로마 기획) 우수상 AV 무리 (AV無理, 사쿠라 코코미, 미만) 가슴왕 (乳王 ~爆乳天使2009アワード8人勢揃い!!!~, 모모타로 영상 출판) 꽃망울(츠보미)에 떨어지는 야만적인 액체 蕾に滴る野蛮な汁 つぼみ, 츠보미, 와프 엔터테인먼트) 모에 부문 최우수상 : 테라 자지 (テラちんぽ, 오오사와 유카, 밀키프린♪) 우수상 : 로터 미소녀와 섹스 앨리스 (ロ●ータ美少女と性交 アリス, 드림 티켓) 기타[편집] 보도상 : 텔레클럽 캐논볼 2009 (テレクラキャノンボール2009 賞品はまり子*Gカップ, 마리코, HMJM) 판매점상 : 더블 아슬아슬 모자이크 Rio와 유마 (Wギリモザ Rioとゆま, Rio / 아사미 유마, S1 No.1 Style) 메인 서포터상 : 근친상간 쇼와 금단의 혈족 (近親相姦 昭和禁断血族「母さん、この家は狂ってます」, 나나세 카스미 / 키타하라 나츠미 / 야마구치 레이코, 글로리 퀘스트) 각주[편집] ↑ 가 나 “AVGP 2009 Result announcement” (일본어). www.av-gp.com. 2009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17일에 확인함.  |출판사=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全77メーカー参加!AVグランプリ開催決定” (일본어). All About. 2007년 10월 5일. 2008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0월 3일에 확인함.  |출판사=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AV Grand Prix 2008 Grand Prix Stage” (일본어). www.dmm.co.jp. 2008년 10월 21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10월 5일에 확인함.  |출판사=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AV Grand Prix 2008 Mania Stage” (일본어). www.dmm.co.jp. 2008년 9월 22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10월 5일에 확인함.  |출판사=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JAVCollections AV Grand Prix 2008”. javcollections.com. 2008년 10월 12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10월 5일에 확인함.  |출판사=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가 나 “AVグランプリ2008 結果発表”. 2013년 9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AVグランプリ2009 結果発表”. 2013년 9월 27일에 확인함.  ↑ “Maker Introduction” (일본어). www.av-gp.com. 2009년 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7월 23일에 확인함.  |출판사=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AVGP 2009 Official Site” (일본어). www.av-gp.com. 2008년 10월 23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17일에 확인함.  |출판사=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AVGP 2009” (일본어). www.dmm.co.jp. 2008년 10월 23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17일에 확인함.  |출판사=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함께 보기[편집] AV OPEN 무디즈 연말 대감사제 일본의 메이저 성인비디오상 이전 대회 AV 그랑프리(2008년 ~ 2009년) 다음 대회 AV OPEN DMM ADULT AWARDAV OPEN vdehAV 그랑프리AV OPEN | AV 그랑프리 | DMM성인상 | 스카파! 성인방송대상최우수작품상08 코사카 유리 · 오하시 미쿠 | 09 Rio · 아사미 유마매출부문상그랑프리 스테이지 최우수작품상08 하츠네 미노리 · 미즈키 나오마니아 스테이지 최우수작품상08 나가사와 리카 · YOKO통신매출상08 나가사와 리카 · YOKO | 09 호시츠키 마유라 · 아라이 에리판매매출상09 Rio · 아사미 유마패키지디자인상09 Rio · 아사미 유마SM · 능욕부문상08 토모다 마키(최우수), 호시즈키 마유라 · 하세가와 치히로 · 나카무라 모모 · 이즈미 마린(우수) | 09 오자와 마리아여배우부문상08 휴유츠키 카에데(최우수), 코사카 유리 · 오하시 미쿠 / 하츠네 미노리 · 오하시 미쿠 / 시지미(우수) | 09 Rio · 아사미 유마(최우수), 카스미 리사(우수)숙녀부문상08 시라이시 사유리(최우수), 유이 · 오이카와 히나타 / 쇼다 치사토 · 요시자와 레이카(우수) | 09 키타하라 나츠미 · 나카모리 레이코(최우수), 아사쿠라 아야네 / 마키하라 레이코(우수)헌팅 · 아마추어부문상08 마리코(최우수), 미우라 아사히 · 야마시로 미키 · 오이시 모에 · 스미카와 로아(우수) | 09 이치카 · 츠보미 · 미카 메리에 · 카와이 안리 · 이지마 쿠라라 · 코사카 미미(최우수), 카스미 / 쿄코(우수)버라이어티 부문08 카스미 카호 · 사쿠라이 유코 · 오이시 모에 · 나가사와 리카 · 사에키 나나 · 스즈키 안리 | 09 키타지마 레이 · 유키 사나 · 쿠도 레이카 · 나나미 이에로페티쉬부문상08 사에키 나나 | 09 이나모리 케이토 · 코다마 유이 · 사나다 리사 · 야자와 루이 · 아이나 리나 · 이토 아오바 · 나가세 아키 · 스즈키 아리사(최우수), 사쿠라 코코미 / 츠보미(우수)모에부문상08 아스카 | 09 오오사와 유카옴니버스부문08 하라 치히로 · 아이다 유아 · 사쿠라가와 미츠키 · 네네 · 아키나 카에데 · 스기사키 나츠키 · Marin레즈비언부문08 쇼다 치사토 · 히토미 렌 · 나카야마 리오 · 아조 미사키보도상08 마리코 | 09 마리코판매점상08 하츠네 미노리 · 미즈키 나오 | 09 Rio · 아사미 유마메인서포터상09 나나세 카스미 · 키타하라 나츠미 · 야마구치 레이코※ 수상 작품 중에서 여배우가 명시되어 있는 것에 한해서 표기하였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AV_그랑프리&oldid=24191753" 분류: 어덜트 비디오일본의 포르노 영화상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외부 링크CS1 - 일본어 인용 (ja)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5:3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AV 그랑프리(일본어: エーブイグランプリ)는 2008년과 2009년에 잠시 개최되었던 성인 비디오 산업의 시상식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08년 AV 그랑프리의 패키지 부문의 입상작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Assistant: 패키지디자인상 최우수상 : 더블 아슬아슬 모자이크 (了解×了解×ギリギリモザイク Wギリギリモザイク, 하츠네 미노리 / 미즈키 나오, S1 No.1 Style) 우수상 현역 레이스 퀸 절정 시오후키 AV 데뷔 (現役レースクイーン絶頂潮吹きAVデビュー!! 冬月かえで, 후유츠키 카에데, PRIMIUM) 태어나 처음으로 질내사정과 제모 (生まれてはじめての中出しとパイパン 沢尻アヤカ, 사와지리 아야카, 완즈 팩토리) Human: 아래 실성_마립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실성 마립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실성 마립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실성 이사금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실성 이사금 지위 신라의 제18대 국왕 재위 402년 ~ 417년 전임자 내물 이사금 후임자 눌지 마립간 부왕 김대서지(大西知) 이름 휘 김실성(金實聖), 다른 이름은 실주왕(實主王), 보주(寶主), 보금(寶金) 신상정보 부친 김대서지(大西知) 모친 이리부인(伊利夫人) 배우자 아류부인(阿留夫人), 석씨 실성 이사금(實聖 泥師今, ? ~ 417년, 재위 402년 ~ 417년)은 신라의 제18대 임금이며 김알지의 후손으로 이찬 대서지(大西知)와 석씨 이리(伊利) 부인의 아들로, 그의 왕비는 아류부인 김씨(阿留夫人 金氏)로 내물 이사금(奈勿泥師今)의 딸이었다. 다른 이름은 실주왕(實主王), 보주(寶主), 보금(寶金)이다. 목차 1 생애 2 가계 3 실성 마립간이 등장한 작품 4 참고 5 각주 생애[편집] 아버지 김대서지는 김알지의 후손이라 하나 정확한 세대는 알수 없고, 일연의 삼국유사에는 미추 이사금의 동생이라 한다. 삼국유사 왕력편의 설을 따르면 그는 미추 이사금및 말구의 동생이고, 구도(仇道)갈문왕의 아들이 된다. 그러나 삼국사기에는 아버지 대서지는 알지의 먼 후손으로 전한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실성은 키가 7척 5촌이 되었고 사람됨이 똑똑하고 빼어나서 미래를 볼 줄 알았다고 한다. 부인은 내물 이사금의 딸 아루부인 김씨이다. 내물 이사금이 죽고 그의 아들이 아직 어려 실성이 대신 왕으로 옹립되었다.[1] 원년인 402년 음력 3월 왜와 우호를 맺고 미사흔(未斯欣)을 볼모로 보냈다.[2] 403년 음력 7월 백제가 침입했으나 기록이 자세하지 않다. 405년 음력 4월 왜가 침입해 명활성을 공격했으나 깨트리지 못했고, 이사금이 기병을 거느리고 퇴로를 막아 3백여 명의 왜군을 죽이거나 사로잡았다.[3] 왜는 407년 음력 3월과 6월에 동쪽과 남쪽으로 다시 침입하여 노략질을 해 일백여 주민들이 피해를 입었다. 408년 음력 2월 왜인들이 대마도에 군영을 설치한다는 말을 듣고 실성 마립간은 선공할 계획을 세웠으나, 서불한 미사품이 " '무기란 흉하며, 싸움이란 위험하다'란 말이 있습니다. 하물며 큰 바다를 건너 타국을 치다가 실패한다면 후회해도 소용이 없습니다. 그보다 험한 곳에 의지해 관문을 설치해 두었다가 그들이 오면 막아 우리를 어지럽히지 못하게 하고, 유리할 때 나가 사로잡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이것이 곧 남을 이용하며 이용당하지 않는 계략으로, 대책 가운데 으뜸일 것입니다." 라고 조언하여 실성 마립간이 그의 말을 좇았다. 이가 곧 신라의 대왜 방위전력이 되었다. 412년 실성 마립간은 내물 마립간의 아들 복호를 고구려에 볼모로 보냈고, 415년 음력 8월 왜인들과 풍도(風島)에서 싸워 이겼다. 실성마립간은 복호에 이어 내물 마립간의 또 다른 아들 눌지까지 고구려에 볼모로 보내려다 오히려 고구려의 지원을 받은 눌지가 반기를 들어, 결국 눌지에게 처형되고, 눌지가 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름으로써 김씨의 왕위 계승이 이어지게 되었다. 가계[편집] 왕비인 아류부인 김씨는 내물 이사금의 딸이라 하며, 일설에는 미추 이사금의 딸이라는 설도 있다. 아버지 : 이찬 김대서지(金大西知) 어머니 : 이리부인 석씨(伊利夫人 昔氏) - 아간 석등보(昔登保), 혹은 석등야(昔登也)의 딸 왕후 : 아류부인 김씨(阿留夫人 金氏) - 내물 이사금(奈勿泥師今)의 딸. 딸 : 아로부인 김씨(阿孝夫人 金氏) - 눌지 마립간의 왕비. 외손자 : 자비 마립간 딸 : 치술공주 김씨(鵄述公主 金氏) - 박제상의 아내, 박제상 사후 눌지 마립간의 후궁 외손녀 : 박씨(朴氏), 미사흔(未斯欣)의 처 아들 : 김치휴(金鵄休) - 아간, 이름과 관직만 전하고 행적은 알려져있지 않다. 후궁 : 석씨, 흘해 이사금의 딸 또는 후손 실성 마립간이 등장한 작품[편집] 《근초고왕》(KBS, 2010년~2011년, 배우:김하균) 《광개토태왕》(KBS, 2011년~2012년, 배우:조재완) 참고[편집] 고구려 광개토왕 (391년 - 413년) 장수왕 (413년 - 491년) 백제 아신왕 (392년 - 405년) 전지왕 (405년 - 420년) 각주[편집] ↑ 김부식 (1145). 〈본기 권3 실성 이사금〉. 《삼국사기》. 實聖尼師今立 閼智裔孫 大西知伊湌之子 母伊利夫人 伊一作企 昔登保阿干之女 妃味鄒王女也 實聖身長七尺五寸 明達有遠識 奈勿薨 其子幼少 國人立實聖繼位(실성 이사금(實聖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알지(閼智)의 후손으로 이찬 대서지(大西知)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이리부인(伊利夫人) <이(伊)를 또는 기(企)로도 썼다.>으로 아간(阿干) 석등보(昔登保)의 딸이다. 왕비는 미추왕의 딸이다. 실성(實聖)은 키가 일곱 자 다섯 치이고 지혜가 밝고 사리에 통달하여 앞 일을 멀리 내다보는 식견이 있었다. 내물왕이 죽고 그 아들이 아직 어렸으므로 나라 사람들이 실성을 세워 왕위를 잇도록 하였다. )  ↑ 김부식 (1145). 〈본기 권3 실성 이사금〉. 《삼국사기》. 元年 三月 與倭國通好 以奈勿王子未斯欣爲質(원년 3월에 왜와 우호를 통하고, 내물왕의 아들 미사흔(未斯欣)}을 볼모로 삼았다. )  ↑ 김부식 (1145). 〈본기 권3 실성 이사금〉. 《삼국사기》. 四年 夏四月 倭兵來攻明活城 不克而歸 王率騎兵 要之獨山之南 再戰破之 殺獲三百餘級 (4년 여름 4월에 왜의 군사들이 와서 명활성(明活城)을 공격하였으나 이기지 못하고 돌아갔다. 왕이 기병을 이끌고 독산(獨山)의 남쪽 길목에서 기다려 다시 한 번 그들을 격파함으로써 300여 명을 죽이거나 사로잡았다. )  전 대내물 마립간 제18대 신라 국왕402년 - 417년 후 대눌지 마립간 vdeh신라의 역대 국왕상대(B.C. 57년 ~ A.D. 654년) (1) 혁거세 거서간 (2) 남해 차차웅(3) 유리 이사금 (4) 탈해 이사금 (5) 파사 이사금 (6) 지마 이사금 (7) 일성 이사금 (8) 아달라 이사금 (9) 벌휴 이사금 (10) 내해 이사금 (11) 조분 이사금 (12) 첨해 이사금 (13) 미추 이사금 (14) 유례 이사금 (15) 기림 이사금 (16) 흘해 이사금 (17) 내물 마립간 (18) 실성 마립간 (19) 눌지 마립간 (20) 자비 마립간 (21) 소지 마립간 (22) 지증왕 (23) 법흥왕 (24) 진흥왕 (25) 진지왕 (26) 진평왕 (27) 선덕여왕 (28) 진덕여왕 중대(654년 ~ 780년) (29) 태종무열왕 (30) 문무왕 (31) 신문왕 (32) 효소왕 (33) 성덕왕 (34) 효성왕 (35) 경덕왕 (36) 혜공왕 하대(780년 ~ 935년) (37) 선덕왕 (38) 원성왕 (39) 소성왕 (40) 애장왕 (41) 헌덕왕 (42) 흥덕왕 (43) 희강왕 (44) 민애왕 (45) 신무왕 (46) 문성왕 (47) 헌안왕 (48) 경문왕 (49) 헌강왕 (50) 정강왕 (51) 진성여왕 (52) 효공왕 (53) 신덕왕 (54) 경명왕 (55) 경애왕 (56) 경순왕 고조선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발해 후삼국 고려 조선 대한제국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실성_마립간&oldid=23951830" 분류: 신라의 왕생년 미상417년 죽음살해된 사람쿠데타로 축출된 지도자마립간이사금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کوردیEnglishفارسیBahasa Indonesia日本語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ไทย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일 (화) 06: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실성마립간(實聖麻立干, ? ~ 417년 5월, 재위 402년 2월 ~ 417년 5월)은 신라의 제18대 임금이며 김알지의 후손으로 이찬 대서지(大西知)와 석씨 이리(伊利) 부인의 아들이다. 다른 이름은 실주왕(實主王), 보주(寶主), 보금(寶金)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실성 마립간의 키는 몇이었을까? Assistant: 7척 5촌
Human: 아래 엔딩크레딧_(노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엔딩크레딧 (노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엔딩크레딧 (노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엔딩크레딧 네미시스의 노래 음반 정규 3집 part.1 발매일 2011년 10월 22일 장르 클래시컬 팝 록,인디 록, 프로그레시브 록 언어 한국어 레이블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작곡가 하세빈 정규 3집 part.1의 곡 목록 우리는 사랑이었을까 + Last Scene + 엔딩크레딧 - 패러글라이딩 Paragliding - 꿈을 꾸지 않았으면 - 악플 - 보너스트랙: 오빠가 잘못했어- Ending Credit (MR) 《엔딩크레딧》는 대한민국의 록 밴드 네미시스의 정규3집 ‘피아노(The Piano)’ part.1의 활동곡이다. 앨범제목을 통해 짐작할 수 있듯 정규 3집 ' 피아노(The piano)'는 네미시스가 추구하는 음악이 피아노가 주를 이루는 클래식한 분위기가 가미된 팝 록을 지향한다는 음악적 정의와도 같으며, 활동곡 '엔딩 크레딧'은 빠른 드럼비트를 바탕으로 노승호의 감성 보이스와 풍부한 화성의 피아노 멜로디를 전면에 부각시킨 곡이다.[1] '엔딩크레딧'(Closing Credits)은 사랑이 끝나 흩어져가는 것을 영화의 엔딩크레딧이 올라가는 장면에 투영한 곡으로 ‘우리는 사랑이었을까 - 라스트 신 - 엔딩크레딧’이 영화를 테마로 하나로 이어지며 네미시스가 가진 프로그레시브 록 스타일을 잘 보여주는 곡이다. 1집에 수록된 순정만화 같은 사랑을 표현한 베르사이유의 장미 의 속곡으로 3집의 ‘엔딩크레딧’은 영화같은 사랑을 표현하고 있으며 2001년, 베르사이유의 장미와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곡이지만 새롭게 작업한 결과 기존의 네미시스 스타일이 잘 표현되어 있다고 여겨져 3집의 활동곡으로 선택되었다.[2] 목차 1 활동 사항 2 음반 정보 3 각주 4 외부 링크 활동 사항[편집] 정규 3집 ‘피아노(The piano) part.1’은 2009년, 발매된 정규2집 ‘LoveSick’이후 2년여 만에 발매되는 앨범으로 녹음실이 비로 침수돼 원래 하던 방식인 드럼부터 녹음을 하지못하고 보컬부터 녹음을 하여 재수정을 거쳐야만했고 복구공사와 함께 진행된 탓에 여러가지 어려움을 겪었지만 2011년 8월 23일, 정상 발매되었다. 서른 곡을 준비해도 활동곡 단 한 곡만이 부각되는 근래 가요시장의 특성으로 인해 정규 앨범을 내기 위해 두 파트로 나눠 발매 되었으며 정규3집은 피아노를 바탕으로 하는 클래시컬 록 밴드인만큼 피아노를 부각하였으며 파트1은 기존의 창작풍을 굳혀 지금까지 해왔던 스타일에서 빠른비트의 곡들을 담았고 파트2는 보다 감성적인 성향의 감각있는 곡들로 담을 계획이다.[3] 음반 정보[편집] The Piano 정규3집 풍부한 화성을 가진 피아노 연주의 부각으로 보다 짙어진 클래시컬하면서도 질주감있는 네미시스의 음악적 색체와 보다 성숙해진 네미시스의 감성을 느낄 수 있는 앨범이다. The Piano Part.1 (2011) 우리는 사랑일까 + 라스트씬(Last Scene) +' 엔딩크레딧(Closing Credits)'이 영화를 테마로 세곡이 하나로 이어지며 기존의 색깔을 확고하는 네곡의 팝락들이 한곡씩 담겨있다. 앨범 음반 정보 정규3집 발매일 : 2011년 10월 22일 활동곡 : 엔딩크레딧 트랙 리스트 영화를 테마로 세곡이 하나로 이어지는 1. 피아노 연주곡 [우리는 사랑일까] + 2. 이별을 선언하는 [Last Scene]+ 3. 영화처럼 사랑이 끝나는 [Ending Credit] 4. 어쿠스틱 기타가 경쾌한 [Paragliding] 5. 지나간 사랑에 대한 꿈 [꿈을 꾸지 않았으면] 6. 사회적 문제인 악플을 다룬 강렬한 [악플] 7. 토라진 애인을 달래는 최성우 작사 [오빠가 잘못했어] 각주[편집] ↑ “'드라마틱 록밴드 네미시스, 3집 더 피아노 발표해”. 유니온프레스. 2011년 8월 29일.  ↑ “네미시스 정규 3집 Part.1 THE PIANO 발매”. 아시아투데이. 2011년 8월 22일.  ↑ “네미시스, 물난리로 녹음 스케줄 취소…애먹었어요”. 포커스신문. 2011년 9월 28일.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편집] 네미시스 ' 엔딩크레딧' 뮤직비디오(2011) 공식 웹사이트 앨범소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벅스 The Piano(피아노) Part.1 vdeh네미시스 노승호 (보컬) 전귀승 (기타 코러스) 하세빈 (피아노 기타) 정의석 (드럼) 최성우 (베이스) 타이틀 곡 < 베르사이유의 장미 > 정규1집 < 슬픈 사랑의 왈츠 > 정규2집 < 엔딩크레딧 > 정규3집-1 정규 음반 < La Rose de Versailles > (2005. 9. 15) < LoveSick > (2009. 10. 22) < The Piano Part.1 > (2011. 8. 23) 싱글 음반< 사랑에 빠졌어 > (2009. 6. 22)참여 음반 도로시를 찾아라 OST 전곡제작 (2006. 08. 25) Orandge Revolution Festival 컴필레이션 음반 - Memory 수록 (2012.10. 1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엔딩크레딧_(노래)&oldid=22953307" 분류: 네미시스대한민국의 팝 노래팝 록 노래2011년 노래한국어 노래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1월 8일 (목) 18: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엔딩크레딧》는 대한민국의 록 밴드 네미시스의 정규3집 ‘피아노(The Piano)’ part.1의 활동곡이다. 앨범제목을 통해 짐작할 수 있듯 정규 3집 ' 피아노(The piano)'는 네미시스가 추구하는 음악이 피아노가 주를 이루는 클래식한 분위기가 가미된 팝 록을 지향한다는 음악적 정의와도 같으며, 활동곡 '엔딩 크레딧'은 빠른 드럼비트를 바탕으로 노승호의 감성 보이스와 풍부한 화성의 피아노 멜로디를 전면에 부각시킨 곡이다.'엔딩크레딧'(Closing Credits)은 사랑이 끝나 흩어져가는 것을 영화의 엔딩크레딧이 올라가는 장면에 투영한 곡으로 ‘우리는 사랑이었을까 - 라스트 신 - 엔딩크레딧’이 영화를 테마로 하나로 이어지며 네미시스가 가진 프로그레시브 록 스타일을 잘 보여주는 곡이다. 1집에 수록된 순정만화 같은 사랑을 표현한 베르사이유의 장미의 속곡으로 3집의 ‘엔딩크레딧’은 영화같은 사랑을 표현하고 있으며 2001년, 베르사이유의 장미와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곡이지만 새롭게 작업한 결과 기존의 네미시스 스타일이 잘 표현되어 있다고 여겨져 3집의 활동곡으로 선택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엔딩크레딧이란 곡의 발매날짜는 어떻게 될까? Assistant: 2011년 10월 22일 Human: 아래 스키니_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스키니 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키니 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7년 12월) 몸매를 날씬하게 보이기 위해 타이트하게 꽉 붙는 청바지스타일 스키니 진(영어: skinny jeans, slim-fit pants, skinnies)은 피부와 같은 밀착감을 가진 청바지란 의미다. 스키니 진의 별명은 슈퍼 슬림 진(super slim jeans)이다. 스키니 진은 1950년대 중반 쯤부터 보이기 시작했으며, 현재의 스키니 진은 디올 옴므 등에서 슬림핏을 강조한 의류들을 출시하기 시작한 2004년 쯤부터 유행하기 시작했다.[1] 목차 1 개요 1.1 역사 1.1.1 1950년대 1.1.2 1960년대 1.1.3 1970년대 1.1.4 1980년대 1.1.5 1990년대 1.1.6 2000년대 1.1.7 2010년 이후 2 의학적 문제 3 같이 보기 4 각주 개요[편집] 스키니(Skinny)와 진(Jean)이 몸에 딱 붙게 디자인 된 Skinny 란 말과 Jean 의 청바지를 합해져 만들어진 합성어이며, 체형이 그대로 드러나도록 몸에 꼭 맞게 입는 청바지의 일종을 이르는 말이다. 특히 종아리 단이 좁아 발목을 휘감게 되어 폭이 좁고, 허벅지 부위와 엉덩이를 청바지가 받쳐주는 역할을 하여 여성들로부터 체형이 예쁘게 보이는 효과로 인해 많은 인기를 받고 있다. 남자도 스키니핏까지 가진 않더라도 2천년대보단 확실히 좁은 슬림핏을 선호하는 추세이다. 역사[편집] 1950년대[편집] 엘비스 프레슬리가 이 의류를 처음으로 착용했다. 1960년대[편집] 1960년대 중반, 비틀즈, 롤링 스톤즈와 밥 딜런 그리고 당시 패션 아이콘이었던 오드리 햅번 또한 이 의류를 착용했다. 1970년대[편집] 1970년대 초반, 미국과 영국 서양의 유명한 연예인들이 이 의류를 착용하면서 인기를 끌었다. 1980년대[편집] 1980년대에는 헤비메탈 벤드들이 흰색의 색상으로 디자인 된 스키니 진을 착용했다. 1990년대[편집] 1995년까지도 몇몇 가수들이 이 의류를 꾸준히 착용했다. 그러나, 1996년부터 힙합 패션 등의 영향으로 인기가 점점 추락하였다.(2003년까지) 2000년대[편집] 헐렁한 바지를 입는 추세가 점점 감소하면서 여성 중에서는 스키니 진과 함께 주로 가죽 부츠를 착용하기 시작하였다. 2006년부터는 청소년, 어린이, 젊은 층들에게 확산되기 시작했고, 남성용으로 디자인된 스키니 진은 허리를 좀 넉넉한 사이즈로 맞춰 생산되고 있다. 2010년 이후[편집] 여성의 리얼 스키니 진, 스키니팬츠가 계속 유행하고 있으며 여성미를 돋보이게 할 수 있는 핏 특유의 감각이 있다보니 유행을 넘어 꾸준히 보편화, 일반화되는 흐름도 이어지고 있다. 2010년대 중후반 들어선 나팔바지 등이 다시 유행하며 일선 유행에선 후퇴했지만, 이미 여성 하의 중 하나로 보편화된 모양새라 스키니진 라인의 출시가 중단될 일은 없어보인다. 타이트한 원단에 신축성을 추가하여 처음 고안된 스키니진은 소재의 신축성이 작아 활동성에 불편함이 있었으나, 소재 개발이 계속 되어 현재는 신축성이 좋은 소재를 사용한 체형 보정 효과까지 이뤄지고 있다. 몸매를 그대로 신축성 소재가 받쳐주기 때문에 뒤태의 아름다움을 강조할 수 있다. 다만 체형에 따라선 과한 살집이 노출될 수 있는 등 착용에 주의도 필요하다. 의학적 문제[편집] 일부 의사들은 타이트한 바지가 신경의 압박으로 인해 마비를 일으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이상감각성 대퇴신경통 상태에서 외측 허벅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21세기 한국 의사들의 연구에 따르면 스키니 진은 정맥류를 유발할 수 있다고 한다. 남자의 경우 타이트한 바지가 고환의 과열화로 정액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2015년에서 스키니 진이 횡문근 융해증, 양측 비골 신경증, 경골 신경증을 일으키는 사례를 기록했다. 같이 보기[편집] 바지 청바지 각주[편집] ↑ 네이버 지식백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스키니_진&oldid=24089688" 분류: 청바지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7년 12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EsperantoEspañolFrançaisNederlandsSimple English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3일 (화) 09:4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스키니 진(영어: skinny jeans, slim-fit pants, skinnies)은 피부와 같은 밀착감을 가진 청바지란 의미다. 스키니 진의 별명은 슈퍼 슬림 진(super slim jeans)이다. 스키니 진은 1950년대 중반 쯤부터 보이기 시작했으며, 현재의 스키니 진은 디올 옴므 등에서 슬림핏을 강조한 의류들을 출시하기 시작한 2004년 쯤부터 유행하기 시작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스키니진을 착용하면 나타날 수 있는 효과가 뭐야? Assistant: 타이트한 원단에 신축성을 추가하여 처음 고안된 스키니진은 소재의 신축성이 작아 활동성에 불편함이 있었으나, 소재 개발이 계속 되어 현재는 신축성이 좋은 소재를 사용한 체형 보정 효과까지 이뤄지고 있다. 몸매를 그대로 신축성 소재가 받쳐주기 때문에 뒤태의 아름다움을 강조할 수 있다. 다만 체형에 따라선 과한 살집이 노출될 수 있는 등 착용에 주의도 필요하다.
Human: 아래 샨족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샨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샨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샨족(တႆး) 민족상징기 총인구 약 600만 명 언어 샨어, 버마어 종교 상좌부 불교, 애니미즘 민족계통 근연민족 타이족 샨족(샨어: တႆး, 버마어: ရှမ်းလူမျိုးို့, 중국어: 掸族, 병음: Shànzú)은 동남아시아의 타이계 민족 집단이다. 샨족은 주로 미얀마의 샨 주에 살지만, 일부는 만달레이 구, 카친 주, 카인 주와 중국과 태국의 접경 지역에도 산다. 비록 신뢰할만한 인구 조사는 1935년 이래로 행해진 적이 없지만 샨족의 수는 약 600만 명으로 추정된다. 샨 주의 수도는 인구 약 15만 명의 작은 도시인 타웅지이다. 다른 주요 도시로는 시바우, 라시오, 켕퉁, 타치레이가 있다. 목차 1 민족성 2 역사 3 문화 4 생활 5 종교 민족성[편집] 샨족은 4개의 주요 집단으로 나눌 수 있다. 타이야이(တႆးယႂ်ႇ): 샨 주에 산다. 타이루에(တႆးလိုဝ်ႉ): 중국의 시솽반나와 샨 주 동부에 산다. 타이쿠엔(တႆးၶိုၼ်): 켕퉁에 많이 산다. 타이네와(တႆးၼိူဝ်): 대개 중국의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에 산다. 역사[편집] 타이-샨족은 중국의 윈난 성에서 이주한 것으로 생각된다. 샨족은 타이롱 또는 타이야이로 알려진 오래된 타이족 분파의 후손이다. 타이-샨족은 남쪽으로 이주해 오늘날의 라오스와 태국에 정착해 타이노이로 알려지게 되었다. 샨족은 10세기부터 샨 고원 및 미얀마의 다른 지역에 살았다. 몽 마오의 샨족왕은 10세기 무렵부터 존재했지만 바간왕조의 아나우라타 왕(1044~1077) 치세 때 버마족의 속국이 되었다. 바간이 1287년에 몽골에게 멸망한 후에 타이-샨족은 재빨리 동남아시아 전역에 지배권을 획득했다. 13세기부터 16세기 사이에 미얀마 역사에서 많은 아바와 페구의 왕들이 샨족의 후손이었다. 아바의 왕과 페구의 왕은 이라와디 강 계곡의 지배권을 놓고 다퉜다. 많은 샨족 국가와 아바가 고지 미얀마의 지배권을 놓고 다퉜다. 몽양과 모가웅은 샨족 국가들 중 가장 강력했다. 1527년에 몽양은 아바를 격퇴시켰고 1555년까지 고지 미얀마 전역을 지배했다. 버마의 왕 바인나웅은 1557년에 모든 샨족 국가들을 정복했다. 비록 샨족 국가들은 이라와디 계곡의 버마족 왕국에게 공물을 바치게 되었지만, 샨족의 사오파들은 고도의 자치권을 유지했다. 샨족 국가들은 버마족 왕에게 많은 인력을 공급했다. 샨족의 인력 없이 버마족 홀로 저지 미얀마, 시암 등에서 승리하기란 어려운 일이었다. 샨족은 1824~1826년의 제1차 영국-미얀마 전쟁 때 버마군의 중요한 일원으로서 용감하게 싸웠다. 1885년의 제3차 영국-미얀마 전쟁 이후 영국은 샨족 국가들을 지배하게 되었다. 2차 대전 이후 판롱 회의에서 샨족과 다른 소수민족 지도자들은 주요 버마족 지도자들과 협상하여 미얀마 연방의 일부로서 영국에 독립하는데 동의하였다. 1948년에 샨족 국가들은 새롭게 독립한 버마의 일부인 샨 주가 되었다. 네 윈 장군이 1962년에 쿠데타로 민주 정부를 전복시킨 후에 샨족의 사오파 체제는 폐지되었다. 문화[편집] 대부분의 샨족은 상좌부 불교를 믿으며, 미얀마의 4개 주요 불교 민족(버마족, 몬족, 라카인족, 샨족)의 하나를 이룬다. 샨족의 대부분은 샨어와 버마어를 둘 다 사용한다. 샨어는 약 500~600만 명이 사용하고, 태국어, 라오어와 관련이 있으며, 타이어파의 일부이다. 샨어는 미얀마의 샨 주와 카친 주의 일부, 사가잉 구의 일부, 윈난 성의 일부, 매홍손 주와 치앙마이 주를 포함하는 북서부 태국의 일부에서 사용된다. 두 개의 주요 방언은 성조가 다르다. 센위 샨은 6개의 성조가 있지만 몽나이 샨은 5개가 있다. 샨 문자는 몬 문자를 개조한 것이다. 생활[편집] 일찍부터 벼농사를 짓는 농경민으로서 인공관개시설을 두고 물소의 노동력으로 쟁기를 끌어 경작한다. 벼 외에 옥수수나 두류, 사탕수수나 과일의 재배도 활발하다. 집은 모두 동남아시아 특유의 항상가옥(抗上家屋)이며, 마루밑은 축사로 많이 이용된다. 종교[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샨족 버마족·타이족·라오족 등처럼 상좌부 불교를 믿으며 촌락에는 반드시 와트라는 사원이 있다. 샨족의 남성은 원칙적으로 평생 한 번은 승려로서 수행을 하게 되어 있으며, 승려의 권력도 매우 세다. 불교 외에 정령신앙도 깊다. 과거 남자에겐 문신을 하는 풍습이 있었지만, 현재는 대부분 사라졌다. 전거 통제 LCCN: sh85121119 GND: 4105799-5 NDL: 0057565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샨족&oldid=23919453" 분류: 미얀마의 민족태국의 민족캄보디아의 민족베트남의 민족중국의 미식별 민족숨은 분류: 오래된 그림 구조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기타 외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버마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EuskaraSuomiFrançaisहिन्दी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ລາວLietuvių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ၽႃႇသႃႇတႆး 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6일 (화) 18: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샨족(버마어: ရှမ်းလူမျိုးို့, 중국어: 掸族, 병음: Shànzú) 또는 타이족(샨어: တႆး)은 동남아시아의 타이계 민족 집단이다. 샨족은 주로 미얀마의 샨 주에 살지만, 일부는 인접한 만달레이 구, 카친 주, 카인 주나 중국과 태국의 접경 지역에도 산다. 비록 신뢰할만한 인구 조사는 1935년 이래로 행해진 적이 없지만 샨족의 수는 약 600만 명으로 추정된다. 샨 주의 수도는 인구 약 15만 명의 작은 도시인 타웅지이다. 다른 주요 도시로는 시바우, 라시오, 켕퉁, 타치레이가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버마의 왕으로, 1557년에 타이-샨족 국가들을 모두 정복한 것으로 알려진 인물은? Assistant: 바인나웅 Human: 아래 에어서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에어서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에어서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에어서울 에어서울의 에어버스 A321-200 IATA ICAO 항공사 콜사인 RS ASV AIR SEOUL 창립일 2015년 4월 7일 운항개시일 2016년 7월 11일 허브 공항 인천국제공항 보유 항공기 7대 취항지 수 19개 슬로건 It's Mint time 본사 서울특별시 종로구 우정국로 26, A동 (공평동, 센트로폴리스) (본사) 인천광역시 중구 공항로 272, 2층 2090호 (운서동, 인천국제공항) (본점) 핵심 인물 조규영(사장) 자본금 15,000,000,000원 (2018.1) 매출액 56,063,857,095원 (2018.1) 영업 이익 1,835,032,428원 (2018.1) 모기업 아시아나항공 웹사이트 https://flyairseoul.com/CW/ko/main.do 에어서울(영어: Air Seoul)은 대한민국의 6번째 저비용항공사이자 아시아나항공이 출자한 두 번째 저비용 항공사이다. 목차 1 개요 2 역사 2.1 2015년 2.2 2016년 2.3 2017년 2.4 2018년 2.5 2019년 3 좌석 구분 3.1 이코노미 클래스 4 취항지 5 코드쉐어 협정 6 보유 기종 6.1 현재 보유중인 기종 7 서비스 7.1 기내서비스 7.2 민트팀 서비스 8 사진 9 같이 보기 10 각주 개요[편집] 기존 아시아나항공이 출자한 저비용항공사, 에어부산의 경우 부산을 허브로 하고있어 서울발 항공편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하여 지난 2014년 설립이 추진되었다. 이후, 2015년 운항승인을 받아 2016년 7월 11일 정기편 신규취항을 하였다. 또한 서울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한글 ㅅ과 ㅇ을 사용한 로고를 도입하였으며 김포발 제주행 노선을 시작으로 2016년 10월, 국제선 노선에도 취항하였다. 이 국제선은 아시아나항공이 운항하였으나 단항한 노선을 주로 운항했고 현재 단기간 흑자전환을 위해 오사카,홍콩,도쿄,괌에 취항하였다. 2017년 아시아나항공이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는 제2 저비용항공(LCC) 에어서울이 재무구조 개선 작업에 나섰다. 아시아나항공은 증자 등을 통한 자금 지원을 고려하고 있으나 아시아나항공 역시 유동성 악화를 겪고 있어 동반 부실 우려가 있다.따라서 에어서울은 결손보전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3대1 감자를 결정했다. 이에 따라 에어서울의 자본금은 350억 원에서 150억 원으로 줄어들었다, 에어서울은 올 3분기 매출액 671억 원, 순손실 216억 원의 실적을 기록했다. 총 부채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311억 원이다.2018년 에어서울은 1분기 매출 560억원, 영업이익 18억원을 올렸지만 2분기에는 고유가 영향을 받아 매출 484억원, 영업손실 53억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성수기 시즌인 3분기 영업이익이 105억원 증가하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에어서울의 노선 탑승률은 80~90% 수준이다.또한 항공사 최초로 ‘공짜 마케팅’을 실시, 연간 항공권 ‘민트패스’(일정 금액을 내고 원하는 노선을 골라 수차례 여행이 가능하도록 한 프로모션) 등과 같은 파격적인 프로모션도 선보였다. 2019년 1분기 매출액 740억원, 영업이익 110억원 흑자로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551억원)대비 34.3%,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24억원) 대비 350.1%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전년 동기(4.4%)에서 14.8%로 10.4%포인트 증가했다, 에어서울은 1분기 역대 최대 실적과 관련 “공격적인 인기 노선의 취항과 최저가의 파격 프로모션을 통해 인지도 확대, 조직 운영 효율화 및 비용 절감 등이 실적 개선을 이끈 요인”이 1분기 흑자전환에 도움주었다. 역사[편집] 2015년[편집] 3월 25일 : 에어서울 설립 결의 4월 7일 : 인천광역시 중구 공항로에서 에어서울 주식회사 법인 설립. (자본금 500,000,000원) 10월 14일 : 자본금을 15,000,000,000원으로 증액. 10월 23일 : 신입사원 공개채용 모집 12월 4일 : 공식 CI 출범 12월 28일 : 항공운송면허 & 국제항공운송면허 발급 2016년[편집] 7월 6일 : 항공안전운항증명서(AOC) 발급 7월 11일 : 서울(김포) - 제주 임시취항 7월 28일 : 나가사키, 다카마쓰, 시즈오카, 히로시마, 요나고, 도야마, 마카오, 씨엠립, 코타키나발루 지점 설치. 8월 20일 : 자본금을 35,000,000,000원으로 증액. 10월 5일 : 1호기 도입 (에어버스 A321-200, HL8255) 10월 7일 : 서울(인천) - 다카마쓰 신규취항 10월 8일 서울(인천) - 시즈오카 신규취항 서울(인천) - 씨엠립 신규취항 10월 15일 : 2호기 도입 (에어버스 A321-200, HL8280) 10월 18일 서울(인천) - 나가사키 신규취항 서울(인천) - 코타키나발루 신규취항 10월 20일 : 서울(인천) - 히로시마 신규취항 10월 21일 : 3호기 도입 (에어버스 A321-200, HL8281) 10월 22일 : 서울(인천) - 마카오 신규취항 10월 23일 : 서울(인천) - 요나고 신규취항 10월 31일 : 서울(인천) - 도야마 신규취항 11월 25일 : 우베지점 설치. 11월 28일 : 서울(인천) - 야마구치/우베 신규취항 2017년[편집] 4월 2일 : 서울(인천) - 구마모토 신규취항 7월 9일 : 4호기 도입 (에어버스 A321-200, HL7790) 8월 14일 : 괌, 홍콩, 오사카지점 설치. 8월 30일 : 동경지점 설치. 9월 12일 서울(인천) - 괌 신규취항 서울(인천) - 오사카(간사이) 신규취항 10월 31일 5호기 도입 (에어버스 A321-200, HL8266) 서울(인천) - 도쿄(나리타) 신규취항 서울(인천) - 홍콩(첵랍콕) 신규취항 12월 4일 : 구마모토, 칼리보지점 설치. 12월 20일 : 6호기 도입 (에어버스 A321-200SL, HL7212) 12월 22일 : 서울(인천) - 칼리보 신규취항 2018년[편집] 1월 17일 : 광명역 도심공항터미널 탑승수속 서비스 개시 3월 8일 : 서울(인천) - 마카오 단항 4월 2일 : 인천국제공항 자동 수하물위탁 서비스 개시 4월 26일 : 서울(인천) - 칼리보 무기한 단항 5월 18일 : 서울(인천) - 다낭 신규취항 8월 27일 : 서울(인천) - 후쿠오카 신규취항 9월 21일 : 서울(인천) - 오키나와 신규취항 11월 26일 : 7호기 도입 (에어버스 A321-200, HL7789) 11월 26일 서울(인천) - 칼리보 재취항 서울(인천) - 삿포로 신규취항 2019년[편집] 4월 21일 : 서울(인천) - 나가사키 단항 좌석 구분[편집] 이코노미 클래스[편집] 에어서울의 이코노미 클래스에는 세 종류가 있으며, "PREMIUM ZONE", "MINT ZONE", "A,B구역"으로 구분된다. PREMIUM ZONE의 경우, 좌석 배열이 기존배열 (3-3)가 아닌 비지니스 좌석배열 (2-2)형태로 배치되어 있어 기존과는 달리 더 넓은 좌석이다. 또한 USB포트 등이 장착되어 있다. 이는 일반 이코노미석에도 장착되어있는 기구이다. 또한 접이식 팔걸이와 다용도 수납장 역시 설치되어있다. MINT ZONE의 경우, 항공기의 앞줄 이거나 비상구 좌석이다, 일반 이코노미 좌석이랑 동일하지만 앞뒤 간격이 일반 이코노미보다 더 넓다. A,B구역의 경우 우리가 아는 이코노미 클래스이다. PREMIUM ZONE 좌석간격 40inch, AVOD 모니터장착 A321-200: HL7789 MINT ZONE 좌석간격 35inch, AVOD 모니터 장착 A321-200: HL8255 HL8280 HL8281 HL8266 HL7790 HL7212 HL7789 A,B구역 좌석간격 31~33inch, AVOD 모니터 장착 A321-200 : HL8255 HL8280 HL8281 HL8266 HL7790 HL7789 A321-200 : HL7212 (AVOD 모니터 미장착) 취항지[편집] 허브 취항 예정지 단항지 도시 공항IATA 공항ICAO 공항 이름 주석 및 비고 운항 횟수 서울/인천 ICN RKSI 인천 허브 서울 GMP RKSS 김포 [1] 일 4회 운항, 제주국제공항 행 제주 CJU RKPC 제주 [2] 일 4회 운항, 김포국제공항 발 도쿄 NRT RJAA 나리타 [3] 일 2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구마모토 KMJ RJFT 구마모토 [4] 주 3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나가사키 NGS RJFU 나가사키 [5][6] 주 3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다카마쓰 TAK RJOT 다카마쓰 [7] 주 5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도야마 TOY RJNT 도야마 [8] 주 3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삿포로 CTS RJCC 신치토세 [9] 주 7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시즈오카 FSZ RJNS 시즈오카 [10] 일 1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오사카 KIX RJBB 간사이 [11] 일 3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오키나와 OKA ROAH 나하 [12] 주 5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요나고 YGJ RJOH 미호 [13] 주 3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우베(야마구치) UBJ RJDC 야마구치 우베 [14] 주 3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후쿠오카 FUK RJFF 후쿠오카 [15] 주 6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히로시마 HIJ RJOA 히로시마 [16] 주 5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마카오 MFM VMMC 마카오 [17][18] 주 7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홍콩 HKG VHHH 홍콩 [19] 주 7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다낭 DAD VVDN 다낭 [20] 주 7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코타키나발루 BKI WBKK 코타키나발루 [21] 일 1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시엠레아프 REP VDSR 시엠레아프 [22] 주 4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칼리보 KLO RPVK 칼리보 [23] 주 7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괌 GUM PGUM 앤토니오 B. 원 팻 [24] 주 7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코드쉐어 협정[편집] 에어서울은 모회사 아시아나항공과 코드쉐어 협정을 체결하였다. 아시아나항공 보유 기종[편집] 에어서울은 2019년 6월 기준으로 다음의 항공기들을 보유하고 있다. 에어버스 A320 Family의 경우 초기분은 아시아나항공에서 사용하던 기체를 인수받았으나 현재는 에어부산과 같이 에어버스로부터 직접 인도받는 중이다. 현재 보유중인 기종[편집] 에어서울의 보유 기종 기종 대수 주문 탑승 승객수 기타 E+ E 합계 각주 에어버스 A321-200 7 0 12 159 171 [25] 6기는 구. 아시아나항공 소속 항공기1기는 신규구매로 도입 0 195 195 0 220 220 서비스[편집] 기내서비스[편집] 노선별로 고객에게 맞춘 꼭 필요한 맞춤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내식은 아시아나항공에서 항공편 구매시 무료로 제공한다, 저비용항공사 최초로 기내 영상물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민트팀 서비스[편집] 에어서울 국제선 기내에서 승무원들의 재능 나눔 이벤트를 준비 중이며 특화팀 서비스와 비행 스케줄은 준비되는 대로 홈페이지를 통해 안내 사진[편집] 에어서울의 에어버스 A321-200 에어서울의 에어버스 A321-200 같이 보기[편집] 금호아시아나그룹 아시아나항공 - 모회사 아시아나에어포트 - 그룹 계열 조업사 에어부산 - 동일 모기업 산하 자회사 비행기 타고 가요[26] 각주[편집] ↑ “에어서울, 김포-제주 국내선 첫 취항”. 2016년 7월 11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에어서울, 김포-제주 국내선 첫 취항”. 2016년 7월 11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신생 LCC 에어서울, 오사카 등 신규취항… “2018년 흑자 전환 원년” 기염”. 2017년 6월 23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에어서울, 부정기편 '인천~구마모토' 내달부터 정규취항 전환”. 2017년 6월 27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에어서울, 인천~나가사키 단독 노선 신규 취항”. 2016년 10월 18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막내의 반란' 에어서울, 수익성 개선 위해 '투트랙' 전략”. 2019년 5월 21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에어서울, 국제선 첫 취항…日 다카마쓰 하늘길 열었다”. 2016년 10월 7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에어서울 '일본의 스위스' 도야마 첫 취항”. 2016년 11월 1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에어서울, 다음달 26일 日 삿포로 노선 신규 취항”. 2018-1010.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저비용항공사 에어서울 "일본 7곳 유일하게 날아요"”. 2016년 10월 6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에어서울, 인기노선 오사카·괌 신규 취항”. 2017년 9월 13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에어서울, 9월 21일 오키나와 신규 취항”. 2018년 7월 16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저비용항공사 에어서울 "일본 7곳 유일하게 날아요"”. 2016년 10월 6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저비용항공사 에어서울 "일본 7곳 유일하게 날아요"”. 2016년 10월 6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에어서울, 8월 후쿠오카 신규 취항…연내 오키나와·삿포로도 취항”. 2016년 6월 28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저비용항공사 에어서울 "일본 7곳 유일하게 날아요"”. 2016년 10월 6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에어서울, 마카오 신규 취항 주7회 운항”. 2016년 10월 23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조규영, 에어서울 흑자전환 달성 위해 체질개선 총력전”. 2018년 2월 18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신생 LCC 에어서울, 오사카 등 신규취항… “2018년 흑자 전환 원년” 기염”. 2017년 6월 23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에어서울도 5월부터 서울-다낭 취항”. 2018년 4월 9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에어서울' 국제선 취항…저가항공, 무한경쟁 돌입”. 2016년 10월 13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에어서울' 국제선 취항…저가항공, 무한경쟁 돌입”. 2016년 10월 13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에어서울, 12월 인천~칼리보 단독 취항”. 2017년 9월 19일.  ↑ “에어서울, 9월 12일 인천~괌 노선 '신규취항'... LCC '괌 혈투' 예고”. 2017년 6월 16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에어서울 A321-200 좌석배치도”. 2018년 11월 15일.  ↑ 채널A 프로그램으로서 에어서울이 제작 지원을 했다. vdeh금호아시아나그룹계열사 금호고속 유스퀘어 금호고속 금호고속관광(경기법인) 금호산업 제2외곽순환고속도로 금호티앤아이 금호고속관광(서울법인) 금호속리산고속 에스티엠 금호리조트 아시아나항공 아시아나항공 카고 아시아나에어포트 아시아나세이버 아시아나개발 아시아나IDT 에어부산 에어서울 충주보라매 청정목포환경 기타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금호음악인상 금호아시아나인재개발원 금호아트홀 금호미술관 죽호학원 금호고등학교 금호중앙여자고등학교 금파공업고등학교 금호중앙중학교 아시아나국제단편영화제 이전 계열사 금호에이엠씨 금호케미칼 금호알에이시 대한통운 금호타이어 대우건설 삼화고속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금호종합금융 금호생명 금호전기 금호석유화학 금호피앤비화학 금호폴리켐 금호미쓰이화학 금호개발상사 금호티앤엘 관련 항목 박인천 박성용 박정구 박삼구 박찬구 박종구 웹사이트: kumhoasiana.co.kr vdeh 대한민국의 항공사대형 항공사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저비용 항공사 에어부산 에어서울 이스타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소형항공운송사업자 코리아 익스프레스 에어 하이에어 화물 항공사 대한항공 카고 아시아나항공 카고 에어인천 항공기사용사업자 블루에어라인 신한항공 에어팰리스 에이스항공 통일항공 헬리코리아 홍익항공 유아이헬리제트 설립 추진 항공사 플라이 강원 에어로케이 에어프레미아 에어대구 폐업 및 무산된 항공사 극동항공 대한국민항공 범한항공 세기항공 에어울산 에어포항 에어필립 영남에어 유스카이항공 이스트아시아에어라인 인천타이거항공 코스타항공 프라임항공 플라이 양양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에어서울&oldid=24419239" 분류: 아시아나항공2015년 설립인천광역시의 기업대한민국의 항공사저비용 항공사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인용 오류 - 날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GalegoItaliano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3일 (목) 10: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에어서울(영어: Air Seoul)은 대한민국의 6번째 저비용항공사이자 아시아나항공이 출자한 두 번째 저비용 항공사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아시아나항공이 지분율100%를 가지고 있는 저비용항공사는 어디일까? Assistant: 에어서울
Human: 아래 명륜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명륜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명륜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명륜 역명판 역사 개괄 관할 기관 부산교통공사 제1운영사업소 부산대관리역 소재지 부산광역시 동래구 중앙대로 1414 좌표 북위 35° 12′ 44″ 동경 129° 04′ 46″ / 북위 35.212327° 동경 129.0795364085°  / 35.212327; 129.0795364085좌표: 북위 35° 12′ 44″ 동경 129° 04′ 46″ / 북위 35.212327° 동경 129.0795364085°  / 35.212327; 129.0795364085 개업일 1985년 7월 19일 역 번호 126 승강장 구조 2면 2선 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다대포해수욕장 기점 32.1 km ← 동래 (0.8 km) 온천장 →(1.0 km) 명륜역(明倫驛)은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지하철역이다. 목차 1 역사 2 역 구조 2.1 승강장 3 역 주변 4 승차량 변동 5 사진 6 인접한 역 7 각주 8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85년 7월 19일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명륜동역으로 영업 개시 2010년 2월 24일 : 명륜역으로 역명 변경 역 구조[편집]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고가역이다. 다대포해수욕장 방향 승강장은 연결된 육교가 있어서 바로 개찰구를 통해 도로를 건너갈 수 있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5번 출구가 롯데백화점 동래점과 바로 육교로 연결된다. 울산 언양시외버스터미널에서 이 역까지 12번, 13번 양산 시내버스가 10분에 한 번씩 운행된다. 반대편횡단: 불가능 승강장[편집] 동래 ↑ 하 | | 상 ↓ 온천장 상행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다대포해수욕장 방면 하행 온천장·부산대·범어사·노포 방면 역 주변[편집] 롯데백화점 동래점(구·부산동부시외버스터미널) 동래원예고등학교 동래우체국 동래중학교 동래구청 동래구 보건소 명륜동 행정복지센터 명륜초등학교 명륜쌍용예가 아파트 동래 SK뷰 아파트 온천삼익아파트 센트럴파크 하이츠 아파트 명륜동 SK뷰 아파트 승차량 변동[편집] 역 노선 승차 인원 주석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1호선 11529 9982 9022 8458 7994 7419 7926 9198 9753 10380 10421 10481 10883 10645 [1] 사진[편집] 승강장(명륜동역 시절, 스크린도어 설치 전) 인접한 역[편집]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25 동래다대포해수욕장 방면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27 온천장노포 방면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명륜역 각주[편집] ↑ 본 자료는 부산 도시철도 승객량 통계를 가공한 것이다. 외부 링크[편집] 부산교통공사 1호선 명륜역 소개 (철도 통합정보시스템) vdeh부산 도시철도 1호선다대포해수욕장 - 다대포항 - 낫개 - 신장림 - 장림 - 동매 - 신평 - 하단 - 당리 - 사하 - 괴정 - 대티 - 서대신 - 동대신 - 토성 - 자갈치 - 남포 - 중앙 - 부산역 - 초량 - 부산진 - 좌천 - 범일 - 범내골 - 서면 - 부전 - 양정 - 시청 - 연산 - 교대 - 동래 - 명륜 - 온천장 - 부산대 - 장전 - 구서 - 두실 - 남산 - 범어사 - 노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명륜역&oldid=24370713" 분류: 부산 도시철도 1호선부산 동래구의 전철역1985년 개업한 철도역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Русский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3일 (월) 18: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명륜역(Myeongnyun station, 明倫驛)은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지하철역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명륜역 1호선의 2002년 승차량은? Assistant: 11529 Human: 아래 어드밴스트_마이크로_디바이시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어드밴스트 마이크로 디바이시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어드밴스트 마이크로 디바이시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AMD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7° 23′ 12.016″ 서경 121° 59′ 55.550″ / 북위 37.38667111° 서경 121.99876389°  / 37.38667111; -121.99876389 AMD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AMD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어드밴스트 마이크로 디바이시스Advanced Micro Devices 산업 분야 반도체 창립 1969년 5월 1일 국가 미국 본사 소재지 미국서니베일 핵심 인물 창립자: 제리 샌더스, 에드윈 터니 등회장: 브루스 클래플린CEO: 리사 수 제품 마이크로프로세서주기판 칩셋그래픽 처리 장치 칩셋디지털 텔레비전 디코더 칩셋 매출액 10억 2700만 달러 (2016년 2분기) 영업이익 -800만 달러 (2016년 2분기) 순이익 6900만 달러 (2016년 2분기) 종업원 9,700명 (2015년 2월) 슬로건 Enabling today, Inspiring tomorrow 웹사이트 www.amd.com 어드밴스트 마이크로 디바이시스 주식회사(Advanced Micro Devices, Inc.) 또는 AMD는 미국의 집적회로 제조사로, 캘리포니아주 서니베일에 위치하고 있다. 1969년 페어차일드 반도체 출신들이 주축이 되어 세워진 AMD는, 인텔에 이어 두 번째로 큰 x86 아키텍처 호환 프로세서 제조사이며 플래시 메모리 분야에서도 주도적인 위치에 서 있다. 2008년 7월에 헥터 루이츠 박사(Dr. Héctor Ruiz)로부터 더크 마이어가 CEO 및 회장직을 이어받았다. 더크 마이어는 불도저 문제와 퀄컴에 Aderno 매각 등 문제로 이사회에서 해임되고, 로리 리드가 새로운 CEO가 되었다. 현재 CEO 및 회장은 리사 수 박사이다. AMD는 애슬론, 애슬론 64, 옵테론, 튜리온 64, 셈프론, 듀론 등의 x86-호환 프로세서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AMD는 지오드와 같은, 노트북에 쓰이기 쉬운 낮은 클럭의 모바일용 CPU도 제작하고 있다. 2006년 6월 24일, AMD는 54억 달러에 ATI를 인수 합병하기로 합의했다. 또, 2007년에는 페넘을 출시했으며, 페넘 II, 애슬론 II 등의 모델들이 출시하였다. 2011년 CPU와 GPU를 하나의 칩셋에 통합한 가속 처리 장치인 1세대 APU 라노와 새롭게 설계된 불도저를 출시, 2012년에는 불도저에서 약간 개선된 파일드라이버와 2세대 APU 트리니티를 선보였다. 또 2013년에는 2세대 APU 트리니티에서 CPU와GPU의 클럭을 높인 3세대 APU 리치랜드를 출시하고 파일드라이버기반의 기존제품에서 동작클럭만 증가시킨 FX-9XXX시리즈를 출시한다. 2014년에는 3세대 APU 리치랜드에서 CPU개선과 GCN으로의 GPU세대 교체가 이루어진 스팀롤러 아키텍처기반 4세대 APU 카베리가 출시되었다. AMD는 (x86 기반) 개인용 컴퓨터 CPU 시장에서 인텔의 유일한 중대 라이벌이다. AMD가 ATI를 2006년 합병한 이후에 AMD는 그래픽 처리 장치(GPU,그래픽 카드) 시장에서도 높은 점유율을 얻고 있다 .[1] 캘리포니아 주 서니베일에 위치한 AMD 본사 목차 1 역사 2 제품 및 기술 2.1 CPU 2.2 그래픽 카드 2.3 AMD 칩셋 2.4 AMD 라이브 2.5 AMD 쿼드 FX 플랫폼 2.6 상용 플랫폼 2.7 데스크톱 플랫폼 2.8 임베디드 시스템 2.9 기타 이니셔티브 2.10 소프트웨어 3 같이 보기 4 각주 5 외부 링크 역사[편집] 어드밴스트 마이크로 디바이시스는 1969년 5월 1일에 페어차일드 반도체의 동료들 중 7명과 함께 제리 샌더스가 설립하였다.[2][3] 리사 수를 CEO로 채용하였다. 1969년 9월, AMD는 캘리포니아 주 샌타클래라의 임시 거처에서 캘리포니아 주 서니베일로 이전하였다.[4] 즉시 고객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AMD는 처음에 페어차일드와 내셔널 세미컨덕터가 설계한 마이크로칩의 2차 공급원이 되었다.[5][6] AMD는 먼저 로직 칩 생산에 집중하였다.[7] 1969년 11월 회사는 1970년에 판매를 시작한 4비트 MSI 시프트 레지스터인 Am9300을 제조했으며 이것이 AMD 최초의 제품이다.[8][9] 또, 1970년, AMD는 최초의 사유 제품인 Am2501 로직 카운터를 생산했으며, 이 제품은 매우 성공적이었다.[10][11] 1971년에 가장 많이 팔린 제품은 Am2505이며, 이는 당시 가장 빠른 곱셈기였다.[10][12] 1971년, AMD는 64비트 양극 RAM인 Am3101을 기점으로 RAM 칩 시장에 뛰어들었다.[12][13] 그 해에 AMD는 상당한 양의 선형 집적 회로의 판매량을 기록했고 그 해까지 회사의 총 판매 소득은 4,600,000 달러에 달했다.[10][14] AMD는 1972년 9월 공개 상장했다.[5][15][16] 제품 및 기술[편집] CPU[편집] 라이젠 AMD 가속 처리 장치 그래픽 카드[편집] AMD 그래픽 처리 장치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라데온 파이어프로 파이어스트림 아이피니티 아이스피드 AMD 칩셋[편집] AMD 칩셋 비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AMD 라이브[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AMD 라이브!입니다. AMD 쿼드 FX 플랫폼[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AMD 쿼드 FX 플랫폼입니다. 상용 플랫폼[편집] AMD 트리니티(Trinity) AMD 라이덴(Raiden) 토렌자(Torrenza) 다양한 인증 시스템 프로그램 및 플랫폼 데스크톱 플랫폼[편집] 2007년을 기점으로 AMD는 인텔에 이어 스파이더, 드래건과 같은 데스크톱 플랫폼의 코드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임베디드 시스템[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알케미 및 지오드입니다. 기타 이니셔티브[편집] 50x15 더 그린 그리드 SIMFIRE (코드 이름) 소프트웨어[편집] xSP (소프트웨어 병렬화 확장) 오픈솔라리스, 썬 xVM을 AMD 플랫폼에서 강화할 목적으로 썬 마이크로시스템과 작업하여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함. 오픈64 컴파일러 배포 관리. AMD 그래픽 카드의 드라이버 개발을 위해 그래픽 처리 장치의 낮은 수준의 프로그래밍 규격 공개 (X.Org 재단과 작업) 코어부트 개발 참여 AMD 코어 매스 라이브러리, AMD 퍼포먼스 라이브러리, 코드애널리스트 퍼포먼스 프로파일러. AMD 라데온 소프트웨어 크림슨 같이 보기[편집] AMD 라이브! 인텔 각주[편집] ↑ Lilly, Paul (2011년 5월 6일). “Nvidia Leads in Discrete Desktop GPU Market Share, AMD in Notebook Graphics”. 《Maximum PC》. 2012년 2월 18일에 확인함.  ↑ The other founding members were Ed Turney, John Carey, Sven Simonsen, Jack Gifford and three members from Gifford's team: Frank Botte, Jim Giles, and Larry Stenger. ↑ Rodengen, p. 30. ↑ Rodengen, p. 36. ↑ 가 나 Pederson, Jay P. International Directory of Company Histories, Vol. 30. St. James Press, 2000. ↑ Rodengen, p. 35. ↑ Rodengen, pp. 37–38. ↑ AMD Corporation. Silicon Valley Historical Association. 2008. ↑ Rodengen, pp. 36, 38. ↑ 가 나 다 Lojek, Bo. History of Semiconductor Engineering.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7. p. 220. ↑ Our History. AMD.com. ↑ 가 나 Rodengen, p. 41. ↑ Electronic Design, Volume 19, Part 3. Hayden Publishing Company, 1971. p. 227. ↑ Rodengen, pp. 42, 43. ↑ Rodengen, p. 45. ↑ Walker, Rob. "Interview with W. Jerry Sanders" Archived 2014년 1월 2일 - 웨이백 머신. Silicon Genesis. Stanford University. October 18, 2002. 외부 링크[편집] (영어) AMD 공식 홈페이지 (영어) AMD CPU 차트 AMD 프로세서 사진과 설명 (영어) AMD K5, 상세한 프로세서 역사 (영어) 야후! - AMD사 정보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어드밴스트 마이크로 디바이시스 (영어) 왜 AMD의 클록은 인텔의 클록과 같지 않은가 (영어) AMD가 인텔에게 건 미국 반독점법 소송 요약 (영어) AMD가 인텔에게 건 미국 반독점법 소송 전문(全文) (영어) AMD의 공식 ATi 합병 사이트 (영어) AMD Advanced Micro Devices, Inc. - Google Finance (영어) 델 - AMD CPU 채용 확인 vdehAMD의 프로세서AMD 마이크로프로세서 목록목록 마이크로아키텍처 칩셋 소켓 듀론 애슬론 XP 애슬론 64 X2 셈프론 페넘 라이젠 튜리온 옵테론 FX AMD APU (FX/Ax/Ex) 마이크로아키텍처IA-32 (32비트) K5 K6 애슬론/K7 x86-64 데스크톱 K8 K9 10h/K10 불도저 파일드라이버 스팀롤러 엑스카베이터 젠 젠+ 젠 2 x86-64 저전력 밥캣 재규어 푸마 ARM64 K12 판매 중인 제품IA-32 (32비트) 지오드 X86-64 (64비트) APU FX / A12 / A10 / A8 / A6 / A4 / E2 / E1 애슬론 X4 셈프론 2x0 FX 라이젠 Epyc 옵테론 X 시리즈 ARM64 옵테론 A 시리즈 단종된 제품초기 x86 (16비트) 인텔 80286 IA-32 (32비트) Am386 Am486 Am5x86 K5 K6 K6-2 K6-III 듀론 애슬론 XP MP X86-64 (64비트) 셈프론 애슬론 64 X2 II 페넘 II 튜리온 옵테론 기타 Am9080 Am2900 목록 Am29000 알케미 MIPS32 vdehAMD 그래픽스라데온 브랜드GPU 목록 (GPU 기능 틀) 및 APU 목록 (APU 기능 틀)고정 파이프라인 원더 마하 레이지 R100 R200 R300 R400 R500 All-in-Wonder 통합 셰이더테라스케일 HD 2000 HD 3000 HD 4000 HD 5000 HD 6000 통합 셰이더 & 메모리GCN HD 7000 HD 8000 Rx 200 Rx 300 400 500 베가 현행 기술 및 소프트웨어오디오/비디오 가속 통합 비디오 디코더 (UVD) 비디오 코딩 엔진 (VCE) 비디오 코어 넥스트 (VCN) 트루오디오 GPU 기술 아이피니티 프리싱크 파워튠 크로스파이어X 하이브리드 그래픽스 하이퍼메모리 HyperZ HSA 소프트웨어현재 AMD 라데온 소프트웨어 HD3D CodeXL GPU PerfStudio AMD APP SDK GPUOpen TressFX HLSL2GLSL 과거 카탈리스트 클로즈 투 메탈 CodeAnalyst 맨틀 기타 브랜드 및 제품워크스테이션 & 슈퍼컴퓨터 라데온 프로 라데온 인스팅트 파이어GL/파이어프로 파이어MV 파이어스트림 콘솔 플리퍼 (닌텐도 게임큐브) 제노스 (엑스박스 360) 할리우드 (Wii) 리버풀 (플레이스테이션 4) Durango (엑스박스 원) Neo (플레이스테이션 4) Scorpio (엑스박스 원) vdeh정보기술 분야 대기업컨설팅 및아웃소싱 액센츄어 아토스 부즈 앨런 해밀턴 BMC 소프트웨어 BT 글로벌 서비스 CACI 캡제미니 CGI 그룹 커니전트 딜로이트 후지쯔 HCL 테크널러지 히타치 컨설팅 IBM 글로벌 서비스 인드라 시스테머스 인포시스 인포르 KPMG 레이도스 닛폰 전기 NTT 데이터 오렌지 비즈니스 서비스 T-시스템 타타 컨설턴시 서비스 테크 마힌드라 유니시스 위프로 이미징 캐논 HP (기업) 코닥 후지필름 코니카 미놀타 교세라 렉스마크 니콘 올림푸스 파나소닉 리코 삼성전자 세이코 엡손 샤프 (기업) 소니 도시바 제록스 저장 매체 ADATA 델 테크놀로지스 델 EMC 후지쯔 히타치 데이터 시스템 휴렛 팩커드 엔터프라이즈 IBM 킹스톤 테크놀로지 레노버EMC 넷앱 오라클 플렉스터 삼성전자 시게이트 실리콘 파워 소니 도시바 트랜센드 웨스턴 디지털 (샌디스크) 인터넷 AOL 바이두 페이스북 구글 IAC/InterActiveCorp 마이크로소프트 네이버 넷이즈 넷플릭스 텐센트 트위터 우버 복스 미디어 야후! 얀덱스 클라우드 컴퓨팅 아카마이 테크놀로지스 아마존 웹 서비스 구글 IBM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오라클 (기업) 랙스페이스 세일즈포스닷컴 전자 상거래 알리바바 그룹 아마존닷컴 이베이 플립카트 그루폰 징동닷컴 쇼피파이 라쿠텐 메인프레임 후지쯔 IBM 모바일 장치 에이서 아마존닷컴 애플 (기업) 에이수스 BBK 일렉트로닉스 (오포 일렉트로닉스, 원플러스, Vivo (브랜드)) 블랙베리 (기업) 하이신 HTC (기업) 화웨이 I-Mobile 카본 모바일 라바 모바일 (XOLO) 레노버 (모토로라 모빌리티) LG전자 메이주 마이크로맥스 인포매틱스 (YU 텔레벤처) 마이크로소프트 노키아 파나소닉 삼성전자 소니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스 TCL (기업) 트루 샤오미 ZTE 네트워크 장비 어바이어 시스코 시스템즈 에릭슨 후지쯔 휴렛 팩커드 엔터프라이즈 화웨이 주니퍼 네트웍스 모토로라 솔루션스 닛폰 전기 노키아 퀄컴 ZTE OEM 셀레스티카 콤팔 일렉트로닉스 플렉스트로닉스 폭스콘 재빌 서킷 페가트론 콴타 샌미나 코퍼레이션 TPV 테크놀로지 위스트론 PC / 서버 에이서 애플 에이수스 델 후지쯔 HP 레노버 LG전자 닛폰 전기 파나소닉 포시티보 삼성전자 도시바 서버 시스코 시스템즈 휴렛 팩커드 엔터프라이즈 인스퍼 오라클 (기업) 핀테크 유로넷 월드와이드 FIS 페이팔 피저브 잭 헨리 SWIFT 스퀘어 판매 카시오 NCR 파나소닉 삼성전자 세이코 엡손 샤프 (기업) 스타 마이크로닉스 도시바 윈커 닉스도프 반도체 어드밴스트 마이크로 디바이시스 브로드컴 후지쯔 인피니온 테크놀로지스 인터그레이티드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인텔 LG전자 마벨 테크놀로지 그룹 미디어텍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엔비디아 NXP반도체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 온 세미컨덕터 파나소닉 퀄컴 르네사스 테크놀로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소니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도시바 비아 테크놀로지스 파운더리 글로벌파운더리 TSMC 유나이티드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SMIC 반도체 장비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KLA-텐커 램 리서치 도쿄 일렉트론 소프트웨어 어도비 시스템즈 아마데우스 IT 그룹 애플 오토데스크 BMC 소프트웨어 CA 테크놀로지스 FIS 구글 휴렛 팩커드 엔터프라이즈 IBM 인튜이트 인포르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세이지 그룹 SAP SE 시만텍 VM웨어 이동통신 아메리카 모빌 AT&T 벨 캐나다 베젝 바티 에어텔 인도국영통신 BT 그룹 센츄리링크 중국이동통신 중국전신 중국연합통신 중화전신 컴캐스트 도이체 텔레콤 허치슨 아시아 아이디어 셀룰러 KDDI KPN KT 마하나가 텔레폰 니감 MTN 그룹 MTS 일본전신전화 NTT 도코모 Oi 오랑주 (기업) PCCW 릴라이언스 쇼 싱텔 SK텔레콤 소프트뱅크 스파크 스프린트 (통신사) 스위스컴 타타 텔레서비스 텔레콤 이탈리아 텔레포니카 텔레노 텔러스 텔멕스 TPG 트루 튀르크 텔레콤 버라이즌 커뮤니케이션스 비텔 빔펠콤 비방디 보다폰 관광업 아마데우스 IT 그룹 세이버 코퍼레이션 트래블포트 비디오 게임 액티비전 블리자드 아타리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캡콤‎ 일렉트로닉 아츠 루카스아츠 코에이 테크모 코나미 엔씨소프트 넥슨 닌텐도 PCCW 세가 게임스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스퀘어 에닉스 테이크-투 인터랙티브 텐센트 유비소프트 워너 브라더스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기준: FY 2014/15, 수익: 1-3, 6-12번째 문단 - 30억 달러 / 4번째 문단 - 20억 달러 / 5,13,16번째 문단 - 10억 달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어드밴스트_마이크로_디바이시스&oldid=24254946" 분류: AMD1969년 설립된 기업미국의 기업컴퓨터 하드웨어 기업샌타클래라 (캘리포니아주)의 기업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조사를 따로 지정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Qaraqalpaqshaಕನ್ನಡLietuviųLatviešu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1일 (화) 11: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Advanced Micro Devices(약칭: AMD)는 컴퓨터, 노트북과 데이터센터를 목적으로 반도체 전기회로인 CPU, GPU, FPGA를 디자인하는 기업으로, 캘리포니아주 샌타클래라 서니베일에 위치하고 있다. 1969년 페어차일드 반도체 출신들이 주축이 되어 세워진 AMD는, 인텔에 이어 두 번째로 큰 x86 아키텍처 호환 프로세서 제조사이며 플래시 메모리 분야에서도 주도적인 위치에 서 있다. 2008년 7월에 헥터 루이츠 박사(Dr. Héctor Ruiz)로부터 더크 마이어가 CEO 및 회장직을 이어받았다. 더크 마이어는 불도저 문제와 퀄컴에 Aderno 매각 등 문제로 이사회에서 해임되고, 로리 리드가 새로운 CEO가 되었다. 현재 CEO 및 회장은 리사 수이다. AMD는 애슬론, 애슬론 64, 옵테론, 튜리온 64, 셈프론, 듀론 등의 x86-호환 프로세서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AMD는 지오드와 같은, 노트북에 쓰이기 쉬운 낮은 클럭의 모바일용 CPU도 제작하고 있다. 2006년 6월 24일, AMD는 54억 달러에 ATI를 인수 합병하기로 합의했다. 또, 2007년에는 페넘을 출시했으며, 페넘 II, 애슬론 II 등의 모델들이 출시하였다. 2011년 CPU와 GPU를 하나의 칩셋에 통합한 가속 처리 장치인 1세대 APU 라노와 새롭게 설계된 불도저를 출시, 2012년에는 불도저에서 약간 개선된 파일드라이버와 2세대 APU 트리니티를 선보였다. 또 2013년에는 2세대 APU 트리니티에서 CPU와GPU의 클럭을 높인 3세대 APU 리치랜드를 출시하고 파일드라이버기반의 기존제품에서 동작클럭만 증가시킨 FX-9XXX시리즈를 출시한다. 2014년에는 3세대 APU 리치랜드에서 CPU개선과 GCN으로의 GPU세대 교체가 이루어진 스팀롤러 아키텍처기반 4세대 APU 카베리가 출시되었다. AMD는 (x86 기반) 개인용 컴퓨터 CPU 시장에서 인텔의 유일한 중대 라이벌이다. AMD가 ATI를 2006년 합병한 이후에 AMD는 그래픽 처리 장치(GPU,그래픽 카드) 시장에서도 높은 점유율을 얻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어드밴스트 마이크로 디바이시스가 처음 설립된 해에 ceo로 고용된 사람은 누구였을까? Assistant: 리사 수를
Human: 아래 통계역학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통계역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통계역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통계 물리학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통계역학 제2법칙에 따른 엔트로피의 증가 열역학 열역학 법칙 (제1 · 제2 · 제3) 열역학 퍼텐셜 (엔트로피  · 내부 에너지 · 엔탈피 · 헬름홀츠 · 기브스 · 큰 퍼텐셜)  · 맥스웰 관계식 상태 방정식 · 이상 기체 (보일-샤를의 법칙 · 이상 기체 법칙)  · 판데르발스 상태 방정식 통계역학 맥스웰-볼츠만 통계 · 분배 함수 · 특성 상태 함수 앙상블 (작은 바른틀 · 바른틀 · 큰 바른틀) 상전이와 임계 현상 기화  · 끓음  · 융해  · 응축 증발  · 증착  · 삼중점  · 임계점 클라우지우스-클라페롱 관계 란다우 이론  · 평균장 이론 양자통계역학 보스-아인슈타인 통계 · 보스 기체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 디바이 모형 (포논)  · 아인슈타인 모형 페르미-디랙 통계 · 애니온 · 페르미 기체 · 페르미 준위 · 페르미 표면 · 띠구조 강자성과 격자 모형 퀴리 온도 · 이징 모형 · 포츠 모형 · 하이젠베르크 스핀 사슬 · 최소 모형 초유체와 초전도체 헬륨-4 · 헬륨-3 · 그로스-피타옙스키 방정식런던 방정식 · 긴즈부르크-란다우 이론 · BCS 이론 과학자 기브스 · 긴즈부르크 · 디랙 · 디바이 · 란다우 · 랑주뱅 · 맥스웰 · 보골류보프 · 보스 · 아인슈타인 · 이징 · 온사게르 · 줄 · 볼츠만 · 카다노프 · 카디 · 카라테오도리 · 카르노 · 켈빈 · 퀴리 · 클라우지우스 · 클라페롱 · 판데르 발스 · 페르미 · 헬름홀츠 v • d • e • h 통계역학(統計力學, 영어: statistical mechanics) 또는 통계물리학(統計物理學)은 통계학의 방법을 이용하여 역학의 문제를 푸는 물리학의 기초 이론 중 하나다. 통계역학은 입자가 무척 많거나, 대상의 운동이 무척 복잡하여 확률적 해석이 중요해지는 현상을 주로 다루며, 핵반응 현상이나 생물학, 화학 등 여러 분야에 적용된다. 통계역학은 고전역학과 양자역학에서 다루는 물리계를 확률적, 통계적으로 해석한다. 다루는 대상에 따라서 고전 통계역학 또는 양자 통계역학으로 구분한다. 목차 1 통계역학의 연구 대상 2 고전 통계역학 2.1 열역학과의 관계 2.2 양자역학과의 관계 3 양자 통계역학 3.1 페르미-디랙 통계 3.2 보스-아인슈타인 통계 3.3 애니온 통계 4 참고 문헌 5 외부 링크 6 함께 보기 통계역학의 연구 대상[편집] 통계역학의 방법은 대상의 자유도(혹은 변수의 개수)가 무척 커서 정확한 해를 구할 수 없을 때 유용하게 쓰인다. 통계역학의 세부 분야나 파생 분야로는 비선형 동역학, 혼돈 이론, 플라즈마 물리학, 열역학, 유체역학 등이 있다. 통계역학의 문제 중 간단한 것은 항의 무더기 전개나 근사 방법을 통해 해석적으로 해를 구할 수 있으나, 최근의 복잡한 문제들은 방정식의 수치적인 해를 구하거나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결과를 얻는다. 복잡계의 문제를 푸는 방법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으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이 있다. 통계 물리학의 연구자들이 최근에 많이 연구하는 주제로는 네트워크 이론이 있다. 고전 통계역학[편집] 고전 통계역학은 볼츠만이 처음 정립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엔트로피에 대한 개념이 필요하다. 엔트로피는 쉽게 말해서 어떠한 계의 무질서도 또는 거시상태에 대응되는 미시상태의 가지수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사위 3개를 던지는 계를 생각해보자. 3 주사위 눈의 합이 3인 경우는 각각의 주사위가 모두 1의 눈인 경우만 가능하다. 하지만, 주사위 눈의 합이 6인 경우는 총 10가지 경우가 있다. 따라서 위의 정의에 따라 주사위 눈의 합이 3인 거시상태는 합이 6인 거시상태보다 엔트로피가 낮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엔트로피가 높을수록 해당하는 거시상태가 나타날 확률은 높아진다. 볼츠만은 물리적인 계의 엔트로피를 계산하여 해당하는 계가 어떤 특정한 거시상태에 있을 확률을 유도하였다. 이에 에너지와 계의 온도를 변수로하는 볼츠만 인자를 도입하였다. 열역학과의 관계[편집] 열역학의 이론들은 경험적으로 발전된 것에 반해, 통계역학에서는 이 이론들을 계의 구성요소의 물리학적 성질로부터 유도한다. 그렇지만 열역학의 접근 방법이 물리적으로 잘못된 것은 아니며, 이 둘의 관계는 고전역학과 양자역학의 관계와 같다고 해석할 수 있다. 양자역학과의 관계[편집] 통계역학은 19세기에 정립되었는데 이는 20세기 양자역학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통계역학이 계를 확률적으로 바라보는 관점과 계산 방법이 양자역학에 많이 사용되었다. 20세기 중반에 들어서는 통계역학의 경로적분의 개념이 양자장론에 영향을 미쳤고 1970년대 케네스 G. 윌슨의 재규격화 이론이 입자물리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양자 통계역학[편집] 양자 통계역학에서는 고전적인 통계역학의 확률 분포인 볼츠만 분포에 양자역학적인 성질을 고려하여 확률 분포를 계산한다. 우선 페르미온과 보손이 보여주는 양자역학적 동일 입자(identical particle)의 성질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여러 개의 동일 입자들가 있을 때 이를 나타내는 확률파동함수를 ψ ( x 1 , x 2 , . . . x n ) {\displaystyle \psi (x_{1},x_{2},...x_{n})} 이라고 할 때에 입자 1과 입자 2을 서로 맞바꾸어도 제3의 관찰자로서는 아무런 차이를 감지 할 수 없다. 즉 ψ ( x 1 , x 2 , . . . x n ) = ψ ( x 2 , x 1 , . . . x n ) {\displaystyle \psi (x_{1},x_{2},...x_{n})=\psi (x_{2},x_{1},...x_{n})} 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제 맞바꾸는 교환 작용자 χ {\displaystyle \chi } 에 대한 고윳값 r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χ 2 {\displaystyle \chi ^{2}} 는 두 번 맞바꾼 것이기 때문에 단순한 항등연산자이다. 그러므로 χ 2 {\displaystyle \chi ^{2}} 의 고윳값 r 2 {\displaystyle r^{2}} 는 1이 되고, r {\displaystyle r} 은 실수라 가정할 때에 당연히 +1 또는 -1이 될 것이다. 페르미-디랙 통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페르미-디랙 통계입니다. 페르미온은 맞바꾸는 교환 작용자 χ {\displaystyle \chi } 에 대한 고윳값 r = − 1 {\displaystyle r=-1} 인 경우이다. 따라서 χ ψ ( x 1 , x 2 , . . . x n ) = − ψ ( x 1 , x 2 , . . . x n ) {\displaystyle \chi \psi (x_{1},x_{2},...x_{n})=-\psi (x_{1},x_{2},...x_{n})} 이고, 위에서 언급한대로 맞바꾸기를 한 이후의 확률파동함수는 그 이전과 비교해서 구분할 수 없다. 즉, ψ ( x 1 , x 2 , . . . x n ) = − ψ ( x 1 , x 2 , . . . x n ) {\displaystyle \psi (x_{1},x_{2},...x_{n})=-\psi (x_{1},x_{2},...x_{n})} 이 된다. 따라서 앞의 식의 양변을 한쪽으로 옮기면 χ ψ ( x 1 , x 2 , . . . x n ) = 0 {\displaystyle \chi \psi (x_{1},x_{2},...x_{n})=0} 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한 개 보다 많은 복수의 페르미온이 동일한 상태에 존재 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특정한 에너지 ϵ {\displaystyle \epsilon } 를 갖는 페르미온에 대한 확률분포를 볼츠만 분포를 확장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상태1 ϵ {\displaystyle \epsilon } 의 에너지를 갖는 페르미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볼츠만 인자는 1이다. 상태2 ϵ {\displaystyle \epsilon } 의 에너지를 갖는 페르미온이 하나 존재하는 경우의 볼츠만 인자는 e − ϵ k T {\displaystyle e^{-{\frac {\epsilon }{kT}}}} 이다. 이제 ϵ {\displaystyle \epsilon } 의 에너지를 갖는 페르미온이 '하나' 존재할 확률을 계산해 보면 e − ϵ k T 1 + e − ϵ k T {\displaystyle {\frac {e^{-{\frac {\epsilon }{kT}}}}{1+e^{-{\frac {\epsilon }{kT}}}}}} 이 된다. 보스-아인슈타인 통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보스-아인슈타인 통계입니다. 보손은 맞바꾸는 교환 작용자 χ {\displaystyle \chi } 에 대한 고윳값 r이 +1인 경우이다.이깨 기본 양자역학적인 대칭의 필요에서 어떤 두 알갱이를 바꿀 때, 총 파동함수 ψ {\displaystyle \psi } 가 대칭적이다(즉 바뀌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 기호로 ψ ( x 1 , x 2 , . . . x n ) = ψ ( x 1 , x 2 , . . . x n ) {\displaystyle \psi (x_{1},x_{2},...x_{n})=\psi (x_{1},x_{2},...x_{n})} 이다. 두 알갱이를 서로 바꾼다고 하여 전체 기체의 새로운 상태가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기체의 구별되는 상태를 셀 때, 알갱이들이 정말로 구별할 수 없다고 생각해야 한다. 대칭에 필요한 알갱이들은 보즈-아인쉬타인 통계를 따른다고 하며 그들을 보손이라 부른다. 여기에서 알갱이들은 구별할 수 없는 것으로 생각하므로 수 { n 1 , n 2 , n 3 , {\displaystyle n_{1},n_{2},n_{3},} ...}의 단순한 명시는 기체상태를 충분히 설명한다. 모든 가능한 값은 각 r에 대해서 n r = 0 , 1 , 2 , 3 , . . . {\displaystyle n_{r}=0,1,2,3,...} 에 대해 합하는 것만 필요하다. 즉 알갱이들이 구별이 안 되기 때문에 어떤 알갱이 수도 어떤 한 상태에 있을 수 있지만, 두 알갱이가 있을 때 들어가는 상태가 교환이 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애니온 통계[편집] 애니온은 맞바꾸는 교환 작용자 χ {\displaystyle \chi } 에 대한 고윳값 r이 복소수로써 r 2 = 1 {\displaystyle r^{2}=1} 을 만족하는 경우이다. 참고 문헌[편집] 임경희 (2008년 3월 3일). 《통계 열역학》. 한티미디어. ISBN 978-899118249-3.  최상돈; 이연주, 강남룡 (2010년 2월 10일). 《응용과학 전공자를 위한 통계열역학》 2판. 청문각. ISBN 978-896364037-2.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Huang, Kerson (1987). 《Statistical mechanics》 (영어) 2판. New York: Wiley. ISBN 0-471-81518-7. 2014년 4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6일에 확인함.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Pathria, Raj K.; Paul D. Beale (2011년 2월). 《Statistical mechanics》 (영어) 3판. Academic Press. ISBN 978-0-12-382188-1. doi:10.1016/B978-0-12-382188-1.00020-7.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외부 링크[편집] 임경순 (2001년 2월 15일). 〈볼츠만과 통계역학의 출현〉. 《현대물리학의 선구자》. 다산. ISBN 978-897110170-4.  이구철. “주사위만 던져도 열물리의 기본을 이해할 수 있어요”.  함께 보기[편집] 앙상블 열역학 퓨가시티 양자적 상태수 상전이 임계현상 vdeh물리학의 주요 분야분류 응용물리학 실험물리학 이론물리학 에너지운동 열역학 역학 고전역학 라그랑주 역학 해밀턴 역학 연속체 역학 천체역학 통계역학 유체역학 양자역학 파동장 중력 전자기학 양자장론 상대성이론 특수 상대성이론 일반 상대성이론 전문 분야 가속물리학 음향학 천체물리학 핵 천체물리학 항성물리학 헬리오 물리학 태양물리학 우주물리학 천체입자물리학 원자 분자 광 물리학 계산물리학 응집물질물리학 고체물리학 디지털 물리학 기초공학 재료물리학 수리물리학 핵물리학 광학 기하광학 물리광학 비선형 광학 양자광학 입자물리학 현상학 플라스마 고분자물리학 통계물리학 물리학과 다른 과학 생물리학 심장물리학 생물역학 의학물리학 신경물리학 농업물리학 토양물리학 대기물리학 화학물리학 경제물리학 지구물리학 정신물리학 전거 통제 LCCN: sh85127571 GND: 4056999-8 SUDOC: 027570711 BNF: cb11958255n (데이터) NDL: 00573177 BNE: XX52492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통계역학&oldid=22288697" 분류: 물리학통계역학물리학의 기본 개념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CS1 관리 - 추가 문구CS1 - 영어 인용 (en)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অসমীয়াAsturianu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Català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atina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8일 (토) 23:0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통계역학(統計力學, 영어: statistical mechanics), 또는 통계물리학(統計物理學)은 통계학의 방법을 이용하여 역학의 문제를 푸는 물리학의 기초 이론 중 하나다. 통계역학은 입자가 무척 많거나, 대상의 운동이 무척 복잡하여 확률적 해석이 중요해지는 현상을 주로 다루며, 핵반응 현상이나 생물학, 화학 등 여러 분야에 적용된다. 통계역학은 고전역학과 양자역학에서 다루는 물리계를 확률적, 통계적으로 해석한다. 다루는 대상에 따라서 고전 통계역학 또는 양자 통계역학으로 구분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고전 통계역할을 최초로 정립한 사람은 누구야? Assistant: 볼츠만 Human: 아래 중력_상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중력 상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력 상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만유인력 상수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비슷한 이름의 가우스 인력상수에 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중력 상수 G {\displaystyle G} 종류: 물리 상수 값: 6.673 84(80) × 10−11 J·m/kg2 오차: ±0.000 0080 × 10−11 J·m/kg2 출처: CODATA 2010[1] 중력 상수(重力常數, gravitational constant, 기호 G), 만유인력 상수 또는 뉴턴 상수는 중력의 세기를 나타내는 기초 물리 상수다. 중력을 다루는 모든 이론, 예를 들어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과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등장한다. 과학 기술 데이터 위원회 2010년 자료[1] 에 따르면, 국제단위계에서의 값은 다음과 같다. G {\displaystyle G} = (6.673 84 ± 0.000 0080) ×10^−11 N m2 kg−2 = (6.673 84 ± 0.000 0080) ×10^−11 m3 kg−1 s−2 그 밖에 국제 천문 연맹에서 제공하는 자료도 권위가 있다. 목차 1 정의 2 중력 상수의 측정 3 "GM" 곱 4 플랑크 단위계 5 각주 정의[편집] 만유인력의 법칙에 따르면, 두 물체 사이의 중력적 인력은 그 두 질량의 곱에 비례하며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식으로 쓰면 다음과 같다. F = G m 1 m 2 r 2 {\displaystyle F=G{\frac {m_{1}m_{2}}{r^{2}}}} 이 식에서 비례 상수 G {\displaystyle G} 를 중력 상수라고 일컫는다. 중력은 자연의 다른 세 상호작용보다 상대적으로 약하다. 예를 들어 두 대의 3000 kg의 자동차가 각각의 질량 중심에 대해 3 m 떨어져 있을 때 두 자동차에 작용하는 중력은 약 67 µN밖에 되지 않는다. 이는 모래 알갱이의 무게 정도의 힘에 해당한다. 중력 상수의 측정[편집] 중력 상수는 헨리 캐번디시가 처음으로 측정하였다.[2] 실험을 위해 막대의 양 끝에 납으로 된 공을 매달고 이를 줄에 매달아 수평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한다. 막대의 관성 모멘트는 막대가 복원력에 의해 진동하는 주기를 측정하여 알아낼 수 있다. 막대의 한쪽 끝에 다른 공을 가까이 대면 중력에 의해 서로 끌어당기게 되고 막대가 회전한 각도를 측정하여 이 힘을 알아낼 수 있다. (캐번디시의 실험의 본 목적은 중력 상수의 측정이 아니라, 지구의 질량을 측정하는 것이었다. 지구 표면의 중력장은 쉽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지구의 크기와 중력 상수를 알면 지구의 질량을 계산할 수 있다.) 중력 상수의 측정은 캐번디시의 실험 이후로 점차 정확도가 향상되어 왔다. 중력이 다른 기본 상호 작용에 대해 매우 약하고, 다른 물체의 영향을 없애기 어렵기 때문에 중력 상수 G   {\displaystyle {G}\ } 를 측정하는 것은 여러 모로 어렵다. 게다가 중력과 다른 상호 작용 사이에 알려진 상관 관계가 없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이를 측정할 수 없다. 최근의 리뷰(Gilles, 1997)에 따르면, 중력 상수의 측정값은 크게 변해 왔고, 최근의 몇몇 측정값은 실제로는 서로 배타적이라고 한다. "GM" 곱[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표준 중력 변수입니다. G M {\displaystyle GM} 곱 또는 표준 중력 변수는 여러가지 중력과 관계된 수식을 간단히 표현하는 데 자주 활용된다. 특히 태양계에 대해 중력 법칙을 이용할 때 매우 높은 정확도로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빈번하게 사용된다. 중력 상수의 정확도가 높지 않은 데 반해 행성의 위치나 중력 가속도와 같은 양은 매우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중력 상수와 질량의 곱은 매우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다(따라서 지구나 태양의 질량의 측정값의 정확도는 중력 상수의 정확도에 의존한다.). 태양계에서의 중력을 계산할 때 거의 대부분의 계산에서 GM 값이 함께 붙어서 나오며, 대부분의 계산에서 이 둘을 따로 대입할 필요가 없어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표준 중력 변수의 값은 μ {\displaystyle \mu } 로도 표시하며 국제단위계에서 다음과 같은 값을 갖는다. μ = G M = 398 , 600.4418 ± 0.0008   k m 3 ⋅ s − 2 {\displaystyle \mu =GM=398,600.4418\pm 0.0008\ \mathrm {km^{3}\cdot s^{-2}} } 천체 역학에서는 주로 국제단위계의 킬로그램보다 태양 질량을 기준으로 한 단위계를 사용하는 것이 계산에 편하다. 이 단위계로 쓴 중력 상수를 가우스 중력 상수(Gaussian gravitational constant) k 2 {\displaystyle k^{2}} 라 부르며,그 값은 다음과 같다. k = 0.01720209895   A 3 2   D − 1   S − 1 2 {\displaystyle {k=0.01720209895\ A^{\frac {3}{2}}\ D^{-1}\ S^{-{\frac {1}{2}}}}} 여기서 A {\displaystyle A} 는 천문 단위, D {\displaystyle D} 는 평균 태양일, 그리고 S {\displaystyle S} 는 태양의 질량이다. 플랑크 단위계[편집] 이 주제의 자세한 내용은 플랑크 단위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중력 상수를 플랑크 상수와 광속을 이용하여, 임의적인 기본 단위가 전혀 없는 단위계를 만들 수 있다. 이를 막스 플랑크의 이름을 따 플랑크 단위계라고 부른다. 플랑크 단위계에서 중력 상수는 플랑크 상수와 진공에서의 빛의 속도와 함께 모두 1로 맞추어진다. 각주[편집] ↑ 가 나 Mohr, Peter J.; Barry N. Taylor, David B. Newell (2010년 11월 13일). “CODATA Recommended Values of the Fundamental Physical Constants: 2010”. 《Reviews of Modern Physics》 84 (4): 1527–1605. Bibcode:2012RvMP...84.1527M. arXiv:1203.5425. doi:10.1103/RevModPhys.84.1527.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Cavendish, H. (1798). “Experiments to determine the Density of the Earth”.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88: 469–526. doi:10.1098/rstl.1798.002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중력_상수&oldid=24548148" 분류: 중력물리 상수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کوردی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Nordfriisk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9일 (화) 12:2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중력 상수(重力常數, gravitational constant, 기호 G), 만유인력 상수 또는 뉴턴 상수는 중력의 세기를 나타내는 기초 물리 상수다. 중력을 다루는 모든 이론, 예를 들어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과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등장한다. 과학 기술 데이터 위원회 2010년 자료 에 따르면, 국제단위계에서의 값은 다음과 같다. 그 밖에 국제 천문 연맹에서 제공하는 자료도 권위가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중력 상수 측정법은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중력 상수는 헨리 캐번디시가 처음으로 측정하였다.[2] 실험을 위해 막대의 양 끝에 납으로 된 공을 매달고 이를 줄에 매달아 수평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한다. 막대의 관성 모멘트는 막대가 복원력에 의해 진동하는 주기를 측정하여 알아낼 수 있다. 막대의 한쪽 끝에 다른 공을 가까이 대면 중력에 의해 서로 끌어당기게 되고 막대가 회전한 각도를 측정하여 이 힘을 알아낼 수 있다. (캐번디시의 실험의 본 목적은 중력 상수의 측정이 아니라, 지구의 질량을 측정하는 것이었다. 지구 표면의 중력장은 쉽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지구의 크기와 중력 상수를 알면 지구의 질량을 계산할 수 있다.) 중력 상수의 측정은 캐번디시의 실험 이후로 점차 정확도가 향상되어 왔다. 중력이 다른 기본 상호 작용에 대해 매우 약하고, 다른 물체의 영향을 없애기 어렵기 때문에 중력 상수 G   {\displaystyle {G}\ } 를 측정하는 것은 여러 모로 어렵다. 게다가 중력과 다른 상호 작용 사이에 알려진 상관 관계가 없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이를 측정할 수 없다. 최근의 리뷰(Gilles, 1997)에 따르면, 중력 상수의 측정값은 크게 변해 왔고, 최근의 몇몇 측정값은 실제로는 서로 배타적이라고 한다.
Human: 아래 안동교구_가톨릭농민회_사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안동교구 가톨릭농민회 사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안동교구 가톨릭농민회 사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안동교구 가톨릭농민회 사건은 1978년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양군 청기면에서 감자 농민들이 농협과 영양군에서 알선받아 구매한 감자(시마바라 품종)가 불량이어서 농사를 망친 사건에서 시작된 일련의 사건이다. 가톨릭 농민회 회장 오원춘은 자신이 정부기관에의해 울릉도로 납치 되었다고 양심선언하였다. 그는 재판중 구속되어있던 교도소에서 한 양심선언을 통해 울릉도에는 여자친구와 놀러 간 것이라며 기존 양심선언 내용을 뒤집었다. 오원춘은 박정희 정권이 종식된 이후, 자신은 행방불명된 기간 동안 고문을 받고 울릉도로 납치되었고 긴급조치 재판중에도 고문을 받았다며 원래의 양심선언이 맞다고 밝혔고 민주화운동관련자로 인정되었다.[1][2] 목차 1 진행 2 이후 3 같이 보기 4 각주 5 외부 링크 진행[편집] 피해 농민들은 안동교구 가톨릭 농민회 임원 오원춘(吳元春)을 중심으로 하여 보상을 요구하였다. 농민들은 나중에 보상을 받게 되었지만 오원춘은 갑자기 행방불명되었다. 이후 오원춘은 정부에 의해 자신이 납치되었다는 성명을 냈고,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도 성명을 냈다. 경찰은 안동교구와 오원춘이 허위사실을 유포한다고 주장하였으며 오원춘은 긴급조치 위반죄로 구속되었다. 또한 천주교 안동교구청 사무국장 정호경 신부 등 세 명이 허위 사실 유포 등의 혐의로 구속됐다.[3] 오원춘은 대구교도소에서 자신의 납치극은 조작한 것이라고 양심선언했다. 그의 양심선언 발표에는 오씨가 15일간 기거했던 울릉도의 식당 주인과, 함께 있었다는 모다방 종업원 이 모양 등 증인들과 국내외 언론과 학계, 종교계, 여성계 등 인사 50여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이뤄졌다. 그는 자신이 납치되었다는 내용의 양심선언을 성당 신부가 쓰라고 해서 썼다고 주장했으며 진실을 밝혀 후련하다고 밝혔다.[4] 상처에 대해서는 고문때문에 생긴 것이 아니라 울릉도로 가는 뱃길에 풍랑이 심해 부딪히면서 난 것이라고 해명했다. 가톨릭 안동교구측은 자체 조사 결과를 통해 오원춘에 대한 납치와 고문이 실제 있었으며 정부가 조작했다는 보고서를 냈다.[5] 부마민주항쟁이 일어나기 직전인 10월 15일에 오원춘이 항소를 포기해 형이 확정됐다. 그러나 다음날 부마민중항쟁이 일어나고 10·26 사건으로 박정희가 사망하면서 긴급조치가 해제되어 출소하였다. 이후[편집] 오원춘은 박정희 사후 출소하였고 이후에도 농민 운동을 했다. 오원춘은 이후 2002년에는 경북도의원에 출마하기도했다. [6] 오원춘은 2005년 민주화운동 관련자로 인정됐다. [7] 같이 보기[편집] 오원춘 르네 뒤퐁 서경원 각주[편집] ↑ [1] ↑ [2][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긴급조치위반 허위사실 유포 신부 등 셋 구속” (경향신문). 1979년 8월10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도움말) ↑ “납치극은 조작” (경향신문). 1979년 8월23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도움말) ↑ [3] ↑ [4][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5][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편집] 디지털안동문화대전 - 안동교구 가톨릭농민회 사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안동교구_가톨릭농민회_사건&oldid=22886885" 분류: 1978년 대한민국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인용 오류 - 날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0월 31일 (수) 12:3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안동교구 가톨릭농민회 사건은 1978년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양군 청기면에서 감자 농민들이 농협과 영양군에서 알선받아 구매한 감자(시마바라 품종)가 불량이어서 농사를 망친 사건에서 시작된 일련의 사건이다. 가톨릭 농민회 회장 오원춘은 자신이 정부기관에 의해 울릉도로 납치 되었다고 양심선언하였다. 그는 재판중 구속되어있던 교도소에서 한 양심선언을 통해 울릉도에는 여자친구와 놀러 간 것이라며 기존 양심선언 내용을 뒤집었다. 오원춘은 박정희 정권이 종식된 이후, 자신은 행방불명된 기간 동안 고문을 받고 울릉도로 납치되었고 긴급조치 재판중에도 고문을 받았다며 원래의 양심선언이 맞다고 밝혔고 민주화운동관련자로 인정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피해를 당한 농민들은 누구를 중심으로해서 보상을 요구했나요? Assistant: 오원춘 Human: 아래 홍난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홍난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홍난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홍난파 기본 정보본명 홍영후출생 1897년 4월 10일(1897-04-10) 대한제국 경기도 남양군 둔지곶면 활초동사망 1941년 8월 30일 (43세) 일제 강점기 경기도 경성부 휘경정 경성요양원직업 작곡가 지휘자 피아니스트 바이올리니스트 교육인 음악평론가장르 서양 고전음악 배우자 김상운(사별), 이대형(재혼)가족 홍준(아버지) 전주 이씨 부인(어머니) 밀양 박씨 부인(계모) 홍석후(형) 홍옥임(조카딸) 홍성유(조카) 홍정임(장녀) 홍종임(차녀) 홍지유(양자)종교 개신교(장로교) 홍난파(洪蘭坡, 일본식 이름: 森川潤 모리카와 준[*], 1897년 4월 10일(음력 3월 19일) ~ 1941년 8월 30일)는 한국의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이자 지휘자다. 본관은 남양 홍씨 토홍계이다. 본명은 홍영후(洪永厚)이지만 홍난파로 더 알려져 있다. 아호는 난파(蘭坡)이다. 한동안 음악평론가로 활동하면서 ‘한국의 슈베르트’라고 불리기도 하였다.[1] 작품 중 〈봉선화〉, 〈성불사의 밤〉, 〈옛동산에 올라〉, 〈고향 생각〉등 10여곡의 가곡과 〈고향의 봄〉, 〈나뭇잎〉, 〈개구리〉, 〈무지개〉 등 111개의 동요를 작곡하여 천재 작곡가로 알려졌다. 목차 1 생애 1.1 생애 초기 1.1.1 출생과 생애 초기 1.1.2 서양 음악에 입문하다 1.2 청년기 1.2.1 본격적 음악 활동의 시작 1.2.2 봉선화의 작곡과 소개 1.3 음악 활동 1.3.1 다시 유학길에 오르다 1.3.2 귀국 후 활동 1.3.3 친일 활동 1.4 죽음 2 작품 3 사후 3.1 기념관에 대한 논란 4 저서 5 가족 6 일화 7 미디어 7.1 기타 8 함께 보기 9 참고 자료 10 외부 링크 11 각주 생애[편집] 생애 초기[편집] 출생과 생애 초기[편집] 난파 홍영후는 경기도 남양군 둔지곶면 활초동(현 화성시 남양읍 활초리)에서 남양 홍씨 토홍계 대호군공파 24세손으로 8남매 중 셋째이자 차남으로 태어났다.[2] 아버지 홍준은 국악에 조예가 깊어서 집안 식구들이 거문고나 퉁소 등 전통 악기를 연주했는데 홍영후는 그 중 앙금을 연주했다고 한다.[3] 아버지 홍준은 국악에 조예가 많았던 관계로 아들에게 금파(錦坡), 난파(蘭坡) 등의 별호를 지어 주었다. 형 금파 홍석후는 구한 말의 양의사이기도 했다. 홍영후의 막내동생 민후는 해방 후 30여년간 경남 합천군 삼가면에서 '백중약국'을 경영하며 인술을 베풀어 약사로서 평생 선업을 쌓아 지역민들의 큰 존경을 받았다. 약사 홍민후는 형편이 어려운 환자들은 약값을 받지 않았고, 공짜로 약을 지어주며 '웬만하면 약 먹지 마셔요'로 처방하여 유명하였다. 또한, 홍난파는1933년 형 금파와 함께 난파트리오를 결성해 활동했다. 트리오중 일찍 요절한 조카 홍성유(1908 ~ 1936)는 형 홍석후의 셋째 아들이기도 했다. 서양 음악에 입문하다[편집] 1899년 온 가족이 고향을 떠나 서울로 이사한 후 그는 교회를 다니게 되면서 서양 음악을 접하였고, 그 영향으로 그의 사촌 형 및 조카들이 모두 바이올린 연주자가 되었다. 그 또한 현재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에 속한 장로교회인 새문안교회에 다니면서 1911년에 세례를 받았고 집사로서 성가대 활동을 하는 등 교회 활동을 적극적으로 하였다. 새문안교회를 비롯하여 많은 교회 음악회 때에도 바이올린 연주를 통한 전도 활동을 하기도 했다.[4] 1910년 중앙 기독교 청년회 중학부에 입학하였다. 중학과 재학 중 그는 장난감 바이올린을 구입하여 숫자보를 사용하여 '도레미법'을 터득하였고,[2] 중학과 재학 중에 고학과 아르바이트로 7원 50전이라는 돈을 모아 바이올린을 구입하여 음악연습을 시작했다. 1912년에 조선 정악 전습소 서양악부 성악과에 입학하여 성악을 전공했고[5], 당시 조선인 최초의 서양 음악 교사인 김인식의 지도를 받으며 공부하였다. 1913년 조선 정악전습소 성악과를 졸업하고 그 해 기악과에 입학, 이듬해에 중앙 기독교 청년회 중학과 졸업 및 기악과를 졸업하였다. 졸업 후 조선정악전습소의 보조교사로 잠시 있었다.[5] 청년기[편집] 본격적 음악 활동의 시작[편집] 홍파동 월암공원에 있는 홍난파가 살던 집 1915년 조선 정악전습소 서양악부 교사로 부임하여 <악전대요>, <통속창가집>을 출간하였고, <간이무답행진곡집>을 편찬하는 등 활동을 하기도 했다. 그 해에 김상운과 18세의 나이로 결혼한다. 홍난파의 형은 부친의 뜻에 따라 의학을 전공하게 되었고, 홍난파 또한 부친의 뜻에 따라 세브란스 의전에 입학(1916년)하였다. 그럼에도 그는 세브란스 의전에서 열린 성탄 축하 음악회에서 바이올린을 연주하였는데 이는 그의 첫 공연 무대로서 당시 큰 호응을 얻었다. 그의 음악에 대한 애정 때문에 입학 1년 만에 중퇴하고 1917년 3년간 있던 조선정악전습소 서양악부 교사직을 사임하였다. 이듬해 1월 5일 장녀 홍숙임을 얻었으며 1918년 일본에 유학 도쿄 우에노(上野)음악학교 예과(預科)에 입학하여 이듬해 3월 수료하였다. 이듬해인 1919년 도쿄에서 예술 잡지인 <삼광>을 창간하였으나 삼광은 경영난으로 4호를 끝으로 폐간되었다. 그리고 그 해 홍난파는 본과 진학이 무산되자 귀국하여 경성악우회를 조직하는 등 활동을 전개하기 시작하였다.[2] 1919년 3월 그는 3·1 운동에 참여하기 위해 학업을 중단하고 잠시 귀국하였다. 3·1 운동 직후 그는 다시 일본으로 돌아가 복학을 신청했으나 받아주지 않자 좌절하고 만다. 다시 귀국 후 그는 첫 작품의 작곡에 몰입한다. 1920년에 <애수>를 작곡했는데 이 작품은 그의 작품 중 가장 유명한 <봉선화>의 원곡이다. 그 해 공식적으로는 처음 독주회를 열었는데, 이는 일제 강점기 시절 조선인 최초이다. 1921년 첫 창작 소설집인 <처녀혼>을 발간하였고, 이듬해에는 연악회를 설립, 음악잡지 《음악세계》를 창간하였다. 1925년에는 잡지 <음악계>를 창간하고 바이올린 독주곡 <애수의 조선>, <로만스>, <동양풍의 무곡>을 작곡하였으며, 연악회 주최로 한국 최초의 바이올린 독주회를 열었다.[6] 한편으로 생업에도 종사해야 했던 그는 1920년 매일신문사에 입사하여 기자생활을 하기도 했다. 1926년 5월 13일 부인 김상운과 사별하였으며 다시 일본으로 유학가서 일본 도쿄 고등음악학원 야간반에 편입학하였다. 도쿄 고등음악학원에 재학하면서 그는 도쿄 교향악단(지금의 NHK 교향악단)의 제1바이올린 연주자로 입단했다. 1929년 고등음악학원을 수료한 뒤 도쿄 교향악단을 사직하고 귀국했다. 봉선화의 작곡과 소개[편집] 1926년 홍영후는 <세계명작가곡선집>을 편찬하였는데 그의 작품 <봉선화>가 여기에 수록되었다. 이듬해 라디오 방송을 통해 봉선화 곡이 소개되었다. 이 노래를 최초로 부르고 널리 퍼지게 한 당시 소프라노 김천애의 증언에 의하면 당시 봉선화라는 소재를 선택한 것이 작사자인 김형준(피아니스트 김원복의 선친)의 영향으로, 김형준이 살던 집 울 안에 봉선화 꽃이 가득했고, 또 김형준씨는 생전의 홍난파와 이웃해 살면서 교분이 두터웠다고 한다. 덧붙여 김형준은 봉선화를 보면 곧잘 '우리 신세가 저 봉선화꽃 같다'는 얘기도 했다고 한다.[7] 그러나 이 노래가 정작 널리 퍼져 모든 사람의 가슴을 울리게 된 것은 1940년대였다. 1942년 봄 히비야 공회당에서 열린 신인 음악회에서 김천애가 <봉선화>를 부른 것이 시초였고, 귀국 후 서울 부민관, 하세가와 공회당, 평양 키네마 등 여러 곳에서 독창회를 가지면서 <봉선화>를 불러 청중들의 눈물을 글썽이게 했다. <봉선화>는 빅터와 콜롬비아 두 레코드 회사에 취입되면서 더욱 크게 히트하였다. 이는 주권을 일본에 침탈당한 국민의 아픔을 달래는 노래였기에 엄청난 인기를 모으게 되었으나, 일본 경찰 당국은 이를 문제 삼아 이 노래를 못 부르도록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천애는 무대에 설 때마다 이 노래를 불러 여러 차례나 경찰에 연행되기도 했다. <봉선화>의 1절이 아름답게 꽃피우던 성하에의 애절함이라면, 2절은 가을 바람에 떨어지는 낙화에의 조사를 뜻하는데, 이어지는 3절이 애절한 민족의 염원을 담고 있다. 곧, 애수 어린 가곡에서 민족의 노래로 승화시키는 모티브 역할을 한다.[7] 음악 활동[편집] 다시 유학길에 오르다[편집] 1931년 그는 조선 음악가 협회 창립 총회에서 상무 이사로 선임되어 활동을 하였다.[4] 그는 더 많은 것을 배우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그 해 7월에 성가대를 사임하고 미국의 셔우드 음악학교(Sherwood Conservatory of Music)를 2년간 다녔다. 사실 이 때의 유학길은 미국으로 간 애인을 따라 결심하게 되었다고 한다. 김을한이 지은 《그리운 사람들》(삼중당, 1991)에 따르면 홍영후가 서울에서 음악 활동을 하던 무렵 K라는 애인이 있었는데, 그녀의 수양어머니가 홍난파의 애주를 문제 삼아 결혼을 매우 반대하였고, 그예 미국으로 모녀가 함께 돌아가자 그 뒤를 좇아 급하게 미국 유학길에 올랐다고 한다.[6] 이 기간 동안 홍영후는 도산 안창호가 이끄는 흥사단에 가입하게 되는데, 이 당시 흥사단은 미국에서 활동하던 독립 운동 단체였고, 미국에 있는 조선인의 가입을 이끌며 독립 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홍영후의 미국 생활은 시련의 연속이었다. 수업을 받으며 내야 하는 납부금을 제 때에 내지 못해 분납을 하며 생활해야 했고, 뜻하지 않은 교통 사고를 당하며 늑골을 다치고 말았다. 이 교통 사고의 후유증으로 늑막염에 시달려야 했고 귀국 후에도 잦은 병원 입원과 퇴원을 반복해야 할 정도로 그의 건강이 나빠지게 되었다. 이때 흥사단은 그가 셔우드 음악학교를 수료할 때 그를 축하해 주었고, 홍영후 또한 교통 사고를 당한 이후 "격려를 보낸 것에 대해 감사 드리며 변호사에게 사건을 위임하여 손해금을 받아 볼까 교섭중이다"는 편지로 화답하였다. 마침내 홍영후는 1932년 12월 8일 흥사단에 단우 번호 266번으로 가입하게 된다.[8] 미국 유학을 마치고 귀국길에 오른 그는 로스앤젤레스의 한인 교회에서 바이올린 연주회를 열었고, 지방 흥사단 대회에도 참가한 후 귀국하였다. 1931년 그는 일본 빅터레코드사 고문으로 위촉되었다. 귀국 후 활동[편집] 국내에 돌아와 그는 경성보육학교 주임교수를 맡았고, 1933년 이화여자전문학교 음악학 강사로도 출강하였다. 1933년 <조선동요백곡집> 하편, <조선가요작곡집>을 발매하였다. 그리고 그 해 최초의 실내 악단이자 바이올린 3중주 악단인 난파 트리오를 결성하였다. 난파 트리오는 홍영후와 그의 조카인 홍성유, 이영세로 구성되어 진고개(현재의 충무로)에 있는 메이지제과홀에서 첫 발표회를 가졌다.[3] 그러나 조카 홍성유가 1936년 8월 병으로 갑자기 사망하면서 난파트리오는 해체되었다. 그는 1934년에는 일본 빅터레코드사 경성지점 음악 주임으로 근무하기도 하고, 현제명과 함께 작곡 발표회를 하는 등 다시 국내에서의 활동을 왕성하게 하였다. 그 해 12월 27일 이대형과 재혼하였고, 많은 영화 음악이나 신민요, 가요 등에 관여하면서 자신의 이름을 나소운(羅素雲)이라 적었다. 그 밖에 이화여전 강사를 지냈고, 경성중앙방송국 양악부 책임자로서 활동하기도 했다. 한국 최초의 관현악단인 경성방송 관현악단을 조직, 지휘자로 활동하였다. 1938년에는 <음악만필>을 발간하였다. 1936년 그는 박영근, 이승연과 함께 <코리아음악연구소>를 창설하여 음악을 가르쳤고, <특선가요곡집>을 출간하였다. 이 해 8월 18일 조카 홍성유가 29세로 요절하여 난파 트리오는 해체되었지만, 그는 다시 이흥렬, 김태연과 함께 성서 트리오를 결성하였다.[3] 친일 활동[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수양동우회 사건입니다. 홍난파는 1937년 수양동우회 사건의 관련자로 지목되어 경성부 종로경찰서 경찰에 의해 검거되었다. 72일 동안에 걸친 옥고를 치른 후에 석방되었으나, 애국가요대회에서 <정의의 개가>, <공군의 가(歌)>를 작곡하였다. 그 후 그는 "사상 전향에 관한 논문"을 제출하였을 뿐만 아니라 1939년 당시 변절한 문학가 이광수의 시에 곡을 넣어 <희망의 아침>을 발표하였다. 그런가 하면 매일신보에 <지나사변과 음악> 등을 게재하기도 했다. 또한 1940년에는 국민총력조선연맹의 문화위원에 임명되어 활동하기도 하였다.[3] 일제 말기 전시 체제(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 이후로 일제 총독부는 모든 분야에 발악했었고, 당시 옥중에 갇혔던 정치범들이나 독립운동지사들은 전향서를 써야만 석방을 맞을 수 있었다. 그리고 수양 동우회 사건 이후 수많은 독립운동지사들이 변절하거나 전향하는 사람들이 급격히 늘어났던 시기였다. 그의 딸인 홍정임 여사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아래와 같이 증언하고 있다. 제가 이 세상에 처음 태어 나던 날, 저의 아빠는 종로경찰서에 갇히셔서 옥고를 치르고 계셨습니다. 이름을 지어줄 아빠가 안 계신 저는 姙(임)자 돌림에다 정축년(丁丑年)에 태어났다고 丁(정) 자를 붙여서 丁姙(정임)이라는 이름을 받게 되었습니다. 감옥을 드나드시면서 아버지께 흰 옷을 넣어드리는 어머니는 번번이 피투성이 되어 나오는 아버지의 옷을 받아들면서 이렇게 애청을 하셨다고 합니다. "이 분은 몸이 약하신데 제가 대신 감옥에 들어가면 안 되느냐고." 일본 경찰은 조롱된 어조로 "당신도 콩밥이 먹고 싶어?" 하며 반문을 했다고 합니다. 감옥살이에 시달리신 저의 아버지는 '늑막염' 이라는 무서운 병을 재발 시키면서 72일 만에 석방이 되셨습니다. 석방을 시킨다는 조건부로 "일본에 협조한다는 글과 곡을 지으라는" 명령을 받았고 그 압력의 쇠사슬에 묶이신 나의 아버지는 최후의 3년을 (석방 이후) 병마에 시달리면서 강제에 못 이겨 한 두 차례 일본에 협조하는 글을 쓰셔야만 했습니다. 기억을 더듬으시는 어머니의 가슴 아픈 사연들 이었습니다...(이하 생략)...[8] 1938년 음악잡지 「음악만필」을 발행하였다. 이는 한국 최초의 음악산문집이자 음악 평론집이기도 했다. 죽음[편집] 홍영후는 미국에서 당한 교통 사고의 후유증으로 늑막염을 앓고 있다가 회복되긴 했지만 수양 동우회 사건으로 체포된 후 일본 경찰의 고문으로 재발하면서 크게 악화되었다. 그 상황에서 1941년에는 적십자병원, 경성요양원(지금의 삼육서울병원)을 오가며 치료를 받았지만 그 해 8월 30일에 결핵균이 머리로 들어가게 되면서 뇌결핵으로 이어져 끝내 경성요양원에서 별세하였다.[9] 그는 유언으로 "내가 죽거든 꼭 연미복을 입혀서 화장(火葬)해 달라."는 말을 남겼다. 작품[편집] 23세 때 작곡한 〈봉선화〉와 〈성불사의 밤〉, 〈옛동산에 올라〉, 〈고향의 봄〉, 〈고향 생각〉등 십 여곡의 가곡을 남겼고, 이 중 〈봉선화〉와 〈사공의 노래〉를 제외한 대부분의 가곡은 이은상 시인의 시에 곡을 붙인 곡이다. 후세의 많은 사람들에게도 친숙한 〈나뭇잎〉, 〈개구리〉를 비롯하여 111개의 동요를 작곡하였고, 〈애수〉, 〈로망스〉 등 8개의 기악곡을 발표하였으며 여러 곡의 영화 음악을 작곡하는 천재적 재능을 발휘하였다. 저서에는 《세계의 음악》, 《조선 가요백곡집》과 단편 소설집 《처녀의 혼》, 《향일초》, 《폭풍우가 지난 후》 등이 있다. 사후[편집] 1954년 난파기념사업회가 설립되어 '조선동요 100곡집'을 재간행하였다.[5] 홍난파 노래비 1965년 10월 25일 대한민국 정부는 홍난파에게 문화 훈장을 추서하였다. 1968년 수원 팔달산에 노래비가 세워졌고, 1969년 8월 30일 홍난파의 추모일을 맞아 예총 경기도지회가 ‘난파음악제’를 연 이래 해마다 계속되고 있다.[6] 또한 그가 살던 집(종로구 홍파동 소재)이 2004년 9월 4일 등록문화재 90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홍난파 기념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집 앞에는 그의 흉상이 서 있다. 수양동우회 사건 이후에 있었던 친일 행적으로 인해 홍난파는 친일파 708인 명단,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될 예정이었지만 2009년 11월 26일 홍난파의 유족이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를 상대로 낸 친일행위조사결과 통지처분 효력정지 신청이 서울행정법원에서 받아들여지면서 유보 결정되었다. 당시 재판부는 "홍난파의 행위를 일본에 적극적으로 협력한 것으로 볼 수 있는지 더 따져봐야 하기 때문에 본안 소송 결과가 나올 때까지 해당 처분의 효력을 중지한다"고 말했다.[10] 2010년 11월 4일 홍난파의 유족이 행정안전부 장관을 상대로 낸 소송의 선고(2010년 11월 5일)를 하루 앞둔 상황에서 소송 취하 의사를 밝혔고 행정안전부가 이에 동의하면서 재판이 종결되었다. 이에 따라 홍난파의 유족이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를 상대로 낸 친일행위조사결과 통지처분 효력정지 신청을 받아들인 법원의 결정이 무효가 되었고 홍난파는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에 실리게 되었다.[11] 기념관에 대한 논란[편집] 홍난파가 1898년 당시 남양 활초리에서 태어나 기념사업 권리문제로 논란을 빚었던 화성시는 이번에는 단국대학교와 유품을 놓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2006년부터 181억 5천만원을 들여 활초동 4만5천270m2 부지에 지하 1층, 지상2층 규모의 기념관, 야외음악당, 공원 등을 갖춘 홍난파 꽃동산 조성사업을 추진해왔는데 연고권을 들어 단국대학교 측에 유품을 넘겨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6] 하지만 단국대 측은 "홍난파의 유품을 화성시에 넘겨줄 계획이 전혀 없다"고 했다. 단국대 관계자는 "2009년에 화성시가 한 차례 공문을 보내온 바 있지만 거절했다"며 "유품을 기증받아 지금까지 전시·보존을 해 왔고, 죽전캠퍼스에 박물관 증축이 끝나면 다시 정상적으로 전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는데 논란이 가중되자 단국대학교에서는 "기증받을 때 계셨던 학교 관계자 대부분이 세상을 떠났거나 학교에 남아있지 않기에 기증자 몇명이 언제 어떤 이유로 유품을 학교에 전달한 것인지 확인하기 어렵다"라고 밝히면서 유품들은 모두 학교 재산으로 등록되어 있다고 못을 박고 어이없는 요구에 적극 대응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12] 또한 1984년 단국대학교 한남동 캠퍼스내 난파기념 음악관에서 유품을 전시할 때 홍난파 선생의 따님도 참석했었다고 전하면서 유품은 2007년 8월 30일 서울시 용산구 한남동에서 용인시로 이전되어 옮겨진 음악관이 확장되는대로 전시하기로 하였는데 단국대학교는 2013년 3월 13일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에 있는 신축한 캠퍼스에 전용 난파음악관을 마련하고 별실의 홍난파의 유품을 전시한 '난파 홍영후 전시실'을 개관했다. 유족으로 난파 선생의 조카인 홍건유 전 포스코 부회장, 외손자 홍익표 전 연성대학 부총장 등이 참석하였다.[12][13][14] 난파음악관의 전시실에는 2011년 문화재청으로부터 등록문화재 제 479호로 지정된 동판 동요악보원판 51개를 비롯, 홍난파가 생전에 사용하던 바이올린 등 그의 음악적 삶이 담긴 수필 등 약 420여 점이 상설 전시하게 된다.[14] 저서[편집] 《조선동요 100곡집》 음악산문집, 《음악만필》 가족[편집] 홍난파는 조선정악전습소를 졸업하던 해 김상운과 결혼하였고 김상운과 사별 후 경성보육 학교에서 교편을 잡을 때 제자인 이대형과 재혼하였다. 두 번의 결혼에서 각각 딸을 하나씩 얻었다. 홍난파의 자손과 조카는 대부분 음악이나 의학에 종사하였다. 아버지 : 홍준 (洪埻, 1858년 ~ 별세) 어머니 : 전주이씨 (1858년 ~ 1908년) - 장남 석후(錫厚), 장녀 금후(錦厚), 차남 영후(永厚), 차녀 백후(帛厚) 출생. 계모 : 밀양박씨 (1886년 ~ 별세) - 삼녀 덕진, 삼남 계후(季厚), 사녀 옥진, 사남 민후(敏厚) 출생. 전처 : 김상운(金祥雲, 1898년 ~ 1926년) - 1915년 결혼 장녀 : 홍숙임(洪淑姙, 1918년 ~ 1984년) - 1941년 홍문길과 결혼 맏사위 : 홍문길(洪文吉, 1914년 ~ 1984년) 외손녀 : 홍옥표(洪玉杓) 외손녀 : 홍난표(洪蘭杓) -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 피아노 전공 외손녀 : 홍선표(洪仙杓) 외손자 : 홍익표(洪益杓) 후처 : 이대형(李大亨, 1913년 ~ 2004년) 차녀 : 홍정임(洪丁姙, 1937년 ~ 생존) - 코리아 해럴드 편집자로 활동. 현재 미국 거주 형 : 홍석후(洪錫厚, 1883년 ~ 1940) - 제중원 1기 졸업생으로 조선인 최초 개업의, 이비인후과의사, 안과의사 형수 : 김은배(1881년 ~ 1942년) - 장남 재유(載裕), 차남 은유(恩裕), 삼남 성유(盛裕), 장녀 옥임(玉姙), 사남 지유(志裕) 출생. 형수 : 김씨(1898년 ~ 별세) - 오남 건유(建裕) 출생. 조카 : 홍재유(洪載裕, 1903년 ~ 별세) - 세브란스 의전(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후 서울에서 이비인후과 의사로 활동 조카 : 홍은유(洪恩裕, 1906년 ~ 별세) - 세브란스 의전(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후 안양에서 이비인후과 의사로 활동하다 미국 이민 조카 : 홍성유(洪盛裕, 1908년 ~ 1936년) - 동경 고등음악학원(현 구니타치 음악대학) 졸업 후 중앙보육학교 음악과 교수로 활동. 피아니스트 김원복과 결혼 조카딸 : 홍옥임(洪玉姙, 1912년 ~ 1931년) - 이화여전 음악과(현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재학 중 자살 조카 : 홍지유(洪志裕, 1913년 ~ 별세) - 동경 고등음악학원(현 구니타치 음악대학), 동경제국음악학교 졸업 후 바이올리니스트로 활동. 숙부 영후(永厚) 양자로 출계 조카 : 홍건유(洪建裕, 1931년 ~ 생존) - 전 포스코 부회장 누나 : 홍금후(洪錦厚) 여동생 : 홍백후(洪帛厚) 여동생 : 홍옥진 남동생 : 홍계후(洪季厚, 1910년 ~ 1984년) - 세브란스 의전(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후 부산에서 안과의사, 이비인후과 의사로 활동 여동생 : 홍덕진 남동생 : 홍민후(洪敏厚, 1914년 ~ 별세) - 경성약전(현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졸업 후 합천에서 백중약국 경영 일화[편집] 일화 하나, 계몽운동가 겸 교육자 윤치호는 그를 후원하던 후원자들 중의 한명이었다. 홍영후는 그의 형 홍석후를 통해 윤치호를 알게되었다. 당시 상황에 대해서 1921년 2월 6일(일요일)에 쓴 윤치호의 일기내용을 보면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홍영후의 편지를 읽고 부아가 치밀어 올랐다. 작년 1~2월쯤 도쿄에 가서 음악을 공부할 수 있게 도와달라고 그가 간청한 적이 있다. 그래서 그에게 100원을 주었다. 9월 언제쯤인가 또다시 수표로 100원을 주었다. 나중에 50원을 더 주어서, 유학비용으로 모두 250원을 대주었다. 한 달 전 그가 다시 편지를 보내와 바이올린을 사게 250원을 보내달라고 청했다. 공부하는 중에 250원짜리 바이올린을 사는 건 내 아들이나 동생이라도 절대로 승낙할 수 없는 일이었다. 그래서 부탁을 들어줄 수 없다고 답장을 썼다. 남에게 돈을 받아 공부하면서 생활비 전액을 대달라고 하는 것이나, 고학생이 250원짜리 바이올린을 갖고 싶어 한다는 건 도저히 말도 안 되는 발상이었다. 그런데 오늘 배달된 편지에서, 그는 구두쇠의 죄악에 대해 내게 일장 연설을 늘어놓았다. 그는 조선의 부자들이 가난한 사람들을 억압하고 있다고 비난하고, 자기 재능을 계발할 만한 아무런 수단이 없는 조선의 천재와 영웅들의 운명을 비관했다.(이하 생략)[15] 홍난파는 윤치호에게 계속 후원을 받았는데, 하루는 윤치호에게 바이올린을 살 비용을 달라고 하였으나 거절하였다. 윤치호는 '남에게서 돈을 받아 공부하면서 생활비 전액을 대달라고 하는 것이나, 고학생이 250원짜리 바이올린을 갖고 싶어한다는 건 도저히 말도 안 되는 발상'이라고 본 것이다. 그러자 홍영후는 윤치호에게 구두쇠의 죄악에 대한 설교를 하며 볼셰비키들과 공산주의자들이 정당한 약탈자들이라고 강변하고 부자들이 혼자서 자기 재산을 누릴 수 없는 때가 곧 올 거라고 주장했다. 분개한 윤치호는 홍영후를 가리켜 '조선 청년들의 수준과 은혜에 보답하는 그들의 마음이 어떤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녀석'이라고 혹평하였다.[15] 그러나 홍영후는 이때 느꼈던 구두쇠의 죄악과 부자에게 제한적으로 받았던 감정을 잊지못해 훗날 유언까지 남겨 유족은 생전의 약속대로 연주하던 바이올린과 대표작들의 악보 등 총 116종 900여점의 유품을 단국대학교에 기증하였다. 홍난파의 유품 대부분은 단국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다.[12] 일화 둘, 홍난파가 경성중앙라디오방송국 양악부(洋樂部)의 총책임자로서 경성교향악단의 지휘자로 있을 때, 그는 <조선동요100곡집>이라는 악곡집을 만들면서 음악운동에 최선을 다하였다. 그러나 1937년 흥사단 사건의 관련자로서 수감되고, 1941년에서야 비로소 꿈에 그리던 교향악단의 초연을 이룰 수 있었다. 그러나 초연 전 긴 옥살이와 병약한 심신에 건강이 나빠져 몸져 누워 숨을 거두기 직전 사경을 헤맬 때, 그는 자신의 부인에게 "얼른 연미복을 가져오라"고 했다고 한다. 결국 그 일이 무리임을 알자, "자신은 연미복을 입혀 화장하라"고 했다는 일화가 전해지고 있다. 미디어[편집] 애수의 조선 1921년에 작곡되었고 홍난파가 1931년에 재녹음했다. 듣기에 문제가 있으면 미디어 도움말을 참조하세요. 기타[편집] 아들이 없던 홍영후는 큰형 홍석후의 넷째 아들 홍지유(洪志裕)를 양자로 입양했다.[출처 필요]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나라 잃은 서러움과 아품을 작곡했던 1941년 42세의 나이로 요절한 난파 홍영후는 애주가이기도 했다. 1930년대 국내 악단을 이끈 대한민국 클래식 1세대의 인물이기도 한 홍난파는 저서 '음악만필'에 '기막힌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글을 남겼다. 코지마라는 여자는 대양금가(大洋琴家, 유명 피아니스트의 옛표기) 리스트의 딸로서, 최초에는 대지휘자 한스 폰 뷜로(지휘자겸 피아니스트로 리스트의 제자임)의 아내가 되어서 어린애를 낳았습니다. 후일 작곡가 바그너(초기 리스트를 통해 세상에 알려짐)가 오페라 '트리스탄과 이졸데'의 초연으로 크게 성공하자, 그 여자는 그만 자기 남편을 버리고 바그너의 품에 안겼습니다. 그 후 얼마 되지 않아서 뷜로가 브람스의 교향곡을 지휘하여 굉장한 성공을 거두게 되자, 그는 자기의 딸(코지마의 딸)을 보고 이렇게 말했다고 합니다. "얘야 네 어머니한테 가서 이렇게 말해라. 얼른 브람스에게로 개가를 하라고..." 홍난파는 "당시 한국사회에서는 정말 '기막힌 이야기'였을듯 합니다"라고 짧은 평을 하였다. 일제강점기의 어려운 시대에서도 유모어를 잃지 않는 홍난파의 면모를 엿볼 수 있는 글이다.[16] 함께 보기[편집] 이흥렬 현제명 안익태 윤치호 윤석중 참고 자료[편집] 반민족문제연구소 (1993년 4월 1일). 〈홍난파 : 민족음악개량운동에서 친일음악운동으로 (노동은)〉. 《친일파 99인 3》. 서울: 돌베개. ISBN 978-89-7199-013-1.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홍난파 한국음악협회 경기도지회 (난파음악제) 홍난파 - 역사광복운동본부 vdeh1992년 선정 이 달의 문화 인물 1월 이황 2월 정선 3월 박지원 4월 우장춘 5월 신사임당 6월 류성룡 7월 일연 8월 홍난파 9월 고유섭 10월 이윤재 11월 안창호 12월 윤동주 전거 통제 WorldCat VIAF: 72802763 LCCN: n84181738 ISNI: 0000 0001 1670 8976 BNF: cb14018011h (데이터) 뮤직브레인즈: 2a4704a3-e3cf-47b5-ab40-a668431c5d17 NLA: 36630862 각주[편집] ↑ 김은신 (1995년 11월 1일). 《이것이 한국 최초》. 삼문. 79~80쪽쪽. ISBN 978-89-85407-35-9.  ↑ 가 나 다 홍난파 기념관 자료 발췌 ↑ 가 나 다 라 평화의 집/명곡해설 홍난파[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가 나 교회음악의 선구자 홍난파[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가 나 다 홍난파 - Daum 백과사전 ↑ 가 나 다 라 이창식 (2003년 8월 15일). 〈수원이 낳은 양악의 거성 홍난파〉. 《수원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수원문화원.  ↑ 가 나 홍난파의 <봉선화>[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가 나 재미있는 홍영후 이야기7[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화성신문》 2007년 2월 2일 작성, 2009년 11월 12일 19:45 확인 ↑ 재미있는 홍난파 이야기9 - 홍난파의 죽음 Archived 2014년 2월 25일 - 웨이백 머신 《화성신문》 2007년 3월 3일, 2009년 11월 12일 20:31 확인 ↑ 법원 "홍난파 친일명단 포함 유보" 결정 《연합뉴스》 2009년 11월 26일 ↑ 홍난파 친일명단 오를듯…후손 행정소송 취하 《연합뉴스》 2010년 11월 9일 ↑ 가 나 다 김충령 기자 (2011년 10월 8일). “화성市와 단국대, 홍난파 유품 놓고 신경전 벌인다는데…”. 조선일보. 2012년 2월 17일에 확인함.  ↑ 박동신, 채진근 PD (2013년 3월 15일). “단국대 죽전캠퍼스, ‘홍난파’ 유품 한 자리에..”. 파이낸셜뉴스. 2013년 3월 15일에 확인함.  ↑ 가 나 김창욱 (2010년 10월 30일). 《홍난파 음악연구》. 민속원. ISBN 9788928500406.  ↑ 가 나 조성관 편집위원 (2013년 1월 7일). “그는 왜 친일의 길을 걸었나(윤치호 일기로 본 일제강점기 지식인의 내면)”. 주간조선. 2013년 3월 15일에 확인함.  ↑ 김문관 기자 (2012년 1월 29일). “홍난파의 ′유모어′”. 아시아투데이. 2012년 2월 17일에 확인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홍난파&oldid=24219324" 분류: 1898년 태어남1941년 죽음일제 강점기의 작곡가일제 강점기의 피아노 연주자일제 강점기의 바이올린 연주자20세기 클래식 작곡가일제 강점기의 지휘자일제 강점기의 전문학교 교수동요 작곡가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친일인명사전 수록자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화성시 출신남양 홍씨 (토홍)일제 강점기의 음악 평론가한국의 장로교도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오디오가 포함된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5년 3월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문헌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עבריתBahasa Indonesia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4일 (화) 15:0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홍난파(洪蘭坡, 1898년 4월 10일 (음력 3월 19일) ~ 1941년 8월 30일)는 한국의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이자 지휘자다. 본관은 남양 홍씨 토홍계이다. 본명은 홍영후(洪永厚)이지만 홍난파로 더 알려져 있다. 아호는 난파(蘭坡)이다. 한동안 음악평론가로 활동하면서 ‘한국의 슈베르트’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작품 중 〈봉선화〉, 〈성불사의 밤〉, 〈옛동산에 올라〉, 〈고향 생각〉등 10여곡의 가곡과 〈고향의 봄〉, 〈나뭇잎〉, 〈개구리〉, 〈무지개〉 등 111개의 동요를 작곡하여 천재 작곡가로 알려졌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노래가 나온지 14년 후, 봉선화는 어떻게 사랑을 받았는가? Assistant: 그러나 이 노래가 정작 널리 퍼져 모든 사람의 가슴을 울리게 된 것은 1940년대였다. 1942년 봄 히비야 공회당에서 열린 신인 음악회에서 김천애가 <봉선화>를 부른 것이 시초였고, 귀국 후 서울 부민관, 하세가와 공회당, 평양 키네마 등 여러 곳에서 독창회를 가지면서 <봉선화>를 불러 청중들의 눈물을 글썽이게 했다. <봉선화>는 빅터와 콜롬비아 두 레코드 회사에 취입되면서 더욱 크게 히트하였다. 이는 주권을 일본에 침탈당한 국민의 아픔을 달래는 노래였기에 엄청난 인기를 모으게 되었으나, 일본 경찰 당국은 이를 문제 삼아 이 노래를 못 부르도록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천애는 무대에 설 때마다 이 노래를 불러 여러 차례나 경찰에 연행되기도 했다. <봉선화>의 1절이 아름답게 꽃피우던 성하에의 애절함이라면, 2절은 가을 바람에 떨어지는 낙화에의 조사를 뜻하는데, 이어지는 3절이 애절한 민족의 염원을 담고 있다. 곧, 애수 어린 가곡에서 민족의 노래로 승화시키는 모티브 역할을 한다.[7]
Human: 아래 인연만들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인연만들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연만들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연 만들기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인연만들기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MBC 방송 기간 2009년 10월 10일 ~ 2010년 1월 24일 방송 시간 토요일, 일요일 저녁 7시 55분 ~ 밤 8시 55분 방송 분량 1시간 방송 횟수 31부작 원작 현고운 - 인연 찾기, 운명 사랑하기 기획 오현창 책임프로듀서 백광현 프로듀서 손옥현 제작자 올리브나인, 고대화, 임종원 연출 장근수, 이성준 조연출 윤재원, 박지현 극본 현고운 출연자 유진, 기태영, 김정난, 변우민 외 여는 곡 Love Forever - 추리 닫는 곡 사랑할 줄은 몰랐어 - V.O.S 음성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자막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인연만들기 홈페이지 《인연만들기》는 2009년 10월 10일부터 2010년 1월 24일까지 방영된 문화방송 주말연속극이다. 현고운의 소설인 《인연 찾기》와 《운명 사랑하기》를 한 작품으로 각색하였으며,[1] 결혼에는 전혀 관심 없는 남자와 외국인 애인과 결혼하기 위해 한국에 온 여자가 정혼으로 엮이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뤘다.[2] 목차 1 등장 인물 1.1 주요 인물 1.2 상은이네 가족 1.3 여준이네 가족 1.4 그 외 인물 2 동시간대 드라마 3 각주 4 외부 링크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유진 : 한상은 역 10세 때 호주로 이민, 엄마 없이 외롭고 슬퍼하는 할아버지와 아버지를 바라보며 속 안 썩이고 현명하게 대처할 줄 아는 장녀이다. 아버지의 철저한 한국식 교육과 서양교육을 적절하게 수용해서 어른들의 소원대로 미국에서 변호사 공부를 마친 재원이다. 미국에서 홈스테이했던 남자친구 알렉스를 집으로 데려갔다가 집안의 반대로 한국인 사위를 고집하시는 아버지때문에 결국 1년간 한국에서 지내는 걸로 타협을 하고 어린 시절의 정혼자 여준과의 인연이 시작된다. 기태영 : 김여준 역 철저한 가부장적인 집안의 장남으로 합리적이고 추진력있는 완벽주의자로 지는 게임은 절대로 안하는 정형외과 의사이다. 가족을 많이 생각하고 있으나 워낙에 귀하게 자란 탓에 자기 중심적인 성격도 나타난다. 그러던 중 얼굴도 모르는 여자랑 당장 결혼을 하라는 부모님의 황당한 명령으로 상은과 부모 몰래 계약연애를 시작하게 된다. 상은이네 가족[편집] 임현식 : 상은의 외할아버지, 윤석주 역 강남길 : 상은의 아버지, 한경태 역 강별 : 상은의 여동생, 한효은 역 여준이네 가족[편집] 김정난 : 여준의 누나, 김윤희 역 반효정 : 여준의 할머니, 정옥란 역 최상훈 : 여준의 아버지, 김택수 역 양희경 : 여준의 어머니, 박금자 역 이정훈 : 여준의 외삼촌, 박복만 역 황은혜 : 윤희의 딸, 김진주 역 그 외 인물[편집] 변우민 : 윤희의 첫사랑, 강해성 역 류상욱 : 상은의 소꿉친구, 강세원 역 심양홍 : 강해성, 강세원의 아버지 역 이희도 : 혜림의 아버지, 심대환 역 금보라 : 규한의 어머니, 신진희 역 이성민 : 심혜림 역 정석원 : 여준의 친구, 정규한 역 백종민 : 여준의 병원 후배, 민철호 역 올리비에 : 상은의 남자친구, 알렉스 역 동시간대 드라마[편집] 솔약국집 아들들 (KBS 2TV) 수상한 삼형제 (KBS 2TV) 천만번 사랑해 (SBS) 각주[편집] ↑ 송희진 (2009년 10월 15일). “[★포토]유진, 요정의 미소”.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2009년 10월 16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최우창 (2009년 10월 7일). “[포토엔]기태영, 여심 울릴 미소 이런거야”. 뉴스엔. 2009년 10월 16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외부 링크[편집] MBC 인연만들기 홈페이지 문화방송 주말연속극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탐나는도다(2009년 8월 8일 ~ 2009년 9월 27일) 인연만들기(2009년 10월 10일 ~ 2010년 1월 24일) 민들레 가족(2010년 1월 30일 ~ 2010년 7월 25일) vdeh 주말연속극1970년대후반 《왜 그러지》 《후회합니다》 《도련님》 《청춘의 덫》 《바람은 불어도》 《봄비》 《엄마, 아빠 좋아》 《산이 되고 강이 되고》 1980년대전반 《종점》 《딸》 《안녕하세요》 《성난 눈동자》 《아빠의 수염》 《야상곡》 《고백》 《미련》 《못 잊어》 《당신의 초상》 《저 별은 나의 별》 《아버지와 아들》 《사랑과 진실》 《바람속의 들꽃》(단막) 후반 《아무렴 그렇지, 그렇고 말고》 《남자의 계절》 《풀잎마다 이슬》 《사랑과 야망》 《세 여인》 《내일 잊으리》 《유산》 《행복한 여자》 1990년대전반 《배반의 장미》 《몽실언니》 《고개숙인 남자》 《산너머 저쪽》 《사랑이 뭐길래》 《마포 무지개》 《아들과 딸》 《엄마의 바다》 《남과 여》 《서울의 달》 《여울목》 후반 《사랑과 결혼》 《아파트》 《동기간》 《위험한 사랑》 《가슴을 열어라》 《사랑한다면》 《신데렐라》 《예스터데이》 《그대 그리고 나》 《마음이 고와야지》 《사랑과 성공》 《장미와 콩나물》 《사랑해 당신을》 《남의 속도 모르고》 2000년대전반 《사랑은 아무나 하나》 《엄마야 누나야》 《그 여자네 집》 《여우와 솜사탕》 《그대를 알고부터》 《맹가네 전성시대》 《죽도록 사랑해》 《회전목마》 《장미의 전쟁》 《사랑을 할꺼야》 《한강수타령》 후반 《떨리는 가슴》 《사랑찬가》 《결혼합시다》 《진짜 진짜 좋아해》 《누나》 《문희》 《깍두기》 《천하일색 박정금》 《내 인생의 황금기》 《잘했군 잘했어》 《탐나는도다》 《인연 만들기》 2010년대전반 《민들레 가족》 《글로리아》 《반짝반짝 빛나는》 《천 번의 입맞춤》 《무신》 《아들 녀석들》 《금 나와라, 뚝딱!》 《사랑해서 남주나》 《왔다! 장보리》 《장미빛 연인들》 후반 《여자를 울려》 《엄마》 《가화만사성》 《불어라 미풍아》 《당신은 너무합니다》 《밥상 차리는 남자》 《부잣집 아들》 《내사랑 치유기》 아침 | 일일 (일일  · 특별기획) | 월화 | 수목 | 금 | 예능 | 주말 (특별기획  · 연속극) | 시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인연만들기&oldid=23816413" 분류: 2009년 드라마2010년 드라마문화방송 주말연속극소설의 텔레비전 프로그램화 작품의사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변호사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현고운 시나리오 작품숨은 분류: 인용 오류 - 보이지 않는 문자인용 오류 - 날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Bahasa IndonesiaBahasa MelayuTagalog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6일 (수) 19: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인연만들기》는 2009년 10월 10일부터 2010년 1월 24일까지 방영된 MBC 주말 드라마이다. 현고운의 소설인 《인연 찾기》와 《운명 사랑하기》를 한 작품으로 각색하였으며, 결혼에는 전혀 관심 없는 남자와 외국인 애인과 결혼하기 위해 한국에 온 여자가 정혼으로 엮이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유진이 어렸을 때 한국을 떠나 이사간 나라는? Assistant: 호주 Human: 아래 상명대학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상명대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상명대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7° 36′ 10.8″ 동경 126° 57′ 17.9″ / 북위 37.603000° 동경 126.954972°  / 37.603000; 126.954972 상명대학교Sangmyung University 표어 Global 상명 Dynamic 상명 종류 사립설립 1937년 12월 1일총장 백웅기설립자 배상명학교법인 상명학원(祥明學園)학부생 수 17,749명 (2012)대학원생 수 1,439명 (2012)국가 대한민국위치 서울캠퍼스서울특별시 종로구 홍지문2길 202캠퍼스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상명대길 31규모 405,516m² 152,207m²(서울), 253,309m²(천안)상징물 사슴·매화·소나무웹사이트 상명대학교 홈페이지 상명대학교의 위치 상명대학교(祥明大學校, Sangmyung University)는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서울캠퍼스와 충청남도 천안시에 위치한 2캠퍼스로 구성되어있다. 1937년 상명여자고등기예학원 설립을 시작으로 1965년 상명여자사범대학이 개교하였다. 이후 1985년에 천안캠퍼스를 개설, 1987년에 종합대학으로 승격하여 상명여자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했고, 1996년에 남녀 공학으로 전환하며 상명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상명대학교에는 총 10개의 단과대학이 있다. 서울캠퍼스에 인문사회과학대학 · 사범대학 · 경영경제대학 · 융합공과대학 · 예술문화대학, 2캠퍼스에 디자인대학 · 예술대학 · 글로벌인문학부대학 · 융합기술대학 · 공과대학이 있다. 대학원은 일반대학원 · 교육대학원 · 복지상담대학원 · 경영대학원 · 문화기술대학원 · 예술디자인대학원이 있다. 양 캠퍼스는 각각 인문사회∙과학과 예술∙공학계열 학제로 구성되어 있다. 약칭으로 Sangmyung University의 이니셜인 SMU를 사용한다. 2017년부터 서울캠퍼스와 천안캠퍼스(現 제2캠퍼스)가 법적으로 이원화 캠퍼스로 운영되고 있다. 목차 1 연혁 2 역대 총장 및 이사장 2.1 상명학원 이사장 2.2 상명대학교 총장 3 위치 4 캠퍼스 시설 4.1 서울캠퍼스 4.1.1 주요 건물 4.2 2캠퍼스 4.2.1 식당시설 4.2.2 편의/복지 시설 4.2.3 주요 건물 4.3 평창동캠퍼스 4.4 동숭동캠퍼스 5 교육편제 5.1 학제 구성 5.2 학부 5.2.1 개편된 교육편제(2018년) 5.3 대학원 6 상명대학교 총학생회 6.1 서울캠퍼스 6.2 2캠퍼스 7 상명대학교 체육단 8 국제교류 8.1 자매 결연 대학 9 부속・부설기관[5] 10 주요 주변 시설 10.1 서울캠퍼스 10.2 제2캠퍼스 11 학교 동문 11.1 가수 11.2 배우, 희극인 11.3 아나운서, 기상캐스터 11.4 체육인 11.5 기타 12 역대 역임 교수 13 각주 14 외부 링크 연혁[편집] 1937년 12월 1일[1] 상명여자고등기예학원 설립 1939년 2월 28일 상명실천여학교로 교명 변경 1945년 7월 15일 재단법인 상명학원 설립 1965년 3월 5일 상명여자사범대학 개교 1966년 2월 12일 부속초등학교, 부속유치원인가 1966년 11월 17일 부속여자중학교 설립 인가 1966년 12월 29일 부속여자고등학교 설립 인가 1983년 3월 1일 사범대학에서 일반대학으로 전환, 상명여자대학으로 교명 변경 1985년 3월 1일 캠퍼스 일부 이전 및 2캠퍼스 개설 1987년 11월 6일 종합대학으로 승격, 상명여자대학교로 교명 변경 1996년 3월 1일 남녀 공학으로 전환, 상명대학교로 교명 변경 2011년 : 교육과학기술부 선정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2] 역대 총장 및 이사장[편집] 상명학원 이사장[편집] 제 1대 조동식(1954년 7월 ~ 1970년 4월) 제 2대 김영훈(1970년 4월 ~ 1973년 3월) 제 3대 신봉조(1973년 3월 ~ 1980년 10월) 제 4대 배상명(1980년 4월 ~ 1986년 1월) 제 5대 이준방(1986년 1월 ~ 1987년 3월) 제 6대 곽종원(1987년 3월 ~ 1989년 1월) 제 7대 문남식(1989년 1월 ~ 1989년 6월) 제 8대 방정복(1989년 6월 ~ 1991년 3월) 제 9대 신봉조(1991년 3월 ~ 1992년 12월) 제 10대 이준방(1992년 12월 ~ ) 상명대학교 총장[편집] 제 1대 방정복(1987년 3월 ~ 1988년 11월) 제 2대 김양수(1988년 11월 ~ 1991년 4월) 제 3대 방정복(1991년 4월 ~ 1995년 4월) 제 4대 방정복(1995년 4월 ~ 1999년 3월) 제 5대 방정복(1999년 4월 ~ 1999년 9월) 제 6대 서명덕(1999년 11월 ~ 2003년 11월) 제 7대 서명덕(2003년 11월 ~ 2008년 4월) 제 8대 이현청(2008년 4월 ~ 2011년 9월) 제 9대 강태범(2011년 9월 ~ 2013년 9월) 제 10대 구기헌(2013년 9월 ~ 2017년 9월) 제 11대 백웅기(2017년 9월 ~) 위치[편집] 서울캠퍼스: 서울특별시 종로구 홍지문2길 20 2캠퍼스: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상명대길 31 평창동캠퍼스 (서울캠퍼스 생활관 · 상명대학교 박물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검정로 433 동숭동캠퍼스 (예술디자인센터 · 예술디자인대학원):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동길 1-38 상명수련원: 충청남도 보령시 석서1길 59번지 캠퍼스 시설[편집] 서울캠퍼스[편집] 서울캠퍼스는 언덕이 유명할 정도로 학교부지가 경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사로 인해 밀레니엄관 옆에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있다. 인근에 역사유적지인 세검정과 자하문이 있기 때문에 세검정 교정, 자하 교정이라고도 불린다. 주요 건물[편집] 생명화학공학관 부속초등학교 부속유치원 밀레니엄관 학술정보관 인문사회과학대학관 (인문사회과학대) 미래백년관 부속여자중학교 부속여자고등학교 골프연습장 체육관 계당기념관 공예관 제1교수회관 제1공학관 학생회관 사범대학관 (사범대) 대학본관 산학협동관 제2교수회관 종합관 미술가정관 문화예술관 학군단 자하관 2캠퍼스[편집] 2캠퍼스는 제9회 자연환경대상공모전에서 우수상을 받았으며[3] 캠퍼스내에는 무대미술학과와 산업디자인학과의 학생과 교수들이 제작한 독도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다.[4] 식당시설[편집] 5곳의 식당 시설이 있다. 학생 식당 1곳, 학생 및 교직원 식당 1곳, 카페 시설 3곳이 있다. 학생 식당은 학생회관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학생 및 교직원 식당은 한누리관 9층에 위치하고 있다. 카페 시설은 현재(2017) 팬도로시, 일반카페가 입점하고 있으며 학생생활관 2층(일반카페), 디자인대학관 1층・2층(팬도로시), 한누리관 1층(팬도로시)가 위치한다. 편의/복지 시설[편집] 금융관련 시설로는 우리은행, 국민은행, 우체국 등 총 3개의 ATM이 있다. 복지 시설은 학생회관에 안경점, 미용실, 기념품점, 문구점이 있다. 기타시설로는 편의점 3곳, 복사실, 화방, 휴식터 등이 있으며 편의점은 계당관 1층 (세븐일레븐), 상록관 1층(CU), 학생생활관 2층(세븐일레븐)에 위치하고, 복사실은 학술정보관 2층, 화방은 디자인대학관 1층, 휴식터는 학술정보관, 송백관,독도조형물, 학생회관, 한누리관, 디자인대학관 등등 캠퍼스 곳곳에 위치하고 있다. 주요 건물[편집] 생활관 식물과학관 실습실 청록관 (융합기술대학) 상록관 (융합기술대학) 종합실기관I 종합실기관II (디자인대학) 학생생활관II (신관) 디자인관 (디자인대학) 본관 (대학본부,공과대학) 송백관 (글로벌인문학부대학) 학생생활관I (구관) 노천극장 학술정보관 학생회관 한누리관 (교양강의동) 계당관 (예술대학) 상명스포츠센터 학무관 평창동캠퍼스[편집] 평창동캠퍼스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에 위치하며 상명대학교 박물관과 서울캠퍼스 학생생활관인 스뮤하우스(SMU HOUSE)가 있다. 동숭동캠퍼스[편집] 동숭동캠퍼스(예술디자인센터)는 2001년 학산기술도서관을 인수하여 개설하였다. 현재 이곳은 예술디자인대학원의 건물로 사용되고 있으며, 예술·디자인 계열 학생들의 졸업전시회나 상명대학교가 지원하는 전시회의 장소로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캠퍼스내의 상명아트홀에서는 다양한 연극 공연이 이뤄지고 있다. 교육편제[편집] 학제 구성[편집] 상명대학교는 캠퍼스간 학제가 이원화되어 있다. 캠퍼스간 전과 및 복수전공, 전공, 교양수업, 계절학기 수강이 가능하다. (해당 캠퍼스에서 각각 졸업요건을 충족한 학생이 다른 캠퍼스 전공 중에서 제2, 3전공을 선택해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캠퍼스 간 전과도 동일계열 전공으로 가능) 학부[편집] 10개 단과대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5년 기준 학생정원(괄호는 재학생)은 총 11,286(13,113)이다. 계열별로는 인문∙사회계열 4,170(5,261), 예∙체능계열 3,556(3,865), 자연과학계열 2,148(2,471), 공학계열 1,455(1,515) 순으로 구성되어있다. 이전 교육편제 서울캠퍼스 (인문사회∙과학계열) 인문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사범대학 경영대학 ICT융합대학 문화예술대학 미래창조산학대학 역사콘텐츠학과 지리학과 문헌정보학과 가족복지학과 공공인재학과 한일문화콘텐츠학과 화학과 생명과학과 의류학과 외식영양학과 소비자주거학과 공업화학과 스포츠건강과학과 국어교육과 영어교육과 수학교육과 교육학과 금융경제학과 경영학과 글로벌경영학과 부동산학과 (연계학과) 컴퓨터과학과 컴퓨터과학전공 정보보안전공 게임학과 미디어소프트웨어학과 에너지 그리드학과 콘텐츠저작권학과 조형예술학과 한국화전공 서양화전공 조소전공 미술이론전공 생활예술학과 가구조형전공 텍스타일아트전공 무용예술학과 한국무용전공 현대무용전공 발레전공 음악학과 피아노과 성악과 뉴미디어작곡과 관현악학과 군사학과 계약학과 서비스경영학과 뷰티예술경영학과 산업경영학과 외식유통경영학과 기술경영공학과 전기전자제어학과 천안캠퍼스 (예술∙공학계열) 디자인대학 예술대학[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공과대학 어문대학 산업대학 융합산학대학 시각디자인학과 패션디자인학과 텍스타일디자인학과 실내디자인학과 세라믹디자인학과 산업디자인학과 사진영상미디어학과 영화영상학과 연극학과 무대미술학과 만화·애니메이션학과 디지털콘텐츠학과 문화예술경영학과 컴퓨터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경영공학과 의생명공학과 환경공학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건설시스템공학과 국방정보공학과 한국어문학과 일본어문학과 중국어문학과 프랑스어문학과 독일어문학과 러시아어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영어영문학전공 통번역학전공 보험경영학과 금융경영학과 식품공학과 환경조경학과 간호학과 스포츠산업학과 사회체육학과 계약학과 환경조경학과 간호학과 산업공학과 금융보험학과 산업경영학과 개편된 교육편제(2018년)[편집] 서울캠퍼스 인문사회과학대학 사범대학 경영경제대학 융합공과대학 문화예술대학 인문콘텐츠학부 역사콘텐츠학과 문헌정보학과 한일문화콘텐츠학과 지적재산권학과 공간환경학부 공공인재학부 가족복지학과 국가안보학과 국어교육과 영어교육과 수학교육과 교육학과 경제금융학부 경영학부 글로벌경영학과 지능정보공학부 휴먼지능정보공학과 전기전자컴퓨터학부 전기공학과 융합전자공학과 컴퓨터과학과 생명화학공학부 생명공학과 화학에너지공학과 화공신소재학과 게임학과 외식영양・의류학부 의류학과 식품영양학과 스포츠・무용학부 스포츠건강관리학과 무용예술학과 미술학부 조형예술학과 생활예술학과 음악학부 피아노전공 성악전공 뉴미디어작곡전공 관현악전공 2캠퍼스 디자인대학 예술대학 공과대학 글로벌인문학부대학 융합기술대학 디자인학부 시각디자인전공 실내디자인전공 세라믹디자인전공 패션디자인전공 산업디자인학과 텍스타일디자인학과 공연영상 문화예술학부 영화영상전공 연극전공 문화예술경영전공 사진영상콘텐츠학과 무대미술학과 만화·애니메이션학과 소프트웨어학과 전자공학과 경영공학과 그린화학공학과 건설시스템공학과 정보보안공학과 시스템반도체공학과 휴먼지능로봇공학과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글로벌지역학부 일본어권지역학전공 중국어권지역학전공 프랑스어권지역학전공 독일어권지역학전공 러시아어권지역학전공 영어권지역학전공 한국언어문화학과 글로벌금융경영학과 식물식품공학과 환경조경학과 간호학과 스포츠융합학부 스포츠경영전공 사회체육전공 ※ 융합공과대학 전기전자컴퓨터학부는 공학교육인증제도가 실시되고 있다. 대학원[편집] 일반대학원 일반대학원 대학원은 학부 캠퍼스와 무관하게 서울캠퍼스에 구성되어 있었으나, 2캠퍼스 대학원 개설과 동시에 2캠퍼스 학부관련 대학원 학과들이 2캠퍼스로 이전되었다. 인문사회계 자연과학계 공학계 예체능계 서울캠퍼스 국어교육학과 일어일문학과 사학과 한국학과 교육학과 지리학과 문헌정보학과 행정학과 경제학과 경영학과 국제통상학과 가족복지학과 저작권보호학과 법학과 부동산학과 창의콘텐츠학과 지식보안경영학과 뷰티예술경영학과 휴먼서비스경영학과 국방정책학과 헬스매니지먼트학과 화학과 생물학과 컴퓨터과학과 생활환경학과 외식영양학과 게임학과 감성공학과 공업화학과 에너지그리드학과 융합생태환경공학과 조형예술학과 생활예술학과 음악학과 뉴미디어음악학과 체육학과 무용학과 디지털이미지학과 공연예술기획학과 2캠퍼스 통번역ㆍ테솔학과 금융보험학과 식물식품공학과 환경조경학과 환경자원학과 컴퓨터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경영공학과 의생명공학과 건설시스템공학과 환경공학과 건설·환경·의생명공학과 기술융복합학과 스포츠산업학과 시각디자인학과 패션디자인학과 텍스타일디자인학과 실내디자인학과 세라믹디자인학과 산업디자인학과 사진영상미디어학과 영화영상학과 연극학과 공연영상미술학과 만화-애니메이션학과 디자인학과 디지털콘텐츠학과 특수대학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국어교육 영어교육 일본어교육 중국어교육 수학교육 화학교육 일반사회교육 역사교육 지리교육 사서교육 정보컴퓨터교육 체육교육 미술교육 음악교육 상담심리교육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 영양교육 유초등영어교육전공 다문화교육전공 복지상담대학원 아동·청소년 상담학과 가족상담·치료학과 노인복지학과 사회복지학과 경영대학원 웰스매니지먼트학과 글로벌부동산학과 미디어경영학과 문화기술대학원 창의콘텐츠학과 창의예술공학과 공연예술경영학과 뮤직테크놀로지학과 예술디자인대학원 사진영상미디어 연극영화 공연영상미술 만화영상 문화예술경영 디지털콘텐츠 커뮤니케이션디자인 의상섬유디자인 공간디자인 세라믹디자인 상명대학교 총학생회[편집] 서울캠퍼스[편집] 현재(2017) 서울캠퍼스에는 총학생회가 구성되어 있지않다. 2캠퍼스[편집] 2캠퍼스에는 여울 총학생회가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2018) 상명대학교 체육단[편집] 현재 상명대학교 소속의 체육단은 농구, 태권도, 사격 3개 종목이 있다. 태권도단은 서울캠퍼스를 근거지로, 농구단과 사격단은 2캠퍼스를 근거지로 하고 있다. 국제교류[편집] 자매 결연 대학[편집] 아시아 : 중국 중앙 민족대학, 북경어언대학, 일본 리츠메이칸 대학 등 16개국 68개 대학 유럽 : 영국 Northumbria University, University of Manchester 등 6개국 15개 대학 북중미 : 미국 뉴욕주립대 (Stony Brook), School of Visual Arts 등 3개국 33개 대학 오세아니아,아프리카 : RMIT 등 호주 1개 대학, 아프리카 2개국 2개 대학 RMIT 등 호주 1개 대학, 아프리카 2개국 2개 대학 부속・부설기관[5][편집] 상명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여자고등학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상명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여자중학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상명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상명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유치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주요 주변 시설[편집] 서울캠퍼스[편집] 석초공원 수도권 전철 3호선 홍제역 수도권 전철 3호선 녹번역 수도권 전철 3호선 경복궁역 제2캠퍼스[편집] 천호지 (단대호수공원) 신세계백화점 충청점 천안종합터미널 수도권 전철 1호선 두정역 수도권 전철 1호선・경부선 천안역 학교 동문[편집] 분류:상명대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가수[편집] 장범준 (버스커 버스커) 김형태 (버스커 버스커) 남지현 (포미닛) 김은정 (쥬얼리) 김동완 (신화) 조유진 (체리필터) 도우 (에이젝스) 김소리 이미키 박주연 배우, 희극인[편집] 손태영 (여) 고수 (남) 김재원 (남) 최원영 (남) 이동진 (남) 배슬기 (여) 박세영 (여) 황선희 (여) 신다은 (여) 이소라 (여) 이예빈 (여) 아나운서, 기상캐스터[편집] 문지애 (아나운서) 방현주 (아나운서) 박현식 (아나운서) 이주원 (아나운서) 전주원 (기상캐스터) 체육인[편집] 정성우 (농구선수) 이현석 (농구선수) 박지은 (댄스스포츠선수, 2005년 마카오 동아시안게임 금메달리스트) 기타[편집] 최규석 (만화작가) 연상호 (영화감독) 이어룡 (대신증권 회장) 이명완 (대전마케팅공사 사장) 최미경 (주식회사 스티븐스 회장) 오세복 (前 부산교육대학교 총장) 강성애 (김천대학교 총장) 김은석 (브라운 대학교 화학과 교수) 정수연 (제주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성지영 (대진대학교 연극영화학부 교수) 김윤겸 ('세계에서 가장 작은 성기를 가진 남자' 기네스 보유자) 역대 역임 교수[편집] 분류:상명대학교 교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각주[편집] ↑ 단 현재 상명대학교의 개교 기념일은 5월 17일이다. ↑ 정부, 43개 사립대학 재정지원 제한, 연합뉴스, 2011년 9월 5일 작성. ↑ “상명대, 자연환경대상 공모전 '우수상'”. 대전일보. 2009년 12월 18일. 2012년 10월 31일에 확인함.  이름 목록에서 |이름1=이(가) 있지만 |성1=이(가) 없음 (도움말) ↑ “상명대 캠퍼스에 들어선 작은 독도”.  ↑ 상명초등학교, 상명중학교, 상명고등학교와는 이름만 같으며(다른 학교법인), 사실상 본교와 별개의 학교이다. 5. 상명대학교 학교법인 상명학원 소속의 상명대 사범대학 부속 초등학교, 여자중학교, 여자고등학교는 서울캠퍼스에 위치한다. 학교법인 민정학원 소속의 상명초, 중, 고등학교는 상명학원과는 별개이다. 그러나, 상명학원과 민정학원 두 법인 모두 설립자 배상명 박사에 의하여 설립되었으며, 역사와 학교운영에서 완전히 상관이 없지는 않다. 외부 링크[편집] 상명대학교 홈페이지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 공식 웹사이트 상명대학교 (2캠퍼스) - 공식 웹사이트 상명대학교 사이버캠퍼스 상명대학교 이캠퍼스 상명대학교 서울 학술정보관 상명대학교 천안 학술정보관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생생활관 상명대학교 2캠퍼스 학생생활관 상명대학교 대학원 (서울캠퍼스) 상명대학교 대학원 (2캠퍼스)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상명대학교 경영대학원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상명아트센터 상명대학교 총동문회 vdeh 서울특별시의 대학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국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연건캠퍼스) 육군사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서울캠퍼스·도곡캠퍼스)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체육대학교 공립 서울시립대학교 사립 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성신교정) 감리교신학대학교 건국대학교 (서울캠퍼스)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 고려대학교 (안암캠퍼스) 광운대학교 국민대학교 케이씨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동덕여자대학교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삼육대학교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서강대학교 서경대학교 서울기독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성공회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인문사회과학캠퍼스) 성신여자대학교 세종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숭실대학교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이화여자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총신대학교 (사당캠퍼스) 추계예술대학교 한국성서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한성대학교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서울한영대학교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 전문대학 동양미래대학교 명지전문대학 배화여자대학교 삼육보건대학교 서울여자간호대학교 서일대학교 숭의여자대학교 인덕대학교 한국폴리텍Ⅰ대학 (서울강서캠퍼스·서울정수캠퍼스) 한양여자대학교 전공대학 국제예술대학교 백석예술대학교 정화예술대학교 대학원대학 개신대학원대학교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북한대학원대학교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서울외국어대학원대학교 순복음대학원대학교 예명대학원대학교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한반도국제대학원대학교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사이버대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본부·서울지역대학) 경희사이버대학교 고려사이버대학교 글로벌사이버대학교 (서울캠퍼스)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서울캠퍼스·대학로캠퍼스·서초캠퍼스)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디지털대학교 (강서캠퍼스) 서울사이버대학교 세종사이버대학교 숭실사이버대학교 원광디지털대학교 (서울캠퍼스)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한양사이버대학교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vdeh 충청남도의 대학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국립 경찰대학 공주교육대학교 공주대학교 국방대학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공립 충남도립대학교 사립 건양대학교 (논산창의융합캠퍼스) 고신대학교 (천안캠퍼스) 금강대학교 나사렛대학교 남서울대학교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백석대학교 상명대학교 (2캠퍼스) 선문대학교 세한대학교 (당진캠퍼스) 순천향대학교 유원대학교 (아산캠퍼스) 중부대학교 (충청캠퍼스) 청운대학교 (홍성캠퍼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한서대학교 호서대학교 전문대학 백석문화대학교 신성대학교 아주자동차대학 연암대학교 한국폴리텍Ⅳ대학 (아산캠퍼스·홍성캠퍼스) 한국폴리텍특성화대학 (바이오캠퍼스) 혜전대학교 대학원대학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사이버대학 글로벌사이버대학교 (천안캠퍼스)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vdeh서울총장포럼 (SFUP) 가톨릭대학교 건국대학교 광운대학교 고려대학교 국민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동국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명지대학교 삼육대학교 상명대학교 서강대학교 서경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성공회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세종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숭실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중앙대학교 총신대학교 추계예술대학교 케이씨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한성대학교 한양대학교 홍익대학교 vdeh학교법인 상명학원 상명대학교 상명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여자고등학교 상명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여자중학교 상명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 상명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유치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상명대학교&oldid=24512246" 분류: 상명대학교서울특별시의 대학교서울 종로구의 학교충청남도의 대학교천안시의 학교1937년 설립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저자 또는 편집자 없음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2일 (화) 05: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상명대학교(祥明大學校, Sangmyung University)는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서울캠퍼스와 충청남도 천안시에 위치한 천안캠퍼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원화캠퍼스로 모두 본교이다. 1937년 상명여자고등기예학원 설립을 시작으로 1965년 상명여자사범대학이 개교하였다. 이후 1985년에 천안캠퍼스를 개설, 1987년에 종합대학으로 승격하여 상명여자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했고, 1996년에 남녀 공학으로 전환하며 상명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상명대학교에는 총 10개의 단과대학이 있다. 서울캠퍼스에 인문사회과학대학 · 사범대학 · 경영경제대학 · 융합공과대학 · 예술문화대학, 천안캠퍼스에 디자인대학 · 예술대학 · 글로벌인문학부대학 · 융합기술대학 · 공과대학이 있다. 대학원은 일반대학원 · 교육대학원 · 복지상담대학원 · 경영대학원 · 문화기술대학원 · 예술디자인대학원이 있다. 양 캠퍼스는 각각 인문사회∙과학과 예술∙공학계열 학제로 구성되어 있다. 약칭으로 Sangmyung University의 이니셜인 SMU를 사용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상명대 출신 감독의 이름은? Assistant: 상호
Human: 아래 와글와글_꼬꼬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와글와글 꼬꼬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와글와글 꼬꼬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와글와글 꼬꼬맘Kokomomコケッコーさん[1] 장르 유아 코믹 드라마 만화: 고켓코 상 작가 가로쿠코보 출판사 프뢰벨 관 발매일 2007년 1월 ~ 2009년 7월 권수 5권 TV 애니메이션 원작 가로쿠코보 - 고켓코 상(프뢰벨 관) 기획 지앤지 엔터테인먼트, 젠코유경탁, 정극포, 이강복, 마키 다로 감독 홍원기, 모치즈키 게이치로 프로듀서 이병직, 마쓰오 미쓰히로이순주 각본 세이도 후지이 캐릭터 디자인 이성수 음악 TY 엔터테인먼트(주제가 제작)백지예, 박지윤, 박상균(주제가) 애니메이션 제작 지앤지 디렉션, 포포로 스튜디오 제작 지앤지 엔터테인먼트, 젠코 방송사 KBS 2TV(지상파) 패밀리 극장(유료방송) 그 외의 방송사 애니플러스(유료방송) 방영일 2009년 11월 18일 ~ 2010년 5월 19일2011년 3월 31일 ~ 2011년 5월 11일2013년 2월 19일 ~ 2009년 12월 6일 ~ 2010년 6월 27일 화수 52부(회당 2부) 틀 - 토론 《와글와글 꼬꼬맘》(영어: Kokomom, 일본어: コケッコーさん[1] 고켓코 상[*] → 꼬끼오 씨)은 대한민국의 지앤지 엔터테인먼트와 일본의 젠코(Genco)가 공동으로 제작한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이다. 각기 다른 개성을 가지고 태어난 열 마리의 병아리를 키우는 초보 엄마 꼬꼬맘의 육아일기를 다루었다[1][2]. 목차 1 방송 시간 2 성우 3 제작진 4 방송 회차 4.1 2009년 4.2 2010년 5 각주 6 외부 링크 방송 시간[편집] 매체 채널 방송일 방송 시간 지상파 KBS 2TV 2009년 11월 18일 ~ 2010년 4월 28일 수요일 오후 4시 40분 ~ 5시 10분 2010년 5월 12일 ~ 2010년 5월 19일 수요일 오후 3시 5분 ~ 3시 35분 2011년 3월 31일 ~ 2011년 5월 11일 월요일 ~ 금요일 오후 3시 5분 ~ 3시 35분 2013년 2월 19일 ~ 2013년 4월 3일 월요일 ~ 목요일 오후 4시 ~ 4시 30분 유료 방송 패밀리 극장 2009년 12월 6일 ~ 2010년 6월 27일 일요일 오후 6시 30분 ~ 7시 성우[편집] 정미숙 : 꼬꼬맘, 꼬꼬봇 역 김일 : 꼬끼오, 재미, 집배원 아저씨, 경찰 아저씨, 냐옹맨, 장난 역 서지연 : 탐정이, 인형이, 미미 선생님 역 이용신 : 모자, 노래, 상냥이, 코끼리 조교 역 안영아 : 그림이, 영웅이, 쑝쑝 역 김현심 : 붕붕이, 잠보, 수다, 돈돈 부인 역 홍범기 : 흥미, 루돌프 아저씨, 장난, 꾸꾸, 하마 선생님, 개구리, 도둑너구리 역 주재규 : 돈돈 씨, 뿌뿌, 고철 박사 역 제작진[편집] 제작 총괄 : 김경애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박효종, 이현지, 박진선, 이영조, 지요코 히로와타리 제작 투자 : 지앤지 엔터테인먼트, 젠코, 도호쿠신샤[3] 제작 진행 : 장선경, 박봉호, 김월매, 민병군, 정관경, 김림호 라이선싱 사업 : 이상균, 김윤중, 용미경 사업 협력 : 지 앤 지 디렉션, 포포로 스튜디오 해외 사업 담당 : 폴 김 사업 관리 : 권오만 그래픽 디자인 : 박광준, 정영길, 정다정 시나리오 : 후지이 세이도 스토리 보드 : 지엔지 디렉션 캐릭터 디자인 : 이성수 배경 디자인 : 정한나, 최재완 모델링 · 맵핑 : 정인경, 정미미, 최희석, 김연승, 김인 모델링 세팅 : 박혜원 애니메이션 : 김근모, 곽기민, 공기헌, 진이, 정종보, 리우잉, 공롱, 멍샤오강, 천준윤, 장메이후이, 저우광유 라이팅 · 렌더링 : 김병수, 김대진, 장상영, 이란, 이용우, 노태환 효과 : 이건호 기술 감독 : 홍용표 합성 : 정주리, 김은희, 박영, 이관형 편집 : 남종현 제작 편집 : 정현수 컴퓨터 그래픽 : 김수영 번역 : 이선희 녹음 : 지지 사운드 더빙 · 믹스 다운 : 김희집, 최현주 연출 : 강민욱, 최지훈, 김재원 방송 회차[편집] 2009년[편집] 회차 방송일 부제 1화 11월 18일 꼬르륵 배고픈 병아리 소중한 트로피 2화 11월 25일 엄마 돕기 대작전 알록달록 페인트 칠 3화 12월 2일 새근새근 그림책 다 함께 정리정돈 4화 12월 9일 병아리들의 비밀 작전 마당에서의 하루 5화 12월 16일 사랑해요 꼬옥 비 님 어서 오세요 6화 12월 23일 방가방가 어린이집 두근두근 보물택배 7화 12월 30일 음악 가족 돈돈 패밀리 엄마가 되고 싶어 2010년[편집] 회차 방송일 부제 8화 1월 6일 예방주사는 무서워 숫자를 세어보아요 9화 1월 13일 힘내세요 꼬꼬맘 이상한 손님 10화 1월 20일 발명왕 고철박사 내가 잘하는 것 11화 1월 27일 바다에 가자 솔직하게 사과해요 12화 2월 3일 즐거운 산책길 코코의 신기한 하루 13화 2월 10일 낮잠 잘 시간이에요 엄마는 명탐정 14화 2월 17일 망원경은 재미 있어 박사님 우리의 박사님 15화 2월 24일 엄마는 나만 미워해 모두 함께 연주회 16화 3월 3일 길고 긴 실 전화 높이 높이 날아라 17화 3월 10일 영웅의 마을 순찰 신나는 채소 파티 18화 3월 17일 엄마의 다이어트 아빠의 가방은 어디에? 19화 3월 24일 동글동글 도토리 줍기 엄마의 고깔모자 20화 3월 31일 두근두근 재롱잔치 큰소리로 인사해요 21화 4월 7일 TV가 나오지 않아 무슨 소리일까 22화 4월 14일 작은 생명 또 하나의 엄마 23화 4월 21일 너다운 게 제일 예뻐 영차 영차 당겨요 24화 4월 28일 그림 그리기는 재미있어 충치벌레는 무서워 25화 5월 12일 언제나 함께 목도리 하마선생님의 연주회 26화 5월 19일 보물 찾기 대작전 우리 마을 사진전 각주[편집] ↑ 가 나 다 권영전 (2009년 11월 16일). “KBS, 한일 합작 애니 '…꼬꼬맘' 방송”. 연합뉴스.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KBS 와글와글 꼬꼬맘 홈페이지의 작품 소개”. 2009년 11월 18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도움말) ↑ 단, 도호쿠신샤(東北新社)는 7화 이후부터 투자에 참여하였다. 외부 링크[편집] KBS 와글와글 꼬꼬맘 홈페이지 (일본어) 패밀리 극장 고켓코 상 홈페이지 KBS 2TV 수요일 애니메이션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롤링스타즈(2009년 4월 15일 ~ 2009년 10월 21일) 와글와글 꼬꼬맘(2009년 11월 18일 ~ 2010년 5월 19일) 최강 합체 믹스마스터(2010년 5월 26일 ~ 2011년 3월 16일) KBS 2TV 평일 애니메이션(오후 3시 5분 ~ 3시 35분) 쿵야쿵야(2011년 3월 10일 ~ 2011년 3월 30일) 방송횟수 확대(주 1회 → 주 5회) 와글와글 꼬꼬맘(2011년 3월 31일 ~ 2011년 5월 11일) 파워퀀텀맨(2011년 5월 12일 ~ 2011년 6월 20일) KBS 2TV 평일 애니메이션(오후 4시 ~ 4시 30분) 오후의 초록가방(2013년 1월 2일 ~ 2013년 2월 18일) 와글와글 꼬꼬맘(2013년 2월 19일 ~ 2013년 4월 3일) 엘리먼트 헌터(2013년 4월 4일 ~ 2013년 6월 12일) vdeh 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드라마 일일드라마 (《태양의 계절》) 월화드라마 (《퍼퓸》) 수목드라마 (《저스티스》) 주말드라마 (《세상에서 제일 예쁜 내 딸》) 예능 《옥탑방의 문제아들》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아이를 위한 나라는 있다》 《썸바이벌 1+1》 《살림하는 남자들》 《해피투게더》 《뮤직뱅크》 《연예가중계》 《으라차차 만수로》 《유희열의 스케치북》 《영화가 좋다》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배틀 트립》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슈퍼맨이 돌아왔다》 《개그콘서트》 《연예대상》¹ 《가요대축제》¹ 《연기대상》¹ 시사교양 《생방송 아침이 좋다》 《그녀들의 여유만만》 《2TV 생생정보》 《제보자들》 《세상의 모든 다큐》 《영상앨범 산》 《KBS 재난방송센터》 《다큐멘터리 3일》 뉴스  · 스포츠 《KBS 아침뉴스타임》(《주간연예수첩》) 《지구촌 뉴스》 《KBS 뉴스타임 (1400)》 《KBS 경제타임》 《KBS 글로벌 24》 《비바! K리그》 《스포츠 하이라이트》 어린이 《자동공부책상 위키 2》 《TV유치원》 《파파독 시즌 2》 《쉿! 내 친구는 빅파이브》 《핑크퐁 원더스타》 《누가누가 잘하나》 《또봇 V》 재방송 일일연속극 (《여름아 부탁해》) 《걸어서 세계속으로》 《다큐공감》 《사랑의 가족》 《생활의 발견》 《인간극장》 《트레킹노트 세상을 걷다》 《ㅋㄷㅋㄷ코딩TV》 《TV는 사랑을 싣고》 KBS1 KBS2 EBS1 EBS2 MBC OBS SBS †현재 잠정 중단된 프로그램 ¹ 연중 1회 방송되는 프로그램 ² 유동적으로 편성되는 프로그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와글와글_꼬꼬맘&oldid=24064402" 분류: 일본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2009년 애니메이션2010년 애니메이션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200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201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애니플러스숨은 분류: 인용 오류 - 날짜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10: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와글와글 꼬꼬맘》(영어: Kokomom, 일본어: コケッコーさん 고켓코 상[*] → 꼬끼오 씨)은 대한민국의 지앤지 엔터테인먼트와 일본의 젠코(Genco)가 공동으로 제작한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이다. 각기 다른 개성을 가지고 태어난 열 마리의 병아리를 키우는 초보 엄마 꼬꼬맘의 육아일기를 다루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09년 와글와글 꼬꼬맘은 어떤 화들을 방송했을까? Assistant: 회차 방송일 부제 1화 11월 18일 꼬르륵 배고픈 병아리 소중한 트로피 2화 11월 25일 엄마 돕기 대작전 알록달록 페인트 칠 3화 12월 2일 새근새근 그림책 다 함께 정리정돈 4화 12월 9일 병아리들의 비밀 작전 마당에서의 하루 5화 12월 16일 사랑해요 꼬옥 비 님 어서 오세요 6화 12월 23일 방가방가 어린이집 두근두근 보물택배 7화 12월 30일 음악 가족 돈돈 패밀리 엄마가 되고 싶어 Human: 아래 프리메라리가_2014-15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프리메라리가 2014-15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프리메라리가 2014-15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프리메라리가 개요 대회 명칭 프리메라리가 시즌 2014-15 우승 바르셀로나23번째 우승 강등 엘체알메리아코르도바 챔피언스리그 바르셀로나레알 마드리드아틀레티코 마드리드발렌시아세비야 유로파리그 비야레알아틀레틱 빌바오 각종 기록 총 경기 수 380 최다 득점 호날두 (48골) 최다 점수차 홈 승리 레알 마드리드 9–1 그라나다 최다 점수차 원정 승리 코르도바 0-8 바르셀로나 최다 점수 경기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2–8 레알 마드리드 레알 마드리드 9–1 그라나다 레알 마드리드 7-3 헤타페 총 득점 1009 경기당 평균 득점 2.66 최다 연승 기록 12경기레알 마드리드 최다 무패 기록 14경기바르셀로나 최다 무승 기록 20경기코르도바 최다 연패 기록 10경기코르도바 최다 관중 98,760바르셀로나 2–1 레알 마드리드 최소 관중 3,500헤타페 2-1 셀타 비고 평균 관중 26,741 인접 대회 이전← 2013-14 다음2015-16 → 프리메라리가 2014-15는 프리메라리가의 84번째 시즌이다. 후원사의 이름을 따 리가 BBVA라고도 알려져있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디펜딩 챔피언이다. 2014년 8월 23일 개막하였으며, 2015년 5월 24일 막을 내렸다. 목차 1 참가 팀 1.1 경기장과 위치 2 리그 순위 3 득점 순위 참가 팀[편집] 2013-14 시즌 상위 17팀과 세군다 디비시온 2013-14에서 승격한 3팀 총 20팀이 리그에서 경쟁하게 된다. 경기장과 위치[편집] 구단 위치 홈구장 수용 인원 그라나다 그라나다 에스타디오 누에보 로스 카르메네스 21,350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라코루냐 에스타디오 데 리아소르 34,600 라요 바예카노 마드리드 캄포 데 풋볼 데 바예카스 14,708 레반테 발렌시아 에스타디오 시우타트 데 발렌시아 26,354 레알 마드리드 마드리드 에스타디오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81,044 레알 소시에다드 산 세바스티안 에스타디오 데 아노에타 32,076 말라가 말라가 에스타디오 라 로살레다 30,044 바르셀로나 바르셀로나 캄 노우 99,786 발렌시아 발렌시아 에스타디오 데 메스타야 55,000 비야레알 비야레알 에스타디오 엘 마드리갈 25,000 세비야 세비야 에스타디오 라몬 산체스 피스후안 45,500 셀타 비고 비고 에스타디오 데 발라이도스 31,800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마드리드 에스타디오 비센테 칼데론 54,907 아틀레틱 빌바오 빌바오 산 마메스 53,289 알메리아 알메리아 에스타디오 델 메디테라네오 21,350 에스파뇰 바르셀로나 에스타디 코르네야 엘 프라트 40,500 에이바르 에이바르 이푸루아 무니시팔 스타디움 6,000 헤타페 헤타페 콜리세움 알폰소 페레스 17,393 엘체 엘체 에스타디오 마누엘 마르티네스 발레로 36,017 코르도바 코르도바 에스타디오 누에보 아르캉헬 21,822 리그 순위[편집] 순위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참가 자격 및 강등 1 바르셀로나 (C) (Q) 38 30 4 4 110 21 +89 94 UEFA 챔피언스리그 2015-16 조별 리그 2 레알 마드리드 (Q) 38 30 2 6 118 38 +80 92 3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Q) 38 23 9 6 67 29 +38 78 4 발렌시아 38 22 11 5 70 32 +38 77 UEFA 챔피언스리그 2015-16 플레이오프 5 세비야 (Q) 38 23 7 8 71 45 +26 76 UEFA 챔피언스리그 2015-16 조별 리그 6 비야레알 38 16 12 10 48 37 +11 60 UEFA 유로파리그 2015-16 조별 리그1 7 애슬레틱 클럽 38 15 10 13 42 41 +1 55 UEFA 유로파리그 2015-16 플레이오프 8 셀타 비고 38 13 12 13 47 44 +3 51 9 말라가 38 14 8 16 42 48 −6 50 10 에스파뇰 38 13 10 15 47 51 −4 49 11 라요 바예카노 38 15 4 19 46 68 −22 49 12 레알 소시에다드 38 11 13 14 44 51 −7 46 13 엘체 38 11 8 19 35 62 −27 41 세군다 디비시온 2015-16로 강등 14 레반테 38 9 10 19 34 67 −33 37 15 헤타페 38 10 7 21 33 64 −31 37 16 데포르티보 38 7 14 17 35 60 −25 35 17 그라나다 38 7 14 17 29 64 −35 35 18 에이바르 38 9 8 21 34 55 −21 35 19 알메리아 38 8 8 22 35 64 −29 32 세군다 디비시온 2015-16로 강등 20 틀:축구단 코르도바 38 3 11 24 22 68 −46 20 * 출처 : La Liga* 순위 결정방식 : 1) 승점; 2) 골 득실차; 3) 득점 수.1:*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 시즌이 끝나지 않은 경우만 사용되는 표시: (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득점 순위[편집] 순위 선수 소속 득점 1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레알 마드리드 48 2 리오넬 메시 바르셀로나 43 3 앙투안 그리즈만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2 네이마르 바르셀로나 5 카를로스 바카 세비야 20 6 아리츠 아두리츠 아틀레틱 빌바오 18 7 알베르토 부에노 라요 바예카노 17 8 루이스 수아레스 바르셀로나 16 9 카림 벤제마 레알 마드리드 15 10 세르히오 가르시아 에스파뇰 14 조나타스 엘체 vdeh라리가 시즌 1929 1929-30 1930-31 1931-32 1932-33 1933-34 1934-35 1935-36 1936-37 1937-38 1938-39 1939-40 1940-41 1941-42 1942-43 1943-44 1944-45 1945-46 1946-47 1947-48 1948-49 1949-50 1950-51 1951-52 1952-53 1953-54 1954-55 1955-56 1956-57 1957-58 1958-59 1959-60 1960-61 1961-62 1962-63 1963-64 1964-65 1965-66 1966-67 1967-68 1968-69 1969-70 1970-71 1971-72 1972-73 1973-74 1974-75 1975-76 1976-77 1977-78 1978-79 1979-80 1980-81 1981-82 1982-83 1983-84 1984-85 1985-86 1986-87 1987-88 1988-89 1989-90 1990-91 1991-92 1992-93 1993-94 1994-95 1995-96 1996-97 1997-98 1998-99 1999-2000 2000-01 2001-02 2002-03 2003-04 2004-05 2005-06 2006-07 2007-08 2008-09 2009-10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2019-2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프리메라리가_2014-15&oldid=23799342" 분류: 라리가 시즌2014-15 축구 리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uskara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LatviešuBahasa Melayuनेपाली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3일 (일) 09:4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라리가 2014-15(스페인어: Primera División de España 2014-15, 협찬사의 이름을 따 리가 BBVA로도 불림)는 스페인 축구 1부 리그인 프리메라 디비시온의 84번째 시즌이다. 시즌 일정은 2014년 8월 23일에 시작되어 2015년 5월 24일에 마무리되었다. 바르셀로나는 2015년 5월 17일에 전 시즌 우승을 거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를 비센테 칼데론에서 이기며 2년 만이자 통산 23번째 우승을 확정지었고, 역대 최고 골득실차인 +89의 기록(110골 득점 21골 실점)을 세워 레알 마드리드가 2011-12 시즌에 세운 기록과 동률을 이루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프리메라리그 소속인 발렌시아의 홈구장 명칭은? Assistant: 에스타디오 데 메스타야
Human: 아래 주나라의_군주_목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주나라의 군주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주나라의 군주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주나라의 역대 군주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중국의 군주 목록 전설 시대 국왕 하 상 주   서주   동주     춘추 시대     전국 시대 진 한   전한   신   후한 삼국 시대   위, 촉한, 오 진   서진   동진 오호 십육국 남북조 수 당무주 오대 십국 요 송   북송 서하   남송 금 원 명 청 중화제국 청나라 소조정 v • d • e • h 목차 1 주(周) 1.1 서백(西伯) 1.2 서주(西周) 1.3 동주(東周) 주(周)[편집] 서백(西伯)[편집] 주나라 역대 제후 대수 별호 이름 제1대 후직(后稷) 기(棄) 제2대 - 부줄(不窋) 제3대 - 국(鞠) 제4대 - 공유(公劉) 제5대 - 경절(慶節) 제6대 - 황복(皇僕) 제7대 - 차불(差弗) 제8대 - 훼유(毀隃) 제9대 - 공비(公非) 제10대 - 고어(高圉) 제11대 - 아어(亞圉) 제12대 태공(太公) 공조(組紺諸盩) 제13대 고공(古公) 단보(亶父) 제14대 - 계력(季歷) 제15대 - 창(昌) 제16대 - 발(發) 서주(西周)[편집] 서주 군주 열표 대수 시호 이름 재위기간 - 태공(太公)(주 무왕 추숭) 공조(公祖) - - 태왕(太王)(주 무왕 추숭) 단보(亶父) - - 왕계(王季)(주 무왕 추숭) 계력(季歷) - - 문왕(文王)(주 무왕 추숭) 창(昌) - 제1대 무왕(武王) 발(發) - 제2대 성왕(成王) 송(誦) - 제3대 강왕(康王) 소(釗) - 제4대 소왕(昭王) 하(瑕) - 제5대 목왕(穆王) 만(滿) - 제6대 공왕(共王) 예호(繄扈) - 제7대 의왕(懿王) 간(囏) - 제8대 효왕(孝王) 벽방(辟方) - 제9대 이왕(夷王) 섭(燮) - 제10대 여왕(厲王) 호(胡) - 공화(共和) 기원전 841년 ~ 기원전 828년 제11대 선왕(宣王) 정(靜) 기원전 827년 ~ 기원전 782년 제12대 유왕(幽王) 궁녈(宮涅) 기원전 781년 ~ 기원전 771년 비고: 주나라의 역대 군주들의 성은 희(姬), 씨는 주(周)이나 당시에는 성씨와 이름을 같이 표기하는 성명의 개념이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 동주(東周)[편집] 동주 군주 열표 대수 시호 성명 재위기간 제13대 평왕(平王) 의구(宜臼) 기원전 771년 ~ 기원전 720년 비정통 휴왕(攜王) 여신(余臣) 기원전 771년 ~ 기원전 750년 제14대 환왕(桓王) 림(林) 기원전 720년 ~ 기원전 697년 제15대 장왕(莊王) 타(佗) 기원전 697년 ~ 기원전 682년 제16대 희왕(僖王) 호제(胡齊) 기원전 682년 ~ 기원전 677년 제17대 혜왕(惠王) 랑(閬) 기원전 677년 ~ 기원전 652년 비정통 - 퇴(穨) 기원전 675년 ~ 기원전 673년 제18대 양왕(襄王) 정(鄭) 기원전 652년 ~ 기원전 619년 비정통 -(감소공(甘昭公)) 대(帶) 기원전 636년 ~ 기원전 635년 제19대 경왕(頃王) 임신(壬臣) 기원전 619년 ~ 기원전 613년 제20대 광왕(匡王) 반(班) 기원전 613년 ~ 기원전 607년 제21대 정왕(定王) 유(瑜) 기원전 607년 ~ 기원전 586년 제22대 간왕(簡王) 이(夷) 기원전 586년 ~ 기원전 572년 제23대 영왕(靈王) 설심(泄心) 기원전 572년 ~ 기원전 545년 제24대 경왕(景王) 귀(貴) 기원전 545년 ~ 기원전 520년 제25대 도왕(悼王) 맹(猛) 기원전 520년 비정통 -(서왕(西王)) 조(朝) 기원전 520년 ~ 기원전 516년 제26대 경왕(敬王) 개(丐) 기원전 520년 ~ 기원전 477년 제27대 원왕(元王) 인(仁) 기원전 477년 ~ 기원전 469년 제28대 정정왕(貞定王) 개(介) 기원전 469년 ~ 기원전 441년 제29대 애왕(哀王) 거질(去疾) 기원전 441년 제30대 사왕(思王) 숙습(叔襲) 기원전 441년 제31대 고왕(考王) 외(嵬) 기원전 441년 ~ 기원전 426년 제32대 위열왕(威烈王) 오(午) 기원전 426년 ~ 기원전 402년 제33대 안왕(安王) 교(驕) 기원전 402년 ~ 기원전 376년 제34대 열왕(烈王) 희(喜) 기원전 376년 ~ 기원전 369년 제35대 현왕(顯王) 편(扁) 기원전 369년 ~ 기원전 321년 제36대 신정왕(愼靚王) 정(定) 기원전 321년 ~ 기원전 315년 제37대 난왕(赧王) 연(延) 기원전 315년 ~ 기원전 256년 비고: 주나라의 역대 군주들의 성은 희(姬), 씨는 주(周)이나 당시에는 성씨와 이름을 같이 표기하는 성명의 개념이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 이 글은 중국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주나라의_군주_목록&oldid=24183347" 분류: 중국의 황제 틀중국의 황제주나라의 군주숨은 분류: 중국사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ČeštinaBahasa IndonesiaไทยTiếng Việt吴语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23: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서주 역대 군주의 시호와 이름은? Assistant: 서주 군주 열표 대수 시호 이름 재위기간 - 태공(太公)(주 무왕 추숭) 공조(公祖) - - 태왕(太王)(주 무왕 추숭) 단보(亶父) - - 왕계(王季)(주 무왕 추숭) 계력(季歷) - - 문왕(文王)(주 무왕 추숭) 창(昌) - 제1대 무왕(武王) 발(發) - 제2대 성왕(成王) 송(誦) - 제3대 강왕(康王) 소(釗) - 제4대 소왕(昭王) 하(瑕) - 제5대 목왕(穆王) 만(滿) - 제6대 공왕(共王) 예호(繄扈) - 제7대 의왕(懿王) 간(囏) - 제8대 효왕(孝王) 벽방(辟方) - 제9대 이왕(夷王) 섭(燮) - 제10대 여왕(厲王) 호(胡) - 공화(共和) 기원전 841년 ~ 기원전 828년 제11대 선왕(宣王) 정(靜) 기원전 827년 ~ 기원전 782년 제12대 유왕(幽王) 궁녈(宮涅) 기원전 781년 ~ 기원전 771년 비고: 주나라의 역대 군주들의 성은 희(姬), 씨는 주(周)이나 당시에는 성씨와 이름을 같이 표기하는 성명의 개념이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 Human: 아래 김동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동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동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동률(金東律)기본 정보출생 1974년 3월 15일(1974-03-15) (45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역삼동직업 가수음악가싱어송라이터작곡가음반 프로듀서진행자장르 팝재즈발라드어덜트 컨템포러리클래식 음악악기 보컬, 피아노, 어쿠스틱 기타활동 시기 1993년 12월 11일 ~ 현재 가족 부모님, 1남 2녀 중 장남레이블 로엔 엔터테인먼트소속사 뮤직팜관련 활동 전람회(1993년 12월 ~ 1997년 1월)카니발(1997년)베란다 프로젝트(2010년)웹사이트 kimdongryul.com 김동률(한자: 金東律, 1974년 3월 15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 겸 작곡가이자 음악가이자 싱어송라이터이다. 목차 1 생애 및 경력 1.1 초기 1.2 전람회 1.3 카니발 및 솔로 활동 1.4 5집 Monologue와 공연 활동 1.5 베란다 프로젝트 1.6 KimdongrYULE 앨범 활동과 공연 1.7 2012 KIMDONGRYUL CONCERT 감사 전국투어 공연 1.8 6집 《동행》 1.9 미니앨범 《답장》 1.10 참여 활동 2 학력 3 수상 내역 4 음반 4.1 전람회 4.2 카니발 4.3 김동률 4.4 베란다 프로젝트 4.5 참여 앨범 4.5.1 참여 앨범 수록곡 4.5.2 보컬 참여 5 가요 프로그램 1위 6 관련 영상 6.1 뮤직 비디오 [정규] 6.2 음악 에세이 6.3 기타 7 각주 8 외부 링크 생애 및 경력[편집] 초기[편집] 김동률은 1974년 3월 15일, 서울특별시 성동구 역삼동(현 강남구 역삼동)에서 치과 의사 부부의 1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초등학교 시절에 전교 학생회장을 역임하며 보냈고, 1987년 역삼초등학교를, 1990년 단국대학교 부속중학교를, 1993년 휘문고등학교를 차례로 졸업하였다. 그 후 연세대학교에 93학번 건축공학 전공으로 입학하였으나 중퇴하고 1999년 버클리 음악대학 (Berklee College of music)에 입학하고 2003년에 졸업하였다.[1] 전람회[편집] 연세대학교 재학 중 김동률은 서동욱과 함께 만든 2인조 듀엣 그룹 전람회로 1993년 12월 11일 MBC 대학가요제에 참가해 대상과 특별상을 수상하면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1] 이듬해 유재학 · 신해철 · 김형석이 공동으로 제작을 맡고 전람회가 작사·작곡에 참여한 1집 앨범 《Exhibition》을 발표했으며, 앨범의 첫 번째 수록곡인 "기억의 습작"은 이들의 첫 인기곡이 되었다. 군 복무를 마친 후인 1996년에는 후속 앨범인 2집 《Exhibition 2》를 발표했고, 이 앨범에서는 "취중진담"이 큰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앨범 수록곡 중 "유서"가 히사이시 조의 《천공의 성 라퓨타》사운드트랙 앨범 1번 곡 "The Girl Who Fell from the Sky"의 일부분과 비슷하다는 지적이 나왔고, 이를 두고 표절 논란이 일어나기도 했었다.[출처 필요] 이듬해인 1997년에는 각자의 진로 문제로 인해 해체를 선언했고, 해체 직전 3집 앨범 《졸업》을 마지막으로 발표했다. 카니발 및 솔로 활동[편집] 전람회 해체 후 6개월 동안 KBS 라디오 프로그램《김동률의 FM 인기 가요》의 DJ 활동을 했으며, 이적과 카니발이라는 프로젝트 그룹을 만들어 활동했다. 같은 해에는 골든 디스크 본상을 수상했다. 1998년 《망각의 그림자》(The Shadow of Forgetfulness)라는 타이틀로 첫 솔로 앨범을 만들었고, 12월 24~26일 3일간 서울 교육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첫 단독 콘서트를 개최했다. 이듬해에는 미국 보스턴에 있는 버클리 음악 대학에 영화 음악 전공으로 입학하였고, 재학 중 2집 《희망》과 3집 《귀향》을 만들어 발표했다. 이 두 앨범에서는 런던 교향악단을 동원하는 등 더욱 스케일이 큰 음악으로 변화를 시도했으며, 2003년에 졸업한 뒤 귀국해 이듬해 4집 《토로》를 발표했다.[1] 2003년 버클리 음악 대학을 최우등으로 졸업하고 귀국한 그는[2] 두 번째 단독 콘서트를 2004년 8월 서울 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과 부산 KBS 홀에서 각각 개최했으며, 서울 공연의 실황을 편집한 첫 라이브 앨범 《초대》가 이듬해에 발매되었다. 2005~07년에는 방송 활동에 주력해 MBC 음악 프로그램 《김동률의 For You》사회자로도 활동했으며, KBS 2FM 음악 프로그램 《김동률의 뮤직 아일랜드》도 진행하였다. 2007년에는 베스트 앨범 《Thanks》가 발매되었고, 특별 수록된 미발표곡 "감사"는 KBS의 바른 언어상 노랫말 부문을 수상하였다.[1] 5집 Monologue와 공연 활동[편집] 김동률은 2007년 후반에 방송 활동을 정리한 뒤, 2008년 1월에 5집 앨범 《Monologue》를 발표하며 음악 활동을 본격적으로 재개하였다.[1] 이 앨범은 2008년 상반기에 출시된 가요 음반 중 최대 판매량을 기록하였다.[3] 이어 《KIMDONGRYUL 2008 CONCERT, Monologue》라는 제목으로 고양 아람누리 아람극장(PROLOGUE Part I. 4월 30일)과 성남아트센터 오페라 하우스(PROLOGUE Part II. 5월 25일), 서울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EPILOGUE. 6월 13-14일)에서 총 네 번의 공연을 개최했다. MKMF에서 수여하는 작사상을 받기도 했고, 2008년 골든 디스크에서는 본상을 수상하였다. 1997년에 1집 앨범을 낸 뒤 오랫동안 휴면 상태였던 이적과의 프로젝트 그룹 카니발의 이름으로 12월 13-14일 이틀 동안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 이적과 함께 콘서트를 개최하였다. 2009년에는 정규 5집 앨범이 제6회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팝 음반에 선정되기도 했으며, 5월 중순에는 2008년 단독 공연 시리즈의 실황을 정리한 두 번째 라이브 앨범이 발매되었다. 또 10월 8일부터 10월 11일까지에는 2008년 《KIMDONGRYUL 2008 CONCERT, Monologue》공연의 앵콜 공연인 《김동률 2009 CONCERT, PrologueⅢ》를 LG 아트 센터에서 열었다. 8월 25일에 시작된 공연티켓 예매는 시작과 동시에 약 10분만에 4회 공연 모든 좌석 4200여 석이 매진되었다.[4] 나흘 동안의 공연에는 약 4000여명의 관객이 공연에 찾아왔으며, 김동률은 관객들의 기립 박수를 받았다.[5] 베란다 프로젝트[편집] 김동률은 애시드 재즈 밴드 롤러 코스터의 멤버 이상순과 베란다 프로젝트 그룹을 결성하여 2010년 5월 18일, 첫 앨범 《Day Off》를 발표하고 활동을 시작했다. 앨범은 발표와 동시에 음반 집계 사이트 한터 실시간 차트 2위에 올랐다.[6] 같은 해 8월 21, 22일에는 '김동률 이상순 2010 verandah PROJECT CONCERT `Day off`' 란 제목으로 서울 연세대학교 노천극장에서 1만 2천여 관객이 참여한 가운데 콘서트를 진행했다. 게스트로 조원선과 하림, 루시드 폴이 참여했다.[7] KimdongrYULE 앨범 활동과 공연[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KimdongrYULE입니다. 2011년 가을에는 3년 9개월여만에 여섯번째 솔로 앨범이자 크리스마스 앨범인 《KimdongrYULE》를 발표하였다. 음원은 11월 15일 CD는 11월 17일에 공개되었으며, 타이틀곡 〈Replay〉는 공개되자마자 모든 사이트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다.[8] 또한 12월 24일부터 12월 26일까지 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에서 크리스마스 공연인 《KimdongrYULE》공연을 하였다. 3일간 약 1만여명의 관객이 관람하였다.[9] 2012 KIMDONGRYUL CONCERT 감사 전국투어 공연[편집] 2012년 9월 21일 부터 부산 KBS 에서 시작해서 대전 충남대학교 국제문화회관 정심화홀, 서울 충무아트홀 대극장, 성남아트센터 오페라하우스, 전주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모악당, 고양 아람누리 아람극장, 대구 천마아트센터 에서 전국투어를 끝낸 다음에 2013년 1월 서울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에서 앵콜공연을 끝으로 총 3만 5천명의 관객을 동원한 2012 KIMDONGRYUL CONCERT 감사 전국투어 공연을 마무리 하였다. [10] 6집 《동행》[편집] 《동행》은 김동률이 2014년 발매한 6번째 정규앨범이다. 김동률의 이번 앨범에는 이효리의 배우자인 기타리스트 이상순, 가수 존 박 등이 참여해 발매 전부터 기대를 모았다. 김동률 6집 《동행》 타이틀곡 `그게나야`는 한 남자가 옛 연인을 그리워하는 시와 같은 노랫말이 특징이며 잔잔한 피아노와 현악기 등으로 표현해 듣기 편안한 곡이다. `그게나야` 뮤직비디오에는 배우 공유가 출연해 화제를 모았다. 한편 타이틀곡 '그게 나야'는 10월 12일 방송된 SBS 인기가요에서는 1위에 오르는데 성공했다. 그리고 10월 17일에 방송된 뮤직뱅크에서도 1위를 차지하였다. 미니앨범 《답장》[편집] 2018년 1월 11일 미니앨범 《답장》을 발표하였다. 6집 《동행》이후 3년 3개월여 만의 새 앨범으로 5곡이 수록됐다. 앨범 타이틀과 동명의 타이틀곡 '답장'을 비롯해 'Moonlight', '사랑한다 말해도(Feat.이소라)', '연극', 'Contact'가 담겼다.  [11] 참여 활동[편집] 그는 솔로 활동이나 전람회, 이적과 함께한 카니발 등의 그룹 활동 외에 다른 가수들의 앨범 작업에도 직접 참여했다. 김원준의 "Show"와 장혜진의 "1994년 어느 늦은 밤", 이승환의 "다만", "천 일 동안", 박효신의 "동경" 등을 작사 · 작곡했으며, 신해철이 맡은 영화 《정글 스토리》의 OST에서는 현악 편곡을, 故 유재하 추모 앨범에서는 특별히 작곡된 추모곡의 객원 보컬을 맡기도 했다. 클래식 연주자들과의 교류도 활발하며, 피아니스트 김정원이나 첼리스트 송영훈을 앨범 작업과 라이브 콘서트에 특별 게스트로 초대해 협연하기도 했다. 학력[편집] 서울역삼초등학교 졸업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졸업 휘문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중퇴 (93학번) 버클리 음악 대학 작곡과, 영화음악과 학사 수상 내역[편집] 1993년 MBC 대학가요제 대상 1993년 MBC 대학가요제 특별상 1997 일간스포츠 골든디스크상 2008년 Mnet KM 뮤직페스티벌 작사상 제23회 골든디스크상 디스크부문 본상 2009 제6회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팝 음반상 음반[편집] 전람회[편집] 1994년 전람회 1집 《Exhibition》 1996년 전람회 2집 《Exhibition 2》 1997년 전람회 3집 《졸업》 카니발[편집] 1997년 이적 & 김동률 프로젝트 앨범 《카니발》 김동률[편집] 1998년 1집 《망각의 그림자(The Shadow of Forgetfulness)》 2000년 2집 《희망》 2001년 3집 《귀향》 2004년 4집 《토로》 2005년 라이브 앨범 《초대》 2007년 베스트 앨범 《Thanks》 2008년 5집 《Monologue》 2009년 라이브 앨범 《KIMDONGRYUL 2008 CONCERT, 'Monologue'》 2011년 크리스마스 겨울 앨범 《KimdongrYULE》 2014년 6집 《동행》 2015년 라이브 앨범 《KIMDONGRYUL LIVE 2012 감사 / 2014 동행》 2018년 미니 앨범 《답장》 2018년 싱글 〈그럴 수밖에〉 2018년 싱글 〈노래〉 2018년 싱글 〈동화 (with 아이유)〉 베란다 프로젝트[편집] 2010년 앨범 《Day Off》 참여 앨범[편집] 참여 앨범 수록곡[편집] 1994년 장혜진《Before The Party》 - 《1994년 어느 늦은 밤》 (작곡) 1995년 이승환《Human》 - 《다만》 (작곡) 1995년 이승환《Human》 - 《천일동안》 (작곡) 1995년 류시원《Change》 - 《젊은 날의 단편》 (작곡 / 편곡) 1995년 원미연《원미연 1995》 - 《다시는 내게》 (작곡-) 1995년 원미연《원미연 1995》 - 《모든 세상은 내안에 있네》 (작사 / 작곡) 1995년 원미연《원미연 1995》 - 《잊혀지는 것과 잊는 것》 (작사 / 작곡) 1995년 황호욱《황호욱 1집》 - 《너무 다른 널 보면서》 (작사 / 작곡 / 편곡, 후에 이소라가 커버함) 1996년 김원준《Show》 - 《Show》 (작사 / 작곡) 1996년 강수지《One & Only》 - 《늘 함께였으면 (Anniversary)》 (작사 / 작곡 / 편곡) 1996년 신해철《정글스토리》 OST - 《Main Theme From Jungle Story - Part 1》 (편곡-신해철, 김동률) 1996년 신해철《정글스토리》 OST - 《그저 걷고 있는거지 (Main Theme From Jungle Story - Part 3)》 (편곡-신해철, 김동률) 1996년 Heavy`s《Heavy`s Vol.2》 - 《보름동안》 (원곡) 1998년 김혜림《이제는 돌아와 거울앞에 선》 - 《잊은 그 후에》 (작곡 / 편곡) 1999년 Story《미망(未忘)》 - 《미망》 (작사) 1999년 정재형《기대(期待)》 - 《체념》 (작사) 2001년 박효신《Second Story》 - 《동경》 (작사 / 작곡) 2002년 이소은《Senorita》 - 《그대이길 바래요》 (작곡) 2004년 원티드《Second Story》 - 《To My Friend (Feat. 거미)》 (작사-김동률, 최갑원) 2005년 나원주《나원주 2집 - Movie Works 야수와 미녀 OST》 - 《시간에 거는 기대》 (작사) 2009년 조원선《Swallow》 - 〈도레미파솔라시도〉(코러스 : 유희열, 김동률, 토마스 쿡) 2010년 보아《Hurricane Venus 》 - 《옆 사람 (Stand By)》 (작사 / 작곡) 2011년 알렉스《Just Like Me》 - 《같은 꿈》 (작사 / 작곡) 2012년 존 박《Knock》 - 《그 노래》 (작사 / 작곡) 2012년 존 박《Knock》 - 《왜 그럴까》 (작사 / 작곡 / 편곡-김동률, 박인영, 나원주) 2012년 존 박《Knock》 - 《이게 아닌데》 (작사 / 작곡) 2016년 이소라《그녀풍의 9집》 - 《사랑이 아니라 말하지 말아요》 (작사 / 작곡 / 편곡 ) 보컬 참여[편집] 2014년 토이 《Da Capo》 - 김동률 〈너의 바다에 머무네 (With 김동률)〉 가요 프로그램 1위[편집] 연도 수상 내역 (총 3회) 2002년 (총 1회) 다시 사랑한다 말할까 (총 1회) 1월 12일 MBC 《음악캠프》 1위 2014년 (총 2회) 그게 나야 (총 2회) 10월 12일 SBS 《인기가요》 1위 10월 17일 KBS 《뮤직뱅크》 K-Chart 1위 관련 영상[편집] 뮤직 비디오 [정규][편집] 1997년 카니발 (이적 & 김동률) - 그땐 그랬지 1998년 김동률 - 기적 (Duet With 이소은) 1998년 김동률 - 고독한 항해 2000년 김동률 - 벽 (Duet With 양파) 2001년 김동률 - 다시 사랑한다 말할까 2004년 김동률 - 욕심쟁이 (Feat. 이소은) 2007년 김동률 - 감사 2008년 김동률 - 출발 2008년 김동률 - 다시 시작해보자 2011년 김동률 - Replay 2014년 김동률 - 그게 나야 2014년 김동률 - (청춘) (feat. 이상순) 음악 에세이[편집] 2014년 김동률의 동행, 음악을 읽다 - 그 노래 (글: 강세형, Na: 엄정화) (뮤직팜) 2014년 김동률의 동행, 음악을 읽다 - Advice (글: 강세형, Na: 존박) (뮤직팜) 2014년 김동률의 동행, 음악을 읽다 - 그게 나야 (글: 강세형, Na: 김동률) (뮤직팜) 2014년 김동률의 동행, 음악을 읽다 - 내사람 (글: 강세형, Na: 윤여정) (뮤직팜) 2014년 김동률의 동행, 음악을 읽다 - 고백 (글: 강세형, Na: 오상진) (뮤직팜) 2014년 김동률의 동행, 음악을 읽다 - 내 마음은 (글: 강세형, Na: 조원선) (뮤직팜) 2014년 김동률의 동행, 음악을 읽다 - 오늘 (글: 강세형, Na: 김동률) (뮤직팜) 2014년 김동률의 동행, 음악을 읽다 - 퍼즐 (글: 강세형, Na: 이효리) (뮤직팜) 2014년 김동률의 동행, 음악을 읽다 - 청춘 (글: 강세형, Na: 유희열) (뮤직팜) 2014년 김동률의 동행, 음악을 읽다 - 동행 (글: 강세형, Na: 김동률) (뮤직팜) 기타[편집] 2008년 김동률 2008 콘서트 영상 (뮤직팜) 2014년 김동률 2014 콘서트 영상 (뮤직팜)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마 “보관 된 사본”. 2008년 1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9월 14일에 확인함.  ↑ “Kim Dong-ryul tells all in `My All`”. 코리아헤럴드. 2004년 6월 8일. 다섯 번째 문단 마지막 문장면.  ↑ “김동률, '10만장' 포문을 열다...'음반-공연-음원' 고른 선전 의미 커”. 이데일리. 2008년 7월 8일.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김동률, 앙코르 공연 10분 만에 매진”. 2009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김동률, 4000명 관객 호응 속에 콘서트 성황”. 2009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김동률·이상순, 베란다 프로젝트 앨범 차트에서 돌풍”. 2010년 6월 4일에 확인함.  ↑ “김동룔+이상순 `베란다프로젝트` 한여름밤 꿈같은 무대”. 2010년 9월 6일에 확인함.  ↑ “김동률 3년10개월 만에 새 앨범 ‘돌풍’”. 세계일보. 2011년 11월 23일.  ↑ “김동률 크리스마스 공연, 한파속에서도 1만여 관객 동원하며 대성황”. 세계일보. 2011년 12월 27일.  ↑ “김동률, 앵콜 콘서트 ‘감사’ 투어 피날레…관객 촛불 기립에 감격 ‘눈물’”. 스포츠동아. 2013년 1월 20일. 2018년 10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2월 24일에 확인함.  ↑ “김동률, 3년여 걸쳐 완성한 새앨범 '답장' 드디어 오늘 공개”. 세계일보. 2018년 1월 11일.  외부 링크[편집] 김동률 - 공식 웹사이트 김동률 - 트위터 김동률 - 페이스북 김동률 미니홈피 - 싸이월드 (영어) 김동률 - 라스트 FM 김동률의 Monologue vdeh김동률정규 앨범 1집 The Shadow of Forgetfulness 2집 희망 3집 귀향 4집 토로 5집 Monologue 6집 동행 EP 5.5집 KimdongrYULE 답장 싱글 그럴 수밖에 노래 동화 (with 아이유) 라이브 앨범 초대 KIMDONGRYUL 2008 CONCERT, Monologue KIMDONGRYUL LIVE 2012 감사 / 2014 동행 컴필레이션 앨범 Thanks 관련 인물·그룹 서동욱 전람회 이적 카니발 이상순 베란다 프로젝트 vdeh베란다 프로젝트 김동률 이상순 정규 음반 Day Off (2010) vdeh카니발 이적 김동률 정규 음반 카니발 vdeh전람회 김동률 서동욱 정규 앨범 Exhibition Exhibition 2 EP 졸업 관련 문서 대학가요제 제17회 MBC 대학가요제 vdeh울림엔터테인먼트CEO 이중엽 가수그룹 인피니트 (김성규, 장동우, 남우현, 이성열, 엘, 이성종) 러블리즈 (베이비소울, 유지애, 서지수, 이미주, Kei, JIN, 류수정, 정예인) 골든차일드 (이대열, Y, 이장준, TAG, 배승민, 봉재현, 김지범, 김동현, 홍주찬, 최보민) 솔로 JOO 권은비 김채원 유닛 · 프로젝트 그룹 인피니트H 인피니트F 투하트 프로듀서 BLSSD Razer 제이 윤 배우 박주환 이재안 변준석 연습생 타카하시 쥬리 김연희 김수윤 서윤경 김소희 정다현 문준호 황윤성 주창욱 김동윤 김민서 차준호 관련 문서 울림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vdeh가온차트 뮤직 어워즈 - 올해의 가수상 음원2010년대2012년 시크릿 (1월 - Shy Boy, 6월 - 별빛달빛), 아이유 (2월 - 나만 몰랐던 이야기, 12월 - 너랑 나), 케이윌 (3월 - 가슴이 뛴다), 빅뱅 (4월 - LOVE SONG), 2NE1 (5월 - Lonely), 티아라 (7월 - Roly-Poly), 리쌍 (8월 - TV를 껐네...), 다비치 (9월 - 안녕이라고 말하지마), 이승기 (10월 - 연애시대), 원더걸스 (11월 - Be My Baby) 2013년 티아라 (1월 - Lovey-Dovey), 빅뱅 (2월 - BLUE, 3월 - Fantastic Baby), 버스커 버스커 (4월 - 벚꽃 엔딩), 소녀시대-태티서 (5월 - Twinkle), 원더걸스 (6월 - Like This), 2NE1 (7월 - I Love You), 싸이 (8월 - 강남스타일), 서인국&정은지 (9월 - All For You), 가인 (10월 - 피어나), 이하이 (11월 - 1,2,3,4), 이승기 (12월 - 되돌리다) 2014년 소녀시대 (1월 - I GOT A BOY), 씨스타19 (2월 - 있다 없으니까), 다비치 (3월 - 거북이), 싸이 (4월 - GENTLEMAN), 포미닛 (5월 - 이름이 뭐예요?), 씨스타 (6월 - Give It To Me), 다이나믹 듀오 (7월 - BAAAM), 산이 (8월 - 아는사람 얘기), 소유X매드 클라운 (9월 - 착해 빠졌어), 아이유 (10월 - 분홍신), 미쓰에이 (11월 - Hush), 서인국&지아 (12월 - 이별남녀) 2015년 걸스데이 (1월 - Something), 소유X정기고 (2월 - 썸), 2NE1 (3월 - Come Back Home), 악동뮤지션 (4월 - 200%), god (5월 - 미운오리새끼), 태양 (6월 - 눈, 코, 입), 산이X레이나 (7월 - 한여름밤의 꿀), 박보람 (8월 - 예뻐졌다), 씨스타 (9월 - I Swear), 김동률 (10월 - 그게 나야), MC몽 (11월 - 내가 그리웠니), 에이핑크 (12월 - LUV) 2016년 매드 클라운 (1월 - 화 (Feat. 진실 Of Mad Soul Child)), 나얼 (2월 - 같은 시간 속의 너), MC몽 (3월 - 사랑 범벅 (Feat. 챈슬러 of the channels)), 미쓰에이 (4월 - 다른 남자 말고 너), 빅뱅 (5월 - LOSER, 6월 - 뱅뱅뱅 (BANG BANG BANG), 7월 - IF YOU, 8월 - 우리 사랑하지 말아요), iKON (9월 - 취향저격), 태연 (10월 - I (Feat. 버벌진트)), 지코 (11월 - Boys And Girls (Feat. Babylon)), 싸이 (12월 - DADDY (Feat. CL of 2NE1)) 2017년 여자친구 (1월 - 시간을 달려서), 마마무 (2월 - 넌 is 뭔들), 장범준 (3월 - 사랑에 빠졌죠 (당신만이)), 트와이스 (4월 - Cheer Up, 10월 - TT), 어반자카파 (5월 - 널 사랑하지 않아), 씨스타 (6월 - I Like That), 원더걸스 (7월 - Why So Lonely), 블랙핑크 (8월 - 휘파람, 11월 - 불장난), 임창정 (9월 - 내가 저지른 사랑), 빅뱅 (12월 - 에라 모르겠다) 2018년 악동뮤지션 (1월 - 오랜 날 오랜 밤), 트와이스 (2월 - KNOCK KNOCK, 12월 - Heart Shaker), 아이유 (3월 - 밤편지, 4월 - 사랑이 잘), 싸이 (5월 - I LUV IT), 지드래곤 (6월 - 무제), EXO (7월 - Ko Ko Bop), 선미 (8월 - 가시나), 젝스키스 (9월 - 특별해), 에픽하이 (10월 - 연애소설), 워너원 (11월 - Beautiful) 2019년 iKON (1월 - 사랑을 했다(LOVE SCENARIO)), 로이킴 (2월 - 그때 헤어지면 돼), 빅뱅 (3월 - 꽃 길), 트와이스 (4월 - What is Love?, 7월 - Dance The Night Away), 볼빨간사춘기 (5월 - 여행), 블랙핑크 (6월 - 뚜두뚜두(DDU-DU DDU-DU)), 레드벨벳 (8월 - Power Up), 임창정 (9월 - 하루도 그대를 사랑하지 않은 적이 없었다), 아이유 (10월 - 삐삐), 제니 (11월 - SOLO) 올해의 신인상 올해의 가수상 앨범 전거 통제 뮤직브레인즈: b238bec3-3390-4a0f-aa6c-2d9da85f0c5e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동률&oldid=24227351" 분류: 1974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2010년대 가수2000년대 가수1990년대 가수골든디스크 본상 수상 음악가한국대중음악상 수상 음악가1993년 데뷔대학가요제 출신 가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대한민국의 재즈 가수서울특별시 출신 음악가서울특별시 출신 가수뮤직팜 음악가대한민국의 음악가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대한민국의 재즈 음악가대한민국의 피아노 연주자통기타 연주자대한민국의 남자 싱어송라이터대한민국의 작곡가대한민국의 작사가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대한민국의 방송인버클리 음악 대학 동문서울역삼초등학교 동문단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동문휘문고등학교 동문KBS 뮤직뱅크 1위 수상자SBS 인기가요 1위 수상자서울특별시 출신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0년 1월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Bahasa IndonesiaTagalog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5일 (수) 20:0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동률(한자: 金東律, 1974년 3월 15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 겸 작곡가이자 음악가이자 싱어송라이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동률의 전람회에서의 경력에는 무엇이 있을까? Assistant: 연세대학교 재학 중 김동률은 서동욱과 함께 만든 2인조 듀엣 그룹 전람회로 1993년 12월 11일 MBC 대학가요제에 참가해 대상과 특별상을 수상하면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1] 이듬해 유재학 · 신해철 · 김형석이 공동으로 제작을 맡고 전람회가 작사·작곡에 참여한 1집 앨범 《Exhibition》을 발표했으며, 앨범의 첫 번째 수록곡인 "기억의 습작"은 이들의 첫 인기곡이 되었다. 군 복무를 마친 후인 1996년에는 후속 앨범인 2집 《Exhibition 2》를 발표했고, 이 앨범에서는 "취중진담"이 큰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앨범 수록곡 중 "유서"가 히사이시 조의 《천공의 성 라퓨타》사운드트랙 앨범 1번 곡 "The Girl Who Fell from the Sky"의 일부분과 비슷하다는 지적이 나왔고, 이를 두고 표절 논란이 일어나기도 했었다.[출처 필요] 이듬해인 1997년에는 각자의 진로 문제로 인해 해체를 선언했고, 해체 직전 3집 앨범 《졸업》을 마지막으로 발표했다.
Human: 아래 서초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서초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초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서초 역명판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서울교통공사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지하233 개업일 1983년 12월 17일 역 번호 224 승강장 구조 2면 2선(상대식) 노선 서울 지하철 2호선 시청 기점 23.7 km ■ 서울 지하철 2호선 ← 교대 (0.7 km) 방배 →(1.7 km) 서초역(瑞草驛)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지하철역이다. 목차 1 역사 2 역 구조 2.1 승강장 3 역 주변 4 사진 5 이용객 변동 6 인접한 역 7 각주 8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83년 6월 30일 : 서초역으로 역명 결정[1] 1983년 12월 17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교대 ~ 서울대입구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2] 역 구조[편집]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8개다. 승강장[편집] 교대 ↑ 내 | | 외 ↓ 방배 외선 순환 ■ 서울 지하철 2호선 교대 · 잠실 · 성수 · 왕십리 방면 내선 순환 사당 · 신림 · 신도림 · 영등포구청 방면 역 주변[편집] 국립중앙도서관 꽃시장 대검찰청 대법원 서울고등검찰청 서울고등법원 서울고등학교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서울중앙지방법원 서초경찰서 서초중학교 서초고등학교 조달청 한국지방행정연수원 센트럴시티 신세계백화점 메리어트호텔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아리랑국제방송 예술의 전당 사랑의교회 사진[편집] 리모델링 공사 이전의 승강장(스크린도어 설치 전) 대합실 이용객 변동[편집]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호선 승차 16,698 16,278 15,702 15,590 16,347 16,677 16,509 17,178 17,601 18,118 [3] 하차 18,171 18,241 17,524 17,251 17,828 18,235 17,952 18,543 18,775 19,385 승하차 34,869 34,519 33,226 32,842 34,175 34,912 34,461 35,722 36,376 37,503 노선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호선 승차 18,568 19,425 19,622 19,794 22,978 22,884 22,786 22,442 22,798 하차 19,798 20,359 20,586 20,514 23,441 23,307 22,850 22,457 22,736 승하차 38,366 39,784 40,208 40,308 46,419 46,191 45,636 44,899 45,534 인접한 역[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서초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순환선 223 교대외선 순환 ■ 서울 지하철 2호선 225 방배내선 순환 각주[편집] ↑ 서울특별시고시 제326호, 1983년 6월 30일. ↑ 地下鐵(지하철)Ⅱ 教大(교대)앞~서울大入口(대입구)구간 개통 서울大(대)~乙支路(을지로)입구 49분 걸려 새벽 5시~밤 11시 51분까지 운행, 동아일보, 1983년 12월 17일 작성. ↑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외부 링크[편집] 서초역 소개 (서울교통공사 사이버 스테이션 홈페이지) vdeh서울 지하철 2호선을지로순환선시청 - 을지로입구 - 을지로3가 - 을지로4가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신당 - 상왕십리 - 왕십리 - 한양대 - 뚝섬 - 성수 - 건대입구 - 구의 - 강변 - 잠실나루 - 잠실 - 잠실새내 - 종합운동장 - 삼성 - 선릉 - 역삼 - 강남 - 교대 - 서초 - 방배 - 사당 - 낙성대 - 서울대입구 - 봉천 - 신림 - 신대방 - 구로디지털단지 - 대림 - 신도림 - 문래 - 영등포구청 - 당산 - 합정 - 홍대입구 - 신촌 - 이대 - 아현 - 충정로 - 시청성수지선성수 - 용답 - 신답 - 용두 - 신설동신정지선신도림 - 도림천 - 양천구청 - 신정네거리 - 까치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서초역&oldid=24186202" 분류: 서울 지하철 2호선서울 서초구의 전철역1983년 개업한 철도역숨은 분류: 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MagyarItaliano日本語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4:2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서초역(Seocho station, 瑞草驛)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전철역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서초역 2호선 2000년 승차객수는 얼마인가요? Assistant: 16,698 Human: 아래 고려_선종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고려 선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려 선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국원후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궁예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고려 선종高麗 宣宗 지위 고려의 제13대 국왕 재위 1083년 ~ 1094년 전임자 순종 후임자 헌종 부왕 문종 이름 휘 왕운(王運)초명 왕증(王蒸) 왕기(王祈) 신상정보 부친 문종 모친 인예왕후 배우자 사숙왕후 종교 불교 선종(宣宗, 1049년 10월 9일 (음력 9월 10일) ~ 1094년 6월 17일 (음력 5월 2일)은 고려 제13대 국왕(재위: 1083년 ~ 1094년)이다. 휘는 운(運), 초명은 증(蒸) 또는 기(祈)이다. 자는 계천(繼天), 묘호는 선종(宣宗), 시호는 관인현순안성사효대왕(寬仁顯順安成思孝大王), 능호는 인릉(仁陵)이다. 문종과 인예태후(仁睿太后) 이씨(李氏)의 아들이다. 국원공에 책봉되었다가 친형 순종이 3개월만에 요절하여 왕위를 계승하였다. 목차 1 생애 1.1 사후 2 가계 3 관련 항목 생애[편집] 고려 문종의 둘째 아들로 인예왕후 소생이었다. 처음 이름은 증(蒸) 또는 기(祈)이다. 글을 잘 썼고 시도 잘 지었다. 부왕 문종에 의해 국원공(國原公)에 봉해졌으며, 1083년 부왕이 서거하고, 부왕의 사후 왕위를 계승한 형 순종이 병약하여 재위 3개월 만에 병사하자 바로 왕위를 계승하였다. 선종의 집권기는 불교와 유교의 균형적인 발전을 토대로 매우 안정되었으며, 외교에서도 거란을 포함한 송, 일본, 여진 등과 광범위한 교역을 추진하며 주도권을 행사하였다. 1084년에는 승과를 설치하고 불교를 장려하였으며, 변경을 지키는 사졸들에게 저고리와 바지를 하사하였다. 1085년 왕의 아우 의천(義天)이 몰래 송나라에 들어가 2년 동안 불법을 공부하고 돌아오자 송나라에서 항의하였으나 선종은 사절을 보내 이를 무마시켰다. 의천을 태운 배가 예성강 포구에 도착하자 선종은 친히 마중나가 환영의식을 성대하게 하였는데 의천은 불경과 경서 1,000권을 바쳤고, 흥왕사(興王寺)에 교장도감(敎藏都監)을 세울 것을 건의하였으며, 송, 요, 일본 등지에서 서적을 사들여 거의 4,000여 권에 달하였는데 모두 간행하게 하였다. 1089년 회경전(會慶殿)에 13층 금탑(金塔)을 세우고, 인예왕후(仁睿王后)의 청에 따라 천태종(天台宗)의 중심사찰인 국청사(國淸寺)를 짓게 하였다. 1091년 예부의 주장으로 국학(國學)에 72현의 상을 벽에 그려 붙였는데, 그 차례는 송나라 국자감의 예를 따르고, 그 복장은 10철(十哲)을 모방하게 하였다. 1092년 병이 들어 의원이 처방한 약을 먹고 문득 시를 지었는데 “약효가 있고 없음이야 무엇을 염려하랴. 덧없는 인생 시작이 있었으니 어찌 끝이 없으리. 오직 원하는 것은 여러가지 선행을 닦아 청청한 곳에 올라 부처에게 예를 드림이네.”라는 구절이 있어 만백성이 안타까워 하였다. 1094년 2월 열병(閱兵)을 한 뒤 재위 10년 7개월 만에 향년 46세로 승하하였다. 사후[편집] 후손 존재 여부는 미상이다. 아들 헌종이 물러난 뒤 그의 동생 숙종이 즉위하면서, 다른 아들 한산후를 경원군으로 유배보낸 뒤 기록이 사라졌다. 능은 개성 성동(城東)에 있는 인릉(仁陵)이며, 시호는 사효(思孝)이다. 가계[편집] 부왕: 문종(文宗, 1019~1083년 재위:1046~1083) 낙랑군(樂浪君) 모후: 인예왕후(仁睿王后, 1031~1092) 이자연의 첫째 딸 왕비: 사숙왕후(思肅王后, ? ~ 1107) 이석의 딸 아들: 헌종(獻宗, 1084~ 1097 재위:1094~1095) 딸: 공주(公主) 조졸 딸: 수안택주(遂安宅主, 1088~1128) 후비: 정신현비(貞信賢妃) 이예의 딸 딸: 경화왕후(敬和王后, 1079~1109) 후비: 원신궁주(元信宮主) 이정(李頲)의 딸 아들: 한산후(漢山侯) 관련 항목[편집] 사숙왕후 헌종 회순왕후 한산후 숙종 전임순종 제13대 고려 왕1083년 ~ 1094년 후임헌종 vdeh고려의 역대 국왕추존 (국조) (의조) (세조) (필영왕) (문원왕) (대종) (안종) (정간왕) (양헌왕) 고려 태조 혜종 정종 광종 경종 성종 목종 현종 덕종 정종 문종 순종 선종 헌종 숙종 예종 인종 의종 명종 신종 희종 강종 고종 원종 영종(사실상) 원종(복위)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 충혜왕 충목왕 충정왕 공민왕 우왕 창왕 공양왕 고조선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발해 후삼국 고려 조선 대한제국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고려_선종&oldid=24458920" 분류: 고려의 왕1049년 태어남불교도 군주1094년 죽음고려의 시인병사한 사람11세기 한국 사람11세기 한국의 군주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МонголNorskРусскийไทย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1일 (금) 09: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선종 왕운(宣宗, 1049년 10월 9일 (음력 9월 10일) ~ 1094년 6월 17일 (음력 5월 2일)은 고려의 제13대 국왕(재위: 1083년 ~ 1094년)이다. 휘는 운(運), 초명은 증(蒸) 또는 기(祈)이다. 자는 계천(繼天), 묘호는 선종(宣宗), 시호는 관인현순안성사효대왕(寬仁顯順安成思孝大王), 능호는 인릉(仁陵)이다. 문종과 인예태후(仁睿太后) 이씨(李氏)의 아들이다. 국원공에 책봉되었다가 친형 순종이 3개월만에 요절하여 왕위를 계승하였다. 아버지 문종 못지 않은 훌륭한 국왕이자 성군이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선종의 부왕은 몇년도에 돌아가셨는가? Assistant: 1083년
Human: 아래 나고야성_(사가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나고야성 (사가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나고야성 (사가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나고야 성 (히젠 국)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혼마루 터 오테 문 터 사가 현립 나고야 성 박물관 나고야 성(일본어: 名護屋城 나고야조[*])는 히젠 국 마쓰라 군 나고야에 있었던 성이다. 현재 사가현 가라쓰 시에 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임진왜란을 일으키기 직전 축성한 성이기도 하다. 국가 지정 특별 사적이다. 목차 1 개요 2 역사 3 관광 4 같이 보기 5 외부 링크 개요[편집] 나고야는 해안선을 따라 길게 늘어진 마쓰라 군의 북동부에 조그만 만 안에 위치해 있다. 중세에는 마쓰라토(松浦党)의 교역거점의 하나 였다. 여기에서는 원래 마쓰라토의 필두인 하타 가문의 친지로 있는 나고야씨의 거성 가키조에 성터였다. 하지만,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대륙 침략의 전초기지로 이곳을 선정해 성을 축성했다. 역사[편집]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가토 기요마사, 데라자와 히로타카가 성의 축성을 담당했다. 규슈의 여러 다이묘를 중심으로 인부를 동원하고, 공사를 강행해 불과 8개월만인 1592년 음력 3월에 완성했다. 규모는 당시 성곽으로는 오사카 성 다음가는 것이었다. 혼마루, 니노마루, 산노마루, 야마자토 구루와 등을 배치하고, 혼마루 북서쪽에 5중7계의 천수를 축성했다. 성곽의 주변에는 각 다이묘의 숙소가 배치되었다. 전쟁을 위해 갖추어진 성이었어도 히데요시가 좋아할 정도로 호화 찬란했다고 한다. 그래서, 성터에서는 금박으로 입힌 기와가 출토되고 있다. 히데요시는 음력 3월 교토를 출발 그 달내에 도착했다. 다음달 음력 4월 1일에는 고니시 유키나가, 소 요시토시가 이끄는 제1진이 조선으로 출발했다. 총 15만8000명으로 9군으로 편성된 부대였다. 침공당시에는 순조롭게 진군을 했지만, 명의 원군과 각지의 의병으로 전황은 교착되고, 1593년 음력 4월 강화교섭이 성립된다. 강화조건에 불복한 히데요시는 다시 1597년 음력 2월 14만의 군을 조선을 침략한다. 히데요시는 조선남부를 획득하기 위해, 장기전을 대비해 반도 남부에 왜성을 쌓을 것을 명령했다. 나고야 성은 이를 위한 보급 거점이었다. 1598년 음력 8월, 히데요시가 죽자, 전군은 조선에서 철퇴하고 나고야 성도 그 역할이 끝났다. 전쟁 중 히데요시가 나고야 성에 머문건 1년 2개월이었다. 전쟁이 끝이 난후, 이 지역은 데라자와 히로타카가 다스리기 시작한다. 세키가하라 전투후, 1602년 히로타카는 가라쓰 성을 축성한다. 이 즈음 나고야 성은 해체되고 그 잔재물로 성을 쌓을 때 부재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이때 성을 두 번 다시 못 쓰게 석벽의 네 모서리를 부수는 등 작업을 했지만, 본격적으로 성이 파괴 된 것은 시마바라의 난 이후이다. 현재는 당시의 석벽을 복원했다. 메이지 시대 이후 1926년(다이쇼 15년) 11월 4일 국가 지정 사적으로 되었다. 1955년(쇼와 30년) 8월 22일 특별사적으로 지정되었다. 1985년 개봉한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란》의 현지 촬영지 중 하나로 선정되어 영화촬영을 했었다. 2006년(헤세 18년) 4월 6일 일본 100명성에 선정되었다. 관광[편집] 교통 JR 규슈 가라쓰 역에서 하차한 후 환승 쇼와 버스 (고코센(呼子線)) 나고야 성 박물관입구 (名護屋城博物館入口) 하차, 도보로 5분소요. 주변 문화시설 및 관광명소 가라쓰 성 나고야 성 박물관 같이 보기[편집] 임진왜란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사가 현립 나고야 성 박물관 vdeh일본 100 명성홋카이도 고료카쿠 네무로 반도 자시 터 마쓰마에성 도호쿠 지방 고미네성 구보타성 네성 니혼마쓰성 다가성 모리오카성 센다이성 야마가타성 와카마쓰성 히로사키성 간토 지방 가나야마성 가와고에성 미노와성 미토성 반나지 사쿠라성 에도성 오다와라성 하치가타성 하치오지성 고신에쓰 지방 가스가산성 고모로성 고후성 다카토성 마쓰모토성 마쓰시로성 시바타성 쓰쓰지가사키관 우에다성 호쿠리쿠 지방 가나자와성 나나오성 다카오카성 마루오카성 이치노다니성 도카이 지방 기후성 나가시노성 나고야성 마쓰사카성 슨푸성 야마나카성 오카자키성 와케가와성 우에노성 이누야마성 이와무라성 긴키 지방 간논지성 니조성 다케다성 다카토리성 사사야마성 아즈치성 아카시성 아코성 오다니성 오사카성 와카야마성 지하야성 히메지성 히코네성 주고쿠 지방 기노성 도다성 돗토리성 마쓰야마성 마쓰에성 쓰야마성 쓰와노성 오카야마성 요시다 고리산성 이와쿠니성 하기성 후쿠야마성 히로시마성 시코쿠 지방 고치성 다카마쓰성 도쿠시마성 마루가메성 마쓰야마성 오즈성 우와지마성 유즈키성 이마바리성 규슈 지방 가고시마성 구마모토성 나고야성 사가 성 시마바라 성 오노 성 오비성 오카성 요시노가리 유적 후나이성 후쿠오카성 히라도성 히토요시성 류큐 제도 나카구스쿠성 나키진성 슈리성 같이 보기 속일본 100 명성 vdeh도요토미 정권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요토미 히데쓰구 도요토미 히데요리 도요토미 가문 오만도코로 기타노만도코로 요도도노 | 도요토미 히데나가(히데야스) 닛슈니 아사히히메 | 하시바 히데카쓰(이시마쓰마루) 도요토미 쓰루마쓰 | 도요토미 구니마쓰 덴슈니 | 하시바 히데카쓰 도요토미 히데토시 도요토미 히데카쓰 하시바 히데야스 하시바 나가요시 하시바 다카요시 다이묘오대로 도쿠가와 이에야스 마에다 도시이에(도시나가) 모리 데루모토 우에스기 가게카쓰 우키타 히데이에 |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삼중로 이코마 지카마사 호리오 요시하루 나카무라 가즈우지 오봉행 아사노 나가마사 이시다 미쓰나리 마시타 나가모리 나쓰카 마사이에 마에다 겐이 | 미야베 게이준 도미타 잇파쿠 기타 다이묘 취차 어가중 칠수조 교토소사대 황모의중 문치파 무단파 시즈가타케의 칠본창 칠장 정책 태합검지 도수령 병농분리 신분통제령 인소령 총무사령 훤화정지령 해적정지령 바테렌 추방령 기요스 회의 주고쿠 국분 시코쿠 국분 규슈 국분 오슈 임치 천정대판 천정통보 전쟁 혼노지의 변 야마자키 전투 시즈가타케 전투 고마키·나가쿠테 전투 기슈 정벌 시코쿠 정벌 도야마 전투 규슈 정벌 오다와라 정벌 센보쿠 잇키 가사이·오자키 잇키 구노헤 마사자네의 난 우메키타 잇키 임진왜란 정유재란 세키가하라 전투 오사카 전투 직할령 태합장입지 오사카 사카이 교토 후시미 나가사키 | 오사카 성 후시미 성 주라쿠다이 나고야 성 야마자키 성 묘카쿠지 성 교토 신성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무가정권 도요토미 씨(하시바 씨 기노시타 씨) 관백 태합 도요쿠니 신사 오사카 번 좌표: 북위 33° 31′ 48.12″ 동경 129° 52′ 9.75″ / 북위 33.5300333° 동경 129.8693750°  / 33.5300333; 129.869375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나고야성_(사가현)&oldid=23071918" 분류: 사가현의 성가라쓰시의 건축물일본의 특별사적임진왜란도요토미 히데요시도요토미씨데라자와씨일본 100대 성일본의 폐성가라쓰시의 역사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فارسیFrançais日本語Português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21일 (수) 17: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나고야성(일본어: 名護屋城 나고야조[*])는 히젠 국 마쓰라 군 나고야에 있었던 성이다. 현재 사가현 가라쓰시에 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임진왜란을 일으키기 직전 축성한 성이기도 하다. 국가 지정 특별 사적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나고야성은 공사가 시작된지 8개월 만에 완성이 되었는데, 이 공사가 완성된 해는 언제인가? Assistant: 1592년 Human: 아래 강만수_(배구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강만수 (배구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강만수 (배구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강만수 개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출생 1955년 8월 24일(1955-08-24) (63세) 경상남도 하동군 키 196cm 몸무게 95kg 포지션 레프트 출신 학교 1971-19741974-19781985-1987 부산성지공업고등학교한양대학교와세다 대학 경력 선수 연도 소속팀 1978-19801980-19821983-19841988-1991 금성통신알자지라현대자동차서비스도레이 배구단 국가대표팀 1972-1984 대한민국 지도자 19921993-200119972009-20112013-2015 현대자동차서비스 (코치)현대자동차서비스대한민국수원 KEPCO 45아산 우리카드 한새 메달 기록 대한민국의 선수 남자 배구 아시안 게임 금 1978 방콕 단체전 은 1974 테헤란 단체전 동 1982 뉴델리 단체전 아시아 선수권 대회 은 1975 멜버른 단체전 은 1979 마나마 단체전 동 1983 도쿄 단체전 유니버시아드 금 1979 멕시코시티 단체전 동 1973 모스크바 단체전 동 1977 소피아 단체전 강만수(姜萬守[1], 1955년 8월 24일 ~ )는 대한민국의 은퇴한 배구 선수이자 배구 감독이다. 현대캐피탈 배구단, 한국전력, 우리카드의 감독과 한국배구연맹(KOVO)의 경기운영위원장을 지냈다. 아들은 야구 선수인 강성호이다. 목차 1 생애 2 수상 경력 3 각주 4 외부 링크 생애[편집] 성지공고, 한양대학교를 나와 국가대표 레프트 공격수로 뛰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강 스파이커로 명성을 떨쳤다. 고등학교 3학년 때 처음 국가 대표로 발탁되었으며, 한창 활약할 당시 ‘아시아의 거포’라 불렸다.[2] 금성통신과 현대자동차서비스를 거쳐 일본에서 활동하다가 은퇴하였다. 1993년부터 2001년까지 현대자동차서비스의 감독을 역임했고, 1997년에는 국가대표팀 감독도 역임했다. 2008년 6월 배구협회 강화위원장에 취임했으며 2008~2009 시즌 프로 배구 제6구단으로 출범하는 우리캐피탈 배구단의 초대 감독으로 물망에 올라 있었으나, 우리캐피탈에서는 김남성 감독을 선임했다. 현대캐피탈에서 물러난 이후 강만수는 2009년 6월 25일 한국전력의 감독으로 부임하여 현장에 복귀했는데, 이는 예상을 깬 파격적인 인사였다.[3] 2010-2011 시즌 10승 20패를 기록하여 한국전력이 프로화된 이후 최다 승을 거두었지만,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를 이유로 2011년 시즌 후 경질되고 신춘삼에게 감독직을 넘겼다. 2012년 10월 한국배구연맹(KOVO) 경기운영위원장에 임명되어 활동하였고, 2013년 4월 30일 당시 한국배구연맹 관리 구단이었던 드림식스를 인수한 아산 우리카드 한새의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하지만 2014-15 시즌에 우리카드의 팀 매각설과 함께 주축 선수들의 연이은 병역 복무로 팀 전력이 크게 약화되어 최하위로 처졌고, 결국 감독직에서 사임하였다.[4] 수상 경력[편집] 1973년 모스크바 유니버시아드 동메달 1974년 아시안 게임 은메달 1977년 소피아 유니버시아드 동메달 1978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 1979년 멕시코시티 하계 유니버시아드 금메달 1982년 아시안 게임 동메달 1984년 하계 올림픽 5위 제11회 대통령배 배구 대회 최우수 지도자상 1995년 한국배구 슈퍼리그 최우수 지도자상 각주[편집] ↑ “男子排球國家代表 姜萬守 내년「金星通信」入團 확정”. 동아일보. 1977년 5월 27일. 2017년 4월 1일에 확인함.  ↑ 이동윤 (2005년 10월 29일). “日 한류 붐 원조··· 1980년대 강사마로 불렸죠”. 문화일보. 2008년 9월 3일에 확인함.  ↑ KEPCO 45 신임 감독, 강만수 씨는 누구? 《마이데일리》 2009년 6월 25일 14:17 작성 ↑ 우리카드, 양진웅 감독대행 체제로… 강만수 총감독 - 연합뉴스 외부 링크[편집] 네이버 캐스트 : 오늘의 인물 - 강만수 전임이인 제3대 현대자동차서비스 감독1993. 4. - 2001. 10. 후임송만덕 전임공정배 수원 KEPCO 45 감독2009. 6. 25 - 2011. 4 후임신춘삼 전임김호철 제4대 아산 우리카드 한새 감독2013. 4. 30 - 2015. 1. 8 후임양진웅(감독 대행)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강만수_(배구인)&oldid=24246843" 분류: 1955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남자 배구 선수대한민국의 배구 감독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대한민국의 대학 강사대한민국 배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의 올림픽 배구 참가 선수1972년 하계 올림픽 배구 참가 선수1976년 하계 올림픽 배구 참가 선수1984년 하계 올림픽 배구 참가 선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은메달리스트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동메달리스트아시안 게임 배구 메달리스트1974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1978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1982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배구 참가 선수1974년 아시안 게임 배구 참가 선수1978년 아시안 게임 배구 참가 선수1982년 아시안 게임 배구 참가 선수체육훈장 백마장 수훈자하동군 출신성지공업고등학교 동문성지고등학교 (부산) 동문한양대학교 동문와세다 대학 동문도카이 대학 동문일본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9일 (일) 21:5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강만수(姜萬守, 1955년 8월 24일 ~ )는 대한민국의 은퇴한 배구 선수이자 배구 감독이다. 현대캐피탈 배구단, 한국전력, 우리카드의 감독과 한국배구연맹(KOVO)의 경기운영위원장을 지냈다. 아들은 야구 선수인 강성호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강만수는 어느 대학교를 나왔을까? Assistant: 한양대학교
Human: 아래 전학공투회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전학공투회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학공투회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일본의 신좌파 기초개념 사회주의 공산주의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트로츠키주의 마오주의 무정부주의 좌파공산주의 반레닌주의 반스탈린주의 구조개혁 기성우익 신좌파 극좌 주요 당파·단체 혁공동계 제4인터내셔널 JRCL 전국협의회파 혁마르파 중핵파 중핵 관서파 공산동(분트)계 전기파 봉화파 반기파 통일위 사노당 동지회 ML파 마르청동 혁기파 노공당 혁명좌파 적군파 연합적군 일본적군 무브먼트 운동 사청동(혁노협)계 해방파 현대사파 적채사파 전협 구조개혁파계/소련계 공노당 프론트 일본의 소리 MDS 통일공산동맹 중국계 모택동사상연구회 일공좌파 일공ML파 푸른당 (삼교파) 아나혁련계 아나키스트 사회혁명전선 무정부공산주의자동맹 급진적 무당파 동아시아 반일무장전선 경대 빨치산 역사 스탈린 비판 안보투쟁 육전협 전학련 전공투 산리즈카 투쟁 내홍 신주쿠 소란 사건 요도 호 사건 산악베이스 사건 아사마 산장 사건 정치사상 반요요기파 일본제국주의 선구이성론 계층으로서의 학생운동론 게릴라 투쟁 혁명적 패배주의 혁명적 의회주의 자기부정론 반제국주의 반제국-반스탈린주의 전단계 무장봉기론 국제근거지론 반황실투쟁 반차별투쟁 장애자 해방투쟁 궁민혁명론 월년투쟁 아이누 혁명론 반일망국론 일제본국인 뛰어넘기 논리 권력모략론 이중대치 혁명전쟁 관련 항목 일본 공산당 민청 무장투쟁 노동운동 반전운동 세계혁명론 국제주의 전위당 과격파 극좌폭력집단 가짜 좌익 폭력단체 v • d • e • h 전학공투회의(일본어: 全学共闘会議 젠가쿠쿄토카이기[*])는 전국학생공동투쟁회의의 약자로, 1960년대 일본 학생운동 시기에, 1968년에서 1969년에 걸쳐 각 대학에 결성된 주요각파의 전학련이나 학생이 공동투쟁한 조직이나 운동체를 말한다. 일본 공산당을 보수주의 정당으로 규정하고 도쿄 대학를 중심으로 시작된 새로운 학생운동이다.[1] 약칭인 전공투(일본어: 全共闘 젠쿄토[*])로도 불린다. 전공투와 같은 1960년대 말 일련의 학생운동은 통틀어 전공투운동이라고 부른다. 목차 1 역사 1.1 이전의 역사 1.2 발단 1.3 전개 1.4 수습 2 각주 3 같이 보기 역사[편집] 이전의 역사[편집] 전공투 운동 이전의 학생운동은 수업 방해를 주로 했기 때문에, 대학측의 양보를 쟁취한 성공 사례가 드물었다. 이에 비해 전공투 운동에서는 전술로써 본관봉쇄, 바리케이트 시위라는 실력 행사를 동방하는 싸움을 전개해, 교관, 직원의 출입을 방지하는 전투방법을 전개한 것이 특징적이다. 오차노미즈 여자대학에서는 1965년 9월 22일부터 기숙사규정개악반대를 외치는 전학무기한수업방해에 들어갔다. 그러나 학업방해에 대한 반대가 있었기 때문에 9월 30일의 학생 대회에서 수업 방해를 풀었다. 다카사키시립경제대학에서는 1965년 9월에 시측이 재정난을 이유로 사학화를 제안했다. 교수회는 이를 반대하였고 학생도 교수회를 지지해서 사학화는 중단되었다. 시측은 대신해서 수업료의 대폭인상을 내세웠고, 학생은 수업료인상 반대투쟁을 조직했지만 시위대를 촬영한 사진 등을 근거로 처분자가 이어졌다. 학생운동의 발단은 각 대학에 따라 각기 달랐지만, 일반적으로 '전공투'라고 불리는 것은 아래의 니혼대, 도쿄대에서의 전공투운동이다. 발단[편집] 1968년 5월, 니혼 대학에서 도쿄 국세국의 가택 수색에 의해 22억 엔의 용도불명 자금이 발각되었다. 당시 니혼 대학에서는 학생자치회를 인정하지 않았지만, 이 용도불명 자금 문제를 계기로 대학당국에 대한 학생의 불만이 폭발해 5월 23일에 니혼 대학 최초의 시위인 '이백미터 시위'가 일어났다. 5월 27일에는 아키타 아케히로를 의장으로 일대전공투가 결성되었다. 이사회에서는 전공투의 요구에 대해 9월 30일에 학생과 당국의 교섭의 장으로써 '전학집회'를 료고쿠 강당에서 개최했다. 이 집회에는 3만 5천명의 학생이 참가해 전공투측은 '대중단체교섭'을 외쳤다. 12시간의 교류 후, 당국은 경리공개와 이사전원의 퇴진 등 전공투측의 요구를 일단은 받아들였다. 하지만 다음날이 되어 사토 에이사쿠 수상이 '대중단체교섭은 상식을 벗어나있다'라고 간섭하여, 당국측이 학생과의 약속을 철회하였다. 직후의 기동대 투입에 전공투측 학생은 박수로 맞이했지만 기동대는 반대로 전공투측 학생만을 진압했다. 이로 인해 일대투쟁은 진정되었지만, 일부 학생은 도쿄대 투쟁등에 합류한다. 도쿄대에서는 의학부 인턴 문제에 대한 학생에 대한 부당처분을 발단으로, 대학 당국에 대한 항의 활동이 높아져 야스다 강당을 일시 점거한 후, 7월 5일에는 야마모토 요시타카를 의장으로 동대전공투가 결성되었다. 동대전공투도 니혼 대학처럼 대학내의 건물을 바리케이트 봉쇄해, 당국과의 대중단체교섭을 요구했다. 전개[편집] 1969년 도쿄대 10개 학부 중 법대를 제외한 9개 학부를 장악하고 야스다강당 점거를 시작한다. 혁명의 유일한 전위임을 자처하는 일본 공산당은 공개적으로 전공투를 비판했으며, 야스다 강당 점거를 막으려는 공산당 학생위원회격인 민청과 물리적 충돌이 있었고, 민청은 이후 강당 무력 진압을 양해하는 각서를 정권측과 교환한다. 이 당시 일본 학생운동의 대표체격인 총5파 학생운동조직 중 3파가 합류한 이른바 3파전학련과는 무관한 별개 흐름의 운동으로 분류한다. 야스다 강당 점거가 진압된 이후 이들은 무장투쟁을 선언하며 파출소를 습격하여 총기를 탈취함으로써 이른바 연합적군이 탄생한다.[1] 전공투는 처음에는 학비문제 등 각 대학 개별의 문제를 다루는 조직, 운동으로서 각 대학의 학생자치회의 테두리를 넘어 결성되었다. 그 후 대학당국의 경직된 대응이나 정부와 기동대의 개입을 경험하는 가운데 점점 전학화하여, '대학과 학생, 연구자의 자세를 다시 본다고 하는, 대학의 이념과 학생의 주체에 대한 운동'이 되어갔다. 전학 바리케이트 봉쇄는 제국주의대학 해체의 정치성을 가지는 동시에 자기부정의 사상성을 가지게 되었다. 이렇듯 도쿄대 투쟁에서 '대학해체', '자기부정'이라는 슬로건이 등장하였고, 대학내 문제의 테두리를 넘어 '학생과 국가권력 사이의 싸움'이라는 형태가 만들어졌다. 각 대학에서의 타협 등으로 종결할 수 있는 투쟁이 아니게 되어, 이후의 투쟁 패배 후에는 운동이 단번에 해체되는 원인도 되었다. 당시, 학생으로서 와세다 대학 투쟁에 가담했던 구레 도모후사는 '자기부정은 자기긍정이다. 출세를 위해서 학문을 하면 할수록 학문의 본래 의미로부터 벌어지는 자신을 발견한다. 그것이 자기부정이다. 자기부정은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다. 자기긍정의 결과 출현하는 것이다.'라고 기술했다. 1968년 11월 22일, 도쿄대 야스다 강당 앞에서 '도쿄대, 니혼대 투쟁 승리 전국학생 총결기집회'가 열려, 2만명 가까운 학생이 모였다. '이 결기집회가 후의 각 대학에서의 전공투 운동의 원점이 되었고, 또 그 운동 가운데에서 빛나는 피크'가 되었다. 또 11월 1일에는 도쿄대 오오코치 가즈오 총장, 전학부장, 평의원이 분쟁의 책임을 지고 사임했다. 1968년~1969년에 걸쳐 30여 대학이 바리케이트로 봉쇄된 채로 해를 넘쳤다. 1969년 1월 18일~19일, 전공투가 바리케이트 봉쇄한 야스다 강당에 8,500명의 기동대가 공격을 개시해 72시간에 걸쳐 공방이 거듭되었고, 동대전공투의 운동은 수습되었다. (야스다 사건) 그렇지만 도쿄대 투쟁의 해산으로, 전공투운동은 전국에 들판의 불길과 같이 퍼져갔다. 1969년 무렵에는 교토 대학을 시작으로 홋카이도 대학, 도호쿠 대학, 히토쓰바시 대학, 도쿄 외국어대학, 요코하마 국립 대학, 시즈오카 대학, 오사카 대학, 나고야 대학, 오카야마 대학, 히로시마 대학, 규슈 대학, 구마모토 대학, 메이지 대학, 와세다 대학, 게이오기주쿠 대학, 호세이 대학, 니혼 대학, 주오 대학, 도시샤 대학, 리쓰메이칸 대학, 간사이 대학, 간세이 가쿠인 대학 등, 일본의 주요 국공립 대학과 사립 대학의 8할에 해당하는 165개 교가 전공투에 의한 투쟁 상태에 있거나 바리케이트 봉쇄 상태였다. 수습[편집] 전공투는 각 대학의 각 주요당파의 연합체에 일반학생이 다수 참가한 형태로, 특정한 사상이나 조직, 목표가 있는 것이 아니고, 그 경과의 전개, 형태와 평가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당시 가두 투쟁을 행했던 삼파전학련이나, 그것을 지도했던 공산주의자동맹,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 신좌파의 여러 당파와의 관계도 활자화된 기록이 중심이다. 또한 삼파전학련과 전공투를 혼동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하는 당사자도 존재한다. 일반적으로는 '1970년대에 들어 뉴레프트 당파간의 내분에 의해 100명 이상의 살인이 발생한 이외에, 연합적군에 의한 린치 사건, 아사마 산장 사건이나 일본적군에 의한 요도 호 사건 등의 사건에 의해 급진적인 학생운동은 급속도로 지지를 잃어 자연발생적인 전공투는 급속도로 붕괴했다.'라고 평가된다. 그렇지만 '어떤 당파도 무당파운동도 연합적군 사건에 의해 활동력이 줄었다는 사실은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지적도 있다. 각주[편집] ↑ 가 나 고사카 슈헤이; 아쿠타 마사히코, 아사리 마코토, 기무라 오사무, 고마츠 요시히코, 하시즈메 다이사부로 (2006년 3월 28일). 《미시마 유키오 對 동경대 전공투 1969-2000》. 새물결출판사.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같이 보기[편집] 386 세대 프랑스 5월 혁명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전학공투회의&oldid=23126151" 분류: 공산주의아나키즘일본의 학생 운동일본의 단체전학공투회의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Français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1일 (토) 20:1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전학공투회의(일본어: 全 (ぜん)学 (がく)共 (きょう)闘 (とう)会 (かい)議 (ぎ) 젠가쿠쿄토카이기[*]), 약칭 전공투(일본어: 全 (ぜん)共 (きょう)闘 (とう) 젠쿄토[*])는 1968년에서 1969년 사이 일본의 각 대학에서 학생운동이 바리케이드 스트라이크(바리스토) 등 무력투쟁으로 행해지던 시절, 분트와 삼파전학련이 학부와 정파를 초월한 운동으로서 조직한 대학내 연합체들이다. 전공투는 특정한 조직・단체의 이름이 아니고 1968년에 국한된 대학가 "현상"에 가깝기 때문에, 학교별 전공투들은 활동시기・목적・조직・운동방침이 모두 제각각이다. 그 중 니혼대학의 일대전공투와 도쿄대학의 동대전공투가 유명하다. 동대전공투는 “대학해체”, “자기부정”의 주장을 내세웠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 “실력투쟁”을 전면에 세워 데모 중 기동대와 충돌할 때면 투석전이나 각목(게발트봉)도 사용되었다. 전공투운동은 특정 정파가 자기 사상과 정책을 내거는 조직운동이라기보다는 대중운동이었던 측면이 있었다고도 한다. 대학마다 개인마다 다양했다고 할 수 있다. 전공투와 가장 극렬히 대립한 것은 일본공산당 하위조직인 민청계 전학련이다. 도쿄대 투쟁 때도 전공투가 난립하는 중 7학부 대표단을 주도하고 대학 당국과 확인서를 만들어 종결시킨 것이 민청계였다. 니혼대학에서 일대전공투와 대립한 것은 체육회계・민족파계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니혼 대학에서 이백미터 시위가 일어난 계기와 결과는? Assistant: 1968년 5월, 니혼 대학에서 도쿄 국세국의 가택 수색에 의해 22억 엔의 용도불명 자금이 발각되었다. 당시 니혼 대학에서는 학생자치회를 인정하지 않았지만, 이 용도불명 자금 문제를 계기로 대학당국에 대한 학생의 불만이 폭발해 5월 23일에 니혼 대학 최초의 시위인 '이백미터 시위'가 일어났다. 5월 27일에는 아키타 아케히로를 의장으로 일대전공투가 결성되었다. 이사회에서는 전공투의 요구에 대해 9월 30일에 학생과 당국의 교섭의 장으로써 '전학집회'를 료고쿠 강당에서 개최했다. 이 집회에는 3만 5천명의 학생이 참가해 전공투측은 '대중단체교섭'을 외쳤다. 12시간의 교류 후, 당국은 경리공개와 이사전원의 퇴진 등 전공투측의 요구를 일단은 받아들였다. 하지만 다음날이 되어 사토 에이사쿠 수상이 '대중단체교섭은 상식을 벗어나있다'라고 간섭하여, 당국측이 학생과의 약속을 철회하였다. 직후의 기동대 투입에 전공투측 학생은 박수로 맞이했지만 기동대는 반대로 전공투측 학생만을 진압했다. 이로 인해 일대투쟁은 진정되었지만, 일부 학생은 도쿄대 투쟁등에 합류한다. Human: 아래 중공군_춘계공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중공군 춘계공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공군 춘계공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공군춘계공세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중공군 춘계 공세한국 전쟁의 일부춘계공세 당시 격전지였던 가평군날짜1951년 4월 22일 - 1951년 6월 10일장소대한민국 38도선 인근결과 중공군의 전술적 승리 유엔군의 전략적 승리 유엔군의 반격 시작 중공군의 목표 달성 실패 한국 전쟁의 교착화 개성시가 북한 땅이 됨 대한민국이 동북부 영토 획득교전국 국제연합 대한민국 미국 필리핀 룩셈부르크 벨기에 영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중화인민공화국 북한지휘관 매슈 리지웨이 펑더화이군대 대한민국 국군 제10군단 제27보병여단 제29보병여단 제3군집단 제9군집단 제19군집단병력 418,500[1] 245,000 152,000 11,500 1,500 기타: 10,000 700,000[1] 서울 방면:337,000[2]피해 규모 불명 110,000[3][4] vdeh한국 전쟁 북의 공세 폭풍 작전 춘천 제1차 서울 고랑포 개성·문산 대한해협 옹진 의정부 수원 비행장 공중전역 안동 주문진항 오산 스미스 특수임무부대 평택 천안 조치원 대전 상주 영동 황간 하동 노치 부산 교두보 마산 포항 대구 제1차 낙동강 볼링장 전투고지 경주 함안 남강 가산 다부동 영산 제2차 낙동강 UN군의 반격 해주 인천 제2차 서울 282 고지 1950년 10월 12일 사리원 평양 영변 구진 정주 중공군 개입 온정 은산 박천 청천강 와원 장진호 페이스 특수임무부대 제3차 서울 의정부 채궁현 제1, 2차 원주 선더볼트 작전 쌍둥이굴 횡성 지평리 제3차 원주 주암리 원산 봉쇄 킬러 작전 리퍼 작전 매화산 코리지어스 작전 토마호크 작전 러그드 작전 불굴 작전 춘계공세 임진강 율동 가평 소양강 전선 교착 피의 능선 민덴 작전 펀치볼 단장의 능선 한강 코만도 작전 제1차 마량산 학당리 보통비행 작전 제2차 마량산 이리 고지 올드발디 고지 섬광 작전 백마고지 삼각고지 제1차 후크 고지 제2차 후크 고지 잣골 베가스 전초기지 포크찹 고지 제3차 후크 고지 해리 전초기지 금성 사미천 정전 협정 공중전 북한 폭격 MIG 협곡 순천 교살 작전 수풍댐 폭격 전후 분쟁 D.M.Z. 분쟁 1·21 사태 EC-121 격추 사건 판문점 강릉 무장공비 서해교전 여수 제1차 연평 제2차 연평 대청 천안함 제3차 연평 판문점 선언 vdeh중공군 춘계공세 임진강 사창리 가평 율동 소양강 용문산 중공군 춘계공세 또는 중공군 제5차 공세는 한국 전쟁 당시 중국인민지원군에 의해 수행된 군사 작전이다. 작전을 위해 70만 명으로 합산된 3개 야전군을 기동한 중공군 사령부는 1950년 11월부터 12월까지 수행한 제2차 공세 이래로 가장 규모가 큰 공세 작전을 수행했다. 작전은 1951년 여름부터 시작되었고 한반도에서 영원히 유엔군을 몰아내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공세의 첫 공격은 미국 제1군단의 다국적 부대에 맞서는 것으로 시작되었지만, 미국 제1군단은 4월 22일부터 4월 25일까지 발발한 임진강 전투와 가평 전투에서 맹렬히 저항했고 공세의 기동성을 약화시켜 서울 북쪽의 무명 전선에서 공세가 멈추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1951년 5월 15일 중공군은 춘계 공세의 2차 기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동쪽의 국군과 미국 제10군단을 공격하였다. 초기의 공세는 성공적이었지만 그들도 5월 20일이 되자 공세를 멈출 수 밖에 없었다. 5월 말 미국 제8군이 반격을 감행하였고 중공군은 이에 큰 손실을 입었다.[5] 그러나 유엔군의 반격도 38도선 인근에서 중공군에 의해 저지됨에 따라 한국 전쟁은 교착전으로 바뀌었고 이러한 전쟁 양상은 1953년 정전 협상 때까지 지속되었다. 목차 1 배경 1.1 중공군 개입 1.2 UN군 반격 2 서막 3 전투 3.1 제1차 공세 3.2 제2차 공세 4 여파 5 같이 보기 6 각주 배경[편집] 중공군 개입[편집] 1950년 북한이 대한민국을 침공하고 한반도 대부분을 장악하였으나 부산 교두보 전투에서 수많은 군대를 잃은 후 북한군은 패배하기 시작했다. 유엔군이 인천 상륙 작전 이후 공세로 작전을 변경하였고, 이후 유엔군은 38선을 돌파하여 북한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그들의 주권 침해를 우려하여 미군이 38도선을 넘어올 시에 한국에서 군사적으로 개입할 것이라고 경고했다.[6] 그러나 미국 대통령 해리 트루먼은 이러한 경고를 무시했다.[7] 1950년 10월 중순 평양을 탈환한 유엔군과 국군은 압록강을 향해 진격을 감행하였지만 중공군은 이 무렵 압록강을 넘어 첫 공세를 개시했다. 이러한 공세는 발견되지 않았기에 유엔군 사령관 더글라스 맥아더는 크리스마스가 오기 전에 전쟁을 끝내 중공군이 한국에서의 전쟁에 개입할 시간을 주지 않으려 했다. 이에 맞서 중공군 사령부는 전면적인 공세를 감행해 북한 지역에서 유엔군을 완전히 몰아냈고 38선 이남으로 전선을 옮기려고 했다. 1951년 1월 4일 서울이 다시 공산군의 수중에 넘어갔고 유엔군은 1951년 1월 휴전 협상을 개시하려고 했다. 그러나 마오쩌둥과 중공군 수뇌부는 협상을 거부했고 이에 따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중화인민공화국을 침략자로 비난하고 한반도에서 철수할 것에 동의하는 결의안 제498호를 채택했다.[8] UN군 반격[편집] 더글라스 맥아더를 대체하여 새로운 사령관이 된 매슈 리지웨이는 공산군으로부터 서울을 재탈환하기 위해 북쪽 방면으로 반격을 감행하였고 38도선 일대의 고지를 점령하기 위해 중공군과 치열한 싸움을 벌였다. 선더볼트 작전 이후 유엔군은 서울을 탈환하고 38도선 이남의 영토를 회복했으나 인민의용군 사령부는 제4차 공세로 알려진 반격전을 감행해 다시 유엔군을 남쪽으로 밀어붙였다. 그러나 유엔군의 저항으로 이 공세도 일부 영토만을 얻은 채 순식간에 저지되고 말았다. 이 무렵 중공군은 대부분은 심각한 피해를 입었고 끊임없는 공세와 피로로 인해 사기가 완전히 저하되었다. 설상가상으로 미국 공군이 그들의 보급로를 지속적으로 폭격하여 중공군은 식량과 보급물자의 부족으로 인해 전투력이 더욱 약화된 상황이었다. 이와는 반대로 유엔군은 초기에 일어났던 최근의 반격 작전을 통해 전방의 전투 편성이 넓게 분산되어 있었다. 서막[편집] 중국인민지원군 사령관 펑더화이와 나머지 사령관들은 한반도에서 영구적으로 유엔군을 몰아내기로 결정하고 그의 전선 병력을 재정비했다. 또한 중국 사령부는 3개의 야전군과 3개의 북한 군단을 공격부대로 결집시켰는데 총 70만 명이었다.[1] 펑더화이는 제3, 제9, 제19군집단의 27만 명에게 서울 방면으로 공격할 것을 명령했고 나머지 부대는 전선의 각지로 분산 배치되었다. 분산 배치된 병력 중 214,000명은 지원 및 수송 목적을 위해 전략 부대로 배치되었다. 마오쩌둥의 지휘를 받는 인민지원군의 제3, 제19군은 1951년 2월부터 한반도에 투입되기 시작하였고,[9] 이들은 4개의 야포 사단과 2개의 장거리포 사단, 4개의 대공사단과 1개의 다연장 로켓포 사단, 그리고 4개의 전차여단을 보유하고 있었다.[10] 이러한 사단 배치는 한국 전쟁 발발 이후 중공군이 군대를 투입한 이래 처음 있는 배치이기도 했다. 펑더화이와 공산군 지도자는 그들이 전투에서 승리할 시 노동자의 날에 서울에서 행진할 것이라고 약속하기도 했다.[11] 유엔군은 공산군에 대한 최근의 승리로 인해 자신감에 차 있었고 이러한 중공군의 공세에 대해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지뢰나 장애물을 설치하는 것과 같은 방어 작업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몇몇 대한민국 부대는 중공군 4차 공세로 인해 인원이 대폭 감소하였지만 그들은 여전히 15만 명이나 되는 야전군을 보유하고 있었다. 유엔군 전체 야전군 병력은 418,000명이었지만 전선에 배치된 예하 부대 사이에는 여전히 틈이 남아 있기도 했다. 공세가 시작될 무렵에 이러한 틈새는 유엔군 사령부에 치명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는데 이는 중공군의 제2차 공세 때에 발발한 문제를 반복한 것이기도 했다.[12] 예를 들어 임진강 부근의 글로스터셔 연대와 왕립 얼스터 소총 연대는 19km 정도 떨어져 있었는데 이는 중공군이 그 사이를 비집고 들어가 글로스터 연대를 궤멸시키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전투[편집] 제1차 공세[편집] 1951년 제1차 공세 당시 중공군이 획득한 영토. 이 부분의 본문은 임진강 전투입니다. 중공군의 춘계 공세는 1951년 4월 22일 중공군이 임진강 남안에 주둔한 유엔군을 공격하면서 시작되었다. 임진강은 서울로 향하는 역사적인 침입로에 위치한 전략적으로 중요한 요충지였다. 전투가 벌어진 곳은 영국군 제29보병여단이 방어하고 있었던 곳으로, 제29보병여단은 3개의 영국군 보병대대와 1개의 벨기에 보병대대로 구성되어 있었다. 영국군은 전차와 포병으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었다. 수적으로 우세한 적군과 맞닥뜨렸음에도 불구하고 여단은 3일 동안 위치를 사수하며 적군의 인해전술을 격퇴시켰고 이 과정에서 중공군은 1만 명 이상의 피해를 입었다. 그러나 제1대대 글로스터 여단은 중공군에게 포위된 이후 거의 궤멸되었고 살아남은 이들은 포로가 되었다. 전투 과정에서 여단은 1,091명의 사상자가 나왔으며 이 중 622명은 글로스터 여단에서 발생했다.[13] 이 전투에서 영국군에 비해 10배나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지만 중공군은 이 전투를 전쟁 기간 동안의 놀라운 업적 중 하나로 생각하고 있었다. 제29보병여단이 피해를 입고 철수하는 동안 필리핀 분견대는 율동 전투에서 후위를 방어하며 영국군의 철수를 지원했다. 임진강 전투에서 다른 유엔군 부대와 협력한 필리핀군의 작전은 중공군 공세의 기동력을 약화시키고 유엔군이 철수할 시간을 벌어주었다. 유엔군은 서울에서 북쪽으로 5마일 떨어진 "무명 전선"이라는 지역에서 방어적 위치로 전환했고 중공군의 공세는 이 지역에서 저지되었다. 양측은 이 때 중공군이 노동자의 날에 서울 시가를 행진할 수 있다는 관망이 실패할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다.[11] 반면에 유엔군은 중공군이 서울을 재점령하는 것을 막음으로써 전략적인 이익을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영국군 여단의 큰 손실은 영국과 유엔 사령부 내에서 많은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14] 이 부분의 본문은 가평 전투입니다. 가평군에서는 영국군 제27보병여단이 가평 협곡 지역에서 방어 지점을 설치하고 있었는데 이 지역 또한 남쪽의 서울로 이어지는 중요한 길목이었다. 제3왕립 오스트레일리아여단과 패트리샤 공주의 캐나다 경보병연대가 가평 협곡을 따라 주둔하며 4월 23일 방어 지역을 서둘러 보강했다. 대한민국 병사 수천 명이 이 지역을 따라 철수할 무렵 중공군은 어둠을 틈타 여단의 방어 지점에 타격을 입혔고 504고지에서 오스트레일리아군을 저녁과 다음 날까지 공격했다. 수적으로 압도적인 열세였지만 제27보병여단은 오스트레일리아군이 4월 24일 저녁 여단의 측면 지점으로 철수하기 전까지 그들의 방어 지점을 사수했고 이 과정에서 양측 모두 엄청난 사상자가 발생했다. 중공군은 그들의 목표 지점을 677고지에 있는 캐나다군으로 바꿨지만 야간의 격렬한 전투로 인해 중공군은 캐나다군을 몰아낼 수 없었다. 가평 전투는 중공군의 공세를 약화시키는데 기여했으며 가평에서 오스트레일리아군과 캐나다군의 전투는 유엔군 사령부의 중부 전선이 뚫리는 것을 막고 궁극적으로는 서울의 재함락을 막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전투는 결과적으로 중공군 공격의 예봉을 꺾어놓음으로써 중공군 전체 사단의 공격을 정지시켰다. 다음 날 중공군은 협곡을 벗어나 북쪽으로 이동했는데 이는 공세의 제2차 기동성을 위해 재집결하기 위함이었다.[15] 제2차 공세[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용문산 전투입니다. 공산군은 펑더화이의 보고에 따르면 첫 번째 공세에서 그들의 전략적 주도권을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마오쩌둥은 여전히 공세의 2단계를 실행할 것을 주장했다. 1951년 5월 15일 인민의용군 사령부는 제2차 춘계 공세를 감행하여 10만 명의 병사들을 이끌고 소양강 동쪽의 대한민국 국군과 미국 제10군단을 공격했다. 화천 저수지를 확보하여 초기에 성공적인 전투를 벌였으나 용문산 전투에서 대한민국 국군이 중공군에 맞서 저항함에 따라 이 공세 또한 5월 20일 정지되고 말았다. 5월 21일 중공군은 용문산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고 소양강 일대까지 다시 후퇴했다.[16] 5월 말 미국 제8군이 반격을 감행하여 캔자스 선을 다시 확보하였고 중공군은 다시 38도선 이북으로 후퇴하였다.[17] 중공군이 제5차 공세의 마지막 날까지 공격을 계속 시도했으나 중국 제180사단은 유엔군에 의해 완전히 포위되었다. 격전 이후 사단은 완전히 궤멸되었고 예하 여단은 모든 방향으로 뿔뿔이 흩어져 도주했다. 180사단의 남아있는 병사들은 버려지거나 아니면 게릴라전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결국 무기와 식량의 부족으로 180사단 병력 중 5,000명이 유엔군에 항복했다. 도주했던 사단장과 다른 장교들은 철저히 조사된 끝에 중국으로 송환되어 지위가 강등되었다.[5] 38도선 이남에서 중공군을 몰아내기 위한 시도는 캔자스 선 일대에서 시행되었지만 이 시도 또한 5월 27일 상황을 완화시키기 위해 인민의용군 제42사단과 제47사단이 신속히 투입되면서 불확실해졌다.[3] 중공군은 야간에 기습 공격을 한 후 주간에 도주함으로써 유엔군 병력이 돌파를 할 수 없도록 저지했고 북쪽 선의 어떠한 지역도 점령할 수 없게 만들었다. 결국 6월 1일부터 유엔군의 공세 또한 저지되었고 이는 1953년 정전협정이 체결될 때까지 한국 전쟁이 교착전으로 바뀌는 첫 단초가 되었다. 여파[편집] 춘계 공세는 중공군이 전쟁 기간 동안 수행한 전면적 공세 중 마지막인 것으로 보인다. 중공군은 국제 연합군을 한반도에서 완전히 몰아내겠다는 계획은 실패했을 뿐만아니라 그들이 입은 손실은 너무 컸기에 유엔군이 몇 주 동안 벌인 영토 탈환 작전을 지연시키거나 그들에게 제한적 공세를 가하는 것이 중공군이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작전이었다.[18] 그렇지만 중공군과 북한군은 38선 서남쪽 일대에 영토를 확보하였고 유엔군이 전쟁이 끝날 때까지 이 지역을 점령하지 못하게 했다. 대표적인 예가 개성시로 유엔군은 코리저스 작전 이래로 이 도시를 점령했지만 중공군의 춘계 공세 이후로는 이 지역을 다시는 확보할 수 없었다. 결국 중공군의 공세는 전후 남북한의 국경을 설정하는데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일례들은 중공군이 그들의 손실에도 불구하고 전술적인 승리를 거두었다고 볼 수 있지만 한반도를 공산화하겠다는 중공군의 기본 전략은 실패했기 때문에 작전 상으로는 공세가 실패했다고 볼 수 있다. 유엔군은 38도선 일대의 몇몇 잃어버린 지역을 수복하는데 실패했지만 공산군이 한반도를 장악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전략적인 목표는 달성했다. 그러나 이들은 38선 이북에서 완전히 공산군을 몰아내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전반적으로 보았을 때 이 공세는 양측 모두에게 무승부였던 것이다. 그러나 38도선 동북쪽에 유엔군이 주둔한 것으로 인해 인민의용군 사령부는 제6차 공세라 불리는 제한적 공세를 계획하였다.[19] 그러나 1951년 6월 10일 개성에서 양측이 정전협정을 시작함에 따라 양측은 38도선을 중심으로 더 많은 영토를 확보하려고 하는 데 주력했다.[20] 공세는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9월 4일 실행되었고 금성군 일대를 향해 중공군 제20군이 공격을 감행하였다. 이들은 압록강 일대에서 더 많은 군대를 파병하였지만 양측 모두 다시 전선이 교착되어 공세는 이 달 말 끝나게 되었다.[21] 마지막 중공군의 공세는 금성 전투로 중공군은 이 전투에서 다시 승리를 거두었지만 금성 지역에서만 벌어졌다는 점, 그리고 1953년 정전 협정 직전이었다는 점에서 전면적 공세는 아니었다.[22] 양측은 춘계 공세 때 큰 손실을 입었고 전선은 7월 달부터 상대적으로 교착되기 시작했다. 전쟁 초기의 기동화 전략을 통한 신속한 전쟁의 양상은 이 공세 이후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제1차 세계 대전의 참호전과 비슷한 교착전이 발생하게 되었다. 양측 모두 한반도를 하나의 이념 하에 통일한다는 것이 불가능해졌음을 알게 되었고 남북한을 가르는 국경도 전쟁 발발 당시인 38도선 일대로 거의 되돌아간 상황이었다. 정전 회담이 시작됨에 따라 양측은 38도선 일대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기 위해 전투를 벌이기 시작했다. 같이 보기[편집] 삼각고지 전투 선더볼트 작전 1·4 후퇴 각주[편집] ↑ 가 나 다 O'Neill 1985, 132쪽. ↑ Mossman 1990, 379쪽. ↑ 가 나 Zhang 1995, 152쪽. ↑ Millett 2010, 441, 452쪽. ↑ 가 나 “Chinese Question Role in Korean War, from POW-MIA InterNetwork”. 2007년 10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3일에 확인함.  ↑ Stokesbury 1990, 83쪽. ↑ Offner 2002, 390쪽. ↑ “Resolution 498(V) Intervention of the Central People's Government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Korea”. United Nations. 1951년 2월 1일. “Cold War International History Project's Cold War Files”. Wilson Center. 2013년 9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3일에 확인함.  ↑ Hu & Ma 1987, 37쪽. ↑ Zhang 1995, 148쪽. ↑ 가 나 http://www.marines.mil/Portals/59/Publications/U.S.%20Marines%20in%20the%20Korean%20War%20%20PCN%2010600000100_16.pdf ↑ Johnston 2003, 89쪽. ↑ Imjin River National army Museum ↑ Johnston 2003, 90–91쪽. ↑ Coulthard-Clark 2001, 263–265쪽. ↑ Stokesbury 1990, 136–137쪽. ↑ Stokesbury 1990, 137–138쪽. ↑ Zhang 2004, 145쪽. ↑ Zhang 1995, 157–158쪽. ↑ Appleman 1990, 553, 579쪽. ↑ Zhang 1995, 157, 159–160쪽. ↑ Zhang 1995, 243쪽. vdeh 한국 전쟁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인민군) 참전국 그리스 왕국 남아프리카 연방 네덜란드 뉴질랜드 미국 벨기에 & 룩셈부르크 소련 에티오피아 제국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중화인민공화국 캐나다 콜롬비아 태국 터키 프랑스 필리핀 의료지원국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이탈리아 인도 헝가리 대중문화 다큐멘터리 영화 영화 도서 재연 M*A*S*H 전투 서열 미국 제8군 제7함대 제5공군 유엔군 중국인민지원군 배경 한반도 분단 제2차 국공 내전 애치슨 선언 조중동맹조약 주요 전투 폭풍 작전 조선인민군의 서울 점령 한강 전투 오산 전투 대전 전투 부산 교두보 전투 인천 상륙 작전 서울 수복 평양 탈환 장진호 전투 흥남 철수 작전 1·4 후퇴 선더볼트 작전 중공군 춘계공세 피의 능선 전투 백마고지 전투 금성 전투 기타 여파 화학전 논란 탈영병 정전 MiG 골목길 블랙리스트 포티 글로리 기념 공원 전쟁 기념관 무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중공군_춘계공세&oldid=23107017" 분류: 한국 전쟁1951년 분쟁미국의 전투대한민국의 전투영국의 전투벨기에의 전투네덜란드의 전투필리핀의 전투캐나다의 전투오스트레일리아의 전투뉴질랜드의 전투룩셈부르크의 전투중국의 전투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전투1951년 4월1951년 5월1951년 6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Русский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27일 (화) 23: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중공군 춘계공세 또는 중공군 제5차 공세는 한국 전쟁 당시 중국인민지원군에 의해 수행된 군사 작전이다. 작전을 위해 70만 명으로 합산된 3개 야전군을 기동한 중공군 사령부는 1950년 11월부터 12월까지 수행한 제2차 공세 이래로 가장 규모가 큰 공세 작전을 수행했다. 작전은 1951년 여름부터 시작되었고 한반도에서 영원히 유엔군을 몰아내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공세의 첫 공격은 미국 제1군단의 다국적 부대에 맞서는 것으로 시작되었지만, 미국 제1군단은 4월 22일부터 4월 25일까지 발발한 설마리 전투와 가평 전투에서 맹렬히 저항했고 공세의 기동성을 약화시켜 서울 북쪽의 무명 전선에서 공세가 멈추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1951년 5월 15일 중공군은 춘계 공세의 2차 기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동쪽의 국군과 미국 제10군단을 공격하였다. 초기의 공세는 성공적이었지만 그들도 5월 20일이 되자 공세를 멈출 수 밖에 없었다. 5월 말 미국 제8군이 반격을 감행하였고 중공군은 이에 큰 손실을 입었다. 그러나 유엔군의 반격도 38도선 인근에서 중공군에 의해 저지됨에 따라 한국 전쟁은 교착전으로 바뀌었고 이러한 전쟁 양상은 1953년 정전 협상 때까지 지속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6•25 당시 중공군의 개입 과정은 어땠을까? Assistant: 1950년 북한이 대한민국을 침공하고 한반도 대부분을 장악하였으나 부산 교두보 전투에서 수많은 군대를 잃은 후 북한군은 패배하기 시작했다. 유엔군이 인천 상륙 작전 이후 공세로 작전을 변경하였고, 이후 유엔군은 38선을 돌파하여 북한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그들의 주권 침해를 우려하여 미군이 38도선을 넘어올 시에 한국에서 군사적으로 개입할 것이라고 경고했다.[6] 그러나 미국 대통령 해리 트루먼은 이러한 경고를 무시했다.[7] 1950년 10월 중순 평양을 탈환한 유엔군과 국군은 압록강을 향해 진격을 감행하였지만 중공군은 이 무렵 압록강을 넘어 첫 공세를 개시했다. 이러한 공세는 발견되지 않았기에 유엔군 사령관 더글라스 맥아더는 크리스마스가 오기 전에 전쟁을 끝내 중공군이 한국에서의 전쟁에 개입할 시간을 주지 않으려 했다. 이에 맞서 중공군 사령부는 전면적인 공세를 감행해 북한 지역에서 유엔군을 완전히 몰아냈고 38선 이남으로 전선을 옮기려고 했다. 1951년 1월 4일 서울이 다시 공산군의 수중에 넘어갔고 유엔군은 1951년 1월 휴전 협상을 개시하려고 했다. 그러나 마오쩌둥과 중공군 수뇌부는 협상을 거부했고 이에 따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중화인민공화국을 침략자로 비난하고 한반도에서 철수할 것에 동의하는 결의안 제498호를 채택했다.[8]
Human: 아래 이진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진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진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진삼기본 정보국적 대한민국출생 1937년 2월 10일(1937-02-10) (82세)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본관 용인학력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경력 제28대 육군참모총장제2대 체육청소년부 장관자유선진당 전당대회 의장자유선진당 최고위원 배우자 강순정자녀 슬하 1남 2녀군복무 육군대장 전역종교 개신교(성결회)[1]의원 선수 1의원 대수 18정당 무소속지역구 前 충남 부여군·청양군 이진삼 대한민국의 육군참모총장 임기 1990년 6월 11일 ~ 1991년 12월 5일 대통령 노태우 총리 정원식 전임 이종구 후임 김진영 대한민국의 체육청소년부 장관 임기 1991년 12월 19일 ~ 1993년 2월 25일 전임 박철언 신상정보 국적 대한민국 출생일 1937년 2월 10일(1937-02-10) (82세) 출생지 일제 강점기 충청북도 부여군 은산면 학력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정당 무소속 배우자 강순정 자녀 슬하 1남 2녀 종교 개신교(성결교)[1] 웹사이트 이진삼 홈페이지 이진삼 생애 1937년 2월 10일 ~ 출생지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본관 용인 종교 개신교(성결교)[1] 배우자 강순정 자녀 슬하 1남 2녀 복무 대한민국 육군 복무 기간 1959년 ~ 1991년 최종 계급 대장(大將) 근무 육군본부 지휘 육군참모총장 주요 참전 베트남 전쟁 기타 이력 자유선진당 최고위원 이진삼(李鎭三, 1937년 2월 10일 ~ )은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목차 1 생애 2 학력 3 경력 4 논란 5 역대 선거 결과 6 각주 7 외부 링크 생애[편집] 이진삼은 1937년 2월 10일에 충청남도 부여에서 태어났다. 1959년에 육군사관학교를 15기로 졸업하며 군 생활을 시작하였고 현역 대위 시절인 1967년에 동료들과 3번의 북파 활동으로 조선인민군 33명을 사살하는 작전을 수행하기도 하였다. 또한 특전사 참모장 재직 당시 한국의 군사 무술인 특공무술을 고안한 인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2]2008년에 자유선진당에 입당하여 제18대 총선에 출마하였고 부여군·청양군에서 한나라당의 김학원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이후 국회 국방위 위원으로 활동하였고 자유선진당의 최고위원과 전당대회 의장을 지냈다. 이후 제19대 총선에서는 당의 공천을 받지 못하여 탈당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하였으나 4위로 낙선하였다. 이후 2013년에 실시된 부여·청양 재보궐선거에 무소속 출마를 선언하였으나 그해 4월 5일에 후보 등록을 하지 않고 정계를 은퇴하였다.[3] 학력[편집] 1949년 은산국민학교 졸업 1952년 부여중학교 졸업 1955년 부여고등학교 졸업 1959년 육군사관학교 15기 학사 1961년 육군보병학교 졸업 1966년 육군대학 졸업 1971년 국방대학원 행정학 석사 1978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과정 수료) 1981년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경력[편집] 제28대 육군참모총장 제2대 체육청소년부 장관 자유선진당 최고위원 국회 국방위원회 위원 자유선진당 전당대회 의장 논란[편집] 2011년 8월 25일에 이진삼은 자신의 지역구 행사인 '제12회 청양 고추·구기자축제 기념 전국게이트볼 대회'에 참석하기 위해 군용 헬기를 타고 지역구 행사장에 간 사실이 밝혀져 국회의원이 표밭갈이로 참석하는 지역구 행사에 사사로이 군용 헬기를 사용했다는 논란이 발생하였다. 이에 대해 이진삼 의원실은 "이진삼 의원이 예정돼 있던 지역구 행사에 참석하고자 서울을 떠나면 국회 국방위 회의가 정족수 미달로 회의 진행을 할 수 없었다 국방부가 정족수를 채우려고 이진삼 의원에 헬기 이동을 제안했고 지역구 주민과의 약속과 법안 심의 두 가지를 모두 하루에 처리하기 위해 별다른 대안이 없었다."고 해명하였다.[4]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제18대 총선 국회의원(충남 부여군·청양군) 18대 자유선진당 55.3% 28,284표 1위 제19대 총선 국회의원(충남 부여군·청양군) 19대 무소속 5.9% 3,115표 4위 낙선 각주[편집] ↑ 가 나 다 총회 임원, 성결인 국회의원 회동, 한국성결신문 ↑ 자유선진당 이진삼 의원, "UAE 파병문제 전향적 검토 필요"《나눔뉴스》 ↑ 이진삼 전 의원, 정계 은퇴《대전뉴스》 ↑ 국회의원 군용헬기타고 지역구 행사참석 논란 일어《조선일보》 외부 링크[편집] 이진삼 홈페이지 전임이종구 제28대 육군참모총장1990년 6월 11일 ~ 1991년 12월 5일 후임김진영 전임박철언 제2대 체육청소년부 장관1991년 12월 19일 ~ 1993년 2월 25일 후임이민섭(문화체육부 장관) 전 임 김학원 제18대 국회의원(충남 부여군·청양군)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자유선진당 → 무소속 후 임 김근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진삼&oldid=23842850" 분류: 대한민국 육군 대장대한민국의 제18대 국회의원1937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하나회용인 이씨대한민국의 체육청소년부 장관대한민국의 무술가노태우 정부의 국무위원대한민국의 육군참모총장대한민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 군인부여중학교 동문은산초등학교 동문부여고등학교 동문육군사관학교 동문육군보병학교 동문육군대학교 동문국방대학원 동문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동문대한민국의 성결교도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동문자유민주연합 당원선진통일당의 정치인옛 자유한국당의 정치인부여군 출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3월 11일 (월) 16:3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진삼(李鎭三, 1937년 2월 10일 ~ )은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본관은 용인으로 이일 장군의 후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진삼이 졸업한 고등학교는 어디인가? Assistant: 부여고등학교 Human: 아래 독일_문화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독일 문화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독일 문화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독일문화원(독일어: Goethe-Institut)은 해외에 독일어와 독일문화를 알리고 국제문화교류 활동을 지원하는 독일의 비영리 문화기관이다. 독일 문화원은 1925년 설립되었던 독일 아카데미(Deutsche Akademie)를 계승하여 1951년에 설립되었다. 명칭은 독일의 대문호 괴테 (Johann Wolfgang von Goethe)에서 유래했다. 독일연방공화국 외무부로부터 재정적 원조를 받고 있으나, 독자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독일어 서적을 갖춘 도서관을 비롯하여 어학 강좌를 운영하고 어학능력시험과 교육센터를 갖추었다. 또한 정통 독일어 교육은 물론 독일에 관한 문화·사회·정치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문화 전파 뿐 아니라 영화나 음악 등의 문화분야에서의 문화교류 또한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독일의 공·사립 문화단체와 주(州), 지역사회, 경제계의 파트너로서도 활동하고 있다. 현재 92개국에 149개의 문화원과 10개의 연락사무소가 세워져 있으며, 본부는 독일 뮌헨(München)에 있다. 목차 1 연혁 2 기관 3 독일어시험 운영 4 주한독일문화원 5 외부 링크 연혁[편집] 1951년 독일 아카데미(Deutsche Akademie)를 계승하여 세워졌다. 첫 번째 임무는 독일 내에 독일어 강사를 훈련시키는 것이었다. 1953년 첫 번째 언어 강좌가 시작되었다. 교재는 지금은 "Schulz-Griesbach"이라 불리는 교재를 사용하였다. 1953-1955년 German Academy로 부터 외국인 교육에 관한 업무를 넘겨받았다. 1959-1960년 미술 분야를 시작으로 해서 해외의 독일 문화기관들의 업무를 인수했다. 1968년 학생혁명에 영향을 받아 사회 정치적 컨텐츠들과 아방가르드한 예술을 포함하여 프로그램을 재조정한다. 1980년 Bavaria등의 작은 도시에 있던 기관들이 도시와 대학에 있는 기관들로 대체되었다. 1989-1990년 베를린 장벽의 붕괴로 동유럽에 새로운 지부들을 설립했다. 2004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서양국가 최초로 기관을 설립했다. 2005년 스페인으로 부터"Prince-of-Asturias"상을 수상했다. 기관[편집] 약 330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고 약 2억7800만 유로의 예산을 보유하고 있다. 독일어 교사가 되고 싶어하는 외국인 학생에게 장학금을 지급하기도 한다. Klaus-Dieter Lehmann이 독일문화원장을 맡고 있다. 뮌헨 독일문화원 독일어시험 운영[편집] 연구소는 모든 수준에서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Deutsch als Fremdsprache) 학습자를 위해 시험 시리즈를 개발했다. 단계는 A1부터 C2까지 있으며, 이러한 단계별 학습은 독일과 해외에서 다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언어에 대한 참조의 일반적인 유럽 프레임 워크’ (CEFL), 유럽 언어 테스트의 표준에 맞게 조정되었다. 가장 높은 CEFL 레벨보다 높은 레벨에 Großes Deutsches Sprachdiplom 도 있다. 아래는 독일문화원에서 시행되는 기본적인 단계별 시험에 관한 표다. CELF 레벨 독일문화원 시험 필요 교육 시간 C2 Zentrale Oberstufenprüfung, Kleines Deutsches Sprachdiplom 750-900(둘 다) C1 Goethe-Zertifikat C1 - Zentrale Mittelstufenprüfung (neu), Prüfung Wirtschaftsdeutsch 600-750(둘 다) B2 Zertifikat Deutsch für den Beruf, Goethe-Zertifikat B2 375-540(ZDfB), 450-600 (GZ B2) B1 Zertifikat Deutsch 300-450 A2 Start Deutsch 2 128-255 A1 Start Deutsch 1 64-128 2000년, 독일문화원은 학술 테스트 개발(Gesellschaft für Akademische Testentwicklung e.V.)을 설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TestDaF 시험의 결과는 하겐의 TestDaF-Institut 에서 운영하고 있다. 시험은 독일 학술 교류처(DAAD)에서 지원하며 독일 대학, 학계에서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들과 과학자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TestDaF는 독일에서뿐만 아니라 65개국의 다른 국가에서도 응시 가능하다. 주한독일문화원[편집] 독일문화원의 외국지부인 주한독일문화원(Goethe-Institut Seoul)은 1968년 설립된 이래 1969년부터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1978년 남산에 신축건물을 마련하였다. 주한독일문화원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소월로 132에 소재하고 있고 다양한 문화행사를 개최하고 지원하며, 어학 수업을 주제로 한 워크숍, 세미나,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2004년부터 북한 프로젝트를 실시하여 남북한 내에서 문화교류 사업을 펼치고 있다. 2008년에는 개관 40주년 행사를 열기도 했다. 한 해 3000명 이상의 수강생이 문화원 어학 과정에서 독일어를 배우고 있다. 그 밖에 재부산독일영사인 카를 슈미트케(Karl Schmidtke)가 개인적으로 운영하는 부산독일문화원(Goethe-Zentrum Busan)과 주한독일문화원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어학코스가 대전광역시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내에 있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독일 문화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독일문화원 - 두산세계대백과사전 독일문화원 전 세계 중앙본부 주한독일문화원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46113055 LCCN: n50061362 ISNI: 0000 0001 2221 4585 GND: 10068828-7 NDL: 00533423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독일_문화원&oldid=22803425" 분류: 독일의 문화독일의 대외 관계요한 볼프강 폰 괴테숨은 분류: 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हिन्दी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atinaLietuviųМакедонскиNederlandsNorskOccitanਪੰਜਾਬੀPolski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Тоҷикӣ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16일 (화) 23: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괴테 인스티투트(독일어: Goethe-Institut) 또는 독일 문화원은 해외에 독일어와 독일문화를 알리고 국제문화교류 활동을 지원하는 독일의 비영리 문화기관이다. 괴테 인스티투트는 1925년 설립되었던 독일 아카데미(Deutsche Akademie)를 계승하여 1951년에 설립되었다. 명칭은 독일의 대문호 괴테 (Johann Wolfgang von Goethe)에서 유래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B1레벨 CELF는 필요 교육 시간이 얼마나 될까? Assistant: 300-450
Human: 아래 괴산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괴산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괴산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괴산군 괴산군청 청사 괴산군의 위치 현황 국가 대한민국 면적 842.1 km2 세대 19,754 가구 (2017년 1월말) 총인구 38,668 명 (2017년 1월말) 인구밀도 46 명/km2 읍 1개 면 10개 군수 이차영(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박덕흠(자유한국당)(보은군·옥천군·영동군·괴산군) 군청 소재지 괴산읍 임꺽정로 90 (서부리 125) 홈페이지 http://www.cbgs.net 상징 군목 느티나무 군화 복숭아 군조 까치 좌표: 북위 36° 48′ 55″ 동경 127° 47′ 12″ / 북위 36.8153462° 동경 127.7866501°  / 36.8153462; 127.7866501 괴산군(槐山郡)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가운데에 있는 군이다. 군청 소재지는 괴산읍이고, 행정구역은 1읍 10면이다. 목차 1 지리 2 역사 3 행정 구역 3.1 괴산·증평 간 재통합 문제 4 산업 4.1 지역내 총생산 4.2 산업별 종사자수 4.3 농업 4.4 광업 4.5 발전소 5 문화·관광 6 교통 7 교육 기관 8 출신 인물 9 자매 도시 10 각주 11 외부 링크 지리[편집] 충청북도의 중앙 만곡부에 위치하며 소백산맥의 산세가 남동 경계에 미쳐서 북서를 향하여 낮아지고 있으나 군내는 대부분이 산지와 구릉이다. 다만 달천·음성천·보강천 등의 계곡류를 따라서 증평·청안·괴산·목도 등지를 중심으로 아주 좁은 곡저평지가 드문드문 있을 정도이다. 면적은 842.1km2이고, 인구는 2012년말 기준 37,713명이다. 역사[편집] 《대동여지도》 괴산·연풍·청안의 3군을 합군한 고장인 괴산은 고구려 때는 잉근내군(仍斤內郡)으로, 신라 때 괴양군(槐壤郡)으로 고치고, 고려 때는 괴주(槐州)로 고쳤다. 그 후 현종 9년(1018년) 충주에 속하고 후에 감무(監務)를 두었으며 조선 태종 3년(1403년) 지괴주사(知槐州事)로 고쳤으며 1413년 괴산군으로 고쳤다.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충주부 괴산군[1] 1896년 8월 4일 충청북도 괴산군[2] 1914년 4월 1일 괴산군, 연풍군, 청안군(서면 제외), 청주군 청천면, 충주군 감물면, 율지면을 괴산군으로 통폐합하였다.[3]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부령 제111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괴산군 일도면(一道面), 이도면(二道面) 읍내면 일원 동상면(東上面), 동중면(東中面) 칠성면 일원 남중면(南中面), 남하면(南下面) 문광면 일원 남상면(南上面), 서면(西面) 사리면 일원 북상면(北上面), 북중면(北中面) 소수면 일원 북하면(北下面), 동하면(東下面), 불정면(佛頂面) 불정면 일원 충주군 율지면(栗枝面) 감물면(甘勿面) 감물면 일원 연풍군 현내면(縣內面) 연풍면 일원 면의면(勉儀面), 장풍면(長豐面) 장연면 일원 고사리면(古沙里面), 수회면(水回面) 상모면 일원 청안군 읍내면(邑內面), 동면(東面) 청안면 일원 북면(北面) 도안면 일원 남면(南面), 근서면(近西面) 증평면 일원 청주군 청천면(靑川面) 청천면 일원 1914년의 행정구역[4]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1914년 현재 면 정·리 구·읍·면 동·리 읍내면(邑內面) 대덕리, 대사리, 동부리, 서부리, 수진리, 신항리, 정용리, 제월리 괴산군괴산읍 대덕리, 대사리, 동부리, 서부리, 수진리, 신항리, 정용리, 제월리 불정면(佛頂面) 능촌리, 사창리, 신기리 능촌리, 사창리, 신기리 목도리, 삼방리, 세평리, 신흥리, 앵천리, 외령리, 웅동리, 지장리, 창산리, 추산리, 탑촌리 괴산군불정면 목도리, 삼방리, 세평리, 신흥리, 앵천리, 외령리, 웅동리, 지장리, 창산리, 추산리, 탑촌리 문등리 음성군소이면 문등리 소수면(沼壽面) 고마리, 길선리, 몽촌리, 소암리, 수리, 아성리, 옥현리, 입암리 괴산군소수면 고마리, 길선리, 몽촌리, 소암리, 수리, 아성리, 옥현리, 입암리 사리면(沙梨面) 노송리, 방축리, 사담리, 소매리, 수암리, 이곡리, 중흥리, 화산리 괴산군사리면 노송리, 방축리, 사담리, 소매리, 수암리, 이곡리, 중흥리, 화산리 문광면(文光面) 광덕리, 대명리, 문법리, 방성리, 송평리, 신기리, 양곡리, 옥성리, 유평리, 흑석리 괴산군문광면 광덕리, 대명리, 문법리, 방성리, 송평리, 신기리, 양곡리, 옥성리, 유평리, 흑석리 감물면(甘勿面) 광전리, 구월리, 매전리, 백양리, 오성리, 오창리, 이담리 괴산군감물면 광전리, 구월리, 매전리, 백양리, 오성리, 오창리, 이담리 검승리 괴산군괴산읍 검승리 칠성면(七星面) 갈읍리, 도정리, 두천리, 사은리, 사평리, 송동리, 쌍곡리, 외사리, 율원리, 율지리 괴산군칠성면 갈읍리, 도정리, 두천리, 사은리, 사평리, 송동리, 쌍곡리, 외사리, 율원리, 율지리 장연면(長延面) 비도리, 태성리 비도리, 태성리 광진리, 방곡리, 송덕리, 오가리, 장암리, 조곡리, 추점리 괴산군장연면 광진리, 방곡리, 송덕리, 오가리, 장암리, 조곡리, 추점리 연풍면(延豊面) 갈금리, 분지리, 삼풍리, 원풍리, 유상리, 유하리, 적석리, 주진리, 행촌리 괴산군연풍면 갈금리, 분지리, 삼풍리, 원풍리, 유상리, 유하리, 적석리, 주진리, 행촌리 상모면(上毛面) 고운리, 미륵리, 사문리, 수회리, 안보리, 온천리, 중산리, 화천리 충주시수안보면 고운리, 미륵리, 사문리, 수회리, 안보리, 온천리, 중산리, 화천리 문강리, 토계리 충주시살미면 문강리, 토계리 청천면(靑川面) 강평리, 거봉리, 고성리, 관평리, 귀만리, 금평리, 대전리, 대티리, 덕평리, 도원리, 무릉리, 부성리, 사기막리, 사담리, 삼락리, 상신리, 선평리, 송면리, 신월리, 여사왕리, 운교리, 월문리, 이평리, 지경리, 지촌리, 청천리, 평단리, 화양리, 후영리, 후평리 괴산군청천면 강평리, 거봉리, 고성리, 관평리, 귀만리, 금평리, 대전리, 대티리, 덕평리, 도원리, 무릉리, 부성리, 사기막리, 사담리, 삼락리, 상신리, 선평리, 송면리, 신월리, 여사왕리, 운교리, 월문리, 이평리, 지경리, 지촌리, 청천리, 평단리, 화양리, 후영리, 후평리 청당면(淸塘面) 금신리, 문당리, 문방리, 백봉리, 부흥리, 운곡리, 읍내리, 장암리, 조천리, 청용리, 효근리 괴산군청안면 금신리, 문당리, 문방리, 백봉리, 부흥리, 운곡리, 읍내리, 장암리, 조천리, 청용리, 효근리 증평면(曾坪面) 남차리, 남하리, 덕상리, 미암리, 사곡리, 송산리, 연탄리, 용강리, 율리, 죽리 증평군증평읍 남차리, 남하리, 덕상리, 미암리, 사곡리, 송산리, 연탄리, 용강리, 율리, 죽리 증평리 분할< 교동리, 내성리, 대동리, 신동리, 장동리, 중동리, 증천리, 증평리, 창동리 도안면(道安面) 광덕리, 노암리, 도당리, 석곡리, 송정리, 연촌리, 화성리 증평군도안면 광덕리, 노암리, 도당리, 석곡리, 송정리, 연촌리, 화성리 14면 - 읍내면, 청천면, 칠성면, 불정면, 소수면, 사리면, 문광면, 감물면, 연풍면, 장연면, 상모면, 청당면, 증평면, 도안면 1917년 읍내면을 괴산면으로, 청당면을 청안면으로 개칭하였다. 1947년 2월 1일 장연면 비도리가 칠성면에, 불정면 사창리·신기리·능촌리가 괴산면에 편입되었다.[5] 1949년 8월 13일 증평면이 증평읍으로 승격하였다.[6] (1읍 13면) 1963년 1월 1일 상모면(현 수안보면)이 중원군(현 충주시)으로 편입되었다. 문경군 농암면 삼송리가 청천면에 편입되었다.[7] (1읍 12면) 1973년 7월 1일 불정면 문등리가 음성군 소이면으로, 중원군 이류면 하문리를 불정면으로, 청원군 북이면 초중리를 증평읍으로, 감물면 검승리를 괴산면으로 편입하였다.[8] 1979년 5월 1일 괴산면이 괴산읍으로 승격하였다.[9] (2읍 11면) 1989년 1월 1일 장연면 태성리가 칠성면에 편입되었다.[10] 1990년 12월 31일 증평읍과 도안면을 관할하는 증평출장소가 설치되었다.[11] 2003년 8월 30일 증평출장소 관할이었던 증평읍과 도안면에 증평군이 출범하면서 괴산군에서 분리되었다.[12] (1읍 10면) 행정 구역[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괴산군의 행정 구역입니다. 괴산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0면이다. 괴산군의 면적은 842.1km2이고[13], 인구는 2011년 7월말 기준으로 17,488 세대, 36,861명으로, 이 중 24.7%가 괴산읍에 거주한다. 1965년 괴산군의 인구는 159,515명이었다.[14] 읍면동 한자 면적 세대 인구 행정지도 괴산읍 槐山邑 49.62 3,971 9,090 감물면 甘勿面 42.77 938 1,950 장연면 長延面 61.37 960 1,977 연풍면 延豊面 93.26 1,216 2,543 칠성면 七星面 101.49 1,359 2,868 문광면 文光面 56.02 1,020 2,037 청천면 靑川面 208.94 2,597 5,061 청안면 淸安面 70.88 1,645 3,408 사리면 沙梨面 50.62 1,403 3,015 소수면 沼壽面 46.55 952 1,920 불정면 佛頂面 60.54 1,427 2,992 괴산군 槐山郡 842.10 17,488 36,861 괴산·증평 간 재통합 문제[편집] 2003년 괴산군 증평읍에 있던 증평출장소가 증평군으로 승격되어 괴산군으로부터 분리된 이후 괴산군의 군세가 약화되었다. 또한 괴산군 서부에 위치한 사리면과 청안면은 괴산읍보다 증평읍과 밀접한 생활권을 형성한다. 괴산군에서는 증평군의 분리가 특정 정당의 이익과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른 것이었고 이로 인해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며 증평군과 재통합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증평군은 "증평군과 괴산군은 문화와 생활권이 엄연히 다르다"면서 재통합에 부정적인 입장이다.[15][16] 산업[편집] 지역내 총생산[편집] 괴산군의 2011년 지역내 총생산은 2조 1584억 원으로 충북 전체의 2.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농림어업(1차산업)은 3544억 원으로 전체의 16.42%를 차지하고,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8816억 원으로 전체의 40.84%를 차지하며,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9224억 원으로 전체의 42.74%를 차지한다. 3차산업 부문에서는 특히 건설업(15.35%), 공공행정(7.79%),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79%), 금융및 보험업(2.79%)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17] 산업별 종사자수[편집] 2014년 괴산군 산업의 총종사자 수는 12,363명으로 충청북도 총종사자 수의 2.0%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산업)은 157명으로 전체의 1.3%를 차지하고 있고,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3,237명으로 전체의 26.2%를 차지하고 있으며, 상업 및 서비스업은 8,969명으로 전체의 72.5%를 차지하고 있다. 2차산업은 충청북도 전체의 비증(28.9%)보다 낮고, 3차산업은 충청북도 전체 비중(70.8%)보다 높다. 3차산업 부문에서는 숙박 및 음식점업(13.9%), 도소매업(11.1%), 교육서비스업(10.2%), 공공행정(8.4%)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18] 농업[편집] 농경지가 협소한데다가 밭의 비율이 커서 과거 주민들은 식량난을 면치 못했으나 주민들의 노력 결과 자급하고 남을 정도가 되었다. 부업으로 목재·장작·숯 등의 임산물에 많이 의존했으나 이후에는 기후·토질에 적합한 인삼을 재배하게 되어 양은 많지 않으나 질이 개성인삼을 능가한다는 호평을 받고 있다. 청안면·칠성면 등지에서 질이 좋은 인삼이 생산된다. 주요 농산물은 쌀·맥류·콩·담배·인삼·누에고치 등을 비롯하여 느타리버섯·배·오이·방울토마토·송이버섯·사과·잡곡·목공예·한지·팽이버섯 등이 유명하다. 한우·멧돼지를 비롯한 축산업과 송어 양식도 발전했다. 광업[편집] 산지이기 때문에 각종 지하자원의 매장량이 많다. 금·은·동·중석·아연·흑연·무연탄 등이 채굴되었으나 현재는 폐광된 곳이 많다. 발전소[편집] 칠성면 사은리에는 괴산수력발전소가 있다. 1957년 2월에 대한민국 기술진에 의해 준공된 이 발전소는 달천에 건설했으며 댐 길이 171m, 높이 28m, 폭 45m, 수심 16m, 유역 면적 671m2, 총저수량, 1,532만 9천m3, 발전기 1,300kW 2대로서 2,600kW의 발전을 하고 있다. 충주댐의 완공 이후 공업지대가 설립되었다. 문화·관광[편집] 원풍리 마애불좌상 괴산 원풍리 마애불좌상 괴산군 연풍면 원풍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마애불 좌상이다. 12m 높이의 암벽에 3.6×3.6m 크기의 방형 감실을 파고 그 안에 3.1m 높이의 불상 2구를 반육각으로 조각하였는데 두 불상을 나란히 배치한 병좌상으로서는 희귀한 예로 주목되고 있다. 넓적하면서도 힘있는 얼굴에 가늘고 긴 눈, 넓적한 입 등의 조각수법은 평면적으로 양감이 거의 드러나 있지 않지만, 얼굴 전반에 미소가 번지고 있어 완강하면서도 한결 자비로운 느낌을 준다. 신체 또한 반듯한 어깨, 평평한 가슴 등으로 형식화되었으며, 통견의 법의 주름은 무딘 선각으로 표현되었다. 광배에는 화불이 조각되었으나 세부 수법은 마멸 때문에 분명하지 않다. 각연사 괴산군 칠성면 태성리에 위치한 사찰이다. 신라 법흥왕 때 유일대사가 세웠다는 설이 있다. 각연사에는 보물 제433호인 비로자나불좌상을 비롯하여 비로전(충청북도 유형 문화재 제125호), 대웅전, 통일대사비(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호), 부도 등 많은 문화재가 있다. 괴산 올갱이 축제 칠성면 율원리 둔율 마을에서 2008년부터 매년 여름 둔율강변에 서식하는 올갱이(다슬기의 방언)를 주제로 가족 단위 도시민들이 체험할 수 있는 축제를 열었다. 2012년에는 올갱이 축제가 농림수산식품부 우수 농어촌축제로 선정됐다. 이 마을 주민들은 도시민을 초청해 보고, 즐기고, 체험할 수 있는 참여형 축제로 발전시켜왔고 올갱이를 테마로 한 소재가 독특해 이번 우수농어촌축제로 뽑혔다.[19] 교통[편집] 이화령에서 바라본 연풍 나들목 옛날에는 영남가도(서울-충주-대구-경주)가 군의 동쪽 이화령(梨花嶺, 548m)을 통하였다. 현재는 괴산읍을 중심으로 동·서·남·북으로 국도가 통과하여 청주·충주·문경·장호원·보은 등으로 통할 수 있다. 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가 괴산군을 지난다. 연풍 나들목, 괴산 나들목에서 접근 가능하다.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에 위치한 중부고속도로 증평 나들목에서도 괴산군으로의 접근이 이용하다. 시외버스 괴산읍내에 위치한 괴산시외버스공용터미널에서 동서울, 청주, 충주, 이천을 오가는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시내버스 괴산·증평군의 농어촌버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괴산군의 농어촌버스는 괴산군의 대규모 대중교통이며 대부분 괴산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한다. 일부는 증평군까지 운행하기도 한다. 철도 증평군의 신설 이후 철도가 없는 상태가 되었다. vdeh괴산군의 교통철도노선 중부내륙선 고속도로노선 중부내륙 (45) 나들목 괴산 나들목 연풍 나들목 일반도로국도 19호 34호 37호 국지도 32호 49호 지방도 508호 516호 517호 525호 533호 575호 592호 599호 주요 간선도로간선도로 중원대로 괴산로 중부로 버스농어촌 괴산 농어촌버스 고속·시외 괴산 대사리 부흥 송면 연풍 기타농어촌 마이비카드 캐시비 교육 기관[편집] 국공립대학교    육군학생군사학교(문무대(文武臺)) 사립대학교    중원대학교 고등학교    괴산고등학교 목도고등학교 중학교    괴산북중학교 괴산중학교 송면중학교 연풍중학교 청안중학교 청천중학교 칠성중학교 출신 인물[편집] 홍명희(1888~1968): 독립운동가·소설가·재남월북인 자매 도시[편집]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중구 서울특별시 관악구, 강남구, 구로구 경기도 안양시, 안산시, 의왕시 중국 지린 성 지안 시 각주[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신구대조)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년) ↑ 도령 제36호(1947년 1월 31일) ↑ 대통령령 제156호 ↑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년 11월 21일) ↑ 대통령령 제6543호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년 3월 12일) ↑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년 4월 7일) ↑ 군조례 제1148호 (1989년 1월 1일) ↑ 충청북도 조례 제1864호 ↑ 법률 제6902호 증평군설치에관한법률 (2003년 5월 29일) ↑ 2010년 괴산군 통계연보, 2011년 8월 27일 확인 ↑ 2011년 7월 31일인구 현황, 2011년 8월 27일 확인 ↑ 괴산군수 "증평과 통합해야", 증평군수 "일고의 가치도 없다" 묵살 ↑ 괴산군,증평군에 재통합 제의 ↑ 충청북도 시군단위지역내총생산(GRDP)통계청 국가통계포털 ↑ 충청북도 기본통계통계청 국가통계포털 ↑ 괴산 올갱이 축제 우수 농어촌 축제 선정, 동양일보, 2012년 3월 1일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괴산군 (한국어/일본어/중국어/영어) 괴산군청 (공식) 충청북도 음성군 충청북도 충주시 충청북도 증평군 경상북도 문경시    충청북도 괴산군     충청북도 청주시 충청북도 보은군 경상북도 상주시 vdeh충청북도 괴산군의 행정 구역 군청소재지: 괴산읍 괴산읍 감물면 문광면 불정면 사리면 소수면 연풍면 장연면 청안면 청천면 칠성면 vdeh 충청북도의 행정 구역도청소재지: 청주시 제천시 청주시 충주시 괴산군 단양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음성군 증평군 진천군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괴산군&oldid=24401208" 분류: 괴산군충청북도의 군1413년 설치1914년 폐지1914년 설치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ebuanoEnglishEspañolFrançais客家語/Hak-kâ-ngî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МонголNorskPolskiРусскийSvenskaไทยاردو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9일 (일) 10: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괴산군(槐山郡)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가운데에 있는 군이다. 군청 소재지는 괴산읍이고, 행정구역은 1읍 10면이다. 충청북도 충주시, 음성군, 증평군, 청주시, 보은군 및 경상북도 문경시, 상주시와 접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괴산군의 행정 구역 중 유일한 읍의 인구수는 무엇일까? Assistant: 9,090 Human: 아래 박솔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박솔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솔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박솔미출생 1978년 1월 3일(1978-01-03) (41세)대한민국 전라북도 익산시직업 배우활동 기간 1998년 ~ 현재소속사 판타지오 학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예술학 석사배우자 한재석자녀 한서율(장녀), 한서하(차녀)웹사이트 판타지오 박솔미박솔미 - 인스타그램 박솔미(1978년 1월 3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목차 1 생애 2 학력 3 출연작 3.1 드라마 3.2 영화 3.3 방송 4 수상 및 후보 5 홍보대사 6 외부 링크 생애[편집] 1998년 MBC 문화방송 공채 탤런트로 정식 데뷔하였으며 2010년 드라마 《거상 김만덕》에 같이 출연한 한재석과 2013년 4월 21일 결혼하였다. 2014년 5월 23일 첫 딸을 출산했다. 신장은 170cm이고 체중은 49kg인 그녀는 전자 오락과 만화책 보기와 볼링에 취미가 있고 수영과 피아노 연주에 특기가 있다. 그녀의 부친은 대한민국 육군 예비역 부사관 중사 출신이다. 학력[편집] 명덕여자고등학교 졸업 상명대학교 예술대학 영화학과 학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공연예술학과 예술학 석사 출연작[편집] 드라마[편집] 1999년 MBC 일일시트콤 《남자 셋 여자 셋》 1999년 MBC 일일연속극 《하나뿐인 당신》 1999년 MBC 일일연속극 《날마다 행복해》 1999년 MBC 청춘시트콤 《점프》 2000년 MBC 청춘시트콤 《가문의 영광》 2000년 MBC 주말연속극 《사랑은 아무나 하나》 2000년 MBC 주간시트콤 《세 친구》 2001년 MBC 금요드라마 《우리집》 ... 한하나 역 2002년 KBS2 월화드라마 《겨울연가》 ... 오채린 역 2002년 SBS 수목드라마 《나쁜 여자들》 ... 박재경 역 2003년 SBS 수목드라마 《올인》 ... 서진희 역 2005년 KBS2 수목드라마 《황금사과》 ... 김경숙 역 2008년 MBC 주말 특별기획 《내 여자》 ... 윤세라 역 2009년 SBS 특별기획 《스타일》 ... 최아영 역 2010년 KBS 주말 특별기획 《거상 김만덕》 ... 오문선 역 2012년 JTBC 수목드라마 《친애하는 당신에게》 ... 서찬주 역 2016년 KBS2 월화드라마 《동네변호사 조들호》 ... 장해경 역 2018년 KBS2 수목드라마 《죽어도 좋아》 ... 유시백 역 2019년 KBS2 월화드라마 《동네변호사 조들호 2: 죄와 벌》 ... 장해경 역 영화[편집] 2004년 《바람의 전설》 ... 연화 역 2007년 《극락도 살인사건》 ... 여선생 / 장귀남 역 2009년 《핸드폰》 ... 연화 / 김정연 역 방송[편집] 2012년~2013년 《정글의 법칙 in 아마존》 출연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1998 MBC 신인 탤런트 선발대회 네티즌 인기상 빈칸 수상 대상 빈칸 수상 2002 SBS 연기대상 뉴스타상 나쁜 여자들 수상 2007 제28회 청룡영화상 여우조연상 극락도 살인사건 후보 홍보대사[편집] 2003년 제주국제자유도시 명예홍보대사 외부 링크[편집] 박솔미 미니홈피 - 싸이월드 박솔미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박솔미&oldid=24143630" 분류: 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1998년 데뷔서일대학교 동문20세기 대한민국 사람21세기 대한민국 사람1978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익산시 출신상명대학교 동문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동문명덕여자고등학교 동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sturianuEnglishEspañol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3일 (금) 21: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박솔미(한국 한자: 朴帥眉, 본명: 박혜정, 1978년 1월 3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배우 박솔미는 어느 시상식에서 여우조연상을 탔을까? Assistant: 제28회 청룡영화상
Human: 아래 예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예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예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알 야만 공화국 الجمهورية اليمنية 국기 국장 표어 الله، الوَطَن، الثَورة، الوَحدة 하느님, 국가, 혁명, 통일국가 연합 공화국 수도 아덴(사실상) 북위 15° 20′ 54″ 동경 44° 12′ 23″ / 북위 15.348333° 동경 44.206389°  / 15.348333; 44.206389(사나를 수도로 주장) 사나 정치공용어 아랍어정치체제 단일 국가, 군사 정부후티 지도자최고정치회의 의장대통령 압둘말리크 알후티살레 알리 알사마드압드라보 만수르 하디역사설립   • 통일 1990년 5월 22일지리면적 527,968km2 (49 위)내수면 비율 0%시간대 (UTC+03:00)DST (없음)인구2016년 어림 27,478,000명 (47위)인구 밀도 40명/km2 (160위)경제GDP(PPP) 2005년 어림값 • 전체 $194.8억 (110위) • 일인당 $751 (175위)HDI 0.458 (160위, 2012년 조사)통화 리알 (YER)기타ISO 3166-1 887, YE, YEM도메인 .ye국제 전화 +967 예멘 공화국(아랍어: الجمهورية اليمنية 알줌후리야 알야마니야[*]), 약칭 예멘(아랍어: اليَمَن‎ 알야만[*])은 중동의 아라비아 반도 남서부에 있는 국가이다. 가장 오래된 인류 거주지 중 하나로 유구한 역사를 지녔으며, 천일야화의 주요 배경지 중 하나이다. 아시아와 아프리카, 유럽의 길목에 있어 예로부터 문화적으로 풍부했고, 중동 국가 가운데서 아랍인의 독특한 기질과 문화적 전통을 가장 잘 이어가고 있는 나라로 손꼽힌다. 북쪽으로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인접해 있으며 동쪽으로는 오만과 인접해 있다. 목차 1 자연 및 지리 2 역사 2.1 남북통일과 내전 2.2 후티 쿠데타와 사실상 재분단 3 정치 3.1 행정 구역 4 경제 5 인구와 구성 6 문화 7 각주 8 참고 자료 9 외부 링크 자연 및 지리[편집] 아라비아 반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북위 12도에서 20도 사이에 위치한다. 홍해, 아덴 만, 아라비아해에 접하여 있고, 북쪽으로 사우디 아라비아, 동쪽으로 오만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아덴 만을 사이에 두고 소말리아와 만난다. 본토 이외에 소말리아 앞바다에 위치한 인도양의 소코트라 섬 등도 예멘에 속한다. 예멘의 국토 면적은 약 52만 8,000km ²이다. 수도는 사나이고, 지리학적으로는 4개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홍해 연안, 서부 산지, 동부 산지, 북쪽 룹알할리 사막 사막의 지역이다. 티하마로 불리는 홍해 연안은 매우 건조하고, 산지에서 흐르는 강은 보기 힘들며, 와디 또는 지하수의 형태로 존재한다. 서부 산지는 강수량이 많기 때문에 계단식 농업을 한다. 수수가 주를 이루며, 면화와 망고 등 과일도 재배된다. 이 지역은 밤낮의 기온차가 크다. 동부는 해발 2,000m 지역이며, 기온차가 서부산지보다 더 크다. 낮 30℃, 야간 0℃의 기온 차를 보이기도 한다. 동부 지역은 보리나 밀이 재배된다. 룹알할리 사막에서는 베두인 유목민이 있으나, 이들은 낙타 유목만을 하고 있다. 아덴 만 연안의 해얀 평야에서는 수리를 이용한 농작물을 경작한다. 기온은 홍해 연안이 높고 중부 고지가 쾌적하다. 중부에서는 연간 400∼1,000mm의 강우량을 보인다. 홍해 연안의 평야는 40∼50℃의 고온과 높은 습도의 기후를 이룬다. 역사[편집] 1517년 이후부터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던 중 1839년 천혜의 무역항인 아덴을 노린 영국이 남예멘 지역을 무력으로 점령하면서 분단 시대가 시작됐다. 1918년 오스만 제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하자 북예멘이 먼저 독립하였으며, 1962년 군사 쿠데타를 계기로 자본주의 국가가 수립되었다. 한편 소련의 지원 하에서 독립한 남예멘은 사회주의 국가가 수립되었다. 1972년·1973년·1979년에도 국경 문제로 남예멘과 북예멘 간에 무력 분쟁이 이어져 왔으며, 1978년 6월에는 가즈미 북예멘 대통령이 남예멘 특사와 회담 중 암살됨으로써 남예멘과 북예멘 간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1990년 5월 남북협상에 의해 통일이 성사되었으나 1994년 5월에 재분단되어 전면적인 내전이 시작되었고, 1994년 7월 북예멘의 일방적 승리로 다시 통일이 성취되었다. 남북통일과 내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예멘의 통일입니다. 예멘은 과거에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한 북예멘(예멘 아랍 공화국)과, 1967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여 사회주의 정체를 채택한 남예멘(예멘 인민 민주 공화국)으로 분열되어 있었다. 1990년 남북간 합의로 통일정부가 구성되었는데, 얼마 되지 않아 정부 요직 분배와 관련하여 충돌이 발생, 내전으로 비화했다. 남예멘 관료들은 예멘민주공화국을 선포했다. 내전은 군사력에서 우위에 있었던 북예멘 군대가 남예멘의 수도 아덴을 점령하며 북예멘의 승리로 끝나, 비로소 완전한 통일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통일된 지 22년 만에 다시 분단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1] 2013년 1월 14일에는 예멘 남부에서 분리독립을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다.[2] 후티 쿠데타와 사실상 재분단[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후티 쿠데타, 예멘 내전 (2015년-현재), 및 후티 쿠데타의 여파입니다. 2004년부터 시아파 무장 단체 후티는 예멘 서북부를 중심으로 예멘 정부에 대한 반란을 시작했다. 2014년 9월부터 후티 반군은 수도 사나에 진입하여 대통령의 사임을 요구하는 쿠데타(후티 쿠데타)가 시작되었다. 2015년 1월 20일, 반군이 대통령 관저를 공격하고 대통령궁을 장악했다.(후티 쿠데타) 정보장관 나디아 알사카프에 따르면 대통령 압드라보 만수르 하디는 대통령궁 내부에서 30분 동안 거대한 포격을 받았지만, 경비원의 보호에 따라 무사히 다치지 않고 보호받았다고 말했다. 대통령 경호원은 하디 대통령이 안전하게 떠날 수 있음을 보장받은 이후 항복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이 반란으로 일어난 사건에 대해 긴급 회의를 진행했다. 유엔 사무총장 반기문은 예멘에서 "상황 악화"를 우려하고 적대적 행위를 중단하기 위해 모든 측면에서 노력할 것을 촉구했다.[3][4] 1월 22일, 대통령 압드라보 만수르 하디와 총리 칼레드 바하흐는 의회에 사임을 내고 어떠한 보도도 받아들이기를 거부했다.[5][6] 그러나 의회는 사임안을 거부할 뜻을 밝혔다. 2월 6일, 후티는 임시 헌법을 발표하며 의회를 해산하고 551명으로 된 새 의회를 구성하며, 151명의 대통령 위원회를 설치해 2년간 정부 역할을 맡게 하겠다고 밝혔다. [7] 곧 아덴을 중심으로한 예멘 남부의 주들은 후티 정부의 통치를 거부했다. 이란을 제외한 국제사회는 후티의 통치를 불법으로 보았으며, 이들 국가들은 사나에 있던 자국 대사관을 폐쇄하고 아덴에 새 대사관을 개설했다. 하디 대통령은 2월 23일에 자신은 현재 헌법상 예멘의 대통령이며 사임안이 의회의 승인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사임을 취소한다는 뜻을 밝혔다. 또한 후티의 통치는 불법이라고 규정했다. 하디 대통령은 아덴으로 정부를 옮겼지만 사나를 중심으로 한 후티 세력의 공격을 받아 사우디아라비아로 망명했고, 상대적으로 인구가 희박한 동부 지역만을 통치하게 되었다. 그러다가 아랍 국가들의 도움으로 2015년 6월에 하디 정부는 아덴 등 남부 지역을 수복하고 후티 세력에 맞서 예멘 전역을 수복하기 위해 싸우고 있다. 하디 정부는 2015년 9월말 아덴으로 환도했다. 한동안 하디 대통령은 리야드에 계속 머물렀고 하디 대통령은 2015년 11월에 뒤늦게 귀국하였다.[8] 그러다가 유엔에서 예멘 내전 (2015년-현재)이 계속되자, 2018년 12월 24일에 휴전을 시켜서 일단락되었다. 정치[편집] 예멘은 아라비아 반도 국가 중 유일하게 공화제를 채택한 입헌국가이다. 현행 헌법은 1991년에 공포되어 1994년과 2001년에 개정된 것이다. 국가원수는 대통령으로, 국민의 직접 선거에 의해 선출된다. 임기는 7년으로, 3선이 금지되어 있다. 권한은 막강하고, 형식상으로도 사실상 국가의 최고 지도자이다. 부통령과 총리는 대통령이 임명한다. 내각에 해당하는 국무위원회의 구성원은 총리의 조언에 따라서 대통령이 임명한다. 의회는 양원제로, 자문위원회(111석)과 인민대표원(301석)으로 구성된다. 자문위원회 의원은 모두가 대통령에 의해 임명된다. 인민 대표원의 의원은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임기는 6년이다. 그러나 자문위원회에 입법권은 없으며, 대통령의 정책에 대한 조언기관에 불과하므로, 예멘 의회는 실질적으로 입법권을 행사할 수 있는 인민대표원의 사실상 단원제에 가깝다. 최고 사법기관은 대법원이고, 여성에게도 참정권을 부여한다. 행정 구역[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예멘의 행정 구역입니다. 예멘은 22개 주로 구성되어 있다. 경제[편집] 이웃 아랍 국가들에 비해 석유나 천연가스의 개발이 늦어, 아랍 지역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로 꼽힌다. 상대적으로 농어업이 활성화되어 있으나 기후 악화와 낙후된 설비 등으로 식량을 자급할 정도는 되지 못하며, 예멘인들의 국민적 기호품이자 마약성 작물인 까트(Qat) 재배가 지나칠 정도로 널리 확산되어 있어 적지 않은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석유 등의 에너지자원은 1980년대 이후에야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공업은 자유무역지대로 지정된 아덴을 중심으로 정유, 석유화학, 제염(製鹽), 알루미늄 공예 등이 발전해 있다. 인근 아랍국가들과 서방세계로부터 상당히 많은 재정지원을 얻어 왔지만 경제 성장이 더디고, 실업률이 30% 이상이며 물가 상승률도 높다. 다만 석유의 수출이 늘어나며 무역수지는 흑자를 유지하고 있어, 앞으로의 성장 전망은 어둡지 않은 편이다. 인구와 구성[편집] 종교 구성 (예멘) 이슬람교 (수니파)    56.39% 이슬람교 (시아파)    43.61% 기타    0.01% 인구는 2014년에 약 2500만 명으로 아랍인이 98%를 차지하고, 공용어는 아랍어이다. 국민의 거의 대부분이 무슬림으로, 이 중 수니파가 56%, 시아파가 43%를 차지한다.[9] 시아파의 대부분은 수니파와 비슷한 교리를 가진 자이드파(다섯 이맘파)이고, 열두 이맘파와 이스마일파(일곱 이맘파)도 예멘 내 소수파로서 일정한 세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소수의 예멘계 유대인이 거주하고 있다. 문화[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예멘의 문화입니다. 국민의 대부분이 이슬람교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생활양식도 이슬람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그러나 이슬람의 가르침보다 부족 내의 규칙을 우선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인 성인 남성은 허리띠에 쟌비야라고 불리는 반달모양의 단검을 차고 있다. 이 단검은 소유자의 집안이나 부족, 빈부와 같은 특성을 드러낸다. 실용적인 면보다는 상징으로써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날이 예리하지 않은 것도 많아 일상적으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도시에서 바지에 와이셔츠를 입은 남성도 많이 보이지만, 그 경우에도 많은 남성이 자신의 집에 쟌비야를 갖고 있다. 여성은 종교적인 관습에 따라서 머리와 얼굴을 가리기 위한 스카프와 몸을 가리는 천을 착용하고 있으나, 사우디아라비아처럼 전체를 감추도록 의무적으로 요구되지 않는다. 이것은 개인과 그 가족의 신앙의 깊이에 의해서 판단되므로, 신앙이 깊어지면 그만큼 피부를 숨기는 면적도 많아지게 되는 것이다. 여성의 이슬람 복장 착용 정도는 이슬람 부흥 등의 사회 경향도 많이 받지만, 일반적으로 예멘의 여성들은 다른 이슬람 국가와 비교하면 착용 비율이 매우 높은 편에 속한다. 여성의 사회 진출은 주로 도시 지역에서 조금씩 진행되고 있다. 이슬람교에서 금지된 술 대신, 카트라고 불리는 마약성 작물의 잎을 씹는 관습이 있다. 카트는 예멘인의 사교에 없어서는 안 되는 것으로, 거리나 가정집에서 여러 명이 모여 카트를 씹으면서 담소를 나누는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각주[편집] ↑ 남북 통일 22년 만에…예멘, 다시 분단 위기 ↑ 예멘 남부서 분리독립 요구 수만명 시위 ↑ “Rebels capture Yemen presidential palace, shell residence”. 《USA today》. 2015년 1월 20일. 2015년 1월 20일에 확인함.  ↑ “Yemen rebels overtake presidential palace”. 《Al Jazeera》. 2015년 1월 20일. 2015년 1월 20일에 확인함.  ↑ “Yemen crisis: President resigns as rebels tighten hold”. BBC. 2015년 1월 22일. 2015년 1월 22일에 확인함.  ↑ http://www.cnn.com/2015/01/22/world/yemen-violence/index.html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2/07/0200000000AKR20150207000500081.HTML ↑ [1] ↑ columbia edu gulf2000 2017년 1월 23일 확인. 참고 자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편집] 예멘 정부 홈페이지 vdeh서아시아의 나라와 지역나라 레바논 바레인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아랍에미리트 아프가니스탄 예멘 오만 요르단 이라크 이란 이스라엘 카타르 쿠웨이트 팔레스타인 때때로 포함되는 나라와 지역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이집트의 시나이반도 조지아 키프로스 터키 서아시아의 지역 근동 레반트 메소포타미아 아나톨리아 아라비아반도 vdeh아시아의 나라와 지역독립국 네팔 대한민국 동티모르[* 1] 라오스 러시아[* 2] 레바논 말레이시아 몰디브 몽골 미얀마 바레인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스리랑카 시리아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아르메니아[* 3] 아제르바이잔[* 2] 아프가니스탄 예멘 오만 요르단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이란 이스라엘 이집트[* 4] 인도 인도네시아[* 5] 일본[* 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지아[* 2]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카자흐스탄[* 2] 카타르 캄보디아 쿠웨이트 키르기스스탄 키프로스[* 3] 타지키스탄 태국 터키[* 2]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필리핀 속령 마카오[* 6] 차고스 제도 [* 7] 홍콩[* 6] 미승인 국가 아르차흐 공화국[* 3] 남오세티야[* 2] 북키프로스 압하지야[* 2] ↑ 오세아니아에 속하는 국가로 분류되는 경우도 있다.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일부 영토가 유럽에도 속한다. ↑ 가 나 다 지리적으로는 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문화적 이유로 종종 유럽으로 분류한다. ↑ 일부 영토가 아프리카에도 속한다. ↑ 가 나 일부 영토가 오세아니아에도 속한다. ↑ 가 나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역이다. ↑ 영국령 인도양 지역의 일부이다. vdeh이슬람 협력 기구 (OIC)국가 가봉 가이아나 감비아 기니 기니비사우 나이지리아 니제르 레바논 리비아 말레이시아 말리 모로코 모리타니 모잠비크 몰디브 바레인 방글라데시 베냉 부르키나파소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세네갈 소말리아 수단 수리남 시리아 시에라리온 아랍에미리트 아제르바이잔 아프가니스탄 알바니아 알제리 예멘 오만 요르단 우간다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이란 이집트 인도네시아 지부티 차드 카메룬 카자흐스탄 카타르 코모로 코트디부아르 쿠웨이트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터키 토고 투르크메니스탄 튀니지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옵서버 가입국가 러시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태국 북키프로스 vdeh아랍 연맹회원국 알제리 바레인 코모로 지부티 이집트 이라크 요르단 쿠웨이트 레바논 리비아 모리타니 모로코 오만 팔레스타인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소말리아 수단 튀니지 아랍에미리트 예멘 회원자격 정지 시리아 참관국 브라질 에리트리아 인도 베네수엘라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23663509 LCCN: n81053408 ISNI: 0000 0004 0402 3787 GND: 4073009-8 BNF: cb12340613s (데이터) HDS: 3413 NDL: 00563896 NKC: ge129443 BNE: XX45583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예멘&oldid=23538552" 분류: 예멘유엔 회원국아랍어권아랍 연맹 회원국이슬람 협력 기구 회원국이슬람 국가이슬람 공화국숨은 분류: 아랍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cèhАдыгабзэ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ܐܪܡܝܐمصرىঅসমীয়া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Boarisch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বাংলাབོད་ཡིགবিষ্ণুপ্রিয়া মণিপুরীBrezhonegBosanskiᨅᨔ ᨕᨘᨁᨗБуряадCatalàChavacano de ZamboangaMìng-dĕ̤ng-ngṳ̄НохчийнCebuanoکوردیCorsuQırımtatarcaČeštinaKaszëbsczi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ZazakiDolnoserbskiडोटेलीދިވެހިބަސް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VõroFøroysktFrançaisArpetanNordfriiskFryskGaeilgeGagauzGàidhligGalegoAvañe'ẽगोंयची कोंकणी / Gõychi KonknniગુજરાતીGaelgHausa客家語/Hak-kâ-ngîHawaiʻi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Hornjoserbsce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nterlingue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PatoisJawaქართულიQaraqalpaqshaTaqbaylitАдыгэбзэKabɩyɛKongoGĩkũyũҚазақшаKalaallisutಕನ್ನಡKurdîКомиKernowekКыргызчаLatinaLadinoLëtzebuergeschЛезгиLingua Franca NovaLimburgsLigureLumbaartLingálaلۊری شومالیLietuviųLatviešuमैथिलीMalagasy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MaltiMirandésမြန်မာဘာသာمازِرونیDorerin NaoeroNāhuatlNapulitanoPlattdüütsch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vialDiné bizaadOccitanLivvinkarjalaOromooଓଡ଼ିଆИронਪੰਜਾਬੀKapampanganPapiamentuपालिNorfuk / PitkernPolskiPiemontèisپنجابیپښتو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Kinyarwandaसंस्कृतम्Саха тылаᱥᱟᱱᱛᱟᱲᱤSicilianuScotsسنڌي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ChiSho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iSwatiSeelterskBasa SundaSvenskaKiswahiliŚlůnskiதமிழ்తెలుగుTetunТоҷикӣไทยTürkmençeTagalogTok Pisin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ChiTumbukaУдмурт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Vepsän kel’Tiếng ViệtWest-VlamsVolapükWinarayWolof吴语Хальмг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VahcuenghZeêuws中文文言Bân-lâm-gú粵語IsiZulu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25일 (금) 19: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예멘 공화국(아랍어: الجمهورية اليمنية 알줌후리야 알야마니야[*], 영어: Republic of Yemen), 약칭 예멘(아랍어: اليَمَن 알야만[*])은 서남아시아의 아라비아 반도 남서부에 있는 국가이다. 가장 오래된 인류 거주지 중 하나로 유구한 역사를 지녔으며, 천일야화의 주요 배경지 중 하나이다. 아시아와 아프리카, 유럽의 길목에 있어 예로부터 문화적으로 풍부했고, 중동 국가 가운데서 아랍인의 독특한 기질과 문화적 전통을 가장 잘 이어가고 있는 나라로 손꼽힌다. 북쪽으로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인접해 있으며 동쪽으로는 오만과 인접해 있다. 수도는 사나이며 유고슬라비아 가 해체된이후에는 Y로 시작하는 유일한 국가가 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예맨은 왜 둘로 나누어졌어? Assistant: 1517년 이후부터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던 중 1839년 천혜의 무역항인 아덴을 노린 영국이 남예멘 지역을 무력으로 점령하면서 분단 시대가 시작됐다. 1918년 오스만 제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하자 북예멘이 먼저 독립하였으며, 1962년 군사 쿠데타를 계기로 자본주의 국가가 수립되었다. 한편 소련의 지원 하에서 독립한 남예멘은 사회주의 국가가 수립되었다. 1972년·1973년·1979년에도 국경 문제로 남예멘과 북예멘 간에 무력 분쟁이 이어져 왔으며, 1978년 6월에는 가즈미 북예멘 대통령이 남예멘 특사와 회담 중 암살됨으로써 남예멘과 북예멘 간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Human: 아래 변태왕자와_웃지_않는_고양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미공개 또는 계획만 발표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작품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変態王子と笑わない猫。 장르 러브 코미디, 학원물 소설 저자 사가라 소우 삽화 칸토쿠 번역 1~6권 곽형준, 7~8권 도노랑, 9~10권 김경훈 출판사 미디어팩토리 서울문화사 레이블 MF문고J 제이노블 광저우 티안웬 카도카와 동만 락핌 출판 연재기간 2010년 10월 25일 ~ 연재중 권수 10권 12권 만화 작가 사가라 소우 작화 오코메 켄 출판사 미디어팩토리 서울문화사 연재 잡지 월간 코믹 얼라이브 레이블 MF문고J 제이노블 디지털 망가 락핌 출판 첨단 출판 연재 기간 2011년 6월호 ~ 권수 8권 5권 TV 애니메이션 원작 사가라 소우 감독 스즈키 요헤이 시리즈 구성 이토 미치코 캐릭터 디자인 이즈카 하루코 음악 키쿠야 토모키 애니메이션 제작 J.C.STAFF 제작 「変猫。」製作委員会 방송사 TOKYO MX 외 방영 기간 2013년 4월 ~ 6월 화수 전 12화 틀 - 토론 위키프로젝트 라이트 노벨, 일본의 만화와 애니메이션 포털 문학, 일본의 만화와 애니메이션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変態王子と笑わない猫。 헨타이오우지토 와라와나이네코[*])는 일본의 작가 사가라 소우가 쓰고 칸토쿠가 삽화를 담당한 라이트 노벨이다. MF문고J(미디어팩토리)에서 발매되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서울문화사의 제이노블로 발매되었다. 제6회 MF문고J 라이트 노벨 신인상 최우수상을 수상하였으며, 2011년 3월 발매되는 "월간 코믹 얼라이브" 5월호에서 오코메 켄의 만화화 작품이 발표되었고 2011년 6월호부터 연재가 시작되었다. 2012년 7월 진행된 MF문고J의 10주년 기념 행사에서 애니메이션화가 발표되었다. 애니메이션 제작은 J.C.STAFF에서 맡았다. 2013년 4월부터 신작 애니메이션으로 방영되었다. 목차 1 등장 인물 2 = 주요 인물 3 단행본 목록 3.1 소설 3.2 만화 4 외부 링크 등장 인물[편집] = 주요 인물[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단행본 목록[편집] 소설[편집] 도서명 판본 초판 발행일 ISBN 비고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 1 일본어판 2010년 10월 31일 ISBN 978-4-8401-3555-9 한국어판 2011년 8월 10일 ISBN 978-89-263-2508-7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 2 일본어판 2011년 1월 31일 ISBN 978-4-8401-3800-0 한국어판한정판 2011년 10월 10일 ISBN 978-89-263-3184-2 박스한정판 한국어판통상판 ISBN 978-89-263-2684-8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 3 일본어판 2011년 5월 31일 ISBN 978-4-8401-3893-2 한국어판 2011년 12월 10일 ISBN 978-89-263-2756-2 초판 한정 책갈피, 컵받침 포함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 4 일본어판 2011년 9월 30일 ISBN 978-4-8401-4207-6 한국어판한정판 2012년 2월 10일 ISBN 978-89-263-2886-6 멀티 지퍼폴더, 비주얼 북 포함 한국어판통상판 ISBN 978-89-263-2885-9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 5 일본어판 2012년 3월 23일 ISBN 978-4-8401-4528-2 한국어판한정판 2012년 8월 22일 ISBN 978-89-263-3184-2 소설 5권 + 만화 1권스포츠타월 + 양면포스터 초판 한정 책갈피 한국어판통상판 ISBN 978-89-263-3163-7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 6 일본어판 2013년 3월 25일 ISBN 978-4-8401-4686-9 일본어판한정판 2013년 3월 25일 ISBN 978-4-8401-4973-0 드라마 CD 포함특장판 한국어판한정판 2013년 6월 10일 ISBN 978-89-263-3521-5 소장용 최고급 텀블러 박스 L홀더 + 초판 한정 책갈피 한국어판통상판 ISBN 978-89-263-3520-8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 7 일본어판 2013년 10월 31일 ISBN 978-4-04-066028-8 한국어판통상판 2014년 3월 10일 ISBN 978-89-263-3946-6 만화[편집] 도서명 판본 초판 발행일 ISBN 비고 만화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 1 일본어판 2011년 8월 23일 ISBN 978-4-8401-4024-9 한국어판 2012년 8월 22일 ISBN 978-89-263-3050-0 만화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 2 일본어판 2012년 3월 23일 ISBN 978-4-8401-4436-0 한국어판 2013년 1월 30일 ISBN 978-89-263-3271-9 만화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 3 일본어판 2012년 10월 23일 ISBN 978-4-8401-4736-1 한국어판 2013년 10월 15일 ISBN 978-89-263-3732-5 만화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 4 일본어판 2013년 3월 23일 ISBN 978-4-8401-5031-6 한국어판 만화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 5 일본어판 2014년 1월 23일 ISBN 978-4-04-066244-2 한국어판 외부 링크[편집]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 공식 사이트 TV 애니메이션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 PSP 게임 공식 vdehJ.C.STAFFTV 시리즈1994-2000 메탈 파이터 미쿠 (1994) 슬레이어즈 (1995) 슬레이어즈 넥스트 (1996) MAZE (1997) 소녀혁명 우테나 (1997) 슬레이어즈 트라이 (1997) 바이러스 (1997) 앨리스 SOS (1998) 그 남자! 그 여자! (1998) 마술사 오펜 (1998) 꿈에서 만난다면 (1998) 잘 나가는 두 사람 (1999) 가자! 우주전함 야마모토 요코 (1999) 오펜: The Revenge (1999) 엑셀 사가 (1999) 어둠의 후예 (2000) 다!다!다! (2000) 2001-2005 마법전사 리우이 (2001) 파라파 랩퍼 (2001) 작은 눈의 요정 슈가 (2001) 아즈망가대왕 (2002) 쪽빛보다 푸르게 (2002) 스파이럴 추리의 띠 (2002) 나나카 6/17 (2003) 마법사에게 소중한 것 (2003) Gunparade March ~Aratanaru Kougunka~ (2003) 일기당천 (2003) R.O.D the TV (2003) 진월담 월희 (2003) 쪽빛보다 푸르게 ~인연~ (2003) 마부라호 (2003) 선생님의 시간: Doki Doki School Hours (2004) en:Daphne in the Brilliant Blue (2004) Bōkyaku no Senritsu (2004) en:Starship Operators (2005) 마호라바 ~Heartful days~ (2005) 극상학생회 (2005) LOVELESS (2005) 허니와 클로버 (2005) Oku-sama wa Mahō Shōjo (2005) 작안의 샤나 (2005) 카린 (2005) 2006-2010 en:Yomigaeru Sora - Rescue Wings (2006) 허니와 클로버 II (2006) 제로의 사역마 (2006) 고스트 헌트 (2006) en:Living for the Day After Tomorrow (2006) Winter Garden (2006) 노다메 칸타빌레 (2007) en:Sky Girls (2007) 포테마요 (2007) 제로의 사역마: Knight of the Twin Moons (2007) 작안의 샤나 Second (2007) 키미키스 (2007) Sky Girls TV DVD Specials (2007) 사후편지 (2008) 닌자의 왕 (2008) 슬레이어즈 레볼루션 (2008) 제로의 사역마: Rondo of Princesses (2008) 토라도라! (2008)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2008) 노다메 칸타빌레: Paris-Hen (2008) 슬레이어즈 레볼루션-R (2009) Hayate the Combat Butler: Second Season (2009) 첫사랑 한정 (2009) en:Sweet Blue Flowers (2009) en:Taishō Baseball Girls (2009) 어떤 과학의 초전자포 (2009) 노다메 칸타빌레: Finale (2010) 회장님은 메이드 사마! (2010) Uragiri wa Boku no Namae o Shitteiru (2010) Ōkami-san to Shichinin no Nakamatachi (2010) 바쿠만 (2010) 소녀요괴 자쿠로 (2010) en:Tantei Opera Milky Holmes (2010)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II (2010) 2011-2015 꿈을 먹는 메리 (2011) 비탄의 아리아 (2011) 하느님의 메모장 (2011) 트윈 엔젤: Twinkle Paradise (2011) 바쿠만. 2 (2011) 너와 나 (2011) 작안의 샤나 Final (2011) Tantei Opera Milky Holmes: Act 2 (2012) 킬 미 베이비 (2012) The Familiar of Zero F (2012) Ano Natsu de Matteru (2012) Kimi to Boku 2 (2012) 아르카나 파밀리아 (2012) 조시라쿠 (2012) 바쿠만. 3 (2012) 리틀 버스터즈! (2012) 사쿠라장의 애완 그녀 (2012) Dangerous Jii-san Ja (2012) 어떤 과학의 초전자포 S (2013)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 (2013) Futari wa Milky Holmes (2013) 골든타임 (2013) 리틀 버스터즈! Refrain (2013) 위치 크래프트 워크스 (2014) Selector Infected WIXOSS (2014) en:Dai-Shogun - Great Revolution (2014) en:Magimoji Rurumo (2014) en:Love Stage!! (2014) Selector Spread WIXOSS (2014) Tantei Kageki Milky Holmes TD (2015) 식극의 소마 (2015) 던전에서 만남을 추구하면 안 되는 걸까 (2015) 야한 이야기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 지루한 세계 (2015) 프리즌 스쿨 (2015) 헤비 오브젝트 (2015) 2016-현재 en:Flying Witch (2016) 식극의 소마: The Second Plate (2016) 사이키 쿠스오의 재난 (2016) en:Taboo Tattoo (2016) 아만츄 (2016) Lostorage Incited WIXOSS (2016) en:Urara Meirocho (2017) en:Minami Kamakura High School Girls Cycling Club (2017) MARGINAL#4 KISS에서 창조되는 Big Bang (2017) Schoolgirl Strikers: Animation Channel (2017) en:Alice & Zouroku (2017) Twin Angel Break (2017) 던전에서 만남을 추구하면 안 되는 걸까 (2017) en:Vatican Miracle Examiner (2017) en:Children of the Whales (2017) 식극의 소마: The Third Plate (2017) UQ HOLDER! (2017) Lostorage conflated WIXOSS (2018) OVA/ONA en:Yōtōden (1987) en:Ultimate Teacher (1988) en:Cleopatra DC (1989) en:Blood Reign: Curse of the Yoma (1989) en:Fūma no Kojirō (1989) en:Earthian (1989) en:1+2=Paradise (1990) en:Guardian of Darkness (1990) en:The Heroic Legend of Arslan (1991) en:Handsome na Kanojo (1991) 바벨 2세 (1992) en:Ellcia (1992) 8 Man After (1993) BADBOYS (1993) Suikoden Demon Century (1993) New Dominion Tank Police (1993) en:Konpeki no Kantai (1993) Super Dimension Century Orguss 02 (1993) en:Shonan Junai Gumi (1994) en:I Shall Never Return (1994) en:Fish in the Trap (1994) 캡틴 츠바사: Holland Youth (1994) Shin Megami Tensei: Tōkyō Mokushiroku (1995) en:Level C (1995) Galaxy Fraulein Yuna: Siren's Sadness (1995) 아이들의 장난감 (1995) en:Starship Girl Yamamoto Yohko (1996) Battle Arena Toshinden (1996) MAZE (1996) 슬레이어즈 스페셜 (1996) Garzey's Wing (1996) en:Voltage Fighter Gowcaizer (1996) Fake (1996) Galaxy Fraulein Yuna: The Abyssal Fairy (1996) Kyokujitsu no Kantai (1997) Starship Girl Yamamoto Yohko II (1997) en:Voogie's Angel (1997) en:Detatoko Princess (1997) 꿈에서 만난다면 (1998) 슬레이어즈 엑설런트 (1998) 아즈망가 웹 대왕 (2000) Nekojiru-so (2001) en:Puni Puni Poemy (2001) 에이리언9 (2001) Eiken (2003) A Little Snow Fairy Sugar: Summer Special (2003) 선생님의 시간: Doki Doki School Hours (2004) en:Sky Girls (2006) 작안의 샤나 SP (2006) 사후편지 (2008) 제로의 사역마: Rondo of Princesses (2008) 하야테처럼! (2009) 작안의 샤나 S (2009) 오늘, 사랑을 시작합니다 (2010) Toaru Kagaku no Railgun (2010) Aria the Scarlet Ammo Special (2011) 토라도라! (2011) Dangerous Jii-san Ja (2012) Tantei Opera Milky Holmes Alternative (2012) 조시라쿠 (2013) ChocoTan! (2013) 리틀 버스터즈! (2013) 킬 미 베이비 슈퍼 (2013) 리틀 버스터즈! EX (2014) Ano Natsu de Matteru (2014) en:Love Stage!! (2014) 트윈 엔젤: Kyun Tokimeki Paradise!! (2015) 프리즌 스쿨 (2016) UQ HOLDER! (2017) 영화 Wrath of the Ninja (1989) en:Gude Crest (1990) en:Darkside Blues (1994) en:Slayers The Motion Picture (1995) en:Slayers Return (1996) 슬레이어즈 그레이트 (1997) Maze Bakunetsu Jikuu: Tenpen Kyoui no Giant (1998) en:Slayers Gorgeous (1998) 소녀혁명 우테나 애덜레슨스 묵시록 (1999) 아즈망가 대왕: The Very Short Movie (2001) 작안의 샤나 (2007) en:A Certain Magical Index: The Movie - The Miracle of Endymion (2013) Selector Destructed WIXOSS (2016) Tantei Opera Milky Holmes the Movie: Milky Holmes' Counterattack (2016) 비디오 게임 en:Psychic Force (1996) en:Langrisser III (1996) en:Guilty Gear X (2000) en:Wild Arms 4 (2005) en:Shining Force EXA (2007) en:Fate/tiger colosseum (2007) en:Lux-Pain (2008) en:Luminous Arc 2 (2008) 어떤 과학의 초전자포 (2011) en:Sol Trigger (2012) 분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변태왕자와_웃지_않는_고양이&oldid=24080441" 분류: 진행 중인 작품MF문고 J제이노블2010년 소설학원 소설월간 코믹 얼라이브학원 만화라이트 노벨의 애니메이션화 작품2013년 애니메이션UHF 애니메이션고등학교를 배경으로 한 애니메이션J.C.STAFF2013년 텔레비전 애니메이션2011년 소설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PortuguêsРусскийไทยTagalog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1일 (일) 18:1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変態王子と笑わない猫。 헨타이오우지토 와라와나이네코[*])는 일본의 작가 사가라 소우가 쓰고 칸토쿠가 삽화를 담당한 라이트 노벨이다. MF문고J(미디어팩토리)에서 발매되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서울문화사의 제이노블로 발매되었다. 제6회 MF문고J 라이트 노벨 신인상 최우수상을 수상하였으며, 2011년 3월 발매되는 "월간 코믹 얼라이브" 5월호에서 오코메 켄의 만화화 작품이 발표되었고 2011년 6월호부터 연재가 시작되었다. 2012년 7월 진행된 MF문고J의 10주년 기념 행사에서 애니메이션화가 발표되었다. 애니메이션 제작은 J.C.STAFF에서 맡았다. 2013년 4월부터 신작 애니메이션으로 방영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의 각 권이 국가별로 처음 발행된 날짜는 언제인가요? Assistant: 도서명 판본 초판 발행일 ISBN 비고 만화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 1 일본어판 2011년 8월 23일 ISBN 978-4-8401-4024-9 한국어판 2012년 8월 22일 ISBN 978-89-263-3050-0 만화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 2 일본어판 2012년 3월 23일 ISBN 978-4-8401-4436-0 한국어판 2013년 1월 30일 ISBN 978-89-263-3271-9 만화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 3 일본어판 2012년 10월 23일 ISBN 978-4-8401-4736-1 한국어판 2013년 10월 15일 ISBN 978-89-263-3732-5 만화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 4 일본어판 2013년 3월 23일 ISBN 978-4-8401-5031-6 한국어판 만화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 5 일본어판 2014년 1월 23일 ISBN 978-4-04-066244-2 한국어판
Human: 아래 키_(가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키 (가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키 (가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ey (가수)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Key 기본 정보본명 김기범출생 1991년 9월 23일(1991-09-23) (27세)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수성구직업 가수, 탤런트, 댄서장르 댄스 팝활동 시기 2008년 5월 25일 ~ 현재 레이블 아이리버소속사 SM 엔터테인먼트소속 그룹 샤이니, 투하트서명 웹사이트 Key - 인스타그램 Key(본명: 김기범, 한자: 金起範, 1991년 9월 23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이다. 보이 그룹 샤이니에서 래퍼, 보컬과 댄스를 맡고 있다. 현재 현역으로 군복무 중이다. 목차 1 학력 2 생애 3 음반 활동 3.1 샤이니 3.2 Key 3.3 참여 음반 4 출연 작품 4.1 드라마 4.2 뮤지컬 4.3 연극 4.4 영화 5 방송 프로그램 6 음반 외 활동 6.1 광고 모델 7 콘서트 7.1 KEY LAND - KEY 8 쇼케이스·미니 콘서트·팬미팅 8.1 Key BIRTHDAY PARTY 8.2 Key SHOWCASE "FACE" 8.3 Key SOLO EVENT "KEY LAND" 9 수상 및 후보 10 각주 11 외부 링크 학력[편집] 대구지묘초등학교 (졸업) 영신중학교 (졸업) 영신고등학교 (졸업) 명지대학교 영화ᆞ뮤지컬학부 뮤지컬공연전공 (학사) 우석대학교 대학원 교육 및 문화콘텐츠개발학과 문화콘텐츠개발전공 (석사) 생애[편집] Key는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났다. 2005년 SM 엔터테인먼트에서 실시한 전국투어 오디션에서 8000:1의 경쟁률을 뚫고 가수부문 유일한 합격자로 2006년 1월 연습생이 되었으며 2008년 샤이니 EP 앨범 《누난 너무 예뻐 (Replay)》로 데뷔하였다. 이후 2018년 10월 중순 SM 엔터테인먼트에서 샤이니 키의 첫 솔로 데뷔를 알리고, 11월 1일 부터 2일 간격으로 SM TOWN 유투브 홈페이지에 총 3개의 티져를 내면서 키의 솔로 데뷔를 확실화 했다. 입사동기:수호.태민 음반 활동[편집] 샤이니[편집] Key가 샤이니로 발매한 음반에 대해서는 샤이니의 음반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Key[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key의 음반 목록입니다. 발매일 앨범 타입 앨범 타이틀 곡 2018.11.06 싱글 《Forever Yours》 〈Forever Yours (Feat. 소유)〉 2018.11.26 정규 앨범 《FACE - The 1st Album》 〈센 척 안 해 (One of Those Nights) (Feat. Crush)〉 2018.12.21 싱글 《Hologram》 〈Hologram〉 2019.02.14 싱글 《Cold - SM STATION》 〈Cold (Feat. 한해)〉 2019.03.04 리패키지 《I Wanna Be - The 1st Album Repackage》 〈I Wanna Be (Feat. 소연 of (여자)아이들)〉 참여 음반[편집] Key가 샤이니로 활동한 음반에 대해서는 샤이니#음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발매일 가수명 곡명 수록 앨범 분류 비고 2009.01.08 샤이니 <Stand By Me> 《꽃보다 남자 OST》 Vocal Vocal : 샤이니 2009.10.14 샤이니 <Get Down> 《2009, Year Of Us》 작사 작사 : Key, 민호, 이재광, 이대성 2010.01.28 소녀시대 <화성인 바이러스 (Boys & Girls)> (Feat. Key Of SHINee) 《`Oh!` The Second Album》 Featuring Featuring : Key 2010.01.25 TRAX <치유 (Healing)>(Feat. Key From SHINee)[1] 《가슴이 차가운 남자》 Featuring Featuring : Key 2010.04.14 샤이니 <Fly High> 《검사 프린세스 OST》 Vocal Vocal : 샤이니 2010.09.30 샤이니 <Get It> 《`Hello` SHINee The 2nd Album Repackage》 작사 작사 : Key, 민호,길미, CEEJAY 외 2012.04.09 EXO-K <두 개의 달이 뜨는 밤 (Two Moons)(Feat. Key Of SHINee) > 《`MAMA` EXO-KThe 1st Mini Album》 Featuring Featuring : Key 2012.01.03 이특, Key <Bravo> 《샐러리맨 초한지 OST》 Vocal Vocal : 이특, Key 2014.03.10 투하트(Key,우현) <Delicious> 《1st Mini Album》 Vocal Vocal : Key, 우현 2014.04.07 투하트(Key,우현) <Tell Me Why> 《Tell Me Why》 Vocal Vocal : Key, 우현 2016.05.04 Key <Key of Secret> 《매직 어드벤쳐 OST》 Vocal Vocal : Key 2016.07.11 Key, 도영 <COOL> 《38사기동대 OST》 Vocal Vocal : Key, 도영 2018.07.06 이어스 앤 이어스 <If You’re Over Me (Remix)> 《If You’re Over Me (Remix)》 Featuring, 작사 참여 Featuring, 작사 참여 : Key [2] 2009년 7월 동방신기 라이브 앨범 《THE 3RD ASIA TOUR CONCERT "MIROTIC"》 수록곡 《XIAHTIC》 랩 피처링 2010년 샤이니 정규앨범 2집 《LUCIFER》 수록곡 《악(Shout Out)》 작사참여 출연 작품[편집] 드라마[편집] 연도 국가 방송사 제목 배역 2016년 한국 tvN 《혼술남녀》 김기범 役 2017년 한국 MBC 《파수꾼》 공경수 役 뮤지컬[편집] 연도 제목 배역 2012년 4월~6월 《캐치 미 이프 유 캔》 프랭크 役 2012년 12월~2013년 2월 《캐치 미 이프 유 캔》 프랭크 役 2013년 9월~10월 《보니 앤 클라이드》 클라이드 役 2013년 ~ 2014년 12월~2월 《삼총사》 달타냥 役 2014년 4월~6월 《보니 앤 클라이드》 클라이드 役 2014년 8월~10월 《조로》 조로, 돈 디에고 役 2014년 12월~2015년 1월 《조로》 조로, 돈 디에고 役 2015년 9월~2015년 11월 《인 더 하이츠》 우스나비 役 연극[편집] 연도 제목 배역 2017년 8월~10월 《지구를지켜라》 병구 役 영화[편집] 연도 국가 제목 배역 2019년 한국 《뺑반》 동수 役 방송 프로그램[편집] 연도 방송사 프로그램 비고 2009년 MBC every1 《지금은 꽃미남 시대》: MC 2010년 코미디TV 《미녀쌤's 아이돌키우기》 2014년 4월 5일 ~ 2014년 7월 12일 MBC 《우리 결혼했어요》 세계판 시즌2 가상부부로 출연 2014년 MBC 《별바라기》 2014년 MBC 《7인의 식객》 2014년 ~ 2015년 Mnet 《엠카운트다운》 고정 MC 2015년 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 게스트 출연 2015년 네이버캐스트 《키스노하우》 2015년 OLIVE (방송 채널) 《주문을 걸어》 2017년 MBC 《은밀하게 위대하게》 게스트 출연 2017년 MBC 《라디오스타》 게스트 출연 2017년 SBS 《마스터키》 게스트 출연 2019년 tvN 《서울메이트 2》 호스트 2018년 ~ 2019년 tvN 《놀라운 토요일》 2018년 4월 7일 ~ 2019년 3월 23일 군입대로 인해 하차 음반 외 활동[편집] 광고 모델[편집] 연도 브랜드 2008년 6월 캐쥬얼의류 "Clride.n" 2008년 7월 SK네트웍스 "스마트학생복" 2008년 11월 LG생활건강 10대 화장품 브랜드 "나나스비" 2009년 1월 스포츠브랜드 "Reebok" 2009년 10월 오뚜기 "뿌셔뿌셔" 2009년 12월 치킨 "멕시카나" 2010년 12월 캐주얼 브랜드 "메이폴" 2011년 3월 인터넷 쇼핑몰 "옥션" 2011년 10월 로드샵 "에뛰드 하우스" 2013년 2월 스포츠 브랜드 스케쳐스 "skechers" 2014년 ~ 2017년 화장품 브랜드 "더샘" 2015년 3월 아이스크림 프랜차이즈 "배스킨라빈스 31" 2015년 - 현재 신라 면세점 2016년 ~ 2017년 오뚜기 "뿌셔뿌셔" 콘서트[편집] KEY LAND - KEY[편집] KEY LAND - KEY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쇼케이스·미니 콘서트·팬미팅[편집] Key BIRTHDAY PARTY[편집] 개최일 도시 국가 개최지 2018년 9월 22일 서울 대한민국 SMTOWN THEATER Key SHOWCASE "FACE"[편집] 개최일 도시 국가 개최지 2018년 11월 26일 서울 대한민국 건국대학교 새천년 홀 Key SOLO EVENT "KEY LAND"[편집] 개최일 도시 국가 개최지 2018년 12월 22일 신호 일본 고베 월드 기념 홀 2018년 12월 25일 횡빈 요코하마 아레나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출처 2017 제30회 그리메상 시상식 신인 연기자상 파수꾼 수상 [3] MBC 연기대상 남자 신인상 후보 각주[편집] ↑ Osen (2010년 1월 20일). “트랙스 미니앨범, 샤이니 키-휘성-티맥스 신민철 참여”. Osen.  ↑ 성정은 기자 (2018년 7월 6일). “英 밴드 이어스 앤 이어스, 정규2집 ‘Palo Santo‘ 발매...샤이니 키 피처링”. 매일경제.  ↑ 조은정 (2017년 12월 8일). “'그리메상 신인상' 샤이니 키, 벅찬 감정”. 《서울경제》.  외부 링크[편집] Key - 인스타그램 (영어) 키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vdeh 민호 온유 키 태민 종현 정규 음반대한민국 The SHINee World (2008) Lucifer (2010) Chapter 1. Dream Girl: The Misconceptions of You (2013) Chapter 2. Why So Serious?: The Misconceptions of Me (2013) Odd (2015) 1 of 1 (2016) The Story of Light (2018) 일본 THE FIRST (2011) Boys Meet U (2013) I'm Your Boy (2014) DxDxD (2016) FIVE (2017) SHINee THE BEST "FROM NOW ON" (2018) 리패키지 Amigo (2008) Hello (2010) The Misconception of Us (2013) Married To The Music (2015) 1 and 1 (2016) 미니 음반 누난 너무 예뻐 (Replay) (2008) ROMEO (2009) 2009, Year Of Us (2009) Sherlock (2012) Everybody (2013) 콘서트세계 (일본 포함) SHINee WORLD (2010/2011) SHINee WORLD II (2012) SMTOWN WEEK - The Wizard (2013) SHINee WORLD III (2014) SHINee WORLD IV (2015) SHINee WORLD V (2016/2017) 일본 THE FIRST JAPAN ARENA TOUR "SHINee WORLD 2012" (2012) JAPAN ARENA TOUR "SHINee WORLD 2013" (2013) SHINee WORLD 2014 -I'm Your Boy- (2014/2015) SHINee WORLD 2016 ~D×D×D~ (2016) SHINee WORLD 2017 ~FIVE~ (2017) SHINee WORLD THE BEST 2018 ~FROM NOW ON~ (2018) 리얼리티 쇼 헬로 베이비 (2010) 어느 멋진 날 (2013) 관련 문서 SM 엔터테인먼트 이수만 음반 목록 음반 외 활동 콘서트 투어 목록 경력·수상 목록 vdehSM 엔터테인먼트경영진 이수만 (회장·총괄 프로듀서) 김영민 (사장) 가수현재 그룹 틴틴파이브 (표인봉, 이웅호, 홍록기, 이동우, 김경식) 동방신기 (유노윤호, 최강창민)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린아, 다나, 선데이) 슈퍼주니어 (이특, 희철, 예성, 강인, 신동, 성민, 은혁, 동해, 시원, 려욱, 규현) 소녀시대 (태연, 써니, 효연, 유리, 윤아) 샤이니 (온유, 키, 민호, 태민) f(x) (빅토리아, 엠버, 루나, 크리스탈) EXO (수호, 카이, 시우민, 백현, 레이, 디오, 찬열, 세훈, 첸) 레드벨벳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NCT (태일, 태용, 쿤, 도영, 텐, 재현, 마크, 쟈니, 유타, 윈윈, 정우, 루카스, 해찬, 런쥔, 제노, 재민, 천러, 지성) 현재 솔로 강타 보아 추가열 제이민 조미 과거 그룹 메이저 (임범준, 서연수) J&J (김주현, 강준식) H.O.T. (문희준, 장우혁, 토니 안, 이재원) 배드 보이스 써클 (최일권, 신태권, 여인택, 송운석) 플라이 투 더 스카이 (환희, 브라이언) @ (에디, 앤서니) 밀크 (박재영, 김보미, 배유미, 서현진) 블랙 비트 (황상훈, 이소민, 정지훈, 심재원, 장진영) 슈가 (아유미, 이하린, 육혜승, 황정음, 박수진) 신비 (유수진, 오상은, 유나) 모닝 (백보람, 신성희, 김부연, 장민경) JYJ (영웅재중, 믹키유천, 시아준수) 트랙스 (제이, 김정모, 긴조) 과거 솔로 현진영 한동준 김광진 이지훈 장나라 장리인 윤상 스테파니 티파니 수영 서현 크리스 루한 타오 종현 헨리 유닛 · 프로젝트 그룹 SM TOWN S.M. THE BALLAD S 강타 & 바네스 M&D 천상지희 다나&선데이 슈퍼주니어-K.R.Y. 슈퍼주니어-T 슈퍼주니어-M 슈퍼주니어-Happy 슈퍼주니어-D&E 소녀시대-태티서 소녀시대-Oh!GG Younique Unit EXO-CBX 비트버거 NCT U NCT 127 NCT DREAM 배우 · 희극인현재 소속 이재룡 유호정 김민종 이연희 설리 최종윤 김이안 과거 소속 손지창 윤다훈 유준상 고아라 박명수 김영철 김미진 김완기 전환규 함효주 김이삭 노민우 강정우 한경 김기범 작곡가 · 프로듀서현재 소속 유영진 유한진 송광식 켄지 히치하이커 디즈 앤드류 최 Coach & Sendo 과거 소속 홍종화 Groovie K 장용진 이윤재 김영후 김지후 에스엠컬처앤콘텐츠현재 소속 신동엽 강호동 전현무 이수근 김병만 김생민 류담 장동혁 김태현 김미정 황신혜 김시후 송재림 백현 이학주 김수로 윤소희 오정연 장위안 한석준 공다임 김재범 김여진 박정복 박진 성두섭 윤나무 윤소호 이경화 이나윤 임병근 장유상 정하루 조민성 김현주 배다빈 김관수 최연우 김수연 박성광 과거 소속 한지민 한채영 공형진 장동건 정소민 김하늘 강예원 갤럭시아에스엠소속 선수 추신수 손연재 고진영 김자영 안신애 양지승 김비오 김민선 심석희 최민정 차준환 김민석 김민선 최재우 강영서 방수빈 정해림 김국영 우상혁 에스팀소속 모델 장윤주 송경아 한혜진 전은주 진아름 지현정 수주 양윤영 진정선 백지원 이혜정 장수임 김성희 송해나 태은 이현이 여혜원 정호연 이선정 김현진 홍지수 고소현 김진경 아이린 주선영 안재현 이철우 박지운 조민호 김종훈 황기쁨 윤소정 기도훈 미스틱엔터테인먼트미스틱89현재 아티스트 조규찬 신치림(윤종신, 하림, 조정치) 정진운 퓨어킴 에디킴 장재인 투개월(도대윤) 박재정 박상돈 포르테 디 콰트로(손태진) 퍼센트 정인 조원선 과거 아티스트 박지윤 김예림 김연우 뮤지 현재 MC 이지연 서장훈 김영철 기안84 과거 MC 박지윤 현재 크리에이터 정석원 과거 크리에이터 윤혜진 에이팝아티스트 브라운 아이드 걸스(제아, 미료, 나르샤, 가인) 조형우 천둥 민서 크리에이터 조영철 이민수 김이나 AIKM아티스트 스쿠비 두(브레이, 덕배) 자이언트핑크 크리에이터 케이준 미스틱액터스현재 아티스트 강래연 고민시 김기방 김사권 김석훈 김성은 노수산나 박시연 박혁권 오지은 오타니 료헤이 유주혜 이규한 이아리 이정혁 장준유 조한선 태항호 하재숙 한채아 과거 아티스트 신소율 장소연 손은서 키이스트vdeh키이스트 (콘텐츠와이)경영진 신필순(CEO) 배성웅(CEO) 양근환(CEO) 배용준(이사) 소속 배우 (키이스트)남성 김수현 김현중 배용준 인교진 주지훈 김희찬 서동건 우도환 손현주 김동욱 윤형렬 여성 문가영 배누리 박수진 소이현 손담비 이세나 정려원 한예슬 한보름 김혜인 지소연 천민희 박선아 조영서 김시은 정해나 남경 엄정화 윤혜진 소속 배우 (콘텐츠와이)남성 김지훈 이지훈 이현우 김도완 문성호 이강민 홍승범 한도우 여성 홍수현 이다인 한지혜 서효림 장다윤 류한비 과거 소속남성 류상욱 박서준 소지섭 엄태웅 권화운 여성 조안 이나영 임수정 홍진영 여의주 박은빈 안소희 구하라 관련 회사 SM 엔터테인먼트 연습생현재 연습생 SM 루키즈 (라미, 히나, 고은, 닝닝, 샤오쥔, 양양, 헨드리) 과거 연습생 지노 SM 루키즈 (혜린, 한솔, 이양) 관련 문서 SM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SM STATION 에스엠컬처앤콘텐츠 갤럭시아에스엠 에스팀 미스틱엔터테인먼트 미스틱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키이스트 전거 통제 뮤직브레인즈: 4e848ea9-d9d3-4608-b5ee-baa29acf4cca 멜론: 61402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키_(가수)&oldid=24526533" 분류: 1991년 태어남2008년 데뷔살아있는 사람아이돌 가수명지대학교 동문대구지묘초등학교 동문영신고등학교 (대구) 동문대한민국의 댄스 음악가대한민국의 아이돌대한민국의 가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대구광역시 출신대구광역시 출신 가수대구광역시 출신 음악가샤이니의 일원SM 엔터테인먼트 소속그리메상 수상자숨은 분류: 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멜론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DanskEnglishEspañolFrançais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Bahasa Melayu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ไทยTürkçeVepsän kel’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5일 (금) 08:4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Key (본명: 김기범, 한자: 金起範, 1991년 9월 23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이다. 보이 그룹 샤이니에서 보컬, 래퍼를 맡고 있다. 대구광역시 출신의 아이돌 스타 가수이다. 명지대학교에서 뮤지컬을 전공했고, 우석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육군에서 군복무를 했으며 29세에 샤이니 구성원 중에서 두번째로 전역했다. 나 혼자 산다의 새로운 멤버이다. SM 엔터테인먼트 소속의 가수이다. 종교는 개신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키는 현재 어떤 브랜드의 광고 모델인가? Assistant: 신라 면세점 Human: 아래 이라크_축구_국가대표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라크 별칭 Lions of Mesopotamia Asood Al Rafidain (اسود الرافدين) 연맹 이라크 축구 협회 대륙 아시아 축구 연맹 감독 스레츠코 카타네치 주장 두르감 이스마일 최다 출전자 유니스 마무드 (148) 최다 득점자 후세인 사에드 (78) 홈 구장 바스라 스포츠 시티 FIFA 코드 IRQ FIFA 랭킹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최고 순위: 39위 (2004년 10월)최저 순위: 139위 (1996년 7월) 첫 국제경기 출전 모로코 3 - 3 이라크 (레바논; 1957년 10월 19일) 최다 점수차승리 이라크 10 - 1 바레인 (이라크, 바그다드; 1966년 4월 6일) 최다 점수차패배 브라질 6 - 0 이라크 (스웨덴, 말뫼; 2012년 10월 12일) 유니폼 홈 원정 FIFA 월드컵 출전 횟수 1회 (1986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조별리그 (1986년) 아시안컵 출전 횟수 8회 (1972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우승 (200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 횟수 1회 (2009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조별리그 (2009년)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은 이라크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AFC의 회원국이며 사우디아라비아와 더불어 중동의 강호로 불리는 팀이다. 1957년 10월 19일 모로코와의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뤘다. 현재 바스라 스포츠 시티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고 감독은 슬로베니아 출신의 스레츠코 카타네치이며 팀의 별칭은 '메소포타미아의 사자들'이다. 목차 1 개요 2 국제대회 기록 2.1 FIFA 월드컵 2.2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3 하계 올림픽 3 지역대회 기록 3.1 AFC 아시안컵 3.2 아시안 게임 3.3 UAFA 걸프컵 3.4 WAFF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3.5 UAFA 아랍 네이션스컵 3.6 판 아랍 게임 4 각주 개요[편집] AFC 아시안컵 본선에는 8번 출전했으며 2007년 대회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꺾고 우승컵을 들어올리면서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 티켓도 동시에 얻었다. 또한 이전인 198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적이 있으며 199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에서 대한민국과 일본의 운명을 가른 이른바 도하의 기적을 일으킨 장본인이기도 했다. 그리고 하계 올림픽 본선에는 5번 올라 2004년 대회에서 비록 메달을 따지는 못했지만 1956년 대회에서 4강에 진출한 인도와 1968년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일본 이후 아시아 국가로는 역대 3번째로 하계 올림픽 본선에서 4강에 진출하는 기록을 달성했다. 그 뿐만 아니라 아시안 게임에는 6번 출전해 금, 은, 동메달을 1개씩 땄는데 성인 대표팀으로 참가한 1982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거머쥐었고 U-23 대표팀으로 참가한 2006년 대회에서 은메달을 따냈으며 2014년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 외에도 역대 걸프컵에는 12번 출전해서 3번의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2013년 대회에서 준우승도 차지했다. 그리고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는 8번 참가하여 2002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준우승도 2번 차지하는 등 조별리그에서 탈락한 2014년 대회를 제외한 모든 서아시아 대회에서 4강 이상의 성적을 거두었다. 아랍 네이션스컵에서는 4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이 대회 최다 우승국에 이름을 올렸다. 또한 팬아랍 게임에서는 금메달(1985년 대회)과 은메달(1999년 대회)을 각각 1개씩 획득했다. 선수들의 개인 기량이 꽤 출중하고 잠재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란-이라크 전쟁, 걸프 전쟁으로 인한 인력 유출과 경제 제재로 인해 1990년대부터 이미 축구 발전이 커다란 제약이 생겼으며 2000년대에는 이라크 전쟁의 여파로 인해 우수 인력이 대거 유출되고 인프라가 크게 파괴된 상황이다.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 대회에서 꾸준한 성적을 내고 있는 아시아의 강호 중 하나로 정세가 안정될 경우 아시아 최강의 자리에서 경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팀이다. 국제대회 기록[편집] FIFA 월드컵[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불참 불참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예선 탈락 6 3 2 1 11 6 11 1978년 기권 기권 1982년 예선 탈락 4 3 0 1 5 2 9 1986년 조별리그 23위 3 0 0 3 1 4 0 8[1] 5 1 2 14 11 16 1990년 예선 탈락 6 3 2 1 11 5 11 1994년 13[2] 7 4 2 37 13 25 1998년 4 2 0 2 14 8 6 2002년 14 6 3 5 37 15 21 2006년 6 3 2 1 17 7 11 2010년 8 3 2 3 11 6 11 2014년 16 7 3 6 20 12 24 2018년 16 6 5 5 24 18 23 합계 1회 진출(1/21) 조별리그(1회) 3 0 0 3 1 4 0 101 48 24 29 201 103 168 순위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70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51위 (아시아 8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92년 진출 실패 1995년 1997년 1999년 2001년 2003년 2005년 2009년 조별리그 6위 3 0 2 1 0 1 2 2013년 진출 실패 2017년 합계 1회 진출(1/10) 조별리그(1회) 3 0 2 1 0 1 2 순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대 순위: 28위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00년 독립 이전 1904년 1908년 1912년 1920년 1924년 1928년 1936년 불참 1948년 1952년 1956년 1960년 진출 실패 1964년 1968년 1972년 1976년 1980년 8강 6위 4 1 2 1 4 5 5 1984년 조별리그 14위 3 0 1 2 3 6 1 1988년 조별리그 9위 3 1 1 1 5 4 4 1992년[3] 불참 1996년[3] 진출 실패 2000년[3] 2004년[3] 4강 4위 6 3 0 3 9 8 9 2008년[3] 진출 실패 2012년[3] 2016년[3] 조별리그 12위 3 0 3 0 1 1 3 합계 5회 진출(5/19) 4위(1회) 19 5 7 7 22 24 22 지역대회 기록[편집] AFC 아시안컵[편집] AFC 아시안컵 본선 기록 AFC 아시안컵 예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56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1960년 1964년 1968년 1972년 조별리그 6위 3 0 2 1 1 4 2 6 5 1 0 14 2 16 1976년 4강 4위 4 1 0 3 3 6 3 6 5 1 0 14 3 16 1980년 기권 기권 1984년 1988년 1992년 1996년 8강 6위 4 2 0 2 6 4 6 2 2 0 0 4 0 6 2000년 8강 7위 4 1 1 2 5 7 4 3 3 0 0 9 2 9 2004년 8강 8위 4 2 0 2 5 7 6 6 4 1 1 16 4 13 2007년 우승 1위 6 3 3 0 7 2 12 6 3 2 1 12 8 11 2011년 8강 8위 4 2 0 2 3 3 6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 2015년 4강 4위 6 2 1 3 8 9 7 6 3 0 3 7 6 9 2019년 16강 11위 4 2 1 1 6 3 7 6 3 3 0 13 6 12 합계 9회 진출(9/17) 우승(1회) 39 15 8 16 44 45 53 41 28 8 5 89 31 92 순위 AFC 아시안컵 역대 순위 : 7위 아시안 게임[편집] 아시안 게임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51년 불참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8강 5위 6 3 2 1 6 2 11 1978년 4강 4위 7 4 1 2 11 4 13 1982년 금메달 우승 6 5 0 1 11 2 15 1986년 8강 7위 5 3 1 1 13 5 10 1990년 출전 금지[4] 1994년 1998년 2002년[3] 2006년[3] 은메달 2위 9 6 1 2 17 3 19 2010년[3] 불참 2014년[3] 동메달 3위 7 6 0 1 18 4 18 합계 6회 출전(6/17) 우승(1회) 40 27 5 8 76 20 86 UAFA 걸프컵[편집] 걸프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70년 불참 1972년 1974년 1976년 결선리그 준우승 7 4 2 1 23 8 14 1979년 결선리그 우승 6 6 0 0 23 1 18 1982년 기권 대회 도중 기권[5] 4 3 1 0 8 2 10 1984년 결선리그 우승 7 4 2 1 12 5 14 1986년 결선리그 6위 6 1 3 2 8 9 6 1988년 결선리그 우승 6 4 2 0 8 1 14 1990년 기권 대회 도중 기권[6] 3 1 2 0 4 3 5 1992년 출전 금지[4] 1994년 1996년 1998년 2002년 2003년 2004년 예선탈락 7위 3 0 2 1 5 7 2 2007년 예선탈락 5위 3 1 1 1 2 2 4 2009년 예선탈락 7위 3 0 1 2 2 8 1 2010년 4강 3위 4 1 3 0 5 4 6 2013년 준우승 2위 5 3 1 1 7 3 10 2014년 예선탈락 8위 3 0 1 2 1 4 1 2017년 본선 진출 합계 12회 출전(12/23) 우승(3회) 60 28 21 11 108 57 105 WAFF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서아시안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2000년 4강 3위 5 3 2 0 10 2 11 2002년 우승 1위 4 3 1 0 6 2 10 2004년 4강 4위 4 1 0 3 4 8 3 2007년 준우승 2위 4 2 1 1 5 2 7 2008년 기권 2010년 4강 3위 3 2 0 1 6 3 6 2012년 준우승 2위 4 2 1 1 4 2 7 2014년 예선탈락 5위 2 0 2 0 0 0 2 2017년 본선 진출 합계 8회 출전(8/9) 우승(1회) 26 13 7 6 35 19 46 UAFA 아랍 네이션스컵[편집] 아랍 네이션스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63년 불참 1964년 우승 1위 4 3 1 0 6 2 10 1966년 우승 1위 6 5 1 0 20 5 16 1985년 우승 1위 4 3 1 0 7 3 10 1988년 우승 1위 6 2 4 0 7 2 10 1992년 출전 금지[4] 1998년 2002년 2012년 4강 3위 5 3 1 1 6 4 10 합계 5회 출전(5/9) 우승(4회) 25 16 8 1 46 16 56 판 아랍 게임[편집] 판 아랍 게임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53년 불참 1957년 조별리그 6위 3 1 1 1 8 8 4 1961년 불참 1965년 결선리그 6위 4 1 2 1 7 2 5 1976년 불참 1985년 금메달 우승 4 4 0 0 7 1 12 1992년 출전 금지[4] 1997년 1999년 은메달 준우승 7 4 1 2 17 9 13 2004년 축구 종목 제외 2007년 불참 2011년 조별리그 10위 2 0 1 1 0 3 1 합계 5회 출전(5/11) 금메달(1회) 20 10 5 5 39 23 35 각주[편집] ↑ 이 대회에서는 서아시아와 동아시아 예선을 따로 치뤄 각각 1장씩 티켓을 배분했는데, 그 주인공이 이라크였다. B지역 1B조(카타르, 요르단) 3승 1패(7득점 6실점) 1위로 결선라운드에 올라 준결승에서 아랍에미리트와 1승 1패(4득점 4실점) 원정 다득점에서 앞서 결승에 진출, 시리아를 1승 1무(3득점 1실점)로 누르고 사상 첫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현재까지도 유일하게 본선에 오른 대회다. ↑ 1차예선 A조(중국, 예멘, 요르단, 파키스탄)에서 6승 1무 1패(28득점 4실점) 조 1위를 차지하며 최종예선에 진출, 그 유명한 도하의 기적을 만들어낸 장본인이다. 최종성적은 1승 3무 1패(9득점 9실점) 조 4위. 그러나 이라크의 유일한 패배가 최하위 북한전이었으며, 이란에게 승리하고 1~3위 사우디, 대한민국, 일본과 전부 비기는 등 나쁘지 않은 성적을 거두었다. 단적으로 마지막 경기에서 우리와 일본의 입장을 강조하는 이야기가 많지만, 사우디도 이란전에서 패하면 탈락이 확정되는 상황이었으며 이라크와 이란도 마지막 경기를 이기면 본선 진출 가능성이 있는 상황이었다. 물론 대한민국이 북한을 3:0으로 이겼기에 이라크가 진출하려면 최소 5점차 이상으로 일본에 대승을 해야했긴 하지만 말이다.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가 나 다 라 걸프 전쟁(쿠웨이트 침공)을 일으킨 대가로 출전 자격을 박탈당했다. ↑ 초반 4경기를 치르고 바레인, 쿠웨이트와의 경기를 남겨놓은 상황에서 갑자기 기권했다. 그래서 대회 순위에는 반영이 되지 않았다. ↑ 초반 3경기를 치르고 카타르, 오만과의 경기를 남겨놓은 상황에서 갑자기 기권했다. 그래서 대회 순위에는 반영이 되지 않았다. vdeh AFC 아시안컵 우승 국가코파 아메리카 | AFC 아시안컵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CONCACAF 골드컵 | OFC 네이션스컵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1956: 대한민국 1960: 대한민국 1964: 이스라엘 1968: 이란 1972: 이란 1976: 이란 1980: 쿠웨이트 1984: 사우디아라비아 1988: 사우디아라비아 1992: 일본 1996: 사우디아라비아 2000: 일본 2004: 일본 2007: 이라크 2011: 일본 2015: 오스트레일리아 2019: 카타르 vdeh국제 축구 FIFA FIFA 월드컵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올림픽 FIFA U-20 월드컵 FIFA U-17 월드컵 청소년 올림픽 FIFA 클럽 월드컵 FIFA 풋살 월드컵 FIFA 비치사커 월드컵 FIFA e월드컵 유니버시아드 풋볼 어워드 남자 대표팀 목록 FIFA 코드 FIFA 랭킹 남미 CONMEBOL – 코파 아메리카 U-20 U-17 U-15 북중미카리브 CONCACAF – CONCACAF 골드컵 CONCACAF 네이션스리그 U-20 U-17 U-15 지역별 UNCAF 아시아 AFC – AFC 아시안컵 U-23 U-19 U-16 U-14 지역별 AFF CAFA EAFF SAFF WAFF 아프리카 CAF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오세아니아 OFC – OFC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유럽 UEFA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네이션스리그 U-21 U-19 U-17 FIFA 비회원국 NF-보드 – VIVA 월드컵 CONIFA – CONIFA 축구 선수권 대회 IGA – 아일랜드 게임 종합 대회 아시안 게임 올아프리카 게임 팬아메리칸 게임 동아시아 경기 대회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남아시아 경기 대회 지중해 경기 대회 카리브 게임 퍼시픽 게임 유러피언 게임 인도해 아일랜드 게임 팬아랍 게임 프랑코포니 경기 대회 루소포니아 경기 대회 vdehAFC 소속 축구 국가대표팀남아시아 (SAFF) 네팔 몰디브 방글라데시 부탄 스리랑카 인도 파키스탄 동아시아 (EAFF) 괌 대한민국 마카오 몽골 북마리아나 제도1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중화 타이베이 홍콩 동남아시아 (AFF) 동티모르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베트남 브루나이 싱가포르 오스트레일리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태국 필리핀 서아시아 (WAFF) 레바논 바레인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아랍에미리트 예멘 오만 요르단 이라크 카타르 쿠웨이트 팔레스타인 중앙아시아 (CAFA) 아프가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이란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1: AFC의 준회원국이며, FIFA 비회원국임. 남미 북중미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FIFA 월드컵 참가국vdeh1986년 FIFA 월드컵 참가국남아메리카 브라질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북아메리카 멕시코 캐나다 아시아 대한민국 이라크 아프리카 모로코 알제리 유럽 덴마크 벨기에 북아일랜드 불가리아 서독 소련 스코틀랜드 스페인 이탈리아 잉글랜드 포르투갈 프랑스 폴란드 헝가리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참가국vdeh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참가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뉴질랜드 미국 브라질 스페인 이라크 이집트 이탈리아 vdeh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 1986년 FIFA 월드컵 1 함무디 2 이브라힘 3 칼리 알라위 4 N.샤케르 5 S.샤케르 6 후세인 7 H.모하메드 8 라디 9 사담 10 사이드 11 하미드 12 알리 13 카림 알라위 14 고르기스 15 하심 16 마흐무드 17 아비드 18 I.무하메드 19 카심 20 자이에프 21 자심 22 오라이비 감독: 데 마세이두드 vdeh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 2004년 AFC 아시안컵 1 오다이 2 아티야 3 바심 4 H. 압둘자바르 5 나샤트 6 사디르 7 에마드 8 아부 알하일 9 R. 파르한 10 유니스 11 하와르 12 H. 압둘라자크 13 사바 14 H. 압둘아미르 15 하산 16 므나제드 17 A. 살라 18 마디 19 쿠사이 20 라드 21 아마드 알리 22 누르 감독: 아드난 하마드 vdeh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 2004년 하계 올림픽 1 누르 2 아티야 3 바심 4 H. 압둘자바르 5 나샤트 6 사디르 7 에마드 8 아부 알하일 9 R. 파르한 10 유니스 11 하와르 12 H. 압둘라자크 13 쿠사이 14 H. 압둘아미르 15 마디 16 므나제드 17 A. 살라 18 우다이 감독: 아드난 하마드 vdeh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 2007년 AFC 아시안컵 우승 (1회) 1 아마드 알리 2 굴람 3 바심 4 칼둔 5 나샤트 6 사디르 7 알리 아바스 8 코비 9 나세르 10 유니스 11 하와르 12 H. 압둘라자크 13 카라르 14 H. 압둘아미르 15 레헤마 16 므나제드 17 루아이 18 마흐디 19 하이탐 20 나빌 21 쿠사이 22 누르 23 M. 가시드 감독: 비에이라 vdeh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1 누르 2 알리 카림 3 바심 4 마지드 5 나샤트 6 사디르 7 에마드 8 살라 9 아부 알하일 10 유니스 11 하와르 12 가시드 13 카라르 14 샤키르 15 레헤마 16 다라 17 압둘 자라 18 메디 19 야신 20 사메르 21 우다이 22 칼리드 23 할구르드 감독: 밀루티노비치 vdeh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 2011년 AFC 아시안컵 1 무타샤르 2 알리 카림 3 바심 4 무니르 5 나샤트 6 압둘아미르 7 에마드 8 사메르 9 카림 10 유니스 11 하와르 12 가시드 13 카라르 14 샤키르 15 레헤마 16 사말 17 압둘 자라 18 메디 19 아야드 20 칼리드 21 이브라힘 22 라드 23 야티야 감독: 지드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라크_축구_국가대표팀&oldid=24358637" 분류: 이라크의 축구축구 국가대표팀이라크의 국가대표팀아시아의 축구 국가대표팀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کوردی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ietuviųLatviešuमराठीBahasa Melayuनेपाली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일 (토) 23: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아랍어: منتخب الْعِرَاق لِكُرَّةُ الْقَدَم)은 이라크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메소포타미아의 사자들'이라는 별칭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우디아라비아와 더불어 중동의 강호로 불리는 팀이다. 1957년 10월 19일 모로코와의 1957년 팬아랍 게임 축구 A조 조별리그 1차전에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으며 현재 바스라 스포츠 시티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이 1985년 팬아랍 게임에서 획득한 메달의 종류는 무엇인가? Assistant: 금메
Human: 아래 오페라_(웹_브라우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오페라 (웹 브라우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페라 (웹 브라우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페라 브라우저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오페라 개발자 오페라 소프트웨어 발표일 1994년 말 안정화 버전 62.0.3331.18(2019.6.27) 미리보기 버전 62.0.3331.14(2019.6.19) 프로그래밍 언어 C++ 운영 체제 FreeBSD, 리눅스, 맥 OS X, 윈도, 솔라리스 (버전 10.11 까지) 엔진 Elektra1~6 ,Presto(7~12),웹킷(13,14) 블링크, V8(15~ 플랫폼 64비트 전용 언어 다국어 종류 웹 브라우저, 인터넷 스위트 라이선스 독점형 프리웨어 웹사이트 www.opera.com 오페라(Opera)는 전 세계 3억 5천만명 이상이 사용하는 크로스 플랫폼 인터넷 스위트다. 목차 1 종류 2 개발 단계 3 역사 4 개요 5 특징 6 비판 7 같이 보기 8 각주 9 외부 링크 종류[편집]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갖춘다. 웹 브라우저 이메일과 뉴스 클라이언트 뉴스 수집기 (news aggregator) 주소록 다운로드 관리자 RSS 리더 개발 단계[편집] 오페라는 개발단계에 따라 분리된 세 개의 채널로 공개되는데, "개발자", "베타"와 "안정판"이다. 각 채널의 오페라는 독립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새로운 기능이 개발자판에 먼저 적용되고, 피드백 후 베타판을 거쳐 출시된다.[1] 개발자판은 신기능이 제일 먼저 적용되는 채널이다. 개발자, 부가기능 개발자, 얼리어답터를 겨냥한다. 개발자판 오페라(Opera Developer)의 목적은 일상적 이용에 있지 않으므로 불안정하고 오류나 충돌이 잦으나, 안정판을 건드리지 않으면서도 개발 중인 신기능을 써볼 수 있다. 보통 한 주에 수 차례 정도 새롭게 갈음한다.[2] 베타판은 오페라 넥스트(Opera Next)라고도 알려져 있는데, 최종 공개 전의 상태로 어느 정도의 안정성과 품질이 보장된다. 격주로 새롭게 갈음한다.[3] 두 채널은 별다른 설정 없이 안정판과 함께 설치할 수 있다. 각기 다른 아이콘으로 표시되어 구분이 쉽도록 해놓았다. 역사[편집] 1994년, 노르웨이 최대 통신회사인 텔레너가 오페라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1995년, 오페라 소프트웨어(Opera Software ASA)가 분리되었다.[4] 오페라의 첫 공식 공개는 1996년 버전 2로,[5]윈도 운영 체제에서만 돌아갈 수 있었다.[6] 1998년에는 인터넷이 되는 이동식 장치(PDA, 휴대전화 등)라는 신흥 시장에 투자를 시도했다. 모바일 플랫폼에 오페라를 심으려는 시도였던 것이다.[6] 2000년에 나온 오페라 4는[5] 여러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돌아가기 쉽게 하기 위해 복합 기반 방식(크로스 플랫폼)을 포함했다.[7] 이때까지 오페라는 일정 기간만 무료이고, 무료 이용 기간이 끝난 후에는 구입해야 했다. 오페라 5 (2000년)부터는 이 방식을 포기한 대신 광고로 수익을 냈다. 이때부터 오페라 사용자는 구글 글자 광고나 배너 광고를 봐야했다. 오페라 8.5(2005년 나옴)부터는 광고를 없앤 대신 구글을 기본 검색 사업자로 하여 구글로부터 수익을 받았다. 오페라 9.1(2006년 나옴)에서 나온 새 기능은 GeoTrust에서 개발한 사기 방지 기능과, PhishTank의 전자 인증서 기능, 피싱 사이트를 추적하는 조직이였다. 오페라 9.5에서는 GeoTrust가 Netcraft로 교체되고, 악성코드로부터 보호하는 오트 보안(Haute Secure)이 추가되었다. 또한 2006년에는 오페라의 닌텐도 DS와 Wii 버전이 개발되었다. Wii판 오페라는, 인터넷 채널(Internet Channel)이라고 이름지어졌고, 2007년 4월 11일부터 6월 30일까지는 무료였지만, 이후로는 500 Wii 포인트를 내야 했다. 2009년 9월 2일에는 다시 무료가 되었다. 이전에 500포인트를 지불한 사용자는 동일한 값의 NES 게임을 이용할 수 있었다. 닌텐도 DS에서는 무료가 아닌 상태이다. 사용하려면 별도의 카트리지를 구입해 꽂아야 한다. Dsi에서 인터넷 채널은 Dsi 상점에서 구입할 수 있다. 오페라 10.5에서는 새 자바스크립트 엔진인 카라칸이 소개되었다. 오페라 소프트웨어에 따르면, SunSpider라는 속도 측정 프로그램으로 측정한 결과 카라칸이 적용된 오페라 10.5는 오페라 10.1보다 7배 빨랐다. 2010년 12월 16일에는 오페라 11이 나왔다. 변화, 추가된 기능은 탭 쌓기, 마우스 동작(제스쳐) 시각화 힌트, 주소창의 변화 등이다. 새 주소창은 쿼리 부분(?title=)과 프로토콜(http) 부분을 자동으로 숨겨준다(기본값). 2012년 6월 14일에는 오페라 12가 발표되었다. 2013년 2월 12일 오페라는 이때까지 쓰던 프레스토 엔진 대신 구글의 크로뮴의 웹킷 엔진과 자바스크립트 엔진 V8을 쓰기로 했다. 오페라 소프트웨어는 또한 웹킷에 코드를 제공하기로 했다. 2013년 4월 11일, 구글은 블링크로 알려진 새로운 엔진을 만들기 위해 웹킷의 구성요소를 가져올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날 오페라는 구글의 블링크를 적용할 것이라고 확인했다. 2013년 5월 28일, 오페라 15 베타가 공개되었다. 오페라 메일 등 이전 버전에 포함되었던 다양하고 독특한 기능들이 사라졌고, 오페라 메일은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떼어져 배포되었다. 2016년 7월 18일, 중국 컨소시엄(치후360, 쿤룬테크 등)에 매각되었다.[8] 개요[편집] 오페라는 노르웨이, 오슬로의 오페라 소프트웨어가 개발하고 있으며, 핵심 레이아웃 엔진("프레스토")은 어도비 같은 협력 사업자들에게서 라이선스를 받았고, 어도비 크리에이티브 스위트에 통합되어 있다. 오페라는 스마트폰과 PDA를 위한 브라우저 분야에서 그들의 스몰 스크린 렌더링(Small Screen Rendering) 기술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iTV 플랫폼에서도 사용되며, 닌텐도의 게임기인 위에 탑재, 닌텐도 DS용 웹 브라우저를 개발하는 등 여러 플랫폼에서 개발 중이다.[9] 현재 음성 인식 “멀티모들(multimodal) 브라우저”를 IBM과 함께 개발 중이다. 웹 표준에 대해 오페라는 모질라 재단과 행보를 같이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것은 자바스크립트 표준안이나 CSS 2, CSS 3와 같은 새로운 웹 표준 제정 및 Acid2, Acid3 테스트와 같은 곳에서 드러나고 있다. 특징[편집] 오페라의 특징은 다양한 기능을 통합해서 기본적으로 탑재하고 있으면서 같은 종류의 다른 프로그램에 비해 작고, 렌더링 속도가 가볍고 빠르다는 것이다. 그리고 오페라 및 오페라 모바일에서는 오페라 터보라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는 네트워크 연결이 느리거나 불안정한 환경에서 오페라 터보 기능을 토글키를 통해 활성화 시키면 웹페이지 서버측의 자료를 오페라 터보 서버에 우선 전송한 후 해당 정보를 오페라 터보 서버 상에서 압축하여 사용자에게 다시 전송하여 브라우저 사용자의 느린 네트워크 환경을 극복하는 방식이다. 더불어 10.5 버전부터 새로이 선보인 오페라 유나이트 서비스는 웹브라우저상의 간단한 조작으로 파일을 공유하거나 음악, 동영상 등 미디어를 재생하거나, 간단한 웹페이지를 작성하여 웹 서버로도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2012년 11월, 오페라는 레이아웃 엔진 프레스토 2.12와 자바스크립트 엔진 카라칸을 사용한 12.1을 출시했다. 2013년 2월 13일, 오페라는 크로뮴의 블링크 로 렌더링 엔진을 바꾼다고 발표했다.[10] 2016년 4월 20일에, 새 개발자 버전을 공개하면서 무료 무제한 VPN 서비스를 추가했다.[11] 비판[편집] 2013년 5월 28일, 오페라는 지금껏 사용하던 프레스토 엔진을 버리고 구글의 크롬과 같은 베이스의 블링크를 사용하는 웹브라우저를 발표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프레스토 기반의 오페라에 저장된 즐겨찾기를 가져올수 없고, 오페라의 클라우드 동기화 서비스인 Opera Link를 직접 지원하지 않는 등의 여러 불편사항이 있었다. 무엇보다 '오페라'라는 이름과 특유의 로고(빨간색의 입체 'O'로고), 그리고 오페라 터보등 몇몇 기능을 제외하면 기존의 오페라와 확연히 달라진점, 호환이 안되는 점은 사용자들의 불편을 자아내고 있다. Opera Link의 지원과 프레스토기반의 오페라와의 호환등은 최신버전인 25에서도 아직까지 지원되지 않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인터넷 익스플로러 모질라 파이어폭스 구글 크롬 사파리 블링크 각주[편집] ↑ “What is Opera, Opera next, and Opera developer?”. 《Opera Desktop Team Blog》. 2014년 9월 16일에 확인함.  ↑ “Opera Developer official page”. Opera Software. 2013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Opera beta”. Opera Software ASA. 2014년 11월 9일에 확인함.  ↑ “About Opera”. Opera Software. 2007년 1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9월 5일에 확인함.  ↑ 가 나 “Affiliated Organization of Firefox and Mozilla” (PDF). 《Mozilla Japan》. Mozilla Foundation. 2006. 2010년 9월 5일에 확인함.  ↑ 가 나 “Milestones”. Opera Software. 2007. 2007년 1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13일에 확인함.  ↑ Schenk, Mark (2010). “Opera browser version history”. 2014년 6월 11일에 확인함.  ↑ Opera browser sold to a Chinese consortium for $600 million, 2016년 7월 18일 ↑ “Opera business solutions: TV & device OEMs”. 2008년 5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5월 14일에 확인함.  ↑ Opera (2013년 2월 13일). “Opera gears up at 300 million users”. 2013년 2월 25일에 확인함.  ↑ Free VPN integrated in Opera for better online privacy 2016년 4월 20일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오페라 (영어) 오페라 소프트웨어 홈페이지 (영어) 오페라 데스크톱 개발팀 블로그 vdeh오페라회사 오페라 소프트웨어 텔레노르 소프트웨어 오페라 (역사 특징 오페라 메일) 오페라 모바일 오페라 미니 닌텐도 DS 브라우저 인터넷 채널 프레스토 오페라 쇼 포맷 웹사이트 마이 오페라 관련 프로그램 오퍼레이터 YAPO vdeh웹 브라우저 비교 가벼운 웹 브라우저 역사 목록 유닉스용 연표 시장 점유율 기능 광고 차단 증강 브라우징 북마크 북마크릿 라이브 북마크 스마트 북마크 브라우저 확장 브라우저 보안 브라우저 동기화 비교 쿠키 다운로드 관리자 파비콘 증분 검색 플러그인 프라이버시 모드 탭 유니버설 편집 버튼 웹 표준 Acid 테스트 종속형 시트 HTML HTML5 자바스크립트 MathML OCSP SVG WebGL XHTML 관련 주제 BrowserChoice.eu CRL HTTP HTTPS iLoo 인터넷 스위트 맨 인 더 브라우저 모바일 웹 오프라인 리더 PAC Pwn2Own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사이트 특화 브라우저 SPDY SSL/TLS 웹소켓 위젯 월드 와이드 웹 WPAD XML 데스크톱블링크 기반 크로미엄 브레이브 크롬 드래곤 오페라 슬레이프니르 슬림젯 SR웨어 아이언 UC 브라우저 비발디 얀덱스 브라우저 Sputnik 세이프존 네이버 웨일 게코 기반 AT&T 포고* 아방트 카미노* 모질라 파이어폭스 Conkeror GNU 아이스캣 아이스드래곤 스위프트폭스* Swiftweasel* 텐포폭스 팀버울프 토르 브라우저 워터폭스 XB 브라우저* Galeon* Ghostzilla* K-멜레온 가제하카세* Kirix Strata 로터스 심포니* 루나스케이프 모질라* Beonex Communicator* Classilla 넷스케이프* 시몽키 트라이던트 기반 AOL 익스플로러* 아방트 딥넷 익스플로러* 그린브라우저 인터넷 익스플로러* 루나스케이프 맥스톤 미디어브라우저* 메뉴박스 네오플래닛* 넷캡터* 슬림브라우저 스페이스타임 울트라브라우저* 웹IE ZAC 브라우저 웹킷 기반 Arora* 아방트 Dooble 에픽 플로크* 플루이드 아이캡 캉커러 루나스케이프 맥스톤 미도리 옴니웹 Origyn Web Browser* Otter Browser QtWeb QupZilla rekonq 사파리 시이라* 슬림보트 surf Torch 유즈블 웹 웹포지티브 xombrero 텍스트 기반 ELinks Emacs/W3* 라인 모드 브라우저* 링크 링크스 W3m 기타 abaco 어마야* 아라크네* 아레나* 카론 딜로 eww Gazelle 핫자바* IBM 홈 페이지 리더* 아이브라우즈* KidZui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모자이크* Mothra* 넷포지티브* 넷서프 페일 문 모바일블링크 기반 안드로이드 브라우저 크로미엄 브레이브 크롬 오페라 모바일 실크 게코 기반 파이어폭스 모바일 MicroB* 미니모* 프레스토 기반 오페라 미니 삼지창 기반 맥스톤 웹킷 기반 BOLT 돌핀 브라우저 파이어폭스 포 iOS 맥스톤 머큐리 브라우저 S60용 웹 브라우저 Rockmelt 사파리 스틸 기타 블레이저 CM 브라우저 딥피시* ibisBrowser 인터넷 익스플로러 모바일* 아이리스 브라우저* 캉커러 임베디드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넷프론트 노키아 Xpress* Skweezer* 스카이파이어* 티샤크* 선더호크 UC 브라우저 비전 WinWAP 스무즈 Wire 브라우저 텔레비전 및 비디오 게임 콘솔게코 기반 Kylo 프레스토 기반 인터넷 채널 웹킷 기반 구글 TV 닌텐도 3DS 인터넷 브라우저 닌텐도 DS 브라우저 넷프론트 스팀 오버레이 Wii U 인터넷 브라우저 기타 MSN TV* 별표(*)로 된 부분은 더 이상 개발 중이 아닌 소프트웨어를 의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오페라_(웹_브라우저)&oldid=24512916" 분류: C++ 소프트웨어임베디드 리눅스프리웨어인터넷 스위트MacOS 웹 브라우저오페라 소프트웨어OS/2 웹 브라우저포켓 PC 소프트웨어POSIX 웹 브라우저위젯 엔진크로스 플랫폼 웹 브라우저뉴스 애그리게이터1994년 소프트웨어1996년 소프트웨어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zərbaycanca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DanskDeutschडोटेली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àidhlig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urdîКыргызчаLingála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Plattdüütsch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ਪੰਜਾਬੀPolski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2일 (화) 09: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오페라(Opera)는 전 세계 3억 5천만명 이상이 사용하는 크로스 플랫폼 인터넷 스위트다. 2016년에 오페라는 중국 컨소시엄에 의해 운영되는 투자 그룹에 의해 인수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오페라 개발 단계에 따른 세 가지 채널은 각각 무엇인가? Assistant: 개발자", "베타"와 "안정판 Human: 아래 오쓰_사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오쓰 사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쓰 사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오쓰 사건 기념비 오쓰 사건(일본어: 大津事件)은 1891년 5월 11일 당시 일본 제국을 방문하고 있었던 러시아 제국의 황태자 니콜라이(후의 니콜라이 2세)가 시가현(滋賀縣) 오쓰 시(大津市)에서 경호를 맡고 있던 순사 쓰다 산조(津田三蔵)에게 갑작스럽게 칼을 맞은 사건을 말한다. 일본에서는 오쓰 사건이 행정부의 간섭으로부터 사법부의 독립을 확립하고, 3권 분립 의식을 널리 퍼뜨린 근대의 중요한 사건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보다 복잡한 문제가 얽혀져 있었다. 피의자인 쓰다는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며, 야마다 아키요시(山田顕義) 사법대신은 사임했다. 목차 1 사건 내용 1.1 니콜라이 황태자의 방일 1.2 오쓰 사건 발생 1.3 사건 수습 2 사건 배경 3 대처 3.1 일본 정부의 움직임 3.2 일본 사법부의 움직임 3.3 러시아의 움직임 4 사건 후 5 각주 사건 내용[편집] 나가사키를 방문한 니콜라이 황태자 니콜라이 황태자의 방일[편집] 러시아 제국의 니콜라이 황태자는 시베리아 철도 극동지구 기공식에 참석하기 위해 함대를 인솔해 블라디보스토크로 가는 도중에 일본을 방문했다. 니콜라이 황태자 일행은 나가사키(長崎)와 가고시마(鹿兒島)를 방문한 후, 고베(神戶)에 상륙해 교토(京都)로 향했다. 당시 아직 소국이었던 일본은 정부의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 니콜라이 황태자의 방일을 접대했다. 공식 접대 담당으로 영국에 간 유학 경험 등 당시 황족 중 제일의 외국통이었던 아리스가와노미야 다케히토 친왕(有栖川宮威仁)을 임명했고, 교토에서는 제철이 아니었던 고잔 오쿠리비도 행해졌다. 다음 방문 예정지였던 요코하마(橫浜)와 도쿄(東京)에서도 환영 준비가 행해지고 있었다. 오쓰 사건 발생[편집] 쓰다 산조 그리고 1891년 5월 11일 오후, 교토에서 비와 호(琵琶湖) 당일치기 관광 후 돌아가는 길에 니콜라이 황태자 및 함께 방일하고 있었던 그리스 왕국의 왕자 요르요스, 다케히토 친왕의 순번으로 인력거를 타고 오쓰 시가(市街)를 통과하는 도중에 경호를 담당하고 있었던 시가현 경찰서 순사 쓰다 산조가 돌연 니콜라이 황태자에게 사브르(saber)를 휘둘러 부상을 입혔다. 니콜라이는 인력거에서 뛰어 내려 옆 골목길로 도망쳤지만, 쓰다는 니콜라이를 쫓아가면서 부상을 입히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쓰다는 요르요스 왕자의 대나무 지팡이에 등을 맞고, 니콜라이 황태자를 수행하던 인력차부에게 다리가 걸려 넘어졌다. 또한 요르요스 왕자를 수행하던 인력차부는 쓰다가 떨어뜨린 사벨을 휘둘러 쓰다의 목에 상처가 입혔으며, 결국 쓰다 산조는 경비 중이던 다른 순사에게 붙잡혔다. 니콜라이 황태자는 오른쪽 두부에 9cm 정도의 상처를 입었지만 생명에는 지장이 없었다. 다케히토 친왕은 현장에 있었지만 구경꾼에게 막혀서 가까이 갈 수 없었고, 상황을 확인한 후에는 이미 쓰다가 잡힌 후였다. 사건 수습[편집] 유학과 해외군사시찰 등의 경험을 통해 국제 관계에 정통하고 있던 다케히토 친왕은 즉시 이 사건이 자신의 수준에서는 해결할 수 없는 중대한 외교 문제라고 판단, 수행원에게 명해 전말을 즉시 정리해 도쿄의 메이지 천황에게 전보(電報)로 보고하게 하고, 동시에 러시아 제국 측에 성의를 보이기 위해 천황이 교토로 긴급 행차할 것을 요청했다. 전문을 받은 메이지 천황은 즉시 확인하고, 다케히토 친왕에게 니콜라이 황태자의 신변 경비를 명하는 동시에 기타시라카와노미야 요시히사 친왕(北白川宮能久)을 문안사로 교토에 파견했다. 사건 다음날인 1891년 5월 12일 아침, 메이지 천황은 신바시 역에서 기차에 올라 같은 날 밤에 교토에 도착했다. 메이지 천황은 그날 밤에 니콜라이 황태자를 병문안 할 예정이었지만, 나콜라이 황태자측의 요청에 의해 다음 날로 연기되었다. 아리스가와 다케히토 친왕의 형인 아리스가와노미야 다루히토 친왕(有栖川宮熾仁)도 메이지 천황의 뒤를 따라 교토에 도착했다. 5월 13일에 메이지 천황은 니콜라이 황태자의 거처였던 교토 호텔로 가 니콜라이 황태자를 병문안하고, 다케히토 친왕과 요시히사 친왕, 타루히토 친왕을 데리고 가 고베까지 배웅했다. 나중에 메이지 천황이 스스로 고베항에 정박해 있는 러시아 군함을 방문할 때, 중신(重臣)들이 ‘납치될 수 있다’라고 반대했지만 이를 뿌리치고 요양 중이던 니콜라이 황태자를 다시 병문안했다. 당시 소국이었던 일본이 대국인 러시아의 황태자를 부상하게 했다고 하여 ‘러시아가 보복하기 위해 일본을 공격할 수 있다’라는 소문이 퍼졌다. 학교들은 근신의 뜻을 표하기 위해 휴교를 하고, 신사(神社)나 사원, 교회에서는 황태자의 회복을 위한 기도가 이어졌다. 니콜라이 황태자에게 보내진 문안 전보는 1만통을 넘어갔고, 야마가타현(山形縣) 가네야마 정(金山町)에서는 ‘쓰다’(津田)라는 성과 ‘산조’(三藏)라는 이름의 명명을 금지하는 조례를 결의하기도 했다. 또, 1891년 5월 20일에는 하타케야마 유우코(畠山勇子)라는 아녀자가 니콜라이 황태자에게 ‘죽음으로 사죄한다’라면서 교토 부청 앞에서 면도기로 자살했다. 외국어에 능통한 게이오 대학교의 학생들은 프랑스어로 사과편지를 작성하기도 하였고, 러시아 정교회 선교사가 니콜라이 황태자를 문안함으로써 일본과 러시아간의 외교적인 마찰을 중재하고자 하였다.[1] 사건 배경[편집] 쓰다 산조(津田三藏) 본인의 진술에 따르면 이전부터 러시아의 북방 제도 등에 관한 강경한 자세를 탐탁하게 생각하지 않았다는게 사건 발생의 이유였다. 또 세이난 전쟁(西南戰爭)에서 패해 자결한 사이고 다카모리(西鄕隆盛)가 사실은 러시아에 망명해 니콜라이 황태자랑 함께 돌아온 것이 아닌가라는 소문이 있었는데, 세이난 전쟁으로 훈장을 수여받은 쓰다가 만약 사이고 다카모리가 귀환할 경우 자신의 훈장이 박탈되는 것이 아닐까라는 걱정이 있었다는 설(說)이 있다. 다만, 니콜라이 황태자를 살해하려는 의도는 없었던 듯으로 보이고, 사건 후 조사에 있어서도 ‘죽일 의도는 없었다’라고 진술했다라는 기록이 있다. 하지만, 당시 니콜라이 황태자의 방일이 군사시찰이었다라는 소문도 있고, 시베리아 철도도 러시아의 극동 진출 정책이라고 말해져서 국민의 반발이 있었다. 대처[편집] 일본 정부의 움직임[편집] 당시 일본은 어떻게든 서구의 식민지가 되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고, 더군다나 러시아 제국에 대항할 만한 힘도 없었다. 따라서, 러시아가 배상금이나 영토의 할양을 요구하는 것이 아닐까라고 전전긍긍하고 있었다. 일본 정부는 이 사건을 관할하고 있던 재판관에게 구(舊) 형법 제116조에서 규정하고 있던 대역죄(일본 천황이나 황족에게 위해를 가할 때 적용하는 죄)를 적용해 사형을 언도할 것을 요구했다.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는 사형에 반대하는 의견이 있을 경우에 계엄령을 발령하더라도 사형을 적용시켜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내각에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마쓰카타 마사요시(松方正義) 내각총리대신, 야마다 아키요시(山田顕義) 사법대신은 사형 적용에 찬성 했고, 아오키 슈조(青木周藏) 외무대신과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는 소극적 반대, 고토 쇼지로(後藤象二郎) 체신대신 등은 “쓰다를 납치해 권총으로 사살하는 것이 최선책이다”라고 말했다. 일본 사법부의 움직임[편집] 구 형법 제116조는 일본 황실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것이지, 외국 황족에 대한 범죄는 설명하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이 사건에 대한 법률 적용은 일반인에 관한 형법 조항 적용이 필요했다. 즉, 부상을 입히는 것만으로는 사형을 선고하는 것이 법률상으로는 불가능했다. 단, 재판관 중에서도 이 사건에 대해서는 사형을 적용시켜야 할 것이라는 의견이 적지 않았다. 일본 대심원의 원장 고지마 고레카타(児島惟謙)는 법치국가로서 법은 준수되어야 한다는 입장으로서 “형법에 외국 황족에 관한 규정은 없다.”라며 정부의 압력에 강력히 반발했다. 하지만 ‘국가인가, 법인가’라는 곤란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었다. 결국 사건이 발생한 지 16일 후인 1891년 5월 27일, 일반인에 대한 모살미수죄(구 형법 제292조)가 적용되어 무기징역의 판결이 내려졌다. 러시아의 움직임[편집] 주일 러시아 공사관은 이 사건의 수습을 맡게된 아오키 슈조 외무대신과 사이고 주도(西郷従道) 내무대신에게 범인에 대한 사형을 강경하게 요구하고, 무기징역이 결정된 것이 알려지면 어떠한 사태가 발생하게 될지 모른다라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아오키 슈조 내무대신은 여기에 대하여 “나는 이토 히로부미가 시키는대로 사형 적용을 약속한 것 뿐이다.”라고 말해 이토 히로부미에게서 혐오를 받게된다. 결국, 아오키 슈조는 정치가로서의 생명이 끊기게 된다.[2]). 또한,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르 3세도 넌지시 사형을 요구하고 있었다. 그러나 결론적으로는 배상 요구도, 무력 보복도 행해지지 않았다. 황태자의 부상에 대한 일본의 신속한 처치나 사죄에 대하여 관대한 태도를 보였다. 이 사건으로 인해 니콜라이 2세가 일본에 대해 혐오감을 품은 적도 없다고 한다.[3] 사건 후[편집] 이 사건에 대한 판결 후, 사법부의 독립을 일부라도 확립함에 따라 일본 제국 헌법에서 규정하고 있던 3권 분립 의식이 널리 퍼졌다. 그러나 오쓰 지방재판소에서 다루어져야 할 사건을 관련 규정 없이 대심원으로 이관시키거나(하지만 이는 대역죄의 적용을 고려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황족에 관한 재판은 모두 대심원에서 1심 재판을 관할했기 때문이다.), 재판에 직접 관계가 없었던 고지마 고레카타 대심원장이 간섭한 것은 재판관의 독립에 관한 침해로 여겨진다. 이는 권력의 적용이나 운용이 미분화되어 있지 않던 당시를 상징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3권 분립이나 사법부의 자세 등에 대해 활발히 논의되게 된다. 다만, 당시의 사법부는 헌법상으로는 독립되어 있었지만 실제로는 사법 행정이나 행정 재판에의 취급 등에서 완전히 정부에서 독립되지 않고 있었다. 3권 분립의 이념은 모두에게 이해되고 있었지만 나중에도 사법권의 침해가 일부 일어나는 등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정부가 이 문제에 대해 어쨌든 대심원의 판단을 존중한 것은 어전회의 원로들의 의견에 맞지 않았다고 않아서 그랬다는 설(說)이 있다. 각주[편집] ↑ 《일본은 있다.》/서현섭 지음/고려원 ↑ 佐々木隆『藩閥政府と立憲政治』(吉川弘文館) ↑ 保田孝一『最後のロシア皇帝 ニコライ二世の日記』(講談社学術文庫)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오쓰_사건&oldid=24192503" 분류: 일본 제국의 대외 관계메이지 시대러시아 제국러시아-일본 관계오쓰시암살 미수1891년1891년 일본1891년 러시아1891년 5월오쓰시의 역사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Italiano日本語NederlandsРусский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6: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오쓰 사건(일본어: 大津事件, 러시아어: Инцидент в Оцу)은 1891년 5월 11일 당시 일본 제국을 방문하고 있었던 러시아 제국의 황태자 니콜라이(후의 니콜라이 2세)가 시가현(滋賀縣) 오쓰시(大津市)에서 경호를 맡고 있던 순사 쓰다 산조(津田三蔵)에게 갑작스럽게 칼을 맞은 사건을 말한다. 일본에서는 오쓰 사건이 행정부의 간섭으로부터 사법부의 독립을 확립하고, 3권 분립 의식을 널리 퍼뜨린 근대의 중요한 사건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보다 복잡한 문제가 얽혀져 있었다. 피의자인 쓰다는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며, 야마다 아키요시(山田顕義) 사법대신은 사임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오쓰 사건의 배경에 대한 설이 뭐가 있어? Assistant: 쓰다 산조(津田三藏) 본인의 진술에 따르면 이전부터 러시아의 북방 제도 등에 관한 강경한 자세를 탐탁하게 생각하지 않았다는게 사건 발생의 이유였다. 또 세이난 전쟁(西南戰爭)에서 패해 자결한 사이고 다카모리(西鄕隆盛)가 사실은 러시아에 망명해 니콜라이 황태자랑 함께 돌아온 것이 아닌가라는 소문이 있었는데, 세이난 전쟁으로 훈장을 수여받은 쓰다가 만약 사이고 다카모리가 귀환할 경우 자신의 훈장이 박탈되는 것이 아닐까라는 걱정이 있었다는 설(說)이 있다. 다만, 니콜라이 황태자를 살해하려는 의도는 없었던 듯으로 보이고, 사건 후 조사에 있어서도 ‘죽일 의도는 없었다’라고 진술했다라는 기록이 있다. 하지만, 당시 니콜라이 황태자의 방일이 군사시찰이었다라는 소문도 있고, 시베리아 철도도 러시아의 극동 진출 정책이라고 말해져서 국민의 반발이 있었다.
Human: 아래 퀸비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퀸비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퀸비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퀸비즈Queen B'Z 기본 정보 국가 대한민국 장르 댄스 팝 활동 시기 2013년 ~ 현재 소속사 JS엔터테인먼트 구성원 메아리 구슬이 주하 이아람 이루미 퀸비즈(Queen B'Z)는 대한민국의 5인조 걸그룹이다. 목차 1 구성원 2 앨범 2.1 OST 3 홍보대사 활동 4 수상 5 외부 링크 구성원[편집] 이름 소개 메아리 본명 : 최메아리 생년월일 : 1988년 2월 23일(1988-02-23) (31세)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포지션 : 리더, 리드보컬 구슬이 생년월일 : 1990년 7월 16일(1990-07-16) (28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포지션 : 메인보컬 종교 : 개신교 주하 본명 : 김주하 예명 : 지니 생년월일 : 1990년 9월 8일(1990-09-08) (28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포지션 : 서브보컬, 메인댄서 이아람 본명 : 이아람 예명 : 노라본(Nora-Born) 생년월일 : 1992년 2월 24일(1992-02-24) (27세) 출생지 :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포지션 : 메인래퍼 이루미 본명 : 박정현 생년월일 : 1996년 11월 19일(1996-11-19) (22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포지션 : 리드보컬, 서브래퍼 특이사항 : 뮤지컬 '온조'출연 앨범[편집] 앨범 번호 앨범 정보 트랙 리스트 1 《Bad》 발매일: 2013년 7월 29일 Bad 놀자고 Sweetch Bad (Inst.) 놀자고 (Inst.) Sweetch (Inst.) 2 《Sweet Memories》 발매일: 2013년 12월 5일 2014 희망사항 새들처럼 2014 희망사항 (퀸비즈 Ver.) 2014 희망사항 (Inst.) 새들처럼 (Inst.) 3 《희망공작소》 발매일: 2014년 11월 18일 삐삐 새들처럼 (퀸비즈 Ver.) 삐삐 (Chinese Ver.) 삐삐 (inst.) 새들처럼 (퀸비즈 Ver.) (Inst.) 4 《환하게 웃어봐요》 발매일: 2014년 11월 21일 환하게 웃어봐요 OST[편집] 《날라리시리즈 OST Part 3》 (2016년) 《사랑은 방울방울 OST Part 16》 (2017년) 홍보대사 활동[편집] 2013년 학교폭력예방 홍보대사 2014년 제1회 K팝 엑스포 홍보대사 2014년 꽃을 사랑하는 국회의원 모임 홍보대사 수상[편집] 2013년 제21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K-POP 부문 신인가수상 외부 링크[편집] 퀸비즈 - 트위터 퀸비즈 - 페이스북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퀸비즈&oldid=19582407" 분류: 2013년 데뷔5인조 음악 그룹대한민국의 걸 그룹2010년대 음악 그룹한국어 음악 그룹대한민국의 댄스 음악 그룹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7년 9월 13일 (수) 08: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퀸비즈(Queen B'Z)는 대한민국의 5인조 걸그룹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대한민국 5인조 걸그룹 '퀸비즈'의 앨범은 무엇이 있을까? Assistant: 앨범 번호 앨범 정보 트랙 리스트 1 《Bad》 발매일: 2013년 7월 29일 Bad 놀자고 Sweetch Bad (Inst.) 놀자고 (Inst.) Sweetch (Inst.) 2 《Sweet Memories》 발매일: 2013년 12월 5일 2014 희망사항 새들처럼 2014 희망사항 (퀸비즈 Ver.) 2014 희망사항 (Inst.) 새들처럼 (Inst.) 3 《희망공작소》 발매일: 2014년 11월 18일 삐삐 새들처럼 (퀸비즈 Ver.) 삐삐 (Chinese Ver.) 삐삐 (inst.) 새들처럼 (퀸비즈 Ver.) (Inst.) 4 《환하게 웃어봐요》 발매일: 2014년 11월 21일 환하게 웃어봐요 Human: 아래 이익_(1681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익 (1681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익 (1681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익 (1681년)출생 1681년 11월 27일(음력 10월 18일)조선 경기도 안산군사망 1764년 1월 19일(음력 1763년 12월 17일)조선 한성부사인 병사 (노환)거주지 조선국적 조선 별칭 자는 자신, 호는 성호학력 한학 수학직업 문신, 정치인, 실학자, 철학자, 시인종교 유교(성리학)부모 이하진, 권씨배우자 고령 신씨, 사천 목씨자녀 이맹휴친척 형 이잠, 형 이해, 형 이침, 할아버지 이지안, 내재종형 유형원, 사돈 김세렴, 당숙 이원진, 종조부 이지완, 증조부 이상의, 사돈 김세렴웹사이트 성호기념관 유교 기본 개념 수기치인(修己治人) 인(仁) 의(義) 예(禮) 충(忠) 효(孝) 인물 공자 칠십자 맹자 순자 동중서 소옹 주돈이 장재 정호 정이 주희 왕양명 경전 사서 논어 맹자 대학 중용 오경 시경 서경 역경 춘추 예기 삼례 주례 의례 예기 십삼경 논어 맹자 시경 서경 역경 주례 의례 예기 춘추좌씨전 춘추공양전 춘추곡량전 이아 효경 역사 내성파 · 숭례파 법치주의 · 법가 문치주의 성선설 · 성악설 분서갱유 오경박사 훈고학 경학 현학 성리학 양명학 고증학 공양학 관련 항목 국자감 과거제 삼공 서원 육예 사대부 일본 주자학 한국의 유교 한·당 시대의 사상 송·명 시대의 사상 v • d • e • h 이익(李瀷, 1681년 11월 27일(음력 10월 18일) ~ 1764년 1월 19일(음력 1763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사상가, 철학자, 실학자, 역사가, 교육자로 조선 영조 때의 남인(南人) 실학자이다. 자는 자신(自新), 호는 성호(星湖)이며, 본관은 여주이다. 의정부좌찬성을 지낸 이상의의 증손이고 대사헌 이하진(李夏鎭)의 아들이다. 실학자 반계 유형원에게는 외6촌 동생이 되나, 생전 한번도 만나본 적이 없다. 섬계 이잠(剡溪李潛)에게 수학하다 송곡 이서우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숙종 31년(1705년) 증광과에 합격하였으나 그의 형 이잠(李潛)이 당쟁으로 희생된 후 관직을 사양하고 학문연구와 후학 교육에 전념하였다. 홀로 학문 연구에 진력하다 미수 허목과 아버지 매산(梅山) 이하진(李夏鎭), 반계 유형원 등을 사숙하였고 이후 학문적으로 일가를 이루어 근기남인 최대의 학파인 성호학파를 형성하였다. 영조는 그의 명성을 듣고 영조 3년(1727년) 선공감가감역(繕工監假監役)으로 임명했으나 사양하고 저술에 힘쓰는 한편 학문 연구와 후학 교육에 전념하여 안정복, 윤동규, 신후담, 이중환 등을 배출하였고 그의 학통은 채제공, 정약용, 이가환, 이현일 등으로 이어졌다. 안정복의 동사강목 편찬을 후원하며 자료를 구해주는 등의 도움을 주었다. 남인의 여러 학파들의 마지막 공동 조상으로, 그의 제자들 대에서는 남인 성리학파와 남인 실학파, 공서파와 신서파 등의 여러 계파가 분리되었다. 또한 천주교와 서학의 수용에 개방적이었던 그의 학풍을 둘러싸고 제자들 간에는 성호좌파와 성호우파의 분열이 일어나기도 했다.[1] 섬계 이잠(剡溪李潛), 송곡 이서우(松谷李瑞雨)의 문인이다. 경기도 출신. 목차 1 개요 1.1 생애 초반 1.1.1 출생과 가계 1.1.2 불운한 가족사 1.1.3 불우한 유년기 1.2 수학과 학문 연구, 후학 양성 1.2.1 수학과 청년기 1.2.2 당쟁과 칩거 1.2.3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 1.2.4 윤휴, 허목과의 관계 1.2.5 사회 개혁론 1.3 만년 1.3.1 정치 개혁론 1.3.2 병세와 불행한 가정사 1.3.3 학통의 분파 1.3.4 생애 후반 1.4 사후 2 학문 및 사상 2.1 경세관 2.2 학문의 교조화에 대한 비판 2.3 이기론과 철학 2.4 생명의 위계질서론 2.5 당쟁과 양반 비판 2.6 여성 교육에 대한 비판 2.7 여성 화장에 대한 비판 2.8 이혼 옹호론 2.9 실증주의 사물론과 탈중화주의 2.10 중농주의 정책 2.11 민족 주체성 2.12 천주교에 대한 시각 2.13 사냥 남발과 육식에 대한 비판 2.14 도적에 대한 비판 2.15 신분제 타파 주장 2.16 허례허식에 대한 비판 2.17 학맥 3 인물평 4 주요 저서 5 관련 유적지 6 가족 관계 7 기타 8 관련 항목 9 각주 10 참고 문헌 11 외부 링크 개요[편집] 생애 초반[편집] 출생과 가계[편집] 증조 할아버지 소릉 이상의 성호 이익은 1681년 아버지 매산 이하진(李夏鎭)의 유배지인 평안도 운산(雲山)에서 아버지 이하진과 어머니 권씨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에게는 다섯 명의 형이 있었다. 그러나 아버지와 선대의 고향은 경기도 안산이고 운산은 아버지의 유배지였으므로 그는 경기도 출신으로 본다. 8대조 이계손(李繼孫)이 성종 때에 병조판서, 지중추부사 등을 지내기도 했다. 아버지 이하진은 남인 중진 문신으로 예송 논쟁 당시 윤휴와 허목, 윤선도, 홍우원의 견해를 지지했고, 그가 태어날 무렵 경신대출척으로 유배생활 중이었다. 반계 유형원에게는 외6촌 동생이 되나 나이차이는 59세 연차가 난다. 이는 이익의 증조부 이상의(李尙毅)는 광해군 때 의정부좌찬성을 지냈는데 그는 15세에 장남 이지완(李志完)을 얻고, 아들 이지선(李志宣), 이지굉(李志宏), 이지정(李志定), 이지인(李志寅), 이지유(李志裕)를 얻은 뒤에 40세가 넘은 나이에 일곱째 아들 이지안(李志安)을 얻었다. 이지안의 장남 이하진(李夏鎭)의 아들이 성호 이익으로 아버지 이하진이 63세의 고령에 그를 얻었다. 또한 그의 당숙이자 이지완의 아들 이원진은 반계 유형원의 스승들 중의 한사람이었다. 이익의 가문은 본래 북인(北人) 계열로 증조할아버지 이상의와 재종고모부 유흠이 북인계 사람이었다. 그러나 인조 반정으로 북인이 몰락하면서 유형원은 자신의 스승 미수 허목을 따라 남인 계열로 전향한다. 그의 아버지 이하진 역시 남인이 된다. 불운한 가족사[편집] 미수 허목(재종형 유형원의 스승이자 이익 역시 그의 학통을 계승하였다.) 증조부 이상의는 광해군 때 좌찬성까지 이르렀지만 인조반정으로 가계는 몰락하였고, 그 뒤 아버지 이하진이나 6촌 형 유형원은 북인에서 전향하여 남인이 되었다. 위로는 이복 형 이해는 성년이 될때까지 살았으나 아버지보다 일찍 죽었고, 둘째 형은 요절하였고, 셋째 형은 섬계 이잠(李潛)으로 그의 정신적 지주이자 첫 스승이었다. 넷째 형 옥동 이서(玉洞 李漵)는 후사가 없는 셋째 삼촌 이주진의 양자로 갔고, 다섯째 형 이침(李沈)도 후사가 없는 다섯째 삼촌 이명진의 양자로 갔다. 형들 역시 요절하여 맏형 이해는 그가 태어나기 전 아버지 이하진보다도 앞서 요절했고, 셋째 형인 이잠은 후일 노론에 의해 장살당한다. 후사가 없던 이들 두 형의 양자는 그의 다섯째 삼촌 이명진의 양자로 간 이침에게 자녀들이 많아, 이침의 아들들 중 이광휴를 맏형 이해의 양자로, 다른 아들 병휴는 셋째 형 이잠의 양자로 삼게 되었다. 불우한 유년기[편집] 경신환국, 기사환국, 갑술환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북인 가문 출신이던 이익의 아버지 이하진은 숙종 6년(1680년)에 일어난 경신환국(경신대출척)으로 서인들에 의해 숙청된 남인 중진으로 활동하던 문신이었다. 이하진은 김석주(金錫胄)의 비위를 상하게 하여 미움을 받아 유배되었는데, 이익은 이하진의 평안도 운산의 유배지에서 태어났다. 후일 그의 스승이 된 이서우는 동지인 이하진을 평하여 '의를 위해 희생되었다'며 추모하기도 한다. 1682년(숙종 8) 여름 아버지 이하진은 향년 55세를 일기로 사망한다. 생후 1년만에 아버지 이하진을 여의고, 선대부터 살던 경기도 안산의 첨성리로 돌아와 홀어머니 슬하에서 자랐다. 이후 20세 차이 나는 형 섬계 이잠(剡溪李潛) 등에 의해 양육되었고, 10세가 되어서도 글을 배울 수 없으리만큼 병약하였으나 그 뒤 셋째 형 이잠에게 글을 배웠다. 22년 연상으로 어버이 같고 스승같던 셋째 형 이잠은 그의 나이 26세 나던 1706년(숙종 32) 진사의 신분으로 서인(西人) 중신(重臣)의 잘못을 비판하고 희빈 장씨의 복권을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역적으로 몰리어 형문을 받던 중 곤장을 맞고 장살당했다. 1689년의 기사환국으로 아버지 이하진의 직책은 되돌려받았지만 1694년의 갑술옥사로 남인이 숙청당하면서 다시 추탈된다. 수학과 학문 연구, 후학 양성[편집] 수학과 청년기[편집] 스승의 한사람인 송곡 이서우 무고의 옥, 희빈 장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이잠에게 글을 배운 뒤 미수 허목의 문하생인 어느 인물에게 수학한 이후, 별다른 스승을 두지 않고 홀로 학문을 연구하며 미수 허목과 반계 유형원, 아버지 매산 이하진의 학문을 사숙하였다. 그 뒤 1704년 당쟁으로 벼슬을 잃고 학문 연구에 전념하던 송곡 이서우를 찾아가 그의 문인이 되었다. 그러나 송곡 이서우는 5년만인 1709년에 사망하여 그의 문하에서도 짧게 수학하였다. 이후 홀로 독서와 학문 연구에 전념하며 사물을 연구한다. 그의 가계는 비록 당쟁으로 피해를 입긴 했지만, 집안에 대대로 내려온 수천 권에 달하는 책만은 보존되었다.(여기에는 부친 이하진이 1678년에 사신으로 중국에 갔을 때에 구해온 것도 있었다) 이익이 실학에 눈뜨게 된 것은 정치적으로 세력을 잃고 농촌에 은거하면서 백성들의 실상을 목격하는 한편으로 이들 선대로부터 물려받은 장서를 섭렵한 것도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는 분석이 있다. 숙종 31년(1705년) 증광과에 응시, 합격하였으나 시소(試所)에서의 주제가 격식에 맞지 않았던 탓으로, 답안지(科紙)에 적은 이름(錄名)이 잘못되었다는 이유로 불합격 처리되고 회시(會試)에 응할 수가 없게 되었다. 1706년 9월 그의 형이자 첫 스승인 이잠(李潛)이 장희빈(張禧嬪)을 변호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역적으로 몰려 투옥당한 뒤 17, 18차의 고문을 받던 중 47세를 일기로 옥사하게 되었다. 이후 그는 과거 시험을 포기하게 된다. 한편 이런 불행을 두고 후일 성호학파 출신인 다산 정약용은 "성호선생께서 집안에 화를 당한 뒤로 이름난 학자가 되셨으니, 권세있는 부호가의 자제들이 미칠 수 있는 바가 아니다."라고 평하기도 한다. 당쟁과 칩거[편집] 이익의 친필 편지 1706년 형이자 스승이었던 이잠이 당쟁의 여파로 희생된 후 그는 벼슬의 뜻을 버리고 평생을 첨성리에 칩거하였다. 성호(星湖)라는 호수가 있어서 그의 호도 여기에 연유된 것이며, 그의 저택은 성호장(星湖莊)이라 불리게 되었다. 그는 자신의 조상들에게서 대대로 물려받은 토지와 노비, 사령(使令)과 기승(騎乘)을 이어가지고, 재야의 선비로서 일평생 은둔생활을 할 수 있었다. 넷째 형 이서(李漵)와 사촌 형 이진 등 소수와 교류하며 이후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몰두하여, 허목, 윤휴, 유형원, 이서우의 학풍을 계승하여 실학과 성리학의 대가가 되었으며, 현실적인 문제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로 고찰하고 그에 대한 개혁안을 제시하였다. 그 자신도 수많은 문하생들을 배출하였다. 실증주의 역사학자로 유명한 순암 안정복과 택리지의 저자인 이중환, 기독교의 사후 세계를 논리적으로 비판한 신후담, 남인 정승 채제공, 천주교를 받아들였다가 화를 당한 이가환, 정약용 등이 그의 문하에서 배출되었다. 그는 가난속에서도 직접 농사를 지으며 후학을 양성하고, 100권의 서적을 집필하는등 열정적으로 학문과 생계 모두에 열중하였다. 그는 제자들에게도 직접 농사지을 것을 권고했는데 그의 신념인'사농합일 (士農合一)'은 곧 '선비는 농사로써 생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이었고, 그는 자신의 이론을 직접 실천하였다. 그는 농사를 지었기에 그의 학문은 주로 농사와 관련된 연구서도 있었다. 또한 그의 견해 중에는 간척사업을 활발히 하여 농토를 늘리자는 의견도 존재한다.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편집] 1713년(숙종 39) 저서인 《맹자질서》를 완성하였다. 그해 아들 맹휴가 태어나고 본격적인 저술 활동이 시작되었다. 그의 제자들 중 외교관이자 역사학자인 순암 안정복의 재능을 그는 특별히 총애하여 안정복이 문하에서 나간 뒤에도 계속 서신을 주고받으며 그를 지도하였다. 안정복은 자신의 저서들을 출간할 때 특별히 스승인 이익에게도 일부 보내 감수, 교정, 교열을 받았다. 이는 이익이 1763년에 사망할 때까지도 계속 되었고, 안정복은 후일 스승 성호의 대표적 저서인 《성호사설》의 간행과 보급에 노력했고, 이를 일부 수정 가필하고 정선한 《성호사설유선》을 편찬하기도 하였다. 특히 천문·지리·의약·율산(律算)·경사(經史)에 많은 업적을 남겼다. 1715년 어머니 권씨마저 병으로 잃은 뒤 3년간 상복을 입었다. 어머니의 복상을 마치고서는 노비와 집기를 모두 형님 댁으로 되돌려보냈고 가산도 형들에게 넘겼으으나, 형제자질에 대한 우애가 지극하여 불평불만하지 않았고, 이후 당쟁으로 몰락한 그의 일가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다. 이익은 조선문화의 절정기인 18세기를 살면서 그 변화의 조짐을 읽고 새로운 시대를 열기 위한 학문 탐구에 일생을 바친 남인 실학파의 중심인물이다. 그의 실학은 ‘성호’라는 거대한 호수에 모인 수많은 제자들에 의해 활짝 꽃피워졌고 계승되었다. 그러나 천주교와 서학의 수용에 개방적이었던 그의 학풍을 둘러싸고 제자들 간에는 성호좌파와 성호우파의 분열이 일어나기도 했다.[1] 남인 중 근기남인 성리학파와 실학파에 속하던 그는 허목, 윤휴의 문인들이던 근기남인 학파 내에서도 다시 학문적으로 대성하여 '성호학파'로 불리는 또하나의 새로운 학파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그의 제자들 대에서 남인 성리학파와 실학파가 분기되었다. 윤휴, 허목과의 관계[편집] 백호 윤휴(스승 중 한명인 이서우의 스승 중 한명이 윤휴였으므로, 학문상 성호 이익은 윤휴의 손제자가 된다.) 성호 이익의 아버지 이하진을 비롯한 선대 인사들은 대부분 윤휴와 가깝게 지냈다. 이익의 6촌 형님뻘 되는 반계 유형원도 윤휴와 어느정도 거리를 두면서도 절친한 사이였다. 또한 성호 이익의 스승 중 한사람인 송곡 이서우는 윤휴와 허목 모두에게서 수학하였다. 이에 따라 성호 이익의 문도들 중에는 윤휴와의 연관성을 주장하며 그의 학문을 계승했음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성호 이익은 자신의 학문적 뿌리를 이언적과 이황에게서 찾으려 했다. 이익 가문의 학문은 17세기까지 북인 계열의 윤휴와 상당히 유사하였다. 이하진이나 이잠 형제, 조하주 등은 윤휴와 학문적으로나 정치적으로 매우 밀접한 관계였다.[2] 이익의 6촌 형인 유형원은 윤휴와 자주 만나며 연락하던 사이였다. 반면 뒷날 이익이 계승한 인물로 평가받는 허목과는 정치적으로나 학문적으로 거리가 있었다. 이때까지 이익 집안의 학문은 성리학적 흐름과는 무관하였으며, 오히려 주희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었다.[2] 1699년 이잠은 정시한을 예방하여 가르침을 받았는데, 이는 퇴계학 수용의 증거로 지목된다. 이서는 주희의 경전 해석을 따르면서 이언적과 이황의 학문을 수용하였다. 이익 단계인 1710년 이후에는 본격적으로 이기심성론과 관련된 저술을 하면서 학파를 개창하기에 이르렀다. 퇴계학을 수용하고 이기심성론과 관련된 성과를 낸 이익은 이제 이언적과 이황을 자신과 연결하고자 하였다.[2] 그러나 윤휴의 학문이 다소 과격하고 급진적이라는 비판적인 견해가 계속 제기되자 이를 부담스럽게 느꼈던 이익은 학문적 전통을 윤휴에게서 찾던 형 섬계 이잠이나 유형원 등과 달리 허목을 거쳐서 퇴계 이황 및 이언적으로 연결하려 했다. 이러한 시도는 [이익의 스승 중 한사람인 이서우가 허목과 윤휴 모두에게서 수학한 것에서 근거로 삼았다. 1715년에서 1720년 사이 이익은 전대에 거리가 있었던 허목과 이하진의 관계를 강조하면서[3], 허목을 자신이 사숙한 스승으로 규정하였다.[2] 이러한 시도는 퇴계학으로 자정한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근기 남인들에게 수용되었다.[2] 한편 이익은 허목의 후학으로 자정한 이후에도 경전해석이나 경세론 분야에서는 여전히 윤휴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에 따라 일부에서는 전통적인 윤휴와의 계통을 강조하였는데, 이들은 상대적으로 개방적인 학문 경향을 보였다. 윤휴를 강조하던 인사들이 신유 박해로 몰락하면서 성호 학파의 학통은 오로지 퇴계학과 관련된 내용으로 전승되게 된다.[2] 북인계 학문의 전통을 가진 윤휴에게 영향을 받은 성호 학파는 지속적으로 퇴계학을 수용하면서 새로운 정체성을 찾고자 하였으며, 이는 18세기 후반의 정치적 상황 속에서 완성되었다.[4] 성호 이익의 스승 중 한 사람인 송곡 이서우는 윤휴와 허목 모두에게서 수학하였고, 이익은 학통상으로 윤휴의 손제자뻘이 된다. 그러나 윤휴의 영향을 부담스러워하던 이익은 윤휴를 패리로 규정했지만 이익의 문도들 중 한명인 다산 정약용은 훗날 윤휴의 사상이 선명성을 갖춘 정론이고 허목의 견해는 다소 노선이 선명하지 못하다며 윤휴를 정통으로 보기도 했다. 사회 개혁론[편집] 성호는 개혁해야 할 대상으로 당쟁의 폐단을 지목하였는데, 당쟁은 서로의 ‘이해(利害)’때문에 생긴다고 했다. 그리고, 당쟁의 폐단을 막을 수 있는 방안을 두 가지로 나눠 제시하였다.[5] 첫째는 붕당의 근원이 과거제도에 있으므로, 인재등용의 방법을 고쳐 문벌이나 당색 중심의 정치를 타파해야 한다는 것이고, 둘째는 생업을 천시하고 관직만을 통해 부귀영달을 꾀하는 양반들의 생리와 생활 태도를 바뀌야 한다는 것이다. 성호는 특히 과거제도의 폐단을 논하고, 인재를 고루 등용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했다.[5] 그는 과거 제도가 학문이 뛰어난 인재를 뽑는다는 본래의 취지에서 벗어나 특정 문벌가문과 재력에 의한 신분세습의 수단이 되고 있다고 비판하였고, 일찍이 조광조, 이이, 유형원 등도 과거 제도의 폐단을 지적하고 이를 폐지할 것을 주장했음을 들었다. 첫째, 과거만이 유일한 출세의 길이었기 때문에 과거시험 준비에 평생을 소모 하는 폐단이 있는데, 이를 추천제를 통해서 보완하고자 했다. 둘째, 시험과목이 너무 문예(文藝)에만 치중하여 실용성이 없는 폐단이 있는 것에 대해, 경학(經學)과 시무(時務)를 묻는 시험과목으로 바꿔야 한다. 셋째, 잦은 과거 시험 때문에 합격자가 너무 많아 붕당이 형성되는 폐단이 있으므로 과거시험을 줄여야한다고 하였다.[5] 그는 지나친 출세욕과 관직 욕구가 사회의 생산성을 약화시키고 나라를 망하게 하는 원인이라 진단했다. 과거 시험만이 유일한 대안은 아니며 학문 연구에 전념할 사람은 학문 연구에 전념케 하고, 그렇지 않은 자들은 생산에 종사하게 해야 국가가 바로 돌아갈수 있다는 견해를 피력하였다. 그러나 그의 이같은 견해들은 양반에게 어떻게 흙과 물을 묻히게 하느냐며 비난을 받게 되었다. 만년[편집] 정치 개혁론[편집] 이익의 친필 편지 그는 덕치(德治)를 근본으로 하지만 현실적인 통치수단으로 법을 중요한 도구로 보았기 때문에, 엄격한 법의 시행과 형평에 맞는 판결과 집행, 연좌제 금지 등의 법률 적용 방법을 주장하였다.[5] 그는 국제외교에서도 실리적인 선택으로 사대주의를 주장하였다. 힘의 논리가 지배하는 국제사회에서 사대외교가 약자로서 생존할 수 있는 정책으로 인식, 도덕적 이상주의에 젖은 당시의 대외관을 비판하였다.[5] 현실성이 결여된 이상주의는 꿈을 해메는 것, 망상이라는 것이었다. 이익은 그 자신의 문집 성호사설에서 조선의 3대 도적으로 홍길동, 임꺽정, 장길산 등을 꼽았다.[6] 그는 정치의 부패가 곧 민생의 파탄을 낳고 이것이 도적을 만드는 원인이라 보았다. “ 숙종 연간에 교활한 도적 장길산이 해서 지역에 출몰했다. 그는 본래 창우(광대)로서 곤두박질을 잘하는 자로 용맹스럽고 민첩하기가 비상했다. ...(이하 중략)... 병사를 출동시켜 요로를 각각 지키게 하여 밤을 타서 들어가니 도적이 이미 염탐하여 알고 관군을 맞아 더러운 욕을 하더니 마침내 도망하여 자취가 없었다. ...(이하 중략)... 끝내 그 마지막이 어찌되었는지는 알지 못한다. ” 성호사설에 실린 글이다. 성호는 지배층의 부패와 민생을 등한시 하는 헛된 명분뿐인 도덕론을 비판했다. 그러나 이익 역시 지배층에 속한 사람이라 장길산을 그저 도적의 괴수로 밖에 여기지 않았다.[7] 병세와 불행한 가정사[편집] 이인좌의 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아들 이맹휴(李孟休)가 과거에 급제하여 예조정랑, 만경현감을 지냈으나 이잠의 조카라는 이유로 출사에 불이익을 당하는 것을 목격한다. 또한 세월이 지남에 따라 그의 가세는 퇴락되어갔으며, 그와 아들 이맹휴(李孟休)의 오랜 병치레로 재산을 소모하였고 가계는 쇠락해져갔다. 64, 65세 무렵 부터는 등 왼쪽부분의 질환이 악화되어갔고, 과거에 급제하여 관료생활을 하던 아들 맹휴가 오랜 병환을 앓다가 70세 무렵 그보다 앞서 사망한다. 또한 1728년 이인좌의 난으로 남인 당원이던 그의 문인, 제자들도 일부 화를 당하기도 했다. 그 동안에 친구들도 잃고, 제자들도 세상을 떠나고, 가산도 탕진되어 그의 만년에는 한 명의 남자 노비 외에는 의지할 곳도, 집도 재산도 없이 헐벗고 굶주리게 되었다. 그런 환경에서도 문하생들이 끊임없이 찾아왔다. 그러나 그는 제자들에게 학비를 받지 않고 가르쳤으며, 신분을 가리지 않고 중인(中人)과 평민 자제들에게도 학문을 가르치고, 글과 글씨, 인간과 도와 만물을 가르쳤다. 신후담은 그의 학통을 계승하여 남인실학자들을 양성해냈고, 안정복은 그의 임종을 지키기도 했다. 학통의 분파[편집] 많은 문인 제자들을 길러낸 이익의 문인들은 근기 남인에서도 허목, 윤휴의 문도들과 구별, 독자적으로 성호학파를 형성하였다. 그는 성리학자였지만 청나라의 고증학과 서양의 자연과학적 지식의 영향을 받아 성리학만이 진리라고는 하지 않았다. 그는 중국 밖에도 큰 세상이 있음을 말하였다. 또한 하늘에도 또다른 세계가 존재할 것이며, 우주와 시간과 공간은 무한하다는 견해를 피력하였다. 또한 그는 기(氣)가 이(理)보다 우선한다는 주기론(主氣論)적인 주장을 펼친다. 이는 남인의 학문보다는 이이 등의 학문에 가까운데, 이이나 조광조는 이와 기를 같은 것으로 보았다는 점과는 다르다. 그는 이와 기가 다르다는 점에서는 남인, 북인의 다른 학자들의 견해와 같았지만 기가 이보다 우월하다고 보아 이들과는 다른 견해를 피력했고, 영남 남인들로부터 배척당하기도 했다. 그의 학문은 천문, 지리, 역사, 제도등에 이전과는 새로운 인식을 표현하는데, 이는 세계관의 확대와 역사인식의 심화, 전통적인 사대모화관의 탈피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익은 생전에 천주교를 비판적으로 보면서도 부정하지는 않았는데, 성호학파는 다시 천주교 수용 문제로 성호 좌파와 성호 우파로 나뉘게 된다. 서학에 공격적이었던 성호 우파는 서구의 학문만을 수용하자는 입장으로 성리학자로서의 성격도 강하게 갖고 있는 안정복, 신후담과 안정복, 신후담의 문인들, 천주교 수용을 거부했던 이용휴와 채제공의 문도들이다. 서학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던 이들은 권철신, 권일신, 이승훈, 이벽, 이가환, 정약종, 정약용 형제로 이어졌으며 이들은 성호 좌파로 본다. 그러나 정약용은 후일 천주교가 유교 사상을 보완하지 않는다는 점을 간파하고 천주교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이므로 성호 우파로도 본다. 생애 후반[편집] 영조는 그의 명성을 듣고 영조 3년(1727년) 선공감가감역(繕工監假監役[8])으로 임명했으나 사은한 뒤 관직을 사퇴하고 저술에 힘쓰는 한편 서학 사상에도 깊은 관심을 가지고 《천문략(天文略)》, 《천주실의(天主實義)》, 《주제군징(主劑軍徵)》, 《칠극(七克)》, 《진도자증(眞道自證)》 등을 연구하였다. 1728년 이인좌의 난으로 남인들이 대량으로 희생되면서 그의 문인들도 일부 희생되었다. 1729년 49세 때 나라에서 그의 학문과 덕행(德行)을 듣고 몇 차례 벼슬을 내리고자 불렸으나, 한번도 이에 응하지 않고 성포동에서 농사지으며 학문에만 정진하였으니, 그가 주장한 ‘사농합일(士農合一), '선비는 농사로서 생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유교의 이론을 직접 실천하였다. 그 뒤 우로예전에 따라 노인직으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임명되었다. 60대 이후 등과 가슴에 악성 종기가 심해지져 고통받았다. 만년에는 아들을 일찍 여의고 칩거하였으며, 70대 후반에 들어서는 풍 비슷한 질환으로 반신불수가 되어 거동할 수 없게 되었다. 1751년 병으로 누워 있으면서 강세황에게 도산서원을 그리도록 특별히 부탁하였다. 강세황은 도산서원도를 그렸는데, 이때 이익이 병으로 누워 있으면서 자신에게 도산서원을 그리도록 특별히 부탁하였다는 것과 자신의 소감, 현지답사 내용 및 제작시기 등을 비교적 자세히 적고 있다.[9] 그는 도산서원도를 애장품으로 하여 머리맡에 두고 보았다. 그는 평생 주자-이황-허목으로 이어지는 학통을 학문의 정통으로 확신하였다. 1763년(영조 39년) 11월 병상에 누웠다가 1개월만인 12월 17일에 정침에서 사망하니 당시 그의 나이 향년 83세였다. 첨지중추부사로 죽은 후 조정에서는 증직으로 자헌대부 이조판서(資憲大夫 吏曹判書)를 추증하여 생전의 공로를 추모하였다. 사후[편집] 경기도 안산군(현 안산시 상록구 일동 555)에 두 부인 고령신씨, 사천목씨와 함께 합장되었다. 묘갈명은 정조 때 우의정 채제공이 썼다. 정조 때 남인이 다시 정계에 진출하게 되면서 왕명으로 그의 저서들이 재간행되기도 했다. 그의 제자들 중 한명인 순암 안정복은 1772년부터 세손시강원에 근무하며 왕세손이던 정조를 가르쳤다. 그러나 1801년 정조 사후 그의 학파에서 배출된 이가환, 권철신, 정약용 일가 등이 서학도로 몰려 숙청되어 화를 입는다. 이후 그의 학문은 금기시되다가 고종 때 흥선대원군 집권 이후에 와서야 조명 받기 시작하였다. 그의 묘소는 직계 후손이 없어 방치되었으나 1967년 5월 성호이익추모회에 의해 묘소가 정비되고 묘비와 향로석·망주석 등이 새로이 세워졌다. 그 뒤 성호이익기념관이 건립되었다. 묘소는 1977년 10월 13일 경기도도기념물 제40호로 지정되었다. 학문 및 사상[편집] 백호 윤휴그의 사상적 뿌리는 윤휴, 허목을 통해 이황, 정구, 조식 등에게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익의 사상은 이황과 조식, 서경덕의 학통에 뿌리를 두며 한강 정구와 허목, 윤휴, 윤선도, 홍우원, 이서우, 이하진, 이잠 등의 사상을 계승, 집대성하여 남인 성리학과 남인 실학파의 근간이 되었다. 그의 제자들 중 남인 성리학자와 남인 실학자가 분리되었으며, 주로 근기남인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그의 제자들 대에서 공서파와 신서파로 나뉘게 된다. 그러나 근기 남인이 정조 사후 천주교 문제로 몰락하게 되면서 흥선대원군 집권 전까지 빛을 보지 못하였다. 경세관[편집] 그는 평생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광주 첨성리(瞻星里) (현 안산시 일동)에 머물러 학문을 연마하였는데, 항상 국가 부흥을 위한 자기의 이상과 포부를 저술하여 불교와 세유(世儒)의 실용적이지 못한 학풍을 배격하고 실증적(實證的)인 사상을 확립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사농합일(士農合-)을 주장했고 아울러 과거제도의 재검토를 제시했다. 중농주의 계열의 실학자로서 이익은 농업 중심의 자급자족에 국가 및 개인 경제의 목표가 있다고 여겼고, 토지의 고른 분배를 강조하면서 토지 경작을 기본적인 경제 정책으로 삼고 중국의 정전제(井田制)를 바탕으로 한 한전법(限田法)의 시행을 제창하였다. 그런 한편으로 상품화폐 경제의 발달이나 재산 증식 행위를 크나큰 죄악으로 생각했는데, 특히 화폐나 시장을 부정적으로 생각해 아예 화폐 사용을 중지하자는 폐전론(廢錢論)을 주장하기도 했다. 여러 차례 그에게 관직에 출사하라는 조정의 여론과 인물난을 겪고 있던 남인붕당의 청이 있었음에도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향리에서 학문 연구와 제자 양성에 힘을 쏟았다. 또한 청나라로 파견되는 사신들이 있으면 지인들을 통해 사절을 만나 청나라와 외국의 진귀한 물건들을 입수하기도 하였다. 학문의 교조화에 대한 비판[편집] 그는 조선 후기 이후로 학문이 지나치게 교조화 되었다고 비판하였다. 사서육경에 대한 학자들 개인의 학문적인 견해를 표출하는 것이 금기시되었다며 비판한 것이다. 그는 '경전주해'에 대하여 송시열 이후의 유학자들이 취한 태도에 대해 지나치게 교조적이며 자유로운 해석을 못하게 막는 것을 지적했고, 자신의 저서 성호사설에도 이를 언급하였다. “ 경서 읽기는 실로 어렵다. 주자 이후에 주해가 갖추어진 것이 중용과 대학보다 나은 것이 없는데, 그 중에서 주해가 틀리는 것이 있어도 고금이 모든 유학자들이 이것을 찾아내지 못하면서 다만 옛날 주해의 오류를 지적하거나 의심하면 망해(妄解)로 하고 다른 서적과 비교하여 고증을 하면 죄과로 돌린다. 이런 버릇이 있으니 우리나라 학문이 뒤떨어짐을 면할 수 없다. ” 경전과 경서를 절대적으로 해석할 것이 아니라 오류가 있으면 찾아서 지적하고 수정하거나, 경전을 자유롭게 해석할 수 있어야 된다고 역설했다. 이기론과 철학[편집] 그는 허목의 견해를 계승하여 이와 기는 따로 분리될수 없다는 견해를 내세웠다. 이는 남인, 북인 학파에서 통상 주장해왔던 이기이원론과는 다소 달랐다. 그는 세계를 대할 때 관념적이거나 주관적으로 보지 않고, 객관적이며 경험론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우주(宇宙)와 천지(天地)는 어떻게 다르며, 우주와 기(氣)는 어떤 관련이 있는지의 문제에 의문을 가지고, 철학적 사유를 통해 물질 존재의 객관적 형식으로써의 전체 ‘우주’ 즉 공간·시간은 무한하다는 과학적 인식에 도달할 수 있었다.[5] 서양의 자연과학적 지식에 영향 받은 성호는 이(理)를 본체로 중요시하는 성리학적 자연관에 대한 비판을 통해, 현상인 기(氣)가 본질인 이(理)보다 우선하는 현실주의적 가치관에 의한 기(氣)중심적인 이기론(理氣論)을 전개하였다.[5] 성호는 삶을 중심으로 한 이기(理氣)와의 관계와 경학(經學)을 근거로 하여 인간의 본성에 대한 문제를 재해석하였다.[5] 성호의 인간관은 삶을 바탕으로 한 현실적 인간을 중시하여, 기혈적(氣血的) 존재로서의 육체적 인간을 강조하였다.[5] 성호는 실존적 본성을 재발견하고 인간의 마음의 역할과 감정의 근원을 살펴서, 소외된 사람들에 대한 인간애의 실천을 위한 사회 개혁 사상을 주장하였다. 그는 또 서양과학 중 특히 천문학의 영향을 받아 자연과 인간을 독립된 존재로 인식하는 한편, 실증적 방법론에 의한 경세치용적인 경학 연구로 사회전반의 개혁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성호는 우주의 운행질서와 태양·지구·달 등에 관해 기존의 동양 천문학에서 알지 못했던 여러 가지 과학적 지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방대한 저서를 통해 소개했으며, 세계관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5] 또, 그는 경전해석에 있어서도 틀에 얽매이지 않았다. 경전에 대한 자유로운 해석은 허목, 윤휴로부터 내려오던 전통으로, 허목과 윤휴가 몰락한 뒤에도 그들의 자유로운 경서 해석론을 계승, 이어나갔다. 경전해석에 있어 기존 학설에 대한 전면적 재검토를 시도하여, 성리학과 예학을 현실적·체계적으로 정리, 그 대안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학자들로 하여금 정치·경제·사회적 현실을 직시케 했다.[5] 생명의 위계질서론[편집] 그는 살고자 하는 것이 모든 생명의 공통점이라 규정했다. 그러나 생명 사이에도 위계서열이 있다는 논리를 피력하였다. 성호 이익은 <성호사설>의 ‘식육’이란 글에서 이렇게 말한다. “백성은 나의 동포이고 만물은 나와 동류다.[10]”라는 것이다. 그는 '인간과 만물(동물과 식물)은 동일한 속성을 갖는다'고 봤는데, 그 동일한 속성이란 생명이다. 다만 그 생명의 위계는 있다. 곧 인간-동물-식물의 위계다. 위계의 논리는 이렇다. “초목은 지각이 없어 혈육을 가진 동물과 구별되기에 그것을 취하여 살아갈 수단으로 삼는다. 그러나 날짐승ㆍ길짐승은 살기를 좋아하고 죽기를 싫어하는 의지를 갖는다는 점에서 사람과 동일하다. 어떻게 차마 해칠 수가 있단 말인가?[10]”라며 동물 학대와 사냥을 비판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인간이 동물보다 본질적으로 우월하다는 생각은 고수하였다. 당쟁과 양반 비판[편집] 그는 역사학에도 해박하여 역사 서술의 태도에서도 종래의 방법을 버리고 비판적·고증적(考證的)인 파악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당쟁에 대해서도 상당히 비판적이었다. 그에 의하면 당쟁의 폐단은 서로 다른 이해관계의 투쟁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불필요한 학문으로 지식인들이 대량생산되고, 양반이 실제적인 생업에 종사하지 않고 관직을 얻음으로써 재산을 얻을 수 있기에, 직관과 산관을 포함하더라도 한정된 직제(職制)에 비해 너무 많은 수의 관리가 배출되므로 자연히 당파 싸움이 생긴다고 하였다. 이것을 타개하기 위하여 그는 양반 계급도 생업(生業)에 종사할 것과 양반에게도 세금을 부과할 것과 과거 제도의 잡다한 점을 없애고 관리 승진에서 신중을 기할 것을 주장하였다. 성호 이익은 당쟁으로 편이 갈라지는 이유를 이해 타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11] 그에 의하면 "무릇 이(利)가 하나인데 사람이 둘이면 당(黨)이 둘이 되고, 이가 하나인데 사람이 넷이면 당이 넷이 되는 것이니, 이가 고정되어 있고 사람만 많아지면 십붕팔당(十朋八黨)으로 가지가 많아지는 법이다.[11]"라는 것이다. 그의 사상은 제자 안정복·이가환(李家煥)·이중환·윤동규(尹東奎)·신후담(愼後聃)·권철신(權哲身) 등과 남인학자인 채제공 등에 의하여 연구 계승되었고 이는 정약용과 이현일에게로 계승되었다. 여성 교육에 대한 비판[편집] 그러나 그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병자호란과 정묘호란을 거치면서 여자의 권리 상승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피력했다. 특히 일부 사대부가와 중인층에서 딸에게 글공부를 가르치는 것을 잘못이라 생각하였다. 여자들에게도 글공부와 학문을 가르치는 조선 후기의 풍조를 그는 부정적으로 바라봤다. 그는 '여자는 열심히 일하고 검소해야 하며, 남녀칠세부동석(男女七歲不同席)을 지켜야 한다.[12] 고 했다. 독서나 강의는 남자가 할 일이지 여자가 할 일이 아니다. 여자들은 아침상을 준비하고, 제사상에 올릴 음식을 장면하고 길쌈도 해야 하는데 언제 책을 읽을 시간이 있겠는가? 그리고 학식이 있다 하는 부인들을 보면 배운 것을 제대로 실행하지 못하고 오히려 나쁜 짓들만 할 뿐이다. 부녀자들에게 길쌈을 가르치지 않고 공부를 시키는 것은 잘못된 일이다.[12]'라는 것이다. 그는 여성 교육에 대해 상당히 부정적인 시각을 가졌다. 여성에 대한 지나친 교육은 살림과 가사를 돌보는데 방해가 된다는 것이 그의 지론이었다. 또 그는 '남녀칠세부동석(男女七歲不同席)을 지켜야 한다.[12]'고 하여 남녀간의 자유로운 연애 역시 통제해야 된다며 비판하였다. 여성 화장에 대한 비판[편집] 그는 여성이 화장을 하거나, 심하게 꾸미는 것이나 결혼식날 모여서 수다떠는 것도 못마땅하게 생각하였다. '혼례를 올리는 날에 사람들이 모여서 소란 피우는 풍습은 좋지 못하다. 부녀자들은 왜 아름답게 화장하여 남의 눈에 띄려고 하는지 모르겠다. 화장한 여자 얼굴을 쳐다보는 사람들이 모두 점잖은게 아니다. 평생 남편이나 모시면 될 일이지 대체 무엇 때문에 남들에게 예쁘게 치장한 모습을 보이려 하는가. 이는 엄하게 타일러야[12] 된다'는 것이다. 여성들이 필요 이상으로 화려하게 꾸미는 것을 부정적으로 규정하였다. 이혼 옹호론[편집] 그는 이혼 역시 적극적으로 옹호하였다. 부인을 집에서 쉽게 쫓아내는 것 역시 지극히 당연하게 여겼다. '이혼에는 적잖은 폐해가 따른다지만 이혼법이 없다 하여 문란한 여자를 그대로 내버려 둘 수는 없다. 법이 없다고 해서 불효자를 벌주지 않는단 말인가? 이혼법이 없는 것은 죄 없는 자가 쫓겨나는 것을 막기 위함이지, 죄 지은 여자를 쫓아낼 수 없다는 것은 결코 아니다. 만일 그럴 경우 아이들 교육에 엄청난[12]지장을 줄 것[13]'이란게 이혼 옹호의 이유였다. 그는 또 '요즘 풍속이 변하여 집안에서 부인들의 권세가 대단해졌다[13]'며 가정에서 여자들의 힘이 강해진 것 역시 부정적으로 봤다. '요즘 풍속이 변하여 집안에서 부인들의 권세가 대단해졌다고 해도 죄있는 아녀자를 쫓아낼 수 없다면 대관절 어찌하겠다는 말인가? 여자들이 갖가지 잘못을 저질러도 도저히 다스릴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성인들이 예법을 정하실 때에 부녀자들에 대해 아무런 생각도 없이 칠거지악(七去之惡)을 만들었겠는가? 도적 잡는 것을 예로 들어 보자. 법을 함부로 적용함으로써 죄없는 양민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하여 도적 잡는 일을 금한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 법이 없다 해서 이혼을 금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13]'라며 이혼, 출처의 당위성을 역설하였다. 비록 이혼법을 만들자는 견해까지 나가지는 않았지만, 이혼법이 없다는 이유로 아내를 내쫓거나 이혼하지 못하도록 사회에서 억압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주장했다. 실증주의 사물론과 탈중화주의[편집] 성호는 중국의 청대(淸代) 고증학과 서구의 과학기술을 받아들이면서, 자구(字句)에 대한 교감·문자학과 음운학·훈고· 추론 고증의 방법에 의해, 경전을 연구하는 실용주의적 경학(經學)을 추구하였다. 성호는 현실생활을 도외시한 공허한 관념의 유희만을 즐기는 당시의 학문풍토를 비판하고, 하나의 경전이라도 능통하여 실생활에 유익하게 쓰일 수 있는 경세치용적(經世致用的)인 경학을 주장하였다.[5] 그는 조선이 중국의 속국은 아니며 자주적인 학문 연구, 자주적인 세계관을 구축해야 함을 역설하였다. 그는 선입견에 의하지 않고 실제의 사실에서 옳은 것을 추구하였는데, 학문에 있어서 실증적 사유는 천문·지리·역사· 제도 등의 각 분야에서 새로운 인식을 낳게 되었던 것이다. 당시 우리 나라에 소개되기 시작한 서학(酉學)은 성호에게도 일정한 영향을 주었는데, 세계관의 확대와 역사 의식의 심화, 전통적 중화관(中華觀)의 탈피해가게 된다.[5] 중농주의 정책[편집] 그는 모든 사물의 근원은 농업이라 생각했다. 그는 농업을 기본산업으로 하여, 근검과 절약을 강조하는 절제를 바탕으로 상업을 억제하고 돈의 유통을 막고, 백성을 편안히 살도록 제도를 고쳐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성호는 고향인 안산(安山)의 농촌에서 일생동안 농민들과 지내면서 농촌사회의 경제적 몰락을 실지로 체험하였다.[5] 그에 따라 그는 양반들에게도 직접 농사를 짓고, 생산을 할 것을 강조하였다. 지배층의 가혹한 수탈과 상업(商業)·고리대자본(高利貸資本)으로 비농민(非農民)의 농지 소유가 늘어나는 반면, 농민들이 토지로부터 이탈되자, 적은 농사를 짓는 농민을 구제하는 토지 제도로 한 가구당 오늘날의 1,500평에 해당하는 50묘 정도의 영업전(永業田)을 한정하여 기본적 삶을 꾸려나갈 수 있는 ‘한전론’을 제시하였다.[5] 민족 주체성[편집] 그의 다채로운 학풍은 대표적 저서 <성호사설(星湖僿說)>에 잘 나타나 있는 바 이 책에는 <논속사론(論束史論)>이 있어 그의 역사관을 엿볼 수 있다. 여기에서 역사란 용이한 것이 아니어서 어떤 사실의 진가(眞假)를 판별하는 인식은 어렵다고 하였다. 특히 과거의 일을 후일에 와서, 더구나 타(他)지역의 작사자(作史者)가 함부로 서술할 수는 없다고 하였다. 따라서 역사를 서술하는 사람에게 억측이나 요량은 금물이며 그것으로 악을 숨겨서도 안 된다고 했다. 성호는 또한 역사에 있어서 실증적인 점을 중시했으며, 문헌 취급에 있어서는 비판적이어야 한다고 했다. 그의 이러한 태도는 단군신화에 대한 비판에서도 잘 나타나 있다. 성호는 과거의 역사 서술이 선악 한 편에만 서 있다고 지적, 권선과 징악을 동시에 보아야 한다고 했다. 그는 또 역사적 계기는 역사적 시간성 즉 역사적 현실의 추세 속에서 발견해야 하며, 이러한 역사적 현실의 파악에는 필연적으로 그렇게 될 수 밖에 없었던 사회적·객관적 추세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자아(自我)’의 자각을 통해 민족의 주체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중국을 세계의 중심에 놓는 중화주의를 배척하여, 중국이 유일한 천자(天子)의 나라가 될 수 없으며, 서양의 각국이 각기 군주가 있어 자기 역내(域內)를 통치하고 있으므로, 각 국가의 독립적인 주권이 존중되어야 한다고 하였다.[5] 이는 허목 이후 나타난 남인학파의 탈중화주의 사상의 연장이기도 했다. 성호는 “하(夏 : 中華)를 귀하게 여기고 이(夷)를 천하게 보는 것은 옳지 않다.”“동국(東國)은 다름 아닌 동국일 뿐이다 (東國自東國), 우리 역사는 중국의 역사와 다르다.” 라고 주장하여 소중화(小中華) 의식에서 벗어나 민족적 자아를 발견하고,우리의 역사를 자주적으로 재인식, 새로운 역사적 안목을 지니게 되었다. 변화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일본에 대한 인식도 전통적인 화이적 명분론이나 감정적 차원의 대응에서 벗어나, 세계 여러나라가 더불어 사는 상호간의 교린 (交隣) 체제의 강화를 주장하였다. 그는 또한 올바른 역사 이해와 서술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객관적 사실을 알기 위해서는 한 두 가지 사서(史書)에 의존하지 말고, 여러 서적을 상호 비교해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사료에 대한 문헌비판과 논리적 추론을 통해 역사적 사실을 도덕적 해석으로부터 독립시켜, 역사에 대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인식방법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5] 이익은 우리 나라 역사에 계통을 세워 재구성하기 위해 삼한(三韓)에 정통을 두는 ‘삼한정통론’을 강조하였다.[5] 삼한은 마한, 진한, 변한을 말하는 것이다. 이는 기자조선을 민족사의 시원으로 간주하고 기자조선→신라를 거쳐서 고려, 조선으로 정통이 이어진다는 서인노론계 사상과는 정면 배치되었다. 단군이 처음 우리 나라를 일으켰고, 그 후 기자조선이 계승하여 남쪽으로 옮겨 마한(馬韓)이란 나라를 연장해 왔기 때문에, 우리 나라 역사의 정통은 단군조선→기자조선→마한으로 이어진다고 주장하였다. 단군조선에서 비롯한 우리나라 역사 의 변천과정 속에 하나의 계통을 찾아내려는 성호는 한사군(漢四郡)의 설치로 역사가 중단된 듯이 여겨졌던 공백기간에, 마한으로 나라가 이어진 계통을 발견하고 그것을 정통으로 내세우게 되었던 것이다.[5] 그의 정통론은 중국사가와 같이 자기 소속 왕조에 대한 의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역사 파악에 있어 체계성을 위한 것이었고 한 걸음 나아가 중국의 정통사상 [천자사상]을 극복하게 되었다. 성호에서 비롯한 이 정통론은 안정복·정약용으로 계승 심화되었는데, 순암 안정복은 『동사강목』을 통해 역사를 보다 체계적으로 파악하였고, 다산 정약용에 와서는 현실론적 주장으로 중화주의(中華主義)의 절대성의 잔재가 일소되었으며, 나아가 현실성에 입각한 역사이해를 가능케 했다.[5] 그의 삼한 정통론은 민족사적 정통성을 보다 강화하였으며, 그의 후계자이자 수제자인 안정복은 발해를 우리 역사로 간주하였고, 이후 단군조선-기자조선-부여-고구려-발해로 이어지는 새로운 역사관의 모태가 되었다. 그의 이전의 남인, 북인의 학자들은 중화주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못했지만 그는 중국 중심의 사고방식에서 벗어남으로서 이전의 남인, 북인 학자들과는 다른 차별성을 두게 된다. 천주교에 대한 시각[편집] 18세기 전반에 이익이 천주실의의 발문을 쓰며 관심을 표명한 이후, 이익의 제자들이 본격적으로 논의하기에 이르렀다.[14] 그러나 이익은 천주교의 중심 교리에 대해서는 비판적이어도 부분적으로 취할 점도 있다고 본 데 반해, 신후담과 안정복[14] 등 공서파(功西派)는 천주교에 대해 좀더 철저한 비판적 태도를 취했다.[15] 마테오 리치가 보이는 보유론은 유교인을 끌어들여 결국은 유교의 정신을 부정하게 만들려는 포교 정책에 지나지 않는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며, 신후담은 이를 다음과 같이 표현했다.[15] “ 서학은 우리의 도(道)에 대해 겉으로는 돕는 척하고는 속으로는 배척한 것이다.[15] ” 신후담은 서학을 사학(邪學)이라고 단정하고 유학(儒學)을 옹호하였다. 지각(知覺)의 기(氣)와 추상적인 형태의 형기(形氣)의 기는 같지 않으며, 기수(氣隨)의 기는 심(心)에 속하고 기발(氣發)의 기는 형기에 속한다고 하였다. 또 공리(公理)상의 칠정(七情)·인심(人心)도 역시 도심(道心)이라는 공희노리발설(公喜怒理發說)을 주장하였다. 신후담의 이 설은 이익의 조카인 이병휴(李秉休)가 믿고 따랐는데, 이 때문에 윤동규(尹東奎)와 이병휴 사이에 20여 년 간의 쟁변(爭辨)이 있었고, 이병휴와 신서파 사이에서 갈등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익은 천주교에는 다소 유화적인 자세를 취하였다. 천주교의 중심 교리인 원죄설, 천당지옥설, 처녀잉태설, 신 강림설, 예수부활설 등에 대해서는 이익이나 신후담이나 안정복이 모두 비판적이었다.[15]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익은 천주교로부터배울 것이 있다고 보며 이단에 대해서 허용적이고 호의적이었던 데 반해, 천주교를 공부한 신후담이나 안정복은 천주교에 대해 극히 비판적이었던 까닭은 무엇일까? 이는 종교와 정치의 관련성에 대한 관념이 서로 달랐기 때문이라고 본다.[15]'는 것이다. 한우근은 천주교에 대한 이익의 허용적 입장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러한 입장은 현실적으로 국민의 생활이 ...... 극도의 곤궁에 달하게 되는 그 이유가 정치의 잘못에 있는 것이지 이단의 폐해 때문은 아니라"고 보았다는 것이다.[16] 이에 반해 신후담과 안정복은 철학이나 종교가 갖는 정치적 함의를 제대로 간파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15] 그의 문인들의 대에 남인은 다시 안정복, 신후담, 이헌경 등의 공서파와 권일신, 이가환 등의 신서파로 나뉘게 된다. 사냥 남발과 육식에 대한 비판[편집] 그는 동물에게도 생명이 있으므로 함부로 죽여서는 안 된다고 봤다. 그러나 인간이 부득이한 경우 동물을 죽일 수는 있다고 봤다. "만물은 사람을 위해 생겨난 것이다. 따라서 당연히 사람에게 잡아먹히는 것이다."는 이 이기적 인간중심주의를 반박하기 위해 성호는 "좋다. 이는 사람의 피를 빨아 먹고 산다. 그렇다면 사람이 이를 위해 생겨났다는 말이냐?"라고 반박한다[10] 생명주의자이지만 대책 없는 생명주의자는 아니기에 동물의 생명을 취할 수 있다[10]는 것이다. '동물 중에서 사람을 해치는 동물은 이치상 마땅히 잡아 죽일 수 있다. 또 사람이 기르는 가축들은 사람에 의해 길러졌으니, 사람에게 그 생명을 내줄 수도 있을 것이다[10]'라고 하여 일단 육식, 도살을 인정하였다. “ 육식은 군자로서도 부득이한 일이니, 또한 마땅히 부득이한 심정으로 먹어야 할 뿐이다. 만약 욕망을 한없이 채우려고 거리낌 없이 살생을 저지른다면, 약육강식의 논리를 면하지 못할 것이다.[10] ” 인간의 생명을 해치는 동물은 잡거나 죽일 수 있는 것은 일단 당연하다고 봤다. 또 사람이 키우는 동물, 곧 가축은 본디 먹기 위해 키운 것이니 사람이 그 생명을 취할 수 있다. 역시 당연하다. 그러나 이것이 동물의 생명을 제한 없이 취해야 한다는 주장은 아니다.[10] 사냥, 밀렵의 남발에 대해서도 지적하였다. '그래, 가축은 그렇다 하자. 하지만 저 산에서, 물에서 절로 나고 절로 자란 것들이 모두 사냥과 고기잡이의 대상이 되는 것은 또 무슨 이유에서인가?[10]' 가축이 아닌 자연 속에 나고 자라는 동물의 생명을 인간이 무슨 권리로 빼앗느냐는 물음이다. 다시 말해 사냥과 어업은 과연 정당한 행위인가라는 질문이다.[10] 도적에 대한 비판[편집] 그는 당시 의적으로 여겨지던 홍길동, 임꺽정, 전우치, 장길산에 대해 사회에 해악을 끼치는 존재들로 확신하였다. 특히 그는 장길산에 대한 내용을 기록으로 남겨 후대에 전하였다. “ 숙종 연간에 교활한 도적 장길산이 해서지역에 출몰하였다. 길산은 본래 창우(倡優·광대)로서 곤두박질을 잘하는 자로서 용맹스럽고 민첩하고 비상하였다. 그리하여 마침내 도적들의 우두머리가 되었다. 조정에서는 이를 근심하여 신엽을 감사로 삼아 체포하려 하였으나 잡지 못하였다. …그 후 병자년(1696년) 역적의 공초에 그 이름이 또 나왔으나 끝내 잡지 못하였다.[1] ” 장길산에 관한 기사를 담고 있는 자료로 현재까지 알려진 것은 ‘숙종실록’, ‘추안급국안’, ‘성호사설’ 세 자료뿐이다. 전자의 두 자료가 국가에서 도적 장길산의 체포를 독려하기 위해 쓰인 점을 감안하면 ‘성호사설’의 기록은 이례적이다. 그만큼 이익은 현실 사회 문제에 민감[1]하였다. '성호사설'에서 장길산을 임꺽정과 함께 조선의 대표적 도적의 괴수로 단호하게 확신하였다.[1] 그는 장길산의 출신성분에 대해 그가 원래 광대 출신[1]이라는 설을 기록해두기도 했다. 신분제 타파 주장[편집] 그는 가혹한 노비제와 서얼차별의 사회상을 비판하였다. 천인도 과거에 응시하게 하여, 다양한 인재를 등용시키고, 노비의 수를 줄여 양인(良人)이 늘어나면 국가의 조세와 부역 또한 많아져 국가의 재정이 확대될 수 있다고 하였다.[5] 허례허식에 대한 비판[편집] 그는 검소하고 간소한 생활의 예를 강조하여 사리의 분별과 겸손하고 근검 절약하는 예(禮)와 형식에 치우치지 않고 분수에 맞는 예식을 치르도록 주장하였다.[5] 학맥[편집] 그는 실학자이면서도 저명한 남인계 성리학자이기도 했다. 그의 학맥은 이황, 서경덕에서 비롯되고, 정구와 여헌 장현광을 거쳐 허목, 윤휴, 유형원, 이서우 등에게로 이어졌고, 다시 그의 학풍은 안정복, 신후담, 권철신, 권일신, 윤동규, 이중환, 채제공, 이가환, 정약용, 이현일 등으로 이어진다. 그는 이황, 정구, 허목, 윤휴, 유형원 등의 학문을 계승하였으나 수많은 제자를 양성하였고, 독자적으로 성호 학파라는 새로운 학파를 창시하였다. 인물평[편집] 농촌에 은거하면서 이익은 직접 양봉도 하고, 닭을 기르면서 무실(務實)의 중요성을 체험했다. 조카인 이병휴에게 편지를 보내어 "너는 이미 실학에 종사하고 있으니, 마땅히 실무에 뜻을 두고 헛된 일을 하지 마라."고 충고하기도 했고, 고을 수령으로 있던 조카가 그의 어려운 형편을 듣고 고기를 보내주자 그 고기를 돌려보내면서 "이런 것은 열의 아홉은 농민의 고혈에서 나온 것인데 내가 어떻게 받을 수 있겠느냐. 풀뿌리로도 배고픔은 이길 수 있지만 고기는 필경 토해낼 것 같아서 그냥 돌려보낸다."라며 수령으로서의 자세에 대해 훈계하기도 힌다. 정조 때의 학자이자 재상이었던 채제공은 "내가 일찍이 경기 감사로 있으면서 첨성리의 선생 댁을 찾아뵈었는데, 처마가 낮은 왜소한 집에 정좌해 계시는 선생의 모습은 눈빛이 날카로워 사람을 꿰뚫는 것 같았다... 경전을 논하는 데에 고금을 두루 통하였고 그 전에는 듣지 못했던 것도 들을 수 있었다."며 그의 꼿꼿한 모습과 해박한 지식에 대해 증언하고 있다. 주요 저서[편집] 《성호사설》(星湖僿說): 1720년대부터 독서 잡기 및 흥미로운 사실을 기록한 것을 문중 조카들이 정리하여 1760년경 완성한 백과사전이다. 《성호문집》(星湖文集): 27책의 퇴로본과 26책의 서포본 두 종류가 있으며, 시, 부, 서, 잡서, 서, 기, 제발, 제문 등 방대한 내용이 실려 있다. 《이자수어》(李子粹語): 이자는 퇴계에 대한 존칭이며, 수어는 순수한 말씀이라는 뜻으로, 퇴계 이황과 그 제자들의 글 중에서 학문과 인격수양에 긴요한 글을 가려서 종류별로 엮은 책이다. 《성호질서》(星湖疾書): 질서란 빨리 쓴 글이라는 뜻이다. 경학에 대한 비판적이고 고증학적인 연구들이 담겨 있다. 《곽우록》(藿憂錄): 곽우란 벼슬을 하지 않는 사람을 뜻하는데 이는 곧 이익 자신을 의미하기도 한다. 인재양성과 관료선발, 법제개혁 및 통치일반론, 재정과 화폐문제, 토지소유문제, 국방 등 방대한 분야의 다양한 내용의 글들이 실려있다. 《사질유편》 《예설유편》 《관물편》 《백언해》 《사서삼경》 관련 유적지[편집] 이익 선생의 묘 안산시 상록구 일동 555번지에 위치한다. 묘실과 재실, 사당, 안내판 등이 있고, 경기도 기념물 제 40호이다. 가족 관계[편집] 고조부 : 이우인(李友仁) 증조부 : 이상의(李尙毅) 종조부 : 이지완 당숙 : 이원진 당고모 : 여주 이씨 당고모부 : 유흠(? ~ 1624년) 내재종형 : 유형원, 호는 반계 할아버지 : 이지안 숙부 : 이은진(李殷鎭) 숙부 : 이주진(李周鎭) 숙부 : 이국진(李國鎭) 숙부 : 이명진(李明鎭) 고모 : 이씨 고모부 : 이진형(李震馨, 성주인(星州人), 진사) 아버지 : 이하진(李夏鎭) = 이지안의 장남 어머니(아버지의 본처) 용인이씨, 이후산(李後山)의 딸 형 : 이해(1647 - 1673, 호는 청운) 조카 : 이광휴(李光休, 1693 - 1761, 사후 입양된 양자로 다섯째 형 이침의 아들이다.), 호는 죽파 형 : 요절 형 : 이잠(李潛, 1660 ~ 1706, 호는 섬계) 조카 : 이병휴(李秉休, 1711 - 1777, 사후 입양된 양자로 다섯째 형 이침의 아들이다.), 호는 정산 형 : 이서(李漵, 1662 - 1723, 호는 옥동) = 숙부 이주진의 양자가 됨 조카 : 이원휴(李元休, 1696 - 1762), 호는 금화 어머니 : 안동권씨(安東權氏), 권대후(權大後)의 딸 형 : 이침(李沈, 1671 - 1713) = 숙부 이명진의 양자가 됨 조카 : 이광휴(李光休, 백부 해의 양자로 입양) 조카 : 이병휴(李秉休, 계부 잠의 양자로 입양) 조카 : 이용휴(李用休, 1708 - 1782, 호는 혜환) 종손 : 이가환(李家煥, 1742 - 1801), 호는 금대, 실학자 부인 : 고령신씨 부인 : 사천목씨 아들 : 이맹휴(李孟休, 1713 ~ 1750, 호는 두산(杜山)) 손자 : 이구환(李九煥, 1731 - 1784, 호는 가산(可山)) 기타[편집] 성호 이익은 그 자신의 저서 성호사설에서 정도전을 일컬어 '죽을 만한 일을 한 위인'이라며 평가절하했다.[17] 관련 항목[편집] 성호사설 성리학 실학 이기일원론 이기이원론 중농주의 중상주의 갑술환국 경신환국 무고의 옥 이하진 이원진 이잠 안정복 신후담 이가환 이중환 희빈 장씨 실학파 남인 북인 이인좌의 난 허목 정구 장현광 윤휴 윤선도 이서우 오시수 유형원 오상렴 신후담 안정복 채제공 권철신 이담명 홍우원 천주교 정약용 이중환 윤동규 박지원 박제가 김종수 이덕무 유득공 유발 유수원 박규수 심대윤 공서파 신서파 반기독교주의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샘이깊은물] 35. 이익 성호사설 경향신문 2004-07-19 ↑ 가 나 다 라 마 바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제12권》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08) 131페이지 ↑ 아버지 이하진은 허목의 문인이었다. ↑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제12권》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08) 132페이지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성호 이익의 학문과 사상[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박은봉, 《한국사 100 장면》 (가람기획, 1998) 177페이지 ↑ 박은봉, 《한국사 100 장면》 (가람기획, 1998) 181페이지 ↑ 가감역은 임시로 설치한 선공감에 소속된 종9품 벼슬 ↑ 도산서원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약자의 살을 삼키는 육식 경향신문 2008.05.16일자 ↑ 가 나 정적의 아들도 정적? 아시아투데이 2011년 02월 18일자 ↑ 가 나 다 라 마 정옥자, 금장태, 이광표 외, 《시대가 선비를 부른다 》(효형출판, 1998) 191페이지 ↑ 가 나 다 정옥자, 금장태, 이광표 외, 《시대가 선비를 부른다 》(효형출판, 1998) 192페이지 ↑ 가 나 한자경, 《한국 철학의 맥》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8) 238 ↑ 가 나 다 라 마 바 한자경, 《한국 철학의 맥》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8) 239 ↑ 한우근, 《성호 이익 연구》 (한국학술정보, 1980) 69 ↑ 박윤규, 《재상:한국편》 (이가서, 2005) 304페이지 참고 문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편집] 이익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다음백과 미러) 이익 - 두산세계대백과사전 “이익”. 《네이버캐스트》.  [깨진 링크([http://web.archive.org/web/*/http://seongho.iansan.net/ 과거 내용 찾기)] 성호기념관] 유교인물사전-이익 안산의 역사인물 - 성호 이익[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한국의 대표 문화인물 - 성호 이익[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재야 학자 성호 이익의 실학사상上 (경향신문) 재야 학자 성호 이익의 실학사상下 (경향신문) vdeh1998년 선정 이 달의 문화 인물 1월 신윤복 2월 안향 3월 이상화 4월 석주명 5월 이익 6월 송흥록 7월 조철호 8월 윤봉춘 9월 한성준 10월 정태진 11월 최제우 12월 이순신 전거 통제 WorldCat VIAF: 40703546 LCCN: n81117466 ISNI: 0000 0001 2210 4968 GND: 104939397X SELIBR: 224032 SUDOC: 069216789 BNF: cb150588946 (데이터) NDL: 0043016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익_(1681년)&oldid=24424455" 분류: 1681년 태어남1763년 죽음과거 급제자조선의 문신조선의 실학자조선의 성리학자조선의 철학자사상가조선의 정치인조선의 역사가조선의 작가조선의 시인서예가윤휴허목정약용조선의 저술가조선의 교육인한국의 농학자운산군 출신안산시 출신여주 이씨병사한 사람조선 영조남인18세기 한국 사람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로컬에는 없지만 위키데이터에는 있는 그림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ไทย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4일 (금) 05: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익(李瀷, 1681년 10월 18일 ~ 1763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사상가, 철학자, 실학자, 역사가, 교육자로 조선 영조 때의 남인(南人) 실학자이다. 자는 자신(自新), 호는 성호(星湖)이며, 본관은 여주이다. 의정부좌찬성을 지낸 이상의의 증손이고 대사헌 이하진(李夏鎭)의 아들이다. 실학자 반계 유형원에게는 외6촌 동생이 되나, 생전 한번도 만나본 적이 없다. 섬계 이잠(剡溪李潛)에게 수학하다 송곡 이서우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숙종 31년(1705년) 증광과에 합격하였으나 그의 형 이잠(李潛)이 당쟁으로 희생된 후 관직을 사양하고 학문연구와 후학 교육에 전념하였다. 홀로 학문 연구에 진력하다 미수 허목과 아버지 매산(梅山) 이하진(李夏鎭), 반계 유형원 등을 사숙하였고 이후 학문적으로 일가를 이루어 근기남인 최대의 학파인 성호학파를 형성하였다. 영조는 그의 명성을 듣고 영조 3년(1727년) 선공감가감역(繕工監假監役)으로 임명했으나 사양하고 저술에 힘쓰는 한편 학문 연구와 후학 교육에 전념하여 안정복, 윤동규, 신후담, 이중환 등을 배출하였고 그의 학통은 채제공, 정약용, 이가환, 이현일 등으로 이어졌다. 안정복의 동사강목 편찬을 후원하며 자료를 구해주는 등의 도움을 주었다. 남인의 여러 학파들의 마지막 공동 조상으로, 그의 제자들 대에서는 남인 성리학파와 남인 실학파, 공서파와 신서파 등의 여러 계파가 분리되었다. 또한 천주교와 서학의 수용에 개방적이었던 그의 학풍을 둘러싸고 제자들 간에는 성호좌파와 성호우파의 분열이 일어나기도 했다. 섬계 이잠(剡溪李潛), 송곡 이서우(松谷李瑞雨)의 문인이다. 경기도 출신.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성호사설에서 이익이 생명에 대해 피력한 의견이 무엇일까? Assistant: 성호 이익은 <성호사설>의 ‘식육’이란 글에서 이렇게 말한다. “백성은 나의 동포이고 만물은 나와 동류다.[10]”라는 것이다. 그는 '인간과 만물(동물과 식물)은 동일한 속성을 갖는다'고 봤는데, 그 동일한 속성이란 생명이다. 다만 그 생명의 위계는 있다. 곧 인간-동물-식물의 위계다. 위계의 논리는 이렇다. “초목은 지각이 없어 혈육을 가진 동물과 구별되기에 그것을 취하여 살아갈 수단으로 삼는다. 그러나 날짐승ㆍ길짐승은 살기를 좋아하고 죽기를 싫어하는 의지를 갖는다는 점에서 사람과 동일하다. 어떻게 차마 해칠 수가 있단 말인가?[10]”라며 동물 학대와 사냥을 비판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인간이 동물보다 본질적으로 우월하다는 생각은 고수하였다.
Human: 아래 쁠래이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쁠래이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쁠래이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쁠래이꾸 시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쁠래이꾸시Thành Phố Pleiku 쁠래이꾸 쁠래이꾸시의 위치 현황 국가 베트남 지방 중부 고원 지방 성 잘라이성 설립 1999년 2월 25일 면적 266.62 km² 총인구 250,972 명 (2018) 인구밀도 941 명/km² 방 14개 사 9개 소재지 떠이선 프엉 훙브엉 81번지 우편번호 32100[1] 전화번호 +84 079 홈페이지 http://pleiku.gialai.gov.vn 쁠래이꾸시(베트남어: Thành Phố Pleiku / 城舖坡離俱)는 베트남 중부 잘라이성의 성도로 면적은 261km2, 높이는 740m, 인구는 186,763명(2003년 기준)이다. 중부 고원 지방에 위치한다. 베트남 전쟁 중에는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에 의해 미국의 공군 기지 캠프 할로웨이가 공격당하고 북폭의 계기가 된 것으로 유명하다. 1975년 남베트남 군에 의해 시역이 불타고 1980년대에 소련의 원조로 재건을 했다. 2001년, 2004년에는 고원계에 거주하던 소수 민족에 의한 반정부 운동의 장소가 되었다. 2014년 현재에도 외국인 여행자가 들어가려면 허가가 필요한 곳이 존재한다. 목차 1 행정구역 1.1 프엉 1.2 싸 2 기후 3 교통 4 각주 5 외부 링크 행정구역[편집] 쁠래이꾸는 14개의 프엉(坊)과 9개의 싸(社)로 구성된다. 프엉[편집] 호아러 (Hoa Lư / 華閭) 옌도 (Yên Đỗ / 安杜) 이아끄링 (Ia Kring) 지엔홍 (Diên Hồng / 延鴻) 짜바 (Trà Bá / 茶柏) 호이푸 (Hội Phú / 會富) 통녓 (Thống Nhất / 統一) 호이트엉 (Hội Thương / 會商) 탕러이 (Thắng Lợi / 勝利) 떠이썬 (Tây Sơn / 西山) 푸동 (Phù Đổng / 扶董) 찌랑 (Chi Lăng / 枝陵) 옌테 (Yên Thế / 安世) 동다 (Đống Đa / 洞多) 싸[편집] 비엔호아 (Biển Hồ / 扁湖) 쩌흐쯔렁 (Chư HDrông) 안푸 (An Phú / 安富) 짜다 (Trà Đa / 茶多) 가오 (Gào / 嗃) 지엔푸 (Diên Phú / 延富) 떤썬 (Tân Sơn / 新山) 이아껜 (Ia Kênh) 쩌아 (Chư Á / 諸亞) 기후[편집] 쁠래이꾸시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최고기온기록 °C (°F) 32.8 (91) 35.0 (95) 35.9 (96.6) 36.0 (96.8) 35.1 (95.2) 33.1 (91.6) 32.0 (89.6) 31.6 (88.9) 32.5 (90.5) 32.8 (91) 32.0 (89.6) 31.3 (88.3) 36.0 (96.8) 평균최고기온 °C (°F) 26.3 (79.3) 28.4 (83.1) 30.6 (87.1) 31.0 (87.8) 29.3 (84.7) 27.3 (81.1) 26.7 (80.1) 26.2 (79.2) 26.7 (80.1) 26.8 (80.2) 26.0 (78.8) 25.5 (77.9) 27.6 (81.7) 일평균기온 °C (°F) 18.8 (65.8) 20.5 (68.9) 22.6 (72.7) 24.1 (75.4) 23.8 (74.8) 22.9 (73.2) 22.3 (72.1) 22.1 (71.8) 22.2 (72) 21.7 (71.1) 20.5 (68.9) 19.1 (66.4) 21.7 (71.1) 평균최저기온 °C (°F) 13.9 (57) 15.3 (59.5) 17.5 (63.5) 19.5 (67.1) 20.4 (68.7) 20.4 (68.7) 20.0 (68) 20.1 (68.2) 19.7 (67.5) 18.6 (65.5) 16.9 (62.4) 14.9 (58.8) 18.1 (64.6) 최저기온기록 °C (°F) 5.6 (42.1) 6.8 (44.2) 5.9 (42.6) 10.0 (50) 14.6 (58.3) 16.6 (61.9) 15.6 (60.1) 14.8 (58.6) 13.7 (56.7) 11.0 (51.8) 5.8 (42.4) 5.8 (42.4) 5.6 (42.1) 평균 강수량 mm (인치) 3 (0.1) 6 (0.2) 22 (0.9) 93 (3.7) 245 (9.6) 344 (13.5) 390 (15.4) 476 (18.7) 362 (14.3) 189 (7.4) 64 (2.5) 11 (0.4) 2,206 (86.9) 평균강수일수 0.6 0.9 3.4 8.2 18.5 23.1 26.0 27.4 25.3 16.3 7.4 2.3 159.2 평균 상대 습도 (%) 76.3 72.7 70.5 74.4 83.3 89.6 91.2 92.2 90.4 85.8 81.5 78.2 82.2 평균 월간 일조시간 265 261 277 237 208 149 145 128 134 177 200 233 2,412 출처: 베트남 과학 기술 양성 연구소[2] 교통[편집] 시내 중심가에서 남동쪽 약 2.5km 거리에 쁠레이쿠 버스 터미널이 있고 꾸이년, 부온마투옷, 꼰뚬 가는 국내 버스 외에도 캄보디아와 라오스로 가는 국제 버스도 존재한다. 또한 북쪽으로 2km에 쁠래이꾸 공항이 있다. 각주[편집] ↑ 2018년 1월 1일, 정부령 Decision 2475 / QD-BTTTT ↑ “Vietnam Building Code Natural Physical & Climatic Data for Construction” (PDF). 베트남 과학 기술 양성 연구소. 2018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2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쁠래이꾸시 (공식)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쁠래이꾸 vdeh잘라이성의 행정 구역시 쁠래이꾸시 시사 아윤빠 시사 안케 시사 현 꽁쯔로현 끄롱빠현 끄방현 닥도아현 닥뻐현 득꺼현 망영현 이어그라인현 이어빠현 쯔세현 쯔빠현 쯔쁘롱현 쯔쁘현 푸티엔현 전거 통제 WorldCat VIAF: 46146153026705250642 LCCN: n88033699 GND: 4705338-0 BNF: cb12473897q (데이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쁠래이꾸&oldid=24155207" 분류: 베트남의 도시잘라이성베트남의 성도숨은 분류: 베트남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sturianuCebuano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客家語/Hak-kâ-ngîMagyarItaliano日本語KalaallisutLumbaart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اردوTiếng ViệtWinaray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6일 (월) 04: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쁠래이꾸시(베트남어: Thành Phố Pleiku / 城舖坡離俱)는 중부 고원 지방에 있는 베트남 중부 잘라이성의 성도로 면적은 261km2, 높이는 740m, 인구는 186,763명(2003년 기준)이다. 베트남 전쟁 중에는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에 의해 미국의 공군 기지 캠프 할로웨이가 공격당하고 북폭의 계기가 된 것으로 유명하다. 1975년 남베트남 군에 의해 시역이 불탔으며 1980년대에 소련의 원조로 재건되었다. 2001년, 2004년에는 고원계에 거주하던 소수 민족에 의한 반정부 운동의 장소가 되었다. 2014년 현재에도 외국인 여행자가 들어가려면 허가가 필요한 곳이 존재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쁠래이꾸의 2월 최고기온기록은 몇 도인가? Assistant: 35.0 Human: 아래 일본의_사형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일본의 사형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본의 사형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본의 사형제도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일본은 사형제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개요와 역사는 아래와 같다. 일본은 사형을 법정형 중 하나로 정하고 있으며, 그 방법은 민간인은 교수형으로 규정되고 있다. (일본 형법 제11조 1항) 예외적으로 자위대 소속 자위관(자위대 병사.장교 등)의 경우에 한해서는 교수형이 아닌 총살형으로 집행된다. 목차 1 사형이 있는 범죄 2 사형의 양형기준 2.1 범행의 동기 2.1.1 예 2.2 결과의 중대성 2.3 사회적 중대성 2.4 범인의 연령 2.5 전과 2.6 범행의 잔학성과의 관계 2.7 범행후의 정상 3 사형 집행까지의 과정 3.1 사형판결 3.2 사형확정자의 구치 3.3 외부와의 교통 3.4 검찰 송달 3.5 집행명령 3.6 집행준비 3.7 집행시설 3.8 사형집행 3.8.1 민간인 3.8.2 자위대 4 일본의 사형제도 역사 4.1 헤이안 시대 이전 4.2 헤이안 시대 4.3 중세 4.4 에도 시대 4.5 근대 4.6 전후에서 현대 5 각주 사형이 있는 범죄[편집] 법정형에 사형이 있는 범죄(미수도 포함)는 아래와 같으며, 이것들은 원칙으로서 제1심에서는 재판원 재판의 대상사건이 된다 (재판원의 참가하는 형사 재판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항 제1호. 단, 대상사건으로의 제외되었을 경우나 내란죄와 같이 지방법원이 관할하지 않는 사건(재판소법16조4항 참조)등을 제외한다). 재판소는, 법정에 제출된 증거를 바탕으로, 과거의 판례 (소위 나가야마 기준 등)도 합쳐서 검토해 판결을 내린다. 형법(조문번호순) 내란죄 (77조 1항: 주모자만 사형이 될 수 있다) 외환유치죄 (81조: 법정형이 사형만의 죄(현행 형법상에서 유일)에서, 사망자가 생기게 하지 않고 있을 경우나, 미수의 경우라도 사형이 되지만, 정상에 의해 법정감경·고려 감경의 가능성은 있다) 외환원조죄 (82조) 현재주거건조물등 방화죄 (108조:판례상은 통상, 치사의 결과를 생기게 했을 경우) 격발물파열죄 (117조:판례상은 통상, 치사의 결과를 생기게 했을 경우) 현재주거건조물등 침해죄 (119조:판례상은 통상, 치사의 결과를 생기게 했을 경우) 기차전복등 치사죄 (126조3항) 수도독물등 혼입치사죄 (146조) 살인죄 (199조) 강도치사죄·강도살인죄 (240조 후단) 강도강간치사죄 (241조) 대역죄(73조), 이적 행위(83∼86조), 존속살인(200조): 삭제 조직적인 범죄의 처벌 및 범죄수익의 규제 등에 관한 법률 조직적인 살인죄 (3조, 형법 199조) 인질에 의한 강요 행위등의 처벌에 관한 법률 인질살해죄 (4조) 항공기의 강취등의 처벌에 관한 법률 항공기강취 등 치사 (2조) 해적행위의 처벌 및 해적행위에의 대처에 관한 법률 이하의 해적행위로 사람을 사망시켰을 경우 (4조) 선박강취·운행 지배 (2조 1호) 선박내의 재물강취 등 (2조 2호) 선박내에 있는 사람의 약취 (2조 3호) 인질강요 (2조4호) 폭발물단속벌칙 폭발물사용(1조) 이 중 내란죄는 사형이 적용된 사례가 존재하지 않으며, 외환죄는 적용 사례조차 존재하지 않는다. 일본의 법률상에서는, 상기의 범죄의 미수로 다른 사람의 생명을 빼앗지 않아도 사형이 될 수 있지만, 실제의 판례에서는, 전후의 경우, 다른 사람의 생명을 빼앗았을 경우에만 사형판결이 내려지고 있다. 사형의 양형기준[편집] 일본에 있어서 사형판결을 선고하는 때는, 나가야마 노리오(永山則夫) 연속 사살 사건으로 최고재판소(쇼와 58년(1983년) 7월 8일 판결)이 나타낸 사형적용 기준의 판례를 참고로 하고 있을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나가야마(永山) 기준이라고 불려, 제1차 상고심판결에서는 기준으로서 이하에 9항목이 제시되고 있다. 범죄의 성질 범행의 동기 범행태양(범행의 형태), 특히 살해 방법의 집요성, 잔학성 결과의 중대성, 특히 살해된 피해자의 수 유족의 피해감정 사회적 영향 범인의 연령 전과 범행후의 정상 범행의 동기[편집] 금전관계의 살인: 보험금목적의 살인이나 영리유괴의 살인 등에서는 피해자가 1명만이라도 있어도 사형[1] 이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금전관계의 살인범은 사형 또는 무기징역의 극형이 될 경우가 많다. 심신상실자의 행위: 피해자 4명 이상으로 신주쿠 니시구치 버스 방화 사건(사망자6명)이나 후카가와 괴한 살인사건(사망자 4명), 니시나리 구 마약중독자 살인사건(사망자4명)에서는, "심신상실자의 행위는 처벌하지 않는다. 심신 모약자의 행위는, 그 형을 감경한다"라고 하는 형법 39조에 따르고, 가해자의 범행 때는 심신 모약이었던 것이 인정을 받아, 법률상의 형의 감경으로서 형법 68조 1호의 규정에 의해, 무기징역의 판결이 확정할 경우도 있다.(단, 마약·각성제·알코올 등으로 "고의" 또는 "과실"로 심신상실에 빠졌다고 인정을 받았을 경우, 형법 39조의 규정은 적용되지 않는다) 가족자살: 대량살인이여도 가족자살을 계획해서 살아 남은 부모에 대해서는 지극히 경미한 형으로 끝마쳐질 경우[2] 조차 있어, 중에는 심신상실을 이유로 불기소처분이 된 사례조차 있다. 부모가 어린이를 살해했을 경우: "지나친 친권의 남용"이라고 해석되기 때문, 처음부터 살인죄 자체를 적용하는 케이스가 적다.(상해 치사죄를 적용하는 케이스가 많음) 때문에 사형이 안될 경우가 대부분이며, 어린이에게 장해가 있을 경우에는, 살해된 어린이에게는 책임이 없는에도 불구하고, "징역 3년, 집행 유예 5년"과 같은 집행유예가 되는 사례도 여기저기 볼 수 있다. 또 동일하게 병상인을 간호하고 있었던 친족이 살해했을 경우에는, 정상 참작에 의해 기소 유예될 경우조차 있다. 이렇게, 보험금으로부터 보아가 아니면 가정내의 살인에 대해서는 "정상 참작" 되어 사형이 적용되는 것은 먼저 없다. 예[편집] 계획적 범행이 아니었던 사건으로 사형판결이 내려지지 않은 예 고토맨션 실종 살인사건(ja:江東マンション神隠し殺人事件)에서는, 검찰도 피해자유족의 처벌 감정이나 과거에 피해자가 한 사람이라도 사형판결이 내려진 사례를 들고, 사형을 요구한, 일심·이심과도 그것을 멀리해 무기징역이 선고되어 확정했다. 이심의 도쿄고등법원은, 검찰의 피해자가 1명의 사형판결의 사례에 대하여, "잔학성의 정도나 피고의 범죄경향의 깊이 등에 차이가 있고, 동일하게 사형을 선택해야 하다라는 근거가 안된다"라고 진술했다.[3] "살해를 처음부터 의도하지 않고 있었던 것" "증거은멸로 사체를 분해한 것은 살해 후였던 것" "피고인의 성격은 이상했다고 한들, 체포경력이 없었다" 것부터, 형사법학자에게서는 재판관이 사형판결이 내려져 하기 어려운 사건이었다라고 지적되고 있다.[4] 공범자가 강한 지배 밑에 두어지고 있었기 때문에 복수인의 살해를 실행했는데도 불구하고 사형이 안된 예 기타큐슈 감금 살인사건(ja:北九州監禁殺人事件)에서는, 주모자의 남자의 지시에 따라 6명의 살해와 1명의 상해(치사)를 실행한 여자에 대해서, 제1심의 후쿠오카 지방재판소 오구라(小倉) 지부는 사형으로 했지만, 제2심의 후쿠오카 고등법원은 주모자인 남자가 강한 지배 밑에 두어져 추종적으로 관여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해서 무기징역이라고 해서 대법원도 "주모자에게서 학대를 계속해서 받은 결과, 범행에 가담한 점 등을 고려하면, 사형으로 하는 것 이외에 없으면은 단정하기 어렵다"라고 이 판단을 유지했다.[5] 결과의 중대성[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사회적 중대성[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범인의 연령[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전과[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범행의 잔학성과의 관계[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범행후의 정상[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사형 집행까지의 과정[편집] 사형판결[편집] 사형판결에서는, 피고인의 심리상태를 고려해 주문낭독이 뒤로 미뤄지는 적이 많다.(통상의 형사 재판에서는, 주문을 먼저 낭독한 후에 판결 이유의 낭독이 이어진다) 이 때문에 판결 공판의 첫머리에 주문낭독이 행해지지 않고 먼저 판결 이유의 설명이 행하여지는 것은 "사형의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라고 재판의 당사자나 보도기관등이 판단하는 재료가 된다.(예외도 있다) 이 경우, 매스컴 속보에서는 "엄격한 판결" "극형이 예상되는 전개" 등이라고 보도된다. 사형확정자의 구치[편집] 사형의 언도를 받은 사람은, 그 집행에 이르기까지 형사시설에 구치된다.(일본 형법 11조2항) 사형의 언도를 받아서 구치되고 있는 사람을 사형확정자라고 한다.(형사수용시설 및 피수용자 등의 처우에 관한 법률 제2조 11호) 이 구치의 법률상의 위치 부여는 "사형의 집행 행위에 필연적으로 부수되는 서론수속"이며 형의 집행 바로 그것이 아니다.(쇼와 60년(1985년) 7월 19일 대법원판결) 법리론상, 사형과는 어디까지나 교수의 집행 바로 그것을 좋은(형법11조2항), 집행에 이르기까지의 구치는 특수한 구금 상태이며, 사형확정자는 형사수용 시설 및 피수용자 등의 처우에 관한 법률로 말하는 "수형자"에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형사수용 시설 및 피수용자 등의 처우에 관한 법률의 "수형자"와는 징역수형자, 금고 수형자 또는 구류 수형자를 말하는, 동법 제2조 4호) 사형이 집행될 때까지, 사형확정자는 형장을 소유하는 이하의 형사시설에 구치된다.(형법11조2항) 삿포로 형무소(구치는 삿포로 구치지소) 미야기 형무소(구치는 센다이 구치지소) - 도쿄 구치소에 형장이 설치되기 이전에는 미야기 형무소에서 사형을 집행하고 있어, "센다이 보냄"이 사형의 대명사가 되고 있었던 시대도 있다. 도쿄 구치소 나고야 구치소 오사카 구치소 히로시마 구치소 후쿠오카 구치소 구치소에 의해 약간 다르지만, 사형확정자는 집행까지의 사이, 변기·개수대·책상·침구등이 수납된 3장 정도의 거실(제2종 독방이라고 불린다) 안에서 도주·자살·자상방지용의 카메라에 24시간 감시되면서 생활을 한다. 거실 창문과 철격자의 사이는 작은 구멍이 뚫린 금속판이나 루버 등의 차폐 판으로 덮어지는 방이 대부분이며, 밖의 경치는 대부분 보이지 않고, 환기도 대단히 나쁘고, 대부분의 구치소에는 냉난방장치도 없다. 기상은 오전 7시, 취침은 오후 9시이지만, 카메라로 감시를 하기 위해서, 밝은 빛을 어둡게 하는 감소등처치가 행하여져, 소등은 하지 않는다. 운동은 하기는 주 2회, 하기이외는 주 3회, 목욕은 하기는 주 3회, 하기이외는 주 2회. 운동은 베란나 콘크리트 바닥이 있는 곳에서 30분정도로, 줄넘기만 지급된다. 목욕은 갈아입을 옷도 포함시켜 15분정도. 단 요즘은, 구치소측이 규정을 확대 해석함으로써, 이것보다 많을 경우도 있다고 한다. 그 이외는 거실 안(속)에서 앉아서 보낸다. 식사는 아침 식사가 오전 8시, 점심이 오전 11시반, 저녁 식사는 오후 4시반에 지급된다 (식사의 맛을 냄, 양은 개인차가 있어 평가는 구구하지만, 생 야채가 없기 때문 비타민 부족해지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친근자에게서의 차입인가, 신청해서 과일류를 구입해서 섭취한다). 희망하면, 봉투 붙이기 등의 경작업(속죄)도 할 수 있고, 상여금을 얻을 수 있다 (최고, 월 4∼5000엔 정도) 외부와의 교통[편집] 외부교통은 편지의 발수와 면회하는 것에 한정된다. 편지는 1일에 1통 발신할 수 있다. 내용에 대해서는 검사된다. 면회는 1일에 1회 허가되어, 내용은 기록된다. 면회 시간은 길더라도 30분이내와 정해져 있지만, 실제는 길어서 10∼15분정도 미치지 않고, 짧을 때에는 5분정도로 이야기를 끊도록 재촉된다. 면회할 수 있는 상대는 다음 어느 것인가에 한정되어 있다. 친족·혼인 관계의 조정, 소송의 수행, 사업의 유지기타의 사형확정자의 신분상, 법률상 또는 업무상이 중대한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용무의 처리 때문에 면회하는 것이 필요한 사람 면회하러보다 사형확정자의 심정의 안정에 이바지한다고 인정을 받는 사람 전기에 내세우는 사람이외인으로부터 면회의 제안이 있었을 경우에 있어서, 그 사람과의 교우 관계의 유지기타 면회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사정이 있어,동시에, 면회하러보다 형사시설의 규율 및 질서를 해치는 결과를 생기게 하는 우려가 없다고 인정하는 사람에게 한정되어 있다. 가족이외의 친구나 저널리스트, NGO스탭 등이 면회를 신청해도, 허가될 것인가 아닌가는 해당형사시설의 취급에 의해 다른 것과 고려된다.(취재를 목적으로 한 면회는 일체 허가되지 않고, 저널리스트 등이 면회할 경우는 "면회한 것을 기사로 하지 않는다"라고 하는 취지의 서약서를 쓰게 한다) 이것 때문에, 가족과 멀어져지고 있을 경우 등에는, 몇년간이나 누구와도 면회할 수 없는 사람도 있다. 또, 사형확정자의 지원자들이 양자결혼 등을 하고, 가족으로서 면회를 추구했을 경우도 거부된다.(군마 3여성살인사건의 사형수와 그 양부모. 면회 때문에만큼 양자결혼이 되고, 가족이라고 하는 형으로 면회하는 것을 형사시설측이 거부한 것은 합헌으로 하는,이라고 하는 판례가 내놓았다) 이러한 외부교통의 제한에 대해서 일본변호사연합회는 보고서로, 국제인권규약에 어긋난다고 하고 있다. 검찰 송달[편집] 사형판결이 확정하면, 판결 등본과 공판기록이 해당사형을 구형한 검찰청에 보내진다. 고등검찰청의 검사장,혹은 지방검찰청의 검사정은, 이 서류를 바탕으로, 사형확정자에 관한 탄원서를 작성해 법무대신에게 제출한다. 탄원서는, 법무성 형사국에 돌려져, 동시에 검찰청에서 형사국에 재판의 확정 기록이 옮겨진다. 형사국 총무과는 자료에 부족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또 확정 사형수에 대해서 재판에 제출되지 않은 증거기록을 송부하도록 명령하고, 형사국 담당의 검사가 기록을 심사한 뒤에서 "사형 집행 기초 방안서"를 작성, 최종적으로 법무대신에게 상신한다. 이 법수속은, 사법권이 내린 생명을 빼앗는 형벌을 적용하는 판단을 행정권이 다시 체크하기 위해서 마련된 것이다. 법무관료가 사형 집행에 문제 없다고 판단한 사형수에 대해서, 법무대신(장관)의 집행명령서의 서명을 추구한다. 이 확인 작업에 있어서, 관료의 재량권의 안에 주관적 판단이 개재한다고 말해지고 있다. 일본의 형사 재판에서는 일반적으로 3심제이지만, 이렇게 사형에 관해서는 판결이 확정한 후, 법무대신(장관)이 사형 집행 명령에 서명하는 이전 단계에서, 더욱 법무성 형사국 검사에 의한 재판 기록의 심사가 해져, 건강 상태에 문제가 있거나,또 원죄의 가능성이 있는등 집행에 장해가 있는 사형수가 배제되어 가기 위해서, 사형안건에 대해서는 사실상에 4심제라고 표현[6] 될 것도 있다. 통상, 사형해당 범죄의 경우, 그 재판 자료는 방대한 것이기 때문에 심사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 특히, 형의 집행을 정지 해야 할 건, 비상상고의 유무 건, 재심의 건, 특별사면에 상당할 것인가 아닌가의 건은 신중하게 확인된다. 또, 요사이에 사형확정자가 임신했을 경우나, 정신에 이상을 초래했을 경우는, 서류는 형사국으로 되돌려진다. 심사의 결과, 사형 집행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어, 형사국 부검사에 의해 작성된 사형 집행 기초 방안서는 형사국, 교정국, 보호국의 결재를 받고, 이 결재의 확인 뒤 "사형 집행 명령서"로서 대신관방에게 보내진다. 사형 집행 명령서는 관방장(官房長)의 결재를 경과하고, 법무대신 아래에 도착한다. 원래라면 법무사무차관의 결재가 필요하지만, 법무대신과 법무성의 사무방대표인 법무사무차관의 결재가 엇갈려서는, 정치적 문제가 되므로, 법무사무차관의 결재는, 법무대신(장관)의 결재를 경과한 안건만큼 행하여진다. 집행명령[편집] 현재 일본에서 사형 집행을 최종판단하는 것은 민간인은 법무대신이, 자위대는 방위대신이 하고 있다. 일본 형사소송법 475조 제1항은 "사형의 집행은, 민간인은 법무대신이, 자위대는 방위대신의 명령에 따른다."라고 되어 있다. 이 명령은, 판결 확정의 날부터 6개월이내에 해야 하지만 (형사소송법475조 제1항 본문), 상소권 회복, 재심의 청구, 비상상고, 특별사면의 출원·제안이 되어 그 수속이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및 공동 피고인이었던 사람에게 대한 판결이 확정할 때까지의 기간은 산입되지 않는 것이 되고 있다.(일본 형사소송법475조 제2항 단서) 한편, "지지통신"(2012년 8월 19일)에 의하면, "사형 집행 명령서"에 각료의 서명은 없고, 인자된 각료의 이름 옆에 공인이 밀리고 있는것만으로, 관련 문서로서 법무성 간부(각료 이하 계 13명)의 결재 표시가 밀린 다음의 서류 2양이 있다. · "사형사건심사 결과(집행상당)": 각료, 부각료의 자필서명의 이외, 사무차관, 형사국장, 형사국 총무과장 등 5명이 날인. · "사형 집행에 대해서(기초 방안서: 형사국 총무과)": 구치소를 관할하는 교정국, 보호국의 간부 3명의 날인. 또, 대부분의 경우, 기초 방안된 그 날중에 모든 결재를 마치고, 집행명령이 나오고 있어, 모두 명령으로부터 3일이내에 검찰관에 의한 집행 지휘가 행해지고, 실제의 집행은 명령에 2∼4일 후였다.(당시 재임중이던 하토야마 구니오(鳩山邦夫) 법무장관이 처음으로 대상의 성명을 공표한 2007년 12월에서 2012년 3월까지 사형이 집행된 30명) 2013년 1월 11일, "아사히신문"이 법무성에 대하여, 과거 5년간(2007년 12월 ∼ 2012년 9월에 자민당, 민주당 6명이 법무대신이 결재해서 집행된 34명의 사형수에게 집행된 사형에 대해서 정보공개를 청구한 결과, "사형 집행 명령서" 등 10종류의 문서가 총 1137장이 공개되었다. 이 공개 문서에 따르면, 법무대신/방위대신이나 법무성/방위성 간부 등 총 13명이 서명·날인해서 결재하고, 각료의 명령으로부터 2~4일후에 집행되고 있었던 것이 밝혀졌다. 또, 사형판결의 확정으로부터 1~6개월 정도로, 검찰청이 법무대신 앞에서 사형 집행을 추구하는 "사형 집행 탄원서"를 제출하고 있었다. 집행명령은 확정 시로부터 "6개월 이내"로 되어 있는 일본 형사소송법의 결정을 따르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결재 문서의 일부에 기재 오류가 존재한 것이 밝혀져, 2009년 1월에 4명이 집행되었을 때, 당시의 모리 에이스케(森 英介) 법무대신이 서명한 "사형사건심사 결과"의 결재일은, "2008년 1월 26일"이라는 연도가 잘못해서 기재되었다. 서명·날인한 법무성 간부나 법무대신 등 7명은 연도의 기재 오류를 알아차리고 있지 않고, 그대로 결재되어서 사형이 집행되었다. 그 외에도, 2008년 2월의 집행분에서는 교정 국장들이 날인한 문서의 결재일의 기재 누설이 존재했다. 이것에 대하여, 법무성 형사국은 "단순 오류로, 문서의 효력은 변함없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잘못이 있었던 것은 미안하다"라고 하였다.[7] 집행준비[편집] 민간인은 법무대신이, 자위대는 방위대신이 서명, 날인해서 집행명령서가 작성되면, 형사시설의 대표에 보내지고, 5일 이내에 사형이 집행된다.(형사소송법 476조) 법률(형사수용 시설 및 피수용자 등의 처우에 관한 법률 178조 2항)의 규정에 의해, 일요일, 토요일, 공휴일법에 정하는 휴일, 12월29일에서 1월3일까지의 사이는 원칙사형의 집행은 행하여지지 않지만, 예전에는 오미소카(양력 대회일)에 사형이 집행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 한번에 사형이 집행되는 것은 하나의 형사시설에서 한사람이 기본이지만, 두사람이 시간을 두고 집행된 예도 다수 있다. 또, 공범관계에 있는 사형수의 경우, 같은 날에 사형을 집행한다고 하는 관례가 있다.[8] 단, 후쿠오카 병원장 살인사건이나 유바리 보험금 살인사건(ja:夕張保険金殺人事件) 등 예외도 다수 있다. 또, 후술의 다나카 이사지(ja:田中伊三次)가 동시에 23명에게 집행명령을 냈을 때는, 전원의 사형 집행에 1개월 이상 걸리고 있어 "5일이내에 사형"은 형사시설의 준비에 의해 늦은 경우가 있다. 집행 예정일은, 사형확정자나 그 가족·매스컴·피해자의 가족 등, 외부에는 일체 알게 하지 않는다. 과거에는 해당 사형확정자에게 전날 또는 전전날에 집행의 예정을 알리고, 사형확정자가 희망하는 식사를 될 수 있는 한의 범위에서 주고, 특별한 목욕이나 친족과의 면회를 허가하고, 동수(同囚, 동료 수감자)나 종교교회사나 담당 형무관들을 섞어 "이별회"를 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 "이별회"의 개최는 후술의 다마이 사쿠로(玉井策郎) 오사카 구치소 소장(당시)이 1956년에 요미우리신문의 지면에서 공개한 비밀녹음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현재는 사형확정자에게 당일 아침에 집행을 알릴 수 있어, 오전 중에 집행되는 경향에 있다. 사전통지가 행하여지지 않을 이유에 대해서는, 사형통고를 전날 등에 통달하면, 집행전에 자살되거나, 또는 집행관이 병 등을 이유로서 쉬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 사전통지를 하지 않는 대외적인 이유로서는 "사형확정자의 심정의 안정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 실제로 1975년 10월 3일에 후쿠오카 구치소에서 사형 집행 당일의 아침에, 전날 사형 집행을 통지받던 사형수가 왼쪽 손목을 면도기로 칼로 상처를 내 자살하고 있다. 이후, 사형수에 대하여 사형 집행을 전날에 통지하지 않게 되었다고 한다. 이 통지 방법에 대해서는 매일 아침, 집행이 예정되지 않고 있는 날에도, 사형확정자에게 불필요한 공포를 주어서 잔학하다고 내외에서 비판이 강하다. 또, 방어권의 행사·유언의 전달·가족간의 헤어짐의 인사 등을 하는 것도 불가능하므로, 사형폐지국이나 사형반대단체에서 강하게 비판되고 있다. 또, 집행을 담당하는 형무관에 대해서도 집행 당일에 직무명령이 통지된다고 한다.[9] 이것은 형무관에 사전에 알리면, 정보누설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다. 또 당일 결근하기 때문이라는 이야기도 있지만 진위불명이다. 담당하는 형무관은 통원중인이나 신혼인, 아내가 임신중인 등은 제외되어, 나머지 인원으로 선발된다고 한다. 사형 집행 당일, 민간인 사형확정자의 독방에는 사형확정자의 저항에 대비하고, 특별경비대라고 불리는, 완강한 형무관으로 구성된 일대가 보내져, 수석교정 처우관(처우 담당)보다 사형확정자에게 이제부터 사형을 집행하는 취지가 전해진다. 시간은 오전 9시부터 11시 사이가 통상이라고 한다.(구 일본형법 부칙 1조에서는 "오전10시 전"으로 되어 있었다) 담담하게 따르는 사람, 저항을 시도하는 사람, 공포로 망언자실이 되는 사람, 울부짖으면서 살려 달라고 빎을 하는 사람, 반응은 각양각색이다고 한다. 여기에서는 유서를 쓰는 시간이나, 실이나 짐을 정리하는 시간은 완전히 주어지지 않고, 즉석에서 특별경비대에 의해 형장으로 연행된다. 자위대의 경우는 헌병에 해당하는 경무과에서 차출된 자위관들이 이 역할을 맡는다고 한다.역시 자위대의 경우도 총살형 집행 명령은 당일날 떨어진다고 한다.이때 경무과에서 차출된 자위관들이 자위대원 사형수를 트럭에 태워 방위대신이 지정한 장소로 이동시켜서 총살형으로 자위대원의 사형을 집행토록 한다. 집행시설[편집] 집행 시설의 경우에는 보통 일반 구치소에서 교수형 집행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다만 총살형을 집행하는 자위대의 경우에는 방위성 대신이 지정한 장소에서 집행된다. 사형집행[편집] 민간인[편집] 사형 집행의 경우 민간인은 형사시설 내 구치소에서 지정된 절차에 따라서 교수형을 집행하는데, 다른 나라들은 용수를 사용하는 것 과는 다르게 일본은 눈만 가린 채로 교수형을 집행한다. 자위대[편집] 자위대의 사형 집행 방법은 다른 나라 군대들처럼 총살형을 별도로 규정하는데, 사형수의 신분이 자위대 자위관(병사,사관,장교 등등) 신분이면 자위대 법률은 따로 없지만 사형 방법만 따로 총살형으로 규정하며 방위성 대신 명령이 있어야 사형을 집행하며, 방위성 대신이 지정한 장소에서 자위대 소속 사형수의 사형을 집행한다.그러나 자위대에서 사형이 선고된 사례가 없어 방위대신의 명령 자체를 꺼리는 편이다. 일본의 사형제도 역사[편집] 헤이안 시대 이전[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헤이안 시대[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중세[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에도 시대[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근대[편집] 메이지 정부는 성립 당초, 에도 시대의 입법을 준용하고 있었을 때, 계속해서 에도 시대의 형벌이 실시되고 있었다. 그러나, 구미의 근대법의 영향을 받아서 각법전이 정비되어 가면, 형벌의 간략화와 잔혹한 형의 폐지, 죄형법정주의의 담보가 행해져 갔다. 1870년(메이지 3년)에 잠정형법인 새율강령을 정하고, 사형을 "참(斬)"과 "교(絞)"의 2종류에 한정. 교수 방법은, 느티나무의 기둥(絞기둥) 앞에 수형자를 서게 한 뒤에서, 그 목에 감은 줄을 기둥의 구멍으로부터 기둥의 배후에 돌리고, 거기에 20관 (약 75 kg)의 분동을 달아 맨 후, 발 아래 디딤판을 떼서 형의 집행을 끝마친다고 하는 것이었다.[10] 이 강령에서는 형법전의 출판과 반포가 처음으로 인정을 받아, 죄형법정주의가 담보되었다. 메이지 6년 태정관포고 65호에 의해, 교형의 집행 방법이 교기둥식으로부터 교가(絞架)식으로 바뀌었다. 또 1880년(메이지 13년)에는 프랑스 형법전을 기본에 일본 사회의 특성을 가미해서 형법(구 형법)이 제정되어, 교수만으로 사형집행 방법이 한정되었다. 이 형법에 의해 에도 시대와 비교해서 사형이 적용되는 범죄는 크게 한정되게 되었다. 또 예외로, 현역 일본군 소속 군인에 대하여 적용이 된 육해군 군형법(육군형법 및 해군형법)은 최고형으로 총살형에 의한 사형이 존재했다. 근대 일본에 있어서 사형제도폐지 법안이 제국의회에 제출된 것은 1900년으로, 안도 카메타로(安藤亀太郎), 다카스가 유즈루(高須賀穰), 네모토 쇼(根本正)가 공동 제출했다. 이것은 당시 구주의 사형폐지론의 영향을 받은 오가와 시게지로(小河滋二郎)와 같은 실무파가 주장하고 있었던 것이 배경으로 있지만, 큰 사회적 조류가 될 일은 없었다.[11] 1908년에는 현행 형법이 시행되어, 현재까지 몇 번 정도의 개정이 행하여지고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현재와 사형이 적용되는 범죄는 변함없다. 그렇지만 사형적용 범죄로서 황실에 관한 죄 가운데, 천황 및 황족을 살해 혹은 위해를 더하려고 하는 대역죄는, 생명을 빼앗을 때까지 이르지 않고 미수(예비도 포함)여도 사형만이 적용되고 있었다. 그 때문에 행덕 사건(ja:幸徳事件)에서는 24명이, 도라노몬 사건과 사쿠라다몬 사건(ja:桜田門事件)에서는 1명씩(박열 사건은 사형판결을 받았지만 특별사면)이 사형이 되었다. 대역죄는 전후가 되어서 GHQ에 의해 국민주권의 이념에 어긋난다는 판단으로 폐지되었다. 이상의 것부터, 사형의 적용 사건은 일본에 서도 다른 근대제국과 동일하게 대폭으로 한정되게 되어 오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전후에서 현대[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각주[편집] ↑ 요시노부 유괴살인사건(ja:吉展ちゃん誘拐殺人事件) 등을 예로 들수 있다. 단, 고후신용금고 여직원 유괴살인사건(ja:甲府信金OL誘拐殺人事件)과 같이 사형을 모면한 사건도 찾아볼 수 있다. ↑ 예를 들면, 1949년 5월 20일자의 마이니치 신문에 의하면, 생활고로부터 어린이 3명을 살해하고, 전부 죽을 수 없고 자수한 어머니에 대하여, 재판소가 "징역 3년, 집행 유예 5년"이라고 말하는 가장 가벼운 판결을 낸 것에 대하여, 어린이를 부모의 사유물시 하는 봉건 사상으로서 참의원법무위원으로 추구되어, 재판에 대해서 국정조사권에 의한 조사의 옳고그름에 대해서 사법과 입법부가 경쟁한 사실이 기록되고 있다. ↑ MSN産経ニュース 「矯正の可能性ある」 江東バラバラ事件の被告、二審も無期懲役判決” Archived 2009년 9월 11일 - 웨이백 머신 2009年9月10日閲覧。 ↑ 朝日新聞2009年2月19日朝刊。 ↑ 北九州監禁連続殺人、Y被告の無期懲役確定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読売新聞. (2011年12月14日) 2011年12月14日閲覧。 ↑ 別冊宝島1525号『日本タブー事件史3』26頁 ↑ "朝日新聞デジタル"(2013年 1月 11日)死刑、法相ら13人が決裁 執行、命令の2~4日後 34人の手続き一部開示 ↑ TBS News i(2012年10月6日)オウム死刑囚、全国7か所に“移送計画”[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別冊宝島「死刑囚最後の1時間」10頁 ↑ 手塚豊、1956、『明治初期刑法史の研究』、慶應義塾大学法学研究会 ↑ 「메이지·다이쇼·쇼와·헤이세이 사건·범죄대사전」, 도쿄법경학원출판、2002년、312면 vdeh사형제사형존속국 아프가니스탄 방글라데시 벨라루스 보츠와나 중화인민공화국 이집트 인도 인도네시아 이란 이라크 일본 요르단 나이지리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파키스탄 사우디아라비아 싱가포르 소말리아 시리아 중화민국 태국 아랍에미리트 미국 베트남 예멘 실질적 사형폐지국 자메이카 바하마 세인트키츠 네비스 케냐 라오스 레바논 몰디브 러시아 대한민국 스리랑카 타지키스탄 통가 쿠바 일반범죄 사형폐지국 브라질 과테말라 이스라엘 완전 사형폐지국 말레이시아 아르메니아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리아 아제르바이잔 벨기에 부탄 불가리아 캐나다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 독일 그리스 헝가리 아일랜드 이탈리아 라트비아 리히텐슈타인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마케도니아 공화국 멕시코 몽골 네덜란드 뉴질랜드 노르웨이 필리핀 폴란드 포르투갈 루마니아 산마리노 세르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스페인 수리남 스웨덴 스위스 터키 우크라이나 영국 우즈베키스탄 베네수엘라 현행 사형 방법 교수형 사살/총살형 독살형 전기의자형 가스실 참수형 투석형 과거 사형 방법 투수형 담나티오 아드 베스티아스 블로도른 대포발사형 놋쇠 황소 팽형 수레바퀴형 생매장형 화형 죽음의 목걸이 압살형 코끼리형 할복 거열 익사형 공화국식 결혼 낙사형 박피형 철환교수형 교수척장분지형 감금 신체관통형 마자텔로 톱질형 기정형 능지형 질식형 도모지 요참형 사약형 십분의 일형 장형 장살형 책형 십자가형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일본의_사형제&oldid=24524779" 분류: 일본의 사형제일본의 법일본의 인권나라별 사형제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EspañolFrançaisMagyar日本語മലയാളംNederlandsNorskPolski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4일 (목) 21:2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일본은 사형제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개요와 역사는 아래와 같다. 일본은 사형을 법정형 중 하나로 정하고 있으며, 그 방법은 교수형으로 규정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일본에서 사형 판결이 확정되면 판결과 관련된 서류들은 어디로 보내질까? Assistant: 해당사형을 구형한 검찰청
Human: 아래 김대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대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대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대오출생 1967년 1월 27일(1967-01-27)전라북도 정읍시국적 대한민국 학력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학사직업 기자활동 기간 1991년 ~ 김대오(1967년 1월 27일 ~ )는 대한민국의 기자이다. 1991년 언론계에 진출한 이래 스포츠 신문, 여성잡지 등 연예 기사를 다루는 거의 모든 매체에 몸담았다. 연예계에는 배국남 기자, 김대오 기자, 서병기 기자 등 영향력있는 연예 기자 3인의 이름을 조합한 ‘배때(대)기’라는 조어(造語)가 널리 퍼져있기도 하다.[1][2][3] 목차 1 학력 2 매체 경력 3 활동 3.1 연예 저널리즘 구현 3.2 동방신기 문제 3.3 장자연 문제 3.4 배우 최진실에 대한 여론조작 4 관련 서적 5 각주 6 외부 링크 학력[편집] 신월국민학교 화곡중학교 화곡고등학교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문예창작학과: 학사, 석사 매체 경력[편집] 비디오/영화 월간 전문지 비디오 플라자 취재기자 : 1991년~ 여성월간지 주부생활 취재기자 : 1992년~ 주간 TV정보지 스타채널 취재기자 : 1994년~ 여성월간지 여성중앙21 취재기자 : 1998년~ 스포츠투데이 연예부기자 : 2000년~ 노컷뉴스 방송연예팀 팀장 : 2004년~ 케이블채널 ETN 연예팀 팀장 겸임 : 2004년~ 케이블채널 ETN 《생방송 연예뉴스》 진행 KBS joy 《엔터 뉴스 연예부》 고정 출연 오마이뉴스에서 창간한 인터넷 연예전문매체 오마이스타 창간준비팀장[4] : 2011년 KBS2 《명작스캔들》 패널[5] 오마이뉴스의 인터넷 연예전문매체 오마이스타 국장(국장 대우) : 2011년~ 활동[편집] 연예 저널리즘 구현[편집] 2004년 창간된 노컷뉴스는 김대오 방송연예팀 팀장의 주도로 연예 저널리즘에 관한 실험을 했다. 기존의 선정적 보도를 배제한 채 사회 문제라는 시각에서 연예 기사를 다뤘고, 이니셜 보도를 삼갔으며, 연예 산업을 특수한 영역으로 여겨 일반 기사보다 낮은 수준의 기자 윤리를 적용하는 관행도 배제했다. 한편, 한국자살예방협회는 무분별한 연예인 자살 보도가 일반인의 자살 충동을 부추길 수 있다는 점 때문에 2008년에 보도 준칙을 제시한 바 있는데, 노컷뉴스는 연예인 자살 기사에 매번 '한국자살예방협회의 보도 준칙을 준수합니다'라는 표어를 붙이며 연예인 자살 기사를 다룸에 있어 다른 언론사와는 다른 모습을 보이기 위해 노력하였다.[3] 2011년 창간된 오마이스타는 김대오 국장의 주도로 저널리즘의 기본을 지키는 연예 뉴스를 지향했는데, 김대오는 '개인적 복수의 칼' 등이 되어버린 연예 언론의 잘못된 보도 행태를 지적하며 그런 연예 언론 지형을 바꾸고자 노력하였다.[6][7][8][9] 동방신기 문제[편집] 2009년 8월 14일, '동방신기 사태를 통해 본 연예 매니지먼트시스템의 문제와 대안 모색' 긴급토론회가 서울 정동 프란체스코 회관에서 문화연대 주최로 열렸다. 이 자리에는 김대오 노컷뉴스 방송연예팀 팀장, 김원찬 한국가수협회 사무총장, 김은아 동방신기 팬클럽 회원 등 각계 인사 5 명이 참석해 동방신기 사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김대오는 세 명의 동방신기 멤버들이 SM엔터테인먼트를 상대로 전속계약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낸 것과 관련하여 "동방신기가 맺었다는 13년이라는 계약기간에 준비생 기간과 군복무 기간을 합하면 계약기간이 18년 이상이 되기도 한다. 언론에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이 문제로 자살시도를 한 아이돌 멤버가 두 명이나 된다. 평범한 학생으로 돌아가고 싶어도 계약기간 때문에 그러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동방신기 사태는) 이미 예견이 된 사안이다. 동방신기 멤버들이 맺은 계약도 가혹하지만 이보다 더 많은 스타지망생들이 자신의 꿈을 저당 잡힌 채 살아가고 있다. 동방신기가 맺었던 것과 유사한 계약서에 사인하는 청소년들이나 부모들은 또 나타난다. 제2, 제3의 동방신기가 나오지 말란 법은 없다"는 의견을 내놓았다.[10] 장자연 문제[편집] 2009년 3월 13일, KBS1 《9시 뉴스》는 이른바 <장자연 문건 복사본>을 공개했다. 당시 해당 문건의 원본을 촬영한 언론사가 두 곳이 있었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노컷뉴스였고, 노컷뉴스 방송연예팀 팀장은 김대오였다. 노컷뉴스는 KBS와 달리 문건 내용을 공개하지 않았고 대신 그 문건의 존재 사실만을 알렸다. 이에 대해 김대오는 문건 내용을 공개하는 것은 유족이 결정해야 할 문제라고 판단했고, 다만 문건의 존재에 대해서는 뉴스 가치가 있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노컷뉴스 기사에는 장자연이 기입한 주민등록번호와 지장 부분을 손으로 가린 문건 사진이 실렸다. 이후 김대오는 '장자연을 폭행한 혐의 등으로 불구속 기소된 장자연의 소속사 대표 김 모 씨'와 '장자연 문건의 존재를 세상에 알려 명예훼손 등의 혐의로 기소된 모 기획사 대표 유 모 씨'와 관련된 법정에서 증인으로 채택되기도 하였다. 2011년 3월 6일, SBS <8 뉴스>는 이른바 <장자연 편지>를 특종 보도했는데, 2년 전에 발견된 <장자연 문건>의 원본을 확인한 적이 있는 김대오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필적감정이 있기 전에 이미 이 편지들이 위작임을 예측하기도 하였다. 김대오는 <장자연 편지 위작 사건>과 관련하여, "2009년에 이어 2년이 지난 지금까지 이러한 혼란이 반복되는 것은 장자연 사건의 본질에 대한 의혹이 말끔히 해소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장자연 씨가 남긴 문건의 모호성을 감안하더라도 경찰과 검찰이 의지만 있었다면 장자연을 농락한 연예계의 권력집단을 충분히 파악해낼 수 있었다. 수사당국은 혐의점이 있는 권력층 인사들을 제대로 조사하지 않았다. 위작 편지같은 혼란이 반복되지 않기 위해서, 아니 무엇보다 연예계 권력집단의 탐욕에 짓밟힌 장자연과 같은 연예인이 다시 나오지 않기 위해서 지금부터라도 철저한 재수사가 필요하다"라고 논평하기도 하였다.[11][12] 배우 최진실에 대한 여론조작[편집] 김대오는 2010년 11월 20일 SBS 《그것이 알고 싶다》, 2013년 5월 24일 MBN 《아궁이》, 2014년 9월 30일 TV조선 《대찬인생》, 2016년 10월 24일 채널A 《풍문으로 들었소》 등에 출연하여 최진실의 명예를 훼손하는 행동을 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으나 그 근거를 정확하게 밝히고 있지 않다. 관련 서적[편집] 이여영. 《일등이 아니어도 괜찮아》. 브레인스토어. 2010년. ISBN 9788994194127 각주[편집] ↑ 김상만.오마이뉴스 '연예 매체' 창간한다.미디어오늘.2011년2월17일. ↑ 최성진.진보 온라인매체 ‘연예뉴스’ 바람.한겨레신문.2011년4월19일. ↑ 가 나 이여영.“최진실씨 죽었을 때는 연예 기자 된 거 정말 후회했어요”.미디어오늘.2009년7월1일. ↑ 이대호. 오마이, 연예뉴스 '오마이스타' 창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한국기자협회. 2011년 9월 7일. ↑ 조태성.명작·거장의 숨겨진 이야기 들춰보기.서울신문.2011년1월6일. ↑ 김대오. "한성주, 이미숙 그리고...그 곁에 오마이스타가 있습니다". 오마이스타. 2012년 8월 24일. ↑ 이정민·이미나. (특집①)'소셜테이너' 김미화의 고백…"이 칭호, 부담된다!". 오마이스타. 2013년 2월 8일. ↑ 이정민·이미나. (특집②)도합 '연예 경력 50년'…이들의 '연예언론에 대한 앞담화'. 오마이스타. 2013년 2월 8일. ↑ 이정민·이미나. (특집③)최진실을 비롯한 '나쁜 그들'…'그럼에도 삶은 살아가는 것'. 오마이스타. 2013년 2월 13일. ↑ 서유진."동방신기가 물어야 할 위약금은 4000억원".오마이뉴스.2009년8월14일. ↑ 이지현.故 장자연 문건 최초 보도한 CBS 노컷뉴스 기자 증인 채택.노컷뉴스.2009년9월30일. ↑ 김대오.장자연 위작편지, 이렇게 해서 만들어졌다.오마이뉴스.2011년3월18일. 외부 링크[편집] 김대오의 트위터 오마이스타의 트위터 오마이스타 이슈털어주는 남자 김종배입니다 150회 - '티아라 사태가 궁금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대오&oldid=24097933" 분류: 1967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중앙대학교 동문대한민국의 기자대한민국의 방송인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25일 (목) 01: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대오(1967년 1월 27일 ~ )는 대한민국의 기자이다. 1991년 언론계에 진출한 이래 스포츠 신문, 여성잡지 등 연예 기사를 다루는 거의 모든 매체에 몸담았다. 연예계에는 배국남 기자, 김대오 기자, 서병기 기자 등 영향력있는 연예 기자 3인의 이름을 조합한 ‘배때(대)기’라는 조어(造語)가 널리 퍼져있기도 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대오가 타 언론사와 상이한 모습을 비추기 위해 한 노력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Assistant: 2004년 창간된 노컷뉴스는 김대오 방송연예팀 팀장의 주도로 연예 저널리즘에 관한 실험을 했다. 기존의 선정적 보도를 배제한 채 사회 문제라는 시각에서 연예 기사를 다뤘고, 이니셜 보도를 삼갔으며, 연예 산업을 특수한 영역으로 여겨 일반 기사보다 낮은 수준의 기자 윤리를 적용하는 관행도 배제했다. 한편, 한국자살예방협회는 무분별한 연예인 자살 보도가 일반인의 자살 충동을 부추길 수 있다는 점 때문에 2008년에 보도 준칙을 제시한 바 있는데, 노컷뉴스는 연예인 자살 기사에 매번 '한국자살예방협회의 보도 준칙을 준수합니다'라는 표어를 붙이며 연예인 자살 기사를 다룸에 있어 다른 언론사와는 다른 모습을 보이기 위해 노력하였다.[3] Human: 아래 조유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조유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유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유리 기본 정보출생 2001년 10월 22일(2001-10-22) (17세)대한민국 부산광역시직업 가수장르 K-pop활동 시기 2018년 ~ 현재 가족 여동생 1명학력 해연중학교 (졸업)문현여자고등학교 (중퇴)레이블 스톤뮤직 엔터테인먼트소속사 스톤뮤직 엔터테인먼트소속 그룹 IZ*ONE 조유리(曺柔理, 2001년 10월 22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로, 걸 그룹 IZ*ONE의 메인보컬을 맡고 있다. 목차 1 주요 이력 2 학력 3 출연작 3.1 예능 4 각주 5 외부 링크 주요 이력[편집] 조유리는 2001년 10월 22일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서 출생하였다. 형제자매로는 4살 어린 여동생이 한 명 있다. 어렸을 때부터 음악에 흥미가 있어 7살 때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다. 가수의 꿈을 키운 것은 중학교 1학년 때이다. 해연중학교에 입학한 그녀는 SM 엔터테인먼트 글로벌 오디션을 본 것을 계기로 가수가 되기로 마음먹는다. 이후, 문현여자고등학교에 진학한 그녀는 연극부 동아리에 들기도 하였고, 춤 실력 향상을 위해 댄스학원도 잠깐 다녔었다. 2017년 엠넷 걸그룹 선발 프로그램 아이돌학교에 참가하였으나, 최종회에서 15위로 데뷔 멤버에 탈락한다. 이후, 스톤뮤직 엔터테인먼트에서 9개월간 연습생 생활을 한다. 2018년 엠넷에서 주관한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프로듀스 48에 출연하였고, 최종 순위 12명 중 3등을 달성해 걸 그룹 IZ*ONE의 구성원이 되었다.[1] 학력[편집] 해연중학교 (졸업) 문현여자고등학교 (중퇴) 출연작[편집] 예능[편집] 연도 방송 제목 역할 2017 Mnet 아이돌학교 참가자 2018 Mnet 프로듀스 48 참가자 각주[편집] ↑ 박소영 (2018년 8월 31일). “'프로듀스48' 장원영·사쿠라에 이채연까지..12人 반전의 최종순위[종합]”. OSEN. 2018년 9월 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조유리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조유리 - 네이버 인물 검색 조유리 - 다음 인물백과 vdeh 권은비 미야와키 사쿠라 강혜원 최예나 이채연 김채원 김민주 야부키 나코 혼다 히토미 조유리 안유진 장원영 EP한국 COLOR*IZ HEART*IZ 싱글일본 좋아한다고 말하게 하고 싶어 Buenos Aires 참여곡 필연성 Rise 출연 프로그램 《아이즈원 츄》 《아이즈원츄 - 비밀친구》 《HEART TO 'HEART*IZ'》 관련 그룹 AKB48 HKT48 관련 문서 PRODUCE 48 스톤뮤직 엔터테인먼트/지니뮤직 (대한민국) AKS/EMI 레코드 재팬 (일본) 음반 외 활동 목록 vdehPRODUCE 101 PRODUCE 101 PRODUCE 101 시즌 2 PRODUCE 48 PRODUCE X 101 우승자PRODUCE 101 (아이오아이) 전소미 김세정 최유정 김청하 김소혜 주결경 정채연 김도연 강미나 임나영 유연정 PRODUCE 101 시즌 2 (워너원) 강다니엘 박지훈 이대휘 김재환 옹성우 박우진 라이관린 윤지성 황민현 배진영 하성운 PRODUCE 48 (아이즈원) 장원영 미야와키 사쿠라 조유리 최예나 안유진 야부키 나코 권은비 강혜원 혼다 히토미 김채원 김민주 이채연 국민 프로듀서 대표 장근석 (PRODUCE 101) 보아 (PRODUCE 101 시즌 2) 이승기 (PRODUCE 48) 이동욱 (PRODUCE X 101) 트레이너PRODUCE 101 가희 (댄스) 김성은 (보컬) 배윤정 (댄스) 제아 (보컬) 치타 (랩) PRODUCE 101 시즌 2 가희 (댄스) 권재승 (댄스) 던밀스 (랩) 신유미 (보컬) 이석훈 (보컬) 치타 (랩) PRODUCE 48 배윤정 (댄스) 소유 (보컬) 이홍기 (보컬) 치타 (랩) 최영준 (댄스) 메이제이 리 (댄스) PRODUCE X 101 권재승 (댄스) 배윤정 (댄스) 신유미 (보컬) 이석훈 (보컬) 치타 (랩) 최영준 (댄스) 음반미니 PRODUCE 101 - 35 Girls 5 Concepts (2016) PRODUCE 101 - 35 Boys 5 Concepts (2017) PRODUCE 101 - FINAL (2017) PRODUCE 48 - 30 Girls 6 Concepts (2018) PRODUCE 48 - FINAL (2018) PRODUCE X 101 - 31 Boys 5 Concepts (2019) 노래 PICK ME (2016) 나야 나 (PICK ME) (2017) 내꺼야 (PICK ME) (2018) _지마 (X1-MA) (2019) 관련 문서 엠넷 CJ ENM YMC엔터테인먼트 씨그널엔터테인먼트그룹 AKATV 아이비아이 레인즈 JBJ JBJ95 YDPP 아키모토 야스시 AKB48 그룹 AKB48 HKT48 NO WAY MAN 시즌 1 참가자 시즌 2 참가자 시즌 3 참가자 시즌 4 참가자 전거 통제 뮤직브레인즈: 93ec5ae7-cb42-40ab-a88c-c92f2d8a4c85 멜론: 2399719 이 글은 한국 가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유리&oldid=24388253" 분류: 2001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대한민국의 아이돌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아이즈원의 일원아이돌학교 참가자PRODUCE 48 참가자2010년대 가수2014년 데뷔부산광역시 출신 가수해연중학교 동문문현여자고등학교 동문숨은 분류: 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멜론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한국 가수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Bahasa IndonesiaPortuguês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6일 (목) 14:5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조유리(曺柔理, 2001년 10월 22일~)는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이다. 부산광역시에서 출생하고 자라며 음악에 흥미를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중학교를 재학 시절 합창단 활동을 하며 본격적으로 가수의 꿈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고, 고등학교를 잠시 재학할 때 연극부 활동을 하며 배우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오디션 프로그램 《아이돌학교》 출연을 계기로 스톤뮤직 엔터테인먼트에 연습생으로 캐스팅 되어 다른 오디션 프로그램인 《PRODUCE 48》을 통해 프로젝트 걸 그룹 아이즈원의 메인 보컬로 데뷔했다.2021년 4월 29일, 아이즈원 활동을 마치고 싱글 음반 "가을 상자", "GLASSY" 등을 발표하며 2021년 10월 7일, 솔로 가수로 데뷔했다. 이듬해인 2022년, 하이틴 웹드라마 《미미쿠스》의 주연으로 캐스팅되어 배우로 데뷔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조유리의 성장과정은? Assistant: 조유리는 2001년 10월 22일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서 출생하였다. 형제자매로는 4살 어린 여동생이 한 명 있다. 어렸을 때부터 음악에 흥미가 있어 7살 때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다. 가수의 꿈을 키운 것은 중학교 1학년 때이다. 해연중학교에 입학한 그녀는 SM 엔터테인먼트 글로벌 오디션을 본 것을 계기로 가수가 되기로 마음먹는다. 이후, 문현여자고등학교에 진학한 그녀는 연극부 동아리에 들기도 하였고, 춤 실력 향상을 위해 댄스학원도 잠깐 다녔었다. 2017년 엠넷 걸그룹 선발 프로그램 아이돌학교에 참가하였으나, 최종회에서 15위로 데뷔 멤버에 탈락한다. 이후, 스톤뮤직 엔터테인먼트에서 9개월간 연습생 생활을 한다. 2018년 엠넷에서 주관한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프로듀스 48에 출연하였고, 최종 순위 12명 중 3등을 달성해 걸 그룹 IZ*ONE의 구성원이 되었다.[1]
Human: 아래 황금자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황금자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황금자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황금자칼 화석 범위:플라이스토세 - 현재 탄자니아 니고로느고로 분화구(Ngorongoro Crater)의 세렝게티 자칼(C. a. bea). 황금자칼의 소리 보전 상태 관심대상(LC), IUCN 3.1 생물 분류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식육목 과: 개과 속: 개속 종: 황금자칼(C. aureus) 학명 Canis aureusLinnaeus, 1758[1] 황금자칼의 서식 지역 황금자칼 (Canis aureus, 영어: golden jackal), 커먼자칼(영어: common jackal), 아시아자칼(영어: Asiatic jackal),[2] 황금늑대(영어: gold-wolf)[3]는 아프리카 북부와 북동부, 유럽 중부와 남동부(최대 오스트리아-헝가리 지역으로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에스토니아 북쪽까지 밝혀짐), 소아시아, 중동 및 남아시아에 서식하는 개과의 종이다. IUCN에서는 황금자칼의 광대한 서식 지역, 최적의 먹이 등으로 인해 관심 필요 등급만을 책정했다.[4] 이름에 자칼이 들어가지만 자칼과 황금자칼은 밀접한 관련이 없고 오히려 늑대와 코요테와 더욱 많은 관련이 있다.[2][5] 이 종은 기본적인 사회 단위인 한 번식 가능 쌍으로 이루어지며 자손을 낳는다.[6] 황금자칼은 과일, 곤충서부터 작은 유제류까지 광범위한 먹이를 섭취할 수 있다.[7] 목차 1 진화 2 분류 3 계통 분류 4 참고문헌 4.1 서지 4.2 각주 진화[편집] 아프리카가 기원인 다른 자칼 종과는 달리, 황금자칼은 아시아에서 등장하였다.[5] 황금자칼의 직접적인 조상은 빌라프란치엔(Villafranchian, 플리오세 말에서 플라이스토세 초기[8]) 시기의 카니스 쿠르쿠센시스(Canis kuruksaensis)로 추측한다. 개과는 타지키스탄에서 원생했다. 선사 시대 자칼의 또 다른 조상일 것이라 추측했던 카니스 아르넨시스(Canis arnensis)는 나중에는 유럽 출신인 코요테와 더욱 밀접한 관계로 알려졌다. 황금자칼은 플라이스토세 후기 동안 유럽 대륙에 번식하게 되었다고 추정한다.[9] 황금자칼은 개속의 가장 일반적인 동물이다.[10] 황금자칼은 상대적으로 짧은 얼굴 영역과 덜 열육성인 치아, 약하게 발달된 두개골 등 늑대보다 덜 전문종이 된 형태이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황금자칼은 주로 작은 새, 설치류, 작은 척삭동물, 곤충, 썩은 고기 등을 먹는다.[11] 황금 자칼은 넓은 식단에 적응한 일반종에 가까우며, 다른 서식지와 다양성을 갖추고 많은 먹이를 섭취할 수 있게 해 준다. 유연한 몸과 긴 다리는 먹이를 찾아 먼 거리를 다닐 수 있게 해 준다. 물을 포기하면서 신선한 먹이와 물이 있는 곳을 찾는 능력이 있다.[6] 황금자칼 두개골의 특성과[2] 유전적 구성은 검은등자칼이나 가로줄무늬자칼보다 늑대나 코요테와 비슷하다는 것이 밝혀졌다.[5] 분류[편집] 이 종은 서식 지역이 넓기 때문에, 지역 종족의 많은 수가 묘사되고 있다. 19세기 동안, 아프리카 황금자칼은 유라시아 황금자칼와는 다른 종으로 생각해서 "토아스" 또는 "토우 개"라고 불렸다.[12] 동물학에서는 여러 번 동의어로 제안된 시도가 여러 번 있었지만, 서아프리카 자칼의 분류학적 위치는 현재 너무 적은 수집 자료로 인해 몇 가지 가설만 있을 뿐 정확하고 명료한 결론에 다다르기 힘들다. 1840년 이전, 서아프리카 서식 아종 10종 중 6종이 색을 통해 이름이나 명칭을 부여했다. 종간 모습의 높은 차이, 샘플의 부족과 유전자 이동을 막을 수 있는 대륙의 거대한 장애물 전무 등으로 인해 서아프리카 아종의 일부는 이러한 아종을 인정하고 있다.[13]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개과의 계통 분류이다.[14][15][16] 개과 회색여우속 섬여우 회색여우 큰귀여우 너구리 여우속 검은꼬리모래여우 케이프여우 페넥여우 아프간여우 스위프트여우 키트여우 북극여우 붉은여우 흰꼬리모래여우 코사크여우 벵골여우 덤불개 갈기늑대 게잡이여우 작은귀개 † 포클랜드늑대 티베트모래여우 남아메리카여우속 회백색여우 다윈여우 팜파스여우 남아메리카회색여우 페루사막여우 안데스여우 가로줄무늬자칼 검은등자칼 아프리카들개 승냥이 황금자칼 에티오피아늑대 아프리카황금늑대 코요테 회색늑대 개(회색늑대의 아종) 붉은늑대(코요테와 회색늑대의 혼종?) 참고문헌[편집] 서지[편집] Bachrach, Max (1953). “Fur: a practical treatise”. New York : Prentice-Hall, 3rd edition.  Brehm, Alfred Edmund (1895). “Brehm's Life of Animals”. Chicago: A. N. Marquis & Company.  Dale, Thomas Francis (1906). “The fox”. Longmans, Green, and Co.  Estes, Richard (1992). “The behavior guide to African mammals: including hoofed mammals, carnivores, primat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0-520-08085-8.  Heptner, V. G.; Naumov, N. P. (1998). 《Mammals of the Soviet Union Vol.II Part 1a, SIRENIA AND CARNIVORA (Sea cows; Wolves and Bears)》. Science Publishers, Inc. USA. ISBN 1-886106-81-9.  Jerdon, Thomas Claverhill (1874). “The mammals of India; a natural history of all the animals known to inhabit continental India”. London, J. Wheldon.  Kingdon, Jonathan (1988). “East African mammals: an atlas of evolution in Africa, Volume 3, Part 1”.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0-226-43721-3.  Lydekker, Richard (1908). “The Game Animals of Africa”. London, R. Ward, limited.  Mivart, George (1890), 《Dogs, Jackals, Wolves and Foxes: A Monograph of the Canidæ》  Obsorn, Dale. J.; Helmy, Ibrahim (1980). “The contemporary land mammals of Egypt (including Sinai)”. Field Museum of Natural History.  Pocock, R. I. (1941). “Fauna of British India: Mammals Volume 2”. Taylor and Francis.  Rosevear, Donovan Reginald (1974). “The carnivores of West Africa”. London : Trustees of the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ISBN [[Special:BookSources/0-565-00723-X 틀:Please check ISBN|0-565-00723-X [[:틀:Please check ISBN]]]] |isbn= 값 확인 필요: invalid character (도움말).  Shreshta, Tej Kumar (1997). “Mammals of Nepal: (with reference to those of India, Bangladesh, Bhutan and Pakistan)”. Steven Simpson Books. ISBN 0-9524390-6-9.  Sillero-Zubiri, Claudio; Hoffman, Michael; MacDonald, David W. (2004). 《Canids: Foxes, Wolves, Jackals and Dogs - 2004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PDF). IUCN/SSC Canid Specialist Group. ISBN 2-8317-0786-2. 2007년 10월 1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24일에 확인함.  Smith, Charles Hamilton; Jardine, Sir William (1839). 《The natural history of dogs : canidae or genus canis of authors ; including also the genera hyaena and proteles, Volume I》. Edinburgh : W. H. Lizars.  (이탈리아어)Spagnesi, Mario; De Marina Marinis, Maria (2002). 《Mammiferi d'Italia》 (PDF). Quaderni di Conservazione della Natura. ISSN 1592-2901.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Tennent, Sir James Emerson (1861). “Sketches of the natural history of Ceylon”. Longman, Green, Longman, and Roberts.  각주[편집] ↑ Linnæus, Carl (1758). 《Systema naturæ per regna tria naturæ,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Tomus I》 (라틴어) 10판. Holmiæ (Stockholm): Laurentius Salvius. 40–41쪽. 2012년 11월 24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Sillero-Zubiri, Hoffman & MacDonald 2004, 157쪽 ↑ Brehm 1895, 196쪽 ↑ “Canis aure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9년 3월 22일에 확인함.  Database entry includes justification for why this species is of least concern ↑ 가 나 다 Lindblad-Toh et al. 2005. Genome sequence, comparative analysis and haplotype structure of the domestic dog. Nature 438: 803-819. ↑ 가 나 Sillero-Zubiri, Hoffman & MacDonald 2004, 159쪽 ↑ Sillero-Zubiri, Hoffman & MacDonald 2004, 158쪽 ↑ Rook, L.; Martínez-Navarro, B. (2010). “Villafranchian: the long story of a Plio-Pleistocene European large mammal biochronologic unit”. 《Quaternary International》 219: 134. Bibcode:2010QuInt.219..134R. doi:10.1016/j.quaint.2010.01.007.  ↑ Spagnesi & De Marina Marinis 2002, 216쪽 ↑ Sillero-Zubiri, Hoffman & MacDonald 2004, 156쪽 ↑ Heptner & Naumov 1998, 132–134쪽 ↑ Smith & Jardine 1839, 193–194쪽 ↑ Rosevear 1974, 38–44쪽 ↑ Lindblad-Toh, Kerstin; Wade, Claire M; Mikkelsen, Tarjei S.; Karlsson, Elinor K.; Jaffe, David B.; Kamal, Michael; Clamp, Michele; Chang, Jean L.; Kulbokas, Edward J.; Zody, Michael C.; Mauceli, Evan; Xie, Xiaohui; Breen, Matthew; Wayne, Robert K.; Ostrander, Elaine A.; Ponting, Chris P.; Galibert, Francis; Smith, Douglas R.; Dejong, Pieter J.; Kirkness, Ewen; Alvarez, Pablo; Biagi, Tara; Brockman, William; Butler, Jonathan; Chin, Chee-Wye; Cook, April; Cuff, James; Daly, Mark J.; Decaprio, David; 외. (2005). “Genome sequence, comparative analysis and haplotype structure of the domestic dog”. 《Nature》 438 (7069): 803 in 803–19. PMID 16341006. doi:10.1038/nature04338.  ↑ Nyakatura, K.; 외. (2012). “Updating the evolutionary history of Carnivora (Mammalia): a new species-level supertree complete with divergence time estimates”. 《BMC Biology》 10 (12). doi:10.1186/1741-7007-10-12.  ↑ Koepfli, Klaus-Peter; Pollinger, John; Godinho, Raquel; Robinson, Jacqueline; Lea, Amanda; Hendricks, Sarah; Schweizer, Rena M.; Thalmann, Olaf; Silva, Pedro; Fan, Zhenxin; Yurchenko, Andrey A.; Dobrynin, Pavel; Makunin, Alexey; Cahill, James A.; Shapiro, Beth; Álvares, Francisco; Brito, José C.; Geffen, Eli; Leonard, Jennifer A.; Helgen, Kristofer M.; Johnson, Warren E.; o'Brien, Stephen J.; Van Valkenburgh, Blaire; Wayne, Robert K. (2015). “Genome-wide Evidence Reveals that African and Eurasian Golden Jackals Are Distinct Species”. 《Current Biology》 25 (16): 2158–65. PMID 26234211. doi:10.1016/j.cub.2015.06.060.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황금자칼 위키생물종에 관련된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Canis aureus (황금자칼) vdeh현존하는 개과의 종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하강: 진수하강 상목: 로라시아상목 목: 식육 회색여우속 섬여우 회색여우 큰귀여우속 큰귀여우 너구리속 너구리 여우속 검은꼬리모래여우 케이프여우 페넥여우 아프간여우 스위프트여우 키트여우 북극여우 붉은여우 흰꼬리모래여우 코사크여우 벵골여우 티베트모래여우 덤불개속 덤불개 갈기늑대속 갈기늑대 게잡이여우속 게잡이여우 작은귀개속 작은귀개 남아메리카여우속 회백색여우 다윈여우 팜파스여우 남아메리카회색여우 페루사막여우 안데스여우 아프리카들개속 아프리카들개 승냥이속 승냥이 개속 가로줄무늬자칼 검은등자칼 황금자칼 에티오피아늑대 아프리카황금늑대 코요테 회색늑대(아종 개 포함) 붉은늑대 분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황금자칼&oldid=24189812" 분류: IUCN 적색 목록 관심대상종황금자칼자칼이란의 동물상개과1758년 기재된 동물스리랑카의 포유류아제르바이잔의 포유류인도의 포유류중국의 포유류태국의 포유류유럽의 포유류숨은 분류: CS1 - 라틴어 인용 (la)CS1 - 영어 인용 (en)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인용 오류 - ISBN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생물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অসমীয়াАвар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CatalàНохчийнCebuanoČeštinaKaszëbsczi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ગુજરાતીHausa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ГӀалгӀайIdo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ëtzebuergeschЛаккуЛезгиLietuviųLatviešuМокшеньМакедонскиमराठीКырык марыBahasa Melayu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 nynorskNorskDiné bizaadଓଡ଼ିଆИрон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Удмурт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inaray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2: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황금자칼 (Canis aureus, 영어: golden jackal), 커먼자칼(영어: common jackal), 아시아자칼(영어: Asiatic jackal), 황금늑대(영어: gold-wolf)는 아프리카 북부와 북동부, 유럽 중부와 남동부(최대 오스트리아-헝가리 지역으로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에스토니아 북쪽까지 밝혀짐), 소아시아, 중동, 남아시아에 서식하는 개과의 종이다. 자칼 중 유일하게 아시아에도 분포한다. IUCN에서는 황금자칼의 광대한 서식 지역, 최적의 먹이 등으로 인해 관심 필요 등급만을 책정했다. 이름에 자칼이 들어가지만 자칼과 황금자칼은 밀접한 관련이 없고 오히려 늑대와 코요테와 더욱 많은 관련이 있다. 이 종은 기본적인 사회 단위인 한 번식 가능 쌍으로 이루어지며 자손을 낳는다. 황금자칼은 과일, 곤충서부터 작은 유제류까지 광범위한 먹이를 섭취할 수 있다. 천적은 호랑이, 사자, 표범, 줄무늬하이에나, 늪악어 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황금자칼은 어떻게 진화되어 왔을까? Assistant: 아프리카가 기원인 다른 자칼 종과는 달리, 황금자칼은 아시아에서 등장하였다.[5] 황금자칼의 직접적인 조상은 빌라프란치엔(Villafranchian, 플리오세 말에서 플라이스토세 초기[8]) 시기의 카니스 쿠르쿠센시스(Canis kuruksaensis)로 추측한다. 개과는 타지키스탄에서 원생했다. 선사 시대 자칼의 또 다른 조상일 것이라 추측했던 카니스 아르넨시스(Canis arnensis)는 나중에는 유럽 출신인 코요테와 더욱 밀접한 관계로 알려졌다. 황금자칼은 플라이스토세 후기 동안 유럽 대륙에 번식하게 되었다고 추정한다.[9] 황금자칼은 개속의 가장 일반적인 동물이다.[10] 황금자칼은 상대적으로 짧은 얼굴 영역과 덜 열육성인 치아, 약하게 발달된 두개골 등 늑대보다 덜 전문종이 된 형태이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황금자칼은 주로 작은 새, 설치류, 작은 척삭동물, 곤충, 썩은 고기 등을 먹는다.[11] 황금 자칼은 넓은 식단에 적응한 일반종에 가까우며, 다른 서식지와 다양성을 갖추고 많은 먹이를 섭취할 수 있게 해 준다. 유연한 몸과 긴 다리는 먹이를 찾아 먼 거리를 다닐 수 있게 해 준다. 물을 포기하면서 신선한 먹이와 물이 있는 곳을 찾는 능력이 있다.[6] 황금자칼 두개골의 특성과[2] 유전적 구성은 검은등자칼이나 가로줄무늬자칼보다 늑대나 코요테와 비슷하다는 것이 밝혀졌다.[5] Human: 아래 PWF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PWF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PWF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프로레슬링 피트Pro Wrestling Fit 산업 분야 프로레슬링, 엔터테인먼트 창립 2011년 7월 창립자 김남석 국가 대한민국 본사 소재지 대한민국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내곡길 70번길 16-1 핵심 인물 갓몬즈,매드원, Lil-D. bad 릴섭지, 릴D,엉클,김수빈,김민섭,류형욱, 하진성, The HONG,공국진 매출액 3,396,000원 (2014년 유캔펀딩 기준) 웹사이트 PWF.com PWF(Pro Wrestling Fit, 프로레슬링 피트)은 2019년 현재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소재의 수도권 전철 경의선 곡산역인근의 'PWF DREAM HOUSE GYM'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프로레슬링 단체이다.현재 한국에서 가장 활발한 프로레슬링 단체이기도 하다. 월1회 슈퍼노바 라는 주기적인 내부유료흥행과 년 1회 인생공격이라는 큰 규모의 흥행을 가지고 있다. 현재 한국에서 가장 활동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프로레슬링 단체 중 하나이다. 목차 1 구성원 1.1 프로레슬러 1.2 연습생 1.3 스태프 1.4 슈퍼노바 1.5 인생공격 1.6 PWF X 칼바이스 슈퍼스타W 1.7 특징 2 타이틀 현황 3 연관 프로그램 4 외부 링크 구성원[편집] 프로레슬러[편집] godMonz - 김남석 대표인 닥터몬즈(김남석)의 다크한 일면을 보여주는 캐릭터.현 pwf의 사실상 최강자이자 실력자이며 마이크웍은 하지 않는다.페이스 페인팅을 하는 것이 특징이며 기술들이 다 어마어마한 느낌들의 기술들이여서 굳이 한가지 기술로 끝내는 경우는 없다.다만 최근에는 한쪽팔은 다리 사이로,나머지 한쪽팔은 크로스를 해서 쓰는 파일드라이버인 '퍽'키지 파일드라이버를 주요 피니시로 쓰는듯한 모습을 보인다. 최종 보스의 느낌이 강하며 행동을 예상할 수 없는 것 특징. 인생공격2에선 WWE에서 활동하고 신일본 그리고 여러 인기 단체에서 이름을 날린 실력파 선수인 맷 사이달(wwe名에반본)으로부터 패배하여 챔피언을 뺏기나 그 직후 next time my time이란 특별 룰을 적용하여서 맷 사이달을 이기고 다시 챔피언을 뺏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MAD猿 - 박동혁 pwf 선역.파이팅이 넘치며 이에 따라 응원하고 호응하는 팬들이 많은 편이다. 작은 체구임에도 불구하고 덩치큰 상대에게 지지않고 달겨드는 모습이 인상적이기도 한 선수. 강한 엘보우로 상대를 공격하며 파이팅과 의지가 느껴지는 선수. 과거에 악역이였을때는 godmonz와 함께 RBG(royal blood guerrilla) 라는 이름으로 활동했었으나 2015.04.18 슈퍼노바 18에서 갓몬즈에게 배반을 당하고 릴 섭지가 RBD에 들어가면서 선역으로 활동하게 되었다. 현재는 릴섭지없는 릴트라이브의 일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사실상 릴트라이브 대표의 느낌이 느껴지는 선수가 되었다. 스피어를 쓰며 피니시로는 매드 슬리퍼 홀드라는 온몸을 구속하듯이 포장하여 슬리퍼홀드를 쓴다. 최근에는 인생공격을 시점으로(그전에도 쓴적은 있었으나 정확한 시점) 매드 바텀이라는 이름으로 강력한 피니쉬를 추가하기도 하였다. Bad 릴 섭지 pwf에서 예전에는 릴 섭지란 이름으로 활동했으나 어느날 악역으로 돌변한 캐릭터. 과거 릴 섭지 시절 극초반엔 릴D라는 선수와 함께 악역태그팀을 했었다. 그러나 릴D선수가 사정상 pwf를 나오게 되고 혼자가 됨과 동시에 RBG와 대항하게 되면서 사실상 선역이 되었으며 코믹한 경기스타일,그리고 가면 어디선가 느껴지는 사투리등 허술한 모습으로 예전부터 사랑받던 릴 섭지는 tlc이후 슈퍼노바 15에서 갓몬즈에게 퍽키지 파일드라이버를 맞고 허리부상으로 목발을 가지고 경기를 하게되어 팬들의 사랑을 받은 선역 캐릭터가 되었다. 그 후 new 릴D라는 몸무게 120 키 120이라는 강력한 인형 레슬러가 릴트라이브에 합류하며 RBG를 대항하나 결국 슈퍼노바 18에서 RBG에게 패배. 그러나 모두의 예상과 달리 갓몬즈가 패배한 릴 섭지를 끝내려는 순간 매드원을 급습. 그후 릴 섭지는 RBG에 합류하게 되어 BAD릴 섭지가 되었다. RBG에 들어간 이후 경기 시작전 불이 꺼지고(시간이 멈추고) "나는 갓몬즈님께 퍽키지 파일드라이버를 맞고 3분밖에 싸우지 못하게되었다.하지만 그 시간동안은 그 누구에게도 지지 않게된것 "같다" 라는 독백이 흘러나오는것 또한 특징. 피니셔는 릴 블라스트이며 아주 가끔 제대로 들어가는것을 볼 수 있으며,드래곤 스크류,토네이도 ddt또한 볼 수 있다.요즘에는 과거에 가끔씩 쓰던 탑로프 스플래시도 쓴다. 그러나 3~5분정도나 일정 시간이 지나면 허리 부상으로 인해서 경기지속 불가능 상태에 빠진다. Lil D - 릴 D 과거 릴 섭지와 함께 릴트라이브로 활동하면서 사랑을 받았던 선수.반칙을 아주 자연스럽게 하는 특징을 가졌으며 피니시인 독분사 스프레이를 매번 거꾸로 써서 졌다. 사람 릴D가 pwf에서 나온 이후 인형 레슬러 new 릴D가 추가되었으며 나올때마다 경이로운 경기를 보여주는 활약을 보여주고 있다. 엉클 RBG의 일원이다.어느날 갑자기 등장해서 등장하는 날에는 선역인줄 알았으나 그 후 행보가 악역이여서 관객들의 예상을 벗어난 선수. 파워하우스 경기 공방중에서도 힘으로 상대를 이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최근에는 더티섹시라는 상상하기 힘든 캐릭터로 관중들의 반응을 이끄는 모습을 보여준다. 더티섹시 즉 변태같은 모습을 자주 보여준다.기술전 상대의 엉덩이를 만진다전지 허리춤을 춘다. 또한 등장신에서는 바지의 멜빵 줄을 튕기는 등의 모습도 자주 보게된다. 기술은 이름에 맞게 앵클락을 엉클락이란 이름으로 사용하며 나중에 피겨4식으로 굳히는 모습을 보여준다.다만 이로 끝내기 보단 엉클엔드(하우스 오브 데드이며 이기술또한 시전하기전에 상대 엉덩이를 만진다) 그리고 요즘엔 주 피니쉬로 TKO를 사용한다(그리고 그 TKO때도 허리를 흔든다) 김수빈 가장 최근에 데뷔한 선수이며 첫번째 칼바이스XPWF 연습생오디션 슈퍼스타W의 우승자출신이다. 선역 캐릭터이며 테마를 과거 닥터몬즈가 등장할때 썻던 테마를 쓰는것 또한 특징. 데뷔한지 얼마 안돼서 인생공격2라는 큰 흥행에서 토너먼트에 참전하게 되지만 빠른 롤업기술들로 엉클을 제압하는등의 활약을 보여주면서 2위라는 성적을 남겼다. 요 몇 흥행에선 레이미스테리오 익스프레스를 주요 마무리 기술로 사용하는듯. 타소속이나 PWF 선수들과 경기를 가진 선수들 인간어뢰 김남훈 일본에서도 활동하고 국내에서 활동하는 40대의 베테랑 선수이며 현재는 방송인,WWE 해설자 등등 으로도 활동중이다 상암에서의 야외흥행에서 매드원을 상대로 처음 등장하고 한동안 등장하지 않다가 2015년 인생공격2때 큐슈프로레슬링의 가바이할배와 LOTC챔피언 배드릴섭지를 상대로 승리함으로써 LOTC챔피언에 올랐다, 피니쉬는 탄자니아 백드랍 맷 사이달 (WWE名에반본) 인생공격2 참전 마이크 사이달 슈퍼노바에서 두번 가바이 할배 인생공격1,2 참전 사이 료지 2016년 5월12일 랜스엔드/PWF 흥행 참전 k-ness 인생공격1 참전 아사이 시오리 2016년 5월12일 랜스엔드/PWF 흥행 참전 후도 리키야 2016년 5월12일 랜스엔드/PWF 흥행 참전 아소 산 2016년 5월12일 랜스엔드/PWF 흥행 참전 에그자일 2016년 5월12일 랜스엔드/PWF 흥행 참전 하다온 더 라이징 범솔 정하민 연습생[편집] 하진성 - 하진성 류형욱 - 류형욱 PWF의 선배 레슬러인 MAD猿보다 더 좋은 대학을 진학하기 위해 노력해야하는 중..이며 최근엔 심판으로 활동하기도 한다.또한 경기 시작전에는 상품 판매를 담당한다. 스태프[편집] 김민섭 - 김민섭 PWF의 유일한 레프리이며 소속 레슬러인 릴 섭지와는 생년월일이며 신장과 체중이 한치의 오차도 없이 일치한다. The HONG - 홍의성 놀라운 대회 스타킹 '영어킹' 출신의 링 아나운서이며 현 아나운서인 공국진이 등장하기전까진 메인 아나운서였다. 그 후로는 인생공격에서 분위기를 띄우기위해서 나타난 스페셜 아나운서로 등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wwe 대니얼 브라이언의 예스 무브첸트로 관객들의 호응을 유도한다. 공국진 현 pwf 링 아나운서.일본 프로레슬링 관련 블로거이다. 흥분 된 분위기 속에서 진행을 하기보단 침착하고 안정된 느낌에서 진행을 하는 모습이 특징. 나날히 발전하는 링에 들어가는 모습또한 pwf의 소소한 재미이다. 슈퍼노바[편집] pwf에서 이루어지는 달1회의 흥행이다. 성인은 만원이라는 유료흥행이며 보통 흥행길이는 30분에서 40분이다.곡산역 부근의 거점인 드림 스토리지에서 이루어지며 주소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내곡길 70번길 16-1이니참고하자. 주로 월말쯤에 펼쳐지며 토요일 요후 6시에 오픈하며 6시30분에 시작한다.정확한 일정은 pwf블로그에 들어가서 확인할 수 있다. 경기는 보통 1~2경기이다. 이 슈퍼노바의 인상적이고 다른 어느단체와도 다른점은 경기가 끝나고 팬서비스 차원에서 선수들이 나와서 관객들과 소통한다는 점이다. 이때만큼은 선역 악역 상관없이 등장해서 관객들과 소통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슈퍼노바를 즐긴 사람이라면 누구든 선수들과 이야기를 해볼 수 있고 친근해질 수 있다. 당연히 이것은 경기 외의 이야기이며 선수들은 다시 경기때는 프로답게 경기에 집중하니 공과 사를 구분해야하는 것은 도덕이자 tip. 인생공격[편집] 년1회 펼쳐지는 큰 흥행 1때는 해외선수로 드래곤 게이트의 K-ness,큐슈 프로레슬링의 가바이 할배,드래곤 게이트의 카게토라 2때는 1때 큰 호흥을 얻은 가바이할배,wwe해설도 하고 있는 김남훈,인디인기선수 맷사이달이 참전하였다. PWF X 칼바이스 슈퍼스타W[편집] 1년에 한번있는듯한 인터넷 방송인 칼바이스 와의 콜라보 연습생 오디션이다. 우승자에게는 데뷔할때까지의 모든 훈련비용을 면제해주는 특급 오디션이니 프로레슬러가 되고 싶은 사람들은 한번 확인해보는것을 추천한다. http://blog.naver.com/ohj8235/220582180898 위 주소의 글은 원래 bj칼바이스에 의해서 올라간 공지로 원본 출처는 다른곳에 있는 글이다.신청서 또한 있으니 주의하시길. (원본글의 대부분이 카페글이라서 모 블로그의 글의 주소로 남긴것에 양해를 구한다.원본과는 거의 동일의 글이며 신청서도 존재) 특징[편집] 긍정적인 의미로 오픈마인드이다. 마켙과의 콜라보를 통한 야외흥행,서원마을 길거리 프로레슬링,신촌청춘문화제,사진작가 김규형과의 서울레슬러라는 사진첩,영상 이외에도 앞에서 언급됐듯이 선수와 관객들의 소통,아프리카tv bj칼바이스와의 협력관계,여러 이벤트에 참여(빅맥송,평온차 ucc등등),그리고 지상파 방송(예:안녕하세요)에도 나오고 자체 홍보를 하도록 노력하는 모습이 돋보인다. 또한 야외흥행을 할때마다 프로레슬링이 익숙치 않은 젊은 사람들,여성들의 호응이 많은 등 성공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유튜브에선 "프로레슬링피트"를 치고 들어가서 야외흥행의 영상들을 보면 꽤 많은 사람들이 둘러서 보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선수들이 모두 페이스북을 하니 관심있는 사람들은 한번 가보는것도 좋다. 타이틀 현황[편집] 타이틀 챔피언 획득한 날짜 이벤트 전 챔피언 PWF 슈퍼노바 챔피언 닥터몬즈 2013년 1월 26일 없음(운영진 공지) 없음(초대) PWF Lord of the World 챔피언 닥터몬즈 2014년 4월 27일 인생공격 닥터몬즈(잠정) LOTC 챔피언 - 인간어뢰 김남훈 연관 프로그램[편집] TVN <김무명을 찾아라> KBS1 <다큐공감> KBS2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 SBS <놀라운 대회 스타킹> OBS <스토리 人> Apple itunes 팟캐스트 <나는 레슬러다> 외부 링크[편집] PWF 공식 NAVER 블로그 PWF 공식 FACEBOOK PWF 공식 twitter PWF 공식 YouTUBE 채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PWF&oldid=24210012" 분류: 대한민국의 프로레슬링 단체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23: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PWF(Pro Wrestling Fit, 프로레슬링 피트)는 대한민국의 전 인디 프로레슬링 단체이다. 과거 국내에서 가장 활발한 프로레슬링 단체이기도 하다. 월1회 슈퍼노바 라는 주기적인 내부유료흥행과 연1회 인생공격이라는 큰 규모의 흥행을 했었다. 한때 한국에서 가장 활동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프로레슬링 단체 중 하나였으나 2021년 코로나19여파로 무기한 SNS를 통해 무기한 휴업을 하였으며, 사실상 폐업을 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pwf의 자세한 일정은 어디에서 확인할 수 있는가? Assistant: pwf블로그
Human: 아래 비상_(2006년_영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비상 (2006년 영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비상 (2006년 영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비상 감독 임유철 각본 임선애 배급사 이모션픽처스 개봉일 2006년 12월 14일 시간 100분 언어 한국어 비상은 K-리그 축구 팀 인천 유나이티드를 소재로 한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목차 1 출연진 2 줄거리 3 같이 보기 4 외부 링크 5 각주 출연진[편집] 오만석 - 나레이션 목소리 역 장외룡 - 장외룡 역 임중용 - 임중용 역 제난 라돈치치 - 제난 라돈치치 역 줄거리[편집] K-리그 2005의 인천 유나이티드의 활약상을 다루고 있다. 인천팀이 창단되고 수석코치로 합류한 장외룡. 그는 하루 3시간만 자며 꼼꼼히 상대팀을 분석, 매 시합마다 자신만의 비디오 분석화면을 만들어낸다. 한 단계, 한 단계 그가 제시한 목표가 성과를 이루기 시작하면서 선수들은 감독과 절대적인 신뢰를 쌓아간다. 그리고 인천을 최하위로 분류했던 언론들은 돌풍, 짠물축구, ‘공포의 외룡구단’ 이라는 수식어로 그들을 조명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선수들의 환경은 여전히 열악하기만 했다. 재정적으로 넉넉하지 못한 시민구단은 전용구장이 없어 1시간 30분의 연습을 위해 3시간을 이동해야만 했다. 충분한 휴식 없이 이어지는 경기로 선수들의 부상과 건강은 악화돼 간다. 그리고 며칠 사이 퉁퉁 부어오른 눈으로 연습에 임했던 임중용 주장이 급기야 병원으로 실려 가는 사태가 발생한다. 강한 조직력의 팀으로 급부상하게 된 인천 유나이티드는 마침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며 한국축구계를 깜짝 놀라게 한다. 그리고 결국 모두의 예상을 깨고 결승전까지 올라간 선수들은 타오르는 투지와 자신감에 그 어느 경기보다 뛰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지만, 경기가 계속될수록 부상자가 속출하며 몸의 한계가 찾아오게 된다. 같이 보기[편집] 서울 유나이티드, 이제 시작이다 : K3리그 축구단 서울 유나이티드를 소재로 제작한 영화. 나는 갈매기 : 프로 야구단 롯데 자이언츠를 소재로 제작한 영화. 외부 링크[편집] (한국어) 영화 '비상' 공식 홈페이지 각주[편집] vdeh인천 유나이티드 FC 창단: 2003년 연고: 인천광역시 구단 역사 선수 감독 아카데미 (U-18 U-15 U-12) 시즌 통계 현재 시즌 홈 구장 인천문학경기장 (2004년~2011년) 인천축구전용경기장 (2012년~현재) 훈련장 승기 연습구장 라이벌 부천 SK (032 더비) 부천 FC 1995 (032 더비) FC 서울 (경인 더비) 수원 삼성 블루윙즈 (수인선 더비) 관련 항목 인천광역시 미추홀 보이즈 비상 (영화) 미들스타리그 시즌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웹사이트: incheonutd.com 이 글은 영화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비상_(2006년_영화)&oldid=24064400" 분류: 2006년 영화대한민국의 영화 작품축구 영화인천 유나이티드 FC숨은 분류: 영화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10: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비상은 K-리그 축구 팀 인천 유나이티드를 소재로 한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05년 인천 유나이티드의 주장은 누구인가? Assistant: 임중용 Human: 아래 시암_왕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시암 왕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시암 왕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태국의 역사ประวัติศาสตร์ไทย 목록 태국의 선사시대 태국의 고대사 초기 국가 시대 수완나품 드바라바티 라보 하리푼차이 싱하나바티 판 판 락타마리티카 랑카수카 스리비자야 탐브라링가 목록 수코타이 왕국(1238년–1448년) 아유타야 왕국(1351년–1767년) 톤부리 왕국(1768년–1782년) 라따나꼬신 왕국(1782년–1932년) 타이 왕국(1932년-현재) 지역의 역사 하리푼차이 이산의 역사 란나 나콘시탐마랏 왕국 핏사눌록 v • d • e • h 이 문서는 태국의 역사에 대해서 서술한다. 목차 1 선사시대 2 수코타이 시대 3 아유타야 시대 4 차크리 왕조 5 관련 항목 선사시대[편집] 동남아시아의 인류 거주사는 50만 년이 넘는다. 최근 이루어진 반 치앙(Ban Chiang) 유적의 고고학 조사 등의 연구에 따르면 BC 4000년에 이미 오늘날의 태국에 초기 청동기 문화가 형성되었다고 한다. 이와 함께 벼농사의 발달은 사회적·정치적 조직화를 촉진시켰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이러한 발달이 이곳에서 중국을 비롯한 다른 아시아 지역에 전파되었음을 시사한다. 타이족은 언어학적으로 중국 남부에서 나온 여러 집단과 관련이 있다. 6세기와 7세기에 거쳐 중국 남부에서로부터 동남아시아로 집단 이주가 이루어졌다고 생각된다. 타이족이 남하하기 전에 이 지방에는 선주민인 말레이족, 몬족, 크메르족 등의 문화가 꽃을 피웠다. 수코타이 시대[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수코타이 왕국입니다. 아유타야 왕조(1351년 - 1767년)는 현재의 태국 중부를 중심으로 타이족에 의해 세워졌던 왕조로 1351년에서 1767년까지 존재하였다. 아유타야 왕조의 태조는 라마티보디 1세로 태국어로 유통 왕이라 불린다. 수코타이 왕국이 쇠퇴하자 차오프라야 강가에 1350년 새로운 타이 왕국이 세워졌다. 수코타이 왕국 시절에도 태국 북부에는 치앙마이를 중심으로 란나타이 왕국이 융성했으며 독립 왕국으로, 또는 버마와 아유타야와 번갈아 가며 동맹을 맺어가며 오랜 기간 동안 존속되다 결국에는 아유타야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아유타야 시대[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아유타야 왕국입니다. 아유타야 왕조(1351년 - 1767년)는 현재의 태국 중부를 중심으로 타이족에 의해 세워졌던 왕조로 1351년에서 1767년까지 존재하였다. 아유타야 왕조의 태조는 라마티보디 1세로 태국어로 유통 왕이라 불린다.아유타야 왕국의 첫째 왕 라마티보디 1세는 태국 역사에 두가지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첫째는 소승 불교를 국교로 제정하고 융성하게 해 힌두교 왕국인 이웃 크메르 제국와 구별되게 한 것이고 둘째는 같은 이름의 힌두교 법률서와 태국의 전통 풍습에 기초해 다르마샤스트라(Dharmashastra)라는 법률을 제정한 것이다. 다르마샤스트라는 19세기까지 태국 법률의 기초가 되었다. 16세기 포르투갈인들을 시작으로 아유타야 왕국은 서양과 접촉을 조금 가졌지만 1800년대까지는 이웃하는 나라들과 인도, 중국 등과의 관계가 우선되었다. 차크리 왕조[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차크리 왕조입니다. 4백년 이상 계속된 아유타야 왕국은 1767년 버마의 침략으로 수도가 불타고 6개 부분으로 분열되는 운명을 맞았다. 이때 탁신(Taksin) 장군이 타이 왕국을 재통일하여 톤부리에 새로 수도를 정하고 1769년 스스로 왕이 되었다. 그러나 전해진 바에 의하면 탁신은 정신 이상자가 되어 톤부리 왕국은 1대로 끝나고 1782년 차크리(Chakri) 장군이 라마 1세로 즉위, 차크리 왕조의 첫째 왕이 되었다. 같은 해 그는 톤부리에서 차오프라야 강 건너편에 있는 방콕에 수도를 건설했다. 라마 1세를 이어 왕이 된 후계자들은 1826년 영국이 이웃 버마에서 승리하면서 유럽의 제국주의의 위협에 갈수록 신경쓰지 않으면 안되었다. 태국은 1826년 영국과 맺은 친선·통상 조약(Treaty of Amity and Commerce)으로 최초로 동남아시아 지역 서양 열강의 등장을 인정했다. 1833년에는 미국과 시암(1939년 이전과 1945년-1949년에 사용되었던 태국의 옛 이름) 간에 외교 관계가 시작되었다. 그 후 몽쿳(라마 4세, 1851년-1868년)와 그의 아들 출라롱콘(라마 5세, 1868년-1910년) 즉위하에서 시암은 서양 열강과 친선 관계를 굳게 다졌다. 태국인들은 이들 왕들의 능력 있는 외교력과 태국 정부의 근대화 개혁 때문에 태국이 남아시아·동남아시아를 통틀어 식민지화 되지 않고 독립을 유지한 유일한 나라로 남을 수 있었다고 여긴다. 이는 태국의 오늘날 국명인 프라텟 타이(1939년-1945년에는 비공식 국명으로 사용, 1949년 5월 11일 공식 국명으로 제정)에서도 볼 수 있는데 프라텟은 '나라', 타이는 '자유로운'이라는 뜻이다. 1909년의 영국-시암 조약은 시암과 영국령 말라야 사이의 국경을 정했는데 이것이 오늘날의 국경이 되었다. 이때 말라야의 토후국 파타니와 케다의 일부였던 파타니(Pattani) 주와 얄라(Yala) 주, 나라티왓(Narathiwat) 주, 사툰(Satun) 주가 태국령이 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 후에는 입헌 군주국으로 발전하였다. 관련 항목[편집] 태국의 삼대왕: 역대 군주 중 주목할 만한 업적으로 존경을 받는 인물로서 대왕의 칭호를 받은 세 군주를 말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시암_왕국&oldid=19564792" 분류: 태국의 역사숨은 분류: 태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བོད་ཡིགCatalàDeutschEestiFrançaisBahasa Indonesiaភាសាខ្មែរລາວBahasa Melayu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7년 9월 11일 (월) 10:2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라따나꼬신 왕국 혹은 랏따나꼬신 왕국(태국어: กรุงรัตนโกสินทร์, Rattanakosin Kingdom)은 태국의 네 번째 왕국으로 가장 큰 타이 왕국을 일구었다. 이 영토에는 캄보디아, 라오스, 말레이 왕국의 일부까지 포함되었다. 이 왕국은 짜끄리 왕조에 의해 1932년까지 통치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시암은 언제 미국과 외교 관계를 시작하게 되었을까? Assistant: 1833년
Human: 아래 밀_Mi-24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밀 Mi-24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밀 Mi-24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밀 Mi-35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Mi-24 비행 중인 Mi-24PN종류 공격 헬리콥터첫 비행 1969년도입 시기 1972년 (소비에트 연방)현황 운용중주요 사용자 러시아 공군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폴란드, 리비아외 50여개 국가 생산 대수 2,300 대 밀 Mi-24(NATO 코드명:하인드)는 소비에트 연방의 공격헬기로 현 러시아 공군에서도 260대를 운용중이며 서방측의 공격헬기와는 다르게 공격과 수송을 모두 담당하고 있다. 목차 1 배경 2 설계 3 제원 4 운용국가 5 실전 참여 배경[편집] 1960년대 소련은 미국이 베트남 전쟁 당시 헬기를 유용하게 사용하는 것을 보았다. 그리고 미국이 수송 헬기가 착륙하기 전 해당 지역의 적을 제압하기 위해 공격 헬기를 따로 개발하는 것을 보면서 소련은 수송 헬기와 공격 헬기를 따로 운용하는것보다 둘을 합친 형식으로 운용하는 것이 더 좋다 판단하고, 밀 설계국과 카모프 설계국에게 '공격과 수송을 동시에 담당할 수 있는 헬기'를 요구한다. 양 설계국이 내놓은 설계안 중 최종적으로 밀 사의 것이 채택되었고, 밀 사의 시제기 V-24가 1969년 9월 19일 첫 비행에 성공한 뒤 여러 여러 테스트를 거친 후 Mi-24 하인드를 탄생시켰다. 초창기 하인드는 수송 병력에 대한 지원을 목적으로 무장을 하였으며 뒤에 대전차 미사일을 탑재하여 공격력이 강화된다. 1973년 동독에 주둔한 붉은 군대에게 처음으로 지급했고, 그 뒤 소비에트 연방의 동맹국으로 퍼뜨렸다. 설계[편집] 밀 Mi-8 수송용 헬리콥터를 2인승 공격형 헬리콥터로 개조한 것이다. 5엽 메인 로터와 3엽 테일 로터 등이 밀 Mi-8 수송용 헬리콥터와 동일하다. 처음부터 중무장을 예상하여 대형 엔진을 채용하여 여유추력을 많이 가지고 있다. 동체 양족에는 하반각을 가진 스터브윙에 무장을 탑재한다. A~C형의 조종실은 유례가 없는 3인승으로 전방에 사수, 바로 뒤의 병렬좌석에 조종사와 기술병이 탑승하고, D형의 조종실은 완전히 재설계되어 전방에 사수 뒤에 조종사가 탑승하는 방식이 되어 서방측과 동일해진다. 기수 아래에는 12.7mm 4총신의 개틀링포를 탑재하고, 좌우에는 각종센서를 내장한 포드를 적재한다. 후기형에서는 적 공격 헬기와의 전투를 고려해서 기수 아래의 12.7mm 개틀링포를 제거하고 기체 왼쪽에 30mm Gsh-30K 트윈 베럴 기관포를 장착하고 있다. 주익의 파일런에는 AT-2나 신형인 AT-6 대전차 미사일을 장착가능하며 160mm S-16 로켓, 210mm S-24 로켓, 125~250kg 폭탄, 23mm 기관포 포드 등을 탑재할 수도 있다. A~C형은 전반적으로 7.62mm탄을 막을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동체 아래, 엔진 주면 등 취약한 곳은 14.5mm탄까지 방어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로터와 테일 로터는 티타늄으로 제작되었다. D~E형은 모든 각도에서 12.7mm탄을 막을 수 있으며 특히 조종석 주변은 티타늄 방탄판으로 둘러 37mm탄에도 버틸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엔진덮개를 씌워 적외선 방출량을 줄였고 적외선 추격방해 재머도 장착했으며 다량의 플레어를 탑재하였다. 둔해 보이는 외형과는 달리 고출력 엔진 덕에 링크스 다음으로 빠른 360km의 속도를 낼 수 있다. 제원[편집] 메인로터 직경: 17.30m 전장: 21.35m 전고: 5.47m 총중량: 11,500kg 최대속도: 320km/h 항속거리: 450km 승무원: 2명(조종사, 무기통제사) 수송인원: 완전무장한 보병 8명 또는 이동식 스트레치카 4대 (부상병 운송용) 엔진:Isotov TV3-117VMA 터보샤프트(2,200shp)X2 무장: 12.7mm 기관포(A~C형), 12.7mm 4연장 개틀링포(C~D형), 30mm Gsh-30K 트윈배럴 기관포(E형 이후), UB-32 S-5 로켓포드, UB-13 S-13 122mm 로켓포드, R-73 공대공미사일, S-8 로켓포드, AT-2 유선유도 대전차미사일, AT-6 유선유도 대전차미사일, AT-16 레이저유도 대전차미사일, AT-9 레이저유도 대전차미사일, 9K38 이글라 항전장비: GOES-342 TV/FLIR, ONV1NVG, HUD 운용국가[편집] Mi-24는 현재 러시아를 위시한 구 소련권 국가들을 비롯하여 중남미, 동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군용 공격 헬기로 운용중이다. 미국의 AH-1 코브라나 AH-64 아파치에 비하면 도입 운용 국가들은 상당히 많은 편이다. Mi-24P 미국 육군 가상 적 부대 러시아 쿠바 페루 불가리아 폴란드 체코 헝가리 앙골라 나이지리아 르완다 모잠비크 세네갈 기니 니제르 말리 에티오피아 우간다 나미비아 콩고 민주 공화국 적도 기니 수단 에리트레아 지부티 알제리 짐바브웨 차드 부르키나파소 리비아 베트남 몽골 스리랑카 아프가니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투르크메니스탄 미얀마 인도네시아 예멘 인도 이라크 시리아 북마케도니아 니카라과 브라질 베네수엘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실전 참여[편집] 소비에트 연방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이란-이라크 전쟁 스리랑카 내전 걸프 전쟁 유고슬라비아 전쟁 체첸 전쟁 앙골라 내전 이라크 전쟁 2008년 남오세티야 전쟁 시리아 내전 vdeh밀 항공기 Mi-1 Mi-2 Mi-3 Mi-4 V-5 Mi-6 V-7 Mi-8 Mi-9 Mi-10 Mi-12 Mi-14 V-16 Mi-17 Mi-18 Mi-19 Mi-20 Mi-22 Mi-24 Mi-25 Mi-26 Mi-27 Mi-28 Mi-30 Mi-32 Mi-34 Mi-35 Mi-36 Mi-38 Mi-40 Mi-42 Mi-44 Mi-46 Mi-52 Mi-54 Mi-58 Mi-6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밀_Mi-24&oldid=24260537" 분류: 소련 및 러시아의 군용 헬리콥터공격 헬리콥터밀 항공기1969년 첫 비행한 항공기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mburgsLietuviųമലയാളംМонголBahasa Melayu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Polskiپنجابیپښتو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2일 (수) 17:3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밀 Mi-24(NATO 코드명: 하인드)는 소비에트 연방의 공격 헬리콥터로 현 러시아 공군에서도 260대를 운용 중이며 서방측의 공격 헬리콥터와는 다르게 공격과 수송을 모두 담당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밀 Mi-24는 어떻게 설계되었을까? Assistant: 밀 Mi-8 수송용 헬리콥터를 2인승 공격형 헬리콥터로 개조한 것이다. 5엽 메인 로터와 3엽 테일 로터 등이 밀 Mi-8 수송용 헬리콥터와 동일하다. 처음부터 중무장을 예상하여 대형 엔진을 채용하여 여유추력을 많이 가지고 있다. 동체 양족에는 하반각을 가진 스터브윙에 무장을 탑재한다. A~C형의 조종실은 유례가 없는 3인승으로 전방에 사수, 바로 뒤의 병렬좌석에 조종사와 기술병이 탑승하고, D형의 조종실은 완전히 재설계되어 전방에 사수 뒤에 조종사가 탑승하는 방식이 되어 서방측과 동일해진다. 기수 아래에는 12.7mm 4총신의 개틀링포를 탑재하고, 좌우에는 각종센서를 내장한 포드를 적재한다. 후기형에서는 적 공격 헬기와의 전투를 고려해서 기수 아래의 12.7mm 개틀링포를 제거하고 기체 왼쪽에 30mm Gsh-30K 트윈 베럴 기관포를 장착하고 있다. 주익의 파일런에는 AT-2나 신형인 AT-6 대전차 미사일을 장착가능하며 160mm S-16 로켓, 210mm S-24 로켓, 125~250kg 폭탄, 23mm 기관포 포드 등을 탑재할 수도 있다. A~C형은 전반적으로 7.62mm탄을 막을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동체 아래, 엔진 주면 등 취약한 곳은 14.5mm탄까지 방어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로터와 테일 로터는 티타늄으로 제작되었다. D~E형은 모든 각도에서 12.7mm탄을 막을 수 있으며 특히 조종석 주변은 티타늄 방탄판으로 둘러 37mm탄에도 버틸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엔진덮개를 씌워 적외선 방출량을 줄였고 적외선 추격방해 재머도 장착했으며 다량의 플레어를 탑재하였다. 둔해 보이는 외형과는 달리 고출력 엔진 덕에 링크스 다음으로 빠른 360km의 속도를 낼 수 있다. Human: 아래 장_피아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장 피아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 피아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장 피아제Jean Piaget 제네바에 있는 장 피아제의 조각상출생 1896년 8월 9일 스위스 뇌샤텔사망 1980년 9월 16일국적 스위스 학력 뇌샤텔 대학교직업 학자(철학,교육학) 장 피아제(Jean Piaget, 1896년 8월 9일 - 1980년 9월 16일)은 스위스의 철학자, 자연과학자이며 발달심리학자이다. 어린이의 학습에 대한 연구인 인지발달이론과 자신의 인식론적 관점인 "발생적 인식론"으로 잘 알려져 있다. 1955년 제네바에 발생적 인식론 국제 센터를 창립했고, 1980년까지 지도적 위치를 맡았다. 에른스트 폰 글라저스펠트(Ernst von Glasersfeld)는 피아제는 "구성주의 인식론의 위대한 선구자"라고 했다.[1] 목차 1 생애 2 과학과 철학적 발달 2.1 인지 발달의 단계 2.2 발달 과정 2.3 발생적 인식론 3 주요 저서 4 더 보기 5 각주 생애[편집] 피아제는 1896년 스위스의 프랑스어 사용 지역인 뇌샤텔(Neuchâtel)에서 태어났으며, 1980년 사망했다. 그의 아버지인 아르투어 피아제(Arthur Piaget)는 뇌샤텔 대학교의 중세 문학 교수였다. 피아제는 생물학과 자연 세계에 깊은 관심을 가진 조숙한 아이로 특히 연체동물에 관심을 가졌으며, 고등학교를 졸업하기 전에 몇 가지 논문들을 출판하기도 했다. 사실 그의 과학적 연구의 오랜 경력은 10살 때부터 시작되었는데, 1907년에 알비노 참새에 대한 소논문을 썼었다. 전 생애에 걸쳐 피아제는 60권이 넘는 책들과 몇백개의 글을 썼다. 피아제는 뇌샤텔 대학교에서 자연과학 박사 학위를 받은 이후, 취리히 대학교에서 잠깐 공부했다. 이 시기에 그는 당시에 대한 그의 생각의 방향을 보여주는 두 개의 철학 논문을 출판했으나, 나중에 미숙한 저작이라며 스스로 깎아내렸다. 심리학적인 생각의 갈등이 이 시기에 싹트게 되면서 그의 정신분석학에 대한 관심 역시 이 시기에 나타났다. 이후 피아제는 스위스에서 프랑스 파리로 이주하여 비네 지능 검사를 만든 알프레드 비네(Alfred Binet)가 운영한 Grange-Aux-Belles가의 남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쳤다. 이때 이 지능 검사의 몇가지 실례들을 기록하면서 피아제는 나이어린 어린이들이 특정한 질문에 시종일관하게 틀린 답을 내고 있음에 주목했다. 피아제는 어린이들의 답이 틀렸다는 사실에는 별로 주목하지는 않았지만, 나이 어린 어린이들이 나이 많은 어린이나 어른들이 하지 않는 같은 패턴의 실수를 반복하고 있음을 알아냈다. (결국, 발달 단계의 전체적인 이론을 제안했는데, 이는 각 발달 단계에서 개인은 특정하고 뚜렷하게 나타나는 인식의 공통적인 패턴을 보여준다는 것이었다.) 1921년 피아제는 스위스로 돌아가 제네바에 있는 루소 연구소(Jean-Jacques Rousseau I 1923년 그는 자신의 학생인 발렌틴 샤트네(Valentine Châtenay)와 결혼하여, 3명의 아이를 두었다. 1929년에 장 피아제는 제네바의 국제 교육국(International Bureau of Education)의 국장에 취임하여 1968년까지 국장 지위에 있었다. 매년 "IBE회의"와 "공교육 국제 회의"(International Conference on Public Education)에 연설을 하면서 자신의 교육학적인 신조를 명백히 나타냈다. 과학과 철학적 발달[편집] 인지 발달의 단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인지발달이론입니다. 피아제는 원래는 인간이 아닌 동물을 연구했으며, 연체동물학을 연구하는 생물학자였다. 피아제는 1929년에서 1975년까지 제네바 대학교에서 심리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인지발달이론을 단계별로 나눈 재정립으로 유명해졌다. 이전의 볼드윈(James Mark Baldwin)의 이론은 (1) 유아기 (2) 미취학기 (3) 아동기 (4) 사춘기로 대략적으로 대응하는 4가지 단계였다. 각 단계는 어린이의 모든 사고에 영향을 주는 일반적인 인식 구조로 그 성격이 나타난다. (철학자 이마누엘 칸트에게서 영향을 받은 구조주의적 관점)[출처 필요] 각 단계는 각 시기의 아동의 현실에 대한 이해로 대표되나, 마지막 단계는 현실에 대한 부정확한 접근이 된다.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의 발달은 아동이 주변 환경을 이해함에 있어서의 오류의 축적으로 발생한다. 이 축적은 결국 사고 구조의 재조직을 요구하는 인식상의 불균형에 도달한다. 피아제의 이론에 따르면 네 가지 발달 단계는 다음과 같다.: 감각운동기: 출생 직후~ 2세 (이 시기에는 감각과 운동기술을 이용해 주변 세계를 경험하며 대상의 영속성을 습득한다.) 전조작기: 2세 ~ 7세 (마술적 사고가 우세해진다. 운동 기능을 습득한다.) 구체적 조작기: 7세 ~ 11세 보존개념을 습득한다. 유목포함, 서열화, 분류화를 할 수 있다. 초보적인 연역적 사고가 가능하다. 형식적 조작기: 11세 이후 (추상적 이성적 사고가 발달한다.) 발달 과정[편집] 피아제는 전체적인 발달 과정에 대해 명확한 설명을 내놓지 않았다. 대체로 말하면 이것은 순환 과정으로 되어있다. 아동은 효과적인 행동을 하거나 대상을 조직하게 되고, 아동은 행동의 특성과 그 효과를 알게 된다. 일련의 행동등을 통해 (아마 행동에 변화를 주거나 또는 다른 전후 관계 안에서 혹은 다른 종류의 대상이거나 등) 아동은 행동의 원리와 효과를 구별하고 통합할 수 있다. 이것이 반영적 추상화의 과정이다.[2] 동시에 아동은 대상에 영향을 주는 여러가지 방법의 행동을 통해 대상의 특징들을 인식한다. 이 과정을 경험적 추상화라고 한다. 폭넓은 대상들과 행동들을 통해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새로운 수준의 지식과 통찰에 도달하게 된다. 이것이 새로운 인지 단계를 형성하는 과정이다. 이 두가지 과정은 아동이 대상을 다루는 새로운 방법과 대상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구성하게 해준다. 한번 아동이 이런 새로운 종류의 지식을 구성하면, 아동은 더욱 복잡한 대상을 만들어내거나 더욱 복잡한 행동을 하기 위해 이 지식을 사용하기 시작한다. 그 결과로, 아동은 더욱 복잡한 도식을 인지하고 더욱 복잡한 대상을 구성하기 시작한다. 모든 아동의 행동과 경험이 더 높은 수준으로 재조직되면 새로운 단계가 시작한다. 그러나 전적으로 단계적인 과정은 아니다. 새로운 단계로 올라가면, 지식과 통찰이 효과적임을 알게 되면서 이 지식과 통찰은 다른 영역으로 빠르게 일반화된다. 그 결과로 각 단계 사이의 과도기는 신속하고 급진적인 경향을 띠며, 정제된 새로운 인식 수준들로 구성되는 이 새로운 단계로 나아가기까지는 일정한 양의 시간이 흐른다. 학습과 경험의 한 단계에서 얻어진 지식이 신속하고 급진적으로 통찰의 새로운 단계로 나아가면 이를 게슈탈트(gestalt)가 나타난 것이라 한다. 이 과정이 변증법적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분화, 축적, 그리고 단순히 경험적으로 정확한 것보다 인지 단계의 과정이 논리적으로 필요한 낡은 것에서 벗어난 새로운 구조의 종합을 통해 새로운 인지 단계에 도달한다. 아동이 이전의 것들의 성취를 받아들이면 각 새로운 단계는 나타나며, 아직 발달의 여지가 있는 지식과 행동의 더욱 복잡한 형태는 여전히 존재한다. 어떻게 대상에 대한 지식과 자신의 행동에 대한 반성을 획득하는가를 다루기 때문에, 피아제의 발달 모형은 이전에는 전혀 설명되지 않은 인간 지식의 여러 특징들을 설명해 준다. 예를 들어, 아동이 점차적으로 이전의 지식들의 영향 위에서 행동하고 그 영향을 반영하면서 대상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키면, 아동은 늘어나는 복잡한 구조들에 대한 자기 자신의 지식을 조직하게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어린 아동이 꾸준히 정확하게 여러 종류의 동물들을 인식하게 되면, 이 아동은 '새', '물고기' 등과 같은 여러 상위 집단에 대해 동물의 종류들을 조직할 수 있다. 이제 아동은 새로운 동물이 새라는 사실에 기초하여 새로운 동물에 대한 것들을 알 수 있기 때문에[3] 이 사실은 매우 중요하다. 동시에 자신의 행동에 대한 반성을 통해 아동은 여러 방법으로 적용되는 '규칙'에 대한 복잡한 의식을 더욱 발달시킨다. 피아제는 아동의 '올바름', '타당함', '필요함', '적당함' 등과 같은 개념들에 대한 성장하는 의식을 그 예로 들었다. 달리 말하면, 객관화, 반영, 추상 등의 과정을 통해 아동은 효과적이거나 정확하면서도 "정당화된" 행동의 원리들을 구성한다. 피아제의 가장 유명한 연구들 중 하나에서는 생후 2년 6개월에서 4년 6개월 사이의 어린이의 식별 능력에 대해 순수하게 집중한다. 그는 연구를 시작하면서 다른 나이의 아이들에게 두 줄의 M&M 초콜렛을 주었는데, 한 명은 M&M 초콜릿을 흩뜨린 한줄로 주었고 다른 하나에게는 같은 숫자의 초콜릿을 가깝게 위치한 한줄로 주었다. 그는 아래와 같은 사실을 발견했다. "2년 6개월 에서 3년 2개월 된 아이들이 두 열의 대상의 상대적인 숫자를 구별해냈다. 그리고 3년 2개월과 4년 6개월 사이의 아이들은 개수가 적은 더 긴 줄을 초콜렛이 더 "많다고" 생각하고 가리켰다. 4년 6개월 이후의 아이들은 다시 똑바로 구별해냈다."[4] 4세가 될때까지 아동은 수량을 헤아리지 못하는데도, 당초에 이 어린이들이 학습받은 것도 아니고 더 어린 아동들이 어떻게 이처럼 구별해 내는 것이 가능했을까? 그러나 이 결과는 생후 3년 2개월 이전의 어린이는 수량 보존개념을 갖고 있지만, 성장하면서 이 능력을 잃게 되고 생후 4년 6개월이 될때까지 이 능력을 회복하지 못함을 보여준다. 이는 지각 전략에 대한 지나친 의존 때문에 일시적으로 해결 능력이 상실되었기 때문에 생겼을 텐데 이 지각 전략은 긴 줄의 사탕을 사탕이 더 많은 것과 관련시킨다. 아니면 4세 이전에는 반대되는 상황에 대한 이해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 실험의 마지막에서 여러 성과가 발견되었다. 일단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보다 더 어린 아동들이 인식 작용에서 논리적 가능성이 존재함을 보여주는 식별 능력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어린 아동들이 얼마나 일의 구조가 논리적인지에 의존하는 인식 작용의 특정한 능력들을 갖추고 있다는 것 또한 보여준다. 또한 이 연구는 5세가 되면 아동이 뚜렷한 이해를 발달시킨다는 것을 보여 주었는데, 그 결과로 그 아동은 더 많은 양을 선택하기 위해 M&M을 헤아릴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 전체적인 수량의 보존개념은 인간이 나면서부터 물려받은 특징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5] 발생적 인식론[편집] 피아제에 따르면 발생적 인식론(Genetic epistemology)은 지식(특히 과학적인 지식)을 그 사회적 근원인 역사(특히 역사가 기반한 개념과 작용의 심리적 기원)의 기초 위에서 설명하기 위해 노력한다.[6]. 장 피아제는 인식론과 구성주의 인식론으로 특히 유명하다. 최근에는 Jonathan Tsou는 피아제의 후기 인식론의 연구들이 토머스 쿤(Thomas Kuhn)의 과학 혁명 이론의 결점을 보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7] 그러나 이 연구는 쿤의 "없어진 원고"의 존재(현재 시카고 대학교에 있다.)가 그 비판에 답하고 있다는 것을 포함한 몇가지 역사적 사실들을 놓치고 있다.[8] 그의 후기 연구들은 유명하나 그것이 함축하고 있는 것들은 상당수가 검증되지 않았다. 주요 저서[편집] La Naissance de l'intelligence chez l'Enfant, Delachaux et Niestlé, 1936. La construction du réel chez l'enfant, Paris, Delachaux et Niestlé, 1937. Introduction à l'épistémologie génétique. Tome I: La pensée mathématiqu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1950, Paris. Introduction à l'épistémologie génétique. Tome II: La pensée physiqu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1950, Paris. Introduction à l'épistémologie génétique. Tome III: La pensée biologique, la pensée psychologique et la pensée social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1950, Paris. Études sociologiques, Librairie Droz, 1965, Genève. Logique et Connaissance scientifique, Encyclopédie de la Pléiade, 1967. Biologie et connaissance, Éditions de la Pléïade, 1967, Paris. Psychologie et pédagogie, Gonthiers Denoël, 1969, coll. Médiations, Paris. Psychologie et épistémologie, Gonthiers Denoël, 1970, coll. Médiations, Paris. Où va l'éducation ?, Gonthiers Denoël, 1972, coll. Médiations, Paris. De la pédagogie, Éditions Odile Jacob, 1988, Paris. L'épistémologie génétique, Que sais-je ?, PUF. ISBN 2-13-054997-7. La psychologie de l'enfant", Jean Piaget et Bärbel Inhelder, 1966, puf Le comportement, moteur de l'évolution, Edition du seuil, 1976 더 보기[편집] 구성주의 인식론 발달심리학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도덕 버러스 프레더릭 스키너 노엄 촘스키 각주[편집] ↑ (in An Exposition of Constructivism: Why Some Like it Radical, 1990) ↑ described in detail in Piaget 2001 ↑ 예를 들어 알을 낳는다든지의 이유로 ↑ Cognitive Capacity of Very Young Children, p. 141 ↑ 《피아제 - 아동 심리학의 아버지》.  ↑ "Genetic Epistemology" 장 피아제 씀. (1968) ↑ Tsou, J. (2006). Genetic Epistemology and Piaget's Philosophy of Science: Piaget vs. Kuhn on Scientific Progress. Theory & Psychology, 16(2), 203-224. ↑ Burman, J. T. (2007). Piaget No `Remedy' for Kuhn, But the Two Should be Read Together: Comment on Tsou's `Piaget vs. Kuhn on Scientific Progress'. Theory & Psychology, 17(5), 721-732. vdeh심리학 역사 심리학자 연구 분야 감정 생물심리학 임상심리학 인지심리학 인지 신경과학 비교심리학 비판심리학 문화심리학 발달심리학 진화심리학 실험심리학 개인심리학 해방심리학 수리심리학 매체심리학 약물심리학 신경심리학 수행심리학 성격심리학 생리심리학 정치심리학 긍정심리학 심리언어학 정신병리학 정신물리학 심리생리학 정성적 심리 연구 정량적 심리 연구 사회심리학 이론심리학 교육심리학 군중심리학 스포츠심리학 응용 분야 심리 실험 임상심리학 상담심리학 교육심리학 법정심리학 건강심리학 산업 및 조직 심리학 법심리학 산업 건강심리학 관계심리학 학교심리학 스포츠심리학 음향심리학 체제심리학 심리철학 접근 방법 분석심리학 행동주의 인지주의 인지 행동 치료 기술심리학 실존주의 상담 가족 치료 인지 정서 행동 치료 여성주의 상담 게슈탈트 치료 인본주의심리학 초심리학 이야기 치료 정신분석학 정신 역동 치료 초개인심리학 주요 심리학자 버러스 프레더릭 스키너 장 피아제 지그문트 프로이트 오토 랑크 멜라니 클라인 앨버트 반두라 레온 페스팅거 로이 샤퍼 칼 로저스 스탠리 샤흐터 닐 엘가 밀러 에드워드 손다이크 에이브러햄 매슬로 고던 올포트 에릭 에릭슨 한스 아이젠크 윌프레드 비용 윌리엄 제임스 데이비드 맥클랜드 앨버트 엘리스 아론 벡 레이몬드 캐텔 존 B. 왓슨 쿠르트 르빈 도널드 올딩 헤브 조지 밀러 클라크 헐 제롬 케이건 카를 융 이반 파블로프 앙드레 그린 알프레드 아들러 vdeh인지심리학주요 인지심리학자 헤르만 에빙하우스 막스 베르트하이머 에드워드 톨먼 프레드릭 바틀렛 쿠르트 코프카 볼프강 쾰러 레프 비고츠키 장 피아제 도널드 헵 제롬 브루너 허버트 사이먼 조지 아미티지 밀러 도널드 브로드벤트 앨런 뉴웰 엔델 툴빙 프랭크 로젠블랏 울릭 나이서 대니얼 카너먼 도날드 노만 필립 존슨-레어드 에이모스 트버스키 일리노어 로쉬 데이비드 럼멜하트 엘리자베스 로프터스 존 R. 앤더슨 제임스 맥클레랜드 스티븐 핑커 전거 통제 WorldCat VIAF: 39382513 LCCN: n78093533 ISNI: 0000 0001 2095 9583 GND: 118594133 SELIBR: 253123 SUDOC: 027071170 BNF: cb119196137 (데이터) BIBSYS: 90052766 ULAN: 500324013 HDS: 9056 MGP: 108845 NLA: 35422041 NDL: 00452755 NKC: jn20000701408 BNE: XX4578567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장_피아제&oldid=24014933" 분류: 1896년 태어남1980년 죽음스위스의 철학자스위스의 교육학자스위스의 심리학자스위스의 작가스위스의 개신교도아동심리학자발달심리학자인지과학자구조주의자인식론 학자에라스무스상 수상자미국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뇌샤텔주 출신파리 대학교 교수프랑스계 스위스인20세기 철학자단계 이론뇌샤텔 출신로잔 대학교 교수뇌샤텔 대학교 동문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08년 4월15 종류의 전거 통제 정보를 포함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ULA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کوردی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do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KabɩyɛҚазақшаKurdî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LatviešuMalagasyമലയാളംNederlandsNorsk nynorskNorskਪੰਜਾਬੀPolskiPiemontèis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inaray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2일 (금) 09:5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장 피아제(Jean Piaget, 1896년 8월 9일 - 1980년 9월 16일)는 스위스의 철학자, 자연과학자이며 발달심리학자이다. 어린이의 학습에 대한 연구인 인지발달이론과 자신의 인식론적 관점인 "발생적 인식론"으로 잘 알려져 있다. 1955년 제네바에 발생적 인식론 국제 센터를 창립했고, 1980년까지 지도적 위치를 맡았다. 에른스트 폰 글라저스펠트(Ernst von Glasersfeld)는 피아제는 "구성주의 인식론의 위대한 선구자"라고 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장 피아제의 주요 서적들은 무엇이 있을까? Assistant: La Naissance de l'intelligence chez l'Enfant, Delachaux et Niestlé, 1936. La construction du réel chez l'enfant, Paris, Delachaux et Niestlé, 1937. Introduction à l'épistémologie génétique. Tome I: La pensée mathématiqu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1950, Paris. Introduction à l'épistémologie génétique. Tome II: La pensée physiqu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1950, Paris. Introduction à l'épistémologie génétique. Tome III: La pensée biologique, la pensée psychologique et la pensée social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1950, Paris. Études sociologiques, Librairie Droz, 1965, Genève. Logique et Connaissance scientifique, Encyclopédie de la Pléiade, 1967. Biologie et connaissance, Éditions de la Pléïade, 1967, Paris. Psychologie et pédagogie, Gonthiers Denoël, 1969, coll. Médiations, Paris. Psychologie et épistémologie, Gonthiers Denoël, 1970, coll. Médiations, Paris. Où va l'éducation ?, Gonthiers Denoël, 1972, coll. Médiations, Paris. De la pédagogie, Éditions Odile Jacob, 1988, Paris. L'épistémologie génétique, Que sais-je ?, PUF. ISBN 2-13-054997-7. La psychologie de l'enfant", Jean Piaget et Bärbel Inhelder, 1966, puf Le comportement, moteur de l'évolution, Edition du seuil, 1976
Human: 아래 LG_옵티머스_G_프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LG 옵티머스 G 프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LG 옵티머스 G 프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LG 옵티머스 G 프로LG-E985 (표준 3G 모델)LG-E988 (표준 LTE 모델) LG 옵티머스 G 프로 인디고 블랙색상제조사 LG전자슬로건 G 이상의 G시리즈 LG 옵티머스 g 프로 시리즈첫 발매 2013년 2월 21일[1]표준 모델 2013년 7월 4일[2] 이전 LG 옵티머스 G후속 LG G 프로 2형태 바 (bar)크기 가로 : 76.1 mm세로 : 150.2 mm두께 : 9.4 mm무게 172 g운영 체제 안드로이드 4.1.2 젤리빈안드로이드 4.4.2 킷캣안드로이드 5.0.1 롤리팝UI LG UX 4.0CPU 퀄컴 크레이트 300 아키텍처, 1.728 GHz 쿼드 코어GPU 퀄컴 아드레노 320, 400 MHz보조 프로세서 퀄컴 헥사곤 QDSP6V4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500 MHz 싱글 코어)메모리 2 GB LPDDR2 RAM저장 16 GB32 GB이동식 저장 마이크로SD/SDHC/SDXC (최대 64 GB 지원)센서 나침반지자기 센서가속도 센서자이로스코프 센서근접 센서조도 센서홀 센서 (퀵 커버/퀵 윈도우 커버 인식)데이터 입력 정전식 감응 터치 스크린디스플레이 138.7 mm 트루 Full HD IPS (IPS 패널 TFT LCD)RGB 매트릭스 픽셀 구조해상도 1,080 x 1,920 (1080p Full HD, 화소 밀도 약 400.53 ppi)휘도 400 nit(cd/m²)24 비트 색상외부 디스플레이 HDMI후면 카메라 1300만 화소 CMOS 이미지 센서최대 1080p Full HD급 동영상 촬영최대 30 fps급 동영상 촬영최대 4,160 x 3,120급 사진 촬영LED 플래시전면 카메라 210만 화소 CMOS 이미지 센서최대 1080p Full HD급 동영상 촬영최대 30 fps급 동영상 촬영사운드 사운드 칩셋퀄컴 WCD9310음원 재생 능력16 비트44.1 kHz연결 USB 2.0USB 온더고디스플레이슬림포트HDMI(마이크로 USB B타입/HDMI D타입 통합 단자)3.5 mm 미국식 TRRS (4극) 폰 커넥터 LG 옵티머스 G 프로(LG Optimus G Pro)는 LG전자에서 제조/판매하는 안드로이드 패블릿 스마트폰으로, LG 옵티머스 G의 Full-HD(1920×1080) 해상도 지원 파생 모델이다. 2013년 2월 21일 대한민국에서 출시되었으며, 2013년 7월 4일에는 표준 모델이 출시 되었다. 목차 1 외형 2 운영 체제 / 소프트웨어 2.1 안드로이드 4.1.2 젤리빈 2.2 안드로이드 4.4.2 킷캣 업그레이드 2.3 안드로이드 5.0.1 롤리팝 업그레이드 3 특이 사항 3.1 Q메모 3.2 VR 파노라마 3.3 듀얼 카메라 / 듀얼 레코딩 3.4 크리스탈 리플렉션 3.5 홈 버튼 LED 3.6 다양한 멀티 플레이 4 액세서리 4.1 무선 충전 패드 4.2 퀵커버 4.3 퀵윈도우 5 국가별 파생 모델 5.1 대한민국 5.1.1 LG-F240S/K/L 5.1.2 LG-F220K 5.2 일본 5.2.1 L-04E 5.3 미국 5.3.1 AT&T 모델 5.4 중국 5.4.1 LG-E985T 6 연혁 7 출시 국가 8 같이 보기 9 각주 10 외부 링크 외형[편집] 인디고 블랙과 루나 화이트의 두 가지 색상으로 출시되었다. 버튼은 모두 7개로, 전면 아래쪽 가운데에 발광 다이오드가 내장된 물리 홈 버튼과, 그 좌우에 각각 정전식 뒤로 가기 버튼과 메뉴 버튼이 있으며, 좌측에 볼륨 조절 버튼과 Q버튼, 우측에 전원 버튼이 있다. 홈 버튼에 설치된 발광 다이오드는 RGB 3색을 모두 표현 가능하며, 전화 착신이나 알람, 기타 알림이 있을 경우 미리 지정된 색으로 빛을 낸다. 상단에는 오디오 단자와 리모콘 기능(Q리모트)에 사용되는 적외선 발광부, 통화 시 소음 감소에 사용되는 보조 마이크가 있으며, 하단에는 슬림포트 단자를 겸하는 micro-USB 2.0 포트와 송화부가 있다. 운영 체제 / 소프트웨어[편집] 안드로이드 4.1.2 젤리빈[편집] 안드로이드 4.1.2 젤리빈을 탑재하여 출시되었다. 이후 2013년 4월 12일 대한민국 출시 모델에 대해 밸류팩 업그레이드라는 이름으로 UX의 마이너 업데이트가 이루어졌다[3]. 안드로이드 4.4.2 킷캣 업그레이드[편집] 2014년 3월 20일, LG-F240S와 LG-F240L 모델의 안드로이드 4.4.2 킷캣 업그레이드가 시작되었다. 이후 잠시동안 오류로 인해 업데이트가 중지되었으나, 2014년 4월 7일 아침 LG-F240K 모델을 포함해 모든 사용자의 업그레이드가 시작되었다. 달라진 점은 상단바가 킷캣 스타일로 바뀌고, 카메라 기능을 강화했다. 안드로이드 5.0.1 롤리팝 업그레이드[편집] 2015년 2월 27일, 대한민국 출시 모델을 대상으로 5.0.1 롤리팝 업그레이드가 시작되었다. UI가 G3와 같은 LG UX 3.0으로 변경되었다. 특이 사항[편집] Q메모[편집] Q메모를 어느 화면에서나 보며 이중플레이 할 수 있는 겹쳐사용하기 모드를 사용하면 Q메모를 보면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4.4에서는 스크린 캡쳐용이다.- 캡처후 메모를 할 수 있는 형식으로 되어있다.) VR 파노라마[편집] 기기를 좌우로 흔들면서 사진을 촬영하면 입체적으로 사진이 찍히는 기능이다. 아이폰 5의 파노라마 광고를 디스한 광고로 화제가 되었었다. 듀얼 카메라 / 듀얼 레코딩[편집] 후면 카메라로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면서 전면 카메라로도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이다. 크리스탈 리플렉션[편집] 후면은 크리스탈 리플렉션(Crystal Reflection) 공법으로 가공하여 빛이 들어오는 각도에 따라 색상이 다르게 보인다. 전작인 옵티머스 G와 옵티머스 뷰2에도 적용되었었다. 홈 버튼 LED[편집] 다양한 색상 및 패턴을 표출하는 홈 버튼 LED가 탑재되어 전화수신, 미확인 알림, 알람, 캘린더, 다운로드 앱, 배터리 충전 상태 등 다양한 상황을 홈 버튼 LED로 확인이 가능하다. 다양한 멀티 플레이[편집] 상단바를 내리면 영상, 이미지,dmb, 인터넷, 문자, 전화등 다양한 기본 프로그램의 멀티 플레이를 지원한다. (창모드로 실행이된다.) 인터넷 멀티플레이를 이용하여 게임을 하거나 다른 앱을 사용하면서 유투브 영상을 볼 수도 있다. 액세서리[편집] 무선 충전 패드[편집] 무선 충전기를 일반 충전기로 충전하면서 기기를 무선 충전기에 올려서 충전하는 기능이다. 옵티머스 G 프로 글로벌 출시 당시, 글로벌 출시 기념으로 G 프로 구입자에게 무선 충전 패드를 무료로 제공하는 이벤트를 하기도 하였다. 퀵커버[편집] 갤럭시 S3와 갤럭시 노트2의 플립 커버와 비슷한 케이스이다. 배터리 커버를 제거하고 끼워야 하며, 커버를 열고 닫으면 저절로 온 / 오프가 된다. 퀵윈도우[편집] G2에서 먼저 출시된 케이스로 4.4.2 킷캣 업그레이드 후, 사용 가능하다. 직사각형 모양으로 뚫려 있는 화면으로 시계 창이 뜬다. 국가별 파생 모델[편집] 대한민국[편집] LG-F240S/K/L[편집]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에서 각각 LG-F240S, LG-F240K, LG-F240L 모델이 출시되었다. 기본 모델과 디자인 및 기본적인 사양은 동일하나, DMB 수신 기능이 추가되고 각 통신사에 따른 소프트웨어 커스터마이징이 추가되는 등의 차이가 있다. LG-F220K[편집] 일본에 출시된 L-04E를 기반으로 수정된 모델로 KT에서 “옵티머스 GK”라는 펫네임으로 출시되었다. G2 TSP 터치패널을 적용한 5″의 화면과 (화소 밀도 440 ppi) 3,100 mAh의 내장형 리튬 이온 폴리머 배터리가 적용된 제품이다. 일본[편집] L-04E[편집] G2 TSP 터치패널을 적용한 5″의 화면과 (화소 밀도 440 ppi) 3,000 mAh의 내장형 리튬 이온 폴리머 배터리가 적용된 제품이다. 세로 139.1 mm, 가로 69.9 mm, 두께 9.9 mm, 무게 156 g로 기본 모델과 디자인 등에서 차이가 있다. 미국[편집] AT&T 모델[편집] 5.5″의 화면과 (화소 밀도 401 ppi) 3,140 mAh의 탈착식 리튬 이온 배터리가 적용된 제품이다. 중국[편집] LG-E985T[편집] 5.5″의 화면과 (화소 밀도 401 ppi) 3,140 mAh의 탈착식 리튬 이온 배터리가 적용된 제품이다. 연혁[편집] 2013년 1월: 일본에서 제품 공개 2013년 2월 21일: 대한민국에서 출시[1] 2013년 2월 25일: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13에 제품 전시 2013년 4월: 일본에서 출시[4] 2013년 5월 2일: 대한민국에서 일본판 옵티머스 G 프로에 기반한 모델을 옵티머스 GK라는 이름으로 출시[5] 2013년 5월 10일: 미국에서 출시[6] 2013년 7월 4일: 글로벌 모델 출시[2] 출시 국가[편집] 대한민국: 2013년 2월 21일(옵티머스 G 프로), 2013년 5월 2일(옵티머스 GK)[5] 일본: 2013년 4월 미국: 2013년 5월 10일 인도: 2013년 7월 4일 영국 중국(3G 모델, TD-LTE 모델) 같이 보기[편집] LG 옵티머스 G LG G2 LG G 프로 라이트 LG Gx 각주[편집] ↑ 가 나 “LG전자 '옵티머스G프로' 판매 시작…스펙 살펴보니”. SBS CNBC.  ↑ 가 나 “LG G Pro to be launched in India today”. IBN Live.  ↑ 옵티머스 G Pro, 밸류팩 업그레이드 활용 길라잡이, Social LG전자 ↑ 남해현. “일본판 LG 옵G프로, 사양 어떻게 달라?”. ZD넷코리아.  ↑ 가 나 정윤희. “KT, 옵티머스GK 단독 판매 스타트”. ZD넷코리아.  ↑ “[기업 브리핑]LG전자 ‘옵티머스G 프로’ 미국 판매 개시”. 동아일보.  외부 링크[편집] 공식 웹사이트 전체 사양 전체 사양(LG-E985T) vdehLG전자의 휴대 전화기2005년 ~ 2008년 초콜릿 초콜릿 2 아카펠라 뮤직 TV스캔들 샤인 프라다 뷰티 디스코 비키니 시크릿 터치웹 프랭클린 터치 아이스크림 아이스크림 2 KC1 뷰티 프라다 르누아르 인터치 시크릿 KF700 KF600 인사이트 쿠키 2009년 인사이트 롤리팝 쿠키 아레나 프라다 II 뉴 초콜릿 프로 크리스탈(한국) 아레나 뷰티 스마트 크리스탈 인터치 플러스 GT505 GT500 뉴 초콜릿 GD910 팝 프라다 II GM750 인터치 맥스 2010년 레일라 캔디 롤리팝 2 안드로 원 맥스 카페 소시의 쿠키 조이팝 U9300 프리스타일 U4500 옵티머스 Q 옵티머스 Z 레일라 2 옵티머스 마하 아트터치 쿠키 프레시 뷰티 스냅 옵티머스 옵티머스 원 옵티머스 7 퀀텀 시크 2011년 아이스크림 3 옵티머스 2X 옵티머스 챗 옵티머스 블랙 옵티머스 미 옵티머스 빅 옵티머스 3D 옵티머스 Q2 옵티머스 EX 옵티머스 LTE 프라다 3.0 2012년 옵티머스 뷰 옵티머스 LTE 태그 옵티머스 3D 큐브 옵티머스 L3 옵티머스 LTE II 옵티머스 4X HD 옵티머스 L5 옵티머스 L7 옵티머스 L9 옵티머스 잇 옵티머스 G 옵티머스 뷰 II 2013년 옵티머스 L7 II 옵티머스 G 프로 옵티머스 L3 II 옵티머스 F7 옵티머스 L5 II 옵티머스 F5 옵티머스 L4 II 옵티머스 L1 II 옵티머스 F6 옵티머스 F3 옵티머스 F3Q G2 뷰3 G 프로 라이트 G 플렉스 Gx 2014년 G 프로 2 L40 L45 L70 L90 L80 F70 G2 미니 G3 G3 비트 / G3 S G3 Cat.6 G3 A G3 스타일러스 G3 스크린 Gx2 / G 비스타 와인스마트 아카 2015년 아이스크림 스마트 G 플렉스 2 G 스타일로 / G4 스타일러스 마그나 / G4 C 볼트 / 스피릿 레온 G4 G4 비트 밴드플레이 맥스 젠틀 와인 스마트 재즈 클래스 V10 G 비스타 2 2016년 K10 K8 K7 K5 K4 K3 스타일러스 2 X 스크린 X 캠 G5 G5 SE L5000 X 스킨 X 파워 스타일러스 2 플러스 X5 / X 맥스 X 마하 / X 패스트 V20 U 2017년 K10 2017 / X400 K8 2017 / X300 K4 2017 X 파워 2 / X500 스타일러스 3 G6 ThinQ Q6 Q8 V30 ThinQ X401 스마트 폴더 2018년 X4+ / K10 2018 V30S ThinQ X4 / K10α 2018 G7 ThinQ X5 Q7 (Q7+) X2 / K8 2018 V35 ThinQ Q8 / Q 스타일러스 V40 ThinQ LG전자 LG 모바일공개는 하였으나 출시되지 않은 모델은 글꼴을 기울임처리 vdeh안드로이드개발 안드로이드 소프트웨어 개발 안드로이드 응용 프로그램 패키지 아파치 앤트 달빅 이클립스 구글 코드 구글 앱 발명가 구글 I/O 안드로이드 디버그 브리지 홀로 UI ART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안드로이드 에브리웨어 안드로이드 오토 안드로이드 웨어 안드로이드 TV 구글 넥서스 넥서스 원 넥서스 S 갤럭시 넥서스 넥서스 7 넥서스 Q 넥서스 4 넥서스 10 넥서스 7 (2013년) 넥서스 5 넥서스 6 넥서스 9 넥서스 5X 넥서스 6P 넥서스 플레이어 구글 픽셀 구글 픽셀 · 픽셀XL 픽셀 C 구글 플레이 에디션 HTC 원 삼성 갤럭시 S4 LG G 패드 8.3 소니 Z 울트라 모토로라 모토 G HTC 원 M8 변형판 사이애노젠모드 OMFGB 미유아이 Replicant OPhone 옴니롬 Flyme OS ColorOS Oxygen OS 사용자 인터페이스 HTC 센스 모토로라 모토블러 (개발중단) 화웨이 이모션 UI 터치위즈 LG 옵티머스 UI 베가 플럭스 애플리케이션 어스 구글스 G메일 구글 지도 스카이 맵 토크(행아웃) 번역 보이스 유튜브 API 구글 플레이 구글 검색 구글 클라우드 메시징 구글 지도 목록 안드로이드 버전 역사 안드로이드 디바이스 오픈 소스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안드로이드 런처 기타 루팅 XDA Developers 안드로이드랜드 안드로이드와 자바의 비교 안드로이드용 우분투 머티리얼 디자인 보안 취약점 스테이지프라이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LG_옵티머스_G_프로&oldid=22854841" 분류: 2013년 출시안드로이드 장치LG 휴대 전화기LG전자의 스마트폰스마트폰패블릿숨은 분류: 오래된 그림 구조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EnglishفارسیItaliano日本語NederlandsSlovenčinaTürkçeاردو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6일 (금) 01: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LG 옵티머스 G 프로(LG Optimus G Pro)는 LG전자에서 제조/판매하는 안드로이드 패블릿 스마트폰으로, LG 옵티머스 G의 Full-HD(1920×1080) 해상도 지원 파생 모델이다. 2013년 2월 21일 대한민국에서 출시되었으며, 2013년 7월 4일에는 표준 모델이 출시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옵티머스g프로가 일본에 출시된 년도는? Assistant: 2013 Human: 아래 오스트리아의_역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오스트리아의 역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스트리아의 역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오스트리아의 역사적 상징인 적백적 문장(紋章) 오스트리아의 역사Geschichte Österreichs 초기 역사 할슈타트 문명(기원전 8 ~ 6세기)로마 제국노리쿰판노니아 속주라이티아 속주마르코만니족아바르족사모케른텐 공국(658년 ~ 828년)오스트리아 변경백국(976년 ~ 1156년)바벤베르크 가《소특권》(1156년)오스트리아 공국(1156년 ~ 1457년) 합스부르크 시대 합스부르크 가 신성 로마 제국(962년 ~ 1806년)오스트리아 대공국(1358년 ~ 1804년)합스부르크 군주국(1526년 ~ 1804년) 오스트리아 제국(1804년 ~ 1867년)독일 연방(1815년 ~ 1866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1867년 ~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사라예보 사건(1914년)제1차 세계 대전(1914년 ~ 1918년) 전간기 독일계 오스트리아 공화국(1918년 ~ 1919년)오스트리아 제1공화국(1919년 ~ 1934년)* 오스트리아 내전(1934년)오스트리아 파시즘 오스트리아 연방국(1934년 ~ 1938년) 오스트리아 병합(1938년) 제2차 세계 대전 국가사회주의 오스트리아(1938년 ~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1939년 ~ 1945년) 전후 오스트리아 연합국 군정기(1945년 ~ 1955년) 오스트리아 제2공화국(1955년 ~ 현재) 주제별 역사 오스트리아 전쟁사오스트리아 음악사 v • d • e • h 오스트리아의 역사는 구석기 시대의 최초의 정착부터 시작하여 현대에 이른다. 996년 "오스타리치(Ostarrichi)"라는 이름으로 최초로 언급된 이 땅은, 처음에는 바이에른 공국의 국경지구에 속했다가 1156년부터 1806년까지는 (대)공국으로서 신성 로마 제국의 독립적 구성국가가 되었다. "오스트리아 왕가"(Haus Österreich)라 불리며 광대한 꿈의 지배권을 얻었던 합스부르크 왕가 하에서, 수 세기 동안 오스트리아는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를 배출했다. 1804년 선언된 오스트리아 제국(당시 헝가리와 보헤미아까지 포괄)은 제국의 서쪽 부분이 1815년부터 1866년까지 독일 연방의 일부였고, 1867년부터는 그때부터 독립국가가 된 헝가리 왕국과 함께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 왕조를 구성했다.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제국이 산산조각난 이후인 1918년부터 1921년 오스트리아는 오늘날의 국경선을 형성하게 된다. 1938년 나치 정권은 오스트리아를 독일국(Deutsches Reich)에 편입시켰다. 오스트리아는 1945년부터 다시 독립국, 1955년부터는 주권을 회복한 공화국이 되었고, 1995년엔 유럽 연합에 가입했다. 목차 1 선사시대와 고대 1.1 노리쿰 1.2 로마의 지배 2 중세 2.1 신성 로마 제국 2.2 오토 2세 2.3 합스부르크 2.4 막시말리안 1세 (1493-1519): 재통합 2.5 합스부르크 제국 3 근대 3.1 종교개혁 시기 3.2 30년 전쟁 3.3 프랑스 혁명 3.4 나폴레옹 3.5 비더마이어 시대 (1815-1848) 3.6 시민계급의 성장 3.7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 3.8 19세기 오스트리아의 예술 3.9 세계 대전 4 현대 4.1 연합국의 점령과 제2공화국 5 외부 링크 선사시대와 고대[편집] 빌렌도르프의 비너스 (빈 자연사 박물관) 노리쿰[편집] 선사 시대부터 교통의 요지로서 여러 민족의 이동이 많았다. BC 8세기 무렵부터 할슈타트문화의 중심이 되어 정착한 켈트인이 기원전 2세기에는 노리쿰 왕국을 세웠다. 로마의 지배[편집] 기원 전후 로마인도 다뉴브강 남쪽 연안에 이르러 노리쿰을 속주로 편입시켰고 뒤늦게 빈도보나(지금의 빈)를 건설하였다. 게르만족도 1세기에 이 지방으로 진출했다. 로마 제국은 그 대응책에 고심하면서 4세기 기독교를 전파했다. 훈족의 서진(西進)으로 435∼453년 아틸라의 지배를 받았으나, 그가 죽자 게르만부족들의 재편성과 자립화가 진행됐다. 그러나 동방으로부터 슬라브족을 동반한 아바르족이 진출하였고, 5세기 말 로마인이 철수했다. 중세[편집] 신성 로마 제국, 합스부르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신성 로마 제국[편집] 10세기 경의 신성 로마 제국 서쪽에서 5세기 후반 이래 왕국을 형성하고 있던 프랑크족은 6세기 로마 교회와 손을 잡고 점차 남동쪽으로도 진출하여 카롤링거 왕조의 카롤루스 대제(재위 768∼814) 영도 아래 8세기 말 바이에른을 복속시키고 다시 동진하여 791∼796년 아바르족을 괴멸시켜 여기에 오스트마르크를 설치했다. 9세기 말부터 서진을 시작한 마자르인은 10세기에 이곳으로 진출하였다. 카롤링거 왕조가 단절된 뒤 동프랑크 왕국을 계승한 작센왕조 오토 1세(재위 936∼973)는 955년 마자르인을 격파하고 오스트마르크를 재건, 962년 신성 로마 제국이 탄생하였다. 오토 2세[편집] 사촌인 바이에른공과 싸워 이겨 황제가 된 오토 2세(재위 961∼983)는 976년 바이에른으로부터 오스트마르크를 분리시켜 변경백(邊境伯)의 영지로 삼아 이것을 바벤베르크가에게 하사했다. 바벤베르크의 군주들은 동방식민을 추진해서 경제발전을 꾀하였고, 서임권을 둘러싼 황제와 교황의 분쟁을 이용해 세습을 관행화하였으며, 슈타우펜가와 벨프가의 분쟁에서도 프리드리히 1세(재위 1152∼90)로부터 1156년 세습공령으로의 승격을 획득했고, 아울러 영역 내에서의 재판권을 인정받았다. 1192년 슈타이어마르크공령도 병합하여 남동쪽으로 영토를 확장했으나, 1246년 헝가리와의 전쟁에서 최후의 군주인 프리드리히 2세(재위 1230∼46)가 전사함으로써 오스트리아는 대공위시대(大空位時代, 1246∼73)를 맞게 되었다. 합스부르크[편집] 루돌프 1세 막시밀리안 1세 (뒤러 그림) 주변 지역의 분쟁에 개입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인접 제후들의 무력개입을 초래했으나, 보헤미아(뵈멘)왕 오타카르 2세는 1251년 빈을 점령하고 아드리아해까지 진출해 동유럽에 강대한 세력을 구축하고, 1256년 독일의 대공위시대(1256∼73)에 때맞추어서 황제위를 요구하였다. 이에 반대한 독일 제후들은 1273년 알자스와 스위스 등지에 기반을 둔 합스부르크 백작 루돌프를 황제로 선출했다. 황제 루돌프 1세(재위 1273∼91)는 제국 영토의 반환을 거부한 오타카르를 1278년에 죽이고 오스트리아를 합스부르크가의 영지로 확보했다. 그러나 제후들은 너무 강대해진 합스부르크가에게 계속해서 황제위를 부여하지는 않았다. 1291년 이래, 특히 14세기에는 오랜 기간에 걸친 스위스 독립 전쟁으로 고초를 겪었을 뿐 아니라, 카를 4세(재위 1347∼78) 밑에서 번영한 룩셈부르크가와도 대립, 1356년 금인칙서(金印勅書)에서도 7선제후(七選帝侯)에서 배제되어, 룩셈부르크 왕조가 후스 전쟁(1419∼36)으로 단절되고 알브레히트 2세가 1438년 즉위한 뒤에야 합스부르크가가 황제위를 독점하게 되었다. 오스트리아는 1453년 대공령으로 승격하였다. 막시말리안 1세 (1493-1519): 재통합[편집] 막시말리안 1세. 알프레히트 뒤러 작. 1519년. 막시말리안 1세는 1486년 로마왕에 올랐고 그의 아버지인 프리드리히의 말년에 아버지와 공동 통치를 했다. 1490년 티롤계 합스부르크 가문의 영지를 상속받은 막시말리안 1세는 마침내 1379년부터 분열되있던 오스트리아 전체를 재통합했다. 그는 1490년 마티아스 1세가 죽자 헝가리 문제에도 관여해야 하는 상황에 봉착했다. 막시말리안은 오스트리아의 잃어버린 영토를 재정복하고, 1491년 프레스부르크 (브라티슬라바) 조약으로 마티아스의 후계자 블라디슬라우스 2세와 평화 조약을 맺었다. 하지만 훗날 분열과 통합이라는 가문의 역사는 다시 반복되고 만다. 한 장소에 길게 머물지 않던 막시말리안은, 어떻게 그의 아버지가 여러 차례 빈에서 포위당했나 절실히 떠올리면서, 부르고뉴와 오스트리아 영지 사이에 있는 그의 불안정한 영지에서 티롤의 인스부르크를 수도로 삼기 안전한 곳임을 알아냈다. 막시말리안은 가문 동맹을 맺는 기술을 더 새롭게 하여 체계적으로 왕조의 전통을 만들기 시작했다. 막시말리안의 아내 마리는 결혼한 지 5년만인 1482년에 죽었다. 그는 그 후 1490년 브르타뉴 여공작 안느와 (대리) 결혼했다. 이 결혼은 그 당시 독립국이었던 브르타뉴를 합스부르크 영지에 속하게 할 수 있었으며 프랑스에 있어 도발적이라고 여겨졌다. 프랑스의 샤를 8세는 안느와 결혼하여 브리타니를 합병하고자 했는데 그는 전부터 막시말리안의 딸인 사부아 공작부인 마르가레트와 약혼을 맺은 상황이라 문제는 더 복잡해졌다. 막시말리안의 아들 미남왕 필립 (1478-1806)은 카스티야와 아라곤의 상속녀 후안나와 1496년 결혼했고, 스페인과 이탈리아 영지들 (나폴리, 시칠리아와 사르디나 왕국), 아프리카와 신대륙은 합스부르크 영지가 되었다. 그러나 너 행복한 오스트리아여 결혼하라 (Tu felix Austria nube)라는 표어는 어쩌면 엄격히 현실적이라기보다 더 낭만적이었다. 막시말리안은 그의 목표를 위해서라면 전쟁을 하는 것을 늦추지 않았다. 1493년 프랑스와 그 일을 해결하고 나서 그는 이내 다시 프랑스와 긴 이탈리아 전쟁 (1494-1559)에 관여하게 된다. 스위스 독립전쟁 역시 프랑스와의 전쟁들 중 하나였다. 1499년 슈바벤 전쟁은 프랑스와 합스부르크 가문간의 투쟁의 마지막 단계였다. 1499년 도르나흐 전투 패배로, 오스트리아는 1499년 바젤 조약으로 스위스의 독립을 인정해야 했다. 스위스 독립은 최종적으로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공식 인정된다. 합스부르크 가문이 스위스에서 유래했고, 합스부르크 성이 스위스에 있던 까닭에 이 사실은 중요하게 여겨진다. 국내 정책으로 막시말리안은 1495년 보름즈 회의에서 몇개의 개혁을 단행했다. 거기서 제국대법원 (Reichskammergericht)은 최고 판결소로서 설립되었다. 1495년의 다른 신생 기관으로는 뉘른베르크 제국통치원 (Reichsregiment)이 있다. 이 민주주의로의 첫 도약은 실패했고 1502년 해체되었다. 통합국가 건설 시도는 성공적이지 못했으나, 오스트리아가 다시끔 프리드리히와 막시말리안의 통합 전처럼 3개로 나눠지는 것보다는 나았다. 막시말리안의 계획 자금은 푸거같은 은행가 가문에게 의존하였고, 후에 이 은행가들은 선제후들에게 뇌물을 주어 막시말리안의 손자 카를 (훗날 카를 5세)을 그의 후계자로 선택하게 한다. 막시말리안은 로마 교황에게 가서 신성로마제국 황제 즉위를 하는 오래된 관습에서 벗어났다. 1508년 베네치아의 적의로 로마까지 가지 못하자 막시말리안은 교황 율리우스 2세의 승인으로 선출된 로마 황제 (Erwählter Römischer Kaiser)라는 칭호를 가졌다. 그의 아버지 프리드리히는 고로 로마에서 교황에게 왕관을 받은 마지막 황제가 되었다. 합스부르크 제국[편집] 합스부르크가의 아들들에 대한 분할상속 전통은, 결과적으로는 결혼정책으로 영토를 확장할 수 있었으나 영토분할과 계승권분쟁이 생김으로써 통일국가로 나아가는 데에는 방해가 되었다. 1477년 부르군트공주와 결혼한 황제 막시밀리안 1세(재위 1493~1519)는 1495년 신성 로마 제국의 개혁을 시도하였으나 좌절되었다. 1496년 그의 아들 필립이 스페인 왕녀와, 1515년 그의 손자 페르디난트가 보헤미아-헝가리 왕녀와 결혼했다. 이 결혼정책은 프랑스와의 대립을 장기화시키면서 프랑스와 동맹관계에 있는 오스만 제국와 대립을 가져와 합스부르크가는 동·서로부터 압박을 받게 되었으나, 필립의 장남 카를 5세(재위 1519~1556)가 프랑스 왕과의 전쟁에서 이겨 1519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가 되면서 "합스부르크 세계 제국"이 출현했다. 근대[편집] 오스트리아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종교개혁 시기[편집] 종교 개혁의 소용돌이 속에서 이룩한 세계제국도 1521년 스페인계와 오스트리아계로 분할되었다. 오스트리아의 페르디난트 1세(재위 1556~1564)는 농민전쟁에도 직면했으나 오스만 제국의 북상으로 헝가리왕 라요시 2세(재위 1516~1526)가 1526년 모하치에서 죽자, 보헤미아·헝가리 두 왕국을 계승하였다. 그러나, 1529년 빈을 포위당해 겨우 격퇴하고 1531년 독일왕이 되었으며 헝가리에서는 얼마 되지 않는 북서부를 지배했을 뿐이었다. 페르디난트 1세는 1555년 아우크스부르크 화의(和議) 뒤 1556년 카를 5세로부터 제위를 승계받았으나 종교 쟁의에는 간섭할 수 없었다. 합스부르크가의 내분 뒤 페르디난트 2세(신성로마황제, 재위 1619~1637)가 1617년 보헤미아왕이 되어 반종교개혁을 강행하자, 1618년 30년 전쟁(1618~1648)이 일어났다. 30년 전쟁 때 개신교 군들에 맞서기 위해 기용된 알브레히트 폰 발렌슈타인 30년 전쟁[편집] 30년 전쟁은 단순히 개신교와 로마 가톨릭간에 벌어진 종교전쟁이 아니라 자본주의 탄생의 태동이기도 하였으며 체코 민족주의의 시작이기도 하였다. 열강의 간섭 속에서 오스트리아의 군주들은 개신교에 대항한 반종교개혁을 통해 농노제를 다시 확립하였고, 서방에서는 영국과 결탁해 루이 14세의 침략을 막았으며, 동방에서는 1683년 오스만 제국의 빈 포위를 반격하여 헝가리 전토를 확보하였다. 권력 집중을 도모하고 영토 통합을 꾀하였으며, 산업 육성·농민 보호에 힘썼으나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서는 해외 진출을 단념하고 스페인왕위를 포기하였으며, 네덜란드와 이탈리아에 영토를 확보하였다. 오스트리아 계승 전쟁(1740~1748)에서는 프로이센에게 슐레지엔을 빼앗겼으나 영토분할을 막기 위한 프라그마티셰 장크치온이 인정되어, 마리아 테레지아(재위 1740~1780)에게 상속시켰다. 프랑스 혁명[편집] 1756년 프랑스와의 동맹에 성공했으나 7년 전쟁(1756~1763)에서도 슐레지엔을 수복하지 못했고, 오히려 헝가리 귀족과 타협해 동방에서의 제정 러시아의 진출과 독일에서의 프로이센 왕국의 발흥을 도운 셈이 되었다. 전중·전후의 부흥을 위해 행정·재정을 중심으로 개혁을 추진, 요제프 2세(재위 1765~1790) 치하인 1781년 <농노 해방령>과 <관용령>을 발포했다. 그러나 1789년 프랑스 혁명이 일어나고 1790년 요제프 2세의 죽음으로 개혁정책도 좌절되었다. 나폴레옹[편집]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등장에 직면한 합스부르크가는 영토를 유지하기 위하여 나폴레옹이 대관하기에 앞서서 1804년 오스트리아 제국을 건국했으나, 슬라프코프에서 참패한 1806년 신성 로마 제국을 해체하고 황제 자리에서 물러났다. 메테르니히는 1810년 황녀 마리아 루이자와 나폴레옹의 결혼을 추진하는 유화정책을 취했으나, 나폴레옹이 몰락하자 교묘히 해방전쟁의 주도권을 장악하여 빈 회의(1814∼1815)를 주최하고, 복고·정통·연대를 기조로 반동체제를 국내적·국제적으로 확립해 자유의 움직임을 탄압했다. 비더마이어 시대 (1815-1848)[편집] 메테르니히 공 (Fürst). 토마스 로렌스 작. 1820년 경. 메테르니히 치하, 1815년부터 1848년까지 오스트리아 제국은 검열과 경찰 국가 체제로 들어섰다. 이 시대는 비더마이어(Biedermaier) 혹은 포르매르츠 (Vormärz)시대라 불리며, 후자는 1848년 3월 혁명 전까지의 시대를 일컫는다. 1823년, 오스트리아 황제는 5명의 로스차일드 (Rothschild) 형제를 남작으로 봉했다. 런던의 내이선 매이어 로스차일드 (Nathan Mayer Rothschild)는 작위를 받지 않기로 했다. 로스차일드 가문은 유럽 주요 국가에서 은행가로 유명해졌다. 메테르니히는 자유주의자들의 입헌 개혁 요구를 단호하게 막았다. 정부는 관습법과 제국칙령 (Hofkanzleifekrete)에 의해 존재했다. 하지만 자유주의와 국가주의, 두 이념의 대두로 결국 1848년 혁명은 일어났다. 메테르니히와 정신적으로 문제있던 황제 페르디난트 1세는 각각 사임, 퇴위해야 했고 제위는 황제의 어린 조카, 프란츠 요제프에게 넘어갔다. 시민계급의 성장[편집]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 메테르니히 체제 아래에서도 산업성장에 따라 시민의 힘이 강해졌다. 1848년 프랑스 2월 혁명의 영향으로 빈 등지에서 3월 혁명이 일어나 메테르니히는 망명했다. 혁명의 전면에 하층시민이 부상하자 산업시민층은 혁명에서 후퇴해 10월 말 반혁명의 승리로 끝나고, 1851년 이후로는 신 절대주의의 A. 바흐 체제가 되었다. 혁명 뒤에는 농민해방을 정착시키면서 산업 근대화를 추진시켰기 때문에 산업 혁명이 전개되면서 자본주의가 발전하기 시작했다. 영토의 기반을 동·중유럽에 두었기 때문에 전형적인 다민족국가가 되었고 혁명은 여러 민족의 독립운동을 표면화시켰다. 헝가리 토지귀족의 독립운동은 러시아 군대의 원조로 1849년 진압되었으나, 체코의 오스트리아-슬라브주의는 슬라브 여러 민족에 영향을 주었다. 크림 전쟁에서의 외교적 실패와 고립화 속에서 이탈리아의 민족주의 운동은 1859년 독립 전쟁으로까지 고조되었고, 그 패전으로 바흐체제는 붕괴되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편집] 프란츠 요제프 1세 위기에 직면한 오스트리아는 여러 민족의 요구를 참작, 1860년 연방주의적인 10월 칙서(Oktoberdiplom)를, 1861년에 2원제의회를 인정하는 2월헌법(Februar-Patent)을 반포하여 부르주아적 권력의 강화를 시도했지만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완패하자 헝가리 토지귀족과 제휴, 그 왕국을 인정해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성립시켰다. 이 노선은 반발하는 슬라브 여러 민족의 요구를 억압하고 1873년 공황을 거쳐 1879년 독일-오스트리아 동맹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나 민족주의운동의 고조와 함께 노동운동도 성장하였다. 이 해에 <모든 민족과 정당을 대표하는 황제내각>이 성립되자, 이로 인한 독일인과 체크인의 민족적 대립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보헤미아에서는 <언어령(Sprachenverordnung)>이 되풀이되었지만 대립은 일상생활로까지 번져 격화를 거듭하였다. 1888년 결성된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은 1907년 보통선거제를 획득했음에도 불구하고, 1909년 민족별로 분열되자 민족주의가 고양되어 혼란에 말려들었다. 19세기 오스트리아의 예술[편집] 빈에 위치한 분리파 전시관. 분리파 작품의 전시를 위해 1897년 요제프 마리아 올브리히가 설계. 빈 회의 (Wiener Kongress)부터 1848년 혁명까지 19세기 초 오스트리아는 억압적인 국내 상황에 대응해 예술로의 관심이 폭발한 얼마 간의 비더마이어 (Biedermeier) 시대로 특징된다. 프란츠 요제프 황제 (1848-1916)의 즉위를 시작으로 벨 에포크 (Belle Époque) 양식이 전형적인, 크고 기념비적인 건축물들로 대표되는 빈 링슈트라세 건축 (공식적으로 1865년 5월 1일부터 7년간)의 웅장한 새 시대가 왔다. 이 시대의 건축가들은 하인리히 페어스텔 (Heinrich Ferstel)(주요 건축물 : Votivkirche, Museum für angewandte Kunst Wien), 프리드 폰 슈미트 (Friedrich von Schmidt) (Rathaus), 테오필 한젠 (Theophil Hansen) (Parliament), 고트프리드 젬퍼 (Gottfried Semper) (Kunsthistorisches Museum, Kunsthistorisches Museum, Burgtheater), 에두아르트 판 데어 뉠 (Eduard van der Nüll) (Opera)과 아우구스트 지카르드즈부르크(August Sicardsburg) (Opera) 가 있다. 1897년은 빈 분리파 (Wiener Secession) 혹은 (Vereinigung Bildender Künstler Österreichs)로 알려진 유파의 첫 회장이 된 구스타프 클림트가 주축이 되어 오스트리아 예술가 협회 (Gesellschaft bildender Künstler Österreichs) 로부터 예술가 그룹이 분리 선언한 해였다. 이 사조는 베를린과 뮌헨의 유사한 사조에 따라 전 조직의 역사주의와 보수주의에 맞선 항의였다. 부분적으로 이것은 초기 링슈트라세 시대에 나타났던 과잉에 대한 반항이었으며 비더마이어의 상대적인 간결함에 대한 회귀의 동경이었다. 분리파는 또한 1897년 지어진 분리파 전시관 (Wiener Secessionsgebaüde)라는 건물에서 모이기 시작했는데 1898년부터 그곳에서 그들의 전시회를 열었다. 분리파에 속한 요제프 호프만과 콜로만 모저는 응용 예술의 발전을 촉진하고자 1903년 빈 예술 수공예 작업장 (Wiener Werkstätte)를 조직했다. 분리파가 클림트와 다른 예술가들이 타협할 수 없는 예술 추구의 차이로 인해 떠난 1905년 분열되었다고 여겨지나 분리파 자체는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1939년까지 지속되었다. 건축에서 이 시절은 유겐트슈틸 (Jugendstil, Art Nouveau)과, 아름다운 건물 장식으로 알려진 오토 바그너 (Ottoo Wagner; 주요 건축물 Kirche am Steinhof)와 절제된 건축을 대표하는 아돌프 루스 (Adolf Loos)의 대비되는 건축의 시대였다. 아르 누보와 모던 양식은 상대적으로 다른 나라에 비해서 늦게 1900년 경 오스트리아에 들어왔고 그 양식은 다른 유럽 도시들에서 먼저 벌어진 그 양식들과 구별되었다. 이 시대의 두드러진 문필 중 하나는 수필가이자 풍자가인 칼 크라우스 (Karl Kraus)이며 1899년 창립한 신문 '횃불' (Die Fackel)로 유명하다. 음악계에서는 요한 슈트라우스 (Johan Strauss)와 그 가문이 전반적으로 그 시절 빈을 평정했으며, 프란츠 슈베르트 (Franz Schbert), 루트비히 판 베토벤 (Ludwig van Beethoven), 안톤 브루크너 (Anton Bruckner), 요하네스 브람스 (Johannes Brahms), 아르놀트 쇤베르크 (Arnold Schoenberg) 프란츠 레하르 (Franz Lehár)와 구스타프 말러 (Gustav Mahler) 역시 있었다. 20세기가 시작할 무렵 (세기말 Fin de siècle), 전위예술 (avant-garde)은 종종 빈 사회에 충격을 주며 전통적 가치와 도전하기 시작했다. 아르튀어 슈니츨러의 희곡 '레이겐' (Reigen)이나 클림트의 그림, 쇤베르크의 음악, 안톤 베벤 (Anton Webern)과 알반 베르크 (Alban Beeg) 그리고 2차 빈 악파 (Zweite Wiener Schule) 등이 그 예시이다. 세계 대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제1차 세계대전, 오스트리아 병합, 및 제2차 세계대전입니다. 독일의 오스트리아 병합 후, 빈 시내로 들어오는 독일군들 20세기 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발칸 반도로의 진출을 꾀했다. 이로 인해 범슬라브주의와 대립되었고, 1914년 사라예보 사건을 계기로 세르비아에 선전포고함으로써, 제1차세계대전이 발발했다. 전쟁이 장기화 되면서 1918년, 제1차 세계대전의 패배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해체되고, 1918년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 주도로 독일계 오스트리아 공화국이 성립되어 국민의회 결의에도 <독일계 오스트리아는 독일공화국의 한 구성요소>라고 명기되었으나 이 합병은 전승국들의 승인을 받지 못했다. 특히, 산업이 앞선 보헤미아의 상실, 전후 경제혼란과 1929년 대공황에 따라 기독교 사회당이 대두하였다. 이러한 내부상황은 상당히 혼란스러웠으며, 1932년 엥겔베르트 돌푸스 내각은 사회당, 공산당과 더불어 합병을 주장하는 나치를 탄압했다. 독일 민족주의자들은 나치에 가담해 1938년 오스트리아 병합을 단행하고, 1939년 나치 독일이 폴란드에 선전포고 함으로써 제2차 세계대전이 터지게 되었고, 나치 독일에 병합된 오스트리아 역시 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게 되었다. 쿠르트 발트하임 유엔 사무총장(축사를 읽고 있는 이). 후에 오스트리아의 대통령(1986~92)을 지냈다. 현대[편집] 연합국의 점령과 제2공화국[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오스트리아의 연합군 군정기 및 오스트리아 국가 조약입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도 패전국이 되었으며 끝난 직후인 1945년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의 점령 하에서 오스트리아 사회 민주당의 카를 레너(독일어: Karl Renner)를 대통령으로 하는 사회민주당, 오스트리아 기독교 사회당, 그리고 연합정부로 임시정부를 구성하여 오스트리아 제2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연합정부는 제1차 세계대전 직후의 정부가 외부의 압력에 의해 수립되었던 것과는 달리 국민들의 자발적인 의지에 의해 성립되었다. 1945년 3월 빈에 소비에트 연방군이 진주하였고, 전후 미국·영국·프랑스·소련 4개국 점령 아래 유럽에 대한 경제원조로 공산주의의 확대를 막고자 한 경제지원책인 마셜 플랜을 받아들였으며, 4개국회의를 거쳐 1955년 오스트리아 국가 조약으로 자유영세중립국으로 주권이 회복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오스트리아는 1955년 영세 중립을 전제로 하여 점령군이 철수하였고, 그해 12월 유엔에 가입하였다. 유럽 연합에는 1995년에 가입하였으며 2002년부터 유로를 사용하였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오스트리아의 역사 (영어) History of Austria: Primary Documents vdeh유럽의 역사 독립국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라트비아 러시아[* 1]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모나코 몬테네그로 몰도바 몰타 바티칸 시국 벨기에 벨라루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산마리노 세르비아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2]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아르메니아[* 3]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1] 안도라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영국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 이탈리아[* 2] 조지아[* 1] 체코 카자흐스탄[* 1] 코소보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3] 터키[* 1]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속령 건지섬 멘섬 스발바르 제도 아크로티리 데켈리아[* 3] 올란드 제도 저지섬 지브롤터 페로 제도 체첸 공화국 인구시 공화국 다게스탄 공화국 아디게야 공화국 미승인국 아르차흐 공화국[* 3] 남오세티야[* 1] 북키프로스[* 3] 압하지야[* 1] 트란스니스트리아 노보로시야 연방국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일부 영토가 아시아에도 속한다. ↑ 가 나 일부 영토가 아프리카에도 속한다. ↑ 가 나 다 라 마 지리적으로는 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문화적 이유로 종종 유럽으로 분류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오스트리아의_역사&oldid=22835845" 분류: 오스트리아의 역사오스트리아숨은 분류: 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ашҡортсаBoarisch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Italiano日本語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loven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3일 (화) 01:5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오스트리아의 역사는 구석기 시대의 최초의 정착부터 시작하여 현대에 이른다. 996년 "오스타리치(Ostarrichi)"라는 이름으로 최초로 언급된 이 땅은, 처음에는 바이에른 공국의 국경지구에 속했다가 1156년부터 1806년까지는 (대)공국으로서 신성 로마 제국의 독립적 구성국가가 되었다. "오스트리아 왕가"(Haus Österreich)라 불리며 광대한 꿈의 지배권을 얻었던 합스부르크 왕가 하에서, 수 세기 동안 오스트리아는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를 배출했다. 1804년 선언된 오스트리아 제국(당시 헝가리와 보헤미아까지 포괄)은 제국의 서쪽 부분이 1815년부터 1866년까지 독일 연방의 일부였고, 1867년부터는 그때부터 독립국가가 된 헝가리 왕국과 함께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 왕조를 구성했다.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제국이 산산조각난 이후인 1918년부터 1921년 오스트리아는 오늘날의 국경선을 형성하게 된다. 1938년 나치 정권은 오스트리아를 독일국(Deutsches Reich)에 편입시켰다. 오스트리아는 1945년부터 다시 독립국, 1955년부터는 주권을 회복한 공화국이 되었고, 1995년엔 유럽 연합에 가입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오스트리아는 어떤 근대 역사를 가진 국가야? Assistant: 메테르니히 공 (Fürst). 토마스 로렌스 작. 1820년 경. 메테르니히 치하, 1815년부터 1848년까지 오스트리아 제국은 검열과 경찰 국가 체제로 들어섰다. 이 시대는 비더마이어(Biedermaier) 혹은 포르매르츠 (Vormärz)시대라 불리며, 후자는 1848년 3월 혁명 전까지의 시대를 일컫는다. 1823년, 오스트리아 황제는 5명의 로스차일드 (Rothschild) 형제를 남작으로 봉했다. 런던의 내이선 매이어 로스차일드 (Nathan Mayer Rothschild)는 작위를 받지 않기로 했다. 로스차일드 가문은 유럽 주요 국가에서 은행가로 유명해졌다. 메테르니히는 자유주의자들의 입헌 개혁 요구를 단호하게 막았다. 정부는 관습법과 제국칙령 (Hofkanzleifekrete)에 의해 존재했다. 하지만 자유주의와 국가주의, 두 이념의 대두로 결국 1848년 혁명은 일어났다. 메테르니히와 정신적으로 문제있던 황제 페르디난트 1세는 각각 사임, 퇴위해야 했고 제위는 황제의 어린 조카, 프란츠 요제프에게 넘어갔다.
Human: 아래 구산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구산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구산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구산역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구산 역명판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서울교통공사 소재지 서울특별시 은평구 연서로 지하137-1 개업일 2000년 12월 15일 역 번호 615 승강장 구조 1면 1선(단선) 노선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 기점 5.1 km ■ 서울 지하철 6호선 연신내(1.5 km) 응암 →(1.5 km) 구산역(龜山驛)은 서울특별시 은평구 구산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지하철역이다. 갈현동, 구산동, 대조동, 역촌동에 걸쳐 있으며, 서오릉 방향으로 1.3km 정도 가면 경기도 고양시가 나오게 된다. 목차 1 역사 2 역 구조 2.1 승강장 3 역 주변 4 이용객 변동 5 사진 6 인접한 역 7 각주 8 외부 링크 역사[편집] 2000년 12월 15일 :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 ~ 상월곡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역 구조[편집] 응암 순환 구간에 위치한 1면 1선의 곡선 단선 승강장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4개가 있다. 승강장[편집] 연신내 순환 | 응암 ↓ 순환 ■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 · 디지털미디어시티 · 공덕 · 봉화산 방면 역 주변[편집] 대조동 동명여자정보산업고등학교 삼성타운아파트 서오릉방면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방면 역촌동 KEB하나은행역촌동지점 구산동 역촌중앙시장 대조초등학교 예일초등학교 예일여자중학교 예일여자고등학교 예일디자인고등학교 선정고등학교 구산초등학교 역촌사거리방면 구산사거리방면 갈현2동 갈현동우체국 선진운수 본사·갈현·용두동영업소 방면 이용객 변동[편집]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0년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6호선 승차 4,307 5,446 6,290 6,791 7,049 7,144 7,005 6,958 6,968 6,897 [1] 하차 3,516 4,517 5,133 5,545 5,669 5,634 5,521 5,418 5,359 5,285 승하차 7,824 9,963 11,424 12,336 12,718 12,778 12,527 12,377 12,327 12,183 노선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6호선 승차 7,064 7,242 7,595 7,954 7,993 8,280 8,288 8,257 하차 5,508 5,592 5,799 6,095 5,994 6,008 6,069 6,120 승하차 12,572 12,834 13,394 14,049 13,987 14,288 14,357 14,377 사진[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구산역 1번 출구 2번 출구 3번 출구 4번 출구 출입구 엘리베이터(지상) 엘리베이터(지하) 화장실 개찰구 에스컬레이터 단선 구간 안내 표지판 인접한 역[편집] 서울 지하철 6호선 614 연신내응암 순환 ■ 서울 지하철 6호선 610 응암봉화산 방면 각주[편집] ↑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외부 링크[편집] 구산역 소개 (서울교통공사 사이버 스테이션 홈페이지) vdeh서울 지하철 6호선응암 → 역촌 → 불광 → 독바위 → 연신내 → 구산 → 응암 - 새절 - 증산 - 디지털미디어시티 - 월드컵경기장 - 마포구청 - 망원 - 합정 - 상수 - 광흥창 - 대흥 - 공덕 - 효창공원앞 - 삼각지 - 녹사평 - 이태원 - 한강진 - 버티고개 - 약수 - 청구 - 신당 - 동묘앞 - 창신 - 보문 - 안암 - 고려대 - 월곡 - 상월곡 - 돌곶이 - 석계 - 태릉입구 - 화랑대 - 봉화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구산역&oldid=24189520" 분류: 서울 지하철 6호선2000년 개업한 철도역숨은 분류: 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Ido日本語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2:1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구산역(Gusan station, 龜山驛)은 서울특별시 은평구 구산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전철역이다. 갈현동, 구산동, 대조동, 역촌동에 걸쳐 있으며, 서오릉 방향으로 1.3km 정도 가면 경기도 고양시가 나오게 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구산역의 2003년 6호선승하차 승객 수는? Assistant: 11,424 Human: 아래 허리케인_샌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허리케인 샌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허리케인 샌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허리케인 샌디 (AL182012) 3등급 허리케인 (SSHS) 허리케인 샌디 (10월 25일 오후 3시 20분 (UTC)) 발생일 2012년 10월 22일 소멸일 2012년 10월 30일 최저 기압 940hPa 최대 풍속(1분 평균) 50m/s (100kt) 최대 크기(직경) 폭풍경 1520km 인명 피해(사망·실종) 253명 사망, 15명 실종 재산 피해(억원) - 허리케인 샌디(Hurricane Sandy)는 2012년 10월 말, 자메이카와 쿠바, 미국 동부 해안에 상륙한 대형 허리케인이다. 허리케인 샌디는 최대풍속이 초속 50m에 가까울 정도로 엄청난 위력을 발휘했다. 또한 폭풍직경이 최대 1520 km로, 종전 기록인 허리케인 이고르의 1480 km를 깨고 북대서양 사상 최대 규모의 허리케인으로 기록되었다. 허리케인 샌디가 미국 동부로 접근 중이다는 소식이 들려오자 오바마 대통령과 롬니 후보 등등 여러 대선 후보의 연설이 줄줄이 취소되었다. 10월 29일 오후 8시 (미국 동부 시간)에 뉴저지주 남부 해안에 상륙한 데 이어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된 이후, 10월 31일 소멸하였다. 한편 허리케인 샌디는 미국 22개 주에 영향을 줬는데, 폭우와 바람 뿐만 아니라 폭설도 기록될 정도로 유별난 허리케인이었다. 또한 11월 30일 현재 미국은 $630억, 쿠바는 $20억, 총합은 약 655억 달러의 피해가 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목차 1 이동 경로 2 피해 2.1 카리브 해 지역 2.1.1 자메이카 2.1.2 히스파니올라 2.1.3 쿠바 2.1.4 기타 지역 2.2 바하마 2.3 미국 2.4 캐나다 3 같이 보기 4 외부 링크 이동 경로[편집] 허리케인 샌디의 이동경로 2012년 10월 19일, 열대 파동이 카리브 해 동부에서 서진하고 있었다. 10월 20일, 점차 발달하기 시작하여 10월 22일 오후 3시 (UTC)에 이 열대 파동은 제18호 열대저기압으로 지정되었다. 이 열대저기압은 발생할 당시에 멕시코 만에서 동쪽으로 확장된 고기압의 남쪽에 위치하였는데, 이곳은 낮은 윈드 시어와 높은 수온이 있어 급격한 발달이 일어날 수 있는 곳이었다. 10월 22일 밤 열대폭풍 샌디(Sandy)로 발달하였다. 한편 RSMC인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이하 NHC)에서는 "매년 지금쯤에 따뜻한 수온의 카리브 해 남서부에서 정체되는 현상은 좋은 조짐이 아니다"라고 하여 샌디의 위험성을 조기에 인식했다. 10월 24일 오전, 허리케인의 눈이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자메이카 킹스턴 남쪽 105 km 부근에 위치한 열대폭풍 샌디를 허리케인으로 상향 조정하였다. 같은 날 오후 7시 (UTC)에 허리케인 샌디는 시속 130km(70 노트)의 풍속으로 킹스턴에 상륙하였다. 다시 카리브 해로 진출하여 10월 25일 오전 5시 25분 (UTC)에 쿠바에 상륙하기 전, 풍속이 시속 175km(95 노트)로 급격히 발달하여 3등급 허리케인이 되었다. 두 번째 상륙 당시 허리케인 샌디는 직경 37km의 눈을 갖고 있었다. 쿠바를 관통하는 동안에 눈벽 구조가 쇠퇴하여 위성사진으로 눈을 확인할 수 없게 되었다. 쿠바에서 빠져나온 이후에도 건조한 공기와 최대 40노트의 윈드 시어로 약화되었다. 이후 플로리다주에 위치한 중층 저기압(mid-level low)에 의해 허리케인은 북북서진하기 시작했다. 10월 26일 오전이 되자, 대부분의 대류는 윈드 시어에 의해 중심의 북쪽으로 치우쳐져 있었고, 크기가 빠르게 커지기 시작했다. 다음날, NHC에서는 허리케인 샌디에 온대저기압의 특성이 보이고 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50노트에 달하는 윈드 시어에도 불구하고 약화되지 않았으며, 이후 기압골에 의해 샌디는 북동쪽으로 진루를 틀었다. 10월 27일, 샌디는 잠시동안 열대폭풍으로 약화되었으나, 곧 다시 허리케인으로 발달하였다. 바하마에서 벗어난 후, 허리케인 샌디는 미국 동부 해안에 평행하게 북동진하여 계속 크기를 키웠다. 한때 폭풍경이 1500km 이상까지 커져 북대서양 최대 크기의 허리케인으로 기록되기도 했다. 이로 인해 상륙하지 않은 지역인 노스캐롤라이나주 등지에도 많은 피해를 끼쳤다. 허리케인 샌디는 10월 29일 저녁에 온대저기압으로 지정되면서 뉴저지주 남부 해안에 상륙하였으며, 10월 31일 오후에 소멸하였다. 피해[편집] 카리브 해 지역[편집] 자메이카[편집] 허리케인 샌디는 1988년 허리케인 길버트(Gilbert) 이후 처음으로 자메이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나무와 전선들은 부러졌고 부실한 집들은 비바람에 의해 크게 손상되었다. 자메이카의 남부 해안에서 떨어진 곳에서 100명 이상의 어부들이 고립되는 사태가 빚어지기도 했다. 킹스턴의 한 마을에서 한 남성이 집을 나가려다가 낙석에 맞아 숨졌다. 자메이카의 유일한 전력 발전소인 자메이카 공공 서비스 회사(Jamaica Public Service Company)에 의하면, 70%의 이용자가 전력이 차단된 상태라고 발표했다. 1,000명 이상의 사람들은 대피소를 찾기도 했다. 또한 자메이카는 국제항공편을 대부분 취소하였고, 경찰은 사람들의 외출을 제한하였다. 피해액은 전국 총합 약 $1650만 달러에 달했다. 히스파니올라[편집] 직접적으로 상륙하진 않았지만, 2010년 대지진과 콜레라의 계속된 확산으로부터 복구하고 있던 아이티에서는 최소 52명이 사망하였고, 계속된 비로 인해 약 20만명의 이재민이 발생하였다. 포트살루트(Port-Salut)에서는 강이 범람하여 큰 피해가 발생했다. 수도 포르토프랭스에서는 많은 도로들이 홍수로 인해 잠겼고, "아이티의 남쪽 반이 물에 잠겼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심각한 피해가 속출했다. 같은 해 8월의 허리케인 아이작 이후로 재정비했던 텐트와 빌딩들은 다시 무너지거나 물이 샜다. 주변국인 도미니카 공화국에서는 두 명이 사망하였고 8,755명이 대피하였다. CNN의 한 리포터에 의하면, 산토도밍고 도로의 70%가 홍수 피해를 입었다. 쿠바[편집] 샌디가 상륙하기 전에 이미 약 5만5천명이 대피하였다. 상륙할 당시에, 샌디는 9미터에 달하는 파도와 2미터의 폭풍 해일을 발생시켜 심각한 해안 홍수를 일으켰다. 쿠바에서는 광범위한 피해가 발생했다. 특히 산티아고데쿠바에서는 피해를 입은 132,733채의 집 중 15,322채는 파괴되었고 43,426채는 지붕을 잃었다. 도시의 대부분의 나무도 피해를 입었다. 샌디로 인해 쿠바에서 11명이 숨졌다. 이는 2005년 허리케인 데니스 이후 허리케인에 의한 사망자수가 가장 많은 것이다. 기타 지역[편집] 푸에르토리코에서는 1명이 강에 휩쓸려 사망하였다. 바하마[편집] 그랜드바하마 섬에 위치한 한 NOAA 기상관측소에서 74km/h의 풍속(102km/h의 돌풍)을 기록하였다. 바하마에서는 1명이 사망하였다. 윌리엄스 타운(Williams's Town)에서는 집 5채가 심하게 손상되기도 했다. 미국[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캐나다[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같이 보기[편집] 허리케인 아이린 허리케인 카트리나 허리케인 길버트 외부 링크[편집] 허리케인 샌디 정보 허리케인 샌디 위성사진 허리케인 샌디 열대 저기압 리포트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허리케인 샌디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허리케인_샌디&oldid=24471104" 분류: 2012년 북대서양 허리케인자메이카의 허리케인쿠바의 허리케인바하마의 허리케인도미니카 공화국의 허리케인아이티의 허리케인캐나다의 허리케인코네티컷주의 허리케인델라웨어주의 허리케인플로리다주의 허리케인일리노이주의 허리케인메인주의 허리케인메릴랜드주의 허리케인매사추세츠주의 허리케인미시간주의 허리케인뉴햄프셔주의 허리케인뉴욕주의 허리케인뉴저지주의 허리케인노스캐롤라이나주의 허리케인오하이오주의 허리케인펜실베이니아주의 허리케인로드아일랜드주의 허리케인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허리케인테네시주의 허리케인버몬트주의 허리케인버지니아주의 허리케인워싱턴 D.C.의 허리케인웨스트버지니아주의 허리케인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3등급 열대 저기압2012년 자메이카2012년 쿠바2012년 바하마2012년 미국2012년 캐나다2012년 10월2012년 11월2012년 도미니카 공화국2012년 버뮤다2012년 아이티숨은 분류: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বাংলা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हिन्दी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atinaLatviešuमराठीBahasa MelayuNāhuatl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ייִדיש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3일 (일) 20: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메이저 허리케인 샌디(영어: Hurricane Sandy)는 2012년 10월 말, 자메이카와 쿠바, 미국 동부 해안에 상륙한 대형 허리케인이다. 메이저 허리케인 샌디는 최대풍속이 초속 50m에 가까울 정도로 엄청난 위력을 발휘했다. 또한 폭풍직경이 최대 1520km로, 종전 기록인 허리케인 이고르의 1480km를 깨고 북대서양 사상 최대 규모의 허리케인으로 기록되었다. 허리케인 샌디가 미국 동부로 접근 중이다는 소식이 들려오자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와 밋 롬니 대선 후보 등등 여러 대선 후보의 연설이 줄줄이 취소되었다. 10월 29일 오후 8시 (미국 동부 시간)에 뉴저지주 남부 해안에 상륙한 데 이어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된 이후, 10월 31일 소멸하였다. 한편 허리케인 샌디는 미국 22개 주에 영향을 줬는데, 폭우와 바람 뿐만 아니라 폭설도 기록될 정도로 유별난 허리케인이었다. 또한 11월 30일 현재 미국은 630억 달러, 쿠바는 20억 달러, 총합 약 655억 달러의 피해가 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허리케인 샌디가 2012년 킹스턴에 도착했을당시 풍속은 어느정도 였는가? Assistant: 시속 130km(70 노트)의 풍속
Human: 아래 구_조선식산은행_충주지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구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구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구조선식산은행충주지점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구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종목 등록문화재 제683호 (2017년 5월 29일 지정)면적 건축면적 375m2수량 1동시대 일제강점기소유 충주시장위치 충주 성내동주소 충청북도 충주시 관아4길 14 (성내동)좌표 북위 36° 58′ 13″ 동경 127° 56′ 5″ / 북위 36.97028° 동경 127.93472°  / 36.97028; 127.93472좌표: 북위 36° 58′ 13″ 동경 127° 56′ 5″ / 북위 36.97028° 동경 127.93472°  / 36.97028; 127.93472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구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은 충청북도 충주시 성내동에 있는, 충주시장 소유의 건축물이다. 2017년 5월 29일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83호로 지정되었다.[1] 목차 1 개요 2 양식 및 주요 특징 3 사적 등록 사유 4 각주 5 참고 자료 개요[편집] 1906년 7월 내륙지방 관찰부소재지에 본점을 두는 지방은행으로 충주농공은행이 설립되었다. 충주농공은행은 탁지부령에 따라 1907년 6월 한성, 공주, 충주의 3개 농공은행이 통폐합하여 주식회사 한호농공은행 충주지점으로 재출발하였다. 1908년 6월에 충청북도 관찰부가 충주에서 청주로 이전함에 따라 같은 해 9월에는 출장소로 격하되었다. 병탄이후 일본인들의 이주증가와 함께 자금수요가 증가하면서 1912년 8월부터 영업소 신축에 착수하여 11월에 현 성내동 428번지(현 안경나라)에 완공되었다. 1918년에 일제는 농공은행이 경영파탄에 직면하자 6개 농공은행을 합병하여 식민지 산업금융기관으로 조선식산은행을 설립. 한호농공은행 충주지점은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으로 명칭 변경되었다. 1933년 12월 현재의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을 신축하여 해방 후 조선상호은행 충주지점, 한국상공은행 충주지점, 한국흥업은행 충주지점, 한일은행충주지점 건물로 쓰이다가 민간에 불하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양식 및 주요 특징[편집] 1930년대에 각 지역에 세워진 금융기관의 전형인 목골조 스터고 마감의 본관 건물과 사택에 해당되는 별관 건물(일본식 목조주택)이 이어져 있는 배치형태를 하고 있으며, 지붕은 만사르 지붕으로 지역도시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식민지배의 권위를 내세우는 모습을 하고 있다. 아르데코 분위기의 장식과 수직으로 긴 창을 설치하여 1930년대에 도입되기 시작한 모더니즘의 일면을 보여주기도 한다. 사적 등록 사유[편집] 목구조를 기본 구조체로 하고 외관에서 서양식 석조건물의 분위기를 추구하였던 일제강점기의 관공서 및 은행의 특징적 건축기법과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1] 각주[편집] ↑ 가 나 문화재청고시제2017-72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등록문화재 등록(천주교 진산 성지성당 등 5건)》, 문화재청장, 관보 제18018호, 211-212면, 2017-05-29 참고 자료[편집] 구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이 문서에는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한 국가문화유산포털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구_조선식산은행_충주지점&oldid=23565582" 분류: 충청북도의 등록문화재충주시의 문화재충주시의 건축물일제 강점기의 건축물1933년 완공된 건축물일제 강점기의 은행 건물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공공누리 제1유형 저작물을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1월 29일 (화) 12:4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구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은 충청북도 충주시 성내동에 있는, 충주시장 소유의 건축물이다. 2017년 5월 29일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683호로 지정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충주에 농공은행이 설립된 년도는 언제야? Assistant: 1906 Human: 아래 이민혁_(가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민혁 (가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민혁 (가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민혁기본 정보출생 1990년 11월 29일(1990-11-29) (28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노원구 중계동직업 래퍼, 프로듀서장르 랩, 힙합활동 시기 2012년 3월 21일 ~ 현재 레이블 카카오엠소속사 큐브 엔터테인먼트소속 그룹 비투비웹사이트 이민혁 - 트위터이민혁 - 인스타그램 이민혁(李旼赫, 1990년 11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보이 그룹 비투비의 리드래퍼를 맡고 있다. 현재 군복무 중이다 목차 1 학력 2 음반 활동 2.1 앨범 2.2 작사 2.3 작사 및 작곡 2.4 작사, 작곡 및 편곡 3 가수 외 활동 3.1 드라마 3.2 영화 3.3 방송 4 외부 링크 학력[편집] 서울중계초등학교 (졸업) 신수중학교 (졸업) 광성고등학교 (졸업) 단국대학교 뮤지컬학과 (중퇴)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음반 활동[편집] 이민혁이 그룹 비투비로 활동한 음반에 대해서는 비투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앨범[편집] 앨범 앨범 정보 트랙리스트 디지털싱글 《Piece of BTOB Vol.5》 발매일 : 2017년 8월 10일 Purple Rain (Feat. CHEEZE) Purple Rain (Inst.) 작사[편집] 년도 앨범 곡명 2012년 《비밀 (Insane)》 《비밀 (Insane)》 2013년 《두 번째 고백》 《두 번째 고백》 《스릴러》 《스릴러》, 《왜 이래》, 《Catch Me》, 《크리스탈같이》, 《별》 2014년 《Move》 《넌 감동이야》, 《잘 지내겠죠》, 《넌 나의 천사》 《The winter's tale》 《한 모금》, 《마쎠!》 2015년 《Complete》 《괜찮아요》, 《북치고 장구치고》, 《친구의 여자친구》, 《어기여차 디여차》, 《비밀(Insane) (Acoustic Ver.》 포스트맨 《I'm OK》 《I'm OK》 제국의 아이들 《CONTINUE》 《CONTINUE》 《I Mean》 《나 빼고 다 늑대》, 《심장어택》, 《Neverland》 민아, 이민혁 《달콤살벌 패밀리 OST》 Part.3 《아니》 2016년 애니메이션 《텔레몬스터 OST》 《이리와》 《NEW MEN》 《기도(I'll BE Your Man)》, 《무료해(콕 To Me)》, 《Yes I Am》, 《놀러와》, 《예지앞사》 2017년 《Feel'eM》 《말만 해》, 《Movie》, 《빨리 뛰어(Rock N Hiphop)》, 《언젠가(Someday)》 《Brother Act.》 《그리워하다》, 《My lady》, 《새빨간 거짓말》, 《신바람》, 《나나나》, 《꿈에》, 《이별을 만나다》, 《Fly Away》, 《Finale : 우리들의 콘서트》 2018년 《This Is Us》 《Call me》, 《너 없인 안된다》, 《Yeah》, 《Blue Moon》, 《IceBreaker》, 《The Feeling》 《HOUR MOMENT》 《FRIEND》, 《Like it》, 《나비》, 《제발》, 《아름답고도 아프구나》 작사 및 작곡[편집] 년도 앨범 곡명 2014년 《뛰뛰빵빵》 《Hello Mello》 2017년 《Brother Act.》 《Guitar(Stroke of love)》 2018년 《This Is Us》 《Blue Moon》 《HOUR MOMENT》 《제발》 2019년 《HUTAZONE》 《HUTAZONE》, 《YA》, 《너도? 나도!》, 《아무렇지 않은 척》, 《꿈인가 봐요》, 《낙화(落花)》, 《Fallin’》, 《ALL DAY》, 《Purple Rain》, 《오늘 밤에》, 《Waiting For You》 작사, 작곡 및 편곡[편집] 년도 앨범 곡명 2015년 《Complete》 《open》 2017년 《Feel'eM》 《About Time》 이민혁 《Piece of BTOB Vol.5》 《Purple rain》 소희, 김상균 《유치해도(Prod. 이민혁(BTOB)》 《유치해도》 가수 외 활동[편집] 드라마[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정보 2012년 JTBC 청담동 살아요 청담불패 역 170부작 MBC 에브리원 무작정 패밀리 시즌 2 조카 역 2013년 tvN 환상거탑 민호 역 8부작 tvN 몬스타 마루 역 SBS 상속자들 . 특별출연 (4회) 2014년 KBS2 부부클리닉 사랑과 전쟁 2 현우 역 4월 4일 MBC 개과천선 이지혁 역 4월 30일 2015년 MBC 달콤살벌 패밀리 윤성민 역 20부작 2016년 웹드라마 악몽선생 서상우 역 12부작 웹드라마 아이언레이디 마록희 역 8부작 2017년 웹드라마 뜻밖의 히어로즈 배준영 역 10부작 2018년 MBC 대장금이 보고있다 민혁 역 12부작 2018년 웹드라마 넘버 식스 원탁 역 8부작 영화[편집] 《검객》 (2018년) - 겸사복 역 방송[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연도 방송사 제목 회차 방영일 2012년 QTV 7번가의 기적 KBS2 출발드림팀 시즌 2 146회 8월 26일 tvN 더 로맨틱 & 아이돌 1 ~ 8회 11월 ~ 12월 2013년 MBC 제6회 아이돌 스타 육상 양궁 선수권 대회 KBS2 출발드림팀 시즌 2 191회, 196회, 202회 MBC 제7회 아이돌 육상 풋살 양궁 선수권대회 MBC 세바퀴 227회 11월 9일 2014년 MBC 제8회 아이돌 육상 양궁 풋살 컬링 선수권 대회 KBS2 출발드림팀 시즌 2 218회, 219회, 224회 Mnet 비틀즈코드 시즌 3D 9회 2월 18일 SBS MTV 멋진남자 비투비 3월 4일 MBC 쇼! 음악중심 400회 특집 3월 8일 KBS2 우리동네 예체능 SBS 에코빌리지 즐거운 家! 8월 31일 SBS 매직아이 10월 14일 2015년 SBS 런닝맨 233회 예능 보석 특집 2월 8일 KBS2 출발 드림팀 시즌2 5월 31일 Mnet 하트어택 7월 17일 디즈니채널 미키마우스클럽 8월 6일 2016년 SBS 동상이몽, 괜찮아 괜찮아 48회 4월 11일 tvN 연극이 끝나고 난 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이민혁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vdeh비투비 서은광 이민혁 이창섭 임현식 프니엘 정일훈 육성재 미니 음반 Born TO Beat Born TO Beat (Asia Special Edition) Press Play 디지털 싱글 "비밀 (Insane)" "Imagine" "아버지" "사랑병" 같이 보기 큐브 엔터테인먼트 공식 웹사이트: 대한민국 vdeh큐브 엔터테인먼트경영진 홍승성 (회장·총괄 프로듀서) 신대남 (대표이사·사장) 그룹 비투비 - 서은광, 이민혁, 이창섭, 임현식, 프니엘, 정일훈, 육성재 CLC - 오승희, 최유진, 장승연, SORN, 장예은, 엘키, 권은빈 펜타곤 - 후이, 진호, 홍석, 신원, 여원, 옌안, 유토, 키노, 우석 (여자)아이들 - 소연, 미연, 민니, 수진, 우기, 슈화 가을로 가는 기차 - 지현, 수빈, 아영, 소미 솔로 조권 장현승 라이관린 유선호 희극인 이휘재 허경환 배우 조서하 나종찬 최대훈 연습생 조우찬 이주현 한초원 관련 문서 큐브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iHQ CUBE TV 전거 통제 뮤직브레인즈: 99fcd732-b610-4167-8008-5a900414eb47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민혁_(가수)&oldid=24541982" 분류: 1990년 태어남서울특별시 출신살아있는 사람서울중계초등학교 동문신수중학교 동문광성고등학교 (서울) 동문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동문2012년 데뷔비투비의 일원대한민국의 래퍼대한민국의 남자 래퍼대한민국의 아이돌대한민국의 힙합 음악가서울특별시 출신 래퍼서울특별시 출신 음악가대한민국의 음악 프로듀서대한민국의 힙합 프로듀서큐브 엔터테인먼트 소속숨은 분류: 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ไทย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8일 (월) 08:1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민혁(李旼赫, 1990년 11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래퍼이자 작사가, 작곡가, 프로듀서이며, 대한민국의 보이 그룹 비투비의 리드래퍼를 맡고 있다. 2020년 9월 12일에 전역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민혁이 작사 및 작곡한 앨범에는 어떤것들이 있을까? Assistant: 년도 앨범 곡명 2014년 《뛰뛰빵빵》 《Hello Mello》 2017년 《Brother Act.》 《Guitar(Stroke of love)》 2018년 《This Is Us》 《Blue Moon》 《HOUR MOMENT》 《제발》 2019년 《HUTAZONE》 《HUTAZONE》, 《YA》, 《너도? 나도!》, 《아무렇지 않은 척》, 《꿈인가 봐요》, 《낙화(落花)》, 《Fallin’》, 《ALL DAY》, 《Purple Rain》, 《오늘 밤에》, 《Waiting For You》
Human: 아래 헤르메스주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헤르메스주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헤르메스주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 우주 전체의 지혜의 세 부문을 상징하는 태양 · 달 · 별(천구의)이 들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 헤르메스주의(Hermeticism),헤르메스학 또는 서양의 헤르메스 전통(Western Hermetic Tradition)은, 이집트 신인 토트와 그리스 신인 헤르메스가 결합된 신 또는 반신적 존재인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의 저작인 것으로 전통적으로 가정하는, 혼합주의가 널리 행해졌던 헬레니즘 이집트(305~30 BC) 시대와 기원후 1~3세기에 주로 성립된 외경적인 저작들("코르푸스 헤르메티쿰")에 기초하는 일군의 철학적 · 종교적 믿음들[1] 또는 지식들("그노시스")이다. 헤르메스주의의 믿음들 또는 지식들은 서양의 밀교 전통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르네상스(14~16세기) 시대 동안 크게 중요시되었다.[2] 목차 1 어원 2 역사 2.1 고대 후기 2.2 르네상스 시대 2.3 현대 3 헤르메스주의 문헌 3.1 3대 문헌 3.1.1 코르푸스 헤르메티쿰 3.1.2 에메랄드 타블레트 3.1.3 키발리온 3.2 기타 문헌 4 "세 번 위대한"의 의미 4.1 프리스카 테올로기아 4.2 우주 전체의 지혜의 세 부문 4.2.1 연금술 4.2.2 점성술 4.2.3 신성 마법 5 헤르메스주의의 믿음 5.1 신 5.2 4대 원소 5.3 위에서와 같이 아래에서도 5.4 윤회 5.5 선악과 도덕 5.6 우주발생론 6 헤르메스주의 단체 6.1 장미십자회 6.2 골든 돈 7 기독교 밀교 8 함께 보기 9 각주 10 참고 문헌 11 외부 링크 어원[편집] 기원전 5세기 초 그리스 고전기의 헤르마의 두상: 수염이 있는 헤르메스를 표현하고 있다. 기원전 520년경의 그리스 고전기의 헤르마: 헤르메스를 나타낸 것으로 여겨지며 남근이 남아 있는 희귀한 사례이다. "헤르메스의 · 헤르메스주의의"로 번역되는 "허메틱(Hermetic)"이라는 낱말은 중세의 라틴어 "헤르메티쿠스(Hermeticus)"로부터 왔다. 그리고 라틴어 "헤르메티쿠스"는 그리스 신 헤르메스(Hermes)의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예를 들어, 프란츠 바르돈(Franz Bardon)에 대해 말할 때 헤르메스주의의 저술가들(Hermetic writers) 중의 한 명이라고 할 때 처럼, 허메틱(Hermetic)이라는 영어 형용사 단어가 사용된 것은 17세기부터이다. "허메틱"과 동의어인 "허메티컬(Hermetical)" 역시 17세기에 나타났다. 한 예로, 토머스 브라운 경(Sir Thomas Browne)은 1643년에 출판된 자신의 저서 《레리기오 메디시(Religio Medici)》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이제, 이들 개별적이고 담당하는 일이 서로 별도인 영(靈)들 외에도, 내가 아는 한, 세상 전체에 상응하는 어떤 보편적이고 공통되는 대령(大靈)이 있을 것이다. 이는 플라톤이 가졌던 견해였으며 또한 현 시대까지의 "헤르메스주의의 철학자들(Hermetical Philosophers)"이 지금도 여전히 가지고 있는 견해이다. —  《레리기오 메디시(Religio Medici)》, 1부 32절 그리스 신 '헤르메스(Hermes)' 이름의 어원이 그리스어 "헤름(Herm)" 또는 "헤르마(Herma)"에 있으므로 "허메틱(Hermetic)"이라는 낱말의 어원도 최종적으로는 그리스어 헤름 또는 헤르마에 있다. 헤름 또는 헤르마는 그리스 고전기 이전의 고대 그리스에서 사용되었던 "사각형의 기둥 또는 석주(石柱)로 맨 위에는 수염이 있는 두상이 놓여 있다. 이러한 형태의, 사지가 없는 사각형의 헤르메스 기둥은 가공되지 않은 바위에서 한 단계 더 진전된 형태의 것이다."[3] "헤르메스"라는 단어의 기원은 신들과 의사소통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던 석주와 관련이 있으며 "헤름(Herm)"으로 시작되는 이름들이 사용된 것은 최소한 기원전 600년 전부터이다. 고전기 이전의 그리스인들은, 지금의 "신(god 또는 God)"이라는 단어처럼, 모든 신에 대해 사용하는 일반 명칭으로 "헤르메스(Hermes)"라는 이름을 사용하였으며, 헤르메스가 지식의 신과 관련 맺어진 것은 기원후 2세기의 아테네에서였다.[4] "허메틱(Hermetic)"이라는 낱말은 존 에버라드(John Everard)가 라틴어본으로부터 영문 번역하여 1650년에 출판한 《코르푸스 헤르메티쿰》의 "포이만드레스(Pimander)"에서 사용되었다.[5] 메리 앤 애트우드(Mary Anne Atwood)는 듀프레즈노이(Dufresnoy)가 허메틱이라는 낱말이 1386년에 사용되었다고 말했다는 것을 자신의 저서에서 언급하였다.[6][7] 역사[편집] 고대 후기[편집] 헤르메스주의의 상징인 커듀셔스(Caduceus) 헬레니즘 종교, 헬레니즘 다신교의 쇠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고대 후기에 헤르메스주의(Hermetism[8])는 나스티시즘 · 신플라톤주의 · 초기 기독교와 동시대에 나란히 출현하였으며,[9] 전적인 이성(理性)중심주의 또는 주지주의와 전적인 교리주의적 신앙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을 가졌다는 특징이 있다.[9] 현재 《코르푸스 헤르메티쿰》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헤르메스주의 전집은 기원후 2세기경에 발생하였던 지적 · 혼합주의적 성격의 비기독교적 사상의 일부가 르네상스 시대에 부활하면서 성립된 것이다. 고대 후기에 속한 다른 비기독교적 문화적 운동의 사례로는 나스티시즘의 사상과 문헌들, 신플라톤주의의 철학, 《칼데아 신탁(Chaldaean Oracles)》, 후기 오르페우스 문학, 신피타고라스 학파의 저작들이 있다. 현존하는 원본 그리스어 헤르메스주의 문헌들에서는 신의 일체성과 신의 선함에 대해 깊이 다루고 있으며, 영혼이 정화되어야 함을 역설하고 있으며, 상(像)의 숭배와 같은 비기독교적 종교적 수행을 옹호하고 있다. 현존하는 많은 라틴어 번역 문헌들에서 연금술에 대한 토론이 철학적 은유의 옷을 입은 상태로 포함되어 있는데, 많은 상실된 그리스어 원본들에서도 마찬가지였던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그리고, 그리스어 원본은 상실되었지만 라틴어 번역본으로 일부 내용이 보존되어 있는 《아스클레피오스》라는 문헌에는 이집트에서 로마의 지배가 끝날 것이며 비기독교적 이집트인들이 다시 권력을 되찾게 되리라는 피의 예언을 담고 있다. 헤르메스주의 문헌의 주된 구성 형식은 대화체이다. 예를 들어,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가 혼란에 처해 어찌할 바를 모르는 제자에게 숨겨진 지혜의 일부를 대화를 통해 가르치는 형식이다.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에 대한 플루타르코스의 언급은 기원후 1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테르툴리아누스 · 이암블리코스 · 포르피리오스는 모두 헤르메스주의의 문헌들에 대해 잘 알고 있었다.[10] 르네상스 시대[편집] 헤르메스주의는 수 세기 동안 별다른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가 1460년에 레오나르도[11] 라는 수사가 《코르푸스 헤르메티쿰》을 이탈리아의 피스토이아(Pistoia)로 가져오면서 서양 세상에 재도입되었다. 레오나르도는, 상실된 고대의 저작들을 찾아 유럽의 수도원들을 샅샅이 뒤지도록 하기 위해, 피스토이아의 통치자였던 코시모 데 메디치(1389~1464)가 파견하였던 대리인들 중의 한 명이었다.[12] 1614년에 스위스의 고전학자이자 문헌학자였던 아이작 카소봉(Isaac Casaubon: 1559~1614)은 헤르메스주의 문헌의 문체를 분석하여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의 저술인 것으로 간주하는 헤르메스주의의 문헌들은 고대 이집트 사제의 작품이 아니며 그 성립 시대가 서력기원 후라고 주장하였다.[12][13] 현대[편집] 1924~25년에 《헤르메티카(Hermetica)》를 편찬한 월터 스콧(Walter Scott: 1854~1925, 영국 학자)은 헤르메스주의 문헌들의 성립 연대가 기원후 200년 직후라고 보았으며, 반면 이집트학 학자인 윌리엄 피트리(Sir William Flinders Petrie: 1853~1942)는 기원전 500년에서 기원전 200년 사이라고 보았다.[14] 1945년에 발견된 나그함마디 문서에는 헤르메스주의의 문헌이 일부 포함되어 있었다. 이 문헌들에는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와 아스클레피오스 간의 대화들 중의 일부를 기록한 코르푸스 헤르메티쿰에 속한 저작과, 헤르메스주의 신비 학교들에 관한 저작으로 콥트어로 기록된 《오그도아드와 엔네아드에 대하여(On the Ogdoad and Ennead)》가 들어 있다.[15] 헤르메스주의 문헌[편집]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종교 운동들을 연구하는 학자인 토바이어스 처턴(Tobias Churton)은 헤르메스주의에 대해 다음과 같이 진술하였다.[1] 헤르메스주의 전통은 온건하면서도 유연하다. 헤르메스주의 전통의 종교는 관용적인 철학적 종교이며, (편재하는) 마음의 종교이며, 신 · 우주 · 자아에 대한 정화되고 정련된 인식을 제공하며, 영적 탐구자에게 탐구를 향한 용기를 크게 북돋우는 종교이다. 탐구자는 헤르메스주의 전통의 어디에서건 이 모든 요소들을 발견하게 된다.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의 저작이라고 잘못 가정된 많은 문헌들이 있지만, 전통적으로, 헤르메스주의자들은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가 직접 저술한 42권의 책이 있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이 책들 중의 대다수는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이 파괴될 때 함께 상실된 것으로 보고 있다. 3대 문헌[편집]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 시에나 대성당(Siena Cathedral) 바닥의 모자이크 17세기의 에메랄드 타블레트 상상도: 하인리히 쿤라트(Heinrich Khunrath), 1606년 작 키발리온의 프랑스어판 표지 헤르메스주의의 철학적 신념 체계 또는 종교적 신앙 체계를 보여주는 널리 알려진 문헌 또는 헤르메스주의 경전으로는 《코르푸스 헤르메티쿰(Corpus Hermeticum)》·《에메랄드 타블레트(Emerald Tablet)》·《키발리온(Kybalion)》의 3대 문헌이 있다. 코르푸스 헤르메티쿰[편집] 《코르푸스 헤르메티쿰》은 가장 널리 알려진 헤르메스주의 문헌이며 원본은 그리스어로 기록되어 있다. 총 18권의 책이 수록된 전집이며, 이 책들은 모두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와 일련의 다른 존재들 또는 사람들 사이의 대화로 구성되어 있다. 제1권의 제목은 "포이만드레스(Poimandres)"이다. 이 책은 신, 또는, 신의 속성 중 하나인 누스(Nous)에 해당하는 포이만드레스라는 존재와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가 주고 받은 토론을 담고 있다. 전통적으로, 헤르메스주의자들은 이 책은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가 명상 상태에서 계시적으로 깨우친 바를 기술한 것이라 보고 있다. 또한, 이 책은,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가 성취한, 신과의 최초의 접촉에 대한 기록이라고 보고 있다. 이 책에서 포이만드레스는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에게 우주의 비밀들을 가르친다. 제1권 외의 나머지 책들은 대체로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가 아스클레피오스와 그의 아들인 타트(Tat) 등의 인물들에게 가르침을 전하는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다. 에메랄드 타블레트[편집]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의 에메랄드 타블레트(The Emerald Tablet of Hermes Trismegistus》 또는 간단히《에메랄드 타블레트(Emerald Tablet)》는 오컬트 분야에서 아주 잘 알려진 금언인 "위에서와 같이 아래에서도(As above, so below)"라는 말이 만들어지게 된 원천 텍스트가 들어 있는 아주 짧은 문헌이다. 데니스 호크(Dennis W. Hauck)는 이 원천 텍스트를 다음과 같이 번역하였다.[16] 아래에 있는 것은 위에 있는 것과 상응하고 위에 있는 것은 아래에 있는 것과 상응한다. 그리하여 하나인 존재의 기적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 문헌에는 우주 전체의 지혜의 세 부문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는 이 세 부문의 지식을 가지게 된 것이 "세 번 위대한(thrice-great)"이라는 의미의 "트리스메기스투스(Trismegistus)"라는 이름을 받게 된 이유라고 주장한다. 전설에 따르면, 《에메랄드 타블레트》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예루살렘에서 남쪽으로 30km 떨어진 헤브론에 있던,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의 무덤이라고 주장되는 곳에서 발견하였다고 한다.[17] 키발리온[편집] 《키발리온: 헤르메스주의의 철학(The Kybalion: Hermetic Philosophy)》 또는 간단히 《키발리온(키발리온)》은 1912년에 출판된 익명의 공저자들이 저술한 책이다. 이 책에서 이 공저자들은 자신들을 "세 명의 비전가들(Three Initiates)"이라 부르고 있다. 이 책에는 많은 헤르메스주의의 원리들이 해설되어 있다. 기타 문헌[편집] 위의 3대 문헌들만큼 잘 알려진 것은 아니지만 헤르메스주의와 그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다른 저작들이 있다. 《헤르메스주의 철학과 연금술의 탐구(A Suggestive Inquiry into Hermetic Philosophy and Alchemy)》:이 책은 매리 앤 애트우드(Mary Anne Atwood)가 저술한 것으로 원래는 1850년에 익명으로 출판되었다. 그 후 저자에 의해 출판물이 회수되었다가 그녀의 사후에 자신의 오랜 친구였던 이자벨 드 스타이거(Isabelle de Steiger)에 의해 재출판되었다. 이자벨 드 스타이거는 골든 돈(Golden Dawn: 문자 그대로의 뜻은 "황금 새벽")이라는 단체의 회원이었으며, 이 책은 골든 돈에서 헤르메스주의를 공부하는 기초 텍스트로 사용되었다.[18] 이 결과 골든 돈의 회원들에 의해 예닐곱 권의 헤르메스주의 저작들이 저술되어 출판되었다.[18] 《헤르메스주의 박물관(Hermetic Museum)》과 《파라셀수스의 헤르메스주의와 연금술 저작들(Hermetic and Alchemical Writings of Paracelsus)》: 골든 돈의 회원이었으며 나중에 이 단체의 회장이 되었던 아서 에드워드 웨이트는 《헤르메스주의 박물관(Hermetic Museum)》이라는 책을 저술하여 출판하였고, 후에 이 책은 《헤르메스주의 박물관의 복구 및 확장판(Hermetic Museum Restored and Enlarged)》이라는 제목으로 재출판되었다. 또한 웨이트는 2권으로 이루어진 《파라셀수스의 헤르메스주의와 연금술 저작들(Hermetic and Alchemical Writings of Paracelsus)》이라는 책을 편집 · 출판하였다. 웨이트는 자신을 스스로 헤르메스주의자라고 생각하였으며 골든 돈의 공식 명칭인 "허메틱 오더 오브 더 골든 돈(Hermetic Order of the Golden Dawn: 황금새벽단, 문자 그대로의 뜻은 '황금 새벽이라는 명칭의 헤르메스주의적 단체')"에 "허메틱(Hermetic · 헤르메스주의)"이라는 낱말이 들어가도록 하는데 주된 역할을 하였다.[19] 《콜렉타네아 헤르메티카(Collectanea Hermetica)》:골든 돈의 설립 회원이었던 윈 웨스트콧(W. Wynn Westcott)은 《콜렉타네아 헤르메티카》라는 제목의 헤르메스주의에 대한 책 시리즈를 편찬하였으며, 이 시리즈는 신지학 출판 협회(Theosophical Publishing Society)를 통해 출판되었다.[20] "세 번 위대한"의 의미[편집] 프리스카 테올로기아[편집] "프리스카 테올로기아(Prisca theologia)"는 기독교 신학 교의 중 하나를 가리키는 라틴어 낱말로서,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고대의 신학(Ancient theology)"이다.[21] "태고 신학"이라 번역하는 경우도 있다.[출처 필요] 락탄티우스(c.240-c.320) · 아우구스티누스(354-430) · 마르실리오 피치노(1433-1499) · 조르다노 브루노(1548-1600) · 톰마소 캄파넬라(1568-1639) ·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1463-1494)를 포함한 많은 기독교 저술가들이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를 기독교가 출현할 것임을 예견하였던 지혜로운 비기독교 예언자라고 여겼다.[22] 이들은 고대에 신이 인간에게 준 것으로 모든 종교들을 하나로 꿰는 단 하나의 참된 신학이 존재한다는 교의인 프리스카 테올로기아를 믿었다.[23][24] 프리스카 테올로기아가 진실임을 증명하기 위하여 이들 기독교인들은 헤르메스주의의 가르침을 전용(轉用)하였다. 이러한 전용된 논의들에서, 기독교 교부들에 따르면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는 모세와 동시대의 인물인 것으로 나오거나,[25] 이 인물은 헤르메스라고도 불렸던 사람들, 즉, 에녹 · 노아 · 어떤 이집트 사제왕(priest king) 중에서 세 번째의 인물인데 이 인물이 가장 위대한 사제이자 철학자이며 왕이었기에 "세 번 위대하다"는 의미의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로 알려지게 된 것으로 나온다.[26][27] "세 번 위대하다"는 의미의 "트리스메기스투스"라는 이름이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에 주어지게 된 것에 대한 위의 두 번째 설명은, 《에메랄드 타블레트》에 나오는,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가 자신은 우주 전체의 지혜의 세 부문을 알고 있다고 말한 진술에서 유래한 것이다.[28] 그리고 이 세 부문의 지혜가 연금술 · 점성술 · 신성 마법(Theurgy)이라는 설명도 《에메랄드 타블레트》에 나오는 동일한 진술에서 유래한 것이다.[28] 《코르푸스 헤르메티쿰》의 제1권인 "포이만드레스"에는 "그는 가장 위대한 철학자였으며, 가장 위대한 사제였으며 또한 가장 위대한 왕이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그를 트리스메기스투스라고 불렀다"라는 진술이 있는데, 마르실리오 피치노는 이 진술을 토대로 "세 번 위대하다"는 의미의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형성하였다.[29] 중세 10세기에 편찬된 백과사전인 《수다(Suda)》에서는 "그는 삼위일체를 찬양했기 때문에 트리스메기스투스라고 불리었다. 그는 삼위일체 속에 하나의 신적인 성품이 있다고 말하였다"라고 서술하고 있다.[30] 우주 전체의 지혜의 세 부문[편집] 연금술[편집] 연금술사 하인리히 쿤라드(Heinrich Khunrath)의 실험실, 1595년경: 문틀에 적힌 라틴어 문장의 뜻은 "신의 영감이 없다면 어떤 인간도 '위대(Great)'해질 수 없다"이다. 한 여행자가 자신의 머리를 창공(Firmament) 밖으로 내밀고 있다: 작자 미상의 1888년의 흑백 플라마리온 판화(Flammarion engraving)의 1998년의 컬러 재구성판 연금술은 태양의 작용 또는 학문이라고도 한다. 연금술은 단순히 물리적 원소인 납을 물리적 원소인 금으로 바꾸는 것이 아니다.[31] 연금술은 탄생 · 죽음 · 부활의 신비를 적용하여 물질과 물질적 존재의 영적인 구성 또는 생명을 탐구하는 것이다.[32] 연금술의 실행 단계인 증류 · 발효 등과 같은 여러 화학적 단계들은 이들 세 가지 신비들의 특정 국면들이다.[33] 이 화화적 단계들은 자연에서 발생하는 자연 법칙적인 진행일 뿐이며, 다만 이 단계들을 의도적으로 실행시키면 해당 자연 법칙의 진행이 촉진되어서 자연의 체, 즉, 물질체가 연금술적으로 변형되어 완전한 상태에 이르게 된다.[33] 이 완전한 상태에 도달하는 것이 곧 "마그눔 오푸스(Magnum opus)", 즉, "큰 공부"(Great Work · 큰 일 · 대학문 · 위대한 학문)를 마친 것임. 점성술[편집] 점성술은 달의 작용 또는 학문이라고도 한다. 헤르메스주의 전통에 따르면,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는 자라투스트라가 우주 전체의 지혜의 이 부문을 발견하여 인류에게 가르쳤다고 주장한다.[34] 헤르메스주의의 관점에 따르면, 천체의 운행은 물리학의 법칙들을 넘어선 의미를 가진다. 그리고 각각의 천체의 운행은 전체 존재(The All), 즉 최고신의 마음 속에 존재하는 것을 가리키는 상징물이다. 헤르메스주의의 견해에 따르면, 천체의 운행은 지상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천체의 운행이 인간에게 행동을 강제하고 예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천체의 운행이 미치는 영향들을 알고 이들을 다루는 법을 알 때 지혜가 획득된다. 신성 마법[편집] 신성 마법(Theurgy)은 별의 작용 또는 학문이라고도 한다.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1463-1494)의 《아폴로지(Apology)》에 따르면 완전히 서로 반대되는 두 종류의 마법이 있다.[35] 첫째는 띠어지(Theurgy), 즉 천사 · 대천사 · 하위신과 같은 최고신의 영들 또는 선한 힘들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행해지는 신성 마법(神性魔法 · Divine magic)이다.[35] 둘째는 고에티아(γοητεια · Goëtia), 즉 악마 · 마귀 · 사탄과 같은 악령들 또는 악한 힘들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행해지는 흑마술(黑魔術 · Black magic)이다.[35] 신성 마법은 "신의 일의 학문 또는 기예"라는 뜻이며, 헤르메스주의의 한 부문으로서의 연금술의 실천적인 측면, 즉 수행법이다.[36] 신성 마법의 궁극적인 목표는 신성 의식(Divine Consciousness)의 고급한 특질들 또는 존재들과 합일을 이루어서 최종적으로 신성 의식에 도달하는 것인데,[36] 연금술은 신성 마법의 "열쇠"인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37] 헤르메스주의의 믿음[편집] 신[편집] 헤르메스주의에서 절대자로서의 최고신 또는 최고 원리는 신(God) · 전체 존재(The All) · 하나인 존재(The One) 등의 여러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이 절대자는 헤르메스주의의 중심 초점인데, 전통적인 일신교나 다신교 종교의 신과 동일한 성격의 신이라고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헤르메스주의의 신은 선과 악을 포괄하는 전체 존재이면서 또한 동시에 모든 악에서 벗어나 있는 지고한 선(Supreme Good)이다. 이 지고한 선의 개념은 힌두교의 육파철학 중 하나인 삼키아 학파의 푸루샤의 개념과 비슷하다. 헤르메스주의의 신앙 체계는 신은 세계를 초월함과 동시에 세계 안에 있는 것이라는 만유내재신론의 신앙 체계와, 여러 신이 있음을 인정하지만 그 중 하나를 주신(主神)으로 섬기는 단일신교 또는 일신숭배의 신앙 체계를 둘 다 포괄하고 있다. 헤르메스주의 신앙 체계에서 가르치는 바에 따르면, 전체 존재, 즉, 하나의 원인(Cause)이 존재하며 인간과 우주 전체는 이 전체 존재 또는 하나의 원인의 일부를 이룬다. 또한 헤르메스주의는 복수의 하위신 · 복수의 천사 · 복수의 마스터(Master: 마그눔 오푸스를 성취한 사람) · 복수의 정령(精靈 · Elemental)이 전체 존재의 일부로서 우주 안에 존재하고 있다는 견해를 지지한다. 4대 원소[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4대 원소입니다. 공기 · 물 · 불 · 흙의 고대의 4대 원소는 연금술에서 자주 언급되는데, 《코르푸스 헤르메티쿰》에서도 예닐곱 차례 암시적으로 언급되어 있다. 위에서와 같이 아래에서도[편집] "위에서와 같이 아래에서도(As above, so below)"는 오컬트와 마법 분야에서 널리 쓰이는 금언이다. 이 금언은 헤르메스주의의 문헌으로부터 유래하였다. 이 금언에 담긴 개념이 최초로 언급된 곳은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의 《에메랄드 타블레트》이다. 《에메랄드 타블레트》에서 이 개념은 다음 문장으로 진술되어 있다: "아래에 있는 것은 위에 있는 것과 상응하고 위에 있는 것은 아래에 있는 것과 상응한다. 그리하여 하나인 존재의 기적이 이루어진다."[16] 실재의 복수의 계들, 즉 물질계 · 멘탈계 · 영계와 관련하여, 이 진술은 어느 계에서 발생한 것이건 간에 그것은 다른 계들에서도 발생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 진술이 더 자주 사용되는 곳은 대우주와 소우주(Microcosm and Macrocosm)에 대해서이다. 헤르메스주의 전통에서는 대우주와 소우주에 대해서 흔히 다음과 같이 이야기 한다: "소우주는 우리 자신이고 대우주는 우주이다. 그렇지만, 또한 대우주는 소우주로서 존재하고 반대로 소우주는 대우주로서 존재한다. 대우주 안에는 소우주가 있고 소우주 안에는 대우주가 있다. 따라서, 이들 중 하나(대개 소우주)를 알게 되면 다른 하나를 (저절로) 알게 된다."[38] 윤회[편집] 헤르메스주의에는 어떤 상태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전에는 계속하여 윤회 또는 환생하게 된다는 언급이 있다.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오 아들아, 도대체 우리는 얼마나 많은 육신을 거쳐야, 얼마나 많은 악마의 무리를 겪어야, 얼마나 많은 별들의 반복과 주기들을 거쳐야, 하나인 존재에게로 가는 것을 서둘게 될까?[39] 선악과 도덕[편집] 《코르푸스 헤르메티쿰》의 제9권에서,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는 누스(Nous)가 선과 악 둘 다를 내보내는데, 인간은 신으로부터 영감을 받는가 아니면 악마로부터 추동력을 받는가에 따라 선 또는 악을 행하게 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의 진술에 따르면, 신은 선을 가져오고 악마는 악을 가져온다. 악마가 가져오는 것으로는 다음의 것들이 있다: 간통 · 살인 · 패륜 · 신성 모독 · 무신앙 · 교살 · 자살 그리고 이와 유사한 모든 악마적인 행위들[40] 이 진술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헤르메스주의에서는 헤르메스주의를 따르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도덕성을 지녀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 있다. 그런데 헤르메스주의의 윤리관에서 주의를 기울여야 할 사항은 "선"이라는 말이 오직 "지고의 선(Supreme Good)"의 의미로서의 신과 관련하여서만 사용된다는 것이다.[41] 헤르메스주의는, 완전히 악으로부터 벗어나 있으며 선하다고 여겨질 수 있는 존재는 오직 신뿐이며, 그리고 이 때의 신은 전체 존재(The All)의 의미로서의 신이 아니라 지고의 선(Supreme Good)의 의미로서의 신이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다. 헤르메스주의에 따르면, 지고의 선에 대해 무지하며 또한 물질성에 자신의 전부를 소진하고 있는 인간은 선한 인간으로 변모할 수 있는 기회를 갖지 못한다.[42] 헤르메스주의는 최고의 악은 물질적인 삶에만 치중되어 있는 것이며 또한 이것이 신의 분노를 가져오는 유일한 요인이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저기 보이는 길의 행렬은 아무런 일도 하지 않으며 단지 다른 사람의 길을 막고 있을 뿐이다. 이와 같이, (물질성에 자신의 전부를 소진하고 있는) 이 사람들은 육체의 쾌락에 이끌려 그냥 흘러가는 대로 우주를 가고 있을 뿐이다.[43] 헤르메스주의에서는 "자식"을 갖지 못하는 것은 큰 잘못이라고 말한다. 이 진술에서의 "자식"은 물리적 · 생물학적 존재로서의 자녀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 개인의 영적 창조물 또는 영적 성취를 의미한다. 이 진술 바로 앞에는 신을 "아버지"라고 부르는 이유는 신이 모든 만물을 창조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 있다. 지고의 선이 창조의 힘인 것과 마찬가지로 인간도 자신의 삶에서 긍정적인 것을 낳아야 한다고 헤르메스주의는 주장한다. 그리고 "자식"을 가지지 못하면 그 형벌로 남자("활동적")도 여자("사려 깊음")도 아닌 몸에 갇히게 되며, 이런 일이 심화되면 전혀 "자식"을 갖지 못하는 불임 상태에 이르게 된다고 은유적으로 말한다.[44] 우주발생론[편집] 《코르푸스 헤르메티쿰》 제1권에서는, 많은 명상이 있은 뒤에야 비로소, 전체 존재의 누스("지고한 누스")가 우주의 발생에 대한 이야기를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에게 전해 준다. 이 이야기는 전체 존재가 자신의 마음 깊은 곳에서 우주를 보고 그 자신의 원소들과 영혼들로부터 자신이 본 우주와 꼭 같은 우주를 자신의 마음 속에서 만들어 본 후에 실제로 원소들을 창조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남성(신성한 아버지)이자 여성(우주적인 어머니)인 전체 존재(또는 "지고한 누스")는 말씀("로고스")을 사용하여 그 자신의 원소들과 영혼들로부터 세상의 창조자인 두 번째 누스를 낳았다. 이 두 번째 누스는 일곱의 힘들, 즉 신들을 창조한 후, 이들로 하여금 원을 그리며 여행하면서 운명을 주재하게 하였다. (이 일곱의 신들은 종종 고대의 일곱 행성인 수성 · 금성 · 화성 · 목성 · 토성 · 태양 · 달인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 후 두 번째 누스는 물질화를 일으키는 원소들로부터 말씀을 빼냈는데, 원소들을 비지성적인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원소들이 비지성적인 상태가 되자 두 번째 누스는 일곱의 지배자들, 즉 일곱의 힘들을 회전시켰고, 이에 따라 이들의 물질로부터 말이 없는 창조물들이 발생하였다. 다음으로 흙이 물로부터 분리되었고 (인간을 제외한) 동물들이 흙으로부터 나왔다. 그 후 (두 번째 누스가 아니라) 지고한 누스는 자신의 모습을 따라 인간을 양성일체로 창조하였고, (두 번째 누스와 일곱의 힘들을 통해 대리적으로 창조된) 자신의 창조물들을 인간에게 넘겨주었다. 인간은 자신의 형제인 두 번째 누스의 창조물들을 주의 깊게 관찰하였다. 그리고 모든 창조물에 대한 두 번째 누스와 그의 아버지("지고한 누스" 또는 "전체 존재")의 권위를 넘겨 받았다. 그 후 인간은 창조물을 더 잘 보기 위해 천체들의 길 위로 높이 올라가서는 전체 존재의 형상("원형 · 이데아")을 자연("물질 우주")에게 보였다. 그러자 자연은 그 원형과 사랑에 빠졌다. 그 후 인간은 물 속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고서는 자연과 사랑에 빠졌으며 그 안에 살기를 원하였다. 그러자 그 즉시 인간은 자연과 일체가 되어버렸고 그 결과 성("성욕")과 잠("수면욕")과 같은 자연의 한계들("육체의 자연 법칙적인 욕망")에 속박된 노예가 되었다. 이리하여 인간은 (말씀을 잃어버렸기 때문에 물질화를 일으키는 권능을 상실한) 말이 없는 존재가 되었고 육체로서는 필멸이면서 영으로서는 불멸한, 모든 창조물을 다스리는 권위를 가지지만 운명("두 번째 누스와 일곱의 힘들이 주재하는 운명 또는 법칙, 또한 이들이 창조한 물질 우주의 자연 법칙")에 지배당하는 이중적인 존재가 되었다. 이 이야기는 인간을 제외하고는 진화론을 특별히 반대하지 않는다. 오히려 대다수의 헤르메스주의자들은 진화론을 전적으로 수용하며 진화론이 기본 물질로부터 인간에 이르기까지 그 모두의 창조에 적용되는 확고한 원리인 것으로 본다.[45] 헤르메스주의 단체[편집] 헤르메스주의가 기독교 교회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상태가 되자 헤르메스주의는 지하로 숨었으며 그 후 많은 헤르메스주의 비밀 단체가 생겼다. 현재 서양의 밀교 전통은 헤르메스주의와 아주 관련이 깊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유대교의 카발라와 기독교 신비주의를 조화시키려고 했던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와 같은 저술가들의 저작들이 있었는데 이 저작들은 르네상스 시대의 유럽인들이 헤르메스주의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주었다. 두세 개의 주요한 헤르메스주의 오컬트 단체가 중세 후기와 르네상스 초기에 설립되었다. 헤르메스주의 마법은 19세기에 서유럽에서 부흥하였다.[46] 이 부흥기에 골든 돈(Hermetic Order of the Golden Dawn), 아우룸 솔리스(Aurum Solis), 라곤(Ragon), 케네스 매켄지(Kenneth M. Mackenzie), 엘리파스 레비, 프레더릭 호클리(Frederick Hockley),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아서 매컨 등과 같은 개인과 단체가 헤르메스주의를 받아들여 실천하였다.[47] 현재, 많은 헤르메스주의 단체 또는 헤르메스주의의 영향을 받은 단체가 존재한다. 이들 중 대다수는 골든 돈, 장미십자회 또는 프리메이슨에서 유래한 단체들이다. 장미십자회[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장미십자회입니다. 골든 돈의 내부 조직인 로사에 루바에(Rosae Rubae et Aureae Crucis)의 아데프트들이 착용한 장미십자가. 장미십자회는 헤르메스주의 및 기독교 밀교 운동 중 하나로, 성립 연대는 15세기이다. 장미십자회는 비밀한 내부 조직과 이 내부 조직의 지휘를 받는 외부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미십자회 운동의 상징물은 십자가의 가운데에 장미가 놓여져 있는 장미십자가(Rosy Cross)인데, 장미는 영혼을 뜻하고 십자가는 사대 원소(四大元素)로 이루어진 육체를 뜻한다. 달리 말하자면, 장미십자회의 십자가는 물질계라는 십자가에 못박혀 있는 인간의 영혼을 나타낸다. 장미십자회에는 점차적인 계위 체계가 있다 (이 계위 체계는 프리메이슨의 계위 체계와 유사하다). 이 계위 체계에 따라, 장미십자회 회원은 높은 계위로 올라가면서 더 많은 지식을 획득하게 된다. 높은 계위로 올라가는데 비용이 소요되는 것은 아니며, 더 고급한 지식을 이해할 자격이 있다고 여겨지면 다음 계위로 상승하게 된다. 장미십자회의 영적인 길에는 세 단계가 있는데 이것은 철학 · 카발라 · 신성 마법이다. 또한 장미십자회는 다음 세 가지를 단체의 목표로 하고 있다: 1) 군주제의 폐지와 철학자들에 의한 통치의 수립, 2) 과학 · 철학 · 윤리의 개혁, 3) 파나케이아(Panacea)의 발견. 장미십자회의 성립 연대가 17세기라고 주장하는 견해도 있는데, 이 주장의 근거로 제시되는 원천 자료는 다음 세 권의 독일어 소책자이다: 《형제애에 대하여(Fama Fraternitatis)》·《신앙 공동체(Confessio Fraternitatis)》·《화학적 결혼(Chymical Wedding)》.[48] 어떤 학자들은 이 소책자들이 위서이며,[49] 17세기 이전에 존재했던 장미십자회가 모든 진정한 장미십자회 단체들의 최초의 단체라고 주장한다. 골든 돈[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골든 돈입니다. 골든 돈의 공식 명칭은 "허메틱 오더 오브 더 골든 돈(Hermetic Order of the Golden Dawn)"이며, 번역하여 황금새벽단이라고도 한다. 공식 명칭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황금 새벽이라는 명칭을 가진 헤르메스주의적 단체"이다. 소시에타스 로시크루시아나(Societas Rosicruciana in Anglia)와는 달리 골든 돈에서는 남성과 여성 모두를 회원으로 받아들이며 양성을 평등하게 대우한다. 골든 돈은 특히 헤르메스주의 단체라고 할 수 있는데, 오컬트 과학의 원리와 함께 연금술 · 카발라 ·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의 마법을 가르친다. 주요 인물이었던 이스라엘 리가디(Israel Regardie)는, 골든 돈에서 유출된 마법을 자신의 것으로 삼은 많은 단체들이 있으며 그는 이들을 "탈퇴자 또는 배교자"로 본다고 주장하였다. 골든 돈은 비밀 누출 시 심중한 처벌을 받는 엄격한 비밀 엄수주의를 유지했다. 이러한 비밀 엄수주의는 대체로 잘 실행되어, 대중은 활동은 물론이고 이러한 단체가 있는지 조차도 몰랐다.[50] 골든 돈에서 가르치는 비밀 가르침이 최초로 누출된 것은 1905년에 알레이스터 크롤리에 의해 일어났다. 그리고 후에 1940년에 이스라엘 리가디 자신이 골든 돈의 가르침을 상세히 담은 책을 출판함으로써,[51] 골든 돈과 그 가르침은 대중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기독교 밀교[편집] 헤르메스주의는 기독교 밀교(Esoteric Christianity)에도 영향을 끼쳤는데, 특히 마르티네주의(Martinism)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마르티네주의는 파스콸리 마르티네(Martinez de Pasqually: c.1727-1774)의 교의와 1886년에 설립된 단체로 그의 교의를 재조직한 마르티네단(Martinist Order)의 가르침을 통칭하는 낱말이다. 함께 보기[편집] 마법 밀교 물질 우주 · 물질계 삼계 중 욕계 서양의 밀교 연금술 영지주의 오그도아드 장미십자회 점성술 카발라 프리메이슨 헤르메스주의 문헌 · 코르푸스 헤르메티쿰 각주[편집] ↑ 가 나 (영어) Churton (2002), p. 5 ↑ (영어) "Hermeticism" 항목,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World Religions》. ↑ (영어) Harrison, Jane Ellen (1913). 《The Religion of Ancient Greece》, pp. 17–19 ↑ (영어) Harrison, Jane Ellen (1913). 《The Religion of Ancient Greece》, pp. 21–30 ↑ (영어) W. Wynn. Westcott (ed.). 《Collectanea Hermetica》, Volume 2. ↑ (프랑스어) Dufresnoy, Histoire del' Art Hermetique, vol. iii. Cat. Gr. MSS. ↑ (영어) Atwood, Mary Anne (1850). 《A Suggestive Inquiry into Hermetic Philosophy and Alchemy》. ↑ (영어) van den Broek and Hanegraaff (1998): 판덴브로크와 하네그라프는 "허메티즘(Hermetism · 헤르메스학)"과 "허메티시즘(Hermeticism · 헤르메스주의)"을 구분하여, 전자를 고대 후기의 전통을 가리킬 때 사용하고 후자를 이 고대 후기의 전통이 르네상스 시대에서 부활한 것을 가리킬 때 사용한다. ↑ 가 나 (영어) van den Broek and Hanegraaff (1998), p. vii ↑ (영어) Stephan A. Hoeller, "On the Trail of the Winged God—Hermes and Hermeticism Throughout the Age", 《Gnosis: A Journal of Western Inner Traditions》 (Vol. 40, Summer 1996). ↑ 이 레오나르도 디 피스토이아(Leonardo di Pistoia)는 수사였다 [1] Archived 2007년 1월 1일 - 웨이백 머신. 화가인 레오나르도 다 피스토이아(Leonardo da Pistoia: 1502-c.1548)와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 화가인 레오나르도는 1460년경에는 아직 태어나지 않은 상태이다. ↑ 가 나 (영어) 《The Way of Hermes》, p. 9 ↑ (영어) Tambiah. 《Magic, Science, Religion, and the Scope of Rationality》, pp. 27–28 ↑ (영어) Abel and Hare p. 7 ↑ (영어) 《The Way of Hermes》, pp. 9–10 ↑ 가 나 (영어) Scully p. 321 ↑ (영어) Abel & Hare p. 12 ↑ 가 나 (영어) 《A Suggestive Inquiry into Hermetic Philosophy and Alchemy》 with introduction by Isabelle de Steiger ↑ (영어) "Hermetic Papers of A. E. Waite: the Unknown Writings of a Modern Mystic" Edited by R. A. Gilbert ↑ (영어) "The Pymander of Hermes" Volume 2, 《Collectanea Hermetica》 published by The Theosophical Publishing Society, 1894. ↑ (영어) Jo Hedesan, "Prisca Theologia: Between Natural Theology and Natural Magic". 2011년 2월 10일에 확인. ↑ (영어) Yates, F., 《Giordano Bruno and the Hermetic Tradition》, Routledge, London, 1964, pp 9–15, pp 61–66, p 413 ↑ (영어) Yates, F., 《Giordano Bruno and the Hermetic Tradition》, Routledge, London, 1964, pp 14–18, pp 433–434 ↑ (영어) Hanegraaff, W. J., 《New Age Religion and Western Culture》, SUNY, 1998, p 360 ↑ (영어) Yates, F., 《Giordano Bruno and the Hermetic Tradition》, Routledge, London, 1964, p 27, p 293 ↑ (영어) Yates, 《F., Giordano Bruno and the Hermetic Tradition》, Routledge, London, 1964, p52 ↑ (영어) Copenhaver, B.P., 《Hermet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p xlviii ↑ 가 나 (영어) Scully p. 322 ↑ (영어) Copenhaver, Hermetica, p. xlviii ↑ (영어) Copenhaver, Hermetica, p. xli ↑ (영어) Hall.《The Hermetic Marriage》, p. 227 ↑ (영어) Eliade. 《The Forge and the Crucible》, p. 149, p. 155–157 ↑ 가 나 (라틴어) Pseudo-Geber, 《Summa Perfectionis》 ↑ (영어) Powell pp. 19–20 ↑ 가 나 다 (영어) Garstin p. v ↑ 가 나 (영어) Garstin p. 6 ↑ (영어) Garstin p. vi ↑ (영어) Garstin p. 35 ↑ (영어) 《The Way of Hermes》, p. 33 ↑ (영어) 《The Way of Hermes》, p. 42 ↑ (영어) 《The Way of Hermes》, p. 28 ↑ (영어) 《The Way of Hermes》, p. 47 ↑ (영어) 《The Way of Hermes》, pp. 32–3 ↑ (영어) 《The Way of Hermes》, pp. 29 ↑ (영어) 《The Way of Hermes》, pp. 18–20 ↑ (영어) Regardie p. 17 ↑ (영어) Regardie pp. 15–16 ↑ Yates, Frances (1972). 《The Rosicrucian Enlightenment》 (영어).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ISBN 0710073801.  ↑ (영어) Prof. Carl Edwin Lindgren, "The Rose Cross, A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View" — http://users.panola.com/lindgren/rosecross.html Archived 2012년 11월 8일 - 웨이백 머신 ↑ (영어) Regardie pp. 15–17 ↑ (영어) Regardie p. ix 참고 문헌[편집] (영어) Abel, Christopher R. and Hare, William O. (1997). 《Hermes Trismegistus: An Investigation of the Origin of the Hermetic Writings》. Sequim: Holmes Publishing Group.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영어) Churton, Tobias (2002). 《The Golden Builders: Alchemists, Rosicrucians, and the First Freemasons》. New York: Barnes and Noble. (영어) Garstin, E.J. Langford (2004). 《Theurgy or The Hermetic Practice》. Berwick: Ibis Press. . 사후에 출판됨 (영어) Hoeller, Stephan A. "On the Trail of the Winged God: Hermes and Hermeticism Throughout the Ages", 《Gnosis: A Journal of Western Inner Traditions》 (Vol. 40, Summer 1996). (영어) 온라인판: “"On the Trail of the Winged God"”. Gnosis.org. 2011년 2월 21일에 확인함.  (영어) Powell, Robert A. (1991). 《Christian Hermetic Astrology: The Star of the Magi and the Life of Christ》. Hudson: Anthroposohic Press.  (영어) Regardie, Israel (1940). 《The Golden Dawn》. St. Paul: Llewellyn Publications.  (영어) Scully, Nicki (2003). 《Alchemical Healing: A Guide to Spiritual, Physical, and Transformational Medicine》. Rochester: Bear & Company.  (영어) Translated by Salaman, Clement and Van Oyen, Dorine and Wharton, William D. and Mahé, Jean-Pierre (2000). 《The Way of Hermes: New Translations of The Corpus Heremticum and The Definitions of Hermes Trismegistus to Asclepius》. Rochester: Inner Traditions.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영어) Van den Broek, Roelof and Hanegraaff, Wouter (1998). 《Gnosis and Hermeticism: from Antiquity to Modern Times》.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0-7914-3612-8.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헤르메스주의 (영어) 라틴어판 《코르푸스 헤르메티쿰》의 영문 번역: 존 에버라드(John Everard) 역 (1650) (영어)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의 《세상의 처녀(The Virgin of the World)》의 영문 번역: 애나 킹스퍼드(Anna Kingsford) & 에드워드 메이틀랜드(Edward Maitland) 공역 (1885) (영어) 《키발리온(Kybalion)》 (1912) (영어) 《키발리온(Kybalion)》의 리소스 문서 (영어) 헤르메스주의에 대한 소개: 폴 뉴얼(Paul Newall) (2004) (영어) 헤르메스주의 라이브러리 (영어) 헤르메스주의 리소스 사이트 (영어) 헤르메스주의 - Curlie (DMOZ 기반) vdeh신앙 체계 결정론 교체신교 남녀 이신론 내재신론/만유내재신론 뉴에이지 다신교 단일신교/선택적 일신교 무신론 무우주론 무지론 밀교 반신론 범신론 불가지론 비신론 비이원론 샤머니즘 신비주의 신지학 심령주의 악신론 애니미즘/물활론 양신론 영지주의 오컬트/오컬티즘 유신론 이신론 이원론 인본주의 일신교/유일신교 일신숭배 일원론 전신론 초월론 초월신론 테오파니즘 텔레마 토테미즘 헤르메스주의 현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헤르메스주의&oldid=24082183" 분류: 헤르메스주의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5년 1월CS1 관리 - 여러 이름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NederlandsNorsk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1일 (일) 20: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헤르메스주의(Hermeticism),헤르메스학 또는 서양의 헤르메스 전통(Western Hermetic Tradition)은 이집트 신인 토트와 그리스 신인 헤르메스가 결합된 신 또는 반신적 존재인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의 저작인 것으로 전통적으로 가정하는, 혼합주의가 널리 행해졌던 헬레니즘 이집트(305~30 BC) 시대와 기원후 1~3세기에 주로 성립된 외경적인 저작들("코르푸스 헤르메티쿰")에 기초하는 일군의 철학적 · 종교적 믿음들 또는 지식들("그노시스")이다. 헤르메스주의의 믿음들 또는 지식들은 서양의 밀교 전통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르네상스(14~16세기) 시대 동안 크게 중요시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헤르메스주의에 대한 내용은 무엇인가? Assistant: "위에서와 같이 아래에서도(As above, so below)"는 오컬트와 마법 분야에서 널리 쓰이는 금언이다. 이 금언은 헤르메스주의의 문헌으로부터 유래하였다. 이 금언에 담긴 개념이 최초로 언급된 곳은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의 《에메랄드 타블레트》이다. 《에메랄드 타블레트》에서 이 개념은 다음 문장으로 진술되어 있다: "아래에 있는 것은 위에 있는 것과 상응하고 위에 있는 것은 아래에 있는 것과 상응한다. 그리하여 하나인 존재의 기적이 이루어진다."[16] 실재의 복수의 계들, 즉 물질계 · 멘탈계 · 영계와 관련하여, 이 진술은 어느 계에서 발생한 것이건 간에 그것은 다른 계들에서도 발생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 진술이 더 자주 사용되는 곳은 대우주와 소우주(Microcosm and Macrocosm)에 대해서이다. 헤르메스주의 전통에서는 대우주와 소우주에 대해서 흔히 다음과 같이 이야기 한다: "소우주는 우리 자신이고 대우주는 우주이다. 그렇지만, 또한 대우주는 소우주로서 존재하고 반대로 소우주는 대우주로서 존재한다. 대우주 안에는 소우주가 있고 소우주 안에는 대우주가 있다. 따라서, 이들 중 하나(대개 소우주)를 알게 되면 다른 하나를 (저절로) 알게 된다."[38] Human: 아래 사막_교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사막 교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막 교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성녀 파울라와 그녀의 딸 에우스토키움 그리고 그들의 영적인 조언자 히에로니무스, 프란시스코 데 수르바란 작. 사막 교모(沙漠敎母, Desert Mother)란 4세기와 5세기에 이집트와 팔레스타인 그리고 시리아의 사막에서 생활하던 기독교의 여성 금욕주의자들이다. 일찍이 그들이 은수자들로서 살았다고 해도, 그들은 그 기간 동안에 형성되기 시작한 수도원 공동체에서 거주했다. 사막의 외부에서 거주했을지라도, 그 시기부터 초기의 금욕주의 또는 수도원의 전통들에 영향을 끼친 다른 여성들도 사막 교모들로 서술된다.[1] 사막 교부들이 훨씬 더 잘 알려져 있는데, 초기의 많은 문헌들이 그들에 의해 그리고 그들에 대해서 기술되었기 때문이다. 사막 교모들에게서 직접적으로 기인된 저서들은 없는데, 그들에 관한 이야기들은 초기의 사막 교부들과 그들의 전기들에서 비롯되었다. 《아포프테그메타 파트룸》 또는 《사막 교부들의 고담집》은 사막 교모들에게서 기인된 47 개의 금언들을 포함한다. 사막에서 생활하는 2,975 명의 여성들을 언급한 팔라디우스에 의한 라우시아의 역사에 사막 교모들에게 헌정하는 여러 장들이 있다.[2] 다양한 이야기들을 포함하는 다른 자료들은 여러 해 동안 전통적으로 vitae("생애")라고 불리는 그 시기의 성인들의 삶에 대해서 전했다.[1][3] 목차 1 저명한 사막 교모들 2 격언들 3 같이 보기 4 노트 5 참고 6 추가 도서 저명한 사막 교모들[편집] 작은 멜라니아의 성화상 암마스(영적인 어머니)로 알려진 사막 교모들은 영적인 스승들과 지도사들로서 얻은 존경으로 인해 사막 교부들(압바스)과 견줄만 하다.[4] 가장 잘 알려진 사막 교모들 가운데 한 사람은 알렉산드리아의 암마스 신클레티카인데, 그녀는 사막 교부들의 고담집에서의 그녀에게서 기인된 27 개의 금언들을 남겼다. 두 명의 다른 암마스들인 알렉산드리아의 테오도라와 사막의 암마스 사라 또한 그 책에서의 금언들을 남겼다. 사막 교모들은 큰 멜라니아와 여성 부제 올림피아스, 성녀 파올라와 그녀의 손녀 에우스토키움 그리고 작자미상의 여러 명의 여성들을 포함하는 라우시아의 역사에 서술되었다.[3] 문헌 기록들에 의하면, 암마스 신클레티카는 360년 경에 부유한 부모에게서 태어났고 사막 교부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의 저서들의 이른 공부들을 포함하여 잘 교육받았다고 한다. 그녀의 부모가 죽은 후에, 그녀는 그녀가 가진 모든 것을 팔아 그 돈을 빈자에게 주었다. 그녀의 맹인 자매와 함께 그녀의 도시 밖으로 이주한 그녀는 알렉산드리아 밖의 묘지에서 은수자로서 살았다. 점차적으로, 영적인 어머니로서 역할하는 그녀를 중심으로 여성 금욕주의자들의 공동체가 성장했다. 신클레티카는 금욕주의자이며 은수자임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절제를 그리고 본질적으로 금욕주의가 끝은 아니라고 가르쳤다.[5] 알렉산드리아의 테오도라는 알렉산드리아 근교의 여성 수도 공동체의 암마스였다. 그때 이전에, 그녀는 남자로 변장하고 사막으로 도망쳤고 수사들의 공동체에 입소했다. 많은 사막 교부들이 그녀에게 조언을 구했는데, 전하는 바에 따르면, 알렉산드리아의 주교 테오필루스가 그녀에게 상담을 받으러 왔다고 한다.[6][7] 사막의 고담집에서의 사라는 그녀가 60년 동안 강가에서 생활한 은수자였음을 나타낸다. 그녀에게 도전하는 일부의 노인들에게 했던 그녀의 예리한 답변은 뚜렷하게 강한 성격을 보여준다. 한 이야기에 의하면, 두 명의 은자들이 그 사막에 방문했고 "저 노파에게 굴욕감을 주자."고 결심했다고한다. 그들은 그녀에게 "당신 스스로에게 교만한 생각이 들지 않을까 조심하시오. 은자들이 한낱 여자일뿐인 나를 알게된 것좀 봐요!"라고 말했다고 한다. 그녀는 이렇게 대답했다고 한다. "자연의 순리대로라면 나는 여자이지만, 나의 생각은 그렇지 않소."[8] 로마 관리의 딸인 큰 멜라니아는 젊은 나이에 과부가 되었고 알렉산드리아로 그리고 그 다음에 니트리아 사막으로 이주했다. 그녀는 여러 명의 사막 교부들과 만나서, 그들의 여행길을 따랐고, 그녀 자신의 돈으로 그들을 보살폈다. 여러 명의 교부들이 관리들에 의해 팔레스타인에서 추방당한 후에, 한때, 그녀는 그들을 도와주었다는 이유로 감옥에 투옥되었다. 그녀는 마침내 예루살렘에 약 50 명의 수녀들을 지닌 수도회를 설립했다.[9] 그녀의 손녀인 작은 멜라니아는 13세에 결혼했고 두 명의 아들을 두었는데, 그들 모두 어린 나이에 죽었다. 그녀가 20세가 되었을 때, 그녀와 그녀의 남편 피니아누스는 둘다 속세를 포기하고, 수도회들과 수도원들을 설립했다.[9] 격언들[편집] 암마스 사라가 말했다. "만일, 제가 모든 사람들이 나의 지도에 찬성하기를 기도했다면, 저는 각각 한 명씩의 문에서 참회하는 자신을 발견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저는 오히려 저의 마음이 모두에게 순수해 질 수 있도록 기도했습니다."[10] 암마스 신클레티카는 말했다. "처음에, 하느님께 그리고 나중에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기쁨으로 나아가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많은 전투들과 많은 고통들이 있었습니다. 그것은 불을 밝히고자 하는 사람들과 같습니다. 첫 번째, 그들은 연기와 울음에, 그리고 그들이 추구하는 것을 얻는 그 방법들에 의해서 숨이 막힙니다. ... 그러므로, 우리는 또한 눈물과 노고를 통해 우리 스스로들에게 신성한 불을 붙이도록 해야합니다."[11] 암마스 신클레티카가 말하기를 "산에서 생활하며 마치 도시에 있는 듯 행동하는 많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그들의 시간을 허비하고 있습니다. 누군가가 군중 속에서 살고 있어도 그 사람의 마음으로 은자가 되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그들 스스로의 생각으로 군중 속에서 생활하는 은자들인 사람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12] 암마스 테오도라가 금욕주의도 철야기도도 구원을 위한 어느 종류의 고행도 구원에 이를 수 없다고 말했다. 오직 진실한 겸손만이 그렇게 할 수 있다. 악마들을 쫓아낼 수 있는 한 은자가 있었다. 그리고, 그는 그들에게 물었다. "무엇이 너희를 떠나가게 만드느냐? 단식이냐?" 그들이 대답했다. "우리는 먹지도 마시지도 않는다." "그것은 철야기도인가?" 그들이 말했다. "우리는 잠들지 않는다." "그러면, 어떤 힘이 너희를 떠나가도록 말하느냐?" 그들이 대답했다. "혼자의 겸손을 제외하고는 아무것도 우리를 극복할 수 없다." 암마스 테오도라가 말했다. "당신은 겸손이 어떻게 악마들에게 승리하는지 보았소?"[13] 같이 보기[편집] 블래실라 알렉산드리아의 카타리나 기독교 수도원주의 데미아나 시리아의 돔니나 동방 교회의 수도원주의 존 크리사브기스 큰 마라키나 작은 마카리나 동정 마르가리타 이집트의 마리아 메노도라와 메트로도라 그리고 님포도라 성녀 펠라기아 알렉산드리아의 신클레티카 레스보스의 테오크트리스테 사막의 사라 작은 멜라니아 노트[편집] ↑ 가 나 Johnston 2000, 373쪽 ↑ King 1989 ↑ 가 나 Johnston 2000, 374쪽 ↑ Earle 2007 ↑ Chryssavgis 2008 ↑ Swan 2001, 104쪽 ↑ Earle 2007, 41쪽 ↑ Forman 2005, 32쪽 ↑ 가 나 Palladius 1918 ↑ Swan 2001, 43쪽 ↑ Swan 2001, 39쪽 ↑ Chryssavgis 2008, 30쪽 ↑ Chryssavgis 2008, 73쪽 참고[편집] Chryssavgis, John (2008). 《In the Heart of the Desert: Revised Edition: The Spirituality of the Desert Fathers and Mothers (Treasures of the World's Religions)》. Bloomington, Ind.: World Wisdom. 29–32쪽. ISBN 1-933316-56-X.  Earle, Mary C. (2007). 《The Desert Mothers: Spiritual Practices from the Women of the Wilderness》. Church Publishing, Inc. ISBN 9780819221568.  Forman, Mary (2005). 《Praying with the Desert Mothers》. Liturgical Press. 32쪽. ISBN 9780814615225.  King, Margot (1989). 《The Desert Mothers》. Peregrina Publishing.  Johnston, William M. (2000). 《Encyclopedia of Monasticism: volume 1》. Fitzroy Dearborn Publishers. 373–374쪽. ISBN 9781579580902.  Palladius (1918). 《The Lausiac History》 Translation by W. K. L. Clarke판. Macmillan (online edition by Fordham University).  Swan, Laura (2001). 《The Forgotten Desert Mothers: Sayings, Lives, and Stories of Darly Christian Women》. Paulist Press. 39, 43쪽. ISBN 9780809140169.  추가 도서[편집] Cameron, Averil; Elizabeth Puttick, Bernard Clarke (1993). 《Desert Mothers: Women Ascetics in Early Christian Egypt》. Edwin Mellen Press.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Ward, Benedicta (1985). “Apophthegmata Matrum”. 《Studia Patristica》 (Berlin: Akademie Verlag) 16 (2): 63~6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사막_교모&oldid=14658872" 분류: 금욕주의수도회수녀동방 정교회동방 가톨릭교회기독교 용어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MagyarItalianoPortuguêsاردو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5년 8월 19일 (수) 16: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사막 교모(沙漠敎母, Desert Mother)란 4세기와 5세기에 이집트와 팔레스타인 그리고 시리아의 사막에서 생활하던 기독교의 여성 금욕주의자들이다. 일찍이 그들이 은수자들로서 살았다고 해도, 그들은 그 기간 동안에 형성되기 시작한 수도원 공동체에서 거주했다. 사막의 외부에서 거주했을지라도, 그 시기부터 초기의 금욕주의 또는 수도원의 전통들에 영향을 끼친 다른 여성들도 사막 교모들로 서술된다.사막 교부들이 훨씬 더 잘 알려져 있는데, 초기의 많은 문헌들이 그들에 의해 그리고 그들에 대해서 기술되었기 때문이다. 사막 교모들에게서 직접적으로 기인된 저서들은 없는데, 그들에 관한 이야기들은 초기의 사막 교부들과 그들의 전기들에서 비롯되었다. 《아포프테그메타 파트룸》 또는 《사막 교부들의 고담집》은 사막 교모들에게서 기인된 47 개의 금언들을 포함한다. 사막에서 생활하는 2,975 명의 여성들을 언급한 팔라디우스에 의한 라우시아의 역사에 사막 교모들에게 헌정하는 여러 장들이 있다. 다양한 이야기들을 포함하는 다른 자료들은 여러 해 동안 전통적으로 vitae("생애")라고 불리는 그 시기의 성인들의 삶에 대해서 전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금욕주의와 철야기도를 포함해서 어떤 종류의 고행도 구원에 이를 수 없다"고 말한 인물은 누구인가? Assistant: 암마스 테오도라
Human: 아래 리투아니아_축구_국가대표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리투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리투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리투아니아축구국가대표팀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리투아니아 연맹 리투아니아 축구 협회 대륙 유럽 축구 연맹 감독 발다스 우르보나스 주장 마리우스 스탕케비추스 최다 출전자 안드루스 스케를라 (84) 최다 득점자 토마스 다닐레비추스 (19) 홈 구장 LFF 경기장 FIFA 코드 LTU FIFA 랭킹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최고 순위: 37위 (2008년 10월)최저 순위: 119위 (2012년 11월) 첫 국제경기 출전 리투아니아 0 - 5 에스토니아 (리투아니아 카우나스; 1923년 6월 24일) 최다 점수차승리 리투아니아 7 - 0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가; 1995년 5월 20일) 최다 점수차패배 이집트 10 - 0 리투아니아 (프랑스 파리; 1924년 6월 1일) 유니폼 홈 원정 리투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리투아니아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이다. 1923년 6월 24일 에스토니아와의 국제 경기 데뷔전을 치뤘으며 데뷔전에서 0-5로 대패했다. 국제 대회 출전은 1924년 하계 올림픽과 발트 3국이 모여서 치르는 발틱컵이 유이하며 아직 FIFA 월드컵과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 출전 기록은 현재까지도 전무하다. 그 가운데 발틱컵에서 10번의 우승을 차지했으며 준우승도 7번 차지했다. 그러나 UEFA 네이션스리그 2018-19 리그 C 4조 6경기에서 단 1승도 거두지 못한 채 6전 전패라는 처참한 성적을 거두면서 차기 시즌 리그 D로 강등되었다. 목차 1 FIFA 월드컵 (본선) 2 FIFA 월드컵 (예선) 3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4 하계 올림픽 5 현재 선수 명단 6 각주 FIFA 월드컵 (본선)[편집]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불참 1934년 예선 탈락 1938년 1950년 소련에 강제 병합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예선 탈락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합계 FIFA 월드컵 (예선)[편집] 년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불참 1934년 1 0 0 1 0 2 0 1938년 2 0 0 2 3 9 0 1950년 소련에 강제 병합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12 2 3 7 8 21 9 1998년 10 5 2 3 11 8 17 2002년 8 0 2 6 3 20 2 2006년 10 2 4 4 8 9 10 2010년 10 4 0 6 10 11 12 2014년 10 3 2 5 9 11 11 2018년 10 1 3 6 7 20 6 합계 73 17 16 40 59 111 67 순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106위 (유럽 38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1960년 ~ 1992년 - 소련에 강제 병합 1996년 ~ 2016년 - 예선 탈락 UEFA 유로컵 예선 기록 년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60년 소련에 강제 병합 1964년 1968년 1972년 1976년 1980년 1984년 1988년 1992년 없음[1] 1996년 10 5 1 4 13 12 16 2000년 10 3 2 5 8 16 11 2004년 8 3 1 4 7 11 10 2008년 12 5 1 6 11 13 16 2012년 8 1 2 5 4 13 5 2016년 10 3 1 6 7 18 10 합계 58 20 8 30 50 83 68 순위 유로 예선 승점 순위 : 38위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20년 없음[2] 1924년 예비라운드 22위 1 0 0 1 0 9 0 1928년 불참 1936년 1992년[3] 없음[2] 1996년[3] 진출 실패 2000년[3] 2004년[3] 2008년[3] 2012년[3] 2016년[3] 합계 1회 진출(1/9[4]) 예비라운드(1회) 1 0 0 1 0 9 0 현재 선수 명단[편집] 아래 선수 명단은 2011년 11월 기준 골키퍼: 사울리스 클레빈스카스 마류스 라팔리스 수비수: 포빌라스 레이모나스 토마스 미쿠츠키스 비타우타스 안드류슈케비추스 알기스 양카우스카스 바이다스 슬라비카스 에기디유스 바이트쿠나스 미드필더: 민다우가스 칼로나스 비타우타스 루크샤 마류스 팝시스 게디미나스 비추스 바이다스 실레나스 마류스 쇼블린스카스 공격수: 리차르다스 베뉴시스 발레류스 미지구르스키스 데이비다스 마툴레비추스 각주[편집] ↑ 리투아니아 축구협회 창립 이전 ↑ 가 나 리투아니아 축구협회 창립 이전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본선 진출 횟수. 독립 이후로 계산 vdeh국제 축구 FIFA FIFA 월드컵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올림픽 FIFA U-20 월드컵 FIFA U-17 월드컵 청소년 올림픽 FIFA 클럽 월드컵 FIFA 풋살 월드컵 FIFA 비치사커 월드컵 FIFA e월드컵 유니버시아드 풋볼 어워드 남자 대표팀 목록 FIFA 코드 FIFA 랭킹 남미 CONMEBOL – 코파 아메리카 U-20 U-17 U-15 북중미카리브 CONCACAF – CONCACAF 골드컵 CONCACAF 네이션스리그 U-20 U-17 U-15 지역별 UNCAF 아시아 AFC – AFC 아시안컵 U-23 U-19 U-16 U-14 지역별 AFF CAFA EAFF SAFF WAFF 아프리카 CAF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오세아니아 OFC – OFC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유럽 UEFA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네이션스리그 U-21 U-19 U-17 FIFA 비회원국 NF-보드 – VIVA 월드컵 CONIFA – CONIFA 축구 선수권 대회 IGA – 아일랜드 게임 종합 대회 아시안 게임 올아프리카 게임 팬아메리칸 게임 동아시아 경기 대회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남아시아 경기 대회 지중해 경기 대회 카리브 게임 퍼시픽 게임 유러피언 게임 인도해 아일랜드 게임 팬아랍 게임 프랑코포니 경기 대회 루소포니아 경기 대회 vdehUEFA 소속 축구 국가대표팀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라트비아 러시아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몬테네그로 몰도바 몰타 벨기에 벨라루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북아일랜드 불가리아 산마리노 세르비아 스웨덴 스위스 스코틀랜드 스페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아르메니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안도라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 웨일스 이스라엘 이탈리아 잉글랜드 조지아 지브롤터 체코 카자흐스탄 코소보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터키 페로 제도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남미 북중미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FIFA 월드컵 예선 참가국vdeh1934년 FIFA 월드컵 예선 참가국남아메리카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페루 북아메리카 멕시코 미국 아이티 쿠바 아시아·아프리카 이스라엘 이집트 터키 유럽 그리스 네덜란드 독일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벨기에 불가리아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아일랜드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체코슬로바키아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헝가리 vdeh1938년 FIFA 월드컵 예선 참가국남아메리카 브라질 아르헨티나 북아메리카 네덜란드령 가이아나 멕시코 미국 아이티 엘살바도르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쿠바 아시아 네덜란드령 동인도 일본 유럽·아프리카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독일 라트비아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벨기에 불가리아 스웨덴 스위스 아일랜드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유고슬라비아 이스라엘 이집트 체코슬로바키아 포르투갈 폴란드 핀란드 헝가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리투아니아_축구_국가대표팀&oldid=24330790" 분류: 리투아니아의 축구리투아니아의 국가대표팀축구 국가대표팀유럽의 축구 국가대표팀리투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ietuviųLatviešuमराठीMaltiनेपाली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30일 (목) 13: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리투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리투아니아어: Lietuvos nacionalinė futbolo rinktinė)은 리투아니아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리투아니아 축구 협회에서 관리하며 유럽 축구 최약체팀 중 하나로 손꼽힌다. 1923년 6월 24일 에스토니아와의 국제 경기 데뷔전에서 0-5로 대패했으며 현재 LFF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리투아니아 축구 대표팀의 FIFA 월드컵 예선 역대 성적은 어떻게 될까? Assistant: 년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불참 1934년 1 0 0 1 0 2 0 1938년 2 0 0 2 3 9 0 1950년 소련에 강제 병합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12 2 3 7 8 21 9 1998년 10 5 2 3 11 8 17 2002년 8 0 2 6 3 20 2 2006년 10 2 4 4 8 9 10 2010년 10 4 0 6 10 11 12 2014년 10 3 2 5 9 11 11 2018년 10 1 3 6 7 20 6 합계 73 17 16 40 59 111 67 순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106위 (유럽 38위) Human: 아래 일반사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일반사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반사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일반사회는 사회생활에 필요한 지식·기능·가치 및 태도를 형성하여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민주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시민의 자질을 함양하려는 학교의 교과목이다.[1] 목차 1 역사 1.1 1920년대 이전 1.2 1920년대 ~ 1950년대 1.3 신사회과 운동 1.4 1980년대 ~ 1990년대 2 사회과의 본질 2.1 시민성 전달모형 2.2 사회과학모형 2.3 반성적 탐구모형 2.4 사회비판모형 2.5 개인발달모형 3 사회과의 목표 4 같이 보기 5 각주 역사[편집] 1920년대 이전[편집] 시민교육은 인류가 사회를 형성하면서 시작되었으나, 여러 사회과학 학문을 통합하여 사회과로 등장한 것은 20세기 초반, 미국 사회였다. 당시 미국은 이민자를 미국화하고, 미국 남부에서 북부로 이주한 이주민이 도시에 적응하도록 교육을 실시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는 지식 전달 중심의 전통적 교육에 대한 개혁을 요구하는 형태로 나타났고, 이 요구에 부응하여 1892년 전미교육협회에서 10인 위원회를 조직해 직업생활과 시민교육을 포함한 교육과정을 제시하였으나, 여전히 지식 전달 중심의 전통적 교육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전미교육협회는 7인 위원회를 조직하여 전통적인 역사교육에서 벗어나 과학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나, 이 또한 시민교육의 이상에 미치지 못하였다. 이에 전미교육협회에서 사회과위원회가 등장하여 1916년에 '중등교육의 사회과' 등의 보고서를 통하여 사회과라는 교과를 창설할 것을 주장하였다.[2] 1920년대 ~ 1950년대[편집] 사회과가 본격적으로 학교에 도입된 것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인 1920년대이다. 이 시기 미국의 교육은 존 듀이의 진보주의 교육을 중심으로 하였고, 사회과 역시 학습자의 필요·흥미·성장에 맞추어 진행되었다. 특히 사회과는 융합형·통합형·중핵형 교육과정과 같은 교육적 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교과목들과 차이를 두었으며, 내용 역시 학문보다는 실제 생활과 경험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과 냉전을 거치면서 보수주의의 움직임이 강화되어 애국적 시민교육이 강조되었다.[3] 신사회과 운동[편집] 냉전과 스푸트니크 충격으로 인해 사회과의 교육과정은 문제 중심의 교육과정에서 학문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선회하였으며, 특히 학문과 지식의 구조가 강화되면서 사회과는 사회과학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이 개혁되었다.[4] 또한 흑백갈등 등으로 큰 사회문제를 경험한 미국은 인간에 대한 이해를 강조하였다.[5] 교육방법적인 면에서는 발견학습·탐구학습·학제적 접근법이 새로 등장하여 학생들이 여러가지 교육자료를 활용하여 학문적 구조를 스스로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6] 1980년대 ~ 1990년대[편집] 정보화·세계화·개방화로 인하여 인지심리학의 영향을 받아 사회과는 인지적 구성주의의 관점에서 학습모형이 개발되었다. 정보처리모형, 개념학습, 고차사고력, 의사결정학습모형이 발달하였다. 교육내용적인 면에서도 기존 사회과학을 넘어서 대중문화, 여성학과 같은 생활문제 영역이 교육자료로 구성되고 있다.[7] 사회과의 본질[편집] 바, 바스, 셔머스는 20세기 사회과교육가들이 발전시켜온 사회과의 본질을 세 가지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넬슨과 마이클리스는 여기에 두 가지를 더하여 논의를 확장하였다. 그러나 어느 하나의 입장이 본질에 가깝다고 볼 수는 없고, 논의를 풍부하게 전개할 수 있다. 시민성 전달모형[편집] 시민성 전달모형은 교육학 일반의 '문화유산 전달모형'을 사회과에 적용한 것으로, 문화의 존속에 필요하다고 국가·지방자치단체·교사가 판단한 지식이나 기능, 가치 및 태도를 교수하여 학습자가 미래시민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데에 목적이 있다. 주로 국가 단위 수준에서 표준화가 이루어지며, 직접교수방식인 강의식 수업을 주로 사용한다. 시민성 전달모형은 전통가치와 신념체계를 전달해 사회유지와 안정을 도모할 수 있으나, 시대 흐름에 대응하기 어렵고 다원적인 민주주의의 가치를 담보할 수 없다는 지적이 있다.[8] 사회과학모형[편집] 사회과학모형은 사회과학의 탐구 방식과 학문 내용을 습득한 '꼬마 사회학자'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는 1960년대 학문중심 교육과정이 대두되면서 부흥하였다. 따라서 사회과 교사들은 학생들이 사회과학자들이 중요시하는 사회문제를 해결해야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실생활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추상적인 사회과학의 문제해결방식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다.[9] 반성적 탐구모형[편집] 반성적 탐구모형은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성적 사고력을 기르는 것을 중요시한다. 따라서 특정한 가치와 태도를 교수하기보다는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가치체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종합적 사고와 통찰을 통해 분과학문적인 교육이 아닌 통합교과적인 교육이 진행된다. 급변하는 현대사회의 문제를 다루는 데에는 적합하나, 학문체계에 대한 기초가 약화되며, 실제 수업에서 활용하기에는 추상적이라는 지적이 있다.[10] 사회비판모형[편집] 사회비판모형은 다양한 영역에서 정의·평등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학습자가 어떠한 노력을 할 수 있는가를 깨닫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사회의 부정의·불평등을 인식하고 비판적 입장을 견지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한다. 주로 사회적 소수자와 기회균등과 관한 내용을 교수한다. 그러나 비판적 사고력이 중요하지만 전통적 가치나 신념을 일방적으로 부정하고 지식의 기초가 약해질 수 있다는 지적이 존재한다.[11] 개인발달모형[편집] 개인발달모형은 사회과교육을 개인의 발달을 추구하는 것을 본질로 본다. 진보주의와 실존주의 철학에 기반하며, 적극적인 자아개념과 자아발달 및 성취, 취업준비, 생활능력의 함양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학생의 요구에 따른 학생중심의 교육과정이 구성될 수 있으나, 사회성 발달이 저해될 수 있다는 지적이 존재한다.[12] 사회과의 목표[편집] 사회과의 주된 목표는 '시민으로서의 실천적 행동', 즉 '시민성'을 함양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과학에 대한 지식, 자료의 탐색과 해석 등의 기능, 인간에 대한 인도적인 접근 등의 태도, 민주적 기본 가치를 익히도록 설정되어 있다.[13] 초기에는 강조되는 바의 통일성이 없이 중구난방이었고, 1950년대 이후 반성적 사고를 강조하였지만 행동적으로 세분화되지는 못하였다. 신사회화 시기에는 사회과를 구성하는 배경 학문을 구조화하고, 탐구기능이 강조되었다. 최근에는 고차사고력과 가치교육, 시민행동을 강조하고 있다.[14] 같이 보기[편집] 다문화교육 양성평등교육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교과목 각주[편집] ↑ 차경수; 모경환 (2014년 2월 28일). 《사회과교육》 1판. 동문사. 17쪽. ISBN 978-89-8251-302-2.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차경수; 모경환 (2014년 2월 28일). 《사회과교육》 1판. 동문사. 22 ~ 24쪽. ISBN 978-89-8251-302-2.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차경수; 모경환 (2014년 2월 28일). 《사회과교육》 1판. 동문사. 24 ~ 26쪽. ISBN 978-89-8251-302-2.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차경수; 모경환 (2014년 2월 28일). 《사회과교육》 1판. 동문사. 26쪽. ISBN 978-89-8251-302-2.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차경수; 모경환 (2014년 2월 28일). 《사회과교육》 1판. 동문사. 27쪽. ISBN 978-89-8251-302-2.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차경수; 모경환 (2014년 2월 28일). 《사회과교육》 1판. 동문사. 28쪽. ISBN 978-89-8251-302-2.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차경수; 모경환 (2014년 2월 28일). 《사회과교육》 1판. 동문사. 28 ~ 29쪽. ISBN 978-89-8251-302-2.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차경수; 모경환 (2014년 2월 28일). 《사회과교육》 1판. 동문사. 37 ~ 38쪽. ISBN 978-89-8251-302-2.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차경수; 모경환 (2014년 2월 28일). 《사회과교육》 1판. 동문사. 39쪽. ISBN 978-89-8251-302-2.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차경수; 모경환 (2014년 2월 28일). 《사회과교육》 1판. 동문사. 40 ~ 41쪽. ISBN 978-89-8251-302-2.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차경수; 모경환 (2014년 2월 28일). 《사회과교육》 1판. 동문사. 41 ~ 42쪽. ISBN 978-89-8251-302-2.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차경수; 모경환 (2014년 2월 28일). 《사회과교육》 1판. 동문사. 43쪽. ISBN 978-89-8251-302-2.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차경수; 모경환 (2014년 2월 28일). 《사회과교육》 1판. 동문사. 70쪽. ISBN 978-89-8251-302-2.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차경수; 모경환 (2014년 2월 28일). 《사회과교육》 1판. 동문사. 61 ~ 66쪽. ISBN 978-89-8251-302-2.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일반사회&oldid=21116315" 분류: 사회과학민주주의중등 교육숨은 분류: 인용 오류 - URL 없이 확인날짜를 사용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БългарскиবাংলাČeštinaCymraeg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עבריתहिन्दीItaliano日本語Patoisಕನ್ನಡLietuviųമലയാളംNederlandsNorskPolskiРусскийسنڌيSimple EnglishSlovenčinaதமிழ்తెలుగుTürkçeУкраїнськаWinaray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4월 18일 (수) 01: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일반사회는 사회생활에 필요한 지식·기능·가치 및 태도를 형성하여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민주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시민의 자질을 함양하려는 학교의 교과목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사람들이 사회를 만들면서 시작된 것은 무엇인가? Assistant: 시민교육
Human: 아래 박준혁_(축구_선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박준혁 (축구 선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준혁 (축구 선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박준혁 개인 정보로마자 표기 Park Jun-Hyuk출생일 1987년 4월 11일(1987-04-11) (32세)출생지 대한민국키 178cm[1]포지션 골키퍼클럽 정보현 소속팀 전남 드래곤즈청소년 클럽 기록2000-2002 2003-2005 2006-2009 배재중학교 신갈고등학교 전주대학교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2010 2011-2012 2013 2014-2015 2016-20182017-201820182019- 경남 FC 대구 FC 제주 유나이티드 성남 FC성남 FC → 포천 시민축구단 (공익 근무)대전 시티즌전남 드래곤즈 000 0(0) 057 0(0) 031 0(0) 067 0(0) 003 0(0)016 0(0)국가대표팀 기록2008 대한민국 비치 사커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18년 11월 12일 기준이다. 박준혁(朴俊赫, 1987년 4월 11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포지션은 골키퍼이다. 목차 1 클럽 경력 2 수상 2.1 개인 2.1.1 성남FC 2.2 클럽 2.2.1 성남FC 2.2.2 포천 시민축구단 3 각주 4 외부 링크 클럽 경력[편집] 박준혁은 영희초등학교, 배재중학교와 신갈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전주대학교에 진학했다. 4학년이던 2009년 U리그에서는 우수 선수로 뽑혔다.[2] 졸업 후 그는 2010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경남에 입단했다.[3] 그러나 한 시즌 동안 단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하였다.[4] 2011 시즌을 앞두고 자유 계약 선수가 된 박준혁은 대구로 이적했다.[5] 2011년 3월 16일 전 소속 구단 경남과의 리그 컵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다.[6] 대구는 두 골을 내주며 0-2로 패배하였지만 이영진 감독은 박준혁의 경기를 지켜본 후 "가능성을 봤다"고 언급했다.[7] 약 2개월 후 5월 23일 박준혁은 서울전에서 리그 데뷔전을 치렀고, 많은 선방을 보여주며 2-0 승리를 이끌었다.[8] 경기 후 이영진 감독은 김병지나 권순태와 비교해도 손색 없는 골키퍼라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9] 일주일 후 그는 포항 스틸러스전에도 출전하였고,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이 났다.[10] 2011년 6월 11일 대전 시티즌 전에서 후반 37분 김한섭과 몸싸움 중에 마찰을 빚어 퇴장을 당하였다.[11] 이때 교체 카드를 모두 사용한 상태라 수비수 안재훈이 대신 골문을 지켰다. 2012년 주전 경쟁을 벌이던 백민철이 경남 FC로 이적한 이후 완벽히 주전 골키퍼 자리를 굳혔다. 2013 시즌을 앞두고 제주 유나이티드로 이적하였다.[12] 2014 시즌을 앞두고 성남 FC로 이적하였다. 2014년 FA컵 결승전의 승부차기에서 선방을 보이며 팀의 FA컵 우승을 이끌었다. 2015년 12월 현역으로 입대하였고, 신인인 김동준이 주전 골키퍼로 자리잡게 되었다. 하지만, 2016년 7월 개인적인 사유로 전역하여 성남에 복귀하였고, 성남은 그 동안 전상욱의 투병과 7월 18일에는 김동준이 올림픽 국가대표 차출 등으로 불안했던 골키퍼 문제를 해결하였다.[13] 2017년 공익 근무를 목적으로 포천 시민축구단에 입단하였으며, 2018년 7월 대전 시티즌으로 이적하였다. 2019년 1월 4일에는 전남 드래곤즈로 이적하였다. 수상[편집] 개인[편집] 성남FC[편집] 2014년 FA컵 최우수선수상 클럽[편집] 성남FC[편집] FA컵 우승 1회 (2014년) 포천 시민축구단[편집] K3리그 우승 1회 (2017년) 각주[편집] ↑ 2011년 6월 13일자 비바! K리그 ↑ 김동욱 (2009년 11월 26일). “단국대, 9년 만에 대학 정상…"자신감 찾았다"”. 노컷뉴스.  ↑ 한용섭 (2011년 6월 5일). “2년차 골기퍼 박준혁, 대구 상승세 이끈다”. 일간스포츠.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윤진만 (2011년 1월 5일). “경남 토끼띠 6인방, “토끼처럼 깡충깡충 뛰겠다””. 스포탈코리아.  ↑ 이호준 (2011년 2월 8일). “대구FC, 수비 보강 '특명'…日 구마모토서 담금질”. 매일신문.  ↑ 윤진만 (2011년 3월 16일). “경남, 대구 2-0 격파…리그 포함 3연승”. 스포탈코리아.  ↑ 윤진만 (2011년 3월 16일). “이영진 감독이 경남전 패배에도 얻은 소득”. 스포탈코리아.  ↑ 이호준 (2011년 5월 23일). “대구FC '코너킥+헤딩골' 승리 방정식”. 매일신문.  ↑ 김성원 (2011년 5월 21일). “친정팀에 비수 꽂은 이영진 감독 "세트피스가 무기"”. 스포츠조선.  ↑ 김성진 (2011년 5월 28일). “포항, 대구와 2-2 무승부… 전북 제치고 선두 올라”. 스포탈코리아.  ↑ 윤진만 (2011년 6월 11일). “'자책골, 퇴장' 대구, 대전과 1-1 무승부”. 스포탈코리아.  ↑ 이건 (2012년 12월 27일). “대구 GK 박준혁, 제주로 이적”. 스포츠조선.  ↑ “‘현역 입대’ 박준혁, 개인사 전역으로 성남 복귀… 골문 불안 해결”. 스포탈코리아. 2016년 7월 16일.  외부 링크[편집] K리그 기록 - 한국프로축구연맹 vdeh전남 드래곤즈 – 현재 명단 1 박준혁 2 최효진 3 가솔현 4 김건웅 5 닉 안셀 7 이슬찬 9 브루노 10 마쎄도 11 이유현 12 신찬우 13 김민준 14 김영욱 15 김진성 16 한찬희 17 이지남 18 김경민 19 최익진 20 곽광선 21 이호승 22 최재현 23 추정호 24 김민혁 25 한승욱 26 안병건 27 정재희 28 조윤형 29 한창우 31 박대한 33 정희웅 36 임민혁 37 신진하 38 하태균 감독: 파비아누 소아리스 vdeh성남 FC - 2014년 대한민국 FA컵 우승 (3회) 1 전상욱 2 곽해성 3 박희성 4 이요한 5 심우연 6 박진포 7 김철호 8 김성준 9 김동섭 10 제파로프 11 김태환 12 바우지비아 13 김동희 14 정선호 15 김평래 16 황의조 17 이민우 18 이창훈 19 나진성 20 윤영선 21 권태안 22 이종원 23 김영남 24 장석원 25 정우재 26 임채민 27 김남건 28 박준혁 29 유청윤 30 박신우 31 박재성 33 염유신 45 강진욱 89 정산 감독: 김학범 코치: 이영진, 송상우, 오주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박준혁_(축구_선수)&oldid=23773445" 분류: 1987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축구 골키퍼대한민국의 축구 선수경남 FC의 축구 선수대구 FC의 축구 선수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축구 선수성남 FC의 축구 선수포천 시민축구단의 축구 선수대전 시티즌의 축구 선수K리그1의 축구 선수K리그2의 축구 선수K3리그의 축구 선수전주대학교 동문신갈고등학교 동문배재중학교 동문서울영희초등학교 동문전남 드래곤즈의 축구 선수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26일 (화) 14: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박준혁(1987년 4월 11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포지션은 골키퍼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박준혁은 2010년 드래프트를 통하여 어떤 팀에 입단하였는가? Assistant: 경남 Human: 아래 넨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넨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넨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가 문서 등재 기준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입증이 요구되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문서의 주제가 중요하게 다루어진 신뢰할 수 있는 2차 출처를 추가해주세요. 문서 등재 기준을 입증할 만한 출처가 제시되지 않는다면, 문서는 삭제되거나 다른 문서에 병합될 수 있습니다. (2018년 6월) '넨도(Nendo)는 일본에 본사를 둔 디자인 회사이다. ‘사토 오오키’가 설립한 디자인 브랜드로, 공간, 제품, 그래픽디자인까지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있다. 넨도는 일본어로 ‘粘土(점토)’라는 뜻의 일본어 발음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며, 유연한 발상으로 자유롭게 디자인하려는 브랜드의 의미가 있다. 목차 1 역사 2 브랜드 전략 2.1 브랜드의 경영법 3 브랜드의 발상법 10가지 4 주요 디자이너 4.1 사토 오오키(헤드 디자이너) 4.2 시니어 디자이너 4.3 디자이너 4.4 콜라보레이션 5 각주 역사[편집] 사토 오오키가 대학원을 수료한 후,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찾고 싶다는 생각에 밀라노로 여행을 떠났고, 그때 마침 열린 가구 박람회 ‘밀라노 살로네’에서 디자이너들의 작품을 보고 디자인에 대해 흥미를 느꼈다고 한다. 일본에 돌아오자마자 그때 밀라노 여행을 함께 했던 간부 6명과 함께 현재의 넨도를 창립하게 되었다. 브랜드 전략[편집] 브랜드의 경영법[편집] 대부분의 업게들이 아이디어는 좋지만 100점짜리 아이디어를 40%만 실현시키는 추세였다. 하지만 넨도는 안정적으로 100점은 아니지만 70%를 실현시키려고 노력한다. 사토 오오키가 발견해낸 브랜드 법칙은 아이디어가 차지하는 비율이 10~20%정도 밖에 안된다는 것이었다. 그는 아이디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다음의 3단계를 만들었다. 1.아이디어를 실현하기 위해 환경과 상황의 토양을 일구는 업무 =클라이언트가 바라는 것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 디자인과정에서 클라이언트와 함께한다. 또한 한가지 분야가 아닌 5개의 분야(건축, 인테리어, 가구, 공업 제품, 그래픽)을 다룸으로써 경우에 따라 둘을 복합하는 등 선택지를 늘려 문제해결을 위한 작업을 부드럽게 진행할 수 있다. 2.아이디어를 클라이언트와 함께 키워나가는 업무 =처음에 열심히 해갔는 데 클라이언트와 의견충돌이 생기는 것을 막기위한 방법이다. 먼저 70점짜리 아이디어를 많이 발견한다. 그 다음 클라이언트의 기대를 넘어서는 프레젠테이션 자료를 3배속으로 준비한다. 진행 속도를 빠르게 해 아이디어 고민시간을 줄이고 제작자가 제작할 시간을 더 줘 작업퀄리티를 올리는 방법이다. 3.아이디어를 실현하기 위해 수확하는 업무 =최대한 미디어 노출을 시켜 넨도를 홍보하며, 넨도가 만든 아이디어들을 더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하고 발전시킨다. 이러한 홍보를 통해 다양한 업계에서 넨도에게 업무를 맡기고 싶어한다. 브랜드의 발상법 10가지[편집] 면으로 생각한다 하나의 점이 아닌 넓은 면으로 생각할 경우 기업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무에서 잎파리 하나를 디자인 했을 경우 나무가 변한 것처럼 보일 지 몰라도 결국에 본질적으로 변한 것은 없다. 하지만 뿌리를 디자인한다면 이후 디자이너가 새로 디자인하지 않아도 새로 태어날 잎파리는 스스로 매력적이게 된다. 한발 물러선다 고객들을 디자이너들의 힘으로 압도하기보다는 클라이언트의 능력이나 제품의 힘을 최대한 살려내기 위해 한발 물러서는 방법이다. 한발 물러섬으로써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높아지고, 사물을 객관적으로 재검토할 수 있게 된다. 위화감을 만든다 일상 속에서 느꼈던 뭔가 걸리는 느낌과 위화감이 느껴지는 것들을 모아 형태로 만들어내는 것이 넨도가 생각하는 디자인이다. 일부러 아이디어를 짜내려고 하지 않고 일상 속에서 관찰하며 위화감이 느껴지는 것들을 잘 머릿속에 모아둔다. 균형을 무너뜨린다 즉, 고정관념을 무너뜨린다는 말이다. 획일화, 고정화되어 있던 현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법이다. 보이고 싶은 것을 숨긴다 정보를 약간 숨김으로써 사람들의 흥미를 유발하여 사람들이 공간이나 제품을 즐겁게 체험할 기회를 제공한다.시점의 일부를 가리며 시선을 먼 곳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이 있다. 주위를 숨기며 대상을 강조하기도 한다. 느슨하게 만든다 과하게 손대지 않고 느슨하게 디자인함 제품은 소비자 개개인이 디자인에 참여할 시간을 남겨둔다. 어쨌든 모은다 복수의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조립하는 과정을 만든다. 단일 요소를 복제해 전체를 만들어간다. 사물의 휴식 시간을 생각한다 제품이 사용 중일 때 외에도 평상시 어떻게 보여질지를 고려해 디자인을 한다. ’타닌동’을 찾아낸다 ‘타닌동’이란 넨도의 디자인 방식 중, 서로 관련 없는 것들의 공동점을 찾아 연결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아무런 인연도 없는 무언가 두가지를 연관시켜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원래 있던 것을 이용한다 어쩔 수 없는 제약을 변경할 수 없는 상태라면 그것을 리디자인해 새로운 가능성을 창출해낸다. [1] 주요 디자이너[편집] 사토 오오키(헤드 디자이너)[편집] 디자인 회사 넨도nendo의 대표이다. 1977년 캐나다에서 태어났다. 2000년에 와세다대학 이공학부 건축과를 졸업한 후, 2002년 동대학원을 수료했다. 2002년 디자인회사 넨도를 설립했다. 세계 주요 미술관에 그의 대표적인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으며 2006년에는 쇼와여자대학교 강사를 했으며 2012년부터 와세다대학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1977년 7월 4일 이탈리아 밀라노 건축 학회에서 1997년 9월 2일에 설립한 "도쿄 건축", 1997년 9월 2일에 설립된 대표적인 "도쿄 건축 전문가", 35개 주요 비즈니스 활동 설계(건축, 인테리어) 우리의 일상 속에는 작은 순간들이 숨겨져 있지만 우리는 그것들을 알아보지 못한다. 그리고 심지어 우리가 그것들을 인식할 때,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우리의 마음을 재설정하고 우리가 본 것을 잊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사토 오오키는 이 작은 순간들이 우리의 삶을 흥미롭고 부유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믿는다. 이것이 우리가 일상 생활을 수집해서 이해하기 쉬운 것으로 재구성하여 재구성하고자 하는 이유이다. 넨도의 디자이너들은 "!" 하는 작은 순간들을 직관적으로 느끼기 위해 넨도의 디자인을 만난 사람들과 같다. 연례 디자인 검토 베스트 제품 (미국) 빨간 점 디자인 포상 (독일) iF 제품 디자인 포상 (독일) 가구 디자인 포상 웅대 한 상품 (싱가포르) 벽지 * 제일 국내 디자인 (UK) Compasso d' Oro 영예로운 언급 (이탈리아) ELLE DECO International 디자인 어워드 "올해의 디자이너"ELLE DECO 국제 디자인 어워드 "목욕과 재료에서 최고"ELLE DECO 국제 디자인 어워드 "바닥에서 최고의 커버"Maison & Objet 올해의 디자이너 (프랑스) German Design Award (독일) ELLE DECO International 디자인 어워드 "최고의 침대"Iconic Design Award "올해의 인테리어 디자이너"(독일) Nikkei Online "올해의 변화하는 디자이너"(일본) ELLE DECO 국제 디자인 어워드 "옥외 가구에서 최고"집단 디자인 "공동 영향"( 미국) 태국 부동산 상 "최고의 소매 개발"(태국) 태국 부동산 상 "최고의 상업 개발"(태국) "디자이너 핫 목록"1 위 (영국) 컬렉션 현대 미술관 / 뉴욕 Musee des Arts decoratifs / 파리 박물관 예술 디자인 / 뉴욕 Cooper-Hewitt, 국립 디자인 박물관 / 뉴욕 몬트리올 미술관 / 몬트리올 디자인 박물관 홀론 / 홀론 이스라엘 박물관 / 예루살렘 하이 미술관 / 애틀란타 빅토리아 및 앨버트 박물관 / 런던 센터 퐁피두 / 파리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 / 시카고 트리엔날레 디자인 박물관 / 밀라노 로스 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 로스 앤젤레스 덴버 미술관 / 덴버 디자인 박물관 / 런던 필라델피아 미술관 / 필라델피아 21_21 디자인 시력 / 도쿄 인디애나 폴리스 미술관 / 인디애나 폴리스 M + 박물관 / 홍콩 몬드리안 재단 / 네덜란드 미술관 / 휴스턴 세인트 루이스 미술관 / 세인트 루이스 개인전 2003 "streeterior"/ 밀라노 디자인 위크 / 밀라노 "streeterior"/ 도쿄 디자인 센터 / 도쿄 "streeterior"/ 리빙 디자인 센터 OZONE / Tokyo 2004 가구 / 도쿄 디자인 센터 / 도쿄 2006 bloomroom / 밀라노 디자인 위크 / 밀라노 "bloomroom"/ 유럽의 디스트리뷰터 / Istituto Europeo di Design / 마드리드 2008 "탄력있는 다이아몬드"/ 밀라노 디자인 위크 / 밀라노 "쿠우 키"/ Le Bain 갤러리 / 도쿄 2009 "유령 이야기"/ 프리드먼 벤다 갤러리 / 뉴욕 "유령 이야기"/ Museum of 예술과 디자인 / 뉴욕 2010 "의자 정원"/ Antonia Jannone 갤러리 / 사치 갤러리 / 런던 "희미한 흰색 표면"/ Phillips de Pury / London 2011 "춤추는 광장"아트 스테이지 / 밀라노 "얇은 검정색 선"/ Phillips de Pury 싱가포르 "질감 된 투명 필름"/ Antonia Jannone 갤러리 / 밀라노 "투명 필름 질감"/ Agathe Helion & Clear 갤러리 / 파리 "얇은 검정색 선 + 춤추는 사각형"/ 대만 국립 공예 연구 개발원 / 타이 중 "가시적 인 구조물"/ A 박물관 10 월 10 일 선반 / Carpenters 워크샵 갤러리 / London "scatter shelf"/ Friedman Benda 갤러리 / 뉴욕 "50 projects _ 25objects + 25spaces"/ AXIS 갤러리 / 도쿄 2012 "static bubbles"/ Carpenters Workshop gallery / Paris "개체 의존성"/ Pierre-Alain Challier 갤러리 / 파리 "시행 착오"/ Visconti Palace / 밀란 "여전히 반짝임"/ Superstudio / 밀란 "블랙 & 블랙"/ Carrozzeria / Milan "Mimicry Chair"/ Victoria And Albert Museum / 런던 "스틸 & 스파클링"/ 프라하 하우스 / 브뤼셀 2013 "산 80"/ 스웨덴 스톡홀름 국제 가구 박람회 / 스웨덴 "Nichetto = Nendo"/ 밀라노 디자인 위크 / 밀란 "유리 공예"/ 딜 모스 갤러리 / Milan 2014 "works by nendo" 밀라노 디자인 위크 / 밀라노 디자인 위크 / Milan 2015 "chocolatexture lounge"/ Maison & Objet / 파리 "tokyo 부족 컬렉션"/ Maison & Objet / Singapore "nendo works 2014-2015"/ Milan Design Week / 밀라노 "nendo 3/3"/ EYE OF GYRE / 도쿄 2016 "50 남자 ga chairs "/ 밀라노 디자인 위크 / 밀라노"nendo : 그 사이의 공간 "/ Desing Museum Holon / Holon"nendo : 창문을 들여다 보며 "/ 대만 디자인 센터 / 타이베이"unprinted material "/ Creation Gallery G8 / 라이프 디자인 센터 OZONE / 도쿄 2005 "상하이 쿨"/ 상하이 듀 룬 현대 미술관 / 상하이 2006 "ArchiLab"/ 사이트 데스 빌리지 Militaires / Orleans "DuoHandles"/ Spiral Garden / Group Exhibitions 2003 "monom factory" / Stilwerk / Berlin 2007 "표현의 힘, 일본"/ 국립 예술의 전당 / 도쿄 "모든 빛, 모든 것"/ 한가람 디자인 박물관 / 서울 "미래를위한 공간"/ 현대 미술관 도쿄 / 도쿄 2008 "디자인과 Elastic Mind "/ 뉴욕 현대 미술관 / 뉴욕"XXIst Century Man "/ 21_21 DESIGN SIGHT / 도쿄"Foodesign "/ Triennale di Milano / Milan 2009"Extra Much "/ imm colourne / Cologne"건축가의 손 "/ Triennale di 밀라노 / 밀란 "도쿄 섬유, SENESWARE"/ 밀라노 트리엔날레 / Milan "Secon d "Nature / Rundetaarn / Copenhagen"Delight "/ Maison & Objet / 파리"Detour "/ MoMA Design Store / 도쿄 2010"디자인 13,798 그램 "/ Lambretto Art Project / 밀라노"국제 고지 트리엔날레 "/ 21 세기 현대 미술관 , 가나자와 / 가나자와 "칸 세이 디자인 쇼"/ 가나자와 / 가나자와 21 세기 현대 미술관 "간행물 디자인 쇼"/ 홍콩 컨벤션 & 전시 센터 / 홍콩 2011 "HAUTE TENSION"/ Maison & Objet / Paris "Modern By Design "/ 하이 미술관 / 아틀란타"베이징 국제 디자인 트리엔날레, 이유식 기적 "/ 중국 국립 박물관 / 북경"상상이 가나? " / MAXXI Museo Nazionale Delle Arti del XXI Secolo / Rome 2012 "Future Primitives"/ 비엔날레 Interieur / Kortrijk "섹스 앤 디자인 전시회"/ Triennale Design Museum / Milan 2013 "색연필 테이블"/ Saint-Etienne Design 비엔날레 / Saint-Etienne 2014 년 "EXPO Milano 2015 Japan Pavilion Gallery Space / Milan"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EXPO Design 2015"다채로운 그림자 / EXPO Milano 2015 일본 전시관 공간 / 밀라노 2014 "rain bottle"/ Maison & Objet / 파리 Curation 2014 "숨겨진 일본인 디자인"/ National Design Center / (2008 ADP · 일본) "카넨 엔도 2 넨도 작품 2005"(ADP · 일본) "카넨 엔도 3 넨도 작품 2002-2004"(ADP · 일본) (ADP · 일본) 2012 "ADP · 일본"카니 엔도 4 네요 작품 2007-2010 (ADP · 일본) "카넨 엔도 5 네이도 작품 2010-2011"(ADP · 일본) 2012 "네가의 칸도"(쇼 가쿠 칸 · 일본) 2013 "nendo 10 / 10 "(Gestalten · Germany)"nendo ghost shadows "(ADP · 일본) 2013 in the box"(ADP · 일본) "숨겨진 - 일본의 디자인 공개"(ADP · 일본) 시니어 디자이너[편집] 이토 사야카 이시바야시 노리타카 헨미 마유카 이사 이사 Shimpei Mitani 디자이너[편집] 나루세 순 아라타 니시카와 우메 하나 신이치로 유키코 토모 츠네 나시코 니시즈미 아베 유미 미도리 카키 우치 나오 우치다 혼다 코지로 츠요시 수사 Tjeerd te Dorsthorst 하 다르 고레 리크 리처드 본 보조 디자이너 카와바타 유이치로 우메 자와 유타 후지타 겐키 황 쉐리 미야타 시게 야 Mikuri Sasage 유 요시 코미치 시미즈 마도카 타케우치 츠바사 신도 유카리 후루가 키 흐 시이 -시 조치 아시자와 아키토시 토모코 야스 마츠 오오츠카 카요코 유키 후나 코시 메구미 이노 타카히로 후키노 마루 모토 마유미 타쿠마 스가와라 아와 노 유스케 이토 아키히로 [2] 콜라보레이션[편집] 넨도X마르소토 에디지오니 : 이탈리아의 대리석 가구 브랜드인 마르소토 에디지오니와 콜라보한 테이블 콜렉션이름은 '스웨이'이다ㅏ. 스웨이 라인의 테이블들은 테이블 다리가 윗 상판의 무게에 눌려 살짝 기울어진 것같은 형태를 하고 있다. 넨도X모로소 가구 : 우아한 여성의 힐에서 영감을 얻어 이탈리아 수입 가구회사인 모로소와 함께 콜라보하여 '힐 체어'를 디자인했다. BbyB 초콜렛 숍 : 벽면 공간을 입방체 캐비넷으로 구성한 후 초콜렛 진열장을 투명 아크릴로 만들어 초콜렛들이 공중에 떠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키는 내부 디자인을 했다. ykk : 보통은 하나의 라인으로 이루어진 지퍼이지만 이 경우에는 두개의 지퍼라인이 크로스로 연결되어있다. 그래서 가로/세로 방향 두갈래로 여닫는 게 가능하다. 또 다른 지퍼로는 다 닫히는 지퍼가 아닌 드문드문 닫히는 지퍼이다. 살짝씩 벌어진 공간으로 이어폰을 빼서 사용하기도 할 수 있다. 스타벅스 : 컵을 뒤집어 놓았을 때 바닥면이 마치 커피가 담겨있는 머그잔같은 착시를 일으킨다. 종류는 아메리카노, 라떼, 그리고 카라멜 마끼아또 총 3가지 종류가 있다. 코카콜라 : 코카콜라 병을 업사이클링한다는 컨셉이다. 유리그릇이되 코카콜라 병이 생각나게끔 병 바닥면을 그대로 그릇 바닥면으로 옮겼다. 또한 깔끔하지 못한 마감처리를 업사이클링에 대한 하나의 표현으로써 작업했다. 각주[편집] ↑ 사토 오오키. 《넨도 디자인이야기》. 미디어샘. 15-308쪽. ISBN 978-89-6857-008-7.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회사 정보”. 2018년 5월 30일에 확인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넨도&oldid=24207597" 분류: 일본의 기업숨은 분류: 인용 오류 - URL 없이 확인날짜를 사용함문서 등재 기준에 부합하는지 입증이 요구되는 문서/2018년 6월문서 등재 기준에 부합하는지 입증이 요구되는 모든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17:2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넨도(Nendo)는 일본에 본사를 둔 디자인 회사이다. ‘사토 오오키’가 설립한 디자인 브랜드로, 공간, 제품, 그래픽디자인까지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있다. 넨도는 일본어로 ‘粘土(점토)’라는 뜻의 일본어 발음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며, 유연한 발상으로 자유롭게 디자인하려는 브랜드의 의미가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넨도에는 어떤 디자이너가 일하고 있을까? Assistant: 나루세 순 아라타 니시카와 우메 하나 신이치로 유키코 토모 츠네 나시코 니시즈미 아베 유미 미도리 카키 우치 나오 우치다 혼다 코지로 츠요시 수사 Tjeerd te Dorsthorst 하 다르 고레 리크 리처드 본 보조 디자이너 카와바타 유이치로 우메 자와 유타 후지타 겐키 황 쉐리 미야타 시게 야 Mikuri Sasage 유 요시 코미치 시미즈 마도카 타케우치 츠바사 신도 유카리 후루가 키 흐 시이 -시 조치 아시자와 아키토시 토모코 야스 마츠 오오츠카 카요코 유키 후나 코시 메구미 이노 타카히로 후키노 마루 모토 마유미 타쿠마 스가와라 아와 노 유스케 이토 아키히로
Human: 아래 쌍용_코란도_C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쌍용 코란도 C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쌍용 코란도 C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쌍용 코란도 C 차종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 제조사 쌍용자동차 별칭 쌍용 뉴 액티언(러시아)쌍용 마이크로 코란도(스리랑카)[1] 생산년도 2011년~2019년 조립 대한민국 경기도 평택시 선행차량 쌍용 액티언 후속차량 쌍용 코란도(C300) 차체형식 5도어 스테이션 왜건 구동방식 전륜구동4륜구동 차대 모노코크 변속기 수동 6단자동 6단 쌍용 코란도 C (SsangYong Korando C) 는 대한민국의 쌍용자동차가 2011년부터 2019년까지 생산한 SUV이다. 목차 1 1세대(C200) 1.1 코란도 C(2011년 2월~2013년 8월) 1.2 뉴 코란도 C(2013년 8월~2017년 1월) 1.3 뉴 스타일 코란도 C(2017년 1월~2019년 2월) 2 각주 3 외부 링크 1세대(C200)[편집] 코란도 C(2011년 2월~2013년 8월)[편집] 쌍용 코란도 C 정측면 쌍용 코란도 C 후측면 2008년에 개최된 파리 모터쇼에 선보였던 컨셉트 카 C200의 양산형으로, 액티언의 후속 차종이다. 이탈리아의 디자이너 조르제토 쥬지아로가 외관을 디자인하였다. 1세대와 후속 차종이었던 액티언이 후륜구동 방식의 프레임 바디 기반 SUV였던 반면, 3세대는 쌍용자동차 최초의 전륜구동 방식과 모노코크 바디 기반 SUV로 탈바꿈하였다. 또한 1세대 및 2세대와의 컨셉트도 달라 차명을 제외하면 전혀 연관성이 없으나, 코란도의 브랜드 유산을 계승 발전시켜 새로운 SUV의 역사를 창출해 나가겠다는 의미를 담아 차명이 코란도 C로 되었다. 서브 네임인 C는 '세련된', '귀족적인'을 표현한 'Classy'와 '우수한 승차감과 정숙성'의 'Comfortable', '환경 친화성'의 'Clean' 등 디자인과 제품, 그리고 엔진에 대한 컨셉트를 함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2] 당초 2010년 10월 25일 출시 예정이었으나, 개발 기간 중에 쌍용자동차의 파업 등으로 출시가 지연되어 대한민국에는 2011년 2월 22일에 출시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 출시하기 전에 유럽에 먼저 수출되었다. 2열 시트의 리클라이닝 기능과 플랫 플로어 등을 내세워 편안함을 내세우고 있다. 코란도 C에 장착된 엔진은 코란도 스포츠, 렉스턴 W, 코란도 투리스모에 세로로 배치되어 장착된다. 2013년 1월에 코란도 C 10만 대 판매를 기념하여 수출형 날개 엠블럼이 달린 리미티드 트림과 최고의 연비에 활용도 높은 편의 사양이 적용된 비트 트림이 추가되었다.[3] 저속 토크를 중점에 두는 149마력의 2.0ℓ 디젤 엔진(Low 버전)은 D-LET(Low-end Torque)[4]로 명명되어 코란도 투리스모, 코란도 스포츠, 수출용 액티언과 함께 공용한다. 대신 해당 차종들은 후륜구동 기반이기 때문에 155마력으로 세팅하여 세로로 배치한다. 제원(전기형) 구분 2.0ℓ 디젤(Low 수동 6단) 2.0ℓ 디젤(High 수동 6단) 2.0ℓ 디젤(High 자동 6단) 전장(mm) 4,410 전폭(mm) 1,830 전고(mm) 1,6751,725(통합형 안테나 포함시) 축거(mm) 2,650 윤거(전, mm) 1,573 윤거(후, mm) 1,558 승차 정원 5명 변속기 수동 6단 자동 6단 구동 형식 전륜 구동 연료 디젤 기통수/배기량(cc) L4/1,998 최고 출력(ps/rpm) 149/4,000 175/4,000 181/4,000 최대 토크(kg*m/rpm) 36.7/1,500~2,800 36.7/2,000~3,000 연료 탱크 용량(ℓ) 57 요소수 탱크 용량(ℓ) - 공차 중량(kg) 1,580(전륜 구동)/1,720(4륜 구동) 1,570(전륜 구동)/1,710(4륜 구동) 1,590(전륜 구동 - CHIC 기본형)/1,645(전륜 구동 - CHIC 기본형 제외한 모든 트림)/1,730(4륜 구동) 연비(km/ℓ) 20.1(전륜 구동)/18.3(4륜 구동) 17.6(전륜 구동)/16.4(4륜 구동) 15.0(전륜 구동 - CHIC 기본형)/14.6(전륜 구동 - CHIC 기본형 제외한 모든 트림)/13.1(4륜 구동) Co2 배출량(g/km) 134(전륜 구동)/147(4륜 구동) 153(전륜 구동)/164(4륜 구동) 179(전륜 구동 - CHIC 기본형)/184(전륜 구동 - CHIC 기본형 제외한 모든 트림)/205(4륜 구동)   제원(후기형) 구분 2WD CHIC(수동 6단) 2WD CHIC 기본형(자동 6단) 2WD CHIC 기본형 제외한 모든 트림(자동 6단) AWD CHIC(수동 6단) AWD(수동 6단/자동 6단) 전장(mm) 4,410 전폭(mm) 1,830 전고(mm) 1,6751,725(통합형 안테나 포함시) 축거(mm) 2,650 윤거(전, mm) 1,573 윤거(후, mm) 1,558 승차 정원 5명 변속기 수동 6단 자동 6단 수동 6단 수동 6단자동 6단 구동 형식 전륜 구동 4륜 구동 연료 디젤 배기량(cc) 1,998 최고 출력(ps/rpm) 149/4,000 181/4,000 149/4,000 181/4,000 최대 토크(kg*m/rpm) 36.7/1,500~2,800 36.7/2,000~3,000 36.7/1,500~2,800 36.7/2,000~3,000 연료 탱크 용량(ℓ) 57 요소수 탱크 용량(ℓ) - 공차 중량(kg) 1,580 1,590 1,645 1,720 1,710(수동 6단)1,730(자동 6단) 연비(km/ℓ) 도심 16.3/고속 18.4/복합 17.2 도심 11.0/고속 14.2/복합 12.3 도심 10.7/고속 13.5/복합 11.8 도심 14.9/고속 17.9/복합 16.1 도심 13.0/고속 15.6/복합 14.1(수동 6단)도심 9.8/고속 12.3/복합 10.8(자동 6단) Co2 배출량(g/km) 112 163 169 120 140(수동 6단)186(자동 6단)   뉴 코란도 C(2013년 8월~2017년 1월)[편집] 쌍용 뉴 코란도 C 정측면 쌍용 뉴 코란도 C 후측면 2013년 8월 7일에 페이스 리프트를 거친 뉴 코란도 C가 선보였다. 헤드 램프에서 라디에이터 그릴로 이어지는 부분을 직선화하여 코란도 투리스모, 코란도 스포츠와 통일성을 가졌다. 인테리어에서는 대시보드가 보다 현대적인 감각으로 바뀌고, 인비저블 조수석 에어백이 적용되어 깔끔함을 더하였다. 타이어 공기압 경보 장치(TPMS)와 운전석 통풍 시트, 18인치 다이아몬드 컷팅 알루미늄 휠, 인피니티(Infinity) 사운드 시스템, LED 포지셔닝 램프 등이 신규 적용되었다. 또한 트림을 3개(세부 트림 6개)로 단순화시켜 복잡함을 줄였다. 쌍용자동차는 코란도 C의 글로벌 판매 확대와 함께 실적을 많이 회복하기 시작하였다.[5] 2015년 1월에 선보인 2015년형은 불만이 많던 기존 비트라제 6단 자동변속기에서 아이신제 6단 자동변속기로 변경되었고, 차체 자세 제어 장치와 타이어 공기압 경보 장치(TPMS)가 모든 트림에 기본 적용되었다. 아울러 기존 트림명이던 CVS(고급형/최고급형), CVT(고급형/최고급형), CVX(고급형/최고급형)가 각각 KX, RX(고급형/최고급형), DX로 바뀌었다. 고출력 버전은 유로 6 기준을 만족시킬 수 없어 단종되었다. 같은 해 3월 2일에 카본 파이버 소재의 아웃 사이드 미러, 검은색 라디에이터 그릴, 스포츠 알루미늄 페달이 적용된 익스트림 트림이 새로 선보였다. 같은 해 7월 2일에는 유로6 기준을 충족시키는 2.2ℓ 디젤 엔진이 적용되었다. 아울러 HID 헤드 램프, 클리어 타입 방향 지시등, 6 컬러 슈퍼비전 클러스터가 신규 적용되고, 17인치 알루미늄 휠과 18인치 알루미늄 휠의 디자인이 바뀌었다. 2016년 1월 4일에는 기본형 트림인 KX에 LED 주간 주행등과 인조 가죽 시트, 18인치 알루미늄 휠 등이 적용된 KX 스페셜 트림이 추가되었다. 2017년 1월에는 뉴 스타일 코란도 C로 페이스 리프트를 감행하였다. 제원 구분 2.0ℓ CVS(2013년~2015년)2WD/4WD 2.0ℓ KX(2015년~2015년)2WD/4WD 2.0ℓ CVT/CVX(2013년~2015년)2WD/4WD 2.0ℓ RX/DX(2015년~2015년)2WD/4WD 2.2ℓ KX/RX/DX(2015년~2017년)2WD 2.2ℓ KX/RX/DX(2015년~2017년)4WD 전장(mm) 4,410 전폭(mm) 1,830 전고(mm) 1,675 1,6751,715(루프랙 적용시) 1,715 1,6751,715(루프랙 적용시) 축거(mm) 2,650 윤거(전, mm) 1,573 윤거(후, mm) 1,558 승차 정원 5명 변속기 수동 6단 수동 6단자동 6단 자동 6단 수동 6단자동 6단 구동 형식 전륜 구동4륜 구동 전륜 구동 4륜 구동 연료 디젤 배기량(cc) 1,998 2,157 최고 출력(ps/rpm) 149/4,000 181/4,000 149/4,000 178/4,000 최대 토크(kg*m/rpm) 36.7/1,500~2,800 36.7/2,000~3,000 36.7/1,500~2,800 40.8/1,400~2,800 연료 탱크 용량(ℓ) 57 요소수 탱크 용량(ℓ) - 공차 중량(kg) 1,580(2WD 수동 6단)/1,720(4WD 수동 6단) 1,580(2WD 수동 6단)/1,645(2WD 자동 6단)/1,720(4WD 수동 6단)/1,730(4WD 자동 6단) 1,645(2WD 자동 6단)/1,730(4WD 자동 6단) 1,645(2WD 자동 6단)/1,730(4WD 자동 6단) 1,585(2WD 수동 6단)/1,645(2WD 자동 6단) 1,725(4WD 수동 6단)/1,730(4WD 자동 6단) 연비(km/ℓ) 도심 16.3/고속 18.4/복합 17.2(2WD 수동 6단)/도심 14.9/고속 17.9/복합 16.1(4WD 수동 6단) 도심 16.3/고속 18.4/복합 17.2(2WD 수동 6단)/도심 11.3/고속 15.1/복합 12.8(2WD 자동 6단)/도심 14.9/고속 17.9/복합 16.1(4WD 수동 6단)/도심 10.5/고속 14.6/복합 12.0(4WD 자동 6단) 도심 11.4/고속 15.1/복합 12.8(2WD 자동 6단)/도심 10.5/고속 13.4/복합 11.6(4WD 자동 6단) 도심 11.3/고속 15.1/복합 12.8(2WD 자동 6단)/도심 10.5/고속 14.6/복합 12.0(4WD 자동 6단) 도심 13.9/고속 17.1/복합 15.2(2WD 수동 6단)/도심 11.8/고속 15.7/복합 13.3(2WD 자동 6단) 도심 13.1/고속 16.3/복합 14.4(4WD 수동 6단)/도심 11.1/고속 14.7/복합 12.5(4WD 자동 6단) Co2 배출량(g/km) 112(2WD 수동 6단)/120(4WD 수동 6단) 112(2WD 수동 6단)/156(2WD 자동 6단)/120(4WD 수동 6단)/167(4WD 자동 6단) 155(2WD 자동 6단)/172(4WD 자동 6단) 156(2WD 자동 6단)/167(4WD 자동 6단) 129(2WD 수동 6단)/150(2WD 자동 6단) 137(4WD 수동 6단)/160(4WD 자동 6단)   뉴 스타일 코란도 C(2017년 1월~2019년 2월)[편집] 쌍용 뉴 스타일 코란도 C 정측면 쌍용 뉴 스타일 코란도 C 후측면 2017년 1월 4일에 다시 한번 페이스 리프트를 거쳤다. 쌍용자동차의 디자인 아이덴티티인 숄더 윙 라디에이터 그릴이 적용되어 헤드 램프와 완벽하게 일체화된 선을 이루었고, 방향 지시등이 앞 범퍼로 옮겨졌다. 뒷 범퍼의 플라스틱 패널의 크기를 키워 오프로더 이미지를 더욱 강조하였다. 새로운 형상의 스티어링 휠은 오디오와 크루즈 컨트롤 등 모든 기능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버튼을 구성하였고, 운전자의 취향과 기분에 따라 6컬러 중 선택할 수 있는 실린더 타입의 슈퍼비전 클러스터는 크롬 몰딩을 둘러 고급스러움과 스포티함을 추구하였다. 동급 최초로 전방 세이프티 카메라가 신규 적용되었으며, 확대 적용된 전·후방 감지 센서와 후방 카메라는 사각지대를 해소하여 안전성을 향상시켰다. 2019년 2월에 4세대 뷰티풀 코란도의 출시로 인하여 단종되었다. 제원 구분 2.2ℓ KX/RX/DX2WD 2.2ℓ KX/RX/DX4WD 전장(mm) 4,410 전폭(mm) 1,830 전고(mm) 1,6751,715(루프랙 적용시) 축거(mm) 2,650 윤거(전, mm) 1,573 윤거(후, mm) 1,558 승차 정원 5명 변속기 수동 6단자동 6단 구동 형식 전륜 구동 4륜 구동 연료 디젤 배기량(cc) 2,157 최고 출력(ps/rpm) 178/4,000 최대 토크(kg*m/rpm) 40.8/1,400~2,800 연료 탱크 용량(ℓ) 57 요소수 탱크 용량(ℓ) - 공차 중량(kg) 1,640(2WD 수동 6단)/1,645(2WD 자동 6단) 1,725(4WD 수동 6단)/1,730(4WD 자동 6단) 연비(km/ℓ) 도심 13.2/고속 15.9/복합 14.3(2WD 수동 6단)/도심 11.1/고속 14.9/복합 12.6(2WD 자동 6단) 도심 12.7/고속 15.4/복합 13.8(4WD 수동 6단)/도심 10.5/고속 13.9/복합 11.8(4WD 자동 6단) Co2 배출량(g/km) 132(2WD 수동 6단)/153(2WD 자동 6단) 138(4WD 수동 6단)/163(4WD 자동 6단)   각주[편집] ↑ “Micro Korando”. Micro Cars (Pvt) Ltd. 2015. 2015년 3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쌍용차, C200 차명 '코란도C' 확정 뉴시스, 2010년 4월 29일 ↑ 쌍용차, '코란도C' 10만대 판매기념 스페셜 모델 출시 이데일리, 2013년 1월 1일 ↑ 쌍용차, 요즘 제일 잘 나간다 내일신문, 2010년 4월 29일 ↑ 10월 실적 - 쌍용차, '코란도 C'가 효자 전자신문, 2013년 11월 4일 외부 링크[편집] 쌍용자동차 대한민국 홈페이지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쌍용 코란도 C vdeh쌍용자동차승용 및 RV차종 칼리스타 체어맨 액티언 코란도 코란도 훼미리 코란도 스포츠 코란도 투리스모 무쏘 무쏘 스포츠 카이런 이스타나 렉스턴 렉스턴 스포츠 로디우스 거화 지프 티볼리 상용차종 《닛산디젤 기술 제휴》 닛산디젤트럭 DA트럭 DA/HA 버스 HR버스 《MCI 기술 제휴》 MCI 고속버스 《벤츠 기술 제휴》 SY트럭 트랜스타 vdeh쌍용차의 흐름, 1969년~ Type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9 0 1 2 3 4 5 6 7 8 9 0 1 2 3 4 5 6 7 8 9 0 1 2 3 4 5 6 7 8 9 0 1 2 3 4 5 6 7 8 9 0 1 2 3 4 5 6 7 8 9 0 1 2 3 4 5 6 7 8 9 소형 SUV 티볼리/티볼리 아머/베리 뉴 티볼리 티볼리 에어 신진 지프/거화 지프 코란도(숏 바디/롱 바디) 뉴 코란도 준중형 SUV 액티언 코란도 C/뉴 코란도 C/뉴 스타일 코란도 C 뷰티풀 코란도 중형 SUV 코란도 훼미리/뉴 훼미리 무쏘/뉴 무쏘 카이런/뉴 카이런 준대형 SUV 렉스턴/뉴 렉스턴/렉스턴 Ⅱ/슈퍼 렉스턴/렉스턴 W G4 렉스턴 미니밴 로디우스/코란도 투리스모/뉴 코란도 투리스모 승용차 체어맨 체어맨 W 승합차 이스타나 픽업 트럭 신진 픽업/거화 픽업 코란도 픽업 무쏘 스포츠 액티언 스포츠/코란도 스포츠 렉스턴 스포츠 스포츠카 칼리스타 트럭 닛산디젤트럭 SY트럭 DA트럭 버스 에어로 버스 트랜스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쌍용_코란도_C&oldid=24152346" 분류: 쌍용자동차의 차종후륜구동전륜구동4륜구동준중형 승용차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2010년대 자동차2010년 도입된 자동차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링크가 없는 위키공용분류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5일 (일) 18:2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쌍용 코란도 C(SsangYong Korando C)는 대한민국의 쌍용자동차가 2011년부터 2019년까지 생산한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로, 코란도 3세대의 대한민국 내수명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쌍용 코란도C의 전장은 몇 mm인가? Assistant: 4,410 Human: 아래 8월_25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8월 25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8월 25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8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7번째(윤년일 경우 238번째) 날에 해당한다. 7월 - 8월 - 9월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2019년 기준모두 보기 8월 25일 2044년: 목요일 2043년: 화요일 2042년: 월요일 2041년: 일요일 2040년: 토요일 2039년: 목요일 2038년: 수요일 2037년: 화요일 2036년: 월요일 2035년: 토요일 2034년: 금요일 2033년: 목요일 2032년: 수요일 2031년: 월요일 2030년: 일요일 2029년: 토요일 2028년: 금요일 2027년: 수요일 2026년: 화요일 2025년: 월요일 2024년: 일요일 2023년: 금요일 2022년: 목요일 2021년: 수요일 2020년: 화요일 2019년: 일요일 2018년: 토요일 2017년: 금요일 2016년: 목요일 2015년: 화요일 2014년: 월요일 2013년: 일요일 2012년: 토요일 2011년: 목요일 2010년: 수요일 2009년: 화요일 2008년: 월요일 2007년: 토요일 2006년: 금요일 2005년: 목요일 2004년: 수요일 2003년: 월요일 2002년: 일요일 2001년: 토요일 2000년: 금요일 1999년: 수요일 1998년: 화요일 1997년: 월요일 1996년: 일요일 1995년: 금요일 목차 1 사건 2 문화 3 탄생 4 사망 5 기념일 6 관련 항목 사건[편집] 127년 - 일식 발생. 608년 - 교황 보니파시오 4세, 67대 로마 교황으로 취임. 1919년 - 이승만, 미국 워싱턴 D.C.에 임시정부 구미위원회 설립. 1936년 - 일장기 말소 사건: 동아일보가 손기정 선수의 사진에서 일장기를 지운 채 보도하다. 1948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총선거 실시. 1958년 - 안도 모모후쿠가 처음으로 인스턴트 라면을 개발하다. 1965년 - 대한민국 정부, 한일협정 반대 시위 확산되는 고려대학교에 무장군인 투입. 1979년 - 태풍 주디호, 대한민국의 남부 지방을 강타해 130여 명 사망·실종. 1991년 - 리누스 토르발스가 유즈넷 뉴스그룹에 새로운 자유 운영 체제를 만들고 있다고 공개하다. 1992년 - 대한민국, 노태우 대통령, 민주자유당 총재직 사퇴. 2003년 - 대한민국 정부, 신용불량자 81만 명 구제 대책 발표. 문화[편집] 1923년 - 경성전기, 안국동 선 전차 운전 개시. 1960년 - 제17회 로마 올림픽 개막. 1972년 - 대한민국, 경복궁 내 국립중앙박물관 개관. 1977년 - 대한민국, 금산 제 2위성통신 지구국 완공. 1986년 - 대한민국 국립현대미술관, 과천시로 이전 개관. 1986년 - 대한민국, 영광 원자력 1호기 준공. 1989년 - 보이저 2호가 해왕성을 접근 통과함. 최초로 해왕성의 근접 촬영에 성공. 1999년 - 대한민국 정보통신부, 국내 이동전화 가입자 2천만 명(국민 2.3명당 1대꼴) 돌파발표. 2009년 - 대한민국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우주발사체 나로호가 발사됐다. 탄생[편집] 1530년 - 러시아의 이반 4세. 1912년 - 독일 민주 공화국의 지도자 에리히 호네커. 1918년 - 미국의 지휘자 레너드 번스타인. 1930년 - 스코틀랜드의 영화배우 숀 코너리. 1943년 - 대한민국의 만화가 윤승운 1958년 - 미국의 영화감독 팀 버튼. 1978년 - 대한민국의 가수 조정치. 1982년 -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정재성 1983년 - 대한민국의 방송인, 전 아나운서 김석류 일본의 가수 오호리 메구미 잉글랜드의 스쿼시 선수 제임스 윌스트롭 1984년 - 대한민국의 가수 아유미. 1986년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출신 방송인 이겨레 1987년 중국의 영화배우 유역비 미국의 여자 배우이자 모델 블레이크 라이블리 1988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정민. 대한민국의 가수 황광희 (제국의 아이들). 1995년 대한민국의 가수 워너원 의 멤버 옹성우. 대한민국의 가수 윤도운 (데이식스) 사망[편집] 994년 - 일본 36가선 가인(歌人) 후지와라노 미치노부 1222년 - 몽골의 정복자 칭기즈 칸 1776년 - 영국의 철학자 데이비드 흄. 1819년 - 영국의 발명가 제임스 와트 1822년 - 독일 출신의 영국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 1867년 - 영국의 물리학자 마이클 패러데이. 1900년 - 독일의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 1908년 - 프랑스의 물리학자 앙투안 앙리 베크렐. 1925년 - 오스트리아(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의 (전)참모총장 콘라트 폰 횟첸도르프 1985년 - 미국의 평화 운동가 서맨사 스미스 2012년 - 미국의 우주비행사 닐 암스트롱. 2013년 - 대한민국의 전 국회의원 고희선 2013년 - 대한민국의 개그맨 오성우 2015년 - 대한민국의 배우 김상순 2017년 - 대한민국의 군인 오자복 2018년 - 미국의 정치인 존 매케인 2018년 - 잉글랜드의 무용가 린제이 켐프 2018년 - 일본의 성우 아소 미요코 기념일[편집] 광복절: 프랑스 파리 군인의 날(Soldier's Day): 브라질 관련 항목[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8월 25일 전날: 8월 24일 다음날: 8월 26일 - 전달: 7월 25일 다음달: 9월 25일 음력: 8월 25일 모두 보기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8월_25일&oldid=24216270" 분류: 8월 25일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Аҧсшәа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অসমীয়াAsturianuАвар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বাংলাবিষ্ণুপ্রিয়া মণিপুরীBrezhonegBosanskiCatalàMìng-dĕ̤ng-ngṳ̄НохчийнCebuanoکوردیCorsuČeštinaKaszëbsczi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ZazakiދިވެހިބަސްΕλληνικάEmiliàn e rumagnòl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VõroFøroysktFrançaisArpetanFurlanFryskGaeilgeGagauz贛語GàidhligGalegoBahasa HulontaloગુજરાતીGaelg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Hornjoserbsce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nterlingueIgbo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TaqbaylitҚазақшаKalaallisutಕನ್ನಡKurdîКоми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umbaartລາວLietuviųLatviešuमैथिलीMalagasyОлык марий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ЭрзяньNāhuatlNapulitanoPlattdüütschNedersaksies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uormandSesotho sa LeboaOccitanLivvinkarjalaଓଡ଼ିଆਪੰਜਾਬੀPangasinanKapampanganPolskiپنجابیپښتو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संस्कृतम्Саха тылаSicilianuScotsسنڌي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ürkmençe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дмурт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est-VlamsVolapükWalonWinaray吴语Хальмг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VahcuenghZeêuws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3일 (월) 21:1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8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7번째(윤년일 경우 238번째) 날에 해당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60년 올림픽은 어느 도시에서 개최되었는가? Assistant: 로마
Human: 아래 이쿠타_에리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쿠타 에리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쿠타 에리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쿠타 에리카기본 정보본명 生田絵梨花출생 1997년 1월 22일(1997-01-22) (22세)독일, 일본 도쿄도국적 일본직업 아이돌, 가수, 배우악기 보컬, 피아노활동 시기 2007년 ~ 소속 그룹 노기자카46 이쿠타 에리카(일본어: 生田 絵梨花, 1997년 1월 22일 ~ )는, 일본의 아이돌이며, 여성 아이돌 그룹 노기자카46의 멤버이다. 독일에서 태어나 일본 도쿄도에서 자랐다. 목차 1 약력 2 인물 2.1 에피소드 2.2 노기자카46로서 3 노기자카46에서의 참가곡 3.1 싱글 CD 선발곡 3.2 앨범 CD 선발곡 4 출연 4.1 드라마 4.2 영화 4.3 무대 5 각주 6 외부 링크 약력[편집] 2007년 8월, 뮤지컬 《코코 스마일 5》에 주역·코코 역으로 출연. 2011년 8월, 노기자카46의 멤버가 된다. 2012년 2월 22일, 노기자카46로서 Sony Music Records로부터 〈빙글빙글 커튼〉으로 CD 데뷔. 2012년 9월, 영화 《헝거 게임》의 일본어 더빙판에서 노기자카46 전원 참가[1] 로 행해진 오디션에 의해 루 역으로 선택되었다[2]. 2014년 4월 20일, 8th 싱글 〈깨닫고 보니 짝사랑〉 개별 악수회(요코하마 시·퍼시피코 요코하마)에서, 5월 30일부터 6월 15일까지 개최하는 노기자카46 극장 공연 〈16인의 프린시펄 trois〉(도쿄 도·아카사카 ACT 시어터) 종료 후부터, 진학 준비를 위해 9th 싱글에 불참가 및 노기자카46로서의 일시 활동 휴업을 발표. 휴업 기간 및 복귀 시기는 미정[3]. 2014년 6월 28일, 이 날을 갖고 예능 활동을 일시 휴업[4]. 2014년 10월 2일 ~ 5일, 자신 처음이 되는 뮤지컬 《무지개 프렐뤼드》로 주연을 맡을 예정이다[5]. 2014년 8월 3일, 노기자카46의 10th 싱글로 센터 포지션을 맡는 것이 발표되었다[6]. 인물[편집] 독일에서 태어나, 5살 때부터 도쿄에서 자랐다[7]. 취미는 음악을 듣는 것,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을 보는 것. 특기는 3살부터 배우고 있는 피아노. 전국 대회에 출장했던 적이 있다. 좋아하는 음식은, 우동, 사과, 초콜릿. 에피소드[편집] 2012년 3월 22일, 사이토 치하루, 나카모토 히메카와 함께 놀러 나갔을 때, 여성 아이돌 그룹의 멤버로 이름이 1글자 차이인 이쿠타 에리나(모닝구무스메)와 우연히 만났다[8][9]. 노기자카46로서[편집] 〈동 동 이쿠동 이쿠타동 U~DON!〉을 노기자카46 초기 시절부터 캐치프레이즈로 사용하고 있다. 노기자카46에서의 참가곡[편집] 싱글 CD 선발곡[편집] ぐるぐるカーテン / 빙글빙글 커튼 会いたかったかもしれない / 만나고 싶었을지도 몰라 失いたくないから / 잃고 싶지 않으니까 白い雲にのって / 흰 구름에 올라 乃木坂の詩 / 노기자카의 시 おいでシャンプー / 이리와 샴푸 心の薬 / 마음의 약 ハウス! / 하우스! 走れ!Bicycle / 달려라! Bicycle 人はなぜ走るのか? / 사람은 왜 달리는가? 音が出ないギター / 소리가 나지 않는 기타 制服のマネキン / 제복의 마네킹 指望遠鏡 / 손가락 망원경 ここじゃないどこか / 여기가 아닌 어딘가 指望遠鏡〜アニメ版〜 / 손가락 망원경~애니메이션판~ 君の名は希望 / 너의 이름은 희망 シャキイズム / 샤키이즘 ロマンティックいか焼き / 로맨틱 오징어 야키 ガールズルール / 걸즈 룰 世界で一番 孤独なLover / 세상에서 가장 고독한 Lover 人間という楽器 / 인간이라고 하는 악기 バレッタ / 바레트 月の大きさ / 달의 크기 そんなバカな・・・ / 그런 바보같은・・・ やさしさとは / 상냥함이라는 것은 気づいたら片想い / 깨닫고 보니 짝사랑 ロマンスのスタート / 로맨스의 스타트 吐息のメソッド / 한숨의 메서드 ダンケシェーン / 당케 쇤 何度目の青空か? / 몇 번째 푸른 하늘인가? 転がった鐘を鳴らせ! / 굴러간 종을 울려라! 私、起きる。 / 나, 일어나. Tender days 命は美しい / 생명은 아름다워 あらかじめ語られるロマンス / 미리 이야기되는 로맨스 太陽ノック / 태양 노크 無表情 / 무표정 羽根の記憶 / 날개의 기억 今、話したい誰かがいる / 지금, 이야기하고 싶은 누군가가 있다 ポピパッパパー / 포피팟파파 悲しみの忘れ方 / 슬픔을 잊는 법 ハルジオンが咲く頃 / 봄망초 필 무렵 遥かなるブータン / 머나먼 부탄 앨범 CD 선발곡[편집] 《透明な色 투명한 색》에 수록 僕がいる場所 / 내가 있는 장소 あなたのために弾きたい / 당신을 위해서 연주하고 싶어 《それぞれの椅子 각각의 의자》에 수록 きっかけ / 계기 太陽に口説かれて / 태양에게 설득당해 低体温のキス / 저체온의 키스 출연[편집] 드라마[편집] 비브리아 고서당의 사건 수첩 제5화 (2013년 2월 11일, 후지 TV) - 타나베 미스즈 역 바다 위의 진료소 제1화 (2013년 10월 14일, 후지 TV) - 여대생 역 유감스러운 남편. (2015년 1월 ~ 3월, 후지 TV) - 호소이 미카 역 영화[편집] 헝거 게임 (2012년, 카도카와 영화) - 일본어 더빙·루 역 초능력 연구부의 3인 (2014년, 2014 〈초능력 연구부의 3인〉 제작 위원회) - 주연 무대[편집] 코코·스마일 5 (2007년) - 주연·코코 역 알프스의 소녀 하이디 (2009년) - 클라라 역 무지개 프렐뤼드 (2014년) - 주연 각주[편집] ↑ 아키모토 마나츠를 제외한 33명. ↑ “노기자카46·이쿠타 에리카:할리우드 영화의 성우에 대발탁 “포스트 마에다”의 장래 꿈은 가수”. 《만탄웹》 (마이니치 신문 디지털). 2012년 9월 27일. 2012년 9월 27일에 확인함.  ↑ “노기자카46 이쿠타 에리카, 진학 준비를 위해 일시 휴업을 발표”. 《나탈리》 (나타샤). 2014년 4월 20일. 2014년 4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20일에 확인함.  ↑ “노기자카46 이쿠타 에리카, 오늘의 다화회를 마지막으로 일시 휴업에”. 《나탈리》 (나타샤). 2014년 6월 28일. 2014년 6월 28일에 확인함.  ↑ “노기자카46 이쿠타 에리카, 차작으로 복귀&주연 무대도”. 《나탈리》 (나타샤). 2014년 7월 25일. 2014년 7월 25일에 확인함.  ↑ “노기자카46 이쿠타 에리카, 차작으로 첫 센터 취임”. 《나탈리》 (나타샤). 2014년 8월 4일. 2014년 8월 4일에 확인함.  ↑ HAPPY~don♪ - 본인 공식 블로그 ↑ “히메탄(ω)그 274 노기자카46 나카모토 히메카 공식 블로그”. 노기자카46 운영 위원회. 2013년 3월 22일. 2013년 3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6일에 확인함. “사쿠라!!(´∀`)ゝ 노기자카46 사이토 치하루 공식 블로그”. 노기자카46 운영 위원회. 2013년 3월 24일. 2013년 3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6일에 확인함.  ↑ “우연~don♪171 노기자카46 이쿠타 에리카 공식 블로그”. 노기자카46 운영 위원회. 2013년 3월 22일. 2013년 5월 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노기자카46 이쿠타 에리카 공식 프로필 (일본어) 노기자카46 이쿠타 에리카 공식 블로그 vdeh노기자카46멤버《캡틴》정규 멤버 아키모토 마나츠 이쿠타 에리카 이토 쥰나 이토 리리아 이노우에 사유리 이와모토 렌카 우메자와 미나미 오오조노 모모코 키타노 히나코 쿠보 시오리 사이토 아스카 사카구치 타마미 《사쿠라이 레이카》(캡틴) 사사키 코토코 사토 카에데 시라이시 마이 신우치 마이 스즈키 아야네 타카야마 카즈미 테라다 란제 나카다 카나 나카무라 레노 니시노 나나세 히구치 히나 호시노 미나미 호리 미오나 마츠무라 사유리 무카이 하즈키 야마자키 레나 야마시타 미즈키 요시다 아야노 크리스티 요다 유키 와타나베 미리아 와다 마야 4기생 에토 사쿠라 카키 하루카 카케하시 사야카 카나자와 사야 키타가와 유리 시바타 유나 세이미야 레이 타무라 마유 츠츠이 아야메 하야카와 세이라 야쿠모 미오 전 멤버정규 멤버 야마모토 호노카 요시모토 아야카 이와세 유미코 안도 미쿠모 카시와 유키나 미야자와 세이라 이치키 레나 이토 네네 야마토 리나 하타나카 세이라 마츠이 레나 나가시마 세이라 후카가와 마이 하시모토 나나미 이토 마리카 나카모토 히메카 카와무라 마히로 이코마 리나 사이토 치하루 사가라 이오리 와카츠키 유미 노죠 아미 카와고 히나 에토 미사 이토 카린 사이토 유리 연구생 니시카와 나나미 야다 리사코 요네토쿠 쿄카 CD 작품싱글 1. 빙글빙글 커튼 2. 이리와 샴푸 3. 달려! Bicycle 4. 교복의 마네킹 5. 너의 이름은 희망 6. 걸즈 룰 7. 바렛타 8. 깨닫고 보니 짝사랑 9. 여름의 Free&Easy 10. 몇 번째 푸른 하늘인가? 11. 생명은 아름다워 12. 태양 노크 13. 지금, 말하고 싶은 누군가가 있어 14. 봄망초 필 무렵 15. 맨발로 Summer 16. 사요나라의 의미 17. 인플루언서 18. 신기루 19. 언젠가 할 수 있으니 오늘 할 수 있어 20. 싱크로니시티 21. 자기중심으로 가자! 22. 돌아오는 길은 멀리 돌아서 가고 싶어져 23. Sing Out! 앨범오리지널 투명한 색 각각의 의자 태어나서 처음 본 꿈 지금이 추억이 될때까지 언더 나만의 너 ~Under Super Best~ 참가 악곡 트윈 테일은 이제 안 해 바람의 나선 서로 섞이는 것 누구를 제일 사랑하는가? 국경없는 시대 첫사랑 도어 관련 항목 아키모토 야스시 Sony Music Records 소니 뮤직 노기자카46 합동회사 노기자카는 어디? NOGIBINGO! 노기자카 공사중 AKB48 SHOW!(별책 · 노기자카46 SHOW! / 46 SHOW!) 노기코이 ~언덕길 아래서, 그 날 나는 사랑을 했다~ AKB48 사카미치 시리즈 케야키자카46 요시모토자카46 히나타자카46 전거 통제 뮤직브레인즈: 3a4eb892-bf13-480f-8c5a-7d41bd1ac9be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쿠타_에리카&oldid=22932001" 분류: 1997년 태어남도쿄도 출신살아있는 사람일본의 아이돌노기자카46의 일원독일에 거주한 일본인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6일 (화) 11:1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쿠타 에리카(일본어: 生田 絵梨花 いくた えりか[*], 1997년 1월 22일 ~ )는 일본의 아이돌이며, 여성 아이돌 그룹 전 노기자카46의 멤버이다. 독일에서 태어나 일본 도쿄도에서 자랐다. 오오타 프로덕션 소속.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쿠타 에리카의 '내가 있는 장소' '당신을 위해서 연주하고 싶어' 가 수록된 작품명은 무엇인가? Assistant: 透明な色 투명한 색 Human: 아래 신풍괴도_쟌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신풍괴도 쟌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풍괴도 쟌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가미카제 괴도 잔느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신풍괴도 쟌느일본어: 神風怪盗ジャンヌ 장르 변신 만화 작가 다네무라 아리나 작화 다네무라 아리나 출판사 슈에이샤 레이블 리본(りぼん) 연재 기간 1998년 2월 ~ 2000년 7월 권수 7권 TV 애니메이션: 신의 괴도 잔느 원작 다네무라 아리나 감독 우메자와 아츠토시 (시리즈 디렉터) 시리즈 구성 토미타 스케히로 프로듀서 우에다 메구미 → 이와모토 타로, 시미즈 히로미, 야다 코이치, 아즈마 이리야 캐릭터 디자인 카가와 하사시 총작화 감독 타메가이 카츠미 음악 카토 미치아키 미술 카노 요시유키 (미술 디자인) 애니메이션 제작 도에이 애니메이션 제작 TV ASAHI, 도에이 에이전시, 도에이 → 도에이 애니메이션 방송사 TV 아사히 계열 투니버스 방영 기간 1999년 2월 13일 ~ 2000년 1월 29일 2001년 4월 26일 ~ 2001년 화수 44화 틀 - 토론 《신풍괴도 쟌느》(일본어: 神風怪盗ジャンヌ 가미카제 가이토 잔누[*])는 다네무라 아리나의 일본의 만화책 시리즈이다. 1998년 2월호 ~ 2000년 7월호까지 슈에이샤의 만화 잡지 리본(りぼん)에서 연재되었다. 1999년에는 토에이 애니메이션에서 TV시리즈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여, 1999년 2월 13일부터 2000년 1월 29일까지 동명 이름으로 TV 아사히 계열 방송국에서 방영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만화책 시리즈를 대원씨아이에서 순정편집부가 번역하여 1999년 8월 1일에 『신풍괴도 쟌느1』라는 이름으로 1권을 발행하였고, 2000년 7월 1일에 시리즈 7권 『신풍괴도 쟌느7』을 주진언이 번역하여 시리즈가 완결되었다. TV시리즈 애니메이션은 투니버스에서 한국어 더빙을 제작하여, 2001년 4월 26일부터 투니버스에서 방영하였다. 투니버스는 더빙 과정에서 원제를 『신의 괴도 잔느』로 수정하였으며, 지명 및 등장인물 이름 등을 모두 한국식으로 수정하였다. 목차 1 작품 소개 2 줄거리 3 등장 인물 4 성우진 5 제작진 5.1 우리말 제작 6 주제가 6.1 일본판 주제가 6.1.1 여는 노래 6.1.2 닫는 노래 6.2 한국판 주제가 7 방영 타이틀 목록 8 외부 링크 작품 소개[편집] <괴도물 + 순정 로맨스 + 변신소녀물 + 전생 및 환생 스토리 + 인간의 성장 + 금지된 천사간의 사랑과 업보>라는 매우 다양한 장르를 하나의 작품에 자연스럽게 녹여 넣은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스토리는 1부와 2부로 나뉘는데, 초반부에는 울보에 마음 약한 마론이 핀의 도움으로 잔느로 변신후 강인한 자신 사이에서 갈등하는 주인공 소녀와 그녀의 앞길을 막는 신밧드간의 갈등이 주축이 되는 스토리이며 후반부에는 자신을 도와줬던 준천사 핀이 사실은 타락천사였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이야기에 급반전을 이루며 흡입도를 더욱 높인다. 국내에서는 44화 방영중 한 에피소드가 일본 문화가 짙다는 이유로 삭제되어 총 43화가 방영되었다. 당시에는 심의기준은 지상파와 동격으로 이루어 졌기 때문에 삭제된 것이었다. 줄거리[편집] 쿠사카베 마론(나예리)은 그냥 보면 평범한 고등학생이지만, 사실은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든 괴도 잔느가 바로 그녀의 정체였다. 잔 다르크의 환생인 그녀는 미술품에 뒤집어 씌워진 악마를 처리하고 신의 힘을 되찾는 것이 목표. 형사의 딸인 친구 미야코(강채영)와 그의 아버지인 히무로 반장(강반장)에게 쫓기면서도 준천사 핀과 함께 착실히 사명을 다하고 있던 날들을 보내고 있는 가운데 잔느 앞에 나타난 것은 바로 수수께끼의 괴도 신밧드. 그리고 갑자기 마론의 반에 나고야 치아키(하진서)가 전학해 온다. 그의 의미심장한 태도에 곤혹스러워하는 마론, 사실은 신밧드의 정체는 치아키(하진서)였던 것이다. 이후 신밧드와 잔느는 목표물을 놓고 경쟁하게 되는데……. 등장 인물[편집] 쿠사카베 마론 (日下部まろん, 한국명; 나예리) 성우- 쿠와시마 호코 / 정미숙 16세. 고등학교 1학년. 교내 리듬체조부 소속. 교내 최고 미소녀로 남학생들은 물론 여학생들 한테도 인기가 대단하고늘 대회에서 개인전 우승을 휩쓰는 리듬체초부 에이스에 학급 임원이고 단정한 용모에 모델같은 몸매, 성적 우수, 운동신경 만능, 요리실력도 우수, 밝고 상냥한 성격으로 흠 잡을 데가 없지만, 어릴 때부터 부모님의 싸움과 별거 때문에 혼자서 생활하고 있어 마음 속에는 외로움이 가득한 어둠을 안고 있다. 무슨 일이든 열심히 하는 것도 언젠가 돌아올 부모님을 기쁘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 괴도가 되는 일에서 자기자신을 발견한다는 위험한 면도 갖고 있었다. 전생은 여성의 근본존재인 이브. 이브는 신의 힘인 재생력이 주어져 성모 마리아나 히미코 같은 성녀로 계속 환생한다. 쟌다르크 다음에는 마론으로 환생하였다. 또, 원작만화에서는 신에게 부여받은 힘을 없애기 위해 노인이 순결을 빼앗으려는 목적으로 습격당하기도 한다. 훗날 치아키와 결혼을 했다. 나고야 치아키 (名古屋稚空, 한국명; 하진서) 성우 - 치바 스스무 / 김장 마론이 있는 반에 전학온 남학생. 원작에서는 액세스가 준 검은 로자리오, 애니메이션에서는 스카프를 사용해서 신밧드로 변신 (애니메이션에서는 〈변장〉이란 표현을 썼지만, 신체적 변화가 일어났기 때문에, 실제로는 변신이라고 할 수 있다.)하여 괴도 쟌느가 악마를 봉인하는 것을 방해한다. 플레이보이 기질이 있어 마론의 첫키스를 신밧드 상태에서 억지로 빼앗는다. 친가는 큰 병원을 하는 부잣집이었지만, 어머니가 죽은 후 여러번 재혼을 한 아버지를 받아들이지 않고 혼자서 살고 있다. 신밧드가 된 이유는 원작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천사를 보는 능력을 가지고 있던 그가 핀의 행방을 찾아 곤혹스러워하던 액세스를 발견했기 때문이라는 설정이었다. 애니메이션의 최종회에서는 변신하지 않고 괴도로서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었지만 앞에서 말한 천사를 보는 능력과 관계있을 가능성이 크다. 신에게 〈아담을 꼭 닮았다〉라는 환생을 암시하는 놀림을 받기도 한다. 전학온 후에 교내 최고 꽃미남으로 등극했으며 큰 키에 단정한 외모, 성적 우수, 운동신경 만능, 부드럽고 당당한 성격 등으로 학교 여학생들의 인기를 독차지해 마론과 함께 교내 최고의 인기인이 되었다. 훗날 마론과 결혼을 했다. 핀 피쉬(Fin Fish) 성우 - 니시하라 쿠미코 / 지미애 어느 날 마론 앞에 나타난 준천사. 핫케이크를 매우 좋아하며 다소 유행에 민감한 밝은 성격의 소유자. 마론을 천사의 힘으로 괴도 쟌느로 변신시킨다. 머리카락은 돌연변이로 인한 황녹색으로 천계에서는 드문 머리색이다.(대부분의 천사는 은발) 보통 천사보다 성스러운 기운을 많이 모을 수 있었고 그 때문에 천계에서 우수한 천사가 되었다. 하지만, 인간계에 내려갔을 때 인간을 죽이지 않는다는 금기를 어겼기 때문에, 천계에서 추방되었다. 소멸 직전에 마왕이 생명을 구해주어서 타락천사가 되었다. 그 후 신의 힘을 빼앗기 위해서 마왕이 마론에게 보내게 된다. 이후에 마론의 힘으로 정(正)천사가 된다. 그러나 그 후 마왕이 죽기 전에 한 공격을 마론 대신 맞고 천사로서의 목숨을 잃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블랙 홀과 같은 것에 빨려 들여가 행방 불명이 된 후 마왕에 조종되어 타락천사가 되었다고 하는 설정. 액세스 타임(Access Time) 성우 - 야지마 아키코 / 김나연 치아키를 따르는 흑천사. 원작에서는 천사의 힘으로 치아키를 괴도 신밧드로 변신시킨다. 핀처럼 핫케이크를 매우 좋아한다. 원작과 애니메이션에서는 핀을 대하는 태도와 성격이 다소 다르다. 핀이 〈마왕의 앞잡이〉라고 부르지만 실제로는 신의 명령을 받아 활동하고 있다. 마왕의 계획을 막기 위해 치아키에게 괴도 신밧드가 되는 힘을 주었다. 핀을 좋아하며, 타락천사가 되어 버린 그녀를 구하고 싶어한다. 토우다이지 미야코 (東大寺都, 한국명; 강채영) 성우 - 마츠이 나오코 / 이명선 마론과 함께 리듬체조부에 소속되어 있는 경찰관 지망 여학생. 어렸을 적 자신의 무고함을 밝혀준 마론이 괴도 마론과 동일 인물이 아닌 것으로 믿고 그것을 밝히기 위해 쟌느 체포에 힘쓰고 있다. 또한 아버지인 히무로 형사를 닮아 정의감이 강하며 히무로 형사의 부하들과 함께 함정을 설치, 괴도 쟌느 및 괴도 신밧드의 만행을 저지하려고 하지만 오히려 실패하는 편이다. 소꿉 친구인 마론을 진심으로 아끼는 친구라지만 치아키와의 교제 관계에 있어서 치아키를 좋아하는 미야코로서는 마론이 견제 대상이 되기도 한다. 치아키와 마론이 각각 괴도 신밧드와 괴도 쟌느인 것을 아직 모르고 있으며 치아키와 마론과는 좋은 친구로 지내고 있다. 늘 인기많고, 멋진 마론을 한편으로는 부러워하고 있으며, 마론과 치야키 사이를 질투하나 응원하게 된다. 솔직하지 않고 붙임성없는 성격때문에 늘 외톨이었으나 누구에게나 인정받고 인기많은 마론에 의해 친구가 생겼다. 미나즈키 야마토 (水無月大和, 한국명; 한창수) 성우 - 다카하시 나오즈미 / 최준영 마론을 짝사랑하던 같은 반 친구로 반장이다. 부잣집 아들로 처음은 매우 심약하고 음울한 성격이었다. 그런 약점 때문에 악마에게 두번씩이나 이용되었지만, 괴도 쟌느의 충고를 듣고 적극적인 성격으로 바뀌었다. 미야코와 인연이 있어서인지 행동을 같이 하는 일이 많으며 마론에게 고백하고 차인 후로는 미야코를 좋아하게 된다. 파캬라마오 선생(한국명; 우아미 선생) 성우 - 니시하라 쿠미코 / 김효선 미야코의 담임 겸 무용 선생. 마론과 미야코가 싸울 때면 리코더를 불면서 벌로 교실 밖에 서 있도록 만든다. 한편 아름다운 마음으로 인해 악마의 손아귀에서 이용당했지만 여성스러운 면과 책임감 강한 면이 있다. 사잔카 야시로(山茶花弥白, 한국명; 최서희) 성우 - 야마자키 와카나 / 한신정 치아키(하진서)의 옛 연인으로 마론(나예리)에 대해 은근히 경쟁 의식을 지니고 있다. 체조부원으로서 치아키(하진서)의 관심을 더 받으려고 마론(나예리)와 경쟁해 이기려고 겨루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오히려 친구로서 대하게 된다. 치아키의 아버지 성우 - 오노사카 마사야 / 방성준 치아키(하진서)가 집을 나와 독립하게 된 원흉(?)으로 가족이 아닌 사람이보면 아버지가 아닌 사촌형으로 바라볼 정도로 동안이다. 마론(나예리)의 아버지에 대한 존경을 담고 있으며 그 딸에 대한 관심을 놓지 않고 있다. 사실 죽은 아내인 치야키의 엄마를 제외하고는 어떤 여자도 사랑하지 않으나 치야키에게 엄마가 필요하다는 생각때문에 마음에도 없는 여자들과 재혼과 이혼을 반복하나 치야키가 아버지가 엄마를 소중히 생각하는 마음으로 충분하다는 것을 알고 더이상 재혼하지 않는다. 토우다이지 스바루(東大寺昴, 한국명; 강민우) 성우 - 후루야 토오루 / 정명준 히무로 반장의 장남이자 미야코의 오빠이며 현재는 과학자로 활동하고 있다. 한때 자신의 연구 성과를 인정해 주지 않고 오히려 가로챈 학계에 대한 증오로 인해 악마에게 조종당했으나 히무로 반장의 개입과 괴도 잔느의 도움으로 자신의 잘못을 뉘우친다. 토우다이지 히무로(東大寺氷室, 한국명; 강한수) 성우 - 치바 시게루 / 손종환 미야코의 아버지로 괴도 쟌느의 체포를 위해 결성된 수사팀의 대표 형사다. 부하인 하루타(한국명:천형사), 나츠다(한국명:하형사), 아키타(한국명:최형사), 후유타(한국명:강형사)와 함께 수사를 진행하고 있으나 매번 당하여 해고 위기를 맞기도 했다. 딸의 도움으로 괴도 쟌느 및 괴도 신밧드의 활동을 저지하고 있지만 체포는 못하고 있다. 참고로 괴도 쟌느와 괴도 신밧드의 정체인 마론과 치아키와는 미야코의 친구로만 알고 있다. 원작에서는 굉장히 작아서 가족들의 무릍 정도의 크기라 아버지라는 느낌을 주지 않는다. 미야코의 엄마 성우 - 야지마 아키코 / 김선혜 나예리(쿠사카베 마론)의 엄마와 친구 사이였으며 나예리(마론)의 부모님이 처음 만나고 가정을 이루게 된 놀이동산의 위치를 알고 있는 인물이다. 잔 다르크(Jeanne Darc) 성우 - 츠루 히로미 / 여민정 프랑스와 영국 사이에서 일어난 '백년전쟁'에서 활약한 프랑스의 성녀. 마론의 전생에 해당하며, 영국군에게 붙잡혀 마녀로 회부되어 결국에는 화형으로 최후를 맞이하였다. 노인이 사랑했던 사람으로, 노인은 그녀를 도와주지 않는 신을 증오해 악마의 기사가 되었다는 설정이다. 노인 클로드(Noin Claud) 성우 - 야마구치 캇페이 / 이주창 마론이 다니는 고등학교에 전근해 온 역사 교사. 그 정체는 마왕이 보낸 악마 기사로 원래는 쟌 다르크의 부하였던 노인 크로드. 원작에서는 쟌 다르크가 사형되던 날 악마에게 영혼을 팔고 불사신이 되었다. 쟌 다르크를 사랑하고 있었다. 마론과 쟌 다르크를 동일시해 집요하게 접근한다. 신의 힘을 빼앗는 목적으로 마론의 순결을 가져가는 사명을 완수하려 한다. 사실은 진심으로 덮칠 생각은 없었다. 그러나 과거로 돌아가서 마론과 쟌 다르크가 다른 사람인 것을 깨닫고 나서 마론을 좋아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마론과 치아키를 응원하고 마론에게 세상에 대한 소망을 맡기게 된다. (그러나 미묘하게 다음 환생을 노리는 표정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그녀를 단념한 것은 아닌 것 같다.) 애니메이션에서는 마론을 지키기 위해 장렬한 최후를 맞았다. 핀이나 미스트와는 사이가 좋지 않다. 미스트(Mist) 성우 - 야마자키 와카나 / 이동은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캐릭터. 소녀 모습의 악마. 노인과 달리 순수한 악마인것 같지만, 미스트의 총공격에서 무서운 성격이 드러난다. 그 때문인지, 노인과 사이가 좋지 않다. 언제나 사탕을 가지고 다니며 인간을 조종하고 있다. 성우진[편집] 우리말(한국어판) 성우진 정미숙 - 나예리/잔느 이명선 - 강채영 김장 - 하진서/신밧드 지미애 - 핀 피쉬 김나연 - 액세스 타임 손종환 - 채영아빠(강한수) → 아빠 김선혜 - 채영엄마 → 엄마 최준영 - 한창수 김효선 - 우아미 선생님 이주창 - 노인 이동은 - 미스트 김정은 - 천형사 박만영 - 예리 아버지 / 하형사 정명준 - 최형사 김광국 - 강형사 여민정 - 잔 다르크 전숙경 정선혜 한신정 - 최서희 한원자 시영준 방성준 제작진[편집] 원작: 다네무라 아리나 (슈에이샤 월간 「리본」연재) 시리즈 디렉터: 우메자와 아츠토시 시리즈 구성: 도미타 스케히로 캐릭터 디자인: 카가와 하사시 총작화감독: 다메가이 카츠미 미술 디자인: 카노 요시유키 색채설계: 사쿠마 요시코 디지털 촬영: 도에이 화학 디지털 랩테크 편집: 니시야마 시게루 음악: 카토 미치아키 프로듀서: 우에다 메구미 → 이와모토 타로, 시미즈 히로미, 야다 코이치, 아즈마 이리야 제작협력: 도에이 제작: TV 아사히, 도에이 에이전시, 도에이 → 도에이 애니메이션 우리말 제작[편집] 번역: 김언정(후리기획) 타이틀 C.G: 김소영 타이틀&마스터편집: 윤일섭 넌리니어편집: 이승철 녹음/믹싱: 전문성 연출: 김이경 기획: Tooniverse 주제가[편집] 일본판 주제가[편집] 여는 노래[편집] 「PIECE OF LOVE」(제1화 - 제27화) 작사 - IZAM|IZAM / 작곡 - KUZUKI / 편곡 - 야마구치 카즈히사, SHAZNA / 노래 - SHAZNA 원반제작: SWEET HEART, TV 아사히 뮤직 / 레이블: 도시바 EMI M's PLACE 「Dive into Shine」(제28화 - 제44화) 작사・작곡・노래 - Lastier / 편곡 - 조 리노이에, 스즈카와 마사키, Lastier 원반제작: 이즘 아티스트, TV 아사히 뮤직 / 레이블: 히트 웨이브 닫는 노래[편집] 「ハルカ…」(제1화 - 제27화) 작사 - 키리토 / 작곡 - 쥰 / 편곡 - Pierrot&나리타 시노부 / 노래 - Pierrot 원반제작: SWEET HEART, TV 아사히 뮤직 / 레이블: 도시바 EMI M's PLACE → UNVERSAL MUSIC JAPAN 「Till The End 〜終わらない愛を〜」(제28화 - 제44화) 작사 - HIBIKI、SOLA / 작곡・편곡 - MASAYA / 노래 - HIBIKI(D-SHADE) 원반제작: 티즈 음악출판, TV 아사히 뮤직 / 레이블: 유니버설 폴리돌 한국판 주제가[편집] 여는 노래:[Dive into Shine] 노래 - 전영호 / 믹싱 - 나상준 닫는 노래:[Loving You 시간을 넘어서] 작사/작곡/믹싱 - 김정배 / 노래 - 김연정 방영 타이틀 목록[편집] 이하 목록은 애니메이션 방영 순서에 따라 나열한 것으로 원작의 순서와 다를 수 있다. 화 수 원작 부제 부제 (원제/풀이) 한국어판 부제 1 - 怪盗は予告状とともに 괴도는 예고장과 함께 잔느는 예고장과 함께! 2 - 標的は親子の絆!? 표적은 부녀의 정!? 어린 소녀의 행복을 위해 3 - 包囲網! 敵は全校生徒 포위망! 상대는 전교생 학생들의 포위망을 뚫어라! 4 - 泥棒仕事は企業も救う!? 도둑 사업이 기업을 구한다!? 도둑이 회사를 구하다?! 5 - エアポート非常警戒! 공항에서의 비상경계 에게해의 눈물은 누구 손에? 6 - 相棒は謎のおばあちゃん? 파트너는 수수께끼의 할머니? 파트너는 정체불명의 할머니? 7 - 親子刑事! 最後の賭け 부녀형사! 최후의 도박 부녀형사의 마지막 도전! 8 - 愛のメロディを盗め! 사랑의 멜로디를 훔쳐라! 사랑의 멜로디를 훔쳐라! 9 - 非情のチェックメイト 비정한 체크메이트! 비정한 체크메이트! 10 - 仮面の男! 本物は誰だ 가면 속 남자! 정체는 누구? 가면 속 남자! 진짜는 누구? 11 - ああ、美しき刑事の心 아아, 아름다운 형사의 마음! 아! 형사의 아름다운 마음! 12 - ピンは剣よりも強し! 핀은 검보다 강하다! 핀은 칼보다 강하다! 13 - 忘れな草のハート泥棒 물망초의 하트 도둑 물망초 꽃의 사랑! 14 - ターゲットは花嫁衣装 타깃은 웨딩 드레스 웨딩 드레스를 지켜라! 15 - 遊園地の衝撃告白! 유원지에서의 충격 고백! 놀이공원에서의 고백! 16 - 初キスは月光に輝く! 첫키스는 달빛에 빛나다! 달빛 아래의 첫키스 17 - 急接近! 恋の台風上陸 다가온다! 사랑의 허리케인 상륙! 사랑의 허리케인 상륙! 18 - 悪魔が襲う友情の勲章 악마가 덮친 우정의 훈장 악마가 덮친 우정의 훈장 19 - 封印! 父の愛の証明 봉인! 부성애(父省愛)의 증거 봉인! 아버지의 사랑! 20 - 元気に勇気が壊れた日 활기와 용기가 부서진 날 강한 마음과 용기가 무너진 날! 21 - 都、恋と友情を撃つ! 미야코, 사랑과 우정을 걸다! 채영이의 우정과 사랑! 22 - ダイブ! W怪盗死す 잠수! 두 괴도의 죽음 진서의 추억 23 - 狙撃! 魔性の青い蝶 저격! 마성의 푸른 나비 체크메이트! 신비한 호랑나비 24 - 豪華客船モンキー騒動 호화여객선의 원숭이 소동 호화여객선의 원숭이 소동 25 - 怪談! 幽霊学校の夏 귀신이야기! 유령학교의 여름 여름 합숙소의 귀신! 26 - 潜入! カラクリ忍者城 잠입! 기계장치 닌자성! 27 - 涙のお別れ天使フィン 눈물의 이별, 천사 핀 천사 핀과의 이별 28 - 悪魔降臨! 新変身の時 악마강림! 새로운 변신의 때 다시 나타난 악마, 그리고 새로운 변신! 29 - 超美形! 謎の先生登場 초미남! 의문의 선생 등장 새로 온 교생 선생님! 30 - 気復活で燃える闘志 활기 부활로 타오르는 의지 기운의 부활, 타오르는 의지! 31 - 元怪盗ついにCM出演!? 괴도 잔느, 드디어 광고 출연!? 잔느, 광고에 나오다!? 32 - 怪盗ジャンヌ抹殺指令!! 괴도 잔느 말살 지령!! 잔느 말살 지령!! 33 - 嘘つきシンドバッド!! 거짓말쟁이 신밧드!! 진서와 신밧드! 34 - 別離宣言! もう誰も信じない!! 이별선언! 이제 아무도 믿을 수 없어! 이별선언! 아무도 믿지 않아!! 35 - ジャンヌ復活のLOVEパワー! 쟌느, 부활의 LOVE 파워! 잔느, 사랑의 힘으로 부활! 36 - 泥棒は刑事の味方か!? 도둑은 경찰의 편인가!? 채영이의 소원! 37 - 悪魔の心臓を持つ少年 악마의 심장을 가진 소년! 악마의 심장을 가진 소년! 38 - 決断!? 悲しみの封印 결단!? 슬픔의 체크메이트 슬픈 체크메이트! 39 - 願いは一つ! 父と母に 소원은 하나! 아빠와 엄마에게 소원은 하나! 엄마 아빠에게... 40 - 邪悪変身! ミスト猛攻 사악변신! 미스트 맹공 미스트의 총공격! 41 - 再会フィン!! 劇的悪夢 재회 핀!! 극적악몽 돌아온 핀! 42 - 怪盗、時空を越える!! 괴도, 시공을 뛰어넘다! 괴도 시공을 초월하다! 43 - 友情崩壊!? 魔氷城決戦 우정붕괴?! 마빙성 결전 우정붕괴?! 얼음성의 결투! 44 - 汝、神風となれ! 그대, 신풍(神風)이 되어라! 신의 바람이 되어라!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도에이 공식 홈페이지 (영어) 신풍괴도 쟌느 (만화) - Ann (영어) 신풍괴도 쟌느 (아니메) - Ann 신의 괴도 잔느 - 미만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신풍괴도_쟌느&oldid=23754960" 분류: 일본의 만화소녀 만화1999년 애니메이션TV 아사히 계열 애니메이션도에이 애니메이션드라마 애니메이션드라마 만화연애 만화변신 히로인괴도를 소재로 한 작품투니버스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DeutschEnglishEspañolEestiSuomiFrançaisMagyarItaliano日本語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Tagalog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23일 (토) 00:0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신풍괴도 쟌느》(일본어: 神風怪盗ジャンヌ 가미카제 가이토 잔누[*])는 타네무라 아리나의 일본의 만화책 시리즈이다. 1998년 2월호 ~ 2000년 7월호까지 슈에이샤의 만화 잡지 리본(りぼん)에서 연재되었다. 1999년에는 토에이 애니메이션에서 TV시리즈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여, 1999년 2월 13일부터 2000년 1월 29일까지 동명 이름으로 TV 아사히 계열 방송국에서 방영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만화책 시리즈를 대원씨아이에서 순정편집부가 번역하여 1999년 8월 1일에 『신풍괴도 쟌느1』라는 이름으로 1권을 발행하였고, 2000년 7월 1일에 시리즈 7권 『신풍괴도 쟌느7』을 주진언이 번역하여 시리즈가 완결되었다. TV시리즈 애니메이션은 투니버스에서 한국어 더빙을 제작하여, 2001년 4월 26일부터 투니버스에서 방영하였다. 투니버스는 더빙 과정에서 원제를 『신의 괴도 잔느』로 수정하였으며, 지명 및 등장인물 이름 등을 모두 한국식으로 수정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신풍괴도 쟌느의 주인공 마론의 라이벌로 이야기에 갈등을 유발한 캐릭터는 누구일까? Assistant: 신밧드
Human: 아래 대리상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리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리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리상(代理商)은 일정한 상인을 위하여 상업사용인이 아니면서 상시 그 영업부류에 속하는 거래의 대리 또는 중개를 영업으로 하는 자를 말한다. 대리상이라는 지위는 특정인이 일정한 상인과 대리 또는 중개의 인수계약을 함으로써 취득되며 본인인 상인이 이미 존재하고 그 와의 계약에 의하여 비로소 대리상이 된다. 아랍에미리트의 경우, 상업대리점구성에 관한 법이라는 특별법에 의하여 대리상의 행정기관에의 등록, 대리계약의 효력 등에 대하여 규율하고 있다. 영미법계인 영국·미국의 경우, 대리(Law of agency)의 하위 개념인 commercial agency가 대리상에 해당하는 개념이다. 목차 1 역사 2 대한민국의 대리상 2.1 체약대리상과 중개대리상의 차이 2.2 필요성 2.3 의무 2.3.1 통지의무 2.3.2 경업금지 2.3.3 대리상의 영업비밀준수의무 2.4 권리 2.4.1 보상청구권 3 각주 4 참고문헌 역사[편집] 1897년의 독일 상법에서 처음으로 입법화 되었다. 대한민국의 대리상[편집] 체약대리상과 중개대리상의 차이[편집] 본인의 거래를 '대리'하는 대리상을 체약대리상, 본인의 거래를 '중개'하는 대리상을 중개대리상이라고 한다. 필요성[편집] 대리상은 특정상인의 영업거래를 계속적으로 대리하거나 또는 중개함으로써 그 상인의 활동을 보조하는 기능을 한다. 기업규모의 성장을 위해서는 영업활동의 지역적 확장을 요한다. 상인이 자신의 영업활동을 지역적으로 확장하는 방법으로서는 우선 대상지역에 자신의 상업사용인을 두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고, 또 이것이 가장 완벽한 방법이긴 하나, 관리/유지에 상당한 고정비용이 소요되므로 영업의 규모나 성격에 따라서는 비경제적일 수 있으며, 시장개척에 따를 시행착오와 영업부담을 감수해야 한다. 그래서 특정지역에 지속적인 영업조직을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그 곳의 시장사정에 밝은 자를 대리상으로 함으로써 그의 조직기반을 계속적으로 이용한다. 의무[편집] 통지의무[편집] 대리상이 거래의 대리 또는 중개를 한 때에는 지체없이 본인에게 그 통지를 발송하여야 한다. 경업금지[편집] 대리상은 본인의 허락없이 자기나 제3자의 계산으로 본인의 영업부류에 속한 거래를 하거나 동종영업을 목적으로 하는 회사의 무한책임사원 또는 이사가 되지 못한다. 대리상의 영업비밀준수의무[편집] 대리상은 계약의 종료후에도 계약과 관련하여 알게 된 본인의 영업상의 비밀을 준수하여야 한다. 권리[편집] 보상청구권[편집] 대리상의 활동으로 본인이 새로운 고객을 획득하거나 영업상의 거래가 현저하게 증가하고 이로 인하여 계약의 종료후에도 본인이 이익을 얻고 있는 경우에는 대리상은 본인에 대하여 상당한 보상을 청구할 수 있다. 다만, 계약의 종료가 대리상의 책임있는 사유로 인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대한민국 상법 제92조의2 제1항) 상법 제92조의2 제1항은, [...] 대리상이 계약 존속 중에 획득하거나 현저히 증가시킨 고객관계로 인하여 계약 종료 후에도 본인은 이익을 얻게 되나 대리상은 더 이상 아무런 이익을 얻지 못하게 되는 상황을 염두에 두고, 형평의 원칙상 대리상의 보호를 위하여 보상청구권을 인정하고 있다. 한편 대리상의 보상청구권에 관한 위와 같은 입법 취지 및 목적 등을 고려할 때, 제조자나 공급자로부터 제품을 구매하여 그 제품을 자기의 이름과 계산으로 판매하는 영업을 하는 자에게도, ① 예를 들어 특정한 판매구역에서 제품에 관한 독점판매권을 가지면서 제품판매를 촉진할 의무와 더불어 제조자나 공급자의 판매활동에 관한 지침이나 지시에 따를 의무 등을 부담하는 경우처럼 계약을 통하여 사실상 제조자나 공급자의 판매조직에 편입됨으로써 대리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업무를 수행하였고, ② 자신이 획득하거나 거래를 현저히 증가시킨 고객에 관한 정보를 제조자나 공급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등 고객관계를 이전하여 제조자나 공급자가 계약 종료 후에도 곧바로 그러한 고객관계를 이용할 수 있게 할 계약상 의무를 부담하였으며, ③ 아울러 계약체결 경위, 영업을 위하여 투입한 자본과 그 회수 규모 및 영업 현황 등 제반 사정에 비추어 대리상과 마찬가지의 보호필요성이 인정된다는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때에는, 상법상 대리상이 아니더라도 대리상의 보상청구권에 관한 상법 제92조의2를 유추적용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1] 각주[편집] ↑ 대법원 2013.2.14. 선고 2011다28342 판결 참고문헌[편집] 박규용, 대리상 제도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2005. vdeh상행위 대리상 중개업 위탁매매업 운송주선업 운송업 공중접객업 창고업 금융리스업 가맹업 채권매입업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리상&oldid=24064864" 분류: 상법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11: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대리상(代理商)은 일정한 상인을 위하여 상업사용인이 아니면서 상시 그 영업부류에 속하는 거래의 대리 또는 중개를 영업으로 하는 자를 말한다. 대리상이라는 지위는 특정인이 일정한 상인과 대리 또는 중개의 인수계약을 함으로써 취득되며 본인인 상인이 이미 존재하고 그 와의 계약에 의하여 비로소 대리상이 된다. 아랍에미리트의 경우, 상업대리점구성에 관한 법이라는 특별법에 의하여 대리상의 행정기관에의 등록, 대리계약의 효력 등에 대하여 규율하고 있다. 영미법계인 영국·미국의 경우, 대리(Law of agency)의 하위 개념인 commercial agency가 대리상에 해당하는 개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계약 만료 후의 이득에 대한 보상청구를 규정하고 있는 조항은 몇항인가? Assistant: 대한민국 상법 제92조의2 제1항 Human: 아래 윤딴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윤딴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윤딴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윤딴딴YUN DDan DDan기본 정보본명 윤종훈출생 1990년 12월 2일(1990-12-02) (28세)서울특별시국적 대한민국직업 싱어송라이터장르 인디악기 보컬, 기타활동 시기 2014년 - 현재 종교 개신교소속사 매직스트로베리웹사이트 매직스트로베리사운드 윤딴딴윤딴딴 - 인스타그램윤딴딴 - 페이스북 윤딴딴(본명: 윤종훈, 1990년 12월 2일 ~)은 2014년 데뷔한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이다. 예명은 고등학교 시절 반에서 유일한 예체능 전공이라 담임 선생님이 ‘딴따라’라고 부르던 것에서 유래하며, 독창성과 독보적인 색깔이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예명으로 삼았다고 한다.[1] 자신을 나타내기에 기획사가 없는 것이 좋다는 판단으로 데뷔 이후 어떠한 회사에도 소속되지 않았다가[2], 2018년 1월 8일부터 매직스토리베리에서 활동하고 있다.[3] 데뷔곡인 〈겨울을 걷는다〉로 큰 인기를 얻었다. 목차 1 학력 2 음반 목록 2.1 미니 음반 2.2 디지털 싱글 2.3 콜라보레이션 2.4 참여 음반 3 출연 작품 3.1 텔레비전 프로그램 4 각주 5 외부 링크 학력[편집] 안산공업고등학교 백석대학교 기독교실용음악 음반 목록[편집] 미니 음반[편집] 순서 정보 트랙 리스트 1 《딴딴한 시작》 발매일: 2016년 4월 19일 윤딴딴 욕심인가요 겨울을 걷는다 친하게 지내자 ㄴㄴㄴ 겨울을 걷는다 (Inst.) ㄴㄴㄴ (Inst.) 2 《덥딴》 발매일: 2017년 6월 5일 여름에 휴가철 도로 위 술이 웬수라서 새벽더위 3 《자취방에서》 발매일: 2018년 4월 25일 방콕송 흘러가네 자취방에서 잘 될 거예요 별거있냐구 (Live ver.) 디지털 싱글[편집] 순서 정보 트랙 리스트 1 〈반오십〉 발매일: 2014년 2월 14일 친하게 지내자 (Original Ver.) 겨울을 걷는다 그대 눈에 톡 친하게 지내자 (New Ver.) 겨울을 걷는다 (Studio Live Ver.) 2 〈함께〉 발매일: 2014년 7월 3일 Baby그대 함께 3 〈우산이 두갠데〉 발매일: 2014년 9월 15일 우산이 두갠데 4 〈사랑의 시작은 이사에서부터〉 발매일: 2015년 3월 10일 사랑의 시작은 이사에서부터 (With 은종) 5 〈ㄴㄴㄴ〉 발매일: 2015년 10월 28일 ㄴㄴㄴ 6 〈윤딴딴〉 발매일: 2016년 1월 5일 윤딴딴 6 〈27살의 고백〉 발매일: 2016년 11월 6일 27살의 고백 6 〈니가 보고싶은 밤〉 발매일: 2017년 2월 20일 니가 보고싶은 밤 7 〈밤에 잠이 안 올 때〉 발매일: 2017년 11월 9일 밤에 잠이 안 올 때 8 〈혹시 모르니까〉 발매일: 2018년 10월 12일 혹시 모르니까 혹시 모르니까 (Inst.) 9 <잘 살고 있지롱> 발매일: 2019년 6월 12일 잘 살고 있지롱 잘 살고 있지롱 (inst.) 콜라보레이션[편집] 순서 정보 트랙 리스트 1 〈여름꽃〉 (With 그_냥) 발매일: 2016년 6월 13일 여름꽃 참여 음반[편집] 순서 정보 트랙 리스트 1 〈산사춘Song 2014〉 발매일: 2014년 7월 28일 산사춘Song (당신께 할말이 있어요) 산사춘Song (Inst.) 2 〈다시 만난 세계 OST Part.4〉 발매일: 2017년 8월 9일 다시 만날거야 다시 만날거야 (Inst.) 3 〈더 패키지 OST Part.5〉 (With 은하) 발매일: 2017년 11월 3일 오늘따라 예쁘다 Imagine 오늘따라 예쁘다 (Inst.) 4 〈이런 꽃 같은 엔딩 OST Part.1〉 발매일: 2018년 1월 24일 잘 해보려는 나 알 수 없는 너 잘 해보려는 나 알 수 없는 너 (Melody Ver.) 잘 해보려는 나 알 수 없는 너 (Inst.) 5 〈투유 프로젝트 - 슈가맨2 Part.4〉 (With 양요섭) 발매일: 2018년 2월 5일 경아의 하루 아스피린 6 〈김비서가 왜 그럴까 OST Part.7〉 발매일: 2018년 7월 5일 토로 토로 (Inst.) 출연 작품[편집] 텔레비전 프로그램[편집] 2016년 Mnet 너의 목소리가 보여 - 알프스 청정보이스 요들레이 청년 2018년 JTBC 투유 프로젝트 - 슈가맨 2019년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찍소리 금지! 시골쥐 서울쥐 < 참가자 > 각주[편집] ↑ 임미소 (2017년 4월 28일). “윤딴딴 인터뷰 – 28살의 고백”. 《민트페이퍼》.  ↑ 안희찬 (2017년 9월 24일). “[톱클래스] '음원깡패'가 된 동네 딴따라 윤딴딴”. 《조선일보》. 2018년 5월 24일에 확인함.  ↑ 류수운 (2018년 1월 8일). “윤딴딴, 매직스토리베리 새 아티스트로 합류”. NSP통신. 2018년 11월 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윤딴딴 - 인스타그램 윤딴딴 - 페이스북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윤딴딴&oldid=24440728" 분류: 1990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대한민국의 기타 연주자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너의 목소리가 보여 참가자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17일 (월) 15: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윤딴딴(본명: 윤종훈, 1990년 12월 2일 ~)은 2014년 데뷔한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이다. 예명은 고등학교 시절 반에서 유일한 예체능 전공이라 담임 선생님이 ‘딴따라’라고 부르던 것에서 유래하며, 독창성과 독보적인 색깔이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예명으로 삼았다고 한다. 자신을 나타내기에 기획사가 없는 것이 좋다는 판단으로 데뷔 이후 어떠한 회사에도 소속되지 않았다가, 2018년 1월 8일부터 매직스토리베리에서 활동하고 있다. 데뷔곡인 〈겨울을 걷는다〉로 큰 인기를 얻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윤딴딴이 발매한 디지털 싱글 앨범은 어떨까? Assistant: 순서 정보 트랙 리스트 1 〈반오십〉 발매일: 2014년 2월 14일 친하게 지내자 (Original Ver.) 겨울을 걷는다 그대 눈에 톡 친하게 지내자 (New Ver.) 겨울을 걷는다 (Studio Live Ver.) 2 〈함께〉 발매일: 2014년 7월 3일 Baby그대 함께 3 〈우산이 두갠데〉 발매일: 2014년 9월 15일 우산이 두갠데 4 〈사랑의 시작은 이사에서부터〉 발매일: 2015년 3월 10일 사랑의 시작은 이사에서부터 (With 은종) 5 〈ㄴㄴㄴ〉 발매일: 2015년 10월 28일 ㄴㄴㄴ 6 〈윤딴딴〉 발매일: 2016년 1월 5일 윤딴딴 6 〈27살의 고백〉 발매일: 2016년 11월 6일 27살의 고백 6 〈니가 보고싶은 밤〉 발매일: 2017년 2월 20일 니가 보고싶은 밤 7 〈밤에 잠이 안 올 때〉 발매일: 2017년 11월 9일 밤에 잠이 안 올 때 8 〈혹시 모르니까〉 발매일: 2018년 10월 12일 혹시 모르니까 혹시 모르니까 (Inst.) 9 <잘 살고 있지롱> 발매일: 2019년 6월 12일 잘 살고 있지롱 잘 살고 있지롱 (inst.)
Human: 아래 TDI_벡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TDI 벡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TDI 벡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벡터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TDI 벡터 종류 기관단총 역사 개발년도 2006년 제원 중량 2.18kg(프로토 타입) 크리스 벡터(KRISS Vector)[1] 혹은 크리스 슈퍼 V는 TDI사가 개발·생산하는 차세대 기관단총이다. 목차 1 설계 2 평가 3 미디어 3.1 게임 3.2 애니메이션 3.3 텔레비전 프로그램 4 참조 설계[편집] TDI사의 벡터는 "크리스 슈퍼 V(Kriss Super V)"라는 독특한 방식을 채용하였다. 이 방식은 겉으로는 반동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블로우백 작동식이지만 다른 기관단총들과는 달리 기존의 노리쇠의 이동방향을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설계하였는데, 이는 총구가 격발시 위로 들리면서 동시에 노리쇠가 수직이 아닌 아랫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많은 대구경 화기들의 문제점이었던 총구앙등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설계다. 또한, M16소총이나 과거 독일 3제국에서 제조했던 FG42소총 등 처럼 총열과 개머리판이 일직선상에 놓여진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 동시에, 권총손잡이까지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어 총기 제어를 좀더 수월하게 할 수 있게 하였다. 크리스 슈퍼 V 시스템은 결과적으로 AK107 및 AK108 소총 등에 사용된 무게추 방식(Balanced Recoil System)과 근본적인 원리는 비슷하나, 무게추 방식이 총기 내부에 별도의 무게추를 설치하여 총기 제어성을 향상시킨 반면, 크리스 슈퍼 V 시스템은 어떠한 부품의 추가 없이 단순히 기존 블로우 백 방식에서 노리쇠의 작동방향만 바꾼 것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내부구조는 단순하여 생산하기도 쉽고, 관리하기도 좀더 수월하다. 실제로도 별도의 연장 없이도 간단히 분해하거나 조립할 수 있다. TDI사는 2010년에 .40 S&W탄 모델을 개발했으며, 이 총에 쓰인 크리스 슈퍼 V 시스템을 이용하여 7.62 x 51mm NATO탄을 사용하는 전투소총을 개발하고 있다. 평가[편집] .45 ACP라는 강력한 위력의 탄환을 적은 반동으로 격발할 수 있기에, 크리스 슈퍼 V 시스템이 강장탄을 길들일 수 있는 시스템임을 증명하게 되었으며, 강력한 화력으로 타 화기에 비해 근접전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또한, 약간의 발상전환으로 그간 많은 총기 개발자들을 괴롭혔던 총구 앙등현상을 효과적으로 해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미디어[편집] 게임[편집] 카운터-스트라이크 온라인 - 30발들이 기관단총으로 '크리스 슈퍼 V'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소음기를 부착할 수 있다. 또 '크리스 슈퍼 V'를 두개로 들어서 사용하는 업그레이드형 무기인 '듀얼 크리스'가 있다. A.V.A - 포인트맨 병과의 주무장으로 '크리스 슈퍼 V'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실제 총기와 마찬가지로 높은 위력과 높은 연사속도,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 13발 탄창을 기본 사양으로 제공하며, 트리거 부분 개조를 통해 28발들이 탄창으로 교체할 수도 있다. 비록 현재는 패치로 인해 성능이 많이 약화되었다곤 하지만, 여전히 게임내에서 인기가 많은 총기 중 하나이다. 신규 가입 유저에게 주는 이벤트 무기이기도 하다. (다만 이때는 영구가 아닌 내구제로서 지급된다.) 포인트 블랭크 - 주무장으로 나온다. 도트사이트를 장착한 상태로 나오며, 장탄수는 30발이다. B키를 눌러서 듀얼모드로 전환하여 2개의 벡터를 들고 사격할 수 있다. 배터리 온라인 - 주무장으로 나온다. 장탄수는 30발이다. 밸런스상의 이유로 인해, .45 ACP탄의 높은 위력만 구현되고, 나머지는 구현되지 않았다. 기관단총 중에선 제일 높은 위력을 가졌지만, 연사속도가 제일 느리다. (이로 인해 몇몇 유저들은 개발진이 미숙하다는 의견을 내놓기도 하였다.) 모던워페어2 - 주무장으로 나온다. 레벨 12 때 언락할 수 있으며, 장탄수는 30발이다. 위력이 낮은 대신 높은 연사속도와 낮은 반동을 가졌다. 부착 가능한 부착물로는 속사(Rapid Fire), 아킴보(Akimbo), 레드 도트사이트(Red Dot Sight), 홀로그래픽 사이트(Holographic Sight), 소음기(Silencer), ACOG 스코프(ACOG Scope), 열감지 조준기(Thermal Scope), 철갑탄(FMJ), 확장 탄창(Extended Magazine)이 있다. 플레이어언노운 배틀그라운드 - 필드에서 드랍되는 아이템으로, 기본 장탄수는 13발이다. SMG 전용 부착물을 착용할 수 있으며, 총구에 소염기(Flash Hider), 보정기(Compensator), 소음기(Suppressor), 탄창에 퀵드로우(QuickDraw Mag), 대용량(Extended Mag), 대용량 퀵드로우(Extended QuickDraw Mag), 손잡이에 수직손잡이(Vertical Foregrip), 개머리판에 전술 개머리판(Tactical Stock) 을 착용할 수 있다. 대용량 탄창을 착용했을 때 장탄수는 13발에서 25발로 증가하며 다른 총기와는 다르게 손잡이에 수직손잡이, 하프 그립만 부착할 수 있다. 업데이트로 9mm 탄을 쓴다. 레인보우 식스 시즈 - Operation Velvet Shell 에서 출시된 수비팀 오퍼레이터 미라(MIRA) 의 주 무기 중 하나이다. 한편 공격팀의 라이언 (LION) 의 주 무기중 하나가 V308 인데, 벡터에 드럼식 탄창을 달고 7.62mm 나토탄을 쓰는 총이라고 볼 수 있다. 애니메이션[편집] Angel Beats! - 여주인공인 유리가 사용한다. 텔레비전 프로그램[편집] CSI: 뉴욕 - "인질(Hostage)" 편에서 살인무기로 등장한다. 퓨처웨폰스(Future Weapons) - "근접전(Close Quater Combat)"편에서 등장한다. 참조[편집] ↑ “Products”. KRISS Arms. 2013년 1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1월 30일에 확인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TDI_벡터&oldid=23956570" 분류: 기관단총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atviešuPolskiРусский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일 (화) 23: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크리스 벡터(KRISS Vector) 또는 크리스 슈퍼 V는 TDI사가 개발, 생산하는 차세대 기관단총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TDI사의 벡터에는 어떤 독특한 방식을 사용했을까? Assistant: 크리스 슈퍼 V(Kriss Super V) Human: 아래 한_번_더_해피엔딩_(드라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한 번 더 해피엔딩 (드라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 번 더 해피엔딩 (드라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한번 더 해피엔딩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MBC 방송 기간 2016년 1월 20일 ~ 2016년 3월 10일 방송 시간 매주 수요일, 목요일 밤 9시 55분 방송 분량 70분 방송 횟수 16부작 기획 김도훈 프로듀서 김호준 연출 권성창 극본 허성희 출연자 장나라, 정경호, 권율, 유인나, 유다인, 서인영 외 자막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한 번 더 해피엔딩 공식 홈페이지 《한번 더 해피엔딩》은 2016년 1월 20일부터 2016년 3월 10일까지 MBC에서 방송된 수목드라마이다. 목차 1 줄거리 2 등장인물 2.1 주요 인물 2.2 썸남썸녀 2.3 주변 인물 2.4 그 외 2.5 특별 출연 3 시청률 4 같이 보기 5 각주 6 외부 링크 줄거리[편집] 서른이 훌쩍 넘어버린 1세대 요정 걸그룹의 ‘그 후’ 그리고 그녀들과 ‘엮이는’ 바람에 다시 한 번 사랑을 시작하는 남자들의 이야기. 돌아온 싱글, 정체성 애매한 싱글대디, 모태솔로와 다름없는 미혼, 소생 불가능해 보이는 기혼임에도 ‘다시 행복해지기 위해’ 사랑에 도전하는 과정을 그린 용감무쌍 유쾌통쾌 스파클링 로맨틱 코미디 등장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장나라 : 한미모 역 (아역 : 이영은) - 재혼컨설팅 업체 ‘용감한 웨딩’의 공동대표, 전직 걸그룹 ‘엔젤스’ 멤버 정경호 : 송수혁 역 (아역 : 최권수) - 매스펀치 취재기자 권율 : 구해준 역 - 사랑병원 신경과 의사 유인나 : 고동미 역 - 사립초등학교 선생님, 전직 걸그룹 ‘엔젤스’ 멤버 유다인 : 백다정 역 - 재혼컨설팅 업체 ‘용감한 웨딩’의 공동대표, 전직 걸그룹 ‘엔젤스’ 멤버 서인영 : 홍애란 역 - 인터넷 쇼핑몰 대표, 전직 걸그룹 ‘엔젤스’ 멤버 썸남썸녀[편집] 김태훈 : 김건학 역 - 백다정의 남편, 재벌2세 황선희 : 우연수 역 - 사랑병원 산부인과 전문의, 해준의 전처 이채은 : 정아니 역 - 매스펀치 취재기자, 수혁의 대학교 후배 박은석 : 방동배 역 - 홍애란의 약혼남 김지안 : 구연미 역 - 백합여고 학생, 사랑병원 신경과 치료중 김사권 : 김승재 역 - 한미모의 전남편 진기주 : 안순수 역 - 수혁의 사별한 아내, 민우의 어머니 주변 인물[편집] 고규필 : 나현기 역 - 매스펀치 취재기자 김단율 : 송민우 역 - 송수혁의 아들 송준희 : 김태용 역 - 백다정과 김건학의 아들 최덕문 : 매스펀치 팀장 역 안효섭 : 안정우 역 - 고동미의 연하 남자친구 이슬비 : 송소은 역 그 외[편집] 서한결 이일섭 노수성 신소이 정태야 유현종 박대규 정동규 장준유 : 김승재의 여자친구 송시아 역 윤인조 미소윤: 사랑병원 김 간호사 역 전수아 문상숙 문자영 정준영 김은진 김혜지 조철환 이선영 임후석 최황빈 서예희 차민준 송경화 정영훈 : 대학시절 구해준 친구 역 장서희 : 고동미의 학급반 학생 역 권정현 윤봉길 박영수 이설구 오윤홍 손산 특별 출연[편집] 박산다라 : 구슬아 역 - 톱여배우, 전직 걸그룹 '엔젤스' 멤버 이동하 : 김정훈 역 - 유명 셰프, 한미모를 차버리고 구슬아에게 청혼하는 양다리남 김소연 : 원고인 김송율 역 곽시양 : 피고인 방대한 역 백봉기 : 춘기 역 오정세 : 돌싱남 역 서현철 : 구청직원 역 스잘 : 모조품상 역 이수지 : 콜센터 직원 역 레이 양 : 한미모의 동네 이웃, 자기관리가 철저했지만 치킨 먹다 질식사한 경현 역 정지순 : ‘자연산 글래머’를 원하는 상담 고객 역 이연두 : 송민우의 담임 선생님 역 박해미 : 홍애란의 어머니 역 김민준 : 고동미와 전기오븐 직거래한 남자 이욱 역 박휘순 : 조선시대 이야기 속 혼례를 올리는 신랑 겸 고동미 학교 동료 역 김사희 : 고동미 학교 동료 우정미 역 김효서 : 매력적인 전문직 돌싱녀로 상담 고객 역 뮤지 : 고동미가 점 보러간 점집 주인, 점쟁이 역 김하균 : 아이를 낳아줄 여자를 원하는 상담 고객 역 허안나 : 방동배의 전 여자친구 역 이지훈 스테파니 : 봉봉미 역 윤종훈 문세윤 : 큐피드 역 손성윤 코넌 오브라이언 진호현 : 결혼식 사회자 역 시청률[편집] 아래의 파란색 숫자는 '최저 시청률'이고, 빨간색 숫자는 '최고 시청률'입니다. 시청률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6년 회차 방송일 TNmS 시청률[1] AGB 시청률[2]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제1회 1월 20일 5.5% 5.9% 5.2% 6.3% 제2회 1월 21일 6.1% 7.1% 5.9% 7.2% 제3회 1월 27일 5.8% 6.5% 6.3% 7.5% 제4회 1월 28일 5.6% 6.4% 6.7% 8.0% 제5회 2월 3일 6.2% 6.1% 6.5% 8.1% 제6회 2월 4일 6.3% 7.9% 6.9% 8.5% 제7회 2월 10일 6.2% 7.6% 5.8% 7.2% 제8회 2월 11일 6.2% 7.5% 6.3% 7.6% 제9회 2월 17일 6.0% 7.4% 5.6% 7.0% 제10회 2월 18일 6.1% 7.4% 5.0% 6.3% 제11회 2월 24일 5.9% 6.9% 5.0% 6.0% 제12회 2월 25일 5.5% 6.6% 4.7% 5.8% 제13회 3월 2일 4.5% 5.1% 3.8% 4.4% 제14회 3월 3일 3.6% 4.4% 3.7% 4.5% 제15회 3월 9일 3.5% 4.2% 3.2% 3.9% 제16회 3월 10일 3.5% 4.1% 3.0% 3.6% 평균 시청률 5.4% 6.3% 5.2% 6.3% 같이 보기[편집] KBS 수목드라마 《장사의 신 - 객주 2015》 《태양의 후예》 SBS 드라마 스페셜 《리멤버 - 아들의 전쟁》 《돌아와요 아저씨》 각주[편집] ↑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 ↑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 외부 링크[편집] 한 번 더 해피엔딩 공식사이트 문화방송 수목 미니시리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달콤살벌 패밀리 (2015년 11월 18일 ~ 2016년 1월 14일) 한 번 더 해피엔딩 (2016년 1월 20일 ~ 2016년 3월 10일) 굿바이 미스터 블랙 (2016년 3월 16일 ~ 2016년 5월 19일) vdeh 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드라마 아침드라마 (《모두 다 쿵따리》) 일일연속극 (《용왕님 보우하사》) 월화드라마 (《검법남녀 2》) 수목 미니시리즈 (《신입사관 구해령》)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이몽》) 예능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섹션TV 연예통신》 《마이 리틀 텔레비전 V2》 《나 혼자 산다》 《침착한 주말》 《전지적 참견 시점》 《쇼! 음악중심》 《출발! 비디오 여행》 《신비한TV 서프라이즈》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호구의 연애》 《구해줘! 홈즈》 《복면가왕》 《방송연예대상》¹ 《연기대상》¹ 《가요대제전》¹ 시사교양 《생방송 오늘아침》 《기분 좋은 날》 《실화탐사대》 《이상한 나라의 며느리》 《#파워매거진》 《우리말 나들이》 《생방송 오늘저녁》 《네트워크 특선》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MBC 스페셜》 《PD수첩》 《MBC 100분 토론》 《휴먼다큐 사람이 좋다》 《나누면 행복》 《우리동네 피터팬》 《문화사색》 《탐나는 TV》 《기억·록, 100년을 탐험하다》 《TV 예술무대》 《통일전망대》 《생방송 행복드림 로또 6/45》 《MBC 다큐프라임》(수도권,부산,영동용) 《시골 주치의 프로젝트 왕진원정대》 《어린이에게 새생명을》² 뉴스 《MBC 뉴스투데이》 《930 MBC 뉴스》 《12 MBC 뉴스》 《2시 뉴스외전》 《MBC 뉴스데스크》 (《MBC 스포츠뉴스》) 《MBC 주말뉴스》 《MBC 뉴스특보》² 스포츠 《스포츠 다이어리》 《스포츠 매거진》 《MBC 스포츠 특집》² 어린이 《뽀뽀뽀 모두야 놀자》 《MBC 만화마당 《빠샤메카드》 《아이돌타임 프리파라》 《꾸러기 식사 교실》 KBS1 KBS2 EBS1 EBS2 MBC OBS SBS †현재 잠정 중단된 프로그램 ¹ 연중 1회 방송되는 프로그램 ² 유동적으로 편성되는 프로그램 vdeh의 텔레비전 드라마현재 아침드라마 (《모두 다 쿵따리》) 일일연속극(《용왕님 보우하사》) 월화드라마(《검법남녀 2》) 수목 미니시리즈(《신입사관 구해령》)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이몽》) 특집드라마† 과거 거부실록 시리즈 공화국 시리즈 논스톱 시리즈 달수 시리즈 드라마 페스티벌 목금드라마 베스트극장 베스트셀러극장 수사반장 시즌드라마 시트콤 아침드라마 예능드라마 여인열전 시리즈 외화시리즈 일요 드라마 극장 일요아침드라마 일일연속사극 일일 특별기획 드라마 자유무대 전원일기 조선왕조 오백년 주말연속극 토요드라마 하이킥 시리즈 한국인 재발견 시리즈 †부정기적 프로그램 KBS MBC SBS tvN OCN JTBC MBN 채널A TV조선 vdeh 수목 미니시리즈1980년대 전반 《겨울 해바라기》 《물보라》 1980년대 후반 《엄마의 방》 《억새풀》 《첫사랑》 《겨울꽃》 《도시의 얼굴》 《인현왕후》 《한중록》 《파문》 《당신의 축배》 1990년대 전반 《사랑의 종말》 《그 여자》 《까치 며느리》 《여명의 눈동자》 《일출봉》 《여자의 방》 《폭풍의 계절》 《야망》 《아들의 여자》 1990년대 후반1995년 《숙희》 《제4공화국》 1996년 《이혼하지 않는 이유》 《사과꽃 향기》 《강가에 앉아서 울다》 《미망》 1997년 《내가 사는 이유》 《영웅신화》 1998년 《육남매》 《대왕의 길》 《적과의 동거》 《수줍은 연인》 《해바라기》 1999년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눈물이 보일까봐》 《안녕 내 사랑》 《햇빛속으로》 2000년대 전반2000년 《진실》 《나쁜 친구들》 《이브의 모든 것》 《신 귀공자》 《비밀》 《에어포스》(단막) 《황금시대》 2001년 《맛있는 청혼》 《호텔리어》 《네 자매 이야기》 《반달곰 내 사랑》 《가을에 만난 남자》 《소풍》(단막) 2002년 《그 햇살이 나에게》 《선물》 《난 왜 아빠랑 성이 달라?》(단막) 《로망스》 《네 멋대로 해라》 《링링》(단막) 《리멤버》 《삼총사》 2003년 《눈사람》 《위풍당당 그녀》 《남자의 향기》 《앞집 여자》 《좋은사람》 《나는 달린다》 《사막의 샘》(단막) 《아르곤》(단막) 2004년 《천생연분》 《사랑한다 말해줘》 《결혼하고 싶은 여자》 《황태자의 첫사랑》 《아일랜드》 《12월의 열대야》 2000년대 후반2005년 《슬픈 연가》 《신입사원》 《내 이름은 김삼순》 《이별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가을 소나기》 《영재의 전성시대》 2006년 《궁》 《닥터 깽》 《어느 멋진 날》 《오버 더 레인보우》 《여우야 뭐하니》 《90일, 사랑할 시간》 2007년 《궁S》 《고맙습니다》 《메리대구 공방전》 《그라운드 제로》(단막) 《개와 늑대의 시간》 《태왕사신기》 《뉴하트》 2008년 《누구세요?》 《우리들의 해피엔딩》(단막) 《스포트라이트》 《대한민국 변호사》 《베토벤 바이러스》 《종합병원 2》 2009년 《돌아온 일지매》 《신데렐라 맨》 《트리플》 《혼》 《맨땅에 헤딩》 《히어로》 2010년대 전반2010년 《아직도 결혼하고 싶은 여자》 《개인의 취향》 《나는 별 일 없이 산다》(단막) 《런닝, 구》(단막) 《로드 넘버원》 《장난스런 키스》 《즐거운 나의 집》 2011년 《마이 프린세스》 《로열 패밀리》 《최고의 사랑》 《넌 내게 반했어》 《지고는 못살아》 《나도, 꽃!》 2012년 《해를 품은 달》 《더킹 투하츠》 《아이두 아이두》 《아랑사또전》 《못난이 송편》(단막) 《보고싶다》 2013년 《7급 공무원》 《남자가 사랑할 때》 《여왕의 교실》 《투윅스》 《메디컬 탑팀》 《미스코리아》 2014년 《앙큼한 돌싱녀》 《개과천선》 《운명처럼 널 사랑해》 《내 생애 봄날》 《미스터 백》 2010년대 후반2015년 《킬미힐미》 《앵그리맘》 《맨도롱 또똣》 《밤을 걷는 선비》 《그녀는 예뻤다》 《달콤살벌 패밀리》 2016년 《한 번 더 해피엔딩》 《굿바이 미스터 블랙》 《운빨로맨스》 《W》 《쇼핑왕 루이》 《역도요정 김복주》 2017년 《미씽9》 《자체발광 오피스》 《군주 - 가면의 주인》 《죽어야 사는 남자》 《병원선》 《로봇이 아니야》 2018년 《손 꼭 잡고, 지는 석양을 바라보자》 《이리와 안아줘》 《시간》 《내 뒤에 테리우스》 《붉은 달 푸른 해》 2019년 《봄이 오나 봄》 《더 뱅커》 《봄밤》 《신입사관 구해령》 《어쩌다 발견한 하루》 아침 | 일일 (일일  · 특별기획) | 월화 | 수목 | 금 | 예능 | 주말 (특별기획  · 연속극) | 시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_번_더_해피엔딩_(드라마)&oldid=23884446" 분류: 2016년 드라마문화방송 수목 미니시리즈로맨틱 코미디 드라마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Bahasa IndonesiaBahasa Melayu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9일 (화) 18:0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한 번 더 해피엔딩》은 2016년 1월 20일부터 2016년 3월 10일까지 방송한 MBC 수목 드라마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6년에 방송된 드라마 한 번 더 해피엔딩의 제1회 TNmS 대한민국(전국) 시청률은 몇퍼센트인가? Assistant: 5.5%
Human: 아래 목포종합버스터미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목포종합버스터미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포종합버스터미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목포종합버스터미널 터미널 건물 모습 공식명칭 목포종합버스터미널 종류 터미널 국가 대한민국 주소 전라남도 목포시 영산로 525 (상동) 개장 1983년 11월 운영기관 금호홀딩스 터미널코드 505 행선지표기 목포 고속버스 운행 운행 시외버스 운행 운행 시내버스 운행 운행 웹사이트 금호터미널 목포종합버스터미널은 금호터미널이 운영하는 전라남도 목포시 영산로 525 (상동 220)에 위치한 버스 터미널이다. 고속버스 전산망상의 터미널 번호는 505이다. 1983년 11월에 여객터미널 면허를 취득하여 운영하기 시작했다.[1] 목차 1 승차홈 2 운행 노선 2.1 고속버스 2.2 시외버스 3 각주 4 외부 링크 승차홈[편집] 출발홈 행선지 1번홈 (군내버스) 화원(옥동, 남리), 산이(초송, 해남), 영암(구림, 독천, 세한대), 신월(운남), 군동 2번홈 서울, 대구(구미), 인천, 수원, 인천공항 4번홈 광주, 동서울, 경주, 포항, 고양, 성남, 안산, 부천, 안양 5번홈 전주직통(고창, 흥덕), 전주직행(무안, 함평, 영광, 고창, 정읍), 군산(무안, 함평, 영광, 대야), 함평(청계, 무안), 완도(해남, 독천, 해월송, 남창, 원동), 땅끝(독천, 해남, 산정, 송호리), 해남(삼호, 독천), 지도(청계, 무안, 망운, 해제, 점암, 증도), 나주(청계, 무안, 함사거리, 다시, 영삼거리, 진월동), 진도(우수영, 녹진), 나주혁신도시, 전남관광지순환(남도한바퀴) 6번홈 부산직통(남악, 삼호, 광양, 동광양), 부산직행(독천, 강진, 장흥, 보성, 벌교, 순천), 여수직통(남악, 삼호, 순천, 여천), 여수직행(독천, 강진, 장흥, 보성, 벌교, 순천), 울산(삼호, 보성, 양산), 마산직행(독천, 강진, 장흥, 보성, 벌교, 순천) 운행 노선[편집] 고속버스[편집] 운행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 시간표 목포 ↔ 서울호남 금호고속 목포 ↔ 서울호남 정안휴게소 30~40분 첫차:05:00(목포 기준(월))첫차:05:30(목포 기준(화~일))막차:24:00(목포 기준(월~금))막차:01:00(목포 기준(토,일)) 목포 ↔ 수원 금호고속삼화고속 목포 ↔ 수원 정안휴게소 6회 07:20, 10:20, 13:10, 16:10, 17:50, 19:20 목포 ↔ 인천 금호고속삼화고속 목포 ↔ 인천 무정차 60~90분 첫차:06:30(목포 기준)막차:22:20(목포 기준) 목포 ↔ 인천국제공항 금호고속광신고속 목포 ↔ 인천국제공항 영광 3회 02:30, 05:30, 11:00 목포 ↔ 구미 금호고속코리아와이드경북 목포 ↔ 구미 동대구 2회 09:40, 16:30 시외버스[편집] 방면 행선지 수도권 방면 고양[2], 동서울, 부천, 성남, 안산, 안양 호남권 방면 강진, 고창, 고흥, 과역, 광주, 고창, 광양, 군산, 나주, 남악(전남도청), 남창, 녹동, 녹진, 다시, 대산, 대야, 덕양, 도암, 독천, 동광양, 땅끝, 망운, 무안, 무안국제공항, 배산, 벌교, 보성, 산정, 삼호, 성전, 송호리, 순천, 영광, 영삼거리, 여수, 여천, 예당, 완도, 우수영, 원동, 월송, 장흥, 전주, 점암, 정읍, 조성, 증도, 지도, 진도, 진월동, 청계, 함사거리(학교), 함평, 해남, 해제, 현경, 흥덕 영남권 방면 경주[3], 마산, 부산서부, 신복, 양산, 울산, 포항[3] 각주[편집] ↑ 버스터미널 현황, 전라남도청 (공공데이터 포털), 2016년 10월 26일 등록 기준. ↑ 영광 경유 ↑ 가 나 2016년 6월 1일 신설. 외부 링크[편집] (주)금호터미널 홈페이지 코버스 홈페이지 (목포발 고속버스 노선 예매) 버스타고 홈페이지 (목포발 시외버스 노선 예매) vdeh대한민국의 시외·고속버스터미널서울특별시 서울경부 서울호남 동서울 서울서부 서울남부 상봉 가락시장 김포공항 동대문 마장동 수유리 신촌 잠실 장지역 인천광역시 강화 외포리 화도 인천 인천공항 부평역 송도 용현동 경기도 가평 목동 설악 청평 현리 고양 고양화정 광명 철산 광주 곤지암 구리 군포 김포 도농 · 금곡 · 평내 · 마석 동두천 부천 송내역 부천역·소사동·송내사거리 수원 광교중앙역 서수원 수원역 아주대 영통입구 우만동 성남 가천대 시흥 하늘휴게소 안산 상록수역 안성 공도 대림동산 양성 일죽 주은풍림 죽산 중앙대입구 안양역 · 안양 · 범계 · 호계동 · 비산동 양주역 양평 용문 여주 능서 대신 태평 전곡 오산 용인 백암 신갈 양지 유방동 의정부 의왕고천 의왕TG 이천 장호원 문산 금촌 운정 파주적성 평택 평택시외 송탄 안중 서정리·용이동·청북 평택대 해군기지 포천 송우 신북 운천 일동 하남 서신 동탄 조암 향남 강원도 강릉 강릉시외 주문진 간성 거진 대진 동해 동해시외 삼척 삼척시외 도계 임원 호산 속초 속초시외 양구 남면 양양 낙산 영월 상동 원주 원주시외 문막 인제 백담입구 신남 원통 현리 정선 고한사북 북평 임계 동송 신철원 와수 육단 춘천 춘천시외 강촌 태백 평창 대화 장평 진부 횡계 홍천 내면 서석 양덕원 화천 사창리 횡성 둔내 충청북도 괴산 연풍 단양 매포 보은 보은고속 속리산 영동 추풍령 황간 옥천 안내 청산 음성 감곡 대소 무극 삼성 생극 충북혁신도시 제천 제천시외 백운 증평 진천 광혜원 이월 청주 청주시외 청주공항 북청주 남청주 미원 오창 충주 목계 수안보 주덕 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충청남도 대전 서대전 유성 유성시외 대전청사 대전도룡 관저·건양대병원 용두동 도마동 부사동 신흥동 북대전 자운대 조치원 세종 세종청사 고대홍대 전의 금암 · 신도안 · 양정 · 엄사 공주 공암 동학사 산성 유구 금산 논산 논산시외 강경 연무 연무시외 당진 기지시 삽교천 신평 합덕 보령 대천해수욕장 부여 홍산 서산 고북 해미 서천 장항 아산 아산시외 신창 예산 신례원 천안 병천 성환 쌍용 한기대 청양 정산 태안 만리포 안면도 홍성 광천 내포 전라북도 고창 대산공용 무장 상하 선운사 해리 흥덕 군산 군산시외 대야 김제 만경 원평 남원 남원시외 덕과 반선 인월 무주 구천동 안성 부안 격포 줄포 순창 적성 고산 대둔산 봉동 삼례 운주 익산 익산시외 금마 여산 함열 임실 관촌 강진공용 오수 장수 번암 장계 전주 전주시외 정읍 신태인 태인 진안 백운 안천 광주광역시전라남도 광주 문화동 소태역 송정역 진월동 강진 마량 성전 고흥 과역 나로도 녹동 곡성 옥과 광양 광영 동광양 태인 구례 나주 영산포 영삼거리 다시 담양 목포 남악 무안 보성 벌교 예당 조성 순천 순북 점암 지도 여수 여천 영광 법성포 홍농 영암 독천 삼호 신북 완도 고금 당목 장성 장성사거리 장흥 노력항 회진 진도 녹진 함평 문장 학교 해남 땅끝 화순 능주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동대구 서대구 대구북부 · 대구서부 · 현풍 용계 경산 영남대 자인 하양 경주 경주시외 건천 산내 아화 안강 입실 고령 구미 구미공단 선산 군위 우보 김천 문경 점촌 가은 봉화 춘양 상주 함창 성주 안동 경북도청 안동역 길안 풍산 영덕 강구 병곡 영해 장사 영양 영주 풍기 풍기IC 꽃동산 영천 임포 예천 용궁 울진 기성 부구 온정 죽변 평해 후포 의성 단촌 도리원 안계 탑리 청도 운문사 청송 월정 주왕산 진보 왜관 약목 포항 포항시외 송라 청하 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경상남도 부산 부산서부 김해공항 동래 신평 하단 해운대 울산 울산시외 신복 방어진 언양 봉계·공업탑·남창·무거·옥동·웅촌·태화·호계·효문 고현 장승포 거창 고성 배둔 김해 장유 진영 남해 밀양 유천 표충사 사천 곤양 삼천포 산청 생초 원지 양산 통도사 의령 신반 진주 진주시외 개양 반성 창녕 남지 부곡 영산 창원 내서 남산 창원역 마산 마산시외 남마산 진해 통영 하동 진교 화개 함안 함양 백무동 서상 안의 합천 가야 삼가 초계 해인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 · 서귀포 고속도로 환승정류장 낙동강휴게소 선산휴게소 섬진강휴게소 인삼랜드휴게소 정안알밤휴게소 횡성휴게소  :현재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하지 않거나 없어진 터미널 굵은 글씨는 고속버스가 운행하는 터미널 vdeh목포시의 교통철도노선 호남선 호남고속철도 (계통상 호남고속선) 역 목포역 임성리역 고속도로노선 서해안 (15)* 나들목 목포 나들목 일반도로국도 1호 2호 77호 지방도 820호 주요 간선도로자동차전용 고하대로 (목포대교, 삽진산단 입구 고가도로 ~ 목포 나들목 구간), 양을산터널 (용해지하차도 ~ 상동 교차로) 구 서해안고속도로* 간선도로 고하대로 백년대로 통일대로 후광대로 남악로 녹색로 대양로 삼학로 압해로 양율로 영산로 임성로 청호로 해안로 교량 목포대교 압해대교 영산강하굿둑 삼호대교* 무영대교* 터널 갓바위터널 양을산터널 버스고속·시외 목포 시내 목포 시내버스 (노선 목록) 항공공항· 군 목포공항* 무안국제공항* 해양여객·물류 목포항 목포연안여객선터미널 목포항국제여객터미널 북항 목포신항만 기타시내 마이비카드 티머니카드 캐시비 하나로카드 * 표시는 목포시와 연결되는 인접한 무안군 신안군 영암군의 교통 시설을 나타낸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목포종합버스터미널&oldid=22181120" 분류: 전라남도의 버스 교통목포시의 건축물목포시의 교통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9월 1일 (토) 00: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목포종합버스터미널은 금호터미널이 운영하는 전라남도 목포시 영산로 525 (상동 220)에 위치한 버스 터미널이다. 고속버스 전산망상의 터미널 번호는 505이다. 1983년 11월에 여객터미널 면허를 취득하여 운영하기 시작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목포종합버스터미널의 고속버스 운행정보는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운행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 시간표 목포 ↔ 서울호남 금호고속 목포 ↔ 서울호남 정안휴게소 30~40분 첫차:05:00(목포 기준(월))첫차:05:30(목포 기준(화~일))막차:24:00(목포 기준(월~금))막차:01:00(목포 기준(토,일)) 목포 ↔ 수원 금호고속삼화고속 목포 ↔ 수원 정안휴게소 6회 07:20, 10:20, 13:10, 16:10, 17:50, 19:20 목포 ↔ 인천 금호고속삼화고속 목포 ↔ 인천 무정차 60~90분 첫차:06:30(목포 기준)막차:22:20(목포 기준) 목포 ↔ 인천국제공항 금호고속광신고속 목포 ↔ 인천국제공항 영광 3회 02:30, 05:30, 11:00 목포 ↔ 구미 금호고속코리아와이드경북 목포 ↔ 구미 동대구 2회 09:40, 16:30 Human: 아래 이희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희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희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희우李熹雨 출생 1939년 12월 30일(1939-12-30) (79세)일제 강점기 경기도 파주 직업 시인소설가희곡 작가 영화 시나리오 작가 영화 각색가 작사가 드라마 작가 언어 한국어 국적 대한민국 소속 前 한국영화인협회 부이사장 前 중앙대 문예창작학과 겸임교수 前 홍익대 국어국문학과 전임강사 前 한국방송작가협회 이사장 학력 서라벌예술초급대학 문예창작학과 전문학사 활동기간 1959년 ~ 현재 장르 시문학 소설 희곡 영화 시나리오 각본 방송 드라마 각본 대중음악 작사 대표작 영화 《별들의 고향》 드라마 《달빛가족》 드라마 《딸부잣집》 수상내역 대한신인예술상 소설특상 부일영화상 최우수각본상 국제영화상 최우수각본상 백상예술대상 시나리오상 한국방송대상 대통령상 대종상영화제 각본상 대종상영화제 각색상 제9회 한국프로듀서상 작가상 한국방송대상 TV작가상 제13회 한국방송작가상 대중문화예술상 보관문화훈장 배우자 차덕신 자녀 이상현(장남), 이상록(차남) 종교 유교(성리학) → 개신교 이희우(李熹雨, 아명: 李憙雨, 1939년 12월 30일 ~ )는 대한민국의 시인, 소설가, 영화 시나리오 작가, 영화 각색가, 작사가, 드라마 작가, 영화배우이다. 목차 1 생애 2 학력 3 집필 활동 3.1 텔레비전 드라마 극본 3.2 영화 시나리오 각본 3.3 라디오 방송 드라마 극본 3.4 희곡 4 같이 보기 5 외부 링크 생애[편집] 본관(관향)은 경주(慶州)이고 경기도 파주 출생이다. 서울에서 성장하여 1959년에 시인 첫 등단하였고 7년이 지난 1966년에는 소설 《홍익인간》이라는 작품으로 소설가에 등단하였다. 3년 후 1969년 영화 《여자가 고백할 때》를 각본하여 영화 시나리오 작가 데뷔하였고 이듬해 1970년 서울중앙방송 라디오 드라마 작품을 통하여 드라마 작가로 활동 영역을 넓혔다. 1972년 영화 《04:00 -1950-》으로 영화 각색가 데뷔를 한 것에 이어 이듬해 1973년에는 TBC 동양방송 텔레비전 드라마 작품을 통하여 TV 드라마 작가로서의 폭을 넓혔다. 14년 후 1987년 영화 《돛대도 아니 달고》를 각본, 이 영화의 단역으로 영화배우 데뷔를 하였다. 이환경, 정하연, 신봉승, 김수현, 임충 등과 아울러 국내 TV 드라마 작가의 명불허전(名不虛傳)이라 일컬어지는 작가이다. 학력[편집] 용산고등학교 졸업 서라벌예술초급대학 문예창작학과 전문학사 집필 활동[편집] 텔레비전 드라마 극본[편집] KBS 유미의 집 MBC 봄비 MBC 종점 MBC 겨울 해바라기 MBC 엄마의 방 MBC 남자의 계절 KBS 달빛가족 MBC 까치 며느리 KBS 일월 KBS 딸부잣집 KBS 며느리 삼국지 SBS 형제의 강 MBC 마음이 고와야지 SBS 덕이 SBS 오남매 SBS 장길산 MBC 자매바다 MBC 내 여자 영화 시나리오 각본[편집] 만종 별들의 고향 마지막 찻잔 라디오 방송 드라마 극본[편집] KBS 즐거운 우리집 희곡[편집] 간도 아리랑 같이 보기[편집] 이희우의 텔레비전 드라마 각본 목록 외부 링크[편집] 조인스 인물정보 - 이희우 前 한국방송작가협회 이사장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 이희우 前 한국방송작가협회 이사장 이 글은 시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소설가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희우&oldid=24437631" 분류: 1939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시인1959년 데뷔파주시 출신경주 이씨대한민국의 소설가대한민국의 영화 각본가대한민국의 작사가대한민국의 극작가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작가용산고등학교 동문서라벌예술대학 동문홍익대학교 교수20세기 대한민국 사람21세기 대한민국 사람중앙대학교 교수부일영화상 수상자백상예술대상 수상자대종상 수상자대한민국의 개신교도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각본가숨은 분류: 시인에 관한 토막글소설가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16일 (일) 21: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희우(李熹雨, 아명: 李憙雨, 1939년 12월 30일 ~ 2019년 9월 3일)는 대한민국의 시인, 소설가, 영화 시나리오 작가, 영화 각색가, 작사가, 드라마 작가, 영화배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희우를 등단시킨 소설은 뭐야? Assistant: 홍익인간
Human: 아래 바이마르_공화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바이마르 공화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바이마르 공화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바이마르 공화정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독일국 Deutsches Reich 바이마르 공화국 Weimarer Republik ← 1918년 – 1933년 → 국기 국장 국가 독일인의 노래 수도 베를린 정치공용어 독일어정부 형태 이원집정부제 연방 공화국국가대통령국가수상 파울 폰 힌덴부르크아돌프 히틀러역사 • 공화정 수립• 히틀러 총리 임명 1919년 8월 11일1933년 1월 30일지리1925년 어림 면적 468,787km2내수면 비율 181,000%인구1925년 어림 62,411,000명 인구 밀도 133.1명/km2기타통화 파피어마르크 (1919년 ~ 1923년)렌텐마르크 (1923년 ~ 1924년)라이히스마르크 (1924년 ~ 1933년)현재 국가 독일 폴란드 러시아 독일의 역사Geschichte Deutschlands 초기 역사 게르만족민족 대이동(4세기 ~ 6세기)프랑크 왕국(5세기 ~ 843년) 중세 독일 동프랑크 왕국(843년 ~ 918년)독일 왕국(918년 ~ 962년) 신성로마제국(962년 ~ 1806년)영방국가동방식민운동 근세 독일 클라인슈타터라이18세기 독일 프로이센 왕국(1701년 ~ 1918년) 독일의 통일 라인 동맹(1806년 ~ 1815년) 독일 연방(1815년 ~ 1866년)독일관세동맹(1843년 ~ 1866년)독일 혁명(1848년)보오전쟁(1866년) 북독일 연방(1866년 ~ 1871년)보불전쟁(1870년 ~ 1871년) 독일국(라이히) 독일 제국(1871년 ~ 1918년)제1차 세계 대전(1914년 ~ 1918년)11월 혁명(1918년) 바이마르 공화국(1918년 ~ 1933년) 알자스-로렌(1871년 ~ 1918년) 자르(1920년 ~ 1935년) 단치히(1920년 ~ 1939년) 클라이페다(1920년 ~ 1939년) 오스트리아(1918년 ~ 1919년) 주데텐란트 나치 독일(1933년 ~ 1945년) 플렌스부르크 정부(1945년) 냉전기 연합군 군정기(1945년 ~ 1949년)구독일 동부 영토독일인 추방(1944년 ~ 1950년) 자르 보호령(1947년 ~ 1956년) 독일 민주공화국(1949년 ~ 1990년) 독일 연방 공화국(1949년 ~ )독일의 재통일(1990년) 현대 독일 신연방주현재의 독일 세부 항목 독일 전쟁사독일사 연표독일어의 역사독일의 경제사 v • d • e • h 바이마르 공화국(독일어: Weimarer Republik 바이마러 레푸블리크[*])은 1919년부터 1933년까지의 독일을 가리키던 비공식적 지명이다. 바이마르라는 이름은 이 공화국의 헌법 제정단이 처음으로 회의를 개최한 바이마르란 도시 이름에서 따왔다. 정식 명칭은 1918년까지 존속했던 독일 제국의 이름을 따온 독일국(독일어: Deutsches Reich 도이체스 라이히[*])이다. 바이마르 공화국은 이원집정부적 간접 민주제를 채택하였으며, 11월 혁명 속에서 탄생하게 되었다. 1919년 8월 11일에 '독일국'의 명칭으로 씌어진 헌법이 바이마르에서 소집된 의회에서 채택되면서 바이마르 공화국은 정식 출범하게 되었다. 이후 공화국은 초인플레이션과 극좌ㆍ극우 세력의 저항과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외교 관계의 논란 등 많은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에 대해 공화국은 화폐, 세제, 철도 개혁을 단행해 성공을 거두게 된다. 또한 공화국은 베르사유 조약에서 공화국에게 주어진 요구를 없앴으며, 조약에서 요구된 군비 축소를 거의 단행하지 않았으며, 도스 플랜과 영 플랜을 통해 배상금의 일부만을 지급하였다.[1] 로카르노 조약에서 공화국은 서부 국경을 인정하였지만 동부 국경에서는 논란의 여지를 남기기도 하였다. 1930년대에 대통령이었던 파울 폰 힌덴부르크는 계엄령을 통해 하인리히 브뤼닝, 프란츠 폰 파펜, 쿠르트 폰 슐라이허를 총리로 임명시켰다. 대공황은 브뤼닝 내각의 경제 정책을 붕괴시켰으며 실업률은 폭등하였다.[2] 1933년에 히틀러는 연정을 통해 총리에 취임했으며, 나치는 각료 10명 중 2명을 나치하게 되었다. 폰 파펜은 부총리로 위촉되어 힌덴부르크와의 연결을 통해 히틀러 뒤에서 흑막 정치를 할 계획을 세우게 되었다. 그러나 히틀러는 폰 파펜의 계획과 달리 실질적인 권력을 잡아 독재 정치를 펼치게 되고, 이로써 바이마르 공화국은 사라지게 된다. 목차 1 정치 1.1 공화정의 수립기 1.2 공화정의 혼란기 1.3 공화정의 안정기 1.4 공화정의 몰락기 2 기타 2.1 바이마르 공화국 연구사 3 주해 4 각주 5 참고문헌 6 외부 링크 정치[편집] 공화정의 수립기[편집] 독일 제국, 제1차 세계대전, 독일 11월 혁명, 베르사유 조약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킬에서 혁명을 일으킨 독일 시민들. 제1차 세계 대전 말 1918년 11월 9일 킬(Kiel) 군항에서 수병들이 폭동을 일으킴으로써 11월 혁명이 일어나 독일 제국 황제 빌헬름 2세는 폐위되어 네덜란드로 망명했고 독일은 11월 11일에 항복했다. 11월 혁명으로 제정이 붕괴된 이후, 사민주의자 중심세력으로 부상한 독일 사회민주당(SPD)에 의하여 1919년 8월 11일 독일 라이히(Deutsches Reich)의 새로운 정부가 수립되는데, 이 정부가 바이마르 공화국이다. 1933년 나치당이 제1정당으로 집권하기까지 존속하였다. 바이마르 공화국이라는 이 별명은 공화국 헌법의 초안 및 승인 절차가 베를린의 소요를 피해 바이마르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이 공화정의 최대 특징은 민주제 연방국가의 정체이다. 또한, 대통령제와 의회의 혼합형태이다. 초대 대통령은 독일 사민당의 당수였던 프리드리히 에베르트이다.[주 1] 공화정의 혼란기[편집] 평민 시민층은 처음에는 민주 공화제를 지지하였으나 제1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한 연합국을 중심으로 체결한 베르사유 조약이 독일의 식민지와 해외 이권의 포기, 독일 영토 축소와 독일군의 군비 축소 및 제한, 연합국에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하는 등 조약의 내용이 매우 가혹한데다 그 조약으로 인해 독일은 알자스와 로렌 지방을 프랑스에 넘겨주었고 슐레지엔과 포즈난 지방을 폴란드에 넘겨주게 된다. 이 가혹한 조약으로 인해 평민 시민층은 극심한 인플레이션 현상과 실업난 등으로 생활고에 시달리게 되었고 좌·우익 세력으로부터 비판과 시위, 파업 등을 수차례 겪어야만 했다. 공화정의 안정기[편집] 바이마르 공화국의 지방 자치체. 이로 인해 좌익 세력과 우익 세력으로부터 모두 비판을 받았고 쿠데타와 반란, 파업 등등 공격을 받아가면서 정부가 매우 취약하였다. 경제적으로는 인플레이션 현상이 매우 극심했었던 시기였기도 했으나 외국 자본 등을 차입하여 최신의 생산 설비를 갖추게 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하게 되었고 세계에서 1, 2위를 다투는 대공업국으로 발전하였다. 또한 학문, 사상, 예술 방면에서도 눈부실 만큼 크게 발전하였으며 외교면에서도 외무장관 구스타프 슈트레제만의 외교정책 성과로 1924년 9월에는 미국의 원조계획인 도스 안이 성립되어 전후 배상문제도 일단락짓게 되었다. 1925년 12월 로카르노 조약이 체결되어 전승국과의 화해가 확립되었으며 1926년 9월 국제 연맹에 가입하면서 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되기까지도 했다. 그러나 1925년 4월 대통령 선거에서 왕정 복고파 세력인 힌덴부르크가 당선되면서 모든 양상이 바뀌기 시작하게 된다. 힌덴부르크가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됨에 따라, 우익 민족주의 성격으로 강세를 보이며 국력을 증대함에 따라 '강력한 대독일'의 부흥과 대외적 대발전을 지향하는 귀족, 군부, 관료 세력들 등의 권력이 점점 강화되었다. 이 때 당시 바이마르 공화정이 성립된 이래 대외적 목표는 1914년 당시 국경 그대로 회복하는 것, 유럽의 패권 및 과거 독일의 해외 식민지 회복, 군비 회복 및 배상금 지불 폐지 등이었다. 공화정의 몰락기[편집] 나치 독일, 제2차 세계대전, 나치즘, 경제 대공황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28년 5월 총선거에서는 독일 사회민주당과 독일 공산당이 세력을 확장했으며 그 추세에 따라 사회민주당 세력이 왕정 복고파까지 포섭하여 불안정한 내각을 조직하였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 패전의 상처를 딛고 겨우 다시 일어서는 순간에 1929년 경제 대공황을 맞아 결정타를 맞게 된다. 미국에서 시작된 경제 대공황이 독일에까지 파급됨에 따라 실업자는 급증했고 국고는 거액의 적자로 허덕이게 되면서 내각은 사회 정책비 삭감과 세금 증세로 위기를 넘기려고 하였으나 좌·우익 세력 양쪽으로부터 반대로 실패하고 1930년 3월에 내각은 무너지고 말았다. 이어 의회를 통해 지지를 기반으로 하지 않은 대통령 비상내각으로서 잇달아 비상 긴급령과 군부 세력, 보수파들의 지지를 배경으로 독재 정치를 시행하기에 이르렀다. 이로 인해 중도파나 온건 보수파세력들은 대거 파시스트 성향인 나치당 지지파로 전향했으며 1932년 4월 대통령 선거에서 중도파인 힌덴부르크가 재당선되었으나 나치당 당수였던 아돌프 히틀러도 힌덴부르크에 못지 않은 지지표를 얻게 되었고, 의회에서도 나치당과 공산당이 합친 수가 과반수를 점령했다. 우익 세력 보수파들은 나치당을 중심으로 단결한 반면, 좌익 세력의 사회민주당과 공산당은 격렬한 내분이 일어나 대립했다. 게다가 경제 대공황의 여파는 날로 갈수록 더욱 심각해져서 국민들의 불만과 생활고는 날로 갈수록 높아져만 갔다. 군부, 관료, 자본가, 농민층 그리고 중산층까지도 나치당 지지로 기울어지게 되어 결국 1933년 1월 힌덴부르크 대통령이 아돌프 히틀러를 총리로 임명하였다. 1933년 2월 27일 독일 공산당 당원들이 독일 국회의사당을 방화했다고 나치에 의해 주장된 독일 국회의사당 방화 사건이 일어난 것을 계기로 나치당 정권은 공산주의 및 사회주의 계열 정당들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을 행했으며 이어 실시된 총선거에서 43.9%의 득표율을 차지하여 의석수 288석을 차지했다. 그리하여 나치당은 독일의 제1정당으로 집권하게 되었고 1934년 힌덴부르크 대통령이 사망하면서 당시 총리였던 아돌프 히틀러가 총통으로 집권하면서 바이마르 공화정은 막을 내린다. 기타[편집] 바이마르 공화국 연구사[편집] 바이마르 공화국은 나치와는 떼놓을 수 없는 분야이다. 공화국의 몰락과 나치의 집권은 오랫동안 바이마르 공화국사의 중심 과제가 되어왔다. 바이마르 공화국의 연구는 전후 나치당이 은폐한 문서가 대량 공개되면서 공화국 초기 연구를 시작으로 활기를 띄어간다. 나치 집권 이후 공화국에 대한 평가는 몹시 부정적인 것으로 주로 보수파들의 주장("등 뒤의 비수", "11월의 범죄자" 등)이었다.공화국에 대한 평가는 망명 독일인 역사가들에 의해 진행되었고 보수파들의 견해에 대한 반론이었다. 본격적인 연구는 1950년대 이후부터 이루어졌다. 1955년에 브라허의 《Die Aufloesung der Weimar Republik(1955)》이 출판된다. 아직 브라허의 업적을 뒤집을 만한 책은 나오지 않았으며 아직 최고의 저서로 손꼽히고 있다. 그의 주장은 나치 집권은 우연이 아니며 국내외적 상황악화도 그들의 집권이 가능한 이유였으나 더 큰 원인은 보수파들의 최종적 노력의 산물이라는 것이다. 브라허에 대한 비판은 브레히트로부터 시작된다. 브라허는 파펜의 쿠테타에 적극 대응못한 브뤼닝 정권의 SPD를 비판하였는데 브레히트는 브뤼닝을 상당히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콘쩨도 브레히트에 동조한다. 의회민주주의의 틀이나마 지키고자했던 브뤼닝을 어쩔 수 없는 행동의 제약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1950년대에는 주로 공화국의 몰락이 주 연구 대상이었으나, 1960년대 이후에는 공화국 초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진다. 공화국 몰락의 원인을 쫓다보니 창건 당시로 거슬러 올라갈 수밖에 없던 것이다. 정설은 에르트만에 의해 내려진다. 그의 의견이 정설로 받아들여질 수 있었던 것은 당시의 정치적 상황이 독일의 분단국화가 기정 사실화된 당시 에르트만은 바이마르 공화국과 서독을 법통적으로 이었으며 1918 ~ 1919년의 SPD의 선택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동시에 냉전 치하에서 반공주의적 견해를 비쳤기 때문이다. 에르크만과 대별되는 사람은 출판 당시엔 별 관심을 얻지 못했던 로젠베르크이다. 그는 당시 프롤레타리아 계급이 사회 변혁 주체로서 기회를 잡을 기회가 있었다고 본다. 이런 관점에서 그의 연구는 자연히 왜 프롤레타리아 계급이 강력한 세력으로 통합하지 못했는지를 밝히는 데 집중된다. 동독에서는 SED(사회주의통일당, 현 좌파당 (독일))) 중앙위원회가 이 혁명을 실패한 프롤레타리아 혁명이라고 간주한다. 즉, 혁명의 외적 조건은 성숙하였으나, 혁명을 이끌 전위 조직이 없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카를 리프크네히트와 로자 룩셈부르크가 주도하여 창당된 독일 공산당(KPD)이 독일 노동운동사에서 분수령을 이룬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이들은 KPD의 중심세력인 스파르타쿠스단을 과대평가하는 반면 SPD, USPD(SPD에서 전쟁지지문제로 떨어져 나온 독립사회민주당)를 반역자 내지는 기회주의세력으로 매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편협하고 교조적인 해석에 판에 박히긴 했지만, 그들의 연구는 서독사가들이 접할 수 없는 자료들을 이용하여 각 지방사나 인민민병대에 대한 괄목할 성과를 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주해[편집] ↑ 참고로 독일국(Deutsches Reich)은 1871년에 성립된 독일 제국, 1919년에 성립된 바이마르 공화국(Weimarer Republik), 1933년부터 1945년까지 통치한 나치 체제를 두루 일컫는 공식 국호이다. 따라서 Reich를 단순히 "제국"이라고 한역함은 오류임. 각주[편집] ↑ Marks, Sally, The Illusion of Peace: International Relations in Europe, 1918–1933, St. Martin's, NY, 1976, pp.96–105. ↑ Buttner, Ursula Weimar: die überforderte Republik, Klett-Cotta, 2008, ISBN 978-3-608-94308-5, p. 424 참고문헌[편집] 〈독일사 제국면〉, 느티나무, 1991년 2월 25일 〈고등학교 세계사〉, 교학사 마틴 키친 (2001년 11월 30일).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케임브리지 독일사》. 서울: 시공사. ISBN 978-89-527-1647-7.  오인석 외 공저 (2002년 6월 25일). 《바이마르공화국》. 서울: 삼지원. ISBN 978-89-7490-919-2.  오인석 (1997년 12월 31일). 《바이마르 공화국의 역사 : 독일 민주주의의 좌절》. 한울아카데미. ISBN 978-89-460-2481-6.  서울대학교 독일학연구소 (2000년 9월 30일). 《독일 이야기 1 : 독일어권 유럽의 역사와 문화》. 거름. ISBN 978-89-340-0166-9.  서울대학교 독일학연구소 (2000년 9월 30일). 《독일 이야기 2 : 통일 독일의 사회와 현실》. 거름. ISBN 978-89-91799-43-1.  외부 링크[편집] (영어) The Constitution of the German Reich (Weimar constitution) of 11 August 1919 (영어) PSM Data Bank (독일어) historical documents vdeh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의 독일의 주 (1919년 ~ 1933년)주안할트 · 바덴 · 바이에른 · 브라운슈바이크 · 헤센 · 리페 · 메클렌부르크슈베린 ·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 올덴부르크 · 프로이센 · 작센 · 샤움부르크리페 · 튀링겐 (1920년부터) · 발데크 (1929년까지) · 뷔르템베르크도시주브레멘 · 함부르크 · 뤼베크1920년까지작센작센알텐부르크 · 코부르크 · 마이닝겐 · 바이마르아이제나흐로이스로이스그라이츠 · 로이스게라슈바르츠부르크루돌슈타트 · 존더스하우젠비공식바이에른 소비에트 공화국 · 보틀넥 · 라인 공화국 전거 통제 LCCN: sh85054639 ISNI: 0000 0001 2285 4945 GND: 4065109-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바이마르_공화국&oldid=24514059" 분류: 1919년 독일바이마르 공화국독일의 역사유럽의 옛 나라대공황전간기의 정체숨은 분류: 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Dolnoserbs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NordfriiskFryskGaeilgeGàidhligGalegoGaelgעבריתहिन्दीHrvatskiHornjoserbsce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apiamentu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ard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inaray吴语Yorùbá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2일 (화) 15:2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바아마르 공화국(독일어: Weimarer Republik 바이마러 레푸블리크[*])은 1919년부터 1933년까지 독일을 가리키던 비공식적 지명이다. 바이마르라는 이름은 이 공화국의 헌법 제정단이 처음으로 회의를 개최한 바이마르란 도시 이름에서 따왔다. 정식 명칭은 1918년까지 존속했던 독일 제국 이름을 따온 독일국(독일어: Deutsches Reich 도이체스 라이히[*])이다. 바이마르 공화국은 이원집정부적 간접 민주제를 채택하였으며, 11월 혁명 속에서 탄생하게 되었다. 1919년 8월 11일에 '독일국'의 명칭으로 씌어진 헌법이 바이마르에서 소집된 의회에서 채택되면서 바이마르 공화국은 정식 출범하게 되었다. 이후 공화국은 초인플레이션과 극좌ㆍ극우 세력의 저항과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외교 관계의 논란 등 많은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에 대해 공화국은 화폐, 세제, 철도 개혁을 단행해 성공을 거두게 된다. 또한 공화국은 베르사유 조약에서 공화국에게 주어진 요구를 없앴으며, 조약에서 요구된 군비 축소를 거의 단행하지 않았으며, 도스 플랜과 영 플랜을 통해 배상금의 일부만을 지급하였다. 로카르노 조약에서 공화국은 서부 국경을 인정하였지만 동부 국경에서는 논란의 여지를 남기기도 하였다. 1930년대에 대통령이었던 파울 폰 힌덴부르크는 계엄령을 통해 하인리히 브뤼닝, 프란츠 폰 파펜, 쿠르트 폰 슐라이허를 총리로 임명시켰다. 대공황은 브뤼닝 내각의 경제 정책을 붕괴시켰으며 실업률은 폭등하였다. 1933년에 히틀러는 연정을 통해 총리에 취임했으며, 나치는 각료 10명 중 2명을 나치하게 되었다. 폰 파펜은 부총리로 위촉되어 힌덴부르크와의 연결을 통해 히틀러 뒤에서 흑막 정치를 할 계획을 세우게 되었다. 그러나 히틀러는 폰 파펜의 계획과 달리 실질적인 권력을 잡아 독재 정치를 펼치게 되고, 이로써 바이마르 공화국은 사라지게 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바이마르 공화국의 수립은 어떻게 이루어졌나? Assistant: 제1차 세계 대전 말 1918년 11월 9일 킬(Kiel) 군항에서 수병들이 폭동을 일으킴으로써 11월 혁명이 일어나 독일 제국 황제 빌헬름 2세는 폐위되어 네덜란드로 망명했고 독일은 11월 11일에 항복했다. 11월 혁명으로 제정이 붕괴된 이후, 사민주의자 중심세력으로 부상한 독일 사회민주당(SPD)에 의하여 1919년 8월 11일 독일 라이히(Deutsches Reich)의 새로운 정부가 수립되는데, 이 정부가 바이마르 공화국이다. 1933년 나치당이 제1정당으로 집권하기까지 존속하였다. 바이마르 공화국이라는 이 별명은 공화국 헌법의 초안 및 승인 절차가 베를린의 소요를 피해 바이마르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이 공화정의 최대 특징은 민주제 연방국가의 정체이다. 또한, 대통령제와 의회의 혼합형태이다. 초대 대통령은 독일 사민당의 당수였던 프리드리히 에베르트이다.[주 1] Human: 아래 인천국제공항의_시외버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인천국제공항의 시외버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천국제공항의 시외버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인천국제공항 종류 정류장 국가 대한민국 주소 인천광역시 중구 공항로 271 터미널코드 105 행선지표기 인천공항 고속버스 운행 운행 시외버스 운행 운행 웹사이트 인천국제공항 버스 안내 인천국제공항의 시외버스는 정류장마다 갈 수 있는 행선지가 다르기 때문에 정류장에 표시된 목적지를 확인하여 이용해야 한다. 고속버스 전산망상의 터미널 번호는 105이다. 여기에는 공항에서 서울특별시로 운행하는 공항버스 및 시내버스와 인천광역시, 부천시 지역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은 제외한다. 목차 1 매표소 위치 및 정류소 2 운행 노선 2.1 경기도(수도권) 2.2 강원도 2.3 충청도 2.4 전라도 2.5 경상도 3 각주 4 외부 링크 매표소 위치 및 정류소[편집] 제1여객터미널 여객터미널 내부에 매표소가 2개소, 외부에 7개소가 있다. 내부 매표소 : 여객터미널 1층 (도착층)의 내부 4번, 9번 출구 옆에 위치 외부 매표소 : 4번, 6번, 7번, 8번, 11번, 13번 출구 옆 및 9C 정류장 앞 제2여객터미널 여객터미널 지하1층 교통센터의 버스터미널에서 승차권을 구입할 수 있다. 운행 노선[편집] 경기도(수도권)[편집] 운행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1터미널정류장번호 2터미널정류장번호 1터미널 시간표 2터미널 시간표 인천국제공항 ↔ 고양원당(3200번)[1] 경기고속대원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성사고등학교 인천공항1터미널, 서정마을, 행신동, 행신초등학교, 샘터마을2단지, 무원마을10단지, 능곡역, 능곡초등학교, 허스아파트, 토당고가, 고양경찰서, 건영아파트, 별빛마을8단지, 화정역, 덕양구청, 덕양단독주택단지, 달빛신안마을, 화정1동주민센터, 고양어울림누리, 성사2동주민센터, 동양쇼핑, 원당래미안아파트 15~20 9 42 첫차:06:00(T1 기준)막차:23:30(T1 기준) 첫차:05:40(T2 기준)막차:23:10(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일산(3300번)[1] 명성운수 인천공항2터미널 ↔ 대화동 인천공항1터미널, 백석동, 백석역, 알미공원, 마두역, 일산동구청, 일산동부경찰서, 강선마을, 주엽역, 문촌마을, 일산백병원, 대화역 18~20 9 43 첫차:06:05(T1 기준)막차:23:35(T1 기준) 첫차:05:45(T2 기준)막차:23:15(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수원(A4000번) 경기공항리무진버스 인천공항2터미널 ↔ 호텔캐슬 인천공항1터미널, 한일타운, 라마다프라자수원 15~25 8 36 첫차:05:45(T1 기준)막차:23:15(T1 기준) 첫차:05:30(T2 기준)막차:23:00(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영통(A4100번) 경기공항리무진버스 인천공항2터미널 ↔ 영통랜드마크호텔 인천공항1터미널, 서수원, 수원역, 수원 20~30 8 36 첫차:07:20(T1 기준)막차:22:30(T1 기준) 첫차:07:05(T2 기준)막차:22:15(T2 기준) 인천공항1터미널, 서수원, 수원역, 수원, 이비스앰버서더수원, 밸류하이엔드호텔 10회 첫차:06:55(T1 기준)막차:22:55(T1 기준) 첫차:06:40(T2 기준)막차:22:40(T2 기준) 인천공항1터미널, 서수원, 호매실도서관, 망포역 10회 첫차:08:10(T1 기준)막차:22:15(T1 기준) 첫차:07:55(T2 기준)막차:22:00(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군포(산본)(A4200번) 경기공항리무진버스 인천공항2터미널 ↔ 산본 인천공항1터미널, 관악역, 범계역 15~25 8 37 첫차:06:15(T1 기준)막차:23:15(T1 기준) 첫차:06:00(T2 기준)막차:23:00(T2 기준) 인천공항1터미널, 안양역, 범계역 첫차:06:25(T1 기준)막차:23:00(T1 기준) 첫차:06:10(T2 기준)막차:22:45(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덕소(4800번)[2] 경기고속대원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덕소 인천공항1터미널, 김포공항, 원흥지구, 원흥역, 창릉동주민센터, 고양중학교, 삼송역, 북삼송(신원마을), 고양동주민센터 60 8 44 첫차:08:35(T1 기준)막차:21:45(T1 기준) 첫차:08:15(T2 기준)막차:21:25(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판교(5000번)[3] 경기고속대원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판교(운중동) 인천공항1터미널, 시흥하늘휴게소, 판교역, 벌말육교, 판교테크노벨리, 판교박물관, 운중동주민센터 60~120 9 39 첫차:06:55(T1 기준)막차:22:30(T1 기준) 첫차:06:35(T2 기준)막차:22:10(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성남(5300번) 경기고속대원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성남세이브존 인천공항1터미널, 서현역, 이매역, 야탑역, 모란역 20~40 9 39 첫차:05:20(T1 기준)막차:22:20(T1 기준) 첫차:04:50(T2 기준)막차:22:00(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분당(5400번) 경기고속대원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단국대학교 인천공항1터미널, 서현역, 수내역, 정자역, 미금역, 오리역, 내대지마을 20~45 9 39 첫차:05:30(T1 기준)막차:20:35(T1 기준) 첫차:05:10(T2 기준)막차:20:15(T2 기준) 오리역 인천공항1터미널, 서현역, 수내역, 정자역, 미금역 첫차:06:25(T1 기준)막차:22:45(T1 기준) 첫차:06:05(T2 기준)막차:22:15(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문산(5600번) 경기고속대원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문산역 인천공항1터미널, 숲속길마을7단지, 산내마을6~8단지, 운정광역보건지소, 지산중학교, 한빛마을3~6단지, 한빛마을4~5단지, 한길육교, 가람마을3,4,6단지, 금릉역, 금촌역, 월롱역, LG디스플레이 60~80 9 41 첫차:06:50(T1 기준)막차:21:20(T1 기준) 첫차:06:30(T2 기준)막차:21:00(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광명역(6770번)[4] 코레일네트웍스 인천공항2터미널 ↔ 광명역 인천공항1터미널, 송도국제교[5] 20~30 8 45 첫차:06:28(T1 기준)막차:22:38(T1 기준) 첫차:06:10(T2 기준)막차:22:20(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동서울(6900번) 경기고속대원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동서울터미널 인천공항1터미널 60 7 32 첫차:06:35(T1 기준)막차:21:30(T1 기준) 첫차:06:15(T2 기준)막차:21:10(T2 기준) 인천공항1터미널, 김포공항 첫차:08:05(T1 기준)막차:20:20(T1 기준) 첫차:07:45(T2 기준)막차:20:00(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안산(7000번) 선진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안산 인천공항1터미널, 모아아파트(시흥), 시화이마트, 시흥관광호텔, 신길동(안산), 안산역 40~50 8 38 첫차:06:45(T1 기준)막차:23:05(T1 기준) 첫차:06:25(T2 기준)막차:22:45(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부천(7001번) 선진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부천 인천공항1터미널, 가스안전공사, 소사역, 부천소방서 50~70 8 37 첫차:06:55(T1 기준)막차:22:50(T1 기준) 첫차:06:35(T2 기준)막차:22:30(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전곡(7100번) 경기고속대원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미2사단정문 인천공항1터미널, 산들마을2단지, 경기도북부청사, 양주역, 덕계동, 양주경찰서, 동두천, 지행동 3회 10 43 08:00, 13:25, 18:10 07:40, 13:05, 17:50 전곡 인천공항1터미널, 산들마을2단지, 경기도북부청사, 양주역, 덕계동, 양주경찰서, 동두천, 지행동, 미2사단정문 3회 10:30, 15:00, 21:25 10:10, 14:40, 21:05 인천국제공항 ↔ 의정부(7200번) 경기고속대원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의정부 인천공항1터미널, 송추, 가능3동주민센터, 의정부시청, 덕흥빌딩, 진로백화점, 의정부역, 구 양주군청 25~40 10 43 첫차:06:55(T1 기준)막차:23:25(T1 기준) 첫차:06:35(T2 기준)막차:23:05(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중산지구(7400번) 경기고속대원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중산마을10단지 인천공항1터미널, 엠블호텔, 킨텍스, 노인복지회관(승리교회), 일산호수공원, 우방아파트, 풍동, 위시티, 동국대병원, 안곡중학교 25~35 9 42 첫차:07:20(T1 기준)막차:22:20(T1 기준) 첫차:07:00(T2 기준)막차:22:00(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평택(8822번) 경기고속대원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평택 인천공항1터미널, 삼존리, 마도, 남양, 화성시청, 화성새마을회관, 향남(발안), 청북신도시, 안중 4회 9 41 15:10, 16:10, 19:30, 21:40 14:50, 15:50, 19:10, 21:20 인천공항1터미널, 향남(발안), 청북신도시, 안중, 안정리 6회 08:30, 10:20, 13:10, 17:10, 18:30, 20:30 08:10, 10:00, 12:50, 16:50, 18:10, 20:10 안중 인천공항1터미널, 삼존리, 마도, 남양, 화성시청, 화성새마을회관, 향남(발안), 청북신도시 4회 07:50, 09:40, 12:00, 14:30 07:30, 09:20, 11:40, 14:10 인천국제공항 ↔ 이천/여주(A8829번) 경기고속대원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이천 인천공항1터미널, 김포공항, 한국관광대, 도예촌 60 8 42 첫차:07:50(T1 기준)막차:22:50(T1 기준) 첫차:07:30(T2 기준)막차:22:30(T2 기준) 여주 인천공항1터미널, 김포공항, 한국관광대, 도예촌, 이천 6회 08:50, 10:50, 13:45, 15:45, 17:50, 19:50 08:30, 10:30, 13:25, 15:25, 17:30, 19:30 인천국제공항 ↔ 안성(A8834번) 경기고속대원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평택 인천공항1터미널, 오산, 송탄 4회 9 41 14:40, 17:00, 20:10, 22:00 14:20, 16:40, 19:50, 21:40 인천공항1터미널, 세교, 오산, 송탄 40~60 첫차:07:00(T1 기준)막차:19:40(T1 기준) 첫차:06:40(T2 기준)막차:19:20(T2 기준) 안성 인천공항1터미널, 오산, 송탄, 평택, 공도 50~80 첫차:07:40(T1 기준)막차:22:40(T1 기준) 첫차:07:20(T2 기준)막차:22:20(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동탄(8835번) 경기고속대원고속용남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동탄(라마다호텔) 인천공항1터미널, 봉담, 와우리, 수원대, 융건릉(푸르미르호텔), 안녕동(송산동입구), 병점(주공11단지), 동탄(능동마을), 다은마을(메타폴리스), 신라스테이동탄호텔 30~60 8 38 첫차:07:10(T1 기준)막차:22:50(T1 기준) 첫차:06:50(T2 기준)막차:22:30(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동탄역(8837번)[6] 용남고속태화상운 인천공항2터미널 ↔ 동탄역 인천공항1터미널, 병점(주공11단지), 동탄(능동마을), 다은마을(메타폴리스), 신라스테이동탄호텔, 동탄(라마다호텔) 60~90 8 38 첫차:06:50(T1 기준)막차:22:30(T1 기준) 첫차:06:30(T2 기준)막차:22:10(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경기광주(8842번) 경기고속대원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경기광주 인천공항1터미널, 김포공항, 사당역, 남태령역, 정부과천청사역 40~80 9 41 첫차:07:05(T1 기준)막차:22:20(T1 기준) 첫차:06:45(T2 기준)막차:22:00(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마석(8843번) 경기고속대원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마석(원병원) 인천공항1터미널, 김포공항, 인창동(건영아파트), 구리, 도농역, 금곡중학교, 평내농협 30~60 8 44 첫차:07:30(T1 기준)막차:23:00(T1 기준) 첫차:07:10(T2 기준)막차:22:40(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광릉내(8844번) 경기고속대원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광릉내(진접) 인천공항1터미널, 김포공항, 금강KCC, 신일유토빌, 별내역, 퇴계원(극동아파트), 내각농협, 봉현마을, 진접우체국, 반도유보라, 장현(정광산호아파트), 진접동부센트레빌 60~90 8 44 첫차:07:25(T1 기준)막차:22:25(T1 기준) 첫차:07:05(T2 기준)막차:22:05(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하남(8849번) 경기고속대원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하남 인천공항1터미널, 김포공항, 미사6,7단지, 미사10단지, 미사14,15단지, 미사28단지, 미사31단지, 풍산초등학교, 덕풍시장, 덕풍시장, 하남시청 60~100 8 44 첫차:05:40(T1 기준)막차:20:15(T1 기준) 첫차:05:20(T2 기준)막차:19:55(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용인(8852번) 경남여객 인천공항2터미널 ↔ 용인 인천공항1터미널, 수원광교박물관, 광교마을, 현대홈타운, 현대성원아파트(수지지역난방공사), 죽전역, 보정역, 연원마을(구성역), 신갈역, 기흥역, 강남대역, 어정역, 동백역(월드메르디앙) 30~40 7 40 첫차:05:50(T1 기준)막차:23:30(T1 기준) 첫차:05:20(T2 기준)막차:23:00(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용인(8857번)[7] 경남여객 인천공항2터미널 ↔ 용인 인천공항1터미널, 광명, 광교중앙역, 영통입구, 신갈, 기흥역, 강남대역, 용인대, 명지대 2회 7 40 09:30, 19:25 09:00, 18:55 인천국제공항 ↔ 민속촌(8877번) 경남여객 인천공항2터미널 ↔ 한국민속촌 인천공항1터미널, 광교중앙역, 흥덕지구입구, 신갈 30~110 7 40 첫차:07:00(T1 기준)막차:23:25(T1 기준) 첫차:06:30(T2 기준)막차:22:55(T2 기준) 강원도[편집] 운행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1터미널정류장번호 2터미널정류장번호 1터미널 시간표 2터미널 시간표 인천국제공항 ↔ 강릉 강원여객경기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강릉 인천공항1터미널, 김포국제공항, 평창휴게소 4회 13 10 12:00, 18:00, 19:10, 21:40 11:40, 17:40, 18:50, 21:10 인천공항1터미널, 김포국제공항, 평창휴게소, 알펜시아 리조트 07:30, 09:40, 15:00, 16:30 07:10, 09:10, 14:40, 16:00 인천국제공항 ↔ 동해/삼척 강원여객경기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삼척 인천공항1터미널, 김포국제공항, 평창휴게소, 강릉, 동해 2회 13 10 13:00, 14:00 12:30, 13:30 인천국제공항 ↔ 속초[8] 금강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속초 인천공항1터미널, 김포국제공항 4회 13 10 07:30, 10:30, 14:30, 19:30 07:00, 10:00, 14:00, 19:00 인천국제공항 ↔ 양양[9] 중앙고속동부익스프레스 인천공항2터미널 ↔ 양양 인천공항1터미널 2회 13 10 12:35, 18:25 12:10, 18:00 인천국제공항 ↔ 원주 경기고속금강고속영암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원주 인천공항1터미널, 김포국제공항, 문막 60~120 13 9 첫차:06:40(T1 기준)막차:20:40(T1 기준) 첫차:06:10(T2 기준)막차:20:10(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춘천 강원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춘천 인천공항1터미널, 김포국제공항 6회 13 10 08:30, 10:40, 13:20, 15:40, 17:40, 19:40 08:00, 10:10, 12:50, 15:10, 17:10, 19:10 인천공항1터미널, 김포국제공항, 청평, 가평 40~60 첫차:07:00(T1 기준)막차:22:20(T1 기준) 첫차:06:30(T2 기준)막차:21:50(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태백 경기고속영암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태백 인천공항1터미널, 김포국제공항, 제천, 고한사북 2회 13 10 09:30, 13:30 09:00, 13:00 인천공항1터미널, 김포국제공항, 제천, 영월, 고한사북 15:30, 20:00 15:00, 19:30 충청도[편집] 운행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1터미널정류장번호 2터미널정류장번호 1터미널 시간표 2터미널 시간표 인천국제공항 ↔ 논산 삼흥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논산 인천공항1터미널, 공주 6회 11 6 08:10, 10:30, 12:30, 15:30, 18:10, 20:30 07:45, 10:05, 12:05, 15:05, 17:45, 20:05 인천국제공항 ↔ 대전 금남고속중부고속한양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대전 인천공항1터미널, 북대전 나들목[10], 대전도룡, 대전청사 10~30 11 5 첫차:06:25(T1 기준)막차:23:55(T1 기준) 첫차:06:00(T2 기준)막차:23:30(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보령[11] 충남고속한양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보령 인천공항1터미널, 김포국제공항, 내포, 홍성 2회 11 6 07:20, 15:10 06:55, 14:45 인천공항1터미널, 내포, 홍성 2회 11:20, 20:20 10:55, 19:55 인천국제공항 ↔ 부여[12] 삼흥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부여 인천공항1터미널, 공주 3회 11 6 09:10, 14:00, 19:10 08:45, 13:35, 18:45 인천국제공항 ↔ 북청주[13] 대원고속충북리무진 인천공항2터미널 ↔ 북청주 인천공항1터미널, 김포국제공항 7회 11 7 09:50, 11:35, 13:40, 16:10, 17:50, 19:00, 21:20 09:25, 11:15, 13:15, 15:45, 17:25, 18:40, 20:55 인천국제공항 ↔ 세종시 금남고속중부고속한양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세종시 인천공항1터미널, 정부세종청사 11회 11 5 첫차:07:25(T1 기준)막차:20:55(T1 기준) 첫차:07:00(T2 기준)막차:20:30(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아산 금남고속중부고속충남고속한양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아산 인천공항1터미널, 김포국제공항, 천안 4회 11 6 09:00, 10:50, 13:00, 17:10 08:35, 10:25, 12:35, 16:45 인천공항1터미널, 송도, 천안 8회 06:30, 07:50, 09:50, 11:50, 15:40, 18:30, 19:20, 20:50 06:05, 07:25, 09:25, 11:25, 15:15, 18:05, 18:55, 20:25 인천공항1터미널, 천안아산역 4회 07:10, 10:20, 14:30, 17:50 06:45, 09:55, 14:05, 17:25 인천국제공항 ↔ 오송단지[14] 충북리무진 인천공항2터미널 ↔ 오송단지 인천공항1터미널, 송도, 오창 4회 11 7 07:35, 10:40, 16:40, 19:10 07:10, 10:15, 16:15, 18:45 인천국제공항 ↔ 증평[15] 대원고속충북리무진 인천공항2터미널 ↔ 증평 인천공항1터미널, 김포공항, 충북혁신도시 8회 11 7 08:20, 10:55, 13:10, 14:10, 16:25, 18:20, 19:15, 21:35 08:00, 10:30, 12:50, 13:45, 16:00, 18:00, 18:50, 21:10 인천국제공항 ↔ 천안 금남고속중부고속충남고속한양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천안 인천공항1터미널, 김포국제공항 30~60 11 6 첫차:07:00(T1 기준)막차:22:30(T1 기준) 첫차:06:35(T2 기준)막차:22:05(T2 기준) 인천공항1터미널, 송도 8회 08:20, 08:40, 09:30, 12:20, 13:20, 14:10, 16:20, 17:40 07:55, 08:15, 09:05, 11:55, 12:55, 13:45, 15:55, 17:15 인천국제공항 ↔ 청주 대원고속충북리무진 인천공항2터미널 ↔ 청주 인천공항1터미널 30 11 7 첫차:07:50(T1 기준)막차:23:30(T1 기준) 첫차:07:25(T2 기준)막차:23:05(T2 기준) 인천공항1터미널, 송도 30~60 첫차:06:30(T1 기준)막차:22:00(T1 기준) 첫차:06:05(T2 기준)막차:21:35(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충주 경기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충주 인천공항1터미널 9회 11 7 첫차:07:40(T1 기준)막차:20:50(T1 기준) 첫차:07:20(T2 기준)막차:20:30(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태안 충남고속한양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태안 인천공항1터미널, 기지시, 당진, 서산 60~120 11 6 첫차:06:40(T1 기준)막차:20:40(T1 기준) 첫차:06:15(T2 기준)막차:20:15(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홍성[16] 충남고속한양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홍성 인천공항1터미널, 신례원, 예산, 내포 2회 11 6 09:40, 17:20 09:15, 16:55 전라도[편집] 운행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1터미널정류장번호 2터미널정류장번호 1터미널 시간표 2터미널 시간표 인천국제공항 ↔ 광양 금호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동광양 인천공항1터미널, 순천, 광양 1회 12 8 19:10 18:45 인천국제공항 ↔ 광주 금호고속광신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광주 인천공항1터미널 30~60 12 8 첫차:06:00(T1 기준)막차:23:30(T1 기준) 첫차:05:35(T2 기준)막차:23:05(T2 기준) 인천공항1터미널, 송도 2회 09:00, 15:00 08:35, 14:35 인천국제공항 ↔ 군산 금남고속전북고속호남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군산 인천공항1터미널, 송도, 대야 6회 12 9 09:50, 11:50, 14:30, 16:30, 20:50, 21:50 09:20, 11:20, 14:00, 16:05, 20:20, 21:20 인천국제공항 ↔ 남원[17] 경기고속금호고속전북고속호남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남원 인천공항1터미널 4회 12 8 08:50, 10:10, 13:10, 16:10 08:25, 09:45, 12:45, 15:45 인천국제공항 ↔ 목포 금호고속광신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목포 인천공항1터미널 1회 12 8 08:40 08:15 인천공항1터미널, 영광 4회 13:50, 16:20, 18:40, 20:10 13:25, 15:55, 18:15, 19:45 인천국제공항 ↔ 여수 금호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여수 인천공항1터미널, 순천 2회 12 8 08:20, 13:30 07:55, 13:05 인천공항1터미널, 송도, 순천 1회 10:30 10:05 인천국제공항 ↔ 익산 금남고속전북고속호남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익산 인천공항1터미널, 송도, 대야, 군산 6회 12 9 06:30, 08:20, 12:50, 15:45, 17:10, 18:50 06:05, 07:55, 12:25, 15:15, 16:45, 18:20 인천국제공항 ↔ 임실 전북고속호남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임실 인천공항1터미널, 전주 8회 12 8 06:20, 07:20, 09:30, 12:30, 15:50, 17:50, 19:20, 22:00 05:50, 06:50, 09:00, 12:00, 15:20, 17:20, 18:50, 21:40 인천국제공항 ↔ 전주 대한리무진 인천공항2터미널 ↔ 전주리무진터미널 인천공항1터미널 3회 12 9 06:30, 08:30, 20:45 06:00, 08:00, 20:15 인천공항1터미널, 김포국제공항, 익산 나들목 30 첫차:07:00(T1 기준)막차:23:15(T1 기준) 첫차:06:30(T2 기준)막차:22:45(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정읍[18] 경기고속호남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정읍 인천공항1터미널, 전북혁신도시 6회 12 8 08:10, 09:40, 11:50, 14:40, 16:30, 18:20 07:50, 09:20, 11:30, 14:20, 16:10, 18:00 경상도[편집] 운행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1터미널정류장번호 2터미널정류장번호 1터미널 시간표 2터미널 시간표 인천국제공항 ↔ 거제(고현)[19] 경원여객코리아와이드대성 인천공항2터미널 ↔ 고현 인천공항1터미널, 개양, 통영[20] 50~100 11 4 첫차:07:50(T1 기준)막차:21:50(T1 기준) 첫차:07:30(T2 기준)막차:21:30(T2 기준) 인천국제공항 ↔ 경산 코리아와이드경북 인천공항2터미널 ↔ 경산 인천공항1터미널, 선산휴게소, 동대구, 범물, 시지 4회 10 3 08:20, 10:20, 16:20, 21:00 08:00, 10:00, 16:00, 20:40 인천국제공항 ↔ 구미 코리아와이드대성 인천공항2터미널 ↔ 구미 인천공항1터미널, 송도, 김천 나들목[21] 2회 10 3 11:20, 17:20 11:00, 17:00 인천국제공항 ↔ 김해[22] 동양고속삼화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김해 인천공항1터미널, 인천, 선산휴게소, 장유 6회 11 4 07:35, 10:45, 14:55, 15:50, 16:55, 19:25 07:10, 10:20, 14:30, 15:25, 16:30, 19:00 인천국제공항 ↔ 대구서부[23] 코리아와이드대성 인천공항2터미널 ↔ 대구서부 인천공항1터미널, 구미 5회 10 3 07:20, 10:00, 13:00, 16:00, 20:00 07:00, 09:40, 12:40, 15:40, 19:40 인천국제공항 ↔ 동대구 코리아와이드경북 인천공항2터미널 ↔ 동대구 인천공항1터미널 20~80 10 3 첫차:07:00(T1 기준)막차:22:20(T1 기준) 첫차:06:40(T2 기준)막차:22:00(T2 기준) 인천공항1터미널, 구미 4회 08:00, 09:20, 23:00, 23:50 07:40, 09:00, 22:40, 23:30 인천공항1터미널, 송도, 구미 4회 08:40, 12:10, 14:40, 18:40 08:20, 11:50, 14:20, 18:20 인천공항1터미널, 김포국제공항, 구미 2회 13:40, 16:40 13:20, 16:20 인천공항1터미널, 경북대학교 상주캠퍼스, 구미 2회 10:40, 22:00 10:20, 21:40 코리아와이드대성 인천공항1터미널, 김천 나들목[21], 구미 2회 06:40, 20:40 06:20, 20:20 인천국제공항 ↔ 부산 경남고속코리아와이드경북 인천공항2터미널 ↔ 부산 인천공항1터미널 90~120 11 4 첫차:06:50(T1 기준)막차:23:30(T1 기준) 첫차:06:30(T2 기준)막차:23:10(T2 기준) 인천공항1터미널, 송도 2회 11:30, 16:00 11:10, 15:40 인천국제공항 ↔ 부산서부(사상)[24] 경남고속천일여객코리아와이드경북 인천공항2터미널 ↔ 부산서부(사상) 인천공항1터미널 6회 11 4 07:40, 09:10, 10:30, 12:00, 14:00, 17:10 07:20, 08:50, 10:10, 11:40, 13:40, 16:50 인천국제공항 ↔ 안동 경기고속코리아와이드대성 인천공항2터미널 ↔ 안동 인천공항1터미널, 영주 4회 10 2 12:40, 14:00, 15:40, 17:20 12:20, 13:40, 15:20, 17:00 인천국제공항 ↔ 양산[25] 경남고속동양고속삼화고속대원고속 인천공항2터미널 ↔ 양산 인천공항1터미널, 인천, 낙동강휴게소[26] 4회 11 4 11:10, 15:10, 16:10, 18:50 10:50, 14:50, 15:50, 18:30 인천국제공항 ↔ 울산 경남고속아성고속코리아와이드경북 인천공항2터미널 ↔ 울산 인천공항1터미널 3회 11 2 10:20, 15:20, 20:30 10:00, 15:00, 20:10 인천공항1터미널, 송도 3회 07:30, 13:10, 17:50 07:10, 12:50, 17:30 인천국제공항 ↔ 창원 경남고속천일여객코리아와이드경북 인천공항2터미널 ↔ 창원 인천공항1터미널, 마산 50~100 11 4 첫차:07:10(T1 기준)막차:22:10(T1 기준) 첫차:06:50(T2 기준)막차:21:50(T2 기준) 인천공항1터미널, 송도, 마산 3회 13:20, 15:40, 18:10 13:00, 15:20, 17:50 인천국제공항 ↔ 포항 아성고속천마고속코리아와이드경북 인천공항2터미널 ↔ 포항 인천공항1터미널, 경주 6회 11 2 07:00, 08:50, 11:40, 13:30, 15:30, 21:30 06:40, 08:30, 11:20, 13:10, 15:10, 21:10 인천공항1터미널, 송도, 경주 2회 17:00, 19:30 16:40, 19:10 인천국제공항 ↔ 해운대[27] 경남고속코리아와이드경북 인천공항2터미널 ↔ 해운대 인천공항1터미널, 좌천 3회 11 4 08:40, 11:00, 12:50 08:20, 10:40, 12:30 경남고속 인천공항1터미널, 송도, 좌천 1회 15:50 15:30 각주[편집] ↑ 가 나 경기도 직행좌석버스로 되어 있지만 공항에서 출발할 경우 별도 요금을 받는다. ↑ 2017년 4월 15일 신설. ↑ 2014년 6월 1일 신설. ↑ 2018년 1월 17일 신설. ↑ 인천공항 출발만 정차한다. ↑ 2016년 12월 28일 신설. ↑ 2014년 2월 24일 신설. ↑ 2014년 9월 3일 신설. ↑ 2018년 7월 20일 신설 ↑ 하차만 가능하다. ↑ 2013년 12월 23일 신설. ↑ 2017년 7월 12일 신설. ↑ 2015년 12월 19일 신설. ↑ 2017년 3월 1일 신설. ↑ 2016년 5월 1일 신설. ↑ 2013년 12월 23일 신설. ↑ 2018년 3월 1일 신설. ↑ 2017년 2월 7일 신설. ↑ 2015년 12월 8일 신설. ↑ 2016년 9월 11일 추가 정차. ↑ 가 나 김천시 가메실4길 6-5 에 위치한 한남할인마트(한남체인) 앞에서 승·하차한다. ↑ 2016년 12월 16일 신설 ↑ 2016년 8월 1일 신설. ↑ 2016년 9월 8일 신설. ↑ 2018년 2월 9일 신설. ↑ 2019년 4월 10일부터 추가 정차하나, 인천국제공항에서 낙동강휴게소까지 중간 이용은 불가능하다. ↑ 2017년 12월 1일 신설. 외부 링크[편집] 인천국제공항 버스 안내 코버스 홈페이지 (인천공항 출발 김해, 양산, 양양행 고속버스 노선 예매) 티머니 시외버스 통합예약시스템 (인천공항 출발 공항버스 예매) vdeh 인천광역시의 교통공원 | 교통 | 도로 | 도서관 | 동굴 | 박물관 | 산 | 서원 | 섬 | 성 | 온천 | 저수지 | 종합병원 | 축제 | 하천 | 해수욕장철도일반철도 경인선 수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고속철도 경부고속철도 호남고속철도 도시철도 ■ 서울 지하철 7호선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광역철도 ■ 수도권 전철 1호선 ■ 수인선 ■ 공항철도 도로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50)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100) 제2경인고속도로 (110) 경인고속도로 (120)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130)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400) 나들목 분기점 능해 나들목 영종 나들목 송도 나들목 옥련 나들목 문학 나들목 남동 나들목 서인천 나들목 부평 나들목 금산 나들목 북인천 나들목 청라 나들목 김포공항 나들목 계양 나들목 송내 나들목 장수 나들목 만수 나들목 북청라 나들목 검단양촌 나들목 공항신도시 분기점 공항입구 분기점 연수 분기점 학익 분기점 서창 분기점 서운 분기점 노오지 분기점 남청라 분기점 해상 분기점 국도 6호 39호 42호 46호 48호 77호 국가지원지방도 84호 98호 주요 도로 수인로 제3경인고속화도로 장제로 무네미로 중봉대로 길주로 부평대로 소성로 남동대로 인주대로 경인로 경원대로 안남로 주안로 서곶로 경명대로 봉오대로 호구포로 벌말로 원적로 계양대로 주부토로 비류대로 수인로 구산로 장수로 백범로 구월로 아암대로 열우물로 석정로 아나지로 마장로 매소홀로 미추홀대로 장고개로 송림로 부평문화로 드림로 서해대로 강화대로 부흥로 동수천로 수변로 로봇랜드로 봉수대로 부일로 송도국제대로 평천로 서달로 인천대로 영종해안북로 제2터미널대로 교량 영종대교 인천대교 강화대교 강화초지대교 영흥대교 선재대교 교동대교 석모대교 무의대교 영종-강화 연도교 제3연륙교 터널 원적산터널 만월산터널 문학터널 버스시외·고속 인천 인천공항 송도 강화 부평역 용현동 외포리 화도 시내·군내 시내버스(노선 목록) 강화군내버스 옹진공영버스 인천시티투어 광역급행버스 버스전용차로 버스전용차로 목록 청라~화곡 버스전용차로 기타항공 인천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 항구 인천항 인천신항 경인항 인천터미널 삼목 선착장 거잠포 선착장 광명항 교통카드 캐시비 요금제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 * 표시는 인천광역시와 연결되는 인접한 서울특별시 또는 경기도의 교통 시설을 나타내고, 기울임 표시는 개통 예정인 교통 시설을 나타낸다.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vdeh대한민국의 시외·고속버스터미널서울특별시 서울경부 서울호남 동서울 서울서부 서울남부 상봉 가락시장 김포공항 동대문 마장동 수유리 신촌 잠실 장지역 인천광역시 강화 외포리 화도 인천 인천공항 부평역 송도 용현동 경기도 가평 목동 설악 청평 현리 고양 고양화정 광명 철산 광주 곤지암 구리 군포 김포 도농 · 금곡 · 평내 · 마석 동두천 부천 송내역 부천역·소사동·송내사거리 수원 광교중앙역 서수원 수원역 아주대 영통입구 우만동 성남 가천대 시흥 하늘휴게소 안산 상록수역 안성 공도 대림동산 양성 일죽 주은풍림 죽산 중앙대입구 안양역 · 안양 · 범계 · 호계동 · 비산동 양주역 양평 용문 여주 능서 대신 태평 전곡 오산 용인 백암 신갈 양지 유방동 의정부 의왕고천 의왕TG 이천 장호원 문산 금촌 운정 파주적성 평택 평택시외 송탄 안중 서정리·용이동·청북 평택대 해군기지 포천 송우 신북 운천 일동 하남 서신 동탄 조암 향남 강원도 강릉 강릉시외 주문진 간성 거진 대진 동해 동해시외 삼척 삼척시외 도계 임원 호산 속초 속초시외 양구 남면 양양 낙산 영월 상동 원주 원주시외 문막 인제 백담입구 신남 원통 현리 정선 고한사북 북평 임계 동송 신철원 와수 육단 춘천 춘천시외 강촌 태백 평창 대화 장평 진부 횡계 홍천 내면 서석 양덕원 화천 사창리 횡성 둔내 충청북도 괴산 연풍 단양 매포 보은 보은고속 속리산 영동 추풍령 황간 옥천 안내 청산 음성 감곡 대소 무극 삼성 생극 충북혁신도시 제천 제천시외 백운 증평 진천 광혜원 이월 청주 청주시외 청주공항 북청주 남청주 미원 오창 충주 목계 수안보 주덕 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충청남도 대전 서대전 유성 유성시외 대전청사 대전도룡 관저·건양대병원 용두동 도마동 부사동 신흥동 북대전 자운대 조치원 세종 세종청사 고대홍대 전의 금암 · 신도안 · 양정 · 엄사 공주 공암 동학사 산성 유구 금산 논산 논산시외 강경 연무 연무시외 당진 기지시 삽교천 신평 합덕 보령 대천해수욕장 부여 홍산 서산 고북 해미 서천 장항 아산 아산시외 신창 예산 신례원 천안 병천 성환 쌍용 한기대 청양 정산 태안 만리포 안면도 홍성 광천 내포 전라북도 고창 대산공용 무장 상하 선운사 해리 흥덕 군산 군산시외 대야 김제 만경 원평 남원 남원시외 덕과 반선 인월 무주 구천동 안성 부안 격포 줄포 순창 적성 고산 대둔산 봉동 삼례 운주 익산 익산시외 금마 여산 함열 임실 관촌 강진공용 오수 장수 번암 장계 전주 전주시외 정읍 신태인 태인 진안 백운 안천 광주광역시전라남도 광주 문화동 소태역 송정역 진월동 강진 마량 성전 고흥 과역 나로도 녹동 곡성 옥과 광양 광영 동광양 태인 구례 나주 영산포 영삼거리 다시 담양 목포 남악 무안 보성 벌교 예당 조성 순천 순북 점암 지도 여수 여천 영광 법성포 홍농 영암 독천 삼호 신북 완도 고금 당목 장성 장성사거리 장흥 노력항 회진 진도 녹진 함평 문장 학교 해남 땅끝 화순 능주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동대구 서대구 대구북부 · 대구서부 · 현풍 용계 경산 영남대 자인 하양 경주 경주시외 건천 산내 아화 안강 입실 고령 구미 구미공단 선산 군위 우보 김천 문경 점촌 가은 봉화 춘양 상주 함창 성주 안동 경북도청 안동역 길안 풍산 영덕 강구 병곡 영해 장사 영양 영주 풍기 풍기IC 꽃동산 영천 임포 예천 용궁 울진 기성 부구 온정 죽변 평해 후포 의성 단촌 도리원 안계 탑리 청도 운문사 청송 월정 주왕산 진보 왜관 약목 포항 포항시외 송라 청하 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경상남도 부산 부산서부 김해공항 동래 신평 하단 해운대 울산 울산시외 신복 방어진 언양 봉계·공업탑·남창·무거·옥동·웅촌·태화·호계·효문 고현 장승포 거창 고성 배둔 김해 장유 진영 남해 밀양 유천 표충사 사천 곤양 삼천포 산청 생초 원지 양산 통도사 의령 신반 진주 진주시외 개양 반성 창녕 남지 부곡 영산 창원 내서 남산 창원역 마산 마산시외 남마산 진해 통영 하동 진교 화개 함안 함양 백무동 서상 안의 합천 가야 삼가 초계 해인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 · 서귀포 고속도로 환승정류장 낙동강휴게소 선산휴게소 섬진강휴게소 인삼랜드휴게소 정안알밤휴게소 횡성휴게소  :현재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하지 않거나 없어진 터미널 굵은 글씨는 고속버스가 운행하는 터미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인천국제공항의_시외버스&oldid=24048276" 분류: 인천광역시의 버스 교통대한민국의 버스 터미널인천 중구의 교통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17일 (수) 11:0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인천국제공항의 시외버스는 정류장마다 갈 수 있는 행선지가 다르기 때문에 정류장에 표시된 목적지를 확인하여 이용해야 한다. 고속버스 전산망상의 터미널 번호는 105이다. 여기에는 공항에서 서울특별시로 운행하는 공항버스 및 시내버스와 인천광역시, 부천시 지역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은 제외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인천국제공항과 대구서부간 시외버스를 운행하는 운수업체는? Assistant: 코리아와이드대성
Human: 아래 서남동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서남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남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광주광역시 동구의 행정동에 대해서는 서남동 (광주)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서남동(徐南同, 1918년 7월 5일 ~ 1984년 7월 19일)은 한국기독교장로회 목사이자, 민중신학 선구자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본관은 이천. 호는 죽재(竹齋)이다. 목차 1 생애 1.1 일본유학 1.2 신학자가 되다. 1.3 별세 1.4 저서 2 참고자료 3 각주 생애[편집] 일본유학[편집] 서남동은 전라남도 신안군 암태면의 개신교 집안에서 출생했다. 그의 부모는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활동하던 미국 남장로교회 선교사들의 전도로 기독교를 접했는데, 서남동도 부모의 영향으로 기독교인이 되었다. 기독교 계열 학교인 목포영흥학교와 전주신흥학교[1]에서 공부했으며, 1936년 일본 도시샤 대학교 신학부에 진학했다. 외국어 공부과정인 예과 2년과 4년제 본과에서 공부하던 신학생 시절 서남동은 재일 한국인들의 비참한 삶을 보면서 민중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당시 재일 한국인들은 일본제국의 식민지 수탈을 피해 일본에 온 사람들이었는데, 일본 사람이 경영하는 공장이나 논밭에서 일하면서 겨우 먹고 사는 처지였다. 이를 보면서 서남동은 자연히 민중들과 함께 살았던 갈릴래아의 예수를 발견하게 된다. 교회사학자 김수진에 의하면 서남동은 목포에서 목회하던 박연세 목사에게도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박연세 목사가 일본제국의 천황 신격화에 반대하여 재판정에 서서도, 그리스도를 왕으로 믿는 기독교 신앙에 따라 그리스도가 일본 천황보다 높다고 주장하는 의연함을 보면서 감동을 받았다는 것이다. 그래서 박목사가 순교하자 시신을 수습하고 가족들에게 연락했다고 한다. 신학자가 되다.[편집] 1953년 한국신학대학(현 한신대학교)의 초빙으로 신학 교수가 되었으며, 캐나다의 진보적 개신교 교회인 캐나다 연합교회[2]의 지원을 받아 토론토 대학교의 엠마누엘 칼리지 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공부했다. 귀국후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교수로 일하면서 세계신학을 한국교회에 알리는 '세계신학의 안테나'역할을 했으며, 역사의 주체인 민중의 편에서 박정희 군사독재정권의 유신독재에 저항했다. 그래서 박정희 군부정권의 탄압으로 해직당하기도 했다. 별세[편집] 1984년 해외순회강연을 다녀온뒤 입원한 세브란스 병원에서 별세하였으며, 파주시에 안장되었다. 2007년 5월 21일 죽재 서남동의 제자들에 의해 '죽재 서남동 목사 기념사업회'가 발족되었다. 저서[편집] 저서로는 《전환시대의 신학》, 《민중신학의 탐구》,《일하는 사람들의 성서》(공저)가 있다. 참고자료[편집] 《김수진 목사의 일본개신교회사》-제7부 교토와 한국인 유학생/김수진 지음/홍성사 p.229-231 죽재 서남동 목사 기념사업회 창립예배자료 각주[편집] ↑ 전주신흥고등학교는 이 학교를 졸업한 민중신학자 서남동 동문의 뜻을 기리는 차원에서 탄생 100주년이 되는 해인 2018년 5월 24일(목)에 교내 100주년 기념관 1층 백년홀의 명칭을 '서남동홀'로 명명하였다. ↑ 종교학자 오강남 교수가 쓴《예수는 없다》를 보면 캐나다 연합교회 총회장으로 선출된 빌 핍스(Bill Phipps)목사가 1997년 11월 2일에 일간지 기자와 나눈 대화내용이 인용되었다. 당시 빌 목사는 다른 종교에도 구원이 있을 수 있으며, 복음서의 예수부활전승은 고대교회의 믿음의 고백일 뿐, 역사적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했는데 캐나다 연합 교회는 빌 목사를 비난여론으로부터 감싸주었으며 캐나다 기독교인들도 그의 주장에 반발하지 않았다고 한다. 오히려 기독교 근본주의에 믿음의 뿌리를 둔 캐나다 거주 한국 기독교인들이 반발했다고 한다. vdeh1974년 민주회복국민선언 서명자 (총 71명)원로 윤보선 백낙준 이인 김홍일 유진오 정일형 정화암 독립투사 김재호 안재환 유석현 제헌의원 진헌식 송진백 황호현 천주교 윤형중 함세웅 신형봉 김택암 안충석 양홍 이창복 박상래 개신교 김재준 함석헌 강신명 강원용 김관석 윤반웅 조향록 이상린 박창균 강기철 계훈제 불교 법정 학계 이희승 정석해 이동화 전경연 박봉근 서남동 문동환 안병무 문인 이헌구 김정한 박연희 김규동 백낙청 고은 김윤수 김병걸 홍사중 언론인 천관우 리영희 장용학 김용구 부완혁 임재경 법조인 이병린 홍성우 황인철 한승헌 박경규 여성계 이태영 공덕귀 이우정 김정례 정치인 김영삼 양일동 안필수 고흥문 윤제술 김철 vdeh1976년 3·1 민주구국선언 참가자 (서명자 총 20명)구속 기소 문익환 함세웅 김대중 문동환 이문영 서남동 안병무 신현봉 이해동 윤반웅 문정현 불구속 기소고령자 윤보선 함석헌 정일형 여성 이태영 이우정 간접가담 신부 김승훈 장덕필 김택암 안충석 기타 관련자 공덕귀 박용길 박형규 이 글은 교육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정치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서남동&oldid=23298778" 분류: 1974년 민주회복국민선언 서명자명동 3·1 민주 구국선언1918년 태어남1984년 죽음대한민국의 신학자대한민국의 개신교 신학자민주당 (대한민국, 1955년) 당원신민당대한민국의 자유주의 신학자대한민국의 대학 교수일본에 거주한 대한민국인캐나다에 거주한 대한민국인타이완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전주신흥고등학교 동문도시샤 대학 동문토론토 대학교 동문신안군 출신한신대학교장로교 신학자숨은 분류: 교육인에 관한 토막글정치인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2월 20일 (목) 18: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서남동(徐南同, 1918년 7월 5일 ~ 1984년 7월 19일)은 한국기독교장로회 목사이자, 민중신학 선구자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본관은 이천 서씨. 호는 죽재(竹齋)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서남동이 태어난 곳은 팔도 중 어디에 속하는가? Assistant: 전라남도 Human: 아래 해씨_부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해씨 부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해씨 부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해씨 부인(解氏夫人)국적 갈사부여 → 고구려 배우자 대무신왕자녀 호동 해씨부인(解氏夫人, ? ~ ?)은 갈사왕의 손녀이자 도두왕의 누나 또는 누이이다. 해시부인은 고구려 대무신왕과 결혼하여 차비(次妃)가 되었다. 아들 호동을 낳았다. 며느리는 낙랑공주이다. 서기 68년 오빠 또는 남동생인 갈사부여의 도두왕이 고구려 태조대왕에게 항복하고 나라를 들어 고구려에 바쳤다. 목차 1 가계 2 관련 작품 2.1 드라마 3 참고문헌 가계[원본 편집] 조부 : 갈사왕 조모 : ? 남편 : 대무신왕 아들 : 호동 며느리 : 낙랑공주 시조카 : 고구려 태조대왕 오빠 또는 남동생 : 갈사부여의 도두왕 관련 작품[원본 편집] 드라마[원본 편집] 《바람의 나라》, KBS, 2008년 ~ 2009년, 배우 : 최정원 참고문헌[원본 편집] 《삼국사기》14권 고구려본기 제2 대무신왕 15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해씨_부인&oldid=23335896" 분류: 생년 미상1세기 죽음부여의 왕족대무신왕고구려의 왕비해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25일 (화) 18: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해씨부인(解氏夫人, 생몰년 미상)는 갈사왕의 손녀이자 도두왕의 남매이다. 고구려 대무신왕과 결혼하여 차비(次妃)가 되었고, 아들 호동을 낳았다. 며느리는 낙랑공주이다. 이후 서기 68년 남매인 갈사부여의 도두왕이 고구려 태조대왕에게 항복하고 나라를 들어 고구려에 바쳤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해씨 부인은 누구와 혼인하였는가? Assistant: 대무신왕
Human: 아래 한국교육방송공사의_방송_송출_시설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한국교육방송공사의 방송 송출 시설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교육방송공사의 방송 송출 시설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EBS의 방송 송출 시설망'을 서술하고 있다. EBS의 방송전파 송출은 KBS가 송신 지원하며 수탁하고 있으므로, KBS의 각 지역국별로 분류하여 기재하였다. 지상파 아날로그 TV방송은 2010년 9월 1일부터 2012년 12월 31일까지 순차적으로 종료되었기 때문에, 본 항목에서는 서술하지 않는다. 목차 1 TV 1.1 디지털TV 1.1.1 수도권 1.1.2 강원권 1.1.3 충청권 1.1.4 호남권 1.1.5 대구·경북권 1.1.6 부산·경남·울산 1.1.7 제주권 2 EBS FM 2.1 수도권 2.2 강원권 2.3 충청권 2.4 호남권 2.5 대구경북권 2.6 동남권 2.7 제주권 3 참고 사항 TV[편집] 디지털TV[편집] 호출부호 : HLQL-DTV 1TV 가상채널 : 10-1 2TV 가상채널 : 10-2 수도권[편집] KBS본사 송신소 물리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비고 관악산 송신소 CH 18 2.5kW 경기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산3-1 남산 송신소 CH 46 5kW 서울 용산구 용산동2가 산1-3 장위 중계소 CH 51 90W 서울 성북구 장위1동 산3-92 백련 중계소 CH 33 90W 서울 은평구 응암1동 산7-250 백련산 불광 중계소 CH 30 90W 경기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산30-1 (매봉) KBS경인 송신소 물리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비고 감악산 중계소 CH 51 2kW 경기 파주시 적성면 객현리 산182 파평 중계소 CH 31 90W 경기 파주시 파평면 눌노리 산23-8 고양 소출력 CH 18 0.05W 경기 고양시 덕양구 고양동 240-6 [1] 동두천 중계소 CH 39 20W 경기 동두천시 생연동 산44-1 불현 소출력 CH 18 0.05W 경기 동두천시 불현동 [1] 천보산 중계소 CH 42 10W 경기 의정부시 금오동 가능 중계소 CH 37 5W 경기 의정부시 가능동 산39-1 신곡 소출력 CH 18 0.05W 경기 의정부시 신곡동 53-464 [1] 포천 중계소 CH 22 20W 경기 포천시 신북면 기지리 산98-5 소흘 중계소 CH 30 5W 경기 포천시 소흘읍 고모리 산64 포천 소출력 CH 22 0.05W 경기 포천시 신읍동 700 [1] 진접 중계소 CH 43 20W 경기 남양주시 진접읍 장현리 산45-1 수택 소출력 CH 18 0.05W 경기 구리시 수택동 549-6 [1] 화도 중계소 CH 38 20W 경기 남양주시 화도읍 마석우리 산68 수동 소출력 CH 24 0.05W 경기 남양주시 수동면 입석리 522-2 [1] 용문산 중계소 CH 24 1kW 경기 양평군 옥천면 용천리 산2-1 청평A 소출력 CH 24 0.05W 경기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 [1] 청평B 소출력 CH 24 0.05W 경기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 [1] 청평C 소출력 CH 48 0.05W 경기 가평군 청평면 삼회리 [1] 가평A 소출력 CH 48 0.05W 경기 가평군 가평읍 달전리 [1] 가평C 소출력 CH 24 0.05W 경기 가평군 가평읍 읍내리 [1] 단월 소출력 CH 24 0.05W 경기 양평군 단월면 명성리 [1] 진촌 중계소 CH 27 20W 인천 옹진군 백령면 북포리 산138-3 대청 중계소 CH 28 5W 인천 옹진군 대청면 하점 중계소 CH 48 20W 인천 강화군 하점면 이강리 산173-3 별립산 선원 소출력 CH 18 0.05W 인천 강화군 선원면 창리 663 [1] 화도 소출력 CH 18 0.05W 인천 강화군 화도면 동막리 [1] 교동A 소출력 CH 18 0.05W 인천 강화군 교동면 대룡리 [1] 교동B 소출력 CH 18 0.05W 인천 강화군 교동면 동산리 [1] 교동C 소출력 CH 18 0.05W 인천 강회군 교동면 대룡리 [1] 인천송학 중계소 CH 37 10W 인천 중구 송학동1가 11 자유공원 만월 중계소 CH 30 20W 인천 남동구 간석동 산32-1 만월산 십정 소출력 CH 18 0.05W 인천 부평구 십정동 293-10 [1] 구월 소출력 CH 18 0.05W 인천 남동구 구월동 1089-3 [1] 간석 소출력 CH 18 0.05W 인천 남동구 간석3동 [1] 운서 소출력 CH 18 0.05W 인천 중구 운서동 2787-1 [1] 안산 중계소 CH 30 10W 경기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 산40-1 노적봉 사동1 소출력 CH 18 0.05W 경기 안산시 상록구 사1동 [1] 사동2 소출력 CH 41 0.05W 경기 안산시 상록구 사2동 [1] 광명 중계소 CH 48 20W 경기 광명시 광명동 산65-1 도덕산 광교산 중계소 CH 37 1kW 경기 용인시 수지구 고기동 산52 성남 중계소 CH 30 20W 경기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 산2-2 검단산 운중 중계소 CH 34 20W 경기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산83 광주 중계소 CH 34 20W 경기 광주시 초월읍 지월리 산35 송정 소출력 CH 18 0.05W 경기 광주시 송정동 570 (광주시청) [1] 광남 소출력 CH 46 0.05W 경기 광주시 삼동 504 [1] 오포 소출력 CH 18 0.05W 경기 광주시 오포읍 능평리 916 [1] 곤지암A 소출력 CH 34 0.05W 경기 광주시 곤지암읍 삼리 [1] 곤지암B 소출력 CH 34 0.05W 경기 광주시 곤지암읍 삼리 [1] 도척A 소출력 CH 18 0.05W 경기 광주시 도척면 진우리 [1] 도척C 소출력 CH 24 0.05W 경기 광주시 도척면 노곡리 [1] 용인 중계소 CH 47 20W 경기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 산3-1 모현 소출력 CH 18 0.05W 경기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동림리 [1] 이동 중계소 CH 34 20W 경기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어비리 산80-1 원삼 소출력 CH 18 0.05W 경기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맹리 378-1 [1] 안성 중계소 CH 47 20W 경기 안성시 당왕동 산26 비봉산 강원권[편집] KBS춘천방송총국 송신소 물리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비고 화악산 송신소 CH 48 2.5kW 경기 가평군 북면 화악리 산218 대룡산 중계소 CH 18 1kW 강원 춘천시 동내면 고은리 산1-2 홍천 중계소 CH 49 90W 강원 홍천군 홍천읍 연봉리 산11-6 서석 중계소 CH 29 20W 강원 홍천군 서석면 상군두리 산32 서천리 소출력 CH 48 0.05W 강원 춘천시 남산면 서천리 [2] 강촌 소출력 CH 48 0.05W 강원 춘천시 남산면 강촌리 [2][3] 지촌 중계소 CH 23 5W 강원 춘천시 사북면 지촌리 산38-1 원천리 소출력 CH 48 0.05W 강원 화천군 하남면 원천리 [2] 화천 중계소 CH 37 20W 강원 화천군 화천읍 상리 산6 산양 중계소 CH 16 5W 강원 화천군 상서면 산양리 산44 다목리 소출력 CH 48 0.05W 강원 화천군 상서면 다목리 [3] 간동 중계소 CH 50 5W 강원 화천군 간동면 간척리 산5-2 대암산 중계소 CH 37 90W 강원 인제군 서화면 서흥리 산170 양구 중계소 CH 29 20W 강원 양구군 양구읍 하리 산74 인제 중계소 CH 47 20W 강원 인제군 인제읍 덕산리 산14-2 한계 중계소 CH 29 5W 강원 인제군 북면 한계리 산74 서화 중계소 CH 29 5W 강원 인제군 서화면 천도리 산141-5 신풍 중계소 CH 50 20W 강원 인제군 남면 신남리 산116 기린 중계소 CH 47 20W 강원 인제군 상남면 하남리 산2 철원 중계소 CH 29 20W 강원 철원군 갈말읍 내대리 산12-1 김화 중계소 CH 16 20W 강원 철원군 김화읍 읍내리 산73 KBS원주방송국 송신소 물리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비고 백운산 송신소 CH 51 1kW 강원 원주시 판부면 서곡리 산166 문막 중계소 CH 17 10W 강원 원주시 문막읍 건등리 산55-1 매지 소출력 CH 51 0.05W 강원 원주시 흥업면 매지리 [3] 신림 중계소 CH 30 5W 강원 원주시 신림면 황둔리 산28 태기산 중계소 CH 35 1kW 강원 횡성군 둔내면 태기리 산1-4 둔내 소출력 CH 35 0.05W 강원 횡성군 둔내면 둔방내리 [2] 진부 중계소 CH 47 10W 강원 평창군 진부면 송정리 산169-1 대화 중계소 CH 48 5W 강원 평창군 대화면 대화리 산166 [4] 평창 중계소 CH 33 20W 강원 평창군 평창읍 노론리 산27-1 미탄 중계소 CH 28 20W 강원도 평창군 미탄면 율치리 산50-3 신일 중계소 CH 28 10W 강원 영월군 주천면 주천리 산86-5 쌍용 중계소 CH 43 5W 강원 영월군 한반도면 쌍용리 산121 마차 중계소 CH 33 5W 강원 영월군 북면 마차리 산132-11 영월 중계소 CH 48 90W 강원 영월군 영월읍 팔괘리 산247 국지산 예미 중계소 CH 38 20W 강원도 정선군 신동읍 조동리 산4-8 방제 중계소 CH 43 5W 강원 정선군 신동읍 방제리 434-42 KBS강릉방송국 송신소 물리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비고 괘방산 송신소 CH 18 2kW 강원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산19-1 오봉산 중계소 CH 36 90W 강원 고성군 죽왕면 오봉리 산56-1 대진 중계소 CH 29 20W 강원 고성군 현내면 대진리 산75 속초 중계소 CH 24 50W 강원 속초시 설악동 산3-1 목우재 양양 중계소 CH 30 20W 강원 양양군 양양읍 월리 산3 대관령 중계소 CH 38 90W 강원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 산1 성산 중계소 CH 35 20W 강원 강릉시 성산면 오봉리 산139 옥계 중계소 CH 20 20W 강원 강릉시 옥계면 주수리 산25-4 밥봉 초록봉 중계소 CH 32 20W 강원 동해시 비천동 산234-2 봉황산 중계소 CH 48 1kW 강원 삼척시 정상동 산41 호산 중계소 CH 36 5W 강원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 산49-1 함백산 중계소 CH 18 1kW 강원 태백시 상장동 산176-1 도계 중계소 CH 22 20W 강원 삼척시 도계읍 전두리 산2-1 황지 중계소 CH 29 20W 강원 태백시 소도동 산55 [4] 장성 중계소 CH 28 20W 강원 태백시 장성동 산1 통리 소출력 CH 18 0.05W 강원 태백시 통동 69-8 [2] 사북 중계소 CH 49 20W 강원 정선군 사북읍 사북리 산155-5 증산 소출력 CH 18 0.05W 강원 정선군 남면 무릉리 [2] 정선 중계소 CH 33 20W 강원 정선군 정선읍 봉양리 산5-1 비봉산 회동 중계소 CH 28 20W 강원 정선군 정선읍 회동리 염소산 여량 중계소 CH 28 20W 강원 정선군 북평면 장열리 산33 화암 중계소 CH 28 20W 강원 정선군 화암면 화암리 산383 임계 중계소 CH 44 5W 강원 정선군 임계면 봉산리 산129 충청권[편집] KBS대전방송총국 송신소 물리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비고 계룡산 송신소 CH 38 1kW 충남 계룡시 신도안면 부남리 산11-5 식장산 중계소 CH 18 2.5kW 대전 동구 대성동 산2-7 적오산 소출력 CH 18 0.05W 대전 유성구 화암동 산11 [2] 추부 중계소 CH 22 5W 충남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산58-1 성당리 소출력 CH 18 0.05W 충남 금산군 추부면 성당리 [2] 진산 중계소 CH 29 5W 충남 금산군 진산면 읍내리 산70-1 군북 중계소 CH 29 5W 충남 금산군 군북면 동편리 산61 금산 중계소 CH 48 10W 충남 금산군 금산읍 신대리 662-4 제원 중계소 CH 22 10W 충남 금산군 제원면 저곡리 산603-4 남이 중계소 CH 22 5W 충남 금산군 남이면 하금리 산11 초현 중계소 CH 22 5W 충남 금산군 남일면 초현리 산45-8 부리 중계소 CH 29 5W 충남 금산군 부리면 양곡리 산83 양촌 중계소 CH 43 5W 충남 논산시 양촌면 인천리 산6 내판 소출력 CH 18 0.05W 세종 연동면 송용리 [2] 공주 중계소 CH 50 20W 충남 공주시 반죽동 산2-1 유구 중계소 CH 36 10W 충남 공주시 유구읍 만천리 산24 청양 중계소 CH 45 20W 충남 청양군 청양읍 장승리 산62-4 외산 중계소 CH 23 5W 충남 부여군 외산면 갈산리 산48-6 청라 중계소 CH 41 5W 충남 보령시 청라면 나원리 산94 옥마산 중계소 CH 49 90W 충남 보령시 성주면 개화리 산23-4 비인 중계소 CH 25 5W 충남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 산39-9 판교 중계소 CH 25 5W 충남 서천군 판교면 현암리 산18-1 서천 중계소 CH 42 20W 충남 서천군 서천읍 남산리 산34 흑성산 중계소 CH 51 1kW 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지산리 산11-3 영인 소출력 CH 51 0.05W 충남 아산시 영인면 아산리 [2] 원효봉 중계소 CH 35 1kW 충남 서산시 해미면 산수리 산25 당진 중계소 CH 46 10W 충남 당진시 읍내동 234-29 정미 중계소 CH 46 10W 충남 당진시 정미면 승산리 산1 갈산 중계소 CH 16 5W 충남 홍성군 갈산면 행산리 산14 안면 소출력 CH 35 0.05W 충남 태안군 안면읍 승언리 [2] KBS청주방송총국 송신소 물리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비고 우암산 송신소 CH 35 2kW 충북 청주시 상당구 수동 산2-1 백곡 소출력 CH 35 0.05W 충북 진천군 백곡면 석현리 [2] 두태산 중계소 CH 31 90W 충북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 산30-26 청천 중계소 CH 34 5W 충북 괴산군 청천면 선평리 산9-9 미원 중계소 CH 50 20W 충북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미원리 산27-1 회북 중계소 CH 45 20W 충북 보은군 회인면 부수리 1-1 부수봉 금적산 중계소 CH 48 90W 충북 보은군 삼승면 서원리 산52-2 보은 중계소 CH 24 20W 충북 보은군 보은읍 풍취리 산11-5 산외 중계소 CH 44 5W 충북 보은군 산외면 탁주리 산12 속리 중계소 CH 37 20W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산14-1 도덕봉 중계소 CH 46 20W 충북 옥천군 동이면 세산리 산23 청산 중계소 CH 24 20W 충북 옥천군 청산면 판수리 산15 영동 중계소 CH 35 90W 충북 영동군 영동읍 회동리 산10 학산 중계소 CH 45 20W 충북 영동군 학산면 박계리 472-2 황간 중계소 CH 46 20W 충북 영동군 매곡면 노천리 산3-17 추풍령 중계소 CH 50 5W 충북 영동군 추풍령면 지봉리 산31 상촌 중계소 CH 50 10W 충북 영동군 상촌면 돈대리 산105 KBS충주방송국 송신소 물리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비고 가엽산 송신소 CH 49 2kW 충북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 산11-4 금왕 중계소 CH 51 20W 충북 음성군 금왕읍 금석리 산35 괴산 중계소 CH 30 20W 충북 괴산군 괴산읍 대사리 산6 칠성 중계소 CH 20 20W 충북 괴산군 칠성면 쌍곡리 산6-5 소수 중계소 CH 29 5W 충북 괴산군 소수면 수리 산44-1 연풍 중계소 CH 29 20W 충북 괴산군 연풍면 적석리 산26-5 장연 중계소 CH 24 5W 충북 괴산군 장연면 송덕리 335-2 중앙탑 소출력 CH 49 0.05W 충북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2] 앙성 중계소 CH 22 20W 충북 충주시 앙성면 용대리 산6 수안보 중계소 CH 35 20W 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안보리 산25-1 용두산 중계소 CH 18 90W 충북 제천시 신월동 산39-30 평동 중계소 CH 24 5W 충북 제천시 백운면 평동리 산100-1 봉양 중계소 CH 24 10W 충북 제천시 봉양읍 장평리 산66-17 송학 중계소 CH 32 10W 충북 제천시 송학면 시곡리 산13-1 금성 중계소 CH 45 20W 충북 제천시 금성면 구룡리 산1 단양 중계소 CH 32 90W 충북 단양군 적성면 상리 산86 금수산 수산 소출력 CH 32 0.05W 충북 제천시 수산면 내리 829 [3] 덕산 소출력 CH 32 0.05W 충북 제천시 덕산면 도전리 [2] 두산 중계소 CH 35 50W 충북 단양군 가곡면 사평리 산93-1 어상천 소출력 CH 35 0.05W 충북 단양군 어상천면 임현리 [2] 영춘 중계소 CH 35 2W 충북 단양군 영춘면 상리 산57-1 호남권[편집] KBS전주방송총국 송신소 물리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비고 모악산 송신소 CH 46 2.5kW 전북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산1 군산 중계소 CH 15 10W 전북 군산시 해망동 995-7 미룡 소출력 CH 46 0.05W 전북 군산시 미룡동 897-2 [3] 미륵산 중계소 CH 51 20W 전북 익산시 금마면 산북리 산69-1 완주화산 소출력 CH 46 0.05W 전북 완주군 화산면 화평리 [2] 경천 중계소 CH 51 5W 전북 완주군 경천면 경천리 217-2 동상 중계소 CH 35 10W 전북 완주군 동상면 사봉리 산58 소양 중계소 CH 31 5W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산10 전주 중계소 CH 37 20W 전북 전주시 덕진구 우아동1가 산299 변산 중계소 CH 51 20W 전북 부안군 변산면 운산리 산48 도청 중계소 CH 37 20W 전북 부안군 변산면 도청리 산115 정읍 중계소 CH 31 20W 전북 정읍시 교암동 산58-1 내장 중계소 CH 50 5W 전북 정읍시 내장동 산198-1 고부 소출력 CH 46 0.05W 전북 정읍시 고부면 고부리 [2] 고창신림 소출력 CH 46 0.05W 전북 고창군 신림면 무림리 [2] 고창 중계소 CH 50 20W 전북 고창군 고창읍 교촌리 산5 무장 중계소 CH 48 20W 전북 고창군 공음면 두암리 산120-1 적상산 중계소 CH 49 90W 전북 무주군 적상면 괴목리 산184 무주 중계소 CH 39 20W 전북 무주군 무주읍 읍내리 산26-1 삼공 중계소 CH 34 10W 전북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산79-1 설천 중계소 CH 48 5W 전북 무주군 설천면 소천리 680-1 심곡 중계소 CH 24 10W 전북 무주군 설천면 심곡리 산62-2 무풍 중계소 CH 25 20W 전북 무주군 무풍면 현내리 산138 부남 중계소 CH 35 5W 전북 무주군 부남면 대소리 601-1 용담 중계소 CH 39 5W 전북 진안군 용담면 송풍리 1058-3 주천 중계소 CH 22 5W 전북 진안군 주천면 신양리 산67 안천 중계소 CH 48 5W 전북 진안군 안천면 노성리 산133 동향 중계소 CH 16 5W 전북 진안군 동향면 대량리 산33-2 진안 중계소 CH 25 20W 전북 진안군 진안읍 군하리 산44-1 좌포 중계소 CH 48 5W 전북 진안군 성수면 좌포리 산163-1 장수 중계소 CH 40 20W 전북 장수군 장수읍 대성리 산258-4 계남 중계소 CH 37 20W 전북 장수군 계남면 신전리 산83 궁양 중계소 CH 28 5W 전북 장수군 계남면 가곡리 산59 명덕 중계소 CH 31 5W 전북 장수군 장계면 명덕리 산179-1 번암 중계소 CH 39 5W 전북 장수군 번암면 노단리 1093-3 임실 중계소 CH 24 20W 전북 임실군 임실읍 갈마리 산54-9 강진 중계소 CH 37 5W 전북 임실군 강진면 갈담리 산42-2 노고단 중계소 CH 48 1kW 전남 구례군 산동면 좌사리 산110-2 교룡산 중계소 CH 38 90W 전북 남원시 산곡동 산25-1 백일 중계소 CH 41 5W 전북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 산107 인월 중계소 CH 50 20W 전북 남원시 인월면 인월리 대강 중계소 CH 39 5W 전북 남원시 대강면 평촌리 109-2 순창 중계소 CH 45 20W 전북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 산9 복흥 중계소 CH 35 20W 전북 순창군 복흥면 정산리 648-2 KBS광주방송총국 송신소 물리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비고 무등산 송신소 CH 32 2.5kW 광주 동구 용연동 산354-4 이서 중계소 CH 39 90W 전남 화순군 이서면 인계리 산77-1 각화 소출력 CH 32 0.05W 광주 북구 각화동 202 [2] 풍암 소출력 CH 32 0.05W 광주 서구 금호2동 781-5 [2] 소태 소출력 CH 32 0.05W 광주 동구 학동 750-1 [2] 화순 소출력 CH 32 0.05W 전남 화순군 화순읍 광덕리 (남산공원) [2] 무정 중계소 CH 30 10W 전남 담양군 무정면 동산리 산17 고달 중계소 CH 51 90W 전남 곡성군 고달면 고달리 산1-1 영천 중계소 CH 40 5W 전남 장성군 장성읍 영천리 산196-1 북일 중계소 CH 43 20W 전남 장성군 북일면 신흥리 산72 북이 중계소 CH 30 10W 전남 장성군 북이면 신월리 산5-4 북하 중계소 CH 48 5W 전남 장성군 북하면 중평리 영광 중계소 CH 47 10W 전남 영광군 영광읍 도동리 산1-1 물퇴봉 홍농 중계소 CH 23 5W 전남 영광군 홍농읍 성산리 산8-2 법성 중계소 CH 37 5W 전남 영광군 법성면 대덕리 산111 군남 중계소 CH 30 20W 전남 영광군 군남면 양덕리 산90 염산 중계소 CH 48 10W 전남 영광군 염산면 야월리 산75-2 (가음산) 신광 중계소 CH 24 5W 전남 함평군 신광면 월암리 산97-1 장흥 중계소 CH 26 20W 전남 장흥군 장흥읍 행원리 산8 용산 중계소 CH 33 10W 전남 장흥군 용산면 금곡리 산12-2 관산 중계소 CH 31 5W 전남 장흥군 관산면 죽교리 산67 대덕 중계소 CH 50 20W 전남 장흥군 대덕읍 가학리 산30-5 회천 중계소 CH 51 10W 전남 보성군 회천면 군농리 산93 율어 중계소 CH 40 20W 전남 보성군 율어면 문양리 산72 KBS목포방송국 송신소 물리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비고 대둔산 송신소 CH 49 2kW 전남 해남군 현산면 황산리 산1-16 양을산 중계소 CH 38 90W 전남 목포시 상동 산55-2 지도 소출력 CH 49 0.05W 전남 신안군 지도읍 읍내리 353-6 [2] 무안 중계소 CH 50 5W 전남 무안군 무안읍 청계 중계소 CH 30 20W 전남 무안군 청계면 상마리 산79-2 도림 소출력 CH 38 0.05W 전남 무안군 청계면 도림리 [2] 독천 소출력 CH 38 0.05W 전남 영암군 학산면 독천리 [2] 영암 중계소 CH 45 20W 전남 영암군 영암읍 농덕리 산11 활성산 도초 중계소 CH 51 20W 전남 신안군 도초면 만년리 산52-1 용당산 흑산 중계소 CH 46 5W 전남 신안군 흑산면 예리 산10-1 계곡 중계소 CH 31 10W 전남 해남군 계곡면 성진리 산59-1 화산 중계소 CH 21 5W 전남 해남군 화산면 방축리 산18-1 진도 중계소 CH 31 20W 전남 진도군 진도읍 교동리 산14-1 북산 의신 중계소 CH 46 10W 전남 진도군 의신면 옥대리 산68-2 조도 중계소 CH 46 5W 전남 진도군 조도면 창유리 산92 지산 중계소 CH 21 5W 전남 진도군 지산면 삼당리 산160-1 군동 중계소 CH 46 20W 전남 강진군 군동면 나천리 산50 한학 중계소 CH 46 20W 전남 강진군 병영면 한학리 산205 도암 중계소 CH 46 2W 전남 강진군 도암면 석문리 산5 성전 소출력 CH 49 0.05W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평리 [2] 완도 중계소 CH 37 10W 전남 완도군 신지면 대곡리 산254 노화 중계소 CH 51 10W 전남 완도군 보길면 중통리 산219-3 청산도 소출력 CH 49 0.05W 전남 완도군 청산면 도청리 [2] 금일 중계소 CH 51 5W 전남 완도군 금일읍 화목리 산53 KBS순천방송국 송신소 물리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비고 망운산 송신소 CH 24 2kW 경남 남해군 서면 연죽리 산38 구봉산 중계소 CH 31 90W 전남 여수시 여서동 산163-3 쌍봉 중계소 CH 50 20W 전남 여수시 소라면 덕양리 산201-1 남면 중계소 CH 40 20W 전남 여수시 남면 두라리 산27-2 심장 중계소 CH 50 5W 전남 여수시 남면 심장리 산198 남산 중계소 CH 41 90W 전남 순천시 인제동 산42-2 순천서면 소출력 CH 41 0.05W 전남 순천시 서면 동산리 [2] 옥룡 소출력 CH 41 0.05W 전남 광양시 옥룡면 운평리 [2] 쌍암 중계소 CH 33 5W 전남 순천시 승주읍 봉덕리 산62 외서 중계소 CH 36 5W 전남 순천시 송광면 대흥리 산155-1 아미 중계소 CH 28 10W 전남 곡성군 목사동면 신전리 산132-1 벌교 중계소 CH 33 20W 전남 보성군 벌교읍 벌교리 산3-1 방장산 중계소 CH 47 20W 전남 보성군 조성면 동촌리 850-6 고흥 중계소 CH 50 20W 전남 고흥군 고흥읍 남계리 산58-1 풍양 중계소 CH 50 5W 전남 고흥군 풍양면 송정리 산129-1 녹동 중계소 CH 35 20W 전남 고흥군 도양읍 봉암리 산237 비봉산 도화 중계소 CH 51 20W 전남 고흥군 도화면 당오리 산113 시루봉 포두 중계소 CH 48 5W 전남 고흥군 포두면 옥강리 산311 봉래 중계소 CH 41 5W 전남 고흥군 봉래면 신금리 산413-19 삼산 중계소 CH 36 5W 전남 여수시 삼산면 덕촌리 산149-1 대구·경북권[편집] KBS대구방송총국 송신소 물리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비고 팔공산 송신소 CH 18 2.5kW 대구 동구 용수동 산1 화양 중계소 CH 22 20W 경북 청도군 화양읍 소라리 산11-2 풍각 중계소 CH 30 10W 경북 청도군 풍각면 현리리 산10 동곡 소출력 CH 18 0.05W 경북 청도군 금천면 동곡리 [2] 하양 중계소 CH 26 20W 경북 경산시 진량읍 신상리 산17-5 파동 중계소 CH 42 10W 대구 수성구 파동 산9-1 법이산 앞산 중계소 CH 33 20W 대구 남구 대명9동 산227-1 서재 소출력 CH 18 0.05W 대구 달성군 다사읍 서재리 [2] 논공 소출력 CH 29 0.05W 대구 달성군 논공읍 북리 803 [2] 구지 중계소 CH 29 20W 대구 달성군 구지면 화산리 산10 (대니산) 대합 소출력 CH 29 0.05W 경남 창녕군 대합면 십이리 [2] 수륜 중계소 CH 22 20W 경북 성주군 수륜면 성리 산10 구미 중계소 CH 46 90W 경북 구미시 남통동 산94 (금오산) 김천 중계소 CH 27 20W 경북 김천시 신음동 산92 (달봉산) 대항 중계소 CH 37 5W 경북 김천시 대항면 향천리 산52-6 모서 중계소 CH 35 10W 경북 상주시 모서면 소정리 산28 청리 중계소 CH 27 20W 경북 상주시 청리면 월로리 산76 상주 중계소 CH 41 20W 경북 상주시 만산동 산68 점촌 중계소 CH 30 5W 경북 문경시 신기동 산123 문경 중계소 CH 42 20W 경북 문경시 문경읍 하리 산1-5 잣밭산 가은 중계소 CH 42 20W 경북 문경시 가은읍 왕릉리 산18 동로 중계소 CH 38 5W 경북 문경시 동로면 적성리 산141 경주 중계소 CH 24 90W 경북 경주시 건천읍 화천리 산14 (벽도산) 보문 중계소 CH 43 20W 경북 경주시 하동 산116 KBS안동방송국 송신소 물리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비고 학가산 송신소 CH 36 1kW 경북 안동시 북후면 신전리 산69 일월산 중계소 CH 49 1kW 경북 영양군 청기면 당리 산118 강남 중계소 CH 51 20W 경북 안동시 남선면 구미리 723-1 임동 소출력 CH 36 0.05W 경북 안동시 임동면 중평리 [2] 길안 소출력 CH 36 0.05W 경북 안동시 길안면 천지리 [2] 봉화 중계소 CH 39 20W 경북 봉화군 봉화읍 내성리 산57-2 춘양 중계소 CH 44 5W 경북 봉화군 춘양면 의양리 산47-4 석포 중계소 CH 23 5W 경북 봉화군 석포면 석포리 산1-2 영양 중계소 CH 30 5W 경북 영양군 영양읍 서부리 산37-4 입암 소출력 CH 49 0.05W 경북 영양군 입암면 산해리 [2] 진보 중계소 CH 30 5W 경북 청송군 진보면 이촌리 산17 청송 중계소 CH 42 20W 경북 청송군 청송읍 덕리 산30-1 KBS포항방송국 송신소 물리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비고 조항산 송신소 CH 51 2kW 경북 포항시 남구 동해면 석동리 산94 감포 중계소 CH 26 5W 경북 경주시 감포읍 전동리 688-8 [4] 구룡포 중계소 CH 36 20W 경북 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구룡포리 506-12·13 [4] 도음산 중계소 CH 31 90W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대련리 1104-1 양동마을 소출력 CH 31 0.05W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5] 이가리 소출력 CH 51 0.05W 경북 포항시 북구 청하면 이가리 산42-6 [2] 월포 소출력 CH 51 0.05W 경북 포항시 북구 청하면 월포리 536-2 [2] 영덕 중계소 CH 38 20W 경북 영덕군 지품면 삼화리 산5-1 축산 중계소 CH 44 20W 경북 영덕군 축산면 온정 중계소 CH 32 20W 경북 울진군 온정면 덕인리 산14 (응봉산) 울진 중계소 CH 32 90W 경북 울진군 원남면 덕신리 산10 (현종산) 부구리 소출력 CH 32 0.05W 경북 울진군 북면 부구리 산37-21 [2] 울릉 중계소 CH 24 20W 경북 울릉군 울릉읍 사동리 산29-1 (삼각산) 가두봉 중계소 CH 34 20W 경북 울릉군 서면 남양리 산3-1 부산·경남·울산[편집] KBS부산방송총국 송신소 물리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비고 황령산 송신소 CH 18 2.5kW 부산 부산진구 전포1동 산50-1 정관 중계소 CH 24 50W 부산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 산32-2 기장 중계소 CH 36 90W 부산 기장군 일광면 횡계리 산28-1 대변항 소출력 CH 36 0.05W 부산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 304-20 [2] 장산 중계소 CH 31 20W 부산 해운대구 우2동 산149-50 만덕 중계소 CH 41 20W 부산 동래구 온천3동 산193 달북마을 동삼 소출력 CH 18 0.05W 부산 영도구 동삼1동 [2] 천마산 중계소 CH 51 20W 부산 사하구 감천2동 산99-1 동매산 중계소 CH 36 5W 부산 사하구 괴정4동 산109 동매산 녹산 중계소 CH 48 90W 부산 강서구 녹산동 산2-27 양산 중계소 CH 50 90W 경남 양산시 북정동 산39-2 하북 중계소 CH 41 10W 경남 양산시 하북면 초산리 산7-6 KBS울산방송국 송신소 물리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비고 무룡산 송신소 CH 48 2.5kW 울산 북구 화봉동 산1-3 미포 중계소 CH 46 20W 울산 동구 동부동 산190 봉대산 문수산 중계소 CH 51 90W 울산 울주군 청량읍 율리 산339 덕신 중계소 CH 38 10W 울산 울주군 온양읍 동상리 산69 연화산 중계소 CH 50 90W 울산 울주군 두동면 은편리 산51-3 언양 중계소 CH 43 20W 울산 울주군 삼남면 교동리 산90 웅상 중계소 CH 50 20W 경남 양산시 소주동 산171 KBS창원방송총국 송신소 물리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비고 불모산 송신소 CH 32 2.5kW 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8 산호 중계소 CH 38 20W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산호동 547-2 용마산 양곡 중계소 CH 18 10W 경남 창원시 성산구 양곡동 산21 내서 중계소 CH 18 20W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상곡리 산163 진전 중계소 CH 49 5W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봉암리 산51 장유 중계소 CH 35 50W 경남 김해시 대청동 진례 중계소 CH 48 50W 경남 김해시 진영읍 하계리 산123-12 용등 중계소 CH 37 5W 경남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 우암리 산11 밀양 중계소 CH 50 20W 경남 밀양시 가곡동 산56-1 산내 중계소 CH 48 5W 경남 밀양시 산내면 봉의리 52 장승포 중계소 CH 41 20W 경남 거제시 아주동 산133-19 옥녀봉 거제 중계소 CH 38 20W 경남 거제시 거제면 서정리 산1-1 통영 중계소 CH 49 20W 경남 통영시 산양읍 남평리 산90 미륵산 욕지 중계소 CH 50 5W 경남 통영시 욕지면 동항리 산77-1 마암 중계소 CH 46 20W 경남 고성군 마암면 보전리 산266 상리 중계소 CH 50 20W 경남 고성군 상리면 무선리 산134 무이산 함안 중계소 CH 50 90W 경남 함안군 산인면 모곡리 산83-1 부림 중계소 CH 43 5W 경남 의령군 부림면 단원리 산67 가야 중계소 CH 38 10W 경남 합천군 갸야면 사촌리 산53-1 해인 중계소 CH 31 10W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산21-1 야로 중계소 CH 43 20W 경남 합천군 야로면 구정리 산6 율곡 중계소 CH 42 20W 경남 합천군 율곡면 제내리 산34-1 초계 중계소 CH 48 20W 경남 합천군 초계면 아막리 산30 죽고리 소출력 CH 48 0.05W 경남 합천군 적중면 죽고리 [2] 삼가 중계소 CH 45 5W 경남 합천군 삼가면 일부리 산57 KBS진주방송국 송신소 물리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비고 망진산 송신소 CH 31 1kW 경남 진주시 망경동 631 장군대산 중계소 CH 51 90W 경남 진주시 문산읍 상문리 325-4 금오산 중계소 CH 49 90W 경남 하동군 금남면 덕천리 산2-1 악양 중계소 CH 47 20W 경남 하동군 악양면 등촌리 산115 삼천포 중계소 CH 41 90W 경남 사천시 실안동 산170-1 각산 옥종 소출력 CH 31 0.05W 경남 하동군 옥종면 청룡리 [2] 곤명 중계소 CH 47 5W 경남 사천시 곤명면 봉계리 산94 남상주 중계소 CH 51 20W 경남 남해군 상주면 양아리 산4-1 감악산 중계소 CH 37 1kW 경남 거창군 남상면 무촌리 13 산청 중계소 CH 45 20W 경남 산청군 산청읍 지리 산40 생초 중계소 CH 43 90W 경남 산청군 금서면 특리 산24-3 단성 중계소 CH 45 20W 경남 산청군 단성면 사월리 산104 망해봉 시천 중계소 CH 47 20W 경남 산청군 시천면 원리 산46 신등 중계소 CH 51 20W 경남 산청군 신등면 단계리 산53 마천 중계소 CH 18 20W 경남 함양군 마천면 가흥리 산54-3 백전 중계소 CH 48 20W 경남 함양군 백전면 오천리 지곡 중계소 CH 20 20W 경남 함양군 지곡면 공배리 산58-4 안의 중계소 CH 47 20W 경남 함양군 안의면 당본리 377 서상 중계소 CH 43 20W 경남 함양군 서상면 옥산리 산69 제주권[편집] KBS제주방송총국 송신소 물리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비고 견월악 송신소 CH 35 1kW 제주 제주시 봉개동 산78-1 소길 중계소 CH 47 20W 제주 제주시 애월읍 소길리 산194-15 금악 중계소 CH 51 20W 제주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산1-2 광해악 중계소 CH 46 90W 제주 서귀포시 안덕면 서광리 937 삼매봉 중계소 CH 18 500W 제주 서귀포시 서홍동 822-1 매봉 중계소 CH 49 20W 제주 서귀포시 표선면 표선리 산4 성산포 중계소 CH 47 10W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고성리 2039-1 송당 소출력 CH 35 0.05W 제주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2] 추자 중계소 CH 37 10W 제주 제주시 추자면 영흥리 산26-1 EBS FM[편집] 수도권[편집] KBS본사 송신소 주파수 출력 송신소 위치 관악산 송신소 FM 104.5MHz 10kW 경기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산3-1 KBS경인방송센터 송신소 주파수 출력 송신소 위치 파주 중계소 FM 105.7MHz 100W 경기 파주시 파평면 눌노리 산23 파평산 백령 중계소 FM 105.9MHz 100W 인천 옹진군 백령면 북포리 산138-3 강원권[편집] KBS춘천방송총국 송신소 주파수 출력 송신소 위치 화악산 송신소 FM 106.5MHz 3kW 경기 가평군 북면 화악2리 산218-2 대암산 중계소 FM 104.5MHz 500W 강원 인제군 서화면 서흥리 산170 KBS원주방송국 송신소 주파수 출력 송신소 위치 백운산 송신소 FM 104.9MHz 3kW 강원 원주시 판부면 서곡리 산166 태기산 중계소 FM 107.5MHz 500W 강원 횡성군 둔내면 태기리 산1-4 영월 중계소(휴지) FM 104.5MHz 10W 강원 영월군 영월읍 팔괘리 산247 국지산 KBS강릉방송국 송신소 주파수 출력 송신소 위치 괘방산 송신소 FM 104.9MHz 3kW 강원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산19-1 옥계 중계소 FM 106.5MHz 10W 강원 강릉시 옥계면 주수리 산25-4 밥봉 속초 중계소 FM 107.7MHz 10W 강원 속초시 설악동 산3-1 목우재 양양 중계소 FM 105.9MHz 100W 강원 양양군 양양읍 월리 산3 함백산 중계소 FM 107.1MHz 3kW 강원 태백시 상장동 산176-1 정선 중계소 FM 104.5MHz 10W 강원 정선군 정선읍 봉양리 산5-1 충청권[편집] KBS대전방송총국 송신소 주파수 출력 송신소 위치 계룡산 송신소 FM 105.7MHz 5kW 충남 계룡시 신도안면 부남리 산11-5 식장산 중계소 FM 107.9MHz 3kW 대전 동구 대성동 산2-7 원효봉 중계소 FM 102.3MHz 500W 충남 서산시 해미면 산수리 산25-1 옥마산 중계소 FM 104.7MHz 100W 충남 보령시 성주면 개화리 산23-4 KBS청주방송총국 송신소 주파수 출력 송신소 위치 청주 중계소 FM 105.1MHz 100W 충북 청주시 서원구 성화동 456 KBS청주방송총국 보은 중계소 FM 107.3MHz 10W 충북 보은군 보은읍 풍취리 산11-5 영동 중계소 FM 104.3MHz 100W 충북 영동군 영동읍 회동리 산10 KBS충주방송국 송신소 주파수 출력 송신소 위치 가엽산 송신소 FM 104.1MHz 3kW 충북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 산11-4 금수산 중계소 FM 105.5MHz 100W 충북 단양군 적성면 상리 산86 호남권[편집] KBS전주방송총국 송신소 주파수 출력 송신소 위치 모악산 송신소 FM 106.9MHz 3kW 전북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산1 고창 중계소 FM 104.9MHz 100W 전북 고창군 고창읍 교촌리 산5 무주 중계소 FM 104.1MHz 전북 무주군 무주읍 읍내리 산26-1 설천 중계소 FM 104.9MHz 10W 전북 무주군 설천면 소천리 삼공 중계소 FM 105.3MHz 전북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산79-1 계남 중계소 FM 105.3MHz 100W 전북 장수군 계남면 신전리 산83 노고단 중계소 FM 107.5MHz 3kW 전남 구례군 산동면 좌사리 산110-2 KBS광주방송총국 송신소 주파수 출력 송신소 위치 무등산 송신소 FM 105.3MHz 5kW 광주 동구 용연동 산354-4 이서 중계소 FM 104.1MHz 100W 전남 화순군 이서면 인계리 산77-1 북봉 영광 중계소 FM 106.5MHz 10W 전남 영광군 영광읍 도동리 산1-1 물퇴봉 장흥 중계소 FM 106.9MHz 10W 전남 장흥군 장흥읍 행원리 산8 KBS목포방송국 송신소 주파수 출력 송신소 위치 대둔산 송신소 FM 104.1MHz 500W 전남 해남군 현산면 황산리 산1-16 양을산 송신소 FM 106.7MHz 100W 전남 목포시 상동 산55-2 KBS순천방송국 송신소 주파수 출력 송신소 위치 망운산 송신소 FM 106.3MHz 3kW 경남 남해군 서면 연죽리 산38 심장 중계소 FM 104.9MHz 10W 전남 여수시 남면 심장리 산198 도화 중계소 FM 105.7MHz 10W 전남 고흥군 도화면 당오리 산113 시루봉 벌교 중계소 FM 104.1MHz 100W 전남 보성군 벌교읍 벌교리 산3-1 대구경북권[편집] KBS대구방송총국 송신소 주파수 출력 송신소 위치 팔공산 송신소 FM 105.1MHz 5kW 대구 동구 용수동 산1 구미 중계소 FM 107.1MHz 100W 경북 구미시 남통동 산94 문경 중계소 FM 107.9MHz 10W 경북 문경시 문경읍 하리 산1-5 잣밭산 가은 중계소 FM 106.7MHz 10W 경북 문경시 가은읍 왕릉리 산18 KBS안동방송국 송신소 주파수 출력 송신소 위치 일월산 송신소 FM 107.7MHz 3kW 경북 영양군 청기면 당리 산118 KBS포항방송국 송신소 주파수 출력 송신소 위치 조항산 송신소 FM 106.7MHz 3kW 경북 포항시 남구 동해면 석동리 산94 경주 중계소 FM 104.3MHz 100W 경북 경주시 건천읍 화천리 산14 벽도산 울진 중계소 FM 104.5MHz 100W 경북 울진군 원남면 덕신리 산10 울릉 중계소 FM 107.9MHz 100W 경북 울릉군 울릉읍 사동리 산29-1 삼각산 동남권[편집] KBS부산방송총국 송신소 주파수 출력 송신소 위치 황령산 송신소 FM 107.7MHz 3kW 부산 부산진구 전포1동 산50-1 양산 중계소 FM 105.7MHz 10W 경남 양산시 북정동 산39-2 KBS울산방송국 송신소 주파수 출력 송신소 위치 무룡산 송신소 FM 105.9MHz 3kW 울산 북구 화봉동 산1-3 KBS창원방송총국 송신소 주파수 출력 송신소 위치 불모산 송신소 FM 104.3MHz 3kW 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8 통영 중계소 FM 103.3MHz 100W 경남 통영시 산양읍 남평리 산90 미륵산 KBS진주방송국 송신소 주파수 출력 송신소 위치 망진산 송신소 FM 101.5MHz 500W 경남 진주시 망경동 631 감악산 중계소 FM 104.7MHz 3kW 경남 거창군 남상면 무촌리 산13 제주권[편집] KBS제주방송총국 송신소 주파수 출력 송신소 위치 견월악 송신소 FM 107.3MHz 3kW 제주 제주시 봉개동 산78-1 삼매봉 중계소 FM 104.9MHz 3kW 제주 서귀포시 서홍동 822-1 참고 사항[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 고 노 도 로 KBS 수신 안내 지도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 고 노 도 로 모 보 소 오 조 초 코 토 포 호 구 누 “디지털TV 방송 수신 정보 시스템”. 2013년 8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7월 18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소출력 동일채널 중계기 설치 및 시범운영 지역”. 2013년 10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7월 1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UHD 방송 전국 확산을 위한 DTV 대역 채널 재배치 추진_TV 시청에 참고하세요 ↑ “포항문화방송 연혁”. 2015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7월 18일에 확인함.  vdeh텔레비전 · 라디오 EBS 1TV EBS 2TV EBS FM (책 읽어주는 라디오) EBS i-Radio (인터넷 어학 라디오) EBS 플러스 1 EBS 플러스 2 EBS english EBS KIDS EBS 아메리카 EBS의 주요 사이트 및 자회사 EBSi EBSlang EBS 스페이스 공감 EBS 원격교육연수원 EBS EDRB EBS미디어 폐국 EBS TV EBS 위성 1 EBS 위성 2 EBS u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국교육방송공사의_방송_송출_시설망&oldid=24532688" 분류: 한국교육방송공사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7월 6일 (토) 11: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 문서는 'EBS의 방송 송출 시설망'을 서술하고 있다. EBS의 방송전파 송출은 전국적으로 산재되어 있는 한국방송공사(KBS) 본사 및 18개 9개 지역 총국, 9개 지역 방송국의 지상파 송출망을 공유하고 송신 지원 업무가 있으므로 , 본사는 본사 및 지역총국은 KBS의 각 지역 총국별로 분류하여 기재하였다. 지상파 아날로그 TV방송은 2010년 9월 1일부터 2012년 12월 31일까지 순차적으로 종료되었기 때문에, 본 항목에서는 서술하지 않는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수도권 EBS FM을 송출하는 KBS 본사 송신소는 어디일까? Assistant: 송신소 주파수 출력 송신소 위치 관악산 송신소 FM 104.5MHz 10kW 경기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산3-1 Human: 아래 김성호_(1989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성호 (1989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성호 (1989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성호 Kim Sung-Ho SK 와이번스 No.92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1989년 3월 14일(1989-03-14) (30세) 출신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신장 186 cm 체중 88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언더)투우타 수비 위치 투수 프로 입단 연도 2012년 드래프트 순위 2012년 3라운드(롯데 자이언츠) 첫 출장 KBO / 2012년 4월 7일 사직 대 한화전 구원 획득 타이틀 KBO / 2012년 4월 18일 사직 대 SK전 구원 경력 롯데 자이언츠 (2012년 ~ 2016년) 경찰 야구단 (2013년 ~ 2015년) SK 와이번스 (2018년 ~ 현재) 김성호(金成昊[1], 1989년 3월 14일 ~ )은 KBO 리그 SK 와이번스의 투수이다. 목차 1 롯데 자이언츠 시절 2 경찰 야구단 시절 3 롯데 자이언츠 복귀 4 SK 와이번스 시절 5 별명 6 출신 학교 7 통산 기록 8 참조 9 외부 링크 롯데 자이언츠 시절[편집] 2012년 롯데 자이언츠의 3라운드 지명을 받아 입단하였다. 아마추어 시절 타자였으나 2008년 투수로 전향하였다. 사이드암과 스리쿼터를 넘나드는 독특한 투구 폼을 가지고 있다. 2012년 4월 26일에 등에 생긴 담 증상으로 2군에 내려가게 되었다.[2] 경찰 야구단 시절[편집] 2013년에 입단하였다. 롯데 자이언츠 복귀[편집] 2015년에 복귀하였다. 복귀 후 1군에서 단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하였고 결국 2016년 11월 30일에 방출되었다.[3] SK 와이번스 시절[편집] 2017년 시즌 후에 입단하였다.[4] 별명[편집] 이국적인 외모와 콧수염 때문에 '산체스'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5] 출신 학교[편집] 이수초등학교 경원중학교 덕수정보산업고등학교 동아대학교 통산 기록[편집] 연도 팀명 평균자책점 경기 완투 완봉 승 패 세 홀 승률 타자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2012 롯데 10.80 3 0 0 0 0 0 1 - 9 1.2 2 1 2 1 1 2 2 통산 1시즌 10.80 3 0 0 0 0 0 1 - 9 1.2 2 1 2 1 1 2 2 참조[편집] ↑ 한국야구위원회, 2012 가이드북 ↑ '산체스' 김성호, 콧수염 싹둑 자르고 구위 회복 전념 - OSEN ↑ '산체스' 김성호, 롯데 보류선수 명단 제외 - 연합뉴스 ↑ ‘돌아온 산체스’ 김성호, 다시 기르는 콧수염과 꿈 - OSEN ↑ '산체스' 김성호 "박찬호 선배도 알아 봐 주더라" - 매일경제 외부 링크[편집] 김성호 - KBO 투수별 기록 이 글은 야구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vdehSK 와이번스 - 현재 명단감독 85 염경엽 코치 80 박경완 (수석/타격) 74 최상덕 (투수) 75 손지환 (수비) 76 박재상 (타격보조) 81 장재중 (배터리) 83 손혁 (투수) 84 조동화 (1루 주루) 86 정수성 (작전/주루) -- 김상용 (컨디셔닝) -- 박창민 (컨디셔닝) -- 이형삼 (컨디셔닝) 퓨처스 감독 73 이종운 퓨처스 코치 87 김석연 (수석/타격) 70 서한규 (작전/주루) 71 김경태 (투수) 77 백재호 (타격) 78 김일경 (수비) 82 김필중 (배터리) 89 제춘모 (투수) -- 고윤형 (컨디셔닝) -- 최현석 (컨디셔닝) 루키팀 코치 72 김무관 (야수총괄) 79 최창호 (책임/투수) 88 이대수 (수비) 90 전병두 (재활) -- 김기태 (컨디셔닝) -- 조문성 (컨디셔닝) 투수 00 정혁진 01 허민혁 03 서상준 06 장민익 1 김택형 11 신재웅 12 정재원 13 하재훈 15 산체스 18 정영일 19 윤희상 21 최진호 22 서진용 29 김광현 32 박정배 39 백승건 41 박민호 42 문승원 43 김정민 45 채병용 46 백인식 47 박희수 49 김정우 50 박종훈 51 김태훈 52 조영우 55 이승진 57 신동민 59 김주한 60 김성민 61 소사 63 이원준 65 서동민 66 신동훈 91 유상화 92 전종훈 93 최재성 94 이재관 96 이채호 97 이케빈 98 이희재 99 강지광 113 유호식 -- 정영광 포수 16 허도환 20 이재원(주장) 33 이현석 53 이동근 69 전경원 내야수 05 전진우 07 강인호 08 박준영 2 임재현 3 나주환 4 최항 6 김성현 7 정현 10 최승준 14 최정 25 김창평 27 로맥 31 남태혁 34 안상현 36 박정권 54 하성진 58 최경모 67 조성모 68 최준우 112 강동권 114 임석진 외야수 0 김강민 8 김재현 9 정진기 17 노수광 23 배영섭 24 최민재 30 류효용 37 정의윤 38 고종욱 40 오준혁 44 윤정우 56 채현우 62 한동민 64 김민재 95 최상민 96 박광명 09 김규남 군입대 선수 강효빈 권기영 김제성 김정빈 김정훈 김찬호 김주온 김표승 나세원 박계현 박성한 박인성 박철우 봉민호 유상화 유서준 유영하 이건욱 이재록 이정범 이홍구 전종훈 정동윤 조성훈 최경태 최민준 최수빈 허웅 2020년 신인지명 선수 -- 오원석(1차지명)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성호_(1989년)&oldid=24247534" 분류: 1989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서울특별시 출신KBO 리그 투수롯데 자이언츠 선수SK 와이번스 선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서울이수초등학교 동문경원중학교 (서울) 동문덕수정보산업고등학교 동문동아대학교 동문숨은 분류: 야구인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20일 (월) 00:3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성호(金成昊, 1989년 3월 14일 ~ )은 전 KBO 리그 SK 와이번스의 투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성호의 2012년 평균자책점은 몇 점일까? Assistant: 10.80
Human: 아래 교향곡_10번_(베토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교향곡 10번 (베토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교향곡 10번 (베토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교향곡 10번 내림 마장조》 미완성 (Bia. 838)은 독일의 작곡가 루트비히 판 베토벤이 교향곡 9번과 함께 동시작곡하여 사망하기 직전까지 작곡한 그의 마지막 교향곡이자 미완성교향곡이다. 곡의 단편적인 스케치와 관현악 악보 800장이 적혀 있는데 그쳐 본격적인 작곡이 시작되지 않은 채 작곡가가 서거하고 말았다. 또한 이 곡에서의 미완성교향곡은 슈베르트의 8번 교향곡이나 브루크너의 교향곡 9번, 말러 교향곡 10번 등처럼 곡의 일부는 완성되어 있다란 뜻의 "미완성" 과 다르다. [1] 목차 1 작곡,구상 2 베토벤 사후 2.1 초연 3 구성과 논란 4 브람스의 교향곡 1번에 관해서 5 〈파우스트〉와의 관련 6 악기편성 7 구성 8 참고 9 각주 작곡,구상[편집] 원래 베토벤은 2개의 작품을 동시에 진행하는 습관이 있었다. 교향곡도 5번과 6번이 동시에 작곡된 작품들이었고, 7번과 8번도 마찬가지 었다. 그리고 영국의 "런던 필하모닉 협회"(현재의 왕립 필하모닉 협회)에서 교향곡 2곡을 의뢰를 받고 교향곡 작곡을 동시에 시작했는데 교향곡 9번, 장엄미사곡을 진행하는 동안에도 이 교향곡 10번이 동시작곡되어 구상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본래의 구상에 따르면 9번은 순수 기악의 교향곡, 10번은 성악,합창을 부가한 작품이 될 예정이었다. 런던 필하모닉 협회가 교향곡을 청탁하기도 해서 둘 중 어느 하나를 넘겨주어야 했는데, 가장 진척 속도가 빨랐던 9번을 보내기로 하고 10번에 넣을 예정이었던 성악,합창 악장도 9번의 마지막 악장에 들어가게 되었다. 이후에 베토벤은 후기 현악4중주의 작곡에 집중했기 때문에 10번은 내버려두었다고 한다. 하지만 베토벤의 성향으로 봐서 런던 필하모니 협회에서 받은 위촉도 있었기 때문에 10번을 완성시켜야겠다고 생각한 것은 분명하였다. 그 후 후기 현악4중주의 작곡을 마치고 본격적으로 작곡을 시작한 것은 1826년 12월이었다. 당시 베토벤은 10번 외에도 괴테의 파우스트를 오페라로 만들 계획도 세우고 있었고, 장엄미사의 후속 종교음악인 레퀴엠과 바흐의 이름(B-A-C-H)[을 주요 모티브로 한 서곡도 구상하고 있었다. 하지만 베토벤은 결국 간경화의 악화와 납중독으로 인해 이들 작품을 완성시키지 못하고 이 교향곡의 1악장도 못 마친 스케치부분과 관현악 악보 800장만을 완성한 채 1827년에 세상을 떠난다. (9번 교향곡의 저주) 교향곡 10번의 스케치라고 여겨지고 있는 단편적인 악보는 수많은 발견되고 중에는 꽤 가능성에서 실제의 교향곡 제10번의 스케치인이 보이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은 판별이 서지 않았다. 남은 스케치는 몇 소절 단위의 매우 단편적인 것이며 또 매우 거친 기재로 판독 곤란한 부분도 있다. 베토벤 사후[편집] 베토벤의 10번 교향곡에 대한 소문은 사후에도 계속 퍼지고 있었다. 베토벤의 비서를 자처한 안톤 쉰들러나 베토벤의 친구이자 후기 현악 4중주를 초연한 슈판치히 4중주단의 비올라 주자 카를 홀츠가 10번 교향곡의 존재에 대한 소문의 근원지였다. 베토벤의 비서였던 안톤 쉰들러는 1826년 베토벤이 10번 교향곡의 스케치를 작성했다고 주장했다. 그 후에 그의 주장은 많은 관심을 끌고 조사가 시행되었는데 쉰들러의 주장은 별로 근거가 없는것이었다. 또 카를 홀츠는 베토벤이 10번 교향곡 1악장을 피아노로 연주하는 것을 들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홀츠의 회고는 다음과 같았다. E플랫 장조의 부드러운 도입부가 있은 후 C단조의 힘찬 알레그로가 뒤따랐다. 그러나 이 1악장은 완전하게 형태를 갖추고 있는 것은 아니었다. 그리고 거기에는 다음 악장들로 이어질 만한 뚜렷한 징후가 엿보이지 않았다. 그가 10번 교향곡을 작곡한 것은 확실하였으나, 원본악보가 분실되어 연구대상이 되어 왔었다. 이후로 10번 교향곡이 완전한 악보의 형태로 어딘가에 있을 것이란 소문부터 애당초 있지도 않은 곡을 가지고 퍼뜨려진 헛소문일 뿐이라는 회의적인 시각까지 다양한 의견이 설왕설래했다. 그러다가 20세기 후반 들어 영국의 음악학자 베리 쿠퍼가 쉰들러나 홀츠의 언급을 보고 베토벤의 이전 작곡 성향을 참조해볼 때 어딘가에 10번 교향곡의 스케치와 악보가 있을 것이라는 추측을 한 뒤, 그 스케치와 악보를 찾기 시작했다. 그런도중 베리 쿠퍼는 베를린의 국립 프러시아 문화재단 도서관에서 조그만 노트에 군데군데 빠져있는 베토벤의 작품으로 보이는 미완성교향곡의 악보와 약 50여개의 10번 교향곡의 스케치이거나 혹은 관련이 있을 법한 스케치를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250여 마디의 소재를 조바꿈이나 반복 진행 등을 통해 늘리고 베토벤의 관현악법을 참조해 5년간의 재구성 작업 끝에 1악장을 완성,복원한다. 초연[편집] 이 작품은 1988년 10월 18일 런던 로얄 리버풀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 의해 런던에서 초연되었고 초연의 지휘를 맡은 발터 벨러는 "베토벤 후기의 조용함과 아름다움이 풍기는 전형적인 베토벤곡" 이라고 평하고, 특히 이 곡이 베토벤의 교향곡에 흔치 않은 6/8박자를 사용한 점은 음악사적으로 연구가치가 있다고 말했다. 그리고 그보다 한 달 전 쯤인 9월 8일에는 윈 모리스가 지휘한 런던 교향악단의 연주로 첫 녹음이 만들어졌다. 대작곡가의 미완성 교향곡을 일부나마 복원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쿠퍼의 완성판은 그 직후 세계 각지에서 연주되었다. 일본에서는 공개 초연이 진행된 바로 그 달에 쿠퍼가 요미우리 일본 교향악단을 지휘해 일본 초연이 행해졌고, 1991년 4월 4일에는 한국에서도 원경수가 지휘한 서울시립교향악단이 첫 공연을 기록했다. 구성과 논란[편집] 쿠퍼의 복원판에 따르면 일반적인 베토벤의 교향곡과는 달리 상당히 독특한 형태로 시작된다. 1악장은 목관악기의 안단테로 시작해서 중간부에 c단조의 격렬한 알레그로를 둔 뒤 다양하게 변주되는 안단테의 반복인 A-B-A' 3부 형식의 큰 틀로 짜여져 있다. 전후반부의 주요 동기는 월광 소나타의 2악장과 흡사하다. 쿠퍼는 이러한 전개 방식에 대해 베토벤이 회고적인 태도를 보인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쿠퍼의 이 작업에 대해서는 강한 찬반 논란이 있었다. 우선 쿠퍼가 찾아냈다는 악보의 단편과 스케치가 정말 10번 교향곡의 단편과 스케치였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고, 그것이 10번이 맞다고는 해도 홀츠가 회고한 것처럼 베토벤이 병마로 더 이상 진척시키지 못한 지극히 단편적인 자료만 가지고 지나치게 작위적으로 만들어낸 악보라는 비판도 이어졌다. 실제로 쿠퍼가 복원한 곡의 스타일은 베토벤의 후기 작품보다는 중기 작품을 연상케 하며, 악상 전개 방식도 9번 교향곡이나 여타 후기 작품에 비하면 지나치게 틀에 박힌 형식이고 베토벤이 혐오한 반베토벤파 스타일에 가깝다. 쿠퍼가 '베토벤의 회고적인 태도'라고 주장한 것도 의문이 남는데, 베토벤 자신이 회고적인 의미로 작곡했다는 현악 4중주 16번도 규모가 이전 4중주들보다 간소해지고 좀 더 심플한 느낌을 줄 뿐이고, 오히려 베토벤이 만년에 집착 수준으로 중시한 대위법 전개나 기존의 변주곡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환상곡풍 변주 스타일이 들어가 있는 등, 결코 쿠퍼가 보여준 것처럼 무비판적으로 과거 회귀하는 모습은 보여주지 않았다. 이 때문에 초연 지휘자인 벨러와 첫 녹음을 만든 지휘자인 모리스 정도를 제외하면 이 곡에 손댄 지휘자는 손에 꼽을 정도로 극히 적으며, 쿠퍼가 1988년에 내놓은 1악장 이래 더 이상의 후속 악장 복원 노력이나 개정 작업도 하지 않고 있는 것에 대한 비판까지 나오는 등 이 복원판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부정적인 것으로 보인다. 브루크너의 9번 교향곡 4악장의 더 완벽한 연주회용 판본을 위해 계속 이잡듯 자료를 뒤지면서 물고 늘어지고 있는 윌리엄 캐러건이나 니콜라 사말레, 벤야민 구나르 코어스 같은 음악학자들과, 죽기 직전까지 후배 음악학자들의 쓴소리를 수용하며 계속 개정판을 만들었던 말러의 10번 교향곡 보필자 데릭 쿡을 보면, 쿠퍼가 이 10번 교향곡이라는 작품에 대해 보여준 노력과 관심이라는 것이 생각보다 진지하지도 치열하지도 않다고 볼 수 있다. 어떤 음악학자들은 베토벤이 10번 교향곡에서 기독교 세계관과 고대 그리스 세계관의 융합을 추구하려 했을 것이라고 보기도 한다. 이는 괴테의 영향이기도 하고, 베토벤이 10번 교향곡 외에 파우스트의 오페라화를 구상한 데서도 드러난다. 사실 9번 교향곡에서도 이미 그런 경향이 드러나기도 한다. 브람스의 교향곡 1번에 관해서[편집] 낭만파의 작곡가, 요하네스 브람스는 베토벤 음악을 매우 높이 평가해 자신의 교향곡을 베토벤 그에 필적할 정도의 완성도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퇴고에 퇴고를 거듭하다, 구상에서 20년의 시간을 거친 1876년 교향곡 1번 C단조를 완성시켰다. 이 교향곡 제1번은 당시 그 완성도에서 "베토벤에 10번째 교향곡이 생긴 것 같다"와 지휘자 한스 폰 뷜로에서 높이 평가돼 현대에도 이 일화와 함께 브람스의 교향곡 1번은 "베토벤 교향곡 10번"이라는 애칭으로 불린다. 〈파우스트〉와의 관련[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악기편성[편집] 플루트 2, 오보에 2, 클라리넷 2, 바순 2, 호른 2, 트럼펫 2, 팀파니, 현5부 구성[편집] 단악장(1악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연주시간은 19분이다. 곡의 제시부는 E flat장조 안단테 2/4박자로 되어 아름답고 유연하며, 중반은 강렬하나 웅장함에 있어서는 교향곡 제9번보다는 덜하다. 1악장의 제1주제는 피아노 소나타 제8번 "비창" 의 2악장과 혹사하고 있어, 스케치에 남겨진 지시대로 목관 악기로 벌어진다. 그 제1주제는 전개되고 안단테 거듭 제시되지만 도중보다 팀파니의 연타에 따라 스케르초의 제2주제로 바뀐다. 이는 2개의 멜로디가 남기는 한편 양측의 테마가 다른 악장이 아니라고 지시해 그 변화하는 부분의 스케치도 남아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은 다시 한번 제1주제로 돌아가 곡의 끝을 맞이한다. 남은 스케치에 비교적 충실히 작곡되었으며 곳 곳에 베토벤 다움은 느껴진다고 하는데 채용한 스케치의 선택이나 곡의 전개나 구축에 대해서는 의견과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베리 쿠퍼의 보필판은 여러 레이블에서 시판되었다. 참고[편집] 교향곡 10번을 소재로 한 소설 10번 교향곡이 있다.[1] 각주[편집] ↑ “10번 교향곡”. books.google.com. 2008에 확인함.  vdeh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교향곡초기 1번 다장조 2번 라장조 중기 3번 내림마장조 〈영웅〉 4번 내림나장조 〈낭만적〉 5번 다단조 〈운명〉 6번 바장조 〈전원〉 7번 가장조 〈대곡〉 8번 바장조 〈소곡〉 후기 9번 라단조 〈합창〉 가상: 10번 내림마장조 〈미완성〉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교향곡_10번_(베토벤)&oldid=22118007" 분류: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교향곡내림마장조 작품미완성 교향곡숨은 분류: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ansk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日本語NederlandsРусский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8월 26일 (일) 16:3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교향곡 10번 내림 마장조》 미완성 (Bia. 838)은 독일의 작곡가 루트비히 판 베토벤이 교향곡 9번과 함께 동시작곡하여 사망하기 직전까지 작곡한 그의 마지막 교향곡이자 미완성교향곡이다. 곡의 단편적인 스케치와 관현악 악보 800장이 적혀 있는데 그쳐 본격적인 작곡이 시작되지 않은 채 작곡가가 서거하고 말았다. 또한 이 곡에서의 미완성교향곡은 슈베르트의 8번 교향곡이나 브루크너의 교향곡 9번, 말러 교향곡 10번 등처럼 곡의 일부는 완성되어 있다란 뜻의 "미완성" 과 다르다.[1]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베토벤의 교향곡 10번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 Assistant: 단악장(1악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연주시간은 19분이다. 곡의 제시부는 E flat장조 안단테 2/4박자로 되어 아름답고 유연하며, 중반은 강렬하나 웅장함에 있어서는 교향곡 제9번보다는 덜하다. 1악장의 제1주제는 피아노 소나타 제8번 "비창" 의 2악장과 혹사하고 있어, 스케치에 남겨진 지시대로 목관 악기로 벌어진다. 그 제1주제는 전개되고 안단테 거듭 제시되지만 도중보다 팀파니의 연타에 따라 스케르초의 제2주제로 바뀐다. 이는 2개의 멜로디가 남기는 한편 양측의 테마가 다른 악장이 아니라고 지시해 그 변화하는 부분의 스케치도 남아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은 다시 한번 제1주제로 돌아가 곡의 끝을 맞이한다. 남은 스케치에 비교적 충실히 작곡되었으며 곳 곳에 베토벤 다움은 느껴진다고 하는데 채용한 스케치의 선택이나 곡의 전개나 구축에 대해서는 의견과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베리 쿠퍼의 보필판은 여러 레이블에서 시판되었다. Human: 아래 영축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영축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영축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영축산 靈鷲山 영축산의 위치높이 1,081 m위치 위치 대한민국울산광역시 울주군경상남도 양산시좌표 북위 35° 31′ 00″ 동경 129° 03′ 03″ / 북위 35.516649° 동경 129.050882°  / 35.516649; 129.050882좌표: 북위 35° 31′ 00″ 동경 129° 03′ 03″ / 북위 35.516649° 동경 129.050882°  / 35.516649; 129.050882 영축산(靈鷲山)은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과 원동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영남 알프스의 일부를 이루는 산이다. 높이는 1,081미터. 신불산 아래에 위치하며 울산광역시와 양산시 경계지역에 있다. 단조늪이 있다. 영취산, 취서산(鷲棲山)과 축서산 등으로도 불린다.[1] 대체로 동쪽은 급경사를 이루어 암벽이 병풍을 편 듯 늘어서 있고, 서쪽은 완만하여 계곡이 발달되어서 대조를 이루고 있다. 목차 1 위치 2 지명 유래 3 같이 보기 4 각주 5 참고 자료 위치[편집] 영축산은 가지산에서 남쪽으로 뻗은 줄기가 능동산에 이르러 두 줄기로 갈라지는데, 남서진하는 줄기는 밀양의 천황산과 제약산으로 이어지고, 동쪽으로 내려와 배내고개를 건너 남진하는 줄기는 간월산과 신불산을 지나 영축산의 첫머리에서 높이 솟구쳐 계속 남쪽으로 이어진다. 여기서 남으로 조금 내려가면 영축산의 남쪽 산록에 있는 가지산 도립공원 내에는 큰 사찰인 통도사를 찾을 수 있다.[1] 지명 유래[편집] 영축산은 석가모니가 법화경을 설법한 고대 인도의 마가다국에 있던 산 이름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한자 표기는 '영축산(靈鷲山)'과 '취서산(鷲栖山)' 두 가지로 표기되어 한글로 영축산·영취산·축서산·취서산 등으로 혼용되어 부르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한자 '취 또는 축(鷲)' 자에 대한 한글 표기의 문제에서 비롯되었다. 일반 옥편에서는 '독수리 취'라고 표기되어 있다. 그러나 불교에서는 '축'으로 발음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한편 '취 또는 축' 자가 원래 '축'으로 표기되었다는 근거는 1463년(세조 9)에 간경도감에서 간행된 《법화경언해본》에서 찾을 수 있는데 산 이름의 혼용이나 혼재는 불교에서 유래된 '축(鷲)' 자를 취(就)자와 조(鳥)자의 합자로 된 '취(鷲)'자와 혼동하는 원인에 있다고 본다. 이러한 혼동을 피하기 위해 2001년 1월 9일 양산시 지명위원회에서 영축산으로 확정지었다.[1] 같이 보기[편집] 한국의 산 각주[편집] ↑ 가 나 다 「새문화유적지도」, 영축산(양산 통도사), 편집부 저, 한국문화재보호재단(2003년, 275~277p) 참고 자료[편집] 「한국의 사찰」, 통도사(通度寺), 대한불교진흥원 저, 대한불교진흥원(2006년, 381~382p) vdeh 울산광역시의 산공원 | 교통 | 도로 | 도서관 | 동굴 | 박물관 | 산 | 서원 | 섬 | 성 | 온천 | 저수지 | 종합병원 | 축제 | 하천 | 해수욕장울산광역시 영남 알프스 울주군 가지산 간월산 고헌산 대운산 문수산 신불산 연화산 영축산 재약산 천황산 중부 무룡산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vdeh 경상남도의 산공원 | 교통 | 도로 | 도서관 | 동굴 | 박물관 | 산 | 서원 | 섬 | 성 | 온천 | 저수지 | 종합병원 | 축제 | 하천 | 해수욕장거제시 계룡산 거창군 가야산 감악산 금원산 기백산 덕유산 오도산 현성산 고성군 벽방산 연화산 김해시 동신어산 봉화산 분성산 불모산 비음산 신어산 남해군 금산 망운산 밀양시 가지산 금오산 만어산 매봉산 영남 알프스 운문산 재약산 천태산 천황산 화악산 사천시 봉명산 산청군 지리산 황매산 양산시 금오산 금정산 대운산 불광산 신불산 영남 알프스 영축산 천성산 천태산 진주시 망진산 방어산 월아산 장군대산 창녕군 화왕산 창원시 무학산 불모산 비음산 통영시 미륵산 벽방산 지리산 천암산 하동군 금오산 지리산 함안군 방어산 자양산 함양군 금원산 기백산 남덕유산 덕유산 봉화산 지리산 황석산 합천군 가야산 다남산 오도산 천황산 필봉 황매산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영축산&oldid=24188679" 분류: 울산광역시의 산울주군의 지리경상남도의 산양산시의 지리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0:3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영축산(靈鷲山)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읍 방기리와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과 원동면에 경계를 이루는 산이다.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과 원동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영남 알프스의 일부를 이루는 산이다. 높이는 1,082.235미터. 신불산 아래에 위치하며 울산광역시와 양산시 경계지역에 있다. 단조늪이 있다. 영취산, 취서산(鷲棲山)과 축서산 등으로도 불린다.대체로 동쪽은 급경사를 이루어 암벽이 병풍을 편 듯 늘어서 있고, 서쪽은 완만하여 계곡이 발달되어서 대조를 이루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영축산의 여러가지 이름을 영축산으로 확정지은 것은 언제인가? Assistant: 2001년 1월 9일
Human: 아래 스페인_왕위_계승_전쟁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페인 왕위계승전쟁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비고 만 해전에서 스페인 식민지에서 걷어들인 수백만 파운드의 은을 실은 스페인 보물선을 나포하는 영국과 덴마크 해군.날짜1701년 7월 9일 ~ 1714년 9월 7일장소유럽과 북아메리카결과 위트레흐트 조약 (1713년) 라슈타트 조약 (1714년) 영국, 네덜란드, 오스트리아가 펠리페 5세를 스페인의 왕으로 인정 펠리페 5세가 프랑스의 왕권을 얻지는 못하게 됨 스페인령 네덜란드, 밀라노 공국, 나폴리 왕국이 합스부르크 영토가 됨 시칠리아 왕국이 사보이아 공국의 영토가 됨 지브롤터와 미노르카 섬을 영국이 점령 루퍼트랜드, 아카디, 세인트키츠가 프랑스에서 영국에 넘어감 스페인의 중앙집권화교전국 카를 공 지지세력 아라곤 왕국 신성 로마 제국 : 오스트리아 대공국 프로이센 잉글랜드 왕국 (–1706) 스코틀랜드 왕국 (-1706) 그레이트브리튼 (1707–)[1] 네덜란드 공화국 사보이아 공국 포르투갈 왕국 하노버 선제후국 지원국 덴마크-노르웨이 펠리페 공 지지자 카스티야 연합왕국 시칠리아 왕국 나폴리 왕국 프랑스 왕국[2] 바이에른 선제후국 합스부르크 헝가리 만토바 공국지휘관 카를로스 3세 베리 공작 카를로스 게오르크 폰 헤세 안토니 데 빌라로엘 아타이데 백작 레오폴트 1세 요제프 1세 사부아 공자 외젠 바덴 변경백 슈타렘베르크 백작 앤 조지 1세 말버러 공작 루비니 후작 조지 루크 프리드리히 1세 윌리엄 3세 요한 빌럼 프리소 오버크리크 백작 제이콥 판 오브담 아놀트 판 케펠 페드루 2세 주앙 5세 미나스 후작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 루이 14세 빌라르 공작 방돔 공작 부플레르 공작 빌레루아 공작 테세 백작 베릭 공작 라코치 페렌츠 2세 카롤리 샨도르 보티앙 야노스 † 막시밀리안 에마누엘 펠리페 5세 빌라다리아스 후작 페르디난도 카를로병력 232,000명[3] 373,000명[4]피해 규모 알 수 없음 알 수 없음 vdeh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카르피 – 키아리 – 크레모나 – 루차라 – 카디스 – 프리들링겐 – 비고 만 – 에케렌 – 회흐슈테트 – 셸렌베르크 – 블레넘 – 말라가 – 엘릭스하임 – 카사노 – 칼치나토 – 라미예 – 토리노 – 카스틸리오네 – 알만사 – 툴롱 – 오우데나르데 – 릴 – 말플라크 – 알메나라 – 사라고사 – 브리우에가 – 비야비시오사 – 부섕 – 드냉 – 바르셀로나 vdeh영국-프랑스 전쟁 1202–04 1213–14 1215–17 1242–43 1294–1303 1324 1337–1453 1496-98 1512–14 1522–26 1542–46 1557–1559 1627–29 1666–67 1667-68 1689–97 1702–13 1744–48 1744–1763 1754–63 1778–83 1793–1802 1803–14 1815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의 참전국.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1701년 ~ 1714년)에서 유럽의 주요 열강들은 힘을 합쳐 프랑스가 스페인의 왕위를 계승하려는 것을 막아 유럽의 힘의 균형을 바꾸어 놓았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은 북아메리카의 앤 여왕 전쟁(Queen Anne's War)을 포함한 유럽의 주요한 전쟁이다. 이 전쟁에서 빌라르 공작, 스튜어트 왕가의 지지자 베릭 공작, 말버러 공작, 사보이 외젠 공작 등 뛰어난 장군들의 군사적 지도력이 두드러졌다. 1700년, 스페인의 카를로스 2세(재위 1665~1700)가 사망하고 합스부르크 왕가인 그의 모든 영토를 ―스페인의 공주이자 프랑스의 왕 루이 14세(재위 1643~1715)의 아내인 오스트리아의 마리 테레즈의 요구에 따라― 루이 14세의 손자 앙주 공작 필리프(Philip, duc d'Anjou)에게 물려주면서, 부르봉 왕가의 필리프는 스페인의 펠리페 5세(재위 1700~24, 1724~46)가 되었다. 전쟁은 스페인 왕위에 대한 합스부르크 왕가의 권리를 주장하기 위해 신성로마제국 황제의 레오폴트 1세(재위 1658~1705)가 스페인 왕위의 계승권을 주장하면서 서서히 시작되었다. 그러나 루이 14세가 그의 영토확장을 위한 공세를 강화했을 때 다른 유럽 국가(영국을 주도로, 포르투갈과 네덜란드 공화국) 역시 프랑스의 영토 확장을 제어하기 위해 신성로마제국 측에 참여하였다. 다른 국가들도 새로운 영토를 확보하거나, 지금 소유하고 있는 영토를 지키기 위해 프랑스와 스페인에 대항하는 연합군에 참여하였다. 전쟁은 유럽만이 아니라 영국 식민지 주민들이 프랑스 식민지 주민(corsairs)과 스페인령인 남미 북안(Spanish Main)에 거점을 둔 사략선, 해적선과 싸운 앤 여왕전쟁으로 알려진 전투들이 북아메리카에서도 벌어졌다. 이들 전쟁의 결과로 인하여 400,000명 정도의 사람들이 사망하였다.[5] 전쟁은 위트레흐트 조약(1713)과 라슈타트 조약(Rastatt 1714년)으로 종결되었다. 이 조약들로 펠리페 5세는 스페인의 왕좌를 지켰으나, 프랑스의 왕위는 계승할 수 없게 되었고, 따라서 두 왕국이 합쳐질 위험은 사라졌다. 오스트리아는 이탈리아와 네덜란드에서 스페인이 소유한 영토의 대부분을 확보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중부 유럽에 대한 프랑스의 헤게모니는 종결되었으며, 힘의 균형(balance of power)에 대한 생각은 위트레흐트 조약에서 언급된 이후부터 국제적인 질서의 일부가 되었다.[6] 유럽에서의 전쟁은 독일과 이탈리아에서 벌어진 다른 중요한 전투와 함께 주로 스페인과 중서부 유럽(특히 저지대 국가)에서 벌어졌다. 외젠 공작과 말버러 공작은 스스로를 저지대의 군사령관으로 생각했다. 목차 1 배경 2 서막 3 초기 전투: 1701년-1703년 4 중간 단계: 1704년-1709년 5 최종 단계: 1710년-1714년 6 영향 7 각주 8 참고 문헌 9 외부 링크 배경[편집] 루이 14세 (1638년–1715년), Hyacinthe Rigaud 작(1701년). 스페인의 카를로스 2세는 아주 어릴 적부터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나 약한 사람이었기 때문에, 그가 후계자를 낳지 못할 것이라는 것은 확실했다. 그러므로 스페인만이 아니라 이탈리아와 저지대 국가, 그리고 아메리카의 주도권을 물려받는 스페인의 왕위 계승에 관한 문제는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두 왕조가 스페인의 왕권을 주장하였다. 그들은 프랑스의 부르봉 왕가와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왕가로 이들 왕조는 스페인의 왕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가장 직접적이고 정당한 후계자는 루이 14세와 카를로스 2세의 이복 누나인 스페인의 공주 마리아 테레사 사이에서 태어난 유일한 합법적인 아들 프랑스의 왕세자 루이(1661~1711)였다. 여기에 더해 루이 14세의 어머니 오스트리아의 앤(1601~66)이 카를로스 2세의 아버지인 펠리페 4세(1605~1665)와는 남매지간이므로, 루이 14세는 자신의 아내 마리아 테레사 및 카를로스 2세와는 사촌이기도 하였다. 다음 프랑스의 왕위를 계승할 것이 분명한 프랑스의 왕세자가 덧붙여 스페인의 왕위까지 계승하는 것은 다른 유럽인들이 보기에 매우 곤란한 선택이었는데, 그가 프랑스와 스페인의 왕국들을 상속한다면, 그는 광대한 영토를 차지하게 되고, 이는 유럽의 힘의 균형을 위협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앤과 마리아는 그들의 결혼으로 인해 스페인의 계승권을 상실했다. 그러나 후대의 경우를 볼 때 계승권의 포기는 그것이 전혀 지불되지 않았던 스페인의 공주의 지참금을 염두에 둘 때, 전체적으로 별 의미가 없이 보였다. 대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경쟁자는 신성로마제국 황제이자 오스트리아-합스부르크 왕조의 레오폴트 1세(재위 1658~1705)였다. 그는 스페인 왕과는 사촌지간[7]이었을 뿐 아니라 여기에 덧붙여 카를로스 2세의 아버지 펠리페 4세는 그의 의지로 오스트리아의 계승권을 받았던 적이 있었다. 경쟁자 역시 무시무시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는데, 레오폴트의 계승은 16세기의 강대한 스페인-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제국의 재결합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1668년 카를로스 2세가 즉위한 지 불과 3년 후에 펠리페 4세가 카를로스 2세를 모든 영토의 계승자로 인정했음에도 불구하고 레오폴트는 스페인의 영토를 부르봉 왕가와 합스부르크 왕가가 분할하는 데 합의했었다. 그러나 1689년 영국의 윌리엄 3세가 황제에게 프랑스에 대항하는 대동맹 전쟁에 참여할 것을 요청했을 때, 윌리엄 3세는 스페인 제국 전 영토에 대한 황제의 권리주장을 도울 것을 약속했다. 스페인의 마지막 합스부르크 왕 카를로스 2세. 나중에 그의 죽음으로 인해 스페인 제국을 계승하기 위한 프랑스와 오스트리아 사이에서 전쟁이 벌어졌다. 스페인의 왕위에 대한 새로운 경쟁자는 1692년에 태어난 바이에른의 선제후 요제프 페르디난트(1692~1699)였다. 요제프 페르디난트는 레오폴트 1세의 외손자였기 때문에 그는 합스부르크 왕조가 아니라 비텔스바흐 왕가에 속해 있었다. 그의 어머니 마리아 안토니아(1669~1692)는 황제 레오폴트 1세와 그의 첫 번째 부인 마르가리타 테레사(1651~1673)[8]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었다. 요제프 페르디난트는 부르봉 왕가도 합스부르크 왕가도 아니었기 때문에 스페인이 프랑스나 오스트리아와 합병할 가능성은 낮았다. 비록 레오폴트 1세와 루이 14세 모두 그들의 계승권을 자손들에게[9] 미루고 있었지만, 바이에른의 공작은 경쟁자들에게 덜 위협적인 상태로 남아 있었다. 따라서 그는 곧 영국과 네덜란드가 선호하는 계승자가 되었다. 게다가 요제프 페르디난트는 펠리페 4세의 의지에 따라 스페인 왕위의 적법한 계승자가 되었다. 대동맹 전쟁(1688~)이 1697년에 종결했을 때, 스페인 왕위 계승과 관련된 문제는 결정적인 것이 되었다. 전투로 지친 영국과 프랑스는 스페인의 왕위를 요제프 페르디난트가 계승하고, 이탈리아와 저지대의 스페인 영토를 프랑스와 오스트리아가 분할한다는 제1차 분할 조약(1698, First Partition Treaty)에 합의하였다. 이 결정은 그들의 제국을 분할하는 데 격렬히 저항하는 스페인의 의견을 묻지 않고 체결되었다. 게다가 조약이 1698년 세간에 알려졌을 때, 카를로스 2세는 바이에른의 선제후 요제프 페르디난트를 영국과 프랑스가 선택한 땅만이 아니라 전 스페인 제국의 계승자로 인정하였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왕위 계승도 그러나 1699년 어린 바이에른의 공작이 천연두로 갑작스럽게 사망하자, 스페인의 왕위 계승에 관한 문제가 다시 불거지게 되었다. 영국과 프랑스는 스페인의 왕권을 카를 대공에게 넘기고, 이탈리아 영토는 프랑스가 차지하고, 카를 대공은 나머지 스페인 영토를 획득하는 내용의 제2차 분할 조약(Second Partition Treaty)을 체결하였다. 조약에 참여하지 않았던 오스트리아는 불쾌해 했는데, 그들은 전 스페인 영토에 대해 열린 상태에서 경쟁하여 그들이 가장 관심 있어 하는 영토인 이탈리아 영토[10]를 차지하고 싶어 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협정에 싫증을 내던 스페인은 더 심했는데, 국내의 사람들은 분할에 반대하는 데는 통일되어 있었으나, 왕위를 부르봉이 계승할 것인가, 합스부르크가 계승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분열되어 있었다. 그러나 프랑스를 지지하는 이들이 다수를 이루었다. 그리고 1700년 10월 카를로스 2세는 그의 영토를 프랑스 왕세자의 둘째 아들 앙주 공작에게 물려주는 데에 동의했다. 카를로스 2세는 프랑스와 스페인이 합병되는 것을 막기 위해 앙주 공작이 프랑스의 왕위를 계승할 경우 스페인의 왕위는 앙주 공작의 동생 베리 공작(duc de Berri)에게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앙주와 그의 동생 이후에야 카를 대공은 왕위 계승권자가 될 수 있었다. 서막[편집] 프랑스 왕국이 이 유언을 알았을 때, 루이 14세의 조언자들은 스페인 전토에 대한 계승권을 주장하면서 전쟁의 위험을 감수하는 것보다는 1700년에 체결된 제2차 분할 조약을 받아들이는 것이 안전하다고 루이 14세를 설득하였다. 그러나 프랑스의 외무장관 투르시 후작 장바티스트 콜베르(Jean-Baptiste Colbert de Torcy)는 프랑스가 스페인의 전토 또는 일부를 계승하더라도 1700년에 체결된 제2차 분할 조약에 명시된 분할을 받아들이지 않는 오스트리아와 어쩔 수 없이 전쟁상태에 돌입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게다가 카를로스 2세의 유언은 앙주가 스페인 전토를 계승하지 않으면, 다른 어느 곳도 계승하지 못할 것이라고 명시해놓고 있었다. 만약 거절한다면, 앙주의 동생 베리 공작 샤를에게 스페인 전토의 계승권이 주어지고, 만약 샤를도 이를 거부한다면 오스트리아의 카를 대공이 계승하게 되어 있었다. 영국과 네덜란드 같은 해양의 강대국들은 분할 조약을 따르지 않으려는 오스트리아와 스페인에게 조약을 강요하기 위해 프랑스가 오스트리아, 스페인과 전쟁을 벌이더라도 참여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루이 14세는 그의 손자가 스페인의 왕위를 계승하는 것을 받아들였다. 카를로스 2세는 1700년 11월 1일 사망했고, 11월 24일 루이 14세는 앙주 공작을 스페인의 왕으로 선언하였다. 새로운 왕 펠리페 5세는 제2차 분할 조약의 규정에 반대하여 전 스페인 제국의 지배자로 선언하였다. 그러나 영국의 윌리엄 3세(재위 1689~1702)는 프랑스에 대한 전쟁을 선언하지 않았는데, 그는 영국과 네덜란드 모두에서 정책을 결정하는 엘리트 계층의 지지를 얻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는 내키지 않으면서도 1701년 4월 펠리페를 왕으로 인정하였다. 영국, 네덜란드와 독일 군대의 사령관이 된 말버러 공작. 그는 블레넘 전투에서 프랑스와 바이에른을 괴롭히고 패배시켜 궤멸시켰다. 그러나 루이는 유럽에서 프랑스의 헤게모니를 확고히 하려는 노력을 더 공세적으로 취하기 시작했다. 그는 스페인과의 교역에서 영국과 네덜란드를 배제하였고, 이로 인해 양국은 심각한 상업적 이익 침해를 받았다. 윌리엄 3세는 그의 신하들에게 지지를 구하는 한편, 네덜란드와 오스트리아와 함께 덴 하그 조약(Treaty of Den Haag)을 체결하였다. 1701년 9월 7일에 이루어진 합의는 펠리페 5세를 스페인의 왕으로 인정하나 오스트리아에게 그들이 가장 열망하던 영토인 이탈리아의 스페인 영토를 할양하고, 또 스페인령 네덜란드에 오스트리아 군대를 받아들이게 하여 이곳에서 프랑스의 세력 확대를 막게 하였다. 영국과 네덜란드는 이러는 동안 스페인에 대한 그들의 상업적 권리를 탈환하기로 하였다. 조약이 체결된 지 얼마 후 영국의 전 국왕 제임스 2세[11]가 프랑스에서 죽었다. 비록 루이 14세는 리스비크 조약(Treaty of Ryswick)에서 윌리엄을 영국의 왕으로서 대우했지만, 그는 이제 제임스 2세의 아들 제임스 프란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James Francis Edward Stuart; "오래된 왕위요구자"(Old Pretender))를 새삼스럽게 정당한 왕위 계승자로 인식하게 되었다. 영국과 네덜란드는 이미 군대를 일으킬 준비가 되어 있었다. 루이 14세의 행동은 영국의 정계를 더욱 프랑스와 소원하게 하였고, 윌리엄 3세에게 전쟁을 일으킬 기반을 마련해주었다. 사보이의 외젠 공작이 지휘하는 오스트리아군이 프랑스의 개입을 촉구하기 위해 이탈리아에 있는 스페인의 영토 중 하나인 밀라노 공국(Duchy of Milan)을 침범한 때부터 무장 교전이 서서히 일어나기 시작했다. 영국과 네덜란드 그리고 대부분의 독일 국가[12]는 오스트리아 편에 붙었으나 바이에른와 쾰른의 비텔스바흐 선제후가문과 포르투갈 왕국, 그리고 사보이아 공국은 프랑스와 스페인을 지지했다. 스페인에서는 아라곤과 발렌시아, 카탈로니아 왕가[13]는 그들을 카를 대공의 지지자로 선언했다. 1702년 윌리엄 3세가 죽은 후에도 그의 계승자인 앤 여왕은 그의 보좌역인 고돌핀(Godolphin)과 말버러 공작의 지도하에 열정적으로 전쟁을 계속했다. 초기 전투: 1701년-1703년[편집] 빌라르 공작이 이끄는 그의 기병대가 승리를 이끈 전투인 프리들링겐 전투. 1702년 이탈리아에서 외젠 공작은 프랑스군을 지휘하는 빌레루아 공작을 2월 1일 크레모나 전투에서 패배시키고 그를 사로잡았다. 빌레루아를 대신해 방돔 공작이 지휘를 맡아 8월 루차라 전투에서 대등한 승부를 벌이고, 상당한 수적우위를 지니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외젠 공작을 이탈리아에서 쫓아내지 못했다. 그러는 동안 말버러(Marlborough) 공작은 저지대(Low countries)에서 영국, 네덜란드, 독일의 군세로 구성된 군대를 지휘하여, 가장 강력한 리에주 요새를 포함한 몇 개의 중요한 요새를 점령하였다. 라인 강가에서 바덴의 루트비히 휘하의 황제군은 9월 란다우를 점령하였으나, 바이에른의 선제후가 프랑스 측으로 참여함으로써 알자스(Alsace)에 대한 위협이 확고해졌다. 바덴의 루트비히 공은 라인강을 건너 퇴각해야했으며, 이곳 프리들링겐에서 클로드 루이 엑토르 드 빌라르가 지휘하는 프랑스군에게 패배하였다. 영국의 제독 조지 루크(George Rooke)는 중요한 해전인 비고 만 해전에서 승리하여 스페인의 보물 운송선을 완벽히 파괴하고, 많은 은을 획득했다. 다음해 비록 말버러 공작이 본을 점령하여 쾰른(Köln)의 선제후를 추방하였지만, 그는 앤트워프를 함락하는 데 실패했고, 프랑스군은 독일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빌라르와 바이에른의 막스밀리안 에마누엘이 지휘하는 프랑스-바이에른 연합군은 바덴의 루트비히와 헤르만 스티럼(Hermann Styrum)이 지휘하는 황제군을 격파하였으나, 선제후는 겁을 먹어 빈로의 진군을 막았고 이로 인한 갈등은 빌라르로 하여금 사직하게 하였다. 그러나 프랑스군은 남부 독일의 팔츠에서 카미유 드 탈라르가 지휘하는 지원 부대가 계속적으로 승리를 거두었다. 프랑스군 사령관들은 다음해에 프랑스-바이에른 연합군이 오스트리아의 수도 빈을 점령한다는 장대한 계획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1703년 말, 프랑스군은 포르투갈과 사보이의 동맹이탈로 인해 다른쪽에 약점을 가지게 되어, 이로 인해 고생하였다. 그러는 동안 전에는 필리프가 계속 스페인의 왕위를 유지해야 한다고 보았던 영국은 이제 그들의 상업적 이익이 카를 대공(Archduke Charles) 아래에서 좀 더 공고해질 것이라고 생각하기 시작했다. 중간 단계: 1704년-1709년[편집] 알만사 전투에서 동맹군을 확실하게 물리쳐 스페인의 펠리페 5세의 왕위를 지켜낸 공적으로 루이 14세로부터 프랑스의 귀족 피츠-제임스 공작작위를 하사받는 제임스 피츠제임스. Jean Dominique Auguste Ingres의 그림. 1704년 프랑스군은 네덜란드에 있는 빌레루아의 군대가 말버러 공작의 군대를 붙잡아 두는 동안, 탈라르와 막스밀리안 에마누엘과 빌라르의 대리를 맡게 된 페르디낭 드 마르생 휘하의 프랑스-바이에른 연합군은 빈으로 진군하기로 작전을 계획했다. 저지대에 자신들의 군세를 머물게 하고 싶어하던 네덜란드 정부의 소망을 무시한 체, 말버러 공작은 영국과 네덜란드군을 독일을 향해 남쪽으로 돌렸다. 그러는 동안 외젠 공작은 이탈리아에서 오스트리아군을 이끌고 북상했다. 말버러 공작과 외젠 공작이 보인 이러한 움직임은 프랑스-바이에른 연합군이 빈으로 진격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였다. 두 군세는 합류한 후에 탈라르가 지휘하는 프랑스군과 블레넘 전투에서 대결을 벌였다. 이 전투는 말버러 공작과 외젠 공작의 공적을 널리 알렸고, 바이에른 선제후국을 전쟁에서 이탈하게 만들었다. 이 해에 영국은 카를 대공의 원조로 헤센-다름슈타트의 게오르그 공작(Prince George of Hesse-Darmstadt) 휘하의 네덜란드 군의 지원을 받아 스페인의 지브롤터를 점령하는 또다른 중요한 군사적 성공을 거두었다. 블레넘 전투 이후, 말버러 공작과 외젠 공작은 다시 헤어져서 말버러 공작은 저지대로, 외젠 공작은 이탈리아로 향했다. 1705년, 동맹군과 프랑스군 사이에 어떤 전역에서도 별다른 사건은 일어나지 않았다. 말버러 공작은 모젤(Moselle)강을 따라 프랑스를 공격하려 했지만, 아무것도 이루지 못했다. 그는 빌레루아의 군대를 기습하고 브라반트 방어선(Lines of Brabant)을 돌파했지만, 프랑스의 장군을 전장에 나오도록 도발하는 데에는 실패했다. 빌라르와 바덴의 루트비히는 라인 강 유역에서 결정적인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고, 이는 이탈리아에서 방돔과 외젠 공작 역시 마찬가지였다. 1706년 이러한 상황은 급변한다. 말버러 공작은 5월 라미예 전투에서 빌레루아 휘하의 프랑스군을 결정적으로 격파하고 잇달아 앤트워프와 됭케르크(Dunkerque)를 점령함으로써, 스페인령 네덜란드에서 프랑스군을 몰아내었다. 외젠 공작도 승리를 거두었다. 9월, 방돔이 라미예전투 이후 궤주당한 네덜란드의 프랑스군을 집합시키기 위해 이탈리아를 떠나자 그와 사보이 대공은 오를레앙과 마르생이 지휘하는 프랑스군을 투린의 전투에서 격파하여 심각한 피해를 주고 그해 말, 이들을 이탈리아에서 쫓아내었다. 이제 프랑스군은 독일, 저지대, 이탈리아에서 격퇴 당하였고, 다음해에 스페인이 전쟁의 중심지역이 되었다. 1706년 포르투갈의 장군 미나스 후작 (Marquês das Minas)는 포르투갈에서 스페인을 침략하여 마드리드를 점령하려 하였다. 그러나 그해 말, 마드리드는 국왕 펠리페 5세와 베릭 공작(Duke of Berwick)[14]에 의해 점령되어 있었다. 골웨이는 1707년 다시금 마드리드를 점령하려 하였다. 그러나 베릭은 4월 25일 알만사 전투에서 그를 완전히 격멸하였다. 그러므로 스페인에서의 전쟁은 더 이상 대규모의 전투는 벌어지지 않고, 결정적이지 않은 소규모 교전들만이 계속되었다. 사보이 공작 외젠. 위대한 합스부르크 군사령관 외젠 공작. 말버러 공작과 함께 그는 블레넘, 오우데나르데와 말플라크에서 싸웠다. Jacob van Schuppen의 그림. 1707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은 잠시 북부유럽에서 동시에 벌어진 대북방 전쟁과 교차된다. 카를 12세(Charles XII) 휘하의 스웨덴 군은 작센에 도착했고, 여기서 그는 아우구스트 2세를 격파하고, 폴란드의 왕위에 대한 그의 주장을 철회할 것을 강요했다. 프랑스와 동맹군은 카를의 진영에 사절을 보냈다. 그리고 프랑스군은 그로 하여금 아우구스트에 대해 황제가 지원한 것에 대하여 카를이 별로 좋지 않은 감정을 가지고 있던, 황제 요제프 1세에 대하여 군대를 일으켜주길 바랐다. 그러나 카를은 스스로를 프로테스탄트의 수호자로 자처했기 때문에 프랑스의 신교도인 위그노에 대한 처우 때문에 루이 14세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고 일반적으로 서방의 전투에 대해서 대해서 별 흥미가 없었다. 그는 러시아로 그의 관심을 돌려버렸고, 스웨덴의 전쟁개입 가능성은 사라졌다. 1707년 후반, 외젠 공작은 이탈리아로부터 남프랑스에 대한 동맹군의 공격을 주도하였으나, 프랑스군에 의해 저지되었다. 이때 말버러 공작은 저지대에 머물러 있었는데, 그곳에서 그는 끝없이 무수한 요새들을 점령하고 있었다. 1708년 말버러 공작의 군세는 프랑스군과 마주쳤는데 이들은 심각한 지도력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프랑스군의 사령관 부르고뉴 공작(Duke of Burgundy)[15]과 방돔 공작은 부르고뉴 공작이 종종 어리석은 군사적 결정을 내렸기 때문에, 자주 불화를 일으켰다. 부르고뉴의 존재는 프랑스군이 말버러 공작과 외젠 공작이 다시 합류하는 동안 단 한 번의 공격도 하지 못하게 만들었고 이는 동맹군이 릴의 요새를 함락하기 전, 오우데나르데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격파하게 하였다. 이탈리아에서 오스트리아는 1708년 포를리 시를 공략하였다. 오우데나르데와 릴의 재난은 프랑스로 하여금 파국에 직면하게 하였다. 루이 14세는 협상을 할 수밖에 없었다. 그는 외무장관 투르시 후작(Marquis de Torcy)를 보내 헤이그에서 동맹군의 사령관들을 만나게 하였다. 루이 14세는 그에게 이탈리아의 나폴리 왕국을 제외한 다른 모든 영토를 동맹에게 양도하고, 스페인을 포기하는 데 동의했다. 게다가 그는 스페인에서 추방당한 펠리페 5세를 지원할 자금을 준비했다. 그러나 동맹군은 굴욕적인 조건을 제시했다. 그들은 루이 14세에게 프랑스군을 투입해 그의 손자를 폐위하라고 요구하였다. 이러한 제안을 거절하고 루이 14세는 끝까지 싸울 것을 선택했다. 그는 수천의 새로운 군대를 모집하기 위해 프랑스의 국민들에게 간청했다. 1709년 동맹군은 세 루트로 프랑스에 대한 공격을 시도했다. 그러나 두 방향은 단순히 견제를 하기 위한 움직임이었기 때문에 규모가 작았다. 가장 심각한 위협은 말버러 공작과 외젠 공작이 파리를 향해 출진시킨 군대였다. 그들은 빌라르 공작 휘하의 프랑스군과 말플라크 전투에서 마주쳤다. 비록 동맹군은 프랑스군을 격파하였지만, 그들은 프랑스군이 겨우 1만 정도의 피해를 입었음에 반해 2만이 넘는 병사를 잃었다. 동맹군은 몽스(Mons)를 점령하였으나, 그들의 승리를 이어갈 수 없었다. 이 전투는 전쟁의 전환점으로 여겨진다. 동맹군은 비록 승리했음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사상자로 인해 프랑스를 계속 공격할 수 없었다. 최종 단계: 1710년-1714년[편집] 빌라르 원수 (1653–1734). 그는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서 프랑스를 불행에서 구해냈다. 빌라르는 루이 14세의 가장 훌륭한 군사 사령관이었다. 1710년 동맹군은 스페인에서 최종적인 전역을 벌였으나, 어떤 시도도 다 실패했다. 제임스 스태너프(James Stanhope)의 군대는 카를 대공과 함께 마드리드에 도착했으나, 적들의 원군이 프랑스로부터 도착했을 때 브리우에가에서 항복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는 와중에 동맹군은 약화되어 가고 있었다. 영국(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사이의 합병으로 영국이 성립된 것이 3년 전의 일이고, 동맹의 참여 국가는 이전의 잉글랜드로 되어 있었다.)에서 말버러 공작의 강한 정치력 영향력은 줄어들어 갔는데, 왜냐하면 그가 권력을 가질 수 있었던 근원인 여왕과 그의 아내 사이의 우정이 끝나, 앤 여왕(Queen Anne)은 말버러 공작부인 사라 처칠(Sarah Churchill, Duchess of Marlborough)을 그녀의 관원에서 해고하고, 궁정에서 쫓아내버렸기 때문이다. 게다가 전쟁을 지원하던 휘그당이 정권을 잃고 토리당이 정권을 잡아 평화절차를 밟기 시작했다. 1711년 카를 대공이 그의 형 요제프 1세의 갑작스러운 죽음에 따라 신성로마제국 황제 카를 6세로 즉위했다. 이 상황에서 오스트리아의 결정적인 승리는 프랑스의 승리가 그러하듯, 유럽의 힘의 균형을 뒤엎어버릴 우려가 있었다. 말버러 공작은 네 플레스 울트라 방어선(Lines of Ne Plus Ultra)을 돌파하고 부섕을 함락함으로써 빌라르에게 전략적인 승리를 거두었으나, 이해 말 영국으로 소환되어 오먼드 공작(Duke of Ormonde)에게 지휘권을 넘겨야 했다. 헨리 St 존(Henry St John) 내각이 이끌던 영국은 네덜란드와 오스트리아를 그들의 협상에서 제외하고 비밀리에 투르시 후작과 교섭하기 시작하였다. 오먼드 공작은 영국군을 이끌고 전투에 참여하는 데 거절했으며, 이에 따라 빌라르 원수 휘하의 프랑스군은 1712년 드냉 전투에서 실지를 회복하는 데 성공하였다. 영국과 네덜란드는 위트레흐트 조약이 1713년에 체결되자 프랑스와 싸우는 것을 멈추었다. 1705년부터 스페인의 왕위를 주장하던 카를 대공과 동맹군의 지원을 받던 바르셀로나는 1714년 9월 11일 긴 공성전 끝에 최종적으로 항복하여 스페인에서의 전쟁은 종결되었다. 오늘날 이 날자는 카탈루냐의 국경일로 기억되고 있다. 프랑스와 오스트리아의 적대관계는 라슈타트 조약과 바덴 조약이(Treaties of Rastatt and Baden) 체결된 1714년까지 계속되었고, 이 조약이 체결되어 두 나라의 적대행위가 종결되자, 비로소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이 종결되었다. 스페인은 좀 더 늦게 평화조약을 조인했는데, 오스트리아와의 싸움은 4국 동맹 전쟁 (1718년)(War of the Quadruple Alliance)에서 열강들에게 패한 후 1720년에 공식적으로 끝났다. 영향[편집] 위트레흐트 조약과 라슈타트 조약 이후에 그려진 서유럽의 국경지도. 이 부분의 본문은 위트레흐트 조약입니다. 위트레흐트의 평화아래 필리프는 스페인의 펠리페 5세로 즉위하였으나, 그의 가문은 프랑스의 왕위 계승권을 박탈당하였고, 이로 인해 프랑스와 스페인의 왕위가 한명에게 계승되는 위협은 사라졌다.(비록 프랑스인들은 이러한 계승 포기가 불법적이라고 생각하긴 했지만) 그는 스페인의 해외 영토를 획득했지만, 스페인령 네덜란드, 나폴리, 밀라노, 사르데냐를 오스트리아에게 양도하고, 시칠리아와 밀라노의 일부를 사보이아에게, 그리고 지브롤터와 미노르카를 영국에게 주어야만 했다. 게다가, 그는 30년간 소위 아시엔토(asiento)라 불린 스페인령 아메리카에서의 독점적인 노예 무역권을 영국에게 양도해야만 했다. 그의 왕국을 통합하기 위해 필리프는 누에바 플란타 법령(Nueva Planta decrees)를 발행하여 전쟁중에 카를 대공을 지지하고, 왕조의 통합을 느슨하게 하며 독자적인 정부기관을 유지하기까지 했으며 아라곤 연합 왕국까지 만들어낸 지방의 자율적인 자치를 종결시키고자 하였다. 반면에 나바라 왕국이나 바스크 방처럼 국왕을 도와 합스부르크의 카를 대공에 대항하여 싸운 지방은 그들의 자치권을 잃지도 않았고, 그들의 전통적인 지역법과 관청들을 유지할 수 있었다. 유럽에서의 프랑스 영토는 별 변동이 없었다. 기고만장한 신성로마제국은 프랑스의 영토를 17세기 중반의 영토로 축소하여 라인강이나, 저지대에서의 프랑스 세력을 몰아내고자 하였으나 모두 실패하였다. 프랑스는 영국의 왕위를 노리는 스튜어트 왕가에 대한 지원을 하지 않는 데 동의하였고, 대신에 앤 여왕은 정당한 왕으로 인정하였다. 프랑스는 북 아메리카의 다양한 식민지 영토를 잃었다. 루퍼스랜드(Rupert's Land)와 뉴펀들랜드에 대한 영국의 종주권을 인정하였고, 세인트 키츠(Saint Kitts) 섬의 반과 아르카디아를 양도하였다. 네덜란드는 스페인령 네덜란드의 많은 항구를 손에 넣었으며, 스페인령 헬데를란트(Guelders)를 합병하는 것이 허가되었다. 위트레흐트의 평화아래, 17세기에 주도적이었던 프랑스의 헤게모니를 억제하려는 전쟁은 당분간 사라지게 되었다. 부르봉 왕가의 프랑스와 스페인은 계속적으로 동맹자로 남았지만, 이탈리아와 저지대의 영토를 상실하여 많은 힘을 잃은 스페인은 대륙의 정계에서 이류국가가 되어 버렸다. 각주[편집] ↑ 1707년 연합법에 의해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왕국이 합병되어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이 되었다. ↑ George Ripley, Charles Anderson Dana, The American Cyclopaedia, New York, 1874, p. 250, "...the standard of France was white, sprinkled with golden fleur de lis...". *[1] Archived 2008년 1월 16일 - 웨이백 머신The original Banner of France was strewn with fleurs-de-lis. *[2] Archived 2015년 4월 6일 - 웨이백 머신:on the reverse of this plate it says: "Le pavillon royal était véritablement le drapeau national au dix-huitième siècle...Vue du château d'arrière d'un vaisseau de guerre de haut rang portant le pavillon royal (blanc, avec les armes de France)."[3] Archived 2011년 10월 27일 - 웨이백 머신 from the 1911 Encyclopedia Britannica: "The oriflamme and the Chape de St Martin were succeeded at the end of the 16th century, when Henry III., the last of the house of Valois, came to the throne, by the white standard powdered with fleurs-de-lis. This in turn gave place to the famous tricolour." ↑ Lynn, The Wars of Louis XIV: 1667–1714, p.271. 1702년 동맹국의 군사력: 제국 (90,000), 네덜란드 공화국 (60,000 + 42,000 수비군대)과 영국 (40,000). 다만 독일의 소국가와 해군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 Lynn, The Wars of Louis XIV: 1667–1714, p.271. 프랑스의 서류상의 군사력 숫자; 실제 전쟁에 투입된 병력은 대략 255,000명. 여기엔 불확실하지만 스페인, 이탈리아, 바이에른과 사보이의 군대도 포함되어 있다. ↑ Statistics of Wars, Oppressions and Atrocities of the Eighteenth Century, Matthew White ↑ Wolf, The Emergence of the Great Powers: 1685–1715. p.92 ↑ 그의 어머니는 펠리페 4세의 다른 누이였다. ↑ 스페인의 펠리페 4세의 딸 ↑ 레오폴트는 그의 어린 아들 카를 대공(1685~1740)에게, 그리고 루이 14세는 도팽의 어린 아들 앙주 공작(1683~1746)에게 ↑ 가깝고, 부유하며, 통치하기 쉬웠다. ↑ 1688년 명예 혁명으로 윌리엄 3세에게 축출되었다. ↑ 주로 프로이센과 하노버 ↑ 아라곤 왕국의 대부분 지역들 ↑ 잉글랜드의 제임스 2세의 사생아로 프랑스군에 복무하고 있었다. ↑ 루이 14세의 손자 참고 문헌[편집] (영어) Chandler, David G. Marlborough as Military Commander. Spellmount Ltd, (2003). ISBN 1-86227-195-X (영어) Frey, Linda and Marsha. The Treaties of the War of the Spanish Succession: An Historical and Critical Dictionary Greenwood (1995). (영어) Hattendorf, John B. England in the War of the Spanish Succession: A Study of the English View and Conduct of Grand Strategy, 1702–1712. Garland (1987). (영어) Jongste, Jan A.F. de, and Augustuus J. Veenendaal, Jr. Anthonie Heinsius and The Dutch Republic 1688–1720: Politics, War, and Finance. Institute of Netherlands History (2002). (영어) Lynn, John A. The Wars of Louis XIV: 1667–1714. Longman, (1999). ISBN 0-582-05629-2 (영어) McKay, Derek & Scott, H. M. The Rise of the Great Powers 1648–1815. Longman, (1984). ISBN 0-582-48554-1 (영어) Ostwald, Jamel. Vauban under Siege: Engineering Efficiency and Martial Vigor in the War of the Spanish Succession. Brill (2007). (영어) Symcox, Geoffrey. War, Diplomacy, and Imperialism: 1618–1763. Harper & Row, (1973). ISBN 06-139500-5 (영어) Tombs, Robert and Isabelle. That Sweet Enemy: The French and the British from the Sun King to the Present. London: William Heinemann, 2006. (영어) Veenendaal, A. J., Briefwisselling van Anthonie Heinsius, 1702–1720. 19 volumes. Instituut voor Nederlandse Geschiedenis (1976–2001). (영어) Wolf, John B. The Emergence of the Great Powers: 1685–1715. Harper & Row, (1962). ISBN 0061397509 {{isbn}}의 변수 오류: 유효하지 않은 ISBN. (일본어) 友清理士『スペイン継承戦争 マールバラ公戦記とイギリス・ハノーヴァー朝誕生史』(彩流社、2007年) ISBN 978-4-7791-1239-3 외부 링크[편집] Documents about The case of the catalans dating to 1714, at the House of Lords, UK. Journal of the House of Lords: volume 19, 2 August 1715, Further Articles of Impeachment against E. Oxford brought from H.C. Article VI. vdeh☧ 유럽 종교전쟁 ✟“내가 세상에 화평을 주러 온 줄로 생각지 말라 화평이 아니요 검을 주러 왔노라(마 10:34)”종교개혁(1517년) 직후 기사 전쟁(1522년) 독일 농민전쟁(1524년–1525년) 카펠 전쟁(1529년–1531년) 뮌스터 반란(1534년–1535년) 재세례파 폭동(1535년) 비갓의 난(1537년) 슈말칼덴 전쟁(1546년–1547년) 기도서 반란(1549년) 제후전쟁(1552년–1555년) 아우크스부르크 화의(1555년) 16세기 종교전쟁 위그노 전쟁(1562년–1598년) 네덜란드 독립 전쟁(1568년–1648년) 쾰른 전쟁(1583년–1588년) 슈트라스부르크 주교전쟁(1592년–1604년) 지그문트 폐위전쟁(1598년–1599년) 이윌리히 계승전쟁(1609년-1614년) 30년 전쟁(1618년–1648년) 헤센 전쟁(1567–1648) 보헤미아 반란(1618년–1620년) 위그노의 난(1621년–1629년) 제2차 잉글랜드-스페인 전쟁(1625년–1630년) 제2차 프랑스-스페인 전쟁(1635년-1659년) 토르스텐손 전쟁(1643년-1645년) 베스트팔렌 조약(1648년) 삼왕국 전쟁(1639년–1651년) 주교 전쟁(1639년–1640년) 잉글랜드 내전(1642년–1651년) 스코틀랜드 내전(1644년–1651년) 아일랜드 맹방 전쟁(1641년–1653년) 크롬웰의 아일랜드 정복(1649년–1653년) 베스트팔렌 체제(1648년-1700년) 사보이아 발도파 전쟁(1655년–1690년) 제1차 빌메르겐 전쟁(1656년) 제2차 영국-네덜란드 전쟁(1665년–1667년) 9년 전쟁(1688년–1697년) 스페인 계승전쟁(1701년–1714년) 카미자르의 난(1702년–1710년) 제2차 빌메르겐 전쟁(1712년) 전거 통제 LCCN: sh85126301 GND: 4134877-1 NDL: 0108312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스페인_왕위_계승_전쟁&oldid=24548960" 분류: 1701년 분쟁1701년 스페인스페인의 전쟁영국의 전쟁네덜란드의 전쟁프랑스의 전쟁오스트리아의 전쟁신성 로마 제국의 전쟁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전쟁사18세기 카리브 제도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lemannisch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rezhoneg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atinaLëtzebuergeschLigure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Plattdüütsch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PolskiPiemontèis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ard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est-Vlams吴语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9일 (화) 16:0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1701년 ~ 1714년)에서 유럽의 주요 열강들은 힘을 합쳐 프랑스가 스페인의 왕위를 계승하려는 것을 막아 유럽의 힘의 균형을 바꾸어 놓았다. 관련된 분쟁으로 헝가리의 라코치 독립 전쟁, 프랑스 남부의 세벤 전쟁, 북아메리카의 앤 여왕 전쟁, 인도 식민지의 소규모 분쟁 등이 있다. 이 전쟁에서 빌라르 공작, 스튜어트 왕가의 지지자 베릭 공작, 말버러 공작, 사부아 공자 외젠 등 뛰어난 장군들의 군사적 지도력이 두드러졌다. 1700년, 스페인의 카를로스 2세(재위 1665~1700)가 사망하고 합스부르크 왕가인 그의 모든 영토를 ―스페인의 공주이자 프랑스의 왕 루이 14세(재위 1643~1715)의 아내인 오스트리아의 마리 테레즈의 요구에 따라― 루이 14세의 손자 앙주 공작 필리프(Philip, duc d'Anjou)에게 물려주면서, 부르봉 왕가의 필리프는 스페인의 펠리페 5세(재위 1700~24, 1724~46)가 되었다. 전쟁은 스페인 왕위에 대한 합스부르크 왕가의 권리를 주장하기 위해 신성로마제국 황제의 레오폴트 1세(재위 1658~1705)가 스페인 왕위의 계승권을 주장하면서 서서히 시작되었다. 그러나 루이 14세가 그의 영토확장을 위한 공세를 강화했을 때 다른 유럽 국가(영국을 주도로, 포르투갈과 네덜란드 공화국) 역시 프랑스의 영토 확장을 제어하기 위해 신성로마제국 측에 참여하였다. 다른 국가들도 새로운 영토를 확보하거나, 지금 소유하고 있는 영토를 지키기 위해 프랑스와 스페인에 대항하는 연합군에 참여하였다. 전쟁은 유럽만이 아니라 영국 식민지 주민들이 프랑스 식민지 주민(corsairs)과 스페인령인 남미 북안(Spanish Main)에 거점을 둔 사략선, 해적선과 싸운 앤 여왕전쟁으로 알려진 전투들이 북아메리카에서도 벌어졌다. 이들 전쟁의 결과로 인하여 400,000명 정도의 사람들이 사망하였다.전쟁은 위트레흐트 조약(1713)과 라슈타트 조약(1714)으로 종결되었다. 이 조약들로 펠리페 5세는 스페인의 왕좌를 지켰으나, 프랑스의 왕위는 계승할 수 없게 되었고, 따라서 두 왕국이 합쳐질 위험은 사라졌다. 오스트리아는 이탈리아와 네덜란드에서 스페인이 소유한 영토의 대부분을 확보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중부 유럽에 대한 프랑스의 헤게모니는 종결되었으며, 힘의 균형에 대한 생각은 위트레흐트 조약에서 언급된 이후부터 국제적인 질서의 일부가 되었다.유럽에서의 전쟁은 독일과 이탈리아에서 벌어진 다른 중요한 전투와 함께 주로 스페인과 중서부 유럽(특히 저지대 국가)에서 벌어졌다. 외젠 공작과 말버러 공작은 스스로를 저지대의 군사령관으로 생각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스페인의 필리프가 왕국을 통합하기 위해 발행한 법령은 뭐야? Assistant: 누에바 플란타 법령(Nueva Planta decrees) Human: 아래 강경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강경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강경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강경화康京和 대한민국의 외교부 장관 임기 2017년 6월 18일 ~ 대통령 문재인 총리 이낙연 전임 윤병세 신상정보 국적 대한민국 출생일 1955년 4월 7일(1955-04-07) (64세) 출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학력 매사추세츠 대학교 대학원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정당 무소속 소속기관 외교부 부모 강찬선(부), 김길임(모) 배우자 이일병 강경화(康京和, 1955년 4월 7일 ~ )는 대한민국의 제38대 외교부 장관이다. 미국 클리블랜드대 커뮤니케이션학과와 세종대 영어영문과 조교수였고, KBS 방송 프로듀서 겸 아나운서, 음성다중방송담당 캐스터로 활동했고, 한국여성단체협의회 국제관계위원회 위원, 한국여성정치문화연구소 이사 등으로 활동했다. 1990년부터 국회의장 섭외비서관, 통역 겸 섭외담당비서관, 국회 국제담당비서관, 외무부 외교안보연구원 미주담당 연구관, 외교통상부 장관 비서관 등을 역임했다. 외무고시를 합격하지 않은 특채 출신 첫 외교부서 국장이었고, 한국 여성 최초 유엔 고위직에 올랐다.[1] 목차 1 생애 1.1 UN 활동 1.2 외교부 장관 2 학력 3 경력 4 수상 5 가족 관계 6 논란 6.1 위장 전입 관련 6.2 자녀 미국 국적 7 각주 8 외부 링크 생애[편집] 1955년 서울에서 한국방송공사(KBS) 아나운서와 미국의 소리 방송 아나운서, KBS 방송 이사를 지낸 강찬선의 딸로 태어났다. 이화여자고등학교 졸업을 거쳐 연세대학교 법정대학 정치외교학과를 학사 학위하고, 미국 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 대학원 커뮤니케이션학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7년에서 1986년까지 KBS 영어방송 프로듀서 겸 아나운서로 활동하였고 1986년에 KBS를 퇴사하여 프리랜서를 선언하였다. 이후 1988년에서 1991년까지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의 영어 안내방송(한국어 안내방송은 정부용이 맡았음)를 맡은 경력을 갖고 있다. 이후 미국 클리블랜드 대학 커뮤니케이션학과 조교수, 1994년부터 1998년까지 세종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조교수로 재직했고, 1990년 6월 16일 국회의장 섭외비서관, 1993년 5월 1일에서 1994년 1월 1일까지 국회의장 섭외담당 비서관, 1994년 1월 1일부터는 국회 의장통역 겸 섭외담당 비서관이었다. 1995년 한국NGO위원회 미디어분과위원장, 베이징 세계여성대회 비정부단체(NGO)부문 대변인으로 활동했다. 그밖에 한국여성단체협의회 국제관계위원회 위원, 한국여성정치문화연구소 이사 등으로도 활동했다. 외무고시를 합격하지 않았으나, 1998년 김대중 정부에서 외교부 국제전문가로 특채되었다. UN 활동[편집] 2001년부터 주 UN 대한민국 대표부 공사 참사관, 2003년 UN여성지위위원회 CSW 의장 등을 지내다가 2005년 외교통상부 국제기구국장이 되었다. 다시 UN으로 돌아가 2006년 9월 UN 인권최고대표사무소 OHCHR 부고등판무관, 2013년 3월 UN인도주의업무조정국 OCHA 사무차장보 등을 맡아보았다. 2016년 10월 신임 UN 사무총장 당선인 인수팀장으로 활동했다. 외교부 장관[편집] 2017년 제9대 유엔 사무총장 안토니우 구테흐스의 정책특별보좌관으로 활동하다가 문재인 정부의 첫 외교부 장관으로 지명되었다. 문재인 정부에서 강경화를 외교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하면서 청와대는 결격사유 2가지를 언급하였다. 청와대는 "1984년 강경화의 미국 유학 중에 태어난 장녀가 이중국적자이며, 2006년 미국 국적을 선택하여 한국 국적을 이탈하였다. 장녀가 미국에서 1년간 고등학교에 다니다가 2000년 2학기에 한국으로 전학을 오면서 1년간 친척 집에 주소지를 둬서 위장전입한 사실도 확인됐다”고 밝혔다.[2] 2017년 6월 18일 임명장을 받았다. 학력[편집] 이화여자고등학교 졸업 1977년 2월 연세대학교 법정대학 정치외교학과 학사 1981년 9월 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 대학원 커뮤니케이션학 석사 1984년 2월 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 대학원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경력[편집] KBS 영어방송 PD 겸 아나운서 1976년 12월 ~ KBS 국제방송 라디오코리아 영어반 PD 1983년 9월 ~ 미국 클리블랜드 대학 커뮤니케이션학과 조교수 1985년 10월 17일 KBS 뉴스 음성다중담당 캐스터[3] 1986년 KBS 퇴사하여 프리랜서 선언. 1990년 6월 16일 국회의장 섭외비서관[4](3급 상당[5]) 1993년 5월 1일 ~ 1994년 1월 국회의장 섭외담당비서관[6] 1994년 1월 ~ 국회의장 통역 겸 섭외담당비서관[7](3급 상당) 1994년 ~ 1998년 세종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조교수 1995년 한국NGO위원회 미디어분과위원장 1995년 베이징 세계여성대회 비정부단체(NGO)부문 대변인[8] 한국여성단체협의회 국제관계위원회 위원[8] 한국여성정치문화연구소 이사[8] 1996년 4월 17일 ~ 4월 22일 이연숙 한국여성단체협의회 회장, 김금래 사무총장과 함께 뉴질랜드 오클랜드의 세계여성단체협의회 집행위원회 참석[9] 1996년 7월 20일[10] ~ 1998년 7월 국회의장 국제담당비서관(별정직 2급[8]) 1998년 7월 30일 ~ 1998년 8월 14일 외무부 외교안보연구원 미주부 연구관(별정직 3급[8]) 1998년 8월 15일 ~ 1999년 1월 25일 외교통상부 외교안보연구원 미주 연구관[11] 1999년 1월 25일 ~ 2000년 외교통상부 장관 보좌관 2001년 ~ 2005년 주 유엔 대한민국 대표부 공사 참사관 2003년 유엔여성지위위원회 CSW 의장 2005년 외교통상부 국제기구국장 2006년 9월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 OHCHR 부고등판무관 2007년 1월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 부대표 (사무차장보급) 2013년 3월 유엔인도주의업무조정국 OCHA 사무차장보 2013년 4월 유엔인도지원조정관실 긴급구호 부조정관 (사무차장보급) 2016년 10월 UN 사무총장 당선인 인수팀장 2017년 1월 ~ 2017년 5월 UN 정책특별보좌관 2017년 6월 ~ 제38대 외교부 장관 2019년 5월 ~ : 국가기후환경회의 위원(정부) 수상[편집] 2006년 11월 제21회 한국여성단체협의회 올해의 여성상 2006년 12월 근정포장 2013년 11월 제11회 한국 YWCA연합회 한국여성지도자상 특별상 가족 관계[편집] 아버지 : 강찬선(康贊宣, 1918년 4월 17일 ~ 1998년 12월 10일) 어머니 : 김길임(金吉任) 남편 : 이일병 논란[편집] 위장 전입 관련[편집] 2000년 강경화의 딸은 미국 고등학교에서 대한민국의 이화여자고등학교로 전학하였다. 강경화는 이때 서울 중구 정동의 한 아파트에 위장전입(주민등록법위반)하였다. 2017년 5월 21일 강경화는 대통령비서실이 외교부 장관 후보자 지명 사실을 발표할 때 해당 아파트가 친척집이라고 해명했으나, 당시 정동 아파트는 사실상 이화여자고등학교의 관사로 밝혀졌다. 강경화는 2017년 6월 7일 위장전입 사실을 인정하였으나[12], 주민등록법위반 공소시효(5년)가 지나 형사처벌 받지는 않았다. 주민등록법 제37조 3의2항은 "주민등록 또는 주민등록증에 관하여 거짓의 사실을 신고 또는 신청한 사람"은 3년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으로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30일 이상 거주할 목적없이 주소지를 등록하면 위장전입으로 해석된다.[13] 자녀 미국 국적[편집] 강경화의 자녀는 2006년 한국 국적을 포기하고 미국 국적을 선택했다. 2017년 5월 외교부 장관 인사청문회에서 장녀의 미국 국적이 논란이 되자 강경화는 한국 국적 회복을 약속했다. 하지만 취임 뒤에도 국적 회복 신청을 하지 않아 비판을 받았다.[14] 결국 강경화의 자녀는 2018년 7월 3일에 한국 국적을 회복했다. 각주[편집] ↑ [강경화 후보자 누구] 첫 여성 외교장관 후보… 非외시 非 북미라인 ↑ “장관직 수행에 중대 결점 아니다?... 강경화 장녀 위장전입 논란”. 《서울경제》. 2017년 5월 21일.  ↑ [1] ↑ [2] ↑ [3] ↑ [4] ↑ [5] ↑ 가 나 다 라 마 [6] ↑ [7] ↑ [8] ↑ [9] ↑ 박상휘·이정호 (2017년 6월 7일). “강경화 "아이가 걱정스러워서, 대단히 죄송"…위장전입 사과”. 《뉴스1》.  ↑ 강민규 (2017년 5월 26일). “김상조까지 논란 위장전입 뭐길래..최고 징역 3년 중범죄”. 《위클리오늘》.  ↑ “강경화 장관 장녀, 아직 국적 회복 신청 안 했다”. 《중앙일보》. 2017년 10월 12일.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강경화 강경화 - 네이버 인물검색 강경화 - 다음 인물백과 전임윤병세 제38대 외교부 장관2017년 6월 18일 ~ 후임(현직) vdeh 대한민국 중앙행정기관의 장원장 감사원장 최재형 국정원장 서훈 장관 기재부 장관 홍남기 교육부 장관 유은혜 과기정통부 장관 유영민 외교부 장관 강경화 통일부 장관 김연철 법무부 장관 박상기 국방부 장관 정경두 행안부 장관 진영 문체부 장관 박양우 농식품부 장관 이개호 산업부 장관 성윤모 복지부 장관 박능후 환경부 장관 조명래 고용부 장관 이재갑 여가부 장관 진선미 국토부 장관 김현미 해수부 장관 문성혁 중기부 장관 박영선 실장 대통령비서실장 노영민 국가안보실장 정의용 국무조정실장 노형욱 국무총리비서실장 정운현 위원장 방송통신위원장 이효성 공정거래위원장 김상조 금융위원장 최종구 국민권익위원장 박은정 원자력안전위원장 엄재식 처장 경호처장 주영훈 보훈처장 피우진 인사처장 황서종 법제처장 김형연 식약처장 이의경 외청장 국세청장 한승희 관세청장 김영문 조달청장 정무경 통계청장 강신욱 검찰총장 문무일 병무청장 기찬수 방사청장 왕정홍 경찰청장 민갑룡 소방청장 정문호 문화재청장 정재숙 농진청장 김경규 산림청장 김재현 특허청장 박원주 기상청장 김종석 행복청장 김진숙 새만금청장 김현숙 해경청장 조현배 감사원장, 기획재정부 장관 및 교육부 장관은 부총리급 대우를 받는다. 국무총리비서실장,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 처장 및 외청장은 차관급 대우를 받는다. 단, 국가보훈처장과 검찰총장은 장관급 대우를 받는다. 그 외의 직책은 모두 장관급 대우를 받는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강경화&oldid=24370162" 분류: 1955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신천 강씨서울특별시 출신이화여자고등학교 동문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동문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 동문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프리랜서 아나운서국민대학교 교수숭실대학교 교수세종대학교 교수대한민국의 유엔 직원대한민국의 별정직공무원대한민국의 외교부 장관문재인 정부의 국무위원대한민국의 여자 각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日本語LatinaNorskPortuguêsSvenskaTiếng Việt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3일 (월) 18: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강경화(康京和, 1955년 4월 7일~)는 대한민국의 전직 제38대 외교부 장관이다. 클리블랜드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와 세종대학교 영어영문과 조교수를 지냈고, KBS 방송 프로듀서 겸 아나운서, 음성다중방송담당 캐스터, 한국여성단체협의회 국제관계위원회 위원, 한국여성정치문화연구소 이사 등으로 활동했다. 1990년부터 국회의장 섭외비서관, 통역 겸 섭외담당비서관, 국회 국제담당비서관, 외무부 외교안보연구원 미주담당 연구관, 외교통상부 장관 비서관 등을 역임했다. 외무고시를 합격하지 않은 특채 출신 첫 외교부서 국장이었고, 한국 여성 최초 유엔 고위직에 올랐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강경화는 어떤 삶을 살았을까? Assistant: 1955년 서울에서 한국방송공사(KBS) 아나운서와 미국의 소리 방송 아나운서, KBS 방송 이사를 지낸 강찬선의 딸로 태어났다. 이화여자고등학교 졸업을 거쳐 연세대학교 법정대학 정치외교학과를 학사 학위하고, 미국 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 대학원 커뮤니케이션학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7년에서 1986년까지 KBS 영어방송 프로듀서 겸 아나운서로 활동하였고 1986년에 KBS를 퇴사하여 프리랜서를 선언하였다. 이후 1988년에서 1991년까지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의 영어 안내방송(한국어 안내방송은 정부용이 맡았음)를 맡은 경력을 갖고 있다. 이후 미국 클리블랜드 대학 커뮤니케이션학과 조교수, 1994년부터 1998년까지 세종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조교수로 재직했고, 1990년 6월 16일 국회의장 섭외비서관, 1993년 5월 1일에서 1994년 1월 1일까지 국회의장 섭외담당 비서관, 1994년 1월 1일부터는 국회 의장통역 겸 섭외담당 비서관이었다. 1995년 한국NGO위원회 미디어분과위원장, 베이징 세계여성대회 비정부단체(NGO)부문 대변인으로 활동했다. 그밖에 한국여성단체협의회 국제관계위원회 위원, 한국여성정치문화연구소 이사 등으로도 활동했다. 외무고시를 합격하지 않았으나, 1998년 김대중 정부에서 외교부 국제전문가로 특채되었다.
Human: 아래 세정_(가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세정 (가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세정 (가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세정 기본 정보본명 김세정출생 1996년 8월 28일(1996-08-28) (22세)[1]대한민국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2]직업 가수, 배우장르 발라드활동 시기 2016년 ~ 현재 레이블 CJ E&M (CJ E&M MUSIC)소속사 젤리피쉬 엔터테인먼트소속 그룹 구구단, 구구단 세미나관련 활동 아이오아이 세정(본명: 김세정, 한국 한자: 金世正, 1996년 8월 28일 ~ )은 대한민국의 걸 그룹 구구단의 메인보컬을 맡고 있다. 전라북도 김제 만경읍에서 출생하였고 지난날 한때 전라북도 김제시 신풍동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녀는 경기도 안양에서 성장하였다. 목차 1 학력 2 활동 3 음반 3.1 OST 3.2 솔로 앨범 3.3 콜라보레이션 4 출연 작품 4.1 드라마 4.2 진행(MC) 4.3 방송 4.4 광고 5 수상 및 후보 5.1 가요 프로그램 1위 6 별명 7 각주 8 외부 링크 학력[편집] 안양부흥초등학교 (졸업) 호계중학교 (졸업) 인덕원고등학교 (졸업) 한양여자대학교 실용음악과 (휴학) 활동[편집] l2016년 12월 29일 SBS 가요대전에서 김세정 2016년 5월 4일에 I.O.I의 미니 앨범 Chrysalis가 발매되면서 본격적인 음악 활동을 시작했으며, 여러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고 있다.[3] 같은 해 6월, 9인조 걸 그룹 구구단 의 멤버로 데뷔하였으며, 2017년 1월 20~21일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진행했던 "Timeslip IOI"를 끝으로 마지막 활동을 마치고 2017년 1월 31일부로 아이오아이가 해체하였다. 그리고 구구단 활동에 전념하여 구구단 멤버로 활동하고 있다. 대만 TTV 명절 특집 프로그램 2019 '초급거성홍백예능대상(超級巨星紅白藝能大賞)'에 유일한 한국 가수로 참석한다. 음반[편집] 세정이 아이오아이 로 발매한 음반에 대해서는 아이오아이#음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세정이 구구단으로 발매한 음반에 대해서는 구구단 (음악 그룹)#음반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OST[편집] 음반 정보 트랙 리스트 푸른 바다의 전설 OST Part.10 발매일: 2017년 1월 12일 만에 하나 만에 하나 (Inst.) 미스터 션샤인 OST Part 13 발매일: 2018년 9월 16일 1. 정인 (情人) 솔로 앨범[편집] 앨범 발매일 수록곡 Jelly box 꽃길 (Prod.By 지코(ZICO)) 세정 2016년 11월 23일 꽃길 (Prod.By ZICO) 꽃길 (Prod.By 지코(ZICO)) (Inst.) 콜라보레이션[편집] 앨범 발매일 가수 수록곡 별빛이 피면 (star blossom) 2017년 10월 13일 김세정, 도영 별빛이 피면 (star blossom) 별빛이 피면 (star blossom) (Inst.) 태일X세정 Single `좋아한다 안 한다` 2017년 6월 12일 김세정, 태일 좋아한다 안 한다 (Duet 세정 of 구구단) (prod . 박경) 좋아한다 안 한다 (prod . 박경)( Inst. ) 출연 작품[편집] 아이오아이로 출연한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아이오아이#음반 외 활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구구단으로 출연한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구구단 (음악 그룹)#음반 외 활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드라마[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비고 2016 KBS2 마음의 소리 옆집녀 특별출연 2017 학교 2017 라은호 2019 너의 노래를 들려줘 홍이영 진행(MC)[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날짜 비고 2016년 KBS2 어서옵SHOW MC 2016년 5월 6일 ~ 2016년 10월 7일 이서진, 김종국, 노홍철과 공동 진행 2017년 On Style 겟잇뷰티 2017 MC 2월 19일 ~ 8월 9일 이하늬, 박산다라, 이세영과 공동 진행 KBS2 배틀트립 스페셜 MC 4월 29일 ~ 5월 6일 2018년 SBS 백종원의 골목식당 스페셜 MC 1월 5일-3월16일 KBS2 해피투게더4 스페셜 MC 10월 25일 유해진, 이서진, 조진웅편 스페셜MC 2019년 SBS funE SBS Plus SBS MTV 2019 One K 콘서트 MC 3월 1일 이상민, 차은우 와 공동 진행 MBC 구해줘!홈즈 MC 2019년 3월 31일 ~ 2019년 4월 7일 김광규, 노홍철, 김숙, 박나래, 장동민, 황보라, 박경 과 공동 진행, MBC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스페셜 MC 2019년 5월 1일 스페셜 MC 방송[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출연 날짜 비고 2013년 SBS K-POP STAR 2 참가자 데뷔전 2016년 Mnet PRODUCE 101 참가자 with 나영, 미나 1월 22일 ~ 4월 1일 11부작 JTBC 천하장사 게스트 with 구구단 6월 19일 JTBC 헌집줄게 새집다오 6월 30일 29회 tvN 집밥 백선생 시즌2 특별출연 7월 12일 MBC every1 주간 아이돌 게스트 7월 13일 251회, 여자친구 & 구구단 편 KBS2 해피투게더 3 게스트 8월 11일 461회, '끝까지 살아남아라 <예능행>' 특집 SBS 보컬전쟁 - 신의 목소리 게스트 8월 15일 SBS 런닝맨 게스트 8월 21일 313회, 런닝우먼 레이스 편 KBS2 슈퍼맨이 돌아왔다 미공개x파일 내레이션 with 구구단 KBS2 추석특집 웬만해선 이 춤을 막을 수 없다 – 붐샤카라카 게스트 9월 15일 OLIVE 신동엽, 성시경은 오늘 뭐 먹지? 게스트 with 구구단 10월 13일 196회 MBC MUSIC 구구단 프로젝트: 극단적인 수학여행 고정 출연 11월 9일 ~ 12월 7일  5부작 KBS2 트릭 & 트루 게스트 11월 16일 4회 JTBC 말하는대로 게스트 11월 30일 10회 KBS2 유희열의 스케치북 게스트 12월 10일 345회 KBS2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게스트 12월 17일 전영록 편 JTBC 한끼줍쇼 게스트 12월 21일 10회, 크리스마스 특집 이태원동 편 SBS 꽃놀이패 게스트 2016년 12월 25일 ~ 2017년 1월 1일 17~18회 2017년 KBS2 1대100 게스트 1월 3일 JTBC #인생메뉴, 잘 먹겠습니다 게스트 1월 12일 23회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출연자 1월 22일 "워커홀릭 개미소녀"로 출연 KBS2 걸그룹 대첩 가문의 영광 게스트 with 구구단 1월 27일 KBS2 노래싸움 - 승부 히든카드 2월 24일 KBS2 배틀트립 게스트 with 나영 3월 4일 SBS 정글의 법칙 in 수마트라 게스트 3월 17일 ~ 5월 12일 9부작 KBS2 해피투게더 3 게스트 with 소미 3월 23일 ~ 3월 30일 491~492회, 15주년 '쟁반노래방 리턴즈' 특집 JTBC 비정상회담 게스트 with 나영 5월 2일 147회, 밥보다 잠이 좋은 나, 비정상인가요? 편 SBS 주먹쥐고 뱃고동 게스트 7월 15일 ~ 8월 12일 여수 편 SBS 마스터키 게스트 10월 21일 SBS 런닝맨 게스트 11월 19일 377회, 가문의 위기 레이스 편 2018년 SBS 스타 강제후기 리뷰쇼 박스라이프 게스트 1월 11일 JTBC 밤도깨비 게스트 1월 14일 JTBC 투유 프로젝트 - 슈가맨2 게스트 1월 14일 1회, 이지연 & 영턱스클럽 편 KBS2 해피투게더 3 게스트 1월 18일 ~ 1월 25일 522~523회, '여神과 함께' 특집 넷플릭스 범인은 바로 너 출연자 5월 4일 ~ 6월 1일 KBS2 슈퍼맨이 돌아왔다 특별출연 5월 13일 JTBC 냉장고를 부탁해 게스트 5월 21일 ~ 5월 28일 182회~183회 tvN 갈릴레오 : 깨어난 우주 출연자 2019년 대만 MTV Idol of Asia 출연자 1월 30일 대만 TTV 超級巨星紅白藝能大賞 출연자 2월 5일 MBC 2019 설날 아이돌스타 선수권대회 출연자 2월 5일 ~ 6일 대만 MTV 我愛偶像雙龍奪豬 출연자 2월 6일 JTBC 아는 형님 출연자 3월 30일 이희진, 효민, 승희 와 함께 출연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출연자 3월 31일 ~ 4월 7일 "손님! 이건 드라이예요~! 이라이자!"로 재출연 및 우승 SBS 집사부일체 게스트 4월 14일 양희은 편 게스트 출연 tvN 놀라운 토요일 - 도레미마켓 게스트 4월 20일 빅스 라비 와 함께 출연 광고[편집] 연도 기업명 제품명 종류 공동 출연 2016 하이트진로 이슬톡톡 탄산주류 임나영, 김청하 웅진식품 하늘보리 아이스 스파클링 음료 아이오아이 넷마블게임즈 백발백중 for Kakao 모바일게임 스톤에이지 SK텔레콤 SK텔레콤 연결의 토닥토닥: 소녀 편 통신사 아모레퍼시픽 에뛰드하우스 화장품 CJ제일제당 쁘띠첼 스윗푸딩, 쁘띠첼 에끌레어 디저트 이베이코리아 옥션 온라인 쇼핑몰 왕뚜껑 팔도 컵라면 형지엘리트 엘리트 학생복 교복 KB국민은행 KB국민은행 Liiv 금융 (주)브랜드 인덱스 팬콧 캐주얼 의류 2016 ~ 2017 (주)형지엘리트 엘리트학생복 교복 롯데그룹 롯데하이마트 - 송년&시즌감사세일, 글로벌PC대전, 홈&클린 대전 종합가전쇼핑몰 전소미(2016.12)[4] 브랜드랩 파고(FAGUO) 프랑스 스니커즈 구구단 2017 신스타임즈 해전1942:구구단과 함께 모바일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삼성전자 빅스비와 함께하는 구구단 세정이의 24시간 - #01 빅스비로 시작하는 활기찬 아침 편 인공지능(AI) 서비스 롯데리아 T.G.I FRIDAYS 레스토랑프랜차이즈 넥슨 서든어택 온라인 FPS 게임 '김세정' 캐릭터 출시 롯데월드 롯데워터파크 워터파크 차은우 동원F&B 동원참치 식품 조정석 Efun Company 주선 for kakao 모바일 게임 (주)제이알코스메틱 밀키드레스 화장품 2017~(현재) 깨끗한 나라 릴리안 숨,쉬다 여성용품 2018~(현재) (주)비앤에이치코스메틱 아크웰 화장품 한국코카콜라(유) 코카콜라 2018 봄 캠페인 음료 박보검 씨브이에스넷(주) GS 포스트박스 택배서비스 혜연, 하나, 미미 2019 Crocs Crocs 글로벌 마케팅 캠페인 ‘컴 애즈 유 아(Come As You Are)’ 글로벌 홍보대사 신발 Zooey Deschanel, Natalie Dormer, Gina Jin, Hirose Suzu 무학 좋은데이 주류 백종원 정식 광고는 아니지만 2017년 롯데칠성음료 주류부문 피츠(Fitz) 라이브 예능 SNS 광고에 출연한 사실도 있다. 수상 및 후보[편집] 아이오아이로 수상한 내역에 대해서는 아이오아이#수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구구단으로 수상한 내역에 대해서는 구구단 (음악 그룹)#수상 내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17년 12월 31일 KBS 연기대상 레드카펫에 참석한 세정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출처 2016 KBS 연예대상 버라이어티 부문 신인상 어서옵SHOW 후보 2017 제10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여자 신인상 학교 2017 후보 제1회 더 서울어워즈 드라마부문 여자 신인상 후보 여자 인기상 수상 [5] 제2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여자 인기상 빈칸 후보 제9회 멜론 뮤직 어워드 Top 10 빈칸 후보 핫 트렌드상 꽃길 후보 좋아한다 안한다 (With. 태일) 후보 제19회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 베스트 보컬 퍼포먼스 여자 솔로 꽃길 후보 올해의 노래상 후보 2018 대한민국 퍼스트브랜드 대상 여자 연기돌 부문 빈칸 후보 SBS 연예대상 베스트 챌린지상 정글의 법칙 수상 [6] KBS 연기대상 여자 신인상 학교 2017 수상 [6] 네티즌상 후보 2018 제54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후보 [7] 가요 프로그램 1위[편집] 연도 수상 내역 (총 1회) 2016년 (총 1회) 꽃길 (총 1회) 11월 30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 송 별명[편집] 신(god)과 그녀의 이름을 합친 '갓세정'이라고 많이 불린다. 이 별명은 구구단 팬이 아닌 사람에게도 널리 알려진 별명이다. 세정의 이름을 부를때 귀엽게 '세동이'라는 별명을 많이 쓴다. 프로듀스 101 시즌 1에서 김소혜에게 춤과 노래를 가르쳐줌으로써 '센세'라는 별명을 갖게 되었다. 각주[편집] ↑ http://www.ymcent.com/YMC/images/artist_ioi_160404.jpg ↑ 만경제재소 신작로 번개장터 : 만경출신 구구단 세정양 특별출연, 김제시민의신문사 ↑ 한은우 (2016년 5월 4일). “아이오아이, 4일 첫 번째 미니앨범 발매 ‘정식 데뷔’”. 《파이낸셜뉴스》. 2016년 6월 4일에 확인함.  ↑ 2016년 12월, 2017년 3~5월 계약 종료됨 ↑ 박수인 (2017년 10월 24일). “박형식·임시완·윤아·김세정, '더 서울어워즈' 인기상 영예”. 헤럴드POP.  ↑ 가 나 정다훈 (2018년 1월 1일). “김세정, KBS 신인상 SBS 베스트챌린지 수상...‘갓세정’ 2관왕”. 서울경제.  ↑ “제54회 백상예술대상, TV·영화 각 부문별 수상 후보자 공개”. 《JTBC 뉴스》. 2018년 4월 6일.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세정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영어) 세정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세정 - 한시네마 vdeh구구단하나 · 미미 · 해빈 · 나영 · 세정 · 샐리 · 소이 · 미나이전 멤버: 혜연EP Act.1 The Little Mermaid (2016) Act.2 Narcissus (2017) Act.5 New Action (2018) 싱글 Act.3 Chococo Factory (2017) Act.4 Cait Sith (2018) 유닛구구단 오구오구싱글 ICE CHU (2017) 구구단 세미나싱글 SEMINA (2018) 관련 문서 젤리피쉬 엔터테인먼트 vdeh아이오아이 임나영 김청하 김세정 정채연 주결경 김소혜 유연정 최유정 강미나 김도연 전소미 EP Chrysalis miss me? 노래 "PICK ME" "Crush" "Dream Girls" "Whatta Man (Good Man)" "손에 손잡고" "너무너무너무" "소나기" 콘서트 타임슬립-아이오아이 텔레비전 프로그램 《스탠바이 I.O.I》 《랜선친구 I.O.I》 《아이오아이 컴백 카운트다운》 《너무너무너무 보고싶었SHOW》 관련 문서 YMC엔터테인먼트 PRODUCE 101 분류 vdeh젤리피쉬 엔터테인먼트경영진 황세준 (창립자·대표이사) 김병선 (사장) 가수현재 소속 그룹 빅스 (엔 · 레오 · 켄 · 라비 · 홍빈 · 혁) 구구단 (하나 · 미미 · 나영 · 해빈 · 세정 · 소이 · 샐리 · 미나) 베리베리 (동헌 · 호영 · 민찬 · 계현 · 연호 · 용승 · 강민) 현재 소속 솔로 박윤하 장혜진 과거 소속 견우 김형중 리사 박학기 브라이언 박장현 이석훈 박효신 서인국 성시경 혜연 배우 · 방송인현재 소속 박정아 김선영 박정수 이종원 공현주 김규선 김예원 정소민 박기웅 과거 소속 전동석 줄리엔 강 박예진 정경호 최지나 송이우 이아린 김태윤 백서이 지율 조혜정 강지환 관련 문서 젤리피쉬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vdehKBS 1·2TV의 학교 시리즈 《학교》 (1999) 《학교 2》 (1999·2000) 《학교 3》 (2000·2001) 《학교 4》 (2001·2002) 《학교 2013》 (2012·2013) 《후아유 - 학교 2015》 (2015) 《학교 2017》 (2017) vdehPRODUCE 101 PRODUCE 101 PRODUCE 101 시즌 2 PRODUCE 48 PRODUCE X 101 우승자PRODUCE 101 (아이오아이) 전소미 김세정 최유정 김청하 김소혜 주결경 정채연 김도연 강미나 임나영 유연정 PRODUCE 101 시즌 2 (워너원) 강다니엘 박지훈 이대휘 김재환 옹성우 박우진 라이관린 윤지성 황민현 배진영 하성운 PRODUCE 48 (아이즈원) 장원영 미야와키 사쿠라 조유리 최예나 안유진 야부키 나코 권은비 강혜원 혼다 히토미 김채원 김민주 이채연 국민 프로듀서 대표 장근석 (PRODUCE 101) 보아 (PRODUCE 101 시즌 2) 이승기 (PRODUCE 48) 이동욱 (PRODUCE X 101) 트레이너PRODUCE 101 가희 (댄스) 김성은 (보컬) 배윤정 (댄스) 제아 (보컬) 치타 (랩) PRODUCE 101 시즌 2 가희 (댄스) 권재승 (댄스) 던밀스 (랩) 신유미 (보컬) 이석훈 (보컬) 치타 (랩) PRODUCE 48 배윤정 (댄스) 소유 (보컬) 이홍기 (보컬) 치타 (랩) 최영준 (댄스) 메이제이 리 (댄스) PRODUCE X 101 권재승 (댄스) 배윤정 (댄스) 신유미 (보컬) 이석훈 (보컬) 치타 (랩) 최영준 (댄스) 음반미니 PRODUCE 101 - 35 Girls 5 Concepts (2016) PRODUCE 101 - 35 Boys 5 Concepts (2017) PRODUCE 101 - FINAL (2017) PRODUCE 48 - 30 Girls 6 Concepts (2018) PRODUCE 48 - FINAL (2018) PRODUCE X 101 - 31 Boys 5 Concepts (2019) 노래 PICK ME (2016) 나야 나 (PICK ME) (2017) 내꺼야 (PICK ME) (2018) _지마 (X1-MA) (2019) 관련 문서 엠넷 CJ ENM YMC엔터테인먼트 씨그널엔터테인먼트그룹 AKATV 아이비아이 레인즈 JBJ JBJ95 YDPP 아키모토 야스시 AKB48 그룹 AKB48 HKT48 NO WAY MAN 시즌 1 참가자 시즌 2 참가자 시즌 3 참가자 시즌 4 참가자 전거 통제 VIAF: 65154590119543080965 ISNI: 0000 0004 6597 9248 뮤직브레인즈: 7fe1c368-db8e-4cce-8aac-d03ff22af69b 멜론: 96826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세정_(가수)&oldid=24529272" 분류: 1996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대한민국의 팝 가수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대한민국의 댄스 음악가대한민국의 아이돌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2016년 데뷔PRODUCE 101 참가자K팝 스타 참가자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참가자아이오아이의 일원구구단의 일원젤리피쉬 엔터테인먼트 음악가광산 김씨김제시 출신안양시 출신전라북도 출신 가수전라북도 출신 음악가안양부흥초등학교 동문호계중학교 (경기) 동문인덕원고등학교 동문한양여자대학교 동문숨은 분류: 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멜론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تۆرکجه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Bahasa MelayuPortuguêsไทยTürkçe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5일 (금) 18:1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세정(한국 한자: 金世正, 1996년 8월 28일~)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이다. 2016년 PRODUCE 101을 통해 걸 그룹 아이오아이의 멤버로서 가수로 데뷔했다. 구구단의 멤버로도 활동했으며, 구구단 해체 후에는 솔로가수, 배우, 뮤지컬 배우로 활동하고 있다. 본관은 광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가수 세정이 제1회 더 서울어워즈에서 상을 수상한 부문은 무엇인가? Assistant: 여자 인기상 Human: 아래 EXO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EXO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EXO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엑소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엑소EXO 기본 정보 국가 대한민국 중국 장르 K-pop 댄스 팝 랩 힙합 음악 R&B 발라드 EDM 활동 시기 2012년 ~ 현재 레이블 아이리버 에이벡스 트랙스 소속사 SM 엔터테인먼트 웹사이트 exo.smtown.com 구성원 수호&카이/시우민&백현&레이&디오&찬열&세훈&첸 이전 구성원 루한 황쯔타오 우이판 엑소 (영어: EXO) 는 SM 엔터테인먼트 소속의 대한민국 9인조 보이 그룹이다. 현재 멤버 시우민, 디오는 병역을 이행 중에 있다. (2019년 7월 1일 기준) 목차 1 개요 2 활동 2.1 2011년 2.2 2012년 2.3 2013년 2.4 2014년 2.5 2015년 2.6 2016년 2.7 2017년 2.8 2018년 2.9 2019년 3 구성원 3.1 이전 구성원 4 음반 5 콘서트 투어 6 수상 및 후보 7 각주 8 외부 링크 개요[원본 편집] 데뷔 미니앨범인 《MAMA》는 2012년 4월 8일에 발매되었고,[1][2] EXO-M의 버전은 출시 하루만에 중국의 음악 차트 정상을 차지했으며, EXO-K의 《MAMA》 뮤직비디오는 유튜브의 글로벌 차트에서 7위를 기록했다.[3][4] 2012년 데뷔 EP 《MAMA》와 2013년 정규 앨범 《XOXO》는 전 세계적으로 총 150만장의 판매량을 기록, 상업적으로 크게 성공했다.[5][6] 또한 《XOXO》로 데뷔 이후 단기간에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에서 올해의 앨범상을 수상한 음악 그룹이기도 하며,[7] 12년 만에 가장 빠른 속도로 높은 판매량을 기록한 K-POP 아티스트이다. EXO는 100만 장 판매를 5회 연속으로 달성하여 보이그룹 최초로 "퀸터플 밀리언셀러"라는 기록을 세웠으며, 정규 5집 《DON'T MESS UP MY TEMPO》로 21세기에 데뷔한 가수들 중 최초로 누적 음반 판매량 1000만장을 달성하였다. 또한 각종 시상식에서 대상을 수상하여 경력을 통틀어 5년 연속 대상을 수상하였다. EXO는 정규 1집의 타이틀곡 《늑대와 미녀》로 첫 음악방송 1위를 달성하였고, 정규 1집 리패키지 앨범 타이틀곡 《으르렁》은 큰 인기를 얻었다. 이후 《중독》, 《CALL ME BABY》, 《LOVE ME RIGHT》 《Monster》, 《Lucky one》, 《Ko Ko Bop》, 《Power》, 《Tempo》, 《Love Shot》등 매년 히트곡을 발표하였다. 그 중 《Power》는 2018년 두바이 분수쇼에서 대한민국 가수의 음악으로는 최초로 선정되었다. 또한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폐막식에서 카이의 독무를 포함한 엑소의 무대가 이루어졌다. 활동[원본 편집] 2011년[원본 편집] 2011년 1월, SM 엔터테인먼트의 이수만 대표는 2011년 3월에서 4월쯤에 신인 남성 그룹을 데뷔시키는 계획을 언론에 공개했다.[8][9][10] 뒤이어 5월 이수만은 스탠포드 대학교에서 열린 '한류 비즈니스 세미나'에서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새로운 남성 그룹에 대해 한 그룹을 두 개의 유닛 그룹으로 분리하는 자신의 전략을 설명하고, 그들이 한국어와 중국어로 같은 노래를 불러 각각 한국과 중국에서 앨범을 발표하고 활동한다고 발표했다.[11] 그룹의 이름은 일시적으로 K와 M으로 불리었고, K는 한국인 8명과 M은 중국인 4명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알려졌다.[12] 하지만, 신인 그룹의 멤버 구성이나 변경 등으로 그룹의 데뷔 계획이 연기 되었고, 멤버 및 데뷔 계획이 확정 된 이후에, 비로소 그룹은 공식적인 데뷔를 준비하기 시작했다.[13] 2011년 12월에, 그룹의 이름은 태양계 외행성의 'Exo Planet'에서 따온 EXO로, 한국에서 활동하는 유닛 그룹은 'Korean' 에서 이름을 따온 EXO-K와 중국에서 활동하는 유닛 그룹은 표준 중국어를 의미하는 'Mandarin'에서 따온 EXO-M으로 이름을 확정하였다. 팬클럽 이름 EXO-L 은 영어 알파벳에서 K와 M 바로 사이에 있는 L로 선정 한 것으로, EXO-K, EXO-L, EXO-M 이 함께 있어야 알파벳 즉, 엑소가 완성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카이, 루한, 타오, 세훈, 레이, 시우민, 디오, 수호, 크리스, 첸, 백현, 찬열순으로 공개가 되었다.[14] 2012년[원본 편집] 2012년 11월 SM Town Live World Tour III in Singapore 에서 EXO 2012년 1월 30일, EXO는 첫 번째 프롤로그 싱글 《What Is Love》의 한국어와 중국어 버전 곡이 공개되었고, 이후 3월 9일, 두 번째 프롤로그 싱글 《HISTORY》의 한국어와 중국어 버전 곡이 공개되고,[15] 각 두 팀의 구성원도 공개되었다. 이렇게 총 23편의 티저 영상과 두 개의 프롤로그 싱글을 공개한 EXO의 쇼케이스 소식이 3월 23일 알려졌다.[16] EXO는 3월 31일, 서울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4월 1일에는 베이징 대외경제무역대학교 대극장에서 쇼케이스를 개최하였는데,[17] 한국 쇼케이스가 열린 3월 31일은 EXO가 처음으로 공개된 지 100일이 되는 날이었다. EXO는 쇼케이스에서 데뷔 앨범의 타이틀 곡 «MAMA»의 무대를 처음으로 선보였다. SM 쇼케이스에는 신인그룹으로는 이례적으로 8000명이 관람을 신청하였으며, 이 중 추첨을 통해 3000명의 팬들이 초대되었다.[18] EXO는 4월 8일에 음원 웹사이트에 타이틀 곡 «MAMA»를 선공개하고 다음 날인 9일 데뷔 미니앨범 《MAMA》가 발매되면서 정식으로 데뷔하였다.[19] EXO-K는 《SBS 인기가요》에서, EXO-M은 제 12회 《음악풍운방》시상식에서 각각 첫 무대를 가졌다.[20][21] 2012년 11월, EXO는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에서 최우수 뉴 아시안 아티스트 그룹상을 수상하였다. 또한 EXO-K는 골든 디스크 어워드에 3개 부분에 후보 지명되어 신인상을 수상하였고, EXO-M은 음악풍운방 연도성전에서 최고 인기그룹상을 수상하였다. 2013년[원본 편집] 2013 제3회 Korea K-Pop World Festival 에서 EXO 2013년 5월, SM 엔터테인먼트는 EXO의 컴백 앨범이자, 첫 번째 정규 앨범 《XOXO》의 티저 사진을 공개했다. EXO-K와 EXO-M은 따로 활동을 했던 «MAMA»의 프로모션과는 달리, 완전체로 활동을 발표했다.[22] 하지만 앨범의 타이틀 곡 "늑대와 미녀(Wolf)"만을 EXO 멤버 전체가 같이 부르고 한국어 앨범과 중국어 앨범의 수록곡은 EXO-K와 EXO-M 개별적으로 불렀다.[23] 《XOXO》는 두 가지 버전인 《Kiss》(한국어 앨범)과 《Hug》(중국어 앨범)으로 나뉘어 발매되었다.[24][25] 그들은 "늑대와 미녀(Wolf)"로 지난 2012년 데뷔 이래 대한민국 음악 방송에서 첫 1위를 차지했다.[26][27] 2013년 8월 5일, 《XOXO》의 리패키지 앨범이 발매 되었다.[28] 타이틀 곡은 《으르렁(Growl)》으로 8월 1일 유튜브에서 뮤직 비디오가 공개되었다.[29] "으르렁"은 한국의 음악 방송에서 3주 연속 1위를 기록해, 14개 이상의 트로피를 차지했다.[30] 《XOXO》과 리패키지 앨범이 합계 100만장 이상의 앨범 판매량을 기록해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에서 밀리언 셀러 올해의 앨범을 수상하였으며, 멜론 뮤직 어워드에서 올해의 노래상을 수상하였다.[31] EXO는 《XOXO》에 이어 겨울 스페셜 앨범이자, 미니 앨범 《12월의 기적 (Miracles In December)》을 12월 9일에 발매 했다.[32] 타이틀 곡은 멤버 백현, 첸, 디오(D.O.)의 3명이 참여하였으며, 중국어 버전에는 멤버 첸, 백현, 루한의 3명이 참여했다.[33] 판매량은 40만 장을 기록했다.[34] EXO는 MBC every1에서 첫 리얼리티 프로그램 《EXO의 쇼타임》(2013년 11월 28일부터 2014년 2월 13일 종영)이 방송 되었다.[35] EXO는 2013년 12월 27일 《KBS 가요대축제》에서 올해의 노래상을 수상했고,[36] 다음 해 2014년 1월 16일, 골든 디스크 어워드에서 음반 부분 대상을 수상했다.[37] 2014년 1월 23일, 서울가요대상에서는 3관왕을 차지하며, 다섯 번째로 대상을 수상하였다.[38] 2014년[원본 편집] 2014년 12월 Mnet Asian Music Awards 에서 Exo 2014년 3월, SM 엔터테인먼트는 멤버의 개인 티저 사진을 공개하고 EXO의 컴백을 발표했다.[39] 음반을 발매하기 이전, SM엔터테인먼트는 4월 14일 "음악방송 제출용 엑소 "중독" 안무영상의 불법 유포 건과 관련해 저작권법 위반(저작권 침해),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영업비밀 침해)으로 서울중앙지방검찰청에 형사 고소장을 정식 접수했다"고 밝혔다.[40] 2014년 4월 15일, EXO는 서울 잠실 실내체육관에서 삼성뮤직과 함께하는 컴백 쇼케이스를 갖고 미니앨범의 타이틀 곡 중독(Overdose)을 공개했다.[41] 또한, 쇼케이스는 삼성뮤직을 통해 온라인으로 실시간 생중계 되었다.[42] EXO-K는 애당초 4월 18일 《뮤직 뱅크》에서 컴백 무대를 가질 예정이었지만, 세월호 사건의 여파로 컴백 일정이 갑자기 변경되었다. EXO-M은 예정대로 4월 19일 중국 음악 방송에서 컴백 하였다. 그들의 두 번째 미니앨범 《중독 (Overdose)》은 2014년 5월 7일 발매되었다.[43][44] 또한 컴백과 동시에 EXO의 컴백부터 활동 모습을 담은 리얼리티 프로그램 Mnet 《뜨거운 순간 xoxo, EXO》에 출연했다.[45][46] 2014년 5월, EXO-M의 멤버 크리스는 한국에서 활동하면서 문화적 차이, 기획사 시스템 적응과 수익 배분 갈등이 있다는 이유로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소속사의 SM 엔터테인먼트을 상대로 자신의 전속계약 무효 소송을 접수했다.[47][48] 이 사건으로 5월 23일에 서울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EXO의 첫 번째 단독 콘서트 EXO FROM. EXOPLANET 1 - THE LOST PLANET -에는 크리스가 불참한 가운데 멤버 11명만이 무대에 섰고, 성황리에 공연을 마쳤다. EXO는 이날 서울 공연을 시작으로 베이징, 홍콩, 방콕, 자카르타, 도쿄 등 아시아 주요 도시를 도는 첫 아시아 투어를 시작했다. 2014년 8월부터는 EXO가 K-POP 부흥기인 1990년대와 글로벌 정점에 선 2014년을 연결하는 프로그램으로 지금까지 가요계 정상을 지킨 선배 가수들과 매회 당시의 명곡 등을 새롭게 조명하는 시간을 가진다는 취지로 기획된 프로그램 Mnet 《EXO 90:2014》에 출연하여 총 11화로 마무리하였다.[49][50] 2014년 10월, 지난 5월 자신의 전속계약 무효 소송을 접수한 EXO-M의 전 멤버 크리스에 이어 5개월 만에 멤버 루한은 소속사 측이 미래의 발전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지 못했고, 이어 중국인 멤버 차별 대우, 불합리한 이익 분배, 고강도 스케줄 및 스트레스에 따른 건강 이상을 이유로 소속사의 SM 엔터테인먼트을 상대로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전속계약 무효 소송을 제기했다.[51][52][53][54] 한편 중국인 멤버들의 연이은 탈퇴에 SM 엔터테인먼트는 "스타로서 인기를 얻게 되자 개인의 이득을 우선시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지난 5월 EXO에서 이탈한 크리스 사건과 같이 소송을 제기할 하등의 이유가 없는 상황에서 동일한 법무법인을 통해 동일한 방법으로 패턴화된 소를 제기한다는 것은 그룹 활동을 통해 스타로서 큰 인기를 얻게 되자 소속사를 포함한 모든 관련 계약 당사자들의 이해 관계를 무시하고 개인의 이득을 우선시해 제기한 소송이다"라고 언급하였고, 이외에도 루한이 건강상 이유 및 EXO의 그룹 활동보다 중국 내 개인 활동에 집중하고 싶다는 의사 표현을 해 향후 활동 계획 등을 논의해 나가는 단계에서 급작스럽게 소송을 제기해 매우 당혹스럽고, 중국내 배후 세력도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당사는 이러한 상황에 대해 중국을 포함한 해외 파트너들 및 법률 전문가들과 함께 적극적이고 다각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며 EXO의 향후 활동은 차질없이 진행될 것이다"라고 입장을 밝혔다.[55][56][57][58] EXO는 아시아 투어를 마친 뒤 12월 19일, 모바일 게임 '슈퍼스타 SM TOWN'을 통해 신곡 'December, 2014 (The Winter's Tale)'를 선공개하고 12월 22일, 36곡으로 이루어진 첫 번째 단독 콘서트 앨범을 발매했다. 이 앨범은 12월 한 달간 가장 많이 판매되었다. 2015년 1월 16일 Line TV에 태국에서 방영되는 리얼리티를 촬영해, 마지막 3화는 2015년 1월 23일 금요일에 방송되었다. 2015년[원본 편집] 2015년 3월 30일, EXO는 두 번째 정규 앨범 《EXODUS》를 발매하였다. 2015년 3월 31일, 타이틀곡 'CALL ME BABY'의 뮤직비디오를 공개하였다. 대한민국 가요프로그램에서 18번의 1위를 차지했다. 2015년 6월 3일, 두 번째 정규 앨범의 리패키지 앨범 《LOVE ME RIGHT》을 발매하였고 'LOVE ME RIGHT' 뮤직비디오를 공개하였다. 리패키지앨범에서 타오가 녹음과 뮤직 비디오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2015년 7월 13일, 타오는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I'm back"(내가 돌아왔다)라는 글과 함께 자신의 솔로 데뷔 앨범 재킷으로 추정되는 사진을 게시 했으며, 해당 솔로 데뷔 앨범 또한 '엑소 타오'가 아닌 솔로 아티스트 'Z.TAO'(黄子韬)로 기재하였다. 2015년 7월 23일, 해당 앨범의 신곡이 발표되었다. SM 엔터테인먼트는 이번 그의 싱글 앨범은 SM과 전혀 협의되지 않았다고 밝혀 논란이 되고 있다. 2015년 8월 24일, 타오는 루한·크리스와 같은 변호사를 통해서 전 소속사 SM 엔터테인먼트를 상대로 전속계약부존재확인 소송을 제기했다.[59] 한편 EXO는 대한민국 최초로 고척 스카이돔에서 공연을 하며 많은 팬들의 호응을 이끌어 내었고, 팬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이 공연에서 EXO는 전석 매진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2015년 11월 4일, EXO는 《LOVE ME RIGHT ~ romantic universe ~ 》으로 일본에 데뷔를 하였고, 동시에 일본의 도쿄돔, 쿄세라돔에서 단독 콘서트를 하였다. 첫 일본 음반으로 일본의 유명 음원 차트에서 1위를 하며 EXO는 또 한번 자신들의 기록을 세웠다. 2015년 12월 10일, EXO는 겨울 스페셜 앨범 《SING FOR YOU》를 발매하였다. EXO는 앨범을 발매 한 날 잠실 롯데월드에서 쇼케이스를 개최하였고, 쇼케이스는 네이버 V앱을 통하여 생중계되었다. EXO의 쇼케이스를 생방송으로 시청한 인원 수는 약 138만명이었다. EXO는 V앱에 EXO채널을 오픈 한 후 23일 만에 팔로우 수가 100만명을 돌파하였고, 이것은 네이버 V앱 사상 최단 기간이었다. EXO는 《SING FOR YOU》음반으로 또 하나의 기록을 세웠다. 《SING FOR YOU》는 2015년 12월 16일 기준 초동 판매량(음반 발매 첫 주의 판매량이며 예약판매량은 포함되지 않는다) 27만장을 돌파하였다. 《SING FOR YOU》전의 초동 판매량 1위는 EXO의 《EXODUS》로, 26만장이 넘는 초동 판매량을 기록하였다. 2016년[원본 편집] 2017년 6월 3일 드림콘서트 에서 EXO 2016년 1월 7일, 백현은 미쓰에이 수지와의 듀엣 싱글 《Dream》이 발표 되었다. 2016년 1월 14일, 서울가요대상에서 최초로 3년 연속 대상을 수상하였다. 2016년 1월 21일 골든디스크에서는 음반부문 대상을 3년 연속 수상하였다. 2016년 2월에 EXO는 댈러스, 밴쿠버, 로스 앤젤레스, 시카고, 뉴욕등 총 5개 도시에서 'EXO PLANET #2 - The EXO'luXion -' 북미 투어를 했다.[60] 2016년 초, EXO는 포브스 코리아에서 발표한 2015년 가장 강력한 유명 인사로 분류했다고 밝혀졌다.[61] 2016년 4월에 EXO는 일본 앨범 《LOVE ME RIGHT - romantic universe》를 출시했다고 발표했다.[62] 2016년 6월 9일, 6개월만에 정규 3집 《EX`ACT》로 컴백하였다. 더블 타이틀곡 "Monster"와 "Lucky One"으로 활동 종료 되었다. 2016년 7월 21일, SM엔터테인먼트와 소송을 진행중이던 크리스와 루한이 합의를 하여 EXO에서 공식으로 탈퇴하였다. 하지만 크리스, 루한, 타오 뿐 아니라 이들의 이탈과 관련된 업체들에게 대상으로 중국 현지 법원에서 14건의 소송도 현재 진행중이다. 2016년 8월 18일, 리패키지 앨범 《LOTTO》로 컴백하였다. 타이틀 곡 "Lotto"를 포함한 신곡 4개와 정규 3집 타이틀곡과 수록곡 모두가 수록 되었다. 공식적으로는 19일부터 활동하였으며, MBC와 KBS에서는 상업성 논란으로 타이틀 곡의 제목을 "Lotto"가 아닌 "Louder"로 바꾸어 방송한다. 2016년 8월 25일, 드라마 《달의연인 보보경심 려》의 OST "너를 위해"를 발매하였고. 첸, 백현, 시우민이 참여하였다. 이는 새로운 유닛이 나올 것이라는 것을 잠재적으로 발표한 셈이었다.[출처 필요] 2016년 9월 17일, MBC 《무한도전》을 통해 EXO와 유재석의 콜라보가 성사되었다. 타이틀 곡은 《Dancing King》으로, 오후 8시에 음원이 발매되었다. 2016년 10월 7일, 레이의 첫 번째 싱글 《what U need?》가 발매되었다. 2016년 10월 28일, 레이의 솔로 1집 앨범 《LOSE CONTROL》이 발매되었다. 2016년 10월 31일, 멤버 첸, 백현, 시우민이 EXO-CBX 멤버로 데뷔하여 "Hey Mama!"로 첫 유닛 활동을 하였다. 2016년 11월 19일, 오후 19시에 멜론 뮤직 어워드에 참석하여 올해의 아티스트상 등 5개의 상을 수상하였다. 2016년 12월 2일, 오후 20시에 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에 참석하여 4연속 대상을 수상하였다. 2016년 12월 19일, EXO는 겨울 스페셜 앨범 《For Life》를 발매하였다. 2017년[원본 편집] 2017년 1월 14일, 오후 5시에 골든디스크 시상식에서 골든디스크 역사상 최초로 4년 연속 음반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또한 같은 해 1월 19일 오후 7시에 서울가요대상에 참석하여 4연속 대상을 수상했다. 또한 4월 25일 13시 경에는 EXO의 공식 팬 클럽 EXO-L의 가입자 수가 400만명이 되었다. EXO는 5년 연속 대상을 수상하였으며, 2013년부터 현재까지 총 23개의 대상을 수상함으로써 대한민국 가요계 최다 대상 수상자가 되었다. 또한 모든 시상식에서 대상을 수상하여 최초 '트리플 그랜드 슬램'이라는 기록도 함께 수록하였다. 이외의 기록으로는 '2016 빌보드에서 선정한 최고의 노래 20'에 아시아 가수로는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고, 2016년 전 세계 초동 앨범 판매량 TOP 10 에서 6일차의 기록에도 불구하고 4위(52만 장)에 안착, 전 세계 콘서트표 매진 최단시간기록 (1.47초), 아이돌 최초 쿼드러플 밀리언셀러 등극, 세계그룹가수 음반판매량 5위권 진입, 《EX'ACT》 앨범 역대 최초로 초동 하프밀리언 달성, MAMA 최다 대상 수상자로 기네스북 등재, 국내 음악방송 통산 100회 이상 1위 (음악방송 최다 1위 수상), 버즈량 최초 13주 연속 1위 (최장 1위), 3세대 아이돌 최초 잠실 주경기장 단독콘서트 개최, 앨범판매량 총합 900만장 육박, 대한민국의 각종 음악 계열 교과서 탑재 등이 있으며,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폐막식 무대에서 K팝 가수를 대표해 공연을 하였다. 2017년 7월 18일 정규 앨범 4집 《THE WAR》의 타이틀곡 "Ko Ko Bop"으로 7개월만에 컴백하였다. 이때 당시 '코코밥 챌린지 열풍' 으로 전세계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다.[독자연구?] 같은 해 7월 22일에는 JTBC 《아는 형님》에 출연하였다. 7월 24일 엑소 정규 4집 《THE WAR》은 오후 6시 경 6일만에 하프밀리언을 달성했다. 선주문 80만 장, 아이돌그룹 음반 초동 60만 장 판매를 달성하였다. 8월 14일 엑소 정규 4집 《THE WAR》 출시 24일 만에 101만장(11일 기준)의 판매고를 기록하면서 쿼드러플 밀리언셀러의 탄생을 알렸다. 9월 5일 리패키지 앨범 《THE WAR: The Power of Music》으로 컴백했다. 2017년 9월 15일 롯데 패밀리 콘서트에 참여하여 공연을 하였다. 9월 20일 제 1회 소리바다 시상식에서 대상을 받았다. 9월 30일에는 SBS 《박진영의 파티피플》에 출연하여 톱 아이돌로 살아가는 것에 대한 고충을 털어놓았다. 2017년 10월 7일, 레이의 두 번째 솔로 앨범 《LAY 02 SHEEP》이 발매되었다. 10월 25일, 엑소의 세 번째 단독 콘서트 앙코르 공연 'EXO PLANET #3 - The EXO'rDIUM[dot] -' 화보집 및 라이브 앨범 패키지가 출시 되었다. 2017년 11월 3일, 제 8회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에서 국무총리 표창을 수여 받았다. 11월 15일 제 2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에 참석해 2년 연속 대상을 받았다. 12월 1일 제 19회 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에 참석해 5년 연속으로 올해의 앨범상을 수상하는 대기록을 세웠다. 12월 2일 제 9회 멜론 뮤직 어워드에서 올해의 아티스트상을 수상하였다. 2017년 12월 26일, 오후 18시에 겨울 스페셜 앨범 《Universe》를 발매하였다. 2018년[원본 편집] 2018년 1월 11일, EXO는 제 32회 골든디스크 시상식에 참석해 음반 본상과 글로벌 인기상, 지니뮤직 인기상, Ceci 아시아 아이콘상 등 4개의 상을 수상하였다. 2018년 1월 25일, 제 27회 하이원 서울가요대상에 참석하지는 못했지만 본상과 한류특별상, 팬덤스쿨상을 차지하며 5년 연속 3관왕의 자리에 올랐다. 2018년 1월 31일, 일본 정규 1집 앨범 《COUNTDOWN》이 발매 되었다. 2018년 2월 14일, 제 7회 가온 차트 K-POP 어워드에서 데뷔 이래 처음으로 올해의 가수상 디지털 음원 부문(7월)을 수상했다. 2018년 2월 25일, 평창 동계올림픽 폐막식이 진행된 가운데 엑소가 "으르렁", "Power" 등의 노래로 공연하였다. 2018년 4월 10일, EXO-CBX의 두 번째 미니앨범 《Blooming Days》가 발매되었다. 2018년 10월 19일, 레이의 첫 번째 정규앨범 《NAMANANA》가 발매되었다. 2018년 11월 2일, 정규 5집 앨범 《DON'T MESS UP MY TEMPO》으로 컴백하였다. 중국 음원에는 레이도 참여 한다. 2018년 12월 13일, 리패키지 앨범 《LOVE SHOT》으로 또 다시 컴백을 하였다. 2018년 12월 22일, JTBC 《아는형님》에 두번째로 출연하였다. 2019년[원본 편집] 2019년 01월 30일, 엑소 의 네 번 째 단독 콘서트 앙코르 공연 'EXO PLANET #4 - The EℓyXiOn[dot] -' 화보 집 및 라이브 앨범 패키지 가 출시 되었다. 2019년 5월 7일, 멤버 시우민이 첫 번째로 현역 입대를 했다. 2019년 7월 1일, 멤버 디오가 두 번째로 현역 입대를 했다. 구성원[원본 편집] 이름 사진 소개 수호 본명 : 김준면 (金俊勉[63]) 생년월일 : 1991년 5월 22일(1991-05-22) (28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학력 : 인하대학교 대학원 문화경영학과 (재학) 포지션 : 리더 · 리드 보컬 카이 본명 : 김종인 (金鍾仁[64]) 생년월일 : 1994년 1월 14일(1994-01-14) (25세)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남도 순천시 학력 : 서울공연예술고등학교 실용무용과 (졸업) 포지션 : 서브 보컬 · 서브 래퍼 · 메인댄서 시우민 본명 : 김민석 (金珉錫) 생년월일 : 1990년 3월 26일(1990-03-26) (29세)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구리시[65] 학력 :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음악학과 실용음악전공 (졸업) 포지션 : 서브 보컬 · 서브 래퍼 백현 본명 : 변백현 (邊伯賢[66]) 생년월일 : 1992년 5월 6일(1992-05-06) (27세)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부천시 학력 :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공연예술학과 (졸업) 포지션 : 메인 보컬 레이 본명 : 장이씽 (중국어 간체자: 张艺兴, 병음: Zhāng Yìxīng) 생년월일 : 1991년 10월 7일(1991-10-07) (27세) 출생지 : 중국 후난 성 창사 시 학력 : 후난사범대학부속중학교 포지션 : 서브보컬 · 메인 댄서 디오 본명 : 도경수 (都暻秀[67]) 생년월일 : 1993년 1월 12일(1993-01-12) (26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학력 :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재학) 포지션 : 메인 보컬 찬열 본명 : 박찬열 (朴찬열[68]) 생년월일 : 1992년 11월 27일(1992-11-27) (26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은평구 학력 : 인하대학교 대학원 문화경영학과 (재학) 포지션 : 메인래퍼, 서브보컬 세훈 본명: 오세훈 (吳世勳[69]) 생년월일 : 1994년 4월 12일(1994-04-12) (25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랑구 학력 : 서울공연예술고등학교 실용무용과 (졸업) 포지션 : 리드 래퍼 · 리드 댄서 첸 본명 : 김종대 (金鍾大[70]) 생년월일 : 1992년 9월 21일(1992-09-21) (26세) 출생지 :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학력 : 한양사이버대학교 대학원 광고미디어학과 MBA 전공 (재학) 포지션 : 메인 보컬 이전 구성원[원본 편집] 이름 사진 소개 우이판 이름 : 우이판 (중국어 간체자: 吴亦凡[71], 병음: Wú Yìfán) 생년월일 : 1990년 11월 6일(1990-11-06) (28세) 출생지 : 중국 광둥 성 광저우 시 포지션 : 리더 · 메인 래퍼 · 리드 댄서 루한 이름 : 루한 (중국어 간체자: 鹿晗[72], 병음: Lù Hán) 생년월일 : 1990년 4월 20일(1990-04-20) (29세) 출생지 : 중국 베이징 시 포지션 : 메인 보컬 · 리드 댄서 황쯔타오 이름 : 황쯔타오 (중국어 간체자: 黄子韬, 병음: Huáng Zitāo) 생년월일 : 1993년 5월 2일(1993-05-02) (26세) 출생지 : 중국 산둥 성 칭다오 시 포지션 : 리드래퍼, 서브보컬 음반[원본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EXO의 음반 목록입니다. 콘서트 투어[원본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EXO의 콘서트 투어 목록입니다. 수상 및 후보[원본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EXO의 수상 및 후보 목록입니다. 각주[원본 편집] ↑ “SMTOWN releases official footage from Exo’s showcase, to officially debut on April 9th with «MAMA»”. 《Allkpop》. 2012년 3월 31일. 2012년 4월 24일에 확인함.  ↑ “SM신인 EXO 오늘(9일) 데뷔앨범 발매, 가요계 돌풍 임박”. 《뉴스엔》. 2012년 4월 8일. 2017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30일에 확인함.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 |확인날짜= 및 |accessdate= (도움말) ↑ 한수연 기자 (2012년 4월 9일). “EXO-K 'MAMA' 뮤비, 유투브 세계차트 7위…'REEEED VELVET 대형 신인' 탄생예감”. 한국일보.  ↑ “EXO-K’s Music Video Comes In Seventh on Youtube Chart”. Mnet. 2012년 4월 9일. 2012년 4월 13일에 확인함.  ↑ rocojulie (2012년 6월 18일). “EXO-K finishes up 'Mama' promotions as top new group of the year”. Soompi. 2013년 7월 1일에 확인함.  ↑ carolicity (2013년 5월 30일). “Pre-orders for EXO's first album 'XOXO' about to reach 300,000 copies”. Allkpop. 2013년 7월 1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Adrienne Stanley (2013년 11월 22일). “INFINITE Wins Best Male Group Beating EXO, While EXO Wins Album Of The Year”. 《KpopStarz》. 2013년 11월 22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S.M. to debut a new male idol group”. 《DC News》. 2011년 1월 28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accesdate= (추천: |access-date=) (도움말) ↑ “SM 보이그룹 vs YG 걸그룹, 내년 新아이돌 자존심 성대결”. 뉴스엔. 2011년 11월 14일.  ↑ 조우영 기자 (2011년 12월 22일). “SM 신예 2팀 드디어 출격..샤이니 이후 4년만 `기대`”. 이데일리.  ↑ “SM's Lee Soo-man annunces new boy band”. 《Nate.com》. 2011년 5월 9일. 2012년 4월 15일에 확인함.  ↑ “Practice photo of SM Entertainment’s upcoming boy group "M1″ leaked!”. 《Allkpop》. 2011년 3월 22일. 2012년 4월 9일에 확인함.  ↑ “S.M. Entertainment's chairman Lee Soo-man discusses culture industry secrets and slave contracts”. 《Chosun Ilbo》. 2011년 10월 16일. 2012년 4월 30일에 확인함.  ↑ “SM introduces new boy group member, KAI”. 《Allkpop》. 2011년 12월 22일. 2012년 4월 9일에 확인함.  ↑ “The Prologue Single II ‘HISTORY’ of SM’s New Groups, EXO-K and EXO-M, will be Released on the 9th at 00:00 a.m.!” (보도 자료). SM Entertainment. 2012년 3월 26일. 2012년 4월 24일에 확인함.  ↑ “'대형신인' 엑소, 4월 론칭 앞두고 한중 쇼케이스 개최”. TVREPORT. 2012년 3월 23일.  ↑ “S.M.'s new group Exo first press conference in China”. 《Sina.com》 (중국어). 2012년 4월 1일. 2012년 4월 13일에 확인함.  ↑ “Exo debuts in front of 3000 fans”. 《Korea.net》. 2012년 4월 1일. 2012년 4월 13일에 확인함.  ↑ “The First Mini Album Title Song ‘MAMA’ of Exo-K and Exo-M will be Released Worldwide on the 8th at 00:00!” (보도 자료). SM Entertainment. 2012년 4월 7일. 2012년 4월 11일에 확인함.  ↑ “Exo-K and Exo-M will Make Their Debut on April 8th both in Korea and China!” (보도 자료). S.M. Entertainment. 2012년 4월 3일. 2012년 4월 26일에 확인함.  ↑ “Exo-K make "History" with their debut of "MAMA" on 'Inkigayo'!”. 《Allkpop》. 2012년 4월 8일. 2012년 4월 26일에 확인함.  ↑ [1] ↑ Nefa (2013년 6월 3일). “EXO finally drop their 1st full album 'XOXO'”. allkpop. 2013년 5월 4일에 확인함.  ↑ Grace Danbi Hong (2013년 6월 3일), “EXO Decorates Several Music Charts with ‘XOXO’”, 《enewsWorld》, 2013년 6월 4일에 확인함  ↑ Jeon Su Mi & Erika Kim (2013년 6월 4일), “EXO′s ′XOXO′ Gobbles Up Top Spots on Album Charts”, 《enewsWorld》, 2013년 6월 4일에 확인함  ↑ 김영진 기자 (2013년 6월 17일). “엑소, '늑대와 미녀'로 지상파 음악프로 1위 점령… '대세 입증'”. 엑스포츠뉴스.  ↑ jennywill (2013년 6월 19일). “Exo take home the 'Show Chamption' trophy”. 《Allkpop》. 2013년 8월 13일에 확인함.  ↑ sallice10 (2013년 7월 25일). “EXO to release repackaged album and gear up for follow-up promotions with 'Growl'”. 《Allkpop》. 2013년 7월 31일에 확인함.  ↑ jennywill (2013년 3월 31일). “EXO reveal MV for follow-up song, 'Growl'”. 《Allkpop》. 2013년 7월 31일에 확인함.  ↑ “Group EXO ranks number 1 for 2 weeks straight”. 《KpopStarz》. 2013년 8월 20일. 2013년 8월 29일에 확인함.  ↑ 이혜인 (2013년 11월 15일). “2013 MelOn Music Awards: Daesangs Go to SHINee, Exo, and Busker Busker”. 《Kpop Planet》. 2013년 11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22일에 확인함.  ↑ “EXO ring in the season with 'Miracles in December' MV”. 《Allkpop》. 2013년 12월 4일. 2013년 12월 4일에 확인함.  ↑ “EXO reveals romantic and bittersweet MV teaser for Miracles in December”. 《Allkpop》. 2013년 12월 2일. 2013년 12월 3일에 확인함.  ↑ “EXO Special Album, 'Miracles of December' Receives Over 400,000 Pre-Order Sales”. 《Kpopstarz》. 2013년 12월 9일. 2013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MBC+Media - EXO'S SHOWTIME”. 《MBC》. 2017년 9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0월 31일에 확인함.  ↑ 김영범 기자 (2013년 12월 28일). “'KBS 가요대축제' 올해의 노래, 엑소(EXO) '으르렁'.. 역시 대세돌!”. 한국경제TV.  ↑ 박민경 기자 (2014년 1월 16일). “엑소, 골든디스크 음반 대상 “신인상 후 1년만의 쾌거””. 세계일보.  ↑ 조현주 기자 (2014년 1월 24일). “서울가요대상 엑소, 다섯 번째 대상… '국내 시상식 석권'”. 한국일보.  ↑ SM Entertainment confirms EXO's upcoming comeback kicking off with showcase on April 15 ↑ “SM, 엑소 신곡 안무영상 유출건 14일 검찰 형사고소”. 스타뉴스. 2014년 4월 14일.  ↑ [2] ↑ “EXO Holding Comeback Show Today”. 《Soompi》. 2014년 4월 15일. 2014년 4월 15일에 확인함.  ↑ “EXO's mini-album to be delayed for a tentative date”. 《Allkpop》. 2014년 4월 18일. 2014년 4월 19일에 확인함.  ↑ 디지털 미디어부 (2014년 4월 18일). “엑소(EXO), 새 앨범 '중독'발매 세월호 사고로 무기한 연기”. 세계일보.  ↑ “'대세돌' 엑소, 新 리얼리티 투입…엠넷 "9일 티저오픈"”. OSEN. 2014년 4월 10일.  ↑ “엑소, Mnet '뜨거운 순간 xoxo, EXO'로 컴백”. 노컷뉴스. 2014년 4월 10일.  ↑ 정희서 기자 (2014년 5월 15일). “크리스, SM 전속계약 무효 소송…엑소 어떻게 되나”. 엑스포츠뉴스.  ↑ 한국아이닷컴 뉴스부 (2014년 5월 15일). “엑소 크리스, 슈주 한경 소송 맡았던 법무법인에…”. 한국일보.  ↑ “엑소, 90년대 타임슬립 뮤비 열연 "몰입 위해 노력"”. 엑스포츠뉴스. 2014년 8월 6일.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EXO 90:2014' 엑소, 신화, H.O.T.와 함께 스티커 사진 '찰칵'”. 시사포커스. 2014년 8월 4일.  ↑ “루한 탈퇴, 엑소 향후 활동은? “일본 활동 계획 없어, 10인 완전체 예상””. 쿠키뉴스. 2014년 10월 13일.  ↑ “엑소 루한, 그룹 탈퇴한 네 가지 이유… 팬들 '경악'”. SBS CNBC. 2014년 10월 13일.  ↑ “엑소 루한 소송 사태, 다른 멤버들 여파 없나? '밝은 모습 이질감'”. 티브이데일리. 2014년 10월 13일.  ↑ “엑소 루한 소송, 크리스에 이어 이탈 상황 또 발생 최근 SM엔터테인먼트 연이...”. 헤럴드POP. 2014년 10월 13일.  ↑ “SM, 루한소송에 배후있는듯”. 경향신문. 2014년 10월 10일.  ↑ “‘중국인 멤버’의 이탈… 中연예기획사가 배후?”. 국민일보. 2014년 10월 10일.  ↑ “연합뉴스TV”. 2014년 10월 10일.  ↑ “‘엑소’ 멤버 잇단 소송…SM 주가 폭락에 시총 천억대 증발”. KBS TV. 2014년 10월 10일.  ↑ 라효진 기자 (2015년 8월 24일). “[단독] 타오, SM에 전속계약 소송 제기…루한·크리스와 같은 변호사”. 국민일보.  ↑ “EXO Change Dates For North American Tour, Will Perform Without Lay”. 2015년 12월 25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accesdate=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published= (도움말) ↑ “Forbes Korea Reveals Top 40 “Power Celebrities” of 2016, EXO Keeps Top Spot”. 2016년 2월 25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accesdate=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published= (도움말) ↑ “SM엔터테인먼트, 엑소와 소녀시대 덕분에 1분기 실적 급증”. 2016년 4월 26일. 2016년 4월 27일에 확인함.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published= (도움말) ↑ “EXO-K(엑소케이) 수호, 'EXO를 수호하는 예의바른 리더'”. 조선일보. 2012년 5월 4일.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 “EXO-K(엑소케이) 카이, '모든 댄스 섭렵한 최고의 춤꾼'”. 조선일보. 2012년 5월 8일. 2014년 9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 “시우민, 타오's story”. ize. 2013년 9월 23일. 2015년 7월 18일에 확인함.  ↑ “EXO-K(엑소케이) 백현, '예능계 점령할 준비된 예능돌'”. 조선일보. 2012년 5월 5일. 2014년 9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 “EXO-K(엑소케이) 디오, '내 롤모델은 유영진 작곡가'”. 조선일보. 2012년 5월 7일.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 “EXO-K(엑소케이) 찬열, '불꽃같은 외모를 다스리는 자'”. 조선일보. 2012년 5월 6일. 2014년 9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 “EXO-K(엑소케이) 세훈, '셀카 찍을 때 팬들 생각해'”. 조선일보. 2012년 5월 9일. 2016년 5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 “엑소(EXO) 첸, '볼수록 매력만점 긍정돌'”. 조선일보. 2013년 8월 24일. 2015년 6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 “엑소(EXO) 크리스, '으르렁' 부르는 훈남 비주얼”. 조선일보. 2013년 8월 27일. 2015년 6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 “엑소(EXO) 루한, '헤어스타일 변천사? 두렵지 않아요'”. 조선일보. 2013년 8월 25일. 2015년 6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원본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EXO K-pop 포털 공식사이트 (글로벌) EXO 공식 홈페이지 (글로벌) EXO-L 공식 홈페이지 기타 (글로벌) EXO 유튜브 채널 (글로벌) EXO - 인스타그램 (글로벌) EXO - 트위터 (글로벌) EXO - 페이스북 EXO Members Profile vdehEXO 수호&카이&시우민&백현, 레이&디오&찬열&세훈&첸 정규 음반 XOXO (KISS&HUG) (2013) EXODUS (2015) EX'ACT (2016) The War (2017) DON'T MESS UP MY TEMPO (2018) 리패키지 으르렁 (2013) LOVE ME RIGHT (2015) LOTTO (2016) The Power of Music (2017) LOVE SHOT (2018) EP 음반 MAMA (2012) 12월의 기적 (Miracles In December) (2013) 중독 (Overdose) (2014) Sing For You (2015) For Life (2016) Universe (2017) 리얼리티 TV 쇼 EXO's 쇼타임 EXO 90:2014 콘서트 EXO FROM. EXOPLANET #1 - THE LOST PLANET - (2014) EXOPLANET #2 - The EXO'luXion - (2015/2016) EXOPLANET #3 - The EXO'rDIUM - (2016/2017) EXOPLANET #4- The EℓyXiOn - (2017/2018) EXOPLANET #5 - EXplOration - (2019) 관련 문서 SM 엔터테인먼트 이수만 유영진 켄지 싱글 목록 음반 목록 수상 목록 기타 활동 목록 콘서트 목록   분류   위키공용 vdehEXO의 싱글한국MAMA What Is Love HISTORY 기타 싱글 LIGHTSABER 일본 Love Me Right (romantic universe) OST 최고의 행운 vdehSM 엔터테인먼트경영진 이수만 (회장·총괄 프로듀서) 김영민 (사장) 가수현재 그룹 틴틴파이브 (표인봉, 이웅호, 홍록기, 이동우, 김경식) 동방신기 (유노윤호, 최강창민)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린아, 다나, 선데이) 슈퍼주니어 (이특, 희철, 예성, 강인, 신동, 성민, 은혁, 동해, 시원, 려욱, 규현) 소녀시대 (태연, 써니, 효연, 유리, 윤아) 샤이니 (온유, 키, 민호, 태민) f(x) (빅토리아, 엠버, 루나, 크리스탈) EXO (수호, 카이, 시우민, 백현, 레이, 디오, 찬열, 세훈, 첸) 레드벨벳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NCT (태일, 태용, 쿤, 도영, 텐, 재현, 마크, 쟈니, 유타, 윈윈, 정우, 루카스, 해찬, 런쥔, 제노, 재민, 천러, 지성) 현재 솔로 강타 보아 추가열 제이민 조미 과거 그룹 메이저 (임범준, 서연수) J&J (김주현, 강준식) H.O.T. (문희준, 장우혁, 토니 안, 이재원) 배드 보이스 써클 (최일권, 신태권, 여인택, 송운석) 플라이 투 더 스카이 (환희, 브라이언) @ (에디, 앤서니) 밀크 (박재영, 김보미, 배유미, 서현진) 블랙 비트 (황상훈, 이소민, 정지훈, 심재원, 장진영) 슈가 (아유미, 이하린, 육혜승, 황정음, 박수진) 신비 (유수진, 오상은, 유나) 모닝 (백보람, 신성희, 김부연, 장민경) JYJ (영웅재중, 믹키유천, 시아준수) 트랙스 (제이, 김정모, 긴조) 과거 솔로 현진영 한동준 김광진 이지훈 장나라 장리인 윤상 스테파니 티파니 수영 서현 크리스 루한 타오 종현 헨리 유닛 · 프로젝트 그룹 SM TOWN S.M. THE BALLAD S 강타 & 바네스 M&D 천상지희 다나&선데이 슈퍼주니어-K.R.Y. 슈퍼주니어-T 슈퍼주니어-M 슈퍼주니어-Happy 슈퍼주니어-D&E 소녀시대-태티서 소녀시대-Oh!GG Younique Unit EXO-CBX 비트버거 NCT U NCT 127 NCT DREAM 배우 · 희극인현재 소속 이재룡 유호정 김민종 이연희 설리 최종윤 김이안 과거 소속 손지창 윤다훈 유준상 고아라 박명수 김영철 김미진 김완기 전환규 함효주 김이삭 노민우 강정우 한경 김기범 작곡가 · 프로듀서현재 소속 유영진 유한진 송광식 켄지 히치하이커 디즈 앤드류 최 Coach & Sendo 과거 소속 홍종화 Groovie K 장용진 이윤재 김영후 김지후 에스엠컬처앤콘텐츠현재 소속 신동엽 강호동 전현무 이수근 김병만 김생민 류담 장동혁 김태현 김미정 황신혜 김시후 송재림 백현 이학주 김수로 윤소희 오정연 장위안 한석준 공다임 김재범 김여진 박정복 박진 성두섭 윤나무 윤소호 이경화 이나윤 임병근 장유상 정하루 조민성 김현주 배다빈 김관수 최연우 김수연 박성광 과거 소속 한지민 한채영 공형진 장동건 정소민 김하늘 강예원 갤럭시아에스엠소속 선수 추신수 손연재 고진영 김자영 안신애 양지승 김비오 김민선 심석희 최민정 차준환 김민석 김민선 최재우 강영서 방수빈 정해림 김국영 우상혁 에스팀소속 모델 장윤주 송경아 한혜진 전은주 진아름 지현정 수주 양윤영 진정선 백지원 이혜정 장수임 김성희 송해나 태은 이현이 여혜원 정호연 이선정 김현진 홍지수 고소현 김진경 아이린 주선영 안재현 이철우 박지운 조민호 김종훈 황기쁨 윤소정 기도훈 미스틱엔터테인먼트미스틱89현재 아티스트 조규찬 신치림(윤종신, 하림, 조정치) 정진운 퓨어킴 에디킴 장재인 투개월(도대윤) 박재정 박상돈 포르테 디 콰트로(손태진) 퍼센트 정인 조원선 과거 아티스트 박지윤 김예림 김연우 뮤지 현재 MC 이지연 서장훈 김영철 기안84 과거 MC 박지윤 현재 크리에이터 정석원 과거 크리에이터 윤혜진 에이팝아티스트 브라운 아이드 걸스(제아, 미료, 나르샤, 가인) 조형우 천둥 민서 크리에이터 조영철 이민수 김이나 AIKM아티스트 스쿠비 두(브레이, 덕배) 자이언트핑크 크리에이터 케이준 미스틱액터스현재 아티스트 강래연 고민시 김기방 김사권 김석훈 김성은 노수산나 박시연 박혁권 오지은 오타니 료헤이 유주혜 이규한 이아리 이정혁 장준유 조한선 태항호 하재숙 한채아 과거 아티스트 신소율 장소연 손은서 키이스트vdeh키이스트 (콘텐츠와이)경영진 신필순(CEO) 배성웅(CEO) 양근환(CEO) 배용준(이사) 소속 배우 (키이스트)남성 김수현 김현중 배용준 인교진 주지훈 김희찬 서동건 우도환 손현주 김동욱 윤형렬 여성 문가영 배누리 박수진 소이현 손담비 이세나 정려원 한예슬 한보름 김혜인 지소연 천민희 박선아 조영서 김시은 정해나 남경 엄정화 윤혜진 소속 배우 (콘텐츠와이)남성 김지훈 이지훈 이현우 김도완 문성호 이강민 홍승범 한도우 여성 홍수현 이다인 한지혜 서효림 장다윤 류한비 과거 소속남성 류상욱 박서준 소지섭 엄태웅 권화운 여성 조안 이나영 임수정 홍진영 여의주 박은빈 안소희 구하라 관련 회사 SM 엔터테인먼트 연습생현재 연습생 SM 루키즈 (라미, 히나, 고은, 닝닝, 샤오쥔, 양양, 헨드리) 과거 연습생 지노 SM 루키즈 (혜린, 한솔, 이양) 관련 문서 SM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SM STATION 에스엠컬처앤콘텐츠 갤럭시아에스엠 에스팀 미스틱엔터테인먼트 미스틱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키이스트 vdeh올해를 빛낸 가수와 가요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 원더걸스 빅뱅 장윤정 소녀시대 SG워너비 원더걸스 빅뱅 장윤정 소녀시대 이효리 소녀시대 빅뱅 2PM 원더걸스 장윤정 카라 2NE1 손담비 이승철 슈퍼주니어 소녀시대 2PM 장윤정 태진아 카라 소녀시대 빅뱅 장윤정 김범수 아이유 임재범 2PM 박정현 티아라 원더걸스 싸이 소녀시대 빅뱅 아이유 장윤정 씨스타 티아라 비스트 태진아 버스커버스커 조용필 싸이 장윤정 EXO 소녀시대 아이유 씨스타 이승철 크레용팝 지드래곤/빅뱅 아이유 소녀시대 씨스타 EXO 이선희 걸스데이 이승철 조용필 비스타 장윤정 빅뱅 아이유 소녀시대 장윤정 씨스타 임창정 이선희 엑소 AOA 이승철 임창정 트와이스 장윤정 EXO 이선희 소녀시대 거미 빅뱅 여자친구 방탄소년단 아이유 트와이스 장윤정 방탄소년단 윤종신 워너원 EXO 빅뱅 임창정 이선희 방탄소년단 트와이스 아이유 홍진영 워너원 레드벨벳 블랙핑크 장윤정 이승철 조용필 범례 : 진한 글씨는 1위 선정출처 : 한국갤럽조사연구소 (http://www.gallup.co.kr) EXO의 수상 목록vdeh골든디스크 대상 수상자음반 대상1980년대 조용필 (1986) 이문세 (1987) 주현미 (1988) 변진섭 (1989) 1990년대 변진섭 (1990) 김현식 (1991) 신승훈 (1992) 신승훈 (1993) 김건모 (1994) 김건모 (1995) 김건모 (1996) H.O.T (1997) 김종환 (1998) 조성모 (1999) 2000년대 조성모 (2000) god (2001) 쿨 (2002) 조성모 (2003) 이수영 (2004) SG워너비 (2005) 동방신기 (2006) SG워너비 (2007) 동방신기 (2008) 슈퍼주니어 (2009) 2010년대 소녀시대 (2010) 슈퍼주니어 (2011) 슈퍼주니어 (2012) EXO (2013) EXO (2014) EXO (2015) EXO (2016) 방탄소년단 (2017) 방탄소년단 (2018) 디지털 음원 대상2000년대 SG워너비 (2006) 아이비 (2007) 쥬얼리 (2008) 소녀시대 (2009) 2010년대 2AM (2010) 소녀시대 (2011) 싸이 (2012) 싸이 (2013) 태양 (2014) 빅뱅 (2015) 트와이스 (2016) 아이유 (2017) 아이콘 (2018) 2006년부터 음반 대상과 디지털 음원 대상으로 나누어 시상함. vdeh골든디스크 신인상 수상자1980년대 1986년 김승진·김완선 1987년 문희옥·이정석 1988년 변진섭·이상은 1989년 박학기·조갑경 1990년대 1990년 박성신·김민우 1991년 심신·윤상 1994년 투투 1995년 성진우 1996년 IDOL·H.O.T. 1997년 양파·지누션 1998년 핑클·태사자·S.E.S. 1999년 이정현·원타임 2000년대 2000년 샤크라·박효신·최진영 2001년 성시경·장나라 2002년 휘성·비 2003년 세븐·빅마마 2004년 SG 워너비·테이 2005년 아이비·이루·임정희 2006년 가비엔제이·슈퍼주니어·씨야 2007년 소녀시대·F.T.아일랜드·윤하 2008년 샤이니·다비치 2009년 포미닛·티아라 2010년대 2010년 비스트·시크릿·씨스타 2011년 에이핑크·달샤벳·B1A4·허각·보이프렌드 2012년 EXO·주니엘·B.A.P·이하이·에일리 2013년 김예림·크레용팝·방탄소년단·로이킴 2014년 GOT7·위너·레드벨벳 2015년 iKON·여자친구·세븐틴·트와이스 2016년 블랙핑크·볼빨간사춘기·NCT·아이오아이 2017년 워너원 2018년 (여자)아이들 · 아이즈원 ·스트레이 키즈 vdeh서울가요대상 대상 수상자1990년대 변진섭 (1990) 태진아 (1991) 서태지와 아이들 (1992) 서태지와 아이들 (1993) 김건모 (1994) 룰라 (1995) 클론 (1996) H.O.T (1997) H.O.T · 젝스키스 (1998) 조성모 · 핑클 (1999) 2000년대 조성모 (2000) 김건모 (2001) 보아 (2002) 이효리 (2003) 신화 (2004) 동방신기 (2006) 빅뱅 (2007) 원더걸스 (2008) 소녀시대 (2009) 2010년대 소녀시대 (2010) 슈퍼주니어 (2011) 싸이 (2012) EXO (2013) EXO (2014) EXO (2015) EXO (2016) 방탄소년단 (2017) 방탄소년단 (2018) 대상 최고 앨범상 신인상 OST상 vdeh서울가요대상 신인상 수상자1990년대 김민우 · 신해철 (1990) 심신 · 신승훈 (1991) 이덕진 · 서태지와 아이들 (1992) 최연제 (1993) 구본승 (1994) 성진우·육각수 (1995) 영턱스클럽 (1996) 양파·이지훈 (1997) 김현정 · 유리 · 조성모 · NRG (1998) 이정현 · 채정안 · 샵 · 코요태 (1999) 2000년대 화요비 · 제이 (2000) 성시경 · 브라운 아이즈 · 모닝본드 · 자두 · 투야 (2001) 휘성 · 비 · 리치 (2002) 세븐 · 빅마마 · 마야 (2003) SG워너비 · 이승기 · 동방신기 (2004) 슈퍼주니어 · 씨야 · 브라운 아이드 걸스 (2006) 소녀시대 · 원더걸스 · F.T.아일랜드 (2007) 샤이니 · 다비치 · 마이티 마우스 (2008) 애프터스쿨 · 비스트 · 티아라 (2009) 2010년대 씨스타 · 씨엔블루 · 대국남아 (2010) B1A4 · 에이핑크 · 보이프렌드 (2011) EXO · B.A.P · 이하이 · 에일리 (2012) 방탄소년단 · 김예림 · 크레용팝 (2013) 레드벨벳 · GOT7 · 에디 킴 (2014) 아이콘 · 여자친구 · 세븐틴 (2015) 블랙핑크 · NCT · 아이오아이 (2016) 워너원 · 청하 · 프리스틴 (2017) 스트레이 키즈 · 아이즈원 (2018) 대상 최고 앨범상 신인상 OST상 vdeh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 올해의 가수상2000년대 동방신기 (2006) 슈퍼주니어 (2007) BIGBANG (2008) 2PM (2009) 2010년대 2NE1 (2010) 소녀시대 (2011) BIGBANG (2012) G-DRAGON (2013) EXO (2014) BIGBANG (2015) 방탄소년단 (2016) 방탄소년단 (2017) 방탄소년단 (2018) 올해의 노래상 올해의 가수상 올해의 앨범상 남자 신인상 여자 신인상 남자 가수상 여자 가수상 남자 그룹상 여자 그룹상 vdeh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 올해의 앨범상2000년대 SG 워너비 - The 3rd Masterpiece (2006) 에픽하이 - Remapping the Human Soul (2007) 동방신기 - MIROTIC (2008) G-DRAGON - Heartbreaker (2009) 2010년대 2NE1 - To Anyone (2010) 슈퍼주니어 - Mr. Simple (2011) 슈퍼주니어 - Sexy, Free & Single (2012) EXO - XOXO (2013) EXO - 중독 (Overdose) (2014) EXO - EXODUS (2015) EXO - EX'ACT (2016) EXO - The War (2017) 방탄소년단 - LOVE YOURSELF 轉 'Tear' (2018) 올해의 노래상 올해의 가수상 올해의 앨범상 남자 신인상 여자 신인상 남자 가수상 여자 가수상 남자 그룹상 여자 그룹상 vdeh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 남자 그룹상1990년대 H.O.T. (1999) 2000년대 god (2000) 신화 (2001) 신화 (2002) 신화 (2003) 신화 (2004) SG 워너비 (2005) 동방신기 (2006) BIGBANG (2007) BIGBANG (2008) 2PM (2009) 2010년대 2PM (2010) 슈퍼주니어 (2011) BIGBANG (2012) 인피니트 (2013) EXO (2014) EXO (2015) EXO (2016) 워너원 (2017) 워너원 (2018) 올해의 노래상 올해의 가수상 올해의 앨범상 남자 신인상 여자 신인상 남자 가수상 여자 가수상 남자 그룹상 여자 그룹상 vdeh멜론 뮤직 어워드 - 올해의 가수상2000년대 소녀시대 (2009) 2010년대 소녀시대 (2010) 비스트 (2011) 비스트 (2012) 샤이니 (2013) 아이유 (2014) 빅뱅 (2015) EXO (2016) EXO (2017) 방탄소년단 (2018) 올해의 노래상 올해의 가수상 올해의 앨범상 신인상 Top 10 vdeh멜론 뮤직 어워드 - 올해의 노래상2000년대 소녀시대 - Gee (2009) 2010년대 2AM - 죽어도 못 보내 (2010) 아이유 - 좋은 날 (2011) 싸이 - 강남스타일 (2012) EXO - 으르렁 (2013) 태양 - 눈, 코, 입 (2014) 빅뱅 - 뱅뱅뱅 (BANG BANG BANG) (2015) 트와이스 - Cheer Up (2016) 방탄소년단 - 봄날 (2017) 아이콘 - 사랑을 했다 (2018) 올해의 노래상 올해의 가수상 올해의 앨범상 신인상 Top 10 vdeh멜론 뮤직 어워드 - 올해의 앨범상2000년대 지드래곤 - Heartbreaker (2009) 2010년대 2NE1 - To Anyone (2010) 2NE1 - 2nd Mini Album (2011) 버스커 버스커 - 버스커 버스커 1집 (2012) 버스커 버스커 - 버스커 버스커 2집 (2013) god - Chapter 8 (2014) EXO - EXODUS (2015) 방탄소년단 - 화양연화 Young Forever (2016) 아이유 - Palette (2017) 방탄소년단 - LOVE YOURSELF 轉 'Tear' (2018) 올해의 노래상 올해의 가수상 올해의 앨범상 신인상 Top 10 vdeh멜론 뮤직 어워드 - Top 102000년대2009년 소녀시대 2NE1 2PM 8eight 다비치 브라운 아이드 걸스 슈퍼주니어 카라 케이윌 G-드래곤 2010년대2010년 소녀시대 아이유 2AM 2NE1 2PM 씨엔블루 이승기 미쓰에이 포맨 DJ DOC 2011년 아이유 f(x) 2NE1 리쌍 박정현 비스트 빅뱅 슈퍼주니어 시크릿 씨스타 2012년 싸이 씨스타 아이유 티아라 빅뱅 2NE1 버스커 버스커 비스트 인피니트 허각 2013년 아이유 샤이니 G-DRAGON 다이나믹 듀오 버스커 버스커 BEAST 다비치 씨스타 에일리 EXO 2014년 아이유 걸스데이 2NE1 god WINNER 비스트 씨스타 악동뮤지션 태양 EXO 2015년 빅뱅 소녀시대 샤이니 에이핑크 산이 Zion.T 씨스타 토이 혁오 EXO 2016년 방탄소년단 태연 비와이 레드벨벳 TWICE 마마무 악동뮤지션 여자친구 지코 EXO 2017년 방탄소년단 워너원 빅뱅 아이유 레드벨벳 WINNER 헤이즈 볼빨간사춘기 TWICE EXO 2018년 방탄소년단 워너원 트와이스 블랙핑크 iKON 비투비 마마무 에이핑크 EXO 볼빨간사춘기 올해의 노래상 올해의 가수상 올해의 앨범상 신인상 Top 10 vdeh가온차트 뮤직 어워즈 - 올해의 가수상 음원2010년대2012년 시크릿 (1월 - Shy Boy, 6월 - 별빛달빛), 아이유 (2월 - 나만 몰랐던 이야기, 12월 - 너랑 나), 케이윌 (3월 - 가슴이 뛴다), 빅뱅 (4월 - LOVE SONG), 2NE1 (5월 - Lonely), 티아라 (7월 - Roly-Poly), 리쌍 (8월 - TV를 껐네...), 다비치 (9월 - 안녕이라고 말하지마), 이승기 (10월 - 연애시대), 원더걸스 (11월 - Be My Baby) 2013년 티아라 (1월 - Lovey-Dovey), 빅뱅 (2월 - BLUE, 3월 - Fantastic Baby), 버스커 버스커 (4월 - 벚꽃 엔딩), 소녀시대-태티서 (5월 - Twinkle), 원더걸스 (6월 - Like This), 2NE1 (7월 - I Love You), 싸이 (8월 - 강남스타일), 서인국&정은지 (9월 - All For You), 가인 (10월 - 피어나), 이하이 (11월 - 1,2,3,4), 이승기 (12월 - 되돌리다) 2014년 소녀시대 (1월 - I GOT A BOY), 씨스타19 (2월 - 있다 없으니까), 다비치 (3월 - 거북이), 싸이 (4월 - GENTLEMAN), 포미닛 (5월 - 이름이 뭐예요?), 씨스타 (6월 - Give It To Me), 다이나믹 듀오 (7월 - BAAAM), 산이 (8월 - 아는사람 얘기), 소유X매드 클라운 (9월 - 착해 빠졌어), 아이유 (10월 - 분홍신), 미쓰에이 (11월 - Hush), 서인국&지아 (12월 - 이별남녀) 2015년 걸스데이 (1월 - Something), 소유X정기고 (2월 - 썸), 2NE1 (3월 - Come Back Home), 악동뮤지션 (4월 - 200%), god (5월 - 미운오리새끼), 태양 (6월 - 눈, 코, 입), 산이X레이나 (7월 - 한여름밤의 꿀), 박보람 (8월 - 예뻐졌다), 씨스타 (9월 - I Swear), 김동률 (10월 - 그게 나야), MC몽 (11월 - 내가 그리웠니), 에이핑크 (12월 - LUV) 2016년 매드 클라운 (1월 - 화 (Feat. 진실 Of Mad Soul Child)), 나얼 (2월 - 같은 시간 속의 너), MC몽 (3월 - 사랑 범벅 (Feat. 챈슬러 of the channels)), 미쓰에이 (4월 - 다른 남자 말고 너), 빅뱅 (5월 - LOSER, 6월 - 뱅뱅뱅 (BANG BANG BANG), 7월 - IF YOU, 8월 - 우리 사랑하지 말아요), iKON (9월 - 취향저격), 태연 (10월 - I (Feat. 버벌진트)), 지코 (11월 - Boys And Girls (Feat. Babylon)), 싸이 (12월 - DADDY (Feat. CL of 2NE1)) 2017년 여자친구 (1월 - 시간을 달려서), 마마무 (2월 - 넌 is 뭔들), 장범준 (3월 - 사랑에 빠졌죠 (당신만이)), 트와이스 (4월 - Cheer Up, 10월 - TT), 어반자카파 (5월 - 널 사랑하지 않아), 씨스타 (6월 - I Like That), 원더걸스 (7월 - Why So Lonely), 블랙핑크 (8월 - 휘파람, 11월 - 불장난), 임창정 (9월 - 내가 저지른 사랑), 빅뱅 (12월 - 에라 모르겠다) 2018년 악동뮤지션 (1월 - 오랜 날 오랜 밤), 트와이스 (2월 - KNOCK KNOCK, 12월 - Heart Shaker), 아이유 (3월 - 밤편지, 4월 - 사랑이 잘), 싸이 (5월 - I LUV IT), 지드래곤 (6월 - 무제), EXO (7월 - Ko Ko Bop), 선미 (8월 - 가시나), 젝스키스 (9월 - 특별해), 에픽하이 (10월 - 연애소설), 워너원 (11월 - Beautiful) 2019년 iKON (1월 - 사랑을 했다(LOVE SCENARIO)), 로이킴 (2월 - 그때 헤어지면 돼), 빅뱅 (3월 - 꽃 길), 트와이스 (4월 - What is Love?, 7월 - Dance The Night Away), 볼빨간사춘기 (5월 - 여행), 블랙핑크 (6월 - 뚜두뚜두(DDU-DU DDU-DU)), 레드벨벳 (8월 - Power Up), 임창정 (9월 - 하루도 그대를 사랑하지 않은 적이 없었다), 아이유 (10월 - 삐삐), 제니 (11월 - SOLO) 올해의 신인상 올해의 가수상 앨범 vdeh가온차트 뮤직 어워즈 - 올해의 가수상 앨범2010년대2012년 동방신기 - Keep Your Head Down (1분기), 비스트 - FICTION and FACT (2분기), 슈퍼주니어 - Mr. Simple (3분기), 소녀시대 - The Boys (4분기) 2013년 빅뱅 - ALIVE (1분기), 소녀시대-태티서 - Twinkle (2분기), 슈퍼주니어 - Sexy, Free & Single (3분기), 동방신기 - Catch Me (4분기) 2014년 소녀시대 - I Got a Boy (1분기), 조용필 - Hello (2분기), EXO - XOXO (KISS&HUG) Repackage (3분기) & 12월의 기적 (Miracles In December) (4분기) 2015년 동방신기 - TENSE (1분기), EXO-K - 중독 (Overdose) (2분기), 슈퍼주니어 - MAMACITA (아야야) (3분기) & This Is Love (4분기) 2016년 EXO - EXODUS (Korean Ver.) (1분기) & LOVE ME RIGHT (Korean Ver.) (2분기), 슈퍼주니어 - Devil (3분기) EXO - Sing For You (Korean ver.) (4분기) 2017년 GOT7 - FLIGHT LOG : DEPARTURE (1분기), EXO - EX'ACT - The 3rd Album (Korean Ver.) (2분기), EXO - LOTTO – The 3rd Album Repackage (Korean Ver.) (3분기), 방탄소년단 - WINGS (4분기) 2018년 방탄소년단 - YOU NEVER WALK ALONE (1분기), 세븐틴 - Al1 (2분기), 방탄소년단 - LOVE YOURSELF 承 'Her' (3분기), 워너원 - 1-1=0 (NOTHING WITHOUT YOU) (4분기) 2019년 워너원 - 0+1=1 (I PROMISE YOU)(1분기), 방탄소년단 - LOVE YOURSELF 轉 'Tear'(2분기) & LOVE YOURSELF 結 'Answer'(3분기), EXO - DON'T MESS UP MY TEMPO - The 5th Album (4분기) 올해의 신인상 올해의 가수상 음원 vdeh2019년 뮤직뱅크 K-차트 1위 수상자1월 EXO - Tempo (1월 4일) 위너 - MILLlONS (1월 11일) 청하 - 벌써 12시 (1월 18일) 여자친구 - 해야 (1월 25일) 2월 세븐틴 Home (2월 1일 · 2월 8일 · 2월 15일) 태민 - Want (2월 22일) 3월 몬스타엑스 - Alligator (3월 1일) ITZY - 달라달라 (3월 8일 · 3월 15일) 에픽하이 - 술이 달다 (3월 22일) 마마무 - 고고베베 (3월 29일) 4월 박지훈 - L.O.V.E (4월 5일) 아이즈원 - 비올레타 (4월 12일) 방탄소년단 -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4월 19일 · 4월 26일) 5월 방탄소년단 -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5월 3일 · 5월 17일 · 5월 24일) 뉴이스트 - BET BET (5월 10일) 6월 NCT 127 - Superhuman (6월 7일) 방탄소년단 -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6월 14일 · 6월 21일) 레드벨벳 - 짐살라빔 (6월 28일) 7월 청하 - Snapping (7월 5일) vdeh포브스 코리아 파워 셀러브리티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 김연아 빅뱅 원더걸스 이효리 소녀시대 박지성 이승엽 비 유재석 김태희 동방신기 강호동 전지현 최경주 손예진 박태환 장동건 송승헌 김명민 조인성 서태지 문근영 차태현 신지애 김정은 송혜교 배용준 하정우 정준호 권상우 정우성 소지섭 박명수 최홍만 박찬호 송강호 이병헌 송일국 박주영 추신수 김연아 소녀시대 박지성 이병헌 빅뱅 고현정 이승기 이효리 유재석 강호동 2PM 신지애 하지원 이승엽 김명민 비 하정우 이민호 황정음 김현중 배용준 이요원 김태희 김범 박예진 추신수 박시연 신민아 장서희 박보영 양용은 이순재 설경구 장동건 소지섭 이경규 박중훈 차태현 이수근 윤상현 소녀시대 박지성 김연아 이승기 2PM 유재석 이청용 2AM 추신수 강호동 이효리 윤시윤 비 박주영 신민아 슈퍼주니어 원빈 황정음 김혜수 고현정 강동원 이대호 박태환 이나영 장동건 신세경 이경규 빅뱅 이민정 최경주 2NE1 현빈 배용준 문근영 이민호 한효주 김태희 박찬호 박명수 비스트 소녀시대 빅뱅 아이유 카라 김연아 이승기 박지성 김태희 비스트 박태환 2PM 강호동 JYJ 신세경 동방신기 슈퍼주니어 티아라 추신수 유재석 이청용 소지섭 이대호 박민영 박주영 차승원 김현중 송중기 박시후 이민정 한효주 신민아 씨엔블루 엄태웅 하지원 이경규 이효리 원빈 비 김수현 이민호 싸이 소녀시대 손연재 김수현 빅뱅 박태환 송중기 아이유 김연아 슈퍼주니어 이승기 유준상 카라 이대호 2PM 기성용 미쓰에이 주원 박지성 인피니트 씨엔블루 티아라 동방신기 김태희 JYJ 씨스타 신보라 오연서 비스트 유재석 한효주 김남주 김준현 류승룡 양학선 김병만 이민정 엄태웅 이광수 하지원 소녀시대 빅뱅 수지 류현진 EXO 추신수 동방신기 샤이니 김연아 아이유 박인비 유재석 싸이 이승기 씨엔블루 이병헌 김수현 인피니트 카라 송강호 이민호 손흥민 김태희 2NE1 황정민 걸스데이 송중기 이보영 유준상 이대호 기성용 박지성 신동엽 전지현 한효주 백지영 장동건 김준현 박주영 김민희 EXO 김수현 김연아 전지현 손연재 이승기 류현진 손흥민 소녀시대 씨스타 박지성 이종석 걸스데이 아이유 추신수 정우성 2NE1 에이핑크 현빈 비스트 유재석 기성용 빅뱅 슈퍼주니어 이서진 김희애 하정우 이유리 김우빈 송혜교 오승환 조인성 박신혜 수지 임시완 박인비 동방신기 박형식 클라라 박태환 EXO 유아인 혜리 소녀시대 김수현 빅뱅 박인비 전지현 아이유 강정호 차승원 샤이니 김연아 황정민 유재석 손흥민 추신수 류현진 손연재 AOA 백종원 유해진 하정우 이정재 김구라 걸스데이 신동엽 씨스타 기성용 이광수 이민호 태연 설현 지코 자이언티 전현무 하니 오달수 수지 이병헌 박보검 송중기 트와이스 EXO 방탄소년단 수지 송혜교 김유정 조정석 오승환 아이오아이 박신혜 유재석 류준열 이세돌 손흥민 지코 AOA라미란 이대호 정우성이민호 전지현여자친구 류현진 서현진 공유 김현수 김연아 신동엽 하정우 손연재 박병호 오달수 전현무 김고은 백종원 한효주백승현 김혜수 방탄소년단 워너원 트와이스 EXO 아이유 송혜교 송중기 박보검 김연아 류현진 레드벨벳 수지 손흥민 정현 AOA 태연 정우성 전현무 김희선 이효리 지드래곤 박서준 정유미 공유 박성현 이하늬 강호동 추신수 선미 윤아 오승환 신동엽 이승기 하정우 보아 류준열 강소라 백종원 볼빨간사춘기 홍진영 전거 통제 ISNI: 0000 0004 6010 1479 뮤직브레인즈: b3785a55-2cf6-497d-b8e3-cfa21a36f997 멜론: 72461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XO&oldid=24550052" 분류: EXOSM 엔터테인먼트 소속2012년 데뷔2012년 결성된 음악 그룹2010년대 음악 그룹한국어 음악 그룹중국어 음악 그룹K-pop 음악 그룹다국적 음악 그룹9인조 음악 그룹대한민국의 아이돌 그룹대한민국의 보이 밴드대한민국의 팝 음악 그룹대한민국의 댄스 음악 그룹에이벡스 그룹 음악가골든디스크 대상 수상 음악가골든디스크 본상 수상 음악가골든디스크 신인상 수상 음악가하이원 서울가요대상 대상 수상 음악가하이원 서울가요대상 본상 수상 음악가하이원 서울가요대상 신인상 수상 음악가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 음악가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올해의 가수상 수상 음악가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수상 음악가멜론 뮤직 어워드 올해의 베스트송상 수상 음악가멜론 뮤직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 음악가멜론 뮤직 어워드 올해의 가수상 수상 음악가멜론 뮤직 어워드 수상 음악가한국대중음악상 수상 음악가Mnet 엠카운트다운 1위 수상자SBS 인기가요 1위 수상자MBC 쇼! 음악중심 1위 수상자KBS 뮤직뱅크 1위 수상자SBS MTV 더 쇼 초이스 수상자숨은 분류: 인용 오류 -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인용 오류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CS1 - 중국어 인용 (zh)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9년 6월독자 연구 의심 문서/2019년 6월모든 독자 연구 의심 문서독자 연구 의심 문서 - 문장중국어 정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멜론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atviešuМонголBahasa MelayuNederlandsNorskKapampang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Vepsän kel’Tiếng Việt吴语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9일 (화) 20: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EXO(엑소)는 SM 엔터테인먼트 소속의 대한민국 9인조 보이 그룹이다. 현재 멤버 카이는 병역을 이행 중에 있으며 레이는 중국 활동에 힘쓰고 있어 7인 체제로 활동 중에 있다. (2023년 10월 3일 기준)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2년 4월 발매 된 EXO의 데뷔 미니 앨범의 타이틀은 무엇입니까? Assistant: MAMA
Human: 아래 노부나가의_야망_장성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노부나가의 야망 장성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노부나가의 야망 장성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노부나가의야망장성록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노부나가의 야망 장성록信長の野望・将星録개발사 코에이발행사 코에이 시리즈 노부나가의 야망 시리즈플랫폼 윈도 95 ~ Me(정번 시리즈판은 2000, XP에도 대응) 매킨토시 플레이스테이션 세가 새턴 드림캐스트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출시일 1997년장르 역사 시뮬레이션 게임모드 싱글 플레이언어 일본어한국어미디어 CD-ROM이전작 노부나가의 야망 천상기후속작 노부나가의 야망 열풍전 《노부나가의 야망 장성록》(일본어: 信長の野望・将星録)은 1997년에 코에이에서 발매된 역사 시뮬레이션 게임 노부나가의 야망 시리즈의 일곱 번째 작품이다. 타이틀 장성록을 将星禄으로 쓰는 것은 오기다. Windows판이 최초로 발매된 후에 매킨토시, 세가 새턴, 플레이스테이션, 드림캐스트,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등의 기종으로도 발매되었다. PC판과 컨슈머판에서는 약간의 변경점이 있다. 코에이 정번 시리즈 외에 염가판도 발매되고 있다. Win판에 대해서는 2005년 9월 29일에 《노부나가의 야망 천상기 With 파워업키트》와의 트윈 캠패인판도 발매되었다. 야마시타 고스케(山下康介)가 지금까지의 간노 요코를 대신하여 음악을 담당한 최초의 시리즈 작품이기도 하다. 또 패키지 일러스트도 지금까지의 오라이 노리요시(生頼範義)에서 나가노 즈요시(長野剛)가 다루게 되었다. Windows판은 코에이 정번 시리즈에서 없는 것은 현행 OS와의 상성이 나쁘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목차 1 개요 2 하코니와 내정 3 능력치 4 전투 5 구니의 수에 대해서 6 직업 7 시나리오 8 Windows판에 관해 9 특수 능력 10 외부 링크 개요[편집] 플레이어는 센고쿠 다이묘 중 1명(혹은 복수)를 선택하여, 전국통일을 목표로 한다. 본작에서는 전전작인 《패왕전》에서의 동맹 통일, 즉 세이이타이쇼군이 되어 다른 다이묘 모두와 동맹을 맺는 것으로의 통일이 부활했다. 다만 종속 다이묘 시스템은 탑재되지 않아서 종속이 아닌 대등한 동맹이라는 점은 전전작과 다르다. 또 본작에서는 동맹의 기한이 설정되었다. 턴에 대해서도 본작에서는 전전작과 같이 1년을 12개월로 나누고, 한 달마다 턴이 진행된다. 전작 《천상기》에서는 다이묘 혹은 군단장의 능력에 따라 행동력이 없어지면 그 이상의 명령이 가능하지 않았지만, 본작에서는 그러한 제한은 없고 전전작까지의 배하 무장 각각에게 명령을 내리는 시스템으로 돌아갔다. 또 훈공 시스템에 대해서는 전작과 같은 훈공에 의해 신분 및 병사 수가 결정되는 시스템을 거의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 하지만 전작에서의 승진은 수동적이었던 것에 비해, 본작에서는 자동으로 승진하게 되었다. 또 군단제에 대해서는 본작에서는 채용되지 않았다. 본작에서 음악은 내정 시는 전작과 같이 다이묘 거성이 있는 지방에 따라 곡이, 전쟁 시는 다이묘에 따르지 않고 야전용(규모에 따라 2종류) 혹은 공성전용의 음악이(다이묘 가문에 따른 변화 없이) 흐른다. 전작 《천상기》보다도 성의 수나 무장의 수가 줄었고 상대적으로 사고 루틴이 약해져서, PC판의 매상 누계 개수도 1998년 4월 현재 167,000개로 전작의 220,000개를 밑도는 등, 전작 정도의 평가를 얻지 못했다. 이 수치는 《열풍전》의 Windows판 부록 〈노부나가의 야망 시리즈의 족적(信長の野望シリーズの足跡)〉에 의한 것이다. 또 본작에서는 아케치 미쓰히데와 난코보 덴카이가 동일 인물이라는 설을 채용하고, 혼노지의 변 이벤트 때에는 조건에 의해 야마자키 전투의 결과로 미쓰히데가 사망할 경우도, 덴카이로 개명하여 살아남는 경우가 있다. 하코니와 내정[편집] 본작에서 특징적인 것은 하코니와(箱庭) 시스템이라 불리는 새로운 요소의 채용이다. 하코니와 형태의 맵에서의 내정은 지금까지의 노부나가 시리즈의 게임과는 다르다. 지금까지는 간단하게 「개간」이나 「치수」라고 하는 커맨드를 선택하는 것뿐이었지만, 본작에서는 일본 전국이 1장의 그림의 맵으로 되어 있고, 그 위에 칸의 형태로 표현되었다. 내정을 하려면 내정 유닛을 목적지의 칸으로 이동시키고, 「개간」이나 「마을 짓기(町造)」, 「치수」 등의 커맨드를 실행한다. 그러면 '황무지(荒れ地)'였던 칸이 '논(水田)'이나 '길(街)'로 변경된다. 칸의 수는 제한이 있고, 성을 기점으로 성 규모가 오르는 만큼 범위가 넓어진다. 작성 가능한 시설로는 성의 형태에 따라 제약이 있다. 어디에 무엇을 만들 것인지는 장기적인 도시 계획을 고려하여 길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전작까지에서는 영지의 개발도가 일정 수치에 달하면 개발은 가능하지 않았지만, 본작에서는 1번 개발한 장소를 재개발 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론상으로는 반영구적으로 개발이 가능하다. 이것은 다음 작인 《열풍전》에서도 계승된 시스템이지만, 성의 개수도(改修度)에 따라서 수입의 범위가 증감하는 시스템은 《열풍전》에는 계승되지 않았다. 전작까지 존재했던, 병사의 징병이라고 하는 개념은 사라지고, 개발하는 가운데 자연적으로 병사가 증가하게 되었다. 또 공성 등을 행하는 군세(軍勢) 유닛도, 내정과 동일한 맵 상의 칸 위에서 행동하는 시스템이다. 이것은 《열풍전》에도 계승되었지만, 외교나 조략(調略), 운송을 행할 때에도 각각의 사자 유닛, 첩자 유닛(직업이 닌자인 무장은 닌자 유닛), 운송 유닛을 배치하거나, 사자 등을 붙잡기 위한 관문을 설치하거나 할 수 있는 요소는 계승되지 않았다. 외에도 지성이라고 하는 시설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지성에 주둔하는 군세 유닛은 병량의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콘솔판에서는, 본성의 수입 범위는 《열풍전》과 같이 성 규모를 올려도 5×5칸으로 고정되어 있다. 지성에도 3×3칸의 수입 범위가 있고, 하나의 구니 내에 3개까지 축성이 가능하다. 또 지성으로의 병량 외에 군세 유닛의 병사나 군마·철포의 보급이 소속된 본성에서 가능하며, 적의 지성을 점거해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이런 점에서는 PC판에 비해 전략성이 올라갔다고 할 수 있다. 외교 면에서는 조정 관련 외교 커맨드는 삭제되었다. 단, 세이이타이쇼군 취임 이벤트는 남아 있다. 그리고 콘솔판에서는 숨은 커맨드를 입력하는 것으로, 숨은 시나리오로 플레이할 수 있게 되었다. 능력치[편집] 본작에서의 무장의 능력치는 숨은 것을 포함해도 정치, 전투, 지모, 수명, 의리, 상성으로, 전작에 비해 줄어들었다. 그 대신에 병과 적성이나 특기의 요소는 건재하다. 특기에 대해서는 내정 특기는 농업, 상업, 건설, 외교, 등용, 전투 특기는 3단(三段), 기돌(騎突), 화시(火矢), 기철(騎鉄), 발혈(抜穴)이 있다. 다만 일부 특수 능력을 가진 무장이 존재한다. 전투[편집] 전투는 크게 야전(해전도 포함)과 공성전의 2개로 나뉜다. 야전은 인접한 부대 수에 관계없이 1대 1로 치러진다. 하나의 군세 유닛으로는 기본적으로 제1부대(대장)부터 제5부대까지가 있고, 편성 시에 3×3의 장소 내에 자유롭게 진형을 짤 수 있다. 제1부대가 쓰러지면 패배하기 때문에 편성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단 특수 능력이 있는 일부의 무장은 예외이다. 군세 유닛에는, 방향이라고 하는 것이 있어 측면이나 배후에서 적을 공격하면 유리한 조건으로 전투할 수 있다. 또 무장의 신분에 따라 이끌 수 있는 병사 수에는 상한이 있지만, 우수한 무장이라면 최저의 아시가루 대장(足軽頭)인 상황이어도 다이묘나 신분이 높은 무장을, 측면·배후에서의 기습, 경우에 따라서는 정면에서도 쓰러뜨리는 것도 가능하다. 지성에 있는 군세 유닛은 측면이나 배후에서의 기습을 받지 않고, 또 지형 효과도 있어 능력 혹은 신분이 높은 무장이 지성에 있으면 상당히 고전한다. 그리고 지성에 있는 군세가 소비하는 병량은 본성에서 자동적으로 보급된다. 공성전은 15턴 이내에 성문을 돌파해 혼마루를 점거하면 승리한다. 성에의 공격에는 성이 있는 지형에 따라 군세 유닛 단위로 2부대에서 4부대까지 참가할 수 있다. 방어하는 측의 성의 개수도에 따라서는 1번의 공격으로 낙성시키는 것은 상당히 어려워서, 사전에 조략 등이 필요하다. 또, 본작에서는 처음으로 하코니와 시스템이 도입됨으로 인해, 시스템적으로 병량 공격도 가능하게 되었다. 성의 모든 출입구를 군세 유닛으로 봉쇄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성 내에 병력이 몇 만 명이 있어도 군세 유닛을 내보낼 수 없다. 성에 따라서는 수공도 가능하다. 콘솔판에서는, 공성전은 생략되어 완전 위임하게 되었지만, 파워업키트판에서 PC판과 같은 공성전이 가능하게 되었다. 구니의 수에 대해서[편집] 일부의 이벤트에서는 실사 무비도 도입되어서, 센고쿠 시대의 분위기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기본적으로 1국 1성 1다이묘이며, 전작까지에 비하면 사라진 성이나 다이묘도 많지만, 일부는 지성이나 독립 세력으로서 존재하며, 독립 세력은 사자 유닛을 보내어 아군으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파워업키트판에서는 선택할 수 있는 시나리오나 역사 이벤트가 증가했고, 새로운 커맨드 「조예(早刈)」(군대가 논밭을 점령하고 있을 때 식량을 얻을 수 있는 커맨드)가 추가되었다. 콘솔판에서는 구니 수도 64에서 40으로 줄어들었고, 시설을 지을 수 있는 칸도 축소되었다. 직업[편집] 각 직업에 따라 게임 진행에의 영향은 이하와 같다. 또, 같은 직업을 가지고 있는 무장의 경우는 등용의 성공률이 올라간다. 닌자 조략의 성공률이 올라간다. 관문에서 잡히지 않는다. 첩자 유닛보다도 이동력이 크다. 드물게 야전에서 적장을 죽이기도 한다. 승려 승려가 성주일 경우는 드물게 병량·금전·병사 중 가장 적은 물자를 농민에게서 받는다. 다이묘가 승려인 경우는 선교사 방문 이벤트가 일어나지 않는다. 검호 야전에서 크리티컬 히트(적을 혼란시키는 공격)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기본적으로 검호 무장은 가보 오니마루(鬼丸)를 갖게 하면 공성전에서 「참철검(斬鉄剣)」이 가능하다. 검술서로는 불가능하다. 다인(茶人) 대사가 바뀌는 정도이며, 특별한 것은 없다. 기리시탄(切支丹) 선교사 방문 이벤트가 일어나기 쉽다. 남만물(南蛮物)의 거래가 가능하다. 혼간지와의 관계가 나쁘다. 시나리오[편집] 시나리오는 통상판에서 총 5개였지만, 파워업키트에서 시나리오 6을 포함한 5개가 추가되어 총 10개가 되었다. 시나리오 1 1551년 4월 멍청이 가독을 잇다(うつけ者家督を継ぐ) 시나리오 2 1560년 5월 풍운 오케하자마(風雲桶狭間) 시나리오 3 1570년 10월 천하포무의 위기(天下布武の危機) 시나리오 4 1582년 2월 천하통일에의 길(天下統一への道) 시나리오 5 1582년 6월 천하의 계승자(天下の継承者) ※통상판에서는 숨은 시나리오 시나리오 6 1555년 4월 기요스 입성(清洲入城) 시나리오 7 1562년 2월 기요스 동맹(清洲同盟) 시나리오 8 1575년 5월 새로운 시대의 도래(新時代の到来) 시나리오 9 1584년 3월 고마키·나가쿠테(小牧·長久手) 시나리오 10 1589년 11월 천하통일 전야(天下統一前夜) Windows판에 관해[편집] Windows판에 대해서는 파워업키트(PK)도 포함하여 코에이 공식적으로는 Windows XP 및 Windows 2000에서는 대응하지 않는다. 팬들 사이에서는 이들 OS에서 동작시키기 위한 대책도 생각되었지만, 어디까지나 비공식적인 것이다. 통상판에 대해서는 XP 발매 뒤 2002년 12월 8일에 Win XP 및 Win 2000에의 대책이 이뤄진 것이 염가판 코에이 정번 시리즈로서 재발매된 것이지만, 2009년 현재 PK, 혹은 with PK에 대해서는 이들의 OS에의 대응판의 재발매는 이뤄지지 않았다(비대응판의 재발매는 전작 《천상기》 및 다음 작 《열풍전》 각각 with PK 세트 판매라고 하는 형태로 이뤄졌다). 그리고 정번 시리즈판에서는 PK를 별도 입수해도 적용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또 Windows Vista에의 대응 상황은 정번 시리즈를 포함해 공식적으로는 발표되지 않았다. 다만 PK에 탑재되어 있는 에디터 기능은 비공식 툴을 사용하는 것으로 대용할 수 있다. 기존판은 대응이 되질 않으나 2013년에 출시된 30주년 기념팩에 포함된 장성록 With 파워업키트에서는 Windows 7에서 실행이 가능하다.(최신OS까지 대응) 다만 실행하면 각 상황의 장면에 엉뚱한 BGM이 나와서 이 문제를 수정한 1.01패치가 나왔다. 특수 능력[편집] 참철검 아시카가 요시테루만이 가지는 특수 능력이다. 이외의 무장은, 기본적으로 검호 무장에게 1등급 가보 '오니마루'를 가지게 하면 가능하다. 공성전에서 본진의 부대가 성문을 통상 공격하면, 방어도에 관계없이 일격으로 파괴할 수 있다. 가게무샤(影武者) 다케다 신겐·사나다 유키무라만이 가지는 특수 능력이다. 야전에서 본진이 전멸해도 랜덤으로 다른 부대로 본진이 이동하고, 군세가 괴멸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발생하지 않기도 한다. 잇코잇키(一向一揆) 혼간지 가의 당주가 가지는 특수 능력이다. 랜덤으로 특정 성에 잇코잇키를 일으킬 수 있다. 잇코잇키 군세의 조작은 불가능하다. 혼간지 가가 멸망하면 잇코잇키는 소멸된다. 뇌신검(雷神剣, 가칭) 야전에서 드물게 적에게 혼란과 큰 데미지를 준다(크리티컬 히트와는 다르다). 발생 조건은 분명하지 않지만, 9등급 가보 '라이키리(雷切)'를 가지고, 비가 오는 턴에 공격하면 가능성이 높아진다. 다치바나 도세쓰를 사용해 적 부대에 통상 공격을 하면, 크리티컬 히트가 발동하고, 번개 이펙트가 일어난다. 또, 적 부대의 통상 공격을 받을 때에도, 같은 연출과 효과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기마 부대의 돌격으로도, 우천 시에는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외부 링크[편집] 노부나가의 야망 장성록 공식 사이트 장성록 파워업키트 공식 사이트 PSP판 공식 사이트 vdeh노부나가의 야망 시리즈본편 노부나가의 야망 2 전국판 3 전국군웅전 4 무장풍운록 5 패왕전 6 천상기 7 장성록 8 열풍전 9 람세기 10 창천록 11 천하창세 12 혁신 13 천도 14 창조 휴대기용 게임보이판 게임보이판 2 게임보이 어드밴스판 원더스완 DS DS 2 포켓몬 + 노부나가의 야망 온라인 노부나가의 야망 인터넷 노부나가의 야망 온라인 100만인의 노부나가의 야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노부나가의_야망_장성록&oldid=23238562" 분류: 노부나가의 야망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吴语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10일 (월) 14:2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노부나가의 야망 장성록》(일본어: 信長の野望・将星録)은 1997년에 코에이에서 발매된 역사 시뮬레이션 게임 노부나가의 야망 시리즈의 일곱 번째 작품이다. 타이틀 장성록을 将星禄으로 쓰는 것은 오기다. 윈도우판이 최초로 발매된 후에 매킨토시, 세가 새턴, 플레이스테이션, 드림캐스트,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등의 기종으로도 발매되었다. PC판과 컨슈머판에서는 약간의 변경점이 있다. 코에이 정번 시리즈 외에 염가판도 발매되고 있다. Win판에 대해서는 2005년 9월 29일에 《노부나가의 야망 천상기 With 파워업키트》와의 트윈 캠패인판도 발매되었다. 야마시타 고스케(山下康介)가 지금까지의 간노 요코를 대신하여 음악을 담당한 최초의 시리즈 작품이기도 하다. 또 패키지 일러스트도 지금까지의 오라이 노리요시(生頼範義)에서 나가노 즈요시(長野剛)가 다루게 되었다. Windows판은 코에이 정번 시리즈에서 없는 것은 현행 OS와의 상성이 나쁘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노부나가의 야망 장성록 중 어떤 문제를 수정한 1.01패치가 나왔는데 무슨 문제였나? Assistant: 실행하면 각 상황의 장면에 엉뚱한 BGM이 나와서 Human: 아래 교황_파스칼_2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교황 파스칼 2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교황 파스칼 2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파스칼 2세 임기 1099년 8월 13일 전임자 우르바노 2세후임자 젤라시오 2세개인정보출생이름 라이네리우스출생 1062년 신성 로마 제국 브레다선종 1118년 1월 21일 교황령 로마 교황 파스칼 2세(라틴어: Paschalis PP. II, 이탈리아어: Papa Pasquale II)는 제160대 교황(재위: 1099년 8월 13일 - 1118년 1월 21일)이다. 본명은 라이네리우스(Ranierius)이다. 클뤼니 수도원 출신인 그는 1073년 교황 그레고리오 7세에 의해 산 클레멘테 성당의 사제급 추기경에 서임되었다. 그리고 1099년 8월 19일 교황 우르바노 2세의 뒤를 이어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그의 재임기간은 약 20년으로, 중세 시기의 교황들 중에서는 이례적으로 오래 재임한 편에 속한다. 목차 1 약력 1.1 생애 초기와 교황 2 재임 시기 동안의 활동 3 각주 약력[편집] 생애 초기와 교황[편집] 파스칼 2세는 로마냐 주 포를리 인근의 브레다에서 태어났다. 교황과 신성 로마 제국 황제 간의 서임권 투쟁에 있어서 그는 전임 교황 그레고리오 7세의 정책을 이어받아 의욕적으로 추진했으나, 부분적인 성공만을 거두었다. 장차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가 될 하인리히 5세는 자기 아버지 하인리히 4세가 파문된 것을 기회 삼아 그를 향해 반란을 일으켰다. 하지만 하인리히 5세는 나중에 자기 아버지와 화해하기 위해 교황을 찾아가 그의 사면을 요청하기도 하였다.[1] 하인리히 5세는 비록 교황의 편에 서서 자기 아버지와 적대하기는 했지만, 서임권 문제에 있어서는 자기 아버지보다 훨씬 완고한 입장을 취하였다. 1106년 1월 마인츠에서 열린 제국 의회에서는 서임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스칼 2세에게 초대장을 보냈지만, 파스칼 2세는 이를 거부하고 오히려 1106년 10월 구아스탈라에서 시노드를 소집해 평신도의 서임권 금지를 재천명하였다.[2] 같은 해 그는 잉글랜드에서 서임권을 놓고 캔터베리 대주교 안셀모와 국왕 헨리 1세 간의 갈등을 해소하려고 노력하였다. 당시 헨리 1세가 지명된 후보자에게 성직록과 영지 부여 및 왕에 대한 충성 서약을 시킴으로써 주교를 임명하자, 안셀모는 자신의 주교 반지와 주교 지팡이를 보여줌으로써 주교인 자신만이 서임권을 갖고 있다고 주장하며 맞섰다. 1106년 말, 파스칼 2세는 신성 로마 제국과의 싸움에서 프랑스 국왕 필리프 1세의 중재를 요청하기 위해 직접 프랑스로 갔으나, 아무런 소득 없이 1107년 9월에 이탈리아로 돌아갔다. 하인리히 5세가 자신의 황제 대관식을 위해 군대를 이끌고 이탈리아로 진격하자, 파스칼 2세는 1111년 2월 그와 협정을 맺었다. 교회는 카롤루스 대제 시대부터 제국으로부터 받은 모든 소유물에 대한 사용료를 지불하는 대신 황제는 서임권을 포기한다는 내용이었다. 1111년 2월 하인리히 5세의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의 대관식을 위한 모든 준비가 끝났지만, 로마 시민들이 하인리히 5세에 맞서 봉기를 일으켰다. 하인리히 5세는 급히 대관식을 취소하고 교황을 인질로 삼아 피신하였다. 파스칼 2세는 61일 동안 감옥에 갇혀 힘겹게 살았으며, 카푸아 공작 로베르 1세의 노르만 군대가 그를 구출하기 위해 나섰지만 독일군에 패퇴하여 실패로 끝났다. 파스칼 2세는 감옥 생활을 견디다 못해 결국 하인리히 5세에게 굴복하여 그의 서임권을 인정하였다. 그 후 하인리히 5세는 1111년 4월 13일 성 베드로 대성전에서 신성 로마 제국 황제위에 올라, 과거에 있었던 일에 대해서는 어떠한 보복 행위도 하지 않기로 합의한 후, 알프스 너머로 철수했다. 그러나 교회 개혁파는 이에 반발하여 1112년 3월 라테라노 시노드를 통해 폭력에 의해 강요된 양보이기 때문에 무효라고 선언했다. 1111년 10월 빈에서 열린 시노드에서는 하인리히 5세를 파문하기로 결의하였으며, 파스칼 2세는 이를 승인하였다. 재임 후반에 들어서면서 잉글랜드에서 새로운 문제가 불거졌다. 헨리 1세 국왕이 교황의 허락 없이 주교들의 소임지를 마음대로 이동시킨 것이다. 이 소식을 들른 파스칼 2세는 1115년 시노드를 열어 그를 규탄하고 파문을 경고하였다. 토스카나의 마틸데는 1115년 죽기 전에 자신의 모든 영지를 교회에 양도했다고 알려졌으나, 이를 입증할 구체적인 증거는 남아있지 않다. 교황청에서도 이를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지 않다. 하인리히 5세는 즉시 마틸데의 영지에 대한 자신의 소유권을 주장하였고, 파스칼 2세는 그를 피해 로마를 떠났다. 1118년 초 하인리히 5세가 철수하면서 파스칼 2세는 로마로 돌아왔지만, 며칠 지나지 않아 1118년 1월 21일 선종하였다. 재임 시기 동안의 활동[편집] 파스칼 2세 교황은 1084년 노르만족의 로마 약탈 기간 중에 전소된 산티콰트로 코로나티 성당의 재건을 지시하였다.[3] 1116년에 그는 바르셀로나 백작 라몬 베렌가리오 3세에게 타라고나를 탈환하기 위한 십자군을 일으킬 것을 지시하였다.[4] 파스칼 2세가 재임한 동안, 동로마 제국 황제 알렉시오스 1세는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 간의 분열을 치유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왜냐하면 1112년 후반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에게 모든 교회에 대한 교황의 수위권을 인정할 것을 파스칼 2세가 요구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동방 정교회 측의 대다수 성직자들과 수도자들, 평신도들이 격렬하게 반대하면서 무위에 그쳤기 때문이다.[5] 이후 교회의 분열은 현상 유지 상태로 남게 되어, 오늘날까지 이르게 되었다. 최초의 아메리카 대륙 주교는 콜럼버스가 대서양을 건너기 약 4세기 전인 파스칼 2세의 재임기간 중에 서임되었다. 파스칼 2세는 에리크 그눕손을 그린란드와 빈란드의 교구장 주교로 서임했는데, 빈란드 지방은 오늘날의 뉴펀들랜드 섬을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진다.[6] 1113년 2월 15일 교황 파스칼 2세는 《지극히 경건한 요청》(Pie postulatio voluntatis)이라는 제목의 교서를 발표하였다.[7] 교서 내용은 몰타 기사단이라고도 불리는 예루살렘의 성 요한 구호기사단의 창설을 인가한다는 것이다. 교서에는 또한 교황의 보호 아래 유럽과 아시아에 걸친 기사단의 재산과 영지에 대한 세금을 면제해 준다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8]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교황 파스칼 2세 ↑ Megan McLaughlin, Sex, Gender, and Episcopal Authority in an Age of Reform, 1000-1122,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175. ↑ Uta-Renate Blumenthal, The Investiture Controversy: Church and Monarchy from the Ninth to the Twelfth Century,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88), 167. ↑ Matilda Webb, The Churches and Catacombs of Early Christian Rome: A Comprehensive Guide, (T.J.International, 2001), 93. ↑ Bernard F. Reilly, The Contest of Christian and Muslim Spain:1031-1157, (Blackwell Publishing, 1995), 177. ↑ J.M. Hussey, The Orthodox Church in the Byzantine Empire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pp. 170–171. ↑ Historical Records and Studies, volume 12 (1918) ↑ Piae postulatio voluntatis | http://blessed-gerard.org/bgt_1_3.htm ↑ Sire, H.J.A.: The Knights of Malta,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 London, 1996 전임우르바노 2세 제160대 교황1099년 8월 13일 - 1118년 1월 21일 후임젤라시오 2세 vdeh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1세기-4세기 베드로 리노 아나클레토 클레멘스 1세 에바리스토 알렉산데르 1세 식스토 1세 텔레스포로 히지노 비오 1세 아니체토 소테르 엘레우테리오 빅토르 1세 제피리노 갈리스토 1세 우르바노 1세 폰시아노 안테로 파비아노 고르넬리오 루치오 1세 스테파노 1세 식스토 2세 디오니시오 펠릭스 1세 에우티키아노 카이오 마르첼리노 마르첼로 1세 에우세비오 멜키아데 실베스테르 1세 마르코 율리오 1세 리베리오 다마소 1세 시리치오 아나스타시오 1세 5세기-8세기 인노첸시오 1세 조시모 보니파시오 1세 첼레스티노 1세 식스토 3세 레오 1세 힐라리오 심플리치오 펠릭스 3세 젤라시오 1세 아나스타시오 2세 심마코 호르미스다 요한 1세 펠릭스 4세 보니파시오 2세 요한 2세 아가피토 1세 실베리오 비질리오 펠라지오 1세 요한 3세 베네딕토 1세 펠라지오 2세 그레고리오 1세 사비니아노 보니파시오 3세 보니파시오 4세 아데오다토 1세 보니파시오 5세 호노리오 1세 세베리노 요한 4세 테오도로 1세 마르티노 1세 에우제니오 1세 비탈리아노 아데오다토 2세 도노 아가토 레오 2세 베네딕토 2세 요한 5세 코논 세르지오 1세 요한 6세 요한 7세 시신니오 콘스탄티노 그레고리오 2세 그레고리오 3세 자카리아 스테파노 2세 바오로 1세 스테파노 3세 하드리아노 1세 레오 3세 9세기-12세기 스테파노 4세 파스칼 1세 에우제니오 2세 발렌티노 그레고리오 4세 세르지오 2세 레오 4세 베네딕토 3세 니콜라오 1세 하드리아노 2세 요한 8세 마리노 1세 하드리아노 3세 스테파노 5세 포르모소 보니파시오 6세 스테파노 6세 로마노 테오도로 2세 요한 9세 베네딕토 4세 레오 5세 세르지오 3세 아나스타시오 3세 란도 요한 10세 레오 6세 스테파노 7세 요한 11세 레오 7세 스테파노 8세 마리노 2세 아가피토 2세 요한 12세 베네딕토 5세 레오 8세 요한 13세 베네딕토 6세 베네딕토 7세 요한 14세 요한 15세 그레고리오 5세 실베스테르 2세 요한 17세 요한 18세 세르지오 4세 베네딕토 8세 요한 19세 베네딕토 9세 실베스테르 3세 베네딕토 9세 그레고리오 6세 클레멘스 2세 베네딕토 9세 다마소 2세 레오 9세 빅토르 2세 스테파노 9세 니콜라오 2세 알렉산데르 2세 그레고리오 7세 빅토르 3세 우르바노 2세 파스칼 2세 젤라시오 2세 갈리스토 2세 호노리오 2세 인노첸시오 2세 첼레스티노 2세 루치오 2세 에우제니오 3세 아나스타시오 4세 하드리아노 4세 알렉산데르 3세 루치오 3세 우르바노 3세 그레고리오 8세 클레멘스 3세 첼레스티노 3세 인노첸시오 3세 13세기-16세기 호노리오 3세 그레고리오 9세 첼레스티노 4세 인노첸시오 4세 알렉산데르 4세 우르바노 4세 클레멘스 4세 그레고리오 10세 인노첸시오 5세 하드리아노 5세 요한 21세 니콜라오 3세 마르티노 4세 호노리오 4세 니콜라오 4세 첼레스티노 5세 보니파시오 8세 베네딕토 11세 클레멘스 5세 요한 22세 베네딕토 12세 클레멘스 6세 인노첸시오 6세 우르바노 5세 그레고리오 11세 우르바노 6세 보니파시오 9세 인노첸시오 7세 그레고리오 12세 마르티노 5세 에우제니오 4세 니콜라오 5세 갈리스토 3세 비오 2세 바오로 2세 식스토 4세 인노첸시오 8세 알렉산데르 6세 비오 3세 율리오 2세 레오 10세 하드리아노 6세 클레멘스 7세 바오로 3세 율리오 3세 마르첼로 2세 바오로 4세 비오 4세 비오 5세 그레고리오 13세 식스토 5세 우르바노 7세 그레고리오 14세 인노첸시오 9세 클레멘스 8세 17세기-20세기 레오 11세 바오로 5세 그레고리오 15세 우르바노 8세 인노첸시오 10세 알렉산데르 7세 클레멘스 9세 클레멘스 10세 인노첸시오 11세 알렉산데르 8세 인노첸시오 12세 클레멘스 11세 인노첸시오 13세 베네딕토 13세 클레멘스 12세 베네딕토 14세 클레멘스 13세 클레멘스 14세 비오 6세 비오 7세 레오 12세 비오 8세 그레고리오 16세 비오 9세 레오 13세 비오 10세 베네딕토 15세 비오 11세 비오 12세 요한 23세 바오로 6세 요한 바오로 1세 요한 바오로 2세 21세기 베네딕토 16세 프란치스코 교황 목록 전거 통제 WorldCat VIAF: 79143533 LCCN: n85094733 ISNI: 0000 0001 1862 4653 GND: 11859186X SUDOC: 027486710 BNF: cb13322102z (데이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교황_파스칼_2세&oldid=24176689" 분류: 교황 파스칼 2세생년 미상1118년 죽음11세기 교황11세기 이탈리아 사람12세기 교황12세기 이탈리아 사람베네딕도회 출신 교황이탈리아 출신 교황포를리체세나현 출신숨은 분류: 오래된 그림 구조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rezhonegCatalàMìng-dĕ̤ng-ngṳ̄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客家語/Hak-kâ-ngî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lokano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LatinaМакедонскиमराठीمازِرونیPlattdüütsch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inaray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10:4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교황 파스칼 2세(라틴어: Paschalis PP. II, 이탈리아어: Papa Pasquale II)는 제160대 교황(재위: 1099년 8월 13일 - 1118년 1월 21일)이다. 본명은 라이네리우스(Ranierius)이다. 클뤼니 수도원 출신이며 재임기간은 약 20년으로, 중세 시기의 교황들 중에서는 이례적으로 오래 재임한 편에 속한다. 재임기간 내내 서임권 문제로 인해 하인리히 4세에 이은 하인리히 5세와도 다투며 고초를 겪었다. 원만하게 타협하려는 시도를 한 적이 있었으나 무산된 후에 한 차례 투옥되어 옥고를 치르며 서임권을 강탈당하기도 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지극히 경건한 요청'이라는 교서를 발표한 년월일은? Assistant: 1113년 2월 15일
Human: 아래 지방도_제918호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지방도 제918호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지방도 제918호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918번 지방도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경상북도 지방도 918 봉화 ~ 영해선 지방도 제918호선 총연장 101.8km 기점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북지리 주요경유지 경상북도 봉화군경상북도 영양군경상북도 영덕군 종점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성내리 주요교차도로 국도 제7호선국도 제31호선국도 제35호선국도 제36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지방도 제911호선지방도 제917호선지방도 제933호선 지방도 제918호선은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북지리와 영덕군 영해면 성내리 서문로터리를 잇는 경상북도의 지방도이다. 목차 1 연혁 2 주요 경유지 3 중복 구간 4 도로명 5 각주 연혁[편집] 2003년 2월 20일 : 종점을 영덕군 강구면 강구리에서 영해면 성내리로 23.5km 구간 단축. 이에 따라 '봉화 ~ 강구선'에서 '봉화 ~ 영해선'이 됨.[1] 2018년 11월 15일 : 노선 변경으로 총 연장이 115.9km에서 101.8km로 단축.[2] 2018년 12월 3일 : 화천 ~ 무창간 도로(영양군 영양읍 화천리 ~ 무창리) 1.52k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900m 구간 폐지[3] 2019년 1월 24일 : 봉성도로(봉화군 봉성면 금봉리) 300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250m 구간 폐지[4] 주요 경유지[편집] 봉화군 물야면 (미개통 구간 : 북지리) 봉화읍 유곡삼거리 봉성면 금봉 교차로 - 까치목이재 - 외삼리 - 잣고개 - 봉화향교 - 봉성초등학교 - 봉성리 - 봉성삼거리 - 봉양리 명호면 양곡리 - 고양초등학교 (폐교) - 풍호리 - 도천삼거리 - 명호삼거리 - 명호초등학교 - 고계삼거리 - 명호교 - 고계1리 - 선서교 - 고계2리 - 고티재 재산면 고티재 - 상리 - 유곡교 - 과인삼거리 - 재산버스정류소 - 재산초등학교 - 현동리 - 남면삼거리 - 남면리 - 남면교 - 모천교 - 논골재 영양군 청기면 논골재 - 행화리 - 행화교 - 백운교 - 당리 - 당리보건진료소 - 당교 일월면 도곡리 - 도곡교 - 가곡리 - 가곡교 - 주곡리 - 일월삼거리 - 도계리 - 곡강리 영양읍 동부리 - 영양읍사무소 - 농협사거리 - 영양중앙초등학교 - 영양교육지원청 - 영양경찰서 - 영양여자중학교, 영양여자고등학교 - (삼지교) - 하원리 - 대천교 - 대천리 - 화천교 - 화천리 - 영양군립요양원 - 화천1교 - 화천2교 - (삼거리) - 무창삼거리 - 무창리 - 창수령 (서읍령) 영덕군 창수면 창수령 (서읍령) - 창수리 - 신리리 - 신리교 - 신기교 - 창수초등학교 - 신기리 - 창수우체국 영해면 원구2리 - 원구1리 - 원구교 - 송천 교차로 - 성내교 - 서문로터리 중복 구간[편집] 봉화군 명호면 도천삼거리 ~ 고계삼거리 : 국도 제35호선과 중복 봉화군 재산면 과인삼거리 ~ 남면삼거리 : 지방도 제933호선과 중복 영양군 일월면 일월삼거리 ~ 영양읍 동부리 : 국도 제31호선과 중복 영양군 영양읍 (삼거리) ~ 무창삼거리 : 지방도 제917호선과 중복 영덕군 창수면 신기리 ~ 영해면 원구1리 :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과 중복 도로명[편집] 봉화군 봉화읍 유곡삼거리 ~ 명호면 도천삼거리 : 봉명로 봉화군 명호면 도천삼거리 ~ 고계삼거리 : 청량로 봉화군 명호면 고계삼거리 ~ 재산면 과인삼거리 : 명재로 봉화군 재산면 과인삼거리 ~ 남면삼거리 : 재산로 봉화군 재산면 남면삼거리 ~ 영양군 일월면 일월삼거리 : 재일로 영양군 일월면 일월삼거리 ~ 영양읍 동부리 : 영양로 영양군 영양읍 동부리 ~ 농협사거리 : 중앙로 영양군 영양읍 농협사거리 ~ 영덕군 창수면 신기리 : 영양창수로 영덕군 창수면 신기리 ~ 영해면 송천 교차로 : 창수영해로 영덕군 영해면 송천 교차로 ~ 서문로터리 : 예주묵은길 각주[편집] ↑ 경상북도공고 제2003-63호, 제2003-64호, 2003년 2월 20일. ↑ 경상북도고시 제2018-343호, 2018년 11월 15일. ↑ 경상북도공고 제2018-1490호, 2018년 12월 3일. ↑ 경상북도공고 제2019-139호, 2019년 1월 24일. vdeh대한민국의 지방도경기도(300) 301 302 303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7 318 319 320 321 322 325 326 328 329 330 333 334 335 337 338 341 342 345 347 348 349 352 355 356 357 358 359 360 363 364 367 368 371 372 375 376 379 383 387 390 391 397 강원도(400) 402 403 404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416 418 420 421 424 426 427 442 444 446 451 453 456 460 461 462 463 464 494 충청북도(500) 501 502 504 505 507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9 520 522 525 531 532 533 534 540 571 575 581 583 587 591 592 594 595 596 597 599 충청남도(600) 601 602 603 604 606 607 609 610 611 613 614 615 616 617 618 619 622 623 624 625 627 628 629 633 634 635 643 645 647 649 651 691 693 696 697 전라북도(700) 701 702 703 705 706 707 708 709 710 711 712 713 714 715 716 717 718 720 721 722 723 724 725 726 727 729 730 731 732 733 734 735 736 737 740 741 742 743 744 745 747 749 751 792 795 796 799 전라남도(800) 801 803 805 806 808 810 811 814 815 816 817 818 819 820 821 822 825 827 829 830 831 835 836 837 838 839 840 842 843 844 845 851 855 857 861 863 865 887 893 895 897 898 경상북도(900) 901 902 903 904 905 906 907 908 909 910 911 912 913 914 915 916 917 918 919 920 921 922 923 924 925 926 927 928 929 930 931 932 933 935 945 997 998 경상남도(1000) 1001 1002 1003 1004 1005 1006 1007 1008 1009 1010 1011 1013 1014 1016 1017 1018 1019 1020 1021 1022 1023 1024 1025 1026 1027 1028 1029 1030 1034 1036 1037 1040 1041 1042 1045 1047 1049 1051 1077 1080 1081 1084 1089 1093 1099 제주특별자치도(1100) 1111 1112 1113 1114 1115 1116 1117 1118 1119 1120 1121 1122 1131 1132 1135 1136 1139  :폐지된 지방도 2017년 국토교통부 저 《도로현황조서》 기준. vdeh봉화군의 교통철도노선 영동선 역 문단역¹ 봉화역 거촌역¹ 봉성역¹ 법전역¹ 춘양역 녹동역¹ 임기역 현동역 분천역 비동역 양원역 승부역 석포역 ¹ : 여객취급을 하지 않는 역 일반도로국도 31호 35호 36호 국지도 88호 지방도 910호 915호 917호 918호 931호 933호 935호 주요 간선도로간선도로 관할지구 : 파인토피아로 거촌로 다덕로 더구로 문수로 읍지구 : 이산로 예봉로 봉화로 의상로 내성로 범들로 화천로 면지구 : 태백로 청량로 영봉로 용암로 농암로 두문로 소백로 소천로 한티로 남희룡로 재일로 구절로 동면로 명재로 법전로 보라로 사미정로 상운로 새안로 석포로 옥마로 운봉로 의양로 임기로 재산로 하눌로 금봉로 청옥로 교량 봉화교 터널 노루재터널 창평터널 오마도터널 봉화터널 현동터널 버스농어촌 봉화군 농어촌버스 시외 봉화 춘양 기타 티머니 vdeh영양군의 교통고속도로고속도로 당진영덕 (30)* 나들목 동청송영양* 일반도로국도 31호 88호 국지도 88호 지방도 911호 917호 918호 920호 주요 간선도로간선도로 동서대로 낙동정맥로 낙원로 남회룡로 답곡로 마령산해로 반딧불이로 본신로 상원로 석영로 영양로 영양창수로 오리도곡로 원요로 입암로 장갈로 재일로 중앙로 청기로 청북로 팔수로 한티로 화무로 교량 입양교 터널 영양터널 버스농어촌 영양 농어촌버스 시외 영양 * 표시는 영양군와 연결되는 인접한 청송군의 교통 시설을 나타낸다. vdeh영덕군의 교통철도노선 동해선 역 장사역 강구역 영덕역 고속도로노선 당진영덕 (30) 동해 (65) () 나들목·분기점 영덕 남영덕 영덕 분기점 일반 도로국도 7호 34호 국지도 20호 69호 지방도 914호 917호 918호 930호 주요 간선도로간선도로 동해대로 경동로 버스농어촌 영덕 농어촌버스 시외 영덕 강구 영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지방도_제918호선&oldid=23621781" 분류: 봉화군의 교통영양군의 교통영덕군의 교통경상북도의 도로대한민국의 지방도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2월 2일 (토) 22: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지방도 제918호선은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북지리와 영덕군 영해면 성내리 서문로터리를 잇는 경상북도의 지방도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지방도 제918호선 중 영양군 영양읍 동부리에서 농협사거리까지의 도로명은 무엇일까요? Assistant: 중앙로 Human: 아래 팔극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팔극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팔극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팔극권(八极拳)은 중국 하북성 맹촌회족자치현에서 오종에 의해 정립되었다. 목차 1 개요 2 인물 3 관련 책 4 각주 5 외부 링크 개요[편집] 팔극권은 일세(一世)는 라(癩)라는 선인이며, 이세(二世)는 벽(癖)과 오종(吴钟)이다. 처음부터 팔극권이란 이름은 사용하지 않았다. 오종에게 무술을 알려준 '라'라는 선인은 무술의 이름이나 자신의 이름을 알려주지 않고 떠났으며, 그 후에 '라'의 제자라는 '벽'이 오종을 찾아와 대창을 전하였다. 시간이 흘러 오종은 자신의 실력을 확인하고자 길을 나선다. 소림사를 찾아가 방장과 무예를 교류하였는데 이때 방장이 오종의 대창 실력에 감탄하여 '신창오종'이란 명성을 얻게 된다. 신창오종의 명성은 연경(지금의 북경)에까지 퍼지게 된다. 건륭제 1736년 강희제의 14황자인 순근군왕 윤제(恂勤郡王)는 소문을 듣고 오종에게 창 시합을 청하게 된다. 윤제는 오종의 창 실력에 감탄하여 다시 한번 '신창오종'이란 칭호를 받게 된다. 건륭40년 1775년 오종은 고향으로 돌아와 자신의 무술을 정리하고 전파하면서 팔극권이란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그래서 현재 중국에서는 팔극권의 창시자를 오종으로 받들고 있다. 이름 없던 '라'라는 스승님의 무술을 중국 황실에까지 알리고, 팔극권이란 이름으로 재탄생을 시켜 제자들을 통해 널리 전파하기 시작하였으니 가히 팔극권의 시조라 할 수 있겠다. 인물[편집] 오종 오회청 이서문 오수봉 곽전각 오련지 이준의 유운초 관련 책[편집] 한국에는 없으며, 주로 일본에 팔극권과 관련된 서적이 조금 있음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팔극권 vdeh무예 / 무술타격기 공수도(가라데) 권투 렛훼이 무에타이 사바트 수박 싼슈/싼다 영춘권 카포에이라 킥복싱 태권도 팔극권 잡기술 글리마 레슬링 삼보 스모 시스테마 씨름 아이키도 유도 유술 브라질 유술 합기유술 쿠라시 무기술 가트카 검도 해동검도 궁도 에스크리마 펜싱 혼합형 경호무술 국술원 대도숙 공도 바티츠 보비남 상형권 소림권 슛파이팅 십팔기 우슈 인술 절권도 칼라리파야트 크라브 마가 코만도 크라브 마가 태극권 택견 판크라티온 팔괘장 펜착실랏 한무도 한풀 합기도 형의권 홍가권 기천 공권유술 특공무술 관련 문서 낙법 격투 스포츠 종합격투기 무신 쿵후 무협 무기류 무술가 vdeh기원이 되는 나라별 무술    그리스판크라티온 대한민국경호무술 • 국술원 • 궁도 • 수박 • 십팔기 • 씨름 • 태권도 • 택견 • 한무도 • 한풀 • 합기도 • 합기유술 • 해동검도 • 공권유술 • 특공무술 러시아삼보 • 시스테마 미국슛파이팅 • 절권도 1 미얀마렛훼이 베트남보비남 브라질브라질리안 주짓수 • 카포에이라 아이슬란드글리마 영국바티츠 우즈베키스탄쿠라시 이스라엘크라브 마가 • 코만도 크라브 마가 • 카팝(KAPAP) 인도가트카 • 칼라리파야트 일본공수도(가라데) • 검도 • 대도숙 공도 • 스모 • 아이키도 • 유도 • 유술 • 인술 • 킥복싱 중국 (쿵후)상형권 • 소림권 • 싼슈/싼다 • 영춘권 • 우슈 • 취권 • 태극권 • 팔괘장 • 팔극권 • 형의권 • 홍가권 태국무에타이 프랑스사바트 필리핀에스크리마 여러 나라에서 기원: 권투 • 레슬링 • 종합격투기 • 펜싱1: 이소룡이 창시한 중국적인 성격의 무술이다. 이 글은 무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팔극권&oldid=19491856" 분류: 중국의 무술숨은 분류: 무술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עבריתItaliano日本語NederlandsPortuguêsРусскийTiếng Việt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7년 9월 2일 (토) 05: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팔극권(八极拳)은 중국 하북성 맹촌회족자치현에서 오종에 의해 정립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오종은 소림사에서 누구와 무예를 교류했는가? Assistant: 방장
Human: 아래 이진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진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진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진이본명 박지영국적 대한민국직업 모델, 배우 에이전시 YG케이플러스부모 황신혜(모)웹사이트 YG케이플러스 이진이이진이 - 인스타그램 이진이(본명: 박지영, 1999년 1월 26일 ~ )는 대한민국의 모델이자 배우이다. 어머니는 황신혜이며 종교는 개신교이다. 11살 때부터 혼자 미국 캘리포니아와 코네티컷 주에서 6년 동안 유학하였고 중학교를 졸업한 후 한국으로 돌아왔다. 한국에서는 서울외국인학교 고등부를 졸업하였다. 목차 1 학력 2 경력 3 출연 작품 3.1 예능 3.2 드라마 3.3 영화 4 외부 링크 학력[편집] 서울외국인학교 고등부 경력[편집] S/S 서울패션위크 럭키슈에뜨 패션쇼 모델 F/W 서울패션위크 박윤희 패션쇼 모델 F/W 헤라 서울패션위크 메트로시티, 강기옥, 곽현주 패션쇼 모델 S/S 헤라 서울패션위크 슈퍼콤마비, 요하닉스, 미스지, J.APOSTROPHE 패션쇼 모델 출연 작품[편집] 예능[편집] 2015년 《고교10대천왕》 2015년 《엄마가 뭐길래》 2016년 《현장토크쇼 택시》 2016년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2016년 《조용한 식사》 2016년 《오늘, 굿데이》 2016년 《영재 발굴단》 드라마[편집] 연도 제목 역할 방송사 비고 2016 미스터리 신입생 정은 SBS 2017 전지적 짝사랑 시점 시즌 3 진이 웹드라마 군주 - 가면의 주인 연주 MBC tvN 드라마 스테이지 - 직립 보행의 역사 선미 tvN 복수노트 한유라 Oksusu(웹드라마)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19 엑스텐 하나 외부 링크[편집] 이진이 - 인스타그램 이 글은 한국 배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진이&oldid=24460112" 분류: 1999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여자 모델2013년 데뷔대한민국의 개신교도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비디오 자키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서울외국인학교 동문YG케이플러스 소속숨은 분류: 한국 배우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1일 (금) 15:4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진이(본명: 박지영, 1999년 1월 26일 ~ )는 대한민국의 모델 겸 배우이다. 어머니는 황신혜, 외삼촌은 황정언, 이모는 황정혜이며 종교는 개신교이다. 11살 때부터 혼자 미국 캘리포니아와 코네티컷주에서 6년 동안 유학 생활을 하였고 중학교를 졸업한 후 한국으로 돌아왔다. 한국에서는 서울외국인학교를 다녔지만 중퇴한 상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진이가 2015년에 출연한 예능은 무엇입니까? Assistant: 2015년 《고교10대천왕》 2015년 《엄마가 뭐길래》 Human: 아래 라스_울리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라스 울리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라스 울리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라스 울리히Lars Ulrich 2008년 런던 공연중기본 정보출생 1963년 12월 26일(1963-12-26) (55세) 덴마크 겐토프테 시직업 음악가, 드러머, 작곡가, 배우, 음악 프로듀서장르 헤비 메탈, 스래시 메탈, 스피드 메탈, 하드 록악기 드럼, 퍼커션활동 시기 1980년 ~ 현재 관련 활동 메탈리카, 머시풀 페이트웹사이트 메탈리카 공식 홈페이지 라스 울리히(영어: Lars Ulrich 라즈 얼릭[*][1] /ˈʊlrɪk/, 1963년 12월 26일 ~ )는 덴마크[2] 출신의 뮤지션, 작곡가, 배우, 레코드 프로듀서이다. 그는 미국 헤비메탈 밴드 메탈리카의 공동 창립자이자 드러머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테니스 선수 아이너 울리히의 손자이자, 테니스 선수 토르벤 울리히의 아들인 그는 유년기에 테니스를 쳤고 16살에 로스 앤젤레스로 이사하여 전문적으로 훈련을 받았다. 그러나 울리히는 테니스를 치는 것보다 드럼 연주에 더 관심이 많았다. The Recycler 잡지에서 광고를 낸 뒤, 울리히는 보컬/기타리스트인 제임스 헷필드와 만나 메탈리카를 결성한다. 목차 1 생애 2 냅스터 고소 사건 3 사생활 4 서훈 5 각주 6 외부 링크 생애[편집] 울리히는 덴마크의 겐토프테 시[3][4]에서 론 울리히(결혼 전 성은 실베스터-흐비드)와 프로 테니스 선수 토르벤 울리히[5]의 아들로 태어나 중산층 가정에서 자랐다[3]. 그의 할아버지는 프로 테니스 선수 아이너 울리히였고 할머니 율리 메이어는 유대교 집안이었기 때문에 울리히의 할아버지는 제2차 세계대전 동안 나치에 의해 박해를 당했다.[6] 울리히의 대부는 색소폰 연주자 덱스터 고든이었고 그는 뮤지션 네네 체리의 유년 시절 친구이기도 했다.[7] 1973년 2월, 울리히의 아버지는 그의 친구 다섯 명을 위해 그의 테니스 경기가 열리기도 하는 코펜하겐 스타디움에서 열리는 딥 퍼플의 콘서트의 티켓을 구했다. 친구 한 명이 코펜하겐 주경기장에 열리는 딥 퍼플 콘서트에 가지 못하게 되자, 당시 9살이었던 울리히에게 티켓이 주어졌는데 그는 리치 블랙모어의 퍼포먼스에 매혹적으로 빠지게 됐으며 다음날에 앨범 Fireball을 구입한다. 이 콘서트와 앨범은 울리히에게 굉장한 영향을 주게 되어 로큰롤과 헤비 메탈 커리어를 걷게 되는 결심을 하게 만들었다. 헤비메탈에 대한 흥미로 그는 12~13세때 할머니를 졸라 루드위그 드럼 셋을 구입하게 된다.[8] 1980년 여름에 테니스 수업의 일환으로 가족과 함께 미국 LA로 이주하게 된다.[9] 다큐멘터리 Anvil: The story of Anvil에서 울리히는 Y&T 공연을 관람한 것은 그가 뮤지션이 되게 된 결정적 계기라고 한다. 1981년, 그는 영국 헤비메탈 밴드 다이아몬드 헤드에 대해 알게 된다. 그는 그들의 데뷔 앨범을 산 뒤에 그들의 스타일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고 울리치 오데온에서 열리는 라이브 공연을 보기 위해 샌프란시스코에서 런던까지 여행을 다녔다. 울리히는 현재까지도 다이아몬드 헤드의 팬이며 이후 The Best of Diamond Head 앨범의 믹싱 작업에 참여하게 된다.[10] 미국으로 돌아온 뒤, 울리히는 지역 신문에 광고를 내어 밴드를 결성하려는 시도를 한다. 제임스 헷필드가 들어오게 되면서 메탈리카가 탄생되었다.[11] 냅스터 고소 사건[편집] 2000년 4월 메탈리카는 음악 파일공유 프로그램인 냅스터가 음악을 불법으로 수탈하여 이용하고 있다며 반대를 하였다. 라스는 밴드를 대표하여, 그해 7월에 정식적으로 미국 상원 재판소에 30만명의 냅스터 사용자와 더불어 서비스 중단을 내용으로 고소를 하였다. 비록, 승소하여 냅스터는 음악파일 공유를 중단하게 되었지만 그결과 많은 골수팬과 더불어 사람들의 비난을 받았으며 이는 한유저가 제임스 헷필드와 라스 울리히를 모델로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여 냅스터 고소사건과 더불어 금전주의자라는 비꼬는 내용의 영상이 올라와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사생활[편집] 그는 1997년에 의사인 "Skylar Satenstein"와 결혼하여 슬하에 Myles(98년 8월 5일), Layne(2001년 5월 6일)에 낳았다. 당시 스카일라는 영화배우 멧 데이먼과 약혼한 사이였는데, 영화 "굿 윌헌팅"의 여주인공인 스카일라는 바로 그녀를 모델로 한 것이다. 이 일을 계기로 멧 데이먼과 악연을 맺어 오다가 최근에 둘은 화해했다. 7년의 결혼 생활 끝에 2004년 3월에 이혼하고 그해에 덴마크 영화배우 "Connie Nielsen"과 사귀게 된다. 그녀와의 사이에서 Bryce(2007년 5월 21일) 셋째 아들을 낳았다. 그는 평소에 미예술에 관심이 많으며 작품 수집을 하기도 한다. 서훈[편집] 2017년 다네브로 훈장 6등급(Ridder af Dannebrog) 수훈 각주[편집] ↑ “Metallica’s Lars Ulrich Knighted In Native Denmark”. CBS Denver. 2017년 6월 14일에 확인함.  ↑ Treo, Thomas (26 September 2016). "Lars Ulrich: Jeg flytter hjem hvis..." (in Danish). Ekstra Bladet. Retrieved 6 December 2017. Nej, jeg er hundrede procent dansk statsborger"/"No, I am one hundred percent Danish citizen ↑ 가 나 Scaggs profile, Austin (September 2, 2004). "Lars Ulrich profile". Rolling Stone. Straight Arrow Publishers (956): 64. ISSN 0035-791X. ↑ "Lars Ulrich profile" Archived 2015년 10월 18일 - 웨이백 머신. Metallica.com. Retrieved August 4, 2014. ↑ "OneTrees" Archived 2014년 10월 28일 - 웨이백 머신. Macgregor-sadolin.com. Retrieved August 4, 2014. ↑ "The Conversation: Lars and Torben Ulrich" (PDF). Torbenulrich.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October 14, 2007. Retrieved August 4, 2014. ↑ "Metallica's Lars Ulrich Performs With His 86 Year Old Father In Copenhagen". Blabbermouth.net. October 28, 2014. Retrieved December 26, 2015. ↑ "Lars Ulrich on "Who Wants To Be A Millionaire"". YouTube. Retrieved August 4, 2014. ↑ "Metallica". The Penguin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emigrated to USA '80 ... ↑ "Galaway Advertiser, The Week". June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7, 2011. Retrieved October 30, 2011. ↑ “보관 된 사본”. 2009년 3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5월 2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라스 울리히 라스 울리히 - 네이버 인물검색 라스 울리히 - 다음 인물백과 vdeh메탈리카제임스 헷필드 · 라스 울리히 · 커크 해밋 · 로버트 트루히요 이전 멤버: 론 맥거브니 · 데이브 머스테인 · 클리프 버튼 · 제이슨 뉴스테드정규 음반Kill 'Em All · Ride the Lightning · Master of Puppets · ...And Justice for All · Metallica · Load · ReLoad · St. Anger · Death Magnetic  · Hardwired...to Self-Destruct라이브 음반Live Shit: Binge & Purge · S&M · Orgullo, Pasión y Gloria: Tres Noches en la Ciudad de MéxicoEPThe $5.98 E.P.: Garage Days Re-Revisited · Some Kind of Monster · Six Feet Down Under · Six Feet Down Under (Part II) · Live at Grimey's · Beyond Magnetic컴필레이션Garage Inc.사운드트랙메탈리카 스루 더 네버콜라보레이션 음반Lulu(with 루 리드)비디오/DVDCliff 'Em All · 2 of One · A Year and a Half in the Life of Metallica · Live Shit : Binge & Purge · Cunning Stunts · S&M · Classic Albums: Metallica - Metallica · Some Kind of Monster · The Videos 1989-2004 · Français Pour Une Nuit · Orgullo, Pasión y Gloria: Tres Noches en la Ciudad de México · The Big 4 Live from Sofia, Bulgaria · ­Quebec Magnetic · 메탈리카 스루 더 네버싱글/노래"Whiplash" · "Jump in the Fire" · "Creeping Death" · "Master of Puppets" · "Harvester of Sorrow" · "Eye of the Beholder" · "One" · "Enter Sandman" · "The Unforgiven" · "Nothing Else Matters" · "Wherever I May Roam" · "Sad but True" · "Until It Sleeps" · "Hero of the Day" · "Mama Said" · "King Nothing" · "The Memory Remains" · "The Unforgiven II" · "Fuel" · "Turn the Page" · "Whiskey in the Jar" · "Die, Die My Darling" · "No Leaf Clover" · "I Disappear" · "St. Anger" · "Frantic" · "The Unnamed Feeling" · "Some Kind of Monster" · "The Day That Never Comes" · "My Apocalypse" · "Cyanide" · "The Judas Kiss" · "All Nightmare Long" · "Broken, Beat & Scarred" · "The View" "Lords of Summer" · "Hardwired" · "Moth into Flame" · "Atlas, Rise!" · "Now That We're Dead"투어Kill 'Em All for One · Ride the Lightning 투어 · ­Damage, Inc. 투어 · 몬스터스 오브 락 투어 1987 · 몬스터스 오브 락 투어 1988 · ­Damaged Justice · Wherever We May Roam · 건스 앤 로지스/메탈리카 스타디움 투어 · ­ Nowhere Else to Roam · Shit Hits the Sheds · ­ Poor Touring Me · ­Poor Re-Touring Me · ­ Garage Remains the Same · M2K Mini 투어 · ­Summer Sanitarium · ­Summer Sanitarium 2003 · Madly in Anger with the World Tour · Escape from the Studio '06 · Sick of the Studio '07 · 2008 European Vacation 투어 · World Magnetic 투어 · ­2012 European Black Album 투어 · The Full Arsenal 투어 · By Request 투어 · Lords of Summer 투어 · WorldWired 투어관련 항목플레밍 라스무센 · 릭 루빈 · 밥 록 · Orion Music + More · 기타 히어로: 메탈리카 · 메가데스 · Metallic Assault: A Tribute to Metallica · Metallic Attack: The Ultimate Tribute 전거 통제 WorldCat VIAF: 84962311 LCCN: no2004020455 ISNI: 0000 0000 7829 0707 GND: 129809578 SELIBR: 403783 BNF: cb14048893h (데이터) BIBSYS: 62474 뮤직브레인즈: e2190b35-1181-44f6-8587-4c04123a6f30 NKC: ola2002150642 BNE: XX969407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라스_울리히&oldid=24544176" 분류: 196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덴마크의 음악가미국의 드럼 연주자미국의 헤비 메탈 음악가메탈리카의 일원코펜하겐 출신덴마크계 미국인유대계 미국인유대계 덴마크인미국에 거주한 덴마크인미국의 헤비 메탈 드럼 연주자숨은 분류: 덴마크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ragonésالعربية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Gaeilge𐌲𐌿𐍄𐌹𐍃𐌺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atinaЛезги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Plattdüütsch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8일 (월) 16: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라스 울리히(영어: Lars Ulrich 라즈 얼릭[*] /ˈʊlrɪk/, 1963년 12월 26일 ~ )는 덴마크 출신의 뮤지션, 작곡가, 배우, 레코드 프로듀서이다. 그는 미국 헤비메탈 밴드 메탈리카의 공동 창립자이자 드러머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테니스 선수 아이너 울리히의 손자이자, 테니스 선수 토르벤 울리히의 아들인 그는 유년기에 테니스를 쳤고 16살에 로스 앤젤레스로 이사하여 전문적으로 훈련을 받았다. 그러나 울리히는 테니스를 치는 것보다 드럼 연주에 더 관심이 많았다. The Recycler 잡지에서 광고를 낸 뒤, 울리히는 보컬/기타리스트인 제임스 헷필드와 만나 메탈리카를 결성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라스 울리히의 할머니의 성함은? Assistant: 율리 메이어
Human: 아래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부통합전산센터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7° 19′ 42″ 동경 127° 58′ 28″ / 북위 37.328471° 동경 127.974557°  / 37.328471; 127.974557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설립일 2017년 7월 26일 전신 정부통합전산센터 소재지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755 직원 수 300명[1] 상급기관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산하기관 소속기관 1 웹사이트 국가정보자원관리원 - 공식 웹사이트 국가정보자원관리원(國家情報資源管理員, National Information Resources Service)는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의 정보시스템과 국가정보통신망 등의 안정적인 운영, 효율적 통합·구축관리와 보호·보안 등에 관한 사항을 관장하는 대한민국 행정안전부의 소속기관이다. 2017년 7월 26일 발족하였으며,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755에 위치하고 있다.. 원장은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한다.[2] 제1정보통합전산센터[3] 또는 대전정부통합전산센터[4] 국정자원으로도 불린다. 목차 1 연혁 2 조직 2.1 원장 2.2 소속기관 3 역대 기관장 3.1 정부통합전산센터장 3.2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 4 각주 5 외부 링크 연혁[편집] 2002년 10월: 범정부적 전산환경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혁신방안(BPR) 수립. 2003년 08월: 노무현 정부가 전자정부 로드맵 31대 과제로 확정. 2004년 07월: 범정부 통합전산환경 구축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2004년 08월: 정보화전략계획수립 결과를 '정부혁신정책주요현황'으로 VIP보고. 2004년 09월: 범정부 통합전산환경 추진방안 국무회의 보고. 2004년 10월: 범정부 통합전산환경 구축 기본계획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보고 확정. 2005년 11월: 정보통신부 소속으로 정부통합전산센터 설치. 2007년 11월: 광주정부통합전산센터 업무개시. 2008년 02월: 행정안전부 소속으로 변경. 2013년 03월: 안전행정부 소속으로 변경. 2014년 11월: 행정자치부 소속으로 변경. 2016년 03월: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 2017년 07월: 행정안전부 소속으로 변경. 2017년 7월: 국가정보자원관리원으로 명칭 변경. 조직[편집] 원장[편집] 기획전략과[5] 정보자원관리과[6] 빅데이터분석과[6][7] 사이버안전과[6][8] 아키텍트팀[9][10] 운영기획관[11] 운영총괄과[5] 정보시스템제1과[6] 정보시스템제2과[6] 보안통신과[6] 소속기관[편집] 광주센터 역대 기관장[편집] 정부통합전산센터장[편집] 대수 이름 임기 초대 임차식(任次植) 2005년 11월 4일 ~ 2007년 1월 25일 제2대 강중협(姜仲協) 2007년 1월 26일 ~ 2009년 11월 24일 제3대 장광수(張光洙) 2009년 11월 25일 ~ 2010년 12월 14일 제4대 김경섭(金京涉) 2010년 12월 15일 ~ 2012년 10월 30일 제5대 김우한(金佑漢) 2012년 12월 10일 ~ 2016년 12월 9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편집] 대수 이름 임기 제6대 김명희(金明熙) 2017년 2월 1일 ~ 각주[편집] ↑ 소속기관 포함. ↑ 행정자치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제39조의제1항 ↑ “[2006 국내외 주요뉴스] 제1 정부통합전산센터 마무리”. 《디지털타임스》. 2006년 12월 27일. 2011년 7월 21일에 확인함.  ↑ 신혜선 (2009년 7월 8일). “대전 정부통합전산센터도 DDoS 사정권?”. 《머니투데이》. 2011년 7월 21일에 확인함.  ↑ 가 나 부이사관·서기관 또는 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 가 나 다 라 마 바 서기관 또는 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 「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 제31조제1항에 따른 평가대상 조직으로 평가기간은 2019년 5월 31일까지다. ↑ 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할 수 있다. ↑ 서기관·기술서기관·행정사무관·공업사무관·전산사무관 또는 방송통신사무관으로 보한다. ↑ 2021년 3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보한다. 외부 링크[편집] 국가정보자원관리원 - 공식 웹사이트 vdeh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기재부 교육부 과기정통부 외교부 통일부 법무부 국방부 행안부 문체부 농식품부 산업부 복지부 환경부 고용부 여가부 국토부 해수부 중기부 본부 소속 장관 차관 재난안전관리본부 본부장 지방자치인재개발원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이북5도 주민등록번호변경위원회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광주정부통합전산센터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대한민국의 행정안전부 소속 위원회 목록)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 나라기록관 역사기록관 행정기록관 정부청사관리본부 서울청사관리소 과천청사관리소 대전청사관리소 광주청사관리소 제주청사관리소 대구청사관리소 경남청사관리소 인천청사관리소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서울과학수사연구소 부산과학수사연구소 대구과학수사연구소 광주과학수사연구소 대전과학수사연구소 제주출장소 산하 공공기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한국승강기안전공단 소관기관 경찰위원회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접경지역발전기획단 제주4·3평화재단 지방공기업평가원 한국지방세연구원 한국지방행정연구원 한국지역정보개발원 대한지방행정공제회 바르게살기운동중앙협의회 새마을운동중앙회 한국온천협회 한국화장실협회 새마을금고중앙회 한국방재협회 한국자원봉사협의회 한국자유총연맹 한국지방재정공제회 한국옥외광고센터 한국수상레저안전협회 한국해양구조협회 (소관 사단법인 소관 재단법인)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청 부산광역시청 대구광역시청 인천광역시청 광주광역시청 대전광역시청 울산광역시청 세종특별자치시청 경기도청 강원도청 충청북도청 충청남도청 전라북도청 전라남도청 경상북도청 경상남도청 제주특별자치도청 이북5도위원회의 각 도지사(5인) 및 경찰위원회 상임위원(1인)은 차관급으로 임명된다. 전직대통령 비서관 3인 중 1인은 별정직 고위공무원 가급(1급 상당), 2인은 별정직 고위공무원 나급(2~3급 상당)이며, 서거한 전직대통령의 배우자 비서관은 별정직 고위공무원 나급(2~3급 상당)으로 보한다.[1] 정부전산백업센터[2]가 2021년까지 충청남도 공주시에 설립될 예정이다. vdeh 책임운영기관소속책임운영기관조사연구형 기관조사 및 품질관리형 기관 국립종자원 화학물질안전원 국토지리정보원 항공교통본부 국립해양측위정보원 경인지방통계청 동북지방통계청 호남지방통계청 동남지방통계청 충청지방통계청 항공기상청 연구형 기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국립생물자원관 국립수산과학원 통계개발원 국립문화재연구소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국립축산과학원 국립산림과학원 국립수목원 국립기상과학원 교육훈련형 기관 국립국제교육원 통일교육원 한국농수산대학 해양수산인재개발원 관세국경관리연수원 문화형 기관 국립중앙과학관 국립과천과학관 국방홍보원 국립중앙극장 국립현대미술관 한국정책방송원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궁능유적본부 의료형 기관 국립정신건강센터 국립나주병원 국립부곡병원 국립춘천병원 국립공주병원 국립마산병원 국립목포병원 국립재활원 경찰병원 시설관리형 기관 해양경찰정비창 국방전산정보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기타 유형의 기관 고용노동부고객상담센터 국세상담센터 중앙책임운영기관 특허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국가정보자원관리원&oldid=24416894" 분류: 2005년 설립대한민국 행정안전부대전 유성구 소재의 관공서책임운영기관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12일 (수) 18:1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국가정보자원관리원(國家情報資源管理院, National Information Resources Service 약칭: NIRS)은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의 정보시스템과 국가정보통신망 등의 안정적인 운영, 효율적 통합·구축관리와 보호·보안 등에 관한 사항을 관장하는 대한민국 행정안전부의 소속기관이다. 2017년 7월 26일 발족하였으며,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755에 위치하고 있다. 원장은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한다. 제1정부통합전산센터 또는 대전정부통합전산센터 국정자원으로도 불린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 속해있는 과들 중에서 방대한 양의 데이터 분석을 담당하는 과는 어디인가? Assistant: 빅데이터분석과 Human: 아래 대한민국의_농림축산식품부_차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한민국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농림축산식품부 차관(農林畜産食品部 次官)은 장관을 보좌하는 직위로, 정무직공무원으로 보한다. 목차 1 임명 2 역할 3 역대 차관 3.1 농림부 차관 3.2 농수산부 차관 3.3 농림수산부 차관 3.4 농림부 차관 3.5 농림수산식품부 차관 3.5.1 농림수산식품부 제1차관 3.5.2 농림수산식품부 제2차관 3.6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4 같이 보기 5 각주 임명[편집]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은 대통령이 임명한다. 역할[편집]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은 장관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장관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그 직무를 대행한다. 역대 차관[편집] 농림부 차관[편집] 정부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제1공화국 초대 남봉순(南鳳淳) 1948년 8월 15일 ~ 1948년 9월 29일 2대 강정택(姜鋌澤) 1948년 9월 30일 ~ 1949년 3월 24일 3대 정구흥(鄭求興) 1949년 4월 8일 ~ 1950년 3월 13일 4대 주석균(朱碩均) 1950년 3월 14일 ~ 1950년 12월 16일 5대 최창덕(崔昶德) 1951년 3월 14일 ~ 1951년 6월 1일 6대 원용석(元容奭) 1951년 6월 2일 ~ 1952년 10월 23일 7대 정재설(鄭在卨) 1952년 10월 24일 ~ 1954년 2월 10일 8대 남봉순(南鳳淳) 1954년 2월 10일 ~ 1954년 6월 23일 9대 김원태(金元泰) 1954년 7월 9일 ~ 1955년 2월 15일 10대 김현철(金顯哲) 1955년 2월 16일 ~ 1955년 7월 11일 11대 김원태(金元泰) 1955년 7월 30일 ~ 1955년 11월 25일 12대 권성기(權聖基) 1955년 11월 26일 ~ 1957년 7월 5일 13대 김병윤(金秉允) 1957년 7월 6일 ~ 1959년 4월 9일 14대 김장섭(金長涉) 1959년 4월 10일 ~ 1959년 12월 21일 15대 박도언(朴道彦) 1959년 12월 22일 ~ 1960년 8월 23일 제2공화국 16대 김기철(金基喆) 1960년 8월 23일 ~ 1961년 5월 3일 정무차관 16대 김성규(金聖圭) 1960년 8월 30일 ~ 1961년 7월 7일 사무차관 17대 배성기(裵聖基) 1961년 5월 3일 ~ 1961년 5월 20일 정무차관 직무대리 김봉관(金鳳官) 1961년 5월 21일 ~ 1961년 7월 10일 정무차관 직무대리 직무대리 윤의주(尹義柱) 1961년 7월 7일 ~ 1961년 7월 11일 사무차관 직무대리 18대 김종대(金鍾大) 1961년 7월 11일 ~ 1963년 7월 1일 제3공화국 19대 정남규(鄭南奎) 1963년 7월 1일 ~ 1964년 5월 18일 20대 한국진(韓國鎭) 1964년 5월 18일 ~ 1966년 4월 14일 21대 김영준(金榮俊) 1966년 4월 22일 ~ 1967년 6월 29일 22대 장예준(張禮準) 1967년 7월 4일 ~ 1968년 5월 24일 23대 진봉현(陳鳳鉉) 1968년 5월 24일 ~ 1971년 1월 16일 제4공화국 24대 이득용(李得龍) 1971년 7월 4일 ~ 1973년 3월 27일 농수산부 차관[편집] 정부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제4공화국 24대 이득용(李得龍) 1973년 3월 28일 ~ 1973년 8월 8일 25대 장덕진(張德鎭) 1973년 8월 8일 ~ 1975년 12월 23일 26대 주성규(朱聖奎) 1975년 12월 24일 ~ 1976년 5월 7일 27대 장덕희(張德熙) 1976년 5월 11일 ~ 1978년 6월 27일 28대 남욱(南旭) 1978년 6월 27일 ~ 1980년 7월 9일 29대 강인희(姜仁熙) 1980년 7월 19일 ~ 1983년 10월 9일 아웅산 테러 사건으로 순국[1] 제5공화국 30대 조익래(趙益來) 1983년 10월 15일 ~ 1986년 8월 28일 31대 류종탁(柳鍾卓) 1986년 8월 29일 ~ 1986년 12월 31일 농림수산부 차관[편집] 정부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제5공화국 31대 류종탁(柳鍾卓) 1987년 1월 1일 ~ 1988년 3월 4일 노태우 정부 32대 이병기(李丙基) 1988년 3월 5일 ~ 1990년 9월 26일 33대 이동우(李東雨) 1990년 9월 27일 ~ 1990년 12월 27일 34대 이병석(李炳淅) 1990년 12월 28일 ~ 1992년 4월 20일 35대 김한곤(金漢坤) 1992년 4월 21일 ~ 1993년 3월 3일 김영삼 정부 36대 조규일(曺圭一) 1993년 3월 4일 ~ 1993년 4월 2일 37대 김태수(金泰洙) 1993년 4월 3일 ~ 1994년 5월 22일 38대 이석채(李錫采) 1994년 5월 23일 ~ 1994년 12월 25일 - 김정룡(金正瀧) 1995년 1월 19일 추서 39대 박상우(朴相禹) 1994년 12월 26일 ~ 1995년 12월 25일 40대 조일호(趙壹鎬) 1995년 12월 26일 ~ 1996년 8월 8일 농림부 차관[편집] 정부 대수 이름 임기 비고 김영삼 정부 40대 조일호(趙壹鎬) 1996년 8월 9일 ~ 1998년 3월 9일 김대중 정부 41대 김동태(金東泰) 1998년 3월 9일 ~ 2000년 1월 26일 42대 김동근(金東根) 2000년 1월 27일 ~ 2002년 2월 4일 43대 서규용(徐圭龍) 2002년 2월 4일 ~ 2002년 7월 20일 44대 안종운(安鍾云) 2002년 7월 22일 ~ 2003년 3월 3일 노무현 정부 45대 김정호(金正鎬) 2003년 3월 3일 ~ 2004년 1월 29일 46대 김주수(金周秀) 2004년 1월 29일 ~ 2004년 9월 17일 47대 이명수(李銘洙) 2004년 10월 18일 ~ 2006년 8월 8일 48대 박해상(朴海相) 2006년 8월 9일 ~ 2008년 2월 29일 농림수산식품부 차관[편집] 농림수산식품부 제1차관[편집] 정부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이명박 정부 초대 정학수(丁鶴秀) 2008년 3월 1일 ~ 2009년 1월 22일 2대 민승규(閔勝奎) 2009년 1월 23일 ~ 2010년 8월 16일 3대 김재수(金在水) 2010년 8월 16일 ~ 2011년 7월 22일 4대 이상길(李相吉) 2011년 7월 22일 ~ 2013년 3월 13일 농림수산식품부 제2차관[편집] 정부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이명박 정부 초대 박덕배(朴德培) 2008년 3월 1일 ~ 2009년 1월 22일 2대 하영제(河榮帝) 2009년 1월 23일 ~ 2010년 8월 16일 3대 정승(鄭勝) 2010년 8월 16일 ~ 2011년 6월 7일 4대 오정규(吳定圭) 2011년 6월 7일 ~ 2013년 3월 13일 농림축산식품부 차관[편집] 정부 대수 이름 임기 비고 박근혜 정부 초대 여인홍(呂寅弘) 2013년 3월 13일 ~ 2016년 6월 7일 2대 이준원 2016년 6월 8일 ~ 2017년 6월 12일 문재인 정부 3대 김현수(金炫秀) 2017년 6월 13일 ~ 2019년 5월 23일 4대 이재욱(李在彧) 2019년 5월 23일 ~ 같이 보기[편집]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농림축산식품부 차관보 각주[편집] ↑ 윤광제 (2016년 3월 7일). “[그때 그 사건 7] 아웅산 테러 前, 北화물선이 양곤항에...”. 《일요서울》. 2017년 2월 20일에 확인함.  대한민국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관련 항목vdeh 대한민국 농림축산식품부 기재부 교육부 과기정통부 외교부 통일부 법무부 국방부 행안부 문체부 농식품부 산업부 복지부 환경부 고용부 여가부 국토부 해수부 중기부 본부 소속 장관 차관 차관보 농식품공무원교육원 한국농수산대학 (대한민국의 농림축산식품부 소속 위원회 목록) 국립종자원 충남지원 충북지원 강원지원 전북지원 전남지원 경북지원 경남지원 제주지원 동부지원 서부지원 농림축산검역본부 인천공항지역본부 제주지역본부 제주공항사무소 영남지역본부 김해공항사무소 부산신항사무소 신선대사무소 대구사무소 양산사무소 창원사무소 김해사무소 구미사무소 울산사무소 중부지역본부 평택사무소 용인사무소 청주사무소 천안사무소 의왕사무소 서울지역본부 김포공항사무소 속초사무소 동해사무소 호남지역본부 광양사무소 광주사무소 전주사무소 무안사무소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시험연구소 경기지원 서울사무소 인천사무소 수원사무소 화성·오산사무소 의정부·동두천·양주사무소 평택사무소 안성사무소 남양주·구리사무소 가평사무소 광주·성남·하남사무소 이천·용인사무소 파주·고양사무소 포천·연천사무소 여주사무소 양평사무소 강화사무소 김포사무소 강원지원 원주사무소 횡성사무소 강릉사무소 삼척·동해사무소 속초·양양사무소 고성사무소 홍천사무소 영월사무소 평창사무소 정선·태백사무소 철원사무소 인제사무소 양구사무소 충북지원 충주사무소 제천·단양사무소 옥천사무소 영동사무소 괴산·증평사무소 보은사무소 음성사무소 진천사무소 충남지원 천안사무소 아산사무소 공주·세종사무소 서산·태안사무소 논산사무소 금산사무소 부여사무소 보령사무소 서천사무소 홍성사무소 청양사무소 예산사무소 당진사무소 전북지원 익산사무소 군산사무소 남원사무소 순창사무소 임실사무소 정읍사무소 김제사무소 부안사무소 진안사무소 장수사무소 무주사무소 고창사무소 전남지원 목포·신안사무소 무안사무소 여수사무소 순천·광양사무소 나주사무소 화순사무소 담양사무소 장성사무소 곡성·구례사무소 고흥사무소 보성사무소 장흥사무소 강진·완도사무소 해남사무소 진도사무소 영암사무소 영광사무소 함평사무소 경북지원 포항·울릉사무소 경주사무소 김천사무소 안동사무소 영천사무소 경산사무소 청도사무소 구미·칠곡사무소 상주사무소 의성·군위사무소 영덕사무소 청송·영양사무소 성주사무소 고령사무소 문경사무소 예천사무소 영주사무소 봉화사무소 울진사무소 경남지원 부산사무소 울산사무소 진주사무소 사천사무소 통영·거제사무소 고성사무소 밀양사무소 김해·양산사무소 함안·의령사무소 창녕사무소 하동사무소 남해사무소 함양사무소 산청사무소 합천사무소 거창사무소 제주지원 서귀포사무소 산하 공공기관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국제식물검역인증원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축산물품질평가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한국농어촌공사 한국마사회 한식진흥원 소관기관 자조금관리위원회 계란자조금관리위원회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 낙농진흥회 대한수의사회 농업협동조합중앙회 (소관 사단법인 소관 재단법인) vdeh 대한민국의 차관급 고위공무원부총리급 · 장관급 · 차관급입법부국회의원(국회의장, 국회부의장 2인, 상설 특별위원회 위원장 2인, 상임위원회 위원장 16인 등을 제외한 279인 ; 단, 원내교섭단체의 당대표는 부총리급, 원내대표, 최고위원 등 일부는 장관급에 준함) · 국회사무처 사무차장 · 국회사무처 입법차장 · 국회도서관장 · 국회예산정책처장 · 국회입법조사처장 · 국회의장비서실장행정부중앙부처 차관 기획재정부(2인)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2인) 외교부(2인) 통일부 법무부 국방부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2인)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 국토교통부(2인) 해양수산부 중소기업벤처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직속기구 과학기술혁신본부장 행정안전부 직속기구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산업통상자원부 직속기구 통상교섭본부장 보건복지부 직속기구 질병관리본부장 대통령 직속기구 대통령경호처장 감사원 감사위원(6인) 감사원 사무총장 국가정보원 차장(3인) 국가정보원 기획조정실장 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10인) 대통령비서실 보좌관(2인) 국가안보실 차장(2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 방송통신위원회 부위원장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3인) 특별감찰관 국무총리 직속기구 국무총리비서실장 국무조정실 차장(2인) 국가보훈처 차장 인사혁신처장 법제처장 식품의약품안전처장 공정거래위원회 부위원장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3인)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 산하 외청장 국세청장 관세청장 조달청장 통계청장 병무청장 방위사업청장 경찰청장 소방청장 문화재청장 농촌진흥청장 산림청장 중소기업청장 특허청장 기상청장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새만금개발청장 해양경찰청장 공공기관 국립중앙박물관장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장 일제동원피해자지원위원회 위원장 소청심사위원회 위원장 이북5도위원회 위원(위원장 포함 5인 ; 평안남도지사, 평안북도지사, 함경남도지사, 함경북도지사, 황해도지사 겸임)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상임위원 경찰위원회 상임위원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상임위원 대검찰청 서울고등검찰청 검사장 부산고등검찰청 검사장 광주고등검찰청 검사장 대전고등검찰청 검사장 대구고등검찰청 검사장 대검찰청 차장검사 법무연수원장 대학 금오공과대 총장 목포해양대 총장 한경대 총장 한밭대 총장 한국전통문화대 총장 한국체육대 총장 경인교육대 총장 공주교육대 총장 광주교육대 총장 대구교육대 총장 부산교육대 총장 서울교육대 총장 전주교육대 총장 진주교육대 총장 청주교육대 총장 춘천교육대 총장 강릉원주대 부총장 공주대 특임부총장 부경대 부총장 한국교원대 부총장 한국방송통신대 부총장 거점국립대 부총장 강원대 부총장(2인) 충북대 부총장(2인) 충남대 부총장(2인) 전북대 부총장(2인) 전남대 부총장(2인) 경북대 부총장(2인) 부산대 부총장(3인) 경상대 부총장(2인) 제주대 부총장(2인)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국립외교원장 주 OECD 대사 주 UNESCO 대사 주 제네바 대사 주 벨기에 & EU 대사 주 오스트리아 & 빈 대사 주 영국 대사 주 프랑스 대사 주 독일 대사 주 이탈리아 대사 주 캐나다 대사 주 오스트레일리아 대사 국군 중장 해병대사령관 군사안보지원사령관 육군참모차장 해군참모차장 공군참모차장 합동참모차장 합참 작전본부장 합참 군사지원본부장 합참 전략기획본부장 국방정보본부장 육군인사사령관 육군군수사령관 육군교육사령관 해군교육사령관 공군교육사령관 육사교장 해사교장 공사교장 국방대 총장 지상작전사 부사령관 제2작전사 부사령관 수도방위사령관 특수전사령관 수도군단장 1군단장 2군단장 3군단장 5군단장 6군단장 7기동군단장 8군단장 해군작전사령관 공군작전사령관 사법부 사법연수원장 사법정책연구원장 서울고등법원장 부산고등법원장 광주고등법원장 대전고등법원장 대구고등법원장 특허법원장 지방법원장(18인) 가정법원장(5인) 서울행정법원장 법원행정처 차장 법원도서관장 대법원장비서실장 서울고법 부장판사(65인) 부산고법 부장판사(12인) 대전고법 부장판사(8인) 광주고법 부장판사(7인) 대구고법 부장판사(7인) 특허법원 부장판사(6인) 서울중앙지법 수석부장판사(3인) 광주지법 수석부장판사 대전지법 수석부장판사 대구지법 수석부장판사 부산지법 수석부장판사 수원지법 수석부장판사 인천지법 수석부장판사 독립 기구 헌법재판소 사무차장 중앙선관위 사무차장 국가인권위 상임위원(3인) 4·16세월호참사특별조사위원회 부위원장(한시조직) 4·16세월호참사특별조사위원회 상임위원(3인 ; 진상소위원장, 사회안전소위원장, 지원소위원장 겸임) 지방직광역의회 의장 서울시의회의장 부산시의회의장 대구시의회의장 인천시의회의장 광주시의회의장 대전시의회의장 울산시의회의장 세종시의회의장 경기도의회의장 강원도의회의장 충북도의회의장 충남도의회의장 전북도의회의장 전남도의회의장 경북도의회의장 경남도의회의장 제주도의회의장 집행 기관지방행정 서울시 정무부시장 서울시 행정1부시장 서울시 행정2부시장 부산시장 대구시장 인천시장 광주시장 대전시장 울산시장 세종시장 경기도지사 강원도지사 충북도지사 충남도지사 전북도지사 전남도지사 경북도지사 경남도지사 제주도지사 이북5도 함북도지사 함남도지사 평북도지사 평남도지사 황해도지사 교육감 서울시교육감 부산시교육감 대구시교육감 인천시교육감 광주시교육감 대전시교육감 울산시교육감 세종시교육감 경기도교육감 강원도교육감 충북도교육감 충남도교육감 전북도교육감 전남도교육감 경북도교육감 경남도교육감 제주도교육감 대학서울시립대학교 부총장한시적으로 임용되는 특별검사는 고등검찰청 검사장급 예우를 받고 특별검사보는 지방검찰청 검사장급의 예우를 받는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한민국의_농림축산식품부_차관&oldid=24416945" 분류: 대한민국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대한민국의 관직과 칭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12일 (수) 18: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농림축산식품부 차관(農林畜産食品部 次官)은 장관을 보좌하는 직위로, 정무직공무원으로 보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대한민국의 역대 농림축산식품부 차관들중 농수산부 차관들은? Assistant: 정부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제4공화국 24대 이득용(李得龍) 1973년 3월 28일 ~ 1973년 8월 8일 25대 장덕진(張德鎭) 1973년 8월 8일 ~ 1975년 12월 23일 26대 주성규(朱聖奎) 1975년 12월 24일 ~ 1976년 5월 7일 27대 장덕희(張德熙) 1976년 5월 11일 ~ 1978년 6월 27일 28대 남욱(南旭) 1978년 6월 27일 ~ 1980년 7월 9일 29대 강인희(姜仁熙) 1980년 7월 19일 ~ 1983년 10월 9일 아웅산 테러 사건으로 순국[1] 제5공화국 30대 조익래(趙益來) 1983년 10월 15일 ~ 1986년 8월 28일 31대 류종탁(柳鍾卓) 1986년 8월 29일 ~ 1986년 12월 31일
Human: 아래 리그_오브_레전드_월드_챔피언십_시즌_3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시즌 3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시즌 3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시즌 3 리그 기간 2013년 9월 15일 ~ 2013년 10월 4일 주최 라이엇 게임즈 주관 라이엇 게임즈 참가 팀 14 리그 우승 SK 텔레콤 T1 게임 버전 3.11 총 상금 $ 2,000,000 (시즌 넘어가기) ←이전다음→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시즌3 (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 Season 3) 는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의 3번째 대회이다. 목차 1 개요 1.1 방식 1.2 변경된 점 1.3 일정 1.4 경기장 1.5 상금 2 출전팀 3 그룹 스테이지 3.1 A조 3.2 B조 4 결승 토너먼트 4.1 8강전 4.2 준결승전 4.3 결승전 5 최종 순위 6 각주 7 외부 링크 개요[편집] 주최 : 라이엇 게임즈 주관 : 라이엇 게임즈 방식[편집] 그룹 스테이지 : 각 조 5팀씩 2개 조로 나누어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 각 조 상위 두 팀은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결승 토너먼트 : 상위 시드를 받은 4팀과 그룹 스테이지에서 올라온 4팀이 경기를 치른다. 8강전 3전 2선승제, 준결승부터 5전 3선승제 변경된 점[편집] 12팀에서 14팀으로 증가 국제 와일드카드 신설(브라질, 터키, 독립국가연합, 라틴아메리카, 오세아니아) 일정[편집] 그룹 스테이지 : 9월 15일 (일) ~ 9월 21일 (토) 8강 : 9월 23일 (월) ~ 9월 24일 (화) 준결승 : 9월 27일 (금) ~ 9월 28일 (토) 결승 : 10월 4일 (금) 경기장[편집] 그룹 스테이지 ~ 8강 : 미국 컬버시티 컬버 스튜디오 준결승 : 미국 로스엔젤레스 갤런 센터 결승 : 미국 로스엔젤레스 스테이플스 센터 상금[편집] 총 상금 : $ 2,000,000 우승 : $ 1,000,000 준우승 : $ 250,000 준결승 : $ 150,000 8강 : $ 75,000 그룹 스테이지 각 조 3위 : $ 45,000 그룹 스테이지 각 조 4위 : $ 30,000 그룹 스테이지 각 조 5위 : $ 25,000 출전팀[편집] 결승 토너먼트 참가팀 팀 약칭 지역 자격 시드 풀 나진 블랙 소드 NJS 대한민국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대한민국 지역 서킷 포인트 1위 1 클라우드 9 C9 북아메리카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북아메리카 지역 선발전 우승 로얄 클럽 황주 RYL 중국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중국 지역 선발전 우승 감마니아 베어스 GAB 대만/홍콩/마카오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대만/홍콩/마카오 지역 선발전 우승 그룹 스테이지 참가팀 팀 약칭 지역 자격 시드 풀 삼성 Ozone SSO 대한민국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대한민국 지역 서킷 포인트 2위 2 SK 텔레콤 T1 SKT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대한민국 지역 선발전 우승 3 팀 솔로미드 TSM 북아메리카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북아메리카 지역 선발전 준우승 2 팀 벌컨 VUL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북아메리카 지역 선발전 3위 3 프나틱 FNC 유럽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유럽 지역 선발전 우승 1 레몬독스 LD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유럽 지역 선발전 준우승 2 갬빗 게이밍 GMB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유럽 지역 선발전 3위 3 OMG OMG 중국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중국 지역 선발전 준우승 2 미네스키 MSK 동남아시아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동남아시아 지역 선발전 우승 1 게이밍기어.eu GG 국제 와일드카드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국제 와일드카드 우승 1 그룹 스테이지[편집] A조[편집] 팀 경기 승 패 결과 비고 SK 텔레콤 T1 8 7 1 결승 토너먼트 vs OMG 1승 1패 OMG 8 7 1 vs SKT 1승 1패 레몬독스 8 3 5 탈락 팀 솔로미드 8 2 6 게이밍기어.eu 8 1 7 대 진 표 일 정 블루 진영 스코어 레드 진영 매치 번호 날짜 게이밍기어.eu 패 승 팀 솔로미드 1경기 2013년 9월 15일 SK 텔레콤 T1 승 패 레몬독스 2경기 팀 솔로미드 패 승 OMG 3경기 레몬독스 승 패 게이밍기어.eu 4경기 OMG 승 패 SK 텔레콤 T1 5경기 레몬독스 패 승 OMG 6경기 2013년 9월 17일 SK 텔레콤 T1 승 패 게이밍기어.eu 7경기 팀 솔로미드 승 패 레몬독스 8경기 게이밍기어.eu 패 승 OMG 9경기 SK 텔레콤 T1 승 패 팀 솔로미드 10경기 레몬독스 패 승 SK 텔레콤 T1 11경기 2013년 9월 20일 OMG 승 패 게이밍기어.eu 12경기 팀 솔로미드 패 승 SK 텔레콤 T1 13경기 게이밍기어.eu 패 승 레몬독스 14경기 OMG 승 패 팀 솔로미드 15경기 레몬독스 승 패 팀 솔로미드 16경기 2013년 9월 21일 게이밍기어.eu 패 승 SK 텔레콤 T1 17경기 OMG 승 패 레몬독스 18경기 팀 솔로미드 패 승 게이밍기어.eu 19경기 SK 텔레콤 T1 승 패 OMG 20경기 B조[편집] 팀 경기 승 패 결과 비고 프나틱 8 7 1 결승 토너먼트 갬빗 게이밍 9 6 3 vs SSO 2승 1패 삼성 Ozone 9 5 4 탈락 vs GMB 1승 2패 팀 벌컨 8 3 5 미네스키 8 0 8 대 진 표 일 정 블루 진영 스코어 레드 진영 매치 번호 날짜 팀 벌컨 승 패 프나틱 1경기 2013년 9월 15일 갬빗 게이밍 승 패 미네스키 2경기 삼성 Ozone 승 패 팀 벌컨 3경기 미네스키 패 승 프나틱 4경기 갬빗 게이밍 승 패 삼성 Ozone 5경기 미네스키 패 승 삼성 Ozone 6경기 2013년 9월 16일 팀 벌컨 패 승 갬빗 게이밍 7경기 삼성 Ozone 패 승 프나틱 8경기 미네스키 패 승 팀 벌컨 9경기 프나틱 승 패 갬빗 게이밍 10경기 삼성 Ozone 승 패 갬빗 게이밍 11경기 2013년 9월 19일 프나틱 승 패 팀 벌컨 12경기 미네스키 패 승 갬빗 게이밍 13경기 프나틱 승 패 삼성 Ozone 14경기 팀 벌컨 승 패 미네스키 15경기 갬빗 게이밍 패 승 프나틱 16경기 2013년 9월 21일 팀 벌컨 패 승 삼성 Ozone 17경기 프나틱 승 패 미네스키 18경기 갬빗 게이밍 승 패 팀 벌컨 19경기 삼성 Ozone 승 패 미네스키 20경기 삼성 Ozone 패 승 갬빗 게이밍 순위 결정전 결승 토너먼트[편집]   8강전 준결승전 결승전                               TW   감마니아 베어스 0   A1   SK 텔레콤 T1 2     Q1   SK 텔레콤 T1 3     Q2   나진 블랙 소드 2   KR   나진 블랙 소드 2   B2   갬빗 게이밍 1       W1   SK 텔레콤 T1 3   W2   로얄 클럽 황주 0   CN   로얄 클럽 황주 2   A1   OMG 0     Q3   로얄 클럽 황주 3   Q4   프나틱 1   NA   클라우드 9 1   B1   프나틱 2   8강전[편집] 대 진 표 세트 결과 일 정 결승 토너먼트 직행팀 스코어 그룹 스테이지 통과팀 1세트 2세트 3세트 클라우드 9 1 2 프나틱 FNC C9 FNC 2013년 9월 23일 나진 블랙 소드 2 1 갬빗 게이밍 GMB NJS NJS 감마니아 베어스 0 2 SK 텔레콤 T1 SKT SKT X 2013년 9월 24일 로얄 클럽 황주 2 0 OMG RYL RYL X 준결승전[편집] 대 진 표 세트 결과 일 정 8강전 3/4경기 승리팀 스코어 8강전 1/2경기 승리팀 1세트 2세트 3세트 4세트 5세트 SK 텔레콤 T1 3 2 나진 블랙 소드 NJS SKT NJS SKT SKT 2013년 9월 27일 로얄 클럽 황주 3 1 프나틱 RYL RYL FNC RYL X 2013년 9월 28일 결승전[편집] 대 진 표 세트 결과 일 정 준결승 1경기 승리팀 스코어 준결승 2경기 승리팀 1세트 2세트 3세트 4세트 5세트 SK 텔레콤 T1 3 0 로얄 클럽 황주 SKT SKT SKT X X 2013년 10월 4일 최종 순위[편집] 상금규모 : $ 2,050,000 순위 상금 (USD) 지역 팀명 우승 $ 1,000,000 KR SK 텔레콤 T1 준우승 $ 250,000 CN 로얄 클럽 황주 준결승에서 탈락 3위 $ 150,000 KR 나진 블랙 소드 EU 프나틱 8강전에서 탈락 5위 $ 75,000 TW/HK/MAC 감마니아 베어스 EU 갬빗 게이밍 CN OMG NA 클라우드 9 그룹 스테이지에서 탈락 9위 $ 45,000 EU 레몬독스 KR 삼성 Ozone 11위 $ 30,000 NA 팀 솔로미드 NA 팀 벌컨 13위 $ 25,000 IWC 게이밍기어.eu SEA 미네스키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 특별 페이지(한국어) lolesport.com(영어) vdeh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리그월드 챔피언십 시즌 1 시즌 2 시즌 3 (선발전) 2014 시즌 (선발전) 2015 시즌 (선발전) 2016 시즌 (선발전) 2017 시즌 (선발전) 2018 시즌 (선발전/로스터) 2019 시즌 (선발전/로스터)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2015 시즌 (와일드카드) 2016 시즌 (와일드카드) 2017 시즌 2018 시즌 2019 시즌 리프트 라이벌즈 2017 시즌 2018 시즌 (LCK/LPL/LMS, LCS EU/LCS NA, VCS/TCL/LCL, CBLoL/CLS/LLN, GPL/OPL/LJL) 2019 시즌 (LPL/LCK/LMS&VCS, LEC/LCS) 올스타전 2013 시즌 2014 시즌 2015 시즌 2016 시즌 2017 시즌 2018 시즌 지역별 대회 LCK (대한민국) LPL (중국) LCS (북아메리카) LEC (유럽) LMS (대만·홍콩·마카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리그_오브_레전드_월드_챔피언십_시즌_3&oldid=24325235" 분류: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미국에서 개최된 e스포츠 대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Русский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30일 (목) 01: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시즌 3(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 Season 3)은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의 3번째 대회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LOL 월드 챔피언십 시즌3 8강전에서 팀 OMG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 팀은 어디일까? Assistant: 로얄 클럽 황주 Human: 아래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식 토플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은 해외 영어시험(TOEIC, TOEFL 등)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해 교육과학기술부가 본격적으로 개발·도입했던 영어 시험이며, 읽기·듣기·말하기·쓰기 능력을 평가하는 인터넷 기반시험(IBT)으로 개발되었다. 1급과 2급, 3급의 시험 주관 기관이 달랐는데, 1급은 국립국제교육원에서, 2급, 3급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주관하였다. 2009년부터 예비 평가를 실시하여 2012년부터 본 시험을 실시하다가, 여러 문제로 인하여 2015년을 끝으로 폐지되었다. 목차 1 등급별 수준 2 개요 (1급) 3 개요 (2급, 3급) 3.1 시험 응시 대상 및 응시 횟수 3.2 성적 유효 기간 3.3 성적 산출 방안 3.4 출제 방안 및 채점 방안 3.5 교육과정과의 연계 3.5.1 2007 개정 교육과정 3.5.2 2011 개정 교육과정 3.6 어휘 수준 3.7 학습 안내서, 단어집 제공 4 예비시험 4.1 2009년 4.2 2010년 4.3 2011년 4.4 2012년 5 본 시험 5.1 2012년 5.2 2013년 6 대학입시제도 개편 6.1 수시모집 활용 가능 6.2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과의 관계 6.3 수능 외국어영역(영어) 대체 여부 6.4 현행 수능 외국어영역(영어) 과의 난이도 비교 7 영어과 교육과정 개정 7.1 적용 연도 7.2 2013년 8 논란 9 시험 결과 10 폐지 11 같이 보기 12 각주 13 참고 자료 등급별 수준[편집] 1급: 성인용. 대학 2~3학년 수준. 졸업시험·취업·유학 시 TOEIC, TOEFL 등 대체 2급: 고등학생용. 영어가 많이 활용되는 학과 공부에 필요한 수준 (기초학술영어) 3급: 고등학생용. 기타 실용영어 활용의 대학수학 영어능력이 필요한 학과 요구 수준 (실용영어) 개요 (1급)[편집]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1급)은 한국의 직업분야에서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본적인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EGBP: English for General Business Purpose)으로, 대기업, 공사 및 외국계 기업 등의 수요조사 결과와 기업체의 자문 등을 최대한 반영하여 개발하고 있다. 앞으로 2012년 상반기까지 2차례의 모의평가를 더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다양한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평가틀을 완성한 후, 2012년 하반기에 일반시행에 들어갈 계획이다.[1] 개요 (2급, 3급)[편집] 시험 응시 대상 및 응시 횟수[편집] 시험 시행 초기에는 고등학교 3학년 및 대입 희망자를 대상으로, 이들이 2급 시험과 3급 시험 중 자신의 진로와 필요를 고려하여 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응시할 수 있다. 또한 시행 초기에 2회의 응시 기회가 부여될 예정이므로 2급 시험(또는 3급 시험)을 2회 응시할 수도 있고, 2급 시험과 3급 시험에 각각 1회씩 응시할 수도 있다. 시험이 안정적으로 정착된 이후 응시 대상 및 응시 기회의 확대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 (2011년 5월 26일 발표안) 성적 유효 기간[편집] 시험 일자로부터 2년 간이다. 성적 산출 방안[편집]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 각 영역별로 학생들의 절대적인 성취 수준에 따라 4개 등급(A, B, C, D)로 구분하여 통보하며, 이와 함께 각 성취수준에 해당하는 학생들의 영어 능력을 기술(performance level description) 하여 제공한다. (2012년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시행 계획) 출제 방안 및 채점 방안[편집] 시범평가 기간에는 합숙 출제와 문항 공모제를 병행하되, 점진적으로 문항 공모제 등을 통한 문항출제 방식을 체계화하고, 2012년 본격 시행 이전까지 적정 규모의 문제은행을 구축할 계획이다.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에서 듣기ㆍ읽기 영역은 채점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 채점이 이루어지며, 말하기ㆍ쓰기 영역은 전문 채점자가 on-line으로 직접 채점을 하게 되는데 채점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복수 채점을 하게 된다. (이상 2010년 6월 29일 발표안) 듣기, 읽기의 경우 선다형이므로 자동채점이 이루어진다. 말하기, 쓰기는 채점자가 서버에 접속하여 온라인으로 채점하게 된다. 신뢰도가 높은 채점자를 연차적으로 5,000명까지 확보해나갈 예정이다. (이상 2011년 5월 26일 발표안) 교육과정과의 연계[편집] 2007 개정 교육과정[편집] 2급: 영어Ⅱ, 독해와 작문, 심화 영어 회화 3급: 영어, 영어Ⅰ, 실용 영어 회화 2011 개정 교육과정[편집] 2급: 영어Ⅰ, 영어Ⅱ, 영어 회화, 영어 독해와 작문 3급: 실용 영어Ⅰ, 실용 영어Ⅱ, 실용 영어 회화, 실용 영어 독해와 작문 어휘 수준[편집] 2급: 교육과정 기본어휘[2][3][4] 를 모두 포함한 3,000개의 어휘기본형 3급: 현행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2,000여개의 기본 어휘 학습 안내서, 단어집 제공[편집]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에 출제되는 문장 유형(pattern)과 어휘(vocabulary)의 범위를 사전에 명확하게 제시하고, 동 시험 대비 학습 안내서(NEAT 200)와 단어집(NEAT Voca 2000, 3000)을 개발, 보급했다. (2012년 6월)[5] 예비시험[편집] 2009년[편집] 고등학생용 2급, 3급 예비시험을 2009년 5월 28일(목) 과 29일(금) 양일간, 서울, 인천, 경기 지역 33개 고등학교 3학년 학생 약 4,0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6] 고등학생용 2급, 3급 예비시험을 2009년 9월 10일(목) 과 11일(금) 양일간, 전국 15개 시ㆍ도(제주도 제외) 40개 고등학교 3학년 학생 약 5,3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7] 고등학생용 2급, 3급 예비시험을 2009년 12월 21일(월) 과 22일(화) 양일간, 전국 15개 시ㆍ도(제주도 제외) 80개 고등학교 2학년 학생 약 10,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8] 2010년[편집] 성인용 1급 예비시험을 2010년 4월 24일(토) 서울·수도권 지역 대학생 및 직장인 등 약 2,0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9] 고등학생용 2급, 3급 예비시험을 2010년 9월, 34개 고등학교 학생 약 2,9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10] 고등학생용 2급, 3급 예비시험을 2010년 12월 20일(월)~24일(금) 전국 16개 시ㆍ도의 169개 고등학교 2학년 학생 약 20,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10] 2011년[편집] 성인용 1급 예비시험을 2011년 1월 29일(토)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 전국 17개 주요 도시 25개 시험장에서 대학생, 직장인 등 일반인 4,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11] 고등학생용 2급, 3급 예비시험을 2011년 3월, 16개 고등학교 학생 1,9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2011년 5월 26일 발표 자료에 있음) 고등학생용 2급, 3급 예비시험을 2011년 5월 26일(목) 과 27일(금) 양일간, 전국 16개 시ㆍ도의 80개 고등학교 3학년 학생 약 1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12] 성인용 1급 예비시험을 2011년 7월 30일(토) 전국 45개 도시에서 대학생, 직장인 등 일반인 2,0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1] 성인용 1급 예비시험을 2011년 12월 17일(토)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 전국 44개 주요 도시의 48개 시험장에서 대학생, 직장인 등 일반인 4,0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13] 2012년[편집] 고등학생용 2급, 3급 모의 평가를 2012년 5월 20일(일) 전국 16개 시도 109개 시험장에서 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했다.[14] 본 시험[편집] 2012년[편집] 고등학생용 2급, 3급 1차 시험을 2012년 6월 24일에 실시했다. 고등학생용 2급, 3급 2차 시험을 2012년 7월 29일에 실시했다. 성인용 1급 시험을 2012년 9월 26일에 실시했다.[15] 2013년[편집] 고등학생용 2급, 3급 1차 시험을 2013년 6월 2일에 실시했다. 고등학생용 2급, 3급 2차 시험을 2013년 7월 28일에 실시했다. 성인용 1급 시험을 2013년 5월 11일에 실시했다. 대학입시제도 개편[편집] 수시모집 활용 가능[편집] 강릉원주대학교, 공주대학교, 대진대학교, 동서대학교, 부경대학교, 창원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등 7개 대학이 2013학년도 수시모집에서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성적을 시범적으로 반영했다.[16] 또한, 2014학년도부터 동덕여자대학교 등 27개 4년제 대학에서 2014학년도 수시모집에서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성적을 활용하였으며, 신구대학교 등 9개 전문대학에서도 활용하였다.[17]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과의 관계[편집]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A형은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3급, 영어 B형은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2급과 유사하게 출제될 전망이다.[18][19] 수능 외국어영역(영어) 대체 여부[편집] 교육과학기술부는 수능 외국어영역을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으로 대체할 지 여부를 시험의 공신력 인정 정도, 의견수렴 결과를 종합하여 2012년 하반기에 최종 결정하기로 하였다. 2012년 첫 시험의 결과를 보고 수능 대체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것이므로, 만약 수능을 대체하는 쪽으로 결정이 난다면 최소 3년의 유예기간을 둬야 하므로 2016학년도 수능 이후부터 수능 외국어영역을 대체하게 될 것이다.[20][21] 하지만, 준비가 부족하여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자문위원회의 내용을 중심으로 2018학년도 대체가 유력하다고 보도하였다.[22] 그러나, 2013년에 서남수 교육부 장관은 NEAT의 수능 대체는 학생들의 학습부담이 커지고, 사교육을 조장한다는 이유로, 결국 NEAT 수능대체를 백지화하였다. 현행 수능 외국어영역(영어) 과의 난이도 비교[편집]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이 대학수학능력시험보다 조금 더 쉽게 출제될 예정이다. 어휘 수에서는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2급)이 현행 수능에 비해 1,000단어 이상 적을 뿐만 아니라, 2급 시험 읽기 영역의 예상 정답률은 수능에 비해 5~10% 정도 높다. (2011년 5월 26일 발표안) 영어과 교육과정 개정[편집]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시행에 맞춰 2011년에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영어과 교육과정'을 개정했다. 적용 연도[편집] 2013년 3월 1일: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 2014년 3월 1일: 초등학교 3, 4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2학년 2015년 3월 1일: 초등학교 5,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3학년 2013년[편집] 2013년 기준으로 초중고교 모두 2006년 8월 29일에 고시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영어과 교육과정' 을 적용하고 있다. 다만 중학교 1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은 2011년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한다. 논란[편집] 2012년에 두 차례 시행된 2~3급 시험에서 듣기·읽기·말하기·쓰기 4개 영역에서 모두 최고점수인 A등급을 받은 수험생은 2급의 경우 17.4%, 3급은 29.9%에 달해 '변별력' 논란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23][24] 이러한 이유로,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를 비롯한 서울, 수도권 소재 주요 상위권 대학들은 NEAT 시험을 꺼리고 있다. 또한 1급 시험의 경우, 국외에서 시험의 공신력을 확보해야 한다.[25][26][27] 운영면에서도 2013년에 시행된 2~3급 시험에서 전산 오류가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수험생이 시험이 끝나고 답안을 작성하는 일이 있는 등 부실하게 운영하게 했다는 지적이 있다.[28] 시험 결과[편집] 김선동 의원(한나라당)이 2010년 10월 5일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세 차례 실시된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한국형 토플) 예비시험에서 말하기와 쓰기 영역의 성적이 듣기와 읽기 영역의 성적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29][30] 폐지[편집]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은 박근혜 정부에 들어서 낮은 활용도와 저조한 응시자 수로 인해 더 이상 예산 반영을 하지 않음으로써 2014년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2급과 3급이 폐지되었으며, 2015년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1급이 폐지되었다.[31] 같이 보기[편집] 대학수학능력시험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교과목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국립국제교육원 각주[편집] ↑ 가 나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1급, 성인용) 3차 모의평가 실시 ↑ 2007 개정 교육과정(영어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34쪽 ~ 61쪽 ↑ 7차 교육과정(영어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57쪽 ~ 74쪽 (현행 교육과정이 아님) ↑ 2011 개정 교과 교육과정(영어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57쪽 ~ 90쪽 (현행 교육과정이 아님) ↑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2012년 시행 계획 발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개발을 위한 예비시험 실시 ↑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개발을 위한 2차 예비시험 실시 ↑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개발을 위한 3차 예비시험 실시 ↑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1급, 성인용) 1차 예비시험 실시 ↑ 가 나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2ㆍ3급) 시범평가 실시(2010년 12월 20일) ↑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1급, 성인용) 모의평가 실시 ↑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수준 설정 및 IBT 시행 시스템 점검 등(첨부파일의 15쪽)[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1급, 성인용) 4차 모의평가 실시”.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7일에 확인함.  ↑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모의평가…"쉬웠다" ↑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성인용 26일 첫 시행 ↑ 2013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 발표(2011년 12월 12일) ↑ 2014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 발표(2012년 12월 11일) ↑ 2014학년도 수능시험 개편방안 발표 ↑ 2014 수능시험, 이렇게 달라집니다. ↑ 수능영어 `한국형 토익'으로 대체 검토(종합) ↑ '한국판 토플' 국가영어평가시험 2012년 첫 시행 ↑ NEAT 수능대체 시기 2018학년도 유력 ↑ 수능 영어 대체 니트, 변별력 '논란' ↑ “올A 너무 많다” vs “수학 자격 시험” ↑ 토익·토플’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신뢰·난이도 검증[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現 초등 6학년 대입영어 ‘한국형 토플’로 치를 것 ↑ “토익·토플 ‘국부 유출’…한국형 시험 성공 조건은?”.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9월 27일에 확인함.  ↑ "전산오류에 시험 끝나고 답안 입력"..NEAT 총체적 부실 사실로 ↑ '수능 대체' 국가영어능력평가 어떻게 준비해야하나? ↑ 미래교육연구소 블로그 ↑ 한국형 토익 'NEAT' 결국 내년 폐지된다 참고 자료[편집] 영어교육 혁신방안(2006년 11월 3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도입 계획 발표(2007년 7월 30일)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개발 방안 확정, 수능대체 여부는 2012년에 결정하기로(2008년 12월 18일)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1급) 개발 추진 컨소시엄 선정(2009년 11월 11일)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채점 인력풀 신청 안내(2010년 4월 25일 마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2, 3급) 개발 및 운영 방안 공청회(2010년 6월 29일) 2011년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및 영어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공개 토론회(2011년 5월 26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및 영어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공개토론회 개최(2011년 5월 26일. 공감코리아)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소개(공개토론회 자료집 등. EBSe)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바로알기 설명자료(2011년 6월 30일 학부모 교육정책 설명회용)[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vdeh공인 영어 시험 TOEFL G-TELP TOEIC IELTS TEPS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oldid=24192836" 분류: 영어 시험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7: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은 해외 영어시험(TOEIC, TOEFL 등)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해 교육과학기술부가 본격적으로 개발·도입했던 영어 시험이며, 읽기·듣기·말하기·쓰기 능력을 평가하는 인터넷 기반시험(IBT)으로 개발되었다. 1급과 2급, 3급의 시험 주관 기관이 달랐는데, 1급은 국립국제교육원에서, 2급, 3급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주관하였다. 2009년부터 예비 평가를 실시하여 2012년부터 본 시험을 실시하다가, 여러 문제로 인하여 2015년을 끝으로 폐지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1년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중 전국 44개의 주요도시에서 치른 성인용 1급 예비시험의 날짜는 언제인가? Assistant: 12월 17일
Human: 아래 무주우체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무주우체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무주우체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6° 00′ 22″ 동경 127° 39′ 40″ / 북위 36.006152° 동경 127.661139°  / 36.006152; 127.661139 무주우체국 기본 정보종류 우체국위치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주계로 100 (읍내리)관할지역 전라북도 무주군현황 홈페이지 무주우체국 홈페이지 무주우체국(茂朱郵遞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 전북지방우정청 소속의 우편물 취급기관이다. 목차 1 연혁 2 관할 우체국 3 각주 4 외부 링크 연혁[편집] 1910년 9월 26일: 무주우편소 개소 1950년 1월 12일: 무주우체국으로 개칭 1971년 4월 1일: 사무관국 승격 2001년 8월 16일: 무주구천동우편취급소 신설[1] 2014년 1월 1일: 우편구역을 다음과 같이 고시[2] 무주우체국 관할 우편구역 배달국 배달구역 구역번호 무주우체국 무주읍 · 적상면 55505 ~ 55533 무주설천우체국 설천면 · 무풍면 55544 ~ 55563 무주안성우체국 안성면 55534 ~ 55543 무주부남우체국 부남면 55500 ~ 55504 2004년 7월 5일: 신청사(지상4층, 지하2층)를 완공 2014년 10월 21일: 무주구천동우편취급국 위탁계약 해지 및 재개국[3] 2016년 9월 1일: 무주무풍우체국 점심시간 휴무 시행[4] 2018년 4월 1일: 무주구천동우편취급국 폐국[5] 관할 우체국[편집] 우체국명 사진 주소 비고 무주구천동우편취급국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구천동1로 158 2001년 8월 16일 신설2018년 4월 1일 폐국 무주무풍우체국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현내로 230 점심시간 휴무 시행 무주부남우체국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대소길 24 별정우체국 무주설천우체국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무설로 1606 무주안성우체국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시장윗길 6 무주적상우체국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적상산로 24 각주[편집] ↑ 전북체신청고시 제2001-8호, 2001년 8월 17일. ↑ 전북지방우정청고시 제2013-5호, 2013년 12월 31일. ↑ 전북지방우정청고시 제2014-8호, 2014년 10월 22일. ↑ 전북지방우정청고시 제2016-58호, 2016년 9월 5일. ↑ 전북지방우정청고시 제2018-1호, 2018년 3월 16일. 외부 링크[편집] 무주우체국 홈페이지 vdeh 우정사업본부본부 직속 우정공무원교육원 우정사업정보센터 우정사업조달센터 지방우정청서울지방우정청국제우편물류센터 우체국 서울중앙 서울강남 서울광진 서울강서 광화문 서대문 동대문 서울마포 서울관악 서울은평 여의도 서울금천 서울성북 서울강동 서울송파 서울양천 서울동작 서울서초 서울용산 서울노원 서울중랑 서울도봉 서울구로 우편집중국 동서울 경인지방우정청안양우편물류센터 우체국 부천 인천 서인천 인천계양 남인천 인천남동 의정부 수원 동수원 군포 안양 성남 성남분당 안산 고양일산 고양덕양 남양주 시흥 광명 용인수지 평택 용인 화성 화성동탄 부평 서수원 이천 안성 포천 경기광주 파주 김포 구리 강화 가평 양평 여주 동두천 연천 백령 오산 하남 우편집중국 부천 의정부 안양 고양 성남 수원 부산지방우정청부산국제우체국 우체국 부산 동래 남부산 부산사상 부산금정 부산사하 해운대 북부산 부산연제 울산 남울산 마산 창원 진주 김해 부산진 양산 동부산 부산영도 통영 진해 거제 거창 기장 부산강서 동울산 거창 고성 남해 마산합포 밀양 사천 산청 의령 창녕 하동 함안 함양 합천 우편집중국 부산 진주 울산 창원 충청지방우정청우체국 대전 서대전 대전유성 대전대덕 대전둔산 천안 공주 청주 서청주 충주 제천 아산 동천안 세종 서산 논산 금산 홍성 예산 서천 당진 청양 부여 보령 태안 단양 괴산 진천 옥천 음성 영동 보은 우편집중국 대전 청주 천안 전남지방우정청우체국 광주 북광주 서광주 광주광산 목포 여수 순천 광양 나주 해남 강진 고흥 곡성 구례 담양 무안 보성 영광 영암 완도 장성 장흥 진도 함평 화순 우편집중국 광주 영암 경북지방우정청우체국 대구 동대구 서대구 북대구 대구달서 대구수성 포항 경주 안동 구미 경산 영주 상주 달성 김천 영천 의성 문경 울진 예천 영덕 봉화 칠곡 청도 청송 성주 군위 영양 고령 울릉 우편집중국 대구 안동 포항 전북지방우정청우체국 전주 동전주 군산 익산 정읍 김제 완주 남원 부안 무주 임실 진안 순창 고창 장수 우편집중국 전주 강원지방우정청우체국 춘천 원주 강릉 삼척 동해 속초 양구 양양 영월 인제 정선 철원 태백 평창 홍천 화천 횡성 우편집중국 원주 강릉 제주지방우정청우체국 제주 서귀포 우편집중국 제주 이 글은 우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무주우체국&oldid=23771786" 분류: 전라북도 소재의 우체국무주군 소재의 관공서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우편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2월 26일 (화) 08: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무주우체국(茂朱郵遞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 전북지방우정청 소속의 우편물 취급기관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무주우체국이 관할하는 우체국에는 어떤곳들이 있을까? Assistant: 우체국명 사진 주소 비고 무주구천동우편취급국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구천동1로 158 2001년 8월 16일 신설2018년 4월 1일 폐국 무주무풍우체국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현내로 230 점심시간 휴무 시행 무주부남우체국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대소길 24 별정우체국 무주설천우체국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무설로 1606 무주안성우체국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시장윗길 6 무주적상우체국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적상산로 24 Human: 아래 장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장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뱀장어목 Anguilla rostrata 생물 분류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아문: 척추동물아문 강: 조기어강 아강: 신기어아강 하강: 진골어하강 상목: 당멸치상목 목: 뱀장어목 (Anguilliformes) 아목 뱀장어아목 (Anguilloidei) 먹붕장어아목 (Congroidei) 도요새뱀장어아목 (Nemichthyoidei) 긴꼬리장어아목 (Synaphobranchoidei) 장어(長魚, eel)는 조기어강 뱀장어목(Anguilliformes)에 속하는 민물고기들을 통칭하는 이름이다. 뱀장어목은 4개의 아목, 19개의 과, 110개 속에 약 600여 종을 포함하고 있다. 몸이 길쭉하며, 비늘은 없거나 또는 피부 밑에 파묻혀 있다. 배지느러미가 없고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가 꼬리지느러미에 연결되는데, 각 지느러미에는 가시줄(기조, 극조)이 없다. 뱀장어목에는 뱀장어·곰치·갯장어·붕장어 등이 포함된다. 목차 1 하위 분류 2 계통 분류 3 각주 4 외부 링크 하위 분류[편집] 2016년 넬슨(Nelson)과 그란데(Grande), 윌슨(Wilson) 등의 연구에 기초한 분류는 다음과 같다.[1] 프로탕구일라아목 (Protanguilloidei) 프로탕구일라과 (Protanguillidae) 긴꼬리장어아목 (Synaphobranchoidei) 긴꼬리장어과 (Synaphobranchidae) 곰치아목 (Muraenoidei) 진흙장어과 (Heterenchelyidae) 가는장어과 (Myrocongridae) 곰치과 (Muraenidae) 클론시스아목 (Chlopsoidei) 클롭시스과 (Chlopsidae) 붕장어아목 (Congroidei) 붕장어과 (Congridae) - 먹붕장어과 (Colocongridae) 포함 긴목장어과 (Derichthyidae) 갯장어과 (Muraenesocidae) 오리주둥이장어과 (Nettastomatidae) 바다뱀과 (Ophichthidae) 스파게티장어아목 (Moringuoidei) 스파게티장어과 (Moringuidae) 풍선장어아목 (Saccopharyngoidei) 펠리칸장어과 (Eurypharyngidae) 풍선장어과 (Saccopharyngidae) 모노그나투스과 (Monognathidae) 케마과 (Cyematidae) 뱀장어아목 (Anguilloidei) 뱀장어과 (Anguillidae) 도요새장어과 (Nemichthyidae) 톱니장어과 (Serrivomeridae) 계통 분류[편집] 2016년 현재,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2] 조기어류 다기어목 철갑상어목 신기어류 전골어류 아이아목 레피소스테우스목 진골어류 당멸치상목 당멸치목 뱀장어목 여을멸목 밑보리멸목 Osteoglossocephalai 골설어상목 히오돈목 골설어목 Clupeocephala Otomorpha 청어목 민머리치목 골표류 압치목 잉어목 카라신목 김노투스목 메기목 신진골어류 2013년 현재,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3] 뱀장어목 프로탕구일라과 긴꼬리장어과 스파게티장어과 도요새장어과 케마과 톱니장어과 모노그나투스과 펠리칸장어과 풍선장어과 뱀장어과 긴목장어과 + 클롭시스과 + 붕장어과 + 먹붕장어과 붕장어과 + 오리주둥이장어과 붕장어과 갯장어과 바다뱀과 클롭시스과 진흙장어과 가는장어과 곰치과 각주[편집] ↑ Nelson, Joseph S.; Grande, Terry C.; Wilson, Mark V. H. (2016). 《Fishes of the World》 5판. John Wiley & Sons. ISBN 9781118342336.  ↑ R. Betancur-R., E. Wiley, N. Bailly, A. Acero, M. Miya, G. Lecointre, G. Ortí: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 Version 4 (2016) ↑ Francesco Santinia, Xianghui Kong, Laurie Sorenson, Giorgio Carnevale, Rita S. Mehta, Michael E. Alfaro. “A multi-locus molecular timescale for the origin and diversification of eel-like fishes (Order: Anguilliforme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elsevier》.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장어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위키생물종에 Anguilliformes 관련 자료가 있습니다. “Anguilliformes”. 미국 통합 분류학 정보 시스템(Integrated Taxonomic Information System, ITIS).  vdeh장어참 장어(뱀장어목) 뱀장어아목 뱀장어과 클롭시스과 진흙장어과 스파게티장어과 곰치과 가는장어과 프로탕구일라과 붕장어아목 붕장어과 긴목장어과 갯장어과 오리주둥이장어과 바다뱀과 그외 도요새장어과 톱니장어과 긴꼬리장어과 가짜 장어(뱀장어목 아님) 장님동굴장어 케마과 첨치과 전기뱀장어 불장어 풍선장어아목 펠리칸장어 고무장어 모래장어 먹장어 가시장어 드렁허리 바퀴자국장어 늑대장어 식용 장어 요리 아나고 장어파이 장어젤리 가바야키 우나돈 관련 주제 장어의 생활사 장어도 장어솥 실뱀장어 댓잎장어(유생) 아바이아 Eel cuddling 시나와 장어 구멍낚시 vdeh현존하는 조기어강의 목 계: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아문: 척추동물아문 하문: 유악하문 상강: 경골어상강 연질어아강 다기어목 철갑상어목 신기어아강전골어하강 아미아목 레피소스테우스목 진골어하강당멸치상목 당멸치목 뱀장어목 여을멸목 밑보리멸목 골설어상목 히오돈목 골설어목 청어상목 청어목 민머리치상목 민머리치목 골표상목 압치목 잉어목 카라신목 김노투스목 메기목 신진골어류레피도갈락시아스상목 레피도갈락시아스목 원극기상목 샛멸목 갈락시아스목 민물꼬치고기목 연어목 앨퉁이상목 앨퉁이목 바다빙어목 꼬리치상목 꼬리치목 홍메치상목 홍메치목 샛비늘치상목 샛비늘치목 이악어상목 이악어목 측극기상목 연농어목 달고기목 스틸레포루스목 대구목 턱수염금눈돔상목 턱수염금눈돔목 극기상목 납작금눈돔목 금눈돔목 얼게돔목 첨치류 첨치목 두꺼비고기류 두꺼비고기목 망둑어류 쿠르투스목 망둑어목 실고기류 실고기목 고등어류 고등어목 등목어류 드렁허리목 등목어목 전갱이류 돛새치목 전갱이목 가자미목 오발렌타리아류 키클라목 색줄멸목 동갈치목 열대송사리목 숭어목 학치목 베도라치목 에우페르카리아류 게레치목 통구멍목 놀래기목 활치목 백미돔목 도미목 병치돔목 아귀목 복어목 뿔돔목 양쥐돔목 나비고기목 통돔목 주걱치목 검정우럭목 농어목 조기어류의 과 목록 vdeh고기 본문  사냥감 : 생선 : 고기 : 가금 : 해산물 가금류와 사냥 고기 곰 닭 오리 칠면조 거위 꿩 뇌조 타조 기러기 메추라기 자고새 비둘기 박쥐 원숭이 토끼 사슴 캥거루 뱀 거북 기각류 앨리게이터 크로커다일 가축 소와 송아지 들소 물소 개 고양이 낙타 코끼리 염소 기니피그 말 양 라마 돼지 야크 곤충 생선과 해산물 게 가재 바닷가재 새우 멸치 베트남메기 배스 메기 잉어 대구 검정우럭 돌고래 장어 가자미 참바리 해덕 넙치 청어 대서양고등어 참고등어 만새기 돛새치 젖빛고기 납작금눈돔 꽁치 농어 민물꼬치고기 폴록 연어 정어리 납서대 황새치 틸라피아 송어 다랑어 명태 성게 해삼 멍게 고래 상어 조리법 간 숙성 구이 고기완자 내장 마른고기 바비큐 베이컨 살라미 살루메 소시지 스테이크 스튜 양념장 연육화 염장 염장고기 육회 생육회 절임 조림 찜 촙 커틀릿 케밥 콘드 비프 타르타르 스테이크 튀김 패티 페퍼로니 퐁뒤 해기스 햄 훈제고기 관련 주제 정육점 식인 배양육 식물성 고기(육류 유사체) 고기 절단기 식육 윤리 식품 보존 도축 적색육 백색육 생물 분류 식별자 Wd: Q128685 ADW: Anguilliformes EoL: 8280 EPPO: 1ANGLO 유럽식물데이터베이스: 12015 화석연구데이터베이스: 35343 GBIF: 495 iNaturalist: 47314 IRMNG: 10906 ITIS: 161123 NCBI: 7933 NZOR: 8d49b618-d23a-4777-9c47-b547f2225384 WoRMS: 1029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장어&oldid=24496832" 분류: 뱀장어목동물 통상명숨은 분류: CS1 관리 - 여러 이름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From 변수가 없는 생물 분류 식별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생물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CatalàMìng-dĕ̤ng-ngṳ̄CebuanoᏣᎳᎩ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Bahasa Hulontalo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ñupiakIdo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TaqbaylitKongoҚазақшаKurdî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Latviešu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Nāhuatl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Diné bizaad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alonWinarayIsiXhosa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9일 (토) 00:4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장어(長魚, eel)는 조기어강 뱀장어목(Anguilliformes)에 속하는 민물고기들을 통칭하는 이름이다. 뱀장어목은 4개의 아목, 19개의 과, 110개 속에 약 600여 종을 포함하고 있다. 몸이 길쭉하며, 비늘은 없거나 또는 피부 밑에 파묻혀 있다. 배지느러미가 없고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가 꼬리지느러미에 연결되는데, 각 지느러미에는 가시줄(기조, 극조)이 없다. 뱀장어목에는 뱀장어·곰치·갯장어·붕장어 등이 포함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장어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어? Assistant: 2016년 넬슨(Nelson)과 그란데(Grande), 윌슨(Wilson) 등의 연구에 기초한 분류는 다음과 같다.[1] 프로탕구일라아목 (Protanguilloidei) 프로탕구일라과 (Protanguillidae) 긴꼬리장어아목 (Synaphobranchoidei) 긴꼬리장어과 (Synaphobranchidae) 곰치아목 (Muraenoidei) 진흙장어과 (Heterenchelyidae) 가는장어과 (Myrocongridae) 곰치과 (Muraenidae) 클론시스아목 (Chlopsoidei) 클롭시스과 (Chlopsidae) 붕장어아목 (Congroidei) 붕장어과 (Congridae) - 먹붕장어과 (Colocongridae) 포함 긴목장어과 (Derichthyidae) 갯장어과 (Muraenesocidae) 오리주둥이장어과 (Nettastomatidae) 바다뱀과 (Ophichthidae) 스파게티장어아목 (Moringuoidei) 스파게티장어과 (Moringuidae) 풍선장어아목 (Saccopharyngoidei) 펠리칸장어과 (Eurypharyngidae) 풍선장어과 (Saccopharyngidae) 모노그나투스과 (Monognathidae) 케마과 (Cyematidae) 뱀장어아목 (Anguilloidei) 뱀장어과 (Anguillidae) 도요새장어과 (Nemichthyidae) 톱니장어과 (Serrivomeridae)
Human: 아래 김사량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사량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사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비슷한 이름의 김사랑에 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김사량(金史良, 1914년 3월 3일~1950년 10월 ?일)은 평양 출생의 소설가, 희곡 작가로 재일 한인 문학의 효시로 여겨지는 작가이다. 목차 1 학력 2 가족관계 3 생애 4 인간 관계 5 주요 작품 6 평가 7 일화 8 참고 문헌 9 외부 링크 학력[편집] 1931년 평양고등보통학교 퇴학 (1947년 명예 졸업장 획득) 1933년 구제 사가 고등학교 입학 1939년 도쿄 제국대학 문학부 독일문학과 졸업(졸업논문 주제는 하이네), 같은 해 도쿄 제국대학 대학원 입학 1941년 도쿄 제국대학교 대학원 독일어문학과 문학석사 졸업 가족관계[편집] 양친의 성명은 알려지지 않음. 단 모친은 미국 유학을 다녀오고 만주에 지점을 가진 백화점을 경영하는 기독교인이자 사업가였다고 함. 4남매로 김사량은 차남. 형 시명(時明), 누나 특실(特實), 누이동생 오덕(五德). 형 시명은 교토 제국대학 법학부 재학 중 동생 김사량의 도일을 도왔음. 홍천군과 평창군수를 지냈으며 황해도청 농상부장 겸 도참여관을 역임. 조선총독부 사상 유일한 조선인 전매국장 자리에 올랐으며 대학 교수, 중앙산임조합 연합회 이사장 등을 지냈으나 전쟁 중 인민군에 납치됨. 누이 오덕은 결혼하여 서울에 거주했다고 하나 흔적을 찾기 힘듬. 1939년 최창옥과 결혼, 교회에서 식을 올림. 두 남매를 둔 것으로 추정됨. 생애[편집] 일제 말기 식민지 조선의 소설가, 희곡 작가. 일본어와 조선어 모두 작품을 남겼다. 1914년 3월 3일 평양부 인흥정 458의 84번지에서 출생했다. 김사량은 필명이고 본명은 시창(時昌)이다. 모친과 아내가 열렬한 기독교인으로 전해진다. 1940년 재일 조선인을 다룬 단편소설 <빛 속에>로 조선인 최초로 아쿠다가와 상 후보에 선정되었다. 여러 단편소설을 발표하며 일본 문단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다가 1941년 12월 9일 태평양 전쟁 발발 다음날 예방검속법에 의해 구금되었다. 도쿄 제국대학 문학부 독일문학과를 졸업하고 평양 대동공업전문학교 독어교사로 부임했다. 일제 학도병 위문단원으로 중국에 파견된 틈을 타 연안으로 탈출, 조선의용군에 입대하여 각종 희곡과 르포를 썼다. 이 때의 경험을 쓴 <노마만리>는 르포문학의 걸작이자 귀중한 사료로 꼽힌다. 1945년 8월 해방을 맞아 귀국한 다음 북한 문학조직 정치활동 및 대학 강의, 창작 등 활발한 활동을 벌이지만 비김일성계파이기에 작품집에 실을 작품이 누락되는 등 부침을 겪는다. 1947년 시인 구상의 데뷔 작품집인 시집 <응향> 검열위원으로 관여했다. 이후 약 2년 간 침묵을 지키다가 1950년 6.25 종군 작가로 남하하여 종군기를 집필한다. 같은 해 10월경 강원도 원주 문막 부근에서 심장병으로 낙오하여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2013년 6월 25일 북한 전승기념일에 공화국영웅 칭호를 추서받았다. 인간 관계[편집] 1936년 이마이 교헤이, 우메사와 지로, 신다니 도시오, 사와카이 스스무, 나카지마 요시히토와 동인 '제방'을 만들고 동명 잡지 발행. 1937년 <춘향전> 공연을 준비하던 무라야마 도모요시를 평양에 안내함. 1938년 이광수의 <무명> 번역하여 <모던일본>에 게재. 이광수는 이 작품으로 제1회 조선예술상 수상. 1939년 장혁주의 소개로 <문예수도> 편집장 야스타카 도쿠조에 사숙. <문예수도>에 아쿠다가와 상 후보작 <빛 속에>등 발표. 1942년 조선 방문에 나선 유아사 가쓰에, 야스타카 도쿠조, 나라사키 쓰토무, 미우라 이쓰오 등을 평양에서 맞이. 1945년 5월 학도병 위문으로 중국 파견. 가족에게 남기는 편지를 시인 노천명에게 전달하고 연안으로 탈출, 조선의용군에 합류함. 같은 해 12월 한설야 등과 함께 조선문학가 동맹 결성을 위해 서울 방문, 이태준 등과 봉황각 좌담회 참가. 주요 작품[편집] 해방 전 작품(*표시 조선어) : <빛 속에>(이하 단편소설) <향수> <풀숲 깊숙이> <천마> <도둑놈> <Q백작> <유치장에서 만난 사나이>* <십장꼽새> <태백산맥>(장편소설, 국민문학 연재) 해방 후 작품 : <호접>(이하 희곡) <봇똘의 군복> <더벙이와 배뱅이> <노마만리>(르포) <칠현금>(이하 단편소설) <마식령> <차돌의 기차> 평가[편집] 김사량은 남한에서는 월북 문인이자 일본어로 쓴 작가로, 북한에서는 비김일성계로 분류되어 오랫동안 그 존재가 잊혀져 있었다. 그러나 재일 한인 문학계에서는 효시적인 작가로 꼽히고 있다. 재일 한인문학계의 꾸준한 평가도 1984년 북한에서 복권된 배경 중 하나로 추정된다. 남한에서도 일부 연구자들이 지속적으로 주목하고 있었으나 월북 문인으로 분류되어 금지대상으로 묶여 있었다. 현재 남한에서 김사량은 비록 일본어로 썼으나 민족문학의 일원으로 인정되어야 한다는 입장과 조선어와 일본어 양쪽 모두 창작언어로 사용한 이중어적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는 입장, 탈식민주의와 트랜스내셔널리즘 문학이론의 관점으로 보는 입장 등이 산개하고 있다. 북한에서는 김사량을 소시민적 안주에서 벗어나 민족적 양심을 지킨 작가로 분류하고 있다. 최근 영어로 재일 한인문학을 소개하는 선집이 출간되었으며 김사량의 <빛 속에>가 표제작으로 포함되어 있다. 일화[편집] 김사량의 집안은 상당히 부유했으며 일제 말기 비행기 헌납을 강요당한 나머지 모친이 구금되기도 했다. 최승희에게 검무를 가르쳤다고 하며 술자리에서 자를 들고 춤을 추어보이기도 했다고 한다. 자전적인 성격이 강한 <빛 속에>의 주인공 남선생은 무용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그려지고 있다. 친일 조선 지식인을 통렬하게 비판, 풍자한 <천마>는 평론가 김문집을 모델로 하고 있다. 김문집은 해방 후 일본으로 귀화했다. 태평양 전쟁 다음날 구금당한 뒤 풀려나서 옥중에서 만난 경제학자에게 들은 '총력전으로 가면 경제적으로 약한 일본이 질 수 밖에 없다'는 말을 친한 사람들에게 전했다고 한다. 일부 연구자는 이 때 연안 탈출을 결심한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중국에서 가족에게 전하는 편지를 노천명에게 맡기고 탈출했으나 해방 후 그녀의 전집에 의하면 당시 수모를 당하던 노천명을 모른 척 했다고 한다. 사망 후 북한에서 김사량의 모든 활동은 문학사에서 삭제되고 <종군기>만이 남았다. 황석영 방북 시 김사량에 대해 물어보았으나 모두 모른다는 답변만 되돌아왔다. 그에 관심을 가진 남한 연구자들이 일본에서 출간된 전집을 들여오다가 공항에서 봉변을 당하기도 했다. 참고 문헌[편집] 김재용, <김사량 선집> 안우식, <김사량 평전> 김사량, 김재용 엮음 <노마만리> 김재용, 곽형덕 외 <김사량, 작품과 연구 1> 김재용, 곽형덕 외 <김사량, 작품과 연구 2> 김사량, 임헌영 <김사량 작품집> 김혜연, <한국 근대문학 이중어 연구 - 김사량을 중심으로> 정백수, <한국 근대의 식민지 체험과 이중언어 문학>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김사량:작가별 작품 목록 전거 통제 WorldCat VIAF: 8801051 LCCN: n84225959 ISNI: 0000 0003 7474 1955 GND: 1058492179 SUDOC: 133440613 NDL: 00333562 CiNii: DA0109200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사량&oldid=21068424" 분류: 1914년 태어남1950년 죽음일본의 소설가재일 한국인평양직할시 출신도쿄 대학 동문평양고등보통학교 동문숨은 분류: 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문헌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4월 8일 (일) 17:5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사량(金史良, 1914년 3월 3일 ~ 1950년)은 평양 출생의 소설가, 희곡 작가로 재일 한인 문학의 효시로 여겨지는 작가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사랑은 1938년에 이광수의 <무명>을 번역하여 <모던일본>에 실었고, 이로 제 1회의 이 상을 수상하였다. 어떤 상일까? Assistant: 조선예술상 Human: 아래 전혜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전혜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혜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전혜린田惠麟 출생 1934년 1월 1일(1934-01-01)일제 강점기 평안남도 순천시 사망 1965년 1월 10일 (31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직업 수필가, 번역문학가 언어 한국어, 독일어 국적 대한민국 학력 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 독어독문학 학사 학위 대표작 《그리고 아무말도 하지 않았다》《이 모든 괴로움을 또다시》 부모 아버지 전봉덕 배우자 김철수 (1964년 이혼) 자녀 딸 김정화 종교 천주교 (세례명: 막달레나) 전혜린(田惠麟, 1934년 1월 1일 ~ 1965년 1월 10일)은 대한민국의 수필가이자 번역문학가이다.[1] 목차 1 생애 2 학력 3 경력 4 평가 5 저서 5.1 역서 6 가계 7 전혜린을 연기한 배우 8 각주 생애[편집] 일제 강점기 1934년 1월 1일에 평안남도 순천(順川)에서 조선총독부 고급 관리인 아버지 전봉덕(田鳳德) 슬하의 1남 7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전봉덕은 일제 강점기 고등문관시험 사법·행정 양과에 합격한 후 총독부 관리가 됐고 광복 이후에도 법조계에 몸담았다. 전봉덕은 전혜린이 서너 살 때부터 한글과 일본어를 직접 가르쳤다. 전봉덕은 그가 대를 이어 판사나 고위 관리가 되기를 바랐지만 전혜린의 꿈은 법조인이 아니라 문인이 되는 것이었다.[2][3] 한국 전쟁 중이었던 1952년에 전시 체제 임시 수도였던 부산에서 아버지의 권유로 서울대학교 법학과에 입학하였다. 독어독문학과 강의를 도강하면서 독일 문학에 심취하다가 1955년 3학년 재학 중 전공을 독어독문학으로 바꾸었고 독일 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에서 유학하였다. 전봉덕은 전혜린의 유학길을 막지는 않았지만 돈을 여유 있게 보내주지는 않았기 때문에 독일에서 전혜린은 경제적으로 궁핍한 생활을 해야 했다.[2][4] 독일 유학 시절 천주교 영세를 받았다. 1956년 독일 유학생이자 법학도였던 김철수(金哲洙)와 결혼하였고, 1959년 딸을 낳았으며, 1964년 이혼하였다.[2] 1959년 4월에 귀국하자 서울대학교·성균관대학교·이화여자대학교 등에서 강의 의뢰가 왔고 수많은 에세이를 발표했다. 독일에 있을 때부터 사망할 때까지 독일 문학 작품을 여러 편 번역했다. 독일에서 받은 학사 학위로 서른한 살이 된 해인 1964년에 성균관대학교 조교수가 되었다.[2][5] (당시엔 해외학위는 물론이고 국내 대학에서도 석박사 학위자가 부족했기 때문에 학사 학위자가 교수직을 맡는 일은 흔한 일이었다) 번역한 책으로는 루이제 린저의 《생의 한가운데》,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 하인리히 뵐의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이미륵의 《압록강은 흐른다》 등 10여 편으로, 이 작품들을 통해 당대 청년들에게 영향을 끼친 바가 크다.[6] 1965년 1월 10일 서울특별시 중구 남학동 자택에서 자살로 생을 마감하였다. 사후(死後) 출간 된 수필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1966년)와 《이 모든 괴로움을 또 다시》(1968년)가 있다. 1994년에 발간된 《목마른 계절》은 두 수필의 내용을 발췌해서 한 권으로 만든 것이다. 이 수필들에서는 치열한 삶에 대한 열정을 보였다. 범상한 일상에 만족하지 말고 이상을 향해 끊임없이 나아가야 한다고 시종일관 주장했고, '이상을 향한 동경'을 버릴 때 인간은 현실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자족하는 돼지가 되고 만다고 했다.[2][7] 학력[편집] 경기여자중학교 경기여자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법학과 중퇴 독일 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 독어독문학 학사 학위 경력[편집] 독일 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 조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강사 이화여자대학교 강사 성균관대학교 조교수 펜클럽 한국본부 번역분과위원 평가[편집] 독일 유학 때부터 시작된 전혜린의 번역 작품들은 정확하고 분명한 문장력과 유려한 문체의 흐름으로 많은 독자들에게 사랑을 받았다. 전혜린의 유고 수필집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는 1970년대 말까지 청년들의 마음을 뒤흔든 베스트셀러이다.[6] 순수와 진실을 추구하고 정신적 자유를 갈망하던 전혜린의 모습은 지금까지도 당대의 새로운 여성상으로 평가받는 한편, 완벽한 정신세계를 지향하는 지성적인 현대 여성의 심리로서 분석되는 등 관심을 받았다.[8] 저서[편집]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1966년. ISBN 8942220045 《이 모든 괴로움을 또 다시》. 1968년. ISBN 9788942220052 《목마른 계절》. 범우사. 1994년. ISBN 9788908060104 역서[편집] 《어떤 미소》(Un certain sourire). 1956년 《안네 프랑크 - 한 소녀의 걸어온 길》(Anne Frank). 1958년 《압록강은 흐른다》(Der Yalu Fliesst)1959년. ISBN 9788963650401 《파비안》(Fabian). 1960년 ISBN 9788931003758 《생의 한 가운데》(Mitte des Lebens). 1961년 ISBN 9788931003352 《에밀리에》. 1963년 《그래도 인간은 산다》. 1963년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Und Sagte kein Einziges Wort). 1964년 《태양병》. 1965년 《데미안》. 북하우스. 2013년. ISBN 9788956056449 가계[편집] 아버지: 전봉덕(田鳳德, 1910년 12월 12일 ~ 1998년 5월 18일) - 일제 강점기의 경찰, 대한민국의 군인, 변호사이다. 2002년 공개된 친일파 708인 명단과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에 올라 있다. 딸: 김정화(金貞和, 1959년 3월 15일 ~ ) 전혜린을 연기한 배우[편집] 이재은 - 《명동백작》 《지금도 마로니에는》(EBS) 각주[편집] ↑ 김중배. "경계 밖에 놓인 '전혜린' 다시 불러내야". 연합뉴스. 2014년 7월 28일. ↑ 가 나 다 라 마 이승하. ‘자기 앞의 생’ 치열한 열정으로 살았던 천재 작가 전혜린. 여성신문. 2013년 6월 8일. ↑ 이정호. 이미륵과 전혜린, 정규화 . PD저널. 2008년 11월 18일. ↑ 김선미. 박근혜 대통령과 전혜린의 ‘아버지’. 디트뉴스24. 2013년 12월 13일. ↑ “田惠麟씨 死亡”. 동아일보. 1965년 1월 11일. 2012년 8월 5일에 확인함.  ↑ 가 나 박숙자. 전혜린의 서재, 그 시절 청년들의 영혼. 한경비즈니스. 2014년 9월 5일. ↑ 윤성근. 오래된 책 속에 살아있는, 전혜린. 경향신문. 2014년 6월 13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전혜린&oldid=24198725" 분류: 1934년 태어남평안남도 출신경기여자고등학교 동문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문뮌헨 대학교 동문대한민국의 대학 강사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대한민국의 번역가대한민국의 수필가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1965년 죽음대한민국의 자살한 사람자살한 작가독일어-한국어 번역가담양 전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01: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전혜린(田惠麟, 1934년 1월 1일 ~ 1965년 1월 10일)은 대한민국의 수필가이자 번역문학가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소설가 전혜린이 번역한 적이 있는 헤르만 헤세의 작품으로 주인공 에밀 싱클레어의 자전적 고백으로 이루어진 이 작품의 제목은? Assistant: 데미안
Human: 아래 STU48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STU48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STU48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타니 노노카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STU48 기본 정보 국가 일본 결성 지역 일본 세토우치 지방 장르 J-pop 활동 시기 2017년 4월 ~ 레이블 유, 비 쿨! 소속사 STU 웹사이트 STU48 공식 홈페이지 구성원 1기생, 연구생 이전 구성원 전 멤버 STU48(에스티유포티에이트)는 아키모토 야스시의 완전 프로듀스에 의해 2017년에 탄생한 세토우치 지방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여성 아이돌 그룹이다. 목차 1 개요 2 멤버 2.1 1기생 2.2 연구생 2.3 전 멤버 2.3.1 연구생 3 디스코그래피 3.1 싱글 3.1.1 그 외의 참가 작품 4 관련 항목 5 각주 6 외부 링크 개요[편집] 도쿄도 치요다 구의 아키하바라를 거점으로 하는 AKB48, 아이치현 나고야 시의 사카에를 거점으로 하는 SKE48, 오사카부 오사카 시의 난바를 거점으로 하는 NMB48, 후쿠오카현 후쿠오카 시의 하카타에 거점으로 하는 HKT48, 니이가타 현 니이가타 시를 검으로 하는 NGT48에 이어 계속되는 전국 전개 제6탄으로서 세토우치 지방(효고현, 오카야마현, 히로시마현, 야마구치현, 도쿠시마현, 가가와현, 에히메현)이 선택되었다. AKB48 그룹의 활동의 기둥인 극장은 "선상극장"이 된다. 「STU」라는 이름은 세토우치 지방(SeToUchi)에 유래한다. 운영 회사는 많은 AKB48 그룹이 소속 된 주식회사 AKS 대신 일반 사단 법인 ' 세토 우치 관광 추진기구」와 주식회사 「세토 우치 브랜드 코퍼레이션'로 구성된 「세토 우치 DMO "이 출자하는 주식회사 STU 이다 2016년 10월 10일, 〈AKB48 그룹 유닛 싱글 쟁탈 가위 바위보 대회 in 고베 월드 기념 홀〉에서 그 결성이 발표되었으며, 2017년 1월 중 오디션 개최 및 동년 여름에 활동할 예정이다[1]. 2017년 2월 22일, AKB48 팀4 부캡틴 오카다 나나가 STU48화 겸임함을 자신의 SHOWROOM에서 발표와 동시에 2월 23일 방송의 〈AKB48의 올나잇 닛폰〉(닛폰 방송)에서 캡틴으로 임명됐다. 같은 방송에서 HKT48 팀H 및 HKT48 극장 지배인 사시하라 리노의 STU48 겸임과 이 극장의 지배인으로 임명되는 것도 발표됐다[2][3]. 동년 3월 20일, 1기생 멤버 오디션에서 44명이 최종 선발됐다[4]. 동년 3월 31일, 공식 홈페이지에서 1기생 31명의 프로필이 공개되었다. 2018년 1월 31일, 킹레코드로부터 메이저 데뷔 싱글이 발매. 2019년 4월 16일, 선상극장인 "STU48호"가 정식 출항. 히로시마항 히로시마 국제페리포트에서 첫 번째 선상공연 〈GO! GO! little SEABIRDS!!〉가 개최. 멤버[편집] 1기생[편집] 이름 일본어 표기 요미가나 생년월일 기수 출신지 소속 사무소 비고 총선거 9 10 이시다 치호 石田千穂 いしだ ちほ 2002년 3월 17일(2002-03-17) (17세) 1기 히로시마현 STU - 99 이시다 미나미 石田みなみ いしだ みなみ 1998년 10월 11일(1998-10-11) (20세) 효고현 STU - 이소가이 카논 磯貝花音 いそがい かのん 2000년 6월 1일(2000-06-01) (19세) 아이치현 STU - 이치오카 아유미 市岡愛弓 いちおか あゆみ 2003년 8월 21일(2003-08-21) (15세) 후쿠오카현 STU 2019년 8월 11일 졸업예정 이마무라 미츠키 今村美月 いまむら みつき 2000년 2월 19일(2000-02-19) (19세) 히로시마 현 STU - 이와타 히나 岩田陽菜 いわた ひな 2003년 2월 21일(2003-02-21) (16세) 야마구치현 STU - 오오타니 마리나 大谷満理奈 おおたに まりな 2004년 2월 14일(2004-02-14) (15세) 야마구치 현 STU - 오카다 나나 岡田奈々 おかだ なな 1997년 11월 7일(1997-11-07) (21세) - 가나가와 현 AKS STU48 캡틴AKB48 팀4 9 5 카이 코코아 甲斐心愛 かい ここあ 2003년 11월 28일(2003-11-28) (15세) 1기 히로시마 현 STU - 카도타 모모나 門田桃奈 かどた ももな 1999년 8월 26일(1999-08-26) (19세) 에히메현 STU 2019년 8월 11일 졸업예정 카도와키 미유나 門脇実優菜 かどわき みゆな 2003년 3월 11일(2003-03-11) (16세) 효고 현 STU - 사카키 미유 榊美優 さかき みゆ 2002년 4월 28일(2002-04-28) (17세) 카가와 현 STU - 신타니 노노카 新谷野々花 しんたに ののか 2004년 5월 23일(2004-05-23) (15세) 히로시마 현 STU - 타키노 유미코 瀧野由美子 たきの ゆみこ 1997년 9월 24일(1997-09-24) (21세) 야마구치 현 STU - 74 타나카 코코 田中皓子 たなか こうこ 1996년 6월 16일(1996-06-16) (23세) 사가현 STU 최연장자 타니구치 마히나 谷口茉妃菜 たにぐち まひな 2000년 2월 3일(2000-02-03) (19세) 토쿠시마 현 STU - 토로부 유리 土路生優里 とろぶ ゆり 1999년 3월 24일(1999-03-24) (20세) 히로시마 현 STU - 효도 아오이 兵頭葵 ひょうどう あおい 2001년 1월 18일(2001-01-18) (18세) 에히메 현 STU - 후쿠다 아카리 福田朱里 ふくだ あかり 1999년 3월 29일(1999-03-29) (20세) 카가와 현 STU - 후지와라 아즈사 藤原あずさ ふじわら あずさ 1998년 5월 10일(1998-05-10) (21세) 오카야마현 STU - 미시마 하루카 三島遥香 みしま はるか 1998년 4월 14일(1998-04-14) (21세) 토쿠시마 현 STU - 미네요시 아리사 峯吉愛梨沙 みねよし ありさ 2004년 9월 2일(2004-09-02) (14세) 히로시마 현 STU - 모리 카호 森香穂 もり かほ 1997년 6월 1일(1997-06-01) (22세) 미에현 STU - 모리시타 마이하 森下舞羽 もりした まいは 2004년 10월 4일(2004-10-04) (14세) 야마구치 현 STU 최연소 야노 호노카 矢野帆夏 やの ほのか 1999년 8월 6일(1999-08-06) (19세) 히로시마 현 STU - 야부시타 후 薮下楓 やぶした ふう 2000년 10월 17일(2000-10-17) (18세) 오사카 부 STU 언니는 야부시타 슈 (전 NMB48) 연구생[편집] 이름 일본어 표기 요미가나 생년월일 기수 출신지 소속 사무소 비고 총선거 10 오키 유우카 沖侑果 おき ゆうか 1999년 12월 1일(1999-12-01) (19세) 드래프트3기 오카야마 현 STU 제3회 드래프트 회의 2위 지명 시나노 소라하 信濃宙花 しなの そらは 2003년 8월 9일(2003-08-09) (15세) 드래프트3기 효고 현 STU 제3회 드래프트 회의 5위 지명최연소 나카무라 마이 中村舞 なかむら まい 1999년 4월 4일(1999-04-04) (20세) 드래프트3기 아이치 현 STU 제3회 드래프트 회의 1위 지명 유라 아카리 由良朱合 ゆら あかり 1999년 3월 12일(1999-03-12) (20세) 드래프트3기 히로시마 현 STU 2019년 8월 11일 졸업예정제3회 드래프트 회의 3위 지명최연장자 전 멤버[편집] 이름 일본어 표기 요미가나 생년월일 기수 출신지 졸업 시기 현재 소속 사무소 비고 총선거최고순위 쿠로이와 유이 黒岩唯 くろいわ ゆい 2002년 8월 11일(2002-08-11) (16세) 1기 에히메 현 2017년 11월 18일 growin 활동사퇴 - 사시하라 리노 指原莉乃 さしはら りの 1992년 11월 21일(1992-11-21) (26세) - 오이타현 2017년 11월 25일 오오타 프로덕션 2017년 2월 23일부터 겸임해제까지 HKT48 팀H 겸임전 STU48 극장 지배인전 AKB48 팀B→A=LOVE, ≠ME의 프로듀서 1위 오자키 마미 尾﨑舞美 おざき まみ 2000년 12월 18일(2000-12-18) (18세) 1기 에히메 현 2018년 3월 25일 TWIN PLANET EHIME 활동사퇴 - 쵸 오리에 張織慧 ちょう おりえ 2001년 10월 18일(2001-10-18) (17세) 오카야마 현 2018년 4월 15일 - 중국 국적 - 시오이 히나코 塩井日奈子 しおい ひなこ 2000년 1월 7일(2000-01-07) (19세) 고치현 2018년 7월 22일 - - - 사노 하루카 佐野遥 さの はるか 1995년 8월 16일(1995-08-16) (23세) 오사카부 2019년 4월 13일 - - 스가하라 사키 菅原早記 すがはら さき 2001년 11월 14일(2001-11-14) (17세) 오카야마 현 2019년 5월 6일 - - - 연구생[편집] 이름 일본어 표기 요미가나 생년월일 기수 출신지 졸업 시기 현재 소속 사무소 비고 총선거최고순위 미조구치 아이코 溝口亜以子 みぞぐち あいこ 2001년 8월 20일(2001-08-20) (17세) 드래프트3기 오카야마 현 2019년 3월 10일 - 제3회 드래프트 회의 4위 지명 - 디스코그래피[편집] 싱글[편집] # 발매 타이틀 최고순위 You, Be Cool! 레이블 1 2018년 1월 31일 暗闇어둠 1 2 2019년 2월 13일 風を待つ바람을 기다리다 1 3 2019년 7월 31일 大好きな人정말 좋아하는 사람 - 그 외의 참가 작품[편집] # 발매 타이틀 비고 1 2017년 5월 31일 瀬戸内の声세토우치의 소리 AKB48 48th 싱글 〈소원을 간직할 뿐〉 극장반 수록 2 2017년 11월 22일 思い出せてよかった기억나서 다행이야 AKB48 50th 싱글 〈11월의 앵클릿〉 Type-A 수록 3 2018년 3월 14일 ペダルと車輪と来た道と페달과 바퀴와 지나온 길 AKB48 51th 싱글 〈자바자〉 Type-A~C 수록 관련 항목[편집] 일본 자매 그룹 AKB48 SKE48 NMB48 HKT48 NGT48 일본 해외 자매 그룹 JKT48 BNK48 MNL48 AKB48 Team SH AKB48 Team TP SGO48 CGM48 DEL48 MUB48 각주[편집] ↑ “AKB48, 내년 「STU48」 탄생 세토우치 7현 무대 「선상극장」”. 《ORICON STYLE》 (oricon ME). 2016년 10월 10일. 2017년 1월 8일에 확인함.  ↑ “AKB岡田奈々がSTU48とグループ兼任を発表”. 《日刊スポーツ》 (nikkansports.com). 2017년 2월 22일. 2017년 2월 23일에 확인함.  ↑ “指原莉乃、STU48劇場支配人兼任発表 キャブテンはAKB48兼任の岡田奈々”. 《ORICON NEWS》 (oricon ME). 2017년 2월 23일. 2017년 2월 23일에 확인함.  ↑ “STU48の最終審査通過者44人を発表…姉妹グループ最多CDデビューも決定”. 《데일리 스포츠 online》 (데일리 스포츠). 2017년 3월 19일. 2017년 3월 1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STU48 공식 홈페이지 (일본어) STU48 공식 블로그 (일본어) STU48 킹레코드 공식 홈페이지 (일본어) STU48 - 트위터 (일본어) STU48 - 인스타그램 (일본어) STU48의 채널 - 유튜브 vdehAKB48 그룹그룹활동 중일본 AKB48 SKE48 NMB48 HKT48 NGT48 STU48 일본 국외 JKT48 BNK48 MNL48 AKB48 Team SH AKB48 Team TP SGO48 CGM48 DEL48 MUB48 해체 SDN48 TPE48 MUM48 관련 그룹 OJS48 이벤트 · 활동 · 매체 AKB48 그룹 리퀘스트 아워 「누군가를 위해서」 프로젝트 AKB48 그룹 드래프트 회의 레낫치 총선거 AKB48 꿈의 홍백 선발 AKB48 선발 총선거 제1회 제2회 제3회 제4회 제5회 제6회 제7회 제8회 제9회 제10회 AKB48 그룹 가위바위보 대회 제1회 제2회 제3회 제4회 제5회 제6회 제7회 유닛 제2회 유닛 출연예능 AKBINGO! AKB48 SHOW! PRODUCE 48 드라마 마지스카 학원 시리즈 1 2 3 4 5 카바스카 학원 마지무리 학원 AKB 호러나이트 아드레날린의 밤 AKB 러브나이트 사랑공장 두부 프로레슬링 영화 9개의 창문 타이업 AKB49: 연애금지조례 SASHIKO + 48GROUP 4컷 극장 욘바치+ CR 파친코 AKB48 AKB1/149 연애총선거 파치슬로 AKB48 AKB48 그룹 드디어 공식 리듬 게임 나왔습니다. UNEEDNOW AiKaBu AKB48 다이스캔들 파생 유닛상설 유닛 노스리브스 와타리로카하시리타이7 프렌치 키스 Not yet DiVA 기획 유닛 AKB 아이돌링!!! 팀Z 스케반Girls NO NAME 팀 서프라이즈 냐KB with 츠치노코 팬더 텐토우무Chu! 덴덴무Chu! 노기자카AKB 무시카고 쟝켄민 샷시닝구무스메 사카미치AKB IZ4648 프로덕션 계열 AKB48 TeamOgi 호리다시모노 (가제) 같이 보기인물 아키모토 야스시 키타가와 켄지 (프로듀서) 기업 · 단체 AKS 피타고라스 프로모션 SKE KYORAKU 요시모토.홀딩스 Showtitle STU 킹레코드 (일본) You, Be Cool! SNH48 사카미치 시리즈 아이즈원 각종 목록 AKB48의 관련 작품 AKB48의 음반 외 활동 목록(일본어판, 일본어판) 그 외 카미7(일본어판) vdehYou, Be Cool!대표이사 코이케 타케히사 (사장) 시게 히로무비 (사장) 메인 레이블J-POP 부문 이즈미 사요코 이타노 토모미 INORAN 우에노 유카 우에무라 카나 시오노야 사야카 SHY Dezille Brothers 테라우치 타케시 나아보두부@나나 나카야마 미호 Biedronka 마천루 오페라 MiNo 모리구치 히로코 유키코 lynch. 애니메이션 부문 (MM 제작부 담당) angela 우에사카 스미레 오구라 유이 카나데 모모코 키타무라 에리 코마츠 미야코 사토 사토미 시라이시 료코 스네오헤어 타카하시 요코 타무라 유카리 Team.네코칸【고양이】 Nekp Jump 노나카 아이 하야시바라 메구미 호시 소이치로 호리에 유이 미즈키 나나 미야노 마모루 미야무라 유코 야쿠시마루 에츠코 유이카오리 엔카·가요곡 부문 아키모토 준코 이케다 테루오 이노우에 유미코 이치카와 유키노 이와모토 쿠미 오츠키 미야코 오타와 시노부 오루리코 코무라 미키 카가미 고로 신노 미카 카도가와 히로시 코다 신 코가네자와 쇼지 시이나 사치코 시마 미키오 시마즈 에츠코 치바 카즈오 토이 엣 모이 나가이 유코 니시카타 히로유키 하라다 유리 후쿠다 코헤이 페기 하야마 마키 유코 미즈타 류코 마츠자키 코스케 마츠노 코즈에 미사키 준코 야마모토 아키 서브 레이블넥서스 음양좌 KENSO NoGoD LIGHT BRINGER 일렉트릭 버드 TRIX 진보 아키라 저음 일렉트릭 이마자와 카게로 TETSUJINO Venus-B LGYankess CLIFF EDGE 클렌치&블리스타 GIO Sweet Licious SO-TA Noa PURPLE REVEL MAY'S jyA-Me Lily. You, Be Cool! AKB48 STU48 쟝켄민 후지타 나나 마에다 아츠코 에빌라인 레코드 Aice5 이어폰즈 우주인 토쿠사츠 드레스코드 MEG 모모이로 클로버 Z 록카 자포니카 자회사 레이블 벨우드 (벨우드 레코드 주식회사) 구 관련 레이블 벨우드 레코드 코나미 레이블 팔콤 레이블 PS music 통쾌 레코드 스타차일드 관련 인물임원 오오츠키 토시미치 프로듀서 미시마 아키오 모리야마 아츠시 나카니시 고 야마나카 타카히로 구 재적 임원·사원오사다 교지 오토와 타카시 이노우에 고관련 항목 Oh!sama TV 아라 켄이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STU48&oldid=24535511" 분류: STU48일본의 팝 음악 그룹일본의 걸 그룹10인조 이상 음악 그룹2010년대 음악 그룹2017년 결성된 음악 그룹2018년 데뷔킹레코드 (일본)의 아티스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PolskiРусскийไทย中文文言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6일 (토) 23:0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STU48(에스티유포티에이트)는 아키모토 야스시의 완전 프로듀스에 의해 2017년에 탄생한 세토우치 지방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여성 아이돌 그룹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STU48의 연구생 멤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 Assistant: 이름 일본어 표기 요미가나 생년월일 기수 출신지 소속 사무소 비고 총선거 10 오키 유우카 沖侑果 おき ゆうか 1999년 12월 1일(1999-12-01) (19세) 드래프트3기 오카야마 현 STU 제3회 드래프트 회의 2위 지명 시나노 소라하 信濃宙花 しなの そらは 2003년 8월 9일(2003-08-09) (15세) 드래프트3기 효고 현 STU 제3회 드래프트 회의 5위 지명최연소 나카무라 마이 中村舞 なかむら まい 1999년 4월 4일(1999-04-04) (20세) 드래프트3기 아이치 현 STU 제3회 드래프트 회의 1위 지명 유라 아카리 由良朱合 ゆら あかり 1999년 3월 12일(1999-03-12) (20세) 드래프트3기 히로시마 현 STU 2019년 8월 11일 졸업예정제3회 드래프트 회의 3위 지명최연장자 Human: 아래 판금갑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판금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판금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탈리아 양식의 판금갑. 판금갑(板金甲, plate armour 플레이트 아머[*])은 곡면가공을 거친 철이나 강철판을 리벳 등으로 잇고, 담금질을 하여 만들며, 착용자의 전신을 둘러싸는 갑옷이다. 단순히 금속판을 사용한 갑옷은 고대 로마 시대부터 판갑의 형태로 존재했으나, 완전한 판금갑은 중세 말기 유럽에서 개발되었다. 유럽의 판금갑은 15세기 말에서 16세기에 이르러 그 절정에 이르렀다. 부르고뉴 전쟁과 이탈리아 전쟁의 전장에서는 고딕 판금갑이 널리 사용되었다. 대부분의 판금갑은 장다름 같은 중기병들이 착용했으나, 라이슬로이퍼나 란츠크네히트 같은 보병들도 기병들보다는 가벼운 3/4 판금갑(Three-Quarter Armour)을 착용했다. 이를 통칭 양산 판금갑(Munitions Armour)이라고 하는데, 무릎까지만 보호되거나 무릎이 보호되는 대신에 정강이 부분이 보호되지 않는 형태[1]였다. 냉병기 시대가 만들어낸 방어기술의 결정체로, 유라시아 대륙의 갑옷들 중 최강의 방호력을 자랑했다. 화승총의 발달로 경번갑이 도태되는 상황에서도 판금갑은 우수한 방어능력으로 그 명맥을 유지했다. 그러나 전신을 둘러치는 판금갑의 사용은 17세기가 되어 사양세에 접어들었고, 수발식 머스킷의 발전에 따라 방호 면적이 점점 줄어들면서 1650년대쯤이 되면 대부분 가슴 일대 급소만 방어하는 흉갑으로 대체된다. 목차 1 고대의 역사 2 중세 초기~중기의 역사 3 중세 말기의 역사 3.1 무기 발달에 대한 영향 4 근세의 역사 4.1 보병 4.2 경기용 갑옷 5 근대의 역사 5.1 일본의 파생형 6 현대의 역사 7 각주 고대의 역사[편집] 청동 근육형태의 흉갑, 이탈리아, 기원전 350-300년 판이 부분적으로 보호하는 갑옷, 가슴과 아랫다리를 보호하는 것은 고대의 그리스에서 근육형태의 흉갑과 그리고, 고대 로마에서 여러 장을 이어붙인 흉갑의 형태로써 존재하였는데, 생산 비용과 노동력을 이유로 로마 제국의 멸망과 함께 사용이 중단되었다. 파르티아 제국과 사사니드의 클리바나리로 알려진 중장기병들 역시 흉갑 또는 작은 판들이 중복된, 긴 소매(라틴: 마니카, manica)라는 것을 팔과 다리를 보호하기 위한 장비로 사용하였다. 중세 초기~중기의 역사[편집] 두정갑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도이칠란트 마그데부르크 성당에 위치한 13세기 중반의 성 마우리스 동상에서 그는 완전한 쇄자갑 한벌 위에 두정갑을 갖추고 있다. 금속판들로 구성된 갑옷은 13세기 말에 다시 사용되었다. 이는 팔꿈치나 무릎 등의 관절과 정강이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주로 전신 쇄자갑을 보강하였다. 이를 과도기의 갑옷(Transitional Armour)이라고 부른다. 중세 중기 갑옷을 구성하는 판의 개수는 서서히 늘어나기 시작하여, 점차 몸을 보호하는 영역도 넓어졌다. 그리고, 기병의 말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인 마갑에도 일부분이 사용되었다. 갑옷장이들은 갑옷미늘이나 갑옷을 구성하는 개개의 판을 관절화할 기술을 개발하여, 착용자가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였다. 중세 말기의 역사[편집] 고딕 판금갑, 밀라노 판금갑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420년에 이르면, 독립적이고 완전한 한벌의 판금갑이 개발된다. 한벌의 판금갑은 투구(Helmet), 목 가리개(또는 턱받이, Bevor), 견갑(Pauldrons), 겨드랑이 가리개(또는 원반, Besagew, Rondel), 팔꿈치 받이(Couters), 완갑(Vambraces), 수갑(Gauntlet), 흉갑(Breastplate)과 배부갑(Backplate), 허리 바대(Faulds), 허리-허벅지 받이(Tassets) 또는 허리-허벅지-엉덩이 가리개(Culet), 쇄자갑 치마, 허벅지 받이(Cuisses), 무릎 받이(Poleyns), 정강이 받이(Greaves), 그리고 발 받이(Sabatons)들로 구성되어 있다. 아주 잘 갖추어진 판금갑의 경우는 흔히, 부속물(Exchange Piece)로 알려진 것이 있는데, 이는 실전과 연습, 경기 등 용도에 따라 맞추어 바꿀 수 있는 부품이다. 보다 높은 방호력과 내구성이 요구되는 부분이나 환경에서 장착하였다. 중탄소강을 단조하고, 담금질을 거친 완전한 판금갑은 그 무게가 15-25 kg에 안착하였다.[2] 착용자는 이렇게 중무장을 하고도 매우 민첩했고, 뛰고, 뛰어넘고, 그리고 그 외에는 갑옷의 부품이 유기적으로 잘 연결되어 있어 무게가 전신으로 분산되었기 때문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었다. 이 갑옷은 사람의 몸을 전신에 걸쳐 보호하면서도 잘 관절화가 되어있었다. 15세기 말부터 16세기까지, 중무장 병사는 적게는 천에서 만명 이상(전체 군대의 60% 가량)에 이르렀는데, 그들은 보투를 하면서도 완전한 판금갑으로 무장하였다. 궁수와 쇠뇌수는 이보다 조금 더 경무장을 하였다. 이것은 특히 백년전쟁, 장미전쟁, 이탈리아 전쟁기간 동안의 잉글랜드와 프랑스 등, 서유럽의 군대들에게서 보여지는 경향이다. 유럽의 갑주제작 기술은 북부 이탈리아, 특히 밀라노와 그리고 도이치 서부에서 선도하였다. 이 둘은 어느정도 다른 유행이었다. 하지만, 갑주장이들의 빈번한 시도에 의해 유럽에 널리퍼지게 되었다; 근세의 그리니치 양식의 갑옷은 런던 근처에 왕립 공방을 두고 있었는데, 이는 이탈리아와 벨기에의 양식을 모방하거나, 그리고 주로 도이치장이 등을 불러다 만든 것이다. 그리고 이는 머지않아 잉글랜드의 독자적인 양식으로 발전하게 된다. 오스만 투르크 역시 판금갑을 널리 사용하였지만, 의도적으로 쇄자갑의 비중을 더 높였다. 이는 오스만 투르크의 친위대와 같은 충격 보병 사이에서 선호되었다. 무기 발달에 대한 영향[편집] 판금갑은 검의 베기에 사실상 무적이었다. 또한, 판금갑은 단창이나 장창의 찌르기로부터 착용자를 잘 보호하고, 그리고 도끼나 망치 머리를 지닌 무기에 대해서도 상당한 방어력을 제공하였다. 판금갑의 발전은 공격 무기의 설계역시 앞당기게 하였다. 이러한 갑(甲)은 베기와 찌르기, 그리고 때리기에 매우 효과적이었지만, 이의 약점 부위는 취약점을 찌르기 위해 설계된 장대도끼(Poleaxe), 미늘창(Halberd), 그리고 끝이가는 장검 등에 의해 공략될 수 있었다. 판금갑에 대한 활살과 쇠뇌살의 효과는 아직까지 논쟁의 중점에 있다. 그러나, 최근 왕립 무기고의 실험에 따르면, 이들 투사체는 근거리에서 아주 드물게는 휘어들어가게 하였다고 하며, 이는 갑옷의 불룩한 구조와 내갑의 등으로 인하여 착용자에게 실질적인 피해를 줄 수준이 아니였다. 14세기의 판금갑의 발명은 다양한 장병기(Polearm)의 발전역시 야기했는데, 이 무기들은 강한 충격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힘을 좁은 면적으로 실으므로 판금갑의 안쪽에 어느 정도의 충격을 줄수있었다. 철퇴(Mace), 전투망치(Warhammer), 그리고 망치 머리를 지닌 장대도끼(Poleaxe)들은 갑옷의 안쪽에 둔상을 일으킬 위력이 있었다. 요철이 된 판금갑은 장식만이 아니다. 그러나, 금속판을 강화하여 베기또는 둔격으로부터 휘어들어가는 것에대해 저항하였다. 이것은 찌르는 것을 상대로도 역시 상쇄하는 성향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둥글고 매끈 표면을 타고 빈틈으로 미끄러져 들어오는 공격을 멈추어주었다. 때문에, 테두리는 다양한 형태로 접혀있다. 도이칠란트의 갑주 검술에서는, 공격자는 약점 부위에 집중할 것을 언급한다. 이는 무장을 하지않은 검술에서와는 매우다른 면모를 보인다. 이러한 약점때문에, 과도기 갑주의 아래에는 쇄자갑 상의를 착용하였다. 후기에 완전한 한벌의 판금갑이 등장하면, 이는 쇄자갑이 겨드랑이나 사타구니 등을 가리는 형태로 축소된다. 이는 각각 쇄자갑 조각(Gousset), 치마(Skirt), 샅가리개(Brayette) 등으로 불린다. 근세의 역사[편집] 막시밀리안 갑옷, 그리니치 갑옷, 장다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도이칠란트에서 막시밀리안(Maximillian Armour)이라고 부르는 16세기 초의 것은 꼼꼼히 요철이 된 갑옷이다. 일부 산성부식을 이용한 장식이 된, 그리고 이후의 화려한 갑옷들에 비해 꾸미지않은 15세기의 백갑옷(White Armour)의 사이에 위치한 갑주이다. 그 형상은 이탈리아 양식의 것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부류는 또한, 셀릿(Sallet)과 바버트(Barbute)를 사용하였던 15세기와는 대조적으로 폐쇄형 투구(Armet, Closed Helmet)를 사용하고 있다. 16세기 초에 이르러, 투구와 목 가리개(Gorget)의 설계는 뉘른베르크(Nürenberg) 갑옷의 형태로 바꾸어 생산되었다. 이것의 대부분은 기술과 설계의 걸작이었다. 화기가 더 나아지고, 더 일반적인 보급이 이루어짐에 따라, 전신갑주의 유용성은 점차 줄어들었다. 그리고, 완전한 한벌의 갑옷은 마상창시합을 용도로 한정 생산되었다. 이는 꾸준히 발전하고 있었다. 훌륭한 갑옷의 장식은 이 시기에 굉장히 증가하는 추세였다. 당시의 모든 기술을 동원하였고, 그리고 비용을 더 늘리게 되었다. 정교하게 장식이 된 판금갑은 왕족과 부자들을 위한 것으로 생산되었다. 고도로 장식이 된 갑옷은 간혹 가두 행진을 위한 갑옷으로 불린다. 이런 갑옷은 종종 군사 활동에서 사용되었다고 잘못 해석되기도 한다. 하지만, 야전용 갑옷(Field Armour)역시 이러한, 혹은 이에준하는 장식이 있던 것으로 보아, 장식이 된 것이 반드시 가두 행진을 위한 갑옷이라고 할수는 없다. 프랑스의 앙리 2세를 위한 1555년의 강철 판금갑은 그을림(Blueing), 은도금(Silvering), 금도금(Gilding) 등으로 세심하게 장식된 것[3]이다. 이는 예술가들과 함께 갑주장이들에게 상당한 노력을 요구하거나, 그들만의 예술적인 기량을 요구하였는데; 다른 대안으로는 종종 장식품이나 그림으로부터 설계를 착안하는 것이 있었다. 다니엘 호퍼는 갑옷의 금속판을 산부식을 통해 장식을 하는 훈련을 받은 사람이다. 다른 예술가들로는 갑옷을 설계하는데 능통한 '젊은 한스 홀바인'과 필리포 네그롤리 등이 선구주자였는데, 이들은 갑옷에 선명한 장식을 하는데 있어서 가장 유명한 제작자들이었다. 갑옷의 방어력이 경감하게 되는것에 대한 예외로, 대항해시대가 열리면서, 유럽인들이 맞닥뜨리게 된 지역에는 여전히 화기가 없었다. 스페인의 정복자들은 이를통해 갑옷이 매우 효과적(사람과 말 모두에게)이고, 아메린디안들에게 겁을 줄수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리고, 초기 북아메리카 식민시대 갑옷의 몇 부분은, 특히 투구와 흉갑(배부갑을 제외한 경우로 Breastplate)가 계속해서 착용되었다. 보병[편집] 양산 판금갑, 알메인 판금갑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방어범위가 감소한 판금갑은 일부 투구(Burgonet, Cabasset, Morion 등), 흉갑(Breastplate), 수갑(Gauntlet) 등을 포함한다. 16세기의 용병들 사이에서도 유명했고, 그리고 많은 참조 문헌에서 이르기를, 양산 판금갑이라 불리는 것들은 비용 절감을 위해 보병에게 주문되곤 하였다. 이런 대량생산형 갑옷들은 종종 무거웠고, 그리고 지휘관을 위해 제작된 갑옷들보다 낮은 품질의 금속을 사용[4]하였다. 경기용 갑옷[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근대의 역사[편집] 흉갑, 그리니치 갑옷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판금갑은 17세기 말의 이전까지 모든 군대에게, 보병과 용기병, 흉갑기병, 반창기병, 폴란드의 경기병 등 기병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16세기의 보병 갑옷은 1600년 사보이 양식의 3/4 판금갑이 사용되었다. 완전한 한벌의 판금갑은 생산하기에 비싸고, 그에따라 사회 상류층에게 제한되었다; 호화로운 장식이 된 한벌의 갑주는 전장에서의 군사적인 유용성으로 인해 18세기까지 귀족과 장군의 의복 유행으로 남았다. 이보다 더 후기에는 값싼 화승총의 도래에 사용이 중단되었다. 강력한 화기의 발달은 질 좋은 갑옷을 제외하고 거의 모든 갑옷을 더 이상 쓸모가 없는 장비로 만들었다. 증가한 화력과 그리고 화기의 유용성, 그리고 국가단위로 지원을 받는 보병들의 경우, 비용의 절감과 기동성의 향상을 위해 방어구 비착용을 선호하기 시작하였다. 가장 첫번째는 다리 방어구였다. 이는 가죽장화로 대체되었다. 18세기의 초에는 오직 육군 원수와 지휘관들, 그리고 왕족만이 실용성보다는 계급의 상징으로 전쟁터에서 완전한 한벌의 판금갑을 갖추었다. 이런 것은 18세기의 중반인 늦은 바로크 시대까지 지속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전통역시 점차 사라져가게 된다. 이와같이, 1739년의 '위대한 프레드릭'의 그림에서는 여전히 그가 갑옷으로 무장하고 있지만, 후기의 그림에서 그가 7년 전쟁(1760년)에서의 지휘관으로 있을 시기엔 갑옷이 없는 것으로 묘사된다. 몸을 보호하는 장비는 흉갑기병들 사이에서 19세기, 그리고 1차 세계대전의 초기까지 사용되었다. 이 시기의 흉갑은 전통적인 중세 말기의 것에서 유래하였다. 19세기 중반 동안에는 유산탄을 막기위하여 방탄복의 아래에 삽입되었다. 일본의 파생형[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현대의 역사[편집] 방탄복, 강철 가슴받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나폴레옹, 프랑스, 도이치, 그리고 브리튼 기병의 갑옷들은 프랑스 흉갑기병들이 무장한 적들을 파리 바깥에서 상대하던 19세기부터 1차 세계대전까지 활발하게 사용되어왔다. 방탄복은 남북전쟁이 발발했을 때에도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 전쟁동안에 양측은 유산탄을 막기위한 용도로 실험을 하였지만, 브루스터 호신용구[1]를 북 아메리카의 새로운 방탄복으로 봉헌하게 되어, 더 이상 널리 생산되지 않게되었다. 프랑스의 장군인 아드리안은 복부받이를 제공하였는데, 이는 가볍고(2 pound로, 약 900 gram) 착용하기가 편리했다.[5] 상당 수의 브리튼 장교들은 효과적인 방어구가 있다면, 많은 사상자를 모면할 수 있음을 알게되었다.[6] "방탄조끼"가 갑옷의 용어로서 최초로 사용된 시기는 바로 윌킨슨 검이라는 회사가 2차 세계대전 동안에 왕립 공군을 전투기의 잔해나 유산탄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돕기위하여 개발하면서부터이다. 붉은 군대역시 강철제 방탄갑옷을 사용하였다. 이는 흉갑 형태로, 전투 공병, 그리고 돌격병에게 지급되곤 했다.[7] 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강철 판들은 곧 인조섬유로 만든 조끼들로 대체되고, 1950년대에는 탄화붕소, 탄화규소, 산화반소 등으로 제작된 것으로 대체된다. 이러한 것들은 베트남 전쟁에서 저공비행을 하는 UH-1, 그리고 UC-123 등의 기수들이 착용[8][9]하였다. 인조섬유인 케블라는 1971년에 소개되었고, 이후의 거의 모든 방탄 조끼들은 케블라를 주된 재료로 삼았다. 하지만 충격을 흡수하고 둔상으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방탄판이 여전히 사용되었다. 이러한 방탄판들은 세라믹이나, 강철, 티타늄(타이타늄), 또는 인조 재질로 만들어졌다. 각주[편집] ↑ 창병이 착용했던 갑옷의 예시 1600년경의 독일, 레나트 바이반의 무기와 갑옷 ↑ James, Lawrence. 《Warrior Race: A History of the British at War》. St. Martin's Press. 119쪽. ISBN 0-312-30737-3.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Year= (추천: |year=) (도움말) ↑ “Heilbrunn Timeline of History: The Decoration of European Armor”.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1년 11월 26일에 확인함.  ↑ Wise, Terence (1983). 《The Wars of the Roses》. Osprey Publishing. ISBN 0-85045-520-0.  ↑ Helmets and body armor in modern warfare (Google eBook), Bashford Dean,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N.Y.), Yale University Press, 1920, Pages 107-111 ↑ Beyer, J.C., ed. Personnel Protective Armor, Chapter 11 in Wound Ballistics, Coates, J.B., ed., Office of the Surgeon General, Department of the Army, Washington, D.C., 1962 ↑ Body Armor History - A history of soft body armor from medieval times to modern times ↑ Barron, Edward R.; Park, Alice F; Alesi, Anthony L (January 1969). “Body Armor for Aircrewman” (PDF). U.S. Army Natick Laboratories. 2008년 11월 12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Who are you calling Chicken?”. VietnamGear.com. 2006년 7월 3일. 2008년 11월 12일에 확인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판금갑&oldid=23980908" 분류: 갑주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Català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עברית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LatviešuNederlandsPolskiРусский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6일 (토) 23: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판금갑(板金甲, plate armour 플레이트 아머[*])은 곡면가공을 거친 철이나 강철판을 리벳 등으로 잇고, 담금질을 하여 만들며, 착용자의 전신을 둘러싸는 갑옷이다. 단순히 금속판을 사용한 갑옷은 고대 로마 시대부터 판갑의 형태로 존재했으나, 완전한 판금갑은 중세 말기 유럽에서 개발되었다. 유럽의 판금갑은 15세기 말에서 16세기에 이르러 그 절정에 이르렀다. 부르고뉴 전쟁과 이탈리아 전쟁의 전장에서는 고딕 판금갑이 널리 사용되었다. 대부분의 판금갑은 장다름 같은 중기병들이 착용했으나, 라이슬로이퍼나 란츠크네히트 같은 보병들도 기병들보다는 가벼운 3/4 판금갑(Three-Quarter Armour)을 착용했다. 이를 통칭 양산 판금갑(Munitions Armour)이라고 하는데, 무릎까지만 보호되거나 무릎이 보호되는 대신에 정강이 부분이 보호되지 않는 형태였다. 냉병기 시대가 만들어낸 방어기술의 결정체로, 유라시아 대륙의 갑옷들 중 최강의 방호력을 자랑했다. 화승총의 발달로 경번갑이 도태되는 상황에서도 판금갑은 우수한 방어능력으로 그 명맥을 유지했다. 그러나 전신을 둘러치는 판금갑의 사용은 17세기가 되어 사양세에 접어들었고, 수발식 머스킷의 발전에 따라 방호 면적이 점점 줄어들면서 1650년대쯤이 되면 대부분 가슴 일대 급소만 방어하는 흉갑으로 대체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판금갑을 사라지게 만든 무기는 뭐야? Assistant: 화승총
Human: 아래 리보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리보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리보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리보솜(영어: ribosome)은 아미노산을 연결하여 단백질 합성을 담당하는 세포소기관으로 리보솜 RNA와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리보솜은 대단위체와 소단위체로 분리되어 있으며, 두 단위체가 결합하여 단백질 합성을 수행한다.[1] 목차 1 개요 2 생성 3 단백질 생성과정 4 같이 보기 5 각주 개요[편집] 리보솜은 지름이 약 20 nm(200 Å)이고 65%의 리보솜 RNA와 35%의 리보솜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고세균, 진정세균 및 진핵생물의 리보솜은 서로 다른 다양한 단백질과 RNA로 구성되어 있다. 리보솜은 전령 RNA의 코돈을 번역하여 운반 RNA에 연결된 아미노산을 배열하여 단백질을 형성한다. 리보솜은 또한 효소로서 작용하기도 하는데 이때문에 리보자임이라 불리기도 한다.[2] 리보솜은 별도의 막이 없는 세포소기관이다. 단백질을 형성하지 않는 동안 RNA는 내부 원형질인(세포기질cytosol) 때에는 RNA로부터 구성되는데, 이는 RNA 세계의 흔적으로 추정된다.[3] 리보솜은 1950년대 중반 루마니아 생물학자인 게오르그 에밀 팔라데에 의해 최초로 관찰되었다. 팔라데는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세포를 관찰하던 중 리보솜을 발견하였고, 이 공로로 197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하였다.[4] 리보솜이라는 이름은 1958년 리처드 B. 로버트가 명명하였다. “ 지금까지 학계에서 "마이크로솜"이라 불리고 있는 단백질 형성 세포소기관을 "리보솜"이라 부르자고 제안합니다. 이 소체는 리보핵산단백질과 RNA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리보솜 총량을 100으로 할 때 리보핵산단백질은 3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 리처드 B. 로버트, 〈세포소기관과 단백질 효소〉[5] 20세기 중반에 리보솜의 분자 구조와 기능이 발견된 이후 현재까지 활발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실제로, 아다 요나스(이스라엘), 벤카트라만 라마크리시난(미국)과 토머스 스타이츠(미국)는 리보솜의 기능과 구조에 관한 연구로 2009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생성[편집] 세균의 리보솜은 세포질에 있는 유전자인 오페론을 전사하여 생성된다. 진핵생물의 경우 세포핵 안에 있는 핵소체에서 4 종류의 리보솜 RNA가 만들어지며 리보솜 단백질과 결합되어 리보솜이 생성된다. 단백질 생성과정[편집] 리보솜에서 이루어지는 단백질 형성과정 리보솜이 mRNA의 코돈을 인식하여 단백질을 합성하는 과정을 번역이라 한다. 리보솜에서 이루어지는 단백질 생성과정은 다음과 같다.[6][7] 준비 리보솜의 소단위체와 대단위체가 결합한다. 리보솜에는 운반 RNA가 들어설 수 있는 부위가 두 곳이 있는데 운반 RNA가 들어오는 쪽을 A 자리, 나가는 쪽을 P 자리라 한다. 초기화 소단위체에 전령 RNA가 결합하고, 시작 코돈이 확인되면 대단위체의 A 자리에 메티오닌과 결합한 운반 RNA가 도입되면서 단백질생성이 시작된다. 연장 과정 코돈 인식 : 폴리펩타이드를 달고 있는 P 자리의 tRNA가 코돈에 붙어있다. A 자리에 있는 전령 RNA의 코돈과 상보성을 갖는 안티코돈을 가진 운반 RNA가 아미노산을 가져와 결합한다. 펩타이드 결합 형성 : P 자리에 있는 기존의 폴리펩타이드와 A 자리에 있는 새로운 운반 RNA의 아미노산 사이에 펩타이드 결합이 형성된다. 이때 아미노아실 결합이 P 자리의 운반 RNA에서 새로운 폴리펩타이드 쪽으로 옮겨간다. 변환 : P 자리에서 자유로워진 운반 RNA가 빠져나간다. 이제 전령 RNA가 한칸 움직일 수 있게 되고 코돈이 바뀐다. 반복 : A 자리의 폴리펩타이드-운반 RNA 중합분자가 P 자리로 옮겨가면서 A 자리가 비워진다. 비워진 A 자리에는 바뀐 코돈과 상보적인 운반 RNA가 새롭게 결합된다. 위 과정이 계속 반복되면서 폴리펩타이드 사슬이 길어진다. 종료 종료 코돈에 종결 운반 RNA가 결합되면 합성되던 폴리펩타이드가 떨어져 나가면서 단백질 합성이 끝난다. 리보솜에서 일어나는 번역 과정의 에너지원 는 GTP의 가수분해이다. 단백질 형성의 진행 같이 보기[편집] ARDRA 각주[편집] ↑ 조지 B 존슨, 전병학 역, 생명 과학, 동화기술, 2007, ISBN 89-425-1186-4, 208쪽 ↑ Rodnina MV, Beringer M, Wintermeyer W (2007). "How ribosomes make peptide bonds". Trends Biochem. Sci. 32 (1): 20–6. doi:10.1016/j.tibs.2006.11.007. PMID 17157507 ↑ Cech T (2000). "Structural biology. The ribosome is a ribozyme". Science 289 (5481): 878–9. doi:10.1126/science.289.5481.878. PMID 10960319 ↑ G.E. Palade. (1955) "A small particulate component of the cytoplasm". J Biophys Biochem Cytol. Jan;1(1): pages 59-68. PMID 14381428 ↑ Roberts, R. B., editor. (1958) "Introduction" in Microsomal Particles and Protein Synthesis. New York: Pergamon Press, Inc. ↑ 이행석, 분자생물학, 기전연구사, 2006, ISBN 89-336-0726-9, 60쪽 ↑ 조지 B 존슨, 전병학 역, 생명 과학, 동화기술, 2007, ISBN 89-425-1186-4, 208쪽 vdeh세포 내부의 세포소기관 첨체 엽록체 섬모/편모 중심소체 소포체 골지체 리소좀 멜라닌소체 미토콘드리아 근원섬유 세포핵 괄호체 과산화소체 색소체 리보솜 액포 소포 vdeh리보솜 RNA / 리보솜 서브유닛원핵생물 (70S) 대형: 50S (5S, 23S)소형: 30S (16S) 진핵생물 (80S)세포막 대형: 60S (5S, 5.8S, 28S)소형: 40S (18S) 미토콘드리아 MT-RNR1, 12S MT-RNR2, 16S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리보솜&oldid=24048888" 분류: 리보솜세포소기관리보자임단백질 생합성숨은 분류: PMID 매직 링크를 사용하는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ragonésالعربية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NordfriiskGaeilgeGalegoGaelgעבריתहिन्दी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ភាសាខ្មែរಕನ್ನಡKurdî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ingua Franca Nova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Bahasa MelayuPlattdüütsch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Polski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7일 (수) 13: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리보솜(영어: ribosome), 또는 리보좀은 아미노산을 연결하여 단백질 합성을 담당하는 세포소기관으로 리보솜 RNA와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리보솜은 대단위체와 소단위체로 분리되어 있으며, 두 단위체가 결합하여 단백질 합성을 수행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리보솜의 지름은 어느정도야? Assistant: 약 20 nm(200 Å) Human: 아래 코리아_블랙프라이데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저작권 침해가 의심되는 문서입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이 문서의 저작권에 대한 적절한 소명이 없다면 정책에 따라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2015년 10월 21일)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Korea Black Friday)는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를 흉내내어 소비를 진작시키기 위해 진행되고 있는 할인 행사이다.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를 벤치마킹한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는 2015년 본격적으로 기획됐다. 정부가 메르스로 침체된 소비 심리를 살리기 위해 지난해까지 외국인 관광객만을 대상으로 했던 ‘코리아 그랜드 세일’의 대상을 내국인까지 확대했다. 아직 그 명칭이 제대로 정해지지 않아 한국 블랙프라이데이,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 코리아 그랜드 세일 , 줄임말인 블프 등 다양하게 불리고 있다.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와 차이점이 있다면, 미국의 경우에는 제조사가 주도하여 할인폭이 매우 큰 반면, 한국은 유통업계가 주도하는 방식으로 할인 폭에 대한 한계가 있다.[1] 목차 1 할인 정보 1.1 기간 1.2 참여 업체 2 비판점 2.1 미국과는 다른 한국의 상황 2.2 기대에 미치지 못한 낮은 할인율 2.3 품목의 다양성이 떨어짐 2.4 백화점 위주의 흑자 2.5 소비자에게 득이 되지 않는 '대박할인' 3 각주 4 외부 링크 할인 정보[편집] 기간[편집] 9월 25일 금요일, 3대 백화점을 시작으로 10월 14일까지 평균 2주가량을 백화점, 대형마트, 온라인 쇼핑몰, 전통시장, 프랜차이즈 업체 등 전국적으로 2만 개 이상의 점포가 최대 30~70% 할인을 적용한 행사를 진행 한다. 참여 업체[편집] 백화점은 롯데백화점 전점(36개), 현대백화점 전점(15개), 신세계백화점 전점(10개), 갤러리아 전점(5개), AK플라자 전점(5개)가 참여하며, 대형마트는 이마트 전점(145개), 홈플러스 전점(140개)와 익스프레스(375개), 롯데마트가 참여한다. 이 외에도 편의점인 GS25, CU, 미니스톱, 세븐일레븐 역시 전점과 전국 200여개의 전통시장 역시 이벤트와 함께 참여한다.[2] 분류 업체명 참여기간 주요내용 백화점 롯데백화점 9.25~10.18 720개 브랜드 최대 50~70% 할인 사은품 등 마케팅 확대 현대백화점 9.25~10.18 패션 100대 상품 최대 80% 할인 상품권 증정을 통한 5~10% 수준의 추가 할인 제공 신세계백화점 9.25~10.18 패션잡화 등 6개 분야 최대 30% 할인 상품권 증정을 통한 5~10% 수준의 추가 할인 제공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특집 초특가상품기획전 갤러리아 9.29~10.18 일부 브랜드 최대 50% 할인 자동차 등 경품행사 실시 AK플라자 9.25~10.18 332개 브랜드 최대 30% 할인 대형마트 이마트 10.1~10.14 100여 품목 최대 50% 할인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특별할인쿠폰 배포 홈플러스 10.1~10.14 생필품 최대 60% 할인 3500개 패션 프랜드 최대 60% 할인 (브랜드데이 30% 추가) 롯데마트 10.1~10.14 대표단품 반값 및 주요 품목 20~30% 할인 편의점 GS25 10.1~10.31 700여개 상품 1+1 또는 2+1 CU 10.1~10.31 일부상품 할인 및 1+1 미니스톱 10.1~10.31 570여개 상품 1+1, 2+1 세븐일레븐 10.1~10.31 일부상품 1+1, 2+1 등 전통시장 200여개 10.1~10.14 시장별 최대 30% 할인 특가판매, 경품추천 등 이벤트 개최 비판점[편집] 미국과는 다른 한국의 상황[편집] 미국의 블랙 프라이데이는 추수감사절 다음날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한국도 추석이후인 10월 1일부터 블랙프라이데이를 시작했다. 그러나 추수감사절과 추석을 일대일로 비교하기엔 한국과 미국의 상황이 다르다는 지적도 있다. 미국 블랙프라이데이의 경우 거의 일 년의 마지막 한 달 동안 진행되지만 한국은 10월 1일을 시작으로 12월까지 석 달이 남는다. 때문에 미국처럼 한 해를 마무리하며 재고를 처리한다는 개념이 아니다. 또한 미국 소비자의 경우 크리스마스 앞두고 가장 선물을 많이 하는 소비성향이 있지만, 한국의 경우 추석 전에 선물을 주고받을 뿐 직후에는 특별히 그럴 계기가 없다는 지적이다.[3] 기대에 미치지 못한 낮은 할인율[편집] 한국 블랙프라이데이를 선전하며 최대 50-70퍼센트의 할인율을 내세웠으나 실상은 기대보다 한참 낮은 할인율을 보였다. 특히 주요 품목인 가전제품은 10퍼센트 미만의 할인율을 보였으며, 일부 이월상품만 50-70퍼센트로 놓고 최대할인율만 높이는 전략을 쓰기도 했다.[4] 그 이유는 업체 주도의 행사가 아니라 정부가 내수를 살리기 위해 단기간에 준비한 행사(약 한 달여 전부터)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유통업체에서는 재고물량이 나올 시기도 아니며, 제조업체도 거의 참여하지 않아 할인율이 높아질 수 없었다. 미국 블랙프라이데이는 업체가 재고를 없애기 위해 주도적으로 시작했으나 우리나라는 정부 주도이기 때문에 소비자의 기대에 못 미친 것이다.[5] 그런 면에서 2015 한국 블랙프라이데이는 가을정기세일과 별반 다를 것이 없다는 비판을 피하긴 힘들다. 다만 정부는 8월부터 낮아진 개별소비세에 추가적인 개별할인율을 적용한다고 한다. 정부가 연말까지 한시적으로 승용차에 붙는 개별소비세를 30퍼센트 인하했으며, 대형가전제품도 2만 원에서 9만 원까지 소비세 혜택을 준다고 한다. 더불어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에 참여한 업체의 물건을 사면, 국내 모든 카드사가 5개월 무이자 할부 혜택을 제공한다.[6] 품목의 다양성이 떨어짐[편집] 소비자들은 미국 블랙프라이데이처럼 가전이나 의류·잡화 품목의 높은 할인율을 기대했다. 그러나 실상은 소비자가 관심 많은 가전명품 브랜드는 빠졌고, 공급자 위주의 상품이 구성되었다. 1년 전부터 준비하는 미국 블랙프라이데이와 달리 갑작스럽게 통보된 행사기에 물량이나 가격을 조정하지 못했기 때문이다.[7] 가전제품은 10-20퍼센트 미만의 할인율을 보였으며, 의류나 잡화 품목은 본래 할인제품을 블랙프라이데이 상품이라 속여서 팔기도 하는 문제점을 보였다. 할인품목 대다수가 이월상품이라는 것도 문제점으로 뽑힌다.[8] 백화점 위주의 흑자[편집]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와 중국 국경절로 인한 중국 관광객들에 힘입어 백화점들은 매출증대 효과를 톡톡히 누리고 있다. 내외국인들 고객들이 집중적으로 몰리면서 두 자릿수 매출 신장을 기록했으며 내수시장도 살아나고 있는 분위기이다. 행사가 시작된 지난 1일부터 나흘 동안의 매출을 집계한 결과, 롯데백화점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매출이 24% 늘었고, 신세계백화점은 35%, [[\, 대형마트의 매출은 크게 증대하지 않았다. 특히나 전통시장이 문제이다. 전통시장 상인들은 블랙프라이데이에 대한 정부의 사전 통보나 홍보, 예산 지원들이 미흡했다고 비판했으며, 추석 할인 이후에 또다시 할인 행사를 하는 것은 매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하며 블랙 프라이데이에 대한 소극적 참여의사를 보였다.[9] 블랙프라이데이에 동참한 영화관에서는 다른 양상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저예산 독립영화 혹은 비주류 영화는 블랙프라이데이에 참여한 멀티플랙스 극장에서 전혀 상영을 하지 않거나 상영 횟수가 줄은 것이다. 정부 정책에 맞추어서 블랙프라이데이 행사를 해야 되는데 매출액이 떨어질 것을 염려해 인기 있는 영화, 특히 많은 예산이 투입된 영화를 집중 상영했기 때문이다.[10] 소비자에게 득이 되지 않는 '대박할인'[편집] 전문가들은 블랙프라이데이로 인한 소비자 총지출은 비슷하거나 오히려 늘어날 수 있음을 지적한다. 각 유통 업체의 주력제품을 할인을 많이 해주는 대신에 다른 상품의 가격을 더 올리는 것이다. 한국에서 '미끼상품판매'로 변역되는 'loss leader pricing'의 개념이다.[11] 또, 블랙프라이데이를 이용하여 재고를 더 비싸게 파는 업체에 대한 논란도 있다. 유니클로는 최근 시장에 내놓은 지 1년도 넘은 제품을 오히려 더 비싸게 팔아 블랙프라이데이를 악용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을 받았다.[12] 각주[편집] ↑ “내일부터 한국판 ‘블랙 프라이데이’, 대형마트 ‘반값 SALE’ 행진...내수 진작 기대↑”. 《조선일보》. 2015년 9월 30일. 2015년 10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5일에 확인함.  ↑ “블랙프라이데이 오늘부터 2주간 최대 60% 세일 쏜다!…참여 업체 한눈에 보자!”. 《조선일보》. 2015년 10월 1일. 2015년 10월 12일에 확인함.  ↑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대박할인’ 맞나?”. jtbc[팩트체크]. 2015년 9월 30일. 201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코리아 블프, 매출 늘었지만 불만도 많아 '절반의 성공'”. 《news1》. 2015년 10월 4일. 2015년 10월 6일에 확인함.  ↑ “요란한 소문과 달리 '찔끔 할인'… 정기세일과 '블프' 무슨 차이죠?”. 《조선일보》. 2015년 10월 2일. 2015년 10월 6일에 확인함.  ↑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 이모저모”. 《MBC NEWS》. 2015년 10월 1일. 2015년 10월 6일에 확인함.  ↑ “블랙 구라이데이? 한국판 블프 실패한 이유 3가지”. 《이데일리》. 2015년 10월 2일.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 첫 날, 곳곳 불협화음”. 《MBC NEWS》. 2015년 10월 6일에 확인함.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판= (도움말) ↑ “[블프·국경절 첫 주말]백화점 "매출 날았다" vs 마트·재래시장 "평소보다 못해"”. 《아시아경제》. 2015년 10월 4일. 2015년 10월 6일에 확인함.  ↑ “대형마트 뜨겁고 전통시장 차갑고…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 명암”. 《국민일보》 (국민일보). 2015년 10월 9일. 2015년 10월 9일에 확인함.  ↑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대박할인’ 맞나?”. jtbc[팩트체크]. 2015년 9월 30일. 201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한국판 '블프' 한창···오히려 가격 오른 재고품 '황당'”. jtbc. 2015년 10월 8일. 2015년 10월 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 공식 웹사이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코리아_블랙프라이데이&oldid=23853132" 분류: 신조어대한민국의 경제숨은 분류: 인용 오류 - URL 없이 확인날짜를 사용함인용 오류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저작권 침해가 의심되는 문서/2015년 10월저작권 침해가 의심되는 모든 문서전체에 저작권 침해가 의심되는 문서위키데이터에 없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3월 13일 (수) 19: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코리아세일페스타(KOREA Sale FESTA)는 대한민국의 쇼핑 할인 행사이다. 2015년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Korea Black Friday)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어, 2016년부터 코리아세일페스타로 이름을 바꿨다.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를 벤치마킹한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는 2015년 본격적으로 기획됐다. 정부가 메르스로 침체된 소비 심리를 살리기 위해 지난해까지 외국인 관광객만을 대상으로 했던 ‘코리아 그랜드 세일’의 대상을 내국인까지 확대했다.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와 차이점이 있다면, 미국의 경우에는 제조사가 주도하여 할인폭이 매우 큰 반면, 한국은 유통업계가 주도하는 방식으로 할인 폭에 대한 한계가 있다. 2023 코리아세일페스타는 11월 1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약 20일동안 진행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 행사에 참여한 업체의 제품을 구매하면 카드사로부터 몇 개월의 무이자할부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는가? Assistant: 5개월
Human: 아래 알렉스_라미레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알렉스 라미레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알렉스 라미레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알렉스 라미레스 Alex Ramirez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No.80 일본 통산 2000안타를 달성할 당시의 라미레스(2013년 4월 6일, 메이지 진구 야구장) 기본 정보 국적 일본 생년월일 1974년 10월 3일(1974-10-03) (44세) 출신지 베네수엘라 카라카스 신장 180 cm 체중 100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우타 수비 위치 좌익수 프로 입단 연도 1991년 7월 1일[1] 첫 출장 MLB / 1998년 9월 19일NPB / 2001년 3월 30일 마지막 경기 MLB / 2000년 9월 27일[1]NPB / 2013년 10월 8일 경력 선수 경력 클리블랜드 인디언스(1998 ~ 2000) 피츠버그 파이리츠(2000) 야쿠르트 스왈로스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2001 ~ 2007) 요미우리 자이언츠(2008 ~ 2011)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2012 ~ 2013) 군마 다이아몬드 페가수스(2014) 감독・코치 경력 군마 다이아몬드 페가수스(2014)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2016 ~ ) 알렉산데르 라몬 라미레스(Alexander Ramon Ramirez, 1974년 10월 3일 ~ )는 베네수엘라 출신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야구 지도자이다. 라미 짱(ラミちゃん)의 애칭이나 홈런을 날린 후 벤치 앞에서 선보이는 퍼포먼스로 알려져 있었다. 2001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 입단한 이래로 10년 이상에 걸쳐 일본 야구에서 활약했고,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시절의 2013년에는 일본 야구 통산 2000안타를 달성하며 외국인 선수로서는 처음으로 명구회에 가입했다. 또한 2013년 2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일본 최초의 푸에르토리코 레스토랑을 도쿄 도내에서 경영했으며, 같은 이름("주니어"가 붙는)의 아들(소생이 아니라 의붓 아들)이 있다. 2016년부터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의 감독을 맡고 있다. 2018 시즌을 마친 후 일본으로 귀화했다. 목차 1 인물 1.1 프로 생활 초기 1.2 야쿠르트 시절 1.3 요미우리 시절 1.3.1 2008년 1.3.2 2009년 1.3.3 2010년 1.3.4 2011년 1.4 DeNA 시절 1.4.1 2012년 1.4.2 2013년 1.5 독립 리그 시절 1.6 은퇴 2 기타 사항 2.1 홈런 퍼포먼스 2.2 자서전 출간 3 주요 경력 4 상세 정보 4.1 연도별 타격 성적 4.2 연도별 수비 성적 4.3 감독으로서의 팀 성적 4.3.1 정규 시즌 4.3.2 포스트 시즌 4.4 수상·타이틀 경력 4.4.1 타이틀 4.4.2 수상 4.5 개인 기록 4.5.1 일본 진출 첫 기록 4.5.2 기록 달성 경력 4.5.3 기타 4.6 등번호 5 연봉 변화 5.1 메이저 리그 시대 5.2 일본 프로 야구 시대 6 저서 7 각주 8 외부 링크 인물[편집] 프로 생활 초기[편집] 1991년 7월 1일, 아마추어 자유 계약 선수 신분으로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와 계약을 맺고 프로에 입문했다. 이후 오랫동안 마이너 리그 생활을 하다가 1998년 9월 19일 메이저 리그 첫 경기를 갖는다. 2000년 7월 28일 피츠버그 파이리츠에 엔리케 윌슨과 함께 트레이드 되었다. 메이저 리그에서의 3년 동안 135경기에 출장하여 통산 2할 5푼 9리의 타율에 12개의 홈런, 48타점, 38득점, 2루타 17개, 3루타 3개, 도루 3개를 기록했다. 2000년 11월 1일 야쿠르트 스왈로스로 이적하여 일본 프로 야구로 활동 무대를 옮기게 된다. 야쿠르트 시절[편집] 2000년 야쿠르트 스왈로스(현재 팀명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 입단, 이후 팀의 중심 타선에서 클린업 히터 역할을 맡는다. 입단 첫 해 타율 2할 8푼에 29홈런, 88타점을 기록했으며 팀의 리그 우승과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2003년에 동료였던 로베르토 페타지니가 요미우리 자이언츠로 이적하자 4번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으며 그 해 타율 3할 3푼 3리, 40홈런, 124타점을 기록하여 타점왕, 홈런왕, 최다 안타, 베스트 나인 타이틀을 연거푸 획득했다. 2007년에 외국인 선수이자 우타자로는 센트럴 리그 사상 최초로 단일 시즌 최다 안타 기록(204개)을 세웠다. 같은 해 시즌 종료 후 구단과 라미레스 사이에 연봉 계약 형태에 대한 이견이 발생했기 때문에(라미레스는 다년 계약을 요구했으나 팀은 1년 계약, 연봉 4억 엔(추정)을 제의했다) 11월 29일에 요미우리 자이언츠로 이적하게 된다. 요미우리 시절[편집] 2008년[편집] 요미우리 자이언츠 시절의 라미레스(2009년) 요미우리에 이적한 이듬해인 2008년에는 4번 타자로 활약했던 이승엽과 다카하시 요시노부의 부진에 의해 주로 4번 타자로 기용되었다. 작년에 높은 타율을 유지하면서 장타력도 발휘하는 등 125타점(리그 1위)을 포함하여 3할 1푼 9리의 타율(리그 6위), 45홈런(리그 2위)의 뛰어난 성적을 기록한다. 이후 퍼시픽 리그 우승 팀인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와의 일본 시리즈 2차전에서 두 개의 홈런을 기록했는데 그 중 하나는 끝내기 홈런이었다. 시즌 종료 후 로베르토 페타지니(2001년 센트럴 리그), 알렉스 카브레라(2002년 퍼시픽 리그) 이후 베네수엘라 국적 선수로는 세 번째로 리그 MVP를 차지했다. 2008년 시즌 종료와 함께 일본에서 총 8년을 뛰었기 때문에 자유 계약 선수 자격을 획득했다. 따라서 이후 그는 어떤 팀으로 이적하더라도 외국인 용병 인원 제한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되었다. 2009년[편집] 그 해 144경기를 모두 4번 타자의 자리를 차지해 작년과 마찬가지로 계속되는 맹활약을 보여주었다. 3할 대의 타율과 30개가 넘는 홈런, 그리고 100타점을 달성한 것 외에도 시즌 타율 3할 2리 2리를 기록하면서 자신에게 있어서 처음이 되는 수위 타자와 통산 3번째의 최다 안타를 획득했다. 팀의 3연패 달성에 큰 기여를 하면서 2년 연속으로 센트럴 리그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시즌 통해서 부진을 겪어본 적은 없었고 6월 이외의 월간 타율은 모두 3할 이상이었다. 요미우리에서 우타자의 수위타자 획득은 1971년 나가시마 시게오 이래 38년 만의 일이다. 일본 시리즈에서는 경기를 관전하러 온 오가사와라 미치히로의 딸이 라미레스가 때린 파울볼에 맞아 다음날에 라미레스는 “미안해요”라고 새겨진 자신의 싸인 볼을 오가사와라에 건네주기도 했다. 2010년[편집] 그 해 4월, 부진에 시달린 적이 없었던 과거 2년과는 달리 시즌 초에는 낮은 타율에 시달렸지만 그 중에서도 득점권에 대해서는 승부에 강한 타격을 보여주면서 홈런과 타점을 연달아 기록했다. 여름이 되면서 컨디션을 단번에 끌어올려 타율도 향상시키는 등 최종적으로 타율 3할 4리, 49홈런, 129타점으로 2관왕을 달성했다. 그러나 그 해에 수위타자를 차지한 아오키 노리치카(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시즌 MVP였던 와다 가즈히로(주니치 드래건스), 시즌 최다 안타 부문에서 일본 프로 야구 신기록을 세운 맷 머턴(한신 타이거스) 등에게 밀리면서 베스트 나인에는 선정되지 못했다. 타격 2관왕의 타이틀을 획득하면서도 베스트 나인에 선정되지 않았던 사례는 1960년 후지모토 가쓰미에 이어 두 번째다. 2011년[편집] 5월 1일, 4번 타자로서의 416경기 연속 선발 출전 기록을 마쓰이 히데키의 기록(415경기)을 깨며 요미우리 구단 신기록을 달성했다. 그러나 7월 13일 한신전에서의 사구의 영향으로 다음날 7월 14일에 선발 명단에서 제외돼 조노 히사요시가 4번 타자로 선발 출전해 기록은 469경기로 중단되었다. 경기 도중 대타로 출전했기 때문에 연속 경기 출장은 계속되었지만 다음날 경기에서는 경기 도중의 출장도 없었기 때문에 연속 경기 출장은 985경기로 멈췄다. 이 기록은 외국인 선수로서는 역대 최장 기록이 되었다. 8월 5일, 3회초에 내야 안타를 때려내면서 일본 프로 야구 통산 1793개의 안타를 기록해 터피 로즈의 1792안타를 넘은 역대 외국인 선수의 통산 최다 안타 기록을 경신했다. 시즌 성적은 타율(.278)이 요미우리 입단 이후 처음으로 3할 대를 넘기지 못했고, 타점(73)도 연속 100타점 기록이 8년 만에 멈추면서 일본 진출 이후 낮은 기록이 되었다. 홈런(23)도 역시 일본 진출 이후 최저 기록을 남기는 등 타격 세 부문에서 모두 일본 진출 이후 가장 낮았다. 단, 홈런 개수는 리그 2위이다. 이것은 그 해에 새로 도입된 공인구(일명 통일구)의 영향으로 센트럴 리그의 모든 선수들이 홈런 개수도 감소되었기 때문에 홈런 개수에 관해서 결코 부진이라고는 말할 수 있는 숫자는 아니었다(최다 홈런은 블라디미르 발렌틴(야쿠르트)의 31개). 지휘관의 기용면을 배려해 계약 마지막 연도가 되는 그 해에는 10월 31일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스트 스테이지가 종료된 후 요미우리를 퇴단하겠다고 밝혔다. DeNA 시절[편집] 2012년[편집] 요미우리를 퇴단한 이후인 12월 8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가 라미레스의 영입을 발표하여 그 후 입단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듬해 2012년 7월 5일에는 미일 통산 2000안타를 달성했고 같은 달 14일에는 외국인 선수로서의 최고 기록이 되는 12년 연속 두 자릿수 홈런을 기록했다. 2012년 7월에는 DeNA 이적 후 처음으로 통산 9번째의 월간 MVP를 수상했는데 3개 구단에서 월간 MVP를 수상하는 것은 사상 최초다. 2013년[편집] 토니 블랑코의 입단에 의하여 5번 타선에 배치되며 4월 6일 야쿠르트 스왈로스전에서 6회초 이시카와 마사노리로부터 좌측 방향에 탄알 라이너로 뛰어드는 홈런을 날려 외국인 선수 범위에서 입단한 선수로는 사상 최초의 일본 통산 2000안타를 달성했다. 하지만 요미우리 퇴단의 요인이 된 수비 문제가 두드러지고 온 데, 특히 2000안타를 달성하고부터는 타격 면에서도 활력이 없자 4월 25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을 마지막으로 스타팅 멤버에서 제외됐고 그 다음은 대타, 인터 리그에서 지명 타자로 출전했지만, 대타에는 낯선 것도 있고 결과를 남기지 못해, 6월 2일 닛폰햄 파이터스전에서 홈런을 때린 것을 마지막으로 22타석 연속 범퇴로 전반기 종료 후 7월 18일에 일본 야구생활 13년 만에 최초로 2군으로 강등되었다. 9월 27일 전력외 통보를 받고 있었던 것이 알려졌고, 10월 2일 구단 측이 2014년 시즌은 계약하지 않는 것을 공식 발표했다. 독립 리그 시절[편집] DeNA에서 전력외 통보를 받은 후에도 일본 프로 야구의 다른 구단에서 선수 생활을 계속하는 것을 희망했다. 좋아하는 탄산 음료를 끊는 등 예년 이상으로 절제와 자체 교육에 노력함으로써 다른 구단의 제안에 대비하고 있었다. 12월에는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가 수비에 띄지 않는 지명 타자 요원으로 라미레스의 획득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일부 보도했지만 획득에는 이르지 않았다. 2014년 2월 13일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 팀인 군마 다이아몬드 페가수스가 라미레즈를 타격 코치 겸임의 외야수로 입단하는 것을 발표했다. 등번호는 야쿠르트, DeNA시절과 같은 3번으로 배정되었다. 또한 타격 코치 비용을 포함한 추정 연봉은 요미우리 시절의 최고 금액 (5억 엔)의 100분의 1에 해당하는 500만 엔 (선수로 월급은 리그 규정 상한액 의 40만 엔을 적용)이었다. 또한 라미레스는 일본 프로 야구 복귀 의향이 강하기 때문에 군마와의 계약은 "시즌 도중에 일본 프로 야구 구단에서 (라미레스) 획득이 타진된 경우에는 계약을 해제 할 수 있다"는 취지의 부대 조항 이 곁들여진 계약을 했다 (덧붙여 일본 프로 야구의 지배하 선수 등록 신규 획득 가능 기간은 7월 31일 까지이다). 입단 한 군마는 4 번 · 지명 타자로서 5번 프란시스코 카라바이요와 함께 강력한 클린업을 형성했다. 같은 해 4월에는 또 다시 세이부가 획득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되었지만 계약은 보류되었다. 6월 23일에 구단이 라미레스의 긴급 귀국을 발표, 귀국하게 된 경위는 "가족의 병 요양을 보살피기 위해"였다. 이후 팀에 다시 합류해 7월 11일 경기에 한번 복귀 했지만 비슷한 이유로 9월 4일에 구단이 두 번째 긴급 귀국을 발표했다. 두 번째 귀국 후에는 복귀하지 않고 시즌을 마쳤다. 2014년 군마에서의 성적은 45경기에 출장해 타율 0.305, 7홈런, 38타점이었다. 은퇴[편집] 10월 14일, 구단을 통해 은퇴를 밝혔다. 그러던 2015년 시즌 후 나카하타 기요시 감독이 성적부진으로 사임하자 2016년부터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의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기타 사항[편집] 홈런 퍼포먼스[편집] 홈런을 치거나 경기 종료 후 히어로 인터뷰를 할 때 자신만의 퍼포먼스를 구사한다. 홈런을 친 후 어웨이 경기에서는 단독으로, 홈 경기에서는 팀의 마스코트 캐릭터(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츠바쿠로, 요미우리 자이언츠: 자빗토)와 함께하는 액션을 보여준다. 일본 진출 후 매년 액션 형태에 변화를 주고 있으며, 일본 코미디언들의 연기를 퍼포먼스의 출처로 삼고 있다. 이후 구단이 직접 퍼포먼스의 아이디어를 야구팬들로부터 모집하는 이벤트를 벌이기도 했으며, 유명인들이 홍보 목적으로 자신들의 퍼포먼스 차용을 직접 요청하는 경우도 있었다. 야쿠르트 스왈로스 시대 후루타 아쓰야와 와타라이 히로부미에게 지도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퍼포먼스의 기본 형태는 몇 개의 퍼포먼스를 조합(각 퍼포먼스는 각각 다른 코미디언의 것이다)하여 연속으로 보여준 뒤 화면 옆으로 퇴장하는 형식이다. 일본 진출 초기 2001 ~ 2002 시즌에는 1개의 퍼포먼스만 구사했으나, 이후 2 ~ 4개를 연속으로 조합하는 형태로 진화시켰다. 2008시즌 요미우리로 온 뒤에는 상대 팀에게 지고 있을 때와 이기고 있을 때의 퍼포먼스를 따로 만들었다. 자서전 출간[편집] 2009년 8월에 자신이 일본 프로 생활에 정착하기까지의 경험담을 기록한 ‘일본에서 성공하는 방법’에 관한 책을 출간했고 일본에서 일본 국적이 아닌 외국인 선수가 책을 내는 것은 이례적인 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2] 라미레스는 프로 은퇴 후 일본에서 야구 감독이 되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어, 현역 은퇴 후 활동을 위한 사전 정지작업일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3] 주요 경력[편집] 1974년 베네수엘라의 수도 카라카스에서 태어남. 1992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와 계약. 1998년 메이저 리그로 승격. 2000년 시즌 도중 피츠버그 파이리츠에 이적했는데 그 해에는 부상 슬럼프가 많았지만 메이저 리그에서 처음으로 4번 타자로도 경험하였음. 2001년 일본 프로 야구계에 진출하면서 야쿠르트 스왈로스에 입단. 2002년 작년과 마찬가지로 주로 6번 타자로 활약하였음. 2003년 시즌 타율 3할 3푼 3리, 40홈런, 124타점을 기록하면서도 타격 부문 3관왕은 놓쳤지만 일본 진출 이후 최고의 성적을 남겼음. 2006년 9월 16일의 경기에서 프로 야구 역대 5번째인 4년 연속 100타점을 기록했음. 2007년 4월 21일, 주니치 드래건스전에서 외국인 선수로서는 구단 역사상 최초인 개인 통산 1000안타를 달성. 7월부터 9월까지 연속으로 월간 MVP를 수상했고 3개월 연속은 프로 야구 사상 최초 기록. 8월 19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에서 가네토 노리히토로부터 솔로 홈런을 때려내 외국인 선수로서는 구단 역사상 최초인 200호 홈런을 달성. 9월 14일,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전에서 야마구치 슌으로부터 2점 적시타를 때려내 역대 세 번째이자 외국인 선수로서는 처음으로 5년 연속 100타점을 달성. 9월 25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전에서 473경기 연속 출장 기록을 세웠는데 이것은 외국인 선수로서는 역대 1위의 기록임. 9월 27일, 히로시마전에서 시즌 24번째의 맹타상을 기록, 마에다 도모노리가 가지고 있던 센트럴 리그의 시즌 최다 맹타상 기록을 경신했고 이 경기에서 안타 개수를 195개까지 늘려 로버트 로즈가 갖고 있던 시즌 우타자 최다 안타 기록도 경신했음. 10월 4일, 요코하마전에서 미쓰하시 나오키로부터 3루를 강습한 내야 안타를 때려내 이것은 역대 세 번째의 기록이며 외국인 선수의 우타자로서는 사상 최초인 시즌 200안타를 기록했음. 10월 8일, 요코하마전에서 아오키 노리치카의 센트럴 리그 기록을 경신하는 시즌 203안타를 기록, 다음날인 히로시마와의 시즌 최종전에서 1개의 안타를 추가해 204개를 기록했음. 그러나 수위타자 타이틀은 그 해까지 팀 동료인 아오키가 차지했고 200안타를 날리면서 수위 타자를 놓친 것은 양대 리그를 통틀어 처음. 2008년 3월 28일,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전(1차전)에서 전체 구단을 상대로 홈런 기록을 달성. 5월 3일, 야쿠르트전에서부터 6월 4일의 오릭스 버펄로스전까지 요미우리 구단으로서는 역대 2위이자 외국인 범위 선수로서 구단 신기록이 되는 27경기 연속 안타를 기록했음. 5월 7일, 한신 타이거스전(도쿄 돔)에서 좌중간을 향해 홈런성 타구를 쳤지만 한신 측 응원석에 어느 팬이 펜스 앞에 손으로 때리면서 떨어뜨렸기 때문에 2루타로 판정됨. 5월 8일, 한신전에서 일본 진출 이후 8년 연속 두 자릿수 홈런을 달성, 이 경기에서 때린 홈런에 대해 “오늘은 한신 팬이 없는 곳(백 스크린)에 때렸다”라고 발언. 9월 3일, 히로시마전에서 오 사다하루 이후 프로 야구 역대 두 번째인 6년 연속 100타점을 달성. 9월 17일, 요코하마전에서 프로 야구 53번째인 통산 250홈런을 달성. 9월 21일, 한신전에서 스캇 애치슨으로부터 통산 1338번째의 안타를 때려내 요나미네 가나메가 기록한 센트럴 리그의 외국인 최다 안타 기록을 경신했음. 10월 25일, 클라이맥스 시리즈 제2 스테이지(vs 주니치)에서는 동점인 상황에서 주니치의 다카하시 아키후미로부터 결승 2점 홈런을 때려내 6대 2로 요미우리가 주니치 드래건스를 누르고 승리, 어드밴티지 1승을 포함한 3승 1무 1패의 성적으로 본인으로서는 2001년 이후 일본 시리즈 출전이 이뤄지면서 클라이맥스 시리즈의 MVP로 선정됨. 총 7경기를 치른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와의 일본 시리즈에서는 개인 최다인 병살 4개를 기록하는 등의 부진을 겪었지만 2차전에서는 끝내기 홈런을 때려내는 등의 활약을 보여 일본 시리즈 감투 선수상을 수상했음. 정규 시즌을 통해서 개인 최다 홈런을 포함한 타점, 출루율, 장타율, OPS를 기록했고 일본 진출한 이후 처음이 되는 삼진 개수가 두 자릿수 줄어들면서 안정적인 시즌을 보냄. 2009년 8월 26일, 주니치전에서 가와이 유다이로부터 1500번째의 안타를 기록. 8월 30일, 한신전에서 시모야나기 쓰요시로부터 시즌 150번째의 안타를 기록, 이 안타에 의해서 8년 연속 150안타라는 프로 야구 신기록을 수립. 9월 30일, 주니치전에서 7년 연속 100타점을 달성, 이것은 오 사다하루와 대등한 성적을 남겨 일본 프로 야구의 타이 기록을 세움. 2010년 8월 26일, 주니치전에서 8년 연속 100타점을 달성, 이 기록은 오 사다하루를 제치고 일본 프로 야구 신기록을 수립. 10월 9일, 시즌 최종전인 야쿠르트전에서 개인 최다인 49호 홈런을 때려냄, 센트럴 리그에서는 2002년 마쓰이 히데키가 기록한 50호에는 이르지 않았지만 최종적으로 49홈런과 129타점을 기록하며 2003년 이후 통산 두 번째의 홈런왕과 타점왕 타이틀을 석권함. 2011년 5월 1일, 요코하마전에서는 4번 타자로서 416경기 연속 선발 출전 기록을 세워 요미우리 구단 신기록을 달성함. 10월 31일,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스트 스테이지가 종료된 후 요미우리에서 퇴단하겠다는 입장을 밝힘. 12월 8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가 라미레스의 영입을 발표하면서 요코하마 DeNA에 정식으로 입단. 2012년 7월 5일, 미일 통산 2000안타를 달성. 2013년 4월 6일, 외국인 선수 최초로 일본 통산 2000안타를 달성. 7월 18일, 2군 강등. 10월 2일, 구단 측이 2014년 시즌은 계약하지 않는 것을 공식 발표. 상세 정보[편집] 연도별 타격 성적[편집] 연도 소속 경기 타석 타수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루타 타점 도루 도루자 희생번 희생플 볼넷 고의사구 몸맞 삼진 병살타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1998년 CLE 3 8 8 1 1 0 0 0 1 0 0 0 0 0 0 0 0 3 0 .125 .125 .125 .250 1999년 48 102 97 11 29 6 1 3 46 18 1 1 1 0 3 0 1 26 1 .299 .327 .474 .801 2000년 41 117 112 13 32 5 1 5 54 12 1 0 0 0 5 0 0 17 3 .286 .316 .482 .798 PIT 43 123 115 13 24 6 1 4 44 18 1 0 1 0 7 2 0 32 6 .209 .254 .383 .637 '00 소계 84 240 227 26 56 11 2 9 98 30 2 0 1 0 12 2 0 49 9 .247 .285 .432 .716 2001년 야쿠르트 138 547 510 60 143 23 0 29 253 88 1 2 0 5 27 0 5 132 11 .280 .320 .496 .816 2002년 139 569 539 65 159 25 0 24 256 92 0 4 0 4 22 6 4 146 10 .295 .325 .475 .800 2003년 140 614 567 105 189 34 3 40 349 124 4 6 0 7 34 6 6 104 14 .333 .373 .616 .988 2004년 129 557 525 79 160 30 2 31 287 110 2 0 0 2 23 1 7 118 22 .305 .341 .547 .888 2005년 146 629 596 70 168 19 1 32 285 104 5 1 0 3 23 5 7 121 13 .282 .315 .478 .793 2006년 146 636 603 79 161 28 2 26 271 112 0 0 0 10 19 1 4 104 28 .267 .289 .449 .739 2007년 144 628 594 80 204 41 3 29 338 122 0 0 0 5 23 3 6 106 14 .343 .371 .569 .940 2008년 요미우리 144 600 548 84 175 28 0 45 338 125 1 0 0 3 39 9 10 90 20 .319 .373 .617 .990 2009년 144 608 577 66 186 35 0 31 314 103 4 3 0 6 21 4 4 88 12 .322 .347 .544 .891 2010년 144 606 566 93 172 28 0 49 347 129 1 2 0 7 21 1 12 98 14 .304 .338 .613 .951 2011년 137 515 477 39 133 12 1 23 216 73 2 1 0 5 30 1 3 72 9 .279 .322 .453 .775 2012년 DeNA 137 504 476 40 143 25 0 19 225 76 0 0 0 3 18 1 7 60 18 .300 .333 .473 .806 2013년 56 139 130 6 24 0 0 2 30 14 0 0 0 1 8 0 0 20 7 .185 .230 .231 .461 MLB: 4년 135 350 332 38 86 17 3 12 145 48 3 1 2 0 15 2 1 78 10 .259 .293 .437 .730 NPB: 13년 1744 7152 6708 866 2017 328 12 379 3509 1272 20 19 0 61 308 75 68 1259 192 .301 .335 .523 .858 2013년 기준, 굵은 글씨는 시즌 최고 성적. 연도별 수비 성적[편집] 연도 외야 경기 척살 보살 실책 병살 수비율 2001 137 176 9 6 0 .969 2002 139 227 9 4 0 .983 2003 140 220 10 6 2 .975 2004 129 175 8 4 1 .979 2005 146 218 6 3 1 .987 2006 134 205 8 5 0 .977 2007 132 184 4 2 0 .989 2008 134 171 2 4 0 .977 2009 133 147 2 6 0 .961 2010 132 150 5 4 0 .975 2011 120 119 3 3 0 .976 2012 118 126 1 3 0 .977 2013 22 29 2 2 1 .939 통산 1616 2147 69 52 5 .977 2013년 기준. 감독으로서의 팀 성적[편집] 정규 시즌[편집] 연도 소속 순위 경기 승리 패전 무승부 승률 승차 팀 홈런 팀 타율 팀 평균자책점 연령 2016년 DeNA 3위 143 69 71 3 .493 19.5 140 .249 3.76 42세 2017년 3위 143 73 65 5 .529 14.5 134 .252 3.81 43세 통산: 2년 286 142 136 8 .511 A클래스: 2회 포스트 시즌[편집] 연도 소속 경기명 상대팀 성적 2016년 DeNA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퍼스트 스테이지 요미우리 자이언츠(센트럴 리그 2위) 2승 1패 = 파이널 스테이지 진출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파이널 스테이지 히로시마 도요 카프(센트럴 리그 1위) 1승 4패 = 패전(※1) 2017년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퍼스트 스테이지 한신 타이거스(센트럴 리그 2위) 2승 1패 = 파이널 스테이지 진출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파이널 스테이지 히로시마 도요 카프(센트럴 리그 1위) 4승 2패 = 일본 시리즈 진출(※1) 일본 시리즈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퍼시픽 리그 1위) 2승 4패 = 패전 ※1 클라이맥스 시리즈 파이널 스테이지는 6경기제이며 먼저 4승을 한 팀은 일본 시리즈에 진출, 리그 우승 팀에게는 1승의 어드밴티지가 주어짐 ※2 어드밴티지 1승을 포함 수상·타이틀 경력[편집] 타이틀[편집] 수위 타자: 1회(2009년) 홈런왕: 2회(2003년, 2010년) 타점왕: 4회(2003년, 2007년, 2008년, 2010년) 최다 안타: 3회(2003년, 2007년, 2009년) 수상[편집] MVP: 2회(2008년, 2009년) 베스트 나인: 4회(2003년, 2007년 ~ 2009년) 월간 MVP: 9회(2003년 4월, 2004년 9월, 2007년 7월 ~ 9월, 2008년 5월, 2009년 8월, 2010년 5월, 2012년 7월) 센트럴 리그 회장 특별상(2007년) 올스타전 MVP: 1회(2007년 1차전)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MVP: 1회(2008년) 일본 시리즈 감투상: 1회(2008년) 도쿄 돔 MVP: 1회(2010년) 연맹 특별상: 1회(2010년) ※8년 연속 100타점이라는 프로 야구 신기록을 수립한 공로를 인정 받음 우수 JCB·MEP상: 1회(2007년) 개인 기록[편집] 이하 기록들은 일본에서의 기록만을 다루고 있으며, MLB의 기록은 합산하지 않았다. 일본 진출 첫 기록[편집] 첫 출장·첫 선발 출장: 2001년 3월 30일, 대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1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 5번·좌익수로서 선발 출장 첫 타석·첫 삼진: 상동, 1회초에 고미야마 사토루로부터 헛스윙 삼진 첫 안타: 상동, 7회초 다케시타 신타로를 상대로 좌익수 방향 2루타 첫 홈런·첫 타점: 2001년 4월 4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2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4회말 다카하시 히사노리로부터 좌월 솔로 홈런 첫 도루: 2001년 5월 26일, 대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7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 3회초에 2루 안착(투수: 가와하라 류이치, 포수: 다니시게 모토노부) 기록 달성 경력[편집] 통산 100홈런: 2004년 6월 15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10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9회말에 오카지마 히데키로부터 좌중간에 2점 홈런 ※역대 234번째. 통산 150홈런: 2005년 8월 19일, 대 한신 타이거스 15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1회말에 시모야나기 쓰요시로부터 좌월 2점 홈런※역대 137번째. 통산 1000안타: 2007년 4월 21일, 대 주니치 드래건스 5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3회말에 요시미 가즈키로부터 좌전 안타 ※역대 244번째. 통산 200홈런: 2007년 8월 19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8차전(도쿄 돔), 4회초에 가네토 노리히토로부터 중월 솔로 홈런 ※역대 89번째. 통산 1000경기 출장: 2008년 4월 18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1차전(히로시마 시민 구장), 5번·우익수로서 선발 출장 ※역대 425번째. 통산 250홈런: 2008년 9월 17일, 대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22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 3회말에 미우라 다이스케로부터 우월 솔로 홈런 ※역대 53번째. 통산 1500안타: 2009년 8월 26일, 대 주니치 드래건스 17차전(나고야 돔), 5회초에 가와이 유다이로부터 중전 안타 ※역대 104번째. 통산 1000삼진: 2009년 9월 20일, 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22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2회초에 요시노리로부터 ※역대 47번째. 미일 통산 300호 홈런: 2010년 4월 1일, 대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3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 2회초에 스티븐 랜돌프로부터 좌월 만루 홈런 통산 1000타점: 2010년 4월 10일, 대 주니치 드래건스 2차전(도쿄 돔), 8회말에 스즈키 요시히로로부터 좌월 만루 홈런을 날려 달성 ※역대 37번째. 통산 300홈런: 2010년 5월 15일, 대 지바 롯데 마린스 1차전(도쿄 돔), 5회말에 나루세 요시히사로부터 좌월 솔로 홈런 ※역대 36번째. 통산 3000루타: 2010년 9월 19일, 대 한신 타이거스 21차전(한신 고시엔 구장), 4회초에 후쿠하라 시노부로부터 중전 안타 ※역대 70번째. 미일 통산 350홈런: 2011년 4월 15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1차전(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 1회초에 디오니 소리아노로부터 좌월 3점 홈런 통산 1500경기 출장: 2011년 8월 14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15차전(도쿄 돔), 4번·좌익수로서 선발 출장 ※역대 170번째. 통산 350홈런: 2011년 8월 24일, 대 한신 타이거스 17차전(도쿄 돔), 4회말에 노미 아쓰시로부터 중월 솔로 홈런 ※역대 26번째. 미일 통산 2000안타: 2012년 7월 5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8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 5회말에 디키 곤잘레스로부터 우중간 2루타 일본 통산 2000안타: 2013년 4월 6일, 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2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6회 초에 이시카와 마사노리로부터 좌월 솔로홈런※역대 42번째(외국인 선수로는 최초) 9년 연속 150안타 日프로야구 신기록 기타[편집] 올스타전 출장: 8회(2002년, 2003년, 2007년 ~ 2012년) 등번호[편집] 61(1998년 ~ 2000년) 3(2001년 ~ 2007년, 2012년 ~ 2014년) 5(2008년 ~ 2011년) 80(2016년 ~ ) 연봉 변화[편집] 메이저 리그 시대[편집] 연도: 연봉(달러) (변동+/-) 1997: 150,000 1999: 205,000 (+55,000) 2000: 217,500 (+12,500)[1] 일본 프로 야구 시대[편집] 연도: 연봉(엔) (변동+/-) 2001: 54,000,000 2002: 117,000,000 (+63,000,000) 2003: 145,000,000 (+28,000,000) 2004: 200,000,000 (+55,000,000) 2005: 300,000,000 (+100,000,000) 2006: 300,000,000 (+0) 2007: 300,000,000 (+0) 2008: 500,000,000 (+200,000,000) 2009: 500,000,000 (+0)[4] 2010: 500,000,000 (+0) 2011: 500,000,000 (+0) 저서[편집] 《ラミ流 How to succeed and be positive》(주오코론신샤) 2009년 9월, ISBN 9784120040566 각주[편집] ↑ 가 나 다 “Alex Ramirez”. BASEBALL reference.com. 2009년 4월 12일에 확인함.  ↑ 민창기 기자 (2009년 4월 7일). “이승엽 동료 라미레즈, 일본에서 성공법 책 쓴다”. 스포츠조선. 2009년 4월 12일에 확인함.  ↑ 김남권 기자 (2009년 4월 7일). “'승엽 동료' 라미레즈, 외국선수 첫 자서전”. 스포츠한국. 2009년 4월 12일에 확인함.  ↑ “Alex Ramirez [ラミレス アレックス]”. JAPANESE BASEBALL.com. 2009년 4월 13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4) (도움말)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공식 홈페이지 (일본어) 라미찬 일기 - 공식 블로그 알렉스 라미레스 - 트위터 vdeh일본 프로 야구 명구회 역대 회원투수 가네다 마사이치 이나오 가즈히사 고야마 마사아키 요네다 데쓰야 가지모토 다카오 미나가와 무쓰오 무라야마 미노루 스즈키 게이시 호리우치 쓰네오 야마다 히사시 에나쓰 유타카 히라마쓰 마사지 히가시오 오사무 무라타 조지 기타벳푸 마나부 사사키 가즈히로 다카쓰 신고 구도 기미야스 노모 히데오 야마모토 마사히로(야마모토 마사) 이와세 히토키 구로다 히로키 야수 야마우치 가즈히로 에노모토 기하치 노무라 가쓰야 나가시마 시게오 히로세 요시노리 장훈(하리모토 이사오) 오 사다하루 에토 신이치 도이 마사히로 다카기 모리미치 마쓰바라 마코토 시바타 이사오 오스기 가쓰오 후지타 다이라 기누가사 사치오 후쿠모토 유타카 야마자키 히로유키 야마모토 고지 아리토 미치요 와카마쓰 쓰토무 야자와 겐이치 가토 히데지 가도타 히로미쓰 오시마 야스노리 아라이 히로마사 아키야마 고지 고마다 노리히로 다쓰나미 가즈요시 이치로(스즈키 이치로) 기요하라 가즈히로 후루타 아쓰야 노무라 겐지로 이시이 다쿠로 마쓰이 히데키 다나카 유키오 마에다 도모노리 가네모토 도모아키 마쓰이 가즈오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이나바 아쓰노리 미야모토 신야 고쿠보 히로키 알렉스 라미레스 나카무라 노리히로 다니시게 모토노부 이구치 다다히토 와다 가즈히로 아라이 다카히로 후쿠도메 고스케 아라키 마사히로 아오키 노리치카 아베 신노스케 도리타니 다카시 우치카와 세이이치 후쿠우라 가즈야 vdeh일본 시리즈 감투상1950년대 1953: 미노하라 히로시 1954: 오시타 히로시 1955: 도가와 이치로 1956: 이나오 가즈히사 1957: 미야모토 도시오 1958: 후지타 모토시 1959: 쓰치야 마사타카 1960년대 1960: 다미야 겐지로 1961: 조 스탠카 1962: 요시다 요시오 1963: 이나오 가즈히사 1964: 야마우치 가즈히로 1965: 모리시타 노부야스 1966: 와타나베 다이스케 1967: 아다치 미쓰히로 1968: 나가이케 도쿠지 1969: 나가이케 도쿠지 1970년대 1970: 이이시 레이지 1971: 야마다 히사시 1972: 아다치 미쓰히로 1973: 노무라 가쓰야 1974: 다카기 모리미치 1975: 야마모토 고지 1976: 시바타 이사오 1977: 고노 가즈마사 1978: 아다치 미쓰히로 1979: 이모토 다카시 1980년대 1980: 오가와 도루 1981: 이노우에 히로아키 1982: 가미카와 세이지 1983: 니시모토 다카시 1984: 야마오키 유키히코 1985: 이시게 히로미치 1986: 다쓰카와 미쓰오 1987: 시노즈카 도시오 1988: 우노 마사루 1989: 아라이 히로마사 1990년대 1990: 오카자키 가오루 1991: 가와구치 가즈히사 1992: 오카바야시 요이치 1993: 기요하라 가즈히로 1994: 기요하라 가즈히로 1995: 고바야시 히로시 1996: 니시 도시히사 1997: 마쓰이 가즈오 1998: 오쓰카 고지 1999: 가와카미 겐신 2000년대 2000: 조지마 겐지 2001: 터피 로즈 2002: 알렉스 카브레라 2003: 가네모토 도모아키 2004: 이노우에 가즈키 2005: 야노 아키히로 2006: 가와카미 겐신 2007: 다르빗슈 유 2008: 알렉스 라미레스 2009: 다카하시 신지 2010년대 2010: 와다 가즈히로 2011: 요시미 가즈키 2012: 이나바 아쓰노리 2013: 조노 히사요시 2014: 랜디 메신저 2015: 야마다 데쓰토 2016: 브래드 엘드레드 2017: 미야자키 도시로 2018: 스즈키 세이야 vdeh센트럴 리그 MVP1950년대 1950: 고즈루 마코토 1951: 가와카미 데쓰하루 1952: 벳쇼 다케히코 1953: 오토모 다쿠미 1954: 스기시타 시게루 1955: 가와카미 데쓰하루 1956: 벳쇼 다케히코 1957: 요나미네 가나메 1958: 후지타 모토시 1959: 후지타 모토시 1960년대 1960: 아키야마 노보루 1961: 나가시마 시게오 1962: 무라야마 미노루 1963: 나가시마 시게오 1964: 오 사다하루 1965: 오 사다하루 1966: 나가시마 시게오 1967: 오 사다하루 1968: 나가시마 시게오 1969: 오 사다하루 1970년대 1970: 오 사다하루 1971: 나가시마 시게오 1972: 호리우치 쓰네오 1973: 오 사다하루 1974: 오 사다하루 1975: 야마모토 고지 1976: 오 사다하루 1977: 오 사다하루 1978: 와카마쓰 쓰토무 1979: 에나쓰 유타카 1980년대 1980: 야마모토 고지 1981: 에가와 스구루 1982: 나카오 다카요시 1983: 하라 다쓰노리 1984: 기누가사 사치오 1985: 랜디 바스 1986: 기타벳푸 마나부 1987: 야마쿠라 가즈히로 1988: 가쿠 겐지 1989: 워렌 크로마티 1990년대 1990: 사이토 마사키 1991: 사사오카 신지 1992: 잭 하웰 1993: 후루타 아쓰야 1994: 구와타 마스미 1995: 토머스 오말리 1996: 마쓰이 히데키 1997: 후루타 아쓰야 1998: 사사키 가즈히로 1999: 노구치 시게키 2000년대 2000: 마쓰이 히데키 2001: 로베르토 페타지니 2002: 마쓰이 히데키 2003: 이가와 게이 2004: 가와카미 겐신 2005: 가네모토 도모아키 2006: 후쿠도메 고스케 2007: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2008: 알렉스 라미레스 2009: 알렉스 라미레스 2010년대 2010: 와다 가즈히로 2011: 아사오 다쿠야 2012: 아베 신노스케 2013: 블라디미르 발렌틴 2014: 스가노 도모유키 2015: 야마다 데쓰토 2016: 아라이 다카히로 2017: 마루 요시히로 2018: 마루 요시히로 vdeh센트럴 리그 수위 타자1950년대 1950: 후지무라 후미오 1951: 가와카미 데쓰하루 1952: 니시자와 미치오 1953: 가와카미 데쓰하루 1954: 요나미네 가나메 1955: 가와카미 데쓰하루 1956: 요나미네 가나메 1957: 요나미네 가나메 1958: 다미야 겐지로 1959: 나가시마 시게오 1960년대 1960: 나가시마 시게오 1961: 나가시마 시게오 1962: 모리나가 가쓰하루 1963: 나가시마 시게오 1964: 에토 신이치 1965: 에토 신이치 1966: 나가시마 시게오 1967: 나카 아키오 1968: 오 사다하루 1969: 오 사다하루 1970년대 1970: 오 사다하루 1971: 나가시마 시게오 1972: 와카마쓰 쓰토무 1973: 오 사다하루 1974: 오 사다하루 1975: 야마모토 고지 1976: 야자와 겐이치 1977: 와카마쓰 쓰토무 1978: 미즈타니 지쓰오 1979: 펠릭스 미얀 1980년대 1980: 야자와 겐이치 1981: 후지타 다이라 1982: 나가사키 게이지 1983: 마유미 아키노부 1984: 시노즈카 도시오 1985: 랜디 바스 1986: 랜디 바스 1987: 시노즈카 도시오, 쇼다 고조 1988: 쇼다 고조 1989: 워렌 크로마티 1990년대 1990: 짐 파치오렉 1991: 후루타 아쓰야 1992: 잭 하웰 1993: 토머스 오말리 1994: 알론조 파웰 1995: 알론조 파웰 1996: 알론조 파웰 1997: 스즈키 다카노리 1998: 스즈키 다카노리 1999: 로버트 로즈 2000년대 2000: 긴조 다쓰히코 2001: 마쓰이 히데키 2002: 후쿠도메 고스케 2003: 이마오카 마코토 2004: 시마 시게노부 2005: 아오키 노리치카 2006: 후쿠도메 고스케 2007: 아오키 노리치카 2008: 우치카와 세이이치 2009: 알렉스 라미레스 2010년대 2010: 아오키 노리치카 2011: 조노 히사요시 2012: 아베 신노스케 2013: 토니 블랑코 2014: 맷 머턴 2015: 가와바타 신고 2016: 사카모토 하야토 2017: 미야자키 도시로 2018: 다얀 비시에도 vdeh센트럴 리그 홈런왕1950년대 1950: 고즈루 마코토 1951: 아오타 노보루 1952: 스기야마 사토시 1953: 후지무라 후미오 1954: 아오타 노보루 1955: 마치다 유키히코 1956: 아오타 노보루 1957: 사토 다카오, 아오타 노보루 1958: 나가시마 시게오 1959: 모리 도루, 구와타 다케시 1960년대 1960: 후지모토 가쓰미 1961: 나가시마 시게오 1962: 오 사다하루 1963: 오 사다하루 1964: 오 사다하루 1965: 오 사다하루 1966: 오 사다하루 1967: 오 사다하루 1968: 오 사다하루 1969: 오 사다하루 1970년대 1970: 오 사다하루 1971: 오 사다하루 1972: 오 사다하루 1973: 오 사다하루 1974: 오 사다하루 1975: 다부치 고이치 1976: 오 사다하루 1977: 오 사다하루 1978: 야마모토 고지 1979: 가케후 마사유키 1980년대 1980: 야마모토 고지 1981: 야마모토 고지 1982: 가케후 마사유키 1983: 야마모토 고지, 오시마 야스노리 1984: 우노 마사루, 가케후 마사유키 1985: 랜디 바스 1986: 랜디 바스 1987: 릭 란셀로티 1988: 카를로스 폰세 1989: 래리 패리시 1990년대 1990: 오치아이 히로미쓰 1991: 오치아이 히로미쓰 1992: 잭 하웰 1993: 에토 아키라 1994: 다이호 야스아키 1995: 에토 아키라 1996: 야마사키 다케시 1997: 드웨인 호지 1998: 마쓰이 히데키 1999: 로베르토 페타지니 2000년대 2000: 마쓰이 히데키 2001: 로베르토 페타지니 2002: 마쓰이 히데키 2003: 알렉스 라미레스, 타이론 우즈 2004: 터피 로즈, 타이론 우즈 2005: 아라이 다카히로 2006: 타이론 우즈 2007: 무라타 슈이치 2008: 무라타 슈이치 2009: 토니 블랑코 2010년대 2010: 알렉스 라미레스 2011: 블라디미르 발렌틴 2012: 블라디미르 발렌틴 2013: 블라디미르 발렌틴 2014: 브래드 엘드레드 2015: 야마다 데쓰토 2016: 쓰쓰고 요시토모 2017: 알렉스 게레로 2018: 네프탈리 소토 vdeh센트럴 리그 타점왕1950년대 1950: 고즈루 마코토 1951: 아오타 노보루 1952: 니시자와 미치오 1953: 후지무라 후미오 1954: 스기야마 사토시, 와타나베 히로유키 1955: 가와카미 데쓰하루 1956: 미야모토 도시오 1957: 미야모토 도시오 1958: 나가시마 시게오 1959: 모리 도루 1960년대 1960: 후지모토 가쓰미 1961: 구와타 다케시 1962: 오 사다하루 1963: 나가시마 시게오 1964: 오 사다하루 1965: 오 사다하루 1966: 오 사다하루 1967: 오 사다하루 1968: 나가시마 시게오 1969: 나가시마 시게오 1970년대 1970: 나가시마 시게오 1971: 오 사다하루 1972: 오 사다하루 1973: 오 사다하루 1974: 오 사다하루 1975: 오 사다하루 1976: 오 사다하루 1977: 오 사다하루 1978: 오 사다하루 1979: 야마모토 고지 1980년대 1980: 야마모토 고지 1981: 야마모토 고지 1982: 가케후 마사유키 1983: 하라 다쓰노리 1984: 기누가사 사치오 1985: 랜디 바스 1986: 랜디 바스 1987: 카를로스 폰세 1988: 카를로스 폰세 1989: 오치아이 히로미쓰 1990년대 1990: 오치아이 히로미쓰 1991: 히로사와 가쓰미 1992: 래리 시츠 1993: 히로사와 가쓰미, 로버트 로즈 1994: 다이호 야스아키 1995: 에토 아키라 1996: 루이스 로페즈 1997: 루이스 로페즈 1998: 마쓰이 히데키 1999: 로버트 로즈 2000년대 2000: 마쓰이 히데키 2001: 로베르토 페타지니 2002: 마쓰이 히데키 2003: 알렉스 라미레스 2004: 가네모토 도모아키 2005: 이마오카 마코토 2006: 타이론 우즈 2007: 알렉스 라미레스 2008: 알렉스 라미레스 2009: 토니 블랑코 2010년대 2010: 알렉스 라미레스 2011: 아라이 다카히로 2012: 아베 신노스케 2013: 토니 블랑코 2014: 마우로 고메스 2015: 하타케야마 가즈히로 2016: 쓰쓰고 요시토모 2017: 호세 로페즈 2018: 블라디미르 발렌틴 vdeh센트럴 리그 최다 안타1950년대 1950: 후지무라 후미오 1951: 고토 쓰구오 1952: 요나미네 가나메 1953: 가와카미 데쓰하루 1954: 요나미네 가나메 1955: 가와카미 데쓰하루, 요시다 요시오 1956: 가와카미 데쓰하루 1957: 요나미네 가나메 1958: 나가시마 시게오 1959: 나가시마 시게오 1960년대 1960: 나가시마 시게오 1961: 나가시마 시게오 1962: 나가시마 시게오 1963: 나가시마 시게오 1964: 구와타 다케시 1965: 곤도 가즈히코 1966: 나가시마 시게오 1967: 후지타 다이라 1968: 나가시마 시게오 1969: 오 사다하루, 나가시마 시게오 1970년대 1970: 오 사다하루 1971: 나가시마 시게오 1972: 기누가사 사치오 1973: 오 사다하루 1974: 마쓰바라 마코토 1975: 이노우에 히로아키 1976: 하리모토 이사오 1977: 와카마쓰 쓰토무 1978: 마쓰바라 마코토 1979: 오시마 야스노리 1980년대 1980: 다카하시 요시히코 1981: 짐 라이틀 1982: 다오 야스시 1983: 다오 야스시 1984: 다오 야스시, 야자와 겐이치 1985: 랜디 바스 1986: 랜디 바스 1987: 카를로스 폰세 1988: 짐 파치오렉 1989: 워렌 크로마티 1990년대 1990: 짐 파치오렉 1991: 노무라 겐지로 1992: 짐 파치오렉 1993: 후루타 아쓰야, 와다 유타카 1994: 노무라 겐지로 1995: 노무라 겐지로 1996: 알론조 파웰 1997: 루이스 로페즈 1998: 이시이 다쿠로 1999: 로버트 로즈 2000년대 2000: 로버트 로즈 2001: 이시이 다쿠로 2002: 시미즈 다카유키 2003: 알렉스 라미레스 2004: 시마 시게노부 2005: 아오키 노리치카 2006: 아오키 노리치카 2007: 알렉스 라미레스 2008: 우치카와 세이이치 2009: 알렉스 라미레스 2010년대 2010: 맷 머턴 2011: 맷 머턴 2012: 조노 히사요시, 사카모토 하야토 2013: 맷 머턴 2014: 야마다 데쓰토 2015: 가와바타 신고 2016: 기쿠치 료스케 2017: 호세 로페즈, 마루 요시히로 2018: 다얀 비시에도 ※1994년에 타이틀로 제정됨. vdeh센트럴 리그 베스트 나인 (외야수 부문)1950년대 1950: 아오타 노보루, 이와모토 요시유키, 고즈루 마코토 1951: 아오타 노보루, 이와모토 요시유키, 가네다 마사야스 1952: 스기야마 사토시, 미나미무라 후카시, 요나미네 가나메 1953: 가네다 마사야스, 미나미무라 후카시, 요나미네 가나메 1954: 스기야마 사토시, 요나미네 가나메, 와타나베 히로유키 1955: 마치다 유키히코, 요나미네 가나메, 와타나베 히로유키 1956: 아오타 노보루, 다미야 겐지로, 요나미네 가나메 1957: 아오타 노보루, 다미야 겐지로, 요나미네 가나메 1958: 다미야 겐지로, 모리 도루, 요나미네 가나메 1959: 오와다 아키라, 사카자키 가즈히코, 모리 도루 1960년대 1960: 나카 도시오, 나미키 데루오, 모리 도루 1961: 에토 신이치, 곤도 가즈히코, 모리나가 가쓰하루 1962: 곤도 가즈히코, 나미키 데루오, 모리나가 가쓰하루 1963: 에토 신이치, 곤도 가즈히코, 후지이 에이지 1964: 에토 신이치, 곤도 가즈히코, 시게마쓰 쇼조 1965: 에토 신이치, 곤도 가즈히코, 나카 아키오 1966: 에토 신이치, 나카 아키오, 야마모토 가즈요시 1967: 곤도 가즈히코, 시바타 이사오, 나카 아키오 1968: 에토 신이치, 데이브 로버츠, 야마우치 가즈히로 1969: 다카다 시게루, 데이브 로버츠, 야마모토 가즈요시 1970년대 1970: 에지리 아키라, 다카다 시게루, 나카 아키오 1971: 시바타 이사오, 다카다 시게루, 미즈타니 지쓰오 1972: 시바타 이사오, 다카다 시게루, 와카마쓰 쓰토무 1973: 에지리 아키라, 시바타 이사오, 와카마쓰 쓰토무 1974: 진 마틴, 스에쓰구 도시미쓰, 와카마쓰 쓰토무 1975: 이노우에 히로아키, 야마모토 고지, 로저 레포즈 1976: 하리모토 이사오, 야자와 겐이치, 와카마쓰 쓰토무 1977: 하리모토 이사오, 야마모토 고지, 와카마쓰 쓰토무 1978: 찰리 매뉴엘, 야마모토 고지, 와카마쓰 쓰토무 1979: 마이크 레인베크, 야마모토 고지, 와카마쓰 쓰토무 1980년대 1980: 스기우라 도루, 야마모토 고지, 와카마쓰 쓰토무 1981: 짐 라이틀, 다오 야스시, 야마모토 고지 1982: 다오 야스시, 나가사키 게이지, 야마모토 고지 1983: 다오 야스시, 마쓰모토 다다시, 야마모토 고지 1984: 야마사키 류조, 야마모토 고지, 와카마쓰 쓰토무 1985: 스기우라 도루, 마유미 아키노부, 야마사키 류조 1986: 워렌 크로마티, 야마모토 고지, 요시무라 사다아키 1987: 워렌 크로마티, 카를로스 폰세, 요시무라 사다아키 1988: 카를로스 폰세, 짐 파치오렉, 히로사와 가쓰미 1989: 워렌 크로마티, 히코노 도시카쓰, 야마자키 겐이치 1990년대 1990: 짐 파치오렉, 하라 다쓰노리, 히로사와 가쓰미 1991: R. J. 레이놀즈, 하라 다쓰노리, 히로사와 가쓰미 1992: 이이다 데쓰야, 마에다 도모노리, 래리 시츠 1993: 알론조 파웰, 신조 쓰요시, 마에다 도모노리 1994: 알론조 파웰, 글렌 브랙스, 마에다 도모노리 1995: 알론조 파웰, 가네모토 도모아키, 마쓰이 히데키 1996: 알론조 파웰, 마쓰이 히데키, 야마사키 다케시 1997: 스즈키 다카노리, 드웨인 호지, 마쓰이 히데키 1998: 스즈키 다카노리, 마에다 도모노리, 마쓰이 히데키 1999: 세키카와 고이치, 다카하시 요시노부, 마쓰이 히데키 2000년대 2000: 가네모토 도모아키, 신조 쓰요시, 마쓰이 히데키 2001: 이나바 아쓰노리, 가네모토 도모아키, 마쓰이 히데키 2002: 시미즈 다카유키, 후쿠도메 고스케, 마쓰이 히데키 2003: 아카호시 노리히로, 알렉스 라미레스, 후쿠도메 고스케 2004: 가네모토 도모아키, 시마 시게노부, 터피 로즈 2005: 아오키 노리치카, 아카호시 노리히로, 가네모토 도모아키 2006: 아오키 노리치카, 가네모토 도모아키, 후쿠도메 고스케 2007: 아오키 노리치카, 알렉스 라미레스, 다카하시 요시노부 2008: 알렉스 라미레스, 아오키 노리치카, 가네모토 도모아키 2009: 알렉스 라미레스, 아오키 노리치카, 우치카와 세이이치 2010년대 2010: 맷 머턴, 아오키 노리치카, 와다 가즈히로 2011: 조노 히사요시, 맷 머턴, 아오키 노리치카 2012: 조노 히사요시, 오시마 요헤이, 블라디미르 발렌틴 2013: 블라디미르 발렌틴, 맷 머턴, 조노 히사요시 2014: 맷 머턴, 마루 요시히로, 유헤이 2015: 쓰쓰고 요시토모, 후쿠도메 고스케, 히라타 료스케 2016: 스즈키 세이야, 쓰쓰고 요시토모, 마루 요시히로 2017: 마루 요시히로, 스즈키 세이야, 쓰쓰고 요시토모 2018: 마루 요시히로, 스즈키 세이야, 네프탈리 소토 vdeh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감독 (2016년 ~ ) 와타나베 다이리쿠 1950 나카지마 하루야스 1951 아리마 기이치 1951 고니시 도쿠로 1952-1953 나가사와 다케오 1954 후지이 이사무 1955 사코하타 마사미 1956-1958 모리 시게오 1959 미하라 오사무 1960-1967 벳토 가오루 1968-1972 아오타 노보루 1973 미야자키 다케시 1974 아키야마 노보루 1975-1976 벳토 가오루 1977-1979 도이 기요시 1980-1981 세키네 준조 1982-1984 곤도 사다오 1985-1986 고바 다케시 1987-1989 스도 유타카 1990-1992 에지리 아키라 1992 곤도 아키히토 1993-1995 오야 아키히코 1996-1997 곤도 히로시 1998-2000 모리 마사아키 2001-2002 야마시타 다이스케 2003-2004 우시지마 가즈히코 2005-2006 오야 아키히코 2007-2009 오바나 다카오 2010-2011 나카하타 기요시 2012-2015 알렉스 라미레스 2016-현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알렉스_라미레스&oldid=24374257" 분류: 1974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베네수엘라의 야구 선수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선수피츠버그 파이리츠 선수일본 프로 야구 외국인 선수일본 프로 야구 외야수야쿠르트 스왈로스 선수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선수요미우리 자이언츠 선수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선수일본 프로 야구 최우수 선수일본 프로 야구 타격왕카라카스 출신베네수엘라 출신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선수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외야수베네수엘라의 야구 감독숨은 분류: 인용 오류 - 보이지 않는 문자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연도별 타격 성적을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4일 (화) 09: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알렉산데르 라몬 라미레스(Alexander Ramon Ramirez, 1974년 10월 3일 ~ )는 베네수엘라 출신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전 야구 지도자이다. 라미 짱(ラミちゃん)의 애칭이나 홈런을 날린 후 벤치 앞에서 선보이는 퍼포먼스로 알려져 있었다. 2001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 입단한 이래로 10년 이상에 걸쳐 일본 야구에서 활약했고,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시절의 2013년에는 일본 야구 통산 2000안타를 달성하며 외국인 선수로서는 처음으로 명구회에 가입했다. 또한 2013년 2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일본 최초의 푸에르토리코 레스토랑을 도쿄 도내에서 경영했으며, 같은 이름("주니어"가 붙는)의 아들(소생이 아니라 의붓 아들)이 있다.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의 감독을 맡았다. 2018 시즌을 마친 후 일본으로 귀화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일본 프로야구선수 알렉스 라미레스의 연봉은 어떻게 변했는가? Assistant: 2001: 54,000,000 2002: 117,000,000 (+63,000,000) 2003: 145,000,000 (+28,000,000) 2004: 200,000,000 (+55,000,000) 2005: 300,000,000 (+100,000,000) 2006: 300,000,000 (+0) 2007: 300,000,000 (+0) 2008: 500,000,000 (+200,000,000) 2009: 500,000,000 (+0)[4] 2010: 500,000,000 (+0) 2011: 500,000,000 (+0) Human: 아래 프랑스의_대외_관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프랑스의 대외 관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프랑스의 대외 관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프랑스의 대외 관계에 대한 설명이다. 냉전시기에 샤를 드골은 국제패권구도가 미국-소련의 양강구도로 편성되면서 프랑스의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려고 노력했으며, 이에 따라 서방국가이지만 소련과의 국교를 수립, 중국의 독립 승인(1964년 1월에 국교 수립)[1] 등 중립적인 외교를 표방하였다. 옛 식민지국가들과도 프랑코포니를 통하여 일정부분 영향력을 과시하고 있으나, 알제리 독립전쟁을 통해 많은 유혈사상자를 낸 알제리와의 관계는 역사문제를 비롯하여 많은 부분에서 현대 프랑스 역사의 어두운 부분으로 남아 있다. 목차 1 각국과의 대외 관계 1.1 유럽 1.1.1 네덜란드 1.1.2 독일 1.1.3 러시아 1.1.4 바티칸 시국 1.1.5 스웨덴 1.1.6 스위스 1.1.7 스페인 1.1.8 영국 1.1.9 오스트리아 1.1.10 이탈리아 1.1.10.1 사보이 공국 · 사르데냐 왕국 1.1.10.2 나폴리 왕국 1.1.11 포르투갈 1.1.12 폴란드 1.1.13 헝가리 1.2 아시아 1.2.1 대한민국 1.2.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2.3 베트남 1.2.4 일본 1.2.5 중화인민공화국 1.2.6 캄보디아 1.2.7 타이 1.2.8 터키 1.3 아프리카 1.3.1 알제리 1.3.2 이집트 1.3.3 지부티 1.4 아메리카 1.4.1 미국 1.4.2 아르헨티나 2 각주 각국과의 대외 관계[편집] 유럽[편집] 네덜란드[편집] 프랑스는 11월 유럽의 현존하는 정부들을 전복하려는 모든 인민들에게 원조를 제공하겠다는 폭탄선언을 하였고 1793년 1월에 드디어 루이 16세를 처형하였다. 1793년 2월 1일, 프랑스는 네덜란드 공화국에 선전 포고하였다.[2] 네덜란드 공화국은 잉글랜드, 오스트리아 등과 함께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을 맺고 대항하였다. 1795년 초, 하천의 결빙으로 네덜란드의 요새의 방어력이 떨어지는 겨울철을 노려 피슈그류가 이끄는 프랑스군은 네덜란드에 대규모 공세를 펼쳤다. 네덜란드는 프랑스 혁명에 동참하고 협력하는 사람들도 많았고, 도시는 차례로 함락되어 네덜란드 총독 빌렘 5세가 도망가고, 네덜란드 함대는 접수되었다. 그리하여 네덜란드에 바타비아 공화국이 세워졌고(1795년 1월 19일), 브라반트 공국과 마스트리히트가 프랑스에 할양되었다. 브뤼메르 18일 쿠데타(1799)로 권력을 잡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그의 동생 루이를 네덜란드 왕(로데베이크 1세)에 즉위시켰다.(1806) 1810년에는 프랑스 혁명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프랑스 영토가 되기도 하였다. 독일[편집] 베스트팔렌 조약의 비준 신성 로마 제국과 프랑스가 대립한 30년 전쟁(1618~48년)을 종결짓는 베스트팔렌 조약(1648년)에서 신성 로마 제국은 영토를 잃고, 프랑스는 영토를 획득하였다. 프랑스 혁명에 대항하여 잉글랜드가 주도한 제1차 대프랑스 동맹(1793)에 프로이센 왕국도 동참하였다. 그러나, 러시아가 폴란드방면으로 적극 진출하고, 프랑스가 네덜란드를 함락(1795년 1월)하자 프로이센은 프랑스와 화해하는 길을 택하였다. 이에 따라 프로이센은 프랑스와 바젤 조약을 체결(4월 5일)함으로써 연합전선에서 이탈하였다. 동 조약에 의하여 프로이센은 라인 강 이서(以西) 지역인 라인란트가 프랑스에 합병됨을 인정하고 그 대가로 프랑스군 점령 지역이었던 라인 강 이동(以東)의 교회영지는 세속화되어 프로이센에 반환되었다. 그리고, 프로이센은 폴란드 분할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프로이센은 이때부터 10년간 계속 중립을 지키게 되었다.[3] 브뤼메르 18일 쿠데타(1799)로 권력을 잡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독일의 서남쪽 여러 연합체를 합쳐 친 나폴레옹의 라인 동맹을 만들었다.(1805.7.) 그러자 중립적 입장을 지키고 있었던 프로이센은 라인 동맹의 성립으로 인해 나폴레옹의 패권이 중부 독일에까지 미치게 되자, 1806년 7월 영국 · 러시아 · 스웨덴 등과 더불어 제4차 대프랑스 동맹을 결성하고, 10월 9일 프랑스에 선전포고를 하였다. 그러나 10월 14일 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에서 프로이센군은 괴멸적인 타격을 입었다. 예나에서 프랑스군 주력이 프로이센군 후위부대를 격파하고, 아우어슈타트에서 프로이센군 주력이 2배의 병력을 갖추고, 다부 군단에게 공격을 가했으나 격퇴 당했다. 프랑스군은 추격에 나섰고, 10월 27일 베를린에 입성하였다. 11월 21일 나폴레옹은 베를린에서 대륙봉쇄령(《베를린 칙령》)을 발표했다. 프랑스군은 프로이센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를 추적하여 동프로이센으로 향했다. 프랑스군과 프로이센을 구원하러 온 러시아군 사이에 아일라우 전투(1807년 2월 7일~8일)가 벌어졌다. 눈바람속의 전투는 양군 모두 적지 않은 사상자가 속출했고, 결판은 나지 않았다. 그 후 프랑스군은 체제를 정비하고, 6월 14일 프리틀란트 전투에서 러시아군을 포착하여 격멸시켰다. 그 결과, 프랑스 제국과 러시아 제국 간에(7월 7일) 및 프랑스 제국과 프로이센 왕국 간에(7월 9일) 각각 틸지트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으로 프로이센은 엘베 강 서쪽의 영토를 잃고 거액의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 또한, 프로이센의 옛 영지에는 베스트팔렌 왕국이 설치(1805)되고, 나폴레옹의 동생 제롬 보나파르트가 왕위에 올랐다. 한편 굴욕적인 패배를 겪은 프로이센은 철학자 피히테가 〈독일국민에게 고한다〉라는 강연을 시작하고, 또 게르하르트 폰 샤른호르스트와 아우구스트 나이트하르트 폰 그나이제나우에 의해 군제개혁이 실시되었다. 러시아 원정(1812)에서의 프랑스의 대패를 목격한 유럽 각국은 일제히 반 나폴레옹의 기치를 내걸었다. 처음으로 움직인 것이 프로이센이었으며, 주변 나라들에게 호소하여 제6차 대프랑스 동맹을 결성(1813년 2월)하였다. 러시아 원정으로 수십만의 군사를 잃은 나폴레옹은 강제적으로 청년들을 징집하였다. 1813년 봄, 변변찮은 군대로도 나폴레옹은 프로이센 · 오스트리아 · 러시아 · 스웨덴 등 동맹군과의 전투에서 승리를 거둔 후 휴전을 하였다. 메테르니히와의 평화교섭이 불발된 후, 라이프치히 전투(1813년 10월 16~19일)에서는 동맹군에게 포위공격 당하여 대패한 후, 프랑스로 도망갔다. 이는 나폴레옹의 몰락을 초래하였다. 1814년에 정세는 한층 더 악화되어 프랑스 북동쪽에서는 슈바르트베르크와 게프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의 연합군 25만이, 북서쪽에서는 베르나도트 장군의 16만이, 남쪽에서는 웰즈 리 장군의 10만 대군이 프랑스 국경으로 진격하여 대포위망을 구축하였다. 나폴레옹은 종전을 목적으로 퇴위를 하겠다고 했지만, 배신한 마르몽 원수 등에 의해 무조건 퇴위를 강요당하여, 결국 1814년 4월 16일 퐁텐블로 조약을 체결한 뒤 지중해의 작은 섬인 엘바 섬으로 추방되었다. 독일은 나폴레옹의 침략을 받은 뒤부터 민족주의가 높아져, 독일 연방이 결성되어 독일 통일 운동이 시작되었다. 프로이센 왕국이 라인란트를 시작으로 많은 영토를 획득하면서 대국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근대 독일의 성립 이후 보불전쟁, 1, 2차 세계 대전 등에서 독일과 대립하였으나, 전후에는 유럽통합의 주도권을 놓고 경쟁 및 협력하는 관계에 있다. 러시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러시아-프랑스 관계입니다. 바티칸 시국[편집] 프랑스 혁명(1789) 세력이 교황의 세속 영토에 막심한 피해를 입힌 것을 통해 그들이 일반적으로 가톨릭교회를 노린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프랑스에 남아 있던 교황령은 1791년 프랑스에 공화정이 들어서기 직전까지는 샤를마뉴 시대의 크기를 유지하였으나, 1791년 공화국 정부에 의해 완전히 국유화되었다. 1796년 프랑스군의 이탈리아 침공과 함께 공사관들은 프랑스 혁명 세력이 세운 치살피나 공화국의 영토로 탈취당했다. 2년 후 프랑스군은 교황령을 공격하면서 로마 공화국을 선언하였다. 교황 비오 6세는 1799년 프랑스 망명 도중에 선종하였다. 1800년 6월 교황령이 복구되면서 교황 비오 7세가 돌아왔다. 그러나 1808년 프랑스군이 다시 침입하였고 이번에는 교황령의 남은 지역도 모두 프랑스에 병합되었다. 1814년 나폴레옹 체제의 몰락과 함께 교황령이 회복되었다. 스웨덴[편집] 1807년 10월 나폴레옹과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르 1세는 에르푸르트에서 회담을 갖고, 11월 21일 나폴레옹이 베를린에서 발표(1806년 11월 21일)했던 대륙봉쇄령(《베를린 칙령》)에 스웨덴을 참가시키기 위해 러시아가 압력을 가하는 일을 맡는 것을 재확인시켰다. 이것으로 인해 제2차 러시아-스웨덴 전쟁(1808년~1809년)이 발발하였고, 여기서 패배한 스웨덴은 파리 조약(1810)을 맺어 핀란드를 러시아에게 할양할 것과 더불어 대륙봉쇄령에 참가했다. 스웨덴 국왕 칼 13세는 나폴레옹 휘하의 베르나도트 - 그는 곧 스웨덴의 왕위를 계승(1818)한 칼 14세 요한이다. - 를 양자로 맞이하였다.(1810) 나폴레옹은 북유럽에 신뢰할 수 있는 동맹국을 얻게 되었다고 생각했으나, 러시아 원정(1812)에서 프랑스가 대패하자, 베르나도트는 나폴레옹을 배신하고 스웨덴은 제6차 대프랑스 동맹에 동참(1813년 8월)하였다. 1813년 봄, 변변찮은 군대로도 나폴레옹은 프로이센 · 오스트리아 · 러시아 · 스웨덴 등 동맹군과의 전투에서 승리를 거둔 후 휴전을 하였다. 메테르니히와의 평화교섭이 불발된 후, 라이프치히 전투(1813년 10월 16~19일)에서는 동맹군에게 포위공격 당하여 대패한 후, 프랑스로 도망갔다. 이는 나폴레옹의 몰락을 초래하였다. 스위스[편집] 프랑스는 스위스에서 내란에 개입하여 이곳에 헬베티아 공화국을 건국(1798년 3월)하였고, 그리고 제네바를 합병했다. 스페인[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스페인-프랑스 관계입니다. 영국[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영국-프랑스 관계입니다. 오스트리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오스트리아-프랑스 관계입니다. 1740년부터 양국은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1740~48년)으로 대립했다. 전쟁에서 오스트리아가 승리하고, 프랑스는 아무것도 얻지 못했다. 그러나, 프로이센을 견제할 필요성을 느낀 프랑스는 오스트리아와 동맹을 맺었다(1756년). 이 동맹으로 오스트리아 출신의 마리 앙투아네트가 프랑스로 와서 루이 16세와 혼인하였다. 프랑스 혁명 직후, 레오폴트가 오스트리아 대공이 되자(1790년), 오스트리아는 프랑스와의 1756년의 동맹을 파기하였고, 절대왕권을 위협하는 프랑스의 공화주의에 맞서기로 하였다. 오스트리아는 프랑스로 진격하여 롱위와 베르됭에서 승리를 거두었으나, 프랑스의 반격(발미 전투)으로 기세가 꺾였다. 오스트리아가 지배하고 있던 남부 네덜란드(현재의 벨기에)에서도 프랑스가 오스트리아를 물리쳤다. 이탈리아[편집] 사보이 공국 · 사르데냐 왕국[편집] 1720년 사보이 공국의 왕가가 에스파냐 왕위 계승 전쟁 결과 승리하여 사르데냐 섬을 얻은 후 국명을 사르데냐 왕국으로 정했다. 프랑스 혁명(1789)이 일어나고, 1793년 1월 루이 16세가 처형당한 뒤의 프랑스의 대외팽창의 길을 걷게 되어, 프랑스는 현재의 사부아주를 합병하였다.[2] 사르데냐 왕국은 잉글랜드가 주도하는 제1차 대프랑스 동맹(1793)에 가담하여, 같은 해 국경을 넘어 프랑스로 진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이탈리아 원정을 감행(1796)할 당시, 그때까지 최전선에서 프랑스군과 대치 해왔던 사르데냐 왕국은 약 1개월 만에 항복하였다. 그 후 나폴레옹 전쟁때 국토가 점령당하여 사르데냐섬의 칼리아리로 수도를 옮겼었다. 그 후 빈조약 으로 프랑스의 점령이 끝나고 국토가 회복되자 다시 수도를 토리노로 옮겼다. 나폴리 왕국[편집] 브뤼메르 18일 쿠데타(1799)로 권력을 잡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그의 형 조제프를 나폴리 왕(주세페 보나파르테)에 즉위시켰다.(1806) 포르투갈[편집] 프랑스와 스페인은 함께 포르투갈 침공(1807)한 바 있다. 폴란드[편집] 루이 15세(재위: 1715~74년)는 1725년 8월 15일에 왕위에서 물러난 폴란드의 스타니슬라스 레친스키의 딸 마리 레슈친스카 공주와 결혼했다. 1733년 폴란드의 왕, 아우구스트 2세가 사망하자 러시아와 오스트리아는 작센 선제후를, 프랑스는 왕비의 아버지인 스타니슬라스 레친스키를 새 왕의 후보로 지원하였다. 이러한 분쟁(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 1733~38년)은 빈 조약으로 마무리되었다(1738년). 그 조약에 의해 로렌 지방이 프랑스의 영토로 편입되었다. 헝가리[편집] 12세기 후반 헝가리는 농업·공업(수공업)·상업의 발전으로 세속 영주층의 권력이 커졌다. 토커이, 에게르 등의 와인 산지는 이 무렵 개척지에 들어온 프랑스인들에게 의해 확립된 것이다. 아시아[편집] 중동문제에 있어서는 미국과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정책을 어느 정도 비판하고 있다. 아시아권 국가 중에서는 경제적으로 중국 및 일본과의 외교를 중시한다. 대한민국[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한불 관계입니다. 조선 후기에 프랑스인 선교사들이 포함된 천주교신자들을 조선정부가 탄압(병인박해)하면서 외교문제가 되었고 이를 빌미로 프랑스군대와 조선군이 격돌하는 사건 - 병인양요 - 이 일어났다. 이때 강탈당한 외규장각 도서 등 문화재의 반환문제는 현재도 미해결상태로 남아 있다. 그러나 외규장각 도서의 경우 2010년 G20 정상회의 만찬에서 이명박 대통령과 사르코지 대통령은 반환문제를 합의를 했고, 2011년 4월과 5월 4차에 걸쳐서 5년마다 갱신되는 대여방식으로 대한민국에 반환되었다. 조선 후기에 국교를 수립했으나 1905년 을사조약에 의해 양국과의 관계가 단절되었다. 하지만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존재는 인정하는 분위기여서 프랑스 조계 지역의 경찰들은 김구 주석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정치적인 이유에서일 뿐, 조선의 독립운동을 지지한 것은 아니었다. 한국 전쟁 때는 유엔군의 일원으로 대한민국에 파병했다. 파리는 한국의 군정기에는 정치적 망명자들이 자주 찾는 곳이기도 하였다. 현재 한국과 프랑스는 긴밀한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현재 축구 선수 남태희, 이용재, 정조국 등이 프랑스 클럽에서 뛰고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편집]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수교하지 않은 상태이다. 베트남[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베트남-프랑스 관계입니다. 일본[편집] 프랑스 정치계가 일본을 대하는 관점은 매우 다양한데, 친일 인사가 있는 반면, 일본을 과도하게 비판하는 자도 있어 불안정성을 내포하고 있다. 프랑스의 지도자 자크 시라크는 대표적인 친일 성향이다. 시라크는 일본을 40차례 넘게 방문했는데 이것은 일본을 제외한 전세계 지도자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이다. 그는 또한 일본 전문가이기도 하다. 최근 프랑스는 일본과의 무역 및 문화 교류 계획에 매우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프랑스는 수출 촉진 캠페인으로, "가능성이 있는 나라, 일본"(Le Japon, c'est possible)을 개시하고, 국제 인재 교환 프로그램(JET Programme)도 개설했다. 세계 각국의 고속철도와 원자력발전소의 수주에서는 격렬한 경쟁관계에 있어, 한국과 중국에서 TGV가 도입된 이외에[4], 국제열핵융합실험로에서도 프랑스가 유치전쟁에서 승리하였다. 그러나 과학기술개발에 있어서는 원자력에너지 분야 등에서 긴밀한 협력관계가 구축되어 있고 2005년에는 콩코드의 후속 모델인 차세대형 초음속 상업 비행을 양국이 공동개발하겠다고 발표하는 등[5], 다면적인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다. 양국 관계는 정치・경제적인 면보다 문화면에서의 교류가 더 큰 경향에 있다. 프랑스 문화는 미술・음악・식문화・문예 등에서 일본의 근대화에 큰 영향을 끼쳤다. 또한 프랑스는 일본문화를 지지하는 사람도 많아, 미술・공예・요리・대중문화 등 19세기 후반의 자포니즘을 시작으로, 프랑스에 미친 일본문화의 영향도 있다. 또한 파리에는 일본 문화원(Maison de la Culture du Japon)도 설립되었다. 지부티, 마다가스카르, 우간다 등지의 에이즈로 인한 심각한 보건 상황과 미개발 상황을 향상하기 위하여, 프랑스와 일본은 협력하고 있다. 일본과 프랑스는 예술, 요리와 같은 영역에서도 서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요리의 철인(料理の鉄人)〉과 같은 텔레비전 쇼에서 볼 수 있듯이, 프랑스 요리는 지난 십수년간 일본에 큰 영향을 끼쳐 왔다. 애니메이션은 프랑스에서도 인기가 있는데, 중세, 르네상스, 나폴레옹 시기, 세계대전시기에 있어서 프랑스의 역사적 인물과 배경들은 일본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있어서 중요한 스토리 라인을 구성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편집] 프랑스는 영국과 함께 베이징에서 새 항구(11개)의 개방을 요구하였다.[6] 캄보디아[편집] 19세기 중순부터 프랑스에 의한 인도차이나 반도의 식민지화가 시작되었다. 노로돔 국왕은 프랑스와 교섭해 1863년부터 캄보디아는 프랑스의 보호국 즉,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었다. 1887년에는 캄보디아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편입되었다. 이후 계속해서 식민지로 남아있다가 1940년에는 일본군이 인도차이나에 침공하였고, 이 기회를 틈타 노로돔 시아누크 국왕은 1945년 3월 12일에 캄보디아의 독립을 선언하였다. 그러나 일본이 연합국에 항복하면서 1946년에는 다시 프랑스의 보호 하로 돌아와 독립은 소멸하게 된다. 시아누크 국왕은 끈질기게 독립 운동을 계속해 1947년에는 헌법을 공포하였고, 1949년에 프랑스 연합 내에서의 독립을 선언하였다. 1953년에는 경찰권, 군사권을 회복해 완전 독립을 이룰 수 있었다. 1954년 프랑스 공동체 내의 자치국으로 독립했지만, 베트남 전쟁 등의 영향으로 인해 크메르 루즈가 득세하는 등 계속해서 정권이 불안정했다. 타이[편집] 타이는 프랑스에게는 메콩강 왼쪽 연안의 라오스를 떼어주어야 했다. 터키[편집] 프랑스 혁명(1789)의 여파를 방지하고자 영국을 중심으로 결성된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이 오스트리아의 탈락으로 붕괴(1797)되고, 잉글랜드만이 프랑스와 싸우는 형국이 되었다. 그러나 제해권을 쥐고 있는 영국에게 프랑스는 타격을 줄 수 없었다. 그래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잉글랜드와 인도와의 연계를 끊기 위해, 오스만 제국령 이집트에 원정(1798)하였다. 나폴레옹이 이끄는 이집트 원정군은 툴롱 항을 출발(1798년 5월 19일 )하여 이집트 아부키르 만에 상륙했다(7월 2일). 피라미드 전투에서 현지군에게 승리(7월 21일)를 거두고 이어 카이로에 입성한다. 그러나 10일 후 나일 해전(8월 1일)에서 허레이쇼 넬슨이 이끄는 영국 함대에 프랑스 함대가 대패하여 나폴레옹은 이집트에 고립되게 된다. 나폴레옹은 오스만 제국령 시리아 방면으로 침공하여 아코를 포위하지만(아코 공방전, 1799년 3월 18일 -5월 20일) 공략에 실패하고 이집트로 퇴각했다. 아프리카[편집] 알제리[편집] 알제리는 역사적인 이유때문에 프랑스와 사이가 좋지 못한 관계이지만, 우호적이기도 한다. 알제리에서 프랑스어는 널리 쓰이지만, 프랑코포니에는 가입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프랑수아 올랑드가 2012년 10월 17일에 51년만에 파리에서 일어났던 알제리인학살사건에 대해 알제리인들을 학살한 것을 인정했다.[7] 이집트[편집] 프랑스 혁명(1789)의 여파를 방지하고자 영국을 중심으로 결성된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이 오스트리아의 탈락으로 붕괴(1797)되고, 잉글랜드만이 프랑스와 싸우는 형국이 되었다. 그러나 제해권을 쥐고 있는 영국에게 프랑스는 타격을 줄 수 없었다. 그래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잉글랜드와 인도와의 연계를 끊기 위해, 오스만 제국령 이집트에 원정(1798)하였다. 나폴레옹이 이끄는 이집트 원정군은 툴롱 항을 출발(1798년 5월 19일 )하여 이집트 아부키르 만에 상륙했다(7월 2일). 피라미드 전투에서 현지군에게 승리(7월 21일)를 거두고 이어 카이로에 입성한다. 그러나 10일 후 나일 해전(8월 1일)에서 허레이쇼 넬슨이 이끄는 영국 함대에 프랑스 함대가 대패하여 나폴레옹은 이집트에 고립되게 된다. 나폴레옹은 시리아 방면으로 침공하여 아코를 포위하지만(아코 공방전, 1799년 3월 18일 -5월 20일) 공략에 실패하고 이집트로 퇴각했다. 한편, 나폴레옹의 군사들은 이집트에서 룩소르와 카르낙에서 고대 이집트의 사원을 발견하였다. 또한 무엇보다도 로제타석을 발견하였는데 이것은 이집트의 문자를 해독하게 된 중요한 단서였다.[8] 지부티[편집] 지부티는 프랑스로부터 1977년에 독립하였는데, 프랑스와 지부티 간의 군사적, 경제적 조약들을 통해, 지부티에게 안보와 경제적 원조를 제공하고 있다. 아메리카[편집] 미국[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미국-프랑스 관계입니다. 아르헨티나[편집] 아르헨티나의 경우 프랑스와 시종일관 우방국으로서 나폴레옹이 집권할 때 프랑스의 속주였지만 나폴레옹이 황제로 등극한 것에 반발을 일으킨 아르헨티나가 독립했다. 그 이후에도 프랑스와 아르헨티나는 시종일관 우방국으로서 첫 월드컵에도 프랑스가 참가한 것부터 포클랜드 전쟁에서도 프랑스는 아주 노골적으로 아르헨티나의 편을 들기까지 했으며 이에 프랑스는 아르헨티나에 엑조세를 공짜로 주기까지 했다. 각주[편집] ↑ “佛, 中共을 正式承認”. 동아일보. 1964년 1월 28일. 1면. 佛蘭西와 中共은 兩國이 外交關係를 樹立하였으며 앞으로 三個月以內에 大使를 交換할 것에 合意했다고 27日 共同으로 發表했다. … 「드 · 골」佛蘭西大統領에 依한 中共承認은 美國및 其他 佛蘭西 盟邦들의 날카로운 抗議를 무릅쓰고 이루어졌다.  ↑ 가 나 김용구. 《세계외교사》 1995(上 · 下 合本)판. 서울대학교 출판부. 3~4쪽. ISBN 89-7096-413-4. 프랑스는 11월 유럽의 현존하는 정부들을 전복하려는 모든 인민들에게 원조를 제공하겠다는 폭탄선언을 하였고 1793년 1월에 드디어 루이 16세를 처형하였다. 이때부터 프랑스는 대외팽창에의 길을 걷게 되었다. 사보이(Savoy), 니스(Nice) 그리고 벨지움을 합방하고 영국, 네덜란드 그리고 스페인에 대하여 전쟁을 선포하였다.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초판= (도움말) ↑ 김용구. 《세계외교사》 1995(上 · 下 合本)판. 서울대학교 출판부. 4~5쪽. ISBN 89-7096-413-4. 프로이센이 1795년 5월 프랑스와 바젤(Basel)조약을 체결함으로써 연합전선에서 이탈하였다. 러시아가 폴란드방면으로 적극 진출하자 불안을 느낀 프로이센은 프랑스와 화해하는 길을 택하였다. 바젤조약에 의하여 프로이센은 라인左岸을 프랑스에 양보하였고, 그 대신에 라인右岸에 있는 교회영지가 세속화됨에 따라서 보상을 얻게 되었다. 프로이센은 이때부터 10년간 계속 중립을 지키게 되었다.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초판= (도움말) ↑ 아사히신문 2010년 1월 17일 베트남, 원전도입 시급히, 동남아시아 최초,수주를 노리는 일본과 프랑스 ↑ 일본-프랑스 항공기 산업에 있어 초음속여객기에 관한 공동연구에 대하여 경제산업성 2005년 6월 14일 (PDF) ↑ 조르주 뒤비 (2006). 《지도로 보는 세계사》. 채인택 옮김. 생각의 나무. 228쪽. ISBN 89-8498-618-6. 영국인과 프랑스인들은 베이징에서 새 항구(11개)의 개방을 요구하고(1860년), 아무르 북쪽(1858년 아이후이)에서 영토를 병합했던 러시아는 동해안까지 진출한다.  ↑ 佛, 51년만에 알제리인 학살 시인 ↑ Gerald Leinwand (1986). 〈Prologue: In Search of History〉. 《The Pageant of World History》. Allyn & Bacon. 11~12쪽. ISBN 978-0-205-08680-1. In 1799, the French leader Napoleon invaded Egypt. A group of his soldiers found the ancient Egyptian temples at Luxor and Karnak. Their most important discovery, however, was the Rosetta Stone, which turned out to be the key to Egyptian writing.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프랑스의_대외_관계&oldid=22713056" 분류: 프랑스의 대외 관계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עבריתRomânăРусский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8일 (월) 08: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프랑스의 대외 관계에 대한 설명이다. 냉전시기에 샤를 드골은 국제패권구도가 미국-소련의 양강구도로 편성되면서 프랑스의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려고 노력했으며, 이에 따라 서방국가이지만 소련과의 국교를 수립, 중국의 독립 승인(1964년 1월에 국교 수립) 등 중립적인 외교를 표방하였다. 옛 식민지국가들과도 프랑코포니를 통하여 일정부분 영향력을 과시하고 있으나, 알제리 독립전쟁을 통해 많은 유혈사상자를 낸 알제리와의 관계는 역사문제를 비롯하여 많은 부분에서 현대 프랑스 역사의 어두운 부분으로 남아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캄보디아가 프랑스로부터 첫 독립을 선언한 것은 언제일까? Assistant: 1945년 3월 12일
Human: 아래 에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에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에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에버(Ever)는 KT테크의 휴대 전화 브랜드였다. 2010년 12월 1일부터 KT테크가 스마트폰 브랜드를 테이크로 통일하고 일반 피처폰에는 회사명을 브랜드로 쓰기로 함에 따라 에버 브랜드는 사장되었다.[1] 목차 1 현황 2 제품 구분 3 제품 목록 3.1 K 계열 3.2 W 계열 3.3 F 계열 3.4 S 계열 3.5 E 계열 4 후원 5 같이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현황[편집] 출시 초기에는 이렇다할 성과나 점유율의 영향이 없었으나, 2009년에는 세계 최초의 7mm 급 초슬림폰(EV-K100)과 세계에서 가장 얇은 DMB폰(EV-KD300)을 출시하는 등 기술적 마케팅에서의 두드러진 활약으로 점유율에서도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 때 SK텔레콤에 납품할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2], 실제로 LG유플러스 가입자용 지상파 DMB폰(EV-LD100)이 출시될 뻔도 하였다.[3] 제품 구분[편집] 에버의 제품명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KTF-X0000 (2006년 3월 이전 출시 모델) EV-X000 (2006년 3월 이후 출시 모델) X에 들어간 알파벳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X, E : 초기 생산 기종. 단, X1000의 경우 에버가 아닌 피츠(Fitz)라는 브랜드로 출시하였다. T : 2005년 가을부터 2006년 봄까지 생산된 기종 K : 2006년 3월 이후 출시된 2G(CDMA) 기종 KD : DMB 지원 2G(CDMA) 기종 W : 3G(WCDMA) 기종 F : 3G(WCDMA) FMC 기종 HM : HSDPA 모뎀 WM : 와이브로 모뎀 S : 3G 스마트폰 관련 기종 E : LTE 스마트폰 관련 기종 제품 목록[편집] 본 목록은 2006년 이후에 출시된 모델을 기준으로 정리하였다. K 계열[편집] EV-K100 (넘버 7) EV-K130 (미니 슬라이드) EV-K150 (초슬림 슬라이드폰) EV-K160 EV-K170 (베이직) EV-K200 (에센스) EV-KD330 (초슬림 DMB폰) EV-KD350 (멀티분할 DMB폰) EV-KD370 (360) W 계열[편집] EV-W100 (블랙메탈) EV-W200 (크리스탈) EV-W250 (블랙큐브) EV-W270 (미러폰) EV-W300 (슬림TV) EV-W350 (플러스홀릭 / 트랜스폼) EV-W370 (스마트TV) EV-W420 (슬림팬더) EV-W400 (서태지폰) EV-W405 (서태지영상폰) EV-W450 (터치스타) EV-W470 (S-Holic / 엑스슬림) EV-W530 (오디션) EV-W550 (러브쉐이크) EV-W700 (부비부비 (풀터치폰)) EV-W710 (저가형 폴더폰) (미출시) EV-W730 (저가형 풀터치폰) (미출시) F 계열[편집] EV-F100 (매직듀오 오피스) EV-F110 (매직듀오) EV-F200 (부비부비 F4) EV-F500 (몽글몽글 (풀터치폰)) EV-F600 (브릭스 (풀터치폰)) S 계열[편집] 본 계열은 에버 브랜드 사장 이후 모델명 앞 자리를 EV에서 KM으로 변경하였다. EV-S100 (테이크) EV-S110 (스마트볼) KM-S120 (테이크 2) KM-S200 (테이크 야누스) KM-S220 (테이크 타키) KM-S220H (테이크 타키(CJ헬로비전 헬로모바일 OEM)) KM-S300 (테이크 HD) KM-S330 (테이크 FiT) E 계열[편집] KM-E100 (테이크 LTE) KM-E200 (테이크 LTE 2) (미출시) 후원[편집] EVER 스타리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03년에는 온게임넷 프로리그를 후원하였고, 2004년부터 2009년까지 같은 채널의 스타리그를 후원하였다. 단 (2006년은 제외) KTF EVER컵 온게임넷 프로리그 같이 보기[편집] KT테크 각주[편집] ↑ 박민호 (2010년 12월 1일). “KT테크, 스마트폰 브랜드 '테이크(TAKE)'로 통합”. 뉴스토마토.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6일에 확인함.  ↑ 허재경 (2006년 1월 23일). “휴대폰 업계, 중저가 시장 활성화 조짐”. 디지털데일리. 2009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이상규 (2006년 7월 5일). “올 하반기 휴대폰 트렌드는 "날씬한 DMB폰!"”. 매일경제. 2009년 12월 3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KT테크 홈페이지 vdehKT테크 (구 에버)2008년 ~ 2009년 서태지 영상폰 터치스타 엑스슬림 오디션 매직듀오 매직듀오 오피스 2010년 부비부비 부비부비 F4 몽글몽글 스마트볼 테이크 2011년 브릭스 테이크 2 테이크 야누스 테이크 타키 2012년 테이크 HD 테이크 핏 테이크 LTE 테이크 LTE2 웹사이트: www.kttech.co.kr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에버&oldid=23091952" 분류: KT테크대한민국의 브랜드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1월 25일 (일) 02:0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No good Wikipedia Search Result was found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에버의 S 계열 제품은 무엇이 있을까? Assistant: EV-S100 (테이크) EV-S110 (스마트볼) KM-S120 (테이크 2) KM-S200 (테이크 야누스) KM-S220 (테이크 타키) KM-S220H (테이크 타키(CJ헬로비전 헬로모바일 OEM)) KM-S300 (테이크 HD) KM-S330 (테이크 FiT) Human: 아래 K리그_2010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K리그 2010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리그 2010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쏘나타 K리그 개요 대회 명칭 쏘나타 K리그 시즌 2010 우승 FC 서울 정규리그 1위 FC 서울 준우승 제주 유나이티드 AFC 챔피언스리그 FC 서울 제주 유나이티드 전북 현대 모터스 수원 삼성 블루윙즈 각종 기록 최다 득점 유병수 (22득점) 최다 점수차 홈 승리 성남 6 - 0 인천 (3월 14일) 최다 점수차 원정 승리 대전 1 - 5 울산 (10월 2일) 최다 점수 경기 부산 5 - 3 전남 (8월 29일) 총 득점 604 경기당 평균 득점 2.88 최다 연승 기록 6경기 제주 (4월 18일 ~ 7월 24일) 최다 연패 기록 3경기 성남 (3월 19일 ~ 4월 4일) 인천 (10월 9일 ~ 10월 27일) 최다 관중 60,747 서울 대 성남 (5월 5일) 최소 관중 1,019 광주 대 전남 (11월 3일) 평균 관중 10,975 인접 대회 이전← 2009 다음2011 → 2010년 K리그는 1983년에 아시아 최초의 프로축구리그로 출범한 K-리그가 맞이하는 28번째 시즌으로, 공식 리그명이 'K-리그'에서 'K리그'로 바뀌었다. 현대자동차와의 리그 메인 스폰서 계약에 따라 2010년 대회의 정식 명칭은 '쏘나타 K리그 2010'이다.[1] 시즌은 2월 27일에 열린 전북 현대 모터스 대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경기로 개막하였으며, 12월 5일에 열린 FC 서울 대 제주 유나이티드의 경기로 폐막하였다. 2010년 대회의 개막 일정은 2010년 AFC 챔피언스리그와 2010년 FIFA 월드컵 일정을 고려하여 전년 대회에 비해 1주일 앞당겨진 것이다.[2] 2000년 대회부터는 전년 대회의 챔피언십(포스트 시즌)에서 선보인 '맨 오브 더 매치(MOM) 제도'가 정규 리그(정규 시즌)까지 확대 도입되면서 새로운 후원 스폰서로 CJ푸드빌의 패밀리 레스토랑 브랜드 빕스가 참여한다. 이에 따라 빕스는 매 경기 후 현장에서 선정하여 발표하는 ‘빕스 맨 오브 더 매치’ 명칭권, 경기장 내 90도 시스템 광고권, 경기장 내외 프로모션권 등을 갖는다.[3] 이 외에도 2000년 대회에는 나이키와 SK텔레콤이 서브 스폰서로 함께하게 되었다.[4]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시즌 개막에 앞서 실제 경기 시간과 팬과 소통하는 시간 등을 5분 더 늘리자는 취지에서 '5MM 프로젝트'의 시행을 발표하였다.[5] 구체적으로는 '경기 지연 행위에 대한 대응 강화'와 '경고 누적으로 인한 결장 규정 완화' 등 실제 경기 시간을 늘리기 위해 제도를 점검하고 '언론과의 인터뷰 시간 및 장소 확대', '골 세레머니 규제 완화', '경기 하루 전 선수단 인터뷰 금지 제도 개선', '매 경기 맨 오브 매치 선정', '매 라운드 베스트 11 선정' 등 팬과 소통하기 위해 제도를 마련하였다. 또한, 6명으로 유지해오던 교체 대기 선수 인원을 7명으로 늘렸다. 2010년 대회의 선수 등록을 마감한 결과 한국프로축구연맹은 모두 609명의 선수들이 등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대회의 551명, 2008년 대회의 523명에 비해 늘어난 수치다. 2009년 대회에서는 강원 FC가 K리그에 새로 가입하면서 구단별 평균 등록 선수가 2008년 대회보다 다소 줄었으나, 2010년 대회에 들어 구단별 평균 등록 선수가 전년 대비 증가세를 보였다.[6] 흥행 면에서 2010년 K리그는 대한민국 프로스포츠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다. 5월 5일 어린이날에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FC 서울 대 성남 일화 천마의 경기에 총 60,747명의 관중이 입장하여 FC 서울 대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경기가 종전에 세웠던 55,397명의 관중 기록을 경신했다. 한편, 60,747명의 관중 수는 대한민국 프로스포츠 역사상 단일경기 역대 최다 관중 기록이다. 한편, K리그 챔피언 결정전 2010에서는 FC 서울과 제주 유나이티드 FC가 맞붙게 되었다. 양팀은 10년 전의 K리그 챔피언 결정전 2000에서 안양 LG 치타스와 부천 SK라는 이름으로 맞붙은 바 있는데, 당시 안양 LG 치타스가 부천 SK를 승부차기에서 꺾고 우승하였다. 10년 만에 두 구단이 K리그 챔피언 결정전에서 맞붙는 리턴 매치가 성사되자 많은 축구팬들의 관심을 모았다. 결과적으로 10년 전과 마찬가지로 FC 서울이 제주 유나이티드를 꺾고 K리그 챔피언에 등극하였다. 1차전에서 종료 직전 김치우의 동점골로 2 대 2 무승부를 만들었던 FC 서울이 기세를 이어가 2차전에서 전반전에 정조국의 페널티킥 동점골과 후반전에 터진 아디의 역전골에 힘입어 2 대 1 역전승을 하면서 구단 통산 4번째로 리그 정상의 고지를 밟게 된다. 목차 1 참가 구단 1.1 경기장 1.2 감독・주장 및 스폰서십 1.3 감독 변화 2 운영 방식 3 순위 3.1 정규 리그 3.1.1 라운드별 순위 3.2 시즌 최종 4 정규 시즌 4.1 1~30 라운드 5 포스트 시즌 5.1 6강 플레이오프 5.2 준플레이오프 5.3 플레이오프 5.4 챔피언 결정전 6 우승 7 기록 7.1 득점 순위 7.2 도움 순위 8 수상 8.1 베스트 11 8.2 부문별 수상자 9 관중 수 10 참고 11 외부 링크 참가 구단[편집] 팀 연고지 데뷔 시즌 참가 횟수 전년 순위 강원 FC 강원도 2009년 2 13위 경남 FC 경상남도 2006년 5 7위 광주 상무 광주광역시 2003년 8 11위 대구 FC 대구광역시 2003년 8 15위 대전 시티즌 대전광역시 1997년 14 9위 부산 아이파크 부산광역시 1983년 28 12위 FC 서울 서울특별시 1984년 27 5위 성남 일화 천마 성남시 1989년 22 2위 수원 삼성 블루윙즈 수원시 1996년 15 10위 울산 현대 울산광역시 1984년 27 8위 인천 유나이티드 인천광역시 2004년 7 6위 전남 드래곤즈 전라남도 1995년 16 4위 전북 현대 모터스 전라북도 1995년 16 1위 제주 유나이티드 제주특별자치도 1983년 28 14위 포항 스틸러스 포항시 1983년 28 3위 경기장[편집] 인천 유나이티드 FC 서울 성남 일화 천마 강원 FC 인천문학경기장 서울월드컵경기장 탄천종합운동장 춘천송암레포츠타운 강릉종합운동장 수용인원: 50,256명 수용인원: 68,476명 수용인원: 16,146명 수용인원: 20,000명 수용인원: 22,333명 수원 삼성 블루윙즈 FC 서울 인천 유나이티드 성남 일화 천마 수원 삼성 블루윙즈 ← 강원 FC → 대전 시티즌 대구 FC 포항 스틸러스 울산 현대 부산 아이파크 경남 FC 전북 현대 모터스 광주 상무 전남 드래곤즈 제주 유나이티드 포항 스틸러스 수원월드컵경기장 포항스틸야드 수용인원: 43,959명 수용인원: 18,960명 대전 시티즌 대구 FC 대전월드컵경기장 대구시민운동장 수용인원: 40,535명 수용인원: 19,467명 전북 현대 모터스 울산 현대 전주월드컵경기장 울산문수축구경기장 수용인원: 42,477명 수용인원: 44,474명 제주 유나이티드 광주 상무 전남 드래곤즈 경남 FC 부산 아이파크 제주월드컵경기장 광주월드컵경기장 광양축구전용구장 창원축구센터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수용인원: 35,657명 수용인원: 40,245명 수용인원: 13,496명 수용인원: 15,116명 수용인원: 53,769명 감독・주장 및 스폰서십[편집] 팀 감독 주장 킷 스폰서 메인 스폰서 강원 FC 최순호 정경호 나이키 하이원리조트 경남 FC 조광래 김귀화 (대행) 김영우 켈미 STX 광주 상무 이강조 이수철 최원권 울스포츠 금호건설 대구 FC 이영진 방대종 조마 두산건설 대전 시티즌 왕선재 최은성 로이쉬 대전광역시 부산 아이파크 황선홍 박진섭 휠라 아이파크 FC 서울 넬루 빙가다 박용호 아디다스 자이 성남 일화 천마 신태용 사샤 오그네노브스키 로또 맥콜 수원 삼성 블루윙즈 차범근 윤성효 조원희 아디다스 파브 울산 현대 김호곤 오장은 르꼬끄 현대중공업 인천 유나이티드 일리야 페트코비치 허정무 전재호 푸마 신한은행 지엠대우 전남 드래곤즈 박항서 염동균 자코 포스코 전북 현대 모터스 최강희 김상식 험멜 쏘나타 제주 유나이티드 박경훈 김은중 아스토레 SK 엔크린 포항 스틸러스 와우데마르 레모스 박창현 (대행) 김형일 카파 포스코 해당 시즌에 실제로 감독직을 수행한 감독만 기재한다. 감독 변화[편집] 구단 전임 감독 형태 일자 순위 신임 감독 일자 순위 주석 FC 서울 셰놀 귀네슈 계약 만료 2009년 11월 26일 시즌 전 넬루 빙가다 2009년 12월 14일 시즌 전 [7] 대구 FC 변병주 사임 2009년 12월 7일 시즌 전 이영진 2009년 12월 22일 시즌 전 [8][9] 포항 스틸러스 세르지우 파리아스 사임 2009년 12월 20일 시즌 전 와우데마르 레모스 2010년 1월 3일 시즌 전 [10] 포항 스틸러스 와우데마르 레모스 경질 2010년 5월 10일 12위 박창현 (대행) 2010년 5월 10일 12위 [11] 수원 삼성 블루윙즈 차범근 사임 2010년 6월 6일 15위 윤성효 2010년 6월 15일 15위 [12][13] 인천 유나이티드 일리야 페트코비치 사임 2010년 6월 8일 6위 김봉길 (대행) 2010년 6월 24일 6위 [14] 경남 FC 조광래 사임 2010년 7월 28일 5위 김귀화 (대행) 2010년 7월 28일 5위 [15] 인천 유나이티드 김봉길 (대행) 임시 감독 대행 2010년 8월 22일 9위 허정무 2010년 8월 22일 9위 [16] 광주 상무 이강조 사임 2010년 10월 31일 15위 이수철 2010년 10월 31일 15위 [17][18] 부산 아이파크 황선홍 계약 만료 2010년 11월 9일 8위 안익수 2010년 12월 8일 8위 [19][20] 포항 스틸러스 박창현 (대행) 임시 감독 대행 2010년 11월 9일 9위 황선홍 2010년 11월 9일 9위 [21] 운영 방식[편집] 단일 리그 제도: 총 15개 팀이 참가하여 각 팀이 다른 팀과 모두 두 번씩 경기를 치르는 '정규 리그'(정규 시즌)를 진행한다. 이에 따라 2010년 대회의 정규 리그에서는 총 210경기가 진행되며, 각 팀은 28경기를 치른다. 정규 리그 1위에서 6위를 기록한 팀들은 '챔피언십'(포스트 시즌)에 진출한다. 정규 리그 7위에서 15위를 기록한 팀들은 해당 순위가 시즌 최종 순위가 된다. 6강 플레이오프 제도: 정규 리그 순위를 기준으로 1위는 '챔피언 결정전'에, 2위는 '플레이오프'에, 3위부터 6위는 '6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6강 플레이오프에서 3위와 6위가 맞붙고, 4위와 5위가 맞붙는다. 6강 플레이오프의 승자는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며, 패자는 정규 리그 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시즌 최종 순위 5위와 6위가 된다. 준플레이오프의 승자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며, 패자는 시즌 최종 순위 4위가 된다. 플레이오프의 승자는 챔피언 결정전에 진출하며, 패자는 시즌 최종 순위 3위가 된다. 챔피언 결정전의 승자는 리그 우승 팀에 등극하며, 패자는 리그 준우승 팀이 된다.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권: 챔피언십(포스트 시즌)이 종료된 후 시즌 최종 순위를 기준으로 1위부터 3위까지 이듬해 AFC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 출전권이 주어진다. 또한, FA컵 우승 팀에게도 이듬해 AFC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 출전권이 주어진다. 순위[편집] 정규 리그[편집] 순위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참가 자격 및 강등 1 FC 서울 (Q) 28 20 2 6 58 26 +32 62 챔피언 결정전 2 제주 유나이티드 (Q) 28 17 8 3 54 25 +29 59 플레이오프 3 전북 현대 모터스 (Q) 28 15 6 7 54 36 +18 51 6강 플레이오프 4 울산 현대 (Q) 28 15 5 8 47 30 +17 50 5 성남 일화 천마 (Q) 28 13 9 6 46 26 +20 48 6 경남 FC (Q) 28 13 9 6 41 32 +9 48 7 수원 삼성 블루윙즈 28 12 5 11 39 44 −5 41 8 부산 아이파크 28 8 9 11 36 37 −1 33 9 포항 스틸러스 28 8 9 11 39 48 −9 33 10 전남 드래곤즈 28 8 8 12 40 49 −9 32 11 인천 유나이티드 28 8 7 13 42 51 −9 31 12 강원 FC 28 8 6 14 36 50 −14 30 13 대전 시티즌 28 5 7 16 27 50 −23 22 14 광주 상무 28 3 10 15 17 43 −26 19 15 대구 FC 28 5 4 19 28 57 −29 19 * 2010년 2월 27일부터 동년 11월 7일까지 치른 모든 경기를 대상으로 함. * 출처 : 한국프로축구연맹 *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 (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 순위는 '승점 - 득실차 - 다득점 - 다승 - 승자승 - 벌점 - 추첨' 순으로 결정함. * 출처 : 2009년 K리그 규정 제17조. 라운드별 순위[편집] 라운드팀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FC 서울 1 1 3 6 2 2 2 1 3 4 1 4 3 3 1 4 5 5 5 2 2 2 2 2 2 2 2 2 1 1 제주 유나이티드 5 5 5 2 3 5 6 5 4 6 4 2 1 1 3 1 2 2 1 1 1 1 1 1 1 1 1 1 2 2 전북 현대 모터스 3 3 1 1 5 4 5 4 6 5 7 8 6 4 2 2 3 3 4 4 4 5 6 6 5 5 4 3 3 3 울산 현대 5 4 9 5 1 1 1 3 2 2 3 1 5 6 6 5 6 6 6 7 6 6 5 5 6 6 6 6 5 4 성남 일화 천마 2 6 2 3 4 6 4 6 5 3 5 3 2 2 5 6 4 4 2 3 3 4 4 4 3 3 3 4 4 5 경남 FC 10 7 7 11 5 3 3 2 1 1 2 5 4 5 4 3 1 1 3 5 5 3 3 3 4 4 5 5 6 6 수원 삼성 블루윙즈 13 9 12 8 9 9 10 12 14 15 15 15 11 11 10 9 8 8 8 6 7 7 7 7 7 7 7 7 7 7 부산 아이파크 11 12 11 7 8 8 7 7 7 7 6 7 7 7 7 7 7 7 7 8 8 8 8 8 8 8 8 8 8 8 포항 스틸러스 8 8 8 4 7 7 9 10 10 13 11 12 12 12 13 10 10 9 9 9 9 10 10 11 11 10 10 10 9 9 전남 드래곤즈 11 11 6 10 11 13 13 13 15 11 9 10 10 9 9 11 11 11 11 10 10 11 11 10 10 11 11 11 11 10 인천 유나이티드 5 2 4 9 10 12 12 8 8 8 8 6 8 8 8 8 9 10 10 11 11 9 9 9 9 9 9 9 10 11 강원 FC 15 15 14 14 13 14 14 14 12 10 12 13 14 15 15 15 14 14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대전 시티즌 14 14 13 13 15 15 15 15 11 14 13 11 13 13 14 12 13 13 14 15 14 13 13 13 13 13 13 13 13 13 광주 상무 4 10 10 12 12 10 8 9 9 9 10 9 9 10 11 13 12 12 13 13 13 14 14 14 14 15 15 15 14 14 대구 FC 9 13 15 15 14 11 11 11 13 12 14 14 15 14 12 14 15 15 15 14 15 15 15 15 15 14 14 14 15 15 출처: 한국프로축구연맹 시즌 최종[편집] 순위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참가 자격 및 강등 1 FC 서울 (C) (Q) 28 20 2 6 58 26 +32 62 AFC 챔피언스리그 2011 조별 리그 2 제주 유나이티드 (Q) 28 17 8 3 54 25 +29 59 3 전북 현대 모터스 (Q) 28 15 6 7 54 36 +18 51 4 성남 일화 천마 28 13 9 6 46 26 +20 48 5 울산 현대 28 15 5 8 47 30 +17 50 6 경남 FC 28 13 9 6 41 32 +9 48 7 수원 삼성 블루윙즈 (Q) 28 12 5 11 39 44 −5 41 AFC 챔피언스리그 2011 조별 리그 8 부산 아이파크 28 8 9 11 36 37 −1 33 9 포항 스틸러스 28 8 9 11 39 48 −9 33 10 전남 드래곤즈 28 8 8 12 40 49 −9 32 11 인천 유나이티드 28 8 7 13 42 51 −9 31 12 강원 FC 28 8 6 14 36 50 −14 30 13 대전 시티즌 28 5 7 16 27 50 −23 22 14 광주 상무 28 3 10 15 17 43 −26 19 15 대구 FC 28 5 4 19 28 57 −29 19 * 마지막 업데이트 : 2010년 12월 31일 * 출처 : 한국프로축구연맹 *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 (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정규 시즌[편집] 정규 시즌의 자세한 경기 결과에 대해서는 K리그 2010의 경기 결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30 라운드[편집] 원정홈 강원 경남 광주 대구 대전 부산 서울 성남 수원 울산 인천 전남 전북 제주 포항 강원 FC 1–2 1–0 1–0 2–2 0–0 0–3 1–2 1–2 2–2 1–2 5–2 2–3 1–4 2–0 경남 FC 1–1 1–0 1–0 1–0 0–1 1–0 2–2 2–1 0–1 3–2 1–1 3–2 1–1 3–1 광주 상무 1–0 1–1 0–3 1–1 1–1 0–2 0–2 1–1 1–2 1–1 0–1 0–1 0–0 1–1 대구 FC 2–2 1–1 1–2 1–3 2–1 2–3 2–2 1–3 1–2 1–4 0–3 0–1 0–3 0–2 대전 시티즌 1–2 0–3 3–0 1–2 2–0 2–5 0–1 1–1 1–5 0–2 1–0 0–4 1–3 0–1 부산 아이파크 1–1 1–2 2–0 0–2 1–1 3–0 0–0 0–1 0–2 2–1 5–3 1–0 0–1 4–2 FC 서울 2–1 3–2 3–0 4–0 2–1 3–1 4–0 3–1 3–0 2–0 1–0 0–1 2–0 1–0 성남 일화 천마 3–0 1–2 2–2 1–3 0–0 1–1 1–2 0–0 2–0 6–0 4–0 1–0 0–1 3–0 수원 삼성 블루윙즈 1–2 2–0 2–0 2–1 0–0 4–3 4–2 1–2 0–2 2–1 1–0 1–5 0–3 2–0 울산 현대 1–0 1–0 2–2 5–0 2–0 0–2 1–2 0–1 2–3 3–0 3–0 0–1 1–0 1–1 인천 유나이티드 1–3 2–2 2–0 1–1 3–3 1–1 1–0 1–4 2–3 1–2 1–0 3–2 2–3 4–0 전남 드래곤즈 2–1 1–1 2–3 2–1 3–0 2–2 1–1 0–3 2–0 3–3 0–0 3–2 4–2 2–2 전북 현대 모터스 1–3 1–1 0–0 4–0 3–2 2–1 1–0 1–1 3–1 1–2 3–2 3–1 1–1 3–2 제주 유나이티드 5–0 3–2 4–0 1–0 2–0 1–0 1–1 1–1 2–1 2–1 0–0 2–1 2–2 1–1 포항 스틸러스 4–0 3–0 1–0 2–1 0–1 2–2 1–4 2–0 1–1 1–1 3–2 1–1 3–3 2–5 2010년 11월 7일까지 치른 모든 경기를 대상으로 함.출처: 한국프로축구연맹색상: 파랑 = 홈팀 승; 노랑 = 무승부; 빨강 = 원정 팀 승.아직 치러지지 않은 경기 중 a표시는 그에 대한 문서가 있다는 것을 표시함. 포스트 시즌[편집] 포스트 시즌의 자세한 경기 결과에 대해서는 K리그 챔피언십 2010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강 플레이오프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챔피언 결정전                                               -  부전승 0   2위  제주 유나이티드 0   3위  전북 현대 모터스 2     2위  제주 유나이티드 1   6위  경남 0       3위  전북 현대 모터스 0   3위  전북 현대 모터스 1   2위  제주 유나이티드 2 1 3   5위  성남 일화 천마 0     1위  서울 2 2 4 4위  울산 현대 1 -  부전승 0 5위  성남 일화 천마 3     1위  서울 0   6강 플레이오프[편집] '2010년 K리그 챔피언십 6강 플레이오프'에서는 정규 리그 3위와 정규 리그 6위가 맞붙고, 정규 리그 4위와 정규 리그 5위가 맞붙는다. 경기는 단판 승부이며, 정규 리그 순위가 더 높은 팀의 홈에서 진행한다. 6강 플레이오프의 승리한 두 팀은 준플레이오프에서 맞붙는다. 6강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한 두 팀은 정규 리그 순위가 더 높은 순서대로 시즌 최종 순위 5위와 6위가 된다. 챔피언십 6강 PO 11월 20일 전북 현대 모터스 FC 2 - 0 경남 FC 전주시   15:00 UTC+9 조성환  10'에닝요  70' 경기장: 전주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18,525 심판: 이종국 챔피언십 6강 PO 11월 21일 울산 현대 FC 1 - 3 성남 일화 천마 FC 울산광역시   15:00 UTC+9 고창현  23'  27' 사샤 66' 라돈치치 71' 몰리나 경기장: 울산문수축구경기장 관중 수: 25,090 심판: 이삼호 준플레이오프[편집] '2010년 K리그 챔피언십 준플레이오프'에서는 6강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한 두 팀이 맞붙는다. 경기는 단판 승부이며, 정규 리그 순위가 더 높은 팀의 홈에서 진행한다. 준플레이오프의 승자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준플레이오프의 패자는 시즌 최종 순위 4위가 된다. 챔피언십 준PO 11월 24일 전북 현대 모터스 FC 1 - 0 성남 일화 천마 FC 전주시   19:00 UTC+9 조성환  10' 경기장: 전주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7,976 심판: 최명용 플레이오프[편집] '2010년 K리그 챔피언십 플레이오프'에서는 정규 리그 2위와 준플레이오프의 승자가 맞붙는다. 경기는 단판 승부이며, 정규 리그 2위의 홈에서 진행한다. 플레이오프의 승자는 챔피언 결정전에 진출한다. 플레이오프의 패자는 시즌 최종 순위 3위가 되며, AFC 챔피언스리그 2011 조별 리그 출전권이 주어진다. 챔피언십 PO 11월 28일 제주 유나이티드 1 - 0 전북 현대 모터스 제주특별자치도   14:00 UTC+9 네코  75' 경기장: 제주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7,532 심판: 최광보 챔피언 결정전[편집] 챔피언 결정전의 자세한 경기 결과에 대해서는 K리그 챔피언 결정전 2010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10년 K리그 챔피언 결정전'에서는 정규 리그 1위와 플레이오프의 승자가 맞붙는다. 경기는 홈・어웨이로 치뤄지며, 정규 리그 1위 팀을 기준으로 1차전은 원정에서, 2차전은 홈에서 진행한다. 챔피언 결정전에 진출한 두 팀에게는 경기 결과와 상관없이 AFC 챔피언스리그 2011 조별리그 출전권이 주어진다. 챔피언 결정전의 승자는 리그 우승 팀에 등극하며, 패자는 리그 준우승 팀이 된다. 챔피언 결정전 1차전 12월 1일 제주 유나이티드 FC 2 - 2 FC 서울 제주특별자치도   19:00 UTC+9 배기종  26'산토스  51'  58' 데얀 90+2' 김치우 경기장: 제주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18,528 심판: 이상용 챔피언 결정전 2차전 12월 5일 FC 서울 2 - 1 제주 유나이티드 FC 서울특별시   14:00 UTC+9 정조국  27' (페널티)아디  72'  25' 산토스 경기장: 서울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56,759 심판: 최광보 우승[편집] K리그 우승 FC 서울 1 1 1 1  제28대 대한민국 챔피언 (4회 우승) 1985년・1990년・2000년・2010년 기록[편집] 득점 순위[편집] 순위 이름 클럽 득점 경기 1 유병수 인천 유나이티드 22 28 2 호세 오르티고사 울산 현대 17 25 3 에닝요 전북 현대 모터스 15 24 4 루시오 경남 FC 13 27 5 김은중 제주 유나이티드 27 6 김영후 강원 FC 28 7 이동국 전북 현대 모터스 12 25 8 데얀 다먀노비치 FC 서울 26 9 정조국 FC 서울 11 24 10 제난 라돈치치 성남 일화 천마 25 최종 업데이트 : 2010년 11월 7일 (출처: K리그 공식 홈페이지[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득점 수와 경기 수가 같은데 순위에 차이가 있는 것은 높은 순위에 있는 선수의 교체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이다. 도움 순위[편집] 순위 이름 클럽 도움 경기 1 구자철 제주 유나이티드 11 26 2 김은중 제주 유나이티드 9 27 3 염기훈 수원 삼성 블루윙즈 8 17 4 최태욱 FC 서울[A 1] 7 26 5 데얀 다먀노비치 FC 서울 6 마우리시오 몰리나 성남 일화 천마 27 7 루시오 경남 FC 8 박희도 부산 아이파크 6 18 9 최재수 울산 현대 23 10 에닝요 전북 현대 모터스 24 최종 업데이트 : 2010년 11월 7일 (출처: K리그 공식 홈페이지[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도움 수와 경기 수가 같은데 순위에 차이가 있는 것은 높은 순위에 있는 선수의 교체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이다. ↑ 14라운드 후 전북에서 이적 수상[편집] 베스트 11[편집] 김용대 최효진 사샤 홍정호 아디 에닝요 윤빛가람 구자철 몰리나 데얀 김은중 골키퍼: 김용대 (서울) 수비수: 최효진 (서울), 아디 (서울), 홍정호 (제주), 사샤 (성남) 미드필더: 구자철 (제주), 윤빛가람 (경남), 에닝요 (전북), 몰리나 (성남) 공격수: 데얀 (서울), 김은중 (제주) 부문별 수상자[편집] 부문 선수 클럽 MVP 김은중 제주 유나이티드 신인선수상 윤빛가람 경남FC 득점상 유병수 인천 유나이티드 도움상 구자철 제주 유나이티드 감독상 박경훈 제주 유나이티드 특별상 김병지 김용대 백민철 경남 FC FC 서울 대구 FC '팬'타스틱 플레이어 구자철 제주 유나이티드 관중 수[편집] 구단 최다 관중 최소 관중 평균 관중 누적 관중 강원 FC 19,285 3,271 9,540 133,556 경남 FC 25,980 9,012 12,501 175,017 광주 상무 21,360 1,019 3,782 52,941 대구 FC 15,201 1,102 4,946 69,245 대전 시티즌 33,521 2,138 8,577 120,082 부산 아이파크 8,181 2,649 4,393 61,506 FC 서울 60,747 10,109 30,849 431,882 성남 일화 천마 7,681 1,256 4,129 57,807 수원 삼성 블루윙즈 42,377 18,241 26,182 400,827 울산 현대 12,497 5,131 8,276 115,870 인천 유나이티드 18,313 1,255 8,571 119,990 전남 드래곤즈 23,152 6,454 12,004 168,061 전북 현대 모터스 36,246 4,142 14,300 200,202 제주 유나이티드 14,754 2,020 5,404 75,651 포항 스틸러스 15,329 6,155 11,174 156,430 종합 60,747 1,019 10,975 2,304,790 최종 업데이트 : 2010년 11월 7일 (출처: K리그 공식 홈페이지) 참고[편집] ↑ 이동칠 기자 (2010년 2월 26일). “현대차, 프로축구 K-리그 타이틀 후원계약”. 연합뉴스. 2010년 2월 26일에 확인함.  ↑ 김종국 기자 (2009년 11월 16일). “2010년 K리그, AFC 챔스 참가팀 배려위해 2월 개막”. 마이데일리. 2009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보도자료 (2010년 3월 5일). “빕스, 2010년 K-리그 오피셜 파트너 참여”. 스포탈코리아. 2010년 3월 11일에 확인함.  ↑ 정수창 (2010년 5월 13일). “K-리그, SK텔레콤과 '꿈나무의 해피풋볼' 개최”. 스포탈코리아. 2010년 5월 13일에 확인함.  ↑ “K-리그 5MM 프로젝트 (5 Minutes More, 5분 더)”. 한국프로축구연맹. 2010년 1월 13일.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김동찬 기자 (2010년 2월 26일). “올해 프로축구 K-리그에 609명 선수 등록”. 연합뉴스. 2010년 2월 26일에 확인함.  ↑ “떠나는 귀네슈 감독, “서로 시간이 필요한 때다””. 스포탈코리아. 2009년 11월 26일. 2009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변병주 대구FC 감독, 사퇴의사 표명”. 연합뉴스. 2009년 12월 7일. 2009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7일에 확인함.  ↑ “프로축구 대구 감독에 이영진 전 서울코치”. 연합뉴스. 2009년 12월 22일. 2009년 12월 22일에 확인함.  ↑ “제2의 파리아스는 브라질 출신 레모스 올리베이라 감독”. 스포츠조선. 2010년 1월 3일. 2010년 1월 4일에 확인함.  ↑ “위기의 포항, 레모스 감독 경질”. OSEN. 2010년 5월 10일.  ↑ “수원 삼성 차범근 감독 전격 사임”. 스포탈코리아. 2010년 5월 20일.  ↑ “수원, 3대 감독으로 '레전드' 윤성효 숭실대 감독 선임”. 스포탈코리아. 2010년 6월 15일.  ↑ “인천 Utd, 김봉길 코치 감독 대행 맡아”. 인천신문. 2009년 6월 24일. 2009년 6월 24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조광래 감독 겸임 포기… 경남, 수일 내 김귀화 대행 체제 전환”. 스포탈코리아. 2010년 7월 28일.  ↑ “허정무 감독, 인천 사령탑 취임... 9월 4일 데뷔전”. 스포탈코리아. 2010년 8월 22일. 2010년 8월 22일에 확인함.  ↑ “이강조 광주 상무 감독, 20년만에 물러난다”. 일간스포츠. 2010년 10월 27일.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광주 상무 새 감독, 이수철 수석코치로 확정”. 스포탈코리아. 2010년 10월 28일.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부산, 신임 사령탑에 안익수 서울 수석코치 선임”. 일간스포츠. 2010년 11월 9일.  ↑ “안익수 감독, 책 한권 분량 자료들고 부산 생활 시작”. 조이뉴스24. 2010년 12월 8일.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포항, 새 사령탑에 '레전드' 황선홍 선임…계약기간 3년”. 일간스포츠. 2010년 10월 27일.  외부 링크[편집] 공식 웹사이트 vdeh K리그1 시즌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vdehFC 서울 - 2010년 K리그 우승 (4회) & 2010년 포스코컵 우승 (2회)← 이전 2006년 삼성 하우젠컵 우승2012년 K리그 우승 다음 → 1 김용대 2 최효진 3 이규로 4 윤홍창 5 천제훈 6 김진규 (부주장) 7 김치우 8 아디 9 정조국 10 데얀 11 방승환 13 현영민 14 김한윤 15 박용호 (주장) 16 하대성 17 이종민 18 고요한 19 이정열 20 한태유 21 최원권 22 고명진 25 이윤표 26 문기한 27 배해민 28 이승렬 29 이현승 30 정다훤 31 강재욱 32 강정훈 33 최태욱 34 조수혁 35 최현태 36 김동우 37 최현빈 38 최종환 39 김태환 40 한일구 42 최원욱 43 이윤호 44 윤동민 45 박영준 46 이광진 47 정승용 48 송승주 49 전호연 50 정상호 88 제파로프 감독: 넬루 빙가다 수석 코치: 안익수 코치: 최용수, 최진한, 김성재 골키퍼 코치: 카르발류 피지컬 코치: 코스타 스카우트: 최기봉 vdeh 2010년 대한민국 축구국내 리그 K리그 2군 고교 내셔널리그 K3리그 U리그 전국 초중고 축구리그 WK리그 국내 컵 FA컵 K리그컵 내셔널축구선수권대회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 아시아 대회 AFC 챔피언스리그 대표팀 FIFA 월드컵 동아시아컵 AFC 아시안컵 예선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K리그_2010&oldid=24428844" 분류: K리그 시즌2010년 대한민국2010 축구 리그숨은 분류: 중복된 인수를 사용한 틀의 호출을 포함한 문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Português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4일 (금) 22: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10년 K리그는 1983년에 아시아 최초의 프로축구리그로 출범한 K-리그가 맞이하는 28번째 시즌으로, 공식 리그명이 'K-리그'에서 'K리그'로 바뀌었다. 현대자동차와의 리그 메인 스폰서 계약에 따라 2010년 대회의 정식 명칭은 '쏘나타 K리그 2010'이다. 시즌은 2월 27일에 열린 전북 현대 모터스 대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경기로 개막하였으며, 12월 5일에 열린 FC 서울 대 제주 유나이티드의 경기로 폐막하였다. 2010년 대회의 개막 일정은 2010년 AFC 챔피언스리그와 2010년 FIFA 월드컵 일정을 고려하여 전년 대회에 비해 1주일 앞당겨진 것이다.2000년 대회부터는 전년 대회의 챔피언십(포스트 시즌)에서 선보인 '맨 오브 더 매치(MOM) 제도'가 정규 리그(정규 시즌)까지 확대 도입되면서 새로운 후원 스폰서로 CJ푸드빌의 패밀리 레스토랑 브랜드 빕스가 참여한다. 이에 따라 빕스는 매 경기 후 현장에서 선정하여 발표하는 ‘빕스 맨 오브 더 매치’ 명칭권, 경기장 내 90도 시스템 광고권, 경기장 내외 프로모션권 등을 갖는다. 이 외에도 2000년 대회에는 나이키와 SK텔레콤이 서브 스폰서로 함께하게 되었다.한국프로축구연맹은 시즌 개막에 앞서 실제 경기 시간과 팬과 소통하는 시간 등을 5분 더 늘리자는 취지에서 '5MM 프로젝트'의 시행을 발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경기 지연 행위에 대한 대응 강화'와 '경고 누적으로 인한 결장 규정 완화' 등 실제 경기 시간을 늘리기 위해 제도를 점검하고 '언론과의 인터뷰 시간 및 장소 확대', '골 세레머니 규제 완화', '경기 하루 전 선수단 인터뷰 금지 제도 개선', '매 경기 맨 오브 매치 선정', '매 라운드 베스트 11 선정' 등 팬과 소통하기 위해 제도를 마련하였다. 또한, 6명으로 유지해오던 교체 대기 선수 인원을 7명으로 늘렸다. 2010년 대회의 선수 등록을 마감한 결과 한국프로축구연맹은 모두 609명의 선수들이 등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대회의 551명, 2008년 대회의 523명에 비해 늘어난 수치다. 2009년 대회에서는 강원 FC가 K리그에 새로 가입하면서 구단별 평균 등록 선수가 2008년 대회보다 다소 줄었으나, 2010년 대회에 들어 구단별 평균 등록 선수가 전년 대비 증가세를 보였다.흥행 면에서 2010년 K리그는 대한민국 프로스포츠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다. 5월 5일 어린이날에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FC 서울 대 성남 일화 천마의 경기에 총 60,747명의 관중이 입장하여 FC 서울 대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경기가 종전에 세웠던 55,397명의 관중 기록을 경신했다. 한편, 60,747명의 관중 수는 대한민국 프로스포츠 역사상 단일경기 역대 최다 관중 기록이다. 한편, K리그 챔피언 결정전 2010에서는 FC 서울과 제주 유나이티드 FC가 맞붙게 되었다. 양팀은 10년 전의 K리그 챔피언 결정전 2000에서 안양 LG 치타스와 부천 SK라는 이름으로 맞붙은 바 있는데, 당시 안양 LG 치타스가 부천 SK를 승부차기에서 꺾고 우승하였다. 10년 만에 두 구단이 K리그 챔피언 결정전에서 맞붙는 리턴 매치가 성사되자 많은 축구팬들의 관심을 모았다. 결과적으로 10년 전과 마찬가지로 FC 서울이 제주 유나이티드를 꺾고 K리그 챔피언에 등극하였다. 1차전에서 종료 직전 김치우의 동점골로 2 대 2 무승부를 만들었던 FC 서울이 기세를 이어가 2차전에서 전반전에 정조국의 페널티킥 동점골과 후반전에 터진 아디의 역전골에 힘입어 2 대 1 역전승을 하면서 구단 통산 4번째로 리그 정상의 고지를 밟게 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0년도 K리그에서 누적 관중이 가장 많았던 구단은? Assistant: FC 서울
Human: 아래 귀두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귀두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귀두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치구 (생리 현상)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귀두지 또는 치구 혹은 스메그마(영어: smegma)는 오줌이나 정액, 바르톨린 선의 잔류 분비물등이 성기 주변에 쌓여서 생기는 노폐물이다. 남성은 귀두 아래의 오목한 부분에 여성은 음핵 주변에 잘 생긴다. 모든 포유류의 암수에 일반적이다. 귀두지의 생성에는 미코박테리움 스메그마티스라는 세균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목차 1 용어 2 포유류의 귀두지 3 인간의 귀두지 4 참고 문헌 5 같이 보기 용어[편집] 그리스어의 σμήγμα에서 유래하였다. 속성상 많은 속어나 은어를 가지고 있으며, 비속어에도 종종 사용된다. 일례로 한국에서는 좆밥, 영어에서는 dick cheese,dick butter등의 말을 쓴다. 한자어로는 치구(恥垢)라고 부른다. 포유류의 귀두지[편집] 건강한 포유류의 경우, 귀두지는 성기의 윤활과 청결을 돕는 역할을 한다. 수의학에서 귀두지의 관찰은 비뇨기계통의 질병(특히 트리코모나스증)의 감염여부를 아는 데 지대한 역할을 한다. 일부 전문가들은 가축의 건강을 위해 귀두지의 정기적인 제거를 권하고 있다. 인간의 귀두지[편집] 남성의 치구 example of smegma present on a human penis 남성의 경우에는 음경의 포피와 귀두 사이에 오줌, 정액, 바르톨린 선의 잔류 분비물 등이 쌓여서 생기는 끈적한 물질이고 여성의 경우에는 음핵 주변이나 소음순 내부에 생기며 독특한 냄새를 풍긴다. 과거에는 그 냄새로 인해 단순히 나쁜 노폐물로 취급되었으나 현재는 항균이나 점막을 마르지 않게 유지하는 등의 순기능도 밝혀져 있다. 남성 성기의 치구는 포경수술하지 않은 상태에서 생기기 쉬우며, 귀두를 둘러싸고 있는 포피를 일부러 뒤집어서 씻어주지 않는 한 남아있기 때문에 골칫거리 중 하나이다. 이것의 존재를 모르는 남자들이 어느 날 우연히 포피를 뒤집었다가 역한 냄새와 함께 모습을 드러내는 샛노란색 때뭉치들에 기겁하는 경우가 많다. 치구는 주로 노란계통의 때가 귀두에 점점히, 혹은 줄무늬처럼 여러줄로 뭉쳐있기 때문에 쉽게 분별할 수 있다. 신진대사가 활발한 사춘기 때 분비량이 많아지기도 한다. 치구도 당연히 사람에 따라 생성되는 양이 다르다. 될 수 있으면 자주 세척해주는 것이 좋으며, 소변의 암모니아나 점막의 분비물들과 결합하면 악취가 나게 되고 오랫동안 이를 제거해주지 않으면 악취는 더 심해진다. 치구를 오랫동안 청소하지 않고 그대로 두면 염증으로 인해 음경암으로까지 발전하기도 한다. 희귀한 케이스로 이 치구가 포피 안쪽의 쌓여있던 부분 밑으로 들어가 빼낼 수 없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남성이 포경수술을 하면 나름대로 편리해진다고 하는 근거 중 하나가 치구의 감소이다. 남성의 경우 귀두지가 생성되는 부위와 음경 주위를 씻으면 된다. 여성의 경우 클리토리스의 개부 부분을 부드럽게 씻고 되돌려 놓아야 한다. 극단적으로 고약한 냄새는 심각한 의학적 문제의 징조이거나, 대인관계에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문제는 방향제나 탈취제의 사용이 어느 정도 효과적이다. 참고 문헌[편집] Parkash S, et al. Human subpreputial collection: its nature and formation. J Urol 1973;110:211-212. Wright, Joyce (September 1970). "How smegma serves the penis: Nature's assurance that the uncircumcised glans penis will function smoothly is provided by smegma.". Sexology (New York) 37 (2): 50-53. Van Howe Rs, et al. The carcinogenicity of smegma: debunking a myth.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2006;20:1046-1054. "Risk Factors for Penile Cancer". American Cancer Society. July 2008. 같이 보기[편집] 할례, 포경수술 이 글은 인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귀두지&oldid=23959245" 분류: 음경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인체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Boarisch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MagyarÍslenskaItaliano日本語LatinaLietuviųPlattdüütsch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hqipSvenska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3일 (수) 13: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귀두지 또는 치구(恥垢) 혹은 스메그마(영어: smegma)는 오줌이나 정액, 바르톨린 선의 잔류 분비물등이 성기 주변에 쌓여서 생기는 노폐물이다. 남성은 귀두 아래의 오목한 부분에 여성은 음핵 주변에 잘 생긴다. 모든 포유류의 암수에 일반적이다. 귀두지의 생성에는 미코박테리움 스메그마티스라는 세균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노폐물로 취급되었던 귀두지의 순기능은 무엇일까요? Assistant: 항균이나 점막을 마르지 않게 유지 Human: 아래 남성혐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남성혐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남성혐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남성 혐오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관련 문서 둘러보기 남성주의 남성 · 소년 · 남성성 운동 남성운동 미신적 남성운동 남성해방운동 남성인권 운동 부권운동 주제와 담론 성차 남성의 성 성평등 남성혐오 패권적 남성성 성역할 마초 여성주의와 남성 여성옹호주의 반여성주의 강제 할례 강간 교도소 내 강간 군대 내 강간 남성 강간 강간 무고 가정폭력 남성에 대한 가정폭력 부권과 낙태 나라별 인도의 남성인권운동 오스트레일리아의 부권운동 이탈리아의 부권운동 영국의 부권운동 미국의 부권운동 관련 인물 워렌 패럴 글렌 색스 로버트 블리 한지환 정채기 참조 사항 국제 남성의 날 v • d • e • h 남성혐오(男性嫌惡)는 남성에 대한 혐오 또는 증오를 말한다.[1][2] 남성을 대상으로 한 성차별, 명예훼손, 성폭력, 여성우월주의, 성적 대상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발현될 수 있다.[3] "남성혐오"란 말은 "여성혐오"의 대칭존재로써 19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측된다. "남성혐오자"라는 말이 사용례가 처음 발견되는 것은 영국의 보수 월간지 《스펙테이터》 1871년 4월호 기사이며,[4] 사전에 처음 등재된 것은 1952년 《메리엄-웹스터 대학사전》 제11판이다. 또 프랑스어의 "Misandrie"를 독일어로 "Männerhaß"라고 번역한 것이[5] 1803년에 나타난다.[6] Misandry라는 말은 "증오"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미소스"(μῖσος)와 "남성"을 의미하는 "안드로스"(ἀνδρός)가 결합된 것이다.[7] 목차 1 일회용 남성 2 급진적 여성주의 3 대중의 태도 4 여성혐오와의 비대칭성 5 문학에서 5.1 고대 그리스 문학 5.2 셰익스피어 6 같이 보기 7 각주 일회용 남성[편집] 운동가 워렌 퍼렐은 '처분가능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해, 역사상 가장 위험한 직업, 특히 군인과 광부가 역사적으로 남성에 의해 독점적으로 수행되어 오늘날까지 남성들을 어떻게 소외시켰는가에 대한 견해를 서술했다. 퍼렐은 자신의 저서 「남성의 힘에 관한 신화 (Myth of Male Power)」에서 가부장제 사회는 여성을 희생시켜 남성에게 이익을 주기위한 규칙을 만들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퍼렐은 남성의 평균 수명이 여성보다 낮고 자살률이 여성보다 높은 "남성의 규칙"으로부터 누가 혜택을 보았는지에 대해 공론화가 이뤄지지 않는다고 주장했다.[8] 남성의 처분가능성에 대해서 사회 심리학자 Roy F. Baumeister 교수는 다음과 같이 저술했다.뉴스 매체가 재난을 보고할때 희생자들 사이에 "여성과 어린이조차도"라는 문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표현은 남성의 목숨이 지닌 가치가 덜하는 점을 나타냅니다. 이것은 단지 무례한 것이 아닙니다. 긴박한 상황에서 여성과 어린이를 구할 수 있다면 불만을 가지지 말고 쉽고 빠르게 삶을 포기하라고 남성들에게 상기시키는 것입니다... 20세기의 가장 유명한 재난 중 하나인 타이타닉의 침몰... [구명정] 좌석은 여성들에게 주어졌고 남성들은 가라앉는 합판에 남았습니다... 가장 부유한 남성(36%)도 가장 가난한 여성(46%)보다 생존확률이 낮았습니다. 이러한 사실은 우리 사회가 다른 모든 이들의 희생을 통해 부유하고 힘있는 남성들을 위해 사용하고 있다는 고전적인 지식(또는 페미니스트 평론)에 진지한 쉼표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부장제"라는 아이디어에서는 사회 최하층이 대부분 남성들이라는 점을 무시함에도 불구하고, 남성 권력 엘리트의 특권층 구성원들은 문화적으로 다른 어느 누구보다도 가치가 있다고 여겨집니다... 그러나 그들의 목숨조차도 3등 선실의 낮은 계층 여성의 것보다 가치가 없었습니다... 그 여성들은 돈이나 권력이나 지위가 거의 없었지만, 단순히 여성이라는 덕목으로 너무나 많은 것을 얻었습니다. 그들은 구명 보트에서 몇 석을 차지했고, 잘 차려입은 신사는 갑판에 서서 그들이 떠나는 것을 지켜볼 뿐이었습니다.[9] 종교학 교수 폴 네이던슨과 케더린 영은 그들의 2001년 3부작 도서 '남자의 타락 너머에(Beyond the Fall of man)'에서 비슷한 비교 연구를 했는데[10], 남성혐오를 "북미 사회에서 일상화된 편견 및 차별의 형태"이며 "그것과 같은 문제는 유대교와 기독교가 혐오를 가르침으로써 상호 존중을 오랜 기간 저해한 것처럼, 남성과 여성의 상호 존중을 막고 있다"고 서술했다.[11] 급진적 여성주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급진적 여성주의입니다.학자 앨리스 에콜스는 1989년 자신의 저서 Daring To Be Bad: Radical Feminism in America, 1967–1975에서 1968년 앤디 워홀 살인 미수 혐의로 잘 알려진 급진적 여성주의자 밸러리 솔라나스가 그녀의 책 《SCUM 선언서》에서 다른 급진적 여성주의자들과 비교하여도 극단적인 남성혐오를 보인다고 주장하였다. 에콜스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솔라나스의 뻔뻔스러운 남성혐오—특히 남성의 생물학적 열등함에 대한 믿음—'독립적 여성'과 '생각없는 도피'로써의 성 해방 사이의 관계에 대한 그녀의 지지는 전국 대부분의 여성 집단에 만연한 급진적 여성주의의 성격을 위반하였다.— [12] 1977년 안드레아 드워킨은 남성이 여성보다 생물학적으로 열등하고 본질적으로 폭력적이며, "새로운 초여성(new Übermensch Womon)"의 출현을 위해 남성대학살(gendercide)이 필요하다는 발레리 솔라나스가 가진 견해의 반향이 "여성주의자 사회에서 빈번하게 늘어나는" 것을 발견하고, 급진적 여성주의 안의 생물학적 결정론자들을 비판하였다.[13] 여성학자 벨 훅스는 가부장적 억압에 대한 반응으로써 일어난 여성 해방 운동 초기의 "남성 증오"와 비여성주의 사회 운동에서 남성에게 나쁜 경험을 가진 여성들의 문제를 논했다. 또한, 그녀는 남성이 본질적으로 부도덕하고 열등하며, 그들이 성차별적 억압을 끝내거나 여성주의에서 이득을 얻을 수 없다는 관념을 알리기 위한 페미니즘의 분리주의적 가닥을 "극우적"이라고 비판했다.[14][15] 2000년 출간된 책 《모두를 위한 페미니즘》(Feminism is For Everybody)에서 벨 훅스는 "보수적인 대중매체는 끊임없이 여성 페미니스트들을 남성혐오자로 묘사했다. 페미니즘 운동 내에 반남성 분파나 그런 정서가 보인다 싶으면 페미니즘에 흠집을 내기 위해 대중매체는 그 사실을 집중조명했다. 페미니스트를 남성혐오자로 몰아세우는 이면에는 페미니스트가 모두 레즈비언이라는 전제가 깔려 있었다. 미국 사회의 동성애혐오 정서에 호소하며 대중매체는 남성들 사이에 퍼진 반페미니즘 분위기를 강화시켰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벨 훅스는 "페미니즘에 반대하는 남성들의 목소리는 언제나 강력한 대중적 힘을 발휘했다. 페미니즘과 페미니스트 활동가들을 두려워하고 증오한 이 남성들은 재빨리 세력을 집결해 페미니즘 운동을 공격했다"는 점을 명시하면서도, 동시에 초기 페미니즘에 대한 위와 같은 편견을 비판한 여성주의자들이 대중 매체의 관심을 끌지 못한 사실과 "적으로서의 남성 악마화를 비판하는 우리의 이론적 연구는 반-남성 여성의 견해를 변화시키지 않았다"는 사실을 비탄하였다. 훅스는 이전에 이러한 악마화가 남성운동과 여성운동 사이에 불필요한 균열을 초래했다며, 이는 결과적으로 '자매애를 해치는 행위'였다고 지적했다.[16] 벨 훅스가 특정한 분리주의자 이론가를 지칭하지는 않았지만, 남성과 이성애자 여성이 사라진 세계에 대한 메리 데일리의 이상향적 비전은 이러한 경향의 극단적인 예시이다.[17] 데일리는 남녀 간의 성평등은 불가능하며, 여성이 뛰어난 능력을 가졌기 때문에 남성들을 지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8] 이후 데일리는 인터뷰에서 "생명이 지구상에서 살아남는다면, 지구의 오염 제거가 되어야 한다. 나는 이것이 남성 인구의 급격한 감소를 가져올 진화적 과정을 동반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라고 주장했다.[19] 대중의 태도[편집] 남성 권리 운동가들과 남성주의 단체들은 남성 혐오에 대한 제도적 사례로 이혼, 가정폭력, 강간에 대한 현대의 법률을 지목했다.[20][21][22] 남성을 향한 양가감정적 성차별주의에 대한 48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한 연구에서, 자신을 페미니스트라고 밝히지 않은 여성들이 자신을 페미니스트라고 밝힌 여성들보다 남성에게 더 공격적인 것과 동시에, 남성에 대해 더 애정적인 시선을 보내는 것으로 밝혀졌다.[23] 503명의 이성애 여성을 대상으로한 연구에서, 사회심리학자들은 불안정 애착과 남성을 향한 여성의 성차별주의 사이의 관계성을 발견했다.[24] 스탠포드 대학의 교수 필립 짐바르도는 '심리학 오늘(Psychology Today)'에서 젊은 남성과 젊은 여성 사이에 공감의 차이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젊은 여성이 젊은 남성보다 더 많은 공감과 동정을 받고, 젊은 남성은 때때로 악마로 묘사되고 수용가능한 행동에 대한 상충되는 메시지를 받음으로써 높은 자살율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으로 이어진다고 보았다. 이 작품은 그의 저서인 "가로막힌 남성: 왜 젊은 남성은 고군분투하는가 & 우리는 거기에 무엇을 할 수 있는가("Man, Interrupted: Why Young Men are Struggling & What We Can Do About It)"의 홍보 중 일부였다.[25] 여성혐오와의 비대칭성[편집] 사회학자 앨런 G. 존슨은 1997년 출간된 그의 책 《젠더 매듭: 우리의 가부장적 유산에서 탈피하기》(The Gender Knot: Unraveling Our Patriarchal Legacy)에서 남성 증오(man-hating)에 대한 비난이 페미니스트를 끌어 내리고 남성 중심 문화를 강화하도록 관심을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활용됐다고 말한다.[26] 그의 말에 따르면 여성혐오와 남성혐오를 비교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며, 그 이유는 주류 문화가 여성혐오와 비교될만한 반(反)-남성 이데올로기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남성혐오에 대한 공격은 페미니즘에 대한 불신을 부추기도록 작용하는데, 왜냐하면 "사람들은 종종 개인으로서의 남자와 지배적이고 특권적인 범주의 사람들로서의 남자를 헷갈려한다"는 것이다.[26] 그는 "여성 억압과 남성의 특권, 그리고 그 둘을 강제하는 남성들이라는 현실 앞에서 '모든' 여성이 '남성'에 대해 분개하거나 심지어 증오하는 순간을 가져야한다는 것은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니다"라고 적었다.[26] 2007년 출간된 책 《남자와 남자다움에 대한 국제 백과사전》(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Men and Masculinities)에서 마르크 A. 우엘레는 남성혐오를 여성혐오와 대조하며 비록 대중 문화, 문학에 특정한 "인종화 된" 남성혐오와 "남성혐오적 충격"이 존재할 가능성을 무시할 순 없더라도 "남성혐오에는 여성혐오의 체계적, 초역사적, 제도적, 입법적인 반감이 부족하다"고 논한다.[27] 인류학자 데이빗 D. 길모어는 여성혐오가 "거의 보편적인 현상"인 반면 남성에게는 여성혐오에 상당하는 것이 없다고 논한다.[28] 길모어는 또한 남성혐오는 "한 개인으로서의 남자에 대한 증오가 아니라 남성의 전통적인 남성 역할에 대한 증오"를 가리킨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남성혐오는 "그들이 무엇을 믿건, 무엇을 하건 간에,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여성혐오의 강렬한 인신공격 ad feminam 요소와는 다르다"는 것이다.[28] 여성혐오가 "남성 간의 사회적 유대를 의미하는 '호모소셜'(Homosicial), 그리고 동성애 혐오증인 '호모포비아'(Homophobia)"와 함께하는 3종 세트라고 설명하는 여성학자 우에노 치즈코는 이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사회적 자원, 권력이 없는 여성들끼리의 유대로 남성과 같은 유대를 만들어낼 수 있는가? 불가능하다. 젠더간 비대칭성, 압도적인 권력 차이를 생각해 보면 '남성혐오'는 성립하지 않는다."[29] 철학자 윤지영은 자신의 논문에서 남성에게 "혐오의 통치대상이 되기 위한 자책과 공포라는 하위감정 대신, 자기연민과 여성에 대한 조롱과 비하, 희화화라는 여성혐오의 감정만이 존재할 뿐이며 이를 통해 남성혐오의 통치성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다"라고 논증하였다.[30] 문학에서[편집] 고대 그리스 문학[편집] 프린스턴 대학의 고전 교수인 Forma Zeitlin은 "Patterns of Gender in Aeschylean Drama: Seven against Thebes and the Danaid Trilogy"라는 제목의 아티클에서 다음과 같이 논했다.[31] 그녀는 다음과 같이 썼다;그러나 에테오클레스와, 간청하는 다나이데스의 접촉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실 그들의 이성(異性)에 대한 극단적인 입장이다: 상대가 누구든지간에 모든 여성에 대한 에테오클레스의 여성혐오는 다나이데스의 남성혐오라는 대응관계를 가진다. 셰익스피어[편집] 문학 비평가 해럴드 블룸은 문학에서 남성 혐오라는 단어를 비교적 듣기 어렵지만 내재적인 것을 찾는 것은 어렵지 않고, 심지어 외재적인 것도 있다고 주장했다. 셰익스피어의 작품들에 대한 참고 문헌에서 블룸은 "나는 여성혐오의 한가지 사례를 떠올릴 수는 없지만 남성혐오가 강한 요소라고 생각한다. 셰익스피어는 여성들이 일반적으로 결혼을 해야한다고 했으며 남성들은 나르시시즘적이며 신뢰할 수 없다고 말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그는 인간 남성과 인간 여성 모두에게 부정적인 시각을 준다."[32] 같이 보기[편집] 젠더학 포털 여성혐오 강간 성 차별 분리주의 페미니즘 밸러리 솔라나스 메갈리아 여성시대 워마드 각주[편집] ↑ "Misandry" - 옥스퍼드 영어사전 온라인판 (ODO), 제3판, 2002년 6월. Accessed through library subscription on 25 July 2014. Earliest recorded use: 1885. Blackwood's Edinb. Mag, Sept. 289/1 No man whom she cared for had ever proposed to marry her. She could not account for it, and it was a growing source of bitterness, of misogyny as well as misandry. ↑ "Misandry" - [1]미리엄-웹스터 온라인 ("First Known Use: circa 1909") ↑ Peter West (2014년 9월 5일). “For Father's Day, give us men who aren't shown as fools and clowns”. 《The Conversation》. 2015년 2월 17일에 확인함.  ↑ Review of novel "Blanche Seymour", The Spectator, London, 1 Apr. 1871, p. 389. “We cannot, indeed, term her an absolute misandrist, as she fully admits the possibility, in most cases at least, of the reclamation of men from their naturally vicious and selfish state, though at the cost of so much trouble and vexation of spirit to women, that it is not quite clear whether she does not regard their existence as at best a mitigated evil.” ↑ “Translations for Männerhaß in the German » English dictionary”. 《Pons Dictionary German To English》. PONS GmbH, Stuttgart. 2015년 5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3월 19일에 확인함.  ↑ Johann Georg Krünitz (1803). Oekonomische Encyklopädie oder allgemeines System der Staats-, Stadt-, Haus- u. Landwirthschaft: in alphabetischer Ordnung. Von Lebens-Art bis Ledecz : Nebst einer einzigen Fig. Friedrich's des Einzigen, u. 3 Karten 90. Pauli. 461쪽.  ↑ Oxford Dictionaries http://oxforddictionaries.com/definition/english/misandry ↑ Warren Farrell, The Myth of Male Power, (N.Y.: Simon & Schuster, 1993), Chp. 2 ↑ Roy F. Baumeister, Is There Anything Good About Men? How Cultures Flourish By Exploiting Me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pages 162-163. ↑ (Nathanson & Young 2001, 4–6쪽) ↑ Nathanson, Paul; Young, Katherine K. (2001). 《Spreading misandry the teaching of contempt for men in popular culture》. Montreal, Que.: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6쪽. ISBN 9780773569690. 2016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Echols, Nicole. Daring to Be Bad: Radical Feminism in America, 1967–1975.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9, pp. 104-105, ISBN 978-0-8166-1786-9. ↑ Dworkin, Andrea (1978). “Biological Superiority: The World's Most Dangerous and Deadly Idea” (PDF). 《HERESIES: A Feminist Publication on Art and Politics》. No. 2 (New York City, NY, USA: Heresies Collective, Inc.) 2 (#6): 46. ISSN 0146-3411. 2015년 5월 12일에 확인함.  ↑ hooks, bell. (1984), Feminist Theory: From Margin to Center, South End Press; Boston. ↑ hooks, bell. (2005), The Will To Change: Men, Masculinity and Love, New York; Washington Square Press. ↑ 훅스, 벨 (2017). 《모두를 위한 페미니즘》. 문학동네. ISBN 9788954644815.  ↑ Daly, Mary. (1998), Quintessence...Realizing The Archaic Future, Beacon Press; Boston. ↑ Daly, Mary. (1990), Gyn/Ecology: The Metaethics of Radical Feminism, Boston, Mass.: Beacon Press, pp. 384 & 375–376 ↑ Ridle, Susan (Fall/Winter 1999). "No Man's Land". EnlightenNext Magazine ↑ Ouellette, Marc (2007). "Misandry". In Flood, Michael; et al.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Men and Masculinities. Abingdon, UK; New York, N.Y.: Routledge. pp. 442–3. ISBN 978-0-415-33343-6. ↑ Berlatsky, Noah (29 May 2013). "When Men Experience Sexism". The Atlantic. The Atlantic Monthly. Retrieved 8 November 2018. ↑ Thériault, Anne. "The Myth Of Misandry". Ravishly Media Company. Ravishly.com. Retrieved 8 November 2018. ↑ Anderson, K.J., Kanner, M. and Elsayegh, N. (2009), "Are Feminists Man Haters? Feminists' and Nonfeminists' Attitudes Toward Men",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Vol. 33, pp. 216-224 ↑ Joshua Hart, Peter Glick and Rachel E. Dinero, (2013), "She Loves Him, She Loves Him Not: Attachment Style as a Predictor of Women's Ambivalent Sexism Towards Men",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Vol. 37: 507-517 ↑ Philip Zimbardo (Aug 15, 2017). "Young Men and the Empathy Gap: Why we should be guiding, not demonizing our sons". Psychology Today. ↑ 가 나 다 Johnson, Alan G. (2005). 《The Gender Knot: Unraveling Our Patriarchal Legacy》 2, revis판. Temple University Press. 107쪽. ISBN 1592133843.  ↑ Flood, Michael, 편집. (2007년 7월 18일).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Men and Masculinities》. et al. London; New York: Routledge. ISBN 0-415-33343-1.  ↑ 가 나 Gilmore, David G. Misogyny: The Male Malady.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9, pp. 10–13, ISBN 978-0-8122-1770-4. ↑ '여성 혐오를 혐오한다' 저자 "'남성 혐오'는 성립하지 않는다", 허핑턴포스트코리아, http://www.huffingtonpost.kr/2016/06/07/story_n_10330084.html, 2016.06.07. ↑ 윤지영 (2016). “현실의 운용원리로서의 여성혐오- 남성공포에서 통감과 분노의 정치학으로”. 《철학연구》 (철학연구회) (115): 197-243. 2017년 3월 15일에 확인함. 233-237 ↑ Zeitlin, Froma I. (April 1, 1990). "Patterns of Gender in Aeschylean Drama: Seven against Thebes and the Danaid Trilogy" (PDF). Retrieved 2007-12-21. Princeton University, paper given at the Department of Classic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 Brockman, Elin Schoen. (25 July 1999) "In the Battle Of the Sexes, This Word Is a Weapon", New York Times, https://www.nytimes.com/1999/07/25/weekinreview/in-the-battle-of-the-sexes-this-word-is-a-weapon.html?module=Search&mabReward=relbias%3Ar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남성혐오&oldid=24538618" 분류: 사회적 성남성혐오성 차별숨은 분류: ISBN 매직 링크를 사용하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7일 (일) 16: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남성혐오(男性嫌惡)는 남성에 대한 혐오, 멸시, 뿌리 깊은 편견을 뜻한다. 남성을 대상으로 한 성차별, 성폭력, 성희롱, 성적 대상화, 증오심 선동 등 다양한 방법으로 발현될 수 있다."남성혐오"란 말은 "여성혐오"의 대칭존재로써 19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측된다. "남성혐오자"라는 말이 사용례가 처음 발견되는 것은 영국의 보수 월간지 《스펙테이터》 1871년 4월호 기사이며, 사전에 처음 등재된 것은 1952년 《메리엄-웹스터 대학사전》 제11판이다. 또 프랑스어의 "Misandrie"를 독일어로 "Männerhaß"라고 번역한 것이 1803년에 나타난다. Misandry라는 말은 "증오"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미소스"(μῖσος)와 "남성"을 의미하는 "안드로스"(ἀνδρός)가 결합된 것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젊은 남자와 여자 간 공감하는 데 있어 차이가 있다고 말한 스탠포드 대학교수는 누구야? Assistant: 필립 짐바르도
Human: 아래 공산주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공산주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공산주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공산주의자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공산주의 역사 및 상징 파리 코뮌 공산당 선언 러시아 혁명 전시공산주의 신경제정책 제3시기 인민전선 대숙청 스페인 내전 독소전쟁 냉전 프랑크푸르트 선언 1956년 헝가리 혁명 프라하의 봄 대약진 운동 문화대혁명 쿠바 혁명 앙골라 내전 유럽공산주의 황혼기 동유럽 혁명 소련 붕괴 낫과 망치 붉은 별 적기 분파 마르크스-레닌주의 아나코-공산주의 기독교공산주의 룩셈부르크주의 신마르크스주의 의회공산주의 좌파공산주의 유럽공산주의 트로츠키주의 카스트로주의 스탈린주의 모택동주의 폴포트주의 게바라주의 레닌주의 호자주의 티토주의 주체사상 호치민 사상 기반 개념 마르크스주의 철학 마르크스 경제학 반자본주의 사회주의 인본주의 변증법적 유물론 생산양식이론 세계혁명론 폭력혁명론 무산계급 국제주의 무산계급혁명 무산계급독재 무계급·무국가 총파업·총투쟁 집단지도제 계급 투쟁 계급의식 집단생산 유물사관 관련 텍스트 《1844년 경제학 철학 초고》 《독일 이데올로기》 《공산당 선언》 《고타 강령 비판》 《자본론》 《반듀링론》 《자연 변증법》 《가족 사적 소유 국가의 기원》 영향 개량적 사회주의 이상적 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 불가능주의 헤겔 학파 아나키즘 인민주권 관련 조직 공산당 계열 제1인터내셔널 제2인터내셔널 코민테른 제4인터내셔널 공산주의 국가 극좌 인물 바뵈프 마르크스 엥겔스 레닌 티토 리프크네히트 스탈린 만델 룩셈부르크 그람시 트로츠키 지젝 카스트로 바디우 주은래 게바라 모택동 프라찬다 수파누봉 폴 포트 호치민 김일성 박헌영 v • d • e • h 공산주의(共産主義, Communism)는 자본가 계급이 소멸되고, 노동자 계급이 주체가 된 생산수단의 공공 소유에 기반을 둔 무계급 사회 조직, 공동체 형성에 관한 이론, 또는 그러한 체제를 목표로 삼는다고 주장하는 다양한 정치 운동들을 일컫는다. 경제적으로는 필요에 따라 분배받고, 능력에 따라 일하는 경제 구조로 대변된다. 공산주의 정치 운동은 역사적으로 억압받던 계급들의 해방을 주장하고, 그 해방된 주체들의 자유로운 공동체 조직 형성을 궁극적 목표로 설정했지만, 이러한 코뮨주의적 주장은, 19세기 후반 근대제국주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미미해지기 시작했다.공산주도 있다. 공산주의 분파중에 제일 큰 세력을 형성한 분파인 마르크스주의는 코뮨주의와는 매우 다른 양상으로 진행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현대에서 인식하는 '공산주의'에 대해 정확히 알려면 마르크스주의에 대해 알아야 한다. 공산주의의 라틴어 'communis'는 '함께하는'이라는 뜻이고, '공산(共産)'은 함께 소유하고 생산한다는 뜻이다. 공산주의는 주로 경제 체제라고 흔히 불리지만, 딱 경제 체제로만 구별되어있는 사상이 아니며, 정확히는 경제·정치·사회·철학·통치 체제의 모든 것을 대변하는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공산주의는 크게 네 가지 뜻으로 분류되는데 첫 번째로 제일 흔하게 쓰이는 의미는 마르크스주의의 학설적 이론을 통칭하여 부르는 의미로 쓰이는 것이며, 두 번째로는 하나의 이론으로 구성된 체제의 가능성이며, 세 번째로는 프롤레타리아 독재 체제를 실행하고 있는 국가의 정경체제를 부를 때 쓰인다. 네 번째는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 즉, 무계급 사회를 지칭하는 용어로 쓰인다. 이렇게 다양한 뜻으로 구분되는 것을 구별하기 위해서 첫글자가 소문자로 쓰여있는 'communism'은 사회주의 체제 국가의 정경체제를 가리켰고, 첫글자가 대문자로 쓰이는 'Communism'은 공산주의를 가리켰다. 이론적으로 공산주의는 19세기 유럽의 급속한 산업화와 함께 논의되기 시작한 사회주의 정치사상에 그 기원을 둔다. 인류의 초기 사회 조직은 "고대의 공산주의"라 정의될 수 있겠으나 정치 운동으로서의 공산주의는 일반적으로 아직 형성 중인 미래의 사회 체계를 제시한다. 스스로 공산주의자라 부르는 공동체들 사이에는 상당한 견해 차이가 존재한다. 그러나 카를 마르크스(마르크스주의)와 블라디미르 레닌(레닌주의)의 사상에 근접하다고 인식되는 일련의 분파들은 20세기 초 이후 국제 정치계에서 강력한 세력으로 등장하였기 때문에 특별한 주목을 받는다. 마르크스주의 이론에서 계급 투쟁은 핵심적인 역할을 지닌다. 이를 따르면 공산주의 체제의 형성은 자본가 계급(생산수단을 소유하는 이)과 노동자 계급 사이의 계급 투쟁의 최정점이다. 또한, 자본주의 생산 방식에서 공산주의 생산 방식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이른바 "프롤레타리아 독재 또는 프롤레타리아 민주"라 불리는 과도기적 기간이 불가피하다. 마르크스가 제시한, 자본주의 사회에서 형성되는 공산 사회는 역사적으로 실현된 적이 없으므로 하나의 이론적 가능성이다. 그러나 "공산주의"라는 용어는 공산당 체제하에 있는 정치·경제적 사회를 일컫는 일에 흔히 사용된다. 흔히 공산주의의 반대를 민주주의라 칭하나, 공산주의는 정치적 민주주의와 아무런 연관성이 없으며, 공산주의의 정확한 반대어는 자본주의이다. 목차 1 공산주의의 유래와 발전 2 과정 2.1 자본주의 체제 2.2 사회주의 혁명 2.3 공산주의 체제 2.4 공산주의 체제 3 공산주의의 대표적 종류 3.1 레닌주의 3.1.1 스탈린주의 3.1.2 트로츠키주의 3.1.3 마오쩌둥주의 3.1.4 티토주의 3.2 룩셈부르크주의 3.3 유럽 공산주의 4 공산주의의 문제점 4.1 내부적 문제 4.1.1 관료주의 4.1.2 마르크스 철학의 현실성 문제 4.1.3 반제국주의 노선의 문제점 4.2 경제적 문제 4.2.1 경쟁심의 부재 4.2.2 브랜드 가치의 부재 4.2.3 지나친 중공업화 5 냉전과 공산주의 5.1 반공주의 정부 지원 5.2 미국내 반공산주의 6 공산주의에 대한 비판 7 대한민국에서의 공산주의에 대한 인식 8 공산주의에 대한 오해 9 사회주의, 공산주의의 대표적 인물 10 관련 항목 11 각주 12 참고 문헌 13 외부 링크 공산주의의 유래와 발전[편집] 공산주의 이론의 창시자라고 여겨지는 마르크스 1789년 프랑스 대혁명을 통해서 공화파인 자코뱅 당과 지롱드 당이 프랑스 정치 권력을 공동 지배하였지만 프랑스 사회에서 다수를 차지했던 상 퀼로트(노동자 및 농민)가 자코뱅을 지지해주었기 때문에 사실상 진보적인 자코뱅 당이 프랑스 정국을 주도했다. 하지만 자코뱅의 지도자였던 막시밀리앵 드 로베스피에르의 특유 급진적 정책은 자코뱅의 적들을 자극, 단결시키는 결과를 초래했으며, 1794년 테르미도르의 반동으로 인해 자코뱅 혁명 정부는 붕괴된다. 이후 프랑스 대혁명은 부르주아들에 의해 우경화가 된 상태로 진행됐다. 자코뱅의 평등주의 정책이 하나씩 소멸되면서 다시 다수 노동자, 농민의 삶은 추락됐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시 자코뱅의 혁명 분위기를 되살리려 했던 정치 세력이 등장하게 되는데, 이러한 세력은 '급진적 자코뱅 당'이라고 불리게 된다. 이 세력을 지도하던 인물은 프랑수아노엘 바뵈프였는데, 바뵈프는 오늘날 공산주의하면 생각나는 평등주의, 무상분배, 토지 균등분배 등을 주장했다. 그리고 바뵈프는 프랑스 근대 정치 역사에서 최초로 스스로를 공산주의자로 폭넓게 칭한 혁명가였다. 이 당시는 공산주의란 용어는 루소의 공화주의와 평등주의 이상을 혼합한 용어로 이해되었다. 하지만 그의 급진적인 정치 이론은 당시 기득권 세력을 자극시켰고, 그를 따르는 급진 자코뱅 세력은 프랑스 군대에 의해 학살당한다. 또한 그도 1797년에 단두대에서 생을 마감한다. 19세기 중후반, 독일의 철학자 카를 마르크스는 기존의 이상적 사회주의를 비판하고 자본론을 통해 자본주의를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비판했다. 그는 엥겔스와 함께 스스로 '공산주의자선언'이란 소책자를 내어 바뵈프 이후 금기시 되었던 공산주의란 용어를 다시 유럽 전역에 불러냈다. 하지만, 이러한 마르크스주의 이론은 유럽 전역에서 사회당의 결성을 부채질했으나 이들 당의 정책은 자본주의를 전복하지 않고 이른바 "개량"하는 것에 그쳤다. 그러나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은 예외였다. 당내 분파인 볼셰비키가 레닌의 지도 아래에 1917년 혁명을 일으켜 임시 정부를 타도하고 국가를 장악하게 된 것이다. 1918년 당은 이름을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으로 바꾸었다. 그 후부터 여러 나라에 공산주의 혁명이 일어나면서 사회주의 체제의 국가가 되었다. 그러면서 공산주의는 각 국가의 사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는데 그 대표적인 예로 농민이 주류를 이은 중화인민공화국은 마오쩌둥주의라는 혁명 주도 세력을 농민으로 정의한 공산주의도 생기게 되며, 폴포트주의같은 친화교적이며, 주체사상 같은 유교 민족주의적인 성향이 더 큰 공산주의도 생기게 된다. 기본적으로는 공산주의는 마르크스주의와 같은 뜻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공산주의는 모든 사람이 생산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자립할 수 있는 무국가, 무자본 자치체 세상을 의미하는 어떠한 체제에 관련된 용어이며, 마르크스주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공산주의까지 이르는 모든 방법을 구체화한 사상이다.[1][2] 공산주의란 용어는 역사적 사건마다 그 의미가 달라졌는데, 1차 대전이 종전되기 전인 1917년 이전에 공산주의는 사회민주주의와 같은 뜻으로 인식됐으나 1차 대전 종전 이후 인터내셔널이 여러 종파로 붕괴하므로 사회민주주의는 사회개량주의 계열의 사회주의 사상을 가리켰고, 공산주의는 마르크스와 엥겔스를 따르는 과학적 사회주의 계열의 사회주의 사상을 가리켰다. 러시아 혁명 이후, 공산주의는 혁명을 통한 사회변혁을 주장한다는 의미로, 사회주의는 빈부의 격차에 반대하여, 인간 평등과 분배를 강조하는 사회민주주의로 이해되었다. 10월 혁명이 성공한 이후 해외의 수많은 사회당은 공산당으로 변하고 소련 공산당과 다양한 종류의 관계를 맺었다. (국제 공산주의를 참고하라.) 제2차 세계 대전의 종막 후 스스로 공산주의라 칭하는 체제들이 중앙유럽에 들어섰다. 1949년 마오쩌둥이 이끄는 중국 공산당은 중국 국민당과의 내전에서 승리하여 중화민국을 몰아내고, 그 해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을 건국하였다. 기타 공산주의 정부 형태를 채택한 제3세계 나라 중에는 쿠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베트남, 라오스가 있다. 1980년대 초반에 이르러서 전 세계의 2/5이 과학적 사회주의라는 이름의 공산주의 체제 아래서 살게 되었다. 과정[편집] 자본주의 체제[편집] 자본주의 체제는 카를 마르크스에 의해 처음으로 정립된 것이며, 기본적으로 투기 가능한 화폐, 돈인 '자본'이 양산되고, 그것으로 하여금 자본회전을 통하여 효율적인 잉여가치, 착취이윤 창출과 동시에 생산수단이 자본가의 손안에 있고 그것들이 이윤생산을 목적으로 운용되며, 토지와 노동력을 사고팔 수 있는 시대를 말한다. 후에, 사유재산의 발생 원인은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정립했으며, 카를 마르크스가 단독으로 저작한 저서들에는 사유재산제에 대한 언급은 거의 없었다. 마르크스주의는 자본주의는 필연적으로 붕괴한다는 '자본주의 붕괴론'을 주장하였다. 그 근거로는 이윤율 저하 경향에 대해서 마르크스가 설명했는데, 생산수단과 노동력을 소유하고 있는 자본가들이 잉여가치를 축적하면서 빈부격차가 심화되고, 노동착취도가 심해지는 '궁핍화이론' 단계까지 오고, 그 결과 대중계급의 소비 의욕이 지나치게 낮아져, 결국 초과공급현상이 심해져 자본가 계급의 이윤의 증대되지 않는 것으로 간단히 말할 수 있다. 이런 현상이 지속되면 프롤레타리아 혁명이 일어나 자본주의 정권이 전복되고 프롤레타리아 독재 즉, 무산계급의 시대가 도래하기 때문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자본주의 강대국은 그러한 공급과잉에 시달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구제국주의'와는 다른, 새로운 '초제국주의' 또는 '신제국주의'라는 경제적 침략 행위로 하여금 자신들의 이윤을 채워나가게 되어있다.[3] 마르크스는 원시 사회, 부족 사회 등은 단계적일지라도 사회 체제 상 비단계로 서술했으며, 1단계의 사회체제의 형태인 왕정이라는 체제는 프랑스 혁명과 같은 자유주의 혁명이 일어나 전복된다고 주장했고, 자본주의 체제는 2단계의 사회체제라고 주장했다. 신 공산주의자들이나 사회민주주의자들이 흔히 사용하는 '사회주의 체제'는 마르크스주의에 3단계의 사회체제라고 정의해놓았다. 즉, 왕정이라는 일인독재의 전제군주제 체제와 자본주의 체제의 자본가 독재같은 사회 체제는 원시적인 체제라고 규정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자본주의 체제에서 사회주의 체제로 가는 이행기를 프롤레타리아 혁명으로 정하였다.[4]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체제가 고도로 발전될 수록 주기적인 공황에 매우 약하여, 이윤율 저하 경향이 초반 공황에 비해 매우 잦기 때문에 결국 이러한 사이클이 반복되어서, 공산주의 혁명이 일어나 자본주의 정권이 전복되고 프롤레타리아 정부가 건설된다고 주장하였다. 러시아 혁명은 마르크스가 언급한 취지와는 다르게, 단순한 프랑스 혁명과 같은 자유주의 혁명이랑 비슷한 형태의 혁명으로 일어났다. 일부 정통 마르크스주의 성향 학자들은 오히려 러시아 혁명은 자본주의 체제인 2단계에서 사회주의 체제인 3단계로 이어지는 혁명이라기보다는, 마르크스가 언급한 1단계의 왕정 체제에서 2단계의 자본주의 체제로 가는 자유주의 혁명과 같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자본주의가 노동 계급에게 주는 부정적 영향은 특정 국가에서 머무는 것이 아니라 주변국에게도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러시아 혁명은 공산주의 혁명의 성격에 맞는다고 주장한다. 사회주의 혁명[편집] 프롤레타리아 혁명기는 자본주의 체제를 전복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여기서는 그 혁명계급이 노동자, 농민과 같은 무산계급이 주류이다. 부르주아 민주제(마르크스가 자본주의 체제를 이렇게 통칭함.)는 말 그대로 부르주아들만의 자유권과 참정권이 있는 시대였다면, 프롤레타리아 민주제는 무산계급만이 자유권과 참정권을 가져야한다. 프롤레타리아 혁명기 기간에는 혁명에 반대하는 '반동세력'에 대항하여 승리해야한다고 주장하였고, 공산당선언에서는 자본가 및 부르주아 계급이 프롤레타리아 계층과의 화합이 없다는 전제로 폭력혁명을 강조했다. 그리고 이 사회주의 혁명에 대한 논점은 마르크스주의와 레닌주의와 다른데, 마르크스주의에서는 각 노동자가 스스로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을 자각하여, 비집단적이고 분자적으로 혁명이 일어날 것이라 예상했다. 반면, 레닌주의에서는 다수의 노동자를 지휘하는 지휘 체계 정당인 전위대 체계론을 주장했다. 블라디미르 레닌은 이 전위대가 노동자를 지휘하여, 더 전략적으로 혁명을 일으켜야한다고 주장했다. 공산주의 체제[편집] 공산주의 이념을 향한 공산주의 체제 시절을 경험했던 국가들은 주황색이며, 현재도 공산주의 이념을 따르는 국가는 붉은색으로 분류된다. 프롤레타리아 독재시대는 흔히 사회민주주의자들이나 공산주의자들이 사회주의 체제라고 말하는 그것이다. 공산주의자는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낮은 단계의 공산주의인 사회주의라고 정의했다. 물론 이 주장에 대해서는 각자 계파마다 다르다. 공산주의자들은 사회주의는 낮은 단계의 공산주의이므로 공산주의가 사회주의의 개조된 형태라고 주장하지만, 일부 사회민주주의자는 공산주의는 사회주의에서 파생된 일종일 뿐이라고 정의한다. 이 낮은 단계의 공산주의인 사회주의 체제에서는 일부 마르크스주의와는 좀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그 이유는 프롤레타리아 혁명이 처음으로 성공한 국가가 러시아 제국이었고 그 당시 혁명의 주도자인 블라디미르 레닌은 마르크스주의를 계승한 레닌주의를 방침으로 혁명을 이행했기 때문이다. 레닌주의는 마르크스주의와는 좀 다른데, 일단 사유재산에 대해 거의 큰 언급을 하지 않은 마르크스주의와 다르게, 레닌주의에서는 공산주의에 도달하려면 확실하고 강제적인 당재산제는 불가피하다고 주장했으며, 공산주의에 달성하면서 그 후 나타나는 문제까지 언급했다. 또한 공산주의의 핵심이었던 '유물사관'을 현실에 맞게 수정했다. 그는 고도로 발달된 자본주의 체제가 아니라도 공산주의 체제가 들어설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마르크스주의에서 묘사된 산업 노동자, 농민 계급이 주류를 이은 혁명 세력이 자본주의 정권을 전복시킬 수 없다고 믿어, 블라디미르 레닌은 전위대 체계론을 주장했다. 이 주장은 공산주의의 각 계파 내 큰 논쟁 거리를 낳았다. 블라디미르 레닌은 카를 마르크스와 다르게 국가를 절대화 했다. 그는 자본주의를 표방하는 경제적 제국주의 또는 구 제국주의와 같은 세력이 사회주의 과도기인 프롤레타리아 독재 정부를 여러가지 수법으로 방해할 것이라고 주장했고, 그 이유를 들어 노동 계급은 하나로 결집된 단결 공산 국가를 조직하고 혁명 세력을 지원하여 세계혁명을 실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각 공산주의 세력끼리 국제적 화합을 도모하고 세계 혁명을 일으키기 위해 전인민국가론을 주장했다. 또한 제국주의 세력을 없애기 위해서는 인민으로 이루어진 군대와 경찰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5] 또한, 그는 자본주의의 금융 그리고 제국주의와 자본주의의 관계를 명확하게 밝혀냈고 이것을 현재 흔히 '제국주의론'이라고 한다.[6] 몇몇 학자들에 의해 공산주의 혁명이 일어난 러시아 제국이 혁명 대상에 부적합하다는 의견도 있다. 왜냐하면 러시아 제국은 고도의 산업화가 되지 않은 1단계의 체제 즉, 왕정이었는데, 2단계의 체제인 자본주의 체제(부르주아 독재)가 없이 혁명이 실행되었다는 것이다. 마르크스주의 이론 대로라면 공산주의 혁명이 일어나는 시점엔 발전된 자본주의 형태여야하며 왕정이 타도된 자본주의 체제여야한다. 이 말대로 혁명 후 프롤레타리아 독재 시대가 될 때 소련은 산업화가 제대로 된 상태가 아니었으며, 보편적인 민주주의 의식이 높지 않았다.(물론 2차 대전의 주요 승전국으로써 초강대국으로 성장한다.) 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마르크스주의 이론 본질은 위에 언급된 유물사관에서 탈피된 개념이기 때문에 상관이 없다는 의견도 주장한다.[7] 일반적으로 프롤레타리아 독재시대에는 당재산제도를 따르며, 공동생산이 이루어진다. 최소한의 필요에 따른 소비가 이루어진다. 또한 자본가 계급은 사라지며 모든 기업은 당소유화되어 당의 재산이 된다. 계급 차이는 노사관계가 사라지고 인민(노동자, 지식인, 학생, 농민)과 지도자(위원, 주석)로 나뉜다. 공화제는 사회주의 공화제를 사용하며, 각 지도자(인민위원)은 각 지역의 임명제로 선출되고 주석이 선출되는 것도 철저한 임명제 방식으로 치루어지며, 공산당이라는 일당체제 하에 국정운영을 한다. 자본주의 국가와 다르게 공산주의 국가에서는 당을 사유정치집단이 아닌 당주도의 서비스 기관으로 통칭한다. 철학적으로는 소련이 등장하고 나서 소련의 체제가 공산주의 체제의 모태가 되었을 때 적어도 1세대에서는 마르크스주의적 철학을 가지고 있었다. 현재는 마르크스주의적 사회-철학적 정책을 실질적으로 따르는 공산주의 국가는 없다. 그러나 소련 붕괴 이전에 존재한 거의 대부분의 공산주의 국가에서는 이러한 사회-철학적 관점을 따랐다. 마르크스주의적 철학이란, 모든 물질은 '의식'이 있다고 규정하며 인간을 세상에서 존재하는 제일 우수한 '물질'로 보는 유물론적 전제를 가지고 있다. 때문에 불가지론과 어느정도 상반되며 신이라 절대적인 존재를 추종하는 종교를 부정한다. 소련에서의 러시아 정교회 탄압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의 개신교 탄압, 베트남에서의 천주교 탄압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무신론적 관점 말고도 공산주의의 반제국주의적 성격도 레닌주의의 철학관점이라고 해둘 수 있다. 레닌은 '자본주의의 최고 진화형태는 제국주의'라고 언급하였다. 반제국주의적 성향 때문에 인간해방론적 사고방식은 당연한 것이 되었다. '인간해방론'은 '노동해방론'과 같은 뜻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마르크스는 노동착취에 시달리는 노동자의 억압세력을 일소하고 노동자들을 해방시킨다는 관점에서 '노동해방론'을 주창했고, 레닌은 마르크스가 언급한 자본주의의 최고 단계인 제국주의가 자본주의 확장 과정을 통해 착취, 억압을 받는 모든 인민을 해방시켜준다는 뜻으로 사용되었고, 현재의 인간해방론은 더욱더 세분화 된 후자의 뜻을 담고있다. 후에 이 개념은 김일성의 주체사상에도 나타나게 되었다. 다만, 김일성의 노동당 유일사상 10대 원칙에는 개신교 유일신 사상을 많이 이용하였고, 김일성이 개신교 가정 출신이었다는 점은 아이러니하다. 반제국주의와 인간해방론은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를 불러일으켰다. 그것은 국제 공산주의 운동이라고 하며, 혁명을 전 세계에 전파하는 세계혁명론적 사고방식이라고도 한다. 대표적으로 체 게바라의 혁명 정신이 세계혁명론적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세계혁명론적 사고방식은 꼭 요인들의 직접투쟁적 지원 뿐만이 아니라 세계에 일어나는 공산주의 혁명을 공산주의 국가가 직간접적으로 지원해주는 방법도 포함되며 프롤레타리아 혁명에서의 유동적인 계급 투쟁의 실현도 포함된다. 후에 이 세계혁명론은 트로츠키주의에서 발전되었다. 현대 시대에서 공산주의 국가를 제외하고는 마르크스주의적 철학 관점을 따르기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마르크스주의와 레닌주의에서는 폭력혁명을 옹호하기 때문이다. 공산주의 체제[편집] 공산주의자들은 오랜 시간 동안 프롤레타리아 독재 시기를 거치면 생산수단을 상품화할 수 있는 모든 공정 및 인프라를 건설할 수 있고 그렇게 되면 국가는 해체되고, 모든 생산수단을 노동자에게 주고 노동자가 자신을 위한 자체 생산수단을 얻을 수 있어 일한 만큼의 대가를 받을 수 있는 세상이 올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면 한 세대마다 자신들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생산수단을 얻어 자신의 몇 십배나 해당하는 세대가 쓸 수 있는량의 상품 및 식량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공산주의의 대표적 종류[편집] 적색은 친소, 황색은 친중, 흑색은 중립 노선의 공산주의 체제 국가이다. 공산주의 종류 별 성향 공산주의의 종류에 대한 것은 각 학자들에 의해 의견이 다르지만, 보통 마르크스-레닌을 기점으로 파생된 사상을 공산주의의 종류로 간주한다. 때문에 일부 학계에서는 마르크스주의와 레닌주의는 공산주의에서 파생되었다기 보다는 공산주의를 현실화시킨 기반 사상이라고 본다. 그리고 공산주의에서 파생된 기타 사상의 상-하부 구조에 대해서도 논란이 많은데, 공산주의에 종류가 있다면 과연 소련의 공산주의는 무엇이였냐는 것이다. 때문에, 공산주의라는 사상은 종류와 상관없이, 평균적인 공산주의자들은 보통 마르크스주의와 레닌주의를 따른다. 옆의 사진에서 특정 색으로 칠해진 국가는 한 때 공산주의를 경험한 국가인데, 적색으로 칠해진 국가는 소련의 전통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따르거나, 친소련 정책을 구현시키는 국가를 의미한다. 현재까지 공산주의 국가인 베트남과 쿠바, 라오스 역시 친소련 노선을 따랐었다. 황색의 경우 친중국적인 정책을 구현하는 국가이거나 마오쩌둥주의를 이념으로 하는 공산주의 국가이다. 대표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과 민주 캄푸치아(캄보디아)가 있는데, 민주 캄푸치아의 경우 친화교주의적인 폴포트주의가 정식 이념이었고, 친중국 노선을 따랐다. 또한 알바니아의 경우는 1946년에서 1961년 사이 스탈린주의를 표방하였지만, 반스탈린 인사인 흐루쇼프가 소련의 대통령이 되면서, 1961년 친중노선으로 급선회한다. 흑색의 경우는 친중국도 아니고, 친소련도 아닌 외교 상태이며, 사상도 역시 전통 마르크스-레닌주의 또는 마오쩌둥주의가 아닌 자체 개발한 공산주의 사상으로 통치한 국가를 의미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현재는 사실상 공산주의를 폐기한 것으로 간주됨)의 경우는 마르크스주의가 아닌 주체사상이, 유고슬라비아는 티토주의가 주요 이념이었기에 흑색으로 칠해졌다. 현재 유고슬라비아의 경우는 슬로베니아, 보스니아, 크로아티아, 코소보, 세르비아, 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로 분리 독립되었다. 레닌주의[편집] 마르크스-레닌주의 역사 및 상징 러시아 혁명 전시공산주의 신경제정책 코민테른 인민전선 대숙청 스페인 내전 독소전쟁 냉전 1956년 헝가리 혁명 프라하의 봄 그리스 내전 한국 전쟁 대약진 운동 문화대혁명 쿠바 혁명 스탈린 격하 운동 비동맹운동 베트남 전쟁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앙골라 내전 중소 분쟁 동유럽 혁명 소련 붕괴 낫과 망치 붉은 별 적기 분파 스탈린주의 마오쩌둥주의 호치민 사상 티토주의 주체사상 호자주의 폴포트주의 게바라주의 카스트로주의 마르크스-레닌-마오쩌둥주의 기반 개념 공산주의 계획 경제 노농동맹론 무신론 민족 해방 민주집중제 민중민주주의 반세계화 반자유주의 반제국주의 DIAMAT 원리 사회주의 국가 건설 사회주의 문화 사회주의적 애국주의 상향식 경제학 생산력주의 소비에트 제도 자립 경제 전위대 체계론 통일전선 혁명적 당에 의한 독재 혁명주의 관련 텍스트 《공산주의문학이론》 《공산주의청년여성이론》 《공산주의청년학생론》 《공산주의합법정당론》 《국가와 혁명》 《게릴라 전쟁》 《농업협동화론》 《러시아에 있어서 자본주의의 발전》 《레닌주의의 기초와 레닌주의의제문제》 《마르크스주의 국가론》 《맑스주의의 세 가지 원천과 구성요소》 《무엇을 할 것인가》 《민족경제론》 《민주주의 혁명에서의사회민주주의당의 두가지 전술》 《민중민주주의 경제론》 《사회주의혁명론》 《신경제정책론》 《좌파공산주의라는 소아병》 《유물론과 경험비판론》 《인민의 벗이란 무엇인가》 《제국주의론》 《프롤레타리아트 독재론》 영향 프롤레타리아 독재 국가자본주의 사회개량주의 사회민주주의 사회제국주의 좌익 파시즘 반수정주의 좌익 독재 레닌주의 급진주의 극단주의 관련 조직 공산당 계열 코민테른 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 공산주의 국가 극좌 인물 칼 마르크스 블라디미르 레닌 이오시프 스탈린 요시프 브로즈 티토 에르네스트 만델 루카치 죄르지 피델 카스트로 엔베르 호자 알랭 바디우 저우언라이 니키타 흐루쇼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체 게바라 마오쩌둥 덩샤오핑 수파누봉 폴 포트 호치민 김일성 박헌영 v • d • e • h 이 부분의 본문은 레닌주의입니다. 기존의 마르크스주의의 사상을 블라디미르 레닌이 계승하여 보완하였는데, 대표적으로 한 순간적으로 마르크스가 말하는 공산주의 체제가 쉽게 도래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그는 마르크스주의에서 짧은 기간으로 묘사되던 프롤레타리아 독재 체제를 구현화 시켰다. 그는 이 시기에 국가의 존재 더불어 프롤레타리아로 이루어진 군대 및 경찰이 존재해야한다고 주장했으며, 혁명투쟁에서의 승리를 위해 '전위당론'을 채택해 당의 수직적 구조를 본격화하고 국유화 체제를 강화했다. 또한 자본주의와 제국주의의 연관성 그리고 신식민지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저술했다. 그의 이론은 수 많은 공산주의자들이 따랐다.[8] 스탈린주의[편집] 스탈린주의 개념 마르크스-레닌주의 반수정주의 사회주의적 애국주의 일국사회주의 전체주의 집산주의 공산주의 치하의 계급 투쟁 악화 대단절 집단농장 개인숭배 인물 이오시프 스탈린 볼레스와프 비에루트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발코 체렌코프 엔베르 호자 김일성 라코시 마티아시 겐나디 주가노프 정당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러시아 공산당 미국 진보노동당 알바니아 노동당 인도네시아 공산당 루마니아 공산당 뉴질랜드 공산당 스탈린 연합 국제 볼셰비키당 대영제국 공산당 관련 항목 스탈린 학회 스탈린주의 건축 스탈린과 반유대주의 대숙청 신스탈린주의 마오주의 주체사상 민족공산주의 스탈린 격하 운동 반스탈린주의 신스탈린주의 v • d • e • h 이 부분의 본문은 스탈린주의입니다. 스탈린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개조하여, 스탈린주의라는 사상을 만들어냈다. 스탈린주의는 스탈린 통치 시절 소련의 공식적인 정치-경제체제였다. 그러나 당시에는 스탈린이 자신이 만든 사상을 '스탈린주의'라 명명하지 않고 '마르크스-레닌주의'라고 불렀는데, 스탈린이 사실은 마르크스-레닌의 이론을 심하게 훼손한 것이라고 비판 받기도 한다. 주요 내용은 일국사회주의론을 기점으로 만들어졌으며 "전 세계적 프롤레타리아 혁명은 강력한 공산주의 국가 하나만 있으면 된다."라는 일념 하에 만들어졌다. 당시 레닌 통치 시절 세계 혁명을 부흥시키는 쪽으로 사상을 발전시켜야한다는 트로츠키와 달리 스탈린은 세계 혁명보다는 일단 소련을 초강대국으로 만들어 공산주의 혁명을 군사적 행동으로 일으켜야 한다고 주장했었고 스탈린 집권 이후에 이 주장이 반영된 것이다. 소비에트 연방을 초강대국으로 만들어 군사적 행동으로 전 세계에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전파하는 혁명의 전위조직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해야했고, 스탈린은 공산주의의 기본 원리인 프롤레타리아에 의한 자발적 생산보다는, 국가 통제 양식에서의 생산방식을 선택하였고 그로 인해 빠른 집단산업화와 집단농업화를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착취는 더 늘어갔고, 자본가 대신 '공산당원'이라는 신분의 생산수단 장악은 기존의 껍데기만 다를 뿐 자본주의 체제와 다를 바 없다는 말도 있다. 하지만 유럽의 동서구권 좌파 진영 및 다수의 공산주의자들 그리고 특히나 트로츠키주의자들은 스탈린주의는 공산주의가 아닌 군국주의의 한 변형에 불과하다는 이론을 제기하고 있다. 또한 스탈린주의가 횡행하던 시기에는 트로츠키주의와 스탈린주의 간의 마찰이 심화되었었는데, 당시 스탈린주의자들은 트로츠키주의는 수정주의적이면서, 공산주의의 전통을 이으지 않은 사상이라고 평하기도 했다. 스탈린주의는 국가를 개인숭배화시키는 국가주의적인 사상이기도 하다. 이는 후에 다른 공산주의의 파생 사상에 큰 영향을 준다. 또 마르크스주의에서 말한 공산주의는 생산을 담당하는 노동자 계급이 생산수단을 공동소유하고, 생산물의 공동소유 및 분배 과정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점을 기본 원리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공산주의는 본래 자유의지론적 사회주의, 급진적 풀뿌리 민주주의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러시아 혁명 이후 벌어진 러시아 내전의 과정 이후, 레닌에 의해 실행되었던 노동자 계급의 생산수단 공동소유라는 공산주의의 기본 원리가 스탈린 체제에 들어서 크게 퇴색되고, 국가에 의해 통제되는 병영국가적인 모습이 사회를 지배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련이 다른 서유럽 국가들과 달리 대공황을 극복하고, 큰 폭의 경제성장을 이룩하자, 대다수의 사람들은 스탈린식 공산주의가 공산주의의 전형인 것처럼 생각하게 되었다. 스탈린에 의해 권력에서 쫓겨난 트로츠키마저도 자신의 저서인 "배반당한 혁명"에서 1930년대 소련의 사회체제가 왜곡되기는 했어도 여전히 소련은 노동자 계급의 공산주의 국가라는 주장을 폈다. 이에 대해 트로츠키주의자 일부(국제 사회주의자 경향 등)는 소련에서 민주주의적 측면을 전혀 찾아볼 수 없고 스탈린을 위시한 소련공산당 관료들이 자본가 계급과 마찬가지로 생산수단을 독점하면서 소련의 노동자 계급을 착취하고 있다는 점 등을 들어 스탈린주의를 군국주의 사회로 규정하고 '좌파 파시즘'의 일부일 뿐이라고 비판하기도 한다. 트로츠키주의[편집] 트로츠키주의 기반 개념 레닌주의 반스탈린주의 사회혁명론 영구혁명론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퇴보한 노동자 국가론 기형적 노동자 국가론 공동전선론 후기자본주의론 무산계급 정치혁명 입당 전술 관련 텍스트 《평가와 전망》 《연속혁명》 《배반당한 혁명》 《스탈린주의 날조학》 《마르크스주의를 옹호하며》 《관료적 집산주의》 《개량주의의 경제 뿌리들》 《마르크스 경제사상의 형성과정》 《러시아 국가자본주의》 《인민민주주의의 신자연》 《자본주의 발전의 긴 파도》 《후기자본주의》 관련 조직 제4인터내셔널 노동자 인터내셔널 위원회 국제 마르크스주의자 경향 국제 사회주의자 경향 국제 공산주의자 연맹 국제노동연맹 국제 볼셰비키 그룹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 노동자연대 좌익·극좌익 인물 레온 트로츠키 제임스 패트릭 캐논 토니 클리프 피에르 프랭크 테드 그랜드 조셉 한센 게리 힐리 사이릴 리오넬 로버트 제임스 피에르 람버트 리비오 마이탄 에르네스트 만델 미셸 파블로 나후엘 모레노 클라라 프레이저 리처드 S. 프레이저 v • d • e • h 이 부분의 본문은 트로츠키주의입니다. 트로츠키, 그는 스탈린주의에 대항하기 위한 세계혁명론을 필두로 한 트로츠키주의의 창시자이다. 트로츠키주의는 레프 트로츠키가 스탈린의 일국사회주의에 대항하여 레닌주의를 세계 혁명 쪽으로 발전시켜 만든 공산주의의 분파 사상이다. 트로츠키주의는 공산주의의 하부 이론인 세계혁명론을 영구혁명론으로 발전시켰다. 그는 국제 노동자 운동에 중점을 두어야한다고 주장하였고 그 때문에 트로츠키주의는 국제 공산주의의 시초라고도 불린다.[9] 이러한 트로츠키주의는 스탈린주의자들에게 큰 반발심을 주기도 했지만, 제일 큰 반발심을 표출한 쪽은 바로 남미 쪽의 친미 정부였다. 당시 남아메리카의 기타 정부는 친미 정부하에 극단적 반공주의 체제를 실행하고 있었다. 때문에 그곳은 항상 반미-공산주의 투쟁이 심한 지역이었는데, 트로츠키주의는 이러한 공산주의 운동을 적극 지원해준다는 이론이기 때문에 이러한 이론을 가진 트로츠키주의가 소련 사회를 휘어잡을 시, 남미의 친미 정부는 극심한 공산주의자들의 맹공을 받아야하기 때문이었다. 트로츠키는 레닌의 사망 이후 스탈린과의 권력 다툼에 밀려 소련에서 추방당한 이후 일생을 스탈린주의에 대항하며 살았는데 그에 관한 대표적인 저서로는 《스탈린주의 날조학》이라는 저서가 있다. 마오쩌둥주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마오쩌둥주의입니다. 마오쩌둥주의 역사 및 상징 냉전 대약진 운동 문화 대혁명 스탈린 격하 운동 비동맹운동 베트남 전쟁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중소 분쟁 네팔 혁명 기반 개념 대중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반사회제국주의 반수정주의 신민주주의 탈서구중심주의 농촌혁명론 모순론 실천론 인민전쟁론 지구전론 제3세계론 대중노선 문화대혁명 인민민주독재 관련 텍스트 《실천론》 《지구전론》 《모순론》 《모택동 전집》 영향 공산주의 스탈린주의 낙살라이트 전체주의 법가 주관주의 황금방패 관련 조직 마르크스-레닌주의자당 연맹 혁명적 국제주의자 운동 아프가니스탄 해방전선 아르헨티나 혁명공산당 볼리비아 인민혁명전선 부탄 공산당 캐나다 혁명공산당 중국 공산당(1969 ~ 1976) 콜롬비아 혁명공산당 에콰도르 공산당 인도 공산당 (마오쩌둥주의) 이란 공산당 이탈리아 마오쩌둥주의자당 네팔 공산당 (마오쩌둥주의) 노르웨이 노동자당 필리핀 공산당 포르투갈 노동자공산당 터키 공산당 미국 혁명공산당 흑표당 홍위병 적군파 극좌 인물 마오쩌둥 아크람 아이노 천보다 애비마엘 구즈만 이브라힘 카이파카야 린뱌오 짜루 마줌다르 시라지 시크데르 피에르 물렐레 휴이 뉴턴 프라찬다 장칭 장쩌민 호세 마리아 시손 야오원위안 장춘차오 사미르 아민 리민치 쯔엉찐 폴포트 샤를 베틀랭 알랭 바디우 시진핑 v • d • e • h 마오쩌둥이 마르크스-레닌주의를 개조하여, 만들어낸 중국식 공산주의이다. 아시아 일대의 공산당계에서는 마오쩌둥주의가 제일 영향력있는 공산주의로 평가되고 있다. 스탈린 사후 1960년대 소련이 흐루쇼프를 중심으로 어느정도 탈스탈린화 되면서 소련의 마르크스-레닌주의와 대립한 사상이기도 하다. 당시 중화인민공화국의 산업화는 유럽에 비해 훨씬 늦었었다. 당시 중화인민공화국은 1차 산업에 의존하여, 공장과 같은 2차 산업의 생산라인이 거의 없을 정도였다. 마르크스에 따르면,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주체는 산업 노동자가 되어야하는데, 산업이 활성화 되어있지 않은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산업 노동자 또한 없었다. 이 상황에서 마오쩌둥은 농민들로 인한 혁명을 주로하고 그에 관한 사상을 정립화시키기 위해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중국의 사정에 맞춰서 재개조하게 된다.[10] 마오쩌둥주의의 하부 사상들은 민족주의, 대중주의(포퓰리즘), 신민주주의를 기초로 하였으며, 마오쩌둥주의와 레닌주의 주요 차이점은 혁명의 주체가 산업 노동자이냐, 농민이냐이며 마오쩌둥주의에서는 혁명의 주체가 농민이 되어야한다고 명시되어있는 것과, 유물론적 관점을 옹호하는 마르크스주의와 레닌주의와 달리 마오쩌둥주의는 관념론적 관점을 옹호한다. 마오쩌둥주의는 어디까지나 중국의 사정에 따라 계승된 공산주의 사상이기 때문에, 중국 공산당 일각에서는 오히려 고도로 산업화 된 자본주의 체제를 공산화시킬 때는 국제 공산주의 운동에 있어서 마오쩌둥주의보다는 개조되지 않은 레닌주의를 선호하기도 하였다. 이 사상의 하부 조직중 하나인 신민주주의는 마르크스-레닌주의에서 언급된 인민민주주의와도 같은 뜻인데, 이는 중국인 특유 문화에 맞춰진 민주주의라고 이름을 달리하였다. '신-민주주의'라고 불린 까닭은 분단국가로 견제할 상대인 중화민국의 삼민주의와 구별하기 위해서이다. 마오쩌둥주의자들은 신민주주의는 삼민주의를 개조한 중국의 개조된 민주주의이며, 삼민주의는 구(舊)민주주의라고 부른다. 현재 마오쩌둥주의는 인도 공산당, 네팔 공산당의 주요 이념이기도 하고[10], 주로 저개발 지역의 농업지상주의적 공산주의자들이 옹호하는 사상이기도 하다. 그리고 중국 공산당 내에서는 덩샤오핑 이론에 맞써는 중국 공산당 내 보수파의 주요 이념이기도 하다. 때문에 중국 내에서의 보수주의는 전 세계적 보수주의의 의미와 달리 마오쩌둥주의를 의미하기도 한다. 티토주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티토주의입니다. 티토주의는 요시프 브로즈 티토에 의해 개조된 마르크스-레닌주의이며 기존의 공산주의에 비해 파격적인 이론으로 알려져 있다. 공산주의에 파생된 사상이지만 일부 학자들에 의해 '사회주의의 일부'라고도 묘사된다. 유럽공산주의를 제외하고 모든 공산주의 분파에서 유일무이하게 공산주의를 대변하는 레닌주의의 제일 기초적인 사회주의 체제(프롤레타리아 독재)를 거쳐 공산주의에 도달한다는 목표를 포기한 이론이며, 오히려 공산주의에 도달한다는 표현이 티토주의에서는 친소련파들을 향한 멸칭으로 등장한다.[11] 주요 내용은, 공산주의 체제를 유지하되, 모든 정치, 경제 및 사회적 영향은 혹여나 그 국가가 약소국이라 할지라도 보장받아야하며, 강대국의 제국주의적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대한 침범은 있을 수 없다는 이론이다. 또한 이 티토주의는 냉전 당시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진영 간의 대립 속에서 초월적 독립관을 지녔었는데, 티토주의에서도 자본주의 체제는 개조되지 않은 체제라 하여, 프롤레타리아 혁명으로 전복되어야할 체제로 보았지만, 사회주의 체제는 인민에 있어서 절대적이고 기본적인 체제이기 때문에, 냉전에 의한 공산주의 국가들 끼리의 단합적인 태도의 전제하에 공산주의 국가들 간의 외교적 격차는 모두 없어져야하며, 그것은 소련에게도 포함된다고 주장한다. 티토주의는 유럽에서 공산주의적인 민족주의 사상이라고도 불리며, 이 때문에 스탈린과 유고슬라비아의 관계는 매우 험악해졌다. 룩셈부르크주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룩셈부르크주의입니다. 블라디미르 레닌의 라이벌 공산주의자인 로자 룩셈부르크는 레닌이 마르크스주의에서 제일 중요한 민주성이 보장된 사회를 저버렸고, 부르주아적 공산주의자 내지는 사회주의자라고 비판하였다. 이 때문에 레닌주의가 주장하는 프롤레타리아 독재는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독재로 변질될 수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 룩셈부르크주의에서 구현되는 프롤레타리아 독재 체제는 의회공산주의를 기초로하며, 완벽한 삼권분립을 주창한다. 유럽 공산주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유럽공산주의입니다. 1970년대 초반부터 프랑스 공산당 등의 서구의 공산당들은 유로코뮤니즘(Eurocommunism)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자신을 소련 특히, 스탈린주의에 대한 무비판적이며 무조건적인 지지의 전통에서 분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정당들은 프랑스, 스페인과 이탈리아 등지에서 활발하게 활동하였으며, 일본도 비슷한 노선을 걸었다. 프랑스 공산당의 경우 1970년대 프랑스 사회당과 함께 70% 이상의 득표율을 얻기도 했었으나, 1990년대 소련의 해체와 소련의 위성 국가들의 붕괴 이후 의석 수가 줄어들며 위상이 급격히 떨어졌다. 공산주의의 문제점[편집] 공산주의로 이행하기 위한 사회주의 사회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을 포함하며, 카를 마르크스가 주장했던 '코뮌주의'적 양상과는 다른, 마르크스-레닌주의 등, 현실사회주의 체제 하에서 일어난 문제점을 기준으로 서술했다. 내부적 문제[편집] 관료주의[편집] 프롤레타리아 독재는 분배를 강조하기 때문에 해당 행정에 종사하는 공무원을 다수 필요로 했다. 이 때문에 프롤레타리아 독재 시기에는 총체적으로 관료주의가 팽배했다. 또한 일당독재체제이므로 공산주의 또는 사회주의에 관련된 정책은 국민의 뜻과 상관없이 공산당에 의해 정해져 자유주의적인 사람들의 불만을 샀다. 또한 일반적인 자유민주주의나 기타 민주주의와 달리 사회주의 공화제는 일당일파에 지배 하에 의한 사법, 행정, 입법 과정이 이루어졌으며, 삼권분립이라는 개념도 없었다. 때문에 정권을 가진 공산당의 일개파는 절대적인 권력을 행사할 수 있었으며 그에 따른 정치양극화, 위계화도 심했다. 이러한 관료주의는 대다수 인민들의 반항심을 키웠고 결국 이는 총체적인 생산성 저하의 원인이 되었다. 그 대표적인 현상으로 노멘클라투라 현상이 있다. 토니 클리프를 포함한 트로츠키주의자들을 대표로 하여, 사회민주주의자들을 포함한, 자유사회주의계 정치학자들은 본질적으로 '영구적인 무산계급 정치혁명'의 포기와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유지하기 위해 생겨난 중앙집권적 성향을 띤 민주주의 제도인 민주집중제라는 제도 자체가 스탈린주의와 결합하면서, 관료주의에 대응하기에는 너무나도 약한 구조라고 주장한다.[12] 마르크스 철학의 현실성 문제[편집] 마르크스-레닌주의에서는 유물사관, 변증법적 유물론과 같은 사회-철학적 정신을 기초로 하여 교육하고 지침하여 인간을 더욱 더 개조된 물질 상태로 만들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마르크스와 레닌 그리고 여러 유명한 공산주의자들은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인간을 "사회주의 소유 구조와 생산 체계를 대표로하는 경제적 물질로 하여금, 아직 의식이 개조되지 않은 해방되지못한 인간"이라고 표현하였다. 이것은 개조되지 않은 물질 상태의 인간을 자본주의 체제에서 사는 인간으로 비유했다. 그 대표적인 예로 자본주의 체제에서는 이론과 같은 것들을 지침으로 한 인간의 사회-철학적 행동이 없이 개인의 이익에 따라 움직인다. 이렇듯이 공산주의자들은 개인의 이익에 따라 무의식으로 사는 것은 인간(물질)의 방치된 형태이고 이 방치된 물질을 사상적으로 개조시켜 더 개조된 물질로 하여금 한마디로 '신형인간'을 만들 수 있다고 믿었다. 또한 기존의 일반 유물론과 달리, 변증법적 유물론은 '인간의 의지의 주관성과 관계없이, 오직 인간은 물질을 보고 뇌수의 이성으로 도출되는 특수한 또는 정해진 물질적 행동을 포함해, 그러한 행동을 하게 해주는 특수한 의식이 서로 독립적이라는 기계론적 유물론과 달리, 변증법적 유물론에서는 오랜 시간 다른 구조의 생산 양식과, 수 많은 물질을 인식해, 그 자체로써 고차원적인 의식을 가진 인간이 충분히 사회의 주체가 될 수 있다.'는 것을 기본으로 삼았다. 즉, 사회자본, 어떠한 부조리한 사회체제가 인간의 우위에 있어 인간의 생각과 그에 더불어 모든 물질의 의식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닌, 인간이 사회를 변증시키고 차이를 보아 변화시켜야 하며 그 주체는 '프롤레타리아'라는 계층안에 두었다. 그리고 그 신형인간을 만드는 단계가 바로 '프롤레타리아 독재' 기간이라고 칭하였다. 이 기간에서는 변증법적 유물론에 따라 인간의 사상적 정신을 완벽하게 개조할 수 있는 충분한 시기라고 단언하였다. 또한 이렇게 굳혀진 사상적 정신이 후에 공산주의 사회에 도달하여 무정부, 무군대의 무방비 상태가 되어도 마르크스철학에 정통한 각 인민들의 자치체로 인해 자연적으로 질서를 유지할 것이라고 보았다. 하지만 인간의 사상정신보다 사익에 대한 욕구가 더 강했으므로 이러한 철학 관점을 장기간 주입시키기는 어려웠으며 결국 마르크스 철학정신의 부재로 인해 '과학적 사회주의' 체제 하에 살고있는 모든 대다수의 국가는 정신은 마르크스가 흔히 말했던 자본주의 체제의 시절과 다를 바 없었지만, 현실은 그들의 본능과 맞지 않은 사회주의 체제로써 여러가지 내부적 문제가 생기게 되는 원인이 된다.[13] 반제국주의 노선의 문제점[편집] 블라디미르 레닌 외, 스탈린, 니키타 흐루쇼프 등이 정립한 마르크스-레닌주의 사상은 자본주의 정권을 붕괴시킨 뒤 프롤레타리아 독재 체제를 채택하고, 이러한 프롤레타리아 독재 체제를 하나의 견고한 사회주의 체제로 다져서, 제국주의 진영을 이긴다는 궁극적 목표가 있었지만, 이러한 공산주의 목표는 미국의 로널드 레이건 정부 시기부터 희미해지기 시작했다. 다른 서유럽 국가들에 비해 시기적으로 산업 발전이 느렸던 소련과 이를 포함한 수 많은 현실사회주의 국가들은 사실상, 서방 제국주의 국가들과의 군비 경쟁에 부담감을 느꼈다고 평가되며, 서방 제국주의·자본주의 국가들과의 군비 경쟁으로 인해 대다수의 민중들의 복지 수준도 하락했다. 이는 정부의 불신과 이념의 불신을 낳게된다. 그리고 그에 의한 결과는 전체적인 생산력, 의욕심 하락의 형태로 나타났다. 경제적 문제[편집] 공산주의 경제 이론에서 주장하는 '필요생산'이 가능해지려면, 농축산물과 공산품을 위주로한 경공업이 발달되어야하며, 2차 산업 중에서는 생필품, 공산품 위주로 생산해야 한다. 고수익을 창출해내는 일부 2차 산업 부문은 식량, 생필품의 자급률을 원만하게 유지하는 한 늘리는 것도 고려해야한다. 특히 공산주의에서 금융 계열 3차 산업은 자본가들이 잉여가치 또는 자신들의 물질욕을 채우기 위해 인민을 착취(예를 들면 채권자소득률과 불로소득을 주요 소득으로하는)하면서 더욱더 많은 자본을 축적하기 위해 만들어진 산업으로 규정하였으며 금융 산업이 비활성화 되어있다. 또한 모든 기업을 국유화하고 인간의 필수적인 교육 및 의료 서비스는 사회주의 국가에서 모두 지원해주기 때문에 4차 산업역시 배제된다. 때문에 공산주의에서는 한정된 자원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식량의 자급률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삼는다. 그러나 대다수의 사회주의 국가는 정반대의 방향으로 발전했다. 현실공산주의 국가로 대표되는 소련의 경우는 군수산업과 항공·우주산업, 공장 기계부품 제조산업이 발달했지만, 그와 반대로 생필품의 생산력은 부진했다. 경쟁심의 부재[편집] 공산주의 체제에서는 국가 주도의 기술진으로 여러 가지 신상품을 배출해냈는데, 이 방법은 한계가 있었다. 일단 획기적인 상품을 만드는 아이디어를 개발해낸다 하더라도 그로 인한 이익이 자신에게 절대적으로 돌아오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었고 더더욱 확실한 이유는 자본가 계급은 경제 활동에 있어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할만한 최적의 개체인데 자본가라는 계급을 생산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잉여가치를 창출하는 비효율적이고 취약한 존재라고 여겨 자본가 계급을 모두 일소하였기 때문에 경제에 관해서 경쟁력있는 혁신적인 산업화의 아이디어가 더디어졌다. 즉, 사회주의의 분배제는 각 개체 간의 경쟁심을 유발시키지 못했다. 이 결과는 경제적 문제에서 큰 오점으로 남았으며 공산주의의 치명적인 경제적 약점으로 작용했다. 또한 봉급의 격차와 한계효용이 매우 낮았기 때문에 동기화를 부여하지 못했다.[14] 브랜드 가치의 부재[편집] 공산주의 혁명이 일어난 대부분의 국가는 고도로 산업화되지 않은 상태였다. 특히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우 2차 산업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않고 1차 산업인 어업, 농업과 같은 것들이 주류를 이었다. 원래 산업 노동자들을 주요 기반으로 삼는 공산주의 노선은 중공에서 마오쩌둥주의라고 개조되어 농민들로 이루어진 혁명 활동이 일어났다. 러시아도 같은 상태였다. 당시 러시아는 고도로 산업화 된 근대 자본주의라기보다는 제정 시대, 중상주의적 구조였다. 이로 인한 제일 심각한 문제점은 바로 브랜드의 가치가 없었다는 것이다. 프랑스, 독일, 영국, 이탈리아 등 여러가지 상품의 브랜드 가치는 브랜드의 가치가 낮은 상품보다 실효성이 낮아도 커버가 될 수 있다는 무궁무진한 경제적 장점이있다. 그러나 이러한 브랜드 가치가 없는 상태에서 바로 혁명이 일어난 러시아, 중국은 장기간 수출력침체기를 맞게 된다. 그 예로 고도의 산업가치가 활성화 된 상태에서 공산화 된 동독의 경우 공산주의 국가였지만, 다른 서구권과 다를 바 없는 경제성장력을 보여주었다. 지나친 중공업화[편집] 스탈린 시기 부터 소련은 지나친 식량난에 시달려야했다. 그 이유는 지나친 중공업화에 있었는데, 당시 스탈린은 군사력을 유지하기 위한 대량의 무기제조, 전차제조에 들어갔고 그 도중 식량의 자급률이 낮아져 아사자가 속출하였고 위기감을 느낀 스탈린은 무리한 우크라이나 지역에 대해 집단 농장화를 추진하다, 약 700만명의 아사자를 낸다. 또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역시 다를 바 없었는데, 김일성의 일당일파 경제발전을 하면서 지나치게 중공업을 발전시켜 당시 대한민국에 비해 경제성장력이 높았지만, 결국 아사자가 30만명이 속출하면서 고난의 행군 시기가 찾아온다. 물론 이 문제도 지나친 중공업화로 인한 식량의 자급률 문제였다. 수 많은 경제학 전문가들은 대다수의 공산주의 국가들의 식량 외교에도 문제가 있었다고 주장한다. 무역의 거래 상대국 역시 같은 이념으로하는 공산주의 국가와 타 중립국가 뿐이었다. 당시 자본주의의 맹주였던 미국과 서구권의 강대국들은 공산주의 국가의 수입수출 및 경제활동을 제재해왔기 때문이다. 때문에 분배되는 자본에 비해 공산품, 기본식량의 물가가 심하게 오르면서 식량의 자급률에 문제가 생기고만다. 또한 이 위기를 모면하기 위한 집단 농장화를 하다가 아사자를 더욱더 발생시켰으며, 공산주의 국가에 큰 경제적 후유증을 남긴다. 당시 공산주의 국가의 평균 식량 자급률은 안정적인 자급률이라 평가되는 140%의 반인 70% 이상을 넘지 못하였으며, 당시 미국은 270%, 서구권인 스위스는 250%, 덴마크는 230%, 영국은 130%를 넘었으며 서구권의 평균 식량 자급률은 약 200%였다.[15][16] 냉전과 공산주의[편집] 반공주의 정부 지원[편집] 자본주의 국가들은 세계 공산주의 혁명의 전파를 막기 위하여 동분서주하였는데 이 중 미국을 대표로 정치경제학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필리핀, 대한민국, 중화민국, 베트남 공화국 등지에는 미국의 전면적 후원을 등에 업은 강력한 국가주의 정부가 들어서 반공산주의 교육을 강화하며 국내 진보사회운동 세력들을 공권력으로 탄압하며 정치계에서는 극단적인 반공주의로 불리는 매카시즘 등으로 진보 진영 분열을 꾀했다. (자세한 것은 코인텔프로를 참고하라.) 미국내 반공산주의[편집] 이러한 반공주의는 미국에서도 극심하였다. 1950~60년대이후 미국의 공산주의 탄압은 겉으로는 공산주의자와 간첩 추방을 목표로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뉴딜정책 관련 정치인과 지식인들을 힘없게 하려는 미국 공화당의 정치의도에 의한 것이었다. 또한 미국정부는 지적 반공주의 그러니까 반공주의 지식인들의 활동을 CIA에서 거액보조금으로 키우는 방법으로 정치와 외교문제에 대해 자유주의 견해를 주장하는 미국내 자유주의자들의 수를 급감시키기도 했다. 매카시 광풍이 1954년 막을 내린 이후에도 미국 내 공산주의 탄압은 계속되어 미국 지식인 사회는 큰 타격을 입었는데, 이는 미국 지식인사회에서 활약하던 진보주의자들은 물론, 공산주의자들과 지지자들이 탄압받았기 때문이다. 이는 미국 출판계도 마찬가지여서 미국 출판사 편집자들은 논란의 소지가 있는 진보적 작가들의 책을 내지 않았다. 그래서 미국 출판인들은 유럽 출판계와 협동하거나, 다른 출판사에서 외면받은 작가들과 계약하는 등 공산주의 탄압으로 침체된 미국 지식인 사회를 회복시키고자 하였다.그 실례로 미국 랜덤하우스 계열사였던 판테온 출판사는 영국 역사학자 에드워드 P. 톰슨의《영국노동계급의 형성》(The Making of the English Working Clases), 에릭 홉스봄, E. H. 카 등의 저서, 미국 노예제도를 마르크스주의 관점에서 해석한 《노예제도의 정치경제학》(The Political Economy of Slavery, 유진 제노비스 저) 등을 출판하였다.[17] 공산주의에 대한 비판[편집] 부르주아 경제학으로부터의 비판 : 공산주의는 유토피아적 체제로서, 사람들의 근본적인 '욕구'를 무시한 체제이다. 개인의 동기부여가 되지 않음으로 인해 공산주의 체제는 낮은 생산성과 개인의 불행이 만연한 체제가 되었다. 한편, 자유주의 경제학자 루트비히 폰 미제스는 "공산주의자는 자신의 의지와 사회의 의지를 동일시한다는 점에서 완벽한 독재자"라는 언급으로 공산주의의 내적 결함을 지적한 바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으로부터의 비판 : 공산주의의 역사적 단계론은 근대주의적 사고 방식이다. 무정부주의(아나키즘)자들로부터의 비판 : 공산주의 이론은 레닌주의에서부터 잘못되었다. 본래 마르크스주의에서 '국가'라는 것은 영구한 것이 아니라, 언젠가는 없어져야 할 권위체임에도 불구하고, 레닌주의는 국가를 절대화시켰다. 대한민국에서의 공산주의에 대한 인식[편집] 대한민국에서 공산주의는 경제, 정치, 철학적이고 학술적인 공산주의의 의미가 아니라 왜곡되고 적대적인 의미를 나타낸다. 이는 한국 전쟁의 경험에서 기인한 것으로, 한국 전쟁 발생 20년 전후로 출생한 사람들(2010년 기준으로 60대이상의 노년층)이 남북한 대립의 상황으로 인해 공산주의라는 단어 자체를 꺼내는 것을 금기시하거나 적대적인 것과 관련있다. 대한민국에서 공산주의는 철학적 이념, 정경체제가 아닌 절대적 통치체제를 가리키는 말로 의미가 축소돼 이해되고 있기도 하다. 그것은 북한의 정치 경제 권력이 김일성, 김정일 일가에 독점되는 특유의 시스템과 결함 때문이기도 하다.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의 정권들을 거치면서 공산주의는 기성세대들에 의해 민주주의의 반의어인 것처럼 쓰였다. (ex: 대한민국은 민주주의 국가이고, 북한은 공산주의, 사회주의 국가이다, 미국은 민주주의 국가이고, 중국은 공산주의, 사회주의 국가이다.) 하지만 이는 공산주의를 완전히 이해한 것은 아니며, 과거 공산주의 정부들이 민주적이지 않았던 것과는 상관없이 공산주의는 민주주의의 반댓말이 아니라 개념에 담긴 것으로 볼 때는 민주주의가 포함된 개념이며 인민민주주의 독재가 그것이다. 그 실례로 옛 동독의 정식국명은 독일민주공화국(DDR)였으며, 북한의 정식국명은 실제 민주주의의 실현 여부와는 상관없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인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한국에서 공산주의, 사회주의는 주로 김일성의 주체사상이라는 북한의 정치 시스템을 가리키는 뜻으로도 사용된다. 대한민국의 군인 대통령 시대를 지나 사회가 선진국식 민주화와 전지구적 시장경제로 점차 진행되고 냉전이 종료된 뒤는 공산주의에 대해 공개적으로 말하는 것 자체가 금기시되는 분위기는 상당히 없어졌다. 하지만 대한민국 내에서 공산주의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은 보수나 진보를 떠나서 부족한 편이다.[18][19] 공산주의에 대한 오해[편집] 마르크스주의에서는 당재산제를 주장하지 않으며, 대신에 생산수단의 사회화 즉, 생산수단이 공유되는 사회 체제를 주장하며, 국가 체제의 소멸도 주장했다. 따라서, 마르크스주의에서 원하는 '공산주의' 사회란 현대 사회로 따지면 국가의 권력은 최소화되고 노동자 협동조합체가 생산수단을 공유하고, 각자의 사유재산권은 보장된 사회이다. 좀더 강권적인 마르크스-레닌주의 체제인 소비에트 체제에서는 특정 작업장이 목표 생산량에 연속적으로 도달하지 못하면, 징계 처분을 내렸으며, 목표 생산량을 훨씬 넘는 생산력을 보여주었으면, 여러 소소한 특혜도 있었다는 점에서 위와 같은 주장은 다소 왜곡된 주장이다. 즉 "일을 정해진 수준 만큼 하지 않을 경우 엄벌을 받으며 일을 정해진 수준 이상을 할 경우 자신이 초과 달성한 업무량에 비해서 거의 제대로 특혜를 받기 힘들었다."가 정확할 것이다. 민주주의를 포함한다고 이야기 하고 있지만 노동에 있어서는 강제성을 띄고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는 형태였던 것이다. 또한 공산주의 자체는 '능력에 따라 노동하고, 필요에 따라 분배받는 사회'를 내걸지만 개인의 잉여재산을 축적하는 행위는 금했기 때문에 사실상 필요한 만큼만 받을 수 있었고 항상 모든 자원이 집중되는 당에 기대어서 당에 자신의 자유를 종속당함으로써 개인적 차원에서 독립은 있을 수가 없었다.[20] 사회주의, 공산주의의 대표적 인물[편집] 카를 마르크스: 공산주의 이론의 시조라고 일컬어지는 인물. 프리드리히 엥겔스: 카를 마르크스와 공동 작업.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비폭력적 사회주의를 최초로 주창한 인물. 블라디미르 레닌: 러시아 혁명을 주도한 인물. 베니토 무솔리니: 사회주의자였으나 1919년을 기점으로 우경화됨. 파시즘의 창시자. 레온 트로츠키: 레닌과 함께 러시아 혁명 주도. 이오시프 스탈린: 레닌의 뒤를 이어 소련의 지도자가 됨. 좌파 파시즘의 대표적인 사례. 로자 룩셈부르크: 러시아 혁명의 시기에 자극을 받아 독일 공산주의 운동을 주도함. 그러나, 레닌주의에는 부정적인 정통 마르크스주의 안토니오 그람시: 러시아 혁명의 시기에 이탈리아 공산주의 운동을 주도함. 피델 카스트로: 체 게바라와 함께 쿠바 혁명을 주도함. 에르네르토 체 게바라: 남아메리카 대륙의 전설적인 공산주의 혁명가 라울 카스트로: 쿠바 공산당의 1세대 지도자 에리히 호네커: 동독의 지도자. 천두슈: 중국 초기 공산주의자, 지도자 리다자오: 중국의 초기 공산주의자, 지도자 취추바이: 중국 공산당의 초기 지도자 왕밍: 중국 공산당의 초기 지도자 리리싼: 중국 공산당의 초기 지도자 장궈타오: 중국 공산당의 전쟁 군인, 지도자 마오쩌둥: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최초 주석, 문화혁명 총지휘자. 장춘차오: 문화혁명 지도자. 왕훙원: 문화혁명 지도자 야오원위안: 문화혁명 지도자 폴 포트: 캄보디아의 공산주의 군벌 지도자. 김일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초대 지도자. 박헌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부주석, 조선 공산주의 혁명을 주도한 인물 호찌민: 베트남의 공산주의 혁명가. 수파누봉: 라오스의 공산주의 혁명가.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루마니아의 정치인. 황장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체사상 창시자. 관련 항목[편집] 좌익 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 반공주의 냉전 체제 좌파 민족주의 적색파시즘 주체사상 종북주의 북한식 사회주의 무신론 유물론 변증법 러시아 혁명 : 최초의 공산주의 혁명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 비공산주의 좌파 하우스키퍼 블라디미르 레닌 각주[편집] ↑ 칼 마르크스의 《Critique of the Gotha Programme》를 참조하라. ↑ http://www.economictheories.org/2009/05/full-communism-ultimate-goal.html ↑ 《제국주의론》 참조 ↑ 《독일이데올로기》 참조 ↑ 이러한 레닌의 주장은 그의 저서 《국가와 혁명》에서 잘 드러난다. ↑ 크리스토퍼, 《Lenin and the Russian Revolution》 ↑ 이츠하크의《Re-Inventing Russia: Russian Nationalism and the Soviet State》 참조하라. ↑ 《마르크스주의 역사》 참조 ↑ http://www.newscham.net/news/view.php?board=news&nid=58549 ↑ 가 나 http://www.voanews.com/korean/news/NEPAL_11_19_11-134172103.html[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32&aid=0000046716 ↑ 토니 클리프 저, 《소련은 과연 사회주의였는가: 국가자본주의론 분석》 참조 ↑ 노희상 저, 《공산주의 비판노트》 p. 308 ~ p. 313 참조 ↑ 프리드리히 하이에크의 《노예의길》 참조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3991761 ↑ http://leadersrich.com/news/news_leaders.asp ↑ 《책들의 사업》(The Business of Books)-판테온의 제2시대/앙드레 쉬프랭 지음/류영훈 옮김/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p. 61-65 ↑ http://www.dailynk.com/korean/read.php?cataId=nk01200&num=87002 ↑ http://www.frontiertimes.co.kr/error/404.php ↑ 이부분은 《공산당선언》, 《자본론》을 참조하라. 참고 문헌[편집] 칼 마르크스, 《1844년 경제학 철학 초고》, 1844 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1845 칼 마르크스, 《공산당선언》, 1848 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자본론》, 1867 칼 마르크스, 《고타강령비판》, 1875 프리드리히 엥겔스, 《반듀링론》, 1878 프리드리히 엥겔스, 《자연변증법》, 1883 프리드리히 엥겔스, 《가족 사적 소유 국가의 기원》, 1884 블라디미르 레닌, 《인민의 벗이란 무엇인가》, 1894 로자 룩셈부르크, 《사회 개혁이냐 혁명이냐》, 1899 블라디미르 레닌, 《무엇을 할 것인가》, 1902 블라디미르 레닌, 《민주주의 혁명에서의 사회민주주의당의 두가지 전술》, 1905 블라디미르 레닌, 《유물론과 경험비판론》, 1908 로자 룩셈부르크, 《사회민주주의의 위기》, 1915 로자 룩셈부르크, 《자본축적론》, 1917 블라디미르 레닌, 《제국주의론》, 백산서당, 1986(국내 출판), 1917 블라디미르 레닌, 《국가와 혁명》, 1917 스탈린, 《레닌주의의 기초 레닌주의의 제문제》, 1935 안토니오 그람시, 《옥중수고》, 거름, 1999(국내 출판), 1936 레온 트로츠키, 《배반당한 혁명》, 갈무리, 1995(국내 출판), 1936 마오쩌둥, 《신민주주의론》, 1940 앨릭스 캘리니코스, 《마르크스의 혁명적 사상》, 책갈피, 1994(국내 출판) 존 몰리뉴, 《사회주의란 무엇인가》, 책갈피, 2005(국내 출판) 크리스 하먼, 《민중의 세계사》, 책갈피, 2004(국내 출판) 크리스 하먼, 에르네스트 만델 등, 《마르크스주의와 국가자본주의 논쟁》, 풀무질, 1995(국내 출판)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공산주의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공산주의 - 노동자의 책 사전 vdeh공산주의이론 코뮌 공산사회 반자본주의 계급투쟁론 계급의식론 무계급사회 집단지도체제 집산주의 공유제 자유연합론 “능력 있는 사람으로부터,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선물경제 계획경제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노동운동 사회혁명 무국가사회 임금노예제론 노동자 자주경영 세계혁명 실제 공산주의사 공산주의 혁명 공산당 목록 공산국가 공산주의 상징주의 인터내셔널가 변종 마르크스 이전 아나르코공산주의 마르크스주의 자유지상적 레닌주의 세계공산주의 국민공산주의 전시공산주의 종교공산주의 기독교 원시공산주의 국제조직 공산주의자동맹 제1인터내셔널 제2인터내셔널 제3인터내셔널 제4인터내셔널 인물 모어 캄파넬라 바뵈프 오웬 바이틀링 마르크스 엥겔스 르클뤼 크로포트킨 말라테스타 룩셈부르크 체트킨 레닌 버크먼 골드만 사코와 반제티 트로츠키 마흐노 콜론타이 그람시 스탈린 두루티 파네쿡 호찌민 마오쩌둥 티토 카뮈 마르쿠제 사르트르 호자 드 보부아르 게바라 파솔리니 김일성 카스토리아디스 드보르 북친 만델라 카스트로 마르코스 관련 주제 반공주의 반반공주의 반공학살 반파시즘 반세계화운동 반국민주의 자본주의 냉전 공동체주의 공산정권의 인도에 반한 죄 학살 공산당 통치 비판 국제주의 국제공동체 좌익 구좌파 신좌파 신계급 탈공산주의 적색공포 혁명 제2세계 사회주의 민주사회주의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 혁명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 사회주의 경제 사회주의적 생산양식 생디칼리슴 제3세계주의 노동조합 노동자 협동조합 vdeh사회주의분파 농본사회주의 공산주의 민주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 생태사회주의 윤리사회주의 사회주의적 여성주의 길드사회주의 자유사회주의 시장사회주의 마르크스주의 혁명사회주의 과학적 사회주의 공상적 사회주의 생디칼리슴 자유지상적 사회적 아나키즘 집산주의적 아나키즘 아나르코공산주의 아나키스트 경제학 반란적 아나키즘 마곤주의 상호주의 신사파타주의 참여주의 정강주의 아나르코생디칼리슴 자유지상주의적 마르크스주의 좌파공산주의 평의회주의 룩셈부르크주의 권위주의적 마르크스-레닌주의 레닌주의 트로츠키주의 스탈린주의 국가사회주의 종교사회주의 불교사회주의 기독교 사회주의 이슬람 사회주의 노동 시온주의 지역별 변종 아프리카 아랍 볼리바르주의 인도 간디사회주의 낙살라이트 이스라엘 인도네시아 멕시코 스리랑카 소련 일국사회주의 현실사회주의 제3세계 좌익 국민주의 21세기 담론 사회주의 경제학 사회주의 국가 사회주의 비판 자본주의 비판 계급투쟁론 민주주의 프롤레타리아 독재 평등주의 결과균등 사회주의사 불가능주의 국제주의 공기업 좌익 구좌파 신좌파 혼합경제 생산양식 나노사회주의 국유화 생산수단의 사회화 계획경제 프롤레타리아 혁명 개혁주의 사회주의 시장경제 국가자본주의 탈자본주의 인터내셔널가 노동조합 개념 사회주의적 생산양식 코뮌 경제계획 자유연합론 기회균등 직접민주주의 애드호크라시 기술관료제 노동자 자주경영 산업민주주의 경제민주주의 국유재산 공유제 협동조합 사회배당 기본소득 필요생산 현물계산 노동시간계산 노동상품권 작업장민주주의 인물16세기 모어 캄파넬라 18세기 바뵈프 뒤파이 드 마블리 마레샬 모렐리 19세기 바쿠닌 밤비 바로네 베벨 벨라미 베른슈타인 블랑 블랑키 뷔셰 뷔흐너 부오나로티 카베 카펜터 체르니솁스키 코놀리 콩시데랑 데마르 테오도르 데자미 두 보이스 엥팡탱 엥겔스 푸리에 골드만 홀 게르첸 조레스 마더 존스 카우츠키 크로포트킨 라파르그 라포네라예 라살 라브로프 레드뤼롤랭 르루 맥팔레인 말라테스타 마르크스 미셸 미하일롭스키 모리스 오언 파네쿡 파스콜리 페퀘르 플레하노프 프루동 레카바렌 드 생시몽 시체드린 상드 슐츠 쉬 테일러 톰슨 트카체프 보일킨 월리스 바이틀링 와일드 20세기 알리 아옌데 아라공 애틀리 바르뷔스 바우만 드 보부아르 베냐민 벤 블룸 보그스 북친 브레히트 브리앙 부하린 카스토리아디스 차베스 촘스키 콜 코빈 크로우 드보르 데브스 듀이 둡체크 아인슈타인 게르하르센 고르바초프 고리키 그람시 헤지스 홉스봄 이바루리 이글레시아스 옐리네크 킹 콜론타이 레이턴 르페브르 르포르 레닌 리빙스턴 루카치 룩셈부르크 마흐노 만델라 마오둔 마야콥스키 메를로퐁티 미에빌 미테랑 너지 나세르 노이라트 니장 외잘란 오 카하시 오웰 팽크허스트 파솔리니 폴라니 러셀 살베미니 샌더스 사르트르 스카길 상고르 쇼 토니 톰슨 톨러 트로츠키 바루파키스 웰스 웨스트 울프 체트킨 진 지젝 조직 제1인터내셔널 제2인터내셔널 제3인터내셔널 제4인터내셔널 제5인터내셔널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상파울루 포럼 세계민주청년연맹 국제민주청년연합 세계사회주의운동 국제종교사회주의자동맹 국제마르크스주의경향 vdeh정치 이념내셔널리즘 반제국주의 민족주의 국가주의 애국주의 국수주의 쇼비니즘 민족중심주의 보수주의 문화보수주의 재정보수주의 녹색보수주의 자유보수주의 국민보수주의 신보수주의 사회보수주의 전통보수주의 자본주의 자유방임주의 수정자본주의 국가자본주의 국가독점자본주의 초자본주의 아나코자본주의 자유주의 고전적 자유주의 개인주의 무정부주의(개인주의적 무정부주의) 사회자유주의 신자유주의 자유지상주의 민주주의 직접 민주제 간접 민주제 자유민주주의 사회민주주의 인민민주주의 기독교 민주주의 사회주의 공상적 사회주의 종교 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 민주사회주의 공산주의 무정부주의(사회적 무정부주의) 혁명적 조합주의 자주관리사회주의 아랍 사회주의 시장사회주의 국가사회주의 공산주의 마르크스주의 레닌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신마르크스주의 트로츠키주의 스탈린주의 마오쩌둥주의 호치민사상 주체사상 권위주의 독재 정치 전제 정치 절대왕정 전체주의 나치즘 파시즘 천황제 파시즘 팔랑헤주의 스탈린주의 마오쩌둥주의 호치민사상 주체사상 이슬람 원리주의 군국주의 환경주의 생태주의 녹색 정치 녹색자유주의 녹색보수주의 개량주의 자유사회주의 수정주의적 마르크스주의 사회민주주의 제3의 길 집단주의 국가주의 지역주의 내셔널리즘 민족주의 공동체주의 협동조합주의 집산주의 통합주의 이슬람주의 이슬람 원리주의 기독교 근본주의 반이슬람주의 힌두 내셔널리즘 정치 스펙트럼혁신 극좌 좌익 사회개량주의 권위주의 좌파 진보주의 급진주의 평등주의 합리주의 자유주의 좌파 중도 중도좌파 중도주의 중도우파 보수 극우 우익 사회보수주의 권위주의 우파 보수주의 점진주의 자유주의 경험주의 자유주의 우파 그 외 제3의 위치 혼합 정치 통치 체제정당제 일당 독재제 일당제 헤게모니 정당제 다당제 일당 우위 정당제 양당제 분절적 다당제 분극적 다당제 무당제 무소속 지배자 군주제 귀족제 신권 정치 공화주의 권력자 과두 정치 능력주의 다두 정치 국가 상태 단일 국가 연방제 국가 연합 국제주의 초국가주의 세계주의 그 외 계몽주의 혼합 경제 현실주의 엘리트이론 포퓰리즘 교조주의 원리주의 페미니즘 다원주의 책임 마키아벨리즘 제자백가 제국주의 봉건주의 정치 사상 vdeh냉전USA  · USSR  · ANZUS  · NATO  · NAM  · SEATO  · WarPac 서방권  · 동구권1940년대 후크발라합 반란 데케므브리아나 얄타 회담 발트 3국 유격전 숲의 형제들 프리뵈 작전 정글 작전 발트 3국 점령 저주받은 병사들 언싱커블 작전 포츠담 회담 고젠코 사건 마스터돔 작전 빌리거 작전 블랙리스트 포티 작전 1946년 이란 위기 그리스 내전 케르키라 해협 사건 터키 해협 위기 Restatement of Policy on Germany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트루먼 독트린 아시아 관계 회의 마셜 플랜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 티토-스탈린 결별 베를린 봉쇄 서구의 배신 철의 장막 동구권 서구권 제2차 국공 내전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알바니아 정부 전복 시도 1950년대 죽의 장막 한국 전쟁 매카시즘 1953년 이란 쿠데타 1953년 동독 폭동 사태 멕시코 더러운 전쟁 브리커 헌법 수정안 1954년 과테말라 쿠데타 베트남 분할 1차 타이완 해협 위기 1955년 제네바 정상 회담 아시아 아프리카 회의 1956년 포즈난 시위 1956년 헝가리 혁명 수에즈 위기 "당신들을 묻어버리겠다!" 글라디오 작전 아랍 냉전 1957년 시리아 위기 1958년 레바논 위기 이라크 7월 혁명 스푸트니크 충격 2차 타이완 해협 위기 쿠바 혁명 부엌 논쟁 중소 분쟁 1960년대 콩고 위기 U-2기 사건 피그스만 침공 1960년 터키 쿠데타 소련-알바니아 결별 베를린 장벽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앙골라 독립 전쟁 기니바사우 독립 전쟁 모잠비크 독립 전쟁 쿠바 미사일 위기 인도-중국 전쟁 사라왁 공산당 반란 이라크 라마단 혁명 1963년 시리아 쿠데타 베트남 전쟁 1964년 브라질 쿠데타 미국의 도미니카 공화국 점령 (1955년~1956년)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 인도네시아 신질서 전이 도미노 이론 ASEAN 선언 라오스 내전 1966년 시리아 쿠데타 아르헨티나 혁명 대한민국 DMZ 충돌 그리스 군사 정권 푸에블로 호 납치 사건 6일 전쟁 소모전 도파르 반란 1968년 시위 68 혁명 문화 대혁명 프라하의 봄 말레이시아 공산당 반란전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이라크 바트당 혁명 구야시 공산주의 중소 국경 분쟁 필리핀 공산주의자 반란 예멘 수정 운동 1970년대 데탕트 핵확산방지조약 검은 9월 1970년 시리아 수정 운동 캄보디아 내전 현실정치 핑퐁 외교 1971년 터키 쿠데타 이집트 수정 운동 베를린 4국 조약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 1972년 닉슨의 중국 방문 1972년 북예멘-남예멘 전쟁 1973년 칠레 쿠데타 욤키푸르 전쟁 카네이션 혁명 전략 무기 제한 협상 로디지아 부시 전쟁 앙골라 내전 모잠비크 내전 오가단 전쟁 에티오피아 내전 레바논 내전 알바니아-중국 결별 제3차 인도차이나 전쟁 베트남-캄보디아 전쟁 중국-베트남 전쟁 이란 혁명 콘도르 작전 더러운 전쟁 대한항공 902편 격추 사건 사우르 혁명 뉴주얼 운동 1972년 헤라트 봉기 라인 강까지 7일 작전 1980년대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1980년 및 1984년 하계 올림픽 보이콧 1980년 터키 쿠데타 그레나다 침공 1986년 흑해 사건 1988년 흑해 충돌 사건 연대자유노조 소련의 반응 콘트라 반군 중앙아메리카 위기 RYAN 작전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에이블 아처 83 전략방위구상 피플 파워 혁명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1989년 톈안먼 사건 베를린 장벽의 붕괴 1989년 혁명 글라스노스트 페레스트로이카 1990년대 1990년 몽골 혁명 예멘의 통일 독일의 통일 알바니아 공산주의 정권 붕괴 유고슬라비아 해체 소련의 붕괴 체코슬로바키아의 해체 동결분쟁 압하지아 문제 양안 문제 한반도 문제 나고르노카라바흐 문제 남오세티야 문제 트란스니스트리아 문제 인도-중국 국경 분쟁 대외 정책 트루먼 독트린 봉쇄 정책 아이젠하워 독트린 도미노 이론 할슈타인 독트린 케네디 독트린 평화적 공존 동방 정책 존슨 독트린 브레즈네프 독트린 닉슨 독트린 울브리히트 독트린 카터 독트린 레이건 독트린 롤백 정책 푸에르토리코 주권 이데올로기 자본주의 시카고 학파 케인스 경제학 통화주의 신고전파 경제학 레이거노믹스 공급경제학 대처주의 공산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레닌주의 카스트로주의 유럽공산주의 게바라주의 호자주의 주체사상 마오쩌둥주의 낙살리즘 스탈린주의 티토주의 호치민사상 트로츠키주의 자유민주주의 사회민주주의 조직 ASEAN CIA 코메콘 EEC KGB NAM SAARC 사파리 클럽 MI6 슈타지 프로파간다 적극적 조치 이즈베스티야 프라우다 자유의 십자군 자유유럽방송 적색공포 타스 미국의 소리 러시아의 소리 경쟁 군비 경쟁 핵 군비 경쟁 우주 경쟁 상호확증파괴 더 보기 벼랑끝전술 NATO-러시아 관계 미국의 소련 스파이 미국의 러시아 스파이 미국-소련 관계 미국-소련 정상 회담 신냉전 분류  · 위키공용 사진  · 연표  · 분쟁 전거 통제 LCCN: sh85029120 GND: 4031892-8 BNF: cb133408542 (데이터) HDS: 17455 NDL: 0056726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공산주의&oldid=24540455" 분류: 공산주의경제 이념사회 이론정치 이념철학 이론혁명사회주의평등주의인문주의마르크스주의카를 마르크스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مصرىঅসমীয়া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Boarisch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Mìng-dĕ̤ng-ngṳ̄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VõroFøroysktFrançaisFryskGaeilge贛語GàidhligGalegoAvañe'ẽ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PatoisLa .lojban.JawaქართულიKabɩyɛҚазақшаភាសាខ្មែរಕನ್ನಡКъарачай-малкъарKurdî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ЛезгиLingua Franca NovaLimburgsLumbaartLingálaلۊری شومالی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MaltiMirandésမြန်မာဘာသာمازِرونیPlattdüütschNedersaksies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uormandOccitanਪੰਜਾਬੀPicardPolskiPiemontèisپنجابیپښتوPortuguêsRuna SimiRumantsch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संस्कृतम्Саха тылаSicilianuScots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iSwatiSesothoSeeltersk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Тыва дылУдмурт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inaray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7일 (일) 23: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공산주의(라틴어: Communismus, 독일어: Kommunismus, 러시아어: Коммунизм, 영어: Communism, 共産主義)는 생산수단의 공공 소유에 기반을 둔 경제·사회·정치 공동체 형성에 관한 사상 또는 이러한 사회 형성을 목표로 삼는 형식적·실질적 정치 운동에 관한 사상이다. 플라톤(Platon)의 『국가』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본래 공산주의적 사고는 전근대 사회에도 존재했으며, 이후 유럽의 로마 가톨릭 사회에서 등장한 유토피아주의자의 만민 평등 사상 및 지상천국 운동을 뜻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오늘날에 통용되는 공산주의라는 의미는 카를 마르크스의 이론 전반에 관한 것을 뜻하며, 변증법·역사주의·유물론이 핵심 사고로 자리잡고 있다. 이 사상이 현실 정치에서 본격적인 운동으로 발전하게 된 시점은 19세기 유럽의 산업화 시기와 겹친다. 이 당시 유럽은 급속한 산업 발전에 따른 갖가지 사회병리현상을 겪고 있었는데, 공산주의는 이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주창되었다. 이후 수많은 사회주의 이론과 병립하여 공산주의는 거대한 종합 사상으로 성장하였다. 1871년 파리에서 코뮌 봉기의 형태로 최초의 사회주의 정부가 성립했으나, 존속 기간은 상당히 짧았다. 1917년에는 러시아의 공산주의자에 의해 10월 혁명이 일어났고, 그 결과 발발한 내전에서 공산주의자들이 승리하여 1922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이 성립되었다. 이후 공산주의 운동은 주로 마르크스-레닌주의가 대표하는 운동으로 인식되었으며, 제2차 세계대전의 경로를 통하여 동유럽 및 아시아의 공산주의권이 성립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이 붕괴한 이후부터 공산주의 운동은 사실상 쇠퇴의 일로를 맞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공산주의의 문제점 중 경제적 문제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Assistant: 공산주의 경제 이론에서 주장하는 '필요생산'이 가능해지려면, 농축산물과 공산품을 위주로한 경공업이 발달되어야하며, 2차 산업 중에서는 생필품, 공산품 위주로 생산해야 한다. 고수익을 창출해내는 일부 2차 산업 부문은 식량, 생필품의 자급률을 원만하게 유지하는 한 늘리는 것도 고려해야한다. 특히 공산주의에서 금융 계열 3차 산업은 자본가들이 잉여가치 또는 자신들의 물질욕을 채우기 위해 인민을 착취(예를 들면 채권자소득률과 불로소득을 주요 소득으로하는)하면서 더욱더 많은 자본을 축적하기 위해 만들어진 산업으로 규정하였으며 금융 산업이 비활성화 되어있다. 또한 모든 기업을 국유화하고 인간의 필수적인 교육 및 의료 서비스는 사회주의 국가에서 모두 지원해주기 때문에 4차 산업역시 배제된다. 때문에 공산주의에서는 한정된 자원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식량의 자급률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삼는다. 그러나 대다수의 사회주의 국가는 정반대의 방향으로 발전했다. Human: 아래 지렁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지렁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지렁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영화에 대해서는 지렁이 (영화)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지렁이아강 Lumbricus terrestris 생물 분류 계: 동물계 아계: 진정후생동물아계 상문: 촉수담륜동물상문 문: 환형동물문 강: 빈모강 아강: 지렁이아강 (Oligochaeta) 목 실지렁이목 (Haplotaxida) 지렁이목 (Lumbriculida) 구슬지렁이목 (Moniligastrida) 지렁이는 지렁이아강에 딸린 환형동물의 총칭이다. 목차 1 어원 2 내용 3 습성 4 생식 5 동식물에게 주는 이로움 6 특징 7 참고 자료 어원[편집] 지렁이는 17세기 문헌에 '디룡이'로 나타난다. 이것은 같은 시기에 나타나는 한자어 '디룡(地龍)'에 명사 형성 접사 '-이'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이처럼 파생접사 '-이'가 결합된 어원과 없는 어형은 19세기에도 나타난다. 이 '디룡이'가 18세기에 구개음화를 경험한 것이 지룡이이다. 19세기의 지렁이는 한자어라는 의식이 없어지면서 만들어진 형태인 것은 분명하지만, 제2음절의 모음 'ㅛ'가 'ㅓ'로 바뀐 이유는 분명하지 않다. 20세기에 나타나는 지롱이는 자음 뒤에서 음절부음 'ㅣ'가 탈락한 것이고, 지렝이는 'ㅣ'모음 역행동화가 일어난 어형으로 방언에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내용[편집] 흙 속이나 호수·하천·동굴 등에 널리 분포하며, 바다에서 사는 것도 있다. 전 세계에 약 3,100종이 알려져 있으며, 한국에는 60종 내외가 알려져 있다. 몸은 보통 길쭉한 기둥 모양이며 앞끝에 입이, 뒤끝에 항문이 열려 있다. 지렁이는 몸이 거의 같은 모양의 환절(環節)로 되어 있어 전형적인 체절성동물이다. 몸길이는 2∼5mm 정도인 것에서부터 2∼3m에 달하는 것도 있다. 몸의 각 환절에는 강모(剛毛)들이 배열되어 있는데 같은 환형동물인 다모류(多毛類:갯지렁이류)에 비하여 강모의 수가 매우 적어서 지렁이류를 빈모류라고 한다. 또한, 지렁이류는 갯지렁이류와는 달리 부속지(附屬肢:체절동물에서 각 체절에 1쌍씩 붙는 다리)나 측각(側脚:다모류에서 각 체절의 측면에 돌출한 1쌍의 잎 모양의 구조물)을 갖지 않는다. 생식기가 가까워지면 몸 앞부분의 환정 3∼5개가 합쳐져서 굵게 되고 빛깔이 변하는데 이 부분을 환대(環帶)라고 한다. 지렁이는 암수한몸이고 1쌍씩의 암수 생식공이 몸 앞부분의 앞뒤 환절에 열려 있다. 교미를 하여 각 개체는 상대방의 정자를 수정낭 속에 받아들였다가 수정시에 쓴다. 지렁이는 유기물질이 들어 있는 먹이를 먹어 분해하고, 이것을 먹는 동물이 많으므로 땅 위나 물속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구실을 한다. 빈모강은 물지렁이·실지렁이와 같은 원시빈모목(原始貧毛目)과 참지렁이·줄지렁이와 같은 신빈모목(新貧毛目)으로 나뉜다. 지렁이 중에는 낚시미끼·약재·양어용 사료로 쓰이는 것이 있다. 습성[편집] 지렁이는 몸의 앞부분을 늘리면서 흙을 밀어낸 다음 뒷부분을 끌어당기는 방법으로 움직인다. 지렁이는 체벽에 있는 두 종류의 근육을 이용하여 기어다닌다. 환상근은 지렁이의 몸을 감고 있으며, 몸을 움츠리게 하거나 팽창시킨다. 종주근은 몸의 길이 방향으로 늘어서 있으며, 몸의 길이를 줄이거나 늘인다. 또, 강모(센털)가 있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해준다. 폐나 아가미가 없으며, 흙 알갱이 사이에 있는 공기를 얇은 피부를 통하여 모세혈관으로 받아들여 호흡을 한다. 또 환대가 있는데 환대가 있는 쪽이 머리 쪽이다. 또한 환대가 있는 쪽도 머리쪽이다. 생식[편집] 지렁이는 암수한몸으로서, 몸 안에 암수의 생식기가 모두 존재한다. 그러나 생식을 할 때는 두 마리가 교미하여 서로 상대방의 수정낭 속에 정자를 방출한다. 그리하여 알이 수정낭 위를 지날 때에 비로소 수정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알은 환대에서 분비된 막으로 둘러싸여 '난포'라 불린다. 난포의 생김새와 크기는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양쪽 끝이 뾰족하다. 알은 난포 안에 채워져 있는 흰 단백질 점액 속에 떠 있다. 그 후 난포 안에서 발생이 진행되다가 성체와 비슷한 수의 체절이 형성되면 비로소 난포를 끌고 나와 부화한다. 지렁이의 정소·난소 등의 생식기는 일정한 체절 속에 들어 있으며, 그 바깥 쪽에는 수정관이나 수란관이 열려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기관의 위치·수·배열은 매우 다양하므로, 이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면 지렁이가 진화 과정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분화되었는가를 추측할 수 있다. 한편, 무성생식은 일어나지 않지만, 재생력이 매우 강한 종류도 있다. 동식물에게 주는 이로움[편집] 흔히 볼 수 있는 지렁이는 땅 속에 구멍을 파면서 그 밑바닥의 흙을 삼킨다. 거기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을 영양분으로 이용한다. 따라서 통기나 수분 흡수가 잘 되도록 흙을 일구어주므로 이들이 지나다닌 토지에서는 식물이 잘 자란다. 한편, 배설물은 항문으로 배출되는데, 지렁이의 배설물은 칼슘과 그 밖의 영양소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지렁이의 배설물이 있는 흙은 식물이 성장하는 데 매우 도움이 되는 기름진 흙이다. 지렁이는 물고기, 새, 두더지의 중요한 먹이가 되어 먹이사슬 유지에 기여하며, 낚시의 미끼로도 이용되어 환경과 사람에게 매우 유용하다. 또한 지렁이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해주어 환경오염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실지렁이는 야생과 수족관의 많은 물고기에 중요한 먹이가 된다. 특징[편집] 지렁이는 벌레이지만 다리가 없으므로 절지동물이 아니다. 또한 연체동물로 착각할 수도 있는데, 지렁이는 연체동물과는 달리 몸에 마디가 있고 원통형이다. 참고 자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거 통제 LCCN: sh85040510 NDL: 0056765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지렁이&oldid=24399263" 분류: 환형동물숨은 분류: 옛 한글이 사용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생물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Ængliscالعربيةঅসমীয়াAtikamekwAymar aruتۆرکجه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CatalàMìng-dĕ̤ng-ngṳ̄НохчийнTsetsêhestâheseکوردیČeštinaCymraegDeutschडोटेली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FrançaisGaeilge贛語GalegoAvañe'ẽ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日本語JawaKongoҚазақшаಕನ್ನಡПерем КомиLatviešuമലയാളംमराठीКырык марыBahasa MelayuمازِرونیनेपालीNederlandsNorskDiné bizaadOccitanИронਪੰਜਾਬੀ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Саха тылаSicilianuSimple EnglishSlovenčinaBasa SundaSvenskaKiswahiliதமிழ்ತುಳುతెలుగుไทยTagalog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inaray吴语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8일 (토) 22: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지렁이는 지렁이아강에 딸린 환형동물의 총칭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지렁이 가 환경에 주는 이로움은 무엇일까? Assistant: 흔히 볼 수 있는 지렁이는 땅 속에 구멍을 파면서 그 밑바닥의 흙을 삼킨다. 거기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을 영양분으로 이용한다. 따라서 통기나 수분 흡수가 잘 되도록 흙을 일구어주므로 이들이 지나다닌 토지에서는 식물이 잘 자란다. 한편, 배설물은 항문으로 배출되는데, 지렁이의 배설물은 칼슘과 그 밖의 영양소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지렁이의 배설물이 있는 흙은 식물이 성장하는 데 매우 도움이 되는 기름진 흙이다. 지렁이는 물고기, 새, 두더지의 중요한 먹이가 되어 먹이사슬 유지에 기여하며, 낚시의 미끼로도 이용되어 환경과 사람에게 매우 유용하다. 또한 지렁이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해주어 환경오염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Human: 아래 아쿠아비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아쿠아비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쿠아비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노르웨이산 아쿠아비트 병과 잔 아쿠아비트(영어: akvavit, 노르웨이어: akevitt)는 스칸디나비아 반도 일대에서 생산되는 향이 나는 증류주로 전통적으로 40%의 알코올을 함유하고 있다. 아쿠아비트라는 이름은 라틴어로 "생명의 물"을 의미하는 aqua vitae에서 왔다. 목차 1 어원 2 음용 문화 3 생산 4 기원 및 전통적 기타 형태 5 스칸디나비아 이외 지역의 아쿠아비트 6 각국의 철자 7 각주 8 외부 링크 어원[편집] 아쿠아비트는 중세 라틴어로 생명의 물을 의미하는 aqua vitae를 어원으로 하고 있다. 위스키 또한 이 어구와 같은 뜻을 가진 고이델어에서 파생되었다. 음용 문화[편집] 아쿠아비트가 들어있는 잔 아쿠아비트는 스칸디나비아의 음주 문화 중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아쿠아비트는 스납스라고 부르는 식사 중에 도수가 높은 술 작은 한 잔을 마시는 의식에서 종종 사용된다. 아쿠아비트는 주로 작은 샷 잔으로 빨리 마시며, 이것은 주로 스납스 전통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1] 아쿠아비트가 맥주와 잘 어울리며, 아쿠아비트를 마시기 전이나 후에 맥주를 마시는 것은 매우 흔한 일이다. 반면, 아쿠아비트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방식에 대해서 맥주가 아쿠아비트의 풍미와 뒷맛을 해친다며 좋아하지 않는다. 생산[편집] 아쿠아비트는 보드카처럼 곡물이나 감자에서 증류된다.[2] 먼저 이러한 원료를 으깬 후에, 몰트와 함께 섞은 후 발효시킨다. 이 후 이것을 캐러웨이, 카다멈, 정향, 아니스, 레몬이나 오렌지 껍질, 회향과 같은 허브나, 향신료 또는 과실유로 향을 가하며.[2] 딜이나 서아프리카산 생강이 사용되기도 한다. 덴마크의 양조장인 올보르는 호박으로 증류한 아쿠아비트를 생산한다. 만드는 방법이나 향은 브랜드에 따라 다르지만, 캐러웨이는 가장 주를 이루는 향이다.. 아쿠아비느는 보통 노르스름한 색깔이지만 얼마나 오크통 안에서 숙성되었느냐에 따라서 투명한 색깔에서 옅은 갈색에 이르는 다양한 색깔을 갖게 된다. 보통 짙은 색상은 오래된 숙성 기간이나 오래되지 않은 통에서 숙성된 것을 의미하지만, 인공적인 카라멜 색소를 입히는 것 또한 허용되어 있다. 투명한 아쿠아비트는 타펠이라고 불리며, 전형적으로 오래된 통에서 숙성되며 완성품에 색을 입히지 않은 것이다. 기원 및 전통적 기타 형태[편집] “ '대주교님', 전하께 제가 존 타이스테와 함께 Aqua vite라는 물을 보냈다는 것과, 또한 이 물이 그 분이 가진 인간이 내적으로 가질 수 있는 병에 도움이 될 것임을 알려주십시오 ” — 덴마크의 베르겐성 공, 에스케 빌레 가장 먼저 알려진 아쿠아비트에 대한 전승은 1531년 덴마크의 베르겐성 공인 에스케 빌레가 노르웨이의 마지막 가톨릭 대주교인 올라프 엔게에게 보낸 편지에서 발견된다. 4월 13일에 쓰여진 이 편지는 "아쿠아 비테(Aqua Vite)라는 물이 인간이 내적와 외적으로 가질 수 있는 모든 질병에 도움이 될 것이다"라며 선물과 함께 보내졌다.[3] 아쿠아비트의 이러한 의약적 효능에 대한 주장이 부풀려졌음에도, 아쿠아비트가 기름진 음식의 소화를 도와 준다는 믿음은 대중적이다. 덴마크에서는 아쿠아비트가 크리스마스 중식과 함께 나오나며, 노르웨이에서는 크리스마스나 5월 17일 노르웨이 헌법제정일과 같은 기념일에 마신다. 스웨덴에서 아쿠아비트는 전통적인 한여름을 축하하는 저녁식사에 주로 쓰이며, 보통 술자리에서 부르는 노래 중 하나를 부르며 마신다. 아쿠아비트는 식사 중에 스납스로 마셔지는데, 특히 전채요리 중 절인 청어나, 가재, 루터피스크나 훈제 생선과 함께 먹는다. 이와 같은 생선과 함께 먹는 방식 때문에, 아쿠아비트가 생선이 위까지 헤엄쳐 내려가는 것을 돕는다는 말이 흔한 재담으로 쓰인다. 아쿠아비트는 전통적 노르웨이식 크리스마스 식사에 돼지 갈비 구이와 핀네쾻 (말린 양고기 요리)와 함께 나온다. 노르웨이에서는 향신료와 아쿠아비트가 매우 기름진 크리스마스 식사의 소화를 돕는다고 말한다. 아쿠아비트의 가장 유명한 브랜드는 노르웨이의 뢰이텐(Løiten), 리스홀름(Lysholm), 길더(Gilde)와 덴마크의 올보르(Aalborg) 그리고 스웨덴의 오피 안데르손(O.P Andersson)이다. 덴마크와 스웨덴산 제품들은 보통 연한 색깔인 반면, 노르웨이산은 오크통에서 최소 일 년 이상, 또는 브랜드에 따라 12년까지 숙성되어 일반적으로 짙은 색깔을 지닌다. 이 세 나라 모두 국가적 자존심의 일환으로 자기 나라 스타일의 아쿠아비트가 가장 좋은 아쿠아비트라고 주장하는데, 노르웨이산 akevitt가 가장 뛰어난 성질은 아니라도, 최소한 숙성 과정에서오는 강한 향과 깊은 색깔을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노르웨이에 특별한 전통으로 리녜 아쿠아비트(linje akvavits) ("Løiten Linje" 와 "Lysholm Linje"같은)가 있는데, 이는 판매되기 전까지 오크통에 실린 채로 적도(linje)를 두 번 가로지른다. 많은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이러한 전통이 술책 이상의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지만, 몇몇은 바다의 움직임과 잇따르는 기후 변화가 술이 통에서 더 많은 향을 뽑아내게 한다고 주장한다. 노르웨이의 아쿠아비트 주조자인 아르쿠스는 적도를 통과하는 배에 나타나는 기후 변화와 통의 흔들림을 모방하려고 한 과학적 실험을 수행하였다. 아르쿠스에 따르면 완성품은 리녜 아쿠아비트가 가져야 하는 적절한 맛을 가지지 못했고, 그러므로 아쿠아비트 통을 적도로 보내서 돌아오는 전통은 계속되고 있다. 스칸디나비아 이외 지역의 아쿠아비트[편집] 아쿠아비트는 스칸디나비아 이외 지역에서 거의 생산되지 않지만, 특히 큰 스칸디나비아 커뮤니티가 있는 몇개 국가에서 모방이 이뤄지기도 한다. 하지만 덴마크 왕에 의해 19세기까지 통치되었고 아직도 많은 덴마크인 소수 민족이 살고 있는 북부 독일의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는 예외이다. 가장 유명한 독일에서 생산되는 아쿠아비트는 플렌스부르크의 봄메르룬더(Bommerlunder)와 키엘의 키엘러 스프로테 아쿠아비트(Kieler Sprotte Aquavit)와 말테세르크뢰츠 아쿠아비트(Malteserkreuz Aquavit)이다. 말테세크뢰츠는 1924년부터 다양한 종류의 아쿠아비트를 생산하고 있는 스웨덴 회사인 Vin & Sprit AB사의 계열사로 베를린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덴마크의 주조법을 따라하고 있기 때문에 스칸디나비아의 아쿠아비트를 모방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의 브랜드들은 스칸디나비아의 제품들과 견줄만한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실례로, 봄메르룬더의 경우 1760년부터 제조되고 있다. 또한 아쿠아비트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음식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독일산 아쿠아비트는 사실상 거의 (발효된) 곡물에서 증류되며, 스칸디나비아산 아쿠아비트와 미미하게 적은 38%의 알코올 함량을 일반적으로 갖고 있다. 잉글랜드 북동부의 일부 지역 주류 판매점에서는 때때로 노르웨이산 아쿠아비트를 판매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쿠아비트는 노년층을 주로 마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의 하우스 스피리츠는 크로그스타드 아쿠아비트를 생산하며, 캐러웨이와 스타아니스로 향을 낸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버논의 오크내건 스피리츠는 아쿠아비투스라는 이름의 캐러웨이, 회향, 고수, 아니스, 딜과 노간주나무 열매를 혼합한 향의 아쿠아비트를 생산한다. 각국의 철자[편집] 덴마크어: Akvavit, Snaps, Dram 네덜란드어: Aquavit 영어: Akvavit , Aquavit 페로어: Akvavitt 핀란드어: Akvaviitti 독일어: Aquavit 아이슬란드어: Ákavíti 노르웨이어: Akevitt 폴란드어: Okowita 스웨덴어: Akvavit, Snaps or Kryddat brännvin 각주[편집] ↑ Blue, Anthony Dias (2004). 《The Complete Book of Spirits: A Guide to Their History, Production, and Enjoyment》. New York: HarperCollins Publishers.  42쪽. ISBN 0-06-054218-7.  ↑ 가 나 “Akvavit”. Encyclopedia Britannica. 2010년 1월 10일에 확인함.  ↑ 이 편지의 실제 전문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Diplomatarium Norvegicum - XI p.630, Date: 13 April 1531. Place: Bergenhus. "[...] Kiere herre werdis ether nade wiide att ieg szende ether nade nogit watn mett Jonn Teiste som kallis Aqua vite och hielper szamme watn for alle hande kranchdom som ith menniske kandt haffue indwortis. [...]" ("[...] Dear lord, will your grace know that I send your grace some water with Jon Teiste which is called Aqua vite and helps the same water for all his illness that a man can have internally. [...]") 외부 링크[편집] Norwegian Akvavit Society Norway's message in a bottle Rituals: A Pour. A Staredown. A Civilized Bonding. Aalborg Akvavit web site Spirits: Drink to your health the Scandinavian way — with aquavit Canadian aquavit producer Malmo akvavit — artisanal Swedish akvavit Linie aquavit Bommerlunder aquavit (German) Danish aquavit producer vdeh술역사 술의 역사 맥주의 역사 샴페인의 역사 포도주의 역사 프랑스 포도주의 역사 리오하 포도주의 역사 생산 양조 증류 포도주 양조 양조주 맥주 (종류) 포도주 (종류) 사과주 (종류) 봉밀주 (종류) 미주 (종류) 기타 양조주 증류주 브랜디 (종류) 진 (종류) 리큐어 (종류) 럼 (종류) 테킬라 (종류) 보드카 (종류) 위스키 (종류) 기타 증류주 강화 포도주 마데이라 포도주 (종류) 셰리 (종류) 베르무트 (종류) 마르살라 포도주 포르투 포도주 기타 강화 포도주 곡물 증류주 보리 (아이리시 위스키 재패니즈 위스키 스카치 위스키) 옥수수 (버번 위스키 옥수수 위스키 테네시 위스키) 쌀 (막걸리 미바이주 소주 아와모리) 호밀 (호밀 위스키) 수수 (바이주 고량주) 과일 증류주 사과 (애플잭 칼바도스) 캐슈 애플 (페니) 코코넛 (아라크) 포도 (아라크 아르마냐크 브랜디 코냑 피스코) 자두 (슬리보비츠 투이커) 지게미 (그라파 지게미 브랜디 오루호 치쿠디아 치푸로 지바니아 차차) 기타 과일 (오드비 키르시바서 팔린카 라키야 슈납스) 기타 증류주 용설란 (메스칼 테킬라) 사탕수수 / 당밀 (아구아르디엔테 카샤사 클래랭 럼 세코 에레라노 타라) 기타 곡물 / 감자 (아쿠아비트 바이주 캐나디안 위스키 포틴 쇼추 보드카 위스키) 리큐어 아몬드 (아마레토 크렘 드 노요) 아니스 (압생트 아라크 우조 라크 파스티스 삼부카 초콜릿 리큐어) 계피 (텐투라) 코코넛 (말리부 럼) 커피 (칼루아 티아 마리아) 달걀 (아드보카트) 개암 (프란젤리코) 허브 (아쿠아비트 베네딕탱 브레니빈 크렘 드 망트 메타사 민투) 벌꿀 (베렌팡 드람뷰이 크루프니크) 노간주 (진 예너버르) 오렌지 (캄파리 퀴라소 트리플 섹) 팔각 (사솔리노) 사탕수수 / 당밀 (차란다) 기타 과일 (크렘 드 바난 크렘 드 카시스 리몬첼로 슈납스 슬로 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쿠아비트&oldid=24190031" 분류: 덴마크의 증류주스웨덴의 증류주노르웨이의 증류주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노르웨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Boarisch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GaeilgeעבריתHrvatskiՀայերեն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ietuviųPlattdüütsch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2: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아쿠아비트(영어: akvavit, 노르웨이어: akevitt)는 스칸디나비아 반도 일대에서 생산되는 향이 나는 증류주로 전통적으로 40%의 알코올을 함유하고 있다. 아쿠아비트라는 이름은 라틴어로 "생명의 물"을 의미하는 aqua vitae에서 왔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노르웨이의 전통으로 오크통에 실린 채로 가로질렀다 오는 전통을 무엇이라 부를까? Assistant: 리녜 아쿠아비트 Human: 아래 대왕암공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왕암공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왕암공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왕암공원위치 울산광역시 동구 일산동 산907유형 공립공원운영주체 울산광역시 동구 대왕암공원은 울산광역시 동구 일산동 해안에 있는 공원이다. 울산의 동쪽 끝 해안을 따라 여러가지 바위들이 있으며 원래는 울기공원이라 불렸다가 2004년 대왕암공원으로 변경되었다. 목차 1 소개 2 현황 3 주변관광지 4 이용안내 5 사이트 6 각주 소개[편집] 울산광역시 동구 일산동 동쪽 끝에 있으며 동해안과 접하고 해상으로 여러가지 기암절벽 등이 어우러져있어서 울주군의 간절곶과 더불어 일출을 볼 수 있는 명소로도 알려졌다. 신라왕조 때의 임금인 문무대왕이 경상북도 경주시 앞바다에 있는 왕릉에 안장되고 그의 왕비도 나라를 지키겠다는 마음을 가지며 용이 되어서 승천하여 바위가 되었다는 전설이 있으며 푸른바다를 배경으로 여러가지 기암절벽과 돌섬들이 자연스러운 풍경을 보이고 있어서 지금도 전국 각지에서 관광객들이 찾아오고 있다. 바위 주변으로는 울기등대가 있으며 해송이 펼쳐진 산책로가 있고 고래의 몸 속에서 발견한 고래턱뼈가 전시되어 있다. 바위로는 대왕암과 울기바위, 남근바위, 탕건바위, 처녀봉, 용굴 등이 있으며 멀리 정상으로 오르면 현대중공업 울산 공장이 멀리서 보인다. 대왕암 사이를 연결해주는 인도교인 대왕교가 있다. 현황[편집] 대왕암을 중심으로 한 여러개의 크고 작은 바위들이 있으며 인도교와 보행로가 있어서 근접 관람이 가능하다. 다만 바위에 직접 오르는 것은 위험하므로 자제한다. 아이들을 위한 놀이시설인 용의 모습을 가진 미르놀이터가 있다. 주변관광지[편집] 일산해수욕장 슬도 이용안내[편집] 이용시간 : 06시 ~ 24시 입장료 : 무료 사이트[편집] 대왕암공원 관광 사이트 각주[편집]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31682&cid=42856&categoryId=42856vdeh 울산광역시의 공원공원 | 교통 | 도로 | 도서관 | 동굴 | 박물관 | 산 | 서원 | 섬 | 성 | 온천 | 저수지 | 종합병원 | 축제 | 하천 | 해수욕장남구 문수체육공원 봉월공원 삼호대숲철새공원 선암호수공원 엔터테인먼트고구려 울산대공원 울산문화공원 울산애견공원 울산체육공원 동구 대왕암공원 명덕호수공원 바드래공원 화암추공원 북구 아름공원 홈골수변공원 중구 숯못체육공원 아리솔공원 태화강대공원 학성공원 울주군 밤밭골공원 범서생활체육공원 온양체육공원 울산하늘공원 화랑체육공원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왕암공원&oldid=24325350" 분류: 울산광역시울산 동구대한민국의 관광지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30일 (목) 02:2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대왕암공원(大王岩公園)은 울산광역시 동구 일산동 해안에 있는 공원이다. 울산의 동쪽 끝 해안을 따라 여러 가지 바위들이 있으며 원래는 울기공원이라 불렸다가 2004년 대왕암공원으로 변경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대왕암공원은 어떤 관광지인가? Assistant: 울산광역시 동구 일산동 동쪽 끝에 있으며 동해안과 접하고 해상으로 여러가지 기암절벽 등이 어우러져있어서 울주군의 간절곶과 더불어 일출을 볼 수 있는 명소로도 알려졌다. 신라왕조 때의 임금인 문무대왕이 경상북도 경주시 앞바다에 있는 왕릉에 안장되고 그의 왕비도 나라를 지키겠다는 마음을 가지며 용이 되어서 승천하여 바위가 되었다는 전설이 있으며 푸른바다를 배경으로 여러가지 기암절벽과 돌섬들이 자연스러운 풍경을 보이고 있어서 지금도 전국 각지에서 관광객들이 찾아오고 있다. 바위 주변으로는 울기등대가 있으며 해송이 펼쳐진 산책로가 있고 고래의 몸 속에서 발견한 고래턱뼈가 전시되어 있다. 바위로는 대왕암과 울기바위, 남근바위, 탕건바위, 처녀봉, 용굴 등이 있으며 멀리 정상으로 오르면 현대중공업 울산 공장이 멀리서 보인다. 대왕암 사이를 연결해주는 인도교인 대왕교가 있다.
Human: 아래 법률유보의_원칙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법률유보의 원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법률유보의 원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행정 행정법 시리즈 행정법의 일반원칙 부당결부금지의 원칙 ·신뢰보호의 원칙 ·행정의 자기구속의 법리 ·과잉금지의 원칙 행정법 총론 특별권력관계  · 행정개입청구권  · 사법심사 공물 · 사인의 공법행위 통치행위  · 행정입법 · 개인적 공권 행정행위  · 공법상 계약 · 공무수탁사인 행정지도  · 행정사법 ·법규명령 확약  · 행정계획 행정개입청구권 재량권의 일탈남용금지 원칙 · 권리남용금지의 원칙 재량권이 0으로 수축 · 무하자재량행사청구권 행정의 행위형식 행정입법 · 행정계획 · 행정행위 · 공법상 계약 · 공법상 사실행위 · 사법형식의 행정작용 행정행위의 존속력 불가쟁력 · 불가변력 행정상 의무이행 확보수단 행정강제 · 행정벌 · 행정질서벌 행정구제 청원 · 옴부즈만 · 행정상 손해전보 행정심판 · 행정소송 · 행정상 결과제거청구권 행정심판전치주의 · 경원자소송 행정조직법 행정심판 · 행정소송 · 행정상 결과제거청구권 특별행정작용법 경찰행정법 · 급부행정법 · 규제행정법 공용부담금 · 재무행정법 행정작용법 행정행위 행정쟁송법 부관 건축허가 판단여지 공정력 선결문제 국가배상청구소송 부당이득반환청구소송 사해행위취소소송 행정행위의 철회 행정입법 법규명령 행정규칙 확약 행정계획 행정구제 권력적 사실행위 행정구제 행정지도 행정절차 행정조사 행정공개 거부처분 사전통지 실효성확보수단 강제집행 즉시강제 소송상 구제 행정벌 공급거부 관허사업의 제한 위반사실 공표 행정구제법 국가배상 국가배상법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이중배상금지 행정상 손실보상 공용침해 행정소송 의무이행소송 의무확인소송 예방적 부작위소송 적극적 형성소송 항고소송 취소소송 가구제 집행정지 가처분 일부취소판결 사정판결 간접강제 무효확인소송 부작위위법확인판결 형식적 당사자소송 기관소송 행정조직법 공무원법 지방자치법 특별행정작용법 경찰행정법 급부행정법 공용부담법 토지 및 지역정서행정법 재무행정법 다른 공법 영역 헌법  · 법률유보의 원칙(法律留保)이란 일정한 행정권의 발동은 법률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한다는 공법상 원칙이다. 법률유보는 인권의 내용이나 그 보장의 방법 등의 상세한 것은 법률로 정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의미의 규율유보, 인권을 제약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법률에 의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제한유보가 있다. 법률유보의 원칙은 헌법상 민주주의원리, 법치주의원리, 기본권보장원리에서 도출되는 원리이다. 목차 1 학설 2 관련판례 3 각주 4 참고문헌 5 같이 보기 학설[편집] 법률유보의 적용범위에 관해서는 침익적 행정작용 국민의 권리를 제한하거나 의무를 부과하는 침익적 행정작용에는 반드시 법률의 근거가 필요하다는 견해. 침익적 행정작용과 특별권력관계에서의 침익적 행정작용도 법률유보가 필요하다는 신침해유보설, 침익적 행정작용과 급부행정작용도 법률유보가 필요하다는 급부행정유보설, 국민의 기본권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본질적 사안에 대해서는 의회가 직접 규율해야 한다는 본질적사항유보설(중요사항유보설), 행정의 모든 영역에 법률의 근거가 필요하다는 전부유보설이 있다. 다수설과 판례는 본질적사항유보설에 가깝다. 관련판례[편집] 그런데 오늘날 법률유보원칙은 단순히 행정작용이 법률에 근거를 두기만 하면 충분한 것이 아니라, 국가공동체와 그 구성원에게 기본적이고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 영역, 특히 국민의 기본권실현에 관련된 영역에 있어서는 행정에 맡길 것이 아니라 국민의 대표자인 입법자 스스로 그 본질적 사항에 대하여 결정하여야 한다는 요구까지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이른바 의회유보원칙). 그런데 입법자가 형식적 법률로 스스로 규율하여야 하는 사항이 어떤 것인가는 일률적으로 획정할 수 없고 구체적 사례에서 관련된 이익 내지 가치의 중요성, 규제 내지 침해의 정도와 방법 등을 고려하여 개별적으로 결정할 수 있을 뿐이나, 적어도 헌법상 보장된 국민의 자유나 권리를 제한할 때에는 그 제한의 본질적인 사항에 관한 한 입법자가 법률로써 스스로 규율하여야 할 것이다[1] 각주[편집] ↑ 헌재 2008. 2. 28. 2006헌바70, 헌재 2009. 12. 29. 2008헌바48 참고문헌[편집] 김철용, 행정법, 고시계사, 2012. ISBN 978-89-5822-383-2 같이 보기[편집] 행정법 유보 (법률용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법률유보의_원칙&oldid=24068696" 분류: 헌법행정입법법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18: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법률유보의 원칙(法律留保)이란 일정한 행정권의 발동은 법률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한다는 공법상 원칙이다. 법률유보는 인권의 내용이나 그 보장의 방법 등의 상세한 것은 법률로 정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의미의 규율유보, 인권을 제약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법률에 의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제한유보가 있다. 법률유보의 원칙은 헌법상 민주주의원리, 법치주의원리, 기본권보장원리에서 도출되는 원리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법률유보의 원칙에서 국민의 기본권과 관련된 사항은 입법자가 결정해야 한다는 의미를 가진 용어가 뭐지? Assistant: 의회유보원칙 Human: 아래 자일대우_FX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자일대우 FX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자일대우 FX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우 FX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6년 12월) 자일대우 FX (Daewoo FX)는 2007년 10월에 등장한 자일대우상용차의 고급 대형버스 차종이다. 목차 1 개요 2 세부 정보 2.1 FX115 크루저 2.1.1 FX115 크루저 2.1.2 FXⅡ115 크루저 2.1.3 FX116 크루징 애로우 2.1.4 FXⅡ116 크루징 애로우 2.1.5 FXⅡ116S 2.1.6 FX116 하모니 2.1.7 FX120 크루징스타 2.1.8 FXⅡ120 크루징스타 2.1.9 FXⅡ120S 2.1.10 FX120 에이스 2.1.11 FX212 슈퍼크루저 2.1.12 FXⅡ212 슈퍼크루저 2.1.13 FX212 슈퍼스타 3 파워트레인 라인업 4 프로 스포츠 구단 버스 5 경쟁 차종 6 상급 차종 7 같이 보기 8 각주 개요[편집] 대우 BH 시리즈의 후속이자 자일대우 BX의 하급모델로 1985년 이후 22년 만에 풀 모델 체인지로 출시하였다. 대한민국에서 제작된 버스로는 3번째로 독자 개발되었으며[1],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차체 일체형 스포일러를 적용하였고, 하부 바디 패널에 FRP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모든 모델에 원 유닛형 루프온 에어컨이 기본 장착된다. 그리고 BH 시리즈와 달리 루프 안테나가 적용되었다.[2]2010년 9월부터 일부 결함과 사양을 개선한 FXⅡ시리즈가 출시되어 판매 중이다. 2016년 8월에 차량명칭과 실내일부가 바뀌었으며 FXII에서 FX로 환원되고 스탠더드 데크 모델에만 스포일러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세부 정보[편집] FX115 크루저[편집] FX115 크루저[편집] 11.6m급 스탠더드 데크 모델로, 리프 서스펜션(판스프링)을 사용한다. BH115E 로얄이코노미(BH시리즈 제2세대 모델)의 후속으로서, 폴딩 도어가 기본 사양이며, 스윙 도어는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3] 유로4 DL08K (340마력) 엔진을 사용한다. 주로 장의버스 업체나 관광.통근.통학버스업체에서 많이 찾으며, 노선버스 업체에서는 주로 제주도에서 찾아볼 수 있다. FXⅡ115 크루저[편집] 11.6m급 스탠더드 데크 모델로, 리프 서스펜션(판스프링)을 사용한다. 기존 FX 115의 심한 결함과 잔고장을 개선하여 출시하였고 운전석 등의 결함을 정비하여 재출시하였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폴딩 도어가 기본 사양이며 스윙 도어는 옵션으로 선택 가능하다. 2013년 12월에 선보인 2014년식 부터 폴딩도어 테두리 색상이 베이지색에서 은회색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2015년에 유로6로 넘어오면서 수요 저조로 단종 되었다. 아래는 FXⅡ115 크루저 모델을 지금 운영중인 노선버스 업체 목록이다. 세종고속 FX116 크루징 애로우[편집] FX116 크루징애로우 11.6m급 스탠더드 데크 모델로, 에어 서스펜션을 사용한다. 시내형(전중문형)과 시외형 모델로 나뉘며 BH116 로얄럭셔리(BH시리즈 제2세대 모델)의 후속으로 유로4 DL08K (340마력) 및 옵션으로 유로5 DV11K (400마력) 엔진을 사용한다. 보통 시내형은 폴딩 도어가 기본 사양이며, 스윙 도어는 선택할 수 없다.[4] 시외형은 스윙 도어가 기본 사양이다. 폴딩 도어는 옵션으로 선택 가능하다. 2009년 4월, 고급 좌석 모델이 출시되었다. 아래는 FX116 Cruising Arrow 모델을 현재 운영중인 노선버스 업체의 목록이다. 경기고속 경기버스 경기여객 대원고속 대원버스 대원운수 동성교통 광우고속 태화상운 남성교통 삼신교통 부일여객 해동여객 부산여객 선진고속 아래는 과거에 FX116 크루징애로우를 운영하였던 노선버스 업체 목록이다. 코리아와이드대성[5] 금강고속 일광여객[6] 푸른교통 중부고속[7] 강남고속 화영운수 안전여객 코리아와이드 경북[8] FXⅡ116 크루징 애로우[편집] FXⅡ116 크루징애로우 시외직행 11.6m급 스탠더드 데크 모델로, 에어 서스펜션을 사용한다. 기존 FX116 크루징애로우에 시트 디자인 변경과 운전석자리를 늘렸으며,[9] 외관상의 변화는 FXⅡ116의 엠블럼으로 바뀐거 외에는 없다. 또한 2010년 5월에는 공개 입찰을 통하여 대한석유협회와 한국기계연구원이 공동 개발하는 디젤 하이브리드 버스의 제작 사업권자로 대우버스가 낙찰되면서[10] 디젤 하이브리드 버스의 베이스 모델로 채택되어 2011년 6월부터 과천, 부산, 대구, 2012 여수엑스포 조직위원회 등 4개 도시에서 시범 운행을 시작하고 있다.[11] 그 중 2012년 세계 박람회 조직위원회에서 운행하였던 차량은 세종시 세종교통에 매각했다.[12] 2013년 12월에 선보인 2014년식 부터 폴딩도어 테두리 색상이 베이지색에서 회색으로 변경되었으며, 2014년 12월에 선보인 2015년형부터 유로6 엔진 적용 및 사이드 마커램프가 적용되고, 외관과 내관이 약간 변경되었으며, 고급 좌석 45인승 모델이 추가 되었다.[13] 2015년 부터는 두산인프라코어가 유로6 엔진개발을 중지함에 따라 유로 6 규정에 적합한 커민스 ISL엔진을 사용한다. 2015년에는 스커트 패널에 마커등이 추가된데 이어, 같은해 11월에 선보인 2016년식 부터 데쉬보드에 오디오는 USB 단자가 추가되었다. 아래는 FXⅡ116 크루징애로우 모델을 현재 운영중인 노선버스 업체 목록이다. 태영버스 태영공항리무진 경기고속 경기버스 경기상운 경기여객 대원고속 대원버스 대원운수 화성여객 (주)세원 푸른교통 코리아와이드대성 태화상운 경원여객 동원여객 부산여객 부일여객 삼신교통 성남시내버스 대중교통 성원여객 남성교통 대중교통 화영운수 인천교통공사 선진여객 세종교통 대한고속 해운대고속 제주여객 서령버스 신일여객 선진고속 아래는 과거에 FXⅡ116 크루징애로우를 운영했었던 노선버스 업체 목록이다. 새천년미소 FXⅡ116S[편집] 외관상으로는 엠블럼 이외에는 FXⅡ116 크루징애로우와 같은 차종이다. 대우버스 카달로그 에도 등장하지 않는 차종이어서 많은 사람들이 잘 모르고 있는 차종 중 하나이다. 정식 명칭은 FXⅡ116 Special 이다. FXⅡ116S는 FXⅡ116 크루징 애로우의 여러 옵션들을 뺀 차량으로, FXⅡ116 크루징 애로우보다 약 1,000만원 정도 저렴하다. 그러나 이 차종은 카달로그에도 없는 유명하지 않은 차량이어서, 현재 이 차종을 투입한 회사는 거의 없다. 2015년에는 스커트 판넬에 마커등이 추가된데 이어, 같은해 11월에 선보인 2016년식 부터 데쉬보드에 오디오는 USB 단자가 추가되었다가 2016년 6월에는 단종되었다. 아래는 FXⅡ116S 모델을 현재 운영중인 노선버스 업체의 목록이다. 태영공항리무진 FX116 하모니[편집] 11.6m급 스탠더드 데크 모델로, 에어 서스펜션을 사용한다. FXⅡ에서 다시 FX 로 회귀 했으며 스포일러가 분리형으로 바뀌었다. 2016년 6월부터 시판되었다. 아래는 FX116 하모니 모델을 현재 운영중인 노선버스 업체의 목록이다. 태영고속 제주여객 태화상운 경기상운 경기여객 경기운수 대원버스 대원운수 대원고속 경기고속 진명여객 화성여객 성남시내버스 태영공항리무진 부산여객 서령버스 동진여객 화영운수 선진고속 FX120 크루징스타[편집] FX120 크루징스타 12m급 스탠더드 데크 모델이다. BH119 로얄스페셜의 후속 모델로[14]유로4 DV11K (400마력, 430마력) 엔진을 사용한다. 아래는 FX120 크루징스타 모델을 현재 운영중인 노선버스 업체의 목록이다. 경기고속 대원고속 대원관광 삼흥고속 강원흥업 광우고속 코리아와이드대성 코리아와이드진안 (2009년 9월 우등형 2대 출고. 이후 일반 차량 출고) 경일교통 선진고속 강원여객 아래는 과거에 FX120 크루징스타를 운영했었던 노선버스 업체 목록이다. 거창고속 경전고속 전북고속 전주고속 코리아와이드 경북 FXⅡ120 크루징스타[편집] FXⅡ120 크루징스타 12m급 스탠더드 데크 모델이다. 유로5 DV11K(400마력, 430마력) 엔진을 사용을 했었고, 2012년 1월 대전엑스포고속관광에서 CNG GL11K(340마력) 모델이 출시되었다. 2015년 부터는 두산인프라코어가 유로6 엔진개발을 중지함에 따라 유로 6 규정에 적합한 커민스 ISL엔진을 사용한다. 2015년에는 스커트 패널에 마커등이 추가된데 이어, 같은해 11월에 선보인 2016년식 부터 데쉬보드에 오디오는 USB 단자가 추가되었다. 아래는 FXⅡ120 크루징스타 모델을 현재 운영중인 노선버스 업체의 목록이다. 코리아와이드진안 코리아와이드대성 경기고속 대원고속 대원관광 삼흥고속 강원흥업 코리아와이드 경북 경일교통 선진고속 강원여객 동해상사고속 FXⅡ120S[편집] FX II 120S 외관상으로는 엠블럼 이외에는 FXⅡ120 크루징스타와 같은 차종이다. 대우버스 카달로그 에는 크루징 스페셜 이라는 명칭으로 등장하는 차종이다. FXⅡ116 크루징 애로우를 출고하기엔 차량의 전장이 짧고, FXⅡ120 크루징 스타를 출고하기에는 가격이 부담될 수 있어서 FXⅡ120S이란 모델이 나왔다고 한다. FXⅡ120S는 FXⅡ120 크루징 스타의 여러 옵션들을 뺀 차량으로, FXⅡ120 크루징 스타보다 약 1,000만원 정도 싸다. 2015년 11월부터는 데쉬보드에 오디오가 변경된 2016년형이 선보였다가 2016년 6월에는 단종되었다. 아래는 FXⅡ120S 모델을 현재 운영중인 노선버스 업체의 목록이다. 동해상사고속 코리아와이드대성 삼영교통 거제현대고속[15] FX120 에이스[편집] FX120 에이스 12m급 스탠더드 데크 모델이다. FXⅡ에서 다시 FX 로 회귀 했으며 스포일러가 분리형으로 바뀌었으며, 2016년 6월부터 시판되었다. 아래는 FX120 에이스 모델을 현재 운영중인 노선버스 업체의 목록이다. 강원여객 강원흥업 대원고속 경기고속 삼영교통 대원관광 FX212 슈퍼크루저[편집] FX212 슈퍼크루저 12m급 하이데크 모델이다. BH120F 로얄크루저의 후속모델이자 BX212 로얄하이데커의 아랫급 모델로 유로4 V6 커먼레일 DV11K (400마력, 430마력) 엔진을 사용한다. 6단 수동 변속기와 ZF사의 12단 자동 변속기를 적용한다. 아래는 현재 FX212 슈퍼크루저를 현재 운영중인 노선버스 업체 목록이다. 경기고속 대원고속 동해상사고속 함양지리산고속 아래는 과거에 FX212 슈퍼크루저를 운영했었던 노선버스 업체 목록이다. 천일고속[16] 금강고속 코리아와이드 경북 거창고속[17] FXⅡ212 슈퍼크루저[편집] FXⅡ212 슈퍼크루저 기존 FX212 슈퍼크루저의 성능을 보완한 12M 하이데커 기종이며, 외관은 큰 변화가 없다. 냉난방 성능, 아웃사이드 미러, 엔진룸 열해 개선, 간접 조명 위치 변경 등을 통해 기존 FX212 슈퍼크루저의 문제를 많이 개선하였으나, 현대 유니버스와 기아 그랜버드의 인기에 밀려 도입률이 매우 적다.[18] 2015년부터 두산인프라코어가 유로 6 기준에 맞는 엔진개발을 중지함에 따라 유로6 규정에 적합한 FPT사의 Cursor 11 엔진이 사용된다. 2015년에는 스커트 패널에 마커등이 추가된데 이어, 같은해 11월에 선보인 2016년식 부터 데쉬보드에 오디오는 USB 단자가 추가되었다. 아래는 FXⅡ212 슈퍼크루저를 모델을 현재 운영중인 노선버스 업체 목록이다. 경기고속 대원고속 삼흥고속 코리아와이드 경북 동해상사고속 코리아와이드대성 코리아와이드진안 FX212 슈퍼스타[편집] FX212 슈퍼스타 12m급 하이데크 모델이다. FXⅡ에서 다시 FX 로 회귀 했으며 스포일러는 큰 변화가 없다. 2016년 6월부터 시판되었다. 아래는 FX212 슈퍼스타 모델을 현재 운영중인 노선버스 업체의 목록이다. 코리아와이드 경북 아성고속 강원여객 강원흥업 천마고속 파워트레인 라인업[편집] 두산인프라코어 DL08K (직렬 6기통 커먼레일 디젤터보, 7.6L) - 340마력 145kg.m (유로4, 유로5) : FX115 / FXⅡ115, FX116 / FXⅡ116 에 탑재되었음 두산인프라코어 DV11K (V형 6기통 커먼레일 디젤터보, 10.9L) - 400마력 173kg.m / 420~430마력 187~193kg.m (유로4, 유로5) : FX116 / FXⅡ116 / FX120 / FXⅡ120 / FX212 / FXⅡ212 에 탑재되었음 두산인프라코어 GL11K / GL11P (직렬 6기통 천연가스터보, 11.1L) - 340마력 140kg.m (유로4, 유로5, 유로6) : FX116 / FXⅡ116 / FXⅡ120 에 탑재되고 있음 커민스 ISMe (직렬 6기통 VGT 디젤 터보, 10.8) 440마력 205kg.m (유로5) : FXⅡ212 에 탑재되었음 커민스 ISL (직렬 6기통 VGT 디젤 터보, 8.9L) - 400마력, 173kg.m (유로6) : FXⅡ116 / FX116, FXⅡ120 / FX120 에 탑재 FPT Iveco Cursor 11 (직렬 6기통 커먼레일 디젤 터보, 11.1L) - 420마력 204kg.m / 480마력 229kg.m (유로6, 2015년형 이후~) : FX120, FXⅡ212 / FX212 BX212S/H 에 적용 2017년 현재 엔진은 유로6 규제를 충족하는 커민스 ISL 엔진과 FPT(Fiat Powertrain Technology) 의 커서11 엔진만 적용이 되고(모델별 탑재 엔진은 바로위 참조), 변속기의 경우 ZF 6단 수동변속기가 매칭되고 있다.[19] 프로 스포츠 구단 버스[편집]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20] 한국 프로 축구: 대전 시티즌, FC 서울, 인천 유나이티드, 전남 드래곤즈, 경남 FC 경쟁 차종[편집] 현대자동차 - 현대 유니버스 기아자동차 - 기아 그랜버드 쌍용자동차 - 쌍용 트랜스타 상급 차종[편집] 자일대우상용차 - 자일대우 BX 같이 보기[편집] 대우 BH 자일대우 BX 자일대우 BS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자일대우 FX ↑ 첫 번째 독자 모델은 기아 그랜버드(1994년), 두 번째 독자 모델은 현대 유니버스(2006년)이다. ↑ 유로4에서 유로5엔진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 ↑ 갱웨이 적용시에만 가능하다. ↑ 타 경쟁 모델에서도 전중문형에는 스윙 도어가 원천적으로 선택 불가하다. ↑ 12대를 보유하였으며 2013년 경북고속과 중부고속에 분산매각하였다. 중부고속에 매각한 차량은 2015년 대폐차되었으나 경북고속에 매각한 차량은 대성고속 도색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운행하다가 2018년에 대차되었다. ↑ 2012년 5월 1006번 형간전환에 따라 부산여객에 매각하였다. ↑ 2013년에 대성고속 중고로 도입하였으며, 2015년에 대폐차하였다. ↑ 코리아와이드대성에서 중고로 매입한 차량으로 6대를 운행하였으며, 2018년에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로 대차되었다. ↑ 2010년에 최초로 도입된 차량에는 시트디자인이 아직 변경되지 않았다, 그외에도 일부차량을 FX116으로 그대로 도입한 적이 있었다. ↑ 김혜원 기자, '디젤하이브리드버스' 첫 출시..대우·LG '웃고' 현대차·SK '울고', 《아시아경제》, 2010년 5월 15일 작성 ↑ ‘클린디젤 하이브리드 버스’ 서울 등 지자체 운행, 《EBN》, 2011년 2월 15일 작성 ↑ 디젤하이브리드 버스 세종시 달린다, 《디지털하임스》, 2013년 2월 3일 작성 ↑ KD운송그룹에서 반입한 차량 중에 49인승 모델도 있었으나 후에 45인승으로 개조되었다. ↑ BH117H 로얄크루스타의 경우 후속 모델 없이 단종되었다. ↑ 2018년에 중고로 도입했다. ↑ 2013년 2월경 2대 모두 중고버스 시장에 매각했다. ↑ 2013년에 08년식을 중고로 도입해서 운용한적이 있었다. ↑ 주로 관광버스 회사가 도입하고 있다. ↑ 2017년부터 리타더 보조 브레이크 의무화에 따라 적용되었다. ↑ 2군 차량이며, BH120F 로얄크루저를 대폐차 하였고, 1군 차량은 뉴그랜버드 이노베이션 실크로드로 대차되었다. vdeh자일대우상용차 차종 BS BM BC211M BF BH BX212 FX116/120/212 레스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자일대우_FX&oldid=24353683" 분류: 자일대우상용차의 차종버스2000년대 자동차2010년대 자동차2007년 도입된 자동차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6년 12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에 링크가 없는 위키공용분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31일 (금) 18: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자일대우 FX(Zyle Daewoo FX)는 2007년 10월에 등장한 자일대우버스의 고급 대형버스 차종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FXII212슈퍼크루저모델은 오디오에 USB단자가 사용할수 있게 나온것은 언제부터 일까? Assistant: 2016년
Human: 아래 아우구스투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아우구스투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우구스투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옥타비아누스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전체적인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울 정도로 너무 길게 쓰여 있습니다.문서의 본 주제에 맞도록 해당 부분들을 요약 정리하거나, 필요하다면 문서를 분할해주세요. 문서에 대한 의견은 토론란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5년 8월 21일에 문서의 요약이 요청되었습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아우구스투스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디비 필리우스 아우구스투스Imperator Caesar Divi Filivs Augvstvs 지위 제1대 로마 황제 재위 기원전 27년 1월 16일-기원후 14년 8월 19일 전임자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독재관) 후임자 티베리우스 아우구스투스 이름 휘 가이우스 옥타비아누스 투르니우스 (Gaius Octavius Thurinus) 신상정보 출생일 기원전 63년 9월 23일 출생지 로마 공화정 로마 사망일 서기 14년 8월 19일 (76세) 사망지 로마 제국 놀라 왕조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황조 가문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부친 가이아스 옥타비우스율리우스 카이사르 (양아버지) 모친 아티아 발바 카이소니아 배우자 클로디아 풀크라스크리보니아리비아 드루실라 자녀 율리아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디비 필리우스 아우구스투스(IMPERATOR CÆSAR DIVI FILIVS AVGVSTVS, 기원전 63년 9월 23일 ~ 서기 14년 8월 19일)는 로마 제국의 초대 황제(재위 기원전 27년 ~ 서기 14년)이다. 또한 로마 제국의 첫 번째 황조인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의 초대 황제이기도 하다. 본명은 가이우스 옥타비우스 투리누스(Gaius Octavius Thurinus)였으나, 카이사르의 양자로 입적된 후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옥타비아누스(Gaius Julius Caesar Octavianus, 라틴어: CAIVS IVLIVS CÆSAR OCTAVIANVS)로 불렸다. 기원전 44년 옥타비아누스는 자신의 외할머니 율리아 카이사리스의 남동생이자 자신의 외종조부뻘인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암살되자, 유언장에 따라 카이사르의 양자가 되어 그 후계자가 되었다. 기원전 43년, 옥타비아누스는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와 함께 군사 정권인 제2차 삼두 정치를 열었다. 삼두 정치를 행한 집정관의 한 사람으로서 옥타비아누스는 효과적으로 로마와 속주[1] 를 지배하였고, 세력을 모아 히르티우스와 판사가 죽은 뒤 집정관에 재선되었다. 이후 제2차 삼두 정치도 깨지는데 다른 집정관이었던 레피두스는 유배되고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기원전 31년 악티움 해전에서 진 뒤 자살하였다. 제2차 삼두 정치의 붕괴 후 옥타비아누스는 대외적으로 로마 공화정을 부활시키고 정부에 관한 권한은 로마 원로원에게 주었으나, 사실상 권력은 그의 손에 들어가게 되었다. 유일한 통치자가 다스리지만 대외적으로는 공화국 형태인 정치 체제의 기틀을 다지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껍데기만 공화국인 이 나라는 훗날 로마 제국으로 불린다. 황제권은 옥타비아누스 이전에 로마를 통치했던 카이사르와 술라의 독재권과는 전혀 달랐다. 옥타비아누스는 로마의 원로원과 시민들로부터 “독재권을 부여받았지만” 거절하였다.[2] 법에 따르면 ‘존엄자’(아우구스투스)라는 칭호를 받은 옥타비아누스에게 원로원은 평생 동안 권력을 가지도록 하였고 “호민관 권한”(tribunitia potestas)을 가졌으며 기원전 23년까지 집정관을 역임하였다.[3] 아우구스투스는 재정적인 성공과 원정에서 얻은 물자, 제국 전체에 걸쳐 맺은 여러 피호 관계(clientela), 군인과 재향 군인의 충성, 원로원에서 부여한 여러 권한과 명예[4] 그리고 사람들의 존경을 받아 절대적인 권력을 누렸다. 아우구스투스가 가진 로마의 정예병 로마 군단 다수를 통제할 수 있는 권한은 원로원에게 군사적인 위협이 되어 원로원의 결정을 억압하였고, 군사적 수단을 사용하여 원로원의 정적들을 제거하여 원로원이 자신에 복종하게끔 하였다. 아우구스투스의 통치는 로마의 평화라 불리는 태평성대를 이루었다. 계속되는 변방에서의 전쟁과 황위를 둘러싼 1년의 내전(기원후 69년)에도 불구하고, 지중해 세계는 두 세기가 넘게 평화를 지속할 수 있었다. 아우구스투스는 로마 제국의 영토를 넓혔으며 제국의 국경과 동맹국을 보호하였고 파르티아와 평화 협정을 맺었다. 그는 로마의 조세 체계를 개선하였고 파발을 위해 육로 교통망을 구축하였으며 상비군과 소수의 해군 그리고 황제의 친위대인 로마 근위대를 창설하였다. 또한 로마에 경찰청과 소방청을 설치하였고 로마 시의 상당 부분을 재개발하였다. 아우구스투스는 죽기 전에 자신의 업적을 기록으로 남겼는데, 이것은 《아우구스투스 업적록》로 불리며 아직까지도 남아 있다. 서기 14년 그가 죽은 직후, 원로원과 민회는 아우구스투스를 신으로 선포하였고 로마인들의 숭배를 받았다.[5] 이후 모든 로마 황제들이 그의 황제명인 ‘아우구스투스’와 ‘카이사르’를 이름으로 썼다. 또한 그를 기념하기 위해 기존의 "여섯 번째 달"(Sextilis)을 "아우구스투스"(Augustus)로 바꾸어 불렀다. 그의 황위는 의붓아들이자 양자인 티베리우스가 물려받았다. 목차 1 생애 1.1 초기 생애 1.2 권력을 향하여 1.2.1 카이사르의 후계자 1.2.2 안토니우스와의 첫 번째 분쟁 1.3 제2차 삼두 정치 1.3.1 로마 혁명 1.3.2 반란과 혼인 동맹 1.3.3 섹스투스 폼페이우스와의 전쟁 1.3.4 안토니우스와의 전쟁 1.4 옥타비아누스에서 아우구스투스로 1.4.1 황제 아우구스투스 1.4.2 호민관 특권 1.5 대외 정책과 군사 작전 1.6 죽음과 후계 문제 2 기타 2.1 아우구스투스의 유산 2.2 세제 확립 2.3 8월 (Augustus) 2.4 건축 2.5 외모 3 관련 항목 4 각주 5 참고 문헌 6 외부 링크 6.1 1차 사료 6.2 2차 사료 생애[편집] 초기 생애[편집] 그의 아버지는 가이우스 옥타비우스이며, 원래 로마에서 40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벨리트라이라는 마을 출신이었다. 아우구스투스는 기원전 63년 9월 23일 로마 시에서 태어났다. 그는 '소의 머리'라 불리는 곳에서 태어났는데 이곳은 포룸 로마눔과 매우 가까운 팔라티누스 언덕에 있던 곳이다. 옥타비우스는 아이를 들에 버리라는 점성가의 경고를 받았지만 무시하고 계속 키우기로 했다. 아이의 이름은 가이우스 옥타비우스(Gaius Octavius)라고 지었다. 그러나 로마 시내가 북적거려 사람들로 넘쳐나자 어린 옥타비아누스는 아버지의 고향인 벨리트라이로 이사가 거기서 자랐다. 옥타비아누스는 회고록에서 자기 아버지에 대해 기사 가문 출신이었다고만 적었다. 그의 친증조부는 제2차 포에니 전쟁 중 시칠리아에서 군단 사령관을 맡았다. 그의 할아버지는 지방의 여러 공공기관에 재직하였다 한다. 아버지인 가이우스 옥타비우스는 옥타비아누스가 태어나자마자 곧바로 마케도니아의 총독[6][7] 을 지냈으며, 아이의 가명(家名)을 투리누스로 지었는데, 이 가명은 옥타비우스가 반란을 일으킨 노예들과 싸워 이긴 시칠리아의 투리이에서 따왔을 가능성이 크다.[8] 옥타비아누스의 어머니인 아티아 발바 카이소니아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조카딸이었다. 아버지 옥타비우스가 평민이었지만, 어머니 아티아는 카이사르의 조카딸로 귀족이었음에도 옥타비아누스는 평민층에 속하였다.[9] 옥타비아누스는 기원전 44년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양자가 되어서야 비로소 귀족의 지위를 얻었다. 기원전 59년 옥타비아누스의 나이 네 살 때, 아버지 옥타비우스가 세상을 떠났다.[10] 얼마 안 돼 어머니 아티아는 시리아의 총독이었던 루키우스 마르키우스 필리푸스와 재혼하였다.[11][12] 필리푸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후손이었고 기원전 56년에는 집정관을 역임하였다. 필리푸스는 어린 옥타비아누스에게 크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고, 이로 인해 옥타비아누스는 누나인 소(小) 옥타비아와 함께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누나이자 자신의 외할머니인 율리아 카이사리스의 손에서 자랐다. 기원전 51년, 율리아 카이사리스가 죽자, 옥타비아누스는 외할머니의 장례식에서 추모사를 낭독하였다.[11][13] 이때부터 어머니 아티아와 계부 필리푸스는 옥타비아누스를 단련시키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섰다. 옥타비아누스는 4년 뒤인 기원전 47년부터 토가를 입게 되었고[11] 국가 사제단(Collegium Pontificum)에 선출되었다.[14][15] 다음 해에 옥타비아누스는 카이사르가 세운 베누스 게네트릭스 신전에서 행해지는 그리스 경기를 관장하였다.[15] 다마스쿠스의 니콜라오스에 따르면, 옥타비아누스는 카이사르의 아프리카 원정에 참여하고 싶었으나 어머니의 반대로 무산되었다고 한다.[16] 기원전 46년, 아티아는 옥타비아누스가 카이사르의 히스파니아 원정에 참여하는 것에 동의하였는데, 이 원정에서 카이사르는 오랜 숙적이었던 폼페이우스 마그누스의 아들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와 싸우려 하였다. 하지만 옥타비아누스는 병이 들어 원정에 참여할 수 없게 되었다. 병에서 회복한 뒤 옥타비아누스는 배를 타고 카이사르의 뒤를 쫓았으나 배는 곧 난파되었다. 육상으로부터 숙련된 정비사들이 와서 난파된 배를 수리한 후 원래 자신이 머물던 적의 영토에서 카이사르의 막사까지 배를 타고 횡단하였는데, 이 사건은 외할머니의 남동생인 카이사르에게 큰 인상을 주었다.[11] 마르쿠스 벨레이우스 파테르쿨루스는 카이사르가 옥타비아누스를 자기 마차에 동승할 수 있도록 허락하였다고 말하였다.[17] 로마로 돌아오고 난 뒤 카이사르는 새 유언장을 사제녀들과 함께 보관하였고 옥타비아누스를 자신의 제1 상속자로 낙점하였다.[18] 권력을 향하여[편집] 카이사르의 후계자[편집] 《카이사르의 죽음》, 장레옹 제롬이 1867년에 그린 것으로 기원전 44년 3월 15일 마르쿠스 브루투스와 가이우스 카시우스가 주도한 옥타비아누스의 양부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암살을 나타내고 있다. 기원전 44년 3월 15일 카이사르가 암살당할 때, 옥타비아누스는 일리리아의 아폴로니아에서 공부와 군사 훈련을 병행하고 있었다. 그는 카이사르가 암살되자 군사들과 함께 마케도니아로 피신하라는 장교들의 조언을 거절하고 이탈리아로 가 자신의 잠재적인 정치적 세력을 규합하려 하였다.[19] 브룬디시움 근처에 있는 루피아이라는 곳에 상륙하고 난 뒤, 카이사르의 유서에 적힌 내용을 들은 옥타비아누스는 재산의 2/3를 상속받는 것뿐만 아니라 정치적으로도 자신이 카이사르의 정치적인 진정한 후계자가 되기로 하였다.[15][19][20] 당시 카이사르에게는 살아 있는 적자녀가 없었기에[21] 그의 이손(離孫, 누이의 친손 및 외손)인 옥타비아누스가 제1 상속자이자 아들로 입양되었다.[22] 카이사르가 죽고 난 뒤 정식 입양된 옥타비아누스는 양부의 이름인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Gaius Julius Caesar)를 쓰게 되었다. 로마 전통에 따라 그는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라는 이름에 ‘투리누스’ 대신 ‘옥타비아누스’(Octavianus)라는 가명을 붙여 자신의 출신 가문을 나타내었다. 아직 옥타비아누스가 당시 이 이름을 썼다는 결정적인 증거가 존재하지는 않지만, 어쨌든 이 이름은 그의 출신을 명백하게 드러내게 하여 많은 사람에게 알려지게 되었다.[23][24] 훗날 마르쿠스 안토니우스가 카이사르가 옥타비아누스를 성적으로 총애했기 때문에 입양한 것이라며 강도 높게 비난하였지만, 이는 중상모략이었다는 의견이 있다.[25] 옥타비아누스가 로마 정국에 성공적으로 입문하려면 자신의 빈약한 재산에만 의존할 수 없었다.[26] 브룬디시움에서 카이사르의 병사들로부터 열광적인 환영을 받은 후,[27] 옥타비아누스는 파르티아와 싸우려고 카이사르가 충당했던 일부 자금을 요구하였다.[26] 이 돈은 브룬디시움에 보관되어 있었는데 무려 7억 세스테르티우스에 해당하는 거액이었다.[28] 옥타비아누스가 그 돈으로 원로원의 가장 큰 적인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를 치려고 쓰고 있다는 것이 알려지자, 사라진 공금의 행방을 찾고 있었던 원로원은 이내 수사를 중단하였다.[27] 옥타비아누스는 그해에 다시 큰일을 벌였는데, 동방 속주에서 이탈리아로 보낸 조공을 공식적인 허가도 받지 않고 가로챘다.[24][29] 옥타비아누스는 과거 카이사르가 이끌던 정예병과 파르티아를 치려고 모은 군사들을 통해서 자신의 세력을 넓혔고, 특히 자신이 카이사르의 후계자임을 강조하며 많은 지지를 얻어냈다.[19][30] 그가 이탈리아 반도를 가로질러 로마로 이동할 때, 소문난 인품과 그가 새로 얻은 자금 덕분에 캄파니아에 주둔하고 있던 카이사르를 숭상한 옛 노병들의 마음을 얻을 수 있었다.[24] 기원전 44년 6월까지 그는 3천 명의 충성스러운 노련한 병사들을 얻었고 봉급으로 5백 데나리우스를 주었다.[31][32][33] 20세기에 프리마 포타의 아우구스투스를 바탕으로 하여 그린 그림. 기원전 44년 5월 6일 로마에 도착한[24] 아우구스투스는 과거 카이사르의 부하였던 집정관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를 만났다. 그리고 독재관 카이사르의 암살자들과 쉽지 않은 휴전 협정을 맺었다. 그해 3월 17일에 원로원은 이미 암살자들에게 특사령을 내렸으나 안토니우스는 그들 대부분을 로마에서 몰아냈다.[24] 카이사르의 장례식 때 안토니우스는 카이사르의 복수를 외친 로마 시민의 지지를 얻어 암살자들을 몰아냈다.[24] 그러나 안토니우스도 많은 로마 시민과 카이사르 옹호자들의 지지를 잃게 되었는데, 그가 카이사르의 신격화 운동에 가장 먼저 반대하고 나섰기 때문이었다.[34] 옥타비아누스는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카이사르의 재산을 안토니우스에게 양도하겠다고 하였으나 무효가 되었다. 하지만 여름 동안 카이사르 옹호자들의 지원을 얻는 데 성공하였다.[35] 그해 9월 귀족파 출신의 웅변가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가 연설에서 안토니우스를 원로원의 가장 큰 위험한 인물이라고 역설하며 극단적으로 공격하기 시작하였다.[36][37] 로마에서 인기가 떨어진 데다가 집정관 임기도 거의 끝나가자 안토니우스는 원래 카이사르의 암살범 가운데 한 명인 데키무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알비누스가 다스리다가 안토니우스에게 편입된 갈리아 키살피나를 통제할 모든 권한을 자신에게 일임하는 법안을 통과시키려 하였다.[38][39] 그동안 옥타비아누스는 카이사르의 전임 병사들로 구성된 자신의 군대를 만들고 있었고, 11월 28일에는 안토니우스 휘하 두 개의 군단을 돈으로 현혹하여 쉽게 격파하였다.[40][41][42] 옥타비아누스의 막강한 군사력과 원로원으로부터의 공격 때문에 로마에 있는 것에 위험을 느낀 안토니우스는 갈리아 키살피나로 떠났다. 안토니우스와의 첫 번째 분쟁[편집] 데키무스 브루투스가 갈리아 키살피나를 포기하기를 거부하자 안토니우스는 무티나에서 그를 완전 포위하였다.[43] 원로원에서는 안토니우스의 군사적 행동을 각하하는 법안을 서둘러 통과시켰는데 원로원에는 그에게 대적할 군대가 없었기 때문이다. 이 사건은 이미 군대를 소유하고 있었던 옥타비아누스에게 좋은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41] 또한 키케로는 안토니우스가 옥타비아누스의 출신에 관하여 조롱하는 것을 비호해 주기도 하였는데 키케로는 “요즘의 젊은이들 중 가장 전통적인 공경심을 지니고 있는 자이다.”라고 말하였다.[44] 키케로는 안토니우스가 옥타비아누스에게 “그대는 그대의 이름에 모든 것을 빚지고 있다.”라고 한 말을 들려주었듯이 이것은 안토니우스의 옥타비아누스에 대한 의견의 정면 반박이었다.[45][46] 과거 대표적인 반(反)카이사르파 원로원 의원인 키케로가 조작화한 이 동맹으로 원로원은 기원전 43년 1월 1일을 기해 옥타비아누스를 원로원 의원으로 임명하여 그는 전직 집정관들과 같이 투표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았다.[41][42] 추가로, 옥타비아누스는 군대의 사령권을 부여받았는데, 이 권한은 옥타비아누스의 군령을 합법적으로 만들었고 곧 옥타비아누스는 당시 집정관이었던 히르티우스, 판사와 함께 무티나의 포위를 풀러 출병하였다.[41][47]기원전 43년 4월, 안토니우스군은 포룸 갈로룸 전투와 무티나 전투에서 패배하여 안토니우스를 갈리아 트란살피나로 퇴각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두 집정관이 전사하자 옥타비아누스가 그들의 군대까지 지휘할 수 있는 대군의 단독 사령권을 손에 넣었다.[48][49] 안토니우스를 격파한 옥타비아누스 대신 데키무스 브루투스에게 엄청난 사례금을 준 후, 원로원은 집정관의 직속 군단의 사령권을 데키무스 브루투스에게 주려고 하자, 옥타비아누스는 이에 협조하지 않기로 하였다.[50] 심지어, 옥타비아누스는 포 계곡(Po Valley)에 주둔하면서 안토니우스에 대한 모든 공격적인 대응에 협조하는 것을 거절하였다.[51] 그해 7월, 옥타비아누스 휘하 백인대의 사절이 로마로 들어왔고 히르티우스와 판사가 남긴 집정관의 권한을 자신이 전부 받아야 함을 요구하였다.[52] 옥타비아누스는 안토니우스를 공공의 적으로 천명한 것을 무효화하는 포고문을 발표할 것을 요구하였다.[51] 그러나 이 요구가 거절되자, 그는 4만8천 명의 8개 군단을 이끌고 로마를 행진하였다.[51] 그는 로마에서 아무런 군사적 반대 세력을 만나지 않았고 기원전 43년 8월 19일 옥타비아누스는 집정관으로 임명되었고 친척인 퀸투스 페디우스는 공동 집정관이 되었다.[53][54] 한편, 안토니우스는 친(親)카이사르파인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와 동맹을 구축하였다.[55] 제2차 삼두 정치[편집] 로마 혁명[편집] 기원전 41년에 제2차 삼두 정치의 탄생을 축하하며 발행된 로마의 화폐 아우레우스에 새겨져 있는 안토니우스(왼쪽)와 옥타비아누스(오른쪽)가 새겨져 있다. 모두 “III VIR R P C”의 문구, 즉 “공화정의 조정을 위한 세 사람 가운데 하나”라고 새겨져 있다.[56] 기원전 18년경에 발행된 데나리우스. 앞면에는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CAESAR AVGVSTVS), 뒷면에는 신성한 율리우스(DIVVS IVLIV[S])라고 새겨져 있다. 기원전 43년 10월, 볼로냐 근처에서 열린 회담에서 옥타비아누스, 안토니우스, 레피두스는 군사 독재 체제인 제2차 삼두 정치를 결성하였다.[57] 이 5년간의 명백한 월권 행위는 비공식적이었던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마그누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의 제1차 삼두 정치와 달리 평민들에게 통과된 법안에 따라 크게 지지받았다.[57][58] 3명의 집정관은 300명의 원로원 의원과 2,000명의 기사 계급 출신을 범법자로 규정하고 추방 명령을 내렸으며 그들의 재산을 몰수하고 만약 그들이 국외 탈출을 기도하면 그들을 잡아 처형하였다.[59] 세 집정관들은 카이사르의 암살자인 마르쿠스 브루투스, 카시우스 롱기누스와 곧 싸우기 위해 자신들의 병사들의 월급을 올려주어야 했기 때문에 이들은 이에 크게 자극받아 이 법안을 만들었다.[60] 3명의 집정관이 암살자들의 유산과 재산을 몰수하는 동안 암살자들에게 내건 현상금은 로마 시민을 크게 고무시켰다.[59] 세 집정관의 이러한 수단은 암살자들과 친분이 있는 사람뿐만 아니라 더 많은 사람을 숙청하였다. 옥타비아누스는 처음에는 추방 명령법을 제정하는 것에 반대하였는데 추방 명령을 받은 자신의 새 조력자, 키케로의 목숨을 지키고 싶었기 때문이었다.[59] 그러나 안토니우스의 키케로에 대한 증오는 매우 커서 결국 키케로도 숙청의 희생자가 되었다.[59] 많은 수의 공화파 원로원 의원이 죽었고, 3명의 집정관은 자신의 지지자들로 원로원의 빈자리를 채웠다. 20세기의 역사학자 로널드 사임은 이를 로마 혁명(Roman revolution)이라 명명하였는데, 이 사건이 구세대 원로원 의원들을 몰아내고 새로운 정치 세력을 구축하여 뒷날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원동력이 되었기 때문이다.[61] 기원전 42년 1월 1일 로마 원로원은 율리우스 카이사르를 신으로 선포하고 ‘신성한 율리우스’(Divus Iulius)라 부르게 하였다. 옥타비아누스는 자신을 ‘신의 아들’(Divi filius')임을 강조하고 자신이 하는 일에 정당성을 확보하였다.[62] 안토니우스와 옥타비아누스는 28개의 군단을 해로로 보내어 그리스에 세력을 모으고 있던 브루투스와 카시우스의 군대와 싸우려 하였다.[61] 기원전 42년 10월 마케도니아의 필리피에서 두 번의 전투를 치르고 난 뒤, 로마군을 승리하고 브루투스와 카시우스는 자살하였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뒷날 이 전투들의 성과를 이용하여 옥타비아누스를 얕잡아 보이게 하려 하였는데 두 번의 필리피 전투 모두 안토니우스군이 로마군의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기 때문이다.[63] 추가로, 두 번의 승리의 전과를 따지는데, 안토니우스는 아그리파에게 직속 지휘권을 넘겨준 옥타비아누스를 겁쟁이라고 낙인을 찍었다.[63] 필리피 전투 이후, 제2차 삼두 정치의 집정관들 사이에서 새로운 영토 협정이 맺어졌다. 안토니우스는 갈리아를 그리고 옥타비아누스는 이탈리아와 히스파니아를 관장하기로 하였다. 안토니우스는 동쪽의 이집트로 여행을 갔는데 거기서 자신의 상관인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옛 정부이자 카이사르의 어린 아들 카이사리온의 어머니 클레오파트라 7세를 만나 동맹을 맺었다. 레피두스는 아프리카 속주로 가게 되었는데 원래 히스파니아로 가게 되었으나 안토니우스가 방해하고 옥타비아누스를 히스파니아로 가게 하였다.[64] 옥타비아누스는 마케도니아 원정 이후 곧 제대할 많은 병사를 정착시키기 위해 일단 이탈리아에 남기로 결정하였다. 이 많은 병사는 과거 브루투스와 카시우스의 공화파 쪽에서 서서 싸운 병사들로 만약 옥타비아누스가 그들을 달래지 않았으면 쉽게 그의 정적들과 연합할 수 있었으나 그는 병사들에게 토지를 지급하였다.[64] 더 이상 병사들의 정착지를 위해 분배해줄 국유지가 없자 옥타비아누스는 양자택일을 해야 했다. 로마 시민의 땅을 몰수하여 시민들을 멀리하는 것 또는 로마의 심장부에서 그에게 대적할 만만치 않은 상대가 될 수 있는 많은 로마 병사를 멀리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옥타비아누스는 전자를 택하였다.[65] 새 정착지를 만들기 위해 18개의 도시가 그 땅으로 사용되었는데 도시에 살고 있던 모든 시민들이나 일부 시민들을 쫓아내 버렸다.[66] 반란과 혼인 동맹[편집] 기원전 30년경에 만들어진 옥타비아누스의 상. 옥타비아누스가 추진했던 퇴역병의 정착 계획에 대한 많은 불만으로 인해 루키우스 안토니우스의 당파는 결집하였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의 남동생이었던 루키우스 안토니우스는 원로원의 다수에게 지지를 받고 있었다.[66] 한편 옥타비아누스는 풀비아와 그녀의 첫 번째 남편 푸블리우스 클로디우스 풀케르의 딸인 클로디아 풀케라와 이혼하기로 결심하였다. 옥타비아누스와 클로디아의 부부 관계는 진전이 없었고 그는 클로디아를 안토니우스의 아내가 된 장모 풀비아에게 보냈다. 풀비아는 행동을 개시하기 시작하였는데 그녀와 루키우스 안토니우스가 이탈리아에서 병사들을 길러 옥타비아누스를 치려 하였다. 그러나 세 집정관이 로마 병사들의 월급을 마음대로 나눠줄 수 있는 권한이 생기자, 루키우스와 풀비아는 옥타비아누스를 치기 위한 정치적·군사적 도박을 걸었다.[66] 기원전 40년 초, 루키우스와 그의 지지자들은 옥타비아누스의 강력한 응징에 페루시아(지금의 페루지아)에서의 농성을 끝내고 항복하였다.[66]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의 동생이라는 이유로 루키우스와 그의 군사들은 목숨을 부지할 수 있었다. 한편 풀비아는 그리스의 시키온으로 유배되었다.[67] 그러나 옥타비아누스는 루키우스에게 충성하는 많은 지지자에게 자비를 베풀지 않았다. 기원전 40년 3월 15일,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기일을 맞아, 옥타비아누스는 300명의 원로원 의원과 기사 계급의 인사를 루키우스와 공조했다는 이유로 처형하였다.[68] 페루시아도 다른 장군들에게 경고하기 위해서 약탈하고 도시에 불을 질렀다.[67] 이 잔인한 사건은 옥타비아누스의 정치 인생을 더럽혔고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시인 섹스투스 프로페르티우스 등은 이를 두고두고 비난하였다.[68] 제1차 삼두 정치의 집정관 폼페이우스 마그누스의 아들 섹스투스 폼페이우스는 카이사르가 폼페이우스 마그누스에게 승리한 이래, 아직 로마에 반감을 품고 있었다. 폼페이우스는 기원전 39년에 제2차 삼두 정치의 집정관들과 협정을 맺어 시칠리아와 사르데냐를 가지게 되었다.[69] 안토니우스와 옥타비아누스는 카이사르파가 아닌 공화파 소속의 폼페이우스와의 동맹을 맺기 위해 서로 다투고 있었다.[68] 기원전 40년, 옥타비아누스는 폼페이우스와 일시적으로 동맹을 맺는 데 성공하는데 폼페이우스의 부하이자 사위인 루키우스 스크리보니우스 리보의 딸, 즉 폼페이우스의 외손녀인 스크리보니아와 결혼하였기 때문이다.[68] 스크리보니아는 옥타비아누스의 유일한 적녀인 율리아를 낳았는데 율리아가 태어난 이 날은 옥타비아누스가 스크리보니아와 이혼하고 훗날 로마 제국의 초대 황후가 되는 리비아 드루실라와 재혼한 날이기도 하였다.[68] 이집트에서 안토니우스는 클레오파트라와 불륜을 저지르고 3명의 아이들을 낳았다.[70] 옥타비아누스와의 관계가 계속 악화되자, 안토니우스는 클레오파트라를 떠났다. 기원전 40년에 안토니우스는 옥타비아누스와 대적할 대군을 이끌고 이탈리아로 출항, 브룬디시움에 진을 쳤다. 그러나 안토니우스와 옥타비아누스 모두 싸움을 계속할 수는 없었다. 카이사르파의 중요한 정치적인 지지기반이었던 백인대장들이 싸움을 거부하였고 그들 휘하의 각 병사들은 백인대장을 따라 전투 중지를 원하였다.[71][72] 한편, 시키온에서는 안토니우스의 부인 풀비아가 급작스럽게 사망했는데 공교롭게도 안토니우스가 그녀를 보기 위해 시키온으로 가던 중이었다. 풀비아의 죽음과 백인대장들의 항명은 두 집정관을 잠정적으로 화해시켰다.[71][72] 기원전 40년 가을, 옥타비아누스와 안토니우스는 브룬디시움 조약에 서명하였는데 레피두스는 아프리카를, 옥타비아누스는 서방을, 그리고 안토니우스는 동방을 맡기로 하였다. 중부의 이탈리아 반도는 신병들에게 맡겨졌는데 사실 이 조약은 동방의 안토니우스에겐 무용지물이었다.[71] 기원전 40년 말엽, 옥타비아누스는 안토니우스와의 확고한 동맹을 위해 자신의 친누나인 소 옥타비아를 안토니우스에게 시집보냈다.[71] 안토니우스와의 사이에서 옥타비아는 대 안토니아와 소 안토니아 두 명의 딸을 낳았다. 섹스투스 폼페이우스와의 전쟁[편집] 섹스투스 폼페이우스가 옥타비아누스의 함대를 상대로 이긴 것을 기념하여 주조한 데나리우스. 앞에는 옥타비아누스의 함대를 이긴 기함 메시나의 파루스가, 뒤에는 괴물 스킬라가 새겨져 있다. 섹스투스 폼페이우스는 이탈리아 반도와 지중해 간의 군량 수송 거부로 이탈리아의 옥타비아누스를 위협하였는데 폼페이우스의 아들이 해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어서 이탈리아에 큰 기근의 원인이 되었다.[72] 폼페이우스가 제해권은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그를 ‘넵툰의 아들’(Neptuni filius)이라 불렀다.[73] 기원전 39년, 미세눔 조약으로 임시 평화 협정이 맺어졌는데 이탈리아의 해상 봉쇄가 풀리자 옥타비아누스는 폼페이우스에게 사르데냐, 코르시카, 시칠리아와,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내주었다. 그리고 폼페이우스가 기원전 35년에 집정관으로 임명되는 것을 보장해 주었다.[72][73] 세 명의 집정관과 섹스투스 폼페이우스 간의 영토 협정은 기원전 38년 1월 17일 옥타비아누스가 스크리보니아와 이혼하고 리비아와 재혼하자 균형이 흔들리기 시작하였다.[74] 폼페이우스의 휘하 제독 중 하나가 폼페이우스를 배신하고 옥타비아누스에게 도로 사르데냐와 코르시카를 반환하였다. 그러나 폼페이우스를 공격하려면 안토니우스의 지지가 절대적이었던 옥타비아누스는 협정을 맺어 삼두 정치 체제를 연장하여 기원전 37년부터 시작하여 5년 동안 로마를 공동으로 통치하기로 합의하였다.[58][75] 옥타비아누스의 지지를 얻은 안토니우스는 파르티아와의 원정을 위해 그의 지지 세력을 확대하였는데 그는 기원전 53년의 카르하이 전투에서의 패배를 복수하고 싶어하였다.[75] 타렌툼(Tarentum)의 협정에서 안토니우스는 옥타비아누스에게 120척의 전함을 주고 옥타비아누스는 2만 명의 군사를 파르티아와 싸우려는 안토니우스에게 보내준다고 약속하였다.[76] 그러나 옥타비아누스는 약속했던 병력의 불과 1/10인 2천 명밖에 보내주지 않았고 이러한 도발은 안토니우스가 6년 뒤 서로 전투에서 마주 대할 때까지 이 일을 두고두고 잊지 않았다 한다.[76] 기원전 36년 옥타비아누스와 레피두스는 섹스투스 폼페이우스를 치기 위해 합동 작전을 개시하였다.[77] 옥타비아누스를 이겼음에도 불구하고 섹스투스 폼페이우스의 함대는 기원전 36년 9월 3일 나우로쿠스 전투에서 아그리파의 군대에게 거의 완파되었다.[78] 섹스투스는 남은 군대를 이끌고 동쪽으로 퇴각하였는데, 그 다음해에 폼페이우스는 안토니우스 휘하의 장군에게 잡혀 처형되었다.[78] 옥타비아누스와 레피두스는 항복한 폼페이우스의 병사를 손에 넣었는데 머지않아 레피두스는 자신이 시칠리아를 다스릴 충분한 능력이 된다 자부하고 옥타비아누스에게 떠나라 명령하였다.[78] 그러나 레피두스의 군대는 자신들이 싸우는 데 지치고 옥타비아누스가 그들을 돈으로 유혹하자 레피두스를 버리고 옥타비아누스에게로 투항하였다.[78] 레피두스는 옥타비아누스에게 항복하고 최고 제사장(pontifex maximus)의 직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락받았으나 삼두 정치 체제에서 쫓겨나고 공직 생활 역시 끝이 나면서 이탈리아의 카페 키르케이에 있는 장원으로 유배되었다.[78][79] 로마의 통치권은 이제 서방의 옥타비아누스와 동방의 안토니우스에게로 주어졌고 양분되었다. 공화국의 평화와 안정을 지키기 위해 옥타비아누스는 로마 시민의 재산권을 보장해 주었다. 옥타비아누스가 전역한 병사들에게 이탈리아 외곽에 자리를 잡게 해주는 사이, 과거 폼페이우스의 군대에 참가하기 위해 로마를 떠났던 3만여 명의 노예를 모두 주인에게 돌려주었다.[80] 옥타비아누스는 로마로 돌아오자 자신과 리비아, 옥타비아의 신변 안전의 보장을 원로원에 요청하였다. 그 결과 옥타비아누스와 그의 아내 리비아, 누이인 옥타비아, 딸인 율리아는 주권면제권을 부여받았다.[81] 안토니우스와의 전쟁[편집] 로렌스 알마타데마가 그린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 한편 안토니우스의 파르티아 원정은 상황이 매우 좋지 않게 돌아갔다. 비록 옥타비아누스가 2천 명의 군사를 보내주었지만 이는 충분하지 않았고 작전 실패로 인해 지도자로서의 그의 이미지도 추락하였다.[82] 하지만 이미 안토니우스와 결혼한 클레오파트라는 여전히 안토니우스의 군사를 다시 보충할 수 있는 힘을 가졌다. 안토니우스는 전처인 옥타비아를 로마로 돌려보냈다.[83] 비록 안토니우스가 자신의 군사를 재건하여 다시 강대한 세력을 가지려고 계획했더라도 이는 옥타비아누스에게 좋은 명분이 되었다. 안토니우스가 로마인 배우자를 부정하고 동방의 정부와 불륜을 저지르고 있다는 선동을 하였고, 갈수록 안토니우스의 인기는 추락하였다.[84] 기원전 36년 옥타비아누스는 내전이 끝났으니 안토니우스가 삼두 정치 체제의 집정관 직을 사퇴하면 자신도 그리할 것이라 하였으나 안토니우스는 이를 거절하였다. 그리고 옥타비아누스는 권모술수로 자신의 독재적인 이미지는 감추면서 안토니우스를 더욱 극악하고 독재적인 이미지로 만들려 하였다.[85] 기원전 34년 아르메니아가 로마군의 수중에 넘어가자 안토니우스는 아들 알렉산드로스 헬리오스로 하여금 아르메니아의 왕 자리에 앉히고 클레오파트라에겐 ‘왕들의 여왕’이란 호칭을 하사하자, 옥타비아누스는 이 사건을 인용하면서 원로원에게 안토니우스가 로마의 권력을 약화시키려는 야망을 지녔다고 주장하였다.[84] 기원전 33년 1월 1일 옥타비아누스가 다시 집정관에 선출되자 그는 원로원 회의에서 안토니우스가 가지고 있는 작위와 자식들이나 친척들 그리고 ‘여왕’인 클레오파트라에게 나눠준 영토 문제에 대해 맹렬한 공격을 퍼붓기 시작하였다.[86] 망명한 전직 집정관, 원로원 의원들은 옥타비아누스의 선동[87] 에 불신을 품고 안토니우스의 편에 붙었는데 기원전 32년 가을, 변절한 각료와 원로원 의원들은 다시 안토니우스를 버리고 옥타비아누스에게로 변절하였다.[88] 무나티우스 플란쿠스, 마르쿠스 티티우스와 같은 망명자들은 옥타비아누스에게 안토니우스를 비난하기 위해 원로원의 승인을 받도록 도와주었다.[89] 베스타 처녀의 신전에 폭풍이 불자 옥타비아누스는 수석 사제녀에게 안토니우스의 비밀 유서를 내놓으라 강요하였는데 그 유서에는 로마가 정복한 영토는 자신의 아들들을 왕으로 삼아 다스리게 하고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가 묻힐 영묘를 알렉산드리아에 호화롭게 건설하라 쓰여 있었다.[90][91] 기원전 32년 말, 원로원은 안토니우스의 집정관의 권한을 공식적으로 박탈하고 클레오파트라가 다스리고 있는 이집트에 선전 포고하였다.[92][93] 1672년에 로렌조 카스트로가 그린 《악티움 해전》. 런던의 국립 해양 박물관 소장. 기원전 31년 초, 아그리파의 함대가 로마군을 수송하여 아드리아 해를 성공적으로 횡단하였고, 옥타비아누스는 곧 벌어질 큰 전투의 예비 단계에서 승리를 거두었다.[94] 한편 아그리파가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의 본대를 그들의 해상 보급 경로에서 차단하고 옥타비아누스는 코르푸 섬 맞은편에 위치한 본토에 도착, 남쪽으로 진군하였다.[94] 바다와 땅 모두에서 막히자, 안토니우스군의 탈영병은 하루가 머다 하고 계속 옥타비아누스에게 투항하였는데 옥타비아누스군은 전쟁 준비로 휴식이 한창이었기 때문이었다.[94] 안토니우스의 함대는 해상 차단 해제를 기도하기 위해 그리스 서쪽 해안의 악티움 만으로 나아갔다. 그곳에는 아그리파와 가이우스 소시우스의 함대가 있었는데 안토니우스의 함대보다 수는 많지만 더 작고 조종하기 더 쉬운 배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기원전 31년 9월 2일, 악티움 해전이 발발하였다.[95] 안토니우스와 남은 군사들은 근처에 기다리고 있던 클레오파트라의 함대가 막판에 노력한 끝에 겨우 목숨을 부지할 수 있었다.[96] 옥타비아누스는 그들을 추격하였고 기원전 30년 8월 1일 알렉산드리아에서 옥타비아누스가 다시 한 번 승리를 거두자 패한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는 자살하였는데 독사가 클레오파트라를 무는 사이 안토니우스는 자신의 칼로 몸을 찌르고 클레오파트라의 팔 쪽으로 쓰러졌다.[97] 옥타비아누스는 카이사르의 후계자로서의 위치를 잘 이용하여 크게 성공했었기에 다른 사람들이 이를 활용하는 것이 자신에게도 위험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두 명의 카이사르가 있으나 하나로 족하다.”라는 말을 남겼으며, 훗날의 정치 인생을 위해서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의 아이들은 살려주는 대신에 카이사리온을 죽이도록 명령하였다.[98][99] 비록 그의 수단은 잔인했지만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자신의 상관이자 신격화된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양자인 옥타비아누스를 과소평가하였다. 옥타비아누스에 대한 지지가 약해졌어도 ‘신의 아들(Divi filius)’이란 이름으로 자신의 자리를 보전할 수 있었다.[100] 옥타비아누스는 이전에 적들에게 약간의 자비를 베풀어주었고 로마 시민의 호응이 없는 정책을 계속 고수하였으나 악티움 해전 이후 그는 그의 정적들에게 용서를 베풀어 신뢰를 쌓았다.[101] 옥타비아누스에서 아우구스투스로[편집] 악티움 해전에서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를 물리친 후에 옥타비아누스는 비공식적이지만 로마 공화정의 최고 권력자가 되었다.[102] 아직 로마는 형식상으로는 공화정이었고 로마 시민은 군주제와 독재라면 진저리를 쳤기 때문에 옥타비아누스는 서두르지 않고 원로원과 로마 시민이 원하는 것들을 맞춰가며 차근차근 권력을 손에 넣었다.[103][104] 옥타비아누스는 기원전 31년부터 8년간 해마다 집정관의 자리를 맡았다. 그중 기원전 28년과 기원전 27년은 아그리파가 동료 집정관이었다. 기원전 27년에 옥타비아누스는 내전이 종결되었으므로 자신에게 위임된 비정규적 특권을 원로원과 로마 시민에게 반납한다고 선언하였다.[105] 이로써 로마는 다시 명목상으로는 이전의 공화정 시절의 정치 체제로 회귀한 것처럼 보였다. 로마 원로원은 옥타비아누스에게 “존엄한 자”라는 뜻의 "아우구스투스"라는 칭호를 수여한다. 황제 아우구스투스[편집] 아우구스투스의 동상. 머리 부분은 기원전 30년~기원전 20년경에 제작되었고, 몸통은 2세기에 제작되었다. 기원전 29년에 원로원은 옥타비아누스에게 제일인자라는 뜻의 국가 제1시민(princeps civitatis)라는 칭호를 부여했다. 흔히 '프린켑스'라고만 쓰는 이 칭호는 공화정 시대에 지도급 원로원 의원으로 인정받은 집정관 역임자이자 높은 위신과 덕망을 지닌 자를 뜻했다.[106] 이 칭호는 실제로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 폼페이우스에게도 수여된 전례가 있었다.[107] 하지만 옥타비아누스에게 이 칭호는 제정으로 나아가고 있던 현실 속에서 로마의 최고 책임자라는 것을 반영한다.[4][108] 아우구스투스는 기원전 27년에 내전을 종식시키기 위해 위임받았던 여러 특권을 원로원에 되돌려주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아우구스투스는 여전히 집정관이었고, 원로원은 아우구스투스가 갖고 있는 금화, 은화 발행권을 되찾아올 만한 힘이 없었다. 또한 직접적으로 속주와 군대를 다스리지는 않았지만, 여전히 로마 제국의 병사들에게 강한 지지를 얻고 있었다. 또한 아우구스투스의 후원에 힘입어 출세한 많은 지지자, 피보호자, 어마어마한 부는 로마의 그 누구와도 비교할 수 없는 경지에 이르렀다.[109] 대중은 엄청난 양의 부를 아우구스투스가 통제하고 있다는 사실을 제대로 알고 있지 못했다. 아우구스투스는 원로원 의원들에게 공공건물 건설과 가도 유지·보수에 자발적으로 기여해줄 것을 요청했지만 기대만큼 잘 진행되지 않았다. 기원전 20년에 아우구스투스는 직접 가도 건설에 나섰다.[110] 기원전 16년에 발행된 화폐에는 아우구스투스가 막대한 양의 돈을 공공기금에 기부한 후 이루어낸 가도 건설을 선전하였다.[110] 하지만 역사학자인 하워드 스컬러드(Howard Scullard)에 따르면 아우구스투스의 진정한 권력은 군대와 “최종 결제권”으로부터 나왔다고 한다.[111] 원로원은 내전을 종결시킨 아우구스투스에게 속주의 통치를 맡아 달라고 간청했다. 이 요청은 아우구스투스가 초법적인 권한을 갖는 것을 원로원이 사실상 승인한 것이다. 아우구스투스는 원로원에 출석하면서 계속해서 공직을 수행하였으며 10년 기한의 속주 통치 권한을 마지못해 수락하는 척하였다.[112][113] 아우구스투스가 통치하게 된 속주들은 갈리아, 히스파니아, 시리아, 킬리키아, 키프로스, 이집트 등 로마에 정복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속주들이었다.[112][114] 아우구스투스가 집정관일 때, 자신이 통치하는 속주에 파견할 총독을 임명할 수 있는 권한을 원로원으로부터 부여받는다.[115] 반면 옥타비아누스가 통치하지 않는 “원로원령 속주”[116] 의 경우 원로원에서 임명한 총독이 다스렸다.[115] 속주와 군단에 대한 통치권을 얻어내었기 때문에 아우구스투스의 권력은 점점 더 강해졌다. 하지만 아직 압도적으로 권력을 독점하지는 않았다.[117] 고대 로마의 중요한 식량 생산지였던 아프리카 속주의 경우 원로원에서 파견한 총독이 여전히 통치하고 있었으며, 시칠리아 속주 및 갈리아 나르보넨시스 속주 등 여러 속주는 원로원에서 임명한 총독이 통치하였다.[117] 하지만 그리 많지 않은 수의 속주만 원로원에서 임명한 전직 집정관 출신의 총독이 다스렸으며, 나머지 지역은 아우구스투스가 임명한 총독이 다스렸기 때문에 원로원은 아우구스투스에게 감히 대적할 만한 여력이 없었다.[103][111] 광활하고 지리적으로 먼 '황제령' 속주에는 대다수 군단들이 주둔하고 있었으며, 아우구스투스는 집정관과 법무관급 레가투스를 임명하고 자신의 재량으로 선전포고와 강화를 할 수 있는 권한이 있었다.[118] 시민관을 쓴 아우구스투스의 흉상 원로원 의원들은 감격하였고, 옥타비아누스에게 “존엄한 자”라는 뜻의 "아우구스투스"라는 칭호를 수여하였다. 이와 더불어 아우구스투스의 집 출입구의 위쪽에 시민관(corona civica)을 걸고 출입구의 양쪽 기둥을 월계수 묘목 장식으로 뒤덮었다. 또한 아우구스투스가 황금 방패에 공화정을 복귀시켰다는 사실을 새겨 원로원 의사당에 안치하였다.[119] 이 칭호는 정치적이라기보다는 종교적인 색채가 강하였다.[101] 신의 아들(divi filius, 즉 카이사르의 아들)이라는 지위와 더불어 ‘길조’를 뜻하는 ‘아우구스투스’라는 이름에는 초자연적인 힘이 함축되어 있었는데, 로물루스가 엄숙한 징조(augusto augurio)를 보고 로마를 창건했기 때문이었다. 여기서 그는 제2의 창건자로서 또 다른 로물루스로 인정되었다고 볼 수 있었을 것이다.[120] 이를 통해 평화로운 “아우구스투스의 시대”를 내전 등 끔찍한 사건을 겪었던 “옥타비아누스의 시대”와 차별화할 수 있었다. 옥타비아누스가 로마의 제2의 건국자임을 상징하기 위해서 로마의 건국자인 로물루스와 레무스에서 따온 “로물루스”라는 칭호도 고려되었지만 로물루스라는 칭호는 왕정을 연상시켰기 때문에 결국에는 “아우구스투스”를 선택한다.[121] 아우구스투스는 또한 자기 자신을 “신군 카이사르의 아들인 임페라토르”(Imperator Caesar divi filius)이라 칭했다.[122] 이는 자신이 신군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양자라는 것과, 승리를 상징하는 “임페라토르”라는 칭호를 사용하여 자신을 과시하기 위한 것이었다.[122] 하지만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받았던 특권인 보라색의 토가를 입을 수 있는 권리, 권위를 상징하는 머리띠와 홀을 쓸 수 있는 권리는 받지 않았다.[123] 호민관 특권[편집] 기원전 23년 아우구스투스의 동료 집정관이었던 테렌티우스 바로 무레나(Terentius Varro Murena)가 아우구스투스에 대항하려 한다. 그 방식은 정확하게 전해지고 있지 않으나 무레나는 임기를 마치지 못하고 칼푸르니우스 피소(Calpurnius Piso)가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된다.[124][125] 피소는 널리 알려진 공화정 지지자였는데, 아우구스투스는 동료 집정관과 협력하면서 파벌에 관계없이 모든 이들과 협력하여 국정을 운영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126] 늦봄에 아우구스투스는 자칫하면 죽을 수 있었던 정도로 심하게 병을 앓았고, 사람들은 아우구스투스가 친구인 아그리파에게 자신의 인장을 넘기고 사위인 마르켈루스에게 병권을 위임할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아우구스투스는 자신의 인장과, 관리하고 있던 공금 및 군단 통제권을 동료 집정관인 피소에게 위임했다.[124][127] 이러한 행동은 아우구스투스가 사실상의 황제라고 믿고 있던 사람들에게는 놀라운 일이었고,[128] 원로원은 아우구스투스가 제정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의심을 잠시 거둔다.[124][127] 아우구스투스는 사유 재산만 자신이 지목한 상속자들에게 수여하려 했다. 당시 로마의 시민들은 여전히 군주정을 좋게 보지 않았기 때문에 아우구스투스가 만약 권력을 자신이 지명한 후계자에게 물려주려 했다면 반란이 일어났을 것이다.[104] 서기 14년 ~ 20년경에 만들어진 시민관을 쓴 아우구스투스. 마노 세공으로 되어 있다. 건강을 회복한 후 아우구스투스는 집정관 직에서 사임한다.[127] 이후 아우구스투스가 집정관에 선출된 것은 기원전 5년과 기원전 2년뿐이다.[127][129] 하지만 군 통수권은 여전히 원로원의 요청으로 지니고 있었다.[130] 아우구스투스는 집정관직에서 사임하여 구 귀족들에게 집정관 자리에 오를 기회를 늘려 주었으며, 전통적인 공화주의자들의 우려를 불식시켰다.(계속 집정관직을 보유하는 것이 마리우스나 카이사르의 행적과 너무나 비슷했기 때문이다.)[131] 아우구스투스는 공직에 종사하지는 않았지만 여전히 전직 집정관으로 속주 통치에 큰 영향력을 발휘하였다.[127][132] 또 그는 기원전 27년부터 황제령 속주에 전임 집정관의 명령권(proconsulare imperium)을 계속 보유했을 뿐 아니라, 그것이 오히려 원로원령 속주의 명령권보다 더 우위에 있는 상급 임페리움(maius imperium)까지 얻게 되어 권한이 강화되었다.[133] 그리하여 다른 속주 총독들 위해 군림하고 필요한 경우 모든 군단에 대한 명령권을 행사할 수 있게 했다.[134] 또한 아우구스투스는 “호민관 특권”을 부여받았으며 이를 죽을 때까지 행사했다.[135] 아우구스투스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양자가 되면서 귀족 계급으로서 호민관에 취임할 수는 없었다.[136] 하지만 호민관 특권을 손에 넣어 거부권 행사, 선거 관리, 모든 모임에서 제일 먼저 발언할 수 있게 되었다.[129][137] 아우구스투스의 호민관 특권을 활용하여 풍기 단속을 담당하고 시민들이 공익을 보존하는지 자세히 감찰하는 역할도 하였으며 그리고 인구 조사와 원로원의 의원을 정할 수 있는 권한도 가지게 되었다.[138][139] 이 권한까지 손에 넣자 아우구스투스는 포룸에 들어올 때 전통 복장 토가를 입지 않은 사람들은 들어올 수 없게 하여 로마 애국주의의 미덕을 지키려 하였다.[140] 고대 로마의 공화정 체제에서는 아우구스투스처럼 감찰관에 선출된 적도 없던 사람이 이런 권한을 갖는 것과 한 사람이 호민관 특권과 감찰권을 동시에 가지고 있던 전례가 없었다.[141] 이전에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비슷한 권한을 가졌지만 인구 조사를 시행하거나 원로원 의원 명단을 좌지우지하지는 못했다. 공화정 시대와 비교해서 호민관의 위상은 격하되었다. 하지만 아우구스투스는 호민관을 여전히 법무관이 되고자 하는 평민 계급이 거쳐야 하는 중요한 단계로의 의미는 살려둔다.[142] 폰티펙스 막시무스(최고 제사장)의 복장을 한 아우구스투스의 상. 아우구스투스는 또한 군 통수권도 손에 넣는다. 이는 이전에는 집정관이나 권한을 위임 받은 장군들만이 가지고 있던 권리였지만, 이후에는 아우구스투스만 이를 사용할 수 있었다.[143] 아우구스투스만이 가지고 있던 “절대 지휘권”은 오직 아우구스투스만이 명목상 로마군의 최고 통수권자의 자격으로 개선식을 할 수 있게 되었다.[144] 그 결과로 아우구스투스가 임명한 장군들이 전선에서 승리를 거두면 그 영예는 아우구스투스에게 돌아갔다.[144] 아우구스투스의 의붓아들이었던 티베리우스가 유일한 예외였다. 티베리우스는 기원전 7년에 게르마니아에서의 공적으로 개선식을 거행한다.[145][146] 아우구스투스는 갖고 있던 절대 지휘권은 기원전 13년에 기한 연장 승인을 받았다. 이 승인을 기다리는 동안 아우구스투스는 로마에 머무르면서 퇴역 장병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이들에게 아낌없이 선심을 베푼다.[129] 앞에서 언급한 권한들의 획득은 정치적으로 매우 미묘한 위장이었다. 평민 계급이 그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데서 이를 미루어 알 수 있다. 기원전 22년에 홍수와 기근이 겹쳐서 일반 서민들의 생활이 힘들어졌다. 이들은 아우구스투스에게 영구 집정관직 혹은 독재관직을 부여할 것과 그가 직접 감찰관직을 맡아 곡물 담당관직(cura annonae)를 맡아줄것을 강력하게 요구했다.[134] 아우구스투스는 독재관에 취임하지는 않았지만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자비를 부담하여 짧은 시간 내에 사태를 해결하였다.[138] 8년에 다시 발생한 기근 때에는 “식량청 장관”(라틴어: praefectus annonae)[147] 이라는 관직을 신설하여 로마의 식량 공급을 책임지게 하였다.[148] 기원전 19년에 원로원은 민중의 분노를 사지 않으려고 아우구스투스가 집정관의 상징을 공적인 자리에서 사용하는 권리와 두 집정관의 사이에 앉을 수 있는 권리를 허락했다.[143][149] 그 결과권력은 공식적으로도 집정관에 취임하지 않더라도 집정관처럼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단계에 도달하였다.[149] 기원전 12년에는 최고 제사장(폰티펙스 막시무스)이었던 레피두스가 죽은 후에 그 자리에 취임한다.[150] 최고 제사장은 종신제인 데다가 단 한 명만 될 수 있는 직책이었다. 기원전 2년에는 원로원과 로마 시민로부터 “국부”(라틴어: pater patriae)라는 칭호를 부여받는다.[119] 대외 정책과 군사 작전[편집]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확장된 영토. 노란색 부분은 기원전 31년 당시의 로마의 영토이다. 녹색 부분은 아우구스투스 통치 기간 동안 얻은 지역이며, 분홍색은 동맹국을 의미한다. 아우구스투스는 자신의 이미지를 승리와 연결시키기 위해 자신의 칭호에 개선장군을 뜻하는 “임페라토르”를 집어넣어 “신군 카이사르의 아들인 임페라토르 아우구스투스”(라틴어: Imperator Caesar Divi Filius Augustus)라 하였다.[151] 이후 13년까지 로마군은 아우구스투스가 “임페라토르”라고 불릴 만한 21회가량의 큰 승리를 거두었고 3회의 정식 개선식을 거행하였다.[152] 아우구스투스는 《아우구스투스 업적록》의 제4장에 이러한 군사적 성공으로 치른 개선식, 감사제 등에 대해 서술하였다.[151] 아우구스투스 시대에는 무력으로 점령한 지역도 적지 않았으며, 외교도 적절히 사용하였다. 한 예로 크라수스가 파르티아와의 전쟁에서 당했던 대패(大敗)를 직접적인 전쟁을 통해 만회하는 대신, 아르메니아 왕국에 친(親)로마 성향의 인물을 왕위에 앉힌 후에 파르티아를 압박하여 이를 외교적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105] 티베리우스의 흉상. 아우구스투스의 가장 유능한 지휘관 중 하나였다. 아우구스투스는 히스파니아의 북부, 알프스 지역의 라이티아와 노리쿰, 일리리쿰, 판노니아 등을 정복하였다.[153] 기원전 25년에는 왕이 후계자도 남기지 않고 죽은 갈라티아를 전쟁을 벌이지 않고 로마의 속주로 만들었다.[154] 또한, 오늘날 스페인의 칸타브리아 지방에서 일어난 반란을 기원전 19년에 최종적으로 진압하였으며 이 지역은 히스파니아 타라고넨시스 속주와 루시타니아 속주에 편입된다.[155] 이 지역에서 채굴되는 풍부한 광물 자원은 이후 군자금의 원천이 된다. 대표적인 곳으로 라스 메둘라스의 풍부한 금광이 있다.[155] 기원전 17년과 16년에 일리리쿰 총독 푸블리우스 실리우스 네르바가 알프스 산악 지역의 노리쿰(오늘날의 티롤, 스티리아, 잘츠부르크)에 정복 사업을 개시하여, 황제의 의붓 아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네로와 네로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가 완수했다.[156] 그 결과 이탈리아 반도와 게르마니아 사이에 군사적 완충 지대가 생겼다. 지금의 모나코 근교에 알프스 전승기념비가 세워졌고 호라티우스는 이 승리를 예찬하는 시를 지었다.[157] 기원전 12년에는 알프스 근방에서 군사 행동을 재개하였고, 의붓아들인 티베리우스와 드루수스 형제가 이끄는 군대가 각각 일리리쿰에서 판노니아 족, 동부 라인란트에서 게르만족을 공격하였다.[158] 작전은 성공을 거두었고 기원전 9년에 드루수스가 이끄는 군대는 엘베 강에 도달했다. 하지만 얼마 후 드루수스는 낙마하여 죽었고 티베리우스는 동생의 유해를 로마로 송환하였다.[158][159] 라스 메둘라스의 금광 아우구스투스는 로마 제국의 동방을 파르티아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여러 동맹국을 완충 지대로 적극 활용하였다. 동방 방위를 위해 시리아 속주에 군단을 주둔시켰으며, 티베리우스가 파르티아와 교섭을 하였다.[160] 이 협상의 결과로 로마는 기원전 53년에 크라수스가 파르티아에 대패를 당했을 때 빼앗겼던 군단기(軍團旗)를 되찾을 수 있었다.[145] 티베리우스는 아르메니아 왕국의 티그라네스 5세를 왕위에 복위시키기도 했다. 파르티아가 언제나 위협적인 상대이기는 했지만, 실제 전쟁은 게르만 족을 상대로 대부분 라인 강, 도나우 강 근교에서 벌어졌다.[160] 안토니우스와 최종 전투를 벌이기 전에 달마티아의 부족들과 벌였던 전쟁 이후 로마군은 착실히 도나우 강을 향해 진격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여러 차례 전쟁에서 승리했음에도 불구하고 게르마니아 지역은 로마화하는 데 실패하였다.[160] 9년에 토이토부르크 숲에서 당한 참패가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다. 게르마니아의 총독인 바루스가 이끄는 3개 군단이 케루스키 족 출신의 아르미니우스가 이끄는 게르만 족에게 전멸한다.[161] 아우구스투스는 사태를 수습하려 했고, 티베리우스는 이후 여러 차례 라인란트로 진격하여 승리를 거두었다.[162][163] 하지만 아우구스투스의 죽은 후에 계승자인 티베리우스는 게르마니아에서 철수하기로 결정하였고, 이후 로마군은 라인 강과 도나우 강을 주 방어선으로 삼아 방위 체계를 구축한다.[164] 죽음과 후계 문제[편집] 기원전 23년의 자신에 대한 암살 음모가 발각되고, 건강이 크게 악화되자 아우구스투스는 후계자 선정이라는 화급한 문제에 관심을 쏟게 된다.[131] 아우구스투스는 정치 체제의 안정을 위해 후계자를 물색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후계자로 점찍은 이를 대중에게 알리려 하였다.[165] 로마의 시민들, 특히 원로원 계급이 갖고 있는 군주제에 대한 공포심을 자극하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이를 추진한다.[165] 기원전 25년에 아우구스투스는 누나의 아들인 마르켈루스와 자신의 딸인 율리아를 결혼시켰다.[166] 하지만 마르켈루스는 기원전 23년에 20살의 나이로 사망한다. 16살의 나이에 미망인이 된 율리아를 아우구스투스는 아그리파와 혼인시켰다.[166] 아그리파 부부는 아들 셋, 딸 둘, 총 다섯 명의 아이를 낳았다. 얼마 후, 아그리파는 5년 기한으로 전권을 부여받아 제국의 동방을 담당하게 되었고, 이와 함께 아우구스투스만 가지고 있었던 “호민관 특권”도 부여받았다. 아우구스투스는 외손자인 가이우스 카이사르와 루키우스 카이사르를 후계자로 삼기 위해 양자로 삼는다.[166] 이 두 사람은 아우구스투스의 배려로 기원전 5년과 기원전 2년부터 정치적 경력을 쌓기 시작하였다. 아우구스투스는 리비아가 데려온 의붓아들인 티베리우스와 드루수스 형제도 아꼈다. 드루수스는 아우구스투스의 조카인 안토니아와 결혼했으며, 기원전 12년에 아그리파가 죽고 나서는 티베리우스 부부를 이혼시킨 후 티베리우스를 미망인이 된 율리아와 결혼시켰다.[166] 하지만 드루수스는 기원전 9년에 게르마니아에서 사망하고, 티베리우스는 기원전 6년부터 로마 제국의 통치를 분담하였지만 얼마 후 로도스 섬으로 은퇴해 버린다.[167] 아우구스투스 영묘 서기 2년과 4년에 루키우스, 가이우스 카이사르가 차례로 요절하였다. 서기 4년에 아우구스투스는 티베리우스와 아그리파 포스투무스를 양자로 맞아들였다. 티베리우스는 5년 기한의 호민관 특권을 부여받았고, 조카인 게르마니쿠스를 양자로 맞아들였다.[168] 티베리우스는 게르마니아 평정과 일리리쿰, 달마티아 반란을 진압하였고, 게르마니쿠스는 그 밑에서 착실히 경험을 쌓는다. 하지만 아그리파 포스투무스는 방만한 행실로 인해 7년에 추방되었다. 아우구스투스는 아그리파 포스투무스를 후계자로 삼을 계획을 포기하게 된다. 이후, 티베리우스는 13년에 아우구스투스가 가진 모든 특권을 부여받는다. 14년 8월 19일에 아우구스투스는 놀라에서 숨을 거두었다. 아우구스투스는 죽기 전에 건강이 갑자기 나빠지자 티베리우스를 소환해 밀담을 나누었다. 얼마 후, 황후 리비아의 품에 안긴 채 평온하고 조용하게 숨을 거두었다.[169] 티베리우스는 아들인 드루수스와 함께 아우구스투스의 추모 연설을 하였다.[170] 이후 마르스 광장을 지나 아우구스투스 영묘 앞 광장에서 유해를 화장하였고, 영묘에 묻혔다. 얼마 후 원로원은 아우구스투스를 신격화하기로 결정하였다. 기타[편집] 금욕적인 모습과 달리 취미가 도박이었다 당시 로마는 도박에 부정적이라 사투르날리아 축제가 열리는 12월에만 도박을 허용해줬는데 아우구스투스는 기간에 상관없이 도박을 매우 즐겼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본인이 양자 티베리우스에게 쓴 편지에서도 확인되는데 주로 주사위나 홀짝 도박을 즐겨했다고 쓰고있다. 돈을 따려고 도박을 했다기 보다는 정치적인 면모도 강해서 일부러 돈을 잃어주거나 하면서 친분을 쌓았다고 한다. [171] 아우구스투스의 유산[편집] 아우구스투스 업적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터키 앙카라에서 발견된 《아우구스투스 업적록》의 일부 바티칸 미술관에 있는 프리마 포타의 아우구스투스 아우구스투스의 통치 시기에 수립된 정책들은 로마 제국이 멸망할 때까지 수백 년간 지속하였다. 양부로부터 이어받은 성인 ‘카이사르’와 자신의 칭호인 ‘아우구스투스’는 이후 1400여 년간 로마 제국과 비잔티움 제국의 통치자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카이사르는 여러 언어에서 황제를 지칭하는 용어가 되었으며[172], 아우구스투스는 사후에 신격화되었다. 그 결과 많은 수의 아우구스투스 동상과 흉상이 제작되었고, 현재까지도 많이 남아 있다. 아우구스투스 신앙(Divus Augustus)은 391년에 테오도시우스 1세가 기독교를 국교로 삼을 때까지 계속된다. 또한, 아우구스투스는 유언장에서, 자신이 직접 쓴 《아우구스투스 업적록》(Res Gestae Divi Augusti)의 동판을 아우구스투스 영묘의 정면에 걸어 놓기를 원했다.[173] 《아우구스투스 업적록》의 사본은 아우구스투스의 사후, 로마 제국 전역에 퍼졌다.[174] 터키의 앙카라에서 발견된 사본의 경우[175], 라틴어로 되어 있는 원문을 그리스어로 번역하여 공공건물에 부착하였다. 테오도어 몸젠은 《아우구스투스 업적록》을 “금석문의 여왕”이라고 하였다. 아우구스투스의 작품은 여러 편이 알려졌다. 이 중에는 시칠리아에 대한 시집 《시칠리아》, 〈브루투스의 《카토론》 반박〉, 13권에 걸쳐 기술한 《자서전》 등이 있다.[176][177] 하지만 이 작품들은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 역사학자들은 아우구스투스가 주고받은 편지들을 분석하여 작품에 대한 추가 정보를 연구하고 있다.[178][179] 아우구스투스는 로마의 황제 가운데 가장 위대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아우구스투스가 수립한 정책은 로마 제국이 존재하였던 기간에 계속 사용되었고 “로마에 의한 평화”(Pax Romana) 또는 “아우구스투스에 의한 평화”(Pax Augusta)라 칭송받았다. 그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처럼 카리스마가 넘치는 지도자는 아니었다. 하지만 셋째 아내인 리비아로부터 영향을 받아서 지혜와 결단력이 있고 통찰력이 있는 정치가였다. 게다가 그의 정책은 매우 오랫동안 지속하였다.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로마 제국은 많은 점에서 변화가 있었다. 우선 수도인 로마 시에 “경찰청”(Praefectus urbi)과 “소방청”(Praefectula vigilum)을 만들었으며, 지방 자치 단체들에 상주하는 장관들을 파견하였다.[180] 경찰청은 대대별로 500명씩이었으며, 소방청은 대대별로 500에서 1천 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총 7개 대대가 14개 구의 치안과 화재 진압을 담당하였다.[181] 내전이 끝난 후, 아우구스투스는 28개 군단, 총 17만 명으로 구성된 상비군을 조직한다.[182] 이들은 각 속주의 주민들로 구성된 보조병과 함께 국방을 담당하였다.[183] 또한 역참 제도를 창설하여 “관찰장관”(praefectus vehiculorum)이라 불리는 장교들이 감독하도록 하였으며, 자비를 털어서 도로를 유지 및 보수하였다.[184] 동시에 추가로 가도를 더 건설하여, 더욱 더 빠른 통신 체계를 갖추면서 군대가 신속하게 행군할 수 있게 되었다.[185] 서기 6년, 아우구스투스는 현역 및 퇴역 군인의 연금을 지급하기 위한 재원을 마련하고자 1억 7천만 세스테르티우스를 기부하여 “군인 연금 기금”(aerarium miltare)을 만들었다.[186] 기원전 27년에는 자신의 경호를 목적으로 “근위대”를 창설하였다.[187] 근위대는 훗날 원로원에 압력 넣기, 새 황제 추대, 기존의 황제 제거 등 로마의 역사에서 영향력을 발휘한다. 근위대는 312년에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해체할 때까지 존속한다.[188] 아우구스투스는 로마 제국 최고의 권력자였지만, 언제나 공화주의자로서의 미덕과 규범을 실천하려 애썼다. 언제나 서민들에게 관심을 두고 돌보았던 그는 관대한 정책들과 과다한 지출 삭감을 통하여 이를 실천하였다. 기원전 29년에는 25만 명의 시민에게 개인당 400세스테르티우스씩 지급하였고 식민지에 거주하고 있는 12만 명의 퇴역병에게는 1,000세스테리우스씩을 지급하였으며, 약 7억 세스테르티우스를 들여 자신의 병사들이 땅을 사서 정착할 수 있게 하였다.[189] 또한 로마의 여러 신을 모시는 신전 82곳을 복구하였다.[189] 기원전 28년에는 검소하고 관대한 모습을 강조하려고 자신의 모습을 본뜬 은상 80여 개를 녹였다.[189] 누비아의 신전에 묘사된 이집트풍의 아우구스투스 아우구스투스의 긴 통치 기간과, 이 기간에 로마 제국에 남긴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유산들도 성공의 중요한 요인이다. 타키투스에 따르면, 서기 14년 당시의 젊은이들은 원수정 외의 정치 체제는 알지 못하였다.[190] 만약 아우구스투스가 일찍 죽었더라면(예: 기원전 23년) 상황은 완전히 달라졌을 것이다. 한동안 사실상 군주정이었던 로마에서 옛 공화정 지지자들과 아우구스투스의 추종자들 간에 내전이 벌어졌을 것이다. 아우구스투스는 자신의 경험과 인내심, 치밀한 전략과 정치적 통찰력으로 이러한 상황을 조율하였다. 아우구스투스는 잘 훈련된 군대가 전선에서 주둔하는 것, 제위 계승에 대한 원칙, 황제의 자비를 털어 수도를 꾸미는 것처럼 여러 분야에서 로마 제국이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무엇보다도 아우구스투스가 남긴 최고의 업적은 이후 2세기간 이어진 평화와 번영의 시대를 연 것이다. 아우구스투스에 대한 기억은 사람들에게 매우 좋게 남았고, 이는 제국 시대의 정치적 풍조 아래 좋은 황제의 패러다임으로 남게 된다. 이후 로마의 모든 황제들이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Caesar Augustus)를 사용하였고, 이에 따라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는 점차 사람의 이름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로마 황제를 지칭하는 칭호로 더 많이 사용된다.[5] 동시대인인 베르길리우스와 호라티우스는 아우구스투스를 로마의 수호자, 도덕 규율을 바로잡은 자, 제국을 짊어지고 갈 의무를 기꺼이 진 자로 묘사하였다.[191] 하지만 통치 기간에 원수정을 확립한 것 때문에 동시대인들에게 비판받기도 하였다. 동시대의 법학자, 공화정의 추종자인 마르쿠스 안티스티우스 라베오(? ~ 서기 10년 또는 11년)는 공개적으로 아우구스투스의 통치 체제를 비판하였다.[192] 타키투스는 〈연대기〉의 서문에서 아우구스투스가 교활한 방법으로 공화정 로마를 노예처럼 만들었다고 서술하였다.[192] 아우구스투스가 죽고 난 뒤에 티베리우스가 이 자리를 물려받았고, 로마의 사람들은 노예 매매와 같이 계속하여 다음 주인에게 넘어갔다.[192] 하지만 타키투스는 네르바가 “원수정”과 “자유”라는 서로 이질적인 두 생각을 잘 조화시켰다고 믿었다.[193] 3세기 역사가인 디오 카시우스는 아우구스투스가 친절하고 관대한 통치자라는 점은 인정하였지만, 동시대의 역사가들과는 달리 아우구스투스를 전제군주로 보았다.[192] 시인인 마르쿠스 아나에우스 루카누스(39년 ~ 65년)는 카이사르가 폼페이우스와 소 카토와의 전쟁에서의 승리는 로마의 전통적 자유가 끝난 상징적인 사건이라는 의견을 갖고 있었다. 역사가인 체스터 G. 스타 2세는 루카누스가 아우구스투스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을 하지 않은 이유가 그러기엔 너무나도 신성불가침의 존재였기 때문이었을 것이라 썼다.[193] 아일랜드 출신의 영국 작가인 조너선 스위프트는 Discourse on the Contests and Dissentions in Athens and Rome에서 아우구스투스를 로마에 전제군주제를 도입했다는 이유로 비판하였고 대영제국의 입헌군주정을 기원전 2세기경의 로마 공화정에 비유하였다.[194] 스코틀랜드의 해군 장교이자 역사가였던 토머스 고든(1658년 ~ 1741년)은 아우구스투스를 올리버 크롬웰과 비교하며 비판하였다.[194] 토머스 고든과 몽테스키외는 아우구스투스가 전장에서는 겁쟁이라고 평하였다.[195] 스코틀랜드의 학자인 토머스 블랙웰(Thomas Blackwell, 1701년 ~ 1757년)은 Memoirs of the Court of Augustus에서 아우구스투스를 마키아벨리 성향의 군주라 보았다.[195] 세제 확립[편집] 인도에서 발견된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화폐. 대영박물관 소장.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화폐의 모조품(인도, 1세기). 대영박물관 소장. 아라비아 반도 남부의 히먀리트 왕국에서 제작된 모조품 아우구스투스의 세제 개혁은 로마 제국의 역사에 큰 영향을 주었다. 아우구스투스는 이전 시대에는 널리 행해졌던 속주민에 대한 특별 징세를 하지 않았으며, 새로 정복한 지역의 기반을 닦고 고정 세율로 직접세를 징수하였다.[196] 세금을 불시에 임의로 거두어 속주민의 분노를 불러오는 대신에 고정 세제를 실시하기로 한 것이다. 그 결과 세입이 증가하였고, 돈의 흐름이 안정되었으며, 해마다 속주가 내야 할 세금의 양이 일정해졌다.[196] 세금 징수를 위하여 인구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각 속주마다 내야 할 세금의 양이 정해졌다.[197] 속주민과는 달리, 로마 시민권자의 경우 간접세만 납부하였다.[197] 노예 매매 시 가격의 4퍼센트를 세금으로 냈으며, 경매 시에도 1퍼센트를 납부하였으며, 재산 상속 시에도 가까운 친척이 아닌 이로부터 10만 세스테르티우스 이상의 상속을 받으면 5퍼센트의 세금을 납부하였다.[197] 또한, 세금도 민간 징수원이 징수하던 기존 방식에서, 세금 담당 공무원이 징수하는 방식으로 바뀐다. 공화정 시대의 민간 징수원들은 세금을 과다하게 걷어가며 힘을 불려나가, 점점 로마의 정치가들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할 만큼 많은 투표권을 갖게 되었다.[196] 이들은 세금을 추가로 더 걷어서 자신의 재산을 불렸기 때문에 악명이 높았었다. 이들에 대한 관리 감독이 부실하였기 때문에 세금 납부자들에게서 부당 징수를 일삼았고, 이는 경제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직접 이집트를 정복했다는 점과 로마 정부 형태의 변화 때문에, 아우구스투스는 이집트의 비옥한 땅을 재정원으로 쓸 수 있었다.[198] 이 때문에 이집트는 로마의 속주가 아닌 아우구스투스의 사유지처럼 간주되었고, 이후에도 이집트는 황제들의 사유지로 취급된다.[199] 이집트는 원로원 계급 출신이 통치하는 대신에 아우구스투스가 직접 임명한 기사 계급(equestrian) 출신의 총독이 다스렸다. 아우구스투스와 이후의 황제는 이집트의 농경지에서 벌어들인 많은 수입을 복지 정책, 공공 정책과 군사 원정의 자금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 8월 (Augustus)[편집] 율리우스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이전에는 로마의 역법에서 “여섯 번째 달”(라틴어: Sextilis)로 불리었던 달이, 아우구스투스의 시대 이후부터 8월(라틴어: Augustus, 영어: August)이라는 지금의 호칭으로 불리기 시작하였다.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8월이 31일이 된 이유는, 아우구스투스가 자신의 이름을 딴 8월과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이름을 딴 7월(July)이 똑같은 날짜 수를 가지길 원해서였다고 한다. 하지만 이는 13세기의 학자였던 사크로보스코의 요한네스(Johannes de Sacrobosco)가 지어낸 이야기이다. 실제로 8월은 이름이 '아우구스투스'로 바뀌기 전부터 31일이었다. 암브로시우스 테오도시우스 마크로비우스에 따르면, 이름이 '아우구스투스'로 바뀐 것은 로마 원로원의 결정이라고 한다.[200] 아우구스투스가 기원전 30년 8월에 알렉산드레이아를 함락한 뒤 권좌에 오르자, 이를 기리고자 8월을 '아우구스투스'로 바꾸었다는 것이다. 한편 수에토니우스에 따르면 카이사르가 제정했던 율리우스력이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역법에 혼란이 왔는데, 이를 바로 잡으면서 8월을 '아우구스투스'로 명명하였다고도 한다.[201] 건축[편집] 평화의 제단에 새겨진 돋을새김. 프랑스 비엔에 위치한 아우구스투스와 리비아의 신전. 아우구스투스는 죽기 전에 “나는 진흙으로 된 로마를 물려받았고, 대리석의 로마를 물려줬다.”라고 호언장담하였다. 디오 카시우스는 이 발언이 황제의 권력에 대한 은유라고 분석하였다.[202] 아우구스투스 이전의 시대에도 건물을 지을 때 대리석을 사용했고, 그 후에 대리석의 사용량이 갑자기 증가하지도 않았다.[203] 화재의 위험이 높았던 건물이 많았던 수부라 지역의 건설에 대리석을 많이 사용하지도 않았다. 그 대신 마르스 광장(Campus Martius) 근방에 평화의 제단(라틴어: Ara Pacis Augustae)과 같은 기념비적인 건물을 많이 세웠다. 평화의 제단 앞에는 해시계로 사용하기 위해 이집트로부터 가져온 거대한 오벨리스크가 놓여 있었다.[204] 《아우구스투스 업적록》에 따르면 평화의 제단에 새겨져 있는 돋을새김에는 아우구스투스의 노력으로 평화를 이룩한 것을 경축하고, 앞으로 오랫동안 로마 제국이 평화롭기를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었다고 한다.[205] 이 돋을새김에는 집정관, 여사제뿐만 아니라 로마의 시민들도 함께 새겨져 있다.[206] 아우구스투스는 또한 카이사르 신전, 아그리파 목욕탕을 지었으며, 마르스 신전이 딸려 있는 아우구스투스 포룸도 건설하였다. 다른 건설 사업들도 장려하였는데, 대표적인 건물로 아그리파가 지은 판테온, 아우구스투스가 건설 자금을 지원하고 다른 사람의 이름을 붙인 옥타비아 회랑, 마르켈루스 극장 등이 있다. 또한 아우구스투스는 가족을 위한 무덤으로 사용하기 위해 아우구스투스 영묘를 건설하였다.[207] 악티움 해전에서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여 기원전 29년에는 카스토르와 폴룩스 신전 근방에 아우구스투스 개선문이 건립되었고, 기원전 19년에는 이를 확장하였다.[203] 이러한 건설 사업은 제국 전역에서 행해졌는데, 현재까지도 과거 로마 제국의 영토였던 여러 곳에 아우구스투스의 시대에 건설된 건물이 남아 있다. 그 이후 로마 제정 시기 동안 그리스로부터 영향을 받은 코린토스 양식의 건물이 주를 이루었다.[203] 아그리파가 기원전 12년에 죽은 후, 아우구스투스는 아그리파가 개인 재산까지 기부해 가며 책임지던 수도 유지·보수 업무를 정비하여야 했다.[180] 그해 아우구스투스는 원로원이 지정한 3명의 원로원 의원이 로마의 수로교의 유지·보수 임무를 담당하도록 하였다.[180] 아우구스투스 통치 말기에는 다섯 명의 원로원 의원이 “공공사업청”(curatores locorum publicorum iudicandorum)이라 불리는 공공건물과 신전의 유지·보수를 맡았다.[180] 아우구스투스는 또한 “도로청”(curatores viarum)을 창설하여 정기적으로 각 지방의 가도 유지·보수를 담당하도록 했다.[184] 외모[편집] 수에토니우스는 아우구스투스의 외모에 대해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 용모와 자태에 기품이 어려 있고, 평생 언제 어느 때나 아름다워 사람들의 눈길을 끌었다. (중략) 그의 눈은 밝고 맑으며 형형히 빛났다. (중략) 머리칼은 엷은 금색이고 약간 곱슬머리였다. 양쪽 눈썹은 붙어 있고, 귀는 보통 크기였다. 콧마루는 끝에서 약간 솟아오르고 그 밑변이 안쪽으로 약간 구부러져 있었다. 피부는 거무스름하지도 않고 희지도 않고 딱 중간이었으며, 키는 작았다. — 수에토니우스(박광순 옮김) (1998).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1권 170쪽.  관련 항목[편집] 로마 황제 연대표 로마 제국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황조 아그리파 마이케나스 아우구스투스 업적록 아우구스투스 영묘 제2차 삼두 정치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티베리우스 각주[편집] ↑ 일부 속주는 로마 원로원이 통치하였다. ↑ CCAA, Erich S. Gruen, Augustus and the Making of the Principate, 35. ↑ 《로마의 역사: 아우구스투스 시대》 153쪽. ↑ 가 나 Eck, 3. ↑ 가 나 Eck, 124. ↑ 수에토니우스(박광순 옮김).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1998. 1권 92, 93쪽.  ↑ Rowell, 14. ↑ 수에토니우스(박광순 옮김) (1998).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1권 95, 96쪽.  ↑ 로마법에 따르면, 로마 시민은 어머니의 신분이 아닌 아버지의 신분에 따라 자신의 신분이 결정된다. ↑ Chisholm, 23. ↑ 가 나 다 라 수에토니우스(박광순 옮김) (1998).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1권 97쪽.  ↑ Nicolaus of Damascus, Augustus 3. ↑ Quintilian, 12.6.1. ↑ Nicolaus of Damascus, Augustus 4. ↑ 가 나 다 Rowell, 16. ↑ Nicolaus of Damascus, Augustus 6. ↑ Velleius Paterculus 2.59.3. ↑ 수에토니우스(박광순 옮김) (1998).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1권 82쪽.  ↑ 가 나 다 Eck, 9. ↑ Appian, Civil Wars 3.9–11. ↑ 그의 유일한 적녀이자 폼페이우스의 아내인 율리아는 이미 기원전 54년에 사망하였다. ↑ Rowell, 15. ↑ Mackay, 160. ↑ 가 나 다 라 마 바 Eck, 10. ↑ 수에토니우스(박광순 옮김) (1998).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1권 159쪽.  ↑ 가 나 Eck, 9–10. ↑ 가 나 Rowell, 19. ↑ Rowell, 18. ↑ CCAA, Walter Eder, Augustus and the Power of Tradition, 18. ↑ 아피아누스, Civil Wars 3.11–12. ↑ Chisholm, 24. ↑ Chisholm, 27. ↑ Rowell, 20. ↑ Eck, 11. ↑ Syme, 114–120. ↑ Chisholm, 26. ↑ Rowell, 30. ↑ Eck, 11–12. ↑ Rowell, 21. ↑ Syme, 123–126. ↑ 가 나 다 라 Eck, 12. ↑ 가 나 Rowell, 23. ↑ Rowell, 24. ↑ Chisholm, 29. ↑ Chisholm, 30. ↑ Rowell, 19–20. ↑ Syme, 167. ↑ Syme, 173–174 ↑ Scullard, 157. ↑ Rowell, 26–27. ↑ 가 나 다 Rowell, 27. ↑ Chisholm, 32–33. ↑ Eck, 14. ↑ Rowell, 28. ↑ Syme, 176–186. ↑ Sear, David R. “Common Legend Abbreviations On Roman Coins”. 2007년 8월 24일에 확인함.  ↑ 가 나 Eck, 15. ↑ 가 나 Scullard, 163. ↑ 가 나 다 라 Eck, 16. ↑ Scullard, 164. ↑ 가 나 Eck, 17. ↑ Syme, 202. ↑ 가 나 Eck, 17–18. ↑ 가 나 Eck, 18. ↑ Eck, 18–19. ↑ 가 나 다 라 Eck, 19. ↑ 가 나 Rowell, 32. ↑ 가 나 다 라 마 Eck, 20. ↑ Scullard, 162 ↑ 아이들의 이름은 알렉산드로스 헬리오스, 클레오파트라 셀레네 2세, 프톨레마이오스 필라델푸스였다. ↑ 가 나 다 라 Eck, 21. ↑ 가 나 다 라 CCAA, Walter Eder, Augustus and the Power of Tradition, 19. ↑ 가 나 Eck, 22. ↑ Eck, 23. ↑ 가 나 Eck, 24. ↑ 가 나 Eck, 25. ↑ Eck, 25–26. ↑ 가 나 다 라 마 Eck, 26. ↑ Scullard, 164 ↑ Eck, 26–27. ↑ Eck, 27–28. ↑ Eck, 29. ↑ Eck, 29–30. ↑ 가 나 Eck, 30. ↑ CCAA, Walter Eder, Augustus and the Power of Tradition, 20. ↑ Eck, 31. ↑ 그러나 이 선동은 소문이 아닌 사실로 밝혀졌다. ↑ Eck, 32–34. ↑ Eck, 34. ↑ Eck, 34–35 ↑ CCAA, Walter Eder, Augustus and the Power of Tradition, 21–22. ↑ Eck, 35. ↑ CCAA, Walter Eder, Augustus and the Power of Tradition, 22. ↑ 가 나 다 Eck, 37. ↑ Eck, 38. ↑ Eck, 38–39. ↑ Eck, 39. ↑ Green, 697. ↑ Scullard, 171. ↑ CCAA, Walter Eder, Augustus and the Power of Tradition, 21. ↑ 가 나 Eck, 49. ↑ CCAA, Erich S. Gruen, Augustus and the Making of the Principate, 34–35. ↑ 가 나 CCAA, 24–25. ↑ 가 나 CCAA, Erich S. Gruen, Augustus and the Making of the Principate, 38–39. ↑ 가 나 수에토니우스(박광순 옮김) (1998년). 〈신군 아우구스투스의 업적록〉.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1권 212쪽.  ↑ M.하이켈하임, 프리츠; 세트릭 A. 요; 앨런 M. 워드 (1999년 3월 10일). 《로마사(A History of the roman people)》. 서울: 현대지성사. 541쪽. ISBN 89-8347-011-9.  ↑ 시오노 나나미 (김석희 옮김) (1997). 《로마인 이야기 6 - 팍스 로마나》. 한길사. 33쪽.  ↑ Eck, 149 ↑ Eck, 45. ↑ 가 나 Eck, 80. ↑ 가 나 Scullard, 211. “…a predominant military power and that the ultimate sanction of his authority was force, however much the fact was disguised.” ↑ 가 나 Eck, 46. ↑ Scullard, 210. ↑ CCAA, Erich S. Gruen, Augustus and the Making of the Principate, 34. ↑ 가 나 Eck, 47. ↑ 하이켈하임의 《로마사》에서는 기원전 27년 아우구스투스의 조정 조치로 원로원이 맡게 된 속주를 "'원로원령' 속주"로, 황제가 자신의 레가투스와 대리인이 다스리는 지역을 "'황제령' 속주"로 쓰고 있다. 여기서는 이 표기를 따른다. p.544 ↑ 가 나 CCAA, Walter Eder, Augustus and the Power of Tradition, 24. ↑ M.하이켈하임, 프리츠; 세트릭 A. 요; 앨런 M. 워드 (1999년 3월 10일). 《로마사(A History of the roman people)》. 서울: 현대지성사. 544쪽. ISBN 89-8347-011-9.  ↑ 가 나 수에토니우스(박광순 옮김) (1998). 〈신군 아우구스투스의 업적록〉.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1권 214쪽.  ↑ R. 더들리, 도널드 (1997년 12월 1일). 《로마문명사》. 서울: 현대지성사. 181-182쪽.  ↑ Eck, 49 ↑ 가 나 Eck, 50. ↑ CCAA, Walter Eder, Augustus and the Power of Tradition, 13. ↑ 가 나 다 CCAA, Walter Eder, Augustus and the Power of Tradition, 25. ↑ Eck, 55. ↑ Eck, 55–56. ↑ 가 나 다 라 마 Eck, 56. ↑ CCAA, Erich S. Gruen, Augustus and the Making of the Principate, 38. ↑ 가 나 다 CCAA, Walter Eder, Augustus and the Power of Tradition, 26. ↑ Eck, 57. ↑ 가 나 M.하이켈하임, 프리츠; 세트릭 A. 요; 앨런 M. 워드 (1999년 3월 10일). 《로마사(A History of the roman people)》. 서울: 현대지성사. 546쪽. ISBN 89-8347-011-9.  ↑ CCAA, Erich S. Gruen, Augustus and the Making of the Principate, 37. ↑ 허승일 외 (2000년 10월 25일). 《로마 제정사 연구》.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54쪽. ISBN 89-8347-011-9.  ↑ 가 나 M.하이켈하임, 프리츠; 세트릭 A. 요; 앨런 M. 워드 (1999년 3월 10일). 《로마사(A History of the roman people)》. 서울: 현대지성사. 547쪽. ISBN 89-8347-011-9.  ↑ 수에토니우스(박광순 옮김) (1998).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1권 118쪽.  ↑ 시오노 나나미 (김석희 옮김) (1997). 《로마인 이야기 6 - 팍스 로마나》. 한길사. 79쪽.  ↑ Eck, 57–58. ↑ 가 나 수에토니우스(박광순 옮김) (1998). 〈신군 아우구스투스의 업적록〉.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1권 202쪽.  ↑ Eck, 59. ↑ CCAA, Walter Eder, Augustus and the Power of Tradition, 30. ↑ Bunson, 80. ↑ Bunson, 427. ↑ 가 나 Eck, 60. ↑ 가 나 Eck, 61. ↑ 가 나 수에토니우스(박광순 옮김) (1998).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1권 226쪽.  ↑ Eck, 117. ↑ 시오노 나나미 (김석희 옮김) (1997). 《로마인 이야기 6 - 팍스 로마나》. 한길사. 108쪽.  ↑ Eck, 78. ↑ 가 나 CCAA, Erich S. Gruen, Augustus and the Making of the Principate, 43. ↑ 수에토니우스(박광순 옮김) (1998). 〈신군 아우구스투스의 업적록〉.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1권 204쪽.  ↑ 가 나 Eck, 93. ↑ 수에토니우스(박광순 옮김) (1998). 〈신군 아우구스투스의 업적록〉.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1권 201쪽.  ↑ 수에토니우스(박광순 옮김) (1998).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1권 110쪽.  ↑ Eck, 94. ↑ 가 나 Eck, 97. ↑ M.하이켈하임, 프리츠; 세트릭 A. 요; 앨런 M. 워드 (1999년 3월 10일). 《로마사(A History of the roman people)》. 서울: 현대지성사. 678쪽. ISBN 89-8347-011-9.  ↑ Eck, 98–99. ↑ 가 나 Eck, 99. ↑ Bunson, 416. ↑ 가 나 다 Eck, 96. ↑ 수에토니우스(박광순 옮김) (1998).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1권 112쪽.  ↑ Eck, 103. ↑ Bunson, 417. ↑ 시오노 나나미 (김석희 옮김) (1997). 《로마인 이야기 6 - 팍스 로마나》. 한길사. 367쪽.  ↑ 가 나 CCAA, Erich S. Gruen, Augustus and the Making of the Principate, 50. ↑ 가 나 다 라 수에토니우스(박광순 옮김) (1998).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1권 153쪽.  ↑ 수에토니우스(박광순 옮김) (1998).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1권 227쪽.  ↑ 수에토니우스(박광순 옮김) (1998).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1권 233, 234쪽.  ↑ 수에토니우스(박광순 옮김) (1998).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1권 193쪽.  ↑ 수에토니우스(박광순 옮김) (1998).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1권 195쪽.  ↑ 수에토니우스. 《황제열전 아우구스투스전》71장  ↑ 독일어의 Kaiser, 러시아어의 Tsar 등 ↑ Suetonius, Augustus 101.4. ↑ Eck, 1–2 ↑ Eck, 2. ↑ 수에토니우스 (박광순 옮김) (1998).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1권 174쪽.  ↑ Bunson, 47. ↑ Shaw-Smith, 213. ↑ Bourne, 53–66. ↑ 가 나 다 라 Eck, 79. ↑ Bunson, 345. ↑ Eck, 85–87. ↑ Eck, 86. ↑ 가 나 Eck, 81. ↑ Chisholm, 122. ↑ Bunson, 6. ↑ Bunson, 341. ↑ Bunson, 341–342. ↑ 가 나 다 CCAA, Walter Eder, Augustus and the Power of Tradition, 23. ↑ 타키투스, 《연대기》(Annals) I.3 ↑ Kelsall, 120. ↑ 가 나 다 라 Starr, 5. ↑ 가 나 Starr, 6. ↑ 가 나 Kelsall, 118. ↑ 가 나 Kelsall, 119. ↑ 가 나 다 Eck, 83–84. ↑ 가 나 다 Bunson, 404. ↑ Bunson, 144. ↑ Bunson, 144–145. ↑ Macrobius, Saturnalia 1.12.35. ↑ 수에토니우스 (박광순 옮김) (1998).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122쪽. 역년을 조정할 때 아우구스투스는 8월을 자신의 별칭을 따서 ‘아우구스투스의 달’이라 명명하고, “내가 태어난 9월보다 오히려 8월을 택한 것은, 처음으로 집정관 직에 취임한 것이 마침 이 달이고, 또 특별히 빛나는 승리를 거둔 것도 이 달이기 때문이다”라고 변명했다.  ↑ Dio 56.30.3 ↑ 가 나 다 Bunson, 34. ↑ Eck, 122. ↑ 시오노 나나미 (김석희 옮김) (1997). 《로마인 이야기 6 - 팍스 로마나》. 한길사. 183쪽.  ↑ Bunson, 32. ↑ Eck, 118–121 참고 문헌[편집] Bourne, Ella. "Augustus as a Letter-Writer," Transactions and Proceedings of the American Philological Association (Volume 49, 1918): 53–66. Bowersock, G. W.; Kurt A. Raaflaub and Mark Toher (eds.) (1990). 〈The Pontificate of Augustus〉. 《Between Republic and Empire: Interpretations of Augustus and his Principate》.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80~394쪽. ISBN 0-520-08447-0.  Bunson, Matthew (1994). Encyclopedia of the Roman Empire. New York: Facts on File Inc. ISBN 0-8160-3182-7 Chisholm, Kitty and John Ferguson. (1981). Rome: The Augustan Age; A Source Book.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n association with the Open University Press. ISBN 0-19-872108-0. Dio Cassius, The Roman History: The Reign of Augustus, London, Penguin Books, 1987, ISBN 0-14-044448-3. Eck, Werner; translated by Deborah Lucas Schneider; new material by Sarolta A. Takács. (2003) The Age of Augustus. Oxford: Blackwell Publishing (hardcover, ISBN 0-631-22957-4; paperback, ISBN 0-631-22958-2). Eder, Walter. (2005). "Augustus and the Power of Tradition," in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Age of Augustus (Cambridge Companions to the Ancient World), ed. Karl Galinsky, 13-32. Cambridge, MA;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hardcover, ISBN 0-521-80796-4; paperback, ISBN 0-521-00393-8). Everitt, Anthony (2006) Augustus: The Life of Rome's First Emperor. Random House Books. ISBN 1400061288. Green, Peter (1990). 《Alexander to Actium: The Historical Evolution of the Hellenistic Age》. Hellenistic Culture and Society. Berkeley, CA; Los Angeles; Lond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0-520-05611-6 (hbk.); ISBN 0-520-08349-0 (pbk.).  Gruen, Erich S. (2005). "Augustus and the Making of the Principate," in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Age of Augustus (Cambridge Companions to the Ancient World), ed. Karl Galinsky, 33-51. Cambridge, MA;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hardcover, ISBN 0-521-80796-4; paperback, ISBN 0-521-00393-8). Kelsall, Malcolm. "Augustus and Pope," The Huntington Library Quarterly (Volume 39, Number 2, 1976): 117–131. Mackay, Christopher S. (2004). 《Ancient Rome: A Military and Political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80918-5.  Scullard, H. H. (1982) [1959]. 《From the Gracchi to Nero: A History of Rome from 133 B.C. to A.D. 68》 5판. London; New York: Routledge. ISBN 0-415-02527-3 (pbk.).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Shaw-Smith, R. "A Letter from Augustus to Tiberius," Greece & Rome (Volume 18, Number 2, 1971): 213–214. Shotter, D.C.A. "Tiberius and the Spirit of Augustus," Greece & Rome (Volume 13, Number 2, 1966): 207–212. Starr, Chester G., Jr. "The Perfect Democracy of the Roman Empire," The American Historical Review (Volume 58, Number 1, 1952): 1–16. Syme, Ronald (1939). 《The Roman Revolu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280320-4 (pbk.).  The classic revisionist study of Augustus Roebuck, C, The World of Ancient Times,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1966 Rowell, Henry Thompson. (1962). The Centers of Civilization Series: Volume 5; Rome in the Augustan Age. Norman: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ISBN 0-8061-0956-4 수에토니우스(박광순 옮김) (1998).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ISBN 89-88135-16-4.  외부 링크[편집] 역사 포털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아우구스투스 네이버캐스트 - 아우구스투스 1차 사료[편집] The Res Gestae Divi Augusti (《아우구스투스 업적록》, The Deeds of Augustus, his own account: 라틴어 및 그리스어 원본의 영어 번역본) 《황제전》, 수에토니우스, 라틴어 원본의 영어 번역본 《로마사》 디오 카시우스, 권 45–56, 영어번역본 Life of Augustus 다마스쿠스의 니콜라우스, 영어번역본 The Via Iulia Augusta, 기원전 13년 ~ 기원전 12년 사이에 아우구스투스에 의해 건설된 로마의 도로들. Gallery of the Ancient Art: August Humor of Augustus 2차 사료[편집] De Imperatoribus Romanis Augustus Caesar and the Pax Romana Octavian / Augustus Augustus and the Roman army—Mutual Loyalty and Rewards Augustus at BBC History Anthony Everitt, The First Emperor: Caesar Augustus and the Triumph of Rome (review) Borgies, Loïc, Le conflit propagandiste entre Octavien et Marc Antoine. De l'usage politique de la uituperatio entre 44 et 30 a. C. n., Brussels: Latomus, 2016. ISBN 978-90-429-3459-7. 전임카이사르 제1대 로마 제국 황제기원전 27년 - 14년 후임티베리우스 vdeh로마 황제원수정27 BC – 235 AD 아우구스투스 티베리우스 칼리굴라 클라우디우스 네로 갈바 오토 비텔리우스 베스파시아누스 티투스 도미티아누스 네르바 트라야누스 하드리아누스 안토니누스 피우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루키우스 베루스 콤모두스 페르티낙스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카라칼라 & 게타 마크리누스 엘라가발루스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군인 황제235–284 막시미누스 트락스 고르디아누스 1세 & 고르디아누스 2세 푸피에누스 & 발비누스 고르디아누스 3세 필리푸스 아라부스 데키우스 &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 호스틸리아누스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 볼루시아누스 아이밀리아누스 발레리아누스 갈리에누스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퀸틸루스 아우렐리아누스 타키투스 플로리아누스 프로부스 카루스 카리누스 누메리아누스 전제정284–395 디오클레티아누스 &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 & 갈레리우스 & 세베루스 & 막시미누스 2세 막센티우스 루키니우스 1세 & 발레리우스 발렌스 & 마르티아누스 & 루키니우스 2세 콘스탄티누스 1세 (대제) 콘스탄티누스 2세 콘스탄스 콘스탄티우스 2세 & 베트라니오 율리아누스 요비아누스 발렌티니아누스 1세 발렌스 그라티아누스 발렌티니아누스 2세 마그누스 막시무스 & 플라비우스 빅토르 테오도시우스 1세 (대제) 서로마 황제395–480 호노리우스 & 콘스탄티누스 3세 콘스탄티우스 3세 발렌티니아누스 3세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아비투스 마요리아누스 리비우스 세베루스 안테미우스 올리브리우스 글리케리우스 율리우스 네포스 로물루스 아우구스투스 동로마 황제395–1204 아르카디우스 테오도시우스 2세 마르키아누스 레오 1세 레오 2세 제논 바실리스쿠스 아나스타시우스 1세 유스티누스 1세 유스티니아누스 1세 유스티누스 2세 티베리우스 2세 콘스탄티누스 마우리키우스 포카스 이라클리오스 콘스탄티노스 3세 이라클로나스 콘스탄스 2세 콘스탄티노스 4세 유스티니아노스 2세 레온티오스 티베리오스 3세 필리피코스 아나스타시오스 2세 테오도시오스 3세 레온 3세 콘스탄티노스 5세 아르타바스도스 레온 4세 콘스탄티노스 6세 이리니 니키포로스 1세 스타우라키오스 미하일 1세 레온 5세 미하일 2세 테오필로스 미하일 3세 바실리오스 1세 레온 6세 알렉산드로스 콘스탄티노스 7세 로마노스 1세 로마노스 2세 니키포로스 2세 요안니스 1세 바실리오스 2세 콘스탄티노스 8세 조이 로마노스 3세 미하일 4세 미하일 5세 콘스탄티노스 9세 테오도라 미하일 6세 이사키오스 1세 콘스탄티노스 10세 로마노스 4세 미하일 7세 니키포로스 3세 알렉시오스 1세 요안니스 2세 마누일 1세 알렉시오스 2세 안드로니코스 1세 이사키오스 2세 알렉시오스 3세 알렉시오스 4세 알렉시오스 5세 니케아 황제1204–1261 콘스탄티노스 라스카리스 테오도로스 1세 요안니스 3세 테오도로스 2세 요안니스 4세 동로마 황제1261–1453 미하일 8세 안드로니코스 2세 & 미하일 9세 안드로니코스 3세 요안니스 5세 요안니스 6세 & 요안니스 5세 & 마쎄오스 안드로니코스 4세 요안니스 7세 & 안드로니코스 5세 마누일 2세 요안니스 8세 콘스탄티노스 11세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8013086 LCCN: n79033006 ISNI: 0000 0001 2122 7317 GND: 118505122 SELIBR: 176310 SUDOC: 032190026 BNF: cb12326866z (데이터) BIBSYS: 90747437 ULAN: 500058949 HDS: 10314 NLA: 35010212 NDL: 00650422 NKC: jn20000700093 BNE: XX102640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우구스투스&oldid=24532625" 분류: 기원전 63년 태어남14년 죽음로마의 황제로마 출신로마 제국의 집정관창업군주숨은 분류: 알찬 글요약이 필요한 글/2015년 8월요약이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요약이 필요한 글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CS1 관리 - 추가 문구14 종류의 전거 통제 정보를 포함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ULA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BN 매직 링크를 사용하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Аҧсшәа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ܐܪܡܝܐمصرىAsturianuAymar ar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Boarisch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islamaবাংলাབོད་ཡིག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Chavacano de ZamboangaMìng-dĕ̤ng-ngṳ̄НохчийнCebuanoکوردیCorsuČeštinaCymraegDanskDeutschZazakiDolnoserbskiދިވެހިބަސް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VõroFøroysktFrançaisFurlanFryskGaeilge贛語GalegoHausa客家語/Hak-kâ-ngîHawaiʻi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nterlingue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PatoisJawaქართულიQaraqalpaqshaАдыгэбзэKabɩyɛKongoGĩkũyũҚазақшаភាសាខ្មែរಕನ್ನಡKurdîКыргызчаLatinaLadinoLëtzebuergeschЛезгиLingua Franca NovaLimburgsLigureLumbaartLietuviųLatgaļuLatviešuमैथिलीBasa BanyumasanMalagasyBaso Minangkaba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Dorerin NaoeroNāhuatlNapulitanoPlattdüütschNederlandsNorsk nynorskNorskChi-ChewaOccitanLivvinkarjalaOromooଓଡ଼ିଆਪੰਜਾਬੀ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umantschRomânăArmãneashti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संस्कृतम्Саха тылаᱥᱟᱱᱛᱟᱲᱤ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Gagana Samo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eelterskBasa Sunda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ürkmençeTagalogTok Pisin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TwiТыва дылУдмурт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Vepsän kel’Tiếng ViệtWest-VlamsVolapükWalonWinaray吴语IsiXhosa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Zeêuws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6일 (토) 10:5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디비 필리우스 아우구스투스(Imperator Caesar divi filius Augustus, 기원전 63년 9월 23일 ~ 서기 14년 8월 19일)는 로마 제국 초대 황제(재위 기원전 27년 ~ 서기 14년)이다. 또한 로마 제국의 첫 번째 황조인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의 초대 황제이기도 하다. 본명은 가이우스 옥타비우스 투리누스(Gaius Octavius Thurinus)였으나, 카이사르의 양자로 입적된 후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옥타비아누스(Gaius Julius Caesar Octavianus)로 불렸다. 기원전 44년 옥타비아누스는 자신의 외할머니 율리아 카이사리스의 남동생이자 자신의 외종조부뻘인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암살되자, 유언장에 따라 카이사르의 양자가 되어 그 후계자가 되었다. 기원전 43년, 옥타비아누스는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와 함께 군사 정권인 제2차 삼두 정치를 열었다. 삼두 정치를 행한 집정관의 한 사람으로서 옥타비아누스는 효과적으로 로마와 속주를 지배하였고, 세력을 모아 히르티우스와 판사가 사후 집정관에 재선되었다. 이후 제2차 삼두 정치도 깨지는데 다른 집정관이었던 레피두스는 유배되고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기원전 31년 악티움 해전에서 패배한 뒤 자살하였다. 제2차 삼두 정치의 붕괴 후 옥타비아누스는 대외적으로 로마 공화국을 부활시키고 정부에 관한 권한은 로마 원로원에게 주었으나, 사실상 권력을 독점하였다. 유일한 통치자가 다스리지만 대외적으로는 공화국 형태인 정치 체제의 기틀을 다지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껍데기만 공화국인 이 나라는 훗날 로마 제국으로 불린다. 황제권은 옥타비아누스 이전에 로마를 통치했던 카이사르와 술라의 독재권과는 전혀 달랐다. 옥타비아누스는 로마의 원로원과 시민들로부터 “독재권을 부여받았지만” 거절하였다. 법에 따르면 ‘존엄자’(아우구스투스)라는 칭호를 받은 옥타비아누스에게 원로원은 평생 동안 권력을 가지도록 하였고 “호민관 권한”(tribunitia potestas)을 가졌으며 기원전 23년까지 집정관을 역임하였다. 아우구스투스는 재정적인 성공과 원정에서 얻은 물자, 제국 전체에 걸쳐 맺은 여러 피호 관계(clientela), 군인과 재향 군인의 충성, 원로원에서 부여한 여러 권한과 명예 그리고 사람들의 존경을 받아 절대적인 권력을 누렸다. 아우구스투스가 가진 로마의 정예병 로마 군단 다수를 통제할 수 있는 권한은 원로원에게 군사적인 위협이 되어 원로원의 결정을 억압하였고, 군사적 수단을 사용하여 원로원의 정적들을 제거하여 원로원이 자신에 복종하게끔 하였다. 아우구스투스의 통치는 로마의 평화(팍스 로마나)라 불리는 태평성대를 이루었다. 계속되는 변방에서의 전쟁과 황위를 둘러싼 1년의 내전(기원후 69년)에도 불구하고, 지중해 세계는 두 세기가 넘게 평화를 지속할 수 있었다. 아우구스투스는 로마 제국의 영토를 넓혔으며 제국의 국경과 동맹국을 보호하였고 파르티아와 평화 협정을 맺었다. 그는 로마의 조세 체계를 개선하였고 파발을 위해 육로 교통망을 구축하였으며 상비군과 소수의 해군 그리고 황제의 친위대인 로마 근위대를 창설하였다. 또한 로마에 경찰청과 소방청을 설치하였고 로마 시의 상당 부분을 재개발하였다. 아우구스투스는 죽기 전에 자신의 업적을 기록으로 남겼는데, 이것은 《아우구스투스 업적록》로 불리며 아직까지도 남아 있다. 서기 14년 그가 죽은 직후, 원로원과 민회는 아우구스투스를 신으로 선포하였고 로마인들의 숭배를 받았다. 이후 모든 로마 황제들이 그의 황제명인 ‘아우구스투스’와 ‘카이사르’를 이름으로 썼다. 또한 그를 기념하기 위해 기존의 "여덟 번째 달"(Sextilis)을 "아우구스투스"(Augustus)로 바꾸어 불렀다. 그의 황위는 양자인 티베리우스가 물려받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아우구스투스의 집권시절의 행보는 어땠는가? Assistant: 섹스투스 폼페이우스는 이탈리아 반도와 지중해 간의 군량 수송 거부로 이탈리아의 옥타비아누스를 위협하였는데 폼페이우스의 아들이 해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어서 이탈리아에 큰 기근의 원인이 되었다.[72] 폼페이우스가 제해권은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그를 ‘넵툰의 아들’(Neptuni filius)이라 불렀다.[73] 기원전 39년, 미세눔 조약으로 임시 평화 협정이 맺어졌는데 이탈리아의 해상 봉쇄가 풀리자 옥타비아누스는 폼페이우스에게 사르데냐, 코르시카, 시칠리아와,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내주었다. 그리고 폼페이우스가 기원전 35년에 집정관으로 임명되는 것을 보장해 주었다.[72][73] 세 명의 집정관과 섹스투스 폼페이우스 간의 영토 협정은 기원전 38년 1월 17일 옥타비아누스가 스크리보니아와 이혼하고 리비아와 재혼하자 균형이 흔들리기 시작하였다.[74] 폼페이우스의 휘하 제독 중 하나가 폼페이우스를 배신하고 옥타비아누스에게 도로 사르데냐와 코르시카를 반환하였다. 그러나 폼페이우스를 공격하려면 안토니우스의 지지가 절대적이었던 옥타비아누스는 협정을 맺어 삼두 정치 체제를 연장하여 기원전 37년부터 시작하여 5년 동안 로마를 공동으로 통치하기로 합의하였다.[58][75] 옥타비아누스의 지지를 얻은 안토니우스는 파르티아와의 원정을 위해 그의 지지 세력을 확대하였는데 그는 기원전 53년의 카르하이 전투에서의 패배를 복수하고 싶어하였다.[75] 타렌툼(Tarentum)의 협정에서 안토니우스는 옥타비아누스에게 120척의 전함을 주고 옥타비아누스는 2만 명의 군사를 파르티아와 싸우려는 안토니우스에게 보내준다고 약속하였다.[76] 그러나 옥타비아누스는 약속했던 병력의 불과 1/10인 2천 명밖에 보내주지 않았고 이러한 도발은 안토니우스가 6년 뒤 서로 전투에서 마주 대할 때까지 이 일을 두고두고 잊지 않았다 한다.[76] Human: 아래 페르디난트_1세_(신성_로마_황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페르디난트 1세 (신성 로마 황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페르디난트 1세 (신성 로마 황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페르디난트 1세 (신성 로마 제국)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페르디난트 1세Ferdinand I 지위 신성로마황제 재위 1556년 1월 16일-1564년 7월 25일 대관식 1558년 3월 14일 프랑크푸르트암마인 전임자 형 카를 5세 후임자 장남 막시밀리안 2세 로마인의 왕 (= 독일왕) 재위 1531년 1월 5일-1558년 5월 3일 전임자 형 카를 5세 후임자 장남 막시밀리안 2세 헝가리 국왕 재위 1526년 12월 17일-1564년 7월 25일 전임자 형 카를 5세 후임자 장남 막시밀리안 2세 크로아티아 국왕 재위 1526년 12월 16일-1564년 7월 25일 전임자 형 카를 5세 후임자 장남 막시밀리안 2세 보헤미아 국왕 재위 1526년–1564년 전임자 형 카를 5세 후임자 장남 막시밀리안 2세 오스트리아 대공 재위 1521년–1564년 전임자 형 카를 5세 후임자 분할상속 외스터라이히: 장남 막시밀리안 2세 티롤: 차남 페르디난트 2세 슈타이어: 삼남 카를 2세 신상정보 출생일 1503년 3월 10일 출생지 카스티야 연합왕국 알칼라데에나레스 사망일 1564년 7월 25일 사망지 오스트리아 대공국 빈 매장지 성 비투스 대성당 가문 합스부르크 부친 카스티야의 펠리페 1세 모친 후아나 1세 배우자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안나 자녀 막시밀리안 1세 쿠니군데 페르디난트 1세(독일어: Ferdinand I, 1503년 3월 10일 ~ 1564년 7월 25일)는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재위: 1556년 ~ 1564년)이다. 보헤미아의 국왕 페르디난트 1세(체코어: Ferdinand I.),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국왕 페르디난드 1세(헝가리어: I. Ferdinánd, 슬로바키아어: Ferdinand I. 페르디난트 1세, 크로아티아어: Ferdinand I. 페르디난드 1세)에 해당한다. 카를 5세의 동생으로,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인 막시밀리안 1세의 아들인 부르군트 공작인 미남공 필리프와 후아나 여왕의 차남이다. 1526년 보헤미아·헝가리의 왕으로 뽑혔고, 오스만 터키와 여러 번 싸웠으며, 제국을 통일하기 위해 크리스트 교도를 융숭히 대접하였다. 그는 독일 합스부르크 왕가의 시조이며, 1555년 아우크스부르크 종교 회의 성립에도 노력하였다. 목차 1 생애 1.1 초기 생애 1.2 오스트리아 통치와 헝가리 획득 2 자녀 3 참고 자료 생애[편집] 초기 생애[편집] 1503년 3월 10일 알칼라 데 에나레스(오늘날의 스페인 마드리드 주)에서 태어났다. 1506년 9월 24일 부르군트 공작이자 카스티야의 섭정왕이었던 아버지 필리프가 갑작스럽게 사망하였고 어머니인 후아나마저 정신 불안으로 인해 외조부이자 아라곤 국왕이었던 페르난도 2세 밑에서 자랐다. 페르난도와 생일이 비슷하다하여 많은 총애를 받았고 자신의 이름인 페르난도로 부르게 했다. 또한 형인 카를과 달리 아버지의 고향인 부르군트가 아닌 스페인에서 자라 한때 이방인과 다름없는 형을 제치고 외조부를 비롯한 스페인의 귀족들이 그를 후계자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1517년 페르난도 2세가 서거하면서 형 카를이 카를로스 1세로 스페인 국왕에 즉위하게 된다. 오스트리아 통치와 헝가리 획득[편집] 1521년 독일왕에 선출된 카를 5세로부터 집안의 영지중 하나이자 본가였던 오스트리아의 통치권과 그외 독일 영토와 뷔르템부르크 섭정직을 넘겨 받았다. 그는 형 카를 5세의 대리인이자 협조자로 독일 전체를 다스렸으며 이후 30년간 형을 대신해 제국회의에 참석하게 된다. 1526년 오스만 투르크의 슐레이만 1세가 헝가리 방면으로 침공하였고 이를 막기 위해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국왕이였던 처남 러요시 2세가 모하치 전투에서 전사하자 페르디난트 1세는 즉각 자신의 아내인 안나가 러요시 2세의 동생임을 강조하며 왕위 계승권을 주장하였고 그결과 보헤미아의 왕이 되었다. 또 페르디난트는 1527년에 세틴 성에 있는 크로아티아의 귀족들에 의해 만장일치로 크로아티아의 국왕이 되었다. 세틴 의회에서 페르디난트는 크로아티아를 오스만 제국의 침공으로부터 지키고 헝가리 왕국을 합치면서 크로아티아 인들의 역사적인 권리, 자유, 법, 풍습을 존중할 것을 약속했다. 헝가리에서 로오슈 2세의 비서인 니콜라우스 올라우스는 스스로 페르디난트 1세의 편에 가담했다. 1526년 브라티슬라바에서 페르디난트 1세는 헝가리의 왕으로 선출되었다. 하지만 페르디난트는 헝가리의 왕위를 둘러싸고 트란실바니아의 존 자포여와 대립하게 되었다. 자녀[편집] 엘리자베트(1526~1545) 폴란드 왕비 막시밀리안 2세(1527~1590)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안나(1528~1590) 바이에른 공작 부인 페르디난트(1529~1595) 오스트리아 대공 마리아(1531~1581) 윌리히클레브스베르크 공작 부인 막달레나(1532~1590) 카타리나(1533~1572) 폴란드 왕비 엘레오노라(1534~1594) 만투바 공작부인 마르가레테(1536~1566) 요한(1538~1539) 바르바라(1539~1572) 페라라 공작 부인 카를(1540~1590) 오스트리아 대공 우르줄라(1541~1543) 헬레나(1543~1574) 요하나(1546~1578) 토스카나 대공비 참고 자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임러요시 2세 헝가리 국왕, 보헤미아의 국왕, 크로아티아와 슬라보니아의 왕1526년 - 1564년 후임막시밀리안 2세 전임카를 5세 오스트리아 대공1521년 - 1564년 후임막시밀리안 2세 전임카를 5세 독일의 국왕1521년 - 1564년 후임막시밀리안 2세 전임카를 5세 신성로마황제1558년 - 1564년 후임막시밀리안 2세 vdeh신성로마황제Imperator Romanus Sacer서로마 황제카롤루스조(카롤링거 제국 서로마 황제) 카롤루스 1세 마그누스 루도비쿠스 1세 피우스 로타리우스 1세 루도비쿠스 2세 이우니오르 카롤루스 2세 칼부스 카롤루스 3세 크라수스 구이도 스폴레텐시스 람베르투스 스폴레텐시스 아르눌푸스 카린티아이 루도비쿠스 3세 카에쿠스 베렌가리우스 1세 포로이울리엔시스 오토조 오토 1세 오토 2세 오토 3세 하인리히 2세 로마 황제잘리어조 콘라트 2세 하인리히 3세 하인리히 4세 하인리히 5세 주플린부르크조 로타르 3세 신성황제호엔슈타우펜조 프리드리히 1세 하인리히 6세 벨프조 오토 4세 호엔슈타우펜조 프리드리히 2세 신성로마황제룩셈부르크조 하인리히 7세 비텔스바흐조 루트비히 4세 룩셈부르크조 카를 4세 지기스문트 독일국민의신성로마황제합스부르크조 프리드리히 3세 막시밀리안 1세 카를 5세 페르디난트 1세 막시밀리안 2세 루돌프 2세 마티아스 페르디난트 2세 페르디난트 3세 레오폴트 1세 요제프 1세 카를 6세 비텔스바흐조 카를 7세 합스부르크로트링겐조 프란츠 1세 요제프 2세 레오폴트 2세 프란츠 2세 vdeh독일의 군주프랑크인의 왕(-843년) 카롤루스 1세 마그누스 카를로마누스 1세 루도비쿠스 1세 피우스 (베르됭 조약) 동프랑크인의 왕(843–918) 루도비쿠스 2세 게르마니쿠스 카를로마누스 루도비쿠스 3세 이우니오르 카롤루스 3세 크라수스 아르눌푸스 카린티아이 루도비쿠스 4세 인판스 콘라두스 1세 독일왕 (918–962) 하인리히 1세 오토 1세 독일왕 겸신성로마황제(962–1806) 오토 1세 오토 2세 오토 3세 하인리히 2세 콘라트 2세 하인리히 3세 하인리히 4세 하인리히 5세 로타르 3세 콘라트 3세 프리드리히 1세 하인리히 6세 필리프 오토 4세 프리드리히 2세 콘라트 4세 루돌프 1세 아돌프 알브레히트 1세 하인리히 7세 루트비히 4세 카를 4세 벤첼 루프레히트 지기스문트 알브레히트 2세 프리드리히 3세 막시밀리안 1세 카를 5세 페르디난트 1세 막시밀리안 2세 루돌프 2세 마티아스 페르디난트 2세 페르디난트 3세 레오폴트 1세 요제프 1세 카를 6세 카를 7세 프란츠 1세 요제프 2세 레오폴트 2세 프란츠 2세 라인 동맹 보호자(1806–1813) 나폴레옹 독일 연방 의장(1815–1848) 프란츠 1세 페르디난트 1세 독일인의 황제(1849-1850)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제위 거부) 독일 연방 의장(1850–1866) 프란츠 요제프 1세 북독일 연방 의장(1867–1871) 빌헬름 1세 독일 황제(1871–1918) 빌헬름 1세 프리드리히 3세 빌헬름 2세 vdeh오스트리아 대공1세대 프리드리히 5세 알브레히트 6세 지기스문트 2세대 크리스토퍼 대공 막시밀리안 1세 요한 대공 볼프강 대공 3세대 펠리페 1세 프란츠 대공 4세대 카를로스 1세 페르디난트 1세 5세대 펠리페 2세¹ 막시밀리안 2세 페르디난트 2세 페르난도 대공¹ 후안 대공¹ 요한 대공 페르난도 대공¹ 카를 2세 6세대 아스투리아스 공 돈 카를로스¹ 페르디난트 대공 루돌프 5세 에른스트 대공 마티아스 막시밀리안 3세 알브레히트 7세 벤첼 대공 프리드리히 대공 카를 대공 아스투리아스 공 페르난도¹ 페르디난트 대공 카를로스 로렌소 대공¹ 아스투리아스 공 디에고¹ 펠리페 3세¹ 페르디난트 3세 카를 대공 막시밀리안 에른스트 대공 레오폴트 5세 카를 대공 7세대 카를 대공 펠리페 4세¹ 필리프 대공 요한카를 대공 알브레히트 대공 카를 대공¹ 페르디난트 4세 페르난도 대공¹ 알폰소 마우리시오 대공 레오폴트 빌헬름 대공 페르디난트 카를 대공 지기스문트 프란츠 대공 8세대 아스투리아스 공 발타사르 카를로스¹ 페르디난드 4세 프란치스코 페르난도 대공¹ 필리프 아우구스트 대공 막시밀리안 토마스 대공 레오폴트 6세 카를 요제프 대공 페르디난트 요제프 알로이스 대공 아스투리아스 공 펠리페 프로스페로¹ 페르난도 토마스 대공¹ 카를로스 2세¹ 9세대 페르디난트 벤첼 대공 요한 레오폴트 대공 요제프 1세 레오폴트 요제프 대공 카를 3세 10세대 레오폴트 요제프 대공 레오폴트 요한 대공 11세대 요제프 2세² 카를 루트비히 대공² 레오폴트 7세² 브라이스가우 공작 페르디난트² 쾰른 대주교 막시밀리안 프란츠² 12세대 프란츠 2세² 페르디난도 3세² 테셴 공작 카를² 헝가리 부왕 레오폴트 대공² 헝가리 부왕 요제프 대공² 안톤 빅토어 대공² 요한 대공² 레니에르 요제프 대공² 루트비히 대공² 루돌프 대공² 요제프 프란츠 대공³ 프란체스코 4세³ 페르디난트 카를 요제프³ 막시밀리안 대공³ 헝가리 대주교 카를³ 13세대 페르디난트 1세 프란체스코 레오폴도 대공² 레오폴도2세² 요제프 프란츠 대공 프란츠 카를 대공 요한 네푸모크 대공 테셴 공작 알브레히트 대공 헝가리 부왕 슈테판 카를 페르디난트 대공 프란체스코 5세³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 대공 오스트리아에스테 대공 페르디난트 카를 빅토어³ 루돌프 대공 레오폴트 루트비히 대공 에른스트 카를 대공 알렉산더 대공 지기스문트 레오폴트 대공 레니에르 페르디난트 대공 빌헬름 프란츠 대공 하인리히 안톤 대공 막시밀리안 카를 대공 요제프 카를 14세대 프란츠 요제프 1세 막시밀리아노 1세 카를 루트비히 대공 루트비히 빅토어 대공 페르디난도 4세² 카를 잘바토어² 레니에르 대공² 루트비히 잘바토어 대공² 요한 잘바토어 대공² 카를 대공 프란츠 요제프 대공 프리드리히 대공 카를 슈테판 대공 오이겐 대공 요제프 아우구스트 대공 라디슬라우스 대공 15세대 루돌프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³ 오토 프란츠 대공 페르디난트 카를 대공 레오폴도 페르디난도 대공² 요제프 페르디난도 대공² 피터 페르디난도 대공² 하인리히 페르디난도 대공² 로베르토 페르디난도 대공² 레오폴도 잘바토어 대공² 프란츠 잘바토어² 알브레히트 잘바토어 대공² 레니에르 잘바토어 대공² 페르디난트 잘바토어 대공² 테셴 공작 알브레히트 프란츠 대공 카를 알브레히트 대공 레오 카를 바실 비슈비아니 요제프 프란츠 대공 라디슬라우스 요제프 대공 마티아스 대공 16세대 카를 1세 막시밀리안 오이겐 대공 가트프리트 대공² 게오르크 대공² 레니에르 대공² 레오폴트 마리아 대공² 안톤 대공² 프란츠 요제프 대공² 카를 피우스 대공² 프란츠 카를 대공² 휴베르트 잘바토어 대공² 테오도르 잘바토어 대공² 클레멘스 잘바토어 대공² 요세프 아라파드 대공 이슈트반 대공 게저 대공 미카엘 콜로만 대공 17세대 오토 황태자 로베르트 대공³ 펠릭스 대공 카를 루트비히 대공 루돌프 대공 페르디난트 카를 대공 하인리히 마리아 대공 레오폴도 프란츠 대공² 군트람 대공² 라트보트 대공² 요한 대공² 게오르크 대공² 슈테판 대공² 도미니크 대공² 프리드리히 잘바토어 대공² 안드레아스 잘바토어 대공² 마르쿠스 대공² 요한 대공² 미하엘 대공² 프란츠 잘바토어 대공² 카를 잘바토어 대공² 요제프 카를 대공 안드레아스 아우구스틴스 대공 니콜라스 프란츠 대공 요한 제이콥 대공 에두아르트 카를 대공 파울 루돌프 대공 18세대 카를 대공 게오르크 대공 로렌츠 대공³ 게르하르트 대공³ 마르틴 대공³ 카를 필리프 대공 레이먼드 요제프 대공 이슈트반 대공 루돌프 대공 카를 크리스티안 대공 카를 피터 대공 시메온 대공 요하네스 대공 막시밀리안 하인리히 대공 필리프 요아힘 대공 프란츠 카를 대공 콘라드 대공 시기즈먼드² 게오르크 대공² 군트람 대공² 레오폴트 대공² 알렉산더 잘바토어 대공² 타디우스 잘바토어 대공² 카지미르 잘바토어 대공² 마티아스 대공² 요하네스 대공² 베른하르트 대공² 베네딕트 대공 요제프 알브레히트 대공 파울 레오 대공 프리드리히 키프리안 대공 베네딕트 알렉산더 대공 니콜라스 대공 산티아고 대공 파울 베네딕트 대공 19세대 페르디난트 즈보니미르 대공 카를 콘스탄틴 대공 아마데오 대공³ 조아생 대공³ 바르톨로메오스 대공³ 에마누엘레 대공³ 펠릭스 카를 대공 안드레아스 프란츠 대공 파울 요하네스 대공 카를 크리스티안 대공 요하네스 대공 토마스 대공 프란츠 루트비히 대공 미하엘 대공 요제프 대공 임레 대공 임레 대공 크리스토프 대공 알렉산더 대공 로렌츠 카를 대공 빌헬름 대공 요하네스 대공 루트비히 대공 필리프 대공 니콜라스 대공 콘스탄틴 대공 제이콥 막시밀리안 대공 레오폴트 아마데오 대공² 막시밀리안 대공² 레오폴트 대공² 콘스탄틴 잘바토어 대공² 파울 잘바토어 대공² ¹스페인 왕자 겸임/ ²토스카나 공자 겸임 / ³모데나 공자 겸임 vdeh헝가리의 군주아르파드 왕조(대공, 850년 ~ 1000년) 알모시 (850–895) 아르파드 (895–907) 졸탄 (907–950) 퍼이스 (950–955) 턱쇼니 (955–972) 게저 (972–997) 이슈트반 1세 (997–1000) 아르파드 왕조(왕, 1000년 ~ 1301년) 이슈트반 1세 (1000–1038) 페테르 (1038–1041; 1044–1046) 샤무엘 (1041–1044) 언드라시 1세 (1046–1060) 벨러 1세 (1060–1063) 셜러몬 (1063–1074) 게저 1세 (1074–1077) 라슬로 1세 (1077–1095) 칼만 (1095–1116) 이슈트반 2세 (1116–1131) 벨러 2세 (1131–1141) 게저 2세 (1141–1162) 이슈트반 3세 (1162–1172) 라슬로 2세 (1162–1163) 이슈트반 4세 (1163–1165) 벨러 3세 (1172–1196) 임레 (1196–1204) 라슬로 3세 (1204–1205) 언드라시 2세 (1205–1235) 벨러 4세 (1235–1270) 이슈트반 5세 (1270–1272) 라슬로 4세 (1272–1290) 언드라시 3세 (1290–1301) 프르셰미슬 왕조 벤첼 (1301–1305) 비텔스바흐 왕조 오토 (1305–1307) 앙주 왕조 카로이 1세 (1308–1342) 러요시 1세 (1342–1382) 마리어 1세 (1382–1385; 1386–1395) 카로이 2세 (1385–1386) 룩셈부르크 왕조 지그몬드 (1387–1437) 합스부르크 왕조 얼베르트 (1437–1439) 라슬로 5세 (1440–1457) 야기에우워 왕조 울라슬로 1세 (1440–1444) 후녀디 왕조 마차시 1세 (1458–1490) 야기에우워 왕조 울라슬로 2세 (1490–1516) 러요시 2세 (1516–1526) 서포여이 왕조 야노시 (1526–1540) 야노시 지그몬드 (1540–1570) 합스부르크 왕조 페르디난드 1세 (1526–1564) 믹셔 (1564–1576) 루돌프 (1576–1608) 마차시 2세 (1608–1619) 페르디난드 2세 (1619–1637) 페르디난드 3세 (1637–1657) 페르디난드 4세 (1647–1654) 리포트 1세 (1657–1705) 요제프 1세 (1705–1711) 카로이 3세 (1711–1740) 마리어 2세 테레지어 (1740–1780)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요제프 2세 (1780–1790) 리포트 2세 (1790–1792) 페렌츠 (1792–1835) 페르디난드 5세 (1835–1848) 페렌츠 요제프 (1848–1916) 카로이 4세 (1916–1918) vdeh보헤미아 군주프르셰미슬조(공작, 870년경-1198년) 보르지보이 1세 스피티흐네프 1세 브라티슬라프 1세 바츨라프 1세 볼레슬라프 1세 볼레슬라프 2세 볼레슬라프 3세 블라디보이 볼레슬라프 4세 야로미르 올드르지흐 브르제티슬라프 1세 스피티흐네프 2세 브라티슬라프 2세 콘라트 1세 브르제티슬라프 2세 보르지보이 2세 스바토플루크 블라디슬라프 1세 소베슬라프 1세 블라디슬라프 2세 베드르지흐 소베슬라프 2세 콘라트 2세 바츨라프 2세 오타카르 1세 브르제티슬라프 3세 블라디슬라프 3세 프르셰미슬조(국왕, 1198년-1306년) 오타카르 1세 바츨라프 1세 오타카르 2세 바츨라프 2세 바츨라프 3세 비왕조 인드르지흐 코루탄스키 루돌프 1세 루쳄부르스키조 얀 맹인왕 카렐 4세 (카렐 1세) 바츨라프 4세 지크문트 합스부르크조 알브레흐트 라디슬라프 포흐로베크 비왕조 이르지 스 포데브라트 마티아시 1세 (마티아시 코르빈) 야기에우워조 블라디슬라프 2세 루드비크 합스부르크조 페르디난트 1세 막스밀리안 루돌프 2세 마티아시 2세 페르디난트 2세 프리드리흐 페르디난트 3세 페르디난트 4세 레오폴트 1세 요세프 1세 카렐 2세 카렐 알베르트 마리에 테레지에 합스부르크로트링겐조 요세프 2세 레오폴트 2세 프란티셰크 1세 페르디난트 5세 프란티셰크 요세프 1세 카렐 3세 vdeh크로아트인의 왕크로아티아 공작(카롤루스 제국의 봉신) (전대 이름 미상) 포르가 비셰슬라브 보르나 블라디슬라프 미슬라브 트르피미르 1세 도마고이 일리코? 즈데슬라브 브라니미르 문치미르 토미슬라브 트르피미로비치조 토미슬라브 트르피미르 2세 크레시미르 1세 미로슬라브 미하일로 크레시미르 2세 & 옐레나 스체판 드르지슬라브 스베토슬라브 수로냐 고이슬라브 & 크레시미르 3세 스체판 1세 페타르 크레시미르 4세 대왕 드미타르 즈보니미르 스체판 2세 스바치치조(명목왕) 페타르 스바치치 아르파드조(헝가리와 동군연합) 옐레나 리예파 라디슬라브 1세 아르파도비치 알모시 (공작) 콜로만 애독왕 스체판 3세 벨라 2세 맹인왕 게이자 2세 스체판 4세 라디슬라브 2세 스체판 5세 벨라 3세 에메리크 라디슬라브 3세 안드리야 1세 벨라 4세 스체판 6세 라디슬라브 4세 안드리야 2세 카페조(헝가리·나폴리와 동군연합) 카를로 마르텔 카를로 1세 로베르트 루도비크 1세 대왕 마리야 1세 안주빈스카 카를로 2세 드라츠키 룩셈부르크조(헝가리·보헤미아와 동군연합) 지그문드 1세 룩셈부르슈키 야기에우워조(폴란드·보헤미아와 동군연합) 블라디슬라브 1세 야겔로비치 블라디슬라브 2세 야겔로비치 루도비크 2세 후녀디가(보헤미아와 동군연합) 마티야 1세 까마귀왕 합스부르크조(오스트리아·헝가리·보헤미아와 동군연합) 알베르트 1세 라디슬라브 5세 유복자왕 페르디난드 1세 합스부르슈키 막시밀리얀 1세 루돌프 1세 마티야 2세 페르디난드 2세 페르디난드 3세 레오폴드 1세 요시프 1세 카를로 3세 마리야 2세 테레지야 합스부르크로트링겐조(오스트리아·헝가리·보헤미아와 동군연합) 요시프 2세 레오폴드 2세 프라뇨 1세 페르디난드 4세 프라뇨 요시프 1세 카를로 4세 vdeh슈타이어마르크 공작Herzog von Steiermark오타카르조 오토카어 4세 바벤베르크가 레오폴트 5세 레오폴트 6세 프리드리히 2세 프르셰미슬조 오타카르 2세 아르파드조 벨러 4세 이슈트반 5세 합스부르크가 루돌프 1세 알브레히트 1세 루돌프 2세 루돌프 3세 프리드리히 데어 쇠네 & 레오폴트 1세 알브레히트 2세 & 오토 데어 프뢸리헤 루돌프 4세 알브레히트 3세 & 레오폴트 3세 레오폴트계: 빌헬름 에른스트 데어 아이제르네 프리드리히 5세 & 알브레히트 6세 막시밀리안 1세 카를 1세 페르디난트 1세 카를 2세 페르디난트 2세 전거 통제 WorldCat VIAF: 51698517 LCCN: n82050986 ISNI: 0000 0001 1026 6433 GND: 118532502 SELIBR: 214517 SUDOC: 027691500 BNF: cb119899663 (데이터) BIBSYS: 90575636 ULAN: 500354882 NLA: 35118165 NKC: jn20000700519 BNE: XX116361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페르디난트_1세_(신성_로마_황제)&oldid=23892140" 분류: 1503년 태어남1564년 죽음신성 로마 황제헝가리의 군주크로아트인의 왕보헤미아의 군주오스트리아 대공스페인의 왕자마드리드 출신가터 훈장황금양모 기사단슈타이어마르크 공작숨은 분류: 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체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헝가리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슬로바키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크로아티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ULA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lemannisch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rezhonegBosanski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atinaLëtzebuergesch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मराठीPlattdüütsch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est-Vlams吴语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1일 (목) 00: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페르디난트 1세(독일어: Ferdinand I, 1503년 3월 10일 ~ 1564년 7월 25일)는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재위: 1556년 ~ 1564년)이다. 보헤미아의 국왕 페르디난트 1세(체코어: Ferdinand I.),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국왕 페르디난드 1세(헝가리어: I. Ferdinánd, 슬로바키아어: Ferdinand I. 페르디난트 1세, 크로아티아어: Ferdinand I. 페르디난드 1세)에 해당한다. 카를 5세의 동생으로,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인 막시밀리안 1세의 손자다. 1526년 보헤미아·헝가리의 왕으로 뽑혔고, 오스만 트루크와 여러 번 싸웠으며, 제국을 통일하기 위해서 프로테스탄트들 타협하는 정책을 펼쳤다. 그는 독일 합스부르크 왕가의 시조이며, 1555년 아우크스부르크 종교 회의 성립에도 노력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페르디난트1세는 어떻게 해서 왕이 되었을까? Assistant: 1521년 독일왕에 선출된 카를 5세로부터 집안의 영지중 하나이자 본가였던 오스트리아의 통치권과 그외 독일 영토와 뷔르템부르크 섭정직을 넘겨 받았다. 그는 형 카를 5세의 대리인이자 협조자로 독일 전체를 다스렸으며 이후 30년간 형을 대신해 제국회의에 참석하게 된다. 1526년 오스만 투르크의 슐레이만 1세가 헝가리 방면으로 침공하였고 이를 막기 위해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국왕이였던 처남 러요시 2세가 모하치 전투에서 전사하자 페르디난트 1세는 즉각 자신의 아내인 안나가 러요시 2세의 동생임을 강조하며 왕위 계승권을 주장하였고 그결과 보헤미아의 왕이 되었다. 또 페르디난트는 1527년에 세틴 성에 있는 크로아티아의 귀족들에 의해 만장일치로 크로아티아의 국왕이 되었다.
Human: 아래 대한민국의_소방청_차장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한민국의 소방청 차장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의 소방청 차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의 중앙소방본부 소방조정관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소방청 차장(消防廳 次長)은 청장을 보좌하는 직위로, 소방정감으로 보한다.[1] 목차 1 임명 2 역할 3 역대 소방청 차장 3.1 소방방재청 차장 3.2 중앙소방본부 소방조정관 3.3 소방청 차장 4 같이 보기 5 각주 임명[편집] 소방청 차장은 대통령이 임명한다. 역할[편집] 소방청에 차장은 청장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청장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그 직무를 대행한다. 역대 소방청 차장[편집] 소방방재청 차장[편집] 정부 대수 이름 계급 임기 비고 노무현 정부 초대 박창순(朴彰淳) 소방정감 2004년 6월 1일 ~ 2006년 3월 6일 2대 황정연(黃正淵) 2006년 3월 7일 ~ 2008년 3월 12일 이명박 정부 3대 박연수(朴演守) 일반직 2008년 3월 13일 ~ 2009년 10월 14일 4대 이기환(李起桓) 소방정감 2009년 11월 5일 ~ 2011년 7월 26일 5대 방기성(方基成) 2011년 8월 1일 ~ 2013년 4월 23일 박근혜 정부 6대 조성완(趙成琓) 2013년 5월 6일 ~ 2014년 10월 30일 7대 조송래(趙宋來) 2014년 10월 31일 ~ 2014년 11월 18일 중앙소방본부 소방조정관[편집] 정부 대수 이름 계급 임기 비고 박근혜 정부 직무대행 박두석(朴斗錫) 소방감 2014년 11월 19일 ~ 2015년 2월 1일 초대 박두석(朴斗錫) 소방정감 2015년 2월 2일 ~ 2015년 10월 24일 2대 조종묵(趙鐘默) 2016년 6월 9일 ~ 2017년 7월 25일 소방청 차장[편집] 정부 대수 이름 계급 임기 비고 문재인 정부 초대 조종묵(趙鐘默) 소방정감 2017년 7월 26일 ~ 2017년 8월 7일 2대 우재봉(禹再鳳) 소방정감 2017년 8월 25일 ~ 2018년 10월 4일 3대 신열우 소방정감 2018년 10월 5일 ~ 같이 보기[편집] 소방청 소방청장 대한민국 소방공무원 각주[편집] ↑ 소방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제5조 vdeh 대한민국 소방청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 검찰청 병무청 방사청 경찰청 소방청 문화재청 농진청 산림청 특허청 기상청 행복청 새만금청 해경청 본청 소속 청장 차장 중앙소방학교 중앙119구조본부 수도권119특수구조대 시흥119화학구조센터 영남119특수구조대 구미119화학구조센터 울산119화학구조센터 호남119특수구조대 익산119화학구조센터 여수119화학구조센터 충청강원119특수구조대 서산119화학구조센터 충주119화학구조센터 산하 공공기관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소방장비검사검수센터 소관기관 대한소방공제회 소방산업공제조합 전국의용소방대연합회 재향소방동우회 한국소방시설협회 한국소방안전협회 지방소방본부 서울 경기 경북 충남 부산 전남 인천 경남 강원 충북 전북 대구 광주 대전 울산 제주 창원 세종 관련 항목 대한민국의 소방 대한민국의 소방관 계급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한민국의_소방청_차장&oldid=23026609" 분류: 대한민국 소방청대한민국의 관직과 칭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5일 (목) 19:2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소방청 차장(消防廳 次長)은 청장을 보좌하는 직위로, 소방정감으로 보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대한민국에서 중앙소방본부 소방조정관을 역임한 사람들은 누구인가요? Assistant: 정부 대수 이름 계급 임기 비고 박근혜 정부 직무대행 박두석(朴斗錫) 소방감 2014년 11월 19일 ~ 2015년 2월 1일 초대 박두석(朴斗錫) 소방정감 2015년 2월 2일 ~ 2015년 10월 24일 2대 조종묵(趙鐘默) 2016년 6월 9일 ~ 2017년 7월 25일 Human: 아래 백합속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백합속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백합속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나리속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백합속 Lilium pardalinum 생물 분류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외떡잎식물군 목: 백합목 과: 백합과 속: 백합속 (Lilium) 종 본문 참조 백합속(白合屬) 혹은 나리속(--屬)은 백합과에 속하는 식물로 약 110여 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백합의 학명은 Lilium longiflorum 이다. 백합과 백합속에 속하는 식물 모두를 가리키는 이름으로 아시아에 71종, 유럽 및 러시아에 22종, 북아메리카에 37종으로 도합 130종이 자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목차 1 종류 1.1 나팔나리아속 1.2 산백합아속 1.3 빈틈나리아속 1.4 토용나리아속 2 형태 2.1 뿌리 2.2 줄기 2.3 잎 2.4 꽃 3 재배 4 이용 5 문화 5.1 꽃말 5.2 설화, 종교 6 종 7 사진 8 각주 9 참고 문헌 10 외부 링크 종류[편집] 종류로는 우리에게 백합의 대명사로 잘 알려진 나팔백합을 비롯하여 고사백합·하늘나리·참나리·솔나리·중나리 등이 있다. 백합은 다음의 4아속으로 분류할 수 있다. 나팔나리아속[편집] 꽃은 나팔 모양으로서, 옆 또는 아래 쪽을 향해 핀다. 흰색 또는 엷은 분홍색이 많고 향기가 있으며 반점은 없다. 여기에 속하는 것으로 나팔나리·선녀나리·당개나리·마돈나나리·리갈나리 등이 있다. 산백합아속[편집] 꽃은 술잔 모양으로서, 꽃잎의 중앙부는 넓고 옆 또는 아래쪽을 향해 핀다. 흰색 꽃이며 향기가 있고 반점이 있다. 산백합·사크백합 등이 있다. 빈틈나리아속[편집] 꽃은 술잔 모양으로 위를 향해 피고, 꽃잎의 앞끝 부분이 넓으며, 꽃의 밑동 부분은 갑자기 얇아져서 투명하다. 꽃색은 귤색이 많으며 향기가 없고 반점이 많다. 날개 하늘나리·빈틈나리류·하늘나리 등이 있다. 토용나리아속[편집] 꽃은 꽃잎이 뒤로 많이 젖혀져서 구모양을 하고, 아래를 향해 피며 반점이 많다. 토용나리·참나리·중나리·섬말나리·헨리백합 등이 있다. 형태[편집] 뿌리[편집] 알뿌리는 형태상으로는 비늘줄기로서 줄기가 변화한 부분에 잎이 변화해서 두꺼워진 비늘조각잎이 형성되어 있다. 튤립처럼 겉껍질이 없는 무피(無皮) 알뿌리로서 마르기 쉽고 비늘조각잎도 벗겨지기 쉽다. 저장 양분으로서는 녹말립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쓴맛이 없는 산나리 등은 식용한다. 색은 흰색이 많은데 노란색이나 갈자색인 종도 있다. 모양은 종류나 생육단계에 따라 다르며 구모양에서 포탄모양까지 여러 가지다. 크기는 작은 구모양의 종은 지름 약 2 cm, 무게 4-5g인 데 대하여, 큰 구모양인 종은 지름 20 cm 이상, 무게 약 1kg이나 된다. 뿌리는 어미알뿌리의 위뿌리와 어미알뿌리의 아래뿌리로 나뉘는데 어미알뿌리의 아래뿌리는 아래쪽으로의 견인작용이 있어서 주로 알뿌리의 안정을 유지하며, 2-3년 산다. 어미알뿌리의 위뿌리는 발아 후의 양분과 수분의 흡수, 줄기 안정 작용 등을 하며 1년 만에 말라죽는다. 줄기[편집] 줄기는 원형이고 분지하지 않으며, 직립하지만 대화(帶化)한 경우에는 편평하게 되어 많은 꽃이 달리는데 산백합에서는 150개 이상 피는 경우도 있다. 잎[편집] 잎은 바소꼴로서 중국이 원산지인 것은 버드나무나 대나무의 잎을 닮은 것이 많고, 북아메리카 원산은 팔손이와 비슷한 돌려나기잎으로 되는 것이 많다. 보통 잎은 녹색인데 농담에 차이가 있다. 또 잎의 다소, 광택, 솜털의 유무 등에 차이가 있다. 꽃[편집] 꽃은 총상꽃차례로서 가지끝에 피며, 보통은 홑꽃이지만 2겹꽃·8겹꽃으로 피는 종도 있다. 꽃이 피는 방향은 위·옆·아래로 종류에 따라 다르다. 꽃모양은 통모양·술잔모양·구모양 등 변화가 많으며, 크기도 3–4 cm 가량의 종에서 30cm에 달하는 큰 종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꽃덮이조각은 6장인데, 3장의 넓은 속꽃덮이조각과 꽃받침조각이 변한 폭좁은 3장의 겉꽃덮이조각으로 구성된다. 속꽃덮이조각 안쪽에는 꿀샘이 있는데 종류에 따라 유상(乳狀)돌기와 반점이 있는 종도 있다. 수술은 6개인데 양쪽 끝에는 큰 꽃밥이 T자 모양으로 붙는다. 암술은 1개로서 자가수정을 피하기 위해 암술머리 부분은 길게 튀어나와 있으며, 수분하기 쉽도록 크고 점성이 있다. 개화기는 한랭지형은 빠르고(5월 무렵) 난지형은 늦다(8월 무렵), 꽃빛은 파랑·검은 보라색 계통을 제외하고 거의 모든 색이 있으며, 흰색·분홍·빨강의 플라본과 안토시안계 색소가 들어 있는 꽃은 향기가 있는데, 노랑·주황색의 카로티노이드계 색소가 들어 있는 꽃은 향기가 없다. 재배[편집] 한랭지로부터 온난지까지 다양한 기후에 분포한다. 저온기는 휴면하여 추위를 피하고, 따뜻한 계절에만 생육·개화한다. 이 때문에 거의 모든 품종을 파헤쳐야 하는데, 이식은 지상부의 생육이 끝나는 10-11월이 정식(定植)의 적기이다. 정식시기가 늦어지면 발근한다. 또 보존 상태가 나쁘면 알뿌리가 건조해서 소모하며 바이러스병이 많이 생기므로 반드시 적기에 심는다. 보수·배수가 좋고, 경토(耕土)가 깊고 부식질이 풍부한 약간 점질토양인 곳이 적지이다. 나팔나리·빈틈나리·리갈나리 등 햇빛, 통풍을 좋아하는 종류는 빛이 잘 드는 곳에 심는다. 산백합·섬말나리 등 반음지를 좋아하는 것은 강한 빛과 석양이 비치어 지온이 올라가는 장소를 싫어하므로 이러한 장소를 피해서 심으면 오랜 기간에 걸쳐 개화한다. 화분심기의 경우는 부식토와 완숙된 퇴비가 40-50% 들어 있고 보수와 배수가 좋은 배양토를 사용한다. 알뿌리나누기·새끼알뿌리·씨부리기·비늘조각 등으로 번식한다. 또 조직배양이나 줄기를 묻어서 증식시키기도 한다. 씨뿌리기는 생육이 빠르며 씨뿌리기 후 1-2년 이내에 꽃이 핀다. 발아 온도는 25℃ 전후이다. 둘러싸기를 하면 2주 사이에 발아한다. 7-8월에 알뿌리의 비늘조각을 떼어내어 모래에 꽂으면 40-60일 만에 작은 알뿌리가 생긴다. 또 약 23℃에서 건조해지지 않도록 관리하고, 잘 기르면 다음해 70-80% 꽃이 피고 가을에 지름 5-6cm의 알뿌리가 생긴다. 이용[편집] 참나리·중나리·산백합의 알뿌리를 가을·겨울에 캐어서 식용한다. 알뿌리의 성분은 수분 67%, 당 27.2%이며, 단백질은 3.7% 함유되어 있다. 무기질은 인이 100㎎ 중 70mg이며, 칼륨도 많지만 칼슘은 겨우 10mg으로 극히 적은 것이 특징이다. 비타민류는 적다. 포도당과 만노오스로 된 글루코만난을 주로 하는 점질물이 함유되어 있다. 익히면 주로 단맛이 나지만 떫은맛과 쓴맛도 난다. 요리를 할 때는 먼저 한번 데치거나 술을 넣어 떫은 맛을 없앤 뒤에 하는 것이 좋다. 조직이 부드럽기 때문에 센불에서 너무 가열하면 문드러지는데, 백반을 조금 넣으면 펙틴이 불용화하므로 문드러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문화[편집] 꽃말[편집] 순결 무죄 평범 순수 설화, 종교[편집] 에덴 동산에서 아담, 이브가 금단의 열매를 따먹은 후 쫓겨나 외로움을 느낀 이브가 흘린 눈물이 흰 나리가 되었다는 설화가 있다.[1] 기독교에서는 '성모의 꽃'이라는 이름이 붙어져 있다.[1] 종[편집] Lilium akkusianum Lilium albanicum 털중나리(Lilium amabile) Lilium amoenum Lilium anhuiense Lilium arboricola 산나리(Lilium auratum) Lilium bakerianum Lilium bolanderi Lilium brevistylum 당나리(Lilium brownii) Lilium bulbiferum 땅나리(Lilium callosum) Lilium canadense Lilium candidum Lilium carniolicum Lilium catesbaei 솔나리(Lilium cernuum) Lilium chalcedonicum Lilium ciliatum Lilium columbianum 하늘나리(Lilium concolor) Lilium davidii Lilium debile 말나리(Lilium distichum) Lilium duchartrei Lilium fargesii Lilium floridum Lilium formosanum Lilium grayi Lilium habaense 섬말나리(Lilium hansonii) Lilium henrici Lilium henryi Lilium huidongense Lilium humboldtii Lilium iridollae Lilium jankae Lilium japonicum Lilium jinfushanense Lilium kelleyanum Lilium kelloggii Lilium kesselringianum 참나리(Lilium lancifolium 또는 L. tigrinum) Lilium lankongense Lilium ledebourii 중나리(Lilium leichtlinii) Lilium leucanthum Lilium lijiangense 백합(Lilium longiflorum) Lilium lophophorum Lilium mackliniae Lilium maculatum Lilium maritimum Lilium martagon Lilium matangense Lilium medeoloides Lilium medogense Lilium michauxii Lilium michiganense Lilium monadelphum Lilium nanum Lilium nepalense Lilium nobilissimum Lilium occidentale Lilium oxypetalum Lilium papilliferum Lilium paradoxum Lilium pardalinum Lilium parryi Lilium parvum 날개하늘나리(Lilium pensylvanicum 또는 L. dauricum) Lilium philadelphicum Lilium philippinense Lilium pinifolium Lilium platyphyllum Lilium poilanei Lilium polyphyllum Lilium pomponium Lilium ponticum Lilium primulinum Lilium puberulum Lilium puerense Lilium pumilum Lilium pyi Lilium pyrenaicum Lilium pyrophilum Lilium regale Lilium rhodopeum Lilium rosthornii Lilium rubellum Lilium rubescens Lilium saccatum Lilium sargentiae Lilium sempervivoideum Lilium sherriffiae Lilium souliei Lilium speciosum Lilium stewartianum Lilium sulphureum Lilium superbum Lilium szovitsianum Lilium taliense Lilium tianschanicum 하늘말나리(Lilium tsingtauense) Lilium wallichianum Lilium wardii Lilium washingtonianum Lilium wenshanense Lilium xanthellum 사진[편집] Lilium auratum var. virginale Asiatic Lily Lilium longiflorum Lilium 'Matrix' 각주[편집] ↑ 가 나 김성기 (2008년 1월 5일). 《물망초의 꽃말은 무엇일까요?》. 서울: 아동교육미디어. 32~33쪽쪽.  참고 문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백합속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생물 분류 식별자 Wd: Q5194627 APDB: 192148 EoL: 32531 EPPO: 1LILG FloraBase: 44570 FNA: 118558 FoC: 118558 GBIF: 2752977 GRIN: 6829 iNaturalist: 48928 IRMNG: 1120961 ITIS: 42722 NCBI: 4688 NZOR: 23015c77-db7c-442d-8c85-721ce38f2430 PLANTS: LILIU POWO: urn:lsid:ipni.org:names:30009317-2 트로피코스: 40006767 VASCAN: 1344 WCSP: 280381 전거 통제 NDL: 0057449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백합속&oldid=24516847" 분류: 백합속원예 식물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구근류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From 변수가 없는 생물 분류 식별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생물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བོད་ཡིགBosanskiCatalàCebuanoČeština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HrvatskiHornjoserbsce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urdî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ingua Franca NovaLumbaartLietuviųLatviešuമലയാളംमराठी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 nynorskOccitanИронPolski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سنڌي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తెలుగు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alonWinaray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3일 (수) 08:4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백합속(百合屬) 혹은 나리속(--屬)은 백합과에 속하는 식물로 약 110여 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백합의 학명은 Lilium longiflorum이다. 백합과 백합속에 속하는 식물 모두를 가리키는 이름으로 아시아에 71종, 유럽 및 러시아에 22종, 북아메리카에 37종으로 도합 130종이 자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백합속 씨앗의 발아 온도는 몇도 전후야? Assistant: 25℃
Human: 아래 공_(불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공 (불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공 (불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불교 佛敎 “ 가자 가자 피안으로.피안으로 아주 가자,영원한 깨달음으로. ”   — 《반야심경》 교의와 용어 사성제 팔정도 깨달음 삼법인 사법인 법 번뇌 업 오온 윤회 수행 열반 연기 중도 선정 반야 마음 마음작용 진여 법성 색 공 유식 여래장 인물 석가 십대제자 용수 역사와 종파 원시불교 부파불교 상좌부 불교 대승불교 경전 경장 율장 논장 팔리어 한역 티베트 성지 룸비니 부다가야 사르나트 라지기르 슈라바스티 산카샤 바이샬리 쿠시나가르 지역별 불교 한국 미얀마 스리랑카 인도 일본 중국 태국 티베트 v • d • e • h 공(空)은 순야타(산스크리트어: शून्यता, Śūnyatā, →비어 있음 · 공허(空虛))를 번역한 것으로, 일체개공(一切皆空)을 주장하는 공 사상(空思想)은 불교를 일관하는 기본 교의 또는 사상이다. 공 사상은 대승불교(大乘佛敎)가 흥기하게 되자 특히 《반야경(般若經)》 계통의 근본사상으로 강조되었다. 원래, 공 사상은 부파불교(部派佛敎) 시대에서 상좌부(上座部) 계통의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를 중심으로 주장된 법유(法有)의 입장을 예리하게 비판하고, 일체의 존재를 상의상대(相依相待: 서로 의존함)라는 연기(緣起)의 입장에서 파악하며, 일체의 아집(我執)과 법집(法執)을 배격한 무애자재(無礙自在)의 세계를 전개하려고 한 것이다. 《반야경(般若經)》과 용수의 《중론(中論)》 등에 나오는 공 사상을 바탕으로 성립된 인도 불교의 종파가 중관파이다. 중국 · 한국 · 일본 불교의 삼론종은 《중론》·《십이문론》·《백론》의 삼론을 연구 · 강술하는 종파로 인도 불교의 중관파에 해당한다.[1] 공 사상은 인도 대승불교의 이대조류인 중관파와 유가유식파 모두의 근저가 되는 사상이다. 유가유식파에서도 공 사상이 중시된 것은 유가유식파와 법상종의 소의 논서인 《성유식론(成唯識論)》의 서두에서 논의 저술 목적 중의 하나로, 이공(二空: 두 가지 공)에 대해서 미혹된 견해나 잘못된 견해를 가진 사람들이 이공(二空)의 교의를 바르게 이해할 수 있게 하여 그들이 해탈(열반)과 보리(반야)로 나아갈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하는 것에서 잘 알 수 있다.[2] 또한, 중국 · 한국 · 일본 · 티베트 등의 대승불교는 모두 인도의 대승불교를 바탕으로 하므로, 공 사상은 대승불교 전체의 기초적인 또는 근본적인 교의라고 할 수 있다. 목차 1 공 사상 2 2공 2.1 이치로서의 2공 2.1.1 아공 2.1.2 법공 2.2 경지로서의 2공 3 3공 3.1 아공 3.2 법공 3.3 구공 4 함께 보기 5 참고 문헌 6 각주 공 사상[편집] 대승불교에서 공은 여러 가지 뜻으로 설명되는데, 특히 허무적(虛無的)인 뜻으로 이해하는 것을 강력하게 배척하고 있다. 대체로 다음과 같은 내용이라 할 수 있다. 일체개공(一切皆空)은 만유의 모든 현상은 그 성품으로 보면 다 공하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반야경(般若經)》 계통의 경전과 중관론의 주장이다. 이러한 불교 교의를 공 사상(空思想)이라고 한다. 공(空)은 존재물(存在物)에는 자체(自體) · 실체(實體) · 아(我)라는 것이 없음을 뜻한다. 이 교의는 이미 고타마 붓다 당시의 원시불교에서, 모든 현상은 인연소생(因緣所生), 즉 인(因)과 연(緣)이 가적(假的)으로 화합해서 생겨난 것이기 때문에 거기에는 아(我)라는 실체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한 불교의 근본적인 입장인 제법무아(諸法無我)에 해당한다. 즉, 각 개인 자신의 존재를 포함한 모든 존재("법 · 法")는 인연(因緣)에 따라 생기(生起)한 것이기 때문에 연기(緣起)의 법칙에 의해 지금 존재하고 있다는 측면에서만 그 존재성이 가적(假的)으로(임시적으로) 인정될 수 있는 것("오온의 가화합")이며, 실제로는 거기에는 어떠한 항상불변(恒常不變)한 자아(自我)나 실체(實體) 같은 것은 없는 제행무상 · 제법무아이며, 때문에 모든 것은 "공(空)"이라고 설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공 사상에서는, "공(空)"을 관조하는 것이 곧 연기(緣起)의 법칙을 보는 것이며 또한 진실한 세계인 중도(中道)의 진리에 눈을 뜨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은 또한 대승불교 실천의 기초가 된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서는 특히 대승경전 중 《반야경(般若經)》과 이에 입각하여 용수(龍樹)가 저술한 논서인 《중론(中論)》에서 명백하게 밝혀 두고 있다. 《중론》 제24장 〈관사제품(觀四諦品)〉에는 아래와 같은 유명한 "인연소생법(因緣所生法: 법 · 존재 또는 현상은 인과 연에 의해 생겨난다)"의 게송이 있다. 諸法有定性。則無因果等諸事。如偈說。  眾因緣生法  我說即是無  亦為是假名  亦是中道義  未曾有一法  不從因緣生  是故一切法  無不是空者 眾因緣生法。我說即是空。何以故。 眾緣具足和合而物生。是物屬眾因緣故無自性。 無自性故空。空亦復空。但為引導眾生故。 以假名說。離有無二邊故名為中道。 是法無性故不得言有。亦無空故不得言無。 若法有性相。則不待眾緣而有。 若不待眾緣則無法。是故無有不空法。 각각의 법이 고정된 성품(定性)을 지니고 있다면 곧 원인과 결과 등의 모든 일이 없어질 것이다. 때문에 나는 다음과 같은 게송으로 설명한다.  여러 인(因)과 연(緣)에 의해 생겨나는 것이 법(法: 존재)이다.  나는 이것을 공하다(無)고 말한다.  그리고 또한 가명(假名)이라고도 말하며,  중도(中道)의 이치라고도 말한다.  단 하나의 법(法: 존재)도 인과 연을 따라 생겨나지 않은 것이 없다.  그러므로 일체의 모든 법이 공하지 않은 것이 없다. 여러 인(因)과 연(緣)에 의해 생겨나는 것인 법(法: 존재)을 공하다(空)고 나는 말한다. 왜 이렇게 말하는가? 여러 인과 연이 다 갖추어져서 화합하면 비로소 사물이 생겨난다. 따라서 사물은 여러 인과 연에 귀속되는 것이므로 사물 자체에는 고정된 성품(自性 · 자성)이 없기 때문이다. 고정된 성품(自性 · 자성)이 없으므로 공(空)하다. 그런데 이 공함도 또한 다시 공한데, (이렇게 공함도 다시 공하다고 말할 수 있는 이유는, 사물이 공하다고 말한 것은) 단지 중생을 인도하기 위해서 가명(假名)으로 (공하다고) 말한 것이기 때문이다. (사물이 공하다고 말하는 방편과 공함도 공하다고 말하는 방편에 의해) "있음(有)"과 "없음(無)"의 양 극단(二邊)을 벗어나기에 중도(中道)라 이름한다. 법(法: 존재)은 고정된 성품(性 · 自性 · 자성)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법(法: 존재)을 "있음(有)"이라고 말할 수 없다. 또한 법(法: 존재)은 공한 것도 아니기 때문에 법(法: 존재)을 "없음(無)"이라고 말할 수도 없다. 어떤 법(法: 존재)이 고정된 성품(性相 · 성상 · 自性 · 자성)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면, 그 법은 여러 인과 연에 의존하지 않은 채 존재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연기의 법칙에 어긋난다). 여러 인과 연에 의존하지 않는다면 (연기의 법칙에 어긋나므로 생겨날 수 없고, 따라서) 그 법(法: 존재)은 없는 것(존재할 수 없는 것)이다. (연기의 법칙에 의해 지금 존재하고 있는 것을 존재하고 있지 않다고 말하는 것은 자가당착이다. 이러한 모순이 일어나지 않으려면 다음을 대전제로 인정할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공하지 않은 법(즉, 연기하지 않는 존재 또는 고정된 성품을 가진 존재)이란 존재할 수 없다. — 《중론(中論)》 4권 24장 〈관사제품(觀四諦品)〉. 한문본 2공[편집] 대승불교의 교의에서 공은 크게 아공(我空)과 법공(法空)의 2공(二空: 두 가지 공)으로 나뉜다.[3][4] 2공(二空)을 아법2공(我法二空)이라고도 하며,[5] 아공(我空)은 인공(人空)이라고도 하는데 이 때문에 인법2공(人法二空)이라고도 한다. 이공(二空)의 교의는 초기 대승불교의 근본적인 교의 또는 사상이 되었다. 이치로서의 2공[편집] 아공[편집] 아공(我空)은 인공(人空)이라고도 하는데, 인간 자신 속에는 실체로서의 자아가 있다고 보는 아집(我執)에 대해, 인간 자신 속에는 실체로서의 자아가 없다고 보는 견해 혹은 이치[4], 또는 이러한 깨우침을 증득한 상태 또는 경지이다.[4] 아집(我執)은 번뇌장(煩惱障)이라고도 하는데, 번뇌장은 중생의 몸과 마음을 번거롭게 하여 열반(또는 해탈)을 가로막아 중생으로 하여금 윤회하게 하는 장애라는 의미이다.[2][6] 법공[편집] 법공(法空)은 존재하는 만물 각각에는 실체로서의 자아가 있다고 보는 법집(法執)에 대해, 존재하는 모든 것은 인연에 의해 생기는 것이므로 실체로서의 자아는 없다는 견해 혹은 이치[4], 또는 이러한 깨우침을 증득한 상태 또는 경지이다.[4] 법집(法執)은 소지장(所知障)이라고도 하는데, 소지장은 참된 지혜, 즉 보리(菩提)가 발현되는 것을 가로막는 장애라는 의미이다.[2][7] 아공(我空)을 인무아(人無我)라고도 하며 법공(法空)을 법무아(法無我)라고도 한다.[4] 그리고 이 둘을 통칭하여 2무아(二無我)라고 하는데, 2무아(二無我)는 2공(二空)과 같은 뜻이다.[8] 2공(二空)의 교의 또는 사상은 후대에 아공(我空) · 법공(法空) · 구공(俱空)의 3공(三空)의 교의 또는 사상으로 발전하였다. 경지로서의 2공[편집] 불교에서, 수행에 의해 깨달음을 성취해 간다는 입장에서는 2공(二空)은 실제로 증득될 수 있고 또한 증득되어야 하는 특정한 경지를 뜻한다. 예를 들어, 유가유식파의 경우, 이 종파의 소의 논서인 《성유식론》에 따르면 2공 중 아공의 경지에 다다르면 아집인 번뇌장이 소멸되어 열반(해탈)이 성취되고, 법공의 경지에 다다르면 법집인 소지장이 소멸되어 보리(반야 · 대지혜 · 완전한 깨달음)가 성취된다.[2][9] 《성유식론》에서는 이와 관련된 수행 단계를 더 자세히 설명하는데, 크게 자량위(資糧位) · 가행위(加行位) · 통달위(通達位) · 수습위(修習位) · 구경위(究竟位)의 다섯 단계("5위 · 五位")로 나누고 있다.[10] 이 중에서 네 번째인 수습위는 다시 십지(十地)의 열 단계로 나뉘는데, 십지는 극희지(極喜地) · 이구지(離垢地) · 발광지(發光地) · 염혜지(焰慧地) · 극난승지(極難勝地) · 현전지(現前地) · 원행지(遠行地: 제7지) · 부동지(不動地) · 선혜지(善慧地) · 법운지(法雲地: 제10지)이다.[11] 《성유식론》에 따르면 아집인 번뇌장은 수습위의 십지 중 제7지인 원행지(遠行地)에서 완전히 제거되어 제8지부터는 아공의 경지에 있게 된다.[11] 그리고 법집인 소지장은 수습위의 십지 중 제10지인 법운지(法雲地)에서 완전히 제거 될 수 있는데, 완전히 제거되면 다섯 단계("오위 · 五位")의 마지막인 구경위(究竟位)에 이르게 되고 해당 보살, 즉 대승불교의 수행자는 비로소 부처가 되어 법공의 경지에 있게 된다.[11] 유가유식파는 열반과 해탈은 동의어로 사용하는 반면, 열반과 보리는 용어를 구분해서 사용한다. 유가유식파의 문맥에서 열반(또는 해탈)은 아집인 번뇌장이 완전히 제거된 아공의 상태를 의미한다.[9] 그리고 보리는 법집인 소지장이 완전히 제거된 법공의 상태를 의미한다.[9] 《성유식론》에서는 열반을 진해탈(眞解脫: 참다운 해탈)이라고도 표현하며 보리를 대보리(大菩提: 큰 깨달음 · 완전한 깨달음)라고도 표현하고 있다.[2][9] 3공[편집] 3공(三空)은 아공(我空) · 법공(法空) · 구공(俱空)을 통칭하는 불교 용어이다. 3공의 각각은 증득한 경지를 뜻하기도 하고 또는 경지를 증득하기 위한 수단을 뜻하기도 한다.[12] 아공[편집] 아공(我空 · ātma-śūnyatā)은 실아(實我)가 없다는 것으로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나"라고 부르는 존재는 색 · 수 · 상 · 행 · 식의 5온(五蘊)이 화합하여 이루어진 존재로, 진실로 "나"라고 집착할 것이 "없다"(공무 · 空無)는 것을 뜻한다.[13] 또한, 수행에 의해 나라는 관념과 나의 소유물이라는 주관적 미집(迷執)인 아집(我執)을 벗어난 경지를 뜻한다.[14] 법공[편집] 법공(法空)은 제법(諸法) 또는 만유(萬有), 즉 물질(색·色)과 마음(심·心)의 모든 존재는 모두 원인과 결과, 즉 인연법에 의해 생긴 임시적인 가짜 존재로서 거기에는 고정된 실체로서 집착할 것이 없다는 뜻으로, 이러한 의미에서 만유(萬有)의 체(體)가 "없다"(공무 · 空無)는 것 뜻한다.[15] 또한, 수행에 의해 물질과 마음의 여러 가지에 대한 객관적 미집(迷執)인 법집(法執)을 벗어난 경지를 뜻한다.[14] 구공[편집] 구공(俱空): 아공(我空)과 법공(法空)의 경지에 차례로 도달한 후, 다시 그 아공(我空)과 법공(法空)까지도 버려 비로소 제법(諸法)의 본성에 계합하는 것을 뜻한다.[14] 또한, 수행에 의해 이러한 경지를 증득한 것을 뜻한다. 원효는 자신의 저서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에서 《금강삼매경(金剛三昧經)》의 대의를 기술하는 문단에서, 본성, 즉 마음의 근원[心之源]은 있음(有)과 없음(無)을 떠나 있어 홀로 청정[淨]하며 또한 아공(我空) · 법공(法空) · 구공(俱空)의 3공(三空)의 바다 즉 마음의 근원은 진제(眞諦)와 속제(俗諦)를 원융하고 있어서 담연하다(湛然: 편안히 다 비추다, 적정한 가운데 대지혜가 있다, 적조(寂照)하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원효는 마음의 근원은 깨뜨림이 없으면서도 깨뜨리지 않음이 없고 세움이 없으면서도 세우지 않음이 없으므로 무리(無理: 이치가 끊어진 자리)의 지리(至理: 모든 것을 세우는 지극한 이치)이자 불연(不然: 그러한 것이 끊어진 자리)의 대연(大然: 크게 그러한 것, 즉 만법을 세우는 큰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16][17] 함께 보기[편집] 제행무상 제법무아 연기 십이연기 중관파 유가유식파 참고 문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세계사상 > 사 상 용 어 > 동양사상 관계 > 불교 관계 > 공"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종교 · 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초기 대승불교의 사상 > 일체개공"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용수 지음, 구마라집 한역, 박인성 번역. 《중론(中論)》.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동국역경원. K.577(16-350), T.1564(30-1).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성유식론(成唯識論)》.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용수 지음, 구마라집 한역. 〈중론(中論)〉. 《대정신수대장경》 (중국어). T30, No. 1564, CBETA.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중국어). T31, No. 1585, CBETA.  각주[편집] ↑ 고익진 (1989). 《한국 고대 불교 사상사》, 동국대학교 출판부, p. 99. ↑ 가 나 다 라 마 호법 등. 〈성유식론(成唯識論)〉. 현장 한역. 《대정신수대장경》. 제1권. T31, No. 1585, CBETA, T31n1585_p0001a09(12) - T31n1585_p0001a12(10). 2011년 4월 3일에 확인함. 원문 今造此論為於二空有迷謬者生正解故。生解為斷二重障故。由我法執二障具生。若證二空彼障隨斷。斷障為得二勝果故。由斷續生煩惱障故證真解脫。由斷礙解所知障故得大菩提。 편집자 번역 지금 이 논서를 저술하는 이유는 이공(二空: 두 가지 공)에 대해서 미혹하고 오류가 있는 사람들이 이공(二空)을 바르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공(二空)을 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두 가지 무거운 장애(二重障: 번뇌장과 소지장)를 끊기 위한 때문이다. 아집(我執)과 법집(法執)의 (두 가지) 집착으로 인해 이 두 가지 장애가 함께 일어난다. 이공(二空)을 증득하게 되면 그에 따라 이들 (두 가지) 장애도 끊어진다. (이들 두 가지) 장애를 끊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두 가지 뛰어난 과보(二勝果: 열반과 보리, 또는 해탈과 보리)를 얻기 위한 때문이다. (이것을 더 자세히 말하자면) 윤회하는 삶(生)을 계속되게 만드는 원인인 번뇌장(煩惱障)을 끊음으로써 참다운 해탈(眞解脫: 유식학에서 해탈은 열반과 같은 것이다)을 증득하게 되기 때문이며, 지혜(解: 앎 · 이해 · 지식)를 장애하는 소지장(所知障)을 끊음으로써 대보리(大菩提: 큰 깨달음 · 완전한 깨달음 · 출세간의 무분별지혜 · 무상정등보리 ·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증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용문=에 라인 피드 문자가 있음(위치 13) (도움말) ↑ 운허. 〈二空(이공)〉. 《불교 사전》. 동국역경원. 2011년 4월 3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호법(護法) 등. 〈성유식론(成唯識論)〉. 현장(玄奘) 한역, 김묘주 번역. 《대정신수대장경》. 제1권,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동국역경원. 2쪽. 2011년 4월 3일에 확인함. 번역자 김묘주 주석: 두 가지 공[二空]은 아공(我空)과 법공(法空)이다. 아공(我空)은 인무아(人無我)라고도 하며, 유정의 심신(心身)에 상일주재(常一主宰)하는 인격적 실체[我]가 존재하지 않는 이치, 또는 그것을 깨쳐서 아집(我執)이 소멸된 경지를 말한다. 법공(法空)은 법무아(法無我)라고도 하며, 외계 사물은 자기의 마음을 떠나서 독립적으로 실재하지 않는 이치, 또는 그것을 깨쳐서 법집(法執)이 소멸된 경지를 말한다.  ↑ 星雲, "二無我". 2012년 10월 17일에 확인. ↑ 운허. 〈煩惱障(번뇌장)〉. 《앞의 책》. 2011년 4월 3일에 확인함.  ↑ 운허. 장=所池障(소지장) 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6%8C%EC%A7%80%EC%9E%A5&rowno=1 장=所池障(소지장) |장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장url=은 제목을 필요로 함 (도움말). 《앞의 책》. 2011년 4월 3일에 확인함.  ↑ 〈二無我(이무아)〉. 《같은 책》. 2011년 4월 3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호법(護法) 등. 〈성유식론(成唯識論)〉. 《앞의 책》. 2쪽. 2011년 4월 3일에 확인함. 번역자 김묘주 주석: 아공의 도리를 깨쳐서 번뇌장을 끊으면 해탈, 즉 열반을 증득한다. 법공의 도리를 깨쳐서 소지장을 끊으면 곧 큰 깨달음[大菩提]을 성취해서 붓다가 된다.  ↑ 호법(護法) 등.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제9권. T31, No. 1585, CBETA, T31n1585_p0048b11(07) - T31n1585_p0048b15(06). 2011년 4월 3일에 확인함. 何謂悟入唯識五位。一資糧位。謂修大乘順解脫分。二加行位。謂修大乘順決擇分。三通達位。謂諸菩薩所住見道。四修習位。謂諸菩薩所住修道。五究竟位。謂住無上正等菩提。  ↑ 가 나 다 〈성유식론(成唯識論)〉. 《같은 책》. T31, No. 1585, CBETA, T31n1585_p0050c17(00) - T31n1585_p0051b07(01). 2011년 4월 3일에 확인함. 次修習位其相云何。頌曰。  29無得不思議  是出世間智  捨二麤重故  便證得轉依 論曰。菩薩從前見道起已。為斷餘障證得轉依。復數修習無分別智。此智遠離所取能取。故說無得及不思議。或離戲論說為無得。妙用難測名不思議。是出世間無分別智。斷世間故名出世間。二取隨眠是世間本。唯此能斷獨得出名。或出世名依二義立。謂體無漏及證真如。此智具斯二種義故獨名出世。餘智不然。即十地中無分別智。數修此故捨二麤重。二障種子立麤重名。性無堪任違細輕故令彼永滅故說為捨。此能捨彼二麤重故便能證得廣大轉依。依謂所依即依他起與染淨法為所依故。染謂虛妄遍計所執。淨謂真實圓成實性。轉謂二分轉捨轉得。由數修習無分別智斷本識中二障麤重故能轉捨依他起上遍計所執及能轉得依他起中圓成實性。由轉煩惱得大涅槃。轉所知障證無上覺。成立唯識意為有情證得如斯二轉依果。或依即是唯識真如。生死涅槃之所依故。愚夫顛倒迷此真如。故無始來受生死苦。聖者離倒悟此真如。便得涅槃畢究安樂。由數修習無分別智斷本識中二障麤重故能轉滅依如生死及能轉證依如涅槃。此即真如離雜染性。如雖性淨而相雜染。故離染時假說新淨。即此新淨說為轉依。修習位中斷障證得。雖於此位亦得菩提而非此中頌意所顯。頌意但顯轉唯識性。二乘滿位名解脫身。在大牟尼名法身故。 云何證得二種轉依。謂十地中修十勝行斷十重障證十真如二種轉依由斯證得。言十地者。一極喜地。初獲聖性具證二空能益自他生大喜故。二離垢地。具淨尸羅遠離能起微細毀犯煩惱垢故。三發光地。成就勝定大法總持能發無邊妙慧光故。四焰慧地。安住最勝菩提分法燒煩惱薪慧焰增故。五極難勝地。真俗兩智行相互違合令相應極難勝故。六現前地。住緣起智引無分別最勝般若令現前故。七遠行地。至無相住功用後邊出過世間二乘道故。八不動地。無分別智任運相續相用煩惱不能動故。九善慧地。成就微妙四無閡解能遍十方善說法故。十法雲地。大法智雲含眾德水蔽一切如空麤重充滿法身故。如是十地總攝有為無為功德以為自性。與所修行為勝依持令得生長故名為地。   |인용문=에 poem stripmarker가 있음(위치 1) (도움말) ↑ 운허. 〈三空(삼공)〉. 《앞의 책》.  ↑ 〈我空(아공)〉. 《같은 책》.  ↑ 가 나 다 〈俱空(구공)〉. 《같은 책》.  ↑ 〈法空(법공)〉. 《같은 책》.  ↑ 원효.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 《대정신수대장경》. 제1권. CBETA. T34n1730_p0961a07(01) - T34n1730_p0961a21(00). 2011년 4월 4일에 확인함. 第一述大意者。夫一心之源離有無而獨淨。三空之海融真俗而湛然。湛然融二而不一。獨淨離邊而非中。非中而離邊。故不有之法不即住無。不無之相不即住有。不一而融二。故非真之事未始為俗。非俗之理未始為真也。融二而不一。故真俗之性無所不立。染淨之相莫不備焉。離邊而非中。故有無之法無所不作。是非之義莫不周焉。爾乃無破而無不破。無立而無不立。可謂無理之至理。不然之大然矣。是謂斯經之大意也。良由不然之大然。故能說之語妙契環中。無理之至理。故所詮之宗超出方外。無所不破故名金剛三昧。無所不立故名攝大乘經。一切義宗無出是二。是故亦名無量義宗。且舉一目以題其首。故言金剛三昧經也。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통일신라시대의 사상 >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사상 > 금강삼매경론,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금강삼매경론: 金剛三昧經論 신라의 고승 원효가 지은 <금강삼매경> 해석서. 신문왕 6년(686)에 이룩된 것으로 3권 1책의 목판본이다. 권1에서는 <금강삼매경>의 대의(大意)를 논하고, 마음의 근원은 홀로 정(淨)하여 아공(我空)·법공(法空)·구공(俱空) 3공(空)의 바다는 담연(湛然)한 것이라 하고, 결국 무리(無理)의 지리(至理)와 불연(不然)의 대연(大然)으로서 이 경의 종지는 개합(開合)의 별(別)이 있어서 합하면 일미관행(一味觀行)이 요(要)가 되고 열(開)면 10중법문(十重法門)이 종(宗)이 된다고 하였다. 권3에서는 경제(經題)를 말하고, 다음에는 분과(分科)하고, 이어서 본문에 대하여 논석(論釋)을 했으나 장귀(章句)에 대한 주석이 아니고, 경의 이론에 대한 구명(究明)이다. 그는 이 책 속에서 불교의 진리를 비유하여 "물이 양자강 속에 있으면 이름지어 강수(江水)라 하고, 물이 회수(淮水) 속에 있으면 이름지어 회수(淮水)라 하며, 물이 황하(黃河) 속에 있으면 이름지어 하수(河水)라 하나, 함께 모여 바다속에 있으면 오직 이름하여 해수(海水)이니, 법(法)도 역시 이와 같아서 다함께 모여 진여(眞如)에 있으면, 오직 이름하여 불도(佛道)일 뿐이다.(水在江中, 名爲江水, 水在淮中, 名爲淮水, 水在河中, 名爲河水, 俱在海中, 唯名海水, 法亦如是, 俱在眞如, 唯名佛道)"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그가 만법귀일(萬法歸一) 또는 만법귀진(萬法歸眞)을 굳게 믿고, 이에 따라 그의 모든 사상과 생활을 이끌어갔음을 잘 나타내는 하나의 예증이라 하겠다. 그는 '하나'를 강조하였는데, 그 '하나'의 이해는 원효의 사상과 생활을 아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열쇠가 된다. 그 '하나'를 원효는 '1심(一心)'이나, '제9식(第九識)'이니 또는 '대승(大乘)'이니, '불성(佛性)'이니, '열반(涅槃)'이니 하고 불렀던 것이다. 결국 그에게 있어서 이러한 이름들은 앞서 보아온 강수(江水)·회수(淮水)·하수(河水) 등의 예와 같다고 볼 수 있다." vdeh 불교 붓다 여래 탄생일 사문유관 삼십이상호 가족 《슈도다나(아버지) 마야 부인(어머니) 야소다라(부인) 라후라(아들)》 기본 사상 윤회 깨달음 《 해탈 열반 반야 보리 성불》 삼보 《 불 법 승》 사성제 팔정도 중도 세계관삼계 욕계 색계 무색계 십법계미계(迷界) 3계 내의 육도 윤회: 지옥도 축생도 아귀도 아수라도 인간도 천상도 오계(悟界) 성문계 연각계 보살계 불계 경전삼장 경장 율장 논장 대장경 팔리어 대장경 한역대장경 고려대장경 신수대장경 티베트 대장경 경장 금강경 능가경 반야경 법화경 화엄경 유마경 승만경 율장 사분율 논장 구사론 대비바사론 대승기신론 대지도론 중론 유가사지론 청정도론 부처님 당시붓다와* 십대제자 고타마 붓다 ① 가전연 ② 대가섭 ③ 나후라 ④ 목건련 ⑤ 부루나 ⑥ 사리불 ⑦ 수보리 ⑧ 아나률 ⑨ 아난타 ⑩ 우바리 부처 과거 칠불 《비바시불 시기불 비사부불 구류손불 구나함모니불 가섭불 연등불》 석가모니불 보살 관세음보살 문수보살 미륵보살 보현보살 지장보살 기타 인물 난타 마하파자파티 참마 우파라반나 부다고사 나가세나 종파 원시 불교 상좌부 부파 불교 대승 《일련종 정토종 중관파 유가행파 천태종》 선종 《임제종 조동종》 금강승 《티베트 불교 진언종》 수행수행 일반수행 귀의 신심 신행 공덕 진언 염불 참배 기도 삼십칠도품 사념처 사정근 사여의족 오근 오력 칠각지 팔정도 사무량심 자 비 희 사 삼학 계 정 혜 계율 오계 사홍서원 출가계율 소승 불교상좌부 불교 마음챙김 사마타 위빠사나 바와나 위빠사나 까마타나 수념(隨念) 안반수의 부파 불교 아비달마 십바라밀 보시 지계 출리 지혜 정진 인욕 진실 결의 자애 평온 대승 불교대승 불교 지관(止觀) 육바라밀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반야(지혜) 십바라밀 방편 원 역 지 최상승선 불교간화선 선(禪)수행 참선 간화선·화두 공안 좌선 그 외 묵조선 염불선 국가별 수행법티베트 불교 탄트라 만다라 스마라나 통렌 수행 계위각자(覺者) 성문불 연각불 보살 부처 사과 수다원 사다함 아나함 아라한 상가사부중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 칠부중 사미 식차마나 사미니 역사 연표 결집 인도불교사 인도 불교의 쇠퇴 아소카 대왕 간다라 불교 불교와 로마 제국 비단길을 통한 불교의 전파 불교 탄압 문화건축 사찰 사원(왓) 탑파 기념일 부처님 오신 날 마카부차 포살 미술 간다라 미술 불상 탱화 포대화상 상징 깃발 법륜 윤회의 바퀴 인 성지 룸비니(탄생) 부다가야(성도) 녹야원(설법) 쿠시나가르(열반) 마하보디 사원 보리수 수행과 생활 가사 기도통 달력 안거 염주 음식 《채식주의》 진언 《옴 마니 파드메 훔》 기타 시 음악 국가별 네팔 라오스 러시아 말레이시아 몽골 미얀마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스리랑카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인도 일본 중국 중동 《이란》 캄보디아 타이완 태국 티베트 파키스탄 한국 서양 《미국 영국 프랑스 호주》 철학 경제학 논리학 무정부주의 불학 사회주의 신 십사무기 실천불교 실재론 아비달마 윤리 원자론 인본주의 종말론 진화 기타 전등(傳燈) 범천 마라 경 의식용 언어 《팔리어 산스크리트어》 법구경 법문 겁 삼명 유루·무루 유위·무위 육신통 비교 종교 기독교 나스티시즘 동아시아 종교 신지학 자이나교 힌두교 과학 심리학 개념 갈애 공 견성 묘각 도리 마음 마음작용 무명 반열반 번뇌 범부와 성인 보리심 보살 불성 삼법인 《일체개고 제행무상 제법무아》 삼성《 선 악 무기》 삼신《 법신 보신 화신》 상속심 업 연기 열 가지 족쇄·10결 오개 오근 오온 유루와 무루 유위와 무위 윤회 족첸(대구경) 죄 지혜 진속이제 진여 행 환생 목록 부처 이십팔불 보살 인물 불경 도서 사찰 한국의 사찰 《가나다순 지역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공_(불교)&oldid=22997132" 분류: 불교 용어불교 사상공 (불교)숨은 분류: 인용 오류 - 보이지 않는 문자인용 오류 - 제목 없이 URL을 사용함인용 오류 - URL산스크리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불교CS1 관리 - 여러 이름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CS1 - 중국어 인용 (zh)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БуряадČeštinaCymraegDeutschEnglishEspañolEestiSuomiFrançais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ភាសាខ្មែរLietuviųमराठीမြန်မာဘာသာ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3일 (화) 02: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공(空)은 순야타(산스크리트어: शून्यता, Śūnyatā, →비어 있음 · 공허(空虛))를 번역한 것으로, 일체개공(一切皆空)을 주장하는 공 사상(空思想)은 불교를 일관하는 기본 교의 또는 사상이다. 공 사상은 대승불교(大乘佛敎)가 흥기하게 되자 특히 《반야경(般若經)》 계통의 근본사상으로 강조되었다. 원래, 공 사상은 부파불교(部派佛敎) 시대에서 상좌부(上座部) 계통의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를 중심으로 주장된 법유(法有)의 입장을 예리하게 비판하고, 일체의 존재를 상의상대(相依相待: 서로 의존함)라는 연기(緣起)의 입장에서 파악하며, 일체의 아집(我執)과 법집(法執)을 배격한 무애자재(無礙自在)의 세계를 전개하려고 한 것이다. 《반야경(般若經)》과 용수의 《중론(中論)》 등에 나오는 공 사상을 바탕으로 성립된 인도 불교의 종파가 중관파이다. 중국 · 한국 · 일본 불교의 삼론종은 《중론》·《십이문론》·《백론》의 삼론을 연구 · 강술하는 종파로 인도 불교의 중관파에 해당한다.공 사상은 인도 대승불교의 이대조류인 중관파와 유가유식파 모두의 근저가 되는 사상이다. 유가유식파에서도 공 사상이 중시된 것은 유가유식파와 법상종의 소의 논서인 《성유식론(成唯識論)》의 서두에서 논의 저술 목적 중의 하나로, 이공(二空: 두 가지 공)에 대해서 미혹된 견해나 잘못된 견해를 가진 사람들이 이공(二空)의 교의를 바르게 이해할 수 있게 하여 그들이 해탈(열반)과 보리(반야)로 나아갈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하는 것에서 잘 알 수 있다. 또한, 중국 · 한국 · 일본 · 티베트 등의 대승불교는 모두 인도의 대승불교를 바탕으로 하므로, 공 사상은 대승불교 전체의 기초적인 또는 근본적인 교의라고 할 수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구공에 대한 설명은 무엇인가? Assistant: 구공(俱空): 아공(我空)과 법공(法空)의 경지에 차례로 도달한 후, 다시 그 아공(我空)과 법공(法空)까지도 버려 비로소 제법(諸法)의 본성에 계합하는 것을 뜻한다.[14] 또한, 수행에 의해 이러한 경지를 증득한 것을 뜻한다. 원효는 자신의 저서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에서 《금강삼매경(金剛三昧經)》의 대의를 기술하는 문단에서, 본성, 즉 마음의 근원[心之源]은 있음(有)과 없음(無)을 떠나 있어 홀로 청정[淨]하며 또한 아공(我空) · 법공(法空) · 구공(俱空)의 3공(三空)의 바다 즉 마음의 근원은 진제(眞諦)와 속제(俗諦)를 원융하고 있어서 담연하다(湛然: 편안히 다 비추다, 적정한 가운데 대지혜가 있다, 적조(寂照)하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원효는 마음의 근원은 깨뜨림이 없으면서도 깨뜨리지 않음이 없고 세움이 없으면서도 세우지 않음이 없으므로 무리(無理: 이치가 끊어진 자리)의 지리(至理: 모든 것을 세우는 지극한 이치)이자 불연(不然: 그러한 것이 끊어진 자리)의 대연(大然: 크게 그러한 것, 즉 만법을 세우는 큰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16][17] Human: 아래 구본창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구본창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구본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구본창(具本昌, 1953년 3월 6일 ~ )은 대한민국의 사진가이자 교수다. 대학에서 경영학을 전공하고 졸업 후 기업에 취직했던 그는 반년 만에 회사를 그만 둔 후 독일 유학길에 올랐고, 그 후 사진작가가 되었다.[1] 한국 사진예술의 지적 수준과 국제적 위상을 제고하는 데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제47회 대한민국문화예술상 미술 부문 대통령 표창을 받는 등 대한민국 현대 사진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평가받는다.[2] 2014년에 아랍에미레이트의 토후국 중 하나인 샤르자의 국제사진전에 대한민국 대표로 참가하기도 하였다.[3] 목차 1 약력 2 작품 3 그룹전 4 작품 소장 5 저서 및 출판 목록 6 수상 내역 7 각주 8 외부 링크 약력[편집] 1953 서울 출생 1975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경영학과 졸업 1985 함부르크 국립 조형미술대학교 사진 디자인 전공, 디플롬 1986-98 중앙대학교 강의 1992 함부르크에서 개최된 국제미술 아카데미 (Pentiment) 초청 교수 1997 런던 킹스턴大, 스탠리피커 갤러리, International Fellowship 1999 런던 세인트 마틴 스쿨 초청교수 1999-2001 계원조형예술대학 사진전공 교수 역임 2004 함부르크에서 개최된 국제미술 아카데미 (Pentiment) 초청 교수 2008 2008대구사진비엔날레 전시총감독 현재 경일대학교 사진영상학부 교수 박건희문화재단 이사장 작품[편집] 1983 서울, 파인힐 화랑 1984 독일 함부르크, 포토게네스 화랑 1985 서울, 한마당 화랑, "열두번의 한숨" 외 컬러 사진전 1987 일본 동경 와이드 갤러리 및 오사카 포토 인터폼 "일분간의 독백" 1988 갤러리 부산, "긴 오후의 미행" 1990 서울, 서미 갤러리, "생각의 바다" 1993 서울, 서미 갤러리, "Good-bye Paradise" 1995 일본, 교또 Ississ 갤러리, "In the Beginning" 1995 서울, 서미 갤러리, "숨" 1999 서울, 원화랑, "흐름" 2000 뉴욕, Ricc/Maresca 갤러리 "White" 2000 덴마크 아루스, 갤러리 이미지 "Good-Bye Paradise" 2001 교토, Prinz 갤러리 2001 동경, Base 갤러리 2001 서울, 삼성 로댕 갤러리, "구본창 사진전" 2002 샌디에고, 사진박물관, "Fragile Tremors", 피바디 에식스 뮤지엄, "Masterworks of Contemporary Korean Photography" 2002 동경, 샤데이 갤러리, "In The Beginning" 2003 뉴욕, Ricco Maresca 갤러리, "Bohnchang Koo- recent work" 2003 서울, 한미 사진미술관 "구본창사진전-가면" 2003 오사카, Picture Photo Space, "구본창 사진전" 2004 파리, Galerie Camera Obscura, "Masks", "White" 2005 랑곤, 프랑스, "La beaute endormie" 2005 L.A., White Room 갤러리, "Portraits of Time" 2006 쿄토, Kahitsukan 미술관 2006 서울, 국제갤러리 "백자" 그룹전[편집] 1987 서울, 한마당 화랑, "죽은 듯 엎드려 실눈 뜨고" 1987 서울, 공간미술관, "다른 컬러 이미지 셋" 1988 서울, "사진 새 시좌" 워커힐 미술관 1990 미국, 로체스타 대학 초청 2인 1990 서울, "Mixed Media" 금호 미술관 개관 1주년 기념 기획 1990 대만 타이페이, Sunny - Gate 화랑 1991 서울, 토탈 미술관, "제 1회 한국사진의 수평전" 1992 서울, 자하문 미술관,"아! 대한민국" 1992 서울, 과천 현대미술관,"젊은 모색전" 1993 호주, 브리스베인, 아시아 태평양 지역 현대미술 트리엔날레 1994 미국, Arizona, Tucson, Pima 대학 전시장 1994 독일, Ursula Blickle Prize 참가 1995 광주현대미술관, 광주비엔날레,"한국 현대미술의 오늘" 1995 경주, 선재미술관,"사진, 오늘의 위상" 1995 서울, 갤러리 눈,"신체 또는 성" 1996 서울시립미술관,"도시와 영상" 1996 미국, 산타페, A.O.I.갤러리, "In The Beginning Series" 1996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사진-새로운 시각" 1996 서울, 금호미술관,"한국 모더니즘의 전개" 1996 서울, COEX, "SIAF" 1996 서울, 서미 갤러리, "Art, At Home" 1997 런던, 킹스턴 대학, Stanley Picker Gallery, "한국의 현대미술 작가 3인전" 1998 스웨덴, 스톡홀름, Ostasiatiska 뮤지움, "Landscape and Man" 1998 미국, 시카고, 현대 사진 박물관, "Alienation and Assimilation" 1998 대전, 한림 미술관, "몸과 사진" 1998 서울, 호암미술관, "시간" 1999 샌프란시스코, 앤젤 아담스 센터, "Phenomena" 1999 일본, 동경 국제 사진 비엔날레 "다큐먼트와 기억의 조각들" 2000 덴마크, Odense Foto Triennale, "Standing on the Threshold of Time" 2000 미국, 뉴욕, The Center for Photography at Woodstock, "Moonlight Becomes You- A Thousand and One Nights of Peace on Earth" 2000 미국, 휴스톤, FotoFest 2000, "Contemporary Korean Photographers" 2001 호주, 시드니, Australian Centre for Photography, "Awakening" 2001 서울, 가나 아트센터, "Photo Festival 2000" 2002 미국, 산타페, Photo-Eye Gallery "Two Korean Photographers" 2002 서울, 가나 아트센터 "Now, What is Photo" 2002 일본, 사이타마현대미술관, 센다이 미디어테크, "Korean Contemporary Photography" 2002 프랑스, 몽펠리에, La Galerie Photo, "Photographie Contemporaine Coreenne" 2002 덴마크, Art Center Silkeborg Bad, "Floating" 2002 샌프란시스코, Camera work, "Everyman : A Search for the Male Form" 2002 서울, 금호미술관, 3인전 2002 서울, 갤러리 라메르, "2002 Asia Photo Biennale - Living in a City" 2003 서울, 인사아트센터, "사진과 역사적 기억" 2003 서울, 대림미술관 패션사진전, "다리를 도둑맞은 남자와 30개의 눈" 2003 네덜란드, Foam Fotografiemuseum Amsterdam, "한국-네덜란드 현대미술전" 2003 영국, 런던, 14 Wharf Road, "east of eden" 2003 프랑스, 파리, Galerie GANA-BEAUBOURG, "한국사진작가 4인전 2004 미국, 휴스턴, FotoFest 2004, "Water" 2004 경기도, 국립현대미술관, "미술 밖 미술" 2005 미국, 필라델피아, Gallery 339, 2인전 "Stilled" 작품 소장[편집] 샌프란시스코, 뮤지엄 오브 모던 아트 휴스턴, 뮤지엄 오브 파인 아트 뉴욕, Henry Buhl Collection 독일, 함부르크 예술공예 박물관 호주, 브리스베인 퀸즈랜드 아트 갤러리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 사진 박물관 도쿄, 샤데이 갤러리 교토, 카히츠칸 미술관 과천, 국립 현대미술관 서울, 삼성미술관 서울, 한미사진미술관 경주, 선재미술관 대전, 시립미술관 저서 및 출판 목록[편집] 《생각의 바다》 (1992) 《Deja-Vu》 (1993) 《Art Vivant : 구본창》 (1994) 《밝은 방 1, 2, 3, 4》 (1988, 1989, 1991, 1992) 《Fotofest 2000》 (2000) 《자거라, 네 슬픔아》 (2003) 《Hysteric Nine》 (2003) 《어머니는 죽지 않는다》 (2004) 《구본창》 (2004) 《Camera Work vol.2 Bohnchang Koo 탈 Mask》 (2004) 《Portraits of Time》 (2004) 《구본창》 (2006) 《Deep Breath in Silence》 (2006) 《Revealed Personas》 (2006) 《Vessels for the Heart》 (2006) 《구본창, 공명의 시간을 담다》 (2014)[4] 수상 내역[편집] 2000 이명동 사진상 수상 2003 강원다큐멘터리 작가상 수상 각주[편집] ↑ “카메라로 세상과 소통해온 작가 구본창의 인생”. 연합뉴스. 2014년 4월 1일. 2014년 6월 13일에 확인함.  ↑ 김윤섭 (2015년 11월 17일). “경일대 구본창 교수, '대통령 표창' 수상 대한민국문화예술상 시상식 한국사진예술 위상 제고 공로”. 《경북일보》. 2016년 2월 4일에 확인함.  ↑ 이은경 기자 (2014년 6월 11일). “구본창 경일대 교수, 샤르자 국제 사진전 韓 대표 참가”. 영남일보. 2014년 6월 19일에 확인함.  ↑ 남현정 기자 (2014년 5월 29일). “사진가 구본창 '30년 앵글 인생' 고스란히”. 경북일보. 2014년 6월 1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공식 홈페이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구본창&oldid=24204090" 분류: 195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사진가대한민국의 대학 교수연세대학교 경영대학 동문능성 구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12:5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구본창(具本昌, 1953년 3월 6일 ~ )은 대한민국의 사진가이자 교수다. 대학에서 경영학을 전공하고 졸업 후 기업에 취직했던 그는 반년 만에 회사를 그만 둔 후 독일 유학길에 올랐고, 그 후 사진작가가 되었다. 한국 사진예술의 지적 수준과 국제적 위상을 제고하는 데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제47회 대한민국문화예술상 미술 부문 대통령 표창을 받는 등 대한민국 현대 사진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평가받는다. 2014년에 아랍에미레이트의 토후국 중 하나인 샤르자의 국제사진전에 대한민국 대표로 참가하기도 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구본창이 1993년 출판한 책의 이름은 무엇일까? Assistant: Deja-V
Human: 아래 주님_승천_대축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주님 승천 대축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주님 승천 대축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주님 승천 대축일 안드레아 만테냐의 그리스도의 승천(1461년 작품)공식이름 주님 승천 대축일장소 전 세계 기독교를 믿는 나라날짜 부활 제6주간 목요일 빈도 매년관련 부활절, 성령 강림 대축일 주님 승천 대축일(라틴어: In Ascensione Domini)은 기독교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부활 후 하늘나라로 올라갔음(예수의 승천)을 기리는 날이다. 전통적으로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주님 승천 대축일을 주님 부활 대축일로부터 40일째 되는 부활 제6주간 목요일에 지내지만, 대한민국을 비롯하여 주님 승천 대축일이 의무 축일이 아닌 일부 나라에서는 부활 제7주일로 옮겨 지내고 있다. 로마 가톨릭교회는 또한 대중매체를 통한 효과적인 교회의 사도직 수행을 위해 1967년 ‘홍보의 날’을 제정했으며, 특히 한국 가톨릭교회에서는 1980년부터 해마다 주님 승천 대축일을 홍보 주일로 지내오고 있다. 목차 1 역사 2 서방 3 같이 보기 4 각주 역사[편집] 주님 승천 대축일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다. 현존하는 문헌상 기록은 5세기 초 이후에나 등장하지만, 성 아우구스티노는 사도 시대부터 주님 승천 대축일을 지냈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그는 자신이 살고 있던 당시보다 오래전에 이미 교회 안에서 보편적으로 기념되고 있었다고 언급하였다. 주님 승천 대축일에 대해서는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와 니사의 성 그레고리오가 쓴 글 뿐만 아니라 《사도 헌장》에도 자주 언급되어 있다. 《아이테리아의 순례》에서는 그리스도가 태어난 베들레헴의 작은 동굴 위에 성당을 세우고, 주님 승천 대축일 전야 미사를 거행했다는 기록이 나온다.[1] 5세기 이전에 기록된 복음서들을 볼 때, 초대 교회에서는 그리스도의 부활 또는 성령의 강림과 더불어 그리스도의 승천을 축일로 기념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일각에서는 엘비라 시노드(300년경)의 교령 43항을 근거로 예수 부활 대축일 이후 40일째 되는 날에 주님 승천 대축일을 지내고, 50일째 되는 날에는 성령 강림 대축일을 지내는 관례를 비판하며, 초대 교회 당시의 관례는 성령 강림 대축일과 주님 승천 대축일을 같은 날짜에 함께 기념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그리스도의 승천을 묘사한 조각이나 프레스코화는 5세기 초엽부터 나타나기 시작했다. 서방[편집] 주님 승천 대축일의 라틴어 아쉔시오(ascensio)는 종종 아쉔사(ascensa)라고도 불리는데, 이 단어는 그리스도가 다른 누구의 힘을 빌리지 않고 스스로의 힘으로 일어났다는 뜻을 갖고 있다.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주님 승천 대축일은 의무 축일이다. 주님 승천 대축일 전 3일 동안은 특별한 기도와 참회의 날들로 지낸다고 해서 탄원의 날이라고 부른다. 또한 주님 승천 대축일 전 주일인 부활 제6주일(또는 부활 제7일)은 탄원의 주일이라고 부른다. 주님 승천 대축일의 전야는 15세기 이후에 생겨났으며, 교황 레오 13세는 주님 승천 대축일 다음 날부터 성령 강림 대축일을 준비하기 위한 9일 기도를 바칠 것을 요청하였다. 같이 보기[편집] 예수의 승천 각주[편집] ↑ Louis Duchesne, Christian Worship: Its Origin and Evolution (London, 1903), 491-51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주님_승천_대축일&oldid=23454787" 분류: 가톨릭교회의 축일기독교의 연중행사네덜란드의 공휴일덴마크의 공휴일스웨덴의 공휴일프랑스의 공휴일벨기에의 공휴일룩셈부르크의 공휴일독일의 공휴일리히텐슈타인의 공휴일오스트리아의 공휴일5월의 기념일6월의 기념일숨은 분류: 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مصرى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BosanskiCatalàCorsuČeštinaKaszëbscziCymraegDansk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Bahasa IndonesiaÍslenskaქართულიКомиLimburgsLumbaartLietuviųLatviešuMalagasy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umantsch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12일 (토) 10:1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주님 승천 대축일(라틴어: In Ascensione Domini)은 기독교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부활 후 하늘나라로 올라갔음(예수의 승천)을 기리는 날이다. 전통적으로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주님 승천 대축일을 주님 부활 대축일로부터 40일째 되는 부활 제6주간 목요일에 지내지만, 대한민국을 비롯하여 주님 승천 대축일이 의무 축일이 아닌 일부 나라에서는 부활 제7주일로 옮겨 지내고 있다. 로마 가톨릭교회는 또한 대중매체를 통한 효과적인 교회의 사도직 수행을 위해 1967년 ‘홍보의 날’을 제정했으며, 특히 한국 가톨릭교회에서는 1980년부터 해마다 주님 승천 대축일을 홍보 주일로 지내오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사람들은 무엇을 이유로 주님 승천 대축일과 성령 강림 대축일이 각각 다른 날짜에 이뤄지는 관습을 비판하였을까? Assistant: 엘비라 시노드(300년경)의 교령 43항 Human: 아래 중구_(울산광역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중구 (울산광역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구 (울산광역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중구 중구의 위치 현황 국가 대한민국 면적 37.12 km2 세대 95,386 가구 (2017년 12월 31일) 총인구 238,652 명 (2017년 12월 31일) 인구밀도 6,429 명/km2 행정동 13개 법정동 18개 구청장 박태완(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정갑윤(자유한국당) 구청 소재지 울산광역시 중구 단장골길 1 홈페이지 http://www.junggu.ulsan.kr/ 상징 구목 대나무 구화 벚꽃 구조 학 중구(中區)는 울산광역시의 구이다. 목차 1 역사 1.1 구 설치 이전 1.2 구의 역사 1.3 울산왜성과 가토 기요마사 2 지리 3 정치·행정 3.1 구청장 3.1.1 경상남도 울산시 중구청장 3.1.2 울산광역시 중구청장 3.2 구의회 3.3 국회의원 3.4 광역의원 4 행정 구역 5 인구 6 교육 기관 7 주요 시설 8 연계 교통 9 자매 결연 10 각주 11 외부 링크 역사[편집] 행정 구역의 역사는 울산 중구의 행정 구역#연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구 설치 이전[편집] 신라시대에는 굴아화현의 일부였다. 굴아화현은 757년에 하곡현으로 개칭하였다가 940년에 우풍현, 동진현과 통폐합하여 흥례부가 되었다. 흥례부는 995년에 공화현으로 격하되었다가 1018년에 다시 울주로 승격하고, 1413년에 울산군이 되었다. 울산에 면이 설치되면서 중구 지역(1997년에 북구에 편입된 진장·효문·양정동 지역 포함)은 부내면(府內面)이 되었다. 숙종 34년(1708년)에 부내면을 상부내면(上府內面)과 하부내면(下府內面)으로 분리하고, 정조 5년(1781년)에 상부내면을 부내면(府內面)으로, 하부내면을 내상면(內廂面)으로 개칭하였다. 고종 1년(1864년)에 내상면 일부를 부남면(府南面)으로 분리하고, 고종 31년(1894년)에 부내면을 상부면(上府面)으로, 부남면을 하부면(下府面)으로 각각 개칭하였다. 1914년 4월 1일 상부면은 내현면(남구 일부)과 통합하여 부내면(府內面)이 되고, 하부면과 내상면을 하상면(下廂面)으로 통합하였다.[1]부내면사무소는 학산동 123번지(현재의 중앙동 주민센터)에, 하상면사무소는 서동에 두었다가 얼마 후 하상면사무소를 남외리(현재의 병영1동 주민센터)로 이전하였다. 1917년 10월 1일 부내면을 울산면(蔚山面)으로 개칭하였다. 1931년 11월 1일 울산면이 울산읍(蔚山邑)으로 승격하였다. 1945년 4월 1일 대현면을 울산읍에 편입하여 대현출장소를 설치하였다. 1946년 1월 1일 대현출장소가 대현면으로 분리되었다. 1962년 6월 1일 울산군 울산읍·하상면이 신설 울산시에 편입되었다. 하상면은 화봉동·송정동을 편입하여 병영출장소가 되었고, 울산읍은 폐지되었다가 1963년 11월 1일 옛 울산읍 지역에 다운동 등을 편입하여 중앙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72년 10월 1일 울산시 53개 법정동을 31개 행정동으로 개편하면서 중앙출장소 관할 구역에 11개 행정동(중구 지역 7개 행정동)이, 병영출장소 관할 구역에 6개 행정동이 설치되었다. 이때 병영출장소 관할의 반구동이 중앙출장소 관할로, 방어진출장소 관할의 염포동이 병영출장소 관할로 편입되었다.[2] 1976년 4월 20일 중앙출장소와 병영출장소가 폐지되었다. 1979년 5월 1일 염포동을 염포1·2동으로 분동 1982년 9월 1일 학성동을 학성동·반구동으로 분동 1983년 5월 1일 염포1동을 양정동으로, 염포2동을 염포동으로 개칭 구의 역사[편집] 1985년 7월 15일 울산시 구제 실시로 태화강 이북지역을 관할로 중구가 설치되고, 방어진출장소를 중구에 편입하였다.(구 직할-15동, 방어진출장소-7동) 개편 전 개편 후 울산시 학성동, 반구동, 복산동, 북정동, 옥교동, 성남동, 우정동, 태화동, 병영동, 약사동, 진장동, 효문동, 양정동, 염포동, 송정동 울산시 중구 학성동, 반구동, 복산동, 북정동, 옥교동, 성남동, 우정동, 태화동, 병영동, 약사동, 진장동, 효문동, 양정동, 염포동, 송정동 울산시 방어동, 일산동, 전하1동, 전하2동, 남목1동, 남목2동, 주전동(방어진출장소) 울산시 중구 방어동, 일산동, 전하1동, 전하2동, 남목1동, 남목2동, 주전동(방어진출장소) 1985년 8월 10일 중구 방어진출장소가 시 직할 출장소로 승격(15동) 1988년 1월 1일 방어진출장소가 동구로 승격하여 중구에서 완전히 분리되었다. 1991년 12월 24일 중구청 소재지를 학산동 123번지에서 복산동 180-1번지로 이전 1992년 1월 20일 반구동을 반구1·2동으로 분동 (16동) 1992년 9월 20일 병영동을 병영1·2동으로 분동 (17동) 1995년 3월 2일 복산동을 복산1·2동으로, 태화동을 태화동·다운동으로 분동(19개동) 1997년 7월 15일 울산시가 울산광역시로 승격되어 자치구로 승격하고, 일부 지역을 동구와 북구에 편입(14동) 개편 전 개편 후 울산시 중구 학성동, 반구1동, 반구2동, 복산1동, 복산2동, 북정동, 옥교동, 성남동,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병영1동, 병영2동, 약사동, 염포동, 진장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 울산광역시 중구 학성동, 반구1동, 반구2동, 복산1동, 복산2동, 북정동, 옥교동, 성남동,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병영1동, 병영2동, 약사동 울산광역시 동구 염포동 울산광역시 북구 진장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 2009년 1월 1일 옥교동·성남동을 중앙동으로 합동(13동) 2014년 9월 1일 북정동(행정동)이 폐지, 북정동(법정동)은 중앙동에 편입되고 성안동(법정동)과 북부순환도로 북쪽의 교동(법정동)이 신설 성안동(행정동)에 편입되었다. 교동(법정동)의 일부가 성남동(법정동)에 편입되었다. 개편 전 개편 후 행정동 법정동 행정동 법정동 울산광역시 중구 북정동 북정동, 성안동 울산광역시 중구 성안동 교동, 성안동 울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학산동, 옥교동, 성남동, 교동 울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학산동, 북정동, 옥교동, 성남동, 교동 울산왜성과 가토 기요마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구마모토 시 § 구마모토와 울산(한국)입니다. 지리[편집] 울산은 태화강을 중심으로 시가지가 형성되었으며, 방어진, 염포, 장생포항을 중심으로 도시가 형성되어 왔다. 서쪽으로는 경상남도 밀양시, 경상북도 청도군, 남쪽으로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경상남도 양산시, 북쪽으로는 경상북도 경주시를 접하고 있다. 태백산맥이 남북으로 종주하여 고헌산, 가지산, 신불산, 운문산 등의 준령이 병풍처럼 가로막고 있고, 태화강 하류에는 현재 신시가지로 변한 삼산평야가 있었으며, 경주 방면인 북쪽에서 내려온 동천은 태화강과 합류하여 울산만으로 흐르고 있다. 울산만에는 국가수출 1위 항만인 울산항이 자리를 잡고 있으며, 울산본항, 미포항, 장생포항, 울산신항, 방어진항, 정자항 등이 있다. 이들 항만을 중심으로 해안지역은 공업용수가 풍부하고 지반이 경암질로 공장 건설은 물론 산업도시로 발전할 수 있는 천혜의 입지조건을 갖추었다.[3] 울산 지역은 세계적으로 그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반구대 암각화와 진천리 각석 등 이름난 문화재들이 곳곳에 분포되어 있고, 영남알프스로 유명한 가지산, 신불산, 간월산과 진하, 일산해변, 강동, 주전 해변, 대왕암 공원 등 산악과 해안이 공존하는 천혜의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다.[3] 정치·행정[편집] 구청장[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경상남도 울산시 중구청장[편집] 선출 방식 대수 이름 임기 관선 초대 이수열 1985년 7월 15일 ~ 2대 김인복 3대 이상준 4대 윤병열 5대 황영준 6대 허선호 7대 전나명(全那明) 울산광역시 중구청장[편집] 선출 방식 대수 이름 임기 민선 초대 전나명(全那明)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2대 조용수(趙鏞洙)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3대 조용수(趙鏞洙)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4대 조용수(趙鏞洙) 2010년 7월 1일 ~ 2010년 12월 9일[4] 5대 박성민(朴聖敏) 2011년 4월 28일[5] ~ 2014년 6월 30일 6대 박성민(朴聖敏)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7대 박태완(朴泰完) 2018년 7월 1일 ~ 구의회[편집] 울산광역시 중구의회의 의원 정수는 11명(지역구9+비례대표2)이다. 정당별 의석수 합계 자유한국당 더불어민주당 민중당 합계 11 8 2 1 지역구 9 7 1 1 비례대표 2 1 1 - 국회의원[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울산 중구의 국회의원입니다. 현재 중구의 국회의원은 4선의원인 정갑윤이다. 광역의원[편집] 울산광역시의회, 대한민국 제7회 지방 선거 울산광역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경상남도 울산시 중구에서는 경상남도의원 3명을 선출하였다. 울산시가 광역시로 승격한 이후에는 울산광역시의원 3명을 선출하다가 제5회 지방 선거부터 4명을 선출하고 있다. 행정 구역[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울산 중구의 행정 구역입니다. 울산 중구의 행정 구역은 13개의 행정동, 18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울산 중구의 면적은 37km2이며, 인구는 2014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92,545세대, 241,407명(외국인 포함)이다.[6] 중구의 행정구역 행정동 한자 면적 (km2) 세대 인구 (명) 학성동 鶴城洞 0.93 5,214 11,658 반구1동 伴鷗1洞 1.12 6,915 16,750 반구2동 伴鷗2洞 0.50 4,179 10,218 복산1동 福山1洞 0.69 3,977 9,671 복산2동 福山2洞 0.68 3,778 10,060 중앙동 中央洞 1.83 8,242 17,395 우정동 牛亭洞 1.50 9,189 23,349 태화동 太和洞 5.53 11,925 34,878 다운동 茶雲洞 8.96 11,374 29,524 병영1동 兵營1洞 1.45 9,740 26,872 병영2동 兵營2洞 3.99 8,037 21,688 약사동 藥泗洞 2.80 2,524 7,895 성안동 聖安洞 7.14 7,451 21,449 중구 中區 37.12 92,545 241,407 인구[편집] 울산광역시 중구의 연도별 인구(내국인) 추이 연도 총인구 1985년 206,462명 1990년 257,490명 1995년 285,414명 2000년 227,244명 2005년 225,810명 2010년 221,373명 2015년 236,988명 교육 기관[편집] 울산광역시강북교육지원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국공립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울산지역대학) 폴리텍대학    한국폴리텍7대학 (울산캠퍼스) 고등학교    다운고 성신고 약사고 울산고 울산스포츠과학고 울산애니원고 울산중앙고 울산중앙여고 학성여고 함월고 특수학교    울산혜인학교 주요 시설[편집] 울산광역시 중구청 - 단장골길 1(복산2동) 소재 울산방송 - 구교로 41(학산동) 소재 울산문화방송 - 서원3길 65(학성동) 소재 울산종합운동장 - 염포로 55(병영1동) 소재 동천체육관 - 염포로 85(병영1동) 소재 한국산업인력공단 - 중구 종가로 345(교동) 우정혁신도시 소재 근로복지공단 신세계 백화점 울산점(2017년 완공 예정) - 우정혁신도시 소재 연계 교통[편집] 도로 7 북부순환도로 14 다운로 31 북부순환도로, 명륜로 60 강북로 61 번영로 70 염포로 71 화합로 자매 결연[편집] 산둥성 옌타이 시 즈푸 구(2006년) 전라남도 나주시(2012년) 충청북도 음성군(2012년) 각주[편집] ↑ 개편 전 개편 후 상부면 학남동(鶴南洞), 학서동(鶴西洞), 노하동 일부, 하부면 서부동 일부 부내면 학성동(鶴城洞) 상부면 노상동(路上洞), 노하동 일부 부내면 복산동(福山洞) 상부면 노하동(路下洞) 부내면 학산동(鶴山洞)) 상부면 북정동(北亭洞), 노동동 일부, 노상동 일부, 상서동 일부 부내면 북정동(北亭洞) 상부면 노서동(路西洞), 노북동(路北洞), 노동동(路東洞), 노하동 일부 부내면 옥교동(玉橋洞) 상부면 성남동(城南洞), 외부동(外府洞), 내부동(內府洞), 강정동 일부, 우암동 일부 부내면 성남동(城南洞) 상부면 교동(校洞), 상서동(上西洞), 하서동(下西洞) 부내면 교동(校洞) 상부면 우암동(牛岩洞), 강정동(江亭洞), 창성동(昌盛洞), 상안동 일부 부내면 우정동(牛亭洞) 상부면 성동(聖洞), 상안동(上安洞), 길촌동 일부, 내상면 외약동 일부, 농서면 오정동 일부 부내면 성안리(聖安里) 상부면 유곡동(有谷洞), 평동(平洞), 길촌동(吉村洞), 범서면 운곡동 일부 부내면 유곡리(裕谷里) 상부면 태화동(太和洞), 화진동(和津洞), 반곡동(盤谷洞) 범서면 운곡동 일부 부내면 태화리(太和里) 하부면 구교동(舊校洞), 서부동(西部洞), 동부동(東部洞), 내동동(內東洞) 하상면 반구리(伴鷗里) 하부면 명촌동(明村洞), 대도동(大島洞), 독도동(獨島洞) 하상면 명촌리(明村里) 하부면 양정동(楊亭洞), 양동(楊洞), 치진동(峙津洞) 하상면 양정리(楊亭里) 하부면 효문동(孝門洞), 산성동(山城洞), 율동(栗洞) 하상면 효문리(孝門里) 하부면 연암동(蓮岩洞), 상방동(上坊洞) 하상면 연암리(蓮巖里) 내상면 내약동(內藥洞), 외약동(外藥洞), 하부면 평산동(平山洞) 하상면 약사리(藥泗里) 내상면 동동(東洞), 산주동(山酒洞), 어북동(漁北洞), 남동 일부, 북동 일부 하상면 동리(東里) 내상면 서동(西洞), 남동 일부, 북동 일부, 장현동 일부 하상면 서리(西里) 내상면 남외동(南外洞), 서동 일부 하상면 남외리(南外里) 내상면 진장동(陳場洞), 하부면 평촌동(平村洞) 하상면 진장리(珍庄里) 내상면 장현동(蔣峴洞), 농서면 시례동 일부 하상면 장현리(長峴里) ↑ 출장소 행정동 법정동 중앙출장소 학성동(鶴城洞) 학성동(鶴城洞), 반구동(伴鷗洞) 복산동(福山洞) 복산동(福山洞) 북정동(北亭洞) 북정동(北亭洞), 성안동(聖安洞) 옥교동(玉橋洞) 옥교동(玉橋洞), 학산동(鶴山洞) 성남동(城南洞) 성남동(城南洞), 교동(校洞) 우정동(牛亭洞) 우정동(牛亭洞) 태화동(太和洞) 태화동(太和洞), 유곡동(裕谷洞), 다운동(茶雲洞) 병영출장소 병영동(兵營洞) 남외동(南外洞), 동동(東洞), 서동(西洞), 장현동(長峴洞) 약사동(藥泗洞) 약사동(藥泗洞) 진장동(珍庄洞) 진장동(珍庄洞), 명촌동(明村洞) 효문동(孝門洞) 효문동(孝門洞), 연암동(蓮巖洞) 송정동(松亭洞) 송정동(松亭洞), 화봉동(華峰洞) 염포동(鹽浦洞) 염포동(鹽浦洞), 양정동(楊亭洞) ↑ 가 나 울산광역시의 자연여건, 2012년 8월 24일 ↑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당선 무효 ↑ 2011년 4월 27일 재선거에서 당선 ↑ 통계조회 및 다운로드, 2014년 10월 18일 확인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중구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울산중구청 (공식)[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울산중구의회 (공식) vdeh울산광역시 중구의 행정 구역 구청소재지: 복산2동 다운동 반구1동 반구2동 병영1동 병영2동 복산1동 복산2동 성안동 약사동 우정동 중앙동 태화동 학성동 vdeh 울산광역시의 행정 구역시청소재지: 남구 남구 동구 북구 중구 울주군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중구_(울산광역시)&oldid=24181775" 분류: 울산 중구울산광역시의 구1985년 설치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ebuanoEnglishEspañol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ScotsSvenskaاردو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20: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중구(中區)는 울산광역시의 구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현재 울산광역시 중구의 명칭은 어떻게 변화해왔나요? Assistant: 신라시대에는 굴아화현의 일부였다. 굴아화현은 757년에 하곡현으로 개칭하였다가 940년에 우풍현, 동진현과 통폐합하여 흥례부가 되었다. 흥례부는 995년에 공화현으로 격하되었다가 1018년에 다시 울주로 승격하고, 1413년에 울산군이 되었다. 울산에 면이 설치되면서 중구 지역(1997년에 북구에 편입된 진장·효문·양정동 지역 포함)은 부내면(府內面)이 되었다. 숙종 34년(1708년)에 부내면을 상부내면(上府內面)과 하부내면(下府內面)으로 분리하고, 정조 5년(1781년)에 상부내면을 부내면(府內面)으로, 하부내면을 내상면(內廂面)으로 개칭하였다. 고종 1년(1864년)에 내상면 일부를 부남면(府南面)으로 분리하고, 고종 31년(1894년)에 부내면을 상부면(上府面)으로, 부남면을 하부면(下府面)으로 각각 개칭하였다. 1914년 4월 1일 상부면은 내현면(남구 일부)과 통합하여 부내면(府內面)이 되고, 하부면과 내상면을 하상면(下廂面)으로 통합하였다.[1]부내면사무소는 학산동 123번지(현재의 중앙동 주민센터)에, 하상면사무소는 서동에 두었다가 얼마 후 하상면사무소를 남외리(현재의 병영1동 주민센터)로 이전하였다. 1917년 10월 1일 부내면을 울산면(蔚山面)으로 개칭하였다. 1931년 11월 1일 울산면이 울산읍(蔚山邑)으로 승격하였다. 1945년 4월 1일 대현면을 울산읍에 편입하여 대현출장소를 설치하였다. 1946년 1월 1일 대현출장소가 대현면으로 분리되었다. 1962년 6월 1일 울산군 울산읍·하상면이 신설 울산시에 편입되었다. 하상면은 화봉동·송정동을 편입하여 병영출장소가 되었고, 울산읍은 폐지되었다가 1963년 11월 1일 옛 울산읍 지역에 다운동 등을 편입하여 중앙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72년 10월 1일 울산시 53개 법정동을 31개 행정동으로 개편하면서 중앙출장소 관할 구역에 11개 행정동(중구 지역 7개 행정동)이, 병영출장소 관할 구역에 6개 행정동이 설치되었다. 이때 병영출장소 관할의 반구동이 중앙출장소 관할로, 방어진출장소 관할의 염포동이 병영출장소 관할로 편입되었다.[2] 1976년 4월 20일 중앙출장소와 병영출장소가 폐지되었다. 1979년 5월 1일 염포동을 염포1·2동으로 분동 1982년 9월 1일 학성동을 학성동·반구동으로 분동 1983년 5월 1일 염포1동을 양정동으로, 염포2동을 염포동으로 개칭
Human: 아래 미국의_동성결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미국의 동성결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국의 동성결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동성 동반자에 대한 법적 지위 결혼 허용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노르웨이 뉴질랜드1 네덜란드2 독일 덴마크 룩셈부르크 멕시코3 미국4 몰타 벨기에 브라질 스웨덴 스페인 아르헨티나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에콰도르 영국5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리아 우루과이 중화민국 캐나다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포르투갈 프랑스 핀란드 해외 및 타 지역의 동성결혼 인정 네덜란드2 멕시코3 아르메니아 이스라엘 에스토니아 시민결합 허용국 그리스 네덜란드 : · 아루바 리히텐슈타인 멕시코 : · 트락스칼라 스위스 슬로베니아 안도라 영국 : · 북아일랜드 에스토니아 에콰도르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체코 칠레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프랑스 헝가리 제한적 또는 일부 인정국 루마니아 불가리아 산마리노 슬로바키아 영국: · 케이맨 제도 이스라엘 일본: · 8개 시 중화인민공화국: · 베이징 시, 홍콩 캄보디아 · 50개의 행정구역 코스타리카 폴란드 니우에와 쿡 제도, 토켈라우 제외 ACS 제도(아루바, 퀴라소, 신트마르턴) 제외, 단 네덜란드 본토에서 공인된 동성 동반자 혼인관계 인정 멕시코시티와 17개 주에서 동성 동반자 혼인 신고 가능, 또한 다른 주에서 공인된 혼인관계는 멕시코 전역에서 인정 아메리칸사모아와 미 영토 내 몇몇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 자치 지역 제외 북아일랜드와 사크섬 및 14개 중 6개의 해외 영토 제외 * 의회의 입법 또는 최고 법원의 판결에 의해 허용되었으나, 아직 공식 시행 전 v • d • e • h 미국은 2003년 매사추세츠 주를 시작으로 입법과 판결, 주민투표 등을 통해 각 주에서 점차적으로 동성결혼을 허용하기 시작한 후, 2015년 6월 26일 미국 연방 대법원에서 동성결혼은 헌법에서 보장받는 권리라고 판결내리며 미국 전역에서 시행되고 있는 제도이다. 목차 1 역사 1.1 대법원 판결 전까지의 각 주별 동성결혼 허용 상황 2 여론 3 각주 역사[편집] 미국에서는 2003년 매사추세츠 주법원이 동성 결혼을 허용하는 판결을 내리면서 처음으로 동성결혼 제도가 도입되었다. 이후 주 법원의 판결과 입법부의 입법 등으로 17개 주와 워싱턴 D.C.에서 동성결혼이 합법화되었다. 그 중 미네소타의 경우 2012년 결혼을 남녀 간에만 한정 짓기 위한 주 헌법 개정 주민 투표가 부결된 이후 주 의회에서 동성 결혼 제도를 도입하였고, 워싱턴주와 메릴랜드, 메인주에서는 미국 최초로 주민 투표를 통해 동성 결혼이 허용되었다. 2013년 6월 미국 대법원은 결혼을 남녀 간으로 한정한 《결혼보호법》(DOMA)에 부분 위헌 판결을 내렸고, 그 후 연방 법원에서 각 주의 동성 결혼 금지법에 위헌 결정을 내리며 총 19개 주에서 동성간에도 결혼 증명서를 발급 받을 수 있게 되었다.[1] 또한 대법원의 판결로 인해 미국 연방 정부는 동성 결혼이 합법화된 주에서 결혼한 동성 부부를 어느 지역에서나 인정하게 되어 국방과 세금, 보험, 이민 등에서 이성 부부와 동일한 혜택을 누릴 수 있게 하였다. 《결혼보호법》판결 이후 대법원은 각 주의 동성 결혼 금지법 위헌 소송에 판결을 유보하였으나, 2014년 10월 6일 제4순회 항소 법원과 제7순회 항소 법원, 제 0순회 항소 법원에서 올라온 상고에 최종 각하 결정을 내리면서, 5개 주에서 즉시 동성 결혼 금지법이 위헌이라는 2심의 판결이 확정되었다. 그 다음 날인 2014년 10월 7일 제9순회 항소 법원이 동성 결혼 금지법에 위헌 결정을 내리면서 2015년 1월 당시에는 미국의 총 38개 주에서 동성 결혼이 합법화되었다. 2014년 11월 제6순회 항소 법원은 미시간주 등 4개 주에서 항소된 동성결혼 금지법 심리에서 1심을 뒤집고 합헌 판결을 내렸다. 이는 《결혼보호법》위헌 판결 이후 순회 항소 법원에서 동성결혼 금지법이 합헌 판결을 받은 첫 번째 사례이다. 이에 따라 미국 연방 대법원은 원고의 상고를 받아들여 2015년 4월에 공판을 열었다. 2015년 6월 26일 미국 연방 대법원은 제6순회 항소 법원에서 상고된 오버거펠 대 호지스 사건에서 동성결혼 금지법 심리에 5대 4의 결정으로 동성결혼을 금지하는 주법은 위헌이며, 동성 결혼이 가능한 주에서 공증된 동성결혼은 다른 모든 주에서도 인정해야 한다고 판결내려, 미국 전역에서 동성결혼이 가능하게 되었다.[2] 대법원 판결 전까지의 각 주별 동성결혼 허용 상황[편집] 동성 결혼이 가능한 주 (그리고 D.C.) 주 인구[3] 입법 혹은 판결 일 효력 시작 일 방식 1. 매사추세츠 주 6,692,824 2003년 11월 18일 2004년 5월 17일 주 법원 판결 2. 캘리포니아 주 38,332,521 2008년 5월 15일 2008년 6월 16일 주 법원 판결 → 주민 투표 → 연방 법원 판결 → 주 의회 입법 2010년 8월 4일 2013년 6월 28일 3. 코네티컷 주 3,596,080 2008년 10월 10일 2008년 11월 12일 주 법원 판결 → 주 의회 입법 4. 아이오와 주 3,090,416 2009년 4월 3일 2009년 4월 27일 주 법원 판결 5. 버몬트 주 626,630 2009년 4월 7일 2009년 9월 1일 주 의회 입법 6. 뉴햄프셔 주 1,323,459 2009년 6월 3일 2010년 1월 1일 주 의회 입법 - 워싱턴 D.C. 646,449 2009년 12월 18일 2010년 3월 9일 지방 의회 입법 7. 뉴욕 주 19,651,127 2011년 6월 24일 2011년 7월 24일 주 의회 입법 8. 워싱턴 주 6,971,406 2012년 11월 6일 2012년 12월 6일 주 의회 입법 → 주민 투표 9. 메인 주 1,328,302 2012년 12월 29일 주민 투표 10. 메릴랜드 주 5,928,814 2013년 1월 1일 주 의회 입법 → 주민 투표 11. 로드아일랜드 주 1,051,511 2013년 5월 2일 2013년 8월 1일 주 의회 입법 12. 델라웨어 주 925,749 2013년 5월 7일 2013년 7월 1일 주 의회 입법 13. 미네소타 주 5,420,380 2013년 5월 14일 2013년 8월 1일 주 의회 입법 14. 뉴저지 주 8,899,339 2013년 9월 27일 2013년 10월 21일 주 법원 판결 15. 하와이 주 1,404,054 2013년 11월 13일 2013년 12월 2일 주 의회 입법 16. 일리노이 주 12,882,135 2013년 11월 20일 2014년 6월 1일 주 의회 입법 17. 뉴멕시코 주 2,085,287 2013년 12월 19일 2013년 12월 19일 주 법원 판결 18. 유타 주 2,900,872 2013년 12월 20일 2014년 1월 6일 연방 법원 판결 2014년 10월 6일 2014년 10월 6일 19. 오클라호마 주 3,814,820 2014년 1월 14일 2014년 10월 6일 연방 법원 판결 20. 오리건 주 3,930,065 2014년 5월 19일 2014년 5월 19일 연방 법원 판결 21. 펜실베이니아 주 12,773,801 2014년 5월 20일 2014년 5월 20일 연방 법원 판결 22. 위스콘신 주 5,742,713 2014년 6월 6일 2014년 6월 13일 연방 법원 판결 2014년 10월 6일 2014년 10월 6일 23. 인디애나 주 6,570,902 2014년 6월 25일 2014년 6월 27일 연방 법원 판결 2014년 10월 6일 2014년 10월 6일 24. 콜로라도 주 5,268,367 2014년 7월 9일 2014년 10월 7일 주 법원 판결 25. 버지니아 주 8,260,405 2014년 7월 28일 2014년 8월 20일 연방 법원 판결 2014년 10월 6일 2014년 10월 6일 26. 네바다 주 2,790,136 2014년 10월 7일 2014년 10월 7일 연방 법원 판결 27. 아이다호 주 1,595,728 2014년 10월 7일 2014년 10월 15일 연방 법원 판결 28. 웨스트버지니아 주 1,854,304 2014년 10월 9일 2014년 10월 9일 연방 법원 판결 29. 노스캐롤라이나 주 9,848,060 2014년 10월 10일 2014년 10월 10일 연방 법원 판결 30. 알래스카 주 735,132 2014년 10월 12일 2014년 10월 12일 연방 법원 판결 31. 애리조나 주 6,626,624 2014년 10월 16일 2014년 10월 16일 연방 법원 판결 32. 와이오밍 주 582,658 2014년 10월 16일 2014년 10월 21일 연방 법원 판결 33. 미주리 주 6,063,589 2014년 11월 5일 2014년 11월 5일 주 법원 판결 34. 캔자스 주 2,893,957 2014년 11월 4일 2014년 11월 12일 연방 법원 판결 35.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4,826,821 2014년 11월 12일 2014년 11월 20일 연방 법원 판결 36. 몬태나 주 1,015,165 2014년 11월 19일 2014년 11월 19일 연방 법원 판결 37. 플로리다 주 19,893,297 2014년 8월 21일 2015년 1월 6일 연방 법원 판결 38. 앨라배마 주 4,849,377 2015년 1월 22일 2015년 2월 9일 연방 법원 판결 총 합계 235,251,622 (미국 전체 인구의 74.4%) 여론[편집] 워싱턴 포스트와 ABC 뉴스에서 2014년 2-3월에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국인 중 59%가 동성 결혼에 지지를, 34%가 반대의 의견을 내었다.[4] 전 미국 대통령인 버락 오바마와 민주당, 자유주의적 개신교계, 노조 등은 동성 결혼을 허용하자는 입장이지만,[5] 보수적 복음주의 개신교계와 가톨릭, 정교회, 무슬림 등에서는 동성 결혼 시행에 대해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각주[편집] ↑ United States v. Windsor, [1] ↑ Landmark: Supreme Court Rules Same-Sex Marriage Legal Nationwide, NBC News, 2015년 6월 26일 ↑ U.S. Census estimate, 2013: “Annual Population Estimates”. 《State Totals: Vintage 2013》.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4년 1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월 14일에 확인함.  The Census Bureau population estimate for 2013 was 316,128,839 for the states and the District of Columbia. ↑ Peyton M. Craighill and Scott Clement (2014년 3월 5일). “Support for same-sex marriage hits new high; half say Constitution guarantees right”. 《워싱턴 포스트》. 2014년 3월 5일에 확인함.  ↑ “Barack Obama on LBGT Rights” (PDF). 2010년 3월 2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0월 3일에 확인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미국의_동성결혼&oldid=23034755" 분류: 미국의 동성결혼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NederlandsРусскийSimple English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6일 (금) 22:1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미국은 2003년 매사추세츠 주를 시작으로 입법과 판결, 주민투표 등을 통해 각 주에서 점차적으로 동성결혼을 허용하기 시작한 후, 2015년 6월 26일 미국 연방 대법원에서 동성결혼은 헌법에서 보장받는 권리라고 판결내리며 미국 전역에서 시행되고 있는 제도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미국에서 동성결혼 제도가 최초 도입된 것은 언제야? Assistant: 2003년 Human: 아래 이광식_(1493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광식 (1493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광식 (1493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광식 백흠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광식 (李光軾)출생 1493년 11월 7일조선 강원도 강릉사망 1563년 12월 15일 (70세)조선 한성부국적 조선 본관 우계별칭 자는 백흠(伯欽),학력 1516년(중종 11년) 무과 급제직업 무신, 군인, 정치인.부모 부 이지방, 모 청송심씨자녀 아들 이계변, 이감, 이전, 이용, 딸 이씨, 딸 이씨친척 손자 이희헌, 손자 이성헌, 장인 이세응, 재종조부 이수형, 사돈 임권, 사돈 임유겸, 대고모부 정현조, 외손녀사위 이중경 이광식 (李光軾) 생애 1493년 11월 7일 ~ 1563년 12월 15일 출생지 조선 강원도 명주군 사망지 조선 한성부 별명 자는 백흠(伯欽) 복무 조선 육군 복무 기간 1516년 ~ 1563년 11월 최종 계급 병조참판, 전라도병마절도사 지휘 평안도, 전라도병영 주요 참전 여진족 정벌 / 을묘왜변 기타 이력 1516년 과거 급제, 사후 증 자헌대부 병조판서 겸 지의금부사 이광식(李光軾, 1493년(성종 23년) 11월 7일(음력 9월 29일) ~ 1563년(명종 18년) 12월 15일(음력 12월 1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이며 외교관이다. 본관은 우계(羽溪)이고 자(字)는 백흠(伯欽). 강원도 강릉 출신. 1516년(중종 11)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 사어를 지내고 1528년(중종 23) 김해부사에 임명되었다가 군기시첨정을 거쳐 군기시 부정으로 승진했으나 경력이 얕으면서 첨정이 된지 30삭을 넘기지 못하고 승진했다 하여, 대간의 탄핵을 받고 사직했다가 김해부사로 부임했다. 그해 무재(武才)가 있다는 이유로 대간의 천거로 갑산부사에 임명되었다. 이후 종성과 회령의 부사를 거쳐 1533년(중종 28) 가선대부로 승진하고, 여주목사, 성주목사 등을 지냈다. 1544년(중종 39) 평안도병마절도사로 재직 시 원한을 품은 여진족이 평안도 변방을 습격하여 변장들을 살해하자, 여진족 소굴로 직접 찾아가 야인 진무를 하고 돌아왔다. 명종이 즉위 후 임기가 차 체직되어야 되나 유임되어 서쪽 변방의 일을 계속 맡아 보았다. 이후 한성부우윤, 장례원판결사, 병조 참판, 공조 참판, 전라도병마절도사를 역임했다. 1555년(명종 10)에는 을묘왜변이 터지자 전라도 해안가로 쳐들어온 왜구를 격퇴하여 전란이 확대되는 것을 막기도 했다. 아버지는 병마절도사를 지낸 이지방(李之芳)이고 어머니는 청송심씨 심선(沈璿)의 손녀딸이다. 장인은 함안 이씨로 평안도 관찰사 함안군(咸安君) 양간공 이세응(李世應)이다. 무신 이전, 이용, 문신 이감(李戡)의 아버지이며 이복남(李福男)의 증조부이다. 목차 1 생애 1.1 초기 활동 1.2 관료 생활 1.2.1 관료생활 초반 1.2.2 변방 근무 1.3 정치 활동 1.4 생애 후반 1.5 사후 2 가족 관계 3 평가와 비판 4 함께 보기 5 참고문헌 6 각주 7 참고 자료 생애[편집] 초기 활동[편집] 이광식은 1493년(성종 23년) 11월 7일 강원도 강릉 출신으로, 병마절도사를 지낸 이지방(李之芳)과 봉사(奉事) 심안신(沈安信)의 딸 정부인 청송 심씨의 아들로 태어났다. 조부는 충찬위 선무랑 목청전직으로 사후 증 이조참의와 증 호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에 추증된 이징(李徵)이고, 증조부는 소위장군 행충좌위부사정 호군 이경연(李景衍 또는 이경행(李景行)), 고조부는 사정, 직장을 거쳐 중추부경력, 호분위경력, 통훈대부 지덕천군사, 판사복시사 등을 지낸 이인숙(李仁淑)이다.[1] 숙부 이지영(李之英)은 행적이 미상이고, 그의 사촌 이형손(李亨遜) 역시 무과에 급제하여 안악군수를 역임하였다. 그의 고모 중 1명은 하성부원군 정현조(鄭顯祖)의 재취 부인으로 출가하였다. 수양대군의 왕권 찬탈에 저항, 벼슬을 버리고 낙향했다가 70년간 단종을 추모하며 은거한 도촌 이수형(李秀亨)은 그의 재종조부였다. 어머니 청송심씨는 봉사 심안신의 딸로, 모계로는 외증조부 망세당 심선(沈璿)은 경기도관찰사를 지내고 영돈령부사에 추증되었으며, 외6대조는 인수부윤과 경창부윤을 지낸 심징으로, 세종대왕의 비 소헌왕후의 친정 숙부였다. 그의 누이 1명은 윤확(尹確)에게 출가했는데, 그는 윤번의 차남 윤사흔 (尹士昕)의 4대손으로, 윤선(尹瑄)의 증손이며 영평군 윤계겸(鈴平君 尹繼謙)의 손자였다. 1510년 초, 정국공신인 평안도관찰사 양간공 이세응(李世應)의 둘째 딸 함안이씨와 결혼하여 이계변(李繼邊), 이감, 이전, 이용의 4남과 2녀를 뒀다. 이계변은 요절하였고, 이감은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이전은 이복남의 할아버지가 된다. 이세응의 묘갈명에는 이감, 이전의 처음 이름인 이언소와 이언점으로 나타난다. 관료 생활[편집] 관료생활 초반[편집] 1516년(중종 11년) 무과(武科)에 급제, 권지를 거쳐 선전관이 되었다. 선전관으로 재직 중 1522년(중종 17) 3월 24일 공노비를 사사로이 은닉한 이춘무(李春茂)의 가택을 수사하였다.[2] 1522년(중종 17) 선전관이었다가 병조좌랑을 거쳐 1523년(중종 18) 1월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 사어(司禦)로 승진하였다. 그러나 갑자기 5품으로 승진했다 하여 작상이 외람되다는 양사의 비판을 받았으나 왕이 무마시켰다. 이후에도 대간과 헌부가 번갈아가며 그의 승진을 논핵했지만 중종이 듣지 않았다. 1528년(중종 23) 김해부사에 임명되었다가 군기시 첨정(軍器寺僉正)을 거쳐 군기시 부정(軍器寺副正)으로 승진했으나 경력이 얕으면서 첨정이 된지 30삭을 넘기지 못하고 승진했다 하여, 대간의 탄핵을 받고 사직했다가 김해부사(金海府使)로 부임했다. 1528년(중종 23) 4월 사간원으로부터 젊고 무재(武才)가 있는 인물이라 양계(兩界) 지역 임용을 추천받았다. 사간원에서는 한편 그의 인물이 합당하기 때문에 사전에 이미 서경(署經)하였지만 신원에 이상이 없었다 한다. 그해 4월 11일 김해부사에서 경질되고, 같은 해 무재(武才)가 있다는 이유로 대간의 추천을 받고 갑산부사사(甲山府使)에 임명되었다. 11월 갑산부사 재직 중 영의정 정광필로부터 당상이 될 만한 인물로 천거받았다. 1529년 6월 갑자기 승진했다는 이유로 사헌부의 탄핵을 당했지만 왕이 듣지 않았다.[3] 사헌부로부터 갑자기 중요 벼슬길에 오른 것과, 자기 말에 따르지 않는 것을 분하게 여겨 동료들을 배척하고 공론을 배격한다는 이유로 논핵당했다.[4] 이후 7월까지 사헌부에서 여러번 논계했지만 중종이 듣지 않았다. 1529년 만포첨사 심사손이 야인의 기습을 받고 살해되면서, 변방을 지키는 것이 급하다는 사간원의 건의에 의해 종성부사(鍾城府使)로 임명되었다. 변방 근무[편집] 이후 여진족의 기습 약탈에 맞서 변경을 방비하는 한편 불법으로 국경지대를 넘어오는 여진족을 국경 밖으로 쫓아냈다. 1530년(중종 25) 겨울 경원진 야인들과 변장들의 갈등을 수습하였다. 그해 겨울 경원진(慶源鎭)에서 야인이 조선인 통사를 칼로 찔러 죽이자 진장(鎭將)이 보복으로 지기(之奇)란 야인을 타살하였다. 1531년 초 함경도관찰사 한형윤(韓亨允)의 명을 받고 야인들과 통사들을 추고하여 통사와 야인간의 갈등을 적발하였다. 그에 의하면 '통사 김은산(金銀山)이 야인 우눌이(亏訥耳)의 처소에서 칼에 맞아 죽은 일과 부사 이완(李莞)이 우눌이를 타살한 일을 색리(色吏) 등이 이미 승복했으며 근래 변장(邊將)들이 오랑캐를 대우하는 데 정도(正道)를 잃어 저들이 늘 경모(輕侮)하는 마음을 품게 하였습니다. 그래서 1년 동안에 통사 2인이 피살되었으며, 또 진장은 진장대로 함부로 오랑캐를 죽이고서도 숨기고 보고하지 않았던 사실[5]'을 확인하였다. 1533년(중종 28) 1월 가선대부(嘉善大夫)로 승진, 여주목사(驪州牧使)로 부임하였다. 그러나 사헌부로부터 가선대부로의 승진이 부당하다는 상소가 있었으나 왕이 듣지 않았다.[6] 동년 7월 사헌부가 연소하고 무재(武才)가 있으므로 내지의 수령에는 합당치 않으며 장수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체직을 건의하여 체직되었다.[7] 1536년 왕이 김근사를 시켜 무관들에게 진법을 직접 물으며 시험할 때 통과하였다.[8] 1536년(중종 31) 4월 중종이 무신들에게 진법을 시험할 때, 조통(粗通)의 성적을 받았다. 1538년(중종 33) 7월 성주목사로 있을 때, 사헌부로부터 수령으로 있을 때에 일을 잘 처리하지 못하여 백성에게 폐를 끼쳤다며 탄핵당했다.[9]" 그해 11월 24일에는 용렬하다는 이유로 사헌부의 논핵을 당했지만 왕이 듣지 않았다. 이후 사헌부가 거듭 계를 올려 탄핵하여 그해 11월 면직되었다.[10] 1540년 성주목사를 거쳐 1543년(중종 38) 평안도 병마절도사로 부임하였다. 동시에 수군절도사와 영변대도호부사(寧邊大都護府使)직을 겸직하였다. 이후 건주의 여진인이이며 중국인 왕창(王昌)의 아내 이어려(李於呂)가 남편을 따라 탈출하여 국경을 넘어오고, 그의 친정아비 이얼겅거[李於乙巨應巨] 등이 만포진에 와서 호소하자, 그를 잘 설득하여 되돌려보내기도 했다.[11] 또한 자신의 아버지 왕산적하(王山赤下)가 참살당한 것에 원한을 품은 여진인 왕살동가(王沙乙同可)가 군사를 이끌고 조선을 침략하려는 첩보를 입수하여 보고하였다.[12][13] 1544년(중종 39년) 9월 몽골인의 서계를 받아 조정에 전달하였다. 그러나 평안도 병마절도사인 이광식 편으로 전해온 몽고 서계(蒙古書契)를 능히 해석하는 자가 없어서 번역하더라도 믿을 길이 없다고 하였다.[14] 1544년(중종 39) 평안도병마절도사로 재임 중, 국경지역의 야인들이 동료들이 변장들에게 죽임당한 것에 원한을 품고 쳐들어와 변장을 죽이고 노략질을 하자, 직접 야인소굴에 들어가 야인들을 만나 위무하고 돌아와 다시는 침략하지 못하도록 하였고, 1545년 임기만료되어 체직되어야 하나 이아장합(李阿將哈)의 심사손 살해 사건을 상세히 알고 있었으므로 계속 유임되었다. 정치 활동[편집] 1545년(인종 2년) 정조물을 대비 윤씨(문정왕후)에게 먼저 진상했다가 사간원의 탄핵을 받았으나 윗전을 돌보는 것이 상례라는 승정원의 변호로 무마되었다. 이후 비변사 회합에 참석하였고, 1546년(명종 1) 동지중추부사가 되었다. 1546년(명종 1) 4월 의정부와 병조의 추천으로 장수에 뽑혔다.[15] 같은 해 병조참판, 공조참판이 되고, 그해 가을 명나라에 파견되는 동지사가 되어 그해 11월 11일 연경을 방문[16], 이듬해 초에 귀국하였다. 1547년 동지중추부사, 상호군과 비변사당상을 거쳐 1548년 다시 평안도병마절도사 겸 수군절도사 영변대도호부사가 되고 이후 동지중추부사, 한성부좌윤, 1549년 특진관으로 보임되었다. 1549년 특진관으로 있을 때, 변방의 만호나 첨사가 좋은 말을 어거지로 매수하여 변방에 좋은 말들이 없어지는 부당함을 간하여 시정하게 하였으며, 1550년초 송숙근 등과 더불어 흉년이 든 함경도에 남방의 곡식을 옮겨줄 것을 간하였다. 1550년(명종 5) 장예원 판결사, 비변사당상, 1551년 2월 병조참판, 행 호군을 지냈다. 그해 12월 다시 병조참판이 되었다가 1553년(명종 8) 한성부우윤, 동지중추부사, 병조참판, 1554년 동지중추부사 등을 거쳐 1555년(명종 10)에 전라도 병마절도사로 부임하였다. 생애 후반[편집] 을묘왜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555년 5월 왜적이 해안가를 침입하여 변장(邊將)들을 죽이고 10진을 함락시켜 군무가 위급했으나, 전라도로 파견되어 내분을 수습하고 내륙까지 침투한 왜적들을 토벌하여 병란이 확산되는 것을 평정하였다. 그러나 달량진에 내려온 그를 피하여 왜구는 말머리를 돌려 영암군, 진도 일대를 약탈하여, 조정에서는 다시 이준경, 이윤경 등을 보내 그를 지원하게 하였다. 1555년(명종 10) 9월 전라도 병마절도사가 되었다. 나라가 태평한 지 오래되어 군령(軍令)이 해이해지고 백성들은 병화(兵火)를 알지 못하고 장수는 게으른데, 게다가 해마다 흉년이 들어 기근이 계속되니 군졸의 피곤함과 생민(生民)들의 유리(流離)함이 이때보다 심한 적이 없었다. 변장(邊將)들은 군기(軍器)를 보수하지 않고 방어를 삼가지 않으며 윗사람에게 아부하는 것만 숭상하면서 무사 태평한 데 익숙하여 방어의 일은 생각지도 않았다가 금년에 갑자기 참혹한 변란을 당하여 국가의 환란이 극(極)에 이르렀다.김경석(金景錫) 등이 직접 내 말을 받들어 중임에 맡겨졌지만, 왜구가 횡행할 때에 혹은 위축되어 앉아 싸우지 않으며, 혹은 머뭇거리고 나아가지 않아, 겨우 1백여 급만을 베고 도망치게 하여 평소 무사를 기른 뜻이 전혀 없으니 통분함을 이길 수 없다. 경을 택하여 보냄은 반드시 생각이 있어서이니 경은 명심하라. 만일 게을리하고 그르치는 일이 있으면 내가 용서하지 않겠다.昇平日久, 軍令解弛, 民不知兵, 將皆偸惰, 加以歲連凶荒, 饑饉荐臻, 軍卒之疲困, 生民之流離, 莫此時爲甚。 邊將等不修軍器, 不謹防備, 徒以善事左右相尙, 狃於尋常, 專不動念, 今年遽遭慘酷之變, 國家之患極矣。 金景錫等親承予言, 委寄重任, 當倭寇恣行之時, 或縮坐不戰, 或逗遛不進, 僅斬百餘級, 遁去, 頓無平時培養武士之意。 不勝痛憤。 以卿擇遣, 必有其意, 卿其念哉! 若有緩慢失誤之事, 則予當不饒。 그해 9월 10일 사은숙배 후 부임하였다가 그해 10월 11일 체직되었다. 청렴하고 근실한 노장(老將)으로 이름이 높았으며 가훈이 엄하였고, 몸가짐을 맑고 소박하게 처신하였다. 엄격했던 그는 나이 40을 바라보는 셋째 아들 이전이 승지가 되었을 때에도 잘못을 하면 허물을 물어 종아리를 치기도 했다. 그는 아들 이감(李戡)이 훈구외척 이량(李樑)과 결탁하는 것을 항상 책망하였으나 결국 화를 막지 못했다. 그는 화가 반드시 자신에게도 미칠 것(謂禍必及己)이라고 하였다. 그는 이량(李樑)의 사람됨됨이를 미워하여 아들 이감(李戡)에게 이량을 가까이 하지 말도록 했으나 이감은 끝내 이량의 심복이 되었다. 그밖에 송순(宋純), 상진(尙震) 등과 함께 계축갑계(癸丑甲契)를 조직하는데 참여하여 활동하였다. 1557년(명종 12) 동지중추부사를 거쳐 1563년(명종 18) 병조참판에 이르러 병으로 물러나고 동지(同知)로 전직되었다. 만년에 그는 오랫동안 병석에 누워 있었다. 1563년(명종 18년) 11월 7일 경기도수군절도사로 재직 중이던 셋째 아들 이전이 수유(受由)를 청하는 장계를 올렸다가, 변방의 장수는 수유를 청할수 없는데도 장계를 올렸다며 승정원의 탄핵을 당했으나 명종이 이를 무마시켰다.[17] 이광식(李光軾)이 늙은 무관으로 오랫동안 병들어 있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며, 부자간의 심정이 절박하여 그런 것이니 추고할 수 없다. 이전의 본직을 체차해서 아비의 병환을 구료케 하여 효도로 다스리는 나의 뜻을 보여주도록 하라. 명종은 효로서 통치하는 나의 뜻을 보이겠노라며 특별히 아들 이전의 휴가를 허용해주었다. 1563년 12월 15일 경기도 광주 언주면 자택에서 병으로 사망하였다. 증(贈) 자헌대부 병조판서 겸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에 추증(追贈)되었다. 사후[편집] 사후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원지리 철곡(현 서울특별시 서초구 원지동 산 83-2번지 철곡)에 안장되었다. 그의 묘소 아래에는 증손자 이복남의 묘, 증손자 이명남의 묘, 5대손 송곡 이서우의 묘가 순서대로 조성되었다. 산 오른쪽 언덕에는 다른 손자인 이희헌의 후손 이재명의 묘가 있다. 이복남은 셋째아들 이전의 장남 이준헌의 둘째아들이고, 이명남은 둘째아들 이감의 장남 이성헌의 장남이다. 이서우는 이성헌의 다른 아들 이길남의 손자가 된다. 그의 묘소 남쪽에는 2011년 건립된 서울추모공원이 있다. 가족 관계[편집] 함경북도병마절도사 겸 경성부사 선생안(셋째 아들 이전과 넷째 아들 이용의 이름이 있다. 조부 : 이징(李徵) 조모 : 양천허씨(陽川許氏, ? ~ 1509년 1월 29일), 사헌부장령, 의정부 사인 허적(許迪)의 딸 아버지 : 이지방(李之芳, 1466년 10월 15일 - 1537년 12월 11일) 어머니 : 청송심씨(淸松沈氏, 1469년 11월 19일 ~ 1540년 10월 19일, 심안신의 딸) 부인 : 함안이씨(咸安李氏, 1492년 12월 1일 ~ 1536년 10월 7일, 이세응의 딸, 충렬공 이방실의 7대손). 장남 : 이계변(李繼邊[18]) 차남 : 이감(李戡, 1516년 10월 27일 ~ 1583년) 자부 : 풍천임씨(豊川任氏, 1515년 4월 12일 - 1556년 2월 1일), 정헌공 임권(任權)의 딸, 소간공 임유겸(任由謙)의 손녀 손자 : 이성헌(李成憲, 1534년 2월 22일 - 1601년 5월 8일) 손부 : 전주이씨(全州李氏), 이한(李澣)의 딸 손부 : 전주이씨(全州李氏, 1536년 - ?), 밀성군 이침(密城君 李琛) 4대손 광원수 증 광원군 이구수(廣原守贈廣原君 李耉壽)의 딸 손녀 : 우계이씨(羽溪李氏) 손녀사위 : 윤유후(尹裕後, 1541년 1월 11일 - 1606년 8월 13일), 윤사로의 손자, 윤호의 증손 자부 : 예천윤씨(醴泉尹氏, 1538년 10월 28일 - 1624년 11월 11일) 또는 예산윤씨(禮山尹氏), 윤연수(尹延壽)의 딸 손자 : 이희헌(李希憲, 1569년 6월 15일 - 1651년 11월 28일) 손자 : 이유헌(李有憲) 손자 : 이의헌(李宜憲) 손녀 : 우계이씨(羽溪李氏) 손녀사위 : 권봉수, 안동권씨 삼남 : 이전(李戩, 1517년 1월 21일 ~ ?) 자부 : 고성이씨(古城李氏), 이광택(李光澤)의 딸 자부 : 하빈이씨, 부장 이윤우(李允耦(手+愚))의 딸 손자 : 이준헌(李遵憲), 충장공 이복남(李福男)의 아버지 손자 : 이경헌(李敬憲, ? ~ 1592년 4월) 손자 : 이봉헌(李奉憲) 손자 : 이승헌(李承憲, ? ~ 1592년 4월) 손녀 : 우계이씨(羽溪李氏) 손녀사위 : 한강(韓綱, 1535년 ~ 1629년 4월 26일), 가선동지 증 정헌 좌참찬 서원군(西原君) 사남 : 이용(李庸+戈, 1533년 - 1591년 1월) 자부 : 칠원윤씨(漆原尹氏), 윤리(尹伊)의 딸, 윤탁연(尹卓然)의 누이 자부 : 여산송씨(驪山宋氏), 송맹경(宋孟璟)의 딸, 광주 이극돈의 진외증손녀 딸 : 우계이씨(羽溪李氏) 사위 : 윤강(尹綱), 윤지임의 손자이며 윤원개의 아들 딸 : 우계이씨(羽溪李氏) 사위 : 신경호(申景濩) 딸 : 우계이씨(羽溪李氏, 1523년 11월 8일 ~ 1568년 4월 1일) 사위 : 이춘림(李春林, 1518년 3월 3일 ~ 1568년 11월 16일), 감찰, 진남군 이종생(鎭南君 李終生) 차남 진례군 이형(進禮君 李衡) 증손자 사서 이원경(李元卿)의 아들 양외손자 : 이몽량(李夢良, 1544년 12월 28일 ~ 1626년 12월 18일, 첨지), 생부는 이춘림의 동생 이운림(李雲林) 외할아버지 : 심안신(沈安信) 외할머니 : 고성이씨(固城李氏), 주부 이희진(李希振)의 딸 외증조부 : 심선(沈璿, ? ~ 1467년 9월 20일), 호는 망세정(忘世亭), 심온(沈溫)의 종손 장인 : 이세응(李世應, 1473년 ~ 1528년 8월 26일) 장모 : 경주김씨(慶州金氏), 사헌부집의 김미(金楣)의 딸 처조부 : 이계통(李季通, 1439년 ~ 1491년 10월 2일) 평가와 비판[편집] 청렴하고 근실한 노장(老將)으로 이름이 높았다.[17] 집안이 엄숙하고 몸가짐이 맑고 소박했다.[19] 2품 이상의 직위를 역임하였음에도 사치하지 않았고, 지위를 이용해서 위세를 부리지도 않았다. 집안을 다스리는 데 엄정하였으며, 그의 아들 이전(李戩)이 승지(承旨)로 있을 때 나이 40이 넘었음에도 허물이 있으면 종아리를 치기도 하였다.[20] 청백하고 맑게 처신하여 가풍을 계승하였다.[20] 함께 보기[편집] 을묘왜변 병마절도사 심선 이복남 이감 이지방 이세응 이수형 이여빈 이중경 윤근수 윤두수 임권 임유겸 전우치 정숭조 정현조 광원군 광성정 한확 참고문헌[편집] 중종실록 명종실록 대동야승 국조보감 연려실기술 여주군사 강원도지 朝鮮総督府 平安北道道庁, 《平安北道史》(平安北道道庁, 1938) 각주[편집] ↑ 세종실록 61권, 1433년(세종 15년, 명 선덕 9년) 9월 3일 임오 3번째기사, "이인숙·노종덕·안계인이 하직하다" ↑ 중종실록 44권, 중종 17년(1522 임오 / 명 가정(嘉靖) 1년) 3월 24일(신미) 3번째기사 "이광식이 이춘무의 집 수색에 대해 아뢰다" ↑ 중종실록 65권, 중종 24년(1529 기축 / 명 가정(嘉靖) 8년) 6월 28일(신묘) 1번째기사 "헌부에서 어득강을 탄핵하다" ↑ 중종실록 65권, 1529년(중종 24년, 명 가정 8년) 6월 28일 신묘 1번째기사, "헌부에서 어득강을 탄핵하다" ↑ 중종실록 71권, 중종 26년(1531 신묘 / 명 가정(嘉靖) 10년) 10월 15일(을미) 2번째기사 "함경도 관찰사 한형윤이 변장들이 오랑캐를 함부로 죽인 일 등을 치계하다" ↑ 중종실록 73권, 중종 28년(1533 계사 / 명 가정(嘉靖) 12년) 1월 19일(임술) 2번째기사 "헌부가 이광식의 가자가 부당하다 아뢰니 불허하다" ↑ 중종실록 75권, 중종 28년(1533 계사 / 명 가정(嘉靖) 12년) 7월 5일(병오) 2번째기사 "이원과 최숭조를 체직하다" ↑ 중종실록 81권, 중종 31년(1536 병신 / 명 가정(嘉靖) 15년) 4월 29일(계축) 2번째기사 "무관들에게 진법에 대해 직접 물어보며 대답을 듣다" ↑ 중종실록 89권, 중종 33년(1538 무술 / 명 가정(嘉靖) 17년) 11월 24일(갑오) 1번째기사 "헌부가 이장길·이광식의 체임과 이경장·곤순의 일의 개정을 요구하나 윤허치 않다 ↑ 중종실록 89권, 중종 33년(1538 무술 / 명 가정(嘉靖) 17년) 11월 29일(기해) 1번째기사 "이광식·곤순의 일을 아뢴 대로 윤허하다" ↑ 중종실록 103권, 1544년(중종 39년, 명 가정 23년) 6월 5일 임신 3번째기사, 중국인 왕창의 아내 이어려의 송환 처리를 요구하는 평안도 병사 이광식의 계본 ↑ 중종실록 104권, 중종 39년(1544 갑진 / 명 가정(嘉靖) 23년) 9월 8일(갑진) 1번째기사, "평안도 병사 이광식이 올린 건주위 야인의 서계를 번역하여 올리도록 이르다" ↑ 중종실록 104권, 중종 39년(1544 갑진 / 명 가정(嘉靖) 23년) 9월 9일(을사) 5번째기사 "홍언필이 평안 병사 이광식의 서장과 호인의 서계를 무신과 상의하겠다고 아뢰다"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논문집 11권》 (성균관대학교, 1966) 44페이지 ↑ 국조보감 제22권 ↑ 明世宗肅皇帝實錄 卷三百十七 嘉靖二十五年(1546년) 十一月 十一日 1번째기사 ↑ 가 나 명종실록 29권, 1563년(명종 18년, 명 가정 42년) 11월 7일 임오 3번째기사, "정원에서 참람하게 휴가를 청한 경기 수사 이전의 체차를 청하다" ↑ 文化柳氏嘉靖譜 604, 文化柳氏嘉靖譜 655, 文化柳氏嘉靖譜 141 ↑ “이광식”. 2014년 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2월 22일에 확인함.  ↑ 가 나 강릉문화대전 참고 자료[편집] 이광식:여주군사 이광식 강원도청 여주군청[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우계이씨 종친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광식_(1493년)&oldid=22959092" 분류: 1493년 태어남1563년 죽음과거 급제자조선의 무신조선의 군인조선의 정치인조선의 외교관해군 군인육군 군인병마절도사수군절도사을묘왜변 관련자우계 이씨강릉시 출신한국의 장군병사한 사람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贛語Bahasa IndonesiaNorskTiếng Việt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9일 (금) 14: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광식(李光軾, 1493년(성종 23년) 11월 7일(음력 9월 29일) ~ 1563년(명종 18년) 12월 15일(음력 12월 1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이며 외교관이다. 본관은 우계(羽溪)이고 자(字)는 백흠(伯欽). 강원도 강릉 출신. 1516년(중종 11)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 사어를 지내고 1528년(중종 23) 김해부사에 임명되었다가 군기시첨정을 거쳐 군기시 부정으로 승진했으나 경력이 얕으면서 첨정이 된지 30삭을 넘기지 못하고 승진했다 하여, 대간의 탄핵을 받고 사직했다가 김해부사로 부임했다. 그해 무재(武才)가 있다는 이유로 대간의 천거로 갑산부사에 임명되었다. 이후 종성과 회령의 부사를 거쳐 1533년(중종 28) 가선대부로 승진하고, 여주목사, 성주목사 등을 지냈다. 1544년(중종 39) 평안도병마절도사로 재직 시 원한을 품은 여진족이 평안도 변방을 습격하여 변장들을 살해하자, 여진족 소굴로 직접 찾아가 야인 진무를 하고 돌아왔다. 명종이 즉위 후 임기가 차 체직되어야 되나 유임되어 서쪽 변방의 일을 계속 맡아 보았다. 이후 한성부우윤, 장례원판결사, 병조 참판, 공조 참판, 전라도병마절도사를 역임했다. 1555년(명종 10)에는 을묘왜변이 터지자 전라도 해안가로 쳐들어온 왜구를 격퇴하여 전란이 확대되는 것을 막기도 했다. 아버지는 병마절도사를 지낸 이지방(李之芳)이고 어머니는 청송심씨 심선(沈璿)의 손녀딸이다. 장인은 함안 이씨로 평안도 관찰사 함안군(咸安君) 양간공 이세응(李世應)이다. 무신 이전, 이용, 문신 이감(李戡)의 아버지이며 이복남(李福男)의 증조부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광식을 서경한 조선시대 정부 조직이름은 뭐야? Assistant: 사간원
Human: 아래 계훈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계훈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계훈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계훈제 기본 정보출생 1921년 12월 31일(1921-12-31)일제 강점기 평안북도 선천군사망 1999년 3월 14일 (77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서 고문후유증으로 인하여 병사(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월산리 모란공원 유해 안장)본관 수안(遂安)학력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학사직업 언론인 독립운동가 민주화 운동가 사회운동가부모 계봉집(부), 이형저(모) 정당 무소속 계훈제(桂勳梯, 1921년 12월 31일 ~ 1999년 3월 14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민주화 운동가이다. 평안북도 선천군 출신으로 호(號)는 산우(山芋)이다. 목차 1 생애 2 저술 3 약력 4 학력 5 같이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생애[편집] 1921년 평안북도 선천(宣川)에서 아버지 계봉집(桂鳳集)과 어머니 이형저(李亨姐)의 5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1943년 경성제국대학 1학년 재학 중 일제의 학병 징집을 거부하고 임시정부로 갈 계획으로 국경을 넘다 일본 헌병에 붙잡혀 지원병 훈련소로 압송됐다.평양 인근의 채석장에서 중노동을 하면서도 건국동맹과 연계했던 항일 독립운동 단체인 '조선민족해방협동단'에 가입해 항일 활동을 벌였다. 해방이후 장준하의 권유로 백범 김구 밑에서 일을 했다. 백범의 영향 아래 신탁통치 반대투쟁에 나섰고, 백범의 남북협상을 지지하며 삭발을 하기도 했다. 서울대 문리대 정치학과 학생회장 때는 미군정에 의한 서울대학교의 국립화에 반대하는 ‘국대안 반대투쟁’을 이끌었다. 학생위원장이었던 시절 이희호를 만나 부부의 연을 맺을 뻔 했지만, 훗날 계훈제가 폐결핵에 걸리고 이희호가 미국 유학길에 오르면서 인연이 엇갈렸다.[1] 5·16 쿠데타가 일어난 뒤 민주화운동의 가시밭길을 걷기 시작한다. 1963년 한일회담, 1968년 월남 파병, 1969년 3선개헌 등 박정희정권 시절 정치적 고비마다 반대투쟁에 앞장섰다. 교육자로 일하기도 하고 언론인으로서 사상계 편집장과 씨알의 소리 편집위원을 맡으면서 군사독재에 반대하는 민주화 운동과 통일운동을 이끌었다. 1980년 '서울의 봄' 때는 계엄령 해제를 촉구했고, '김대중내란음모사건'에 휘말려 15개월 도피생활 후 체포되어 구속되었다. 제5공화국 시절 내내 민주화투쟁을 이끌었고, 1987년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의 상임공동대표를 맡아 1987년 6월 민주항쟁을 선도했다. 이후에도 전국연합 상임고문 등을 역임하며 민주화와 통일을 위해 평생 동안 투쟁을 계속했다. 1999년 3월 14일 고문후유증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향년 77세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유해는 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월산리 모란공원에 안장되었다. 저술[편집] 병상에서 자서전인 "나의 투쟁, 나의 일생"을 집필했으나 끝내 마치지 못하였다. 이 유고는 2002년에 "흰 고무신-계훈제, 미완의 자서전" (삼인)으로 출판되었다. 약력[편집] 1921년 12월 31일 평북 선천군 부황 출생 1940년대 일제시기 학병을 거부하는 등 항일운동에 참여 해방후 김구 밑에서 신탁통치 반대 투쟁을 벌이면서 김구의 남북협상을 지지하였다. 1946년 서울대학교 문리대학 학생회장 때에는 국대안 반대운동을 이끌기도 하였다. 4월 혁명에 참여. '자유언론수호협의회'구성. '사상계' 편집장 활동 1960년~1961년 교원노조 결성, 국학대학 강사 1962년 함석헌·장준하 등과 '자유언론수호협의회' 결성 1969년 삼선개헌반대투쟁위 상임운영위원 1970년~1979년 '씨알의 소리' 편집위원 1973년~1974년 구화고등학교 교장, 민주회복국민회의 운영위원 1975년 긴급조치 9호 위반 투옥 1977년 '민주주의국민연합' 운영위원 1980년 '서울의 봄' 시기 전국적 전 계층적 열망을 묶어 세우기 위해 노력하다 내란음모죄로 수배, 15개월 도피생활 1982년 포고령 위반, 김대중내란음모사건 관련 투옥 1984년 민주통일국민회의 부의장 1985년 민통련 부의장 1986년 민통련 의장대행 1987년 6월항쟁 시기 민통련 의장대행으로 '민주쟁취국민운동본부' 구성하여 활동. 6.10 항쟁을 선언한 성공회 농성을 주도 집시법 위반으로 구속됨 1988년 범민족대회를 준비하며 통일운동에서도 지도적 구실을 함 1989년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 상임고문 1989년 자주민주통일국민회의 공동의장 1991년 민주주의민족통일전국연합 상임고문 1995년 고 장준하 선생 20주기 추모행사 준비위원 1999년 3월 14일 운명 학력[편집] 1940년 선천고등보통학교 졸업 1943년 경성제국대학 법학과 제적 1949년 서울대학교 정치학 학사 같이 보기[편집] 김구 장준하 함석헌 백기완 이희호 각주[편집] ↑ “이희호 여사 자서전 '동행' 출간”. 《연합뉴스》. 2008년 11월 8일. 2019년 6월 2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계훈제한국민족문화대백과 계훈제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열사정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계훈제&oldid=24473802" 분류: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4·19 혁명서울의 봄5·18 광주 민주화 운동6월 항쟁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대한민국의 언론인국학대학교 교수신민당1921년 태어남1999년 죽음고문 피해자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동문선천군 출신수안 계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4일 (월) 11: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계훈제(桂勳梯, 1921년 12월 31일 ~ 1999년 3월 14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민주화 운동가, 해방 이후 민족수호협의회 운영위원,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 상임공동대표 등을 역임한 사회운동가이다.평안북도 선천군 출신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계훈제가 서울대 문리대 학생회장 시절 주도한 미 군정 서울대 국립화에 반대하는 운동은 무엇이었을까? Assistant: 국대안 반대투쟁 Human: 아래 도카이도_신칸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도카이도 신칸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카이도 신칸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카이도 신간선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도카이도 신칸센 신칸센 N700계 전동차 도카이도 신칸센의 경로기본 정보운행 국가 일본종류 고속 철도 운행 계통상태 영업 중기점 도쿄 역(도쿄도 지요다 구) 종점 신오사카 역(오사카부 오사카 시 요도가와 구)역 수 17개통일 1964년 10월 1일소유자 도카이 여객철도운영자 도카이 여객철도노선 제원영업 거리 552.6km실거리 515.4km궤간 1,435mm (표준궤)선로 수 2 (전 구간)전철화 교류 25,000볼트 60Hz신호 방식 ATC-NS영업 최고 속도 285 km/h설계 최고 속도 270 km/hv • d • e • h 노선도 ↑JR 동일본:도호쿠 본선 / 도호쿠 신칸센 0.0 도쿄 역 JR 동일본:게이요 선→ ↓JR 동일본:도카이도 선 오이 차량기지 6.8 시나가와 역/시나가와 차량기지 ←JR 동일본:야마노테 선 ↓JR 동일본:힌카쿠 선 가와사키 역 ←JR 동일본:난부 선→ ←JR 동일본:힌카쿠 선 쓰루미 역 →JR 동일본:쓰루미 선 25.5 신요코하마 역 ←JR 동일본:요코하마 선 히가시카나가와 역 요코하마 역 →JR 동일본:네기시 선 →JR 동일본:네기시 선 오후나 역 →JR 동일본:요코스카 선 ←JR 동일본:사가미 선 지가사키 역 고즈 역 ←JR 도카이:고텐바 선 76.7 오다와라 역 95.4 아타미 역 →JR 동일본 : 이토 선 ↑JR 동일본 / ↓JR 도카이 오른쪽:탄나 터널 왼쪽:신탄나 터널 111.3 미시마 역 미시마 차량 사업소 ←JR 도카이:고텐바 선 누마즈 역 135.0 신후지 역 후지 역 ←JR 도카이:미노부 선 167.4 시즈오카 역 왼쪽:니혼자카 터널 오른쪽:이시베 터널 211.3 가케가와 역 238.9 하마마쓰 역 하마마쓰 공장 274.2 도요하시 역 ←JR 도카이:이다 선 312.8 미카와안조 역 →JR 도카이:다케토요 선 오부 역 ←JR 도카이:주오 본선 →JR 도카이:간사이 본선 342.0 나고야 역 나고야 차량 사업소 367.1 기후하시마 역 ←JR 도카이:다카야마 본선 기후 역 ↑JR 도카이 / JR 서일본↓ ←JR 서일본:호쿠리쿠 본선 408.2 마이바라 역 452.6 릿토 신호장 →JR 서일본:구사쓰 선 구사쓰 역 ←JR 서일본:고세이 선 야마시나 역 →JR 서일본:나라 선 476.3 교토 역 ←JR 서일본:산인 본선 도리카이 차량 기지 515.4 신오사카 역 ↓JR 서일본:산요 신칸센 도카이도 신칸센(일본어: 東海道新幹線)은 신칸센 노선의 하나로 도쿄 도 지요다 구에 있는 도쿄 역에서 오사카부 오사카 시에 있는 신오사카 역까지를 잇는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 노선이다. 신오사카 역에서 연계되는 산요 신칸센과 직결 운행하고 있다. 목차 1 개요 2 역사 3 역 3.1 목록 3.2 각 역의 구조 4 차량 4.1 차량의 개요와 그 변천 4.2 운행 차량 4.3 개량 계획 4.4 운행 계통 4.4.1 노조미 4.4.2 히카리 4.4.3 고다마 4.5 소요시간과 최고속도 5 각주 6 외부 링크 개요[편집] 수송력이 한계에 이르렀던 도카이도 본선의 혼잡을 해소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으로는 신노선 건설 외에도 기존선의 복복선화 등이 거론되고 있었으나, 일본국유철도(현 JR)와 교통성은 탄환열차(The Bullet Train) 노선을 건설하기로 결정, 1959년 4월 20일 일본국유철도(현 JR)에 의해 표준궤로 착공되었다. 그리고 5년의 공사 끝에 도쿄 올림픽 개회 직전이던 1964년 10월 1일 개업하였다. 건설 당시에는 신칸센이라는 명칭이 없었고 제2도카이도선(또는 도카이도 신선)으로 불리었다. 신칸센이라는 이름은 제2차 세계대전 이전 도쿄와 시모노세키 구간에서 계획된 이른바 '탄환 열차 계획'에서 유래하였으며, 실제로 일부 구간은 2차 세계대전 당시 완공되어 있던 구간을 다시 활용했다. 개업 이후 일본국유철도(현 JR)에 의해 운영되었으나 1987년 4월 1일 국철 분할 민영화에 의해 도카이 여객철도(이하 JR 도카이)가 운영을 맡고 있다. 다만 차량 운용에 있어서는 서일본 여객철도(이하 JR 서일본) 소속 차량도 같이 운행되고 있다. 2015년 현재 도쿄와 신오사카 간 소요시간은 최소 2시간 22분(노조미호 기준), 최고속도는 시속 285킬로미터이다. 도쿄, 나고야, 오사카의 일본 3대 도시간을 빠르게 이동하기 위한 교통수단으로서 일본 교통의 대동맥이며 1일 열차 운행대수 301대, 1일 이용자수는 약 40만 명이다. 역사[편집] 1958년 12월 19일 : 건설 계획이 승인 1959년 4월 20일 : 전 구간 선로 공사 개시 1964년 10월 1일 : 전 구간 개업(도쿄 역·신요코하마 역·오다와라 역·아타미 역·시즈오카 역·하마마쓰 역·도요하시 역·나고야 역·기후하시마역·마이바라 역·교토 역·신오사카 역) 1965년 11월 1일 : 노반 안정으로 운행 시간이 1시간 단축 1969년 4월 25일 : 미시마 역이 개업하였다. 1972년 3월 15일 : 산요 신칸센 일부 구간 개업으로 오카야마까지 직통 운행 개시 1975년 3월 10일 : 산요 신칸센 전 구간 개업으로 하카타까지 직통 운행 개시 1975년 7월 : 신요코하마 역 · 시즈오카 역에 히카리호 신규 정차 개시 1980년 10월 1일 : 히카리가 오다와라 역 · 하마마쓰 역 · 도요하시 역 · 기후하시마 역에 신규 정차 개시 1986년 11월 1일 : 일본국철(현 JR 도카이 여객철도) 최후의 시간표 개정으로 최고속도가 220킬로미터로 증속하여 히카리의 도쿄 - 신오사카 주행 시간이 2시간 56분으로 감소 1987년 4월 1일 : 국철 분할 민영화에 의해 전 구간이 도카이 여객철도(이하 JR도카이)로 이관 1988년 3월 13일: 신후지 역, 가케가와 역, 미카와안조 역이 개업하였다. 1992년 3월 14일 : 노조미호 운행 개시. 300계 투입으로 도쿄 - 신오사카 주행시간이 2시간 30분으로 단축 1993년 3월 18일 : 노조미호 산요 신칸센 직결 운행 개시. 1997년 11월 29일 : 500계 투입 개시 1999년 3월 13일 : 700계 투입 개시 1999년 9월 18일 : 0계 열차 종운(終運) 2000년 3월 10일 : 식당차와 뷔페차가 이 날을 마지막으로 영업 종료 2003년 9월 16일 : 100계 열차 종운(終運) 2003년 10월 1일 : 시나가와 역의 신칸센 승강장 부분이 개업하여 신칸센이 정차 개시. 또한 이 날부터 노조미호의 대량 증편이 이루어진다. 2007년 7월 1일 : N700계가 투입되어 도쿄 - 신오사카간 최단 운행 시간이 2시간 25분으로 감소. 2010년 2월 28일 : 500계 열차 종운(終運) 2010년 3월 13일 : 시간표 개정으로 산요 신칸센 직통 열차 전 차량이 N700계로 운용 2010년 9월 24일 : 시간표 개정으로 노조미/히카리 영업 최고 속도 시속 270 km/h 운행 실시 2012년 3월 16일 : 300계 열차 종운(終運) 2012년 3월 17일 : 다이어 개정으로 모든 정기 노조미가 N700계로 완전히 전환되고 전 구간 소요시간이 최고속도로 2시간 33분이 된다. 역[편집] 목록[편집] 역명 일어 역명 접속 노선 역간거리 영업거리 소재지 도쿄 東京 ■ 도호쿠 신칸센[1] ■ 도카이도 본선 ■ 게이힌 도호쿠 선 ■ 야마노테 선 ■ 주오 선 ■ 소부 쾌속·요코스카 선 ■ 게이요 선 ■ 도쿄 지하철 마루노우치 선 0.0 0.0 도쿄도 지요다 구 시나가와 品川 ■ 도카이도 본선 ■ 게이힌 도호쿠 선 ■ 야마노테 선 ■ 요코스카 선 조반 쾌속선 ■ 게이힌 급행 전철 본선 6.8 6.8 미나토 구 신요코하마 新横浜 ■ 요코하마 선 ■ 요코하마 지하철 블루 라인 22.0 28.8 가나가와현 요코하마 시 고호쿠 구 오다와라 小田原 ■ 도카이도 본선 ■ 오다큐 전철 오다와라 선·하코네 등산 철도선 ■ 이즈하코네 철도 다이유잔 선 55.1 83.9 오다와라 시 아타미 熱海 ■ 도카이도 본선 ■ 이토 선 20.7 104.6 시즈오카현 아타미 시 미시마 三島 ■ 도카이도 본선 ■ 이즈 하코네 철도 슨즈 선 16.1 120.7 미시마 시 신후지 新富士 25.5 146.2 후지 시 시즈오카 静岡 ■ 도카이도 본선 시즈오카 철도 시즈오카시미즈 선 34.0 180.2 시즈오카 시 아오이 구 가케가와 掛川 ■ 도카이도 본선 덴류하마나코 철도 덴류하마나코 선 49.1 229.3 가케가와 시 하마마쓰 浜松 ■ 도카이도 본선 엔슈 철도 엔슈 철도선 (신하마마쓰 역) 27.8 257.1 하마마쓰 시 나카 구 도요하시 豊橋 ■ 도카이도 본선 ■ 이다 선 ■ 나고야 철도 나고야 본선 도요하시 철도 아쓰미 선 (신토요하시 역) 도요하시 철도 아즈마다 선 (도요하시에키마에 역) 36.5 293.6 아이치현 도요하시 시 미카와안조 三河安城 ■ 도카이도 본선 42.7 336.3 안조 시 나고야 名古屋 ■ 도카이도 본선 ■ 나고야 철도 나고야 본선 (메이테쓰나고야 역) ■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 (긴테쓰나고야 역) ■ 나고야 시 교통국 지하철 히가시야마 선 ■ 나고야 시 교통국 지하철 사쿠라도리 선 29.7 366.0 나고야 시 나카무라 구 기후하시마 岐阜羽島 ■ 나고야 철도 하시마 선 (신하시마 역) 30.3 396.3 기후현 하시마 시 마이바라 米原 ■ 도카이도 본선 (비와코 선)·호쿠리쿠 본선 오미 철도 본선 49.6 445.9 시가현 마이바라 시 교토 京都 ■ 도카이도 본선(JR 교토·비와코·고세이 선) ■ 사가노 선 ■ 나라 선 ■ 긴키 닛폰 철도 교토 선 ■ 교토 시 교통국 지하철 가라스마 선 67.7 513.6 교토부 교토 시 시모교 구 신오사카 新大阪 ■ 산요 신칸센 (직결 운행) ■ 도카이도 본선 (JR 교토 선) ■ 오사카 시 교통국 지하철 미도스지 선 39.0 552.6 오사카부 오사카 시 요도가와 구 각 역의 구조[편집] 각 역 구내 배선 및 홈 형식을 표로 나타낸다. 원칙으로서 모든 열차가 정차하여 통과 열차가 없는 역에서는 "2면 4선"의 구내 배선이 기본이 된다. 즉, 섬식 홈을 2면 배치하여 정류장은 상하선에 각각 2개소, 총 4곳을 마련하는 구조이다. 상하선 모두 각각 2개의 열차가 동시에 정차 가능하고, 상호 환승이 가능한 배선이다. 통과 열차가 있는 역에서는, 본선(통과선)에 직접 홈을 마련하지 않고, 본선과는 별도로 대피선을 설치한 후에 홈을 마련하는 구조가 기본이다. 이는 홈의 이용객과 고속으로 통과하는 열차 사이에 거리를 확보하여 풍압 등에 의한 사고를 막는 것이 목적이다. 본선에 홈이 있고 통과 열차가 있는 아타미 역과 2008년 3월 14일까지 통과 열차가 설정된 시나가와 역, 신요코하마 역은 통과 열차로 인한 사고를 막기 위해 승강장 위에 스크린 도어를 설치하였다. 각 역의 구내배선과 홈의 형식 배선분류 2면4선 2면2선+통과선 2면3선+통과선 2면4선+통과선 2면2선 1면2선+통과선 3면6선 (종착역) 구내도 해당역 시나가와 역・신요코하마 역나고야 역・교토 역 오다와라 역・신후지 역시즈오카 역・가케가와 역하마마츠 역・미카와안조 역 도요하시 역・마이바라 역 기후하시마 역 아타미 역 미시마 역 도쿄 역 차량[편집] 차량의 개요와 그 변천[편집] 도카이도 신칸센의 운행 차량의 변천은 아래와 같다. 표 - 도카이도 신칸센의 역대 차량의 변천사 차량 최고 속도(단위 : km/h)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비고 0계 220 km/h* 1964년부터 1999년까지 1964년부터 1986년까지 210 km/h 100계 220 km/h 1985년부터 2003년까지 300계 270 km/h 1992년부터 2012년까지 500계 270 km/h 1997년부터 2010년까지 700계 270 km/h 1999년부터 현재까지 N700계 285 km/h 2007년부터 현재까지 2007년부터 2015년까지 270 km/h 운영 회사 일본국유철도(1964년부터 1987년까지) 도카이여객철도(1987년부터 현재까지) 운행 차량[편집] 도카이도 신칸센의 역대 운행 차량 차량 최고 속도(단위 : km/h)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노조미히카리 고다마 0계 210 ~ 220 1964년 1999년 100계 220 1985년 2003년 300계 270 1992년 2012년 500계 270 ~ 300 1997년 2010년 700계 270 ~ 285 1999년 현재 N700계 285 ~ 300 2007년 현재 N700S계 도입 예정 2018년 도입 예정 개량 계획[편집] 인프라 면에 있어서 신오사카 역의 승강장 증설이나 인상선 증설(2013년 완공 예정) 등의 개량이 이루어지고 있다. 신오사카 역 개량공사가 완료되면 도카이도 신칸센에서 1시간에 최대 10편성의 노조미가 운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 운영면에서도 끊임없는 개선이 이루어져 왔다. 1999년과 2003년에는 각각 0계와 100계를 퇴출을 시켰는데, 이는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 차량 회전 효율성의 문제 등에 의한 것이었다. 이에 따라 일찌감치(2003년경) 이 노선의 최고 속도는 270 km/h에 맞추어졌으며 이에 대응하는 차량만이 입선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좌석 배치도 모든 열차가 완벽히 똑같게 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좌석 배치가 달랐던 500계 또한 비용 문제로 잘려나가게 되었다. 2010년 봄 시간표 개정으로 산요 신칸센 직통의 노조미가 모두 N700계로 운행하게 되었다. 도카이 여객철도에서는 그 외 차량의 교체도 점진적으로 진행하고 동시에 에너지 절약을 위해 전 차량을 2012년 3월 17일부터 700계와 N700계로 통일하였다. 또한 2010년 9월부터 기존 최고속도인 시속 270킬로미터로 운행되고 있으며, 2011년부터 마이바라 - 교토 구간 등의 일부 구간에서 시속 270에서 300킬로미터로 증속 운행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2012년 3월 17일부터 모든 정기 노조미가 N700계로 운행된다. 운행 계통[편집] 이른바 9-2-2 다이어가 적용되어 있으며 3종의 운행 계통이 있다. 1시간에 제일 빠른 노조미가 9편(18시, 19시에는 10편[2]), 히카리와 고다마가 각 2편씩 운행하고 있다. 열차 등급 도쿄 시나가와 신요코하마 오다와라 아타미 미시마 신후지 시즈오카 가케가와 하마마쓰 도요하시 미카와안조 나고야 기후하시마 마이바라 교토 신오사카 노조미 (산요 신칸센 직결 운행) ● ● ● ↔ ↔ ↔ ↔ ↔ ↔ ↔ ↔ ↔ ● ↔ ↔ ● ● 히카리 (산요 신칸센 직결 운행) ● ● ● ■ ■ ■ ↔ ■ ↔ ■ ■ ↔ ● ■ ■ ● ● 고다마 ● ● ● ● ● ● ● ● ● ● ● ● ● ● ● ● ● ●=정차;■=일부 정차;↔=통과 노조미[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노조미 (열차)입니다. 노조미는 1992년 3월 14일부터 운행을 개시하였으며, 보통 시간당 9편이 운행된다. 대부분의 열차가 1993년 3월 18일부터 산요 신칸센 직통으로 오카야마 역, 히로시마 역, 하카타 역까지 운전되며 일부는 신오사카 역까지만 운행된다. 매시 10분발과 30분발이 하카타 행이며, 열차 번호는 1호부터 순서대로 부여된다. 2012년 3월 17일 다이어 개정시부터 모든 정기 노조미가 N700계로 운행하고 있다.[3] 노조미 99호는 오전 6시에 시나가와 발 하카타 행으로 운전되며, 상행인 노조미 100호는 니시아카시 발 도쿄 행으로 운행한다. 이 노조미 이외 나머지는 니시아카시 역을 통과한다. 오전 6시대에 오카야마나 히로시마 발 노조미도 5편 정도 설정되어 있다. 2012년 3월 17일 다이어 개정 기준으로 정기 노조미는 총 163편이 된다. 2012년 3월 17일의 시각표 개정 이후 도쿄 - 신오사카 구간의 소요 시간은 최소 2시간 33분, 도쿄발 막차는 21:20 신오사카행이다. 히카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히카리 (열차)입니다. 히카리는 도카이도 신칸센이 개통된 1964년 10월 1일부터 운행을 개시하였으며, 당시에는 가장 빠른 등급의 열차였다. 히카리는 노조미 정차역 외에 오다와라, 아타미, 미시마, 시즈오카, 하마마쓰, 도요하시, 기후하시마, 마이바라 가운데 3~4개 역에 번갈아가며 정차한다. 시간당 2편이 운전되며, 2013년 3월 16일 다이어 개정으로 매일 아침 7시 3분에서 저녁 5시 3분까지 도쿄에서 발차하는 히카리는 시즈오카, 하마마쓰, 나고야, 신오사카역을 경유하여, 오카야마까지 운행하고, 저녁 6시 3분과~8시 3분에 도쿄에서 출발하는 히카리는 오다와라, 기후하시마, 마이바라, 신오사카 역까지 운행한다.[4] 산요 신칸센 구간에선, 시즈오카, 하마마쓰, 나고야, 신오사카역을 경유하여, 오카야마까지의 모든 역에 정차한다. 아침 6시에 신요코하마에서 발차하는 히카리는 히로시마까지 운행된다. 고다마[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고다마 (열차)입니다. 고다마는 가장 느린 등급의 열차로, 시간당 2편이 설정되어 있다. 신오사카 발착 1편과 나고야 발착 1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른 아침이나 심야에는 하마마쓰·시즈오카·미시마 발착 열차도 다닌다. 고다마는 17개 역 전 역에 정차한다. 소요시간과 최고속도[편집] 도쿄 - 신오사카 간 최속달 열차의 소요시간의 추이는 다음과 같다. 기간 소요시간 최고속도 열차 애칭 차량 형식 1964년 10월 1일 - 1965년 10월 31일 4시간 210 km/h 히카리 0계 1965년 11월 1일 - 1985년 3월 13일 3시간 10분 210 km/h 히카리 0계 1985년 3월 14일 - 1986년 10월 31일 3시간 8분 210 km/h 히카리 0계・100계 1986년 11월 1일 - 1988년 3월 12일 2시간 56분 220 km/h 히카리 0계・100계 1988년 3월 13일 - 1992년 3월 13일 2시간 49분 220 km/h 히카리 100계 1992년 3월 14일 - 2007년 6월 30일 2시간 30분 270 km/h 노조미 300계・500계・700계 2007년 7월 1일 - 2015년 3월 13일 2시간 25분 270 km/h 노조미 N700계 2015년 3월 14일 - 2시간 22분 285 km/h 노조미 N700계(G·X·F·K 편성) 도카이도 신칸센은 짧은 공기를 거쳐 개업에 이르렀기 때문에, 노반의 안정을 위해 개업 후 1년간은 길들이기 운전으로서 도쿄 역과 신오사카 역 사이를 "히카리" 4시간, "고다마"는 5시간으로 운전했다. 개업 다음해부터 "히카리"가 예정대로 3시간 10분에 운전하였다. 한동안 이 상황이 계속되다가, 1985년 이후부터 서서히 속도가 향상되었다. 이 해 3월 14일의 운전시각표 개정에서는 "히카리"의 여유 시간 검토에 따라, 1986년 11월에는 최고 속도 향상에 따라 소요 시간이 단축되었다. 1988년 3월에는 도쿄 21시 00분발 신오사카 행 막차 "히카리", 통칭 "신데렐라 익스프레스"가 최단소요시간 기록을 깨뜨렸다. 1992년 3월 14일, 최고속도 270km/h의 300계 "노조미"가 운전을 개시하여, 도쿄 역-신오사카 역 간을 2시간 30분에 달렸다. 이후에도 정차 역에 시나가와 역·신요코하마 역이 추가되었지만 최단소요시간은 바뀌지 않았다. 2007년 7월 1일 N700계가 운전을 개시했다. 최고속도는 변하지 않았지만, 높은 가속 성능·간이 틸팅 시스템·새로운 ATC등을 활용하여 도쿄 역-신오사카 역 사이를 5분 단축했다. 도쿄 역-나고야 역 사이의 역대 최단소요시간은 1997년 11월 29일부터 2003년 9월 30일사이에 있었던 도쿄 22시 발 하행 나고야행 마지막 "노조미"의 1시간 34분이다(도중 무정차였다. 이후 시나가와 역·신요코하마 역·시즈오카 역-하마마쓰 역·도요하시 역에 정차하는 나고야행 마지막 "히카리"(2008년 3월 15일 이후부터 N700계로 운전)로 격하되었으며 해당 열차는 1시간 49분 운전이다). 차량의 최고 속도는 더 향상되었지만, 이 구간에서 영업운전 최고 속도가 270 km/h(산요 신칸센은 300 km/h)에 묶여있는 것은 이후에 건설된 신칸센 각 노선에 비해 곡률반경이 작은 커브(반경 2500m, 산요 이후는 반경 4000m)가 많아 더 이상 최고속도만을 높여도 도달시간 단축에 큰 기여를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단, 마이바라 역-교토 역 사이에서는 고속주행이 가능하다. 이 구간에서 955형(300X)가 철차륜으로는 일본 최고속도인 443.0 km/h을 가지고 있다. 이 구간은 일부 열차에 한해 330 km/h의 영업운전 검토가 시작되어 있다[5]. 2015년 3월 14일부터, 23년만에 최고속도를 미시마 역 - 신오사카 역 사이의 일부 구간에서 285 km/h로 끌어올렸다. 이에 의해 도쿄 역 - 신오사카 역 사이가 2분에서 3분 단축되었다. 대상은 N700A계와 N700계의 개조 차량을 사용한 열차다[6][7]. 각주[편집] ↑ 야마가타·아키타·조에쓰·홋카이도·호쿠리쿠 신칸센 포함 ↑ 《JTB 시각표》2012년 2월호, JTB 퍼블리싱, 《JR 시각표》, 고쓰 신문사 ↑ 《JTB 시각표》2012년 2월호, JTB 퍼블리싱 ↑ http://www.jorudan.co.jp東海道・山陽新幹線[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時刻表 ↑ 닛케이 신문, 2009년 12월 8일자 ↑ 平成27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 도카이 여객철도, 2014년 12월 19일 확인 ↑ 東海道新幹線 23年ぶり最高速度アップ Archived 2014년 3월 3일 - 웨이백 머신 - NHK뉴스, 2014년 2월 27일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도카이도 신칸센 (일본어) Central Japan Railway Company (일본어) “Company history books (Shashi)”. Shashi Interest Group. April 2016.  Wiki collection of bibliographic works on Central Japan Railway Company vdeh신칸센운행 노선규격 신칸센 도카이도 신칸센 도호쿠 신칸센 산요 신칸센 조에쓰 신칸센 큐슈 신칸센 호쿠리쿠 신칸센 홋카이도 신칸센 미니 신칸센 아키타 신칸센 야마가타 신칸센 신칸센 재래선 갈라 유자와 선 하카타미나미 선 건설 및 계획 중인 노선건설 중인 노선 주오 신칸센 기본 계획 중인 노선 도카이도 화물 신칸센 미에 신칸센 산인 신칸센 시코쿠 신칸센 시코쿠 횡단 신칸센 오우 신칸센 우에쓰 신칸센 주고쿠 횡단 신칸센 큐슈 횡단 신칸센 호쿠리쿠 주쿄 신칸센 홋카이도 미나미마와리 신칸센 히가시큐슈 신칸센 계획 취소 노선 나리타 신칸센 제2 도카이도 신칸센 열차 종류도카이도 & 산요 & 큐슈 고다마 노조미 미즈호 사쿠라 쓰바메/츠바메 히카리 (레일스타) 도호쿠 & 홋카이도 나스노 야마비코 하야부사 하야테 아키타 & 야마가타 고마치/코마치 쓰바사/츠바사 조에쓰 다니가와/타니가와 도키/토키 호쿠리쿠 가가야키/카가야키 쓰루기/츠루기 아사마 하쿠타카 조이풀 트레인 겐비 신칸센 토레이유 쓰바사/토레이유 츠바사 없어진 열차 등급 그랜드 히카리 슈퍼 고마치 아사히 아오바 웨스트 히카리 차량현재 운행하는 차량 500계 700계 N700계 800계 E2계 E3계 E4계 E5계·H5계 E6계 E7계·W7계 도입 예정 차량 N700S계 L0계 퇴역 차량 0계 100계 200계 300계 400계 E1계 기술 개발 차량 & 사업용 차량 911계 912계 951계 961계 962계 1000계 닥터 옐로우 윈350 스타21 300X 파스텍 360S 파스텍 360Z 알파-X 궤간가변열차 MLX-01 해외 수출형 CRH2형 (중화인민공화국) 700T형 (중화민국) 계획 취소 차량 고시츠 히카리 운영회사현재 운영하는 회사 JR 홋카이도 JR 동일본 JR 도카이 JR 서일본 JR 큐슈 없어진 회사 일본국유철도 차량 센터종합 차량 센터 구마모토 센다이 (미야기 현) 하카타 하코다테 하쿠산 차량 센터 나가노 나고야 니가타 도리카이 도쿄 모리오카 미시마 센다이 (가고시마 현) 아오모리 아키타 야마가타 오야마 ‎ 오이 차량 제조 공장 하마마쓰 기타 나스시오바라 시즈오카 아오모리 오카야마 히로시마 기타 Max 그랜클래스 신데렐라 익스프레스 슈퍼 히카리 일본의 궤간 변경에 관한 논쟁 미니 신칸센 정비 신칸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도카이도_신칸센&oldid=23090348" 분류: 도카이도 신칸센신칸센의 철도 노선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 노선간토 지방의 철도 노선주부 지방의 철도 노선긴키 지방의 철도 노선도쿄도의 교통가나가와현의 교통시즈오카현의 교통아이치현의 교통기후현의 교통시가현의 교통교토부의 교통오사카부의 교통일본국유철도의 철도 노선1964년 개통한 철도 노선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오래된 그림 구조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Pages using superimpose with unknown parameters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Malagasy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Basa Sunda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inaray吴语中文文言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24일 (토) 20:3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도카이도 신칸센, 또는 토카이도신칸센(일본어: 東海道新幹線)은 신칸센 노선의 하나로 도쿄도 지요다구에 있는 도쿄역에서 오사카부 오사카시에 있는 신오사카역까지를 잇는 도카이 여객철도(JR 도카이)의 철도 노선이자 JR 센트럴(JR Central) 라인이다. 신오사카 역에서 연계되는 산요 신칸센과 직결 운행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도카이도 신칸센에서는 노조미가 어떻게 운행되고 있을까? Assistant: 노조미는 1992년 3월 14일부터 운행을 개시하였으며, 보통 시간당 9편이 운행된다. 대부분의 열차가 1993년 3월 18일부터 산요 신칸센 직통으로 오카야마 역, 히로시마 역, 하카타 역까지 운전되며 일부는 신오사카 역까지만 운행된다. 매시 10분발과 30분발이 하카타 행이며, 열차 번호는 1호부터 순서대로 부여된다. 2012년 3월 17일 다이어 개정시부터 모든 정기 노조미가 N700계로 운행하고 있다.[3] 노조미 99호는 오전 6시에 시나가와 발 하카타 행으로 운전되며, 상행인 노조미 100호는 니시아카시 발 도쿄 행으로 운행한다. 이 노조미 이외 나머지는 니시아카시 역을 통과한다. 오전 6시대에 오카야마나 히로시마 발 노조미도 5편 정도 설정되어 있다. 2012년 3월 17일 다이어 개정 기준으로 정기 노조미는 총 163편이 된다. 2012년 3월 17일의 시각표 개정 이후 도쿄 - 신오사카 구간의 소요 시간은 최소 2시간 33분, 도쿄발 막차는 21:20 신오사카행이다.
Human: 아래 분자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분자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분자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열쇠구멍 성운의 분자 구름. 항성형성 성간매질 분자운 보크구상체 | 암흑성운 젊은 항성체(YSO) 원시별 전주계열성 황소자리 T형 항성 허빅 Ae/Be 항성 성운설 천체 부류 허빅-아로천체 이론적 개념 초기질량함수 진스 불안정성 켈빈-헬름홀츠 기작 v • d • e • h 때론 별들의 양성소(별의 형태가 이안에서 발생할때)로 불리는 분자운(分子雲, molecular cloud)은 성간 구름의 한 형태로 그 밀도와 크기가 분자의 형태로 구성되어있는데 그중 대부분이 수소분자이다. 이 점이 대부분이 이온화된 가스로 구성된 성간 중심의 다른 부분과 차이점이다. 수소 분자는 적외선과 전파관측으로 발견하기 어려운데, 그래서 이 분자들을 발견하기 위해서 자주 사용되는 것이 일산화탄소이다. 탄소광도와 H2질량사이에 비율이 일정한것으로 보이는데,비록 이 말들이 다른 은하의 관측자료로 사실이라고 가정한것으로 의혹이 있다. 목차 1 발생 2 분자운의 종류 2.1 거대 분자운 2.2 작은 분자운 2.3 높은 위도에 확산된 분자운 3 과정 3.1 별의 형성 3.2 물리적 이해 4 같이 보기 발생[편집] 은하 안에 분자운이 성간물질중 1퍼센트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태양계의 궤도에 가스 질량 내부에 성간물질의 조밀한 부분에 대략 반정도 구성하고 있다. 분자운의 대량 고리(태양은 중심으로부터 약 8.5킬로파섹)는 은하의 중심에서 2.5~705킬로파섹(11000~24000광년) 사이에 포함된다. 은하의 대량의 일산화탄소 지도는 이 분자들이 은하의 나선팔을 구성하는데 연관성이 있는 것을 보여준다. 이 분자 가스가 주로 나선 팔의 분자운에서 발생하고 10만년보다 짧은 시간 간격을 분리된다(나선팔 부분을 통과하는데 걸리는시간)는 것을 암시한다. 은하의 행성의 수직으로 분자가스는 독특한 스케일 높이Z에 따듯한 분자(Z에서 130~400파섹)보다 더 얇은 대략 50~75파섹의 은하디스크의 좁은 중간면에 분포하고 이온화된 ISM의 이온화된 가스성분을 데운다. 이온화 가스에 대한 한 예외는 H II영역인데, 이 부분은 어린 큰 별이 낸 분자운안에 생성된 격렬한 전파로 인해 생긴 분자운에 생성된 뜨거운 이온화된 가스의 거품이고 보통 그것들은 대략적으로 분자운같이 수직적인 분포를 가진다.이 분자운의 분포는 결국 더 큰 거리의 평균이 되었다. 하지만 작은 규모의 가스 분포는 구름의 복잡성과 별개의 구름에서 크게 불규칙적이다. 분자운의 종류[편집] 거대 분자운[편집] 거대 분자운은 태양 질량에 대략 103~107배에 달하는 질량을 가진 방대한 분자가스 집합체이다.(GMC) 거대분자운들은 직경이 15~600광년에 달한다(5~200파섹). 태양 근처에서의 조밀도는 입방센치미터당 한개의 분자 정도이지만 GMC의 평균 조밀도는 수백에서 수천배 더 크다. 비록 태양이 GMC보다 조밀도가 더 클지라도 GMC의 부피는 너무 방대해 태양에 비해 더 많은 질량을 가지고 있다. GMC의 기본 구조는 필라멘트,시트,거품, 불규칙한 덩쿨모양의 복합체 구조로 되어있다.필라맨트와 덩쿨형태의 분자운의 밀집 부분은 분자 코어이라고 하는데, 가운데 가장 밀집된 분자코어는 조밀 분자 코어라고 칭하고 입방 센치미터당 10000~1000000개의 분자를 초과하는 조밀도를 가진다. 관측에 의하면 전형적인 분자 코어들은 CO(일산화탄소)를 데리고 다니며 흔적을 남기고 조밀 분자 코어들은 암모니아를 데리고 다니며 흔적을 남긴다. 분자코어내의 먼지의 응집은 보통 배경별에서 오는 빛을 차단하기에 충분해서 어두운 성운으로 보이는 실루엣이 나타난다. GMC들은 대단히 커서 한 지역의 GMC는 별자리의 중요한 부분을 가릴수 있는데, 그래서 일반인들은 종종 그 별자리의 이름이나 e.g,오리온 분자운이나 황소자리 분자운을 물어본다. 이러한 고정된 GMC들은 굴드 벨트와 동시에 태양의 주위에 고리처럼 존재한다.은하에 존재하는 분자운들의 가장 큰 컬렉션은 반경이 120파섹정도의 은하 중심에 존재하는 비대칭 고리로 이 분자운 고리의 가장 큰 구성 요소는 궁수자리 B2 복합체이다. 궁수자리 지역은 호학적으로 풍부하고 천문학자가 성간 공간에서 새로운 분자를 찾기 위한 포본으로 종종 사용된다. 작은 분자운[편집] 태양의 질량보다 수백배 적은 물질들로 이루어진 중력으로 묶인 고립된 작은 분자운들은 Bok globules라 불린다. 작은 분자운들의 조밀한 부분은 GMC안에 발견된 분자코어들과 대응하고 종종 같은 연구에 포함된다. 높은 위도에 확산된 분자운[편집] 1984년 IRAS에서 새로운 종류의 분산된 분자운을 발견했다. 이것들은 분산된 필라멘트의 구름으로 은하위도의 높은 곳에서 발견된다. 이 구름들은 보통 입방센치미터당 30개 정도의 밀도를 가진다. 과정[편집] 별의 형성[편집] 별의 형성은 오로지 분자운 안에서 일어난다. 높은 밀도와 낮은 온도를 가진 분자운에서 일어나는 당연한 현상이다. 하지만 중력이 분자운내에 과도하게 작용하면 내부의 압력이 밖으로 작용하는 힘을 방해하여 분자운이 붕괴될 수도 있다. 이 현상은 관측된 흔적이며 큰 별이 생성되는 구름은 그것들 안의 중력(별이나 행성이나 은하들)만큼의 크기로 생성되도록 한정한다. 이 흔적들은 궤도 속도와 같은 방식의 CO석폭의 크기가 휘몰아치는 속도에서 발생된 사건에서 온 것이다. 물리적 이해[편집] 분자운 의 물리적 특징은 불완적하게 이해되고 많은 논쟁이 있다. 분자운 내부의 운동들은 추위와 자기를 가진 가스들의 힘에 의해 결정되고 이 거센 운동을은 높은 초음속이지만 자기 폭풍의 속도와 비교된다. 이 상태는 빠른 에너지의 상실이나 에너지의 꾸준한 재주입, 전반적인 붕괴의 하나를 조건으로 한다고 유추된다. 같은 시간에 분자운들은 몇가지 과정(대부분 중성자별의 영향-그들의 구성물질중 중요한 부분에서 탄생되 별들)으로 인해 붕괴된다고 알려졌다. 분자운 특히 거대 분자운들은 보통 천문학이 해결해야할 과제의 중심입니다. 같이 보기[편집] 학문 화학 우주화학 (Astrochemistry) 천체물리학 원자천체물리학 (Atomic astrophysics) 분자천체물리학 (Molecular astrophysics) 우주진 증발하는 기체 구상체 (Evaporating gaseous globule) 성간 얼음 (Interstellar ice) 성간매질과 별주위외피층의 목록 (List of interstellar and circumstellar molecules) 성운 오리온자리 분자운 복합체 (Orion Molecular Cloud Complex) 태양계의 형성과 진화 vdeh항성진화 항성 형성 전주계열성 주계열성 수평거성 점근거성 끌어올림 불안정띠 레드클럼프 행성상성운 원시 행성계 원반 밝은 청색변광성 볼프-레이에별 신성 의사 초신성 초신성 극초신성 색등급도 원시별 분자운 보크구상체 젊은 항성체 허빅-아로천체 하야시 경로 하야시 한계 헤니에이 경로 황소자리 T형 항성 허빅 Ae/Be 별 종류 준왜성 (B형) 왜성 (청색 주황색 적색 황색) 준거성 거성 (청색 적색) 밝은 거성 초거성 (청색 적색 황색) 극대거성 (황색) 청색 낙오성 껍질별 특이별 (Ap/Bp 별 바륨별 탄소별 CH 별 수은-망가니즈 별 Am 별 S형 별) 테크네튬 별 변광성 (불규칙 반규칙 오리온) 잔해 백색왜성 (흑색왜성) 중성자별 (펄서 마그네타) 항성질량 블랙홀 밀집성 쿼크별 프레온 별 Q별 퍼즈볼 보손 별 그라바스타 암흑 에너지 별 검은 별 약전자기별 자기권 연속적 붕괴 천체 암흑물질성 이론적인 별 암흑물질성 쿼시 별 손-지트코프 천체 아이언 스타 중간 단계 갈색왜성 준갈색왜성 떠돌이 행성 구조 핵 대류층 복사층 광구 흑점 채층 코로나 태양풍 (거품) 성진학 에딩턴 한계 핵합성 알파 반응 삼중 알파 과정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 헬륨섬광 CNO 순환 탄소 연소 과정 네온 연소 과정 산소 연소 과정 규소 연소 과정 S-과정 R-과정 특성 항성 분류 항성 명칭 항성 역학 유효온도 항성운동학 (고유운동 시선속도) 항성 자기장 등급 (절대등급 겉보기등급 사진등급) 질량 반지름 광도 금속함량 미소난류 행성계 항성 자전 항성계 (쌍성 다중성 접촉쌍성) UBV 측광계 항성 목록 별자리별 질량이 큰 별 질량이 작은 별 반지름이 큰 별 밝게 보이는 별 광도가 큰 별 가까운 별 갈색왜성 항성 천문학 연대표 항성목록 헨리 드레이퍼 목록 히파르코스 목록 고전역학 뉴턴의 블랙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분자운&oldid=22349358" 분류: 분자운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LëtzebuergeschLietuvių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2일 (수) 08: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때론 별들의 양성소(별의 형태가 이안에서 발생할때)로 불리는 분자운(分子雲, molecular cloud)은 성간 구름의 한 형태로 그 밀도와 크기가 분자의 형태로 구성되어있는데 그중 대부분이 수소분자이다. 이 점이 대부분이 이온화된 가스로 구성된 성간 중심의 다른 부분과 차이점이다. 수소 분자는 적외선과 전파관측으로 발견하기 어려운데, 그래서 이 분자들을 발견하기 위해서 자주 사용되는 것이 일산화탄소이다. 탄소광도와 H2질량사이에 비율이 일정한 것으로 보이는데,비록 이 말들이 다른 은하의 관측자료로 사실이라고 가정한 것으로 의혹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은하에서 분자운은 무엇의 일부인가? Assistant: 성간물질 Human: 아래 다소_미라주_2000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다소 미라주 2000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소 미라주 2000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미라지 2000 미라지 2000C종류 다목적 전투기첫 비행 1978년 3월 10일도입 시기 1984년 6월주요 사용자 프랑스 공군 인도 공군 아랍에미리트 공군 중화민국 공군 생산 대수 611대단가 2,300만 달러개발 원형 다소 미라주 III파생형 다소 미라주 2000N/2000D, 다소 미라주 4000 다쏘 미라지 2000(프랑스어: Dassault Mirage 2000)은 프랑스 다소 항공의 다목적 전투기이다. 요격기의 요구에 기초하여 개발되었으나, 개량이 계속되어 미라주 시리즈의 다목적 전투기가 되었다. 1950년대 부터 생산된 미라주 3의 최신 버전이다. 목차 1 역사 2 개요 3 시리즈별 레이다 탐지거리 성능차 4 개발 5 파생형 6 실전기록 7 사용하는 나라들 8 제원 (미라주 2000C) 9 각주 10 같이 보기 11 외부 링크 역사[편집] 2011년 현재, 프랑스 공군의 주력은 21,400파운드(9.7톤) 엔진 1개를 사용하는 미라주 2000과 M88 터보팬엔진 2개를 사용하는 라팔이다. 미국이 추력 29,000파운드(13.1톤) 엔진 1개를 사용하는 F-16과 2개를 사용하는 F-15과 비교된다. 이스라엘은 프랑스에서 다소 미라주 5 공격기를 수입하여 IAI 크피르를 개발했다. 미라주 2000보다 5년 앞선 1973년에 초도비행을 하였다. 추력 17,900파운드 (8.1톤) 터보젯 엔진 1개를 사용하는 삼각날개 다목적 전투기인 유사하다. 2011년 현재, 미라지의 주된 수입국이었던 인도가 HAL 테자스를 개발중이다. 미사일, 레이다는 이스라엘제를 쓴다. 추력 17,700파운드 (8톤) 엔진 1개를 사용하는 삼각날개 다목적 전투기인 점에서 크피르, 미라지2000과 유사한 점이 있다. 개요[편집] 삼각익 형식의 단발 전투기로, 프랑스를 비롯한 8개국에서 채택하였다. 주 무장은 30 mm 기관포 2문이 고정되어 있고, 장착점(hardpoint)은 9군데로, 공대공 미사일 4발뿐 아니라, 일반적으로 쓰이는 폭탄, 공대지 미사일, 대함 미사일 등을 탑재할 수 있다. 현재는 후속기인 라팔 전투기의 생산이 진행되고 있으나, 기존의 기체에 대한 개량사업 정도로만 국한되고 있다. 시리즈별 레이다 탐지거리 성능차[편집] 프랑스 - 미라지2000-S1 85km 프랑스 - 미라지2000-S2 85km 프랑스 - 미라지2000-S3 85km 프랑스 - 미라지2000-S4 110km 프랑스 - 미라지2000-S5 110km 프랑스 - 미라지2000-5 140km 개발[편집] 삼각익은 기체를 소형·경량화 하고, 비행특성의 안정성 등에 장점이 있지만, 단거리 이착륙 성능, 저공비행, 기동성 등이 주날개와 꼬리날개를 갖춘 항공기보다 떨어져, 미라주 2000 전의 미라주 F-1의 개발에서는 채택하지 않았다. 다쏘와 프랑스 공군은, 처음에는 지상공격에 중점을 둔 쌍발 가변익전투기 미라주 G-4에 이어 그 파생형 요격기 미라주 G-8을 차기 전투기로 개발하여 왔으나, 비용·운용 양면의 문제로 1975년에 모든 계획이 중지되었다. 프랑스 공군과 다쏘사 모두 필요로 했던 차기 전투기 계획(ACF)는, 1976년에서 실용화까지의 기한이 1982년이라는 당시에도 단기간의 개발계획으로 다시 시작되었다. 다쏘에게 있어서는, 단기간으로 충분한 성과를 남기려 했고, 그 결과 1972년부터 미라주 3의 후속기로서 '수퍼 미라주 3', '델타 1000' 등의 명칭으로 검토되었던 설계를 보충하여 삼각익기의 개발을 시작하였다. 미라주 2000은 엔진을 미라주 G-4/8용의 SNECMA사의 M53을 사용하는 등 개발기간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였고, 설계개시로부터 첫 비행까지 27개월만이라는 경이적인 속도로 개발이 진행되어, 예정보다 9개월 늦은 1983년에 양산형을 군대에 납품하기 시작하여, 이듬해에는 실전에 배치되었다. 그러나 레이다의 개발은 제 때 맞추지 못하여, 초기 37대는 RDI 레이다 대신 RDM 레이다를 장착하였다. 주익의 후퇴각은 58도, 기체구조에는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경량화되었다. 안정성이 낮아져 조종 시스템을 플라이 바이 와이어로 채택하였다. 1986년에 발표된 미라주 2000-5는, 미라주 2000C를 발전시킨 형태이다. 프랑스 공군은 미라주 2000을 라팔과 함께 일선에 배치할 예정이며, 프랑스 국내에 배치된 미라주 2000C를 미라주 2000-5로 교체 중이다. 파생형[편집] 주요 개량형은 다음과 같다. 미라주 2000 미라주 2000의 원형 미라주 2000C RDM 레이다를 탑재한 초기 양산형 미라주 2000B 미라주 2000의 복좌형 미라주 2000D 미라주 2000N의 기본 무기만의 전투폭격형 기체 미라주 2000E 미라주 2000C의 수출용 미라주 2000N 미라주 2000B에 핵탄두 탑재 순항미사일인 ASMP 미사일의 운용능력을 갖춘 미라주 4 후속 전투폭격기 미라주 2000DA (미라주 2000C-S4/S5) RDI 레이다를 탑재, 방공 능력을 향상시킨 미라주 2000C의 후기 생산형. 미라주 2000-5 미라주2000의 성능을 대폭 개량한 형태. 신형 RDY 레이다를 탑재하고, MICA 미사일이 운용 가능하며, 계기는 라팔에서 개조된 통합 모니터로 바뀌었다. 미라주 2000-5 Mk 2 미라주 2000-5을 개량한 모델로 대지상 공격능력을 부여하고 글래스 콕핏 개량과 레이다, 항법장치, 자료처리능력, 전자전 능력 등을 향상시켰다. 미라주 4000 다쏘사의 기획에 의해 확장된 쌍발형으로, 채택되지 않고 종료되었다. 실전기록[편집] 2011년 3월, 리비아 비행금지구역을 위한 아르마탕 작전에서, 프랑스 공군기지를 이륙한 미라주 2000 4대가 2,000 km 떨어진 리비아 벵가지 부근에서 작전을 하였다. 2,000 km는 서울에서 홍콩까지의 거리다. 프랑스 공군의 KC-135 공중급유기의 지원을 받고, E-3 센트리 조기경보기의 지휘를 받았다. 2011년 10월, 미라주 2000은 미국 무인공격기 MQ-1 프레데터와 함께 카다피 사살에 동원되었다.[1] 리비아 공습의 시작과 끝을 미라주 2000이 장식했다.[2] 사용하는 나라들[편집] 프랑스 공군: 315대 미라주 2000C: 124대 미라주 2000B: 30대 미라주 2000N: 75대 미라주 2000D: 86대 아랍에미리트: 68대 미라주 2000EAD: 22대 미라주 2000RAD: 8대 미라주 2000DAD: 6대 미라주 2000-9: 20대 미라주 2000-9D: 12대 인도 공군: 59대 미라주 2000H: 52대 미라주 2000TH: 7대 이집트 공군: 20대 미라주 2000EM: 16대 미라주 2000BM: 4대 카타르 공군: 12대 미라주 2000-5EDA: 9대 미라주 2000-5DDA: 3대 그리스 공군: 55대 미라주 2000EG: 36대 미라주 2000DG: 4대 미라주 2000-5 Mk 2: 15대[3] 중화민국: 60대 미라주 2000-5EI: 48대 미라주 2000-5DI: 12대 페루 공군: 12대 미라주 2000EP: 10대 미라주 2000DP: 2대 브라질 공군: 12대 미라주 2000C: 10대 미라주 2000B: 2대 제원 (미라주 2000C)[편집] 정보의 출처: Complete Encyclopedia of World Aircraft,[4] International Directory of Military Aircraft[5]일반 특성 승무원: 1 길이: 14.36 m (47 ft 1 in) 날개폭: 9.13 m (29 ft) 높이: 5.20 m (17 ft) 날개면적: 41 m² (441.3 ft²) 공허중량: 7,500 kg (16,350 lb) 탑재중량: 13,800 kg (30,420 lb) 최대이륙중량: 17,000 kg (37,500 lb) 엔진: 1× SNECMA M53-P2 afterburning turbofan 최대추력: 64.3 kN (14,500 lbf) 재연소시추력: 95.1 kN (21,400 lbf) 성능 최대속도: Mach 2.2 (2,530+ km/h, 1,500+ mph) 고고도/ 1,110 km/h (690 mph) 저고도 항속거리: 1,550 km (837 해리, 963 mi) 드롭 탱크 장착시 최대항속거리: 3,335 km (1,800 해리, 2,073 mi) 드롭 탱크 장착시 상승한도: 17,060 m (59,000 ft) 상승률: 285 m/s (56,000 ft/min) 날개하중: 337 kg/m² (69 lb/ft²) 추력대중량비: 0.91 무장 기관포: 2× 30 mm (1.18 in) DEFA 554 revolver cannon, 125 rounds per gun 무기장착점: 9 total (4× under-wing, 5× under-fuselage) 6,300 kg (13,900 lb) external fuel and ordnance, 로켓: Matra 68 mm unguided rocket pods, 18 rockets per pod 미사일: 공대공 미사일: 6× 미카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2× 마트라 R550 매직-II 그리고 2× 마트라 슈퍼 530D 공대지 미사일: 2× AM.39 엑조세 2× AS-30L 레이저 유도 미사일 1× ASMP 핵순항미사일 1× 스톰 섀도 순항미사일 폭탄: 9× Mk-82 항공전자장비 Thomson-CSF RDY (Radar Doppler Multi-target) radar 각주[편집]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1&aid=0005331987&isYeonhapFlash=Y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38&aid=0002190895 ↑ 「그리스 공군, 미라주 2000-5 전투기 채택」, AFPBB News 2007.11.24. ↑ Donald, David, ed. "Dassault Mirage 2000". The Complete Encyclopedia of World Aircraft. Barnes & Noble Books, 1997. ISBN 0-7607-0592-5. ↑ Frawley, Gerald. "Dassault Mirage 2000". The International Directory of Military Aircraft, 2002/2003. Fishwick, Act: Aerospace Publications, 2002. ISBN 1-875671-55-2. 같이 보기[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다소 미라주 2000 미라주 3 미라주 4000 라팔 외부 링크[편집] Dassault Aviation 전거 통제 LCCN: sh2003008588 GND: 7531636-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다소_미라주_2000&oldid=24480923" 분류: 프랑스의 전투기삼각익기1978년 첫 비행한 항공기단발 제트기숨은 분류: 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ភាសាខ្មែរລາວLietuviųLatviešuമലയാളംBahasa Melayu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OccitanPolskiپنجابیپښتو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5일 (화) 16: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다쏘 미라지 2000(프랑스어: Dassault Mirage 2000)은 프랑스 다소 항공의 다목적 전투기이다. 요격기의 요구에 기초하여 개발되었으나, 개량이 계속되어 미라주 시리즈의 다목적 전투기가 되었다. 1950년대부터 생산된 미라주 3의 최신 버전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미라주 2000의 개발 진행 기간은? Assistant: 27개월
Human: 아래 줄리_&_줄리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줄리 & 줄리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줄리 & 줄리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줄리 & 줄리아Julie & Julia 감독 노라 에프론 제작 노라 에프론 로렌스 마크 에릭 스틸 에이미 로빈슨 각본 노라 에프론 원작 줄리 포웰 출연 메릴 스트립 에이미 애덤스 스탠리 투치 크리스 메시나 린다 에먼드 제인 린치 촬영 스티븐 골드블랫 편집 리처드 마크즈 음악 알렉상드르 데스플라 제작사 컬럼비아 픽처스 배급사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개봉일 미국 2009년 8월 7일 대한민국 2009년 12월 10일 시간 123분 국가 미국 언어 영어 제작비 4천만 달러 수익 129,538,392 달러[1] 줄리 & 줄리아(Julie & Julia)는 노라 에프론이 각본과 감독을 맡고 메릴 스트립, 에이미 애덤스, 스탠리 투치, 크리스 메시나가 출연을 한 2009년에 개봉한 미국의 코미디 드라마 영화이다. 영화는 요리사 줄리아 차일드의 초창기의 요리 경력의 삶과 줄리아 차일드의 요리책의 525가지 레시피를 365일안에 모두 요리하는 도전을 나중에 그녀를 작가로서 출판을 하게 해준 그녀의 블로그에 올리는 젊은 뉴욕커 줄리 포웰를 대조시킨다.[2] 에프론의 각본은 알렉스 프뤼둠과 함께슨 차일드의 자서전 인《My Life in France》와 차일드의 《Mastering the Art of French Cooking》에 524가지 각 레시피의 요리 경험을 날마다 블로그에 올린것을 후에 그녀가 재작업한 《The Julie/Julia Project》라는 포웰의 회고록, 두 책에서 개작을 하였다.[3] 이 두 책들은 같은 시기에 쓰이고 출판되었다 (2004–06). 이 영화는 블로그를 원작으로한 첫 메이저 모션 영화이다.[4] 2008년 3월, 에프론은 차일드 역의 스트립, 포웰 역의 애덤스와 함께 촬영을 시작하였다. 2009년 7월 30일, 뉴욕에 있는 지그펠드 극장에서 첫 시연회를 하였고, 2009년 8월 7일에 북미지역에서 개봉하였다.[5] 스트립과 애덤스는 이전에 《다우트(2008)》라는 영화에서 함께 발을 맞춰 본적이 있다. 스트립과 투치는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2006)》에서 함께 출연한 바 있다. 목차 1 줄거리 2 캐스팅 3 각주 4 외부 링크 줄거리[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캐스팅[편집] 메릴 스트립 - 줄리아 차일드 에이미 애덤스 - 줄리 포웰 스탠리 투치 - 줄리아의 남편 폴 차일드 크리스 메시나 - 줄리의 남편 에릭 포웰(Eric Powell) 린다 에먼드 - 줄리아 차일드의 Mastering the Art of French Cooking를 함께 쓴 시모네 벡 헬렌 캐리 - Mastering the Art of French Cooking의 공동 저자 루이제트 베르툴레 제인 린치 - 줄리아의 동생 도로시 윌리엄스(Dorothy McWilliams) 메리 린 라즈스쿠브 - 줄리의 절친 사라(Sarah) 조안 줄리엣 벅 - 줄리아가 프랑스 요리를 공부하던 당시의 르 꼬르동 블루의 마담 엘리자베스 브라사르트 아만다 헤서 데보라 러쉬 - 줄리아의 오랜 팬팔 상대 아비스 드 보토(Avis De Voto) 바네사 페릴토 - 줄리의 친구 캐시(Cassie) 캐시 윌슨 - 줄리의 친구 레지나(Regina) 질런 바흐 - 줄리의 친구 애나벨(Annabelle) 프란시스 스턴하겐 - 이르마 롬보 메리 케이 플레이스 - 줄리의 어머니 목소리 각주[편집] ↑ “Julie & Julia (2009)”. 《Box Office Mojo》.  ↑ J.C. Maçek III (2012년 8월 13일). “Bless This Mess: Sweeping the Kitchen with Julia Child”. 《PopMatters》.  ↑ The Julie/Julia Project ↑ “Philadelphia Weekly”. 2012년 5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6일에 확인함.  ↑ “Tweetin' Streep”. 《Zagat.com》. 2009년 7월 30일.  외부 링크[편집] 줄리 & 줄리아 - 공식 웹사이트 (영어) 줄리 & 줄리아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줄리 & 줄리아 – 올무비 (영어) 줄리 & 줄리아 – 박스 오피스 모조 (영어) 줄리 & 줄리아 – 로튼 토마토 (영어) 줄리 & 줄리아 – 메타크리틱 “Archive of original blog”. 2002년 12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6일에 확인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줄리_%26_줄리아&oldid=24045064" 분류: 2009년 영화영어 영화 작품미국의 영화 작품미국의 코미디 드라마 영화미국의 전기 영화요리 영화실화에 바탕한 영화컬럼비아 픽처스 영화파리를 배경으로 한 영화뉴욕을 배경으로 한 영화프랑스를 배경으로 한 영화1940년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1950년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2000년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프랑스어 영화 작품책의 영화화 작품뉴저지주에서 촬영한 영화뉴욕에서 촬영한 영화숨은 분류: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atina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6일 (화) 21:1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줄리 & 줄리아(Julie & Julia)는 노라 에프런이 각본과 감독을 맡고 메릴 스트립, 에이미 애덤스, 스탠리 투치, 크리스 메시나가 출연을 한 2009년에 개봉한 미국의 코미디 드라마 영화이다. 영화는 요리사 줄리아 차일드의 초창기의 요리 경력의 삶과 줄리아 차일드의 요리책의 524가지 레시피를 365일안에 모두 요리하는 도전을 나중에 그녀를 작가로서 출판을 하게 해준 그녀의 블로그에 올리는 젊은 뉴욕커 줄리 포웰를 대조시킨다.에프론의 각본은 알렉스 프뤼둠과 함께슨 차일드의 자서전 인《My Life in France》와 차일드의 《Mastering the Art of French Cooking》에 524가지 각 레시피의 요리 경험을 날마다 블로그에 올린것을 후에 그녀가 재작업한 《The Julie/Julia Project》라는 포웰의 회고록, 두 책에서 개작을 하였다. 이 두 책들은 같은 시기에 쓰이고 출판되었다 (2004–06). 이 영화는 블로그를 원작으로한 첫 메이저 모션 영화이다.2008년 3월, 에프론은 차일드 역의 스트립, 포웰 역의 애덤스와 함께 촬영을 시작하였다. 2009년 7월 30일, 뉴욕에 있는 지그펠드 극장에서 첫 시연회를 하였고, 2009년 8월 7일에 북미지역에서 개봉하였다. 스트립과 애덤스는 이전에 《다우트(2008)》라는 영화에서 함께 발을 맞춰 본적이 있다. 스트립과 투치는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2006)》에서 함께 출연한 바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영화 줄리 & 줄리아에서 주인공인 줄리아 차일드 역할을 맡은 여배우의 이름은? Assistant: 메릴 스트립 Human: 아래 김학규_(1900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학규 (1900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학규 (1900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학규金學奎 前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가총수반 예하 군사행정특보비서관 직무대리(前 大韓民國 臨時政府 國家總首班 隸下 軍事行政特報秘書官 職務代理) 임기 1940년 1월 31일 ~ 1940년 2월 29일 주석 김구 (대한 임정 주석) 부주석 김규식 (대한 임정 부수반) 전임 이상정 후임 김인 前 대한 임정 예하 광복군 제3지대장(前 大韓 臨政 隸下 光復軍 第3支隊長) 임기 1940년 2월 29일 ~ 1946년 6월 1일 주석 김구 부주석 김규식 장관 지청천 (대한광복군 총사령관) 차관 이범석 (대한광복군 사령관) 신상정보 출생일 1900년 11월 24일 출생지 대한제국 평안남도 평원군 사망일 1967년 9월 20일 (66세) 사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마포구에서 병사 본관 안동(安東) 학력 중화민국 만저우 지방 지린 성 지린 원후이(문회) 고급중학교 졸업 대한민국 국방대학교(1963년) 경력 대한민국 독립운동가 및 군인 겸 정치가 한국독립당 중화민국 둥베이 지방 특별위원회 위원장 한국독립당 당수 한국독립당 최고위원 한국독립당 전임고문 한국독립당 총재 정당 한국독립당(총재·전임고문·최고위원) 부모 김기섭(부), 선우 순(모) 배우자 김봉수(사별), 오광심(재혼) 자녀 김일현(장자)김일진(혼외 출생 차남)김탄실(장녀)김은순(차녀) 친인척 김성범(이부 형) 별명 호(號)는 백파(白坡) 종교 유교(성리학) 군사 경력 복무기간 1919년 ~ 1946년 6월 최종계급 대한광복군 중장 지휘 대한광복군 제3지대 근무 대한광복군 제3지대 참전 제2차 세계 대전 김학규(金學奎, 1900년 11월 24일 ~ 1967년 9월 20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일제 강점기에 한국광복군에서 활동하였다. 광복군 제3지대장 등을 역임했다.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독립장이 수여되었다. 귀국 후에는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 1948년의 남북 협상에 반대하여 임정 인사들을 설득하려다가 실패하고, 단정을 지지, 협상에 불참하였다. 이후 김구(金九)와 갈등하던 중 안두희를 김구에게 소개해 주었다가 1949년 김구가 암살되자 암살 누명을 쓰고 투옥되었다가 1961년 5·16 군사 정변 이후 석방되었다. 목차 1 생애 1.1 생애 초기 1.1.1 중국 망명 1.2 독립운동 1.2.1 독립운동과 광복군 참여 1.2.2 만주 파견 활동 1.3 정치 활동과 투옥 1.3.1 남북협상 불참과 단정 승인 1.3.2 이승만 암살 미수와 김구 암살 1.4 석방과 만년 2 가계 2.1 본관 논란 2.2 출생년도 논란 3 김학규를 연기한 배우 4 각주 5 참고 자료 생애[편집] 생애 초기[편집] 1900년 안동 김씨 김기섭과 김순욱의 미망인인 선우순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선우순은 전남편 김순욱(1898년 사망)과의 사이에서 얻은 이부 형 김성범과 딸을 데리고 김기섭과 재혼하였다. 중국 망명[편집] 1919년 봉천(奉天)성 류하(柳河)현의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를 졸업하였다.[1] 그 뒤 문회고급중학교(文會高級中學敎)에 입학하였다.[2] 1927년 문회고급중학교를 졸업하였다.[2] 곧 만주 류하현 삼원포(三源浦)의 동명(東明)중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기도 하였다.[1][2] 동시에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 제1지대본부 견습사관으로서 삼원보 일대에서 활동하였다.[2] 독립운동[편집] 독립운동과 광복군 참여[편집] 한국 광복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36년 남경에서 현익철·양기탁(梁起鐸) 등과 함께 민족혁명당 비상대회를 열었으며, 공산주의자들이 분리되어 나가자 조선민족혁명당이라 개칭하였다.[2] 그 뒤 민족혁명당을 탈당하고 대한민국임시정부로 건너왔다. 1939년 쓰촨성 기강에서 한국독립당을 창당하는데 참여하였다.[2] 1940년 한국 광복군이 창설되었을 때 광복군 제3지대장에 임명되었다. 만주 파견 활동[편집] 민족주의 계열인 조선혁명당 중앙위원과 조선혁명군 참모장을 지내다 중국 관내로 건너가 임정에 합류한 뒤 한국광복군 제3지대장을 역임했다.[3] 1946년 가을 대한민국임시정부 주화대표단의 지시를 받고 한국독립당 동북특별위원회 위원장에 임명되어 만주지역으로 파견되었다.[3] 만주에서 옛 조선혁명당계열 한국인들을 재결집한 김학규는 대한민국임시정부 동북대표부를 한국독립당 동북특별위원회와 연계해 만주지방의 한인 교민들을 규합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3] 장연민주자위군(長延民主自衛軍)을 조직해 활동하게 된다.[3] 1949년 김학규와 장연민주자위군은 중국의 국공내전에서 장제스(蔣介石)의 중국 국민정부와 중앙군(국민정부군)과 연합하여 반공주의활동을 전개해 나갔다. 국공내전에서 중국공산당이 승리하면서 김학규와 박찬익(朴贊翊)을 비롯한 주동 인물들은 한국으로 피신하고 대한민국임시정부 동북대표부와 장연민주자위군은 해체되었다.[3] 그 참가자들은 반혁명분자로 몰리게 된다.[3] 정치 활동과 투옥[편집] 남북협상 불참과 단정 승인[편집] 1948년 1월 김구가 남북협상론으로 노선을 바꾸자 김학규는 반대하였다.[4] 당시 중국에서 돌아온 임정에서는 앞으로 수립될 통일정부 요인의 자격 규정으로서 대통령은 30년 이상, 국무총리는 20년 이상, 그리고 장관은 10년 이상 독립운동을 유일한 천직으로 하여 계속 투쟁한 인사에 한한다고 주장했던 것이다.[5] 그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측의 이러한 주장에 너무 터무니없는 주장이라고 공개적으로 반박하고 나섰다. 김준연은 대통령이나 국무총리는 그래도 좋겠지만 장관까지 그런 규정을 둔다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생각이었다. 이러한 규정대로 한다면 자기가 속해 있는 한민당은 정부 요직에 참여할 수 있는 자격이 있는 인사가 거의 없다고 생각한 때문[5] 이었다.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 측은 김성수 등을 임정 국무위원(장관급)으로 입각시키는 등의 조치를 취하지만 그는 임정을 부정적으로 보게 된다. 이런 이유로 해서 김준연은 임정을 반대하는 선봉에 섰고, 임정 요인이 일부 중심이 된 좌우 합작이나 남북협상을 신랄하게 비난해왔다. 김준연은 김구를 정점으로 하는 남북협상파와 김규식을 정점으로 하는 좌우합작파를 모두 공산주의 노선과 비슷할 뿐 아니라 정부 수립에 크나큰 방해인물들로 단정했다.[5] 그래서 (남북협상 당시) 공산당이 김구에게 정치자금을 조달한다는 설이 있자 곧 《동아일보》 지상을 통해 다음과 같은 규탄성명을 발표하기에 이르렀다.[5] 이때 김준연이 발표한 성명서에 그는 크게 분노한다. 친애하는 동포 여러분! 5·10 총선거는 우리 5천년 역사에 길이 빛날 광명의 전환점입니다. ...(이하 중략)... 그러나 침략주의 외세 소련은 '약소민족 해방'이라는 허울 좋은 탈을 쓰고 우리 민족을 다시 자기들의 노예로 만들려는 음모를 다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소련의 주장을 지지하고 토지의 국유화를 원칙으로 한 공산주의적인 경제정책을 시도하는 무리들이 이 땅에 있다는 것은 통탄해 마지 않을 일입니다. 이들은 민족의 숙원인 정부 수립을 반대하고 소위 남북협상이라는 빛 좋은 통일방안을 앞세웠습니다. 그러나 저들이 소위 남북협상에서 얻[5] 어온 것이 무엇입니까.[6]우리 민족을 노예화하겠다는 소련의 궤도에 맹종한 것 외에 무엇이 있었습니까? 그러면 김구, 김규식 등은 어째서 그런 행동을 했겠습니까? 동포 여러분은 매우 이상하게 여기실 것입니다. 그러나 이들의 행동은 결코 이상할 것이 없습니다. 김규식은 한때 공산당 당원이었고[7] 김구는 토지의 국유화를 주장했으니만큼 김구 역시 공산당 노선과 다를 바가 없는 것입니다. 이들은 아직까지 민족적 입장을 저버리고 계속 공산당과 손을 잡고 다시 남북협상을 기도하고 있습니다. 동포 여러분-나는 이들을 동포의 이름으로 규탄하거니와 동포 여러분은 이에 새로운 인식과 각오가 있어야 하겠습니다.[6]                        한국민주당 김준연 며칠 후 한민당도 당의 이름으로 같은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하여 김구와 김규식을 신랄히 비난했다. 너무나 신랄하고 공격적인 이 성명은 곧 한국 정계에 커다란 파문을 일으켰다. 김준연과 한민당의 성명을 보고 누구보다도 치를 떤 것은 한독당의 김학규였다.[6] “ 각주 선생님, 이걸 좀 보십시오. 한민당의 김준연이란 자가 우리를 아주 공산당으로 몰아세웠습니다. 세상에 이런 죽일 놈이 있습니까.[6] ” 김학규에게서 신문을 받아든 김구는 돋보기로 김준연의 성명을 읽었다. “ 음 내 머지않아 이런 성명이 나올 줄 알았지. 나보다 김규식 박사가 더 안됐군![6] ”    극도로 흥분한 김학규를 진정시키는 김구의 눈에도 분노와 울분이[6] 서려 있었다. 조용히 눈을 감고 앉아 있던 김구는 책상 위에 놓인 붓을 들었다. '小人閑居爲不善'-김구는 말없이 이런 글귀를 써내려갔다.[8] 김구, 김규식을 위시한 남북협상파를 정면으로 공격한 김준연과 한민당의 폭탄 성명은 독촉 등 정부수립파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았다.[8] 김학규는 남북협상이 불가능하다며 임정 인사들을 설득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이승만 암살 미수와 김구 암살[편집] 1949년 6월 26일 김구가 암살되자, 암살범 안두희의 한국독립당 입당을 주선한 혐의로 징역 15년형을 받고 복역하였다.[4] 김구가 경교장에서 암살되던 날 그는 경교장에 모인 측근에게 혈서를 하나 보여주었다. 사건 직후 경교장에서 보좌진을 부른 그는 자신이 소지하던 손수건 두 장 크기의 하얀 천을 한장 보였다. 천에는 "나는 미국제국주의의 주구 이승만을 타도한다"는 혈서가 쓰여 있었다.[9] 보좌진들이 누가 쓴 것이냐 라고 묻자 김학규는 "안두희가 백범 선생 앞에서 쓴 것"이라며 믿었던 안두희에게 배신을 당했다는 사실을 분해하며 부르르 떨었다.[9] 이 사건 직후 김학규는 안두희의 혈서를 그대로 불에 태웠다.[9] 그러나 김학규가 안두희를 김구에게 소개해서 이승만 암살을 도우려 했다는 정보가 이승만 정권의 귀에 들어가게 되면서 그는 애매한 혐의로 징역 15년형을 언도받게 된다.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방치하면 살해될 것을 염려한 군내 광복군 출신의 배려로 정부가 내려갈 때 함께 대전과 대구를 거쳐 부산으로 내려갔다가 휴전후 서울로 와서 다시 복역한다. 이후 제1공화국 기간 중 내내 투옥된다. 석방과 만년[편집] 1961년 복권이 되어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독립장을 받았다. 1967년 9월 20일 서울특별시 마포구 망원동 자택에서 별세하자, 사회장으로 장례를 치르고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4] 가계[편집] 아버지 : 김기섭(金起燮, 본관은 안동) 어머니 : 선우 순(鮮于 順) 본처 : 김봉수 장남 : 김일현(金日鉉) 차남 : 김일진(金日鎭)- 오광심 호적 입적 장녀 : 김탄실 차녀 : 김은순 후처 : 오광심 본관 논란[편집] 열린우리당 의원 김희선은 그가 자신의 조부라 하여 본관 논란을 일으켰다.[10] 본관이 '의성'인 김희선은 2004년 김 전 의원이 자신의 본관을 '의성김씨'로 소개하면서 작은 할아버지를 광복군 3지대장을 지낸 김학규(안동김씨) 장군이라고 말하자 한 네티즌은 양가 족보를 대조해 김희선 의원이 장군과 아무런 혈연관계가 없다고 주장하였다.[10] 월간조선은 김희선의 가계를 조사해 부친이 창씨계명 후 만주국 경무과 특무 계에서 근무했다는 새로운 사실을 밝혀내기도 했다.[10] 한편 김희선 의원이 안동 김씨라고 주장한 김학규는 의성김씨나 안동김씨 족보에 올라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4] 동아일보의 안동김씨 종친회 측의 문의 결과김학규 장군이 안두희(安斗熙)를 김구(金九) 선생에게 소개한 분이라는 얘기가 있어, 족보 전체를 꼼꼼히 살펴봤으나 그의 이름을 족보에서 찾을 수 없었다고 답변하였다.[4] 한편 안동김씨 측은 김학규 장군 연배의 '안동 김씨' 돌림자 항렬은 규(圭)ㆍ진(鎭)ㆍ한(漢)ㆍ동(東)으로, 김옥균(金玉均)이 갑신정변 때 역적으로 몰리면서 고종이 25세손 항렬자인 '균(均)'을 '규(圭)'로 대체해 사용하도록 했다고 설명하였으며, 김학규 장군의 '규(奎)'는 '별 규'자로 '안동 김씨' 문중에서 쓰는 항렬자가 아니라고 답변하였다.[4] 한편 1969년 방국진과 결혼한 김희선은 1970년의 호적에 '의성김씨'로 등재되어 있다.[4] 김학규의 유족측은 김희선이 김학규의 친손녀가 아니라 김학규 이부형의 손녀라고 증언하였다.[11] 김학규의 딸 김은순은 2004년 9월 24일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김학규가 의성김씨가 아니라고 발표하였으며, 그의 어머니가 안동 김씨 집안으로 재가해 새로 낳은 아들로, 김희선이 주장하듯 의성김씨 집안 자손이 아니라고 발표하였다.[11] 김은순의 증언에 의하면 증조모(선우순)가 낳은 아들은 모두 3명,딸은 1명으로 의성김씨 전 남편과 사이에서는 김성범과 딸을 하나 낳았고,안동 김씨 집안에 재가한 뒤 낳은 첫아들은 어릴 때 죽었고 둘째아들이 김학규라고 증언하였다.[11] 2005년 6월 국회 정무위원회는 김학규와 김희선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그동안 김희선이 김학규 장군의 친손녀임을 내세운 바와 달리 그의 직계 친손녀가 아닌 것으로 확인하였다.[12] 6월 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의원들이 열린우리당 김희선 의원에 대해 정무위원장과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 모임' 회장직의 사퇴를 공식 촉구하고 나섰다.[12] 2006년 1월 27일 서울고법은 김희선 의원의 작은 할아버지인 독립운동가 김학규 장군과 혈연관계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였고 또 할아버지가 독립운동을 했을 개연성이 있고 김희선 의원의 부친이 독립운동가라는 주장도 허위라고 보기 어렵다는 판단으로 무죄 판결하였다.[13] 출생년도 논란[편집] 김학규는 1900년생으로 1936년 발간된 '의성 김씨 태천공파' 파보(派譜)와 1992년 제작된 '의성 김씨 대동보'에 따르면, 김희선의 증조부 김순옥은 1897년 사망했고 1900년생인 김학규 장군은 태어나지 않은 상태였다.[14] 김학규의 맏며느리 전봉애는 증언에서 선우순이, 김성범을 데리고 의사인 안동김씨 김기섭한테 시집가서 김학규 장군을 낳았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전봉애는 시할머니(선우순)가 우리 시어머니(김봉수 여사·김학규의 처)에게 '남편이 죽고 혼자 되니 살 수가 없어 아들 하나를 데리고 안동 김씨 집안으로 시집왔다.'고 늘 말했다는 얘기를 시어머니에게서 들었다 하며 두 사람(김성범과 김학규)은 친형제가 아니라고 증언하였다.[14] 김학규를 연기한 배우[편집] 이정웅 - 1991년 (여명의 그날) KBS1 드라마 각주[편집] ↑ 가 나 김학규 장군 38주기 추모식 연합뉴스 2005년 09월 20일자 ↑ 가 나 다 라 마 바 “독립유공자 공훈록 - 김학규”.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4월 10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김학규, 해방 직후 만주서 활발한 활동" :: 네이버 뉴스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김희선 의원, 의성김씨 본관 찾다 실패 동아일보 2004-08-17일자 ↑ 가 나 다 라 마 송건호, 송건호 전집 13 (한길사, 2002) 387페이지 ↑ 가 나 다 라 마 바 송건호, 송건호 전집 13 (한길사, 2002) 388페이지 ↑ 1921년 모스크바의 극동인민대회에 참석하기 위해 고려공산당에 가입한 전력이 있다. 김준연도 한때 국내의 조선공산당 당원으로 있었다. ↑ 가 나 송건호, 송건호 전집 13 (한길사, 2002) 389페이지 ↑ 가 나 다 동아일보 1992.04.15, 6면 정치면 ↑ 가 나 다 "이승만을 통해 우리의 미래를 본다" - 프리존뉴스 2008-09-24일자 ↑ 가 나 다 (뉴스플러스) "김학규장군 의성김씨 아니다" 서울신문 2004-09-20, 23면 ↑ 가 나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정무위1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제공한 텍스트가 없습니다 ↑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보수언론 공격받던 김희선 '무죄'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제공한 텍스트가 없습니다 ↑ 가 나 "김희선의원 부친 만주국 경찰" 보도 논란 참고 자료[편집] 김학규 : 독립유공자 공훈록국가보훈처 네이버 캐스트 : 독립운동가 김학규 vdeh1994년 선정 이 달의 독립운동가 1월 이원록 (이육사) 2월 임병찬 3월 한용운 4월 양기탁 5월 신팔균 6월 백정기 7월 이준 8월 양세봉 9월 안무 10월 조성환 11월 김학규 12월 남궁억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학규_(1900년)&oldid=24393752" 분류: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1900년 태어남1967년 죽음대한민국 임시 정부 시대 육군 중장광복군 관련자한국독립당의 당원조선민족혁명당조선혁명군한국 전쟁 관련자안동 김씨 (신)대한민국의 반공주의자병사한 사람숨은 분류: 참조 오류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7일 (금) 15: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학규(金學奎, 1900년 11월 24일 ~ 1967년 9월 20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일제강점기에 한국광복군에서 활동하였다. 광복군 제3지대장 등을 역임했다.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독립장이 수여되었다. 귀국 후에는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 1948년의 남북 협상에 반대하여 임정 인사들을 설득하려다가 실패하고, 단정을 지지, 협상에 불참하였다. 이후 김구와 갈등하던 중 안두희를 김구에게 소개해 주었다가 1949년 김구가 암살되자 암살 누명을 쓰고 투옥되었다가 1961년 5·16 군사 정변 이후 석방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준연이 공산당의 자금 조달에 대해 비판하는 의견을 게재한 신문은 무엇일까? Assistant: 동아일보
Human: 아래 문선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문선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문선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문선민 유르고르덴 시절의 문선민(2015년)개인 정보로마자 표기 Moon Seon-min출생일 1992년 6월 9일(1992-06-09) (27세)출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키 172cm포지션 윙어클럽 정보현 소속팀 전북 현대 모터스등번호 27청소년 클럽 기록2008-20102011 장훈고등학교나이키 아카데미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2012-2015201520162017-20182019- 외스테르순드 FK → 유르고르덴 IF (임대) 유르고르덴 IF 인천 유나이티드전북 현대 모터스 0810(10)010 0(1)010 0(1)0670(18)013 0(5)국가대표팀 기록‡20092018- 대한민국 U-17대한민국 003 0(0)0110 (2)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19년 6월 30일 기준이다.‡ 국가대표팀의 출장수와 골은 2018년 11월 20일 기준이다. 문선민(文宣民, 1992년 6월 9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현재 K리그1 전북 현대 모터스에서 뛰고 있다. 목차 1 선수 경력 1.1 유소년 선수 1.2 클럽 경력 1.3 국가대표팀 경력 1.4 국가대표팀 득점 2 그 외 3 각주 4 외부 링크 선수 경력[편집] 유소년 선수[편집] 2011년 고등학교 졸업 이후. 2011년 초, 나이키가 후원하는 더 찬스에 참여했다. 그곳에서 상위 8인에 들어서 잉글랜드의 나이키 아카데미에 입학했다.[1][2] 클럽 경력[편집] 2012년 스웨덴 3부 리그의 팀인 외스테르순드 FK와 계약하며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2017 시즌을 앞두고 K리그 클래식의 인천 유나이티드와 계약했다.[3] 4라운드 수원 삼성 블루윙즈전에서 데뷔골을 성공시켰다. 2019시즌을 앞두고 이재성선수와의 트레이드를 통해 전북 현대 모터스에 입단했다.[4] 국가대표팀 경력[편집] 2018년 FIFA 월드컵 대한민국 대 맥시코 경기에서의 문선민 대한민국 U-17에서 3경기를 뛰었다. 2018년 5월 14일 2018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처음으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다. 이후 5월 28일 대구스타디움에서 열린 온두라스와의 친선 경기에 교체 출전하였고, A매치 데뷔전에서 데뷔골을 기록하였다. 보스니아 전에서도 교체 투입되었다. 그 후, 2018년 6월 2일 최종 명단에 포함되었다. 6월 7일 볼리비아 평가전에서 선발 출전되었으나 후반에 이재성 선수와 교체되었다. 이 경기에서 눈에 띄는 움직임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2018년 FIFA 월드컵에서 멕시코전, 독일전에 선발 출전하였다. 멕시코 전에서, 수비수 이용과 함께 전방 압박을 펼쳤고, 빠른 역습으로 공격 기회를 만들었다.[5] 독일 전에서도 역시 많은 활동량을 보였지만, 결정적 기회에서 바로 차지 않고, 손흥민 선수에게 공을 양보하려는 플레이로 아쉬움을 샀다. 2018년 11월 20일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열린 우즈베키스탄과의 경기에서 후반 23분 중거리슛으로 1득점을 기록했다. 국가대표팀 득점[편집] # 경기일 경기장소 상대팀 득점 결과 비고 1 2018/05/28 대한민국, 대구스타디움 온두라스 2 – 0 2 – 0 친선 경기 2 2018/11/20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 스포츠 및 육상 센터 우즈베키스탄 3 – 0 4 – 0 친선 경기 그 외[편집] 2018시즌을 앞두고 새로운 K리그 홍보대사로 임명된 감스트의 관제탑 댄스를 본인의 대표적인 골 세레머니로 하고 있다.[6] 각주[편집] ↑ “Moons debut: ett väldigt positivt intryck” (스웨덴어). Östersunds-Posten. 2015년 8월 13일에 확인함.  ↑ “"The Chance" Final Eight Players Announced”. 나이키. 2015년 8월 13일에 확인함.  ↑ 인천, ‘신데렐라’ 문선민 영입...공격 강화 ↑ 전북 현대 문선민까지 영입 광폭 행보 ↑ 졌지만 잘싸운 한국, '손흥민 만회골-문선민 활약' 돋보였다 ↑ 문선민의 ‘관제탑 댄스 세리머니’ 아세요? 외부 링크[편집] 문선민 국가대표팀 기록 - 대한축구협회 (영어) 문선민 - National Football Teams (영어) 문선민 - 트랜스퍼마크트 문선민 K리그 기록 - 한국프로축구연맹 (영어) 문선민 - 유르고르덴 IF vdeh전북 현대 모터스 – 현재 명단 1 이범영 2 이용 4 신형민 5 임선영 6 최보경 7 한교원 8 정혁 9 김신욱 10 로페즈 11 티아고 13 이주용 14 이승기 16 최영준 17 이비니 18 나성은 19 박원재 20 이동국 22 김진수 23 윤지혁 24 허준호 25 최철순 26 홍정호 27 문선민 28 손준호 30 정호영 31 송범근 32 아드리아노 33 박원재 34 장윤호 35 명준재 37 최정우 41 이재형 42 한승규 81 이근호 88 홍정남 92 김민혁 98 유승민 감독: 모라이스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18년 FIFA 월드컵 1 김승규 2 이용 3 정승현 4 오반석 5 윤영선 6 박주호 7 손흥민 8 주세종 9 김신욱 10 이승우 11 황희찬 12 김민우 13 구자철 14 홍철 15 정우영 16 기성용 (주장) 17 이재성 18 문선민 19 김영권 20 장현수 21 김진현 22 고요한 23 조현우 감독: 신태용 이 글은 축구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문선민&oldid=24505659" 분류: 199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축구 공격수축구 윙어외스테르순드 FK의 축구 선수유르고르덴 IF의 축구 선수인천 유나이티드 FC의 축구 선수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대한민국의 스웨덴 진출 축구 선수스웨덴의 외국인 축구 선수알스벤스칸의 축구 선수K리그1의 축구 선수서울특별시 출신서울신정초등학교 동문문래중학교 동문장훈고등학교 동문스웨덴에 거주한 대한민국인2018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남평 문씨숨은 분류: CS1 - 스웨덴어 인용 (sv)축구인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تۆرکجه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Svenska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30일 (일) 21:0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문선민(한국 한자: 文宣民, 1992년 6월 9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현재 K리그1 전북 현대 모터스에서 뛰고 있다. 포지션은 윙어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문선민의 선수 경력 중 문선민이 축구 국가대표팀에 처음 발탁된 해는 언제인가? Assistant: 2018년 Human: 아래 팬아메리칸_게임_비치발리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팬아메리칸 게임 비치발리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팬아메리칸 게임 비치발리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판아메리칸 게임 비치발리볼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팬아메리칸 게임 비치발리볼은 1999년 팬아메리칸 게임부터 시작된 경기 종목이다. 목차 1 대회 결과 1.1 남성 1.2 여성 2 메달 집계 대회 결과[편집] 남성[편집] 연도 개최지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1999 캐나다위니펙 캐나다 브라질 브라질 2003 도미니카 공화국산토도밍고 쿠바 브라질 푸에르토리코 2007 브라질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 미국 쿠바 2011 멕시코과달라하라 브라질 베네수엘라 아르헨티나 2015 캐나다캐나다 멕시코 브라질 쿠바 여성[편집] 연도 개최지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1999 캐나다위니펙 브라질 미국 멕시코 2003 도미니카 공화국산토도밍고 쿠바 멕시코 브라질 2007 브라질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 쿠바 멕시코 2011 멕시코과달라하라 브라질 멕시코 푸에르토리코 2015 캐나다캐나다 아르헨티나 쿠바 브라질 메달 집계[편집]  순위  국가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합계 1 브라질 5 3 3 11 2 쿠바 2 2 2 6 3 멕시코 2 2 2 6 4 아르헨티나 1 0 1 2 5 캐나다 1 0 0 1 6 미국 0 2 0 2 7 베네수엘라 0 1 0 1 8 푸에르토리코 0 0 2 2 vdeh팬아메리칸 게임하계 대회 1951 부에노스아이레스 1955 멕시코시티 1959 시카고 1963 상파울루 1967 위니펙 1971 칼리 1975 멕시코시티 1979 산후안 1983 카라카스 1987 인디애나폴리스 1991 아바나 1995 마르델플라타 1999 위니펙 2003 산토도밍고 2007 리우데자네이루 2011 과달라하라 2015 토론토 2019 리마 2023 산티아고 동계 대회 1990 라스레냐스 종목 농구 럭비 비치발리볼 소프트볼 야구 축구 풋살 폴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팬아메리칸_게임_비치발리볼&oldid=20993751" 분류: 팬아메리칸 게임 경기 종목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FrançaisItalianoPortuguês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3월 25일 (일) 20:5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팬아메리칸 게임 비치발리볼은 1999년 팬아메리칸 게임부터 시작된 경기 종목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팬아메리칸 게임 비치발리볼의 2003년 개최지의 이름은? Assistant: 도미니카 공화국산토도밍고
Human: 아래 홍익인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홍익인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홍익인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홍익인간(弘益人間)은 대한민국의 비공식적인 국시로, “널리 인간세상을 이롭게 하라”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한반도 최초의 나라로 여겨지는 고조선의 건국신화에서, 천신인 환웅(桓雄)이 인간 세상에 내려와 시조 단군을 낳고 나라를 열 때에 '널리 인간을 이롭게(弘益人間)'한다는 등의 건국이념을 갖고 있었다고 고려시대 일연의 '삼국유사'와 이승휴의 '제왕운기' 등에서 확인되고 있다.[주 1][2] 목차 1 유래 2 대한민국에서 3 각주 4 참고 자료 유래[편집] '홍익인간'이라는 말은 《삼국유사》의 단군신화에 나오는데 "옛날 환인(桓因)의 서자(庶子)[주 2]환웅(桓雄)이 천하에 뜻을 두고 자주 인간세상을 탐내어 찾았다. 아버지가 아들의 뜻을 알고 아래로 삼위태백(三危太伯)을 굽어보니 인간을 널리 유익하게(弘益人間) 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천부인(天符印) 3개를 주어 인간세계로 보내 다스리게 하였다"라는 문장에서 비롯된 것이다. 대한민국에서[편집] 홍익인간이 대한민국의 교육이념으로 채택된 것은 독립 이후의 미군정 시절부터였다. 교육이념으로 제안된 '홍익인간'에 대해 비과학적이고 일제의 '팔굉일우'와 유사하다는 지적이 있었으나, 논란 끝에 1945년 12월 20일 개최된 교육심의회에서 대한민국의 교육이념으로 채택되었다.[5] 1949년 12월 31일 법률 제86호로 제정·공포된 교육법 제1조에 "교육은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금 인격을 완성하고, 자주적 생활능력과 공민으로서의 자질을 구유하게 하여, 민주국가 발전에 봉사하며 인류공영의 이상 실현에 기여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교육의 근본이념을 천명함으로써 대한민국의 교육이념을 대표하였다. 또한, 홍익인간은 '고루한 민족주의 이념의 표현이 아니라 인류공영이라는 뜻으로 민주주의 기본정신과 완전히 부합되는 이념이며, 민족정신의 정수로 일면 기독교의 박애정신, 유교의 인, 불교의 자비심과도 상통하는 전인류의 이상'으로 보아 교육이념으로 삼았다고 설명하였다.[6] 임시정부의 지도이념인 자유주의 이념과 삼균주의(三均主義) 이념은 1948년 대한민국헌법에 반영되어 광복 한국의 기초이념이 되었다. 또한 대한민국헌법 전문은 '대한민국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라고 하여 임시정부가 한국 독립의 모태가 되고 대한민국 건국의 정신적·사상적 기반이 되었음을 명시하였다.[1] 각주[편집] 내용주 ↑ 《고조선의 건국이념》 홍익인간(弘益人間) : 널리 인간 세상을 이롭게 한다. 재세이화(在世理化) : 세상에 있으면서 다스려 교화시킨다. 이도여치(以道與治) : 도로써 세상을 다스린다. 광명이세(光明理世) : 밝은 빛으로 세상을 다스린다.[1] ↑ 여기서 서자(庶子)는 장남이 아닌 모든 아들을 지칭한다. 조선시대의 기본법전, 경국대전(經國大典) 봉사조(奉祀條)에 보면, '적장자(嫡長子)가 무후(無後)하면 중자(衆子)가, 중자가 무후하면 첩자(妾子)가 봉사한다.'고 하여 적서(嫡庶)의 차별처럼 서자(庶子)의 개념에서 적서(嫡庶)의 구별은 본처(本妻)의 아들을 적자(嫡子)라 하고, 첩(妾)의 아들을 서자(庶子)라고 칭하는 이른바 조선시대 유교(儒敎)에서 파생된 개념이다. 따라서 ‘환웅(桓雄)이 서자(庶子)’라는 말의 뜻은 고려시대 이전의 글자로 해석하여 ‘서자(庶子)’의 ‘서(庶)’라는 글자가 ‘뭇=무리 중(衆)’이 되어 원래 ‘중자(衆子)’에 가까운 의미로 해석된다. 해자로 풀이해도 집안의 뜰에 이십 여명이 모여 불을 쬐고 있는 모습이다. 많은 무리라는 뜻이다.[3][4] 참조주 ↑ 가 나 이태진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2011년 8월 3일). “우리나라 개국(開國)의 기원(紀元)”. 수원일보. 2012년 11월 1일에 확인함.  ↑ 김윤섭 (2011). 《지식사회의 정신적 인프라》. 25쪽: 학문사. ISBN 9788946711020.  ↑ 최양규(조태성기자) (2011년 8월 3일). “‘한국족보발달사’ 통해 본 시대상”. 서울신문. 2012년 11월 1일에 확인함.  ↑ 박희 대림대학교 교수ㆍ문학박사 (2012년 10월 3일). “하늘이 문을 연 날… 배달겨레 새 역사가 움텄다”. 국방일보. 2012년 11월 1일에 확인함.  ↑ 이일형 차장 (2000년 5월 22일). “홍익인간 법제화 논란”. 한국대학신문.  ↑ 조명철 前 제주문화원장 (2011년 10월 3일). “단기 연호를 부활시켜 정체성을 바로 세우자”. 제주일보. 2012년 11월 1일에 확인함.  참고 자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홍익인간&oldid=21162604" 분류: 대한민국의 교육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Bahasa Indonesia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4월 25일 (수) 14: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홍익인간(弘益人間)은 대한민국의 비공식적인 국시로, “널리 인간세상을 이롭게 하라” 또는 "(당시 부족사회의)모든 사람들이 어우러져 행복하게 하라"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한반도 최초의 나라로 여겨지는 고조선의 건국신화에서, 천신인 환웅(桓雄)이 인간 세상에 내려와 시조 단군을 낳고 나라를 열 때에 '널리 인간을 이롭게(弘益人間)'한다는(전근대적 관점이 단긴 해석) 등의 건국이념을 갖고 있었다고 고려시대 일연의 '삼국유사'와 이승휴의 '제왕운기' 등에서 확인되고 있다. 《고조선의 건국이념》 참고 해석. 홍익인간(弘益人間): (당시 부족사회의) 모든 사람들이 어우러져 행복하게 한다. 재세이화(在世理化): (그러한 홍익인간의) 진리가 세상에 있도록 만든다. 이도여치(以道與治): (그러한 정신을 계승하여 갈등과 병폐를) 사람의 길로써 낫게 한다. 광명이세(光明理世): 깨달음으로 세상을 밝게 만든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49년 12월, 대한민국의 홍익인간 교육 이념을 공표한 것은 법률 제 몇 조입니까? Assistant: 제86호 Human: 아래 류승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류승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류승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같은 이름을 가진 당구 선수에 대해서는 류승우 (당구 선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류승우 개인 정보로마자 표기 Ryu Seung-Woo출생일 1993년 12월 17일(1993-12-17) (25세)출생지 대한민국 경상남도 김해시키 172cm포지션 미드필더클럽 정보현 소속팀 상주 상무등번호 36청소년 클럽 기록2009-20112012-2013 수원고등학교중앙대학교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2014 2014 2014-2017 2014-2015 2016 2016-20172017-2019- 제주 유나이티드 → 바이어 04 레버쿠젠 (임대) 바이어 04 레버쿠젠 →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임대) →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임대) → 페렌츠바로시 (임대)제주 유나이티드→ 상주 상무 (군 복무) 000 0(0) 002 0(0) 000 0(0) 016 0(4) 010 0(0)011 0 (1) 036 0(3)국가대표팀 기록‡2012-2013 2014-2016 대한민국 U-20 대한민국 U-23 013 0(3) 025 0(7)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19년 1월 10일 기준이다.‡ 국가대표팀의 출장수와 골은 2016년 8월 10일 기준이다. 류승우(柳承佑, 1993년 12월 17일 ~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현재 K리그1의 상주 상무 소속이다. 목차 1 클럽 경력 2 국가대표팀 경력 3 경력 통계 4 수상 내역 4.1 대한민국 U-23 5 각주 6 외부 링크 클럽 경력[편집] 중앙대학교 재학 중 2013년 FIFA U-20 월드컵에 출전하게 되며 이 대회에서 쿠바와 포르투갈을 상대로 2경기 연속골을 터트렸지만 조별예선 3차전 나이지리아와의 경기에서 부상을 당하며 아쉽게 대회를 마감하였다 그렇지만 2013년 FIFA U-20 월드컵에서의 류승우의 활약을 눈여겨본 독일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로 이적설이 돌았고,[1] 실제 영입 제안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으나[2] 본인이 거절하였다. 2013년 12월 자유계약으로 제주 유나이티드에 입단하였으나 입단 3일 만에 2013년 12월 13일 독일의 바이어 04 레버쿠젠으로의 임대가 발표되었다. 2014년 1월 25일 SC 프라이부르크를 상대로 손흥민과 교체되어 출전하면서 분데스리가 데뷔전을 치뤘다. 2014년 8월 15일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로 임대되었다. 2016년 2월 1일 아르미니아 빌레펠트로 6개월간 임대되었다. 2016년 8월 1일 페렌츠바로시 TC로 임대되었다. 2017시즌 여름이적시장을 통해 제주 유나이티드로 이적했다.[3] 2017년 9월 23일 상주 상무와의 경기에서 제주 소속으로 첫 골을 터뜨렸다. 2019시즌을 앞두고 상주 상무로 입대했다. 국가대표팀 경력[편집] 2013년 FIFA U-20 월드컵에 출전하였다. 2016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였으며 같은 해 6월 27일 발표된 리우 올림픽 출전 U-23 대표팀 최종 명단에 포함되었다.[4] 피지와의 조별리그 1차전서 류승우는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한국인 남자로서는 피파 주관대회에서 최초로 해트트릭을 한 선수가 되었다.[5] 경력 통계[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수상 내역[편집] 대한민국 U-23[편집]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 1회 (2016년) 각주[편집] ↑ “류승우, 도르트문트 가볼만한 이유”. 골닷컴. 2013년 7월 17일.  ↑ “"도르트문트, 류승우에게 3년 계약·40만 유로 제시"”. 연합뉴스. 2013년 7월 17일.  ↑ 류승우, 3년 6개월 만에 친정 제주로 유턴 ↑ “신태용호, 올림픽 최종 명단 발표… 손흥민·석현준 포함”. 베스트일레븐. 2016년 6월 27일. 2016년 7월 7일에 확인함.  ↑ “류승우, 한국 남자축구 사상 첫 FIFA 주관 대회 해트트릭”. 마이데일리. 2016년 8월 5일. 2016년 8월 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류승우 ESPN.com 류승우 국가대표팀 기록 - 대한축구협회 vdeh상주 상무 – 현재 명단 1 권태안 2 김영빈 7 심동운 12 권완규 13 김민우 14 윤빛가람 15 신창무 16 조수철 18 송수영 23 이상협 24 이태희 25 김경중 27 백동규 28 차영환 31 황병근 32 김건희 34 송시우 35 박용지 36 이호석 37 이규성] 38 장은규 39 고태원 40 박대한 41 윤보상 42 안진범] 43 김경재 44 마상훈 45 배신영 46 이민기 47 안세희 감독: 김태완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13년 FIFA U-20 월드컵 1 이창근 2 심상민 3 김용환 4 연제민 5 우주성 6 김선우 7 류승우 8 이창민 9 김현 10 권창훈 11 김동혁 12 강윤구 13 박용준 14 송주훈 15 정현철 16 이광훈 17 나성수 18 함석민 19 조석재 20 한성규 21 김동준 감독: 이광종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16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 1 김동준 2 심상민 3 이슬찬 4 송주훈 5 연제민 6 박용우 7 문창진 8 이창민 9 김현 10 류승우 11 김승준 12 구현준 13 박동진 14 이영재 15 정승현 16 황기욱 17 유인수 18 진성욱 19 강상우 20 황희찬 21 이창근 22 권창훈 23 구성윤 감독: 신태용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16년 하계 올림픽 1 김동준 2 심상민 3 이슬찬 4 김민태 5 최규백 6 장현수 (주장) 7 손흥민 8 문창진 9 석현준 10 류승우 11 황희찬 12 이찬동 13 박동진 14 박용우 15 정승현 16 권창훈 17 이창민 18 구성윤 감독: 신태용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류승우&oldid=24505890" 분류: 199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김해시 출신축구 미드필더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축구 선수바이어 04 레버쿠젠의 축구 선수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의 축구 선수아르미니아 빌레펠트의 축구 선수페렌츠바로시 TC의 축구 선수안산부곡중학교 동문김해합성초등학교 동문수원고등학교 동문중앙대학교 동문독일의 외국인 축구 선수헝가리의 외국인 축구 선수K리그1의 축구 선수분데스리가의 축구 선수2. 분데스리가의 축구 선수넴제티 버이녹샤그 I의 축구 선수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대한민국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2013년 FIFA U-20 월드컵 참가 선수독일에 거주한 대한민국인헝가리에 거주한 대한민국인숨은 분류: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Magyar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Português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30일 (일) 22: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류승우(한국 한자: 柳承佑, 1993년 12월 17일 ~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로, 포지션은 미드필더이다. 현재FC 안양에서 활약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6년 8월 류승우는 어디로 임대되었는가? Assistant: 페렌츠바로시 TC
Human: 아래 안성_부조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안성 부조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안성 부조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안성부조묘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부조묘(不眺廟) 안성시의 향토유적 종목 향토유적 제5호 (1986년 5월 22일 지정)위치 안성 부조묘주소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 대농2길 30좌표 북위 37° 4′ 8″ 동경 127° 16′ 20″ / 북위 37.06889° 동경 127.27222°  / 37.06889; 127.27222좌표: 북위 37° 4′ 8″ 동경 127° 16′ 20″ / 북위 37.06889° 동경 127.27222°  / 37.06889; 127.27222 안성 부조묘(安城 不眺廟)는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에 있는 사당이다. 1986년 5월 22일 안성시의 향토유적 제5호로 지정되었다. 목차 1 개요 2 현지 안내문 3 같이 보기 4 각주 5 참고 자료 개요[편집] 조선전기 단종 때의 충신 충정공 박심문(朴審問: ~ 1456)선생의 충절과 유덕을 추앙하여 제향하는 사우(祠宇)이며, 해마다 10월 10일과 14일에 향사를 지낸다. 이 부조묘는 외삼문을 앞으로 하여 숭의당(崇義堂), 내삼문(內三門), 충정묘(忠貞廟) 등이 차례로 배치되어 있으며, 1904년 처음 세워졌고, 현재 있는 건물은 1980년대에 중건되었다. 숭의당은 종친들의 제사준비와 회의용 건물로 사용되며, 충정묘에는 박심문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외삼문에는 현창문(顯彰門)이라는 현판이 걸려있으며, 내삼문에는 경절문(景節門)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박심문 선생의 자는 신숙(愼叔)이요, 호는 청재(靑齋)이며,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일찍이 학행으로 천거되어 사온서 직장이 되었고, 1436년(세종18) 친시(親試)문과에 급제한 뒤 기주관을 역임하였으며, 함길도 절도사 김종서(金宗瑞)가 육진을 개척할 때 그의 종사관이 되어 야인(野人)에 대한 안무책으로 남쪽 지방의 백성들을 옮겨 살게 할 것을 절도사에게 건의하여 시행하였다. 1453년(단종1년)에 수양대군이 정권을 잡기위해 일으킨 계유정난(癸酉靖亂) 때 김종서 등이 살해되자 이에 크게 분개하여 성삼문(成三問), 하위지(河緯地) 등과 단종 복위를 도모하였다. 1456년(세조2) 질정관으로 명(明)나라에 다녀오다가 의주에 이르러 성삼문 등 육신이 참형되었다는 소식을 전해 듣고 음독 자결했다. 시호는 충정(忠貞)이며, 정조대에 이르러 이조판서에 추증되었고, 공주 숙모전(肅慕殿)에 배향되었으며, 묘소는 고양시에 소재한다. 현지 안내문[편집] 조선전기 단종 때의 충신 충정공 박심문(朴審問: ? ~ 1456) 선생의 충절과 유덕을 추앙하여 제향하는 사우(祠宇)이다. 공의 자는 신숙(愼叔)이요, 호는 청재(靑齋)이며,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일찍이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사온서(司醞署) 직장(直長)이 되고, 세종(世宗) 18년(1436) 친시문과(親試文科)에 급제한 뒤 기주관(記注官)·함길도절도사(咸吉道節度使) 김종서(金宗瑞)의 종사관(從事官)·평안도 판관(判官)·도체찰사(都體察使)의 종사관 등을 역임하였다. 단종 원년(1453) 계유정난(癸酉靖亂)으로 김종서가 살해되자 이에 분개하여 성삼문(成三問), 하위지(河緯地) 등과 단종 복위를 모의했다. 세조(世祖) 2년 질정관(質正官)으로 명나라에 갔다가 귀국 도중 의주(義州)에서 사육신(死六臣)의 철퇴 당함을 듣고 음독 자결했다. 시호는 충정(忠貞)이다. 이조판서에 추증(追贈)되고 숙모전(肅慕殿)에 제향되었다, 순조(純祖) 28년(1828) 영월 창절사(彰節祠)에 배향(配享)되었으며 광무(光武) 8면(1904) 종중에서 부조묘(不眺廟)를 이곳에 세워 공의 충절을 기리고 넋을 위로하게 되었다. 삼문(三門)과 담장·사우(祠宇)를 갖추었고, 충정묘(忠貞廟)라는 현판이 달리 사우는 맞배지붕형에 한식골기와를 얹은 건물로서 그 안에 위패를 모시고 있다. 정면 630cm, 측면 330cm의 규모이다.[1] 같이 보기[편집] 박심문 각주[편집] ↑ 현지 안내문 인용 참고 자료[편집] 부조묘 - 안성문화관광 - 시지정문화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안성_부조묘&oldid=21952857" 분류: 안성시의 향토유적사당한국의 없어진 건축물밀양 박씨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8월 9일 (목) 14: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안성 부조묘(安城 不眺廟)는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에 있는 사당이다. 1986년 5월 22일 안성시의 향토유적 제5호로 지정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단종 시기의 충정공 박심문 선생의 호는 뭐야? Assistant: 청재 Human: 아래 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발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사람의 발 어린이의 발 발은 많은 동물들이 갖고 있는 신체 부위로, 주로 이동을 할 때에 사용된다. 동물의 발은 대개 다리의 끝부분에 있으며 발목 관절을 사이에 두고 다리와 구분되어 있는 별도의 신체 부위이다. 발은 발을 구성하는 뼈들과 발을 움직이는 데 사용되는 근육, 인대, 신경, 혈관 등으로 구성되며 대개 발톱 또는 발굽이 달려 있다. 이중 혈관 신경은 움직일때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다 목차 1 발 1.1 발뼈 2 발의 부위 3 발 질환 4 함께 보기 5 외부 링크 발[편집] 발을 이루는 뼈의 구조는 아래의 그림과 같다. 발목 발꿈치뼈 발등 척골 발가락뼈 발뼈[편집] 발뼈 52개 발목뼈(족근골, tarsal bone) 14개 목발뼈(거골, talus) 2개 발꿈치뼈(종골, calcaneus) 2개 발배뼈(주상골, navicular bone) 2개 쐐기뼈 6개 안쪽 쐐기뼈(제1 설상골, first (medial) cuneiform) 2개 중간 쐐기뼈(제2 설상골, second (intermediate) cuneiform) 2개 가쪽 쐐기뼈(제3 설상골, third (lateral) cuneiform) 2개 입방뼈(입방골) 2개 발허리뼈(중족골, metatarsal) 10개 발가락뼈(족지골, phalanges) 28개 발의 부위[편집] 뒤꿈치 발등 발바닥 발가락 발톱 발 질환[편집] 무지외반증 무좀 족적 근막염 함께 보기[편집] 위키낱말사전에관련된 항목이 있습니다. 발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발 인체 골격 발 페티시즘 거스러미 외부 링크[편집] (영어) 발 - Curlie (DMOZ 기반) 이 글은 인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발&oldid=23017387" 분류: 동물학하지해부학숨은 분류: 위키낱말사전과 연결된 문서인체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አማርኛ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ܐܪܡܝܐAsturianuAtikamekwАварAymar aruAzərbaycancaBoarisch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ahasa Banjarབོད་ཡིགBrezhonegBosanskiCatalàMìng-dĕ̤ng-ngṳ̄کوردیCorsuČeštinaCymraegDanskDeutschZazakiދިވެހިބަސްEmiliàn e rumagnòl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VõroFrançaisFryskGàidhligGalegoAvañe'ẽ𐌲𐌿𐍄𐌹𐍃𐌺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HrvatskiKreyòl ayisyenBahasa IndonesiaIñupiakIdoÍslensk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ಕನ್ನಡRipoarischLatinaЛаккуLugandaLumbaart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NāhuatlNapulitanoPlattdüütschNedersaksies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angasinanPolski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ArmãneashtiРусскийसंस्कृतम्SicilianuScotsسنڌي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ChiShona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ürkçe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inarayIsiXhosaייִדישVahcuengh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4일 (수) 23: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발은 많은 동물들이 갖고 있는 신체 부위로, 주로 이동을 할 때에 사용된다. 동물의 발은 대개 다리의 끝부분에 있으며 발목 관절을 사이에 두고 다리와 구분되어 있는 별도의 신체 부위이다. 발은 발을 구성하는 뼈들과 발을 움직이는 데 사용되는 근육, 인대, 신경, 혈관 등으로 구성되며 대개 발톱 또는 발굽이 달려 있다. 이중 혈관 신경은 움직일 때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발뼈는 몇 개가 있을까? Assistant: 52개
Human: 아래 화순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화순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화순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화순군 화순군청 청사 화순군의 위치 현황 국가 대한민국 면적 786.9 km2 세대 29,671 가구 (2017.12.31.) 총인구 64,680 명 (2017.12.31.) 인구밀도 82 명/km2 읍 1개 면 12개 군수 구충곤(더불어민주당) 재선(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국회의원 손금주(무소속)(나주시·화순군) 군청 소재지 화순읍 동현길 23 (훈리 35) 홈페이지 화순군청 상징 군목 느티나무 군화 들국화 군조 비둘기 화순군(和順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중앙부에 있는 군이다. 동쪽은 순천시·곡성군, 서쪽은 나주시, 남쪽은 보성군·장흥군, 북쪽은 광주광역시·담양군·곡성군과 접한다. 도곡면, 춘양면 일대의 화순 고인돌 유적은 전북 고창, 강화도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군청 소재지는 화순읍이고, 행정구역은 1읍 12면이다. 화순군의 읍면 읍 화순읍 면 남면 능주면 도곡면 도암면 동면 동복면 북면 이서면 이양면 청풍면 춘양면 한천면 밑줄은 군청 소재지 목차 1 역사 2 지리 2.1 기후 3 행정 구역 4 인구 5 산업 5.1 특산물 6 교통 7 문화·관광 8 교육 기관 9 출신 인물 10 각주 11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13년 이전 남부 7개면 지역의 역사는 능주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14년 이전 동부 4개면 지역의 역사는 동복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마한시대에는 여래비리국(능주·화순), 벽비리국(동북)이었다. 삼국시대 때 화순은 백제의 잉리아현(仍利阿縣)이었다. 신라에 와서 여미현(汝湄縣)으로 고쳤으며 능성군(綾城郡)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고려 때에 화순으로 고쳐 나주에 속하였다. 후에 능성현에 속하고 감무를 두었다. 공양왕 2년(1390년) : 남평현(南平縣)을 겸했다. 조선 태조 3년(1394년) : 남평현이 분리되어 따로 감무를 두었다. 1396년 : 화순현을 동복감무가 관할하면서 동복현의 관할이 되었다. 1405년 : 동복현의 감무를 화순으로 이전하였다. 1407년 : 화순현과 동복현을 복순현(福順縣)으로 통합하였다. 1413년 : 복순현을 화순현으로 개칭하였다. 1416년 : 화순현과 동복현을 분리하여 동복현에 현감을 두고 화순은 능성현에 편입하여 순성현(順城縣)이 되었다. 1418년 : 순성현을 다시 능성현과 화순현으로 분리하였다. 1435년 : 능성현에 편입되었다가 얼마 후 다시 분리되었다. 1597년 : 임진왜란의 후유증으로 화순현이 폐지되어 능성현에 편입되었다. 1611년 : 화순현이 다시 설치되었다. 1655년 : 동복현이 폐지되어 화순현에 편입되었다. 1664년 : 동복현이 다시 분리되었다. 1895년 음력 윤5월 1일 : 나주부 화순군으로 개편하였다.[1] 4면 - 읍내면, 서면, 동일도면, 동이도면 1896년 8월 4일 : 전라남도 화순군으로 개편하였다.[2] 1908년 10월 15일 : 능주군, 화순군 일원이 능주군으로 통합되었다. 1913년 : 능주군을 화순군으로 개칭하고, 군청을 주내면(현 능주면)에서 화순면으로 이전하였다. 동일도면과 동이도면을 동면으로 합면하였다. 1914년 4월 1일 : 동복군을 화순군에 통합하였다.[3]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화순군 읍내면(邑內面) 화순면 일원 화순군 주내면(州內面), 회덕면(懷德面) 능주면 일원 화순군 오도면(吾道面), 대곡면(大谷面), 화남면(花南面) 도곡면 일원 남평군 저포면 일부 화순군 부춘면(富春面), 단양면(丹陽面) 춘양면 일원 화순군 도장면(道莊面), 호암면(虎巖面) 도암면 일원 남평군 다소면 일부 화순군 세청면(世淸面), 신풍면(申豊面) 청풍면 일원 동복군 읍내면(邑內面) 동복면 일원 동복군 내서면(內西面), 외서면(外西面) 이서면 일원 17면 - 능주면, 춘양면, 청풍면, 도곡면, 도암면, 화순면, 한천면, 서면, 동면, 송석면, 도림면, 동복면, 이서면, 내북면, 외북면, 내남면, 외남면 1932년 11월 1일 : 서면을 화순면에 편입하고, 도림면·송석면을 이양면으로, 내북면·외북면을 북면으로, 내남면·외남면을 남면으로 합면하였다. (13면) 1963년 1월 1일 : 화순면을 화순읍으로 승격하였다.[4] (1읍 12면) 1966년 5월 18일 : 영외, 묵곡, 용강출장소를 각각 설치하였다.[5] 1973년 7월 1일 : 동면 수만리를 화순읍에 편입하였다.[6] 1983년 2월 15일 : 도곡면 주도리를 화순읍에 편입하였다.[7] 1998년 10월 1일 : 묵곡, 용강출장소를 폐지하였다.[8] 지리[편집] 전라남도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서쪽의 하천 유역을 제외하면 해발 고도 400∼900m의 산지로 되어 있다. 소백산맥의 지맥 무등산맥(無等山脈)이 연연히 솟아 무등산(1,187m)·모후산(母後山:919m)·백아산(白鴉山:804m·천운산(天雲山:602m)·화학산(華鶴山:614m) 등 높은 산의 기복이 많아 대체로 산악 지대를 이루고 있는 한편 영산강과 섬진강의 여러 지류가 흘러 유역에는 비교적 넓은 평지가 있고 관개가 편하다. 기후[편집] 대체로 온난한 편이나 내륙지방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기온의 교차가 비교적 심한 대륙성 기후이다. 연평균 기온 12.6℃, 1월 평균 기온 0.7℃, 8월 평균 기온 26.1℃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1,350 mm이다. 행정 구역[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화순군의 행정 구역입니다. 화순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2면 188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 면적은 786.91 km²[9]로, 전라남도의 6.38%를 차지한다. 인구는 2017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6만4680 명, 2만9671 가구이고, 그 중 62.1%가 화순읍에 거주한다.[10] 화순군 행정구역 읍면동 한자 면적 인구 세대 화순읍 和順邑 69.65 40,193 16,230 한천면 寒泉面 65.27 1,413 792 춘양면 春陽面 49.92 1,951 1,070 청풍면 淸豊面 50.19 1,096 667 이양면 梨陽面 92 1,954 1,112 능주면 綾州面 15.87 3,486 1,690 도곡면 道谷面 38.17 2,973 1,578 도암면 道岩面 50.9 1,485 861 이서면 二西面 52.71 975 564 북면 北面 85.4 1,674 972 동복면 同福面 62.96 1,730 978 남면 南面 86.55 2,260 1,255 동면 東面 67.04 3,490 1,902 화순군 和順郡 786.9 64,680 29,671 인구[편집] 화순군의 연도별 인구 추이[11] 연도 총인구   1960년 134,547명 1966년 150,998명 1970년 138,534명 1975년 130,410명 1980년 107,405명 1985년 91,998명 1990년 86,697명 1995년 63,816명 2000년 72,162명 2005년 67,948명 2010년 62,219명 산업[편집] 농업이 주업으로 주요 농산물은 쌀이 80%를 차지하며 보리·콩·팥·면화·삼·담배와 양봉·양잠, 소의 사육 및 죽세공품 등이 생산된다. 산지가 75%나 되어 석탄을 비롯한 석회석·고령토·규석·납석 등 지하자원이 많이 매장되어 있다. 소량의 금 외에 특히 탄전이 있어 무연탄의 매장량과 생산량이 많다. 총매장량은 약 1,600만t이며, 이 중 가채매장량은 약 500만t 정도로 추정된다. 연간 약 50만t이 생산되고 있으며, 주로 서울·부산·인천 등에 공급된다. 1993년 이후 민영탄광은 문을 닫고 화순광업소에서만 채광작업을 하고 있다. 특산물[편집] 복숭아·방울토마토·배·느타리버섯·단감·참외·누에·포도·더덕·파프리카·영지버섯·표고버섯·마포 등이 유명하다. 교통[편집] 경전선이 통과하는 화순역 경전선이 남북으로 종주하고 장동리(壯東里)에 이르는 화순선이 화순역에서 분기한다. 국도는 장동리에서 광주·순천·벌교의 3방면으로 통하고 국도 29호선, 국도 제 22호선이 지난다. 호남선에서 분기한 경전선이 군내를 통과한다. 기타 도로도 비교적 잘 정비되어 편리한 편이다. 광주와의 대중교통편은 매우 빈번하나, 기타 지역과의 대중교통은 거의 대부분 광주에 의존하고 있다. 문화·관광[편집] 운주사 운주사 와불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능주면 일대에는 역사적 유적지가 비교적 많은데, 특히 조선 중종 때 개혁 정치를 폈던 정암 조광조가 귀양 와서 죽음을 당한 터와 적려유허추모비가 있다. 동복면에는 깎아지른 듯한 절벽과 맑은 물로 유명한 적벽이 있다. 그 밖에 남면 벽송리에 화순 고인돌군, 북면 백아산에 천연 동굴이 있다. 천태산에는 비자나무 숲과 수령이 500년이 넘는 나무들이 있다. 관광자원으로는 도암면에 있는 운주사를 비롯해 만연사·쌍봉사·유마사·개천사가 있다. 고려시대에 세운 것으로 알려진 운주사에는 석불과 석탑이 많다. 그 밖에 오성산성·예산산성·철옹산성·물염정·화순적벽이 관광지로 알려져 있다. 1995년에는 화순온천과 도곡온천이 개장되었다. 적벽(赤壁) 운주사(雲住寺) 쌍봉사(雙峰寺) 무등산 도원서원 동복면 연월리 도수동 915번지 소재. 최산두가 기묘사화로 화를 입고 동북으로 유배되어 이곳 도수동에서 은거하면서 후학을 양성하고 당시 문인들과 교분을 두텁게 하며 이곳에서 일생을 마치자 후세 사람들이 최산두, 안방준, 임억령, 정구 네 분을 모시고 향사를 모셨다. 화순한천농악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6호. 여기서 한천은 화순군 한천면이 아닌 화순군 동복면 한천리이다. 동복면 한천리에 한천농악전수관이 건립되어 있다. 교육 기관[편집] 고등학교    능주고등학교 화순고등학교 전남기술과학고등학교 화순이양고등학교 중학교    능주중학교 화순도곡중학교 화순도암중학교 화순동면중학교 화순동복중학교 화순북면중학교 화순사평중학교 화순이양중학교 화순제일중학교 화순중학교 초등학교    능주초등학교 도곡중앙초등학교 도곡초등학교 동면초등학교 동복초등학교 사평초등학교 아산초등학교 이양초등학교 천태초등학교 청풍초등학교 춘양초등학교 한천초등학교 화순만연초등학교 화순오성초등학교 화순제일초등학교 화순초등학교 출신 인물[편집] 고현정 : 배우 이용대 : 배드민턴 선수 김선빈 : 프로야구 KIA 타이거즈 내야수 이한열 : 학생운동가 박선영 : 학생운동가 강운태가: 전 국회의원, 전 광주광역시장 오지호 : 근대 서양화 선구자 양팽손 : 조선시대 화가, 북종화풍의 선구자, 호는 학포 최경회 : 임진왜란 때 장수 / 논개 남편 인헌왕후 : 조선 인조의 어머니 민용태 : 고려대 교수 문병란 : 시인 오병윤 : 통합진보당 전 국회의원(광주 서구 을) 이던 :보이그룹 펜타곤 트리플 H멤버 각주[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법률 제1177호 읍설치에관한법률 (1962년 11월 21일) ↑ 화순군 조례 제122호 ↑ 대통령령 제6542호 ↑ 대통령령 제11027호 ↑ 화순군 조례 제1563호 ↑ 일반현황 > 면적 전라남도, 2018년 3월 15일 확인. ↑ 주민등록 인구통계 행정안전부, 2018년 3월 15일 확인.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화순군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화순군청 (공식) 광주광역시 동구 전라남도 담양군 전라남도 곡성군 전라남도 나주시 전라남도 순천시    전라남도 화순군     전라남도 영암군 전라남도 장흥군 전라남도 보성군 vdeh전라남도 화순군의 행정 구역 군청소재지: 화순읍 화순읍 남면 능주면 도곡면 도암면 동면 동복면 북면 이서면 이양면 청풍면 춘양면 한천면 vdeh 전라남도의 행정 구역도청소재지: 무안군 광양시 나주시 목포시 순천시 여수시 강진군 고흥군 곡성군 구례군 담양군 무안군 보성군 신안군 영광군 영암군 완도군 장성군 장흥군 진도군 함평군 해남군 화순군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화순군&oldid=23762871" 분류: 화순군전라남도의 군1895년 설치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ebuano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Italiano日本語МонголNorskРусскийSvenskaاردو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24일 (일) 16: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화순군(和順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중앙부에 있는 군이다. 동쪽은 순천시·곡성군, 서쪽은 나주시, 남쪽은 보성군·장흥군·영암군, 북쪽은 광주광역시·담양군·곡성군과 접한다. 도곡면, 춘양면 일대의 화순 고인돌 유적은 전북 고창, 강화도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군청 소재지는 화순읍이고, 행정구역은 1읍 12면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화순군의 읍면동별 행정구역 정보는 어떠한가요? Assistant: 읍면동 한자 면적 인구 세대 화순읍 和順邑 69.65 40,193 16,230 한천면 寒泉面 65.27 1,413 792 춘양면 春陽面 49.92 1,951 1,070 청풍면 淸豊面 50.19 1,096 667 이양면 梨陽面 92 1,954 1,112 능주면 綾州面 15.87 3,486 1,690 도곡면 道谷面 38.17 2,973 1,578 도암면 道岩面 50.9 1,485 861 이서면 二西面 52.71 975 564 북면 北面 85.4 1,674 972 동복면 同福面 62.96 1,730 978 남면 南面 86.55 2,260 1,255 동면 東面 67.04 3,490 1,902 화순군 和順郡 786.9 64,680 29,671 Human: 아래 싱가포르_축구_국가대표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싱가포르 별칭 The Lions 연맹 싱가포르 축구 협회 대륙 아시아 축구 연맹 감독 나즈리 나시르 주장 하리스 하룬 최다 출전자 대니얼 베넷 (128) 최다 득점자 판디 아마드 (55) 홈 구장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 FIFA 코드 SIN FIFA 랭킹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최고 순위: 73위 (1993년 8월)최저 순위: 155위 (2014년 6월) 첫 국제경기 출전 싱가포르 2 - 3 대한민국 (싱가포르; 1953년 4월 11일) 최다 점수차승리 싱가포르 11 - 0 라오스 (싱가포르; 2007년 1월 15일) 최다 점수차패배 버마 9 - 0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1969년 11월 9일) 유니폼 홈 원정 아시안컵 출전 횟수 1회 (1984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조별리그 (1984년)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은 싱가포르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이다.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은 자국에서 열린 1984년 대회가 유일하며 그나마도 조별리그에서 탈락했고 그 이후에는 아시안컵 본선에 단 한번도 진출하지 못했다. 다만 태국 방콕에서 열린 1966년 아시안 게임 축구에서 4강에 진출한 바가 있고 아세안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우승컵을 4번 들어올리며 태국에 이어 2번째로 가장 많은 우승을 차지했고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축구에서는 은메달 3개, 동메달 4개를 가져갔으며 2016년 아야뱅크컵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목차 1 FIFA 월드컵 (본선) 1.1 FIFA 월드컵 (예선) 2 AFC 아시안컵 (본선) 2.1 AFC 아시안컵 (예선) 3 아시안 게임 4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5 각주 FIFA 월드컵 (본선)[편집]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없음[1]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불참 1958년 1962년 말라야 연방의 일원 1966년 1970년 불참 1974년 1978년 예선 탈락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합계 FIFA 월드컵 (예선)[편집] 년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없음[2]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불참 1958년 1962년 말라야 연방의 일원 1966년 1970년 불참 1974년 1978년 5 2 1 2 5 7 7 1982년 3 0 1 2 1 3 1 1986년 4 0 1 3 2 11 1 1990년 6 2 1 3 12 9 7 1994년 8 5 0 3 12 12 15 1998년 4 0 1 3 2 8 1 2002년 6 0 2 4 3 8 2 2006년 6 1 0 5 3 13 3 2010년 10 5 1 4 17 17 16 2014년 8 1 1 6 8 24 4 2018년 8 3 1 4 9 9 10 합계 68 19 10 39 74 121 67 순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105위 (아시아 21위) AFC 아시안컵 (본선)[편집] AFC 아시안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56년 불참 1960년 예선 탈락 1964년 말레이 연방으로 참여 1968년 예선 탈락 1972년 기권 1976년 예선 탈락 1980년 1984년 조별리그 7위 4 1 1 2 3 4 4 1988년 기권 1992년 예선 탈락 1996년 2000년 2004년 2007년 2011년 2015년 2019년 합계 1회 진출(1/17) 조별리그(1회) 4 1 1 2 3 4 4 순위 AFC 아시안컵 역대 순위 : 25위 AFC 아시안컵 (예선)[편집] AFC 아시안컵 예선 기록 년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56년 기권 1960년 2 0 0 2 3 9 0 1964년 말레이 연방으로 참여 1968년 4 0 1 3 2 10 1 1972년 기권 1976년 3 1 0 2 7 3 3 1980년 3 0 0 3 1 11 0 1984년 자동참가(개최국) 1988년 기권 1992년 3 0 1 2 2 4 1 1996년 6 3 3 0 16 7 12 2000년 3 2 0 1 2 3 6 2004년 8 3 1 4 8 11 10 2007년 5 1 1 3 4 6 4 2011년 6 2 0 4 6 15 6 2015년 6 1 0 5 4 17 3 2019년 14 3 3 8 12 18 12 합계 63 16 10 37 67 114 58 아시안 게임[편집] 아시안 게임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51년 없음[3] 1954년 조별리그 9위 2 0 1 1 3 7 1 1958년 조별리그 10위 2 0 0 2 2 4 0 1962년 불참 1966년 4강 4위 7 2 1 4 11 15 7 1970년 불참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조별리그 11위 3 1 0 2 7 13 3 1994년 불참 1998년 2002년[4] 2006년[5] 예선탈락 26위 3 0 2 1 1 3 2 2010년[6] 조별리그 19위 3 0 1 2 1 6 1 2014년[7] 조별리그 17위 3 1 1 1 5 5 4 합계 7회 출전(7/16) 4위(1회) 23 4 6 13 30 53 18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AFF 스즈키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96년 조별리그 5위 4 2 1 1 7 2 7 1998년 우승 1위 5 4 1 0 9 2 13 2000년 조별리그 5위 4 2 0 2 4 2 6 2002년 조별리그 6위 3 1 1 1 3 6 4 2004년 우승 1위 8 6 2 0 23 10 20 2007년 우승 1위 7 2 5 0 18 6 11 2008년 4강 3위 5 3 1 1 10 2 10 2010년 조별리그 5위 3 1 1 1 3 3 4 2012년 우승 1위 7 4 1 2 11 6 13 2014년 조별리그 6위 3 1 0 2 6 7 3 2016년 조별리그 7위 3 0 1 2 1 3 1 합계 11회 출전(11/11) 우승(4회) 52 26 14 12 95 49 92 각주[편집] ↑ 말라야 연방의 일원 ↑ 말라야 연방의 일원 ↑ 싱가포르 축구 협회 창립 이전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vdeh국제 축구 FIFA FIFA 월드컵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올림픽 FIFA U-20 월드컵 FIFA U-17 월드컵 청소년 올림픽 FIFA 클럽 월드컵 FIFA 풋살 월드컵 FIFA 비치사커 월드컵 FIFA e월드컵 유니버시아드 풋볼 어워드 남자 대표팀 목록 FIFA 코드 FIFA 랭킹 남미 CONMEBOL – 코파 아메리카 U-20 U-17 U-15 북중미카리브 CONCACAF – CONCACAF 골드컵 CONCACAF 네이션스리그 U-20 U-17 U-15 지역별 UNCAF 아시아 AFC – AFC 아시안컵 U-23 U-19 U-16 U-14 지역별 AFF CAFA EAFF SAFF WAFF 아프리카 CAF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오세아니아 OFC – OFC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유럽 UEFA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네이션스리그 U-21 U-19 U-17 FIFA 비회원국 NF-보드 – VIVA 월드컵 CONIFA – CONIFA 축구 선수권 대회 IGA – 아일랜드 게임 종합 대회 아시안 게임 올아프리카 게임 팬아메리칸 게임 동아시아 경기 대회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남아시아 경기 대회 지중해 경기 대회 카리브 게임 퍼시픽 게임 유러피언 게임 인도해 아일랜드 게임 팬아랍 게임 프랑코포니 경기 대회 루소포니아 경기 대회 vdehAFC 소속 축구 국가대표팀남아시아 (SAFF) 네팔 몰디브 방글라데시 부탄 스리랑카 인도 파키스탄 동아시아 (EAFF) 괌 대한민국 마카오 몽골 북마리아나 제도1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중화 타이베이 홍콩 동남아시아 (AFF) 동티모르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베트남 브루나이 싱가포르 오스트레일리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태국 필리핀 서아시아 (WAFF) 레바논 바레인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아랍에미리트 예멘 오만 요르단 이라크 카타르 쿠웨이트 팔레스타인 중앙아시아 (CAFA) 아프가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이란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1: AFC의 준회원국이며, FIFA 비회원국임. 남미 북중미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싱가포르_축구_국가대표팀&oldid=24099002" 분류: 싱가포르의 축구축구 국가대표팀아시아의 축구 국가대표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ietuviųमराठीBahasa MelayuनेपालीNederlands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5일 (목) 09:2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말레이어: Pasukan bola sepak kebangsaan Singapura)은 싱가포르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싱가포르 축구 협회에서 관리하고 있다. 태국, 베트남 등과 함께 동남아시아 축구 강호로 손꼽히는 팀으로 1953년 4월 11일 대한민국과의 국제 A매치 데뷔전에서 2-3으로 패했으며 현재 홈 구장으로는 싱가포르 국립경기장과 잘란브사르 스타디움을 사용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월드컵 본선과 예선에서 어떤 성적을 거둬왔을까? Assistant: 년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없음[2]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불참 1958년 1962년 말라야 연방의 일원 1966년 1970년 불참 1974년 1978년 5 2 1 2 5 7 7 1982년 3 0 1 2 1 3 1 1986년 4 0 1 3 2 11 1 1990년 6 2 1 3 12 9 7 1994년 8 5 0 3 12 12 15 1998년 4 0 1 3 2 8 1 2002년 6 0 2 4 3 8 2 2006년 6 1 0 5 3 13 3 2010년 10 5 1 4 17 17 16 2014년 8 1 1 6 8 24 4 2018년 8 3 1 4 9 9 10 합계 68 19 10 39 74 121 67 순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105위 (아시아 21위)
Human: 아래 여성주의교육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여성주의교육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여성주의교육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페미니즘 교육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대부분 또는 전부 하나의 출처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추가적인 출처를 제시하여 문서를 향상시켜 주십시오. (2018년 6월) 여성주의교육은 여성주의의 관점에서 교육을 바라보고, 궁극적으로 교육의 개념·목적·내용·방법 등에서 나타나는 성차별적인 요소를 바로잡고 이를 통하여 사회의 성차별적인 관행을 바로잡고자 하는 교육 이론이다.[1] 목차 1 이론적 배경 2 교육과정 2.1 일반사회과의 양성평등 교육과정 2.1.1 비교모델 2.1.2 분리모델 2.1.3 통합모델 3 각주 이론적 배경[편집] 여성주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여성주의는 제1물결기, 제2물결기, 제3물결기를 통해 발전해왔다. 이를 통해 양성평등교육은 여성의 권익 신장과 평등사회를 만들기 위한 목적과, 궁극적으로 자유·평등·인간성의 실현을 통해 남녀가 각자 타고난 능력과 소질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교육을 바라보는 관점은 다양하다. 먼저 교육을 개인의 발달과 여성의 해방의 도구로 바라보는 관점에서는 여성의 발달을 위한 교육의 기회 균등과 건전한 인간성의 함양을 주 목적으로 한다. 사회주의의 영향을 받은 관점에서는 교육을 문화 재생산의 도구로 보아 학교교육을 통해 성적 불평등이 재생산되고 성역할이 고정되는 과정을 규명하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을 대안문화 형성의 원동력으로 보는 입장에서는 기존 관습을 교육이 비판하고 대안적 가치이 형성과 확산에 기여하여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여성의 주체성과 독특한 경험을 교육의 정당한 부분으로 인정해야한다고 주장하였다.[2] 교육과정[편집] 양성평등 교육과정은 남성을 중심으로 설계된 기존의 교육과정과 교육적 관점에 변화를 모색하였다. 사회는 성적으로 계층화되어있지만, 전통적 교육에서는 이러한 점이 고려되지 않았으며, 여성의 특수성을 고려한 교육적 논의와 실천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3] 일반사회과의 양성평등 교육과정[편집] 일반사회과는 사회현상을 직접 다루기 때문에 다른 어떤 교과보다 양성평등과 여성주의를 다루기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일반사회과의 교육에서 양성평등을 다루어 온 방향은 주로 성차별·성평등 정책의 분석과 비판에 머물러왔으며, 성역할과 성정체성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와 여성의 사고·생활 경험·역사적 공헌·관점·가치 등이 교육과정에 반영되지 못했다는 지적이 있다.[4] 또한 자유와 평등이 민주주의의 기본적 가치로 존중되는 한, 사회과에서는 성평등 문제에 주목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5] 블룸과 오초아는 양성평등교육을 효과적으로 교수하기 위해 비교모델과 분리모델, 통합모델을 제시하였다. 비교모델[편집] 비교모델은 여성문제에 대하여 남성과 여성의 입장을 비교하고 입장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게 하여 다양한 관점이 존재함을 인식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교육적 목적과는 관계 없이 교육과정의 준수를 위해 여성문제를 피상적으로 다루거나, 성차별주의를 재생산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6] 분리모델[편집] 분리모델은 양성평등교육을 기존의 일반 교육과정에서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다루는 것으로, 여성문제를 심도있고 집중적으로 다룰 수 있으나, 남녀의 차이를 간과하거나 여성문제를 피상적으로 다룰 수 있다는 단점과 더불어 시수 확보의 어려움이 존재한다.[6] 통합모델[편집] 통합모델은 여성학을 기존 초중등교육과정에 병합하여 여성학을 특별대우하거나, 여성문제를 단순 비교하는데서 벗어나 정규과정의 일부로 운영한다. 이를 통해 여성문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여성학을 다른 학문과 동등하게 대우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으나, 교사의 재교육과 학교 시스템의 변화가 필요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된다는 문제가 있다.[7] 각주[편집] ↑ 차경수; 모경환 (2014년 2월 28일). 《사회과교육》 1판. 동문사. 445쪽. ISBN 978-89-8251-302-2.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차경수; 모경환 (2014년 2월 28일). 《사회과교육》 1판. 동문사. 445 ~ 446쪽. ISBN 978-89-8251-302-2.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차경수; 모경환 (2014년 2월 28일). 《사회과교육》 1판. 동문사. 446쪽. ISBN 978-89-8251-302-2.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영어) Shinew, Dawn M. (2001). ““Disrupt, Transgress, and Invent Possibilities” Feminists' Interpretations of Educating for Democratic Citizenship”.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3 (29): 488 ~ 516. 2018년 1월 13일에 확인함.  ↑ 차경수; 모경환 (2014년 2월 28일). 《사회과교육》 1판. 동문사. 449쪽. ISBN 978-89-8251-302-2.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가 나 차경수; 모경환 (2014년 2월 28일). 《사회과교육》 1판. 동문사. 450쪽. ISBN 978-89-8251-302-2.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차경수; 모경환 (2014년 2월 28일). 《사회과교육》 1판. 동문사. 451쪽. ISBN 978-89-8251-302-2.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vdeh여성주의 여성 소녀 여성성 역사사회 여성의 역사 여성주의자 역사 여성의 권리의 연표 (투표 외) 참정권 여성의 참정권 연표 주요 이슬람 국가 미국 호주 캐나다 일본 쿠웨이트 뉴질랜드 스웨덴 스위스 영국 웨일스 미국 주 유타 일반 제1세대 제2세대 제3세대 제4세대 연표 변종 아마존 분석 무지배주의 반포르노그래피 반매춘 무신주의 보수 문화 사이버 민주 연합주의 차이 생태 채식주의 평등 비만 프랑스 무료 출혈 운동 프랑스 후구조주의 성 세계 힙합/힙 합 여성주의 개인주의 노동 레즈비언 자유주의 공평 립스틱 마르크스주의 유물 모성 신 새 후 후식민 후현대 낙태 반대 매춘 찬성 후구조 인종 흑인 치카노 원주 아메리카 원주민 급진 급진 레즈비언 종교 불교 기독교 힌두 이슬람 유대 정통 모르몬 신이교 디아나 위카 회복 시크 분리주의 성긍적 사회 사회주의 견지 제3세계 트랜스 초국가 우머니즘 아프리카 개념 반여성주의 자전거와 여성주의 아동 문학 여성 교육 여성살해 페미나치 여성주의와 평등 여성주의와 GIS 여성주의와 매체 사회의 여성주의 효과 문화 속 여성주의 여성주의 운동 아프리카-아메리카 여성 참정권 운동 미술 운동 힙 합 여성주의 스트리퍼 여성주의 이론 조성 연구 성 평등 걸 파워 언어 개혁 남성 시선 모계 종교 남성과 여성주의 메니니즘 네트워크 여성주의 정치적 레즈비어니즘 레즈비언 분리주의 후여성주의 원여성주의 생식 정의 제2시대 성 편견 성희롱 국가 여성주의 허수아비 여성주의 성전환 삼중 억압 피해자 여성주의 BDSM에 대한 관점 포르노그래피에 대한 관점 매춘에 대한 관점 여성에 대한 전쟁 여성의 건강 여성의 권리 이론 젠더학 성 주류화 여성중도주의 모권제 여성학 남성학 통권제 부권제 여성적 글쓰기 경제학 FPDA 방법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정치 이론 신학 여신학 여자주의 신학 성과학 사회학 법 이론 미술 미술 비판 문학 비판 영화 비판 생물학 정치 생태학 건축 인류학 고고학 범죄학 진로 관점 지리학 교육학 철학 미학 경험주의 인식론 윤리학 정의 윤리학 실존주의 형이상학 포르노그래피 심리학 국제 관계 수정주의 신화학 기술과학 과학물 조성 연구 여성주의교육 나라 별 알바니아 호주 방글라데시 브라질 캐나다 중국 콩고 공화국 덴마크 이집트 에티오피아 핀란드 프랑스 독일 가나 그리스 홍콩 인도 인도네시아 이란 이라크 아일랜드 공화국 이스라엘 이탈리아 일본 라틴 아메리카 아르헨티나 칠레 아이티 온두라스 멕시코 파라과이 트리니다드와 토바고 레바논 말레이시아 말리 네팔 네덜란드 뉴질랜드 나이지리아 북 키프로스 노르웨이 파키스탄 필리핀 폴란드 러시아 시리아 남 아프리카 대한민국 스웨덴 대만 태국 터키 베트남 우크라이나 영국 미국 여성주의 운동 여성의 역사 목록색인 기사 여성주의자 나라 별 문학 미국 여성주의 문학 여성주의 만화 보수 여성주의자 학교 내 여성의 평균 연령 별 나라 생태여성주의 작가 여성주의 미술 비평가 여성주의 경제학자 여성주의 철학자 여성주의 시인 여성주의 수사학자 유대 여성주의자 여성주의 정당 참정권론자와 참정권 운동가 여성의 인권 운동가 여성학 학술지 여성의 참정권 조직 여성주의 포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여성주의교육&oldid=22067849" 분류: 교육학여성주의숨은 분류: 인용 오류 - URL 없이 확인날짜를 사용함추가적인 출처가 필요한 문서/2018년 6월추가적인 출처가 필요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עברית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8월 22일 (수) 13:3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여성주의교육은 여성주의의 관점에서 교육을 바라보고, 궁극적으로 교육의 개념·목적·내용·방법 등에서 나타나는 성차별적인 요소를 바로잡고 이를 통하여 사회의 성차별적인 관행을 바로잡고자 하는 교육 이론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여성주의교육의 이론적 배경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Assistant: 여성주의는 제1물결기, 제2물결기, 제3물결기를 통해 발전해왔다. 이를 통해 양성평등교육은 여성의 권익 신장과 평등사회를 만들기 위한 목적과, 궁극적으로 자유·평등·인간성의 실현을 통해 남녀가 각자 타고난 능력과 소질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교육을 바라보는 관점은 다양하다. 먼저 교육을 개인의 발달과 여성의 해방의 도구로 바라보는 관점에서는 여성의 발달을 위한 교육의 기회 균등과 건전한 인간성의 함양을 주 목적으로 한다. 사회주의의 영향을 받은 관점에서는 교육을 문화 재생산의 도구로 보아 학교교육을 통해 성적 불평등이 재생산되고 성역할이 고정되는 과정을 규명하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을 대안문화 형성의 원동력으로 보는 입장에서는 기존 관습을 교육이 비판하고 대안적 가치이 형성과 확산에 기여하여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여성의 주체성과 독특한 경험을 교육의 정당한 부분으로 인정해야한다고 주장하였다.[2] Human: 아래 조지_클루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조지 클루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지 클루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지 클루니George Clooney 조지 클루니 (2016년)본명 조지 티머시 클루니George Timothy Clooney출생 1961년 5월 6일(1961-05-06) (58세)켄터키주 렉싱턴 배우자 탈리아 발삼 (결혼 1989; 이혼 1993) 아말 알라무딘 (결혼 2014)자녀 2명수상 아카데미 남우조연상 (2006) 아카데미 작품상 (2013) 골든 글로브상 (2001, 2006, 2012, 2013, 2015) 조지 티머시 클루니(영어: George Timothy Clooney, 1961년 5월 6일 ~ )는 미국의 영화 감독이자 배우이다. 그는 그의 출연 작품에서 다섯 차례의 골든 글로브상을 수상했고 아카데미상에서 그의 출연작과 제작 작품에서 두 차례 수상을 하였다. 목차 1 생애 2 출연 작품 2.1 영화 2.2 텔레비전 3 수상 경력 4 감독한 작품 5 외부 링크 생애[편집] 켄터키주 렉싱턴에서 언론인이자 정치인인 닉 클루니의 아들로 출생한 그는 잘생긴 미모와 함께 텔레비전 배우로서 첫 명성을 얻었다. 1994년 메디컬 드라마 시리즈 《ER》에 나오면서 첫 배우 경력을 시작하였다. NBC TV 시리즈 《ER》(1994-95)에서 더그 로스 의사 역으로 인기를 날리면서 영화에도 출연하기 시작하면서, 두 차례 골든 글로브상, 에미상 후보에 지명된 적이 있었다. 2005년 영화 《시리아나》로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을 수상하였고, 자신이 연출한 영화 《굿 나인, 앤 굿 럭》으로 각본상, 감독상 후보에 동시에 지명된 적도 있었다. 그리고 2013년에는 자신이 제작한 영화 《아르고》로 작품상을 수상하였고, 2001년, 2006년, 2012년 그리고 2013년에는 골든 글로브상을 수상하였다. 그밖의 출연작으로는 《황혼에서 새벽까지》(1996), 《배트맨과 로빈》(1997), 《피스메이커》(1997), 《쓰리 킹스》(1999)와 《오션스 일레븐》(2001)과 그 속편들(2004, 2007) 등이 있다. 《마이클 클레이튼》(2007), 《인 디 에어》(2009), 《디센던트》(2011) 로 세 차례 미국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 후보에 지명된 경력도 있었고, 2015년에 열린 골든글로브시상식에서 평생공로상을 수상하였다. 2008년에는 국제 연합의 평화적 교섭인으로 임명되었으며, 그 활동으로 조지 클루니는 전 세계의 평화 유지 활동에 장려하였다. 2009년 타임지 선정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포함되었다. 2011년 남수단의 분리 독립에 공헌했으며, 현재까지도 수단과 남수단 관련 활동에 힘쓰고 있다. 출연 작품[편집] 영화[편집] 《황혼에서 새벽까지》(1996) 《배트맨과 로빈》 《피스메이커》(1997) 《조지 클루니의 표적》(1998) 《씬 레드 라인》 《아웃 어브 사이트》(1998) 《쓰리 킹즈》(1999) 《퍼펙트 스톰》 《오! 형제여 어디에 있는가?》(2000) 《오션스 일레븐》(2001) 《컨페션》(2002) 《오션스 트웰브》(2004) 《시리아나》(2005) 《오션스 써틴》 《마이클 클레이튼》(2007) 《번 애프터 리딩》(2008) 《그래비티》(2013) 텔레비전[편집] 《ER》(1994~95) 수상 경력[편집] 1995년 제21회 새턴어워즈 최우수남우주연상 1995년 제4회 MTV영화제 주목할만한배우상 1997년 판고리아 체인솨 어워즈 남우주연상 1999년 제5회 미국배우조합상 TV미니시리즈부문 앙상블연기상 2000년 제35회 골든카메라시상식 최우수해외남자배우상 2001년 제58회 골든글로브시상식 뮤지컬/코미디부문 남우주연상 2002년 제73회 미국비평가협회상 특별공로상 2005년 브라티실라바국제영화제 감독상 2005년 제62회 베니스국제영화제 각본상 2005년 St. 루이스 게이트웨이 비평가협회상 남우조연상 2005년 포닉스비평가협회상 감독상 2005년 샌프란시스코비평가협회상 각본상 2005년 제10회 새틀라이트시상식 각본상 2005년 캔자스시티비평가협회상 각본상 2006년 온라인영화비평가협회상 각본상 2006년 온라인영화&텔레비전협회상 각본상 2006년 제21회 산타바바라국제영화제 모던 마스터상 2006년 제63회 골든글로브시상식 남우조연상 2006년 제11회 크리틱스초이스 프리덤상 2006년 제78회 아카데미시상식 남우조연상 2006년 아메리칸시네마큐어워즈 갈라 트리뷰트상 2007년 위클리 선정 최고스타 1위 2007년 제6회 워싱턴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07년 샌프란시스코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07년 디트로이트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07년 오클라호마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08년 제79회 미국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09년 타임지 선정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 2009년 남동부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09년 켄자스시티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09년 제8회 워싱턴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09년 제74회 뉴욕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09년 St. 루이스 게이트웨이 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09년 댈러스-포트워스 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09년 플로리다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09년 휴스턴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09년 인디아나기자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09년 오클라호마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10년 센트럴오하이오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10년 노스텍사스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10년 제81회 미국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10년 인도 밥 호프주의상 2010년 휴스턴비평가협회상 특별상 2011년 제15회 헐리우드영화제 남우주연상 2011년 제10회 워싱턴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11년 오클라호마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11년 남동부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11년 여성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11년 인터넷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11년 St. 루이스 게이트웨이 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11년 댈러스-포트워스 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11년 휴스턴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11년 오클라호마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11년 캔자스시티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12년 제23회 팜스프링스국제영화제 체어맨상 2012년 제1회 AACTA 인터네셔널어워즈 각본상 2012년 노스텍사스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12년 제69회 골든글로브시상식 드라마부문 남우주연상 2012년 제83회 미국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2012년 제17회 크리틱스초이스 남우주연상 2012년 주피터어워즈 외국남자배우상 2013년 제70회 골든글로브시상식 드라마부문 작품상 2013년 제66회 영국아카데미시상식 작품상 2013년 제85회 아카데미시상식 작품상 2013년 BAFTA 로스엔젤라스 브리타니아 어워즈 영화부문 우수배우상 2015년 제72회 골든글로브시상식 평생공로상 2017년 제42회 세자르영화제 평생공로상 감독한 작품[편집] 《컨페션(Confessions of a Dangerous Mind)》(2002) 《굿 나잇, 앤 굿 럭.(Good Night, and Good Luck)》(2005) 《레더헤즈(Leatherheads)》(2008)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조지 클루니 (영어) 조지 클루니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조지 클루니 – 박스 오피스 모조 (영어) 조지 클루니 - People.com (영어) 조지 클루니 - TV.com (영어) 조지 클루니 - Moviefone (영어) 조지 클루니 - 월드캣 vdeh조지 클루니 감독 영화 컨페션 (2002) 굿 나잇 앤 굿 럭 (2005) 레더헤즈 (2008) 킹메이커 (2011) 모뉴먼츠 맨: 세기의 작전 (2014) 서버비콘 (2017) 조지 클루니의 수상 목록vdeh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1936-1950 월터 브레넌 (1936) 조셉 쉴드크로트 (1937) 월터 브레넌 (1938) 토머스 미첼 (1939) 월터 브레넌 (1940) 도널드 크리스프 (1941) 밴 헤플린 (1942) 찰스 코번 (1943) 베리 피츠제럴드 (1944) 제임스 던 (1945) 해럴드 러셀 (1946) 에드먼드 그웬 (1947) 월터 휴스턴 (1948) 딘 자거 (1949) 조지 샌더스 (1950) 1951-1975 칼 말든 (1951) 앤서니 퀸 (1952) 프랭크 시나트라 (1953) 에드먼드 오브라이언 (1954) 잭 레먼 (1955) 앤서니 퀸 (1956) 레드 버튼스 (1957) 벌 아이브스 (1958) 휴 그리피스 (1959) 피터 유스티노프 (1960) 조지 샤키리스 (1961) 에드 베글리 (1962) 멜빈 더글러스 (1963) 피터 유스티노프 (1964) 마틴 발삼 (1965) 월터 매튜 (1966) 조지 케네디 (1967) 잭 알버트슨 (1968) 기그 영 (1969) 존 밀스 (1970) 벤 존슨 (1971) 조엘 그레이 (1972) 존 하우스먼 (1973) 로버트 드 니로 (1974) 조지 번즈 (1975) 1976-2000 제이슨 로바즈 (1976) 제이슨 로바즈 (1977) 크리스토퍼 워컨 (1978) 멜빈 더글러스 (1979) 티모시 허튼 (1980) 존 길구드 (1981) 루이스 고셋 주니어 (1982) 잭 니컬슨 (1983) 행 S. 응고르 (1984) 돈 아메체 (1985) 마이클 케인 (1986) 숀 코너리 (1987) 케빈 클라인 (1988) 덴절 워싱턴 (1989) 조 페시 (1990) 잭 팰런스 (1991) 진 해크먼 (1992) 토미 리 존스 (1993) 마틴 랜도 (1994) 케빈 스페이시 (1995) 쿠바 구딩 주니어 (1996) 로빈 윌리엄스 (1997) 제임스 코번 (1998) 마이클 케인 (1999) 베니치오 델 토로 (2000) 2001-현재 짐 브로드벤트 (2001) 크리스 쿠퍼 (2002) 팀 로빈스 (2003) 모건 프리먼 (2004) 조지 클루니 (2005) 앨런 아킨 (2006) 하비에르 바르뎀 (2007) 히스 레저 (2008) 크리스토프 발츠 (2009) 크리스천 베일 (2010) 크리스토퍼 플러머 (2011) 크리스토프 발츠 (2012) 재러드 레토 (2013) J. K. 시먼스 (2014) 마크 라일런스 (2015) 마허샬라 알리 (2016) 샘 록웰 (2017) 마허샬라 알리 (2018) vdeh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 남우주연상 케빈 베이컨 (1995) 제프리 러시 (1996) 잭 니콜슨 (1997) 이안 매켈런 (1998) 러셀 크로 (1999) 러셀 크로 (2000) 러셀 크로 (2001) 잭 니콜슨/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02) 숀 펜 (2003) 제이미 폭스 (2004) 필립 시모어 호프먼 (2005) 포리스트 휘터커 (2006)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07) 숀 펜 (2008) 제프 브리지스 (2009) 콜린 퍼스 (2010) 조지 클루니 (2011)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12) 매슈 매코너헤이 (2013) 마이클 키턴 (2014)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2015) 케이시 애플렉 (2016) 게리 올드먼 (2017) 크리스찬 베일 (2018) vdeh골든 글로브상 남우주연상 - 극영화1943-1960 폴 루커스 (1943) 알렉산더 녹스 (1944) 레이 밀렌드 (1945) 그레고리 펙 (1946) 로널드 콜먼 (1947) 로런스 올리비에 (1948) 브로더릭 크로퍼드 (1949) 호세 페러 (1950) 프레드릭 마치 (1951) 게리 쿠퍼 (1952) 스펜서 트레이시 (1953) 말런 브랜도 (1954) 어니스트 보그나인 (1955) 커크 더글러스 (1956) 앨릭 기니스 (1957) 데이비드 니븐 (1958) 앤서니 프란시오사 (1959) 버트 랭커스터 (1960) 1961-1980 막시밀리안 셸 (1961) 그레고리 펙 (1962) 시드니 포이티어 (1963) 피터 오툴 (1964) 오마 샤리프 (1965) 폴 스코필드 (1966) 로드 스타이거 (1967) 피터 오툴 (1968) 존 웨인 (1969) 조지 C. 스콧 (1970) 진 해크먼 (1971) 말런 브랜도 (1972) 알 파치노 (1973) 잭 니컬슨 (1974) 잭 니컬슨 (1975) 피터 핀치 (1976) 리처드 버턴 (1977) 존 보이트 (1978) 더스틴 호프먼 (1979) 로버트 드 니로 (1980) 1981-2000 헨리 폰다 (1981) 벤 킹즐리 (1982) 로버트 듀발 / 톰 커트니 (1983) F. 머리 에이브러햄 (1984) 존 보이트 (1985) 밥 호스킨스 (1986) 마이클 더글러스 (1987) 더스틴 호프먼 (1988) 톰 크루즈 (1989) 제러미 아이언스 (1990) 닉 놀티 (1991) 알 파치노 (1992) 톰 행크스 (1993) 톰 행크스 (1994) 니컬러스 케이지 (1995) 제프리 러시 (1996) 피터 폰다 (1997) 짐 캐리 (1998) 덴절 워싱턴 (1999) 톰 행크스 (2000) 2001-2020 러셀 크로 (2001) 잭 니컬슨 (2002) 숀 펜 (2003)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2004) 필립 시모어 호프먼 (2005) 포리스트 휘터커 (2006)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07) 미키 루크 (2008) 제프 브리지스 (2009) 콜린 퍼스 (2010) 조지 클루니 (2011)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12) 매슈 매코너헤이 (2013) 에디 레드메인 (2014)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2015) 케이시 애플렉 (2016) 게리 올드먼 (2017) 라미 말리크 (2018) vdeh골든 글로브상 남우주연상 - 영화 뮤지컬/코미디1950-1959 프레드 아스테어 (1950) 대니 케이 (1951) 도널드 오코너 (1952) 데이비드 니븐 (1953) 제임스 메이슨 (1954) 톰 이웰 (1955) 마리오 모레노 (1956) 프랭크 시나트라 (1957) 대니 케이 (1958) 잭 레먼 (1959) 1960-1979 잭 레먼 (1960) 글렌 포드 (1961)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 (1962) 알베르토 소르디 (1963) 렉스 해리슨 (1964) 리 마빈 (1965) 앨런 아킨 (1966) 리처드 해리스 (1967) 론 무디 (1968) 피터 오툴 (1969) 앨버트 피니 (1970) 하임 토폴 (1971) 잭 레먼 (1972) 조지 시걸 (1973) 아트 카니 (1974) 월터 매튜 / 조지 번즈 (1975) 크리스 크리스토퍼슨 (1976) 리처드 드레이퍼스 (1977) 워런 비티 (1978) 피터 셀러스 (1979) 1980-1999 레이 샤키 (1980) 더들리 무어 (1981) 더스틴 호프먼 (1982) 마이클 케인 (1983) 더들리 무어 (1984) 잭 니컬슨 (1985) 폴 호건 (1986) 로빈 윌리엄스 (1987) 톰 행크스 (1988) 모건 프리먼 (1989) 제라르 드파르디외 (1990) 로빈 윌리엄스 (1991) 팀 로빈스 (1992) 로빈 윌리엄스 (1993) 휴 그랜트 (1994) 존 트래볼타 (1995) 톰 크루즈 (1996) 잭 니컬슨 (1997) 마이클 케인 (1998) 짐 캐리 (1999) 2000-2020 조지 클루니 (2000) 진 해크먼 (2001) 리처드 기어 (2002) 빌 머리 (2003) 제이미 폭스 (2004) 호아킨 피닉스 (2005) 사샤 배런 코언 (2006) 조니 뎁 (2007) 콜린 패럴 (2008)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2009) 폴 지어마티 (2010) 장 뒤자르댕 (2011) 휴 잭맨 (2012)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2013) 마이클 키턴 (2014) 맷 데이먼 (2015) 라이언 고슬링 (2016) 제임스 프랭코 (2017) 크리스찬 베일 (2018) vdeh골든 글로브상 남우조연상(영화)1943-1960 아킴 타미로프 (1943) 베리 피츠제럴드 (1944) J. 캐롤 나이쉬 (1945) 클리프턴 웨브 (1946) 에드먼드 그웬 (1947) 월터 휴스턴 (1948) 제임스 휘트모어 (1949) 에드먼드 그웬 (1950) 피터 유스티노프 (1951) 밀러드 미첼 (1952) 프랭크 시나트라 (1953) 에드먼드 오브라이언 (1954) 아서 케네디 (1955) 얼 홀리먼 (1956) 레드 버튼스 (1957) 벌 아이브스 (1958) 스티븐 보이드 (1959) 살 미네오 (1960) 1961-1980 조지 샤키리스 (1961) 오마 샤리프 (1962) 존 휴스턴 (1963) 에드먼드 오브라이언 (1964) 오스카 베르너 (1965) 리처드 애튼버러 (1966) 리처드 애튼버러 (1967) 대니얼 마시 (1968) 기그 영 (1969) 존 밀스 (1970) 벤 존슨 (1971) 조엘 그레이 (1972) 존 하우스먼 (1973) 프레드 아스테어 (1974) 리처드 벤저민 (1975) 로런스 올리비에 (1976) 피터 퍼스 (1977) 존 허트 (1978) 멜빈 더글러스/로버트 듀발 (1979) 티머시 허턴 (1980) 1981-2000 존 길구드 (1981) 루이스 고셋 주니어 (1982) 잭 니콜슨 (1983) 행 S. 응고르 (1984) 클라우스 마리아 브랜다우어 (1985) 톰 베린저 (1986) 숀 코너리 (1987) 마틴 랜도 (1988) 덴절 워싱턴 (1989) 브루스 데이비슨 (1990) 잭 팰런스 (1991) 진 해크먼 (1992) 토미 리 존스 (1993) 마틴 랜도 (1994) 브래드 피트 (1995) 에드워드 노턴 (1996) 버트 레이놀즈 (1997) 에드 해리스 (1998) 톰 크루즈 (1999) 베니치오 델 토로 (2000) 2001-2020 짐 브로드벤트 (2001) 크리스 쿠퍼 (2002) 팀 로빈스 (2003) 클라이브 오언 (2004) 조지 클루니 (2005) 에디 머피 (2006) 하비에르 바르뎀 (2007) 히스 레저 (2008) 크리스토프 발츠 (2009) 크리스찬 베일 (2010) 크리스토퍼 플러머 (2011) 크리스토프 발츠 (2012) 재러드 레토 (2013) J. K. 시먼스 (2014) 실베스터 스탤론 (2015) 에런 테일러존슨 (2016) 샘 록웰 (2017) 마허샬라 알리 (2018) vdeh새틀라이트상 각본상 존 세일즈 (1996) 맷 데이먼과 벤 애플렉 (1997) 게리 로스 (1998) M. 나이트 샤말란 (1999) 케네스 로너건 (2000) 밀로 애디카와 윌 로코스 (2001) 페드로 알모도바르 (2002) 소피아 코폴라 (2003) 제임스 L. 화이트 (2004) 조지 클루니와 그랜트 헤슬로브 (2005) 피터 모건 (2006) 디아블로 코디 (2007) 토머스 매카시 (2008) 스펙타큘라 나우와 마이클 H. 웨버 (2009) 데이비드 세이들러 (2010) 테런스 맬릭 (2011) 마크 볼 (2012) 에릭 워렌 싱거와 데이비드 O. 러셀 (2013) 댄 길로이 (2014) 토머스 매카시와 조시 싱어 (2015) 배리 젱킨스 (2016) 마틴 맥도나 (2017) 알폰소 쿠아론 (2018) vdeh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남우주연상 찰스 로튼 (1935) 월터 휴스턴 (1936) 폴 무니 (1937) 제임스 카그니 (1938) 제임스 스튜어트 (1939) 찰리 채플린 (1940) 게리 쿠퍼 (1941) 제임스 카그니 (1942) 폴 루커스 (1943) 베리 피츠제럴드 (1944) 레이 밀렌드 (1945) 로런스 올리비에 (1946) 윌리엄 파월 (1947) 로런스 올리비에 (1948) 브로데릭 크로포드 (1949) 그레고리 펙 (1950) 아서 케네디 (1951) 랠프 리처드슨 (1952) 버트 랭카스터 (1953) 말론 브란도 (1954) 어니스트 보그나인 (1955) 커크 더글라스 (1956) 알렉 기네스 (1957) 데이빗 니븐 (1958) 제임스 스튜어트 (1959) 버트 랭카스터 (1960) 막시밀리안 셸 (1961) 수상자 없음 (1962) 앨버트 피니 (1963) 렉스 해리슨 (1964) 오스카 베르너 (1965) 마이클 케인 (1966) 로드 스타이거 (1967) 앨런 아킨 (1968) 존 보이트 (1969) 조지 C. 스콧 (1970) 진 해크먼 (1971) 로런스 올리비에 (1972) 말론 브란도 (1973) 잭 니컬슨 (1974) 잭 니컬슨 (1975) 로버트 드 니로 (1976) 존 길구드 (1977) 존 보이트 (1978) 더스틴 호프먼 (1979) 로버트 드 니로 (1980) 버트 랭커스터 (1981) 벤 킹즐리 (1982) 로버트 듀발 (1983) 스티브 마틴 (1984) 잭 니컬슨 (1985) 밥 호스킨스 (1986) 잭 니컬슨 (1987) 제러미 아이언스 (1988) 다니엘 데이 루이스 (1989) 로버트 드 니로 (1990) 앤서니 홉킨스 (1991) 덴절 워싱턴 (1992) 데이비드 슐리스 (1993) 폴 뉴먼 (1994) 니콜라스 케이지 (1995) 제프리 러시 (1996) 피터 폰다 (1997) 닉 놀티 (1998) 리처드 판스워스 (1999) 톰 행크스 (2000) 톰 윌킨슨 (2001)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02) 빌 머리 (2003) 폴 지어마티 (2004) 히스 레저 (2005) 포리스트 휘터커 (2006)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07) 숀 펜 (2008) 조지 클루니 (2009) 콜린 퍼스 (2010) 브래드 피트 (2011)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12) 로버트 레드퍼드 (2013) 티머시 스폴 (2014) 마이클 키턴 (2015) 케이시 애플렉 (2016) 티머시 섈러메이 (2017) 이선 호크 (2018) vdeh전미 비평가 위원회상(내셔널 보드 오브 리뷰) 남우주연상 레이 밀런드 (1945) 로런스 올리비에 (1946) 마이클 레드그레이브 (1947) 월터 휴스턴 (1948) 랠프 리처드슨 (1949) 알렉 기네스 (1950) 리차드 베이스하트 (1951) 랠프 리처드슨 (1952) 제임스 메이슨 (1953) 빙 크로스비 (1954) 어네스트 보그나인 (1955) 율 브린너 (1956) 알렉 기네스 (1957) 스펜서 트레이시 (1958) 빅토르 셰스트룀 (1959) 로버트 미첨 (1960) 알버트 피니 (1961) 제이슨 로버즈 (1962) 렉스 해리슨 (1963) 앤서니 퀸 (1964) 리 마빈 (1965) 폴 스코필드 (1966) 피터 핀치 (1967) 클리프 로버트슨 (1968) 피터 오툴 (1969) 조지 C. 스콧 (1970) 진 해크먼 (1971) 피터 오툴 (1972) 알 파치노 / 로버트 라이언 (1973) 진 해크먼 (1974) 잭 니컬슨 (1975) 데이비드 캐러딘 (1976) 존 트라볼타 (1977) 존 보이트 / 로런스 올리비에 (1978) 피터 셀러스 (1979) 로버트 드 니로 (1980) 헨리 폰다 (1981) 벤 킹즐리 (1982) 톰 콘티 (1983) 빅터 배너지 (1984) 윌리엄 허트 / 라울 줄리아 (1985) 폴 뉴먼 (1986) 마이클 더글러스 (1987) 진 해크먼 (1988) 모건 프리먼 (1989) 로버트 드 니로 / 로빈 윌리엄스 (1990) 워렌 비티 (1991) 잭 레몬 (1992) 앤서니 홉킨스 (1993) 톰 행크스 (1994) 니콜라스 케이지 (1995) 톰 크루즈 (1996) 잭 니컬슨 (1997) 이언 매켈런 (1998) 러셀 크로 (1999) 하비에르 바르뎀 (2000) 빌리 밥 손턴 (2001) 캠벨 스콧 (2002) 숀 펜 (2003) 제이미 폭스 (2004) 필립 시모어 호프먼 (2005) 포레스트 휘태커 (2006) 조지 클루니 (2007) 클린트 이스트우드 (2008) 조지 클루니 / 모건 프리먼 (2009) 제시 아이젠버그 (2010) 조지 클루니 (2011) 브래들리 쿠퍼 (2012) 브루스 던 (2013) 마이클 키턴 / 오스카 아이삭 (2014) 맷 데이먼 (2015) 케이시 애플렉 (2016) 톰 행크스 (2017) 비고 모텐슨 (2018) vdehMTV 무비 & TV 어워드 최고의 신인상1990년대 에드워드 펄롱 (1992) 머리사 토메이 (1993) 얼리샤 실버스톤 (1994) 커스틴 던스트 (1995) 조지 클루니 (1996) 매튜 맥커너히 (1997) 헤더 그레이엄 (1998) 제임스 반 데 빅 & 케이티 홈즈 (1999) 2000년대 할리 조엘 오스먼트 & 줄리아 스타일스 (2000) 숀 패트릭 토마스 & 에리카 크리스틴슨 (2001) 올랜도 블룸 & 맨디 무어 (2002) 에미넴 & 제니퍼 가너 (2003) 숀 애쉬모어 & 린제이 로한 (2004) 존 헤저 & 레이첼 맥아덤스 (2005) 아일라 피셔 (2006) 제이든 스미스 (2007) 잭 에프론 (2008) 로버트 패틴슨 & 애슐리 티스데일 (2009) 2010년대 애나 켄드릭 (2010) 클로이 그레이스 머레츠 (2011) 셰일린 우들리 (2012) 리벨 윌슨 (2013) 윌 폴터 (2014) 딜런 오브라이언 (2015) 데이지 리들리 (2016) 대니얼 컬루야 (2017) 노아 센티네오 (2019)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4928451 LCCN: no96040669 ISNI: 0000 0001 2099 2893 GND: 120335824 SUDOC: 050344315 BNF: cb135107179 (데이터) 뮤직브레인즈: efdc17eb-6662-48c2-af9c-a4cc61573b58 NDL: 01042445 NKC: xx0017209 ICCU: IT\ICCU\RAVV\105491 BNE: XX1288046 CiNii: DA1384323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지_클루니&oldid=24359275" 분류: 1961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아일랜드계 미국인켄터키주 출신 배우미국의 이라크 전쟁 반전 운동가미국의 활동가미국의 인도주의자미국의 남자 영화 배우미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미국의 영화 감독미국의 영화 각본가아카데미 남우조연상 수상자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제작자골든 글로브상 뮤지컬 코미디 남우주연상(영화) 수상자골든 글로브상 드라마 남우주연상(영화) 수상자골든 글로브상 남우조연상(영화) 수상자골든 글로브상 세실 B. 데밀상 수상자미국의 성소수자 인권운동가로마 가톨릭교회 이탈자독일계 미국인잉글랜드계 미국인이탈리아에 거주한 미국인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B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ragoné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བོད་ཡིགBrezhonegCatalàکوردیCorsu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miliàn e rumagnòl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GaeilgeGalegoGaelg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do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Къарачай-малкъар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مازِرونیनेपालीNederlandsNorskਪੰਜਾਬੀPolskiPiemontèis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ardu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inarayმარგალური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일 (일) 03:0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조지 티머시 클루니(영어: George Timothy Clooney, 1961년 5월 6일 ~ )는 미국의 영화 감독이자 배우이다. 그는 그의 출연 작품에서 다섯 차례의 골든 글로브상을 수상했고 아카데미상에서 그의 출연작과 제작 작품에서 두 차례 수상을 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조지 클루니의 배우 데뷔작은 무엇일까? Assistant: ER
Human: 아래 노을빛으로_물드는_언덕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노을빛으로 물드는 언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노을빛으로 물드는 언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노을빛으로 물드는 언덕あかね色に染まる坂 장르 연애 게임: 노을빛으로 물드는 언덕 (PC)노을빛으로 물드는 언덕 패러렐 (PS2) 장르 연애 어드벤처 플랫폼 윈도 98SE/Me/XP/Vista (PC)플레이스테이션 2 (PS2) 개발사 feng (PC)GN Software (PS2) 발매일 2007년 7월 27일 (PC)2008년 8월 14일 (PS2) 이용 등급 18세 이상 이용가 (PC)15세 이상 이용가 (PS2) 이름 설정 안됨 세이브 파일 수 136개 (PC)50개 + 퀵세이브 99개 (PS2) 미디어 DVD-ROM 해상도 800×600 24bit (PC) 음성 있음 CG 모드 있음 음악 모드 있음 오토 모드 기본 백 로그 있음 TV 애니메이션 원작 feng 감독 모토나가 케이타로 시리즈 구성 우에즈 마코토 제작 TNK 방송사 TOKYO MX (제작) 지바 TV 교토 방송 TV 사이타마 나고야 TV AT-X 방영 기간 2008년 10월 2일 ~ 2008년 12월 18일 화수 12화 저작권 표기 ⓒ feng·사립 아미티에 학원 등산부 틀 - 토론 《노을빛으로 물드는 언덕》 또는 《암적색으로 물드는 언덕》(あかね色に染まる坂 아카네이로니소마루사카[*])은 일본의 게임회사 화이트로즈의 브랜드인 feng에서 전작인 푸른하늘이 보이는 언덕(青空の見える丘)에 이어 2007년 7월 27일에 발매한 성인용 어드벤처 게임이다. 2008년 8월 14일에는 'GN 소프트웨어'로부터 성인 지향이 심한 장면들을 삭제하고 플레이스테이션 2버전으로 노을빛으로 물드는 언덕 페러렐을 발매하였다. 2008년 10월 2일부터는 지바 TV, 도쿄MX를 비롯한 UHF계열의 방송국으로부터 TV 애니메이션을 총 12화에 걸쳐 방송하였다. 캐릭터들의 성격은 원작인 게임과는 거의 동일하나, 스토리는 초반을 비롯하여 전개 과정에 있어 다소 차이를 두고 있다. 한편 2007년 파격적인 전개로 화제에 오른 적이 있는 스쿨데이즈 TV 애니메이션 제작에 참여했던 TNK의 모토나가 케이타로(감독), 우에즈 마코토(각본)가 콤비를 이뤄 스쿨데이즈 이래 1년여만에 다시 함께 참여하여 방영전후로 또다시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목차 1 소개 2 등장 인물 2.1 메인 히로인 2.2 서브 캐릭터 3 주제가 3.1 게임 3.2 애니메이션 4 애니메이션 방영목록 5 외부 링크 소개[편집] 사립 아미티에 학원으로 전학오기 직전 카타기리 유우히에게 벌어진 난처한 일과 그러한 상황을 구해주려는 나가세 쥰이치로부터 의도되지 않은 퍼스트 키스를 받게 되면서, 부친과의 약속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나가세의 집에 동거하게 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다(PC판, PS2판, TVA판 공통 해당부분으로, 자세하게는 배경이나 진행과정 등에 있어서 차이가 발생한다.) 등장 인물[편집] ※ 담당 성우는 PC판 / PS2·TVA(TV 애니메이션)판의 순서이다. 그리고 설명은 게임과 애니의 설정 및 인터넷에 떠도는 정보들을 바탕으로, 저술됨.. 나가세 쥰이치(일본어: 長瀬 準一) 성우:없음 / 하타노 와타루(TVA와 OVA판만 담당..) 사립 아미티에 학원의 2학년생으로 이 작품의 주인공이다. 동생인 미나토와 둘이서 살고 있다. 중학생 시절엔 '제노킬러'라는 별명을 가진, 전설적인 불량배였으나, 현재는 과거를 청산하였다. 그리고 본인은 그런 과거를 부끄럽게 여기며, '제노킬러'라는 별명 또한 그다지 듣고 싶지 않아한다. 곤란한 상황에 처한 사람을 그냥 보고 지나치지 않는 선한 성격을 소유하고 있다. 메인 히로인[편집] 카타기리 유우히(일본어: 片桐 優姫) 성우:카자네 / 쿠기미야 리에 명문 재벌집안인 카타기리 가의 아가씨로, 워낙 곱게 자라온 탓에 세상물정에 관해서는 많이 어둡다. 전학오기 직전 발생한 난처한 일로 부터 구해준 나가세 쥰이치와 친분을 갖게되나, 퍼스트 키스로 단번에 견원지간의 사이로 변해버린다. 게다가 쥰이치와 약혼함과 동시에 당분간 그의 집에 지내라는 아버지의 명으로 어쩔 수 없이 쥰이치네 집에서 살게 된다. 전학 온 나가세네 반에서는 '공주(姫)'라는 별명이 붙었다. 드센 성격에 비해 겁이 많으며 촉수물(특히, 문어인)을 가장 싫어한다. 그래도 새침한 면이 있는 매력적인 아가씨이다.... 나가세 미나토(일본어: 長瀬 湊) 성우:미즈사와 히카루 / 히라노 아야 쥰이치의 여동생으로 사립 아미티에 학원의 1학년생이다. 나가세네 집에서는 모든 가사일을 담당하고 있으며, 운동 신경 또한 매우 뛰어난 편이다. 대체적으로는 상냥하면서도 온화하나, 쥰이치에게는 때때로 엄해지는 경우도 있다. 키류 츠카사(일본어: 霧生 つかさ) 성우:모토야마 미나 / 이노우에 마리나 쥰이치와는 클래스메이트의 관계로, 쥰이치의 창피한 과거를 알고 있는 사람 중 한 명이며, 본인은 이를 빌미로 후유히코와 같이 쥰이치를 놀려 먹곤 한다.그리고 중학교 시절에 '제노킬러'라 불린 쥰이치를 원래대로 돌아오게 하기도 하였다. 밝고 활달한 성격의 소유자이며, 어렸을 때부터 성우를 동경해왔고 성우가 되는 게 그녀의 꿈이다. 그래서 그런지 활동부도 보도부에 소속되어 있다. 시라이시 나고미(일본어: 白石 なごみ) 성우:미루 / 히로하시 료 사립 아미티에 학원의 1학년생으로 나가세 미나토와는 클래스메이트의 관계이다. 나가세 쥰이치와 카타기리 유우히를 감시하면서, 신출귀몰한 행동을 보이며, 의미를 알 수 없는 언동을 보이는 여러모로 수수께끼가 많은 소녀이다. 항상 누군가와 교신하는 수수께끼의 소녀이다. 시이나 미츠키(일본어: 椎名 観月) 성우:모리야 미소노 / 타나카 리에 사립 아미티에 학원의 3학년생이자 학생회장이다. 밝고 씩씩하며 아이돌적인 모습을 가지고 있어 특히 남학생들에게 팬이 많다. 교내 행사나 축제등의 이벤트를 매우 좋아하며, 이벤트가 있을 때마다 분위기를 확실하게 띄워준다. 쥰이치가 마음에 드는 모양으로 매번 장난을 걸어와 쥰이치를 곤란하게 만들곤 한다. 타치바나 미코토(일본어: 橘 ミコト) 성우:사모토 후리 / 하즈키 에리노 학생회 소속으로 미츠키와 동행하는 경우가 많은 소녀로, 누구에게든 정중한 어조로 말하며, 적극적으로 대화에 참여하는 편은 아니지만 의외로 날카로운 부분이 있어 친구들의 기분을 잘 이해한다. 보기보다 운동신경은 좋은 편으로, 이전 학교에선 테니스부의 에이스였다고 한다. 쥰이치 남매와는 어릴적 다소 아픈 과거를 간직한 듯하다 전작 푸른하늘이 보이는 언덕에서도 등장한 적이 있다. 아야노코지 카렌(일본어: 綾小路 華恋) 성우:없음 / 카토 에미리 PC판에는 등장하지 않고 PS2판부터 등장하는 히로인으로, 카타기리 가와 맞먹는 명문 아야노코지 가의 아가씨로, 쥰이치와 클래스메이트 관계에 있다. 겉보기엔 꽤 드세어 보이지만, 알고 보면 사람이 좋고 싹싹하게 남들을 잘 챙겨주는 타입이다. 덜렁이라 실쥰이치와 클래스메이트 관계에 있으며 상대방을 잘 챙겨주는 성격이다. 덜렁이라 실수를 하는 편이지만, 그 부분이 미워할 수 없는 매력을 준다. 서브 캐릭터[편집] 니시노 후유히코(일본어: 西野 冬彦) 성우:소라노 타이요 / 이시다 아키라 사립 아미티에 학원의 2학년생으로, 학생회 부회장이자 쥰이치와는 클래스메이트의 관계에 있다. 쥰이치의 과거를 아는 사람 중 한 명이다. 미소년으로 누구에게나 상냥하고 신사적으로 대하지만, 실은 약간 매니악한 취향을 갖고 있는 게 문제이다. 그래서 그런지 가끔씩 쥰이치를 부추겨서 트러블을 일으킬 때가 종종 있다고 한다. 쥰이치하곤 눈짓만으로도 의사소통이 가능할 정도.. 때때로 쥰이치에게 조언도 해줌. 스기시마 세이지로(일본어: 杉下 清次郎) 성우:아오시마 야비타 / 코야마 리키야 쥰이치네 반의 담임선생님. 외모나 행동은 다소 선생님 답진 않지만, 뜨거운 열정과 학생들을 생각하는 마음은 누구못지 않다. 특히 쥰이치를 가장 생각하는 듯하다. 후지미야 사이(일본어: 藤宮 彩) 성우:카가 히카루 / 코바야시 유우 니죠 아야(일본어: 二条 亜矢) 성우:真南六実 / 후쿠하라 카오리 학생회에서 서기 겸 회계 담당으로, 학생회장인 미츠키를 옆에서 보좌하고 있다. 돈 씀씀이가 엄청나게 헤픈, 미츠키를 항상 옆에서 지적하는 역할을 하며 학생회의 활동 계획 및 예산 계획은 모두 그녀가 세우는 것이다. 시라이시 유토리(일본어: 白石 ゆとり) 성우:아오카와 나가레 / 히로하시 료 욧쨩 (よっちゃん) 성우:없음 / 토요사키 아키 쥰이치의 부모님 성우:없음/콩 쿠와타&타나카 아츠코(※아버지 役을 '콩 쿠와타'님께서 어머니 役을 ['[타나카 아츠코]]'가 담당하심.) 일본에서 생활하고 있는 쥰이치 남매와 달리, 남미 아마존같은 밀림에서 전쟁을 수행하며 살고 있는 군인으로, 전쟁 중에도 아들딸을 생각해서 생일선물까지 보내는 자상한 부모님(?)이다. 다른 건 몰라도 두 사람의 관계는 매우 끈끈하며 전투능력 또한 엄청난 수준이다.. 주제가[편집] 게임[편집] 오프닝 곡(PC판)『슬픔의 그라데이션(せつなさのグラデイション)』 작사:하타 아키(畑亜貴) 작곡:토미타 아키코(冨田暁子) 편곡:후지타 쥰페이(藤田淳平) 노래:하시모토 미유키(橋本みゆき) 엔딩 곡(PC판)『노을빛으로 물드는 언덕(あかね色に染まる坂)』 작사:하타 아키(畑亜貴) 작곡:노나카"마사"유이치(野中“まさ”雄一) 편곡:노나카"마사"유이치(野中“まさ”雄一) 노래:치카쨩(ちかちゃん) 오프닝 곡(PS2판)『노을의 언덕(あかねの坂)』 작사:야마구치 노보루(ヤマグチ ノボル) 작곡:하시모토 미유키(橋本みゆき) 편곡:스즈키 마사키(鈴木マサキ) 노래:하시모토 미유키(橋本みゆき) 엔딩 곡(PS2판)『Here To Stay』 작사:쿠와시마 요시카즈(桑島由一) 작곡:카게이에 쥰(景家淳) 편곡:카게이에 쥰(景家淳) 노래:하시모토 미유키(橋本みゆき) 애니메이션[편집] 오프닝 곡은 고정적으로 방송중이며, 엔딩 곡은 화수 별로 각각 다른 캐릭터송을 보내고 있다. 오프닝 곡『첫사랑 낙하산(初恋パラシュート)』 작사:하타 아키(畑亜貴) 작곡:타시로 토모카즈(田代智一) 편곡:하라다 카츠유키(原田勝通) 노래:하시모토 미유키(橋本みゆき) 엔딩 곡 1『Sweet Gift』- 카타기리 유우히(1~2화) 작사:코다마 사오리(こだまさおり) 작곡:와타나베 타쿠야(渡辺拓也) 편곡:와타나베 타쿠야(渡辺拓也) 노래:쿠기미야 리에(釘宮理恵) 엔딩 곡 2『Confusion…』- 시라이시 나고미(3화) 작사:코다마 사오리(こだまさおり) 작곡:우에다 코우지(上田晃司) 편곡:쿠사노 요시히로(草野よしひろ) 노래:히로하시 료(広橋涼) 엔딩 곡 3『소녀 테스트는 어려워(少女テストは難しい)』- 아야노코지 카렌(4화) 작사:하타 아키(畑亜貴) 작곡:마츠시타 타케시(松下貴司) 편곡:스즈키 마사키(鈴木マサキ) 노래:카토 에미리(加藤英美里) 엔딩 곡 4『노을색hometown(茜色hometown)』- 카타기리 유우히(5화) 작사:코다마 사오리(こだまさおり) 작곡:요시다 카츠야(吉田勝弥) 편곡:야스오카 요이치로(安岡洋一郎) 노래:쿠기미야 리에(釘宮理恵) 엔딩 곡 5『Cherry pink mystery』- 아야노코지 카렌(6화) 작사:하타 아키(畑亜貴) 작곡:하시모토 유카리(橋本由香利) 편곡:하시모토 유카리(橋本由香利) 노래:카토 에미리(加藤英美里) 엔딩 곡 6『Make a miracle!』- 시이나 미츠키(7화) 작사:코다마 사오리(こだまさおり) 작곡:요시다 카츠야(吉田勝弥) 편곡:안도 타카히로(安藤高弘) 노래:타나카 리에(田中理恵) 엔딩 곡 7『러브 다이빙(ラブダイビング)』- 키류 츠카사(8화) 작사:하타 아키(畑亜貴) 작곡:후쿠모토 고시로(福本公四郎) 편곡:스즈키 마사키(鈴木マサキ) 노래:이노우에 마리나(田中理恵) 엔딩 곡 8『Chu.chu.ru.의 약속(Chu.chu.ru.の約束)』- 시이나 미츠키(9화) 작사:코다마 사오리(こだまさおり) 작곡:우에다 코우지(上田晃司) 편곡:키쿠야 토모키(菊谷知樹) 노래:타나카 리에(田中理恵) 엔딩 곡 9『눈 뜨지 않는 wish...(目覚めない wish...)』- 나가세 미나토(10~11화) 작사:코다마 사오리(こだまさおり) 작곡:호시 이치세(星一生) 편곡:이토 슌(伊藤俊) 노래:히라노 아야(平野綾) 엔딩 곡 10『ai・ココカラ(사랑・이제부터)』- 나가세 미나토(12화) 작사:코다마 사오리(こだまさおり) 작곡:호시 이치세(星一生) 편곡:和教 노래:히라노 아야(平野綾) 애니메이션 방영목록[편집] 모든 화별 제목에 빛(色)이라는 글자가 들어가 있는 것이 특징이며, 특히 전체 중 절반가량의 화별 제목은 '노을빛(あかね色, 아카네이로)'으로 시작한다. 화수 부제 (원제/풀이) 방영일 1 あかね色のファーストキッス 노을빛의 첫 키스 2008년 10월 2일 2 あかね色のアプローチ 노을빛의 어프로치 2008년 10월 9일 3 怪奇色のスクリーム 괴기한 빛의 스크림 2008년 10월 16일 4 藍色のマッドパーティ 쪽빛의 매드파티 2008년 10월 23일 5 あかね色のファーストデート 노을빛의 첫 데이트 2008년 10월 30일 6 山吹色のモンターニュ 황금빛의 몽타뉴 2008년 11월 6일 7 鋼色のフェスティバル 강철색의 페스티벌 2008년 11월 13일 8 黄昏色のデザイア 황혼빛의 욕구 2008년 11월 20일 9 あかね色のバースディ 노을빛의 생일 2008년 11월 27일 10 あかね色のコンフュージョン 노을빛의 혼란 2008년 12월 4일 11 あかね色のパズルメント 노을빛의 난문 2008년 12월 11일 12 あかね色に染まる坂 노을빛으로 물드는 언덕 2008년 12월 18일 외부 링크[편집] PC판 게임 홈페이지(feng) PS2판 게임 홈페이지(GN소프트웨어) PS2판 게임 PC체험판 다운로드 애니메이션 메인 홈페이지(mmv) 애니메이션 제작사 홈페이지(avex MOVIE) 애니메이션 방송사 홈페이지(도쿄MX) vdeh월간 콤프 에이스에 연재 중인 작품 (2010년 10월 26일 기준)잡지 원작 괭이 갈매기 거리의 펠씨 에비텐 공립 에비스가와고교 텐민부 달밤의 fromage 하토가이루 미야가와 가의 공복 러키☆스타 미디어 믹스 11eyes -죄와 벌과 속죄의 소녀- 처녀는 お姉さまに恋してる 우리들의 엘다(신) 바이즈・서바이브W CANAAN 퀸즈 블레이드 -Hide&Seek- 진 연희†무쌍 ~소녀요란☆삼국지연의~ 스트라이크 위치스 학생회의 일존 푸치 스즈노네세븐 ~Rebirth knot~ 동방삼월정 Strange and Bright Nature Deity. 진검으로 나에게 恋しなさい!!(신) 하츄네 미쿠의 일상 로이파라! Fate/kaleid liner 프리즘☆이리야 탐정 오페라 밀키 홈즈 드림 클럽 -하지만 고양이 인걸!- 마크로스F 안아줘, 은하의 끝까지. 마시로색 심포니 MELTY BLOOD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ViVid 리틀 버스터즈! 첫사랑 예보. 요스가노소라 잃어버린 미래를 찾아서 별의 노래 히마와리 -the Door into Summer- 단탈리안의 서가 다리안 Days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노을빛으로_물드는_언덕&oldid=24168455" 분류: 미소녀 게임연애 어드벤처 게임2007년 성인 비디오 게임플레이스테이션 2 게임텔레비전 애니메이션화 된 성인 게임2008년 애니메이션드라마 만화연애 만화2008년 비디오 게임윈도우 게임오타구를 배경으로 한 작품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FrançaisItaliano日本語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Tagalog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8일 (수) 17:1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노을빛으로 물드는 언덕》 또는 《암적색으로 물드는 언덕》(あかね色に染まる坂 아카네이로니소마루사카[*])은 일본의 게임회사 화이트로즈의 브랜드인 feng에서 전작인 푸른하늘이 보이는 언덕(青空の見える丘)에 이어 2007년 7월 27일에 발매한 성인용 어드벤처 게임이다. 2008년 8월 14일에는 'GN 소프트웨어'로부터 성인 지향이 심한 장면들을 삭제하고 플레이스테이션 2버전으로 노을빛으로 물드는 언덕 페러렐을 발매하였다. 2008년 10월 2일부터는 지바 TV, 도쿄MX를 비롯한 UHF계열의 방송국으로부터 TV 애니메이션을 총 12화에 걸쳐 방송하였다. 캐릭터들의 성격은 원작인 게임과는 거의 동일하나, 스토리는 초반을 비롯하여 전개 과정에 있어 다소 차이를 두고 있다. 한편 2007년 파격적인 전개로 화제에 오른 적이 있는 스쿨데이즈 TV 애니메이션 제작에 참여했던 TNK의 모토나가 케이타로(감독), 우에즈 마코토(각본)가 콤비를 이뤄 스쿨데이즈 이래 1년여만에 다시 함께 참여하여 방영전후로 또다시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노을빛으로 물드는 언덕'의 등장인물 중 스기시마 세이지로 역을 맡은 성우는 누구야? Assistant: 아오시마 야비타 Human: 아래 운현궁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운현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운현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서울 운현궁(서울 雲峴宮) 대한민국의 사적 종목 사적 제257호 (1977년 11월 22일 지정)면적 9,413.23m2시대 조선 시대소유 서울특별시, 학교법인 덕성학원위치 운현궁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 460 (운니동)좌표 북위 37° 34′ 34″ 동경 126° 59′ 14″ / 북위 37.5761638° 동경 126.9871265°  / 37.5761638; 126.9871265좌표: 북위 37° 34′ 34″ 동경 126° 59′ 14″ / 북위 37.5761638° 동경 126.9871265°  / 37.5761638; 126.9871265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운현궁(雲峴宮)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해지)종목 유형문화재 제21호 (1974년 8월 21일 지정) (1977년 11월 22일 해지) 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운현궁(雲峴宮)은 조선 제26대 임금인 고종의 생부인 흥선대원군의 저택으로서, 고종이 탄생하여 즉위하기 전 12살까지 살았던 잠저이기도 하다. 운현궁의 이름은 서운관(書雲觀, 관상감의 별칭)이 있는 앞의 고개라 하여 운현(雲峴)이라 불렸다. 고종이 즉위하자 이곳에서 흥선대원군이 정치를 하였고, 궁궐과 직통으로 연결되었다. 흥선대원군은 1882년(고종 19년) 임오군란 때 여기서 청나라 톈진으로 납치되었다. 한때는 궁궐에 견줄 만큼 크고 웅장하였다고 한다. 정원 등은 잘 보존되어 고종이 소년 시절에 자주 오른 노송(老松)이 남아 있다. 흥선대원군의 집과 1910년대 새로 지어 덕성여자대학교 본관으로 사용하던 서양식 건물을 합쳐 사적 제257호로 지정하였다. 목차 1 역사 2 건물 2.1 노안당 2.2 노락당 2.3 이로당 3 사진 4 운현궁의 역대 종주 5 같이 보기 6 참고 자료 7 외부 링크 역사[편집] 운현궁 오얏꽃 문장 조선시대 일반 상류주택이었던 이 건물은 고종이 왕위에 오르면서 영역이 크게 넓혀지고 건물들도 새로 더 들어서며 흥선대원군이 10여 년간 집정하며 정치를 하는 곳으로 변모하였다. 실제로 고종이 살았던 집은 운현궁 동북쪽 뒤에 있었는데, 1966년에 헐리고 그 자리에 중앙문화센터가 세워졌다. 현재의 건물은 대원군이 섭정을 행하던 1863년 ~ 1873년 사이에 지어진 것이 대부분인데, 노락당과 노안당은 1864년 9월, 이로당은 1870년 준공되었다. 운현궁은 원래 현재의 덕성여자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으로 사용하고 있는 양관(洋館), 일본 문화원, 중앙문화센터, 운현초등학교 일대까지 포함된 넓은 지역이었으나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규모가 크게 줄어들었다. 1940년대 후반에는 대한민청의 본부사무실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지금은 1996년 새로 중수하여 개방한 노안당(老安堂), 노락당(老樂堂), 이로당(二老堂)의 세 건물과 부속 행랑채를 운현궁이라고 부른다. 현재의 운현궁 터는 복원하면서 대지를 동서로 크게 양분하여, 동편에는 세 건물들이 들어섰고, 서편은 빈 마당으로 남겨 도로와 접하고 있다. 동편에 있는 세 건물들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대원군의 사랑채였던 노안당, 안채인 노락당, 그리고 별당인 이로당(二老堂) 순서로 자리 잡고 있다. 노안당 남쪽에 원래 아재당(我在堂)이 있었으나 없어졌고, 이로당 북쪽에 있던 영로당(永老堂)도 원래 운현궁의 건물이었으나 현재는 개인 소유의 건물(김승현 가옥, 서울특별시 민속자료 제19호)로 되어 운형궁 경역과는 담으로 구분되어 있다. 건물[편집] 현존하는 운현궁의 건물들은 격식이나 규모로 보아 궁실의 내전 건물에 가깝다. 평면에 보이는 특징으로 각 채들의 동측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월랑(月廊)으로 연결시킨 점을 들 수 있다. 창덕궁에서 고종이 손쉽게 드나들 수 있도록 경근문이 설치되어 있었고, 또 대원군 전용문인 공근문이 있었으나 지금은 없다. 노안당[편집] 노안당의 '노안(老安)'은 《논어》공야장(公冶長)편에 나오는 "노인들을 편안하게 하여준다(老者安之)"에서 유래하였다. 노안당은 전체적으로 정(丁)자형의 건물로 대원군이 국정을 의논하던 곳이다. 정면 6칸, 측면 2칸의 몸채 동쪽 끝에 7칸이 덧붙었다. 몸채부는 동쪽 2칸 사랑방을 제외하고 모두 우물마루로 되었으며, 동쪽 끝에서 남으로 돌출한 2칸은 누마루로 구성되었는데, 영화루(迎和樓)라고 한다. 누마루의 하부에는 판장벽을 막고 홍예문을 만드는 등, 실용적이며 장식적인 의장을 선보인다. 지붕 박공 부분 중 뒷면 두 군데에 회벽을 쌓고 중앙에 복(福)을 상징하는 박쥐를 그려 넣었다. 영화루는 대원군이 손님을 맞아 접대하던 곳이다. 노안당의 몸채는 장대석의 세벌대이고, 영화루는 장대석 두벌대로 되어있다. 기둥은 평주, 고주 모두 사각기둥이고 약간의 민흘림이 있으며, 쌍사모를 한 기둥을 세워 기둥머리에는 초익공을 결구하였다. 가구(架構)는 2고주 5량이고, 뒤쪽으로 내민 부분은 1고주 5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처마에는 송판으로 만든 차양(遮陽)을 달았는데 처마 끝에 각목을 길게 대어 단 차양은 고전적 수법이다. 홑처마 팔작지붕 건물이다. 노락당[편집] 노락당은 운현궁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중심이 되는 건물이다. 전체적으로 자 모양을 취하고 있으며, 정면 3칸은 앞퇴를 개방했고, 좌협간 2칸 중에서 한 칸 부분이 개방되어 좌측 날개 부분의 통로 역할을 한다. 좌우 각 2칸은 온돌, 중앙 3칸은 대청이다. 좌우측의 날개 부분 즉 안채의 몸채에서 직각으로 꺾여 있는 부분은 돌출부가 각 2칸이며 부엌과 창고로 쓰였다. 노락당은 초익공 7량 건물로 사대부가의 건축미를 느낄 수 있는 기법을 많이 볼 수 있으며 아름다운 창살 문양이 남아있다. 노락당 남쪽의 남행각은 자 모양의 평면을 하여 자 모양의 평면을 한 노락당과 함께 자 모양의 안마당을 형성하였다. 이곳은 명성황후 민씨가 삼간택을 마친 후 왕비수업을 받았던 곳이고, 고종 3년 고종과 명성황후 민씨의 가례가 있었던 곳이다. 이로당[편집] 별당인 이로당은 바깥으로 출입문을 내지 않은 지극히 폐쇄적인 '口'자형 건물이다. 노락당과 복도로 연결되어 오로지 안채에서만 드나들 수 있었던 비밀스럽고 은밀한 건물이었다. 이로당은 대원군의 부인인 부대부인(府大夫人) 민씨가 거처하던 곳이다. 정면 7칸, 측면 7칸의 홑처마 팔작지붕으로 기단은 정방형주초(正方形柱礎)이고 기둥은 평주, 고주 모두 사각기둥으로 약간의 민흘림이 있다. 마루는 우물마루이나 툇마루는 장마루이고 가구는 입구자형 평면에서 남쪽은 1고주 5량, 서쪽과 북쪽은 1고주 3량, 동쪽은 평4량(平四樑)이다. 지붕은 우진각 지붕인 서북쪽 모서리를 제외하고 모두 팔작지붕이다. 정면 앞마당 서쪽으로는 석함, 동쪽으로는 요거석이 있고, 동쪽 마당에는 정원이 조성되어 있다. 사진[편집] 노안당 이로당 노락당 양관 양관 정문 운현궁의 역대 종주[편집] 제1대 : 흥선대원군 이하응(興宣大院君 李昰應, 1820년~1898년) 제2대 : 흥친왕 이재면(興親王 李載冕, 완흥군(完興君), 1845년~1912년) 제3대 : 영선군 이준용(永宣君 李埈鎔, 1870년~1917년) 제4대 : 이우(李鍝, 1912년~1945년) 제5대 : 이청(李淸, 1936년~) 같이 보기[편집] 운현궁의 봄 계동궁 흥선대원군 흥친왕 영선군 이문용 이우 이재선 은신군 고종 이종 이청 박찬주 윤원선 흥선대원군묘 :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 소재 참고 자료[편집] 본 문서에는 서울특별시에서 지식공유 프로젝트를 통해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한 저작물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왕권의 재확립과 쇄국책〉"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운현궁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운현궁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이 문서에는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한 국가문화유산포털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운현궁 홈페이지 조선의 궁궐 5대궁 경복궁 | 경희궁 | 덕수궁 | 창경궁 | 창덕궁 기타 경덕궁 | 계동궁 | 계운궁 | 누동궁 | 덕흥궁 | 도정궁 | 사동궁 | 순화궁 | 어의궁 | 운현궁 | 인경궁 | 자수궁 | 전계궁 | 죽도궁 | 칠궁 | 풍경궁 | 함흥본궁 | 흥선궁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운현궁&oldid=24046334" 분류: 서울 종로구의 건축물서울특별시의 사적조선의 건축물조선의 궁전운현궁흥선대원군해제된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서울 종로구의 한옥영선군대한제국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서울특별시 공개자료를 인용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공공누리 제1유형 저작물을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7일 (수) 00:2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운현궁(雲峴宮)은 조선 제26대 임금인 고종의 생부인 흥선대원군의 저택으로서, 고종이 탄생하여 즉위하기 전 12살까지 살았던 잠저이기도 하다. 운현궁의 이름은 서운관(書雲觀, 관상감의 별칭)이 있는 앞의 고개라 하여 운현(雲峴)이라 불렸다. 고종이 즉위하자 이곳에서 흥선대원군이 정치를 하였고, 궁궐과 직통으로 연결되었다. 흥선대원군은 1882년(고종 19년) 임오군란 때 여기서 청나라 톈진으로 납치되었다. 한때는 궁궐에 견줄 만큼 크고 웅장하였다고 한다. 이로당 뒷편에 있던 고종이 소년 시절에 자주 오른 노송(老松)은 현재는 사라지고, 그를 추양하는 경송비만이 남아있다. 흥선대원군의 집과 1910년대 새로 지어 덕성여자대학교 본관으로 사용하던 서양식 건물을 합쳐 사적 제257호로 지정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운현궁 안의 노락당은 어떤 모습의 건물이야? Assistant: 노락당은 운현궁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중심이 되는 건물이다. 전체적으로 자 모양을 취하고 있으며, 정면 3칸은 앞퇴를 개방했고, 좌협간 2칸 중에서 한 칸 부분이 개방되어 좌측 날개 부분의 통로 역할을 한다. 좌우 각 2칸은 온돌, 중앙 3칸은 대청이다. 좌우측의 날개 부분 즉 안채의 몸채에서 직각으로 꺾여 있는 부분은 돌출부가 각 2칸이며 부엌과 창고로 쓰였다. 노락당은 초익공 7량 건물로 사대부가의 건축미를 느낄 수 있는 기법을 많이 볼 수 있으며 아름다운 창살 문양이 남아있다.
Human: 아래 타넨베르크_전투_(1410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타넨베르크 전투 (1410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타넨베르크 전투 (1410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그룬발드 전투폴란드-리투아리아-독일 기사단 전쟁의 일부Battle of Grunwald, 얀 마테이코, 1878년작.날짜1410년 7월 15일장소폴란드 타넨베르크결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군의 결정적 승리교전국 폴란드 왕국[1] 리투아니아 대공국 몰다비아 공국[2] 타타르족[1] 보헤미아인 용병[3] 모라비아인 용병[3] 러시아인 용병[4] 튜턴 기사단지휘관 브와디스와프 2세 야기에우워[3] 대 비타우타스 울리히 반 할슈타인† 프리드리히 반 웰린로디†쿠노 반 리히텐슈타인†병력 50,000명 32,000명피해 규모 2,000여 명 전사8,000여 명 부상 기사 400여 명 전사8,000여 명 전사14,000명 포로 그룬발드 전투(폴란드어: Bitwa pod Grunwaldem) 혹은 잘기리스 전투(리투아니아어: Žalgirio mūšis) 또는 제1차 타넨베르크 전투(영어: Battle of Tannenberg)는 1410년 폴란드 왕국과 리투아니아 대공국 연합군이 튜턴 기사단과 치른 전투이다. 목차 1 배경 2 경과 3 영향 4 각주 배경[편집] 당시 리투아니아는 유럽에 마지막으로 남은 비기독교 국가였다. 그들은 두 기독교 세력과 싸워야 했는데 폴란드와 튜턴 기사단이었다. 튜튼 기사단과 리투아니아는 100여 년 동안 싸움을 벌이게 되었다. 1385년 26세의 나이로 리투아니아의 대공이 된 브와디스와프 2세 야기에우워(Władysław II Jagiełło)는 그들의 힘만으로는 둘을 동시에 상대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폴란드와 동맹을 맺었다. 야기에우워는 1386년 2월 세례를 받고 폴란드 피아스트 왕조의 왕위계승자인 야드비가 공주와 결혼하여 폴란드와 리투아니아를 같이 지배하는 야기에우워 왕조를 세웠다. 이에 튜턴 기사단은 야기에우워가 폴란드의 왕관을 위해 거짓으로 개종했다고 주장하고 계속 공격했다. 야기에우워는 사촌인 리투아니아 대공 비타우타스(Vytautas)와 협정을 맺어 결속을 공고히 했다. 이때 리투아니아군은 1399년 보르스클라 강 전투에서 킵차크 한국에게 대패해 전력이 크게 약화되어 있었으므로, 동맹을 공고히 할 필요가 있었다. 1407년, 기사단장 콘라트가 죽었다. 그는 죽기 직전 그의 동생 울리히를 다음 기사단장으로 지명해선 안 된다고 유언을 남겼다. 그러나 울리히는 결국 기사단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1409년 대군을 거느리고 폴란드-리투아니아의 요처를 공격했다. 이에 야기에우워는 바로 대응에 나서 튜튼 기사단의 공세를 저지하는 데 성공했다. 일단 휴전 협정이 맺어지고, 그 기간 동안 양군은 최대한 전력을 증강했다.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군은 헝가리 국왕 지그몬드에게 황금을 보냈다. 지그몬드는 곧 이 연합군을 치지 않겠다는 약속을 했다. 또한 연합군은 보헤미아의 얀 지슈카를 끌여들였다. 1410년 7월 9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군은 프로이센으로 진군하며 엄청난 파괴와 약탈을 자행했다. 그때 울리히 기사단장은 적군이 도브진(Dobrzyn) 쪽으로 접근하리라 파악하고 있었고, 리투아니아군과 폴란드군이 다른 방향에서 들어올 것이라고 대비해 군대를 분리시켜둔 상태였다. 그러나 연합군의 목표는 기사단령의 수도인 마리엔부르크였던 것이다. 기사단은 황급히 최종 방어선인 드레빈츠 강 유역 방어선을 강화했다. 연합군은 드레벤츠 강을 지나기 위해 좀 더 동쪽으로 우회했고, 기사단은 연합군과 평행하게 강을 따라 이동했다. 그러다 강이 급격히 북쪽으로 꺾어지는 지점에서 기사단은 강을 건너 방어적인 대형을 취했다. 튜턴 기사단은 그룬발트 마을 근처에, 연합군은 탄넨베르크 마을에 진을 쳤다. 기사단은 습지로 둘러싸인 지점을 얻을 수 있었다. 연합군은 5마일을 이동했고, 숲에 병력을 매복시킬 수 있는 지점을 손에 넣었다. 경과[편집] 울리히 기사단장은 요기일라에게 검 2자루를 보내어 도전을 요청했다. 리투아니아 기병이 선제 공격을 감행하였다. 튜턴 기사단군은 사정거리 안에 들어서자 석궁과 활을 발사했다. 리투아니아 기병들은 적지 않은 피해를 입었다. 튜턴 기사단은 이날 분전했고 얼마 안 되어 리투아니아 기병대가 패주했다. 기사들은 리투아니아 기병들을 추격했다. 추격 와중에 기사단의 전열이 흐트러졌다. 그러나 폴란드군은 좌측면이 노출될 위험에도 그대로 전진해 기사단과 전투에 들어갔다. 전투가 한창인 와중에 폴란드의 왕기가 기사단의 손에 들어갔다. 기사단은 이 전투에서 승리했다고 크게 기세를 올렸지만, 요기일라는 후방에 있었다. 얼마 안 되어 폴란드군이 다시 적을 밀어붙여 왕기를 탈환하자 다시 치열한 접전이 계속되었다. 이때 일부 기사단 병력이 폴란드군의 측면과 배후를 위협했지만, 리투아니아군의 일부가 도착해서 약점이 노출되는 것을 저지했다. 그러나 리투아니아 군을 추격하던 기사단은 갑자기 숲에서 폴란드군이 뛰쳐나오고 퇴각하던 리투아니아군이 방향을 돌려 응전하자 크게 기겁했다. 곧 리투아니아 기병의 공격이 개시되어 큰 피해를 입었다. 울리히는 예비대를 투입해 지친 군대와 교대했고, 야기에우오 역시 최후의 예비대까지 투입했다. 울리히는 왕을 노리고 전투에 나섰다. 그러나 리투아니아 군대가 갑자기 나타났다. 추격대를 섬멸한 리투아니아 기병들이 측면의 약점을 파고들자 기사단이 밀리기 시작했다. 곧 기사단의 전열이 과도하게 밀집된 상태에서 폴란드 기병들이 기사단의 군대를 돌파하는 데 성공했고 마침내 기사단의 전열이 와해되었다. 영향[편집] 이 전투의 결과 제1차 토루인 조약이 맺어져 기사단이 사모기티아와 도브리진 지방을 포기하는 것으로 결말이 났지만 기사단의 군사력은 큰 손상을 입었고 뒤이어 권위와 재정 형편도 급속히 약화되기 시작했다. 또한 폴란드가 전쟁을 계속 벌이자 더이상 버티기 어려워졌고 봉신들이 폴란드에 가담하는 사태가 벌어지자 기사단은 마침내 굴복했다. 1466년 기사단은 제2차 토루인 조약을 맺고 포메른과 비수아 강 양안 및 바르미아(에름란트)의 주교 관할구를 폴란드에 넘겨주었다. 프로이센은 나머지 지역을 계속 보유했으나 그 지역에서 기사단장의 지위는 폴란드 왕의 봉신으로 격하되었다. [5] 각주[편집] ↑ 가 나 스테판 턴불, Tannenberg 1410 Disaster for the Teutonic Knights, 2003, London: Osprey Campaign Series no. 122 ISBN 978-1-84176-561-7, pp.25 ↑ Britannica Hungarica, Hungarian encyclopedia, 1994. ISBN 963062F3506 ↑ 가 나 다 Stephen Turnbull, Tannenberg 1410 Disaster for the Teutonic Knights, 2003, London: Osprey Campaign Series no. 122 ISBN 978-1-84176-561-7, pp.26 ↑ Stephen Turnbull, Tannenberg 1410 Disaster for the Teutonic Knights, 2003, London: Osprey Campaign Series no. 122 ISBN 978-1-84176-561-7, pp.27-28 ↑ “독일기사단”. 2004년 1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1일에 확인함.  vdeh폴란드의 전쟁 및 분쟁피아스트 왕조 체디니아 전투 독일-폴란드 전쟁 (1002년–1018년) 볼레스와프 1세의 키예프 계승위기 개입 1072년 보헤미아와 전쟁 그와고프 방어전 1146년 독일과 전쟁 1156년 독일과 전쟁 제1차 몽골의 폴란드 침공 제2차 몽골의 폴란드 침공 제3차 몽골의 폴란드 침공 레그니차 전투 제1차 폴란드-튜턴 전쟁 프와브체 전투 갈리치아-볼히니아 전쟁 야기에우워 왕조 폴란드-리투아니아-튜턴 전쟁 그룬발드 전투 기아 전쟁 골룹 전쟁 제2차 폴란드-튜턴 전쟁 그로트니키 전투 1444년 오스만과 전쟁 바르나 전투 13년 전쟁 사제 전쟁 폴란드-몰다비아 전쟁 폴란드-리투아니아-모스크바 전쟁 오르샤 전투 제3차 폴란드-튜턴 전쟁 폴란드-리투아니아-모스크바 전쟁 오스만-타타르의 리투아니아-폴란드 침공 제1공화국 북방 7년 전쟁 단치히 반란 루비에스조프 전투 단치히 공방전 (1577년) 리보니아 전쟁 스테판 바토리의 리보니아 원정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 (1587년–1588년) 비스치나 전투 1589년 타타르 침공 코신스키 봉기 1593년 타타르 침공 날랴바이코 봉기 몰다비아 유력자 전쟁 지기스문트 전쟁 스통게브로 전투 폴란드-스웨덴 전쟁 (1600년–1611년) 키르홀름 전투 폴란드-스웨덴 전쟁 (1617년–1618년) 폴란드-스웨덴 전쟁 (1621년–1625년) 폴란드-스웨덴 전쟁 (1626년–1629년) 폴란드-모스크바 전쟁 (1605년–1618년) 클루시노 전투 제브르지도브스키의 난 30년 전쟁 후멘네 전투 폴란드-오스만 전쟁 (1620년-1621년) 코틴 전투 (1621년) 1624년 타타르 침공 즈마일로 봉기 페도로비치 봉기 스몰렌스크 전쟁 스몰렌스크 공방전 (1632년-1633년) 폴란드-오스만 전쟁 (1633년-1634년) 파울루크 봉기 오스트르자닌 봉기 1644년 타타르 침공 흐멜니츠키 봉기 베레스테츠코 전투 러시아-폴란드 전쟁 (1654년-1667년) 제2차 북방 전쟁 대홍수 폴란드-카자크-타타르 전쟁 (1666년-1671년) 폴란드-오스만 전쟁 (1672년-1676년) 코틴 전투 (1673년) 폴란드-오스만 전쟁 (1683년-1699년) 빈 포위 대북방 전쟁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 바르 동맹전쟁 폴란드-러시아 전쟁 (1792년) 코시치우슈코 봉기 폴란드 분할 나폴레옹 전쟁 반도 전쟁 제4차 대프랑스 동맹 제5차 대프랑스 동맹 폴란드-오스트리아 전쟁 제6차 대프랑스 동맹 러시아 원정 비엘코폴스카 봉기 (1848년) 11월 봉기 1월 봉기 (폴란드 국민정부) 제1차 세계 대전 제2공화국 폴란드-우크라이나 전쟁 비엘코폴스카 봉기 (1918년–1919년) 폴란드-체코슬로바키아 전쟁 제1차 실레지아 봉기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바르샤바 전투 (1920년) 제2차 실레지아 봉기 폴란드-리투아니아 전쟁 제3차 실레지아 봉기 제2차 세계 대전 독일의 폴란드 침공 소련의 폴란드 침공 이탈리아 전역 게토 봉기 바르샤바 게토 봉기 비아위스토크 게토 봉기 체스토호바 게토 봉기 폭풍우 작전 새벽문 작전 르보프 봉기 바르샤바 봉기 인민공화국 바르샤바 조약군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제3공화국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현재) 이라크 전쟁 2003년 이라크 침공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타넨베르크_전투_(1410년)&oldid=22972436" 분류: 폴란드의 군사사리투아니아의 군사사1410년 분쟁숨은 분류: 폴란드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리투아니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ragonésÆnglisc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rezhoneg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urdîLatinaLietuviųLatviešuBahasa MelayuNederlandsNorsk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mençe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1일 (일) 03: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그룬발드 전투(폴란드어: Bitwa pod Grunwaldem) 혹은 잘기리스 전투(리투아니아어: Žalgirio mūšis) 또는 제1차 타넨베르크 전투(영어: Battle of Tannenberg)는 1410년 폴란드 왕국과 리투아니아 대공국 연합군이 튜턴 기사단과 치른 전투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라투아니아 기사단장의 이름은? Assistant: 울리히 Human: 아래 수액_(의학)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수액 (의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액 (의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에는 여러 문제가 있습니다. 문서를 편집하여 수정하시거나 토론 문서에서 의견을 나눠주세요. 이 문서에는 의학 분야의 전문가 참여가 필요합니다.이 분야를 잘 알고 계신다면 이 문서가 더 좋은 문서가 되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관련된 위키프로젝트인 위키프로젝트 의학에서 도움을 구하실 수도 있습니다. 위키백과는 정확하지 않은 의학 정보에 대해 법적 책임을 지지 않으니 유의해주세요.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5년 5월) 수액(fluid)은 흔히 말하는 링거액이나 링거액은 수액의 한 종류이다. 수액은 정맥으로 수분 및 영양분을 보충하기 위한 액체이다. 목차 1 한국인의 수액 선호 현상 2 수액의 종류 2.1 정질과 교질의 구분 2.2 정질과 교질의 차이 2.3 정질용액과 교질용액의 선택 2.4 삼투압에 따른 수액 분류 한국인의 수액 선호 현상[편집] 수액은 탈수가 심한 사람에게는 생명을 좌우하는 치료제이고, 정맥 주사를 계속 맞아야 하는 환자에게는 필요한 약물 투여 경로이다. 그러나 그외의 환자에게는 다만 소금물을 정맥으로 투여하는 어리석은 행동이다. 물론 심리적으로 만족하고 증상이 호전 되는 듯이 보일수도 있으나 오직 심리적 효과와 일시적인 수액 보충 효과일 뿐이고, 질병 치료에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입으로 투약이 가능한 환자가 아니면 수액을 투여하지 않고, 즉 중환자가 아니면 수액을 투여하지 않는 북미와 유럽에 비해 한국은 엄청난 수액 오, 남용 국가이다. 이는 독특한 한국의 문화적 특성으로, 소금물, 설탕물에 불과한 수액을 영양제나 보약으로 생각하기 때문으로 매우 비합리적인 문화로 볼수 있다. 수액을 투여하기 위해서는 정맥을 천자해야 하므로 여러가지 합병증만 올 가능성이 있는, 응급이나 중환자가 아니면 과잉이고 잘못된 치료임을 알아야 한국의 독특한 수액 선호 문화도 개선될 것이다. 수액의 종류[편집] 의학적으로 사용하는 수액은 크게 두가지로 나운다 하나는 Crystalloid (정질용액)으로 소금을 함유한.결정상(結晶狀)의; 결정의 뜻을 가지고 있는 정질(晶質)의 전해질 수액, 즉 전해질이 주성분인 수액이며 여기에 속하는 수액은 N/S, H/S 5% D/W, 5%D/S 등이 있다. 다른 하나는 Colloid(교질용액)이라고 하며 아교질 교질(膠質) Greek kolla(아교)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어떤 일정한 크기의 물질이 다른 물질에 완전 분산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여기에 속하는 수액은 W/B, packed RBC, Plasma, albumin, dextran, HES (hydroxyethyl starch) 등이 있다. 정질과 교질의 구분[편집] 1861년 Thomas Graham에 의하여 막으로 구분되는 두 구획간의 투과 여부에 따라 정질은 혈관과 같은 생체막을 쉽게 투과하는 반면, 교질은 투과하지 못한다. 알부민의 혈관 투과성에 대하여는 논란이 있다. 또 순수 포도당 용액은 염화나트륨(NaCl)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정질용액으로 분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정질과 교질의 차이[편집] 교질용액은 정질용액에 비해 더 크고 확산이 안 되는 용질을 가지고 있어서 정질용액과 달리 혈관벽을 통해 자유롭게 이동하지 못하므로 혈관 내에 남아 교질삼투압을 형성하여 수분을 잡아둠으로써 혈장량을 증가시킨다. 정질용액의 반감기가 20-30분 정도인데 비하여 대부분의 교질용액은 반감기가 3-6시간에 이른다. 따라서 교질용액은 정질용액에 비해 더욱 빠르고 장시간 유지되는 혈관내액(혈장량) 보충에 유용하다. 즉 5% 알부민 용액 1 L를 투여하면 혈장 용적은 700 mL 증가하고 간질액 용적은 300 mL 증가 한다. 결정질액인 0.9% 생리식염수 1 L를 투여하면 250 mL만이 혈관 내에 남아서 혈장 용적을 증가. 나머지 750 mL는 간질액 용적을 증가하고 혈장 용적 증량 효과는 교질용액이 정질용액보다 약 3배정도 더 효과적 교질용액 단점 : 혈액응고 장애, 덱스트란의 경우 알러지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정질용액과 교질용액의 선택[편집] 1. 임상 조건 1) 탈수로 인해 저혈량증이 생긴 환자는 정질용액을 준다. 탈수의 경우 세포외액이 구획마다 거의 동 등한 비율로 부족하기 때문에 세포 외 공간을 균등하게 채워 줄 수 있는 정질용액이 더 유리하게 작용 한다. 2) 출혈 : 정도에 따라 수액의 종류를 선택 15% 이하의 경한 출혈은 부족한 혈관내의 용적을 채우기 위해 조직간액이 혈관 내로 이동하므로 정질용액 투여한다. 혈장량의 증가보다는 조직간액의 증가 효과가 더 크기 때문에 부족한 조직간액 보충해 줄수 있다. 15% 이상의 출혈은 심박출량 유지가 중요 하므로 교질용액이 정질용액에 비하여 3- 4배 정도 혈장 증량 효과가 있으므로 교질을 투여 한다. 대부분의 임상에서 3-4 L 이상의 수액 투여가 필요한 경우에는 교질용액과 정질용액을 1:3의 비율로 함께 투여 2. 부종의 위험성 외상 환자는 주로 정질용액, 비감염성, 비외상성, 예정된 수술 환자는 교질용액을 투여한다. 폐부종의 예방을 위해서는 투여하는 수액 의 종류보다는 적절한 감시가 더 중요 3. 비용과 효율성 결론적으로 혈장량의 증가가 주요 목표일 경우에는 교질용액 전체 세포외액량의 증가가 목표일 경우에는 정질용액을 투여한다. 삼투압에 따른 수액 분류[편집] 등장성수액 : Normal Saline, Hartman Solution(Lactated Ringer Soln), 5%D/W (Dextrose in Water) 저장성 : Half Saline(0.45% Saline) 고장성 : 5%D/S(Dextrose in Saline), 5% Dextrose in 0.45% Saline, 10% D/W N/S Normal Saline = 생리 식염수 = 0.9% NaCl2 용액 = 염화나트륨(소금) 9 g. 단순한 수액 보충. volume loss의 경우 주로 사용 5% D/S = 5% dextrose in N/S = 50g 포도당 in N/S 수액 및 칼로리 보충 5% D/W= 5% dextrose in Water 칼로리만 보충 10% D/W, 20% D/W, 혈액 등은 large bore(구멍) needle 사용. Hartmann's solution (lactated Ringer's solution)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수액_(의학)&oldid=23897009" 분류: 의약품숨은 분류: 전문가의 참여가 필요한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2015년 5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CatalàMìng-dĕ̤ng-ngṳ̄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हिन्दी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മലയാളംBahasa Melayu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2일 (금) 06: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수액(fluid)은 흔히 말하는 링거액이나 체액 성분또는 영양 성분을 보충하기위한 액체를 체내에 공급하는 것을 말한다. 링거액은 수액의 한 종류이다. 수액에는 정맥주사로 수분 및 영양분을 보충하기 위한 액체뿐만아니라 구강을 통하는 전해질 액체음료나 항문을 통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것도 있다. 일반적으로 수액(輸液)은 쇼크, 탈수증, 영양실조 따위에, 혈액과 삼투압이 같은 다량의 액체를 주입하는 의료행위로 생리적 식염수ㆍ링거액 따위의 여러 가지 전해질 용액을 쓰며, 영양 보급의 목적으로는 과당(果糖) 용액ㆍ포도당 용액 따위를 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혈액응고 장애는 수액의 종류 중 어떤 용액에서 발생하는가? Assistant: 교질용액
Human: 아래 박미경_(가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박미경 (가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미경 (가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미경 (1965년)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박미경 기본 정보출생 1965년 11월 22일(1965-11-22) (53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직업 가수장르 발라드, 댄스 팝활동 시기 1985년 ~ 현재 배우자 트로이 아마도(2002년 5월 31일 ~ )종교 개신교소속사 더라인 엔터테인먼트 박미경(1965년 11월 22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목차 1 생애 2 학력 3 발표 앨범 3.1 정규 앨범 3.2 참여 앨범 3.3 프로젝트 앨범 3.4 O.S.T 4 공연 5 수상 경력 5.1 가요 프로그램 1위 6 각주 생애[편집] 1985년 제6회 《강변가요제》에서 《민들레 홀씨 되어》로 장려상을 받으며 가요계에 데뷔하였다. 1986년 드라마 《풀잎마다 이슬》의 주제가를 부르는 등 음악 활동을 계속하다 1988년 《화요일에 비가 내리면》의 타이틀의 앨범을 발표한다. 1994년 프로듀서 김창환에게 발탁되어 정규 첫 앨범 《박미경》으로 가요계에 공식 데뷔한다. 이 때 《이유같지 않은 이유》로 시원한 가창력을 선보여 KBS 《가요톱10》 에서 4주 연속 1위를 하는 등 큰 히트를 쳤으며, 이어 1995년 발표한 2집 《Jungle New Style》의 타이틀곡인 《이브의 경고》가 가요 프로그램에서 5주 연속 1위를 하는 등 대 히트하면서 1990년대를 대표하는 여자댄스 가수로 자리매김하였다. 특히 이브의 경고의 안무인 손바닥 뒤집기 댄스[1]는 그 당시 남녀노소 누구나 한번쯤은 따라 했던 굉장히 유명했던 안무였다. 뒤이어 발표한 《넌 그렇게 살지마》, 《집착》, 《벌》 등이 잇따라 히트하였다. 2002년 미국인 트로이 아마도와 결혼 하였으며, 간간히 《열린음악회》 등 TV에 출연하였다. KBS 《해피선데이 - 불후의 명곡》 제59대 노래 선생님으로 출연하였다. 2010년 1월 25일, 5년 만에 정규 8집 《2010 Deluxe Edition 》를 발표하며 컴백하였다. 학력[편집] 서울교동초등학교 덕성여자중학교 덕성여자고등학교 서울예술대학교 발표 앨범[편집] 정규 앨범[편집] 1집 《사랑이 그런것 처럼》 - 사랑이 그런것처럼/화요일에 비가 내리면/민들레 홀씨되어 1집 《이유같지 않은 이유》 - 이유같지 않은 이유/서툰 기대 2집 《Jungle New Style》 - 이브의 경고/넌 그렇게 살지마 3집 《아담의 심리》 - 아담의 심리/날 도와줘 4집 《집착》 - 집착 5집 《벌》 - 벌 6집 《Just One》 - Junt One/Hot Stuff 7집 《Micky Seven New Style》 - Sesv Lady 8집 《2010 Deluxe Edition 》 - 돌아와/어떻게 참여 앨범[편집] 2008년 에스진 싱글 앨범 《버릇》 2017년 배동성 싱글 앨범 《오빠가 쏠게》 프로젝트 앨범[편집] PDP 《JoPD + Park Mi Kyung Project 12 Inch Single》 O.S.T[편집] 드라마 《풀잎마다 이슬》 영화 《패자부활전》 공연[편집] 《누드 뉘앙스》 수상 경력[편집] MBC 강변가요제 장려상 (1985년) KBS 가요대상 본상 (1995년) SBS 올해의 스타상 (1995년) 대한민국영상음반대상 본상 골든디스크부문 (1995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1995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1996년) 대한민국영상음반대상 본상 골든디스크부문 (1996년) SBS 올해의 스타상 (1996년) 영상가요대상 본상 (1996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1999년) 가요 프로그램 1위[편집] 연도 수상 내역 (총 20회) 1995년 (총 20회) 이유같지 않은 이유 (총 8회) 1월 29일 SBS 《TV가요20》 1위 2월 1일 KBS 《가요톱텐》 1위 2월 5일 SBS 《TV가요20》 1위 2월 8일 KBS 《가요톱텐》 1위 2월 12일 SBS 《TV가요20》 1위 2월 15일 KBS 《가요톱텐》 1위 2월 19일 SBS 《TV가요20》 1위 (4주 연속) 2월 22일 KBS 《가요톱텐》 1위 (4주 연속) 이브의 경고 (총 12회) 8월 27일 SBS 《TV가요20》 1위 8월 30일 KBS 《가요톱텐》 1위 9월 3일 SBS 《TV가요20》 1위 (2주 연속) 9월 6일 KBS 《가요톱텐》 1위 9월 13일 KBS 《가요톱텐》 1위 9월 15일 MBC 《인기가요베스트50》 1위 9월 20일 KBS 《가요톱텐》 1위 9월 22일 MBC 《인기가요베스트50》 1위 9월 27일 KBS 《가요톱텐》 1위 (5주 연속) (골든컵) 9월 29일 MBC 《인기가요베스트50》 1위 10월 6일 MBC 《인기가요베스트50》 1위 10월 13일 MBC 《인기가요베스트50》 1위 (5주 연속) 각주[편집] ↑ 박수정 (2013년 7월 11일). “‘청춘나이트 시즌2’, 90년대로 돌아가는 타임머신 노래방”. 텐아시아. 2017년 7월 23일에 확인함.  vdeh 나는 가수다시즌 1진행자 이소라 윤도현 윤종신 역대 출연 가수/음악 그룹 박정현 김범수 김건모 YB 백지영 이소라 정엽 임재범 BMK 김연우 옥주현 JK 김동욱 장혜진 조관우 김조한 자우림 인순이 윤민수 바비 킴 김경호 조규찬 거미 적우 박완규 신효범 테이 이영현 이현우 명예 졸업자 박정현 김범수 자우림 윤민수 김경호 매니저 김제동 이병진 고영욱 박명수 정성호 김신영 김숙 지상렬 박휘순 송은이 김태현 시즌 2진행자 이은미 정진영 (슈퍼 디셈버 2012 가왕전) 박명수 (보조진행자) 노홍철 (보조진행자) 박은지 (현장진행자) 슈퍼 디셈버 2012 가왕더 원 (9월의 가수)슈퍼 디셈버 2012 가왕전 진출 박완규 (5월의 가수) JK 김동욱 (6월의 가수) 이은미 (7월의 가수) 소향 (8월의 가수) 더 원 (9월의 가수) 국카스텐 (10월의 가수) 서문탁 (11월의 가수) 명예 졸업자 박상민 김연우 이영현 탈락 백두산 박미경 이수영 카이 정엽 소찬휘 하차 정인 김건모 한영애 변진섭 조장혁 시나위 윤하 이정 같이 보기 시즌1 방영 목록 시즌2 방영 목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박미경_(가수)&oldid=24418793" 분류: 골든디스크 본상 수상 음악가미디어 라인 음악가대한민국의 팝 가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서울교동초등학교 동문대한민국의 작사가서울특별시 출신 음악가서울특별시 출신덕성여자중학교 동문대한민국의 작곡가덕성여자고등학교 동문서울예술대학 동문1965년 태어남1985년 데뷔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서울특별시 출신 가수살아있는 사람나는 가수다에 출연한 가수강변가요제 출신 가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3일 (목) 07:4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박미경(1965년 11월 22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박미경이 1985년 제6회 강변가요제에서 부른 노래는 무엇인가? Assistant: 《민들레 홀씨 되어》 Human: 아래 박보경_(1980년_10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박보경 (1980년 10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보경 (1980년 10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박보경출생 1980년 10월 30일(1980-10-30) (38세)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직업 프리랜서 아나운서활동 기간 2003년 ~ 현재 웹사이트 박보경 아나운서 싸이월드 박보경(1980년 10월 30일 ~ )은 2014년 4월 8일까지 MBC 문화방송에서 활동했던 아나운서 겸 뉴스 캐스터이고 현재 프리 랜서 아나운서이다. 그녀의 현재 거주지는 대한민국 서울이다. 목차 1 이력 2 주요 경력 3 출연작 3.1 TV 프로그램 4 학력 5 각주 이력[편집] 아주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나온 후 안동MBC 아나운서와 EBS 한국교육방송공사 아나운서를 거쳐 2012년 3월 3월을 기하여 MBC 문화방송 뉴스 캐스터 이적 입사하였고 2014년 4월 8일 MBC 문화방송에서 퇴사 이후 프리랜서 활약을 하고 있다. 특히 그녀는 EBS 아나운서로 활동 당시 2007년 9월 3일부터 EBS 정보마당이 신설되면서 2008년 2월 22일까지 EBS 정보마당을 진행하다가 2008년 2월 25일부터 EBS 정보마당이 메인뉴스 프로그램인 EBS 저녁뉴스로 개편됨에 따라 2012년 3월 30일까지 EBS 저녁뉴스를 진행했으며, 2012년 EBS를 떠나 MBC 입사 후 MBC 뉴스데스크의 진행을 맡았으며,[1] 2012년 5월 11일 배현진 아나운서의 앵커 복귀로 인해 MBC 뉴스데스크에서 하차한 뒤 2012년 5월 14일부터는 MBC 뉴스 24의 진행을 맡게 되었다.[2] 이후 2012년 10월 8일부터 가을 개편으로 MBC 2시 뉴스와 MBC 뉴스포커스를 진행하게 되었고,[3] 이후 2014년 4월까지 일요일 아침 MBC 주말뉴스를 진행했으며 《MBC 뉴스투데이》에서 《스마트리빙》 코너를 맡았다. 주요 경력[편집] 前 안동 MBC 아나운서 (2003년 5월 31일 ~ 2007년 8월 13일) 前 EBS 한국교육방송공사 아나운서 (2007년 8월 21일 ~ 2012년 2월 29일) 前 MBC 문화방송 뉴스 캐스터 (2012년 3월 3일 ~ 2014년 4월 8일) 출연작[편집] TV 프로그램[편집] 《EBS 정보마당》 2007년 9월 3일 ~ 2008년 2월 22일 진행 《EBS 저녁뉴스》 2008년 2월 25일 ~ 2012년 3월 30일 진행 《MBC 뉴스데스크》 2012년 4월 9일 ~ 2012년 5월 10일 진행 《MBC 뉴스 24》 2012년 5월 14일 ~ 2012년 10월 5일 진행 《MBC 2시 뉴스》 2012년 10월 8일 ~ 2013년 3월 13일 진행 《MBC 뉴스포커스》 2012년 10월 8일 ~ 2013년 3월 15일 진행 《MBC 주말뉴스》 오전뉴스 2013년 3월 24일 ~ 2014년 3월 진행 《MBC 뉴스투데이》-《스마트 리빙》 2013년 7월 ~ 2014년 4월 진행 학력[편집] 아주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언론학 석사 각주[편집] ↑ [1] MBC '뉴스데스크'에 프리랜서 앵커 등장 ↑ [2] 배현진 아나 대신했던 '박보경' 아나는 어디로? ↑ [3] Archived 2013년 12월 18일 - 웨이백 머신 MBC 개편, 주말 뉴스데스크 신동호 양승은-스포츠 뉴스 이진 진행 이 글은 방송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vdeh 뉴스데스크현재 진행 중인 앵커평일 왕종명 이재은 허일후(MBC 스포츠뉴스) 주말 김수진 박연경(MBC 스포츠뉴스) 전직 앵커남성 박근숙 곽노환 김기도 김기주 김창식 이영익 정병수 하순봉 형진한 이득렬 고진 강성구 송도균 임택근 김기덕 차인태 김영수 김동진 추성춘 구본홍 엄기영 손석희 신경민 이상열 정길용 최우철 조정민 정동영 이인용 김상수 이인용 박광온 김성수 박광온 연보흠 권순표 왕종명 김연국 김세용 박경추 김창옥 최일구 김상운 황헌 정연국 최대현 신동호 권재홍 도인태 박용찬 박상권 이준희 이상현 천현우 엄주원 박성호 여성 최경미 백지연 정혜정 박영선 이미영 조일수 김현경 김은주 김은혜 최율미 이주연 김지은 박나림 오은실 김주하 박혜진 서현진 최윤영 차미연 김수진 문지애 양승은 박보경 김소영 강다솜 이정민 정다희 박연경 배현진 김수지 손정은 전직 MBC 스포츠뉴스 앵커 이철원 송재익 양진수 임주완 최창섭 고창근 이현우 이윤철 성경환 송인득 유협 김창옥 임재홍 변창립 이창섭 한선교 홍은철 이윤재 최재혁 강재형 이재용 김범도 김상호 하지은 김완태 신동진 박경추 방현주 김성주 김경화 임경진 오상진 김정근 한준호 유수민 전종환 이하정 최현정 손정은 양승은 이성배 서인 이진 김초롱 이재은 차예린 김원경 유선경 정슬기 김나진 기상 캐스터 김동완 지윤태 김승환 장수영 차수진 손애성 현인아 이은주 이미영 이규리 임성희 안숙진 박미숙 김혜은 조문기 안혜경 최현정 박은지 배수연 박신영 이현승 정혜경 이문정 이창민 이귀주 김가영 임성은 이서경(평일) 박선영(주말) 최아리 기타 카메라 출동 (이상로, 신재민, 김진원, 김상수, 김민호, 신강균, 유종현, 홍순관, 정형일, 전동건, 양영철, 김상운, 신동욱, 김재철, 심재철, 노웅래, 최문순, 최명길, 김장겸, 박성희, 윤도한, 박상후, 최일구, 허용범, 전평국, 조기양, 전태국, 정연국, 심원택, 박성제, 이강택, 이호인, 고주룡, 이용마, 이상호, 김병헌, 왕종명, 최훈, 김정원, 김세의) 도청장치 방송사고 PC방 실험 사건 땡전 뉴스 MBC 뉴스센터 (1981년 ~ 1989년, 1991년 ~ 1993년) MBC 스포츠뉴스 (통합 이전 및 분리 편성)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박보경_(1980년_10월)&oldid=24354617" 분류: 1980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아나운서미스코리아 지역 대회 참가자한국교육방송공사의 아나운서문화방송의 아나운서1999년 데뷔포항시 출신대해초등학교 동문동지중학교 동문포항여자고등학교 동문아주대학교 동문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동문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프리랜서 아나운서숨은 분류: 방송인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1일 (토) 00:0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박보경(1980년 10월 30일 ~ )은 대한민국의 프리랜서 아나운서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박보경 아나운서는 프리랜서 이전 어떤 일을 했을까? Assistant: 아주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나온 후 안동MBC 아나운서와 EBS 한국교육방송공사 아나운서를 거쳐 2012년 3월 3월을 기하여 MBC 문화방송 뉴스 캐스터 이적 입사하였고 2014년 4월 8일 MBC 문화방송에서 퇴사 이후 프리랜서 활약을 하고 있다. 특히 그녀는 EBS 아나운서로 활동 당시 2007년 9월 3일부터 EBS 정보마당이 신설되면서 2008년 2월 22일까지 EBS 정보마당을 진행하다가 2008년 2월 25일부터 EBS 정보마당이 메인뉴스 프로그램인 EBS 저녁뉴스로 개편됨에 따라 2012년 3월 30일까지 EBS 저녁뉴스를 진행했으며, 2012년 EBS를 떠나 MBC 입사 후 MBC 뉴스데스크의 진행을 맡았으며,[1] 2012년 5월 11일 배현진 아나운서의 앵커 복귀로 인해 MBC 뉴스데스크에서 하차한 뒤 2012년 5월 14일부터는 MBC 뉴스 24의 진행을 맡게 되었다.[2] 이후 2012년 10월 8일부터 가을 개편으로 MBC 2시 뉴스와 MBC 뉴스포커스를 진행하게 되었고,[3] 이후 2014년 4월까지 일요일 아침 MBC 주말뉴스를 진행했으며 《MBC 뉴스투데이》에서 《스마트리빙》 코너를 맡았다.
Human: 아래 고발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고발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발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발기(發岐/拔奇) 지위 왕자 신상정보 사망일 197년 사망지 배천 매장지 배령 왕조 고구려 부친 신대왕 자녀 박위거(駮位居) 기타 친인척 남무(둘째 동생) 군사 경력 참전 발기의 난 고발기(高發岐, ? ~ 197년)는 고구려 신대왕의 아들이다. 동생 산상왕이 부당하게 왕위를 잇자 반발하여 후한의 요동태수 공손탁의 도움을 받아 난을 일으켰으나 패하고 자살하였다. 한자가 다른 발기(拔奇)는 보통 동일인으로 본다. 목차 1 생애 2 한자가 다른 발기 3 가계 4 각주 5 참고 문헌 생애[편집] 신대왕의 둘째 아들이다.[1] 197년 큰형 고국천왕이 죽었다. 왕후인 우씨(于氏)가 그 사실을 비밀로 한 채 밤중에 발기를 찾아와 ‘고국천왕이 후손이 없으니 발기가 왕을 잇는 것이 마땅하다’고 하였다. 고국천왕의 죽음을 몰랐던 발기는 당연히 이를 거부하고 부인이 어찌 밤중에 돌아다니냐고 호통쳤다. 우씨는 그대로 동생인 연우에게 가 왕의 죽음을 알리고는 함께 궁궐로 들어갔다. 다음 날 새벽 우씨가 선왕의 유명이라 둘러대며 연우를 왕으로 옹립하니 곧 산상왕이다. 발기가 이를 듣고 크게 노하여 군사를 동원해 왕궁을 포위하고 소리쳤다. “형이 죽으면 아우가 잇는 것이 예이다! 너는 차례를 뛰어넘어 왕위를 빼앗는 큰 죄를 저질렀다! 속히 나오거라! 그러지 않으면 처자를 죽이겠다!!” 사흘간 대치했으나 대세는 이미 기울어 연노가(涓奴加)[2]와 함께 하호 3만 명을 이끌고 요동의 공손탁에게 귀순하였다.[3] 다시 공손탁에게서 3만 명을 지원받아 고구려로 쳐들어갔지만 동생 계수에게 패하고 추격당하였다. 이 늙은 형을 해칠 수 있겠냐는 발기의 말에 계수는 형제의 정이 떠올라 도저히 해치지 못하고 “연우형이 나라를 넘겨주지 않은 것이 도리에 어긋난다 하여도 순간의 감정으로 자기 나라를 멸하는 것은 무슨 경우입니까. 죽은 후에 조상님을 어찌 뵈려고 하십니까.”라고 답하였다. 발기는 밀려오는 후회와 부끄러움을 이기지 못하고 배천(裴川)으로 달아나 자살하였다. 계수가 슬피 울며 시체를 거두어 두었다가 산상왕에게 청해 왕의 예로 배령(裴嶺)에 장사지냈다. 한자가 다른 발기[편집] 《삼국사기》에 한자가 다른 발기(拔奇)가 신대왕의 맏아들로 등장하여 건안 초에 동생 이이모에게 밀려나 왕이 되지 못하고 공손강에게 귀순했다는 기사가 있다. 이는 김부식 등이 《통전》의 기록을 고국천왕 1년(179년)조에 잘못 전사한 것이다. 두 발기가 다른 사람일 수도 있지만, 건안 연간은 196년에서 220년 사이라는 점, 공손씨 정권은 요동에 189년(중평 6년)부터 들어섰다는 점,[4] 《삼국지》에서 이이모는 산상왕을 가리킨다는 점, 고국천왕은 176년에 이미 태자로 책봉되어 후계 문제가 정리되었다는 점[5] 등 때문에 보통 두 발기를 동일인으로 보고 있다. 잘못 전사된 이유는 중국의 기록에서 고국천왕이 누락된 것을 《삼국사기》에 억지로 잇다가 발생한 듯하다. 가계[편집] 아버지 : 신대왕 형 : 고국천왕 본인 : 발기 아들 : 박위거(駮位居) - 아버지와 달리 고구려에 남아 고추가가 되었다. 동생 : 산상왕 동생 : 계수 각주[편집] ↑ 《삼국사기》 원문에는 셋째라고 하였으나 김부식 등이 두 발기를 다른 사람으로 혼동한 것이다. ↑ 《통전》186권 변방 제2 동이下 고구려에서는 소노가(消奴加) ↑ 《삼국지》30권 위서 제30 동이 고구려. 공손강은 오기이다. ↑ 《삼국지》8권 위서 제8 공손탁 ↑ 《삼국사기》16권 고구려본기 제4 신대왕 12년 참고 문헌[편집] 《삼국사기》16권 고구려본기 제4 산상왕 1년 이병도 역, 《삼국사기》, 을유문화사 vdeh삼국시대의 국왕을 제외한 주요 인물1 ~ 2세기고구려 괴유 호동 명림답부 을파소 백제 비류 신라 김알지 기타 공손탁 3 ~ 4세기고구려 밀우 유유 창조리 백제 왕인 목라근자 신라 석우로 기타 관구검 모용외 아도 5 ~ 6세기고구려 온달 백제 곤지 백가 신라 박제상 이차돈 이사부 사다함 거칠부 세종 기타 우륵 7세기고구려 을지문덕 연개소문 안시성주(양만춘) 연남생 검모잠 안승 백제 성충 계백 예식진 부여효 부여융 부여풍 복신 도침 흑치상지 신라 비담 알천 김유신 김인문 강수 원광 원효 기타 우중문 소정방 설인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고발기&oldid=21510932" 분류: 2세기 태어남197년 죽음고구려의 왕족자살한 왕족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6월 4일 (월) 22: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고발기(高發岐, ? ~ 197년)는 고구려 신대왕의 아들이고, 고국천왕의 바로 아랫동생이다. 동생 산상왕이 고국천왕의 사후 왕위 계승 서열을 무시하고 즉위하자 이에 반발하여, 후한의 요동태수 공손도의 도움을 받아 난을 일으켰으나 패하고 자살하였다. 한자가 다른 발기(拔奇)는 보통 동일인으로 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고발기의 생애는 어떠했는가? Assistant: 신대왕의 둘째 아들이다.[1] 197년 큰형 고국천왕이 죽었다. 왕후인 우씨(于氏)가 그 사실을 비밀로 한 채 밤중에 발기를 찾아와 ‘고국천왕이 후손이 없으니 발기가 왕을 잇는 것이 마땅하다’고 하였다. 고국천왕의 죽음을 몰랐던 발기는 당연히 이를 거부하고 부인이 어찌 밤중에 돌아다니냐고 호통쳤다. 우씨는 그대로 동생인 연우에게 가 왕의 죽음을 알리고는 함께 궁궐로 들어갔다. 다음 날 새벽 우씨가 선왕의 유명이라 둘러대며 연우를 왕으로 옹립하니 곧 산상왕이다. 발기가 이를 듣고 크게 노하여 군사를 동원해 왕궁을 포위하고 소리쳤다. “형이 죽으면 아우가 잇는 것이 예이다! 너는 차례를 뛰어넘어 왕위를 빼앗는 큰 죄를 저질렀다! 속히 나오거라! 그러지 않으면 처자를 죽이겠다!!” 사흘간 대치했으나 대세는 이미 기울어 연노가(涓奴加)[2]와 함께 하호 3만 명을 이끌고 요동의 공손탁에게 귀순하였다.[3] 다시 공손탁에게서 3만 명을 지원받아 고구려로 쳐들어갔지만 동생 계수에게 패하고 추격당하였다. 이 늙은 형을 해칠 수 있겠냐는 발기의 말에 계수는 형제의 정이 떠올라 도저히 해치지 못하고 “연우형이 나라를 넘겨주지 않은 것이 도리에 어긋난다 하여도 순간의 감정으로 자기 나라를 멸하는 것은 무슨 경우입니까. 죽은 후에 조상님을 어찌 뵈려고 하십니까.”라고 답하였다. 발기는 밀려오는 후회와 부끄러움을 이기지 못하고 배천(裴川)으로 달아나 자살하였다. 계수가 슬피 울며 시체를 거두어 두었다가 산상왕에게 청해 왕의 예로 배령(裴嶺)에 장사지냈다. Human: 아래 일본의_종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일본의 종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본의 종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1년 1월) 일본의 신사 일본의 종교(日本-宗敎, 일본어: 宗教, しゅうきょう 슈-쿄-[*])는 일본인들의 종교 문화 및 종교 생활을 통칭하는 말이다. 일본은 다수의 종교적 전통이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공존해왔기 때문에 종교 생활의 양상이 매우 다양하다. 때문에 일본인들은 종교 생활을 신앙 생활이 아닌 생활 관습으로 여긴다.[1] 일본 정부는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며, 국교를 인정하지 않는다.[2] 신토, 불교, 기독교를 비롯한 주요 종교들은 종교법인으로서 문부과학성 산하 문화청에 등록되어 있다.[2] 또 한 사람이 여러 개의 종교를 믿는 경우가 많으며, 신토나 불교, 기독교 등의 다른 종교들의 사상을 반영한 새로운 종교들이 매우 자주 발생하는데, 이러한 신흥 종교들은 기복 신앙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3] 목차 1 신토 2 불교 3 기독교 4 각주 5 참고 문헌 6 같이 보기 신토[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신토입니다. 신토 신앙 체계 가미 가구라 미소기 다신교 애니미즘 마츠리 신화 신토 사원(신사) 신사 목록 이치노미야 이십이사 근대 사격제도 신사본청 신사 건축 주요 신 아마테라스 오미카미 사루타히코 오카미 아메노 우즈메노 미코토 이나리 오미카미 이자나기노 미코토 이자나미노 미코토 다케하야 스사노오노 미코토 츠쿠요미노 미코토 주요 문헌 《고사기》 《일본서기》 《풍토기》 《육국사》 《속일본기》 《고어습유》 《신황정통기》 《구사기》 기타 참조사항 일본의 종교 신토 용어집 일본 신화의 신 목록 일본 신화의 신물 목록 일본의 불교 에도 성리학 고신토 국가신토 일본의 요괴 목록 v • d • e • h 신토 (일본어: 神道), 혹은 신도는 일본 지역에서 발생한 애니미즘 신앙을 바탕으로 한 토착 신앙이다. 초기에는 자연물과 자연 현상 등을 신처럼 섬겼으나, 점차 조상이나 스가와라노 미치자네, 죽은 천황 등의 실존 인물들 또한 신으로 모시기 시작했다.[4] "신토"라는 용어는 《일본서기》에 처음으로 등장하였는데, 처음에는 종교 의식이나 신, 신들을 모시는 장소인 신사(神社)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었다.[4] "신토"라는 용어가 현재와 같은 '일본 고유의 애니미즘 신앙'을 가리키게 된 건 12세기 이후의 일이다.[4] 에도 시대 이후 들어온 주자학 사상과 만나 교리가 체계적으로 정립되었으며, 메이지 시대 이후에는 국가의 주도로 신토의 교리를 학교에서 가르치기도 했다.[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GHQ의 민주화 정책에 따라 교리 교육은 폐지되었고, 현재의 신토는 지역의 신사를 중심으로 종교 행사를 치르는 신사 신토로 남아 있다.[4] 신토의 종교 시설인 신사는 신토 의식을 치르고 신께 소원을 비는 곳으로, 8만 5천곳 이상의 신사가 있다.[4] 불교[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일본의 불교입니다. 일본에 불교가 처음 들어온 시기는 백제 성왕 때인 538년경으로, 도장(道藏)이 불상과 경전을 가지고 일본으로 건너가 성실종을 세웠다.[5] 이후 혜총, 도림, 담혜, 혜미 등 백제의 승려들이 건너가 불교를 전파했으며, 쇼토쿠 태자의 불교 장려책으로 불교는 일본에서 하나의 종교로 위상을 굳혔다.[5] 나라 시대에는 각 율령국을 대표하는 절을 두는 고쿠분지 제도가 시행되기 시작했으며, 중국의 화엄종을 비롯한 6종파가 성행했다. 헤이안 시대에는 당나라 유학 승려 출신인 사이초와 구카이가 각각 천태종과 진언종을 성행시켰다. 이 때까지만 해도 불교는 귀족들을 중심으로 퍼졌으나, 가마쿠라 시대 이후 교세가 농민들 사이에서도 퍼져 센고쿠 시대에는 잇키를 주도하는 사찰도 생겼다.[5] 불교는 에도 시대 이후 정치적 밀착으로 비난의 대상이 되어 쇠락했다가, 메이지 유신 이후 승려들의 주도로 쇄신 운동을 벌였다.[5] 현재 일본의 절은 약 7만 5천곳에 이르며, 승려 수는 18만명이다.[5]신자수는 9000만명추정 일본불교 백과사전 참조. 기독교[편집] 일본에 기독교가 처음으로 들어온 것은 1549년으로, 가톨릭 수도사들이 모인 예수회의 프란치스코 하비에르가 규슈에 처음으로 들어와 선교 활동을 한 시점으로 보고 있다.[6] 기독교도의 수는 17세기 초에 75만명에 이르렀으나, 에도 막부의 탄압으로 외국인 선교사들은 모두 추방되고 기독교는 금지되었다.[6] 메이지 시대에 일본 정부가 미국, 유럽 각국과 교류하기 시작하면서 다시 선교사들이 들어왔다.[6] 현재 일본의 기독교 신자로는 가톨릭 신자가 약 95만명, 장로교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신교 신자가 약 43만명이다.[6] 각주[편집] ↑ 정형, 211쪽. ↑ 가 나 정형, 212쪽. ↑ 정형, 213쪽. ↑ 가 나 다 라 마 바 정형, 216쪽 ~ 218쪽. ↑ 가 나 다 라 마 정형, 218쪽 ~ 220쪽. ↑ 가 나 다 라 정형, 222쪽 ~ 223쪽. 참고 문헌[편집] 정형, 이이범 (2004년), 《일본 사회문화의 이해》, 보고사, ISBN 89-8433-191-0 같이 보기[편집] 국가신도 고쿠가쿠 일본의 불교 일본의 기독교 일본의 개신교 신불습합 신불분할 후미에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일본의 종교 vdeh 일본 둘러보기 일본 일본 개요 일본인 일본어 교육 국가 국기 언어 수도 문화 요리 문학 연극 축제 전통 음악 드라마 영화 만화 애니메이션 웹 애니메이션 예술 종교 공휴일 명절 세계유산 스포츠 대학 목록 지리 경제 교통 지방 행정 구역 역사 헌법 법 정치 정부 정당 대외 관계 행정기관 국가기관 선거 역대 내각 민족 문제 vdeh아시아의 종교독립국 네팔 대한민국 동티모르[* 1] 라오스 러시아[* 2] 레바논 말레이시아 몰디브 몽골 미얀마 바레인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스리랑카 시리아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아르메니아[* 3] 아제르바이잔[* 2] 아프가니스탄 예멘 오만 요르단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이란 이스라엘 이집트[* 4] 인도 인도네시아[* 5] 일본[* 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지아[* 2]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카자흐스탄[* 2] 카타르 캄보디아 쿠웨이트 키르기스스탄 키프로스[* 3] 타지키스탄 태국 터키[* 2]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필리핀 속령 마카오[* 6] 차고스 제도 [* 7] 티베트[* 8] 동튀르케스탄[* 8] 홍콩[* 6] 미승인 국가 아르차흐 공화국[* 3] 남오세티야[* 2] 북키프로스 압하지야[* 2] ↑ 오세아니아에 속하는 국가로 분류되는 경우도 있다.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일부 영토가 유럽에도 속한다. ↑ 가 나 다 지리적으로는 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문화적 이유로 종종 유럽으로 분류한다. ↑ 일부 영토가 아프리카에도 속한다. ↑ 가 나 일부 영토가 오세아니아에도 속한다. ↑ 가 나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역이다. ↑ 영국령 인도양 지역의 일부이다. ↑ 가 나 나라 목록 206개 국가에 포함되지 않는 나라이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일본의_종교&oldid=23743015" 분류: 일본의 종교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1년 1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বাংলাČeština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Françaisहिन्दी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मराठीBahasa Melayu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21일 (목) 03: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일본의 종교(日本-宗敎, 일본어: 宗教, しゅうきょう 슈-쿄-[*])는 일본인들의 종교 문화 및 종교 생활을 통칭하는 말이다. 일본은 다수의 종교적 전통이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공존해왔기 때문에 종교 생활의 양상이 매우 다양하다. 때문에 일본인들은 종교 생활을 신앙 생활이 아닌 생활 관습으로 여긴다.일본 정부는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며, 국교를 인정하지 않는다. 신토, 불교, 기독교를 비롯한 주요 종교들은 종교법인으로서 문부과학성 산하 문화청에 등록되어 있다. 또 한 사람이 여러 개의 종교를 믿는 경우가 많으며, 신토나 불교, 기독교 등의 다른 종교들의 사상을 반영한 새로운 종교들이 매우 자주 발생하는데, 이러한 신흥 종교들은 기복 신앙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일본에 불교가 어떻게 들어오게 되었을까? Assistant: 일본에 불교가 처음 들어온 시기는 백제 성왕 때인 538년경으로, 도장(道藏)이 불상과 경전을 가지고 일본으로 건너가 성실종을 세웠다.[5] 이후 혜총, 도림, 담혜, 혜미 등 백제의 승려들이 건너가 불교를 전파했으며, 쇼토쿠 태자의 불교 장려책으로 불교는 일본에서 하나의 종교로 위상을 굳혔다.[5] 나라 시대에는 각 율령국을 대표하는 절을 두는 고쿠분지 제도가 시행되기 시작했으며, 중국의 화엄종을 비롯한 6종파가 성행했다. 헤이안 시대에는 당나라 유학 승려 출신인 사이초와 구카이가 각각 천태종과 진언종을 성행시켰다. 이 때까지만 해도 불교는 귀족들을 중심으로 퍼졌으나, 가마쿠라 시대 이후 교세가 농민들 사이에서도 퍼져 센고쿠 시대에는 잇키를 주도하는 사찰도 생겼다.[5] 불교는 에도 시대 이후 정치적 밀착으로 비난의 대상이 되어 쇠락했다가, 메이지 유신 이후 승려들의 주도로 쇄신 운동을 벌였다.[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