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
stringlengths
3.39k
214k
Human: 아래 연희무쌍의_등장인물_목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연희무쌍의 등장인물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연희무쌍의 등장인물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음은 일본의 어덜트 게임 및 애니메이션인 《연희†무쌍 ~두근두근☆소녀 투성이의 삼국지연의~》의 등장인물 목록이다. 목차 1 연희무쌍 PC판 등장인물 1.1 주인공 1.2 혼고군(촉군) 1.3 위군 1.4 오군 1.5 동탁군 1.6 원소군 1.7 기타 연희무쌍 PC판 등장인물[편집] 주인공[편집] 혼고 카즈토(北郷 一刀 ほんごう かずと) 성우: 미즈시마 타카히로(드라마 CD) 연희†무쌍(PC) 및 진・연희†무쌍의 주인공. 애니메이션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성 프란체스카 학원에 다니는 평범한 남학생이다. 연희†무쌍(PC) 진·연희†무쌍(PC) 혼고군(촉군)[편집] 연희†무쌍(PC)에서는 혼고 카즈토 문단에서 설명했듯이 '촉'에 상당하는 세력이지만, '혼고군'이라고 불리고 있다. 혼고군은 유주를 거점으로 하고 있으며, 이 점에서도 '촉'은 아니지만, 공식사이트나 게임의 취급설명서에는 '촉의 무장'으로 표기되어 있고, 또한 작중 캐릭터의 대사에서도 '촉'이 나오는 등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진・연희†무쌍(PC)에서는 정식으로 '촉'이므로, 실제 역사에 가까운 상황에 되었다. 관우 성우: 모토야마 미나 / 쿠로카와 나미 / 동일인물 진명: 아이샤(愛紗 あいしゃ) 무기:'청룡언월도' 연희†무쌍(PC) 카즈토가 처음 만난 무장. 카즈토가 삼인조 노상강도에게 습격을 받았을 때 도와준 일을 계기로 알게 되었다. 진·연희†무쌍(PC) 연희†무쌍(애니메이션) 진·연희†무쌍(애니메이션 1기)~진·연희†무쌍 소녀대란(애니메이션 2기) 장비 성우: 세리조노 미야 / 니시자와 히로카 / 동일인물 진명: 린린(鈴々 りんりん) 무기: 사모(蛇矛) 연희†무쌍(PC) 진·연희†무쌍(PC) 진·연희†무쌍(애니메이션 1기)~진·연희†무쌍 소녀대란(애니메이션 2기) 제갈량 성우: 쿠스노키 스즈네 / 나루미 애리카 / 동일인물 진명: 슈리(朱里 しゅり) 무기: 없음 연희†무쌍(PC) 이야기 초반부터 혼고군에 참가한 천재 군사(軍師). 진·연희†무쌍(PC) 연희†무쌍(애니메이션) 진·연희†무쌍(애니메이션 1기)~진·연희†무쌍 소녀대란(애니메이션 2기) 조운 성우: 노가미 나나 / 모토이 에미 / 동일 인물 진명: 세이(星 せい) 무기: 직도창 '용의 이빨' 연희†무쌍(PC) 아이샤, 린린에 필적하는 용장으로서, 타국에서도 '신창(神槍)'이라 칭송받을 정도 섹스... 진·연희†무쌍(PC) 연희†무쌍(애니메이션) 진·연희†무쌍(애니메이션 1기)~진·연희†무쌍 소녀대란(애니메이션 2기) 위군[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오군[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동탁군[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원소군[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기타[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연희무쌍의_등장인물_목록&oldid=22793296" 분류: 비디오 게임 등장인물 목록일본의 애니메이션 등장인물 목록만화 등장인물 목록라이트 노벨 등장인물 목록숨은 분류: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Italiano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15일 (월) 03:0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다음은 일본의 어덜트 게임 및 애니메이션인 《연희†무쌍 ~두근두근☆소녀 투성이의 삼국지연의~》의 등장인물 목록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PC판 연희무쌍에서 관우가 사용하는 무기는 무엇일까? Assistant: 청룡언월도 Human: 아래 대한민국의_지상파_디지털_텔레비전_방송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 관하여 서술하고 있다. 목차 1 개요 1.1 시스템 1.2 주파수 2 디지털 전환이 불러오는 변화 3 도입 경위 4 전송방식 대립 5 개시 시기 6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종료 7 주파수 재배치 7.1 주파수 재배치에 대한 논란 8 한국지상파디지털방송추진협회(DTV KOREA) 9 같이 보기 10 각주 11 외부 링크 개요[편집] 대한민국에서는 2001년 11월 수도권에서 먼저 지상파 디지털 방송을 시작했으며 현재 대한민국의 모든 지상파 TV 방송사들이 전국에서 디지털 방송 중이다. 2012년 12월 31일에는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이 완전히 종료되었고 완전한 디지털 TV방송 시대를 맞이하였다. 시스템[편집] 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방송은 ATSC시스템을 표준으로 채택하여, 8VSB방식을 사용한다. 주파수[편집] UHF대역 470 MHz~806 MHz(미국식 채널 14번 ~ 69번채널)를 2012년까지 사용하며, 2013년 6월~10월경에 주파수 재배치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는 470 MHz~698 MHz(미국식 채널 14번 ~ 51번)까지 사용할 계획이다. 디지털 전환이 불러오는 변화[편집] 고화질의 방송 난시청해소의 확대 아날로그방식에서는 같은채널로 동일한 방송을 송출할 수 없었지만 디지털방식에서는 동일채널중계(DOCR), 분산중계등의 기술 발전으로 일부 중계국에서 같은채널로 동일한 방송의 송출이 가능해져서 가용채널이 조금 더 늘어나기 때문에 난시청해소에 필요한 주파수를 조금 더 확보할 수 있다. 전력 소모 감소 디지털방송은 아날로그방송에 비해 1/5 ~ 1/10가량의 출력밖에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전력 소모를 감소함으로써 많은 이득이 생긴다. 도입 경위[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전송방식 대립[편집] 이 목록은 아직 미완성입니다. 여러분이 편집하여 채워 주세요. 표준방식이 확정되기 이전에, 표준방식을 ATSC방식이냐 DVB-T방식이냐를 놓고 첨예하게 대립하였다. ATSC방식은 기존에 사용하던 방송 표준인 NTSC와의 높은 호환성을 지니고 있어 손쉽게 전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DVB-T방식은 한 방송에 전국 단일 채널을 할당할 수 있는 방식이다. 개시 시기[편집] 각 시기별로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개국한 방송국들은 다음과 같다. 년도 방송사 비고 2001년 한국방송공사(서울), 한국교육방송공사, 문화방송, SBS 2002년 광주방송 2003년 대전방송, KBS광주방송총국, TBC (구 TBC 대구방송), 울산방송, KNN 부산경남방송(구 PSB 부산방송), 경인방송[1] 2004년 KBS대전방송총국, 광주문화방송, KBS대구방송총국, 대구문화방송, KBS부산방송총국, 부산문화방송, KBS울산방송국,울산문화방송, KBS창원방송총국, KBS제주방송총국 2005년 KBS춘천방송총국, KBS원주방송국, 원주문화방송, MBC강원영동 강릉방송국(구 강릉MBC), MBC강원영동 삼척방송국(구 삼척MBC), G1(구 GTB 강원민방),KBS청주방송총국, MBC충북 청주방송국(구 청주MBC), MBC충북 충주방송국(구 충주MBC), 청주방송, KBS전주방송총국, 전주문화방송, 전주방송,KBS목포방송국, 목포문화방송, 여수문화방송, 안동문화방송, 포항문화방송, MBC경남 창원방송(구 마산MBC, 창원MBC)제주문화방송, 제주국제자유도시방송(이하 JIBS) 2006년 KBS강릉방송국, KBS충주방송국, KBS순천방송국, KBS진주방송국, KBS안동방송국, MBC경남 진주방송(구 진주MBC) 2007년 OBS경인TV 개국과 동시에디지털TV방송 실시 2010년 KBS경인방송센터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종료[편집]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도입 초기부터 2012년까지 해왔던 병행체제를 끝내고 완전한 디지털 텔레비전방송체제로 가기 위해, 대한민국의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방송은 지역마다 순차적으로 종료하여 최종적으로 2012년 12월 31일 오전 4시에 종료되었다. 원래 계획은 일괄종료였으나, 현재도 남북 대치 상황 이다보니 북한주민들을 위해서 KBS1 텔레비전은 아날로그 방식으로 대북송출은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한꺼번에 수많은 민원이 닥칠 것을 대비하여 지역별로 순차적종료를 실시하였다. 이는 안테나로 전파를 직접 수신하는 지상파 TV방송이기 때문에, 케이블 · 위성 방송 · IPTV로 시청하는 경우나 아파트 관리자 측에서 공청시설을 통해 자체적으로 디지털 방송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줄 경우는 해당 내용과 전혀 관련이 없다. 대한민국의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방송 송출 종료 일정은 다음과 같다. (한국교육방송공사의 송출은 한국방송공사가 전담하므로 다음 표에서는 한국방송공사에 포함시킨다.) 일시 종료대상 송출시설 및 방송국 지역 비고 2010년 9월 1일 오후 2시 KBS포항방송국, 포항문화방송, TBC(구 TBC 대구방송) 경상북도 울진군 시범지역 온정, 울진 2010년 10월 6일 오후 2시 KBS목포방송국, 목포문화방송, 광주방송 전라남도 강진군 군동, 한학, 도암 2010년 11월 3일 오후 2시 KBS충주방송국, MBC충북 충주방송국(구 충주MBC), 청주방송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 신단양, 매포, 영춘 2011년 6월 29일 오후 2시 KBS제주방송총국, 제주문화방송, 제주국제자유도시방송 제주특별자치도 견월악, 애월, 금악, 삼매봉 2012년 8월 16일 오후 2시 KBS울산방송국, 울산문화방송, 울산방송 울산광역시 순차종료 무룡산, 미포, 은월, 문수산, 덕신, 언양, 웅상 2012년 9월 24일 오후 2시 MBC충북 청주방송국(구 청주MBC), 청주방송, MBC충북 충주방송국(구 충주MBC) 충청북도 (단양군 제외), 세종특별자치시 일부 지역 우암산, 금적산, 가엽산, 용두산 포함 15개소 2012년 10월 2일 오후 2시 KBS청주방송총국, KBS충주방송국 충청북도 (단양군 제외), 세종특별자치시 일부 지역 우암산, 식장산, 금적산, 가엽산, 용두산 포함 30개소 2012년 10월 4일 오후 2시 KBS창원방송총국, KBS진주방송국,MBC경남 진주방송(구 진주MBC), MBC경남 창원방송(구 마산MBC, 창원MBC), KNN 부산경남방송(구 PSB 부산방송) 경상남도 불모산, 망진산, 금오산, 감악산 포함 42개소 2012년 10월 9일 오후 2시 KBS부산방송총국, 부산문화방송, KNN 부산경남방송(구 PSB 부산방송) 부산광역시 영도, 황령산, 양산, 기장 포함 13개소 2012년 10월 16일 오후 2시 KBS대전방송총국, 대전문화방송, 대전방송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식장산, 계룡산, 옥마산, 흑성산, 원효봉 포함 28개소 2012년 10월 23일 오후 2시 KBS전주방송총국, 전주문화방송, 전주방송 전라북도 모악산, 노고단, 교룡산 포함 40개소 2012년 10월 25일 오후 2시 KBS춘천방송총국, KBS원주방송국, KBS강릉방송국,춘천문화방송, 원주문화방송, MBC강원영동 강릉방송국(구 강릉MBC),MBC강원영동 삼척방송국(구 삼척MBC), G1(구 GTB 강원민방) 강원도 화악산, 백운산, 괘방산, 초록봉, 함백산 포함 54개소 2012년 10월 30일 오후 2시 KBS광주방송총국, KBS목포방송국, KBS순천방송국,광주문화방송, 목포문화방송, 여수문화방송, 광주방송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강진군 제외) 무등산, 노고단, 양을산, 구봉산, 망운산 포함 56개소 2012년 11월 6일 오후 2시 KBS대구방송총국, KBS안동방송국, KBS포항방송국,대구문화방송, 안동문화방송, 포항문화방송, TBC(구 TBC 대구방송)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울진군 제외) 팔공산, 구미, 학가산, 일월산, 조항산 포함 40개소 2012년 12월 31일 오전 4시 한국방송공사(서울), KBS경인방송센터,문화방송, SBS, OBS경인TV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남산, 관악산, 감악산, 용문산, 계양산 포함 38개소 주파수 재배치[편집] 대한민국의 방송통신위원회(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기존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용 주파수 영역(470 MHz~806 MHz)에서 일부를 비워서 이동통신용으로 할당하기 위해,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채널을 재배치하였다. 채널 재배치를 하면 470 MHz~698 MHz, 14번부터 51번까지의 채널을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용으로 할당하게 된다. CH 2 ~ CH 6(54 ~ 88 MHz) CH 7 ~ CH 13(174 ~ 216 MHz) CH 14 ~ CH 51(470 MHz ~ 698 MHz) CH 52 ~ CH 60(698 ~ 752 MHz) CH 61 ~ CH 69(752 ~ 806 MHz) 재배치 전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NTSC) 지상파DMB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ATSC) 재배치 후 지상파DMB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ATSC) UHDTV 5개 채널 + PS+LTE + LTE Up/Downlink 아울러 주파수 재배치 계획에 따른 채널 재배치 일정은 다음과 같다. 한국교육방송공사의 송출은 한국방송공사가 위탁 송출하며, 채널변경 대상이라면 모든지역에서 다 변경되므로 목록에서 제외한다. 일시 방송국 지역 비고 2013년6월 12일 KBS전주, KBS광주, KBS목포, KBS순천, 전주문화방송, 전주방송, 광주문화방송, 목포문화방송, 여수문화방송, 광주방송 전북, 광주, 전남 112개소 中 91개소 2013년7월 17일 KBS대구, KBS안동, KBS포항, KBS부산, KBS울산, KBS창원, KBS진주, 대구문화방송, 안동문화방송, 포항문화방송, TBC(구 TBC 대구방송), 부산문화방송, 울산문화방송, MBC경남 창원방송(구 마산MBC, 창원MBC), MBC경남 진주방송(구 진주MBC), KNN 부산경남방송, 울산방송 대구, 경북,부산, 울산, 경남 101개소 中 85개소 2013년10월 16일 한국방송공사(서울), KBS경인, KBS춘천, KBS원주, KBS강릉, KBS대전, KBS청주, KBS충주, 문화방송, SBS, OBS경인TV, 춘천문화방송, 원주문화방송, MBC강원영동 강릉방송국(구 강릉MBC), MBC강원영동 삼척방송국(구 삼척MBC), G1(구 GTB 강원민방), 대전문화방송, MBC충북 청주방송국(구 청주MBC), MBC충북 충주방송국(구 충주MBC), 대전방송, 청주방송 서울, 인천, 경기, 강원,대전, 세종, 충남, 충북 남산, 감악산, 광교산태기산, 가엽산KBS-2TV 제외 151개소 中 134개소 2013년10월 30일 한국방송공사(서울), KBS경인, KBS원주, KBS충주 남산, 감악산, 광교산태기산, 가엽산KBS-2TV 5개소 주파수 재배치에 대한 논란[편집] 2013년 시행되는 주파수배치로 인하여 방송용 채널은 기존 59개 채널(임시대역 61~69번 제외)에서 38개로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기존 방송 대역 중 700 MHz 이상의 주파수 대역(52번 이상)을 이동통신 용도로 사용할 계획이다. 하지만 이 계획을 그대로 사용할 시에는 문제점이 있어, 방송사들과 기술인들은 해당 계획의 수정을 요구하고 있다. 유럽, 대만 등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채택한 DVB나 일본의 ISDB방식의 경우는 단일 주파수 방송망(SFN) 구성이 가능하여 적은 주파수를 가지고도 채널배치를 쉽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이 채택한 ATSC방식은 SFN 구성이 불가능하여 각 중계소마다 다른 주파수를 사용해야 한다.[2] 같은 ATSC방식을 사용하는 미국이 대한민국과 비슷하게 2~51번 대역을 DTV로 사용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는 지형이 비교적 평탄하여 중심지의 대출력 송신소들 만으로도 대부분을 커버할 수 있는 반면, 대한민국은 미국의 국토보다 97배나 작지만 산악 지형이 많고 따라서 음영 지역도 많아 송신시설을 더 촘촘하게 세워야 한다는 것이다. ATSC 방식은 단일 주파수 방송망 구성이 불가능하고, VHF대역을 사용하는 미국과 달리 대한민국에서는 VHF대역을 사용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오히려 국토면적이 넓은 미국보다 훨씬 더 많은 채널이 필요하게 된다.[3] 수도권 지역을 예로 들 경우, 관악산과 남산에 5채널, 감악산·계양산·광교산·용문산에 6채널씩 모두 각각 다른 주파수로 배치하여야 하고 또 1 kW 미만의 보조국들의 채널들까지도 고려해야 하는데 이미 38개가 훌쩍 넘어버린다. 거기에다 인접지역 송출시설인 화악산·태기산·백운산·가엽산·흑성산·원효봉과의 전파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주파수까지 고려해야 한다. 이로 파악할 때 방송통신위원회가 제시한 주파수 영역으로는 부족하다는 결론이 나온다.[2][4] 방송통신위원회에서는 DTV 채널 재배치안을 구성해놓은 상태이다. 하지만 이는 실제 계획되어있는 출력보다 더 낮은 출력으로 시뮬레이션한 것이기 때문에 시뮬레이션 결과는 엉터리이다.[4] 송신소 실제 출력 시뮬레이션 출력 남산(서울) 5 kW → 1 kW 감악산(경기) 2 kW → 1 kW 계양산 1 kW → 100W 광교산 1 kW → 100W 방통위의 배치안을 사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지역에서 동일채널간 전파간섭이 발생하고, 혼선이 심하면 방송자체를 시청할 수가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5][6][7] 방송국 채널 출력 지역 전파간섭관계도 KBS1감악산 20 2 kW 감악산↔백련산(응암)감악산↔정릉(성북)감악산↔운중감악산↔광주 KBS1백련산 90W KBS1정릉 50W KBS1운중 5W KBS1광주 20W OBS감악산 21 2 kW MBC응암 90W MBC성북 50W MBC운중 5W SBS광주 20W KBS1남산 22 5 kW 남산↔동두천남산↔포천남산↔양서 SBS동두천 20W EBS포천 20W SBS양서 20W KBS2감악산 24 2 kW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양주시 백석읍 등 감악산↔용문산 EBS용문산 1 kW OBS광교산 25 2.5 kW 광교산↔광명 OBS광명 20W KBS1용문산 26 1 kW 용문산↔파평(파주)용문산↔광암용문산↔소흘용문산↔불광용문산↔만월용문산↔안산 KBS1파평 90W KBS1광암 5W KBS1소흘 5W KBS1불광 90W KBS1만월 20W OBS안산 10W MBC용문산 27 1 kW MBC파주 90W MBC광암 5W MBC소흘 5W MBC불광 90W MBC만월 20W SBS안산 10W KBS2용문산 28 1 kW KBS2파평 90W KBS2광암 5W KBS2소흘 5W KBS2불광 90W KBS2만월 20W KBS2안산 10W SBS용문산 29 1 kW SBS파평 90W SBS광암 5W SBS소흘 5W SBS불광 90W SBS만월 20W MBC안산 10W OBS용문산 30 1 kW OBS파평 90W EBS광암 5W EBS소흘 5W EBS불광 90W EBS만월 20W EBS안산 10W SBS광교산 31 1 kW 광교산↔파평광교산↔광명 EBS파평 90W SBS광명 20W SBS감악산 34 2 kW 감악산↔백련산감악산↔정릉감악산↔운중감악산↔광주 SBS백련산 90W EBS정릉 50W EBS운중 5W EBS광주 20W EBS이동 20W SBS남산 44 5 kW 남산↔동두천남산↔포천남산↔양서남산↔백운산남산↔흑성산 MBC포천 20W KBS1양서 20W KBS1백운산 1 kW KBS1흑성산 1 kW KBS2남산 45 5 kW KBS1포천 20W KBS2양서 20W KBS2백운산 1 kW TJB흑성산 1 kW EBS남산 46 5 kW SBS포천 20W EBS양서 20W 원주MBC백운산 1 kW 대전MBC흑성산 1 kW MBC남산 50 5 kW MBC동두천 20W OBS포천 20W MBC양서 20W G1백운산 1 kW KBS2흑성산 1 kW ↑ DTV 확정채널배치안 중 일부 또한 아직도 많이 존재하는 난시청지역의 난시청 해소를 위하여 더 많은 간이중계시설이 필요한 상태인데, 주파수 영역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신규중계소는 물론 기존의 중계시설까지 디지털방송으로 전환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8] 그리고 앞으로 실시될 3DTV와 UHDTV 등 차세대 디지털방송의 방송 및 시험방송등을 위해서도 주파수가 더 필요한 실정이어서 방송통신위원회의 주파수 재배치 정책이 큰 문제를 낳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지상파디지털방송추진협회(DTV KOREA)[편집] 사단법인 한국지상파디지털방송추진협회DTV KOREA 창립 2008년 10월 30일 국가 대한민국 본사 소재지 대한민국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동로 233(목동 923-5) 한국방송회관 14층 웹사이트 https://web.archive.org/web/20150826075434/http://www.dtvkorea.org/ 사단법인 한국지상파디지털방송추진협회(DTV KOREA)는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으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해 대한민국의 지상파방송사들이 새롭게 출범한 협회로, 2008년 10월 창립되었다. 지상파 디지털 TV방송의 홍보와 직접수신환경 개선사업, 콜센터 운영 등 대한민국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시청자를 지원하는 등의 역할을 하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디지털 텔레비전 ATSC 각주[편집] ↑ 경영상 문제 등 재허가 추천 거부로 인하여 2004년 12월에 폐국되었다. ↑ 가 나 “WRC-12와 방송의 미래”. 방송과 기술. 2012년 7월 31일.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남아도는 주파수 팝니다? 방통위의 3가지 거짓말 - “주파수 없는 디지털 전환 의미 없어… 난시청 해소 위해 추가 채널 필요””. 미디어오늘. 2011년 5월 19일.  ↑ 가 나 “방통위 주파수 혼신분석 시뮬레이션은 '엉터리'”. 미디어스. 2012년 1월 19일.  ↑ “TV시청지역 '펑크'내는 방통위 'DTV 채널재배치' 정책”. 미디어스. 2012년 4월 30일.  ↑ “방통위, 디지털 TV채널 배치 ‘막무가내’”. PD저널. 2012년 1월 30일.  ↑ ““헉, TV가 안 나와요” 블랙아웃 대재앙 우려”. 미디어오늘. 2012년 2월 28일.  ↑ “700MHz 주파수 활용 방향” (PDF). 한국방송학회. 2011년 12월 15일.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편집] 디지털마당 방송통신위원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한민국의_지상파_디지털_텔레비전_방송&oldid=23211907" 분류: 디지털 텔레비전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2월 7일 (금) 16: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본 문서는 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 관하여 서술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한국 지상파 아날로그 tv방송은 어떤 순서로 종료 했을까? Assistant: 일시 종료대상 송출시설 및 방송국 지역 비고 2010년 9월 1일 오후 2시 KBS포항방송국, 포항문화방송, TBC(구 TBC 대구방송) 경상북도 울진군 시범지역 온정, 울진 2010년 10월 6일 오후 2시 KBS목포방송국, 목포문화방송, 광주방송 전라남도 강진군 군동, 한학, 도암 2010년 11월 3일 오후 2시 KBS충주방송국, MBC충북 충주방송국(구 충주MBC), 청주방송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 신단양, 매포, 영춘 2011년 6월 29일 오후 2시 KBS제주방송총국, 제주문화방송, 제주국제자유도시방송 제주특별자치도 견월악, 애월, 금악, 삼매봉 2012년 8월 16일 오후 2시 KBS울산방송국, 울산문화방송, 울산방송 울산광역시 순차종료 무룡산, 미포, 은월, 문수산, 덕신, 언양, 웅상 2012년 9월 24일 오후 2시 MBC충북 청주방송국(구 청주MBC), 청주방송, MBC충북 충주방송국(구 충주MBC) 충청북도 (단양군 제외), 세종특별자치시 일부 지역 우암산, 금적산, 가엽산, 용두산 포함 15개소 2012년 10월 2일 오후 2시 KBS청주방송총국, KBS충주방송국 충청북도 (단양군 제외), 세종특별자치시 일부 지역 우암산, 식장산, 금적산, 가엽산, 용두산 포함 30개소 2012년 10월 4일 오후 2시 KBS창원방송총국, KBS진주방송국,MBC경남 진주방송(구 진주MBC), MBC경남 창원방송(구 마산MBC, 창원MBC), KNN 부산경남방송(구 PSB 부산방송) 경상남도 불모산, 망진산, 금오산, 감악산 포함 42개소 2012년 10월 9일 오후 2시 KBS부산방송총국, 부산문화방송, KNN 부산경남방송(구 PSB 부산방송) 부산광역시 영도, 황령산, 양산, 기장 포함 13개소 2012년 10월 16일 오후 2시 KBS대전방송총국, 대전문화방송, 대전방송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식장산, 계룡산, 옥마산, 흑성산, 원효봉 포함 28개소 2012년 10월 23일 오후 2시 KBS전주방송총국, 전주문화방송, 전주방송 전라북도 모악산, 노고단, 교룡산 포함 40개소 2012년 10월 25일 오후 2시 KBS춘천방송총국, KBS원주방송국, KBS강릉방송국,춘천문화방송, 원주문화방송, MBC강원영동 강릉방송국(구 강릉MBC),MBC강원영동 삼척방송국(구 삼척MBC), G1(구 GTB 강원민방) 강원도 화악산, 백운산, 괘방산, 초록봉, 함백산 포함 54개소 2012년 10월 30일 오후 2시 KBS광주방송총국, KBS목포방송국, KBS순천방송국,광주문화방송, 목포문화방송, 여수문화방송, 광주방송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강진군 제외) 무등산, 노고단, 양을산, 구봉산, 망운산 포함 56개소 2012년 11월 6일 오후 2시 KBS대구방송총국, KBS안동방송국, KBS포항방송국,대구문화방송, 안동문화방송, 포항문화방송, TBC(구 TBC 대구방송)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울진군 제외) 팔공산, 구미, 학가산, 일월산, 조항산 포함 40개소 2012년 12월 31일 오전 4시 한국방송공사(서울), KBS경인방송센터,문화방송, SBS, OBS경인TV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남산, 관악산, 감악산, 용문산, 계양산 포함 38개소
Human: 아래 김선명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선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선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선명(金善明, 1925년 2월 20일 ~ 2011년 1월 15일)은 1995년 광복절 특별사면으로 대전교도소에서 석방될 때 까지 45년동안 0.75평 독방에서 비전향 장기수 신분으로 구속되었던 사람이다. 목차 1 생애 2 예술작품 3 같이 보기 4 참고자료 생애[편집]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에서 7남매 중에서 둘째로 태어났다. 만석꾼인 김선명의 집안은 경제상 여유가 있었으나 양반과 상민의 차별을 보면서 자신이 사는 세상이 평등이 없는 사회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양평에서 보통학교에 입학했으나 혹독하게 구는 일본인 교장이 싫어 15살에 학교를 그만두고 서울로 가서 노동자가 되었다. 10대 중반인 1941년에는 집안이 경성부로 이사했다. 태평양 전쟁으로 농촌 지역에서 공출이 심해지면서 가산을 정리해 이사했으나 곧 가산이 탕진되면서 김선명은 교육받을 기회를 잃었다. 이후 태평양 전쟁 시기를 영등포에 소재한 공장에서 노동하면서 보냈다. 1945년 8월 15일에 일본 제국이 무조건항복을 선언하면서 출옥한 좌익 계열 운동가인 우봉수에게 지도받아 좌익 운동에 투신한 김선명은 미군정 하에서 공장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영등포특별자위대를 조직해 활동하였다. 서울에서 한국 전쟁을 맞고서 조선인민군에 입대해 참전했다. 9.28 수복때 월북하여 의용군으로 있다가 1951년 10월 15일에 조선인민군 정찰대원으로 철원군에서 정찰하는 도중에 유엔군의 포로가 되었다. 영등포 포로집결소를 거쳐 서울고등군법회의 재판에서 징역 15년형의 확정판결을 받았으나 1953년 4월 대구형무소로 이감된 뒤 다시 "인민군 정찰대가 아니고 간첩부대인 526군부대에서 남파됐다"는 혐의로 간첩죄가 추가되어 사형이 선고되고 무기징역형으로 감형되어 복역하였다. 1995년 광복절 특별사면 대전교도소에서 출소할 때까지 45년간 감옥에 있었다. 구금기간 동안 1994년 5월 박계동 의원과의 면회 등 5명과의 7회의 짧은 면담만 허락했을 뿐 0.75평 독방에서 수감된 김선명에 대해 1993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세계인권대회에서 초장기 구금사실이 보고되면서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졌고 이 기록은 세계 최장기수 기록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올라 있다. 옥살이 중 전향을 권유받았으나 전향하지 않았다. 다른 비전향 장기수들이 대개 휴전 후 공작원으로 남파되었는데 김선명은 전쟁 중 잡힌 군인이라는 점에서 리인모와 유사한 형편이었다. 김선명은 자신이 조선인민군 제31사단 정찰부대 소속이었다고 밝혔으나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526군부대라는 간첩 부대 소속이었기 때문에 간첩죄가 적용되어 전쟁포로가 아니라고 주장하여 양측이 주장한 바가 엇갈린다. 한편, 김선명이 조선인민군에 입대한 사이 아버지와 누이 두 명은 보복 살해되었고 다른 형제들은 연좌제로 고통받아 김선명과 연락을 끊었다. 비전향 장기수 가운데 드물게 총각이었던 김선명은 북조선으로 송환되고서 혼인하여 평양에서 산다. 예술작품[편집] 2000년 6·15 남북 공동선언에 의거한 송환 대상 비전향 장기수로 선정되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갔다. 자신의 신념을 지키고자 저항한 양심수인 김선명을 주인공으로 대한민국에서는 다큐멘터리 《송환》과 극영화 《선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내삶이 닻을 내린 곳》이라는 장편영화와 〈신념과 의리를 지킨 45년〉이라는 단편영화가 만들어졌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소설 《조국의 아들》도시 김선명의 생을 다룬 작품이다. 고 문익환 목사는 1993년에 김선명을 주제로 한 〈43년 김선명 할아버지께 바치는 시〉를 발표했다. 다음은 문익환 목사의 시 중 일부이다. 얼마나 긴 세월이었습니까 김선명 총각 할아버지 43년이나 당신을 가둬둔 조국 얼마나 부끄러운 역사입니까 (중략) 김선명 총각 할아버지 끝도 안 보이는 당신의 그 기다림은 무엇이었습니까 43년은 얼마나 긴 싸움이었습니까 몽둥이 찜질이야 기절해버리면 그만일 테지만 온몸 바늘로 찔러대는 쓰림과 싸우며 버텨내신 그 신념은 도대체 무엇입니까 (후략) 같이 보기[편집] 송환 선택 참고자료[편집] 김선명 외 6인 (2000년 8월 1일). 〈김선명 - 총각할아버지의 소망〉. 《0.75평 지상에서 가장 작은 내방 하나》. 서울: 창. ISBN 897453074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선명&oldid=23127197" 분류: 1925년 태어남2011년 죽음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송환된 비전향 장기수양평군 출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2월 1일 (토) 21: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선명(金善明, 1925년 2월 20일 ~ 2011년 1월 15일)은 1995년 광복절 특별사면으로 대전교도소에서 석방될 때까지 45년동안 0.75평 독방에서 비전향 장기수 신분으로 구속되었던 사람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선명이 태어난 곳은 어디야? Assistant: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Human: 아래 캐럴라인_루커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캐럴라인 루커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캐럴라인 루커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캐럴라인 루커스Caroline Lucas 영국의 잉글랜드 웨일스 녹색당 대표 임기 2008년 9월 5일 ~ 2012년 9월 5일 전임 직책 신설 후임 내털리 베넷 영국의 잉글랜드 웨일스 녹색당 주의장 임기 2007년 11월 30일 ~ 2008년 9월 5일 전임 샨 베리 후임 직책 폐지 임기 2003년 ~ 2006년 11월 24일 전임 마거릿 라이트 후임 샨 베리 영국의 브라이턴파빌리언 선거구 국회의원 임기 2010년 5월 6일 ~ 전임 데이비드 래퍼 영국의 사우스이스트잉글랜드 선거구유럽 의회 의원 임기 1999년 6월 14일 ~ 2010년 5월 6일 전임 선거구 신설 후임 케이스 테일러 신상정보 출생일 1960년 12월 9일(1960-12-09) (58세) 출생지 잉글랜드 우스터셔주 맬번 학력 엑서터 대학교캔자스 대학교 정당 영국 녹색당 (1986 ~ 1990)잉글랜드 웨일스 녹색당 (1990 ~) 배우자 리처드 새비지 (Richard Savage) 웹사이트 공식 홈페이지 캐럴라인 퍼트리샤 루커스 (Caroline Patricia Lucas, 1960년 12월 9일 ~ )는 영국의 정치가이자 잉글랜드 웨일스 녹색당의 당원이다. 2010년 처음으로 녹색당 소속 의원으로 당선되었고, 지금까지 브라이턴퍼빌리언 선거구의 국회의원 (MP)을 맡고 있다. 2015년 총선에서는 보다 늘어난 득표차로 재선에 성공했다. 우스터셔주 맬번에서 태어난 루커스는 엑서터 대학교와 캔자스 대학교를 졸업한 뒤 1989년 엑서터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6년부터 녹색당에 가입해 다양한 당내 역할을 맡았고, 1993년부터 1997년까지 옥스퍼드셔 주의회에도 진출했다. 1999년 사우스이스트잉글랜드 선거구에서 유럽 의회 의원 (MEP)로 당선됐고 2004년, 2009년에 다시 재선했다.[1][2] 또한 2003년 ~ 2006년, 2007년 ~ 2008년에는 당내 여성 주의장 (Principal Speaker)직을 맡기도 했다. 루커스는 2008년 녹색당의 첫번째 대표가 되었고 2010년 총선에서 브라이턴파빌리언 선거구 대표 의원으로 당선되었다. 2012년에는 의회 직무에 더 많은 시간을 쏟고 재선 성공에 주력하기 위해 녹색당 대표직을 내려놓았다. 2015년 총선에서 루커스는 여전히 원내에서 유일한 당 의원으로 남긴 했으나, 녹색당 사상 가장 큰 득표율로 재선했다. 루커스는 녹색 경제, 지역화, 세계화의 대안, 무역 공정, 동물 복지, 먹거리와 관련된 운동을 벌이고 글을 집필한 것으로 유명하다. 더불어 정치인과 운동가로 지냈던 시간 동안 루커스는 RSPCA, 핵군축캠페인, 옥스팜을 비롯한 수많은 NGO 및 싱크탱크와 함께 활동했다. 목차 1 어린 시절과 학업 2 초기 정치 경력 3 녹색당의 유럽 의회 의원 및 영국 의회 후보자 4 역대 선거 결과 5 각주 6 외부 링크 어린 시절과 학업[편집] 캐럴라인 루커스는 잉글랜드 우스터셔주의 맬번에서 보수 성향의 중산층[3] 부모님이었던 피터 루커스와 밸러리 루커스의 딸로 태어났다.[4] 아버지는 조그만 중앙난방 회사를 운영하고 있었다.[5] 루커스는 그레이트맬번에 있는 독립학교였던 맬번 여자고등학교 (2006년 맬번 세인트 제임스 고등학교으로 변경)에서 공부했다. 그런 뒤 엑서터 대학교에 들어가 영문학과에서 최우수 문학사를 받고 1983년 졸업했다.[3][6] 대학에 다니는 동안 루커스는 핵군축캠페인에 참여하여 그리넘 커먼 우먼스 피스 캠프와 몰즈워스 피스 캠프에 여러 번 여행을 갔다. 루커스는 핵군축캠페인의 운동가였고, 영국 내 미 공군기지에 반대하는 눈뭉치 운동에 참가했었다.[7] 1983년에서 1984년 사이 루커스는 캔자스 대학교에서 장학금을 받았고, 1987년에는 저널리즘 학위과정을 수행했다.[7] 그런 뒤 1989년에는 엑서터 대학교에서 《여성을 위한 글쓰기: 엘리자베스 시대 공상 소설에서 독자로서의 여성에 관한 연구》 (Writing for Women: a study of woman as reader in Elizabethan romance)[8] 라는 표제의 학위 논문으로 엘리자베스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7] 졸업 후에는 옥스팜의 홍보 부서관으로 일했다.[7] 초기 정치 경력[편집] 1986년 대학원생이던 루커스는 영국 녹색당에 가입하여 당내 전국 홍보 부서관 (1987 ~ 89), 공동의장 (1989 ~ 90) 직을 맡으며 시간을 보냈다.[7] 녹색당은 1990년에 세 정당으로 원만히 분당되었고, 루커스는 잉글랜드 웨일스 녹색당에 가입하여 총선 연설자 (1991 ~ 92), 당 소속 지역의회 의원 (1997 ~ 99)을 맡았다.[7] 루커스의 첫 당선 경험은 1993년 옥스퍼드셔 주의회에서 영국 내 녹색당의 두번째 지방의회 의원으로 당선된 것이었다. 루커스는 1997년에 물러날 때까지 그 자리를 지켰다.[9] 녹색당의 유럽 의회 의원 및 영국 의회 후보자[편집] 루커스는 비례대표제가 처음으로 시행되는 첫해의 선거였던 1999년 유럽 총선에서 사우스이스트잉글랜드 선거구의 유럽 의회 의원으로 첫 당선되었다. 같은 해 녹색당은 7.4% (110,571표)의 득표율을 차지했다. 루커스는 2004년 총선에서 173,351표 (득표율 8%)를 얻어 재선했고, 2009년 총선에서 다시 한번 재선했다. 정당명부제가 시행된 이 선거에서 녹색당의 득표수는 271,506표 (득표율 11.6%)로 증가했다[10] 루커스는 유럽 의회 내에서 무역산업에너지연구위원회, 환경공중보건소비자정책위원회,[9] 국제무역위원회, 기후변화임시위원회의 위원을 맡았다.[8] 더불어 루커스는 동물 복지 인터그룹 부회장, 평화 문제와 소비자 사건에 관한 인터그룹들의 일원, ACP (아프리카, 캐러비안, 대서양) 담당 의회 대표단 임원,[9] 팔레스티나 입법회와의 관계 대표단 임원을 맡았었거나 맡고 있다.[8] 그녀는 위원회 활동 중 일부로 항공운수가 환경에 끼치는 영향에 관한 의회 통신위원회 조사위원 (제도사), 의회 구제역조사위원회의 부회장으로 활동하기도 했다.[9] 2003년부터 2006년까지, 2007년부터 2008년까지는 여성 주의장직을 맡았다.[8] 2005년 총선이 치러질 때 브라이턴패빌리언 선거구에서는 출마한 전 녹색당 주요 연설자인 케이스 테일러 녹색당 후보에 22%의 득표율로 가장 많은 표를 주었다. 2007년 루커스는 차기 총선에서 브라이턴패빌리언 선거구의 차후 국회의원 후보자로 녹색당 후보지명에 출마할 것을 선언했다. 루커스는 당원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자신이 당내 선발 투표에서 10% 이상의 득표율로 승리한다면 내부 분열을 피하기 위해 자신만 출마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루커스는 이런 행동이 "나 스스로 그리고 가족과의 약속"은 물론 "내가 크게 감탄하고 존경하는 한 사람이자 정치인인 케이스 타일러에 대한 충성과 약속" 때문에 "일생에서 가장 어려운 결정"이었다고 묘사했다.[11] 2007년 7월 18일에는 루커스가 브라이턴 지역구의 녹색당 후보로 당선되었다고 발표됐다. 당내 투표에서 케이스 타일러의 45% 득표율에 비해 루커스는 55%의 득표율로 승리했다.[2] 2009년 옥스퍼드에서 그린 뉴 딜에 관해 강연하는 캐럴라인 루커스 2008년 7월, 루커스는 재정·에너지·환경 분야 전문가 연합인 그린 뉴 딜 그룹에 가입했다. 그린 뉴 딜은 환경에너지 투자 계획을 제안하고, 금융부문에 더 큰 규정을 세우며, 환경주의 단체, 산업계, 농업계, 노동조합 간의 관계를 강화시킨다. 그린 뉴 딜의 제안은 불황과 기후변화, 에너지 가격 상승 우려에 대응하여 제기됐으며 세가지 모두와 맞붙도록 하는 통합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한다.[12]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1999년 유럽 선거 유럽의원 (사우스이스트잉글랜드 선거구) 5대 잉글랜드 웨일스 녹색당 7.4% 110,571표 비례대표 1번 2004년 유럽 선거 유럽의원 (사우스이스트잉글랜드 선거구) 6대 잉글랜드 웨일스 녹색당 7.9% 173,351표 비례대표 1번 2009년 유럽 선거 유럽의원 (사우스이스트잉글랜드 선거구) 7대 잉글랜드 웨일스 녹색당 11.6% 271,506표 비례대표 1번 2010년 선거 하원의원 (브라이튼퍼빌리언 선거구) 55대 녹색당 31.33% 16,238표 1위 2015년 선거 하원의원 (브라이튼퍼빌리언 선거구) 56대 녹색당 41.83% 22,871표 1위 2017년 선거 하원의원 (브라이튼퍼빌리언 선거구) 57대 녹색당 52.25% 30,149표 1위 각주[편집] ↑ Harris, John (2010년 2월 8일). “Could Brighton Pavilion elect Britain's first Green MP?”. 《The Guardian》 (런던). 2010년 4월 28일에 확인함.  ↑ 가 나 Greens Pick MEP Lucas to Run for MP, 《Brighton Argus》, 2007년 7월 18일 ↑ 가 나 “Caroline Lucas: the Green in beige who could be Nick Clegg's nemesis”. 런던. 2010년 9월 3일 – The Daily Telegraph 경유.  ↑ "Lucas, Dr Caroline", Who's Who 2014, A & C Black, an imprint of Bloomsbury Publishing plc, 2014; online edn,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 online edn, 2014년 9월. 2015년 5월 9일 확인. ↑ “Green Shift”. Thirdwaymagazine.co.uk. 2005년 2월 4일. 2010년 5월 7일에 확인함.  ↑ Assinder, Nick (2005년 4월 1일). “Interview: Caroline Lucas” – BBC News 경유.  ↑ 가 나 다 라 마 바 Teri Pengilley (2013년 10월 14일). “Where are they now? The students who went on to become national politicians Caroline Lucas”. The Guardian. 2015년 5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Dr. Caroline Lucas MEP - 유럽 의회. ↑ 가 나 다 라 “Dr Caroline Lucas MEP”. Greenparty.org.uk. 2010년 5월 6일. 2013년 8월 19일에 확인함.  ↑ “South East European Election Result” – BBC News 경유.  ↑ "Greens battle to be the first MP", The Argus, Brighton, 2007년 6월 14일 ↑ “UK needs a 'Green New Deal'”. 2008년 7월 20일. 2009년 1월 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캐럴라인 루커스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64286269 LCCN: nb90474643 ISNI: 0000 0001 1499 9597 GND: 173725031 BIBSYS: 9058091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캐럴라인_루커스&oldid=24300938" 분류: 1960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엑서터 대학교 동문캔자스 대학교 동문영국의 제55대 하원 의원영국의 제56대 하원 의원영국의 제57대 하원 의원잉글랜드의 환경 운동가잉글랜드의 사회주의자영국의 유럽 의회 의원숨은 분류: 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CymraegDeutschEnglishEsperantoSuomiFrançaisMagyarItalianoLatinaMalagasyOccitanPolskiRomânăSimple EnglishSvenska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8일 (화) 16: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캐럴라인 퍼트리샤 루커스 (Caroline Patricia Lucas, 1960년 12월 9일 ~ )는 영국의 정치가이자 잉글랜드 웨일스 녹색당의 당원이다. 2010년 처음으로 녹색당 소속 의원으로 당선되었고, 지금까지 브라이턴퍼빌리언 선거구의 국회의원 (MP)을 맡고 있다. 2015년 총선에서는 보다 늘어난 득표차로 재선에 성공했다. 우스터셔주 맬번에서 태어난 루커스는 엑서터 대학교와 캔자스 대학교를 졸업한 뒤 1989년 엑서터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6년부터 녹색당에 가입해 다양한 당내 역할을 맡았고, 1993년부터 1997년까지 옥스퍼드셔 주의회에도 진출했다. 1999년 사우스이스트잉글랜드 선거구에서 유럽 의회 의원 (MEP)로 당선됐고 2004년, 2009년에 다시 재선했다. 또한 2003년 ~ 2006년, 2007년 ~ 2008년에는 당내 여성 주의장 (Principal Speaker)직을 맡기도 했다. 루커스는 2008년 녹색당의 첫번째 대표가 되었고 2010년 총선에서 브라이턴파빌리언 선거구 대표 의원으로 당선되었다. 2012년에는 의회 직무에 더 많은 시간을 쏟고 재선 성공에 주력하기 위해 녹색당 대표직을 내려놓았다. 2015년 총선에서 루커스는 여전히 원내에서 유일한 당 의원으로 남긴 했으나, 녹색당 사상 가장 큰 득표율로 재선했다. 루커스는 녹색 경제, 지역화, 세계화의 대안, 무역 공정, 동물 복지, 먹거리와 관련된 운동을 벌이고 글을 집필한 것으로 유명하다. 더불어 정치인과 운동가로 지냈던 시간 동안 루커스는 RSPCA, 핵군축캠페인, 옥스팜을 비롯한 수많은 NGO 및 싱크탱크와 함께 활동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유럽총선에서 녹생당이 차지한 득표율은? Assistant: 7.4%
Human: 아래 6호_전차_B형_티거2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6호 전차 B형 티거2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6호 전차 B형 티거2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6호전차 티거 2 설명 박물관의 6호전차(Sd.Kfz. 182) 종류 중전차 개발국가 나치 독일 개발사 Henschel & Son 배치년도 1944년 ~ 1945년 역사 개발년도 1943년 생산기간 1943년 ~ 1945년 사용국가 나치 독일 사용된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개량형 야크트티거 생산 대수 487대 일반 제원 승무원 5명 (지휘관, 포수, 장전수, 조종수, 통신병) 길이 7.61 m (대포까지 10.286 m) 높이 3.09 m 폭 3.755 m 중량 68.5 t (초기) ~ 70 t (양산) 공격력 주무장 8.8 cm KwK 43 L/71 1문 84발 주포개발사 크루프(Krupp) 사용 포탄 철갑탄,고폭탄 장전 방식 수동장전 부무장 7.92 mm Machinengewehr 34 탄약수 4,800발 기동력 엔진 V-12 Maybach HL 230 P30 700 PS 마력 690 마력, 515 kW 출력/중량 10 PS/t 현가장치 Maybach OLVAR EG 40 12 16 B 노상 속도 41.5 km/h 야지 속도 24~27km 기동 가능 거리 170 km 변속 전진 8단, 후진 4단 방어력 전면 장갑 하부 100mm 40°, 상부 150mm 40° 측면 장갑 하부 80mm 90°, 상부 80mm 65° 상부 장갑 40mm 90° 장갑 방식 균질 압연 장갑 전자전 불가 티거 2(Tiger II)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나치 독일 중전차 6호 전차 B형의 일반 명칭이다. 독일군의 공식 명칭은 Panzerkampfwagen(판저캄프바겐) VI Ausführung B, PzKpfw VI Ausf.B이며, 또한, 제작 명칭인 '존더크라프트파르조이크(Sonderkraftfahrzeug) 182, SdKfz.182'도 있다. 이 전차는 "쾨니히스티거(Königstiger)"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는데,[1] 독일어 König는 영어의 King에 해당되어 영어로 '킹 타이거(King Tiger)', 또는 '로얄 타이거'로 불리기도 한다. 박물관의 6호전차 티거2와 사용 포탄 티거 2는 티거 1의 뒤를 이은 중전차 이다. 그 이름은 동부전선에서 명성을 날린 티거를 본땄으나 기계적인 설계는 새로운 설계를 했다. 티거 1의 경우에는 이미 설계가 끝난 상황에서 러시아의 T-34전차를 대적하게 되어 경사장갑의 효과를 알게 된 후에도 수직의 장갑으로 생산 할 수 밖에 없었지만, 티거 2는 적군인 소련의 T-34 를 본받아 만든 5호 전차 판터(Panther) 전차처럼 피탄에 유리한 경사장갑을 채택하였다. 티거 2는 68.5(초기 포탑) ~ 70톤의 육박하는 무게였고, 150 ~ 180 mm 의 전면 장갑으로 보호되었다. 56구경장 88mm 대공포를 개수해서 탑재한 티거 1과는 달리 티거 2는 Pak 43을 전차포로 개수한 88 mm KwK 43 L/71 포로 무장하여 더욱더 강력한 파괴력을 과시하였다. 매우 육중한 장갑과 강력한 장거리 대포는 티거 2에 적군 전차에 대한 비교 우위의 강점을 제공했다. 특히 대항할 만한 중전차를 많이 보유하지 못한 서부 전선의 영국군과 미군은 티거에 대해 약점을 드러냈다. 티거 2는 연합군과 소련 전차에 잘 대응하였다. 방어에 있어서, M4 셔먼은 정면에서도 정면 장갑을 관통하지 못하였고, M26 퍼싱과 IS-2는 각각 500 m 와 200 m 이내로 접근해야 했다.하지만 접근 하기도 전에 다 격추 됐다[2] IS-2의 200mm 관통력은 킹타이거를 상대하기엔 초근거리가 아닌이상 격파하기가 쉽지않았고 킹타이거의 정면 경사장갑을 제외한 정면의 포탑 장갑도 170~185 정도의 수직 장갑이었기때문에 차고가 낮은 IS-2는 상대가 불가능했다, 후반부의 독일은 대부분 5호전차 판터나 티거 1 을 사용하였기때문에 격파에 큰 지장이 없었다. 티거 2는 그 크기와 선전 가치로 널리 알려졌다. 목차 1 개발 2 전투 기록 3 각주 4 외부 링크 개발[편집] 처음에는 두 개의 설계가 준비되었다. 하나는 헨셸, 또 하나는 포르셰의 것이다. 양 측은 크루프가 설계한 포탑을 사용하였으나, 다른 점은 차체의 설계와 변속장치, 완충장치에 있었다. 헨셸의 안은 판저 탱크의 설계를 닮은 비스듬한 장갑의 전통적인 차체 설계를 채택하였다. 이 안은 엔진이 후방에 탑재되었고, 표준 형식으로 끼워진 로드휠이 가로빔의 토션바에 티거와 같은 형식으로 설치되어 있었다. 어쨌든 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휠은 티거 1에서보다는 끼워지기보다는 겹쳐졌다. 포르셰 차쳬 설계는 포탑이 뒷쪽에 탑재되었고, 엔진이 중간에 설치되었다. 완충장치는 엘레판트와 같았다. 이 완충장치는 양쪽에 6개의 로드휠이, 한 쌍의 바퀴에 통합된 짧은 종축 토션바와 함께 나온 짝을 이룬 구동 후륜에 양쪽으로 설치되어 있었다. 이러한 설계는 내부 공간을 절약하였고, 수리가 용이했다. 포르셰안은 하이브리드 동력 시스템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가솔린 엔진이 발전기에 동력을 공급하고 발전기는 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전기 모터에 전기를 공급하는 형식이다. 이러한 추진방식은 이전에 페르디난드형과 미국의 일부 설계에서 시도된 적이 있었지만, 생산에 옮겨지지는 않았다. 포르셰의 현가장치는 후에 소수의 야크트티거 구축전차에 사용되었다. 1944년 노르망디의 503 중전차대대의 티거 2는 초기의 소위 '포르셰' 포탑을 갖고 있었다. 헨셸이 계약을 성사시켰고, 모든 티거 2는 헨셸에 의해 제작되었다. 두 개의 포탑 설계가 차량 제작에 사용되었다. 초기의 설계는 이따금 '포르셰 포탑'으로 잘못 불리는데, 이는 그 원형이 포르셰에 의해 설계되었다는 믿음 때문이다. 실제 그 포탑은 두 가지 유형 모두 크루프의 초기 설계였다. 이 포탑은 둥근 앞면과 가파르게 경사진 측면, 지휘자의 전망대의 편의를 위한 만들기 어려운 둥근 부분이 있었다. 그러나 특유의 둥근형태때문에 샷트랩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도출된다. 50개의 초기 포탑은 헨셸의 차쳬에 탑재되었고, 실전에 사용되었다. '헨셸' 포탑이라 불리는 더 흔한 "양산" 포탑은, 평평한 면에 양옆은 덜 가파르고 지휘자의 전망대를 위한 튀어나온 부분도 없었다. 티거 2 차체에 사용된 궤도 시스템은 특이했는데, 여기에는 교차하는 "컨택트 슈"와 "커넥터" 연결을 사용한다. 컨택트 슈 연결은 한 쌍의 가로 놓인 금속 막대가 땅과 접촉하고, 커넥터 연결은 땅에 닿지 않았다. 티거 2는 전쟁 후기에 개발되어 상대적으로 적은 수가 제작되었다. 다른 독일 전차와 마찬가지로, 이 전차는 가솔린 엔진을 사용하였다. 어쨌든, 동일한 엔진이 판터와 티거 1 전차에 동력을 공급하였고, 티거 2는 동력이 불충분하여, 다른 제2차 세계 대전의 여러 중전차처럼 많은 양의 연료를 소비하는데, 시기상 이미 연료 공급이 충분하지 않았다. 작전 중인 티거 2 전차 전투 기록[편집] 티거 2 전차가 최초로 쓰인 것은 1944년 7월 18일의 노르망디 전투였고, 운용 부대는 503 중전차대대(Schwere Panzerabteilung 503)였다. 동부전선에서 처음 쓰인 것은 1944년 8월 12일 501 중전차대대(sPzAbt 501)에서였으며, 소련의 비스툴라 강의 바바노프 교두보 전투에 투입되었다. 후에 티거 2는 특히 아르덴 반격과 1945년 소련의 폴란드와 동프러시아 공세, 독일의 헝가리 공세, 1945년 4월의 베를린 동부의 젤로브(Seelow) 고지, 마지막으로 베를린에서 등장하였다. 티거 2 전차는 티거 1 보다 더 엄청난 장갑과 판터(5호 전차)의 장갑 원리를 이용한 뛰어난 방어력, 그리고 티거 1 에 못지 않는 속도를 갖춘 전차이고, 1대가 13~20대 정도의 적 전차에 맞설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으나 수가 너무 적고 제때에 연료 보급, 탄환 보급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전선으로 이동 중에는 미국과 영국공군의 공습으로 대부분이 파괴되기 일쑤였다. 셔먼을 보유한 4 근위용기병연대와 7 근위용기병연대는 자신들이 1944년 9월 8일 영국군 중에서는 처음으로 티거 2를 격파했다고 주장하였다. 히틀러가 벙커에서 자살후 소련군이 잔인한 복수를 계획하고 독일로 다가오고 있었다. 하지만 나머지 쾨니히스 티거 5대 중 2대가 길목에 자리를 잡고 있었다. 오직 2대의 티거로 소련군에 진격을 막아낸 최후의 티거 전차 각주[편집] ↑ 독일어로 벵골호랑이를 의미함 ↑ http://mailer.fsu.edu/~akirk/tanks/UnitedStates/mediumtanks/MediumTanks.html Archived 2006년 9월 7일 - 웨이백 머신 United States Medium tanks (미군 중전차: 하단부 주포의 성능 비교표 참조)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6호 전차 B형 티거2 Information about the Pz.Kpfw.Tiger Ausf.B "Tiger II" at Panzerworld Tiger II Ausf. B at Achtung Panzer! tehn. Data / AFV La Gleize Museum's Tiger II vdeh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국방군 기갑차량 목록 전차 1호 전차 2호 전차 3호 전차 4호 전차 5호 전차 판터 6호 전차 티거 1 티거2 35(t) 전차 38(t) 전차 자주포 베스페 훔멜 105mm leFH18(Sf) LrS 150mm 자주포13/1 (Sf) LrS 판처베르퍼 부르프라멘 40 자주구포 카를 돌격포 3호 돌격포 4호 돌격포 42형 돌격포 4호 돌격전차 6호 돌격전차 대전차자주포 1호 대전차자주포 나스호른 구축전차 마르더 1, 마르더 2, 마르더 3 헤처 4호 구축전차 야크트판터 엘레판트 야크트티거 장갑차 Sd.Kfz.2 4 6 7 8 9 10 11 250 251 252 253 254 Sdkfz 221/22/23 Sdkfz 231/32/33/34/63 Sd.Kfz. 247 ADGZ 자주대공포 4호 대공전차 뫼벨바겐 비르벨빈트 오스트빈트 쿠겔블리츠 38(t) 대공전차 폭파철거차량 골리아트 슈프링거 4호 보르크바르트 시제차량 8호 전차 마우스 E시리즈 전차 판터2 호이슈레케 10 노이바우파르조이크 설계 제안 7호 전차 뢰베 9호 전차 10호 전차 P-1000 라테 P-1500 몬스터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의 기갑차량 생산량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6호_전차_B형_티거2&oldid=24369888" 분류: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전차중전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Lëtzebuergesch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3일 (월) 18:1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티거 2(독일어: Panzerkampfwagen VI Ausführung B) 또는 대중적으로 쾨니히스티거(독일어: Königstiger) 혹은 킹 타이거(King Tiger)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나치 독일의 중전차 6호 전차 B형의 일반 명칭이다. 또다른 이름으론 티거 2의 제작 명칭인 '존더크라프트파르조이크(Sonderkraftfahrzeug) 182, Sd.Kfz. 182'도 존재한다. 티거 2는 티거 1의 뒤를 이은 중전차이다. 티거 2의 그 이름은 동부전선에서 소련의 T-34와 미합중국의 셔먼 전차를 격파하면서 명성을 날린 티거 1을 본땄으나 기계적인 설계는 새로운 설계를 했다. 티거 1의 경우에는 이미 설계가 끝난 상황에서 소련의 T-34 전차를 대적하게 되어 경사장갑의 효과를 알게 된 후에도 수직의 장갑으로 생산 할 수 밖에 없었지만, 티거 2는 적군인 소련의 T-34를 본받아 만든 5호 전차 판터(Panther) 전차처럼 피탄에 유리한 경사장갑을 채택하였다. 티거 2는 68.5(초기 포탑) ~ 70톤에 육박하는 무게였고, 150 ~ 180 mm의 전면 장갑으로 보호되었다. 56구경장 8.8 cm 대공포를 개수해서 탑재한 티거 1과는 달리 티거 2는 PaK 43을 전차포로 개수한 71구경장 8.8 cm KwK 43 L/71포로 무장하여 더욱더 강력한 파괴력을 과시하였다. 킹타이거는 매우 육중한 장갑과 강력한 장거리 대포는 티거 2에 적군 전차에 대한 비교 우위의 강점을 제공했다. 특히 대항할 만한 중전차를 많이 보유하지 못한 서부 전선의 영국군과 미군은 티거에 대해 약점을 드러냈다. 티거 2는 연합군과 소련 전차에 잘 대응하였다. 방어에 있어서, M4 셔먼은 정면에서 티거 2의 정면 장갑을 전혀 관통하지 못하였고, 미국의 M26 퍼싱과 소련의 IS-2 등의 중전차가 티거 2를 노리기 위해서는 각각 500 m 와 200 m 이내로 접근해야 했다. 하지만 접근 하기도 전에 다 격파 됐다. 그때 당시에는 독일이 방어 입장이었고, 미국과 소련이 공격의 입장이었으므로 독일은 대공세를 하는 일이 거의 없고, 풀숲 같은 곳에 숨어있다가 다가오는 연합군 전차들을 저격하는 방식의 전술을 사용해 접근부터가 거의 불가능했다. IS-2의 200 mm 관통력은 티거 2를 상대하기엔 초근거리가 아닌 이상 격파하기가 쉽지 않았고 티거 2의 정면 경사장갑을 제외한 정면의 포탑 장갑도 185 mm 정도의 수직 장갑이었기 때문에 차고가 낮은 IS-2가 상대하기는 불가능했지만, 후반부의 나치 독일군은 대부분 5호 전차 판터나 6호 전차 티거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상대가 가능했다. 공식 이름은 Panzerkampfwagen VI Ausführung B Tiger II가 맞지만 쾨니히스티거(왕 호랑이)라는 이름이 더 널리 알려지게 되었는데 공식명칭은 병기국에서 정하지만 전쟁성이 이하 별명으로 불렀기 때문에 이를 감청하던 연합국도 공식명칭이 쾨니히스티거인 줄 알았다고 전해진다. 티거 2는 그 크기와 선전 가치로 널리 알려졌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노르망디 중전차대대소속의 티거2가 포르셰 포탑을 갖고있던 연도는? Assistant: 1944년 Human: 아래 신태용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신태용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태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신태용 2010년 사진개인 정보로마자 표기 Shin Tae-Yong출생일 1970년 10월 11일(1970-10-11) (48세)출생지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원전리키 174cm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청소년 클럽 기록1989-1993 영남대학교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1992-20042005합계 성남 일화 천마 퀸즐랜드 로어 FC 296 0(99)001 00(0)297 0(99)국가대표팀 기록‡1986-198719881991-19921992-1997 대한민국 U-17 대한민국 U-20대한민국 U-23대한민국 004 00(2)00? 00(2)019 00(4)023 00(3)지도자 기록2005-200820092010-201220142014-20162015-20162016-20172017-2018 퀸즐랜드 로어 FC (코치) 성남 일화 천마 (대행) 성남 일화 천마 대한민국 (대행) 대한민국 (코치) 대한민국 U-23대한민국 U-20대한민국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06년 1월 1일 기준이다.‡ 국가대표팀의 출장수와 골은 2006년 1월 1일 기준이다. 신태용(申台龍, 1970년 10월 11일 -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및 현 지도자이다. 목차 1 개요 2 클럽 경력 3 국가대표팀 경력 4 지도자 경력 5 해설가 경력 6 경력 통계 6.1 클럽 기록 6.2 국가대표팀 득점 6.3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감독 전적 7 경력 목록 7.1 클럽 경력 7.2 국가대표팀 경력 7.3 지도자 경력 8 수상 내역 8.1 선수 8.2 감독 8.3 코치 9 참고 자료 10 각주 11 외부 링크 개요[편집] 경상북도 영덕군 출생으로 영해초등학교,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대구공업고등학교, 영남대학교, 경기대학교 대학원(석·박사)을 졸업하였다. 미드필드에서 공수를 능수능란하게 조율하며 '꾀돌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감각적이고 지능적인 플레이로 패스할 때와 드리블 할 때를 확실히 구분하여 '그라운드의 여우'라는 별명을 얻기도 하였다. 현역시절 포지션은 MF(미드필더)였고 주로 중앙의 공격적인 위치에서 활약했다. 클럽 경력[편집] 1992년 성남 FC에 입단해 프로 생활을 시작하여, 그 해 K리그 신인상을 받게 되었다. 성남 FC에서 2004년까지 몸담은 원 클럽 맨으로, 1993년부터 1995년, 2001년부터 2003년 2번에 걸친 성남 FC의 K리그 3연패와 1996년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에 큰 공헌을 하였다. 특히, 1996년 K리그 득점왕에 올랐으며, 1995년과 2001년에 K리그 MVP를 차지하여,[1] K-리그 MVP를 2번 차지한 첫 번째 선수가 되었다.(이동국은 2009년과 2011년에 MVP를 수상하여 두 번째 2회 수상자가 되었다.) 1995년 10월 7일 전북 현대 모터스와의 경기에서 K-리그 통산 11번째로 20-20클럽에 가입하였고, 1998년 6월 6일 포항 스틸러스와의 홈 경기에서 K리그 통산 7번째로 30-30클럽에 가입하였으며, 2000년 9월 3일 제주 유나이티드와의 원정 경기에서 K-리그 통산 3번째로 40-40클럽에 가입하였고, 2001년 10월 13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의 홈 경기에서 K-리그 통산 2번째로 50-50클럽에 가입하였으며, 2003년 6월 15일 울산 현대와의 홈 경기에서 K-리그 역대 최초로 60-60클럽에 가입하였다.[2] 2002년 9월 1일 전북 현대 모터스와의 K리그 원정 경기에서 1어시스트를 기록하며 K리그와 K-리그 컵대회 합산 통산 54어시스트로 개인 통산 최다 도움 타이를 기록하였고, 10월 30일 대전 시티즌과의 K-리그 원정 경기에서 1어시스트를 기록하며 K리그와 K리그 컵대회 합산 통산 55어시스트로 개인 통산 최다 도움 신기록을 세웠으며,[3] 2004년 11월 10일 대전 시티즌과의 K-리그 원정 경기에서 1어시스트를 기록하며 당시 K리그와 K-리그 컵대회 합산 개인 통산 최다 도움 기록을 68어시스트로 늘렸다. 2004년 4월 3일 광주 상무 불사조와의 K리그 원정 경기에 출전하여 K리그와 K-리그 컵대회 합산 통산 326경기 출장으로 개인 통산 최다 출장 타이를 기록하였고, 4월 10일 대전 시티즌과의 K리그 탄천 홈 경기에 출전하여K리그와 K-리그 컵대회 합산 통산 327경기 출장으로 개인 통산 최다 출장 신기록을 세웠다.[4] 11월 10일 대전 시티즌과의 K리그 22라운드 경기에서 K리그 사상 최초로 프로 통산 400경기 출장 기록을 세웠고,[5] 2004년 11월 13일 광주 상무 불사조와의 K리그 홈 경기에 출전하여 K리그와 K리그 컵대회 합산 개인 통산 최다 출장 기록을 401경기로 늘렸다. (신태용의 개인 통산 최다 출장 기록은 2006년 5월 17일 김병지에 의해 경신된다.) 하지만 많은 나이와 높은 연봉으로 인하여 2004 시즌 이후 재계약에 실패하여 K리그 무대에서 은퇴하게 되었고,[6] 2005년 3월 오스트레일리아 A-리그의 퀸즐랜드 로어 FC로 이적하였다.[7] 하지만 발목 부상으로 인하여 단 1경기에만 출장한 후 2005년 10월 6일 선수 생활을 은퇴하였다.[8][9] 국가대표팀 경력[편집] 1986년 12월에 U-16 대표팀에 발탁되면서 국가대표팀 유니폼을 처음 입게 되었고, 1987년에 열린 1987년 FIFA U-16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코트디부아르, 미국과의 경기에서 각각 한 골씩 넣으며 팀의 8강 진출에 기여하여 대표팀 엘리트 코스의 스타트를 화려하게 끊었다. 그 후 U-20 대표팀을 거쳐 1991년에는 처음으로 연령 제한이 생긴 올림픽 축구 대표팀에 선발되어, 인도네시아와의 평가전에서 2골, 필리핀과의 1차 예선에서 1골, 오스트레일리아와의 평가전에서 1골을 기록하였다. 1992년 하계 올림픽에서 본선 3경기에 모두 출전하였지만, 대표팀은 3무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였다. 1992년 10월 21일 UAE와의 친선 경기에서 A매치에 데뷔하였으나, K리그에서의 활약에 비해 국가대표팀과의 인연은 많지 않았고, A매치 23경기에서 3골을 넣었다. 지도자 경력[편집] 2004년 은퇴 후, 퀸즐랜드 로어 FC에서 코치로 활동하였다. 2008년 12월 1일 김학범 감독의 후임으로 친정 팀 성남 FC의 감독 대행으로 첫 감독직을 수행하게 되었다.[10] 2009 K-리그에서 시즌 초반 좋지 않은 모습을 보이며 팬들의 걱정을 샀지만 리그 후반기에는 좋은 성적을 거두며 성남을 K리그에 4위에 안착시켰다. 이후 상위 6개 구단이 진출하는 플레이오프격인 K리그 챔피언십에서 인천 유나이티드 FC와 전남 드래곤즈, 포항 스틸러스를 연이어 격파하며 정규 리그를 1위로 마친 전북 현대 모터스와 챔피언 결정전에서 격돌하게 되었다. 홈에서 벌어진 챔피언 결정전 1차전에선 0-0으로 무승부를 거뒀으나 원정에서 치러진 2차전에서는 1:3의 스코어로 완패를 당해 성남의 우승은 좌절되었다. 이 때 출장 정지로 벤치에 앉을 수 없게 된 경기가 아님에도 관중석으로 올라가 무전기를 통해 선수들을 지휘해서 좋은 성적을 거둔 이른바 '무전기 매직'이 화제가 되었다. 2010년 2월 성남 FC의 감독 대행에서 정식 감독으로 승격되었다. 시즌 초 예산 감축으로 2009 시즌보다 팀의 여건이 더 안 좋아진 상황에서 AFC 챔피언스리그와 리그를 병행해야 하는 것에 대한 우려의 시각이 많았으나 AFC 챔피언스리그 조별 예선을 1위로 통과하고 리그에서도 꾸준한 상위권의 성적을 내어 주변의 우려를 불식시켰다. AFC 챔피언스리그 16강과 8강, 4강에서 각각 감바 오사카, 수원 삼성 블루윙즈, 알샤바브를 꺾고 팀을 결승전에 진출시켰으며, 3명의 주전 선수가 결장한 결승전에서 조브 아한 FC를 3-1로 누르고 우승을 차지하였다. 신태용 감독은 아시아에서는 최초로 선수-감독으로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린 기록을 세우게 되었다. 2011년에는 리그에선 상위권이 아니었으나, FA컵에서 숙적 수원 삼성 블루윙스를 꺾고 팀에 2번째 FA컵을 안겼다. 2012년 주요 선수가 다른 팀으로 간 상태에서 대신 받아온 선수들이 팀에 적응하지 못하며 내내 마찰이 있었다. 12월 8일 2012 시즌을 리그 12위로 마감한 성남은 신태용 감독의 사임을 공식 발표하였다.[11] 하지만 박규남 단장의 사표 제출 지시에 따른 타의에 의한 사임이었기 때문에 사실상 경질된 것이라고 보는 시각이 많다.[12] 2014년 8월 18일 베네수엘라 대표팀과 우루과이 대표팀과의 A매치 평가전을 앞두고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을 이끌 코치이자 사실상의 감독대행으로 발탁되었다.[13] 지도자로서 A매치 데뷔전이기도한 베네수엘라 전에서는 전방부터 압박해 들어가는 공격적인 전술로 3 대 1 승리라는 값진 성과를 올렸다.[14] 이후 대표팀의 새로운 외국인 감독으로 울리 슈틸리케 감독이 선임되면서 신태용은 정식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코치로 확정되었다.[15] 이광종 감독이 지병으로 하차하고 최문식 코치가 감독대행직을 수행하고 있었던 대한민국 올림픽대표팀 감독에 2015년 2월 5일자로 부임했다. 임기는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까지다.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 조 1위로 8강에 진출했으나, 8강전에서 온두라스에 패배하여 2회 연속 메달 획득에는 실패하였다. 그 이후로 안익수 감독의 후임으로 20세 이하 청소년 대표팀에 감독직에 취임하였다. 자국에서 열린 2017년 FIFA U-20 월드컵에서 조 2위로 16강에 진출했지만 16강전에서 포르투갈에게 패배하였다. 2017년 7월 4일 울리 슈틸리케의 후임으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8월 31일 서울월드컵경기장 이란전서 데뷔전을 가졌다. 이 경기에서 대한민국은 0:0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그리고 9월 5일, 우즈베키스탄과의 최종예선 최종전에서 0 : 0으로 비겨 총 4승 3무 3패(승점 15점)으로 조 2위를 차지해 간신히 2018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에 성공하였다. 대한민국은 2018년 FIFA 월드컵에서 전 대회 우승국인 독일과 북중미의 강호 멕시코 그리고 지역예선에서 네덜란드와 이탈리아를 탈락시키고 올라온 돌풍의 팀 스웨덴과 함께 F조에 속했다. 신태용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은 1차전에서 스웨덴에 0 : 1로 무기력하게 패배하였고 2차전에서 멕시코에마저 1 : 2로 패배하며 탈락 위기에 몰렸다. 마지막 3차전에서 전 대회 우승국인 독일을 2 : 0으로 이기는 이변을 일으키며 다시 16강 진출의 불씨를 되살렸으나 같은 시각 멕시코가 스웨덴에 0 : 3으로 대패를 하며 결국 1승 2패의 전적으로 조 3위에 그치며 16강 진출에 실패했다. 하지만 독일을 이기는 이변을 일으킨 덕에 축구팬들로부터 어느 정도 재평가를 받았고 본인 역시 '월드컵 역사상 최초로 독일을 조별리그에서 탈락시킨 감독'이란 타이틀을 얻게 되었다. 월드컵 종료 후 계약만료로 감독직을 내려놓았고, 그의 후임으로 파울루 벤투가 선임되었다. 해설가 경력[편집] 성남의 감독직에서 물러난 후 2013년 6월에 열린 2013 툴롱컵 국제대회를 통해 JTBC에서 축구 해설위원으로 데뷔하였다.[16] 9월에는 K리그 홍보대사로도 임명되었으며 2014년 3월부터는 tbs 축구 해설위원으로 발탁되어 K리그 클래식 중계를 담당하였다.[17] 2019년 UAE 아시안컵 JTBC우리나라 대표팀 해설로 한다 경력 통계[편집] 클럽 기록[편집] 클럽 리그 컵 리그컵 대륙 총계 시즌 클럽 리그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대한민국 리그대한민국 FA컵 리그컵 아시아 합계 1992 일화 천마 K-리그 18 7 - 5 2 - 23 9 1993 28 5 - 5 1 - 33 6 1994 23 7 - 6 1 ? ? 29 8 1995 26 6 - 7 0 ? ? 33 6 1996 천안 일화 천마 24 18 ? ? 5 3 ? ? 29 21 1997 7 0 ? ? 12 3 ? ? 19 3 1998 7 1 ? ? 17 2 - 24 3 1999 25 4 ? ? 10 5 - 35 9 2000 성남 일화 천마 27 7 ? ? 7 2 ? ? 34 9 2001 27 5 ? ? 9 0 ? ? 36 5 2002 26 4 ? ? 11 2 ? ? 37 6 2003 38 8 2 0 - ? ? 40 8 2004 20 4 0 0 11 2 ? ? 31 6 오스트레일리아 리그컵 리그컵 오세아니아/아시아 합계 2005 퀸즐랜드 로어 A-리그 1 0 합계 대한민국 296 76 105 23 401 99 오스트레일리아 1 0 총 계 297 76 402 99 국가대표팀 득점[편집] 일자 장소 상대팀 득점 결과 대회 1996년 4월 30일 텔아비브 이스라엘 1골 5-4 친선 경기 1996년 8월 11일 호찌민 시 베트남 1골 4-0 1996년 AFC 아시안컵 예선 1996년 12월 16일 두바이 이란 1골 2-6 1996년 AFC 아시안컵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감독 전적[편집] 최신 업데이트: 2018년 3월 27일 연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득실차 승률 최다 득점자 주요 대회 2014 2 1 0 1 3 2 +1 50% 이동국 (2) (감독 대행) 2017 9 3 4 2 13 12 +1 33.33% 손흥민, 김신욱 (3)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우승) 2018 5 2 1 2 7 7 0 40% 김신욱 (4) 경력 목록[편집] 클럽 경력[편집] 1992년 ~ 2004년: 성남 일화 천마 2005년: 퀸즐랜드 로어 FC 국가대표팀 경력[편집] 1987년 FIFA U-16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국가대표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국가대표 1995년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 국가대표 1996년 AFC 아시안컵 국가대표 지도자 경력[편집] 2005년 ~ 2008년: 퀸즐랜드 로어 FC 코치 2008년 ~ 2012년: 성남 일화 천마 감독 2014년 ~ 2016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코치 2015년 ~ 2016년: 대한민국 올림픽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2016년 ~ 2017년: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2017년 ~ 2018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수상 내역[편집] 선수[편집] 성남 일화 천마 K-리그 우승 6회 (1993년, 1994년, 1995년, 2001년, 2002년, 2003년) K-리그 준우승 1회 (1992년) FA컵 우승 1회 (1999년) FA컵 준우승 2회 (1997년, 2000년) 아디다스 컵 우승 2회 (1992년, 2002년) 아디다스 컵 준우승 2회 (1995년, 2000년) 하우젠 컵 우승 1회 (2004년) 대한민국 슈퍼컵 우승 1회 (2002년) 대한민국 슈퍼컵 준우승 1회 (2000년)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 우승 1회 (1996년)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 준우승 1회 (1997년) AFC 챔피언스리그 준우승 1회 (2004년) 아시아 슈퍼컵 우승 1회 (1996년) 개인 1987년 전국고교축구선수권대회 최우수선수 수상 1992년 K-리그 신인상 수상 1992년 K-리그 베스트 11 선정 1993년 K-리그 베스트 11 선정 1994년 K-리그 베스트 11 선정 1995년 프로축구 골든볼 수상 1995년 K-리그 베스트 11 선정 1996년 K-리그 득점왕 수상 1996년 디아도라 프로축구 대상 수상 1996년 K-리그 베스트 11 선정 2000년 K-리그 베스트 11 선정 2001년 K-리그 MVP 수상 2001년 K-리그 베스트 11 선정 2002년 험멜코리아 - 스포츠투데이 선정 올해의 선수상 미드필더 부문상 수상 2002년 K-리그 베스트 11 선정 2003년 K-리그 베스트 11 선정 감독[편집] 성남 일화 천마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1회 (2010년) FA컵 우승 1회 (2011년)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 1회 (2016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우승 1회 (2017년) 코치[편집]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AFC 아시안컵 준우승 1회 (2015년) EAFF 동아시안컵 우승 1회 (2015년) 참고 자료[편집] KFA 리포트 나의 선수시절 - 신태용‘꾀돌이’로 알려진 영리한 리더 각주[편집] ↑ 신태용 2001 프로축구 'MVP' ↑ 신태용 ‘60골-60도움’ 대기록…프로축구 사상 처음 ↑ 성남 신태용, 통산 최다 도움 작성 ↑ 새로운 철인 신태용…프로축구 출전 327경기로 ‘최다’ ↑ 수원 PO 진출 확정…철인 신태용 400경기 출장 ↑ K리그 '철인' 신태용, "국내 무대 은퇴" ↑ 신태용, 호주리그 퀸즐랜드 로어 입단 ↑ 신태용, 호주에서 선수 생활 은퇴 선언 ↑ '철인' 신태용, 은퇴 후 코치 계약 ↑ 성남, 신임 감독에 신태용… '새로운 변화의 적임자' ↑ “성남, 신태용 감독 사의 표명”. 성남 일화 천마. 2012년 12월 8일.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박린 (2012년 12월 7일). “[단독] 성남, 신태용 사표 ‘전격 수리’…사실상 경질”. 일간스포츠.  ↑ 김우종 (2014년 8월 18일). “이용수 위원장 "격론 끝에 신태용 코치 결정" 배경은?”. 스타뉴스.  ↑ 조선닷컴 (2014년 9월 6일). “신태용, 성남시절에도 본 적 없던 4-1-2-3 가동한 이유…“난사람일세””. 스포츠조선. 2014년 9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6일에 확인함.  ↑ “`울리 슈틸리케 감독 선임, 韓 축구 변화를 기대합니다` [MK포토]”. MKT스포츠. 2014년 9월 6일.  ↑ 최용재 (2013년 6월 6일). “해설자 '데뷔' 신태용 "처음에는 머릿속이 백지장"”. 조이뉴스24.  ↑ 김보라 (2014년 3월 6일). “tbs, '2014 K리그 클래식 FC서울' 경기 생중계…신태용 전 감독 해설자 발탁”. TV리포트.  외부 링크[편집] 신태용 K리그 기록 - 한국프로축구연맹 신태용 국가대표팀 기록 - 대한축구협회 신태용 FIFA 주관 대회 기록 - 국제축구연맹 (영어) 클럽 & 국가대표 통계 이 전 고정운 제13대 K리그 MVP 1995년 다 음   김현석  이 전 최용수 제19대 K리그 MVP 2001년 다 음   김대의  이 전 노상래 제14대 K리그 득점왕 1996년 다 음   김현석  이 전 조우석 제8대 K리그 신인선수상 1992년 다 음   정광석  전임김학범 제6대 성남 일화 감독2009 (감독 대행)2010 - 2012 후임안익수 전임 홍명보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대행2014년 8월 18일 - 2014년 9월 8일 후임 울리 슈틸리케 전임 최문식 (감독 대행)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2015년 2월 - 2016년 8월 후임 정정용 (임시 감독) 전임 정정용 (감독 대행)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2016년 11월 22일 - 2017년 5월 30일 전임 울리 슈틸리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2017년 7월 4일 - 2018년 7월 31일 후임 파울루 벤투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박정휘 (1948) 이영민 (1948) 한홍기 (1970-1971) 홍덕영 (1971) 박병석 (1971-1972) 함흥철 (1972) 민병대 (1972-1973) 문정식 (1973) 최영근 (1974) 함흥철 (1974-1976) 문정식 (1976) 최정민 (1977) 김정남(대행) (1977) 함흥철 (1978-1979) 장경환 (1979-1980) 김정남C (1980-1982) 최은택 (1982-1983) 조윤옥 (1983) 박종환 (1983-1984) 문정식 (1984-1985) 김정남 (1985-1986) 박종환 (1986-1988) 김정남 (1988) 이회택 (1988-1990) 이차만 (1990) 박종환 (1990-1991) 고재욱(1991) 김호 (1992-1994) 비쇼베츠 (1994-1995) 박종환 (1995) 허정무 (1995) 정병탁 (1995) 고재욱 (1995) 박종환 (1996-1997) 차범근 (1997-1998) 김평석C (1998) 허정무 (1998-2000) 박항서C (2000) 히딩크 (2001-2002) 김호곤C (2002) 코엘류 (2003-2004) 박성화C (2004) 본프레러 (2004-2005) 아드보카트 (2005-2006) 베어벡 (2006-2007) 허정무 (2007-2010) 조광래 (2010-2011) 최강희 (2011-2013) 홍명보 (2013-2014) 슈틸리케 (2014-2017) 신태용 (2017-2018) 벤투 (2018-) C: 감독 대행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1987년 FIFA U-16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1 조현권 2 장정훈 3 김두선 4 김병수 5 안진규 6 정광석 7 서정원 8 오상균 9 이태홍 10 신태용 11 김인완 12 권태석 13 임완섭 14 노정윤 15 손승완 16 강문석 17 김호철 18 김봉수 감독: 김삼락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1992년 하계 올림픽 1 김봉수 2 나승화 3 이문석 4 한정국 5 강철 6 신태용 7 김귀화 8 노정윤 9 곽경근 10 정재권 11 서정원 12 조정현 13 김도근 14 정광석 15 이승협 16 조진호 17 이임생 18 이진행 19 신범철 20 이운재 감독: 김삼락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1996년 AFC 아시안컵 1 김병지 2 김판근 3 박광현 4 강철 5 허기태 6 신홍기 7 신태용 8 노상래 9 김도훈 11 고정운 12 이기형 13 박남열 17 하석주 18 황선홍 19 서정원 20 홍명보 21 김봉수 22 이영진 23 유상철 24 김주성 감독: 박종환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16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 1 김동준 2 심상민 3 이슬찬 4 송주훈 5 연제민 6 박용우 7 문창진 8 이창민 9 김현 10 류승우 11 김승준 12 구현준 13 박동진 14 이영재 15 정승현 16 황기욱 17 유인수 18 진성욱 19 강상우 20 황희찬 21 이창근 22 권창훈 23 구성윤 감독: 신태용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16년 하계 올림픽 1 김동준 2 심상민 3 이슬찬 4 김민태 5 최규백 6 장현수 (주장) 7 손흥민 8 문창진 9 석현준 10 류승우 11 황희찬 12 이찬동 13 박동진 14 박용우 15 정승현 16 권창훈 17 이창민 18 구성윤 감독: 신태용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17년 FIFA U-20 월드컵 1 송범근 2 윤종규 3 우찬양 4 정태욱 5 이상민 (주장) 6 이승모 7 이진현 8 한찬희 9 조영욱 10 이승우 11 하승운 12 안준수 13 이유현 14 백승호 15 김민호 16 이상헌 17 강지훈 18 임민혁 19 김승우 20 이정문 21 이준 감독: 신태용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우승 1 김진현 2 최철순 3 김진수 4 정승현 5 권경원 6 윤영선 7 윤일록 8 이명주 9 김신욱 10 이정협 11 이근호 12 김민우 13 주세종 14 고요한 15 이창민 16 정우영 17 이재성 18 진성욱 19 염기훈 20 장현수 (주장) 21 조현우 22 김성준 23 김동준 감독: 신태용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18년 FIFA 월드컵 1 김승규 2 이용 3 정승현 4 오반석 5 윤영선 6 박주호 7 손흥민 8 주세종 9 김신욱 10 이승우 11 황희찬 12 김민우 13 구자철 14 홍철 15 정우영 16 기성용 (주장) 17 이재성 18 문선민 19 김영권 20 장현수 21 김진현 22 고요한 23 조현우 감독: 신태용 K리그vdehK리그1 최우수선수상 K리그1 (MVP・득점왕・도움왕・베스트 11・감독) K리그2 (MVP・득점왕・도움왕・베스트 11・감독) 영플레이어 팬타스틱 플레이어 1983: 박성화 1984: 박창선 1985: 한문배 1986: 이흥실 1987: 정해원 1988: 박경훈 1989: 노수진 1990: 최진한 1991: 정용환 1992: 홍명보 1993: 이상윤 1994: 고정운 1995: 신태용 1996: 김현석 1997: 김주성 1998: 고종수 1999: 안정환 2000: 최용수 2001: 신태용 2002: 김대의 2003: 김도훈 2004: 나드손 2005: 이천수 2006: 김두현 2007: 따바레즈 2008: 이운재 2009: 이동국 2010: 김은중 2011: 이동국 2012: 데얀 2013: 김신욱 2014: 이동국 2015: 이동국 2016: 정조국 2017: 이재성 2018: 말컹 vdehK리그1 득점상 K리그1 (MVP・득점왕・도움왕・베스트 11・감독) K리그2 (MVP・득점왕・도움왕・베스트 11・감독) 영플레이어 팬타스틱 플레이어 1983: 박윤기 1984: 백종철 1985: 피아퐁 1986: 정해원 1987: 최상국 1988: 이기근 1989: 조긍연 1990: 윤상철 1991: 이기근 1992: 임근재 1993: 차상해 1994: 윤상철 1995: 노상래 1996: 신태용 1997: 김현석 1998: 유상철 1999: 샤샤 2000: 김도훈 2001: 산드로 2002: 에드밀손 2003: 김도훈 2004: 모따 2005: 마차도 2006: 우성용 2007: 까보레 2008: 두두 2009: 이동국 2010: 유병수 2011: 데얀 2012: 데얀 2013: 데얀 2014: 산토스 2015: 김신욱 2016: 정조국 2017: 조나탄 2018: 말컹 vdehK리그 영플레이어상 K리그1 (MVP・득점왕・도움왕・베스트 11・감독) K리그2 (MVP・득점왕・도움왕・베스트 11・감독) 영플레이어 팬타스틱 플레이어 1985: 이흥실 1986: 함현기 1987: 김주성 1988: 황보관 1989: 고정운 1990: 송주석 1991: 조우석 1992: 신태용 1993: 정광석 1994: 최용수 1995: 노상래 1996: 박건하 1997: 신진원 1998: 이동국 1999: 이성재 2000: 양현정 2001: 송종국 2002: 이천수 2003: 정조국 2004: 문민귀 2005: 박주영 2006: 염기훈 2007: 하태균 2008: 이승렬 2009: 김영후 2010: 윤빛가람 2011: 이승기 2012: 이명주 2013: 고무열 2014: 김승대 2015: 이재성 2016: 안현범 2017: 김민재 2018: 한승규 2012년까지는 신인선수상 수상자 vdeh1992 K리그 베스트 11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GK 사리체프 DF 홍명보 이종화 박정배 MF 신홍기 김현석 신태용 박태하 신동철 FW 박창현 임근재 vdeh1993 K리그 베스트 11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GK 사리체프 DF 최영일 이종화 유동관 MF 김판근 신태용 김동해 이상윤 김봉길 FW 차상해 윤상철 vdeh1994 K리그 베스트 11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GK 사리체프 DF 안익수 유상철 홍명보 허기태 MF 신태용 고정운 황보관 FW 윤상철 라데 김경래 vdeh1995 K리그 베스트 11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GK 사리체프 DF 최영일 홍명보 허기태 MF 신태용 고정운 김현석 김판근 아미르 FW 황선홍 노상래 vdeh1996 K리그 베스트 11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GK 김병지 DF 윤성효 김주성 허기태 MF 신태용 바데아 홍명보 하석주 김현석 FW 라데 세르게이 vdeh2000 K리그 베스트 11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GK 신의손 DF 강철 이임생 김현수 마시엘 MF 안드레 신태용 전경준 데니스 FW 최용수 김도훈 vdeh2001 K리그 베스트 11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GK 신의손 DF 우르모브 김현수 김용희 이영표 MF 신태용 서정원 송종국 남기일 FW 우성용 산드로 vdeh2002 K리그 베스트 11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GK 이운재 DF 김현수 김태영 최진철 홍명보 MF 신태용 이천수 안드레 서정원 FW 김대의 유상철 vdeh2003 K리그 베스트 11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GK 서동명 DF 최진철 김태영 김현수 산토스 MF 신태용 이성남 이관우 김남일 FW 김도훈 마그노 vdeh성남 FC 감독 박종환 (1989–95) 이장수 (1996) 드자이에르 (1997-98) 차경복 (1998-2004) 김학범 (2005-08) 신태용 (2009-12) 안익수 (2013) 박종환 (2014) 이상윤C (2014) 이영진C (2014) 김학범 (2014-16) 구상범C (2016) 변성환C (2016) 박경훈 (2017) 남기일 (2018-) C: 감독 대행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신태용&oldid=24505924" 분류: 1970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축구 미드필더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대한민국의 오스트레일리아 진출 축구 선수대한민국의 축구 감독성남 FC의 축구 선수브리즈번 로어의 축구 선수성남 FC의 축구 감독A리그의 축구 선수K리그1의 축구 선수오스트레일리아의 외국인 축구 선수성남 FC의 코칭스태프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1996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대한민국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영해초등학교 동문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동문대구공업고등학교 동문영남대학교 동문경기대학교 동문영덕군 출신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K리그 영플레이어상 수상자K리그1 베스트 11 수상자K리그1 득점상 수상자K리그1 최우수 선수오스트레일리아에 거주한 대한민국인2018년 FIFA 월드컵 참가 감독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Català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atviešuNorskPortuguêsРусский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30일 (일) 22:0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신태용(申台龍, 1969년 5월 26일 -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 감독으로 현재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을 맡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신태용이 처음 국가대표팀으로 발탁된 것은 몇 년도인가? Assistant: 1986년
Human: 아래 아미지몽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아미지몽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미지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아미지몽 감독 김경용 제작 SBSi 각본 김윤정 출연 이은주, 조승우 외 개봉일 2001년 3월 26일 시간 100분 국가 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아미지몽》은 SBS의 멀티미디어 사업을 담당하는 자회사 SBSi가 국내 최초로 PPL 방식으로만 제작 경비를 조달한 인터넷 영화이다.[1] PPL 방식은 영화사가 광고료를 받고 영화에 특정 회사의 상품을 소품으로 등장시켜 광고 효과를 얻게 하는 자금 조달 방식을 의미한다. 2001년 3월 26일 오후 11시에 인터넷 사이트(www.sbs.co.kr)에서 개봉 하였고, 이후 열흘간에 걸쳐 10분씩 10부작으로 방영되었다. 부분 방영이 끝난 뒤에는 총 100분 분량의 완성본이 인터넷에 공개 되었다. SBS 드라마 《카이스트》 등의 드라마를 만들었던 김경용 PD가 감독을 맡았다.[2] 목차 1 줄거리 2 등장 인물 2.1 주요 인물 2.2 우정 출연 3 O.S.T 4 각주 5 외부 링크 줄거리[편집] 몸과 마음이 하나되어 한눈에 절대 헤어질 수 없는 여인을 만났던 한 남자가 있다. 삶과 죽음을 함께 하리라 생각한 그에게 갑작스레 다가온 것은 그녀의 작별인사. 그렇게 다정했던 그녀가 한순간에 변심해버린 사연을 그는 모른다. 아미의 단 한가지 소원은 지훈과 수현의 화해. 그러나 그 과정에서 아미는 자기도 모르게 지훈을 사랑하게 된다. 하지만 결정적인 순간에 역시 노미의 계략으로 지훈과 수현은 영원히 결별하게 된다. 동시에 노미는 아미에 대한 배신감과 아르고스에게 아미가 사랑하고 있음을 고하고 아미는 오르고스로부터 지훈과의 이별을 통보받는다. 아미는 정령으로서 생을 포기하고 인간이 되어 지훈을 만나겠다는 결심을 한다. 노미는 자신의 사랑을 고백하며 아미를 설득하지만 아미는 이미 죽음을 결심, 결국 사람의 몸으로 지훈을 만나려하는 아미의 계획은 노미에 의해 수포로 돌아가고 아미는 지훈의 꿈 속에 나타나 이별을 고한다.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이은주 : 아미 역 팬던트 목걸이의 정령. 목걸이가 지훈의 손에 들어가면서 지훈을 만나게 된다. 정령들의 장난으로 수현에게 이별 선언을 당해버린 지훈을 보며 애달아하다가, 지훈을 도와야겠다는 생각에 지훈 앞에 모습을 드러낸다. 그러다 결국 정령의 규칙을 깨고 인간인 지훈을 사랑하게 된다. 조승우 : 안지훈 역 백화점 주차요원. 덜렁거리고 순수한 인물. 영문모를 수현의 이별 선언에 불면증 우울증에 빠진다. 꿈속에서 나타난 아미로 인해 후유증을 극복해간다. 아미가 정령인 것을 알게된 후 심한 혼란을 겪지만, 이미 아미와 정이 들어버린 후. 결국 정령 아미의 존재를 인정하고 사랑하게 된다. 그러나 이것은 또다른 재앙으로 나타나고, 말로는 설명할 수 없는 이상한 징후 앞에 처하게 되면서 다시 소용돌이에 휘말린다. 김정현 : 노미 역 수현의 핸드폰 정령. 인간을 그저 하찮은 존재로 밖에 생각치 않는다. 아미에겐 우정이상 사랑이하의 감정이라고 스스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아미가 인간인 지훈을 사랑하게 되고, 그로 인해 아미가 파계될 위기에 놓이자 어떻게든 지훈과 아미를 갈라놓고자 한다. 그것이 아미를 지키는 길이기 때문이다. 김희은 : 민수현 역 백화점 주차 안내요원. 정령들의 장난인줄은 꿈에도 모르고 지훈에 대한 오해로 지훈에게 이별 선언을 한다. 신은정 : 은정 역 백화점 주차요원. 지훈과 수현의 친구. 정성화 : 세미 역 정령의 신 아르고스의 밀사. 덕분에 다른 정령과들과는 달리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장난기 많은 악동 정령. 우정 출연[편집] 강성연 : 희연 역 김성택 : 실연남자 역 O.S.T[편집] 조승우 - "아미의 꿈" 각주[편집] ↑ “色다른 재미 '시선유혹' .. 인터넷 전용콘텐츠 유료화 성공가도”. 한국경제. 2001년 3월 28일.  ↑ “충무로 뉴스 PPL 영화「아미지몽」26일 개봉”. 연합뉴스. 2001년 3월 21일.  외부 링크[편집] 아미지몽 - 네이버영화 아미지몽 - 다음영화 이 글은 영화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미지몽&oldid=21685365" 분류: 한국어 영화 작품2001년 영화대한민국의 로맨스 영화대한민국의 판타지 영화숨은 분류: 영화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7월 4일 (수) 17: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아미지몽》은 SBS의 멀티미디어 사업을 담당하는 자회사 SBSi가 국내 최초로 PPL 방식으로만 제작 경비를 조달한 인터넷 영화이다. PPL 방식은 영화사가 광고료를 받고 영화에 특정 회사의 상품을 소품으로 등장시켜 광고 효과를 얻게 하는 자금 조달 방식을 의미한다. 2001년 3월 26일 오후 11시에 인터넷 사이트(www.sbs.co.kr)에서 개봉하였고, 이후 열흘간에 걸쳐 10분씩 10부작으로 방영되었다. 부분 방영이 끝난 뒤에는 총 100분 분량의 완성본이 인터넷에 공개되었다. SBS 드라마 《카이스트》 등의 드라마를 만들었던 김경용 PD가 감독을 맡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소설 아미지몽 속 주인공의 이름은? Assistant: 아미 Human: 아래 말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말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말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말산 일반적인 성질 IUPAC 이름 2-hydroxybutanedioic acid 화학식 C4H6O5 CAS 번호 6915-15-7 PubChem 525 ChemSpider 510 물리적 성질 분자량 134.09 g/mol 녹는점 403.15 K130 °C266 °F 밀도 1.609 g/cm3 열화학적 성질 안전성 말산(영어: malic acid) 또는 사과산은 화학식이 C4H6O5 인 유기 화합물이다. 말산은 모든 생물에서 만들어지고, 과일의 유쾌한 신맛에 기여하며, 식품 첨가물로 사용되는 다이카복실산이다. 말산은 2가지 입체 이성질체(L- 및 D-거울상 이성질체)를 갖지만, 자연에 존재하는 형태는 L-이성질체이다. 말산의 염 및 에스터(에스테르)는 말레이트(malate)로 알려져 있으며, 말레이트는 시트르산 회로의 중간생성물이다. 목차 1 역사 및 어원 2 음식에서 3 생화학 4 생산 및 주요 반응 5 같이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역사 및 어원[편집] 사과와 사과 주스 말산은 1785년에 칼 빌헬름 셸레에 의해 사과 주스에서 최초로 분리되었다.[1] 앙투안 라부아지에는 1787년에 "acide malique|acide malique"라는 이름을 제안했는데, 이는 "사과"를 뜻하는 라틴어 단어 "mālum"에서 유래되었다(사과나무의 속명은 Malus).[2][3] 음식에서[편집] 말산은 살구, 블랙베리, 블루베리, 체리, 포도, 미라벨 자두, 복숭아, 배, 자두, 마르멜루를 비롯한 많은 과일에서 주요 유기산이며,[4] 감귤류와 같은 다른 과일에는 좀 더 낮은 농도로 존재한다.[5] 말산은 풋사과(덜 익은 사과)의 신맛에 기여한다. 말산은 포도에 존재하며 대부분의 포도주에도 들어있는데 때때로 5 g/L 의 높은 농도로 존재한다.[6] 열매가 성숙해감에 따라 말산의 양은 감소하지만, 말산은 포도주의 시큼한 맛에 기여한다. 말산은 루바브의 기본적인 풍미를 구성한다. 또한 말산은 "소금 & 식초" 맛 감자칩과 같은 일부 인공 식초 맛의 구성 요소이기도 하다.[7] 감귤류에서는 유기농으로 생산된 과일이 일반 농업으로 생산된 과일보다 높은 농도의 말산을 함유하고 있다.[5] 말로락틱 발효(malolactic fermentation) 과정은 말산을 훨씬 더 순한 젖산으로 전환시킨다. 말산은 모든 과일과 많은 채소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된다.[8] 식품 첨가제로 말산은 E 번호 E296으로 표시된다. 말산은 미국에서 생산되는 과자류에서 강한 신맛의 소스이다. 말산은 시트르산과 함께 신맛이 나는 과자류의 제조에 사용된다. 이러한 신맛이 나는 과자류에는 "과도한 섭취는 입안을 자극할 수 있다"라는 경고 문구가 표시되어 있다. 말산은 유럽 연합,[9] 미국,[10]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11]에서 식품 첨가물로 사용하도록 승인되었다. 말산은 섭취시 2.39 kcal/g 의 열량을 낸다.[12] 생화학[편집] L-말산은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형태인 반면, L-말산과 D-말산의 혼합물은 인위적으로 합성할 때 생성된다. L-말산 D-말산 말산은 생화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C4 탄소고정 과정에서 말산은 캘빈 회로의 CO2공급원이다. 말산은 시트르산 회로의 중간생성물이며, 푸마르산에 하이드록시기(-OH)가 첨가됨으로써 생성된다. 또한 말산은 보충대사(anaplerotic) 반응을 통해 피루브산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말산은 또한 식물 잎의 공변세포에서 포스포에놀피루브산의 카복실화에 의해 합성된다. 말레이트(malate)는 2가 음이온으로 세포 내의 전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공변세포로 용질이 유입되는 동안 K+도 같이 수송된다. 공변세포 내에서 이러한 용질의 축적은 용질 퍼텐셜을 감소시키므로, 물이 세포 내로 들어가서 기공의 구멍이 확장된다. 생산 및 주요 반응[편집] 말산의 라세미 혼합물은 말레산 무수물의 이중 수화에 의해 산업적으로 생산된다. 2000년에 미국의 말산 생산 능력은 연간 5000톤이었다. 두 거울상 이성질체는 라세미 혼합물의 키랄 분석에 의해 분리될 수 있고, (S)-거울상 이성질체는 푸마르산의 발효에 의해 특이적으로 얻을 수 있다.[13] 말산과 발연 황산의 자기 축합은 피론 쿠말산을 생성한다.[14] 말산은 발덴 반전(Walden inversion)의 발견 과정에서 중요했으며, 여기서 (−)-말산은 오염화 인(phosphorus pentachloride)의 작용에 의해 (+)-클로로석신산으로 전환된다. 산화 은은 염소 화합물을 (+)-말산으로 전환시킨 다음, PCl5 와 (−)-클로로석신산을 반응시킨다. 산화 은이 이 화합물을 다시 (−)-말산으로 되돌리는 반응으로 전체 반응 사이클이 마무리된다. 같이 보기[편집] CAM 식물 말산-아스파르트산 셔틀 각주[편집] ↑ Carl Wilhelm Scheele (1785) "Om Frukt- och Bår-syran" (On fruit and berry acid), Kongliga Vetenskaps Academiens Nya Handlingar (New Proceedings of the Royal Academy of Science), 6 : 17-27. From page 21: " … vil jag hådanefter kalla den Åple-syran." ( … I will henceforth call it apple acid.) ↑ de Morveau, Lavoisier, Bertholet, and de Fourcroy, Méthode de Nomenclature Chimique (Paris, France: Cuchet, 1787), p. 108. ↑ The Origin of the Names Malic, Maleic, and Malonic Acid Jensen, William B. J. Chem. Educ. 2007, 84, 924. Abstract ↑ Tabelle I] of “Fruchtsäuren”. 《Wissenschaft Online Lexikon der Biologie》. 2016년 5월 15일에 보존된 문서.  ↑ 가 나 Duarte, A.M.; Caixeirinho, D.; Miguel, M.G.; Sustelo, V.; Nunes, C.; Fernandes, M.M.; Marreiros, A. (2012). “ORGANIC ACIDS CONCENTRATION IN CITRUS JUICE FROM CONVENTIONAL VERSUS ORGANIC FARMING”. 《Acta Horticulturae》 (933): 601–606. ISSN 0567-7572. doi:10.17660/actahortic.2012.933.78.  ↑ "Methods For Analysis of Musts and Wines", Ough and Amerine, John Wiley and Sons, 2nd Edition, 1988, page 67 ↑ “The Science Behind Salt and Vinegar Chips”. 《seriouseats.com》.  ↑ Malic Acid Archived 2018년 6월 25일 - 웨이백 머신, Bartek Ingredients (retrieved 2 February 2012) ↑ UK Food Standards Agency: “Current EU approved additives and their E Numbers”. 2011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Listing of Food Additives Status Part II”. 2011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Australia New Zealand Food Standards Code“Standard 1.2.4 - Labelling of ingredients”. 2011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Greenfield, Heather; Southgate, D.A.T. (2003). 《Food composition data: production, management and use》 2판. Rom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146쪽. ISBN 9789251049495. 2014년 2월 10일에 확인함.  ↑ Karlheinz Miltenberge (2005), "Hydroxycarboxylic Acids, Aliphatic",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Weinheim: Wiley-VCH, doi:10.1002/14356007.a13_507 ↑ Richard H. Wiley, Newton R. Smith (1951). “Coumalic acid” 31: 23. doi:10.15227/orgsyn.031.0023.  외부 링크[편집] (영어) Malic acid MS Spectrum (영어) Calculator: Water and solute activities in aqueous malic acid vdehTCA 대사회로 옥살아세트산 말산 푸마르산 석신산 석시닐-CoA 아세틸-CoA NADH+ H+ NAD+ H2O FADH2 FAD CoA +ATP(GTP) Pi +ADP(GDP) + H2O NADH +H+ + CO2 CoA NAD+ H2O H2O NAD(P)+ NAD(P)H+ H+ CO2 시트르산 시스아코니트산 아이소시트르산 옥살석신산 α-케토글루타르산 전거 통제 GND: 4205751-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말산&oldid=24010200" 분류: 생화학물질대사세포 호흡생화학 물질다이카복실산산도 조절제하이드록실산유기산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Italiano日本語JawaҚазақшаLatviešuМакедонски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1일 (목) 13:4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말산(영어: malic acid) 또는 사과산은 화학식이 C4H6O5 인 유기 화합물이다. 말산은 모든 생물에서 만들어지고, 과일의 유쾌한 신맛에 기여하며, 식품 첨가물로 사용되는 다이카복실산이다. 말산은 2가지 입체 이성질체(L- 및 D-거울상 이성질체)를 갖지만, 자연에 존재하는 형태는 L-이성질체이다. 말산의 염 및 에스터(에스테르)는 말산염(영어: malate)으로 알려져 있으며, 말레이트는 시트르산 회로의 중간생성물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말산을 섭취했을때 얻을 수 있는 열량은? Assistant: 2.39
Human: 아래 전양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전양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양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전양자본명 김경숙[1]출생 1942년 2월 20일(1942-02-20) (77세)일제 강점기 경성부 (現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직업 배우활동 기간 1962년 ~ 2014년종교 기독교복음침례회 학력 서울연극학교 전문학사 전양자(全洋子, 본명 김경숙(金敬淑), 1942년 2월 20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 기업가이다. 목차 1 생애 2 학력 3 결혼 4 기타 5 출연 작품 5.1 드라마 5.2 영화 5.3 연극 5.4 악극 6 CF 7 방송 8 수상 9 각주 생애[편집] 1962년 연극배우로 첫 데뷔하였으며 1965년 TBC 동양방송 공채 탤런트 2기로 정식 입문하였다. 공채 탤런트 동기로는 서우림 등이 있다. 이듬해 1966년에는 이강천 감독의 영화 《계룡산》으로 영화배우 데뷔하였고, 깜찍한 여대생 이미지로 1960년대 말 많은 영화에 출연하였다. 이후 KBS, MBC로 옮겨 전속탤런트로 활약하였으며 '극단 광장'의 일원으로 연극무대에서도 활발히 활동하였다. 1973년 KBS PD 박재민과 결혼하였으나[2], 이듬해인 1974년 9월 합의이혼 하였다.[3] 1991년 오대양 집단 자살 사건으로 사회적 물의를 빚은 종교인 기독교복음침례회(일명 구원파)의 핵심 연예인 신도로 지목되어 고초를 겪었다.[4] 이 여파로 출연하고 있던 KBS 1TV 청소년 드라마 《맥랑시대》에서 하차하고 일체의 TV 활동을 중단한 적이 있다.[5] 학력[편집] 1960년 진명여자고등학교 졸업 1963년 서라벌예술초급대학 무용학과 전문학사 1966년 서울연극학교 전문학사 결혼[편집] 1973년 프로듀서였던 전 남편과 이혼한 후 2009년 현재 남편 권오균과 재혼했다. 권오균은 구원파 창시자인 권신찬 목사의 둘째 아들이자 유병언의 처남이다.[6] 기타[편집]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유병언 일가를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전양자가 유병언 일가의 핵심참모 중 한명인 김경숙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전양자는 기독교복음침례회의 신도로서 영상 제작 업체인 ㈜국제영상 대표, 소매 업종의 ㈜노른자쇼핑 공동대표, ㈜청해진해운의 지주회사로 경영자문회사인 ㈜아이원아이홀딩스 이사직을 맡고 있다. 또한 창고업으로 등록되어 기독교복음침례회의 수련시설로 사용되던 ㈜금수원의 공동 대표이사로 있다. 이후 재직 중인 기업의 비자금 조성, 횡령, 배임, 탈세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기 시작했으며 촬영중이던 드라마 《빛나는 로맨스》에서 하차하였다. 출연 작품[편집] 드라마[편집] 1970년 KBS 실화극장 《악마의 손》 1970년 MBC 목요연속극 《두 얼굴》 1971년 MBC 일일연속극 《행복》 ... 남순 역 1972년 KBS 주간연속극 《채봉감별곡》 ... 채봉 역 1972년 KBS 실화극장 《야간비행》 ... 김정미 역 1972년 MBC 일일연속극 《새엄마》 1972년 KBS 주간연속극 《진사의 딸》 1974년 TBC 주간드라마 《여보 정선달》 1974년 MBC 일일연속극 《황녀》 ... 이문용 역 1974년 KBS 일일연속극 《꽃피는 팔도강산》 1974년 KBS 일일사극 《삼국통일》 1975년 MBC 일일연속극 《집념》 ... 초연 역 1976년 KBS 일일연속극 《박달선생》 1977년 MBC 일요드라마 《아내》 ... 인숙 역 1979년 MBC 추석특집극 《먼 길도 아닌데》 1979년 MBC 일일연속극 《당신은 누구시길래》 ... 소영 역 1981년 MBC 대하드라마 《제1공화국》 ... 박순천 역 1981년 MBC 주말연속극 《성난 눈동자》 1982년 MBC 주말연속극 《못 잊어》 1983년 MBC 월화드라마 《거부실록 - 무역왕 최봉준》 1983년 KBS1 아침드라마 《큰딸》 1983년 MBC 주말연속극 《저 별은 나의 별》 1984년 MBC 일일연속극 《애처일기》 1985년 MBC 주말연속극 《남자의 계절》 ... 이 여사 역 1985년 MBC 주말연속극 《아무렴 그렇지 그렇고 말고》 1987년 KBS2 주간연속극 《함 사세요》 1988년 KBS1 대하드라마 《하늘아 하늘아》 ... 영빈 이씨 역 1989년 MBC 8·15 특집드라마 《님》 1991년 KBS2 미니시리즈 《가을꽃 겨울나무》 1991년 KBS2 아침드라마 《하늬바람》 1991년 KBS2 미니시리즈 《도둑의 아내》 1991년 KBS1 청소년드라마 《맥랑시대》 1992년 SBS 월화드라마 《비련초》 1993년 SBS 주말극장 《산다는 것은》 ... 장 여사 역 1994년 KBS2 주말연속극 《딸부잣집》 ... 송 여사 역 1994년 KBS1 추석특집극 《춘향전》 ... 월매 역 1995년 KBS2 미니시리즈 《가면 속의 천사》 1996년 MBC 일일연속극 《자반고등어》 1996년 KBS2 주말연속극 《첫사랑》 ... 대명그룹 전미자 회장 역 1997년 SBS 일일시트콤 《미스&미스터》 1997년 SBS 주간시트콤 《LA아리랑》 1998년 KBS2 일요아침드라마 《행복한 아침》 1998년 KBS2 미니시리즈 《킬리만자로의 표범》 1998년 KBS2 아침드라마 《결혼 7년》 1998년 MBC 일일시트콤 《남자 셋 여자 셋》 ... 전양자 역 2002년 KBS2 아침드라마 《색소폰과 찹쌀떡》 ... 이용자 역 2002년 MBC 단막극 《MBC 베스트극장 - 모자사기단 운수 좋은 날》 ... 숙현 역 2003년 SBS 주말극장 《애정만세》 ... 홍난영 역 2004년 KBS1 아침드라마 《TV소설 그대는 별》 ... 정연숙 역 2004년 KBS2 미니시리즈 《북경 내 사랑》 ... 전 사장 역 2005년 KBS1 일일연속극 《어여쁜 당신》 ... 김 여사 역 2008년 KBS2 주말연속극 《엄마가 뿔났다》 ... 안영숙 역 2009년 KBS2 아침드라마 《장화, 홍련》 ... 변 여사 역 2009년 KBS2 미니시리즈 《결혼 못하는 남자》 ... 강혜자 역 2010년 SBS 일일연속극 《호박꽃 순정》 ... 황경옥 역 2012년 tvN 미니시리즈 《아이 러브 이태리》 ... 백수복 역 2012년 JTBC 주말연속극 《무자식 상팔자》 ... 신영자 역 2013년 SBS 드라마 스페셜 《주군의 태양》 ... 왕 회장 역 2013년 MBC 일일연속극 《빛나는 로맨스》 ... 윤복심 역(도중하차) 영화[편집] 1966년 《계룡산》 1966년 《종점》 1966년 《하숙생》 1966년 《백발백중》 1967년 《가슴 아프게》 1967년 《돌지 않는 풍차》 1967년 《빙우》 1967년 《타인들》 1967년 《원죄》 1967년 《새벽길》 1967년 《나그네 임금》 1967년 《개살국도 살구냐》 1967년 《사랑은 파도를 타고》 1967년 《육체의 길》 1967년 《일본천황과 폭탄의사》 1967년 《해방동이》 1968년 《어머니는 강하다》 1968년 《엄마의 일기》 1968년 《폭풍의 사나이》 1968년 《여고동창생》 1968년 《정 두고 가지마》 1968년 《멋쟁이 아가씨들》 1968년 《팔도 기생》 1968년 《번지수가 틀렸네요》 1968년 《직녀성》 1969년 《눈 나리는 밤》 1969년 《마인》 1969년 《사랑은 가고 세월만 남아》 1969년 《신세 좀 지자구요》 1969년 《애수의 언덕》 1969년 《어느 지붕 밑에서》 1969년 《재생》 1969년 《젊은 여인들》 1969년 《팔도 사나이》 1969년 《세월이 흘러가면》 1969년 《석녀》 1969년 《피도 눈물도 없다》 1970년 《당신을 알고 나서》 1970년 《황금의 부루스》 1970년 《7인의 숙녀》 1970년 《욕망의 사나이》 1971년 《나를 버리시나이까》 1971년 《아마도 빗물이겠지》 1971년 《인생 유학생》 1971년 《장군의 딸들》 1971년 《아내여 미안하다》 1972년 《낙도의 무지개》 1972년 《밀녀》 1972년 《궁녀》 1976년 《혈육애》 1977년 《아무도 모를꺼야》 1978년 《이한몸 다바쳐》 1979년 《비목》 1980년 《우요일》 1980년 《그때 그사람》 1981년 《귀화산장》 ... 한민우의 아내 역 1981년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 어머니 역 1981년 《자유부인》 ... 미연 역 1981년 《새아씨》 1981년 《0번 아가씨》 1983년 《큰딸》 1984년 《애처일기》 1986년 《삼색 스캔들》 1987년 《젖은 풀 젖은 잎》 1987년 《못 다 부른 노래님》 2003년 《스캔들: 조선남녀상열지사》 ... 좌의정 부인 역 2006년 《조폭 마누라 3》 ... 기철 모 역 2009년 《굿모닝 프레지던트》 2011년 《로맨틱 헤븐》 ... 할머니 역 연극[편집] 1968년 《고초열》 1971년 《카라마조프의 형제들》 1972년 《학마을 사람들》 1972년 《수전노》 1973년 《군도》 1974년 《무녀도》 ... 모화 역 1976년 《전쟁과 평화》 1977년 《화조》 ... 나혜석 역 1978년 《제인 에어》 악극[편집] 2003년 ~ 2005년 《악극 아씨》 CF[편집] 1984년 사조오양 오양맛살 (Feat. 오지명) 1984년 ~ 1989년 동아제약 미니막스 1985년 SC존슨 에프킬라 (Feat. 임하룡) 1985년 ~ 1986년 백광화학 (화이트, 트래펑, 크렌저) 1986년 CJ제일제당 백설표 조미료 2.5 / 8% (With. 김수미, 김혜자) 1986년 LG하우시스 민속장판 (Feat. 김수미) 1989년 ~ 1990년 한독 오스칼 1990년 ~ 1991년 진주햄 브라운 서브 방송[편집] 1986년 ~ 1988년 MBC 《전양자의 오늘의 요리》 ... MC 수상[편집] 1969년 제5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신인상 1972년 제7회 영화예술상 여우조연상[7] 《밀녀》 1972년 제7회 백마상 여자인기탈렌트상[8] 1973년 제9회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여자연기상 《수전노》 1974년 제10회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애독자인기상 1974년 MBC 연기대상 인기상 1975년 한국일보 인기상 1975년 백상예술대상 인기상 각주[편집] ↑ 송여인 서울 있는 듯 《동아일보》, 1991년 7월 30일 ↑ 全洋子(전양자)양 《경향신문》, 1973년 9월 15일 ↑ 全洋子(전양자) 지난13일 合意離婚(합의이혼) 《경향신문》, 1974년 10월 2일 ↑ 연예계 구원파 시도 많다 《경향신문》, 1991년 7월 30일 ↑ 구원파 全(전)양자씨 TV활동 중지 《경향신문》, 1991년 8월 16일 ↑ 구원파 연예인, 법앞에서는 구원 못 받은 ‘열혈신도’ 머니S. 2015년 09월 16일 ↑ 작품상 석화촌에 돌아가 《동아일보》, 1972년 3월 25일 ↑ 대전체육관서 영화 등 백마상 시상 《매일경제》, 1972년 10월 27일 vdeh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1960년대 - (1965) - (1966) 문희, 남정임 (1967) 윤정희 (1968) 전양자 (1969) 1970년대 김지수 (1970) 김윤정 (1971) 나오미 (1972) 박지영, 최정민 (1973) 진도희, 명희 (1974) 문숙, 양정화 (1975) 김형자 (1976) 유미나, 명현숙 (1977) 정희 (1978) 이인옥 (1979) 1980년대 원미경 (1980) 이미숙, 김민희 (1981) 나영희, 안소영 (1982) 박선희 (1983) 이보희 (1984) 조용원 (1985) 이혜영 (1986) 김혜수 (1987) 신혜수, 하희라 (1988) 진영미 (1989) 1990년대 이미연 (1990) 김성령, 지경원 (1991) 이아로 (1992) 오연수 (1993) 류금신, 지수원 (1994) 정선경 (1995) 김선재 (1996) 이은정 (1997) 최지우 (1998) 전지현 (1999) 2000년대 여고괴담 두번째 이야기 출연진 (2000) 서정 (2001) 이요원 (2002) 손예진 (2003) 윤진서 (2004) 수애 (2005) 정유미 (2006) 박시연 (2007) 한예슬 (2008) 박보영 (2009) 2010년대 조안 (2010) 신현빈 (2011) 배수지 (2012) 한예리 (2013) 김향기 (2014) 천우희 (2015) 박소담 (2016) 이상희 (2017) 최희서 (2018) 이재인 (2019) 대상 | 작품상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자조연 | 여자조연 | 남자신인연기 | 여자신인연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전양자&oldid=23951356" 분류: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수상자194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서울특별시 출신 배우진명여자고등학교 동문서라벌예술대학 동문서울연극학교 동문서울예술대학 연극과 동문1962년 데뷔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대한민국의 여성 기업인기독교복음침례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2일 (화) 00:1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전양자(全洋子, 본명 김경숙(金敬淑), 1942년 2월 20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 기업가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전양자가 1971년에 출연한 연극의 제목은 무엇인가? Assistant: 카라마조프의 형제들 Human: 아래 최민정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최민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최민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최민정 2015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때 경기를 하기 위해 기다리는 최민정기본정보국적 대한민국생년월일 1998년 9월 9일(1998-09-09) (20세)출생지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키 162cm 몸무게 52kg별명 초이민정, 옹심맘학력 연세대학교 스포츠응용학과 재학스포츠국가 대한민국종목 쇼트트랙소속팀 성남시청, 올댓스포츠코치 김선태최고기록500m 42.422초 (2018)1000m 1분 28.546초 (2017)1500m 2분 14.354초 (세계신기록, 2016)3000m 5분 28.828초 (2017)3000m 계주 4분 04.222초 (2016)성적올림픽 2018 ×2세계선수권대회 출전횟수 5회포디움 4회〈종합 1위〉×3〈종합 2위〉×1〈종합 3위〉×0ISU 월드컵데뷔 2014년 11월 8일솔트레이크시티 (500m 25위)종합 우승 3 (2015, 2016, 2018)포디움 ×39 ×18 ×2 메달 기록 대한민국의 선수 여자 쇼트트랙 올림픽 금 2018 평창 1500m 금 2018 평창 3000m 계주 세계 선수권 대회 금 2015 모스크바 1000m 금 2015 모스크바 3000m 슈퍼파이널 금 2015 모스크바 종합 금 2015 모스크바 3000m 계주 금 2016 서울 1000m 금 2016 서울 종합 금 2016 서울 3000m 계주 금 2018 몬트리올 500m 금 2018 몬트리올 1500m 금 2018 몬트리올 3000m 슈퍼파이널 금 2018 몬트리올 3000m 계주 금 2018 몬트리올 종합 금 2019 소피아 1500m 금 2019 소피아 3000m 계주 은 2016 서울 1500m 은 2019 소피아 1000m 은 2019 소피아 3000m 슈퍼파이널 은 2019 소피아 종합 동 2015 모스크바 1500m 아시안 게임 금 2017 삿포로 1500m 금 2017 삿포로 3000m 계주 은 2017 삿포로 1000m 동 2017 삿포로 500m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금 2014 에르주룸 1000m 금 2014 에르주룸 3000m 계주 은 2014 에르주룸 1500m 은 2014 에르주룸 종합 은 2014 에르주룸 1500m 슈퍼파이널 최민정(1998년 9월 9일 ~ )은 현재 대한민국의 여자 쇼트트랙 선수이다. 1,500m 세계기록 보유자로 2018년 2월 17일 평창올림픽 여자 1,500m 쇼트트랙 종목 에서 여성 첫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목차 1 생애 2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2.1 500m 2.2 1000m 2.3 1500m 2.4 3000m계주 3 학력 4 함께 보기 5 2018/19시즌 6 각주 7 외부 링크 생애[편집] 최민정은 6세 때 처음 스케이트를 탔다. 가족들과 함께 한 겨울 방학 캠프에서 빙판 위를 누볐다. 본격적으로 선수의 길을 걸은 시점은 초등학교 3학년 때다. 개인 코치를 따라 서울혜화초등학교에서 성남시의 분당초등학교로 전학을 갔다. 즐겁게 스케이트를 탔던 그는 서현중 2학년 때 본격적인 목표 의식을 갖고 스케이트에 임하게 된다. 그 후 시니어 데뷔 무대였던 2015년 3월 러시아 모스크바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에서 1500m에서 동메달, 500m에서 4위, 1000m와 3000m 슈퍼파이널에서 각각 금메달을 획득하며 개인 종합 우승을 차지하였다. 3000m 계주에서도 금메달을 획득하며 종합우승으로 이름을 알렸다.[1] 이듬해인 2016년에도 세계선수권대회 2연패를 달성하며 승승장구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심석희와 함께 올림픽 기대주로 평가받았다. 2017년 2월 그는 자신이 자라온 성남시의 성남시청 빙상단에 2년 계약으로 입단한다. 연세대학교에도 입학 예정이었지만 성남시청 빙상단에서 하기로 한 것이다. 그리고 열린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 그녀는 1,500m에서 금메달, 3,000m 계주에서 금메달, 1,000m에서 은메달 그리고 500m에서 동메달을 획득한다. 그러나 세계선수권대회 3연패를 노리던 2017년 3월, 네덜란드에서 열린 2017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최악의 불운에 겪는다. 1,500m 결승에서 넘어졌고, 500m와 1,000m에서 잇달아 실격 판정을 받아 개인 종합 6위로 밀려, 2018년 동계 올림픽 직행 티켓을 놓친 것이다. 다행히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1위를 차지하며 2018 평창올림픽에 참가권을 획득하게 된다. 그리고 1차 월드컵 4관왕, 2차 월드컵 1,500m 금메달을 목에 걸고 대한민국 쇼트트랙의 여자 에이스로 입지를 다졌다.[2][3] 2018년 평창 올림픽에서 1500m·3000m계주 에서 2개의 금메달을 흭득하여 2관왕를 달성했다. 2018 평창 동계 올림픽[편집] 2018년 평창에서 열린 2018 동계올림픽에 최민정이 참가하였다. 이 올림픽은 최민정의 생애 첫 올림픽 출전이라는 영광의 올림픽이 되었다. 500m[편집] 최민정은 준결승까지 올림픽 기록 42.422라는 기록을 세웠지만 결승에 캐나다 킴부탱에게 방해를 줬다는 의미로 실격되어 메달을 따지 못했다. 1000m[편집] 준결승에서 3위로 들어왔지만 중국 선수가 밀었다고 판정되어 결승 진출하였다. 하지만 결승에서 추월도중 심석희 선수와 우연히 부딪쳐 넘어지며 4등으로 결승점을 도착했다. 1500m[편집] 이 종목은 최민정의 주종목이며 준결승에도 1등으로 들어와 결승 진출을 하여 결승에서 2위와 격차를 벌리며(심지어 그 길이가 9m) 결승점에 통과해 대한민국 여자 첫 금메달을 얻었다. 3000m계주[편집] 대한민국은 출전한 이후 1번 빼고는 모두 금메달을 차지하였다. 이번에도 대한민국이 중국과 캐나다의 반칙에도 불구하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학력[편집] 분당초등학교 졸업 서현중학교 졸업 서현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스포츠응용산업학과 재학 함께 보기[편집] 심석희 김아랑 이유빈 김예진 김지유 전이경 진선유 최은경 박승희 김건희 2018/19시즌[편집] 최민정은 2018/19시즌에서는 2018세계선수권에서 우승했다는 의미로 헬멧번호가 1번으로 달았다 최민정은 캐나다 캘거리에서 열린 월드컵 1차에서는 다소 부족한 모습을 보이며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로 끝냈다 하지만 미국에서 열리는 2차는 확실히 다른 모습을 보이며 금메달 2개를 따며 쇼트트랙 여제라는 모습을 보였다 다음 카자흐스탄 알마티 에서 열리는 3차에서 빙질이 좋지 않아 1500(1)m에서는 5등으로 밀렸다 하지만 다음날 1500(2)m에서는 빙질이 최악이었지만 금메달을 땄고 다음 혼성계주에서도 힘을 내며 은메달을 땄다 하지만 다음 여자계주에서 도착선 앞에서 넘어지며 발목 인대 부상이라는 부상에 당한다 결국 금메달 1개 은메달2개로 마무리를 했다 5차는 개인종목은 메달을 따지 못했고 계주에서 페널티를 받아서 노메달로 끝냈고 6차 에서는 그나마 좋은 모습을 보여 은메달을 얻었고 계주에서는 페널티를 받았다 2019 세계쇼트트랙선수권대회 에서는 부상에서 벗어난 모습을 보이며 금메달 1500m에서 땄고 개인 종합 2위로 19/20시즌 국가대표로 자동 선발 되었다 각주[편집] ↑ 뉴시스 - "아직 석희언니한테 멀었어요" 세계選 우승 최민정 귀국 ↑ 김지섭 (2017년 11월 1일). “쇼트트랙 사상 첫 4관왕 도전 “내겐 꿈이자, 목표이자, 기회” ‘여왕 대관식’ 준비하는 최민정”. 《한국일보》.  ↑ 김가을 (2017년 4월 23일). “2018평창, 선수가 희망이다. 대학 새내기 최민정의 꿈과 도전”. 《스포츠조선》.  외부 링크[편집] 최민정 - 인스타그램 (영어) 최민정 - 국제 빙상 연맹 vdeh 2018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리스트 1992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금메달 임효준 (쇼트트랙 남자 1500m) 윤성빈 (스켈레톤 남자) 최민정 (쇼트트랙 여자 1500m) 심석희 최민정 김예진 김아랑 이유빈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 이승훈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매스스타트) 은메달 이상화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500m) 차민규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500m) 이승훈 정재원 김민석 주형준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팀 추월) 황대헌 (쇼트트랙 남자 500m) 이상호 (스노보드 남자 평행대회전) 김보름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매스스타트) 김은정 김경애 김선영 김영미 김초희 (컬링 여자) 원윤종 전정린 서영우 김동현 (봅슬레이 남자 4인승) 동메달 김민석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1500m) 서이라 (쇼트트랙 남자 1000m) 김태윤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1000m) 임효준 (쇼트트랙 남자 500m) 5 8 4 종합 7위 vdeh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1500m 금메달리스트 2002: 고기현 2006: 진선유 2010: 저우양 2014: 저우양 2018: 최민정 vdeh올림픽 쇼트트랙 3000m 계주 금메달리스트 1992: 캐나다 (데이글 램버트 커트론 페로) 1994: 대한민국 (김소희 김윤미 원혜경 전이경) 1998: 대한민국 (김윤미 안상미 원혜경 전이경) 2002: 대한민국 (박혜원 주민진 최민경 최은경) 2006: 대한민국 (강윤미 변천사 전다혜 진선유 최은경) 2010: 중국 (쑨린린 왕멍 장후이 저우양) 2014: 대한민국 (공상정 김아랑 박승희 심석희 조해리) 2018: 대한민국 (김아랑 김예진 심석희 이유빈 최민정) vdeh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여자 종합 우승자 1976:  첼레스테 칠라파티 1977:  브랜다 웹스터 1978:  사라 닥터 1979:  실비 데이글 1980:  카토 미요시 1981:  카토 미요시 1982:  마리즈 페리아울트 1983:  실비 데이글 1984:  키노시타 마리코 1985:  시시이 에이코 1986:  보니 블레어 1987:  시시이 에이코 1988:  실비 데이글 1989:  실비 데이글 1990:  실비 데이글 1991:  나탈리 람베르트 1992:  김소희 1993:  나탈리 람베르트 1994:  나탈리 람베르트 1995:  전이경 1996:  전이경 1997:  전이경&양양 (A) 1998:  양양 (A) 1999:  양양 (A) 2000:  양양 (A) 2001:  양양 (A) 2002:  양양 (A) 2003:  최은경 2004:  최은경 2005:  진선유 2006:  진선유 2007:  진선유 2008:  왕멍 2009:  왕멍 2010:  박승희 2011:  조해리 2012:  리지안루 2013:  왕멍 2014:  심석희 2015:  최민정 2016:  최민정 2017:  엘리스 크리스티 2018:  최민정 vdehISU 쇼트트랙 월드컵 여자 종합 우승자 1997 - 1998:  전이경 1998 - 1999:  양양 (A) 1999 - 2000:  양양 (A) 2000 - 2001:  양양 (A) 2001 - 2002:  양양 (A) 2002 - 2003:  푸티안유 2003 - 2004:  최은경 2004 - 2005:  왕멍 2005 - 2006:  진선유 2006 - 2007:  변천사 2007 - 2008:  진선유 2008 - 2009:  왕멍 2009 - 2010:  왕멍 2010 - 2011:  캐서린 로이터 2011 - 2012:  아리아나 폰타나 2012 - 2013:  심석희 2013 - 2014:  심석희 2014 - 2015:  심석희 2015 - 2016:  최민정 2016 - 2017:  쉬자너 스휠팅 2017 - 2018:  최민정 vdehMBN 여성스포츠대상 MVP2012년 1월 김장미 (사격) 2월 심석희 (쇼트트랙) 3월 김지선, 이현정, 신미성, 이슬비, 김은지(컬링) 4월 기보배(양궁) 5월 김연경(배구) 6월 김경아(탁구) 7~8월 황경선(태권도), 김지연(사브르 펜싱) 9월 김해진 (피겨 스케이팅) 10월 성지혜 (체조) 대상 기보배 (양궁) 2013년 1월 이상화 (스피드 스케이팅) 2월 이진아 (테니스) 3월 김연아 (피겨스케이팅) 4월 손연재 (체조) 5월 신아람 (에페 펜싱) 6월 김경아 (탁구) 7월 김자인 (암벽등반) 8월 김하늘 (골프) 9월 심석희 (쇼트트랙) 10월 차유람 (당구) 대상 김자인 (암벽등반) 2014년 1-2월 이상화 (스피드 스케이팅), 박승희 (쇼트트랙) 3월 박혜진 (농구) 4월 손연재 (리듬체조) 5월 박은선 (축구) 6월 김온아 (핸드볼) 7월 남현희 (플뢰레 펜싱) 대상 손연재 (리듬체조) 2015년 대상 박인비 (골프) 2016년 대상 장혜진 (양궁) 2017년 대상 심석희 & 최민정 (쇼트트랙)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최민정&oldid=23944376" 분류: 1998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대한민국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해주 최씨올림픽 쇼트트랙 메달리스트2018년 동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대한민국의 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성남시 출신분당초등학교 동문서현중학교 동문서현고등학교 동문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동문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쇼트트랙 참가 선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은메달리스트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동메달리스트아시안 게임 쇼트트랙 메달리스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sturianuБългарски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Italiano日本語LietuviųNederlandsNorskPolskiРусскийSvenska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31일 (일) 17:4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최민정(崔珉禎, 1998년 9월 9일~)은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이다. 여자 1500m 세계 기록 보유자이다. 2018년 동계 올림픽 여자 1500m, 여자 30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2022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여자 1000m 종목에서 은메달, 여자 1500m에서 금메달, 여자 3000m 계주에서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최민정이 처음 스케이트를 탔을 때는 몇 살이었어? Assistant: 6세
Human: 아래 대전_도시철도_2호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전 도시철도 2호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전 도시철도 2호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전지하철 2호선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아직 개통되지 않은 철도 노선 또는 철도역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대전 도시철도 2호선 (스마트트램)기본 정보운행 국가 대한민국종류 도시 철도체계 대전 도시철도 (노면전차)상태 설계 중기점 동부네거리역 (A선) 충남대역 (B선) 서대전역 (본선) 종점 동부여성가족원역 (A선) 원골네거리역 (B선) 서대전역 (본선)개통일 2020년 (예정)소유자 대전광역시운영자 대전광역시 도시철도공사노선 제원영업 거리 37.4 km궤간 1,435 mm (표준궤)선로 수 2전철화 DC 750V신호 방식 노면전차용 지상신호 (도로교통 통합신호)v • d • e • h 대전 도시철도 2호선 (大田 都市鐵道 2號線)은 대전광역시가 계획 중인 도시철도 노선이다. 진잠 ~ 서대전역 ~ 동부네거리(대전복합터미널) ~ 정부청사 ~ KAIST ~ 충남대학교 ~ 유성온천 ~ 도안신도시 ~ 관저를 경유하는 36km의 순환형 노선으로 계획되고 있다. 그중 일부 노선은 스마트트램으로 먼저 착공될 예정이다. 목차 1 노선 개요 1.1 스마트트램 A선 1.2 스마트트램 B선 1.3 대전 도시철도 2호선 1.3.1 1단계 1.3.2 2단계 2 역 목록 2.1 본선 2.2 계족산 지선 2.3 진잠 지선 2.4 가수원 지선 3 연혁 4 논란 4.1 차종 선정 과정에 대한 논란 5 충청권 광역철도 6 각주 7 같이 보기 노선 개요[편집] 2012년 11월 21일 기획재정부가 한국개발연구원(KDI)에 의뢰한 대전 도시철도 2호선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가 통과되어 대전광역시는 설계를 끝낸 뒤 착공해 2020년부터 2호선을 운행한다는 구상이었으나 기종이 노면전차로 변경되면서 착공시기가 늦춰지게 되었다. 이후 대전광역시는 2호선의 일부 구간을 시비를 부담하여 스마트트램으로 건설하는 계획을 발표하였으며 2018년 착공을 위해 실시 설계 중에 있다. 2019년 드디어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받고 2021년 착공해 2025년 완공 목표로 매우 긴 시간 착공되지 못하고있다. 스마트트램 A선[편집] 사업성격 : 신설 건설기관 : 대전광역시청 대중교통혁신단 차량시스템 : 노면전차 (스마트트램) 사업구간 : 동부네거리 (대전복합터미널) - 중리네거리 - 법동 - 동부여성가족원 2.7km 착공시기 : 2018년 (예정) 완공시기 : 2020년 (예정) 특징 : 추후 읍내동까지 연장할 것이며, 2호선 완공 시 지선역할을 할 것이라고 한다. 스마트트램 B선[편집] 사업성격 : 신설 건설기관 : 대전광역시청 대중교통혁신단 차량시스템 : 노면전차 (스마트트램) 사업구간 : 충남대 - 유성온천역 - 상대 - 원골네거리 2.4km 착공시기 : 2018년 (예정) 완공시기 : 2020년 (예정) 특징 : 정부 공모 시범노선 대비 대전 도시철도 2호선[편집] 사업성격 : 신설 건설기관 : 대전광역시청 대중교통혁신단 차량시스템 : 노면전차 (스마트트램) 완공시기 : 2025년 (예정) 노선길이 : 36km 1단계[편집] 사업구간 : 서대전역 - 서대전네거리 - 대사(충남대학교병원) - 대흥(한밭종합운동장) - 인동 - 대동 - 자양(우송대학교) - 가양 - 동부네거리(대전복합터미널) - 중리 - 오정(한남대학교) - 한밭대교(오정농수산물시장) - 둔산 - 정부청사 - 만년 - 엑스포과학공원(국립중앙과학관) - 유성구청(한국과학기술원) - 충남대학교 - 유성온천 - 원신흥 - 목원대학교 - 가수원역 - 진잠 2단계[편집] 사업구간 : 가수원역 - 정림 - 복수 - 도마네거리 - 유천 - 서대전역 역 목록[편집] 역명은 아직 미정으로, 환승역을 제외한 나머지 역명은 가칭이다. 본선[편집] 역 번호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역간거리 누적거리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201 서대전 Seodaejeon 西大田 충청권 광역철도 대전광역시 중구 202 서대전네거리 Seodaejeon Negeori 西大田네거리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203 대사 Daesa 大寺 204 대흥 Daeheung 大興 205 인동 In-dong 仁洞 동구 206 대동 Dae-dong 大洞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207 자양 Jayang 紫陽 208 가양 Gayang 佳陽 209 대전복합터미널 Daejeon Terminal Complex 大田터미널 스마트트램A선 210 중리네거리 Jungninegeori 中里네거리 계족산 지선 대덕구 211 한남대 Hannam University 韓南大 212 오정 Ojeong 梧井 충청권 광역철도 213 오정농수산물시장 Ojeong Agro-Fishery Market 梧井農水産物市場 214 둔산 Dunsan 屯山 서구 215 정부청사 Government Complex Daejeon 政府廳舍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216 선사유적지 Dunsan Prehistoric Site 先史遺蹟地 217 만년 Mannyeon 萬年 218 엑스포과학공원 EXPO Science Park 엑스포科學公園 유성구 219 카이스트 KAIST 韓國科學技術院 220 유성구청 Yuseong-gu District Office 儒城區廳 221 충남대 Chungnam Nat'l Univ. 忠南大 스마트트램B선 222 유성온천 Yuseong Spa 儒城溫泉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223 상대 Sangdae 上垈 224 원골 Wongol 원골 225 목원대 Mokwon Univ. 牧園大 226 원앙네거리 Wonang Negeori 鴛鴦네거리 진잠 지선 서구 228 관저 Gwanjeo 關雎 229 가수원네거리 Gasuwonnegeori 佳水院네거리 가수원 지선 231 정림 Jeongnim 正林 232 복수 Boksu 福守 충청권 광역철도 233 도마 Doma 桃馬 234 유천 Yucheon 柳川 계족산 지선[편집] 역 번호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역간거리 누적거리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210 중리네거리 Jungninegeori 中里네거리 본선 대전광역시 대덕구 스마트트램A선 210-1 법동 Beop-dong 法洞 210-2 동부여성가족원 Daejeon Institute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東部女性家族院 진잠 지선[편집] 역 번호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역간거리 누적거리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226 원앙네거리 Wonang Negeori 鴛鴦네거리 본선 대전광역시 서구 227 진잠 Jinjam 鎭岑 가수원 지선[편집] 역 번호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역간거리 누적거리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229 가수원네거리 Gasuwonnegeori 佳水院네거리 본선 대전광역시 서구 230 가수원 Gasuwon 佳水院 충청권 광역철도 연혁[편집] 2001년 9월 : "제1차 대전권 광역교통 5개년 계획수립"을 위한 공청회에서 교통개발연구원이 연구용역에서 대전 2호선(순환선) 건설을 제안 2001년 12월 : 제1차 지방5대도시권 광역교통5개년계획(2001/12, 건설교통부)에 완공목표 미정으로 포함 2003년 12월 15일 : 교통개발 연구원의 의뢰에 따라 대전시청에서 대전도시철도 2호선 기본계획 및 노선 재검토가 결정 2003년 6월 22일 : 대한민국 건설교통부 고시에 의거, 2호선 경전철 건설사업 예비 타당성 조사 신청 2003년 11월 : 대한민국 기획예산처,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사업선정 2003년 12월 : KDI의 의뢰에 따라 예비타당성 조사 착수 2006년 12월 : 기획예산처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에 따라, BC = 0.73, AHP = 0.312로 경제성이 낮게 평가 2011년 : 계획이 변경되어 1호선과 x축으로 건설하려 했던 2호선은 신탄진을 통과하는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이 확정됨에 따라 원안인 순환형을 재검토 2012년 11월 21일 : 한국개발연구원, 대전도시철도 2호선에 대한 예비타당성 분석 결과 B/C(비용대비편익) 0.91, AHP(종합분석) 0.508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1] 2013년 : 민관정위원회에서 자기부상열차로 추진하기로 결정, 지상고가 방식과 노면 방식 모두 반대 의견이 있기에 여론 수렴 2014년 4월 16일 : 염홍철 시장, 자기부상열차로 기종 발표[2] 및 자양로 등 2호선 일부 난구간은 지하화로 확정 2014년 12월 4일 : 민선 6기 새로 취임한 권선택 시장의 공약에 따라 트램으로 기종 변경을 발표 2016년 4월 28일 : 대전광역시, 시범노선인 스마트트램의 건설 계획과 노선 계획 발표[3] 논란[편집] 차종 선정 과정에 대한 논란[편집] 대전시민들은 1호선처럼 지하철 방식으로 건설할 것을 요구하였지만 지하철은 건설 비용이 많이 들고, 대전시가 충분한 국비를 확보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지상고가 방식으로 잠정 결정되어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를 받았고 통과되었다. 그러나 일부 시민단체에서는 지상고가 방식이 도시 미관을 훼손할 수 있으므로 노면 트램 방식을 주장하였다. 하지만 트램은 기존 도로를 2~3차로 잠식하고, 우선 신호(출ㆍ퇴근시간대 2~3분 간격 교차) 사용 등으로 교통 정체와 도로 교통 혼잡을 야기하며, 충돌로 인한 사고 위험성이 높다. 또한 트램이 노면과의 마찰로 마모에 따른 소음, 진동 및 분진 발생과 미세입자 등 대기 오염을 초래하고, 폭우ㆍ폭설ㆍ혹한기 등 기후변화 대응에 취약하며, 고가 방식에 비해 더 많은 유지 비용이 소요된다. 트램은 지상 교통신호 흐름의 적용을 받아 버스보다도 속도가 느려서 정시성을 확보하기 힘들기 때문에 시민들의 반대 의견이 높았다.[4] 하지만 권선택 시장이 2014년 12월 4일 기존 자기부상열차 계획 대신 트램으로 기종을 변경하겠다고 시민들에게 발표하였다. 노면 트램방식으로 변경되기 위해서는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를 다시 통과해야 하며 이를 골자로 한 대전 도시철도 2호선 기본계획도 국토교통부 사업 승인까지 다시 통과되어야 한다. 충청권 광역철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충청권 광역철도입니다. 각주[편집] ↑ 대전도시철도 2호선 예타 통과, 한국일보, 2012년 11월 21일 ↑ 대전도시철도2호선 '고가 자기부상열차' 확정, 뉴스1, 2014년 4월 16일 ↑ 대전에 '노면전차' 놓인다…2개 시범노선 발표(종합), 연합뉴스, 2016년 4월 28일 ↑ 대전 도시철도 2호선 건설방식·기종 비교, 대전일보, 2014년 6월 11일 같이 보기[편집]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에코비 노면전차 무가선트램 vdeh 대한민국의 도시 철도수도권 전철 1기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2기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3기 ● 9호선 10호선 11호선 12호선 경전철 ● 우이신설선¹ ● 신림선¹ ○ 동북선¹ ○ 면목선¹등 부산 도시철도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¹ ○ 사상-하단선¹ ○ 양산 도시철도¹ 대구 도시철도 ● 1호선 ● 2호선 ● 3호선¹ 인천 도시철도 ● 1호선 ● 2호선¹ 광주 도시철도 ● 1호선 ○ 2호선 대전 도시철도 ● 1호선 ○ 2호선² 기타 도시철도 ● 부산-김해 경전철¹ ● 의정부 경전철¹ ● 용인 경전철¹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¹ ○ 수원 도시철도² ● 김포 도시철도¹ ○ 창원 도시철도² ○ 판교 랜드마크 트램² 기울임 표시 : 미개통·공사중·계획중인 노선, ¹: 경전철, ²: 노면전차, 폐기된 계획 vdeh 대한민국의 노면전차 노선계획중서울특별시 위례선 목동선 경기도 수원 1호선 판교 랜드마크 트램 동탄 1호선 동탄 2호선 인천광역시 IN 트램 부산광역시 강서선 오륙도선 대전광역시 대전 2호선 스마트트램 A선 스마트트램 B선 폐선서울경성궤도 본선 화양지선(광장리선) 서울전차 서대문・마포선 을지로선 효자동선 왕십리선 신용산・구용산선 노량진・영등포선 의주로선 창경원・돈암동선 종로4가~을지로4가선 동대문~을지로6가선 부산부산전차 범일정선 목도선 장수선 대청정선 동래선 ¹: 수도권 통합운임제 체계 이외의 별도 운임 제도가 존재하는 노선. ²: 민간 자본 투자 노선(운임 부과 여부와 무관). vdeh 대전광역시의 교통공원 | 교통 | 도로 | 도서관 | 동굴 | 박물관 | 산 | 서원 | 섬 | 성 | 온천 | 저수지 | 종합병원 | 축제 | 하천 | 해수욕장철도일반철도 경부선 대전선 호남선 고속철도 경부고속철도 도시철도 1호선 2호선 역 대전역 서대전역 신탄진역 회덕역¹ 대전조차장역¹ 세천역¹ 가수원역¹ 흑석리역¹ ¹ : 여객취급을 하지 않는 역 도로고속도로 경부 (1) () 당진영덕 (30) 통영대전 (35) 호남지선 (251) 대전남부순환 (300) 나들목 분기점 계룡 나들목 남대전 나들목 남세종 나들목 회덕 나들목 대전 나들목 북대전 나들목 서대전 나들목 신탄진 나들목 안영 나들목 유성 나들목 판암 나들목 비룡 분기점 산내 분기점 서대전 분기점 유성 분기점 회덕 분기점 국도 1호 4호 17호 32호 국가지원지방도 32호 57호 도시고속도로 갑천도시고속도로 (천변도시고속화도로) 간선도로 대덕대로 도안대로 동서대로 둔산대로 북유성대로 유성대로 한밭대로 가장로 계룡로 계백로 계족로 구룡달전로 구즉세종로 금남구즉로 금산로 대둔산로 대전로 대청로 도산로 도솔로 도안동로 동대전로 배재로 벌곡로 보문산로 신탄진로 옥천로 우암로 중앙로 충무로 현충원로 버스시내버스 시내버스·마을버스 (노선 목록) 대전시티투어 고속·시외 대전복합 유성 대전청사 도룡동·대전도룡 대전서남부 유성시외 관저 대전도마동 부사동 신흥동 용두동 버스전용차로 대전~오송 버스전용차로 기타교통카드 티머니(한꿈이카드) 항공 청주국제공항 자전거 타슈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전_도시철도_2호선&oldid=24471520" 분류: 개발 중인 철도대전 도시철도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3일 (일) 22: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대전 도시철도 2호선(大田 都市鐵道 2號線)은 대전광역시가 계획 중인 도시 철도 노선이다. 진잠동 ~ 서대전역 ~ 동부네거리(대전복합터미널) ~ 정부청사 ~ KAIST ~ 충남대학교 ~ 유성온천역 ~ 도안신도시 ~ 관저동을 경유하는 36km의 순환형 노선으로 계획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대전 도시철도 2호선을 선정할때 일부에서 지상고가 대신 트램 형태를 요구한 이유는 뭘까? Assistant: 도시 미관을 훼손할 수 있으므로 Human: 아래 서아시아_축구_선수권_대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영어: WAFF Championship, 아랍어: بطولة اتحاد غرب آسيا لكرة القدم, 페르시아어: قهرمانی فوتبال غرب آسیا)는 서아시아 축구 연맹(WAFF)에 가맹한 축구 협회(연맹)의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이다. 대회는 2000년에 설립되었으며, 동일한 성격의 여자부 대회로 서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가 있다. 목차 1 역대 대회 결과 2 국가별 참가 기록 3 국가별 통산 성적 4 같이 보기 5 외부 링크 역대 대회 결과[편집] 서아시아 선수권에서 정상에 오른 나라는 이란과 이라크, 쿠웨이트, 시리아, 카타르이다. 이란은 총 네 번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뒤이어 이라크, 쿠웨이트, 시리아, 카타르은 각각 한 번 서아시아 챔피언에 등극하였다. 연도/회차 개최국 우승 점수 준우승 3위 점수 4위 2000년(제1회) 요르단 이란 1 - 0 시리아 이라크 4 - 1 요르단 2002년(제2회) 시리아 이라크 3 - 2(a.e.t.) 요르단 이란 2 - 2(PSO 4 - 2) 시리아 2004년(제3회) 이란 이란 4 - 1 시리아 요르단 3 - 1 이라크 2007년(제4회) 요르단 이란 3 - 2(a.e.t.) 이라크 시리아 & 요르단공동 3위 2008년(제5회) 이란 이란 2 - 1 요르단 시리아 & 카타르공동 3위 2010년(제6회) 요르단 쿠웨이트 2 - 1 이란 예멘 & 이라크공동 3위 2012년(제7회) 쿠웨이트 시리아 1 - 0 이라크 오만 1 - 0 바레인 2014년(제8회) 카타르 카타르 2 - 0 요르단 바레인 0 - 0(PSO 3 - 2) 쿠웨이트 2019년(제9회) 이라크 ? - ? ? - ? 국가별 참가 기록[편집]      우승      준우승      3위      4위      개최국 † 초청국 대회국가 2000년 2002년 2004년 2007년 2008년 2010년 2012년 2014년 2019년 레바논 5위 6위 6위 6위 × × 9위 8위 ο 바레인 × × × × × 5위 4위 3위 ο 사우디아라비아 × × × × × × 7위 9위 ο 시리아 준우승 4위 준우승 =3위 =3위 7위 우승 × ο 아랍에미리트 × × × × × × × × ο 예멘 × × × × × =3위 11위 × ο 오만 × × × × 5위 8위 3위 =5위 ο 요르단 4위 준우승 3위 =3위 준우승 6위 10위 준우승 ο 이라크 3위 우승 4위 준우승 × =3위 준우승 =5위 ο 이란 우승 3위 우승 우승 우승 준우승 6위 × × 카자흐스탄† 6위 × × × × × × × × 카타르 × × × × =3위 × × 우승 × 쿠웨이트 × × × × × 우승 5위 4위 ο 키르기스스탄† 8위 × × × × × × × × 팔레스타인 7위 5위 5위 5위 6위 9위 8위 7위 ο 국가별 통산 성적[편집] 서아시아 선수권에서의 국가별 통산 성적은 다음과 같다. 순위 기준: 승점 > 진출 횟수 > 최고 성적 > 골득실 > 다득점 > 승자승. 2014년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까지의 결과를 포함하며, 걸프컵의 결과는 포함하지 않는다. 순위 국가 진출 횟수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최고 성적 1 이란 7회 28 19 7 2 56 16 +40 64 우승 (4) 2 이라크 7회 26 13 7 6 35 19 +16 46 우승 (1) 3 요르단 8회 28 11 8 9 33 26 +7 41 준우승 (3) 4 시리아 7회 25 9 7 9 27 33 -6 34 우승 (1) 5 쿠웨이트 3회 11 5 3 3 14 14 0 18 우승 (1) 6 카타르 2회 7 5 0 2 12 10 +2 15 우승 (1) 7 바레인 3회 11 3 5 3 5 6 -1 14 3위 (1) 8 오만 4회 11 3 3 5 9 13 -4 12 3위 (1) 9 레바논 6회 14 2 2 10 6 21 -15 8 5위 (1) 10 팔레스타인 8회 18 1 3 14 10 30 -20 6 5위 (3) 11 사우디아라비아 2회 5 1 2 2 2 5 -3 5 7위 (1) 12 예멘 2회 6 1 1 4 6 8 -2 4 3위 (1) 13 카자흐스탄 1회 3 1 0 2 3 9 -6 3 6위 (1) 14 키르기스스탄 1회 3 0 0 3 0 8 -8 0 8위 (1) 같이 보기[편집] 아시아의 5대 지역 축구 선수권 대회 남아시아 축구 연맹(SAFF):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 남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동아시아 축구 연맹(EAFF): 다이너스티컵 — 동아시안컵 서아시아 축구 연맹(WAFF):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 서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아세안 축구 연맹(AFF): 아세안 축구 선수권 대회 / 아세안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중앙아시아 축구 연맹(CAFA): 중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 중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외부 링크[편집]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기록(RSSSF) vdeh국제 축구 FIFA FIFA 월드컵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올림픽 FIFA U-20 월드컵 FIFA U-17 월드컵 청소년 올림픽 FIFA 클럽 월드컵 FIFA 풋살 월드컵 FIFA 비치사커 월드컵 FIFA e월드컵 유니버시아드 풋볼 어워드 남자 대표팀 목록 FIFA 코드 FIFA 랭킹 남미 CONMEBOL – 코파 아메리카 U-20 U-17 U-15 북중미카리브 CONCACAF – CONCACAF 골드컵 CONCACAF 네이션스리그 U-20 U-17 U-15 지역별 UNCAF 아시아 AFC – AFC 아시안컵 U-23 U-19 U-16 U-14 지역별 AFF CAFA EAFF SAFF WAFF 아프리카 CAF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오세아니아 OFC – OFC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유럽 UEFA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네이션스리그 U-21 U-19 U-17 FIFA 비회원국 NF-보드 – VIVA 월드컵 CONIFA – CONIFA 축구 선수권 대회 IGA – 아일랜드 게임 종합 대회 아시안 게임 올아프리카 게임 팬아메리칸 게임 동아시아 경기 대회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남아시아 경기 대회 지중해 경기 대회 카리브 게임 퍼시픽 게임 유러피언 게임 인도해 아일랜드 게임 팬아랍 게임 프랑코포니 경기 대회 루소포니아 경기 대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서아시아_축구_선수권_대회&oldid=23227847" 분류: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아랍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페르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مازِرونیNederlandsPolskiРусскийSvenska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8일 (토) 23: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서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영어: WAFF Championship, 아랍어: بطولة اتحاد غرب آسيا لكرة القدم, 페르시아어: قهرمانی فوتبال غرب آسیا)는 서아시아 축구 연맹(WAFF)에 가맹한 축구 협회(연맹)의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이다. 대회는 2000년에 설립되었으며, 동일한 성격의 여자부 대회로 서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가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 출전한 나라들의 통산 전적은 어떻게 될까? Assistant: 순위 국가 진출 횟수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최고 성적 1 이란 7회 28 19 7 2 56 16 +40 64 우승 (4) 2 이라크 7회 26 13 7 6 35 19 +16 46 우승 (1) 3 요르단 8회 28 11 8 9 33 26 +7 41 준우승 (3) 4 시리아 7회 25 9 7 9 27 33 -6 34 우승 (1) 5 쿠웨이트 3회 11 5 3 3 14 14 0 18 우승 (1) 6 카타르 2회 7 5 0 2 12 10 +2 15 우승 (1) 7 바레인 3회 11 3 5 3 5 6 -1 14 3위 (1) 8 오만 4회 11 3 3 5 9 13 -4 12 3위 (1) 9 레바논 6회 14 2 2 10 6 21 -15 8 5위 (1) 10 팔레스타인 8회 18 1 3 14 10 30 -20 6 5위 (3) 11 사우디아라비아 2회 5 1 2 2 2 5 -3 5 7위 (1) 12 예멘 2회 6 1 1 4 6 8 -2 4 3위 (1) 13 카자흐스탄 1회 3 1 0 2 3 9 -6 3 6위 (1) 14 키르기스스탄 1회 3 0 0 3 0 8 -8 0 8위 (1)
Human: 아래 대한민국의_영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한민국의 영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의 영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영화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한민국의 영화 스크린 수 2,424개 (2015년)[1]주요 배급사 CJ엔터테인먼트 22%쇼박스 17%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11%[1]제작된 장편 영화 (2015년)[1]총 편수 269 관객수 (2015년)[1]총 관객수 2억 1729만 명자국영화 관객수 1억 1293만 명 (52%)매출액 (2015년)[1]총 매출 1조 7154억 원자국영화 매출 8796억 원 대한민국의 영화(大韓民國- 映畵)는 대한민국 국적자 혹은 법인에 의해 제작된 영화로서 주로, 한국인 스탭과 배우로 구성된 영화를 지칭한다. 대한민국의 영화는 일제 강점기의 영화에 기원하며, 예술과 산업으로서 다양한 종류와 내용의 영화가 매년 제작되고 있다. 목차 1 역사 1.1 광복 이후 1.2 텔레비전 보급 이후 2 같이 보기 3 각주 4 참고 자료 5 외부 링크 역사[편집] 일제강점기 이전의 역사에 대해서는 한국의 영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광복 이후[편집] 일제강점기 후반부에는 검열과 동원으로 영화 제작이 어려웠다. 광복이 되자 영화인들은 거의 맨주먹으로 다시금 재기하기에 안간힘을 썼다. 이 당시의 영화는 광복의 감격을 표현한 작품이 대부분이었다. 최인규 감독이 전창근을 주연으로 해서 만든 《자유만세》, 윤봉춘 감독의 《안중근 사기(安重根史記)》, 이규환 감독의 《똘똘이의 모험》을 비롯하여 《3·1혁명기》·《해방된 내 고향》 등이 1946년에 제작되었으며, 다음해에도 민족의 고난과 독립투쟁을 말하는 《윤봉길 의사》·《불멸의 밀사》·《민족의 절규》 등 많은 작품을 내놓았다.그러나 한국의 영화가 그 예술적인 면에서 크게 진전을 본 것은 1960년 이후의 일이었다. 초창기로부터 해방 당시까지 그 의욕은 왕성했지만 예술적인 차원에서는 아직도 미숙했었다. 다른 예술과 마찬가지로 영화인들은 민족의 고뇌와 분노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데 영화를 하나의 수단으로 사용한 예가 오히려 많았다고 주장되기도 한다.[2] 텔레비전 보급 이후[편집] 영화를 제작하는 기업은 영세하고 시장은 협소하여 외화와 같이 영화제작에 충분한 시간과 경비를 투입할 수 없었고, 또한 자본주인 흥행사의 간섭 등으로 의욕있는 작품을 제작되기에는 어려운 여건에 놓여 있었다. 이와 같이 침체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정부에서도 영화산업의 보호 육성책으로 1971년 2월에 영화진흥조합을 발족시켜 방화제작비 융자, 시나리오 창작금 지원, 영화인 복지사업 등을 추진하게 되었다. 1980년대 초에는 텔레비전 보급과 레저 산업의 성장에 의해 영화가 지녔던 대중 오락적 기능은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영화산업이 사양화하고 있었지만 1986년 영화법 개정 이후 영화제작자유화로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1989년 제작된 방화는 1980년대 들어 가장 많은 106편에 달했다. 실제로 1989년은 방화가 물량면에서는 1980년대 들어 최다제작이 이루어졌으나 외화직배문제로 외화수입물량이 폭증하여 방화가 흥행에 성공하지 못했고, 관객의 방화외면, 외화의 선호현상이 더욱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화는 방화보다도 많은 관객을 확보하고 있었다. 1980년대의 한국 영화계의 불황은 텔레비전 보급과 레저산업의 성장이라는 외적인 면보다는 내적인 면에 더 큰 원인이 있었고, 사회적·경제적·기술적인 제반 여건이 충족되지 않은 비정상적인 출발이 한국 영화를 산업으로 성장시키지 못하고 소규모의 기업에 머물게 하였다.[3] 같이 보기[편집] 천만 영화 대한민국의 영화 흥행 기록 대한민국의 영화 상영 등급 한류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마 영화진흥위원회 산업정책연구팀. “2015년 한국 영화산업 결산”. 2016년 6월 25일에 확인함.  ↑ '한국의 영화', 《글로벌 세계 대백과》 ↑ '영화산업의 현상', 《글로벌 세계 대백과》 참고 자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대한민국의 영화 vdeh세계의 영화아시아 한국 영화 대한민국 (목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목록) 일본 영화 중국 영화 홍콩 영화 타이완 영화 태국 영화 인도네시아 영화 인도 영화 발리우드 이란 영화 유럽 영국 영화 프랑스 영화 독일 영화 이탈리아 영화 스페인 영화 체코 영화 러시아 영화 아메리카 미국 영화 할리우드 캐나다 영화 멕시코 영화 브라질 영화 아르헨티나 영화 그 외 이집트 영화 오스트레일리아 영화 국제 합작 영화 이 글은 영화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한민국의_영화&oldid=24178364" 분류: 대한민국의 영화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영화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فارسیFrançais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日本語PortuguêsРусский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13: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대한민국(한국 한자: 大韓民國, 영어: Republic of Korea, ROK), 약칭 한국(한국 한자: 韓國, 영어: Korea), 남한(한국 한자: 南韓, 영어: South Korea), 남조선(한국 한자: 南朝鮮)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군사 분계선 남부에 위치한 국가이다. 현정체제는 대한민국 제6공화국이다. 대한민국의 국기는 대한민국 국기법에 따라 태극기이며, 국가는 관습상 애국가, 국화는 관습상 무궁화이다. 공용어는 한국어와 한국 수어이다. 수도는 서울이다. 인구는 2023년을 기준으로 약 5,174만 명으로, 전체 인구 중 절반이(약 2,624만 명) 수도권에 살고 있다.대한민국은 1948년 5월 10일 총선거를 통해 제헌국회를 구성하였고,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하였다. 1948년 제헌 국회에서 대한민국의 국호를 계승하여 헌법에 명시하였고, 다시 1950년 1월 16일 국무원 고시 제7호 ‘국호 및 일부 지방명과 지도색 사용에 관한 건’에 의해 확정하였다. 대한민국은 20세기 후반 이후 급격한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 그 과정에서 1990년대 말 외환 위기 등의 부침이 있기도 했다. 대한민국의 2022년 1인당 국민 총소득 (GNI)은 명목 3만 4,994달러이다. 2020년 유엔개발계획 (UNDP)이 매년 발표하는 인간개발지수 (HDI) 조사에서 세계 22위를 기록하였다. 2021년 7월 2일 스위스 제네바 본부에서 열린 ‘제68차 무역개발이사회’ 마지막 회의에서 한국의 지위를 선진국 그룹으로 ‘의견 일치’로 변경하고 선진국으로 인정했다. 다만 높은 자살률, 장시간 근로 문화와 높은 산업 재해 사망률, 저출산 등의 사회 문제가 이 같은 성과와 병존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이코노미스트에서 발표하는 민주주의 지수 조사에서 2019년 기준 23위의 8.0점을 기록한 바와 같이 아시아에서 민주주의 수준이 가장 높은 국가 가운데 하나이다. 또한 대한민국은 주요 20개국 (G20), 경제 협력 개발 기구 (OECD), 개발 원조 위원회 (DAC), 파리 클럽 등의 회원국이다.1948년 이후로 오늘날까지 한반도에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라는 두 개의 분단국가가 각각 남북에 위치하고 있다. 한반도와 부속도서의 면적은 약 22만 km2이며, 인구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합쳐 2019년을 기준으로 약 7,700만 명에 달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80년대 영화산업은 어떤 동향을 띄었어? Assistant: 1980년대 초에는 텔레비전 보급과 레저 산업의 성장에 의해 영화가 지녔던 대중 오락적 기능은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영화산업이 사양화하고 있었지만 1986년 영화법 개정 이후 영화제작자유화로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1989년 제작된 방화는 1980년대 들어 가장 많은 106편에 달했다. 실제로 1989년은 방화가 물량면에서는 1980년대 들어 최다제작이 이루어졌으나 외화직배문제로 외화수입물량이 폭증하여 방화가 흥행에 성공하지 못했고, 관객의 방화외면, 외화의 선호현상이 더욱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화는 방화보다도 많은 관객을 확보하고 있었다. 1980년대의 한국 영화계의 불황은 텔레비전 보급과 레저산업의 성장이라는 외적인 면보다는 내적인 면에 더 큰 원인이 있었고, 사회적·경제적·기술적인 제반 여건이 충족되지 않은 비정상적인 출발이 한국 영화를 산업으로 성장시키지 못하고 소규모의 기업에 머물게 하였다.[3] Human: 아래 조문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조문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문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945년 부민관 폭파 의거 직전, 왼쪽부터 강윤국, 조문기, 유만수 조문기(趙文紀, 1926년[1] 5월 19일 ~ 2008년 2월 5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한국의 무장 의열독립운동의 마지막 의거인 부민관 폭파사건 주동자가운데 한 사람이다. 목차 1 생애 2 같이 보기 3 참고 자료 4 각주 생애[편집] 경기도 수원군 매송면(現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출신이다. 1942년 일본으로 건너간 뒤, 일본강관주식회사(日本鋼管株式會社)에서 조선인 노무자들이 일으킨 대규모 폭동을 주도한 유만수와 함께 수배되었다. 그는 이 사건으로 피신하여 귀국한 뒤 1945년 5월 유만수의 주도로 경기도 안성 유씨의 집에서 대한애국청년당을 결성 조직하는데 참여하였다. 이들은 일본의 태평양 전쟁 패망 약 3주 전인 1945년 7월 24일 경성부의 부민관에서 박춘금이 주도해 열린 아세아민족분격대회(亞細亞民族憤激大會)라는 어용 행사를 겨냥해 폭발물을 터뜨렸다. 이 사건은 일제 강점기 마지막 의열 무장항일 독립운동으로 평가되고 있다. 광복 후 단독정부 수립을 반대하는 인민청년군 사건으로 복역했고 1959년에는 이승만 암살 음모 사건에 연루되는 등 대한민국 역대 정권과의 불화로 독립유공자 서훈은 늦어졌다. 부민관 사건은 당대에는 일제의 보도통제로 잘 알려지지 않았다가 1980년대에 들어와서 재조명되었다.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서훈받았다. 친일인명사전 편찬 작업 중인 민족문제연구소의 이사장을 1999년부터 맡아 친일파 청산 문제에 관심을 가져왔다. 1994년의 문익환 목사 장례식에 이어 시민사회단체가 마련하는 겨레장 형식으로 장례가 치러졌으며, 국민훈장 모란장이 추서되었다. 그의 저서로 《슬픈 조국의 노래》가 있다.[2] 같이 보기[편집] 대의당 박춘금 부민관 강윤국 유만수 대한애국청년당 참고 자료[편집] 조문기 : 독립유공자 공훈록국가보훈처 “조문기 민족문제연 이사장 별세”. 한겨레. 2008년 2월 5일. 2008년 2월 7일에 확인함.  “‘부민관 폭파 의거’ 조문기 의사 별세”. 경향신문. 2008년 2월 5일. 2008년 2월 7일에 확인함.  민족문제연구소 (2008년 2월 5일). “'부민관 폭파' 애국지사 조문기 선생 별세”. 오마이뉴스. 2008년 2월 7일에 확인함.  각주[편집] ↑ 호적상으로는 1927년이나, 『풍양조씨세보 』(豐壤趙氏世譜)에는 1926 병인(丙寅) 5월 19일생이라 기재되어있다. ↑ “'부민관 폭파의거' 조문기 선생 11일 '겨레장'”. 조선일보 (연합뉴스 인용). 2008년 2월 10일. 2008년 2월 24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문기&oldid=24257740" 분류: 1926년 태어남2008년 죽음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화성시 출신친일 청산일제 강점기의 노동운동가건국동맹민족문제연구소풍양 조씨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21일 (화) 23: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조문기(趙文紀, 1926년 5월 19일 ~ 2008년 2월 5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한국의 무장 의열독립운동의 마지막 의거인 부민관 폭파사건 주동자가운데 한 사람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조문기가 태어난 곳은 어디인가? Assistant: 경기도 수원군 매송면
Human: 아래 올보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올보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올보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알보르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덴마크어 위키백과의 Aalborg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신뢰성 있고 확인할 수 있는 출처가 제시되도록 번역하여 주십시오. 번역을 완료한 후에는 {{번역된 문서}} 틀을 토론창에 표기하여 저작자를 표시하여 주십시오. 문맥상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 문서를 같이 번역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번역을 확장할 필요가 있는 다른 문서를 보고 싶으시다면 분류:번역 확장 필요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올보르 시 Aalborg 올보르 시가지 시기 휘장 올보르북위 57° 03′ 00″ 동경 09° 55′ 00″ / 북위 57.05000° 동경 9.91667°  / 57.05000; 9.91667좌표: 북위 57° 03′ 00″ 동경 09° 55′ 00″ / 북위 57.05000° 동경 9.91667°  / 57.05000; 9.91667 행정 나라 덴마크 행정구역 노르윌란 주 인구 인구 112,194 명 (2016년) 인구밀도 954 명/km2 지리 면적 139 km2 해발 5 m 기타 시간대 CET (UTC+1)CEST (UTC+2) 우편번호 9000, 9008, 9020, 9100, 9200, 9210, 9220, 9400 지역번호 (+45) 9 http://www.aalborg.dk/ 올보르(덴마크어: Aalborg 듣기 (도움말·정보))는 덴마크에서 4번째 도시로 인구는 121,540명(2006년)이다. 노르윌란 주의 주도이다. "북유럽의 파리"라는 별명이 있다. 윌란 반도를 가로지는 림 협만과 접하며 카테가트 해협에서 동쪽으로 약 35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중세 시대부터 항구 도시로 성장했으며 1342년 6월 16일에 발데마르 4세 국왕에 의해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다. 크리스티안 3세 국왕 시대였던 1550년에는 올보르 성이 건립되었고 1554년에는 올보르 루터교 주교구가 설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진행 중이던 1940년에는 덴마크를 침공(베저위붕 작전)한 나치 독일의 낙하산 부대가 올보르를 점령하기도 했다. 1970년대에는 산업 시설이 들어섰다. 목차 1 문화 2 기후 3 자매 도시 4 각주 5 외부 링크 문화[편집] 프로 축구팀 올보르 BK 및 올보르 교향악단의 연고지이다. 도시의 북쪽에 바이킹 유적지인 린드홀름 구릉지가 있다. 기후[편집] 올보르 (1971–2000)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최고기온기록 °C (°F) 10.5 (50.9) 11.5 (52.7) 18.8 (65.8) 25.5 (77.9) 27.5 (81.5) 30.9 (87.6) 32.1 (89.8) 34.4 (93.9) 25.8 (78.4) 22.3 (72.1) 15.2 (59.4) 11.2 (52.2) 34.4 (93.9) 평균최고기온 °C (°F) 2.4 (36.3) 2.6 (36.7) 5.3 (41.5) 10.0 (50) 15.5 (59.9) 18.6 (65.5) 20.7 (69.3) 20.4 (68.7) 16.0 (60.8) 11.5 (52.7) 6.7 (44.1) 3.7 (38.7) 11.1 (52) 일평균기온 °C (°F) 0.2 (32.4) 0.3 (32.5) 2.3 (36.1) 5.9 (42.6) 10.9 (51.6) 14.0 (57.2) 16.0 (60.8) 15.7 (60.3) 12.2 (54) 8.5 (47.3) 4.2 (39.6) 1.6 (34.9) 7.6 (45.7) 평균최저기온 °C (°F) −2.4 (27.7) −2.3 (27.9) −0.7 (30.7) 1.9 (35.4) 6.3 (43.3) 9.8 (49.6) 11.9 (53.4) 11.4 (52.5) 8.5 (47.3) 5.1 (41.2) 1.5 (34.7) −1 (30) 4.2 (39.6) 최저기온기록 °C (°F) −25.2 (−13.4) −19.4 (−2.9) −25.6 (−14.1) −8.1 (17.4) −2.1 (28.2) 2.0 (35.6) 4.2 (39.6) 3.7 (38.7) −2.3 (27.9) −5.8 (21.6) −16.4 (2.5) −23.0 (−9.4) −25.6 (−14.1) 평균 강수량 mm (인치) 45.8 (1.8) 29.6 (1.17) 37.8 (1.49) 30.8 (1.21) 42.3 (1.67) 55.5 (2.19) 51.4 (2.02) 58.1 (2.29) 71.3 (2.81) 66.4 (2.61) 56.3 (2.22) 52.8 (2.08) 600.1 (23.63) 평균강수일수 (≥ 0.1 mm) 16.5 12.8 14.9 11.5 11.1 12.0 11.5 12.6 15.3 16.2 17.7 17.3 169.3 평균강설일수 7.0 5.2 4.3 1.3 0.0 0.0 0.0 0.0 0.0 0.1 2.0 4.8 24.6 평균 상대 습도 (%) 89 87 84 76 73 75 74 76 80 84 87 89 81 출처: Danish Meteorological Institute (humidity 1961–1990)[1][2] 자매 도시[편집] 네덜란드 알메러 프랑스 앙티브 독일 뷔데르스도르프 노르웨이 프레드릭스타드 영국 에든버러 페로 제도 Fuglafjørður 아일랜드 골웨이 폴란드 그디니아 이스라엘 하이파 중국 허페이 시 아이슬란드 후사비크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러시아 칼리닌그라드 스웨덴 칼스코가 영국 랭커스터 그린란드 누크 러시아 푸시킨 미국 라신 스위스 Rapperswil-Jona 독일 렌츠부르크 라트비아 리가 핀란드 리히매키 그린란드 이토코르토르미우트 미국 솔뱅 루마니아 툴체아 불가리아 바르나 리투아니아 빌뉴스 독일 비스마르 각주[편집] ↑ “Danish Climatological Normals 1971–2000 for selected stations” (PDF). Danish Meteorological Institute. 2015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Observed Air Temperature, Humidity, Pressure, Cloud Cover and Weather in Denmark with Climatological Standard Normals, 1961–90” (PDF). Danish Meteorological Institute. 2015년 11월 1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올보르 올보르 날씨 정보 구글맵스 위성사진 vdeh북유럽 50대 대도시 덴마크 핀란드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올란드 제도 페로 제도 그린란드 1. 스톡홀름 1,372,565 2. 코펜하겐 1,263,698 3. 헬싱키 1,214,210 4. 오슬로 958,378 5. 예테보리 549,839 6. 탐페레 325,025 7. 말뫼 280,415 8. 오르후스 261,570 9. 투르쿠 260,367 10. 베르겐 250,420 11. 스타방에르 210,874 12. 레이캬비크 209,510 13. 오울루 193,817 14. 트론헤임 175,068 15. 오덴세 173,814 16. 웁살라 140,454 17. 올보르 132,578 18. 이위배스퀼래 120,306 19. 라흐티 117,424 20. 드람멘 113,534 21. 베스테로스 110,877 22. 프레드릭스타드-사릅스보르그 108,636 23. 외레브로 107,038 24. 린셰핑 104,232 25. 헬싱보리 97,122 26. 포르스그룬-시엔 91,737 27. 옌셰핑 89,396 28. 노르셰핑 87,247 29. 쿠오피오 86,034 30. 포리 84,509 31. 룬드 82,800 32. 우메오 79,594 33. 에스비에르 72,060 34. 예블레 71,033 35. 바사 66,911 36. 보로스 66,273 37. 요엔수 65,686 38. 에스킬스투나 64,679 39. 쇠데르텔리에 64,619 40. 칼스타드 61,685 41. 라네르스 61,664 42. 테뷔 61,272 43. 벡셰 60,887 44. 크리스티안산 60,583 45. 콜링 58,757 46. 할름스타드 58,577 47. 호르센스 56,536 48. 라펜란타 55,429 49. 바일레 53,975 50. 콧카 52,600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40725186 LCCN: n81018849 GND: 4128603-0 BNF: cb13611870f (데이터) 이 글은 덴마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올보르&oldid=24172793" 분류: 덴마크의 도시올보르덴마크의 항구 도시북해의 항구 도시숨은 분류: 번역 확장 필요 문서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덴마크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덴마크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rezhonegCatalàCebuanoČeštinaKaszëbsczi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NordfriiskGaeilge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nterlingue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alaallisutLatinaLumbaartLietuviųLatviešuMāori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 nynorskNorskИрон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eelterskSvenskaKiswahili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VolapükWinaray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9일 (목) 16: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올보르(덴마크어: Aalborg 듣기 )는 덴마크에서 4번째 도시로 인구는 121,540명(2006년)이다. 노르윌란 주의 주도이다. "북유럽의 파리"라는 별명이 있다. 윌란 반도를 가로지는 림 협만과 접하며 카테가트 해협에서 동쪽으로 약 35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중세 시대부터 항구 도시로 성장했으며 1342년 6월 16일에 발데마르 4세 국왕에 의해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다. 크리스티안 3세 국왕 시대였던 1550년에는 올보르 성이 건립되었고 1554년에는 올보르 루터교 주교구가 설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진행 중이던 1940년에는 덴마크를 침공(베저위붕 작전)한 나치 독일의 낙하산 부대가 올보르를 점령하기도 했다. 1970년대에는 산업 시설이 들어섰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71년부터 2000년까지 올보르의 1월 일평균기온은 몇°c 였나요? Assistant: 0.2 Human: 아래 악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악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악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악의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악의(惡意)는 다음과 같은 두가지 의미를 가진다. 목차 1 일반 2 법률 3 각주 4 같이 보기 일반[편집] 일반적 의미는 "나쁜 마음", "남을 해(害)치려는 마음", "나쁜 뜻", "나쁘게 받아들이는 뜻", "나쁜 의도" 등을 뜻한다. 법률[편집] 법률 용어로서의 악의(惡意)는 어떤 사실을 알고 있는 것을 뜻하며 반면 선의(善意)는 어떤 사실을 알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1] 일상적 의미, 즉 "나쁜 뜻", "나쁜 의도"와는 전혀 무관하다. 선의와 악의는 법률사실에 관한 분류에 의할 때는 관념적 용태에 속한다.[2] 민법과 상법 등에서는 선의, 악의 여부에 따라 법률효과를 달리하는 규정을 두고 있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대한민국 민법에서는 법률행위가 무효 혹은 취소되었을 경우 거래의 안전을 위해 선의의 제 3자에게 대항할 수 없다는 규정, 즉 무효 혹은 취소의 효과를 주장할 수 없다는 규정을 다수 두고 있다. 이들 규정들을 반대해석하면 악의의 제 3자의 경우는 보호받지 못하는 것이 된다. 각주[편집] ↑ 김준호, 민법강의 (신정 4판), 법문사, 2003. 29쪽 ↑ 곽윤직, 민법총칙(7판), 박영사, 2003, 180쪽 같이 보기[편집] 대한민국 민법 제201조 이 글은 법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악의&oldid=23518969" 분류: 민법법률 용어숨은 분류: 법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HrvatskiIdoÍslenskaItaliano日本語Português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23일 (수) 10: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악의(惡意)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의미를 가진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악의와 반대되는 의미를 지닌 단어는 무엇인가? Assistant: 선의
Human: 아래 함태영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함태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함태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같은 이름을 가진 다른 사람에 대해서는 함태영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함태영咸台永 1949년의 함태영 대한민국의 제3대 부통령 임기 1952년 8월 15일 ~ 1956년 8월 14일 대통령 이승만 전임 김성수 후임 장면 대한민국의 제2대 심계원장 임기 1949년 11월 24일 ~ 1952년 7월 22일 대통령 이승만 전임 명제세 후임 노진설 신상정보 국적 대한민국 출생일 1873년 10월 22일 출생지 조선 함경도 무산군 무산읍 사망일 1964년 10월 24일 (91세) 사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북아현동 1가 396번지 (고혈압과 노환의 합병증으로 병사) 거주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본관 강릉 학력 한성법관양성소 졸업 주오 대학교 정치학과 1년 중퇴 평양신학교 졸업 경력 한국신학대학교 재단 이사장 독립촉성중앙회 최고위원 자유당 상임고문 심계원장 정당 무소속 부모 함우택(부), 원주 변씨(모) 배우자 밀양 손씨, 전주 최씨(재혼), 고숙원(삼혼) 자녀 아들 함병석, 함병승, 함병창, 함병서, 함병욱, 함병소, 함병춘, 딸 이름 미상 종교 유교(성리학) → 개신교(한국기독교장로회) 함태영(咸台永, 1873년 10월 22일[1] ~ 1964년 10월 24일)은 대한제국의 법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종교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48인의 한 사람이기도 하다. 1952년 8월 15일부터 1956년 8월 14일까지 대한민국의 제3대 부통령을 역임하였다. 본관은 강릉(江陵). 자는 자경(子卿), 아호는 송암(松岩). 함경북도 무산군 출생이다. 1895년(고종 32년) 4월 16일 한국 최초의 근대식 법조인 교육기관인 법관양성소에 입학하여, 법관양성소 재학 중인 1896년 3월 5일 한성재판소 검사시보로 재직했다. 대한제국 때인 1898년 법관양성소[2] 를 수석 졸업하고 한성재판소에서 검사로 법관 근무를 시작했다. 한성재판소 판사 당시에는 독립협회, 만민공동회의 사건 수사 담당자였다. 그는 독립협회 사건으로 체포된 이상재, 윤치호, 이승만 등 독립협회, 만민공동회 관련자들에 대한 관대한 판결을 내렸으며, 이 인연으로 훗날 이승만의 지지를 받고 부통령이 되기도 했다. 이후 고등재판소 검사, 평리원 검사, 법부 형사국 서기관과 법률기초위원, 1908년(융희 2) 10월 8일 대심원판사 등을 역임했지만 독립협회, 만민공동회 사건 이후 집권층의 의도를 반영하지 않아 파면과 복직을 반복하다가 1910년(융희 4년) 10월 2일 한일 합방 조약 체결로 사퇴했다. 1919년에는 파리강화회담에 보내는 독립탄원서를 작성했고 3·1운동 당시 중앙지도체 인사 중의 한 사람이었다. 1919년 3·1 운동 거사 직전 비밀연락에 참여하였으며 3·1 운동에는 민족대표 48인 중 한 사람으로 참가하여 만세선언서 등을 운반, 배포했다가 체포되어 징역 3년형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하다 2년만에 가석방되었다. 이후 목회자, 선교 단체, 교육사업 등에 활동하다 해방 뒤, 이승만의 권고로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였다. 정부 수립 후 법무부장관에 추천되었으나 낙마하였다. 그러나 이후 1949년 제2대 심계원장과 심계관, 1951년 한신대학교 학장을 지냈으며, 1951년 5월 16일 대한민국 제2대 부통령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고 1952년의 정부통령 선거 때 제3대 부통령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부통령 퇴임 후에는 한신대학교 이사장을 지냈고 1960년에는 이승만 환국추진위원회에서 활동하였다. 손자 함인섭은 강원대학교의 설립자이다. 목차 1 생애 1.1 생애 초기 1.1.1 출생과 유년기 1.1.2 소년 시절 1.2 법관 양성소 수학 1.3 법관 활동 1.3.1 법관 생활 초기 1.3.2 독립협회 사건 이후 1.3.3 일본 방문과 복귀 1.3.4 관료 생활과 법관 복귀 1.4 독립운동과 신앙 활동 1.4.1 신앙 생활 1.4.2 독립운동과 사회활동 1.4.3 3.1 만세 운동과 투옥 1.4.4 복역 생활과 재판 1.4.5 목사 안수 1.4.6 목회 활동 1.5 일제 강점기 후반 1.6 광복 이후 1.6.1 광복 직후 1.6.2 해방정국의 정치 활동 1.6.3 심계원장과 부통령 출마 1.6.4 제3대 부통령 1.7 생애 후반 1.7.1 부통령 퇴임 이후 1.7.2 만년 1.8 사망 직후 2 사후 3 저작 4 학력 5 기타 약력 6 상훈 경력 7 평가 8 가족 관계 9 기타 10 함께 보기 11 역대 선거 결과 12 함태영을 연기한 배우 13 참고자료 14 각주 생애[편집] 생애 초기[편집] 출생과 유년기[편집] 함태영은 1873년(고종 9년) 10월 22일 함경북도 무산군 무산읍 읍내에서 무관을 지낸 함우택(咸遇澤)과 원주 변씨의 아들로 태어났다. 일설에는 1872년생 설도 있다. 아버지 함우택은 서당의 훈장이었고 작명, 관상, 풍수지리에도 능하였다고 한다. 그의 직계 선조인 함흥달(咸興達)은 도시조(都始祖) 함규의 16대손으로서 1480년경 전라북도 김제 진봉면 정당리에 정착하였다. 함흥달의 손자인 함억수(咸億壽)는 병조판서를 역임했으며 함희현은 동몽교관, 함국녕은 선전관, 함헌징은 통정대부를 역임했지만 가세는 점차 몰락하여 한미해졌다. 함태영은 함흥달의 12대손이며 함억수의 10대손이었다. 아버지 함우택이 관직에 임명되어 떠나기 전까지 전라북도 김제 진봉에 거주하여, 그를 전북 김제 출신으로도 본다. 전라북도 김제시 진봉면 정당리 야산 등성이에는 3백∼4백년간 거주한 선조들의 묘소가 있고 인근 김제시 성덕면 나시마을 동남방간 자그마한 야산등성이에는 그의 생모의 무덤이 있다.[3] 그가 고향을 떠난 뒤 김제시 진봉면 정당리 고향마을에는 생가터가 현재는 남아 있지 않으며 직계후손은 없고 6촌 친척만이 살고 있다. 아버지 함우택은 본부인 밀양 손씨를 잃고, 연이어 두번째 부인 동래 정씨도 잃고, 후에 맞이한 부인 원주 변씨에게서 함태영을 보았다. 함태영의 친형제 자매, 이복 형제자매가 몇 명인지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어려서 그는 외가가 있는 함북 무산에서 성장하였다. 소년 시절[편집] 1884년(고종 21년) 잠시 한성에 거주하기도 했으나, 관료생활을 하면서 본격 한성에 거주하게 되었다. 아버지 함우택은 전라좌수영 도시 무과에 급제하여 1889년(고종 26년)에 선략장군 행용양위 부사과에 제수되어 한양으로 떠났으며 사헌부감찰, 통정대부 의관 등을 지냈고 기독교인이 되었다. 아버지를 따라 함태영도 기독교 신앙에 투신하였고, 장로가 되었다. 한편 어린 나이에 생모 변씨를 여의었다. 함태영은 11세까지 고향에 머물면서 한문사숙에서 한문을 배웠다.[4] 아버지 함우택은 이후 관직이 정3품 통정대부 중추원의관에 이르렀다. 무산군 무침다리(현 장초동 ) 집에서 한학을 공부하며 과거를 준비하던 그는 1894년(고종 31년) 6월 갑오경장으로 과거제도가 폐지되는 바람에 실의에 빠졌다.[5] 그러나 다음해 에을 미 개혁 이 단행 되면서 법관 양성소가 설치되자 제1기생 으로 입학하였다. 최초의 근대적 법학 교육기관인 법관 양성소의 교육 기간 은 6개월이었고, 졸업하면 성법학사(成法學士) 자격을 주었다.[5] 일찍이 그는 손백선(孫百善)의 딸 밀양 손씨와 결혼하였으나 사별하고 다시 최영철(崔榮澈)의 딸 전주최씨와 재혼하였으나 역시 일찍 사별하였다. 생모 원주 변씨의 초장지였던 과천군 동작리(뒷날의 서울특별시 동작동) 산 서쪽 기슭 대성황사 미좌, 변씨 묘소 동쪽에 쌍분으로 마련했던 두 전처의 묘소는 후에 실전되었다. 법관 양성소 수학[편집] 함태영은 1895년(고종 32년) 4월 16일 '재판소 구성법' 공포에 따라 설치된 한국 최초의 근대식 법조인 교육기관인 법관양성소에 입교, 그해 11월 법관양성소 속성과(速成科)로 전과하였다. 법관양성소 재직 중 1896년 3월 5일 한성재판소검사시보(漢城裁判所檢事試補)겸 주임관6등 2급(奏任六等二級)에 보직되었다. 1896년 11월 법관양성소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97년 11월 1일 경기재판소 판사시보(畿裁判所判事試補) 주임관 5등 1급(奏任五等一級)으로 발령되었다. 당시 졸업생 명단을 보면 함태영의 이름이 맨 위에 있는데, 그것은 그가 최우수 성적으로 졸업을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훗날 서울법대 동창회 명부에 제1호 회원이 바로 함태영으로 나와 있다.[5] 1897년 한성재판소검사시보에 임명되고 6월 11일 수원군으로 파견되었다. 9월 29일 한성재판소 검사로 임명되면서 법관생활을 시작하였다. 11월 1일 경기도재판소 판사(京畿道裁判所判事)에 임명되었다. 한성에 올라와 거주하던 그는 한일합방 이후에는 세브란스 병원 사택 근처에서 거주하였다. 법관 활동[편집] 법관 생활 초기[편집] 1898년(광무 1년) 1월 25일 한성부재판소 검사가 되고 이후 고등재판소 검사, 평리원 검사, 법부(法部) 법률기초위원, 대심원 판사 등을 지냈다. 1898년(광무 1년) 2월 경기도재판소가 폐지되면서 2월 25일 졸업와 동시에 한성부재판소로 발령, 한성부재판소 검사(檢事) 주임관 5등 1급(奏任五等一級)이 되었다. 1898년(광무 1년) 7월 26일 김홍륙이 황태자의 커피에 독을 타서 독살하려 했다는 혐의로 체포 되었다. 고종은 냄새가 이상하여 마시지 않았는데, 황태자는 마시다가 토하고 기절했다. 김홍륙에 대한 재판을 평리원 판사 함태영이 맡게 되었다. 7월 25일 고종 탄신 다음 날 에 발생한 것으로 김홍륙은 시베리아 에서 서양 요리사 김종호를 궁중 요리사 로 추천하여 고종 과 황태자의 수라상을 차리고 있었다. 수라상은 내 소주방에서 접시와 음식을 먼저 검사하고 맛보고 올리는데, 그 커피를 맛본 사람은 아무 이상이 없었다. 함태영은 일단 김홍륙에게 증거 불충분 이란 이유로 무죄 또는 가벼운 처벌로 끝내려 하였다. 민씨 가문에서는 극형 에 처하라고 계속 압력을 보냈다. 그러나 함태영은 민씨 정권의 요구를 거절했다. 훗날 김홍륙의 먼 일가 후손 인 김재준(金在俊) 목사는 만년의 함태영 에게이 사건의 진상을 물어보았다. 함태영은 이 사건 은 민씨네가 조작한 음모 였다고 술회하였다. 그러나 고종으로부터 어떠한 밀지가 있었는지에 대하여는 끝내 함구하였다.[6] 재판은 다른 판사에게 넘겨지고 김홍륙 등은 사형당했다. 독립협회 사건 이후[편집] 그해 8월 20일 법부검사 주임관 5등 1급(任法部檢事 奏任五等一級)이 되었다가 8월 22일 고등재판소검사(高等裁判所檢事)로 전임되었다. 독립협회 사건으로 기소된 이상재(李商在), 윤치호 등에게 무죄를 선고하고, 이상재를 비롯한 중심인물 17명에게 가벼운 벌을 내렸다. 독립협회에 모인 민중들 1898년 11월 공화정 을 만들려 한다는 무고를 받고 체포 된 독립협회 간부 들을 그가 직접 담당하게 되었다. 이때 그는 17명의 독립협회 간부 들을 취조하면서 그들이 "그렇게 당당할 수가 없다"는 점 에 놀랐다고 한다. [7] 함태영은 독립협회 간부들인 이승만, 이상재, 윤치호, 서재필 등이 공화정부를 수립하려 하는 물증이 없다고 판결했다. 그러나 함태영의 독립협회에 대한 우호적 태도로 그의 신변에도 여러번 위협이 있었다.[8] 함태영은 윤치호 대통령 추대설 또는 박영효 대통령 추대설, 이준용 대통령 추대설이나 공화정 수립 기도에 대한 증거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함태영은 이들에게 내란죄를 적용하기 어려우므로 관대한 처분을 상주하였다가 오히려 곤란을 겪게 되었다. 1898년 11월 2일 주임관 4등(奏任官四等)으로 특별 서임되었다. 11월 16일 함태영은 한규설과 함께 상주를 올려 독립협회를 방해하던 조병식, 민종묵, 이기동, 김정근 등을 독립협회를 증거 없이 무고했다며 탄핵하였다. 그러나 고종의 의중임에도 소신껏 이상재 등에게 무죄를 선고했다는 이유로 미움을 받고 11월 22일 고등재판소에서 알아서 조사할 일을 관인이 규정을 준수하지 않고 수시로 드나들면서 봤다는 이유로 파면당하였다. 그러나 5일만에 복관되어 11월 27일 법부검사가 되었다. 이후 법부 대심원(大審院)·복심법원(覆審法院)의 판사를 역임하였다. 함태영은 독립협회에 호의적인 판결을 내렸으나, 황국협회와 보부상은 독립협회가 박영효를 대통령으로 윤치호를 부통령으로 세우려 한다, 윤치호를 대통령으로 옹립하려 한다, 이준용을 대통령으로 세우려 한다는 유언비어를 유포했고, 이후 이상재, 이승만, 윤치호, 양기탁, 남궁억, 안창호, 신채호, 신규식, 이갑, 박은식, 이동휘, 이동휘, 허위 등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 회원 400여명이 체포, 투옥 되었다. 동시에 황국협회와 보부상단의 조병식, 이기동 등은 석방 되었다. 고종은 독립협회, 만민공동회 해산령을 내린다. 함태영은 독립협회 등의 편의를 봐주었다는 이유로 1899년 3월 13일자로 법부 검사에서 다시 한성부재판소 검사 주임관 4등 1급(轉任漢城府裁判所檢事 奏任四等一級)으로 전출되고 일반 죄수와 민사를 담당하다가 4월 3일 면직되었다. 함태영은 여러가지로 상황을 판단하고 장래를 생각하다가 보름만에 사표를 던졌다.[9] 재임 중, 불의를 참지 못하는 강직한 성품으로 인하여 집권층의 미움을 받아 면관·복직되기를 여러 차례 거듭하다가 1907년 공소원 검사로 부임하였으나 소신 판결로 집권층의 눈밖에 나게 되었다. 일본 방문과 복귀[편집] 1899년(광무 2년) 5월 고종은 검사 사직서를 내고 두문불출 하고 있던 함태영에게 일본에 다녀오라는 명을 받았다. 그것은 일본 에 있는 망명 정객들의 동정을 살피고 오라는 밀령이었다.[9] 1899년 5월 일본으로 건너갔는데, 며칠간 일본에 체류하며 함태영이 어떠한 일을 하였는지, 어떤 인물들을 어떻게 감시하였는지는 알려져있지 않다. 한편 당시 대한제국 정부 관비 일본유학생의 한 사람이던 박중양은 해방 이후 1950년대, 생애 후반까지도 함태영을 미워하고 조롱하였다. 1899년말 일본에서 돌아와 고종에게 복명한 다음 다시 칩거 생활에 들어갔다.[9] 고종은 함태영의 솔직 하고도 의기있는 인품을 그대로 버려두기가 아까워 그를 고등재판소인 평리원(平理院) 검사 로 임명하였다.[9] 평리원 검사가 된 함태영은 김포 갈밭을 비롯한 황무지 개간권 사건을 다루게 되어 일본 상인과 송병준, 이용구 등의 책동 을 분쇄하고, 이준이 이끄는 대한보안회(大韓保安會), 협동회(協同會)의 주장을 받아들였다.[10] 고종과 왕실에 대한 반감을 드러낸 이승만 등과 달리 함태영은 말년, 대한민국 건국 이후까지도 고종과 왕실에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그에 의하면 '고종은 명군 이었어. 다만 시운을 잘못 만나 불행한 국왕이지[8]" 라는 것이 함태영의 훗날까지의 신념이었다. 관료 생활과 법관 복귀[편집] 이후 1899년(광무 3년) 3월 30일 밝혀지지 않은 사유로 징계를 받고 해임, 1899년 10월경 일본으로 건너가 효고현을 방문했는데, 당시 요시찰 인물로 지정되어 효고현 지사에게 보고되었다. 10월 14일 박영효 등을 방문하였다. 1902년 2월 14일 전라남도 관찰소주사 판임관 2등(全羅南道觀察所主事 敍判任二等)이 되고 5월 28일 정3품으로 승자되었으나 1903년 9월 2일 면직되었다가 9월 3일 6품으로 복직했다. 1904년 4월 30일 철도원주사(鐵道院主事)가 되었으나 5월 13일 사직서를 제출하고 의원면직하였다. 다시 1904년 6월 13일 철도원주사 판임관 3등(鐵道院主事 敍判任三等)에 임명되었다가 7월 3일 근무 중 직무유기로 징계, 7월 6일 면직되었다. 그 뒤 다시 법관으로 복직, 1905년(광무 8년) 2월 25일 평리원 검사, 같은 해 3월 30일 평리원 검사 주임관 4등 1급(平理院檢事 敍奏任四等一級)이 되고, 5월 2일 죄인을 조사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징계를 받았다. 1905년 5월 21일 평리원 검사직을 사직하였으나 같은 날 법부참서관에 임명되었다. 1905년(광무 8년) 6월 23일 법부참서관 주임관 4등(任法部參書官 奏任四等)에 임명된 뒤, 그해 7월 25일 겸임 법부 법률기초위원(法部法律起草委員)을 거쳐 10월 9일 정3품이 되었다. 1905년 11월 5일 경가전(慶嘉殿)의 개수 시, 감독관으로 공사에 참여한 공로로 정3품 당상관 통정대부로 승진했다. 1906년 6월 29일 주임관 4등 5급이 되고, 같은 해 12월 특별 상금으로 30환(三十圜)을 받았다. 1907년 6월 20일 법부서기관 주임관 3등(法部書記官 奏任三等), 6월 28일 주임관 2등 4급(奏任二等 四級)을 거쳐 1907년 5월 10일 법부서기관(法部書記官)이 되었다. 그러므로 법관양성소 1895년 11월 제1회 수석졸업생(47인 중)인 그는 법조직(관직)에 14년간 종사하고 이후 변호사 개업사실도 전혀 없었다(그는 일제 때인 1912년 4월 1일 경성복심법원 판사로 임명하려고 했으나 이에 불응하여 휴직하고 같은 해 7월 21일자로 퇴직한 것으로 처리되어 있어 실제 재직한 바 없다).[11] 순종 즉위 후 1907년(융희 1년) 8월 27일 법부 형사국 서기관으로 재직 중 겸임 형법교정관에 임명되었다. 1908년(융희 2년) 법부 형사국 서기관이 되었다가, 그해 9월 14일 판사에 임명되고 대심원판사(大審院判事)로 발령되고 10월 8일 판사 주임관 2등(判事 奏任官二等)이 되었다. 1910년(융희 4년) 경성부 경성공소원 판사로 발령되었으나 10월 2일 한일 합방 조약 체결 후 사직하였다. 독립운동과 신앙 활동[편집] 신앙 생활[편집] 관료 생활 중 그는 연동교회에 출석했다. 1907년 장로 장립을 앞두고 `양반대표'와 `천민대표'가 경합을 벌이게 됐고, 허랑방탕한 천민 출신의 이명혁과 점잖은 양반 출신의 이원긍이 장로직을 놓고 경합했다.[12] 그러나 천민계급이 계속 완승을 거두었다.그때마다 게일 선교사는 '교회는 신분의 위세를 부리는 곳이 아니다.하나님 앞에서는 모두가 평등하다'며 냉철히 대하였다.[12] 1908년(융희 2년) 그는 복부에 큰 종기가 생겨 와병하였다. 1909년 1월 연동교회의 집사로 임명되었다. 3대에 걸쳐 천민계급에서 장로가 선출되자 1909년(융희 3년) 연동교회는 양반과 상민 논쟁에 휩싸여 양반신자들은 연동교회를 떠나 묘동교회를 설립했다.이원긍, 오경선 등은 연동교회를 향해 손가락질을 했고, '상놈들과 함께 지내면 망신스러워 안 되겠다.양반교회를 하나 세우자'며 교회를 떠났으며 아버지 함우택도 그들을 따라 연동교회를 떠났다.[12] 장로로 장립된 고찬익, 이명혁 등은 노름꾼 출신으로 방탕한 생활을 했고, 고찬익의 전도로 연동교회에 나온 임공진은 광대 출신이라 양반 신자들은 이들을 경멸했다. 1909년 6월 양반 신자 100여 명은 상놈들과 같이 한 자리에서 예배 드릴 수 없다며 묘동교회를 개척하고, 그의 아버지 함우택도 그 곳으로 나갔지만 함태영은 아버지를 따라가지 않았다. 그는 아버지의 뜻을 따르지 않고, 연동교회를 떠난 사람들을 꾸짖었다.'신분의 차이 때문에 교회를 옮기는 것은 옳지 않다'며 그는 연동교회에 남아 있었다.[12]1910년 공직에서 물러났다.[13] 한일 합방 이후 관직에서 사퇴했다. 교회 장로로 교회일에도 열심히 나서서 활동하였으며, 1906년 조종만 등과 함께 사재를 털어 봉익동 분동교회 헌당에 기부하였다. 독립운동과 사회활동[편집] 무오독립선언서 석판 인쇄본 김순애 한일 병합 조약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10년(융희 4년) 10월 1일 일본과 대한제국 간 한일합방조약이 체결되자, 그는 그는 법관직에서 사퇴하였다. 한일 합병 조약 체결 이후 판사직에서 물러나 있던 중, 1918년 호서은행의 창립 발기인의 한 사람이 되었다.[14] 1911년 연동교회 집사로 임명되었다. 1915년 기독교장로회 경충노회 추천을 받고 평양 장로회신학교에 입학하였으며, 평양 장로회 신학교 재학 중 1918년 조선 예수교 장로회 헌법 기초위원의 한 사람으로 피선되었다. 1918년 4월 함태영은 남대문교회의 조사(助師, 대한민국 건국 후 전도사로 명칭변경)에 임명되었다. 1918년 말,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에 고무된 조선인 독립운동가들은 1919년에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조선인 대표자를 파견할 것을 계획하는데 참여했다. 이어 그는 김규식 등과 함께 윌슨에게 보내는 탄원서를 작성하였다. 1919년 2월 28일 파리강화회담과 미국 대통령 윌슨에게 보내는 독립탄원서를 전달하는 책임을 맡고, 이승훈과 함께, 상하이[上海]에 머물고 있는 현순(玄楯)에게 전하기 위해 김지환을 시켜 파견했으나 김지환은 만주 안동현(安東縣)의 목사 김병례(金炳禮) 돌아오는 길에 일본 헌병에게 체포되어 실패했다.[15] 국내에서 큰 소란을 일으켜 우리의 활동을 주목하게 해야 목적이 달성된다는 의사를 타전해 온 김규식의 주장에 고무되어 신한청년당은 국내에 사람을 파견하여, 함태영, 조만식 등의 민족지도자를 만나게 했다. 김규식의 부인 김순애는 배를 타고 국내에 잠입하여 애국부인회 결성을 추진하였다. 함태영을 만나 국내 독립운동 전개 방법을 논의하였으나 함태영은 김순애가 투옥될 경우 해외에서 활동하는 남편 우사 김규식에게 심리적 부담감과 해외 독립운동 활동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설득하여 김순애를 다시 상하이로 귀환하게 하고 배웅해주었다. 3.1 만세 운동과 투옥[편집] 민족대표 33인 외 체포된 인물 사진 1938년 서대문 형무소 외곽 1919년 함태영, 송진우 등에게 만세 선동 혐의로 발부된 총독부 체포장 3·1 운동, 민족대표 33인, 민족대표 48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19년 3·1 운동에는 이승훈의 권고로, 민족대표 48인 중 전필순(全弼淳), 현순(玄楯) 등과 함께 기독교계 대표자의 한 사람으로 참가했다. 1954년의 3.1절 기념 회고담에서는 그에게 3·1 만세 운동의 계획을 알려 준 또다른 인물은 이상재였다. 1919년 2월 20일 밤 서울 남대문로5가의 함태영 집에서 이갑성, 현순(玄楯), 안세환, 오상근(吳尙根) 등과 만나, 3월 1일의 만세운동을 계획하였다. 3.1운동 전날인 2월 28일에는 독립선언서 900장을 인쇄, 목사 김창준에게 넘겨 이 중 600장을 이갑성(李甲成)에게 전달하고, 나머지 300장은 경성화상점 사무원 이계창(李桂昌)을 시켜 평안북도 선천으로 가져가 분배하게 했다.[16] 2월 27일 오후 1시 인쇄된 초안을 이승훈, 박희도, 김창준, 박동완, 신석구 등에게 공개하였다. 취조 당시 이승훈의 진술서에 의하면, 이들 중 일부는 함태영에게 도장을 맡겼다. 2월 27일과 2월 28일 인쇄소인 보성사(普成社)에서 계속 인쇄하였고 그는 900여 장을 챙겼다. 3·1 운동 당시 기독교 세력을 중심으로 천도교와 연합하는 기획 과정부터 깊이 개입했으며, 그는 독립선언서 인쇄와 운반, 포장과 배포를 맡았다. 그는 이갑성 등에게도 유인물을 전달하여 조선 각지로 배포하게 했다. 당시 3·1독립운동 선언서에 민족 대표자 서명을 받을 때 서명했지만 함태영의 서명은 제외했는데, 이는 서명한 민족대표자 중 기독교계 대표자 16명의 가정과 생계문제를 맡아야 될 인물로 지명되어 함태영의 서명은 제외시켰다. 그는 주동자의 한 사람으로서 체포되어 징역 3년형을 선고 받고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었다. 복역 생활과 재판[편집] 그는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되었다. 당시 만세 운동에 서명하지 않았던 이상재도 관련자로 의심받고 체포되어 왔다. 만세 운동의 전개 과정을 접해서 알던 이상재는 고민했고, 함태영은 그에게 끝까지 모른다고 말하라고 부탁했다. 이상재는 함태영이 수감에서 풀려날 때까지 3.1 만세 운동 관련 수감자들 중 기독교계 참여자 가족들의 생계를 지원하였다. 6개월간 조사 받던 이상재는 혐의 없음으로 기소중지되었다. 수감 중에도 그는 간수들을 원망하거나 폭언을 하지 않고 조용히 타일렀으며, 오히려 간수들에게 공격적으로 대하는 다른 만세참여자나 다른 죄수들을 설득시켰다. 함태영이 투옥된 실에는 일본인 간수들이 상주하였다. 함태영은 자신의 담당 간수 를 볼때 마다 "너희들 잘못이 아니다. 우리는 조선 사람 이기 때문에 잃어버린 나라를 찾으려는 것 뿐이었다 " 라고 타이르곤 했다.[17] 그 간수는 그 뒤 비번 때 바깥에 다녀와서 는 사회 움직임 이라 든지 여러가지 새소식 을 적어주는 등 편의를 보아 주었다.[17] 또 사식을 차입할 때 밥 속에 쪽지를 넣어도 걸리지 않는 방법도 가르쳐 주었다한다.[17] 1919년 7월 서대문형무소 투옥 상태에서 2심 재판을 받고, 1919년 10월 30일 3심에서 출판물법 위반 및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3년형이 최종 확정되었다. 목사 안수[편집] 1921년 12월 23일 투옥된지 2년 만에 가출옥으로 석방되었다. 이후 함태영은 수감, 복역중인 민족대표자 중 다른 기독교 대표자들의 가족들의 생계를 해당 당사자의 출옥 전까지 지원하였다. 1921년 12월 평양신학교에 입학하였다. 한일합방 이전에 이미 집사와 장로의 직분을 얻었던 그는 출옥 후에 평양신학교에 입학했으며, 1922년 12월 평양신학교를 졸업하고 경충노회에서 장로교 목사 안수를 받았다. 이후 장로회 총회장, 조선신학원 이사장 등을 지냈으며, 상하이 임시정부와의 연락, 교신활동을 하였고 독립군 활동 자금을 모금 후 임시정부로 보내기도 하였다. 1922년 12월 경충노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고 충청북도 청주부 청주읍교회 위임목사로 부임하였다. 1923년 9월 8일부터 9월 13일까지 신의주 제일교회에서 열린 조선장로회 총회에서 제12대 총회장에 피선되었다. 1년 뒤 1924년 9월 13일에서 9월 18일 함북 신창리교회에서 이자익을 후임자로 선출할 때까지 총최장으로 재직했다. 목회 활동[편집] 1922년 12월 목사 안수를 받은 뒤 청주교회(淸州敎會) 담임목사로 부임하였다. 이후 경남 마산의 마산교회의 목사 임명 문제를 놓고 분쟁이 발생하여 장로회총회가 개입하게 되자, 그는 기독교장로회 총회의 특별위원의 한 사람으로 선정되어 마산으로 부임하여 협상에 참여하였다. 1925년 한국장로교총회 특별위원회 위원에 선출되었다. 당시 그는 경남노회의 입장을 지지하였다. 1926년 청주교회 담임목사 재직 중 충청노회 노회장에 선출되어 겸직하였다. 1926년 9월 10일부터 9월 19일에는 평양에서 열린 조선장로회총회에 참여하여, 일본 문부성의 종교법안 반대에 기독교 장로교회 측 진정위원의 한사람으로 선출, 일본에 파견되었다가 돌아왔다. 함태영은 1927년 12월에 마산 문창교회의 제6대 목사[18][19] 로 부임하여 교회를 안정시키려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1928년에는 경남노회 노회장에 선출되었고, 1929년 마산 문창교회 목사직을 사임하였다. 1929년 12월 경성 연동교회의 초빙을 받고 연동교회 담임목사로 부임하였다. 그가 대한제국 시절 한성에서 처음 평신자로 다녔던 교회였다. 1929년 평양숭실전문학교 이사, 1930년 조선예수교회서회(書會) 이사 등을 거쳐 1932년에는 연동교회 담임목사 재직 중 경성노회(京城老會) 노회장에 선출되었다. 1933년 조선기독교 연합공의회 회장을 지냈다. 1933년 6월 27일 정신여학교 후원발기회의 발기위원의 한사람이 되었다.[20] 일제 강점기 후반[편집] 한신대학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30년대 중반 그는 적극신앙단과도 관련되었다. 그는 장로교회 내부에서 기호파와 서북파가 갈등할 때, 장로교내 반서북파의 일원으로 활동하였다. 1935년 2월 10일 윤치호, 양주삼 등과 함께 조선총독부 학무국을 찾아가 기독교인에 대한 차별대우를 중단할 것을 촉구하였다. 이때 함태영은 기독교인들도 죄수들과 자유롭게 대화하도록 허용해줄 것을 제안하였다. 1935년 9월 19일 중앙 YMCA로 찾아가 윤치호에게 연동교회 재건축 비용 2만 5천엔을 기부해줄 것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1935년 11월 18일에는 경성에서 열린 장로회 경성노회에서 적극신앙단과 관련되어 함태영과 전필순, 권영식 등 목사 3명의 회원권 정지를 가결하였다. 1936년 5월 15일 경성부 수송정 116번지에서 기독교계 연합회 신문인 기독신보사(基督申報社) 창립에 참석하고, 기독신보사의 장로교측 이사의 한 사람이 되었다. 일제 강정기 후반 조선 예수교 장로회 총회장(朝鮮耶蘇敎長老會總會長), 평양숭실전문학교(平壤崇實傳門學敎) 재단 이사 등을 역임했다. 그는 1937년의 조선총독부의 신사 참배 강요를 거부하여 요시찰 인물로 감시를 당하기도 하였다. 1938년에는 조선총독부 경무국 보고서에 동지회, 흥업구락부의 관련 인사의 한 사람으로 지목되었다. 1938년 10월 16일의 조선신궁 신사 참배 당시 소집에는 응하였으나 신사 참배는 거부하였다. 1940년 일제는 그에게 창씨 개명을 강요하였으나 거절하였다. 학도병 권유문 및 각종 서명, 기고, 참여 요구를 거절하고, 목회 활동에 전념하였다. 1939년 2월부터 조선신학교 설립을 추진, 송창근, 김대현, 김영주 등과 함께 조선신학원 설립기성회를 결성하고 신학교 설립기성준비위원이 되고, 1940년 4월 19일 경성부 종로구 인사정 승동교회 내에 조선신학교(한국신학대학 전신) 설립, 개강과 동시에 이사장에 취임하였다. 설립 당시 조선신학교는 장로교와 감리교회 등 기독교 교파의 연합으로 운영하였으나 1943년 감리교측과 분리하여 장로교 위주로 운영하기 시작했다. 1941년 연동교회 목사직에서 퇴직하고 원로목사에 추대되었으며, 1943년 6월 조선신학원 원장에 추대되었다. 그밖에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장, 평양숭실학교의 재단 이사로도 활동했다. 1943년 세번째 부인 고숙원이 사망했다. 이후 함태영은 재혼하지 않고 살아남은 두 아들을 혼자 양육하였다. 1945년 해방 직전 경성부 송파교회의 담임목사로 시무하였고, 1945년부터 1946년까지 초동교회 초대 목사로 시무했다. 해방 직후, 혼란한 정국에서 기독교 조직을 재건하고 선교 지원 사업을 펼쳤다. 기독교 재건 및 선교 사업 활동 중 기독교 신앙을 비판, 반대하던 공산주의자들과 충돌하였다. 광복 이후[편집] 광복 직후[편집] 1945년 9월 2일 한국민주당의 창당 발기인의 한 사람이 되었다. 9월 8일 미군정 주둔 후, 그는 미군정의 적산불하 공고를 보고 영어 실력으로 미군정 관재국장에 임명된 남궁혁 목사를 찾아가 서울역 입구 근처(경성부 용산구 동자정 15번지)에 있던 일본 천리교 조선교구 본부 건물과 경성교구 본부 건물을 불하, 인수받았다. 그는 경북 김천의 송창근, 평안북도 신의주의 한경직, 최윤관 등을 불러들여 조선신학교에 즉시 합류하였다. 덕수교회 내에 있던 조선신학원장 김재준을 교장으로 선출하고 함태영은 이사장에 선출되었다. 1945년 10월, 35년만 에 귀국한 이승만은 곧장 경기도 광주의 둔전 마을로 차를 보내어 함태영을 조선호텔로 모셨다.[21] 함태영은 기독교 목회에 전념하려 하였지만 1946년 2월에 미군정 하에 입법의원이 구성될 때 이승만의 강력한 추천 으로 남조선과도입법위원회 의원이 되었다.[21] 항간에 구구한 세론(世論)도 있었지만 함태영은 해방 정국에서 화려한 표면 무대보다는 스스로를 낮추어 주춧돌이 되기를 자원하였다.[22] 1945년 12월 서울 운동장에서 열린 임시정부 요인 귀국 환영회에 참석하였다. 이후 그는 신탁통치 반대 운동에 참여하였다. 해방정국의 정치 활동[편집] 1945년 12월 23일 오후 2시 김구가 주관하는 순국선열 추념대회에 참여하였다.[23] 순국선열추념대회 부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23] 김구가 모스크바 3상회담에 반발, 강력한 반탁운동을 추진하자 12월 30일 결성된 신탁통치반대 국민총동원위원회 위원이 되었다.[24] 그 뒤 남조선장로회총회부회장(南朝鮮長老會總會副會長)에 선출되고, 1946년에는 장로교 경기노회 노회장이 되었다. 1945년 12월 19일 임시정부요인 환국기념회에서 (좌측 두 번째 서있는 이가 함태영, 좌측 세 번째는 신익희, 네 번째 마이크 잡은 이(이름미상)) 1946년 2월 14일 이승만·김구 등에 의해 비상국민회의 최고정무위원 28인의 한사람으로 선출되었다.[25][26] 이후 민족주의 우파를 지지하는 기독교 정치인으로 활약하였다. 1946년 2월 14일 민주의원 결성대회가 열렸으나 그는 김창숙, 여운형, 정인보, 조소앙 등과 함께 민주의원 의원직을 거부하였다.[27] 1947년 조선신학교 졸업생들과 함께 이단 교수 조사위원회 조사위원에 선출되었다.[28] 1948년 민족주의 우파 진영이 단독정부 수립론과, 단독정부 반대론으로 나뉘게 되자 그는 이승만, 이시영 등을 따라 단독정부 수립론을 지지하였다. 기독교계에서는 조선신학원 설립위원, 이사를 거쳐 조선신학원 이사장을 지내고, 한국신학대학(한신대학교의 전신)의 제5대 학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1946년 6월 15일 오후 5시 40분 서울역에 도착한 삼의사 유골을 영접하였다. 이어 태고사(太古寺)에 마련된 빈소에 참석하였다. 1946년 6월 11일 경성 승동교회에서 장로회 총회 남부대회(제1회 남부대회)를 개회할 때 대회장은 배은희, 부대회장 함태영를 추대했다. 6월 11일부터 6월 14일까지 열린 제33차 장로회총회 대회 및 제1차 남부대회에서 그는 조선장로회총회 부회장에 선출되어 47년 4월 18일까지 재직했다. 이어 1946년 조선기독교총회에서 회장과 부회장을 선출할 때 배은희를 회장으로 선출하였고 그는 기독교총회 부회장에 선출되었다. 이어 기독교언론 기독공보사(基督公報社)의 사장에 피선되었다. 1946년 이갑성, 김창숙, 윤치영 등과 함께 이준열사기념사업회의 조직, 창설 과정에 참여하고 그해 7월 14일 이준열사기념사업회를 창립, 1대 기념사업회장에 선출되었다. 1947년 1월 서울 인현동에 기독교흥국형제단본부(基督敎興國兄弟團本部)와 함께 조선농민복음학교를 설립하였다. 농민복음학교는 그해 4월 7일에 개교하였다. 3월 10일 덕수교회 창립에 참석하고 창립 기념예배를 주관하였다. 1947년 4월 남부총회 부회장에 선출되었다. 심계원장과 부통령 출마[편집] 이승만 1948년 이승만의 단독정부 수립에 참여하였다. 이승만은 초대 내각 조각에 함태영을 참여시키려 하였지만 함태영이 고령이라는 점을 들어 반대하는 인사들이 있었다. 1948년 5월 의 총선거와 7월의 대통령 선거로 이승만이 초대 대통령으로 되었을 때 이승만은 정부 조직의 인선 구상 에서 함태영의 이름을 자주 거론 하였다.[21] 이승만은 대법원장 또는 법무부 장관 으로 함태영을 생각하였으나 여러가지 여건들로 인하여 이를 실현시키지 못했다. 고령과 정치적 기반이 없다는 것도 복합적 여건 중의 한 요소였다.[21] 1948년 12월 5일 반민특위 특별재판장 후보로 추천되었으나[29], 국회 표결 결과 김병로가 85표, 함태영은 38표로 낙마하였다. 1949년 제2대 심계원장(審計院長)에 취임하였고[13][30] 1950년 6월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대전을 거쳐 부산으로 피신하였다. 이어 1950년 7월 조선신학대학장 임시서리에 임명되어 1951년 4월 27일까지 겸임 재직했다. 심계원장이던 그는 같은 동명이인의 목사 창현 함태영(唱泫 咸泰英)을 내무부 지방국장에 추천하였으나, 창현 함태영은 사양하였다.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손자 함의섭 내외 등 일가족과 함께 부산으로 피난갔다. 한국 전쟁 직후 조선신학교는 무기휴학을 발표했고, 8월에 교장 송창근이 피랍, 행방불명되었다. 그는 조선신학원을 임시로 맡아 혼란을 수습하였다. 한국 전쟁 중이던 1951년 5월 16일의 제2대 부통령 선거에서 원내 자유당 공천으로 부통령 후보자로 출마하였다.[31] 그러나 같은 원내 자유당 공천으로 부통령 후보로 출마한 장택상과 경쟁해야 했다.[31] 선거 결과 낙선했다. 1차 지명전에서 17표를 받고, 2차 지명전에서는 10표를 받았다. 2대 부통령 선거에서는 낙선했으나 그는 다시 3대 부통령 선거에 출마하게 된다. 1952년 2월 한국신학대학교의 제5대 학장에 추대되었다.[32] 1953년 4월 10일 한신대 교지 코이노니아가 창간되고, 그가 편집인 겸 발행인이 되었다. 그는 서울 수유리의 부지를 확보하는데 힘을 쏟았고, 수유리로 한신대를 이전하였다. 1952년 5월, 제2대 부통령인 김성수가 부통령직에서 사퇴하자, 무소속으로 제3대 부통령으로 출마하였다. 대통령 출마설, 부통령 출마설 등의 소문이 돌았으나 그는 처음에 출마설을 부인하고 출마 권유를 물리쳤다. 그러나 이승만은 그에게 부통령 출마를 권유했다. 그는 이승만보다 나이가 많았고, 호인(好人)이었다.[33] 이미 제2대 부통령 선거에서도 낙선하였기 때문에 당연히 그는 거절했다. 정치적 기반도 없지만 국민들이 자신의 이름 조차 모르므로 출마는 당치 않다는 대답이었다. 그러나 이승만은 걱정 말라고 하면서 막무가내로 계속 권하므로 마음씨 좋은 함태영은 출마를 결정했다.[33] 이는 이범석의 급성장을 두려워한 이승만의 사전 포석이었고, 이승만의 강경파 측근들의 존재를 우려하던 미국 역시 함태영을 지지하였다. 7월 24일까지도 출마의사를 보이지 않다가 7월 27일에 부통령 출마를 선언하였다. 52년 7월 심계원장에서 물러난 그는 심계원 심계관이라는 직책에 임명되었다. 제3대 부통령[편집] 당시 기독교인들은 함태영이 부통령 후보로 출마하면서 개신교 교계는 이윤영을 지지하는 감리교와 함태영을 지원하는 한국신학대학 계열의 신민학파, 이갑성을 지지하는 정통보수신학파로 나뉘기도 했다.[34] 자유당의 2인자였던 이범석의 성장을 두려워한 이승만의 지원으로 경쟁자인 이범석을 누르고 80세의 나이에 대한민국 제3대 부통령에 당선되었다. 이승만이 무소속의 함태영을 추천한 이유로는 이승만 자신이 죽을 고비를 넘겼던 대한제국 고종 때의 독립협회 사건 때 재판장으로 재직중이었던 함태영이 자신을 잘 보아주었다는 과거의 인연과 함태영의 특색 없는 성격과 정치경력이 고려되었다[35] 는 것이다. 함태영은 이범석을 112만표 차로 승리하였다. 부통령이 된 함태영은 기독교 운동계 인사를 내각에 장관, 차관 후보자로 천거, 추천하였는데 이 중 이자익 등은 함태영의 추천을 사양, 거절하기도 했다. 이자익은 1942년 분열되고 연락이 두절된 각지의 장로교회를 모아 장로교 총회를 재건했고, 함태영은 이자익의 능력에 감동받아 그를 이승만에게 장관으로 추천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자익은 목사로 남겠다며 함태영의 제안을 거절했다. 1953년 하와이 한인이민 50주년 기념행사 참석 1953년 11월 15일의 하와이 한인이민 50주년 행사에 이승만 대통령이 참석할 예정이었으나 개인 사정으로 부득이 가지 못하게 되자, 11월 3일 함태영이 대신 다녀왔다. 11월 12일 여의도 비행장에서 행정사무관 김정극 등 수행원들을 데리고 출발할 예정이었다가 기상악화로 11월 14일 오후에 부산에서 민항기편으로 일본 도쿄에 도착한 뒤 도쿄에서 판아메리칸 항공으로 출국하여 하와이에 도착했다. 11월 14일부터 11월 24일 하와이 한인이민 5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차 미국 하와이주를 방문, 호놀룰루와 하와이를 순방하고 11월 15일 하와이 한인 이민 50주년 행사에 참석하였으며, 한인기독교회 등 하와이 한인교회, 교민 사회단체 등을 방문, 면담하고 귀국하였다. 1954년 4월 2일 CBS방송 후원회 이사에 선출되었다.[36] 4월 5일 식목일 기념행사에 참석하다. 1954년 한국신학대학 이사장이 되었다. 54년 4월 17일 서울 남산에서 '촛불예배'로 시작된 부활절 행사가 개최되자, 4월 18일 새벽 5시30분 테일러 주한 미8군 사령관과 함께 행사에 참석하였다.[37] 1954년 다시 한국신학대학교 학장에 취임하였고 1955년 2월 김성수가 병으로 죽자 김성수 국민장 장의위원장으로 김성수의 장례를 주관하였다. 1955년 3월 5일 인촌 김성수의 국민장이 끝난 뒤, 인촌 김성수 기념사업회가 설립되자, 기념사업회 초대 회장에 선출되었다.[38] 1955년 대한기독교장로회총회 제12대 회장(증경총회장)에 피선되었다. 1955년 이승만의 제안으로 삼일정신선양회 조직에 착수, 참여 활동 삼일정신선양회 총재는 당시 부통령 함태영이 부총재는 대법원장 김병로가 선출되었다. 삼일정신선양회는 처음에 이승만 대통령의 제안으로 함태영 부통령에 의해 추진되었다. 부통령으로 재임 중 그는 1955년 다시 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장에 선출되었다. 생애 후반[편집] 부통령 퇴임 이후[편집] 1956년 논개의 사당인 의암사 현판을 썼다. 1956년 부통령 퇴임 직후 외교관 여권으로 출국하였다.[39] 1956년 8월 캐나다연합교회의 초청을 받고, 제3대 부통령 퇴임 직후 8월 17일부터 김정준 등과 함께 출국, 캐나다 연합교회 총회에 한국측 기독교 대표자로 참석한 뒤 미국, 네덜란드를 방문하고 귀국, 이후 그는 목회자로 활동하였다. 1957년 6월 한국에 입국한 서독과 프랑스의 가톨릭 추기경 일행을 만났다. 1959년 2월 한국신학대학 학장직을 사퇴하고, 1959년 3월 한신대학교 명예학장에 추대되었다. 1960년 1월 20일 자유당 당무회의에서 자유당 제4대 정부통령 선거 선거대책위원회 지도위원(이갑성과 공동)에 선출되었고, 1월 22일 자유당과 구 대한국민당계 등 범여권의 선거대책위원회 고문(이갑성과 공동)에 산출되었다. 1960년 4월 25일 자유당 정권 붕괴 후, 야당 정치인과 목회자로 활동하였다. 1961년 1월 22일 오후 자동차를 타고 가다가 북아현동에서 자동차 고장으로 인한 교통사고로 전치 1주의 부상을 당하였다. 제2공화국 출범 이후 그는 윤치영, 이범석, 장택상, 허정 등과 함께 이승만 박사 환국운동 본부를 조직하고 이승만 귀국 운동을 추진했다. 만년[편집] 제3공화국 출범 이후에도 이승만의 환국운동을 추진하였고, 1963년 1월 이승만박사 환국추진위원회 위원장이 되었다. 이후 제3공화국 출범 이후에는 국가원로로 예우받았고 1962년 건국공로훈장 국민장(건국훈장 독립장)이 수여되었으며, 1964년 1월 22일 중앙대학교 명예법학박사를 수여받았다. 저서로는 히브리서를 해석한 히브리인셔 주셕(히브리서 주석)을 1913년 동양서원에서 출간하였다. 1964년 10월 24일 상오 8시경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북아현동 1가 396번지 자택에서 아침 식사를 마친 직후 고혈압과 노환 등의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 사망 당시 그의 나이는 93세였다. 10월 25일 정부는 총무처장관 이석제(李錫濟)의 특별담화를 통해 조의를 표하였다. 사망 직후[편집] 사망 후, 장례는 국민장으로 거행되었는데, 10월 30일 국민장이 결정되었고, 장례기간은 7일이었다. 정신여고 학생들의 조가 "나라를 섬기려 법관되시고 정의를 세우려 매를 맞았네" 곡의 합창과 함께 정일권, 이갑성의 조사 낭독 및 해군 군악대의 진혼곡과 함께 11시 20분 서울시청 앞에서 국민장을 시작하여 노제를 지낸 후 세종로, 종로, 돈암동 등을 거쳐 경기도 의정부에 앞서 사망한 아들 함병석의 묘 위편에 안장되었다. 묘소는 경기도 의정부시 자일동 산 3-2 함병석의 묘 위편에 있다가 2004년 11월 2일 대전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으로 이장(애국지사 묘역 3-116)되었다. 사후[편집] 1965년 3월 이갑성 목사, 김춘배(金春培), 이여진(李如眞) 등 함태영기념관설립추진위원회가 구성, 66년 4월 서울 수유리 한국신학대학 구내 대지에 착공하였다. 그러나 함태영 기념관 설립 공사에 들어갔고, 그가 학장으로 있던 한국신학대학에서 대지 1천평을 기증하고, 공사비 1천만원은 사회인사들로부터 충당하였다. 박정희 대통령이 1백만원을 보내고 4백만원을 충당하여 1층 공사를 완공하였으나 2층 공사비 7백만원을 마련하지 못해, 예산부족으로 완공되지 못하였다. 1986년 3월 14일 경기도 의정부시 자일동에 있는 묘소가 의정부시 향토유적 제9호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뒤에 함태영의 묘소가 현충원으로 이전되면서 취소되었다. 1994년 전라북도 김제시 진봉면 정당리에 함태영선생 출생지 기념비가 건립되었다. 2002년 5월 서울대 법대 동창회로부터 제10회 자랑스런 서울 법대인상이 추서되었다. 2008년 8월 학술지 ‘한국사 시민강좌’ 하반기호(43호)에서 대한민국 건국 60주년 특집 ‘대한민국을 세운 사람들’ 을 선발, 건국의 기초를 다진 32명을 선정할 때 문화, 종교, 언론 부문의 한사람으로 선정되었다.[40] 저작[편집] 히브리인셔주셕(히브리서 주석), 1913 학력[편집] 1898년 법관양성소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의 전신(前身)) 법학 학사 1921년 평양신학교 (장로회 신학대학교의 전신(前身)) 신학 학사 1956년 캐나다 마운트엘리슨 대학 명예법학박사 1964년 중앙대학교 명예법학박사 기타 약력[편집] 1898년 법관양성소 수석 졸업 1898년 한성재판소 검사시보, 이후 한성재판소 검사 1898년 독립협회사건 입회검사, 독립협회 사건에 대한 온건한 사건 처리로 파면 이후 고등재판소 검사, 대심원 판사 역임 1910년 한일병합 이후 공직에서 물러남 1918년 조선 예수교 장로회 헌장기초위원 1919년 민족대표 48인의 한 사람으로 3.1운동을 주도하다 체포. 징역 3년형 선고 받음 1922년 12월 경충노회에서 목사 안수, 청주읍교회 위임목사로 부임 1923년 12대 조선 예수교 장로회 총회장 1933년 조선 기독교 연합공의회 회장 1949년 제2대 심계원장 1951년 한국신학대학 학장 1952년 제3대 대한민국 부통령 1955년 대한기독교장로회 총회장 1961년 이승만 박사 환국운동추진위원회 위원장 상훈 경력[편집] 1962년 3월 1일 건국공로훈장 독립장 (단장, 국민장) 2002년 5월 24일 제10회 자랑스런 서울 법대인상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창회) 평가[편집] 청렴결백하고 내유외강한 전형적인 한국인[41]이라는 평이 있다. 가족 관계[편집] 함태영은 3번 결혼했으나 3명의 부인 모두 상처하였고 14남매를 두었다. 4공화국에서 주미대사, 5공화국에서 대통령비서실장을 지내다 아웅산묘소폭파암살사건으로 사망한 함병춘은 함태영이 3번째로 결혼한 고숙원과의 사이에서 낳은 막내 아들이다. 손자인 함재봉은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를 거쳐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 겸 원장으로 재직하였으며 손자 함재학은 연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이다.[42] 그는 세번의 결혼으로 많은 자녀를 낳고 그 중 14남매가 알려졌지만 홍역으로 1주일간 자녀 3남매를 연속으로 잃기도 했다. 생전에 그는 증손부, 증손녀사위 및 4대손을 보기도 했다. 일부 증손자, 증손녀들은 함태영 일가가 6.25 전쟁으로 피난했을 때 이미 학생이었다. 함인섭의 다섯 사위와 함인섭의 손자도 생전에 보았다. 할아버지 : 함두삼(咸斗三, 1792년 11월 3일 ~ 1860년 7월 16일) 할머니 : 나주임씨(1805년 3월 3일 ~ ?년 6월 5일) 큰아버지 : 함채권(咸彩權, 1823년 11월 10일 ~ 1867년 7월 23일) 큰어머니 : 광산김씨(1832년 3월 13일 ~ 1867년 7월 5일) 고모 : 강릉함씨 고모부 : 서세안(徐世晏, 본관은 이천) 아버지 : 함우택(咸遇澤, 1837년 12월 2일 ~ ?) 어머니(아버지의 본처) : 동래 정씨(1835년 8월 10일 ~ 1861년 11월 1일), 정진용(鄭進容)의 딸 어머니(아버지의 본처) : 밀양 손씨(1835년 ~ 1861년 12월 10일) 어머니 : 원주 변씨(1850년 12월 10일 ~ 1886년 9월 1일), 변동준(邊東俊)의 딸 첫 번째 부인 : 밀양 손씨(1871년 4월 7일 ~ 1904년 2월 1일) 아들 : 함병철(咸秉哲, 1889년 8월 4일 ~ ~ 1947년 2월 28일) 며느리 : 강리백가(姜利百加, 1890년 2월 10일 ~ 1947년 2월 28일), 강성흠(姜星欽 또는 강종근(姜種謹))의 딸 손자 : 함인섭(咸仁燮, 1907년 5월 3일 ~ 1986년 9월 15일, 다른 이름은 함재인(咸在仁), 춘천농대 학장, 농림부 장관 역임) 손자며느리 : 유순희(柳順嬉, 1907년 12월 16일 ~ 1949년 1월 23일), 문화 유기환(柳基桓)의 딸 증손자 : 함양호 증손자 : 함춘호 증손녀 : 함선호(咸仙鎬) 증손녀 : 함연호(咸蓮鎬) 손자며느리 : 유명숙(兪明淑, 1917년 5월 8일 ~ ?), 기계인 유권(兪權)의 딸, 함인섭의 두번째 부인 손자 : 함의섭(咸義燮, 1910년 4월 1일 ~ 1995년, 다른 이름은 함재의(咸在義)) 손자며느리 : 이차례(李次禮, 1912년 1월 4일 ~ ?), 신평 이동현(李東鉉)의 딸 증손녀 : 함혜란 증손자 : 함명호 증손자 : 함덕호 증손자 : 함성호 증손자 : 함준호(咸俊鎬), 이상 함태영 생전에 태어났고 함태영의 부고장에도 이름이 나타나 있다. 아들 : 함병승(咸秉昇, 1896년 8월 23일 ~ 1956년 1월 16일) 며느리 : 허경도(許景道, 1897년 2월 20일 ~ 1933년 9월 13일), 양천 허정정(許鼎丁)의 딸 손자 : 함재원(咸在元, 1919년 9월 17일 ~ ?) 손자며느리 : 이원희(李源姬, 1928년 5월 15일 ~ ), 양성인 이상용(李尙鎔)의 딸 아들 : ? 며느리 : 오숙자(吳淑子) 두 번째 부인 : 전주 최씨(1884년 9월 15일 ~ 1907년 10월 4일) 아들 : 함병창(咸秉昌, 1907년 1월 20일 ~ ?) 아들 : 함병서(咸秉曙) 세 번째 부인 : 고숙원(高淑媛, 1887년 11월 21일 ~ 1943년 1월 16일), 고군보(高君甫)의 딸 아들 : 함병욱(咸秉昱, 1911년 3월 18일 ~ 1930년 4월 6일) 아들 : 함병조(咸秉晁, 1913년 1월 29일 ~ 1978년 10월 31일) 아들 : 함병호(咸秉皓, 1923년 10월 6일 ~ 1940년 4월 22일) 아들 : 함병돈(咸秉暾, 1925년 6월 24일 ~ 1986년 9월 29일) 아들 : 함요한(요절, 대동강에서 익사) 아들 : 함병소 (咸秉照, 1928년 ~ , 공무원, 기업인, 상공부 공업제1국 중화확과장 역임) 며느리 : 김순회(金順會, 1935년 ~ ) 손자 : 함재경(咸在璟, 1960년 ~ ) 손녀 : 1명 아들 : 함병춘 (咸秉春, 1932년 2월 26일 ~ 1983년 10월 9일), 대통령 비서실장, 대통령 외교담당 특보 며느리 :심효식([43] 沈孝植, 1928년 ~ , 화가) 손자 : 함재봉(咸在鳳, 1958년 9월 5일 ~ ),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 겸 원장 손자 : 함재학(咸在鶴, 1963년 ~ ), 연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외할아버지 : 변동준(邊東俊) 기타[편집] 어린 나이에 생모 변씨를 여의었고, 결혼 생활도 불우하여 세 번 결혼하여 세 부인을 모두 잃었다. 그가 한성재판소 판사 당시 무죄를 선고한 피고인 중에는 이승만도 있었다. 그는 다른 판사들과는 달리 이승만에게 관대한 판결을 내렸고, 이 일로 해방 이후 이승만을 다시 만났을 때 가깝게 지낼 수 있었다. 고숙원에게서 얻은 아들 함병욱(咸秉昱)은 1930년 4월 6일 사립숭실학교입학 시험을 보러 가는 학우 안수봉(安壽鳳), 최규룡(崔圭龍) 등과 함께 배로 대동강을 건너다가, 보트 충돌로 사망하였다.[44] 고숙원에게서 얻은 아들인 함병소의 아들인 손자 함재경은 마이크로소프트사에 근무했다. 함태영은 생전 4대손 함영덕을 보기도 했다. 본처에게서 얻은 아들 함병철의 증손자이자, 함태영의 손자인 함인섭의 손자였다. 함께 보기[편집] 3·1 만세 운동 민족대표 48인 대한민국 임시정부 독립촉성중앙회 제1공화국 제2공화국 대한민국의 부통령 이승만 김규식 김구 김순애 홍종우 민주의원 조만식 이시영 송진우 김성수 이범석 윤치영 윤치호 이기붕 장면 장택상 박정희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자유당 신익희 장건상 조봉암 함인섭 국민장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제2대 부통령 보궐 선거 부통령 2대 - 11.4% 17표 3위 낙선 제2대 대통령, 3대 부통령 선거 부통령 3대 무소속 41.3% 2,943,813표 1위 당선 함태영을 연기한 배우[편집] 단역, 최명수 - 1981년 (제1공화국) MBC TV 드라마 참고자료[편집] 함태영 : 독립유공자 공훈록국가보훈처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50년대편 1권》 (인물과사상사, 2006) 정부 전복혐의 이승만… 사형 위기서 구해준 함태영 조선일보 2015.07.21. [법조인 열전 ④] 법관양성소 1회 수석졸업생 함태영의 생애 대한변협신문 2010.01.28. 신교회인물열전/(30)함태영목사 한국기독공보 2003.10.25. 각주[편집] ↑ 함태영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및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전신 ↑ 처음에 경기도 과천 동작리에 대성황사 아래에 매장했다가 뒤에 김제로 이장한 것이다. ↑ 김수진 《총회를 섬겨온 일꾼들》 (김수진, 한국장로교출판사, 2005) 16페이지 ↑ 가 나 다 최종고, 《한국의 법률가》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51페이지 ↑ 최종고, 《한국의 법률가》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60페이지 ↑ 한국사 시민 강좌 43권 (일조각, 2008) 378페이지 ↑ 가 나 최종고, 《한국의 법률가》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61페이지 ↑ 가 나 다 라 최종고, 《근대사법 100년이 낳은 한국의 법률가像》 (길안사, 1995) 137페이지 ↑ 최종고, 《한국의 법률가》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63페이지 ↑ “[법조인 열전 ④] 법관양성소 1회 수석졸업생 함태영의 생애 - 대한변협신문”. 2016년 10월 30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Çѱ¹±âµ¶±³»ç[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가 나 네이버 백과사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네이버 백과사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네이버 백과사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네이버 백과사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가 나 다 서대문구청, 《한민족의 독립운동과 서대문형무소》 (서대문구청, 2000) 54페이지 ↑ [한국의 역사교회―(17) 마산 문창교회] '복음 횃불' 밝혀 애국운동 국민일보 2009년 04월 24일자 기사 ↑ [한국교회 120년 (29)] 경남지역의 기독 유적지 Archived 2013년 12월 12일 - 웨이백 머신 국민일보 2003년 04월 09일자 기사 ↑ [1] ↑ 가 나 다 라 최종고, 《한국의 법률가》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67페이지 ↑ 최종고, 《근대사법 100년이 낳은 한국의 법률가像》 (길안사, 1995) 142페이지 ↑ 가 나 아! 비운의 역사현장 경교장(1993, 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213 ↑ 아! 비운의 역사현장 경교장(1993, 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255 ↑ 정병준, 《우남 이승만 연구》 (역사비평사, 2006) 528페이지 ↑ 이연복 《대한민국 임시정부 30년사》(국학자료원, 2006) 91페이지 ↑ 이승만의 정치 이데올로기(서중석, 역사비평사, 2006) 362페이지 ↑ 「벽도 밀면 문이 된다」(송우혜 저 생각나눔 2008) 389페이지 ↑ [2] ↑ 심계원은 후일 대한민국 감사원의 전신이기도 하다. ↑ 가 나 김용욱, 《한국정치론》 (오름, 2006) 447페이지 ↑ 조선신학대학은 1951년 4월 28일부로 김재준을 학장서리로 임명함과 동시에 한신대로 이름을 바꾸었다. ↑ 가 나 서중석, 《이승만과 제1공화국》 (역사비평사, 2007) 114페이지 ↑ 유영익, 《이승만 대통령 재평가》 (연세대학교출판부, 2009) 431페이지 ↑ 함태영 - Daum 백과사전 ↑ 송건호, 《송건호 전집 09:민주언론 민족언론 2》 (한길사, 2002) 124페이지 ↑ [제784호] 서민들 애환 맺힌 ‘정치의 광장’ : 특집 : 뉴스 : 돌아온 산, 남산 : 한겨레21 ↑ "記念事業會 發足", 동아일보 1955년 03월 05일자 3면, 사회면 ↑ 그가 외교관 여권으로 여행을 다녀온 것을 근거로 허정은 1960년 4월 이승만에게 외교관 여권을 준 것이라고 해명하였다. ↑ 혼돈의 해방공간서 자유민주주의 초석을 놓다 동아일보 2008년 8월 22일자 ↑ 고춘섭 엮음, 《연동교회 100년사》, (금명문화사, 1995) p.299 ↑ 워커 전 주한 미 대사 (2003년 5월 7일). “한국의 보배 함병춘… 강단 그리워한 진정한 공복”. 한국일보. 2013년 1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23일에 확인함. 실제로 우리 모두는 함대사의 장남인 함재봉 연세대 교수가 93년 10월 몇몇 학자들과 함께 부친의 유고를 모아 책을 발간하자 매우 기뻐했다. 「한국의 법, 정치 그리고 문화」라는 제목이 붙은 이 책의 영문 유고는 이미 86년 연세대 출판부에서 발간했었다. 이 책은 근대 한국을 이해하고자 하는 서구인들이 반드시 읽어볼 만한 충분한 가치를 지닌 역저라고 생각한다. 둘째 아들 재학군도 부친의 위업을 따라 법률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 한국의 보배 함병춘… 강단 그리워한 진정한 공복 Archived 2013년 12월 12일 - 웨이백 머신 한국일보 2003년 05월 07일자 ↑ "大同江流에 慘沒한 遠來의 受驗學生 두 학우와 뽀트타다 충돌되여 學校길이 黃泉길", 매일신보 1930년 04월 09일 2면, 4단 제3대 대한민국 부통령 전 임장택상(권한대행) 1952년 8월 15일 ~ 1956년 8월 14일 후 임장면 이시영 · 김성수 · 함태영 · 장면 전임명제세 제2대 심계원장1949년 11월 24일 ~ 1952년 7월 22일 후임노진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함태영&oldid=24390973" 분류: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1873년 태어남1964년 죽음강릉 함씨함경북도 출신법관양성소 출신한국의 기독교운동가대한민국의 장로교도조선의 유학자대한제국의 관료대한제국의 정치인일제 강점기의 목회자일제 강점기의 기독교운동가민족대표 48인한국의 군정기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관련자대한민국의 교육인대한민국의 목회자대한민국의 반공주의자대한민국의 부통령대한민국의 심계원장한국독립당의 당원자유당대한민국 제1공화국대한민국 제3공화국한신대학교장로회신학대학교 동문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문병사한 사람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日本語Simple Englishไทย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7일 (금) 04: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함태영(咸台永, 1873년 12월 11일 ~ 1964년 10월 24일)은 대한제국의 법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종교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48인의 한 사람이기도 하다. 1952년 8월 15일부터 1956년 8월 14일까지 대한민국의 제3대 부통령을 역임하였다. 본관은 강릉(江陵). 자는 자경(子卿), 아호는 송암(松岩). 함경북도 무산군 출생이다. 1895년(고종 32년) 4월 16일 한국 최초의 근대식 법조인 교육기관인 법관양성소에 입학하여, 법관양성소 재학 중인 1896년 3월 5일 한성재판소 검사시보로 재직했다. 대한제국 때인 1898년 법관양성소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한성재판소에서 검사로 법관 근무를 시작했다. 한성재판소 판사 당시에는 독립협회, 만민공동회의 사건 수사 담당자였다. 그는 독립협회 사건으로 체포된 이상재, 윤치호, 이승만 등 독립협회, 만민공동회 관련자들에 대한 관대한 판결을 내렸으며, 이 인연으로 훗날 이승만의 지지를 받고 부통령이 되기도 했다. 이후 고등재판소 검사, 평리원 검사, 법부 형사국 서기관과 법률기초위원, 1908년(융희 2) 10월 8일 대심원판사 등을 역임했지만 독립협회, 만민공동회 사건 이후 집권층의 의도를 반영하지 않아 파면과 복직을 반복하다가 1910년(융희 4년) 10월 2일 경술국지 이후 사퇴했다. 1919년에는 파리강화회담에 보내는 독립탄원서를 작성했고 3·1운동 당시 중앙지도체 인사 중의 한 사람이었다. 1919년 3·1 운동 거사 직전 비밀연락에 참여하였으며 3·1 운동에는 민족대표 48인 중 한 사람으로 참가하여 만세선언서 등을 운반, 배포했다가 체포되어 징역 3년형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하다 2년만에 가석방되었다. 이후 목회자, 선교 단체, 교육사업 등에 활동하다 1945년 광복 뒤, 이승만의 권고로 인하여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였다. 정부 수립 후 법무부장관에 추천되었으나 낙마하였다. 그러나 이후 1949년 제2대 심계원장과 심계관, 1951년 한신대학교 학장을 지냈으며, 1951년 5월 16일 대한민국 제2대 부통령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고 1952년의 정부통령 선거 때 제3대 부통령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부통령 퇴임 후에는 한신대학교 이사장을 지냈고 1960년에는 이승만 환국추진위원회에서 활동하였다. 손자 함인섭은 강원대학교의 설립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함태영은 1895년부터 1897년까지 어떤 삶을 살았을까? Assistant: 함태영은 1895년(고종 32년) 4월 16일 '재판소 구성법' 공포에 따라 설치된 한국 최초의 근대식 법조인 교육기관인 법관양성소에 입교, 그해 11월 법관양성소 속성과(速成科)로 전과하였다. 법관양성소 재직 중 1896년 3월 5일 한성재판소검사시보(漢城裁判所檢事試補)겸 주임관6등 2급(奏任六等二級)에 보직되었다. 1896년 11월 법관양성소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97년 11월 1일 경기재판소 판사시보(畿裁判所判事試補) 주임관 5등 1급(奏任五等一級)으로 발령되었다. 당시 졸업생 명단을 보면 함태영의 이름이 맨 위에 있는데, 그것은 그가 최우수 성적으로 졸업을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훗날 서울법대 동창회 명부에 제1호 회원이 바로 함태영으로 나와 있다.[5] 1897년 한성재판소검사시보에 임명되고 6월 11일 수원군으로 파견되었다. 9월 29일 한성재판소 검사로 임명되면서 법관생활을 시작하였다. 11월 1일 경기도재판소 판사(京畿道裁判所判事)에 임명되었다. 한성에 올라와 거주하던 그는 한일합방 이후에는 세브란스 병원 사택 근처에서 거주하였다. Human: 아래 부다페스트_지하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부다페스트 지하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부다페스트 지하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부다페스트 지하철 로고 1896년 개통 당시에 촬영한 부다페스트 지하철 전동차의 모습 Szent Gellért tér 2014 부다페스트 지하철(헝가리어: Budapesti metró 부더페슈티 메트로[*], 영어: Budapest Metro)은 헝가리의 수도 부다페스트의 지하철이며, BKV (부다페스트 운송 회사)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4개 노선이 각각 노선 번호 및 라인 컬러로 구분되어 있다. 4호선이 2014년에 개통하였고, 또한 5호선 계획도 구체화되고 있다. 지하철 1호선은 세계에서 런던, 이스탄불에 이어 세 번째로 영업을 개시한 지하철이고, 전기로 운전되는 지하철로서는 세계 최초이다.[1] 지하철로는 세계 최초로 UNESCO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2002년) . 목차 1 역사 2 운행 노선 3 이용 방법 3.1 일반 정보 4 사진 5 각주 6 외부 링크 역사[편집] 시내의 교통을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철도교통 수단의 건설이 계획되었다. 그러나, 언드라시 거리의 노면 위에 이를 건설하는 것은 반대 의견에 부딪혀, 1870년에 국민의회에 의해 지하철로서 건설되는 계획이 통과되었다. 그 뒤, 1894년에 독일의 지멘스 사에 의해 건설이 개시되어, 최신의 기계와 2천명의 노동자에 의해, 2년이 채 안되어 1호선이 완성하였다. 그 부분은 완전하게 표면부터 개삭식(開削式)공법에 의해 건설되었다. 헝가리인의 판노니아 평원 정복·정착 1천년 기념 축제에 맞추어 1896년 5월 2일에 완성하였다. 노선은 언드라시 거리를 따라, 남서쪽의 뵈뢰슈머르치 광장부터 북동쪽의 버로슬리게트의 남서쪽까지 북동 방향으로 달린다. 종점은 동물원이었으나, 현재는 이전하였다. 당초의 역은 11개 있었고, 그 중 9개가 지하, 2개가 지상에 있었다. 노선의 길이는 3.7 km였다. 열차는 2분 간격으로 달렸고, 하루 수송능력은 3만5천명이었다. (현재는 평일 10만3천명) 그 후, 1895년에는 남북방향 및 동서방향으로 두 개의 지하철 노선이 계획되었다. 현재의 2호선의 최초의 계획은 1942년에 세워지고, 의회에 의해 1950년에 건설을 위한 법령이 제정되었다. 2호선은 당초 동역과 남역을 연결하는 것으로 계획되었다. 1955년 개업할 예정이었으나, 재정 및 정치상의 이유로, 1954년부터 1963년까지 공사가 중단되었다. 최종적으로는 1970년 4월 4일 (당시 공산당의 휴일)에 7개의 역이 개업하였다. 이 노선은 동서 방향으로 달려, 현재까지도 도나우 강을 건너 부더 지구까지 도달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1호선과는 데아크페렌츠광장역(Deák Ferenc tér)에서 접속하고, 그 후 3호선도 같은 역에서 접속하는 것으로 되었다. 1호선은 1970년부터 1973년까지 운행 차량을 교체하는 등 완전히 탈바꿈하였다. 이때, 종래의 좌측통행에서 다른 노선과 마찬가지로 우측통행으로 변경되었다. 1973년에 2개의 노선이 연장되어(1호선은 1개역, 2호선은 4개역), 현재의 노선 길이(1호선 4.4 km, 2호선 10.3 km)에 달하였다. 1973년에는 부다페스트 교통회사 (BKV, Budapesti Közlekedési Zrt.)가 운영을 이어받아, 현재에도 지하철을 이를 계속 운영하고 있다. 1976년에, 3호선의 최초의 구간이 개업한 때에 호선별 색상이 도입되어, 1호선이 노랑, 2호선이 빨강, 3호선이 파랑으로 결정되었다. 또한, 부다페스트 주변의 교외철도에 녹색이 사용되었다. 3호선에 관한 최초의 법령은 1963년에 제정되어, 1970년에 건설 개시, 1976년에 최초의 6개역 구간이 개업하였다. 그 뒤, 1980년에 남쪽의 5개역 구간, 1981년·1984년·1990년에 걸쳐 북쪽의 9개역 구간이 개업하여, 부다페스트에서 가장 긴 현재의 20역, 17km가 완성되었다. 3호선은 남북 방향 (정확히는 북북동부터 남동 방향)을 잇는다. 1980년대부터 90년대에 걸쳐, 1호서은 대폭적인 개수가 이루어졌다. 11개역 중 8개역이 옛 모습으로, 3개역이 재건되었다. 천년제(千年祭)시대가 연상되도록, 걸상·벤치·나무 창·조명이 설치되었다. 각 역은 사진과 정보를 제공하는 작은 박물관이 되도록 하였다. 데아크 페렌츠 광장(Deák Ferenc tér)의 지하 통로에 옛 자료를 볼 수 있는 지하철박물관이 있다. 2002년에는, 이미 세계유산이 된 바 있는 "부다페스트, 도나우 강안과 부다성"을 확대등록하는 형태로, "언드라시 거리와 그 지하"(Andrássy Avenue and the Underground, 세계유산 ID400-002)의 일부로서 세계유산에 등록되었다.[2] 등록된 이유는, 그 장소가 인류의 기술적 진보의 우월성을 입증한 것으로 평가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세계유산을 "산업"유산으로 분류하는 전문가도 있다.[3] 운행 노선[편집] 1호선 (노랑): 뵈뢰슈머르치 광장 역(Vörösmarty tér) ~ 멕시코 거리 역(Mexikói út), 4.2km (11개 역, 1896년 개통) 2호선 (빨강): 남부다페스트 역(Déli pályaudvar) ~ 외르시 베제르 광장 역(Örs vezér tere), 10.3km (11개 역, 1970년 개통) 3호선 (파랑): 우이페슈트쾨즈폰트 역(Újpest-Központ) ~ 쾨바녀키슈페슈트 역(Kőbánya-Kispest), 16.4km (20개 역, 1976년 개통) 4호선 (초록): 켈렌푈드 (Kelenföld) 역 ~ 동역(Keleti pályaudvar), 7.4km (10개역, 2014년 개통) 이용 방법[편집] 일반 정보[편집] 지하철 각호선은 1호선·2호선·3호선이 집중하는 데아크페렌츠광장역에서 접속하고 있는 것에 더해서, 4호선과 2호선이 동역에서, 4호선과 3호선이 칼빈광장역(Kálvin tér)에서 접속한다. 승차권은 에스컬레이터에 오르기 전에 입구의 오렌지색의 각인기에 타각하여, 유효화할 필요가 있다. 그 승차권을 지하철역을 나올 때까지 소지하고 있어야 한다. 타각기에 타각하면, 역 정보와 함께 날짜와 시간이 권면에 인쇄된다. 담당자가 승차권을 수시로 검사한다. 담당자는 역의 에스컬레이터 부근에 있는 경우가 많으나, 지하철 구내에서는 어디에서라도 검사를 받게 될 가능성이 있다. 승차권이나 정기권은 담당자의 요구가 있으면 제시할 필요가 있다. 담당자는 파랑 완장과 신분증명서를 가지고 있으나, 실제로 검사를 시작할 때까지 숨겨진 경우도 있다. 검사는 빈번하게 있고, 유효한 승차권을 소지하지 아니한 경우, 외국인도 벌금의 대상이 된다. 사진[편집] 부다페스트 지하철 1호선 전동차가 영웅 광장을 통과하는 전동차 언드라시 대로를 달리고 있는 전동차 각주[편집] ↑ 세계에서 두번째로 1875년에 개업한 이스탄불의 튀넬은 지하 케이블카라고 하는 특수한 방식을 가지고 있고, 또한 주행거리도 짧기 때문에 부다페스트 지하철 1호선이 유라시아 대륙 최초의 지하철이라고 소개하는 경우도 많다. ↑ 유네스코 ↑ 후쿠다 하루히사(古田陽久) · 古田真美 『世界遺産ガイド 文化遺産編・2006年改訂版』シンクタンクせとうち総合研究機構、2006年、pp.40-41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부다페스트 지하철 부다페스트 지하철 vdeh 유럽 연합 회원국의 지하철   나폴리 · 로마 · 밀라노 · 브레시아 · 제노바 · 카타니아 · 토리노   렌 · 리옹 · 릴 · 마르세유 · 툴루즈 · 파리   글래스고 · 런던 · 타인 위어   로테르담 · 암스테르담   마드리드 · 바르셀로나 · 발렌시아 · 말라가 · 빌바오 · 세비야 · 팔마   뉘른베르크 · 뮌헨 · 베를린 · 프랑크푸르트 · 함부르크   리스본   바르샤바   부다페스트   부쿠레슈티   브뤼셀   빈   소피아   스톡홀름   아테네   코펜하겐   프라하   헬싱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부다페스트_지하철&oldid=24374571" 분류: 부다페스트의 교통헝가리의 도시 철도1896년 개통한 철도 노선숨은 분류: 헝가리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ČeštinaЧӑвашла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КыргызчаLatinaОлык марий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дмурт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4일 (화) 10:2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부다페스트 지하철(헝가리어: Budapesti metró 부더페슈티 메트로[*], 영어: Budapest Metro)은 헝가리의 수도 부다페스트의 지하철이며, BKV (부다페스트 운송 회사)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4개 노선이 각각 노선 번호 및 라인 컬러로 구분되어 있다. 4호선이 2014년에 개통하였고, 또한 5호선 계획도 구체화되고 있다. 지하철 1호선은 세계에서 런던, 이스탄불에 이어 세 번째로 영업을 개시한 지하철이고, 전기로 운전되는 지하철로서는 세계 최초이다.지하철로는 세계 최초로 UNESCO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2002년) .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승차권은 무슨색 각인기에 타각해야해? Assistant: 오렌지색의
Human: 아래 1985년_서울시내버스_노선번호_개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1985년 서울시내버스 노선번호 개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985년 서울시내버스 노선번호 개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음은 1985년 10월 1일 시행된 서울시내버스의 노선번호 개편 내용이다. 목차 1 시내버스 2 좌석버스 3 신설된 노선 4 폐지된 노선 5 참고문헌 6 함께 보기 시내버스[편집] 5번 정릉-혜화로타리-창경원(현 창경궁)-상암동 7번 오금동-반포-대방동 9번 역곡-신정동-오목교-전경련-순복음교회-63빌딩-신촌역 15번 (순환노선화)하계동-신설동-하계동 16번 과천-마장동-장위동-우이동 17번 개포동-동대문-청량리-신내동 18번 고덕아파트-강동구청-종로5가 19번 도봉산-동대문운동장-왕십리-면목동-청량리 20-2번 방학동-광산슈퍼-수유리-율곡로-퇴계로-서울역 21번 둔촌동-반포-흑석동 27번 수유리-공덕동-홍대앞-아현동 29번 번동-반포-가야병원-방배역-반포 31번 구로구청-신정-영등포시장-여의도 32번 장위동->미도파-종로2가<-종로1가-후암동 34번 염리동-장위동(굴곡노선 직선화) 34-1번 하계동-청계2가-중앙극장-염리동 38-2번 태릉서앞-용두동-한남동-도곡동 56-1번 오금동-강남역-고속터미널-대방동 62-1번 개포동-도곡네거리-진선여-신길동 63번 개포동-혜화동(굴곡노선 직선화) 63-1번 가락시장-삼성역-경기고등학교-혜화동 65번 가락동-영동교-청량리역-경동시장 67-1번 둔촌동-광장동-한양대-신세게 70번 신촌역-시흥동 차고지 연장 72번 서초동-서울역-사직터널-서울역 73-1번 서초동-고속터미널-성동구청 77번 사근동-서울역-만리동-여의도 78-1번 대치동-도곡네거리-선릉역-강남구청-신사동-원지동 80번 서초동-이태원-신당동-서울운동장 83번 중앙청-AID아파트-휘문고-은마아파트 85번 봉천동-서울역-종로-성북동 87번 중동고교-숙명여고-선릉역-고속터미널-방배동-말죽거리-중동고교 89-1번 사당동-장승백이-노량진-장승백이-사당동 92-2번 문래동-봉천동-교대-말죽거리 95번 서울대학교-서울역-혜화동 95-1번 구로공단-신림동-신세계 96번 난곡동-신정동-영등포역 97-1번 과천-흑석동-영등포시장-당산역 99번 안양-서울역-중앙청(경복궁)회차 101번 난곡-반포-고속터미널-노량잔-당산동 102번 발산동-봉천교-신림로타리-봉천동 105번 부천시-당산역회차 106번 공단오거리-2공단-개봉역-신정동-강서구청-칼아파트-개봉동 108번 시흥동-대방역-당산역-양평동-강변도로-당산역 108-1번 시흥동-구로구청-대림역 회차 110번 신정동-영등포시장-구로공단-구로역-고척동-신정동(순환) 113번 의정부-약수동고개-고속터미널 118번 철산리-영등포역-신촌(이대회차) 120번 구로동-세무서-영등포역-여의도 125번 부천내동-당산역-영등포역 129번 신정동-시청-서대문로타리 130번 김포-중앙청(경복궁)-새문안길~아현동 132번 망원동-종로구간-면목동 133-1번 북가좌동-종로구간-하월곡동 133-2번 북가좌동-마포대교-국회앞-시흥동 135번 평창동-남영동-동교로타리-봉원동 135-1번 평창동-남영동-동교로타리-성산동 137번 방이동-어린이대공원-신대방동 139번 면목동-퇴계로-신촌-양평동-문래 142번 수색-종근당-새문안길-서울역 147번 화전-독립문-중앙청(현 경복궁)-서울역-독립문 153번 갈현동-서대문로타리-서울역-퇴계로3가-비원-사직터널 154번 기자촌-녹번동-종로-신당동-옥수 155번 옥수동-을지로-광화문-불광동-기자촌 156-1번 구파발-반포-고속터미널-반포 158번 녹번동-홍제역 (홍제역 하차) 165번 금곡-청량리-경동시장 166번 도곡리-청량리역-경동시장 205번 어린이대공원-면목동-녹번동회차 211번 목동-왕십리회차 235번 상계동-청량라-마장동 터미널-압구정동-강남역-면허시험장-가락시장 235-1번 수유리-대지극장-길음역-삼양시장 239-1번 성남시-신사동-압구정동-국기원 240번 성남시-가락동(잠실역 잠실4단지)-면허시험장-고속터미널-여의도63빌딩 288번 개포동-반포-한강대교-신세계 회차 288-1번 대공원-말죽거리-은마아파트-면허시험장-잠실역-가락시장 311번 개포동-은마아파트-휘문고-종로5가 333번 우이동-종로3가-남대문-신림8동 388번 시흥-신정동-화곡아파트-신정동 541번 남가좌동-종로구간-신설동-중곡동 542번 남가좌동-청계구간-성동공-중곡동 569번 고덕동-천호동-잠실역-종합운동장 570-1번 성남동-암사동-길동-천호네거리 571번 반포-이수교-배나무골-사당역 571-1번 반포-이수교-배나무골-사당역 588번 화곡동-신촌-퇴계로-왕십리 710번 종로-서울역-개포동 811번 수유리-선릉역-개포동 좌석버스[편집] 2번 도봉산-종암동-종로-서울역 10번 상계동-삼선교-종로-서울역 12번 개포동-시청앞-신촌-상암동 13번 번동-행당동-고속터미널-반포 14번 개포동-압구정동-안국동-광화문 16번 정릉-고속터미널-삼성동-개포동 17번 서초동-고속터미널-광화문 22번 태릉-청량리-종로-서울역 23번 마천동-군자동(청량리~무교동) 30번 가락동-압구정동-여의도 33번 고덕동-잠실-고속터미널-영등포 34번 명일동-군자동-청량리 40번 대치동-광교-무교동 41번 개포동-고속터미널-광화문 45번 금광동-수서동-고속터미널-광화문 46번 가락동-개포동-고속터미널-미도파 47번 가락동-잠실역-강남역-동교동 50번 시흥동-노량진-서울역-종로1가 51번 서울대-이수교차로-미도파 52번 서울대-노량진-서울역-종로1가 53번 광명시-영등포역-서부역-미도파 55번 신월동-연대앞-광화문-시청앞 59번 고덕동-천호동-종로-광화문 60번 철산리-영등포역-여의도-광화문 61번 외발산동-영등포-여의도-시청앞 62번 화곡동-등촌동-연대앞-시청앞 63번 김포공항-마포-시청앞 64번 신월동-고속터미널-잠실-둔촌동 65번 봉천동-서초동-가락농수산물시장 66번 발산동-목동-광화문-시청앞 70번 홍은동-한양대학교-둔촌동-가락동 72번 역촌동-홍은동-독립문-미도파 81번 진관외동-동교동-고속터미널 567번 사당동-학동-영동교-망우동 631번 고척동-영등포시장-남영역-미도파 700번 방화동-영등포시장-여의도순환 725번 상도2동-서울역-정릉동 753번 시흥동(차고지연장)-공덕로타리 765번 금곡-청량리역-경동시장 신설된 노선[편집] 801번 신촌-삼각지-약수동-북악터널 802번 면목동-목동삼거리-월계동-위생병원-면목동 803번 태릉선수촌-월계동-돈암동-외국어대학교-석관동-월계동 804번 우이동-쌍문동-신창시장-연산묘 805번 기자촌-갈현동-은평구청-녹번동-불광시외버스터미널 806번 홍은동-녹번동-역촌동-북가좌동-모래내-연희동 807번 이화여자대학교-신촌-성산동-망원동-유수지-대흥동 808번 당산역-등촌동-강서구청-신정단지-신도림동-영등포 809번 영등포역-구로동-관악구청-대방역 810번 국립묘지-이수교-사당시장-사당네거리-과천 811번 신사동-교육대학교-말죽거리-삼성동 812번 길동네거리-태양금속-잠실역-석촌동-가락동-오금동 813번 명일동-길동-잠실역-송파-가락농수산물시장 814번 대방동-63빌딩-순복음교회-한국방송공사 폐지된 노선[편집] 시내버스 : 165-1, 522-1, 146-1, 118-1, 239, 25-1, 25-2, 47, 500-1, 15-1, 150-1, 150-2, 92-1, 139-1, 9-1, 26-2, 10번 좌석버스 : 569, 205번 참고문헌[편집] 경향신문 1985년 10월 1일자 10면 게재 함께 보기[편집] 1949년 서울시내버스 노선 1956년 서울시내버스 운행회사 1959년 서울시내버스 노선 1961년 서울시내버스 노선번호 개편 1964년 서울시내버스 노선번호 개편 1966년 서울시내버스 노선번호 개편 1970년 서울시내버스 노선번호 개편 1970년 서울시내버스 운행회사 1974년 서울시내버스 운행회사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1985년_서울시내버스_노선번호_개편&oldid=22962090" 분류: 서울특별시의 버스 교통1985년 대한민국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1월 9일 (금) 22: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다음은 1985년 10월 1일 시행된 서울시내버스의 노선번호 개편 내용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85년도에 서울 시내부스 노선번호 개편이 되었을때 시내버스 31번은 정류장이 어디어디인가? Assistant: 구로구청-신정-영등포시장-여의도 Human: 아래 걸프렌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걸프렌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걸프렌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위키낱말사전에관련된 항목이 있습니다. girlfriend 목차 1 대중매체 1.1 영상 1.2 서적 2 음악 2.1 그룹 2.2 음반, 노래 3 같이 보기 걸프렌드(영어: girlfriend)는 여자친구를 의미하는 영어 단어이며, 다른 뜻으로는 다음이 있다. 대중매체[편집] 영상[편집] 영화와 텔레비전 《걸프렌드》는 1978년에 공개된 미국의 영화이다. 《걸프렌드》는 2009년에 공개된 인도의 영화이다. 《걸프렌드》는 2010년에 공개된 미국의 영화이다. 서적[편집] 《걸프렌드》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잡지이다. 《걸프렌드》는 일본의 만화이다. 음악[편집] 그룹[편집] 걸프렌드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음악 그룹이다. 걸프렌드는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이다. 음반, 노래[편집] "Girlfriend" (B2K의 노래) "Girlfriend" (빌리 파이퍼의 노래) "Girlfriend" (바우 와우와 오마리온의 노래) "Girlfriend" (바비 브라운의 노래) "Girlfriend" (더 다크니스의 노래) "Girlfriend" (앨리샤 키스의 노래) "Girlfriend" (에이브릴 라빈의 노래) "Girlfriend" (타일러 메데이로스의 노래) "Girlfriend" (엔싱크의 노래) "Girl Friend" (박재범의 노래) "Girlfriend" (페블즈의 노래) "Girlfriend" (더 필로우즈의 노래) "Girlfriend" (매튜 스위트의 노래) "Girlfriend" (윙스의 노래) 같이 보기[편집] 보이프렌드 여자친구 이 문서는 명칭은 같지만 대상이 다를 때에 쓰이는 동음이의어 문서입니다.어떤 링크가 이 문서를 가리키고 있다면, 그 링크를 알맞게 고쳐 주세요.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걸프렌드&oldid=18594262" 분류: 동음이의어 문서숨은 분류: 위키낱말사전과 연결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모든 동음이의어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Magyar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venskaKiswahiliTürkçe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7년 4월 12일 (수) 02:3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No good Wikipedia Search Result was found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Girlfriend 라는 음반을 낸 그룹 2pm의 전멤버인 우리나라 래퍼는 누구일까? Assistant: 박재범
Human: 아래 공군_ACE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공군 ACE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공군 ACE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공군 ACEAirforce Challenge E-sports 창단일 2007년 4월 해체일 2014년 3월 부문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위치 대한민국 외부 링크 공군 ACE(空軍 - , Airforce Challenge E-sports, 공군 에이스)는 대한민국의 前 프로게임단이다. 현존 당시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종목을 운영하였다. 2012년 11월 해체를 선언하여 2014년 3월 4일 공식 해체되었다. 목차 1 역사 1.1 게임단의 창설 1.2 공식전 18연패 1.3 첫 4연승과 두 자리 수 승리 1.4 최강 공군 ACE 1.5 해체 2 게임단 연혁 2.1 주요선수 입대, 전역기록 3 프로리그 결과 4 역대 팀 감독 5 역대 팀 코치 6 공군을 거쳐간 선수들 7 주요 종목 8 트리비아 9 함께 보기 10 각주 역사[편집] 게임단의 창설[편집] 대한민국 공군은 공군에 대한 이미지 제고와 사기 진작을 위해서 2007년 4월 3일 세계 최초로 군 e스포츠팀 공군 ACE(Airforce Challenges E-sports)를 창단했다. Ace로 팀명을 정한 것은 공군에서 전시에 최고의 전투기 조종사에 붙여지는 명칭인 에이스로 정한것으로 밝혀졌다. 공군 ACE는 e스포츠계의 상무로 일컬어졌고, 군입대를 앞두고 활동이 제한된 선수들이 공군에 지원함으로써 선수생활을 계속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e스포츠의 매개인 스타크래프트의 특성상, 단기간이라도 연습을 하지 않으면 실력이 크게 뒤처지기 때문에 병역 문제는 e스포츠계의 걸림돌로 작용해 왔었는데(현재까지 일반병사나 공익근무요원으로의 병역필 이후 복귀에 성공한 선수는 거의 없었다.), 공군의 팀창단으로 지속적인 연습을 가능케 하여 추후 제대 시 게임계로의 복귀의 가능성을 열어둘 수 있게 하였다. 그리하여 오랫동안 입대를 미루어왔던 임요환, 강도경, 최인규, 이재훈, 이주영, 김선기, 성학승, 김환중, 박대만 등 프로게이머 경력이 오래된 선수들이 입대 후에도 활동을 계속하고자 공군에 지원하였다. 이런 의도 외에도 공군팀은 올드 e스포츠 팬들에게도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하였다. 세대교체와 변화가 빠르게 이루어지는 e스포츠계에서, 과거의 유명 선수들은 신인들에 밀려 개인전은 물론 프로리그에도 출전모습을 보기가 힘들어졌다. 그러나 공군 팀의 창단으로, 그러한 올드 게이머들이 주전으로 기용되고, 그들의 모습을 그리워 하는 팬들을 e스포츠에 붙잡아 둘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실제로 공군 입대 후 노장들이 기대 이상의 기량으로 선전하는 경우도 존재했다. 특히 임요환은 군 복무 중이었던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후기 리그에서 11승 10패로 염보성과 함께 테란 다승 공동 1위로 건재함을 과시하였으며 수많은 명경기(vs 구성훈,윤용태,이영호,강민,마재윤,김택용 등 )를 만들어냈다. 또한 2007년 5월 6일 김택용(SK 텔레콤 T1)을 상대로 고스트의 락다운까지 사용하며 완벽한 모습을 선보인 최인규와 2009년 6월 20일 역시 김택용을 왕년의 폭풍으로 제압한 홍진호의 승리는 많은 e스포츠 팬들에게 큰 감동을 선사한 것으로 유명했다. 또한 염보성과 이재호(이상 MBC게임 히어로)에게 팀내 주전경쟁에서 밀리며 젊은 나이임에도 공군행을 택한 민찬기의 입대 이후로는 공군 ACE에 올드 게이머들 외에도 주전 자리를 확보하지 못한 후보 선수들이 합류하는 경우가 잦아졌다. 이러한 부류의 선수들은 비록 상대적으로 높은 지명도를 갖추지는 못했지만, 감춰졌던 자신의 기량을 십분 발휘하며 팀의 유효한 전력으로 자리잡았다. 공식전 18연패[편집] 공군은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시즌에서 1라운드에서 7패를 거둔 후 2라운드 전패, 그리고 3라운드도 7전 전패행진을 해왔다. 특히 다른 프로게임단의 에이스가 아닌 선수(하이트 스파키즈의 이호준, 위메이드 폭스의 전태양 등)에게 올킬을 당하는 수모를 보였고 이 기록은 프로리그 사상 가장 많은 연패 기록이 되었다.(기존 최다 팀대항 연패는 이스트로와 STX SouL이 이룬 14연패였다.) 2010년 3월 1일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 화승 OZ vs 공군 전에서 화승은 프로리그 순위와 위너스 리그 순위가 낮았기 때문에 득실의 확보를 위해 선봉에 이제동을 내보냈으나, 이제동은 1킬 후 김성기의 교묘한 체제 교란(자신의 체제가 바이오닉인 것처럼 기만한 후 2팩토리에서 벌처를 생산, 메카닉 체제로 가는 척하다가 배럭스를 늘려서 바이오닉으로 다시 체제전환)에 속아넘어가며 스나이핑당하고 말았다. 그 후 화승은 차봉으로 구성훈을 내보냈고, 김성기를 잡아낸 구성훈은 공군의 중견 박정석에 의하여 또 스나이핑 당하였다. 박정석은 화승의 중견 김경모(현 공군 ACE)에게 패배했으나 대장으로 출격한 민찬기가 김경모와 박준오를 잡아냄으로써 공군은 4:3으로 7세트까지 가는 접전 끝에 화승을 제압하고 18연패의 사슬을 끊는 귀중한 1승을 거뒀다. 이 날 인터뷰와 해설진에 의하여 밝혀진 내용에 의하면, 김성기는 연습 상대가 부족한 상황에서 이제동을 잡아내기 위해서 팀원들이 팀밀리(다수 유저가 한 종족을 컨트롤하는 경기방식)로 연습을 도와 줬다고 하여 감동을 안겼다. 또한, 3월 6일에는 SK텔레콤 T1(vs 최호선, 박재혁, 이승석, 정명훈)을 상대로 승리를 거둠으로서 값진 2연승을 거둠과 더불어, 2007년 4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참가 이래 프로리그에서 단 한 차례도 이겨 보지 못했던 SK텔레콤을 상대로 처음으로 승리를 기록했다. 아울러 공군은 이날 승리로 프로리그 참가 3년 만에 전 프로게임단을 상대로 승리하는 성과를 얻었다. [1] 첫 4연승과 두 자리 수 승리[편집] 공군은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시즌 중반 프로리그 역사상 최다 연패인 18연패를 기록하는 등 극심한 부진을 겪었다. 더불어 2010년 e스포츠의 판도를 크게 뒤흔든 승부조작 사건에 공군 소속 김성기가 연루되어 로스터에서 제외되면서 최악의 침체를 이어갔다. 이런 분위기는 5라운드에 들어서도 10연패를 기록하며 계속되는 듯 하였다. 그런데 2010년 6월 7일 1위팀 KT 롤스터 전에서 공군은 극적 반전의 계기를 마련한다. 1세트에서 홍진호는 우정호를 기습적인 2cm 드랍 작전을 통해 무너뜨렸다. 3경기에서는 박태민이 김재춘을 상대로 깔끔한 경기력으로 승리하였다. 하지만, 4세트에서는 공군의 에이스였던 민찬기가 '최종병기' 이영호에게 완패를 당하면서 승부는 에이스 결정전에서 판가름나게 되었고, 에이스 결정전의 대진이 민찬기와 이영호의 재대결로 결정되면서, 4라운드에서도 이영호에게 민찬기가 두 차례 패배하며 승리를 내준 바 있었던 공군의 승리는 불투명해 보였다. 그러나 민찬기는 4세트에서와는 확연히 달라진 엄청난 경기력으로 시종일관 이영호를 찍어누르며 압승을 거두며, 팀의 10연패를 끊어내는 데에 성공했다. 이후 SK텔레콤 T1과 삼성전자 칸에게 패배한 공군은 2010년 6월 19일 인상적인 캐리어 운영으로 이재호를 제압한 박영민과 박태민, 민찬기의 활약으로 MBC게임 히어로를 3:1로 물리쳤다. 다음 경기인 하이트 스파키즈전에서는 상대팀의 에이스 신상문이 불참하는 행운 속에[2] 5개월만의 승리를 기록한 서지훈과 민찬기, 홍진호의 활약으로 3:1로 승리했다. 이어진 화승 OZ전에서는 대 저그전 최강자 이제동을 꺾는 기염을 토한 홍진호를 앞세워 또다시 3:1로 승리하며 3연승을 기록했으며, 결국 2010년 7월 4일 STX Soul과의 경기에서도 오영종의 프로리그 통산 100승에 이은 민찬기, 홍진호의 승리로 3:1로 승리함으로써 공군 창단 최초 4연승과 함께 프로리그 참가 이후 최초의 두 자리 승수 달성에 성공하게 되었다. 민찬기와 홍진호는 연승 기간 중 각각 3전 전승을 기록하며 4연승을 진두지휘했다. 공군은 남겨진 두 경기를 모두 패배하며 10승 45패로 09-10 시즌을 마감하였지만, 시즌 막판 인상적인 투혼을 보여 주며 차기 시즌에 대한 전망을 밝게 했다. 최강 공군 ACE[편집] 2기 공군 멤버의 최고참 박정석(전역후 KT 롤스터로 복귀)과 오영종(화승 오즈로 복귀), 한동욱(은퇴)이 전역하였고, 이 공백을 김경모와 안기효, 손석희, 이성은의 전입으로 메우며 공군은 새로운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시즌을 시작하였다. 프로게이머 경력이 미미하거나 기량이 매우 저하된 신병들의 유입으로 인해 공군에의 기대치는 이전보다도 낮았고, 예상대로 공군은 2승 7패를 기록하며 1라운드를 마무리하였다. 그러나 주목받지 않았던 김경모가 1라운드부터 5할이 넘는 승률을 유지하며 김윤환(STX SouL), 염보성(MBC게임 히어로) 등을 꺾어내는 등의 가능성을 보여 주며 새로운 에이스로 등극, 팀체질 개선이 순조로움을 입증하였다. 이어진 2라운드는 공군 역사상 최고의 기세를 뽐낸 라운드였다. 지난 2년에 걸쳐 김택용, 이제동, 김윤환, 신상문 등의 에이스급 선수를 상대로 거짓말같은 승리를 이끌어낸 홍진호가 2010년 12월 30일 KT 롤스터로 전역하였으나, 에이스 김경모는 2라운드까지 공군의 프로리그 전경기에 출전, 11승 8패의 고승률을 유지하며 전체 다승 순위 공동 12위를 유지, 공군 역사상 최초의 5할 이상의 승률을 가진 선수가 되었다. 김경모를 가리켜 과거 팀동료 이제동(화승 오즈)의 군대 버전이라는 뜻의 '군제동'이라 일컫게 된 것도 이 즈음이었다. 환골탈태한 프로토스전을 선보이며 김구현(당시 STX Soul/현 공군Ace)에게 역전승을 거두는 등 2라운드 전적 4승 3패를 기록한 이성은과 3승 1패를 기록한 손석희 역시 팀의 상승세를 이끈 한 축이었다. 2라운드 들어 전입한 변형태와 김태훈 역시 각각 공군 데뷔전을 승리로 장식하며 상승세에 날개를 얹어 주었다. 또한 이전까지 테란에게 저그가 한 경기도 이기지 못했던 맵 '벤젠'에서 강호 구성훈(화승 오즈)과 전태양(위메이드 폭스)에 이어 이재호(당시 MBC게임 히어로, 현 웅진 스타즈)까지 훌륭한 경기력으로 연파한 박태민(은퇴, 온게임넷 해설위원으로 전향)이 활약하였고, 3개월만에 출전한 서지훈 역시 탑클래스 게이머 정명훈(SK 텔레콤 T1)을 완벽하게 찍어누르는 등 선임병들도 제 몫을 해 줬다. 2연승과 3연승을 한 차례씩 기록하였고, 2연속 4:0 승리도 기록했던 공군의 2라운드 성적은 5승 4패로 팀 역사상 최초의 위닝 라운드가 달성되었고, 중간 순위는 7승 11패로 8위, 포스트시즌 진출권인 6위팀을 1경기 차이를 두고 추격하는 대파란을 연출했다. 특히 승패에 비해 매우 양호한 세트 득실(-3)을 보유하며, 포스트시즌행에 대한 희망을 현실적인 것으로 만들었다. 에이스 김경모의 패배에도 불구 나머지 세트를 싹쓸이하며 4:1로 STX SouL을 꺾는 등의 저력을 보여 줬던 2010년 말의 공군 에이스를 두고 사람들은 '역대 최강 공군'이라는 평을 주저하지 않았다. 그러나 승자연전 방식의 위너스 리그에 들어서며 공군의 예상치 못한 몰락이 시작되었다. 공군은 전 라운드 마지막 삼성전자 칸전의 패배를 더해 16연패를 기록하며 끝도 없는 나락으로 빠져들었다. 경기 내용은 더욱 처참했다. 공군은 3라운드 9경기 중 무려 5차례의 올킬 패배(대 KT 롤스터(김대엽), 폭스(전태양), SK 텔레콤 T1(김택용), MBC게임 히어로(박수범), 화승 오즈(구성훈)전)를 당했으며, 3:4 패배조차 한 번도 없을 정도의 무기력함으로 일관했다. 이는 멀티킬이 가능한 확실한 에이스가 부재한 팀 상황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이는데, 14연패 시점까지의 개인 연승이 팀을 통틀어 김경모의 2연승 두 차례에 불과했으며, 나머지 선수들은 잘 풀려도 '1승 카드'에 머물고 말았다는 점이 뼈아팠다. 전 라운드에서 안정적인 승수를 챙겨 주던 김경모도 이전 라운드에 보이지 않았던 대 저그전의 약세가 지속되면서 대 저그전 7연패를 기록, 스나이핑이 가능한 승자 연전 방식에서 치명적인 약점을 노출하며 연패 기간 성적 8승 14패에 머물며 팀을 구해내는 모습을 보여 주지 못했다. 또한 이성은은 연패 기간 위너스 리그 10전 전패와 프로리그 11연패를 기록하며 팀 몰락의 원흉으로 지목받았다. 위너스리그 전패가 유력해 보였던 공군은 개인리그 예선을 통해 반전의 기틀을 마련했다. 2011년 3월 3일 펼쳐진 2010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예선전에서 공군의 주력 선수들인 민찬기, 김경모, 손석희, 이성은이 예상을 뒤집고 예선 통과에 성공했다. 특히 민찬기는 오른팔에 깁스를 한 부상 중에도 예선을 통과하는 저력을 보였다. 이후 공군은 보다 끈질긴 모습을 보이며 연패 탈출에 사력을 다했다. 3월 5일 벌어진 웅진 스타즈와의 경기에서 공군은 선봉 이성은이 11연패를 끊어내고 2킬, 차봉 손석희가 웅진 중견 이재호를 잡아내며 위너스 리그 10-11 시즌 최초로 한 경기 3세트를 따 내는 데 성공했다. 3월 8일의 폭스와의 경기에선 폭스 선봉 신노열에게 3명이 무너지며 패색이 짙었으나, 대장으로 출격한 이성은이 역 3킬을 해내며 위너스 리그 10-11 시즌 최초로 개인 3킬 달성에 성공했다. 비록 이 두 경기는 각 팀의 에이스 김명운과 전태양을 극복하지 못한 공군이 패배했지만, 인상적인 경기들을 선보이며 두 경기 연속으로 매치포인트까지 상대를 몰아붙이며 공군의 의지를 팬들에게 각인시켜 주었다. 특히 두 경기의 역전승을 포함 3킬을 달성하고, 패색이 짙은 상황에서도 끝까지 전태양에게 항전한 이성은의 투혼은 e-스포츠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결국 공군은 3월 12일 변형태의 선봉 승리와 차봉 손석희의 3킬에 힘입어 MBC게임 히어로를 4:1로 격파, 16연패를 마감하는 귀중한 승리를 달성했고, 위너스 리그 최종전에선 위너스 리그 포스트 시즌에 진출한 하이트 엔투스를 4:2로 물리치며 2승 16패로 위너스 리그를 마감한다. 위너스 리그의 갑작스러운 부진으로 인해 10-11 시즌에도 공군은 사실상 포스트시즌 진출은 물론 최하위 탈출도 힘든 처지에 놓였으나, 위너스 리그의 마지막에 이르러 팀 분위기 쇄신에 성공하는 모습을 보였고 가장 좋은 페이스를 보였던 프로리그 방식이 다시 사용된다는 점에 희망을 걸어 볼 수 있겠다. 10-11리그도 순위는 10위를 하였으나 역대 최고인 17승을 기록하였고, 또한 선수층이 더욱 두터워져서 공군이 예전처럼 약체팀이라는 이미지를 벗어나게 되었다. 특히 이성은과 변형태, 김경모의 맹활약이 빛을 발했다. 다음 시즌에서도 이와 비슷한 행보로 갈것으로 보인다. 또한 김구현과 차명환이 다음 시즌부터 합류하게 되어 공군의 전력은 더 탄탄해질것으로 보였다. 2011-2012 SK Planet 프로리그 개막전에서 KT를 상대로 역스윕 (2:0 스코에서 3경기를 내리이겨서 3:2로 이기는) 파란을 일으켰으나, 그이후에 제8게임단과 CJ에게 2연패를 당해서 2011년 12월 11일 현재 프로리그 순위 6위를 기록중이다. 그 후 최강의 엔트리 카드를 구사하여 승을 챙겨 중위권 순위를 유지했다. 그러나 1라운드까지는 중위권 성적을 보였으나, 2,3라운드에서 계속되는 연패와 팀 내부의 문제 등 여러가지 악조건으로 인해 SK플래닛 프로리그에서도 꼴찌자리를 피할 수 없었다. 해체[편집] 공군 ACE는 이미 2007년 말부터 국방부 종합감사에서 "프로게임단 '공군 ACE'가 원래 편제기능에 맞지 않는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이후 2012년까지 5년동안 수많은 비판을 받았다. 2012년 7월 23일, 아시아경제는 공군 관계자가 "에이스팀은 군 입장에서 젊은 층을 상대로 이미지 개선을 효과를 거두었지만 게임시장의 변화에 따라 팀을 해체할 수 밖에 없다"라면서 현재 더 이상 신병을 모집하고 있지 않아 자연스럽게 해체될 전망이라 보도했으며[3], e스포츠 전문 매체 포모스도 사실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보도했다.[4] 실제로 2011년 11월에 열린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11-12 이후 별다른 활동을 하지 않았으며 2012년 한 해 동안 신병을 3월 5일에 1명만 모집하고 이후로는 모집을 하지 않았다. 결국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12-13부터 불참을 선언하면서 해체 수순을 밟게 되었다. 기존 공군 ACE 소속의 프로게이머들은 보직을 변경 후 2013년 7월까지 군복무를 이어나갔고 3월 5일에 마지막으로 입단했던 김승현이 2014년 3월 4일에 제대하면서 완전히 해체되었다.[5] 게임단 연혁[편집] 주요선수 입대, 전역기록[편집] 2006년 6월 12일 조형근, 강도경, 최인규 공군기본군사훈련단 입대 2006년 7월 25일 조형근, 강도경, 최인규 공군중앙전산소 e-sports팀으로 배속 2006년 10월 9일 임요환 공군기본군사훈련단 입대 2006년 11월 13일 성학승 공군기본군사훈련단 입대 2007년 1월 27일 SuperFight 단체경기 공군팀 출전 2007년 2월 12일 이재훈, 김환중, 김선기 공군기본군사훈련단 입대 2007년 3월 9일 공군팀 제2회 KeSPA컵 출전 2007년 4월 3일 공군 ACE(Airforce Challenge E-sports)팀 창단 2007년 6월 25일 이주영, 박대만 공군기본군사훈련단 입대 2007년 12월 31일 제 2대 감독 김평강 중위 전역, 제 3대 감독 유성렬 중위 취임 2008년 3월 19일 2007 대한민국 e-SPORTS 대상 페어플레이상 2008년 8월 29일 조형근, 강도경, 최인규 전역 2008년 9월 22일 박정석, 오영종, 한동욱 공군기본군사훈련단 입대 2008년 11월 24일 홍진호, 차재욱 공군기본군사훈련단 입대 2008년 12월 12일 2008 신지식 최우수 단체상 2008년 12월 21일 임요환 전역 2009년 1월 23일 성학승 전역 2009년 2월 16일 박태민 공군기본군사훈련단 입대 2009년 3월 9일 서지훈 공군기본군사훈련단 입대 2009년 4월 17일 이재훈, 김환중, 김선기 전역 2009년 4월 21일 박정석 프로리그 최초 100승 기록 2009년 4월 22일 2009년판 '기네스 세계 기록 게이머편(Guinness World Records Gamer`s Edition) 등재 2009년 5월 25일 민찬기 공군기본군사훈련단 입대 2009년 8월 24일 이주영, 박대만 전역 2009년 10월 26일 박영민 공군기본군사훈련단 입대 2009년 12월 31일 제 3대 감독 유성렬 중위 전역, 제 4대 감독 박대경 중위 취임 2010년 5월 31일 김경모 공군기본군사훈련단 입대 2010년 6월 28일 안기효 공군기본군사훈련단 입대 2010년 7월 4일 오영종 프로리그 100승 기록, 창단 후 최초 프로리그 단일 시즌 두 자리 팀승수 기록 2010년 7월 26일 손석희 공군기본군사훈련단 입대 2010년 8월 30일 이성은 공군기본군사훈련단 입대 2010년 10월 25일 김태훈, 변형태 공군기본군사훈련단 입대 2010년 10월 29일 박정석, 오영종, 한동욱 전역 2010년 12월 30일 홍진호, 차재욱 전역 2011년 2월 28일 임진묵 공군기본군사훈련단 입대 2011년 3월 17일 박태민 전역 2011년 4월 1일 코치 김남기 하사 전입 2011년 4월 4일 고인규 공군기본군사훈련단 입대 2011년 4월 9일 서지훈 전역 2011년 4월 25일 코치 오동수 중사 전출 2011년 4월 25일 권수현, 이정현 공군기본군사훈련단 입대 2011년 6월 30일 제 4대 감독 박대경 중위 전역, 제 5대 감독 송동균 중위 취임 2011년 6월 21일 민찬기 전역 2011년 9월 26일 차명환 공군기본군사훈련단 입대 2011년 10월 24일 김구현 공군기본군사훈련단 입대 2011년 11월 15일 박영민 전역 2012년 3월 5일 김승현 공군기본군사훈련단 입대 2012년 6월 9일 김경모 전역 2012년 7월 6일 안기효 전역 2012년 8월 2일 손석희 전역 2012년 9월 4일 이성은 전역 2012년 10월 27일 김태훈, 변형태 전역 2013년 2월 27일 임진묵 전역 2013년 4월 3일 고인규 전역 2013년 4월 24일 권수현, 이정현 전역 2013년 9월 25일 차명환 전역 2013년 10월 23일 김구현 전역 2014년 3월 4일 김승현 전역 및 게임단 해체 프로리그 결과[편집] 년도 리그 순위 경기 승 패 벌점 승점 포스트시즌 주요선수 감독 2007 신한은행 전기 12위 22 6 16 0 -28 진출실패 강도경, 최인규, 조형근, 임요환, 성학승 정철하 2007 신한은행 후기 12위 22 3 19 0 -27 진출실패 강도경, 조형근, 임요환, 성학승, 박대만, 이주영 김평강 2008 신한은행 2008 11위 22 6 16 0 -22 진출실패 강도경, 조형근, 임요환, 성학승, 박대만, 이주영 유성렬 2008-2009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8-09 12위 11 1 10 0 -18 진출실패 이주영, 박정석, 오영종, 한동욱, 홍진호, 박태민, 서지훈 유성렬 2008-2009 신한은행 08-09 12위 55 9 46 1 -79 진출실패 임요환, 이주영, 박정석, 오영종, 한동욱, 홍진호, 박태민, 서지훈 유성렬 2009-2010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 12위 11 2 9 0 -22 진출실패 박정석, 오영종, 한동욱, 홍진호, 박태민, 서지훈, 민찬기, 박영민 박대경 2009-2010 신한은행 09-10 12위 55 10 45 1 -86 진출실패 박정석, 오영종, 한동욱, 홍진호, 박태민, 서지훈, 민찬기, 박영민 박대경 2010-2011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10-11 12위 18 2 16 0 -35 진출실패 박영민, 김경모, 손석희, 이성은, 김태훈, 변형태, 임진묵, 고인규 박대경 2010-2011 신한은행 10-11 10위 54 17 37 0 -46 진출실패 박영민, 김경모, 손석희, 이성은, 김태훈, 변형태, 임진묵, 고인규 박대경 2011-2012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 8위 21 6 15 0 -22 진출실패 김경모, 손석희, 이성은, 김태훈, 변형태, 임진묵, 고인규, 차명환, 김구현 송동균 2012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Ⅱ 프로리그 시즌 2 8위 21 5 16 0 -33 진출실패 이성은, 김태훈, 변형태, 임진묵, 고인규, 이정현, 차명환, 김구현, 김승현 송동균 역대 팀 감독[편집] 공군 ACE의 감독은 전부 장교로 재임중인 감독이며, 전부 중위가 맡는다. 1대 감독 : 정철하 중위 (재임 기간 : 2007년) 2대 감독 : 김평강 중위 (재임 기간 : 2007년 ~ 2008년) 3대 감독 : 유성렬 중위 (재임 기간 : 2008년 ~ 2009년) 4대 감독 : 박대경 중위 (재임 기간 : 2009년 ~ 2011년) 5대 감독 : 송동균 중위 (재임 기간 : 2011년 ~ 2012년) 역대 팀 코치[편집] 공군 ACE의 코치는 플레잉 코치를 제외하면 전부 부사관 출신이며, 전부 중사, 하사가 맡는다. 1대 코치 : 민태웅 중사, 강도경 플레잉코치(주장 겸임) 2대 코치 : 오동수 중사 3대 코치 : 김남기 하사, 안기효 플레잉코치 공군을 거쳐간 선수들[편집] 1기 2006년 - 강도경, 조형근, 최인규, 임요환, 성학승 - 모두 은퇴 2007년 - 이재훈, 김선기, 김환중, 이주영, 박대만 - 모두 은퇴 2기 2008년 - 박정석, 한동욱, 오영종, 홍진호, 차재욱 - 모두 은퇴 2009년 - 박태민, 서지훈, 민찬기, 박영민 - 모두 은퇴 3기 2010년 - 김경모, 안기효, 손석희, 이성은, 변형태, 김태훈 - 손석희 해외 스타2 팀 이적, 나머지 모두 은퇴. 4기 2011년 - 임진묵, 고인규, 권수현, 이정현, 차명환, 김구현 - 모두 은퇴 2012년 - 김승현 - 은퇴 주요 종목[편집] 스타크래프트 트리비아[편집] 공군 ACE의 ACE는 Airforce Challenge E-sports의 약어로, E-Sports에 도전하는 공군을 뜻한다. 창단 당시 ACE로 정한 것은 공군이 전시에 최고의 전투기 조종사에게 붙여지는 명칭으로 최고가 되겠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공군 ACE의 팀 로고는 공군 최신예 F-15K 전투기가 창공을 비상하는 형상으로 디자인됐고, 선수 유니폼은 공군 빨간마후라의 투혼을 의미하는 붉은색 옷깃과 함께 국산 초음속훈련기 T-50을 연상시키도록 디자인되었다. 세계 최초의 군 소속 프로 게임단(The first military pro-gaming team)으로 기네스북(2009 Guinness World Records Gamer's Edition)에 등재되었다. 최인규는 2007년 5월 6일, 전 시즌 MSL 우승자였던 김택용(당시 MBC게임 히어로, 현 SK 텔레콤 T1)을 제압하고 2003년 7월 5일 KTF 에버컵 프로리그에서 GO팀 소속으로 승리를 거둔 이래 1402일만의 프로리그 승리를 거두었다. 김선기는 2008년 5월 31일 신상문(당시 온게임넷 스파키즈, 현 하이트 엔투스)을 제압하고 2005년 11월 23일 이후 921일만의 프로리그 개인전 승리를 거두었다. 이주영은 2009년 5월 17일 하이트 스파키즈전에서 공군 저그 최초로 단일 경기에서 에이스 결정전까지 2승을 거두었다. 홍진호는 2009년 6월 20일 김택용(SK 텔레콤 T1)을 꺾고 2007년 6월 17일 신상문전 이후 735일만의 프로리그 개인전 승리를 거두었다. 민찬기는 공군 게이머 최초로 양대 메이저 개인리그(스타리그, MSL)에 동시 진출했다.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라운드에서 프로리그 사상 최초로 단일 라운드 전패를 기록했다.[6] 박대만(당시 웅진 스타즈, 현 GSL 해설위원)은 2009년 9월 29일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예선전을 통과하며 공군 ACE 출신 최초의 개인리그 진출자가 되었다. 이 팀에 소속되어 있던 김성기는 2010년 5월 스타크래프트 승부 조작 사건에 연루된 것으로 밝혀지면서 군 검찰 회부와 더불어 KeSPA로부터도 영구제명 징계를 받음에 따라 팀에서도 방출되었다. 그리하여 김성기는 유일하게 전역이 아닌 다른 이유로 공군 ACE를 떠난 선수가 되었다. 김경모는 2010년 12월 19일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2라운드 SK텔레콤 T1전에서의 승리로 10승(6패)을 기록하면서, 팀과 개인 공히 16번째 경기만에 10승을 따내어 프로리그 단일 시즌에서 가장 빠른 10승을 기록한 유일한 공군 선수가 되었다. 2010년 12월 25일, 공군은 STX 소울과의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2라운드 경기에서 4:1로 승리하며 라운드 전적 5승 3패를 기록, 2라운드 잔여 경기의 결과와 상관없이 창단 최초로 프로리그 위닝 라운드를 기록하였다. 안기효는 2011년 3월 20일 장윤철(하이트 엔투스)을 꺾고 2009년 1월 28일 이후 781일만의 공식전, 2007년 12월 12일 이후 1194일만의 프로리그 개인전 승리를 거두었다. ABC마트 MSL 2011의 본선에 공군 소속의 민찬기, 김경모, 이성은이 진출하였는데, 공군 소속 3인의 개인리그 진출은 공군 역사상 최다 기록이다. 공군 에이스에서 활동하였던 선수 중 전역 후 99%가 은퇴해서 은퇴 양성소로 악명이 높았으며 선수생활 연장에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었다. 실제로 공군에이스 전역 후 성공적으로 프로게이머로 복귀한 사례가 1%에 불과하다.(박정석, 오영종이 그나마 전역이후 활동하였지만, 두 사람도 결국 은퇴하였다. 이외에도 복귀한 선수도 몇명 있었지만(임요환, 이재훈, 김환중, 홍진호, 민찬기, 임진묵, 김구현) 전부 출전을 하지 않다가 모두 반년도 못가서 은퇴하였다.) 현재는 손석희만이 전역 이후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임단에 입단하며 선수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함께 보기[편집] 대한민국 공군 각주[편집] ↑ 공군 ACE 김성기, "연습 과정에서 스트레스 최고였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포모스》2010년 3월 1일 23시 12분 ↑ 이 날 오전, 신상문이 급성 장염으로 병원에 입원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하이트는 신상문이 빠진 상태로 공군과 경기를 하게 되었다. ↑ 공군 e스포츠팀 '에이스' 해체된다 ↑ “해체설 도는 공군 에이스, 사실 가능성 높아”. 2013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7월 23일에 확인함.  ↑ 세계 최초의 軍프로게임단 공군 에이스, 역사 속으로 사라지다 Archived 2013년 12월 20일 - 웨이백 머신 《포모스》2012년 10월 27일 ↑ 공군 에이스, 프로리그 최초로 단일 라운드 전패 수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포모스》2010년 1월 18일 20시 34분 vdeh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리그리그개인전 스타리그 MBC게임 스타리그 곰TV 클래식 소닉 스타리그1 아프리카TV 스타리그1 SSL 시리즈1 단체전 프로리그 (1군) 드림리그 (2군) MBC게임 팀리그 위너스리그 경남 - STX컵 마스터즈 조직협회 한국e스포츠협회 게임 개발사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게임 배급사 한빛소프트 방송국 OGN MBC 게임 곰TV 아프리카TV SPOTV GAMES 경기장 용산 e-Sports 스타디움 (온게임넷→OGN, 철거됨) 히어로센터 (MBC 게임, 철거됨) 곰TV 목동 스튜디오 (곰TV, 철거됨) ITV 랭킹전 iTV 스튜디오/인천 종합문화예술회관 야외 특설무대(iTV 경인방송, 철거됨) 프릭 업 스튜디오 (아프리카TV) 넥슨 아레나 (SPOTV GAMES) 방송인OGN 정소림 엄재경 김정민 아프리카TV 박상현 이승원 임성춘 SPOTV GAMES 김철민 한승엽 이성은 과거 게임단 KT 롤스터 STX SouL 웅진 스타즈 SK텔레콤 T1 CJ 엔투스 삼성 칸 제8프로게임단 공군 ACE 이스트로 위메이드 폭스 온게임넷 스파키즈 MBC게임 히어로 화승 OZ 기타 e스포츠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명예의 전당 골든 마우스 MSL 금배지 KeSPA컵 1KeSPA 비공인 리그2012년 9월 22일부로 대한민국의 모든 KeSPA 공인 스타크래프트 리그가 완전히 종료됨. 단, KeSPA 비공인 리그는 열리고 있음. vdeh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II 리그리그개인전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아프리카TV)) SSL 시리즈 (SPOTV 게임즈) 스타리그 (OGN, 폐지) 단체전 프로리그 (한국e스포츠협회, 폐지)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e스포츠 연맹, 폐지) 기타 KeSPA컵 조직종목사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관련 단체 한국e스포츠협회 e스포츠 연맹 (해체) 방송국 SPO TV 게임즈 아프리카TV(GSL 2016 시즌 1부터 주관중) OGN 곰eXP(GSL 2015 시즌 3까지 주관) 경기장 넥슨 아레나 프릭 업 스튜디오 신도림 TG e스타디움 게임단 진에어 그린윙스 MVP 아프리카 프릭스 ZeNEX oGs SlayerS 공군 ACE TSL NS호서 웅진 스타즈 fOu SouL AZUBU LongZhu 프라임 스베누 삼성 갤럭시 CJ 엔투스 KT 롤스터 SK텔레콤 T1 방송인SPOTV 게임즈 성승헌 채민준 김익근 유대현 고인규 안준영 정인호 아프리카TV 박상현 황영재 박진영 채정원 vdeh 대한민국 공군 본부 참모 총장 차장 구성군직할 기상단 헌병단 항공안전단 정보체계관리단 연구분석평가단 항공우주의료원 공군사관학교 35비행전대 52시험평가전대 53특수비행 91항공시설전대 작전사령부 작전정보통신단 항공우주작전본부 항공지원작전단 7 항공통신전대 37전술정보전대 공중기동정찰사령부 비행단 3훈련 5공중기동 15특수임무 전대 6 SAR 29 전술개발비행 39 전술정찰 공중전투사령부 전투비행단 1 8 10 11 16 17 18 19 20 비행전대 38 전투 방공관제사령부 방공통제전대 31 중앙 32 중앙 33 34 51항공통제비행전대 방공유도탄사령부 방공유도탄여단 1 2 3 군수사령부 군수관리단 군수전산소 종합보급창 정비창 81 항공 82 항공 83 정보통신 85 정밀표준 86 항공전자 60수송전대 교육사령부부대 기본군사훈련단 학생군사교육단 한국항공대학교 한서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영진전문대학 (부사관) 27예비단 학교 항공과학고등학교 공군방공포병학교 공군정보통신학교 군수 1 2 공군행정학교 시설 계룡대 공항 광주 군산 김해 대구 사천 서울 원주 청주 기지 수원 오산 비행장 강릉 서산 성무 예천 중원 그 외 역사 계급 장비 부대 조직 및 편성 목록 육군 해군 특수부대 해외 파병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공군_ACE&oldid=24522198" 분류: 2007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2014년 폐지해체한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임단대한민국 공군공군 ACE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7월 4일 (목) 09: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공군 ACE(空軍 - , Airforce Challenge E-sports, 공군 에이스)는 대한민국의 前 프로게임단이다. 현존 당시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종목을 운영하였다. 2012년 11월 해체를 선언하여 2014년 3월 4일 공식 해체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공군 ACE 이전에 최다 연패를 기록한 팀은 어디지? Assistant: 이스트로와 STX SouL Human: 아래 1928년_동계_올림픽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1928년 동계 올림픽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928년 동계 올림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928년 동계 올림픽대회 제2회 동계 올림픽 경기 대회개최국 스위스개최 도시 장크트모리츠참가국 25개국참가 선수 464명(남자: 438명, 여자: 26명)경기 종목 6개 종목, 14개 세부 종목개막식 1928년 2월 11일폐막식 1928년 2월 19일 개회 선언 에드문트 슐테스 대통령선수 선서 한스 아이덴벤츠주경기장 장크트모리츠 올림픽 아이스링크겨울 <  샤모니 1924 레이크플래시드 1932  > 1928년 동계 올림픽(영어: 1928 Winter Olympics, II Olympic Winter Games, 독일어: Olympische Winterspiele 1928, 프랑스어: Jeux olympiques d'hiver de 1928, 이탈리아어: II Giochi olimpici invernali)은 1928년 2월 11일부터 1928년 2월 19일까지 스위스 장크트모리츠에서 개최된 동계 올림픽이다. 전 세계 25개국이 참가하였다. 목차 1 경기 장소 2 참가국 3 종목 3.1 시범 종목 4 메달 순위 5 외부 링크 경기 장소[편집] 장크트모리츠 주변의 산 크레스타 런 장크트모리츠 올림픽 스키 점프대 장크트모리츠 아이스링크 장크트모리츠-세레리나 올림픽 봅런 참가국[편집] 1928년 동계 올림픽에는 다음과 같은 국가가 참가하였다. 아르헨티나, 에스토니아, 독일, 일본,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멕시코, 네덜란드, 루마니아 9개국이 처음으로 동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참가국 목록 아르헨티나 (10) 오스트리아 (39) 벨기에 (25) 캐나다 (23) 에스토니아 (2) 핀란드 (18) 프랑스 (38) 영국 (32) 독일 (44) 헝가리 (13) 이탈리아 (13) 일본 (6) 라트비아 (1) 리투아니아 (1) 룩셈부르크 (5) 멕시코 (5) 네덜란드 (7) 노르웨이 (25) 폴란드 (26) 루마니아 (10) 스위스 (41) (개최국) 스웨덴 (24) 체코슬로바키아 (29) 미국 (24) 유고슬라비아 (6) 종목[편집] 봅슬레이 피겨 스케이팅 아이스하키 크로스컨트리 노르딕 복합 스키 점프 스피드 스케이팅 스켈레톤 시범 종목[편집] 밀리터리 패트롤 스키 저링 메달 순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1928년 동계 올림픽 메달 집계입니다. 1928년 동계 올림픽 메달 집계 순위 국가         합계 1 노르웨이 6 4 5 15 2 미국 2 2 2 6 3 스웨덴 2 2 1 5 4 핀란드 2 1 1 4 5 캐나다 1 0 0 1 5 프랑스 1 0 0 1 7 오스트리아 0 3 1 4 8 벨기에 0 0 1 1 8 체코슬로바키아 0 0 1 1 8 독일 0 0 1 1 8 영국 0 0 1 1 8 스위스 0 0 1 1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1928년 동계 올림픽 (영어) 1928년 동계 올림픽 프로그램 동계 올림픽 이전 대회 1928년 동계 올림픽장크트모리츠 1928 다음 대회 샤모니 1924 레이크플래시드 1932 vdeh올림픽 경기 종목 경기장 메달 메달 집계 메달리스트 의식 상징 개최지 선정 IOC IOC 총회 NOC 하계 올림픽 1896 1900 1904 (1906) 1908 1912 1916 1920 1924 1928 1932 1936 1940 1944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2024 2028 2032 동계 올림픽 1924 1928 1932 1936 1940 1944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2 2026 2030 취소선 : 취소된 올림픽, () : 중간 올림픽 vdeh1928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노르딕복합 밀리터리패트롤¹ 봅슬레이 스켈레톤 스키저링¹ 스키점프 스피드스케이팅 아이스하키 크로스컨트리 피겨스케이팅 ¹ 시범 종목 vdeh1928년 동계 올림픽 선수단아메리카 멕시코 미국 아르헨티나 캐나다 아시아일본유럽 네덜란드 노르웨이 독일 라트비아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벨기에 스웨덴 스위스 에스토니아 영국 오스트리아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핀란드 프랑스 헝가리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32342401 LCCN: n95119729 GND: 10107265-X BNF: cb13511718w (데이터) NKC: xx009805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1928년_동계_올림픽&oldid=23829308" 분류: 1928년 동계 올림픽스위스에서 개최된 스포츠 대회1928년 2월1928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АҧсшәаAfrikaansAragonésالعربية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ietuviųLatviešuОлык марий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аха тылаSicilianu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9일 (토) 10: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1928년 동계 올림픽(영어: 1928 Winter Olympics, II Olympic Winter Games, 독일어: Olympische Winterspiele 1928, 프랑스어: Jeux olympiques d'hiver de 1928, 이탈리아어: II Giochi olimpici invernali)은 1928년 2월 11일부터 1928년 2월 19일까지 스위스 장크트모리츠에서 개최된 동계 올림픽이다. 전 세계 25개국이 참가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28년 동계 올림픽은 어떤 나라가 개최했을까? Assistant: 스위스
Human: 아래 파울루_프레이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파울루 프레이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파울루 프레이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파울루 프레이리 파울루 프레이리(Paulo Freire, 1921년 9월 21일 - 1997년 5월 2일)은 브라질의 교육학자이다. 목차 1 약력 2 주요활동 3 한국에 번역된 저서 4 각주 약력[편집] 1921년 브라질 페르남부쿠주 헤시피의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다. 1929년 대공황을 만나 빈곤 및 기아를 경험하게 되며, 빈민 문제와 대중교육에 대한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었다. 1943년 헤시피 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변호사가 되었으나, 사건 하나만을 맡은 후 은퇴하였다. 교육의 혜택을 받지 못한 농부들에게 자신의 처지를 생각하고 자신의 삶, 생활을 변화시키는 의식화의 수단으로 읽기/쓰기를 가르친다는 참신한 교육운동을 펼쳐 큰 성공을 거둔다. 주요활동[편집] 프레이리는 첫 교육 활동으로 1946년 페르남부르크 주 사회봉사기구인 SESI(Service Social da Industria)에서 시작하였고 1947년에는 도회지 공장노동자들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만들고 운영하였다. 여기서 처음으로 성인들의 비문해 문제 및 민중교육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1959년 프레이리는 헤시페 대학에서 「오늘날 브라질의 교육」의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논문 통해서 그가 개진해 나가려는 교육 사상의 윤곽을 그리고 있었다. 1962년에는 헤시페 지역의 민중문화 운동을 위해 설립된 '신문화확장사업부(New Cultureal Extension Service)'의 책임자로 임명되었고, 안지초스(Angicos) 지역에서 45일간의 문해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농촌지역 농장 일꾼이 글을 읽고 쓸 수 있도록 하였다. 1964년 프레이리는 브라질 교육부의 ‘국가 문해 교육프로그램(National Literacy Program)'의 수반 직위를 담당하게 되어 브라질 200만 명의 비문해 노동자 들을 대상으로 문화 써클을 결정하여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것이 확장되어 같은 해 국민문해교육프로그램에 따라서 프레이리의 문해교육 방법이 전 국가 차원에서 500만 명에 이르는 비문해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1] 이처럼 프레이리는 문해 교육 캠페인과 교육 운동을 펼치고 여러 정치·교육사업에 관여함으로써 국제적인 규모에서 교육학의 의미·역사 형성과 교육학의 관계에 대한 대변혁을 일으켰다. 이를 통해서 전 세계의 피억압 민중 스스로가 사회·정치적 자각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프레이리는 억압적 현실상황을 중심으로 한 교육적 메커니즘뿐만 아니라 개인이 사회, 문화, 제도적 맥락에서 자본에 봉사하는 합리적이고 명료한 의미를 지는 지배논리 관계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그것을 규명하려는 노력을 계속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비판적 사회 이론의 발전에 두드러지게 기여했다.[2] 한국에 번역된 저서[편집] 교육 포털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파울루 프레이리 페다고지 (Pedagogy of the Oppressed) 자유의 교육학 (Pedagogy of Freedom: Ethics, Democracy, and Civic Courage) 교육과 의식화 (Education For Critical Consciousness) 희망의 교육학 (Pedagogy Of Hope: Reliving Pedagogy Of The Oppressed) 망고나무 아래서 (Pedagogy of the Heart) 교육과 정치의식 (The Politics of Education: Culture, Power and Liberation) 프레이리의 교사론 (Teachers as cultural workers : Letters to those who dare teach) 각주[편집] ↑ 홍은광(2003). 「파울로 프레이리(Paulo Freire) 교육사상의 수용과정과 한국 민중교육운동에 대한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평생교육 전공 석사논문. p28~31. 인용 ↑ 모아시르가도치 지음, 백경숙·박내현 옮김 (2012). 「그의 삶과 사상-파울루프레이리 읽기」. 우리교육. p10~15. 인용 전거 통제 WorldCat VIAF: 90070192 LCCN: n79029767 ISNI: 0000 0001 2143 1625 GND: 118535242 SELIBR: 187428 SUDOC: 027685918 BNF: cb11903529p (데이터) NDL: 00440127 NKC: jn20000601625 BNE: XX88259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울루_프레이리&oldid=22897807" 분류: 1921년 태어남1997년 죽음브라질의 교육학자캄피나스 출신비판이론가20세기 경제학자헤시피 출신숨은 분류: 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മലയാളംNederlandsNorskਪੰਜਾਬੀ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hqipSvenskaதமிழ்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일 (목) 10:4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파울루 프레이리(Paulo Freire, 1921년 9월 21일 - 1997년 5월 2일)은 브라질의 교육학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파울루 프레이리는 1946년에 어디서 첫 교육 활동을 했을까? Assistant: 페르남부르크 주 사회봉사기구인 SESI Human: 아래 아오야마_역_(니가타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아오야마 역 (니가타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오야마 역 (니가타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아오야마 아오야마 역 개괄 관할 기관 동일본 여객철도 소재지 일본 니가타현 니가타 시 니시 구 좌표 북위 37° 53′ 55.54″ 동경 139° 0′ 5.97″ / 북위 37.8987611° 동경 139.0016583°  / 37.8987611; 139.0016583 개업일 1988년 3월 13일 승강장 구조 1면 1선 노선 ■ 에치고 선 가시와자키 기점 77.7km ← 고바리 (1.4 km) 세키야 →(1.5 km) 아오야마 역(일본어: 青山駅)은 일본 니가타현 니가타 시 니시 구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에치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목차 1 이용 현황 2 역 주변 3 역사 4 인접 역 이용 현황[편집] 승차 인원 추이 연도 1일 평균 1991 1,503 2000 963 2001 935 2002 959 2003 948 2004 967 2005 1,040 2006 1,008 2007 998 2008 997 2009 976 2010 1,007 2011 1,007 2012 958 2013 1,176 2014 1,122 2015 1,112 역 주변[편집] 역 주변이 모두 주택지이다. 역사[편집] 1987년 12월 14일 : 준공. 1988년 3월 13일 : 에치고 선의 역으로서 개업. 2005년 2월 17일 : 자동 개찰기 도입. 2006년 1월 21일 : 니가타 도시권에서 IC 카드 Suica 서비스 개시. 인접 역[편집] 동일본 여객철도 에치고 선 고바리가시와자키 방면 ■ 에치고 선 세키야니가타 방면 vdeh 에치고 선가시와자키 - 히가시카시와자키 - 니시나카도리 - 아라하마 - 가리와 - 니시야마 - 라이하이 - 이시지 - 오기노조 - 이즈모자키 - 묘호지 - 오지마야 - 기리하라 - 데라도마리 - 분스이 - 아오즈 - 미나미요시다 - 요시다 - 기타요시다 - 이와무로 - 마키 - 에치고소네 - 에치고아카쓰카 - 우치노니시가오카 - 우치노 - 니가타다이가쿠마에 - 데라오 - 고바리 - 아오야마 - 세키야 - 하쿠산 - 니가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오야마_역_(니가타현)&oldid=22089550" 분류: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니가타현의 철도역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8월 23일 (목) 23: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아오야마역(일본어: 青山駅)은 일본 니가타현 니가타시 니시구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에치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니가타현 아오야마 역을 이용한 사람이 가장 많았던 해는 언제인가? Assistant: 1991
Human: 아래 송끄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송끄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송끄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설날 축제, 로드남 담후아, 어른에게 존경을 표하는 의식 치앙마이의 송끄란 축제 송끄란(태국어: สงกรานต์, Songkran)은 매년 4월 13일에서 4월 15일까지 태국의 설날이다. 남부와 동남아시아의 많은 달력들이 이 날을 설날로 한다. 이 축제일은 원래 점성술에 따라 정해졌으며, 지금은 고정되어 있다. 또 송끄란의 전후 약 10일 간은 테이사칸 송끄란(송끄란 기간)으로 불리며 휴일은 아니지만 축제를 즐긴다. 원래는 순수하게 신년을 축하하는 행사이며 가족이 한 집에 겉아 모여 불상의 정화를 행하거나 어른들이 가족의 정화를 실시하는 기간이었지만, 후에 단순한 물의 정화로 발전했기 때문에, 현재는 설날이라는 개념보다는 축제라고 하는 색채가 강하다. 이러한 취지의 축제는 태국뿐만 아니라 미얀마나 라오스에도 존재한다. 목차 1 날짜 2 개요 3 관련 항목 4 외부 링크 날짜[편집] 로스엔젤레스 태국 사원의 송끄란 치앙마이의 송끄란 송끄란의 어원은 산스크리트어의 Sankrandhi에서 왔으며, 변화, 이동을 뜻하는 말이다. 이것은 천문학적으로 태양이 양자리에 들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원래 날짜가 매년 바뀌게 되어 있지만, 현재 날짜는 고정되어 있다. 전통적으로 송끄란은 설날의 의미가 강했지만, 1888년 이후에 이 달력이 폐지되어 4월 1일을 신년으로 정했기 때문에 설날의 의미가 퇴색되었다. 1940년에는 태양력을 도입하고, 불력을 수정하여 1월 1일을 설날로 삼았다. 한편 송끄란에 행해지고 있던 정화의 습관은 현재까지 존속하며, 또 하나의 설날이 되고 있다. 주말과 송끄란이 겹쳤을 경우는 다음 주에 대체 휴일이 오게 되어 있다. 불상의 정화 등 종교적인 의식도 행해지기는 하지만 불교 축제는 아니다. 개요[편집] 툭툭을 탄 사람들이 물을 맞고 있다 분필을 맞은 사람들, 보통 승려가 행한다 쏭크란 기간의 방콕 아이들 원래 설날은 아시아 국가에서는 귀향의 시기라는 의미가 강하다. 또 연휴가 되어 도시에 나와 있던 가족이 모두 돌아와 한 가족이 모두 여행을 하는 일도 있다. 이 때문에 국내의 교통이나 관광지의 숙박 시설은 이 기간이 되면 포화 상태가 된다. 상점이나 사무실도 문을 닫기 때문에, 평일 활기찬 곳도 한산하게 바뀐다. 종교적으로는 불상을 깨끗이 하는 의식을 하며, 불상을 물을 씻고 먼지를 제거하는 등의 행위를 한다. 이날이 되면 불탑도 깨끗이 청소를 한다. 가족의 어른은 손에 물을 부어주고 정화를 하며, 상대에게 경의를 나타내는 행동도 하며, 집도 대청소를 한다. 송끄란이 일년 중 가장 더운 시기에 행해지기 때문에 특히 젊은 층을 중심으로 단순한 물 을 뿌리는 축제로 발전하고 있다. 이 축제에 대해 알지 못하는 상대에게까지 물을 뿌리며 서로 즐긴다. 이 경우 특히 물을 끼얹는 곳은 손에만 한정하지 않고, 물을 끼얹는 행위 자체는 경의를 표한다라고 의미이다. 다만 승려에게는 물을 끼얹지 않는다. 물의 행위에는 물총 등도 사용된다. 집 앞에서는 물이 담은 물통을 두고, 또는 집 앞까지 호스를 연장하여 길을 걸어가는 사람에게 물을 뿌리거나 픽업 트럭에 물통을 싣고, 온 마을 사람들에게 물을 뿌리는 예도 있다. 방콕 등 전국에서 행해지고 있지만, 북부의 고도 치앙마이는 가장 화려한 것으로 알려진다. 송끄란 기간 중에는 사람들이 축제 기분에 싸여 음주 상태로 차나 오토바이 등을 운전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주행 중인 차나 오토바이에 물을 뿌리는 경우도 있어, 물을 맞고 사고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태국에서는 송끄란 기간이 일년 중 사고가 가장 많이 일어난다고 전해진다. 게다가 축제이기 때문에 법률로 보호되고 있어 이 기간 중 물로 인한 어떠한 피해를 당해도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이 문제는 정부도 큰 관심을 나타내고 있어 매년 송끄란 기간 중 음주 운전을 경계해 임시의 검문소의 설치를 실시하거나 일반의 운전자에게는 졸음운전을 피하기 위해 속도를 완화해 운전하는 것을 호소하고 있다. 관련 항목[편집] 라오스의 설날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송끄란 송끄란 축제의 역사 송끄란 포토 갤러리 송끄란 축제 비디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송끄란&oldid=24414775" 분류: 태국의 문화4월의 기념일숨은 분류: 태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贛語ગુજરાતી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 nynorskNorskਪੰਜਾਬੀ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吴语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2일 (수) 10:3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송끄란(태국어: เทศกาลสงกรานต์, 영어: Songkran)은 태국의 축제 중 하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태국에서 가장 화려하게 송끄란 축제를 치르는 지역은 어디입니까? Assistant: 치앙마이 Human: 아래 남베트남의_지도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남베트남의 지도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남베트남의 지도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남베트남의 지도자는 1949년부터 1975년까지 베트남 남부에 있었던 정권의 수장이다. 목차 1 베트남국 (1949년 - 1955년) 1.1 국가원수 1.2 총리 2 베트남 공화국 (남베트남, 1955년 - 1975년) 2.1 대통령 2.2 국가원수 2.3 총리 베트남국 (1949년 - 1955년)[편집] 국가원수[편집] 대수 이름 초상 임기 시작 임기 종료 정당 1 바오다이 (베트남어: Bảo Đại) 1949년 6월 13일 1955년 4월 30일 총리[편집] 대수 이름 초상 임기 시작 임기 종료 정당 (임시) 응우옌반쑤언(베트남어: Nguyễn Văn Xuân) 1948년 5월 27일 1949년 6월 14일 베트남국 임시 중앙정부 수반 1 응우옌판롱(베트남어: Nguyễn Phan Long) 1950년 1월 21일 1950년 4월 26일 2 쩐반흐우(베트남어: Trần Văn Hữu) 1950년 4월 27일 1952년 6월 6일 3 응우옌반떰(베트남어: Nguyễn Văn Tâm) 1952년 6월 6일 1953년 12월 17일 베트남국민당 4 응우옌푹브우록(베트남어: Nguyễn Phúc Bửu Lộc) 1954년 1월 11일 1954년 5월 16일 (대행) 판후이꾸앗(베트남어: Phan Huy Quát) 1954년 1월 12일 1954년 6월 16일 대월국민당 5 응오딘지엠 (베트남어: Ngô Ðình Diệm) 1954년 6월 16일 1955년 10월 26일 인위근로혁명당(人位勤勞革命黨) 베트남 공화국 (남베트남, 1955년 - 1975년)[편집] 대통령[편집] 대수 이름 초상 임기 시작 임기 종료 정당 1 응오딘지엠 (베트남어: Ngô Ðình Diệm) 1955년 10월 1963년 11월 인위근로혁명당(베트남어: Cần lao Nhân vị Cách mạng Đảng/ 人位勤勞革命黨) 2 응우옌반티에우(베트남어: Nguyễn Văn Thiêu) 1967년 1975년 민주당(베트남어: Đảng Dân chủ/ 民主黨) 3 쩐반흐엉(베트남어: Trần Văn Hương) 1975년 1975년 부흥당 4 즈엉반민(베트남어: Dương Văn Minh) 1975년 4월 28일 1975년 4월 30일 군인 국가원수[편집] 대수 이름 초상 임기 시작 임기 종료 정당 1 즈엉반민(베트남어: Dương Văn Minh) 1963년 11월 2일 1964년 1월 3일 혁명군인회동(베트남어: Hội đồng Quân nhân Cách mạng) 2 응우옌카인(베트남어: Nguyễn Khanh) 1964년 1964년 혁명군인회동(베트남어: Hội đồng Quân nhân Cách mạng) (임시) 임시영도위반 - 즈엉반민(베트남어: Dương Văn Minh) 1964년 2월 8일 1964년 3월 16일 임시영도위반(베트남어: Ủy ban Lãnh đạo lâm thời) 3 판칵스우(베트남어: Phan Khắc Sửu) 1964년 1965년 국가상회동(베트남어: Thượng Hội đồng Quốc gia) 4 응우옌반티에우(베트남어: Nguyễn Văn Thiêu) 1965년 1967년 국가영도위반(베트남어: Ủy ban Lãnh đạo Quốc gia) 총리[편집] 대수 이름 초상 임기 시작 임기 종료 정당 1 응우옌응옥터(베트남어: Nguyễn Ngọc Thơ) 1963년 1964년 무소속 2 응우옌카인(베트남어: Nguyên Khánh) 1964년 1964년 군인 응우옌쑤언오아인(베트남어: Nguyễn Xuân Oánh) 1964년 1964년 무소속 응우옌카인(베트남어: Nguyên Khánh) 1964년 1964년 군인 3 쩐반흐엉 (베트남어: Trân Văn Hương) 1964년 1965년 무소속 응우옌쑤언오아인 (베트남어: Nguyễn Xuân Oánh) 1965년 1965년 무소속 4 판후이꾸앗(베트남어: Phan Huy Quát) 1965년 1965년 대월국민당 5 응우옌까오끼 (베트남어: Nguyễn Cao Kỳ) 1965년 1967년 군인 6 응우옌반록 (베트남어: Nguyễn Văn Lộc) 1967년 1968년 군인 7 쩐반흐엉 (베트남어: Trân Văn Hương) 1968년 1969년 국가사회민주전선 8 쩐티엔키엠 (베트남어: Trần Thiện Khiêm) 1969년 1975년 국가사회민주전선 9 응우옌바껀(베트남어: Nguyễn Bá Cẩn) 1975년 1975년 민주당 10 부반머우 (베트남어: Vũ Văn Mẫu) 1975년 1975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남베트남의_지도자&oldid=23669851" 분류: 베트남의 정치인숨은 분류: 베트남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Italiano日本語PolskiPortuguêsไทย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9일 (토) 11:4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남베트남의 지도자는 1949년부터 1975년까지 베트남 공화국에 있었던 정권의 수장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즈엉반민은 남베트남 국가원수의 임기 시작일이 언제였을까? Assistant: 1963년 11월 2일
Human: 아래 PGP_(소프트웨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PGP (소프트웨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PGP (소프트웨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PGP는 'Pretty Good Privacy'의 약자로서, 컴퓨터 파일을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는 프로그램이다. 1991년 필립 짐머만이 개발하였으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이메일 보안의 표준으로 자리잡았다. 목차 1 전자서명 2 AES256 3 GnuPG 4 각주 5 같이 보기 전자서명[편집] PGP로 전자서명을 할 수도 있다. 원본 파일을 작성하고, 그 파일에 대해 sig 파일을 생성하여 상대방에게 원본 파일과 sig 파일을 함께 배포하며, 상대방은 PGP를 이용해 sig 파일을 검증한다. sig 파일이 생성된 후에 원본 파일이 변경되었으면, sig 파일 검증시 Bad signature라고 출력된다. 1991년 개발된 PGP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자서명은, 전 세계적으로 보편화 되어, 일반적으로 사용하지만, 대한민국 전자서명법상의 보호를 받는 전자서명으로 인정받고 있지는 않다. 공인인증서만이 대한민국 전자서명법에 의해 인정받고 있다. PGP 전자서명은 무료인 반면에, 공인인증서 전자서명은 2011년 현재 1년 4,400원을 지불해야 한다. AES256[편집] 위키리크스의 줄리언 어산지는 미국의 외교기밀문서를 압축하여 AES 256 비트 암호화를 하여 전 세계에 배포해, 자신이 형사처벌을 받으면 그 암호를 공개하겠다고 협박했다. PGP 프로그램을 통해 AES 256 비트 암호화와 복호화가 가능하다. 고급 암호 표준(AES)는 미국 정부가 제정한 최신 암호화 기술이다. 미국 정부가 제정한 기존의 암호화 표준은 56비트 DES 암호 코드였다. 그러나 DES가 슈퍼컴퓨터를 사용하면 수시간내에 해독될 수 있게 되자, 256비트 키를 사용하는 차세대 표준 AES를 제정했다. 어산지가 배포한 파일 중 하나는 1.4기가바이트(GB) 용량인 insurance.aes256 인데, 영국 석유회사 BP와 관타나모 수용소 관련 기록 등을 담고 있는 것으로서, 슈퍼컴퓨터로도 해독에 수십년 이상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1][2][3] GnuPG[편집] PGP는 GNU 프로젝트의 하나인 그누 프라이버시 가드로도 개발되어,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각주[편집]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15&aid=0002355621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5&aid=0002111116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81&aid=0002141892 같이 보기[편집] 지엔유 프라이버시 가드 트루크립트 프리넷 vdeh암호학 대칭 키 암호 블록 암호 스트림 암호 공개 키 암호 암호화 해시 함수 메시지 인증 코드 암호 해독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PGP_(소프트웨어)&oldid=23436666" 분류: 암호학1991년 소프트웨어인터넷 프라이버시 소프트웨어프라이버시 소프트웨어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বাংলা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umbaartLingálaLatvieš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cilianu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8일 (화) 16:2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PGP는 'Pretty Good Privacy'의 약자로서, 컴퓨터 파일을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는 프로그램이다. 1991년 필립 짐머만이 개발하였으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이메일 보안의 표준으로 자리잡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미국 정부에서 제정한 최신 암호화 기술의 이름은 무엇일까? Assistant: 고급 암호 표준(AES) Human: 아래 4대강_정비_사업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4대강 정비 사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4대강 정비 사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4대강 사업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4대강 정비 사업 지역 이명박 정부가 한국형 녹색 뉴딜을 내세워 '4대강 살리기 사업'이라고 이름 붙인 4대강 사업[1] 은 2008년 12월 29일 낙동강지구 착공식을 시작으로 2012년 4월 22일[2] 까지 22조원의 예산을 투입해 추진한 대하천 정비 사업이다. 이 사업은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등 4대강을 준설하고 친환경 보(洑)를 설치해 하천의 저수량을 대폭 늘려서 하천 생태계를 복원한다는 것을 주된 사업 명분으로 하고, 그 밖에 노후 제방 보강, 중소 규모 댐 및 홍수 조절지 건설, 하천 주변 자전거길 조성 등을 부수적 사업 내용으로 하였으나,[3] 실제로는 한반도 대운하 재추진을 염두에 두고 진행된 사업이었음이 감사원의 조사 결과 밝혀졌다.[4][5] 2015년 12월 대법원은 국민 소송단이 낸 소송 4건의 상고심에서 4대강 사업에 대한 적법판결을 내렸다.[6] 목차 1 사업 대상 지역 2 4대강살리기추진본부 2.1 설립 근거 2.2 연혁 2.3 주요 업무 3 사업 추진 당시 여론 4 사업 찬성 측의 주장과 활동 5 비판 의견 5.1 비판 5.2 반대 운동 5.3 해외의 비판 5.4 비판에 대한 반론 5.5 찬성측 의견과 반대측 의견의 정리 6 4대강 정비 사업 이후 상황 7 사진 8 함께 보기 9 미디어 10 각주 사업 대상 지역[편집] 한강 : 이포보, 여주보, 강천보 낙동강 : 함안창녕보, 창녕합천보, 달성보, 강정고령보, 칠곡보, 구미보, 낙단보, 상주보 금강 : 백제보, 공주보, 세종보 영산강 : 죽산보, 승촌보 총16개 보[7] 4대강살리기추진본부[편집] 4대강살리기추진본부는 4대강의 홍수ㆍ가뭄 방지, 하천생태계 복원ㆍ활용과 지역균형발전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원활한 시행을 위하여 설립된 대한민국 국토해양부 소속의 한시조직으로 4대강살리기추진본부장은 공무원법상 직급을 부여받지 않는 차관급 전문계약직공무원으로 보한다.[8][9]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88(중앙동 정부과천청사 1동)에 위치하고 있다. 2012년 12월 31일자로 폐지되었다.[10] 설립 근거[편집] 4대강 살리기 추진본부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규정 연혁[편집] 2009년 02월 4대강살리기기획단(기획단장 - 2급 상당) 신설 2009년 04월 4대강살리기추진본부(추진본부장 - 차관급)로 확대 개편 2012년 12월 31일 4대강살리기추진본부 폐지 주요 업무[편집] 사업의 기본계획 및 그 실행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 사업의 추진에 필요한 재원 마련 및 배분에 관한 사항 사업과 관련된 민간투자사업의 검토 및 진행에 관한 사항 4대강별 사업의 설계, 발주, 시공 등에 관한 지침의 마련 및 시행 4대강별 사업의 공정관리에 관한 사항 4대강별 사업의 안전관리 대책 마련 및 그 시행에 관한 사항 사업의 시행과 관련된 제도의 개선 및 연구 발전 4대강별 사업의 시행에 따른 관계기관의 인ㆍ허가 등과 관련한 협의, 조정 및 관리 사업의 홍보 및 관계 기관ㆍ단체와의 협력에 관한 사항 사업의 정보화에 관한 사항 사업과 관련된 학술 및 기술 지원에 관한 사항 다른 국가사업 등과의 협의 및 조정에 관한 사항 그 밖의 사업의 추진에 필요한 사항 사업 추진 당시 여론[편집] 2010년 3월 26일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따르면 4대강사업에 대한 찬반 여론을 조사한 결과, 반대가 49.9%로 찬성 36.7%보다 13.2%p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 여론으로는 대구경북 지역만 찬성(46.6%)이 반대(41.3%)에 비해 오차범위 내에서 앞서는 것으로 조사됐고 그 외 다른 지역에서는 반대 여론이 찬성 여론보다 높게 조사됐다.(인용기사에서 지역별 구체적 수치를 전부 제시하진 않음) 이 조사는 지난 24일 전국 19세 이상 남녀 700명을 대상으로 전화로 조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7%p다.[11] 반면, 4대강살리기추진본부가 발행하는 월간 ‘4강나래’ 7월호(2010년 7월 9일 발행)에 실린 인터뷰에서 홍형표 기획국장은 "정부 차원에서 별도의 여론조사를 실시하지 않았으나, 4대강사업이 시행되는 지역의 지자체와 지역 주민 대부분은 사업을 환영하고 있다. 지난 연말에 대구 경북 지역 언론 중 <매일신문>이 102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엔 찬성 51.5%, 반대 36.4%로 나타났다. ‘매우 반대’는 11.4%였을 뿐이다."라고 주장했다.(찬성 51.5% 반대 47.8%) (인터뷰 본문에서 조사대상, 조사방법, 오차범위 등은 밝히지 않음)[12] 경기도 여주군 남한강 이포보에서는 환경단체 활동가 3명이 다리 기둥을 기습 점거하면서 사업 찬성 주민들이 '맞불집회'를 열고 이를 반대하는 환경단체와 몸싸움까지 불사하기도 했다. 찬성 주민들은 "환경단체와 종교단체가 들어와 지역발전을 위한 사업을 방해하고 있다"며 "모두 떠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신면 이장협의회 신남교 회장은 "여주주민 대다수가 찬성하는 일"이라 주장하며 "환경단체 등 외지인이 와서 정치적인 논리를 앞세우며 무조건 반대하는 것을 더는 두고 볼 수 없어 주민들이 나섰다"고 밝혔다.[13] 이와는 다르게 일부 다른 지역에서는 주민들의 반대로 4대강 사업의 일환인 저수지 둑높이기 사업이 취소되기도 하였다.[14] 사업 찬성 측의 주장과 활동[편집] 새누리당은 “국가 백년대계를 위한 대업이 시작됐다”며 “4대강 사업은 홍수예방, 수질개선, 일자리 창출 등 1석7조의 친환경 경제사업으로 사업이 마무리되면 활기찬 대한민국의 상징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당은 4대강 사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돼 국민이 환호하면 2012년 대선에서 불리해질까 두려워하고 있다”며 “민주당은 이런 정략적 판단으로 백년대계 사업의 발목을 잡아선 안된다”고 비판했다.[15] 4대강 사업에 진행되는 지역의 주민들이 찬성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충청남도 연기지역[16], 경상남도 창녕군[17] 등의 주민들은 기자회견, 결의대회 등을 열었다. 한국기독교총연합회는 4대강 사업을 적극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광선 대표회장은 “이 사업이 고질적인 물 문제 해결과 지역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며 “하지만 정부는 우려하는 국민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적극적인 소통과 친환경적인 공사 진행을 통해 국민적 신뢰를 확보한 국책사업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정치계를 비롯한 시민단체는 이 사업이 사회갈등을 조장하고 국민을 분열시키는 정쟁 도구로 사용되는 것을 즉각 중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18] 유엔환경계획은 "대한민국은 기후변화로 인한 빈번한 가뭄·홍수를 겪고 있는 여건상 추가적인 물관리 정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진단하면서 "4대강 사업을 통해서 생태복원 시도를 한다면 칭찬할 만하며(commendable) 물문제 해결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도 있다"고 봤으나, 사업의 실행에 있어서 "4대강 유역이 환경적으로 민감한 지역이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인 복원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조언을 덧붙였다.[19] 2011년 10월 27일 방한한 수라퐁 토비착차이쿨 태국 외무부 장관이 4대강 사업 현장을 방문해 이명박 대통령을 단독 면담하고, 홍수 예방을 위한 4대강 정비 사업 기술을 공유하고 싶다는 내용의 잉락 친나왓 총리의 친서를 전달했다.[20][21] 그러나, 한국수자원공사는 태국의 관련 사업에 참여했다가 쿠데타 이후 사업이 중단되어 104억의 순손실을 떠안았다.[22] 비판 의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4대강 정비 사업에 대한 비판입니다. 비판[편집] 4대강 정비 사업의 환경 파괴를 경고하는 시민단체의 사진전시회 졸속 추진 : 정부가 졸속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점이다. 4대강은 대운하와 더불어 천문학적 예산이 쓰이지만 몇 개월만에 결정하고 전문가들이 반대를 하는 와중에도 법 규정(친수법[23] 등)까지 바꾸어 가며 급히 시행한다는 점이다. 4대강도 임기 내 업적을 내려는 과욕이라는 비판이 많다. 6.2 지방선거에서도 한나라당이 패배한 가장 큰 원인이 4대강 사업의 역풍으로 인한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되는 가운데 조선일보의 김대중 고문도 칼럼을 통해 "민심이 소통 부재의 MB정치와 토목사업투성이인 MB정책에 NO를 선언했는데 MB는 고장 난 레코드처럼 '경제'만을 되뇌고 있는 형국"이라고 지적했다.[24] 정부의 4대강 사진 조작 : 국토부 산하 '4대강 살리기추진본부 공사3팀'은 '팔당유기농 경작지 보상을 위한 수용재결신청' 문서에서 "유기농도 일반경작지와 마찬가지로 하천을 오염시키고 있다"며 그 근거로 '하천부지 경작지의 퇴비 보관 장면'이라는 제목의 사진을 실었다. 하지만 민주당 조정식 의원은 "수소문 끝에 '팔당공대위'가 확인한 결과 국토해양부의 보도자료에 게시된 지역은 부산과 김해시를 사이에 두고 있는 낙동강변으로 밝혀졌다"고 주장했다. 정부가 2009년 3월 제작한 '4대강 살리기 홍보 영상'에서 나온 물고기 떼죽음 영상도 미국의 사건임이 드러난적이 있으며, 같은해 10월 방송광고에서 "4대강 유역에 자연습지가 전무하다"며 갈라진 땅을 소개한 사진도 4대강 사업과 관련없는 경남 고성군 삼덕저수지로 드러나 비판을 받았다.[25] 한승수 국무총리는 "물의를 일으켜 죄송하다."고 사과했으나, 사건은 더욱 커져만 갔다. 홍보비: 민주당이 4대강 관련 정부부처의 2009년도 4대강 사업 홍보예산 사용내역을 분석한 결과 전용 등의 방법을 통해 국토해양부, 농림식품부, 환경부가 홍수 예방으로 책정된 예산 79억원을 4대강 홍보 목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민주당 이미경 의원은 "4대강 홍보와 무관한 용도의 예산을 홍보비로 사용한 것은 예산의 목적범위 안에서 재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국가재정법 제46조(예산의 전용)를 정면으로 어긴 것"이라고 비판했다.[26] 또한 4대강 사업의 홍보비는 2009년부터 2010년 8월까지 50억 4800만 원으로 참여정부의 중점 사업이었던 세종시보다 4배나 많아 과도한 홍보에 대한 지적이 제기되기도 했다. 민주당 김부겸 의원은 "4대강 사업에 대한 국민적 동의를 얻지 못하고 있을수록 홍보에 더욱 혈안이 돼 광고비 집행이 늘어날 것으로 우려된다"고 비판했다.[27] 선상 카지노: 4대강 정비 사업 빚 갚기 위한 카지노 서비스 도입에 대한 비판이 있었다.[28] 4대강 특별법: 이정희 민주노동당 비례대표는 강을 복원할가 위한 보를 없애는 '4대강 특별법'을 제정하는 의견을 발표하였다.[29] 건설회사의 혜택: 4대강 사업을 많이 비판하는 강기갑 의원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가장 많은 수혜를 받은 회사가 삼성물산이라고 발표하여[30] 대기업 건설회사의 지나친 혜택을 우려하였다. 일자리 문제: 4대강 사업에 창출된 일자리가 대부는 아르바이트 계열의 직종이다는 비판이 있다.[31] 이명박 정부는 홍보 당시, 34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된다고 하였지만, 이는 모두 거짓이며, 그마저도 대부분 알바라는 것이다. 아르바이트는 비정규직으로 사실상 일자리로 볼 수가 없다는 점이다. 군 선박 사고: 환경운동연합은 여주군 남한강 군용 선박 전복 사고의 원인을 4대강 사업의 하나인 이포댐 공사의 불안정한 물흐름을 지적하였다.[32] 손학규 민주당 대표는 이를 "급기야 4대강 사업으로 국군장병 4명의 목숨을 앗아간 참사가 일어났다"고 주장하였다.[33] 1조원 은닉 의혹: 민주당 김진애 의원은 "4대강 사업 170개 공구별 사업 공정 중 '기타 항목' 사업비는 당초 1조 337억원이었으나, 총사업비 변경절차를 통해 2조 244억원으로 무려 9천907억원이나 증가했다"며 "이는 정부가 총사업비 조정을 통해 공사비 감액분을 보상비 등으로 전용한 것 외에 기타 항목 사업비에 은닉시켰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34] 시행령 몰래 개정: 이명박 정부는 수자원공사법 시행령을 개정하였다.[35] 임금 문제: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정부가 지난해 4대강 사업을 수행하는 원청 대기업에 선급금 1조3천억원을 지급했지만, 노동자 임금으로 지급된 돈은 한 푼도 없었다"라고 밝혔다.[36] 근로자 사망: 2011년 3월 11일까지 근로자 12명이 사망하였다.[37] 반대 운동[편집] 4대강 사업 반대 운동은 주로 환경단체와, 진보성향의 시민단체 그리고 불교와, 천주교를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38] 2010년 6월 1일 문수 스님은 4대강을 반대하며 몸에 불을 질러 소신공양을 하였으며,[39] 불교 최대 종파인 조계종도 4대강 사업 반대입장을 밝혔다.[40] 조계종은 또한 2010년 12월 8일, 2011년 새해 예산안이 국회의장의 질서유지권이 발동된 상황에서 처리되어 4대강 예산이 포함되어 사업이 강행된다는 것에 대해 반발하며 정부·여당에 대해 전국 사찰의 출입 금지령을 내렸다. 조계종은 "(정부 여당 인사를)사적으로라도 만나거나 통화하면 사직서를 제출하라"며 투쟁 의지를 밝혔다.[41] 또한 천주교는 정의구현사제단이 반대에 적극적이며,[42] 천주교연대도 4대강을 반대하는 시국 미사를 열기도 하였다.[43] 10월 27일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가 4대강 사업을 "난개발"이라고 지적하였다.[44] 일부 개신교와 원불교에서도 '종교환경회의'를 구성하여 4대강에 대한 반대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45] 2010년 7월 8일에는 조계종 승려 13,000여명 가운데 1/3 가량의 스님 4,000여명이 4대강 사업 반대 서명에 동참했다. 이는 조계종 사상 유례가 없는 일로 기록된다. 성웅 직지사 주지는 "편협한 이기심, 개발이익에 대한 욕망으로 우리의 문화유산과 정신을 묻어가면서, 어떻게 국민통합을 이뤄질수 있겠는가"라며 4대강 사업의 중단을 촉구했다.[46] 결국 2010년 12월 16일 불교, 개신교, 가톨릭, 원불교 등이 연합하여 '4대강 개발저지 4대종단 연대회의'를 구성하여 반대운동을 벌이기에 이르렀다.[47] 환경단체들은 처음 논의가 시작될때부터 꾸준히 반대 입장을 밝혀왔다.[48] 이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2009년 12월, 한나라당은 3조 5천억원에 달하는 예산을 국회 상임위에서 기습적으로 통과시키기도 했다.[49] 2010년 5월, 미시경제학의 저자로도 유명한 이준구 서울대학교 경제학 교수는 4대강 사업의 대표적인 반대론자로 자신의 홈페이지에 110여쪽에 달하는 장문의 글에서 "한 사람의 인간으로서, 시민으로서, 지식인으로서, 그리고 경제학자로서의 모든 양심을 걸고 4대강사업에 반대하고 있다"며 4대강 사업의 비합리성을 주장했다.[50] 2010년 10월 13일 민주당과 다른 야당들은 4대강 사업을 저지하기 위해 시민단체에 4대강 반대 국민 투표를 실시하는 계획을 추진했다.[51] 이처럼 민주당을 중심으로 야당에서 4대강 사업 반대하는 가운데 2011년 예산안 처리가 박희태 국회의장에 의해 질서유지권이 발동된 가운데 강행처리되어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 결국 정부가 제시한 4대강 예산이 대부분 골격이 유지된채 5조 4600억원이 처리되었다.[52]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는 4대강 사업을 한반도 대운하 사업으로 규정하여 국민과 함께 본격적으로 반대운동을 펼친다고 말하였다.[53] 이어 민주당은 다른 야당과 함께 서울광장에서 4대강 대운하 반대 범국민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54] 이 과정에서 '4대강 사업은 대운하 계획'이라고 양심선언한 김이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양심선언을 잘못 생각한 것이라고 번복하라고 종용받았다며 이를 따르지 않아 보복을 받았다고 폭로해 파문이 일었다. 김이태 연구원은 양심선언을 이유로 3개월 정직이라는 중징계를 받기도 했다.[55] 해외의 비판[편집] 2010년 7월 11일 YWCA 강당에서 열린 4대강 사업 한·일 조사단 토론회장에서 '호리 료이치' 람사르 네트워크 일본대표는 "람사르 총회를 개최한 나라가 맞는가. 충격적이다. 4대강 사업은 목적이 불분명하고 람사르협약과 생물다양성협약에 위배되는 명백한 환경파괴 사업이다"라며 사업을 막아야 한다고 비판했다. 료이치는 "2008년 람사르협약 당사국 총회를 개최, 한국이 전 세계에 습지를 보호하겠다고 약속해 놓고도, 이렇게 습지를 파괴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마모토 히로다케 교토대 명예교수도 “4대강 공사장을 둘러본 결과 ‘운하건설 사업’이라는 인상을 지울 수 없었다"며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56] 일본람사르네트워크와 한국습지NGO네트워크는 "4대강 사업 중단"과 함께 "치수·이수를 포함한 모든 사업들의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57] 맷 콘돌프 (Matt Kondolf)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교수는 4대강 사업을 비판하였다.[58] 2010년 11월 서울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담에서 정부가 일방적으로 4대강 홍보를 하였는데 이에 대해 국내 일부 기자들이 냉담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59] 2017년 11월에 영국의 신문 가디언은 이 사업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류경호텔 등과 함께 세계 10대 '돈만 먹는 쓰레기' 건축물·시설로 꼽았다.[60] 비판에 대한 반론[편집] 국토해양부는 이 사업이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한다는 보도자료를 내었다.[61] 윤영선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이 사업이 38조5000억원의 생산유발과 35만7000여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며, 4대강 살리기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기와 장기로 구분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였다.[62] 세계물위원회(World Water Council) 집행이사들이 기후변화 대응과 물 관리 기술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강정보령보를 방문, 4대강살리기사업의 물기술 및 보별 관리에 대한 시찰을 하였다.[63] 찬성측 의견과 반대측 의견의 정리[편집] 〈찬성 측〉 4대강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ㄱ. 물부족 해결 ㄱ - 1. 맑고 깨끗한 풍부한 수량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한 국가적 과제이다. ㄱ - 2. 물길을 조성하고, 둑을 쌓아 물 그릇을 만들어 많은 물을 확보할 수 있다. ㄴ. 홍수피해 해결 ㄴ - 1. 중소규모 다목적댐 건설하고 기존 농업용저수지의 둑을 높임으로써 홍수를 예방할 수 있다. ㄷ. 수질의 향상 ㄷ - 1. 강바닥을 파내서 오염물질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하천 오염원 관리와 하천 바닥의 침전물을 제거해 종합적인 수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ㄹ. 다양한 생태하천 구역을 조성 ㄹ - 1. 습지공원, 생태공원, 하천 저류지등 다양한 생태하천 구역을 조성하여 생물종의 다양성을 지켜줄 것이다. ㅁ. 국민 여가문화 수준 및 삶의 질 향상 ㅁ - 1. 호수 주변정비, 수변접근성 개선 등 주민들의 문화‧휴식공간 제공, 수상레저 활성화, 자전거길 설치로 여가활동 기회 제공 ㅂ. 녹색뉴딜 사업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견인 ㅂ - 1. 전국토의 70%를 차지하는 4대강 유역에 혜택이 골고루 돌아감으로써 지역발전 효과, 강을 중심으로 문화‧관광자원개발, 지역경제 활성화 등 국토를 재창조 ㅅ. 첨단IT기술을 동원한 체계적인 관리 ㅅ - 1. 광케이블을 매설하여 하천종합 정보센터를 중심으로 하천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스마트 리버 시스템을 구축하게 되어 하천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ㅇ. 물 관리 글로벌리더로서 국가위상 제고 ㅇ - 1. 4대강 살리기로 축적되는 경험과 기술을 세계에 전파하고 우리 기업의 해외진출 지원, 물관련 국제기구 유치로 물관리 글로벌리더로 자리매김 ㅈ. 일자리 창출과 생산유발효과 ㅈ - 1.한국은행의 산업연관 분석에 따르면 34만개의 일자리 창출, 40조원의 생산유발효과가 기대됨 ㅊ. 녹색교통 수단인 자전거 이용 활성화 ㅊ - 1. 자전거 이용 문화 확산 기반을 마련하기 위하여 4대강 주변을 따라 1728km의 자전거 도로를 건설하여 선진국 수준의 자전거 도로 네트워크를 구축할 것이다. 〈반대 측〉 4대강 사업을 중단해야 한다. a. 4대강 보다 지방 군소하천 정비가 더 시급 a - 1. 환경부가 2010년도 하천 수질개선 사업비의 75%를 4대강에 쏟아 붓느라 4대강을 제외한 다른 하천들에 대한 수질개선 투자는 대폭 삭감된 것으로 드러났다. a - 2. 과거 수십 년 동안의 하천정비가 본류 구간부터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제는 본류에 유입되는 지류의 하천정비에 투자를 해야 할 시기다 b. 수질 오염 b - 1. 강바닥의 모래와 자갈은 상당한 수질 정화 능력을 가지고 있음 b - 2. 하천에 둑을 쌓아올림으로써 물이 흐르는 속도가 느려지고 수질이 악화된다. c. 홍수예방은 거짓말 c - 1. 최근 대부분의 홍수 피해는 4대강 사업의 공사 대상이 아닌 상류나 지류에서 발생했다. d. 인공적인 친수공간 조성은 많은 예산을 낭비한다. d - 1. 호수주변 공원을 조성하고 관리하는 것과 1297km라는 엄청난 규모의 자전거 길을 만드는 것은 이러한 시설을 사용할 사람들의 수에비해 너무나도 많은 돈이 든다. 4대강 정비 사업 이후 상황[편집] 2015년 2015년 9월 3일 KBS2 다큐멘터리 <흐르지 않는 강, 낙동강 어부의 증언> - 현상황: 물고기 집단 폐사, 4대강 호수화 진행 - 주장 1: 4대강의 상황이 앞으로 더욱 악화될 것이다. (4대강 인근 어민, 주기재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 서동일 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 등) - 주장 2: 자원이 회복되는 데에는 시간이 소요된다. 최소 2017년까지는 기다려봐야 한다. (부산지방국토관리청 하천계획과장 박성출, 환경부 물환경대책과장 이영기 등) 2016년 2016년 8월 15일 New1 이철우 기자 <폭염에 4대강 '녹조'로 신음…한강 상수원까지 위협> 2016년 8월 17일 폴리뉴스 정찬 기자 <이재오 “녹조는 옛날부터 있었다” 4대강사업과 무관 주장> -현상황: 2016년 기록적인 폭염으로 전국에 있는 강에서 녹조 현상 발생. -주장1: 4대강에서 녹조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4대강 정비 사업이 완전히 실패한 정책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관련자들을 엄중 처벌해야 한다. -주장2: 녹조는 예전부터 있었으며 2016년 들어 녹조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은 박근혜 정부의 후속 정비가 부족한 탓이다. 사진[편집] 금호강 지류 정비공사를 위해 중장비들이 대기하고 있는 모습. 금호강 지류 정비공사 차량의 출입을 위해 임시로 물막이를 한 모습. 금호강 지류 정비공사 차량의 출입을 위해 임시로 물막이를 한 모습. 금호강 지류 정비공사가 일부 완료된 모습. 함께 보기[편집] 한반도 대운하 녹색 뉴딜 이자르 강 4대강 정비 사업에 대한 비판 2014-15 한국 가뭄 미디어[편집] KBS 《추적 60분》4대강 사업권 회수 논란 쟁점은? 2010년 12월 22일 MBC 《PD수첩》4대강 사업 수심 6m의 비밀 2010년 8월 24일 각주[편집] ↑ 4대강 사업 자료 깨알같이 제출했다' 경향닷컴, 2009년 11월 17일 ↑ 4대강 자전거길 22일 개통 서울신문, 2012년 4월 20일 ↑ 이홍표 (2008년 12월 23일). “정부, 지방 살리기에 '100조' 푼다”. 한경비지니스.  ↑ "감사원이 4대강 사업을 대운하 전초 사업으로 보는 까닭은 "水深 2~4m면 충분한데 6m까지 준설" 조선일보, 2013년 7월 11일 ↑ 감사원 "MB, 4대강 수심 6m 되게 파라 지시" 경향신문, 2013년 7월 10일 ↑ 4대강 사업은 적법판결, '1만'시민 소 제기한지 6년만.. 대법원 "논란종식" MBN, 2015.12.11. ↑ 4대강 16개 다기능보 명칭 확정[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뉴스핌 2011년 8월 9일 ↑ 국토부, 4대강살리기 추진본부로 격상[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이데일리》2009년 4월 15일 윤진섭 기자 ↑ 4대강사업 조직 ‘몸집 불리기’《한겨레》2009년 4월 8일 허종식 기자 ↑ 4대강살리기추진본부 31일 해체...환경단체 "자료 하나라도 폐기하면 안돼"《뉴스1》2012년 12월 24일 이은지 기자 ↑ '4대강 반대여론, 요지부동', 뷰스앤뉴스 ↑ “4대강사업 중단되면 그 피해는 지역주민들이 입습니다”[인터뷰] 홍형표 4대강살리기추진본부 기획국장, 공감코리아 ↑ [1] ↑ 고형광 기자 (2010년 10월 4일). “4대강 '저수지 둑높이기' 취소, 전국으로 확산되나”. 아시아경제. 2010년 10월 5일에 확인함.  ↑ “한, `野 4대강 공세'에 반격”. 연합뉴스. 2009년 11월 11일. 2013년 10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4대강 찬성' 연기군민 모임 충남도 규탄 집회”. 연합뉴스. 2010년 11월 8일.  ↑ “창녕 주민 함안보서 4대강 살리기 찬성집회”. 뉴시스. 2010년 8월 3일.  ↑ “한기총, 4대강 살리기 사업에 대한 입장 발표”. 국민일보. 2010년 5월 25일.  ↑ 유엔환경계획 보고서 P.11 [source: http://www.unep.org/PDF/PressReleases/201004_unep_national_strategy.pdf] ↑ “‘水難’ 태국 외교장관 ‘4대강’ 온 이유는…”. 문화일보. 2011년 10월 27일. 2011년 11월 3일에 확인함.  ↑ “ไทยสนใจโครงการบูรณะแม่น้ำของเกาหลี” (태국어). MCOT. 2011년 10월 28일. 2011년 11월 3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태국판 4대강 사업’?···100억원 날린 수자원공사 경향신문, 2016.9.30. ↑ 4대강 죽이는 ‘친수법’…난개발 합법화·사업비 분식회계 뒷받침《경향신문》2010년 12월 10일 ↑ 임기 2년반(半)짜리 '여소야대' 대통령 조선일보 2010년 6월 5일 ↑ 김동현 기자 (2010년 5월 6일). “정부, 또 '4대강 사진 조작' 파문”. 뷰스앤뉴스. 2010년 5월 6일에 확인함.  ↑ “홍수예방 예산 등 79억, ‘4대강 홍보비’ 전용” 미디어오늘 2010년 7월 23일 ↑ 4대강 광고비 ‘세종시 4배’ 펑펑 미디어오늘 2010년 10월 6일 ↑ 조현아 박세준 기자 (2010년 9월 16일). “[종합]"카지노 띄워 4대강 빚 갚기?…정부, 4대강 '선상카지노' 검토"”. 뉴시스. 2016년 1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9월 20일에 확인함.  ↑ 지연진 기자 (2010년 11월 3일). “이정희, '4대강 특별법 제정' 제안”. 아시아경제. 2010년 11월 12일에 확인함.  ↑ 4대강사업 최대 수혜는 `삼성건설` ↑ 김경호 기자 (2010년 11월 17일). “새 일자리 34만개는 ‘뻥’…그나마 대부분 ‘알바’”. 한겨레. 2010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김주명 기자 (2010년 11월 18일). “"군용선박 전복사고는 4대강 사업 때문" 논란”. 노컷뉴스. 2010년 11월 24일에 확인함.  ↑ 이동현 기자 (2010년 11월 21일). “孫 "4대강 탓 장병 4명 사망"”. 한국일보. 2010년 11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4대강예산 1조원, 기타 사업비 형태로 은닉 뷰스앤뉴스 2010년 11월 29일 ↑ 정영철 기자 (2010년 12월 14일). “[단독] 정부, '4대강 주역' 水公 특혜 시행령 몰래 개정”. 노컷뉴스. 2010년 12월 17일에 확인함.  ↑ 한미희 기자 (2011년 3월 8일). “"4대강사업 선금 1조3천억원 임금은 0원"”. 연합뉴스. 2011년 3월 30일에 확인함.  ↑ 최슬기 기자 (2011년 3월 11일). “4대강 공사 노동자 또… 무리한 ‘속도전’에 12명째 안타까운 희생”. 한겨레. 2011년 3월 30일에 확인함.  ↑ 4대강 사업 ‘국민저항 운동’ 선언 경향신문 2010년 6월 16일 ↑ 문수 스님 "4대강 중단" 입적‥불교계 애도 mbc 2010년 6월 1일 ↑ 조계종 "4대강 사업 중단하라" mbc 2010년 3월 25일 ↑ 조계종 “MB정부·여당, 전국 사찰출입 금지” 경향신문 2010년 12월 9일 ↑ 천주교 사제단 '4대강 반대' 노숙 단식 mbc 2010년 5월 18일 ↑ 천주교연대, 명동성당서 '4대강 저지' 시국미사 mbc 2010년 5월 10일 ↑ “천주교 주교회의, "4대강은 난개발로 반드시 저지"”. 서프라이즈.  ↑ 4개 종단 환경단체, "4대강 사업 반대" mbc 2010년 3월 15일 ↑ 조계종 승려 4800여명, '4대강 중단' 촉구 mbc 2010년 7월 9일 ↑ 4대종단 연대회의 ‘4대강 불복종운동’ 한겨레 2010년 12월 16일 ↑ 4대강 정비‥환경단체, 야당 반발 mbc 2008년 12월 15일 ↑ 4대강 예산, 상임위 기습 통과‥野 반발 mbc 2009년 12월 18일 ↑ "내 양심 몽땅 걸고 4대강 사업 반대한다" 오마이뉴스 2010년 5월 31일 ↑ 송수경 기자 (2010년 10월 13일). “민주, `4대강 반대 국민투표' 추진”. 연합뉴스. 2010년 10월 20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한나라, 2011년 예산안 강행 처리… UAE 파병·4대강법안 등도 통과시켜 쿠키뉴스 2010년 12월 9일 ↑ 김달중 기자 (2010년 10월 27일). “박지원 "4대강 사업저지 국민운동 전개"”. 아시아경제. 2010년 11월 3일에 확인함.  ↑ 송수경 기자 (2010년 11월 12일). “민주, 4대강사업 저지 행동 돌입”. 연합뉴스. 2010년 11월 18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4대강 양심선언은 잘못이라고 해라…아니면 사직" 경향신문 2010년 10월 14일 ↑ “일본 전문가들 “4대강 충격””. 경향신문. 2010년 7월 11일.  ↑ “한일 습지 전문가 "4대강사업은 람사르협약 위배"”. 오마이뉴스. 2010년 7월 11일.  ↑ 유정인 기자 (2010년 9월 28일). “4대강 사업 미·유럽선 폐기된 방식… 한국정부에 물어볼 것 많다”. 경향신문. 2010년 10월 2일에 확인함.  ↑ “세계 정상들 회의에 '4대강 홍보'가 웬말?”. 노컷뉴스. 2010년 11월 11일.  ↑ 4대강 사업, 英 가디언이 선정한 10대 애물단지에 꼽혀 연합뉴스, 2017.11.29. ↑ “4대강살리기, 일자리 창출효과 가시화”. 국토해양부.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녹색江이 희망이다 - (기고)윤영선 건산硏 연구위원”. 아주경제. 2009년 10월 25일.  ↑ “세계물위원회, 4대강 낙동강 강정보 방문”. 연합뉴스. 2012년 5월 11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4대강_정비_사업&oldid=24184965" 분류: 이명박 정부수질 오염대한민국의 운하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CS1 - 태국어 인용 (th)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1: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명박 정부가 이른바 한국형 녹색 뉴딜 정책으로 추진한 4대강 사업은 2008년 12월 29일 낙동강지구 착공식을 시작으로 2012년 4월 22일까지 22조원의 예산을 투입한 대하천 정비 사업이다. 이 사업은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등 4대강을 준설하고 친환경 보(洑)를 설치해 하천의 저수량을 대폭 늘려서 하천 생태계를 복원한다는 것을 주된 사업 추진 배경으로 하고, 그 밖에 노후 제방 보강, 중소 규모 댐 및 홍수 조절지 건설, 하천 주변 자전거길 조성 등을 보수적 사업 내용으로 하였다. 한편, 이명박 정권 이후 2013년 박근혜 정부 감사원의 조사 결과 4대강 사업은 한반도 대운하 재추진을 염두에 둔 사업이었음이 밝혀졌다. 2015년 12월 대법원은 국민 소송단이 낸 소송 4건의 상고심에서 4대강 사업에 대한 적법판결을 내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4대강을 주제로 2015년에 방영한 다큐의 제목이 뭐야? Assistant: 흐르지 않는 강, 낙동강 어부의 증언
Human: 아래 드래곤포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드래곤포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드래곤포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드래곤포스 (DragonForce) 2013년 인도네시아 공연 모습 (왼쪽부터 프레드릭 레클러크, 데이브 매킨토시, 허먼 리, 샘 토트먼, 마크 허드슨, 바딤 프루차노브) 기본 정보 국가 영국 결성 지역 런던, 잉글랜드 다른 이름 드래곤하트 (DragonHeart, 1999-2002) 장르 파워 메탈, 스피드 메탈 활동 시기 1999년 ~ 현재 레이블 로드러너, 유니버설, 생추어리, 스파인팜, 노이즈 관련 활동 데모니악, 파워 퀘스트 웹사이트 www.dragonforce.com 구성원 허먼 리샘 토트먼바딤 프루차노브프레데릭 레클러크마크 허드슨지 안젤론 이전 구성원 ZP 더트에이드리언 램버트디디에 알모즈니디콘 하퍼스티브 윌리엄즈스티브 스콧데이브 매킨토시마테즈 세팅크 드래곤포스(DragonForce)는 1999년에 결성된 영국, 런던의 파워 메탈 밴드이다. 그들은 빠른 기타 솔로와 비디오게임에서 영향을 받은 전자음을 음악에 포함시킨 것으로 유명하다. 목차 1 역사 1.1 결성 (1999 - 2002) 1.2 Valley of the Damned (1999- 2003) 1.3 Sonic Firestorm (2004 ~ 2005) 1.4 Inhuman Rampage (2006 ~ 2007) 1.5 Ultra Beatdown (2008 ~ 2009) 1.6 새로운 음반 (2010년 이후) 2 음악적 스타일 3 논란 4 밴드 구성원 5 드래곤포스의 음반 6 각주 7 외부 링크 역사[편집] 결성 (1999 - 2002)[편집] 드래곤포스는 (드래곤하트라는 이름으로 최초로 알려짐) 1999년에 기타리스트 허먼 리와 샘 토트먼에 의해서 결성되었다. 둘은 후에 광고를 통해 보컬 ZP 더트, 드러머 마테즈 세팅크, 베이시스트 스티브 스콧, 키보디스트 스티브 윌리엄즈를 찾아냈다.[1] 샘 토트먼과 허먼 리는 데모니악이라는 밴드로 경험이 있었다. 최초로 밴드는 "드래곤하트"라는 이름으로 데모음반을 내고, 핼포드와 스트라토바리우스와 함께 투어공연을 했다. 밴드는 후에 또 다른 메탈 밴드와 이름이 겹친다는 것을 발견하고, 2002년에 '드래곤포스'로 밴드의 이름을 바꿨다. 드러머 마테즈 세팅크는 1999년 12월에 슬로베니아에서 공부를 계속 하기 위해서 밴드를 떠났고, 디디에 알모즈니가 그의 자리를 대신했다. 2000년 11월에 스티브 스콧과, 2000년 초에 스티브 윌리엄즈는 밴드를 떠났다 베이시스트 디콘 하퍼는 2000년 11월에 밴드에 가입했고, 2001년 1월에 키보디스트 바딤 프루차노브가 첫 음반의 구성원을 완성하기 위해서 가입했다. 디콘 하퍼는 2002년에 밴드를 떠났지만 드래곤포스의 음반인 Valley of the Damned의 세션 연주자로 활동했다. Valley of the Damned (1999- 2003)[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Valley of the Damned입니다. 드래곤포스는 2000년에 그들의 첫 데모음반을 녹음했다. 그것은 독립적인 발매였지만, 음반은 그 당시 영국에서 가장 유명한 독립 파워 메탈 밴드중 하나로 알려지게 만들었다. 그들의 곡 "Valley of the Damned"는 그들이 밴드의 이름은 드래곤포스로 바꾼 직후에 발매한 최초의 싱글 음반이었다. 곡은 MP3.com에서도 2주일 동안 '가장 많이 내려받은 곡' 1위를 차지할 정도로 큰 성공이었다. 데모가 발표된 직후 키보디스트 스티브 윌리엄즈와 베이시스트 스티브 스콧이 밴드를 떠났고, 그 자리에 우크라니아 출신 키보디스트 바딤 프루차노브와 영국 출신 베이시스트 디콘 하퍼가 들어왔다. 2003년에 밴드는 노이즈 레코드와 계약을 했고, 그들의 첫 음반인 Valley of the Damned를 녹음하기 시작했다. 음반을 발표한 뒤, 밴드는 2004년까지 투어를 계속했다. 투어는 일본의 도쿄에서 끝이 났다. Sonic Firestorm (2004 ~ 2005)[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Sonic Firestorm입니다. 밴드의 두 번째 음반, Sonic Firestorm은 싱글 음반 "Fury of the Storm"보다 더 큰 성공을 거뒀다. Sonic Firestorm은 에이드리언 램버트가 베이스를 맡고 데이브 매킨토시가 드럼을 맡은 최초의 음반이었다. 2004년에 데이브 매킨토시가 밴드에 가입할 때, 그들은 그들의 음악 스타일을 강력한 비트와 더블 베이스 리듬으로 인해 "익스트림 파워 메탈"이라고 칭하기 시작했다. 밴드가 국제적으로 유명해 지고 "빠른 본 조비"나 "저니가 슬레이어를 만남"이란 별명을 얻은 때가 이 쯤이었다. 투어는 Valley of the Damned때의 투어보다 더 길었다. 밴드는 W.A.S.P이나 아이언 메이든처럼 잘 알려진 메탈 밴드와 함께 투어를 했다. Inhuman Rampage (2006 ~ 2007)[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Inhuman Rampage입니다. 밴드는 ZP 더트를 포함한 6명의 구성원을 완성하기까지 다양한 구성원 변화가 있었다.밴드는 2006년에 영국, 미국, 캐나다, 프랑스, 오스트레일리아의 로드러너 레코드와 계약을 맺은 뒤 그들의 세 번째 음반인 Inhuman Rampage를 발매했다. "Through the Fire and Flames" 라는 곡은 기타 히어로3 : 레전드 오브 락과 기타 히어로 : 스매쉬 히트같은 게임에 포함된 유명한 곡 중 하나가 되었다. 허먼 리와 샘 토트먼의 이전 밴드인 데모니악의 구성원인 린제이 도슨은 이 음반에 백 보컬로 참여했다. 음반을 발매하기 전, 베이시스트인 아드리안 램버트가 2005년 11월에 태어난 아들을 돌보기 위해 밴드를 떠났다. 그 자리에 Sonic Firestorm 투어를 끝마치기 위해서 프레데릭 레클러크가 들어왔다. 프레데릭은 2006년 1월에 밴드의 공식 구성원가 되었다. 그는 밴드의 두 번째 싱글음반인 Operation Ground and Pound의 뮤직 비디오에도 출연했다. 싱글 음반 Through the Fire and Flames는 미국과 캐나다의 골드 디스크에 올랐다. Ultra Beatdown (2008 ~ 2009)[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Ultra Beatdown입니다. 밴드는 디스터브드와 슬립낫과 함께 2008년의 여름동안 락스타 에너지 메탈 메이험 페스티벌(Rockstar Energy Metal Mayhem Festival)에서 투어공연을 펼쳤다. 밴드는 가을에 네 번째 정규 음반인 Ultra Beatdown으로 되돌아 왔다. 첫 번째 트랙이면서 첫 번째 싱글인 "Heroes of Our Time"은 2008년 12월 3일에 메탈리카의 "My Apocalypse"를 누르고 그래미 어워드의 '베스트 메탈 퍼포먼스' 부문에서 수상을 하게 되었다.[2] "Heroes of Our Time"의 짧은 버전은 비디오게임 스케이트 2[3] 와 NHL 10[4] 에 삽입되기도 했다. 2009년 1월 22일에 "The Last Journey Home"의 뮤직비디오가 온라인으로 공개되기 일주일 전에 엑스박스 라이브에 공개되었다.[5] 새로운 음반 (2010년 이후)[편집] 허먼 리는 드래곤포스가 2009년 12월에 투어를 멈추고 크리스마스를 집에서 보낸 뒤 2011년에 발매될 새로운 정규 음반을 작곡하고 녹음한다고 밝혔다.[6] 2010년 2월 22일에 밴드는 그들의 음반인 Valley of the Damned와 Sonic Firestorm을 재발매했다. Valley of the Damned는 새로 녹음되었고, 두 음반 모두에 보너스 트랙, 라이브 공연과 해설이 담겨있는 DVD가 포함되어 있다. 두 음반은 티셔츠, 기타 픽과 바람을 넣는 기타가 포함되어 있는 박스형태로도 발매되었다. 2010년 3월 8일에, 드래곤포스는 로드러너 레코드를 통해 드래곤포스가 보컬 ZP 더트와 갈라섰고 새로운 보컬을 찾는다고 밝혔다.[7] "드래곤포스가 ZP 더트와 갈라선다고 발표한 것을 후회합니다. 이것은 어떻게 할 수 없는 음악적인 의견의 차이였지만, 나머지 밴드 멤버들은 ZP 더트가 미래의 작업에서 성공하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나머지 다섯명이 다섯 번째 앨범을 작곡하는 동안, 우리는 전 세계에서 새로운 보컬을 찾고 있습니다. 우리는 우리와 드래곤포스의 새로운 역사를 쓰게 될 강력하고 멜로딕한 보컬을 찾고 있습니다." - 허먼 리 이 내용은 그 날 삭제되었지만, 다음날 공식적으로 밴드에 의해서 오디션에 참가하는 링크가 담겨있는 공식적인 발표가 게시되었다.[8] 음악적 스타일[편집] 밴드는 그들의 음악 스타일을 자주 단지 파워 메탈이 아닌 익스트림 파워 메탈이라고 불러왔다. 허먼 리는 기타 월드와의 인터뷰에서 사람들의 밴드의 음악 스타일에 대한 평가에 이렇게 말했다. "'닌텐도 메탈', '익스트림 파워 메탈', '저니가 슬레이어를 만났을때' ... 사람들은 우리에게 이상한 꼬리표를 붙이고는 하죠."[9] 밴드는 가끔 곡에 들어가 있는 빠른 템포 때문에 메탈 평론가들에게 보충적으로 스피드 메탈 밴드라고 잘못 이름 붙여지기도 한다.[9][10][11][12] 논란[편집] 2006년 후반 Inhuman Rampage 투어가 최대 활동에 도달했을때 논란이 일어났다. 밴드는 악기에 기술적인 문제가 생기고 말았다. 할 수 없이 처음으로 악기의 튜닝을 반음 낮춰 Eb튜닝으로 공연하기 시작했다. 또한 품질이 좋지 않은 라이브 공연 동연상이 인터넷에 게시되면서, 라이브에서 똑같은 속도를 낼 수 없어서 스튜디오 음반을 제작할때 속도를 올린다는 루머가 퍼지기 시작했다. 나머지 공연에서 음반의 곡와 같은 속도를 낼 수 있다는 것으로 루머를 해결했지만 여전히 루머는 퍼지고 있었다. "2006년 그래스팝 메탈 미팅(Graspop Metal Meeting)은 엄청난 재앙이었습니다. 우리가 데려온 기술자들은 기타 튜닝도 하지 않았고, 모니터링할 장비도 갖춰지지 않아 아무것도 들을 수 없었습니다." - 허먼 리 그는 또한 Inhuman Rampage 투어의 대부분의 공연은 기술적 문제에 의해서 좋지 않은 평가를 받았다고 말했다.[6] 밴드 구성원[편집] 현재 구성원 허먼 리 – 기타, 백 보컬 (1999 ~ 현재) 샘 토트먼 – 기타, 백 보컬 (1999 ~ 현재) 프레데릭 레클러크 – 베이스, 기타, 백 보컬 (2006 ~ 현재) 바딤 프루차자노 – 키보드, 백 보컬, 테레민 (2001 ~ 현재) 지 안젤론 – 드럼, 백 보컬 (2014 ~ 현재) 마크 허드슨 - 리드 보컬 (2011 ~ 현재) 전 구성원 ZP 더트 – 리드 보컬 (1999 ~ 2010) 에이드리안 램버트 – 베이스 (2004 ~ 2005) 디디에 알모즈니 – 드럼 (1999 ~ 2003) 디콘 하퍼 – 베이스, 백 보컬 (2001 ~ 2003) 스티브 윌리엄즈 – 키보드, 백 보컬 (1999 ~ 2000) 스티브 스콧 – 베이스, 백 보컬 (1999 ~ 2000) 데이브 매킨토시 - 드럼, 퍼커션, 백 보컬 (2003-2014) 마테즈 세팅크 - 드럼, 퍼커션 (1999) 드래곤포스의 음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드래곤포스의 음반 목록입니다. 정규 음반 Valley of the Damned (2003) Sonic Firestorm (2004) Inhuman Rampage (2006) Ultra Beatdown (2008) The Power Within (2012) Maximum Overload (2014) Reaching into Infinity (2017) 각주[편집] ↑ “interview dragonforce”. 2018년 3월 27일에 확인함.  ↑ “The 51st Annual Grammy Awards Winner List”. 《GRAMMY.com》. The Recording Academy. 2010년 1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월 24일에 확인함.  ↑ Orry, James (2008년 10월 23일). “Skate 2 and Skate It soundtracks revealed”. 《VideoGamer.com》. Pro-G Media Ltd. 2010년 1월 24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1월 24일에 확인함.  ↑ “The Official NHL 10 Soundtrack - EA Trax”. 《EA.com》. Electronic Arts Inc. 2010년 1월 24일에 확인함.  ↑ “DragonForce Video World Premier on Xbox Live”. DragonForce.com. 2010년 1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월 24일에 확인함.  ↑ 가 나 “DragonForce: Live Playing 'Through The Roof' Since Having In-Ear Monitors”. 2012년 11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15일에 확인함.  ↑ Updated: Dragonforce part ways with singer | EspyRock ↑ “BLABBERMOUTH.NET - DRAGONFORCE Confirms Singer's Departure”. 2012년 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15일에 확인함.  ↑ 가 나 Guitar World, Holiday 2006, pg 72 "Hotter Than Hell" ↑ Entertainment | PE.com | Southern California News | News for Inland Southern California ↑ Entertainment - Juan Gabriel to play the Pond ↑ “Friday 07/07/06 Ozzfest 2006, Main Stage @ The Cricket Pavilion, Phoenix Arizona - GIGWISE”. 2006년 7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1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드래곤포스 공식 웹사이트 vdeh드래곤포스 허먼 리 샘 토트만 바딤 프루즈하노브 프레드릭 리클러크 마크 허드슨 지 안젤론ZP 더트 에이드리언 램버트 디디에 알모즈니 디콘 하퍼 스티브 스콧 스티브 윌리엄즈 마테즈 세팅크 데이브 매킨토시 정규 음반 Valley of the Damned Sonic Firestorm Inhuman Rampage Ultra Beatdown The Power Within Maximum Overload Reaching into Infinity 싱글 "Fury of the Storm" "Through the Fire and Flames" "Operation Ground and Pound" "Revolution Deathsquad" "Heroes of Our Time" "The Last Journey Home" "The Game" "Ring of Fire" 컴필레이션 음반 Killer Elite: The Hits, The Highs, The Vids 라이브 음반 Twilight Dementia In the Line of Fire... Larger Than Live 관련 문서 디스코그래피 전거 통제 WorldCat LCCN: no2006048641 ISNI: 0000 0001 0656 5940 GND: 10339103-4 BNF: cb14479323h (데이터) 뮤직브레인즈: ef58d4c9-0d40-42ba-bfab-9186c1483edd NKC: xx016452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드래곤포스&oldid=22278583" 분류: 영국의 헤비 메탈 밴드1999년 결성된 음악 그룹드래곤포스런던 출신 음악 그룹파워 메탈 밴드스피드 메탈 밴드숨은 분류: 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lemannisch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Македонски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8일 (토) 15: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드래곤포스(Dragon Force)는 1999년에 결성된 영국, 런던의 파워 메탈 밴드이다. 그들은 빠른 기타 솔로와 비디오게임에서 영향을 받은 전자음을 음악에 포함시킨 것으로 유명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드래곤포스의 음반은 무엇이 있을까? Assistant: Valley of the Damned (2003) Sonic Firestorm (2004) Inhuman Rampage (2006) Ultra Beatdown (2008) The Power Within (2012) Maximum Overload (2014) Reaching into Infinity (2017) Human: 아래 삼성_타워팰리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삼성 타워팰리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삼성 타워팰리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삼성 타워팰리스 Samsung Tower Palace 왼쪽의 건물이 1차 앞의 두 흰색 건물이 2차이다.3차인 G동은 지상 73층, 263m로 2004년부터 2010년까지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았다. 정보 위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30길 지리 좌표계 북위 37° 29′ 18.96″ 동경 127° 03′ 10.67″ / 북위 37.4886000° 동경 127.0529639°  / 37.4886000; 127.0529639좌표: 북위 37° 29′ 18.96″ 동경 127° 03′ 10.67″ / 북위 37.4886000° 동경 127.0529639°  / 37.4886000; 127.0529639 상태 완공 기공식 1999년 건축 2000년 ~ 2004년 착공 1999년 완공 2002년(A동, B동, C동, D동)2003년(E동, F동)2004년(G동) 개장 2004년 용도 주거 높이 최상층 G동: 263mB동: 234mA동, C동: 209mE동, F동: 191mD동: 153m 기술적 상세 내용 층수 G동: 지상 69층 지하 6층B동: 지상 65층 지하 5층A동, C동: 지상 59층 지하 5층E동, F동: 지상 55층 지하 5층D동: 42층 지하 4층 연면적 100,000m2 엘리베이터 대수 101 회사 건축가/건축회사 삼성건설(현 삼성물산 건설부문) 구조 엔지니어 삼우토건 스키드모어, 오윙스 앤드 메릴 계약자 삼성물산 개발사 삼성건설(현 삼성물산 건설부문) 소유주 삼성물산 웹사이트 http://www.towerpalace1.co.kr 삼성 타워팰리스(영어: Samsung Tower Palace)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분당선과 서울 지하철 3호선의 환승역인 도곡역 앞에 위치한 7개의 고급 주상복합 아파트 단지이며, 초고층 건물로 마천루 이다. 설계는 미국의 건설업체 스키드모어, 오윙스 앤드 메릴이 맡았고, 삼성물산이 개발하였으며 A, B, C, D, E, F, G로 구성된 7개의 초고층 아파트들로 구성되어 있다.[1] 타워는 탑을 가리키고 팰리스는 궁전을 가리킨다.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건설된 초고층 주상복합 단지다. 타워팰리스에서 가장 높은 건물은 삼성 타워팰리스 3차 G동(73층, 265m)이며 타워팰리스에서 가장 낮은 건물은 삼성 타워팰리스 1차 D동(42층, 153m)이다. 면적의 공급은 69평이고 전용은 49평, 구조는 3룸, 2욕실, 1297세대 규모의 단지이다. 목차 1 역사 1.1 계획 1.2 건설 2 계획 3 구성 4 특징 및 구조 4.1 서비스 4.2 구조 개요와 특성 4.2.1 프레임 시스템 4.2.2 평판 시스템 4.3 구조형식 4.3.1 코어월 4.3.2 아웃트리거, 벨트 트러스 4.3.3 기둥 4.3.4 바닥 4.3.5 기초 4.3.6 고충부 및 기초부 설계 4.4 건축시공 4.4.1 공사스케줄 및 공정관리 4.4.2 1차 주공정선 4.4.3 2차 주공정선 4.4.4 3차 주공정선 4.5 엘리베이터 5 사건 및 사고 5.1 2015년 10월 2일 타워팰리스 쓰레기장 1억원 수표 사건 6 대중문화 7 평가 8 갤러리 9 같이 보기 9.1 건물 목록 9.2 참조 항목 10 주해 11 각주 12 외부 링크 역사[편집] 계획[편집] 초기 이 곳은 공군사관학교 소속 부지였다. 그러나 1994년 무렵부터 삼성그룹이 이 곳에 신사옥을 지을 계획을 세우면서 이 부지를 사들였다. 신사옥 계획은 2002년까지 강남구 도곡동 일원에 지상 103층, 380m짜리 초고층 건물을 지어 상업, 업무, 쇼핑, 거주 복합 단지로 세우자는 계획이었고, 이 때 가칭 '삼성 타운'이라는 계획을 세웠다.[2][3] 이렇게 하여 세워진 계획이 삼성 시너지 타워였다. 그러나 1996년 10월부터 본격 공사를 진행하려 하였으나, 해당 지역 주민들의 반발과 이듬해인 1997년에 불어닥친 IMF 외환 위기 등으로 인하여 사실상 신사옥 건설은 무산되었다. 이후 1998년 어느 정도 그룹의 상황이 나아지자, 삼성그룹은 이 곳에 대한민국 최초의 주상복합 아파트 단지를 계획하게 되었다. 지상 93층, 323m의 초고층 아파트를 지어 고급화된 아파트를 제공한다는 계획이었다. 이에 따라 42층부터 93층까지 약 7개의 다양한 건물들을 짓기로 하고 허가를 기다렸으나, 막상 서울특별시가 93층 아파트를 짓는 데에 매우 부정적이었고, 우선 1999년 42층~65층짜리 A, B, C, D 4개 동을 우선 착공하였다. 건설[편집] 이후 2000년 55층짜리 E, F동이 착공되었을 때도 G동의 규모에 대해서 서울시와 삼성그룹이 극심한 반목을 거듭하였고, 결국 지상 69층 규모로 건설하는 데에 합의하고 가장 높은 G동은 2001년 착공하여 2004년 완공되었다. 계획[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삼성 타워팰리스의 계획입니다. 구성[편집] 타워팰리스는 한 개의 마천루가 아니라, 42층 1동, 55층 2동, 59층 2동, 65층 1동, 73층 1동 등 총 7개의 마천루 단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2001년에서 2004년 사이에 건축되었고, 모두가 고급 주상복합 아파트로 사용되며 대부분의 유명한 한국인들의 거주지로 알려져 있다. 외국인들도 거주할 수 있으며 부유층들이 사는 아파트 단지이다. 아파트 1채에 수십억을 호가하며 1가구당 월 관리비만 150만원 정도이다. 그리고 매우 비싼 아파트이며 부자들이 사는 아파트 단지다. 2010년까지 대한민국에서 가장 비싼 아파트였으며, 현재도 삼성동 아이파크와 더불어 대한민국 대표 고가(高價) 아파트로 꼽힌다. 2003년에 완공된 타워팰리스 2차의 가격은 2015년 기준으로 50억 6500만원이다.[4] 타워팰리스의 모습은 1차(A,B,C,D)와 2차(E,F), 3차(G)가 각기 다른 형태를 하고 있는데 3차(G)의 경우 가장 높고 3개의 둥근 타원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형상이다. 타워펠리스 3차는 Q1 빌딩(323m), 해운대 위브 더 제니스 타워(301m), 해운대 아이파크 타워(292m), 유레카 타워(298m), 21세기 타워(267m)에 이어 세계에서 6번째로 높은 초고층 아파트이다. 헬기장은 모든 건물의 지붕에 위치해 있다. 건물 명칭 사진 착공 완공 설명 층수 높이 상태 삼성 타워팰리스 1차 1999년 2002년 타워 팰리스 1차(영어: Tower Palace One)는 전체 7개 동 중 A, B, C, D동 등 4개 마천루를 일컫는다. 타워 팰리스 7개 동 중 가장 먼저인 1999년 착공하였으며, 2002년 전체적으로 완공되었다. A동에서 C동까지는 지하주차장, 로비, 아파트가 있고 D동에는 A동에서 C동까지를 포함한 시설과 오피스텔이 있다. A동 59층 B동 65층[나] C동 59층 D동 42층 A동 209m B동 234m C동 209m D동 153m[다] 완공 삼성 타워팰리스 2차 2000년 2003년 타워 팰리스 2차(영어: Tower Palace Two) 건물은 2000년 착공하여 2003년 완공된 두 개의 건물로 E, F동이 여기에 해당한다. 둘 다 지상 55층, 191m의 쌍둥이 건물이다. E동에서 F동까지는 지하주차장, 로비, 아파트, 오피스텔이 있다. E동, F동 55층 E동, F동 191m 완공 삼성 타워팰리스 3차 2001년 2004년 타워 팰리스 3차(영어: Tower Palace Three) 건물은 가장 나중인 2001년 착공하여 2004년 완공되었다. G동이 유일하게 3차에 해당하며, 다른 건물들과는 달리 타원형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G동이며 지하주차장, 로비, 아파트, 오피스텔이 있다.타워팰리스 G동은 69층인 610세대 규모에 264m(866피트) 높이로 지상 264m, 73층 건물로 완공 당시 하이페리온 타워 A동(69층, 256m)을 제치고 완공 당시부터 2011년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마린시티에 80층, 301m높이의 해운대 위브 더 제니스 타워가 건설되기 전까지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빌딩이었고 약 7년 간 대한민국 최고층 건물이었다.[5][가]보통 좁은 의미에서의 '타워 팰리스'는 이 건물을 주로 가리킨다. G동 69층 G동 265m 완공 특징 및 구조[편집] 서비스[편집] 타워 팰리스는 2002년 최초 입주 당시부터 대한민국에서는 거의 처음으로 '유비쿼터스 시스템'이 갖추어졌다. 당시만 하더라도 최초로 도입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파격적이었다. 모든 엘리베이터나 정문, 출입문에 '카드 키 보안 시스템'(Card-Key Security System)이 설치되어 있다.[라] 정문, 출입문에 '카드 키' 혹은 '지문 인식'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조명, 커튼,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세탁기 등을 집주인의 휴대전화 등으로 제어하여 미리 예약할 수 있다. 구조 개요와 특성[편집] 프레임 시스템[편집] 타워부 : R.C Core + Outrigger + Belt Truss + SRC 기둥의 합성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지하부 : Column, Beam & Girder, 평판 등이 P.C구조(일부 R.C)로 형성되어 있다. 평판 시스템[편집] 타워부 : 두께 135mm 상하현 철근 복합 데크플레이트 평판로 구성되어 있다. (Non Support 시공) 지하부 : 두께 70mm(Half P.C) + 100mm 콘크리트 덧치기로 총두께 170mm로 중력 및 횡력(토압 + 수압)에 저항하는 구조이다. 구조형식[편집] 코어월[편집] 코어월은 THK500mm로 층에 따라두께를 효율적으로 변화시켰으며, 콘크리트 강도는 500 ~ 300 kg/cm2로 변화시켰다. 코어월 오픈 부분에는 Lintel Beam(연결보)을 설치하여 코어의 횡력 저항에 극대화 했으며, 작업의 반복성 등을 고려하여 코어 월은 클라이밍 폼을 사용하여 시공성을 향상시켰다. 아웃트리거, 벨트 트러스[편집] 타워팰리스 1차는 R.C 코어와 아웃트리거 및 벨트 트러스가 중력 및 횡력에 저항하는 주요 구조체로서 R.C 코어는 전 층에 설치하였으며(B동 기준), 지상 3층, 4층 기계실과 6층, 2층 바닥에 아웃트리거 및 벨트 트러스를 설치하여 R.C 코어의 횡변형을 억제하고 구조물 상부의 모멘트를 감소시켰다. 이와 같이 구조물은 하부 뿐만 아니라 상부에서 구속되기 때문에그 처짐 형상이 순수 캔틸레버 기둥이 아닌 변곡점을 가진 S형 곡선 형상을 보인다. 이러한 합성 작용으로 코어의 휨 모멘트와 구조물의 처짐을 줄이게 되었다. 기둥[편집] 기둥의 주 간격은 8.4m × 8.4m 모듈을 유지하며, 기둥의 형태는 공간활용성을 고려하여 사각형의 합성기둥(S.R.C)으로 설계하였으며, 합성기둥의 설계는 SSRC(Structural Stability Research Council)로 설계하며, 단면의 크기는 R.C: 850 × 850 + STEEL: 내경 3, 5, 8의 H형강의 크기를 유지하며, 층수에 따라서 철골 두께를 조정하였다. 합성 기둥의 콘크리트 강도는 500 ~ 240 kg/m2까지 사용하였으며, 철골은 두께 40mm 초과시 SM520 TMCP 강(Fy = 3,600 kg/m2)을 사용하여 중력하중 및 횡하중에 저항하도록 설계하였다. 바닥[편집] 바닥 평판은 두께 135mm의 상하현 철근 복합데크 평판을 사용하여 시공성을 높였으며, 바닥 평판이 다이아프램(diaphragm) 역할을 충분히 하여 코어부로 횡력을 전달시킬 수 있도록 코어부와 만나는 평판에는 철근을 보강설계했다. A, B, C동의 모든 내부의 단순보(Shear Connection)는 합성보(Composite Beam)로 설계하여 물량절감 및 층고를 최소화했다(보 최대 크기는 H - 400임 : 기준층 바닥). 보 및 평판에 대해서는 진동 등 사용성에 관련하여 검토설계하였다. D동의 경우 동내부의 다이아프램 결손부(중정)와 편심 코어 등으로 야기되는 건물의 불규칙 변형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자 기둥과 내부 보의 연결을 강접(Moment Connection)으로 설계하여 건물의 전체 강성을 향상시켰다. 기초[편집] 설계지내력 : 고층부의 기초는 경암층(Fresh Sound Rock) 위에 놓이도록 하였다. 파쇄대를 고려한, 지반의 정확한 Rock 용수철을 구하여 기초해석에 적용하였다(설계지내력은 200t/m2 이상으로설계). 저층부의 기초는 경암층 위 또는 연암층(Partly Weathered Rock)위에 놓이도록 계획하였다(정확한 지질조사에 근거하여 지반상태에 따라 200t/m2, 90t/m2, 50t/m2으로 계획). 기초의 최대 침하는 30mm 이내로 하고, 부동침하는 20mm 이내로 유지하도록 계획하였다. 또한 기초 시스템의 기초 평판 하부에는 Pubic Drain Board Type의 영구배수장치 (Dewatering System)를 설치하여 기초 평판에 어떤 양압(Buoyancy)도 작용하지 않도록 설계에 적용하였다. 고충부 및 기초부 설계[편집] 고층부 기둥은 온통기초(Mat Foundation)고 고층부 코어는 온통기초(Mat Foundation)고 기초부 설계는 중력하중 및 횡하중에 의해서 생기는 압축 및 인장력의 가능한 모든 하중조합을 통하여 기초의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관입 면에서 타워팰리스 1차의 변형형으로 조합되어 전혀 다른 현재와 미래의 이미지를 가진다. 건축시공[편집] 타워팰리스 1차는 그 규모가 65층 1개동과 59층 2개동, 42층 1개동의 총연면적 13만 8천평에 이르는 도심형 초고층 빌딩으로 3일에 1개층씩 골조공사를 진행하였으며, 39개월만에 완공해야 했다. 분당 90m를 운행하는 초고속 호이스트, 13기의 대형 타워크래인, 초고압 콘크리트 펌프 등의 하드웨어적인 방안과 함께 인터넷을 이용한 인원 관리, 자재관리, 도면관리 등의 물류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여 초고층 공사의 최단기간 달성을 지원하였다. 공사스케줄 및 공정관리[편집] 국내 초고층 주거형 건물은 일반적인 초고층 건축공사와 달리 방바닥 미장공사라는 습식공사가 마감공사 중간에 위치하고 있어 부동 침하로 인한 벽체와 바닥과의 레벨 차이, 추가 처짐을 고려한 공사일정 계획 수립이 요구된다. 따라서 초고층 주거형 건물의 주공정선은 다음과 같이 수립한다. 1차 주공정선[편집] 토공사 → 기초공사 → 코어 골조공사 → 바닥 골조공사 → 외벽 커튼월 공사 → 천정배관공사 → 기반마감공사 → 방바닥 미장공사 → 인테리어 기반공사 →최종 인테리어공사 → 준공 준비 → 준공 2차 주공정선[편집] 골조공사 → 고층부 엘리베이터 설치 → 호이스트 해체 → 호이스트 자리 마무리공사 → 부대토목 및 조경공사 → 준공 준비 → 준공 타워팰리스 현장은 2차 동절기 기간(2001년 12월~ 2002년 2월)에 최종 인테리어 공사의 주작업인도장 및 도배공사, 온돌마루공사가 진행되었으며, 동절기 습식공사 진행 및 화재위험 등을 고려하여 지역난방을 이용한 동절기 난방을 하도록 결정하였다. 고층부는 2001년 11월경 방바닥 타설이 가능하도록 부동침하량이 계산되었다. 이에 따라 방바닥 미장양생 및 건조를 위한 별도의 보온시설이 필요하게 되나, 열풍기 등을 이용할 경우 화재의 위험성이 있고, 사면이 커튼월로 막혀있는 초고층 건물의 특성상 자연 화기에 의한 제습이 불가능하여 방바닥 미장 건조기간이 최소한 4개월 이상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자연 건조시 후속공사인 도배/도장 등의 최종 인테리어 공사가 실내의 고습도로 인한 하자 발생이 예상되었다. 이에 따라 2차 동절기 공사 진행을 위하여 지역난방을 조기인입을 검토하게 되었으며, 내부적으로난방 주배관이 통과하는 2단계 구간 주차장 골조공사를 3차 주공정선으로 정하여 일정계획을 하게 되었고, 외부적으로는 지역난방공사의 발전소 증설기간 및 예산 확보를 위하여 2000년 10월부터 지역난방공사와 협의하여 2001년 11월 지역난방을 인입하게 되었다. 3차 주공정선[편집] 1차 토공사 → 1차 주차장 골조공사 → 2차 토공사→ 2차 주차장 골조공사 → 설비난방 주배관공사 → 최종 인테리어공사 → 준공 준비 → 준공 초고층 건물의 시공방법으로서 필연적이라고 할 수있는 단결된 커튼 월 시스템(Curtain Wall System) 을 적용하였다. 이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커튼월의 고품질 및 층당 3일의 주기가 시공속도를 높일 수 있었다. 또한 Open Joint 시스템이 적용됨으로써 커튼월이 수밀성을 향상시켰다. 커튼월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형태의 유닛은 Opening, Fixed, Louver, 패널 유닛 등이 있다. Opening 유닛은 개폐창의 설계풍압에 대한 구조적인 문제를 고려하여 그 폭을915mm 정도로 최소화하였으며, Fixed 유닛은 입주자의 조망을 고려하여 그 폭을 최대한 넓게(1,830mm) 설계하였다. 또한 Louver 유닛은 에어컨 실외기실에 적용하였으며, 패널 유닛은 기둥이 있는 부위에 설치되었다. 타워팰리스 1차의 코어 골조는 코어골조공법(Automatic Climbing System)으로 이루어져 있다. 코어골조공법은 유압 유닛와 양중용 윤곽을 이용하여 1개 층 높이로 제작된 폼을 1개층씩 상승시키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이다. 공기단축: 3day/fl. (실제 시간) 공정: 슬립 폼에 비해 공정이 다소 복잡함. 품질관리 : 콘크리트면의 평활도 및 골조품질이 양호함. 안전관리 : 안전시설물 일체화로 추락/낙하사고 예방함. 철골설치공법(N공법)은 절단위로 설치되는 기존 공법과는 달리 층 단위로 설치되는 공법으로서 기중의 이음 위치를 층별로 분산하여 용접, 수직도 조정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공법이다. 작업량 분산을 통한 출력인원이 저감되고 순환 공정의 진행을 통한 연속 작업이 가능하고 1층 이상의 작업을 없앰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되며, 후속 공정의 조기 착수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공장 유약 시스템(Factory Glazing System)은 커튼월 유닛에 유리 끼우는 작업을 유닛 제작공장에서 완료 후 현장에 반입시킴으로써 커튼월의 품질 향상 및 설치 일정 단축 등의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커튼월 유닛의 Joint 폭은 설치 전후 유닛에 가해지는 각종 변위를 흡수할 수 있도록 수직 8mm, 수평 20mm 폭으로 설계되었다. 수평 joint : 20mm, 수직 : 8mm 온도 편차에 의한 변위: 9mm, 수직 : 5mm 열 단축 : 3mm 평판 처짐: 5mm 가공, 조립오차: 1mm (수평, 수직) 설치오차: 2mm (수평, 수직) 엘리베이터[편집] 타워팰리스 1차에는 동양엘리베이터(현 티센크루프), 2차에는 LG-오티스엘리베이터(현 오티스), 3차에는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의 제품이 설치되었으며 저층용, 고층용, 비상용, 상가 및 주차장 셔틀용으로 구분된다. 모든 세대용 엘리베이터는 카드리더기가 있으며 카드키를 태그해야 작동된다. 사건 및 사고[편집] 2015년 10월 2일 타워팰리스 쓰레기장 1억원 수표 사건[편집] 타워팰리스의 쓰레기집하장에 버려진 여행용 가방에서 100만원짜리 수표 100장인 1억원어치 수표가 든 봉투가 2015년 10월 3일 오전 11시 55분쯤 아파트에 근무하는 청소부인 김모(63)씨가 쓰레기집하장에서 100만원짜리 수표 100장이 든 봉투를 발견하고 경찰에 신고를 해서 수표가 발견이 되었다. 언론보도가 되고 10월 5일 주인이라며 50대 사업가 A씨가 나타났고 경찰 조사결과 주인으로 확인되어 발견자에게 유실물 법에 따라 5~20% 사이의 보상금을 발견자에게 지불하고 원주인이 돈을 찾아갔다. 보상금이 정확히 얼마인지는 양측 모두 밝히지 않았다. 대중문화[편집] 2004년에 개봉한 영화 아라한 장풍 대작전에 삼성 타워팰리스 1차와 삼성 타워팰리스 3차 G동이 나온다. 2012년에 개봉한 영화 R2B: 리턴투베이스에 삼성 타워팰리스의 단지들이 나온다. 2018년에 개봉한 영화 독전에 삼성 타워팰리스의 단지들이 나온다. 평가[편집] 2013년 동아일보와 건축전문잡지 SPACE가 건축가 100명을 조사한 해방이후 최악의 건물들 랭킹 9위에 올랐다. 갤러리[편집] 양재천에서 본 타워팰리스 단지 전경. 타워 팰리스 단지 전경. (2006년) 도곡동 방향의 양재천 야경. 구룡산 국수봉 전망대에서 바라본 타워팰리스. 구룡산 국수봉 전망대에서 본 서울전경. 구룡산 국수봉에서 본 서울전경과 북악산이라고 한다. 같이 보기[편집] 건물 목록[편집] 마천루 목록 아시아의 마천루 목록 대한민국의 마천루 목록 서울특별시의 마천루 목록 참조 항목[편집] 해운대 엘시티 더샵 Q1 타워 유레카 타워 래미안 해운대 두산위브더제니스 해운대 I'PARK 메타폴리스 더 샾 퍼스트 월드 서울국제금융센터 주해[편집] 가. ^ 동북아무역타워는 2012년에 골조공사가 완공되었기 때문에 2011년 ~ 2012년에는 해운대 두산 위브 더 제니스가 가장 높았다. 나. ^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63빌딩의 층수인 '61층'을 넘긴 건물이다. 하지만 63빌딩(249m)보다 높이는 낮다. 다. ^ 타워 팰리스 단지 중 가장 높이가 낮은 건물이다. 그러나 7개동 중 가장 대지면적을 넓게 차지하고 있는 건물이다. 라. ^ 지금은 주상복합아파트가 많아졌고 고급 오피스도 많아져서 이는 매우 흔했지만, 당시 '아파트'에 적용했다는 점은 가히 파격적이었다. 대한민국에서 이 시스템을 처음으로 도입한 건물은 1985년 개장한 '63시티'이다. 각주[편집] ↑ “<타워팰리스10년> 타워팰리스는?”. 해럴드경제. 2012년 5월 18일. 2017년 3월 21일에 확인함.  ↑ 삼성 百2층빌딩 건축 추진, 1996년 4월 13일 <동아일보> ↑ 江南 도곡동에 102층 빌딩, 1996년 4월 8일 <경향신문> ↑ 박태진 (2015년 3월 25일). “[부자들의 집] <1>도곡동 타워팰리스, 대한민국 성공인생의 상징”. 《이투데이》. 2017년 3월 21일에 확인함.  ↑ “경제매거진 0100 세계의 마천루, 대한민국”. 한국경제TV. 2009년 2월 13일. 2009년 12월 2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타워팰리스 1차 - 공식 웹사이트 타워팰리스 자연환기 공간 디자인 프로젝트 vdeh타워팰리스마천루 타워팰리스 삼성 타워팰리스 1차 삼성 타워팰리스 2차 삼성 타워팰리스 3차 계획 타워팰리스의 계획 vdeh 대한민국의 마천루서울특별시 31빌딩 63빌딩 정부서울청사 서울스퀘어 롯데호텔 서울 KAL 빌딩 종로타워 광화문 D타워 서울국제금융센터 서울 제1국제금융센터 서울 제2국제금융센터 서울 제3국제금융센터 콘래드 서울 호텔 한기련회관 롯데월드타워 롯데호텔월드 트레이드 타워 뉴 트레이드 타워 아셈타워 파르나스 타워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두산타워 삼성 타워팰리스 삼성 타워팰리스 1차 삼성 타워팰리스 2차 삼성 타워팰리스 3차 목동 하이페리온 목동 트라팰리스 현대차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 현대차 컨벤션 호텔 강남 파이낸스 센터 큰길타워 삼성동 아이파크 서초 삼성타운 서초동 대림 아크로비스타 LG트윈타워 파크원 타워 여의도 페어몬트 호텔 에스트레뉴 타워 래미안 첼리투스 래미안 강동 팰리스 이스트 센트럴 타워 래미안 용산 더 센트럴 용산시티파크 용산파크타워 용산파크자이 대우월드마크 용산 한강트럼프월드3차 용산 벽산메가트리움 LG유플러스 용산 사옥 KY빌딩 센트레빌 아스테리움 서울 DB금융센터 KDB생명타워 서울드래곤시티 한화 갤러리아포레 상봉 프레미어스 엠코 SBS 방송 센터 GS타워 GT타워 부띠크모나코 서울숲 트리마제 아크로 서울 포레스트 뚝섬 부영아파트 뚝섬 부영호텔 용산 푸르지오 써밋 LS용산타워 더클래식500 더샵스타시티 디큐브시티 디큐브시티 아파트 강변 테크노마트 신도림 테크노마트 메세나폴리스 메세나폴리스 레지던스 세아타워 마포한강푸르지오 덕수궁 롯데캐슬 반포자이 반포 디에이치 클래스트 반포 래미안 퍼스티지 반포 아크로리버파크 여의도 대우트럼프월드 잠실 롯데캐슬골드 잠실 엘스 잠실 리센츠 잠실 트리지움 잠실 레이크팰리스 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 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 랜드마크 타워 청량리 동부청과 한양수자인 동일하이빌 뉴시티 코업 스타클래스 보라매 쉐르빌 현대 41 타워 아카데미 스위트 대림 아크로빌 현대 슈퍼빌 SK서린빌딩 상봉 듀오트리스 브라운스톤 서울 여의도 리첸시아 타워 용산 KCC 웰츠타워 갤러리아 팰리스 삼성SDS타워 향군타워 청계천 두산위브더제니스 잠실 푸르지오 월드마크 남산 트라팰리스 T타워 서울 시티타워 강동 헤르셔 타워 트윈시티 남산타워 육군호텔 G스퀘어 상암카이저팰리스클래식 서울숲 더샵 LSK플러스 용산 오피스 용산 센트럴파크 해링턴 스퀘어 가산 센트럴 푸르지오시티 국제전자센터 여의도우체국 사학연금회관 테헤란로 237 JW 메리어트 서울 오크우드 프리미어 코엑스센터 롯데호텔 L7 강남 용산 아모레퍼시픽 여의도 브라이튼 부산광역시 롯데호텔 부산 협성 마리나 G7 해운대 두산 위브 더 제니스 해운대 아이파크 파크 하얏트 부산 부산국제금융센터 해운대 엘시티 더샵 롯데타운타워 KNN 타워 W LG메트로시티 GS하이츠자이 해운대 더샵 센텀스타 해운대 더샵 센텀파크 해운대 더샵 아델리스 해운대센텀엘카사 서면 더샵 센트럴스타 더 게이트 센텀 WBC 더 팰리스 해운대 힐스테이트 위브 SK 허브 스카이 센텀 리더스 마크 이진 베이시티 센텀스카이비즈 해운대 대우 아라트리움 경동 제이드 비아이시티 비아이시티 호텔동 비아이시티 오피스텔동 마린시티자이 해운대 엑소디움 타워 범일 마제스 타워 오션브릿지 해운대 시타딘호텔 해운대 한신휴플러스 구포동 동원 로얄듀크 비스타 동래 한화 꿈에그린 남천 엑슬루 타워 영광골든타워 광안 쌍용예가 디오션 남천 코오롱 하늘채 골든비치 대연 롯데캐슬 레전드 대연 힐스테이트푸르지오 명지 더샵 퍼스트월드 오륙도 SK뷰 화명 롯데캐슬 카이저 해운대 SK뷰 국제신문빌딩 한화리조트 해운대 씨클라우드 호텔 동래 효성해링턴 플레이스 대구광역시 수성 SK 리더스 뷰 수성 두산 위브 더 제니스 두류역 제타시티 마크팰리스 범어 브라운스톤 범어 범어네거리 서한이다음 대구역 센트럴 자이 범어역 우방유쉘 두산 대우트럼프월드 경남 센트로팰리스 경남 센트로팰리스 오피스텔 월드마크 웨스트엔드 SK 허브 스카이 용산동 롯데캐슬 그랜드 대구 월배 아이파크 범어 화성파크드림 범어 센트럴 푸르지오 테크노 폴리스 중흥S클래스 월성 협성휴포레 인천광역시 포스코타워-송도 송도 더샵 센트럴파크 송도 센트럴파크 푸르지오 송도 센트럴파크 호텔 송도 더샵 퍼스트월드 청라 대우 푸르지오 송도 아트윈 푸르지오 G타워 청라 시티타워 송도 캠퍼스타운 청라 더샵 레이크 파크 송도 IBS타워 용현 엑슬루 타워 청라 엑슬루 타워 에코메트로 포스코 E&C 타워 부영송도타워 송도 센트로드 송도 아메리칸타운 아이파크 연수 푸르지오 학익 엑슬루 타워 청라 롯데캐슬 송도 푸르지오 하버뷰 송도 자이하버뷰 인천 더샵 스카이타워 갯벌타워 미추홀타워 베니키아 프리미어 송도 브릿지 호텔 쉐라톤 그랜드 인천 호텔 홀리데이 인 인천 송도호텔 다인 로얄팰리스 테라스 송도 롯데몰 송도 캐슬파크 로봇타워 송도 AT센터 힐스테이트 송도 더테라스 송도 랜드마크시티 센트럴 더샵 광주광역시 광주 호반 써밋플레이스 금호생명 본사 빌딩 중흥S클래스 스카이31 화정동 유니버시아드 힐스테이트 상무광명메이루즈 봉선동 남양휴튼 2차 아파트 첨단대우이안 벽산 블루밍 메가시티 아파트 첨단 힐스테이트 리버파크 각화 서희스타힐스 상무 유탑 유블레스 트윈시티 무등산 아이파크 아파트 대우디오빌 광주은행 본점 빌딩 각화 휴먼파크 서희스타힐스 대전광역시 대전 사이언스 콤플렉스 금강 엑슬루 타워 철도기관 공동사옥 서대전역 우방 아이유쉘 스카이팰리스 유성자이 아파트 대전 스마트 시티 정부대전청사 동아벤처타워 울산광역시 울산 이안 태화강 엑소디움 울산 롯데캐슬스카이 한양립스 더 스카이 신정 두산 위브 더 제니스 태화강 풍림 엑슬루 타워 우정동 마제스 타워 삼산동 대성 스카이렉스 울산 코오롱 파크폴리스 울산 삼환아르누보 롯데호텔 울산 세종특별자치시 세종 한신더휴 리저브 힐스테이트 세종 리버파크 도램마을 20단지 한양수자인 에듀파크 범지기마을 10단지 푸르지오 가재마을 세종현대엠코타운 5단지 아파트 세종 지웰 푸르지오 경기도 일산 두산위브더제니스 일산 요진 와이시티 힐스테이트 일산 일산 더샵 그라비스타 일산 킨텍스 꿈에그린 브로멕스 타워 일산 킨텍스 원시티 일산 대방디엠시티 메타폴리스 리첸시아 타워 흥덕IT밸리 네이버 그린팩토리 광교SK뷰레이크타워 광교SK뷰레이크타워 오피스동 광교SK뷰레이크타워 오피스텔동 평택용이1차푸르지오 평택용이2차푸르지오 남양주 부영 e그린타운 수지 래미안 이스트팰리스 평촌 아크로타워 하남 벨리체 힐스테이트 광교 금강펜테리움 IX타워 삼성디지털시티 현대성우오스타 코아루 광교 푸르지오 월드마크 그랑시티자이 안산 레이크타운 푸르지오 시흥 센트럴 푸르지오 평촌 오비즈타워 안양금융센터 광명역 센트럴 자이 G스퀘어 분당스퀘어 강원도 온의동 롯데캐슬 스카이클래스 보광휘닉스파크 블루동 하이원 그랜드 호텔 메인타워 하이원 그랜드 호텔 컨벤션타워 충청북도 신영 지웰시티 청주 두산위브더제니스 오창 서청주센트럴파크 충청남도 펜타포트 전라북도 우석대학교 대학본부 건지산 이지움 전주 라마다 호텔 전라남도 E편한세상 광양 엠블호텔 여수 한국농어촌공사 나주 본사 한국전력공사 나주 본사 남교트윈스타 에메랄드퀸 경상북도 장성 두산 위브 더 제니스 용황 협성휴포레 도량 롯데캐슬 골드파크 경상남도 창원 메트로시티 1차 창원 메트로시티 2차 더 시티7 자이 무학자이 거제 장평 유림 노르웨이숲 아파트 스타디메르 제주특별자치도 롯데시티호텔 제주 제주 칼호텔 메종글래드 제주 제주 드림타워 vdeh 서울특별시의 마천루영등포구의 마천루 63빌딩 서울국제금융센터 서울 제1국제금융센터 서울 제2국제금융센터 서울 제3국제금융센터 콘래드 서울 호텔 한기련회관 LG트윈타워 파크원 타워 여의도 페어몬트 호텔 에스트레뉴 타워 여의도 리첸시아 타워 여의도 대우트럼프월드 여의도우체국 사학연금회관 여의도 브라이튼 강남구의 마천루 트레이드 타워 뉴 트레이드 타워 아셈타워 파르나스 타워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삼성 타워팰리스 삼성 타워팰리스 1차 삼성 타워팰리스 2차 삼성 타워팰리스 3차 현대차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 현대차 컨벤션 호텔 강남 파이낸스 센터 큰길타워 GS타워 GT타워 삼성동 아이파크 아카데미 스위트 대림 아크로빌 DB금융센터 테헤란로 237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오크우드 프리미어 코엑스센터 롯데호텔 L7 강남 서초구의 마천루 서초 삼성타운 서초동 대림 아크로비스타 국제전자센터 부띠크모나코 현대 슈퍼빌 반포자이 반포 디에이치 클래스트 반포 래미안 퍼스티지 반포 아크로리버파크 JW 메리어트 서울 송파구의 마천루 롯데월드타워 롯데호텔월드 갤러리아 팰리스 삼성SDS타워 향군타워 잠실 롯데캐슬골드 잠실 푸르지오 월드마크 잠실 엘스 잠실 리센츠 잠실 트리지움 잠실 레이크팰리스 중구의 마천루 서울스퀘어 두산타워 롯데호텔 서울 KAL 빌딩 브라운스톤 서울 남산 트라팰리스 T타워 서울 시티타워 청계천 두산위브더제니스 덕수궁 롯데캐슬 종로구의 마천루 31빌딩 종로타워 SK서린빌딩 정부서울청사 광화문 D타워 양천구의 마천루 목동 하이페리온 목동 트라팰리스 SBS 방송 센터 현대 41 타워 용산구의 마천루 래미안 첼리투스 래미안 용산 더 센트럴 센트레빌 아스테리움 서울 용산 푸르지오 써밋 서울드래곤시티 용산 KCC 웰츠타워 KDB생명타워 트윈시티 남산타워 육군호텔 LS용산타워 용산시티파크 용산파크타워 용산파크자이 대우월드마크 용산 한강트럼프월드3차 용산 벽산메가트리움 LG유플러스 용산 사옥 KY빌딩 LSK플러스 용산 오피스 용산 센트럴파크 해링턴 스퀘어 용산 아모레퍼시픽 성동구의 마천루 한화 갤러리아포레 서울숲 더샵 서울숲 트리마제 아크로 서울 포레스트 뚝섬 부영아파트 뚝섬 부영호텔 성북구의 마천루 코업 스타클래스 동일하이빌 뉴시티 강동구의 마천루 래미안 강동 팰리스 이스트 센트럴 타워 강동 헤르셔 타워 중랑구의 마천루 상봉 프레미어스 엠코 상봉 듀오트리스 마포구의 마천루 메세나폴리스 메세나폴리스 레지던스 세아타워 마포한강푸르지오 상암카이저팰리스클래식 광진구의 마천루 더클래식500 더샵스타시티 강변 테크노마트 구로구의 마천루 디큐브시티 디큐브시티 아파트 신도림 테크노마트 G스퀘어 동대문구의 마천루 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 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 랜드마크 타워 청량리 동부청과 한양수자인 동작구의 마천루 보라매 쉐르빌 금천구의 마천루 가산 센트럴 푸르지오시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삼성_타워팰리스&oldid=23757584" 분류: 삼성물산서울특별시의 오피스텔서울특별시의 아파트서울 강남구의 건축물서울특별시의 마천루2002년 완공된 건축물2004년 완공된 건축물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에 없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Français日本語PortuguêsไทยTiếng Việt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23일 (토) 15: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삼성 타워팰리스(영어: Samsung Tower Palace)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분당선과 서울 지하철 3호선의 환승역인 도곡역 앞에 위치한 7개의 고급 주상복합 아파트 단지이며, 초고층 건물로 마천루이다. 설계는 미국의 건설업체 스키드모어, 오윙스 앤드 메릴이 맡았고, 삼성물산이 개발하였으며 A, B, C, D, E, F, G로 구성된 7개의 초고층 아파트들로 구성되어 있다.타워는 탑을 가리키고 팰리스는 궁전을 가리킨다.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건설된 초고층 주상복합 단지다. 타워팰리스에서 가장 높은 건물은 삼성 타워팰리스 3차 G동(69층, 265m)이며 타워팰리스에서 가장 낮은 건물은 삼성 타워팰리스 1차 D동(42층, 153m)이다. 면적의 공급은 69평이고 전용은 49평, 구조는 3룸, 2욕실, 1297세대 규모의 단지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삼성 타워팰리스의 최고층은 몇층인가? Assistant: 65층
Human: 아래 사운드_카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사운드 카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운드 카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지금은 출시되지 않고 있는 사운드 블라스터 라이브 벨류 카드 - 2000년 경의 PCI 사운드 카드. 사운드 카드(영어: sound card), 또는 오디오 카드(영어: audio card)는 내부 확장 카드의 하나로, 소리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내부 확장 카드(internal expansion card) 형태의 장치(칩셋)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를 통해 컴퓨터를 경유한 오디오 신호의 입출력을 담당한다. "사운드 카드"라는 용어 그 자체는 프로페셔널 오디오 응용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외장형 오디오 인터페이스에만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사운드 카드를 이용할 때에는 멀티미디어 응용 프로그램들을 위해 영상/소리 편집, 프레젠테이션/교육, 그리고 엔터테인먼트(오락)와 같은 오디오 구성 요소를 제공한다. 사운드 기능은 플러그인 카드와 비슷한 부품을 사용하여 메인보드에 내장된 경우도 있다. 내장형 사운드 시스템 또한 종종 "사운드 카드"로 부르기도 한다. 사운드 처리 하드웨어 또한 소리 출력을 위해 영상 기능이 있는 HDMI를 갖춘 현대의 비디오 카드에도 존재한다. 그 이전에는 메인보드나 사운드 카드에 SPDIF 연결을 사용했다. 목차 1 일반적인 특징 1.1 사운드 채널과 폴리포니 2 사운드 카드 표준 목록 3 색 코드 4 IBM PC 아키텍처의 사운드 카드의 역사 4.1 하드웨어 제조업체 5 확장 카드 이외의 사운드 장치 5.1 PC 메인보드에 포함된 통합형 사운드 하드웨어 5.2 다른 플랫폼 위의 통합형 사운드 5.3 다른 플랫폼 위의 사운드 카드 5.4 외장형 사운드 장치 6 드라이버 구조 7 사운드 카드 제조업체 목록 8 같이 보기 9 각주 10 외부 링크 일반적인 특징[편집] 사운드 카드 PCB의 확대 모습. 전해 축전기, SMT 축전기, 저항기, YAC512 2채널 16비트 DAC가 보인다. 대부분의 사운드 카드들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회로(DAC)를 사용하여 녹음되거나 발생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식으로 변환한다. 출력 신호는 TRS 폰 커넥터나 RCA 단자와 같은 표준 상호 연결을 사용하여 증폭기, 헤드폰, 또는 외부 장치에 연결된다. 단자의 수와 크기가 공간에 비해 너무 클 경우, 케이스 밖에서 사용되는 상자형 형태 또는 케이스 전면에 마운트되는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진보된 카드들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사운드 칩을 포함하고 있어서 더 높은 데이터 속도와 여러 동시성 기능을 지원하는데, 이를테면 일반적으로 최소화된 데이터와 CPU 시간을 사용하면서 실시간 음악 및 음향 효과에 쓰이는 합성된 소리의 디지털 출력을 들 수 있다. 디지털 소리 출력은 일반적으로 다채널 DAC를 통해 이루어지며 다른 높이와 볼륨으로 동시의 디지털 샘플을 기능할 수 있으며, 필터링이나 의도적인 왜곡과 같은 실시간 효과를 응용할 수 있다. 다채널 디지털 사운드 재생은 음악 합성에도 사용할 수 있는데, 컴플라이언스,[1] 심지어는 다채널 에뮬레이션을 할 때에도 사용된다. 이러한 접근은 제조업체들이 더 단순하고 비용이 더 낮은 사운드 카드를 강구하면서 일반화되고 있다. 대부분의 사운드 카드들은 카세트 테이프 및 그 밖의 마이크 보다 더 높은 수준의 전압이 있는 음원으로부터 입력 신호를 받기 위해 라인 인 단자를 갖추고 있다. 사운드 카드는 신호를 디지털화한다. DMAC는 샘플들을 메인 메모리에 전송하며, 여기에서 저장, 편집, 추가 가공을 위해 녹음 소프트웨어가 하드 디스크에 이를 기록한다. 일반화된 다른 외부 단자로는 마이크 단자가 있으며, 마이크로폰이나 기타 낮은 수준의 입력 장치로부터 신호를 받을 때 사용된다. 이를테면, 음성 인식이나 VoIP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마이크로폰 잭을 통한 입력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운드 채널과 폴리포니[편집] 8채널 DAC 시러스 로직 CS4382가 사운드 블라스터 X-Fi Fatal1ty에 위치해 있다. 중요한 사운드 카드의 특징으로는 폴리포니가 있으며, 이는 여러 개의 "독립적인" 음성이나 소리를 "동시에" 처리하고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일컫는 말이다. 이러한 구별된 "채널"들은 오디오 출력의 수로 간주되며, 2.0 (스테레오), 2.1 (스테레오와 서브우퍼), 5.1 (서라운드) 등의 구성과 같이 스피커 구성과 일치시킬 수 있다. 가끔은 출력 스피커 구성이 아닌 폴리포니의 수준을 언급할 때 "보이스"와 "채널"이라는 용어가 번갈아 사용되기도 한다. 이를테면, 수많은 오래된 사운드 칩들은 3개의 음성을 수용할 수 있었지만, 오직 하나의 오디오 채널만을 출력에 쓸 수 있었기에, 모든 음성이 함께 혼합되어야 했다. 나중에 애드립 사운드 카드와 같은 카드들이 하나의 모노 출력 채널에 9개 음성의 폴리포니를 병합할 수 있게 되었다. 여러 해에 걸쳐, 대부분의 PC 사운드 카드들은 다중 FM 합성 보이스(일반적으로 9 또는 16)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MIDI 음악에 흔히 사용되었다. 고급 카드들의 온전한 기능들은 완전하게 사용되는 일은 드물었다. 오직 하나(모노) 또는 두 개(스테레오)의 보이스와 채널이 일반적으로 디지털 사운드 샘플의 재생에 사용되었고 하나 이상의 디지털 사운드 샘플을 재생하려면 고정 샘플링 레이트의 소프트웨어 다운믹스가 필요했다. AC'97 표준 등의 오디오 코덱과 같이 가격이 낮은 현대의 내장 사운드 카드들(메인보드에 내장된)과 심지어는 일부 저가형 확장 사운드 카드들은 이러한 방식으로 동작했다. 이러한 장치들은 둘 이상의 사운드 출력 채널(일반적으로 5.1 또는 7.1 서라운드 사운드)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음향이든 MIDI 출력이든 간에 실제 하드웨어 폴리포니를 갖추지는 못했다. 이러한 작업들은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에서 수행되었다. 이는 비싸지 않은 소프트모뎀들이 하드웨어 대신 소프트웨어에서 현대의 작업을 수행한 것과 비슷하다. 또, 웨이브테이블 샘플 기반 합성 초기 시절에 일부 사운드 카드 제조업체들은 MIDI 기능에만 폴리포니를 단독으로 광고하였다. 이 경우, 카드의 출력 채널은 적절하지 않은데, 일반적으로 카드는 오직 2채널의 디지털 소리만 구현한 것이다. 즉, 폴리포니 측정 시 주어진 시간 안에 사운드 카드가 재생할 수 있는 MIDI 기기의 수에만 적용된 것이다. 오늘날, 출력 채널의 수에 관계 없이 실제 하드웨어 폴리포니를 제공하는 사운드 카드는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오디오 가속기"르 부르지만, 실제 보이스 폴리포니는 중요시되는 3차원 사운드의 하드웨어 가속, 포지셔널 오디오, 실시간 DSP 효과 등의 다른 요소와 더불어 필수 사항이 아니다. 디지털 사운드 재생을 이용할 수 있게 되고 합성 시 보다 더 나은 성능을 보이자, 하드웨어 폴리포니를 갖춘 현대의 사운드 카드들은 보이스의 수 많음의 채널을 가지고 실제로 DAC를 사용하지 않는다. 그 대신, 하드웨어에서 보이스 믹싱과 효과음 처리를 수행하며, 전용 DSP 안에서 특정한 효과를 적용하기 위해 주파수 도메인을 통한 디지털 필터링 및 변환을 수행하게 된다. 최종 재생 단계는 보이스 (이를테면 7.1 오디오의 경우 8채널의 경우 즉 32, 64, 또 128 보이스 안에서 구별됨) 보다 상당히 적은 수의 채널을 가지고 외부 (DSP 칩을 의미) DAC에 의해 수행된다. 사운드 카드 표준 목록[편집] 사운드 카드 표준 이름 연도 정확도 주파수 채널 PC 스피커 1981 6 비트 1 펄스 폭 변조 탠디 1984 16 볼륨 설정 122 Hz ~ 125 kHz 3 방형파 톤, 1 화이트 노이즈 MPU-401 1984 MIDI Covox 1986 8 비트 1 DAC 애드립 1987 64 볼륨 설정 ~49.716 kHz 6-보이스 FM 신시사이저, 5개 타악기 롤랜드 MT-32 1987 16 비트 32 kHz 8개 멜로디 채널, 1개 리듬 채널 사운드 블라스터 1989 8 비트 22 kHz 1 DAC; 11-보이스 FM 신시사이저 롤랜드 사운드 캔버스 1991 16 비트 32 kHz 24개 보이스 그레비스 울트라사운드 1992 16 비트 44.1 kHz 16개 스테레오 채널 AC97 1997 20 비트 96 kHz 6개 독립 출력 채널 환경 음향 확장 2001 8개 동시 3차원 보이스 인텔 고선명 오디오 2004 32 비트 192 kHz 최대 15개의 독립 출력 채널 색 코드[편집] 사운드 카드의 단자들은 PC 시스템 디자인 가이드에 의거하여 색으로 부호화된다.[2] 각각의 잭 위치와 관련하여 화살표, 구멍, 사운드웨이브가 있는 기호를 갖춘 경우도 있으며, 각각의 의미는 아래와 같다: 색 기능 단자 기호   분홍 아날로그 마이크로폰 오디오 입력. 3.5 mm TRS 마이크로폰   밝은 파랑 아날로그 라인 레벨 오디오 입력. 3.5 mm TRS 원으로 향하는 화살표   라임 초록 아날로그 라인 레벨 오디오 출력 (메인 스테레오 신호, 프론트 스피커나 헤드폰) 3.5 mm TRS 원의 한쪽에서 소리로 나가는 화살표   갈색 아날로그 라인 레벨 오디오 출력 (특수 패닝, "Right-to-left 스피커") 3.5 mm TRS   검정 아날로그 라인 레벨 오디오 출력 (서라운드 스피커, 일반적으로 후면 스테레오) 3.5 mm TRS   주황 아날로그 라인 레벨 오디오 출력 (중앙 채널 스피커, 서브우퍼) 3.5 mm TRS   은색/회색 아날로그 라인 레벨 오디오 출력 (양쪽 스피커) 3.5 mm TRS   금색/회색 게임 포트 / 미디 15 핀 D 두 면에서 소리로 나가는 화살표 IBM PC 아키텍처의 사운드 카드의 역사[편집] 애드립 뮤직 신시사이저 카드는 1990년 경 최초의 사운드 카드들 가운데 하나였다. 수동 볼륨 손잡이가 보인다. ISA-8 버스. ISA-16 버스용 사운드 카드 모자르트 16. 터틀 비치 사운드 카드. PCI 버스. 에코 디지털 오디오의 인디고 IO — PCMCIA 카드 24비트 96 kHz 스테레오 입출력 사운드 카드. PC용 비아 테크놀로지스 엔비 사운드 카드. PCI 슬롯 5.1 채널 IBM PC 호환 컴퓨터용 사운드 카드들은 1988년까지 그리 흔하지 않았으며, 하나의 내부 PC 스피커를 통해 초기의 PC 소프트웨어가 소리와 음악을 출력할 수 있었다.[3] 이 스피커 하드웨어는 일반적으로 방형파에 제한되어 "비퍼"(beeper)라는 별칭이 붙게 되었다. 출력되는 소리는 일반적으로 비프(beep)나 부프(boop)로 기술되었다. 액세스 소프트웨어와 같은 일부 기업들은 PC 스피커를 넘어선 디지털 소리 출력을 위한 기술들을 개발했다. (리얼사운드 참고) 기능만 겨우 지원되는 수준의 출력음은 왜곡된 출력과 낮은 음량의 문제가 있었고 소리 재생을 하는 동안에는 일반적으로 다른 모든 출력이 중단되어야 했다. 1980년대의 다른 가정용 컴퓨터 모델들에는 디지털 소리 재생의 하드웨어 지원, 음악 합성을 포함하였고, 음악 합성이나 게이밍과 같은 멀티미디어 응용 분야에서는 IBM PC에 불이익을 안겨주었다. IBM PC 플랫폼용 사운드 카드의 초기 디자인과 마케팅은 주로 게이밍에 기반하지 않았고 음악 합성(애드립 퍼스널 뮤직 시스템), IBM 뮤직 피처 카드, 크리에이티브 뮤직 시스템)이나 음성 합성 (디지스피치 DS201, Covox Speech Thing, 스트리트 일렉트로넥스 '에코')에 초점을 두었다. 1988년, 소비자 가전 전시회에서 컴퓨터 게임 CEO 패널은 PC의 제한된 소리 기능이 주도적인 가정용 컴퓨터에 방해가 되고 있고, 현재의 제품 보다 더 나은 기능을 갖춘 $49~79 사운드 카드가 필요하며 하드웨어가 널리 보급된다면 기업들이 이를 지원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EGA, VGA 비디오, 3 1/2" 디스크 지원에 앞장선 시에라 온라인은 그 해에 게임에 애드립, IBM 뮤직 피처, 롤랜드 MT-32을 지원하기로 약속하였다. 이 카드들은 $195~$600대에 가격이 형성되었다.[4] 1989년 컴퓨터 게이밍 월드 조사에 따르면 25개 게임 회사 중 18곳이 애드립, 6개의 롤랜드 / 코복스, 7개의 크리에이티브 뮤직 시스템/게임 블라스터를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5] 하드웨어 제조업체[편집] IBM PC용 사운드 카드의 최초 제조업체들 중 하나는 애드립이었으며, OPL2라는 야마하 YM3812 사운드 칩 기반의 카드를 생산하였다.[3] 크리에이티브 랩스 또한 크레에이티브 뮤직 시스템이라는 사운드 카드를 상품화하였다. 크리에이티브 랩스가 사운드 블라스터 카드를 선보였을 당시 IBM PC 호환 사운드 카드 시장에 큰 변화를 주었다.[3] 1980년대 말 롤랜드 또한 사운드 카드를 만들었으며, 다수가 MT-32, LAP-I와 같은 고품질 프로슈머 카드였다.[3] 확장 카드 이외의 사운드 장치[편집] PC 메인보드에 포함된 통합형 사운드 하드웨어[편집] 1984년, 최초의 IBM PCjr은 여러 진폭으로 3 방형파 톤을 만들 수 있는 매우 기본적인 3 보이스 사운드 합성 칩 (SNS6489)를 갖추었으며, 의사 화이트 노이즈 채널은 원시적인 타악기 소리를 낼 수 있었다. 처음 PCjr의 복제품인 탠디 1000은 이 기능을 복제하였고 여기서 탠디 TL/SL/RL 모델은 디지털 사운드 녹음 및 재생 기능을 갖추었다. PCjr의 비디오 표준을 지원하였던 1980년대 동안 수많은 게임들(탠디 호환, 탠디 그래픽스, TGA로 기술됨) 또한 PCjr/탠디 1000 오디오를 지원하였다. 1990년대 말 수많은 컴퓨터 제조업체들은 플러그인 사운드카드를 메인보드에 통합되는 코덱 칩(실제로는 하나의 통합된 오디오 AD/DA 컨버터)으로 대체하기 시작했다. 이 중 다수는 인텔의 AC'97 사양을 사용하였다. 그 밖의 것들은 값비싼 ACR 슬롯 액세서리 카드들을 사용했다. 2001년 즈음부터 수많은 메인보드들은 내장형 "실제"(코덱이 아닌) 사운드 카드들을 통합했으며 이는 보통 완전한 사운드 블라스터 호환성과 유사한 것을 제공하는 커스텀 칩셋의 일종이었고 상대적으로 고품질의 소리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이 기능들은 AC'97이 2004년 출시되어 천천히 수용 범위를 넓혀나간, 코덱 칩의 사용을 다시 규정한 인텔의 HD 오디오 표준에 의해 대체되면서 지원이 중단되었다. 2011년 기준으로 대부분의 메인보드들은 코덱 칩, 즉 HD 오디오 호환, 그리고 사운드 블라스터 호환을 사용하는 것으로 귀환하고 있다. 다른 플랫폼 위의 통합형 사운드[편집] 다양한 IBM PC 비호환 컴퓨터들, 이를테면 코모도어 64(1982년)와 아미가(1985년), NEC의 PC-88, PC-98, 후지쯔의 FM-7, FM 타운스, MSX,[6] 애플의 매킨토시, 워크스테이션 (썬과 같은 제조업체) 등의 초기 가정용 컴퓨터들은 자신들만의 메인보드 내장 사운드 장치들을 보유하였다. 일부의 경우, 특히 아미가, C64, PC-88, PC-98, MSX, FM-7, FM 타운스는 제조 당시 매우 진보한 기능들을 제공하였으며 그 외의 경우에는 최소한의 기능만 제공했다. 이들 플랫폼 중 일부는 자신들의 버스 구조들에 맞추어 설계뙨 사운드 카드들도 있었고 표준 PC에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PC-88, PC-98, MSX, FM-7 등 여러 일본의 컴퓨터 플랫폼들은 1980년대 중반 야마하의 내장 FM 합성 사운드를 갖추었다. 1989년, FM 타운스 컴퓨터 플랫폼은 내장형 PCM 샘플 기반 사운드를 제공하였고 CD-ROM 포맷을 지원하였다.[6] 아미가의 커스텀 사운드 칩 Paula는 4개의 디지털 사운드 채널(2개는 왼쪽 스피커, 2개는 오른쪽)을 갖추었고 한 채널마다 8비트 해상력(단, 패치를 하면 CPU 사용률을 높이는 대가로 14/15비트 지원 가능)을, 채널 당 6비트 볼륨 제어가 가능하였다. 아미가의 사운드 재생은 메인 CPU를 사용하지 않고 칩 RAM으로부터 직접 읽어들임으로써 마무리되었다. 대부분의 아케이드 게임들은 사운드 칩들을 내장하였으며, 가장 대중적인 것으로 샘플링된 오디오 및 음향 효과를 위해 다양한 DAC와 결합한 야마하 OPL 칩을 들 수 있다. 다른 플랫폼 위의 사운드 카드[편집] 컴퓨터에 사용된 최초의 사운드 카드는 PLATO 터미널용 음악 장치 Gooch Synthetic Woodwind였으며 사운드 카드와 MIDI의 선구자격으로서 묘사된다. 1972년 발명되었다. 특정한 초기 아케이드 기계들은 온보드 오디오에 이미 장착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운드 카드들을 사용하여 복잡한 오디오 파형과 디지털 음악 재생을 수행하였다. 아케이드 기계에 사용된 사운드 카드의 한 예로는 디지털 컴프레션 시스템 카드를 들 수 있으며 이는 미드웨이의 게임에 사용되었다. 이를테면 미드웨이 T 유닛 하드웨어의 모탈 컴뱃 II가 그것이다. T-유닛 하드웨어는 이미 OKI 6295 DAC와 결합된 온보드 YM2151 OPL 칩을 갖추고 있지만 게임은 DCS 카드를 대신 사용한다.[7] 이 카드는 또한 복잡한 반복 BGM과 음성 재생(레볼루션 X는 게임 출시 당시 인상깊은 기능의 하나로서 투명하게 반복되는 밴드의 음반에서 비롯된 완전히 샘플링된 노래를 사용했다)을 위해 아케이드 버전의 미드웨이와 에어로스미스의 레볼루션 X에도 사용되었다. 내장 사운드 기능과 함께 장비된 MSX 컴퓨터들은 사운드 카드에 의존하여 더 나은 품질의 소리를 냈다. 문사운드라는 이름의 카드는 야마하 OPL4 사운드 칩을 사용한다. 문사운드 이전까지는 MSX 뮤직, MSX 오디오라는 사운드카드가 있었으며 이것들은 시스템 상에 OPL2, OPL3 칩셋을 사용한다. IIGS까지 비프음 이외에 사운드 키능이 없던 애플 II 시리즈의 컴퓨터들은 다양한 제조업체의 플러그인 사운드 카드들을 사용할 수 있었다. 처음에 비퍼(beeper)만 있던 싱클레어 ZX 스펙트럼은 일부 사운드 카드를 갖추고 있었다. 한 예로 터보사운드를 들 수 있다.[8] 다른 예로는 풀러 박스(Fuller Box),[9][10] Melodik for the Didaktik Gamma, AY-Magic 등이 있다. ZX81용 Zon X-81[11][12]은 어댑터를 사용하여 ZX 스펙트럼에 사용이 가능하였다. 외장형 사운드 장치[편집] 코복스 스피치 띵과 같은 장치들은 IBM PC의 병렬 포트에 부착할 수 있었으며 6, 8비트의 PCM 샘플 데이터를 주입하여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또, 수많은 종류의 전문가용 사운드카드(오디오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편리, 그리고 개선된 정확도를 위해 외장 파이어와이어나 USB 장치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PCMCIA 카드버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사운드 카드는 노트북 컴퓨터가 온보드 사운드를 갖추기 이전에 구매할 수 있었다. 카드버스 오디오는 온보드 사운드의 품질이 떨어질 경우 지금도 사용이 가능하다. 카드버스 인터페이스들은 약 2005년 이후로 제조업체들이 컴퓨터 상에 추구하였던 익스프레스카드에 의해 퇴출되었다. 이 장치들 가운데 대부분은 모바일 DJ를 위해 한 시스템에서 재생과 모니터링을 허용하기 위해 별도의 출력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일부는 모바일 게이머를 대상으로 게이밍 노트북에 하이엔드 사운드를 제공하기도 한다. 드라이버 구조[편집] 사운드 카드를 사용하기 위해, 운영 체제는 특정한 장치 드라이버를 요구한다. 일부 운영 체제는 사용할 수 있는 일부 사운드 카드들의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고, 아니면 사운드 카드를 구매하면 드라이버 CD 등으로 배포되거나, 인터넷에서 내려 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IBM PC를 위한 도스 프로그램들은 공통의 미들웨어 드라이버 라이브러리(HMI 사운드 운영 체제, 미들 오디오 인터페이스 라이브러리 (ALI), 마일즈 사운드 시스템 등)를 사용해야 했다. 이러한 라이브러리들은 도스가 자체적으로 사운드 카드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공통 사운드 카드들에 동작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하였다. 몇몇 사운드 카드 제조 업체들은 미들웨어 TSR 기반의 드라이버를 제공하였으며, 일부 프로그램들은 프로그램 자체에서 사운드 카드를 지원하게끔 소스 코드를 단순히 프로그램에 통합하기도 했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는 사운드 카드 제조 업체가 만든 드라이버를 사용한다. 많은 메이커들은 마이크로소프트에 드라이버를 제공하여 윈도 설치본에 포함시킨다. 윈도 CD는 웹이나 FTP 사이트와 같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버그 수정과 다른 개선 사항들은 드라이버를 내려 받아 설치하여 얻을 수 있다. 비스타는 UAA를 사용한다. 수많은 유닉스 버전들은 포팅할 수 있는 오픈 사운드 시스템 (OSS)을 사용한다. 드라이버들은 사운드 카드 제조업체들이 거의 만들지 않는다. 대부분의 현대 리눅스 기반의 배포판들은 ALSA를 사용한다. 사운드 카드 제조업체 목록[편집] AIM ASUS 어드밴스트 그래비스 컴퓨터 테크놀로지 (파산) 애드립 (파산) Aureal Semiconductor (파산) Auzentech (파산) Aztech Labs Behavior Tech Computer Behringer C-Media 크리에이티브 테크놀로지 E-mu Systems (크리에이티브가 인수) 엔소닉 (크리에이티브가 인수) ESI HT 오메가 MARIAN 디지털 오디오 일렉트로닉스 M-오디오 온쿄 리얼텍 세미컨덕터 RME 오디오 롤랜드 트라이던트 마이크로시스템스 (파산) 터틀 비치 시스템스 비아 테크놀로지스 야마하 같이 보기[편집] 리얼텍 크리에이티브 랩스 C-Media 각주[편집] ↑ “Studio Recording Techniques - Recording Devices”. 《joelezekielconfetti》. 2016년 1월 20일에 확인함.  ↑ PC 99 System Design Guide, Intel Corporation and Microsoft Corporation, 14 July 1999. Chapter 3: PC 99 basic requirements (PC 99 System Design Guide (Self-extracting .exe archive). Requirement 3.18.3: Systems use a color-coding scheme for connectors and ports. Accessed 2012-11-26 ↑ 가 나 다 라 “보관 된 사본” (PDF). 2014년 9월 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24일에 확인함.  ↑ “Winds of Progress Unleashed in "Windy City"”. 《Computer Gaming World》. July 1988. 8면. 2013년 11월 3일에 확인함.  ↑ “The Gamer's Guide to Sound Boards”. 《Computer Gaming World》. September 1989. 18면. 2013년 11월 4일에 확인함.  ↑ 가 나 John Szczepaniak. “Retro Japanese Computers: Gaming's Final Frontier Retro Japanese Computers”. Hardcore Gaming 101. 2011년 3월 29일에 확인함.  Reprinted from 《Retro Gamer》 (67), 2009  ↑ System 16 - Midway T Unit Hardware ↑ VeleSoft ↑ WoS: Fuller Box ↑ “Crash Issue 01, February 1984”. 2017년 4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24일에 확인함.  ↑ ZON X-81 Programmable Sound Generator ↑ Sinclair User, issue 8, page 21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사운드 카드 PC 사운드 하드웨어의 역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사운드카드 박물관 사운드 카드의 동작 원리 vdehPC 사운드 카드IBM 호환 표준 PC 스피커 (1981) MPU-401 (1984) 코복스 (1986) 애드립 (1987) IBM 뮤직 피처 카드 (1987) 롤랜드 MT-32 (1987) 롤랜드 LAPC-I (1989) 사운드 블라스터 (1989) 일반 MIDI (1991) 롤랜드 GS (1991) 롤랜드 사운드 캔버스 (1991) 롤랜드 SC-55 (1991) 그레비스 울트라사운드 (1992) 야마하 XG (1994) AC'97 (1997) 일반 MIDI 레벨 2 (1999) 환경 음향 확장 (2001) 인텔 고선명 오디오 (2004) 기타 표준 MML (1978) SFG-01 (1983) MSX-오디오 (1984) SFG-02 (1984) 탠디 (1984) MSX-뮤직 (1987) 관련 항목 MIDI 표준 비교 MIDI vdeh기본 컴퓨터 부품컴퓨터 입력 장치 키보드 이미지 스캐너 마이크로폰 포인팅 장치 그래픽 태블릿 조이스틱 라이트 펜 마우스 광 포인팅 스틱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트랙볼 재생 가능 점자 디스플레이 사운드 카드 웹캠 소프트캠 그래픽 카드 컴퓨터 출력 장치 모니터 재생 가능 점자 디스플레이 프린터 스피커 플로터 사운드 카드 그래픽 카드 이동식 매체 광 디스크 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디스크 팩 플로피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플래시 드라이브 컴퓨터 케이스 중앙 처리 장치 (CPU) HDD / SSD / SSHD 메인보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전원 공급 장치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팩스 모뎀 확장 카드 포트 이더넷 파이어와이어 (IEEE 1394) 병렬 포트 직렬 포트 PS/2 단자 USB 선더볼트 디스플레이포트 / HDMI / DVI / VGA eSATA 오디오 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사운드_카드&oldid=24284474" 분류: 사운드 카드컴퓨터 주변기기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ҚазақшаКомиLatinaLumbaartLatviešuОлык марийമലയാളം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Тоҷикӣ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6일 (일) 18:1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사운드 카드(영어: sound card) 또는 오디오 카드(영어: audio card)는 소리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내부 확장 카드 형태의 장치(칩셋)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를 통해 컴퓨터를 경유한 오디오 신호의 입출력을 담당한다. "사운드 카드"라는 용어 자체는 프로페셔널 오디오 응용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외장형 오디오 인터페이스에만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사운드 카드를 이용할 때에는 멀티미디어 응용 프로그램들을 위해 영상/소리 편집, 프레젠테이션/교육, 그리고 엔터테인먼트(오락)와 같은 오디오 구성 요소를 제공한다. 사운드 기능은 플러그인 카드와 비슷한 부품을 사용하여 메인보드에 내장된 경우도 있다. 내장형 사운드 시스템 또한 종종 "사운드 카드"로 부르기도 한다. 사운드 처리 하드웨어 또한 소리 출력을 위해 영상 기능이 있는 HDMI를 갖춘 현대의 그래픽 카드에도 존재한다. 그 이전에는 메인보드나 사운드 카드에 SPDIF 연결을 사용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사운드카드 중 외장형 사운드 장치는 무엇일까? Assistant: 코복스 스피치 띵과 같은 장치들은 IBM PC의 병렬 포트에 부착할 수 있었으며 6, 8비트의 PCM 샘플 데이터를 주입하여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또, 수많은 종류의 전문가용 사운드카드(오디오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편리, 그리고 개선된 정확도를 위해 외장 파이어와이어나 USB 장치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PCMCIA 카드버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사운드 카드는 노트북 컴퓨터가 온보드 사운드를 갖추기 이전에 구매할 수 있었다. 카드버스 오디오는 온보드 사운드의 품질이 떨어질 경우 지금도 사용이 가능하다. 카드버스 인터페이스들은 약 2005년 이후로 제조업체들이 컴퓨터 상에 추구하였던 익스프레스카드에 의해 퇴출되었다. 이 장치들 가운데 대부분은 모바일 DJ를 위해 한 시스템에서 재생과 모니터링을 허용하기 위해 별도의 출력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일부는 모바일 게이머를 대상으로 게이밍 노트북에 하이엔드 사운드를 제공하기도 한다. Human: 아래 박중양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박중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중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원근 (1874년)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전체적인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울 정도로 너무 길게 쓰여 있습니다.문서의 본 주제에 맞도록 해당 부분들을 요약 정리하거나, 필요하다면 문서를 분할해주세요. 문서에 대한 의견은 토론란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6년 1월 18일에 문서의 요약이 요청되었습니다.) 같은 이름을 가진 다른 사람에 대해서는 박중양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박중양朴重陽 거옥 박중양의 초상화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의 황해도 도지사 임기 1921년 2월 12일 ~ 1923년 2월 24일 군주 요시히토 섭정 히로히토 총독 사이토 마코토 신상정보 출생일 1872년 5월 3일 출생지 조선 경기도 양주군 주내면 사망일 1959년 4월 23일 (86세) 사망지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시 침산1동 1652번지에서 노환, 폐질환, 과로 등의 합병증으로 인한 병사 학력 일본 도쿄 중학교 수료 일본 도쿄 아오야마 중학교 졸업 일본 도쿄 부기학교 전문학사 경력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의장조선총독부 충청북도 도지사 정당 무소속 부모 박정호(부), 전주 이씨 부인(모) 형제 박원양(형), 박계양(남동생) 배우자 본부인 전주 이씨 첩실 이름 미상(일본 여자) 자녀 아들 박문웅, 아들 박무웅, 아들 이름 미상, 딸 박정자 별명 자 원근(源根)호 해악(海岳), 일소(一笑), 거옥(車玉)박원근(朴源根), 박작대기, 朴忠重陽 종교 유교(성리학) 박중양(朴重陽, 일본식 이름: 朴忠重陽 호추 시게요, 1872년 5월 3일 ~ 1959년 4월 23일)은 대한제국과 일본제국의 관료이다. 본관은 반남(潘南)[1]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의장을 지닌 고문이자 백작이며, 1945년 일본의 태평양 전쟁 패전 직전까지 일본 제국의회 귀족원 의원을 역임하였다. 일제시대의 신념적 친일파이다. 1897년(건양 1년) 관비유학생으로 일본 유학 후 1903년(광무 6년)부터 1년간 일본의 관료로 생활하다가 귀국, 대한제국의 관료가 되었다. 일·러 전쟁에 일본군의 통역관으로 종군하였고, 그 뒤 유창한 일본어 실력과 언변으로 대한제국과 조선총독부의 신뢰를 얻기도 했다. 1905년에는 농상공부 주사로 대구에 파견나왔다가 진주 판관을 겸하였으며, 진주 판관 재직 중 진주성곽을 일부 철거하였다. 1906년에는 대구 군수로 있으면서 대구읍성을 철거, 해체를 주관하였다. 1908년(융희 2년) 경상북도 관찰사, 1910년(융희 4년) 8월 충청남도 관찰사를 지냈다. 경북관찰사 재직 중 단발령을 강제로 감행하였다. 1910년(융희 4년) 10월 韓日倂合이후에도 계속 관직에 있었고, 1915년 조선총독부 중추원 찬의를 거쳐 1916년부터 1920년까지 중추원 참의를 지냈다. 1921년 2월 황해도지사, 1923년 2월 충청북도지사에 임명되었다. 1927년 관직에서 물러나 다시 중추원 참의가 되고 1928년 황해도지사가 되었다가 다시 중추원 참의가 되고, 1941년 중추원 고문이 되었다. 1941년 일본 귀족원 칙선의원에 선임되었으나 사양하였다. 1943년 10월 중추원 부의장을 거쳐 1945년 4월 일본 귀족원 칙선의원이 되었다. 독립 후 친일파로 몰려 규탄받았으나 소신을 굽히지 않았다. 1949년 1월 대구 침산동 자택에서 체포되어 반민특위에 기소되었으나 병보석으로 출감하였다. 만년에는 대구 오봉산 근처에 은거하며 이완용에 대한 변호, 이토 히로부미에 대한 존경심을 공공연히 드러냈으며, 이승만과 이시영, 함태영을 비롯한 독립운동가 출신 정치인들의 무능함을 수시로 조롱, 비방하기도 했다. 술을 좋아하였으며, 한번에 일본 맥주 60병을 마셨고 소주는 40병까지 마신 일도 있으며,[2] '박태백', '보리술 지사'라는 별칭이 붙기도 했다.[2] 1907년에는 박중양이 맥주를 대음한 것이 신문 기사로도 보도되었다.[2]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의 문인이다. 목차 1 생애 1.1 생애 초반 1.1.1 출생과 가계 1.1.2 소년기 1.1.3 일본 유학 생활 1.1.3.1 도일과 중학교 재학 1.1.3.2 자객의 침입과 신변 위협 1.1.3.3 도쿄부기학교 재학 시절 1.1.4 이토 히로부미의 총애 1.2 대한제국기 활동 1.2.1 귀국과 일·러 전쟁 1.2.2 관료 생활 1.2.2.1 관료 생활 초반 1.2.2.2 일본 관병식 참석 1.2.2.3 이토 히로부미의 후원 1.2.2.4 대구읍성 해체 작업 1.2.2.5 대구읍성 해체 직후 1.2.2.6 평안남도 관찰사 재직 시절 1.2.3 고종 퇴위 전후 1.2.4 개혁 정책과 단발령 강행 1.2.5 경상북도 관찰사 재직 시절 1.2.6 들개 사냥 대 작전 1.2.7 순종 남행길 수행 1.2.8 대구 십자도로 개통과 일본인 관료 응징 1.3 일제 시대 활동 1.3.1 韓日倂合 직전 1.3.2 일제 시대 초반 1.3.2.1 韓日倂合 전후 1.3.2.2 공주-대전간 도로 건설 1.3.2.3 충청남도 도장관 재직 시절 1.3.2.4 일본인 관리 응징 1.3.2.5 사회 단체 활동 1.3.3 일제 시대 전반기의 혼란 수습 1.3.3.1 3.1 운동 비판과 진압 가담 1.3.3.2 조선총독부의 감시와 내사 1.3.3.3 황해도지사 재직, 수해 사태 수습 1.3.3.4 충북지사 재직과 관동대지진 수습 1.3.3.5 속리산 도로 개통 1.3.3.6 속리산 성추문 사건과 퇴직 1.3.4 밀주 단속 무마와 고미술품 수집 1.3.5 복직과 일제 시대 중반 1.3.6 조선인 참정권 운동 1.3.7 도지사 퇴직 이후 1.3.8 일제 시대 후반 1.3.8.1 중추원 활동 1.3.8.2 日·中전쟁 전후 1.3.8.3 태평양 전쟁 초반 1.3.8.4 전시 체제기 활동 1.3.9 참정권 허용 감사사절 파견과 귀국 1.4 독립 이후 1.4.1 독립 직후 1.4.2 친일파 청산론에 대한 비판 1.4.3 반민특위 기소와 석방 1.4.3.1 반민특위 제소와 재판 1.4.3.2 수감 생활 1.4.3.3 재판과 가석방 1.4.4 삼일절에 대한 조롱 1.5 생애 후반 1.5.1 오봉산 은거와 정부 비판 1.5.2 출판물 사건과 최후 1.6 사후 2 풍류 생활 3 약력 4 저서 4.1 작품 5 화랑 6 논란과 의혹 6.1 출신 성분 논란 6.2 박작대기와 백작댁 6.3 이토 히로부미 양아들 논란 6.4 땅 투기 의혹 6.5 친일파론에 대한 반론 6.6 발언 파문 6.7 침산 토지에 대한 의혹 7 박작대기 혹은 박짝대기 8 사상과 신념 8.1 양의, 의학교 설립론 8.2 단발령에 대한 확신 8.3 한국인 민족성에 대한 비판 8.4 개화파 애국자론 8.5 국가와 국민관 8.5.1 교육, 언론활동 지원 8.6 대구읍성 철거 8.7 진주성 철거의 시발점 8.8 이완용 희생자론 8.9 친일에 대한 소신 8.10 조선총독부 통치에 대한 긍정론 8.11 조선의 일본화 8.12 이토 히로부미에 대한 존경심 8.13 한국인 韓日倂合 기여론 8.14 현실주의 8.15 성실성 9 가족 관계 10 외모 11 평가와 비판 11.1 긍정적 평가 11.2 부정적 평가 12 기타 12.1 성품 12.2 선화당 측우기 12.3 대구 선교박물관의 기초 12.4 기타 13 박중양을 연기한 배우 14 관련 항목 15 각주 16 참고 자료 17 관련 서적 18 외부 링크 생애[편집] 생애 초반[편집] 출생과 가계[편집] 박중양 해악 박중양은 1874년 또는 1872년 5월 3일 경기도 양주군 주내에서 박정호(朴鼎鎬)와 그의 부인 전주이씨의 아들로 태어났다. 처음 이름은 박원근이었고, 성인이 된 뒤 중양으로 개명하였다. 그의 출생 년대는 정확하지 않아 1872년생 설과 1874년생 설이 있다. 만년에 친일파로 몰려 단죄되었기 때문에 그의 출생년도는 다소 정확하지 않다. 자는 원근이고 별명은 박작대기 또는 박짝대기인데, 이는 그가 나중에 작대기를 짚고 다녀서 붙여진 별명이었다. 그의 가계와 선대(先代) 역시 불확실한데, 반남 박씨라는 설과 밀양 박씨라는 설이 있다. 만년에 친일파로 몰려 단죄되었기 때문에 그의 정확한 가계 역시 전하지 않고 있다. 대구 오봉산 근처에는 그의 선조의 묘소 2기와 그의 내외 묘소, 아들 내외 묘소, 양주군에서 이장해 온 부모의 묘소가 20세기 말 무렵까지 존재했다 한다. 대구 오봉산 정상에는 그가 세운 '일소대'라는 기념비가 있었으나 독립 직후 파괴된다. 그의 가계는 오래 전에 몰락하여 그의 아버지의 대에 와서는 경기도 양주군 주내면에 와서 마름 노릇으로 겨우 생계를 이어갔다. 양주군 덕거리에 쌍분으로 있다 하는 그의 할아버지 박기숙(朴基肅+心)의 묘소 역시 불분명하며, 그 이상의 선대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아버지 박정호에게 내려진 가선대부 규장각제학 벼슬은, 사후 그가 가선대부로 승진하면서 추증된 것이었다. 나중에 출세하면서 그는 다시 본적을 선대의 고향 근처인 달성군 북면 침산동(達城郡 北面 砧山洞)으로 옮기게 된다. 그는 선조들의 고향인 대구에 정착했다. 후일 그가 대구에 정착한 것에 대해 대구의 일부 지역사학자들은 "경기도가 고향인 박중양이 대구에 정착하게 된 것은 일본 정계실력자들과의 교분을 강화화기 위해 일본에서 서울로 가는 길목인 대구가 적지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보기도 했다.[3] 소년기[편집] 불우했던 그의 어린시절에 대한 기록은 전하지 않고, 후일 자신이 쓴 자서전 《술회》에 일부 언급되어 있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기억력이 뛰어났으나 집안은 가난하였고, 그는 과거 시험에 응시할 형편이 되지 않았다. 그러나 일본과 미국의 신문물을 시찰할 유학생을 선발하게 되면서 그에게도 기회가 열렸다. 첫 일본 시찰 유학생 선발에 응시하였으나 몇 번 낙방하였다. 1894년(고종 31년) 日·淸전쟁을 전후하여 경성에 있던 일본인과 긴밀하게 교제하였다.[4] 日·淸전쟁이 발발하자 그는 일본의 승리를 예상하였는데, 그의 예상대로 일본이 승리하였다. 그러나 김옥균을 존경하던 그는 갑신정변의 실패를 보고 분노하였다. 특히 그는 김옥균을 유인해서 암살한 조선의 조정을 잔인하다며 지탄하였다.[5][6] 연좌 제도와 악형이 존재하는 이상 조선과 같은 나라는 문명국으로 보기 어렵다고 규정했다. 개화파 인사들을 선각자로 보고 존경했지만 그들 가족들의 비참한 최후와 능지처참, 연좌제 등의 악형을 목격하면서 그는 조선이란 나라가 존재할 가치가 있는 나라인가에 일찍부터 의문을 품게 되었다. 1896년(고종 33년) 7월 한성부로 올라가 윤치호, 서재필, 이상재 등이 만든 독립협회에 참여하였다. 1896년(고종 33년) 10월 11일 관비 유학생에 선발되어 일본 도쿄로 유학하였다.[7] 10월 11일 상선 아카시마루(明石丸) 편으로 일본에 도착, 10월 12일 도쿄로 올라갔다.[7] 일본 효고현 지사 스후 고헤이(周布公平)는 이들을 면담, 일본 입국 목적을 파악하여 10월 13일 외무대신 오쿠마 시게노부에게 보고하였다. 박중양은 일본에 온 이유를 "게이오기주쿠 입학을 위해서[7]"고 했다. 이때까지도 그는 박원근(朴源根)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8] 일본 유학 생활[편집] 도일과 중학교 재학[편집] 1897년(고종 34년) 관비유학생 자격으로 약 7년간 일본에서 유학하였는데, 그해 도쿄 중학교를 수료하였다. 유학생활하면서 기독교 목사 혼다 요이치(일본어: 本多庸一)를 만나 혼다 요이치의 식객으로 생활하다가, 그가 경영하던 아오야마학원(靑山學院) 중학부에서 수학하였다.[9] 이 무렵 그는 이토 히로부미를 찾아가 가르침을 청했다. 이토는 일본을 배우겠다는 그에게 사람들의 의식 수준과 치안, 행정 관서들을 잘 보라고 충고해주었고, 그의 권고로 경찰과 행정 쪽을 유심히 보게 된다. 국비장학생으로 일본에 건너간 그는 생활비를 자신이 직접 아르바이트로 조달했다. 그는 오랫동안 일기를 남겼는데 후일 그의 가택을 조사하다가 일기장을 발견한 반민특위의 한 조사관은 '일자무식, 돈 한푼 없이 일본으로 건너간 박중양이 살아온 역사가 그대로 적혀 있었다.[10]'고 평하였다. 일본 유학 중 그는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의 해산 소식을 접한다.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의 해체과정을 지켜본 그는 협회를 해산시킨 '무지한 애국자'들을 조롱하였다. 그는 "애국심을 핑계로 자유를 박탈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긴다, 애국심만 있으면 뭐든 용서된다고 믿는 얼간이들이 많다"며 조소했다. 황제의 말이라면 무조건 따르는 무지한 수준으로는 독립이 불가능하며 그런 수준으로는 독립을 달성하더라도 이내 다른 외세의 식민지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갑신정변의 실패와 연좌제도 적용, 이어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까지 강제 해산당하자 그는 분개한다. 중학생 재학 때부터 그는 하교시간, 방과후를 이용해 이토 히로부미의 서실을 찾아가 그의 문인이 되었다. 당시 이토 히로부미는 퇴청 후 별도의 서실을 열고 학교 진학 형편이 되지 않는 젊은이들에게 글을 가르치거나, 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방과후에 정치, 사상, 철학 등을 강의하였다. 우연히 이토의 문하에 찾아가게 된 그는 가난한 조선인 유학생이라는 이유로 일본인 젊은이들의 멸시와 무시를 당했지만, 이토 히로부미는 그가 가난한 조선인이라는 점을 차등대우하거나 무시하지 않고 자신의 서실에 오도록 받아들였다. 그는 이토가 편견없이 자신을 문하에 받아준 것에 깊이 감격하였다. 자객의 침입과 신변 위협[편집] 아오야마학원 중학교 재학 시절부터 그는 대한제국 정부가 파견한 자객의 미행을 받게 되었다. 그 무렵 1900년(광무 3년)에 도일 유학을 했던 한 유학생의 회고록에 의해서 당시 일본의 정황을 살피면, 동경역 부근 은 잡초가 우거진 허허 벌판이었고 , 철도 마차가 똥 오줌을 갈기며 현재 일류 번화가인 은좌 거리를 질주하던 시대였다고 한다.[11] 그 유학생에 의하면 '당시 한국인 유학생 들은 조성근, 노백린, 박중양, 장도, 이갑, 류동렬 등 선배 동급생을 합쳐서 50 명 내외 였다'고 한다.[11] 이들은 박영효가 국사범 으로 망명해 오자 전원이 박영효의 졸도(卒徒)인 양 오해를 받아서 한때는 구 조선 정부가 밀파한 자객의 미행을 받기도 하였다. 박영효의 거처를 탐지해 내기 위해서 인데, 그 자객의 행위를 경계하기 위해서 일인 형사가 으레 미행을 하기 마련이었다.[11] 중학생이던 박중양 역시 예외는 아니었다. 익명의 유학생에 의하면 그러니까 한인 유학생 하나가 나타났다 하면 험상 궂은 자객과 일인 형사가 마치 쥐가 서로 꼬리를 물듯 미행하면서 자못 살풍경 하던 시절이었다. 그러나 그들 초기 유학생 들은 누구나가 신 국가 건설의 역군을 자부하면서 여간 기개가 드높지 않았다.[11] 박중양은 자신에게 장학금을 주어 관비 장학생으로 일본에 파견해놓고, 오히려 간첩 취급하여 자객을 보낸 대한제국 정부에 다시 한번 실망하게 되며 조선을 혐오하기 시작한다. 도쿄부기학교 재학 시절[편집] 1900년(광무 3년) 야오야마 학원 보통중학과를 졸업하고 도쿄부기학교(東京簿記學校)에 입학하였다. 도쿄부기학교에서는 은행업무를 배우고 1903년 졸업했다. 이 무렵 그는 한국 이름 대신 야마모토 신(山本信)이라는 일본이름을 사용했다. 도쿄부기학교 재학 중인 1900년부터 1903년까지 도쿄 경시청에 경찰 제도 연구생으로 들어가 경찰 사무와 감옥 제도를 연구했다. 일본에 체류하는 동안 그는 일본의 문물과 정치 제도를 유심히 시찰했다. “ 나는 일본 정권을 파악하고 동양의 평화를 계략하고자 연구하였다. 일본 제국 정권이 정당 수중으로 집중된 이래 정권쟁탈이 당 간에 격심하여 지나인 군벌의 투쟁과 다르지 않다. 정당 정치가 된 연후의 정치 운행이 의원 다수가 포위하면 승리이다. 따라서 비열한 행동이 적지 않고 정치가 점차 부패해졌다.동경에 저택을 두고 경도 등지의 별장생활을 하면서 일본의 정당인들과 교류하고 그들의 생활 비용을 원조하며 그들의 심저를 섭취하면서 다수 의원을 포섭하는 것이 불가능하지 않고, 나의 이상적 대업을 능히 이루리라 자부 기대하였다. 요컨대 군비다.금(金)은 많고 적음의 문제다. 봉건시대 일본인들은 황금으로 교섭이 불가능했지만 지금의 일본 정당은 황금 만능 시대로 변성하였다. 일본 제국 정권을 파악하고 동양 대책을 위해 능히 이루리라 내심 자부, 연구하였다.[12] ” 금(金)은 많고 적음의 문제라며 재물을 모으는 것을 부도덕한 것으로 모는 것은 의미없는 짓이라고 규정했다. 그는 장차 수도를 평양으로 천도하고 조선에 의회 제도를 도입하며, 중립 외교를 견지하며 신생독립국들과 협력하는 중립국을 장차 조선의 이상적인 모델로 내다봤다. '평양 도시로 천도하고, 조선을 정치 중심으로 신생국가와 협력하여 동양평화를 보지하고 동양을 동양인의 실력으로 보전하기를 염원하였다.[12]' 그는 야마모토라는 일본식 이름과 유창한 일본어 실력으로 일본 관료들과도 친분을 쌓을 수가 있었다. 후일 경기도 도장관이 된 히가키(檜垣直右)나 충청북도 장관이 된 스즈키(鈴木隆)도 이때 사귀었던 인물들이다.[13] 이토 히로부미의 총애[편집] 도쿄에 관비 유학생으로 간 박중양은 다른 유학생들과는 달리 유흥에 빠지지 않고, 경찰 제도와 행정 제도, 기계시설 작동 등을 견학했다. 또한 방과시간 이후 이토 히로부미의 사설 서실과 이노우에 가오루, 후쿠자와 유키치 등을 방문하여 요시다 쇼인의 사상과 학문을 접하기도 했다. 도쿄 체류 중 어느 날 이토 히로부미의 부인이 바다에 빠진 위급한 찰나에 하늘같은 기회를 놓치지 않고 뛰어들어 여자를 구한 일은 이토 히로부미의 마음을 단번에 사로잡았다.[14] 이토 히로부미의 부인이 바다에 빠져 몹시 위급해졌을 때, 박중양이 뛰어들어 그녀를 구해주었다.[15]이토 히로부미의 부인을 구하였지만 박중양은 어떠한 대가도 사양하고, 값진 선물을 주었지만 사양하였다. 이토 히로부미는 목숨을 아끼지 않고 부인을 구한 박중양을 각별히 신뢰하였다. 한편 그의 일거수일투족은 자객들 등의 미행 때문에 수시로 이바라키현지사(茨城縣知事) 히로나카 타마미쓰(河野忠三), 경시총감 아다치 츠나유키(安立綱之) 등은 외무대신에게 실시간으로 그의 일거수 일투족을 보고하였다. 박중양은 이토 히로부미를 찾아가 그의 문하에서도 수학하였다. 이토는 그를 비롯하여 자신의 문하를 찾아온 조선인 유학생들을 차별대우하지 않았고, 오히려 수업료를 내지 못하는 처지를 탓하거나 문제삼지 않았다. 이토의 인품에 감화된 박중양은 평생 이토 히로부미나 이등박문이라 하지 않고, 이등 공(公), 춘보 공(公), 이토 공이라고 꼬박 존칭을 붙여서 불렀다. 1904년 귀국 이후 한국통감으로 부임해온 스승 이토 히로부미를 다시 만나면서, 그의 관료생활의 후원자 역할을 하게 된다. 1904년(광무 7년) 3월 15일 러일전쟁에 종군하겠다고 일본 외무성에 밝히고, 4월 배편으로 부산항을 거쳐 경성으로 상경하였다. 귀국 후 그는 일본 유학 중에 자신이 보고 들은 것을 한국의 행정에 서서히 적용하려 하였으나 반대에 부딛쳐 실패하고 만다. 귀국 직후 고종에게 상소를 올려 '평양도시로 천도하고, 조선을 정치 중심으로 신생국가와 협력해야 된다[14]'며 조선을 영세 중립국화할 것을 건의했지만 묵살당했다. 일본 체류 중 후쿠자와 유키치, 이노우에 가오루, 이토 히로부미 등을 만나 가르침을 받았는데, 이들은 조선인에게 필요한 것은 서구 문물의 유입 이전에 공공정신과 질서라고 조언하였다. 그는 특히 이토 히로부미를 존경하여 그를 사사하였다. 대한제국기 활동[편집] 귀국과 일·러 전쟁[편집] 초대 조선 통감 이토 히로부미 러일 전쟁 당시 일본군 러일전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일본에서 귀국 후, 1903년(광무 6년) 6월 16일 관리서 주사(管理署主事) 판임관8등(判任官八等)에 임용되었다.[16] 6월 17일 관리서 주사직을 의원면직 신청하였으나 사직서가 반려되었다. 바로 수구파를 내치고 애국적인 세력을 등용할 것을 상소하였으나 상소는 올라가지도 않았고, 그해 말 관리서주사직을 그만두었다. 1904년 2월 일·러전쟁이 일어나자 일본군의 고등통역관 대우로 임명되어 일본군에 종군하여 인천, 황해남도 진남포, 용암포와 중국 청나라 안둥현 등지에서 활동하다가 귀국하였다. 귀국 직후 관직에 나가지 않고 있었으나 그의 탁월한 일본어 실력을 인정받아 대한제국 조정에서는 그를 다시 부른다. 한편 그는 일본인을 잘 섬겨 이토 히로부미에게 "한국에서 가장 좋은 관리는 오직 박중양 이다." 는 말을 듣기도 했다.[17] 일본인과의 교제, 일본 생활, 종군 생활을 통하여 그는 일본인을 신뢰, 일본 사회를 동경하게 되었다. 그는 일본인의 신의와 우수성을 높게샀으며 그들의 친절에 감탄하였고, 일본인 기녀에 대해 좋은 추억도 갖게 되었다. 그리고 조선의 국정 개선을 위해 생명을 돌보지 않고 자원하는 일본인의 의협심을 가슴에 담게 되었다. 한편 박중양은 이와 반대로 조선인들은 '야만적'이라고 봤다. 그가 조선인들을 야만적으로 본 이유는 '사기에 능하고, 도벽이 있고, 또한 파괴성이 있다'고 봤다. 그는 조선인과 일본인을 비교하며 조선인이 공공 정신이 없고, 사기와 거짓말에 능하며 사람 봐가면서 뒤통수를 치는 것과 도벽과 허세가 심한 점을 보면서 실망하게 된다. 관료 생활[편집] 관료 생활 초반[편집] 1900년대 초의 박중양 농상공부, 진주성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같은 해 11월 농상공부 주사(農商工部主事)가 되어 바른 인사를 등용할 것을 청하는 상소를 올렸지만 외면당했다. 바로 대구 파견을 자청하여 1년간 대구에서 체류하였으며, 이 때 유창한 일본어 실력으로 통역을 하면서 관찰사와 일본인 사이의 갈등을 조절했다. 당시 대구에서는 경부선 개통 이후 이곳에 몰려든 일본인과 경북 관찰사 사이에 빈번한 대립과 충돌이 있었다. 일본인들은 관찰사의 일을 방해했고, 배척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런 연유로 박중양이 대구에 있던 1년 사이에도 장승원, 이용익, 이근호, 신태휴 등으로 관찰사가 빈번하게 바뀌었다. 이때 박중양은 이 충돌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였다. 때로는 일본인의 편에서 또 때로는 중간적인 입장에서 활동하면서 그는 일본인들로부터 신뢰할 만한 사람이라는 평가를 받게 되었다. 1905년(광무 8년) 2월 6품으로 승진하였다. 그해 2월 10일 진주군수 이용교(李瑢敎)가 뇌물을 수수했다는 이유로 탄핵을 받고 파면되자 진주 판관(晋州判官)으로 부임, 2월 20일까지 진주 판관 겸 진주군수 서리(晋州判官兼晋州郡守署理)를 겸하였다. 이때 박중양은 진주성의 일부를 해체하였다.[18] 임진왜란 당시 왜병 5만 명 앞에서도 난공불락이었던 진주성은 박중양이 성첩을 팔아먹는 바람에 나중에는 촉석루 1채 만을 남기고 자취를 감추게 된다.[18] 성곽의 일부는 성 북방에 있던 대사지(大寺池)등 세못과 해자를 메웠다. 그해 3월 다시 일본으로 유학, 도쿄에서 고등과를 다녔다.[19] 이듬해 5월 귀국한다. 일본 관병식 참석[편집] 1906년(광무 8년) 1월 일본 체류 중 경상북도 대구판관으로 임명되었다. 1906년 4월 17일 군부기사(軍部技師)로 일본군 관병식(觀兵式) 시찰차 육군부장 이근호(李根澔), 부령 조성근(趙性根), 어담(魚潭), 참령 윤치성(尹致晟), 정위 김기원(金基元), 임재덕(林在德)과 함께 일본에 파견되었다.[20] 1906년 5월 5일 군부기사(軍部技師) 주임관 4등(奏任官四等)으로 발령되었다가, 다시 군부 군기창 주사(軍器廠主事)로 전보되었다. 5월 20일에는 주전원 경위국 경무관(主殿院警衛局警務官)으로 발령되었다.[21] 그러나 6월 6일 사직서를 제출하고 의원면직하였다.[22][23] 1906년(광무 9년) 6월 군부 특별 파견원에 임명되고, 그해 의친왕 이강(義親王 李堈)이 대한제국 정부 특파대사로 일본 도쿄를 방문할 때, 박중양은 현지에서 통역관 자격으로 수행원의 한사람이 되어 의친왕을 수행하여 도쿄로 갔다.[24] 바로 6월 6일 도쿄에서 열린 관병식(觀兵式)에 대한제국 사절단의 한 사람으로 참석하고 일본 정부가 주는 훈6등 서보장을 받았다. 이때 이토 히로부미를 찾아가 한국 사회에 대해 설명하고 희망이 없다며, '조선에는 희망이 없어 미국유학이나 하고 싶으니 자신의 미국 유학을 도와달라'고 청탁하였다. 그러나 이토 히로부미는 미국 유학 대신 관직에 계속 머물러 있으라고 충고해주었다. 6월 26일 의친왕 일행이 귀국하자 수행원에서 면직되었다. 이토 히로부미의 후원[편집] 1906년 7월 일본 도쿄에서 고등과를 졸업하고, 귀국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당시 이토 히로부미의 통역관으로 선택되었다.[19] 1906년 7월 12일 조선통감부 통감 이토 히로부미의 후원으로 6품으로 승진, 주전원(主殿院) 경위국 경무관(警衛局警務官) 주임관4등(奏任官四等)이 되었다. 이토 통감의 총애를 받은 박중양은 국가 중대사가 있을 때마다 통역을 도맡았다. 뿐만 아니라 의친왕이 일본에 행차할 때는 통역 수행원으로 따르기도 하였다.[13] 1905년(광무 8년) 을사 보호 조약이 체결될 무렵 그는 이를 저지하지 않는 조정 대신들을 무책임하다며 성토하였다. 을사 보호 조약이 체결되자 그는 사실상 대한제국이 멸망한 것으로 간주하고 체념하였다. 1906년 일본에 사절로 갔던 의친왕 수행원으로 일본을 방문, 수행한 공로로 일본정부가 보내준 훈6등 서보장을 받았다. 이 무렵, 이토 히로부미의 양자가 되었다는 설이 있을 만큼 그는 조선통감부의 신임을 받았다. 유창한 일본어 실력과 함께 논리적인 언변과 처신 등으로 일본인들도 함부로 다루지 못했고 이때 '일본인들도 칭송한 야마모토 군수'로 명성을 날리기도 했다. 1906년(광무 9년) 7월 중순 박중양은 다시 대구판관으로 나갔다가, 그해 7월 19일 통정대부 대구 군수 겸 경상북도관찰사 서리 주임관 4등으로 승진했다. 대구군수가 되자마자 새롭게 대구군청을 건립하였다. 이때 그는 대구의 지역 유지와 기업인들을 모아서, 이들의 자금을 헌납받아 대구군청을 건립했다. 이를 두고 '권력을 악용해 몇몇 유지들을 동원해 사사로이 시청(市廳)을 만들어 대구 지방민에 대해 탐학을 저질렀다[25]'는 비판도 존재한다. 한때 이토 히로부미의 양자로 알려지기도 했던 박중양은 유학시절에 쌓은 일본인 인맥과 일본어 실력을 바탕으로 1906년 경북관찰사 서리 겸 대구군수로 부임했다.[26] 7월부터 경상북도 이사청 설치의 준비, 감독을 맡은 그는 9월 15일 경상북도 관찰사부에 부속된 선화당(宣化堂) 건물에 대구이사청을 설치하였다. 대구읍성 해체 작업[편집] 1906년 10월 대구읍성 철거 보고서 대구읍성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위키문헌에 이 글과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대구읍성 철거 보고서 1906년(광무 9년) 10월 1일 대구군수 재직 중 주임관 3등(奏任官三等)으로 승급했다.[27] 1906년 대구 이사청의 오카모토 부이사관(副理事官)과 가게야마(景山) 민단장대리 등이 대구성곽을 철거하고 그 터를 도로로 할 것을 경상북도관찰사서리 대구군수 박중양에게 강권했다.[28] 대구군수로 재직하며 대구읍성을 허물고 도로를 만들어 지식인들의 원성을 사는가 하면 동시에 일본인이 상권을 장악하도록 협조했다. 이때 내무부의 허가를 받지않고 일을 처리하여 징계를 받을 상황이었지만 이토 히로부미의 도움으로 오히려 영전[29]했다. 박중양은 조정의 불허 방침에도 불구하고 일진회를 동원해 성벽을 허물고 그 자리에 도로를 냈던 것이다.[30] 이는 이토 히로부미의 비호 속에 가능했다.[30] 통감정치를 하고 있을 무렵, 그는 '대구성을 헐어도 되는가'라는 공문을 보냈으나 조정에서는 불가(不可)의 명령이 내려왔다.[31] 그러나 박중양은 읍성 해체를 강행한다. 1906년 당시 그는 조정의 승인도 없이 일본 거류민단의 주장을 받아들여 철거 작업에 들어갔다.[32] 일본인들은 대구역 근처에 매입해둔 도원동 일대 수만평의 땅을 개발하기 위해 대구읍성의 철거를 요구했던 것이다.[32] 철거를 시작한지 10일이 경과한 10월 1일에 철거해도 되느냐는 장계를 보냈다. “ 대구부의 성이 오래되어 토석(土石)이 곳곳에 붕괴되어, 다니는데 방해만 되고 심히 위험하온데, 곧 성첩을 철거할진대 성벽을 허물어 도로를 내어 자연스레 대구의 주요 시설물로 만들고자 하오니 대구부청이 이를 주관케 해 주시고 이 사업을 실행케 하고자 조정에 보고하오니 소상히 판단하셔서 처분을 내려주시기를 기다립니다-1906년 10월 1일 경상북도관찰사서리 겸 대구군수 박중양[33] ” 당시 대구군수였던 박중양은‘혁구개신(革舊改新·옛 것을 고쳐 새 것으로 만든다)’이라는 명분 아래 대구읍성 해체를 시작했다.[34] 박중양은 일본인 이와세, 니타에, 사이토, 이토 네 사람과 극비리에 모의하고 韓·日 인부 60명을 부산에서 고용하여 읍성 해체를 시작하였다. “ 박중양 관찰사 서리의 뜻을 받은 이와세, 나카에, 사이토, 이토모토 네 사람은 극비리에 인부 60명쯤을 부산에서 데려와 하룻밤 사이에 성벽의 이곳저곳을 파괴했다. 다음날 아침이 되자 ‘치기영 치기영 치기영’ 하면서, 목도꾼으로 부르는 인부들이 큰 돌, 작은 돌을 운반하고 있었다. 한국사람은 원래 어깨로 물건을 메는 것이 아니라 등으로 물건을 져 나른다. 박 관찰사는 이때 처음으로 목도꾼이라는 이름을 들었고, 그 운반하는 모습을 보았다고 말했다. 무거운 물건을 두 사람 이상이 나를 때, 일본사람들은 ‘영치기 영치기’라고 소리를 질러 호흡을 맞춘다. 한국사람들이 듣기를 ‘치기영’이라고 울렸는지 지금도 조선인은 첫 소리매김이 ‘치기영 치기영’이라고 나온다 하니까 우습다. 착각이라는 것이 재미있다.[35] ” 박중양이 비밀리에 부산에서 데리고 온 인부 60명이 대구 읍성을 허무는 일은 순조로이 진행되었다. 흰옷을 입은 조선인 무리에서 선비 한 명이 분을 못 이긴 채 앞으로 나섰지만, 주위의 만류로 물러났다.[14] 박중양은 물러서는 조선인을 바라보며 혀를 끌끌 찼다. ‘무력한 조선인이 기껏 덤비는 꼴이라니….’ 그리고 인부들을 향해 목청을 높였다. “시작하라! 동트기 전 지시한 바를 차질없이 수행하라!” 박중양의 벽력같은 호령과 함께 성벽이 파괴되는 소리가 천지를 울렸다. 곡괭이질 한 번에 남자들이 울었고, 그 울음소리에 아녀자가 뛰어나와 울었다. 울음소리는 성벽에 붙어 우는 가을벌레의 소리처럼 측은하고 가여웠다. 박중양은 조선인들의 얼굴을 바라보며 눈살을 찌푸렸다. 그들의 울음 속에 서식하고 있는 무력함이 지긋지긋했다.[14] 박중양은 조정의 불허 방침에도 불구하고 일진회를 동원해 성벽을 허물고 그 자리에 도로를 냈던 것이다.[36] 이는 이토 히로부미의 비호 속에 가능했다[36]는 시각도 있다. 대구읍성 해체 직후[편집] 박중양을 풍자한 중양타령, 대한매일신보 대구읍성 해체 직전 대구시가도 대구읍성을 대한제국 내부의 지시 없이 해체한 일로 내부에서는 그에 대한 추궁이 들어왔다. 이때 이 성벽 파괴작업은 오직 박중양 의 독단으로 감행한 일로 목이 달아날 각오로 대들었다고 한다. 그는 그런 경우를 생각 하고 두 아들(文雄, 武雄)을 일본으로 망명 시킬 준비도 하였다는 것이다.[37] 박중양은 대한제국 정부로부터 비위를 규명하기 위한 칙서를 받고 신변이 위태해졌으나 조선통감부 통감 이토 히로부미의 설득으로 징계를 면할 수 있었다. 대구읍성을 해체한 박중양은 경상북도 감영의 객사였던 태평관을 없애려하자 기생 염농산 등은 주민들과 합세하여 태평관 앞에서 농성하였다. 강제로 해산하려 하였으나 해산하지 않자 그는 사연이 있을 것이라 보고 태평관 해체를 포기했다. 대한매일신보는 박중양이 성벽을 허물고 나온 성돌을 1개에 1냥씩 받고 일본인에게 팔았다고 보도하기도 했다.[38] 이 때 일부 선교사들이 성돌을 옮겨다 집을 지었고, 선교사 주택뿐만 아니라 신명학교·계성학교, 동산의료원 및 약전골목, 일반 고택 등으로 흩어졌다.[39] 이때 그의 덕택에 상권을 확보한 일본인들은 박중양이 전라남도관찰사로 부임해갈 때 석별의 기념으로 시계를 선물했을 만큼 그를 고맙게 생각했다.[40] 대구군수 재직 중 그는 대구객사를 매각하였으며, 공자묘를 헐어버리기도 했다. 또한 대구의 공공건물에 있던 이승만, 서재필의 후원을 받던 협성학교를 내쫓아버리기도 했다. 이 일로 여러 사람들의 반감을 사기도 했다. 성벽해체 소식을 재빨리 들은 사람들은 눈먼 땅을 사재기하여 부자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31] 성 밖에 땅값은 평당 10원이었으나 오히려 성안의 땅 값은 2원이었다는 것이다.[31] 1907년 5월 박중양 관찰사는 대구 약령시를 구 경상감영 옆의 객사에서 구 대구읍성 남문 밖 약전골목(남성로와 동성로 일부)으로 이전케 하였다. 대구읍성을 해체한 뒤 일인들은 헐값에 사들인 도원동 일대 저습지를 헐어낸 성토와 석재로 매립해 큰돈을 벌었다.[36] 훗날 “박중양이 전라남도 관찰사로 부임해 갈 때 일본인들은 석별의 기념으로 시계를 선물했을 만큼 그를 고맙게 생각했다”고 한다.[32] 평안남도 관찰사 재직 시절[편집] 대구읍성 철거 이후 대구시가지는 확장되었다. 그가 대구 시가지를 확장시켰다는 여론도 나타나면서 그를 처벌하려던 시도는 사라진다. 1907년(광무 10년) 초에는 가선대부로 승진하고 칙임관 4등(勅任官四等)이 되었으며, 평안남도 관찰사로 영전했다가 그해 5월 20일 전라남도 관찰사로 부임하였다. 전라남도에서는 잠시 재직하였지만, 조정에 흉년을 이유로 농민들의 빚과 토지세를 탕감해주었으므로 수전라남도 관찰사에서 이임할 때 전남의 지역 유지들은 그에게 황금 시계를 선물해 주었다. 1907년 6월 1일 평안북도 관찰사로 임명되었다가 취소되고 다시 대구군수가 되었다. 다시 6월 7일 가선대부가 되어 다시 평안남도관찰사(平安南道觀察使)로 부임하고 칙임관 3등(勅任官三等)으로 승급했으며 6월 10일 이시영이 평안남도 세무감(平安南道稅務監)에서 해임되자 평안남도세무감을 겸직하였다. 이어 1907년(광무 10년) 6월 13일 평안남도재판소 판사, 평안남도 관립 일어학교 교장(平安南道官立日語學校長)에 임명되어 평안남도 관찰사로 평안남도세무감과 재판소판사, 관립일어학교 교장 등을 겸임했다. 이때 그는 냉철한 판단력과 특혜 없는 판결로 명성을 쌓았고, 위생 사업과 도로 정비, 단발령 강행, 병원 유치 등에 힘썼다. 1807년 평안남도 선유사(宣諭使)를 겸임하였다. 그는 술을 좋아하였다. 주로 밀주와 보리술, 막걸리 등 술을 잘 마셨다. 술을 좋아하던 관료들에서도 유명한 사람은 '보릿술 지사(知事)' 라는 별명 을 듣던 박중양이었다.[2] 1907년 박중양 이 맥주를 대음 (大飮)하는 한 대목이 신문 기사로도 보도되었다.[2] “ 평남 관찰사 박중양 씨는 성질 이 이상 하야 1 홉으로 매일 1호 에 다음제발(多飮諸拔)하야 한나절 에 일본 맥주 60병 을 능음무여(能飮無餘)하고 소주는 40병을 근음(僅飮)하얏으니 음주거량(飮酒巨量)은 박중양이라 말고 박태백(朴太白)이라 위할지오. ...(이하 중략)...[2] ” 한번은 소주를 40병 까지 마셨다고 한다. 언론인 겸 작가 이용선은 '불과 한나절 동안에 맥주 60병을 혼자서 거뜬히 먹고 나섰으니 과연 '박태백'이요, '보리술 관찰사'라고 불려도 화낼 일은 아닐 것이다.[2]'라고 하였다. 박중양은 술에 취하면 말수가 적었으며 좋고 나쁜 기색을 드러내지 않았다. 다량의 술을 마셨지만 그는 술주정을 하지 않기로도 유명하였다. 또한 그는 종종 홀로 창가를 바라보며 흡연과 술을 마시기도 했다. 그러나 평안남도에 있을 당시 근무 성적이 나빠서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했다. 권위주의적인 태도와 민중에 대한 무관심과 경멸, 냉정한 태도 역시 백성들의 불만을 자극했다. '박중양의 횡포는 백성들에게 많은 고통을 안겨 주었다.[13] 그의 친일행각과 학정이 얼마나 심했는지 원성을 담은 ‘중양타령’이라는 노래까지 나왔을 지경이었다.[36] 이는 대한매일신보 '제2의 박중양'에서 평안남도관찰사 이진호를 겨냥하여 "박중양의 횡포로 인민의 고통은 말도 못할 지경인데, 박중양이 둘이나 되니 인민이 어떻게 살아갈지 민정(民情)을 슬퍼한다"는 기사에서도 묘사되었다.[13] 고종 퇴위 전후[편집] 1907년(광무 10년) 7월 고종이 퇴위를 선언하자 그는 고종의 퇴위를 반대하였다. 그러나 그의 양위 철회 상소에 상관없이 고종은 양위하고 말았다. 1907년(융희 1년) 8월 고종의 강제 퇴위 이후 항일의병전쟁이 전국토를 뒤흔들자, 그는 의병들을 폭도로 규정하고 그들의 상황을 면밀하게 조사 보고하였다.[13] 8월 12일에는 삼화부 주사 안양준(安養駿)이 뇌물을 각 면의 면장들에게 불법적으로 받은 일로 징계하여 파면시켰다. 그해 10월 30일 우편사무 취급 권한을 이용하여 백성의 편지를 함부로 열람해본 영원군 군수 김제민(金濟民)을 내부에 보고하여 월권행위를 적발하여 파면시켰다. 1907년 10월 2일에는 성천군의 나서성(羅瑞成)이 민심을 선동한다고 보고하였다. 1907년 10월 23일 평안남도선유사에 임명되어 순시하였다. 이때부터 평안남도재판소 판사는 참서관이 서리가 되었다. 11월 7일에는 내무부에 상소를 올려 지방 판임관은 해당 도관찰사가 임명하게 해달라고 상소하였다.[41] 그의 상소가 받아들여져 1908년 1월 1일부터는 판임관급 이하의 관리들은 해당 도의 관찰사가 직접 임명케 하였다. 그해 11월 11일 근무중에 임지를 이탈하여 한성부에 사사로이 올라왔다가 내부로부터 징계를 당하기도 했다. 12월 1일 선유사 직무를 마치고 관찰사직으로 복귀하였다. 그는 각 지방관에게 부여한 우편취급 사무에 대해 지방관들이 우편을 함부로 열람하지 못하게 할 대책 마련을 조정에 건의하였다. 1908년(융희 2년) 2월 통역관으로 일·러전쟁에 종군, 협력한 공로를 인정받아 훈5등 서보장을 전달받았다. 그해 6월 6일 각 관립외국어학교 졸업생 중 내부대신이 임의로 인재를 채용하려 하자, 박중양은 정식 채용시험을 보지 않은 인물을 내부대신이 임의로 채용, 인사를 단행함은 월권행위, 권력남용이니 옳지 못하다 하여 무산시켰다. 1908년 6월 11일 경상북도 관찰사 겸 경상북도재판소 판사 칙임관 3등에 임명되어 바로 부임하였다. 그런데 1907년(광무 10년) 2월부터 대구에서는 국채보상운동이 진행되는 등 일본에 대한 저항이 강하게 진행되고 있었으며, 이는 곧 부임해온 경북관찰사였던 박중양에 대한 반발로 이어졌다.[42] 그해 7월 1일 겸임 평안남도관립일어학교장직에서 해임되었다. 1908년 박중양은 본적지를 경기도 양주군 주내면에서 경상북도 달성군 북면 침산리로 옮겼다. 개혁 정책과 단발령 강행[편집] 단발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그는 일찍부터 단발령의 효율성을 알리고, 이를 보급하는 운동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사람들은 단발령에 호응하지 않았다. 경상북도관찰사가 된 박중양은 영해(寧海) 지방에 들어가 한 고을의 수천 백성들의 상투를 꾀를 써서 잘라 버린 사건이 있었다.[43] 1906년 경상북도 관찰사로 새로 부임한 박중양은 영해군으로 초도순시를 간 뒤, 그 잘하는 연설로 백성들에게 감명을 주고 나서 선언했다.[43] “ 나에게 따로 인사를 하고 싶은 사람은 이 연설회가 끝난 뒤 군청 내아(內衙)로 들어오시오.[43] ” 도백(道伯)이 자기들을 한 사람씩 따로 만나 인사를 받겠다고 하는데 감지덕지한 유지 기관장급들은 좋아라 하고 내아로 줄을 지어서 들어갔다. 그런데 내아 삼문(三門) 뒤에 숨어 있던 일본 순사들이 관찰사 박중양에게 인사를 드리러 들어오는 사람들에게 가위로 들이대고 상투를 잘라 버렸다. 한꺼번에 수백 명의 상투가 잘려 나갔으니 내아는 금세 통곡바다를 이루었다.[43] 이후 그는 위생의 편리함을 이유로 단발령을 권고했고, 호응이 적은 곳은 직접 찾아가 순사들을 매복시킨 뒤 단발을 강행하였다. 1907년 평안남도관찰사 재직 중에도 그는 단발의 필요성과 위생상 편리성을 역설하고 단발령을 강행하였다. 단발을 거부하는 이들이 있으면 면담을 신청한 뒤 도청에 출입할때, 도청사 정문 또는 관찰사 집무실 입구에 가위를 든 관리들을 숨겨두고 출입자의 머리카락을 강제로 자르게 했다. 또한 평안남도관찰사로 재직 중 평양과 남포에 병원 유치와 의학교 유치를 추진하였다. 그는 신문을 보고 국내외 정세를 알 필요가 있다 하여 1907년 10월부터는 자비를 들여 신문을 구매, 평안남도의 지역 유지들에게 발송하여 읽게 하였다. 황성신문과 매일신문 등 박중양의 정책과 평안남도에서의 근무 실적이 저조함을 비판, 지탄하는 신문들이 많았으나 박중양은 이에 개의치 않고 신문들을 구입하여 유지들에게 보냈다. 그는 이들이 신문을 읽지 않을 것이라 판단하고 신문의 내용 중에서 일부를 가려내 지역 유지들에게 질문하였다. 이후 자연스럽게 평안남도 지역에 신문을 읽는 풍습이 정착되었다. 경상북도 관찰사 재직 시절[편집] 1907년 6월 경상북도 관찰사 재직 무렵 1908년 6월 11일 경상북도 관찰사로 부임하면서 대구객사를 허물었다. 경북관찰사로 부임한 그가 대구객사를 허물면서 금학루도 사라졌다. 사람들은 이를 비난하여 '누백년을 존숭하던 대구객사 어데갔노'라는 가요[44]를 불렀다. 경상북도 관찰사로 부임한 이래 그는 예산 집행 내역을 일일이 기록으로 작성한 뒤 조정에 상신하였다. 그는 스스로도 장부를 가지고 다니면서 참여관, 각 국장, 과장, 실무자들에게 영수증을 받아서 보고서로 묶어서 작성, 보고하게 했다. 취임 초반 그는 대구 지역 내의 각 언론사들 사이의 중재에 나섰다. 일본거류민단 일부에서 1908년 7월에 대구일일신문의 논조에 불만을 품고, 그해 9월에 대구시보(大丘時報)를 창간하였다.[45] 이때 박중양 등의 중재로 대구일일신문과 대구시보가 합자해서 그해 10월 1일에 대구신문으로 제호를 바꾸어 발행하기 시작했다.[45] 10월 무렵 박중양은 대구 지역의 유지들의 기금을 모아 또다른 신문 발행을 기획하였으나 실패하고 만다. 경상북도 관찰사 재직 시절 그는 대대적으로 도로 정비와 주택 정비 작업을 추진한다. 초가집 대신 기와와 슬레이트 지붕으로 대대적으로 도시 정비를 추진한다. 이때 토지수용을 거부하는 일본인 상인과 지주들을 설득하여 도시계획, 정비를 추진한다. 일부 일본인의 토지를 수용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했으니 일본인들이 많은 양의 보상금을 바라므로 토지 수용이 힘들었다. 그는 일본인 지주들을 초청하여 여러 차례 설득하였다. 당시 박중양은 일본 거류민단과의 간친회에 있었던 연설문을 일본인 '카와이 아사오'가 지은 "대구물어 (大邱物語)"에 실려 있다.[31] “ 한일 양국의 의사를 소통하고 양자 공통의 발달을 도모하기 위해 개최된 이 모임이 공전의 성황을 보게 되어 기쁘기 그지없다. 소생이 이 곳 대구와는 깊은 인연을 가지고 있음은 여러분이 이미 아시는 바와 같이 군수시대부터 잘 알고 지내던 일본인이 많아 늘 고견을 듣고[31] 적잖게 행정상의 편익을 받았음을 감사하고도 남음이 있다. 소생은 일신을 던져 끝까지 이 땅을 위해 진력코저 하니 청컨대 일본인 여러분의 지도 편달을 바라며, 혹 여러분의 노여움을 살지 모르나 가일층의 편달을 바랄 뿐이다. 원래 어리석고 미련한 우리 한국인에 대해서 귀국인은 사부된 책임을 깨닫고 교유함과 알선의 노고를 사양치 말 것을 간절히 바란다.[46] 사실대로 말한다면 정부로부터 2만원의 교부금이 있었다. 그런데 일본인 토지 소유자가 토지 수용의 교섭에 응하지 않고 과도한 고가를 주장하는 까닭으로 결행할 수 없어서 다시 정부에 교부금을 반환하는 상태가 되었다. 한인 가옥은 명령에 따라 정리할 수 있었으나 일본인 토지는 밭이거나 황무지라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없었다. 원래 대구라는 토지는 한국 정부로부터 도외시 당하고 있다는 감이 없지 않다. 관인(官人)의 안중에는 이제껏 대구를 무시하였고 경성은 별도로 하더라도 대구와 흡사한 평양은 수십만원의 국고 보조가 있었다. 오직 일본인 여러분의 노력이 필요하다. 여러분의 힘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다. 원컨대 이 뜻을 살피셔서 장래 더욱 우리들을 편달해 주기를 바란다.[46] ” 일부 일본인들은 "우리가 스스로 개혁을 거부한 너희들을 왜 지도 편달을 해야 되느냐"는 항의가 터져나오기도 했다. 그의 연설이 끝나자 빈정거리는 사람과 솔직하다는 의견이 팽배하였다.[46] 그는 일본인과 미국인 상인, 선교사 등 외국인에게 조선에 보다 개화된 문명 전파와 교류의 필요성을 누차 역설하였다. 1908년 8월 10일 서병오가 신녕군수에 임명되었으나 10일만에 병을 이유로 사퇴했다. 박중양은 이를 보고서로 작성해서 올렸다.[47] “ 즉 該員이 赴任十餘日에 稱病辭職은 詐欺取官이오니 相當勘處하심을 伏望等因此를 査온즉 該員을 專爲圖官하야 欺騙上部하고 倖得任用하야 不拘初無就職○底意하고 一朝赴任未幾에 忽至規避하오니 究其情跡하면 極爲駭妄이라. 似此郡守직 不可仍置이기是以로 免本官(以上十月八日內閣)[47] ” 이는 관보에 그대로 게시되었다.[47] 서예가였던 박중양은 역시 서예가인 서병오에게 친필 글씨를 부탁했지만 서병오는 거절하였다. 그밖에도 청송군수 심택수(沈澤洙)의 사직서[48] 등 군수, 부윤, 현감 등의 사직서를 받으면 즉시 보고서로 작성하여 조정에 상신하였다. 1908년 10월 경상북도 관찰사 박중양은 신돌석의 활약상에 대하여 보고서를 올렸다.[49] 들개 사냥 대 작전[편집] 들개 1908년 10월 박중양은 또 다시 개소탕 작전을 펼쳤다.[50] 194마리의 개가 비명횡사했다.[50] 동시에 들고양이도 전염병을 옮긴다는 이유로 대부분 잡아서 소탕했다. 1907년(융희 1년) 10월 그가 경북관찰사로 부임해오기 전에 일본인이 들개에게 물린 이후 들개 소탕작전을 실시했으나 계속 거리에 개가 많이 다녔으므로 다시 개 소탕작전을 벌였던 것이다. 황현의 매천야록에 의하면 "대구에 주둔하던 일본군 한 사람 이 개에 물려 죽었다. 그래서 마침내 백성들에게 개를 모두 죽이라고 명을 내리고 듣지않는 자는 처벌한다고 하였다[51]"고 하였다. 한편 1934년의 잡지 별건곤에 의하면 박중양이 야밤에 기생집에 출입하고 오다가 들개들에게 물려 봉변을 당하고 그 분풀이로 들개들을 소탕했다고 한다. “ 박중양과 야견박살(野犬撲殺)지금에는 사견휘체규측(飼犬取締規則)이 잇서서 그 규측에 의하야 기르는 개가 안이면 소위 야견(野犬)으로 취급하야 경찰서 가튼대서 박살을 식히는 일이 잇지안은 그 규측이 생기기 이전에 대구(大邱)에서 벌서 야견박살이란 불문의 법을 내여 만흔 개를 박살한 사람은 대구 관찰사(觀察使)로 문제만흔 박중양(朴重陽)이다. 그가 그러케 야견박살을 만히하야 일시 개백정 관찰사란 별명까지 엇게 된 것은 무슨 일반 공익에 필요로 그러한 것이 아니라 의레의 화류계에 명물남인 그는 대구에서도 공무여가에는 긔회 잇는대로 기생집 출입을 만히 하얏는데 하루밤에는 대구에서 기생촌(妓生村)으로 유명한 말방아골(洞名)을 비밀이 놀너가다가 사나운 개떼를 만나서 살을 물리고 옷을 찌기여서 그야말로 개코 대망신을 하고 도라와서는 그 이른 날로 대구경찰서에다 야견박살의 긴급명령을 나려서 일시 수천마리의 개를 박살시켰다고 한다. 말하자면 박중양은 야견박살의 선도자요, 원훈이다. 개사회에서는 영구히 잇처지지 못할 인물이다. ”   — "萬華鏡", 별건곤 1934년 제69호(1934년 1월호) 중에서 황현에 의하면 대구시내에 "열흘 사이에 개의 종자가 없어지고 말았다.[51]"고 한다. 들개를 대대적으로 소탕한 덕에 그의 별명은 '개백정 관찰사, 야견 투살대감'이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 충북 도지사 박중양군은 遞任된 丸山警務局長이 조선을 떠날 때에 秋風嶺까지 餞送하고 山狸 1필을 기념품으로 주더니 금번 행정정리 바람에 朴군도 또한 馘首를 당하게 된단다. 忠北에 만일 朴군처럼 의리 잇는 친구가 잇다하면 들개라도 1필 주어 野犬 撲殺大監의 미역국 먹은 기념품을 삼을터이다. 그러나 조선 습관상에 산에 개고기는 원래 大忌物이니 奈何. ”   — "京城雜話", 개벽 제54호(1924년 12월호) 별건곤의 보도에 의하면 기생촌에 들렸다가 취해 돌아오는 그를 개떼들이 물어뜯어서 살과 옷이 다 찢겼다고 한다. 한편 그의 들개 박멸 작전은 1930년대까지도 조롱거리가 되었다. 1908년 10월의 들개 소탕 작전으로 이후 대구시내의 들개와 들고양이 수가 절반 이상으로 감소하였다. 1908년(융희 2년) 11월 러·일 전쟁에 통역으로 참전한 공로로 일본 정부로부터 훈5등의 서보장을 받게 된다. 그는 평소 일본인이나 기타 양이가 되었더라도 오랑캐라 배척할 것이 아니라, 좋은 점은 보고 배워야 된다는 뜻을 역설하였다. 그러나 그의 발언은 해로운 발언쯤으로 치부되었다. 1908년 12월 일한민간친회(日韓民懇親會) 평양지회에 참석, 여기서 그는 "소생이 일신을 바쳐 이 땅을 위해 진력하고자 함에는 일본인 제군들의 지도편달에 달려 있습니다. 이 땅의 한국인들이 희망하는 바는 일본인들이 스승으로서 책임을 느껴야 한다는 것입니다"라는 취치의 발언을 하기도 했다. 순종 남행길 수행[편집] 1909년(융희 3년) 1월 12일 대구행재소에서 경기도관찰사 김사묵, 전라북도관찰사 신응희, 충청남도관찰사 최정덕, 충청북도관찰사 권봉수 등과 관내외 군수, 부사들과 함께 순종을 인견하였다. 대구역사에 임시로 마련된 편전에 들어선 순종 황제는 박중양 대구군수 겸 경상도관찰사 등 대구지역 고위인사들의 인사를 받고는 가마에 올랐다.[52] 인견이 끝난 후 평안남도 관찰사 이진호, 평안북도 관찰사 유혁로, 경상남도 관찰사 황철 등과 함께 순종과 이토 히로부미의 서남부 순시를 수행하여 경상북도와 경상남도 지역을 함께 순회하였다. 1909년(융희 3년) 1월 순종과 이토 히로부미 통감이 경상남북도를 순시할 때 대구 수창학교(현 수창초등학교의 전신)에서 일본 국기를 게양하지 않은 일로 수창학교를 폐지할 것을 학부(學部)에 건의했다. 순종의 갑작스러운 시찰을 두고 항간에서는 남쪽지방 시찰이 끝나면 부산에서 군함을 타고 일본에 볼모로 끌려갈 것이라는 소문이 자자했다.[53] 당시 수창학교 학생 30여명은 경부선 철로에 누워 함께 죽어버리자면서 대구역으로 출발했다. "임금이 볼모로 잡혀가는 것은 절대 볼 수 없다"는 어린 학생들의 충정심이었다. 그 중에는 서른을 넘은 중년의 초등학생도 끼어 있었다. 교사들의 만류로 불발되긴 했지만, 이 때문에 박중양의 요청으로 학교가 폐쇄될 뻔하기도 했다.[53] 그러나 순종은 유언비어로 어린 학생들이 움직였지만 충성심이 가상하다며 넘겼다. 이를 두고 성균관 대학교 강사, 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위원 김일수는“박중양은 아마도 순종의 방문을 통해 한국통감부 내 자신의 영향력을 대구 사람들에게 보여 주고 싶었을 것이다. 대구 출신이 아니었던 박중양이 대구에서 세력을 키울 수 있었던 것도 이 같은 정치적 행동 때문이었을 것[54]”이라고 보았다. 김일수 박사(성균관대학교 강사, 전 친일반민족행위진상위원회 위원)는 “당시 왕을 알현하기도 힘든 상황에서 왕이 직접 대구를 찾았다는 것은 박중양이 일제로부터 무한대의 신임을 받고 있음을 대구사회에 알리는 계기가 됐다”며 “아마도 박중양은 일본이 조선을 본격적으로 식민지화 할 경우 조선의 정치적 대안세력이 자신임을 알리고 싶었을 것”이라고 보았다.[42] 일설에는 경상북도감영에서 달성공원까지 길을 순종이 오기 전 날 박중양이 만들었다고 한다.[42] 1909년 5월 대구 협성학교를 폐하려 하였으나 학부에서 불허하였다. 대신 그는 협성학교를 제2공립보통학교로 변경하려 하였으나 역시 학부가 거절하였다. 대구 십자도로 개통과 일본인 관료 응징[편집] 일본인을 지팡이로 내려치는 박중양을 풍자한 만화 (1930년대) 1909년(융희 3년) 대구에 십자도로를 개통하였다.[55] 대구 포정동에서 서문로에 이르는 동서 도로와 종로에서 대안동에 이르는 남북 도로를 말하는데, 공사비는 국고에서 지원됐다. 이 도로가 개통될 무렵 한일합방이 되고 말았다.[55] 대구 시가지를 정비하고 십자도로를 개설함으로써 대구 근대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순종의 남행을 수행하고 돌아온 뒤 칙임관 2등(勅任官二等)으로 승급하였다. 같은 해 7월 재조선 일본인 농업관계자와 유지들이 만든 조선중앙농회의 경상북도지회장에 선임되었다. 한편으로 조선인에게 횡포를 부리는 일본인들을 발견하면 자신이 들고 있던 작대기로 무례한 일본인을 두들겨 패고 그 일본인이 저지른 횡포를 경찰에 따졌으므로 일본인들도 어떻게 하지 못하였다. 또한 밉게 보인 순사 몇명 쯤은 자기 집 사설 감방에 하루 이틀 가두어 두었다가 제복이나 옷을 벗겨서 거리로 내쫓기도 했다. 그는 일본 순사 때리기를 예사로 하였다 한다.[56] 한번은 일본인 순사들이 노점행상으로 떡을 팔고 있는 어느 노파에게 교통에 장애가 된다고 하여 그 자리에서 장사하지 말라고 경고하였다. 그러나 말을 못알아들은 이 노파가 그 다음날에도 그 자리에서 장사를 하자, 화가 난 순사들은 떡함지를 발로 걷어차 떡이 죄다 쏟아져 소동이 발생했다. 이를 본 박중양은 바로 관할 경찰서장을 호출하고, 해당 순사에게 땅바닥에 떨어진 떡을 입에 물리고 떡함지를 머리에 이게 하여 장터거리에 조리를 돌려 민심을 수습하게 했다. 그의 위세는 막강하여 '작대기를 휘두르면 기차가 섰다'고 하는 이야기가 전설처럼 전해지고 있다.[56] 그러나 조선통감부와 조선총독부에서 그를 각별히 신뢰하고 있었으므로 일본인들도 그를 함부로 다루지 못하였다. 그는 밀주와 탁주 등 술을 즐겼다. 한편 마땅히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청년들을 일본인에게 부탁하여 취직시킨 일이 있었는데 이 소문이 널리 알려지면서 사람들은 그가 술을 좋아한다는 점을 알고 밀주 항아리를 갖다주고 그 대가로 많은 사람들이 도움을 받기도 했다. 일제 시대 활동[편집] 韓日倂合 직전[편집] 관료생활 중 그는 사사로운 이익을 취하지 않았으므로 그를 싫어하던 이들 조차도 그를 쉽게 다루지 못했다. 그가 이토 히로부미를 배경으로 삼고 있어 여러 대소 관료들이 온갖 뇌물을 가지고 아부를 해 왔다.[57] 그러나 그는 그것을 다 물리쳤다.[58] 평소 사람을 신뢰하지 않던 그는 사사로운 대접, 접대도 최대한 회피하였다. 순종의 대구 방문 이후 박중양은 일제로부터 투터운 신임을 받으면서 탄탄대로를 걷게 된다.[42] 곧 가의대부로 가자되었다가, 1909년(융희 3년) 10월 23일에는 그해 초 순종의 서남부 시찰에 수행한 경기도관찰사 김사묵, 평안남도관찰사 이진호 등 세 관찰사와 이하 관료들을 포상할 때 가자되어 자헌대부(資憲大夫)가 되었다. 10월말 한때 타지로 전임이 예상되었으나 결국 유임되었다. 1910년(융희 4년) 3월 경상북도 내 각 군수들과 지역 명문가, 유지들에게 기부를 호소하여 수만금을 모아 경북일보를 창간하였다. 1910년(융희 4년) 8월 충청남도 관찰사로 부임하였다. 박중양이 충청남도 관찰사로 영전이 되었을 때 대구부민은 사은의 뜻으로 금줄이 달린 시계를 선물하였는데 시계 뒤 뚜껑 안 쪽에 이중 십자형을 새겨 넣었으니 이는 성벽파괴의 공적과 십자로 개통의 배려를 상징한 것이라 한다.[31] 그해 韓日倂合을 보았다. 韓日倂合조약이 체결되었으나 그는 슬퍼하지 않았다. 오히려 '국민의 권익을 보호하지 않는 정부를 위해 국민이 충성할 이유가 없다'며 韓日倂合을 당연한 결과로 받아들였다. 1910년 9월에는 경상북도에서 각 면민들을 대상으로 특별 강연을 했는데, 연사의 한사람으로 초빙되었다. 여기서 그는 韓日倂合 조약의 이유, 합병 조건을 설명한 후 새 정부의 통치에 적극 협력해줄 것을 호소하였다. 이후 그는 "폭풍과 홍수를 방어할 지력이 없고, 대세를 저항할 실력이 없다. ... 요로에 있으면서 민족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우리가 취할 길"이라고 하였다. 일제 시대 초반[편집] 韓日倂合 전후[편집] 박중양, 1910년 무렵 한일 병합 조약, 조선총독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10년 10월 1일 조선총독부 고등관(高等官) 3등에 임명되고, 다시 충청남도 도장관(도지사)에 보직되었다. 韓日倂合 이후 종5위 훈5등(從五位 勳五等)의 품계를 받았으나 남작 작위는 거절하였다. 1910년 10월 1일부터 1912년 3월 31일까지 충청남도 장관직을 지냈다. 조선총독부가 들어선 뒤 전체 13도의 도장관 중에 조선인은 전북의 이두황, 충남의 박중양, 강원도의 이규완 등 3명 뿐이었다.[59] 도청 청사는 옛 관찰사가 있던 감영을 그대로 쓰기로 했고 도장관실 역시 관찰사가 집무하던 72평짜리 선화당(宣化堂)을 사용했다. 그리고 도장관을 부를 때는 '각하'라는 칭호를 사용하도록 했다.[60] 박중양은 충남도장관 집무를 시작하자마자 첫 군수회의를 소집했는데 이 자리에서 부여 임천군수 이종열(李宗烈)이 계속 되는 총독부의 토지조사로 "민심이 흉흉하니 이것을 중단해 줄 것과 농지의 단위를 종래의 ‘마지기’에서 ‘평(坪)’으로 바꾸면 혼란이 온다"는 발언을 했다.[60] 그때 농민들은 순사의 호위아래 살벌한 분위기 속에 농지측량을 하는 것에 큰 불만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자 도장관은 버럭 화를 내며, “오늘 회의는 이것으로 마치겠소!” 하고 퇴장해 버렸다. 그리고 곧바로 이종열 임천군수는 해임되었다.[60] 1912년 8월 1일 일본 제국 정부로부터 한일병합기념장(韓國併合記念章)을 특별히 수여받고, 11월 4일 조선총독부 고등관 2등, 1913년 1월 30일 정5위(正五位)로 승급, 1913년 7월 1일 훈4등 서보장(勳四等 瑞寶章)을 수여받았다. 충청남도도지사인 그는 도내의 소학교, 중학교 학생들 중 성적이 우수한 조선인 학생들에게는 손수 시상하였다. 1912년 당시 예산소학교 2학년이던 화학자 이태규는 성적이 우수하다 하여 그에게 상을 받았다 한다. '예산소학교 2학년인 이태규의 재주가 널리 알려져 박중양 도지사가 손수 이태규의 가슴에 훈장을 달아주었다. 또 우등생에게 주는 상품으로 사과나무를 받아와 집 앞마당에 심기도 했다.[61]'는 것이다. 공주-대전간 도로 건설[편집] 1911년 4월 따스한 봄이 시작되면서 데라우찌 조선 총독은 각 도장관들에게 구형 포드 자동차를 한대씩 사서 보냈다. 그러나 차를 움직일 운전사가 없어 박중양 도장관은 차를 가져다 놓고도 그대로 묵혀두었다가 공주에 살고있던 崔모라는 사람을 서울까지 보내 운전교육을 받게 한 다음 비로소 차를 타기 시작했다.[62] 후일 대전상공회의소장을 지낸 문갑동(文甲童)도 이무렵 함께 운전을 배웠는데 崔모씨는 도장관차를 끌기 위해 면허도 따기전에 공주로 내려왔다. 최모는 면허증도 없이 도장관차를 운전한 셈이다.[62] 그러나 박중양은 도장관의 직권으로 최모의 무면허 운전을 승인하였다. 1911년 3월부터 박중양은 공주-대전간 도로 건설을 추진하였다. 1910년대 초 까지도 충청남도 도청 소재지인 공주와 신흥도시로 발돋움을 시작한 대전 사이에 도로가 없었다.[62] 당시 공주에서 금강을 배로 건너 종촌과 대평리를 거쳐야 하는 불편한 길 밖에 없었고 지금 처럼 대전 - 동학사 입구 - 마티고개로 통하는 직통도로는 생각도 못했다. 물론 예산이 제일 문제였다. 그 당시 화폐단위로 최소한 87만원이 필요했었는데 충남도청을 대전으로 옮길 때 현도청 신축비가 35만원이었다.[62] 조선총독부 건설국에서는 87만원의 비용은 무리라고 통고하였으나 박중양은 도로 건설을 고집하였다. 그래서 박중양 도장관은 총독부에 여러번 찾아가 교섭을 벌였으며 그래도 결말이 나지않자 데라우찌총독과 만나 결국은 87만원 전액을 타내는데 성공했다.[62] 이렇게하여 1912년 3월 대전 - 유성 - 반포 - 공주간 신작로 공사가 착공을 보게 되었다.[62] 큰 하천이 없어 공사는 쉽게 진행된 편이었으나 말티고개를 굽이굽이 넘어가는 길을 뚫는 것이 가장 난공사였으며 그 무렵 이 산에는 많은 화전민들이 있었는데 이들의 반발이 자주 말썽을 일으켰다.[62] 특히 말티고개 중턱에서 다이너마이트를 잘못 터뜨려 화전민 5명이 목숨을 잃는 사고까지 발생하였는데 이것이 화전민의 감정을 크게 자극했으며 이 때문에 공사가 1개월 동안이나 중단되기도 했었다.[62] 일각에서는 천지신명이 노한 것이라는 입소문이 돌았고, 즉시 도로 개통을 중단해야 한다는 여론이 나왔지만 박중양은 도로 건설을 강행하였다. 1913년 9월 17일 공주 - 반포 - 대전간의 새 도로가 탄생했고 이 도로의 개통은 대전의 발전을 크게 촉진시켰으며 신비 속에 가린 계룡산개발에 크게 공헌했다.[62] 충청남도 도장관 재직 시절[편집] 군청 통폐합작업으로 시끄러운 가운데 논산군 은진면 유지들이 도장관 면담을 요청했다. 당시는 군청이 은진면에 있었는데 논산, 강경, 연무 일대를 통합하여 논산으로 군청을 이전키로 하여 시끄러울 때였다.[60] 그런데 은진에서 찾아온 유지들 가운데 한 노인이 상투머리에 갓을쓴 것을 보고 버럭 소리를 질렀다. '단발령이 내린지 언제인데 지금 까지 상투를 하다니... 에잇! 다들 나가시요.' 그리고는 집무실로 들어가 버렸다.[60] 이후 상투 노인들 대신 마을 청년 지도자들이 찾아오자 면담을 하였다. 예산농업학교의 교장인 이부스키 다케기치(指宿武吉))는 1910년 8월 10일부터 1915년 3월 31일까지 5년간과 1920년 4월 1일부터 1924년 3월 31일까지 5년간 제 3대 교장으로 두번에걸쳐 10년간을 근무하였다. 1915년 당시 충청남도장관(현 도지사) 박중양(朴重陽)과의 사이가 좋지못해 황해도 농무과 기사로 전임 되었다.[63] 그후 박중양은 황해도지사로 부임하려 했다. 1920년 황해도지사로 부임하려는 박중양을 우연히 다시 만나게 되자 1920년 4월 1일자로 다시 예산농업학교로 부임하였다.[63] 충청남도 도장관 재직 시절 그는 대종교 포교를 금지하였다. 충청남도 장관 박중양이 조선총독부 내무부 장관 우좌미 승부(宇佐美 勝夫)에게 보낸 질의에 대한 답변 에서도 대종교를 불허 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64] 또한 충청남도 내 대종교 포교 사실을 적발하여 조선총독부 내무부에 보고하였다. 박중양이 보낸 '학도 에 대한 대종교 권유 상황 보고에 관한 건'이란 보고에서, 당시 대종교의 중요 문건 이었던 '단군교 포명서' 와 '단군교 오대종지 포명서'를 통하여 지역 학생들에게 국권 회복을 선동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총독부 는 '본건 에 대한 의견' 을 통하여 대종교를 기성 종교인 신도(神道), 불교, 기독교 와 동일하게 취급할 수 없어 종교 로서 인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64] 1914년 9월 10일 조선총독부 시정5주년기념 조선물산공진회 충청남도지부 평의원에 선출되었다.[65] 1914년 11월 7일 매일신보사를 시찰하였다.[66] 1914년 11월 8일 조선총독부에서 소집한 전국 도지사 회의에 참석하다. 11월 21일 조선농회 충남지회 주최 충남 물산품평회에 참석하다. 공주군 물산품평회가 심사에서 우승을 하여, 우수농가인 논산의 이기승(李基升) 외 3인에게 은배를 시상하였다. 일본인 관리 응징[편집] 1914년 충청남도지방토지조사위원회 위원장이 되었다. 충청남도도장관으로 재직 중 김갑순(金甲淳)의 회유와 위협에 쉽게 굴하지 않았다고 한다. 김갑순은 희귀한 수석과 보물, 여자 등으로 그를 회유했지만 박중양은 눈하나 까딱하지 않고 김갑순을 호통쳐서 되돌려보냈다. 반민특위의 김갑순 재판 기록에는 '김갑순의 관청 교제는 참으로 능하였다. 박중양(朴重陽) 외 어느 도지사, 군수, 경찰서장, 판검사 쳐놓고 김갑순의 손아귀에 놀아나지 않는 자는 하나도 없었다.'고 하기도 했다. 1915년 3월 31일 충청남도 도장관에서 의원면직하고 바로 3월 31일 당일부로 중추원 찬의(中樞院贊議)에 임명되었다. 충남도장관에서 물러난 뒤 대구 침산동에서 영농을 시작하였다.[67] 그해 11월 다이쇼 천황의 즉위식에 참석차 제물포에서 배편으로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에서 열린 다이쇼 천황 즉위식에 참석하고 돌아왔다. 1915년 11월 일본 제국 정부로부터 다이쇼 천황 즉위기념 대례기념장을 수여받았다. 1914년 3월에는 자신의 소유 달성공원 일대를 1905년 4월에 건립된 대구신사의 이전 부지로 기부하기도 했다. 대구신사는 지금의 코끼리사육사가 있는 장소 근처에 건축되었으나, 부제가 실시되기 직전인 1914년 3월에 달성공원 중앙부 서단(현재의 물새사육장이 있는 곳에서 남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으로 이전, 신축되었다.[68] 건축위원장은 부이사관인 오까모또가, 회계는 이와세가, 그리고 신사부지를 제공한 박중양등 세 사람에 의해 대구신사가 건립을 보게 되었다고 『대구일반』은 기록하고 있다.[68] 일제 시대 당시 그는 조선 내에서 일본인이 함부로 다룰 수 없던 몇 안되는 인사였다. 한번은 일본인 형사가 '조선놈은 배대지가 커서 밥을 대야로 먹는다'고 조롱하였다. 이에 한번은 박중양이 그 형사에게 이르기를 대구 도덕산에 일찍이 오를테니 새벽 4시 전에 오게 하였다. 이어 머슴에게 시켜 꽁보리밥 열 되를 준비하고, 다른 보에는 된장을 담되, 된장 한 바가지에는 매운 청양고추 한푼은 매달고 도덕산에 올랐다. 이 일본 형사는 새벽 3시부터 나타나 박작대기를 데리고 앞장서 산행을 하였다. 이어 대구 국우동 뒷산에서 아침을 먹는데 보니 꽁보리밥에 청양고추는 매워서 먹지 못하여 된장을 먹는데 된장도 맵고 심하게 짜서 먹는둥 마는둥 하고 다시 도덕산에 올랐다. 그런데 얼마 못가 배가 꺼저 어찌나 배고팠지만 고픈 기색을 못하였다. 체면상 배고픔을 내색할 수 없어 그럭저럭 도덕산 꼭때기에 이르렀다. 정상에 다다라서는 배고픔을 견디지 못하여 양푼에 밥 1그릇을 수북히 담아줘도 다 먹고, 또 1양푼을 더 먹었다. 순사가 밥을 더 먹는꼴을 보던 박중양은 '이놈의 순사 배가 함지박보다도 큰가보다. 혼자 밥을 반통이나 처먹는구나 하고 조롱하였다. 사회 단체 활동[편집] 1916년 7월 23일 호전당선화회(戶田塘仙畵會) 의 조직에 창립발기인으로 참여하고 입회하여 7월 23일 대구 동문 상무회도장에 작품을 출품하였다.[69] 그는 서예에도 일가견이 있었고 일본 유학 중에는 그림 그리는 법을 배우기도 했다. 1916년부터 1920년까지 중추원 참의를 지냈다. 이 무렵 그는 안동과 대구간 경철 노선 유치에 나선다. 1918년 4월 종4위에 서위되었다. 1918년 5월 대구상업회의소 특별평의원(大邱商業會議所 特別評議員)에 선출되고 경상북도 제2회 물산공진회에 참여하여 물산공진회 경상북도지회 평의원에 선출되기도 했다. 1918년 8월 28일 대구와 안동간의 철도 개통 후원조직인 구안간 경철기성회(丘安間輕鐵期成會)의 창립에 참여하고, 바로 구안간 경철기성회 회장에 추대되었다. 이후 대구부청 회의실에서 후원회를 개최하였다.[70] 대구와 안동간의 철도 개통 운동에 동참하였고, 그밖에 대구와 경주, 대구와 대전 지역 철도 유치도 추진하였지만 실패한다. 대구 침산에 별장을 마련한 그는 훗날 침산에서 여생을 보내기도 했다. 작대기를 짚고 대구 침산을 오르내리던 박중양이 조선사람을 괴롭히는 일본 관헌을 혼내곤했다는 '박작대기'의 일화가 최근까지 이곳 주변을 맴돌았다.[71] 韓日倂合 전후로 기세등등한 일본인 관헌들을 부정적으로 보던 그는 일본인 관헌들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가차없이 끌어내려 호통치기도 했고, 일본인 또는 조선인 관헌에게 밉보여 억울하게 구속수감된 사연을 듣고 풀어주기도 했다. 그밖에 조선총독부의 각별한 신뢰를 배경으로 실직자와 무직자를 취직시켜주기도 했다. 그가 실직자와 무직자 몇 인을 취직시킨 소문이 확산되어 각지에서 젊은이들이 찾아오자, 그는 각자 재능을 살펴보거나 사정이 딱한 이를 가려서 취직시키거나 업체, 관공서 등에 천거하였다. 1918년 9월에는 쌀값이 비싸져 품귀현상이 발생하자 9월 4일 주민구제를 목적로 조직된 미곡임시구제회에 참여, 임시구제회 위원 겸 상담역이 되었다. 일제 시대 전반기의 혼란 수습[편집] 3.1 운동 비판과 진압 가담[편집] 3.1운동 당시 시위대에 대응하기 위해 도열해 있는 일본 군경 3.1운동 진압 자제단 발족 신문 기사 3·1 운동, 자제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19년 3·1 만세 운동이 일어나자, 그는 “국민이 독립생활의 능력이 없으면 국가가 부강할 도리가 없다.”라며 이를 냉소적으로 평가하였다. 만세 운동이 전국적으로 번지자 박중양은 이를 막기 위해 온 힘을 기울였다. 당시 이완용을 비롯한 친일파들과 윤치호 등의 회의주의자들이 3·1 운동의 무모성을 지적하고 있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그는 '국민이 독립생활의 능력이 없으면 국가가 부강할 수 있는 도리가 없다. 독립 만세를 천번 만번 외친다고 해도 독립은 만세만 가지고 되는 것이 아니다.'라고 하면서 '오직 실력을 양성해야 한다'고 주창하였다. 그러고는 3·1 운동에 대한 직접적인 진압을 지휘하였다. 이어 만세 운동을 진압하고 귀가시키기 위한 단체 '자제단'(自制團)을 조직하였다. 4월 6일 대구에서 '자제단 발기인회'가 조직될 때 그는 단장이 되었다. 자제단은 '경거망동으로 인하여 국민의 품위를 손상케 하는 일이 없도록 상호 자제케 함'을 목적으로 한다면서, '소요 사태(3·1 운동)를 진압하고 불령한 무리를 배제'하는 것을 주요 활동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불온한 행위를 하는 사람을 발견하면 설득하여 집으로 돌려보내고, 불응하는 자와 과격분자는 곧바로 경찰관헌에 보고한다는 서약까지도 했다. 바로 그는칠곡, 선산의 자제단 조직을 직접 주관하였다. 이 이후 경북도 참여관 신석린이 주동이 되어 안동, 성주, 군위, 김천 등지에 자제단이 조직되었다. 그의 독립 불가 의견에 내심 동조하던 윤치호, 서재필 등은 그의 3.1 운동에 대한 자발적인 진압참여를 계기로 그와 교제를 끊고 등을 돌리게 된다. 그는 만세 운동에 앞장서는 학생들이 누군가의 선동에 의해 이끌려갔다고 주장했다. 조선 학생들을 구금한 일본인 헌병대장에게 학생들의 석방을 탄원하였으나 이 헌병대장이 거절하면서 고압적으로 나오자 헌병대장을 혼내고 학생들을 석방시키기도 했다. 그해 4월 13일 그의 자제회 설치 활동에 분개한, 대구 계성중학교 중퇴생 이영식(李永植)이 그를 죽이겠다는 협박, 경고장을 보내기도 했다.[72] 같은 날 4월 13일 김천의 독립운동가 김수길(金壽吉)은 대구에서 박중양이 자제단을 만들어 만세 시위를 저지하려는 행동에 대해 규탄하면서 '친일파에 대한 암살 위협'을 담은 경고문을 박중양 등에게 발송하였다.[73][74] 한편 박중양은 3.1 운동에 참여한 일부 학생들의 신원 보증을 서주고, 이들의 석방, 일본 유학을 주선해주기도 했다. 1919년 9월 3.1 운동 진압, 해산에 참여한한 공로로 그는 총독부로부터 훈3등 서보장을 받았다. 조선총독부의 감시와 내사[편집] 자제단의 발족과 3.1 만세 운동 진압으로 그는 심한 비난, 성토를 당하게 된다. 3.1 만세 운동 진압 이후 다시 관직을 사퇴하고 물러났으며 1920년 2월 대구상업회의소 특별평의원에 재선되었고, 그해 5월 대구청년회 발전 기금으로 5원을 기부하였다.[75] 그러나 1920년 무렵 그는 조선총독부로부터 감시, 내사를 당하게 되었다. 1920년초 사이토 마코토 총독 은 조선인 관리를 개인별로 심사하여 인사 이동을 대폭 단행하였다. 이때 많은 조선인 관료 가 면직 되고 친일성을 인정받은 자들이 대폭 승진 하였다. 또 아첨과 충성심으로 파격적인 승진을 한 자 들도 많았다. 그리고 조선인 관리에 대한 감시가 강화 되었다.[76] 그러나 아첨과 말재주가 없던 박중양은 오히려 총독부로부터 감시를 당하게 된다. 1920년초, 당시 조선인 관리는 하급자는 물론 웬만한 상급의 친일 관료 마저도 끊임없는 감시아래 놓여 있었다. 예컨대 조선인 도지사 중에는 박중양도 그 감시 대상이었다 한다.[76] 그해 5월 12일 중추원 참의직을 사직하고 대구 침산동으로 낙향했다. 중추원 찬의, 참의로 재직하면서도, 토지를 매입해 농사를 짓던 그는 사과 과수원과 옥수수, 감자 농사에 전념하였다. 일본과 미국에서 수입한 퇴비와 방재약을 주어 농사를 지어 수확이 좋았고, 그는 자신이 농사지은 작물을 걸인(거지)과 부랑자들에게 무상으로 나눠주었다. 공짜로 더 달라고 했다가는 불호령이 떨어지기도 했다. 11월 12일 중추원의 중추원 일본 시찰단원 17명의 한 사람에 선발[77], 일본을 방문하였다. 1920년 12월 일본 내각총리 하라 다카시(原敬)에 의해 소환되었다. 총리 하라 다카시는 박중양을 만나 말하기를 "일본은 조선인을 관리로 삼아 등용할 뿐만 아니라 장차 조선인으로 하여금 내각의 임원으로 참여시켜 조금이라도 경계의 구분을 없애려는 것"이라 했다. 이에 대해 잡지 천고(天鼓)는 "조선인이 분투하고 소망하는 것은 즉 독립인데 한낱 내각의 일원으로써 조선인의 마음을 움직이려고 하는 것인가"라고 하였다. 황해도지사 재직, 수해 사태 수습[편집] 1922년 황해도지사 재직 시절 일본 간토 대지진 현장 간토 대지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1 만세 운동을 진압하거나 자제할 것을 촉구하여 사태의 확산을 방지하였는데도 그는 조선총독부로부터 끊임없는 의심과 감시를 당했다. 그는 은인자중하며 외부 활동을 삼가고 농업에 전념하였다. 1920년부터는 민립대학 기성회에 후원자의 한 사람으로 참여하였다. 그 뒤 다시 관직에 나가 1921년 2월 12일 고등관1등(高等官一等)에 올랐으며, 황해도지사(黃海道知事)로 부임하였다. 그해 9월 황해도에 수해가 발생했으나, 피해상황을 바로 확보하고 조선총독부에 구호물자를 요청하는 한편, 수재민 구제를 신속히 처리하여 바로 민심을 수습하였다. 황해도지사가 되자 황해도 해주에 학교와 병원, 폐병과 내과, 결핵을 치료하는 전문병원 유치 사업을 계속 추진한다. 그는 서양인 선교사들을 통해 황해도에 문맹자를 구제하기 위한 신식 학교 설치를 도와줄 것과 황해도가 개성의 예성강포구와 가깝고 철도의 개통으로 2,3시간 안에 서울에 근접할 수 있는 지역임을 들어 황해도에 병원을 유치하는데 도와줄 것을 호소하였다. 충북지사 재직과 관동대지진 수습[편집] 1925년 무렵 1923년 2월 24일 충청북도지사(忠淸北道知事)에 임명되어 부임하였다. 그 해 7월 조선부업품공진회(朝鮮副業品共進會) 평의원에 추대되었다. 충청북도지사로 부임한 직후 그는 충주와 청주에 신식 병원을 유치할 계획을 세우지만, 중도에 사퇴하여 병원 유치 계획은 중단되고 만다. 1923년 6월 그는 보은군 속리산의 법주사로 휴양을 나갔다가, 박석고개에 이르러 비가 와서 자동차가 산을 오르지 못하였다. 그는 도지사의 신분으로 "어찌 차에서 내려서 진흙을 밟느냐"며 하차를 거부하고 군수 김재호에게 인근 농촌에서 소를 동원하여 차를 끌게 하였다. 그러나 차가 움직이지 않자 바로 '명승지로 가는 길에 자동차 하나 자유로이 통행하지 못하여서는 일도의 수치이라'하며 바로 공사를 명했고, 군수 김재호는 못마땅히 여기면서도 부역령을 동원해 공사를 시행했다. 그러나 농번기에 있던 농민들은 강제부역에 동원되면서 생계를 보장하는 농사를 짓지 못하고 부역에 동원되어 불만이 쌓였고, 6월 중순 3백여 명의 보은군민들은 현장감독인 군청 기수(토목직 공무원)와 보은경찰청 순사를 난타하여 충청북도경찰청에 증원, 현장에서 40여 명의 농민을 체포하는 등 물의를 빚기도 했다.[78] 그러자 동아일보 등 소수의 언론은 이를 보도하여 문제삼았다. 농민과 소를 강제로 동원한 일과 권위주의적인 태도로 그는 지식인들로부터도 비토를 당하게 된다. 1923년부터 충청북도도지사 박중양이 보은군 속리산 법주사에 휴양을 다녀온 뒤 계속 자신의 휴양지, 유흥지로 사적으로 남용하였다. 동아일보가 이를 꾸준히 비난하고 기사화하여 물의를 빚었다. 이때 윤치호는 만일의 사태를 대비하여 조선총독부 당국에 사실대로 보도한 민족의 정론인 동아일보를 처벌해서는 안된다며 동아일보를 비호하였다. 1923년 청주의 독지가 김원근의 대성학교 설립을 후원하였다. 훗날 김원근의 반민특위 진술에 의하면'1923년 당시 집 옆에 영정보통학교(塋町普通學校)가 건너편에 있었는데, 입학 시기가 되면 불과 100여 명 수용에 지원자는 1,000여 명 되어 보기에 안타까움을 금치 못하였으므로 지사 박중양(朴重陽)을 방문하고 학령아동으로 미취학자를 구제키 위하여 사립학교를 설립할 것을 간원하였더니 기본금 조성할 것을 묻기에 시설 일체를 본인이 부담할 것을 거하고, 우선 청주 교동에 있는 천도교회당 약 12평을 후에 양옥으로 축조해 준다는 조건부로 빌려 신입생 150명을 수용하여 2부 수업을 실시하며 일방 건축을 시작하여 이듬해 200평 교사를 이듬해까지 완성시켜 정식 인가를 받았다'고 하였다. 김원근은 사립학교였음에도 학생들에게 학비를 받거나 학부모에게 돈을 거두지 않았다고 한다. 교육, 계몽을 통해 실력을 쌓는 것이 우선이라 본 그는 김원근의 학교 설립을 가상히 여겨 박중양은 그 자신의 월급을 10분의 1할씩 떼어서 1924년 김원근에게 매달 보냈다. 1923년 10월에는 관동대지진으로 재일 조선인이 큰 피해를 입자 조선인들에 대해 일본인들이 뭐라 하거나 말거나 '유언비언에 현혹되지 말라'는 유고(諭告)를 발표했다. 이어 그는 관동대지진 등에 대한 위문 단체에 기부금을 납부하고, 일본인들에게도 조선인들과 관동 대지진은 무관하며 유언비어에 현혹되지 말 것을 호소했다. 그러나 그의 호소는 묵살되었고 일부 조선인들은 관동대지진의 배후로 몰려 처형당한다. 1923년 조선총독부 내무국 문관보통징계위원회 위원장와 내무국 보통시험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속리산 도로 개통[편집] 1920년대 후반~1930년대 초의 속리산 말티고개 말티고개, 속리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말티고개는 일제 시대인 1923년까지만 해도 우마차 정도만이 통행할 수 있는 작은 길에 불과하였다. 그러다가 당시 충청북도 지사인 박중양이 법주사를 방문하기 위해 말티고개를 넘으면서 불편함을 느끼자 보은군수인 김재호에게 확장보수 공사를 지시하게 되면서 처음 자동차가 통행할 수 있게 되었다.[79] 김재호는 당시 농번기임을 들었지만 그는 도로 개통을 지시했고, 이어 공사가 진행되었다. “ 임농부역에 분개한 농민 기수와 순사를 난타급하지 아니한 산길을 닥고자임농시에 치도를 명령한 지사 사건의 전도는 매우 험악충청북도 보은군에서는 도댱관 박중양씨로 인하야 큰 분란이 이러낫다 이제로부터 약 일개월 전에 풍류를 즐기는 충청북도 지사 박중양씨는 자동차를 모라 보은군 속리산 속에 잇는 명찰 법주사를 유람차로 나섯섯다 먼저 보은읍내에 이르러 관민의 환영을 밧고 군수 김재호씨의 안내를 밧아 속리산을 향하얏셧다 본시 보은읍에서 속리산 사히에는 “박석틔”라하는 큰 고개가 잇서서 도저히 자동차로는 넘어가지 못 할 곳이엇섯다 그러나 당대의 일도 댱관으로서 엇지 차에서 나려 흙을 발브랴하는 생각이 드럿든지 박중양씨는 긔어코 차에서 나리지를 안코 촌가에 가서 소를 꺼러다가 자동차를 꺽러넘기게한 결과 겨우 도지사의 위엄은 직히게 되얏섯다. 그러나 오히려 마음이 덜 풀닌 박지사는 김군수를 보고 명승디로 가는 길에 자동차 하나히 자유로 통행 하지 못하야서는 일도의 수치이라 하며 불일내로 공사를 시작하야 곳 자동차가 통행을 하게하라고 엄명을 하엿다 지사의 명령이라 일개 군수로서 억이는 수 업스닛가 김군수는 즉시 금월 초순부터 부역을 푸러 공사를 시작하얏는대 본시 이 고개는 비록 자동차는 통행치 못하나 인마는 임의로 통행되는 곳이며 그 고개는 다만 속리산 법주사 외에는 다시 통한 곳이 없는 중요치 안은 길이었다. 그러나 지사의 분부임으로 전군 만여호의 부역을 풀게 되는 때는 마츰 첫여름임으로 농가의 뎨일 밧분때이다. 일반인민들은 백성의 생명을 보장하는 농사를 못 짓게하고 이길을 닥글 지급한 필요가 어대잇는가하야 매우 울분히 역이든 중 덕욱히 가튼 군에서도 회남면, 회북면 가튼곳은 부역장까지 왕복이 근백여리나 되니 인민의 피해와 관란은 이르르길이 업섯다 과연 지난 십일일에 군청 토목기수 모 일본인은 원악 돌연히 시작한일임으로 예정이 스지 못하야서 인민에게 일정한 지뎜에 일을 식히지 못하고 이곳저곳으로 변덕을 피움으로 갓득이나 울분히 역이든 삼백여명 인민들은 마참내 그 기수에게 몰녀드러 란타를 하고 그 싸홈을 말니랴하든 순사 세사람까지 란타를 하야 중상을 당하게 하얏다 이 급보를 들은 충북 보은경찰서는 충청북도경찰부의 응원까지 청하야 전원 총출동으로 현장에 급행하야 임의 사십여 명을 검속하고 목하계속 거거중이니 사건의 전도는 매오 위험하다더라. ”   — 동아일보 1923일 6월 16일자[79] 바로 공사에 들어가 그해 7월 속리산으로 오르는 현대식 2차선 도로가 개통되었다. 그러나 길이 구불구불한데다가 산사태 등으로 계속 문제가 발생하였고, 개보수가 계속되었다. 우여곡절 끝에 이 공사는 1931년에 끝났으나 여전히 자동차가 손쉽게 올라가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확장 공사 완공 후 시승을 하던 박중양이 처음 공사를 지시했을 때처럼 결국, 소를 자동차에 대어 끌고 올라갔고, 대부분 사람들도 차에서 내려 걸어 올라가야만 했다.[80] 속리산 도로 포장공사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민가에서 소들을 강제로 징발하여 자동차를 끌게 한 것과 농번기인데도 농민들을 부역에 동원한 일로 폭동이 터질 위기에까지 직면하기도 했다. 1924년에는 충주에 국도를 건설하기 위해 농민들을 징발하여 도로를 닦았다. 그런데 농번기에 농민들을 징집하고 임금을 주지 않자, 충주의 지역 유지 예남 홍승대(蘂南 洪承大)는 박중양을 상대로 경성지방법원과 경성복심법원에 소송을 제기, 승소판결을 받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속리산 성추문 사건과 퇴직[편집] 속리산 여승 변사 사건 보도 1924년 11월초에는 속리산 속리사에서 조선총독부 사이토 마코토 총독 내외와 감방주사, 각 부장과 신문기자 등을 대동하고 속리산에서 주연을 개최했는데, 총독 내외와 수행원들이 각자 자기 방에 들어가자 술에 취한 상태에서 여승 양순재(梁順在, 20세)를 데려가 성관계를 하였다. 그러나 양순재 여승은 그 날로부터 실종되었다가 어느 구석 승방에서 변사체로 발견되어 물의를 빚었다.[81] 그러나 아무도 이 일을 언급하지 못했고 수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다가 1925년 3월 동아일보 등 소수 언론만이 이 내용을 그대로 폭로했고, 이는 곧 사회 문제로 비화되었다. 여승 변사사건이 문제가 되면서 3월 31일 도지사직에서 인책 사퇴한다. “ 충청북도와 경상북도 사이에는 제2금강이라고도 일컬을만치 물맑고 산맑은 속리산이 있는데 그 중에는 승방으로 이름높은 속리사로부터 이래 5백년 동안에 여러 명사의 발가죽을 멈추게 되어 깨끗한 역사를 가지고 있던 속리사는 총독부 관리 충북도지사 박중양이가 한번 발을 들여놓게 된 이후로 뜻하지 않은 불상사가 일어나는 동시에 여러가지 아름답지 못한 풍설이 세상에 왁자하게 되었다. 사건이 일어나기는 작년 11월 26일 사이토 총독 부처가 박지사의 안내로 송기 감방주사와 서강, 산본 등 각 부장, 기타 몇 사람의 신문기자와 함께 일행 열여섯 명이 보은읍을 지나 오후 다섯시 삼십분경 속리사에 도착하여가지고 그날밤 마침 달밝음을 기회로 하여 큰 법당을 치워놓고 주연을 여는 동시에 2백여 명의 여승 중에서 가장 젊고 여어쁜 여승 여섯 사람을 뽑아서 잔질을 시키어가면서 밤이 새는 줄을 모르고 질탕하게 노는 중 총독 부처는 얼마 후 침실로 돌아가고 그 후 거듭 박지사는 자리를 고치여 다시 주연을 펴기 시작하여가지고 여러 수행원 신문 기자들과 함께 끊일 사이 없이 술잔을 바꾸고 있던 중 박지사는 취기가 점점 더하여감을 따라, 놀란 양과도 같이 아무 소리 없이 한 구석에 꿇어앉아 있는 여승 양순재(20)의 고운 얼굴에 자주 날카로운 추파를 보내기 시작하여 마침내는 옆으로 같이 끌어다가 앉히고 부드러운 손목을 힘있게 움켜잡고 앉았다가 새벽 네시경이 되어서야 다른 사람은 모두 피곤과 취기를 못이겨 모로가로 쓰러져버린 틈을 타서 박지사는 양순재의 손목을 잡은 채로 일어서가지고 밖으로 나가버렸다. 그리하여 이십칠일 아침에 시치미를 떼고 일행과 함께 속리사를 나와버리고 말았다.양순재는 그때 박지사에게 끌려 나간 후로 도무지 얼굴을 나타내지 아니하여 일행이 떠나는 그 때에도 많은 여승 중에 그 얼굴을 얻어볼 수가 없었으며 그 후 며칠이 지나도록 여전히 얼굴을 나타내지 아니하고 마침 내닷새 쯤 되던 날 아늑한 승방 한구석에서 시체가 되어가지고 나타나게 되었다. 젊은 여승의 죽음!! 그때 박지사의 그 일 그로부터 여러가지 풍설이 세상에 드러나게 되었는데 자태의 어여쁨이 원수가 되어가지고 몸을 더럽히고 최후사지를 밟기에 이른 양순재의 생애! 어제까지 맑고도 그 맑은 부처의 여자로 멀고도 고생된 앞길을 걸어가려다가 한번 발을 그릇 옮기어 놓은 것이 원인이 되어가지고 번민에 번민을 거듭한 끝에 그와같은 길을 밟고야 말게 되었다. 여승과의 관계로 문제중에 들어있는 박지사는 재작일밤 총독과 함께 입성하여 작일 아침 열시차로 돌아갔다는데 가령 그것이 사실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그와 같은 풍설이 세상에 왁자하게 된 이상 어쨌던 한 도의 장관으로서 책임상 그 직에 그대로 있는것도 어렵고 겸하여 그전에도 그와 같은 일이 있었음으로 총독부의 처치를 기다리지 아니하고 스스로 사임하기로 결심한 모양이라는데 이에 대하여 대총 내무국장은 아래와 같이 말하더라. "임의 그와 같은 일이 신문지상에까지 발표된 이상 직무상 어디까지 조사는 하여볼 작정이나 그 개인관계로 보아서는 누년의 교제도 있고 친밀한 사이일 뿐만 아니라 조선총치상 적지 않은 공로가 있음으로 너무 그것을 힐책하여 앞길을 그릇틔어주고는 싶지 아니합니다. 어쨌든 자기로서도 그 직을 사임하고 문제를 원만히 해결하려고 할 것이올시다" ”   — 동아일보 1925년 03월 06일자 당시 충북지사였던 박중양이 속리산으로 순시를 나와 법주사에서 주연(酒筵)을 열고 한 비구니에게 추문을 걸어 결국, 비구니가 자살을 해 논란이 되고 있다는 기사이다.[82] 이는 대대적으로 언론에 보도되었다. 법당에서 여승과 성추문을 벌인 것과, 여승이 변사체로 발견되자 사회에서는 그에 대한 처벌을 요구했고 조선총독부 내무국장과 경무국장은 이를 수습하지 못해 우물쭈물했다. 곧 시말서를 제출한 뒤, 1925년 3월 31일 도지사직을 사퇴한 뒤 휴직계를 내고 문관분한령 제11조 제1항 제4호에 따라 휴직했다. 1927년 2월 15일 그는 3월 1일부로 경성부부부윤으로 내정되었다. 그러나 여승 변사사건이 계속 문제가 되자 1927년 2월 18일 사퇴의사를 밝히고 사직서를 제출, 공직에서 사퇴하였다. 밀주 단속 무마와 고미술품 수집[편집] 박중양의 호신 불상(그의 선조 대대로 전해오던 것이었다 한다.) 1927년 1월 남선여행객의 방문을 받은 박중양 1925년 5월 불교계의 친일어용단체인 조선불교단 대구지부 고문과 독립사상과 사회주의 배척을 기치로 발족한 내선융화단체인 동민회의 경상북도 지부 상담역을 밭았다. 1926년 4월 순종이 사망하자 그의 장례식에 참석했다. 박중양은 순종의 죽음을 사실상 조선이 영원히 멸망한 것으로 보았다. 1927년 2월 중추원 칙임참의([83]中樞院勅任參議)로 임명된 뒤 1941년 5월까지 네 차례 연임하면서 매년 2500원의 수당을 받았다. 속리산 여승 변사 문제로 지탄받았지만 조선총독부로부터 업무 능력을 인정받았다. 그는 중추원 참의까지 지냈던 인물이지만 맹목적인 친일파는 아니었고, 일본인들까지도 그를 함부로 괄시하지 못하였다.[84] 1927년 11월 9일 대구상공협회의 조직에 참여하고, 대구상공협회 고문이 되었다.[85] 한편 그는 가정에서 밀주를 만들다가 적발된 사람들의 편의를 봐주기도 했다. 또한 담배를 재배하는 사람들의 세금 면제를 적극 도와주기도 했다. 그가 애주가, 애연가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일제 시대 치하에서도 밀주는 엄벌에 처할 정도로 단속이 심하였다. 그러나 단속 때면 사람들은 박작대기 집에 밀주 항아리를 갖다주곤 해서 많은 사람들이 도움을 받았다.[84] 술을 좋아했던 그에게 밀주를 갖다주면 그는 밀주 단속이 나온 순사들을 붙잡고 시간을 끌어주었다. 골동품과 고미술품을 감정할 줄 알았던 그는 고미술품의 해외 반출을 막기 위해서 자신이 직접 사들이기도 했다. 이는 6.25 전쟁 와중에도 박중양이 각별하게 숨기고 아껴서 1950년대 고서 감정가 석진수가 방문할 때까지도 대부분 그대로 갖고 있었다. 후일 그가 수집한 고미술품은 아들에 의해 석진수 등에게 판매되었다. 석진수는 '이런 물건을 보려고 꿈에 용을 봤구나 하는 생각에 서화, 고서, 나전칠기 등 수집점을 값을 깎지도 않고 일괄해서 구입했다. 화폐개혁 전 값으로만 쳐서 수백만원이었다.[84]'고 한다. 1927년 겨울에는 약초를 찾아다니기도 하고, 금강산의 마의태자 유적지와 사찰들을 찾아다니며 순례하기도 하였으며, 경성부의 고미술품상을 찾아가 서화를 구입하였다. 복직과 일제 시대 중반[편집] 1928년 다시 황해도지사가 되었으며, 다시 황해도지사가 되자 황해도 해주에 폐병과 내과, 결핵을 치료하는 전문병원 유치 사업을 계속 추진한다. 1928년 10월 27일 해주의 감리교 폐병요양원이 설립되자 황해도지사로 참석하여 축사를 낭독했다.[86] 개원식에는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교감이던 오긍선(吳兢善)과 황해도지사 박중양, 그리고 황해도 경찰부장 겸 위생과장 사카키의 축사가 있었다.[86] 바로 그 날 세브란스병원에서는 항결핵학회가 조직되고 있었다.[86] 세브란스 병원에서 항결핵학회가 조직되자 10월 28일 박중양은 세브란스 병원을 방문하여 항결핵학회의 목적과 연구 내용에 대해 질문하였다. 그해 11월 쇼와 덴노 즉위기념 대례기념장을 받았다. 1928년 11월 8일부터 11월 13일, 14일, 21일에는 조선민보사에서 개최한 임업정책 토론회에 참석, 조선의 임정(林政)을 강연하였다. 1929년 1월 다시 중추원참의(中樞院參議)가 되고, 1929년 5월 조선박람회 평의원(朝鮮博覽會評議員)에 선임되었다. 그해 대구남문 철거작업 기공식에 참석하였다. 박중양은 늘 조선인들에게는 "대소관원에서 백성에 이르기까지 하나같이 질서의식, 시민윤리 등 공공정신이 결여되어 있다"고 지적했다. 요령과 패거리 문화, 속임수가 횡행하는 금일의 수준으로는 독립은 커녕 인간답게 사는 것도 힘든 일이라며 한탄했다. 그는 여러 차례 총독부에 조선인과 일본인을 차별하는 정책을 거둘 것을 건의하였다. 그는 "일본인에게만 우대혜택을 주고 조선인들은 차별하느냐"며, "조선 백성이 일본의 신민이 되기를 바란다면 조선인에게도 내지인과 같은 기회를 부여하라"고 요구했다. 그는 총독부가 "조선인들을 차별대우, 무시하는 정책을 계속한다면 조선인들은 자연스럽게 독립 운동에 동참할 것"이라 하였다. 그밖에 그는 황민생활사의 장로(고문)직을 역임하였다.[87] 조선인 참정권 운동[편집] 1920년대 초부터 그는 조선인에게도 참정권을 허용해 줄 것과 자치권을 허용해 줄 것을 조선총독부와 일본 제국 정부에 건의하였다. 그러나 조선총독부와 일본 정부에서는 그를 면종복배하는 인물로 보고 경계하였다. 1925년 경성일보 사장인 소에지마 미쓰마사(副島道正)는 "경성일보"를 빌려 '조선의 자치론'을 제기했다.[88] 이에 박중양은 현명한 결단이라며 환영하였다. 소에지마 미쓰마사는 조선인 2천만 명을 대표해서 100명의 식민지 출신 의회 의원을 일본의회에 보낸다면 의회가 민족적 색체를 띠게 될 것이므로 참정권은 반대한다는 주장을 하면서 조선에 식민지 의회를 만들어야 한다는 논지를 폈다.[88] 즉 그는 "자포자기 상태인 조선인에게 건전한 희망과 내실 있는 사상을 주며, 합리적인 수단으로 그 민족주의가 실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88] 도지사를 지낸 박중양은 사이토에게 편지를 보내, 대의사(代議士 : 일본 중의원 의원[89])를 몇 명 만이라도 보내도 좋으나 조선의회를 설치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적극적으로 내밀었다.[90] 그는 조선인도 일본의 국민이라며, 이규완, 민원식, 김명준 등이 요구한 조선인 참정권 허용이 정당하다고 총독부와 일본인 지식인들을 상대로 설득하였다. 도지사 퇴직 이후[편집] 1928년 12월 도지사직을 퇴직한 이후 그는 중추원 참의로 임명되어 수당을 받았지만 그는 선조의 묘소가 있던 대구부 동중면 침산동의 오봉산을 매입한 뒤, 대구 침산동 침산 주변의 토지와 경기도 양주군의 땅을 매입하였으며, 토지 매입 후 남은 수당들은 자선단체에 기부하였다. 그는 중추원 참의 수당에 의존하지 않고 대구 침산에서 직접 과수원과 옥수수, 감자 농사를 지었다. 양주의 땅 외에 대구 근교의 땅은 직접 다니면서 부인과 일본인 첩과 함께 직접 농사를 지었다. 1930년 2월 22일 칙임관 대우의 중추원 칙임참의에 임명되었다. 한편 그는 일본인 여자를 후취로 들였는데, 삼천리지 1940년 제12권 3호(1940년 3월호)에 내지인 여자를 취처한 고등관급 이상 명단에 그의 이름이 실려 있다. 1932년 1월에는 그를 후원하자는 뜻에서 특별히 침산친목회가 조직되기도 하였다.[91] 1932년 2월에는 침산계를 조직하여 친목단체로 활용하였다.[92] 박중양이 소유하고 있던 대구 북구 침산동 산16-1 임야 등 37필지 총 8만 2,082m₂(총 2만 4,829.805평)은 2007년 8월 13일부로 국가 귀속결정 처분을 받고 강제 압수되었다.[93] 압수될 당시 토지들의 평가액은 21억 8565만 3천원 정도였다.[93] 일제 시대 후반[편집] 중추원 활동[편집] 박중양의 친필 휘호 박중양, 1932년 3월 1931년 9월 조선총독부로부터 훈2등 서보장을 수여받았다. 1933년 6월 13일 다시 칙임관 대우의 중추원 칙임참의에 임명되고, 1933년 7월 중추원의 시정연구회 제도부 위원으로 활동했다. 1934년 8월 3일 정오 12시부터 안동군 봉옥읍(蜂屋邑)의 수해현장을 위문하였다. 군수와 경찰서장에게서 수해현황을 청취한 뒤 봉옥읍의 수해현장을 위문하였다.[94] 수해현장 위문 후 안동시민의 사활문제인 낙동강제방을 긴급히 완축하여 1일이라도 급속히 일반백성의 안정을 도모해야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위정자의 제1최대급선무라고 소감을 밝히다.[94] 1934년 11월 시중회(時中會) 평의원을 맡았다. 시중회는 1934년 8월 '내선일체를 근간으로 신생활을 통해 신흥조선을 건설'한다는 취지하에 최린 등 천도교 신파를 중심으로 조직된 자치운동단체다. 이듬 해 1935년 총독부가 편찬한 《조선공로자명감》에 조선인 공로자 353명 중 한 명으로 수록되어 있다.[95][96] 불미스러운 일로 중도에 면직된 일이 있었지만 조선총독부는 그의 재능을 각별히 신뢰하였다.《조선공로자명감》에서 "이토 이하 총독부 대관으로부터 역량, 수완이 탁월하다고 인식되고 비상한 때에 진실로 믿을 수 있는 사람은 지사급에서는 박중양이다."라는 평가를 받았고[97], 1935년 10월 조선총독부 시정25주년 기념표창을 받았다. 술을 좋아하였지만 일체의 뇌물을 받지 않은 탓에 조선총독부는 그를 각별히 신뢰하였다. 日·中전쟁 전후[편집] 1936년 중추원 고문이 되고, 1936년 5월 결핵예방협회 경상북도지부에 가입, 평의원이 되었다. 1937년 7월 日·中전쟁이 발발하자, 박중양은 1938년 8월 조선총독부 시국대책조사위원회 위원에 위촉되었다. 日·中전쟁을 두고 일본의 중국 진출이 가능 여부가 시중의 화제가 되자 그는 몽골이라고 중국을 지배하고 백년을 다스렸고, 여진족이라고 중국을 지배하고 금나라가 백년, 청나라가 3백년을 다스렸거늘 일본이라고 대륙의 주인이 되지 말라는 법이 있느냐고 하여 좌중을 압도하였다. 1938년 8월 칙령 관제로 중추원 시국대책조사위원회가 재개편되었다. 박중양은 1938년 8월 27일 중추원 시국대책조사위원회의 위원[98]으로 재위촉되었다. 이 때는 김연수, 박흥식, 윤덕영, 최린, 현준호, 한상룡 11명의 위원이 조선인이었는데 박중양은 그 중 한명이었다. 그해 9월 중추원 시국대책조사위원회가 총독의 자문사항 18항목의 심의, 자문 목적으로 3개 분과로 나뉘자, 박중양은 문화, 사회분야 와 일반사항을 다루는 시국대책조사위원회 제1분과 상임위원을 겸임하여 내선일체의 강화와 철저화, 조선, 만주, 북지(北支)간의 사회적 연계 촉진, 재중국 조선인의 보호, 지도, 반도 민중의 체위 향상과 생활 쇄신, 농·산·어촌 진흥운동의 확충·강화, 사회시설의 확충, 노무의 조정 및 실업의 방지·구제 등의 문제를 다루었다. 12월 19일 경상북도 체위개선위원회 고문이 되고, 그해 12월 19일 경상북도 체위개선위원회 산하 달성군 체위개선지도위원회 고문으로 위촉되었다. 1939년 5월 미나미 지로 총독이 창씨개명을 계획하자 시중의 반발을 우려하여 시간을 두고 서서히 추진할 것을 건의하였다. 6월 4일 다시 중추원 참의에 재임명되었다. 8월 10일 대구지방법원에서 가정내 분쟁사건을 비밀리, 원만히 해결할 목적으로 인사조정령을 공포하고, 대구지방법원 인사조정위원을 위촉할 때 장직상 등과 함께 대구지방법원 인사조정위원으로 위촉되었다.[99] 1940년 2월 11일 일본 기원절 행사를 도쿄와 경성(현 서울)에서 개최할 때 조선인 유지의 한사람으로 초청되었다.[100] 이는 2002년 3월 10일 MBC-TV 다큐멘터리 '이제는 말할 수 있다' 제작진은 일본에서 일본의 건국 2600년 기념행사 초청인사 명단을 수록한‘광영록’이라는 책자를 최초로 입수하여 밝혀냈으며[101], 박중양 외에도 당시 보성전문학교교장 김성수,이화여자전문학교 교장 김활란, 이완용의 아들 이항구, 화신백화점 사장 박흥식 등 조선인 초청대상자 300명의 명단이 실려있었다.[101] 태평양 전쟁 초반[편집] 태평양 전쟁 1945년 6월 17일자 매일신보. 창씨개명, 태평양 전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40년 초 그는 조선총독부에 조선인의 참정권을 허용해줄 것을 요청했고, 조선총독부는 그의 건의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1940년 5월 창씨개명령이 떨어지자 그해 8월 31일 박충(朴忠, 호추)으로 창씨개명하였다. 이어 호추 시게요(朴忠重陽[102])라 이름하였다. 그는 조선총독이나 정무총감 앞에서도 당당했다고 한다. “ 언젠가 무슨 회의든가에 보니 총독, 총감도 다 열석한 석상인데 박중양이 당당합데다. 예전 도지사 당시에도 내무부장, 경찰부장이 쩔쩔 매였다는 소문이 있느니만치 철저하게 이야기 하더군요. 말에 질서 있고 사리를 잘 분변하는 말이고, 만좌가 경청하더군요. ”   — "총독부 기자 좌담회", 《삼천리》 제12권 제3호 (1940년 03월 01일자) 1940년 당시 총독부 출입기자 좌담회에서 매일신보 기자 김인이(金麟伊)는 그가 총독과 정무총감이 열석했는데도 당당했으며 말을 조리있게 잘 했고, 착석한 이들이 그의 말은 경청했더라고 하였다. 1941년에는 중추원 고문(中樞院顧問)이 되었다. 1941년 1월 8일자 경성일보에 "이론이 훌륭해도 실행이 없으면 공론(空論)"에 지나지 않는다면서 지금의 "시국은 백 가지 이론보다 하나의 실행을 요구"한다는 신년 소감을 밝혔다. 1941년 일본 귀족원 칙선의원으로 내정되었으나 사양하였다. 일본 귀족원에는 이미 1932년 12월 박영효가 칙임된 예가 있었고, 1941년에 윤덕영(尹德榮)과 박중양이[103] 내정되었지만, 박중양은 귀족원 의원직을 사양했다. 그 해 5월 12일 중추원 고문에 임명되어 1943년 10월까지 매년 3000원의 수당을 받았다. 1941년 5월 17일 오전 10시부터 개최된 영일군 포항읍 두호리에서 열린 경상북도 수산시험장(慶尙北道水産試驗場) 신축 낙성식에 참여하였다.[104] 9월 일제의 침략전쟁에 협력하기 위해 조직된 조선임전보국단(朝鮮臨戰報國團)의 결성에 참여하였다. 같은 해 10월 22일 조선임전보국단 고문에 위촉되었다. 그해, 중추원 부여신궁공사 근로봉사 노역에 참여하였다. 전시 체제기 활동[편집] 박중양, 1930년대 후반 무렵 조선임전보국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41년 10월 조선임전보국단 고문[105]의 한 사람으로 위촉되었다. 1941년 12월 7일 조선임전보국단 경북지부가 조직되자 경북지부 위원이 되었다. 그날 결성된 임전보국단 대구지부 고문으로도 선임되었다. 1942년 11월 조선총독부 교육심의위원회 위원에 위촉되었다. 1943년 4월 천황의 만세무궁을 기원하기 위해 조선신궁에서 열린 천장절제(天長節際)에 참석했다. 같은 해 9월 전시 최대 관변 통제기구인 국민총력조선연맹의 참여(參與)를 맡았다. 또한 싱가포르까지 가서 일본군을 위문하는 조선인 위문단체를 지원하기도 했다. 이때의 여비는 충청남도 공주의 김갑순(金甲淳)이 여비 일체를 부담하였다. 1943년 1월에는 국민정신총력연맹의 참여를 맡았으며, 학병을 권유하는 연설대에 참여해 경남지방을 담당하기도 했고, 그해 일본이 싱가포르를 점령하자 일본군을 위문하기 위해 직접 싱가포르를 다녀왔다. 1943년 학병을 권유하는 연설대에 참여해 경남지방을 순회하였다.[3] 1943년 10월 20일 중추원 부의장(中樞院副議長)에 피선되었다. 11월에는 《매일신보》 등의 언론 매체에 임시특별지원병제도를 주장하는 내용을 담은 글을 기고하여 조선총독부의 징병제를 지지하고 적극 협력할 것을 선전하였다. 1943년 11월 학병지원을 독려하기 위해 중추원에서 격려대를 구성할 때, 중추원 격려대원으로서 박두영(朴斗榮) 등과 함께 경상남도에 파견되어 활동했다. 1943년 8월 경기도 양주군에 있던 부모의 묘를 대구 오봉산으로 이장하였다. 이 합장묘는 박중양이 1943년 8월 경기도 양주의 선영에서 대구 침산으로 이장해 온 것으로 90년대 중반 북구청에서 오봉산 등산로를 만들 때 개장을 권유했으나 후손들이 거부, 옆으로 등산로가 나기도 했다.[106] 이 묘는 침산공원내 오봉산 산 16의 28[106], 오봉산 다섯 봉우리 중 1봉과 2봉 사이의 등산로를 따라 올라가다 왼쪽편 100m 정도 지점에 있었다.[106] 1943년 10월 중추원 부의장에 올라 1945년 8월 광복될 때까지 재임하면서 매년 3500~4000원의 수당을 받았다. 그해 베니토 무솔리니의 실각 소식을 듣고, 당연한 결과라는 결론을 내리게 된다. 같은 해 11월 학병지원을 독려하기 위해 중추원 격려대원으로 경상남도에 파견되어 홍보 등의 활동을 했다. 진주만 공습 이후 일본이 패전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지만 그는 이를 일축했다. 동시에 조선이 독립하더라도 독립을 제대로 지켜내지 못할 것이라며 냉소적으로 보기도 했다. 1944년 일제로부터 백작 작위를 받았다.[10] 1944년 훈1등의 서훈(敍勳)을 수여받았으며 다시 중추원 부의장에 재선출되었다. 1944년 6월 국민총력조선연맹 고문으로 추대됐다. 같은 해 8월 박흥식 등의 주도로 조선비행기공업주식회사(朝鮮飛行機工業株式會) 설립에 참여하였다. 당시 그는 조선비행기공업주식회사의 발기인과 대주주의 한 사람이 되었다.[107][108] 그러나 그는 대주주 중에서는 소액이었는데 박흥식의 1949년 2월 23일의 반민특위 재판 당시 박흥식의 진술에 의하면 김연수, 방규환, 박춘금 3인은 각각 1만 주씩 소지하였고, 백낙승은 5천 주를 소지하였고, 장직상은 4천 주를 소지하였고, 민규식, 김정호, 방의석, 한상룡은 각각 3천 주를 소지하였고, 박중양은 1천 주를 소지하였다 한다. 참정권 허용 감사사절 파견과 귀국[편집] 귀족원 (일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45년 국민의용대 조선총사령부 고문에 위촉되었다. 1945년 4월 3일 박중양은 일본 정부가 귀족원령을 개정하여 일본 제국의회 귀족원 의원 7명을 조선인으로 칙선할 때, 박중양은 조선인 몫의 귀족원 의원의 한 명으로 선임되었다. 귀족원의 칙선의원 7명은 1945년 4월 3일에 선임되었는데 김명준(金明濬), 박상준(朴相駿), 박중양, 송종헌(宋鍾憲), 윤치호(尹致昊), 이진용(李珍鎔), 한상룡(韓相龍) 등이었다.[109] 한편 조선인 몫의 하원격인 중의원 의원 23명은 의회가 만기되면 선거에 의해서 선출될 예정이었다.[109] 조선인 참정권이 시행되자 그는 환영의사를 표명하였다. 1945년 4월 '조선내 7인의 일본 귀족원 의원' 중 한 사람으로 선출된 윤치호는 박중양 등과 함께 일본의 '망극한 처우개선'에 감사하고자 조직된 처우감사 사절단 대표사절로 선임되었다.[110] 이어 박중양은 윤치호를 수행하여 인천항에서 배편으로 일본을 방문하고 돌아왔다. 이들은 서울을 출발, 일본으로 갔으며 윤치호는 일본 관계 요로에 감사를 표한 후 귀국하였다.[110] 일본 제국의회 귀족원은 일본 황족, 화족 의원과 천황이 직접 선임하는 칙선 및 일정액 이상 국세 납부자로 구성되었다. 조선인 출신 일본 제국의회 귀족원 의원은 1945년 4월 이전에 선임된 3명을 포함해 모두 10명에 그칠 정도로 특별한 예우를 받는 존재였다.[111] 그러나 곧 이탈리아 왕국의 두체(Duce, 최고통치자) 베니토 무솔리니의 실각 소식과 나치 독일의 총통 아돌프 히틀러의 사망 소식을 듣고 그는 당연한 결과로 봤다. 무솔리니와 히틀러의 연이은 몰락을 보면서 일본 제국 역시 머지않아 몰락할 것이라고 내다보게 되었다. 1945년 6월 국민의용대 결성식에 참석한 뒤 7월 국민의용대 고문을 맡았다. 6월 17일 귀족원 회의에 참석차 도쿄를 다녀왔다. 그는 일본의 태평양 전쟁 추진을 무리수라고 봤고, 군국주의 정치인들의 오판이라 지적했다. 1953년의 한 지인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는 2차 대전 당시 일본 정치인들이 오판하여 천황을 잘못 보필했다는 내용의 일기 사본을 편지로 보냈다. 이는 1997년 대구 출신 사학자 강태원이 일본 체류 중 입수하였다. 8월 10일 집안의 하인과 일꾼들에게 약간의 돈을 주어 내보냈다. 1945년 8월 14일 니시히로 다다오 조선총독부 경무국장의 초대로 총독부를 방문, 일본의 패전소식과 함께 패전 직후 조선반도의 치안 수습을 도와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8월 15일 천황이 항복을 선언하자 경성부의 집과 재산을 처분하고, 남은 재산은 가방에 싸서 경성부 근처 보육원과 양로원에 각각 무기명으로 전달한 뒤 대구 침산동으로 내려가 은거하였다. 독립 이후[편집] 독립 직후[편집] 독립이 되자 그는 시중의 성토를 당했다. 그는 자신을 비판하는 여론에 대해 "나는 친일은 하였으나 민족 반역자는 아니다.[56]"라고 항변하였다. 일본의 항복을 예감했던 그는 시중의 비난에 무덤덤하게 대응했다. 그는 자신의 친일 행위에 대해 ‘시대 변혁의 희생양’이라고 강변하였고, 또 "일정시대에 조선인의 고혈을 빨았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정치의 연혁을 모르고 일본인을 적대시하는 편견이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그는 한말보다 일제시기가 훨씬 좋은 시대였다고 생각하였고, 이완용에 대해서도 "국난을 당하여 나라를 부지하고 백성을 구한 선처를 한 사람"이라고 치켜세웠다. 시중에서는 그에게 비난과 투석, 멱살잡이를 가했지만 그는 의연히 대응하였다. 그러나 그는 내심 불쾌하게 여겨, 대구 부윤 허억(許億)에게 보낸 편지들 중, 한통에서는 시중의 평가가 가소롭고 불쾌하다는 뜻을 드러냈다. 1945년 8월 독립 직후의 이념대립을 보고 그는 "조선이 과연 독립할 만한 가치가 있는 곳이냐"며 조롱하였다. 9월 2일 미군정이 주둔하고 9월 23일 미군정 군정장관 아놀드 소장에 의해 중추원이 해체되면서 중추원 부의장직에서 파면되었다.[112] 이후 그는 "독립운동가들이 잘나서 독립이 된것이 아니라 미군이 일본을 쳐서 우연히 독립된 것이며, 미국과 일본이 전쟁하지 않았다면 우리는 독립할 수 없었을 것"이라며 독립운동가들을 향해 조롱하였다. 이후 그를 영입하려는 제의가 좌, 우 양쪽 진영에서 있었으나 자신은 늙어서 아무것도 할 수 없다며 모두 거절하였다. 독립 직후 시중에는 그를 지탄하거나 멱살을 잡거나 공격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친일파란 나같은 사람이다. 나 같은 사람을 처단하면 된다.'라고 외쳤다.[57] 또한 '나도 표리부동한 위선자들이 우글거리는 이런 세상에서 더 이상 살고 싶은 마음이 없다. 그러니 시원하게 죽여라'하고 항변하였다. 친일파 청산론에 대한 비판[편집] 1945년 10월 이승만이 귀국하고 12월 18일 아서 러치(Archer L. Lerch)가 미군정청 군정장관으로 부임하였다. 1945년 12월 20일 박중양은 이들을 찾아 면담을 요청한 뒤 따졌다. “ 좁은 조선이 남북으로 갈려 있고 특히 이런 과도기에, 숨은 인재를 찾기도 어려운데, 왜 있는 인재를 없애려 하느냐? 그러니 친일파를 처단한다고 떠들기보다 그 사람들을 잘 이용해 주시오. 그 사람들을 두고 누구를 데리고 일을 하겠소. ... 나같은 것은 친일파의 대표자이니 연령으로 봐도 그렇고 행적으로 봐도 그러니 어떠한 처단을 당하더라도 나는 달게 감수하겠다.[57] ” 후일 이를 듣고 찾아온 기자에게 그는 '친일파를 죽이라는 소리가 하도 높으니까, 그래서 내가 군정청의 하지와 러취, 또 이승만(李承晩)을 보고 말한 것이 있다.[57]'고 밝히기도 했다. 그는 일부 정객들이 "독립운동자연, 자칭 애국자연 하면서 허장성세를 부린다며 독립은 우연한 기회에 주어진 것이며 감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중에서는 그에 대한 비난이 쏟아졌고 그는 비난을 무시하고 오봉산 근처로 낙향하였다. 또한 경기도 양주군에 있던 아버지 박정호 내외의 묘를 선조 묘소가 있던 오봉산 능선으로 이장했다.[113] 이후 대구시 침산동 침산초등학교 뒤편 야산의 침산장에서 은거하였다. 1948년초 남북협상론과 단독 정부 수립론이 나오자 "북위 38도 이남 지역이라도 단독 정부를 우선 수립하는 편이 낫지 않겠느냐[6]"고 하였다. 그러나 건국 후, 그는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의 수립에 대해서도 '대한민국이 미국을 배경으로 성립된 것을 망각하여서는 안된다.[6]'며 대한민국의 건국을 미국의 공, 미국의 노력에 의해서라고 혹평하여 논란을 빚기도 했다. 반민특위 기소와 석방[편집] 반민특위 제소와 재판[편집] 1949년 1월 반민특위에 출두차 서울역에서 내리는 모습 1949년 반민특위 재판 공판 모습.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해방 이후, 그는 대한민국 건국 후까지 생존해 있어 1949년 1월 8일 반민족행위처벌법에 의해 대구 침산동 자택에서 반민특위 수사관에 의해 체포된다.[114] 이어 서울로 압송되었다. 1월 말 박중양 외에도 여러 지방 거주 거물급 인사들이 체포되었다.[114] 49년 반민특위 특경대원들이 반민족 부일행위의 죄목으로 박중양을 연행하러 갔을때 박중양은 그때까지도 히로히토 천황의 사진을 안방에 모셔놓고 있었다고 한다.[3] 당시 그는 최고위직을 지낸 고령자의 한 사람이었다. 체포되자 그는 '나는 구치소에서 죽을 것이며 죽어서 내가 결백했음을 밝힐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는 자신이 조선총독부 치하에서 사적으로 축재한 적이 없음은 하늘이 다 아는 사실이라고 하였다. 그를 태운 자동차가 특위 정문 앞에서 멈추었다. 6척 거구의 허리가 조금 구부러진 모습이었다. 그는 특위의 정문을 보더니 "아, 고꼬가무까시노 다이이치긴꼬다네. 소! 소!(아, 이곳이 옛날의 제일은행이구나. 그래! 그래!)". 그는 말이고 행동이고 완전히 일본인 그 자체였다. 일본식 생활문화가 몸에 밴 모양이다. 나는 그에게 다가가 “백작 영감, 이마모 무까시가 나쓰가신데스까?”(지금도 옛날이 그립습니까?)하고 물으니 그는 우물쭈물거리다 2층 검찰부로 올라갔다.[10] 1948년 10월, 반민특위 투서함. 반민특위에 체포된 일제 시대 당시의 정객과 기업인들 중에는 초조해하고 불안해하기도 했다. 이에 박중양은 '그만큼 영화를 누렸으면 됐지 뭐가 무서워서 떠느냐'며 일갈하였다. 그는 자신의 친일 활동에 대해 '시대 변혁의 희생양'이라고 강변하였고, 또 “일정시대에 조선인의 고혈을 빨았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정치의 연혁을 모르고 일본인을 적대시하는 편견이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그는 한말보다 일제시기가 훨씬 좋은 시대였다고 생각하였고, 이완용에 대해서도 “국난을 당하여 나라를 부지하고 백성을 구한 선처를 한 사람”이라 하였다. 수감과 심문 중 그는 초연한 자세로 심문에 응하였다. 반민특위의 조사관들은 그가 반성을 모른다며 놀라워했다. 그러나 그는 내가 반성해야 될 이유가 없다며 응수했다. 반민특위가 압수한 자료들 중에는 1900년대 초부터 쓴 20권이 넘는 일기장이 발견되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10] 반민특위에 체포되었을당시 그는 당당하게 '전 국민이 친일활동을 할수밖에 없지 않았느냐?'라며 강변하기도 했다. 수감 생활[편집] 박중양 초상화 서대문형무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49년 1월초 박중양은 불구속 상태에서 특별검찰부에 송치되었다.[115] 이어 정식 체포절차를 거쳐 서울 서대문 형무소에 수감되었다. 바로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었다가 1949년 1월 그는 반민족행위 특별조사위원회의 재판을 받게되었다. 그러나 그는 반민족성을 지적하는 반민특위 판사들에게 호통을 쳐서 위압을 가했다. 그는 자신이 반민법에 의해 잡힌 것은 "시대 변혁의 희생이라, 역사는 윤환(輪環)하고 인사는 변천한다. 고금왕래(古今往來)로 크게 본다면 일소(一笑)에 불과한 희비극(喜悲劇)이다"라고만 생각하였다. 그는 "한말의 암흑시대가 일제시대에 들어 현대 조선으로 개신(改新)되었고, 정치의 목표가 인생의 복리를 더하는 것에 있었고, 관공리의 업무도 위민정치를 집행하는 외의 것이 아니었다"라고까지 했으며, "일정시대에 조선인의 고혈을 빨았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정치의 연혁을 모르고 일본인을 적대시하는 편견"이라 하였다. 서대문 형무소에 수감 도중 그는 비단 이불 또는 참새 털로 된 이불을 덮고 자서 다른 수감자들의 부러움을 사기도 했다. 1월 29일 대구에서 상경한 일본인 첩은 매일같이 수사관들에게 와서 이불을 차입시켜달라고 아우성쳤다.[116] 이불 속에 흉한 것이 들어있으리라고 의심한 반민특위 수사관들은 처음에 이불 반입을 거절하였다. 그러나 일본인 부인이 형무소 앞에서 간수들을 붙잡고 며칠을 울며 호소하는 읍소작전끝에 비단이불을 차입하는데 성공하기도 했다.[117] 일본인 첩이 여러번 눈물로 호소한 끝에 비단 이불은 특별히 반입이 허용되었다. 1949년 2월 3일 박중양은 이승만 대통령, 김구에게 나는 반역자가 아니라는 편지 서한을 보내려다가 반민특위 조사관에게 적발되었다.[118] 재판과 가석방[편집] 공판 중 그는 '국민의 신변과 안전, 권리를 지키지 못하는 그러한 정부에 왜 충성해야 하느냐?'며 항변하는 한편 김옥균과 박영효, 서재필, 윤치호 등 개화파들의 무죄를 주장하고, 나아가 이완용은 '국난을 당하여 나라를 부지하고 백성을 구한 선처를 한 사람'이라며, 이완용은 다른 사람들을 대신해 희생된 역사의 희생자라고 강변하여 논란을 야기하였고, 방청석에서는 비난과 소란이 벌어졌다. 서대문 형무소에서 생활하였으며, 며칠 후 재판을 받던 도중 폐렴이 발생해, 서울대학교 대학병원에 통원, 형무소와 서울대를 오가며 치료를 받았다. 수감 중에도 일기를 쓰거나 자신은 반성할 것이 없다는 취지의 서한을 작성하다 교도관에게 발각되어 압수당했다. 박중양은 반민특위에 의해 구금되면서까지 '일본에 의한 조선의 개신(改新)'을 주장했으며, '이완용은 매국노가 아니다'라는 등 전혀 개전의 빛이 없었다.[71] 반민특위가 해체되고 시간이 흐르자, 언론에서조차 '뛰어난 일본어 실력을 바탕으로 탁월한 수완을 지녔던 희대의 걸물'로 박중양을 묘사하는 촌극이 벌어졌다.[71] 2월 9일 반민특위 특별검찰부로 송치되었다. 1949년 2월 14일 반민특위에 보석을 신청, 보석금을 내고 일시 석방되었다.[119] 그가 보석을 신청하자 다른 피의자들도 보석을 신청하여 특검과 반민특위 사이에 갈등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는 일본어 외에도 러시아어와 중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했고 약간의 영어로도 대화할 수 있었다. 가출소 직후 서울대학교 병원에 입원했다. 5월 9일 다시 재기소되자 그는 다시 병보석을 신청했다. 1949년 6월 다시 반민특위에 소환되어 조사받았다. 1949년 반민특위가 해산되었을 때, 그는 별다른 처벌받지 않고 최종 병보석으로 풀려났다.[120] 그의 보석 신청은 여러차례 계속되어 받아들여졌고 그는 곧 풀려난다. 이후 그에게는 친일파라는 야유와 비아냥이 쏟아졌지만 그는 오히려 "일제 당시 살기 위해서 협력한 자들이 누구냐"며 항변하였다. 삼일절에 대한 조롱[편집] 만년의 박중양 한편 그는 3.1절을 기념하는 것을 위선적이라며 조롱하였다. '금일은 삼일절이다. 비 오는 가운데 식이 거행되어 시장, 도지사 등의 식사, 축사, 강연 등이 있었다. 참석자 중에 일정 시대에 관공서 공무원이었던 사람이 (큰 소리로) 호언한 것에 고소를 금치 못했다. 시세 변천을 따라서 그렇게 된 것이지만 활계희극의 광경이다.[121]'라며 비웃었다. 독립 직후부터 이완용의 묘소와 그 자녀들의 묘소에 가해지는 테러와 분묘훼손 행위를 보고도 '조선인의 민족성과 수준을 알수 있는 행위'들이라며 조롱하였다. 그는 일제 시대 당시 독립운동을 하던 사람들도 조롱했다. '해외에 망명했다가 한국이 독립된 후 귀국한 인사들 외에 3.1 운동 당시의 일을 운운할 자격이 없다. 독립운동 사상범으로 영어의 고초를 당한 자라고 해도 영어생활을 조선 내에서 체험한 자는 대개 일본 제국의 신민이었던 것이다.[121]'는 것이다. 또한 소수의 독립운동가들만의 노력으로 독립되었다는 시각은 허구이며 미국의 덕에 독립되었다며 반박하였다. 이어 '오늘날에 당하여 국가건설에 노력하는 것은 독립운동자이거나 아니거나 불문하고 차별은 없지만 일본 제국의 신민이었던 자들이 3.1절 의식에서 떠들고 있는 것이 가소롭게 보인다.[121]'며 조소했다. 그는 일제 시대 후반 거의 대다수의 국민들이 창씨 개명을 한 점도 지적, 일갈하였다. '일정 당시 일본식으로 창씨 개명 안한 자가 없다.[121]'는 것이다. 그는 '일제 시대 당시 조선총독부에 부역하거나 협력, 협조하며 그 치하에서 살던 사람들이 독립 후 합심하여 일제에 저항한 애국자 행세를 하는 것'을 대놓고 조롱, 조소하였다. 3.1 절에 대한 조롱은 사회적인 분노와 비난이 쏟아졌다. 그러나 박중양은 자신에게 쏟아지는 협박과 비난을 모두 위선이라며 외면하였다. 생애 후반[편집] 오봉산 은거와 정부 비판[편집] 박중양 재소환 보도, 대중일보 1949년 7월 30일자 2면 일소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석방 후 요양중이던 그는 1949년 7월 특별 검찰부에 다시 끌려가 문초를 받았다.[122] 일기장이 반민특위에 의해 압수당한 후 그는 1946년부터 일기, 회고 비슷하게 써온 일부 글을 모아 술회라는 자서전으로 엮었다. 그는 오랫동안 작대기를 짚고 다녔다 하여 주민들로부터 '박 작대기 영감'이라 불렸다. 또한 선조들의 묘소가 있던 오봉산 근처 땅을 사들여서 한때 오봉산을 박작대기 산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그는 대구 오봉산 제일봉에 일소대(一笑臺)라는 정자를 짓고 유유자적 여생을 보냈다. 일소대는 후일 1996년 11월에 그의 후손들이 자진 철거하였다. 또한 바위에 일소대 라고 새겨둔 그의 친필 휘호는 파괴, 유실되었다. 반민특위에서 풀려난 이후, 그는 노령임을 핑계로 공공연히 '친일긍정론'을 펴 그가 거주하고 있던 대구지역 사람들의 분노를 사기도 했다. 말년에는 재취 부인인 당시 48세의 일본 여자와 대구 침산동 오봉산 기슭에서 은거하면서 공공연히 친일긍정론을 펼쳤고, 종종 이승만 대통령과 이시영, 함태영 부통령 등을 가짜 애국자라며 조롱하기도 했다. 1957년 1월에는 신년소감(新年所感)이라는 책자를 발간했는데, 이승만이 '주한미군만 철수하면 바로 짐싸서 도망가기 바쁠 것'이라고 조롱했다가 대구지검에 고소, 대구지검 한옥신(韓沃申) 부장검사에 의해 불구속 기소로 조사받았다.[123] 그는 신년사라는 책자를 발간, 경무대에까지 전달한 바 있었다.[124] 신년사에서 그는 이승만을 조롱했는데 뒤에 '행정수반인 이대통령을 모욕하고 친일적인 글을 썼다.[124]'는 이유로 기소당했다. 9월 16일 검찰출두명령이 떨어졌으나 신병을 이유로 거절하였다.[125] 그러나 그는 계속 이승만, 함태영 등을 사이비 애국자라며 조롱했고 결국 정부에서는 그를 강제로 정신병원에 수감하려 하였다. 그러나 박중양 역시 피신하거나 고령을 이유로 완강하게 버텼다. 출판물 사건과 최후[편집] 해악 박중양 영정 1957년 1월 1일 그는 "미국인이 퇴거하면 이승만 대통령은 봇짐을 싸느라고 분망할 것이다"라는 조롱섞인 신년소감을 경무대에 송부하였다.[126] “ ...(이하 중략)... 소련이 우세하고 미국인이 퇴거하게 되면 이승만 씨는 복짐 싸느라고 분망할 것이라. 위인걸사가 어디있으며 범용무위자가 수일까? 호언장어하는 자는 얼마나 잘하였으며 범용무위한척 하는 자는 얼마나 못하였을까? 현명함과 어리석음의 장단은 논의할 가치도 없는 것이다. ...(이하 중략)... ”   — 1957년 신년소감 중에서 1957년 10월에는 이승만, 함태영 등의 젊은 시절에 관해 비방, 명예훼손 발언을 하는 바람에 검찰에 불려가기도 했었다.[127] 그는 출판물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되었다. 이에 그는 '명예훼손이란 반대 세력의 입을 틀어막기 위해 만든 괴상한 법'이라며 조소하였다. 또한 독립운동가 출신 정치인들의 부패와 무능력을 조롱하며 비꼬다가 경찰에 불려가기도 했으나 혐의없음 또는 고령을 이유로 석방되었다. 결국 1957년 10월 20일 박중양은 '대통령에 대한 명예훼손 혐의'로 검찰에 끌려가 심문, 한옥신 부장검사는 그가 고령인 관계로 정신이상이 온것이 아닌가 보고 소정신병원장에게 보내 그의 정신감정을 의뢰하였다.[128] 1957년 12월 4일 부장검사 한옥신은 대구정신병원에서 보내온 정신감정서를 접수하고 12월 5일자로 기소유예 판정을 내렸다.[129] 그러나 다시 그는 대구 소주영 정신과에 가서 정신감정을 받았다. 12월 8일 대구시내 소주영(蘇柱永) 정신병원장은 "심신 모약으로 노쇠상태[126]"라 진단하였다. 이는 대통령 이승만에게까지 직접 보고되었다. 정부에서는 그를 강제로 구인하여 정신병원에 넣으려 하였지만 그때마다 완강하게 거부하거나 산을 타고 피신하였다. 1958년 3월 3일과 3월 4일 강제로 서울경찰에 구인되어 성신대학 부속 성모병원에서 정신감정을 받았다. 그러나 그는 정신병원에서도 완강하게 버텼고 결국 풀려나왔다. 그는 만년에 폐렴, 기관지염 등의 질환으로 고생하였다. 저서로는 회고록인《술회 (述懷)》와 그가 평생 쓰던 《박중양 일기 (朴重陽日記)》, 그밖에 문집이 있었지만 친일파로 몰려 단죄되는 바람에 대부분 인멸, 유실되었다. 현재 박중양의 유저로는 《술회 (述懷)》, 《박중양 일기 (朴重陽日記)》, 《박중양 선생 문서 (朴重陽先生文書)》 등이 전한다. 1946년부터 1953년까지 일기형식으로 쓴 회고록 〈술회〉에서 "한말의 암흑시대가 일제시대 들어 현대 조선으로 개선되었고, 정치의 목표가 인생의 복리를 더하는 것에 있었고, 관공리의 업무도 위민정치를 집행하는 것 외의 것이 아니었다."고 하면서 "일정시대에 조선인의 고혈을 빨았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정치의 연혁을 모르고 일본인을 적대시하는 편견"이라고 강변하며 자신의 행위를 굽히지 않았다. 대구 오봉산의 산장에서 은거하다가 1959년 4월 23일 경상북도 대구시 북구 침산1동 1652번지 원대부락 침산장 자택(현, 대구광역시 북구 침산1동 1652)에서 폐질환과 과로 등으로 사망했다. 8월 23일에 사망했다는 설도 있다. 한때 그가 1955년경 또는 1958년경에 사망한 것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다. 사후[편집] 그가 경기도 양주군에서 이장해온 부모의 합장묘 (대구광역시 북구 침산동 산16-28에 소재하였음), 2004년 그의 종손자에 의해 화장되었다. 시신은 부모 내외의 합장묘와 선조들 묘역에서 조금 떨어진 대구 북구 침산동 산16번지 오봉산 제2봉에 묻혔고, 부인의 묘소와 합장으로 조성되었다. 사후 친일파의 거두나 수괴 쯤으로 비판받고, 독립 이후에도 반성이 없었다는 점을 근거로 지식인들은 그를 지탄하였다. 그러나 대구 지역에서는 그가 지팡이로 일본인들을 혼낸 일, 도지사와 경찰서장까지도 함부로 다루지 못한 것, 일본인 순사들을 혼낸 일 등이 오래도록 회자화되었다. 1991년 대구 주간 매일신문에 언론인 김용진 옹 은 '김용진의 대구이야기' 를 투고 하면서, '조선의 고등학생을 잡아 넣은 일본 헌병 대장 을 혼내 어 준 이야기' . '지나가는 허름한 동족 젊은이들에게 직업을 소개 시켜 준 이야기'[130] 등을 소개하였다. 또한 언론인 박용진은 동시에 일인에게 상권을 넘겨 주기 위해 성곽을 허문 것을 , '신작로를 내기 위함'이라는 것, 박중양의 일본 유학 경력 중에 습득한 것을 '민주주의의 신봉자로서 이 땅에 민주주의를 뿌리 내리려 함'이라[130]고 그를 변호하기도 했다. 그의 묘소는 2004년까지 대구 침산1동 오봉산 제2봉에 있다가 화장되었고, 그의 생전에 경기도 양주군에 있던 그의 부모 묘소가 대구 오봉산 근처에 이장, 합장되었으나 2004년 3월 30일 그의 종손자에 의해 화장되었다. 대구 북구청에 따르면 박중양의 종손(당시 71세, 서울 강남구 도곡동 거주)이 "서울에 거주하는 바람에 묘지를 돌볼 수 없어 화장하겠다"며 지난달 23일 개장을 신청, 침산공원내 오봉산 산 16의 28에 위치한 증조부모 합장묘를 지난달 30일 개장했다고 밝혔다.[106] 또한 3월 30일 같은 날, 합장묘 앞에 '아들 중양이 울면서 세웠다(子重陽泣建)'는 문구와 고(故) 히로히토 일본 천황의 연호인 소화(昭和)가 새겨진 비문도 철거되었다.[106] 또한 오봉산에 있던 그의 아들 박문웅 내외의 묘소와 박무웅 내외의 묘소, 일본인 첩의 묘소 역시 후손들에 의해 이장됐다. 오봉산 근처에 있다는 그의 다른 선조들의 묘소는 실전되었다.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과 광복회가 공동 발표한 친일파 708인 명단에 포함되고, 2004년 대구 침산동에 있던 박중양 기념비가 철거되었다. 2007년 8월 13일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위원회의 박중양 소유의 토지에 대한 국가 귀속 결정을 내려[131]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조사위원회는 박중양이 남긴 36억 7110만원 정도의 토지 8만 2082m2를 국가에 환수한다고 발표했다. 그 토지는 대구광역시 북구 침산동 소재 '침산공원' 일대이다.[132] 그해 8월 대구시 북구 침산동 산16-1에 있던 또다른 그의 토지에 대해서도 친일재산 국가귀속 결정이 내려졌다. 8월 13일 박중양의 36억 7,110만원(8만 2천82m2) 유산이 대한민국 국고로 귀속조치되었다.[133]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선정되었으며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대구 침산동 와우산에 본부인 이주열과 합장된 박중양의 묘는 경기도 양주군 양주읍으로 이장되었다. 풍류 생활[편집] 술을 좋아하는 그는 풍류를 즐기기로도 유명하였다. 박중양은 평소 대구 군방각(群芳閣, 구 대구 종로호텔 자리)에 자주 출입하였다.[134] 군방각 외에도 그는 경성부에 있는 중국집과 양식집에 가끔씩 찾아가기도 했다. 대구읍성을 허물어뜨리는데 앞장 섰고 경상감사를 지낸 박중양은 군방각에서 주로 실세 일본인들을 만나 기생들과 풍류를 즐겼다. 박중양은 늘 인력거와 제비 모양의 양복 차림에 실크 모자와 지팡이[134] 차림이었고, 금빛 회중시계 줄이 조끼 주머니 밖으로 스며나와 길을 걸을 때마다 철렁거렸다.[134] 서민들한테는 그 모습은 위압적일 수 밖에 없었다.[134] 의외로 일본 경찰들은 대구 군방각에 대해서만은 빡빡하게 감시하지 않았다.[134] 그는 중국집과 일식집에도 종종 출입하는 미식가이기도 했다. 그는 관직에서 물러난 1925년 이후 대구 각지에 흩어진 농토에 따로 하인이나 소작농을 두지 않고 과수원과 감자밭, 옥수수밭을 부인, 일본인 첩과 함께 직접 농사지었다. 시민들은 손수 농사짓는 검소한 그가 고급 술집, 고급 양식집 출입을 이상하게 여겨, 그가 고급 술집과 양식집에 가는 이유를 묻자, 그는 '조선과 같이 요령과 술수가 판치는 사회에서는 하지 못하는 놈, 해보지 못하는 놈이 바보가 된다'고 답하였다. 약력[편집] 1903년 : 관리서 주사 1904년 : 일·러 전쟁 때 고등통역관이 되어 전쟁에 참전하다. 1904년 : 농상공부 주사 1905년 : 진주판관 겸 진주군수 서리 1905년 : 일본 유학 1906년 : 대구판관 1906년 : 군부 주사 1906년 : 군부 군기창 기사 1906년 : 경상북도 대구군수 겸 경상북도 관찰사 서리 1907년 : 전라남도 관찰사(도지사에 해당) 1907년 : 평안북도 관찰사 1907년 - 1908년 : 평안남도 관찰사 1908년 - 1910년 : 경상북도 관찰사 1910년 : 충청남도 도장관(도지사에 해당) 1915년 : 중추원 찬의 1916년 : 중추원 참의 1919년 : 3.1 만세 운동의 격화를 자제하기 위해 자제단을 조직하여 만세시위자 설득과 귀가 운동을 하다. 1920년 5월 : 중추원 참의직에서 사퇴하다. 1921년 : 황해도 지사 1923년 : 충청북도 지사 1923년 10월 : 간토 대지진에 조선인 관련성을 부정하고 일본인 내지인들에게 '유언비어에 현혹되지 말 것'을 호소하였다. 1927년 2월 18일 : 의원면직 1927년 : 중추원 칙임관 대우 참의 1928년 : 황해도 지사 1929년 : 중추원 참의 1933년 : 중추원 칙임관 대우 참의 1938년 : 중추원 시국대책조사위원회 위원 1939년 : 조선총독부 시국대책조사회 위원 1941년 : 중추원 고문 1941년 : 칙선 일본제국 귀족원 의원에 선임되었으나 사양하고 취임하지 않았다. 1941년 10월 : 조선임전보국단 고문 1943년 : 중추원 부의장 1945년 4월 : 칙선 일본제국 귀족원 의원 1945년 9월 : 미군정 주둔 후 귀족원 의원, 중추원 부의장에서 파면 1949년 1월 : 반민특위 조사관에 의해 체포, 서울로 이송 1949년 : 서대문 형무소에 수감되고, 반민특위 재판을 받았으나 직접 항거, 변론하다. 1949년 2월 : 폐렴으로 서울대학교 대학병원에 입원하고, 병보석이 허가되다. 저서[편집] 그의 저작과 일기는 대부분 압수되어 인멸, 소각되었다. 단 자서전 술회의 사본을 손자 중 1명이 소장하고 있다가 민족문제연구소 대구지부에 기증한 바 있다. 회고록, 《술회 (述懷)》 《박중양 일기 (朴重陽日記)》 《신년소감 (新年所感)》(1957년) 《박중양 선생 문서 (朴重陽先生文書)》 작품[편집] 친필 휘호 일소대 기념비 전각 흥천지무궁 (1932년 3월) 화랑[편집] 그의 친필 글씨와 그림은 대부분 유실되었고, 지인에게 보낸 일부가 보존되어 있다. 한때 그의 육성녹음이 일본의 한 지인이 소장하고 있었으나 후에 실전되었다. 자제단 조직 뉴스 기사 박중양 친필 휘호 (1924년 11월 30일) 대구읍성 철거 보고서 (1906년 10월) 신돌석 사망 사건 보고서 (1908년 11월 1일) 친필 휘호 흥천지무궁 (1932년 3월 1일) 논란과 의혹[편집] 출신 성분 논란[편집] 박중양의 선대는 불확실하다. 박중양 자신은 아버지가 양주군 주내면에서 머슴으로 살았다고 하였다. 그는 자신의 본관에 대해 1907년에 간행된 《대한제국관원이력서》 에서는 밀양박씨라 하였고,[135] 1913년에 발간된 《조선신사대동보 (朝鮮紳士大同譜)》 (조선신사대동보발행사무소편, 1913)에서는 반남박씨라고 밝혔다. 그의 가문은 아전 출신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17] 대한매일신보 1907년 12월 6일자 2면 보도에 의하면 본시 양주군퇴리(本以楊州郡退吏)라고 하여 그의 선대가 양주군에서 아전노릇을 했다고 한다. 가계가 불확실한 탓에 보통 그의 가계는 선대에 중인 출신이었다가 몰락한 것으로 본다. 그는 자신의 아버지가 경기도 양주군에 와서 마름 노릇으로 겨우 생계를 이어갔다고 하였다. 아버지 박정호에게 내려진 가선대부 규장각제학 벼슬은 사후 박중양의 출세로 추증된 증직 벼슬이었다.[136] 박작대기와 백작댁[편집] 한때 그의 별명인 박작대기 또는 박짝대기가 백작댁의 와전인 것처럼 알려지기도 했다. 백작댁의 와전이 박짝댁이 되고 박작대기가 된 것이라는 설이다. 와전된 별칭은 '백짝때기[137]'라고도 불렸다 한다. 그러나 백작 작위는 그가 만년에 받은 것으로, 박작대기나 박짝대기라는 별명이 붙여진 뒤에 받은 것이다. 침산의 별명은 박작대기산이다. 일제시대 박중양이 대구 침산을 매수한 이래로 박중양이 매일 작대기를 짚고 다니는 것을 비아냥거려 박작대기산이라고 불렀다.[138] 한편 그의 묘소에 대해서 박짝대기 묘가 아니라 백작댁 묘라고 불렀다는 전승도 전한다. '박짝때기미가 아니라 백작댁 묘다, "백작댁묘" 일제 때 백작 벼슬을 한 박씨의 묘라서 박 백작댁 묘[137]'라는 것이다. 이토 히로부미 양아들 논란[편집] 그는 오랫동안 이토 히로부미(伊藝博文)의 양아들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박중양은 양자설은 거짓말이라며 부인하고, 이토가 자신의 은사(恩師)라고 밝혔다. 한때 '이토 히로부미의 수양아들[139]' 또는 이토 히로부미를 의부(義父)로 삼았다[140]는 설도 있었다. 그러나 '이토 히로부미의 양아들로 불릴 정도로 호가호위하던 자[141]'였을 뿐이라는 반론도 있다. 반민특위의 수사관들도 그를 이토 히로부미의 양아들로 알고 있었다.[10] 임관 얼마 뒤 이등박문을 만나게 되면서 친일출세의 길을 달리게 된다. 대담하게도 스스로 ‘이등’을 찾아가, “조선엔 희망이 없어 미국유학이나 하고 싶으니 도와 달라” 했더니, “당신 같은 기백 있는 조선청년은 처음이다”며 주선해준 자리가 대구군수 감투였다는 것이다.[127] 그가 “이등의 양자였다”는 소문도 이런 연유에서 비롯되었는데, 정작 그 자신은 “양자는 아니고 은사였지”함으로써, ‘이등’과의 밀접했던 관계를 간접으로 시인한 바 있었다.[127] 1949년 3월 1일 기자들과의 면담에서 건국공론사의 모 기자가 이등박문과의 관계를 물었다.[57] 건국공론사 모 기자가 그에게 "이등박문 하고는 어떤 관계에 있습니까?"하고 묻자, 그는 처음에는 나의 은사 라고 했다가, 기자들이 "항간에서는 양자관계라고들 하는데?"라고 파고 들자, 박중양은 "그건 거짓말이다."하고 얼버무렸다.[57] 박중양은 이토 히로부미 양자설에 대해 시중에서 확장된 소문에 불과하다고 일축했다. 그러고나서 그는 "그래 내가 이등공을 배경으로 삼고 있으니, 대관(大官)들이 온갖 뇌물을 가지고 아부를 해 왔지만[57] 나는 그것을 다 물리치고 내가 의도하던 개혁을 실시했을 따름이다.[142]"라고 했다. 땅 투기 의혹[편집] 대구읍성과 진주성 철거 시 그는 이때 철거한 성돌 일부를 일본인에게 팔고 돈을 받기도 했다. 진주성의 성첩을 일부 팔았다.[18] 1905년 진주에 있을 때 그는 진주성의 성곽을 일부 헐어서 일본인에게 팔고 돈을 벌기도 했다. '군수 노릇할 때는 성첩 헐어 매식하고, 관찰사가 된 뒤에는 객사까지 훼손하니 황상 폐하 남순(南巡) 시에 일기불현(日旗不縣)하였다고 수창학교 폐지코자 학무대신에게 보고하니 포악하고 돈 잘 먹기 박중양이 날개로다.[18]' 대한매일신보에 게재된 '춘불춘(春不春)'이라는 노래가 전하는 박중양의 행각이다.[18] 박중양이 대구 성첩을 헐어내고 돌멩이를 일본인들에게 팔면서 대구의 부동산에는 일대 혁명이 일어났다. 통감부가 설치된 1904년 당시에 대구에 들어와 있던 일본상인들은 약 120명이었다.[143] 경부선 공사 현장이 부산에서 대구 쪽으로 뻗어 가면서 일본 상인들은 공사 현장을 따라 등짐을 짊어지고 내륙도시로 흘러들었다.[143] 일본인들은 달서문 밖에 판잣집을 띄엄 띄엄 짓고 살았다. 1906년 일본 이사청 부이사 오카모토(岡本)와 대구의 일본 거류민단 대표격인 카게야마(影山)는 박중양을 구워 삶았다. 박중양도 대구역을 어디에 지을지 알지 못했다. 철도역이 들어서면 역을 중심으로 도로를 새로 내야 하고 도로 변에는 반드시 신흥주택가와 상가가 들어서게 된다. 당연히 땅값도 달라진다. 카게야마 등은 대구역 건설에 편승하여 성을 헐고 떼돈을 벌어보라고 충동질했다.[143] 대구읍성 성 안과 성 밖은 성 둘레 한 칸을 놓고 땅값이 4배나 차이가 난다. 성 밖 특히 일본상인들과 경부선 철도공사 인부로 온 일본 노동자들의 숙소 근처인 진동문 밖에다가 엄청난 땅을 사두고 성을 헐어낸다.[143] 그러면 큰 돈을 벌 수 있다는 꼬임에 박중양은 혹했다. 카게야마의 제의대로 박중양은 성을 헐어 버리기로 결심한다.[144] 경부선 철도역이 남문 밖으로 온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돈 있는 사람들은 남문 밖 빈터를 사두기 시작했다. 정거장 바람은 남문 밖으로 휘몰아쳤으며 진동문 쪽의 땅값은 거꾸로 헐값으로 떨어졌다. 소문을 퍼뜨려 놓고 일본인들과 박중양은 비밀리에 동문 밖의 잡초밭을 마구 사들이면서 성곽을 헐어 버리는 비밀 작전에 들어간다.[144] 1906년 3월부터 성곽 철거 작업에 들어갔다. 성을 허무는 작업은 1908년까지 3년이나 계속되었다.[144] - 라고 주장하는데 일제 행정부가 박중양을 신임하는 이유가 스승이었던 이토의 이름을 팔아 사욕을 탐하지 않은 청빈함, 그리고 국가를 운영해야할 지도층으로서의 덕목을 지닌 자로 판단하고 있어서였기 때문에 이와같은 주장은 신뢰하기 어렵다. 김옥균 시해사건이후 사실상 하등민족, 또는 2등민족으로 분류되는 마당에 이토의 제자, 양자소리 듣던 이가 사욕을 채웠다면 이토의 정치적 입지도 곤란한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게 될 뿐더러, 총독부에서도 가만있지 않았을 것이다. 당시 도시의 확장 건설 및 상업인프라 구축이 현실적으로 가능했었던 자본력과 인사이트를 지닌 집단은 일본인들이 아니고서야 불가능했었을 것으로 추측하며, 쓸모 없어져버린 성을 없애버림으로 인해서 상공업의 발전과 토지의 밸류에이션이 리레이팅 되는 효과를 누렸다고 보아야 한다. 그로 인해서 많은 일자리들이 창출되었을 것이고 당시 상당수 능력있는 조선인들이 일본인들에게 고용되었을 것이다. 싱가포르 나 동남아 화교들도 구미 열강 백인들에게 고용된 회계집단이 주축이되어서 경제건설, 또는 부의 축적을 이룩했음을 알아야 한다. 그가 추진했던 건설사업 중에 파생된 여러가지 잡음은 500년 묵은 썩어버린 구 이념과 신 이념이 충돌하는 과정이었기 때문에 충분히 발생할 수 밖에 없었던 일로 보아야 한다. 일본인 거류민단에서는 성이 뚧린 동문 밖으로 도로를 놓아 달라고 박중양에게 5000원을 희사했으며 성을 헌 돌과 흙은 일본인 거류지역의 유곽 시설이나 건설 예정지를 메우고 집을 짓는데 쓰였다.[144] 일부는 선교사들에게 공짜로 나눠주기도 했다. 비만 오면 물이 괴던 대구읍성 동부의 저지대에 자리잡았던 일본인 거류지역은 일등 대지가 되었다. 성 안은 평당 23원, 성 밖은 평당 6원씩 부르던 대지값은 같아졌다. 성내의 땅값은 떨어지고 철도 정거장이 들어 온 동문 밖 대지는 최고 60원까지 뛰었다. 박중양이 사들인 땅값은 순식간에 10배나 뛰어올랐다.[144] 이를 두고 박중양의 일화는 그가 시대를 앞선 땅 투기꾼이었음을 보여준다[18]는 평도 있다. 친일파론에 대한 반론[편집] 박중양은 일반적인 친일파와는 다르다는 견해가 오랫동안 제기되어 왔다. '맹목적인 친일파'는 아니었다[84]'는 시각도 있다. 또한 조지훈은 "그를 변절자로 봐서는 안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조지훈은 '박중양 등은 변절자가 아니며 반역자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는 자신의 수필 지조론에서도 "누가 박중양, 문명기 등 허다한 친일파를 변절자라고 욕했는가. 그 사람들은 변절의 비난을 받기 이하의 더러운 친일파로 타기되기는 하였지만[145] 변절자는 아니다[146]"라고 하였다. 그 이유로 조지훈은 '민족 전체의 일을 위하여 몸소 치욕을 무릅쓴 업적이 있을 때는 변절자로 욕하지 않는다.[146]'고 하였다. 발언 파문[편집] 고령임에도 일본 여자인 48세의 제2부인과 은거해 살던 1957년 10월에는 이승만 대통령과 함태영 부통령의 젊은 시절에 관해 명예훼손 발언을 하는 바람에 검찰에 불려가야만 했다.[127] 또한 그는 평소 이승만은 '미국과 주한미군만 퇴거하면 즉시 보따리를 싸서 도망칠 인간'이라는 말을 하고 다녀 논란거리가 되기도 했다. 침산 토지에 대한 의혹[편집] 그가 은거하던 침산이 그가 매입한 것이 아니라 대구읍성을 철거한 대가로 받은 것이라는 소문도 돌았다. 그의 후반생 은거지가 되었던 대구시 침산동의 침산(砧山·일명 박짝때기산·현 침산공원) 한 덩어리 전체도, 이때의 땅 투기로 거부가 된 일인들이 주선해 준 '사은품'의 성격이 짙다는 소문이었다. [147] 박작대기 혹은 박짝대기[편집] 그는 오랫동안 작대기를 짚고 다녀 박작대기 또는 박짝대기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148] 벼슬이 높아진 박중양도 중년 이후 이 개화장을 애용하며 뽐내고 다녀, 사람들이 비꼬는 뜻에서 가져다 붙인 별명이 ‘박짝때기’였다. 뒤따르는 하인 한 사람을 대동하고, ‘朴’이란 큰 글자가 쓰인 전용인력거를 타고 다니며 관가를 누비던 박짝때기였다.[127] 박중양은 단장을 항상 휴대하고 다녔기 때문에 항간에서는 '박 작대기'로 통했다.[149] 그는 개화장(開化杖)이라고 부르는 작대기를 짚고 다녔다.[148] 조선총독부나 일본인 관료가 마음에 들지 않는 행동을 하면 작대기로 사정없이 후려치기도 했다. 그러나 조선총독부의 각별한 신임을 얻고 있었고, 칙임관 이상의 대우를 받고 있었으므로 관료들도 그를 건드리지 못했다. 그는 조선총독이나 정무총감 앞에서도 당당했다고 한다. 1940년 당시 총독부 출입기자 좌담회에서 매일신보 기자 김인이(金麟伊)는 그가 총독과 정무총감 앞에서도 당당했다고 기술하였다. “ 언젠가 무슨 회의든가에 보니 총독, 총감도 다 열석한 석상인데 박중양이 당당합데다. 예전 도지사 당시에도 내무부장, 경찰부장이 쩔쩔 매였다는 소문이 있느니만치 철저하게 이야기 하더군요. 말에 질서 있고 사리를 잘 분변하는 말이고, 만좌가 경청하더군요. ”   — "총독부 기자 좌담회", 《삼천리》 제12권 제3호 (1940년 03월 01일자) 그는 도지사나 고등법원장한테도 예사로 작대기를 겨누며 “기미 기다까”(자네 왔는가)했나 하면, 밉게 보인 순사쯤은 자기 집 사설 감방에 하루 이틀 가두어 두었다가 제복을 벗겨 내쫓기도 하는 등 특출한 일화를 남기기도 했다.[127] 일본인 순사를 잡아다 집안 사설감옥에 가두던 그를 두고 '일본인을 혼낸 통쾌한 조선인 이야기'로 기억하는 사람들도 있었고[148], 이는 이후에도 널리 회자화되었다. 각 도지사와 시장, 지방법원장 등이 부임하면 부임인사를 다녔고, 매년 그의 집으로 세배를 갔다. 사상과 신념[편집] 그는 '평양으로 천도'하는 것과 '조선에 의회 제도를 도입하며 신생독립국들과 협력하는 중립국[12]'을 장차 조선의 이상적인 모델로 내다봤다. 그러나 그의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중추원은 형식적인 기관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그럼에도 그는 韓日倂合 이전까지도 의회 설치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양의, 의학교 설립론[편집] 일·러전쟁에서 군의관이 부상장병을 신속하게 응급처치하는 것을 목격한 박중양은 1906년(광무 9년) 1월 조정에 지역에도 신식 병원을 설립할 것과, 의사를 양성하는 의학교의 필요성을 역설하였으나 묵살당했다. 신식 병원과 의사 양성기관의 설립 상소가 묵살당하자 그는 실망하게 된다. 그는 1906년 가을부터 평양동인의원의 개원을 후원하였다. 1906년 12월 평양동인의원 부속 의학교 개교에 참석하고 이를 적극 후원하였으며, 1907년 대구동인의원 개원과 1907년 2월 대구동인의원 부속 의학교 개교에도 참석, 동인의원과 부속의학교를 적극 후원하였다. 1907년 6월 14일 동인회 평양지부 평의원에 위촉되었다. 1907년(융희 1년) 7윌 20일 평안남도관찰사로 동인회 평양 지부장에 선출되었다.[150] 평안남도관찰사로 재직 중 평양에 신식 병원의 유치를 적극 추진하였으나 실패했다. 평안남도관찰사 재직 중 박중양은 동인의원과 부속의학교의 운영에 각별한 관심을 두었다. 1908년(융희 2년) 5월 5일 동인의원 부속의학교 제2학년에 진급하게 된 14명 에 대한 진급식이 열렸다. 이 날 진급식 에는 지부장 평양 이사관 기쿠치 , 평의원인 평안남도 관찰사 박중양, 평양위술병원장 3등 군의정 키타야마, 평양 거류민단장 시부야, 그리고 강사 마에지마 일본 육군 1등 군의관, 하시모토 약제관 등 평양 의 주요 일본인 들이 참석 했다.[151] 단발령에 대한 확신[편집] 1935년 9월 4일 방문한 조선민보사 기자와 함께(우측 앉은이가 박중양, 좌측 조선민보 기자) 박중양은 제사 문화와 허례허식 문화 등 조선의 구습에 반감을 품었다. 그에 의하면 어떤 소신이나 의식이 있어서가 아니라 남들이 하기에 그냥 맹목적으로 따라하는 의미없는 행동들이라는 점이었다. 그는 단발령에 대해서도 확신을 품었다. 단발을 하면 상투를 틀 때보다 머리 관리 시간도 절약되고, 머리 감기도 편하다는 것이 그의 지론이었다. 그에 따라 1906년 경상북도관찰사 재직 중에는 영해 초도 순시 후 강제로 단발을 강행하였다. 그는 영해초도 순시 직후, 관찰사실 내아 삼문(三門) 뒤에 숨어 있던 일본 순사들을 시켜 관찰사 박중양에게 인사를 드리러 들어오는 사람들에게 가위로 들이대고 상투를 잘라 버렸다.[43] 1907년 평안남도관찰사 부임 직후에도 신임 관찰사를 찾아오는 지역 유지들을 강제로 삭발시켰다. 1912년에는 군청 통폐합작업으로 시끄러운 가운데 논산군 은진면 유지들이 도장관 면담을 요청했다.[60] 이때 은진에서 찾아온 유지들 가운데 한 노인이 상투머리에 갓을 쓴 것을 보고 버럭 소리를 질렀다. '단발령이 내린지 언제인데 지금 까지 상투를 하다니... 에잇! 다들 나가시요.' 그리고는 집무실로 들어가 버렸다.[60] 그는 단발령을 비롯한 제사 문화와 허례허식 문화, 관혼상제 문화에 대해, 실생활에 아무런 도움이 안 되는 인습들로 규정하였다. 한국인 민족성에 대한 비판[편집] 그는 '한국인들이 아는 척, 잘난 척 하기를 좋아한다'고 비꼬았다. '두뇌가 공허하여도 아는 체 하는 것이 조선인들의 병이다.[6]'라는 것이다. 이어 '하등 자신감도 능력도 없는 자가 사람들을 비판, 악평하는 것이 조선인의 버릇이다.[6]'라고 지적하였다. 이어 박중양은 '조선인들은 애국심만 있다면 범죄행위를 해도 허용되거나 묵인하는 습성이 있다'고 질타하였다. 또한 그는 '조선인의 악벽'이라 하여 조선인들에게 존재하는 악질적인 버릇을 지목했다. 그는 한국인들의 악질적인 버릇으로 '편협성, 배타성, 다른 사람 험담, 나태, 의존 생활, 놀고 먹기[152]'를 들었다. 이러한 악질적인 습관을 가진 덕에 조선은 일제의 식민지가 된 것이며, 일본이 아니라 다른 국가의 식민지가 될 수 밖에 없는 운명이라 하였다. 그는 한국인들이 신뢰를 가볍기 여기고 사람 봐가면서 뒤통수를 치는 악습을 갖고 있다고도 지적하였다. 박중양은 '한국인들은 자신이 직접 나서서 할 자신도 없으면서 누군가 나서서 악습을 타파하고 개신하려 들면 방해하고 험담하여 좌절, 무산시킨다'고 비판했다. 하등 자신감도 능력도 없으면서, 하려는 사람들을 (뒤에서) 비판, 악평하는 것이 조선인의 버릇이[6]라며, 이것이 조선인 최대의 결점이라 했다. 그리고 일제시대의 독립운동가를 사칭하는 강도부터 독립 이후의 반탁 테러꾼들에 이르기까지 애국심의 이름으로 범죄를 저지르면서도 자랑스럽게 여기는 자들이 많다며 그들은 부끄러움과 염치를 모르는 자들이라고 일갈하였다. 박중양은 '말만 그럴싸하게 하는 놈 치고 사기꾼, 협잡배가 아닌 놈 없으며, 정의로운 척 하면서 자신의 무능력을 숨기지 않는 놈이 없다'며 말보다 그 사람의 행동을 먼저 살펴볼 것을 주문하였다. 또한 '타인의 말을 듣기 보다 그 사람을 직접 상대해보고 판단할 것이며, 타인의 말은 참고사항 정도로만 여기면 된다'하였다. 그는 '편협성, 배타성, 폐쇄성, 다른 사람 험담, 나태, 의존 생활, 놀고 먹기가 조선인들의 악벽이다. 형제숙질에게[152] 의존하는 생활을 당연지사로 알고, 무위도식이 조선인들의 결점이다. 사돈의 8촌에게까지 기식(기생하여 사는 것)을 수치로 모른다는 풍자적인 속담도 있다.[153]'고 지적했다. 그에 의하면 '한국인들은 자기 가족들에게 민폐를 끼치는 것을 너무나도 당연하게 여긴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는 가족끼리 서로 봐 줄 수 있다고 보던 당시 사람들에게 이상한 생각을 하는 인간으로 몰리게 됐다. 1945년 독립 직후에는 조선인의 근성에 대한 성토와 규탄을 하였지만 결국 그는 이상한 생각을 하는 괴짜, 정신질환자로 몰려 무시당하기에 이르렀다. 개화파 애국자론[편집] 효수되어 한성부 저잣거리에 내걸린 김옥균의 수급(그는 김옥균과 개화파의 비참한 최후를 슬퍼하였다.) 그는 이완용 등은 매국노가 아니라고 주장하여 화제가 되기도 했다. 또한 고종은 정치적으로 무능한 인물이며 1950년대 당시까지만 해도 일각에서는 역적 취급을 받던 김옥균, 서재필, 박영효, 윤치호 등도 매국노가 아니라 선각자라고 주장하여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그에 의하면 '김옥균, 박영효, 서광범, 서재필 등을 역적이라 조선 상하가 흉언하였지만 이조 말년의 선각자이고 애국지사다[4]'라는 것이다. '(그들은) 국정유신을 약모(계획)하려다가 실패하였다. 당시 뜻대로 성사하였으면 분명 우리가 일본과 비견하게 되었을 것이다. 김옥균 등 개신파가 실패하고는 망명생활을 하다가 박영효 일인이 귀국하고 대개는 객사하였다. 그들의 유가족을 생각하면 동정하는 눈물이 없을 수 없다.[6]'고 하였다. 이어 그는 김옥균을 유인해서 암살한 조선의 조정을 잔인하다며 지탄하였다. 김옥균의 최후를 두고도 '김옥균은 일본 동경에서 망명생활을 하다가 홍종우의 유인으로 상해에 나가게 되어 홍종우에게 암살당했다. 인면수심의 홍종우를 논할 필요도 없지만은 김옥균의 시체가 경성으로 도착했을 때 종로시상에서 목이 잘리고 사지를 분열하였다. 이런 행사가 야만인들에게도 없을 것이다.[6]'라며 분개하였다. 이어 그는 '금일의 대한민국이 미국을 배경으로 성립한 것을 망각하여서는 안된다.[6]'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는 좌우합작을 반대하고 자신들의 힘으로 대한민국을 수립했다고 생각하던 제1공화국의 관료들의 감정을 자극했다. 그는 '금일의 대한민국이 미국을 배경으로 성립한 것을 망각하여서는 안된다. 김옥균, 서재필 등이 역적이 아니고, 김홍집, 정병하, 어윤중, 안경수, 윤치호, 권영진, 조의형, 장박, 유길준 등이 국사를 범한 죄인들이 아니다. 이완용 등이 매국노가 아니다.[6]'라며 항변했다. 그는 '애국자를 박해하다 못해 처참하게 죽이는 그런 국가, 그런 정부에는 애국을 할 필요가 없다'며 역설하였다. 이어 그는 조선이 최초로 독립한 것을 日·淸전쟁 이후 때로 보기도 했다. 그는 단군 조선 이후 기자 조선. 신라, 고려, 조선이 중국의 속국이었고, 중국에 사대를 하였으며, 조선왕조에 와서는 중국의 속국 노릇을 자랑스럽게 여기기까지 했다며, '선인들의 애국심이 금일에 기고만장 떠들고 있는 사람들만 못한 것이 아니고 충의가 금일의 큰 소리를 장담하는 자들만 못한 것도 아니다. 불가항력 대세를 거스를 수 없는 소이다. 조선이 청국의 예속을 면하고 독립하는 것이 조선인의 실력이 아니고 日·淸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한 결과 일본의 힘으로 독립한 것이[6]'란 것이다. 그는 '명나라의 속국을 자처하고 그것을 자랑스러워한 조선인들에 대해서는 부끄러워하지 않으며, 친일파로 지목된 사람들에게만 유독 가혹하게 구느냐'며 항변하였다. 사람들에게 그는 '명나라의 속국을 자처하고, 명나라와 청나라에 공녀와 인삼, 금은 등의 조공을 바친 것은 왜 아무도 비판하지 않느냐'며 계속 되물었다. 국가와 국민관[편집] 그는 '국가는 국민을 위해 존재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 자신의 일기나 독립 후에 쓴 술회, 반민특위 공판장에서 그는 한결같이 '국가는 인민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며 인민을 배려하지 않는 국가, 정부는 존재할 필요가 없다.', '인민을 살피지 않는 국가와 정부에는 충성할 이유가 없다'고 항변하였다. 방청석에서 반발이 나오자 그는 '조선 조정이 백성들을 위해 한 것이 무엇이냐'고 항변하였다. 그는 재판 중 반성하지 않는 것[10]으로도 회자화되었다. 그가 공판을 받는 동안 방청석과 재판장 내·외부에서는 반역자, 매국노라는 비판이 쏟아졌지만 그는 굴하지 않고 자신의 소신을 되풀이하였다. 교육, 언론활동 지원[편집] 평안남도관찰사와 경상북도관찰사로 재직 당시 그는 도내 신문 발간을 지원하고 적극 장려하였다. 또한 이들 신문사들에게 언론의 자유를 대폭 부여하여 관찰사, 기업인, 지역 유지 등에 대한 비판을 최대한 허용하였다. 그는 언로를 열고 언론을 보급하는 길이 사람들의 눈을 깨이는 길이라 확신했다. 지역 유지들과 지식층이 신문을 잘 읽지 않자, 그는 숙제로 내주어 신문을 읽게 하고, 주말 저녁의 모임에서는 정치, 시사에 대한 질문을 하기도 했다. 후일 전북대학교 교수 강준만은 '신문 발간을 주도한 관찰사인 박중양 이나 황철 은 친일파로, 또는 부패관료로 '대한매일신보'나 '황성신문'과 같은 신문에서 크게 비난 받던 인물이었다. 그렇다면 박중양이나 황철은 신문을 실어 하던 관리들이었을텐데, 이들이 신문의 창간을 지원하고 있었던 것이다.[154]'라며 이를 의아하게 여기기도 했다. 평안남도에 관립일본어학교의 설립을 지원하였고, 경성의 기독교청년회의 영어학당에도 후원금을 보냈으며, 대구에도 관립일본어학교의 건립을 추진, 후원하였다. 대구읍성 철거[편집] 대구군수 재직 시 그는 일본인들이 칭송한 야마모토 군수 라고 하여 유명하였다. 경부선 개통으로 대구에는 많은 일본인들이 몰려왔다. 때문에 일본인과 경북관찰사 사이에 빈번한 대립과 충돌이 생겨났다. 이때 대구군수 박중양은 주로 일본인들의 편에서 일하였다. 따라서 일본거류민들은 그를 '야마모토 군수'라고 부르며 칭송을 아끼지 않았다.[13] 성벽 파괴작업은 오직 박중양의 독단으로 감행한 일로 목이 달라날 각오를 갖고 임했다.[56] 박중양은 성을 헐어버릴 계획을 오카모토와 카게야마 그리고 몇몇 일본 사람들과 함께 짜고, 1906년 10월, '대구 도시계획 상 방해가 되니 성첩을 헐겠다.'는 건의서를 조정에 올렸다.[144] 건의서에 대한 조정의 회신은 '불가'였다.[144] 그러나 중앙에서 회신이 내려왔을 때는 이미 성첩을 허물은 뒤였다. 박중양은 건의서를 올리기 열흘 전부터 카케야마 등이 부산에서 데려온 60여 명의 일급 노동자를 배불리 먹이고 밤새 성에 구멍을 뚧기 시작했던 것이다.[144]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그는 두 아들인 박문웅과 박무웅을 일본으로 망명시킬 계획도 세웠다 한다. 불상사를 대비해 두 아들(文雄, 武雄)을 일본으로 망명 시킬 준비도 하였다는 것이다.[37] 박중양은 당시 대구읍성이 대구읍내를 관통하여 시내 왕래가 불편한가 여부를 검토했고, 을사 보호 조약 이후 조선은 일본의 속국이나 다름없었다고 보고 대구읍성 철거를 지시한다. 당시 일본거류민들이 가장 소원했던 바는 바로 대구읍성의 철거 문제였다. 그런데 1906년 6월 그가 경북관찰사 서리를 겸하게 되면서, 곧바로 읍성을 허물고 그 자리에 도로를 만들었다. 결국 성을 철거함으로써 성내 상권까지도 일본 상인들이 침투하게 되었다.[13] 일본인이 기록한 대구물어에도 그가 '만약의 사태를 대비하여 두 아들을 일본으로 망명시킬 준비도 하였다.[56]'는 기록이 있다. 한편 읍성 철거를 두고 일본인들은 이를 두고 야마모토 군수의 '과감한 조치'라고 극찬하였다.[13] 그러나 그는 일본인들의 칭찬을 외면하였다. 진주성 철거의 시발점[편집] 그는 진주성의 일부를 철거하기도 했다. 그는 대구와 진주의 수백 년이나 된 성돌을 파내어 일본인들에게 팔아 먹은 돌군수였다.[18] 진주성과 대구읍성을 돈주고 팔았다 하여 돌군수[18] 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일본인들은 그 돌을 집을 짓는 데 사용했다.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 5만 명 앞에서도 난공불락이었던 진주성은 박중양이 성첩을 팔았다.[18] 헐린 진주성곽 일부의 돌은 돈을 받고 일본인에게 판매하였다. 훗날 1930년대에는 진주성 내성까지 조선총독부에 의해 철거되면서 촉석루만 남게 되었다. 박중양은 진주성 돌의 일부를 성곽 북방에 있던 대사지(大寺池)등 세못과 해자를 메우는데 활용하였다. 진주성은 결국 촉석루 1채 만을 남기고 자취를 감추게 된다.[18] 진주성은 1960년대부터 복구되기 시작했다. 이완용 희생자론[편집] 이완용(박중양은 그가 어쩔수 없이 모든 책임을 지고 희생했다고 봤다.) 그는 이완용을 '역사의 희생자'라며 변호하였다. 사람들이 흔히 '이완용을 매국노라 매도하여 말하지만, 다른 사람을 알지도 못하면서 비판하는 것은 쉽고, 국가가 위급존망한 때를 당면한 지도자가 되어 일처리를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 하였다.[6] 1945년 독립 직후부터 그는 이완용을 변호했고 그는 어쩔수 없는 희생자라 주장하였다. 그러나 외면당했다. 독립 후 조선총독부에 협력하거나 부역하던 당시의 국민들이 모든 책임을 이완용, 박제순 등 을사오적이나 정미칠적 등에게 돌리고 이완용에게만 모든 공격이 쏟아지는 것에 분노하며 이완용 애국자론을 펼쳐서 논란을 일으켰다. 그의 이완용 피해자론, 이완용이 희생자라는 견해는 논란거리가 되었다. 그는 '이완용을 매국노라고 독언하지만 사람을 비판하는 것은 쉬우나, 국가의 위급이 존망한 때의 당면한 책임자를 선처하는 것은 지난한 일이다. 폭풍노도와 같은 대세를 항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국난을 당하여 자살하는 자가 있을지라도 사상계의 자극은 될 지언정, 부국제민(扶國濟民)의 방도는 아니다. 하물며 관직을 사퇴하고 도피하는 것은 무책임한 자의 행동이다.[6]'라며 이완용이 위기에 처한 상태에서 대신 악역을 자처했다고 변호했다. 또한 韓日倂合 때나 을사 보호 조약 이후 관직을 버리고 낙향한 사람들을 무책임한 사람들이라고 비난했다. 그는 '누구라도 이완용과 동일한 경우의 처지가 된다면 이완용 이상의 선처할 도리가 없을 것이다.'라며 이완용 등은 매국노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국가가 위기에 처했는데 '관직을 사퇴하고 도피하는 것은 무책임한 자의 행동[6]' 밖에 안된다는 것이었다. 이는 을사 조약 때나 韓日倂合 이후 관직을 버렸던 일부 인사들, 그들을 양심적인 선비로 보고 존경하던 사람들과 언쟁꺼리가 되었다. 친일에 대한 소신[편집] 그는 자신이 민족 반역자는 아니라고 하였다. 독립 직후 그는 자신을 성토하는 여론에 대해 "나는 친일은 하였으나 민족 반역자는 아니다.[56]"라고 반박하였다. 일제 시대의 조선에 살던 사람들은 '본인이 원하든 원하지 않든 일본 제국의 신민이고 조선총독부의 국민일 수밖에 없었다'고 항변하였다. 그는 '독립운동 사상범으로 영어의 고초를 당한 자라고 해도 영어생활을 조선 내에서 체험한 자는 대개 일본 제국의 신민이었던 것이다.[121]'고 하였다. 독립운동을 하다가 처벌을 당했더라도 그는 일본 제국의 국민으로 처벌받은 사실은 변함이 없다고 주장했다. 1953년경 박중양이 자신의 일기 일부를를 지인에게 보냈는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정치인들이 천황을 제대로 보필하지 못해 일본이 미국, 영국 등 연합국에 패배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그는 일본의 진주만 기습이나 미국과의 전쟁을 일본 정객들의 오판이라 생각했다. 그러나 자신의 충성심만은 변치 않았다고 하였다. 이는 1997년부터 1998년 일본 체류한 대구 출신 사학자 강태원에 의해 가쿠슈인 대학 우방문고에서 발견되었다. 조선총독부 통치에 대한 긍정론[편집] 박중양은 조선총독부의 통치를 비교적 공정했다고 봤다. 일제 시대에 대한 무조건적인 비난은 일본인에 대한 편견이라는 점과, 지역차별을 없앤 것을 내심 높이 평가했다. 특히 조선총독부가 통치하는 과정에서 평안도 출신에 대한 차별을 없앴다는 것을 높이 평가했다. 또한 그는 조선 왕조를 조선총독부 통치기와 비교하여 암흑기로도 평가했다. 그는 '정치의 개선과 인재 등용을 세인이 모두 아는 바이다. 정령에 이론에 편중하고 민중 생활에 불합리한 점은 없었으되, 대체 정치의 목표가 민생의 복리를 계획하는데 있고, 관공리 등은 일일이 시무가 위민정치를 집행하는 이외에 한 것이 전혀 없다.[155]'며, 일제에 대한 비판은 일본인들에 대한 편견이 작용했음을 지적했다. '암흑시대 조선이 현대 조선으로 개신된 것은 세인이 모두 아는 바다. 조선인의 고혈을 흡취하였다고 일정시대를 비난하는 사람이 있지만 이는 정치의 연혁을 모르고 일본인만을 적대시한 데서 헛소리한 편견이다.[155]'라고 지적했다. 그는 일제 통치에 대해 증오감이나 편견이 없이 평가해야 된다고 봤다. '염두의 증오지심이 있어서는 공정한 평론이 아니되는 것이다.[155]' 그는 조선총독부 통치의 공정한 이유로 지역감정을 없앴다는 점을 들기도 했다. '일정시대에 인재 등용이 실시되어 이조시대의 차별을 받고 있던 평안도 출신도 도지사, 참여관 등에 등용되었다.[155]'는 것이다. 조선총독부나 일제 통치기라고 해도 무조건 실력없는 인사를 채용해서 쓰지는 않았다는 것이 그의 지론이었다. 그는 여러 총독 가운데서도 특히 데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 총독을 긍정적으로 봤다. 데라우치가 '조선인을 본위로 정치를 행하여 조선 말기의 암흑시대를 비교적 명랑하게 만들었고, 특히 관개사업을 추진하여 농업을 발달시켰다'고 평가하였다. 그는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넘쳐났던 지역감정이나 출신지 차별, 출신성분 차별을 배제하고 공개채용시험으로 인재를 등용한 점, 문벌과 학맥 등을 가리지 않고 선발한 점을 예로 들어 조선총독부 통치가 편파적인 통치가 아니라'고 항변하였다. 조선의 일본화[편집] 그는 '조선이 선진국 내지는 문명인으로 발전하려면 일본이 서양의 문물을 받아들여 개화하였듯 조선인들도 일본의 것을 받아들이는 방법 밖에 없다'고 보았다. 그의 친일행각에 대해서는 '대한매일신보'와 같은 언론에서도 다음과 같이 경고하였다.[13] "중양가절 말 말아라. 전무후무 비기수단(肥己手段) 대구성곽 구공해를 일시간에 팔아먹네. 애구(哀邱) 대구(大邱) 흥 …" (대한매일신보, 1909. 1. 16. '중양 타령'[13]) 그는 '비문명화된 조선의 문명 개화를 위해 일본인들이 협조, 지원해줄 것'을 당부했다. 그는 1908년 무렵 일본인들과의 한 모임에서 "이 땅의 한국인들이 희망하는 바는 귀국인들이 스승으로서 책임을 갖는 것"이라고 한 것처럼, 항상 일본인들의 우월성을 앞세웠다.[13] 그리고 '조선인들도 일본인을 본받아 문명화와 개척 정신, 자립 정신, 호전성을 지녀야 된다'고 확신했다. 그는 조선인들의 '형식적인 위선과 무능력함'을 열등감처럼 여겼다. 박중양은 일본인이라고 무조건 우러러보지는 않았다. 작대기를 들고 다니던 그는 억울하게 투옥된 사람을 석방시키는가 하면 횡포를 부리던 일본인 관헌들을 작대기로 끌어내리거나 내리쳐서 호통을 치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도지사와 중추원 참의와 칙임관대우였고, 조선총독부의 각별한 신뢰를 얻고 있었으므로 일본인 관헌들도 그를 함부로 다루지 못하였다. 이토 히로부미에 대한 존경심[편집] 스승 이토 히로부미 박중양은 자신의 스승이기도 했던 이토 히로부미를 독립 이후에도 기억하면서 존경하였다. 그가 이토 히로부미를 존경하는 이유 중의 하나는 '사심과 욕심이 없는 점'을 들었다. '관직이나 부귀에 대한 애착이 없고, 자신의 관직을 다른 사람에게 양보한 점과 신설한 관직은 1차 시험 후에 다른 사람에게 양보한 것[155]'이 그 이유였다. 그는 이토 히로부미를 부를 때 항상 '이등 공, 이등 선생님, 선생님'이라 칭하였다. 이토 부부는 일본과 조선을 내왕할 때는 어김없이 박중양을 데리고 다녔다고 한다. 어느 날 이토 부인이 바다에 빠져 몹시 위급해졌을 때, 박중양이 뛰어들어 그녀를 구해주었다고 한다.[13] 따라서 이토가 박중양을 더욱 각별히 아끼게 되었다.[13] 그는 이토 히로부미를 가까이서 봤다. '이등박문은 세계적 위인이다. 공의 연구가 후진들에게 교훈이고 술자리 환담 때에도 쓸데없는 말이 없다. 이등박문은 일본에만 전유할 정치가가 아니다. 각국 역사책의 기록이 있을 것이다.[155]'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토 히로부미가 술에 취해서도 '실수나 실언을 하지 않는 점'을 높이 보고 그를 인격자로 존경하게 되었다. “ 메이지 유신 초기 폐번치현(번을 폐하고 현을 설치) 때 27세의 나이에 병거현령이 되고 국회 개설 초의 귀족원 의장, 궁내부 신설과 동시에 궁내대신, 내각 제도가 제정되면서 초대 총리 대신, 추밀원 설치 초의 추밀원 의장이고, 초대 한국통감이었다. 그는 현직에의 애착심이 없고 신설 관직을 1차 시험 후에 타인에게 전수한 것이 이등박문공의 방식이었다.[155] ” 박중양은 이토 히로부미를 자신의 역할 모델로 존경했다. 그는 이토 히로부미가 '관직이나 부귀에 연연하지 않는 점'을 높이 샀다. '나는 이등공을 표본으로 하고 한국의 중흥을 이상으로 하였다. 국세가 주마적으로 급변하므로 내 사상이 수포로 돌아갔다. 대세를 역행할 수 없는 환경을 따라서 내 심상도 역시 변동하였다.[155]'며 일본식 정책 추진의 실패를 아쉬워했다. 그는 한국이 독립된 뒤에도 오래도록 이토 히로부미를 인격자로 회상하였다. 이러한 그의 사상, 행동은 이토 히로부미를 을사 조약의 원흉으로 보던 당시 한국 사람들과 갈등하는 요인이 됐다. 한국인 韓日倂合 기여론[편집] 그는 독립 직후부터 韓日倂合이나 을사 조약의 원인이 '일제, 일본만의 잘못이 아니라 한국인들 역시 원인을 제공했다'고 주장하였다. 조선이 멸망한 원인 중에는 '왕에게 바른 말을 하는 사람이 없었다는 점'과 '당시 크고 작은 벼슬아치들 모두 부패하고 무능했으며 민생을 외면했다는 것'이다. 이는 일제의 악랄함에 의해 조선이 속수무책으로 당했다고 본 독립운동가 및 민족주의 역사가들의 견해를 정면 부정하는 것이어서 논란이 되었다. 그는 자신의 저서 술회에도 그와 같은 내용을 기록하였다. '정치의 부패와 국민들의 고통을 지금 70세 이상 되는 연로자는 모두 다 아는 바이다. 행락 매관이 공공연히 이를 행하였고, 대소 관리들의 민재 탐취가 강도와 다르지 않았다.[155]'며 당시의 부패상을 지적했다. 그는 韓日倂合의 원인을 '무조건 일본인들만의 탓으로 돌리는 것은 피해망상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임금에게 직신(直臣)이 없고 궁중의 난잡은 백귀야행(百鬼夜行)이었다. 집정자는 자기 영달에만 몰두, 탐욕했고, 국정일비를 무관심하였다. 고위 고관자는 자기의 이해득실에만 타등하고, 백성들은 죽든지 살든지 아불관어(무관심)하였다.[155]'는 점도 지적했다. 박중양은 '韓日倂合의 책임을 외부에서만 찾는 것은 일시적인 자기 위안'이라며 비판하였다. 그는 '한국의 쇠망은 그 원인이 적년요정(積年要政, 매년 쌓은 정치의 잘못)에 있었지 일조일석에 있지 않았다. 한국을 쇠망케 한 자는 한국인 누구누구였겠는가.[155]'라며 한국 내부의 잘못도 존재함을 역설하였다. 현실주의[편집] 그는 일제 시대 당시 조선에 있었던 사람은 모두 황국신민이라고 규정했다. 일제 시대 당시 '국내에 있던 국민들은 모두 일본 국적을 가진 일본 국적자였고, 이 사실을 부정하는 것은 구차한 변명'이라며 조롱했다. 그는 '해외에 망명했다가 한국이 독립된 후 귀국한 인사들 외에 3.1 운동 당시의 일을 운운할 자격이 없다.[121]'고 하였다. 또한 그는 '독립운동 사상범으로 영어의 고초를 당한 자라고 해도 영어생활을 조선 내에서 체험한 자는 대개 일본 제국의 신민이었던 것이다.[121]'고 하였다. 비록 독립운동을 하다 처벌을 받았지만 일본 영토 내에서 일본의 신민 자격으로 처벌받은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일제 시대 당시 일본 치하에 있던 사람들이 일본 국적, 일본의 백성임을 부정한다 해서 일본 국적자였던 사실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라고 봤다. 그는 3.1절 기념행사 참석자 중에 '일정 시대에 관공서 공무원이었던 사람의 연설'을 보고 조롱하였다. 상황 따라 변신하고 변절한다는 것이 이유였다. 그는 이를 두고 '시세 변천을 따라서 그렇게 된 것이지만 활계희극의 광경[121]'이라고 조롱하였다. 성실성[편집] 1949년 그가 반민특위에 체포되었을 때, 그가 대한제국 말기 부터 당시까지 써온 일기장들이 발견되었다. 반민특위의 조사관들도 압수한 물건들 중 그의 일기를 보고 성실성을 높이 평가하기도 했다. 그에 의하면 '한 가지 감탄한 것은 그의 집에서 압수해 온 증거품 중에 일기장이 무려 20여 상자나 되었다.[10] 반민특위 수사관들은 이를 전부를 읽어보지는 못했지만 대강 들추어 보았는데 그 속엔 일자무식, 돈 한푼 없이 일본으로 건너간 박중양이 살아온 역사가 그대로 적혀 있었다.[10]'고 한다. 1949년 1월초 반민특위 대구지부에 연행되어 온 전날까지 그는 '수십 년 간 하루도 빼놓지 않고 일기를 써온 것 같았다. 그리고 그것도 모두 정자로. 나는 그가 비록 친일반민족행위자였지만 그의 성공 이면에는 피나는 노력이 있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10]'고 평하기도 했다. 그는 일본에 유학중이던 어느 때부터 반민특위에 검거되기 전날 까지 일기를 썼다. 가족 관계[편집] 그는 시인 이상화, 이상정, 이상백의 가문과도 인척 관계를 형성했다. 이상화, 이상정, 이상백의 큰아버지인 이일우 집안과 사돈관계였기 때문이다. 증조부 : 박행묵(朴行默, 1769년 1월 3일 - 1847년 5월 24일) 증조모 : 청송심씨(靑松沈氏, 1768년 10월 23일 - 1841년 10월 21일) 할아버지 : 박기숙(朴基肅+心, 1800년 3월 7일 - 1909년 8월 11일) 할머니 : 무안김씨(務安金氏, 1804년 5월 12일 - 1911년 3월 11일) 백부 : 박주호(朴周鎬) 아버지 : 박정호(朴鼎鎬, 1840년 - 1892년 9월 22일) 어머니 : 전주이씨(全州李氏, 1845년 4월 21일 - 1929년 7월 12일) 형 : 박원양(朴元陽, 생몰년 미상) 동생 : 박수양(朴秀陽, 1876년 - 1913년 5월 5일, 단오일에 경성부에 갔다가 적리병에 감염되어 갑자기 쓰러져 사망했다.[156]) 동생 : 박계양(朴季陽, 1877년 - 1925년 5월 10일) 제수 : 홍씨(洪氏, 1875년 - 1962년 4월 29일) 조카 : 이름 미상, 요절 조카 : 박정웅(朴正雄, 다른 이름은 순정(淳正), 정순(正純), 1910년 3월 25일 - ?) 질부 : 김해김씨(金海金氏, 1911년 8월 26일 - ?), 김병주(金炳柱)의 딸 종손 : 박인정(朴仁楨, 1933년 12월 18일 - ) 종손녀 : 박씨(朴氏) 종손녀사위 : 허보근(許寶瑾, 본관은 김해(金海)) 종손녀 : 박씨(朴氏) 종손녀사위 : 이팔영(李八榮, 본관은 전주(全州)) 사돈 : 양재형(梁在亨) 사돈 : 이일우(李一雨, 호는 소남(小南), 1870년 ~ 1936년), 독립운동가 이상정, 시인 겸 작가 이상화, 독립운동가 겸 체육인 이상백의 큰아버지, 독립운동가 권기옥의 시백부, 군인 박창암의 처조부 부인 : 이주열(李主悅, 다른 이름은 이주열(李柱烈), 본관은 전주(全州), 1870년 3월 4일 - 1961년 5월 20일) 아들 : 박문웅(朴文雄, 다른 이름은 순성(淳聖), 1890년 12월 7일 - 1959년 8월 14일) 며느리 : 이름 미상 며느리 : 남원양씨(南原梁氏, 1907년 8월 11일 - ?), 양재형(梁在亨)의 딸 손녀 : 박씨(朴氏) 손녀사위 : 노영달(盧榮達, 본관은 상주(尙州)) 손녀 : 박부남(朴富南, 1932년 ~ 2018년 1월 11일), 소아과 의사 손녀사위 : 이열희(李烈熙, 본관은 경주(慶州)), 치과의사 손자 : 박승효(朴勝孝, 다른 이름은 세정(世楨), 1933년 8월 1일 - ) 손자며느리 : 양근함씨(陽根咸氏, 1937년 11월 11일 - ), 함승호(咸升鎬)의 딸 증손자 : 박영목(朴永睦, 다른 이름은 병훈(炳薰), 1964년 12월 1일 - ) 증손사 : 박정목(朴正睦, 다른 이름은 병준(炳俊), 1967년 3월 17일 - ) 아들 : 박무웅(朴武雄, 생몰년 미상) 아들 : 이름 미상 손녀 : 박두순(朴斗順) 아들 : 이름 미상 딸 : 박씨(朴氏) 딸 : 박씨(朴氏) 딸 : 박OO, 경명여자고등학교에서 가정과목 교사를 역임했다. 대구의 모 메리야스기계 회사 사장 이모와 결혼했다. 부인 : 일본 여자, 이름 미상(1909년 - ?) 딸 : 박정자(朴政子, 1936년[157] - ) 외모[편집] 그는 화려한 경력의 관리로 출세하였는데, 그럴 수 있었던 것은 잘 생긴 외모와 뛰어난 일본어 실력 때문이었다.[13] 평가와 비판[편집] 그는 중추원 참의까지 지냈던 인물로 일본인들까지도 그를 함부로 괄시하지 못하였다.[84] 또한 '맹목적인 친일파는 아니었다[84]'는 시각도 있다. 객기가 넘치는 사나이로 거리낌 없이 할말은 하였다[46]는 평도 있다. 긍정적 평가[편집] 대구물어에 의하면 그는 '사람됨됨이가 솔직하다[46]'는 평가를 받았다고 한다. 가난한 사람을 도와준 의인 또는 일본 경찰을 혼내준 기개 또는 배경을 높이 평가받았다. 한편 "대구를 근대도시의 공간구조로 발전시킨 선각자[40]"라는 시각도 있다. 일제 시대 당시 그의 근무성적 평가표에 의하면 "예민하고 호방해서 작은 일에 구애되지 않음. 퇴관한 후에도 후배의 지도에 진력하고 혹은 공공적인 방면에도 공헌함. 부근 사람으로부터 자애로운 아버지와 같이 존경받고 있음. 일찍이 이토 히로부미와 기타 총독부 대관들로부터도 역량과 수완, 탁월한 식견을 인정받아 중요시되어 “비상한 시기에 즈음해서 진실로 믿어서 보람있는 인물은 지사급으로는 朴重陽이었다"고 한다. 조선총독부의 조선공로자연감 427페이지에 수록된 인물평에도 박중양은 "예민하고 호방해서 작은 일에 구애되지 않음. 퇴관한 후에도 후배의 지도에 진력하고 혹은 공공적인 방면에도 공헌함. 부근 사람으로부터 자애로운 아버지와 같이 존경받고 있음. 일찍이 伊藤와 기타 총독부 대관들로부터도 역량과 수완, 탁월한 식견을 인정받아 중요시되어 "비상한 시기에 즈음해서 진실로 믿어서 보람있는 인물은 지사급으로는 朴重陽이었다"라고" 기록되었다. 이토 히로부미에게서 수학한 점, 대구 읍성을 철거하여 일본 상권의 대구 진출을 도와주는 격이 되었던 점 등이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또한 3.1 운동을 부정적으로 보고 만세만 부른다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라는 발언 때문에 비난받아왔지만 이 부분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존재하고 있다. 시인 조지훈은 '그가 친일파로 지목되었지만 변절자가 아니라'고 했다. 조지훈은 자신의 글 지조론에서 "최명길은 변절의 사가 아니요, 남다른 신념이 한층 강했던 이였음을 알 수 있다. 또, 누가 박중양, 문명기 등 허다한 친일파를 변절자라고 욕했는가. 그 사람들은 비난을 받기 이하의 더러운 친일파로 타기(唾棄)되기는 하였지만 변절자는 아니다.[158]"라는 평을 내리기도 했다. 부정적 평가[편집] 이 문단은 아직 미완성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한 반민특위 조사관은 그를 완벽한 일본인이라고 하였다. 그는 '박중양은 몸은 비록 한국인이었으나 마음과 행동은 완전히 일본인이었다. 개과천선이고, 반성이고 기대할 수 없는 사람이었다.[10]'라고 평하였다. 한편 사사로이 탐욕을 부렸다는 비판도 있다. 대구 군수 겸 경북 관찰사서리가 된 그가 대구성 및 객사를 철거하여 일본인의 이익을 대변하고, 권력을 악용해 몇몇 지역유지들을 동원해 사사로이 군청을 만들어 대구 지방민에 대한 탐학을 저질렀[159]다는 것이다. '해방 후 반민특위에 체포되어 며칠간 감옥살이를 했을 뿐 곧 풀려나 잘 먹고 잘 살다간 친일파의 전형이었다[36]'는 비판도 있다. 기타[편집] 위키인용집에 이 문서와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박중양 위키문헌에 이 글과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저자:박중양 그는 도지사나 고등법원장급 인사한테도 예사로 작대기를 겨누며 “기미 기다까”(자네 왔는가)하고 거침없이 지적하는가 하면 자신에게 밉게 보인 순사쯤은 자기 집 사설 감방에 하루 이틀 가두어 두었다가 제복을 벗겨 내쫓기도 하는 등의 행동으로 여러 사람의 입에 오르내리기도 했다. 영남제일관은 1906년 일제가 민족정기 말살과 도로개설을 빌미로 박중양의 주도로 대구읍성을 헐어버리면서 동문이었던 동성로의 진동문, 북성로의 공북문, 서성로의 달서문과 함께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160] - 도대체 500년동안 뻘짓거리 한 민족이 정기라는게 있는건지 그 정기라는게 무엇인지 알수가 없다. 성균관대학교 강사 김일수는 박중양이 대한제국 내무부의 명을 어기면서 대구읍성을 해체한 배경에 대해 “박중양은 대구군수로 부임했을 당시 대구 읍성을 파괴하고 그 자리에 일본인 상인들이 마음 놓고 장사를 할 수 있도록 했다”며 “이 같은 일을 쉽게 추진할 수 있었던 것은 일제라는 뒷 배경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이라고 보았다.[54] 박중양은 난초 그리기와 고미술품과 예술품 수집을 취미로 삼기도 했다. 한말의 문필가 석재 서병오(石齋 徐丙五)에게 박중양이 그림 한 폭을 청하자, 서병오는 "당신 같이 지체 높은 분은 일본 화가들에게 얼마든지 받을 수 있을텐데 하필이면 나한테 받으려 하느냐"면서 거절했다고 한다.[13] 1949년 무렵의 그의 집에는 기자조선시대의 정전법을 그린 병풍과 충무공의 거북선을 그린 병풍이 있었다.[161] 그는 자신의 어머니 초상화를 그리러 온 대구의 중학교 미술교사 김진용에게 최제우가 참형당하던 광경을 증언하기도 했다. 김진용에 의하면 "박씨와 대화를 나누면서 (그가) 남문 밖 관덕정 건물이 있는 사진을 가리키며, 1864년 3월 10일에 최수운 선생의 참형을 당하시던 광경의 설명을 들었습니다. 그 당시 경상감사 서헌순의 지시 아래 형집행하는 과정에서 선생의 영적에 의하여 곡절이 계속되다가 선생께서 청수를 뫼셔오라 하시고 묵념하시고 나서 형을 받았다고 하는 이야기를 박중양에게서 들었던 것입니다.[162]"라고 하였다. 박중양은 김진용에게 관덕당 사진을 가리키며 그곳이 수운 최제우의 처형지라고 지목하였다. 선조들의 묘소 일부는 동생 박계양 내외의 묘가 있는 경기도 양주군 주내면 아미타불고개(현 의정부시 금오동 아미타불모퉁이 부락)와 양주군 주내면 남방리(현 양주시 남방동)으로 분산 이장되었다. 성품[편집] 1949년 3월 1일 그를 인터뷰한 건국공론사의 한 기자에 의하면 당시 '70이 훨씬 넘은 노인인데도 언조에나 눈매에는 아직도 정기가 흐른다'고 했다.[163] 독립 후 그는 권모술수에 능한 인물로 묘사되었으나 사람됨이 솔직하였다 한다.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의 제자가 되어 가르침을 받았고 사제(師弟)의 입장으로 조선인 출신의 배정자(裵貞子)를 사저(師姐)로 섬겼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이었으며 '조선인의 미개성'을 수시로 지적, 질타하였다. 선화당 측우기[편집] 대구 선화당에 있던 선화당 측우기 그는 조선총독부의 지시로 대구 선화당(宣化堂) 앞뜰에 있던 선화당측우기와 측우대를 인천관측소에 인계하였다. 그러나 그가 일본인 와다 유지에게 주고, 와다 유지가 조선총독부 인천관측소로 옮겼다고도 한다. 박중양으로부터 와다 유지가 받은 것으로서[164], 와다는 이것을 조선총독부 인천관측소의 뜰에 한 동안 두었다[164] 한다. 대구 선교박물관의 기초[편집] 그는 조정의 허락도 없이 대구읍성을 헐어 냈는데, 선교사들이 이 돌들 중 일부를 옮겨와 집짓는 데에 활용했다.[165] 박중양은 선교사들에게는 무료로 돌을 가져가되 1인당 10개 이상은 가져갈 수 없도록 제한을 두었다. 선교사들은 대구읍성에서 해체된 석재와 목재들을 가져다가 선교사 사택의 재료로 사용하였다. 대구 선교사 사택은 지붕은 한식기와를 이은 박공지붕이었으나 함석으로 개조되었다 다시 한식기와로 보수했다.[165] 동산의료원 근처에 세워 1910년에 완공된 이 건물은 기독교선교사 사택으로 이용되다가 후일 선교박물관이 되었다. 기타[편집] 동리 청년 30여명이 동리에서 무섭다고 소문난 박작대기(박중양)의 사과 과수원에서 박중양에게 잡히지 않고 사과 많이 따오기를 내기로 걸었다. 또 가장 많이 따온 사람을 평생 청년회비를 면제해 준다는 조건도 내세웠다. 청년들은 매일 밤, 새벽에 몰래 박중양의 사과 비닐 하우스에 들어가 사과를 서리하였다. 청년회원 중 한 명이 박중양의 과수원에 들어가 사과 한개를 따다가 들켰다. 박중양은 여태 사라진 사과가 1백 박스 정도 되는데 모두 네가 한 짓인가. 이놈 잘 잡혔다고 타박했다. 다른 청년들은 사과 1포대에서 6포대 이상을 훔쳤는데 자신은 1개 따고 1백 박스 값을 물어내게 되자 항변하였다. 다른 애들은 사과 20~30박스 정도 훔친 애들도 있는데 왜 사과 1개만 딴 나를 잡느냐 하자, 박중양은 청년이 사냥을 하는가 여부를 물었다. “ 너 사냥 할줄 알지? 그럼 너는 산에 있는 짐승을 전부 잡을 수 있냐? 잡힌 짐승만 불쌍한 거야. ” 사냥을 잘 할것 같았던 청년은 실제 포수였다. 박중양을 연기한 배우[편집] 정진 - 1981년 《제1공화국》 MBC 드라마  ? - 1984년 《독립문》KBS 드라마 채문호 - 2015년《기적소리》 뮤지컬 관련 항목[편집] 3·1 운동 독립협회 자제단 사회 계약론 경술국적 정미칠적 을사오적 반민특위 대구읍성 이완용 박제순 윤치호 서재필 박정양 이상재 이승만 함태영 배정자 윤치오 김옥균 안경수 최린 김윤정 김홍집 이시영 이진호 러일전쟁 만민 공동회 을사 보호 조약 이토 히로부미 후쿠자와 유키치 이노우에 가오루 박영효 서광범 김옥균 안경수 김규식 나혜석 박정양 박원양 양기탁 윤웅렬 윤필오 이상재 이시영 이동녕 윤치영 허정숙 홍영식 김윤식 박영교 서재창 일소대 이노우에 가오루 영친왕 박문웅 박영교 이완용 안창호 유길준 이광수 이동녕 이동휘 장덕수 이준용 김성수 송진우 허정 각주[편집] ↑ 그의 아버지의 대에는 마름 노릇을 할 정도로 가세는 몰락해 있었기 때문에 정확한 본관을 알기 어렵다.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이용선, 《조선최강상인 3불세출》 (동서문화사, 2002) 42페이지 ↑ 가 나 다 박중양의 친일행각...일본에 지역상권 넘겨주려해 영남일보 1996.08.13 ↑ 가 나 민족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 9권》(민족문제연구소, 1996) 14페이지 ↑ '김옥균은 일본 동경에서 망명생활을 하다가 홍종우의 유인으로 상해에 나가게 되어 홍종우에게 암살당했다. 인면수심의 홍종우를 논할 필요도 없지만은 김옥균의 시체가 경성으로 도착했을 때 종로시상에서 목이 잘리고 사지를 분열하였다. 이런 행사가 야만인들에게도 없을 것이다.'라며 분개하였다.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민족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 9권》(민족문제연구소, 1996) 15페이지 ↑ 가 나 다 국사편찬위원회, 《주한일본공사관기록 10》 (국사편찬위원회, 1994), (61) [朝鮮人 動靜報告 件] ↑ 1908년 7월 의정부찬정 겸 외부대신 박제순(朴齊純)이 의정부찬정 겸 학부대신 김규홍(金奎弘)에게 보낸 편지에서, 주차일본공사관 임시대리공사 박용화(朴鏞和)가 보낸 편지에 의거하여 유학생들의 생활비 중 박원근의 약값 50전을 청한 공문이 "照會 第二十七號"라는 제목으로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 반민족문제연구소 (1993년 2월 1일). 〈박중양 : 3.1운동 진압 직접 지휘한 대표적 친일파 (김도형)〉. 《친일파 99인 1》. 서울: 돌베개. 239쪽쪽. ISBN 978-89-7199-011-7.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해방이 1년만 늦었어도 황국신민 대우를..." 오마이뉴스 2004.09.11 ↑ 가 나 다 라 임종국, 《한국인의 생활과 풍속 (하)》 (아세아 문화사, 1996) 148페이지 ↑ 가 나 다 민족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 9권》(민족문제연구소, 1996) 16페이지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역사속의 영남사람들 .11] 박중양 영남일보 2004.03.09 ↑ 가 나 다 라 [대구 옛 도심, 이야기로 살아난다] ⑨대구읍성 허물던 날 매일신문 ↑ 역사학자 48인 공저, 《영남을 알면 한국사가 보인다》(푸른역사, 2005) 360페이지 ↑ "敍任及辭令", 황성신문 1903년 06월 19일자 01면, 官報 ↑ 가 나 박섭 외, 《식민지 근대화론의 이해와 비판》 (백산서당, 2004) 121페이지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임철, 《통일 한국의 땅 이야기》 (동연, 1995) 93페이지 ↑ 가 나 조선사연구회 편, 《조선시대 대구의 모습과 사람 1권》 (계명대학교 출판부, 2002) 83페이지 ↑ "旅費請撥", 황성신문 1906년 04월 17일자 02면, 雜報 ↑ 일성록 광무 10년 1906년 05월 21일자 ↑ "叙任及辭令", 황성신문 1906년 6월 13일자 1면, 官報 ↑ "敍任及辭令", 대한매일신보 1906년 06월 13일자 1면, 官報 ↑ 대한매일신보 1906년 4월 22일자 2면에 의하면 의친왕은 1906년 4월 27일에 출국하였다. ↑ 서해문집, 《내일을 여는 역사 제11호》 (서해문집, 2003) 33페이지 ↑ 동산언덕에 대구100년 근대사 오롯이 대구신문 2012.01.25 ↑ 1894년(고종 31년) 7월 일본의 관제를 따라 도입된 것으로 정1품부터 정3품 통정대부, 절충장군 까지는 칙임관 1~4등, 정3품 당하관~6품까지는 주임관 1~6등, 6품~9품은 판임관 1~8등에 임명했다. 품계가 같은 통정대부, 가선대부라고 해도 칙임관 등급이 높은 사람을 상급자로 봤다. ↑ 서울대학교 한국사학회, 《韓國史論 49권》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199페이지 ↑ 역사학자 공저, 《영남을 알면 한국사가 보인다》(푸른역사, 2005) 358페이지 ↑ 가 나 [한국 도시디자인 탐사](9)대구읍성 해체와 식민도시화 경향신문 2007.11.01 ↑ 가 나 다 라 마 바 월간문학사, 《월간문학 35권 제3호》 (월간문학사, 2003) 362페이지 ↑ 가 나 다 [문화] (6) 대구 ① 자본,권력에 ‘옛 성곽의 도시’무너진다 문화일보 2003년 08월 01일자 ↑ 1906년 10월 1일 조정에 장계로 보낸 대구읍성 철거 보고서 ↑ 황제의 길은 항일 투쟁의 길이었다 데일리안 2010.02.06 ↑ [문화재 & 문화] "영치기 영차" 매일신문 2008.03.15 ↑ 가 나 다 라 마 [한국 도시디자인 탐사] (9)대구읍성 해체와 식민도시화 경향신문 2007년 11월 01일자 ↑ 가 나 월간문학사, 《월간문학 35권 제3호》 (월간문학사, 2003) 362페이지 ↑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9081&yy=2011 대구읍성은…) 매일신문 2011년 02월 26일자 ↑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7409&yy=2008 대구읍성은?…영조때 축성, 1907년 해체) 매일신문사 2008년 02월 18일자 ↑ 가 나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03080101012130073002 <객원기자 김민수교수의 한국도시문화탐험기>(6) 대구 ① 자본,권력에 `옛 성곽의 도시`무너진다) 문화일보 2003-08-01 ↑ "各其管轄", 대한매일신보 1907년 11월 7일자 2면, 雜報 ↑ 가 나 다 라 순종의 남행에는 친일파 뿐이었다 데일리안 2010.01.30 ↑ 가 나 다 라 마 이용선, 《조선최강상인 3불세출》 (동서문화사, 2002) 292페이지 ↑ 조선사연구회 편, 《조선시대 대구의 모습과 사람 1》 (계명대학교 출판부, 2002) 64페이지 ↑ 가 나 손태룡, 《매일신문 음악기사색인》 (영남대학교출판부, 2002) 1페이지 ↑ 가 나 다 라 마 월간문학사, 《월간문학 35권 제3호》 (월간문학사, 2003) 363페이지 ↑ 가 나 다 대한제국 관보 제4199호 임급사령, 융희 2년(1908년) 10월 10일 토요일자 ↑ 대한제국 관보 제4310호 서임급사령, 융희 3년(1909년) 3월 2일 화요일자 ↑ 국가보훈처, 《독립유공자 공훈록》 (국가보훈처, 1986) 681페이지 ↑ 가 나 [일사일언] '개 규칙' 조선일보 2005.08.30 ↑ 가 나 황현, 《역주 매천야록 2》(문학과지성사, 2005) 443페이지 ↑ 100년전 대구 '황제의 길' 을 다시 걷다 영남일보 2009.01.08 ↑ 가 나 개교 100돌 맞는 대구 수창초등 영남일보 2007.07.07 ↑ 가 나 "순종 남행이 박중양의 정치적 입지 높여" 데일리안 2010.01.30 ↑ 가 나 [김종욱의 달구벌 이야기] (8) 대구읍성 (하)[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주간매일 2009년 02월 26일자 ↑ 가 나 다 라 마 바 월간문학사, 《월간문학 35권 제3호》 (월간문학사, 2003) 361페이지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현암조상원추모문집간행위원회, 《현암 조상원》 (현암사, 2001) 381페이지 ↑ 현암조상원추모문집간행위원회, 《현암 조상원》 (현암사, 2001) 382페이지 ↑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 20:우리 힘으로 나라를 찾겠다》(한길사, 2004) 145페이지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일제 첫 '충남도장관'의 엽기 행각:변평섭의 '충남의 옛이야기' 7 충남인뉴스 2009.06.04 ↑ 대한화학회, 《나는 과학자이다》 (양문, 2008) 28페이지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갑부가 된 '충남 운전면허 1호 문갑동':변평섭의 '충남의 옛이야기' 9 충남인뉴스 2009.06.27 ↑ 가 나 예산농업학교-예산시절4 무한신문 2001년 05월 20자(139호) ↑ 가 나 김광식외 공저, 《종교계의 민족운동》(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56페이지 ↑ 매일신보 1914년 09월 21일자 02면 ↑ 매일신보 1914년 11월 07일자 02면 ↑ 매일신보 1915년 04월 06일자, 02면 ↑ 가 나 문화재청, 《2009 명승 우수자원 지정 정밀조사:경상남·북도》 (문화재청, 2009) 58페이지 ↑ 매일신보 1916년 7월 23일자, 2면 ↑ 매일신보 1918년 8월 28일자, 4면 ↑ 가 나 다 [사설] 朴重陽과 친일파 재산의 국가귀속 영남일보 2007.08.15 ↑ 이영식[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9:학생독립운동사》(독립유공자 사업기금 운용위원회, 1977) ↑ 김희곤, 〈김천지역의 3·1운동〉, 안동사학회, 《안동사학 9·10》 (안동사학회, 2005) ↑ 동아일보 1920.05.26일자 4면 사회면 ↑ 가 나 김운태, 《일본 제국주의의 한국통치》 (박영사, 2002) 249페이지 ↑ 수요역사연구회, 《식민지 동화정책과 협력 그리고 인식》 (두리미디어, 2007) 178페이지 ↑ 동아일보 1923년 06월 16일자 3면 사회면 ↑ 가 나 김희수, 김승유, 《사내리, 사찰과 이어진 관광마을》 (국립민속박물관, 2012) 35페이지 ↑ 김희수, 김승유, 《사내리, 사찰과 이어진 관광마을》 (국립민속박물관, 2012) 36페이지 ↑ 동아일보 1925년 03월 06일자 2면, 사회면 ↑ 김희수, 김승유, 《사내리, 사찰과 이어진 관광마을》 (국립민속박물관, 2012) 77페이지 ↑ 중추원의 칙임관 대우 참의 ↑ 가 나 다 라 마 바 "서화 골동 야화 <38> 호신불", 매일경제 1983년 06월 04일자 9면, 생활문화면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안중근과 한인민족운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편, 국학자료원, 2002) 277페이지 ↑ 가 나 다 민경배, 《한국교회의 사회사:1885 1945》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8) 388페이지 ↑ "朴重陽·崔麟 등 反民特委에 기재된 죄", 자유신문 1949년 02월11일자 , 4면 5단 ↑ 가 나 다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 20:우리 힘으로 나라를 찾겠다》 (한길사, 2004) 277페이지 ↑ 일본 국회의 하원의원 ↑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 20:우리 힘으로 나라를 찾겠다》 (한길사, 2004) 278페이지 ↑ 매일신보 1932년 1월 19일자 03면 ↑ 매일신보 1932년 02월 20일자, 3면 ↑ 가 나 시가 257억원 상당의 친일파 재산 국가귀속 업코리아 2007년 08월 13일자 ↑ 가 나 매일신보 1934년 8월 8일자, 5면 ↑ 성강현 (2004년 3월 18일). “‘조선공로자명감’친일 조선인 3백53명 기록 - 현역 국회의원 2002년 발표한 친일명단 일치 상당수”. 일요시사. 2008년 6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3월 6일에 확인함.  ↑ 성강현 (2004년 3월 18일). “3백53명 중 2백56명 명단”. 일요시사. 2008년 6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3월 6일에 확인함.  ↑ "일제가 현대 조선 개신" 해방후에도 망발…친일파 박중양 매일신문 2010.01.25 ↑ 송건호, 《송건호 전집 04:한국현대사 2》(한길사, 2002) 138~139페이지 ↑ 동아일보 1939년 08월 11일자 7면, 사회면 ↑ 일본판 개천절 '기원절'에 초대받은 '충성스런' 친일 조선인들의 면면들 오마이뉴스 02.03.08 ↑ 가 나 ‘친일 시비’ 김성수등 300명 1940년 日 건국행사 초청돼 서울신문 2002-03-11 27면 ↑ 백기완, 송건호, 임헌영 (2004년 5월 20일). 《해방전후사의 인식 (1)》. 서울: 한길사. 223쪽쪽. ISBN 89-356-5542-2.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최유리, 《일제 말기 식민지 지배정책연구》 (국학자료원, 1997) 235페이지 ↑ 매일신보 1941년 5월 20일자, 3면 ↑ 김영식, 《언론인 파인 김동환 연구 11》 (신성출판사, 2000) 431페이지 ↑ 가 나 다 라 마 침산공원 '親日 혹' 떨어졌다...박중양 부모 묘 改葬 영남일보 2004.04.09 ↑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 21:해방 그날이 오면》(한길사, 2004) 287페이지 ↑ 정병욱, 《한국근대금융연구:조선식산은행과 식민지 경제 (역비한국학연구총서 22)》 (역사비평사, 2004) 319페이지 ↑ 가 나 송건호, 《송건호 전집 04:한국현대사 2》 (한길사, 2002) 98페이지 ↑ 가 나 북악사학회, 《역사에 비춘 한국 근현대 인물》 (백악출판사, 1995) 99페이지 ↑ 귀족원 의원은 일부는 귀족, 황족, 중류층 이상 사회 저명인사들이 선출하였고, 절반은 천황이 직접 임명하였다. 이들은 상원 의원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였다. ↑ 매일신보 1945년 09월 29일자 ↑ 박중양의 부모 묘소는 후일 그의 종손자에 의해 화장되었다. ↑ 가 나 1949년 1월 8일 반민특위,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허종, 《반민 특위의 조직 과 활동:친일파 청산, 그 좌절 의 역사》 (도서출판 선인, 2003) 249페이지 ↑ "박흥식·이종영 드디어 해부대에 등장", 경향신문 1949년 01월 29일자 4면, 사회면 ↑ 경향신문 1977년09월 19일자 5면, 사회면 ↑ 연합신문 1949년 2월 3일자, 3면 ↑ "朴重陽等保釋 朴興植도 昨日申請", 남조선민보 1949년 02월 15일 2면, 3단 ↑ "해방이 1년만 늦었어도 황국신민 대우를..."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민족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 9권》(민족문제연구소, 1996) 17페이지 ↑ 경향신문 1949년 07월 31일자 2면, 사회면 ↑ "박중양씨 입건, 이대통령 명예훼손혐의", 동아일보 1957년 09월 15일자 3면, 사회면 ↑ 가 나 "박중양씨를 문초, 출판물이 말썽", 경향신문 1957년 09월 17일자 3면, 사회면 ↑ "박중양씨 신병으로 검찰에 출두를 거부" 동아일보 1957년 09월 20일자 3면, 사회면 ↑ 가 나 "대통령의사가 관건, 박중양씨 피의 사건" 경향신문 1957년 12월 08일자 3면, 사회면 ↑ 가 나 다 라 마 바 (대구이야기) 대구 친일거두 '박짝때기' 매일신문 2006년 01월 23일자 ↑ "정신감정 의뢰, 친일파 박중양씨" 경향신문 1957년 10월 23일자 3면, 사회면 ↑ "朴重陽氏 起訴猶豫(大邱)", 동아일보 1957년 12월 07일자 3면, 9단 ↑ 가 나 기록문학회, 《부끄러운 문화답사기》 (실천문학, 1997) 329페이지 ↑ 강건택,장재은 (2007년 8월 13일). “민영휘 등 친일파 재산 257억 국가귀속”. 연합뉴스. 2007년 9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26일에 확인함.  ↑ 달성과 가산산성, 국가사적다운 대구의 대표 성(城) 오마이뉴스 2011.10.28 ↑ 민영휘 등 친일파 재산 257억 국가귀속[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조선일보 2007.08.13 ↑ 가 나 다 라 마 푸드미학 편집부, 《외식경영 2008년 5월호:통권 제40호》 (푸드미학, 2008) 172페이지 ↑ 《대한제국관원이력서》는 관원 스스로 이력을 자필로 진술한 것이었다., 국사편찬위원회 편, 《대한제국관원이력서》 (국사편찬위원회 옮김, 탐구당, 1971) ↑ 대한매일신보 1907년 12월 6일자 2면에는 "平壤觀察使朴重陽氏는 本以楊州郡退吏로 適因時勢하야 圖得觀察터니 莅任未幾에 諸般虐政은 一不枚陳而該郡所在贍學位土를 暗生譎計하야 言稱公用及敎育費하고 賣渡於外人하야 以充自己之私橐하며 繼以內川面三里所在日影齋及池塘周迴一百卅餘畝를 該坊士林이 鳩聚財力하야 開基創校가 已有年所러니 客秋 에 虎列病이 流行하야 以消防次로 日人이 病院으로 借居이러니 朴重陽씨가 此際를 乘야 主事牟哥로 日人片倉組에게 紹介하야 定價一千七百元하여 潛賣又喫엿다고 該郡來人의 怨聲이 有하더라"라고 하여 그가 퇴리출신이라 하였다. ↑ 가 나 월간문학사, 《월간문학 35권 제3호》 (월간문학사, 2003) 235페이지 ↑ 조선사연구회 편, 《조선시대 대구의 모습과 사람 1권》 (계명대학교 출판부, 2002) 64페이지 ↑ 역사문제연구소, 《인물로 보는 친일파 역사》 (역사비평사, 2003) 262페이지 ↑ 이태룡, 《한국 근대사와 의병투쟁》 (중명출판사, 2007) 206페이지 ↑ 유치환이 노래하고 이중섭이 소를 그린 그곳 한겨레 2009.10.30 ↑ 현암조상원추모문집간행위원회, 《현암 조상원》 (현암사, 2001) 382페이지 ↑ 가 나 다 라 임철, 《통일 한국의 땅 이야기》 (동연, 1995) 94페이지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임철, 《통일 한국의 땅 이야기》 (동연, 1995) 95페이지 ↑ 조지훈, 《조지훈:청소년이 읽는 우리 수필 3》 (돌베개 펴냄, 2003) 211페이지 ↑ 가 나 조지훈, 《조지훈:청소년이 읽는 우리 수필 3》 (돌베개 펴냄, 2003) 211페이지 ↑ 정영진의 대구이야기-(5)대구 친일거두 '박짝때기' 대구매일신문 2006년 01월 23일자 ↑ 가 나 다 [문화칼럼] 大邱城(대구성)을 짓자 대구매일 2012.09.07 ↑ 임종국, 반민족문제연구소, 《친일, 그 과거 와 현재》 (아세아문화사, 1994) 63페이지 ↑ 박형우, 《한국근대 서양의학 교육사》 (청년의사, 2008) 423페이지 ↑ 박형우, 《한국근대 서양의학 교육사》 (청년의사, 2008) 427페이지 ↑ 가 나 민족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 9권》(민족문제연구소, 1996) 16페이지 ↑ 민족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 9권》(민족문제연구소, 1996) 17페이지 ↑ 강준만, 《권력변환: 한국언론117년사, 1883-2000》 (인물과사상사, 2000) 171페이지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민족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 9권》(민족문제연구소, 1996) 16페이지 ↑ "京城의 赤痢 발생, 경성의 적리병이 발생해, 여름이 왔으니 조심할 일", 매일신보 1913년 06월 14일자, 4면 4단 ↑ "박중양씨 입건 '이 대통령'의 명예훼손 혐의", 동아일보 1957년 09월 15일자 3면, 사회면 ↑ 대학국어편찬회, 《한국문학과 언어의 이해》 (학문사, 1997) 76페이지 ↑ 서해문집 편집부, 《내일을 여는 역사 제11호》 (서해문집, 2003) 33페이지 ↑ "영남제일관 원래위치에 완벽복원을" 영남일보 2010.09.11 ↑ 현암조상원추모문집간행위원회, 《현암 조상원》 (현암사, 2001) 382페이지 ↑ 신인간사, 《신인간 338호 (1976년 7월호)》 (신인간사, 1976) ↑ 현암조상원추모문집간행위원회, 《현암 조상원》 (현암사, 2001) 380페이지 ↑ 가 나 나일성, 《한국천문학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180페이지 ↑ 가 나 동산언덕에 대구100년 근대사 오롯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대구신문 2012.01.25 참고 자료[편집] 역사학자 48인 공저, 《영남을 알면 한국사가 보인다》(푸른역사, 2005) 정재용, 《빙이화 (상·하)》 (한솜 미디어, 2009) 김용진, 〈김용진의 대구이야기 1〉 매일정보 1991년 9월 27일자 김용진, 〈김용진의 대구이야기 2〉 매일정보 1991년 10월 4일자 김용진, 〈김용진의 대구이야기 3〉 매일정보 1991년 10월 11일자 강준만, 《권력변환: 한국언론117년사, 1883-2000》 (인물과사상사, 2000) "순종 남행이 박중양의 정치적 입지 높여" 데일리안 2010.01.30 반민족문제연구소 (1993년 2월 1일). 〈박중양 : 3.1운동 진압 직접 지휘한 대표적 친일파 (김도형)〉. 《친일파 99인 1》. 서울: 돌베개. ISBN 978-89-7199-011-7.  시가 257억원 상당의 친일파 재산 국가귀속 업코리아 2007년 08월 13일자 친일재산 국가귀속 결정 내려진 박중양의 땅 연합뉴스 2007-08-13 권영배 (2004년 3월 30일). “[역사속의 영남사람들 .11] 박중양 - 그의 눈엔 日만 있었고 민족은 없었다”. 영남일보. 2007년 10월 22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김종욱, 《대구 이야기》(북랜드, 2010) 허종, 《반민특위의 조직과 활동: 친일파 청산, 그 좌절의 역사》 (도서출판 선인, 2003) 관련 서적[편집] 박은경, 《일제하 조선인관료 연구》 (학민사, 1999) 상희구, 《대구》 (도서출판 황금알, 2012) 정재용, 《빙이화 (상·하)》 (한솜 미디어, 2009) 역사학자 48인 공저, 《영남을 알면 한국사가 보인다》(푸른역사, 2005) 박지동, 《한국 언론 실증사:외세와 친일파 의 민중 침탈과 진실 왜곡의 실상, 1권》 (도서출판 아침, 2008) 황현, 《역주매천야록 (하)》(임형택 역, 문학과 지성사, 2005) 반민족문제연구소, 《친일파 99인 1》 (돌베개, 2002) 이용선, 《조선최강상인 3불세출》 (동서문화사, 2002) 강준만, 《권력변환: 한국언론117년사, 1883-2000》 (인물과사상사, 2000) 허종, 《반민특위의 조직과 활동:친일파 청산, 그 좌절의 역사》 (도서출판 선인, 2003) 대구향토문화연구소, 《경상감영4백년사》 (대구향토문화연구소, 1998) 사단법인호국정신선양회, 《환단지 19》 (사단법인호국정신선양회, 1995) 임종국, 반민족문제연구소, 《친일, 그 과거 와 현재》 (아세아문화사, 1994) 임종국, 《실록 친일파》 (돌베개, 1991) 국사편찬위원회 편, 《대한제국관원이력서》 (국사편찬위원회 옮김, 탐구당, 1971) 대구직할시 중구, 《달구벌의 맥》 (대구직할시 중구, 1990) 조성오, 《우리 역사 이야기 3》 (돌베개, 1993) 철도청, 《한국철도100년사》 (철도청, 1999) 최용섭, 《조선의 암흑상인 3,4》 (최용섭, 로크미디어, 2014) 김도형 외, 《근대 대구 경북 49인:그들에게 민족은 무엇인가》 (도서출판 혜안, 1999) 기록문학회, 《부끄러운 문화 답사기》 (실천문학, 1997) 가람기획 편집부, 《반민특위: 발족에서 와해까지》 (가람기획, 1995) 반민족문제연구소, 《친일파 99인: 분야별 주요 인물의 친일 이력서, 1권》 (돌베개, 1993) 민족경제연구소, 《친일파 군상》 (삼성출판사, 1948) 조선인사흥신록편찬부, 《조선인사 흥신록》 (조선신문사, 1935) 외부 링크[편집] [역사속의 영남사람들 .11] 박중양 영남일보 2004.03.09 박중양, 네이트 (대구이야기) 대구 친일거두 '박짝때기' 대구매일신문 2006년 01월 23일자 관련 링크 박중양,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 일본판 개천절 '기원절'에 초대받은'충성스런' 친일 조선인들의 면면들 오마이뉴스 2002.03.08 100년 전 겨울, 황제는 이곳을 찾았다 데일리안 2010.01.09 "해방이 1년만 늦었어도 황국신민 대우를..." 오마이뉴스 2004.09.11 "일제가 현대 조선 개신" 해방후에도 망발…친일파 박중양 대구매일 2010.01.25 정영진의 대구이야기-(5)대구 친일거두 '박짝때기' 대구매일신문 2006년 01월 23일자 [사설] 朴重陽과 친일파 재산의 국가귀속 영남일보 2007.08.15 대구 친일파 거두 박중양 부모묘 개장[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일요신문 2004년 04월 18일자 전임(한일 합방) 제1대 충청남도 도장관1910년 10월 1일 ~ 1915년 3월 31일 후임오하라 신조 전임신응희 황해도지사1921년 2월 12일 ~ 1923년 2월 24일 후임이오 도지로 전임요네다 진타로 충청북도지사1923년 2월 24일 ~ 1925년 3월 31일 후임김윤정 전임박상준 황해도지사1928년 8월 1일 ~ 1928년 12월 31일 후임박상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박중양&oldid=24249057" 분류: 박중양1872년 태어남1959년 죽음양주시 출신대한제국의 관료대한제국의 통역관대한제국의 외교관대한제국의 법관조선의 서예가러일 전쟁 관련자한일 병합 조약 관련자조선백작일제 강점기의 관료일제 강점기의 사상가일제 강점기의 번역가일제 강점기의 정치인일제 강점기의 철학자일제 강점기의 사회 운동가일제 강점기의 농업인일본에 거주한 대한민국인일제 강점기의 작가통역사한국의 불가지론자조선총독부 중추원 간부일본 제국의회 의원한국의 군정기유교 신자대한민국의 반공주의자대한민국의 자유주의자대한민국의 작가대한민국의 철학자대한민국의 반전체주의자일본-한국 관계아오야마 가쿠인 대학 동문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친일인명사전 수록자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병사한 사람급진개화파민주국민당 (1949년) 당원3·1 운동 관련자대한민국의 번역가숨은 분류: 중복된 인수를 사용한 틀의 호출을 포함한 문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CS1 관리 - 여러 이름요약이 필요한 글/2016년 1월요약이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요약이 필요한 글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미완성 문단이 포함된 문서인용 오류 - 보이지 않는 문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인용집위키문헌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ÆngliscBoarischBikol CentralCatalàMìng-dĕ̤ng-ngṳ̄CebuanoCymraeg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Français贛語客家語/Hak-kâ-ngîHrvatskiBahasa Indonesia日本語JawaLatinaBahasa MelayuOccitanPolskiPortuguêsRuna SimiРусскийSimple EnglishBasa SundaTürkmençeTagalogУкраїнськаWinaray吴语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0일 (월) 12: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박중양(朴重陽, 일본식 이름: 朴忠重陽 호추 시게요, 1872년 5월 3일 ~ 1959년 4월 23일)은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의 관료이다.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의장을 지닌 고문이자 백작이며, 1945년 일본의 태평양 전쟁 패전 직전까지 일본 제국의회 귀족원 의원을 역임했다. 일제시대의 신념적 친일파이다. 1897년(건양 1년) 관비유학생으로 일본 유학 후 1903년(광무 6년)부터 1년간 일본의 관료로 생활하다가 귀국, 대한제국의 관료가 되었다. 러일 전쟁에 일본군의 통역관으로 종군하였고, 그 뒤 유창한 일본어 실력과 언변으로 대한제국과 조선총독부의 신뢰를 얻기도 했다. 1905년에는 농상공부 주사로 대구에 파견나왔다가 진주 판관을 겸하였으며, 진주 판관 재직 중 진주성곽을 일부 철거하였다. 1906년에는 대구 군수로 있으면서 대구읍성을 철거, 해체를 주관하였다. 1908년(융희 2년) 경상북도 관찰사, 1910년(융희 4년) 8월 충청남도 관찰사를 지냈다. 경북관찰사 재직 중 단발령을 강제로 감행하였다. 1910년(융희 4년) 10월 한일 합방이후에도 계속 관직에 있었고, 1915년 조선총독부 중추원 찬의를 거쳐 1916년부터 1920년까지 중추원 참의, 1921년 2월 황해도지사, 1923년 2월 충청북도지사에 임명되었다. 1927년 관직에서 물러나 다시 중추원 참의가 되고 1928년 황해도지사가 되었다가 다시 중추원 참의가 되고, 1941년 중추원 고문이 되었다. 1941년 일본 귀족원 칙선의원에 선임되었으나 사양하였다. 1943년 10월 중추원 부의장을 거쳐 1945년 4월 일본 귀족원 칙선의원이 되었다. 독립 후 친일파로 몰려 규탄받았으나 소신을 굽히지 않았다. 1949년 1월 대구 침산동 자택에서 체포되어 반민특위에 기소되었으나 병보석으로 출감하였다. 만년에는 대구 오봉산 근처에 은거하며 이완용에 대한 변호, 이토 히로부미에 대한 존경심을 공공연히 드러냈으며, 이승만과 이시영, 함태영을 비롯한 독립운동가 출신 정치인들의 무능함을 수시로 조롱, 비방하였다. 술을 좋아하였으며, 한번에 일본 맥주 60병을 마셨고 소주는 40병까지 마신 일도 있으며, '박태백', '보리술 지사'라는 별칭이 붙기도 했다. 1907년에는 박중양이 맥주를 대음한 것이 신문 기사로도 보도되었다.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의 문인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박작대기'라고 불리던 동리 청년의 본명은 무엇입니까? Assistant: 박중양
Human: 아래 추미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추미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추미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추미애 기본 정보국적 대한민국출생 1958년 10월 23일(1958-10-23) (60세)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시 달성군 다사읍거주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본관 추계학력 한양대학교 법학 학사연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경력 광주고등법원 판사새정치국민회의 인권특별위원회 부위원장새천년민주당 최고위원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한양대학교 국제대학원 초빙교수민주통합당 최고위원새정치민주연합 최고위원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더불어민주당 당대표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형제 2남 2녀 중 차녀 배우자 서성환자녀 1남 2녀(아들 서재휘, 딸 서재현,서재영)종교 불교소속위원회 외교통일위원회의원 선수 5의원 대수 15·16·18·19·20정당 더불어민주당지역구 서울 광진구 을당내 직책 상임고문웹사이트 추미애 홈페이지 추미애(秋美愛, 1958년 10월 23일 ~ )는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이다. 헌정 사상 최초의 지역구 5선 여성 국회의원이며, 2016년 8월부터 2018년 8월까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를 지냈다. 목차 1 생애 2 논란 및 비판 2.1 공직선거법 위반 2.2 문재앙 댓글은 범죄 발언 2.3 계엄령 발언 2.4 상임위 불출석 3 학력 3.1 비학위 수료 4 경력 5 수상 6 역대 선거 결과 7 각주 8 외부 링크 생애[편집] 1958년 대구에서 세탁소를 운영하는 부모 밑에서 2남 2녀 중 셋째(차녀)로 태어났다. 1982년 제24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였다. 남편은 대학 동기인 서성환 변호사다. 두 사람은 캠퍼스 커플이었으며, 결혼 전까지 7년간 연애하였다. 서성환은 전라북도 정읍 출신인데, 당시 영남에서 호남 사위를 보는 일은 흔치 않았다. 게다가 서성환은 다리에 장애가 있다.[1] 이러한 까닭에 추미애의 집안에선 서성환과의 결혼에 반대하였다. 그러나 추미애는 이러한 집안의 반대를 무릅쓰고 1985년 서성환과 결혼하였다. 한편 훗날 추미애를 정계에 입문시킨 김대중은 추미애에게 "호남 사람인 제가 대구(출신) 며느리를 얻었습니다. 고맙습니다"라고 말한 바 있다.[2] 이 두 가지 이유로 인해 언론에선 추미애를 '대구의 딸이자 호남의 며느리'로 부른다.[3][4] 사법연수원 수료 후인 1985년부터 춘천지방법원 판사를 시작으로 인천지방법원, 전주지방법원, 광주고등법원 등에서 판사직을 역임했다. 1995년 광주고등법원 판사로 재직하던 중 김대중 새정치국민회의 총재의 정계 입문 권유를 받고, 같은 해 8월 27일 새정치국민회의에 입당하고, 당 부대변인으로 정당 생활을 시작하며 정계에 입문하였다. 이듬해인 1996년 제15대 총선에서 광진구 을 지역구에 출마해 당선되어 헌정 사상 최초의 여성 판사 출신 국회의원, 판사 출신 야당 국회의원, 소선거구제 도입 이후 서울 지역 최초의 여성 국회의원이 되었다. 초선이던 1997년 제15대 대선에서 김대중 후보 캠프의 유세단장으로 활동할 당시 고향인 대구에 내려가서 선거운동을 했다. 당시는 지역감정이 심하던 때였다. 직전 대통령 선거인 제14대 대선 때는 야당이던 평민당 운동원들이 대구 유세를 하다 돌을 맞기도 하던 때였다.[5] 그러나 추미애는 “지역감정의 악령으로부터 대구를 구하는 잔다르크가 되겠다”고 다짐하며, 유세단 이름을 ‘잔다르크 유세단’이라고 불렀다. 그리고 대구에서 지역감정과 맞서 저돌적으로 선전하는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이때 언론으로부터 ‘추다르크’라는 별명으로 불리게 되었다. 2002년 제16대 대선를 앞두고 펼쳐진 새천년민주당의 당내 경선에서 노무현 후보를 그가 지지율이 낮을 때부터 지지하였다. 그리고 노무현이 민주당의 대선 후보로 결정되고 난 후, 노무현의 지지율이 낮다는 이유로 민주당내에서 대선 후보 교체를 위한 움직임(이른바 후단협 사태)이 일어났을 때도 후보 교체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노무현을 지지하였다. 또한 대통령 선거에 임해서는 노무현 후보 캠프의 국민참여운동본부 공동본부장으로 활동하며 노무현의 당선에 일조하였다. 당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희망돼지' 저금통 사업을 이끌며 선거운동을 위한 국민성금을 모아 '돼지엄마'라는 별명을 얻기도 하였다. 그리고 2003년, 노무현 대통령이 당선자이던 시절에는 당선자의 특사 자격으로 미국과 일본을 방문하기도 했었다. 하지만 이후 당시 여당이던 새천년민주당 분당사태 때 열린우리당에 합류하지 않고 민주당에 잔류하며 노무현과 정치적으로 헤어지게 되었다. 한편 2004년 3월, 새천년민주당 조순형 대표가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탄핵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같은 당 의원이었던 추미애는 "① 탄핵 대신 개혁으로 지지층의 동요를 막아야 한다. ② 탄핵 찬성은 한나라당 지지층이 주도하고 있으니 현혹되면 안 된다. ③ 그래도 탄핵을 강행하면 역풍을 맞아 총선에 참패할 것이다."라는 ‘3불가론’을 내세우며 탄핵에 반대하였는데, 당시 민주당 의원총회에서 탄핵에 반대한 2인 중 한 명이었다.[6] 하지만 민주당 지도부는 탄핵에 반대하는 추미애에게 “당내 2인자가 당론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너 혼자 잘났냐” 등 비난을 하였고, 결국 민주당의 당론은 탄핵 찬성으로 결정되었다. 민주당 지도부는 당시 구치소에 수감되어 있던 소속 의원 2명의 서명까지 받아 탄핵을 추진하려 하였다. 그러자 추미애는 "감옥 간 분들 표까지 긁어모아 탄핵을 한다면 말이 안 된다. 숯댕이(범죄혐의로 수감된 의원)가 검댕이(노무현 대통령)를 나무랄 순 없다. 민주당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 내가 기꺼이 표를 드리겠다." 며 결국 당론에 따라 탄핵 찬성으로 입장을 바꿨다.[7] 이후 국회에선 탄핵소추안이 가결되어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이 개시되었다. 한편 곧이어 실시된 17대 총선에서 민주당은 선거대책위원장직을 추미애에게 맡겼는데, 추미애는 탄핵 반대의 압도적 여론을 체감하고선 민주당이 탄핵에 동참한 것에 대해 당의 선대위원장으로서 당을 대표하여 사과하였다. 그리고 사과의 의미에서 3보1배를 하였다. 그러나 탄핵반대 여론의 역풍을 맞은 민주당은 9석의 의석을 얻는데 그쳤다. 그리고 이때 추미애 본인도 낙선하였다. 훗날 추미애는“내 정치 인생 중 가장 큰 실수이자 과오가 탄핵에 찬성한 것”이라고 했다. 2007년 제17대 대선에서 정동영 후보 공동선대위원장으로 활동하였고, 다음 해 실시된 18대 총선에서 당선되어 국회의원으로 복귀하였다. 2012년에는 민주통합당 최고위원으로 당선되었고, 같은 해 실시된 제18대 대선에서는 문재인 후보 국민통합위원장으로도 활동하였다. 2015년에는 문재인 당시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에 의해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임명되었다. 한편 같은 해 말에 벌어진 새정치민주연합의 분당사태 때는 탈당파를 강력히 비판하며, 당에 잔류하였다. 2016년 4월에 실시된 제20대 총선에서 당선됨으로써 대한민국 헌정 사상 최초 지역구 5선 여성 국회의원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2016년 8월 27일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로 선출되어,[8] 민주당 역사상 최초의 대구·경북 출신 당 대표가 되었다.[9] 2017년 5월 실시된 제19대 대선에서 당 대표로서 문재인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상임선대위원장을 맡아 정권교체를 이루었다. 이로써 헌정 사상 첫 여성 집권 여당 대표가 되었다. 2018년 제7회 지방선거에서도 당 대표로서 선거를 진두지휘해 당의 압도적 승리를 이루어냈다. 같은 해 8월 임기가 만료되어 역대 민주당계 정당 대표 중 최초로 임기를 채운 대표라는 영예를 안으며 퇴임하였다.[10] 홍콩에서 발간되는 시사주간지 《ASIAWEEK》에 의해 ‘아시아 정치 지도자 20인’으로 선정된 바 있으며, '20세기를 빛내고 21세기를 빛낼 여성 정치분야' 여론조사에서 유관순 열사와 함께 여성 10인으로 한국여성유권자연맹을 통해 선정되기도 하였다. 또한 한국유권자연맹으로부터 ‘국회의정활동 최우수상’과 전국 NGO단체연대로부터 '올해의 닮고 싶은 인물상’을 수여 받기도 하였다. 2007년 김용철 변호사의 삼성 비자금 폭로 사건 당시 드러난 삼성의 내부 문건에 '돈을 받지 않는 정치인'으로 추미애가 적혀 있다는 사실이 알려져 화제가 되기도 했다.[11] 논란 및 비판[편집] 공직선거법 위반[편집] 2016년 12월 23일 서울동부지방법원 형사11부(이상윤 부장판사)는 공직선거법위반(허위사실공표) 혐의로 추미애에게 벌금 80만원을 선고했다. 추미애는 총선을 앞둔 2016년 3월 기자 간담회에서 "16대 의원 시절 당시 법원행정처장에게 서울동부지법 존치를 약속받았다"고 허위사실을 알렸으며, 총선 공보물에 '법원행정처장에게 동부지법 존치 약속을 받아낸 추미애 의원' 등의 허위사실을 기재하였다.[12] 2017년 3월 21일 항소심 재판부인 서울고등법원 형사2부(이상주 부장판사)도 추미애에게 원심 판결과 같이 벌금 80만원을 선고했다.[13] 문재앙 댓글은 범죄 발언[편집] "익명의 그늘에 숨어 대통령을 ‘재앙’으로 부르고 (문 대통령) 지지자를 농락하는 것은 명백한 범죄 행위"라며 "대표적인 포털 네이버의 댓글이 인신공격, 비하와 혐오, 욕설의 난장판이 됐다"고 지적했다. "말도 안 되는 가짜뉴스가 생산, 유포되고 있다", "준비된 듯한 댓글 조작단이 이를 확대·재생산하는 악의적 프로세스도 진행된다"면서 "네이버는 이런 행위가 범람하고 있지만 아무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는데 묵인과 방조도 공범"이라며 포털의 책임을 지적했다.[14] 그러나 공인을 향한 ‘명예훼손’의 경우 표현의 자유가 비교적 폭 넓게 보장 받아야 한다는 게 학계의 보편적 견해이자 과거 민주당의 입장이었기 때문에 모순적이라는 견해가 있다.[15] 그리고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는 "이명박 대통령 때 쥐박이라 하고, 박근혜 대통령 때 닭근혜라 했지만 우리는 표현의 자유를 존중해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며 "과거 한나라당 시절 이회창 총재에 대해서도 이회충을 비롯한 온갖 인신공격성 댓글이 오갔다. 10년간 그런 댓글은 방치해 놓고 이제 와 최고존엄을 모독한다고 고소·고발 한다는 걸 보고 이 나라가 자유대한민국인지 북한을 따라가는지 분간하기 어렵다"고 비판하였다.[16] 계엄령 발언[편집]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을 향해 "하야하시라. 박근혜 대통령이 하야하지 않으면 헌법상 대통령에게 부여된 권한을 정지시키는 조치에 착착 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계엄령까지도 준비하고 있다는 정보도 돈다"는 발언을 하여 논란이 되었다.[17] 이에 대해서 정진석 당시 새누리당 의원은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할 권한이 있다면 국회는 계엄을 해제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헌법은 국회의원 과반수가 계엄 해제를 요구하면 대통령은 이를 해제해야 한다고 77조에 못 박고 있다"라면서 "여소야대 국면에서 계엄해제권은 추미애 대표가 쥐고 있다. 계엄선포권은 박 대통령에게 있지만, 계엄해제권은 추 대표에게 있는 것"이라고 반박했다.[18] 이후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정국 당시 국방부가 치안 유지를 목적으로 군 병력을 출동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요건을 검토한 것은 물론 무기사용이 가능한 경우까지 따져본 정황이 확인되자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의 당시 ‘계엄령’ 발언이 재조명되었다. 이철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입수한 자료를 바탕으로 JTBC에서 "국방부가 한민구 장관의 지시로 위수령을 검토했다"는 보도를 내면서, 추 대표의 발언이 재조명받게 된 것이다.[19] 그러나 SBS는 이에 대해 "국방부는 이철희 의원의 요청에 따라 위수령이라는 제도를 들여다봤던 것"이라면서 중요한 맥락이 빠졌다고 지적했다. 위수령 검토에 대해서 보도한 JTBC와 이를 반박한 SBS 간에 공방이 발생하면서 이 사건은 언론중재위원회로 가게 되었고, 중재위는 불성립 결론을 내렸다. 이에 따라 SBS는 'JTBC의 보도가 맞았다'는 정정 보도는 물론, JTBC의 입장을 담은 반론 보도를 할 필요도 없다.[20] 이로 인해 추 대표의 발언은 설득력을 잃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국군기무사령부 계엄령 준비 사건이 보도되면서 추 대표의 발언에 다시 힘이 실리게 되었다. 추 대표는 "필요하다면 국회 차원의 국정조사와 청문회도 열어 반드시 진상규명하고 책임자를 끝까지 밝혀내도록 하겠다"고 국회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였다.[21] 상임위 불출석[편집] 지난 1년 국회 상임위원회(추 대표의 소속 위원회는 외교통일위원회)에 추 대표는 단 한 번도 출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단체 법률소비자연맹이 발표한 국회 상임위원회 전체회의 전수조사 결과, 역대 여야 당대표들의 출석률은 다 저조하지만, 추 대표처럼 0%인 경우는 단 한번도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물론 당 대표들은 일정도 많고, 특히 추 대표처럼 지난 1년 동안 대선, 지방선거 등을 준비하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정의당 이정미 대표의 상임위 출석률인 66%와 비교된다고 JTBC 정치부 회의가 지적했다.[22] 학력[편집] 1974년 구남여자중학교 졸업 1977년 경북여자고등학교 졸업 1981년 한양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학사 1983년 한양대학교 대학원 법학 석사과정 수료 2001년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경제학 석사 비학위 수료[편집] 2005년 세종대학교 경영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 수료 2007년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최고위정책과정 수료 경력[편집] 1982년 제24회 사법시험 합격 1985년 춘천지방법원 판사 1989년 인천지방법원 판사 1993년 전주지방법원 판사 1995년 광주고등법원 판사 1996년 ~ 2000년 제15대 국회의원(서울 광진구 을, 새정치국민회의) 1997년 제15대 대선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후보 유세단장 1998년 제15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 2000년 ~ 2004년 제16대 국회의원(서울 광진구 을, 새천년민주당) 2001년 새천년민주당 지방자치위원회 위원장 2001년 새천년민주당 김대중 총재 비서실장 2002년 새천년민주당 최고위원 2002년 제16대 대선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후보 국민참여운동본부 공동본부장 2003년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 미국 · 일본 특사 2004년 ~ 2006년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방문 교수[23] 2006년 한양대학교 국제대학원 초빙 교수 2007년 제17대 대선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선대위원장 2008년 ~ 2012년 제18대 국회의원 (서울 광진구 을, 통합민주당→민주당→민주통합당) 2008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 2012년 ~ 2016년 제19대 국회의원 (서울 광진구 을, 민주통합당→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2012년 민주통합당 최고위원 2012년 제18대 대선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국민통합위원장 2015년 2월 ~ 2015년 12월 새정치민주연합 최고위원 2015년 새정치민주연합 경제정의노동민주화특별위원회 위원장 2015년 12월 ~ 2016년 1월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2016년 더불어민주당 경제정의노동민주화특별위원회 위원장 2016년 더불어민주당 소녀상의 눈물 운동본부 위원장 2016년 ~ 제20대 국회의원 (서울 광진구 을, 더불어민주당) 2016년 제20대 국회 전반기 국방위원회 위원 2016년 6월 ~ 2016년 9월 제20대 국회 전반기 법제사법위원회 위원 2016년 9월 ~ 2018년 5월 제20대 국회 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위원 2018년 7월 ~ 제20대 국회 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위원 제20대 국회 의원외교협의회 회장(러시아), 의원외교친선협회 부회장(파라과이) · 이사(독일) 제20대 국회 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미주소위원회 위원장 2016년 8월 ~ 2018년 8월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2017년 제19대 대선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 국민주권선거대책위원회 상임선대위원장 2018년 2월 ~ 더불어민주당 혁신성장추진위원회 위원장 2018년 ~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수상[편집] 1997년 ‘여성권익디딤돌'수상 <한국여성단체연합> (남녀평등실현과 여성권익 향상에 디딤돌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 1999년 새천년을 이끌 ‘아시아 밀레니엄 정치지도자’로 선정 <시사주간지 (ASIAWEEK)> (홍콩에서 발간되는 <시사주간지 [ASIAWEEK]>) 1999년 국회의정활동 행정자치위원회 최우수상 <한국유권자운동연합> 2000년 ‘국민화합상'수상 <국민화합운동연합> 2000년 ‘20세기를 빛낸 여성 21세기를 빛낼 여성선정 <한국여성유권자연맹> 2000년 새천년 밝은정치인상 <바른사회 밝은정치 시민연합> 2003년 차세대 지도자감 1위 <시사저널> (시민단체 활동가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2004년 국민이 뽑은 정당의 최고 정치지도자 1위 <월간중앙-ANR공동 여론조사> 2009년 백봉신사상 수상 <백봉 나용균 선생 기념사업회> 2012년 전자도서관 이용 최우수상 <국회도서관> 2013년 안중근 평화대상 <안중근평화재단청년아카데미> 2014년 국정감사 우수의원 <국정감사 NGO모니터단> 2014년 국정감사 과학기술 최우수 의정상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2015년 국회를 빛낸 바른 언어상 2015년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국정감사 우수의원 2015년 국정감사 NGO모니터단 국정감사 우수의원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 대수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총선 15대 국회의원 서울 광진구 을 새정치국민회의 36,570 표 43.77% 1위 초선 총선 16대 국회의원 서울 광진구 을 새천년민주당 42,787 표 57.35% 1위 재선 총선 17대 국회의원 서울 광진구 을 새천년민주당 26,973 표 30.08% 2위 낙선 총선 18대 국회의원 서울 광진구 을 민주당 34,854 표 51.29% 1위 3선 총선 19대 국회의원 서울 광진구 을 민주통합당 45,980 표 55.19% 1위 4선 총선 20대 국회의원 서울 광진구 을 더불어민주당 43,980 표 48.53% 1위 5선 각주[편집] ↑ 고등학교 3학년 때 교통사고를 당해 스무 번의 수술 끝에 생명을 건졌고, 그 후유증으로 다리에 장애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 추미애가 사랑한 남자는?…'앨범' 엿보기, TF, 2014년 9월 26일 ↑ “'대구의 딸·호남 며느리' 秋다르크, 제1야당 '중심추'로”. 《연합뉴스》. 2016년 8월 27일.  ↑ 조한규. 추미애, 전사 ‘추다르크`는 더이상 길이 아냐. 매일경제. 기사입력 2016년 8월 29일. 최종수정 2016년 8월 30일. ↑ “‘친문’이 선택한 추미애 ‘친노’와의 14년 애증사”. 2016년 9월 5일에 확인함.  ↑ [1] YTN, 민주당, "조건부 탄핵 발의" 결정, 2004-03-05 ↑ 중앙일보, 서소문포럼, 2016-08-29 ↑ “더민주 새 당 대표에 추미애”. 《KBS 뉴스》. 2016년 8월 27일.  ↑ “더민주 새 대표 추미애…민주당史 첫 TK 출신 당수”. 《연합뉴스》. 2016년 8월 27일.  ↑ “마지막 최고위 주재 추미애 "J노믹스 성공 위해 신발 끈 동여매야"”. 《한국일보》. 2018년 8월 24일.  ↑ 경향신문, 2007-11-02 03:27 ↑ 이효석 (2016년 12월 23일). “'선거법 위반' 추미애 대표 벌금 80만원…의원직 유지(종합)”. 연합뉴스.  ↑ 황재하 (2017년 3월 21일). “'선거법 위반' 추미애 대표 2심도 벌금 80만원…의원직 유지”. 연합뉴스.  ↑ “추미애, ‘문재앙·문슬람’ 악성댓글에 발끈”. 2018년 7월 2일에 확인함.  ↑ 미디어오늘 (2018년 1월 21일). “‘문재앙’ 비난 잡겠다는 추미애 대표가 더 위험하다”. 《미디어오늘》. 2018년 7월 2일에 확인함.  ↑ “홍준표 “문재앙 고소? 그럼 쥐박이 닭근혜는?” 발끈”.  ↑ “추미애 “박 대통령 계엄령까지 준비 정보…퇴진 안하면 권한정지 조치””. 2016년 11월 18일. 2018년 7월 2일에 확인함.  ↑ “정진석 “박근혜 대통령에 계엄령 선포권있지만 계엄해제권은 추미애 대표에게””. 《news.donga.com》. 2016년 11월 18일. 2018년 7월 2일에 확인함.  ↑ “軍 위수령 검토 문건 나오자 재조명받는 추미애 ‘계엄령’ 발언”. 《중앙일보》. 2018년 3월 21일. 2018년 7월 2일에 확인함.  ↑ 김태훈 (2018년 6월 6일). “[취재파일] SBS·JTBC 위수령 공방…언중위 '불성립' 결론”. 《SBS NEWS》. 2018년 7월 2일에 확인함.  ↑ 김용태 (2018년 7월 9일). “추미애 "기무사 계엄령 문건, 필요하면 국정조사·청문회"”. 《SBS NEWS》.  ↑ 기자, 양원보 (2018년 7월 3일). “[국회] "추미애 대표, 지난 1년간 상임위 출석률 0%"”. 2018년 7월 3일에 확인함.  ↑ 노조법 개정안 통과시킨 추미애 환노위원장 동아일보 2010-01-11 2016-08-31 확인 외부 링크[편집] 추미애 홈페이지 추미애 블로그 추미애 트위터 추미애 페이스북 추미애TV - 유튜브 추미애 - 대한민국헌정회 전임문재인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 제2대 더불어민주당 대표2016년 8월 27일 ~ 2018년 8월 25일 후임이해찬 전 임 (성동구 갑)이세기(성동구 을)조세형(성동구 병)강수림(신설) 제15대 국회의원(서울 광진구 을)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새정치국민회의 → 새천년민주당 (광진구 갑)김상우 후 임 (광진구 갑)김영춘(광진구 을)추미애 전 임 (광진구 갑)김상우(광진구 을)추미애 제16대 국회의원(서울 광진구 을)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새천년민주당 (광진구 갑)김영춘 후 임 (광진구 갑)김영춘(광진구 을)김형주 전 임 (광진구 갑)김영춘(광진구 을)김형주 제18대 국회의원(서울 광진구 을)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통합민주당 → 민주당 → 민주통합당 (광진구 갑)권택기 후 임 (광진구 갑)김한길(광진구 을)추미애 전 임 (광진구 갑)권택기(광진구 을)추미애 제19대 국회의원(서울 광진구 을)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민주통합당 → 민주당 → 새정치민주연합 → 더불어민주당 (광진구 갑)김한길 후 임 (광진구 갑)전혜숙(광진구 을)추미애 전 임 (광진구 갑)김한길(광진구 을)추미애 제20대 국회의원(서울 광진구 을) 2016년 5월 30일 ~ 더불어민주당 (광진구 갑)전혜숙 후 임 (현직) 전거 통제 VIAF: 691144928061754341491 ISNI: 0000 0004 6325 980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추미애&oldid=24511030" 분류: 대한민국의 제15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16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18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19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20대 국회의원1958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추계 추씨대구광역시 출신대구남산초등학교 동문구남중학교 (대구) 동문경북여자고등학교 동문한양대학교 동문한양대학교 대학원 동문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동문대한민국의 판사대한민국의 여자 법조인대한민국의 여자 국회의원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대한민국의 대학 교수새정치국민회의새천년민주당 당원열린우리당 당원대통합민주신당 당원민주당 (대한민국, 2008년) 당원민주당 (대한민국, 2011년) 당원더불어민주당 당원대한민국의 불교 신자숨은 분류: 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Bahasa Indonesia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21:5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추미애(秋美愛, 1958년 10월 23일~)는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이다. 제15·16·18·19·20대 국회의원과 제2대 더불어민주당 대표, 제67대 법무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추미애는 어느 당 소속이야? Assistant: 더불어민주당 Human: 아래 순천종합버스터미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순천종합버스터미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순천종합버스터미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순천종합버스터미널 터미널 건물 모습 공식명칭 순천종합버스터미널 종류 터미널 국가 대한민국 주소 전라남도 순천시 장천3길 13(장천동) 개장 1975년 이전 2008년 8월 20일 운영기관 금호홀딩스 터미널코드 고속 : 515시외 : 516 행선지표기 순천 고속버스 운행 운행 시외버스 운행 운행 시내버스 운행 미운행 웹사이트 금호터미널 순천종합버스터미널(順天綜合버스터미널)은 전라남도 순천시 장천3길 13 (장천동 18-22)에 위치한 고속버스·시외버스 터미널이다. 고속버스 전산망상의 터미널 번호는 515이다. 시외버스 노선은 516 번호를 사용한다. 또한 이 터미널의 관리 주체는 금호고속이며 금호터미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목차 1 역사 2 운행 노선 2.1 고속버스 2.2 시외버스 3 외부 링크 4 각주 역사[편집] 1975년에 전라남도 순천시 매곡동 475-1번지에 개장한 순천고속버스터미널이 이용객 증가와 시설 노후, 노선 확충으로 인하여 장소가 협소해짐에 따라, 순천시 장천동에 종합버스터미널을 새로 건립하여 이전하기로 결정하였다. 2008년 8월 20일에 명칭을 '순천종합버스터미널'로 하기로 하고 시외버스터미널과 통합하여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1] 운행 노선[편집] 고속버스[편집] 2017년 1월 1일부터 당진행 노선 운행이 중단되었다. 운행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 시간표 순천 ↔ 서울호남 금호고속천일고속 순천 ↔ 서울호남 순천북부[2], 정안휴게소 30~40분 첫차:05:40(순천 기준)막차:24:30(순천 기준) 순천 ↔ 대구 한일고속 순천 ↔ 동대구 순천북부[2], 서대구 4회 07:30, 11:30, 15:30, 19:30 순천 ↔ 부산 천일고속 순천 ↔ 부산 순천북부[2], 섬진강휴게소 8회 07:30, 09:00, 11:00, 13:00, 15:00, 17:00, 19:30, 21:00 순천 ↔ 부산서부[3] 금호고속 순천 ↔ 부산서부 순천북부[2], 섬진강휴게소 10회 08:00, 10:10, 11:00, 12:20, 13:50, 14:30, 15:20, 16:30, 18:00, 21:00 순천 ↔ 수원[4] 경기고속금호고속동양고속 순천 ↔ 수원 신갈, 영통입구 6회 07:15, 09:45, 12:15, 14:45, 17:15, 19:45 순천 ↔ 울산[5][6] 금호고속 순천 ↔ 울산 광양, 동광양, 김해, 신복 2회 10:00, 17:40 순천 ↔ 인천 금호고속삼화고속천일고속한일고속 순천 ↔ 인천 순천북부[2], 정안휴게소 5회 08:10, 11:10, 14:00, 16:00, 18:30 순천 ↔ 인천국제공항 금호고속 순천 ↔ 인천국제공항 송도국제도시 3회 00:00, 09:45, 12:00 순천 ↔ 통영 금호고속 순천 ↔ 통영 광양, 동광양, 섬진강휴게소 5회 08:10, 11:10, 14:40, 16:30, 18:10 시외버스[편집] 부천행 노선이 2012년 5월 29일 부로 폐선되었다가 2014년 8월 2일에 재개통되었다. 2015년 8월 14일부터 김해국제공항 노선이 신설되었다.[7] 2016년 5월 1일 : 춘천시외버스터미널로 운행하는 노선이 신설되었다.[8] 2018년 1월 1일부터 동래 경유 부산행 완행 노선이 운행 중단되었다. 방면 행선지 수도권 방면 고양, 동서울, 부천[9], 성남, 안산[10] 강원권 방면 원주[11], 춘천[11], 홍천[11] 충청권 방면 남청주, 청주 호남권 방면 강진, 고흥, 과역, 광양, 광양제철, 광영, 광주, 괴목, 구례, 금호교, 나로도, 남악, 남창, 남원, 녹동, 덕양, 독천, 동광양, 목포, 문화동, 배산, 백양, 벌교, 보성, 삼호, 섬진강휴게소, 성전, 성황, 여수, 여천, 예당, 완도, 운암동, 원동, 월송, 장흥, 전주, 조성, 태인교, 해남 영남권 방면 경주[12], 김해국제공항[13], 남해, 대교, 대사, 마산, 부산서부, 서대구, 전도, 진교, 진주, 창원, 포항[12] 매표소 개찰구 외부 링크[편집] 순천종합버스터미널 홈페이지 코버스 홈페이지 (순천발 고속버스 노선 예매) 버스타고 홈페이지 (순천발 시외버스 노선 예매) 각주[편집] ↑ 순천, 종합버스터미널 34년만에 통합 운영, 뉴시스, 2008년 8월 20일 작성. ↑ 가 나 다 라 마 하차만 가능하다. ↑ 2014년 11월 18일 신설. ↑ 고속으로 운행했다가 시외로 전환된 노선이다. ↑ 시외노선으로 인가받았지만 전산망은 고속버스 전산망을 사용한다. ↑ 2013년 7월 18일 부로 신규 개통. ↑ 광주~순천~광양~동광양~김해공항 노선 개통 안내, 금호고속 공지사항, 2015년 8월 13일. ↑ 춘천-전라도 순천 노선 증설, 강원고속 공지사항, 2016년 4월 29일. ↑ 2014년 8월 4일 운행 재개. ↑ 2014년 8월 8일 신설. ↑ 가 나 다 2016년 5월 1일 신설. ↑ 가 나 2015년 5월 8일 신설. ↑ 2015년 8월 14일 신설. vdeh대한민국의 시외·고속버스터미널서울특별시 서울경부 서울호남 동서울 서울서부 서울남부 상봉 가락시장 김포공항 동대문 마장동 수유리 신촌 잠실 장지역 인천광역시 강화 외포리 화도 인천 인천공항 부평역 송도 용현동 경기도 가평 목동 설악 청평 현리 고양 고양화정 광명 철산 광주 곤지암 구리 군포 김포 도농 · 금곡 · 평내 · 마석 동두천 부천 송내역 부천역·소사동·송내사거리 수원 광교중앙역 서수원 수원역 아주대 영통입구 우만동 성남 가천대 시흥 하늘휴게소 안산 상록수역 안성 공도 대림동산 양성 일죽 주은풍림 죽산 중앙대입구 안양역 · 안양 · 범계 · 호계동 · 비산동 양주역 양평 용문 여주 능서 대신 태평 전곡 오산 용인 백암 신갈 양지 유방동 의정부 의왕고천 의왕TG 이천 장호원 문산 금촌 운정 파주적성 평택 평택시외 송탄 안중 서정리·용이동·청북 평택대 해군기지 포천 송우 신북 운천 일동 하남 서신 동탄 조암 향남 강원도 강릉 강릉시외 주문진 간성 거진 대진 동해 동해시외 삼척 삼척시외 도계 임원 호산 속초 속초시외 양구 남면 양양 낙산 영월 상동 원주 원주시외 문막 인제 백담입구 신남 원통 현리 정선 고한사북 북평 임계 동송 신철원 와수 육단 춘천 춘천시외 강촌 태백 평창 대화 장평 진부 횡계 홍천 내면 서석 양덕원 화천 사창리 횡성 둔내 충청북도 괴산 연풍 단양 매포 보은 보은고속 속리산 영동 추풍령 황간 옥천 안내 청산 음성 감곡 대소 무극 삼성 생극 충북혁신도시 제천 제천시외 백운 증평 진천 광혜원 이월 청주 청주시외 청주공항 북청주 남청주 미원 오창 충주 목계 수안보 주덕 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충청남도 대전 서대전 유성 유성시외 대전청사 대전도룡 관저·건양대병원 용두동 도마동 부사동 신흥동 북대전 자운대 조치원 세종 세종청사 고대홍대 전의 금암 · 신도안 · 양정 · 엄사 공주 공암 동학사 산성 유구 금산 논산 논산시외 강경 연무 연무시외 당진 기지시 삽교천 신평 합덕 보령 대천해수욕장 부여 홍산 서산 고북 해미 서천 장항 아산 아산시외 신창 예산 신례원 천안 병천 성환 쌍용 한기대 청양 정산 태안 만리포 안면도 홍성 광천 내포 전라북도 고창 대산공용 무장 상하 선운사 해리 흥덕 군산 군산시외 대야 김제 만경 원평 남원 남원시외 덕과 반선 인월 무주 구천동 안성 부안 격포 줄포 순창 적성 고산 대둔산 봉동 삼례 운주 익산 익산시외 금마 여산 함열 임실 관촌 강진공용 오수 장수 번암 장계 전주 전주시외 정읍 신태인 태인 진안 백운 안천 광주광역시전라남도 광주 문화동 소태역 송정역 진월동 강진 마량 성전 고흥 과역 나로도 녹동 곡성 옥과 광양 광영 동광양 태인 구례 나주 영산포 영삼거리 다시 담양 목포 남악 무안 보성 벌교 예당 조성 순천 순북 점암 지도 여수 여천 영광 법성포 홍농 영암 독천 삼호 신북 완도 고금 당목 장성 장성사거리 장흥 노력항 회진 진도 녹진 함평 문장 학교 해남 땅끝 화순 능주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동대구 서대구 대구북부 · 대구서부 · 현풍 용계 경산 영남대 자인 하양 경주 경주시외 건천 산내 아화 안강 입실 고령 구미 구미공단 선산 군위 우보 김천 문경 점촌 가은 봉화 춘양 상주 함창 성주 안동 경북도청 안동역 길안 풍산 영덕 강구 병곡 영해 장사 영양 영주 풍기 풍기IC 꽃동산 영천 임포 예천 용궁 울진 기성 부구 온정 죽변 평해 후포 의성 단촌 도리원 안계 탑리 청도 운문사 청송 월정 주왕산 진보 왜관 약목 포항 포항시외 송라 청하 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경상남도 부산 부산서부 김해공항 동래 신평 하단 해운대 울산 울산시외 신복 방어진 언양 봉계·공업탑·남창·무거·옥동·웅촌·태화·호계·효문 고현 장승포 거창 고성 배둔 김해 장유 진영 남해 밀양 유천 표충사 사천 곤양 삼천포 산청 생초 원지 양산 통도사 의령 신반 진주 진주시외 개양 반성 창녕 남지 부곡 영산 창원 내서 남산 창원역 마산 마산시외 남마산 진해 통영 하동 진교 화개 함안 함양 백무동 서상 안의 합천 가야 삼가 초계 해인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 · 서귀포 고속도로 환승정류장 낙동강휴게소 선산휴게소 섬진강휴게소 인삼랜드휴게소 정안알밤휴게소 횡성휴게소  :현재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하지 않거나 없어진 터미널 굵은 글씨는 고속버스가 운행하는 터미널 vdeh순천시의 교통철도노선 전라선 경전선 역 구례구역 봉덕역¹ 괴목역¹ 개운역¹ 동운역¹ 순천역 성산역¹ 원창역¹ 구룡역¹ 평화역¹ ¹ : 여객취급을 하지 않는 역 고속도로노선 남해 (10) 호남 (25) 순천완주 (27) 나들목·분기점 주암 나들목 승주 나들목 서순천 나들목 황전 나들목 동순천 나들목 순천 나들목 순천만 나들목 도롱 나들목 해룡 나들목 순천 분기점 일반도로국도 2호 15호 17호 18호 22호 27호 국지도 15호 22호 58호 지방도 840호 857호 863호 주요 간선도로간선도로 엑스포대로 녹색로 봉덕로 섬진강로 여순로 조계산로 충의공로 버스시내 순천 시내버스 고속·시외 순천 광천 괴목 송광 송광사 순북 순천역 승주 기타시내 마이비카드 캐시비 한페이 티머니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순천종합버스터미널&oldid=24099452" 분류: 1975년 설립2008년 설립전라남도의 버스 교통대한민국의 버스 터미널순천시 (전라남도)의 교통순천시 (전라남도)의 건축물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25일 (목) 11: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순천종합버스터미널(順天綜合버스터미널)은 전라남도 순천시 장천3길 13 (장천동 18-22)에 위치한 고속버스·시외버스 터미널이다. 고속버스 전산망상의 터미널 번호는 515이다. 시외버스 노선은 516 번호를 사용한다. 또한 이 터미널의 관리 주체는 금호고속이며 금호터미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순천종합버스터미널에서 운행하는 시외버스가 가는 곳은 어디일까? Assistant: 방면 행선지 수도권 방면 고양, 동서울, 부천[9], 성남, 안산[10] 강원권 방면 원주[11], 춘천[11], 홍천[11] 충청권 방면 남청주, 청주 호남권 방면 강진, 고흥, 과역, 광양, 광양제철, 광영, 광주, 괴목, 구례, 금호교, 나로도, 남악, 남창, 남원, 녹동, 덕양, 독천, 동광양, 목포, 문화동, 배산, 백양, 벌교, 보성, 삼호, 섬진강휴게소, 성전, 성황, 여수, 여천, 예당, 완도, 운암동, 원동, 월송, 장흥, 전주, 조성, 태인교, 해남 영남권 방면 경주[12], 김해국제공항[13], 남해, 대교, 대사, 마산, 부산서부, 서대구, 전도, 진교, 진주, 창원, 포항[12]
Human: 아래 비교종교학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비교종교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비교종교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비교종교학(Comparative religion)이란 세계 종교들의 교리와 실천을 조직적으로 비교하는 종교 연구의 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비교 종교학 연구는 윤리학, 형이상학 그리고 구원의 본질과 형태와 같은 종교의 근본적이며 철학적 관심을 깊게 이해하는 것이다. 그런 자료들을 연구하는 것은 거룩, 초자연적 것, 영적 존재, 그리고 신과 관련된 인간의 믿음과 실천을 넓고 더 세밀하게 이해하는 것을 의미한다.[1] 비교 종교학 분야에서 일반적인 주된 세계 종교의 지리적 분류 는 중동종교, 인디언 종교, 동 아시아 종교, 아프리카의 종교, 아메리카 종교, 태평양 종교, 그리고 고대 헬레니즘 종교들이다.[2] 목차 1 역사  2 전통에 대한 비교 2.1 바하이 신앙 2.2 불교 2.3 기독교 2.4 유교 2.5 힌두교 2.6 이슬람 2.7 자이나교 2.8 유대교 2.9 이교 2.10 시크교 2.11 도교 2.12 조로아스터교 3 각주 역사 [편집] 19세기의 사회학자들은 비교종교와 원시종교에 강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주로 다음과 같은 학자들의 작품을 통하여 영향을 받았다. 막스 뮐러, 에드워드 테일러 버넷, 로버트슨 윌리엄 스미스, 제임스 프레이저 조지, 에밀 뒤르켐, 막스 베버, 루돌프 오토였다.[3] 도교의 중심개념인 타오, 전통에 대한 비교[편집] 바하이 신앙[편집] 바하이 신앙과 화합의 종교 바하이 신앙과 불교 바하이 신앙고 힌두교 바하이 신앙과 조로아스터교 불교[편집] 불교 및 기독교 불교와 동방 종교들 불교와 영지주의 불교와 힌두교 불교와 자이나교 불교와 Theosophy 불교와 이슬람 의 비교 불교와 기독교 기독교[편집] 기독교와 다른 종교들 불교 및 기독교 의 비교 불교와 기독교 기독교와 이슬람교 기독교와 유대교 기독교 Neopaganism 기독교와 이교 기독교는 부두 몰몬교 몰몬교 및 기독교 몰몬교와 이슬람 몰몬교와 유대교 유교[편집] 유교와 동방 종교들 유교이고 서양 종교 힌두교[편집] 힌두교 및 기타 종교 Ayyavazhi 힌두교 불교와 힌두교 힌두교는 이슬람의 관계 이슬람[편집] 이슬람교와 다른 종교들 기독교와 이슬람교 힌두교는 이슬람의 관계 이슬람교와 자이나교 이슬람이 유대인의 관계 아흐 마디 야 유대인의 관계 이슬람교 몰몬교와 이슬람 자이나교[편집] 불교와 자이나교 이슬람교와 자이나교 자이나교하고 시크교 유대교[편집] 기독교와 유대교 이슬람이 유대인의 관계 아흐 마디 야 유대인의 관계 힌두교와 유대교 이교[편집] 기독교와 이교 기독교 Neopaganism 시크교[편집] 힌두교 이슬람교 자이나교하고 시크교 도교[편집] 도교 및 기타 종교 조로아스터교[편집] 조로아스터교와 다른 종교들 각주[편집] ↑ "Human beings' relation to that which they regard as holy, sacred, spiritual, and divine"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006), cited after “Definitions of Religion”. 《Religion facts》.  ↑ Charles Joseph Adams, Classification of religions: geographical, Encyclopædia Britannica ↑ Hans Kippenberg, Discovering Religious History in the Modern Age (200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비교종교학&oldid=24080394" 분류: 비교종교학종교학신학철학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Čeština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MagyarBahasa Indonesia日本語മലയാളംBahasa MelayuNorskPortuguêsРусский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1일 (일) 18:1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비교종교학(Comparative religion)이란 세계 종교들의 교리와 실천을 조직적으로 비교하는 종교 연구의 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비교 종교학 연구는 윤리학, 형이상학 그리고 구원의 본질과 형태와 같은 종교의 근본적이며 철학적 관심을 깊게 이해하는 것이다. 그런 자료들을 연구하는 것은 거룩, 초자연적 것, 영적 존재, 그리고 신과 관련된 인간의 믿음과 실천을 넓고 더 세밀하게 이해하는 것을 의미한다.비교 종교학 분야에서 일반적인 주된 세계 종교의 지리적 분류 는 중동종교, 인디언 종교, 동 아시아 종교, 아프리카의 종교, 아메리카 종교, 태평양 종교, 그리고 고대 헬레니즘 종교들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비교종교학에서 불교와 비교되는 종교 중에 이름이 기로 시작하는 종교명은 무엇인가? Assistant: 기독교 Human: 아래 송영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송영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송영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송영무宋永武 2017년 8월 대한민국의 제45대 국방부 장관 임기 2017년 7월 13일 ~ 2018년 9월 21일 대통령 문재인 총리 이낙연 전임 한민구 후임 정경두 대한민국의 제26대 해군참모총장 임기 2006년 11월 17일 ~ 2008년 3월 20일 전임 남해일 후임 정옥근 신상정보 국적 대한민국 출생일 1949년 2월 24일(1949-02-24) (70세) 출생지 대한민국 충청남도 논산군 양촌면 남산리 본관 은진(恩津) 학력 경남대학교 대학원 산업경영학 석사 정당 더불어민주당 배우자 구자정 자녀 슬하2녀 종교 천주교(세례명: 체사리오) 군사 경력 군복무 대한민국 해군 복무기간 1973년 ~ 2008년 최종계급 대장 송영무(宋永武, 1949년 2월 24일 ~ )는 대한민국의 제45대 국방부 장관이다. 본관은 은진(충청남도 논산)이며, 송시열의 13대손이다. 2007년 해군참모총장 시절 고위공직자 재산공개에서 송시열의 서예 작품 16점을 공개했다.[1] 목차 1 생애 2 학력 3 진급 4 경력 5 가족 관계 6 논란 6.1 음주운전 6.2 동료 음주운전 무마의혹 6.3 위장전입 6.4 계룡대 군납비리 축소의혹 6.5 '미니스커트' 발언 6.6 '여성 행동거지 조심해야' 발언 6.7 '의전 문제로 짜증' 발언 6.8 국군기무사령부 계엄령 준비 사건 관련 7 서훈 8 각주 9 참고 자료 10 외부 링크 생애[편집] 1949년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남산리에서 태어났다. 대전고등학교,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했다. 김대중 정부 시절인 1999년 해군 2함대 제2전투전단장 재직시 남북한 함정이 서해 북방한계선(NLL) 해역에서 충돌한 제1연평해전을 승리로 이끈 주역이기도 하다.[2] 노무현 정부에서 제26대 해군참모총장을 역임하였다. 더불어민주당 안보연구소 연구위원, 국방안보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문재인 정부 출범 후 2017년 6월 11일 국방부 장관으로 지명되었으나, 1991년 음주운전 경력, '계룡대 군납비리 사건' 수사 축소 등으로 인사청문회 시 난항 끝에 청문보고서 채택이 무산되었으나, 7월 13일 임명되었다.[3][4] 해군 출신이 국방부 장관이 된 것은 역대 3번째이다.[2] 문재인 정부 1기 내각중 지명부터 임명까지 가장 오랜 기간이 걸렸다.[5] 국방부 장관으로서 본인들도 가고 싶고 부모들도 안심하고 보낼 수 있는 병영 문화 창조, 한미동맹 발전, 여군 인력 확대 및 근무 여건 개선, 방위산업 육성, 국가 재난 등 비군사적 위협에 대비한 포괄적 안보체제 구축 등을 국방개혁 과제로 제시했다.[6][7] 학력[편집] 동산초등학교 → 대전삼성초등학교 한밭중학교 대전고등학교 해군사관학교 27기 학사 육군보병학교 수료 해군대학 졸업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29기(1984년) 경남대학교 대학원 산업경영학과 석사 진급[편집] 1973년 해군 소위 임관 1997년 해군 준장 진급 2000년 해군 소장 진급 2005년 해군 중장 진급 2006년 해군 대장 진급 경력[편집] 1985년 1월 ~ 1985년 11월 : 해군대학 정규과정교육 수료 1985년 12월 ~ 1986년 2월 : 해군대학 교수부 교관 1986년 2월 ~ 1987년 5월 : 해군 제2함대사령부 덕봉함장 1987년 6월 ~ 1990년 7월 : 해군 제5전단 작전참모실 요트지원정작참모, 작전참모 1990년 7월 ~ 1991년 7월 : 해군작전사령부 작전참모처 계획과장 1991년 7월 ~ 1992년 8월 : 해군본부 작전종합상황실장 1992년 8월 ~ 1993년 12월 : 해군 제2함대사령부 청주함장 1993년 12월 ~ 1997년 12월 : 합동참모본부 해상작전과장 1997년 12월 ~ 1999년 1월 : 합동참모본부 시험평가부장 1999년 1월 ~ 2000년 11월 : 해군 제2함대사령부 2전투전단장 2000년 11월 ~ 2002년 1월 : 해군 제1함대사령관 2002년 1월 ~ 2003년 4월 : 해군본부 조함단장 2003년 4월 ~ 2004년 4월 : 해군본부 기획관리참모부장 2005년 4월 ~ 2005년 10월 : 합동참모본부 인사군수참모본부장 (해군 중장) 2005년 10월 ~ 2006년 11월 :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본부장 2006년 11월 ~ 2008년 3월 : 제26대 해군참모총장[8] (해군 대장) 2008년 3월 ~ 2010년 3월 : 국방과학연구소 정책위원 2009년 1월 ~ 2011년 9월 : 법무법인 율촌 상임고문 2012년 5월 ~ 2016년 6월 :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정책자문위원 2013년 5월 ~ 2017년 6월 : 건양대학교 군사학과 석좌교수 2015년 11월 ~ 2017년 7월 : 더불어민주당 안보연구소 연구위원 2016년 10월 ~ 2017년 7월 : 더불어민주당 국방안보특별위원회 위원장 2017년 7월 13일 ~ 2018년 9월 21일 : 제45대 국방부 장관 2018년 11월 ~ 현재 : 더불어민주당 외교안보통일자문회의 안보자문위원 가족 관계[편집] 고조부는 구한말 을사늑약 이후 자결한 애국지사 송병선이다. 배우자 구자정과의 사이에 현재 1녀가 있다. 1995년 암으로 투병하던 차녀가 세상을 떠났다. 논란[편집] 음주운전[편집] 2017년 6월 28일 인사청문회에서 중령으로 진해 해군작전사령부에 근무하던 시절인 1991년 3월 25일 새벽, 음주운전 단속에 적발된 사실이 드러났으나 처벌을 받지 않아 논란이 있었다. 음주 적발 후 헌병대 및 법무실의 조사 없이 바로 사건 종결 처리됐으며, 이로 인해 그해 7월 무난히 대령으로 승진[9]했다. 음주운전 사실을 무마하기 위해 경찰에 금품을 제공하였다는 의혹[10]도 있다. 송영무 장관은 인사청문회 당시 입장문을 통해 "후보자로서 다시 한 번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음주운전 사실을 인정[11]하였다. 동료 음주운전 무마의혹[편집] 1991년 7월 송영무 장관이 해군본부 종합실장이던 시절, 회식하고 늦은 시간에 노량진 경찰서에서 대령 두 명과 동기생과 함께 음주 운전에 적발되었다는 의혹[12]이 있다. 송영무 장관은 인사청문회 당시 소명서에서 “내가 운전한게 아니라 동기인 박 모 대령이 운전했고 동석했다”며 음주 운전 차량에 동석했음을 인정[13]하였다. 위장전입[편집] 문재인 대통령이 '5대 공직 배제 기준'으로 정한 사유 중 하나인 위장전입 사실[14]이 있다. 1989년 해군 제5전단 작전참모로 재직할 당시 경남 진해의 군인관사에 살면서 아파트를 분양받기 위해 대전의 아버지 집으로 위장전입한 사실을 장관 지명 당시 밝혔다.[15] 하지만, 그외 1991년 11월에도 서울시 영등포구 신길동 충무아파트에 거주하던 송 장관이 신규 분양 받은 대전 한신아파트의 담보 대출 조건 때문에 본인의 주민등록을 이전한 사실과 1994년 10월과 1997년 8월에도 실제로는 충무아파트에 실제 거주하면서 주소지만 각각 형의 자택과 고조부의 기념사당(문충사)으로 옮기는 등 총 네 차례 위장전입이 추가로 드러나, 위장전입 사실을 축소하였다는 비판을 받았다.[16] 계룡대 군납비리 축소의혹[편집] 계룡대 군납비리를 밝힌 김영수 전 해군소령으로부터 "국방 개혁 적임자라 일컬어지는 송영무 씨 주변 인물들이 사실 개혁과 거리가 먼 비리 카르텔의 당사자들"이라는 비판[17]을 받았다. 2007년 8월 송영무 당시 해군총장이 계룡대 군납비리에 대한 수사를 축소시키려고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있으며, 이 사건은 2년 뒤인 2009년 국방부 특별조사단의 재조사를 받고 부실수사로 판명되었다.[18] 계룡대 군납비리 내부고발자인 김영수 전 소령이 전직하기 전의 면담에 대해 송영무 장관이 미화 왜곡해 퍼뜨린 것을 김 전 소령이 사실을 밝혔고, 장관 임명 전에도 불리한 내용이 나오지 않도록 미리 입단속하고자 "언론에 좋은 말 해달라"며 전화했다가 녹취록이 공개돼 곤욕을 치르기도 했다.[19] '미니스커트' 발언[편집] 2017년 11월 27일 북한군 병사가 탈북한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을 방문해 사건 현장을 둘러본 뒤 경비대대 식당에서 병사들과 만난 자리에서 “원래 식사 자리에서 얘기하면 재미가 없는 건데 식사 전 얘기와 미니스커트는 짧으면 짧을수록 좋다고 한다”고 말했다.[20] '여성 행동거지 조심해야' 발언[편집] 2018년 7월 9일 용산 육군회관에서 열린 성고충전문상담관 간담회에서 "여성들이 행동거지라든가 말하는 것 조심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 발언에 대해 남성 중심적인 사고를 드러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에 "오늘 간담회에서 이야기한 것이 본의 아니게 오해가 된 것이 있다"며 "부적절한 발언에 대해 국무위원인 장관으로서 유감을 표한다"고 사과하였다.[21] '의전 문제로 짜증' 발언[편집] 5명의 장병이 사망한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마린온' 추락사고와 관련하여, 김도읍 자유한국당 의원이 "마린온 유족들이 상당히 분노해 있는 것을 알고 있나"라고 묻자 "유족들께서 의전 문제에 있어 흡족하지 못해 짜증이 나신 게 아닌가 생각한다"라고 답변했다.[22] 국군기무사령부 계엄령 준비 사건 관련[편집] 국군기무사령부 계엄령 준비 사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민병삼 100기무부대장 대령은 국회 국방위 전체회의에서 "송영무 장관이 7월 9일 간담회에서 '위수령은 잘못된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고 폭로해 파문을 일으켰다. 이에 대해 송 장관은 "완벽한 거짓말이다"라고 부인했고, 두 사람 중 누구의 말이 맞는지 사실관계를 둘러싼 공방이 있었다. 그런데 국군기무사령부 보고서에 의하면, "위수령은 잘못된 것이 아니다. 법조계에 문의해보니 최악의 사태를 대비한 계획은 문제될 것이 없다고 한다. 장관도 마찬가지 생각이다. 다만 직권남용에 해당되는지 검토하기 바란다"라는 송 장관의 발언이 적혀 있었다. 이는 "완벽히 거짓말"이라는 송 장관의 발언과 배치된다.[23] 국방장관의 발언을 현역 대령이 반박하는 것이 상당히 이례적이며, 사실관계 여부를 떠나 송 장관의 리더십에 타격을 입었다는 평가가 있다.[24] '하극상' 논란 이후 청와대의 송 장관 경질이 유력하다는 보도가 있었으나, 청와대는 알 수 없다고 답했다.[25] 서훈[편집] 1980년 : 대통령표창 1988년 : 국무총리표창 1999년 : 충무무공훈장 2004년 : 보국훈장 천수장 2008년 : 보국훈장 통일장[26] 각주[편집] ↑ “[Who Is ?] 송영무 국방부 장관”. 《비즈니스포스트》. 2017년 6월 19일.  ↑ 가 나 “역대 세번째 해군출신, 송영무 국방장관 후보자는 누구?”. 2018년 7월 9일에 확인함.  ↑ “[속보]文, 송영무 국방장관 임명, 조대엽은 노동장관 후보는 사퇴…청와대와 여야 '빅딜' 성사”. 2018년 1월 3일에 확인함.  ↑ “[300랭킹]임명장 수여까지 32일?…우여곡절 장관 베스트7”. 2018년 1월 3일에 확인함.  ↑ “[300랭킹]임명장 수여까지 32일?…우여곡절 장관 베스트7”. 2018년 1월 3일에 확인함.  ↑ 이영재. 송영무, 취임 일성 "새로운 국군 건설"…고강도 국방개혁 예고. 연합뉴스. 2017년 7월 14일. ↑ 조규희. (전문)송영무 국방부장관 취임사 "국방개혁 넘어 새 국군 건설". 뉴스1. 2017년 7월 14일. ↑ 대한민국해군 (n.d.). “역대참모총장-26대 해군참모총장 대장 송영무”. 《대한민국해군》. 2017년 7월 16일에 보존된 문서. 2017년 7월 17일에 확인함.  ↑ “[종합]송영무, 음주운전 은폐 의혹에 "은폐 시도 없었지만 송구하다"”. 2017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김학용 "송영무 동기 음주운전 무마 과정서 금품 오갔다"”. 2017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종합]송영무, 음주운전 은폐 의혹에 "은폐 시도 없었지만 송구하다"”. 2017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송영무, 이번엔 동료 음주운전 무마 의혹”. 2017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김학용, 음주운전 추가 폭로…송영무 "운전자는 동기 대령"”. 2017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일문일답]靑 “조대엽 고용 음주운전·송영무 국방 ‘위장전입’ 확인””. 2017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4차례 위장전입 있었다"…송영무, 위장전입 축소 의혹”. 2017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한 번이라더니… 송영무 후보자, 4차례 위장전입”. 2017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단독] “송영무가 군납비리 수사 막았다고 들어…비리 카르텔 우려””. 2017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송영무, '계룡대 군납비리' 솜방망이 처분 지시 정황 포착”. 2017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송영무, 군납비리 내부고발자에 부적절한 전화”. 2017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미니스커트는 짧을수록 좋아” 송영무 국방장관 또 구설”. 2018년 1월 3일에 확인함.  ↑ 김호준 (2018년 7월 9일). “송영무, 여성 행동거지 언급 '설화'후 공식사과…"부적절했다"(종합)”. 《연합뉴스》. 2018년 7월 9일에 확인함.  ↑ “송영무 "마린온 유족, 의전 문제로 짜증 나신게 아닌가"”. 《중앙일보》. 2018년 7월 20일.  ↑ 한지훈 (2018년 7월 25일). “"위수령 잘못된 것 아니다" 송영무 발언 적힌 보고서 확인(종합)”. 《연합뉴스》.  ↑ 기자, 유선의 (2018년 7월 25일). “'하극상' 논란, 송영무-기무사 진실공방…한민구 출금 배경은”.  ↑ 임형섭 (2018년 8월 1일). “靑, '송영무 경질 가닥' 보도에 "확인해 드릴 게 없다"”. 《연합뉴스》.  ↑ 임헌정. 나란히 서 있는 전임.신임 해참총장. 연합뉴스. 2008년 3월 21일. 참고 자료[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송영무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송영무 - 네이버 인물검색 송영무 - 다음 인물백과 외부 링크[편집] 전임한민구 제45대 국방부 장관2017년 7월 13일 ~ 2018년 9월 21일 후임정경두 전임남해일 제26대 해군참모총장2006년 11월 17일 ~ 2008년 3월 20일 후임정옥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송영무&oldid=24229586" 분류: 1949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은진 송씨논산시 출신대전삼성초등학교 동문한밭중학교 동문대전고등학교 동문해군사관학교 동문대한민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 군인육군보병학교 동문해군대학교 동문국방대학교 동문경남대학교 대학원 동문대한민국 해군 대장대한민국의 해군참모총장건양대학교 교수대한민국의 국방부 장관문재인 정부의 국무위원친문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더불어민주당 당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日本語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6일 (목) 11: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송영무(宋永武, 1949년 2월 24일 - )는 대한민국의 제45대 국방부 장관이다. 본관은 은진(충청남도 논산)이며, 송시열의 13대손이다. 2007년 해군참모총장 시절 고위공직자 재산공개에서 송시열의 서예 작품 16점을 공개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국군기무사령부 계엄령 준비 사건이 일어날 시기에 100기무부대장을 맡은 사람은 누구야? Assistant: 민병삼
Human: 아래 신효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신효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효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신효섭이 본명인 가수에 대해서는 크러쉬 (음악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신효섭출생 1982년 7월 30일(1982-07-30) (36세)서울특별시국적 대한민국 별칭 신군직업 요리사 & 요리 연구가소속 (前) 에이셰프컴퍼니 인스키친배우자 김민지웹사이트 신효섭 네이버 블로그 신효섭(1982년 7월 30일 ~ )은 대한민국의 요리사이다. 목차 1 경력 2 퍼포먼스 3 방송 출연 4 외부 링크 경력[편집] 신군의 쿠킹 클래스 & 동양매직 오븐 클래스 강의 INS Kitchen 대표이사 퍼포먼스[편집] GS Professional 심사위원 중앙일보 셰프배틀 심사위원 미국 유제품 수출 협의회 홍보대사 미국 육류협회 홍보대사 중국 상하이 RC 푸드박람회 한국김치요리 강연 방송 출연[편집] 《찾아라! 맛있는 TV》 (MBC) 《초건방》 (SBS E!TV) 《독립생활백서》 (올리브 TV) 《한식대탐험》 (KBS2) 《놀라운 대회 스타킹》 (SBS) 《무한걸스》 (MBC Every1) 《커플쇼! 결혼해도 될까요?》 (KBS Joy) 《공감! 특별한 세상》 (MBC) 《양희은의 오색오미》 (MBC) 《출발! 모닝와이드》 (SBS) 《신군네 반찬가게》 (Story On) 《쉘라쉘라 영어로 쿠킹》 (올리브 TV) 《1 대 100》 (KBS2) 《아침마당》 (KBS) 《리빙쇼》 (KBS2) 《브런치》 (tvN) 《생생 정보통》 (KBS2) 《최고의 요리비결》 (EBS) 《이승연과 100인의 여자》 (Story On) 《퀴즈쇼 사총사》 (KBS2) 《배기완 최영아 조형기의 좋은 아침》 (SBS) 《놀러와》 (MBC) 《여자들의 고민을 풀어주는 식당》 (KBS W) 《자연愛죽》 (올리브 TV) 《新 대동여지도》 (채널A) 《자기야 - 백년손님》 (SBS) 《보양밥상》 (쿠키건강TV) 《그대가 꽃》 (KBS1) 외부 링크[편집] 인스키친 이 글은 한국 사람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신효섭&oldid=23985858" 분류: 1982년 태어남한국 요리 연구가대한민국의 요리사살아있는 사람서울특별시 출신숨은 분류: 한국 사람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7일 (일) 18:3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신효섭(1982년 7월 30일 ~ )은 대한민국의 요리사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신효섭이 출현했던 KBS2에서 방영한 퀴즈 프로그램은? Assistant: 1 대 100 Human: 아래 크라브_마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크라브 마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크라브 마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크라브 마가 (1955년) 크라브 마가(히브리어: קרב מגע, 영어: Krav Maga)는 이스라엘 방위군(IDF)과 이스라엘 안전보장군(샤바크, 모사드)를 위해 개발된 군사 자기방어 체계의 하나로서[1][2], 실질적인 전투 훈련과 더불어 복싱, 레슬링, 아이키도, 유도, 공수도를 기원으로 하는 기법들을 절충하였다.[3][4] 크라브 마가는 실제 상황과 극대의 효율성[5][6], 잔인한 정도의 역습[7]에 초점을 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크라브 마가는 헝가리계 유대인 무술가 이미 리치텐필드(Imi Lichtenfeld)의 길거리 싸움에서의 경험에서 비롯되었으며 그는 1930년대 중후반 브라티슬라바의 파시스트 그룹을 상대로 유대인을 보호할 수단으로서 복싱 선수이자 레슬링 선수였던 자신의 훈련을 활용하였다.[8] 1940년대 말에 그는 이스라엘로 이주하면서 IDF 예정자에게 전투 훈련 수업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처음 시작 때부터 크라브 마가의 원래 개념은 다른 전투 스타일의 가장 단순하고 실용적인 기법들(원래는 유럽 복싱, 레슬링, 길거리 싸움)을 취하고 군사 징집병들에게 조속히 교육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9] 그 결과 크라브 마가는 서양 권투, 레슬링, 길거리 싸움의 원초적 기반 위에 개발되었다. 크라브 마가는 철학에 중점을 둔 공격[10] 및 방어, 공격을 동시에 취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11] 크라브 마가는 이스라엘 방위군의 특수부대, 안보 기관, 정규 보병부대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12] 밀접하게 관련된 여러 종류의 크라브 마가가 개발되어 이스라엘의 법 집행 기관과 정보 기관에 채택되었다. 영국 SAS, 미국 해병대와 같이 여러 종류의 크라브 마가를 국제적으로 교육하는 단체들이 몇 군데 있다.[13][14][15] 목차 1 용어 2 현황 3 같이 보기 4 각주 5 외부 링크 용어[편집] 크라브 마가는 히브리어의 이름으로, 접촉 전투(contact combat)로 번역할 수 있다. 크라브(קרב)는 "전투", 마가(מגע)는 "접촉"을 의미한다. 현황[편집] 크라브 마가의 벨트와 패치 화이트 옐로 오렌지 그린 블루 브라운 블랙 이스라엘리 크라브 마가 협회(Israeli krav maga association, IKMA)는 크라브 마가의 창시자인 이미 리치텐필드와 그의 제자인 하임 기드온이 1978년에 세계 최초로 설립한 크라브 마가 교육기관이며, 크라브 마가의 벨트는 화이트부터 옐로우, 오렌지, 그린, 블루, 브라운, 블랙벨트까지 있으며, 각 벨트마다 수련기간이 1년에서 길게는 3년으로 블랙벨트까지 오랜 기간의 수련을 요구한다. 창시자가 1996년 사망한 뒤에 창시자로부터 블랙 10단을 승인받은 하임 기드온이 현재 협회장으로 있다. 하임 기드온은 이스라엘 윈게이트에서 크라브마가 부분 연구위원으로 활동 중이기도 하다. 하임은 그랜드 마스터라는 칭호로 불리는데, 통산 블랙 7단 이상부터 부여 받는 것이다. 지도자 교육은 매년 이스라엘에서 협회장 하임 기드온의 지도하에 정기적으로 진행된다. 같이 보기[편집] 무예 이스라엘리 크라브마가 코만도 크라브 마가 각주[편집] ↑ When Things Seem Odd: Polly and the Internal Guardian, FriesenPress, 12 January 2016, By Michael Joseph Legare ISBN 978-1-4602-7751-5 ↑ Green, Thomas A. 《Martial Arts of the World: En Encyclopedia》 (영어). ABC-CLIO. ISBN 9781576071502. 2017년 4월 13일에 확인함.  ↑ “Pure Krav Maga - Self Defense Mastery(TM): Eli Avikzar the Second in Israeli Defense Force Krav Maga Chief Instructor”. 《kravmaganewyork.blogspot.com》.  ↑ “Krav Maga Federation - Israeli Martial Arts and Self-Defense”. 《kravmagainc.com》.  ↑ Levine, Darren; Whitman, John (2009년 4월 1일). 《Complete Krav Maga: The Ultimate Guide to Over 200 Self-Defense and Combative Techniques》. ISBN 9781569751794. 2015년 4월 3일에 확인함.  ↑ RAJMOHAN, SOORAJ (2013년 4월 4일). “The tactics of Krav Maga”. The Hindu. 2015년 4월 3일에 확인함.  ↑ Poulomi Banerjee (2009년 1월 28일). “Contact combat: Self-Defence classes to stay safe”. 《The Telegraph》. 2017년 1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5일에 확인함.  ↑ Hodsdon, Amelia (2005년 2월 8일). “Get your kicks with Israeli tricks”. 《The Guardian》. 2013년 3월 5일에 확인함.  ↑ Black Belt, Nov 2002, Vol. 40, No. 11, page 68 ↑ Black Belt, July 2000, July 2000, Vol. 38, No. 7, page 37 ↑ “All change on the buses”. 《BBC News》. 1998년 1월 15일. 2013년 3월 5일에 확인함.  ↑ “Elite soldiers fight it out in IDF's first-ever Krav Maga tournament”. 《IDF Blog》. 2014년 8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8일에 확인함.  ↑ Jim Wagner and Maj. Avi Nardia. “Inside Israel”. 《Black Belt Magazine》. 2010년 5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Judy Ellis (1998년 5월 4일). “Choke! Gouge! Smash!”. 《Time》. 2010년 1월 1일에 확인함.  ↑ Ryan, Rosalind (2002년 8월 23일). “J.Lo's fitness fad and Salma's 'sweaty' hobby”. 《Daily Mail》. 2013년 3월 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이스라엘리 크라브마가 협회 전거 통제 LCCN: sh2004005517 GND: 4739540-0 SUDOC: 12149814X BNF: cb15601546t (데이터) BNE: XX5160597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크라브_마가&oldid=24119711" 분류: 히브리어 낱말이스라엘의 무술크라브 마가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히브리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ܐܪܡܝܐAsturianu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FryskHawaiʻiעברית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ភាសាខ្មែរKurdîLadinoLietuviųMāori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PolskiPiemontèis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ייִדיש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9일 (월) 14: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크라브 마가(히브리어: קרב מגע, 영어: Krav Maga)는 이스라엘 방위군(IDF)과 이스라엘 안전보장군(샤바크, 모사드)를 위해 개발된 군사 자기방어 체계의 하나로서, 실질적인 전투 훈련과 더불어 복싱, 레슬링, 아이키도, 유도, 가라테를 기원으로 하는 기법들을 절충하였다. 크라브 마가는 실제 상황과 극대의 효율성, 잔인한 정도의 역습에 초점을 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크라브 마가는 헝가리계 유대인 무술가 이미 리치텐필드(Imi Lichtenfeld)의 길거리 싸움에서의 경험에서 비롯되었으며 그는 1930년대 중후반 브라티슬라바의 파시스트 그룹을 상대로 유대인을 보호할 수단으로서 복싱 선수이자 레슬링 선수였던 자신의 훈련을 활용하였다. 1940년대 말에 그는 이스라엘로 이주하면서 IDF 예정자에게 전투 훈련 수업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처음 시작 때부터 크라브 마가의 원래 개념은 다른 전투 스타일의 가장 단순하고 실용적인 기법들(원래는 유럽 복싱, 레슬링, 길거리 싸움)을 취하고 군사 징집병들에게 조속히 교육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 결과 크라브 마가는 서양 권투, 레슬링, 길거리 싸움의 원초적 기반 위에 개발되었다. 크라브 마가는 철학에 중점을 둔 공격 및 방어, 공격을 동시에 취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 크라브 마가는 이스라엘 방위군의 특수부대, 안보 기관, 정규 보병부대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밀접하게 관련된 여러 종택되었다. 영국 SAS, 미국 해병대와 같이 여러 종류의 크라브 마가를 국제적으로 교육하는 단체들이 몇 군데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크라브 마가의 벨트 중 가장 오랜 수련기간이 요구되는 벨트의 색깔은? Assistant: 블랙
Human: 아래 시체들의_새벽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시체들의 새벽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시체들의 새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 2 - 시체들의 새벽George A. Romero's Dawn Of The Dead 감독 조지 로메로 제작 질라 클린턴도나 시겔리처드 P. 루빈스타인클라우디오 아르젠토알프레도 커오모 각본 조지 로메로다리오 아르젠토 촬영 마이클 고닉 편집 조지 로메로 음악 고블린아고스티노 마랑골로마시모 모란트다리오 아르젠토클라우디오 시모네티아고스티노 마랑골로파비오 피그너텔리조지 로메로 개봉일 1978년 9월 (1978-09) (이탈리아)1979년 (1979) (미국) 시간 116분 국가 언어 영어 제작비 $500,000 $55,000,000 《시체들의 새벽》(Dawn of the Dead)은 조지 A. 로메로 감독의 호러영화 작품이다.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1968년)에 이어 1978년에 공개되었다. 당시 무명이었던 조지 A. 로메로는, 이 작품을 계기로 ‘마스터 오브 호러’로서 일약 유명한 감독이 되었다. 흥행 성공에는 이탈리아 호러 영화 감독인 다리오 아르젠토의 도움이 있었다. 그는 이 영화에서 제작 일부와 음향효과와 유럽 공개판을 감수하는 작업도 했다. 그가 이 작품의 유럽시장의 교두보 역할을 한 것도 간과할 수 없는 점이다. 인간이었을 때의 습관으로 거대한 쇼핑몰에 빨려 들어가듯 모이는 좀비들로 미국의 거대소비사회를 날카롭게 풍자한 로메로 감독 본인은, 이 작품엔 일종의 블랙 코메디적인 요소가 있다고 말했다. 목차 1 줄거리 2 캐스팅 3 잡다한 이야기 3.1 버전의 차이 3.1.1 미국 극장 공개판 3.1.2 다리오 아르젠또 감수판 3.1.3 디렉터스 컷 3.1.4 진정한 완전판 줄거리[편집] 전미 각지에서 갑자기 죽었던 사람이 되살아나 산 사람들을 덮치며 공격하기 시작한다. 좀비들에게 공격당해 사망한 사람들도 좀비로서 다시 살아나 좀비의 수는 시간이 지날수록 늘어만 갔다. 방송국에 근무하는 프랑은 좀비가 야기한 대혼란으로 인해 점점 방송 기능이 마비되자 방송국을 버리고 애인인 스티븐과 그의 헬기로 탈출할 것을 결의한다. 그와 동시에, 필라델피아 시경 특수기동대(SWAT)의 대원인 로저는 이민족인 주민들이 사체의 인도를 거부하며 대립하고 있는 아파트에 부대원들과 침투, 좀비가 산 사람을 먹는 지옥같은 장면을 목격하며, 세상의 종말을 실감한다. 무차별적인 살인을 범하던 기동대 대원 울리를 사살한 피터에게 친구인 스티븐은 헬기로 도시에서 탈출할 것을 제안한다. 수상경찰은 기지를 포기하고 보트로 탈출하고, 고층빌딩의 불빛도 잇달아 꺼져가는 상황과 혼란을 뒤로 하여 날아오른 4명은, 들판에 죽은 자들이 왔다갔다하며 그들을 사냥하는 헌터들과 군인들이 그들을 사살하는 광경 등을 목격한다. 그들은 식료품을 얻기 위해 대형쇼핑몰 옥상에 헬기를 착륙시킨다. 쇼핑몰 안에는 살아있었을 때의 습관으로 좀비가 다수 들어와 있었다. 그들은 최상층의 일부만을 점거하며 잠시나마 안전하게 되지만, 로저와 피터는 쇼핑몰 전체를 점거하기 위한 계획을 실행에 옮긴다. 4명은 대형 트럭으로 쇼핑몰의 출입구를 가로막는 데 성공하지만, 도중에 좀비에게 습격당해 궁지에 몰린 로저가 부주의로 인해 좀비에게 팔과 다리를 물리고 만다. 그 후 4명은 쇼핑몰 안의 모든 좀비를 전부 죽이기로 하고, 쇼핑몰은 그들의 소유가 된다. 그러나, 로저는 점점 좀비로 변해갔고, 피터는 로저의 바램대로 좀비로 되살아난 로저를 사살한다. 남아도는 식료품, 옷, 무기를 손에 넣은 그들은 한순간 평온한 나날을 보내지만, 로저를 잃고 갈 곳도 없으며, 쇼핑센터 안에만 갇혀있는 폐쇄감과 조바심이 남아있던 3명의 마음을 혼란스럽게 했다. 하지만, 그 조차도 오래가진 못했다. 어느날 무기로 무장해 약탈자로 변한 살아있던 폭주족 단원들이 쇼핑센터를 습격해 그들과 함께 좀비들도 대량으로 쇼핑센터에 난입해 왔다. 프란을 최상층에 남겨두고 피터와 스티븐은 결전을 결심하지만... 캐스팅[편집] 스티븐 앤드류스 : 데이빗 엠게-정승욱 피터 워싱턴 : 켄 포리-최석필 로저 데 마르코 : 스콧 H. 라이니거-안용욱 프란신파커 : 게일런 로스-엄상현 로이(SWAT대원): 롯드 스토퍼 -김기흥 울리(SWAT대원) : 존 파피시코 -박만영 TV 디렉터 : 죠지 A. 로메로 - 이철용 방송국 여성 스텝 :크리스틴 로메로(감독의 부인) -박인선 폭주족 단원 : 톱 사비니(특수촬영 메이크업 담당) -최한 배가 찢겨지는 폭주족 : 탄 N. 스테브러키스 (ED 크레딧에서는 탄 스테브러키스) -오인성 부둣가의 위장경관 : 조셉 필라토 (후에 "시체들의 새벽"에서 라스트 클라이막스 씬에서 좀비들에게 무참히 찢겨지는 로즈대위로 열연)-방성준 트럭에 치이는 좀비 : 톰 사비니(특수촬영 메이크업 담당) -안장혁 손도끼에 머리를 찍히는 좀비 : 레너드 라이스-정재헌 M-16 좀비 : 제이 스토버 -정영웅 스님좀비 : 마이클 버호스키 -홍승표 반다나를 두른 소녀좀비 : 낸시 프리드먼 -이소영 간호원 좀비 : 샤론 세커티 -윤여진 뚱보 좀비 : 리 커밍스 -손종환 잡다한 이야기[편집] 조지 A. 로메로의 시체3부작 중 두 번째 작품이다. 첫 번째 작품은 《나이트 오브 더 리빙데드(Night of the Living Dead)》, 세 번째 작품은 《시체들의 날(Day of the Dead)》이다. 또한 로메로는, 네 번째 작품인 《랜드 오브 더 데드(Land of the Dead)》, 다섯 번째 작품인 《다이어리 오브 더 데드(Dairy of the Dead)》도 제작했으며 여섯 번째 작품인 《아일랜드 오브 더 데드(Island of the Dead)》도 제작 중이다. 이 작품은 2004년 같은 제목으로 잭 슈나이더 감독에 의해 리메이크되었다. 리메이크판의 좀비들은 재빠르게 뛰어다니며 죽일 듯이 쫓아오는 설정이지만, 로메로감독은 잡지와의 인터뷰에서, ‘뛰어다니는 좀비는 마음에 들지않는다’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S. 스패로우에 의해 소설화 된 《시체들의 새벽》에서는 주인공들이 권총자살한 쇼핑센터의 경영자를 발견한다. 클라이막스에 등장하는 폭주족들의 개개인의 이름들이 쓰여있는 등 본편엔 없는 장면이 몇 가지 더 묘사되어 있다. 트레일러를 조달하는 장면에선 로저가 좀비를 치어 튕겨내 날려버리지만, 슬로모션으로 재생하면 트램펄린이 옥의 티로 비쳐진다. 튕겨 날아갔던 좀비는 후반에 폭주족 단원으로도 또 다시 등장하는데 그는 바로 특수촬영 메이크업 담당의 톰 사비니다. 이 작품의 열광적인 팬의 한 사람으로서 쿠엔틴 타란티노가 있다. 무명시절 그는 이력서에 ‘폭주족 단원 역할로 출연’했다고 허위 경력을 써낸 적도 있다고 한다. 또한 《황혼에서 새벽까지(From Dusk till Dawn)》의 제작 총지휘를 맡았을 때, 톰 사비니의 폭주족 스타일의 남자 「섹스 머신」역으로 출연을 요청했다고도 한다. 펜실바니아주 피츠버그 교외에 위치한 쇼핑몰 「몬로 빌 몰」에서 촬영되었다. 쇼핑몰은 현재도 성업 중이어서 인터넷사이트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영화출연자들이 좀비팬들을 위한 투어를 만들어 관광 상품으로 만들었다. 2007년 현재 몬로빌 몰에는 스케이트 링크는 없으며, 식당가로 변해 있다. 또한 이 영화가 촬영된 당시부터 지금까지 남아있는 점포는 「J.C.페니」라는 점포뿐이다. 영화에 나왔던 무기점은 원래부터 존재하지 않았고, 근교의 무기점을 빌려 로케 촬영한 것을 쇼핑몰 안에 존재하고 있는 듯이 편집한 것이다. 영화에서 쇼핑몰 옥상은 주차장에서부터 들어갈 수 없는 설정이지만 실제로는 주차장 뒤에서부터 옥상으로 이어지는 경사로가 있어 간단하게 걸어서 오를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쇼핑몰 안의 좀비들을 죽인 후 주인공들이 진열된 상품들을 물색하는 몇몇 장면의 후반, 스콧트 H. 라이니거가 분하는 로저는 병에 담긴 동그란 과일 같은 것을 먹는 장면이 있으나, 안에 있었던 건 올리브였고, 그 자신은 에드리브였다는 후문이 있다. 촬영에 사용한 쇼핑몰은 낮에는 정상영업을 하고 있었으므로 촬영은 영업 종료 후 새벽까지 촬영되었다. 은행 장면에서 사용된 지폐와 점포 등에 있던 귀금속류 등은 전부 진짜였다고 한다. 그 때문에 촬영은 항상 점포 관계자가 지켜보는 가운데 촬영되었다 한다. 대낮에 쇼핑몰의 주차장을 좀비가 배회하는 장면들은 전부 이른 아침에 촬영되었다고 한다. 당시 그 주변은 아침이 되면 인근의 노인들이 산책하는 경우가 있어, 좀비들을 목격한 노인들이 충격을 받을 위험이 있었고 경찰들에게 체포될 가능성도 있었기에, 촬영은 주변에 사람이 없는 것을 확인한 후에 신중하게 촬영되었다고 한다. 톰 사비니가 연기한 폭주족에게 손도끼로 머리를 찍히는 좀비역의 레너드 라이스는, 미국에서 개최되고 있는 호러영화 집회의 단골손님이다. 자신의 부스 앞에선 촬영에 사용됐던 손도끼와 같은 모양의 모형과 자기가 연기한 머리를 찍힌 장면이 프린트된 T-셔츠등을 판매함으로써 팬들을 기쁘게 한다는 후문이 있다. 호러 계열의 컨벤션에는 주인공 4명도 자주 참가하고 있고, 특히 켄 포리의 부스엔 팬들로 장사진을 이룰 정도로 큰 인기를 얻고 있다고 한다. 제작자 중 한 사람이던 다리오 아르젠토에 의하면, 이 영화가 히트를 한 후 로메로와 공동으로 바로 속편 제작을 구상했지만 그 후 《상게리아(ZOMBI2)》를 시작으로 속편격인 아류작품이 많이 쏟아져 나와, 제작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이고 만다. 결국 1980년대에 들어서는 유럽에서 미국 달러화가 상승함으로써 아르젠토는 영화제작에서 손을 놓게 되고, 명감독끼리 콤비를 이룬 영화제작은 무산되고 만다. 좀비 떼들로 들끓는 길에 쇼핑몰에서 서바이벌 게임을 하는 것 같은 내용으로 캡콤에서 제작하여 발매한 게임 〈데드 라이징〉에 대하여 작품의 저작권을 갖고 있는 영화회사 「MKR Group」이 작품의 저작권 침해라는 이유로 2008년 2월 27일 소송을 거는 소동도 있었다. 버전의 차이[편집] 이 영화는 크게 3종류의 다른 버전이 있다. 각각의 버전을 일본에선 「미국극장 공개판」 「다리오 아르젠또 감수판」 「디렉터스컷 완전판」로 부르고 있다. 3종류는 비디오, DVD 발매되었다. 「다리오 아르젠또 감수판」「디렉터스 컷 완전판」의 DVD는 오랫동안 절판된 상태이므로, 인터넷 옥션 등에서 가격이 뛰어올랐지만, 2007년 12월 21일에 3가지 버전과 함께 《나이트 오브 더 리빙 데드》, 《데이 오브 더 데드》가 염가로 재발매되었다. 미국 극장 공개판[편집] 북미에서 극장공개된 버전에선 본편 러닝타임이 127분이다. 소프트화할 때 다소 수정을 하여 현재「미국 극장 공개판」으로 발매된 소프트는 엄밀히 따지면 미국 극장 공개판은 아니다. 로메로 감독만의 어두운 맛을 낸 것이 특징. 일본에선「다리오 아르젠또 감수판」을 기초로 한 버전이 극장에 공개되기도 했지만 최초로 CIC 빅터에서 비디오 발매된 「미국 극장 공개판」이 오리지날이라 할 수 있다. 다리오 아르젠또 감수판[편집] 아시아와 유럽 등에서 극장공개된 버전으로 본편 러닝타임이 119분이다. 사운드트랙에는 고블린의 곡이 전면에 흐르고, 음향효과 일부가 바뀌어 있다. 액션영화같은 편집이 특징. 일본에서 극장공개된 것은, 이 버전에선 잔혹한 장면을 가위질했고 화면을 정지시켜 처리했으며, 오프닝에 혹성 폭발 장면(같은 헤럴드 배합한[모호한 표현] 공포영화 《메테오》에서 유용한 듯한 장면)(상세하진 않음) 또 그것으로 인한 좀비의 등장의 설명을 더해 엔딩크레딧을 삭제한 115분 버전이다. TV 방영 당시엔 더욱 심해져, 잔혹한 장면과 헬기의 이동 장면 등을 삭제, 혹성 폭발 장면을 TV용으로 편집해서 약 90분 정도로 단축한 도쿄 12채널 방영 버전, 2종류가 존재하고 있다.(다음 내용 참조) 디렉터스 컷[편집] 로메로가 칸느 국제 영화제에 출품하기 위해 만든 버전으로 본래의 완전판은 아니다. 본편의 러닝타임은 139분이다. 일반적인 의미의 디렉터스 컷의 정의와는 다소 다른 제작 경과(미국 극장공개판보다 전에 만들어져 있던)때문에 ‘Cannes Version’과‘Rough Cut Version’으로 불리기도 한다. 촬영 종료부터 영화제 개최까지의 기간이 짧았기 때문에 제대로 편집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나중에 로메로 감독의 인터뷰에선 「불만족스런 작품이다」라고 공언했다. 쇼핑센터 안 생활 묘사와 경찰서에서 경관들과의 뜻하지 않은 조우 장면이 길게 편집되어 있고 그외 다른 장면에서도 약간씩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버전들을 기초로 독일의 팬이 멋대로 모든 장면을 이어서 만든 편집판「파이널 컷 판」으로 불리는 버전이 있다. 러닝타임은 156분이다. 디렉터스 컷 판과 아르젠또 판에 밖에 없는 장면을 넣었고, 음악은 고블린. 음성은 독일어만 수록. 독일에선DVD 가 발매되어 있지만 해적판이기 때문에 일본 국내에선 정식으로 발매되지 않고 있다. 물론 이 버전에도 혹성 폭발장면은 수록되어있지 않다. 진정한 완전판[편집] 진정한 《Dawn Of The Dead》 오리지널 완전판(올 러쉬판)은 약 3시간이란 소문이 있다. 발매할 가능성은 지극히 낮다. vdeh조지 A. 로메로 감독 영화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 (1968) 그곳엔 항상 바닐라가 있다 (1971) 마녀의 시즌 (1973) 분노의 대결투 (1973) 마틴 (1978) 시체들의 새벽 (1978) 모터싸이클의 기사들 (1981) 크립쇼 (1982) 시체들의 날 (1985) 어둠의 사투 (1988) 에드가 알란 포우의 검은 고양이 (1990) 다크 하프 (1993) 브루저 (2000) 랜드 오브 데드 (2005) 다이어리 오브 데드 (2007) 서바이벌 오브 더 데드 (200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시체들의_새벽&oldid=23683812" 분류: 1978년 영화1979년 영화영어 영화 작품조지 A. 로메로 감독 영화좀비 영화미국의 SF 영화미국의 공포 영화미국의 액션 영화미국의 풍자 영화미국의 스릴러 영화이탈리아의 SF 영화이탈리아의 공포 영화이탈리아의 스릴러 영화마네킹을 소재로 한 영화펜실베이니아주를 배경으로 한 영화펜실베이니아주에서 촬영한 영화세계 종말 이후를 배경으로 한 영화숨은 분류: 모호한 표현이 구체적으로 지적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CatalàDeutschEmiliàn e rumagnòl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Magyar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1일 (월) 17:1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시체들의 새벽》(Dawn of the Dead)은 조지 A. 로메로 감독의 호러영화 작품이다.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1968년)에 이어 1978년에 공개되었다. 당시 무명이었던 조지 A. 로메로는, 이 작품을 계기로 ‘마스터 오브 호러’로서 일약 유명한 감독이 되었다. 흥행 성공에는 이탈리아 호러 영화 감독인 다리오 아르젠토의 도움이 있었다. 그는 이 영화에서 제작 일부와 음향효과와 유럽 공개판을 감수하는 작업도 했다. 그가 이 작품의 유럽시장의 교두보 역할을 한 것도 간과할 수 없는 점이다. 인간이었을 때의 습관으로 거대한 쇼핑몰에 빨려 들어가듯 모이는 좀비들로 미국의 거대소비사회를 날카롭게 풍자한 로메로 감독 본인은, 이 작품엔 일종의 블랙 코메디적인 요소가 있다고 말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영화 시체들의 새벽 디렉터스 컷의 러닝타임은 몇분인가? Assistant: 139분 Human: 아래 응급남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응급남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응급남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응급남녀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tvN 방송 기간 2014년 1월 24일 ~ 2014년 4월 5일 방송 시간 금요일, 토요일 밤 8시 40분 방송 횟수 21부작 기획 최진희, 박지영 책임프로듀서 이찬호 프로듀서 윤현기 편집 선한샘 촬영 한동화 제작사 콘텐츠K 제작자 황창우, 김진이 연출 김철규 조연출 조은솔, 정홍용 극본 최윤정 출연자 송지효, 최진혁, 이필모, 최여진, 클라라 외 음악 김태성 외부 링크  응급남녀 홈페이지 《응급남녀》는 2014년 1월 24일부터 2014년 4월 5일까지 방영된 tvN 금토드라마이다. 목차 1 등장 인물 1.1 주요 인물 1.2 진희의 주변 인물 1.3 창민의 주변 인물 1.4 병원 식구들 1.5 그 외 인물 1.6 특별출연 2 사운드트랙 3 시청률 4 연장 5 각주 6 외부 링크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송지효 : 오진희(33세) 역 - 인턴 최진혁 : 오창민(30세) 역 - 인턴 이필모 : 국천수(35세) 역 - 응급의학과 치프 최여진 : 심지혜(34세) 역 - 외과 조교수 클라라 : 한아름(26세) 역 - 인턴 진희의 주변 인물[편집] 이미영 : 조양자(58세) 역 - 진희의 어머니 전수진 : 오진애(29세) 역 - 진희의 여동생 박두식 : 김광수(29세) 역 - 진애의 남편, 인디가수 창민의 주변 인물[편집] 박준금 : 윤성숙(58세) 역 - 창민의 어머니 강신일 : 오태석(62세) 역 - 창민의 아버지, 의사, 생태계 연구원 박지일 : 윤성길 역 - 창민의 외삼촌, 윤병원 병원장 박리디아 : 윤성미 역 - 창민의 첫째 이모 홍성숙 : 윤성자 역 - 창민의 둘째 이모 병원 식구들[편집] 윤종훈 : 임용규(27세) 역 - 인턴 임현성 : 박상혁(27세) 역 - 인턴 천민희 : 이영애(26세) 역 - 인턴, 상혁의 아내 최범호 : 고중훈(50대 후반) 역 - 응급의학과 과장 박성근 : 안영필(38세) 역 - 외과 전문의 허재호 : 장대일 역 - 레지던트 3년차 권민 : 김민기 역 - 레지던트 1년차 김현숙 : 최미정(40세) 역 - 응급실 수간호사 이선아 : 허영지(25세) 역 - 응급실 간호사 최유라 : 손예슬(23세) 역 - 응급실 간호사 그 외 인물[편집] 경인선 한은선 송유현 김봉수 이두석 김송하 김설경 황규인 김준우 : 창민의 학교후배, 의사 역 김추월 : 신애 역 유옥주 : 진희 엄마의 친구 역 서민경 : 진희 엄마의 친구 역 한상규 박진수 안성헌 강서렬 이대승 신동훈 신우철 원승묵 김연수 신현호 정세형 : 정 교수 역 주현진 박진성 김기범 임채선 김미선 김미량 김영철 한여울 박용 김종태 임지영 김지나 박성준 한길주 천소라 서병덕 이정주 이진권 특별출연[편집] 윤주상 : 신부 역 - 창민의 스승, 결혼식 주례 전수경 : 병원장 역 - 창민이 영업하려는 병원 원장 (1화) 이한위 : 전형석 역 - 내과전문의, 진희와 창민의 주치의 (1화) 윤봉길 : 취객 환자 역 (2화, 3화) 정주리 : 창민의 맞선녀 역 (3화) 인교진 : 기관지 절개환자 수술한 의사 역 (4화, 5화) 개리 : 대리운전 기사 역 (6화) 딕펑스(DICKPUNKS) : 본인들 역 - 진애가 소속된 밴드 (6화) 박지우 : 댄스스포츠 강사 역 - 지혜가 춤 배우는 강습소 강사 (8화) 이은결 : 본인 역 - 창민이 진희에게 프로포즈할 때 이벤트를 진행해 준 마술사 (13화) 나르샤 : 환자 역 - 창민을 성추행범으로 오해하는 여자 (19화) 김강현 : 환자 역 (19화) 사운드트랙[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시청률[편집] 최저 시청률과 최고 시청률은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4년 회차 방송일자 AGB 전국 시청률[1] AGB 수도권 시청률[1] 평균 시청률 최고 시청률 평균 시청률 최고 시청률 제1회 1월 24일 2.328% 3.7% 2.626% % 제2회 1월 25일 2.748% 3.8% 2.741% 4.0% 제3회 1월 31일 1.887% % 1.844% % 제4회 2월 1일 2.572% 3.7% 1.994% % 제5회 2월 7일 3.338% 4.6% 3.496% % 제6회 2월 8일 2.793% 4.3% 3.142% 4.9% 제7회 2월 14일 3.800% 5.1% 4.520% 6.0% 제8회 2월 21일 3.641% 4.7% 3.731% 5.0% 제9회 2월 22일 3.771% 4.7% 4.204% 5.5% 제10회 2월 28일 3.421% 4.3% 3.645% 4.8% 제11회 3월 1일 3.912% 4.8% 4.591% 5.9% 제12회 3월 7일 3.867% 5.4% 4.445% 6.6% 제13회 3월 8일 4.144% 5.0% 5.281% 6.3% 제14회 3월 14일 3.825% 5.5% 4.863% 6.7% 제15회 3월 15일 3.934% 4.9% 4.031% % 제16회 3월 21일 4.020% 5.2% 4.710% 6.2% 제17회 3월 22일 4.802% 5.9% 5.756% 7.3% 제18회 3월 28일 4.143% 5.2% 4.872% % 제19회 3월 29일 4.526% 5.6% 5.469% % 제20회 4월 4일 3.893% 5.7% 5.351% % 제21회 4월 5일 5.083% 5.9% 6.264% 7.3% 연장[편집] 2014년 3월 21일 : 응급남녀 방영 분량이 20부작에서 1회 연장되어 21부작으로 변경.확정되었다. 각주[편집] ↑ 가 나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외부 링크[편집] 응급남녀 공식 홈페이지 tvN 금토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응답하라 1994(2013년 10월 18일 ~ 2013년 12월 28일) 응급남녀(2014년 1월 24일 ~ 2014년 4월 5일) 갑동이(2014년 4월 11일 ~ 2014년 6월 21일) vdeh 금토드라마2000년대 후반2007년금요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1》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2》 2008년금요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3》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4》 《맞짱》 2009년금요 《미스터리 형사》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5》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6》 2010년대 전반2010년금요 《위기일발 풍년빌라》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7》 《조선X파일 기찰비록》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8》 《원스 어폰어타임 인 생초리》 2011년금요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9》 2012년금요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10》 2013년금토 《응답하라 1994》 2014년금요 《꽃할배 수사대》 금토 《응급남녀》 《갑동이》 《연애 말고 결혼》 《아홉수 소년》 《미생》 2010년대 후반2015년금요 《미생물》 《초인시대》 금토 《하트 투 하트》 《슈퍼대디 열》 《구여친클럽》 《오 나의 귀신님》 《두번째 스무살》 《응답하라 1988》 2016년금토 《시그널》 《기억》 《디어 마이 프렌즈》 《굿 와이프》 《THE K2》 《도깨비》 2017년금토 《내일 그대와》 《시카고 타자기》 아침 | 월화 | 수목 | 금토 | 토일 | 불금불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응급남녀&oldid=23833835" 분류: TvN 금토드라마2014년 드라마201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병원을 배경으로 한 작품직장 연애를 다룬 작품최윤정 (1971년) 시나리오 작품TvN의 의학 드라마숨은 분류: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Bahasa MelayuPolskiPortuguêsதமிழ்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0일 (일) 00: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응급남녀》는 2014년 1월 24일부터 2014년 4월 5일까지 방영된 tvN 금토 드라마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4년 응급남녀의 제1회가 방송된 날짜는? Assistant: 1월 24일
Human: 아래 수영_배영_200m_세계_기록_추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수영 배영 200m 세계 기록 추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영 배영 200m 세계 기록 추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영배영200m세계기록추이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수영 세계 기록은 국제 수영 연맹(FINA)이 공인하고 관리한다. 기록은 롱 코스(50m)와 쇼트 코스(25m)별로 남여로 나뉘어 집계된다. 쇼트 코스의 세계 기록은 1991년 3월 3일부터 공인되기 시작했다. 다음은 배영 200m 세계 기록 추이이다. 목차 1 남자 1.1 롱 코스 1.2 쇼트 코스 2 여자 2.1 롱 코스 2.2 쇼트 코스 3 함께 보기 4 각주 남자[편집] 롱 코스[편집] # 시간 차이 선수 나라 날짜 대회명 개최지 경기장 주석 및 기타 동영상 1 3분 04초 4 Oskar Schiele 독일 1909. 06. 27 독일 베를린 2 2분 59초 8 George Arnold 독일 1910. 01. 03 독일 마그데부르크 3 2분 56초 4 Maurice Wechesser 벨기에 1910. 10. 18 벨기에 Schaerbeek 4 2분 50초 6 헤르만 펜츠 틀:DEU-1871 1911. 03. 11 독일 마그데부르크 5 2분 48초 4 오토 파어 틀:DEU-1871 1912. 04. 03 독일 마그데부르크 6 2분 47초 1 Walter Laufer 미국 1926. 06. 24 독일 브레멘 7 2분 44초 9 Walter Laufer 미국 1926. 06. 11 뉘른베르크 8 2분 38초 8 Walter Laufer 미국 1926. 07. 13 독일 마그데부르크 9 2분 37초 8 이레이 도시오 일본 1928. 10. 14 일본 다마가와 10 2분 32초 2 George Kojac 미국 1930. 06. 16 미국 뉴헤이번 11 2분 27초 8 앨버트 밴더웨이 미국 1934. 08. 30 호놀룰루 12 2분 24초 0 아돌프 키퍼 미국 1935. 04. 11 미국 시카고 13 2분 23초 0 아돌프 키퍼 미국 1941. 5. 23 호놀룰루 14 2분 22초 9 해리 홀리데이 미국 1943. 03. 18 미국 디트로이트 15 2분 19초 3 아돌프 키퍼 미국 1944. 03. 04 아나폴리스 16 2분 18초 5 앨런 스택 미국 1949. 05. 04 뉴헤이번 17 2분 18초 3 질베르 보종 프랑스 1953. 6. 26 ? 알제 규정 변경[1] 18 2분 18초 8 존 멍크턴 오스트레일리아 1958. 01. 15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19 2분 18초 4 존 멍크턴 오스트레일리아 1958. 2. 18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20 2분 17초 9 프랭크 매키니 미국 1959. 7. 12 미국 로스앨터스 21 2분 17초 8 프랭크 매키니 미국 1959. 07. 25 오사카 22 2분 17초 6 찰스 비틱 미국 1960. 06. 26 로스앤젤레스 23 2분 16초 0 톰 스톡 미국 1960. 7. 24 털리도 24 2분 13초 2 톰 스톡 미국 1961. 02. 07 미국 시카고 25 2분 11초 5 톰 스톡 미국 1961. 08. 20 로스앤젤레스 26 2분 10초 9 톰 스톡 미국 1962. 08. 10 쿠야호가폴스 27 2분 10초 3 Jed Graef 미국 1964. 10. 13 제18회 하계 올림픽 일본 도쿄 국립 요요기 경기장 제1체육관 28 2분 09초 4 Charles Hickcox 미국 1967. 8. 29 일본 도쿄 29 2분 07초 9 롤란트 마테스 동독 1967. 11. 18 라이프치히 30 2분 07초 5 롤란트 마테스 동독 1968. 8. 14 라이프치히 31 2분 07초 4 롤란트 마테스 동독 1969. 7. 12 샌타글래라 32 2분 06초 6 게리 홀 시니어 미국 1969. 8. 14 루이빌 33 2분 06초 4 롤란트 마테스 동독 1969. 08. 29 Ost-Berlin 34 2분 06초 3 마이크 스탬 미국 1970. 08. 20 미국 로스앤젤레스 35 2분 06초 1 롤란트 마테스 동독 1970. 09. 11 스페인 바르셀로나 36 2분 05초 6 롤란트 마테스 동독 1971. 9. 13 라이프치히 37 2분 02초 8 롤란트 마테스 동독 1972. 7. 10 동독 라이프치히 38 2분 02초 82 롤란트 마테스 동독 1972. 9. 2 서독 뮌헨 2 2분 01초 87 롤란트 마테스 동독 1973. 9. 6 제1회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 Tašmajdan Sports Centre 3 2분 00초 64 존 네이버 미국 1976. 06. 19 미국 롱비치 4 1분 59초 19 - 1.45초 존 네이버 미국 1976. 07. 27 제21회 하계 올림픽 캐나다 몬트리올 5 1분 58초 93 릭 캐리 미국 1983. 08. 03 미국 클로비스 6 1분 58초 86 릭 캐리 미국 1984. 6. 27 미국 인디애나폴리스 7 1분 58초 41 Sergei Zabolotnov 소련 1984. 8. 21 소련 모스크바 1분 58초 14 이고리 폴랸스키 소련 1985. 3. 3 동독 에르푸르트 1분 57초 30 마르틴 로페스수베로 스페인 1991. 8. 13 미국 포트로더데일 1분 56초 57 마르틴 로페스수베로 스페인 1991. 11. 23 앨라배마 주 수영 롱코스 초청 대회 미국 터스컬루사 [2] 1분 55초 87 레니 크레이젤버그 미국 1999. 08. 27 제8회 범태평양 수영 선수권 대회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1분 55초 15 에런 피어솔 미국 2002. 03. 20 미국 춘계 수영 선수권 대회 미국 미니애폴리스 [3] 1분 54초 74 - 0.41초 에런 피어솔 미국 2004. 07. 12 미국 올림픽 대표 선발전 미국 롱비치 1분 54초 66 - 0.08초 에런 피어솔 미국 2005. 07. 29 제11회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캐나다 몬트리올 1분 54초 44 - 0.22초 에런 피어솔 미국 2006. 08. 19 제10회 범태평양 수영 선수권 대회 캐나다 빅토리아 1분 54초 32 - 0.12초 라이언 록티 미국 2007. 03. 30 제12회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로드 레이버 아레나 1분 54초 32 = 에런 피어솔 미국 2008. 07. 04 미국 올림픽 수영 대표 선발전 미국 오마하 퀘스트 센터 오마하 [4] 1분 53초 94 라이언 록티 미국 2008. 08. 15 제29회 하계 올림픽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1분 53초 08 - 0.86초 에런 피어솔 미국 2009. 07. 11 미국 올림픽 대표 선발전 미국 인디애나폴리스 1분 51초 92 - 1.16초 에런 피어솔 미국 2009. 07. 31 제13회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이탈리아 로마 포로 이탈리코 수영장 쇼트 코스[편집] # 시간 차이 선수 나라 날짜 대회명 장소 주석 및 기타 동영상 1분 52초 47 레니 크레이젤버그 미국 1999. 11. 18 미국 칼리지파크 1분 52초 43 레니 크레이젤버그 미국 2000. 2. 6 독일 베를린 1분 51초 62 맷 웰시 오스트레일리아 2000. 10. 13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1분 51초 62 = Gordan Kožulj 크로아티아 2001. 1. 21 독일 베를린 1분 51초 17 에런 피어솔 미국 2002. 4. 7 소련 모스크바 1분 50초 52 에런 피어솔 미국 2004. 10. 11 미국 인디애나폴리스 1분 50초 43 마르쿠스 로간 오스트리아 2005. 12. 8 이탈리아 트리에스테 1분 49초 05 라이언 록티 미국 2006. 4. 9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1분 47초 84 마르쿠스 로간 오스트리아 2008. 4. 13 맨체스터 1분 47초 08 George Du Rand 남아프리카 공화국 2009. 11. 7 러시아 모스크바 1분 46초 11 아르카디 뱌차닌 러시아 2009. 11. 15 독일 베를린 여자[편집] 롱 코스[편집] # 시간 차이 선수 나라 날짜 대회명 개최지 경기장 주석 및 기타 동영상 1 3분 06초 8 시빌 바워 미국 1922. 6. 4 브라이턴비치 2 3분 03초 8 시빌 바워 미국 1924. 2. 9 미국 마이애미 3 2분 59초 2 마리 브라운 네덜란드 1928. 11. 24 벨기에 브뤼셀 4 2분 58초 8 엘리너 홈 미국 1930. 2. 1 Buffalo 5 2분 58초 2 엘리너 홈 미국 1930. 3. 1 미국 뉴욕 시 6 2분 50초 4 필리스 하딩 영국 1932. 9. 19 월러시 7 2분 49초 6 리 마스텐브룩 네덜란드 1935. 1. 20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8 2분 48초 7 엘리너 홈 미국 1936. 3. 3 미국 털리도 9 2분 44초 6 니다 센프 네덜란드 1937. 02. 0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10 2분 41초 3 Ragnhild Hveger 덴마크 1937. 2. 14 ? Aarhus 11 2분 41초 0 코르 킨트 네덜란드 1938. 04. 17 ? 오르후스 12 2분 40초 6 잇 판페헬런 네덜란드 1938. 10. 26 뒤셀도르프 13 2분 39초 0 잇 판페헬런 네덜란드 1938. 12. 18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14 2분 38초 8 코르 킨트 네덜란드 1939. 11. 29 네덜란드 로테르담 15 2분 35초 3 헤이르티어 빌레마 네덜란드 1950. 4. 2 ? 힐베르쉼 규정 변경[1] 1 2분 39초 9 필리파 굴드 뉴질랜드 1957. 1. 6 뉴질랜드 오클랜드 2분 38초 5 레니 더네이스 네덜란드 1957. 5. 17 영국 블랙풀 2분 37초 4 크리스티 본 살차 미국 1958. 8. 1 미국 토피카 2분 37초 1 다나카 사토코 일본 1959. 7. 12 일본 도쿄 2분 34초 8 다나카 사토코 일본 1960. 4. 2 일본 도쿄 2분 33초 5 린 버크 미국 1960. 7. 15 미국 인디애나폴리스 2분 33초 3 다나카 사토코 일본 1960. 7. 23 일본 도쿄 2분 33초 2 다나카 사토코 일본 1961. 7. 30 일본 도쿄 2분 32초 1 다나카 사토코 일본 1962. 6. 3 일본 벳푸 2분 31초 6 다나카 사토코 일본 1962. 7. 29 일본 오사카 2분 29초 6 다나카 사토코 일본 1963. 2. 10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2분 28초 9 다나카 사토코 일본 1963. 2. 18 오스트레일리아 퍼스 2분 28초 5 다나카 사토코 일본 1963. 2. 21 오스트레일리아 퍼스 2분 28초 2 다나카 사토코 일본 1963. 8. 4 일본 도쿄 2분 27초 4 캐시 퍼거슨 미국 1964. 9. 28 미국 로스앤젤레스 2분 27초 1 캐런 뮤어 남아프리카 공화국 1966. 7. 25 프랑스 베지에 2분 26초 4 캐런 뮤어 남아프리카 공화국 1966. 8. 18 미국 링컨 2분 24초 4 일레인 태너 캐나다 1967. 7. 26 캐나다 위니펙 2분 24초 1 캐런 뮤어 남아프리카 공화국 1968. 1. 6 남아프리카 공화국 킴벌리 2분 23초 8 캐런 뮤어 1968. 7. 21 미국 로스앤젤레스 2분 21초 5 수전 애투드 미국 1969. 8. 14 미국 루이빌 2분 20초 64 멀리사 벨로트 미국 1972. 8. 5 미국 시카고 2분 20초 58 멀리사 벨로트 미국 1972. 9. 4 서독 뮌헨 2분 19초 19 멀리사 벨로트 미국 1972. 9. 4 서독 뮌헨 2분 18초 41 울리케 리히터 동독 1974. 7. 7 동독 로슈토크 2분 17초 35 울리케 리히터 동독 1974. 8. 25 오스트리아 빈 2분 16초 33 낸시 개러픽 캐나다 1975. 4. 27 캐나다 브랜트퍼드 2분 16초 10 비르기트 트라이버 동독 1975. 6. 6 동독 비텐베르크 2분 15초 46 비르기트 트라이버 동독 1975. 7. 27 콜롬비아 Cali 2분 14초 41 안톄 슈틸레 동독 1976. 2. 29 동독 동베를린 2분 13초 50 안톄 슈틸레 동독 1976. 3. 13 소련 탈린 2분 12초 47 비르기트 트라이버 동독 1976. 06. 04 동독 동베를린 2분 11초 93 - 0.54초 Linda Jezek 미국 1978. 08. 28 제3회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서독 서베를린 2분 11초 77 - 0.16초 리카 라이니슈 동독 1980. 7. 27 제22회 하계 올림픽 소련 모스크바 2분 09초 91 코르넬리아 지르히 동독 1982. 8. 8 에콰도르 과야킬리 2분 08초 60 벳시 미첼 미국 1986. 06. 27 미국 올랜도 규정 변경[5] 2분 06초 62 에게르세기 크리스티너 헝가리 1991. 08. 25 그리스 아테네 2분 06초 39 - 0.23초 커스티 코번트리 뉴질랜드 2008. 02. 16 미국 수영 그랑프리 대회 미국 컬럼비아 2분 06초 09 - 0.30초 마거릿 홀저 미국 2008. 07. 05 미국 올림픽 대표 선발전 미국 오마하 [6] 2분 05초 24 - 0.85초 커스티 코번트리 짐바브웨 2008. 08. 16 제29회 하계 올림픽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베이징 국가 수영 센터 [7] 2분 04초 81 - 0.43초 커스티 코번트리 짐바브웨 2009. 08. 01 제13회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이탈리아 로마 포로 이탈리코 수영장 2분 04초 06 - 0.75초 미시 프랭클린 미국 2012. 08. 03 제30회 하계 올림픽 영국 런던 아쿠아틱스 센터 [8] 쇼트 코스[편집] # 시간 차이 선수 나라 날짜 대회명 장소 주석 및 기타 동영상 2분 03초 62 내털리 코글린 미국 2001. 11. 27 미국 뉴욕 2분 03초 24 나카무라 레이코 일본 2008. 2. 23 일본 도쿄 2분 00초 91 커스티 코번트리 짐바브웨 2008. 4. 11 영국 맨체스터 2분 00초 18 사카이 시호 일본 2009. 11. 14 독일 베를린 함께 보기[편집] 수영 배영 200m 대한민국 기록 추이 각주[편집] ↑ 가 나 Kluge, Volker: „Olympische Sommerspiele” – Die Chronik II (London 1948 – Tokio 1964), Sportverlag Berlin 1998, ISBN 3-328-00740-7, S. 462 ff.: Aufgrund der Zeitvorteile beim Wenden stammte der Großteil der bisherigen Bestmarken von Wettkämpfen in einem 25-m-Becken. Auf dem im Rahmen der Olympischen Spiele 1956 durchgeführten FINA-Kongress wurde schließlich festgelegt, dass Rekorde ab 1. Mai 1957 ausschließlich auf der Langbahn (50 Meter bzw. 55 Yards) offizielle Anerkennung finden. Davor datierte (Langbahn-)Bestmarken - vorrangig im Melbourner Olympiabecken erzielt - wurden nachträglich als erster offizieller 50-m-Bahn-Weltrekord anerkannt, wenn diese bis zum besagten Stichtag nicht mehr auf der Kurzbahn unterboten wurden. ↑ 200-meter Backstroke Record Falls To Former Uf Swimmer ↑ “World Record Falls At National Meet”. 《The New York Times》. 2002년 3월 21일. 2011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2월 3일에 확인함.  ↑ 2008 U.S. Olympic Team Trials Omaha, NE - Men's 200m Backstroke Finals RESULTS[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Kluge, Volker: Olympische Sommerspiele. Die Chronik IV. Seoul 1988 – Atlanta 1996. Sportverlag Berlin, Berlin 2002, ISBN 3-328-00830-6, S. 301 u. 632 ↑ “2008 U.S. Olympic Team Trials Omaha, NE - Women's 200m Backstroke Finals RESULTS” (PDF). 2010년 10월 1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14일에 확인함.  ↑ “Women's 200m Backstroke: Coventry finally wins gold”. Beijing 2008. 2008년 8월 16일. 2008년 8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8월 16일에 확인함.  ↑ “Womens 200m Backstroke Results”. www.london2012.com. 2012년 8월 3일. 2013년 1월 3일에 보존된 문서. 2012년 9월 12일에 확인함.  vdeh수영 세계 최고 기록 추이자유형 50m 100m 200m 400m 800m 1500m 배영 50m 100m 200m 평영 50m 100m 200m 접영 50m 100m 200m 개인혼영 100m 200m 400m 계영 계영 400m 계영 800m 혼계영 400m vdeh스포츠 관련 세계 기록올림픽 종목 사격 수영 스피드 스케이팅 육상 역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수영_배영_200m_세계_기록_추이&oldid=23363539" 분류: 수영 기록배영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ISBN 매직 링크를 사용하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FrançaisItalianoNederlandsPortuguês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27일 (목) 14:4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수영 세계 기록은 국제 수영 연맹(FINA)이 공인하고 관리한다. 기록은 롱 코스(50m)와 쇼트 코스(25m)별로 남여로 나뉘어 집계된다. 쇼트 코스의 세계 기록은 1991년 3월 3일부터 공인되기 시작했다. 다음은 배영 200m 세계 기록 추이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여자 수영 배영 200m 쇼트코스 부문의 세계기록은 어떻게 변화하였나요? Assistant: # 시간 차이 선수 나라 날짜 대회명 장소 주석 및 기타 동영상 2분 03초 62 내털리 코글린 미국 2001. 11. 27 미국 뉴욕 2분 03초 24 나카무라 레이코 일본 2008. 2. 23 일본 도쿄 2분 00초 91 커스티 코번트리 짐바브웨 2008. 4. 11 영국 맨체스터 2분 00초 18 사카이 시호 일본 2009. 11. 14 독일 베를린 Human: 아래 우는밭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우는밭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우는밭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우는밭쥐 우는밭쥐 보전 상태 관심대상(LC), IUCN 3.1[1] 생물 분류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쥐목 아목: 쥐아목 상과: 쥐상과 과: 비단털쥐과 아과: 물밭쥐아과 족: 물밭쥐족 속: 밭쥐속 종: 우는밭쥐(M. miurus) 학명 Microtus miurusOsgood, 1901 우는밭쥐의 분포 지역 우는밭쥐(Microtus miurus)는 밭쥐속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2] 미국 알래스카주와 캐나다 북서부 지역을 포함한 북아메리카 북서부 지역에서 발견된다.[1] 목차 1 특징 2 분포 및 서식지 3 습성 4 번식 5 진화 6 각주 특징[편집] 우는밭쥐는 긴 털에 감춰질 정도로 귀가 짧고, 꼬리가 짧다. 털은 부드럽고 촘촘하며, 특히 겨울에 무성하다. 몸의 털은 연한 황갈색부터 연한 갈색까지 다양하고, 담황색 반점이 귀 뒤쪽부터 옆구리를 따라 엉덩이까지 이어지며, 배 쪽 털은 엷은 황갈색 또는 황토색을 띤다. 털은 검은 조모와 함께 밝은 얼룩 무늬를 띠지만, 너무 듬성 듬성 나 있어서 눈에 보이는 효과는 거의 없다. 겨울이 되면 털이 점점 회색빛을 띤다. 발은 날카롭고 좁은 발톱이 나 있으며 대부분 털에 가려진다.[3] 어른 우는밭쥐의 몸길이는 1.5~4cm의 짧은 꼬리를 제외하고 9~16cm로 다양하다. 몸무게는 11~60g으로 나이와 최근에 먹은 먹이에 따라 다르다. 암수 사이에 크기와 털 색이 크게 다르지 않다. 수컷 우는밭쥐는 옆구리 쪽에 변형된 피지 분비선을 갖고 있어서 이를 냄새 표지로 사용한다. 이 분비선은 수유중인 암컷에게도 나타난다. 음경은 비교적 길고 좁으며, 음경골이 복잡하다.[3] 우는밭쥐는 짧은 꼬리와 배 쪽의 털 색을 통해 인근 지역에 서식하는 밭쥐류(같은 지역의 다른 밭쥐는 배 쪽이 회색을 띤다.)와 구별할 수 있다. 분포 및 서식지[편집] 우는밭쥐는 미국 알래스카 주와 캐나다 북서부 지역의 토착종이다. 알래스카 서부 해안가 지역부터 남부와 북부 지역에 걸쳐 분포하지만 알래스카반도와 알래스카 중부 지역, 북부 해안가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동쪽으로 매킨지 산맥처럼 먼 곳까지 분포하며 북부 해안가를 제외한 유콘 준주 전역, 인근 주의 경계 지역에서 발견된다.[3] 4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 Microtus miurus miurus - 케나이 반도 Microtus miurus cantator - 알래스카 주 남부-동부, 유콘 준주 남부 Microtus miurus miuriei - 알래스카 주 남부-서부 Microtus miurus oreas - 알래스카 주 북부와 유콘 준주 우는밭쥐는 삼림한계선 위의 툰드라 지역에서 발견된다. 이 지역 안의 아주 극단적인 환경을 피하고, 앞이 트이고 배수가 잘되며 관목과 사초속 식물이 풍부한 경사면과 바위층을 좋아한다. 가는잎미선콩속 식물과 마디풀, 사초속 식물, 속새류, 버드나무류와 같은 북극 식물을 먹는다. 주요 포식자는 울버린과 북극여우, 북방족제비, 도둑갈매기류, 수리매, 올빼미 등이다.[3] 습성[편집] 우는밭쥐는 적어도 가족 단위로 굴을 공유하는 준-군거 동물이다. 낮이나 밤 시간에 대한 명확한 선호가 없이 하루 종일 활동적이다. 땅 위 식물 사이에 통로를 만들고 서식지를 굴 입구로 연결하지만 일부 다른 밭쥐류 종이 만든 굴을 사용하는 지는 명확하지 않다. 키가 작은 덤불 속에서 먹이를 찾기도 한다. 굴은 수많은 방으로 이루아져 있으며, 대다수는 겨울에 먹이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아주 좁은 통로로 연결되어 있다. 이 통로는 폭이 대개 약 2.5cm로 밭쥐보다 큰 다른 동물이 통과하기 어렵게 만들어 족제비와 같은 포식자들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한다. 굴은 땅 아래 20cm 이내에서 수평적으로 이어지며, 굴 입구에서 최대 1m까지 이어진다.[3] 밭쥐류 중에서 비정상적인 밭쥐로 땅에 뿌리와 뿌리줄기같은 먹이를 저장할 뿐만 아니라 풀 더미를 말리기 위해 바위 위에 올려 두기도 한다. 이런 풀더미는 낮게 누운 가지 또는 노출된 나무 뿌리 위에 대신 두어 건조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도 한다. 풀 더미는 천천히 건조되어 건초가 되며, 풀 더미에 속새류나 루핀과 같은 다른 식물을 포함될 수도 있다. 8월경에 풀더미를 쌓기 시작하며 겨울철에 최대 50cm 높이로 상당한 크기에 도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풀더미는 겨울철에 영양가가 높은 먹이의 원천이 되지만 다른 동물의 습격을 받기 쉽다.[3] "우는밭쥐"라는 일반명은 보통 굴 입구에서 들리는 높고 날카롭게 떨리는 경고 소리에서 유래했다.[4] 번식[편집] 우는밭쥐는 5월과 9월 사이에 번식을 하고 암컷은 번식기에 최대 3번 새끼를 낳는다. 임신 기간은 21일간 지속되고, 보통 8마리의 새끼를 낳고 6~14마리의 새끼가 태어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 다른 밭쥐류와 마찬가지로 암컷이 단지 8개의 젖꼭지를 갖고 있기 때문에 8마리 이상의 새끼는 생존 확률이 떨어진다. 생후 2~2.8g의 새끼 몸무게는 젖을 먹는 첫 3주 동안에 급속히 증가한다. 약 4주 동안 젖을 먹인 후에 어미는 새로운 번식을 준비한다. 암컷은 일반적으로 2살까지 번식을 하지 않지만 수컷은 태어난 후 한 달 이내에 성적으로 활동적인 상태가 된다.[3] 야생에서 많은 우는밭쥐가 첫 겨울 동안에 살아남지 못한다. 포획 상태에서는 최대 112주까지 생존하는 것으로 보고되지만 평균 수명은 겨우 43주에 불과하다.[5] 진화[편집] 가장 오랜 우는밭쥐 화석은 약 30만년 전의 플라이스토세 중기(이오니아절)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페어뱅크스 근처에서 발견되었다. 플라이스토세(홍적세) 후기의 빙하기 동안에 우는밭쥐는 현재보다 좀더 널리 분포했고, 화석은 아이오와주와 같은 먼 남쪽 지역까지 보고되고 있으며 현재 알래스카 주 기후와 유사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오늘날 우는밭쥐와 가장 가까운 종은 알래스카 주 서부 연안의 2개의 작은 섬에서만 서식하는 섬밭쥐로 해수면 상승으로 베링 육교가 끊어지면서 갈라진 것으로 추정된다.[3]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우는밭쥐 위키생물종에 관련된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우는밭쥐 ↑ 가 나 “Microtus miur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9년 6월 22일에 확인함.  Database entry includes a brief justification of why this species is of least concern. ↑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894–1531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F.R. Cole & D.E. Wilson (2010). “Microtus miurus (Rodentia: Cricetidae)”. 《Mammalian Species》 42: 75–89. doi:10.1644/855.1.  [깨진 링크] ↑ Bee J.W., Hall E.R. 1956. Mammals of northern Alaska on the Arctic Slope. Miscellaneous Publications of the Museum of Natural History, University of Kansas. 8:1–309. ↑ Morrison P., Dieterich R., Preston D. 1977b. Longevity and mortality in 15 rodent species and subspecies maintained in laboratory colonies. Acta Theriologica. 22:317–335 vdeh현존하는 물밭쥐아과의 종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쥐목 아목: 쥐아목 과: 비단털쥐과 물밭쥐족물밭쥐속 유럽물밭쥐 남서부물밭쥐 고산물밭쥐 부하라밭쥐속 아프간밭쥐 부하라밭쥐 눈밭쥐속 캅카스눈밭쥐 유럽눈밭쥐 로버트눈밭쥐 쇠갈밭쥐속 브란트밭쥐 평원밭쥐 쇠갈밭쥐 산쑥밭쥐속 산쑥밭쥐 밭쥐속 섬밭쥐 짧은꼬리밭쥐 아나톨리아밭쥐 유라시아밭쥐 바바리아소나무밭쥐 칼라브리아소나무밭쥐 해변밭쥐 카브레라밭쥐 캘리포니아밭쥐 회색꼬리밭쥐 바위밭쥐 클라크밭쥐 다게스탄소나무밭쥐 도그라마시밭쥐 지중해소나무밭쥐 에보르스크밭쥐 펠튼밭쥐 갈밭쥐 제르베밭쥐 좁은머리밭쥐 과테말라밭쥐 귄터밭쥐 톈산밭쥐 페르시아밭쥐 타이완밭쥐 남부밭쥐 리히텐슈타인소나무밭쥐 호수밭쥐 긴꼬리밭쥐 루시타니아소나무밭쥐 메이저소나무밭쥐 막시모비치밭쥐 멕시코밭쥐 미덴도르프밭쥐 우는밭쥐 몽골밭쥐 저산대밭쥐 일본밭쥐 무이스크밭쥐 고산소나무밭쥐 타라분디밭쥐 프레리들쥐 툰드라밭쥐 오레곤초원쥐 코페트다그소나무밭쥐 아메리카밭쥐 삼림밭쥐 카즈빈밭쥐 할라파소나무밭쥐 북아메리카물밭쥐 사할린밭쥐 사비소나무밭쥐 스켈코프니코프소나무밭쥐 쉬들로프스키밭쥐 군거밭쥐 유럽소나무밭쥐 타트리소나무밭쥐 토마스소나무밭쥐 타운센드밭쥐 카스피해횡단밭쥐 젬포알테펙밭쥐 타이가밭쥐 고산밭쥐속 포레스트고산밭쥐 아이린고산밭쥐 파미르고산밭쥐 닝치고산밭쥐 메도그고산밭쥐 냐람고산밭쥐 시킴고산밭쥐 블라이스밭쥐속 블라이스밭쥐 베드퍼드공작밭쥐속 베드퍼드공작밭쥐 량산산악밭쥐 마리밭쥐속 쓰촨밭쥐 마리밭쥐 목걸이레밍족목걸이레밍속 북부목걸이레밍 엉게이버목걸이레밍 넬슨목걸이레밍 오길비산맥목걸이레밍 리처드슨목걸이레밍 북극레밍 어널래스카목걸이레밍 브란겔랴레밍 두더지들쥐족두더지들쥐속 알라이두더지들쥐 남부두더지들쥐 남캅카스두더지들쥐 북부두더지들쥐 자이산두더지들쥐 스텝레밍족아시아스텝레밍속 노랑스텝레밍 프르제발스키레밍 스텝레밍속 스텝레밍 레밍족레밍속 아무르레밍 노르웨이레밍 우랑겔섬레밍 시베리아갈색레밍 북아메리카갈색레밍 숲레밍속 숲레밍 늪레밍속 북부늪레밍 남부늪레밍 대륙밭쥐족알티콜라속 흰꼬리고산밭쥐 은색고산밭쥐 고비알타이고산밭쥐 레밍밭쥐 큰귀밭쥐 중앙카슈미르밭쥐 바이칼호고산밭쥐 로얄고산밭쥐 몽골은색밭쥐 스톨리츠카고산밭쥐 납작머리밭쥐 투바은색밭쥐 콜란밭쥐속 간쑤밭쥐 콜란밭쥐 데이빗밭쥐속 카친붉은등밭쥐 프랫밭쥐 시난밭쥐 페레다비드밭쥐 윈난붉은등밭쥐 자오퉁밭쥐 위롱샨밭쥐 워드붉은등밭쥐 카슈미르밭쥐속 트루밭쥐 무리밭쥐 대륙밭쥐속 일본붉은등밭쥐 서부붉은등밭쥐 톈산붉은등밭쥐 남부붉은등밭쥐 유럽대륙밭쥐 이마이즈미붉은등밭쥐 비단털들쥐 홋카이도붉은등밭쥐 대륙밭쥐 숲들쥐 산시밭쥐 스미스밭쥐 둥근꼬리사향쥐족둥근꼬리사향쥐속 둥근꼬리사향쥐 사향쥐족사향쥐속 사향쥐 발칸눈밭쥐족발칸눈밭쥐속 발칸눈밭쥐 긴발톱두더지들쥐족긴발톱두더지들쥐속 긴발톱두더지들쥐 incertae sedis나무밭쥐속 흰발밭쥐 붉은나무밭쥐 캘리포니아붉은나무쥐 히스밭쥐속 서부히스밭쥐 동부히스밭쥐 생물 분류 식별자 Wd: Q1761683 ADW: Microtus_miurus EoL: 310273 화석연구데이터베이스: 48594 GBIF: 2438632 iNaturalist: 44316 IRMNG: 11440929 ITIS: 180309 IUCN: 42629 MSW: 13000279 NCBI: 111837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우는밭쥐&oldid=24368056" 분류: IUCN 적색 목록 관심대상종물밭쥐아과1901년 기재된 동물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생물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sturianuБългарскиCatalàCebuanoEnglishEspañolEuskaraFrançaisNederlandsPolskiSvenska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inaray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3일 (월) 15:2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우는밭쥐(Microtus miurus)는 밭쥐속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미국 알래스카주와 캐나다 북서부 지역을 포함한 북아메리카 북서부 지역에서 발견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우는 밭쥐의 번식과 특징은 무엇인가? Assistant: 우는밭쥐는 5월과 9월 사이에 번식을 하고 암컷은 번식기에 최대 3번 새끼를 낳는다. 임신 기간은 21일간 지속되고, 보통 8마리의 새끼를 낳고 6~14마리의 새끼가 태어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 다른 밭쥐류와 마찬가지로 암컷이 단지 8개의 젖꼭지를 갖고 있기 때문에 8마리 이상의 새끼는 생존 확률이 떨어진다. 생후 2~2.8g의 새끼 몸무게는 젖을 먹는 첫 3주 동안에 급속히 증가한다. 약 4주 동안 젖을 먹인 후에 어미는 새로운 번식을 준비한다. 암컷은 일반적으로 2살까지 번식을 하지 않지만 수컷은 태어난 후 한 달 이내에 성적으로 활동적인 상태가 된다.[3]
Human: 아래 유송_무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유송 무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송 무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유송 고조 무제 유유 송 고조 무황제 유유(宋 高祖 武皇帝 劉裕, 363년 ~ 422년)는 중국 남북조 시대 유송의 초대 황제로, 자는 덕여(德輿)이다. 다른 송나라 왕조와 구별하기 위해서, 유유의 건국한 송나라는 후세의 역사가에 의해 유송(劉宋)이라고 칭해지고 있다. 목차 1 생애 2 가계도 2.1 부모 2.2 후비 2.3 황자 2.4 황녀 생애[편집] 동진 말기 강남에서 손은(孫恩)이 난을 일으키자, 형주의 유력자 환현(桓玄)이 반란의 진정을 핑계로 건강에 들어가 제위를 빼앗자 팽성(彭城)의 하급군인 이었던 유유(劉裕)는 병사를 일으켜 손은과 환현을 무찌르고 동진의 황제 안제(安帝)를 복위시켰다. 유유는 후연의 침공을 격퇴하고, 반란군의 잔당을 소탕한 뒤 북벌을 감행해 후진의 요홍(姚泓)을 멸망시켜, 그 명성과 북부군(北府軍)의 병권을 배경으로 공제(恭帝)로부터 선양을 받아 즉위했다. 건국 후 귀족의 기득권을 보장해 주면서 정권을 안정화 시켰다. 이때부터 하급군인 출신 황제의 무력과 귀족의 정치력이 결합되어 남조의 독특한 사회체제가 시작되었다. 유유는 토단법(土斷法) 등의 경제 정책을 시행하면서 화북에서 온 유랑자들을 강남의 호적에 편입시켜 동진시대의 황적(黃籍), 백적(白籍; 유랑자의 신분증명서를 말한다.)의 구별 철폐를 추진했다. 이로써 토착민과 유랑자 간의 과세의 균등화를 목표로 하였다. 무제는 동시에 군현의 통합을 추진하는 등 경제 재건을 그렸으나 재위 3년 만에 죽었다. 그는 후사를 한문(寒門) 출신의 서희지(徐羲之), 전량(傳亮), 단도성(檀道成), 사회(謝晦)에게 맡겼다. 그들은 2대 소제(少帝)를 퇴위시키고, 문제(文帝)를 즉위시켰다. 가계도[편집] 부모[편집] 부 : 현종효황제 (顯宗孝皇帝) 유교(劉翹) 모 : 효목황후(孝穆皇后) 조안종(趙安宗) 계모 : 효의황후(孝懿皇后) 소문수(蕭文壽) 후비[편집] 무경황후(武敬皇后) 장애친(臧愛親, 360년 ~ 408년) - 유송 건국 후 추존. 문장황태후(文章皇太后) 호도안(胡道安, 368년~ 409년) - 문제 즉위 후 추존. 영양국태비(營陽國太妃) 장궐(張闕) - 생전 작위는 부인(夫人). 수화 손씨(修華 孫氏) 수용 왕씨(修容 王氏, ? ~ 432년) 미인 원씨(美人 袁氏) 미인 여씨(美人 呂氏) 미인 손씨(美人 孫氏) 수의 부씨(修儀 符氏) 요씨(姚氏) 황자[편집] 황태자 유의부(劉義符) - 영양국태비 소생. 제2대 소제(少帝) 여릉효헌왕(廬陵孝獻王) 유의진(劉義眞, 407년 ~ 424년) - 수화 손씨 소생. 의도왕(宜都王) 유의륭(劉義隆) - 문장황태후 소생. 제3대 황제 문제(文帝). 팽성왕(彭城王) 유의강(劉義康, 409년 ~ 451년) - 수용 왕씨 소생. 역모의 연루되어 처형당함. 강하문헌왕(江夏文獻王) 유의공(劉義恭, 413년 ~ 465년) - 미인 원씨 소생. 남군왕(南郡王) 유의선(劉義宣, 415년 ~ 454년) - 미인 손씨 소생. 역모의 연루되어 처형당함. 형양문왕(衡陽文王) 유의계(劉義季, 415년 ~ 447년) - 미인 여씨 소생. 황녀[편집] 회계선공주(會稽宣公主) 유흥제(劉興弟, ? ~ 444년) - 무경황후 소생. 오흥소공주(吳興昭公主) 유영남(劉榮男) 광덕공주(廣德公主) - 수의 부씨 소생. 선성덕공주(宣城德公主) 신안공주(新安公主) 오군선공주(吳郡宣公主, ? ~ 476년) 시안애공주(始安哀公主) 의흥공공주(義興恭公主) 유혜원(劉惠媛) - 영양국태비 소생. 예장강공주(豫章康公主) 유흔남(劉欣男, ? ~ 464년) 전 임동진 공제 제1대 유송 황제420년 ~ 422년 후 임소제 유의부 vdeh오호십육국통사 오호난화 영가의 난 후조 양국 전투 위-선비 전쟁 전연 전진 부견의 남정 비수 대전 유유의 북벌 십육국흉노 전조(304년-329년) 북량(397년-439년) 하(407년-431년) 저 성한(304년-347년) 전진(351년-394년) 후량(386년-403년) 갈 후조(319년-351년) 선비 전연(337년-370년) 후연(384년-407년) 서진(385년-431년) 남량(397년-414년) 남연(398년-410년) 강 후진(384년-417년) 한 전량(301년-376년) 서량(400년-421년) 북연(407년-436년) 그 외 국가단명국가 염민(350년-352년) 단제(350년-356년) 서연(384년-394년) 적위(388년-392년) 환초(401년-404년) 서수(405년-413년) 군장국가 우문 단부 지방정권 구지국(296년-580년) 대국(310년-376년) 인물 유연 석륵 사마월 염민 환온 부건 사현 유유 사료 『십육국춘추』 『진서』  « 진조 남북조 »  304년-439년 vdeh중국 남조의 황제유송(劉宋)추숭 효제 통치 무제 소제 문제 효무제 전폐제 명제 후폐제 순제 자립 진안왕 찬탈 원흉 남제(南齊)추숭 선제 문제 경황 통치 고제 무제 전폐제 후폐제 명제 동혼후 화제 자립 파양왕 양(梁)추숭 문제 소명제 안제 남량 무제 간문제 폐제 원제 민제 경제 후량 선제 명제 정제 자립 임하왕 무릉정헌왕 영가왕 한(漢)추숭 원제 통치 후경 진(陳)추숭 경제 통치 무제 문제 폐제 선제 후주 삼황오제 → 하나라 → 상나라 → 주나라 → 진(秦)나라 → 한나라 → 삼국시대 → 진(晉)나라 / 오호 십육국 → 남조 / 원위 - 북주 - 북제 → 수나라 → 당나라 → 오대 / 십국 → 송나라 / 요나라 / 서하 / 금나라 → 원나라 → 명나라 → 청나라 → 중화민국 / 중화인민공화국 이 글은 군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유송_무제&oldid=23673138" 분류: 363년 태어남422년 죽음송 (남조)의 황제진나라 (위진)의 섭정동진의 태위동진의 상서령동진의 장군장쑤성 출신창업군주숨은 분류: 군주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日本語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ไทย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9일 (토) 21: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송 고조 무황제 유유(宋 高祖 武皇帝 劉裕, 363년 4월 16일 ~ 422년 6월 26일)는 중국 남북조 시대 동진의 군사가이자 유송의 초대 황제로, 자는 덕여(德輿), 소자(小字)는 기로(寄奴)이다. 다른 송나라 왕조와 구별하기 위해서, 유유의 건국한 송나라는 후세의 역사가에 의해 유송(劉宋)이라고 칭해지고 있다. 팽성 현(현, 장수성) 출신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유송 무제의 생애는 어떻게 될까? Assistant: 동진 말기 강남에서 손은(孫恩)이 난을 일으키자, 형주의 유력자 환현(桓玄)이 반란의 진정을 핑계로 건강에 들어가 제위를 빼앗자 팽성(彭城)의 하급군인 이었던 유유(劉裕)는 병사를 일으켜 손은과 환현을 무찌르고 동진의 황제 안제(安帝)를 복위시켰다. 유유는 후연의 침공을 격퇴하고, 반란군의 잔당을 소탕한 뒤 북벌을 감행해 후진의 요홍(姚泓)을 멸망시켜, 그 명성과 북부군(北府軍)의 병권을 배경으로 공제(恭帝)로부터 선양을 받아 즉위했다. 건국 후 귀족의 기득권을 보장해 주면서 정권을 안정화 시켰다. 이때부터 하급군인 출신 황제의 무력과 귀족의 정치력이 결합되어 남조의 독특한 사회체제가 시작되었다. 유유는 토단법(土斷法) 등의 경제 정책을 시행하면서 화북에서 온 유랑자들을 강남의 호적에 편입시켜 동진시대의 황적(黃籍), 백적(白籍; 유랑자의 신분증명서를 말한다.)의 구별 철폐를 추진했다. 이로써 토착민과 유랑자 간의 과세의 균등화를 목표로 하였다. 무제는 동시에 군현의 통합을 추진하는 등 경제 재건을 그렸으나 재위 3년 만에 죽었다. 그는 후사를 한문(寒門) 출신의 서희지(徐羲之), 전량(傳亮), 단도성(檀道成), 사회(謝晦)에게 맡겼다. 그들은 2대 소제(少帝)를 퇴위시키고, 문제(文帝)를 즉위시켰다. Human: 아래 수호이_Su-37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수호이 Su-37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호이 Su-37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Su-37은 쿨비트기동이 가능하다. 수호이 Su-37 또는 Flanker-F는 러시아의 시제형 다목적 전투기이다. Su-35 시제기에 추력편향 엔진을 장착한 1인승 전투기이다.[1] 목차 1 개발 2 설계 2.1 조종석 3 운영국가 4 제원 (Su-37) 5 같이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개발[편집] 소련은 세계최강이라고 불리는 미국의 F-15에 대응하기 위해 Su-27(나토명 플랭커)을 개발했다. 그러나 Su-27은 전자조종장치가 아니라 기계식조종장치인데, 이것을 F-15와 같은 전자조종장치로 개조한 것이 Su-35이다. Su-35에 추력편향 엔진을 장착한 것이 Su-37(나토명 플랭커-F)이다. 전투기는 공중전에서 매우 빠른 360도 회전이 필요하다. 추력편향 엔진을 장착하면, 360도 회전시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든다. Su-35는 처음에 Su-27M 이라고 불렸다.[2] Su-27M 시제기 (T-10S-70)는 1988년에 최초로 비행했다. Su-27에서 바뀐 점은 카나드 날개 장착, 엔진 업그레이드, 새로운 레이다, 디지털 FCS 채택이다.[3] Sukhoi changed the Su-27M's designation to Su-35 in 1993. Later Su-35 prototypes added a glass cockpit and modified tailfins.[2] Su-35에 2차원 추력편향 노즐을 장착하여 Su-37 가 되었다.[3] Su-37 시제기는 1996년 4월에 초도비행했다.[4] Su-37는 1996 Farnborough 에어쇼에 모습을 드러냈다.[2] Yevgeny Frolov가 조종했다. Su-37 2호기는 1998년에 모습을 드러내었다.[5] 수호이사는 Su-27 시리즈들, 예를들어 Su-30MKI, Su-35BM등 에도 이러한 개조, 즉 디지털화, 레이다 개량, 추력편향 엔진을 추가 등을 할 것이라고 했다. 설계[편집] Su-37은 1인승, 전천후 다목적 전투기이다. Su-27에서 여러가지 개조를 했다. MESA 레이다를 장착했고, 지형맵핑, 후미에 접근경보레이다도 장착했다. 메탈소재인 Su-27와 달리, 복합소재를 사용했다. 2차원 추력편향이 가능한 AL-37FU 엔진을 사용하여 코브라 기동이 가능하다. 조종석[편집] 러시아 전투기 최초로 조종석에 HOTAS를 채택했다. 플라이 바이 와이어 기능이 있다. 운영국가[편집] 러시아 러시아 공군 제원 (Su-37)[편집] 정보의 출처: Gordon and Davison[6]일반 특성 승무원: 1, pilot 길이: 22.183 m (72 ft 9 in) 날개폭: 14.7 m (48 ft 3 in) 높이: 6.43 m (21 ft 1 in) 날개면적: 62.0 m² (667 ft²) 공허중량: 18,500 kg (40,790 lb) 최대이륙중량: 35,000 kg (77,160 lb) 엔진: 2× Lyulka AL-37FU turbofans 최대추력: 7,600 kgf (74.5 kN, 16,750 lbf) 각각 재연소시추력: 145 kN (32,000 lbf) 각각 성능 최대속도: Mach 2.30 (1,550 mph[7]) 항속거리: 3,700 km (2,230 mi) 상승한도: 18,000 m (59,100 ft) Maximum G loading: 9/-3 g무장 1 × 30 mm GSh-30 cannon with 150 rounds 12 × wing and fuselage stations for up to 8,200 kg (18,080 lb) of ordnance 같이 보기[편집] 코브라 기동 관련 개발 수호이 Su-27 수호이 Su-30 수호이 Su-33 수호이 Su-35 수호이 Su-47 유사 항공기 F-15S/MTD F/A-18 HARV F-16 VISTA Mikoyan MiG-35 각주[편집] ↑ Gordon and Davison 2006, pp. 34-35. ↑ 가 나 다 Eden, Paul. "Sukhoi Su-27 'Flanker'". Encyclopedia of Modern Military Aircraft. Amber Books, 2004. ISBN 1-904687-84-9. ↑ 가 나 Frawley, Gerald. "Sukhoi Su-35 & Su-37". The International Directory of Military Aircraft, 2002/2003. Aerospace Publications, 2002. ISBN 1-875671-55-2. ↑ "Su-37 shows its thrust", Flight International, 28 August 1996. ↑ Gordon & Davison 2006, 34–37.쪽 ↑ Gordon and Davison 2006, pp. 92, 95-96. ↑ “Sukhoi Su-37”. 2002년 3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17일에 확인함.  Gordon, Yefim and Peter Davison. Sukhoi Su-27 Flanker. Specialty Press, 2006. ISBN 978-1-58007-091-1. 외부 링크[편집] Su-37 image Su-37 at Globalsecurity.org Su-37 at EnemyForces.com Su-37 at Fighter Tactics Academy Su-37 at Russian Military Analysis Su-37 at airforce-technology.com "Sukhoi flies latest Su-37 demonstrator", Flight International, 9 September 1998. "Sukhoi demonstrator crashes during testing", Flight International, 31 December 2002. vdeh수호이 항공기전투기 / 요격기 Su-9 (II) Su-11 (II) Su-15 (II) Su-27 Su-30 Su-30MKK Su-30MKI Su-33 Su-35 Su-35BM Su-37 Su-57 폭격기 / 전폭기 Su-2 Su-4 Su-7 (II) Su-17 (II) Su-20 Su-22 Su-24 Su-25 Su-32 Su-34 Su-39 정찰기Su-12훈련기 UTB Su-26 Su-28 Su-29 Su-31 수송기 Su-38 Su-80 S-21 KR-860 수퍼젯 100 실험기 Su-1 Su-3 Su-5 Su-6 Su-7 (I) Su-8 Su-9 (I) Su-10 Su-11 (I) Su-13 Su-15 (I) Su-17 (I) Su-47 P-1 T-3 T-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수호이_Su-37&oldid=23528166" 분류: 선미익기소련 및 러시아의 전투기수호이 항공기1996년 첫 비행한 항공기쌍발 제트기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עבריתहिन्दी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پښتو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24일 (목) 11:3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수호이 Su-37 또는 Flanker-F는 러시아의 시제형 다목적 전투기이다. Su-35 시제기에 추력편향 엔진을 장착한 1인승 전투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Su-37 시제기가 초도비행했던 것은 언제야? Assistant: 1996년 4월
Human: 아래 최순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최순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최순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최순호 개인 정보로마자 표기 Choi Soon-Ho출생일 1962년 1월 10일(1962-01-10) (57세)출생지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키 185cm포지션 은퇴 (과거 스트라이커)클럽 정보현 소속팀 포항 스틸러스청소년 클럽 기록1981-1982 광운대학교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1980-19821983-19871988-199019911992-1993 포항제철 축구단 (실업)포항제철 아톰즈럭키금성 황소포항제철 아톰즈 로데스 AF 00? 0(?)055 (21)028 0(2)016 0(0)018 0(2)국가대표팀 기록‡1979-19811980-1991 대한민국 U-20대한민국 010 0(6)097 (30)지도자 기록1992-19931999-20002000-20042006-20082009-20112012-20132016-2019 포항제철 아톰즈 (코치) 포항 스틸러스 (코치) 포항 스틸러스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 강원 FC FC 서울 미래기획단 (단장)포항 스틸러스 메달 기록 대한민국의 선수 남자 축구 아시안 게임 금 1986 서울 축구 동 1990 베이징 축구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14년 9월 23일 기준이다.‡ 국가대표팀의 출장수와 골은 2014년 9월 23일 기준이다. 최순호 (崔淳鎬, 1962년 1월 10일 ~ ,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는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및 지도자이다. 전 포항 스틸러스의 11대 감독이다. 목차 1 개요 2 클럽 경력 3 국가대표팀 경력 4 지도자 경력 5 플레이 스타일 6 그 외 7 경력 통계 7.1 국가대표팀 득점 8 경력 목록 8.1 클럽 경력 8.2 국가대표팀 경력 8.3 지도자 경력 9 수상 경력 9.1 선수 9.1.1 포항제철 아톰즈 9.1.2 럭키금성 황소 9.2 국가대표팀 9.3 감독 9.3.1 포항 스틸러스 9.3.2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 9.4 개인 10 역대 선거 결과 11 각주 12 외부 링크 개요[편집] 충청북도 청주시 출생으로 청주상업고등학교, 광운대학교를 졸업하였다. 월드컵이나 아시안컵 등의 국제 대회에서 좋은 기량을 선보여 '아시아의 호랑이'라는 별명으로 불렸고 선배 축구선수 정해원이 본인(최순호)의 아내를 소개시켜줬는데[1] 최순호의 아내 박귀주씨는 정해원 아내의 같은 과 후배다. 클럽 경력[편집] 1980년 포항제철 축구단에 입단하였고[2] 그 후 광운대에 진학하였다가 1983년부터 프로축구 출범 후 프로 경력을 시작하였으며 , 1988년 2월 당시 최순호의 고향인 충청 지역을 연고로 하는 럭키금성 황소로 이적하였다.[3][4] 1991년 친정팀 포항제철 아톰즈로 복귀하였는데 당시 본인의 트레이드 상대였던[5] 황영우는 1987년 포철에서 한솥밥을 먹기도 했다. 1991년을 마지막으로 K리그에서 공식적으로 은퇴한 뒤, 1992년 7월, 프랑스 리그 2의 로데스 AF로 이적하여 지도자 수업을 받으며 1992-1993 한 시즌 동안 활약하였다.[6] 국가대표팀 경력[편집] 최순호가 처음으로 출전한 국제 대회는 1979년 FIFA 세계 청소년 선수권 대회였다. 그는 2년 후에 열린 1981년 FIFA 세계 청소년 선수권 대회에 출전해, 이탈리아 U-20 대표팀을 상대로 2골을 득점하였다. 1980년 8월 23일, 대통령배 국제 축구 대회에서 말레이시아와의 경기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그는 1980년대 대한민국 축구를 대표하는 공격수로, 1980년 AFC 아시안컵에서 7골로 이란의 베타시 파리바와 함께 공동 득점왕을 차지하였다. 1986년 FIFA 월드컵과 1990년 FIFA 월드컵에서 대한민국 대표팀의 주전 공격수로 뛰었으며, 1986년 FIFA 월드컵에서는 이탈리아 대표팀을 상대로 멋진 골을 성공, 이 골을 포함해 FIFA 월드컵에서 총 1골 3도움을 기록했다. 1991년 7월 27일, 일본과의 A매치 경기가 자신의 마지막 국가대표 경기가 되었다. 지도자 경력[편집] 1992년 은퇴한 직후에 잠시 포항제철 아톰즈에서 코치로 지냈다. 1999년에 다시 포항 스틸러스의 코치로 활동하다가, 2000년 8월 시즌 도중 성적 부진으로 박성화 감독이 팀을 떠나자, 감독 대행을 맡았다.[7] 2001년, 감독 대행을 하면서 자신의 코치 계약기간을 채운 뒤 능력을 평가 받고 포항 스틸러스의 정식 감독으로 취임하였다.[8] 2004년, 팀을 K리그 준우승으로 이끈 뒤[9] 팀을 떠났다.[10] 2005년 11월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의 감독에 선임되어 축구계에 복귀하였으며 2006 시즌부터 팀을 이끌었다.[11] 2007년 팀을 내셔널리그 우승으로 이끈 뒤, 당시 논의되고 있던 K리그와의 승강제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내었으나[12], 결국 무산되고 말았다.[13] 2008년 12월 팀의 내셔널리그 2연패를 이룩한 뒤,[14] 새롭게 창단된 강원 FC의 초대 감독으로 선임되어[15] 울산 현대미포조선의 주전 선수들을 드래프트로 영입하여 전 소속팀에서 이루지 못한 꿈을 승격의 꿈을 대신하였다. 2011년 4월 4일 강원 FC가 리그 개막 후 4연패하자 자진사퇴하였다.[16] 2012년 2월 20일 FC 서울의 유소년 시스템인 미래기획단의 단장으로 취임했다. [17] 그리고 2013년 3월 허정무 전 인천 유나이티드 감독과 나란히 대한축구협회 부회장으로 선임되었다. 2016년 9월 26일에는 친정팀인 포항 스틸러스 제 11대 감독으로 재취임하면서 12년 만에 포항으로 돌아왔다.[18] 그러나 2019년 4월 22일에 성적 부진으로 사임하였고, 후임으로는 김기동이 선임되었다. 플레이 스타일[편집] 최순호는 공격수 겸 공격형 미드필더로서 1980년대의 한국 축구를 채워준 손꼽히는 공격수이다. 185cm의 장신이면서도 볼 터치가 유연했고, 섬세한 드리블, 정확한 슈팅이 장기였다. 그의 패스는 상대 수비의 허를 찔렀고, 시야도 넓었다. 그 외[편집] 최순호의 아들인 최원우 또한 축구선수로서 K-리그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그는 2006년 12월에 시행된 드래프트에서 6순위로 자신의 아버지의 동료인 박항서 감독이 이끄는 경남 FC에 입단하게 되어,[19] 박상인 · 박혁순 부자와 오세권 · 오범석 부자에 이어 세 번째로 부자가 모두 K-리그에서 뛰게 되는 기록을 세웠다.[20] 경력 통계[편집] 국가대표팀 득점[편집] 득점 일자 장소 상대팀 최종결과 대회 1 1980년 8월 25일 대한민국 춘천 인도네시아 3 - 0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2 1980년 8월 27일 대한민국 대전 태국 3 - 2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3 1980년 9월 16일 쿠웨이트 쿠웨이트 시 말레이시아 1 - 1 1980년 AFC 아시안컵 4 1980년 9월 19일 쿠웨이트 쿠웨이트 시 카타르 2 - 0 1980년 AFC 아시안컵 5 1980년 9월 19일 쿠웨이트 쿠웨이트 시 쿠웨이트 3 - 0 1980년 AFC 아시안컵 6 1980년 9월 19일 쿠웨이트 쿠웨이트 시 쿠웨이트 3 - 0 1980년 AFC 아시안컵 9 1980년 9월 21일 쿠웨이트 쿠웨이트 시 아랍에미리트 4 - 1 1980년 AFC 아시안컵 10 1981년 4월 24일 쿠웨이트 쿠웨이트 시 태국 5 - 1 1982년 FIFA 월드컵 예선 11 1981년 4월 24일 쿠웨이트 쿠웨이트 시 태국 5 - 1 1982년 FIFA 월드컵 예선 12 1982년 3월 21일 대한민국 서울 일본 3 - 0 한일 정기전 13 1982년 5월 10일 태국 방콕 인도네시아 2 - 0 킹스컵 14 1982년 6월 11일 대한민국 광양 바레인 3 - 0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15 1982년 11월 21일 인도 뉴델리 남예멘 3 - 0 1982년 아시안 게임 16 1982년 11월 21일 인도 뉴델리 남예멘 3 - 0 1982년 아시안 게임 17 1985년 6월 6일 대한민국 대전 태국 3 - 2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18 1985년 6월 8일 대한민국 광주 바레인 3 - 0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19 1985년 6월 8일 대한민국 광주 바레인 3 - 0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20 1985년 6월 15일 대한민국 서울 이라크 2 - 0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21 1985년 6월 15일 대한민국 서울 이라크 2 - 0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22 1985년 7월 30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4 - 1 1986년 FIFA 월드컵 예선 23 1985년 12월 14일 멕시코 시우다드네사우알코요틀 알제리 2 - 0 1985년 멕시코 토너먼트 24 1986년 6월 10일 멕시코 푸에블라 이탈리아 2 - 3 1986년 FIFA 월드컵 25 1986년 9월 20일 대한민국 부산 인도 3 - 0 1986년 아시안 게임 26 1986년 10월 3일 대한민국 서울 인도네시아 4 - 0 1986년 아시안 게임 27 1986년 10월 3일 대한민국 서울 인도네시아 4 - 0 1986년 아시안 게임 28 1988년 6월 19일 대한민국 수원 잠비아 4 - 0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29 1988년 10월 26일 일본 도쿄 일본 1 - 0 한일 정기전 30 1989년 5월 27일 대한민국 서울 말레이시아 3 - 0 199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경력 목록[편집] 클럽 경력[편집] 1980년 ~ 1982년 포항제철 축구단 (실업) 1983년 ~ 1987년 포항제철 아톰즈 1988년 ~ 1990년 럭키금성 황소 1991년 포항제철 아톰즈 1992년 ~ 1993년 로데스 AF 국가대표팀 경력[편집] 1980년 AFC 아시안컵 대표 1986년 FIFA 월드컵 대표 1988년 하계 올림픽 대표 1990년 FIFA 월드컵 대표 지도자 경력[편집] 1992년 ~ 1993년 포항제철 아톰즈 코치 1999년 ~ 2000년 포항 스틸러스 코치 2000년 ~ 2004년 포항 스틸러스 감독 2005년 ~ 2008년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 감독 2009년 ~ 2011년 강원 FC 감독 2016년 ~ 현재 포항스틸러스 감독 수상 경력[편집] 선수[편집] 포항제철 아톰즈[편집] K리그 우승 1회 (1986년) K리그 준우승 2회 (1985년, 1987년) 럭키금성 황소[편집] K리그 우승 1회 (1990년) K리그 준우승 1회 (1989년) 국가대표팀[편집] 1980년 AFC 아시안컵 준우승 감독[편집] 포항 스틸러스[편집] K리그 준우승 1회 (2004년) FA컵 준우승 2회 (2001년, 2002년)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편집] 내셔널리그 우승 2회 (2007년, 2008년) FA컵 준우승 1회 (2005년) 개인[편집] 1979년 대한축구협회 고등학교 최우수선수상 수상 1980년 체육훈장 백마장 1980년 AFC 아시안컵 최다득점선수 1981년 AFC 청소년 선수권 대회 최우수선수상 수상 1984년 대한축구협회 최우수선수상 수상 1984년 K-리그 베스트 11 선정 1986년 체육훈장 거상장 1989년 충북문화상 체육부문 수상 2007년 내셔널리그 지도자상 수상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제1회 지방 선거 충청북도의원(청주시 제6선거구) 5대 민주자유당 26.9% 12,325표 2위 낙선 각주[편집] ↑ 송대근 (1991년 1월 18일). “"남편은 완벽주의자"”. 동아일보. 2019년 6월 5일에 확인함.  ↑ “겨울을 깨고 나온 힘과기 얼마나 달라졌나 실업축구”. 경향신문. 1980년 3월 4일.  ↑ “최순호 럭키금성으로”. 동아일보. 1988년 2월 29일.  ↑ “김덕기의 프로축구 30년 - 최순호, 9년 함께 한 포철 떠나 럭키금성行”. 스포탈코리아. 2013년 7월 21일.  ↑ “프로축구 崔淳鎬(최순호) 浦鐵(포철)로 3년만에「친정귀환」”. 동아일보. 1991년 1월 12일. 2019년 3월 5일에 확인함.  ↑ “최순호씨 불 프로축구팀 입단”. 경향신문. 1992년 7월 26일.  ↑ 최순호, 감독으로 '새출발' ↑ 최순호 포항 사령탑 2년 더 ↑ 최순호 감독 "후반 코난 슛 불발 가장 아쉬워"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포항 스틸러스 최순호 감독 은퇴한다 ↑ 현대미포조선 전기 우승..최순호 감독 활짝 웃었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최순호 감독, 4년 만에 K리그 '금의환향'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울산미포조선, 내셔널리그 연맹에 승격 유보 공식 전달 ↑ 내셔널리그 우승 최순호 감독 "울산미포에서의 경험, 소중한 자산 될 것"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강원 FC, 최순호 현 울산미포조선 감독 초대 사령탑 선임 ↑ '성적부진' 강원FC 최순호 감독 자진사퇴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제2의 이청용 기성용을 키운다…FC서울 미래기획단 조직신설”. FC 서울 공식 웹사이트. 2012년 2월 20일.  ↑ 포항, ‘레전드’ 최순호 사령탑 선임… 12년 만에 컴백 ↑ 최순호 아들 최원우, 드래프트 6순위로 경남행 ↑ “최순호-원우, 세 번째 K리그 선수 부자 등록”. 2007년 1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4월 1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최순호 K리그 기록 - 한국프로축구연맹 최순호 국가대표팀 기록 - 대한축구협회 최순호 FIFA 주관 대회 기록 - 국제축구연맹 (영어) 이 전 나세르 누라에이 골람 호세인 마즐루미 파테히 카밀 제7대 AFC 아시안컵 득점왕 1980년공동 득점왕 베타시 파리바 다 음   자슈취안 나세르 모함마드카니 샤로흐 바이아니  전임박성화 제6대 포항 스틸러스 감독2000 (감독 대행) 2001 -2004 후임 세르지우 파리아스 전임조동현 제2대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 감독2006 - 2008 후임조민국 전임초대 제1대 강원 FC 감독2009 - 2011 후임김상호 전임최진철 제11대 포항 스틸러스 감독2016-2019 후임김기동 vdehAFC 아시안컵 최다 득점자 1956: 스텔마흐 1960: 조윤옥 1964: 슈피글레르, 싱 1968: 베자디, 슈피겔, 로마노 1972: 칼라니 1976: 누레이, 마즐루미, 카멜 1980: 최순호, 파리바 1984: 자슈취안, 모하메드카니, 바이아니 1988: 이태호 1992 알비시 1996: 다에이 2000: 이동국 2004: 후바일, 카리미 2007: 다카하라, 마무드, 알카타니 2011: 구자철 2015: 맙쿠트 2019: 알리 vdeh1984 K리그 베스트 11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GK 오연교 DF 정용환 박경훈 박성화 정종수 MF 박창선 허정무 조영증 FW 최순호 이태호 백종철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1979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GK: 오연교 • 서석범 • FP: 김명관 • 김영철 • 송영석 • 박복준 • 정용환 • 전차식 • 이태호 • 이길용 • 김학철 • 황석근 • 김석원 • 이상용 • 박윤기 • 김만수 • 김용세 • 최순호 • 감독: 김찬기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1980년 AFC 아시안컵 준우승 1 김황호 2 김종필 3 홍성호 4 조광래 5 권오손 6 박성화 7 N/A 8 조영증 9 이영무 10 신현호 11 이정일 12 최종덕 13 장외룡 14 이태엽 15 이강조 16 정해원 18 황석근 19 윤인선 20 이태호 21 조병득 22 최순호 감독: 김정남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1981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1 최인영 2 김만길 3 최종학 4 전종선 5 윤용승 6 김성기 7 이주한 8 강용국 9 김경호 10 전광운 11 강득수 12 김삼수 13 최순호 14 김석원 15 백치수 16 최철희 17 이경남 18 곽성호 감독: 박종환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1986년 FIFA 월드컵 1 조병득 2 박경훈 3 정종수 4 조광래 5 정용환 6 이태호 7 김종부 8 조영증 9 최순호 10 박창선 (주장) 11 차범근 12 김평석 13 노수진 14 조민국 15 유병옥 16 김주성 17 허정무 18 김삼수 19 변병주 20 김용세 21 오연교 22 강득수 감독: 김정남 vdeh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1986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 1 조병득 2 박경훈 3 정종수 4 조광래 5 정용환 6 이태호 7 강득수 8 조영증 9 최순호 10 박창선 11 변병주 12 김평석 13 노수진 14 조민국 15 유병옥 16 김주성 17 허정무 18 김삼수 19 이문영 20 김용세 감독: 김정남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1988년 하계 올림픽 1 조병득 2 박경훈 3 최강희 4 조민국 5 정용환 6 이태호 7 노수진 8 정해원 9 김용세 10 최상국 11 변병주 12 김판근 13 남기영 14 최순호 15 김종건 16 김주성 17 구상범 18 최윤겸 19 여범규 20 김풍주 감독: 김정남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1990년 FIFA 월드컵 1 김풍주 2 박경훈 3 최강희 4 윤덕여 5 정용환 (주장) 6 이태호 7 노수진 8 정해원 9 황보관 10 이상윤 11 변병주 12 이흥실 13 정종수 14 최순호 15 조민국 16 김주성 17 구상범 18 황선홍 19 정기동 20 홍명보 21 최인영 22 이영진 감독: 이회택 vdeh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1990년 아시안 게임 동메달 1 최인영 2 박경훈 3 정종수 4 윤덕여 5 정용환 6 김상호 7 이영진 8 김판근 9 황보관 10 김주성 11 변병주 12 구상범 13 정광석 14 최순호 15 김풍주 16 고정운 17 노정윤 18 황선홍 19 서정원 20 홍명보 감독: 박종환 감독vdeh포항 스틸러스 감독 한홍기 (1973-84) 최은택 (1985-86) 이회택 (1987-92) 허정무 (1993-95) 박성화 (1996-2000) 최순호 C (2000) 최순호 (2001-04) 세르지우 (2005-09) 레무스 (2010) 박창현C (2010) 황선홍 (2011-15) 최진철 (2016) 최순호 (2016-19) 김기동 (2019-) C: 감독 대행 vdeh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 감독 조동현 (1999–2005) 최순호 (2006-08) 조민국 (2009-13) 김창겸 (2014-) vdeh강원 FC 감독 최순호 (2009-11) 김상호 (2011-12) 김학범 (2012-13) 김용갑 (2013) 아르투르 (2014) 박효진C (2014) 최윤겸 (2015-17) 박효진C (2017) 송경섭 (2017-18) 김병수 (2018~) C: 감독 대행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최순호&oldid=24494711" 분류: 196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청주시 출신축구 공격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대한민국의 축구 감독포항 스틸러스의 축구 선수FC 서울의 축구 선수K리그1의 축구 선수FC 서울의 코칭스태프포항 스틸러스의 축구 감독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의 축구 감독강원 FC의 축구 감독로데스 AF의 축구 선수1980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1986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198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1990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1990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1986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1990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아시안 게임 축구 메달리스트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동메달리스트대한민국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한벌초등학교 동문대성중학교 (충북) 동문청주상업고등학교 동문광운대학교 동문대한민국의 개신교도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대한민국의 프랑스 진출 축구 선수프랑스의 외국인 축구 선수포항 스틸러스의 코칭스태프강원 FC의 코칭스태프1982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민주자유당 당원신한국당 당원대한민국의 기업인K리그1의 축구 감독내셔널리그의 축구 감독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의 코칭스태프K리그1 베스트 11 수상자프랑스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리그 2의 축구 선수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SuomiFrançaisItaliano日本語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Türkçe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8일 (금) 14: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최순호 (崔淳鎬, 1960년 9월 1일 ~ ,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는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및 지도자로, 현재는 수원 FC의 단장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최순호가 최초로 출전한 국제대회는 무엇인가요? Assistant: FIFA 세계 청소년 선수권 대회 Human: 아래 선화공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선화공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선화공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선화공주 (창극)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선화공주 지위 왕비 전임자 사택왕후 후임자 은고 부왕 진평왕 이름 휘 김선화 신상정보 출생지 신라 사망지 백제 왕조 신라 부친 진평왕 모친 마야부인 배우자 무왕 종교 불교 선화공주(善花公主, ?~?)는 삼국유사 기록에 따르면 진평왕의 셋째 딸이자, 무왕의 왕후이다. 미륵사지 석탑에서 발견된 금제사리봉안기에 의하면 백제 무왕의 왕후는 사택왕후로 기록되었기에 그 실존 여부에 관한 논란이 있다. 목차 1 생애 2 논란 3 가계 4 관련 작품 4.1 창극 4.2 드라마 5 함께 보기 6 각주 생애[편집] 진평왕과 마야부인의 딸이자 선덕여왕과 천명공주의 동생이며 화랑세기에서 등장하는 천화공주의 언니이다. 고려시대 신라계 승려 일연의 《삼국유사》의 설화에 따르면, 미모가 매우 뛰어나 백제의 서동(후에 무왕)이 사모하여, 두 사람이 남 몰래 밤에 만나곤 한다는 〈서동요〉를 지어 금성(지금의 경주)에 퍼뜨렸다고 한다. 공주는 억울한 누명을 쓰고 유배되어 가던 중 서동에게 구출되어 결혼하고 백제에 가서 왕비가 되었으며, 이후에는 미륵사의 창건을 무왕에게 부탁하였다고 한다. 의자왕은 기다렸다는 듯이 동생을 포함한 대대적인 숙청을 단행했고, 이것은 의자왕과 선화공주 간의 갈등 관계와 비교적 늦은 나이에 태자로 책봉된 이유를 암시한다는 주장도 있다.[1] 일설에는 무왕이 아니고 모대(동성왕)라고도 하며, 그녀의 신분에 대해서도 신라의 공주가 아니라 백제의 공주, 귀족, 지방 호족의 딸 등 다양한 가설이 있다. 논란[편집] 사택왕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09년, 미륵사지 석탑에서 금제사리봉안기가 발견되었는데, 그 내용에 따르면 미륵사 창건의 주체인 '좌평 사택적덕의 딸' 사택왕후가 무왕의 왕후라 기록하고 있어 선화공주의 존재를 뿌리부터 위태롭게 하였다. 이에 학자들은 선화공주의 실존 여부에 대해 대립하기도 하였다. 일부 학자는 설화가 어느 정도의 역사성을 바탕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미륵사를 처음 짓기 시작한 것은 선화공주나, 선화공주가 죽은 뒤 백제 출신 왕비가 절을 완성했다는 가설을 내놓았다. 같은 맥락에서 학자들은 김부식의 삼국사기에 백제 무왕이 신라와 혼인 관계를 맺었다는 기록이 있는 것을 보아 신라 선화공주가 백제 무왕의 비 중 하나였을 가능성이 없지는 않다 말하고 있다. 가계[편집] 조부 : 동륜태자(銅輪太子, ? ~572) 조모 : 만호부인(萬呼夫人) 부왕 : 진평왕(眞平王, 567~632, 재위:579~632) 모후 : 마야부인(摩耶夫人) 언니 : 선덕여왕(善德女王, ? ~647, 재위:632~647) 언니 : 천명공주(天明公主, 文貞太后) 조카 :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604~661, 재위:654~661) 조카 며느리: 문명왕후 김씨, 영창부인 김씨 동생 : 천화공주(天花公主) - 등장이 《화랑세기》에 한함 (화랑세기가 위서로 판정되면서 그 존재의 진위여부가 불분명) 남편 : 백제 제30대 왕 무왕(武王, ? ~641, 재위:600~641) 아들 : 백제 제31대 왕 의자왕(義慈王, ? ~660, 재위:641~660) 관련 작품[편집] 창극[편집] 《선화공주》(1948년) 드라마[편집] 《서동요》(SBS, 2005년~2006년, 배우:이보영, 설리) 《계백》(MBC, 2011년, 배우:신은정) 함께 보기[편집] 서동요 서동요 (드라마) 삼국유사 백제 무왕 사택왕후 각주[편집] ↑ 이덕일 (2003). 《이덕일의 여인열전》. 김영사. 193쪽. ISBN 8934912375. ‘국왕의 어머니’, 즉 선화공주가 죽자마자 의자왕은 기다렸다는 듯이 동생을 포함한 대대적인 숙청을 단행한 것이다. 이는 의자왕이 왜 무왕 재위 33년째에야 태자로 책봉되었는지를 짐작하게 해 주는 구절이다. 의자왕이 모후 선화공주와 상당한 갈등관계에 있었음을 뜻하는 것이다.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선화공주&oldid=24456959" 분류: 생년 미상몰년 미상신라의 왕족신라 사람신라의 왕녀백제의 왕비의자왕백제 무왕선덕여왕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فارسی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0일 (목) 22:0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선화공주(善花公主, ?~?)는 삼국유사 기록에 따르면 신라 진평왕의 셋째 딸이자, 무왕의 왕후이다. 미륵사지 석탑에서 발견된 금제사리봉안기에 의하면 무왕의 왕후는 사택왕후로 기록되었기에 그 실존 여부에 관한 논란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선화공주는 결혼하여 어떤나라의 왕비가 되었는가? Assistant: 백제
Human: 아래 하이디_클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하이디 클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하이디 클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하이디 클룸Heidi Klum 출생 1973년 6월 1일(1973-06-01) (46세)서독 베르기슈글라트바흐국적 독일직업 모델, 배우, 쇼 호스트, 프로듀서키 177cm 배우자 릭 피피노 (1997–2002) 실 (2005–2012)자녀 2남 2녀웹사이트 www.heidiklum.com 하이디 클룸(독일어: Heidi Klum, 1973년 6월 1일[1] ~ )은 독일의 모델로 베르기슈글라트바흐 출신이다. 빅토리아 시크릿의 간판 모델로 유명하다. 은퇴 이후 현재 쇼호스트, 배우, 프로듀서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목차 1 경력 1.1 모델 1.2 배우 활동 1.3 쇼 호스트 2 사회 활동 2.1 속옷 기부 2.2 경제적 능력 3 사생활 3.1 가족관계 3.2 결혼과 결별 3.3 재혼 4 출연 작품 4.1 텔레비전 프로그램 4.2 영화 5 수상 경력 6 기타 7 참조 8 외부 링크 경력[편집] 모델[편집] 신장은 177cm로 1991년 겨울 친구인 카린의 권유로 독일의 전국적인 슈퍼모델 선발대회인 모델92(Model 92)에 참가하게 되고, 25,000명의 지원자를 제치고 1992년 4월 15일 마지막 대회를 통해 우승함으로써 모델계에 데뷔하게 된다.[1][2] 우승 후에 독일의 모델에이전시인 메트로폴리탄(Metropolitan)으로부터 연봉 300,000달러의 계약 제안을 받고 1992년 6월 졸업 후 제안을 받아들여 패션 디자이너로서의 공부를 그만두고 모델활동을 시작하게 되었다.[1][2] 처음에는 유럽의 파리, 밀라노 등에서 활동하다가 1993년 여름 마이애미를 거쳐 뉴욕으로 진출하여 더욱 영향력있는 모델로 성장하게 된다.[1][3] '피네스' 샴푸 선전을 시작으로 지방시 향수 모델을 거쳐 빅토리아 시크릿의 간판 모델로 발탁되었으며 빅토리아 시크릿과의 만남이 그녀를 성공의 정점에 도달하게 만들었다.[2][3] 세계적으로 유명한 패션잡지인 보그, 엘르, 마리 끌레르 등에서 표지모델로도 활동하였다[4]. 1998년 독일 여성으로서는 처음으로 "Sports Illustrated Swimsuit Issue"의 표지모델이 되는 영광을 얻었다.[1] 타이라 뱅크스와 함께 모델계의 보석으로 불리였지만 현재 모델은 은퇴한 상태이다. 배우 활동[편집] 하이디 클룸은 1995년 《이야기 도시》에 카메오 역할로 출연함으로써 연기자로서의 첫 걸음을 내딛었다.[5] 처음에는 연예 주간지 엔터테인먼트 위클리에서 그 해의 최악의 TV 게스트들 중 하나라고 비판받았지만 그녀의 첫 영화인 2001년에 개봉된 코미디 영화 《블로우 드라이》와 2004년 개봉된 영화인 《엘라 인챈티드》가 크게 성공하면서 이러한 비평은 수그러 들었다.[6] 이후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2006년), 《퍼펙트 스트레인저》(2007년)의 영화에 카메오로서 출연하였다.[5] 쇼 호스트[편집] MTV의 프로그램 중 밀라노의 "Fashionably Loud Europe 2001"와 "Teenage Dirtbag"의 진행자로 발탁되었지만 대중에게 많이 알려지지는 못하였다.[5] 하지만 2004년 12월 미국 케이블 채널인 브라보의 리얼리티 쇼인 프로젝트 런웨이(Project Runway)에서 클룸은 진행자, 심사위원, 제작자였는데 이 프로그램이 첫 시즌부터 큰 인기를 끌면서 하이디 클룸도 대중에게 좀 더 알려지게 되었다.[4][6]또한 2005년과 2006년에 리얼리티 쇼의 뛰어난 진행자로 평가되어 에미상을 수상하였고 뉴욕 타임스는 2005년 2월에 이 프로그램을 리얼리티 쇼의 프라다(Prada)라고 평가하였다.[6][1] 이외에도 클룸은 Germany's Next Topmodel이라는 슈퍼모델끼리의 경쟁을 다룬 리얼리티 TV쇼의 공동 프로듀서이며 진행을 맡고 있다.[4] 사회 활동[편집] 속옷 기부[편집] 2011년 3월 2일 아카데미 시상식 파티와 함께 진행된 엘튼존 후원의 에이즈 기금 행사에서 즉흥기부제안을 받고 가지고 있는 물건이 없다며 고민하다가 즉석에서 입고있던 속옷을 기부해 화제가 되었다.[7][8] 경제적 능력[편집] 클룸은 2007년 7월까지 12달 동안 약 8백만 달러를 벌어들여 포브스지에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입을 벌어들인 15명의 슈퍼모델 중 3위로 선정되었다. 또한 2008년에는 그녀의 수입이 약 1400만달러로 예측되어 케이트 모스의 750만 달러를 훨씬 능가하며 2위로 올라섰다.[4] 2011년 현재 그녀의 수입은 1600만 달러로 추측되고 있으며 수입, 영향력, 사회적 순위가 각각 87, 86, 49위로 세계의 유명인사 100인(The Celebrity 100)에 선정되었다.[9] 사생활[편집] 가족관계[편집] 배우자 실(Seal), 딸 레니(Leni Samuel)(2004년 5월 4일), 아들 헨리(Henry Gunther Ademola Dashtu Samuel)(2005년 9월 12일), 아들 요한(Johan Riley Fydor Taiwo Samuel)(2006년 11월 22일), 딸 루(Lou Sulola Samuel)(2009년 10월 9일)[10][11] 결혼과 결별[편집]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꼭대기에서 이탈리아 출신의 유명 헤어디자이너인 릭 피피노(Ric Pipino)의 청혼을 받아들인 후 하이디 클룸은 1997년 여름에 그와 결혼하게 된다.[5][12] 그들은 전통적인 결혼식을 하였는데 독일의 전통에 따라 클룸은 이 결혼식에서 요들송을 불렀고, 남편인 릭 피피노는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나무 황새로부터 인형을 되찾아왔다.[6]그러나 이 둘의 결혼생활은 서로 바쁜사이에 소홀해져 결국 결혼 후 5년 만인 2002년 11월 25일 이혼하게 되었다.[13][6] 피피노와의 결별 직후 클룸은 레드 핫 칠리 페퍼스의 보컬인 앤서니 키에디스(Anthony Kiedis)와 잠시 사귀는 듯 하더니 카레이서 팀의 매니저로 있는 이탈리아인 억만장자 플라비오 브리아토레(Flavio Briatore)와 사랑에 빠졌다.[4] 사귄 지 9개월이 지난 후 그와의 사이에서 아이를 임신하게 되지만 바람둥이였던 브리아토레는 이를 부정하였고 그렇게 둘은 결별하게 된다.[13] 재혼[편집] 두 번의 사랑에 대한 안 좋은 경험으로 상처입은 클룸은 마침내 영국 출신의 R&B 가수인 실을 만나게 된다. 그는 클룸이 플라비오 브리아토레의 아이를 임신 있는 중에 그녀를 만나 사랑하게 되었다. 그는 자신의 핏줄이 아닌 딸 레니의 출산과정을 끝까지 지켜보며 마치 자신의 아이인 것처럼 레니를 아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레니의 나이가 만 5세이었던 해의 크리스마스전에 정식으로 레니를 입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4].[13] 실은 헬기를 빌려 자연적으로 생긴 얼음굴에 하이디 클룸을 데려가 무릎을 꿇고 청혼하였다. 실과 클룸은 2005년 5월 10일 멕시코의 해안에서 결혼했다.[6] 결혼 후 이들 부부는 아들 헨리, 요한과 딸 루를 출산하게 된다. 두 사람은 클룸이 브리아토레로부터 아기를 임신한 채 버림받았을 때 실이 그녀를 따뜻하게 감싸주면서 사랑을 키워나갔다. 또한 그들은 백인과 흑인의 연애라는 주변의 냉담한 시선을 극복하고 결혼해 사람들에게 감동을 줬으며 이로 인해 피플지가 선정한 가장 아름다운 커플 1위에 선정되기도 하였고 짐비오에 의한 100 Hotest Celebrity Couples of 2011중 16위에 올랐다[15][16]. 이 커플은 매년 결혼기념일에 맞춰 혼인서약식을 가져 부부금슬을 매년 다짐하는 계기로 삼고있으며 올해로 6번째 결혼을 하였다.[15] 2010년 발매된 실의 음반중 〈Secret〉이란 곡의 뮤직비디오에 하이디 클룸이 남편을 위해 기꺼이 알몸의 모습으로 출연하여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17] 하지만 결혼 7년 만에 두사람은 각자의 길을 걷기로 합의하고 결국 이혼을 발표하였다. 또한 실은 아내의 하이디 클룸이 이혼 전 보디가드와의 부적절한 관계임을 폭로하며 큰 충격을 안겨주었고, 클룸은 현재 자신의 보디가드인 마틴 크리스틴과 교제중임을 밝혔다.[18] 출연 작품[편집] 텔레비전 프로그램[편집] 이야기 도시(Spin City)(1996-2002)의 카메오 출연 섹스 앤 더 시티 (Sex and the City)(2001)의 카메오 출연 예스, 디어(Yes, Dear)(2000-2006)의 Jimmy Saves the Day에피소드에 출연 내가 그녀를 만났을 때(How I Met Your Mother)(2007) The Yips에피소드에 출연 프로젝트 런웨이(Project Runway) season1-6,8(미국 Bravo) 영화[편집] 블로우 드라이(Blow Dry)(2001)의 조연 Jasmine 역 엘라 인챈티드(Ella Enchanted)(2004)의 Brumhilda 역 피터 셀러스의 삶과 죽음(The Life and Death of Peter Sellers)(2004)의 우르줄라 안드레스 역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The Devil Wears Prada)(2006), 퍼펙트 스트레인저(Perfect Stranger)(2007), 빨간모자의 진실(Hoodwinked Too! Hood vs. Evil)(2011)의 카메오 출연 수상 경력[편집] 2005년 2006년 에미상 2008년 피보디상 기타[편집] 하이디 클룸은 여행할 때 행운의 부적으로써 그녀의 유치를 주머니에 담아다닌다.[6] 2002년 8월 16일 카리브 해에 위치한 그레나다에서는 그녀의 사진이 실린 우표를 만들어 판매했다.[6] 참조[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Heidi Klum GmbH ↑ 가 나 다 IMDb, The Internet Movie Database ↑ 가 나 Vogue.com ↑ 가 나 다 라 마 “Biography: Heidi Klum Online”. 2011년 8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5월 1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Heidi Klum GmbH, Today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Heidi Klum people.com ↑ 헤럴드 경제: 입던 속옷 벗어서…하이디 클룸 엽기 기부 ↑ “한국일보: 하이디 클룸, 입고 있던 속옷 벗어 기부”. 2011년 7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5월 13일에 확인함.  ↑ (영어)Forbes.com ↑ 뉴스엔: "프로젝트 런웨이"의 하이디 클룸, 4번째 자녀 임신 ↑ 유코피아 뉴스: '슈퍼모델' 하이디 클룸 넷째 딸 출산[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일요신문: 하이디 클룸 이혼발표 4일 만에 다른남자와 염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가 나 다 서울신문: 하이디 클룸의 임신패션이 더 아름다운 이유 ↑ Report: Seal To Adopt Heidi Klum’s Daughter Leni ↑ 가 나 조선일보:'수퍼모델' 하이디 클룸, 한 남자와 '6번째 결혼' 세계가 감동 ↑ Zimbio's 100 Hottest Celebrity Couples of 2011 List ↑ 스포츠경향: 슈퍼모델 하이디 클룸, 남편 위해 옷벗다 ↑ 엑스포츠뉴스: 씰, 아내 하이디 클룸의 "이혼 전 경호원과 불륜" 폭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하이디 클룸 하이디 클룸 - 공식 웹사이트 (영어) 하이디 클룸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하이디 클룸 - 패션 모델 디렉터리 하이디 클룸 - Models.com 하이디 클룸 - 인스타그램 하이디 클룸 - 트위터 하이디 클룸 - 페이스북 vdeh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SI) 스윔수트 커버 모델1960년대 바베트 마치 슈 피터슨 써니 빕퍼스 마릴린 틴달 투리아 마우 재미 베커 1970년대 셰릴 티그스 타니아 루니아노 셸리아 로스코 데일 헤이든 앤 사이먼턴 셰릴 티그스 이베뜨 & 이본 실밴더 레나 캔스보드 마리아 주앙 크리스티 브링클리 1980년대 크리스티 브링클리 크리스티 브링클리 캐롤 앨트 셰릴 티그스 폴리나 포리스코바 폴리나 포리스코바 엘 맥퍼슨 엘 맥퍼슨 엘 맥퍼슨 캐시 아일랜드 1990년대 주딧 마스코 애슐리 리차드슨 캐시 아일랜드 벤델라 커시봄 캐시 아일랜드, 레이첼 헌터 & 엘 맥퍼슨 다니엘라 페스토바 발레리아 마자 & 타이라 뱅크스 타이라 뱅크스 하이디 클룸 레베카 로미즌 2000년대 다니엘라 페스토바 엘사 베니테즈 야밀라 디아즈 페트라 넴코바 베로니카 바레코바 캐롤린 머피 베로니카 바레코바, 엘 맥퍼슨, 레베카 로미즌, 레이첼 헌터, 다니엘라 페스토바, 엘사 베니테즈, 캐롤린 머피 & 야밀라 디아즈 비욘세 마리사 밀러 바 라파엘리 2010년대 브루클린 데커 이리나 샤크 케이트 업튼 케이트 업튼 니나 아그달, 릴리 앨드리지 & 크리시 타이겐 한나 제터 론다 라우시/애슐리 그레이엄/헤일리 클라우슨 케이트 업튼 대니엘 헤링턴 vdeh빅토리아 시크릿 엔젤스현재의 엔젤스 릴리 앨드리지 레오미 앤더슨 알렉시나 그레이엄 테일러 힐 엘사 호스크 그레이스 엘리자베스 마사 헌트 스텔라 맥스웰 펄빈 버르버러 베하티 프린슬루 라이스 히베이루 사라 삼파이우 조세핀 스크리베르 로메이 스트레이트 캔디스 스워너풀 재스민 툭스 과거의 엔젤스 아드리아나 리마 알레산드라 암브로지우 찬드라 노스 샤넬 이만 다니엘라 페스토바 다우천 크루스 에린 헤더턴 지젤 번천 하이디 클룸 헬레나 크리스텐센 이네스 리베로 이자베우 굴라르 카런 뮐더르 칼리 클로스 카롤리나 쿠르코바 케이트 그리고리예바 레티시아 카스타 린지 엘링슨 머리사 밀러 미란다 커 모니카 야가치아크 로지 헌팅턴화이틀리 셀리타 이뱅크스 스테퍼니 시모어 타이라 뱅크스 야스민 가우리 관련 항목 에드워드 라젝 리미티드 브랜드 빅토리아 시크릿 모델 목록 PINK 빅토리아 시크릿 빅토리아 시크릿 패션 쇼 빅토리아 시크릿 스윔 스폐셜 전거 통제 WorldCat VIAF: 85619301 LCCN: n2004091450 ISNI: 0000 0000 7872 1263 GND: 129797219 SUDOC: 091574897 BNF: cb161677648 (데이터) 뮤직브레인즈: 93e1e8ed-db71-4f33-a5e0-3e3a18752133 NKC: xx005003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하이디_클룸&oldid=24263078" 분류: 197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독일의 여자 모델독일의 여자 영화 배우독일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독일의 패션 디자이너독일의 텔레비전 프로듀서미국의 여자 모델미국의 여자 영화 배우미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미국의 패션 디자이너미국의 텔레비전 토크 쇼 진행자미국의 텔레비전 프로듀서베르기슈글라트바흐 출신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ગુજરાતી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Ripoarisch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NederlandsNorsk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తెలుగు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3일 (목) 11: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하이디 클룸(독일어: Heidi Klum, 1973년 6월 1일 ~ )은 독일의 모델로 베르기슈글라트바흐 출신이다. 빅토리아 시크릿의 간판 모델로 유명하다. 은퇴 이후 현재 쇼호스트, 배우, 프로듀서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하이디 클룸이 1997년에 혼인한 사람은 누구인가? Assistant: 릭 피피노(Ric Pipino) Human: 아래 나를_더_사랑하는_법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나를 더 사랑하는 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나를 더 사랑하는 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나를 더 사랑하는 법(Learning to love you more)은 월드 와이드 웹 상에서 이루어진 크라우드 소싱 예술 프로젝트이다. ‘누구나 예술가가 될 수 있다’ 라는 생각을 모티프로 시작된 프로젝트는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하며, 복잡한 절차 없이 누구든 참여할 수 있다. 프로젝트의 참가자들은 나를 더 사랑하는 법 공식 홈페이지 ([1])에 적혀있는 과제 목록을 보고, 간단하지만 구체적인 지시에 따라 과제를 수행하여 그 결과물을 사진, 텍스트, 비디오 등의 매체로 만들어 보낸다. 이러한 작업물들은 공식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모두에게 공유된다. 나를 더 사랑하는 법 프로젝트는 2002년 미란다 줄라이과 해럴 플래쳐에 의해 시작되었다. 두 사람은 '나를 더 사랑하는 법 Learning To Love You More' 이라는 웹사이트를 만들고, 자기 자신과 일상을 돌아보게 만드는 과제들을 하나 둘 올리기 시작했다. 2009년 5월 미란다 줄라이와 해럴 플래쳐가 “작별 인사하기(Say Goodbye)” 라는 마지막 과제를 게시하여 프로젝트를 마무리하기 전까지 , 국적, 나이, 성별, 직업을 초월한 사람들이 5,000여 개의 답변을 보내왔다. 쌍방향 소통이 가능한 월드 와이드 웹의 속성상 프로젝트 이야기가 퍼지면서 끊임없이 과제 결과물들이 올라왔다. 이러한 과제들은 사람들이 참여하는 예술활동인 동시에 참여자가 과제를 수행하면서 자신을돌아볼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웹공간을 통해 자신의 일상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고 다른 사람에 의해 재연되는 모습을 보면서 일상이 예술로 승화되는 초현실적인 경험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해 자기 자신을 제대로 들여다보고 마음껏 사랑하는 법을 하나 둘 알아가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과제'라는 형식을 통해 사람들이 마음을 열고, 스스로의 생각과 일상을 솔직하게 공개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1] 사람들의 호응과 공감에 힘입어 과제 결과물들을 모아 뉴욕 휘트니 미술관, 휴스턴의 오로라 픽처 쇼 등에 전시를 하기도 했으며, 세계 각국에서 책으로 출간하였다. 목차 1 과제 목록 2 도서 3 한국 프로젝트 3.1 한국 프로젝트 과제 목록 4 각주 5 외부 링크 과제 목록[편집] 과제 1: 유아복을 성인 사이즈로 만들어보기 과제 2: 이웃 사람들의 노래나 연주를 녹취해보기 과제 3: 어린 아이에 대한 다큐멘터리 만들어보기 과제 4: 연속강의 시작해보기 과제 5: 누군가 옛날에 사용했던 물건 만들어보기 과제 6: 그림자를 이용해 포스터 만들어보기 과제 7: 3분짜리 <프레시 에어> 인터뷰 재연해보기 과제 8: 좋아하는 작가의 작품을 공공장소에 전시해보기 과제 9: 누군가의 주근깨나 점을 연결해 별자리 그리기 과제 10: 자신의 하루를 전단지로 만들어보기 과제 11: 상처를 사진으로 찍고 그것에 관해 이야기해보기 과제 12: 모건 로재키의 이웃 사람 중 한 명을 골라 일회용 문신 그려보기 과제 13: 범죄가 일어난 후의 순간 재연해보기 과제 14: 지금까지 살아온 이야기를 써보기 과제 15: 주차장에 있는 나무에 풍경 달아보기 과제 16: 종이로 침대 모형 만들어보기 과제 17: 자신만의 명상법을 오디오 가이드로 만들어보기 과제 18: 십대 시절 간직했던 포스터 다시 만들어보기 과제 19: 폴 아렌스마이어의 인생 이야기에 나오는 한 장면이나 물건 중 하나를 골라 그려보기 과제 20: 두 가족의 합동가족사진 찍어보기 과제 21: 스티브의 흉상 만들어보기 과제 22: 로라 라크의 인생 이야기 중 한 장면을 재연해보기 과제 23: 이 스냅사진을 그대로 따라 해보기 과제 24: 따라 불러보기 과제 25: 누군가 춤추는 모습을 촬영해보기 과제 26: 모나가 크로셰 뜨개질로 만들 수 있는 옷 디자인해보기 과제 27: 태양을 사진에 담기 과제 28: 사진 앨범 편집해보기 과제 29: 합창곡 녹음해보기 과제 30: 낯선 사람들에게 손을 잡게 한 뒤 그 모습을 사진에 담기 과제 31: 죽음을 앞둔 사람과 시간 보내기 과제 32: 나를 울렸던 영화의 한 장면 그려보기 과제 33: 다른 사람 머리 땋아주기 과제 34: 항의 팻말을 만들고 시위하기 과제 35: 내가 뭘 하고 다니는 것 같은지 가족에게 물어보기 과제 36: 남들이 생각하지 못한 장소에 정원 만들어보기 과제 37: 최근에 했던 말다툼 적어보기 과제 38: 누군가 말다툼하는 모습을 연기해보기 과제 39: 부모님이 키스하는 모습 사진 찍기 과제 40: 자가 처방전 만들어보기 과제 41: 머리카락이 빠진 부분 사진 찍기 과제 42: 1984년에 일어난 5대 사건 기록해보기 과제 43: 부모님 댁에 있는 작품들로 전시회 해보기 과제 44: <나를 더 사랑하는 법> 과제 만들어보기 과제 45: 5학년 때 가장 좋아했던 책 다시 읽어보기 과제 46: 레이몬드 카버의「성당」그려보기 과제 47: 누군가를 울렸던 영화의 한 장면 재연해보기 과제 48: 세상에서 가장 슬픈 노래 만들어보기 과제 49: 친구의 친구 그려보기 과제 50: 플래시를 터뜨린 채 침대 아래 사진 찍기 과제 51: 죽은 뒤 자신의 시신을 어떻게 처리하고 싶은지 설명해보기 과제 52: 하고 싶은 전화 통화 내용 써보기 과제 53: 과거의 자신에게 충고하기 과제 54: 뉴스를 그림으로 그려보기 과제 55: 중요한 날 입었던 옷을 사진으로 찍어보기 과제 56: 친구가 갖고 싶어 하는 물건 목록 만들어보기 과제 57: 수줍음 많은 이웃이 부른 가스 브룩스의 노래 립싱크하기 과제 58: 잠을 방해하는 소음 녹음해보기 과제 59: 전쟁을 겪은 사람과 인터뷰해보기 과제 60: 일상생활에서 일어난 일들을 보도자료처럼 써보기 과제 61: 당신이 꿈꾸는 이상적인 정부에 대해 이야기해보기 과제 62: 교육적인 내용의 공공 게시물 만들어보기 과제 63: 응원의 게시물 만들기 도서[편집] 대중이 수행한 과제를 공식 홈페이지에 게시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2007년 9월 PrestelPub 출판사에서 《Learning to Love You More》 이라는 제목의 책이 출판되었다. 이는 프로젝트의 과제를 소개하고, 홈페이지에 게시된 예술 프로젝트의 이미지와 텍스트를 엮은 것이다. 63개의 과제 목록 중 41개의 과제 결과물이 책에 수록되어 있다. 2009년 《Learning to Love You More》은 한국어로 번역되어 《나를 더 사랑하는 법- 우리를 특별하게 만드는 일상의 재발견》 이라는 제목으로 앨리스 출판사에서 출판되었다. 김지은 아나운서에 의해 번역되었다. 김지은은 원서를 번역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대한민국에서도 나를 더 사랑하는 법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물을 책에 담았다. 한국 프로젝트[편집] 《Learning to Love You More》의 한국 프로젝트는 김지은 아나운서에 의해 《나를 더 사랑하는 법》 이라는 이름으로 2009년 시작되었다. 원서에서 제시된 63개의 과제 외에 15개의 과제를 추가하였으며, 30일 동안 600여개의 답변이 올라왔다. 한국 프로젝트 과제 목록[편집] 과제 1: 휴대폰에 늘 간직하고 있는 문자 메시지나 사진에 대해 이야기해보기 과제 2: 요즘 빠져 있는 일에 대해 이야기해보기 과제 3: 해보고 싶은 가상의 메신저 대화나, 인상적인 대화명 떠올려보기 과제 4: 응원의 말을 담은 게시물을 만들어 공공장소에 설치해보기 과제 5: 주변에서 빨간색을 찾아 사진으로 찍고, 그것에 대해 이야기해보기 과제 6: 소중한 사람에게 만들어주었던 도시락, 또는 잊을 수 없는 도시락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기 과제 7: 늘 다니는, 나만의 길에 대한 이야기 들려주기 과제 8: 낯선 사람들과 함께 사진을 찍어보고, 그 사람들에 관해 이야기해보기 과제 9: 일상의 작은 변화 전후를 비교해보고, 무엇이 달라졌는지 설명해보기 과제 10: 좋아하는 예술작품을 따라 해보거나, 경의를 표현해보기 과제 11: 중요한 날 입었던 옷이나 기억 떠올려보기 과제 12: 어제의 나, 버리고 싶은 습관에 작별 인사해보기 과제 13: 하고 싶었지만, 할 수 없었던 말 다시 해보기 과제 14: 오늘 하루도 애쓴 나의 몸과 옛 상처에 말 걸어보기 과제 15: 세상을 떠날 때 남기고 싶은 사진이나 말 생각해보기 각주[편집] ↑ “예스24<<나를 더 사랑하는 법>>”. 《예스24》.  외부 링크[편집] 나를 더 사랑하는 법 - 공식 웹사이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나를_더_사랑하는_법&oldid=20105226" 분류: 크라우드소싱예술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7년 11월 20일 (월) 10: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나를 더 사랑하는 법(Learning to love you more)은 월드 와이드 웹 상에서 이루어진 크라우드 소싱 예술 프로젝트이다. ‘누구나 예술가가 될 수 있다’ 라는 생각을 모티프로 시작된 프로젝트는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하며, 복잡한 절차 없이 누구든 참여할 수 있다. 프로젝트의 참가자들은 나를 더 사랑하는 법 공식 홈페이지 ([1])에 적혀있는 과제 목록을 보고, 간단하지만 구체적인 지시에 따라 과제를 수행하여 그 결과물을 사진, 텍스트, 비디오 등의 매체로 만들어 보낸다. 이러한 작업물들은 공식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모두에게 공유된다. 나를 더 사랑하는 법 프로젝트는 2002년 미란다 줄라이과 해럴 플래쳐에 의해 시작되었다. 두 사람은 '나를 더 사랑하는 법 Learning To Love You More'이라는 웹사이트를 만들고, 자기 자신과 일상을 돌아보게 만드는 과제들을 하나 둘 올리기 시작했다. 2009년 5월 미란다 줄라이와 해럴 플래쳐가 “작별 인사하기(Say Goodbye)” 라는 마지막 과제를 게시하여 프로젝트를 마무리하기 전까지 , 국적, 나이, 성별, 직업을 초월한 사람들이 5,000여 개의 답변을 보내왔다. 쌍방향 소통이 가능한 월드 와이드 웹의 속성상 프로젝트 이야기가 퍼지면서 끊임없이 과제 결과물들이 올라왔다. 이러한 과제들은 사람들이 참여하는 예술활동인 동시에 참여자가 과제를 수행하면서 자신을돌아볼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웹공간을 통해 자신의 일상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고 다른 사람에 의해 재연되는 모습을 보면서 일상이 예술로 승화되는 초현실적인 경험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해 자기 자신을 제대로 들여다보고 마음껏 사랑하는 법을 하나 둘 알아가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과제'라는 형식을 통해 사람들이 마음을 열고, 스스로의 생각과 일상을 솔직하게 공개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사람들의 호응과 공감에 힘입어 과제 결과물들을 모아 뉴욕 휘트니 미술관, 휴스턴의 오로라 픽처 쇼 등에 전시를 하기도 했으며, 세계 각국에서 책으로 출간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한국 프로젝트 <나를 더 사랑하는 법>의 열 다섯 번 째 과제는 무엇인가? Assistant: 세상을 떠날 때 남기고 싶은 사진이나 말 생각해보기
Human: 아래 세종우체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세종우체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세종우체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6° 36′ 09″ 동경 127° 17′ 54″ / 북위 36.602380° 동경 127.298213°  / 36.602380; 127.298213 세종우체국기본 정보위치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180 (보람동)관할지역 세종특별자치시현황 홈페이지 http://www.koreapost.go.kr/cc/339/ 세종우체국(世宗郵遞局)은 세종특별자치시 일대의 우편·금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 충청지방우정청 소속기관으로 세종우체국장(4급)은 서기관에 보한다.[1] 종전 연기우체국에서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에 따라 세종우체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2] 2017년 11월 조치원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로 이전하였다.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180 (보람동)에 있다. 목차 1 연혁 2 관할 우체국 3 조직 3.1 세종우체국장 4 외부 링크 5 각주 연혁[편집] 1904년 1월 20일: 조치원우편수취소 1950년 1월 12일: 조치원우체국으로 명칭 변경 1953년 9월 16일: 사무관국으로 승격 1983년 9월 28일: 우체국사 개축 (연기군 조치원읍 교리 24-3) 2008년 2월 1일: 연기우체국으로 명칭 변경 2011년 12월 26일: 세종첫마을우체국 개국[3] 2012년 7월 1일: 연기우체국에서 세종우체국으로 명칭 변경, 관할 세종첫마을우체국이 세종한솔동우체국으로 명칭 변경, 부강우체국과 장기우체국을 편입해 세종부강우체국과 장군우체국으로 명칭 변경[4] 2014년 7월 4일: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우체국 폐국[5] 2015년 1월 5일: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우편취급국 개국[6] 2015년 7월 1일: 서기관국으로 승격 2015년 7월 20일: 우편구역을 다음과 같이 고시[7] 세종우체국 관할 우편구역 배달국 배달구역 구역번호 세종우체국 조치원읍 · 연서면 · 전의면 · 전동면 · 소정면 30000 ~ 30049 세종우체국 물류센터 한솔동 · 가람동 · 아름동 · 고운동 · 종촌동 · 도담동 · 어진동 · 나성동 · 다정동 · 새롬동 · 대평동 · 보람동 · 소담동 · 반곡동 · 연동면 · 장군면 · 부강면 · 연기면 · 금남면 30050 ~ 30089 2015년 10월 30일: 세종연기우체국 폐국[8] 2017년 11월 13일: 청사 신축 이전(세종시 시청대로 180), 구 세종우체국 자리에 조치원우체국 신설[9] 2018년 10월 1일: 연기우편취급국 폐국 관할 우체국[편집] 우체국명 사진 주소 비고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우체국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세종로 2511 2014년 7월 4일 폐국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우편취급국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세종로 2511 (서창리) 2015년 1월 5일 신설 세종금남우체국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용포로 56 (용포리) 세종부강우체국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촌길 42 (부강리) 2012년 7월 1일 부강우체국에서 명칭 변경 세종소정우체국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소정구길 110 (소정리) 세종아름동우체국 세종특별자치시 보듬3로 111 (아름동) 세종연기우체국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서부길 2 (연기리) 2015년 10월 30일 폐국 세종연동우체국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청연로 602 (내판리) 세종연서우체국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당산로 342 (봉암리) 세종전동우체국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전동로 3 (노장리) 세종전의우체국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운주산로 1208-1 (읍내리) 조치원우체국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새내12길 3 (교리) 2017년 11월 13일 신설 세종한솔동우체국 세종특별자치시 노을3로 93 (한솔동) 2011년 12월 26일 신설2012년 7월 1일 세종첫마을우체국에서 명칭 변경 연기우편취급국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당산로 118-1(연기리) 2018년 10월 1일 폐국 장군우체국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장척로 408-4 (도계리) 2012년 7월 1일 장기우체국에서 명칭 변경 정부세종청사2우체국 세종특별자치시 한누리대로 482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13-2동 산업통상자원부 1층) 정부세종청사우체국 세종특별자치시 도움6로 11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6-1동 국토교통부 1층) 조직[편집] 세종우체국장[편집] 영업과 우편영업실 금융영업실 우편물류과 물류실 집배실 지원과 소포영업과 경영지도실 외부 링크[편집] 세종우체국 홈페이지 각주[편집] ↑ 연기우체국, 추석 비상근무 체제 운영《충청신문》2011년 8월 29일 김덕용 기자 ↑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12개 우체국 명칭 변경《뉴시스》2012-06-29 ↑ 충청지방우정청고시 제2011-7호, 2011년 12월 23일. ↑ 연기우체국, ‘세종우체국’으로 새 출발, 세종매일, 2012년 6월 25일 작성. ↑ 충청지방우정청공고 제2014-85호, 2014년 6월 20일. ↑ 충청지방우정청공고 제2014-216호, 2014년 12월 26일. ↑ 충청지방우정청고시 제2015-2호, 2015년 7월 21일. ↑ 충청지방우정청공고 제2015-164호, 2015년 10월 7일. ↑ 충청지방우정청공고 제2017-141호, 2017년 10월 19일. vdeh 우정사업본부본부 직속 우정공무원교육원 우정사업정보센터 우정사업조달센터 지방우정청서울지방우정청국제우편물류센터 우체국 서울중앙 서울강남 서울광진 서울강서 광화문 서대문 동대문 서울마포 서울관악 서울은평 여의도 서울금천 서울성북 서울강동 서울송파 서울양천 서울동작 서울서초 서울용산 서울노원 서울중랑 서울도봉 서울구로 우편집중국 동서울 경인지방우정청안양우편물류센터 우체국 부천 인천 서인천 인천계양 남인천 인천남동 의정부 수원 동수원 군포 안양 성남 성남분당 안산 고양일산 고양덕양 남양주 시흥 광명 용인수지 평택 용인 화성 화성동탄 부평 서수원 이천 안성 포천 경기광주 파주 김포 구리 강화 가평 양평 여주 동두천 연천 백령 오산 하남 우편집중국 부천 의정부 안양 고양 성남 수원 부산지방우정청부산국제우체국 우체국 부산 동래 남부산 부산사상 부산금정 부산사하 해운대 북부산 부산연제 울산 남울산 마산 창원 진주 김해 부산진 양산 동부산 부산영도 통영 진해 거제 거창 기장 부산강서 동울산 거창 고성 남해 마산합포 밀양 사천 산청 의령 창녕 하동 함안 함양 합천 우편집중국 부산 진주 울산 창원 충청지방우정청우체국 대전 서대전 대전유성 대전대덕 대전둔산 천안 공주 청주 서청주 충주 제천 아산 동천안 세종 서산 논산 금산 홍성 예산 서천 당진 청양 부여 보령 태안 단양 괴산 진천 옥천 음성 영동 보은 우편집중국 대전 청주 천안 전남지방우정청우체국 광주 북광주 서광주 광주광산 목포 여수 순천 광양 나주 해남 강진 고흥 곡성 구례 담양 무안 보성 영광 영암 완도 장성 장흥 진도 함평 화순 우편집중국 광주 영암 경북지방우정청우체국 대구 동대구 서대구 북대구 대구달서 대구수성 포항 경주 안동 구미 경산 영주 상주 달성 김천 영천 의성 문경 울진 예천 영덕 봉화 칠곡 청도 청송 성주 군위 영양 고령 울릉 우편집중국 대구 안동 포항 전북지방우정청우체국 전주 동전주 군산 익산 정읍 김제 완주 남원 부안 무주 임실 진안 순창 고창 장수 우편집중국 전주 강원지방우정청우체국 춘천 원주 강릉 삼척 동해 속초 양구 양양 영월 인제 정선 철원 태백 평창 홍천 화천 횡성 우편집중국 원주 강릉 제주지방우정청우체국 제주 서귀포 우편집중국 제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세종우체국&oldid=23798421" 분류: 1904년 설립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관공서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3월 3일 (일) 03:0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세종우체국(世宗郵遞局)은 세종특별자치시 일대의 우편·금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 충청지방우정청 소속기관으로 세종우체국장(4급)은 서기관에 보한다. 종전 연기우체국에서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에 따라 세종우체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17년 11월 조치원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로 이전하였다.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180 (보람동)에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세종우체국 산하 조직으로 금융업무와 영업을 담당하는 부서는 어디인가? Assistant: 금융영업실 Human: 아래 투자신탁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투자신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투자신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유가증권 채권 주식 투자신탁 파생상품 구조화 금융 정부기관 증권 금융 시장 상품 시장 선물 시장 외환 시장 장외거래 주식 시장 채권 시장 현물 시장 채권 이자 지급 방법에 의한 분류 고정 금리 채권 변동 금리 채권 할인채 인플레이션 연계 채권 기업어음 영구채 발행 주체에 의한 분류 국채 지방채 회사채 주식 공매도 기업공개 (IPO) 주식 투자신탁 뮤추얼 펀드 인덱스 펀드 상장지수 펀드 (ETF) 폐쇄형 펀드 원금보장형 펀드 (세그 펀드) 헤지 펀드 구조화 금융 증권화 자산 유동화 증권 (ABS) 주택 저당 증권 (MBS) 상업용 부동산 저당 증권 트량슈 부채 담보부 증권 (CDO) 펀드 담보부 증권 (CFO) 다계층 증권 (CMO) 신용 연계 채권 무담보채 정부기관 증권 파생상품 선도 계약 선물 신용 파생상품 옵션 워런트 통화 스와프 혼합 증권 v • d • e • h 투자신탁이란 여러 투자자의 자금을 모아 펀드를 만들어 투자를 행하는 소위 집합투자조직(Collective Investment Scheme)을 의미한다. 펀드(Fund) 또는 기금(基金)은 원래 투자 신탁의 신탁 재산을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요즈음은 자산 보유자 대신에 투자를 대행해 주는 투자신탁 금융상품을 일컫는 말로서, 자산관리 전문가가 국내 또는 해외의 자산(채권, 주식, 부동산 등)에 분산 투자하여 발생된 이익금을 되돌려 주는 상품을 가리킨다. 대표적인 상품으로는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하고 그 수익을 고객에게 돌려주는 펀드인 MMF(Money Market Fund)와 주식시장에 투자한 후 그 수익을 배분하는 뮤추얼 펀드(Mutual Fund) 등이 대표적이다. 대한민국의 법률 용어로는 간접투자자산운용업법상 "간접투자"라고 한다.(제1조) 목차 1 주식 도매및 펀드 2 주식투자의 종류 3 역사 4 투자 대상에 따른 분류 5 같이 보기 주식 도매및 펀드[편집] 주식도매 주식 도매란 주식의 가치를 평가한뒤 주식의 성장성 경제성을 고려해 구매 하는 것이다. 주식을 도매한뒤에 주식의 가치가 올라가고, 주식이 성장을하면, 투자를 한 사람의 재산은 늘어난다. 하지만, 주식의 가치가 떨어지고, -성장(마이너스 성장)을 하면 투자를 한 사람의 재산은 줄어들게 된다. 이것이 펀드의 법칙이다. 그래서 주식투자의 거장 워렌 버핏등은 주식이 떨어질 위기라면, 주식을 팔아 버린다. 그럼 재산은 지킬 수가 있기 때문이다. 펀드 펀드는 주식투자를 뜻하는 말이다. 펀드를 하기 위해서는 경제적 바탕지식과 사고개념이 뛰어나야 한다. 그래야만 성공적인 투자를 할 수 있고, 재산을 불릴 수있다. 주식은 단 한 사람이 소유할 수 없고, 7명 이상의 투자자가 있어야 한다. 투자금을 통해 주식은 일을 하고, 벌은 금액의 일부를 투자자들에게 보낸다. 투자자들은 이 금액을 소유하고 있지만, 그 금액을 가질 수는 없다. 금액이 늘어나면 소유한금액이 느는 것이고, 금액이 줄어들면, 소유한금액이 줄는 것이다. 이 금액을 가지기 위해서는 주식을 팔아야 한다. 그러면 안전히 금액을 보유할 수 있다. 주식투자의 종류[편집] 주식투자에는 두가지 종류가 있다. 바로 가치투자와 성장투자이다. 가치투자 가치투자는 주식의 가치만 보고 주식을 도매 하는 것이다. 이 방법의 이점은 profit 즉 이익 늘릴 수있다는 점 이다. 주식의 가치가 높다는 것은 성공률 이 높다는 뜻이고, 팔았을때 이익이 많을 것이라는 생각을 가진 투자자들의 방법이다. 하지만 요점은 위험하다는 점이다. 주식투자의 가장 재미있는 부분은 가치가 오르락 내리라 하는 것 이다. 가치가 높다면, 가치가 다른 주식보다 많이 내릴수가 있기때문이다. 성장투자 성장투자는 더 멀게 보고 성장할 것같은 주식을 도매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의 이점은 safety 즉 안전성이 보장된다. 낮은 가치의 주식이 천천히오른다면 내려도 큰 손실이 없기 때문에 오랫동안 주식을 보유할 수 있기때문에 안전성과 여유를 보유할 수 있다. 하지만 요점은 느리다는 점이다. 지금당장 금액이 필요한데, 가치가 낮다면, 더 기다리며 잊어버리고 다른 주식을 살 수도 있다. 하지만, 큰 문제가 되지는 않다. 어짜피 주식은 알아서 내리고, 오르기 때문이다. 역사[편집] 투자신탁의 기원으로 불리는 세계 최초의 펀드는 1868년 영국에서 생겨난 ‘해외 식민지·정부 신탁’(The Foreign Colonial & Government Trust)이었다고 한다. 이 펀드는 설립 취지서에서 “여러 가지 종류의 외국 및 식민지 정부 증권에 분산 투자해 투자 위험을 감소시킴으로써 대자본가와 마찬가지의 이익을 일반 투자자에게 돌려주기 위한 것”이라고 목적을 밝히고 있다. 한국 최초의 펀드는 1968년 자본시장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한국투자공사(하나대투증권의 전신)가 1970년 5월 20일 수익증권 형태로 1억 원 규모로 발행한 '증권투자신탁'이다. 투자 대상에 따른 분류[편집] 펀드는 투자 비중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분류한다. (한국펀드평가 기준) 주식 펀드: 주식 및 주식 관련 파생상품에 60% 이상 투자하는 펀드 채권 펀드: 채권 및 채권 관련 파생상품에 60% 이상 투자하는 펀드 혼합 펀드: 주식과 채권을 함께 섞어 투자하는 펀드 주식 혼합 펀드: 주식의 비율이 50~60%인 펀드 채권 혼합 펀드: 주식의 비율이 50% 이하인 펀드 머니 마켓 펀드(MMF): 단기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 부동산 펀드: 부동산에 관하여 투자하는 펀드 실물 펀드: 실물 경제(금, 은 등)에 투자하는 펀드 재간접 펀드: 다른 펀드에 투자하는 펀드 특별 자산 펀드: 특수 자산(선박, 도로 등)에 투자하는 펀드 같이 보기[편집] 좀비 펀드(en:Zombie fund) 전거 통제 NDL: 00573361 이 글은 경제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투자신탁&oldid=22111944" 분류: 투자숨은 분류: 경제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हिन्दीHrvatskiItaliano日本語LietuviųМакедонски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8월 25일 (토) 15: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투자신탁(投資信託)은 여러 투자자의 자금을 모아 펀드를 만들어 투자를 행하는 소위 집합투자조직(Collective Investment Scheme)이다. 국제투자신탁(國際投資信託)은 투자신탁이 국제간에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펀드(Fund)는 투자 신탁의 신탁 재산으로 조성된 기금을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요즈음은 자산 보유자 대신에 투자를 대행해 주는 투자신탁 금융상품을 일컫는 말로서, 자산관리 전문가가 국내 또는 해외의 자산(채권, 주식, 부동산 등)에 분산 투자하여 발생된 이익금을 되돌려 주는 상품이다. 대표적인 상품으로는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하고 그 수익을 고객에게 돌려주는 펀드인 MMF(Money Market Fund)와 주식시장에 투자한 후 그 수익을 배분하는 뮤추얼 펀드(Mutual Fund) 등이 대표적이다. 대한민국의 법률 용어로는 간접투자자산운용업법상 "간접투자"라고 한다.(제1조)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주식투자의 두 가지 종류는 무엇일까? Assistant: 가치투자 가치투자는 주식의 가치만 보고 주식을 도매 하는 것이다. 이 방법의 이점은 profit 즉 이익 늘릴 수있다는 점 이다. 주식의 가치가 높다는 것은 성공률 이 높다는 뜻이고, 팔았을때 이익이 많을 것이라는 생각을 가진 투자자들의 방법이다. 하지만 요점은 위험하다는 점이다. 주식투자의 가장 재미있는 부분은 가치가 오르락 내리라 하는 것 이다. 가치가 높다면, 가치가 다른 주식보다 많이 내릴수가 있기때문이다. 성장투자 성장투자는 더 멀게 보고 성장할 것같은 주식을 도매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의 이점은 safety 즉 안전성이 보장된다. 낮은 가치의 주식이 천천히오른다면 내려도 큰 손실이 없기 때문에 오랫동안 주식을 보유할 수 있기때문에 안전성과 여유를 보유할 수 있다. 하지만 요점은 느리다는 점이다. 지금당장 금액이 필요한데, 가치가 낮다면, 더 기다리며 잊어버리고 다른 주식을 살 수도 있다. 하지만, 큰 문제가 되지는 않다. 어짜피 주식은 알아서 내리고, 오르기 때문이다.
Human: 아래 The_1st_Japan_Arena_Tour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The 1st Japan Arena Tour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The 1st Japan Arena Tour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The 1st Japan Arena Tour소녀시대의 투어지역 일본시작일 2011년 5월 31일종료일 2011년 7월 18일공연횟수 14회 소녀시대 투어 연표 Into The New World(2009 ~ 2010) The 1st Japan Arena Tour GIRLS’ GENERATION TOUR(2011 ~ 2012) The 1st Japan Arena Tour는 GIRLS’ GENERATION TOUR의 일환으로 열린, 소녀시대의 첫 번째 단독 일본 아레나 투어 공연 프로그램이다. 이 콘서트는 일본 데뷔 9개월만에 펼쳐진 아레나 투어로 당초 7회 목표와 달리 총 45만명의 티켓 응모자가 몰려 14회로 계획이 변경되었다. 목차 1 개요 2 투어 일정 3 세트 리스트 4 각주 및 인용 개요[편집] 일본 데뷔 이후 소녀시대의 인기가 날로 높아지자 소녀시대의 아레나 투어 콘서트가 기획되었다. 2011년 5월 19일 오사카에서 첫 공연이 개최되었다. 그러나, 총 45만명의 티켓 응모자가 몰려 목표 관객동원수가 당초의 2배로 늘어났고, 공연내내 전석 매진이었다. 일본 아레나투어는 성황리에 2011년 7월 18일 폐막했고, 순수 티켓판매 수입만 180억원으로 추정된다.(현장판매 기념품 판매를 포함할 경우 200억원 넘는 수입을 거두었다.)[1] 투어 일정[편집] 날짜 도시 장소 관객 동원 2011년 5월 31일 대판 오사카 성 홀 통산 22,000명 2011년 6월 1일 2011년 6월 4일 기옥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통산 44,000명 2011년 6월 5일 2011년 6월 17일 동경 국립 요요기 경기장 제1체육관 통산 52,000명 2011년 6월 18일 2011년 6월 28일 2011년 6월 29일 2011년 7월 2일 광도 그린 아레나 통산 22,000명 2011년 7월 3일 2011년 7월 6일 나고야 시 니혼 가이시 홀 통산 20,000명 2011년 7월 7일 2011년 7월 17일 복강 마린 멧세 후쿠오카 통산 30,000명 2011년 7월 18일 세트 리스트[편집] JP는 일본어, KR은 한국어, EN은 영어로 곡을 불렀음을 말한다. 보기 - Opening VCR (Girl's Carnival) - - Entrance Show - Genie (JP) You-aholic (JP) MR.TAXI (JP) I'm In Love With The HERO (JP) - VCR #2 - Let It Rain (JP) - Ment - 첫눈에... (Snowy Wish) (KR) Etude (KR) Kissing You_Rearranged (KR) Oh! (KR) - VCR #3 - Don't Stop The Music[2](EN/효연) Almost[3](EN/제시카) 3[4](EN/써니) Lady Marmalade[5](EN/태연, 티파니) - VCR #4 - The Great Escape (JP) Bad Girl (JP) - VCR #5 - Devil's Cry (KR/태연) Run Devil Run (JP) Beautiful Stranger (JP) Hoot_Rock Tronnic Remix Ver. (JP) - VCR #6 - If[6](EN/유리) 4 Minutes[7](EN/윤아) Stuff Like That There[8](EN/서현) Sway[9](EN/수영) - VCR #7 - Danny Boy (EN/태연, 티파니, 써니, 제시카, 서현) Complete (KR) - Encore 1 - 동화 (My Child) (KR) - VCR #8 - 냉면 (차가운 니 얼굴) (KR) 하하하송 (HaHaHaSong) (KR) Gee (JP) Born To Be A Lady (JP) - Encore 2 - 다시 만난 세계 (Into The New World) (KR) 힘 내! (Way To Go) (KR) Baby Baby (KR) - Ment - It's Fantastic (JP) - Special Encore (7월 18일 한정) - Genie (JP) Bad Girl (JP) - Ending - 각주 및 인용[편집] ↑ 김성한 기자 (2011년 7월 19일). “소녀시대, 일본 아레나 투어 성황… 6개도시 14만명 열광”. 스포츠한국. 2015년 3월 2일에 확인함.  ↑ 원곡자 : 리한나 ↑ 원곡자 : 타미아 ↑ 원곡자 : 브리트니 스피어스 ↑ 원곡자 :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 원곡자 : 자넷 잭슨 ↑ 원곡자 : 마돈나 ↑ 원곡자 : 켈리 클락슨 ↑ 원곡자 : 푸시캣 돌스 vdeh소녀시대 현재 구성원 태연 써니 효연 유리 윤아 티파니 수영 서현 정규 음반대한민국 《소녀시대》 《Oh!》 《The Boys》 《I Got a Boy》 《Lion Heart》 《Holiday Night》 일본 《GIRLS' GENERATION》 《GIRLS' GENERATION II 〜Girls & Peace〜》 《LOVE & PEACE》 리패키지대한민국 《Baby Baby》 《Run Devil Run》 일본 《Re:Package Album "GIRLS' GENERATION" ~The Boys~》 컴필레이션 음반 《BEST SELECTION NON STOP MIX》 《THE BEST》 EP 《Gee》 《소원을 말해봐 (Genie)》 《훗 (Hoot)》 《Mr.Mr.》 라이브 음반 《Into The New World (The 1st Asia Tour Concert)》 《2011 Girls Generation Tour》 콘서트세계 Into The New World 2011 GIRLS’ GENERATION TOUR Girls' Generation World Tour - Girls & Peace SMTOWN WEEK - Marchen Fantasy GIRLS' GENERATION 4th TOUR "Phantasia" 일본 The 1st Japan Arena Tour Girls' Generation II ~Girls&Peace~ Japan 2nd Tour ~LOVE&PEACE~ Japan 3rd Tour GIRLS' GENERATION 'THE BEST LIVE' at TOKYO DOME 리얼리티 TV 쇼 《소녀 학교에 가다》 《MTV 소녀시대》 《팩토리 걸》 《공포영화 제작소》 《헬로 베이비》 《위험한 소년들》 《채널 소시》 관련 문서 SM 엔터테인먼트 이수만 Oh!GG 싱글 목록 음반 목록 음반외 활동 목록 콘서트 투어 목록 수상 목록   분류   위키공용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The_1st_Japan_Arena_Tour&oldid=24190125" 분류: 소녀시대의 콘서트 투어2011년 콘서트 투어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Bahasa IndonesiaPortuguês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3:0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The 1st Japan Arena Tour는 GIRLS’ GENERATION TOUR의 일환으로 열린, 소녀시대의 첫 번째 단독 일본 콘서트 투어이다. 이 콘서트는 일본 데뷔 9개월만에 펼쳐진 아레나 투어로 당초 7회 목표와 달리 총 45만명의 티켓 응모자가 몰려 14회로 변경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는 몇 명의 관중을 수용할수 있을까? Assistant: 44,000명 Human: 아래 보량궁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보량궁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보량궁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보량궁주 설씨(寶良宮主 薛氏, 604년~670년)는 신라의 제16대 풍월주 보종전군의 딸로, 김춘추의 아내 보라궁주와는 자매지간이다. 본래 진평왕의 후비였으나, 진평왕의 계비인 승만부인이 그녀를 시기하고 질투하여 출궁하였다고 한다.[1] 이후, 이부(異父) 남매이자 사촌간인 김양도에 재가하였다. 김양도는 동복누이와의 혼인을 내켜하지 않았으나 보량궁주가 그로 인해 병이 들고 어머니 양명공주가 이를 꾸짖자 어쩔 수 없이 혼인하였다.[1] 신라 30대 문무왕 10년(670년), 남편 김양도가 사신사로 당나라에 갔다 그곳에서 옥사하자 따라 죽었다 전해진다. 목차 1 가계 2 관련 작품 2.1 드라마 3 각주 가계[편집] 조모 : 미실궁주(美室) 조부 : 제7대 풍월주 설원랑(薛原郞) 부친 : 보종전군(宝宗) 모친 : 양명공주(良明公主, 진평과 보명궁주의 딸) 자매 : 태종 무열왕의 비 보라궁주(宝羅宮主) 남편&외조부 : 신라 26대 왕 진평왕(眞平王) 아들 : 보로전군(寶路殿君) - 김유신(金庾信)의 딸 작광(酌光)과 혼인 남편&남매 : 김양도(金良圖, 모종과 양명공주의 아들) 아들 : 양효(良孝) 딸 : 양시(良時) 관련 작품[편집] 드라마[편집] 《선덕여왕》 (MBC, 2009년, 배우:박은빈) 《대왕의 꿈》(KBS, 2012년~2013년, 배우:이시원) 각주[편집] ↑ 가 나 각훈, 김대문 (2008년 10월 15일). 《화랑세기 해동고승전》. 지만지고전천줄. 180(70면)쪽. ISBN 978896228155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보량궁주&oldid=21291771" 분류: 604년 태어남670년 죽음신라의 왕비순창 설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5월 18일 (금) 07: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보량궁주 설씨(寶良宮主 薛氏, 604년~670년)는 신라의 제16대 풍월주 보종전군의 딸로, 김춘추의 아내 보라궁주와는 자매지간이다. 본래 진평왕의 후비였으나, 진평왕의 계비인 승만부인이 그녀를 시기하고 질투하여 출궁하였다고 한다. 이후, 이부(異父) 남매이자 사촌간인 김양도에 재가하였다. 김양도는 동복누이와의 혼인을 내켜하지 않았으나 보량궁주가 그로 인해 병이 들고 어머니 양명공주가 이를 꾸짖자 어쩔 수 없이 혼인하였다.신라 30대 문무왕 10년(670년), 남편 김양도가 사신사로 당나라에 갔다 그곳에서 옥사하자 따라 죽었다 전해진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보량궁주의 딸의 이름은 무엇인가? Assistant: 양시
Human: 아래 트리파라디소스_협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트리파라디소스 협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트리파라디소스 협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트리파라디소스협의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트리파라디소스 협의 또는 트리파라디소스의 분할(Partition of Triparadisus)로 불리며, 기원전 321년에 시리아의 오론테스 강 근처의 도시 트리파라디소스에서 열린 알렉산더 대왕의 디아도코이(후계 장군)의 권력 분할 협정이다. 기원전 323년에 대왕의 사후에 열린 바빌론 회의에서의 결정을 수정한 것이었다. 목차 1 배경 2 내용 2.1 새 직책 2.2 신임자 2.3 유임 3 같이 보기 배경[편집]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급사하자, 왕위는 대왕의 이복동생 필리포스 3세와 대왕의 유복자 알렉산더 4세가 이어 받았다. 그러나 필리포스 3세는 지적장애를 가지고 있었으며, 대왕의 사후에 태어난 어린 알렉산더 4세는 정치를 할 수 없었기 때문에 페르디카스가 섭정으로 취임했다. 실질적인 제국의 일인자가 된 페르디카스와 그를 경계했던 안티파트로스, 프톨레마이오스, 크라테로스 등의 여러 장군은 권력 다툼을 벌였고, 곧 디아도코이 전쟁이 벌어졌다. 기원전 321년에 페르디카스는 프톨레마이오스를 징벌하기 위해 이집트로 쳐들어 갔다. 그러나 길 위에서 부하 장군들(페이톤, 안티게네스, 셀레우코스)에 의해 암살되었다. 그리고 페르디카스의 사후 제국의 체제를 결정하기 위해 그리고 새로운 권력 분배를 결정하기 위해 같은 해 시리아의 오론테스 강 상류에 있었던 트리파라디소스에서 디아도코이 회의가 소집된 것이다. 내용[편집] 여기에서는 바빌론 회의에서 결정된 지위와 태수령의 재편이 이루어졌다. 프톨레마이오스는 공석이 된 섭정 정도 페이톤과 아리다이오스를 붙이려 했지만 필리포스 3세의 왕비 에우리디케 2세(필리포스 2세의 조카 아민타스 4세와 필리포스 2세의 딸 키나네의 딸)의 강한 반대로 섭정의 자리에는 안티파트로스가 취임했다. 에우리디케 2세는 안티파트로스에 대해서도 열변을 토했고, 자신이 실권 장악을 노리고 있었지만, 여러 장군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실패로 돌아갔다. 결정 사항에 관하여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총 대주교 포티오스를 통해 전해지고 있다. 아리아노스의 설명과 디오도로스의 묘사도 남아 있다. 바빌론 회의의 경우와 달리 양자 사료의 내용에 큰 차이는 없다. 새 직책[편집] 바빌론 회의에서 수정된 직책은 아래와 같다. 섭정은 안티파트로스가 취임. 천부장(전체 기병대장)은 카산드로스 취임 (디오도로스에 따르면 이 인사는 안티고노스가 야망을 추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감시역으로 한다). 전권 장군(전군 총사령관)은 안티고노스가 취임 이전 페르디카스 잔당 토벌을 명했다. 측근 호위는 아가토크레스의 아들 아우토루코스, 페우케스타스의 동생 아민타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아들 프톨레마이오스, 그리고 폴리페르콘의 아들 알렉산더가 취임했다. 신임자[편집] 새로 태수령을 얻었던 또는 변경된 인물과 지역은 아래와 같다. 헬레스폰투스, 프리기아는 아리다이오스로 한다. 리디아는 크레토스로 한다. 카파도키아는 니카노르로 한다. 박트리아와 소그디아나는 스타사노르로 한다. 아레이아와 드란기아나는 스타산드로스로 한다. 킬리키아는 필로크세노스로 한다. 메소포타미아와 아르베라 지방은 암피마코스로 한다. 스시아나는 은방패 병단의 지휘관 안티게네스로 한다. 바빌로니아는 셀레우코스로 한다. 페르시스는 페우케스타스로 한다. 인도의 파로파미소스 산 부근( 간다라) 령이 페이톤에 추가되었다. 파로파미소스는 록사네 아버지 옥시아르테스에게 추가되었다. 파르티아는 필리포스로 한다. 유임[편집] 바빌론 회의에서 속주령에 거의 변화가 없었는 사람은 아래와 같다. 이집트 일대는 프톨레마이오스가 통치한다. 시리아는 라오메돈이 통치한다. 카르마니아는 토레포레모스이 통치한다. 메디아는 페이톤이 통치한다. 아라코시아와 게도로시아는 시비루티오스로 한다. 카리아는 아산드로스가 통치한다. 프리기아, 리카오니아, 팜필리아, 리키아는 안티고노스 파타라를 포함한 인더스 강 이후 국가의 통치자는 포로스가, 히다스페스 강 당은 타크실레스가 계속 유임시켰다. 이것은 알렉산더에 의해 안심하고 영토를 늘렸던 포로스와 타크실레스를 쫓아내기 쉽지 않는 문제를 고려했기 때문이다. 같이 보기[편집] 바빌론 회의 디아도코이 전쟁 디아도코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트리파라디소스_협의&oldid=24063620" 분류: 고대 그리스의 조약헬레니즘 왕조마케도니아 왕국디아도코이 전쟁분할기원전 321년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Català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Français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МакедонскиNederlandsPolski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09: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트리파라디소스 협의 또는 트리파라디소스의 분할(Partition of Triparadisus)로 불리며, 기원전 321년에 시리아의 오론테스 강 근처의 도시 트리파라디소스에서 열린 알렉산더 대왕의 디아도코이(후계 장군)의 권력 분할 협정이다. 기원전 323년에 대왕의 사후에 열린 바빌론 회의에서의 결정을 수정한 것이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트리파라디소스 협의에 따른 구역의 통치자는 누구야? Assistant: 새로 태수령을 얻었던 또는 변경된 인물과 지역은 아래와 같다. 헬레스폰투스, 프리기아는 아리다이오스로 한다. 리디아는 크레토스로 한다. 카파도키아는 니카노르로 한다. 박트리아와 소그디아나는 스타사노르로 한다. 아레이아와 드란기아나는 스타산드로스로 한다. 킬리키아는 필로크세노스로 한다. 메소포타미아와 아르베라 지방은 암피마코스로 한다. 스시아나는 은방패 병단의 지휘관 안티게네스로 한다. 바빌로니아는 셀레우코스로 한다. 페르시스는 페우케스타스로 한다. 인도의 파로파미소스 산 부근( 간다라) 령이 페이톤에 추가되었다. 파로파미소스는 록사네 아버지 옥시아르테스에게 추가되었다. 파르티아는 필리포스로 한다. Human: 아래 CJB_장학퀴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CJB 장학퀴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CJB 장학퀴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CJB 장학퀴즈 장르 퀴즈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CJB 방송 기간 1기: 2012년 6월 2일 ~ 2013년 1월 5일2기: 2013년 3월 2일 ~ 2013년 12월 28일3기: 2014년 3월 1일 ~ 2014년 12월 27일 방송 시간 토 오전 10시 55분 (본방송)목 오후 2시 10분 (재방송) 방송 분량 55분~60분 방송 시즌 3 방송 횟수 119부작[1] 기획 이한목 연출 이상대 조연출 박용진 작가 김원일, 김형인 출연자 안정은[2] 《CJB 장학퀴즈》는 CJB에서 충청북도 지역의 인재 양성 프로그램으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퀴즈 프로그램이다. 방영시간은 매주 토요일 오전 10:55 ~ 11:50이다. 목차 1 역대 진행자 2 방송시간 3 진행방식 3.1 1라운드 3.2 2라운드 3.3 3라운드 4 1기 연장원전 진행방식 5 2기 진행방식 6 2기 연장원전 진행방식 6.1 연장원 진출전 6.1.1 1라운드 6.1.2 2라운드 6.1.3 3라운드 7 3기 진행방식 7.1 1라운드 7.2 2-1라운드 - 1+1 주관식 8 역대 우승자 목록 8.1 1기 8.2 2기 8.3 3기 9 함께 보기 10 각주 11 외부 링크 역대 진행자[편집] 진행자 진행 기간 최지현 2012년 6월 2일 ~ 2012년 9월 8일 안정은 2012년 9월 15일 ~ 2014년 12월 27일 황수동 2013년 1월 5일 , 2013년 12월 28일 방송시간[편집] 방송기간 방송시간 2012년 6월 2일 ~ 2014년 12월 27일(본방송) 토요일 오전 10시 55분 ~ 12시 2012년 6월 20일 ~ 2014년 12월 27일(재방송) 목요일 오후 2시 10분 ~ 3시 15분 진행방식[편집] CJB 장학퀴즈 3000은 4명의 학생이 100점의 기본 점수를 갖고 3라운드 방식으로 진행하며 주장원과 월장원을 거쳐 연장원으로 올라가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월장원전은 방송 회차가 1기는 5배수일 때, 2기는 2 또는 7로 끝날 때, 3기는 1 또는 6으로 끝날 때에 진행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방송사 측의 사정으로 인해 변경될 수 있다. 주장원의 장학금은 100만원, 월장원의 장학금은 200만원, 연장원의 장학금은 3000만원(2기에서는 2000만원)으로 책정되어 있다. 1라운드[편집] OX 퀴즈와 객관식 퀴즈가 각 5문제 출제된다.[3] 문제당 10점이며 모니터에 정답을 적는 형식을 취한다. 중간에 이심전심 퀴즈 라고 하는 보너스 퀴즈가 1문제 출제되며 2인 1팀으로 각각 2음절을 적어 4음절의 정답을 완성한다. 이 때 2인이 모두 답을 맞히면 보너스 점수와 상품을 받을 수 있으나 2인중 1명이라도 맞히지 못하면 맞힌 1인도 점수를 받을 수 없다. 2라운드[편집] 주관식 퀴즈 5문제와 스피드 퀴즈 7문제가 출제된다.[4] 문제당 20점이며 주관식 퀴즈는 1라운드와 마찬가지로 모니터에 정답을 적으며 스피드 퀴즈는 버저를 눌러 정답을 직접 말한다. 스피드 퀴즈에서는 1인 1회 더블 찬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때 더블 찬스를 사용하는 학생부터 먼저 정답을 말할 수 있다. 더블 찬스 성공 시 40점을 얻을 수 있으나 더블 찬스 실패 시 20점이 감점된다. 2라운드 종료 후 점수가 높은 2인이 결승에 진출하며 출연한 4인이 모두 답을 맞히지 못할 경우 해당 문제는 시청자 퀴즈로 전환한다. 3라운드[편집] 2라운드를 통과한 2인이 장원의 자리를 놓고 연상 퀴즈 대결을 벌인다. 각각의 제시어를 듣고 4문제를 먼저 맞히는 학생이 장원의 자리에 등극한다. 2라운드까지 획득한 점수는 3라운드로 이어지지 않는다. 1기 연장원전 진행방식[편집] 역대 월장원전에 등극한 6명이 a,b조 각각 3명 씩 나누어 대결을 펼쳐서 각조 1위가 결승에 진출하며, 결승전에 진출한 2학생이 대결을 펼쳐 우승자를 가린다.[5] 예선전은 a,b조에 있는 3명이 대결을 펼쳐서 각조 1위가 결승에 진출한다.[6] 결승전은 1기 3라운드 형식과 동일하며, 제시어에 따라 40,30,20,10점 순으로 차등 배점된다. 문제를 계속 풀다가 먼저 100점 이상을 획득한 학생이 연장원으로 등극한다. 2기 진행방식[편집] 2013년 3월 2일 33회차 부터 방영을 개시한 2기는 1기 형식과 유사하게 진행되며, 중간중간에 새로운 규칙을 적용하였다. 통통(通通)퀴즈 : 두 참가자가 짝을 이뤄 60초 간 스피드 퀴즈를 풀어서 많이 맞힌 팀에게 20점 씩 부여된다. 더블찬스는 해당 학생이 친구와 같이 문제를 풀 수 있으며, 더블찬스에 성공하면 문제를 같이 푼 친구에게는 선물이 돌아간다. 결승전 연상퀴즈는 1기 연장원 형식과 동일하다. 2기 연장원전 진행방식[편집] 연장원 진출전[편집] 1라운드[편집] 첫 번째 유형 : 있다 없다 퀴즈(개인별로 3문제 부여, 한 문제 당 10점) 그 뒤 형식은 예전 1라운드 형식과 동일하다.(예전처럼 기본점수 100점 없이 시작) 2라운드[편집] 첫 번째 유형 : 주관식 퀴즈로 전과 동일한 형식으로 진행된다. 두 번째 유형 : what's up? 퀴즈 - 시민들의 반응을 본 뒤 정답을 유추하는 형식으로, 역시 공통문제로 주어진다(배점 20점) 세 번째 유형 : 사다리 퀴즈 - 출연학생은 장,학,퀴,즈 네 개의 제시어 중 하나를 선택해서 개인전으로 문제를 풀며, 선택한 제시어가 도달된 유형을 푸는 형식. 힌트로는 초성, 연상, 영상으로 주어진다(꽝도 있음, 단 꽝이더라도 문제를 풀 기회는 주어진다) 3라운드[편집] 첫 번째 유형 : 주관식 스피드 퀴즈로 전과 동일한 형식으로 진행된다. 두 번째 유형 : 더블더블 퀴즈 - 출연학생이 미리 지정한 분야를 1단계,2단계로 나누어 푸는 대결, 1단계 성공시 20점 획득과 2단계에서 30점을 획득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도전학생이 해당 문제를 맞히지 못할 경우, 기회는 다른 세 학생에게 넘어가게 된다. 문제를 다 풀고, 상위 2명이 연장원전에 진출한다. 연장원은 있다 없다 퀴즈가 진행된 다음 2기 예전 형식으로 진행된다.(단, 통통퀴즈는 생략됨) 3기 진행방식[편집] 1라운드[편집] 예전 진행방식과 동일하다. 2-1라운드 - 1+1 주관식[편집] C,J,B,장,학,퀴,즈,S,3 아홉개의 글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서, 해당하는 키워드를 푼다. 문제 푸는 순서는 점수가 높은 사람부터 진행한다. 배점은 20점,30점으로 최대 60점까지 획득가능, 성공하면 문제를 계속 풀 수 있으나 실패하면 문제 풀 기회가 상실된다. 그 뒤 형식은 전과 동일하다.(더블찬스는 예전처럼 혼자 푸는 형식으로 바뀌며, 2라운드에서 단독 1위로 올라온 학생에게는 기본점수 10점이 주어진다.) 역대 우승자 목록[편집] 1기[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이름 출신학교 등급 비고 1회 2012년 6월 2일 권오찬 충북과학고등학교 주장원 2회 2012년 6월 9일 김준형 충주고등학교 3회 2012년 6월 16일 장지영 청주여자고등학교 4회 2012년 6월 23일 강대건 세광고등학교 5회 2012년 6월 30일 권오찬 충북과학고등학교 월장원 6회 2012년 7월 7일 박대호 한국바이오마이스터고등학교 주장원 7회 2012년 7월 14일 이병진 진천고등학교 8회 2012년 7월 21일 이상찬 청주고등학교 9회 2012년 7월 28일 이예찬 충북고등학교 10회 2012년 8월 4일 이예찬 충북고등학교 월장원 11회 2012년 8월 11일 김선 충북여자고등학교 주장원 12회 2012년 8월 18일 박상원 충북과학고등학교 13회 2012년 8월 25일 김상필 보은고등학교 14회 2012년 9월 1일 허범안 제천고등학교 15회 2012년 9월 8일 김상필 보은고등학교 월장원 16회 2012년 9월 15일 김유신 청원고등학교 주장원 개편: mc는 안정은 아나운서, 방송시간은 am 11~12시로 변경 17회 2012년 9월 22일 민병길 청석고등학교 첫 패자부활전 18회 2012년 9월 29일 김혁준 양업고등학교 19회 2012년 10월 6일 유영태 청주신흥고등학교 20회 2012년 10월 13일 유영태 청주신흥고등학교 월장원 21회 2012년 10월 20일 최민혜 세명고등학교 주장원 22회 2012년 10월 27일 이재인 충북 청주 청석고등학교 23회 2012년 11월 3일 오수진 청주대성고등학교 24회 2012년 11월 10일 이소현 제천여자고등학교 25회 2012년 11월 17일 이소현 제천여자고등학교 월장원 26회 2012년 11월 24일 홍경원 금천고등학교 주장원 27회 2012년 12월 1일 함윤수 산남고등학교 28회 2012년 12월 8일 손동준 제천고등학교 29회 2012년 12월 15일 신동욱 세광고등학교 두 번째 패자부활전, 1기 마지막 주장원전 30회 2012년 12월 22일 홍경원 금천고등학교 월장원 1기 마지막 월장원전 31회 2012년 12월 29일 권오찬 충북과학고등학교 연장원 1기 연장원전, 준우승자 김상필에게는 노트북 부여[7] 2기[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이름 출신학교 등급 비고 33회 2013년 3월 2일 장민지 일신여자고등학교 주장원 2기 첫방송 34회 2013년 3월 9일 조정수 청원고등학교 35회 2013년 3월 16일 이기수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36회 2013년 3월 23일 유민주 청원고등학교 37회 2013년 3월 30일 조정수 청원고등학교 월장원 38회 2013년 4월 6일 강혜윤 중산고등학교 주장원 39회 2013년 4월 13일 신지환 한국교원대학교 부설고등학교 40회 2013년 4월 20일 오현근 운호고등학교 41회 2013년 4월 27일 이하경 상당고등학교 42회 2013년 5월 4일 신지환 한국교원대학교 부설고등학교 월장원 43회 2013년 5월 11일 연승하 서원고등학교 주장원 44회 2013년 5월 18일 강창현 옥천고등학교 45회 2013년 5월 25일 엄호영 충주대원고등학교 46회 2013년 6월 1일 김영창 충주고등학교 47회 2013년 6월 8일 김영창 충주고등학교 월장원 48회 2013년 6월 15일 김수민 양업고등학교 주장원 49회 2013년 6월 22일 정성훈 청주대성고등학교 50회 2013년 6월 29일 박금정 보은여자고등학교 51회 2013년 7월 6일 정의광 한국교원대학교 부설고등학교 52회 2013년 7월 13일 정의광 한국교원대학교 부설고등학교 월장원 53회 2013년 7월 20일 강희창 오송고등학교 주장원 54회 2013년 7월 27일 유병서 청주외국어고등학교 55회 2013년 8월 3일 지석천 제천고등학교 56회 2013년 8월 10일 정지현 청석고등학교 상반기 패자부활전 57회 2013년 8월 17일 정지현 청석고등학교 월장원 58회 2013년 8월 24일 박세연 양청고등학교 주장원 59회 2013년 8월 31일 황재현 형석고등학교 60회 2013년 9월 7일 김석현 충주고등학교 61회 2013년 9월 14일 홍지수 중앙여자고등학교 62회 2013년 9월 21일 김석현 충주고등학교 월장원 63회 2013년 9월 28일 이성철 세광고등학교 주장원 64회 2013년 10월 5일 이승욱 한국교원대학교부설고등학교 65회 2013년 10월 12일 정도영 단양고등학교 66회 2013년 10월 19일 조윤성 청주 대성고등학교 67회 2013년 10월 26일 정도영 단양고등학교 월장원 68회 2013년 11월 2일 김종현 진천고등학교 주장원 69회 2013년 11월 9일 이연수 봉명고등학교 70회 2013년 11월 16일 황서경 제천여자고등학교 71회 2013년 11월 23일 구본호 음성 매괴고등학교 하반기 패자부활전, 2기 마지막 주장원전 72회 2013년 11월 30일 황서경 제천여자고등학교 월장원 2기 마지막 월장원전[8] 75회 2013년 12월 21일 조정수 청원고등학교 연장원 준우승자 김석현에게는 500만원 상금 부여[9] 3기[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이름 출신학교 등급 비고 77회 2014년 3월 1일 신예성 청원 오송고등학교 주장원 3기 첫방송 78회 2014년 3월 8일 고현석 충주 중산고등학교 79회 2014년 3월 15일 김대환 한국 교원대부고등학교 80회 2014년 3월 22일 이희진 대성고등학교 81회 2014년 3월 29일 김대환 한국 교원대부고등학교 월장원 82회 2014년 4월 5일 조원기 운호고등학교 주장원 83회 2014년 4월 12일 김선아 보은고등학교 84회 2014년 4월 26일 유지인 청원고등학교 진도 여객선 침몰 사고 편성으로 한 주 연기 85회 2014년 5월 3일 황인제 흥덕고등학교 86회 2014년 5월 10일 김선아 보은고등학교 월장원 87회 2014년 5월 17일 류기쁨 청석고등학교 주장원 88회 2014년 5월 24일 김은채 제천여자고등학교 89회 2014년 5월 31일 허웅배 제천고등학교 90회 2014년 6월 7일 이제헌 세광고등학교 91회 2014년 6월 14일 이제헌 세광고등학교 월장원 92회 2014년 6월 21일 황경주 청원고등학교 주장원 93회 2014년 6월 28일 민예란 청주 중앙여자고등학교 94회 2014년 7월 5일 김민정 청주 주성고등학교 95회 2014년 7월 12일 윤교범 청주 세광고등학교 96회 2014년 7월 19일 황경주 청원고등학교 월장원 97회 2014년 7월 26일 김재혁 충주 중산고등학교 주장원 상반기 패자부활전 98회 2014년 8월 2일 이진희 충북 과학고등학교 99회 2014년 8월 9일 심현섭 오송고등학교 100회 2014년 8월 16일 이규연 상당고등학교 101회 2014년 8월 23일 이진희 충북 과학고등학교 월장원 102회 2014년 8월 30일 차보금 한국교원대부고 주장원 103회 2014년 9월 6일 정태훈 제천고등학교 104회 2014년 9월 13일 성준호 청석고등학교 105회 2014년 9월 20일 송은혜 보은여자고등학교 106회 2014년 9월 27일 차보금 한국교원대부고 월장원 107회 2014년 10월 4일 민정원 제천여자고등학교 주장원 108회 2014년 10월 11일 이세훈 청주 세광고등학교 109회 2014년 10월 18일 윤지수 청주 흥덕고등학교 110회 2014년 10월 25일 김장원 청주 외국어고등학교 111회 2014년 11월 1일 이세훈 청주 세광고등학교 월장원 112회 2014년 11월 8일 김향온 충북여자고등학교 주장원 113회 2014년 11월 15일 박해나 보은고등학교 114회 2014년 11월 22일 김지욱 제천고등학교 115회 2014년 11월 29일 이주희 충주여자고등학교 하반기 패자부활전 116회 2014년 12월 6일 박해나 보은고등학교 월장원 [10] 119회 2014년 12월 27일 이세훈 세광고등학교 연장원 준우승자 이제헌 함께 보기[편집] 도전! 골든벨 장학퀴즈 각주[편집] ↑ 1,2기 마지막회는 스페셜 방송으로 꾸며짐. ↑ 초창기에는 최지현이 진행하였으며 스페셜 방송에서는 황수동과 같이 방송을 진행한다. ↑ 4회차까지는 OX 퀴즈와 객관식 퀴즈가 각 7문제 출제되었다. ↑ 4회차까지는 주관식 퀴즈와 스피드 퀴즈가 각 5문제 출제되었다. ↑ 1기 연장원전은 스튜디오가 아닌 한국교통대학교 국제회의장에서 공개녹화로 진행되었다. ↑ 형식은 예전 1-2라운드와 동일, 다만 이심전심 퀴즈는 세 도전자가 각자 한 음절씩, 세 음절의 답을 적는 것만 다를 뿐이다. ↑ 32회는 스페셜 방송으로 꾸며졌다.(출연자:권오찬,김상필,이예찬,홍경원) ↑ 73회와 74회는 연장원 진출자전으로 꾸며졌다.(진출자 : 조정수,김영창,김석현,정지현) ↑ 76회는 스페셜 방송으로 꾸며졌다.(출연자:조정수, 김석현, 김영창) ↑ 117,118회는 연장원 진출전으로 꾸며졌다.(진출자: 이제헌, 황경주, 박해나, 이세훈) 외부 링크[편집] CJB 공식 홈페이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CJB_장학퀴즈&oldid=24203043" 분류: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퀴즈 쇼청주방송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11: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장학퀴즈》(獎學 Quiz)는 1973년 2월 18일부터 1996년 10월 20일까지 MBC TV에서 방송되었으며, 1997년 1월 12일부터 방송 중인 EBS 1TV의 퀴즈 프로그램이다. SK그룹이 스폰서를 맡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CJB 장학퀴즈 2기 방송에서 역대 우승자는 누구였을까? Assistant: 회차 방송일 이름 출신학교 등급 비고 33회 2013년 3월 2일 장민지 일신여자고등학교 주장원 2기 첫방송 34회 2013년 3월 9일 조정수 청원고등학교 35회 2013년 3월 16일 이기수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36회 2013년 3월 23일 유민주 청원고등학교 37회 2013년 3월 30일 조정수 청원고등학교 월장원 38회 2013년 4월 6일 강혜윤 중산고등학교 주장원 39회 2013년 4월 13일 신지환 한국교원대학교 부설고등학교 40회 2013년 4월 20일 오현근 운호고등학교 41회 2013년 4월 27일 이하경 상당고등학교 42회 2013년 5월 4일 신지환 한국교원대학교 부설고등학교 월장원 43회 2013년 5월 11일 연승하 서원고등학교 주장원 44회 2013년 5월 18일 강창현 옥천고등학교 45회 2013년 5월 25일 엄호영 충주대원고등학교 46회 2013년 6월 1일 김영창 충주고등학교 47회 2013년 6월 8일 김영창 충주고등학교 월장원 48회 2013년 6월 15일 김수민 양업고등학교 주장원 49회 2013년 6월 22일 정성훈 청주대성고등학교 50회 2013년 6월 29일 박금정 보은여자고등학교 51회 2013년 7월 6일 정의광 한국교원대학교 부설고등학교 52회 2013년 7월 13일 정의광 한국교원대학교 부설고등학교 월장원 53회 2013년 7월 20일 강희창 오송고등학교 주장원 54회 2013년 7월 27일 유병서 청주외국어고등학교 55회 2013년 8월 3일 지석천 제천고등학교 56회 2013년 8월 10일 정지현 청석고등학교 상반기 패자부활전 57회 2013년 8월 17일 정지현 청석고등학교 월장원 58회 2013년 8월 24일 박세연 양청고등학교 주장원 59회 2013년 8월 31일 황재현 형석고등학교 60회 2013년 9월 7일 김석현 충주고등학교 61회 2013년 9월 14일 홍지수 중앙여자고등학교 62회 2013년 9월 21일 김석현 충주고등학교 월장원 63회 2013년 9월 28일 이성철 세광고등학교 주장원 64회 2013년 10월 5일 이승욱 한국교원대학교부설고등학교 65회 2013년 10월 12일 정도영 단양고등학교 66회 2013년 10월 19일 조윤성 청주 대성고등학교 67회 2013년 10월 26일 정도영 단양고등학교 월장원 68회 2013년 11월 2일 김종현 진천고등학교 주장원 69회 2013년 11월 9일 이연수 봉명고등학교 70회 2013년 11월 16일 황서경 제천여자고등학교 71회 2013년 11월 23일 구본호 음성 매괴고등학교 하반기 패자부활전, 2기 마지막 주장원전 72회 2013년 11월 30일 황서경 제천여자고등학교 월장원 2기 마지막 월장원전[8] 75회 2013년 12월 21일 조정수 청원고등학교 연장원 준우승자 김석현에게는 500만원 상금 부여[9]
Human: 아래 영성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영성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영성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영성군 이계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영성군(寧城君) 지위 군(君) 이름 휘 이계(李㻑) 시호 효경(孝景) 신상정보 출생일 1606년 음력 12월 24일 출생지 조선 사망일 1649년 사망지 조선 매장지 영성군 이계 묘(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벽제동) 왕조 조선 부친 선조 모친 온빈 한씨 배우자 회산군부인 황씨 자녀 회원군 영성군(寧城君, 1606년 음력 12월 24일 ~ 1649년)은 조선의 왕족이다. 선조의 13번째 아들이자 온빈 한씨의 셋째 아들이다. 목차 1 생애 2 가족 관계 3 출처 4 외부 링크 생애[편집] 1606년(선조 39년) 음력 12월 24일 조선 제14대 임금인 선조와 온빈 한씨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1] 성은 이, 이름은 계(㻑), 본관은 전주이다. 흥안군, 경평군, 정화옹주의 친동생이며. 광해군, 정원군과는 이복 형제이다. 1632년(인조 10년) 음력 6월 15일 영성군의 종이 무단으로 감옥에 들어가 갇혀있던 죄수들을 시켜 관원들을 욕보이게 하여 물의를 빚었다. 당시 대간들은 영성군의 종에 대한 처벌을 주장하였으나, 인조는 별다른 처벌 없이 지나갔다.[2] 또 이듬해 열린 인목왕후 연제[3] 에는 경평군과 함께 병을 핑계로 불참하여 또 탄핵을 받았으나, 이때에도 인조의 배려로 무사히 넘어갈 수 있었다.[4] 이후 1649년(인조 27년) 향년 44세를 일기로 사망하였으며, 묘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벽제동에 있다.[5] 사후 효경(孝景)의 시호를 받았다.[1] 가족 관계[편집] 영성군은 창원 황씨 황이중(黃履中)의 딸과 결혼하여 아들 회원군을 낳았으며,[6] 황씨는 회산군부인(檜山郡夫人)에 봉해졌다. 회원군은 효종 때부터 영조 때까지 살며 사옹원, 종친부, 도총부 등에서 관직을 두루 지냈다.[1] 1724년(영조 즉위년) 회원군의 나이가 90에 가까워 영조로부터 그 손자들이 가자되었고,[7] 1731년(영조 7년) 음력 8월 6일 향년 96세로 사망하여 조정에서 관으로 쓸 재료와 3년분의 녹미를 지급하였다.[6][8] 회원군은 아들 하나를 두었으나 요절하는 바람에 세종의 7남 광평대군의 7대손을 양자로 들여 함평군(咸平君)에 봉하여 후사를 이었다. 함평군은 아들을 6명이나 두었으나, 현재의 영성군파는 총 200세대 미만으로 그 수가 적은 편이라고 한다. 청와대 비서실장을 지낸 이재항 등이 영성군의 후손이다.[1] 아버지 : 제14대 선조(宣祖, 1552~1608, 재위:1567~1608) 어머니 : 온빈 한씨(溫嬪 韓氏, 1581~1604) 형 : 흥안군 이제(興安君 李瑅, ?~1624) 형 : 경평군 이륵(慶平君 李玏, 1600~1673) 누나 : 정화옹주(貞和翁主, 1604~1667) 부인 : 회산군부인 창원 황씨(檜山郡夫人 昌原 黃氏) 아들 : 회원군 이윤(檜原君 李倫, 1636~1731) 출처[편집] ↑ 가 나 다 라 전주이씨대동종약원 - 영성군 약사 ↑ 《조선왕조실록》인조 26권, 10년(1632 임신 / 명 숭정 5년) 6월 15일(신사) 1번째기사 ↑ 練祭. 사후 1년이 되는 날 지내는 제사인 소상이 끝나는 때의 의식이다. 《한국고전용어사전》〈변제〉 항목 참고 ↑ 《조선왕조실록》인조 28권, 11년(1633 계유 / 명 숭정 6년) 7월 6일(병신) 2번째기사 ↑ 영성군이계묘 - 두산세계대백과사전 ↑ 가 나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이륜〉항목 ↑ 《조선왕조실록》영조 2권, 즉위년(1724 갑진 / 청 옹정 2년) 11월 21일(신유) 2번째기사 ↑ 《조선왕조실록》영조 30권, 7년(1731 신해 / 청 옹정 9년) 8월 6일(병신) 2번째기사 외부 링크[편집]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 vdeh조선과 대한제국의 왕자/황자 목록추존왕 목조 소생 안천대군 어선 안원대군 진 안풍대군 정 익조 행리 안창대군 매불 안흥대군 구수 추존왕 익조 소생 함녕대군 안 함창대군 장 함원대군 송 도조 춘 함천대군 원 함릉대군 고태 함양대군 전 함성대군 응거 추존왕 도조 소생 완창대군 자흥 환조 자춘 완원대군 자선 완천대군 평 완성대군 종 이완자불화 이나해 추존왕 환조 소생 태조 성계 완풍대군 원계 영성대군 천계 의안대군 화 태조 소생 진안대군 방우 영안대군 방과 → 정종 익안대군 방의 회안대군 방간 정안대군 방원 → 태종 덕안대군 방연 무안대군 방번 의안대군 방석 정종 소생 의평군 원생 순평군 군생 금평군 의생 선성군 무생 종의군 귀생 진남군 종생 수도군 덕생 임언군 녹생 석보군 복생 덕천군 후생 임성군 호생 도평군 말생 장천군 보생 정석군 융생 무림군 선생 태종 소생 양녕대군 제 효령대군 보 충녕대군 도 → 세종 성녕대군 종 경녕군 비 함녕군 인 온녕군 정 익녕군 치 근녕군 농 희령군 타 후령군 간 혜령군 지 세종 소생 왕세자 향 → 문종 수양대군 유 → 세조 안평대군 용 임영대군 구 광평대군 여 금성대군 유 평원대군 임 영응대군 염 화의군 영 계양군 증 의창군 공 밀성군 침 익현군 연 영해군 당 담양군 거 한남군 어 수춘군 현 영풍군 전 문종 소생 왕세자 홍위 → 단종 단종 소생세조 소생 의경세자 장 → 추존왕 덕종 해양대군 황 → 예종 덕원군 서 창원군 성 추존왕 덕종 소생 월산대군 정 잘산대군 혈 → 성종 예종 소생 인성대군 분 제안대군 현 성종 소생 왕세자 융 → 연산군 진성대군 역 → 중종 무산군 종 안양군 항 봉안군 봉 전성군 변 계성군 순 완원군 수 회산군 념 견성군 돈 익양군 회 경명군 침 운천군 인 양원군 희 이성군 관 영산군 전 연산군 소생 폐세자 황 창녕대군 성 이인수 이영수 이총수 양평군 인 이돈수 중종 소생 왕세자 호 → 인종 경원대군 환 → 명종 복성군 미 금원군 영 봉성군 완 영양군 거 덕흥군 초 → 덕흥대원군 해안군 희 덕양군 기 인종 소생명종 소생 순회세자 부 선조(양자) 선조 소생 영창대군 의 임해군 진 광해군 혼 의안군 성 신성군 후 정원군 부 → 추존왕 원종 의창군 광 순화군 보 인성군 공 인흥군 영 경창군 주 흥안군 제 경평군 늑 영성군 계 광해군 소생 폐세자 지 추존왕 원종 소생 능양대군 종 → 인조 능원대군 보 능창대군 전 능풍군 명 인조 소생 소현세자 왕 봉림대군 호 → 효종 인평대군 요 용성대군 곤 숭선군 징 낙선군 숙 효종 소생 왕세자 연 → 현종 현종 소생 왕세자 순 → 숙종 숙종 소생 왕세자 균 → 경종 성수 영수 연잉군 금 → 영조 연령군 훤 경종 소생영조 소생 효장세자 행 → 추존왕 진종 장헌세자 선 → 추존왕 장조 추존왕 진종 소생 정조(양자) 추존왕 장조 소생 의소세손 정 왕세손 산 → 정조 은언군 인 은신군 진 은전군 찬 정조 소생 문효세자 순 왕세자 공 → 순조 상계군 담(양자) 순조 소생 효명세자 영 → 추존왕 문조 철종(양자) 추존왕 문조 소생 왕세손 환 → 헌종 고종(양자) 헌종 소생철종 소생 원자 융준 고종 소생 왕세자 척 → 순종 완친왕 선 의친왕 강 의민황태자 은 순종 소생의민황태자 소생 원손 진 왕세자 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영성군&oldid=21618697" 분류: 1606년 태어남1649년 죽음조선의 왕족조선의 왕자조선 선조전주 이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6월 22일 (금) 20: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영성군(寧城君, 1607년 1월 21일 (1606년 음력 12월 24일) ~ 1649년 10월 24일(음력 9월 19일))은 조선의 왕족이다. 선조의 막내 아들이자 온빈 한씨의 셋째 아들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조선의 14대 임금이며 은빈 한씨와 결혼하여 영성군을 낳은 이 인물의 이름은? Assistant: 선조 Human: 아래 부소산성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부소산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부소산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비성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사비성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고구려의 성에 대해서는 비사성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부여 부소산성 (扶餘 扶蘇山城) 대한민국의 사적 부소산성 정문종목 사적 제5호 (1963년 1월 21일 지정)면적 983,598m2시대 삼국 시대소유 국유위치 부소산성주소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부소로 31 (쌍북리)좌표 북위 36° 17′ 15″ 동경 126° 54′ 55″ / 북위 36.28750° 동경 126.91528°  / 36.28750; 126.91528좌표: 북위 36° 17′ 15″ 동경 126° 54′ 55″ / 북위 36.28750° 동경 126.91528°  / 36.28750; 126.91528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부소산성(扶蘇山城)은 백제의 마지막 왕성으로 백제 시대에는 사비성(泗沘城)이라 불렸다. 부여군 부여읍의 서쪽에 금강을 낀 부소산에 자리하고 있으며, 둘레는 대략 2.2km, 면적은 약 74만m2에 달한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5호로 지정되었다. 부소산성은 부소산 정상에 테뫼식 산성을 쌓은 후, 주변을 포곡식으로 쌓은 복합 산성이다. 부소산성 주변에는 다시 청산성과 청마산성 등의 보조 성이 있으며, 남쪽에는 성흥산성의 지원을 받았다. 과거의 군수품 창고 터 등이 남아 있으며, 그 외에도 낙화암과 고란사 등이 있다. 목차 1 개요 2 세계문화유산 지정 3 같이 보기 4 각주 5 참고 문헌 개요[편집] 백마강 남쪽 부소산을 감싸고 쌓은 산성으로 사비시대의 도성(都城)이다. 『삼국사기』「백제본기」에는 사비성·소부리성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성이 위치한 산의 이름을 따서 부소산성이라 부른다. 웅진(지금의 공주)에서 사비(지금의 부여)로 수도를 옮기던 시기인 백제 성왕 16년(538)에 왕궁을 수호하기 위하여 이중(二重)의 성벽을 쌓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동성왕 22년(500)경에 이미 산 정상을 둘러쌓은 테뫼식 산성이 있던 것을 무왕 6년(605)경에 지금의 모습으로 완성한 것으로 짐작되어 백제 성곽 발달사를 보여주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성곽의 형식은 산봉우리를 중심으로 빙 둘러싼 테뫼식과 다시 그 주위를 감싸게 쌓은 포곡식이 혼합된 복합식 산성이다. 동·서·남문터가 남아 있으며, 북문터에는 금강으로 향하는 낮은 곳에 물을 빼는 수구가 있던 것으로 보인다. 성 안에는 군창터 및 백제 때 건물터와 영일루·사비루·고란사·낙화암 등이 남아있다. 성 안에 군창터와 건물터 등이 있는 것으로 보아, 유사시에는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하고, 평상시에는 백마강과 부소산의 아름다운 경관을 이용하여 왕과 귀족들이 즐기던 곳으로 쓰인 듯하다. 이 산성은 사비시대의 중심 산성으로서 백제가 멸망할 때까지 수도를 방어한 곳으로 역사적 의의가 있다. 세계문화유산 지정[편집] 2015년 7월 4일 독일 본에서 열린 제39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에서 백제역사유적지구(총 8개의 유적지들 중 공주지역에 2곳(공산성, 송산리 고분군), 부여 4곳(관북리 유적 및 부소산성, 능산리 고분군, 정림사지, 부여 나성))가 세계 유산 등재 심사를 최종 통과했다. 이번 세계 유산 등재는 충청권에서는 최초로 선정되었다.[1] 같이 보기[편집] 백제 의자왕 성흥산성 낙화암 고란사 청산성 청마산성 금동정지원명석가여래삼존입상 각주[편집] ↑ 충청·백제 유적 최초로 세계반열 올라…공주 2곳, 부여 4곳 참고 문헌[편집] 부여 부소산성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이 문서에는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한 국가문화유산포털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vdeh 충청남도의 성(城)공원 | 교통 | 도로 | 도서관 | 동굴 | 박물관 | 산 | 서원 | 섬 | 성 | 온천 | 저수지 | 종합병원 | 축제 | 하천 | 해수욕장공주시 공산성 광정리 산성 단지리 토성 만수리 산성 무성산성 봉곡산성 상성 송곡리산성 수촌리성 신풍산성 양화산성 오인리산성 옥녀봉성 옥성리성 용성 율정리산성 이인산성 중장리산성 한산성 금산군 묵산리산성 백령성 자지성 진산읍성 추정리산성 논산시 노성산성 모촌리산성 불암산성 산직리산성 신흥리산성 외성산성 의성리산성 청동리산성 황산성 황화산성 당진시 당산성 면천읍성 몽산성 성상리산성 성동리산성 운정리산성 당진포진성 보령시 고남산성 남포읍성 대봉산성 보령읍성 삼곡리산성 소송리내송성 아현산성 진당산성 창암리성 충청수영성 황율리성 부여군 가림성 구룡산성 금성산성 나성 논치산성 누르개산성 미녀봉산성 반산성 봉황산성 부산성 부소산성 부장산성 북고리증산성 북촌리산성 사자봉산성 석성산성 시랭이산성 외리산성 울성산성 은산당산성 이목치산성 이중산성 점상리산성 증산성 청마산성 토성산성 토정산성 학동산성 서산시 고구산성 공림산성 금굴산성 달산리성 대미산성 반양리산성 부성산성 북방산성 북주산성 서방산성 성왕산성 신송리산성 양잠리성 연암산성 웅소리산성 진장리석성 해미읍성 서천군 건지산성 남산성 둔덕리산성 만덕리산성 비인읍성 산천리산성 서천읍성 성북리산성 월명산성 장구리산성 장암진성 장포리산성 지원리산성 한산읍성 한성리산성 아산시 군덕리산성 기산산성 배방산성 백암리산성 성내리산성 수한산성 신창학성 영인산성 천덕산성 학성산성 예산군 금후산성 대천태산성 사동리산성 상장리성 상중리성 소천태산성 신속리성 예산산성 임존성 천안시 광덕산성 구룡리산성 국사봉산성 대성산성 도원산성 동성산성 두남리산성 동림산성 망경산성 목천성 백석동토성 사산성 세성산성 서리산성 성거산성 성산산성 용와산성 위례성 일봉산성 작성산성 청당동산성 하장성 화계리산성 흑성산성 청양군 갓골토성 계봉산성 군량리산성 두률성 두릉산성 방한리산성 백곡리산성 별초막토성 우산성 제미재토성 태봉산성 테뫼산성 태안군 두야리산성 백화산성 서방현성 소근진성 수룡리산성 안흥성 양잠리산성 태안읍성 토성산성 한의산성 홍성군 결성읍성 석성산성 소구니산성 신금성 장곡산성 태봉산성 학성산성 홍주읍성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부소산성&oldid=23505291" 분류: 백제의 성한국의 옛 수도부여군의 사적충청남도의 성금강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공공누리 제1유형 저작물을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Français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21일 (월) 02: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부여 부소산성(扶餘 扶蘇山城)은 백제 사비도성의 배후산성과 왕궁성으로 추정되는 유적이다. 부여군 부여읍의 서쪽에 금강을 낀 부소산 속에 있으며, 둘레는 대략 2.2km, 면적은 약 74만m2에 달한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5호로 지정되었다. 부소산성은 부소산 정상에 테뫼식 산성을 쌓은 후, 주변을 포곡식으로 쌓은 복겹 산성이다. 부소산성 주변에는 청산성과 청마산성이 있으며, 남쪽에는 성흥산성의 지원을 받았다. 과거의 군수품 창고 터 등이 남아 있으며, 그 외에도 의자왕의 궁녀들이 자살했다는 낙화암과 고란사 등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부소산성은 어느 시대의 도성인가? Assistant: 사비시대
Human: 아래 창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창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창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매춘소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창가(唱歌)는 갑오경장(甲午更張) 이후에 신시(新詩)로 된 최초의 양식의 시가를 말한다. 시조나 재래의 가사 및 찬송가의 영향으로 4·4조가 주된 것이었으나, 그 후에는 7·5조, 8·5조 등으로 변하여 자유시로 발전하면서 뒤의 신체시(新體詩)에 연결되게 된다. 여하튼 창가는 신문학 태동기에 있어서 새로운 시문학(詩文學)의 발전을 유도하는 계기로서의 의의가 크다고 할 것이다. 한편 이 창가에는 음악적 요소가 있어, 이 창가의 가사에 음곡(音曲)을 붙여 부르면 노래로서의 창가가 되기 때문에 이 시기에는 신식 노래를 부르라는 뜻으로 창가를 하라고 하였던 것이다. 목차 1 예 1.1 4·4조 1.2 8·5조 2 같이 보기 3 각주 예[편집] 4·4조[편집] 동심가 : 경양 원년 이중원 작 잠을 깨세 잠을 깨세, 사천년이 꿈속이라, 만국이 회동하야, 사해가 일가로다. 구구세절 다 버리고, 상하동심 동덕하세, 남의 부강 부러하고, 근본없이 회빈하랴. 범을 보고 개 그리고 봉을 보고 닭 그린다. 문명개화 하랴하면 실상일이 제일이라. 못에 고기 부러말고, 그물매자 잡아보세, 그물맺기 어려우랴 동심결로 맺아보세. 자주독립가: 건양 원년 이필균 작 아세아의 대조선이, 자주독립 분명하다. 에야에야 애국하세, 나라 위해 죽어보세. 깊은 잠을 어서 깨어, 부국 강병 진보하세, 남의 천대 받게 되니, 후회 막급 없이 하세, 남녀 없이 입학하야, 세계 학식 배와 보자. 교육해야 개화되고, 개화해야 사람되네. 8·5조[편집] 경부철도가 : 1908년 최남선 작 이십사번 화신풍(花信風) 불어올 때에, 때좋다고 꽃피난 금성산(錦城山)인데, 정든 손을 나누기 어렵다 하야, 꽃다운 혼(魂) 스러진 낙화대(落花臺)로다. 미륵(彌勒) 황간(黃澗) 두 역을 바삐 지나서 추풍령의 이마에 올라 타도다. 경부선 중 최고지(最高地) 이 고개인데, 예서부터 남편은 영남(嶺南)이라오. 동심가의 4·4조의 형식과 그 내용에 담겨진 자주독립·부국강병·남녀교육 등의 열렬한 외침은 그대로 당시의 시대의식을 반영하고 있다. 이와 같은 4·4조의 형식은 7·5조, 8·5조 등의 새로운 형식으로 변천해 갔는데, (2)의 8·5조 형식과 비교해 보면 그 변천 경위를 알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창가는 형식의 변천 과정을 통해 일부는 신체시에 넘기고 일부는 학교 창가와 사회적으로는 가요 형식으로 분립해 창가는 문학사적으로 신체시의 선행적인 의미를 지닌다.[1] 같이 보기[편집] 한국 전통 음악 신체시 각주[편집] ↑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창가의 의미와 형식〉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창가&oldid=19617404" 분류: 한국 문학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7년 9월 17일 (일) 17: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창가(唱歌)는 갑오경장(甲午更張) 이후에 신시(新詩)로 된 최초의 양식의 시가를 말한다. 시조나 재래의 가사 및 찬송가의 영향으로 4·4조가 주된 것이었으나, 그 후에는 7·5조, 8·5조 등으로 변하여 자유시로 발전하면서 뒤의 신체시(新體詩)에 연결되게 된다. 여하튼 창가는 신문학 태동기에 있어서 새로운 시문학(詩文學)의 발전을 유도하는 계기로서의 의의가 크다고 할 것이다. 한편 이 창가에는 음악적 요소가 있어, 이 창가의 가사에 음곡(音曲)을 붙여 부르면 노래로서의 창가가 되기 때문에 이 시기에는 신식 노래를 부르라는 뜻으로 창가를 하라고 하였던 것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경부철도가를 지은 사람은 누구인가? Assistant: 최남선 Human: 아래 문창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문창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문창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문창범(文昌範, 1870년 ~ 1938년 10월 10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함북 경원 출신. 1919년 2월 1일 동삼성에서 발표된 무오독립선언서(大韓獨立宣言書)에 서명자 39인 중 한사람으로 참여하였다. 1919년 4월 상하이에서 조직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교통부 총장에 피선되었다. 목차 1 생애 1.1 노령에서의 국권회복운동 1.2 최후 1.3 사후 2 함께 보기 3 참고자료 4 각주 생애[편집] 함북 경원군 유덕면 죽기동(慶源郡 有德面 竹基洞)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계나 초기 행적에 대한 자료는 미상이다. 1877년(고종 14) 경 부친을 따라 노령(露領)으로 이주하였다. 1908년(융희 2) 민족교육을 위하여 노령 니콜리스크의 타레스 부락에 광동학교(光東學校)를 설립하고 1916년까지 운영하였다. 노령에서의 국권회복운동[편집] 1911년 노령 니콜리스크에서 배일선전 격문을 작성하여 각지에 발송하고 국권회복을 기도하면서 국내에 무력진공을 계획하는 한편 노령과 중국 동삼성(東三省) 지역에 있던 독립운동단체들을 규합하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에서 권업회가 조직되자 그는 권업회의 우수리스크지회 대표에 임명되었다. 1918년 6월 쌍성(雙城)에 전로한족회중앙총회(全露韓族會中央總會)를 조직하고 회장으로 선임되어 각지에 분회를 설치하여 자치기관으로 육성하였다. 1919년 2월 1일 동삼성에서 발표된 무오독립선언서(大韓獨立宣言書)에 서명자 39인 중 한사람으로 참여하였다. 이어 미주의 안창호 등과 연락하여 1919년 3월 17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전로한족회중앙총회를 기반으로 대한국민의회(大韓國民議會)라는 임시정부를 구성하고, 대한국민의회장의 명의로 독립선언서를 작성하여 노령 해삼위(海蔘威)에 있는 일제 영사관과 기타 11개국 영사관에 배부한 후 주민들에게 태극기를 가지고 거리를 행진하며 만세시위를 하도록 독려하는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1919년 4월 13일 선포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내각 구성에서, 같은 연해주 지역으로 군무총장 이동휘, 재무총장 최재형과 함께 교통총장에 선임되었다.[1] 동년 4월 23일 국내 13도 대표 이만직(李晩稙)외 23명이 국민대회를 열어 임시정부를 조직할 때 집정관 총재 이승만, 국무총리 이동휘(李東輝)와 함께 교통부총장으로 내각 조직에 선임되었다. 1919년 9월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독립운동단체들과 각 당파를 망라하여 대통령제로 개편할 때 다시 교통부 총장에 선임되었다. 그는 현순의 거듭된 상하이 방문 요청으로 상하이로 일단 내려왔다. 1920년 중국 상해에서 대한적십자사(大韓赤十字社)의 고문으로 추대되었고, 동년 4월 대한국민의회를 해삼위에서 무시(武市)로 이전한 뒤 흑룡강주(黑龍江州)에 한족공산당(韓族共産黨) 본부를 설치하여 러시아 공산당 정부의 원조를 받아 군대를 편성하였으며, 〈자유보(自由報)〉,〈신세계(新世界)〉등 홍보물을 발행하면서 대표를 모스크바에 파견하여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1921년 그는 장령자 국가무역부(長嶺子 國家貿易部)에 입사, 취직하여 출장소 주임으로서 근무함과 동시에 고려공산당 연추지부의 조직에 참여하였다. 그가 국가무역부 출장소의 직원으로 취직한 것은 조선총독부 경무국이 작성한 용의조선인 현황에 등제되어 있다. 1921년 2월 22일 고려공산당(高麗共産黨) 연추(煙秋)지부의 책임을 담당하여 중국 동삼성 및 노령에 거주하는 교민의 독립운동을 지도하였으며, 치타에 무관학교(武官學校)를 설립하고 노령 내 귀화 교민들에게 입교를 권유하여독립군 양성에 힘썼다. 동년 6월 노령 하바로브스크 소재 소련 공산군 제2군단과 교섭하여 간도지역 독립군의 노령 자유시(自由市)로의 이주를 성사시켰다. 자유시참변(自由市慘變) 이후인 1922년 6월 노령 무시(武市)에 고려중앙정청(高麗中央政廳)을 조직하고 이동휘와 함께 고문으로 활동하였다. 1923년 1월 한때 그가 피살되었다는 피살설이 돌아 동아일보 등에 보도되기도 했다. 이때 그는 연해주 이만(Iman, 달네레첸스크)으로 옮겨가 김광서와 함께 독립단을 조직하여 무장활동을 하였다. 당시 신한민보에는 그의 죽음은 헛소리라는 기사를 보내기도 했다.[2] 1923년 6월 상해 임시정부에서 소집한 국민대표회(國民代表會)에 참가하였다. 이후 1925년 1월 15일자 신한민보 기사에 미국의 독립운동가들이 해삼위의 독립운동가들을 방문하여 회의를 한 기사에 등장한다.[3] 이후 그의 행적에 대한 기록이 나타나지 않는다. 최후[편집] 창조파(創造派)에 속하여 독립운동을 계속하다가 1938년 10월 일제가 보낸 첩자에게 상하이 혹은 러시아에서 독살당하였다.. 일설에는 1934년경에 사망했다는 설도 있다. 사망 원인에 대해서도 옥사하였다는 설이 있어 불확실하다. 한때 1945년 해방 직후 9월 2일 한민당에서 그를 공동 영수로 추대하기도 했다. 사후[편집] 대한민국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1990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함께 보기[편집] 대한국민의회 최재형 이동휘 이동령 대한민국 임시정부 독립유공자로 대통령장을 수여받은 사람 참고자료[편집] 문창범 : 독립유공자 공훈록국가보훈처 국가보훈처 공훈록 각주[편집] ↑ 이이화, 《한국사이야기21. 해방 그 날이 오면》(한길사, 2004) 25~26쪽 ↑ "문창범씨가 죽었다는 것은 헛소리", 신한민보 1923.02.22. 1면, 1단 ↑ "遠東消息", 신한민보 1925.01.15. 3면 1단 vdeh무오 독립선언 민족대표 39인 김교헌 김규식 김동삼 김약연 김좌진 김학만 류동렬 문창범 박성태 박용만 박은식 박찬익 손일민 신규식 신채호 안정근 안창호 여준 윤세복 이광 이대위 이동녕 이동휘 이범윤 이봉우 이상룡 이세영 이시영 이탁 이승만 이종탁 임방 정재관 조용은 조욱 최병학 한흥 허혁 황상규 vdeh2015년 선정 이 달의 독립운동가 1월 황상규 2월 이수흥 3월 박인호 4월 조지 쇼 5월 안경신 6월 류인식 7월 송헌주 8월 연기우 9월 이준식 10월 이탁 11월 이설 12월 문창범 vdeh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강기동 권동진 권병덕 김동삼 김상옥 김성수 김완규 김익상 김지섭 나석주 나용환 나인협 남상덕 남자현 노백린 민긍호 민종식 박동완 박승환 박은식 박준승 백용성 신규식 신돌석 신채호 신홍식 양기탁 양전백 양한묵 연기우 오세창 유여대 유인석 이갑성 이동녕 이명룡 이범윤 이봉창 이상설 이상재 이위종 이은찬 이인영 이재명 이종일 이종훈 이필주 임예환 장인환 전명운 전해산 조성환 지청천 최성모 편강렬 홍기조 홍범도 홍병기 문태수 신석구 이범석 정환직 진성 당계요 배설 송교인 여천민 임삼 호한민 황흥 우빈 손과 주가화 이승희 주시경 김하락 장건상 김붕준 박열 안재홍 오화영 유동열 윤기섭 조완구 김병조 문창범 박용만 이동휘 채상덕 최석순 구춘선 김경천 여운형 이 글은 정치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문창범&oldid=24288858" 분류: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1870년 태어남1938년 죽음함경북도 출신무오독립선언 연서자한성 임시 정부한국독립당의 당원대한국민의회대한민국 임시 정부 사람숨은 분류: 정치인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27일 (월) 16: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문창범(文昌範, 1870년 ~ 1938년 10월 10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함북 경원 출신. 1919년 2월 1일 만주 길림에서 발표된 무오독립선언서(戊午獨立宣言書)에 서명자 39인 중 한 사람으로 참여하였다. 1919년 4월 상하이에서 조직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교통부 총장에 피선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문창범의 생애와 관련하여 상해의 임시정부의 소집으로 국민대표회에 참가한 해는 언제인가? Assistant: 1923년
Human: 아래 구디슨_파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구디슨 파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구디슨 파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구디슨 파크 원어 이름 Goodison Park 이전 이름 미어 그린 별칭 디 그랜드 올드 레이디 (The Grand Old Lady) 소재지 잉글랜드 머지사이드주 리버풀 구디슨 로드 좌표 북위 53° 26′ 19.81″ 서경 2° 57′ 58.71″ / 북위 53.4388361° 서경 2.9663083°  / 53.4388361; -2.9663083 개장 1892년 8월 24일 소유 Goodison Park Stadium, Limited is owned by The Everton Football Club Company, Limited 운영 에버턴 FC 표면 잔디 건설 비용 £3,000[1] 설계 Kelly Brothers 사용처 에버턴 (1892년~현재) 수용인원 39,572 규모 102.4 x 71.3 m 구디슨 파크(Goodison Park)는 영국 잉글랜드 머지사이드주 리버풀에 위치한 축구 경기장으로, 에버턴(Everton FC)의 홈구장이다. 이 구장은 1892년에 지어졌으며, 총 수용인원은 40,569명이다. 목차 1 역사 2 스탠드 3 각주 4 참고 자료 5 외부 링크 역사[편집] 1892년에 지어진 구디슨 파크는 처음에는 미어 그린(Mere Green)으로 불려왔다. 이 경기장은 오래되고 역사적인 축구 경기장 중의 하나이며, 잉글랜드 최초의 메이저 축구 경기장이다. 구디슨 파크는 잉글랜드에서 최초로 축구 경기장을 목적으로 지어진 경기장이다. 미어 그린은 자유 대출의 이자 1,000파운드를 포함하여 8,090파운드가 들었다. 경기장은 공식적으로 1892년 8월 24일에 개장하였다. 1904-05시즌에 대출금액의 상환이 완료되었다. 켈리 형제는 4,000명 규모의 지붕 없는 스탠드 두 개와 3,000명 규모의 지붕 있는 스탠드 하나를 1,640 파운드에 세웠다. 12개의 개찰구는 93파운드가 들었다. 이 경기장은 네 개의 스탠드 모두 2층으로 영국 최초의 스포츠 경기장이었고, 3층을 가진 최초의 경기장이었다. 또한 그라운드 바닥에 온열시스템을 갖춘 최초의 잉글랜드 리그 경기장이었다. 1913년에 최초로 왕이 방문한 잉글랜드 축구 경기장이 되었는데, 그 당시의 군주는 조지 5세였다. 경기장은 1966년 FIFA 월드컵 당시에 준결승전을 포함하여 5경기가 열렸다. 그리고 1894년의 FA컵 결승전과 1910년의 결승 재경기가 열린 곳이기도 하다. 에버턴은 다른 잉글랜드 클럽보다 국제경기를 많이 개최하였다. 1895년 4월 6일에 구디슨 파크에서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와의 경기가 열렸는데, 이로써 에버턴은 이전의 홈구장이었던 앤필드와 구디슨 파크에서 모두 잉글랜드 A매치를 가진 첫 번째 팀이 되었다. 1949년에 구디슨 파크에서 아일랜드와의 경기가 열렸는데, 이 경기는 잉글랜드가 영국 국가가 아닌 국가에게 홈경기에서 처음으로 패배한 경기였다. 에버턴의 웹사이트에 의하면, 가장 큰 경기는 1985년의 UEFA 컵위너스컵 준결승전으로 에버턴 대 바이에른 뮌헨과의 경기였다. 뮌헨은 전반전에 앞서가다가 후반전에 3점을 실점하며 에버턴에게 패하였다. 1962-63시즌과 1963-64시즌의 리그 경기의 관중 수가 백만명을 넘었다. 스탠드[편집] 경기장은 네 개의 스탠드로 구성되어 있다. 파크 엔드(The Park End) - 6,000명 수용. 단층으로 캔틸레버가 1994년에 설치되었다. 경기장의 남쪽에 위치해 있고, 골대 뒤를 차지하고 있다. 파크 엔드는 1995년에 재건축된 것이다. 60년대와 70년대에 리버풀의 스탠리 파크의 월튼 레인와 더불어 골대 뒤에 큰 반원형 스탠드가 특징이었다. 이것은 1906년에 지어진 2층 형태로 원정팬들이 자리하는 장소였다. 불린스 로드(Bullens Road) - 8,067명 수용. 유명한 축구 경기장 건축가인 아치볼드 리치에 의해 2층으로 지어져 1926년에 완공되었다. 경기장 동쪽에 위치해 있는 이 스탠드는 어퍼 불린스, 로워 불린스와 패덕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원래 스탠드는 2층으로 지어졌는데, 위층의 좌석 스탠드와 아래층의 패덕으로 되어 있었다. 1963년, 패덕의 뒤 부분에 좌석이 설치되면서 3층의 형태가 되었다. 글라디스 스트리트 엔드(Gwladys Street End) - 10,155명 수용. 아치볼드 리치가 지은 또다른 2층 스탠드로 어퍼 글라디스와 로워 글라디스로 나뉜다. 골대 뒤쪽에 위치해 있으며 구디슨 파크의 북쪽을 차지하고 있다. 로워 글라디스는 가장 시끄럽고 난폭한 에버턴 팬들이 위치한다고 말할 수 있다. 만약 에버턴이 킥오프 전의 동전 던지기에서 이길 경우, 후반전에 로워 글라디스쪽으로 공격하게 된다. 로워 글라디스는 1992년에 전좌석 설치가 완료되었다. 메인 스탠드(Main Stand) - 16,347명 수용. 3층으로 되어 있는 스탠드로, 1909년에 아치볼드가 2층 형태로 지은 것에 백만 파운드를 들여 1971년에 현재의 스탠드를 완공하였다. 메인 스탠드는 선수들의 락커룸이 있고, 선수 입장 터널이 위치해 있다. 각주[편집] ↑ 최초의 금액. 나중에 보수할 때의 금액은 제외 참고 자료[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구디슨 파크 Roberts, John (1978). Everton: The Official Centenary History. Grenada Publishing Limited. ISBN 0-583-12832-7. Jacobs, Barbara (2004). The Dick, Kerr's Ladies. Constable & Robinson Ltd. ISBN 1-84119-828-5. 외부 링크[편집] (영어) 구디슨 파크의 역사 vdeh 프리미어리그 경기장 (2018-19) 구디슨 파크 더 호손스 딘 코트 리버티 스타디움 브리타니아 스타디움 비커리지 로드 세인트 메리스 스타디움 세인트 제임스 파크 셀허스트 파크 스탬퍼드 브리지 안필드 에미레이트 스타디움 올드 트래퍼드 올림픽 스타디움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 에티하드 스타디움 커클리즈 스타디움 킹 파워 스타디움 터프 무어 팔머 스타디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구디슨_파크&oldid=22888916" 분류: 1892년 설립잉글랜드의 축구 경기 시설리버풀의 건축물리버풀의 스포츠에버턴 FC1966년 FIFA 월드컵 경기장1892년 완공된 스포츠 시설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ગુજરાતીעבריתFiji Hindi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ietuviųLatviešuमैथिलीBahasa MelayuNederlandsNorsk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31일 (수) 17: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구디슨 파크(Goodison Park)는 영국 잉글랜드 머지사이드주 리버풀에 위치한 축구 경기장으로, 에버턴(Everton FC)의 홈구장이다. 이 구장은 1892년에 지어졌으며, 총 수용인원은 39,572명이다. 2024-25 시즌부터 에버턴 FC는 홈구장을 복스홀의 브램리무어항에 위치한 신축 경기장으로 대체할 예정이며, 현재의 구디슨 파크 부지는 재개발될 예정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영국 프리미어리그에 속한 에버턴FC의 홈구장인 구디슨 파크가 지어진 연도는? Assistant: 1892년 Human: 아래 요코가와_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요코가와 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요코가와 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요코가와 역 (히로시마 현)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군마 현의 철도역에 대해서는 요코카와 역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요코가와横川駅 개괄 관할 기관 서일본 여객철도히로시마 전철 소재지 일본 히로시마현 히로시마 시 니시 구 요코가와초 3초메 요코가와 역(일본어: 横川駅 요코가와에키[*])은 히로시마현 히로시마 시 니시 구 요코가와 정 3정목에 있는 JR서일본과 히로시마 전철의 역이다. 승차권에는 신에쓰 본선에 있는 요코카와 역과 한자 표기가 같아 구별하기 위해 "(陽)横川"로 표기하고 있다. 목차 1 이용 가능한 철도 노선 2 역 구조 2.1 JR 요코가와 역 2.2 히로시마 전철 요코가와 역 2.3 운행 노선 3 이용 상황 4 역 주변 4.1 남쪽 출입구 4.2 북쪽 출입구 4.3 버스 정류장 5 역사 5.1 JR요코가와 역 5.2 히로시마 전철 요코가와 역 전차 정류장 6 근처의 역 7 외부 링크 이용 가능한 철도 노선[편집]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 가베 선※선로 명칭상은 당역이 기점역이지만, 운전 계통상은 근처의 히로시마 역을 기점으로 하고 있다. 히로시마 전철 요코가와 선※계통상 7호선·8호선도 운행한다. 역 구조[편집] JR 요코가와 역[편집] JR 요코가와 역JR 横川駅 북쪽 출입구 개괄 관할 기관 서일본 여객철도 소재지 일본 히로시마현 히로시마 시 니시 구 요코가와초 3초메 2-30 좌표 북위 34° 24′ 36″ 동경 132° 27′ 01″ / 북위 34.409902° 동경 132.450145°  / 34.409902; 132.450145 (JR 요코가와 역) 개업일 1897년 9월 25일 비고 녹색 창구 있음히로시마 시내에 있는 역 *모든 열차가 히로시마 역까지 운행. 노선 ■산요 본선 고베 기점 307.7km ← 신하쿠시마 (1.2 km) 니시히로시마 →(2.5 km) ■가베 선 (기점)히로시마 기점 3.0km ← *히로시마 (*- km) 미타키 →(1.1 km) 섬식 승강장 2면 4선과 단식 승강장 1면 1선을 합해 3면 5선을 가지는 지상역이다. 역사는 남쪽과 북측에 있다. 2003년 완공된 남쪽 출입구의 역사는 지상에, 1949년에 완공된 뒤 2003년에 재개장한 북쪽 출입구의 역사는 고가 밑에 있다. 중앙 광장에는 개찰구와 녹색 창구가 남쪽 출입구(5:30 - 23:00)·북쪽 출입구(5:30 - 23:50)에 있다. 또, 데일리 인(철도 역사 내의 편의점)도 있다. 중앙 광장으로부터 각 승강장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ICOCA가 이용 가능하다. JR의 시내 제도에 있어서의 「히로시마 시내」의 역이다. 승강장 1 ■산요 본선(하행) 미야지마구치・이와구니・도쿠야마 방면 2 ■산요 본선 (다이어 이상시의 예비 승강장) 3 ■산요 본선(상행) 히로시마・사이조・미하라 방면(구레 선 직통)구레 방면 (이와구니방면에서) 4 ■가베 선(하행) 오마치・미도리이・가베 방면 5 ■가베 선(상행) 히로시마・사이조・미하라 방면(구레 선 직통)구레 방면 (가베방면에서) 역 구내에는 일본 최초의 버스(재현차)와 거기에 관한 전시가 있다. 이전에는 2·3 번선 승장장과 4·5 번선 승강장 사이에 요코가와 전철구의 선로가 있었지만 현재는 철거되었다. 히로시마 전철 요코가와 역[편집] 요코가와 역 전차 정류장横川駅電停 2008년 10월 촬영 개괄 관할 기관 히로시마 전철 소재지 일본 히로시마현 히로시마 시 니시 구 요코가와초 3초메 좌표 북위 34° 24′ 35″ 동경 132° 27′ 02″ / 북위 34.409632° 동경 132.450536°  / 34.409632; 132.450536 (요코가와 역 전차 정류장) 개업일 1917년 11월 1일 역 번호 Y5 노선 요코가와 선 1.4km(도카이치 정 기점) ← (종점) 요코가와 1초메 →(0.2 km) JR요코가와 역 광장 내 동쪽에 있다. 비오는 날이라도 젖지 않고 JR요코가와 역에 환승을 할 수 있도록 이쪽도 지붕이 있다. 양 승강장 모두 7호선 히로덴 본사 앞행 및 8호선 에바행 전철이 정차한다. 이것은 1개의 열차가 요코가와 역 전차 정류장을 경계로 7호선과 8호선을 교대로 운전하는 것(일반적으로 삼각 운용으로 불리고 있다)이기 때문이다(일부 시간대 제외). 또한 평일의 아침의 1편만 7호선이 히로덴 본사 앞행을 연장해 히로시마 항행이 된다. 히로시마 항발 요코가와 역행은 없다. 요코가와 역 전차 정류장에는 대부분의 경우 1차량만이 노선 연장하고 있지만, 전술의 히로시마 항행 등 출퇴근 시간에는 연접차의 노선연장도 설정되어 있다. 출근시간에는 관계자가 안내를 하지만, 히로시마 역처럼 이동식 운임상자로의 집찰 업무는 없다. 단, 히로시마 플라워 페스티벌 개최시에는 집찰원이 나와 있다. 운행 노선[편집] ■7호선 히로덴 본사 앞 방면 ■8호선 에바 방면 이용 상황[편집] 2007년도의 승차 인원은 1일 평균 17,168명(히로시마 시 통계). 이것은 히로시마현에서는 제 3위, 주고쿠 지방 전체에서도 신칸센 「노조미(=희망)」 정차역인 히로시마 역, 오카야마 역, 후쿠야마 역에 뒤잇는 제 4위이며, 구라시키 시, 구레 시, 시모노세키 시 등 40만 - 20만명 규모의 도시의 대표역보다 많다. 히로시마 현 통계연감에 의하면, 2002 - 2005년도의 승차 인원은 밑과 같다. JR의 역으로서는 히로시마 시의 중심인 가미야초에 가장 가깝기 때문에 원래 통근객의 이용이 많았지만, 2003년의 히로시마 전철 7호선 운행 개시 이래 현저하게 증가의 추세가 보인다. 또, 여기가 가까운 JR역인 학교도 많다. 14,283명(2002년) 15,001명(2003년) 15,875명(2004년) 16,499명(2005년) 역 주변[편집] 남쪽 출입구[편집] 후레스타모르카질 요코가와 프레스타 요코가와점 요코가와 상가 후타바 도서 요코가와점(제 1호 점포) 니시 구 구민 문화 센터 히로시마 시립 니시 구 도서관 요코가와 시네마!! 히로시마 은행 요코가와 지점 히로시마 신용금고 요코가와 지점 산인고도은행 요코가와 지점 요코가와 우체국 북쪽 출입구[편집] 히로시마 시립 미사사 소학교 나가사키 병원:원폭 투하시 기적적으로 경미한 손해로 끝나, 피폭자의 구호 거점으로서 기능한 것으로 알려진다. 모미지 은행 미사사 지점 버스 정류장[편집] 히로시마 지구의 버스 노선은 기본적으로 시내선(주로 구 시내(나카 구·니시 구·미나미 구 3구와 히가시 구의 일부)만을 달리는 노선)와 교외선(히로시마 버스 센터 또는 히로시마 역·핫초보리와 구 시내의 밖을 묶는 노선)으로 대별되어 이것들은 버스 정류장도 따로따로 되어 있다. 요코가와 역에 있어서도 시내선은 남쪽 출입구 로터리 내, 교외선은 국도 183호에 설치되어 있다. 다만, 히로시마 역이나 니시히로시마 역과 달리, 요코가와 역에서는 시내선·교외선의 별도이지 않고, 「가배 가도(국도 183호의 요코가와 이북)를 지날까 통하지 않는가」로 구별되고 있다. 즉, 가배 가도를 통하지 않는 교외선 버스는 로터리에 들어가고, 가배 가도를 지나는 시내선 버스는 로터리에 들어가지 않고 국도변에 정차 한다. 덧붙여 교외선 버스 정류장의 시내선 정류장으로서의 명칭은 상행이「요코가와 3정목」, 하행이「요코가와 1정목」이 되어 있다. 로터리 내 버스 정류장 히로시마 전철(시내선과 교외선 중 히로시마 고속국도 4호선을 경유하는 노선) 히로시마 버스(시내선) 주고쿠 JR버스(교외선 중 고요 뉴타운 방면 및 동부 방면) ※상기 외 J리그 산프레체 히로시마의 경기가 있는 날에는 히로시마 빅 아치행 셔틀 버스가 발착하고 있어, 2008년 현재 빅 아치행 셔틀 버스의 유일한 발착장이 되고 있다. 교외 선상버스 정류장(역 동쪽, 히로시마 신용금고 요코가와 지점 정면) 히로시마 버스 히로시마 전철 히로시마 교통 교외선 하행 버스 정류장(역 남쪽, 미사시 요코가와점 앞) 히로시마 버스 히로시마 전철 히로시마 교통 역사[편집] JR요코가와 역[편집] 1897년 9월 25일 - 산요 철도 히로시마 - 도쿠야마간 개통시에 개업. 일반역. 1906년 12월 1일 - 산요 철도가 국유화되어 일본 국철의 역이 된다. 1909년 12월 19일 - 대일본 궤도 히로시마 시샤 선(후의 히로하마 철도선)의 요코가와 정류장이 개업. 1933년 4월 20일 - 히로하마 철도의 요코가와 정류장이 역으로 승격, 요코가와마치 역으로 개칭. 1936년 9월 1일 - 히로하마 철도가 국유화되어 일본 국철 가베 선이 된다. 요코가와마치 역을 요코가와 역에 통합. 1945년 8월 6일 - :원폭 투하에 의해 역사 전괴 등 큰 피해를 받는다. 1962년 10월 1일 - 경로 변경에 수반해 가베 선 승강장이 현재 위치에 개업. 이전 전까지는 산요 본선과 가베 선을 묶는 과선교는 없고, 환승은 개찰구를 나와 가베 선 전용 개찰구로부터 들어갈 필요가 있었다. 1980년 9월 24일 - 차급화물의 취급을 폐지(여객역이 된다). 역 서쪽 산요 본선과 가베 선에 사이에 유개차용의 차급화물 홈이 존재했다. 1986년 - 녹색 창구 영업 개시 1987년 4월 1일 - 일본 국철 분할 민영화에 의해 서일본 여객철도의 역이 된다. 2003년 8월 23일 - 신역사 완공. 2006년 4월 1일 - 북쪽 출입구를 JR니시니혼 히로시마 멘텍크에 업무 위탁. 2007년 5월 23일 - ICOCA 대응의 자동 개찰기 설치. 2007년 8월 9일 - AED(자동제세동기)를 남쪽 출입구와 북쪽 출입구에 각각 설치. 2007년 9월 1일 - ICOCA 도입. 2007년 12월 29일 - 남쪽 출입구에 녹색 매표기 설치. 히로시마 전철 요코가와 역 전차 정류장[편집] 1917년 11월 1일 - 히로시마 가스전궤(히로시마 전철의 전신) 요코가와 선 개통. 현재의 요코가와 역 부근에 요코가와역 전차 정류장, 그 앞에 미사사 전차 정류장이 설치된다. 1926년경 - 미사사 전차 정류장이 요코가와 전차 정류장으로 개칭. 1941년 7월 28일 - 요코가와 역 전차 정류장 폐지. 1951년 7월 19일 - 궤도를 70m 단축해 요코가와 전차 정류장을 이전. 2001년 11월 1일 - 요코가와 전차 정류장을 요코가와 역 전차 정류장으로 개칭. 2003년 3월 27일 - 현재 위치로 이전. 근처의 역[편집]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 ■쾌속 「시티 라이너」・■보통 히로시마 역 - 요코가와 역 - 니시히로시마 역 ■가베 선(히로시마 - 요코가와간은 산요 본선) ■쾌속「통근 라이너」 히로시마 역→요코가와 역→아키나가쓰카 역 ■보통 히로시마 역 - 요코가와 역 - 미타키 역 히로시마 전철 요코가와 선 ■7호선・■8호선 요코가와 1정목 전차 정류장 - 요코가와 역 전차 정류장 외부 링크[편집] JR서일본(요코가와 역) vdeh 산요 본선(미하라 - 토쿠야마)(오카야마 방면<<) 미하라 - 혼고 - 고치 - 뉴노 - 시라이치 - 니시타카야 - 사이조 - 하치혼마쓰 - 세노 - 나카노히가시 - 아키나카노 - 가이타이치 - 무카이나다 - 덴진가와 - (히로시마 화물터미널) - 히로시마 - 신하쿠시마 - 요코가와 - 니시히로시마 - 신이노구치 - 이쓰카이치 - 하쓰카이치 - 미야우치쿠시도 - 아지나 - 미야지마구치 - 마에조라 - 오노우라 - 구바 - 오타케 - 와키 - 이와쿠니 - 미나미이와쿠니 - 후주 - 쓰즈 - 유우 - 고지로 - 오바타케 - 야나이미나토- 야나이 - 다부세 - 이와타 - 시마타 - 히카리 - 구다마쓰- 구시가하마 - 도쿠야마 (>>시모노세키 방면) 미야지마 연락선:미야지마구치 - 미야지마 vdeh 가베 선(히로시마 - 신하쿠시마 - ) 요코가와 - 미타키 - 아키나가쓰카 - 시모기온 - 후루이치바시 - 오마치 - 미도리이 - 시치켄자야 - 바이린 - 가미야기 - 나카시마 - 가베 vdeh히로시마 전철 요코가와 선도카이치마치 - 데라마치 - 출장소 앞 - 요코가와 1초메 - 요코가와 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요코가와_역&oldid=22894222" 분류: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히로시마 전철의 철도역일본의 노면 전차 정류장히로시마시의 철도역1897년 개업한 철도역1917년 개업한 철도역일본국유철도의 철도역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erantoItaliano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일 (목) 01: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요코가와역(일본어: 横川駅 요코가와에키[*])은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니시구 요코가와 정 3정목에 있는 JR서일본과 히로시마 전철의 역이다. 승차권에는 신에쓰 본선에 있는 요코카와역과 한자 표기가 같아 구별하기 위해 "(陽)横川"로 표기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에바를 경유하는 전철은 몇호선일까? Assistant: 에바행 전철
Human: 아래 MSL_1차_마이너리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MSL 1차 마이너리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MSL 1차 마이너리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TG삼보 MSL - 메이저진출전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MSL 1차 마이너리그(MSL 1st Minorleague)는 TG삼보 MSL - 메이저진출전으로 개최되었고, MSL 예선전 폐지로, 메이저 리그인 MBC게임 스타리그로 진출하기 위한 리그였다. 이후, MSL 마이너리그로 변경되면서, 마이너결정전으로 바뀌었다. 목차 1 리그방식 2 리그기간 3 결과 4 진출자 리그방식[편집] 예선 통과자 12명과 지난시즌 5~16위 12명으로 구성 예선 통과자와 지난시즌 4강미만 탈락자끼리 3판 2선승제로 승자는 본선 진출, 패자는 다음시즌 마이너리그 직행 리그기간[편집] 8월 14일 ~ 8월 25일 회차 일정 1 8월 14일 2 8월 18일 3 8월 21일 4 8월 25일 결과[편집] 메이저진출전 Match1 Match2 Match3 1주차 홍진호 2 김현진 0 한승엽 2 주진철 0 김성제 1 베르트랑 2 2주차 김정민 1 나도현 2 변은종 2 서지훈 0 이병민 2 변길섭 0 3주차 심소명 2 오상봉 1 최연성 2 박성준 0 김환중 2 조병호 0 4주차 박용욱 2 나경보 0 이재항1 2 최인규 0 장진수 2 강도경 0 이재항의 기권으로 상대였던, 최인규가 진출하였다. 진출자[편집] 테란: 한승엽, 베르트랑, 나도현, 이병민, 최연성 저그: 홍진호, 변은종, 심소명, 이재항, 장진수 프로토스: 김환중, 박용욱 vdeh역대 MSL 하부리그2003년 ~ 2004년 MSL 1차 마이너리그 MSL 2차 마이너리그 MSL 3차 마이너리그 MSL 4차 마이너리그 MSL 5차 마이너리그 2005년 ATI배 6차 MSL 서바이버리그 MBC MOVIES배 7차 MSL 서바이버리그 2006년 MBC MOVIES배 8차 MSL 서바이버리그 MBC MOVIES배 9차 MSL 서바이버리그 MBC MOVIES배 10차 MSL 서바이버리그 2007년 곰TV MSL 시즌2 서바이버 토너먼트 곰TV MSL 시즌3 서바이버 토너먼트 곰TV MSL 시즌4 서바이버 토너먼트 2008년 14차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15차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16차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2009년 2009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1 2009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2 2010년 2010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1 2010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2 2010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3 2011년 2011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1 2011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MSL_1차_마이너리그&oldid=19935002" 분류: MSL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7년 11월 7일 (화) 11:1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MSL 1차 마이너리그(MSL 1st Minorleague)는 TG삼보 MSL - 메이저진출전으로 개최되었고, MSL 예선전 폐지로, 메이저 리그인 MBC게임 스타리그로 진출하기 위한 리그였다. 이후, MSL 마이너리그로 변경되면서, 마이너결정전으로 바뀌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MSL 1차 마이너리그 1주차 1경기에서의 승자는 누구일까? Assistant: 홍진호 Human: 아래 서서평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서서평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서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서서평(徐舒平, 1880년 9월 26일 ~ 1934년)은 독일 출신의 선교사이다. 본명은 엘리자베스 요한나 쉐핑(Elisabeth Johanna Shepping 또는 Johanna Elisabeth Schepping)이다. 쉐핑(Schepping)은 이디시아어로 샘에서 무엇을 끌어내다(Shep), 그로부터 큰 기쁨을 얻고 매우 자랑스럽게 여긴다는 의미가 있다. 목차 1 생애 1.1 어린 시절 1.2 선교사 생활 2 관련 작품 2.1 영화 2.2 책 생애[편집] 어린 시절[편집] 1880년 9월 26일 독일 비스바덴에서 태어났다. 출생지는 독일 비스바덴 프랑켄 거리(Frankenstrase) 정원 막사(Gartenhause)이다. 어머니는 안나 쉐핑(Anna Schepping, 혼인명 Schepping Schneider)이다. 3세일 때 어머니가 미국 뉴욕으로 홀로 이민가고, 조부모에게 맡겨진다. 할아버지는 안드레아스 쉐핑(Andreas Schepping), 할머니는 엘리자베스 화버(Elisabeth Faber 혼인명 Elisabeth Schepping)이다. 9세에 할머니를 잃고, 주소 적힌 쪽지 한 장을 들고 엄마 찾아 미국으로 떠난다. 가톨릭 미션 스쿨에서 중고등학교를 마치고, 성마가병원 간호전문학교를 졸업한다. 뉴욕시립병원 실습중 동료 간호사를 따라 장로교회 예배에 참석하고 개신교로의 전향을 결심한다. 유대인 요양소, 이탈리아 이민자 수용소 등에서 봉사활동을 하였으며 간호전문학교 졸업후 브루클린주 이시병원에서 근무한다. 1904년 뉴욕 성서교사훈련학교(Bible Teacher Training School)의 여행자를 돕는 선교회(Traveler's Aid Missionary)에서 1년간 봉사하였다. 1911년 졸업하고, 동료 선교사로부터 조선에 환자가 제대로 치료를 받지 못하고, 길에 버려질 정도라서 의료 봉사가 절실하다는 말을 듣고, 한국 선교를 지원한다. 1912년, 미국 남장로교 해외선교부 모집에 지원하여 간호선교사로 파송을 받는다. 어머니의 신앙인 가톨릭을 따르지 않고 개신교로 개종했기 때문에 집에서 쫒겨났다. 3세 때, 10대 때, 마지막으로 40대에 어머니에게 모두 세 차례 버림당한다. 어린 시절이 불우했지만 바람, 햇살, 숲과 함께 자랐다고 고백했다. 빗 속에서 춤추는 것을 좋아했다. 선교사 생활[편집] 1912년 2월 20일 한국으로 파송된다. 여객선 S.S.Korea호를 타고 20여 일 여행 끝에 한국에 도착한다. 광주선교부 제중원(원장 우월순)의 간호사로서 병원과 주일학교를 돕는다. 한국어를 배우고, 옥양목 저고리와 검정 통치마를 입었으며, 남자 검정 고무신을 신고, 된장국을 좋아했다. 온전한 조선인이 되고자 했고, 평생 독신으로 살며, 미국으로 돌아갈 생각을 하지 않았다. 평생 가족처럼 지낸 입양아로 박해라, 문안식, 문천식이 있다. 32세인 1912년부터 1934년 54세로 소천하기까지 22년 동안 일제점령기에 의료혜택을 받지 못했던 광주의 궁핍한 지역을 중심으로 제주와 추자도 등에서 간호선교사로 활동하였다. 미혼모, 고아, 한센인, 노숙인 등 가난하고 병약한 많은 사람을 보살폈다. ‘나환자의 어머니’라 불릴 정도였다. 임금 대부분을 빈민과 병자, 여성을 위해 사용했다. 입양하여 키운 고아가 14명, 오갈 곳 없는 과부를 가족처럼 품어 집에서 같이 지낸 사람이 38명이다. 광주 양림동에서는 여성의 자립을 위해 양잠업을 지도했다. 뽕나무를 더 심고 시설을 세우기 위해 미국에 기금을 요청했다. 제주에서는 여성의 자립을 위해 고사리 채취를 도왔다. 임종 때에는 자신의 시신을 의학용으로 기부하였다. 장례에 자신의 세운 이일학교의 학생이 운구 행렬을 이루고 그 뒤로 수많은 여성이 소복을 입고 뒤따랐다. 광주 최초의 시민사회장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관련 작품[편집] 영화[편집] 《서서평, 천천히 평온하게》 2017년 | 다큐멘터리 | 2017.04.26 개봉 | 78분 | 전체 관람가 | 감독 홍주연, 홍현정 | 출연 하정우, 윤안나, 안은새 책[편집] 《조선의 작은 예수 서서평(천천히 평온하게)》 백춘성 저 《조선을 섬긴 행복 (서서평의 사랑과 인생)》 양창삼 저 《그대 행복한가요? (행복을 잃고 살아가는 바보들에게 주는 서서평의 편지)》 (양국주 저 《조선을 섬긴 행복 (서서평의 사랑과 인생)》 양창삼(대학교수) 저 《천국에서 만납시다 (선교사 서서평 일대기)》 백춘성 저 | 대한간호협회 《목포 기독교 이야기 (목포 기독교 120년사 초기)》 김양호 저 《바보야 성공이 아니라 섬김이야 (엘리제 쉐핑 이야기)》 양국주 저 《더러는 옥토에 떨어지는 눈물이고저》 임형태 저 《행복한 만남 (믿음의 다음 세대를 세우고자 하는 꿈과 비전)》 김호진 저 《자작나무 (김상배 세번째 시집)》 김상배 저 《생명봉사적 통전선교》 임희모 저 《참으로 해방된 평신도》 폴 스티븐스 저 《본향을 떠나 약속의 땅으로》 한일장신대학교 정년퇴임기념논문집 발간위원회 저 《시온의 빛고을 광주》 백춘성 저 《빛과 소금(2017년 4월호)》 두란노 편집부 저 《광주 1백년 1 (개화기 이후 광주의 삶과 풍속)》 박선홍 저 《호남사람 이야기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역사인물 150)》 남성숙 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서서평&oldid=24170370" 분류: 1880년 태어남1934년 죽음비스바덴 출신미국의 기독교 선교사한국에서 활동한 기독교 선교사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9일 (목) 01: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서서평(徐舒平, 1880년 9월 26일 ~ 1934년 6월 26일)은 독일 출신의 미국 선교사이다. 본명은 엘리자베스 요한나 셰핑(Elisabeth Johanna Shepping 또는 Johanna Elisabeth Schepping)이다. 셰핑(Schepping)은 이디시아어로 샘에서 무엇을 끌어내다(Shep), 그로부터 큰 기쁨을 얻고 매우 자랑스럽게 여긴다는 뜻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서서평이 한국으로 파송되어 온 것은 언제야? Assistant: 1912년 2월 20일
Human: 아래 나운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나운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나운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나운규羅雲奎 출생 1902년 5월 4일(1902-05-04)대한제국 함경북도 회령사망 1937년 8월 9일 (35세)일제 강점기 경성부국적 대한제국다른 이름 호(號)는 춘사(春史)직업 영화인 영화배우 영화감독 영화제작자 독립운동가 영화 기획가 영화연출가 영화 각본가 영화 편집감독 영화 각색가활동 기간 1924년 ~ 1937년종교 유교(성리학) → 개신교(장로회) 학력 중국 만저우 지방 지린 성 룽징 명동중학교 중퇴부모 나형권(부)형제자매 누나 3명 형 2명 둘째형 나시규(연희전문학교 중퇴)배우자 조정옥 여사자녀 나종익(장남) 나신자(딸) 나봉한(차남)수상 1993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나운규(羅雲奎, 1902년 5월 4일 - 1937년 8월 9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영화인이다. 대한민국 영화계의 선구자로, 본관은 나주(羅州)이며 호는 춘사(春史)이다. 목차 1 생애 2 가족 관계 3 학력 4 상훈 5 주요 작품 6 기타 7 각주 8 외부 링크 생애[원본 편집] 함경북도 회령에서 출생했다. 회령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신흥학교 고등과로 진학, 1918년에는 만주 간도에 있는 명동중학에 들어갔으나 일제의 탄압으로 학교가 폐교됨으로써 1여년 동안 북간도와 만주지방을 유랑했다. 이때 독립군단체와 관련을 맺으면서 독립운동을 하다가 '청회선터널 폭파미수사건'의 피의자로 체포되어 청진교도소에서 1년 6개월의 형기를 마친 뒤 1923년에 출감하였다.[1] 1920년에는 독립군 지도자 중 한 명인 홍범도 장군 산하의 부대에서 활동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2] 1924년 일본인 관리 하의 '조선 키네마사'에 연구생으로 입사하여 윤백남 감독의 《운영전》에 가마꾼으로 출연하였다. 《농중조》라는 작품에 출연하여 배우로서 명성을 떨쳤다. 1926년에는 무성 영화인 《아리랑》을 제작함으로써 대한민국 영화계의 선구자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 작품은 나운규 자신이 각본을 쓰고 감독과 주연까지 겸하였는데, 여기에서 그는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였다. 종로 단성사에서 상영한 이 작품은 대한민국 영화계에 큰 획을 그었다. 이후 영화계의 중심이 되어 많은 작품을 내고 대한민국 영화의 새로운 개혁을 시도하여 공헌하였다. 작품으로 《금붕어》, 《들쥐》, 《벙어리 삼룡》, 《오몽녀》 등이 있다. 1937년 8월 9일, 안타깝게도 향년 36세의 한창 젊은 나이에 폐결핵으로 요절하고 말았다. 그의 차남 나봉한도 역시 아버지의 뒤를 이어 감독으로 활동한 바가 있다. 그가 고인이 된 후 1993년 8월 대한민국 정부는 윤봉춘과 함께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가족 관계[원본 편집] 아버지 : 나형권(羅衡權) 둘째형 : 나시규(羅始奎) 부인 : 조정옥(趙貞玉) (1898~1968) 장남 : 나종익(羅鍾益) 딸 : 나신자(羅信慈) 차남 : 나봉한(羅奉漢, 1934년 4월 15일 ~ , 연극배우로 첫 데뷔한 영화감독으로 서울 출생이며 아버지 나운규의 고향인 함경북도 회령에서 유아기를 보냄.) 학력[원본 편집] 함경북도 회령보통학교 졸업 함경북도 회령 신흥학교 고등과 전학 중국 만주 지린 성 룽징 명동중학교 중퇴 상훈[원본 편집] 1993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국장 주요 작품[원본 편집] 감독 《아리랑》(1926년) 《철인도》(鐵人都, 1930년) - 《아리랑》 후편으로 제작되었다. 《오몽녀》(五夢女, 1936년) - 《아리랑》 3편으로, 유성영화로 제작되었다.[3] 《풍운아》(風雲兒, 1926년) 《옥녀》(玉女, 1928년) 《벙어리 삼룡이》(1929년) 《개화당 이문》(開化黨 異聞, 1932년) 《칠번통 소사건》(七番通 小事件, 1934년) 《무화과》(無花果, 1935년) 출연작 《아리랑》(1926년) - 원작, 감독, 주연 《임자 없는 나룻배》(1932년) 《심청전》- 주연 《개척자》- 주연 《장한몽(長恨夢)》- 주연 기타[원본 편집] 1991년 MBC에서 해당 인물의 삶을 다룬 특집극 <춘사 나운규>가 방영되었는데 이덕화가 주인공 춘사 나운규 역을 맡았다[4]. 각주[원본 편집] ↑ “나운규(羅雲奎)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18년 4월 13일에 확인함.  ↑ 강현식 기자 <아리랑> 지워지지 않는 '춘사'의 기억, 《오마이뉴스》, 2003년 5월 27일 작성 ↑ 나운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나운규의 삶과 예술 드라마로 제작”. 동아일보. 1991년 7월 5일. 2017년 6월 1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원본 편집] 춘사 대상영화제 나운규 : 독립유공자 공훈록국가보훈처 vdeh1991년 선정 이 달의 문화 인물 1월 나운규 2월 정철 3월 한용운 4월 김정호 5월 방정환 6월 정약용 7월 문익점 8월 안익태 9월 허준 10월 주시경 11월 윤선도 12월 이해랑 vdeh2016년 선정 이 달의 독립운동가 1월 조희제 2월 한시대 3월 프랭크 스코필드 4월 오영선 5월 문창학 6월 안승우 7월 이신애 8월 채광묵·채규대 9월 나중소 10월 나운규 11월 이한응 12월 최수봉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나운규&oldid=24199661" 분류: 1902년 태어남1937년 죽음일제 강점기의 영화 감독1924년 데뷔일제 강점기의 영화 배우일제 강점기의 연출가일제 강점기의 장로교도일제 강점기의 작가대한민국 임시 정부 시대 육군 군인반일 감정투자가건국훈장 애국장 수훈자회령시 출신나주 나씨한국의 남자 영화 배우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02: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나운규(羅雲奎, 1902년 10월 17일 ~ 1937년 8월 9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영화인이다. 대한민국 영화계의 선구자로, 본관은 나주(羅州)이며 호는 춘사(春史)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아리랑으로 일제강점기 조선영화를 대표하는 영화인 나운규의 생애는? Assistant: 함경북도 회령에서 출생했다. 회령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신흥학교 고등과로 진학, 1918년에는 만주 간도에 있는 명동중학에 들어갔으나 일제의 탄압으로 학교가 폐교됨으로써 1여년 동안 북간도와 만주지방을 유랑했다. 이때 독립군단체와 관련을 맺으면서 독립운동을 하다가 '청회선터널 폭파미수사건'의 피의자로 체포되어 청진교도소에서 1년 6개월의 형기를 마친 뒤 1923년에 출감하였다.[1] 1920년에는 독립군 지도자 중 한 명인 홍범도 장군 산하의 부대에서 활동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2] 1924년 일본인 관리 하의 '조선 키네마사'에 연구생으로 입사하여 윤백남 감독의 《운영전》에 가마꾼으로 출연하였다. 《농중조》라는 작품에 출연하여 배우로서 명성을 떨쳤다. 1926년에는 무성 영화인 《아리랑》을 제작함으로써 대한민국 영화계의 선구자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 작품은 나운규 자신이 각본을 쓰고 감독과 주연까지 겸하였는데, 여기에서 그는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였다. 종로 단성사에서 상영한 이 작품은 대한민국 영화계에 큰 획을 그었다. 이후 영화계의 중심이 되어 많은 작품을 내고 대한민국 영화의 새로운 개혁을 시도하여 공헌하였다. 작품으로 《금붕어》, 《들쥐》, 《벙어리 삼룡》, 《오몽녀》 등이 있다. 1937년 8월 9일, 안타깝게도 향년 36세의 한창 젊은 나이에 폐결핵으로 요절하고 말았다. 그의 차남 나봉한도 역시 아버지의 뒤를 이어 감독으로 활동한 바가 있다. 그가 고인이 된 후 1993년 8월 대한민국 정부는 윤봉춘과 함께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Human: 아래 김명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명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명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음악가에 대해서는 김명곤 (음악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김명곤출생 1952년 12월 3일(1952-12-03) (66세)대한민국 전라북도 전주직업 배우, 연극연출가, 前정치인활동 기간 1975년 ~ 현재종교 개신교(침례회) 학력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언론학 석사 김명곤(金明坤, 1952년 12월 3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 성우, 연극연출가이다. 전라북도 전주에서 출생하였다.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목차 1 학력 2 생애 3 경력 4 영화 5 뮤지컬 6 TV 드라마 7 더빙 7.1 TV 프로그램 7.2 라디오 프로그램 7.3 연극 8 수상 경력 9 함께 보기 10 외부 링크 학력[편집] 전주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독어교육학과 학사 졸업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신문방송 전공 석사과정 졸업, 언론학석사 (학위논문명 - 극장의 대(對)고객 커뮤니케이션 활성화에 관한 연구 : 국립극장의 사례를 중심으로) 생애[편집] 1975년 연극배우 첫 데뷔하였고 이후 잠시 배우 활동을 단념하며 신문 기자와 고등학교 교사 등을 지내다가 그만두고 배우 분야에 복귀하여 1983년작 영화 《바보 선언》으로 영화배우 스타덤에 올라 서편제, 태백산맥 등 여러 작품에 출연했다. 특히 서편제에서는 각본을 쓰기도 했다. 서편제로 1993년 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1986년 극단《아리랑》을 창단하였으며, 2000년에는 국립중앙극장장을 맡았다. 2006년 문화관광부 장관에 취임하여 재직한 적이 있다. 경력[편집] 2009.03~ 전주세계소리축제 조직위원회 위원장 2006.03~2007.05 제42대 문화관광부 장관 2000.01~2005.12 국립중앙극장 극장장 2000.07 통일문화학회 창립준비위원회 고문 2000 문화관광부 2001 지역문화의 해 추진위원회 지역문화일반 추진위원 1999.09~1999.12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객원교수 1998.03~1999.12 전국민족극운동협의회 의장 1986~1999 극단 아리랑 창단대표 1997~1998 우석대학교 연극영화과 전임강사 1978~1979 배화여자고등학교 교사 ~1977 뿌리깊은나무 기자 영화[편집] 1983년 《일송정 푸른 솔은》 1983년 《바보 선언》 1984년 《과부춤》 1985년 《어우동》 - 천가 역 1986년 《서울황제》 - 예수 역 1986년 《꽃지》 - 동진 역 1987년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 1987년 《박철수의 헬로 임꺽정》 1990년 《꼭지딴》 1991년 《개벽》 1992년 《명자 아끼꼬 쏘냐》 1993년 《서편제》 1994년 《한줌의 시간속에서》 1994년 《증발》 1994년 《태백산맥》 1995년 《천재 선언》 1995년 《48+1》 1995년 《영원한 제국》 1998년 《미끼》 1999년 《A+삶》 2012년 《광해, 왕이 된 남자》 - 박충서 역 2013년 《연애의 기술》 - 아버지 역 2014년 《명량》 - 토도 타카토라 역 2016년 《무수단》 - 참모장 역 2017년 《대립군》 - 정판서 역 2017년 《강철비》 - 리 선생 역 2018년 《신과함께: 인과 연》 - 강림 부 역 2018년 《만세전》 2019년 《우상》 - 최 의원 역 뮤지컬[편집] 1995년 《아가씨와 건달들》 2000년 《라이온 킹》 TV 드라마[편집] 2008년 《대왕 세종》 (KBS2) - 옥환 역 2012년 《각시탈》 (KBS) - 양백 역 2014년 《왕의 얼굴》 (KBS) - 송 내관 역 2015년 《밤을 걷는 선비》 (MBC) - 노창선 역 2015년 《KBS 드라마 스페셜 - 붉은달》 (KBS) - 영조 역 2017년 《명불허전》 (tvN) - 마성태 역 2018년 《미스티》 (JTBC) - 정대한 역 2018년 《친애하는 판사님께》 (SBS) - 오대양 역 더빙[편집] 《알라딘》 - 지니 《돌아온 자파》 - 지니 《알라딘과 도적의 왕》 - 지니 디즈니 만화동산 《알라딘》 (KBS) - 지니 TV 프로그램[편집] 1996년 《추적 사건과 사람들》 (SBS) 2014년 《다큐프라임-세계문화유산 양동마을 이야기》 (EBS1) - 전기수 역 라디오 프로그램[편집] 《라디오 북클럽, 방현주입니다》 (MBC FM) 《EBS 책 읽는 라디오 낭독 시리즈》 (2015년, EBS FM) 연극[편집] 1975년 《상록수》 ... 갑산이 역(단역) 수상 경력[편집] 1992년 제1회 어린이연극제 연출상 1992년 제1회 어린이연극제 최우수작품상 1993년 제13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남우연기상 1993년 제14회 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 1995년 자랑스런 서울시민상 1995년 제1회 현대연극상 연출상 함께 보기[편집] 김희라 한진희 정윤희 유지인 장미희 이보희 외부 링크[편집] 김명곤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전임정동채 제12대 문화관광부 장관2006년 3월 27일 ~ 2007년 5월 7일 후임김종민 vdeh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남우주연1980년대 최불암 (1980) 전무송 (1981) 안성기 (1983) 안성기 (1984) 하명중 (1985) 이대근 (1986) 신성일 (1987) 유인촌 (1988) 박중훈 (1989) 1990년대 박중훈 (1990) 이영하 (1991) 문성근 (1992) 김명곤 (1993) 안성기 (1994) 안성기 (1995) 안성기 (1996) 한석규 (1997) 송강호 (1998) 이정재 (1999) 2000년대 박중훈 (2000) 최민식 (2001) 설경구 (2002) 송강호 (2003) 최민식 (2004) 이병헌 (2005) 안성기 (2006) 송강호 (2007) 소지섭 (2008) 이범수 (2009) 2010년대 강동원 (2010) 하정우 (2011) 안성기 (2012) 송강호 (2013) 최민식 (2014) 정재영 (2015) 이병헌 (2016) 설경구 (2017) 이성민 (2018) 최우수작품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남우 | 신인여우 vdeh청룡영화상 남우주연1960년대 김승호 (1963) 김진규 (1964) 최무룡 (1965) 신영균 (1966) 김승호 (1967) 신영균 (1969) 1970년대 박노식 (1970) 최무룡 (1971) 박노식 (1972) 신영균 (1973) 1990년대 안성기 (1990) 임성민 (1991) 문성근 (1992) 김명곤 (1993) 문성근, 박중훈 (1994) 최민수 (1995) 문성근 (1996) 한석규 (1997) 박신양 (1998) 이정재 (1999) 2000년대 설경구 (2000) 최민식 (2001) 설경구 (2002) 최민식 (2003) 장동건 (2004) 황정민 (2005) 안성기, 박중훈 (2006) 송강호 (2007) 김윤석 (2008) 김명민 (2009) 2010년대 정재영 (2010) 박해일 (2011) 최민식 (2012) 황정민 (2013) 송강호 (2014) 유아인 (2015) 이병헌 (2016) 송강호 (2017) 김윤석 (2018) 최우수작품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남우 | 신인여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명곤&oldid=23905903" 분류: 195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연극인대한민국의 영화인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1975년 데뷔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창극 배우대한민국의 연출가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대한민국의 문화관광부 장관노무현 정부의 국무위원전주고등학교 동문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동문동국대학교 동문대한민국의 교사서울예술대학교 교수동국대학교 교수대한민국의 연극 평론가대한민국의 영화 평론가대한민국의 음악 평론가대한민국의 시사 평론가대한민국의 정치 평론가대한민국의 교육 평론가20세기 대한민국 사람대한민국의 문화 평론가21세기 대한민국 사람대한민국의 미술 평론가전주시 출신김해 김씨대한민국의 침례교도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 수상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3일 (토) 23:1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명곤(한국 한자: 金明坤, 1952년 12월 3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작가, 연출가, 창극인, 성악가, 前문화관광부장관이다. 전라북도 전주에서 출생,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배우 김명곤 씨는 2015년 밤을 걷는 선비에서 어떤 역할을 맡아 연기했을까? Assistant: 노창선
Human: 아래 독일계_미국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독일계 미국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독일계 미국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독일계 미국인German AmericansDeutschamerikaner 총인구 50,764,352 명[1][2]미국 인구에서 17.1%를 차지함. (2009) 언어 영어, 독일어 종교 기독교 (개신교 51%, 로마 가톨릭교 26% 등), 유대교 1%, 기타 16%[3] 민족계통 근연민족 독일인, 오스트리아계 미국인, 스위스계 미국인, 네덜란드계 미국인, 펜실베이니아 더치, 독일계 캐나다인 독일계 미국인(German American, 독일어: Deutschamerikaner)은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독일계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미국 인구에서 약 5천만 명, 곧 약 17%를 차지하며 미국에서 가장 큰 자기 보고된 조상 전래의 민족단이다.[4] 오하이오주, 아이오와주, 미네소타주, 위스콘신주, 네브래스카주와 다코타 지방을 포함한 중서부 지방 상류 주들이 3분의 1 이상의 가장 높은 독일계 미국인들의 비율을 가지고 있어도 캘리포니아주, 텍사스주와 펜실베이니아주가 독일계 주민들이 가장 많이 살고 있는 편이다. 2010년 미국 인구조사국에 의하면 독일계 미국인이 총 미국 인구의 17.1%를 차지하며, 아일랜드계 미국인, 아프리카계 미국인, 잉글랜드계 미국인을 앞서 가장 큰 조상 전래의 민족 단체를 형성하였다. 역사적인 독일의 주들이 해외 식민지들을 가지지 않았고, 1680년대 북아메리카의 영국 식민지들에 첫 현저한 독일인 이민들이 도착하여 펜실베이니아와 뉴욕 지역에 주로 정착하였다. 독일인들의 이민은 19세기 동안에 8백만 명의 가장 큰 수로서 지속하였다. 그들은 대지의 인력과 종교적 자유에 의하여 당겨졌고, 대지의 부족과 종교적 및 정치적 압박에 의하여 유럽의 외부로 밀려났다. 미국에 도착한 많은 이들은 종교적 밑 정치적 자유를, 어떤 이들은 유럽보다 더 나은 경제적 기회들을, 다른이들은 신대륙에서 간단히 깨끗하게 시작되는 기회를 위한 길을 찾았다. 1850년 이전에 도착한 이민들은 자신들의 강한 농장 기술들이 지불할 만한 가장 생산적 대지를 찾은 농부들이었다. 1840년 후에 많은 이민들은 독일어 사용 구역 "게르마니아"가 곧 생긴 대도시들에 왔다.[5][6][7] 독일계 미국인들은 미국에 첫 유치원을 설립하였고,[8] 크리스마스 트리 전통을 소개하였으며,[9][10] 핫도그와 햄버거 같은 인기있는 미국식 음식들을 창설하였다.[11] 독일계 미국인들의 축하식은 전국을 통하여 열리고, 뉴욕에서 매 9월마다 세 번째 토요일에 열리는 독일계 미국인 슈토이벤 행렬식이 가장 잘 알려진 것들 가운데 하나이다. 또한 시카고, 신시내티, 밀워키, 세인트루이스와 다른 도시들에서 해마다 열리는 주요 이벤트들이 있다. 미국에 온 다른 이민들처럼 압도적인 독일인 혹은 독일계 주민들은 본질적으로 미국화되었다. 목차 1 초기 역사 1.1 식민지 시기 1.2 팔츠인들 1.3 루이지애나 1.4 남부 1.5 뉴잉글랜드 1.6 펜실베이니아 2 19세기 2.1 도시들 2.2 텍사스 2.3 러시아에서 건너온 독일인들 2.3.1 전통 2.3.2 양심적 병역거부 2.4 남북 전쟁 2.5 농장들 2.6 정치 2.6.1 노동운동 2.6.2 선거 3 20세기 3.1 제1차 세계 대전과 반독 감정 3.2 제2차 세계 대전 3.3 전쟁 이후의 세월들 4 독일계 미국인의 영향 5 두드러진 독일계 미국인들 5.1 독일계 미국인 대통령들 6 관련 항목 7 참조 초기 역사[편집] 식민지 시기[편집] 존 제이컵 애스터는 미국에서 첫 애스터 가문 왕조와 첫 억만장자가 되었으며, 모피 무역과 뉴욕의 부동산 업계에서 부를 쌓았다. 1607년 버지니아주 제임스타운에 도착한 첫 영국인 정착자들은 첫 독일계 미국인 요하네스 플라이셔 박사에 의하여 동행되었다. 플라이셔 박사는 1608년 5명의 유리 제조업자들과 3명의 목공인들 혹은 가옥 건축가들에 의하여 수행되었다.[12] 미국이 된 첫 영구적 독일인 정착은 펜실베이니아주 저먼타운이었으며, 1683년 10월 6일 필라델피아 근처에서 창립되었다. 독일인들의 큰 수들이 1680년대부터 1760년대까지 펜실베이니아가 호의적 목적지로 되면서 이주하였다. 그들은 여러 이유들로 아메리카에 이주하였는데, 그 예를 들면, 추천 도매상들이 중유럽에서 농장 소유를 위한 악화된 기회들에 연루, 어떤 종교 단체들의 박해와 군사적 징병제, 인력 도매상들이 더 나은 경제적 상태(특히 소유적 대지에 기회와 종교적 자유)이다. 가끔 이민자들은 계약적 하인들로서 세월들의 기간을 위하여 자신들의 노동력을 팔면서 자신들의 통행을 위하여 돈을 냈다.[13] 펜실베이니아의 큰 구역들과 뉴욕의 상부는 독일인들을 끌어들였다. 대부분은 루터교와 독일 개혁 교회 신자들이었으며, 많은 이들은 모라비아 교도들과 메노나이트 교도들 같은 작은 종교적 종파에 속하였다. 독일의 로마 가톨릭교회 교도들은 1812년 전쟁 이후 때까지 도착하지 않았다.[14] 팔츠인들[편집] 1709년 독일의 팔츠 지방에서 온 독일의 프로테스탄트들이 곤란의 상태들을 탈출하여 처음에 로테르담으로 갔다가, 그러고나서 런던으로 갔다. 영국의 앤 여왕은 그들에게 그녀의 아메리카 식민지들을 얻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음식의 나쁜 품질과 전염되기 쉬운 발딘티푸스 병 등의 이유로 여행은 생존하는 데 길고 어려웠다. 많은 이민자들, 특히 어린이들이 1710년 6월 아메리카에 도달하기 전에 사망하였다.[15] 생존한 대략 2,100명의 팔츠인 이민은 식민지 시대에 아메리카로 가장 큰 단 하나의 이민이었다. 그들의 대부분은 허드슨 강 유역의 봉사 캠프들에 정착하여 자신들의 통행을 청산하였다. 1711년 안으로 7개의 마을들이 로버트 리빙스턴 영대 차지에 뉴욕 주에서 설립되었다. 1723년 독일인들은 리틀 폭포들 서부의 모호크 계곡에서 대지를 살 수 있던 첫 유럽인들이 되었다. 100개의 농가들은 버니츠필드 특허권에서 배치되었다. 1750년 안으로 독일은 모호크 강 양쪽에 12 마일(19 킬로미터)의 제거를 차지하였다. 흙이 가장 좋았으며, 거의 돌과 함께 500척의 집들이 지어졌고 그 지방은 인디언 습격의 원한에서 번영하였다. 허키머는 오랫동안 "저먼플랫츠"라고 알려지면서 지방에서 가장 잘 알려진 독일인의 정착지들이었다.[15] 초기 독일 팔츠 이민들 중에 가장 유명한 인물로는 미국에서 발행의 자유를 위하여 식민주의적 뉴욕에서 싸움을 이끈 편집자 존 피터 젱거였다. 미국 독립 전쟁 이후에 바덴에서 건너온 후기의 이민 존 제이컵 애스터는 뉴욕에서 자신의 모피 무역과 부동산 투자들로부터 미국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이 되었다. 루이지애나[편집] 미시시피 회사는 1721년 프랑스령 루이지애나에 수천명의 독일인 개척자들을 정착시켰다. 정착은 독일인들, 최근에 프랑스의 규칙 아래에 떨어진 알자스 지방의 독일인들과 스위스인들을 이민가는 데 용기를 주었다. 알자스 지방은 30년 전쟁의 더 위대한 문맥 안으로 프랑스에 팔렸다. 예수회의 샤를르부아는 캐나다에서 루이지애나로 갔다. 그의 편지는 "팔츠 선제후국에서 자라온 이 9,000명의 독일인들은 아칸소에 있었다. 통틀어서 독일인들은 아칸소를 떠났다. 그들은 뉴올리언스로 가서 유럽에 통행을 요청하였다. 미시시피 회사는 뉴올리언스에서 위로 약 25 마일(40 킬로미터) 떨어져 있는 미시시피 강의 오른쪽 둑에 있는 부유한 대지들을 독일인들에게 주었다. 지역은 이제 '저먼 코스트'로 알려졌다."라고 써졌다. 독일인들의 번영하는 인구가 저먼 코스트로 알려진 뉴올리언스로부터 강 상류에 살았다. 그들은 J. 하노 다일러의 "루이지애나:독일인 정착자들을 위한 집" 같은 팜플렛들을 통하여 끌어당겨졌다.[16] 남부[편집] 1714년과 1717년 독일 식민주의자들의 2개의 방향들은 현재 버지니아주 컬페퍼 근처에 자리잡은 저매너라 불리는 버지니아의 큰 식민지를 설립하였다.[17] 노스캐롤라이나주에서 독일의 모라비아 교도들은 1753년 노스캐롤라이나의 피드먼트에서 그랜빌 경으로부터 10만 에이커(400 제곱 킬로미터) 가까운 펜실베이니아 주 베들레헴 주위에 살았다. 그들은 특히 현재 윈스턴-세일럼 주위에 있는 지역에서 그 지대에 독일인 정착지들을 설립하였다. 그들을 또한 1759년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처음으로 계획된 모라비아 교도 공동체인 "통행의 집"으로 해석된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베서버라의 과도적인 정착지를 창립하였다. 곧 후로 1766년에 독일의 모라비아 교도들은 세일럼의 타운과 1772년 초기의 여성 대학 세일럼 칼리지를 세웠다. 독일 이민들은 사우스캐롤라이나주[14]의 더치 포크 지역과 텍사스주, 특히 오스틴 지역을 포함한 미국 남부의 다른 지역들에 정착하기도 하였다. 독일의 유대인, 즉 유대계 독일인들은 19세기를 통하여 20세기 초반까지 미국 남부에 이민을 갔다. 그들은 특히 자신들이 가끔 지방적 상인, 가축 거래인, 농업적 상품 교역인, 은행업자와 비지니스 소유인들로 일하였던 도시들과 타운들을 포함한 남부의 많은 지역들에서 작은 유대계 독일인 공동체들을 형성하였다. 앨라배마주에서 자신의 동생과 함께 리먼 브라더스를 창립한 핸리 리먼은 부분적으로 유대계 독일인 이민들 중의 두드러진 예이다. 유대계 독일인들은 미국에서 첫 개혁적인 시나고그를 설립한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의 찰스턴 같은 도시들에 정착하였다. 유대계 독일인들은 자신들의 시나고그들을 지은 다른 남부의 도시들 등에 정착하기도 하였다. 뉴잉글랜드[편집] 1742년과 1753년 사이에 거칠게 1천명의 독일인들이 매사추세츠주 브로드 베이(현재의 메인주 월도보로)에 정착하였다. 그들의 집들이 불타고 그들의 이웃들이 인디언들에 의하여 살인당하거나 포로로 잡혀간 후에 많은 식민주의자들이 보스턴, 노바스코샤와 노스캐롤라이나로 도망갔다. 남아있던 독일인들은 농사에 생존하기 힘든 것을 찾아냈고 결국 해운업과 어업으로 돌려졌다.[18] 펜실베이니아[편집] 1725년과 1775년 사이에 무임 도항 이주자들과 개약적 하인들로서 도착한 이민들과 함께 펜실베이니아로 독일인 이민의 형세가 팽창하였다. 1775년 안으로 독일인들은 펜실베이니아 주의 대략 3분의 1을 구성하였다. 독일인 농부들은 그들의 높은 생산적 동물 경자과 농업적 실습들로 명성을 얻었다. 정치적으로 그들은 후에 미국 독립 혁명을 지지한 입법부의 통제를 가진 퀘이커 교도들이 이끄는 연합에 가입한 1740년까지 정통적으로 활동하지 않았다. 이럼에 불구하고, 많은 독일인 정착자들은 아마 그들이 자신들의 왕립 대지 양도가 새로운 공화국 정부에 의하여 가져갈 것이라는 이유 혹은 영국인들에게 충성이 자유적 사회에 사는 기회를 마련한 독일 군주 정체라는 이유로 독립 혁명 동안에 영국당원들이었다.[19] 루터교, 개혁 교회, 메노나이트, 아미시파와 다른 종파들을 포함한 독일인들은 강한 음악적 문화와 함께 부유한 종교적 생활을 개발하였다. 수집적으로 그들은 펜실베이니아 더치로 알려지게 되었다.[20][21] 1810년대 이전에는 펜실베이니아에 약간의 독일인 가톨릭 교도들이 있었다. 자동차와 수레 제조업자들의 조상들 스튜드베이커 형제가 1736년 단검으로 유명한 졸링겐으로부터 펜실베이니아에 정착하였다. 그들의 실력들과 함께 그들은 서부로 향하는 변경 개척자들을 싣는 수레들을 만들었고, 그들의 대포들은 남북 전쟁에서 포병들과 함께 한 북군들에게 마련되었으며 그들의 자동차 회사는 미국에서 가장 큰 회사들 중에 하나가 되어 육군의 전쟁 노력과 산업적 창립에서 요소였다. 미국 독립 전쟁이 터지자 영국은 식민지군에 대항하는 데 어떤 헤센군들을 모집하는 데 독일의 왕자들과 함께 협정들을 만들었다. 대다수는 헤센 대공국에서 왔다. 많은이들은 영구적으로 미국에 정착한 어떤이들의 농장들에서 포로들이 되었다. 1790년 미국 인구 조사로 봐서, 역사가들은 독일인들이 미국 백인 인구들의 9% 가까이 차지한다고 견적하였다. 19세기[편집] 1820년과 제1차 세계 대전 사이에 6백만 명 가까이 되는 독일인들이 미국으로 이주하는 시기 동안에 들어오는 독일 이민들의 가장 큰 흐름이 생겼다. 1840년부터 1880년까지 그들은 이민 집단 중에 가장 컸다. 독일의 주들에서 일어난 1848년 혁명에 이어서 포티에이터스라고 알려진 정치적 난민들의 바람이 불었다. 그들은 저널리스트, 정치인, 전문 직업인들을 포함한다. 현명한 포티에이터스는 헨리 빌라드와 카를 슈르츠를 포함한다. 도시들[편집] 1872년 독일인의 인구 분포를 보이는 미국의 지도 밀워키, 신시내티, 세인트루이스, 시카고, 뉴욕과 볼티모어 같은 도시들은 독일인 이민들의 호의적인 목적지들이었다. 1900년 안으로 클리블랜드, 밀워키, 호보컨과 신시내티의 인구들은 모두 40% 이상이 독일계 미국인들이었다. 1910년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서 독일계 미국인의 비율이 57%를 차지하면서 아이오와주의 듀부크와 대번포트는 더 큰 비율을 가졌다. 인디애나주 포트 웨인 같은 다른 북부 도시들은 독일계 미국인들이 인구의 30% 이하를 차지한다. 1850년경에 미시간주 앤아버와 그 주위에는 슈바벤 이민들이 정착하였다. 신시내티의 "오버 더 라인" 구역, 세인트루이스 남부의 "더치타운"과 콜럼버스의 "저먼 빌리지" 같이 많은 그들의 인구 집중들은 자신들의 유산을 암시한 특유의 이름들을 취득하였다. 가장 좋아하는 목적지는 "독일인들의 아테네"로 알려진 밀워키였다. 이전 국가에서 정치 훈련을 받은 근본적인 독일인들이 이 도시의 사회주의 정치들을 지배하였다. 많은 중개업자들이 맥주 양조업을 창립하는 동안에 능력있는 근로자들은 많은 기능들을 지배하였다. 도시들에 정착한 독일인 이민들의 절반에 반하여, 다른 절반들은 중서부에 농장들을 설립하였다. 21세기에 들어서 오하이오주에서 평원 주들까지 시골 지역들에 무거운 존재들이 지속되었다. 어떤 독일인들은 뉴올리언스에서 떨어진 최남부 지방에 정착하였다. 텍사스[편집] 독일계 미국인 학교로 쓰였던 텍사스주 오스틴에 있는 워렌버거 하우스 텍사스주는 갤버스턴과 인디애놀라를 통하여 들어와 양 타운의 농장으로 오고, 후의 더 많은 이민들이 휴스턴 같은 도시들에서 빠르게 공업적 직업들을 가진 많은 독일인들을 끌어들였다. 밀워키에서 같이 휴스턴의 독일인들은 양조업을 지었다. 1920년대 안으로 대학에서 교육을 받은 독일계 미국인들의 첫 세대는 화학과 석유 산업으로 이동해 들어갔다. 1850년대에 텍사스는 약 2만명의 독일계 미국인들이 있었다. 그들은 유니폼 블록을 형성하지 않았으나, 아주 몇몇 안되는 귀족들이나 상중류 클래스의 비지니스맨들을 제외하고는 지리적 지역들과 유럽인 사회의 모든 부문들로부터 높게 다양하고 비겼다. 러시아에서 건너온 독일인들[편집] 전통[편집] 러시아에서 온 독일인들은 독일어를 사용하는 도착자들의 가장 전통적이었다. 그들은 러시아 제국을 통하여 많은 세대들을 살아온 독일인들이었으나 특히 볼가 강 유역과 현재 우크라이나에 속하는 크림 반도 근처에 살았다. 그들의 조상들은 1762년과 1763년 예카테리나 대제에 의하여 초대를 받아 독일어를 사용하는 모든 세계에서 왔으며, 러시아의 시골 지역에 정착하여 더 진보한 독일식 농업 방법들을 소개하였다. 양심적 병역거부[편집] 기독교 평화주의자들인 메노나이트들은 19세기에 러시아 정부의 양심적 병역거부 탄압때문에1900년에 대략 10만 명이 이민을 떠나 주로 다코타 지방, 캔자스와 네브래스카에 정착하였다. 노스다코타주의 남부중앙부는 "독일-러시아의 삼각형"으로 알려졌다. 작은 수들은 서부로 멀리 이주하여 카우보이와 목장주같은 직업을 찾았다. 부정적으로 차르에 의하여 그들의 권리들의 폭력과 문화적 박해에 의한 영향으로 미국 중서부의 북부에 정착한 러시아에서 건너온 독일인들은 러시아계 미국인들로부터 갈라진 학대받는 민족으로 자신을 보았고, 독일 땅으로부터 이민을 온 독일계 미국인으로부터 아주 다른 경험을 겪어 자신들의 독일어와 문화를 유지한 빈틈없는 공동체들에 정착하였다. 그들은 큰 가족들을 키웠고, 독일식 교회들을 지어 자신들의 시체를 특유의 묘지들에 안장하는 데 주형의 철 무덤 묘석을 이용하였으며 독일 교회 찬송가를 부르는 합창단을 창조하였다. 많은 농부들은 아직도 대평원 상부에서 나는 주요 농작물 사탕무에 전문적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그들의 신분은 반독 감정에 의하여 도전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면서 공공적과 공식적 일들에서 영어와 함께 쓰이던 독일어가 심각한 거절에 놓였다. 오늘날 독일어는 영어를 우세하게 사용한 대평원 주들의 북부에 사는 러시아에서 건너온 독일인들과 함께 주로 노래부르는 단체들과 방법들을 통하여 보존되었다. 독일어는 다코타 지방에서 두 번째로 많이 쓰이는 언어로 남아있다. 자신들의 언어 손해에 불구하고 그들은 뚜렷하게 남아 미국 서부에 오래가는 감독을 남겼다. 남북 전쟁[편집] 독일계 미국인들 사이에 감정은 특히 포티에이터들 사이에 반노예주의였다. 수십만명의 독일계 미국인들은 남북 전쟁에서 북군을 위하여 싸우는 데 지원되었다. 독일인들은 남북 전쟁에 참전하는 데 가장 큰 이민 단체들이었으며, 17만 6천명 이상의 미국 군인들이 독일에서 태어났다. 독일인들 사이에 인기있던 북군 사령관 프란츠 지겔 소령은 "지겔과 함께 싸움"에 입대하는 데 주장된 많은 독일 이민들과 함께 북군의 최고 계급 독일인 사령관이었다. 4명의 독일인들 중에 1명이 전 독일인 연대에서 싸웠어도 그들은 독일 군인의 공동적 이미지를 창조하였다. 펜실베이니아주는 5개, 뉴욕주는 11개, 오하이오주는 6개의 독일인 연대들을 주둔하였다. 농장들[편집] 많은 농부들을 끌어들이는 데 유용한 큰 토지 승인들과 함께 서부 철도들은 함부르크와 다른 독일의 도시들에 대리인들을 세워 값이 싼 교통과 쉬운 기간들에 농장지의 판매들을 약속하였다. 예를 들어 샌타페이 철도는 이민을 위하여 자신들의 감독관을 기용하였고 30만 에이커(1,200 제곱 킬로미터) 이상을 독일어 사용자 농부들에게 팔았다. 19세기와 20세기를 걸쳐 독일계 미국인들은 농부들이 되는 데 높은 흥미를 보였고 대지에 자신들의 자식들과 손자·손녀들을 지켰다. 그들이 운영하는 데 이득들이 필요하였을 때에 그들은 이득들을 가족의 지속을 유지하는 데 연장으로 사용하였다. 그들은 위험을 반대하는 전략들을 사용하여 조심스럽게 가족에서 대지를 지키는 데 자신들의 상속을 계획세웠다. 그들의 공동체들은 더 작은 평균의 농장 크기, 더 위대한 동등권, 적은 부재 소유권과 더 위대한 지리적 인내력을 보였다. 정치[편집] 노동운동[편집] 19세기 후반의 많은 독일계 미국인들은 무정부주의자들이나 사회주의자들이었다. 1886년 5월 1일 8시간 노동쟁취를 위한 시카고 총파업이 있었다. 당시 경찰에서는 노동자들을 살상함에 항의하려고 노동자들이 헤이마켓에서 집회를 가졌다. 이때 폭탄테러가 일어나 경찰과 노동자들사이의 싸움이 일어나자 자본가들과 결탁한 지배 계급들은 노동자들이 경찰을 살해했다고 조작하여 8명의 노동운동가들을 사법살인한 헤이마켓 사건이 일어났다.[22]이때 8명의 피고인들 중에 6명이 독일인이었고, 독일인들은 초기 미국 노동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선거[편집] 상대적으로 몇몇의 독일계 미국인들이 사무실을 보유하였으나 남자들이 한번 시민들이 되는 데 투표하였다. 정통으로서 프로테스탄트와 유대인들은 공화당 편에 들었고 가톨릭 교도들은 강하게 민주당을 성원하였다. 비밀 투표에서 금지령이 있을 때에 독일인들은 그것에 대항하는 데 고체적으로 투표하였다. 그들은 강하게 금주 개혁자들과 많은 인기당원들을 포함한 도덕적 개혁 운동가들을 불신임하였다. 독일인 공동체는 강하게 은화의 자유 주조를 반대하였고 1896년 개혁 운동가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에 무겁게 대항하며 투표하였다. 1900년 많은 독일계 민주당원들이 자신들의 당에 복귀하여 브라이언을 위하여 투표하였는데, 아마 윌리엄 매킨리 대통령의 외교 정책 때문이었을 것이다. 20세기[편집] 제1차 세계 대전과 반독 감정[편집] 제1차 세계 대전 동안에 독일계 미국인들은 어쩌다 독일 제국에 너무 동정심을 가져 고발을 당하였다. 우드로 윌슨 전 대통령은 "외국계 미국인주의"를 비난하여 이중의 충성들이 전쟁 시기에 불가능하였다고 주장하였다. 독일을 위한 작은 소수파가 나오거나 영국인들을 비웃기 마련이었다. 비슷하게 하버드 대학교의 정신과 교수 휴고 뮨스터버그는 미국과 독일 사이의 중재에 자신의 노력들을 떨어뜨려 독일의 이유 뒤로 던져버렸다. 법무부는 모든 독일 외국인들의 명단을 준비하는 데 시도하여 그들의 대략 48만 명을 세워 4천 명 이상은 1917~18년 사이에 투옥되었다. 변증은 독일을 위한 스파이와 독일의 전쟁 수고를 보증함을 포함하였다. 수천명은 자신들의 충성을 보이는 데 전쟁 보증금을 사는 데 강요되었다. 적십자는 파괴행위의 위협에 가입으로부터 독일인의 성을 가진 개인들을 제외하였다. 한명은 반란자에 의하여 살인되었는 데, 일리노이주 콜린스빌에서 독일 출신의 로버트 프라거가 간첩으로서 감옥으로부터 끌려나와 린치당하였다. 시카고에서 프레더릭 스톡은 그가 자신의 귀화 문서들을 최종적으로 완성할 때까지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지휘자로서 임시적으로 사임하였다. 오케스트라단들은 바그너와 베를리오즈에 의한 음악을 되돌렸다. 신시내티에서는 공공 도서관이 자신들의 책꽂이들로부터 독일어 책들을 거두어 들이는 데 요구되었다. 독일어 이름을 진 거리들이 다시 이름을 지었다. 미시간주의 베를린은 마네(마네의 전투에서 싸운 군사들을 기념)로 이름을 바꾸었다. 아이오와 주에서는 1918년의 바벨 포고에서 주지사가 학교들과 공공 장소들에서 외국어들을 금지시켰다. 네브래스카 주는 영어를 제외한 모든 언어들에서 지시를 금지시켰으나 미국 대법원은 1923년 금지를 불법으로 규칙을 내렸다. 독일계 미국인들의 이런 전술들에 책임에서 가끔 이름들을 미국화("슈미트"에서 "스미스"로, "뮐러"에서 "밀러"로)하고, 공동 장소들, 특히 교회에서 독일어 사용을 제한시켰다. 제2차 세계 대전[편집] 1931년부터 1940년까지 11만 4천명의 독일인들이 미국으로 이주하였는 데 노벨상 수상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을 포함한 그들은 유대계 독일인들이나 나치주의의 반대자들이었다. 대략 2만 5천명은 전쟁 이전의 세월 동안에 친나치 독일계 미국인 동맹의 회원들이 되었다. 독일 외국인들은 편견과 빗나간 수가 일본계 미국인들보다 정통적으로 적은 단체로서 고통을 겪은 의미였어도 전쟁 동안에 혐의와 차별의 주제였다. 1940년 외국인 등록 법령은 연방 정부와 함께 독일 시민권을 등록한 독일 출신 외국인들을 요구하여 그들의 여행과 재산 소유권을 제한시켰다. 아직도 활동적인 1798년의 외국인 적령 아래에서 미국 정부는 1940년과 1948년 사이에 1만 1천명 가까이 되는 독일 시민들을 구금하였다. "지원적 구금인"들의 알 수 없는 수는 수용소들에서 자신들의 배우자들과 부모들에게 가입하여 떠나는 데 허락되지 않았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장군, 체스터 니미츠 해군 대장과 칼 앤드루 스파츠를 포함한 독일계 미국인들에게 정상적인 전쟁 직업을 찾았다. 그는 공화당원 웬델 윌키를 개인적 대표로 임명하였다. 독일어에 능통한 독일계 미국인들은 전쟁 시기의 지능으로 중요한 감성이었고 들은 미국을 위한 번역자와 스파이로서 근무하였다. 예로 헨리 키신저가 종군 당시에 통역관을 맡았다. 전쟁은 당시 본국에 친척들과 연락한 몇몇의 독일계 미국인 사이에 강한 친미주의 애국적 감정을 일깨웠다. 전쟁 이후의 세월들[편집] 제2차 세계 대전 직후의 시기에 소비에트 연방,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루마니아, 헝가리와 유고슬라비아를 포함한 다시 그어진 동유럽의 경계들 안에서 100만명의 독일인들이 추방당하였다. 대부분은 독일에 재정착하였으나 다른이들은 1940년대 후반에 미국에 난민들로 들어와 자신들의 새로운 고향들에 문화적 중심지들을 설립하였다. 후에 유고슬라비아 땅(현재의 세르비아)이 된 헝가리의 도나우 강 유역에 정착 후에 언어와 풍습들을 유지해 온 독일인들, 이를테면 어떤 도나우 강의 슈바벤인들이 전쟁 후에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 1970년 후에 제2차 세계 대전에 의하여 자극된 반독 감정이 사라져갔다. 오늘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이민온 독일계 미국인들은 미국에서 다른 서유럽 이민 단체만큼 같은 특성을 나누고 있다. 그들은 대부분 전문적인 이유들로 온 전문인들과 학회원들이었다.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와 독일의 재통일 이래 독일은 오히려 이민을 떠나는 사람들보다 이민들의 목적지가 되었다. 1990년 미국 인구 조사에서 5천 8백만의 미국인들이 단독으로 혹은 부분적으로 독일계라고 주장되었다. 2005년 인구 조사에 의하면 5천만의 미국인들이 독일 계통을 가졌다고 한다. 독일계 미국인은 총 미국 인구의 17%, 히스패닉이 아닌 백인 인구의 26%를 차지한다. 독일계 미국인의 영향[편집] 뉴욕에서 열리는 슈토이벤 축제 행렬 밀워키에 있는 밀러 맥주 양조 단지 독일인들은 미국의 막대한 문화와 기술 지역들에 공헌하였다. 전 프로이센의 장교 슈토이벤 남작은 미국 독립 전쟁 동안에 미국 육군의 재결성을 이끌어 영국군에 승리를 거두었다. 스타인웨이 앤드 선즈 피아노 제조 상사는 1853년 이민자 헨리 E. 스타인웨이에 의하여 창설되었다. 독일인 정착자들은 미국에 크리스마스 트리 전통을 가져왔다. 서부로 이동 동안에 스튜드베이커 형제는 대량의 수레들을 지었는 데, 듀센버그 형제처럼 후에 중요한 초기 자동차 제조업자가 되었다. 첫 실패적 1848년 독일 혁명으로부터 난민으로 들어온 카를 슈르츠는 영향적인 정치인이 되어 처음에 공화당에서, 후에 민주당으로 옮겨 내무 장관을 지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 베르너 폰 브라운과 페네뮌데에 있는 전 독일 V-2 로케트 기지에서 온 대부분의 일류 공학자들이 미국으로 데려왔다. 그들은 미국 항공 우주국의 프로그램을 위한 로케트들은 물론 미국 군사 로케트들의 개발에 중대하게 공헌하였다. 독일 음식의 영향은 전국에 걸쳐 미국의 음식에 보였는 데, 특히 패스트리, 육류, 소시지와 맥주로 여겨진다. 햄버거, 자우어크라우트, 슈트루델(과일, 치즈 등을 밀가루 반죽으로 얇게 싸서 화덕에 구운 과자) 등이 공동적 요리이다. 독일의 빵 굽는 사람들이 비스킷의 일종인 프레첼을 소개하였다. 1850년 이래 독일인들은 맥주 양조업에 지배적인 민족으로 지내왔다. 밀워키는 한번 세계에서 가장 큰 독일 양조사들 중에 4개의 고향이었다 - 쉴리츠, 블라츠, 팝스트와 밀러. 그리고 수많은 세월에 세계에서 최고 맥주 생산 도시였다. 미국에서 현재 팔리고 있는 맥주의 절반이 A. 팝스트와 1860년 세인트루이스에서 버드와이저를 창립한 에베르하르트 안호이저와 아돌푸스 부슈 같은 독일 이민들에 귀착시켰다. 옥토버페스트, 독일계 미국인의 날과 슈토이벤 남작의 날 같은 독일계 미국인의 축제들이 전국을 통하여 정규적으로 열린다. 가장 큰 축제들 중의 하나는 뉴욕에서 열리는 슈토이벤 행렬이며 9월마다 매일 세 번째 토요일에 열린다. 시카고의 링컨 광장 이웃에서도 주요 해마다의 이벤트들이 열리고, 독일인 인구의 전통적 중심지 신시내티에서는 독일 외부에서 가장 큰 옥토버페스트인 "옥토버페스트 친치나티(독일어: Oktoberfest Zinzinati)"가 열린다. 밀워키에서는 해마다 열리는 독일인 축제와 함께 도시의 독일인 유산을 축제벌이는 편이다. 펜실베이니아주에 온 독일과 다른 독일어 사용 국가들에서 많은 이민들이 "앨러게니 시티"(지금의 피츠버그 시의 노스 사이드)로 알려진 지역에 정착하였다. 많은 독일인들이 도착하면서 지역이 "도이치타운"으로 알려졌다. 도이치타운 안에서와 1854년 이래 튜토니아 맨너호르는 독일 문화 전통들을 진흥과 촉진을 해왔다. 독일에서 가장 인기있는 카드 게임 스카트는 위스콘신주와 텍사스주 같은 큰 독일 인구와 함께 한 미국의 지역들에서 행하고 있다. 독일식 이름을 가지고 있는 미국의 도시와 타운들은 중서부에서 마저 극단적으로 흔한 편이다. 그러나 독일식 이름의 두가지 예로는 아이오와주의 베텐도프와 일리노이주의 샤움버그를 들 수 있다. 두드러진 독일계 미국인들[편집] 독일계 미국인들은 과학, 건축, 산업, 스포츠, 연예계, 신학, 정부와 군사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영향적이었다. 독일계 미국인 장군들 - 슈토이벤 남작,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 존 퍼싱,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와 노먼 슈워츠코프는 미국 독립 전쟁, 남북 전쟁, 인디언 학살,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과 걸프 전쟁에서 미국 육군의 사령관들이었다. 닐 암스트롱 같은 다른 이들은 달에 착륙하였다. 독일계 미국인들은 프리드리히 헤커, 프레더릭 뮬렌버그, 카를 슈르츠,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헨리 키신저 등을 포함한 유명한 정치인들이었다. 많은 독일계 미국인들은 산업과 비지니스에서 두드러진 역할을 하였으며, 존 D. 록펠러(스탠다드 석유 회사), 윌리엄 보잉(보잉사), 월터 크라이슬러(크라이슬러 주식회사), 프레더릭과 오거스트 듀센버그(듀센버그 자동차 주식회사), 스튜드베이커 형제(스튜드베이커 자동차 주식회사), 조지 웨스팅하우스(웨스팅하우스 전기 주식회사), 리바이 스트라우스(리바이 스트라우스 앤드 컴퍼니), 헨리 J. 하인즈(H. J. 하인즈 컴퍼니), 찰스 거스(펩시코), 제임스 L. 크래프트(크래프트 푸즈), 헨리 E. 스타인웨이(스타인웨이 앤드 선즈), 찰스 파이저(파이저 제약), 찰스 디볼드 (디볼드 닉스도프), 버나드 크로거 (크로거), 도널드 트럼프(트럼프 기업), 존 제이컵 애스터(월도프 애스터리아 호텔 앤드 리조트), 콘래드 힐튼(힐튼 호텔 앤드 리조트), 구겐하임 가(솔로몬 R. 구겐하임 재단), 마커스 골드만과 새뮤얼 삭스(골드만삭스), 리먼 형제(리먼 브라더스), 허먼 홀러리스(IBM), 스티브 잡스(애플)와 에릭 슈미트(구글) 등을 포함한다. 독일계 미국인들은 미국 역사의 거의로 봐서 맥주 양조업을 지배하기도 하였다. 아우구스트 셸(아우구스트 셸 양조 회사), 에베르하르트 안호이저와 아돌푸스 부슈(안호이저-부슈 합동사), 아돌프 쿠어스(몬슨 쿠어스 양조 회사), 프레더릭 밀러(밀러 양조 회사), 프레더릭 팝스트(팝스트 양조 회사), 베른하르트 슈트로(슈트로 양조 회사)와 조지프 쉴리츠(조지프 쉴리츠 양조 회사) 등의 19세기 독일인 이민들에 의하여 창립된 양조사들과 함께 시작되었다. 어떤 분야에서는 브루클린 교의 공학자 존 로블링과 발터 그로피우스와 루트비히 미스 반 데어 로에 같은 건축가들은 볼 수 있는 경계표들 뒤에 남겨졌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로버트 오펜하이머, 베르너 폰 브라운, 존 피터 젱거, 존 스타인벡, 조지프 와이젠바움을 포함한 다른이들은 지력의 경계표들을 세웠다. 아직도 베이브 루스, 루 게릭, 잭 니클로스, 도리스 데이, 마를레네 디트리히, 존 덴버, 킴 베이싱어, 메릴 스트립, 샌드라 불럭, 데이비드 하셀호프 같은 다른 이들은 두드러진 선수, 배우 등이 되었다.[23] 독일계 미국인 대통령들[편집] 2명의 대통령들이 독일계 아버지를 두었다 - 드와이트 아이젠하워(원래 독일식 철자로는 Eisenhauer이며, 어머니 쪽은 독일/스위스)와 허버트 후버(원래 독일식 철자로는 Huber인데 영어식으로 Hoover로 바꾸었다). 어머니 쪽이 독일인 혈통을 둔 대통령들로는 버락 오바마와 리처드 닉슨(그의 중앙 이름 밀하우스(Milhous)는 독일식 철자로 멜하우젠(Melhausen)이었다)이다.[24] 관련 항목[편집] 독일인 오스트리아인 유럽계 미국인 오스트리아계 미국인 스위스계 미국인 참조[편집] ↑ Census 2009 ACS Ancestry estimates ↑ “Regular Session 2009-2010 Senate Resolution 141 P.N. 1216”. 2015년 3월 17일에 확인함.  ↑ One Nation Under God: Religion in Contemporary American Society, p. 120. ↑ From Census Bureau, "S0201. Selected Population Profile in the United State" 2006-2008 data ↑ Zane L. Miller, "Cincinnati Germans and the Invention of an Ethnic Group", Queen City Heritage: The Journal of the Cincinnati Historical Society 42 (Fall 1984): 13-22 ↑ Bayrd Still, Milwaukee, the History of a City (1948) pp. 260-63, 299 ↑ On Illinois see, Raymond Lohne, "Team of Friends: A New Lincoln Theory and Legacy", Journal of the Illinois State Historical Society Fall/Winter2008, Vol. 101 Issue 3/4, pp 285-314 ↑ Schurz, Margarethe [Meyer] (Mrs. Carl Schurz) 1833 - 1876 ↑ “The History of Christmas”, 《Gareth Marples》, 2006년 12월 2일에 확인함  ↑ Professor Brought Christmas Tree to New England ↑ See newspaper accounts Archived 2009년 8월 5일 - 웨이백 머신 ↑ Grassl, Gary Carl (June/July 2008), “Tour of German-American Sites at James Fort, Historic Jamestown” (PDF), 《German-American Journal》 56 (3): 10, About 1% of the more than 700,000 objects catalogued by archaeologists at Jamestown so far bear words. More than 90% of these words are in German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Where it All Began - Celebrating 400 Years of Germans in America》, German Information Center, 2009년 5월 26일에 확인함 ; 《Celebration of the 400th Anniversary of the First Germans in America, April 18》, Reuters, 2008년 3월 25일, 2009년 5월 26일에 확인함 ;Jabs, Albert E. (June/July 2008), “400 Years of Germans In Jamestown” (PDF), 《German-American Journal》 56 (3): 1, 11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Gottlieb Mittleberger on Indentured Servitude Archived 2009년 2월 1일 - 웨이백 머신, Faulkner University ↑ 가 나 Conzen, Kathleen (1980), 〈Germans〉, Stephan Thernstrom, 《Harvard Encyclopedia of American Ethnic Groups》, Belknap Press, 407쪽  ↑ 가 나 Knittle, Walter Allen (1937), 《Early Eighteenth Century Palatine Emigration》, Philadelphia: Dorrance  ↑ 《J. Hanno Deiler》, 2007년 11월 30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 ↑ 《Germanna History》, 2009년 8월 2일에 확인함  ↑ Faust, Albert Bernhardt (1909), 《The German Element in the United States with Special Reference to Its Political, Moral, Social, and Educational Influence》, Boston: Houghton-Mifflin  ↑ Loyalists (Royalists, Tories) in South Carolina ↑ Hostetler, John A. (1993), Amish Society,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p. 241. ↑ De Grauwe, Luc, "Emerging mother-tongues awareness in Dutch and German". In Linn & McLelland (eds). Standardization: Studies from the Germanic Languages. p.101, 104, passim. ↑ 오마이블로그 ↑ 《Rating the Top Baseball Players of All Time》, 2007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Stephen E. Ambose Nixon chapter 1 (1987) 전거 통제 GND: 1027976557 BNF: cb119798805 (데이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독일계_미국인&oldid=24529852" 분류: 독일계 미국인숨은 분류: 인용 오류 - 날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বাংলাCymraeg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Bahasa MelayuNederlandsNorskDeitsch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5일 (금) 20:4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독일계 미국인(영어: German American, 독일어: Deutschamerikaner)은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독일계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미국 인구에서 약 5천만 명, 곧 약 17%를 차지하며 미국에서 가장 큰 자기 보고된 조상 전래의 민족단이다. 오하이오주, 아이오와주, 미네소타주, 위스콘신주, 네브래스카주와 다코타 지방을 포함한 중서부 지방 상류 주들이 3분의 1 이상의 가장 높은 독일계 미국인들의 비율을 가지고 있어도 캘리포니아주, 텍사스주와 펜실베이니아주가 독일계 주민들이 가장 많이 살고 있는 편이다. 2010년 미국 인구조사국에 의하면 독일계 미국인이 총 미국 인구의 17.1%를 차지하며, 아일랜드계 미국인, 아프리카계 미국인, 잉글랜드계 미국인을 앞서 가장 큰 조상 전래의 민족 단체를 형성하였다. 역사적인 독일의 주들이 해외 식민지들을 가지지 않았고, 1680년대 북아메리카의 영국 식민지들에 첫 현저한 독일인 이민들이 도착하여 펜실베이니아와 뉴욕 지역에 주로 정착하였다. 독일인들의 이민은 19세기 동안에 8백만 명의 가장 큰 수로서 지속하였다. 그들은 대지의 인력과 종교적 자유에 의하여 당겨졌고, 대지의 부족과 종교적 및 정치적 압박에 의하여 유럽의 외부로 밀려났다. 미국에 도착한 많은 이들은 종교적 밑 정치적 자유를, 어떤 이들은 유럽보다 더 나은 경제적 기회들을, 다른이들은 신대륙에서 간단히 깨끗하게 시작되는 기회를 위한 길을 찾았다. 1850년 이전에 도착한 이민들은 자신들의 강한 농장 기술들이 지불할 만한 가장 생산적 대지를 찾은 농부들이었다. 1840년 후에 많은 이민들은 독일어 사용 구역 "게르마니아"가 곧 생긴 대도시들에 왔다.독일계 미국인들은 미국에 첫 유치원을 설립하였고, 크리스마스 트리 전통을 소개하였으며, 핫도그와 햄버거 같은 인기있는 미국식 음식들을 창설하였다.독일계 미국인들의 축하식은 전국을 통하여 열리고, 뉴욕에서 매 9월마다 세 번째 토요일에 열리는 독일계 미국인 슈토이벤 행렬식이 가장 잘 알려진 것들 가운데 하나이다. 또한 시카고, 신시내티, 밀워키, 세인트루이스와 다른 도시들에서 해마다 열리는 주요 이벤트들이 있다. 미국에 온 다른 이민들처럼 압도적인 독일인 혹은 독일계 주민들은 본질적으로 미국화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세기와 20세기 동안 독일계 미국인들은 농장을 소유하는 것에 어떤 태도를 보였어? Assistant: 19세기와 20세기를 걸쳐 독일계 미국인들은 농부들이 되는 데 높은 흥미를 보였고 대지에 자신들의 자식들과 손자·손녀들을 지켰다. 그들이 운영하는 데 이득들이 필요하였을 때에 그들은 이득들을 가족의 지속을 유지하는 데 연장으로 사용하였다. 그들은 위험을 반대하는 전략들을 사용하여 조심스럽게 가족에서 대지를 지키는 데 자신들의 상속을 계획세웠다. 그들의 공동체들은 더 작은 평균의 농장 크기, 더 위대한 동등권, 적은 부재 소유권과 더 위대한 지리적 인내력을 보였다. Human: 아래 베스테르플라테_전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베스테르플라테 전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베스테르플라테 전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베스테르플라테 전투제2차 세계 대전 중 폴란드 침공의 일부전투 이후 베스테르플라테의 독일군. 일부 폴란드인은 전투동안 일어난 엄청난 포격 때문에 "폴란드의 베르됭"이라고 부르기도 한다.[1]날짜1939년 9월 1일 ~ 9월 7일장소단치히 자유시 베스테르플라테결과 독일군의 승리교전국 폴란드 제2공화국 나치 독일지휘관 헨리크 수하르스키 프란치셰크 동브로프스키 프리드리히게오르그 에버하르트 구스타프 클라이캄프병력 205-225명[2] 3,400명피해 규모 15~20명 사망53명 부상나머지 포로 200~300명 사망 및 부상 vdeh폴란드 침공 폴란드 국경 전투 호이니체 크로얀티 라시 크룰레프스키 모크라 프쉬치나 그루지옹츠 므와바 요르다누프 프라우차트 벵기에르스카구르카 투홀라 숲 쳉스토호바 미코우프 부코비체 슬로바키아의 침공 발트 해안 베스테르플라테 단치히 국경 전투 단치히 해안 그디니아 헬 켕파오크시브스카 9월 4일~10일 토마슈프마조비에츠키 비츠나 우치 보로바구라 피오트르쿠프트리부날스키 루잔 푸우투스크 라돔 웜자 바라크 볼라치루소바 북부 전선 바르샤바 브주라 카우쉰 벵그루프 빌노 모들린 코브린 브제시치리테브스키 2차 토마슈프루벨스키 불카벵글로바 캄피노스 숲 크라스니스타프 워미안키 크라스노브루드 코츠크 남부 전선 프제미실 야로스와프 1차 토마슈프루벨스키 야보루프 야누프 숲 체시니키 르부프 소련의 폴란드 침공 사르니 빌노 후시네 그로드노 브와디폴 샤츠크 비티츠노 파르체프-야브원-밀라누프 베스테르플라테 전투(폴란드어: Oblężenie Westerplatte, 영어: Battle of Westerplatte)는 폴란드 침공 당시에 이루어진 전투로 제2차 세계 대전 최초의 전투이다. 이 전투는 1939년 9월 1일 나치 독일 해군과 육군 병사가 단치히 자유시 부두인 베스테르플라테 반도의 폴란드군 보급품 창고(폴란드어: Wojskowa Składnica Tranzytowa, WST)를 공격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창고는 약 200명 미만의 군인들만 경계하고 있었지만 7일 동안 급강하폭격기 폭격과 같은 대포격을 방어해냈다. 이 전투에서 폴란드군의 압도적인 열세 속에서도 폴란드군은 15명~20명 가량이 사망한 데 비해 독일군은 200명이 사망하는 등 높은 교전비를 이루었다. 여기에 베스테르플라테에서 독일군을 7일동안 막아냈으며 그 이후에도 헬 전투가 끝난 10월 2일까지 폴란드 회랑 지역의 저항이 이어졌다.[3] 베스테르플라테 방어전은 성공적으로 독일군의 공세가 진행된 지역의 폴란드 육군에게 감흥을 주었고, 오늘날까지 폴란드 침공에서 저항의 상징으로 남아 있다. 이 지구는 폴란드의 역사기념물 중 하나로 2003년 9월 1일 폴란드 국립문화유산위원회가 문화유산으로 지정했다. 목차 1 배경 2 전조 3 전투 4 여파 5 전투 서열 5.1 독일군 5.2 폴란드군 6 관련 영화 7 더 보기 8 각주 9 서지 10 외부 링크 배경[편집] 국제 연맹 고등판무관은 단치히의 베스테르플라테에 폴란드군 82명을 주둔할 수 있게 허가했고, 이 폴란드군은 1921년 단치히 자유시 상원의 동의 하에 설치한 해군 탄약 저장소를 지키고 있었다. 1933년 3월 6일에는 폴란드가 비밀리에 주둔군에 120명의 추가 군대를 파견할려고 했으나 이 비밀작업이 드러나 스캔들로 번저 폴란드는 추가로 파견하고자 했던 계획을 취소했다.[4]:315–316 폴란드군 보급품 창고는 본토와는 얇은 돌제부두로만 연결된 단치히 자유시 신항구의 항만 해협에 위치해 있었다. 베스테르플라테에서 폴란드군이 주둔한 지역은 벽돌벽으로 단치히 영토와 구분되어 있었다. 베스테르플라테에 건설된 방어시설이 별로 없다는 사실은 그렇게 문제시되진 않았다. 실제 벙커나 지하 터널이 없었으며 반도 숲에 숨겨 위장된 5개의 소규모 콘크리트 전초기지와 방어전을 위한 대형 병영, 요새화 지원을 위한 참호와 바리케이드 네트워크가 있었다.[5] 또한 베스테르플라테의 건물 일부는 콘크리트로 보강했는데, 이 건물들이 7일동안 방어전을 펼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1]:54 전조[편집] 베스테르플라테 앞 항구에 정박한 SMS 슐레스비히-홀슈타인 8월 말, 폴란드는 주둔군을 82명에서 210명으로 늘리고, 3인치 야포와 1.5인치 대전차포 2개, 박격포 4개, 기관총 여러대를 두는 등 군사력을 늘렸다. 또한, 소초 (Placówka) 7곳을 세우고 막사와 NCO 빌라 지하에 있는 콘크리트 대피소를 보강했다.[6]:11–12 1939년 8월 말에는 독일의 전드레트노트급 전함 SMS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이 친선 방문을 이유로 단치히에 도착하여 베스테르플라테에서 150m 정도 떨어진 해협에 정박했다. 선박 갑판에는 8월 26일에 베스테르플라테 공격을 시작하기 위한 충격군(Stoßtruppen) 중대가 대기하고 있었다. 그러나, 하선 직전에 공격이 취소되었다는 연락을 받았다. 8월 25일 영국-폴란드 군사 동맹이 맺어지고 이탈리아가 강철 조약의 준수를 미루겠다고 말하자 아돌프 히틀러가 적대 행위 시작을 연기하기로 한 결과였다.[7] 독일군은 프리드리히게오르그 에버하르트 장군이 이끄는 1,500명의 SS 향토방위군(SS-Heimwehr)과 중위 빌헬름 헤닝센이 이끄는 해병대 225명이 창고를 공격했다. 총지휘관은 SMS 슐레스비히-홀슈타인에 타 있던 제독 구스타프 클라이캄프가 맡았다. 그는 8월 26일 상류 지역 멀리로 배를 옮겼다. 폴란드군 장군 헨리크 수하르스키는 주둔군에게 경보를 발령했다.[6]:12 전투[편집] 1939년 9월 1일 현지 시간 4시 48분, 전함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이 폴란드 주둔군 182명과 예비군 27명이 머무르는 병영을 향해 일제포격을 시작하면서 폴란드 침공과 함께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었다. 수하르스키 장군은 급하게 헬 반도로 "SOS. 지금 포격을 받고 있다"라는 전신을 보냈다.[6]:12 경계벽에 포탄이 맞아 구멍이 생기고 남동부 지역의 기름창고에는 불이 붙어 폭발했다. 8분 후, 슐례스비히-홀슈타인 전함에서 중위 빌헬름 헤닝센이 이끄는 해병대가 급습하고 독일 국방군의 공병 3개 소대가 공세를 펼치면서 폴란드 본토와 이어진 철교를 폭파시켰다. 이런 상황에 독일군은 기습을 받아 놀란 폴란드군을 쉽게 이길 것이라고 예상했다.[8] 폴란드군 하사 보이시에흐 나이사레크가 기관총에 맞아 사망하면서 제2차 세계 대전과 베스테르플라테 전투의 최초 사망자가 되었다. 그러나, 포격으로 파괴된 벽돌 벽을 넘은 후에는 독일군이 갑작스런 매복 공격을 당했다. 독일군은 얽히섥힌 유자철선으로 인해 재빠른 기동을 하지 못하면서 은폐한 폴란드군의 일제사격 살상지대에 걸려들게 되었다(일부는 나무에 숨은 저격수도 있었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없었다). 폴란드군은 보안경찰의 기관총좌를 제압했고, 폴란드군 중위 레온 파예크가 전진하는 독일군에게 강력한 곡사포 포격을 하면서 독일군의 공격을 막아냈다. 항구 건너편 창고 위에 있던 7.62mm 기관총 1개가 배치된 기관총좌도 제압했으나, 독일군 전함이 28번의 포격을 하면서 완전히 파괴되었다.[6]:12[9] "독일군을 포화 속으로 끌어들이자는 전초기지 지휘관의 전술 덕택으로 독일군이 사격 범위 내로 들어오면서 많은 손실을 입히게 했다. 돌출부의 정찰병이 정확하게 좌표를 말하면서 폴란드군이 박격포 포격을 하며 손실을 더 높였다. 1989년 봄~여름에 비밀리에 만들어진 이 방어벽 시스템은 독일군이 한때는 유명한 스파였던 베스테르플라테 공원 근처 진군을 어렵게 만들었다."[10] 베스테르플라테 전투 지도. 빨강색은 독일군의 공격도/방어선이며, 남청색은 폴란드군의 방어선 / 방어지점이다. 6시 22분, 해병대는 큰 손실을 입고 후퇴한다고 배에게 통신을 보냈고, 단치히 경찰은 베스테르플라테 반대편 항구를 장악하러 시도했지만 실패했다.[11] 이때까지의 사상자는 독일군 50명, 폴란드군 8명이었다. 독일군은 8시 55분 다시 전진을 시도했지만 지뢰, 쓰러진 나무, 철조망, 강력한 포화 등을 만나 격전을 벌였다.[11] 정오에 SS 군인이 탈영했으며, 헤닝센은 치명적인 부상을 입었다.[11][12] 초기 공격이 실패한 이후 아침에 다시 시작한 두 번째 공격(280mm 포탄 90발, 170mm 포탄 407발, 88mm 포탄 366발의 포격이 이루어진 이후)은 독일군이 예기치 않게 큰 손실을 입으면서 격퇴당했다. 하지만 결국 폴란드군은 바우 지역(Wał)과 전초 기지의 프롬으로 후퇴했으며, 반도 중앙의 새로운 병영 주변에 방어 기지를 건설했다. 전투 첫날 이후, 폴란드군은 1명이 사망하고 7명이 부상을 입었다(독일군이 포로로 잡고 병원으로 후송된 2명을 포함하여 3명이 나중에 사망했다). 한편, 독일 해군 보병은 16명이 사망하고 120명이 부상을 입어 전체 225명 중 대부분이 부상을 입었다.[13] 독일군의 손실은 만약 폴란드 사령관 헨리크 수하르스키가 탄약을 절약하기 위해 박격포 사격을 중지시키고 일제사격 후 포격하라는 명령을 하지 않았더라면 더 늘어났을 것이다(이 때문에 다음 날 박격포가 파괴되었을때 박격포탄 860개 중 104개만 쓰이고 나머지는 무용지물이 되고 말았다). 전함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이 베스테르플라테를 포격하는 모습. 다음 날, 반도에 210mm 곡사포를 포함한 독일 해군의 중포병이 포격을 시작하면서 제1차 세계 대전 식의 전투 스타일로 바뀌었다. 에버하르트는 사령관 페도르 폰 보크에게 지상 공격이 불가능하다고 설득했다. 9월 2일 융커스 Ju-87 스튜카 급강하폭격기 60기가 폴란드 박격포에 대해 2번의 공습을 펼치면서 포대 5개가 500kg 포탄에 명중하여 파괴되었고 적어도 폴란드군 8명 이상이 사망했다. 또한, 이 공습으로 인한 연기가 베스테르플라테 전 영역에 뒤덮이게 되었고, 유일한 라디오 방송국과 식량 보급 기지를 파괴했다.[11] 독일 관측병들은 이러한 폭격에서 아무도 살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다.[9] 9월 3일부터 4일까지 밤동안 펼친 독일군의 공세가 격퇴되었다. 9월 4일, 독일 어뢰정 T-196(G196의 이름이 바뀜)이 해변에서 기습공격을 했다.[14] 폴란드군은 바우 지역은 포기했고, 오직 항구 지역만 북쪽에서 오는 공격을 막을 수 있었다.[11] 9월 5일, 수하르스키가 전투피로증에 걸리면서 베스테르플라테에서 항복을 촉구하는 위원회를 열었다. 하지만, 항복에 반대했던 그의 부지휘관인 프란치셰크 동브로프스키가 명령권을 이어받았고 항복은 무산되었다.[14] 독일 해군 보병, 단치히 SS, 경찰, 국방군으로 이루어진 몇번의 신중한 공격이 다시 폴란드군에 의해 격퇴되었다. 9월 6일 03시, 독일군은 불타는 열차를 다리를 통해 보냈지만, 겁먹은 기관사가 불붙은 열차를 너무 일찍 분리시키는 바람에 기름탱크에 도달시켜서 엄폐역할을 해주는 숲을 태워버리려던 계획은 실패했다.[14] 오히려 불타는 기차는 완벽한 방어선이 되었고 독일군은 큰 손실을 입었다.[15] 오후에 행해진 두 번째 기차 공격 역시 실패했다. 한편, 폴스키에 라디오는 지속적으로 "베스트플라테 지역은 여전히 전투중"이라는 메시지를 방송했다.[16] 2차 전쟁협의회가 열렸고 장군은 항복하기로 정했다. 이때 쯤 되면 독일군은 바르샤바 외곽까지 진출했고 부상자들 가운데서는 괴저가 나타나기 시작했다.[15] 9월 7일 0430시 독일군은 강한 포격을 시작했고 이는 0700시까지 계속되었다. 화염방사기는 위병소 2개를 파괴했고 1~4개를 손상시켰다.[15] 포위된 수비대는 충분한 물과 의약품이 부족했다. WST의 의무관인 미에치스와프 스와비(Mieczysław Słaby)는 부상병에 대한 기본적인 치료를 할 수 없었다. 9시 45분에는 백기가 나타났다. 폴란드의 수비는 많은 독일군을 감동시켜서 독일군 사령관인 프리드리히게오르그 에버하르트는 수하르스키가 사블라(szabla, 폴란드 사브르)를 착용하고 항복할 수 있게 했다(나중에는 이 군도를 압수했다).[15] 동시에 폴란드 통신병 카지미에슈 라신스키(Kazimierz Rasiński)는 항복한 이후 독일군이 살해했다. 그는 잔인한 심문까지 받았는데도 독일군에게 라디오 코드를 넘겨주는 것을 거부하다가 끝내 살해당했다.[17] 여파[편집] 베스테르플라테에 계양된 나치 독일 깃발. 독일군의 사상자는 정확히는 알 수 없지만, 대략 200~300명 정도가 사상했다고 추측하고 있다. 이들 중 일부는 실제로 처음 목표에 너무 가까이 정박한 전함에서 발포한 아군 사격으로 인한 사상자로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폴란드군의 사상자는 이에 비해 매우 낮아서 15~20명이 사망하고 53명이 부상을 입었다.[18] 1940년에 발견된, 탈영을 시도하다가 붙잡혀 동료들에 의해 처형된 듯한 신원미상의 폴란드인 시신 5구가 매장된 곳에 대한 논란이 있다. 전쟁 포로 중 8명은 고문을 당하다 살아남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또한, 폴란드 사령관 헨리크 수하르스키와 부사령관이자 제독인 프란치셰크 동브로프스키에 대한 논란이 있다.[20] 전후까지 살아남아 1946년에 사망한 수하르스키는 소령으로 진급하고 폴란드에서 가장 높은 훈장인 비르투티 밀리타리 훈장을 받은 것에 대해, 1990년대에 발견한 전투에서 자신의 역할에 대한 알 수 없는 판단으로 최근 매우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동브로프스키의 사망 이후 다른 폴란드 장교들은 이름뿐인 지휘관이 전투 기간 대부분 동안 셸 쇼크 상태였다는 것을 그들의 명예를 위해 숨기기로 맹세했다고 진술했다). 베스테르플라테는 이후 박사 야누쉬 마르샬레츠(Janusz Marszalec)은 폴란드 국립 추모 연구소에서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5] "베스테르플라테 방어전의 지휘관 헨리크 수하르스키와 프란치셰크 동브로프스키에 대한 의문 (또는 분쟁)이 있다. 흥미롭게도, 이 논란은 학술적인 논쟁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역사학자들은 이 논쟁에 끼어들지 않는다. 보통 인터넷에서 벌어지는 이 논쟁은 다양한 미확인 출처 및 점진적이고 일정한 분위기 속에서 열정적인 중심지가 되가고 있다. 그들은 매우 열정적이고 감정적인 상태에 빠져서 이성적인 생각을 하지 못한다. 이 분쟁은 인터넷의 좁은 문에서, 베스테르플라테 방어전에 관한 새로운 "진리"를 알려주겠다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영화 스크립트를 통해 공식적으로 매스 미디어로 펼쳐지게 되었다. 이 프로젝트에 대한 상세한 분석 없이, 1939년 9월 베스테르플라테 방어전에 관한 역사에 대한 지식을 확인했을 때, 공통점이 없음을 강조할 수 있다 ... 분쟁에 관계 없이, 헨리크 수하르스키와 WST의 200명 병사는 그들이 마지막 총알로 방어하기를 원하든지 아닌지 여부에 상관없이, 또는 1939년 9월 1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의 포격 12시간 이후 이미 무기를 내려놓았는지 아닌지 고려 여부 없이 기억 속에 남아 있었다."[5] 전투 서열[편집] 1939년 9월 7일, 단치히 베스테르플라테 반도에서 항복한 이후 포로가 된 폴란드군. 독일군[편집] 크릭스마리네 선박 전드레트노트급 전함 SMS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어뢰정 T-196, T-963 에버하르트 군 3. Marine-Stoßtrupp-Kompanie(엘리트 해군 보병 중대, 이후 Marine-Artillerie-Abteilung 531로 개명) 및 데사우로슬라우 지역 공병 소대 곡사포 독립대대(Haubitzen-Abt.) 단치히 해안 보호 경찰(단치히 경찰의 해안경비대) 및 질서경찰의 주 경찰 연대 SS Wachsturmbann Eimann(이 때 이미 제3SS기갑사단 토텐코프가 이미 편성)을 포함한 SS 하임리히 단치히 지역 SS 민병 기타 군 루프트바페 II & III Gruppe StG 2 Immelmann (Sturzkampfgeschwader 2) 4.(St)/TrGr 186 총 합쳐서, 베스테르플라테 전투 동안 대략 40~60기의 융커스 Ju 87 수튜카 폭격기와 기타 하인켈 He 51, 융커스 Ju 52 폭격기 7기가 이 전투에 참여했다. 독일 지상군은 ADGZ 중장갑차 수대, 2 cm Flak 30 대공포, 3.7 cm PaK 36 대전차포, 10.5 cm leFH 18 경곡사포, 21 cm Mörser 18 중곡사포 등 포 65문, 기관총 100문 이상, 박격포 수십개, 플라멘베르퍼 35 화염방사기 수십 개를 가지고 있었다.[21] 폴란드군[편집] 1939년 8월, 베스테르플라테의 수비대는 전쟁 직전 징집된 군인 182명과 예비군 민간인 27명, 총 209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2] 폴란드군 보급품 창고는 76 mm divisional gun M1902 야포 1문,[22] Bofors 37 mm 대전차포 2문, Brandt Mle 27/31 중박격포 4문으로 무장되어 있었다. 수비군들은 불균형하게 무장되어 있었는데, 가장 무장이 잘 된 쪽은 기관총 41개, 중기관총16개 등으로 무장되어 있었다.[2] 또한, 소총 140개, 권총 40개 이상, 수류탄 1,000개 이상을 가지고 있었다.[23] 관련 영화[편집] 1967년 영화 1939년 베스테르플라테 전투 2013년 영화 1939년 베스테르플라테 전투(폴란드어: Tajemnica Westerplatte)[24] 더 보기[편집] 헬 전투 비엘룬 폭격 비즈나 전투 단치히 폴란드 우체국 방어전 헨리크 수하르스키 - 당시 베스테르플라테 주둔 폴란드군 사령관 프란치셰크 동브로프스키 - 당시 베스테르플라테 주둔 폴란드군 부사령관 각주[편집] ↑ 가 나 Zaloga, S.J., 2002, Poland 1939, Oxford: Osprey Publishing Ltd., ISBN 9781841764085 ↑ 가 나 다 (폴란드어) B. Kubisz, Wojsko Polskie – II wojna światowa nr 9..., s. 7. ↑ J. E. Kaufmann, Robert M. Jurga, Fortress Europe: European Fortifications of World War II, De Capo Press, 2002, ISBN 0-306-81174-X Google Print, p.272. ↑ Watt, R.M., 1979, Bitter Glory, Barnes & Noble, Inc., ISBN 0760709971 ↑ 가 나 다 “(English) Janusz Marszalec, Westerplatte, p. 4” (PDF). 2013년 4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7월 23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Mann, C, 2008, Great Battles of World War II, Parragon Books, ISBN 978-1407525136 ↑ Piekałkiewicz, Janusz. Sea War: 1939–1945. Blandford Press, London - New York, 1987, pg. 18, ISBN 0-7137-1665-7 ↑ Janusz Marszalec, Westerplatte, Gdańsk: Muzeum II Wojny Światowej, 2008, p. 2.[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가 나 (폴란드어) Melchior Wańkowicz, Westerplatte. Warszawa: Instytut Wydawniczy "Pax", 1959. ↑ “Janusz Marszalec, Westerplatte, p. 2” (PDF). 2013년 4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7월 23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Mann, C: Great Battles of World War II, page 13. Parragon Books, 2008. ↑ (폴란드어) Mariusz Borowiak, Westerplatte. W obronie prawdy., Gdańsk: GDW, 2001 ↑ (폴란드어) The only consolation for the Germans was the massacred defenders of the post office in Danzig city. Kompania szturmowa ↑ 가 나 다 Mann, C: Great Battles of World War II, page 14. Parragon Books, 2008. ↑ 가 나 다 라 Mann, C: Great Battles of World War II, page 15. Parragon Books, 2008. ↑ (폴란드어) Mariusz Borowiak, Westerplatte. W obronie prawdy, Gdańsk: GDW, 2001. ↑ Robert Jackson, Battle of the Baltic: The Wars 1918–1945 (p. 55) ↑ W. Tym, Przygotowanie obrony i lądowa obrona polskiego wybrzeża morskiego 1-19 września 1939 r., cz. III, "Wojskowy Przegląd Historyczny" (dalej WPH) 1957, z. 4. s. 229–230. ↑ Rasiński Kazimierz (1902–1939) – urzędnik cywilny ↑ Aldona Rogulska, Paweł Chochlew (2013년 2월). 《Tajemnica Westerplatte》. Kraków: Znak. ISBN 978-83-240-1508-5.  ↑ HIAG: Wenn alle Brüder schweigen, grosser Bildband über die Waffen-SS (ISBN 3-921242-21-5), 1973 ↑ (폴란드어) Rozdżestwieński, Paweł. Armata wz. 1902/26 w pułkach piechoty II Rzeczypospolitej, Militaria XX Wieku Nr. 1(46)/2012 (in Polish) ↑ (폴란드어) PSZ, t. I, cz. 5, nie podają dokładnie stanu załogi Westerplatte. Z. Flisowski określa ją na 205-210 ludzi (Westerplatte, Warszawa 1974, s. 26). ↑ (영어) 베스테르플라테 전투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서지[편집] Bogusław Kubisz (2008). 《Wojsko Polskie – II wojna światowa nr 9: Westerplatte 1939》 (폴란드어). Warszawa: Hachete Livre Polska sp. z o.o. ISBN 978-83-7575-041-6.  《Encyklopedia II wojny światowej nr 2: Wybuch wojny IX 1939 – V 1940. Plany wojenne Polski i Niemiec – Wojna obronna Polski》. Oxford Educational sp. z o.o. ISBN 83-7425-267-7.  Mariusz Wójtowicz-Podhorski, Westerplatte 1939. Prawdziwa historia, Gdańsk 2009, ISBN 978-83-7237-208-6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베스테르플라테 전투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베스테르플라테 전투 홈페이지 Westerplatte ruins today Map of events concerning Battle of Westerplatte (폴란드어) Vortal Westerplatte (폴란드어) Westerplatte broni się jeszcze (폴란드어) Strona Stowarzyszenia Rekonstrukcji Historycznej Wojskowej Składnicy Tranzytowej na Westerplatte (폴란드어) Muzeum Westerplatte Stowarzyszenia Rekonstrukcji Historycznej Wojskowej Składnicy Tranzytowej na Westerplatte (폴란드어) Obrona Westerplatte (폴란드어) Wojskowa Składnica Tranzytowa i jej obrona w Gedanopedii 좌표: 북위 54° 24′ 27″ 동경 18° 40′ 17″ / 북위 54.40750° 동경 18.67139°  / 54.40750; 18.6713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베스테르플라테_전투&oldid=24194047" 분류: 1939년 분쟁1939년 폴란드폴란드 9월 전역그단스크의 역사공성전1939년 9월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좋은 글폴란드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CS1 - 폴란드어 인용 (pl)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rezhonegČeština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MagyarItalianoLatina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8:5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베스테르플라테 전투(폴란드어: Oblężenie Westerplatte, 영어: Battle of Westerplatte)는 폴란드 침공 당시에 이루어진 전투로 제2차 세계 대전 최초 전투다. 이 전투는 1939년 9월 1일 나치 독일 해군과 육군 병사가 단치히 자유시 부두인 베스테르플라테 반도의 폴란드군 보급품 창고(폴란드어: Wojskowa Składnica Tranzytowa, WST)를 공격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창고는 약 200명 미만 군인이 경계하고 있었지만 7일 동안 급강하폭격기 폭격과 같은 대포격을 방어했다. 이 전투에서 폴란드군은 압도적인 열세 속에서도 폴란드군인 15명~20명 가량 사망한 데 비해 독일군은 200명이 사망하는 등 높은 교전비를 이루었다. 여기에 베스테르플라테에서 독일군을 7일동안 막았으며 그 이후에도 헬 전투가 끝난 10월 2일까지 폴란드 회랑 지역 저항이 이어졌다. 베스테르플라테 방어전은 성공적으로 독일군의 공세가 진행된 지역의 폴란드 육군에게 감흥을 주었고, 오늘날까지 폴란드 침공에서 저항의 상징으로 남아 있다. 이 지구는 폴란드의 역사기념물 중 하나로 2003년 9월 1일 폴란드 국립문화유산위원회가 문화유산으로 지정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베스테르플라테 전투 시에 폴란드 군에게 준비된 군사목적의 시설물들은 무엇이었습니까? Assistant: 폴란드군 보급품 창고는 본토와는 얇은 돌제부두로만 연결된 단치히 자유시 신항구의 항만 해협에 위치해 있었다. 베스테르플라테에서 폴란드군이 주둔한 지역은 벽돌벽으로 단치히 영토와 구분되어 있었다. 베스테르플라테에 건설된 방어시설이 별로 없다는 사실은 그렇게 문제시되진 않았다. 실제 벙커나 지하 터널이 없었으며 반도 숲에 숨겨 위장된 5개의 소규모 콘크리트 전초기지와 방어전을 위한 대형 병영, 요새화 지원을 위한 참호와 바리케이드 네트워크가 있었다.[5] 또한 베스테르플라테의 건물 일부는 콘크리트로 보강했는데, 이 건물들이 7일동안 방어전을 펼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1]:54
Human: 아래 한국철도공사_381000호대_전동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7년 1월)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 거제역으로 진입하고 있는 38104편성 제작 및 운영 주 용도 통근형 전동차 제작사 현대로템 운영 회사 한국철도공사 제작 연도 2016년, 2018년 생산량 17편성 68량 사용량 17편성 68량 제원 차량 정원 (제어차) 148명(구동차/부수차) 160명 편성 정원 2736명 전장 19500 mm 전폭 3120 mm 전고 3750 mm 차량 중량 259.8 t 편성 중량 2078.4 t 궤간 1,435 mm 성능 동력 방식 동력분산식 전기 방식 교류 25,000 V 60 Hz 제어 방식 VVVF-IGBT(도시바) 2레벨 1C4M제어 기동가속도 3.0 km/h/s 영업 최고 속도 110 km/h 설계 최고 속도 120 km/h 감속도 3.5 km/h/s(비상시) 4.5 km/h/s 제동 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보안 장치 ATS (수동운전)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는 동해선 광역철도 개통과 함께 도입된 한국철도공사의 통근형 전동차이다. 현재 총 4량 13개 편성(52량)은 광역전철 동해선 부전 ~ 일광 구간에 운행하고 있으며, 4량 4개 편성(16량)은 2019년 7월부터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문산 ~ 서울역 구간과 문산 ~ 용산 구간에 운행 예정이다. 목차 1 기술적 사양 1.1 제어기기 1.2 실내 설비 1.3 운전 설비 1.4 편성 2 배속 3 현재 운행구간 4 현황 4.1 1세대분 4.2 2세대분 5 각주 6 같이 보기 7 외부 링크 기술적 사양[편집] 제어기기[편집]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 후기형에서 사용된 우진산전, 도시바제 COVO52-A0형 주제어장치를 사용한다. 실내 설비[편집]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와 좌석시트색을 제외한 모든것이 동일하다. 운전 설비[편집] 기존 차량들의 전면부보다 운전실 창을 넓히고, 형태를 살짝 바꾸어 시야를 개선하였으며, 1인 승무에 대응하도록 운전기기가 구성되어 있다. 편성[편집] 편성은 팬터그래프와 주변압기, 제어기기, 전동기가 탑재된 M'차, 보조전원장치와 공기압축기, 축전지, 제어실 등을 갖춘 Tc차로 구성되어 있다. 객차번호 설치된 전장품 3810XX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3811XX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812XX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819XX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배속[편집] 38101~38104편성 : 문산차량사업소, 4량 38105~38117편성 : 부산철도차량정비단 소속, 4량 덕하차량사업소 완공 이전까지는 부산철도차량정비단에서 임시로 검수 및 관리한다. 현재 운행구간[편집] ■ 동해선 : 부전 - 일광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의선 : 서울 - 문산 (38101~38104편성만 2019년 7월 이후로부터 운행 예정) 용산선 : 용산 - 가좌 (38101~38104편성만 2019년 7월 이후로부터 운행 예정) 현황[편집]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1세대분[편집]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38101 편성 2016년 운행 중 2019년 7월부터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문산~서울역 구간과 문산~용산 구간에 운행 예정이다. 38102 편성 운행 중 38103 편성 운행 중 38104 편성 운행 중 38105 편성 운행 중 38106 편성 운행 중 38107 편성 운행 중 38108 편성 운행 중 38109 편성 운행 중 38110 편성 운행 중 2세대분[편집]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38111 편성 2018년 운행 중 38112 편성 운행 중 38113 편성 운행 중 38114 편성 운행 중 38115 편성 운행 중 38116 편성 운행 중 38117 편성 운행 중 각주[편집] 같이 보기[편집] 한국철도공사 동해선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vdeh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증기 기관차 모가 4륜 푸러 아메 터우 발틱 고로 사타 소리 마터 파시 혀기³ 미카 630³ 660³ 700³ 810³ 900³ 901 디젤 기관차 2000 2100 3000 3100 3200 4000 4100 4200 4300 4400 5000 6000 6100 6200 6300 7000 7100 7200 7300 7400 7500 7600 9100 전기 기관차 데로 8000 8100 8200 8500 증기 동차 시그 디젤 동차 게하 나게하³ 3등 디젤 DC 협궤 DC³ DEC DHC NDC CDC · RDC 특별 동차² Roger-1000k 전기 동차고속형 KTX-I KTX-산천 KTX-DD HEMU-430X HSR-350x EMU-250¹ EMU-300¹ 특별 동차² 일반 간선형 EEC TTX 한국형 표준전동차 AUTS TEC 200000 210000 ITX-청춘 368000 인천국제공항철도 1000 특별 동차² 광역전철/도시철도형 서울 지하철·수도권 전철 D000 1000 3000 311000 319000 321000 331000 341000 351000 361000 371000 391000 인천국제공항철도 2000 인천 도시철도 부산 도시철도/동해선 381000 대구 도시철도 광주 도시철도 대전 도시철도 부산-김해경전철 K-AGT 무가선 저상 트램 객차 및 화차 새마을호 무궁화호 통일호 비둘기호 3등 객차 대용 객차 귀빈 객차² 협궤 객차³ 발전차 난방차 수화물차 우편차 화차† 자기부상열차 KOMAG-01 HML-01 HML-02 DMV-92 HML-03 UTM-01 UTM-02 에코비 SUMA550 가로줄 : 운행 중단. 1 : 도입 예정. 2 : 귀빈 전용. 3 : 협궤 전용. 기울임 : 기술 개발용. † : 화차는 객차가 아니지만, 분류의 편의상 포함함. vdeh부산 도시철도 차량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2000호대 3000호대 4000호대🚈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부산-김해경전철주식회사 1000호대🚈 🚈 : 경전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국철도공사_381000호대_전동차&oldid=24526530" 분류: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동해선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7년 1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5일 (금) 08: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는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도입된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의 통근형 전동차이다. 현재 총 4량 16개 편성(64량)은 광역전철 동해선 부전 ~ 태화강 구간에 운행하고 있으며, 4량 1개 편성(4량)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도라산 ~ 임진강 ~ 문산 ~ 가좌 ~ 서울역, 용산 구간에 운행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 중에 1세대분은 어떤 것이 있나요? Assistant: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38101 편성 2016년 운행 중 2019년 7월부터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문산~서울역 구간과 문산~용산 구간에 운행 예정이다. 38102 편성 운행 중 38103 편성 운행 중 38104 편성 운행 중 38105 편성 운행 중 38106 편성 운행 중 38107 편성 운행 중 38108 편성 운행 중 38109 편성 운행 중 38110 편성 운행 중 Human: 아래 자유로_귀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자유로 귀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자유로 귀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자유로 귀신은 대한민국의 도시전설로 2004년에서 2005년 경 부터 대한민국 인터넷에서 목격담이 나온 이후 TV 프로그램인 SBS 김용만 신동엽의 즐겨찾기에서 개그우먼 박희진이 처음으로 자유로 귀신 괴담을 언급하였다.[1][2] 이어 탁재훈, 박신혜가 이어 2007년 KBS 상상플러스에서 언급한 뒤 여러 연예인들이 언급한 도시괴담이다.[1][3] 이로 인해 2007년 한동안 유행하던 도시괴담으로 이후 목격자도 줄었지만 2011년 문화방송 서프라이즈에서 목격자의 말을 재구성해 이야기를 방영해 다시 한번 화제가 되었다.[4] 목차 1 내용 2 인상착의 3 관련 방송 내용 4 같이 보기 5 참조 내용[편집] 한밤중 자유로에 가면 20대 묘령의 여인이 히치하이킹을 해달라는 손짓으로 서있다. 그 여인의 인상착의는 바바리 코트에 큰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있었다. 그런데 가까이서 보면 그것은 선글라스가 아니고 눈 부분이 검게 뚫려있는 여성의 모습이다. 경기도 고양시 행주대교 북단에서 파주시 문산읍 자유의 다리에 이르는 고속화도로인 자유로는 주변에 임진강과 한강이 있기 때문에 안개가 자주 일어난다. 이외에도 목격자마다 경험한 것이 다 달라 내용이 점차 달라지는데 문화방송 서프라이즈에서 2011년 1월 9일 방영한 방송분에서의 내용은 이렇다. 목격자가 회식 후 운전을 하고 자유로를 달리던 중이었는데 잠시 한 눈을 판 사이 한 여성을 칠 뻔 했다. 가까스로 사고를 피했고 20대 즈음 되보이는 여성은 운전자에게 다가와 "집까지 태워주실 수 있어요?"라는 부탁에 남자는 응했다. 남자는 내비게이션에 여성의 목적지를 찍고 출발했고 얼마 가지 않아 음주 단속에 걸리게 된다. 이에 남자는 여성에게 상황을 설명하려고 뒷자석을 봤지만 여성은 종적을 감춘 상태였다. 이후 그는 아내를 불러 운전을 시키고는 골아 떨어진다. 운전이 서툰 그녀는 내비게이션 안내에 따라 운전을 했다. 목적지에 도착해 주위를 살피던 이들은 화들짝 놀라며 경악을 금치 못했다. 목적지는 바로 공동묘지였다.[4] TvN 프로그램위험한 취재에서는 김세환 법사가 출연해 자유로에서 직접 접신을 시도하여 자유로 귀신의 정체가 2002년 자유로에서 목 졸라 살해당한 20대 묘령의 여인으로 시신이 부패되어 눈이 없는 모습을 가지게 되었고, 범인은 2005년에 검거되었다고 주장하였다.[3] 사실 자유로는 임진강과 한강이 주변에 있어 안개가 자주 일어나 교통사고에 취약한 구역이며, 교통량 또한 많은 편[5]이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운전자의 피로에 의한 환각이라는 의견 또한 있다. 인상착의[편집] 목격자마다 공통적인 것은 20대 묘령의 여인이라는 것과 눈 부분이 뚫려있다는 점이다. 관련 방송 내용[편집] 2007년 자유로 귀신이 크게 유행하자 TvN 위험한 취재에서 김세환 법사가 나와 자유로 귀신과 접신하는 장면을 보인 적이 있다. 이어 그는 2002년 일어난 자유로 살인사건의 피해자가 자유로 귀신이며, 시신이 부패하여 이러한 모습을 가지게 되었다고 주장했다. 문화방송 서프라이즈에서 2011년 1월 9일 방송분에서는 2007년 제보자의 남편이 겪은 자유로에서 겪은 귀신 체험담을 재구성하여 방영하였다. 이 경험담은 미국의 유명한 도시괴담 중 하나인 사라진 히치하이커를 연상케 한다.[4] 한국방송 1박 2일에서 2011년 4월 3일부터 4월 17일 까지 방송분에서 김종민이 큰 선글라스를 끼고 오자 이에 이수근이 자유로 귀신 이라는 별명을 붙여주었다. TvN SNL 코리아에서 2013년 7월 23일 <토요미스테리 자유로 귀신 : AN SNL DIGITAL SHORT>이라는 에피소드로 자유로 귀신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적이 있다. 같이 보기[편집] 자유로 도시괴담 히치하이커 사라진 히치하이커 크리피파스타 참조[편집] ↑ 가 나 “'자유로 귀신' 섬뜩한 경험담에 경악 ::: 한국일보 2007년 7월 11일자”. 2008년 4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2월 13일에 확인함.  ↑ 박희진 - 자유로 선글라스 여인 , 김용만 신동엽의 즐겨찾기 ::: 내일을 봅니다. SBS ↑ 가 나 [납량특집]자유로 귀신 믿어? 말아? ::: 스포츠경향 네이버 뉴스 ↑ 가 나 다 서프라이즈, ‘자유로 귀신’ 목격담 재구성…네티즌 관심 집중 ::: 강원일보 ↑ 고양시, 자유로 차선 등 노면표시 정비 ::: 아주경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자유로_귀신&oldid=24200693" 분류: 도시전설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03:5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자유로 귀신(自由路鬼神)은 대한민국의 도시전설로 2004년에서 2005년 경부터 대한민국 인터넷에서 목격담이 나온 이후 TV 프로그램인 SBS 김용만 신동엽의 즐겨찾기에서 개그우먼 박희진이 처음으로 자유로 귀신 괴담을 언급하였다. 이어 탁재훈, 박신혜가 이어 2007년 KBS 상상플러스에서 언급한 뒤 여러 연예인들이 언급한 도시괴담이다. 이로 인해 2007년 한동안 유행하던 도시괴담으로 이후 목격자도 줄었지만 2011년 MBC 신비한TV 서프라이즈에서 목격자의 말을 재구성해 이야기를 방영해 다시 한번 화제가 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자유로 주변에는 무슨 강이 있을까? Assistant: 임진강과 한강
Human: 아래 페르시아_제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페르시아 제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페르시아 제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0년 10월) 고대 메소포타미아 유프라테스·티그리스 제국과 도시 수메르 우루크 우르 에리두 키시 라가시 니푸르 아카드 제국 아카드 바빌론 이신 수사 아시리아 아수르 니네베 두르샤루킨 님루드 바빌로니아 칼데아 엘람 아모리 후르리 미탄니 카시트 우라르투 연대기 수메르의 왕 엘람의 왕 아시리아의 왕 바빌론의 왕 언어 아람어 수메르어 아카드어 엘람어 후르리어 신화 에누마 엘리시 길가메시 마르두크 v • d • e • h 페르시아 제국은 오늘날 이란의 영토에 근거한 여러 개의 제국을 서양에서 일반적으로 일컫는 말이다. 일반적으로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페르시아(기원전 550년 - 기원전 330년)를 페르시아 제국이라고 부르지만, 넓은 의미로는 1979년까지 이 지역에서 일어났던 여러 개의 제국들을 모두 페르시아 제국이라 부르기도 한다. 페르시아라는 이름은 본래 남부 이란의 한 주(州)인 파르스에서 유래했는데 그 곳에 아케메네스 왕조의 수도가 있었다. 이 때문에 고대 그리스 인들은 이 왕조를 그 지역 이름으로 불렀으며, 오늘날의 유럽 언어도 그것을 따랐다. 그래서 영어를 비롯한 유럽 어에서는 이 나라를 페르시아라 통칭했다. 목차 1 역사 1.1 메디아(기원전 728년 - 기원전 550년) 1.2 아케메네스 왕조(기원전 550년 – 기원전 330년) 1.3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점령 시대(기원전 330년 – 기원전 250년) 1.4 파르티아(기원전 250년 – 226년) 1.5 사산 왕조(226년 – 651년) 1.6 이슬람 제국(650년 – 1037년) 1.7 셀주크 제국(1037년 – 1194년) 1.8 몽골 제국 점령 시대(1219년 – 1478년) 1.9 사파비 왕조(1507년 – 1722년) 1.10 분열 기간 1.10.1 호타키 길자이 왕조(Hotaki Ghilzai dynasty: 1722년 – 1729년) 1.10.2 아프샤르 왕조(1736년 – 1796년) 1.10.3 잔드 왕조(Zand dynasty: 1750년 – 1794년) 1.11 카자르 왕조(Qajar dynasty:1781년 – 1925년) 1.12 팔레비 왕조(Pahlavi dynasty: 1925년 – 1979년) 역사[편집] 메디아(기원전 728년 - 기원전 550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메디아입니다. 아케메네스 왕조(기원전 550년 – 기원전 330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아케메네스 왕조입니다. 키루스 대왕은 메디아를 정복하고 아케메네스 왕조를 창시한다. 그 당시 가장 강력한 세력이었던 바빌로니아 제국을 물리침으로써 최고로 강한 나라에 이르게 된다. 키루스는 바빌로니아를 정복한 후에 키루스 원통이라는 인류 최초의 인권선언문을 발표했는데 이는 1879년에 발견되었다. 여기에 보면 모든 시민은 종교의 자유를 가질 수 있으며 노예제를 금지하며 궁궐을 짓는 모든 일꾼은 급여를 지급한다고 되어 있다. 키루스의 아들 캄비세스 2세는 이집트를 병합한다. 제국의 영토는 다리우스 1세에 이르러 최고의 영토가 된다. 아케메네스의 영토는 인더스강에서부터 유럽에 이르렀다. 아케메네스 제국은 중국을 제외한 그 당시 알려진 대부분의 문명세계를 통일하였다. 다리우스 1세와 그의 아들 크세르크세스 1세 때 페르시아 제국과 그리스가 격돌하는데 이를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으로 부른다. 잘 알려진 아테네의 마라톤 전투와 스파르타 300명이 나라를 지켜냈던 테르모필라이 전투, 살라미스 해전은 아케메네스 제국과의 전쟁이야기이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점령 시대(기원전 330년 – 기원전 250년)[편집] 마케도니아 왕국의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다리우스 3세를 무찌르고 아케메니아 제국의 영토를 그대로 이어 받는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쉽게 큰 땅을 복속할 수 있었던 것은 아케메니아를 그대로 이어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알렉산더 대제는 자신들을 페르시아의 계승자로 부르면서 다리우스 3세에게 장엄한 장례식을 해주었다. 또한 알렉산더는 다리우스의 딸 스타데이라와 결혼하였다. 파르티아(기원전 250년 – 226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파르티아입니다. 사산 왕조(226년 – 651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사산 왕조입니다. 사산제국은 로마제국과 팽팽한 힘의 균형을 이루면서 유지하여 서로 뺏고 뺏기는 영토 전쟁을 계속하였다. 그러나 훗날 비잔티움 제국에게 크게 패하고 새롭게 일어나는 이슬람 제국에 의하여 사산제국은 멸망의 길로 가게된다. 사산왕조의 마지막 왕이었던 야즈데게르드 3세가 이슬람 제국에게 패하여 제국은 무너지고 만다. 이슬람 제국(650년 – 1037년)[편집] 이 문단을 이란의 역사 문서로 합치자는 의견이 제시되었습니다. 토론에서 의견을 나누어 주십시오. 이슬람 제국은 그때까지 있었던 가장 큰 나라를 만들게 되는데 지금의 스페인 땅인 이베리아 반도에서 인도의 인더스 강에 이르는 광활한 영토를 차지하게 된다. 셀주크 제국(1037년 – 1194년)[편집] 이 문단을 이란의 역사 문서로 합치자는 의견이 제시되었습니다. 토론에서 의견을 나누어 주십시오. 이 부분의 본문은 셀주크 제국입니다. 북동쪽에 있던 셀주크 투르크족이 침공하여 이슬람 제국은 흔들리게 된다. 이 투르크 족은 셀주크 제국을 만들게 된다. 1194년 셀주크 제국의 마지막 술탄이 죽은 이후 25년간은 공백기로 남아있게 된다. 몽골 제국 점령 시대(1219년 – 1478년)[편집] 이 문단을 이란의 역사 문서로 합치자는 의견이 제시되었습니다. 토론에서 의견을 나누어 주십시오. 이 부분의 본문은 몽골 제국입니다. 사파비 왕조(1507년 – 1722년)[편집] 이 문단을 이란의 역사 문서로 합치자는 의견이 제시되었습니다. 토론에서 의견을 나누어 주십시오. 이 부분의 본문은 사파비 왕조입니다. 사파비 왕조는 이란,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등을 포함하며 점차 성장해 가다가 오스만투르크의 팽창으로 인해 더 이상 확장하지 못했다. 사파비 왕조는 시아파 이슬람교를 종교로 받아들임으로써 가장 큰 시아파의 나라가 되며 오늘날 이란의 시아파로 이어지고 있다. 분열 기간[편집] 이 문단을 이란의 역사 문서로 합치자는 의견이 제시되었습니다. 토론에서 의견을 나누어 주십시오. 호타키 길자이 왕조(Hotaki Ghilzai dynasty: 1722년 – 1729년)[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아프샤르 왕조(1736년 – 1796년)[편집] 아프샤르 왕조는 나디르 샤가 시작한 왕조이다. 그 이름은 그가 속하고 있던 투르크계 아프샤르 족에 유래한다. 나디르 샤가 죽은 후 호라산 지방에 모여 독립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1796년에 카자르 왕조의 공격을 받아 4대로서 멸망했다. 잔드 왕조(Zand dynasty: 1750년 – 1794년)[편집] 아프샤르 왕조의 나디르 샤가 암살된 후 잔드 부족의 카림 칸은 여러 지방에 할거하는 군웅을 제거하고 이란 전토를 통일하였다. 그는 선정을 베풀고 수도의 미화(美化)에 노력하였다. 그러나 그의 사후(1779), 동족 중에 왕위 쟁탈전이 격화되자 1794년 카자르 왕조에 의해 멸망당하였다. 카자르 왕조(Qajar dynasty:1781년 – 1925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카자르 왕조입니다. 카자르 왕조는 투르크계 카자르 족의 아가 모하마드가 잔드 왕조의 카림 칸이 죽은 후 독립하여 창건한 왕조이다. 테헤란에 수도를 두었다. 왕조 초기에는 러시아의 침입을 격퇴하는 등 국위(國威)를 해외에 떨쳤으나 러시아와의 두 번째 싸움에 패하여 치외법권을 인정하고(투르크만차이 조약:1828년), 이것이 열강들에게도 적용되어 이란의 식민지화가 시작되었다. 이에 대하여 바브교(敎)나 아프가니에 의한 민족 해방 운동이 일어나, 1906년에는 입헌군주제가 채택되었다. 영국·러시아의 식민주의 팽창이 계속되어 동남부를 영국이, 북부를 러시아가 장악하였다. 1912년에는 정식으로 영국·러시아의 이란 분할 협정을 승인하지 않을 수 없게 되어 반(半)식민지화 되었다. 그 후 제1차 세계 대전 후의 혼란을 수습할 수가 없어 1925년 국민 의회에 의해서 폐위되었다. 팔레비 왕조(Pahlavi dynasty: 1925년 – 1979년)[편집] 이 문단을 이란의 역사 문서로 합치자는 의견이 제시되었습니다. 토론에서 의견을 나누어 주십시오. 이 부분의 본문은 팔레비 왕조입니다. 팔레비 왕조는 팔레비가 건국하여 이란의 이권을 회수하여 근대화 운동을 펼쳤지만 팔레비 왕조의 왕실은 지나친 사치와 친서방의 진보적인 나라였다. 이것을 반대한 이슬람계 보수파는 호메이니를 중심으로 이란·이슬람혁명을 일으켰는데 그 결과 팔레비 왕조가 멸망하고 신정제가 확립되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페르시아_제국&oldid=23495063" 분류: 이란의 역사아시아의 옛 나라페르시아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0년 10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합쳐야 할 문단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Na Vosa VakavitiFrançaisFrysk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日本語Patois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ingua Franca NovaLietuviųLatviešuMalagasyമലയാളംМонгол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ଓଡ଼ିଆPolskiپښتوPortuguêsRumantsch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SlovenščinaGagana Samo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ייִדיש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20일 (일) 12: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페르시아 제국은 오늘날 이란의 영토에 근거한 여러 개의 제국을 서양에서 일반적으로 일컫는 말이다. 일반적으로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페르시아(기원전 550년 - 기원전 330년)를 페르시아 제국이라고 부르지만, 넓은 의미로는 1979년까지 이 지역에서 일어났던 여러 개의 제국들을 모두 페르시아 제국이라 부르기도 한다. 페르시아라는 이름은 본래 남부 이란의 한 주(州)인 파르스에서 유래했는데 그 곳에 아케메네스 왕조의 수도가 있었다. 이 때문에 고대 그리스 인들은 이 왕조를 그 지역 이름으로 불렀으며, 오늘날의 유럽 언어도 그것을 따랐다. 그래서 영어를 비롯한 유럽권에서는 이 나라를 페르시아라 통칭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키루스 왕이 창시한 왕조는? Assistant: 아케메네스 왕조 Human: 아래 아리랑_5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아리랑 5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리랑 5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계획되었거나 개발 중, 최근 공개한 우주선 또는 우주 계획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아리랑 5호 (KOMPSAT-5) 임무 정보 COSPAR ID 2013-042A 발사일 2013년 8월 22일 오후 11시 39분 (한국시간) 발사체 드네프르 발사 장소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 임무 기간 5년 우주선 정보 개발 비용 2,480억원[1] 발사 비용 300억원 중량 1,400kg 내외 크기 3.7m x 2.6m x 9.1m 궤도 정보 궤도 550km 태양동기궤도 탑재체 탑재체 합성개구레이다 해상도 레이다 영상 (1/3/20m) 아리랑 5호는 한국 KARI에서 2013년 8월 22일 발사된 관측위성이다. 다목적실용위성 5호(KOMPSAT-5)라고도 부른다. 아리랑 1호와 아리랑 2호와는 달리 SAR가 부착되어 있어 날씨에 상관없이 전천후로 지구 관측이 가능하다. 해양 유류사고, 화산 폭발 같은 재난 감시와 지리정보시스템(GIS) 구축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아리랑 시리즈들은 기본적으로 한국군대에 정보와 통신을 제공하는 목적도 가지고 있다. 목차 1 해상도 2 발사 3 수명 4 더 보기 5 각주 해상도[편집] 아리랑 5 호 해상도는 1m이다.[2] SAR 제작기술은 국내에 확보되어 있지 않아, 공동개발사인 유럽의 위성개발업체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 이탈리아(TASI)가 국내에 들어와 제작한다.[2]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 이탈리아는 독일의 해상도 50 cm급 SAR 정찰위성 시스템인 SAR-Lupe에도 SAR 장비를 납품한 회사이다. 한편 한국은 2008년 해상도 40cm인 항공기용 SAR KPU-STC를 개발했다. 발사[편집] 당초 2011년 4월에 개발이 완료되어 2011년 8월 말에 발사하기로 예정되어 있었지만, 러시아 정부 측의 사정으로 한 차례 연기되었다가 2012년 하반기 발사를 목표로 재추진해왔지만, 러시아 연방 우주국은 발사체를 제공하는 국방부의 승인이 필요한 사안이라는 이유로 정확한 일정을 확정해 주지 않아 2013년으로 또 다시 연기되었다.[3] 2010년 개발을 완료하였으나 2년 넘게 발사가 지연되다가, 2013년 8월 22일 오후 8시 39분(한국시간 오후 11시 39분)을 기점으로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서 우주로 쏘아 올려졌다. 다목적실용위성 5호는 발사 약 32분 후에 남극에 위치한 트롤 지상국과 첫 교신에 성공했으며, 이어서 발사 1시간 27분후 노르웨이 스발바르드 지상국과의 교신을 성공한데 이어, 5시간 56분 후(한국시각 23일 오전 5시 36분)에는 대전 항공우주연구원에 위치한 위성정보연구센터 지상국과 첫 교신에 성공하였고 발사성공이 최종 확인되었다. 수명[편집] 한국 최초의 SAR 관측위성인 아리랑 5호는, 원래 임무수명기간 5년으로 2013년에 발사했는데, 2018년 8월 2년 연장했다. 원래 인공위성은 사고나 긴급한 경우를 대비해서, 임무수명 보다 훨씬 많은 양의 연료를 탑재한다. 운용하면서 별 비상사태가 없으면 임무기간이 늘어난다. 더 보기[편집] 돔바로프스키 공군 기지 각주[편집] ↑ [1]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262&aid=0000005725 ↑ 아리랑 5호·과학위성 3호 발사 또 미뤄져연합뉴스 2012년 10월 11일 vdeh대한민국의 우주 개발개발기관 KARI SaTReC KASI KAI 대한항공 쎄트렉아이 우주센터나로우주센터로켓 엔진 나로호 2단 KRE-030 KRE-075 KRE-007 KRE-010 KRE-090 로켓 KSR-I(과학로켓) KSR-II(중형과학로켓) KSR-III(액체추진과학로켓) 나로호(KSLV-I) 누리호(KSLV-II)/시험발사체 중궤도 정지궤도 발사체(KSLV-III) 대형 정지궤도 발사체(KSLV-IV) 소형위성 우리별 1호 우리별 2호 우리별 3호 과학기술위성 1호 과학기술위성 2A·2B호 나로과학위성 과학기술위성 3호 차세대소형위성 1호 차세대소형위성 2호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 1호 아리랑 2호 아리랑 3호 아리랑 3A호 아리랑 5호 아리랑 6호 아리랑 7호(계획) 차세대중형위성 차세대중형위성 군용정찰위성 425사업 방송통신위성 무궁화 1호 무궁화 2호 무궁화 3호 무궁화 5호 올레 1호(무궁화 6호) 무궁화 7호 무궁화 5A호 정지궤도위성 천리안 천리안 2A·2B 기타 한국 우주인 배출 사업 대한민국의 인공위성 목록 대한민국의 로켓 개발 대한민국의 달탐사 계획 우주과학관 OSSI-1 vdeh세계의 정찰위성 대한민국 IMINT 아리랑 1호 아리랑 2호 아리랑 3호 아리랑 3A호 아리랑 5호 아리랑 6호 아리랑 7호 일본 IMINT IGS 1A IGS 1B IGS 3A IGS 4A IGS 4B IGS 5A IGS 6A IGS 7A IGS 8A IGS 8B 중국 IMINT JSSW FSW-0 FSW-1 FSW-2 FSW-3 JianBing CBERS-2 SIGINT JSSW-3 SJ-2 DQ-1 COMM Feng Huo-1 ShenTong-1 미국 KH-11 KH-12 KH-13 GEO2 러시아 페르소나 프랑스 IMINT 헬리오스 1B 헬리오스 2A 플레이아데스1 플레이아데스2 SIGINT Cerise Clementine 이스라엘 IMINT 오페크 7호 오페크 9호 COMM AMOS 1 AMOS 2 AMOS 3 AMOS 4 기타 Eros TecSAR 인도 IMINT RISAT-2 독일 IMINT SAR-Lupe 이탈리아 IMINT COSMO-SkyMed 상업용 IMINT (EO) 월드뷰1 퀵버드 이코노스 지오아이1 지오아이2 스팟 EO1-ALI 플레이아데스1 플레이아데스2 아스터 랜드셋 아리랑 2호 IMINT (SAR) RADARSAT-1 RADARSAT-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리랑_5호&oldid=23412951" 분류: 미래 우주 계획대한민국의 인공위성정찰위성한국항공우주연구원2013년 우주 개발2013년 8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Français日本語LatviešuРусский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4일 (금) 15: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아리랑 5호는 한국 KARI에서 2013년 8월 22일 발사된 관측위성이다. 다목적실용위성 5호(KOMPSAT-5)라고도 부른다. 아리랑 1호와 아리랑 2호와는 달리 SAR가 부착되어 있어 날씨에 상관없이 전천후로 지구 관측이 가능하다. 해양 유류사고, 화산 폭발 같은 재난 감시와 지리정보시스템(GIS) 구축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아리랑 시리즈들은 기본적으로 한국군대에 정보와 통신을 제공하는 목적도 가지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아리랑 5호의 발사성공이 있기까지 어떤 과정이 있었는가? Assistant: 당초 2011년 4월에 개발이 완료되어 2011년 8월 말에 발사하기로 예정되어 있었지만, 러시아 정부 측의 사정으로 한 차례 연기되었다가 2012년 하반기 발사를 목표로 재추진해왔지만, 러시아 연방 우주국은 발사체를 제공하는 국방부의 승인이 필요한 사안이라는 이유로 정확한 일정을 확정해 주지 않아 2013년으로 또 다시 연기되었다.[3] 2010년 개발을 완료하였으나 2년 넘게 발사가 지연되다가, 2013년 8월 22일 오후 8시 39분(한국시간 오후 11시 39분)을 기점으로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서 우주로 쏘아 올려졌다. 다목적실용위성 5호는 발사 약 32분 후에 남극에 위치한 트롤 지상국과 첫 교신에 성공했으며, 이어서 발사 1시간 27분후 노르웨이 스발바르드 지상국과의 교신을 성공한데 이어, 5시간 56분 후(한국시각 23일 오전 5시 36분)에는 대전 항공우주연구원에 위치한 위성정보연구센터 지상국과 첫 교신에 성공하였고 발사성공이 최종 확인되었다.
Human: 아래 인천해송고등학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인천해송고등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천해송고등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7° 22′ 57″ 동경 126° 38′ 46″ / 북위 37.3825672° 동경 126.6460025°  / 37.3825672; 126.6460025 인천해송고등학교仁川海松高等學校Incheon Haesong High School 교훈 세계인, 문화인, 창조인 개교 2010년 설립형태 공립 교장 안화식 교감 김태분 국가 대한민국 위치 인천광역시 연수구 해송로 20 (송도동) 학생 수 864명 (2018년 5월 1일 기준) 교직원 수 69명 (2018년 5월 1일 기준) 상징 교목: 향나무 / 교화: 목련 관할관청 인천광역시교육청 웹사이트 http://www.ihs.icehs.kr 인천해송고등학교(仁川海松高等學校)는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다.[1] 목차 1 학교 연혁 2 학교 동문 3 참고 자료 4 각주 5 외부 링크 학교 연혁[편집] 2010년 2월 14일 : 인천해송고등학교 설립 인가(11학급) 2010년 3월 1일 : 제1대 양재영 교장 취임 2010년 3월 2일 : 인천해송고등학교 개교 2010년 3월 2일 : 인천해송고등학교 제1회 입학식(398명) 2013년 2월 7일 : 인천해송고등학교 제1회 졸업식(396명) 2014년 9월 1일 : 제3대 이원우 교장 취임 2016년 2월 16일 : 인천해송고등학교 제4회 졸업식(299명) 2016년 3월 2일 : 인천해송고등학교 제7회 입학식(312명) 2017년 2월 8일 : 인천해송고등학교 제5회졸업식(277명) 2017년 3월 2일 제 5회입학식 (296명) 이 목록은 아직 미완성입니다. 여러분이 편집하여 채워 주세요. 학교 동문[편집] 분류:인천해송고등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참고 자료[편집] 인천해송고등학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교알리미 각주[편집] ↑ 인천광역시의회 (2016년 1월 4일). “인천광역시립학교 설치조례 별표1”.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6년 7월 3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인천해송고등학교 홈페이지 vdeh 인천광역시의 고등학교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강화군 강남영상미디어고 강화고 강화여고 교동고 덕신고 산마을고 삼량고 서도고 계양구 계산고 계산공고 계산여고 계양고 서운고 안남고 인천세원고 인천예일고 인천효성고 작전고 작전여고 남동구 도림고 동인천고 문일여고 미추홀외고 석정여고 숭덕여고 신명여고 인제고 인천고잔고 인천금융고 인천남고 인천남동고 인천논현고 인천만수고 인천송천고 인천예고 동구 동산고 영화관광경영고 재능고 미추홀구 도화기계공고 문학정보고 선인고 인명여고 인천고 인천기계공고 인천비즈니스고 인천전자마이스터고 인천하이텍고 인하사대부고 인항고 인화여고 정석항공과학고 학익고 학익여고 부평구 명신여고 부개고 부개여고 부광고 부광여고 부평고 부평공고 부평여고 삼산고 세일고 인천미래생활고 인천부흥고 인천산곡고 인천상정고 인천영선고 인천외고 인천진산과고 인평자동차고 제일고 서구 가림고 가정고 가좌고 검단고 대인고 백석고 서인천고 인천디자인고 인천마전고 인천보건고 인천세무고 인천신현고 인천원당고 인천청라고 인천체고 인천초은고 인천해원고 한국주얼리고 연수구 박문여고 송도고 신송고 연수고 연수여고 옥련여고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인천대건고 인천뷰티예술고 인천생활과학고 인천여고 인천연송고 인천포스코고 인천해송고 인천해양과학고 청학공고 옹진군 대청고 덕적고 백령고 연평고 인천영흥고 중구 광성고 영종국제물류고 인성여고 인일여고 인천공항고 인천과고 인천국제고 인천여상 인천영종고 인천정보산업고 인천중앙여상 인천하늘고 인천해사고 제물포고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인천해송고등학교&oldid=24396875" 분류: 인천 연수구의 고등학교대한민국의 여자 고등학교2010년 개교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8일 (토) 11: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인천해송고등학교(仁川海松高等學校)는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인천해송고교의 3대 교장 이름은? Assistant: 이원우 Human: 아래 호위사령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호위사령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호위사령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호위 사령부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호위사령부/제963군부대 활동 기간 ? ~ 현재 국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종류 친위대 사령부 역할 국가 원수와 가족, 요인 호위 및 주요 시설 경비 명령 체계 인민무력부 본부 평양직할시 호위사령부(護衛司令部)는 평양직할시의 방어와 경비, 그리고 국가 원수를 호위하는 목적으로 설립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사령부이다. 목차 1 개요 2 역사 3 조직 4 구성원 5 같이 보기 6 참고 개요[편집] 호위사나 호위총국으로 부르며 남한의 대통령경호실에 해당하는 국가 기관으로서 인민무력부 예하에 편성되어 있으나, 국방위원회의 지휘를 받고 있는데, 국방위원장을 겸한 국가 원수의 직접적인 명령에 따라 움직인다. 김일성이 통치하던 1994년에는 약 5만명이었고, 대외적으로 움직일 때는 경호원 이외에도 독립 여단 예하의 4개 대대, 1600명의 병력이 호위에 나선 것으로 알려져 있다.[1] 병력의 신분은 전원 군관이며 병력의 신장은 전원 180cm 이상이다. 또한 병력 전원 사격실력이 뛰어나며 병력 전원 무술 고단자인데 이들은 어렸을 때부터 훈련받아서 엄선된다. 역사[편집] 한반도로 진격한 소련 극동 전선과 함께 압록강을 건너온 김일성을 호위하기 위해 창설된 경위연대가 시초였다. 연대는 한국 전쟁이 휴전된 후, 1958년 김일성 독재체1960년대 후반 주체사상이 등장하고 1970년대 들어서 사회주의 헌법 6차 개정을 통해서 주석제를 도입하고, 김일성 1인에게 권력을 집중하는 유일적 영도 체계를 구축하면서 호위사업을 강화하기 시작하였다. 제를 구축하기 위해 반대파 세력을 숙청하고 호위사업이 시작면서 당 보위의 명분을 위해 호위국으로 개편되었다. 1965년 중앙당 경호처년에 195 호위사령부국을[2] 1980년대에는 김일성을 신격화하는 유일영도체계가 확고해지자, 평양이라는 범위까지 호위개념을 넓히면서 기존의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산하 호위국과 평양방어사령부(평방사), 평양경비사령부를 합쳐 호위총국으로 규모가 확대되었다. 1990년 이후(김일성 사후)에는 조직과 기능의 일부를 보완하여 다시 호위사령부 체제로 개편했다. 1994년에 김일성이 죽은 이후에는 조직과 기능이 보완, 수정되면서 호위사령부 체제로 개편되었다. 2008년 12월부터 2009년 8월까지 호위사령부가 전체적으로 개편되었다. 제1호위부의 임무가 김일성이 안치된 금수산 기념궁전을 경비하는 임무로 축소되었다. 호위사령관과 정치위원의 지위가 1계급씩 승격되었다.[3] 2014년 1월 2일 외화벌이를 위해 호위사령부가 주도하여 제조한 마약을 남한,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주변국에 밀매하고 있다고 옛 국가안전보위부 요원이었던 40세의 망명자가 제보하였다.[4] 조직[편집] 3개 대대로 구성된 다수의 독립 여단이 호위사령부의 예하에 편성되어 있다.[5] 12만이란 숫자는 평양방어사령부와 평양경비사령부 인원이 포함된 추정치로 호위사령부 1개 여단은 5000명 정도로 북한군 정규여단보다 1500명 정도 많다. 경보병여단 등 특수여단도 6개 대대인 데 비해 호위사령부 1개 여단은 8~11개 대대로 편성돼 있다. 호위총국 제1국 제1호위부 - 금수산 기념궁전과 국사 원수의 저택 경비 및 가족 호위.[5] 제2호위부 - 국가 원수 호위 및 중앙당 청사 경비.[5] 제3호위부 - 국제친선관람관과 만수대의사당 경비 및 정치국 위원 호위.[5] 제4호위부 행사안전부 열차호위부 경비운수부 제2국 - 국가 원수의 개인 물자 관리. 아미산 대표부 - 아미산에 거점을 두고 국외의 식량을 조달한다. 검정부 - 물자 검사. 제3국 - 물자 수송/공급/관리. 제4국 - 국가 원수와 가족의 별장 관리. 평양경비사령부 평양방어사령부 확인되지 않은 다수의 독립 여단 구성원[편집] 보위부와 마찬가지로 하전사와 사관은 아무도 존재하지 않으며 전원 군관만 존재한다. 또한 이들은 다른 부대와는 달리 평균신장 180cm, 최소신장 175cm 정도를 유지하고 있다. 최하계급은 소위로 전원 장교로만 구성되어 있다. 같이 보기[편집] 친위대 보위사령부 참고[편집] vdeh조선인민군(KPA)지휘부 주석 최고사령관 총참모부 기관 국방위원회 국무위원회 인민무력성 인민정치국 고위사령부 보위사령부 호위사령부 전력군종 륙군 해군 항공 및 반항공군 전략군 특수부대 예비군 교도대 로농적위군 붉은 청년근위대 청년돌격대 인민내무군 인민보안부 그 외 대량 살상 무기 한반도 분단 원수 군단 해군 장비 ↑ 정동영 (1994년 7월 8일). “북한 김일성주석, "호위총국"”. 2014년 9월 9일에 확인함.  ↑ “제17부 김정일 호위사령부”. 자유조선방송. 2011년 8월 7일.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9일에 확인함.  ↑ 이윤거 (2011년 8월 12일). “김정은의 공식등장 1-김정은, 호위사령부 2009년 8월 전면 개편”. 북한전략정보서비스센터. 2014년 9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9일에 확인함.  ↑ 오현우 (2014년 1월 2일). “북한産 마약 국내 다량 유입…김정은 호위사령부 주도”. 데일리. 2014년 9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디지털 북한 백과사전: 호위사령부”. 코리아콘텐츠랩, 중앙일보 통일문화연구소. 2014년 9월 9일에 확인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호위사령부&oldid=24058447" 분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사령부평양직할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فارسیItaliano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8일 (목) 22: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호위사령부(護衛司令部)는 평양직할시의 방어와 경비, 그리고 국가 원수를 호위하는 목적으로 설립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사령부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호위사령부의 구성은 어떻게 되나요? Assistant: 호위총국 제1국 제1호위부 - 금수산 기념궁전과 국사 원수의 저택 경비 및 가족 호위.[5] 제2호위부 - 국가 원수 호위 및 중앙당 청사 경비.[5] 제3호위부 - 국제친선관람관과 만수대의사당 경비 및 정치국 위원 호위.[5] 제4호위부 행사안전부 열차호위부 경비운수부 제2국 - 국가 원수의 개인 물자 관리. 아미산 대표부 - 아미산에 거점을 두고 국외의 식량을 조달한다. 검정부 - 물자 검사. 제3국 - 물자 수송/공급/관리. 제4국 - 국가 원수와 가족의 별장 관리. 평양경비사령부 평양방어사령부 확인되지 않은 다수의 독립 여단
Human: 아래 흑사병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흑사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흑사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346년-1353년 사이 흑사병의 전파 현황. 흑사병(黑死病, Black Death)은 인류 역사에 기록된 최악의 범유행 사건 가운데 하나이다. 유럽 지역에서는 1346년–1353년 사이 범유행이 절정에 달했으며, 이 범유행으로 유라시아 대륙에서 최소 7500만, 최고 2억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죽었다.[1][2][3] 흑사병 병원균에 관한 많은 이설이 있었으나 2010년-2011년 남유럽인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DNA 분석 결과 페스트의 병원균인 페스트균이 병원균으로 밝혀졌다.[4][5] 흑사병은 중앙아시아의 건조한 평원지대에서 시작되어 비단길을 따라 서쪽으로 이동해 1343년경 크림 반도에 닿았다.[6] 거기서부터 화물선에 들끓던 검은쥐들에 기생하던 동양쥐벼룩을 기주로 하여 지중해 해운망을 따라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이때 흑사병으로 유럽의 총 인구의 30-60%가 죽었다.[7] 흑사병 이전의 세계 인구는 4억 5천만 명 정도로 추산되는데, 14세기를 거치며 3억 5천만 명-3억 7500만 명 정도로 거의 1억 명이 줄었다.[8] 흑사병으로 인해 줄어든 세계 인구가 흑사병 이전 수준까지 회복되는 데는 17세기까지 시간이 걸렸다.[9] 그 뒤로도 19세기까지 유럽에서는 페스트가 산발적으로 유행했는데(런던 대역병 등), 흑사병의 병원체를 페스트균으로 확정한다면 흑사병이란 1345년에서 1840년까지 유라시아 대륙에서 계속된 제2차 페스트 범유행의 일부로서 14세기 유럽의 범유행 상황을 가리키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14세기 페스트 유행은 유럽사에서 종교사, 사회사, 경제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목차 1 개요 2 역사 2.1 흑사병 전염경로에 대한 가설 2.2 흑사병의 전염경로 2.2.1 아시아 2.2.2 유럽 2.3 서아시아 2.4 계속되는 재발 3 감염의 원인과 증상 3.1 서혜임파선종 흑사병 이론 4 종류 5 흑사병 창궐의 결과 5.1 인구 감소 5.1.1 유럽 5.1.2 아시아 5.2 그 외의 영향 6 문학 속의 흑사병 7 같이 보기 8 각주 8.1 내용주 8.2 참고주 9 외부 링크 개요[편집] 1411년 토겐부르크 성서에 그려진 흑사병 환자 유럽에서는 1347년 처음 창궐한 이래 많은 희생자가 발생하여 공포의 대상이었다. 1340년대 흑사병으로 약 2천5백만 명이 희생되었다.[10] 이 때의 흑사병은 중앙아시아나 인도에서 발원하여 전파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1] 이는 당시 유럽의 인구의 약 30%에 달하는 숫자이다.[12] 최초의 흑사병 확산이후 1700년대까지 100여 차례의 흑사병 발생이 전 유럽을 휩쓸었다.[13] 14세기 중세 유럽에 퍼져나간 흑사병은 "대흑사병"이라 불린다.[14] 14세기 유럽의 흑사병은 사회 구조를 붕괴시킬 정도로 유럽 사회에 큰 영향을 주었다. 당시 유럽에서는 흑사병이 왜 생기는지는 몰랐기 때문에, 거지, 유대인, 한센병 환자, 외국인 등이 흑사병을 몰고 다니는 자들로 몰려서 집단폭력을 당하거나, 심지어는 학살을 당하기도 하였다. 물론 사회학적으로 비평했을 때 흑사병 기간동안 일어난 학살들은 마녀사냥처럼 흑사병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을 사회적 소수자들에게 전가한 희생양적인 폭력이었다. 한편, 흑사병의 창궐은 삶에 대한 태도도 바꾸어 "지금 이 순간을 즐기자"는 신조를 낳았고, 이는 조반니 보카치오의 《데카메론》 등에 반영되었다. 흑사병은 유럽인들의 종교적인 사고에도 영향을 주어, 일부 사람들은 하느님이 흑사병으로 심판하니 고행을 함으로써 죄를 씻어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다니기도 했다. 흑사병 유행기간동안 벌어진 유럽인들의 유대인 학살. 흑사병이라는 이름은 1883년에 붙여졌는데, 피부의 혈소 침전에 의해 피부가 검게 변하는 증상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증상이 더욱 진행되면 검게 변색된 부위에 괴저가 발생하고, 죽음에 이르게 된다.[15] 흑사병은 임상병리학에서 서혜 임파선종 중 가장 위험한 종류로 다루어진다. 흑사병은 박테리아의 일종인 예르시니아 페스티스가 원인균으로 이에 감염된 쥐의 혈액을 먹은 벼룩이 사람의 피를 빨면서 병을 옮기게 된다. 19세기까지 흑사병은 쥐에 의해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20세기에 들어서서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는 주장이 제기 되었다. 흑사병이 쥐와 사람이 함께 걸리는 전염병이기는 하나, 장거리 여행을 하는 것은 쥐가 아닌 사람이라는 주장이다. 역사[편집] 영국 웨이머스의 흑사병 기념 동판인구의 30 ~ 50%가 희생되었다 흑사병 전염경로에 대한 가설[편집] 14세기에 유럽에 전파된 대흑사병의 전염 경로는 정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몇 가지 가설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가장 유력한 가설은 중앙아시아의 스텝 지역을 통해 전파되었다는 것이며, 그 외에도 인도에서 기원하였다는 설 등이 있다. 역사학자 마이클 W 돌스는 유스티니아누스 시대의 비잔틴 제국의 흑사병 유행에 주목하면서 흑사병의 전염 경로를 북아프리카에서 중앙아시아를 거쳐 유럽에 전파되었다고 추정하고 있다.[16] 흑사병의 전염경로[편집] 이러 저러한 가설에도 불구하고 흑사병이 유럽에 들어온 데에는 비단길과 몽골 제국이 관련되어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몽골 제국은 비단길을 통해 중앙아시아와 유럽을 점령하였으며, 1347년 몽골의 포위 공격이 있었던 크림 반도의 페오도시야에서 흑사병이 처음으로 창궐하였기 때문이다. 페오도시야를 포위 공격했던 킵차크 칸국의 자니베크 칸은 흑사병에 걸려 죽은 군인의 시체를 투석기에 담아 도시의 성벽 너머로 던져 넣음으로써 흑사병을 생물학 무기로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도시에 흑사병이 퍼지게 되었다. 당시 페오도시야에는 이탈리아 제노바의 교역소가 자리잡고 있었는데 교역소 사람들중 일부가 시칠리아로 흑사병을 옮겼다. 그 후 흑사병은 전 유럽으로 확산되었다.[17] 14세기 초 유럽의 기후는 중세온난기가 끝나고 연 평균 기온이 하락하기 시작하였다. 겨울 추위는 매서워지고 여름 기후도 좋지 않아 1315년에서 1317년 사이에 대 기근이 발생하였고 특히 북유럽의 피해가 심각하였다.[18] 이러한 사정으로 인해 흑사병에 의한 피해는 더욱 악화되었다. 아시아[편집] 몽골에 의한 전파가 흑사병 확산의 유일한 원인은 아닐지라도 전쟁과 기아, 그리고 기후의 변화 등이 흑사병 창궐의 주된 원인이 되었다. 13세기 몽골의 중국 점령 시기에 농업과 상업은 심하게 붕괴되었고 기아가 만연했다. 이로 인해 13세기 후반에 중국의 인구는 대략 1억 2천만명에서 6천만명으로 급감하였다.[19] 14세기에는 중국에서도 흑사병이 번졌던 시기로 이로 인해 중국의 인구 중 약 30%가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20] 흑사병이 중앙아시아에서부터 번지기 시작했다는 가설은 중국의 기록에 의해서도 뒷받침되고 있다. 1330년대 초 중국에서도 흑사병이 돌기 시작했으며 1334년 허베이에서 흑사병이 번졌으며, 유럽에서도 흑사병의 위세가 한창이던 1348년 – 1354년 동안 중국 각지에서도 흑사병 확산이 있었다. 당시 흑사병이 심했던 지역으로는 허베이 이외에 장시 성, 산시 성, 후난 성, 광둥 성, 광시, 허난 성, 쓰이위엔[21] 등이었다. 이 시기 중국의 역사 역시 몽골족이 세운 원나라 시대였으며 몽골과 비단길을 오가던 상인들에 의해 흑사병이 전파된 것으로 추정된다. 1347년에 처음 발생한 트라브존과 콘스탄티노플의 흑사병 역시 이러한 가설을 뒷받침하고 있다. 유럽[편집] 1347년 상선 함대 하나가 시칠리아의 메시나항에 당도했다. 이 배의 선원들은 이상한 전염병에 걸려 있었으며 당도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전부 사망하였다. 이것이 유럽에 흑사병이 전파된 첫 계기였다. 1347년 - 1348년 사이 제노바와 베니스에 흑사병이 퍼졌다. 이탈리아 전역으로 확산된 흑사병은 유럽 전역으로 번져 나갔다. 1348년 프랑스, 에스파냐, 포르투갈, 잉글랜드 지역에서 흑사병이 발생하였다. 1349년 - 1350년 사이 흑사병은 독일과 스칸디나비아 반도에까지 확산되기에 이르렀다. 노르웨이에서 처음으로 흑사병이 발생한 것은 1349년으로 아스퀴 항에 당도한 선박에서부터 전염된 것이었다. 이 흑사병은 베르겐에까지 번져나갔다. 1351년이 되자 흑사병은 러시아에서도 확산되었다. 결국 폴란드를 포함한 유럽 전역에서 흑사병이 창궐하였으나 벨기에와 같은 몇몇 지역은 화를 면했다. 당시 시에나의 아뇰로 디 투라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22] 매일 밤낮으로 수백명의 사람들이 죽어갔다. …… 역병이 온 세상을 뒤덮고 있다. 머지 않아 온 땅이 묘지로 덮이리라. 나, 아뇰로 디 투라 또한 다섯의 아이들을 내 손으로 묻었다. …… 이 수많은 죽음을 목도하며 사람들은 세상에 종말이 왔다고 믿었다. 서아시아[편집] 흑사병은 서아시아의 여러 나라에서도 발생하였다. 이 지역 역시 상당한 인구 감소와 이로 인한 사회 변화를 겪지 않을 수 없었다. 중동 지역의 흑사병 전파는 러시아 남부의 흑해 연안에서 시작되었다. 1347년 가을 알렉산드리아에 흑사병이 발생하였다. 이는 콘스탄티노플의 흑사병이 확산된 결과로 여겨진다. 이 후 흑해 연안의 여러 항구 도시를 중심으로 흑사병이 창궐하였다. 1348년이 되자 흑사병은 가자, 레바논, 시리아, 팔레스타인으로 확산되었다. 1348년 - 1349년 동안 흑사병은 안티오키아까지 번져 나갔다. 당시 안티오키아는 염료 무역의 중심지였으며 이 때문에 서아시아의 여러 나라가 흑사병 확산 목록에 추가되었다. 메카 역시 1349년 흑사병이 퍼졌으며 같은 해에 모술에서도 발생하였다. 1351년 이집트를 방문하고 돌아온 예멘 국왕 일행은 흑사병에 걸려 있었으며 이로 인해 예멘에도 흑사병이 번졌다. 이븐 바투타는 그의 여행기에서 1348년 4월 무렵 흑사병의 창궐로 다마스쿠스에서는 매일 2천명이 죽었고, 같은 시기 카이로와 이집트 전역의 사망자는 2만 4천명에 달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흑사병에 맞서 사람들이 할 수 있는 일은 신에게 간구하는 것 뿐이었다.[23] “ 그들은 금요일 밤을 예배와 염송, 기도 속에서 지새웠다. 아침 예배를 근행하고 나서는 저마다가 손에 꾸란을 들고 걸어서 사원을 나왔다. 아미르들마저도 맨발이었다. 전 시민이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심지어 유대인들은 그들의 구약성서를, 기독교인들은 신약성서를 제각기 들고 부녀자들과 어린이들을 데리고 떨쳐나섰다. 모두들 경전과 선지자들의 이름으로 알라[주해 1] 께 구원을 청하면서 방성대곡 하는 것이었다.[23] ” 계속되는 재발[편집] 14세기 중반부터 18세기 중반까지 유럽과 지중해 연안에서는 흑사병이 지속적으로 창궐하여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다. 14세기 후반부터 17세기 중반까지 영국에서는 여러 차례의 흑사병 창궐로 인해 적게는 4백만 명에서 많게는 7백만 명으로 추산되는 인구가 희생되었다.[24] 이 중 널리 알려진 전염은 런던 대흑사병(1665년–1666년), 베니스 대흑사병(1679년), 이탈리아 흑사병 (1629년-1631년) 등이 있다. 계속되는 흑사병의 재발 원인 중 하나로는 30년 전쟁 당시 군대의 잦은 이동이 지목되기도 한다.[25] 1738년 대흑사병은 튀니지의 상선에 의해 전파되어 아드리아 해와 우크라이나로 번져 나갔다. 이로 인해 루마니아의 티미쇼아라는 궤멸적인 타격을 입었다. 1940년 중국 북동부 눙안 현과 장춘에서 흑사병이 발생하여 731 부대의 연구대상이 되기도 하였다.[26] 2017년에는 마다가스카르에서 페스트가 발병되어 2017년 10월 13일 기준 561명이 감염되었고 50명이 사망하였다. 이에 국제적십자사와 적신월사 연맹(IFRC)이 마다가스카르에 페스트 센터를 세우고 응급 환자 치료에 나서기에 이르렀다.[27] 감염의 원인과 증상[편집] 서혜임파선종 흑사병 이론[편집] 흑사병의 원인균인 예르시니아 페스티스는 보통의 경우 토양 속에 서식하며 간혹 설치류와 인간의 체내에 들어와 기생하면서 전파되어 흑사병을 일으킨다. 미셀 드란코르가 흑사병의 발생 모델을 정립한 바 있다.[28] 야생화된 개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개들은 벼룩에 의해 감염되거나 감염된 시체를 먹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흑사병에 걸렸다. 유럽에서 있었던 흑사병의 출현, 전파, 소멸 과정에 대한 역학(疫學)의 가설 중 흥미로운 것으로는 비록 다른 종의 설치류라 하더라도 벼룩에 의해 원인균이 전파된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건너온 곰쥐 뿐 아니라 원래부터 유럽에 있던 시궁쥐에 의해서도 흑사병이 전파될 수 있었다. 특히 시궁쥐는 다른 설치류와 달리 인간의 거주지에서 서식하는 생태학적 특성으로 인해 흑사병 전파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29] 흑사병의 확산과 소강, 재확산 및 갑작스런 소멸에 대한 원인으로는 설치류와 인간의 집단 면역 형성이 지목되고 있다. 종류[편집] 흑사병에는 증상에 따라 패혈성 흑사병, 폐 흑사병, 림프절 흑사병의 세 종류가 있다. 가장 흔히 발병하는 흑사병은 림프절 흑사병으로 전체 발병율의 75%에 달한다. 림프절 흑사병은 원인균이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에 있는 림프절을 공격하여 부종을 일으키며, 초기 증상은 38 - 41 °C의 고열과 함께 구토, 두통 을 보여 말라리아로 오인되기도 한다. 증상이 진행됨에 따라 흑사병 특유의 검은 반점, 부종이 나타난다. 림프절 흑사병은 사람간의 직접 전염은 일어나지 않으며 벼룩을 매개로 전파된다.[30] 폐 흑사병은 두 번째로 발병률이 높은 흑사병으로 원인균이 폐를 공격하여 폐부종을 일으키며 사망률이 95%에 달하는 치명적인 전염병으로 발병 후 8일 이내에 80%이상이 사망한다. 패혈성 흑사병은 원인균이 혈액에 직접 침투하여 일어나며 극히 드문 경우에만 나타나나 발병할 경우 단 시간안에 사망하게 된다.[31] 흑사병 창궐의 결과[편집] 유럽, 중앙아시아, 중동, 북아프리카,마다가스카르등의 지역에서 창궐한 흑사병으로 발생한 희생자는 인류 역사상 최악의 사망율을 기록하였다. 흑사병에 의해 빚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 감소[편집] 유럽[편집] 유럽 지역의 인구는 흑사병으로 인해 지역에 따라 1/3 ~ 1/2 규모로 감소하였다. 14세기 유럽의 흑사병 희생자는 총 7천5백만 명에서 2억여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32] 유럽 중세사를 연구하는 사학자 필립 데이리더는 2007년 자신의 저서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33] "유럽에 흑사병이 창궐한 초기 4년간의 희생자는 통상 인구의 45% ~ 50% 로 추산되고 있으나 이는 총괄적인 수준의 기록이다. 실제 유럽에서는 지역에 따라 다양한 사망률을 보였는데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 남부 등에서는 지역에 따라 인구의 80%가 희생되는 경우도 빈번하였다. 한편 북부 독일, 잉글랜드 등지에서 초기 4년 동안의 사망률은 20% 정도였다" 아시아[편집] 중국의 원나라 시기인 1334년 허베이에서 창궐하여 인구의 90%가 사망하였으며 1353–54년 동안 중국과 몽골지역에서 2천5백만명 이상의 희생자가 발생하였다.[34] 그 외의 영향[편집] 죽음의 무도에 그려진 흑사병 흑사병을 몰고다니는 닥터 쉬나벨, 파울 페르스트 1656년 작 1350년대 유럽의 문화는 흑사병의 영향으로 매우 음울하였다. 문화의 곳곳에서 염세주의의 영향이 두드러졌다. 당시 사람들은 역병을 인간의 죄에 대한 신의 심판으로 받아들였다. 당시 민간에서는 흑사병 의사인 닥터 쉬나벨 폰 롬(독일어 Doktor Schnabel von Rom , 로마 출신의 부리 가면 박사)이 흑사병 환자의 집을 방문하면 환자는 죽음을 맞이한다는 속설이 퍼졌다. 닥터 쉬나벨은 새부리 가면을 쓰고 긴 검은 겉옷을 입고 검은 모자를 쓴 채 지팡이를 쥔 모습으로 묘사되곤 하였다.[35] 문학 속의 흑사병[편집] 데카메론Decameron(조반니 보카치오Giovanni Boccaccio, 1351, 이탈리아) 페스트La peste (알베르 카뮈Albert Camus, 1942, 프랑스)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헤르만 헤세, 1975, 독일 같이 보기[편집] 블랙 데스 CCR5, 페스트와 연관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인간 유전자 죽음의 무도 죽음의 신 네 명의 절도범 식초; 흑사병에 면역을 갖는 조리법을 전하는 프랑스 전설 가이슬러리더 세계화와 질병 흑사병 의사 흑사병 의사 복장 Ring a Ring o' Roses 《제7의 봉인》, 잉마르 베리만 감독 영화 각주[편집] 내용주[편집] ↑ 이슬람의 알라와 유대교, 기독교의 여호와또는 야훼는 모두 같은 신을 대상으로 하는 호칭이다. 참고주[편집] ↑ ABC/Reuters (2008년 1월 29일). “Black death 'discriminated' between victims (ABC News in Science)”.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08년 11월 3일에 확인함.  ↑ “Health. De-coding the Black Death”. BBC. 2001년 10월 3일. 2008년 11월 3일에 확인함.  ↑ “Black Death's Gene Code Cracked”. 《Wired》. 2001년 10월 3일. 2015년 2월 12일에 확인함.  ↑ Haensch S, Bianucci R, Signoli M, Rajerison M, Schultz M, Kacki S, Vermunt M, Weston DA, Hurst D, Achtman M, Carniel E, Bramanti B (2010). Besansky, Nora J, 편집. “Distinct clones of Yersinia pestis caused the black death”. 《PLoS Pathog.》 6 (10): e1001134. PMC 2951374. PMID 20949072. doi:10.1371/journal.ppat.1001134.  ↑ Bos KI, Schuenemann VJ, Golding GB, Burbano HA, Waglechner N, Coombes BK, McPhee JB, DeWitte SN, Meyer M, Schmedes S, Wood J, Earn DJ, Herring DA, Bauer P, Poinar HN, Krause J (2011년 10월 12일). “A draft genome of Yersinia pestis from victims of the Black Death”. 《Nature》 478 (7370): 506–10. PMC 3690193. PMID 21993626. doi:10.1038/nature10549.  ↑ “BBC – History – Black Death”. BBC. 2011년 2월 17일.  ↑ Austin Alchon, Suzanne (2003). 《A pest in the land: new world epidemics in a global perspective》.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21쪽. ISBN 0-8263-2871-7.  ↑ “Historical Estimates of World Population”. Census.gov. 2016년 11월 12일에 확인함.  ↑ Wheeler, Dr. L. Kip. “The Black Plague: The Least You Need to Know”.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흑사병, 네셔널지오그래픽 ↑ “역사 속의 흑사병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고찰”. 2009년 1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8월 12일에 확인함.  ↑ 사망자 추정: Stéphane , L'Histoire n° 310, June 2006, pp.45–46, - "1/3 내지 2/3 사이"; Robert Gottfried (1983). 흑사병, 중세 사전 제2권, pp.257–67, - "25 ~ 45%". ↑ 흑사병의 전파는 쥐가 아닌 사람에 의한 것, guardian ↑ Judith M. Bennett and C. Warren Hollister, Medieval Europe: A Short History (New York: McGraw-Hill, 2006), page 327 . ISBN 0-07-295515-5. OCLC 56615921. ↑ 앞의 책 ↑ Michael W. Dols, "The Second Plague Pandemic and Its Recurrences in the Middle East: 1347-1894" Journal of the Economic Social History of the Orientvol. 22 no. 2 (May 1979), 170-171. ↑ 흑사병, channel4.com ↑ [Judith M. Bennett and C. Warren Hollister, Medieval Europe: A Short History (New York: McGraw-Hill, 2006), 326 . ISBN 0-07-295515-5. OCLC 56615921.] ↑ Ping-ti Ho, "An Estimate of the Total Population of Sung-Chin China", in Études Song, Series 1, No 1, (1970) pp. 33–53. ↑ “흑사병에 의한 인구 감소, med.nyu.edu”. 2007년 11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8월 13일에 확인함.  ↑ 쓰이위엔은 중국 역사상의 현으로 한국에는 수원(綏遠)현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는 허베이와 내몽골 자치구에 속해 있다. ↑ 시에라의 흑사병, arizona.edu ↑ 가 나 정수일 역, 《이븐 바투타 여행기 1》, 창작과비평사, 2001년, ISBN 89-364-7066-3, 155쪽 ↑ 흑사병의 재발, BBC ↑ Prinzing, Freidrich. Epidemics Resulting from Wars. Oxford: Clarendon Press, 1916. ↑ 일 731부대 '페스트균 기록' 발견, 《연합뉴스》, 2005.8.17. ↑ 이, 광철 (2017년 10월 13일). “마다가스카르 페스트 확산…561명 감염 증세”. 《연합뉴스》. 2017년 10월 13일에 확인함.  ↑ Michel Drancourt, 예르시니아 페스티스의 토양 및 인체 내 기생에 대한 연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Appleby, Andrew B. "The Disappearance of the Plague: A Continuing Puzzle", Economic History Review 33, 2 (1980) 161-173 ↑ Rebecca Totaro, Suffering in Paradise: The Bubonic Plague in English Literature from More to Milton, (Pittsburgh: Duquense University Press: 2005), p. 26. ↑ Ziegler, Philip (1969). Black Death. ISBN 0-06-131550-8 ↑ Will Dunham , 희생자를 차별한 흑사병,abc.net ↑ Philip Daileader, The Late Middle Ages, audio/video course produced by The Teaching Company, 2007. ISBN 978-1-59803-345-8 ↑ “흑사병의 결과,experiencefestival.com”. 2009년 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8월 22일에 확인함.  ↑ David Herlihy, The Black Death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West,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7), 72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흑사병 흑사병과 비슷한 전염병 유행성 출혈열 또는,한타바이러스 - 감염경로 쥐의 대변,쥐의 분비물 호흡기 전염 -증상 제재채,기침,고열,단기간 이후 피부,장기에서 과다출열 장기간 이내 사망하는 매우 치명적인 병원체 이다. 흑사병 - 두산세계대백과사전 흑사병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다음백과 미러) vdeh서양 중세사중세 전기 게르만족의 대이동 서로마 제국의 쇠퇴 고대 후기 그리스-로마 다신교의 쇠퇴 기독교화 이슬람의 흥기 불가리아 제1제국 프랑크 왕국 크로아티아 왕국 앵글로색슨 잉글랜드 바이킹 시대 카롤링거 제국 고대 교회 슬라브어 슈이네스게국 키예프 루스 동로마 제국의 중흥 중세 성기 신성로마제국 불가리아 제2제국 조지아 제국 폴란드 왕국 봉건제 동서 대분열 서임권 투쟁 십자군 스콜라주의 수도주의 자치도시 장원제 중세 온난기 몽골의 유럽 침공 중세 후기 백년 전쟁 흑사병 장미 전쟁 후스 전쟁 부르고뉴 공국 합스부르크 가 서방 교회의 분열 콘스탄티노플 함락 오스만 제국의 흥기 스위스 용병 기사도 르네상스 인문주의 대학 중세 후기의 위기 소빙기 문화사 건축 미술 교회와 국가 관계 요리 인구 가정 문학 의약 음악 철학 시문학 과학 노예제 기술 전쟁 참조 사항 암흑 시대 중세와 장애인 중세주의 중세 재현 중세학 신중세주의 연표 고전후 시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흑사병&oldid=24396274" 분류: 흑사병14세기 아시아14세기 유럽중세 후기제2차 페스트 범유행유럽의 보건재해아시아의 보건재해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CatalàMìng-dĕ̤ng-ngṳ̄ČeštinaCymraeg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VõroFøroysktFrançaisFurlanFryskGaeilgeGàidhligGalego𐌲𐌿𐍄𐌹𐍃𐌺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PatoisქართულიTaqbaylitАдыгэбзэKabɩyɛҚазақшаLatinaLadinoLimburgs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Bahasa MelayuMaltiMirandésမြန်မာဘာသာNāhuatlPlattdüütsch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Ирон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oomaalig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alonWinaray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8일 (토) 07: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흑사병(黑死病, 영어: Black Death, Pestilence, Great Plague, Plague, Black Plague)은 14세기 유럽에서 7,500만~2억 명의 목숨을 앗아간 인류사상 최악의 범유행이다. 흑사병 병원균에 관한 많은 이설이 있었으나 2010년~2011년 남유럽인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DNA 분석 결과 페스트의 병원균인 페스트균이 병원균으로 밝혀졌다.흑사병은 중앙아시아의 건조한 평원지대에서 시작되어 비단길을 따라 서쪽으로 이동해 1343년경 크림반도에 닿았다. 거기서부터 화물선에 들끓던 검은쥐에 기생하던 동양쥐벼룩을 기주(중간 숙주)로 하여 지중해 해운망을 따라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이때 흑사병으로 유럽 총 인구의 30~60%가 목숨을 잃었다. 흑사병 이전의 세계 인구는 4억 5천만 명 정도로 추산되는데, 14세기를 거치며 3억 5천만 명~3억 7,500만 명 정도로 거의 1억 명이 줄었다. 흑사병으로 인해 줄어든 세계 인구는 17세기가 되어서야 이전 수준까지 회복될 수 있었다.그 뒤로도 19세기까지 유럽에서는 페스트가 산발적으로 유행했는데(런던 대역병 등), 흑사병의 병원체를 페스트균으로 확정한다면 흑사병이란 1345년에서 1840년까지 유라시아 대륙에서 계속된 제2차 페스트 범유행의 일부로서 14세기 유럽의 범유행 상황을 가리키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14세기 페스트 유행은 유럽사에서 종교사, 사회사, 경제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흑사병에 감염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ssistant: 흑사병의 원인균인 예르시니아 페스티스는 보통의 경우 토양 속에 서식하며 간혹 설치류와 인간의 체내에 들어와 기생하면서 전파되어 흑사병을 일으킨다. 미셀 드란코르가 흑사병의 발생 모델을 정립한 바 있다.[28] 야생화된 개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개들은 벼룩에 의해 감염되거나 감염된 시체를 먹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흑사병에 걸렸다. Human: 아래 이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데올로기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09년 8월) 이념(理念, 독일어: ideologie 이데올로기[*], 영어: ideology, 문화어: 리념)은 일반적으로 사람이 인간 ·자연 ·사회에 대해 규정짓는 현실적이며 이념적인 의식의 형태를 가리킨다. 또한 정치경제학적으로는 상부구조의 하나를 의미한다. 이념의 현대적 의미는 나폴레옹이 자신의 반대자들을 이데롤로그(idéologues), 즉 "관념학파"로 부르면서 탄생하였다. 카를 만하임은 이 용어의 부정적인 의미를 채택하여 그의 작품에 사용하였다.[1] 목차 1 이념에 대한 분석 1.1 마르크스주의의 이념분석 1.2 현대의 이념분석 2 각주 이념에 대한 분석[편집] 이념이라는 용어는 관념의 기원이 선천적인 것인가 후천적인 것인가를 중심적인 문제로 하는 학의 명칭으로서, 이 용법은 데스튀트 드 트라시(Destutt de Tracy)의 "이데올로기 원론"(1804년~1815년)에 처음으로 보인다. 마르크스주의의 이념분석[편집] 그러나 마르크스주의에서의 이념이란 관념 그 자체가 아니라 생산양식 등의 사회의 하부구조와의 관계성에 있어서 파악되는 상부구조로서의 관념을 의미한다. 마르크스는 최초로 헤겔과 그 후계자들에 있어서 보이는 관념의 형태들에 관하여 사회의 기초로부터 발생하면서도 흡사 보편적인 정당성을 가지는 듯 행동한다고 비판하면서 이념의 계급성에 관하여 논하였다.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공저 "독일 이데올로기"(1845년)에서 처음으로 "이데올로기"라는 용어가 등장하여 계급사회에 있어서 이념의 당파성이 분석되었다. 즉 계급사회에서는 특정의 계급이 이익을 얻기 위해 특정 이념이 우세하게 되어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의 상호작용이 발생하여 필연적으로 스스로를 정당화하는 것이다. 마르크스는 이념의 이러한 성질을 허위의식으로서의 이념이라 부르고 계급적인 이해에 기하여 지배체제를 강화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이 분석에 따르면 계급제도는 반드시 이념을 수반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념을 비판하는 것은 계급투쟁 중에 가장 중요한 활동이다. 현대의 이념분석[편집] 그러나 냉전의 종결 후 이념의 종언이 더욱 강하게 주장되고 있다. 사회민주주의적인 중도, 복지정당이 세계의 대세를 점하여 이전의 이념을 내세움 없이 직업적, 전문적인 정치가, 관료에 의하여 순수하게 생활향상이 목표로 되는 것이 현대의 대세라는 분석이다. 사회과학적 입장으로는, 상부구조를 단순히 하부구조의 반영이나 영상으로 보는 전래의 기계론적 관점은 널리 배격되고 있다. 특히, 국가와 언어에 관한 기계론적 결정론은 타당하지 못한 것으로 인정되며, 기계론적 - 환원론적 입장에서 상부구조의 문제들을 보기보다 상부구조의 상대적 자율성을 인정하는 차원에서 상부구조 내의 특유한 재생산과정을 치밀하게 분석하려는 전략이 지배적이다. 각주[편집] ↑ De Tracy, Destutt (1801) Les Éléments d'idéologie, 3rd ed. (1817), p. 4, cited by: Mannheim, Karl (1929) Ideologie und Utopie, 2nd footnote in the chapter The problem of "false consciousness" vdeh정치 이념내셔널리즘 반제국주의 민족주의 국가주의 애국주의 국수주의 쇼비니즘 민족중심주의 보수주의 문화보수주의 재정보수주의 녹색보수주의 자유보수주의 국민보수주의 신보수주의 사회보수주의 전통보수주의 자본주의 자유방임주의 수정자본주의 국가자본주의 국가독점자본주의 초자본주의 아나코자본주의 자유주의 고전적 자유주의 개인주의 무정부주의(개인주의적 무정부주의) 사회자유주의 신자유주의 자유지상주의 민주주의 직접 민주제 간접 민주제 자유민주주의 사회민주주의 인민민주주의 기독교 민주주의 사회주의 공상적 사회주의 종교 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 민주사회주의 공산주의 무정부주의(사회적 무정부주의) 혁명적 조합주의 자주관리사회주의 아랍 사회주의 시장사회주의 국가사회주의 공산주의 마르크스주의 레닌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신마르크스주의 트로츠키주의 스탈린주의 마오쩌둥주의 호치민사상 주체사상 권위주의 독재 정치 전제 정치 절대왕정 전체주의 나치즘 파시즘 천황제 파시즘 팔랑헤주의 스탈린주의 마오쩌둥주의 호치민사상 주체사상 이슬람 원리주의 군국주의 환경주의 생태주의 녹색 정치 녹색자유주의 녹색보수주의 개량주의 자유사회주의 수정주의적 마르크스주의 사회민주주의 제3의 길 집단주의 국가주의 지역주의 내셔널리즘 민족주의 공동체주의 협동조합주의 집산주의 통합주의 이슬람주의 이슬람 원리주의 기독교 근본주의 반이슬람주의 힌두 내셔널리즘 정치 스펙트럼혁신 극좌 좌익 사회개량주의 권위주의 좌파 진보주의 급진주의 평등주의 합리주의 자유주의 좌파 중도 중도좌파 중도주의 중도우파 보수 극우 우익 사회보수주의 권위주의 우파 보수주의 점진주의 자유주의 경험주의 자유주의 우파 그 외 제3의 위치 혼합 정치 통치 체제정당제 일당 독재제 일당제 헤게모니 정당제 다당제 일당 우위 정당제 양당제 분절적 다당제 분극적 다당제 무당제 무소속 지배자 군주제 귀족제 신권 정치 공화주의 권력자 과두 정치 능력주의 다두 정치 국가 상태 단일 국가 연방제 국가 연합 국제주의 초국가주의 세계주의 그 외 계몽주의 혼합 경제 현실주의 엘리트이론 포퓰리즘 교조주의 원리주의 페미니즘 다원주의 책임 마키아벨리즘 제자백가 제국주의 봉건주의 정치 사상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념&oldid=19751274" 분류: 이념사회정치철학독일어계 외래어사회학 용어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09년 8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문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FryskGalego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QaraqalpaqshaҚазақшаКъарачай-малкъарKurdîКыргызчаLatinaLingua Franca NovaLimburgs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Bahasa MelayuMaltiမြန်မာဘာသာمازِرونی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olskiPiemontèisپنجابیپښتو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Саха тылаScotsسنڌي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ürkmençe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inaray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7년 10월 8일 (일) 01: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념(理念, 문화어: 리념) 또는 이데올로기(독일어: Ideologie, 영어: ideology)은 일반적으로 사람이 인간 ·자연 ·사회에 대해 규정짓는 현실적이면서 동시에 이념적인 의식의 형태를 가리킨다. 이념의 현대적 의미는 나폴레옹이 자신의 반대자들을 이데롤로그(idéologues), 즉 "관념학파"로 부르면서 탄생하였다. 카를 만하임은 이 용어의 부정적인 의미를 채택하여 그의 작품에 사용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마르크스주의에서 이념이라는 개념은 어떻게 분석하고있나요? Assistant: 그러나 마르크스주의에서의 이념이란 관념 그 자체가 아니라 생산양식 등의 사회의 하부구조와의 관계성에 있어서 파악되는 상부구조로서의 관념을 의미한다. 마르크스는 최초로 헤겔과 그 후계자들에 있어서 보이는 관념의 형태들에 관하여 사회의 기초로부터 발생하면서도 흡사 보편적인 정당성을 가지는 듯 행동한다고 비판하면서 이념의 계급성에 관하여 논하였다.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공저 "독일 이데올로기"(1845년)에서 처음으로 "이데올로기"라는 용어가 등장하여 계급사회에 있어서 이념의 당파성이 분석되었다. 즉 계급사회에서는 특정의 계급이 이익을 얻기 위해 특정 이념이 우세하게 되어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의 상호작용이 발생하여 필연적으로 스스로를 정당화하는 것이다. 마르크스는 이념의 이러한 성질을 허위의식으로서의 이념이라 부르고 계급적인 이해에 기하여 지배체제를 강화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이 분석에 따르면 계급제도는 반드시 이념을 수반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념을 비판하는 것은 계급투쟁 중에 가장 중요한 활동이다.
Human: 아래 마이크로아키텍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마이크로아키텍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이크로아키텍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인텔 코어 마이크로아키텍처. 마이크로아키텍처(microarchitecture) 또는 CPU 아키텍처는 컴퓨터 공학에서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이와 관련하여디지털 신호 처리기의 전자 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이의 하드웨어의 운영에 대해 세세하게 기술이 되어 있다. 학술 모임에서는 컴퓨터 시스템이라는 용어가 쓰이는 반면, 컴퓨터 산업에서는 마이크로아키텍처라는 용어가 더 자주 쓰인다. 마이크로아키텍처와 명령어 집합 구조 (ISA)는 함께 컴퓨터 아키텍처의 분야를 구성하고 있다. 목차 1 용어의 역사 2 마이크로아키텍처의 측면 3 마이크로아키텍처의 개념 4 CPU 아키텍처의 종류 5 같이 보기 6 참고 문헌 용어의 역사[편집]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많은 컴퓨터들이 마이크로프로그래밍을 사용하여 프로그램 함수를 디코딩하여 실행하는 제어 논리를 도입하였다. 마이크로프로그램의 언어들 안의 비트는 실제로 컴퓨터 계산을 했던 장치들을 제어했던 전기적 신호였다. 마이크로아키텍처라는 용어는 마이크로프로그램의 언어들이 통제하는 장치를 일컫는 데에 쓰인다. 마이크로아키텍처의 측면[편집] 칩 영역/비용 전력 소비 논리의 복잡함 연결의 쉬움 제조할 수 있음 오류 정정의 쉬움 시험할 수 있음 마이크로아키텍처의 개념[편집] 일반적으로 모든 CPU들, 곧 단일 칩 멀티프로세서나 다중 칩 프로세서들은 다음의 단계를 수행하며 프로그램들을 실행한다: 함수를 읽어서, 읽은 함수를 디코딩한다. 함수를 처리해야 하는 연결 데이터를 찾는다. 함수를 처리한다. 결과 출력을 기록한다. CPU 아키텍처의 종류[편집] 일반적인 운영 체제(OS)를 참고하여 PC 및 서버 환경을 기준으로 하는 마이크로아키텍처의 대중적인 CPU 종류는 다음과 같다.[1][2][3] CPU 지원 OS 성능 인텔 윈도우,리눅스,맥,유닉스계열 ,솔라리스등 PC급,서버급,워크스테이션급 AMD 윈도우,리눅스,맥,유닉스계열 ,솔라리스등 PC급,서버급,워크스테이션급 스팍 솔라리스,유닉스계열 PC급,서버급 ARM 리눅스 계열 등 스마트폰, 저전력 PC 같이 보기[편집]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디지털 신호 처리기 CPU 설계 하드웨어 아키텍처 참고 문헌[편집] ↑ (오라클)https://www.oracle.com/technetwork/java/javase/certconfig-2095354.html ↑ (페도라)https://fedoramagazine.org/announcing-fedora-29/ ↑ (Download the Arduino IDE)https://www.arduino.cc/en/Main/Software D. Patterson and J. Hennessy (2004년 8월 2일). 《Computer Organization and Design: The Hardware/Software Interface》. Morgan Kaufmann Publishers, Inc. ISBN 1558606041.  V. C. Hamacher, Z. G. Vrasenic, and S. G. Zaky (2001년 8월 2일). 《Computer Organization》. McGraw-Hill. ISBN 0072320869.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William Stallings (2002년 7월 15일). 《Computer Organization and Architecture》. Prentice Hall. ISBN 0130351199.  J. P. Hayes (2002년 9월 3일). 《Computer Architecture and Organization》. McGraw-Hill. ISBN 0072861983.  Gary Michael Schneider (1985). 《The Principles of Computer Organization》. Wiley. 6–7쪽. ISBN 0471885525.  M. Morris Mano (1992년 10월 19일). 《Computer System Architecture》. Prentice Hall. 3쪽. ISBN 0131755633.  Mostafa Abd-El-Barr and Hesham El-Rewini (2004년 12월 3일). 《Fundamentals of Computer Organization and Architecture》. Wiley-Interscience. 1쪽. ISBN 0471467413.  vdeh컴퓨터 과학의 주요 분야수학적 기초 수리논리학 집합론 정수론 그래프 이론 형 이론 범주론 수치해석학 이산수학 계산 이론 오토마타 이론 계산 가능성 이론 계산 복잡도 이론 양자 계산 이론 알고리즘 & 자료 구조 알고리즘 알고리즘 설계 알고리즘 해석 자료 구조 계산기하학 프로그래밍 언어 & 컴파일러 구문 분석 컴파일러 인터프리터 프로그래밍 언어 구조적 프로그래밍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병렬 & 분산 시스템 병렬 컴퓨팅 컴퓨터 클러스터 분산 컴퓨팅 그리드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 IaaS PaaS SaaS 소프트웨어 공학 요구 분석 소프트웨어 설계 컴퓨터 프로그래밍 정형 기법 소프트웨어 테스트 소프트웨어 개발 시스템 아키텍처 컴퓨터 아키텍처 마이크로아키텍처 운영 체제 통신 & 네트워크 컴퓨터 오디오 라우팅 네트워크 토폴로지 암호학 차세대 통신망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마이닝 RDBMS SQL NoSQL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인공 지능 자동추론 전산언어학 컴퓨터 비전 진화 연산 기계 학습 자연 언어 처리 로봇학 컴퓨터 그래픽 시각화 영상 처리 인간과 컴퓨터 상호 작용 컴퓨터 접근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착용 컴퓨터 유비쿼터스 컴퓨팅 가상현실 계산과학 인공생명 생물정보학 인지과학 계산화학 계산론적 신경과학 계산물리학 수치해석학 기호계산 정보보호 암호학 물리 보안 애플리케이션 보안 인터넷 보안 네트워크 보안 해킹 크래킹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마이크로아키텍처&oldid=23418343" 분류: 마이크로아키텍처마이크로프로세서중앙 처리 장치명령어 처리숨은 분류: CS1 관리 - 여러 이름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Magyar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atviešuBahasa Melayu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čin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5일 (토) 16:5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마이크로아키텍처(microarchitecture) 또는 CPU 아키텍처는 컴퓨터 과학 및 컴퓨터 공학에서 컴퓨터의 CPU 또는 이와 관련된 디지털 신호 처리기의 전자 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하드웨어의 운영에 대해 세세하게 기술이 되어 있다. 학술 모임에서는 컴퓨터 시스템이라는 용어가 쓰이는 반면, 컴퓨터 산업에서는 마이크로아키텍처라는 용어가 더 자주 쓰인다. 마이크로아키텍처와 명령어 집합 구조 (ISA)는 함께 컴퓨터 아키텍처의 분야를 구성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마이크로아키텍처의 CPU 중 인텔의 성능은 무엇일까요? Assistant: PC급,서버급,워크스테이션급 Human: 아래 프리깃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프리깃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프리깃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호위함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항해 중인 프리깃함 USS 에식스 (1799년) 노르웨이 해군의 프리깃함인 프리드쇼프 난센함 (2006년) 프리깃(Frigate)은 한국에서는 호위함이라고 부르며, 미해군에서는 FF라는 번호를 붙인다. 울산급 호위함이 대한민국 해군의 프리깃이다. 그러나, 군함 분류에 대한 명칭은 통일된 어떤 규칙이 없고, 나라마다 자체적인 기준으로 분류하기 때문에, 일본의 경우는 구축함보다 큰 순양함도 호위함이라고 부른다. 목차 1 기원 2 현대 프리깃의 기준 2.1 순양함 2.2 구축함 2.3 프리깃(호위함) 3 세계의 호위함들 4 국가별 호위함 보유수 5 대한민국의 호위함 6 크기별 함정 구분 7 외부 링크 기원[편집] 대항해 시대 말기에 쓰인 대형 목조 범선의 하나이다. 이 용어가 쓰인 것은 몇 세기 전 군함의 다양한 크기와 배의 역할을 구분하기 위해서이다. 18세기에 이 용어는 포 74문 이상을 갖춘 전열함이고 3개의 돛대에 가로돛 방식인 배로, 순찰과 호위에 유용하게 빠르고 가벼운 무장을 했다는 의미로 쓰였다. 대부분의 경우 하나의 포열 갑판과 여러 개의 포열 갑판들을 가지고 있었다. 19세기말(시초는 대략 1858년 영국과 프랑스 해군에서 건조하기 시작하면서이다.) 철갑함 형태의 강력한 화력을 가진 장갑 프리깃함이 등장했다. 현대에는 전함의 호위, 상선의 승무원을 태우거나 특히 대잠수함전에 사용하거나 육지로 전투원을 수송하고 항해 중 보급, 상선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프리깃은 코르벳함, 구축함, 순양함, 그리고 전함의 역할까지 하는 배로 분류한다. 프리깃은 그 배의 타입에 의해 등급이 결정된다. 현대 프리깃의 기준[편집] 프리깃은 곧 호위함으로도 사용되는 용어다. 규모는 구축함보다 아래. 고속정보다 높다. 구축함이 3,000톤에서 10,000톤까지의 범위를 갖는데 10,000톤 이상 넘어가면 순양함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4,000톤에서 1,000톤 정도가 호위함의 범위다. 1,000톤 이하로 내려가면 그때부터는 고속정. 실제로 7,000톤급 타카나미급은 구축함이고 4,000톤급인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은 호위함. 1만톤이 넘는 슬라바급은 순양함이다. 물론 이 기준에 구속받지 않는 예외의 경우도 있다. 줌왈트급은 1만톤을 아득히 상회하지만 구축함으로 분류된다. 순양함[편집] 최소10,000톤~ 러시아 - 슬라바급 미사일 순양함 구축함[편집] 3,000톤~7,000톤 러시아 - 소브레메니급 방공구축함 프리깃(호위함)[편집] 3,000톤~4,000톤 한국 - 대구급 한국 - 인천급 세계의 호위함들[편집] 미국 -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4,100톤 일본 - 아부쿠마급 3,500톤 중국 - 054A급 호위함 4,100톤 프랑스 - 라파예트급 3,600톤 한국 - 대구급 차기호위함 3,800톤 한국 - 인천급 차기호위함 3,600톤 국가별 호위함 보유수[편집] 중화인민공화국 - 20척 대한민국 - 16척 오스트레일리아 - 14척 중화민국 - 12척 미국 - 10척 파키스탄 - 10척 브라질 - 8척 싱가포르 - 6척 사우디아라비아 - 3척 이스라엘 - 3척 대한민국의 호위함[편집] 대한민국 - 대구급 1척 대한민국 - 인천급 6척 대한민국 - 울산급 9척 울산급은 구형 호위함이고 인천급, 대구급이 차기 호위함이다. 점차 울산급을 대체하게 된다. 크기별 함정 구분[편집] 경비정 < 고속정 < 초계함 < 호위함 < 구축함 < 순양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프리깃 (영어) Frigates from battleships-cruisers.co.uk - history and pictures of United Kingdom frigates since World War II (영어) Frigates from Destroyers OnLine - pictures, history, crews of United States frigates since 1963 (영어) The Development of the Full-Rigged Ship From the Carrack to the Full-Rigger vdeh범선범장 종범장 (버뮤다형 • 개프 • 라틴형) 횡범장 정크형 범장도 바크 브리그 브리간틴 바컨틴 캣보트 커터 쉽 케치 미스틱 스쿠너 스노우 욜 슬루프 다선체선 쌍동선 드루아 프로아 삼동선 군함 및 상선(시대순)고대 보이타 다우 갤리 (펜테콘테로, 삼단노선) 정크 트라이림 우루 중세 발링거 비를린 보선 코그 드로몬 헐크 크노르 코즈 랑스킵 시티크 15세기 캐럭 캐러벨 호이 트라바콜로 16세기 크롬스티븐 갤리엇 갤리온 갤리어스 플라이보트 플라이트 피네스 러르쳐 맨오브워 파타슈 지벡 17세기 버뮤다 슬루프 코르벳 이스트 인디아맨 프리깃 갤리어스 Koff 피니시 폴라카 전열함 18세기 빌런더 클리퍼 (볼티모어 클리퍼) 건달로우 74포문 전열함 슬루프형 군함 19세기 블랙월 프리깃 네덜란드 클리퍼 윈드재머 어선 바르카롱가 팔쿠샤 펠루카 피피 가벨바트 헤링 버스 항가다 루거 마술라 노르드란드스바트 섹스링 Sgoth 스맥 타렛테 웰 스맥 요얼 오락선 딩기 Mast aft rig 포켓크루저 수중익 범선 트레일러 세일러 Wharrams 윈드서퍼 요트 특수 용어 러지 톨 십 그 외 브리스틀 채널 파일럿 커터 푸스타 머지 플랫 노퍽 펀트 노퍽 훼리 파우자크 페크 너벅선 스카우 템스 세일링 바지 레파레파 훼리 vdeh근대(1801년-1945년)의 함종 운용 중인 잠수함정 보조함정 작전구역 대양해군(청색수역) 연안해군(갈색수역) 지역해군(녹색수역) 함포 배치법 현측포 중앙주포 포곽 포탑 항공모함 정규항모 강습상륙함 대잠항모 기구모함 캐터펄트 무장상선 호위항모 전투기 캐터펄트함 중형항모 헬리콥터 모함 경항모 상선항모 수상기모함 잠수항모 대형항모 전함 해방전함 노급전함 전노급함 초노급함 표준전함 고속전함 조약전함 순양함 장갑순양함 전투순양함 비행갑판순양함 중순양함 포켓전함 경순양함 가장순양함 방호순양함 타격순양함 어뢰순양함 비방호순양함 호위함 통보함 호송구조함 구축함 구축호위함 선도구축함 호위구축함 호송함 프리깃 방공구축함 해방함 슬루프 수송함 상륙수송선거함 수륙양용함 공격수송함 선거상륙함 상륙함 육군특수선 상륙지원함 중상륙함 보병상륙함 중형상륙함 전차상륙함 차량상륙함 병력수송선 초계·경비함정 무장승선증기선 무장요트 연안감시정 코르벳 포함 항만방어발동기정 발동기정 징발유망어선 징발저인망어선 해양승선선박 경비정 Q선 증기포함 구잠정 어뢰정 고속공격정 에스보트 어뢰무장발동기정 발동기포함 유도탄정 발동기어뢰정 MT 폭발물발동기정 MTSM 발동기어뢰정 경비어뢰정 신요 기뢰정 Danlayer 구축소해정 기뢰대응함정 기뢰매설정 기뢰제거정 기뢰부설함 소해정 보조·특무함 오락함 탄약함 보조수리선거함 보조함 석탄선 전투저장함 사령함 해상기중기 잠수함모선 구축함모선 송달쾌속선 고속전투지원함 General stores issue ship 병원선 군용예인선 그물전개함 공작함 보급함 잠수함정 공격잠수함 탄도유도탄 잠수함 연안잠수함 순항유도탄 잠수함 순양잠수함 심해잠수정 심해잠수구난정 함대잠수함 군용잠수정 유보트 기타 아스널쉽 병영함 흉장모니터함 주력함 기함 경비함 연안전투함 철갑함 모니터함 강상모니터함 연습선 이 글은 선박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프리깃&oldid=23517232" 분류: 호위함대항해시대의 범선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선박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ahasa BanjarBrezhonegBosanskiCatalàČeštinaЧӑвашла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Avañe'ẽ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LietuviųLatviešu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23일 (수) 02: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프리깃(Frigate)은 전함의 종류 중 하나다. 다양한 시기 동안 여러 종류의 배들이 "프리깃"으로 분류되어 왔기에, 프리깃의 역할과 기능은 시대별로 달랐다. 17세기부터 18세기까지 호위, 순찰, 정찰 목적으로 사용될 속도와 기동성을 고려한 모든 전장범선이 프리깃으로 불렸다. 이 시기 프리깃은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함선에 적용되었다. 18세기 중반부터 프랑스에서 "진짜 프리깃"이 개발되었다. 이 유형의 선박은 무장 갑판 하나만 가지고 있고, 그 아래에 비무장 갑판이 선원들의 침대 시설 용도로 사용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무장 프리깃이 강력한 철갑함으로 개발되기 시작했는데, 이들이 프리깃으로 불린 이유는 포열갑판이 한 개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이후 철갑함 개발이 진행되면서 프리깃이라는 명칭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되었고, 이 용어는 더 이상 사람들이 선호하지 않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프리깃"이라는 용어가 재도입되어, 코르벳과 구축함 사이의 중간 크기의 항해용 호위함선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다양한 종류의 선박들이 프리깃함으로 분류되었는데, 사용에 있어 일관성이 거의 없었다. 일부 국가 해군들은 프리깃함을 주로 대양 대잠수함전용 함선으로 간주하고 있고, 다른 국가 해군들은 코르벳, 구축함, 심지어 핵추진 유도 순양함으로 인식될 수 있는 선박을 설명하기 위해 이 용어를 사용했다. 일부 유럽 해군은 구축함과 프리깃함 모두에 "프리깃"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국가의 방위를 위하여 설치된 호위함이 가장 많은 나라의 명칭은 무엇일까? Assistant: 중화인민공화국
Human: 아래 진시황릉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진시황릉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진시황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진시황릉 유네스코 세계유산 진시황릉영어명* Mausoleum of the First Qin Emperor프랑스어명* Mausolée de l'empereur Qin등록 구분 문화 유산기준 Ⅰ, Ⅲ, Ⅳ, Ⅵ지정 역사 1987년  (11차 정부간위원회) 웹사이트 유네스코 관련 사이트 * 세계유산목록에 따른 정식명칭.** 유네스코에 의해 구분된 지역. 진시황릉은 중국 최초의 황제인 진 시황제의 묘지이다. 여산 또는 역산(酈山)은 산시 성 시안에서 30 km 떨어진 동현의 원산원(驪山園)에 있는 야산이다. 기원전 246년에서 208년까지 39년간 공사를 했으며, 지금의 황릉 높이는 76m로 무덤이 있는 야산은 옛 진나라의 수도 함양의 동쪽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목차 1 역사 2 참조 3 각주 4 외부 링크 역사[편집] 사마천 사기의 진시황본기 편에 따르면 시황제 즉위 초부터 여산(酈山)에 무덤을 착공하여 통일 후에 최대 70여만 명까지 동원하였다고 한다. 현재의 진시황릉은 병마용과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며 발굴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이곳이 정확한 위치인지는 알기 어렵다. 지금의 진시황릉은 다분히 황릉의 위치와 역사적 의미만을 알려주는 전시용이며, 입구에서부터 정상까지 가는 200m 정도의 계단을 설치하고 규모만 파악할 정도의 의미 밖에 주지 못한다. 지금도 넓은 산에 발굴이 계속 중이며, 언젠가는 발굴이 끝나 실체를 밝힐 것으로 예상할 뿐이다. 진시황의 사후 함양으로 들어온 항우가 30만의 병사들을 동원해서 도굴을 했다는 기록과 황소의 난 때 이곳을 도굴하여, 외부로 노출된 쇠붙이는 모두 도굴해 갔다는 기록이 있어 여러 번 외벽의 도굴이 이루어 졌음을 알 수 있다. 사마천의 《사기》에는 내와 강을 이뤄 바다가 형성될 정도로 엄청난 양의 수은을 이용하여, 지하궁전을 지었다는 기록이 나오는데, 그 기록에 따르면 수은으로 인해 지하궁전은 완전한 도굴이 힘들었을 거라는 추측을 할 수 있다. 1974년 3월 29일에 한 농부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되었으며[1], 1987년에 병마용과 함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참조[편집] 진 시황제 병마용 각주[편집] ↑ 박상철 (2013년 3월 29일). “오늘의 역사 - 진시황릉 발견”. 메트로.  외부 링크[편집] (중국어) 진시황릉 vdeh중화인민공화국의 세계유산문화유산 만리장성 베이징 고궁-선양 고궁 막고굴 진시황릉과 병마용 저우커우뎬 피서산장과 외팔묘 공자유적 우당 산 고건축군 라싸 포탈라궁 루 산 자연공원 리장 고성 핑야오 고성 쑤저우 고전원림 이화원 천단 다쭈 석각 칭청 산과 두장옌 환남고촌락: 서체, 굉촌 룽먼 석굴 명청황릉 윈강 석굴 고대 고구려 왕국의 수도와 무덤군 마카오 역사지구 은허 카이펑 누각과 촌락 푸젠 토루 우타이 산 자연유산 주자이거우 풍경구 황룽 풍경구 무릉원 풍경명성구 운남삼강병류보호구 쓰촨 대왕판다 서식지 중국 남방 카르스트 산칭 산 단샤 복합유산 태산 황산 어메이 산과 러산 대불 우이 산 풍경구 아시아의 세계유산 중화인민공화국의 세계유산 (공용) 좌표: 북위 34° 22′ 55″ 동경 109° 15′ 13″ / 북위 34.38194° 동경 109.25361°  / 34.38194; 109.2536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진시황릉&oldid=24218228" 분류: 시안시의 건축물중국의 문화중국의 세계유산진 시황제시안시의 관광지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sturianuБългарскиCatalàDeutschEnglishEspañolEuskaraFrançaisHrvatski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orskPortuguêsRomână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venskaதமிழ்Türkçe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4일 (화) 10: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진시황릉(秦始皇陵)은 중국 최초의 황제인 진 시황제의 묘지이다. 여산 또는 역산(酈山)이라고 불리는,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 시안 린퉁구 원산원(驪山園)에 있는 야산에 위치하여 있다. 기원전 246년에서 208년까지 38년간 공사를 했으며, 지금의 황릉은 야트막한 피라미드형으로, 시간이 지나며 그 높이가 낮아졌음에도 불구하고 무려 76m라는 높이를 자랑한다. 진시황릉은 당시 진나라의 수도였던 함양의 모양을 본따서 만들어졌는데, 외성과 내성으로 나뉘어 있다. 외성의 둘레는 6.3km이고, 내성의 둘레는 2.5km이다. 우리가 현재 볼 수 있는 산은 당시 내성이었던 부분의 남서쪽에 위치하며, 동쪽을 바라보고 있다. 관이 안치되어 있는 매장실과 기타 부장품들은 아직까지도 완전히 발굴되지 못하였다. 관이 들어있는 매장실은 아직까지 발굴되지 않았기에, 현재 중국 고고학계가 주로 발굴, 조사하는 곳은 진시황릉을 넓게 둘러싸고 있는 외성과 내성 부분이다. 또한 무덤 동쪽에 있는 병마용 또한 워낙 그 규모가 방대하기에 이 유물들만을 조사하는 데에도 시간이 많이 걸린다고 한다. 병마용은 진시황을 사후세계에서도 지키기 위해 만들어졌고, 이 또한 아직까지 완전히 발굴되지 못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진시황릉을 처음 발견한 날짜는 언제인가요? Assistant: 1974년 3월 29일 Human: 아래 브라질_대_독일_(2014년_FIFA_월드컵)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브라질 대 독일 (2014년 FIFA 월드컵)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브라질 대 독일 (2014년 FIFA 월드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브라질 대 독일 경기 전 미네이랑의 광경경기 2014년 FIFA 월드컵 브라질 독일 CBF DFB 1 7 날짜 2014년 7월 8일장소 벨루오리존치, 브라질미네이랑최우수 선수 토니 크로스 심판 마르코 로드리게스관중 수 58,141명날씨 맑음 22 °C (71 °F) 습도 51%[1] 2014년의 브라질 대 독일(독일어: Fußball-WM-Halbfinale Brasilien – Deutschland 2014)은 2014년 7월 8일, 브라질 벨루오리존치의 미네이랑에서 열린 2014년 FIFA 월드컵의 준결승 1차전 경기였다. 브라질과 독일 모두 준결승전까지 한번도 패배하지 않고 준결승 무대에 안착하였는데, 브라질은 콜롬비아를 8강에서 상대하는 과정에서 공격수 네이마르를 척추 부상으로 잃었고, 치아구 시우바마저 경고 누적으로 인하여 출장할 수 없게 되었다. 이 둘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양국이 도합해서 8번 대회를 우승하고 브라질이 2-0으로 이겨 5번째 우승을 차지한 2002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맞대결을 펼친 만큼 FIFA 월드컵의 전통 강호라는 점을 감안하면 치열한 접전이 예상되었다. 그런데 경기는 의외로 브라질의 충격적인 대패로 끝났다. 독일은 전반전에만 5-0으로 앞서나갔는데, 이 중 5골이 30분 안에 나왔고, 후반전에는 한때 7-0으로 앞서나가기도 했다. 브라질은 후반 추가시간 오스카르가 만회골을 넣어 영패를 면하였으며, 독일의 토니 크로스는 경기의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이 경기 한번으로 다수의 기록이 쏟아졌다. 독일은 이 경기 승리로 FIFA 월드컵 준결승전 역사상 최다 점수차 승리를 거두었다. 독일은 브라질을 제치고 FIFA 월드컵 최다 득점국이 되었고, 8차례 FIFA 월드컵 결승전에 오른 첫 국가가 되었다. 미로슬라프 클로제는 자신의 FIFA 월드컵 16호골로 브라질의 호나우두를 제치고 FIFA 월드컵 역대 최다 득점자로 등극했다. 브라질은 1975년 코파 아메리카(페루에 1-3으로 패배) 이래 62경기 동안 이어온 안방 무패 행진을 마감했고, 1920년 우루과이전 0-6 대패 이래 최다 점수차 패배를 당했다. 결국, 이 경기는 브라질에서 국가적 망신으로 묘사되었다. 이후 경기는 국제 언론들에 의해 미네이랑의 비극(포르투갈어: Mineiraço 미네이라수[*], 스페인어: Mineirazo 미네이라소[*]) 으로 명명되어, 1950년 FIFA 월드컵에서 우루과이에게 예상치 못한 패배를 당했던 마라카낭의 비극(포르투갈어: Maracanaço)을 회자케 하였다. 브라질은 이어지는 3위 결정전에서마저 네덜란드에 0-3으로 대패하였고, 독일은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아르헨티나를 치열한 연장 접전 끝에 1-0으로 힘겹게 꺾고 통산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을 차지했다. 목차 1 개요 2 경기 2.1 전반전 2.2 후반전 2.3 상세 정보 2.4 통계 3 기록 4 브라질의 패인 4.1 정부와 국민들의 지나친 압박 4.2 스콜라리 감독의 선수 선발 실패 4.3 네이마르의 부상 4.4 정신적 지주의 부재 5 반응 5.1 축구계 5.2 사회 5.3 언론 6 경기 후 7 같이 보기 8 각주 8.1 내용주 8.2 참고주 9 외부 링크 개요[편집] 브라질은 주장 치아구 시우바의 출장 정지 징계에 대한 항소가 기각되었다. 이전에 5번 대회 우승을 거머쥐었던 브라질은 사상 두번째 (1950년에 이어) FIFA 월드컵 개최권을 얻었다. 독일은 대회를 3번 우승했지만, 1990년 이후 24년동안 대회 우승을 거두지 못했었다. 브라질은 2002년 이래 처음으로 준결승전에 진출하였는데, 당시 브라질은 독일을 결승전에서 이기고 우승을 거두었었다. 한편, 독일은 4대회 연속 준결승 진출이라는 신기록을 달성했다.[2] 양국은 이 대회에 우승후보로서 참가했고,[3] FIFA 랭킹에서 독일은 2위, 브라질은 3위였다.[4] 2014년 7월 7일, 경기를 하루 앞두고 훈련에 임하는 독일의 마누엘 노이어 브라질은 준결승에 당도하기 전까지 조별 리그에서 크로아티아, 멕시코, 그리고 카메룬과 A조에서 경합하여 승점 7점(2승 1무)으로 16강에 올라 칠레를 승부차기로 제친 후, 8강에서 콜롬비아를 돌려세웠다. 독일은 포르투갈, 가나, 그리고 미국과 G조에 속해 승점 7점(2승 1무)을 모아 16강전에서 알제리와 연장 접전을 벌였고, 프랑스를 8강에서 제압했다. 양국은 21번의 맞대결을 펼쳤지만,[5] FIFA 월드컵의 토너먼트전에서 만난 사례는 브라질이 2-0으로 이긴 2002년 FIFA 월드컵의 결승전이 전부였다.[6][7][주 1] 브라질의 치아구 시우바는 경고 누적으로 인해 출장이 불가능하게 되었고,[9] 브라질 축구 협회는 징계를 철회하기 위해 항소를 제출했지만 기각되었다.[10] 공격수 네이마르 또한 콜롬비아와의 8강전에서 당한 척추 골절때문에 이 경기는 물론 나머지 경기에도 출전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11][12] 단치와 베르나르드가 이 경기에 결장할 치아구 시우바와 네이마르의 빈자리를 각각 메우게 되었고, 루이스 구스타부 또한 파울리뉴를 대신해 수비형 미드필더로 배치되었다. 독일은 8강전에 사용한 선발진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줄리우 세자르 골키퍼와 임시 주장 다비드 루이스는 국가연주에서 네이마르에 대한 존중의 표시로 그의 유니폼을 들었다.[13] 주축 선수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분석가들은 접전을 예상했고, 홈 관중들의 응원이 큰 변수가 될 것이라 덧붙였다.[14] 경기[편집] 양국은 준결승에 도달하기 전까지 본선 경기에서 단 한번도 패배하지 않았다. 경기를 중재할 심판진으로 멕시코인 주심 마르코 로드리게스가 선정되었고, 이 경기는 그가 은퇴하기 전에 주관할 마지막 경기가 되었다.[15] 전반전[편집] 브라질의 주장 다비드 루이스 (가운데 뒤쪽) 이 수비진을 이끌었지만, 미로슬라프 클로제 (왼쪽) 의 23분 골로 시작된 독일의 6분간 4득점을 막는데 역부족이었다. 양국은 적극적인 태세로 나섰다. 브라질의 마르셀루가 3분에 쏜 공은 크게 벗어났고, 독일의 사미 케디라가 7분에 찬 공은 본의 아니게 동료 토니 크로스의 몸에 막혔다. 11분, 독일은 첫 코너킥을 선제골로 연결했다. 토마스 뮐러는 다비드 루이스의 견제를 피해 페널티 구역으로 들어가 토니 크로스가 배급한 공을 열린 공간에 한발로 쏴 골망을 흔들었다. 몇분 뒤, 브라질은 동점골로 응수하려 했으나, 빠른 역습은 무위에 그쳤다. 필리프 람은 태클로 마르셀루가 페널티 구역에 공을 전달하는 것을 막기도 했다. 그러나, 23분, 독일은 크로스와 뮐러가 협력하여 미로슬라프 클로제에 공을 띄웠고, 클로제가 쏜 공은 처음에 줄리우 세자르 골키퍼가 튕겨냈지만, 이 공을 다시 잡아 골을 넣었다. 이는 클로제의 FIFA 월드컵 통산 16호골로, 그는 호나우두를 제치고 FIFA 월드컵 역대 최다 득점자로 등극했다.[16][17][18] 클로제의 골은 독일의 골폭풍의 시발점이 되었고, 독일은 차츰 경기의 지배력을 이어나갔다. 크로스는 재빠르게 2골을 추가하였다. 크로스는 24분에 람의 크로스를 견제받지 않는 상황에서 지면에 닿기전에 차넣었고, 26분에는 브라질이 경기를 재개한지 몇초 되지 않아 페르난지뉴의 공을 상대 진영에서 빼앗아 케디라에 공을 넘겨 수비를 피하고, 다시 받아 가볍게 득점을 기록했는데, 2골이 기록되는데 걸린 시간은 불과 70초였다. 케디라는 29분에 메수트 외질과 패스를 주고 받다가 한 골을 추가했다. 독일이 전반에 득점한 5골 모두 30분이 지나기 전에 기록했고, 이 중 4골은 6분안에 나왔다. 브라질은 전반에 단 한번도 골문을 향해 차본 적이 없었다. 다수의 브라질 관중들은 눈물을 보이기 시작하거나 충격에 빠졌고, 브라질 대표팀에 대한 관중들간의 불화가 전반전에 나타났다.[16][17][18] 이어지는 미네이랑 관중석에서의 싸움은 헌병대 특수부대의 경기장 주둔으로 이어졌다.[19] 이 와중에 브라질은 수비수인 다비드 루이스가 하라는 수비는 안 하고 골을 넣으려고만 발악해 자신이 있어야 할 위치에서 계속 벗어나 있는 상태였으며 이로 인해 독일은 순식간에 공짜 골을 4개나 넣었다. 후반전[편집] 브라질 공격수 프레드를 견제하는 독일 수비수 제롬 보아텡. 프레드는 경기에서 최악의 활약을 펼쳐 맹비난을 받았고, 교체되어 나갈때 브라질 관중들의 야유를 받았다. 브라질은 파울리뉴와 하미리스를 페르난지뉴와 헐크로 교체하였지만, 오히려 경기 재개 후에 더 위험한 상황이 나타나게 만들었다. 이들은 독일의 마누엘 노이어 골키퍼가 오스카르, 파울리뉴, 그리고 프레드의 슛을 막게 했다. 60분이 경과할때 쯤, 독일은 또다시 득점 기회를 잡았는데, 줄리우 세자르가 뮐러가 쏜 공을 두 번 막았다. 독일은 결국 69분에 한골을 추가하였다. 람은 교체로 들어간 안드레 쉬를레에 공을 넘겼고, 주변에 견제하는 선수가 없었던 그는 한발로 근거리에서 골망을 갈랐다. 쉬를레는 이에 만족하지 않고 79분, 그는 좌측의 뮐러가 멀리서 건낸 공을 받아 골대와 가깝도록 세게 차 줄리우 세자르를 넘겼다. 이 시점에 독일이 7-0으로 앞서 나갔고, 브라질 관중들은 독일에 기립박수를 쳤는데, 쉬를레의 골을 칭찬하며, 독일의 패스에 찬사를 보냈다.[20] 경기 막판, 외질은 찔러들어가는 패스를 받았지만, 8번째 골을 넣을 기회를 살짝 비껴갔다. 몇초 후, 브라질이 돌파하여 오스카르가 90분에 득점해 점수를 7-1로 바꾸었지만, 만회골에 불과했고, 최종적으로 브라질은 (1920년 우루과이전 0-6 대패 이래) 최다 점수차 패배를 당했고, 62경기간 지속된 브라질의 안방 무패 기록에 종지부를 찍었다. 이 때 독일의 마누엘 노이어 골키퍼는 야신상을 노리고 있었기 때문에 이 실점으로 인해 독일 수비수들에게 불같이 화를 냈다. 브라질 선수들은 눈물진채 야유를 들으며 경기장을 떠났다.[16][17][18][21][22] 토니 크로스는 세번 공을 쏘아 2골을 넣고, 1골을 돕고 2번 기회를 창출하였으며, 93%의 패스 정확도를 기록하여 이 경기의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23][24] 브라질 공격수 프레드는 70분에 윌리앙과 교체되어 나가면서, 개최국 관중들로부터 호의적이지 못한 반응을 받았다.[25] 옵타 스포츠의 통계에 의하면, 프레드는 이 경기에서 단 한번의 태클도, 크로스도, 질주도, 가로채기도 못했고, 경기 시간 대부분을 6차례의 경기 재계로 인해 중앙 근처에서 보냈다.[26] 상세 정보[편집] 2014년 7월 8일 17:00 브라질 1 – 7 독일 미네이랑, 벨루오리존치 관중수: 58,141 심판: 마르코 로드리게스 (멕시코) 오스카르  90' 리포트  11' 뮐러  23' 클로제  24', 26' 크로스  29' 케디라  69', 79' 쉬를레 브라질 독일[주 2] GK 12 줄리우 세자르 RB 23 마이콩 CB 4 다비드 루이스 (주장) CB 13 단치  68' LB 6 마르셀루 CM 17 루이스 구스타부 CM 5 페르난지뉴 46' RW 7 헐크 46' AM 11 오스카르 LW 20 베르나르드 CF 9 프레드 70' 교체 선수: GK 1 제페르송 DF 2 다니 아우베스 MF 8 파울리뉴 46' DF 14 마스웨우 DF 15 엔히크 MF 16 하미리스 46' MF 18 에르나니스 MF 19 윌리앙 70' FW 21 조 GK 22 빅투르 기타: DF 3 치아구 시우바 FW 10 네이마르 감독: 루이스 펠리피 스콜라리 GK 1 마누엘 노이어 RB 16 필리프 람 (주장) CB 20 제롬 보아텡 CB 5 마츠 후멜스 46' LB 4 베네딕트 회베데스 CM 6 사미 케디라 76' CM 7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 RW 13 토마스 뮐러 AM 18 토니 크로스 LW 8 메수트 외질 CF 11 미로슬라프 클로제 58' 교체 선수: GK 12 론-로베어트 칠러 DF 2 케빈 그로스크로이츠 DF 3 마티아스 긴터 MF 9 안드레 쉬를레 58' FW 10 루카스 포돌스키 MF 14 율리안 드락슬러 76' DF 15 에리크 두엄 DF 17 페어 메르테자커 46' MF 19 마리오 괴체 GK 22 로만 바이덴펠러 MF 23 크리스토프 크라머 기타: DF 21 슈코드란 무스타피 감독: 요아힘 뢰프 최우수 선수: 토니 크로스 (독일) 부심: 마르코스 킨테로 (멕시코) 마르빈 토렌테라 (멕시코) 대기심: 마크 가이거 (미국) 후보 대기심: 마크 허드 (미국) 경기 규정: 90분 필요시 연장전 30분 연장전 후에도 동점시 승부차기 교체 선수 12명 등록 최대 3명 교체 가능 통계[편집] 골을 자축하는 독일 선수들 통계[28] 브라질 독일 득점 1 7 슛 18 14 유효슛 8 10 점유율 52% 48% 코너킥 7 5 반칙 11 14 오프사이드 3 0 경고 1 0 퇴장 0 0 기록[편집] 경기 결과는 FIFA 월드컵 준결승 역사상 최다 점수차 경기였다.[29] 결과는 개최국의 FIFA 월드컵 역사상 최다 점수차 패배로도 기록되었는데, 6골차 패배는 종전의 3골차 기록을 두배나 경신했다.[24] 경기 후, 2014년 FIFA 월드컵에서의 득점 횟수가 167번으로 집계되어, 단일 대회로는 1998년 171골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골수였다.[24] 도합 18번의 유효슛이 나오면서, 이 경기는 2014년 FIFA 월드컵 모든 경기를 통틀어 90분 정규 시간동안 가장 많은 유효슛이 나왔다.[24] FIFA 월드컵 역사상 최단시간 4골도 기록되었는데, 독일은 6분간 (23분부터 29분까지) 4골을 득점하였다.[30] 종전 기록은 1954년 오스트리아 (25분부터 32분까지) 와 1982년 헝가리가 (69분부터 76분까지)[31] 가지고 있었는데, 4골을 넣는데 7분이 걸렸다. 독일은 FIFA 월드컵에서 개최국을 상대로 한 경기에서 최다 득점을 기록한 국가로 1954년 FIFA 월드컵에서 스위스를 7-5로 격파한 오스트리아와 어깨를 나란히 했다.[30] 독일은 브라질을 넘어 FIFA 월드컵 역대 최다 득점국으로 등극하였는데, 통산 223골로 브라질의 221골을 제쳤다.[29] 경기 전까지 브라질과 독일은 7번의 FIFA 월드컵 결승전 진출로 이 부문의 기록에서 동률을 이루었었고, 독일은 이 동률을 깨고 처음으로 8번의 FIFA 월드컵 결승전에 진출한 국가가 되었다.[32] 반면 브라질은 1920년 우루과이전 0-6 대패 이래 최악의 대패를 당했고,[29] 안방에서도 역대 최악의 대패를 당했다.[33] 종전에 1939년 히우 지 자네이루에서 아르헨티나에 1-5로 대패한 기록을 경신했다. 이 경기의 패배로 브라질은 1975년 코파 아메리카에서 페루에게 1-3으로 패배한 이래 62경기동안 이어오던 안방 무패 행진이 멈추었다. 공교롭게도 그 경기도 벨루오리존치의 미네이랑에서 열렸다.[34][35] 브라질이 종전에 FIFA 월드컵 준결승전에서 패배한 것은 1938년으로, 마르세유에서 이탈리아에 석패하였고, 이후 6번의 준결승전에서 모두 승리하였는데, 네덜란드에게 1974년에 패배한 것은 준결승전이 아닌 2차 조별 리그였다.[30] 브라질은 안방에서 7골을 실점한 적이 없었지만, 1934년 6월 3일, 유고슬라비아와의 친선전에서 4-8로 패배했던 적은 있었다.[30] 브라질이 종전에 5골 이상 실점한 경기는 6-5로 이긴 1938년 FIFA 월드컵 폴란드전이었다. 이후로 최다 실점 횟수는 1954년 FIFA 월드컵에서 헝가리에 2-4로 패배할 때 4골을 실점한 것이었다.[24] 브라질이 종전에 FIFA 월드컵에서 당한 최다 점수차 패배는 1998년 결승전에서 프랑스에게 0-3, 3골차로 대패한 것이었다.[36] 경기 결과에 따라 브라질은 독일을 상대로 최다 점수차 패배를 당해 종전에 1986년 친선전에서 0-2로 패배한 기록을 갈아치웠다.[24] 독일 선수들이 공격수 미로슬라프 클로제 (가운데, 등번호 11번) 가 16번째 FIFA 월드컵 골이자 브라질에 2-0으로 앞서나가는 득점을 성공시킨 후 자축하고 있다. 독일은 이 경기의 결과에 따라 4대회 연속으로 3위 이상의 성적을 냈다. 더 나아가서, 독일은 이 경기 승리로 FIFA 월드컵 결승전에 8번 진출한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24] 이 경기는 독일의 13번째 준결승전이기도 했다.[30] 독일은 FIFA 월드컵 준결승전에서 7골을 득점한 최초의 국가로도 기록되었다.[24][29] 가장 최근에 준결승전에서 6골을 득점한 국가는 서독으로 1954년에 오스트리아를 상대로 기록했고, 1930년에 열린 두 차례의 준결승전에서도 기록되었다. 독일은 FIFA 월드컵 역사상 최다 점수차 전반전을 치렀고, 종전 기록은 2002년 사우디아라비아를 상대로 4-0으로 앞선 것으로, 독일은 이 경기를 8-0 대승으로 끝내 자국의 FIFA 월드컵 역사상 최다 점수차 승리를 거두었다.[30] 오직 2개국만이 전반전이 종료된 시점에 5골을 앞서나갔다: 유고슬라비아, (1974년 자이르전) 폴란드 (1974년 아이티전)[37][38] 독일은 7골로 다른 FIFA 월드컵 역사상 28개 출전국보다 좋은 골결정력을 증명했다.[24] 독일의 미로슬라프 클로제는 브라질의 카푸와 함께 16승으로 FIFA 월드컵 최다 승리를 기록하였다. 클로제는 자신의 23번째 FIFA 월드컵 경기를 치러 23경기에 출전해 파올로 말디니와 함께 FIFA 월드컵 출전 기록 2위의 기록을 세웠고, 오직 로타어 마테우스 (25경기) 만 그보다 더 많은 경기에 출전했다. 클로제는 마테우스나 카푸보다 더 많은 13번의 결선 토너먼트전 경기를 치렀고,[24] 4번의 FIFA 월드컵 준결승전에 진출한 유일한 선수 (우베 젤러는 세 차례의 준결승전에 출전하였다.) 가 되었다.[39] 그는 이 경기에 출전해 통산 16번째 FIFA 월드컵 득점을 올려 호나우두의 15골 기록을 깨고 FIFA 월드컵 최다 득점자에 등극하였는데, 당시 호나우두는 이 경기에서 해설가로 참여했다.[40] 토마스 뮐러의 선제골은 독일 국가대표팀의 통산 2,000호골이기도 했다.[38] 뮐러는 (클로제와 페루의 테오필로 쿠비야스에 이어) 2대회 연속으로 5골 이상씩 득점한 3번째 선수가 되었다.[30] 토니 크로스가 전반전에 기록한 2골은 69초 간격으로 터져, 같은 선수가 기록한 최단 시간 2골이었다.[29] 브라질의 패인[편집] 정부와 국민들의 지나친 압박[편집] 첫 번째 원인은, 브라질 정부와 국민들의 가혹한 압박이었다. 브라질은 FIFA 월드컵 최다 우승국이었기에 브라질인들은 축구에 대한 자부심이 매우 강하다. 하지만 이 지나친 자부심은 종종 선수들에게 큰 부담과 중압감을 주었다. 브라질인들은 브라질 대표팀이 월드컵에서 미흡한 성적을 거두고 오면 거두절미하고 야유와 욕설, 비난을 퍼부었다. 한 예로 브라질 축구계의 명실상부한 큰어르신인 마리우 자갈루 감독은 1974년 FIFA 월드컵에서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는데 이 때 브라질인들은 자갈루 감독의 자택을 습격해 기물을 파손하는 등의 만행을 저질렀고 심지어는 당시 브라질에서 유행하던 독감을 감독의 이름을 따 '자갈루 독감'으로 부르기까지 했다. 물론 전 대회에서 우승을 했기에 그에 비하면 좀 저조하긴 했지만 그 당시 브라질의 최종 순위는 4위였다. 그렇게 나쁜 성적이 아닌데도 단지 우승 못 한 죄목으로 감독을 한낱 전염병 따위와 동급으로 취급할 정도로 인격모독을 자행한 것이다. 월드컵에서 우승했다고 해서 또 좋게 봐주는 것도 아니었다. 이번 대회에서도 보였듯이 브라질인들은 화끈한 공격축구를 하는 팀엔 환호를 보내지만 수비를 탄탄히 하는 실리축구를 하는 팀엔 거두절미하고 야유부터 퍼부었다. 1994년 FIFA 월드컵 당시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파헤이라 감독은 호마리우-베베투 투 톱을 필두로 수비를 탄탄히 하는 4-4-2 포메이션의 실리축구로 24년 만에 조국에 4번째 우승을 안겨주었다. 그런데 브라질인들은 지루한 수비축구로 우승을 했다며 이런 우승은 우승이 아니란 이유로 파헤이라 감독에게 비난을 퍼부었고 결국 파헤이라 감독은 쫓겨나듯이 사임해야 했다. 이렇게 타국에서 열린 대회였는데도 이 정도였으니 자국에서 열린 대회에선 더하면 더했지 결코 덜하지 않았다. 본래 브라질은 경제 사정이 어렵고 빈부 격차가 매우 큰 데다 물가가 살인적인 곳으로 악명 높다. 이번 대회를 개최할 때에도 빈민가들을 함부로 싹 밀어버렸고 또 월드컵 개최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 복지를 대폭 축소했다. 이 때문에 대회 전부터 월드컵 개최 반대 시위가 끊이질 않았다. 이런 사회적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선 어떻게든 시선을 다른 곳으로 돌려야했고 브라질 정부 입장에선 월드컵 우승 열기로 국민적 불만을 덮어야 했다. 실제로 아르헨티나에서 호르헤 비델라 독재정권의 폭정으로 국민적 불만이 고조되었을 때 1978년 FIFA 월드컵 우승으로 그 불만을 덮어버린 사례가 있었다. 그 때문에 브라질 정부는 대표팀을 향해 월드컵 우승이라는 무언의 압박을 지속적으로 보냈다. 월드컵 조직위에서 결승전 장소를 일부러 64년 전 마라카낭의 비극이라는 브라질 축구의 한이 서린 장소로 정한 것과 브라질 축구 연맹에서 노골적으로 "준비해라. 6번째 대관식이 기다리고 있다."는 슬로건을 내건 것이 그것이다. 국민들은 국민들대로 옛날 펠레가 활약하던 시절처럼 현란한 삼바 리듬을 연상시키는 공격축구를 요구하고 있었기에 선수들과 코칭 스태프들에겐 엄청난 부담이 가중되어 있었다. 즉, 브라질 선수들에겐 매 경기가 결승전이었고 매 경기가 단두대 매치였던 것이다. 현대 축구의 전술은 고도로 발전되어 있어 수비 전술이 날로 진보하는데 반해 브라질은 호나우두 이후 사실상 스트라이커의 계보가 끊겨 브라질인들이 원하는 그런 공격축구를 하고 싶어도 더 이상 할 수가 없었다. 그런데도 브라질 국민들은 대표팀 선수들에게 잘했다고 칭찬하기는커녕 야유를 보냈다. 브라질 선수들은 홈에서 도리어 원정팀만 못한 대우를 받은 것이다. 이번 대회에서 브라질은 갈수록 극단적인 파상공세를 취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 역시 극성맞은 자국 축구팬들 때문이었다. 홈 이점을 빼면 순수하게 팀 간 전력은 독일이 브라질보다 더 막강했다. 브라질은 4강까지 오는 동안 내분으로 지리멸렬해진 카메룬을 4 : 1로 이긴 걸 빼면 매 경기마다 답답한 모습을 보였다. 반면, 독일은 알제리전 정도만 빼면 시원시원한 경기력으로 올라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경기에서 브라질은 계속해서 극단적인 파상공세를 취했다. 전반 23분~29분까지 단 6분 사이에 4골이나 허용할 정도로 수비 조직력이 무너진 이유는 실점을 하자 조급한 마음에 빨리 동점골을 넣겠다고 무리하게 라인을 올렸다가 배후 공간을 내주면서 허를 찔렸기 때문이다. “축구는 짧은 담요와 같아서 머리를 덮으면 발이 드러나고 다리를 덮으면 머리가 드러난다.”는 우루과이의 명장 오스카르 타바레스 감독의 명언이 그대로 적중한 것이다. 타국에서 열린 대회에도 수비를 강조하는 실리축구를 하면 비난을 퍼붓는 게 브라질 국민들인데 자국에서 열린 대회에선 더하면 더했지 결코 덜하진 않았다. 그러니 브라질 대표팀은 4년 후 대한민국처럼 선수비 후역습 전술을 하고 싶어도 팬들이 무서워서 할 수가 없었다. 그 때문에 실점을 해서 점수 차가 더 벌어지는 한이 있더라도 어떻게든 앞으로 전진해야 했고 되든 안 되든 계속 공격적으로 나아갈 수밖에 없었다. 수비수인 마르셀루와 다비드 루이스가 본분을 망각하고 계속 공격에 가담한 이유도 이 때문이었다. 결국 브라질 선수들은 물러서면 떨어지는 백척간두의 벼랑 끝에서 경기를 하고 있었던 셈이다. 스콜라리 감독의 선수 선발 실패[편집] 둘째로, 스콜라리 감독의 선수 선발에도 문제가 있었다. 먼저 이번 브라질 대표팀의 스트라이커 프레드는 선배 스트라이커의 계보를 잇기엔 그 실력이 매우 부족했다. 그 결과 프레드는 4강전까지 총 6경기 동안 단 1골을 넣는데 그쳤다. 결정적으로 프레드는 대회 직전에 큰 부상을 당해 제 기량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었다. 덕분에 프레드는 브라질 축구 역사상 최악의 9번이라는 불명예를 뒤집어쓰게 되고 말았다. 역대 브라질의 9번 스트라이커가 1득점에 그친 건 이번 대회의 프레드가 최초였다. 이런 프레드의 불명예스러운 기록은 다음 대회에서 가브리엘 제주스가 5경기 무득점으로 갱신하게 된다. 물론 당시 브라질은 호나우두가 은퇴한 이후 정통 스트라이커의 계보가 말라붙어버렸다. 그나마 지난 2010년 대회의 루이스 파비아누는 5경기 3골을 기록해 제몫은 해주었지만 너무 늙어서 이번 대회에 그를 부를 수는 없었다. 그리고 호나우두의 뒤를 이을 후계자로 지목되었던 아드리아누는 유리몸인데다 멘탈에 문제가 있어서 자기 관리에 실패로 기량이 급격히 떨어진 상태였다. 파투 역시 유리몸으로 잦은 부상 때문에 그저 그런 선수가 된 상태였다. 프레드의 백업인 조는 그 프레드보다 더 기량이 형편없었다. 아드리아누나 파투 둘 중 하나라도 건재했다면 그래도 좀 나았을지도 모르지만 역사에 가정이란 없는 것이다. 어쨌든 파비아누는 2014년에 벌써 선수로서는 백전노장인 34세라 쓰기 어려웠고 아드리아누와 파투 역시 부상 및 멘탈 문제로 골치를 썩혔으므로 그나마 믿을 자원은 프레드밖에 없긴 했다. 하지만 브라질엔 디에고 코스타라는 한 번쯤 테스트해볼 만한 자원이 있었다. 그러나 스콜라리 감독은 이상할 정도로 디에고 코스타를 외면했다. 결국 디에고 코스타는 그를 눈여겨보던 스페인의 비센테 델 보스케 감독의 권유에 따라 스페인으로 귀화해 스페인 대표팀의 일원이 되었다. 코스타가 귀화하자 스콜라리 감독은 "감히 조국을 배신하다니!"하고 분노했지만 코스타가 스페인으로 가게 만든 건 스콜라리 감독 본인이다. 프리메라리가에서 물 오른 득점력을 보여주었던 코스타라도 붙잡았다면 좀 나았을지도 모르는데 스콜라리 감독은 끝까지 프레드와 조만을 신임했다. 일각에서는 스콜라리 감독의 프레드 기용을 이른바 '브라질판 의리축구'라고 하는데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이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스콜라리 감독이 부진한 모습만 보였던 프레드만을 줄창 기용했기에 이런 비난을 피할 수가 없었다. 쓸 만한 원톱 공격수가 프레드 뿐이었기에 프레드를 계속 기용한 것이지만 선택지를 스스로 프레드로 제한한 것 역시 스콜라리 감독 본인의 책임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스콜라리 감독의 절대적인 신임을 받은 프레드는 이 날 경기에서 전반전에 5번의 킥오프를 했을 때 외에는 전혀 존재감이 없었다. 그래서인지 그의 히트맵은 센터서클에만 기하학적으로 집중되어 있었다. 즉, 공격도 못했고 수비 시 전방압박을 해서 1차 저지선을 해야 할 역할도 못한 것이다. 어찌 되었든 스콜라리 감독의 프레드 기용은 대실패였다. 프레드가 8강전까지 1골밖에 못 넣은 이상 그를 계속 기용하는 건 백년하청이나 다름없다. 그러므로 프레드를 빼고 아예 새로운 전술로 과감히 변화를 주는 것이 중요했다. 그러나 스콜라리 감독은 계속해서 프레드를 기용했고 프레드는 매 경기마다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결국 공격은 2선의 네이마르 혼자서 이끌게 되었고 그런 네이마르가 후안 카밀로 수니가의 살인적인 니킥으로 인해 척추 부상으로 빠지게 되자 전혀 힘을 못 쓰게 되었다. 그나마 베테랑 호나우지뉴나 카카가 함께 있었다면 네이마르의 부담이 덜어질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스콜라리 감독도 이 둘을 기용하는 것을 검토했던 것으로 보이지만 결국 두 사람 모두 부상으로 이탈하고 말았다. 2선의 헐크도 문제였다. 헐크는 이번 대회에서 단 1골도 넣지 못했고 경기 내내 무리한 개인 돌파와 특유의 탐욕적인 모습으로 공격의 흐름을 다 끊어먹었다. 결국 이 경기에서도 헐크는 무리한 개인 돌파를 시도하다 자신보다 피지컬이 더 우세한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와 베네딕트 회베데스의 압박에 무너지며 완전히 지워졌다. 8강전까지 5경기 동안 헐크는 그다지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스콜라리 감독은 끝까지 헐크를 믿고 내보냈고 결국 헐크는 그런 스콜라리 감독의 믿음을 무참히 배반하고 말았다. 수비형 미드필더로 들어간 페르난지뉴 또한 이 경기의 책임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페르난지뉴는 전반전에 치명적인 실책을 범하며 토니 크로스가 단 69초 만에 멀티골을 기록하는데 크게 일조했다. 특히 전반 26분, 토니 크로스의 두 번째 골은 페르난지뉴가 볼을 잡고 머뭇거리다가 뺏기며 순식간에 독일이 역습을 전개해 성공시킨 것이었다. 일부 브라질 언론에서는 이번 독일과의 경기를 앞두고 보다 단단하고 중원 장악 능력이 뛰어난 파울리뉴가 루이스 구스타부와 더불어 중원의 무게 중심을 잡아야 한다고 줄기차게 주장한 바 있다. 구스타부 혼자서 독일의 미드필더들을 상대하는 건 중과부적이니 공격력이 다소 처지는 한이 있더라도 수비 성향이 짙은 파울리뉴가 더 낫다는 견해였다. 결과론적 해석이나 이날 스콜라리 감독이 페르난지뉴를 선발로 낸 것은 패착이었던 만큼 이에 대한 논란이 일기도 했다. 네이마르의 부상[편집] 셋째로, 신예 공격수 네이마르의 부상 역시 뼈아픈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번 대회 브라질 대표팀의 공격진은 역대 최악이라고 봐도 무방했다. 브라질은 8강전까지 총 10득점을 기록했는데 이 중 4골을 네이마르가 기록했다. 즉, 이번 월드컵에서 브라질이 기록한 총 득점의 40%를 네이마르가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네이마르가 브라질의 공격을 이끌고 있었다. 특히 원톱 스트라이커 프레드가 단 1골밖에 못 넣었고 우측 윙어 헐크는 아예 단 1골도 넣지 못할 정도로 심각하게 부진했기 때문에 실상 브라질은 네이마르의 발끝에 모든 걸 의지할 수밖에 없었다. 즉, 네이마르는 단순히 브라질 대표팀 소속 선수 중 하나가 아니라 브라질 대표팀 그 자체인 것이다. 그런데 이 네이마르는 8강전에서 콜롬비아의 수비수 후안 카밀로 수니가의 살인적인 니킥 때문에 척추 부상을 당해 다음 경기에선 뛸 수가 없었다.[41] 브라질 대표팀은 스콜라리 감독부터 '네이마르를 위해'라는 문구가 적힌 모자를 쓰고 경기장에 입장했고 선수들도 국가가 연주되는 동안 네이마르의 유니폼을 들고 국가를 제창하며 끈끈한 전우애를 과시했다. 그러나 이것은 도리어 큰 부담이 되고 말았다. 네이마르가 빠진 자리엔 후보 선수 베르나르드가 들어갔는데 베르나르드는 네이마르의 공백을 메우기엔 너무도 그 기량이 부족했다. 결국 베르나르드는 독일 수비수들의 집중 마크 끝에 지워지며 아무런 활약도 못했다. 그나마 이번 대회 브라질 선수들 중 가장 골 결정력이 좋았던 네이마르가 빠지자 브라질 공격진은 독일을 상대로 전혀 위협적인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원톱 공격수 프레드는 독일 센터백 마츠 후멜스 - 제롬 보아텡 듀오의 집중 견제에 꽁꽁 묶여 제대로 슛 한 번 못 했으며 킥오프를 할 때를 빼면 아예 화면에 잡히지도 않았다. 결국 프레드는 전반전 동안에 스트라이커라는 포지션에 걸맞지 않게 슈팅은커녕 킥오프만 5번을 하는 굴욕을 당했다. 덕분에 그의 히트맵은 센터서클에만 기하학적으로 집중되었다. 프레드 뿐 아니라 베르나르드는 필리프 람에게 헐크는 베네딕트 회베데스에게 봉쇄되며 힘을 제대로 쓰지 못했다. 실상 이번 대회서 브라질이 믿을 만한 공격자원은 네이마르 단 하나 뿐이었는데 그 네이마르가 부상으로 빠지게 되자 브라질의 칼날은 급격히 녹슬어버린 셈이 됐다. 이렇게 공격진이 제몫을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 결국 수비수인 마르셀루와 다비드 루이스가 네이마르의 역할을 대신하려 하는 어처구니 없는 일까지 벌어졌고 이는 브라질이 7실점이나 하게 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렇게 네이마르의 부상이 가져온 나비효과는 실로 엄청난 것이었다. 정신적 지주의 부재[편집] 네이마르의 빈 자리 이상으로 컸던 건 바로 주장 치아구 시우바의 공백이었다. 이 날 경기에서 브라질 수비진은 치아구 시우바의 조율 없이는 매우 엉망이라는 게 드러났다. 시우바를 대신해 주장 완장을 찬 부주장 다비드 루이스는 계속해서 공격에 몰두하며 자신의 본분을 잊어버렸고 시우바를 대신해 커맨더형 센터백으로 나선 단테는 본인 생애 첫 출전한 월드컵 무대에서 긴장을 했는지 잔뜩 졸아 있었다. 그 탓에 전혀 수비 라인 조율을 못하고 대량 실점의 빌미를 제공했다. 이런 상황에서는 팀 내 베테랑이었던 마이콘이나 줄리우 세자르라도 나서서 수습을 해야하는데도 마이콘은 오버래핑을 나간 다비드 루이스의 공백을 메우느라 지쳤고 줄리우 세자르 역시 독일에 정신없이 난타당하다 보니 본인들부터 정신적으로 무너져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해주지 못했다. 반응[편집] 축구계[편집] 토니 크로스는 이 경기에서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크로스는 이 경기에서 69초 안에 2골을 넣어 FIFA 월드컵 역사상 최단시간 2골을 기록하였다. 그는 경기 후 패배한 상대에 미안한 감정을 드러냈는데, 그는 이들이 "최상의 상태로 임하지 못했다"고 평했다.[42] 경기 기록에 따르면, 독일이 7번째 득점을 터뜨리자, 이 경기를 중계로 보던 네이마르는 포커를 하기 위해 텔레비전을 껐다.[43] 루이스 펠리피 스콜라리 브라질 감독은 "브라질 국가대표팀이 당한 최악의 패배"라고 말했고, 패배에 대한 모든 책임을 졌다.[44][45] 그는 "생애 최악의 날"이라 평했고,[46] 대회 후 사표를 썼다. 다비드 루이스 임시 주장과 줄리우 세자르는 브라질 국민들에게 사과하였다.[47][48] 경기중 브라질 관중들에게 야유를 받은 프레드는 그와 동료들에게 있어서 최악의 패배라 평했다.[49] 이후 그는 대회 후 국가대표팀 은퇴를 할 것임을 밝혔다.[50] 부상에서 재활중이던 네이마르는 여전히 동료들에 대한 지지의사를 밝혔고, 1-7 대패에도 불구하고 동료들이 자랑스럽다고 밝혔다.[51] 경기 도중 독일 대표팀 선수들은 이 경기에서 발생한 일은 축구에서 흔한 일이 아니라는 것을 눈치채고 있었다.[52] 경기 후 기자회견에서 마츠 후멜스는 독일 대표팀 동료들과 후반전에 브라질을 수치스럽게 하고 싶지 않다는 데에 동의하였다고 밝혔다:[53] 우리는 경기에 집중하고 상대를 수치스럽게 하지 않을 것이라 결심했습니다. 우리는 후반전을 앞두고 진지하게 임하고 집중해야 한다고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이는 경기에 임하며 대부분 지켜지지 않는 일입니다. 기교나 이런 상황을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상대를 존중한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가 90분동안 우리 방식대로 임한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독일 선수들은 절제된 마음으로 골을 자축했다. 팔은 들었지만, 득점 후 껑충껑충 뛰거나 소리지르지 않았다.[52] 요아힘 뢰프는 브라질 선수진에 "균열이 생기자" 자신이 지도하는 선수들이 "명쾌하고, 꾸준한 경기 계획을 지녔다"고 평했다. 이 이점을 사용해 긴장된 브라질 선수들과 달리 독일 선수들은 "매우 차분히" 대처했다.[54][55][56] 토니 크로스는 이 경기의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는데, 독일 선수들은 "우승을 위한 경기는 아니였고, [브라질 선수들은] 최선을 다했다"고 느꼈고, 선수단은 브라질을 상대할 방법을 숙지하고 경기에 뛰어들었다: "우리는 차지할 수 있는 공을 다 가져갔고, 득점을 올렸습니다."[42] 뢰프는 자신의 선수들이 경기 중이나 후에 "들뜨지 않았다"라고 밝혔고,[54] 당장 7-1로 대승한 것은 다가오는 결승전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을 숙지했다며 "우리는 자축하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기뻤지만, 아직 할일이 남아 있었죠." 라고 말했다.[57] 경기 후, 독일 선수들과 감독진은 브라질 선수들에게 위로의 말을 전했다. 뢰프와 페어 메르테자커와 필리프 람과 같은 선수들은 브라질 선수들에 가해진 압박은 독일이 2006년 FIFA 월드컵을 개최했던 당시처럼 준결승전에서의 뼈아픈 패배를 야기했다고 상기시켰다.[56][58][59] 람은 경기가 "쉽지 않았고" 브라질 선수들이 실수를 범하는 데에 "이 수준에서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라며 "흥분되지 않는다"고 대회 후 덧붙였고,[60] 메르테자커는 독일이 경기에서 최고의 능력을 선보였지만 "비록 경기 시간 대부분을 후보 선수로 대기했지만 [준결승전은] 보기에 제정신이 아닌 경기였다."라고 평했다.[59] 크로스는 브라질이 우수한 선수들을 보유함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최고의 상태가 아니었다" 라고 외부에서 가해진 압력을 지적했고, "그들이 좋은 시절로 돌아갈 것"이라는 믿음을 표했다.[42][61] 뢰프 감독은 경기 직후 브라질 국민들이 독일 선수들에게 찬사를 보낸다는 것을 직시했다.[20] 이후 브라질의 우 글로부지는 독일 선수들의 반응에 감사를 표했고, 그들을 "동정의 세계 챔피언"이라 표했다.[62] 브라질 축구의 전설 펠레는 "축구가 놀라움이 가득한 장이라고 늘 말해왔다. 세계 그 누구도 이 결과를 예측해지 못했을 것이다" 라고 트위터에 기재하였고, 이후 "[브라질]이 러시아에서 6번째 우승을 거둘 것이다. 축하한다 독일" 이라고 덧붙였다.[63] 1970년 브라질의 우승을 이끌었던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토히스 전 주장은 브라질이 "이미 '이겼다'라고 생각해" 졌다고 토로했다. 그는 "독일 선수들은 내가 지향하는 방법으로 경기에 임했고, 스콜라리의 이 경기 전술은 자살행위나 다름없다." 라고 덧붙였다.[64] 아르헨티나의 알레한드로 사벨라 감독은 브라질의 패배에 입을 어렵게 열고 "축구는 비논리적이다"라고 표의했다.[65] 이와 대조되게, 저명한 아르헨티나의 전 공격수이자 전 감독인 디에고 마라도나는 브라질의 패배를 조롱하는 노래를 한 것으로 보여졌다.[66] 사회[편집] 독일에서 ZDF가 중계한 이 경기는 역대 최고 시청률을 기록했는데, 3257만명이 시청해 (전체 시청자들 중 87.8%) 종전의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독일 대 스페인전에 세운 기록을 경신했다.[67] 그러나, 이 기록은 닷새 후에 열린 결승전 중계에서 깨졌다. 이와 대조되게, 관중수에서 주간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던 브라질 헤지 글로부의 중계는 독일의 골이 터질때마다 시청률이 떨어졌다.[68] 지우마 호세프 브라질 대통령은 자국의 대패를 애도하였다. 이 경기는 트위터에서 가장 많은 글이 토의된 경기로, 3560만개의 글이 기재되어,[69] 종전에 2490만개의 글이 써진 슈퍼볼 XLVIII의 기록을 제쳤다.[63] 게임이 진행될 때 처음에 해시태그에 붙던 글로는 "#브라질을위해기도를" (#PrayforBrazil) 이 흔했지만, 독일이 5-0으로 브라질을 앞서나가기 시작하자, 계정을 가진 브라질인들은 참혹감을 자학 유머로 승화시는데 이르었고, 독일의 골을 폴크스바겐 골 자동차에 빗대어 브라질 선수들은 "11명의 프레드가 뛰는것 같다"고 표현했다.[70] 다른 트위터 글로는 독일의 압도적인 능력을 제2차 세계 대전과 홀로코스트의 군사 활동에 빗대어 표현했는데, 예를 들어 "골로코스트" (Goalocaust) 로 지칭했다.[71] 말레이시아의 붕 모크타 라딘 국회의원은 결례가 될 만한 덧글을 달아서 말레이시아 대중과 독일 외교관 홀거 미하엘의 질타를 받기도 했다.[72] 지우마 호세프 브라질 대통령은 트위터에 경기 후 "모든 브라질인들을 사랑하며, 저는 우리의 패배에 슬픔을 느낍니다." 라고 기재했다.[73] 이스라엘 외교부의 이갈 팔모는 "이것은 축구가 아니다. 축구에서, 경기가 무승부로 끝나면, 이것은 공평하다 생각하지만, 7-1로 끝났을 때에는 그러지 못하다"라고 자국이 가자 분쟁에 부당한 무력을 쓴다는 브라질의 주장에 반박할 거리가 생겼다고 이 경기를 언급했다.[74] 개최국 브라질의 FIFA 월드컵 우승에 대한 압박은 패배의 충격을 낳았고, 언론과 FIFA는 이구동성으로 미네이랑의 비극 (Mineiraço) 으로 명명하였고, 브라질이 개최했던 1950년 FIFA 월드컵의 사실상 결승전에서 우루과이에게 충격적인 역전패를 당했던 마라카낭의 비극 (Maracanaço) 을 상기케 했다.[38][75][76][77] 그 당시 희생양으로 지목되었던 모아시르 바르보사 골키퍼의 딸은, 이 경기를 통해 자기 아버지의 명성이 좀 회복될 수 있었다고 말했고,[78] 역전 결승골을 집어넣어 우루과이를 두 번째 우승으로 이끌었던 우루과이의 공격수 알시데스 기지아는 두 경기 모두 충격적이었지만, 이번 경기는 1950년 경기만은 못했다고 회고했다.[79] 경기 후, 독일 팬들은 경찰의 보호를 받으며 경기장을 빠져나갔고, 경찰들은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폭도에 대비해 비상사태에 놓였다.[80] 목격자들은 독일 팬들은 참혹하게 대패한 개최국 브라질 팬들에게 존중을 표했지만, 아르헨티나 팬들은 브라질의 탈락에 기뻐했다고 언급했다.[20][81] 리우데자네이루 팬들의 잔치에서 대형 절도 사건이 보고되었고, 팬들은 경기가 끝나기도 전에 상파울루 거리에서 브라질의 국기에 불을 붙인 것으로 나타났다.[82] 상파울루 시내의 버스가 방화로 인해 여러대 전소되었고, 전자제품 매장에 약탈 사건이 발생했다.[83] 언론[편집] 브라질의 언론들은 결과에 "역사상 최악의 수치" (란스!지), "역사적인 치욕" (포야 지 상파울루지), "브라질은 죽었다" (우 글로부지) 등으로 기사제목을 달았다. 벨루오리존치의 최대 브로드시트 신문사인 이스타두 지 미나스는 1면 대부분을 백지로 놔두고 슬퍼하는 팬이 찍힌 사진을 가운데에 놓았으며, 그 위에 득점자를 표시하였고, 기사제목으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기억이라도 하고 싶으세요? 그럼 다음 면을 보세요." 가 달렸다. 맨 뒷면 기사제목으로는 "브라질 축구 최악의 수치"로 되어 있었다.[84][85] 독일의 빌트지는 "7-1의 광기", "빛같은 DFB 팀"과 같은 기사제목을 달았다. 프랑스의 레키프지는 "참사" (Le Désastre) 라는 짧은 제목을 달았다.[86] 스카이스포츠의 매슈 스테인저는 이 경기를 "수치 그 자체"로 묘사하였고,[87] ESPN의 미겔 델라니는 경기를 미네이랑의 비극 (Mineirazo) 이라 짚으며, 남아메리카의 스페인어 언론들이 널리 사용한 신조어를 써서 강조했다.[88] 가디언지의 바니 로네이는 경기를 "개최국이 당할 수 있는 FIFA 월드컵 역사상 최악의 패배"로 묘사했고,[89] 인디펜던트지의 조 캘러헌은 경기를 "브라질 축구 역사상 가장 칠흑과도 같은 밤"이라는 표현을 썼다.[90] 히우 지 자네이루에 중계차로 나간 BBC의 와이어 데이비스는 브라질이 경기장과 팬모임에서 보인 반응은 "하나같이 충격받고, 부끄러워 했으며, 브라질 전국에서 느낀 수치감은 무시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91] 축구 전문 기자 팀 비커리는 역대 최악의 성적은 한동안 국가대표팀의 황금기동안 월계관과 친숙해지면서 개혁이 계속 연기된 브라질 클럽 축구의 개편의 기폭제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해, 다른 언론인의 보도와는 대조되는 반응을 보였다. 그의 주장을 간추리면, 지금이 "역사적인 상징물을 개편해 현대적이고, 세계적으로 개편할 기회"인 것이다.[92] 다수의 기사에서 이 경기를 브라질이 안방에서 치른 1950년 대회에서 우승을 날려먹은 마라카낭의 비극에 비교하는 경향이 있었고,[76] 브라질 언론들은 한술 더 떠서, 2014년에 당한 패배로 1950년 선수단이 명예를 회복했다고 재해석했다.[78][93] 전문가들은 전술 및 기술적 능력 미달이 참담한 결과로 이어졌다고 해석했다. 스콜라리는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을 우승한 주역들이 다수가 부진하고 대부분 FIFA 월드컵 경험이 부족한 선수들로 구성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계속 기용했다.[94] 브라질은 조별 리그 3경기와 결선 토너먼트 2경기에서 공격을 네이마르에 의존해 썩 잘한 편이 아니었고, 이들의 문제점은 준결승전에 훨씬 강력한 독일을 상대하면서 수면 위로 올랐다.[95] 네이마르는 팀의 중요한 기둥과도 같아서, 어떤 배치 형태든지 간에 그 없이는 훈련 진행이 불가능했다.[94] 그의 부재가 발생하자, 스콜라리는 네이마르의 자리에 베르나르드를 배치해 미드필더를 한명 더 배치하는 "융통성 있는 전략" 대신에 독일을 상대로 전통적인 브라질의 공격적인 축구를 계속 이어나가려 했다.[96] 수석 코치들과 팬들은 좀 더 수비적인 성향을 띄는 하미리스나 윌리앙 등을 배치하는 쪽을 지지했다.[94] 따라서 페르난지뉴와 루이스 구스타부는 독일의 토니 크로스, 사미 케디라, 그리고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로 구성된 중원 3인방에 압도당했다.[96] 수비 문제도 이전에도 붕괴되어 문제로 제기되었는데, 단치는 출장 정지로 빠지게 된 시우바의 대체자로는 부적격하다는 것만 증명했고, 다비드 루이스도 준결승전에서 수차례의 수비 실책을 범했다.[97][96] 다른 실책으로는 마르셀루가 더 공격적으로 기용한 것이 있었으며, 구스타부가 그를 뒤에서 받혀주는 역할을 맡은 것이었고, 프레드는 비적격적인 역할로 하여금 골결정력 있는 공격수라기 보다 전술 목적의 공격수로 평가되게 하였다.[98] 경기 후[편집] 7월 12일, 브라질은 네덜란드와의 3위 결정전에서도 준결승전 대패로 인한 후유증을 극복하지 못한 채 0-3으로 또다시 대패하며 대회를 4위로 마감했다.[99][100] 이 패배는 종전 FIFA 월드컵 최다 점수차 패배 기록을 세운 프랑스와의 1998년 FIFA 월드컵 결승전 패배와 똑같은 점수차로 패배한 것이었고, 따라서 브라질은 대회를 통틀어 14골을 실점하였으며, 이 또한 브라질의 역대 단일 대회 최다 실점이자 FIFA 월드컵 개최국이 허용한 최다 실점이기도 하며, 1986년 대회의 벨기에 이래 가장 많은 실점을 허용했다.[101] 독일은 7월 13일, 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에서 열린 아르헨티나와의 결승전에서 치열한 연장 접전 끝에 1-0으로 겨우 이기고 통산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이자 통일 이후의 첫 우승을 차지했다.[102] 비록 개최국에게 충격적인 대패를 안겨주기는 했지만, 브라질 관중 대부분은 오랜 라이벌이자 이웃국가인 아르헨티나보다 독일을 더 많이 지지했다.[20][103] 안방에서 2경기 연속 패배를 당한 브라질은 1940년 이래 처음으로 안방에서 연달아 패배한 것이었고,[104] 루이스 펠리피 스콜라리 감독은 대패의 책임을 지고 7월 15일에 사표를 냈다.[105] 2주 후, 브라질 축구 연맹은 둥가를 다시 브라질 대표팀 감독으로 내정하였다.[106] 그는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대표팀 감독을 역임했지만, 2010년 FIFA 월드컵 8강전에서 네덜란드에 1-2로 역전패를 당한 것으로 인해 경질당한 적이 있다.[106] 그러나, 2년 후 그는 미국에서 열린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에서 브라질이 페루와의 3차전에서 0-1로 패배하여 결국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자 또다시 경질당하고 말았다.[107] 그로부터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마라카낭에서 독일을 승부차기 끝에 꺾고 역사상 첫 금메달을 차지함으로써, 66년 전의 한을 풀었다. 2018년에는 2018년 FIFA 월드컵 본선 대회 개최에 앞서 독일과 브라질의 평가전이 실시되었는데, 이 경기에서는 브라질이 1-0으로 승리하였다. 그 후 본선에서 브라질은 8강까지 진출했으나, 독일은 조별리그에서 멕시코에 0-1, 대한민국에 0-2로 완패를 당하며 80년 만에 1라운드에서 탈락하는 수모를 겪었다.[주 3] 같이 보기[편집] FIFA 월드컵 기록 1920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마라카낭의 비극 오스트리아 대 스위스 (1954년 FIFA 월드컵) 1958년 FIFA 월드컵 결승전 독일 대 사우디아라비아 (2002년 FIFA 월드컵) 2002년 FIFA 월드컵 결승전 포르투갈 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010년 FIFA 월드컵) 스페인 대 네덜란드 (2014년 FIFA 월드컵) 알제리 쇼크 스웨덴 대 이탈리아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 대한민국 대 독일 (2018년 FIFA 월드컵) 각주[편집] 내용주[편집] ↑ 브라질은 1974년에 동독을 상대했었지만, FIFA는 현재의 독일 대표팀 (서독의 기록을 계승했다) 과 다른 대표팀으로 분류한다.[8] ↑ 독일은 히우 지 자네이루 연고 구단인 플라멩구로부터 영감을 받은 원정 유니폼을 채택했다. 이 유니폼은 2014년 2월에 공식 발매되었다.[27] ↑ 단, 독일이 조별리그에서 탈락한 것은 월드컵 사상 이것이 최초이다. 독일이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던 그 80년 전의 월드컵인 1938년 FIFA 월드컵은 조별리그 없이 모든 경기를 토너먼트로 진행하였다. 참고주[편집] ↑ “Tactical Line-up” (PDF). FIFA Official Website.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8일에 확인함.  ↑ McNulty, Phil (2014년 7월 7일). “Phil McNulty's guide to the semi-finals”. 《BBC》.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Guthrie, Peter. “A look at the FIFA World Cup favourites and roughies”. The Roar. 2015년 1월 7일에 확인함.  ↑ “World Cup 2014 countries: Fifa world rankings”. Daily Telegraph. 2015년 1월 7일에 확인함.  ↑ “Germany – Brazil: Head to head”. 《FIFA》.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Brazil crowned world champions”. 《BBC》. 2002년 6월 30일.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Murray, Scott (2002년 6월 30일). “Brazil 2 – 0 Germany”. 《BBC》.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Belam, Martin (2014년 7월 10일). “Calm down "West Germany" pedants - Germany HAS previously won the FIFA World Cup three times”. 《Daily Mirror》. 2015년 5월 9일에 확인함.  ↑ “Brazil appeal against Thiago Silva's World Cup semi-final ban rejected”. 《The Guardian》. 2014년 7월 7일.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Brazil lodge appeal to have Thiago Silva's yellow card overturned”. 《The Guardian》. 2014년 7월 8일.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Brazil forward out of 2014 Fifa World Cup with back injury”. 《BBC》. 2014년 7월 5일. 2014년 7월 8일에 확인함.  ↑ Reynolds, Charles (2014년 7월 5일). “Neymar ruled out of World Cup: Striker to miss rest of tournament with broken vertebra as injury mars Colombia win”. 《The Independent》. 2014년 7월 8일에 확인함.  ↑ Orr, James (2014년 7월 8일). “Brazil pay tribute to the injured Neymar by holding his shirt during the national anthem”. 《The Independent》. 2014년 7월 8일에 확인함.  ↑ Ley, John. “Brazil v Germany: World Cup 2014 match preview”. Daily Telegraph. 2015년 1월 7일에 확인함.  ↑ Bonn, Kyle (2014년 7월 16일). “Mexican referee Marco "Chiquimarco" Rodriguez retires”. NBC Sports. 2015년 4월 28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As it happened: Brazil 7–1 Germany”. 《RTE Sport》. 2014년 7월 8일.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Tyers, Alan. “Brazil vs Germany, World Cup 2014: as it happened”. 《The Daily Telegraph》. 2014년 7월 10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Brazil 1-7 Germany”. BBC Sport. 2014년 7월 10일에 확인함.  ↑ Oliveira, Luiza (2014년 7월 8일). “Alemão leva soco ao comemorar gol no Mineirão e perde audição” (포르투갈어). Universo Online. 2015년 5월 4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Brunner, Cody (2014년 7월 13일). “Argentina's World Cup final loss to Germany gives Brazil something to cheer about”. Yahoo Sports. 2014년 8월 3일에 확인함.  ↑ “Brazil blown away by sharp Germany”. 《ESPN》. 2014년 7월 8일.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Wallace, Sam (2014년 7월 8일). “Brazil vs Germany match report World Cup 2014: Utter humiliation for hosts as Thomas Muller and Toni Kroos help Germany hit seven past Selecao”. 《The Independent》.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Brazil-Germany – Man of the Match”. FIFA.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In Numbers: How Germany systematically destroyed Brazil”. 《FP Sports》 (Firstpost). 2014년 7월 9일.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Rice, Simon (2014년 7월 8일). “Fred booed as Brazil fans turn on Selecao”. 《The Independent》.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De Menezes, Jack (2014년 7월 9일). “Was Fred's performance the worst display by a striker in World Cup history? His heat map makes comical viewing”. 《The Independent》.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German Away Kit Inspired by Flamengo”. Póg Mo Goal Magazine. 2014년 7월 11일에 확인함.  ↑ "World Cup Matches Round". FIFA. 2014년 7월 14일 확인. ↑ 가 나 다 라 마 “World Cup records tumble as Germany destroy Brazil 7–1”. 《The Guardian》. 2014년 7월 9일.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Arrowsmith, Richard (2014년 7월 8일). “Germany's 7–1 humiliation of World Cup hosts Brazil sees the record books rewritten”. Daily Mail.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1982 FIFA World Cup Match Report Hungary - El Salvador”. FIFA.com. 2014년 7월 13일에 확인함.  ↑ Walters, John (2014년 7월 8일). “Germany Embarrasses Brazil in World Cup Semifinal”. 《Newsweek》. 2015년 5월 9일에 확인함.  ↑ Winter, Henry (2014년 7월 8일). “Miroslav Klose sets scoring record as hosts are dumped out in semi-final”. 《Daily Telegraph》.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Klein, Jeff (2014년 7월 8일). “World Cup 2014: Germany Defeats Brazil, 7–1”. 《The New York Times》. 2014년 7월 8일에 확인함.  ↑ Schwartz, Nick (2014년 7월 8일). “Brazil lost a competitive match on home soil for the first time since 1975”. USA Today. 2014년 7월 8일에 확인함.  ↑ “Brazil boss Luiz Felipe Scolari on 'worst day'”. BBC Sport. 2014년 7월 9일.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Sheen, Tom (2014년 7월 9일). “Hosts join Haiti and Zaire as the only sides to be down by five at half-time”. 《The Independent》.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The Mineirazo in numbers”. 《FIFA.com》. FIFA. 2014년 7월 8일. 2014년 7월 8일에 확인함.  ↑ “Clinical Klose smashes World Cup records”. SBS. 2014년 7월 9일.  ↑ “Miroslav Klose becomes all-time record scorer in World Cup finals”. 《The Guardian》. 2014년 7월 8일.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서대원 (2014년 7월 5일). “네이마르, 척추 골절 부상…생애 첫 월드컵 마감”. 《SBS 뉴스》. 2019년 1월 30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Andrade, Gustavo (2014년 7월 8일). “Kroos aponta Brasil aquém de seu futebol na Copa e diz sentir pena por goleada” (포르투갈어). Superesportes (Diários Associados). 2015년 5월 4일에 확인함.  ↑ "Neymar Konnte Beim Debakel Nicht Hinschauen Aid". MRP (독일어). 2014년 7월 10일 작성. 2014년 7월 14일 확인. ↑ Fifield, Dominic (2014년 7월 9일). “Brazil's Luiz Felipe Scolari accepts blame after hammering by Germany”. The Guardian.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Wallace, Sam (2014년 7월 9일). “Brazil vs Germany World Cup 2014: 'This was the worst defeat in Brazil's history,' admits Luiz Felipe Scolari”. The Independent.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World Cup 2014: Brazil boss Luiz Felipe Scolari on 'worst day'”. 《BBC》. 2014년 7월 9일.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Brazil captain David Luiz apologises after loss”. BBC. 2014년 7월 9일.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Luiz and Cesar say sorry after Brazil's 7–1 loss”. Sky Sports. 2014년 7월 9일.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Fred describes Brazil's 7-1 World Cup 2014 defeat to Germany as 'a scar that will live with us forever'”. 《The Daily Telegraph》. 2014년 7월 9일. 2014년 7월 10일에 확인함.  ↑ “Fred retires from international football”. ESPN.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Neymar : " J'aurais pu finir en chaise roulante " [네이마르: 나는 여생을 휠체어만 타고 다니며 보낼 뻔 했다.]”. 《Le Monde》 (프랑스어). 2014년 7월 11일.  ↑ 가 나 Riva, Alberto (2014년 7월 9일). “After 7-1 Destruction Of Brazil, Classy Germans Tweet Support For The Losers”. 《International Business Times》. 2014년 7월 17일에 확인함.  ↑ Uribarri, Jaime (2014년 7월 10일). “Germany made halftime pledge not to further humiliate Brazil in World Cup semifinal, says Mats Hummels”. 《New York Daily News》. 2016년 7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Wallace, Sam (2014년 7월 9일). “'We had a clear, persistent game-plan,' says Germany coach Joachim Low after comprehensive victory”. The Independent.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Brazil cracked up, says Germany's Joachim Low”. 2014년 7월 9일.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Germany boss Joachim Low feels sympathy for Brazil after 7–1 rout”. Sky Sports. 2014년 7월 9일.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McCarthy, Barbara (2014년 7월 17일). “Joachim Low's heroes have inspired me to be a bit more German”. 《Belfast Telegraph》. 2014년 8월 3일에 확인함.  ↑ de Escudeiro, Leonardo (2014년 7월 8일). “Seleção alemã deu exemplo de elegância com brasileiros” (포르투갈어). Trivela (UOL). 2014년 7월 10일에 확인함.  ↑ 가 나 Cross, John (2014년 7월 9일). “Germany side that gave Brazil World Cup hiding a band of brothers claims Per Mertesacker”. 《Daily Mirror》. 2015년 5월 4일에 확인함.  ↑ “Das 7:1 gegen Brasilien war "beklemmend"” (독일어). Stern. 2014년 7월 17일. 2014년 7월 28일에 확인함.  ↑ Lepiani, Giancarlo (2014년 7월 8일). “Toni Kroos atropelou o Brasil. E depois disse sentir 'pena'”. 《Veja》 (포르투갈어). 2015년 5월 4일에 확인함.  ↑ Sami, Sillanpää (2014년 7월 17일). “Jalkapallo loi uuden Saksan [새독일을 창조한 축구]”. 《Helsingin Sanomat》 (핀란드어) (Helsinki: Sanoma). A4면. 2014년 7월 17일에 확인함.  ↑ 가 나 “Germany 7–1 World Cup semi-final win over Brazil breaks Twitter record with 35.6M tweets – ESPN FC”. ESPN FC.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Kallás, Fernando (2014년 7월 9일). “Carlos Alberto: "La táctica de Scolari fue un suicidio"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스콜라리의 전술은 자살행위나 다름없었다"]”. 《Diario AS》 (스페인어).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Kent, David (2013년 9월 17일). “Argentina boss Alejandro Sabella at a loss to explain Brazil's World Cup humiliation by Germany”. Dailymail.co.uk. 2014년 7월 11일에 확인함.  ↑ “Maradona sings song mocking Brazil's 7-1 loss to Germany in World Cup semifinals”. Fox News. 2014년 7월 11일. 2014년 8월 3일에 확인함.  ↑ Mantel, Uwe (2014년 7월 9일). “Deutschland jubelt sich zum Allzeit-Quotenrekord”. DWDL.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Vexame do Brasil na Copa do Mundo tem pior audiência na Globo” (포르투갈어). UOL. 2014년 7월 8일. 2014년 7월 10일에 확인함.  ↑ Tomchak, Anne-Marie (2014년 7월 9일). “#BBCtrending: Brazil's World Cup thrashing breaks Twitter records”. 《BBC Online》.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Pacelli, Shirley (2014년 7월 9일). “Sem perder o humor”. 《Estado de Minas》 (포르투갈어). (가입 필요).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Coscarelli, Joe (2014년 7월 8일). “Twitter Sure Does Have a Lot of Nazi and Holocaust Jokes for the Germany-Brazil Game!”. 《New York (magazine)》. 2014년 7월 10일에 확인함.  ↑ “Malaysian MP admires Germany win - and Hitler - in tweet”. BBC News. 2014년 7월 9일. 2014년 7월 11일에 확인함.  ↑ “Dilma lamenta derrota e diz que sente pelos jogadores e por brasileiros [브라질인들과 선수들과 동감한다고 말하며 패배를 애도하는 지우마]”. 《O Globo》 (포르투갈어). 2014년 7월 8일. 2015년 10월 21일에 확인함.  ↑ “Israel calls Brazil a ‘diplomatic dwarf’ – and then brings up World Cup humiliation”. 《Washington Post》. 2014년 7월 25일. 2015년 10월 21일에 확인함.  ↑ “Trágico 'Mineirazo'; Alemania destroza a Brasil [비극적인 '미네이랑의 비극': 독일, 브라질을 파괴하다]”. 《Excelsior》 (스페인어).  ↑ 가 나 “"Mineirazo" titulan los diarios brasileños tras derrota contra Alemania [독일전 패배를 '미네이랑의 비극'으로 명명한 브라질 언론]” (스페인어). RCN radio. 2014년 7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Del Maracanazo al Mineirazo [마라카낭의 비극에서 미네이랑의 비극까지]”. 《Página 12》 (스페인어). AR.  ↑ 가 나 Nolen, Stephanie (2014년 7월 9일). “Brazil, losers on the field, now turn to the blame game”. 《The Globe and Mail》. 2014년 9월 1일에 확인함.  ↑ “"O Maracanazo é diferente porque foi uma final", afirma Ghiggia”. 《Estado de S. Paulo》 (포르투갈어). Agência EFE. 2014년 7월 9일. 2014년 9월 1일에 확인함.  ↑ work (2014년 7월 9일). “CBC News – World Cup 2014: Brazil fans stunned as Germany routs home team”. Cbc.ca.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Espejel, Denisse (2014년 7월 14일). “Riots in Buenos Aires After Argentina's World Cup Final Defeat”. VICE News. 2014년 8월 3일에 확인함.  ↑ “Goal, Goal, Goal, Goal, Goal, Goal, Goal: A Dark Day for Brazil”. New York Times. 2014년 7월 9일.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가입 필요).  ↑ “Buses set ablaze after Brazil's World Cup loss”. SBS. 2014년 7월 9일. 2014년 9월 5일에 확인함.  ↑ Taylor, Daniel (2014년 7월 9일). “Sympathy after thrashing dilutes aura of Brazil's yellow and greens”. 《The Guardian》. 2014년 9월 1일에 확인함.  ↑ “Capas do EM tem repercussão internacional”. 《Estado de Minas》 (포르투갈어). 2014년 7월 9일. 2014년 9월 1일에 확인함.  ↑ “How the world reacted to Brazil's humiliation”. BBC Sport. 2014년 7월 9일. 2014년 7월 10일에 확인함.  ↑ Stanger, Matthew (2014년 7월 8일). “A World Cup night for Brazil that will never be forgotten”. 《Sky Sports》.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Delaney, Miguel (2014년 7월 9일). “Three points: Brazil left broken”. ESPN.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이 스페인어의 신조어는 포르투갈어를 쓰는 브라질 언론들이 즉시 확인하였고, 앞의 단어는 스페인어로 되어 있으며, 포르투갈어식 철자와는 차이가 있다. ↑ Ronay, Barney (2014년 7월 9일). “Brazil World Cup humiliation by Germany should serve as a call to arms”. The Guardian.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Callaghan, Joe (2014년 7월 8일). “Joachim Low's golden generation into World Cup final and can finally shine”. The Independent.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Davies, Wyre (2014년 7월 9일). “Shock and humiliation in Brazil after German rout”. BBC News.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Vickery, Tim (2014년 7월 9일). “Brazil must learn lessons from Germany humiliation”. BBC News.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Avelar, André (2014년 7월 9일). “Jogadores de 50 enfim são perdoados após Mineirazo” (포르투갈어). R7 (Rede Record). 2014년 9월 5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Itri, Bernardo; Rizzo, Marcel (2015년 7월 8일). “Felipão vai de pai do penta a gestor do fracasso”. 《Folha de S. Paulo》 (포르투갈어). 2015년 9월 5일에 확인함.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Ladyman, Ian (2014년 7월 9일). “Brazil's 7-1 defeat by Germany in the World Cup semi-final showed just how deep their flaws were... they were always likely to be on the end of this kind of hiding”. 《The Daily Mail》. 2014년 9월 5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Wilson, Jeremy (2014년 12월 24일). “Brazil 1 Germany 7: The World Cup match that will echo down the years to the shame of host's proud history”. 《The Telegraph》. 2015년 9월 5일에 확인함.  ↑ Fifield, Dominic (2014년 12월 30일). “Looking back at Germany v Brazil, World Cup semi-final”. 《The Guardian》. 2015년 9월 5일에 확인함.  ↑ Raghav Chopra (2014년 7월 9일). “World Cup 2014: Five reasons why Brazil lost to Germany”. CNN-News18. 2016년 6월 27일에 확인함.  ↑ “World Cup 2014: Netherlands pile more misery on Brazil in third place play-off”. 《Sydney Morning Herald》.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5일에 확인함.  ↑ Rose, Gary (2014년 7월 12일). “BBC Sport - Brazil 0-3 Netherlands”. BBC. 2014년 7월 15일에 확인함.  ↑ Trecker, Jamie (2014년 7월 12일). “Netherlands add to Brazil's misery, claim third place in World Cup”. Fox Sports. 2014년 7월 13일에 확인함.  ↑ Taylor, Daniel (2014년 7월 13일). “Germany 1-0 Argentina (aet)”. 《The Guardian》. 2014년 7월 15일에 확인함.  ↑ Young, James (2014년 7월 13일). “Brazil falls short, but its World Cup provides unforgettable theater”. 《Sports Illustrated》. 2014년 9월 5일에 확인함.  ↑ “Brazil's 3-0 loss to Netherlands spells first consecutive home defeats since 1940”. Live Soccer TV. 2014년 7월 13일. 2014년 8월 3일에 확인함.  ↑ “Luiz Felipe Scolari: Brazil coach resigns after 2014 World Cup”. 《BBC Sport》. 2014년 7월 15일. 2014년 7월 18일에 확인함.  ↑ 가 나 Peck, Brooks (2014년 7월 22일). “Brazil brings back Dunga, might be pretending the 2014 World Cup never happened”. Yahoo! Sports. 2014년 8월 3일에 확인함.  ↑ Lusting, Nick (2016년 6월 16일). “Dunga sacked as Brazil head coach following Copa America exit”. Sky Sports. 2016년 9월 1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브라질 대 독일 vdeh 2014년 FIFA 월드컵예선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플레이오프 본선 조별 리그 (A조 B조(스페인 대 네덜란드) C조 D조 E조 F조 G조 H조(대한민국 대 알제리)) 결선 토너먼트 (브라질 대 독일) 결승전 일반 정보 시드 배정 선수 명단 통계 일정 경고 기록 심판 중계권 공식 상징 브라주카 (공식 경기구) 풀레코 (공식 마스코트) 《One Love, One Rhythm》 (공식 음반) 《2014 피파 월드컵 브라질》 (공식 비디오 게임) 카시롤라 (공식 악기) vdeh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FIFA 월드컵 결승전 1950 (對 우루과이 1-2 패) 1958 1962 1970 1994 1998 2002 (對 독일 2-0 승)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결승전 1997 1999 2005 2009 2013 코파 아메리카 결승전 1983 1995 1997 1999 2004 2007 기타 경기 對 폴란드 6-5 (연장) 승 (1938) 對 체코슬로바키아 1-1 (연장) 무 (1938) 對 헝가리 2-4 패 (1954) 샴록 로버스 XI 3-4 브라질 (1973) 對 이탈리아 2-3 패 (1982) 對 칠레 2-0 몰수승 (1989) 2011년 수페르클라시코 데 라스 아메리카스 2012년 수페르클라시코 데 라스 아메리카스 對 독일 1-7 패 (2014) 2014년 수페르클라시코 데 라스 아메리카스 vdeh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FIFA 월드컵 결승전 1954 1966 1974 1982 1986 1990 2002 (對 브라질 0-2 패) 2014 (對 아르헨티나 1-0 (연장) 승)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결승전 2017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전 1972 1976 1980 1992 1996 2008 기타 경기 對 이탈리아 3-4 패 (1970) 對 오스트리아 2-3 패 (1978) 對 오스트리아 1-0 승 (1982) 對 프랑스 3-3 (5-4 PSO) (1982) 對 크로아티아 0-3 패 (1998) 對 잉글랜드 2-5 (합계) (2000-01) 對 사우디아라비아 8-0 승 (2002) 對 일본 3-0 승 (2004) 對 대한민국 1-3 패 (2004) 對 태국 5-1 승 (2004) 對 브라질 7-1 승 (2014) 對 대한민국 0-2 패 (2018) ※동독 축구 국가대표팀 기록은 제외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브라질_대_독일_(2014년_FIFA_월드컵)&oldid=24374611" 분류: FIFA 월드컵 경기2014년 축구 경기2014년 FIFA 월드컵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브라질 축구 2013-14 시즌독일 축구 2013-14 시즌독일-브라질 관계벨루오리존치의 축구숨은 분류: CS1 - 포르투갈어 인용 (pt)CS1 - 프랑스어 인용 (fr)CS1 - 독일어 인용 (de)CS1 - 핀란드어 인용 (fi)CS1 - 스페인어 인용 (es)가입이 필요한 링크를 포함한 문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CS1 관리 - 여러 이름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포르투갈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스페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বাংলা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atviešuമലയാളംNederlands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4일 (화) 10: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미네이랑의 비극(영어: Agony of Mineirão, 포르투갈어: Mineiraço 미네이라수[*], 스페인어: Mineirazo 미네이라소[*])은 2014년 7월 8일, 브라질 미나스제라이스주 벨루오리존치의 미네이랑에서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이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에게 1-7이라는 기록적인 점수로 대참패한, 2014년 FIFA 월드컵의 준결승 1차전 경기를 일컫는다. 브라질과 독일 모두 준결승전까지 한번도 패하지 않고 준결승 무대에 안착하였는데, 브라질은 콜롬비아를 8강에서 상대하는 과정에서 공격수 네이마르를 척추 부상으로 잃었고, 티아고 실바마저 경고 누적으로 결장했다. 이 둘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양국이 도합해서 8번 대회를 우승하고 브라질이 2-0으로 이겨 5번째 우승을 차지한 2002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맞대결을 펼친 만큼 FIFA 월드컵의 전통 강호라는 점을 감안하면 치열한 접전이 예상되었다. 그런데 경기는 의외로 브라질의 충격적인 대패로 끝났다. 독일은 전반전에만 5-0으로 앞서나갔는데, 이 중 5골이 30분 안에 나왔고, 후반전에는 한때 7-0으로 앞서나가기도 했다. 브라질은 후반 추가시간 오스카르가 만회골을 넣어 영패를 면하였으며, 독일의 토니 크로스는 경기의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이 경기 한번으로 다수의 기록이 쏟아졌다. 독일은 이 경기 승리로 FIFA 월드컵 준결승전 역사상 최다 점수차 승리를 거두었다. 독일은 브라질을 제치고 FIFA 월드컵 최다 득점국이 되었고, 8차례 FIFA 월드컵 결승전에 오른 첫 국가가 되었다. 미로슬라프 클로제는 자신의 FIFA 월드컵 16호골로 브라질의 호나우두를 제치고 FIFA 월드컵 역대 최다 득점자로 등극했다. 브라질은 1975년 코파 아메리카(페루에 1-3으로 패배) 이래 62경기 동안 이어온 안방 무패 행진을 마감했고, 1920년 우루과이전 0-6 대패 이래 최다 점수차 패배를 당했다. 결국, 이 경기는 브라질에서 국가적 망신으로 묘사되었다. 또한 이 경기는 1950년 FIFA 월드컵에서 우루과이에게 예상치 못한 패배를 당했던 마라카낭의 비극(포르투갈어: Maracanaço)을 회자케 하였다. 브라질은 이어지는 3위 결정전에서마저 네덜란드에 0-3으로 대패하였고, 독일은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아르헨티나를 치열한 연장 접전 끝에 1-0으로 힘겹게 꺾고 통산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이자 독일의 통일 이래 첫 월드컵 우승을 차지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4년 FIFA 월드컵에서 브라질과 독일의 경기 전반전은 어떻게 흘러갔는가? Assistant: 양국은 적극적인 태세로 나섰다. 브라질의 마르셀루가 3분에 쏜 공은 크게 벗어났고, 독일의 사미 케디라가 7분에 찬 공은 본의 아니게 동료 토니 크로스의 몸에 막혔다. 11분, 독일은 첫 코너킥을 선제골로 연결했다. 토마스 뮐러는 다비드 루이스의 견제를 피해 페널티 구역으로 들어가 토니 크로스가 배급한 공을 열린 공간에 한발로 쏴 골망을 흔들었다. 몇분 뒤, 브라질은 동점골로 응수하려 했으나, 빠른 역습은 무위에 그쳤다. 필리프 람은 태클로 마르셀루가 페널티 구역에 공을 전달하는 것을 막기도 했다. 그러나, 23분, 독일은 크로스와 뮐러가 협력하여 미로슬라프 클로제에 공을 띄웠고, 클로제가 쏜 공은 처음에 줄리우 세자르 골키퍼가 튕겨냈지만, 이 공을 다시 잡아 골을 넣었다. 이는 클로제의 FIFA 월드컵 통산 16호골로, 그는 호나우두를 제치고 FIFA 월드컵 역대 최다 득점자로 등극했다.[16][17][18] 클로제의 골은 독일의 골폭풍의 시발점이 되었고, 독일은 차츰 경기의 지배력을 이어나갔다. 크로스는 재빠르게 2골을 추가하였다. 크로스는 24분에 람의 크로스를 견제받지 않는 상황에서 지면에 닿기전에 차넣었고, 26분에는 브라질이 경기를 재개한지 몇초 되지 않아 페르난지뉴의 공을 상대 진영에서 빼앗아 케디라에 공을 넘겨 수비를 피하고, 다시 받아 가볍게 득점을 기록했는데, 2골이 기록되는데 걸린 시간은 불과 70초였다. 케디라는 29분에 메수트 외질과 패스를 주고 받다가 한 골을 추가했다. 독일이 전반에 득점한 5골 모두 30분이 지나기 전에 기록했고, 이 중 4골은 6분안에 나왔다. 브라질은 전반에 단 한번도 골문을 향해 차본 적이 없었다. 다수의 브라질 관중들은 눈물을 보이기 시작하거나 충격에 빠졌고, 브라질 대표팀에 대한 관중들간의 불화가 전반전에 나타났다.[16][17][18] 이어지는 미네이랑 관중석에서의 싸움은 헌병대 특수부대의 경기장 주둔으로 이어졌다.[19] 이 와중에 브라질은 수비수인 다비드 루이스가 하라는 수비는 안 하고 골을 넣으려고만 발악해 자신이 있어야 할 위치에서 계속 벗어나 있는 상태였으며 이로 인해 독일은 순식간에 공짜 골을 4개나 넣었다.
Human: 아래 뮤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뮤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뮤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뮤지Muzie CJ E&M 엠넷 '문나이트90' 발표회에서의 뮤지기본 정보본명 이용운(李龍雲)예명 Muzie[1]출생 1981년 10월 15일(1981-10-15) (37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동직업 가수, 작곡가장르 빈티지, 일렉트로닉 배우자 편안희가족 2녀소속사 뮤지사운드소속 그룹 하이사이드 (2010~)UV (2010~)관련 활동 FreeTEMPO, 믹스 아시아, UV웹사이트 뮤지 미니홈피 뮤지(1981년 7월 3일 ~ )는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로, 본명은 이용운이다. 오랜기간 언더그라운드에서 활동을 했던 싱어송라이터로, 현재는 하이사이드와 UV의 멤버이고 미스틱 엔터테인먼트에 소속되어 있다. 2012년 10월 22일부터 2013년 5월 5일까지 MBC FM4U의 라디오 프로그램 《유세윤, 뮤지의 친한친구》진행을 맡았었다.[2] 2012년에는 일본의 디스크자키인 프리템포와 믹스 아시아라는 프로젝트 그룹을 결성해 활동했다. 흑인R&B와 하우스 뮤직을 좋아하고, UV활동을 하면서 거의 모든 음악 장르를 섭렵하였다. 가수라는 말보다 프로듀서라는 지칭을 더 좋아한다. 2010년도 MUZIE SOUND라는 개인 소속사를 창립하여 HOT DOGG와 함께 활동 했으나, 2013년 미스틱 엔터테인먼트로 소속사 이동. 목차 1 활동 2 방송 2.1 드라마 2.2 영화 2.3 라디오 3 각주 4 외부 링크 활동[편집] 1997년 루이스 1집에 댄스팀 이그지스트의 맴버 2003년 Lee.j와 팀 라운지 결성.[3] 2007년 메인 스트림, 박화요비, 리치 등등 다수의 가수에 곡을 작곡하였다. 2007년 DJ Muzie 비공식 앨범 발매 2009년 준잭의 앨범작사작곡 프로듀싱을 도맡음 2009년 밴드 하이사이드결성 2010년 유세윤과 힙합 댄스그룹 UV 결성 2011년 HOT DOGG 앨범 프로듀서 참여 2012년 프리템포와 Mix Asia 결성 2012년 뮤지 개인 앨범 <my name is muzie> 발매 2014년 영화 플랜맨 OST 참여 2015년 최승호 시인의 동시를 기초로 랩 동요집 발매 2019년 싱글앨범 "밀린 일기" 발매 2019년 싱글앨범 "내가 널 닮아서" 발매 방송[편집] 2010년 Mnet 《UV 신드롬》 2011년 Mnet 《UV 신드롬 Begins》 2012년 Mnet 《레게 신드롬》 (단편) 2012년 MBC 《승부의 신》 2013년 E채널 《미확인 동영상 UFO》 (파일럿 프로그램) 2013년 코미디TV 《기막힌 외출-갑을전쟁》 (조기종영) 2013년 tvN 《팔도 방랑밴드》 2014년 XTM 《주먹이 운다 - 영웅의 탄생》 2014년 Mnet 《트로트 엑스》 2014년 Mnet 《엔터테이너스》 (조기종영) 2015년 SBS 《영재발굴단》 2015년 tvN 《언제나 칸타레 시즌 2》 2015년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무적의 우리 친구 태권 브이 2015년 SBS 《동상이몽, 괜찮아 괜찮아》 2016년 JTBC 《투유 프로젝트 - 슈가맨》 2016년 SBS 《보컬 전쟁: 신의 목소리》 2016년 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 2016년 tvN 《노래의 탄생》 2016년 KBS2 《노래싸움 - 승부》 2017년 SBS 《DJ쇼 트라이앵글》 2018년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제87,88,89대 가왕 - 액자 속 사진 속의 그 왕밤빵 왕밤빵 왕밤빵 왕밤빵 드라마[편집] 2015년 MBC 《맨도롱 또똣》 - 이웃집 남자 역 (특별출연) 2016년 MBC 《한 번 더 해피엔딩》 - 점쟁이 역 (특별출연) 2017년 네이버TV 《썸남》 - 노래방 주인 역 (우정출연) 영화[편집] 2014년 《플랜맨》 - 심사위원2 역 (우정출연) / 주제가 라디오[편집] 2006년 위성DMB 라디오방송(ch.40) 《우연석의 Smoking Zone》 2010년 ~ 2011년 4월: MBC FM4U 《옹달샘과 꿈꾸는 라디오》의 ‘뮤지의 최신가요’, ‘UV와 공개방송’ 코너 고정출연 2011년 10월 ~ 2012년 10월 《정오의 희망곡 스윗소로우입니다》 - 토요일 코너 <DJ뮤지의 봉춘 로라장> 고정 게스트 2012년 8월 ~ 2013년 3월 《푸른밤 정엽입니다》 - 수요일 코너 기획특집 《문제적 문자》 고정 게스트 2012년 10월 22일 ~ 2013년 5월 5일 : MBC FM4U 《유세윤, 뮤지의 친한친구》 - 유세윤과 공동진행[4] 각주[편집] ↑ 학생 때 좋아하던 Maxwell의 작곡예명 musze에서 따온 이름 이라 과거 방송에선 자주 발언하였지만 지금은 뮤직에서 따온 이름이라 쉽게 설명한다. ↑ 유세윤은 2013년 3월 24일부로 하차하면서 2013년 3월 25일까진 뮤지가 단독 진행을 하였었다가 2013년 5월 5일을 끝으로 뮤지도 하차했다. ↑ 이때의 앨범은 없으나 2005년도 같은 팀이였던 Lee.J의 독도아리랑의 프로듀서 ↑ 다만 2013년 3월 25일부터 2013년 5월 5일까진 단독으로 진행하였었다가 2013년 5월 5일엔 뮤지 본인도 하차했다. 외부 링크[편집] vdeh미스틱엔터테인먼트경영진 이학희 조영철(대표이사) 안종오 소속미스틱89현재 아티스트 신치림(윤종신, 하림, 조정치) 정인 정진운 퓨어킴 에디킴 장재인 박재정 박상돈 포르테 디 콰트로(손태진) 퍼센트 유용민 과거 아티스트 박지윤 투개월(김예림, 도대윤) 김연우 뮤지 조규찬 현재 MC 이지연 서장훈 김영철 과거 MC 박지윤 현재 크리에이터 정석원 과거 크리에이터 윤혜진 에이팝현재 아티스트 브라운 아이드 걸스(제아, 미료, 가인) 조형우 민서 과거 아티스트 브라운 아이드 걸스(나르샤) 천둥 크리에이터 조영철 이민수 김이나 AIKM아티스트 자이언트핑크 스쿠비 두(브레이, 덕배) 크리에이터 케이준 미스틱액터스현재 아티스트 강래연 고민시 김기방 김사권 김석훈 김성은 노수산나 박시연 박혁권 오지은 오타니 료헤이 유주혜 이규한 이아리 이정혁 이주연 장준유 조한선 태항호 하재숙 한채아 과거 아티스트 신소율 안미나 장소연 손은서 콘서트 멜로디 포레스트 캠프 미스틱 오픈런 프로젝트 월간 윤종신 LISTEN 관련 문서 미스틱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vdeh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진행 김성주 역대 복면가왕 파일럿 솔지 1 ~ 2대 루나 3대 진주 4 ~ 7대 김연우 8대 이정 9대 여은 10 ~ 11대 홍지민 12대 소냐 13 ~ 16대 거미 17 ~ 21대 차지연 22 ~ 30대 하현우 31 ~ 32대 더 원 33 ~ 34대 로이킴 35대 김연지 36 ~ 39대 정동하 40 ~ 42대 알리 43 ~ 45대 신용재 46대 김명훈 47 ~ 49대 환희 50대 봉구 51 ~ 52대 이해리 53 ~ 58대 소향 59대 김조한 60대 케이윌 61 ~ 62대 옥주현 63 ~ 64대 권정열 65 ~ 69대 선우정아 70대 아이비 71 ~ 78대 손승연 79 ~ 81대 한동근 82 ~ 86대 솔지 87 ~ 89대 뮤지 90 ~ 93대 이현 94대 장은아 95 ~ 97대 해나 98 ~ 102대 이원석 103 ~ 105대 오늘 당직 나이팅게일 같이 보기 에피소드 목록 출연자 목록 일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뮤지&oldid=24495430" 분류: 1981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비디오 자키대한민국의 남자 싱어송라이터미스틱엔터테인먼트 음악가미스틱89 음악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8일 (금) 17: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뮤지(Muzie, 본명: 이용운, 1981년 10월 15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오랜기간 언더그라운드에서 활동을 했던 싱어송라이터로, 현재는 하이사이드와 UV의 멤버이고 브랜뉴뮤직에 소속되어 있다. 2012년 10월 22일부터 2013년 5월 5일까지 MBC FM4U의 라디오 프로그램 《유세윤, 뮤지의 친한친구》진행을 맡았었다. 2012년에는 일본의 디스크자키인 프리템포와 믹스 아시아라는 프로젝트 그룹을 결성해 활동했다. 흑인R&B와 하우스 뮤직을 좋아하고, UV활동을 하면서 거의 모든 음악 장르를 섭렵하였다. 가수라는 말보다 프로듀서라는 지칭을 더 좋아한다. 2010년도 MUZIE SOUND라는 개인 소속사를 창립하여 HOT DOGG와 함께 활동했으나, 2013년 미스틱 엔터테인먼트로 소속사 이동하였다. 계약 만료 후 재계약 없이 소속사를 떠났다고 한다.2019년 9월 30일부터 현재까지 MBC FM4U의 라디오 프로그램 《두시의 데이트 뮤지,안영미입니다》진행을 맡고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0년 뮤지가 유세윤과 자신들의 그룹 이름을 걸고서 출연한 Mnet의 예능프로그램은 무엇일까? Assistant: UV 신드롬 Human: 아래 안국동_윤보선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안국동 윤보선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안국동 윤보선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안동장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안동장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안국동 윤보선가(安國洞 尹潽善家) 대한민국의 사적 종목 사적 제438호 (2002년 1월 29일 지정)면적 4,664m2시대 조선시대소유 영안주식회사위치 서울 종로구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안국동 8-1번지 외좌표 북위 37° 34′ 44.4″ 동경 126° 59′ 1.5″ / 북위 37.579000° 동경 126.983750°  / 37.579000; 126.983750좌표: 북위 37° 34′ 44.4″ 동경 126° 59′ 1.5″ / 북위 37.579000° 동경 126.983750°  / 37.579000; 126.983750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안국동윤보선가(安國洞尹潽善家) 서울특별시의 민속문화재(해지)종목 민속문화재 제27호 (1978년 8월 18일 지정) (2002년 1월 29일 해지) 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안국동 윤보선가(安國洞 尹潽善家)는 종로구 안국동과 가회동이 경계를 이루는 곳에 위치하였다. 대한민국의 임시 의정원 의원과 제4대 대통령과 상공부장관, 서울특별시장을 지낸 정치인 겸 독립운동가 윤보선의 사저였다. 99칸의 대저택으로 일부는 해방 직후 6.25 전쟁때 일부 소실되기 전까지 형태를 유지하였다. 제2공화국 대통령을 지낸 윤보선의 저택으로도 유명한 이 집은 1870년대에 민영익의 아들 민규식이 지은 집으로 알려져 있다. 그 후 고종이 이 집을 사서 일본에서 망명생활을 청산하고 돌아온 금릉위 박영효에게 하사하였다고 한다. 그 후 주인이 바뀌었다가 윤보선 전 대통령 선친인 윤치소가 매입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안동장(安洞莊) 또는 안국동 사저로도 부른다. 경내가 넓어서 일명 안동궁(安洞宮)으로도 불렸다.[1] 목차 1 개요 2 문화재 지정 3 같이 보기 4 각주 5 참고 자료 개요[편집] 넓은 대지에 대문간채ㆍ사랑채ㆍ안채ㆍ안사랑채ㆍ별당채ㆍ기타 광채들이 남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사랑채ㆍ안채ㆍ안사랑채는 각각 따로 담장을 둘러 독립된 영역을 이루고 있으며, 건물들의 구조 역시 건실하고 치밀하다. 조선 후기에 지어진 것으로 정확한 건립 연도는 미상이다. 그러나 1870년대 이전에 이미 존재하고 있었고, 가옥 중앙에는 순조의 친필 현판인 남청헌이라는 현판이 달려 있다. 후에 고종이 철종의 부마인 금릉위 박영효에게 하사하였다. 그 뒤 여러번 주인이 바뀌었다가 1900년대 무렵 윤치소가 매입하고 아들 윤보선이 사저로 사용하였다. 그 뒤 윤치소의 재력으로 주변 토지를 매입하면서 99칸으로 넓게 지어졌다. 대지의 서쪽에 위치한 솟을대문간을 들어서면 나오는 행랑마당 동남쪽에 사랑채가, 서북쪽에 안사랑채ㆍ안채ㆍ별당채가 자리잡고 있다. 솟을대문간채는 'ㄱ'자형 평면으로 구성되었고, 중앙에 대문을 두었으며 옆으로 출입할 수 있는 협문을 내었다. 'ㄱ'자로 꺾인 곳에 차고가 자리잡고 있으며, 대문 밖 북쪽으로는 노둣돌이 놓여 있다. 윤보선의 안국동 자택은 대지 1천400평에 99칸의 거대한 한옥으로 방문객들을 압도했다.[2] 문화재 지정[편집] 1978년 8월 18일 서울특별시 민속자료 제27호 안국동 공덕귀가(安國洞 孔德貴家)로 지정되었다가, 2000년 4월 10일 현재의 문화재 명칭으로 변경[3]되었고, 2002년 1월 29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438호로 승격되었다. 같이 보기[편집] 북촌 한옥마을 윤보선 윤영렬 윤치소 윤치오 경교장 삼청장 반계 윤웅렬 별서 돈암장 마포장 이화장 혜화장 낙산장 서울 명륜동 장면 가옥 각주[편집] ↑ 윤치영, 《윤치영의 20세기:동산회고록》 (삼성출판사, 1991) 209페이지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60년대편 1》 (인물과 사상사, 2006) 78페이지 ↑ 서울특별시고시제2000-79호, 《서울특별시 문화재지정 및 문화재명칭변경》, 서울특별시장, 서울시보 제2254호, 4면, 2000-04-10 참고 자료[편집] 안국동 윤보선가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이 문서에는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한 국가문화유산포털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안국동 윤보선 가옥 본 문서에는 서울특별시에서 지식공유 프로젝트를 통해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한 저작물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안국동_윤보선가&oldid=21267730" 분류: 서울특별시의 사적조선의 건축물장급 저택대한제국의 경제일제 강점기의 건축물윤보선윤치영윤치호서울 종로구의 한옥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공공누리 제1유형 저작물을 인용한 문서서울특별시 공개자료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5월 15일 (화) 03:5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안국동 윤보선가(安國洞 尹潽善家)는 종로구 안국동과 가회동이 경계를 이루는 곳에 위치하였다. 대한민국의 임시 의정원 의원과 제4대 대통령과 상공부장관, 서울특별시장을 지낸 정치인 겸 독립운동가 윤보선의 사저였다. 99칸의 대저택으로 일부는 해방 직후 6.25 전쟁때 일부 소실되기 전까지 형태를 유지하였다. 제2공화국 대통령을 지낸 윤보선의 저택으로도 유명한 이 집은 1870년대에 민영익의 아들 민규식이 지은 집으로 알려져 있다. 그 후 고종이 이 집을 사서 일본에서 망명생활을 청산하고 돌아온 금릉위 박영효에게 하사하였다고 한다. 그 후 주인이 바뀌었다가 윤보선 전 대통령 선친인 윤치소가 매입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안동장(安洞莊) 또는 안국동 사저로도 부른다. 경내가 넓어서 일명 안동궁(安洞宮)으로도 불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안국동 윤보선가의 현판에는 뭐라고 쓰여 있어? Assistant: 남청헌
Human: 아래 김의성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의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의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의성 출생 1965년 12월 17일(1965-12-17) (53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국적 대한민국직업 배우활동 기간 1984년 ~ 현재종교 로마가톨릭소속사 아티스트컴퍼니 수상 2017년 제53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남자 조연상웹사이트 아티스트컴퍼니 김의성김의성 - 인스타그램김의성 - 트위터김의성 - 페이스북 김의성(1965년 12월 17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목차 1 생애 및 배우활동 2 학력 3 출연작 3.1 영화 3.1.1 주연 3.1.2 조연 3.1.3 특별출연 3.1.4 우정출연 3.2 드라마 3.3 방송 프로그램 3.4 연극 3.5 라디오 프로그램 4 수상 및 후보 5 각주 6 외부 링크 생애 및 배우활동[편집] 1993년 SBS 드라마 《머나먼 쏭바강》에서 소대장 역으로 데뷔하였다. 북한 내부 쿠데타를 다룬 2017년 영화 《강철비》에서 대한민국의 현직 대통령 역으로 출연하였다.[1] 학력[편집] 영동고등학교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학사) 출연작[편집] 영화[편집] 주연[편집] 2018년 《도청》 2017년 《저수지 게임》 - 딥쓰로트 보이스 액터 역 2013년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 - 중원 역 2012년 《불편한 동행》 - 상돈 역 2012년 《992》 - 가게주인 역 2011년 《겨울의 피아니스트》 2011년 《북촌방향》 - 중원 역 1997년 《바리케이드》 - 한식 역 1997년 《억수탕》 - 임완기 역 1996년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 효섭 역 1995년 《엄마에게 애인이 생겼어요!》 - 창세 역 조연[편집] 2019년 《어쩌다, 결혼》 - 창규 역 2019년 《극한직업》 - 서장 역 2018년 《창궐》 - 이조 역 2018년 《골든 슬럼버》 - 민씨 역 2017년 《1987》 - 이부영 역 2017년 《강철비》 - 이의성 역 2017년 《더 킹》 - 김응수 역 2016년 《당신자신과 당신의 것》 - 김중행 역 2016년 《부산행》 - 용석 역 2015년 《극적인 하룻밤》 - 의사 역 2015년 《내부자들》 - 편집국장 역 2015년 《검은 사제들》 - 학장신부 역 2015년 《특종: 량첸살인기》 - 문 이사 역 2015년 《오피스》 - 김상규 역 2015년 《암살》 - 집사 역 2015년 《소수의견》 - 홍재덕 역 2015년 《스물》 - 치호 부 역 2015년 《살인의뢰》 - 손명수 역 2014년 《빅매치》 - 도 형사 역 2014년 《자유의 언덕》 - 상원 역 2014년 《찌라시: 위험한 소문》 - 박영진 역 2013년 《용의자》 - 신 차장 역 2013년 《관상》 - 한명회 역 2013년 《런닝맨》 - 김호 부장 역 2012년 《남영동1985》 - 강 과장 역 2012년 《26년》 - 최 계장 역 2012년 《건축학개론》 - 강 교수 역 2000년 《이프》 - 박 과장 역 1995년 《네온 속으로 노을지다》 - 김원 역 1995년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 박 감독 역 1988년 《성공시대》 특별출연[편집] 2016년 《춘몽》 - 사장 역 2016년 《비밀은 없다》 - 노재순 역 2000년 《주노명 베이커리》 - 편집장 역 우정출연[편집] 1996년 《진짜 사나이》 - 질투하는 남자 역 드라마[편집] 2019년 tvN 《아스달 연대기》 - 산웅 역 2019년 KBS2 《국민 여러분!》 - 김주명 역 2018년 tvN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 차병준 역 2018년 tvN 《미스터 션샤인》 - 이완익 역 2016년 웹드라마 《긍정이 체질》 - 환동 부 역 2016년 MBC 《W》 - 오성무 / 한상훈 역 2015년 SBS 《육룡이 나르샤》 - 포은 정몽주 역 2000년 KBS2 《드라마시티 - 바람둥이 친구와 그의 아내》 - 동재 역 1998년 MBC 《맏이》 - 인우 역 1995년 SBS 《박봉숙 변호사》 1995년 SBS 《형사5》 1994년 SBS 《작별》 - 장익구 역 1993년 SBS 《머나먼 쏭바강》 - 이진욱 중위 역 방송 프로그램[편집] 2017년 KBS2 《해피투게더 - 랜선남친 편》 2018년 MBC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연극[편집] 2013년 《우먼 인 블랙》 - 킵스 역 라디오 프로그램[편집] 2016년 EBS FM 《EBS 책 읽는 라디오 낭독 시리즈》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1997 제20회 황금촬영상 신인남우상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수상 2014 제50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남자 조연상 관상 후보 2016 제5회 아시아태평양 스타 어워즈 남자 연기상 W 수상 제25회 부일영화상 남우조연상 부산행 수상 제37회 청룡영화상 남우조연상 후보 제3회 한국영화제작가협회상 남우조연상 수상 MBC 연기대상 미니시리즈부문 남자 황금연기상 W 수상 2017 제53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남자 조연상 부산행 수상 각주[편집] ↑ “‘부산행’ 악역 김의성, ‘강철비’서 대통령 변신”. 스포츠동아. 2017년 11월 28일.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김의성 김의성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김의성 - 트위터 김의성 - 페이스북 vdeh아티스트컴퍼니경영진 대표이사: 김병선 이사: 이정재·정우성 소속 배우남성 이정재 정우성 하정우 김의성 민무제 배성우 장우혁 정원중 차래형 한성천 손민호 신정근 여성 염정아 고아라 고아성 손지현 박소담 이솜 이엘 이수민 이시아 김예원 과거 소속 배우남성 하정우 김의성의 수상 목록vdeh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남자조연1970년대 장혁 (1977) 2010년대 마동석 (2013) 이정재 (2014) 유해진 (2015) 이경영 (2016) 김의성 (2017) 박희순 (2018) 김주혁 (2019) 대상 | 작품상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자조연 | 여자조연 | 남자신인연기 | 여자신인연기 vdeh한국영화제작가협회상 남우조연 유해진 (2014) 오달수 (2015) 김의성 (2016) 김희원 (2017) 배성우 (2018) 작품상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vdeh부일영화상 남우조연1960년대 이예춘 (1962) 허장강 (1963) 김희갑 (1964) 신영균 (1965) 남궁원 (1966) - (1967) 허장강 (1968) - (1969) 2000년대 김민준 (2008) 김인권 (2009) 2010년대 유준상 (2010) 고창석 (2011) 조진웅 (2012) 류승룡 (2013) 곽도원 (2014) 이경영 (2015) 김의성 (2016) 김희원 (2017) 주지훈 (2018) 최우수작품 | 최우수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남자연기 | 신인여자연기 vdeh황금촬영상 신인남우1980년대 최민수 (1987) 1990년대 강석현 (1990) 이병헌 (1996) 김의성 (1997) 2000년대 설경구 (2000) 김태우 (2001) 차태현 (2002) 박해일 (2003) 원빈 (2004) 강동원 (2005) 이준기 (2006) 온주완 (2007) 다니엘 헤니, 진구 (2008) 김지석, 차승우 (2009) 2010년대 정경호 (2014) 강하늘, 유연석 (2015) 박정민, 이호원 (2016) 이주원, 김희진 (2017) 김신의, 백서빈 (2018) 작품상 | 감독 | 연기대상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남우 | 신인여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의성&oldid=24352003" 분류: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남우조연상 수상자1965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1984년 데뷔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기업인베트남에 거주한 대한민국인영동고등학교 (서울) 동문서울대학교 경영대학 동문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김해 김씨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링크가 없는 위키공용분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PortuguêsSimple English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31일 (금) 09:3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의성(金義聖, 1965년 12월 17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tvN의 드라마 아스달 연대기에서 배우 김의성이 맡은 배역은 무엇인가? Assistant: 산웅 Human: 아래 태국의_문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태국의 문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태국의 문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태국의 문화는 동남아시아 지역 중 현재의 태국을 중심으로 일부 지역에 퍼져 있는 문화를 의미한다. 그 중에서 고전 무용은 콘과 라콘, 라밤 등 세 종류가 있는데 수많은 장식품을 사용한 화려한 의상과 우아한 춤동작이 특징이며, 태국의 음식은 네 가지 기본적인 맛으로 단 맛, 매운 맛, 신 맛, 짠 맛이 어우러져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똠얌꿍이 이에 해당한다. 목차 1 종교 2 스포츠와 레저 2.1 무에 타이 3 전통 문화 3.1 왕실 존경 3.2 어른에 대한 존경 3.3 금기사항 4 축제 5 음식 6 관광 6.1 멩라이 대왕의 동상 6.2 미니 사이암 6.3 왓 프라야이의 대존불상 7 각주 종교[편집] 태국의 특징적인 상좌부 불교 태국은 불교의 색채를 가진 나라이자 사원의 나라이다. 주민의 95% 이상이 불교 신자이나 국교가 해제된 지금은 다양한 종교를 인정하는 분위기이다.[1]소승불교는 1997년까지 태국의 국교였다. 그러나 종교적 다양성을 인정하기 위해 국교를 해제했다. 아직은 달력, 풍습 등에도 불교적인 것이 많다. 실제로, 태국의 불교는 서서히 발전하여 동물숭배나 조상숭배로부터 기원된 지역 종교들을 포섭하였다. 국왕을 비롯하여 남자라면 일생에 적어도 한번은 절에 들어가 삭발하며 3개월 정도의 수도과정을 지내고 오는 것도 의무적이다. 이른 새벽이면 누런 법복을 걸친 탁발 승려들이 사원을 나서 행렬을 시작하고 신도들은 정성스럽게 이들에게 공양을 바친다. 태국의 승려들은 어느 나라에서보다도 사회적 지위가 높다. 태국에는 아름다운 왕궁과 많은 사원들이 있는데, 차크리 왕조의 수호사원으로서 에메랄드 사원과 수코타이 중심부에 있는 최대사원인 왓 마하탓, 유서깊은 절 왓 아룬 등 3만여개에 달하는 크고 작은 사원은 아름답기 그지없다.[2] 이슬람교는 제 2의 세력이다.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 종파들도 소수 존재한다. 개신교의 경우 태국 기독교 연맹, 태국 침례교 연맹등의 교단들을 갖고 있다. 태국은 불교 국가이지만, 헌법에서 종교의 자유를 존중하고 있으며, 모든 종교는 태국 종교청의 지도를 받는다. 스포츠와 레저[편집] 국가적인 스포츠 무에타이 축구가 무에 타이를 대신하여 인기를 얻고 있으며 이제는 태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 태국 사람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잉글리쉬 프리미어 리그의 팀을 텔레비전을 통해 응원하는 장면은 낯설지가 않게 되었다. 또 한 가지 과거에 인기 있었던 스포츠로 연날리기가 있었다. 그 밖에 킥복싱, 칼싸움, 닭싸움 등의 오락이 있다.[2] 무에 타이[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무에타이입니다. 무어이 타이(무에타이, 태국식 권투)는 태국의 국가적인 스포츠이다. 태국 사람들은 그냥 "무어이"라고 부르는 격투기이다. 과거에, 무어이는 궁정 병사들이 전장에서 무장 해제되었을 때를 대비하기 위해서 배웠다. 병사들이 제대한 뒤 그들 상당수는 불교 승려가 되었고 사찰에 머물렀다. 태국 사람들의 삶은 불교, 사찰과 가깝게 관련되어 있는데 태국 사람들은 자녀들을 사찰에 보내 승려 교육을 시키기도 한다. 무어이는 사찰의 교과목 중 하나이다.[3]. 무어이 타이는 1990년대에 세계적인 인기를 끌었다. 동남아시아의 다른 나라에도 이와 비슷한 격투기가 있지만 무어이 타이는 팔꿈치를 포함한 때리기 공격, 던지기 공격, 무릎 공격을 허용하는 규칙을 받아들였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전통 문화[편집] 왕실 존경[편집] 태국은 왕실에 대한 믿음과 존경이 대단한 나라이다. 거리는 물론 식당이나 가정집에도 국왕의 사진이 걸려 있다. 따라서 왕실을 모욕하는 말이나 행동은 절대 금기사항이다. 사진을 훼손하거나 돈을 밟는 등의 행동은 화를 자초하게 된다. 극장에서 국왕 찬가가 연주될 때는 외국인도 현지인과 마찬가지로 서있어야 하며 기립해 예의를 표하는 것이 좋다.[4] 어른에 대한 존경[편집] 조상에 대한 존경은 태국의 정신적 관습의 중요한 한 부분이다. 태국 사람들은 환대하는 마음과 관대한 마음을 가졌으나 강한 사회적 계급 의식도 있다. 태국 문화에서 어른 공경은 중요한 요소이다. 연장자가 항상 가족 대소사를 결정하거나 의례를 주관한다. 태국의 전통 인사법인 "와이"는 두 사람 중 젊은 사람이 먼저 하는데, 이는 손바닥끼리 서로 닿도록 두 손을 모은 다음, 손가락 끝은 위로 향하게 하고 얼굴이 손에 닿도록 머리를 숙여서 하는 인사이다. 이 인사를 할 때는 남자는 "사왓디 크랍", 여자는 "사왓디 카"라는 인사말을 함께 한다. 그러면 연장자가 같은 방법으로 답례한다. 태국의 아이들이 학교에 갈 때, 부모님에게 존경의 마음을 보이며 "와이"를 행한다. 학교에서 돌아와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와이는 타인에 대한 존경과 경의의 마음을 표시하는 것인데 이는 인도 문화권의 나마스테와 비슷하다. 금기사항[편집] 다른 사람의 머리에 손을 대거나 발로 어딘가를 가리키는 것은 금기사항이다. 머리는 신체에서 가장 신성한 것으로, 발은 가장 더러운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다른 아시아권 문화들과 마찬가지로 태국의 문화도 서구화의 영향에 압도되어 가고 있으며 전통적인 금기사항의 일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사라져 가고 있다. 축제[편집] 또 태국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코끼리이다. 코끼리는 태국인들의 가장 사랑받는 가축 중의 하나로 산림지대에서는 무거운 티크 원목을 운반하는 중요한 일꾼이다. 해마다 11월이면 유명한 코끼리몰이 축제가 열려 다양한 코끼리 묘기를 펼친다. 논농사를 시작하기 전인 4월에도 태국에서 가장 큰 축제가 송클라에서 개최된다. 농경일이 일단락되어 추수를 기다리는 7월부터 10월까지는 승려가 사원에서 수행하는 우안거(雨安居)가 행해진다. 젊은 남녀가 일시적으로 출가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농작물을 거두어들인 뒤 대부분의 사원에서는 행사가 있다.[2] 음식[편집] 태국 씨푸드 카레 태국의 음식은 다섯 가지 기본적인 맛, 단 맛, 향이 강한 맛, 신 맛, 쓴 맛, 짠 맛이 어우러져 있다. 태국 음식에 보통 쓰이는 재료로는 마늘, 고추, 라임 주스, 코코넛, 캐슈 열매, 레몬 그라스, 생선 소스가 있다. 주식은 쌀, 특히 다양한 재스민 쌀(홈 말리 쌀이라고도 함)이며 거의 매 끼니에 포함된다. 태국은 세계 최대의 쌀 수출국이며 태국 사람들은 1년에 100킬로그램(도정미 기준)의 쌀을 소비한다.[5]. 태국이 원산지인 5천여 가지의 쌀이 필리핀에 있는 국제쌀연구소(IRRI)의 유전자 은행에 보관되어 있다. 태국의 국왕은 국제쌀연구소의 공식 후원자이다. 관광[편집] 태국은 전통적인 관광 유적과 현대 첨단 문명이 잘 맞물려 현대적인 발전을 추구하면서도 푸른하늘 아래 황금빛으로 빛나는 수많은 사원, 과거의 영광을 증언하는 관광유적들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는 곳이다. 방콕의 주요 관광지는 왕궁과 에메랄드 사원(왓 프라깨우), 새벽사원(왓 아룬) 등이 대표적이다. 동남아시아 배낭여행자들의 집결지인 <카오산 로드> 지역도 전 세계 젊은이들과 친교를 쌓을 수 있는 장소이다. 방콕 근교로는 영화로 유명한 깐차나부리의 <콰이 강의 다리>, 한국의 개성 쯤 되는 <아유타야>, 경주쯤 되는 <나콘빠톰>, 동남아시아 최대의 수상시장 <담는사두악>, 태국 왕의 여름 별궁 <방빠인>이 유명하다. 태국 중부 지역의 대표적인 것은 동남아시아 최대의 위락도시 <파타야>, 태국왕실 전용의 휴양지 <후아힌>이 존재한다. 남부 지역의 대표적 관광지는 <푸껫>과 <피피 섬>이 존재하며, 북부 지역 문화 중심지 <치앙마이>, 산악 민족의 중심 도시 <치앙라이>, 구름 위의 별천지라 불리는 미얀마 국경도시 <매홍손>까지 존재하고 있다. 멩라이 대왕의 동상[편집] 태국 북부 지방에서 우리나라의 세종대왕 만큼이나 존경을 받고 있는 린나 왕국을 세운 멩라이 왕의 동상이다. 태국 북부의 주요 도시마다 멩라이 왕의 동상이 서 있다. 동상 앞은 항상 헌화하는 시민들로 붐빈다.[6] 미니 사이암[편집] 태국은 수세기 동안 시암(Siam)으로 불려 왔다. 수코타이 왕조를 거쳐 700년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동서남북에 흩어져 있는 태국의 모든 문화유산을 모아놓은 장소이다.에메랄드 사원, 새벽 사원, 왕국 등의 조각, 건축물과 태국뿐만이 아니라 세계의 문화유산과 역사가 1:25로 축소된 소형 모델로 각기 특색있는 문명과 문화의 다양한 모습으로 전시되어 있다.[7] 왓 프라야이의 대존불상[편집] 이 사원은 코사무이에서 가장 유명한 상징물인 대존불상을 모시고 있는 사찰이다. 이 불상의 규모는 수km 밖에서도 보이며 비행기를 타고 내릴 때도 보이는 15m 높이이다. 1972년 부처를 경배하기 위해 지역단체에 의해 기증되어 태국의 명물이 되었다.[8] 각주[편집]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타이의 역사·주민〉 ↑ 가 나 다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타이의 사회〉 ↑ “Muay Thai History”. 2010년 12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월 17일에 확인함.  ↑ 트래블게릴라 편, (2005년). 《태국·베트남·캄보디아·라오스 100배 즐기기》. 랜덤하우스중앙. 31쪽.  ↑ “IRRI country profile”. 2008년 3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월 17일에 확인함.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멩라이 대왕의 동상〉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미니 사이암〉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왓 프라야이의 대존불상〉 vdeh아시아의 문화독립국 네팔 대한민국 동티모르[* 1] 라오스 러시아[* 2] 레바논 말레이시아 몰디브 몽골 미얀마 바레인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스리랑카 시리아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아르메니아[* 3] 아제르바이잔[* 2] 아프가니스탄 예멘 오만 요르단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이란 이스라엘 이집트[* 4] 인도 인도네시아[* 5] 일본[* 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지아[* 2]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카자흐스탄[* 2] 카타르 캄보디아 쿠웨이트 키르기스스탄 키프로스[* 3] 타지키스탄 태국 터키[* 2]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필리핀 속령 마카오[* 6] 차고스 제도 [* 7] 티베트[* 8] 동튀르케스탄[* 8] 홍콩[* 6] 미승인 국가 아르차흐 공화국[* 3] 남오세티야[* 2] 북키프로스 압하지야[* 2] ↑ 오세아니아에 속하는 국가로 분류되는 경우도 있다.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일부 영토가 유럽에도 속한다. ↑ 가 나 다 지리적으로는 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문화적 이유로 종종 유럽으로 분류한다. ↑ 일부 영토가 아프리카에도 속한다. ↑ 가 나 일부 영토가 오세아니아에도 속한다. ↑ 가 나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역이다. ↑ 영국령 인도양 지역의 일부이다. ↑ 가 나 나라 목록 206개 국가에 포함되지 않는 나라이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태국의_문화&oldid=24184942" 분류: 태국의 문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EspañolSuomiFrançaisहिन्दीBahasa Indonesia日本語LietuviųPortuguêsРусскийதமிழ்ไทยTiếng Việt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1: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태국의 문화는 동남아시아 지역 중 현재의 태국을 중심으로 일부 지역에 퍼져 있는 문화를 의미한다. 그 중에서 고전 무용은 콘과 라콘, 라밤 등 세 종류가 있는데 수많은 장식품을 사용한 화려한 의상과 우아한 춤동작이 특징이며, 태국의 음식은 네 가지 기본적인 맛으로 단 맛, 매운 맛, 신 맛, 짠 맛이 어우러져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똠얌꿍이 이에 해당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어른에 대한 존경을 표현하는 태국의 문화는 무엇이 있을까? Assistant: 조상에 대한 존경은 태국의 정신적 관습의 중요한 한 부분이다. 태국 사람들은 환대하는 마음과 관대한 마음을 가졌으나 강한 사회적 계급 의식도 있다. 태국 문화에서 어른 공경은 중요한 요소이다. 연장자가 항상 가족 대소사를 결정하거나 의례를 주관한다. 태국의 전통 인사법인 "와이"는 두 사람 중 젊은 사람이 먼저 하는데, 이는 손바닥끼리 서로 닿도록 두 손을 모은 다음, 손가락 끝은 위로 향하게 하고 얼굴이 손에 닿도록 머리를 숙여서 하는 인사이다. 이 인사를 할 때는 남자는 "사왓디 크랍", 여자는 "사왓디 카"라는 인사말을 함께 한다. 그러면 연장자가 같은 방법으로 답례한다. 태국의 아이들이 학교에 갈 때, 부모님에게 존경의 마음을 보이며 "와이"를 행한다. 학교에서 돌아와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와이는 타인에 대한 존경과 경의의 마음을 표시하는 것인데 이는 인도 문화권의 나마스테와 비슷하다.
Human: 아래 왕쥔카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왕쥔카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왕쥔카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왕쥔카이출생 1999년 9월 21일(1999-09-21) (19세)다른 이름 캐리 왕 (Karry Wang)국적 중화인민공화국활동 영역 가수, 배우활동 기간 2010년 ~ 현재데뷔일 2013년 8월 6일데뷔작(곡) 《죄수 새》 (리메이크) 대표작 《청춘 수련 수첩》 《양 YOUNG》 《남은 한여름》 음반:《대몽상가》 영화:《장성》 드라마:《청운지》 《소별리》 《초소년암호》 프로그램:《전원가속중》 《해피 캠핑》 《최강 대뇌》 《에이스 대 에이스》 《강희 왔다》 《오락 100%》소속사 베이징 시대봉준 문화발전 유한책임회사 (2010년 ~ 현재)소속팀 TFBOYS장르 중화권 대중 음악학력 충칭 제팔고등학교 왕쥔카이(王俊凯, 1999년 9월 21일- )는 중국 충칭에서 태어난 남자 가수, 배우이다. 중국 TOP1 보이그룹 TFBOYS의 리더이자 보컬이다. 지금은 충칭 제팔고등학교에 다녔다가 졸업하고 2017년 11월 현재 베이징영화대학에 진학중이다. 목차 1 생애 소개 2 연예 활동 2.1 음반 활동 2.2 영상과 방송 3 사회 활동 3.1 개인 활동 3.2 그룹 활동 4 인터넷 영향 5 음악 작품 5.1 그룹 작품 5.1.1 그룹 싱글 5.1.2 미니 앨범 5.1.3 기타 노래 5.1.4 합창곡 5.2 개인 작품 5.2.1 주창 미니 앨범 5.2.2 리메이크 노래 6 영상 작품 6.1 영화 6.2 드라마 6.3 방송 7 명예와 수상 7.1 개인 명예 7.2 개인 수상 7.3 그룹 수상 8 광고 9 각주 생애 소개[편집] 2011년, 왕쥔카이는 오디션을 거쳐서 TF가족의 연습생이 되었다.[1] 그 해 9월에 TF가족이발표한 첫 EP 《난 변하기 싫어》의 녹화에 참석했다.[2] 예컨대 허난 방송국의 《넌 가장 끼가 있다》,[3][4] 랴오닝 방송국의 《천재 어린 목소리》,[5] 안후이 방송국의 《황금 연대》, 후난 방송국의 《위로 향해라 소년이여》 등이었다. 2012년 2월, 왕쥔카이는 인터넷으로 리메이크 작품 《죄수 새》、《나의 노랫소리 속에서》를 연속 발표했다. 그 중의 《죄수 새》가 소호、요쿠등 사이트에 추천되었다. 2013년 4월 1일, 왕쥔카이는 가족 멤버와 같이 합조해 리메이크한 노래 《당애이성왕사》로 장국영 씨의 서세 10주년을 기념했다. 동영상 조희수는 40여만이었다.[6] 그 해 6월, 왕쥔카이는 가족 멤버와 같이 합조해 리메이크한 노래 《양파》가 원곡 가수 아신 등에게 전재되고 대만 《중천 뉴스》 《TFBS뉴스》도 잇따라 보도하였다.[7] 연예 활동[편집] 음반 활동[편집] 2013년 8월, 왕쥔카이는 TFBOYS의 리더와 메인 보컬로 데뷔했다.[8] TFBOYS는 2013/2014년에 속속 앨범 《Heart꿈 출발》, 《청춘 수련 수첩》, 싱글 《마법 성보》 등 발표했다. 2014년 6월 27일, 왕쥔카이는 초청을 받아들여 《슈퍼 소다인》시즌4 개봉식에 참가했다.[9] 9월 21일, 왕쥔카이는 15세 생일날에 웨이보에서 리메이크한 유여잉의 《계속-15세의 자신에게》를 올렸다 . 그 웨이보는 2015년 6월 22일에 기네스 세계 기록에서 “가장 많이 리트윗한 웨이보”라는 인정을 받았다.[10] 2015년 1월 31일, 왕쥔카이는 충칭 제팔고등학교 교직원 신춘을 영접하는 문예 공연에서 교사와 학생들께 《청춘 수련 수첩》과 《만성 화개》를 불렀다.[11] 2월, 왕쥔카이는 2014년 스타 권리 차트 대륙 최우수 남자 가수상을 수상했다. 3월과 4월, TFBOYS는 싱글 《총애》 《연서유》와 《양young》을 발표했다. 4월 13일, 왕쥔카이는 2015년 음악 풍운 차트 연도 수상식에서 《계속-15세의 자신에게》를 불렀다.[12] 5월, 왕쥔카이는 TFBOYS의 싱글 《양YOUNG》을 리메이크해서 새벽TOP 음악체트에서 1위를 받았다. 8월 15일, TFBOYS는 베이징에서 데뷔 2주년 팬미팅“TFBOYS Fan’s Time”을 거행했다. 왕쥔카이는 팬들에게 《양광 재남》 《말하지마》등 노래를 불렀다.[13] 9월 19일, 왕쥔카이는 고향 충칭에서 16세 생일 팬미팅을 거행했다. 생일 팬미팅에서 《모델》 《난 여름을 원해》를 불렀고 솔로 댄스퍼포먼스도 선보였다.[14] 12월, 팀의 3집《대몽상가》는 대만에서 정식 발행했다.[15] 2015년 말, 왕쥔카이는 2015년 연도 스타 권리 차트 대륙 최우수 남자 가수상을 연속 누렸다.[16] 2016년 1월 3일, 충칭 제팔고등학교 새해 음악회에서 왕쥔카이는 등장하고 노래 《총애》 《양YOUNG》을 불렀다.[17] 2월 7일, TFBOYS는 중앙방송국의 설맞이 페스티벌에 참석하며 가무극《행복하게 성장해》를 선보였다.[18] 5월 4일, 왕쥔카이는 초청을 받아들여 우수 청년의 대표로서 중앙방송국의 “2016 오월의 꽃” 주몽청춘 5·4청년절 야회를 참가하며 격려 노래 《소년설》을 불렀다.[19] 영상과 방송[편집] 2015년 3월, 왕쥔카이는 장이머우 감독님이 감독하신 《만리장성》에 동참했고, 송나라 시대에 황제의 역을 맡았다.[20] 또 7월 2일에는 《만리장성》 영화발표회에 참석했다.[21] 장이머우 감독님은 왕쥔카이가 똑똑하고 연기에 재능이 있다고 현장에서 평가하셨다. 6월 22일, 왕쥔카이는 《오락대패당》 프로그램에서 나오고, 기네스 세계 기록원이 수여한 “가장 많이 리트윗한 웨이보"라는 증명서를 받았다.[22] 그 다음에, 왕쥔카이는 드라마 《소별리》에서 이상 선배 역으로 객연 출연하였다.[23] 같은 해 9월, 왕쥔카이는 소설 《주선》에 개편된 드라마 《청운지》에서 소년 임경우의 역을 맡았다.[24] 11월, 왕쥔카이는 야외 예능 프로그램 《전원가속중》 녹화에 참가하고 두번 연속 우승을 했다.[25][26] 2016년 3월, 인터넷 드라마 《초소년암호》가 샤먼에서 정식적으로 촬영을 시작했다.[27] 왕쥔카이는 남자 주인공 하성안의 역을 맡았다. 사회 활동[편집] 개인 활동[편집] 2014년 9월, 왕쥔카이는 웨이보의 “같이 이롭다” 활동 중에 81,990,969의 권모 영향력으로 미니 공익 스타 모범 1위를 받았다.[28] 2015년 5월 4일, 왕쥔카이는 공산주의 청년단의 초청을 받고 충칭 우수 청년 대표로서 인민대회당에서 “5·4우수 청년 좌담회"에 참석하고 중앙방송국의 《뉴스연합 방송》에서도 방송되였다.[29] 7월 23일, 왕쥔카이는 충칭 제팔고등학교 학생회 부주석으로서 인민대회당에서 “전국학생 연합합회 제26번 대표 대회"에 참석했다.[30] 중앙방송국의 《뉴스연합 방송》에서도 이번 회의를 보도했다. 회의가 끝난 후 왕쥔카이는 웨이보에서 학생 연합 합희의 역사 보급문을 리트윗하고 회의 정신을 관철시켰다. 2016년 3월 3일, 공산주의 청년단 중앙부는 중국 녹색화 재단, 웨이보 캠퍼스와 함께 제6회 전국 대학생 녹색식물 입양 활동을 주최했다.[31] 왕쥔카이는 녹색 대사로서 녹색 캠퍼스를 건설하기를 홍보했다. 그룹 활동[편집] 2014년 6월, 왕쥔카이와 TFBOYS의 다른 두 멤버들은 중국 인구 북지 재단, 시나 미니 공익과 함께 웨이보에서 “#TFBOYS와 같이 이롭다# 구개 파열 입술인 어린이들이 미소를 짓게 하자" 공익활동을 발기했다.[32] 8월 3일, TFBOYS는 베이징에서 “행복한 미소" 공익활동 겸 데뷔 1주년 팬미팅에 참석했다.[33][34] 8월 15일, 텐진 탕구 폭발 사건으로 조난 동포에게 30만 위안을 기부하며 데뷔 2주년 팬미팅의 입장료 수입의 일부를 항전 노병들의 “영광을 다시 입다” 공익항목에게 기부했다.[35] 8월 20일, 장쯔이에서 아이스 버킷 첼린지를 응했다. 왕쥔카이는 웨이보에서 "TFBOYS의 도전을 통해 여러분이 루게릭병에 걸린 사람들을 믾이 도와주면 좋겠다. 그들은 우리의 관심과 도움이 필요하다.” 라고 말했다. 10월 17일, 망고 V기금 “해몽계획"의 “해몽대사"를 맡게 되었다.[36] 11월 26일, 중앙방송국의 공익 프로그램 《몽상성콤비》 시즌2에 출연하고, 이번 시즌의 두번째 공익 응원 대사가 되었다.[37] 2015년 1월 14일, TFBOYS가 “2014웨이보의 밤" 수상식에 참석하고, “2014웨이보의 밤" 연도 공익 공로상을 받았다.[38] 8월 14일, 홍보 대사로서 공산주의 청년단 중앙이 발기한 “햇빛 댓글" 활동 개동의식에 참석하며 햇빛 선언을 읽었다.[39] 8월 21일, 중앙방송국의 중국 인민 항일 전쟁 겸 세계 반 파시스트 전쟁의 승리 70주년을 경축한 대형 공익 프로그램 《개학 첫 수업》에 출연하며 선언을 낭독하며 영웅들에게 경례를 보냈다.[40] 9월 16일, “MusicRadio 난 학교 다니고 싶다" 공익항목의 주제곡 《Love With You》를 불렀다.[41] 9월 23일, “2015 Bazzar 스타 자선의 밤”에 참석하며 “사랑을 위해 가속하자" 활동을 도와서 시원·바짤 빔곤현(향) 구급차 공익항목을 위해 417만 위안을 모급했다.[42] 11월 3일, 충칭시 공안 소방 본대 공익 대변인이 되었다.[43] 11월 30일, TFBOYS는 텐센트QQ가 QQ공간, 중국 구빈 기금, 텐센트 공익과 연합 발기된 “QQ 레드머플러 계획" 공익 발표회에 참석하며 외지고 가난한 지역에 사는 청소년들을 위한 겨울철 따뜻한 옷을 만들었다.[44] 인터넷 영향[편집] 왕쥔카이는 데뷔 때부터 인터넷을 통하여 많은 인기를 모았다.[45] 2014년 5월, 왕쥔카이는 웨이보에서 고등학교입시 준비를 하고 있다고 한 내용을 발표했다. 팬들은 댓글에서 시험과 관련된 중점을 정리해 주었다. 매체들은 이 웨이보가 “중화 문제뱅크"라고 했다.[46] 2015년 5월 20일, 왕쥔카이는 139만의 투표수로 동슨뉴스운이 발기된 “양안 남신 차트"에서 “2015양안 남신 차트 완벽남신"과 “연도 인기대상" 두가지 상을 받았다.[47] 6월 22일, 기네스 세계 기록은 2015년 6월 19일 오후 12시까지 왕쥔카이가 2014년 9월 21일에서 발표한 한 웨이보 글은 42,776,438개의 리트윗에 이르고 기네스 세계 기록에서 “가장 많은 리트윗을 받은 웨이보”라고 공식적으로 선포했다.[48] 2015년 11월, 왕쥔카이는 네티즌들이 선정한 “중국 90년생 영향력 인물 탑10” 에서 수석을 차지했다.[49] 12월 초, 바이두가 발기한 “비등점 인기 차트" 에서, 왕쥔카이는 33,947,102표로 수석을 차지하며 “인기킹”이라는 칭호를 받았다.[50] 12월 16일, 왕쥔카이는 세계 인터넷 대회가 공개된 “2015 중국 인터넷 영향력 인물 탑10”에서 10위를 차지하였다.[51] 12월 24일, 《삼련생활주간》과 연합하여 바이두 뉴스실험실과 함께 공개된 “2015 국민 빅 데이터 보고서"에서, 왕쥔카이는 “가장 주목받은 남스타 탑10”에 입선되었다.[52] 음악 작품[편집] 그룹 작품[편집] 그룹 싱글[편집] # 발행 시간 노래 명 곡목 1st 2014년 6월 《마법성보》 CD 1.마법성보 2.마법성보(반주) DVD 1.마법성보MV 2.마법성보MV 메이킹 2nd 2014년 8월 6일 《꿈을 위해 시각 준비하고 있다》 CD 꿈을 위해 시각 준비하고 있다 DVD 꿈을 위해 시각 준비하고 있다MV 3rd 2016년 1월 1일 《덜 완벽한 아이》 덜 완벽한 아이 4th 2016년 2월 《진심은 위험해》 진심은 위험해 미니 앨범[편집] # 발행 시간 앨범 곡목 1st 2013년 10월 18일 《Heart 꿈.출발 》 1. Heart 2.애 출발 3.꿈의 날개 발쳐 2nd 2014년 10월 17일 《청춘수련수첩》 1.청춘수련수첩 2.행운부호 3.쾌락환도 4.신앙지명 3rd 2015년 12월 29일 《대 몽상가》 1.대 몽상가 2.총애 3.양(YOUNG) 4.남은 한여름 5.소년설 기타 노래[편집] # 발행 시간 앨범 곡목 1st 2014년 7월 10일 영화 《락극왕국3: 성용의 수호》 OST 마법성보 (미니 앨범 《마법성보》에 수록됨) 2nd 2014년 7월 25일 영화 《난 나야》 OST 노래부르려면 불러라 3rd 2014년 8월 27일 CCTV1 프로그램 《개학제일과》 OST 제1과 4th 2015년 4월 14일 애니메이션 《몽환서유2》 OST 연서유 5th 2015년 9월 16일 공익프로젝트 “MusicRadio학교 다니고 싶다” 주제곡 Love With You (미니 앨범 《대몽상가》에 수록됨) 6th 2016년 5월 20일 광고 ”세이프가드” 주제곡 수호자 합창곡[편집] # 발행 시간 합창 가수 앨범 곡목 1st 2015년 12월 우천 강사부CF 주제곡 몽상천등 2nd 2016년 6월 한경 중국 소년선봉대 대가 우리는 공산주의 후계자다 개인 작품[편집] 주창 미니 앨범[편집] # 발행 시간 앨범 곡목 1st 2011년 9월 6일 《나는 변하고 싶지 않아》 (TF가족) 1.나는 변하고 싶지 않아 2.우린 함께 있었다 3.시광기 리메이크 노래[편집] 2011년 청명우상 (1월 27일) 애야애야 (3월 5일) 왜 안돼 (3월 26일) 마지막의 페이지 (3월) 날개를 달고 있는 소년 (4월 16일) 세계는 하나로 합칠 때까지 (4월 18일) 하일개천량 (4월 23일) 성공물어 (7월) 도향 (7월) 2012년 그 꽃들 (2월 2일) 행복해지고 싶다 (2월 3일) 죄수 새 (2월 8일) Rolling in the Deep (3월 30일) Make You Feel My Love (6월 1일) 최초의 꿈 (6월 1일) 미래의 나에게 (7월 9일) 한 명은 여름 같고 한 명은 가을 같아 (7월 15일) 곡사 (7월 15일) 소수랍다수 (8월 3일) 저양애료/이렇게 사랑했다 (8월 14일) 우린 함께 있었다 (8월 23일) 내 노래 속에 (9월 8일) 역광 (9월 21일) 작은 연가 (10월 13일) 하이가 (10월 20일) 니가 아니여서 아쉬워 (11월 3일) 내 노래 속에 (11월 8일) 니가 없다면 (11월 25일) 개구리도 왕자로 변신할 수 있다 (12월 4일) 인질 (12월 13일) 눈사람 (12월 24일) 2013년 도착할 수 없다 (2월 5일) 당애이성왕사/사랑은 이미 옛 일이 되었다 (4월 1일) 양파 (5월 31일) 미스 동 (11월 8일) 눈사람 (12월 24일) 2014년 세계종말 (1월 24일) 나랑 함께 일출을 보자 (2월 28일) 안정 (3월 14일) 칠리향 (3월 28일) 안녕 (4월 30일) 포공영적약정/민들레의 약속 (5월 20일) 홍진객잔 (6월 20일) 지소한유니/적어도 네가 있잖아 (6월 27일) 박수소리 터졌다 (7월 4일) 계속-15세의 자신에게 (9월 21일) 약속했던 행복은 어딨어 (10월 17일) 만성화개/온 성에 꽃이 핀다 (11월 14일) 붉은 장미 (12월 19일) 사랑을 공양함 (12월 19일) 눈사람 (12월 19일) 박수소리 터졌다 (12월 26일) 2015년 안정 (기타 병창) (3월 16일) 말하지 마 (4월 12일) 영광 (5월 3일) 양 YOUNG (6월 1일) 내일 안녕 (6월 16일) 말하지 마 (8월 15일) 양광택남 (8월 15일) 여름을 원해 (9월 19일) 모델 (9월 19일) 2016년 소년설 (5월 4일) 영상 작품[편집] 영화[편집] 연도 영화 감독 역할 비고 2015년 플레쉬Pound of Flesh 아니 바바리쉬 가수 객연 출연 노포아 관호 기원자 객연 출연 2016년 나는 너의TF Phone이다 V낯사장작업실/텐센트 캐스트 만화 집돌이 OPPO 마이크로필름 2017년 장성 The Great Wall 장이머우 송인종 소년 시절 드라마[편집] 방송 시작 시간 드라마 첫 방송 사이트 / 방송곡 감독 역할 2016년 소별리 8월 저장 방송곡 / 베이징 방송곡 임옥분 이상 초소년암호 7월 LeTV 주분분 하상안 청운지 7월 후남 방송곡 왕준 임경우 방송[편집] 2013년 TF소년GO 시즌1 (13년 11월-14년 8월, TF가족) 2014년 해피 캠핑 (5월 31일, 후남 방송국) “우리 다 함께” 준 결승전 (8월 9일, 동방 방송국) “우리 다 함께” 결승전 (8월 16일, 동방 방송국) 개학제일과 (9월 2일, 중앙 방송국) 추석야회 (9월 8일, 후남 방송국) 추석야회 (9월 8일, 중앙 방송국) 연대쇼 (9월 13일, 선전 방송국) TFBOYS우상수기 (9월-11월, TF가족) TF소년GO 시즌2 (10월-12월, TF가족) 몽상성탑당(12월 26일, 중앙 방송국) 천천향상(12월 26일, 후남 방송국) 2015년 씬렌씬 예술단 공연 (1월 10일, 중앙 방송국) “함께 있어 행복해”소년야 (2월 11일, 후남 방송국) 풍광적맥길 (2월 14일, 후남 방송국) 춘절연환야회 (2월 19일, 베이징 방송국) 새해칠일락 (2월 23일, 중앙 방송국) TF소년GO 시즌3 (3월-5월, TF가족) 해피 캠핑 (4월 4일, 후남 방송국) 6.1어린이날 야회 (5월 31일, 중앙 방송국) 오락백분백 (7월 22일, 대만 팔대종합 방송국) 강희 왔다 (7월 27일, 대만 중천종합 방송국) 아이돌 왔다 (8월 22일, 후남 방송국) 개학제일과 (9월 4일, 중앙 방송국) 도전불가능 (9월 6일, 중앙 방송국) 추석야회 (9월 27일, 후남 방송국) 추석야회 (9월 28일, 중앙 방송국) 빼빼로 데이 야회 (11월 10일, 후남 방송국) 전원가속중 (15년 11월-16년 1월, 후남 방송국) 풍광적맥길 (11월 14일, 후남 방송국) 가유소당가 제3편 (11월 29일, 장쑤 방송국) 가유소당가 제4편 (12월 6일, 장쑤 방송국) 해넘이 콘서트 (12월 31일, 후남 방송국) 2016년 최강대뇌 (1월 29일, 장쑤 방송국) 춘절연환야회 (2월 7일, 중앙 방송국) 일년우일년 (2월 7일, 중앙 방송국) 원소희락회 (2월 22일, 후남 방송국) 왕패대왕패 (3월 11일, 저장 방송국) “5월의 꽃”청년절 야회 (5월 4일, 중앙 방송국) 명예와 수상[편집] 개인 명예[편집] "가장 많이 리트윗한 웨이보”, 기네스 세계 기록 (2015) 2015 중국 영향력 인물 탑10, 세계인터넷 컨페러스 (2015) 개인 수상[편집] 대륙 최고 인기상, 스타 권력 차트 (2014, 2015) 연도 인기대상 1위, 양안 남신 차트 (2015) 완벽남신 1위, 양안 남신 차트 (2015) 인기 차트 1위, 바이두 비등점 (2015) 중국 90년생 영향력 탑10 1위, 제2회 세계 인터넷 컨페러스 (2015) 연도 가장 주목받은 남스타타 7위, 국민표현 빅데이터보고 (2015) 그룹 수상[편집] 음락생방송 인기 가수 수상, 음락V방 연도성전 (2014) 중국 대륙 인기 가장 많은 가수 수상, 음락V방 연도성전 (2014) 가장 인기있는 그룹 수상, QQ음악 연도성전 (2014) 최고 인기 그룹 수상, QQ음악 연도성전 (2014) 웨이보 연도 공익공헌상 수상, 시나 웨이보의 밤 (2014) 연도 풍운 그룹 수상, 동방풍운방 음악성전 (2015) 최적 그룹 수상, 동방풍운방 음악성전 (2015) 음락생방송 인기 가수 수상, 음락V방 연도성전 (2015) 중국 대륙 최고 인기 가수 수상, 음락V방 연도성전 (2015) 중국 대륙 연도 풍향 연예인 수상, 음락V방 연도성전 (2015) 연도 최고 인기 구룹 수상, 음악 풍운방 연도 성전 (2015) 연도 최고 인기 노래 수상 《청춘수련수첩》, 음악 풍운방 연도 성전 (2015) 최고 인기 그룹 수상, 위치 2015 아이치이의 밤 (2015) 연도 인기 가요 수상 《청춘수련수첩》, 위치 2015 아이치이의 밤 (2015) 최고 인기 중화권 그룹 수상, QQ음악 절정성전 (2016) 절정방 지존 나눈상, QQ음악 절정성전 (2016) 중국 대륙 최고 인기 수상, 음악 풍운방 연도성전 (2016) 중국 대륙 최적 그룹 수상, 음락V방 연도성전 (2016) 광고[편집] 그룹 CF는 2014년에 부부고 가정교사기, 인터넷 게임 열력 경기, 아극식품, 성찬블록 등이 있다. 2015년에는 환타, 몽뉴 요구르트, 강사부 라면, 360폰조수 등이 있다. 2016년에는 스니커즈, OPPO 핸드폰, 고덕지도APP, 세이프가드, 핸드폰APP 아범제 등이 있다. 각주[편집] ↑ “TFBOYS의 비밀을 폭로하기:왜 00후 베이글남은 인기가 이렇게 많을까?”. 《시나음악.2014-05-28》.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TF가족《나는 변하고 싶지 않아》소리로 젊은이의 힘을 전달한다”. 《신민망2011-09-09》. 2016년 6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왕이허난2015-07-23. “TFBoys왕쥔카이는 허난 방송국의 《당신이 최고예요》에 출연했다”. 《henan.163.com》.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구내형은 3년전 TFBOYS왕쥔카이를 탈락하게 했지만 지금 황국륜이 그를 위해서 작곡하도록 했다”. 《ETtoday뉴스구름》 (중국어).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천재어린 목소리》미장이 사랑을 위해 눈물을 흘리며 소류환이 미인과 함께 등장하였다”. 《yule.sohu.com》.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어린 소년은 장국영을 좋아하는 어머니를 위해서 당애이성왕사라는 노래를 불렀다”. 《cqcbepaper.cqnews.net》. 2014년 8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대륙어린 소년들은 엄마를 찾기 위해 《양파》를 함께 불러서 오월천 아신이 감동을 받았다”. 《TVBS-2013년 06월 03일 오후19:18》.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왕이오락. “TF가족 최연소 아이돌그룹 TFBOYS 9월에 정식적으로 데뷔할 예정이다”. 《ent.163.com》.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TFBOYS왕쥔카이는 《슈퍼소다인》에 출연하며 아이라인을 그려 활기찼다”. 《www.southmoney.com》. 2016년 5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한 웨이보 4277만 리트윗하는 것! 15세의 TFBOYS왕쥔카이는 세계기록을 돌파했다”. 《ETtoday뉴스구름》 (중국어).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TFBOYS멤버 왕쥔카이는 제8고등학교에세 노래를 불러 주목을 받았다”. 《cqcbepaper.cqnews.net》. 2016년 6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음악 풍운방이 팬 시대를 열었다- 덩즈치 화신우 TFBOYS들은 승리자가 되었다”. 《news.163.com》.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TFBOYS온라인 콘서트가 5항 업계기록을 갱신했다!어떻게 팬들이 마음껏 돈낼 수 있을까?”. 《finance.sina.com.cn》.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왕쥔카이16세 생일회  팬들이 충칭에세 다양식으로 사랑을 고백했다”. 《news.youth.cn》.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TFBOYS<<대몽상가>>왔다  저우제룬이 응원하여 TF선풍이 팬들 사이에 불었다”.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허난뉴스망 (2016년 3월 27일). “양미 호가 왕쥔카이 진위정은 스타권리방에서  연도 최고 인기스타였다”.  ↑ “충칭 제8 고등학교 신년음악회를 개최하여  TFBOYS왕쥔카이는 등장해서 노래를 불렀다”. 《gaozhong.eol.cn》.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2016년설맞이 야회”. 《ent.ifeng.com》.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우수청소년대표”왕쥔카이는 중앙 방송국 5·4청년절 야회에 등장했다”. 《ent.163.com》.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장성》마터·데이먼과 징티엔   TFBoys왕쥔카이는 황제역을 맡았다”. 《ent.163.com》.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장이머우《장성》발표회  루한 왕쥔카이를 보면 입장료 3만위안이다”. 《media.people.com.cn》.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중국뉴스망 (2015년 6월 23일). 59140.shtml “TFBOYS왕쥔카이 웨이보 리트윗이 많아 기네스 세계기록을 받았다”.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TFBOYS 모두 《소별리》에 출연하여 감독에게 좋은 평가 받았다”. 《ent.163.com》.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TFBoys 《주선청운지》에서 어린 주인공으로 동참했다”. 《ent.163.com》.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전원가속중》TFBOYS는 지능지수가 높아  왕쥔카이는 급한 중에 수가 생겼다”. 《ent.ifeng.com》.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황효명 쳔오 왕쥔카이가 《전원가속중》에 가입했다”. 《시나오락》. 2015년 10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초소년암호》는 촬영을 시작하여 TFBOYS처음으로 주인공을 맡았다”. 《news.xinhuanet.com》.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미공익 스타차트 TOP10”. 《weibo.com》.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한경 왕쥔카이는 공산주의 청년단 중앙 우수청년 좌담회에 참석하였다”. 《ent.qq.com》.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긍정에너지 우상! TFBOYS왕쥔카이는 전국적인 학습연합대회에 참석했다”. 《ent.qq.com》.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제6회 전국대학생 녹색식물 입양 활동을 시작하여 왕쥔카이는 공익을 위해 스타 대변인이 되었다”. 《ccn.people.com.cn》.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중국인구복지재단은 TFBOYS를 “행복미소”사랑대사로 초빙했다”. 《zgrkfljjh.cssqkk.com》. 2016년 6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TFBOYS 1주년콘서트는 사랑을 가지고 공익에 조력했다”. 《ent.news.cn》. 2016년 5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중국인구복지재단은 TFBOYS를 “행복미소”사랑대사로 초빙했다”. 《zgrkfljjh.cssqkk.com》. 2016년 6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TFBOYS는 천진폭발사고로 조난 동포들에게 30만 위안을 기부하였다”. 《ent.sina.com.cn》.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성찬해몽계획 정식적으로 시작하여 TFBOYS는 공익대사를 맡았다”. 《yule.sohu.com》. 2016년 6월 1일에 확인함.  ↑ “TFBOYS<<몽상 신콤비>>에 출연하여 오늘 밤에 처음 토너먼트를 시작했다”. 《ent.news.cn》. 2016년 5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일에 확인함.  ↑ “소신체 대능량   TFBOYS는 2014 웨이보의 밤“ 연도공익공로상”을 받았다”. 《gb.cri.cn》.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 “TFBOYS는 “양광 댓글을 달기”행동대사를 맡았다:마우스와 건반이 이지를 이기지 마”. 《news.youth.cn》. 2016년 6월 1일에 확인함.  ↑ “TFBOYS는 <<개학제일과>>에 선언을 낭송하고 영웅에게 경례를 보냈다”. 《shaoer.cntv.cn》. 2016년 6월 1일에 확인함.  ↑ “TFBOYS는 빈곤한 어린이를 위해서 “나는 학교에 다니고 싶다"에 참여하여 노래를 불렸다”. 《gongyi.sina.com.cn》. 2016년 6월 1일에 확인함.  ↑ “TFBOYS는 Bazzar 스타자선야에 등장하여 소년 자선의 긍정적인 에너지를 전달했다”. 《ent.qq.com》. 2016년 6월 1일에 확인함.  ↑ “TFBOYS는 충칭 소방 홍보대사를 맡아 네티즌들은 소방복을 입는 베이글남 짱이라고 했다”. 《news.xinhuanet.com》. 2016년 6월 1일에 확인함.  ↑ “TFBOYS는 텐센트 공익과 함께: 더 많은 사람을 따뜻하게 하면 좋겠다”. 《ent.qq.com》. 2016년 6월 1일에 확인함.  ↑ “인터넷시대의 아이돌  팬들은 휴대폰으로 TFBOYS를 쫓아다니다”. 《Yahoo》. 2016년 5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일에 확인함.  ↑ “TFBOYS 응원단은 어떻게 연예계에게 큰 영향을 주는 것인가?”. 《news.wenweipo.com》. 2016년 6월 1일에 확인함.  ↑ “양안남신/왕쥔카이는 168명 남신 중에 139만표로 압도적으로 연도인기왕을 땄다”. 《ETtoday뉴스구름》 (중국어). 2016년 6월 1일에 확인함.  ↑ “왕쥔카이는 세계기록을 돌파하여 15세 소년 모범이 되었다”. 《ent.sina.com.cn》. 2016년 6월 1일에 확인함.  ↑ “90년생 영향력인물 탑10이 나타나며 왕쥔카이 마크는 차트 순위에 올랐다”. 《news.youth.cn》. 2016년 6월 1일에 확인함.  ↑ “국가인정적인 우수소년인 어음표왕 왕쥔카이는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news.youth.cn》. 2016년 6월 1일에 확인함.  ↑ “네티즌들은 선정한 2015년 인터넷영향력인물 탑10 차트에 호가 정용이 올랐다”. 《news.sohu.com》. 2016년 6월 1일에 확인함.  ↑ “삼련생활주간:2015중국인들은 모두 무엇을 표현하고 있을까?”. 《tech.huanqiu.com》. 2016년 6월 1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왕쥔카이&oldid=24200574" 분류: 1999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충칭시 출신중국의 남자 가수중국의 남자 배우중국의 아이돌숨은 분류: CS1 - 중국어 인용 (zh)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03:4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왕쥔카이(王俊凱, 1999년 9월 21일- )는 중국 충칭에서 태어난 남자 가수, 배우이다. 중국 TOP1 보이그룹 TFBOYS의 리더이자 보컬이다. 지금은 충칭 제팔고등학교에 다녔다가 졸업하고 2017년 11월 현재 베이징영화대학에 진학중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왕쥔카이는 어떤 연예활동을 했어? Assistant: 2015년 3월, 왕쥔카이는 장이머우 감독님이 감독하신 《만리장성》에 동참했고, 송나라 시대에 황제의 역을 맡았다.[20] 또 7월 2일에는 《만리장성》 영화발표회에 참석했다.[21] 장이머우 감독님은 왕쥔카이가 똑똑하고 연기에 재능이 있다고 현장에서 평가하셨다. 6월 22일, 왕쥔카이는 《오락대패당》 프로그램에서 나오고, 기네스 세계 기록원이 수여한 “가장 많이 리트윗한 웨이보"라는 증명서를 받았다.[22] 그 다음에, 왕쥔카이는 드라마 《소별리》에서 이상 선배 역으로 객연 출연하였다.[23] 같은 해 9월, 왕쥔카이는 소설 《주선》에 개편된 드라마 《청운지》에서 소년 임경우의 역을 맡았다.[24] 11월, 왕쥔카이는 야외 예능 프로그램 《전원가속중》 녹화에 참가하고 두번 연속 우승을 했다.[25][26] 2016년 3월, 인터넷 드라마 《초소년암호》가 샤먼에서 정식적으로 촬영을 시작했다.[27] 왕쥔카이는 남자 주인공 하성안의 역을 맡았다. Human: 아래 자본주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자본주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자본주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자본주의 개념 경제 간섭주의 공인시장집중원칙 회사와 주식회사 보이지 않는 손 자유가격체제 수요와 공급 경기 순환 경쟁시장 금융시장 사유재산 임금노동 자본시장 자본정책 자본축적 자유시장 중앙은행 재정정책 민영화 자유화 금융 이익 자본 경제체계 법인 자본주의 앵글로 색슨 모델 자유시장경제 자유방임주의경제 중상주의 혼합경제 노르딕 모델 규제자본주의 라인강 자본주의 사회적 시장경제 국가자본주의 복지자본주의 경제이론 오스트리아 경제학 공급중시 경제학 마르크스 경제학 신고전파 경제학 신케인즈 경제학 시카고 경제학 신제도 경제학 케인스 경제학 고전 경제학 미국 경제학 제도 경제학 통화주의 기원 자본주의와 이슬람 대서양 노예무역 계몽주의시대 단순상품생산 원시적 축적 광고혁명 봉건주의 산업혁명 중상주의 중농주의 발전 국가독점자본주의 기술자본주의 금리자본주의 금융자본주의 법인자본주의 상업자본주의 선진자본주의 소비자본주의 세계자본주의 정실자본주의 후기자본주의 인물 틀:Space스미스 틀:Space밀 틀:Space리카도 틀:Space맬서스 틀:Space세 틀:Space프리드먼 틀:Space하이에크 틀:Space케인스 틀:Space마셜 틀:Space미제스 틀:Space로스바드 틀:Space슘페터 틀:Space베블런 틀:Space베버 틀:Space코스 관련 토픽 반자본주의 소비지상주의 코퍼러티즘 위기이론 자본주의의 비판 정실인사 자본주의국가 개발 세계화 역사 이론의 역사 시장경제 자본주의의 시대구분 다관점에서의 자본주의 투기 자생적 질서 벤처자선 사상 무정부 자본주의 민주자본주의 통제정책 생태자본주의 인본자본주의 포괄자본주의 경제적 자유주의 자유의지론 신자본주의 신보수주의 신자유주의 삼균주의 객관주의 질서자유주의 사회자본주의 사회민주주의   자본주의 포털 경제 포털 철학 포털 정치 포털 v • d • e • h 자본주의(資本主義, 독일어: Kapitalismus, 영어: capitalism)는 재화의 사적 소유권을 사회 구성원의 양도 불가능한 기본권으로 인정하는 사회 구성체이다.[1] 또는, 사회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그러므로 대립적 개념으로써의 이념적 정의로 옳지 못하다), 생산 수단을 가진 자본가 및 기업가 계급이 그 이익 추구를 위해 생산 활동을 하도록 보장하는 사회 경제 체제로 정의하기도 한다.[2] 재화의 사적 소유권에 대한 인정은 곧바로 재화의 매매, 양도, 소비 및 이윤의 처분 등에 대한 결정을 개인에게 일임하는 것[3] 이기 때문에 자본주의는 사적 소유권을 기반으로한 경제 체제이기도 하다.[4] 자본주의 경제 체계에서는 상품 또는 용역의 가격, 투자, 분배 등이 주로 시장 경제를 통해 이루어진다. 고대에 이미 일부 자본주의적 특징을 보이는 조직이 존재하였으며 중세 말에는 상업 자본이 발달하기도 하였으나, 현대 자본주의 경제 체제의 제도들은 대부분 16세기에서부터 19세기까지 영국에서 발달한 것들이다.[5][6] 서양에서는 봉건 제도의 종식과 함께 자본주의가 지배적인 사회 구성체로 자리잡았다. 20세기에 이르러 전 세계적인 산업화가 일어났고 자본주의가 세계 전체에서 지배적인 경제 체제로 자리잡았다. 자본주의는 세계 각지의 정치, 경제, 문화, 사회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수정되고 발전해 왔으며, 사회주의와 혼합 경제를 이루기도 하였다.[7] 20세기에 걸쳐 자본주의는 마르크스주의와 같은 공산주의 국가 경제 체제와 대립했다. 목차 1 관점 1.1 고전파 경제학 1.2 마르크스주의 경제학 1.3 베버의 경제학 1.4 독일 역사학파 및 오스트리아 학파 1.5 케인즈 경제학 1.6 신고전경제학과 시카고 학파 2 역사 2.1 중상주의 2.2 산업혁명 2.3 19세기 말 20세기 초의 자본주의 2.4 대공황 2.5 수정자본주의 2.6 신자유주의 3 같이 보기 4 외부 링크 5 각주 관점[편집] 자본주의에 대한 개념은 시간에 따라 진화하여 왔다. 시장, 재산권, 투자 등과 같은 자본주의의 하위 요소 역시 시대에 따라 그 개념이 변화하여 왔다. 고전파 경제학[편집] 고전파 경제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고전경제학의 대표적 이론가, 애덤 스미스 애덤 스미스로 대변되는 고전파 경제학은 자본주의에 대한 개념을 정립시킨 경제 사상으로 평가되고 있다. 흄과 같은 초기 사상가들과 더불어 스미스를 비롯한 데이비드 리카도, 장바티스트 세, 존 스튜어트 밀과 같은 고전경제학자들의 생산, 분배, 교환 등에 대한 이론은 오늘날까지도 자본주의 경제의 기반이 되고 있다. 스미스는 본래 도덕철학을 먼저 전공한 학자로서 1776년 국부론을 집필하기에 앞서 1759년에 도덕철학을 기반으로 하는 도덕감정론을 집필하였다. 스미스는 도덕감정론이 국부론보다 중요하다고 보았다. 당연히 고전경제학의 기반이 되는 국부론 역시 도덕철학을 기반으로 저술하였고, 국부론에서 등장하는 보이지 않는 손이나 자유경제등의 원 개념은 현 시대까지 통용되면서 대중적 이미지가 다소 변질된 면이 있다. 통상적으로 시장에서 도덕을 다루는 것은 이윤추구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여기는 것이 현대자본주의주체들의 기본 맥락이라고 한다면, 스미스의 국부론은 이윤추구나 사적이익이 궁극적 목적이 아닌 수단임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러한 자유시장은 사회자원의 적절한 배분이 목적이다. 자본주의는 더 살기 좋은 세상, 사람이 더 잘 사는 복지사회를 만드는 수단이자 도덕철학을 모든 학문의 근본에 두었던 스미스의 철학이었다. 근대 자본주의가 신자유주의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자본주의의 왜곡과 폐단을 지적하는 편에서는 스미스의 국부론과 함께 도덕감정론에서 자본주의의 원형을 찾기도 한다. 국부론을 통해 중상주의를 비판하면서 "자유방임 체계"를 옹호하였다. 이로 인해 스미스는 고전경제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스미스는 오늘날에도 자주 인용되고 있는 "보이지 않는 손"이라는 말로 시장의 기능을 설명하였고, 절대 우위의 개념을 들어 무역의 이점을 설명했다. 한편, 리카도는 1817년 《정치경제학 및 세무 개론》을 출간하여 비교 우위의 개념을 통해 무역의 이점을 설명하고 자유 무역을 지지하였다.[8] 고전경제학은 세의 법칙을 근거로 공급 중심의 경제 정책을 주장하였다.[9] 고전경제학은 자유주의적 신념에 따라 정부의 시장 관여를 최소한으로 제한하는 자유방임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주장은 정부의 역할을 야간 방범 정도로 제한하는 이른바 야경국가'로 제한하였다. 마르크스주의 경제학[편집] 마르크스주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카를 마르크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에 대한 대표적인 비판가이다. 그는 1848년 《공산당 선언》을 프리드리히 엥겔스와 공저로 발표한 이래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비판하였으며 영국으로 망명한 후 고전파 경제학의 연구에 몰두하여 이를 비판한 《자본론》을 집필하였다.[10] 마르크스는 저서 《자본론》에서 자본주의란 생산 과정에서 사적 생산관계를 기반으로 하여 생산물을 소유하고 통제하는 생산양식으로 정의하였다. 마르크스의 역사적 유물론은 역사상에 존재하는 생산양식은 자체 모순에 의해 붕괴를 거듭해 왔으며 자본주의 역시 이러한 역사적 생산양식 중의 하나라고 주장하였다.[11] 마르크스는 이러한 정의(定義)에 따라 자본주의 체제에서 존재하는 계급이 생산수단의 소유를 기준으로 부르주아지와 프롤레타리아으로 양분된다고 보았다. 마르크스는 고전경제학이 주장하는 자유가 재산권의 자유만을 의미할 뿐, 노동자에게는 일하지 않으면 굶주릴 자유에 불과하다고 혹평하였으며,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의 《인구론》이 말하는 잉여 인구란 자본주의의 유지를 위해 필수적인 잉여 노동(값싼 노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산업예비군)일 뿐이라 비판하였다. 마르크스 경제학의 고전경제학에 대한 비평은 흔히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은 정부의 보이는 주먹에 의해 유지된다."[12]는 말로 요약된다.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은 마르크스의 주장을 기초로 하는 경제학이다. 화폐, 가치, 독점, 생산관계, 자본주의 단계론 등이 주요 논점이며 루이 알튀세르 등의 학자가 널리 알려져 있다.[13] 베버의 경제학[편집] 막스 베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17년의 막스 베버 사회 과학의 몇몇 분야는 19세기 독일의 사회 이론가 베버로부터 깊은 영향을 받았다. 베버는 생산보다는 시장과 교환이 자본주의의 본질적 요소라고 주장하였다. 베버는 길드에 속한 장인과 도제의 관계나 장원의 영주와 농노의 관계와 같은 노동 체제를 근간으로 하는 자본주의 이전의 경제 체제에 비해, 자본주의가 보다 능률적이고 높은 생산성을 이룰 수 있는 근거로 시장과 교환을 들었다.[14] 베버는 1904년에서 1905년 사이에 집필된 베버의 저서 《개신교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을 통해 자본주의가 전통적인 경제 활동의 양상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 책에서 베버는 전통적인 경제 체제에 대항하여 자본주의적인 교환이 이루어지고 근대 자본주의로 발전할 수 있었던 원인으로 합리성을 추구하는 "정신"을 들었다. 이러한 정신이 사회 전반에 점차 확산되어 법률, 임노동의 자유 등이 확산되고 공공의 영역과 사생활이 명확히 구분되게 되었다(노동자의 삶에서 집과 작업장이 분리됨으로써)는 것이다. 따라서 베버는 마르크스와 달리 자본주의의 형성이 생산 수단의 변화가 아닌 정치적 문화적인 영역에서 새로운 "정신"으로 무장한 기업가의 등장이 주된 원인이라고 주장한다.[15] 베버는 이러한 정신이 개신교, 특히 칼뱅주의와 깊은 연관이 있다고 보았다. 베버에게 자본주의는 인간의 역사상 가장 발달한 경제 체계였으며 이러한 이유로 사회주의에 대해 반대하였다. 또한 베버는 관료제, 주식회사와 같은 현대 사회의 특징이 자본주의의 발전에 의해 갖추어졌다고 평가하였다. 독일 역사학파 및 오스트리아 학파[편집] 역사학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오스트리아 학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루트비히 폰 미제스 독일의 역사학파의 관점에 따르면 자본주의는 본질적으로 시장을 위한 생산 체계이다. 이들의 주장은 여러면에서 베버와 비슷한 측면이 있으나 시장과 화폐에 대한 인식이 다르다.[16] 독일 역사학파는 자본주의의 형성을 본질적으로 화폐와 신용에 대한 제한이 있던 중세의 전통적 경제활동에서 근대 금융 체계로 변화하는 과정이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여러 복잡한 경로를 거치며 일어났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이러한 변화의 원인으로 이윤 추구를 지적한다. 19세기 말, 독일 역사학파로부터 오스트리아 학파가 분리하였다. 이러한 분리는 한계효용이론을 주창한 멩거에 의한 것이었다. 오스트리아 학파는 이후 20세기에 들어 영향력 있는 경제 학파로 자리잡았다.오스트리아 학파의 대표적 이론가인 슘페터는 시장이 지속적으로 변화하면서 일어나는 창조적 파괴를 자본주의의 특징으로 강조하였다. 슘페터는 제반 산업이 성장과 쇠퇴를 겪으면서 경제 규모가 성장함을 지적하면서 변화에 소극적인 산업은 결국 사라지고 적극적인 변화를 시도하는 산업이 성장을 지속할 수 있다고 기술하였다. 오스트리아 학파의 일원인 미제스와 하이에크는 20세기에 대두된 사회주의의 계획 경제를 비판하면서 시장 경제를 옹호하였다. 이들은 시장 경제만이 복잡한 현대 경제를 관리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오스트리아 학파는 세의 법칙, 즉 "공급이 수요를 창출한다"는 이론을 기반으로 공급자 주도의 경제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오스트리아 학파에게 있어 자본주의의 본질은 생산의 결정에 대해 국가의 개입을 배제하는 것이다. 케인즈 경제학[편집] 케인스 학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존 메이너드 케인스 1937년 영국의 경제학자 케인스가 《고용·이자 및 화폐의 일반이론》를 출판하였다. 그는 이 책에서 자본주의가 투자의 감소 국면에 접어들면 심각한 위기를 겪게 되는 것을 지적했다. 케인스는 높은 실업 상태에서도 자본주의 경제가 균형상태를 무한정 지속할 수 없음을 들어 세의 법칙을 반대했다.[17] 그는 대공황과 같은 자본의 쇠퇴 국면에서 사람들은 새로운 상품이나 용역의 구입보다 유동자산을 더 선호하므로 자본의 쇠퇴가 더욱 커지는 악순환을 겪게 된다고 지적하면서 "어느 정도의 투자의 사회화"만이 이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케인스 경제학은 디플레이션과 실업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경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1930년대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대공황의 해결책으로 케인스의 이론을 수용하였다. 케인스 학파는 불경기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세금 감면, 국채의 발행, 경기 연착륙을 위한 지출 등 정부의 적자 지출 정책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정부가 인플레이션을 유발시킴으로써 사람들이 돈을 쓰게 만드는 방법이다.[18] 스라파는 후일 케인스의 이론에 바탕을 둔 네오 케인스 학파를 세웠다. 스라파에게 자본주의는 생산 욕구에 기반한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총체적인 사회 관계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스라파는 자본주의가 보다 높은 이윤을 추구하기에 역동적이나 동시에 그로 인한 사회 경제적 불안요소를 내포한다고 보았다. 신고전경제학과 시카고 학파[편집] 신고전경제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시카고 학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최근의 경제학 이론 가운데 신고전경제학이 미국을 중심으로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이들은 소유권의 유지에 초점을 두고 비교적 중립적인 형태를 보이는 정부 시책과 광범위한 시장 조정을 선호하며, 노동 시장 유연화, 대주주에 의한 기업 지배, 정부 금융보다는 자본 시장에 기반을 둔 자금 운용 등을 제안한다. 신고전경제학의 일파인 시카고 학파는 자유 시장 옹호와 통화주의로 널리 알려져 있다. 프리드먼은 시장은 외부의 간섭이 없다면 고유의 안정성을 유지한다고 보았으며, 불경기는 오로지 정부의 개입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19] 프리드먼은 대공황의 원인이 투자의 감소라는 케인스의 견해에 반대하여 연방준비제도의 통화 공급 감소 정책 때문이라고 보았다. 현재 연방준비제도의 의장인 버냉키는 프리드먼의 이러한 이론에 동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0] 신고전경제학은 오늘날 주류 경제학의 위치에 올랐다.[21] 이들은 노동가치설을 부정하며 사람에 따라, 같은 사람이라도 때에 따라 가치가 달라진다는 가치의 주관성을 주장한다. 한계주의는 이러한 가치의 정도를 한계효용과 한계비용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자본가의 이윤 획득은 현재의 소비량, 위험의 선택, 생산의 조직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다. 신고전경제학의 정치적 실현은 흔히 신자유주의로 불린다.[22] 이들은 오늘날 세계화를 주창하고 있으며 많은 나라에서 강력한 정책결정권을 행사하고 있다. 그러나, 신고전경제학에 대한 비판[23]역시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한미자유무역협정의 협상과정에서 신자유주의와 신고전경제학에 대한 찬반 양론이 격렬하게 벌어지기도 하였다. 역사[편집] 역사상 생산 수단의 사적 소유는 농업의 시작과 함께 제한적으로 존재하여 왔다. 일부 학자들은 중세의 길드를 자본주의적 관계의 맹아로 파악하기도 한다.(일례로 도제를 임금 노동자의 기원으로 파악하는 것) 그러나 중세 사회는 신분제에 의한 제한, 과도한 세금, 지역마다 부과되던 관세, 강제로 부과되는 고율의 이자 등으로 인해 이윤을 창출하기가 쉽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8세기 영국에서 이러한 장애를 극복하고 이윤을 축적한 자본가가 등장하였으며 19세기에는 유럽에서 자본주의가 정착되었다. 일단의 학자들은 9세기에서 12세기에 걸친 칼리파 치하의 이슬람에서 상업 자본주의가 시작되었다고 보기도 한다. 이들은 단일한 화폐(디나르)에 의한 통화 체계의 성립, 활발한 금융 활동과 무역이 이루어진 시장 경제를 근거로 제시한다. 이 시기 이슬람에는 무역회사, 수표, 계약, 장거리 무역, 대기업, 동업, 유한회사와 같은 자본주의적 요소들이 성장해 있었다.[24] 그러나, 현대 자본주의는 16세기 이후 유럽의 경제 체계 변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특히 18세기 중엽 영국의 산업혁명에 힘입은 바가 크다. 중상주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중상주의입니다. 중상주의(重商主義)는 세계 경제와 무역의 총량이 불변이라는 가정 아래 자본의 공급에 의해 국가가 번영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경제 이론이다. 역사적으로는 15세기에서 18세기까지 유럽의 국가들에서 채택되었던 국내 산업의 보호와 해외 식민지 건설 등을 핵심 내용으로 하는 경제 정책들 역시 중상주의 또는 중상주의적 경제체제라 불린다. 중상주의를 경제 체제와는 별개의 것으로 파악하는 일부 학자도 있으나 대부분 중상주의를 초기 자본주의와 동일한 것으로 파악한다. 산업혁명[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산업혁명입니다. 산업 혁명(産業革命, 영어: Industrial Revolution)은 18세기 중엽부터 19세기까지 영국에서 시작된 기술의 혁신과 이로 인해 일어난 사회, 경제 등의 큰 변혁을 일컫는다. 산업 혁명은 후에 전 세계로 확산되어 세계를 크게 바꾸어 놓게 된다. 산업 혁명이란 용어는 아널드 토인비가 《Lectures on the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Eighteenth Century in England》에서 처음으로 사용했다. 19세기 말 20세기 초의 자본주의[편집] 19세기말 자본주의는 산업 자본주의에서 금융 자본주의로 전환한다. 금융 자본주의는 은행과 같은 금융 기관이 시장과 생산에 대한 주도권을 갖는 자본주의의 형태이다. 이러한 금융자본에 의한 기업 지배는 주식회사와 같은 기업형태를 발전시켰다. 대공황[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대공황입니다. 대공황(大恐慌, 영어: the Great Depression, the Great Slump)은 1928년부터 일부 국가에서 일어나기 시작한 공황이 1929년 10월 24일 뉴욕 주식시장의 대폭락에 의한 이른바 검은 목요일에 의하여 촉발되어 세계로 확대된 전 세계적 공황을 의미한다. 이로 인하여 기업들의 도산, 대량 실업, 디플레이션 등이 초래되었다. 개별 국가경제가 밀접히 연결되어 있었고, 자본의 흐름도 자유로웠기 때문에 공황은 세계적 규모로 짧은 시간 내에 확대된 반면, 시장을 통제할 수 있는 규제는 그 당시 아직 발전되어 있지 못하여 피해의 규모는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세계자본주의는 대공황에 의하여 1920년대의 황금기가 종언을 고하였다. 수정자본주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수정자본주의입니다. 대공황 이후 자본주의는 이제 세의 법칙과 같은 공급위주의 경제에 대한 확신을 유지할 수 없었으며 시장에 대한 정부의 개입을 적극 고려하게 되었다. 이 결과 케인스 경제학과 같은 적극적인 정부 주도의 경제를 도입했고, 이를 기존 자본주의와 구분하여 수정자본주의라 한다. 수정자본주의는 일정정도의 사회주의적 계획 경제를 자본주의에 도입하여 시장을 규제함으로써 투자의 유지와 불경기 국면에서의 시장 회복력을 얻고자 하였다. 또한, 수정,혼합자본주의는 무상의료와 무상교육 등 사회보장제도의 확충을 통한 사회 구성원의 인간다운 생활권의 보장을 도모하는 복지국가를 더 나은 국가 형태로 보았다. 신자유주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신자유주의입니다. 1980년대 이후 대처, 레이건 등이 시작한 일련의 경제 정책은 정부의 개입을 최대한 억제하려고 하는 신고전경제학의 입장에 입각한 것이었으며 흔히 신자유주의로 불린다. 이러한 경제 정책은 현재까지 미국, 영국 등을 비롯한 제 나라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기도 했지만 2008년을 기점으로 미국에서 경기 침체가 불어닥쳐 세계적으로 큰 위기를 맞았다. 같이 보기[편집] 공산주의 도시사회주의 수정자본주의 신자유주의 막스 베버 천민 자본주의(독일어: Paria-Kapitalismus, 영어: pariah capitalism) 경제민주화(en:Economic democracy)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 외부 링크[편집] ㅍㅍㅅㅅ - 돈 버는 방법에 대한 흔한 착각 각주[편집] ↑ Screms, John (2004). Understanding Principles of Politics and the State. PageFree Publishing, 234. ↑ 민중국어사전 ↑ Obrinsky, Mark (1983). Profit Theory and Capitalism.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 ↑ 사적 소유권은 개인의 소유권과 법인의 소유권 모두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 〈자본주의〉, 《브리테니카 백과사전》(2006) ↑ Banaji, Jairus (2007). "Islam, the Mediterranean and the rise of capitalism". Journal Historical Materialism 15: 47-74. Brill Publishers ↑ Tucker, Irvin B. (1997). Macroeconomics for Today, 553. ↑ Hunt, E.K. (2002). History of Economic Thought: A Critical Perspective. M.E. Sharpe, 92. ↑ (1991) Blackwell Encyclopedia of Political Thought. Blackwell Publishing, 91. ↑ 박영균, 칼 마르크스, 살림, 2005.05.10, ISBN 89-522-0371-2 ↑ Burnham, Peter (2003). Capitalism: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 관점이 있는 뉴스 - 프레시안 ↑ 김수행, 《현대 마르크스경제학의 쟁점들》,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09.05, ISBN 89-521-0382-3 ↑ Kilcullen, John (1996). MAX WEBER: ON CAPITALISM. Macquarie University. Retrieved on 2008-02-26. ↑ The Spirit of Capitalism. University of Virginia. Retrieved on 2008-02-26. ↑ Burnham, Peter (2003). Capitalism: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 즉, 높은 실업 상태에서는 대중의 구매력이 급감하므로 세의 법칙과는 달리 공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요는 증가하지 않는다 ↑ The Limits of the Mixed Economy by Paul Mattick 1969 ↑ Felderer, Bernhard. Macroeconomics and New Macroeconomics ↑ FRB Speech, Bernanke - On Milton Friedman's ninetieth birthday - November 8, 2002 ↑ Yonary, Yuval P. (1998). The Struggle Over the Soul of Econom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9. ISBN 0-691-03419-2. ↑ 데이비드 하비, 최병두 역, 신자유주의 (간략한 역사) Brief history of neoliberalism , 한울(한울아카데미)| 2007.10.31, ISBN 978-89-460-3826-4 ↑ 신고전경제학에 대한 장하준의 비판 ↑ Banaji, Jairus (2007). "Islam, the Mediterranean and the rise of capitalism". Journal Historical Materialism 15: 47-74. Brill Publishers. vdeh냉전USA  · USSR  · ANZUS  · NATO  · NAM  · SEATO  · WarPac 서방권  · 동구권1940년대 후크발라합 반란 데케므브리아나 얄타 회담 발트 3국 유격전 숲의 형제들 프리뵈 작전 정글 작전 발트 3국 점령 저주받은 병사들 언싱커블 작전 포츠담 회담 고젠코 사건 마스터돔 작전 빌리거 작전 블랙리스트 포티 작전 1946년 이란 위기 그리스 내전 케르키라 해협 사건 터키 해협 위기 Restatement of Policy on Germany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트루먼 독트린 아시아 관계 회의 마셜 플랜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 티토-스탈린 결별 베를린 봉쇄 서구의 배신 철의 장막 동구권 서구권 제2차 국공 내전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알바니아 정부 전복 시도 1950년대 죽의 장막 한국 전쟁 매카시즘 1953년 이란 쿠데타 1953년 동독 폭동 사태 멕시코 더러운 전쟁 브리커 헌법 수정안 1954년 과테말라 쿠데타 베트남 분할 1차 타이완 해협 위기 1955년 제네바 정상 회담 아시아 아프리카 회의 1956년 포즈난 시위 1956년 헝가리 혁명 수에즈 위기 "당신들을 묻어버리겠다!" 글라디오 작전 아랍 냉전 1957년 시리아 위기 1958년 레바논 위기 이라크 7월 혁명 스푸트니크 충격 2차 타이완 해협 위기 쿠바 혁명 부엌 논쟁 중소 분쟁 1960년대 콩고 위기 U-2기 사건 피그스만 침공 1960년 터키 쿠데타 소련-알바니아 결별 베를린 장벽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앙골라 독립 전쟁 기니바사우 독립 전쟁 모잠비크 독립 전쟁 쿠바 미사일 위기 인도-중국 전쟁 사라왁 공산당 반란 이라크 라마단 혁명 1963년 시리아 쿠데타 베트남 전쟁 1964년 브라질 쿠데타 미국의 도미니카 공화국 점령 (1955년~1956년)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 인도네시아 신질서 전이 도미노 이론 ASEAN 선언 라오스 내전 1966년 시리아 쿠데타 아르헨티나 혁명 대한민국 DMZ 충돌 그리스 군사 정권 푸에블로 호 납치 사건 6일 전쟁 소모전 도파르 반란 1968년 시위 68 혁명 문화 대혁명 프라하의 봄 말레이시아 공산당 반란전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이라크 바트당 혁명 구야시 공산주의 중소 국경 분쟁 필리핀 공산주의자 반란 예멘 수정 운동 1970년대 데탕트 핵확산방지조약 검은 9월 1970년 시리아 수정 운동 캄보디아 내전 현실정치 핑퐁 외교 1971년 터키 쿠데타 이집트 수정 운동 베를린 4국 조약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 1972년 닉슨의 중국 방문 1972년 북예멘-남예멘 전쟁 1973년 칠레 쿠데타 욤키푸르 전쟁 카네이션 혁명 전략 무기 제한 협상 로디지아 부시 전쟁 앙골라 내전 모잠비크 내전 오가단 전쟁 에티오피아 내전 레바논 내전 알바니아-중국 결별 제3차 인도차이나 전쟁 베트남-캄보디아 전쟁 중국-베트남 전쟁 이란 혁명 콘도르 작전 더러운 전쟁 대한항공 902편 격추 사건 사우르 혁명 뉴주얼 운동 1972년 헤라트 봉기 라인 강까지 7일 작전 1980년대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1980년 및 1984년 하계 올림픽 보이콧 1980년 터키 쿠데타 그레나다 침공 1986년 흑해 사건 1988년 흑해 충돌 사건 연대자유노조 소련의 반응 콘트라 반군 중앙아메리카 위기 RYAN 작전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에이블 아처 83 전략방위구상 피플 파워 혁명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1989년 톈안먼 사건 베를린 장벽의 붕괴 1989년 혁명 글라스노스트 페레스트로이카 1990년대 1990년 몽골 혁명 예멘의 통일 독일의 통일 알바니아 공산주의 정권 붕괴 유고슬라비아 해체 소련의 붕괴 체코슬로바키아의 해체 동결분쟁 압하지아 문제 양안 문제 한반도 문제 나고르노카라바흐 문제 남오세티야 문제 트란스니스트리아 문제 인도-중국 국경 분쟁 대외 정책 트루먼 독트린 봉쇄 정책 아이젠하워 독트린 도미노 이론 할슈타인 독트린 케네디 독트린 평화적 공존 동방 정책 존슨 독트린 브레즈네프 독트린 닉슨 독트린 울브리히트 독트린 카터 독트린 레이건 독트린 롤백 정책 푸에르토리코 주권 이데올로기 자본주의 시카고 학파 케인스 경제학 통화주의 신고전파 경제학 레이거노믹스 공급경제학 대처주의 공산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레닌주의 카스트로주의 유럽공산주의 게바라주의 호자주의 주체사상 마오쩌둥주의 낙살리즘 스탈린주의 티토주의 호치민사상 트로츠키주의 자유민주주의 사회민주주의 조직 ASEAN CIA 코메콘 EEC KGB NAM SAARC 사파리 클럽 MI6 슈타지 프로파간다 적극적 조치 이즈베스티야 프라우다 자유의 십자군 자유유럽방송 적색공포 타스 미국의 소리 러시아의 소리 경쟁 군비 경쟁 핵 군비 경쟁 우주 경쟁 상호확증파괴 더 보기 벼랑끝전술 NATO-러시아 관계 미국의 소련 스파이 미국의 러시아 스파이 미국-소련 관계 미국-소련 정상 회담 신냉전 분류  · 위키공용 사진  · 연표  · 분쟁 vdeh정치 이념내셔널리즘 반제국주의 민족주의 국가주의 애국주의 국수주의 쇼비니즘 민족중심주의 보수주의 문화보수주의 재정보수주의 녹색보수주의 자유보수주의 국민보수주의 신보수주의 사회보수주의 전통보수주의 자본주의 자유방임주의 수정자본주의 국가자본주의 국가독점자본주의 초자본주의 아나코자본주의 자유주의 고전적 자유주의 개인주의 무정부주의(개인주의적 무정부주의) 사회자유주의 신자유주의 자유지상주의 민주주의 직접 민주제 간접 민주제 자유민주주의 사회민주주의 인민민주주의 기독교 민주주의 사회주의 공상적 사회주의 종교 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 민주사회주의 공산주의 무정부주의(사회적 무정부주의) 혁명적 조합주의 자주관리사회주의 아랍 사회주의 시장사회주의 국가사회주의 공산주의 마르크스주의 레닌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신마르크스주의 트로츠키주의 스탈린주의 마오쩌둥주의 호치민사상 주체사상 권위주의 독재 정치 전제 정치 절대왕정 전체주의 나치즘 파시즘 천황제 파시즘 팔랑헤주의 스탈린주의 마오쩌둥주의 호치민사상 주체사상 이슬람 원리주의 군국주의 환경주의 생태주의 녹색 정치 녹색자유주의 녹색보수주의 개량주의 자유사회주의 수정주의적 마르크스주의 사회민주주의 제3의 길 집단주의 국가주의 지역주의 내셔널리즘 민족주의 공동체주의 협동조합주의 집산주의 통합주의 이슬람주의 이슬람 원리주의 기독교 근본주의 반이슬람주의 힌두 내셔널리즘 정치 스펙트럼혁신 극좌 좌익 사회개량주의 권위주의 좌파 진보주의 급진주의 평등주의 합리주의 자유주의 좌파 중도 중도좌파 중도주의 중도우파 보수 극우 우익 사회보수주의 권위주의 우파 보수주의 점진주의 자유주의 경험주의 자유주의 우파 그 외 제3의 위치 혼합 정치 통치 체제정당제 일당 독재제 일당제 헤게모니 정당제 다당제 일당 우위 정당제 양당제 분절적 다당제 분극적 다당제 무당제 무소속 지배자 군주제 귀족제 신권 정치 공화주의 권력자 과두 정치 능력주의 다두 정치 국가 상태 단일 국가 연방제 국가 연합 국제주의 초국가주의 세계주의 그 외 계몽주의 혼합 경제 현실주의 엘리트이론 포퓰리즘 교조주의 원리주의 페미니즘 다원주의 책임 마키아벨리즘 제자백가 제국주의 봉건주의 정치 사상 vdeh계몽주의주제 무신론 자본주의 시민자유 반계몽주의 비판적 사고 이신론 민주주의 경험론 백과전서파 계몽절대주의 자유시장 하스칼라 인문주의 인권 고전자유주의 자유, 평등, 우애 방법론적 회의 국민주의 자연철학 객관 합리성 합리주의 이성 환원주의 감히 알려고 하라 과학 과학적 방법 사회주의 전칭명제 바이마르 고전주의 국가별덴마크-노르웨이 루드비 홀베르 프랑스 장 르 롱 달랑베르 에티엔 보노 드 콩디약 니콜라 드 콩도르세 후작 드니 디드로 클로드 아드리앵 엘베시위스 폴 앙리 디트리히 돌바크 뷔퐁 백작 조르주루이 르클레르 몽테스키외 프랑수아 케네 장자크 루소 도나시앵 알퐁스 프랑수아 드 사드 볼테르 독일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요한 게오르크 하만 요한 고트프리트 폰 헤르더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야코비 이마누엘 칸트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 모제스 멘델스존 프리드리히 실러 토마스 비첸만 그리스 네오퓌토스 도우카스 테오클리토스 파르마키디스 리가스 페레오스 테오필로스 카일리스 아다만티오스 코라이스 아일랜드 로버트 보일 에드먼드 버크 이탈리아 체자레 베차리아 가에타노 필랑기에리 안토니오 제노베시 피에트로 베리 폴란드 타데우시 크자키 후고 코이와타이 스타니스와프 코나르스키 이그나시 크라시츠키 율리안 우르신 니엠체비츠 스타니스와프 아우구스트 포니아토프스키 예드르제이 시니아데츠키 스타니스와프 스타시츠 유제프 비비츠키 안제이 스타니스와프 자와스키 유제프 안제이 자와스키 포르투갈 제1대 폼발 후작 세바스티앙 주제 디 카르발류 이 멜루 러시아 예카테리나 2세 스페인 카를로스 3세 베니토 헤로니모 페이호 이 몬테네그로 스웨덴 안데르스 쉬데니우스 영국 프랜시스 베이컨 조지프 블랙 제임스 보스웰 애덤 퍼거슨 에드워드 기번 로버트 훅 데이비드 흄 프랜시스 허치슨 새뮤얼 존슨 존 로크 아이작 뉴턴 토머스 레이드 애덤 스미스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미국 벤저민 프랭클린 토머스 제퍼슨 제임스 매디슨 조지 메이슨 토머스 페인  « 이성주의 낭만주의 »  전거 통제 GND: 4029577-1 HDS: 15982 NDL: 0057092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자본주의&oldid=24179091" 분류: 자본주의경제 체제숨은 분류: 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ܐܪܡܝܐمصرىঅসমীয়া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বাংলা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Mìng-dĕ̤ng-ngṳ̄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VõroFøroysktFrançaisFryskGaeilge贛語GàidhligGalegoગુજરાતી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PatoisJawaქართულიKabɩyɛҚазақшаಕನ್ನಡКъарачай-малкъарKurdî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ingua Franca NovaLimburgsLumbaartLingálaລາວLietuviųLatviešuMalagasyBaso Minangkaba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Mirandésမြန်မာဘာသာ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apiamentuPolskiPiemontèisپنجابیپښتو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Саха тылаSicilianuScotsسنڌي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inaray吴语ייִדיש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15: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자본주의(資本主義, 독일어: Kapitalismus, 프랑스어: capitalisme, 영어: capitalism)는 재화의 사적 소유권을 개인이 가지는 자유의지에 반하거나 법률에 의하지 않는 방법으로는 양도 불가능한 사회 구성원의 기본권으로 인정하는 사회 구성체이다. 또는, 사회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 생산 수단을 가진 자본가 및 기업가 계급이 그 이익 추구를 위해 생산 활동을 하도록 보장하는 사회 경제 체제로 정의 하기도 한다. 재화의 사적 소유권에 대한 인정은 곧바로 재화의 매매, 양도, 소비 및 이윤의 처분 등에 대한 결정을 개인에게 일임한다. 인류가 가진 이윤추구를 극대화하여 사회 발전의 동력으로 삼는 자본주의 경제 체계에서는 상품 또는 용역의 가격, 투자, 분배 등이 주로 시장 경제를 통해 이루어진다. 초기 정통적인 자본주의는 시장에만 모든 경제를 맡기는것을 강조하면서 힘의 우위에 있는 자에 의해 지배가 이루어지는 약육강식으로 인하여 정글 자본주의라는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그로 인해 수정자본주의 분파나 케인스주의, 독일어권 국가들의 사회적 시장경제 분파는 정부의 역할을 어느정도 활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현대 자본주의 국가에서는 시장의 자유를 국가가 사회적으로 일부 제한한다. 고대에 이미 일부 자본주의적 특징을 보이는 조직이 존재 하였는데 중세 말에는 상업 자본이 발달 하였으나, 현대 자본주의 경제 체제의 제도들은 대부분 16세기에서부터 19세기까지 영국에서 발달한 것들이다. 서양에서는 봉건 제도의 종식과 함께 자본주의가 지배적인 사회 구성체로 자리 잡았다. 20세기에 이르러 전 세계적인 산업화가 일어났고 자본주의가 세계 전체에서 지배적인 경제 체제로 자리 잡았다. 자본주의는 세계 각지의 정치, 경제, 문화, 사회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수정되고 발전해 왔으며, 사회주의와 혼합 경제를 이루기도 하였다. 20세기에 걸쳐 자본주의는 마르크스주의와 같은 공산주의 국가 경제 체제와 대립했다. 이 과정에서 자본주의의 약점을 가리고 이념적 선동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자본주의 대신 자유를 사용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케인즈는 어느 나라 사람인가? Assistant: 영국
Human: 아래 송해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송해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송해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송해나 출생 1987년 1월 7일(1987-01-07) (32세)대한민국직업 모델 에이전시 에스팀웹사이트 http://www.esteemodels.co.kr/6497[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송해나 - 트위터 송해나 미니홈피 - 싸이월드 송해나 (1987년 1월 7일 ~)는 대한민국의 여자 모델이다. 목차 1 출연 작품 1.1 드라마 1.2 예능 2 뮤직 비디오 3 외부 링크 출연 작품[편집] 드라마[편집] 《연금술사》 (2015년, MBC Every1) - 노경하 역 《안투라지》 (2016년, tvN) 《세가지색 판타지 - 반지의 여왕》 (2017년, MBC) - 모델 역 예능[편집] 2011년 온스타일 《도전! 수퍼모델 코리아 2》 2012년 ~ 2013년 MBC every1 《싱글즈 트렌드 메이커》 - 공현주 와 클라라와 함께 2014년 올'리브 《셰어하우스》 2015년 온스타일 《더 바디쇼 시즌2》(with 고소현) 2016년 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 (게스트) 뮤직 비디오[편집] 2011년 타이거JK - 두두두왑바바루 2012년 틴탑 - To You 2012년 무한도전 - 무한스타일(무한도전 약속한대로 특집 中) 2013년 인피니트H - Special Girl (Feat. Bumkey) 2013년 승리 - 할 말 있어요 2013년 빅스 - 저주인형 2016년 에릭남 - 못참겠어 2016년 씨스타 - One More Day (Feat. Giorgio Moroder) 외부 링크[편집] 송해나 미니홈피 - 싸이월드 송해나 - 트위터 이 글은 한국 사람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송해나&oldid=22879946" 분류: 1987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여자 모델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로컬에는 없지만 위키데이터에는 있는 그림한국 사람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0월 30일 (화) 15:4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송해나(1987년 1월 7일 ~)는 대한민국의 여자 모델이다. 169cm, 46kg이며 남동생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송해나가 뮤직 비디오에 출연한 에릭남의 노래는 무엇인가? Assistant: 못참겠어 Human: 아래 별별_며느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별별 며느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별별 며느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별별 며느리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MBC 방송 기간 2017년 6월 5일 ~ 2017년 11월 14일 방송 시간 매주 월요일, 화요일 밤 8:55 ~ 10:00 방송 분량 1시간 5분 (2회 연속방송) 방송 횟수 100부작 기획 김승모 제작사 아이윌미디어 제작자 김종식, 송재준 연출 이재진 조연출 정상희, 임채림, 박충권 극본 오상희 출연자 함은정, 강경준, 이주연, 차도진 외 음성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자막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HD 방송 여부 U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MBC 별별 며느리 홈페이지 《별별 며느리》는 MBC에서 2017년 6월 5일부터 2017년 11월 14일까지 방송된 월화 특별기획 드라마이다. 당초 일일드라마로 방영하다가 2017년 7월 31일부터 월화드라마로 회당 65분으로 확대 편성하였다. 목차 1 기획 의도 2 방송 시간 3 등장 인물 3.1 주요 인물 3.2 앙숙 자매 친정 3.3 은별 시댁 3.4 금별 시댁 3.5 그 외 인물들 4 결방 5 OST 6 수상 7 외부 링크 기획 의도[편집] 앙숙자매가 원수 집안의 며느리가 되며 벌어지는 이야기와 복수와 응징을 그린 드라마 방송 시간[편집]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방송 분량 MBC TV 2017년 6월 5일 ~ 2017년 7월 28일 매주 평일 밤 8:55 ~ 9:30 35분 2017년 7월 31일 ~ 2017년 11월 14일 매주 월요일, 화요일 밤 8:55 ~ 10:00 65분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함은정 : 황은별 역 (아역 : 조예린) 강경준 : 최한주 역 이주연 : 황금별 역 (아역 : 엄채영) 차도진 : 박민호 역 앙숙 자매 친정[편집] 남명렬 : 황호식 역 김청 : 나명자 역 은별 시댁[편집] 김영옥 : 강해순 역 조경숙 : 신영애 역 김병춘 : 최수찬 역 박희진 : 최순영 역 이창엽 : 최동주 역 금별 시댁[편집] 최정우 : 박상구 역 문희경 : 윤소희 역 남상지 : 박지호 역 그 외 인물들[편집] 장성원 : 장대풍 역 오주은 : 오미자 역 손슬기 : 양수민 역 김재현 : 김태기 역 손건우 : 윤건우 역 김인호 : 오승찬 역 양대혁 : 장현수 역 정아랑 : 김미정 역 최현서 : 백민주 역 안보현 : 서준영 / 제임스 서 역 김영필 : 한장수 역 김정수 : 김박사 역 차영옥 최효상 최윤준 오진하 이채경 : 출판사 사장 역 오승찬 최나무 신재도 최승훈 김가을 김유린 강민서 전서준 정시현 김인철 조수혁 문권호 문보성 서태일 송민형 홍혜령 성현미 석보배 유용범 김미준 김라경 이중렬 김수은 김수홍 노희중 이린 이동혁 김도신 이재순 안희주 권영경 전여진 홍승범 : 홍성우 역 국정숙 홍혜령 김다희 전준우 신동력 강문경 오정원 김희윤 김서정 기연호 황윤걸 노강민 박서진 진태건 오정석 임성표 유필란 김현 여운복 장대웅 정병호 최민금 한동환 윤희원 손영순 이연경 : 윤희 역 금광산 이규섭 서정욱 신희철 정자영 정희나 문기영 김여경 김사훈 정영섭 오난주 권혜진 결방[편집] 2017년 10월 23일 ~ 10월 24일 : MBC 파업으로 인한 결방 OST[편집] 별별 며느리 OST Part 1 : 혜미 - Love Holiday 별별 며느리 OST Part 2 : 신주현 - 그대와 함께 별별 며느리 OST Part 3 : 원셋 - 기분 좋은날 별별 며느리 OST Part 4 : 온리유, 루바토브 : 어떤 날에는 별별 며느리 OST Part 5 : 훈스 - 서투른 고백 별별 며느리 OST Part 6 : 미유 - 너를 잃다 별별 며느리 OST Part 7 : 이츠 - everyday 별별 며느리 OST Part 8 : 모닝커피 - 그대와 함께 있는 일 수상[편집] 2017년 MBC 연기대상 연속극 남자 우수 연기상 강경준 외부 링크[편집] MBC 별별 며느리 홈페이지 문화방송 일일 특별기획 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황금주머니(2016년 11월 14일 ~ 2017년 6월 1일) 별별 며느리(2017년 6월 5일 ~ 2017년 7월 28일) 폐지 문화방송 월화 특별기획 드라마 (9시대) 신설 별별 며느리(2017년 7월 31일 ~ 2017년 11월 14일) 폐지 vdeh 일일 특별기획 드라마2010년대전반 《엄마의 정원》 《압구정 백야》 후반 《딱 너 같은 딸》 《아름다운 당신》 《워킹 맘 육아 대디》 《황금주머니》 《별별 며느리》 아침 | 일일 (일일  · 특별기획) | 월화 | 수목 | 금 | 예능 | 주말 (특별기획  · 연속극) | 시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별별_며느리&oldid=22797547" 분류: 2017년 드라마문화방송 일일 특별기획 드라마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Bahasa Indonesi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15일 (월) 20: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별별 며느리》는 MBC에서 2017년 6월 5일부터 2017년 11월 14일까지 방송된 MBC 일일 특별기획 드라마이다. 당초 일일 드라마로 방송 되었다가 2017년 7월 31일부터 월화 드라마로 회당 65분으로 확대 편성하였다. MBC 일일 특별기획 드라마는 본 작품을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별별 며느리의 방송 채널은 어디일까? Assistant: MBC TV
Human: 아래 로비_윌리엄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로비 윌리엄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로비 윌리엄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로비 윌리엄스Robbie Williams 로비 윌리엄스(2009년)기본 정보본명 로버트 피터 윌리엄스(Robert Peter Williams[1])출생 1974년 2월 13일(1974-02-13) (45세)잉글랜드 스태퍼드셔주 스토크온트렌트직업 음악가, 음악 프로듀서, 배우장르 팝 록, 소프트 록, 댄스 음악, 브릿팝악기 보컬, 기타, 베이스 기타, 신시사이저, 드럼, 피아노, 바이올린, 하모니카, 마림바활동 시기 1990년~현재 배우자 아이다 필드(2010~)레이블 Chrysalis, Virgin, Island, Universal소속 그룹 테이크 댓관련 활동 게리 바로우 등웹사이트 www.robbiewilliams.com 로비 윌리엄스(Robbie Williams, 1974년 2월 13일~)는 영국의 싱어송라이터이다. 그래미상 후보에 오른 적이 있으며, 브릿 어워드를 여러 번 받은 바 있다. 1989년 15세의 나이로 팝 밴드 테이크 댓의 댄서로 들어가 본격적으로 음악 경력을 시작하였으며, 1995년 밴드에서 탈퇴한 뒤로는 솔로 활동을 시작하여 현재까지 성공적인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로비 윌리엄스는 세계적으로 약 5700만 장의 앨범을 팔았으며[출처 필요] 앨범 6개는 영국에서 가장 잘 팔린 앨범 톱 100 명단에 들어, 영국에서 가장 많은 판매량을 보유한 솔로가수 중 하나로 꼽힌다. 2004년 영국음악 명예의 전당에 올랐다. 목차 1 생애 1.1 유년기 1.2 1990~1995: 테이크 댓 1.3 1996~1998 1.4 1999~2001 1.5 2002~2005 1.6 2006~2009 1.7 2010: 테이크 댓의 재결합 2 음반 목록 2.1 정규 2.2 편집 3 각주 생애[원본 편집] 유년기[원본 편집] 스태퍼드셔 주 스토크온트렌트에서 아버지 피터 윌리엄스와 어머니 재닛 슬하에서 태어나, 누이 샐리와 함께 자랐다. 툰스털(Tunstall) 지역의 밀 힐 초등학교(Mill Hill Primary School)와 성 마거릿 워드 로마 가톨릭 학교(St Margaret Ward Roman Catholic School)를 다녔다. 기타와 축구에 재능이 있던 그는 툰스털의 UKDDF라는 댄스 학원을 다니기도 했으며, 포트 베일 FC에서 활약을 한 바도 있다. 1990~1995: 테이크 댓[원본 편집] 다큐멘터리 《Take That: For the Record》에 의하면, 1990년 윌리엄스의 어머니는 새로운 보이 밴드의 멤버를 찾는다는 광고를 읽고 그가 밴드에 들 것을 제의하였다고 한다. 매니저 나이절 마틴스미스(Nigel Martin-Smith)의 입회 하에 면접을 본 날 윌리엄스는 마크 오언을 만나고, 16세의 나이로 테이크 댓의 멤버로 가입한다. 테이크 댓이 한창 인기를 모을 시기에, 윌리엄스는 밴드의 외향적이고 짓궂은 장난꾸러기 이미지로 대중의 이목을 끌었다. 게리 바로우가 작사와 보컬을 주로 맡은 한 편, 윌리엄스는 첫 톱 10 히트곡 〈Could It Be Magic〉과 〈I Found Heaven〉, 〈Everything Changes〉에서 리드 보컬로 활약하였다. 테이크 댓 멤버들에 주어지는 여러 제한과 규칙에 대해 매니저 나이절 마틴스미스와 논쟁이 일어나자, 윌리엄스는 더 많은 술을 마시고 코카인에도 빠졌다. 여러 논쟁 끝에 윌리엄스는 1995년부터 밴드 활동을 그만두었다. 윌리엄스의 22세 생일을 맞은 1996년 2월 13일, 밴드는 해체되고 말았다. 1996~1998[원본 편집] 솔로 가수로 전향한 로비 윌리엄스는 데뷔곡 〈Old Before I Die〉를 발표하였다. 이 곡은 외국의 차트에서까지는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지만, 영국 싱글 차트에서 2위에 올랐다. 1997년 9월, 윌리엄스의 데뷔 앨범 《Life Thru a Lens》가 발표되었다. 윌리엄스는 파리의 엘리제 몽마르뜨르 극장(Élysée Montmartre theatre)에서의 첫 솔로 라이브 연주회와 함께 앨범 활동을 시작하였다. 《Life Thru a Lens》는 영국에서 음반 차트 11위를 차지하였고, 싱글으로는 〈Old Before I Die〉가 싱글 차트 2위, 〈Lazy Days〉가 8위에 올랐다. 그러나 세 번째 싱글 〈South of the Border〉는 14위에 머물러 톱 10 밖으로 밀려나서, 의미있는 영향을 주는 데 실패했다. 자신의 미래에 관한 레코드사의 걱정을 알게 된 후, 윌리엄스는 회심의 네 번째 싱글 〈Angels〉를 내놓는다. 〈Angels〉는 유럽에서만 3백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려, 유럽 뿐 아니라 라틴 아메리카에까지 널리 인기를 얻은 세계적인 히트곡이 되었다. 특히 영국에서는 240만여 장이 팔리고 40주 동안 10위 안에 남아서, 영국 역사상 58번째 베스트 셀링 싱글이 되었다.[출처 필요] 1집의 마지막 다섯 번째 싱글 〈Let Me Entertain You〉 또한 영국 싱글 차트에서 3위에 올라 비교적 성공을 거두었다. 1998년 초, 윌리엄스는 자메이카에서 가이 챔버스(Guy Chambers)와 함께 두 번째 앨범의 가사를 쓰기 시작하였다. 첫 싱글 〈Millennium〉은 제임스 본드 시리즈 중 《두번 산다(You Only Live Twice)》(1967)의 주제가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진 곡으로, 영국에서는 윌리엄스의 첫 1위 싱글이 되었고 유럽의 다른 여러 나라들에서 톱 20 안에 들었다. 1998년 10월 말에 2집 《I've Been Expecting You》가 발매되자, 영국 음반 차트 1위를 차지하였다. 11월에는 2번째 싱글 〈No Regrets〉가 발표되었으며, 영국 싱글 차트에서 4위에 도달하였다. 3번째 싱글 〈Strong〉은 영국에서 4위, 뉴질랜드에서는 9위를 차지하였으며 4번째 싱글 〈She's The One〉은 영국 차트에서 두 번째 1위곡이 되었다. 《I've Been Expecting You》는 영국에서만 3백만 장, 유럽에서만 4백만 장이 팔리는 스매시 히트 앨범이 되었다. 1999~2001[원본 편집] 1999년 윌리엄스는 미국에서 당시 EMI의 지사였던 캐피틀 레코드사와 계약을 맺었다. 2집까지의 흥행과 순회 공연으로 세계적 팝스타 반열에 오른 윌리엄스는, 3번째 앨범을 발표할 준비를 하였다. 첫 싱글 〈Rock DJ〉의 뮤직 비디오에서 나온 스트립 쇼와 자신의 피부를 벗기는 장면이 영국 뿐 아니라 많은 나라들에서 논쟁을 일으켰으나, 뉴질랜드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였고 독일,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는 톱 10에 들어왔다. 또한 MTV 유럽 뮤직 어워드에서 "2000년의 최고 곡" 부문 상을, 브릿 어워드에서 "올해의 최고 싱글"부문 상을,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에서는 "최고 특별 효과"부문 상을 받았다. 2000년 8월에 3집 《Sing When You're Winning》가 발매되었고, 독일, 네덜란드, 뉴질랜드 등지에서 음반 차트 1위를 차지하였다. 앨범의 두 번째 싱글 〈Kids〉는 카일리 미노그와 듀엣으로 부른 작품인데 영국에서는 2위를,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에는 톱 20에 들어왔다. 〈Kids〉는 영국에서만 20만여 장이 팔려, 로비 윌리엄스의 최대 히트곡 중 하나가 되었다. 그밖의 싱글 〈Supreme〉, 〈Better Man〉과 〈Let Love Be Your Energy〉 등은 세계 여러 나라들에서 톱 10에 도달한 히트곡들이 되었다. 한편 앨범에 수록되지 않았던 싱글 〈Eternity〉가 2001년 중순에 따로 발표되었으며, 영국에서 윌리엄스의 4번째 1위 싱글곡이 되어 첫주에 영국에서만 7만장 이상이 팔렸다. 3집의 성공 후, 윌리엄스는 다른 방향의 음악 작업을 원하였다. 윌리엄스는 프랭크 시나트라와 낸시 시나트라의 곡 〈Somethin' Stupid〉를 니콜 키드만과 듀엣으로 불렀고, 이것이 영국에서 그의 5번째 1위 싱글곡이 되었다. 〈Somethin' Stupid〉는 영국에서 첫주에 10만 장 이상이 팔렸고, 벨기에, 스위스, 독일, 네덜란드, 뉴질랜드에서는 톱 5에 도달하였다. 결국 2001년 최대 히트곡들 중의 하나가 되었다. 2001년 후반에, 4집 《Swing When You're Winning》이 발매되었고 영국, 아일랜드, 뉴질랜드 등지에서 곧바로 히트를 기록했다. 2002~2005[원본 편집] 2002년 윌리엄스는 EMI사와 함께 8000만 파운드 레코드 브레이크 계약을 맺었다. 그는 5집 작업을 하느라 거의 한해 내내 로스앤젤레스의 스튜디오에서 시간을 보냈으며, 수많은 곡들이 녹음되었다고 한다. 앨범의 첫 싱글 〈Feel〉은 윌리엄스와 가이 챔버스에 의하여 작사되었고 시청용 음반으로 녹음되었다. 재녹음 과정에서 윌리엄스는 음성 부분에 만족하지 못하여, 시청용 버전을 싱글에 포함할 것을 결정하고 함께 발표하였다. 2002년 후반에 발표된 이 곡은 윌리엄스의 국제적 최대 히트곡이 되었다. 네덜란드와 이탈리아에서는 1위를 차지했을 뿐 아니라, 다른 유럽 나라들에서도 톱 10에 도달하였다. 이내 발매된 5집 《Escapology》는 영국,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스웨덴, 핀란드, 덴마크 등에서는 1위를 차지하였고, 미국 빌보드 앨범 차트에서는 43위로 데뷔했다. 특히 앨범의 두 번째 싱글 〈Come Undone〉은 전 세계에서 톱 10 히트곡이 되었다. 이 곡의 뮤직 비디오에는 젊은이들이 파티에서 벌이는 싸움, 마약 상용, 알콜 남용에 관한 내용들이 담겼다. 세 번째 싱글 〈Something Beautiful〉은 바베이도스에서 작사되어 2003년 중순에 발표되었다. 앨범은 2003년 후반 영국에서 200만 장 가까이 팔렸다. 2004년에는 스티븐 더피(Stephen Duffy)와 함께 6집 제작을 시작하였고, 6집의 첫 싱글 〈Radio〉가 먼저 발매되었다. 이 싱글은 영국에서 41,732장이 팔렸으며[출처 필요] 덴마크에서는 차트 1위, 네덜란드, 이탈리아, 노르웨이 등지에서는 톱 10 히트곡이 되었다. 2주 후에는 로비 윌리엄스의 대표곡들을 모은 음반 《Greatest Hits》가 발매되어, 첫주에만 영국에서 320,000장이 팔렸다. 6집의 두 번째 싱글 〈Misunderstood〉는 영화 《브리짓 존스의 일기 - 열정과 애정(Bridget Jones: The Edge of Reason)》의 주제가로 선정되었고, 그해에 이탈리아와 덴마크에서 톱 10에 들어왔다. 2005년 10월 9일, 6집 《Intensive Care》가 베를린에서 정식 발매되었다. 같은 해 11월에 윌리엄스는 MTV 유럽 뮤직 어워드에서 최고 남성 부문(Best Male) 상을 받았다. 2006~2009[원본 편집] 2006년에는 세계 순회 공연을 시작하였는데, 하루 만에 약 160만 장의 티켓을 팔아 기네스 세계 기록에 오르기도 했다. 2010: 테이크 댓의 재결합[원본 편집] 로비 윌리엄스가 멤버로 있었던 그룹 테이크 댓은 2010년 재결합을 선언하고, 새 앨범 《Beautiful World》를 발표한다. 수록곡 〈Shine〉과 〈Patience〉가 흥행에 성공하면서 테이크 댓은 재기에 성공하였고, 여러 번의 순회 공연을 하는 등 지금까지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음반 목록[원본 편집] 정규[원본 편집] 《Life thru a Lens》 (1997) 《I've Been Expecting You》 (1998) 《Sing When You're Winning》 (2000) 《Swing When You're Winning》 (2001) 《Escapology》 (2002) 《Intensivie Care》 (2005) 《Rudebox》 (2006) 《Reality Killed the Video Star》 (2009) 《Take The Crown》 (2012) 《Swings Both Ways》 (2013) 《The Heavy Entertainment Show》 (2016) 편집[원본 편집] 《The Ego Has Landed》 (1999) 《Greatest Hits》 (2004) 《The Best So Far》 (2006) 《Songbook》 (2009) 《In and Out of Consciousness: Greatest Hits 1990-2010》 (2010) 《Robbie Williams: Classic Album Selection》 (2013) 《Under the Radar Volume 1》 (2014) 각주[원본 편집] ↑ Gibbons, Fiachra (2006년 6월 23일). “The intellectual life of Robbie Williams”. 가디언. 2009년 6월 22일에 확인함.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로비 윌리엄스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7044904 LCCN: nb98018889 ISNI: 0000 0001 0881 3493 GND: 119429888 SELIBR: 266396 SUDOC: 078052289 BNF: cb140016118 (데이터) BIBSYS: 99030942 뮤직브레인즈: db4624cf-0e44-481e-a9dc-2142b833ec2f NKC: js20020325020 BNE: XX1455897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로비_윌리엄스&oldid=23528909" 분류: 1974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잉글랜드의 남자 가수잉글랜드의 팝 가수잉글랜드의 남자 싱어송라이터브릿 어워드 수상자월드 뮤직 어워드 수상자잉글랜드의 축구 구단주와 투자가잉글랜드의 남자 영화 배우아일랜드계 잉글랜드인잉글랜드의 남자 성우미국에 거주한 잉글랜드인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2년 6월출처가 필요한 글/2014년 3월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gauzGàidhlig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Кырык марыBahasa Melayuမြန်မာဘာသာNāhuatl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پښتو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తెలుగు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24일 (목) 12: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로비 윌리엄스(영어: Robert Peter "Robbie" Williams, 1974년 2월 13일 ~ )는 영국의 싱어송라이터이다. 그래미상 후보에 오른 적이 있으며, 브릿 어워드를 여러 번 받은 바 있다. 1989년 15세의 나이로 팝 밴드 테이크 댓의 댄서로 들어가 본격적으로 음악 경력을 시작하였으며, 1995년 밴드에서 탈퇴한 뒤로는 솔로 활동을 시작하여 현재까지 성공적인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로비 윌리엄스는 세계적으로 약 5,700만 장의 앨범을 팔았으며 앨범 6개는 영국에서 가장 잘 팔린 앨범 톱 100 명단에 들어, 영국에서 가장 많은 판매량을 보유한 솔로가수 중 하나로 꼽힌다. 2004년 영국음악 명예의 전당에 올랐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가수 로비 윌리엄스가 2006년 발매한 앨범의 이름은 무엇인가? Assistant: The Best So Far Human: 아래 장건상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장건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건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명상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소해 장건상宵海 張建相 前 대한민국 외무부 특임고문(前 大韓民國 外務部 特任顧問) 임기 1949년 6월 16일 ~ 1949년 12월 17일 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이시영 총리 이범석 장관 임병직 (외무부 장관) 차관 고창일 (외무부 차관) 조정환 (외무부 차관 직무대행 서리) 조정환 (외무부 차관) 신상정보 국적 대한민국 출생일 1882년 12월 19일 출생지 조선 경상도 칠곡 사망일 1974년 5월 14일 (91세) 사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에서 병사 학력 일본 와세다 대학교 정치경제학과 중퇴 미국 인디애나 주립 밸프레이조 대학교 법학과 학사 대한민국 국방대 행정학사 1기(1956년) 경력 前 연희대 초빙교수 겸 고려대 전임강사 前 대한민국 임시정부 외무부 외무위원 前 조선인민공화국 근로인민당 당수 前 대한민국 혁신당 총재 겸 중앙위원장 前 혁신당 총재 겸 중앙위원장 정당 무소속 부모 장운원(부) 친인척 장기상(형) 장승원(족숙) 장길상(족형) 장직상(족제) 장택상(족제) 종교 유교(성리학) 장건상(張建相, 1882년[1] 12월 19일 ~ 1974년 5월 14일)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자 독립운동가, 통일운동가이다. 본관은 인동(仁同). 아명(兒名)은 장명상(張明相)이고 자(字)는 찬성(贊成)이며 아호(雅號)는 소해(宵海). 목차 1 생애 2 학력 3 생애 3.1 생애 초기 3.1.1 출생과 소년기 3.1.2 학창시절 3.2 독립운동 3.2.1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3.2.1.1 유학과 임시정부 수립 참여 3.2.1.2 임정 탈퇴와 국민대표자 대회 3.2.1.3 고려공산당 활동과 사회주의 운동 3.2.2 언론, 교육 활동과 의열단 입단 3.2.3 일제 강점기 후반 3.2.3.1 탈출과 민족혁명당 입당 3.2.3.2 임시정부에 재입각 3.2.4 광복 직전 3.3 광복과 귀국 3.3.1 미군정기의 정치활동 3.3.2 남북 협상 참여 3.3.3 단독 정부 승인 3.4 정치 활동 3.4.1 정부 수립 이후 3.4.2 진보정당 건설 3.5 만년 3.6 사후 4 평가 5 가족 관계 6 기타 7 함께 보기 8 역대 선거 결과 9 각주 10 참고 서적 11 참고 자료 생애[편집] 일본과 미국 유학 후 1916년 신규식의 요청으로 상하이에 건너가 동제사에 참여한 뒤 상하이 임시정부 발족에 참여하여 외무부 차장을 지냈다. 그러나 뒤에 임정을 탈퇴, 1920년 말 베이징으로 건너가 국민대표자대회, 고려공산당 등에 참여하고, 임정의 노선에 비판적인 인사들과 함께 군사통일회의를 조직했다. 1922년 1월 소련 모스크바에서 열린 극동피압박민족대회에 참석하고 돌아와 12월 고려공산당 성립을 위한 꼬르뷰로 임원에 피선되었다. 1923년 베이징으로 돌아와 김성숙 등과 함께 창일당(創一黨)을 조직였다. 이후 잡지 《혁명》 지의 발간과 편집원으로 활동하다 1926년 10월 한국유일독립당촉성회 집행위원이 되었다. 1937년 상하이에서 영사관 경찰에 체포된 뒤 송환, 일제로부터 김원봉을 유인할 목적으로 중국에 파견되었다가 탈출하여 중국으로 건너갔다가 민족혁명당에 가담했고 1940년 임시정부에 재 입각, 임정 국무위원, 학무부장 등을 역임하였다. 해방 후 1946년 임정을 탈퇴, 근로인민당 부위원장과 민족주의 민주전선 등에서 활동하다가 1947년 여운형이 죽자 근로인민당을 이끌었으며 1948년 남북협상에 참여하였다. 남북협상 기간 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의 일방적 협상결정에 반발하여 감금당했다가 홍명희·김두봉 등과의 인연으로 풀려났다. 남북협상의 실패 이후 단독정부에는 불참하였으나, 반대하지는 않았다. 1948년 7월 대한민국 정부 조각 이후 대통령 이승만(李承晩)으로부터 내각 입각 제의를 받았으나 거절하고, 이후 야당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그러나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불가피성을 인정하고 정치인으로 활동하였으나, 한민당 계열로부터 번번히 사상논쟁 시비에 휘말렸다. 한국민주당원을 극도로 미워했던 그는 한때 원내 자유당에 입당하기도 했다. 1954년 호헌동지회에는 참여했으나 민주당 창당에는 불참했다. 1957년 11월 박정호 사건에 연루되어 수감되었으나 무죄로 석방, 1958년 진보당 사건에 연루되어 입건되었다가 풀려났고 1961년 5·16 군사 정변 이후 사상범으로 투옥되었으나 박정희의 특별 배려로 석방되었다. 사후 1986년 건국공로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처음 이름은 장명상(張明相), 자(字)는 찬성(贊成), 아호는 소해(宵海), 본관은 인동(仁同).[2] 이다. 경상북도 칠곡 출신. 학력[편집] 일본 와세다 대학교 정치경제학과 중퇴 미국 인디애나 주립 발프레이조 대학교 법학과 학사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1기(1956년) 생애[편집] 생애 초기[편집] 출생과 소년기[편집] 1882년 12월 19일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인동 장씨 참봉 장운원(張雲遠)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처음 이름은 장명상(張明相)이고 호는 소해이다. 1883년 집안이 부산으로 이주하면서 그도 부산 좌천동(佐川洞)으로 이사하고 좌천재(佐川齋)라는 서당에서 한문을 익혔다. 얼마후에는 신학문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던 서당 육영재(育英齋)로 공부하면서 신학문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1903년 서울에서 한성순보(漢城旬報) 주필로 있던 장지연(張志淵)의 주선으로 공립영어학교에 입학하여 1년간 수학하였다. 그러나 기대와는 달리 신학문보다 한문에 치중하였다. 한편 한성에서 그는 선교사 게일 (James Gale, 한국명 奇一)을 만났고 그로부터 영어를 배우게 되었다. 1888년 한국에 건너와 활발하게 선교활동을 벌이고 있던 선교사 게일과의 이같은 인연은 후일 그가 미국 유학을 가게 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주었다. 학창시절[편집] 러일전쟁 직후 일본에 건너가 1905년 일본 와세다 대학교 정치경제학과에 입학하였다.[3] 와세다 대학 정치경제학과에서 수학하다가[2] 일본 당국의 민족차별정책에 반발하여 1년만에 일본 와세다 대학교 법학과를 자퇴하였다. 그는 일본에 망명해 있던 박영효(朴泳孝)를 찾아갔고, 그의 주선으로 주일본미국 공사관 무관 이스트레이크의 집에서 숙식하며 류동렬(柳東說) 등 유학생 50명과 함께 기초적인 군사훈련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학생 수가 약 100명으로 늘어나고 체제가 정비되어가는 것을 지켜보던 일본 당국은 압력을 가해 이 학교를 폐교시켰다. 선생은 이 사건을 계기로 적국에서의 유학의 한계를 통감하고 1907년 귀국하였다. 1908년 선교사 게일의 도움으로 200원의 여비와 게일 선교사의 미국대학 추천장만 지니고 출국했다. 이후 그는 연해주, 시베리아, 유럽 등을 돌아다녔다.[3] 당시는 한국의 외교권이 박탈된 상태이므로 통감부의 주선을 통한 정상적인 출국은 전혀 기대할 수 없었고, 그는 연해주와 시베리아, 유럽을 거쳐서 미국에 도착하였다. 1908년 3월 청진(淸津)에서 상선을 타고 블라디보스토크로 건너가 그곳에서 한인 거류민단장 정순만(鄭純萬), 유학자이자 항일의병장이었던 류인석(柳麟錫) 등을 만나고 페테스부르크를 거쳐 모스크바에 도착했다. 모스크바에서 그는 이범진(李範晋), 이위종(李韋鍾) 부자를 만났다. 그 후 독일, 프랑스, 영국을 거쳐 마침내 6월 미국 뉴욕에 도착하였다. 그러나 미국에 도착한 후, 여권을 소지하지 못했기 때문에 미국 이민관리국 유치장에 수감되었다. 그러나 헤이그 평화회의에 참석하고 귀국하는 도중 잠시 미국 뉴욕에 도착한 이상설(李相卨)의 신원보증으로 특별히 석방되었다. 그는 즉시 미국의 중부지역인 인디애나주로 가서 게일 목사의 추천장에 힘입어 기독교계통의 학교인 인디애나주 발프레이조(Valparaiso) 대학교 법학과에 입학하였다. 1912년 졸업 후 미국에서 흥사단(興士團)을 조직하고 활동하고 있던 안창호(安昌浩)는 여러번 그를 찾아와 활동하자는 제의를 하였다. 그러나 중국으로 건너갈 결심을 한 그는 안창호의 제의를 거절하였다. 중국 상해로 건너가 동제사에 가담하여 독립운동에 첫발을 디뎠다. 독립운동[편집]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편집] 유학과 임시정부 수립 참여[편집] 1916년 미국 인디애나 주립대학교 법과를 졸업했다. 1916년 상해(上海)의 신규식(申圭植)으로부터 함께 일할 것을 희망한다는 연락을 받고 중국으로 건너가 상하이의 동제사(同濟社)에 가입하였다. 이후 박달학원(博達學院)을 설립하는데 참여하여 교육을 지원하였고, 동제사를 확대 개편시킨 신아동제사(新亞同濟社)를 결성하는데 참여하였다. 동제사의 회원으로서 1917년 만주(滿洲) 안동현(安東縣)에 파견되어 영국상선(이륭양행 소속) 안동지사장 죠지 쇼우(George L. Show)와 친교를 맺으면서 국내로부터 오는 망명객의 길 안내역을 수행했다. 이때 길 안내를 해준 인물 가운데는 이후 독립운동에서 거목이 되는 김두봉(金枓奉), 김원봉(金元鳳)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김원봉과는 오랫동안 친분관계를 쌓으면서 의열단과 민족혁명당 창설에 도움을 주기도 했다. 독립운동가들의 망명길 안내로 동분서주하다가 1919년 3월 3·1 운동에 참여하였으며 3.1운동 직후 중국으로 출국하였다.[2] 이후 김두봉을 만나 그와 함께 영국선박을 이용하여 상해로 갔다.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수립을 위한 지원단체인 한인거류민단의 국민대회 준비위원에 선출, 김규식(金奎植), 여운형, 이시영(李始榮) 등과 함께 임시정부를 수립하기 위한 준비작업에 착수하였다. 1919년 4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설립되자 임정 외무부(外務部) 외무위원으로 선출되었고[2] 다. 외무부 총장으로 선출된 김규식은 파리강화회의 참석차 공석중이었으므로 선생은 외무부 차장 여운형을 도와 임정의 외교활동을 수행했으며 여운형의 후임으로 임정 외무부 차장에 선임되었다. 1919년 7월 1일 회원 170여 명과 함께 대한적십자회(大韓赤十字會)를 부활시키고, 이광수(李光洙) 등과 함께 대한적십자사 상의원(常議員)으로 선임되어 활동하였다. 1920년 겨울 무렵 평소 무장투쟁노선을 지향하여 일제의 의해 무단파(武斷派) 내지 과격파(過激派)로 불리던 선생도 임정의 활동에 회의를 느끼고 임정을 탈퇴, 상하이를 떠나 베이징으로 가서 의열단 및 고려공산당(高麗共産黨), 국민대표회의(國民代表會議) 활동에 참여하였다. 임정 탈퇴와 국민대표자 대회[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국민대표자대회입니다. 1921년 소련 이루크츠크에서 고려공산당(高麗共山黨)에 가입 활동하였다. 1922년 극동인민대표자대회에 여운형·김규식이 파견되었을 때 한국대표단의 한 사람으로 참석하였다.[3][4] 그는 의열단의 제1차 암살파괴계획 당시 이륭양행 안동지사장 쇼오에게 의뢰하여 거사용 폭탄이 국내로 들어갈 수 있도록 연락, 주선하였다. 1922년 3월 의열단의 일본 육군대장 다나카(田中義一) 사살 기도 사건에 대해 임시정부가 그 사건이 임시정부와 하등 관계가 없으므로 그들의 행동에 절대 책임을 질 수 없다는 공식성명을 발표하자 의열단은 임정과의 관계를 철회하고 대신 고려공산당과의 제휴를 통해 자금을 지원받고자 하였다. 이때 그는 임시정부와의 관계를 끊고, 고려공산당과 의열단 사이를 오가며 고려공산당과 의열단이 합작하는데 중재, 협상 역할을 수행하였다. 러시아 볼세비키당 산하의 이르크츠크 공산당 한인지부 간부인 조훈(趙勳)의 권유로 1921년 5월 이르크츠크에서 열린 고려공산당 창립대회에 참석하였다. 여기서 선생은 동당의 중앙위원 겸 7인 정치부의 한 사람으로 선출되고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공산당회의에 왕삼덕(王三德), 안병찬(安秉瓚) 등과 함께 한국인 대표단의 한사람로 참석하여 모스크바로 건너갔다. 모스크바에서 소련공산당 레닌을 면담하고 독립운동 지원자금 지원을 약속받았다. 21년 9월에 이르크츠크 재로한인공산자대회(在露韓人共産者大會)에 참가하였으며, 그곳에서 보리스 슈미야츠키를 만났고, 이르크츠크회의에서 의장단으로 사회를 맡았다. 고려공산당 활동과 사회주의 운동[편집] 1922년에는 북경에서 의사개업을 했던 한진산(韓震山)과 손잡고 이르크츠크파 고려공산당의 대외업무를 수행하였다. 같은해 1월 22일에는 모스크바에서 열리는 극동피압박인민대회(極東被壓迫人民大會)의 참가대표 52인 중 1인으로 선발되어 참석하였다. 같은해 12월에는 꼬르뷰로의 임원에 피선되었다. 그러나 다시 블라디보스톡으로 가지 않음으로써 고려공산당에는 더 이상 직접 관여하지 않았다. 1922년 이승만·정한경이 미국정부에 대해 우리나라를 위임통치해 달라는 청원서를 제출한 것이 알려지자 이를 동지와 같이 크게 성토하였다. 1923년 1월부터 6월까지 상해에서 각지의 독립운동단체 대표 140여 명이 모여 독립운동사상 최대 규모의 회의였던 국민대표회의가 개최되자 상하이에 도착, 서부 시베리아대표의 자격으로 국민대표자대회에 참석하였다. 22년 6월 베이징에서 상하이 임시정부를 불신임하던 일부 무단파 및 김규식, 원세훈(元世勳), 신숙 등 창조파 세력이 모여 국호를 '한'(韓)으로 하는 ‘국민위원회(國民委員會)’라는 독자적인 정부를 조직하는데 참여, 그는 외무총장으로 선임되었다. 이 정부는 상하이 임시정부의 경고와는 별개로 소련의 후원을 기대하면서 같은해 8월 블라디보스톡으로 갔으나 레닌의 사망, 일로협상(日露協商)으로 한국독립운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처지가 못되었던 소련정부의 추방조치로 저절로 와해되었다. 1923년 겨울부터 선생은 북경에서 김성숙(金星淑), 장지락(張志樂) 등과 함께 창일당(創一黨) 창당에 가담하고 잡지 《혁명》(革命)을 간행하였다. 잡지 《혁명》은 격월로 발간되었고 1926년까지 3년간 계속되었다. 1926년부터 민족유일당 운동에 가담, 1926년 10월 한국유일독립당촉성회 집행위원이 되었다. 언론, 교육 활동과 의열단 입단[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의열단입니다. 이 부분의 본문은 고려공산당입니다. 1926년 중국 독립기념일인 쌍십절(雙十節) 기념행사에 베이징대학의 초청으로 강사로 초빙되었다. 그러나 강연내용이 문제가 되어 “중국 인민을 선동하여 국권을 혼란시켰다”는 이유로 중국 경찰에게 체포되었다. 그러나 반일 성향이었던 중국 언론의 변호로 일본 경찰에 넘겨지지 않고 중국정부 재판에서 2년형을 선고받고 수감되었다가, 1927년 가을에 출옥하였다. 김규식, 조선민족혁명당의 당수였다. 1927년 10월 28일 민족유일당 운동에 따라 한국유일독립당촉성회(韓國唯一獨立黨促成會)가 창립될때 참여하였다. 유일독립당촉성회는 임정 대표와 좌파 대표를 선발했고 그는 좌파 대표로 참석하였는데, 유일당촉성회는 각지에 집행위원들을 파견하였다. 이때 그는 촉성회의 7인 집행위원 중 1인으로 선임되었으며 대표 조성환(曺成煥)의 요청으로 중국 남부지방에 파견되어 유일당결성의 필요성을 호소하였다. 그러나 유일당운동은 중국의 국공합작이 붕괴되고, 또 좌우파 세력들간의 견해 차이가 노정되면서 좌절되었다. 이후 김성숙(金星淑) 등과 항일 잡지인 ≪혁명≫지 발행에 참여하였다.[3] 3년간 ≪혁명≫지 발행에 활동하던 중, 일제의 사주를 받은 중국 경찰에 붙잡혔다가 북경신문의 변호로 석방되었다. 상해에서 의열단(義烈團)에 가담하여 의열단 고문으로 활동, 김창숙(金昌淑)과 독립운동 자금관계를 의논한 뒤 상해(上海)로 돌아와 김원봉(金元鳳)과 만나 폭탄을 만들어 국내에 반입하는 일을 지휘했다. 일본인 살상 폭탄제조를 지휘하였으며, 국내로 폭탄을 보급, 들여보내[4] 는 과정에서 일본 밀정의 추적을 받는다. 1930년 일시적으로 베이징 화북대학(華北大學) 영어교수로 근무했다. 1935년 7월 난징에서 김규식·김원봉 등과 함께 조선민족혁명당 창당에 참여하여 당원으로 가담하였다. 일제 강점기 후반[편집] 약산 김원봉 탈출과 민족혁명당 입당[편집] 조선의용군 조선민족혁명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37년 4월 17일 그는 상해에서 민족혁명당원으로 활동하던 중 일본영사관 형사에게 피체되어 일본영사관에 6개월간 감금되었다. 일제에 체포되어 상해주재 일본영사관에서 모진 고문을 받았으나 끝내 굴복하지 않아 국내로 압송되었다.[4] 그 후 결국 국내로 압송되어 1년 동안 국내 각 경찰서로 끌려다니며 모진 고문을 받았다. 부산형무소 수감 중 증거가 없어 무혐의로 기소유예 처분을 받고 풀려났다.[4] 일제가 더 이상 기소할 법적 근거를 찾지 못하자 선생은 증거불충분으로 기소유예 석방되어 가택연금 상태에서 휴양하면서 국외로 탈출할 기회를 기다렸다. 장건상을 감시하고 있던 형사가 김원봉을 체포하기 위해 도움을 요청하자 장건상은 수락하는 척 하며 그 기회를 역이용하여 1942년 국내를 탈출하여 중국에서 일본 경찰을 따돌린 뒤 김원봉에게 일제가 자신을 이용해 체포하려 한다는 것을 연락한 뒤, 만주, 상해, 홍콩을 경유하여 쓰촨 성 중경(重慶)에 도착할 수 있었다. 이 기간 중 그는 김원봉과 교신했고 김원봉은 사람을 보내 그의 중경까지 인도했다. 이후 그는 김원봉, 김규식 등과 함께 민족유일당 운동에 참여하였다. 1939년부터는 임정 입각 문제를 놓고 민혁당 내에서도 찬성파와 반대파 간 갈등이 벌어졌다. 당수인 김규식은 묵묵부답이었고, 민족혁명당이 임정에 입각하는 문제를 놓고 갈등할 때, 그는 김성숙 등과 함께 임정 입각을 지지하는 입장을 취하였다. 임시정부에 재입각[편집] 충칭 임시정부 청사.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국 광복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41년 임시정부 임시 의정원 의원에 선출되었고, 임시정부 외교연구위원이 되었다. 1942년 10월 임시정부에 입각하여 제35차 임정 국무회의에서 외교연구위원, 국무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43년 4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 겸 학무부장(學務部長)에 선임되었다. 1943년 8월 인도주둔 영국군과의 군사합작으로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 인면전구공작대(印緬戰區工作隊)가 파견되어 대적활동에서 눈부신 성과를 거두었다. 이어 같은해 10월 조선민족혁명당에서 인도에 공작대원을 추가로 파견하기 위하여 중국 당국에 여권을 신청할 때 그도 여권신청을 하였으나, 중국국민당(中國國民黨)의 불허로 성사되지 못하였다. 다른 젊은 당원들과 함께 열악한 조건하의 인도·버마전선으로 가서 항일전에 참전할 계획으로 여권 신청을 했고, 추가 파견 명단에 포함되어 있었다. 1944년 4월 임정 국무위원에 재선되었다. 1944년 4월 제36회 임시의정원(臨時議政院) 회의에서 제4차 개헌이 단행되어 약 20명의 국무위원들이 선출되었는데, 이때 그는 민족혁명당 소속으로 국무위원 겸 무임소장관에 선임되었다. 우리들은 각 혁명단체, 각 무장대오, 전체 전사 급 국내외 동포로 더불어 전민족적 통일전선을 더욱 공고 확대하면서 일본제국주의자에 대한 전면적 무장투쟁을 적극 전개하기 위하여 최대의 노력을 경주한다. 전체 전사, 전체 동포 제군! 일체의 준비와 행동은 다 이 반일투쟁의 조직 발동을 중심으로 하기 바란다.-1944년 임정 국무위원 취임사에서 이후 중국 관내 무정부주의자와 온건파 사회주의자들과 만나 이들을 상대로 임정에 참여해줄 것을 설득하기도 했다. 광복 직전[편집] 광복 직전 무렵의 장건상 조선독립동맹의 수령 김두봉 1945년 4월 그는 임시정부 각주 김구(金九)의 밀명을 받고 화북 지역에 주둔중인 조선독립동맹(朝鮮獨立同盟)과의 합동전선 구축을 위한 대표자로 선출되어 조선독립동맹이 주둔하던 연안(延安)에 파견되었다. 중경을 출발하여 광복군 제2지대 본부가 있던 서안(西安)까지 기차로 가 그곳의 광복군 제2지대장 이범석(李範奭)을 만나 연안까지 갈 길을 의논하였다. 서안을 출발하여 도보로 3일만에 연안에 도착했다. 경남 동래군 출신으로 전부터 알고 지내던 독립동맹 위원장 김두봉, 동맹 지도자 무정, 최창익 등과 면담, 김두봉 등에게 모든 해외의 독립운동세력이 대표자를 선정, 중경에 모여 연합전선 구축에 관해 협의할 것을 제의했다. 김두봉도 이에 찬성, 중경으로 떠날 것을 약속하는 등 조선독립동맹측 요인들과 좌우합작에 대한 합의점을 도출하게 되었다. 그러나 면담 과정에서 같은 결론에 도출한 것만 확인하고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그러나 장건상의 방문 이후 조선독립동맹은 임시정부의 종주권을 일부 인정하는 태도를 보여, 각 행사시에 스탈린, 마오쩌둥, 저우언라이 외에 김구의 초상화를 걸고 행사를 진행하였다. 1945년 8월 15일 히로시마 원폭 투척이후, 일제의 무조건항복으로 화북의 연안에서 뉴스로 접하였다. 조선독립동맹은 그에게 바로 만주를 거쳐 환국하자고 제의하였으나 그는 독립동맹 측의 제의를 뿌리치고 다시 중경 임정으로 돌아왔다. 광복과 귀국[편집] 미군정기의 정치활동[편집] 1945년 12월 3일. 임시정부요인 귀국기념 사진.첫 번째 줄 왼쪽 끝에 서 있는 이가 장건상 해방후 장건상은 야당 정치인으로 활동하였다. 광복이 되자 귀국순서를 결정할 때 1945년 12월 3일 임시정부 환국 제2진의 한 사람으로 귀국하여 전북 군산비행장에 도착했다. 환국후 장건상은 가장 먼저 여운형(呂運亨)을 찾아갔고 이어 박헌영을 방문하였다. 이후 여운형의 노선을 지지하고 그가 조직한 조선인민당(朝鮮人民黨) 부당수를 역임하였다. 미군정에서는 그에게 입각제의를 하였으나 그는 미군정의 입각 제의를 거절했다. 1947년 초의 여운형 1946년 2월 김구, 이승만 등이 주도한 비상정치회의주비회에 참여하였으나 우경화되자 2월 14일 김성숙, 김원봉, 성주식(成周寔) 등과 함께 임정 국무위원직을 사퇴하였다. 2월 15일 민족주의민주전선에 가담하였다. 임정을 떠난 장건상은 1946년 2월 15일 민족주의민족전선에 참여하였다.[5] 민족주의민주전선 활동에 열정적으로 활동하였으며, 민족주의 민주전선의 전국 순회강연단의 일원으로 자청하여 경상남도, 경상북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일원을 순회하면서 강연활동을 하였다. 한편 장건상은 온건 노선을 취하여, 해방 정국의 좌파 정치인 중 테러나 폭력에 시달리지 않는 몇안되는 정치인이기도 했다. 1946년 8월초부터 조선인민당, 남조선신민당, 조선공산당의 3당이 통합하여 남조선로동당(南朝鮮勞動黨)을 결성하자 그는 남로당에 가담했다가 뒤에 여운형 등을 따라 남로당을 탈당, 여운형을 중심으로 사회노동당(社會勞動黨)이 창당되자 입당하고, 사회노동당의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남로당의 와해공작으로 사회노동당도 해체되었다. 그는 다시 여운형을 따라 1947년 5월 24일 근로인민당에 입당하였다. 5월 24일 여운형이 주도한 조선인민당 부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1947년 7월 여운형이 서울에서 암살된 이후 그는 근로인민당을 이끌었으며 1948년 4월의 남북협상에 참가하였다. 한편 그는 김구와 김규식을 찾아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북행길은 자제할 것을 촉구하기도 했으나, 김구와 김규식은 자의반 타의반으로 방북하게 되었다. 남북 협상 참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전조선 제정당 사회단체 연석회의입니다. 1948년 2월 북한 측에서 전조선 제정당 사회단체 연석회의를 제의하자 좌우합작파와 좌파를 중심으로 합작 참여론이 대두되었다. 그는 남북협상에 참여하겠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삼청장을 찾아가 김규식에게는 북행하지 말라고 권고하였다. 온건파와 중도파의 리더인 김규식마저 북한에 올라갔다가 협상이 실패하기라도 한다면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며 올라가지 말라고 만류했던 것이다. 송남헌에 의하면 장건상과 원세훈 등은 우사 김규식이 남북협상에 참가할때, 김규식의 직접 참여가 장차 정치계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김규식의 북행을 만류했다고 한다.[6] 그러나 김규식은 그들과 함께 북행하게 되었다. 1948년 4월 도보로 3.8선을 넘어 입북, 평양의 남북지도자연석회의에 참가하였다. 평양에 도착했을 때 김규식이 나타난 것을 보고 그는 놀랐다고 한다. 남북 협상 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에서 일방적으로 회의 의사를 진행하자 그는 반발하였고, 민주적인 의사 결정에 따르자는 박헌영에게 그 민주적인 의사가 뭐냐며 항의하였다. 우리 겨레는 공산주의를 갖고는 살 수 없다. 우리가 근로인민당 운동을 하는 것은 공산사회를 만들려는 것이 아니라 평등의 이념으로 평화롭게 살려는 데 있다.[7] 남북협상 중 '우리 겨레는 공산주의를 갖고는 살 수 없다. 우리가 근로인민당 운동을 하는 것은 공산사회를 만들려는 것이 아니라 평등의 이념으로 평화롭게 살려는 데 있다'는 발언을 한 것이 문제가 되어 한동안 북한으로부터 연금되기도 하였다.[7] 장건상은 김구, 김규식이 떠난 지 보름 뒤에 서울로 돌아올 수 있었다. 이도 그와 친분이 있던 북로당 위원장 홍명희·김두봉 덕택이었다고 한다.[7] 한편 남북협상에 참여했던 정치인들의 남한 단독정부 수립 반대와 불참가론에서 한발짝 후퇴, 정부수립에는 불참가하나 불반대한다로 노선을 변경하였다. 단독 정부 승인[편집] 홍명희가 월남하지 않아 근로인민당을 떠맡게 되었다. 이후 5.10 총선거에 참가하지는 않으나 반대하지는 않는다고 선언하였다. 그러나 근로인민당의 당세는 약화되었고 1949년 정당등록취소 처분을 받게 되었다. 정치 활동[편집] 정부 수립 이후[편집] 1948년 중화민국 국적을 포기하고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하였다. 1948년 7월 대한민국 정부수립후 이승만의 초대내각 구성때 초대 대통령 이승만으로부터 입각 제의를 요청받았으나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으로 세운 정부는 남북분단의 우려가 있다고 하며 입각요청을 거절하였다.[2] 1950년 5월 10일 제2대 국회의원 총선거(부산 을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선거 기간 중 공산당원으로 몰려 경찰서 유치장에 수감된 상태에서 전국 제2위 득표자로 (득표수: 26,720표) 당선되었다.[8] 2대 민의원 선거에서 임시의장으로 사회를 주관하였다가, 빨갱이 라는 비판과 친일파 라는 비판을 양쪽으로부터 들어야 했다.[9] 일부 의원들은 빨갱이에게 사회를 맡길 수 없다며 강하게 비판하였고, 장건상은 국회의 평화를 위해 스스로 의장직을 사퇴하였다.[9] 곽상훈과 서범석으로부터 심한 비판을 받았는데, 장건상은 같은 경상도 출신인데도 자신에게 심하게 굴었다고 회고하였다.[10] 서범석은 그를 '왜놈의 스파이'라며 질타하였다. 중국에서 잡혀 있다가 부산에 와 있다가 다시 중국으로 건너가기 위해 일본 경찰과 교섭하였는데, 그 중 한 경찰관으로부터 김원봉을 홍콩으로 유인해 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그 경찰관은 서범석의 일족이었다.[10] 부산에서 무소속으로 출마 경찰의 갖은 방해에도 전국에서 네 번째로 많은 득표로 대한민국 최초로 옥중 당선자가 되었다. 1950년 6월 25일 전쟁이 터지자 90여 일간 은신하여 북한 인민군에 피납되는 것을 모면하였다. 북한 인민군을 피해 남하하였으나 동료 의원들로부터는 공산주의자, 빨갱이라는 모욕적인 말을 듣기도 했다. 곽상훈 등은 그를 드러내놓고 기피하기도 하였다. 그 뒤 장건상은 1951년 원내 자유당이 창당되자, 원내 자유당에 가담하여 활동하였다. 1952년 각파 연합에서 의원내각제 개헌을 추진할 때 김동성, 오위영 등 다른 원내자유당원 48명, 민국당의 신익희, 소선규, 지청천 등 39명, 민우회의 윤길중, 권중돈, 김의준 등 21명, 무소속의 곽상훈, 박순천, 서민호 등 15명과 함께 내각제 개헌에 찬성표를 던졌다.[11] 진보정당 건설[편집] 조봉암, 장건상은 그의 신당 창당 운동에 동참하였으나 실패를 예상하고 탈퇴한다. 호헌동지회, 진보당 사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원내 진출 이후에도 한민당 출신 의원들로부터 노골적으로 빨갱이, 빨갱이 동조자 라는 비판과 모욕을 당하던 그는 한민당계열을 심히 미워하였다. 그러나 예외로 장택상과 윤치영 등 이승만의 측근들과는 만나기도 하고, 연락을 주고받기도 한다. 1954년 원내 자유당을 탈당하였고 호헌동지회에 가담하였다. 호헌동지회에 가담하였으나 조봉암이 구 한민당 계열로부터 배척당하면서 민주당 조직에 가담하지 않고 독자적인 진보정당 건설 운동에 참여하였다. 1956년 조봉암 등과 진보당결성추진위원회 조직책으로 활동하였다.[3] 그러나 조봉암의 단독 정부 수립 참여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던 그는 조봉암과 이견이 생겨 진보당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정권의 감시와 탄압을 받게 되었다. 만년[편집] 1957년 11월 박정호 사건에 연루되어 수감되었으나 무죄로 석방되었다. 1958년 진보당 사건에 연루되어 입건되었으나 혐의가 없어 풀려났다. 1960년 4·19 혁명으로 이승만정권이 무너지자 김창숙·조경한(趙擎韓)·정화암(鄭華岩)·김학규(金學奎)·권오돈(權五惇) 등이 혁신동지총연맹을 창당할때 참가하였다.[12] 1961년 1월 8일 혁신당 위원장에 취임하였다.[3] 5월 16일 5.16 군사쿠테타 당시 '특수범죄처벌에 관한 특별법'에 의해 혁신계 지도자였다는 이유로 임시정부때부터 같은 동지였던 김성숙과 같이 구속되었으나 박정희의 배려로 병보석, 석방되었다.[2] 그는 박정희에게 억울함을 호소하였고, 그의 탄원이 받아들여졌다. 이후 서울로 돌아와 정동의 오두막집에서 가난의 찌든 생활을 하였다. 평소 한민당원을 미워하였던 그는 1963년의 대통령 선거 당시 주변인들에게 박정희를 지지할 것을 호소하기도 했다. 사후[편집] 가난했던 그는 서울특별시 노원구 정릉동의 오두막집에서 어려운 생활을 하다가 1974년 5월 14일 92세로 사망하였다. 장례식은 사회장으로 치러지고 장지는 서울 근교에 있는 신세계공원묘지에 장사되었다. 그 뒤 1980년대부터 복권, 재평가 여론이 등장하여 1986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2002년 11월, 국가보훈처로부터 12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되었다. 평가[편집] 정치 한복판에 선 건국초기의 독립운동가이며 사상가라는 평가가 있다. 가족 관계[편집] 아버지 : 장운원(張雲遠) 형 : 장기상 친족 : 장승원 친족 : 장직상(12촌 형) 친족 : 장길상(12촌 동생) 친족 : 장택상(張澤相, 12촌 동생) 기타[편집] 같은 동향 출신이며 국무총리를 지낸 장택상과는 사적으로 친하게 지냈다. 같은 항렬의 먼 친척인 장택상과는 호형호제하여 '형님, 아우'라 부르기도 했다. 1950년 5월 그가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 당선되었을때 장택상이 친필로 쓴 축하 편지를 받기도 했다. 장택상이 외무부 장관과 총리에 취임했을 때는 그가 축전을 보내기도 한다. 근로인민당 계열이었으나 남북 협상의 실패 직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에 참여한 조봉암과는 일정 부분 거리를 두기도 했다. 1955년 조봉암이 진보당을 창당할 때 진보정당 건설을 함께 의논하였으나 실패를 예상하고 불참을 선언한다. 함께 보기[편집] 대한민국임시정부 의열단 한국 광복군 조선인민당 근로인민당 좌우합작 남북협상 5·16 군사 정변 민족혁명당 독립유공자로 대통령장을 수여받은 사람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제2대 총선 국회의원(경남 부산시 을) 2대 무소속 58.87% 26,720표 1위 각주[편집] ↑ 일설에는 1888년생이라는 설도 있으나 1882년생이 명확하다. ↑ 가 나 다 라 마 바 “::::::: 인동장씨 홈페이지 :::::::”. 2005년 2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7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역사속의 오늘-독립운동가 장건상 출생 매일신문 2007년 12월 19일자 기사 ↑ 가 나 다 라 '장건상' - 네이트 백과사전 ↑ 강준만 (2004년 4월 3일). 〈제2장 좌우(左右) 갈등의 폭발/ 1946년 – 민주의원과 민족전선 출범〉. 《한국 현대사 산책 1940년대편 1 (8∙15해방부터 6∙25전야까지)》. 서울: 인물과사상사. 211쪽. ISBN 89-88410-89-0.  ↑ 《대한민국의 기원》(2006, 이정식, 일조각) 414페이지 ↑ 가 나 다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124쪽 ↑ 1950년 제2대~ 득표자로 당선되었다.: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 〈1950년대편 1권〉 40쪽. ↑ 가 나 김학준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민음사, 2007) 296페이지 ↑ 가 나 김학준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민음사, 2007) 297페이지 ↑ 김용욱 《한국정치론》 (오름, 2006) 301페이지 ↑ '유림' - 네이트 백과사전 참고 서적[편집] 김학준,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민음사, 2007)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 (강준만, 인물과사상사, 2006)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심지연, 《허헌연구》 (역사비평사, 1994.07)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1》 (강준만, 인물과사상사, 2006)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50년대편 1》 (강준만, 인물과사상사, 2006) 정태영 외, 《죽산 조봉암 전집》 (정태영, 오유석, 권대복 정리, 세명서관, 1999) 이정식, 우사 김규식의 생애 (신구문화사, 1984) 신태양사, 《내가 걸어온 길 내가 걸어갈 길(나의 정치백서)》 (신태양사, 1957) 박태균, 《조봉암 연구》 (창비(창작과비평사), 1995) 장택상, 《대한민국 건국과 나》 (장택상, 창랑 장택상 기념사업회, 1992) 이영석, 《조봉암 누가 그를 죽였는가?》 (도서출판 세상의 창, 2000) 《역사비평(1995년 봄 호)》(역사문제연구소 지음, 역사비평사, 2006) 홍우출판사, 《정계야화 (전2권)》 (홍우출판사, 1966) 이기형,《몽양 여운형》 (실천문학사, 1984) 임영태, 《대한민국 50년사 1권》 (들녘, 1998) 이기형,《여운형 평전》(실천문학, 2000) 서중석, 《대한민국 선거이야기:1948 제헌선거에서 2007 대선까지》 (역사비평사, 2008) 주대환, 《한국사회와좌파의재정립:보편주의적 복지국가를 향한 새로운 좌파 선언의 전략》 (산책자, 2008) 서중석, 《이승만과 제1공화국》 (역사비평사, 2007) 소해 장건상 선생 어록비 건립회, 《소해 장건상 자료집》 (도서출판 우당, 1990) 참고 자료[편집] 장건상 - 대한민국헌정회 장건상 - 인동장씨 전 임 (부산시 갑)문시환 → 허영호(부산시 을)허정(부산시 병)한석범(부산시 정)박찬현 제2대 국회의원(부산시 을) 1950년 5월 31일 ~ 1954년 5월 30일 무소속 (부산시 갑)김지태(부산시 병)김칠성(부산시 정)정기원(부산시 무)최원봉 → 전진한 후 임 (부산시 갑)김지태(부산시 을)전진한(부산시 병)정기원(부산시 정)김동욱(부산시 무)이영언 전임여운형 근로인민당 당수1947년 7월 ~ 1949년 후임(독립노농당 참여) 전임(창당) 근로인민당 당수1952년 ~ 1955년 후임(진보당에 흡수)조봉암 vdeh2002년 선정 이 달의 독립운동가 1월 곽재기 2월 한훈 3월 이필주 4월 김혁 5월 송학선 6월 민종식 7월 안재홍 8월 남상덕 9월 고이허 10월 고광순 11월 신숙 12월 장건상 vdeh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강기동 권동진 권병덕 김동삼 김상옥 김성수 김완규 김익상 김지섭 나석주 나용환 나인협 남상덕 남자현 노백린 민긍호 민종식 박동완 박승환 박은식 박준승 백용성 신규식 신돌석 신채호 신홍식 양기탁 양전백 양한묵 연기우 오세창 유여대 유인석 이갑성 이동녕 이명룡 이범윤 이봉창 이상설 이상재 이위종 이은찬 이인영 이재명 이종일 이종훈 이필주 임예환 장인환 전명운 전해산 조성환 지청천 최성모 편강렬 홍기조 홍범도 홍병기 문태수 신석구 이범석 정환직 진성 당계요 배설 송교인 여천민 임삼 호한민 황흥 우빈 손과 주가화 이승희 주시경 김하락 장건상 김붕준 박열 안재홍 오화영 유동열 윤기섭 조완구 김병조 문창범 박용만 이동휘 채상덕 최석순 구춘선 김경천 여운형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장건상&oldid=24162074" 분류: 대한민국의 제2대 국회의원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1882년 태어남1974년 죽음칠곡군 출신한국독립당의 당원의열단근로인민당민족자주연맹한국의 극동인민대표회의 참석자대한민국 임시 정부 사람일제 강점기의 외교관한국의 군정기대한민국 제1공화국대한민국 제3공화국대한민국의 별정직공무원대한민국의 사상가대한민국의 언론인대한민국의 저술가대한민국의 한문학자대한민국의 사회 운동진보당 (대한민국) 정치인호헌동지회연세대학교 교수고려대학교 교수중국의 대학 교수한국의 통일운동가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민주주의민족전선 관련자인동 장씨유교 신자일제 강점기의 사회주의자대한민국의 사회민주주의자반파시스트공화주의자인디애나 대학교 동문국방대학교 동문병사한 사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7일 (화) 15: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장건상(張建相, 1882년 12월 19일 ~ 1974년 5월 14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독립운동가, 통일운동가이다. 본관은 인동. 아명(兒名)은 장명상(張明相), 자(字)는 찬성(贊成), 아호(雅號)는 소해(宵海)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일제감정기때 일본이 항복한 년도와 날짜는 언제인가? Assistant: 1945년 8월 15일
Human: 아래 디디에_데샹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디디에 데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디디에 데샹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디디에 데샹 개인 정보전체 이름 Didier Claude Deschamps출생일 1968년 10월 15일(1968-10-15) (50세)출생지 프랑스 바욘키 171 cm포지션 수비형 미드필더클럽 정보현 소속팀 프랑스 (감독)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1985-1989 1989-1990 1990-1991 1991-1994 1994-1999 1999-2000 2000-2001 낭트 마르세유 보르도 마르세유 유벤투스 첼시 발렌시아 111 00(4) 017 00(1) 029 00(3) 106 00(5) 124 00(4) 027 00(0) 008 00(0)국가대표팀 기록1989-2000 프랑스 103 00(4)지도자 기록2001-2005 2006-2007 2009-2012 2012- 모나코 유벤투스 마르세유 프랑스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디디에 클로드 데샹 (프랑스어: Didier Claude Deschamps, 1968년 10월 15일, 바욘 ~) 은 은퇴한 프랑스의 축구 선수이자 전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감독이다. 그는 선수시절 수비형 미드필더로 활약하였다.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데샹은 1998년 FIFA 월드컵 우승과 UEFA 유로 2000 우승을 일구어냈다. 그는 양대회의 결승전에서 주장을 맡았으며, 후에 국가대표팀의 감독을 맡아 UEFA 유로 2016의 준우승과 2018년 FIFA 월드컵의 우승을 이끌었다. 목차 1 클럽 경력 2 국가대표팀 경력 3 감독 경력 3.1 AS 모나코 FC 3.2 유벤투스 FC 3.3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3.4 2018년 FIFA 월드컵 4 수상 4.1 클럽 4.2 국가대표팀 4.3 감독 4.4 개인 5 각주 6 외부 링크 클럽 경력[편집] 2000년의 디디에 데샹 비아리츠 올랭피크에서 짧은 기간동안 럭비 선수로 활약했던 데샹은 아마추어 클럽인 아비롱 바요네 (Aviron Bayonnais) 에서 축구를 시작하면서 학업과 병행하였다. 그의 잠재력을 확인한 FC 낭트의 스카우트는 1983년 4월에 그를 영입하였다. 1985년 9월 27일, 데샹은 리그 데뷔를 하였다. 1989년,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로 이적한 뒤, 데샹은 1990년에 FC 지롱댕 드 보르도에서 한 시즌을 보냈고, 그 후에는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로 복귀하였다. 마르세유에 복귀한 후, 그는 마르세유 선수로는 첫 번째 타이틀을 획득하였다. 1991년과 1992년에 2차례 디비시옹 1 타이틀을 획득하는 것은 물론, UEFA 챔피언스리그 1992-93 우승도 거두었다. 이때의 마르세유는 프랑스 클럽으로는 현재까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거둔 것이다. 그는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거둔 최연소 주장이었고, 그와 동시에 그의 동료 파비앵 바르테즈는 최연소 골키퍼였다. 1994년, 데샹은 유벤투스 FC로 이적하여 3차례 세리에 A, 1차례 코파 이탈리아, 2차례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그리고 UEFA 챔피언스리그 1995-96과 인터콘티넨털컵 우승을 거두었다. 유벤투스 FC를 떠난 데샹은 잉글랜드의 첼시 FC에서 한 시즌을 보내며, FA 컵 우승을 거두었고, 헤르타 BSC 베를린과의 UEFA 챔피언스리그 1999-2000 경기에서 한 골을 득점하였다.[1] 그는 말년에 스페인으로 이주하여 발렌시아 CF와 한시즌을 보냈다. 발렌시아는 UEFA 챔피언스리그 2000-01 결승에 올랐으나, 데샹은 FC 바이에른 뮌헨과의 결승전에서 벤치를 지켰고, 소속팀은 패하였다. 그는 2001년 여름, 32세의 나이로 현역 은퇴를 선언하였다. 국가대표팀 경력[편집] 1989년, 미셸 플라티니 감독으로부터 4월 29일, 유고슬라비아와의 경기를 앞두고 처음으로 차출되었다. 데샹은 1990년 FIFA 월드컵과 1994년 FIFA 월드컵 진출에 실패한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의 암흑기에 국가대표팀 데뷔를 하였다. UEFA 유로 1996을 앞두고 에메 자케가 새 국가대표팀 사령탑으로 선임되자, 자케 감독은 에리크 캉토나를 처음에 주장으로 선임하였다. 1995년 1월에 캉토나가 1년 출장정지 징계를 받자, 팀의 구조는 순식간에 베테랑 캉토나 장피에르 파팽, 다비드 지놀라 같은 선수들의 팀에서 지네딘 지단과 같은 신예들의 팀이 되었다. 데샹은 자케 감독이 선택한 몇 안되는 베테랑으로 훗날 "황금 세대"의 리더가 되었다. 그는 독일과의 UEFA 유로 1996을 앞둔 친선경기에서 주장으로써의 첫 경기에 출전하였다. 잉글랜드에서 열린 유로 1996에서 프랑스는 준결승에 진출하였으나 체코를 만나 중도 하차하였다. 이로써 프랑스는 1986년 FIFA 월드컵 이래 국제대회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냈다. 1998년, 데샹은 조국에서 열린 1998년 FIFA 월드컵에서도 주장으로 출전하였고, 팀의 기둥으로 맹활약 하였고, 생드니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이 우승에 대한 상승세를 계속 이어가, UEFA 유로 2000에서도 데샹은 주장을 맡아, 우승을 거두었다. 이로써 프랑스는 UEFA 유로 1972와 1974년 FIFA 월드컵을 연속으로 우승한 서독에 이어서 월드컵과 유로를 연속으로 우승한 팀이 되었다. 2001년과 2002년 사이 프랑스는 FIFA 랭킹 1위를 유지하였다. UEFA 유로 2000 이후, 데샹은 국가대표팀 은퇴를 선언하였고, 2000년 8월 FIFA XI와의 경기에서 기립경기를 펼쳤고, 프랑스는 5-1 승리를 거두었다. 그의 마지막 국가대표팀 경기는 잉글랜드와의 경기였다. 그가 은퇴할 시기에, 데샹은 프랑스의 국가대표팀 경기 최다 출장선수가 되었다. 그러나, 이 기록은 그와 황금세대를 같이하던 마르셀 드사이, 지네딘 지단, 릴리앙 튀랑, 그리고 티에리 앙리가 넘었다. 모두 도합해서, 데샹은 103번의 국가대표팀 경기에 출전하였고, 4골을 득점하였다. 디디에 데샹은 2004년 3월, 펠레에 의해 125명의 가장 위대한 선수에 등재되었다. 데샹은 한때 캉토나에 의해 "물탱크"[2] 로 묘사되었다. 그 이유는, 캉토나가 데샹을 "더 재능있는" 선수들에게 공을 패스하는데에 존재하였다고 간주하였기 때문이다. 감독 경력[편집] AS 모나코 FC[편집] 현역 은퇴 이후, 그는 축구 감독계에 입문하였다. 그는 프랑스 리그 1의 AS 모나코 FC 사령탑을 맡아 2002-03 시즌의 쿠프 드 라 리그 우승을 일구어냈고,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 결승에도 진출하였다. 2005년 9월 19일, 그는 성적 부진과, 클럽 회장과의 불화로 사표를 냈다. 유벤투스 FC[편집] 2006년 7월 10일, 디디에 데샹은 유벤투스 FC의 감독이 되었다. 당시 유벤투스는 축구 스캔들 으로 인해 세리에 B로 강등된 상태였다. 데샹은 유벤투스 사령탑으로의 첫 경기인 알레산드리아와의 경기에서 8-0 승리를 거두며 인상적인 시작을 하였다. 그러나 유벤투스는 코파 이탈리아 3라운드에서 탈락하며 부진을 겪기 시작하였고, 리미니와의 첫 리그 경기에서 1-1로 비기며 부진한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어지는 경기인 비첸차, 크로토네, 모데나와의 경기에서 2-1, 0-3, 4-0으로 격파하며 데샹의 지도하에 모든 상황을 안정화시켰다. 또한, 데샹은 승부조작 강등 이후로는 처음으로 타이틀을 획득하였다. 유벤투스는 비라 모레티 컵에서 인테르나치오날레를 1-0으로 나폴리를 승부차기 끝에 이기며 우승하였다. 그는 2007년 5월 19일, 아레초를 5-1로 꺾으며 유벤투스를 세리에 A로 복귀시켰다. 많은 언론들은 데샹이 유벤투스 보드진과의 불화로 사퇴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는 보드진들에 의해 몇시간 뒤 부인당하였다. 같은날 저녁, 만토바와의 경기에서 세리에 B 우승을 차지한 뒤, 데샹은 언론의 예상대로 감독직을 사임하였다. 몇시간 뒤 유벤투스는 데샹의 사임을 공식적으로 받아들였다.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편집] 2009년 5월 5일, 데샹은 2009년 7월 1일부터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의 새 감독이 되기로 합의하였다.[3] 그의 마르세유 첫 시즌, 소속팀은 리그 1 타이틀을 18년 만에 획득하였다.[4] 그의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에서의 성공을 본 유벤투스 FC의 전 회장인 조반니 코볼리 길리가 치로 페레라를 대체하기 위해 그를 복귀시키려 하였다. 페레라의 자리는 결국 알베르토 차케로니의 자리가 되었다. 2010년 6월 29일, 데샹은 2012년 6월까지 유효한 연장 계약을 체결하였다.[5] 마르세유와 계약이 만료된 후 로랑 블랑의 후임으로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이 되었다. 2018년 FIFA 월드컵[편집] 2018년 FIFA 월드컵을 위해 데샹은 러시아를 위하여 자신의 23명을 선발하는 데 주의하며 자신이 결합력 있는 구성으로서 굳어질 수 있던 선수들 만을 선발하며 레알 마드리드의 카림 벤제마의 탈락에 결과를 가져왔다. 국가 대표팀이 오스트레일리아와 페루에 좁은 차이로 우승과 덴마크를 상대로 무승부와 함께 조별 경기로부터 진출로 무관심으로 보이면서 시초적으로 보수적인 전술로 비판을 받았어도 프랑스는 준결승전으로 도달하는 데 16강전에서 아르헨티나를 4 대 3으로 꺾고, 8강전에서 우루과이를 2 대 0으로 꺾은 녹아웃전이 열리는 동안 지배적 상연들에 놓았다. 토너먼트가 열리는 동안 데샹은 또한 보통적으로 보유적 미드필더 블레즈 마투이디를 그 위치에서 센터보다 4 - 2 - 3 - 1 형성에서 좌측 윙 혹은 공격적 미드필더로 배치시켰다. 이 조직에서 마투이디는 자신이 추적하며 측면에 상대 풀백들의 위협을 공격할 수 있으면서 자신의 정통이 아닌 활약의 앙심에서 동등적으로 유효하게 증명하였다. 더우기 그는 또한 토너먼트를 통하여 프랑스의 상대 팀들의 공격을 선도하는 주요 선수들에게 공간을 극소화하는 데 또한 도움을 준 방어적으로 폴 포그바와 은골로 캉테를 후원하는 도움에 순서에서 가끔 센터로 밀어놓고, 최후적으로 미드필드에서 경기에 자신들의 충격을 무효로 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더욱 나가서 마투이디의 좌측에 더 많은 수비 활약은 팀 안에서 균형을 마련하였다. 이 매치들에 이어 프랑스는 준결승전에서 벨기에를 1 대 0으로, 그리고 결승전에서 크로아티아를 4 대 2로 물리친 후, 대회의 우승국이 되었다. 그럼으로 데샹은 선수와 감독 둘다로서 월드컵을 우승하는 데 마리우 자갈루와 프란츠 베켄바워에 이어 3번째 만의 사람이 되었고, 주장과 감독으로서 우승하는 데 베켄바워에 이어 2번째이다. 수상[편집] 2011년 트로페 데 샹피옹 우승 뒤풀이에서의 마르세유 코칭스태프. 맨 앞이 데샹. 클럽[편집]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리그 1: 1989–90, 1991–92 UEFA 챔피언스리그: 1992-93 유벤투스 FC 세리에 A: 1994–95, 1996–97, 1997–98 코파 이탈리아: 1995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1995, 1997 인터콘티넨털컵: 1996 UEFA 챔피언스리그: 1995-96 UEFA 슈퍼컵: 1996 UEFA 인터토토컵: 1999 첼시 FC FA 컵: 2000 국가대표팀[편집] FIFA 월드컵: 1998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2000 감독[편집] AS 모나코 FC 쿠프 드 라 리그: 2003 리그 1 준우승: 2002-03 UEFA 챔피언스리그 준우승: 2003-04 유벤투스 FC 세리에 B: 2006-07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리그 1: 2009-10 쿠프 드 라 리그: 2010, 2011 트로페 데 샹피옹: 2010, 2011 프랑스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 : 2016 FIFA 월드컵: 2018 개인[편집] 레지옹 도뇌르 훈장 슈발리에(5등급): 1998[6][7] 챔피언스리그 우승 최연소 주장 각주[편집] ↑ “Chelsea's big night is spoiled by Sutton”. 《The Independent》. 1999년 11월 3일. 2009년 11월 6일에 확인함.  ↑ “Football: Deschamps: the water carrier is now Monaco's man of ideas”. 《Independent on Sunday, The; Find Articles at BNET.com》. 2013년 9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20일에 확인함.  ↑ “Didier Deschamps succèdera à Erik Gerets”. 2012년 8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20일에 확인함.  ↑ The Guardian (2010년 5월 6일). “Didier Deschamps hails Marseille's 'extraordinary' Ligue 1 title win”. 2010년 5월 6일에 확인함.  ↑ “Deschamps signs new Marseille deal”. 《Ontheminute.com》. 2010년 6월 29일. 2010년 6월 29일에 확인함.  ↑ “France honors World Cup winners – Government gives Legion of Honor to players, coaches”. 《CNN/SI》. 1998년 9월 1일. 2006년 7월 20일에 확인함.  ↑ “Décret du 24 juillet 1998 portant nomination à titre exceptionnel”. 1998년 7월 25일. 2009년 3월 1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디디에 데샹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이전 요아힘 뢰프 FIFA 월드컵우승 감독2018 이후현임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vdeh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 UEFA 유로 1992 1 마르티니 2 아모로스 (주장) 3 실베스트르 4 프티 5 블랑 6 카소니 7 데샹 8 소제 9 파팽 10 페르난데스 11 페레즈 12 코카르 13 볼리 14 뒤랑 15 디브르 16 바이뤼아 17 가르드 18 캉토나 19 루세 20 앙글로마 감독: 플라티니 vdeh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 UEFA 유로 1996 4강 1 라마 2 앙글로마 3 디 메코 4 르뵈프 5 블랑 6 게랭 7 데샹 (주장) 8 드사이 9 조르카에프 10 지단 11 로코 12 리자라쥐 13 뒤가리 14 라무시 15 튀람 16 바르테즈 17 마다 18 페드로스 19 카랑뵈 20 로셰 21 마르틴 22 마르티니 감독: 자케 vdeh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 1998년 FIFA 월드컵 우승 (1회) 1 라마 2 캉델라 3 리자라쥐 4 비에라 5 블랑 6 조르카에프 7 데샹 (주장) 8 드사이 9 기바르쉬 10 지단 11 피레스 12 앙리 13 디오메드 14 보고시앙 15 튀람 16 바르테즈 17 프티 18 르뵈프 19 카랑뵈 20 트레제게 21 뒤가리 22 샤르보니에 감독: 자케 vdeh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 UEFA 유로 2000 우승 (2회) 1 라마 2 캉델라 3 리자라쥐 4 비에라 5 블랑 6 조르카에프 7 데샹 (주장) 8 드사이 9 아넬카 10 지단 11 피레스 12 앙리 13 윌토르 14 미쿠 15 튀람 16 바르테즈 17 프티 18 르뵈프 19 카랑뵈 20 트레제게 21 뒤가리 22 라메 감독: 르메르 vdeh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 2014년 FIFA 월드컵 1 요리스 (주장) 2 드뷔시 3 에브라 4 바란 5 사코 6 카바예 7 카벨라 8 발뷔에나 9 지루 10 벤제마 11 그리즈만 12 마뷔바 13 망갈라 14 마튀이디 15 사냐 16 뤼피에 17 디뉴 18 시소코 19 포그바 20 레미 21 코시엘니 22 슈네데를랭 23 랑드로 감독: 데샹 vdeh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 UEFA 유로 2016 준우승 1 요리스 (주장) 2 자예 3 에브라 4 라미 5 캉테 6 카바예 7 그리즈만 8 파예트 9 지루 10 지냐크 11 마르시알 12 슈네데를랭 13 망갈라 14 마튀디 15 포그바 16 망당다 17 디뉴 18 시소코 19 사냐 20 코만 21 코시엘니 22 움티티 23 코스틸 감독: 데샹 vdeh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 2018년 FIFA 월드컵 우승 (2회) 1 요리스 (주장) 2 파바르 3 킴펨베 4 바란 5 움티티 6 포그바 7 그리즈만 8 르마르 9 지루 10 음바페 11 뎀벨레 12 톨리소 13 캉테 14 마튀디 15 은존지 16 망당다 17 라미 18 페키르 19 시디베 20 토뱅 21 에르난데스 22 멘디 23 아레올라 감독: 데샹 디디에 데샹 감독직vdeh유벤투스 FC 감독 카롤리 (1923–26) 비올라 (1926–28) 에이켄 (1928–30) 카르카노 (1930–35) 비자토 (1935) 로세타 (1935–39) 칼리아리스 (1939–41) 무네라티 (1941) 페라리 (1941–42) 몬티 (1942) 보렐 (1942–46) 세자리니 (1946–48) 챌머스 (1948–49) 카버 (1949–51) 베르톨리니 (1951) 샤로시 (1951–53) 올리비에리 (1953–55) 푸포 (1955–57) 브로시치 (1957–59) 데페트리니 (1959) 세자리니 (1959–61) 파롤라 (1961) 그렌 & 코로스텔레프 (1961) 파롤라 (1961–62) 아마랄 (1962–64) 몬체질리오 (1964) 에레라 (1964–69) 카르니글리아 (1969–70) 라비티 (1970) 피치 (1970–71) 비야츠팔레크 (1971–74) 파롤라 (1974–76) 트라파토니 (1976–86) 마르체시 (1986–88) 세게르 (1969) 초프 (1988–90) 마이프레디 (1990–91) 트라파토니 (1991–94) 리피 (1994–99) 안첼로티 (1999–2001) 리피 (2001–04) 카펠로 (2004–06) 데샹 (2006–07) 코라디니 (2007) 라니에리 (2007–09) 페라라 (2009–10) 자케로니 (2010) 델 네리 (2010–11) 콘테 (2011–14) 알레그리 (2014–19) 사리 (2019–) vdeh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파머 (1928) 아노 (1945-1949) 앙리 게랭 (1964-1966) 아리바스 / 스넬라 (1966) 퐁텐 (1967) 뒤고게 (1967-1968) 불로뉴 (1969-1973) 코바치 (1973-1975) 이달고 (1976-1984) 미셸 (1984-1988) 플라티니 (1988-1992) 울리에 (1992-1993) 자케 (1993-1998) 르메르 (1998-2002) 상티니 (2002-2004) 도메네크 (2004-2010) 블랑 (2010-2012) 데샹 (2012-) 수상 및 업적vdehFIFA 월드컵 - 우승 주장 1930: 나사시 1934: 콤비 1938: 메아차 1950: 바렐라 1954: 발터 1958: 벨리니 1962: 마우루 1966: 무어 1970: C. 아우베르투 1974: 베켄바워 1978: 파사레야 1982: 초프 1986: 마라도나 1990: 마테우스 1994: 둥가 1998: 데샹 2002: 카푸 2006: 칸나바로 2010: 카시야스 2014: 람 2018: 요리스 vdehFIFA 월드컵 - 우승 감독 1930: 수피시 1934: 포초 1938: 포초 1950: 로페스 폰타나 1954: 헤르베르거 1958: 페울라 1962: 모헤이라 1966: 램지 1970: 자갈루 1974: 쇤 1978: 메노티 1982: 베아르초트 1986: 빌라르도 1990: 베켄바워 1994: 파헤이라 1998: 자케 2002: 스콜라리 2006: 리피 2010: 델 보스케 2014: 뢰프 2018: 데샹 vdehFIFA 100UEFA 네드베트 네스타 네이스컨스 다비츠 다사예프 달글리시 데샹 델 피에로 드사이 라울 레네 판 더 케르크호프 레이카르트 레츠베르 렌센브링크 로시 루메니게 루이스 엔리케 리네커 리베라 마소푸스트 마이어 마테우스 말디니 뮐러 미카엘 라우드루프 바레시 바조 발라크 뱅크스 베르고미 베르흐캄프 베스트 베컴 베켄바워 보니에크 보니페르티 부트라게뇨 부폰 브라이트너 브리안 라우드루프 비에라 비에리 빌리 판 더 케르크호프 세이도르프 솁첸코 슈마이켈 슈케르 스토이치코프 시어러 앙리 에우제비우 엠레 오언 젤러 지단 찰턴 초프 칸 캉토나 코파 쾰레만스 크라위프 클라위버르트 클린스만 키건 킨 토티 튀람 트레소르 트레제게 파케티 파팽 파프 판 니스텔로이 판 데르 엘스트 판 바스턴 퐁텐 푸슈카시 플라티니 피구 피레스 하지 후이 코스타 휠릿 CONMEBOL 니우통 산투스 디 스테파노 로메리토 마라도나 바티스투타 발데라마 베론 사네티 사모라노 사비올라 소크라치스 시보리 자우마 산투스 주니오르 지쿠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카푸 켐페스 쿠비야스 크레스포 파사레야 파우캉 펠레 프란체스콜리 피게로아 호나우두 호나우지뉴 호마리우 호베르투 카를로스 히바우두 히벨리누 CAF 디우프 밀라 아베디 펠레 오코차 웨아 CONCACAF 산체스 에이커스 햄 AFC 나카타 홍명보 vdehFIFA 올해의 감독 2010: 모리뉴 2011: 과르디올라 2012: 델 보스케 2013: 하인케스 2014: 뢰프 2015: 루이스 엔리케 2016: 라니에리 2017: 지단 2018: 데샹 전거 통제 VIAF: 170424243 ISNI: 0000 0001 1922 0108 GND: 1169068790 SUDOC: 059625066 BNF: cb137367850 (데이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디디에_데샹&oldid=24008131" 분류: 1968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프랑스의 축구 선수바스크의 축구 선수프랑스의 축구 감독FC 낭트의 축구 선수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의 축구 선수FC 지롱댕 드 보르도의 축구 선수유벤투스 FC의 축구 선수첼시 FC의 축구 선수발렌시아 CF의 축구 선수AS 모나코 FC의 축구 감독유벤투스 FC의 축구 감독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의 축구 감독UEFA 유로 1992 참가 선수UEFA 유로 1996 참가 선수1998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FIFA 월드컵 우승팀 선수UEFA 유로 2000 참가 선수FIFA 센추리 클럽FIFA 1002014년 FIFA 월드컵 참가 감독UEFA 유로 2016 참가 감독이탈리아의 외국인 축구 선수잉글랜드의 외국인 축구 선수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프랑스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스페인의 외국인 축구 선수이탈리아의 외국인 축구 감독리그 1의 축구 선수리그 1의 축구 감독라리가의 축구 선수프리미어리그의 축구 선수세리에 A의 축구 선수잉글랜드에 거주한 프랑스인이탈리아에 거주한 프랑스인스페인에 거주한 프랑스인모나코에 거주한 프랑스인모나코의 외국인 축구 선수2018년 FIFA 월드컵 참가 감독숨은 분류: 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kan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Hausa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1일 (목) 00:5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디디에 클로드 데샹(프랑스어: Didier Claude Deschamps, 1968년 10월 15일~)은 프랑스의 축구인으로, 현역 시절 포지션은 수비형 미드필더였다. 현재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이다. 현역 시절 데샹은 주장으로 1998년 FIFA 월드컵 우승과 UEFA 유로 2000 우승을 일구어냈다. 후에 대표팀의 감독을 맡아 UEFA 유로 2016의 준우승과 2018년 FIFA 월드컵의 우승을 이끌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디디에 데샹의 유벤투스 FC 감독 시절 경력은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2006년 7월 10일, 디디에 데샹은 유벤투스 FC의 감독이 되었다. 당시 유벤투스는 축구 스캔들 으로 인해 세리에 B로 강등된 상태였다. 데샹은 유벤투스 사령탑으로의 첫 경기인 알레산드리아와의 경기에서 8-0 승리를 거두며 인상적인 시작을 하였다. 그러나 유벤투스는 코파 이탈리아 3라운드에서 탈락하며 부진을 겪기 시작하였고, 리미니와의 첫 리그 경기에서 1-1로 비기며 부진한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어지는 경기인 비첸차, 크로토네, 모데나와의 경기에서 2-1, 0-3, 4-0으로 격파하며 데샹의 지도하에 모든 상황을 안정화시켰다. 또한, 데샹은 승부조작 강등 이후로는 처음으로 타이틀을 획득하였다. 유벤투스는 비라 모레티 컵에서 인테르나치오날레를 1-0으로 나폴리를 승부차기 끝에 이기며 우승하였다. 그는 2007년 5월 19일, 아레초를 5-1로 꺾으며 유벤투스를 세리에 A로 복귀시켰다. 많은 언론들은 데샹이 유벤투스 보드진과의 불화로 사퇴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는 보드진들에 의해 몇시간 뒤 부인당하였다. 같은날 저녁, 만토바와의 경기에서 세리에 B 우승을 차지한 뒤, 데샹은 언론의 예상대로 감독직을 사임하였다. 몇시간 뒤 유벤투스는 데샹의 사임을 공식적으로 받아들였다. Human: 아래 라디오_7080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라디오 7080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라디오 7080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임백천의 라디오 7080라디오 7080 분야  7080 추억의 음악 방송 시간  평일 낮 12시 10분 ~ 오후 2시, 주말 낮 12시 ~ 오후 2시 방송 기간  2011년 1월 1일 ~ 2018년 9월 30일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사  한국방송공사 방송 채널  KBS 해피FM 진행  임백천 외부 링크  임백천의 라디오 7080 홈페이지 비고 2016년 9월부터 수도권 전용 임백천의 라디오 7080은 대한민국의 방송국인 한국방송공사의 라디오 채널 KBS 해피FM에서 낮 12시 10분부터 오후 1시 57분까지 방송됐던 음악전문 라디오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수도권에서만 방송되며, 일부지역에서는 KBS 쿨FM에서 전국으로 송출되는 이수지의 가요 광장이 방송된다. 목차 1 매일 코너 2 요일 코너 3 경쟁 프로그램 3.1 AM방송 (KBS 해피FM 포함) 3.2 FM방송 4 같이 보기 5 외부 링크 매일 코너[편집] 최피꽃 백빈꽃 사연과 신청곡 (일반사연, 축하사연) 해설이 있는 팝 요일 코너[편집] 월요일 : 백빈꽃VS청자꽃 화요일 : 단무지 토론 수요일 : 이계인&원미연의 남과 여 목요일 : 튕기는 오빠들 시즌2 금요일 : 금요일엔 백빈클럽 토요일 : 사연과 신청곡, 한국인이 좋아하는 팝송,가요 일요일 : 이헌석의 Listen to the music 경쟁 프로그램[편집] AM방송 (KBS 해피FM 포함)[편집] 송은이, 김숙의 언니네 라디오 (SBS 러브FM) 오태훈의 시사본부 (평일) (KBS 제1라디오) 생생 라디오 매거진 서기철입니다 (주말) (KBS 제1라디오) 강원래의 노래선물 (KBS 제3라디오) 우리는 한가족 (평일) (KBS 제3라디오) 심준구의 세상보기 (주말) (KBS 제3라디오) 강석, 김혜영의 싱글벙글쇼 (MBC 표준FM) 유지수의 해피송 (CBS 표준FM) 가스펠파워 (극동방송) 통일 대한민국을 꿈꾸며 (극동방송) FM방송[편집] 노래 하나 추억 둘 (평일) (WBS FM) 心쿵! 12시 (주말) (WBS FM) 한낮의 휴식, 장수연입니다 (평일) (BBS FM) 주병선의 추억의 음악다방 (주말) (BBS FM) 한낮의 가요선물 이동우, 이나래입니다 (평일) (cpbc FM) 아름다운 사랑 아름다운 나눔 (주말) (cpbc FM) 박현준의 라디오 가가 (경인방송 iFM) 배칠수, 전영미의 9595쇼 (tbs FM) 이수영의 12시에 만납시다 (CBS 음악FM) 이수지의 가요광장 (KBS 쿨FM) 정오의 희망곡 김신영입니다 (MBC FM4U) 최화정의 파워타임 (SBS 파워FM) 생생 클래식 (KBS 클래식FM) 같이 보기[편집] KBS KBS 해피FM 외부 링크[편집] KBS 해피FM 임백천의 라디오 7080 공식 홈페이지 KBS 해피FM 이전 임백천의 라디오 7080 다음 KBS 제2라디오 정오종합뉴스 행복한 두시 조성모입니다 낮 12시 ~ 낮 12시 10분 낮 12시 10분 ~ 오후 2시 (평일) 낮 12시 ~ 오후 2시 (주말) 오후 2시 ~ 오후 4시 수도권방송 수도권방송 전국방송 이 글은 라디오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라디오_7080&oldid=23909011" 분류: 한국방송공사의 라디오 프로그램숨은 분류: 라디오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3월 24일 (일) 16: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임백천의 라디오 7080은 KBS 해피FM에서 2011년 1월 1일부터 2018년 9월 30일까지 임백천의 진행으로 방송했던 라디오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수도권에서만 방송되며, 일부지역에서는 KBS 쿨FM에서 전국으로 송출되는 이수지의 가요광장이 방송됐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수지의 가요광장은 KBS 라디오의 어느 채널에서 방송되었을까? Assistant: 쿨FM
Human: 아래 U리그_2016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U리그 2016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U리그 2016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6 인천국제공항공사 U리그 개요 대회 명칭 2016 인천국제공항공사 U리그 시즌 2016 (9번째 시즌) 우승 고려대학교1번째 U리그 우승35번 대학축구 챔피언 준우승 송호대학교 각종 기록 최다 득점 남희철 (6골) 최다 점수차 홈 승리 동국대학교 10:0 호서대학교(2016년 6월 3일) 최다 점수차 원정 승리 고구려대학교 0:12 조선대학교(2016년 4월 8일) 최다 점수 경기 고구려대학교 0:12 조선대학교(2016년 4월 8일) 인접 대회 이전← 2015 다음2017 → U리그 2016은 2008년에 출범한, 대한민국의 대학축구리그인 U리그의 9번째 시즌이다. 9번째 시즌에는 총 78개의 대학축구단이 참가하였다. 인근 지역의 팀들 위주로 한 권역에 묶어서 총 10개 권역리그로 나누어, 리그를 권역별로 2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제2권역리그와 제10권역리그는 각각 총 7개팀으로 구성되었으며, 나머지 권역리그들은 총 8개팀으로 구성되었다. 권역리그는 3월 17일에 개막했으며 9월 30일까지 진행되었다.[1][2] 2016년에도 포스트시즌 제도가 시행되었다. 권역리그 성적에 따라 권역별로 3위팀까지 왕중왕전에 진출했다. 각각 총 8팀으로 구성된 8개 권역리그의 4위팀 중 성적이 가장 뛰어난 상위 2개 팀은 와일드카드 자격으로 왕중왕전에 합류하였다. 왕중왕전은 10월 28일에 32강전부터 시작하여 11월 11일에 열린 결승전으로 마무리되었다.[3][4] 목차 1 참가 구단 (2016) 2 권역리그 2.1 제1권역리그 (강원, 충북) 2.2 제2권역리그 (서울, 경기, 인천, 충남) 2.3 제3권역리그 (서울, 경기, 인천, 충남) 2.4 제4권역리그 (서울, 경기, 충북, 충남) 2.5 제5권역리그 (서울, 경기, 제주) 2.6 제6권역리그 (충북, 충남, 대전, 전북) 2.7 제7권역리그 (전북, 전남, 광주) 2.8 제8권역리그 (전북, 전남, 광주) 2.9 제9권역리그 (경북, 경남, 대구, 울산) 2.10 제10권역리그 (경북, 경남, 부산) 2.11 와일드카드 3 왕중왕전 4 우승 5 수상 6 각주 참가 구단 (2016)[편집] 제1권역리그 제2권역리그 제3권역리그 제4권역리그 제5권역리그 가톨릭관동대학교 상지대학교 상지영서대학교 세경대학교 송호대학교 중원대학교 한라대학교 한중대학교 동국대학교 서울디지털대학교 열린사이버대학교 인천대학교 중앙대학교 한양대학교 호서대학교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명지대학교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아주대학교 예원예술대학교 원광디지털대학교 청주대학교 홍익대학교 경기대학교 경희대학교 단국대학교 세종대학교 연세대학교 용인대학교 충북대학교 칼빈대학교 고려대학교 광운대학교 국제대학교 국제사이버대학교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수원대학교 숭실대학교 제6권역리그 제7권역리그 제8권역리그 제9권역리그 제10권역리그 건국대학교 배재대학교 서남대학교 선문대학교 영동대학교 우석대학교 한남대학교 호원대학교 고구려대학교 군장대학교 목포과학대학교 세한대학교 전주대학교 조선대학교 초당대학교 한려대학교 광주대학교 남부대학교 동강대학교 동신대학교 원광대학교 전주기전대학 조선이공대학교 호남대학교 경주대학교 대구대학교 대구예술대학교 동원과학기술대학교 동의대학교 안동과학대학교 울산대학교 인제대학교 동아대학교 문경대학교 부경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영남대학교 창원문성대학교 한국국제대학교 권역리그[편집] 인천국제공항공사 U리그 권역리그 개요 대회 명칭 인천국제공항공사 U리그 권역리그 시즌 2016 우승 제1권역: 가톨릭관동대학교제2권역: 인천대학교제3권역: 아주대학교제4권역: 용인대학교제5권역: 고려대학교제6권역: 배재대학교제7권역: 전주대학교제8권역: 호남대학교제9권역: 울산대학교제10권역: 영남대학교 인접 대회 이전← 2015 다음2017 → 제1권역리그 (강원, 충북)[편집] 순위 구단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참가 자격 및 강등 1 가톨릭관동대학교 (Q) 14 11 0 3 27 7 +20 33 왕중왕전 2 중원대학교 (Q) 14 10 1 3 33 14 +19 31 3 송호대학교 (Q) 14 8 3 3 23 10 +13 27 4 상지대학교 (A)(Q) 14 7 4 3 32 20 +12 25 와일드카드 5 한라대학교 14 6 3 5 28 15 +13 21 6 한중대학교 14 4 3 7 20 25 -5 15 7 세경대학교 14 1 1 12 9 41 -32 4 8 상지영서대학교 14 1 1 12 5 45 -40 4 * 마지막 업데이트 : 2016년 9월 30일 * 출처 : [1][깨진 링크([2] 과거 내용 찾기])] * 순위 결정방식 : 1) 승점; 2) 골 득실차; 3) 득점 수. *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시즌이 끝나지 않은 경우만 사용되는 표시:(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제2권역리그 (서울, 경기, 인천, 충남)[편집] 순위 구단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참가 자격 및 강등 1 인천대학교 (Q) 12 8 3 1 24 7 +17 27 왕중왕전 2 동국대학교 (Q) 12 6 6 0 28 8 +20 24 3 중앙대학교 (Q) 12 6 3 3 29 16 +13 21 4 한양대학교 12 5 4 3 36 14 +22 19 5 서울디지털대학교 12 4 2 6 20 23 -3 14 6 열린사이버대학교 12 2 4 6 13 20 -7 10 7 호서대학교 12 0 0 12 2 64 -62 0 * 마지막 업데이트 : 2016년 9월 30일 * 출처 : [3][깨진 링크([4] 과거 내용 찾기])] * 순위 결정방식 : 1) 승점; 2) 골 득실차; 3) 득점 수. *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시즌이 끝나지 않은 경우만 사용되는 표시:(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제3권역리그 (서울, 경기, 인천, 충남)[편집] 순위 구단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참가 자격 및 강등 1 아주대학교 (Q) 14 9 3 2 41 15 +26 30 왕중왕전 2 청주대학교 (Q) 14 8 4 2 23 12 +11 28 3 홍익대학교 (Q) 14 9 0 5 32 20 +12 27 4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A) 14 6 5 3 27 21 +6 23 와일드카드 5 명지대학교 14 5 3 6 14 16 -2 18 6 예원예술대학교 14 3 3 8 11 24 -13 12 7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14 2 5 7 20 35 -15 11 8 원광디지털대학교 14 1 3 10 20 45 -25 6 * 마지막 업데이트 : 2016년 9월 30일 * 출처 : [5][깨진 링크([6] 과거 내용 찾기])] * 순위 결정방식 : 1) 승점; 2) 골 득실차; 3) 득점 수. *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시즌이 끝나지 않은 경우만 사용되는 표시:(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제4권역리그 (서울, 경기, 충북, 충남)[편집] 순위 구단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참가 자격 및 강등 1 용인대학교 (Q) 14 10 2 2 40 12 +28 32 왕중왕전 2 연세대학교 (Q) 14 9 4 1 43 12 +31 31 3 단국대학교 (Q) 14 7 6 1 19 9 +10 27 4 경희대학교 (A) 14 6 4 4 17 17 0 22 와일드카드 5 세종대학교 14 6 2 6 17 24 -7 20 6 경기대학교 14 3 3 8 15 23 -8 12 7 충북대학교 14 2 3 9 13 36 -23 9 8 칼빈대학교 14 0 2 12 7 38 -31 2 * 마지막 업데이트 : 2016년 9월 30일 * 출처 : [7][깨진 링크([8] 과거 내용 찾기])] * 순위 결정방식 : 1) 승점; 2) 골 득실차; 3) 득점 수. *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시즌이 끝나지 않은 경우만 사용되는 표시:(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제5권역리그 (서울, 경기, 제주)[편집] 순위 구단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참가 자격 및 강등 1 고려대학교 (Q)(C) 14 10 3 1 31 11 +20 33 왕중왕전 2 숭실대학교 (Q) 14 8 4 2 27 10 +17 28 3 광운대학교 (Q) 14 8 4 2 18 6 +12 28 4 국제대학교 (A) 14 5 6 3 17 9 +8 21 와일드카드 5 성균관대학교 14 6 2 6 26 26 0 20 6 수원대학교 14 4 2 8 17 19 -2 14 7 국제사이버대학교 14 2 4 8 14 33 -19 10 8 서울대학교 14 0 1 13 9 45 -36 1 * 마지막 업데이트 : 2016년 9월 30일 * 출처 : [9][깨진 링크([10] 과거 내용 찾기])] * 순위 결정방식 : 1) 승점; 2) 골 득실차; 3) 득점 수. *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시즌이 끝나지 않은 경우만 사용되는 표시:(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제6권역리그 (충북, 충남, 대전, 전북)[편집] 순위 구단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참가 자격 및 강등 1 배재대학교 (Q) 14 9 3 2 17 9 +8 30 왕중왕전 2 호원대학교 (Q) 14 7 4 3 17 12 +5 25 3 선문대학교 (Q) 14 6 3 5 24 17 +7 21 4 한남대학교 (A) 14 4 7 3 18 17 +1 19 와일드카드 5 우석대학교 14 5 2 7 19 20 -1 17 6 서남대학교 14 4 4 6 20 22 -2 16 7 건국대학교 14 3 5 6 21 21 0 14 8 영동대학교 14 3 2 9 11 29 -18 11 * 마지막 업데이트 : 2016년 9월 30일 * 출처 : [11][깨진 링크([12] 과거 내용 찾기])] * 순위 결정방식 : 1) 승점; 2) 골 득실차; 3) 득점 수. *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시즌이 끝나지 않은 경우만 사용되는 표시:(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제7권역리그 (전북, 전남, 광주)[편집] 순위 구단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참가 자격 및 강등 1 전주대학교 (Q) 14 11 1 2 42 12 +30 34 왕중왕전 2 초당대학교 (Q) 14 11 1 2 38 16 +22 34 3 조선대학교 (Q) 14 9 2 3 43 21 +22 29 4 세한대학교 (A) 14 7 3 4 24 18 +6 24 와일드카드 5 한려대학교 14 5 0 9 21 28 -7 15 6 목포과학대학교 14 4 2 8 17 22 -5 14 7 군장대학교 14 2 2 10 27 41 -14 8 8 고구려대학교 14 1 1 12 4 58 -54 4 * 마지막 업데이트 : 2016년 9월 30일 * 출처 : [13][깨진 링크([14] 과거 내용 찾기])] * 순위 결정방식 : 1) 승점; 2) 골 득실차; 3) 득점 수. *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시즌이 끝나지 않은 경우만 사용되는 표시:(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제8권역리그 (전북, 전남, 광주)[편집] 순위 구단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참가 자격 및 강등 1 호남대학교 (Q) 14 12 1 1 38 9 +29 37 왕중왕전 2 광주대학교 (Q) 14 9 2 3 21 9 +12 29 3 남부대학교 (Q) 14 8 3 3 19 13 +6 27 4 원광대학교 (A) 14 4 3 7 11 18 -7 15 와일드카드 5 동신대학교 14 4 2 8 16 22 -6 14 6 전주기전대학 14 2 6 6 9 17 -8 12 7 조선이공대학교 14 3 3 8 7 23 -16 12 8 동강대학교 14 2 4 8 9 19 -10 10 * 마지막 업데이트 : 2016년 9월 30일 * 출처 : [15][깨진 링크([16] 과거 내용 찾기])] * 순위 결정방식 : 1) 승점; 2) 골 득실차; 3) 득점 수. *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시즌이 끝나지 않은 경우만 사용되는 표시:(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제9권역리그 (경북, 경남, 대구, 울산)[편집] 순위 구단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참가 자격 및 강등 1 울산대학교 (Q) 14 11 2 1 44 10 +34 35 왕중왕전 2 대구대학교 (Q) 14 10 2 2 25 7 +18 32 3 안동과학대학교 (Q) 14 8 2 4 35 13 +22 26 4 동의대학교 (A)(Q) 14 8 2 4 39 20 +19 26 와일드카드 5 대구예술대학교 14 5 2 7 17 22 -5 17 6 인제대학교 14 5 1 8 31 37 -6 16 7 경주대학교 14 1 2 11 13 49 -36 5 8 동원과학기술대학교 14 0 3 11 5 51 -46 3 * 마지막 업데이트 : 2016년 9월 30일 * 출처 : [17][깨진 링크([18] 과거 내용 찾기])] * 순위 결정방식 : 1) 승점; 2) 골 득실차; 3) 득점 수. *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시즌이 끝나지 않은 경우만 사용되는 표시:(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제10권역리그 (경북, 경남, 부산)[편집] 순위 구단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참가 자격 및 강등 1 영남대학교 (Q) 12 12 0 0 47 4 +43 36 왕중왕전 2 부경대학교 (Q) 12 8 1 3 21 15 +6 25 3 동아대학교 (Q) 12 5 4 3 23 20 +3 19 4 창원문성대학교 12 4 4 4 19 22 -3 16 5 한국국제대학교 12 3 3 6 11 16 -5 12 6 부산외국어대학교 12 2 2 8 12 24 -12 8 7 문경대학교 12 1 0 11 9 41 -32 3 * 마지막 업데이트 : 2016년 9월 30일 * 출처 : [19][깨진 링크([20] 과거 내용 찾기])] * 순위 결정방식 : 1) 승점; 2) 골 득실차; 3) 득점 수. *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시즌이 끝나지 않은 경우만 사용되는 표시:(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와일드카드[편집] 권역별 4위팀 중 리그 성적이 가장 뛰어난 상위 2팀은 와일드카드 자격으로 왕중왕전에 진출한다. 단, 제2권역과 제10권역의 4위팀은 7개 팀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와일드카드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다. 권역 구단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참가 자격 및 강등 제9권역 동의대학교 (Q) 14 8 2 4 39 20 +19 26 왕중왕전 제1권역 상지대학교 (Q) 14 7 4 3 32 20 +12 25 제7권역 세한대학교 (DQ) 14 7 3 4 24 18 +6 24 진출실패 제3권역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DQ) 14 6 5 3 27 21 +6 23 제4권역 경희대학교 (DQ) 14 6 4 4 17 17 0 22 제5권역 국제대학교 (DQ) 14 5 6 3 17 9 +8 21 제6권역 한남대학교 (DQ) 14 4 7 3 18 17 +1 19 제8권역 원광대학교 (DQ) 14 4 3 7 11 18 -7 15 * 마지막 업데이트 : 2016년 9월 30일 * 출처 : [21][깨진 링크([22] 과거 내용 찾기])][23][깨진 링크([24] 과거 내용 찾기])][25][깨진 링크([26] 과거 내용 찾기])][27][깨진 링크([28] 과거 내용 찾기])][29][깨진 링크([30] 과거 내용 찾기])][31][깨진 링크([32] 과거 내용 찾기])][33][깨진 링크([34] 과거 내용 찾기])][35][깨진 링크([36] 과거 내용 찾기])] * 순위 결정방식 : 1) 승점; 2) 골 득실차; 3) 득점 수; 4) 추첨. *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시즌이 끝나지 않은 경우만 사용되는 표시:(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왕중왕전[편집]   32강전 16강전 8강전 준결승전 결승전                                        울산대학교 3    상지대학교 2      울산대학교 1      고려대학교 3    고려대학교 4  조선대학교 1      고려대학교 2      중앙대학교 1    부경대학교 3    대구대학교 1      부경대학교 1    중앙대학교 3    배재대학교 0  중앙대학교 3      고려대학교 (pen.) 2(5)      연세대학교 2(3)    아주대학교 1    단국대학교 3      단국대학교 2    연세대학교 3    연세대학교 2  광운대학교 0      연세대학교 1    전주대학교 0    전주대학교 4    동아대학교 0      전주대학교 (pen.) 0(4)    청주대학교 0(2)    호원대학교 1(3)  청주대학교 (pen.) 1(4)    고려대학교 2  송호대학교 0  용인대학교 3    동의대학교 2      용인대학교 (pen.) 3(5)      숭실대학교 3(4)    숭실대학교 3  중원대학교 1      용인대학교 1      송호대학교 2    인천대학교 0    홍익대학교 1      홍익대학교 1    송호대학교 2    호남대학교 2  송호대학교 3      송호대학교 3    동국대학교 2    가톨릭관동대학교 1(0)    선문대학교 (pen.) 1(2)      선문대학교 1    동국대학교 2    동국대학교 5  안동과학대학교 0      동국대학교 2    광주대학교 1    영남대학교 2    남부대학교 0      영남대학교 0    광주대학교 2    초당대학교 4(4)  광주대학교 (pen.) 4(5)   우승[편집] 메달 기록 고려대학교 대학축구 우승의 영예 우승 선수권대회1948 · 1954 · 19651967 · 1971 · 19731976 · 1988 · 19891997 · 1998 · 2009 통산12회 우승 춘계연맹전1967 · 1968 · 19691970 · 1977 · 19832011 · 2014 통산8회 우승 추계연맹전1967 · 1976 · 19771983 · 1987 · 19882015 통산7회 우승 전국축구대회2001 · 2004 · 20052006 · 2007 · 20082010 통산7회 우승 U리그2016 통산1회 U리그 2016 우승 고려대학교1번째 우승 수상[편집] 2016 인천국제공항공사 U리그의 시상식은 11월 16일에 열렸으며, 수상내역은 아래와 같다.[5] 최우수선수상 : 채정관 (고려대학교) 우수선수상 : 김준형 (송호대학교) 페어플레이상 (구단) : 고려대학교 득점상 : 남희철 (동국대학교) 수비상 : 고병근 (고려대학교) 골키퍼상 : 송범근 (고려대학교) 베스트영플레이어상 : 유영재 (고려대학교) 지도자상 (감독) : 서동원 (고려대학교) 지도자상 (코치) : 전현석 (고려대학교) 각주[편집] ↑ 안기희 (2016년 2월 12일). “2016 U리그 3월 17일 개막...총 79팀 참가”. 대한축구협회. 2017년 4월 4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KFA 뉴스팀 (2016년 3월 16일). “대학축구 U리그 17일 개막, 78팀 참가”. 대한축구협회. 2017년 4월 4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안기희 (2016년 10월 18일). “U리그 왕중왕전 32강 대진 완성...‘본격 경쟁의 시작’”. 대한축구협회. 2017년 4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4일에 확인함.  ↑ KFA 뉴스팀 (2016년 10월 27일). “올해 대학 최강팀은? U리그 왕중왕전 28일 개막”. 대한축구협회. 2017년 4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4일에 확인함.  ↑ 안기희 (2016년 11월 16일). “[U리그 왕중왕전] 고려대 사상 첫 우승”. 대한축구협회. 2017년 4월 4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vdehU리그 시즌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vdeh 2016년 대한민국 축구 « 2015 2017 » 국내 리그 K리그 클래식(경기 결과) 챌린지 R리그 승강PO 내셔널리그 챔피언십 K3리그 WK리그 국내 컵 FA컵 결승전 내셔널축구선수권대회 챌린저스 컵 유소년 대학 리그 K리그 주니어 전국 초중고 축구리그 고등 중등 초등 아시안 대회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 결선 토너먼트 결승 국가대표팀 국가대표팀 풋살FK리그 (2015-16  · 2016-17)  · FK컵클럽 시즌K리그 클래식 광주 FC 상주 상무 FC 서울 성남 FC 수원 삼성 블루윙즈 수원 FC 울산 현대 인천 유나이티드 전남 드래곤즈 전북 현대 모터스 제주 유나이티드 포항 스틸러스 K리그 챌린지 강원 FC 경남 FC 고양 Hi FC 대구 FC 대전 시티즌 부산 아이파크 부천 FC 1995 서울 이랜드 FC 안산 경찰청 FC 안양 충주 험멜 대한민국 축구 협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U리그_2016&oldid=23699964" 분류: U리그2016 축구 리그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4일 (목) 11:2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U리그 2016은 2008년에 출범한, 대한민국의 대학축구리그인 U리그의 9번째 시즌이다. 9번째 시즌에는 총 78개의 대학축구단이 참가하였다. 인근 지역의 팀들 위주로 한 권역에 묶어서 총 10개 권역리그로 나누어, 리그를 권역별로 2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제2권역리그와 제10권역리그는 각각 총 7개팀으로 구성되었으며, 나머지 권역리그들은 총 8개팀으로 구성되었다. 권역리그는 3월 17일에 개막했으며 9월 30일까지 진행되었다.2016년에도 포스트시즌 제도가 시행되었다. 권역리그 성적에 따라 권역별로 3위팀까지 왕중왕전에 진출했다. 각각 총 8팀으로 구성된 8개 권역리그의 4위팀 중 성적이 가장 뛰어난 상위 2개 팀은 와일드카드 자격으로 왕중왕전에 합류하였다. 왕중왕전은 10월 28일에 32강전부터 시작하여 11월 11일에 열린 결승전으로 마무리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6년도 인천국제항공사 U리그 수상내역은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최우수선수상 : 채정관 (고려대학교) 우수선수상 : 김준형 (송호대학교) 페어플레이상 (구단) : 고려대학교 득점상 : 남희철 (동국대학교) 수비상 : 고병근 (고려대학교) 골키퍼상 : 송범근 (고려대학교) 베스트영플레이어상 : 유영재 (고려대학교) 지도자상 (감독) : 서동원 (고려대학교) 지도자상 (코치) : 전현석 (고려대학교) Human: 아래 질서경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질서경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질서경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질서경찰Ordnungspolizei 질서경찰의 삼각기 질서경찰의 문장기 1936년 촬영된 한 질서경찰관 설립일 1936년 6월 26일 해산일 1945년 후신 지방경찰 (서독) 인민경찰 (동독) 소재지 베를린 프린츠알브레히트슈트라세 직원 수 401,300 여명 (1944년) 본부장 SS최상급집단지도자 쿠르트 달루에게(1936년–1943년)상급집단지도자 알프레트 뷔넨베르크(1943년–1945년) 상급기관 내무성 질서경찰(秩序警察, 독일어: Ordnungspolizei; OrPo, 영어: Order Police)은 1936년에서 1945년까지 나치 독일에서 보안경찰과 함께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경찰중의 하나로서 보통경찰(Ordinary Police)의 명칭이다. 생략해서 OrPo라고 불린다. 착용하는 제복의 색이 녹색이다. 목차 1 역사 2 조직 2.1 질서경찰본부 2.2 질서경찰관리국 2.3 보호경찰 2.4 지방경찰 2.5 교통경찰 2.6 수상경찰 2.7 철도경찰 2.8 우편경찰 2.9 소방경찰 2.10 방공경찰 2.11 긴급기술원조대 2.12 무선보안대 2.13 공장경찰 3 경찰대대 4 무장친위대 경찰사단 5 질서경찰과 친위대의 통합 6 제복 7 질서경찰의 해체와 자취 8 참고 문헌 9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36년 6월 26일 독일 경찰 장관인 하인리히 힘러의 명령에 의해 나치 독일의 모든 경찰은 친위대에 속하게 되었다. 이 명령에 의해서 도시, 시읍면, 주, 국가 경찰 등은 모두 일원적으로 친위대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 경찰 조직은 질서경찰과 보안경찰로 나뉘게 되었다. 보안경찰은 사복을 착용했으며, 비밀경찰과 형사경찰로 나뉘어 있었다. 질서경찰은 녹색 정복 착용을 통해 나치 독일의 법을 집행했다. 비밀 경찰(게슈타포)은 프로였다. 한편, 형사 경찰은 형사 범죄의 수사를 관할했다. 1939년 9월에 독일의 비밀 경찰과 형사 경찰, 친위대 정보부는 제국보안본부의 일부분이 되었다. 조직[편집] 친위대 최상급집단지도자인 쿠르트 달뤼게가 질서경찰본부장(Chef der Ordnungspolizei)이었다. 질서경찰본부장은 친위대 제국 지도자겸 독일 경찰 장관(Chef der Deutschen Polizei)이었던 하인리히 힘러에 직접적으로 보고를 했다. 질서경찰본부[편집] 질서경찰본부(Hauptamt Ordungspolizei)는 질서경찰의 수뇌부이며, 또한 친위대의 본부 중 하나였다. 질서경찰관리국[편집] 질서경찰관리국(Verwaltungspolizei)은 질서경찰을 관리하는 국(局)이었으며, 모든 질서경찰서를 지휘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관리국에는 중앙기록 보관유지국, 대민(對民) 법집행 통술국, 위생 경찰국(Gesundheitspolizei), 기업활동 감독 경찰국(Gewerbepolizei), 건축활동 경찰국(Baupolizei) 등이 있었다. 대도시에는 질서경찰관리국, 도시경찰, 형사경찰이 모두 경찰본부(Polizeiprasidium, Polizeidirektion)를 구성하고 있어 광범위하게 치안을 유지하는 경찰력으로서 기능하고 있었다. 보호경찰[편집] 보호경찰(Schutzpolizei)은 독일의 대도시와 비교적 큰 시읍면의 치안 유지를 임무로 하는 경찰이었다. 보호경찰은 더욱 세분해서 나눌 수 있었다. 「국가보호경찰」(Schutzpolizei des Reiches (cities and large towns)) : 이 경찰은 폭동이나 치안 유지를 위한 기동대(Kasernierte Polizei)를 가지고 있었다. 「교외보호경찰」(Schutzpolizei der Gemeinden (smaller towns)) 지방경찰[편집] 지방경찰(Gendarmerie)은 지방의 촌락이나 국경 부근에 있었던 경찰이다. 지방 경찰은 주로 간첩활동을 막고, 지방을 안전을 위해 산악 부대를 가지고 있었다. 아우토반의 발달에 의해 교통 경찰화 된 지방 경찰이 도로 교통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1937년 창설되었다. 교통경찰[편집] 교통경찰(Verkehrspolizei)은 교통 법규의 위반을 감독하는 집행기관이었다. 단순히 말해서 도로의 안전을 위해 기능하고 있었던 경찰이었다. 이 조직은 아우토반을 제외한 도로를 감독한다(아우토반을 감독하는 것은 도시 경찰 이나 지방 경찰의 임무였다.). 교통 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특히 자동차로 장거리를 여행하는 나치 독일의 고관을 호위하는 임무도 가지고 있었다. 수상경찰[편집] 수상경찰은 나치 독일의 연안 경비대였다. 독일 내륙의 호수에 있어서의 안전과 보안도 임무로 하고 있었으며, 항만의 보안도 감독하고 있었다. 친위대 조직인 친위대 항만보전대(SS-Hafensicherungstruppen)보다 상위에 있었다. 철도경찰[편집] 철도경찰(Bahnschutzpolizei)은 독일 철도의 공무원이기도 하면서 파트 타임으로 경찰 업무를 행사하는 경관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철도경찰은 철도 공안의 업무나 스파이, 사보타주를 막는 임무를 수행했다. 우편경찰[편집] 우편경찰(Postschutz)은 약 4,500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독일의 우체국의 경비나 전화, 전보 등의 통신의 보안을 담당했다. 소방경찰[편집] 1938년 나치 독일의 소방관은 질서경찰에 흡수, 통합 되었다. 소방경찰(Feuerschutzpolizei)은 국가에 속하는 소방관에 의해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질서경찰본부는 지방자위소방대(Freiwillige Feuerwehren)도 관할하고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엄청난 공습을 받고 있었기 때문에 소방경찰과 지방자위소방대는 2백만명을 넘고 있었다. 방공경찰[편집] 보안구원기관(Sicherheits-und Hilfsdienst, SHD)은 1935년에 창설 되어, 1942년 4월에 방공경찰(Luftschutzpolizei)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 조직은 공습에 대응해서 긴급기술원조대(Technische Nothilfe), 소방경찰(Feuerschutzpolizei)과 협력해 공습 피해자를 돕기 위한 기관이었다. 방공단(Lutschutzdienst)은 국가방공연맹(Reichsluftschutzbund, RLB)에 의해 지원되었다. 1935년 공군 장관 헤르만 괴링 지휘하의 조직이었다. 이 기관은 건물이나 가정의 안전을 유지하는 공습 감시원의 역할을 했다. 긴급기술원조대[편집] 긴급 기술 원조대(Technische Nothilfe, TeNo)는 건설가 또는 건설 전문가 집단이었다. 이 기관은 1919년에 창설되었다. 목적은 데모나 스트라이크의 경우에 국민 생활에 필수한 공익 사업 기능 유지였다. 1930년 가스 사고와 공습에 대한 긴급 대응 조직으로 확대되어 자연재해(홍수 등)에 대응하는 인원과 장비를 보유하고 있었다. 1937년에 경찰 보조 조직이 되어 질서경찰 본부에 흡수되었다. 1934년 기준으로 10만명의 인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무선보안대[편집] 무선보안대(Funkschutz)는 라디오 등을 통한 공격이나 사보타주에 대응하기 위해 친위대와 질서경찰로 구성되어 있었다. 금지된 외국 라디오 수신의 수사도 담당하고 있었다. 공장경찰[편집] 공장경찰(Werkschutzpolizei)의 임무는 사보타주나 도난으로부터 공장 시설을 지키는 것에 있었다. 공장경찰은 민간인에서부터 공장 관계자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조직 되어 있었다. 질서경찰의 지휘하에 있었으며, 친위대 제복을 착용하고 있었다. 경찰대대[편집] 1939년부터 1945년까지 질서경찰은 독일 국내에서 독립된 군사 조직을 보유하고 있었다. 최초의 부대는 '경찰대대'였다. 경찰대대는 점령 지역의 법질서 유지와 집행, 대(對) 유격대 작전을 위해 설치되었다. 경찰 대대는 친위대나 경찰 상층부에 의해 지휘되어서 폴란드의 유대인의 게토 경비에 사용되기도 했다. 경찰대대는 인원이 필요한 경우에는 아인자츠그루펜(Einsatzgruppen)에 인력풀로 활용되기 위해 사용되기도 했다. 1942년에는 많은 경찰대대가 있게 되어 28개의 경찰 연대가 편성되기도 했다. 그 대부분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동부 전선 독일군 후퇴 때 전투에 참가하기도 했다. 경찰대대는 독일 육군 헌병과는 달랐다. 무장친위대 경찰사단[편집] 질서경찰의 준군사 조직으로는 무장친위대 경찰사단이 존재하고 있었다. 주로 전선 후방의 경비와 예비부대로서 존재해 훈련이 부족하고, 전투 기술이 많이 부족했다. 사단은 질서경찰의 인원으로 구성되는 4개의 경찰 연대로부터 차출되었으며 군사적인 상황 때 투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전쟁말기에 질서경찰의 SS경찰연대 몇 개가 제35SS경찰척탄병사단 편성을 위해 무장친위대에 이관되었다. 질서경찰과 친위대의 통합[편집] 질서경찰은 친위대와 다른 계급 질서의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1936년에 경관은 조직상은 친위대이지만 친위대의 임무에는 참가하지 않는 것이 가능했다. 전시하에 경찰 상층부는 경찰이면서 동시에 친위대의 일원이라 친위대와 질서경찰 양쪽 모두의 계급을 소유하고 있었다. 예를 들면 경찰 중장(Generalleutnant der Polizei)은 동시의 친위대의 일원이기도 해 경찰 중장 겸 친위대 중장(SS-Gruppenfhrer und Generalleutnant der Polizei)으로 불렸다. 또한 고급 친위대와 경찰 지도자(Hhere SS-und Polizeifhrer)의 직위에 있는 질서경찰 장관은 하인리히 힘러였는데 독일군 육군 예비군 사령관으로 임명되기도 했다. 1944년 8월에는 무장 친위대의 계급도 손에 넣게 되었는데 이는 질서경찰이 전시 포로가 되는 경우가 생기고 있어 사실상 전쟁에 참가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질서경찰에 대한 하인리히 힘러의 최종적인 구상은 서서히 이 조직을 없애 나치 독일에 있어 통상적인 경찰력을 친위대의 국가경비군단(Staatsschutzkorps)으로 옮기는 것이었다. 힘러의 생각에 따르면 지방에서의 법집행은 군사 기밀 기능과 정치 경찰 기능을 가지는 무장 친위대 아래에서 행해질 예정이었다. 제3제국의 역사 연구에 따르면 질서경찰의 상층부는 힘러의 계획을 알고 있어 친위대가 국가경찰이 되는 것에는 찬성했지만, 질서경찰 폐지에는 반대를 하고 있었다. 제복[편집] 녹색의 제복에는 계급을 나타내는 휘장을 붙이고 있었다. 질서경찰의 해체와 자취[편집] 제2차 세계 대전이 나치 독일의 패망으로 인해 종전되면서 질서경찰은 폐지되었다. 그러나 연합군을 위한 경찰 업무를 실시하는 많은 조직이 생겨 일반 경찰 업무를 계속하게 되었다. 한편, 질서경찰은 동독에서는 적극적으로 계승되어서 인민경찰(Volkspolizei)으로 불리는 국가 경찰 기구가 생겼는데 인민 경찰은 과거 나치 독일의 질서경찰과 친위대의 구조를 견본으로 해 성립되었다. 또한, 게슈타포를 견본으로 한 슈타지도 설치되었다. 서독에서는 경찰의 중앙 집권화를 막았으며 각 주마다 경찰을 가지게 하는 지방경찰(Landespolizei)로 독립했다. 지방경찰의 규칙, 순서, 제복, 휘장은 원래의 질서경찰이 사용하고 있던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의 것을 이용하고 있다. 참고 문헌[편집] Browning, Christopher, Nazi Policy, Jewish Workers, German Kill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ISBN 0-521-77490-X. Browning, Christopher (1998) [1992]. 《Ordinary Men: Reserve Police Battalion 101 and the Final Solution in Poland》. New York: HarperCollins. ISBN 978-0-06-019013-2.  Goldhagen, Daniel, 《Hitler's Willing Executioners: Ordinary Germans and the Holocaust》 (Amazon, Kindle book: look inside), Alfred A. Knopf 1996, Vintage 1997, ISBN 0679772685  Lumsden, Robin (2002). 《A Collector's Guide To: The Allgemeine – SS》. Ian Allan Publishing, Inc. ISBN 0-7110-2905-9.  Williams, Max (2001). 《Reinhard Heydrich: The Biography: Volume 1》. Church Stretton: Ulric. ISBN 978-0-9537577-5-6.  Williamson, Gordon (2012) [2004]. 《World War II German Police Units》. Osprey Publishing. ISBN 1780963408. 2014년 10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6월 11일에 확인함.  Nix Philip and Jerome Georges The Uniformed Police Forces of the Third Reich 1933-1945, Leandoer & Ekholm, 2006. ISBN 91-975894-3-8 Heiner Lichtenstein: Himmlers grüne Helfer, Bund-Verlag Köln 1990, ISBN 3-7663-2100-5 외부 링크[편집] (영어) Helmets of the Landespolizei (영어) Flags of the Ordnungspolizei vdeh나치 친위대분과 일반친위대 해골부대 특무부대 무장친위대 지도부 SS국가지도자 친위대 및 경찰지도자 소속 인물 편제 지도자 율리우스 슈렉 요제프 베르히톨트 에르하르트 하이덴 하인리히 힘러 카를 항케 주요 부서 SS국가지도자 전속참모진 친위대 본부(SS-HA) 친위대 지도본부(SS-FHA) 국가보안본부(RSHA) 친위대 경제행정본부(SS-WVHA) 인종 및 개척본부(RuSHA) 민족독일인 대책본부(VoMi) 독일 국민성 강화를 위한 국가판무관(RKFDV) 법정본부 인사본부 교육본부 이념교리 아넨에르베 《흑군단》 친위대 후보생 바트퇼즈 레벤스보른 경찰활동 제복경찰(Orpo) 형사경찰(Kripo) 비밀국가경찰(게슈타포) 보안경찰(SiPo) SS국가지도자 보안국(SD) 총통 경호 친위대 총통호위사령부(FBK) 국가보안국(RSD) 준군사조직 특수작전집단 특수분대 리투아니아 보안경찰 하만 기동습격대 아라이스 특공대 우크라이나 보조경찰 우크라이나의 부역행위 민족독일인 자위단 트라우니키 장악한 기업 동부산업(Osti) 독일경제회사(DWB) 독일장비제조회사(DAW) 독일토석제조회사(DEST) 알라크 아폴리나리스 마토니 주데텐쿠엘 안톤 로이블 친위대 상훈 SS명예장검 SS명예단검 SS명예반지 계급, 제복, 인식표 친위대 제복 및 인식표 무장친위대 계급 및 인식표 질서경찰 계급 및 인식표 무장친위대의 병과색 SS조직 일반SS SS군단 SS사단 SS여단 vdeh특수작전집단 및 특수작전특공대관련자수괴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에른스트 칼텐브루너 특수작전집단 대장 훔베르트 아하머피프라더 발터 비어캄프 호르스트 뵈흐메 에리히 에흐를링거 빌헬름 푸흐즈 하인츠 요스트 에리히 나우만 아르투어 네베 오토 올렌도르프 프리드리히 판칭거 오토 라슈 하인리히 지트첸 프란츠 발터 슈타흘레커 브루노 슈트레켄바흐 특수작전특공대,특별특공대 대장 에리히 폰 뎀 바흐첼레프스키 루돌프 바츠 에른스트 비버슈타인 볼프강 비르크너 헬무트 비쇼프 파울 블로벨 발터 블루메 프리드리히빌헬름 보크 오토 브라트피슈 베르너 브라우네 프리드리히 부하르트 프리츠 디트리히 카를 예거 프리드리히 예켈른 발데마르 클링겔회퍼 볼프강 퀴글러 발터 쿠트슈만 루돌프 랑게 구스타프 아돌프 노스케 한스아돌프 프뤼츠만 발터 라우프 마르틴 잔트베르거 헤르만 사퍼 카를 에버하르트 쇵가르트 에르빈 슐츠 프란츠 직스 오이겐 슈타이믈레 에두아르트 슈트라우흐 마르틴 바이스 우도 폰 보이르슈 기타 구성원 아우구스트 베커 로타르 펜들러 요아힘 하만 에밀 하우스만 펠릭스 란다우 알베르트 빈트만 협조부역자 빅토르스 아라이스 헤르베르츠 수쿠르즈 안타나스 임풀레비시우스 콘라스 칼레이스 알기르다스 클리마이티스 관련 조직독일계 SS RSHA SD Orpo 제8SS기병사단 플로리안 가이어 민족독일인 자위단 특별복무대대 비독일계 엄호대 벨로루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우크라이나 아라이스 특공대 리투아니아 보안경찰 하만 기동습격대 국민노동방위대대 특수분대 범죄 내역벨로루시 와흐바 게토 민스크 게토 슬루츠크 사건 에스토니아 칼레비-리바 라트비아 리가 시나고그 방화 뒤나뮌데 행동 옐가바 학살 포굴리안스키 숲 학살 룸불라 학살 리예파야 학살 리투아니아 제9요새 카우나스 포그롬 카우나스 학살 제9요새 학살 포나리 학살 폴란드 타넨베르크 작전 지식인행동 평화특별행동 라인하르트 작전 러시아 페트루시노 걸리 즈미엡스카야 발카 로코트 자치국 우크라이나 바비 야르 드로비츠키 야르 드로호비치 게토 카미아네츠-포딜스키 학살 르부프 포그롬 미조츠흐 게토 오데사 학살 관련 기록 흑색서 정치장교 지령 특수작전집단 재판 동방총괄계획 예거 보고서 코르허 보고서 폴란드 특별기소대상 목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질서경찰&oldid=24395348" 분류: 나치 독일의 경찰 조직독일의 해체된 법집행기관숨은 분류: 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Boarisch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SuomiFrançais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8일 (토) 00: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질서경찰(秩序警察, 독일어: Ordnungspolizei; OrPo, 영어: Order Police)은 1936년에서 1945년까지 나치 독일에서 보안경찰과 함께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경찰 중의 하나로서 보통경찰(Ordinary Police)의 명칭이다. 생략해서 OrPo라고 불린다. 착용하는 제복의 색이 녹색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질서경찰의 특징과 친위대의 통합의 배경은 무엇인가? Assistant: 질서경찰은 친위대와 다른 계급 질서의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1936년에 경관은 조직상은 친위대이지만 친위대의 임무에는 참가하지 않는 것이 가능했다. 전시하에 경찰 상층부는 경찰이면서 동시에 친위대의 일원이라 친위대와 질서경찰 양쪽 모두의 계급을 소유하고 있었다. 예를 들면 경찰 중장(Generalleutnant der Polizei)은 동시의 친위대의 일원이기도 해 경찰 중장 겸 친위대 중장(SS-Gruppenfhrer und Generalleutnant der Polizei)으로 불렸다. 또한 고급 친위대와 경찰 지도자(Hhere SS-und Polizeifhrer)의 직위에 있는 질서경찰 장관은 하인리히 힘러였는데 독일군 육군 예비군 사령관으로 임명되기도 했다. 1944년 8월에는 무장 친위대의 계급도 손에 넣게 되었는데 이는 질서경찰이 전시 포로가 되는 경우가 생기고 있어 사실상 전쟁에 참가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질서경찰에 대한 하인리히 힘러의 최종적인 구상은 서서히 이 조직을 없애 나치 독일에 있어 통상적인 경찰력을 친위대의 국가경비군단(Staatsschutzkorps)으로 옮기는 것이었다. 힘러의 생각에 따르면 지방에서의 법집행은 군사 기밀 기능과 정치 경찰 기능을 가지는 무장 친위대 아래에서 행해질 예정이었다. 제3제국의 역사 연구에 따르면 질서경찰의 상층부는 힘러의 계획을 알고 있어 친위대가 국가경찰이 되는 것에는 찬성했지만, 질서경찰 폐지에는 반대를 하고 있었다.
Human: 아래 박재홍_(1978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박재홍 (1978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재홍 (1978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박재홍 개인 정보로마자 표기 Park Jae-hong출생일 1978년 11월 10일(1978-11-10) (40세)출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키 184cm포지션 은퇴 (과거 수비수)클럽 정보현 소속팀 부천 FC 1995청소년 클럽 기록1997-2000 명지대학교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2001-2002 2003-2004 2005-2006 2007 2008-2009 2010 2011 2012 2013 상무 (군 복무)전북 현대 모터스 전남 드래곤즈 우니베르시타테아 클루지 경남 FC 장쑤 슌톈 경남 FC 폴리스 유나이티드 경남 FC 047 0(2) 038 0(0) 028 0(2) 021 0(0) 030 0(0) 022 0(0) 000 0(0) 000 0(0)국가대표팀 기록‡2000-2005 대한민국 0030 0(0)지도자 기록2015- 부천 FC (스카우트)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12년 1월 1일 기준이다.‡ 국가대표팀의 출장수와 골은 2009년 1월 1일 기준이다. 박재홍(朴載弘, 1978년 11월 10일 ~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수비수였다. 목차 1 개요 2 클럽 경력 3 국가대표 경력 4 그 외 5 경력 5.1 선수 경력 5.2 국가 대표 경력 6 우승 기록 6.1 클럽 6.1.1 전북 현대 모터스 6.1.2 전남 드래곤즈 6.1.3 우니베르시타테아 클루지 6.1.4 경남 FC 7 각주 8 외부 링크 개요[편집] 서울특별시 출생으로 정명고등학교, 명지대학교를 졸업하였다. 큰 키와 듬직한 체구에서 나오는 파워가 좋아 미국 유명 영화의 주인공인 '람보(Rambo)'라는 별명을 얻었다. 클럽 경력[편집] 2000년 대한축구협회의 주도하에 국내 유망주들의 해외 이적이 진행되었고, 이 과정에서 박재홍은은 벨기에 주필러 리그의 로열 앤트워프 FC로의 입단 계약을 추진했으나,[1] 구단의 재정 문제로 인하여 성사되지 않았다.[2] 2001년 상무에 입대해 군복무를 마쳤다.[3] 2003년 전북 현대 모터스에 입단해 프로 생활을 시작하였고, 그 해 FA컵 우승에 공헌하였다. 2005년 김정겸과의 맞트레이드로 전남 드래곤즈로 이적하여,[4] 2006년 FA컵 우승에 공헌하였다. 2007년 루마니아 리가 I 2부의 우니베르시타테아 클루지로 이적하여[5] 팀의 2부 리그 우승과 1부 리그로의 승격에 공헌하지만, 2008년 국내로 복귀하게 되었다. 2008년 K-리그의 경남 FC로 이적하여,[6] 그 해 FA컵 준우승에 공헌하였다. 2010년, 중국 슈퍼리그 장쑤 슌톈로 이적하여 2010 시즌 동안 뛰었다. 1년만인 2011년 1월 12일 경남 FC가 다시 박재홍의 영입을 발표하였다.[7] 국가대표 경력[편집] 2000년 4월 5일,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라오스와의 경기로 A매치 데뷔전을 치렀고, 2004년 AFC 아시안컵에서 뛰었다. 그 외[편집] 2005년에는 코뼈가 부러지는 부상을 당하자, 김태영에게 2002년 FIFA 월드컵에서 착용했던 안면 보호용 마스크를 빌려 쓰고 출전을 강행하는 투혼을 보여주기도 하였다.[8] 경력[편집] 선수 경력[편집] 2001년 ~ 2002년 상무 축구단 (군 복무) 2003년 ~ 2004년 전북 현대 모터스 2005년 ~ 2006년 전남 드래곤즈 2007년 FC 우니베르시타테아 클루지 2008년 ~ 2009년 경남 FC 2010년 장쑤 슌톈 2011년 경남 FC 2012년 폴리스 유나이티드 2013년 경남 FC 국가 대표 경력[편집] 2000년 AFC 아시안컵 대표 2004년 AFC 아시안컵 대표 우승 기록[편집] 클럽[편집] 전북 현대 모터스[편집] FA컵: 2003 대한민국 슈퍼컵: 2004 전남 드래곤즈[편집] FA컵: 2006 우니베르시타테아 클루지[편집] 리가 I: 2006-2007 경남 FC[편집] FA컵: 2008 각주[편집] ↑ “수비수 박재홍, 안트워프 입단테스트 출국”. 국민일보. 2000년 11월 26일.  ↑ “박재홍, 벨기에 축구 진출 좌절”. 국민일보. 2000년 12월 22일.  ↑ “벨기에리그 입단실패 박재홍, 상무행”. 국민일보. 2000년 12월 24일.  ↑ “전북 박재홍-전남 김정겸 '1대1 맞트레이드.'”. 조이뉴스24. 2005년 1월 14일.  ↑ “국가대표 수비수 출신 박재홍, 루마니아 진출”. 스포츠서울. 2007년 2월 20일.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전 국가대표 수비수 박재홍, 경남 입단!”. 경남 FC. 2008년 2월 29일.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경남FC, 전 국가대표 수비수 박재홍 영입”. 아시아투데이. 2011년 1월 13일.  ↑ “전남 드래곤즈 박재홍 김태영의 태극마스크 쓴다”. 전남 드래곤즈. 2005년 5월 13일.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6월 1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박재홍 K리그 기록 - 한국프로축구연맹 박재홍 FIFA 주관 대회 기록 - 국제축구연맹 (영어) 내셔널 풋볼 팀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박재홍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00년 CONCACAF 골드컵 1 김병지 2 강철 3 최성용 4 서동원 5 이임생 6 유상철 7 김태영 8 노정윤 9 박성배 10 최용수 11 안정환 12 이영표 13 김영철 14 윤정환 15 이민성 16 김도균 17 박진섭 18 황선홍 19 이동국 20 홍명보 21 이운재 22 이관우 23 박재홍 24 설기현 25 김용대 감독: 허정무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00년 AFC 아시안컵 3위 1 이운재 2 강철 3 하석주 4 박진섭 5 이임생 6 유상철 7 김태영 8 윤정환 9 설기현 10 노정윤 11 이동국 12 이영표 15 이민성 16 김상식 17 최성용 18 김용대 19 이천수 20 홍명보 21 김해운 23 박지성 24 박재홍 28 최철우 30 심재원 감독: 허정무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00년 하계 올림픽 1 최현 2 박지성 3 박재홍 4 박진섭 5 심재원 6 김도균 7 최철우 8 고종수 9 김도훈 10 이천수 11 이동국 12 이영표 13 박동혁 14 강철 15 조세권 16 김상식 17 최태욱 18 김용대 19 송종국 20 김길식 21 박강조 22 이운재 감독: 허정무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04년 AFC 아시안컵 1 이운재 2 박진섭 3 박재홍 4 최진철 5 김남일 7 김태영 9 설기현 10 현영민 12 이영표 13 이을용 14 정경호 15 이민성 16 차두리 17 김정겸 18 김은중 19 안정환 20 이동국 21 박지성 22 김용대 25 박요셉 28 김진규 30 차기석 감독: 본프레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박재홍_(1978년)&oldid=24442259" 분류: 1978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축구 수비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대한민국의 중국 진출 축구 선수대한민국의 루마니아 진출 축구 선수대한민국의 태국 진출 축구 선수중국의 외국인 축구 선수루마니아의 외국인 축구 선수태국의 외국인 축구 선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광주 상무 축구단의 축구 선수전북 현대 모터스의 축구 선수FC 우니베르시타테아 클루지의 축구 선수전남 드래곤즈의 축구 선수경남 FC의 축구 선수장쑤 쑤닝의 축구 선수폴리스 유나이티드 FC의 축구 선수K리그1의 축구 선수중국 슈퍼리그의 축구 선수2000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2004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대한민국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서울특별시 출신명지대학교 동문2000년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리가 I의 축구 선수부천 FC 1995의 코칭스태프태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루마니아에 거주한 대한민국인중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위키데이터에 링크가 없는 위키공용분류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ItalianoPortuguês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7일 (월) 22: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박재홍(朴載弘, 1978년 11월 10일 ~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수비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박재홍이 상무에 입단한 연도는 언제인가? Assistant: 2001년 Human: 아래 맹가네_전성시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맹가네 전성시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맹가네 전성시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맹가네 전성시대 장르 홈드라마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MBC 방송 기간 2002년 10월 26일 ~ 2003년 2월 23일 방송 시간 매주 토·일요일 저녁 7시 55분 방송 분량 50분 방송 횟수 36부작 기획 이재갑 연출 김남원 극본 박예랑 출연자 채시라, 이재룡, 최강희, 류수영 외 음성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아날로그)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한국어 자막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맹가네 전성시대 홈페이지 《맹가네 전성시대》는 2002년 10월 26일부터 2003년 2월 23일까지 방영된 MBC 주말연속극이다. 맹씨 일가의 일상을 그려낸 홈드라마로, 《그대를 알고부터》 후속으로 방영되었는데 막판에는 MBC 인어 아가씨와 주요 설정이 지나치게 비슷해졌다는 지적이 있었다.[1] 목차 1 소개 2 등장 인물 2.1 맹가네 2.2 규식이네 2.3 그 외 인물 3 각주 4 외부 링크 소개[편집] 행복은 어디에 있을까 그놈을 찾으러 간다. 불행하기 위해 사는 사람은 없다. 누구든지 행복하게 살고 싶어한다. ‘이러저러하면 난 정말 행복할거야’ 라고 나름대로 행복을 정의하며 그 행복을 갈망하는 우리들. 그러나 그 바램은 쉽게 이뤄지지 않는 듯싶다. 욕망과 소유가 완벽하게 일치할 때, 행복할 거라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말한다. 과연 그럴까? 미국이나 유럽보다 더 행복해졌으면 좋겠다는 광고문구에서 볼 수 있는 행복과 방글라데시가 가장 행복지수가 높다는 통계 자료를 통해 판단되는 행복의 차이점은 무얼까? 그건 바로 행복의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달린 가치관의 문제 아닐까? <맹가네 전성시대>는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의 '행복'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돈’이 행복의 만능 열쇠라고 생각하는 남자, ‘사랑’이야말로 행복의 키워드라고 생각하는 여자, ‘사회적 지위’로 명성을 누리는 걸 행복이라 말하는 또 다른 한 남자. 서로 만날 수 없는 삼각형의 꼭짓점과도 같은 이 세 남녀의 사랑과 그들을 둘러싼 가족, 이웃들의 사랑과 다툼, 전쟁과 화해를 통해 우리들이 찾는 진정한 의미의 ‘행복’을 찾아보고자 한다. 등장 인물[편집] 맹가네[편집] 채시라 : 맹금자, 약사 역 최강희 : 맹은자, 미용사 역 임현식 : 아버지 맹대풍 역 나문희 : 어머니 최영순 역 김동현 : 막내 아들, 맹왕자 역 규식이네[편집] 이재룡 : 최규식 역 김영애 : 지화자, 규식의 어머니 역 김영옥 : 한을순, 규식의 할머니 역 박윤재 : 최규영, 규식의 동생 역 그 외 인물[편집] 김영호 : 서상훈, 변호사 역 류수영 : 유정재, 의사 역 김혜선 : 유정화, 정재의 누나 역 수애 : 허주연 역 배영선(=채영인) : 현수, 유치원 선생 역 방양희 : 혜경, 어린이집 원장 역 김한 : 조조 역 이병준 선우재덕 성인자 박영지 남윤정 김기현 현숙희 정요숙 윤희주 백종헌 김양우 김산 김은수 이도경 박소현 한상진 송성희 문보연 한규희 조명진 김철기 강용석 주우 오협 염재욱 지양명 김태현 조재혁 김일웅 김상엽 강보라 신동미 최자혜 전익령 이상이 각주[편집] ↑ 김범석 (2003년 2월 19일). “[TV 포커스] `맹가네`-`인어아가씨` 닮은꼴 유감”. 중앙일보(일간스포츠). 2018년 4월 2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iMBC 맹가네 전성시대 웹사이트 문화방송 주말연속극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그대를 알고부터(2002년 4월 28일 ~ 2002년 10월 20일) 맹가네 전성시대(2002년 10월 26일 ~ 2003년 2월 23일) 죽도록 사랑해(2003년 3월 1일 ~ 2003년 8월 17일) vdeh 주말연속극1970년대후반 《왜 그러지》 《후회합니다》 《도련님》 《청춘의 덫》 《바람은 불어도》 《봄비》 《엄마, 아빠 좋아》 《산이 되고 강이 되고》 1980년대전반 《종점》 《딸》 《안녕하세요》 《성난 눈동자》 《아빠의 수염》 《야상곡》 《고백》 《미련》 《못 잊어》 《당신의 초상》 《저 별은 나의 별》 《아버지와 아들》 《사랑과 진실》 《바람속의 들꽃》(단막) 후반 《아무렴 그렇지, 그렇고 말고》 《남자의 계절》 《풀잎마다 이슬》 《사랑과 야망》 《세 여인》 《내일 잊으리》 《유산》 《행복한 여자》 1990년대전반 《배반의 장미》 《몽실언니》 《고개숙인 남자》 《산너머 저쪽》 《사랑이 뭐길래》 《마포 무지개》 《아들과 딸》 《엄마의 바다》 《남과 여》 《서울의 달》 《여울목》 후반 《사랑과 결혼》 《아파트》 《동기간》 《위험한 사랑》 《가슴을 열어라》 《사랑한다면》 《신데렐라》 《예스터데이》 《그대 그리고 나》 《마음이 고와야지》 《사랑과 성공》 《장미와 콩나물》 《사랑해 당신을》 《남의 속도 모르고》 2000년대전반 《사랑은 아무나 하나》 《엄마야 누나야》 《그 여자네 집》 《여우와 솜사탕》 《그대를 알고부터》 《맹가네 전성시대》 《죽도록 사랑해》 《회전목마》 《장미의 전쟁》 《사랑을 할꺼야》 《한강수타령》 후반 《떨리는 가슴》 《사랑찬가》 《결혼합시다》 《진짜 진짜 좋아해》 《누나》 《문희》 《깍두기》 《천하일색 박정금》 《내 인생의 황금기》 《잘했군 잘했어》 《탐나는도다》 《인연 만들기》 2010년대전반 《민들레 가족》 《글로리아》 《반짝반짝 빛나는》 《천 번의 입맞춤》 《무신》 《아들 녀석들》 《금 나와라, 뚝딱!》 《사랑해서 남주나》 《왔다! 장보리》 《장미빛 연인들》 후반 《여자를 울려》 《엄마》 《가화만사성》 《불어라 미풍아》 《당신은 너무합니다》 《밥상 차리는 남자》 《부잣집 아들》 《내사랑 치유기》 아침 | 일일 (일일  · 특별기획) | 월화 | 수목 | 금 | 예능 | 주말 (특별기획  · 연속극) | 시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맹가네_전성시대&oldid=24307558" 분류: 2002년 드라마2003년 드라마문화방송 주말연속극박예랑 시나리오 작품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Tagalog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8일 (화) 22:2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맹가네 전성시대》는 2002년 10월 26일부터 2003년 2월 23일까지 방영된 MBC 주말연속극이다. 맹씨 일가의 일상을 그려낸 홈드라마로, 《그대를 알고부터》 후속으로 방영되었는데 막판에는 MBC 인어 아가씨와 주요 설정이 지나치게 비슷해졌다는 지적이 있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맹가네 전성시대에서 이야기 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Assistant: <맹가네 전성시대>는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의 '행복'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돈’이 행복의 만능 열쇠라고 생각하는 남자, ‘사랑’이야말로 행복의 키워드라고 생각하는 여자, ‘사회적 지위’로 명성을 누리는 걸 행복이라 말하는 또 다른 한 남자. 서로 만날 수 없는 삼각형의 꼭짓점과도 같은 이 세 남녀의 사랑과 그들을 둘러싼 가족, 이웃들의 사랑과 다툼, 전쟁과 화해를 통해 우리들이 찾는 진정한 의미의 ‘행복’을 찾아보고자 한다.
Human: 아래 연방민사소송규칙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연방민사소송규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연방민사소송규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미국의 민사소송법 연방민사소송규칙 민사소송법의 원칙 관할 사물관할 복수 주간 관할 대인관할 이송관할 재판적 재판지 전환 불편한 법정의 원칙 고소와 소송 소장의 송달 진정서 소송 원인 집단 소송 2005년 집단 소송 공평법 방소항변 답변 적극적 항변 대답 반소 교차반소 결합 제3 당사자소송 경합 권리자 확인 수속 개입 재판전 절차 디스커버리 질문서 증언조서 무재판 해결 궐석재판 약식판결 원고의 의사에 따른 각하 원고의 의사에 상관없는 각하 합의 재판 당사자 원고 피고 배심제 예비심문 입증책임 판결 평결불복법률심리 평결불복판결 새로운 재판 법적 해결책 금지명령 배상금 수임료 미국의 규칙 영국의 규칙 선언적 판결 항소 직무집행명령소송 사건 이송 명령 v • d • e • h 위키문헌에 이 글과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미국 연방민사소송규칙 연방민사소송규칙(聯邦民事訴訟規則, Federal Rules of Civil Procedure, FRCP)은 미국연방법원에서 사용되는 민사소송을 규정한 규칙이다. 미국 대법원에 의해 제정되었으며 의회에 의해 승인되었다. 1938년 처음 발표되었으며 1948년, 1963년, 1966년, 1970년, 1980년, 1983년, 1987년, 1993년, 2000년, 그리고 2006년에 각각 개정되었다. (규칙집에는 년도마다 일어난 개정내용과 개정이유가 표기되어 있다.). 목차 1 역사 2 목차 2.1 1 장 적용범위 2.2 2 장 소송개시 2.3 3 장 소송장 2.4 4 장 당사자 2.5 5 장 디스커버리 2.5.1 디스커버리의 범위 및 면제 2.5.2 디스커버리의 유형 2.5.2.1 신체검사 · 정신검사 2.5.2.2 증인심문 2.6 6 장 재판 2.7 7 장 판결 2.8 8 장 임시 및 확정 조치 2.9 9 장 특별사항 2.10 10장 DISTRICT COURTS AND CLERKS: CONDUCTING BUSINESS; ISSUING ORDERS 2.11 11장 일반규정 2.12 12장 부칙 2.13 13장 해사사건 및 재산몰수 절차에 관한 보충 규정 3 같이 보기 4 각주 5 외부 링크 역사[편집] 미국의 경우 연방정부와 주정부마다 각각의 민사소송규칙을 가지고 있다. 1938년 법조인들로 구성된 자문위원회가 작성한 민사소송규칙을 연방 대법원이 처음 제정하였고 많은 주들이 이를 기초로 주 민사소송규칙을 제정하였다. 목차[편집] 총 86개의 규칙이 있고 11개의 장으로 분류되어 있다. 1 장 적용범위[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2 장 소송개시[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3 장 소송장[편집] 심리전협의(Pretrial conference)도 규칙에서는 법원의 재량에 의하여 쟁점의 정리 등을 위하여 열 수 있도록 하고 있었지만, 실제로는 좀 복잡한 소송에서는 대체로 몇 차례나 행하여지며, 쟁점이나 증거의 정리뿐만 아니라 개시절차의 규제나 화해의 알선도 행하여지고, 최후로는 상당히 상세한 심리전(pretrial) 명령이 내려지게 된다. 이에 개시절차의 람용을 포함하여 일정을 정하기 위한 심리전협의는 원칙으로 모든 사건에 대하여 적용하도록 하는 규칙 제16조의 개정이 1983년에 행하여졌다.[1] 제11조는 변호인이 대리하고 있는 당사자의 경우 모든 제출서면을 변호인이 서명을 하도록 요구하교 있다. 제11조는 변호인이나 당사자가 괴롭히거나, 경솔한 주장, 사실에 기초하지 않은 주장을 함에 대해 제재조치를 정하고 있다. 4 장 당사자[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5 장 디스커버리[편집] 디스커버리 (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제5장은 디스커버리(discovery)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다. 디스커버리란 재판이 개시되기 전에 당사자 서로가 가진 증거와 서류를 상호 공개를 통해 쟁점을 정리하여 명확히 하는 제도이다. 1970년의 개정에 의하여 미국연방법원의 디스커버리 제도가 확충 정비되어 불가결의 소송상의 제도로서 상당히 발달하게 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에 들어서자 디스커버리 절차가 폭넓게 허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절차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디스커버리 절차는 복잡하고 거대화해져서 실질적으로는 사실심리(trial)에 필적할 만큼의 시간 · 노력 · 비용이 들게 되었다.[2] 제5장에서 규정한 디스커버리는 증인심문 , 질의요구, 자인요구, 증거검사요청 및 신체검사 · 정신검사를 포함하는 의료검사 등의 다섯 가지 형태가 있다.[3] 2006년 12월 미국 민사소송규칙 절차가 개정되면서 페이퍼 디스커버리 대신 전자문서를 제출하라는 E-디스커버리 요구가 급증하고 있는데 디스커버리 명령은 "당해 기술의 개발 및 생산에 관련되는 조직도 및 관련 직원들이 주고받은 메일 등 모든 관련 정보를 제출하라”와 같은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정보를 요구하기 때문에 제출해야 할 전자문서의 분량이 폭증, 수백 기가바이트(GB)나 되고 제출 자료의 보전, 수집, 분류처리, 검토 등에 어마어마한 비용이 소요된다.[4]이런 엄청난 비용 때문에 특허침해 경고를 받거나 소송이 걸리면 서둘러 화해를 하거나 사운을 걸고 소송에 매달려야 하는 경우가 많다. 디스커버리의 범위 및 면제[편집] 일반적으로 사실조사의 대상이 되지 아니하는 특권사항(privilege)을 제외하고는 소송과 관련된 모든 사실은 심리절차에서 증거로 채택될 수 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모두 사실조사의 대상에 포함되는 것이 원칙이다.(FRCP §26(b))[5] 디스커버리의 유형[편집] 제5장에서 규정한 디스커버리는 증인심문(FRCP § 27~32) , 질의요구(FRCP § 33), 자인요구(FRCP § 36), 증거검사요청(FRCP § 34) 및 신체검사 · 정신검사를 포함하는 의료검사(FRCP § 35) 등의 다섯 가지 형태가 있다.[6] 신체검사 · 정신검사[편집] FRCP35 는 양측의 신체검사, 정신검사 명령을 다루고 있다. 양당사자(원피고), 대리인, 양당사자의 법적인 보호를 받는 자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여부가 문제가 되는 경우, 판사는 의사의 검사를 받도록 명하거나 그 대리인이나 법적인 보호를 받는 자를 검사에 데려가도록 명할 수 있다. 그러한 명령이 내려지려면 합당한 이유가 있는 신청이 있어야 한다. 검사를 받는 당사자측에 충분한 통지가 이루어져야 하며, 명령은 시간, 장소, 방식, 조건, 검사의 목적, 검사를 하는 사람 또는 사람들이 특정되어야 한다. 검사를 받는 측은 검사를 요구한 측에 검사를 하는 의사의 진단들, 즉 그동안 해왔던 테스트들의 결과, 진단과 결론, 그리고 같은 조건하에 이루어진 비슷한 검사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쓰여져 있는 리포트를 요구할 수 있다. 이러한 리포트가 송달이 된 경우, 검사를 요구한 측은 검사를 받는 측에게 이전의 어떠한 테스트나 검사라 하더라도 동일한 조건하에 이루어진 것이라면 해당 리포트를 요구할 수 있으며 이를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있다. 만약 검사를 받은 사람이 양당사자가 아닌 경우 그는 그러한 리포트가 없다는 것을 고지한 경우 그러한 의무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증인심문[편집] 증인심문절차는 법원보고자 앞에서 증인이 선서를 하고 당사자가 증인에 대하여 심문 또는 반대심문을 하는 절차를 말한다. 증인심문절차는 계류중인 소송의 어떠한 단계에서 행하여져도 무방하다. (FRCP §30)[7] 6 장 재판[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7 장 판결[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8 장 임시 및 확정 조치[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9 장 특별사항[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10장 DISTRICT COURTS AND CLERKS: CONDUCTING BUSINESS; ISSUING ORDERS[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11장 일반규정[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12장 부칙[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13장 해사사건 및 재산몰수 절차에 관한 보충 규정[편집] Rule B. In Personam Actions: Attachment and Garnishment 같이 보기[편집] 민사소송법 민사소송규칙 대한민국 각주[편집] ↑ 이명우, 〈裁判上의 和解에 관한 硏究〉,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1993) 38~39쪽. ↑ 이명우, 〈裁判上의 和解에 관한 硏究〉,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1993) 38쪽. ↑ 이상윤 (1996). 《영미법》, 초판, 서울: 박영사 451~2쪽. ↑ 日 도요타·닛산·덴쏘가 한국에 특허전쟁 걸어온다면… 한국경제 2011-12-01 ↑ 이상윤 (1996). 《영미법》, 초판, 서울: 박영사 454쪽. ↑ 이상윤 (1996). 《영미법》, 초판, 서울: 박영사 451~2쪽. ↑ 이상윤 (1996). 《영미법》, 초판, 서울: 박영사 452쪽. 외부 링크[편집] (영어) 규칙전문 (U.S. Courts 제공) (영어) 규칙전문 (영어) 규칙전문 (코넬 대학교 제공)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연방민사소송규칙&oldid=24192294" 분류: 영미법민사소송법법률 용어1938년 법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6: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연방민사소송규칙(聯邦民事訴訟規則, Federal Rules of Civil Procedure, FRCP)은 미국연방법원에서 사용되는 민사소송을 규정한 규칙이다. 미국 대법원에 의해 제정되었으며 의회에 의해 승인되었다. 1938년 처음 발표되었으며 1948년, 1963년, 1966년, 1970년, 1980년, 1983년, 1987년, 1993년, 2000년, 그리고 2006년에 각각 개정되었다. (규칙집에는 년도마다 일어난 개정내용과 개정이유가 표기되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연방민사소송규칙에서 검사를 받을시 피검사자측은 검사자에게 무엇을 요구할수 있는가? Assistant: 검사를 받는 측은 검사를 요구한 측에 검사를 하는 의사의 진단들, 즉 그동안 해왔던 테스트들의 결과, 진단과 결론, 그리고 같은 조건하에 이루어진 비슷한 검사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쓰여져 있는 리포트를 요구할 수 있다. Human: 아래 옥계_전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옥계 전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옥계 전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옥계전투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1년 12월) 옥계 해전한국 전쟁의 일부날짜1950년 6월 25일장소강원도 옥계항 앞바다결과 대한민국의 승리교전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지휘관 김성삼 통제부 사령관 대령 김충남 제2정대 사령관 중령 김두찬 묵호경비부 사령관 중령 최용남 PC 701함장 중령 양해경 YMS 512함장 소령 박창제 YMS 518함장 소령 김상도 YMS 509함장 소령 불명피해 규모 YMS 509정 함수 피격 상륙정 1척 침몰 상륙정 1척 노획 수송선 1척 피해 옥계 전투는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 발발 당시, 동해안 경비 임무를 맡고 있던 YMS 509정이 북한군이 동해안에 상륙한다는 보고를 받고 출동하여, 치열한 해상전투 끝에 적 수송선 한 척을 격퇴, 상륙정 한 정 격파, 상륙정 한 정 포획이라는 전과를 거둔 전투이다. 이 전투의 결과로 YMS 509정도 약간의 피해를 입었으나 북한군이 더이상 동해안으로 상륙하지 못하도록 하는 전과를 거두었다. 목차 1 배경 2 전투 과정 3 결과 및 영향 4 같이 보기 배경[편집] 전쟁 당시 해군이 보유하고 있던 유일한 전투함이면서 해군의 주력함 이었던 PC 701함은 당시에 강한 화력을 지니고 있는 전투함이 없음을 안타깝게 여긴 해군의 전장병과 국민들의 성금으로 구입한 전투함이다. 해군은 부산의 김충남 중령이 이끄는 제2정대가 소해정 6척을 보유하고 동해안 경비를 담당하고 있었는데, 이때만 하여도 38도 분계선을 중심으로 한 간접적인 도발행위는 빈번하였으나 전면적인 침공은 예상외의 일이었으며 특히 해상은 별다른 징후가 없었으므로 제2정대는 1척의 경비정으로 하여금 묵호와 주문진간을 경비하도록 하였으며 묵호경비부는 강릉으로부터 묵호에 이르는 각 해안에 해상감시소를 설치하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었다. 6월 24일에는 묵호 해상에서 경비 중이던 민현식 소령이 이끄는 JMS 304정이 김상도 소령이 이끄는 YMS-509정에게 경비임무를 인계하고 부산의 제 2정부사령부로 귀항 중에 있었으며 YMS-509정은 이날 경비출동 기간 중에 필요로 하는 부식품적재차 묵호항에 정박 중에 있었다. 전투 과정[편집] 6월 24일 JMS 304정과 동해안 경비임무를 교대한 YMS 509정은 부식품을 적재하려고 묵호항에 정박하고 있던 중 동해안을 따라 남침한 북한군의 제788 게릴라(Guerilla) 부대는 공격 목표를 옥계 등지의 해안으로 정하고 6월 25일 04:00에 이미 해안상륙을 개시하고 있었다. 이에 김두찬 중령이 이끄는 묵호경비부의 옥계해안초소로부터 해군의 상륙을 보고 받은 사령관은 즉시 해안본부로 타전하는 동시에 YMS 509정의 현지출동을 명령하였다. 그 당시 38도 분계선 근해의 경비는 체계적으로 이루 어진 것이 아니고 항구에 정박 대기하고 있다가 특별한 경황이 있으면 출동을 하는 시기였으며 YMS 509정도 묵호항에 정박중이고 6월 24일은 토요일인데다 모두 육상에 외출하였다가 돌아왔으며 이튿날은 일요일이므로 승조원 모두가 깊은 잠에 취해 있었다. 6월 25일 05:00 YMS 509정은 해군 본부로부터 다음과 같은 긴급 전문을 받았다. 『긴급 출동 지시 ① 북한 수성선단 남침 ② 옥계 해안에 적군 상륙중 ③ YMS 509정은 긴급출동하여 격침하라.』 해군 본부 통신사가 상기전문을 정장에게 보고한 시간은 05:10이었고, 509정은 즉각 출동 준비를 서둘러 06:00에 묵호를 출항하여 북상하였다. 당시의 해상 상태는 안개가 끼어 있어 시정이 그다지 좋지 않았고, 세찬 해풍은 없었으나 선체는 좌우로 40도씩이나 기울어지기도 하였다. 2시간의 항진 끝에 509정은 안개 속에서 배 한척을 발견하였는데 배의 형체로 보아 아군의 경비정이 아닌가 의아심을 품고 발광신호를 보내기 시작하였다. 적선은 아해군의 소해정과 유사한 점이 있어서 YMS 509정보다 더 빨리 현지에 도착한 아해군경비정으로 착각하고 발광신호를 계속했으나 아무런 응답이 없자 509정에서는 전투 배치를 하고 심한 파도를 가르며 상대선으로 접근해갔다. 509정이 계속 발광신호를 하면서 1리정도 접근해가자 상대선으로부터 번쩍하는 섬광이 있었는데 정장은 발광신호로 응답이라도 하는 줄 알았으나 그것은 아군함을 목표로 포격을 가한 것이었다. 동시에 509정에서도 『적함이다!』는 함성과 함께 모두들 정장의 포격명령에 따라 37mm포와 중기로 사격을 가하기 시작하니 조용한 아침바다에는 치열한 포성이 울려 퍼졌다. 포격을 계속하면서 적선을 관찰한 결과 선체는 모두 다 철선이고 갑판에는 40mm 2연장 기관포가 있었으며 속도도 아군보다 빠른 편이었다. 509정의 포요원들은 처음 맞이하는 실전이었으나 흥분과 망설임을 망각한 채 37mm 포로 정확한 명중탄을 집중시켰다. 선박의 마스트에는 붉은 북한기가 휘날리고 있었으며 509선은 포의 조준장치가 미비한 점을 만회시키려고 500야드까지 접근하면서 사격을 계속하였다. 적선과의 근거리에서 509정은 적수에 1발이 명중되었지만 목선이 되어서 별다른 피해는 없었고 포의 조준장치가 미비했던 동정은 파도를 이용하여 선체가 올라갔다 내려오는 순간에 정조준하여 사격한 까닭으로 37mm포는 정확하게 적의 철판에 명중되어 작열하고 있었다. 50분간 계속된 교전으로 북한군의 화력도 약하여지고 속도도 미약하여 진 듯이 검은 연기를 토하면서 북으로 도피하였다. 수평선 멀리 검은 연기를 내면서 사라지는 적선을 뒤로한 509정은 피격된 선수 현측갑판의 수침을 막기 위하여 묵호로 돌아와서 긴급수리를 끝마치고 다시 교전하던 해역으로 출동하였으나 해안선에 적의 발동선만 3~4척만 있었고 북한군은 이미 상륙해버린 후였다. 509정은 같은 날 15:00에 옥계 북상 3리 지점에 상륙 중이던 북한군을 발견하자 근거리까지 접근하여 포격을 가하니 적은 이미 상륙하여 하역작업을 하고 있던 것을 중지하고 산속으로 분산도주 하였다가 15분후에 박격포 수문으로 509정에 대항하여 왔으나 아무런 피해가 없었다. 같은 날 17:30에 509정은 해안선에 있던 상륙정 1척을 완전격파하고 다른 발동선 1척을 노획하여 묵호항에 입항한 다음 묵호경비부에 인계함과 동시에 북한군의 전면적인 남침상황을 알게 되었다. 결과 및 영향[편집] YMS 509정의 동해안 옥계 전투와 PC 701함의 대마도 근해의 대한해협 해전에서 국군 해군은 전투를 승리로 이끄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 뒤 YMS 509정과 PC 701함은 UN해군함대와의 합동작전에 참가하여 서해안 봉쇄작전에도 많은 공을 세웠고 또한 적해군은 동해안해전에서 실패한 다음 더 이상 게릴라(guerilla)의 상륙을 실시하지 못한 듯 하며 주로 서해안에 적재되어 있는 도서지방에 침투를 시도하였다. 그러나 북한군의 서해안침투도 국군의 봉쇄에 부딪혀 좌절되고 말았다. 같이 보기[편집] 대한해협 해전 vdeh 한국 전쟁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인민군) 참전국 그리스 왕국 남아프리카 연방 네덜란드 뉴질랜드 미국 벨기에 & 룩셈부르크 소련 에티오피아 제국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중화인민공화국 캐나다 콜롬비아 태국 터키 프랑스 필리핀 의료지원국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이탈리아 인도 헝가리 대중문화 다큐멘터리 영화 영화 도서 재연 M*A*S*H 전투 서열 미국 제8군 제7함대 제5공군 유엔군 중국인민지원군 배경 한반도 분단 제2차 국공 내전 애치슨 선언 조중동맹조약 주요 전투 폭풍 작전 조선인민군의 서울 점령 한강 전투 오산 전투 대전 전투 부산 교두보 전투 인천 상륙 작전 서울 수복 평양 탈환 장진호 전투 흥남 철수 작전 1·4 후퇴 선더볼트 작전 중공군 춘계공세 피의 능선 전투 백마고지 전투 금성 전투 기타 여파 화학전 논란 탈영병 정전 MiG 골목길 블랙리스트 포티 글로리 기념 공원 전쟁 기념관 무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옥계_전투&oldid=19618577" 분류: 1950년 남북 관계1950년 분쟁한국 전쟁의 전투대한민국의 전투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전투강릉시의 역사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1년 12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7년 9월 17일 (일) 18: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옥계 전투는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 발발 당시, 동해안 경비 임무를 맡고 있던 YMS 509정이 북한군이 동해안에 상륙한다는 보고를 받고 출동하여, 치열한 해상전투 끝에 적 수송선 한 척을 격퇴, 상륙정 한 정 격파, 상륙정 한 정 포획이라는 전과를 거둔 전투이다. 이 전투의 결과로 YMS 509정도 약간의 피해를 입었으나 북한군이 더이상 동해안으로 상륙하지 못하도록 하는 전과를 거두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전쟁 당시 유일한 전투함으로, 구입하는데 국민들의 성금이 어느 정도 비중을 차지한 이 전투함은? Assistant: PC 701함
Human: 아래 김민경_(1981년_8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민경 (1981년 8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민경 (1981년 8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민경 (미스코리아)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민경출생 1981년 8월 10일(1981-08-10) (37세)대구광역시다른 이름 김지유직업 배우활동 기간 2001년 ~ 현재소속사 플라즈마엔터테인먼트 학력 동국대학교 연극영상학과수상 2001년 미스코리아 진웹사이트 김민경 - 인스타그램김민경 - 트위터 김민경(1981년 8월 10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목차 1 학력 2 연기 활동 2.1 TV 드라마 2.2 영화 2.3 공연 3 수상 4 외부 링크 학력[편집] 경일여자고등학교 동국대학교 연극영상학과 연기 활동[편집] TV 드라마[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배역 비고 2003 MBC 1%의 어떤 것 희진 2004 KBS2 4월의 키스 강재희 MBC 영웅시대 현영순 KBS2 부모님전상서 채영 2005 드라마시티 - 민들레는 피고지고 민들레 2006 소문난 칠공주 양달희 2008 엄마가 뿔났다 최은실 2011 JTBC 빠담빠담… 그와 그녀의 심장박동소리 민효숙 2012 무자식 상팔자 강효주 2015 MBC 이브의 사랑 강세나 2017 tvN 써클: 이어진 두 세계 박민영 영화[편집] 연도 제목 배역 비고 2004 내 사랑 싸가지 선미 2015 함정 이소연 2019 걸캅스 여청과 형사 공연[편집] 기간 제목 배역 비고 2014년 9월 12일 ~ 2014년 9월 28일 오 마이 슈퍼맨 황지선 2015년 11월 27일 ~ 2016년 1월 3일 알파치노 카푸치노 수애 2016년 5월 5일 ~ 2016년 5월 29일 장수상회 김민정 2017년 5월 13일 장수상회 - 춘천 수상[편집] 연도 사항 2001 2001년 미스코리아 선발대회 진 외부 링크[편집] 김민경 - 인스타그램 김민경 - 트위터 미스코리아 진(眞) 2000년 2001년김민경 2002년 김사랑 금나나 미스코리아 서울 선(善) 2000년 2001년김민경, 정아름 2002년 장은진, 탁은영 기윤주, 김지혜 미스 유니버스 코리아 2000년 2001년김민경 2002년 김사랑 금나나 vdeh미스코리아 진1950년대 박현옥 (1957) 오금순 (1958) 오현주 (1959) 1960년대 손미희자 (1960) 서양희 (1961) 서범주 (1962) 김명자 (1963) 신정현 (1964) 김은지 (1965) 윤귀현 (1966) 홍정애 (1967) 김윤정 (1968) 임현정 (1969) 1970년대 유영애 (1970) 노미애 (1971) 박연주 (1972) 김영주 (1973) 김은정 (1974) 서지혜 (1975) 정경숙† (1976) 김성희 (1977) 손정은 (1978) 서재화 (1979) 1980년대 김은정 (1980) 이은정 (1981) 박선희 (1982) 임미숙 (1983) 최영옥 (1984) 배영란 (1985) 김지은 (1986) 장윤정 (1987) 김성령 (1988) 오현경 (1989) 1990년대 서정민 (1990) 이영현 (1991) 유하영 (1992) 궁선영 (1993) 한성주 (1994) 김윤정 (1995) 이은희 (1996) 김지연 (1997) 최지현 (1998) 김연주 (1999) 2000년대 김사랑 (2000) 김민경 (2001) 금나나 (2002) 최윤영 (2003) 김소영 (2004) 김주희 (2005) 이하늬 (2006) 이지선 (2007) 나리 (2008) 김주리 (2009) 2010년대 정소라 (2010) 이성혜 (2011) 김유미 (2012) 유예빈 (2013) 김서연 (2014) 이민지† (2015) 김진솔† (2016) 서재원† (2017) 김수민† (2018) †미스 유니버스에 출전하지 않은 인물.1983년 이전까지는 그 해 당선된 미스코리아 진이 미스 유니버스에 출전, 1983년 이후에 당선된 미스코리아 진은 당선된 다음 해에 열리는 미스 유니버스 대회에 대한민국 대표로 출전했다.2016년 당선자 이후부터는 미스 유니버스 대한민국 대표로 출전하지 못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민경_(1981년_8월)&oldid=24415272" 분류: 1981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경일여자고등학교 동문동국대학교 동문미스코리아 진대구광역시 출신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2일 (수) 12:0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민경(金敏慶, 1981년 8월 10일~)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민경의 연기활동 기간별 공연 목록은 어떠한가요? Assistant: 기간 제목 배역 비고 2014년 9월 12일 ~ 2014년 9월 28일 오 마이 슈퍼맨 황지선 2015년 11월 27일 ~ 2016년 1월 3일 알파치노 카푸치노 수애 2016년 5월 5일 ~ 2016년 5월 29일 장수상회 김민정 2017년 5월 13일 장수상회 - 춘천 Human: 아래 조르주_르메트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조르주 르메트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르주 르메트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르주 르메트르프랑스어: Georges Henri Joseph Édouard Lemaître 출생 1894년 7월 17일(1894-07-17) 벨기에 샤를루아 사망 1966년 6월 20일 (71세) 벨기에 뢰번 분야 우주론 소속 루뱅 가톨릭대학교 출신 대학 루뱅 가톨릭대학교케임브리지 대학교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지도 교수 샤를장 드 라 발레푸생할로 섀플리 주요 업적 대폭발 이론 허블의 법칙 프리드만-르메트르-로버트슨-워커 계량 종교 로마 가톨릭교회 조르주 앙리 조제프 에두아르 르메트르(프랑스어: Georges Henri Joseph Édouard Lemaître 프랑스어 발음: ​[ʒɔʁʒ ɑ̃ʁi ʒozɛf edwaʁ ləmɛtʁ], 1894–1966)는 벨기에의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이자 천문학자다. 에드윈 허블 이전에 먼저 우주의 팽창과 대폭발 이론을 최초로 발표하였다. 목차 1 생애 2 각주 3 참고 문헌 4 외부 링크 생애[편집] 1894년 7월 17일 벨기에 샤를루아에서 태어났다. 샤를루아에 있는, 예수회가 운영하는 학교를 졸업하였고, 17세 때 뢰번 가톨릭 대학교에서 토목공학을 연구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1914년에 학업을 잠시 중단하고, 벨기에 군의 일원으로 참전하였고, 이 공로로 전후 벨기에 전쟁 훈장(프랑스어: Croix de guerre)을 수여받았다. 전후 물리학과 수학으로 관심을 돌렸다. 1920년에 샤를장 드 라 발레푸생의 지도 아래 실해석학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고, 1923년에 로마 가톨릭교회 신부가 되었다. 1923년에 케임브리지 대학교에 천문학 박사 과정 학생으로 입학하였고, 아서 에딩턴으로부터 우주론과 천문학을 공부하였다. 이후 할로 섀플리 아래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에서 1년을 보냈고, 섀플리 아래서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로부터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1925년에 벨기에로 귀국하였고, 뢰번 가톨릭 대학교에서 강사로 있었다. 여기서 1927년에 팽창하는 우주를 나타내는 논문 〈일정한 질량을 갖지만 팽창하는 균등한 우주를 통한 우리 은하 밖의 성운들의 시선 속도의 설명〉(프랑스어: Un Univers homogène de masse constante et de rayon croissant rendant compte de la vitesse radiale des nébuleuses extragalactiques)을 발표하였지만, 당시 주목받지 못했다. 이 논문에서 르메트르는 허블 법칙을 유도하였고, 허블 상수를 최초로 계산하였다. 이 논문은 1931년에 영어로 번역되었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이 논문을 접하였으나, 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을 거부하였다. 아인슈타인은 르메트르의 논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평했다. “ 당신의 계산은 옳지만, 당신의 물리는 말도 안 됩니다.Vos calculs sont corrects, mais votre physique est abominable. ” 그러나 아서 에딩턴은 르메트르의 논문을 극찬하였다. 1931년에 르메트르는 런던에서 자신의 이론을 강연하였다. 이 강의에서 르메트르는 우주 전체가 "시초의 원자"(영어: primordial atom)로부터 시작되었다고 추측하였고, 이 내용은 곧 《네이처》에 논문으로 출판되었다.[1] 1936년에 르메트르는 교황청 과학원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1950년에 교황 비오 12세는 르메트르의 이론이 유신론의 증거라고 선언하였으나, 르메트르는 개인적으로 종교와 과학을 섞는 것을 반대하였다고 한다. 르메트르는 1960년에 요한 23세에 의하여 몬시뇰이 되었고, 1960년 3월에 교황청 과학원 원장으로 선출되었다. 1962년에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 초대되었으나, 건강을 이유로 불참하였다. 1964년에 뢰번 가톨릭 대학교에서 은퇴하였고, 1966년 6월 20일에 사망하였다. 이는 대폭발 이론의 결정적인 증거를 제공하는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의 발견의 며칠 뒤였다. 각주[편집] ↑ Lemaître, G. (1931년 5월 9일). “The Beginning of the World from the Point of View of Quantum Theory”. 《Nature》 (영어) 127: 706–706. doi:10.1038/127706b0.  참고 문헌[편집] 파렐, 존 (2009년 6월 12일). 《빅뱅 — 어제가 없는 오늘. 르메트르, 아인슈타인, 그리고 현대 우주론의 탄생》. 진선미 역. 양문. ISBN 9788987203997.  Berenda, Carlton W. (1951년 5월 10일). “Notes on Lemaître’s Cosmogony”. 《The Journal of Philosophy》 (영어) 48 (10): 338–341. ISSN 0022-362X. doi:10.2307/2020873.  Holder, Rodney D.; Simon Mitton (2013). 《George Lemaître: Life, Science and Legacy》 (영어). Astrophysics and Space Science Library 395. Springer. Bibcode:2012ASSL..395.....H. ISBN 978-3-642-32253-2. ISSN 0067-0057. doi:10.1007/978-3-642-32254-9.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Berger, André (1984). 《The Big Bang and Georges Lemaître》 (영어). D. Reidel.  Cevasco, George A. (1954). “The Universe and Abbe Lemaitre” (영어) 83 (969). Irish Monthly.  Godart, Odon; Michal Heller. 《Cosmology of Lemaître》 (영어). Pachart Publishing House.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McCrea, William H. (1970년 9월). “Cosmology today: a review of the state of the science with particular emphasis on the contributions of Georges Lemaître”. 《American Scientist》 (영어) 58 (5). JSTOR 27829241.  Turek, Jósef (1989). 《Georges Lemaître and the Pontifical Academy of Sciences》. Vatican Observatory Publications (영어). Specola Vaticana.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조르주 르메트르 “조르주 르메트르”. 《천문우주지식정보》. 한국천문연구원. 2010년 11월 9일. 2013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4일에 확인함.  이명현 (2013년 6월 21일). “아인슈타인이 몰랐던 '빅뱅'의 천재!”. 프레시안.  “Georges Lemaître”. 《수학 계보 프로젝트》 (영어). 미국 수학회.  O’Connor, John J.; Edmund F. Robertson (2008년 7월). “Georges Henri-Joseph-Édouard Lemaître”. 《MacTutor History of Mathematics Archive》 (영어).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09437363 LCCN: n84073001 ISNI: 0000 0001 2103 7943 GND: 119526514 SUDOC: 035132132 BNF: cb13320605w (데이터) MGP: 22743 NLA: 35299540 NDL: 01065878 NKC: xx0148100 BNE: XX504843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르주_르메트르&oldid=23889628" 분류: 1894년 태어남1966년 죽음벨기에의 천문학자우주론자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동문케임브리지 대학교 동문벨기에의 로마 가톨릭 신부상대성 이론가케임브리지 대학교 세인트에드먼즈 칼리지 동문19세기 천문학자20세기 천문학자뢰번 출신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로컬에는 없지만 위키데이터에는 있는 그림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ČeštinaЧӑвашла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Gaeilgeעבריתहिन्दीHrvatskiKreyòl ayisyen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ಕನ್ನಡLatinaLëtzebuergeschLatviešuMalagasyമലയാളംमराठी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alon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0일 (수) 17: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조르주 앙리 조제프 에두아르 르메트르(프랑스어: Georges Henri Joseph Édouard Lemaître, [ʒɔʁʒ ɑ̃ʁi ʒozɛf edwaʁ ləmɛtʁ]; 영어 발음: /ləˈmɛtrə/; 1894년 7월 17일 - 1966년 6월 20일)는 벨기에 가톨릭 사제, 이론물리학자, 수학자, 천문학자, 루뱅 가톨릭 대학교 물리학 교수였다. 그는 가까운 은하의 후퇴가 팽창하는 우주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는 이론을 처음으로 제시했으며, 이는 곧 에드윈 허블에 의해 관측으로 확인되었다. 그는 처음으로 "허블의 법칙"을 도출했으며, 현재는 국제천문연맹 IAU에서 허블-르메트르 법칙이라고 한다. 허블의 소논문이 나오기 2년 전인 1927년에 허블 상수의 첫 번째 추정치를 발표했다. 르메트르는 또한 우주의 기원에 대한 "대폭발(빅뱅) 이론"을 제안하여 이를 "원시 원자(primeval atom)의 가설"이라고 불렀고 나중에는 "세계의 시작"이라고 불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우주에 관해 조르주가 1931년 강의를 한 지역은 어디인가? Assistant: 런던
Human: 아래 스즈미야_하루히의_우울_(애니메이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애니메이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애니메이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미공개 또는 계획만 발표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작품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이 문서는 라이트노벨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를 원작으로 한 애니메이션에 관한 것입니다. 원작 라이트노벨 및 만화에 대해서는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涼宮ハルヒの憂鬱 장르 학원물 TV 애니메이션: 2006년 작 원작 타니가와 나가루 감독 이시하라 타츠야 시리즈 구성 스즈미야 하루히와 유쾌한 동료들 애니메이션 제작 교토 애니메이션 방송사 방송국 참조 애니맥스 방영 기간 2006년 4월 ~ 7월 2008년 1월 11일 ~ 2월 22일 화수 14화 저작권 표기 ⓒ 2006 타니가와 나가루·이토 노이지·SOS단 TV 애니메이션: 2009년 작 원작 타니가와 나가루 감독 타케모토 야스히로 시리즈 구성 스즈미야 하루히와 역시 유쾌한 동료들 애니메이션 제작 교토 애니메이션 방송사 방송국 참조 애니맥스 방영 기간 2009년 4월 ~ 화수 28화 저작권 표기 ⓒ 2007·2008·2009 타니가와 나가루·이토 노이지·SOS단 관련 작품 원작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타니가와 나가루) 만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미즈노 마코토)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츠가노 가쿠) 스즈미야 하루히 짱의 우울 (뿌요) 뇨롱 츄루야씨 (에렛토) 라디오 SOS단 라디오 지부 게임 스즈미야 하루히의 약속 (PSP) 스즈미야 하루히의 당황 (PS2) 스즈미야 하루히의 격동 (Wii) 스즈미야 하루히의 직렬 (DS) 스즈미야 하루히의 병렬 (Wii)|- 틀 - 토론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涼宮ハルヒの憂鬱 스즈미야 하루히노 유우츠[*], The Melancholy of Haruhi Suzumiya)은 타니가와 나가루의 라이트노벨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를 원작으로 하는 일본의 TV 애니메이션이다. 일본에서는 2006년 4월부터 7월에 걸쳐 전 14화가 방영되었다. 감독은 이시하라 타츠야, 애니메이션 제작은 교토 애니메이션이 맡았다. 한국어 더빙판은 애니맥스에서 2008년 1월 11일부터 2월 22일까지 매주 금요일 주 2회 방영되었다. 2007년 7월 7일에 2기 제작이 발표되었다가 12월 18일에 2기 제작 취소를 선언하고 신(新) 애니메이션을 제작한다고 밝혔으나, 자세한 내막은 알 수 없으며, 발표 날짜가 각각 7월 7일과 12월 18일인 것으로 보았을 때 2기의 내용으로 알려졌던 원작 《소실》편의 사건을 본따 의미성을 위해 형식적으로 발표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결국 2009년 4월부터 새로운 에피소드가 기존 방영분 곳곳에 추가된 형태로 방영되었고, 극장판 애니메이션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이 2010년 2월 6일 일본에서 개봉했다. 대한민국에서 DVD가 디지팩 한정판 사양의 박스셋으로 11월 24일 발매되었다. 2006년 방영한 전 14화를 8장의 디스크에 수록했다. 음성은 일본어만이 수록되어 있고 한글 자막이 들어 있다. 목차 1 개요 2 줄거리 및 각화구성 2.1 2009년판 3 등장인물 4 용어 5 특징 5.1 구성 및 작화 5.2 패러디 5.3 원작소설과의 차이점 5.4 무대의 모델 5.5 공식 사이트 6 스태프 7 음악 7.1 오프닝 테마 7.2 엔딩 테마 7.3 삽입곡 8 방송국 9 이벤트 9.1 스즈미야 하루히의 격주 9.2 스즈미야 하루히의 현주 10 외부 링크 개요[편집] 타니가와 나가루 원작의 라이트노벨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를 2006년에 애니메이션화하였다. 동년 4월부터 7월까지, 독립 UHF 등에서 심야시간대에 방영되었다. 여자 고등학생 스즈미야 하루히가 "우주인이나 미래인, 초능력자를 찾아내서 같이 노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한 SOS단을 중심으로 평범한 학교생활 가운데 일어나는 비상식적인 사건을, 강제로 SOS단에 가입하게 된 평범한 남자 고등학생 쿈의 시점에서 그리고 있다. UHF 애니메이션으로서는 매우 높은 퀄리티가 화제를 모아 2006년 상반기 화제작이 되었다. 이 애니메이션의 방영을 계기로 원작소설의 누계 발행부수가 130만부에서 450만부로 크게 상승했고, 캐릭터송의 판매실적도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또한, 방영 전인 2006년 2월 3일부터 2006년 12월까지는 라디오 프로그램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SOS단 라디오 지부》가 라디오 관서에서 방송되었다. 줄거리 및 각화구성[편집] 줄거리에 대해서는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줄거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작품 내용은 원작 시리즈 제1권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을 베이스로, 3권 《스즈미야 하루히의 무료》, 5권 《스즈미야 하루히의 폭주》, 6권 《스즈미야 하루히의 동요》의 일부 단편과, 원작자 타니가와 나가루가 애니메이션을 위해 새로이 쓴 오리지널 스토리인 "섬데이 인 더 레인(Someday in the Rain)"으로 구성되었다. "섬데이 인 더 레인" 편은, 언제나 쿈의 1인칭 해설과 함께 진행되는 작품을 애니메이션이라는 특성을 이용해 "쿈이 없는 SOS단"을 보여주기 위하여 제작되었다. TV 방영시에는 원작의 발행순서나 이야기상의 시간진행과는 다른 순서로 방영되었다. 때문에 차회 예고 때 하루히는 일이 일어난 순서대로의 화수를 말하고, 뒤에 이어 쿈은 TV방영순서를 따른 화수와 서브타이틀을 말하며 정정한다. DVD에서는 가장 먼저 발매된 "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Episode 00"을 제외하고 모두 시간순서대로 수록되어있다. 차회예고도 그에 따라 나가토 유키의 중얼거림으로 변경되었다. TV 방영시의 차회예고는 DVD의 영상특전으로서 수록되어 있다. 2006년 TV 방송 순서 화수 제목 제1화 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Episode 00 제2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 제3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I 제4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무료 제5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II 제6화 고도 증후군 (전편) 제7화 Mystérique Sign 제8화 고도 증후군 (후편) 제9화 Someday in the Rain 제10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V 제11화 사수자리의 날 제12화 Live Alive 제13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 제14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I 시계열 순서 계절 화수 제목 원작 DVD 수록 권 4 - 5월 제2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 1권 《우울》 1권 제3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I 제5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II 2권 제10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V 제13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 3권 제14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I 6월 제4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무료 3권 《무료》 4권 7월 제7화 Mystérique Sign 제6화 고도 증후군 (전편) 5권 제8화 고도 증후군 (후편) 11월 제1화 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Episode 00 6권 《동요》 0권 제12화 Live Alive 6권 제11화 사수자리의 날 5권 《폭주》 제9화 Someday in the Rain 애니 오리지널 7권 감독 이시하라 타츠야는 방송순서를 시간순서와 다르게 배정한 이유를, "원작의 충실한 이식"과 "원작 팬을 놀래주는 것" 두 가지를 양립시키기 위해서라고 한다. 원작에 충실할 수록 원작을 읽지 않은 시청자에게는 좋은 배려이지만, 스토리를 이미 알고 있는 원작 팬들의 보는 재미가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없다. 반면, 원작 팬을 배려하여 애니메이션 자체적 요소를 늘린다면 원작의 분위기를 해칠 위험성이 생긴다. 원작을 충실히 따르면서 원작 팬에게도 신선함을 제공하고자 한 결과, 이와 같은 방송순서가 나왔다고 한다. 또한, 시간 배열이 달라졌다고는 하지만 장편(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I - VI) 사이에 단편이 끼어있는 것 뿐, 단편이 장편의 복선 기능을 하게끔 되었다고도 하고 있다. DVD에 시간순서대로 수록되어 있는 것은, 다시 한번 DVD를 통해 시간 배열대로 보게 하여 새로운 발견을 주게끔 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원작자는 "우울 VI"를 최종화로 하기로 정했는데 그러면 시간배열이 복잡해지기때문에 그러느니 아예 설명없이 방영순서를 완전히 섞어버리자고 생각했다고도 한다. 시리즈 연출을 맡은 야마모토 유타카의 "초감독 하루히는 자기가 만든 영화를 제1화로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그 이유 중 하나라고 한다. 2009년판[편집] 2006년판을 기초로 시간 순서대로 진행하면서 중간에 새로운 에피소드를 더하는 방식으로 방영되었다. 차회예고가 없고, 가도카와 쇼텐이 방송 전에 서브타이틀을 공표하지 않는 방침이어서 신작에 대한 기대와 함께 어떤 방송이 될지에 대한 궁금증을 불러일으켰다. 새로운 에피소드가 방영되면서부터는 다음화에 대한 여러 가지 추측이 난무했다. 2006년판 방영분은 DVD에 수록된 디렉터즈 컷 버전이었고, 오프닝 크레딧만 스태프 변경에 따라 일부 수정되었다. 2기가 방송될 당시 원작소설인 스즈미야 시리즈가 2년 넘게 신작(스즈미야 하루히의 경악)이 발표되지 않은 상태인지라 2기에 많은 관심과 기대가 모아졌다. 하지만 8화에 걸친 엔들리스 에이트의 방영분에서 원성을 많이 샀다. 엔들리스에이트의 줄거리가 반복되는 여름방학마지막 2주간의 이야기인지라 장장 8화에 걸친 비슷한(의상이라든가 배경, 대사이 화가거듭될때마다 조금씩 달라져있다. 그래서 똑같다기보다는 비슷하다는 단어를 선택했다.) 시나리오는 팬들의 기대를 무참히 격추시키며 전체적인 내용이 루즈해졌다. TV 방송 순서 (굵은 글씨가 새로운 에피소드) 화수 서브타이틀 제1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 제2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I 제3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II 제4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V 제5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 제6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I 제7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무료 제8화 조릿대잎 랩소디 제9화 Mystérique Sign 제10화 고도증후군·전편 제11화 고도증후군·후편 제12화 엔들리스 에이트 제13화 제14화 제15화 제16화 제17화 제18화 제19화 제20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I 제21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II 제22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III 제23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IV 제24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V 제25화 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Episode 00 제26화 Live Alive 제27화 사수자리의 날 제28화 Someday in the rain 등장인물[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의 등장인물입니다. 쿈 (キョン) 성우 : 스기타 토모카즈 한국어판 성우 : 엄상현 이 작품의 주인공. 본명은 공개되지 않았으며, 작품의 화자이다. SOS단 단원. 평범한 인간. 스즈미야 하루히 (涼宮 ハルヒ) 성우 : 히라노 아야 한국어판 성우 : 박선영 이 작품의 여주인공. SOS단 단장. 쿈과 같은 반이다. 나가토 유키 (長門 有希) 성우 : 치하라 미노리 한국어판 성우 : 우정신 SOS단 단원 및 문예부장. 대유기생명체 콘택트용 휴머노이드 인터페이스. 아사히나 미쿠루 (朝比奈 みくる) 성우 : 고토 유코 한국어판 성우 : 윤미나 SOS단 부부단장이자 전(前) 서예부원. 미래인 코이즈미 이츠키 (古泉 一樹) 성우 : 오노 다이스케 한국어판 성우 : 전광주 SOS단 부단장. 수수께끼의 전학생. 초능력자. 용어[편집] 용어에 대해서는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용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특징[편집] 구성 및 작화[편집] 오프닝과 엔딩은 애니메이션화되지 않은 원작의 장면도 삽입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엔딩의 안무가 잘려나갔고, 완전판을 요구하는 시청자들의 목소리가 높아지자 추후 DVD 영상특전으로 수록되었다. 제12화 "라이브 얼라이브"에서의 밴드 연주 장면의 작화작업은 매우 섬세하게 진행되었다. 당시 연출을 담당한 야마모토 유타카는 그 방송분을 하나의 클라이맥스로 보고, "드럼을 정확하게 그리면 지금까지의 애니메이션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고 말했다. 또한 하루히가 노래를 부를 때의 표정은, 노래 녹음시의 히라노 아야의 표정을 촬영하여 그것을 기반으로 그려졌다. 야마모토 유타카는 이것이 현실감을 추구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비일상"이 "일상" 속으로 들어오는 순간을 두드러지게 하기 위해 "일상" 부분을 섬세히 묘사한 결과라고 말했다. 패러디[편집] 《터치》(4화 방송분), 《풀 메탈 패닉!》(7화 방송분), 《역전재판》과 《명탐정 코난》(8화 방송분), 《기동전사 건담》 《은하영웅전설》 《우주전함 야마토》(11화 방송분), 《린다린다린다》(12화 방송분) 등, 다른 작품을 패러디한 장면 등이 빈번히 사용되었다. 원작소설과의 차이점[편집] 원작을 충실히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기본적으로 대사를 일부 자르는 정도의 변경이었으며, 쿈의 독백을 중심으로 하는 스토리 전개법도 도입시켰다. 단 "고도증후군" 편은 합숙에 쿈의 여동생이 따라오는 등 대대적인 각색이 가해졌다. "라이브 얼라이브" 편 또한 애니메이션 방영을 의식하여 많은 각색이 들어갔다. 니시노미야 시의 공원 무대의 모델[편집] 원작에서는 따로 언급된 바가 없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효고 현을 무대로 하고 있다. 극중 배경은 실제 풍경이 그대로 재현되었으며, 주인공들이 다니는 현립 학교(北高)의 모델은 원작자 타니가와 나가루의 모교인 효고 현립 니시노미야 키타 고등학교(兵庫県立西宮北高等学校)이며, 이야기 무대는 효고현 니시노미야 시와 아마가사키 시 등이다. 이것에 맞추어 2화 방영분의 자리바꾸기에 사용한 제비 넣는 깡통도 관서지방에서는 익숙하지 않은 하토사브레(과자의 일종) 통에서 고베 후게쓰도의 과자통으로 변경되었다. 공식 사이트[편집] SOS단 공식 사이트는 원작과 애니메이션 공통적으로, 극중 쿈이 단장인 스즈미야 하루히의 명령에 따라 만든 것이다. 공식 사이트는 이 설정을 그대로 반영하여 극중 사이트를 본떠 초보가 대충 만든 것과 같이 되어있다. 방송내용과 원작 사건을 연동하여 사이트를 갱신하고 도처에 숨겨진 컨텐츠가 존재하는 등 여러 흥미본위의 요소를 포함했다. 방송종료 후도 가끔씩 "Not Found"가 되는 등의 경향이 보인다. 애니메이션 공식 사이트의 기능은 특설 사이트가 하고 있다. 스태프[편집] 원작, 구성 협력 : 타니가와 나가루 원작 일러스트, 캐릭터 원안 : 이토 노이지 감독 : 이시하라 타츠야 시리즈 연출 : 야마모토 유타카 캐릭터 디자인, 총 작화감독 : 이케다 쇼코 메카닉 디자인 : 에비카와 카네타케 (제11화〈사수좌의 날〉참여) 미술 감독 : 타무라 세이키 색채 설계 : 이시다 나오미 촬영 감독 : 타나카 요시코 음향 감독 : 츠루오카 요우타 음악 : 코우사키 사토루 제작 : SOS단 / 교토 애니메이션 2009년 재방영 스태프 단장: 스즈미야 하루히 단장대리: 이시하라 타츠야 단장보좌: 타케모토 야스히로 원작, 구성협력: 타니가와 나가루 원작디자인: 이토 노이지 캐릭터디자인: 이케다 아키코 제작총감독: 니시야 히로시 미술감독: 타무라 세이키 시리즈구성: 스즈미야 하루히와 역시 유쾌한 동료들 제작: SOS단 / 교토 애니메이션 음악[편집] 전부 란티스에서 발매되었다(판매는 다른 CD와 마찬가지로 킹레코드에서 위탁받았다 또한, 2009년도 발매분부터 신회사인 반다이 비주얼로 판매위탁처가 바뀌었다). 화수는 따로 명기하지 않는 한, 2006년판 본방송 화수이다. 오프닝 테마[편집] 《사랑의 미쿠루 전설》 (恋のミクル伝説) (제1화 삽입곡) 작사 - 스즈미야 하루히 (야마모토 유타카), 작사/작곡 - 스즈미야 하루히 (고사키 사토루) 노래 - 아사히나 미쿠루 (고토 유코) 《모험이지, 그렇지?》(冒険でしょでしょ?) (제2화 ~ 제13화, 제 25화 ~ 제 28화) 작사 - 하타 아키, 작곡 - 도미타 아키코, 편곡 - 후지타 준페이 노래 - 히라노 아야 《Super Driver》(2009년판 제12화 ~ 제 24화) 작사 - 하타 아키, 작곡/편곡 - 고사키 사토루 노래 - 히라노 아야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V〉〈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I〉〈조릿대잎 랩소디〉는 오프닝 테마가 생략되어 방영되었다. 엔딩 테마[편집] 《맑음맑음 유쾌》 (ハレ晴レユカイ) (제1화 ~ 제5화, 제 6화 ~ 제 7화, 제 9화 ~ 11화, 제 25화 ~ 제 28화)(2009년판 기준) 작사 - 하타 아키, 작곡 - 다시로 도모카즈, 편곡 - 안도 다카히로 노래 - 히라노 아야, 치하라 미노리, 고토 유코 《모험이지, 그렇지?》 (제6화)(2009년판 기준) 이상의 작품은 프로듀스 (표기상 Super Producer)는, 스즈미야 하루히가 담당하고 있다는 설정이다. 《멈춰라!》 (止マレ!) (제 8화, 제 12화 ~ 제 24화)(2009년판 기준) 작사 - 하타 아키, 작곡 - 다시로 도모카즈, 편곡 - 안도 다카히로 노래 - 히라노 아야, 치하라 미노리, 고토 유코 《멈춰라!》는, 제18화와 22화 방송분에서 점멸씬 색의 명도가 다르다. (제22화에서 미쿠루가 빨간색에서 노란색으로, 쿈·코이즈미도 각각 색이 연해졌다. 한편 청각적으로는 나가토 유키와 하루히는 노이즈가 심해졌다.) ※〈엔들리스 에이트(8번째)〉〈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V〉는 엔딩 테마가 생략되어 방영되었다. 삽입곡[편집] 《God knows...》 《Lost my music》 작사 - 하타 아키, 작곡/편곡 고사키 사토루, 노래 - 스즈미야 하루히 (히라노 아야) 두 곡 모두 시간순 방송 제12화에 방영되었고, 〈스즈미야 하루히의 혼합〉에 수록되어 있다. 방송국[편집] 방송 지역 방송국 방송 기간 방송 일시 계열 지바현 지바 TV 2006년 4월 2일 - 7월 2일 일요일 24:00 - 24:30 독립UHF국 사이타마현 TV 사이타마 일요일 25:30 - 26:00 가나가와현 TV 가나가와 2006년 4월 3일 - 7월 3일 월요일 25:15 - 25:45 교토부 KBS 교토 월요일 25:30 - 26:00 홋카이도 TV 홋카이도 월요일 26:00 - 26:30 TV 도쿄 계열 효고현 선 TV 2006년 4월 4일 - 7월 4일 화요일 24:00 - 24:30 독립UHF국 미야기현 도호쿠 방송 화요일 26:00 - 26:30 TBS 계열 도쿄도 TOKYO MX 2006년 4월 5일 - 7월 5일 수요일 25:30 - 26:00 독립UHF국 아이치현 TV 아이치 수요일 26:28 - 26:58 TV 도쿄 계열 히로시마현 히로시마 홈TV 2006년 4월 8일 - 7월 8일 토요일 26:05 - 26:35 TV 아사히 계열 후쿠오카현 TVQ규슈 방송 토요일 26:40 - 27:10 TV 도쿄 계열 이벤트[편집] 스즈미야 하루히의 격주[편집] 2007년 3월 18일에, 오오미야 소닉시티에서 〈스즈미야 하루히의 격주〉(涼宮ハルヒの激奏)라는 이름의 라이브 이벤트가 개최되었다. 1부는 이벤트, 2부는 라이브로 구성되었으며, 성우진 대부분이 출연했다. 라이브는 《사랑의 미쿠루 전설》부터 시작하여, 성우진이 각자의 노래(캐릭터송)를 불렀다. 이것을 촬영한 DVD(2장 구성)가 2007년 7월 27일 발매되었다. 사회는 시라이시 미노루, 보조는 마츠모토 메구미. 히라노 아야, 고토 유코, 치하라 미노리, 스기타 토모카즈, 오노 다이스케, 마츠오카 유키, 쿠와타니 나츠코, 아오키 사야카, 시라토리 유리가 출연했으며, 게스트로 이시하라 타츠야와 이케다 쇼코가 등장했다. 스즈미야 하루히의 현주[편집] 2009년 4월 29일 도쿄 후생연금 회관에서 〈스즈미야 하루히의 현주〉(涼宮ハルヒの弦奏)라는 이름으로 도쿄 필하모니에서 담당하여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애니 음악 및 삽입곡들이 클래식으로 연주가 되었다. 공연의 정식발매 앨범이 6월 25일 발매되었고 총 1장으로 구성되어있다. 총 연주시간은 약 78분. 외부 링크[편집] SOS단 공식 사이트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교토 애니메이션 사이트 특설 팬사이트 하루히 위키 Youtube 카도카와 채널 vdeh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작품 원작 애니메이션 영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 만화 (뇨롱 츄루야씨) 등장인물 게임 (격투 약속 당황 격동 병렬 직렬) 미디어 모험이지, 그렇지? 맑음맑음 유쾌 캐릭터송 스즈미야 하루히의 혼합 라디오 지부 최강 퍼레퍼레이드 세계가 꾸는 꿈 속에서/마지막 미래를 보여줘! 지금까지의 줄거리 Super Driver 멈춰라! 인물 타니가와 나가루 (원작) 이토 노이지 (삽화) 히라노 아야 스기타 토모카즈 지하라 미노리 고토 유코 오노 다이스케 vdeh교토 애니메이션TV 애니메이션 풀 메탈 패닉! 시리즈 (제2작 이후) AIR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Kanon (제2작) 러키☆스타 CLANNAD 시리즈 하늘을 올려다보는 소녀의 눈동자에 비치는 세계 케이온! 시리즈 일상 빙과 중2병이라도 사랑이 하고 싶어! 시리즈 타마코 마켓 Free! 시리즈 경계의 저편 아마기 브릴리언트 파크 울려라! 유포니엄 시리즈 무채한의 팬텀 월드 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 바이올렛 에버가든 츠루네 -카제마이고교 궁도부- 극장 애니메이션 천상인과 아쿠토인 최후의 싸움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 영화 케이온! 타카나시 릿카·개 ~극장판 중2병이라도 사랑이 하고 싶어!~ 타마코 러브 스토리 극장판 경계의 저편 -I'LL BE HERE- 영화 하이☆스피드! -Free! Starting Days- 극장판 울려라! 유포니엄 ~키타우지 고교 취주악부에 어서오세요~ 목소리의 형태 극장판 Free! -Timeless Medley- 특별판 Free! -Take Your Marks- 극장판 울려라! 유포니엄 ~전하고 싶은 멜로디~ 리즈와 푸른 새 극장판 울려라! 유포니엄 ~맹세의 피날레~ OVA 문토 시리즈 풀 메탈 패닉! The Second Raid 특별판 OVA 의외로 한가한 전대장의 하루 러키☆스타 OVA 일상 『일상 0화』 웹 애니메이션 스즈미야 하루히짱의 우울 뇨롱 츄루야씨 KA에스마 문고 중2병이라도 사랑이 하고 싶어! 시리즈 저녁놀 등대의 비밀 저택과 코페리아 경계의 저편 시리즈 타마코 마켓 시리즈 하이☆스피드! 시리즈 무채한의 팬텀 월드 시리즈 로봇 하트 업데이트 바이올렛 에버가든 츠루네 -카제마이고교 궁도부- 인물 이시하라 타츠야 타케모토 야스히로 이케다 가즈미 호리구치 유키코 야마다 나오코 야마모토 유타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스즈미야_하루히의_우울_(애니메이션)&oldid=24024459" 분류: 진행 중인 작품스즈미야 하루히일본의 애니메이션2006년 애니메이션2009년 애니메이션교토 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시리즈학원 만화고등학교를 배경으로 한 애니메이션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Bahasa Indonesia日本語Русский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3일 (토) 18:4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涼宮ハルヒの憂鬱 스즈미야 하루히노 유우츠[*], The Melancholy of Haruhi Suzumiya)은 타니가와 나가루의 라이트노벨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를 원작으로 하는 일본의 TV 애니메이션이다. 일본에서는 2006년 4월부터 7월에 걸쳐 전 14화가 방영되었다. 감독은 이시하라 타츠야, 애니메이션 제작은 교토 애니메이션이 맡았다. 한국어 더빙판은 애니맥스 코리아에서 2008년 1월 11일부터 2월 22일까지 매주 금요일 주 2회 방영되었다. 2007년 7월 7일에 2기 제작이 발표되었다가 12월 18일에 2기 제작 취소를 선언하고 신(新) 애니메이션을 제작한다고 밝혔으나, 자세한 내막은 알 수 없으며, 발표 날짜가 각각 7월 7일과 12월 18일인 것으로 보았을 때 2기의 내용으로 알려졌던 원작 《소실》편의 사건을 본따 의미성을 위해 형식적으로 발표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결국 2009년 4월부터 새로운 에피소드가 기존 방영분 곳곳에 추가된 형태로 방영되었고, 극장판 애니메이션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이 2010년 2월 6일 일본에서 개봉했다. 대한민국에서 DVD가 디지팩 한정판 사양의 박스셋으로 11월 24일 발매되었다. 2006년 방영한 전 14화를 8장의 디스크에 수록했다. 음성은 일본어만이 수록되어 있고 한글 자막이 들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한국어판에서 주인공 쿈의 목소리를 담당한 성우는 누구입니까? Assistant: 엄상현 Human: 아래 라리가_2017-18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라리가 2017-18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라리가 2017-18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라리가 개요 대회 명칭 라리가 시즌 2017-18 우승 FC 바르셀로나 강등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라스팔마스, 말라가 CF 챔피언스리그 FC 바르셀로나아틀레티코 마드리드레알 마드리드발렌시아 CF 유로파리그 비야레알 CF레알 베티스세비야 FC 각종 기록 총 경기 수 380 최다 득점 리오넬 메시 (34골)FC바르셀로나 최다 점수차 홈 승리 지로나 FC 6–0 UD 라스팔마스(2018년 1월 13일)레알 마드리드 7–1 데포르티보 라코루냐(2018년 1월 21일) 최다 점수차 원정 승리 레반테 UD 0–5 아틀레티코 마드리드(2017년 11월 25일)레알 베티스 0–5 FC 바르셀로나(2018년 1월 21일) 최다 점수 경기 레알 베티스 3–6 발렌시아 CF(2017년 10월 15일)레알 마드리드 6–3 지로나 FC(2018년 3월 18일) 총 득점 783 경기당 평균 득점 2.75 최다 연승 기록 8 경기[1]발렌시아 CF 최다 무패 기록 36 경기[1]FC 바르셀로나 최다 무승 기록 15 경기[1]레반테 UD 최다 연패 기록 8 경기[1]UD 라스팔마스 최다 관중 88,564 최소 관중 4,056SD 에이바르 1–0 비야레알 CF(2018년 2월 28일)[1][note 1] 평균 관중 27,086[1] 인접 대회 이전← 2016-17 다음2018-19 → 라리가 2017-18 (también conocida como LaLiga[3])은 축구의 스페인 1부리그의 87번째 에디션이 될 것이다. El torneo lo organiza la Liga de Fútbol Profesional (LFP). 목차 1 경쟁 시스템 1.1 유럽 대회 참가 가능한 등급 2 참가팀 2.1 광역자치단체별 축구팀 2.2 승격팀과 강등팀 2.3 축구팀 정보 3 리그 순위 3.1 통합순위 3.2 라운드별 순위 4 리그 결과 5 통계 5.1 득점자 순위 5.2 골 도움 5.3 골키퍼 선방 기록 5.4 경고-퇴장 5.5 기록 6 각주 경쟁 시스템[편집] 순위 결정 순서는 아래와 같다.: 이기면 3점, 비기면 1점, 지면 0점. 승점 순서대로 결정된다. 승점이 같으면 같은 승점을 기록한 팀끼리 상대 승무패 전적을 따진다.(승자승) 승자승에서 1승1패 또는 2무승부 기록시 두 팀 간 골득실차. 두 팀 간 골득실차가 같으면 두 팀 간 원정골 우선 다득점. 전경기 골득실차(총득점-총실점). 전경기 다득점. 유럽 대회 참가 가능한 등급[편집] UEFA 랭킹 기준 스페인 프리메라리가가 유럽 리그 랭킹 1위를 기록하였다.:[4][5] 리그 우승팀, 2위팀, 3위팀, 4위팀은 UEFA 챔피언스리그 본선 조별리그에 직행한다. 리그 5위팀은 UEFA 유로파리그 본선 조별리그에 직행한다. 리그 6위팀은 UEFA 유로파리그 3차 예선부터 참가한다. 코파 델 레이 우승팀이 리그 최종 순위에서 6위 이상을 기록하면, 리그 7위팀이 UEFA 유로파리그 3차 예선 참가권을 승계한다. Nota: Estas reglas solo son aplicables a la temporada actual, ya que pueden variar de un año a otro. Por lo tanto, no se deben tener en cuenta los casos de temporadas anteriores ni posteriores. 참가팀[편집] 광역자치단체별 축구팀[편집] 틀:Mapa Primera División de España 2017/18 Comunidad autónoma N.º Equipos 안달루시아 안달루시아 3 레알 베티스, 말라가 CF, 세비야 FC 바스크 바스크 4 아틀레틱 빌바오, 데포르티보 알라베스, SD 에이바르, 레알 소시에다드 마드리드 마드리드 4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CD 레가네스, 레알 마드리드, 헤타페 CF 카탈루냐 카탈루냐 3 FC 바르셀로나, RCD 에스파뇰, 지로나 FC 틀:나라자료 발렌시아 발렌시아 3 발렌시아 CF, 비야레알 CF, 레반테 UD 갈리시아 갈리시아 2 셀타 비고,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틀:나라자료 카나리아 카나리아 1 UD 라스팔마스 승격팀과 강등팀[편집] 라리가에서 총 20팀이 참가한다. 라리가 2016-17시즌에서 상위 17개팀이 이번 시즌에 잔류하고, 라리가2 2016-17시즌에서 우승팀과 2위팀이 승격 직행했고, 라리가2 2016-17시즌 3, 4, 5, 6위팀 4팀 중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최종 승자 1팀이 라리가 2017-18 시즌으로 승격하여 참가한다. Pos. 라리가 2016-17 시즌에서 라리가 2로 강등 18위 스포르팅 히혼 12px 19위 그라나다 12px 20위 오사수나 12px 순위 라리가 2 2016-17 시즌에서 라리가로 승격 1위(우승팀) 레반테 2위(준우승팀) 지로나 FC 승격 플레이오프 최종 승자 헤타페 CF (승격 플레이오프) 축구팀 정보[편집] 축구팀 연고도시 감독 경기장 Aforo Proveedor Patrocinador principal (en la equipación) Otros patrocinadores (en la equipación) 아틀레틱 빌바오 빌바오 호세 안헬 쿠코 시간다[6] 산마메스 53 289 뉴밸런스[7] 쿠차은행[8]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틀:Bandera 마드리드 디에고 시메오네[9] 완다 메트로폴리타노 73 729 나이키 Plus500[10] CD 레가네스 틀:Bandera Leganés 아시에르 가리타노[11] 부타르케 시립경기장 11 454[12] 호마[13] 틀:Lista desplegable 데포르티보 알라베스 비토리아 자니 데 비아지[14] 멘디소로사 경기장 19 840 켈메[15] LEA[16] 틀:Lista desplegable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라코루냐 크리스토발 파랄로[17] 리아소르 경기장 34 600 마크롱[18] Estrella Galicia 0,0 틀:Lista desplegable FC바르셀로나 바르셀로나 에르네스토 발베르데[19] 캄프 노우 99 354 나이키[20] 라쿠텐[21] 틀:Lista desplegable 헤타페 CF 틀:Bandera 헤타페 틀:Bandera José Bordalás[22] 콜리세움 알폰소 페레스 17 393 호마 Tecnocasa Group 지로나 FC 지로나 파블로 마친[23] 몬틸리비 시립경기장 13 286 엄브로[24] 틀:Lista desplegable Levante U.D. 틀:Bandera Valencia 틀:Bandera Juan Ramón López Muñiz[25] Ciudad de Valencia 25 354 틀:Bandera Macron[26] Málaga C. F. 틀:Bandera Málaga 틀:Bandera Míchel González[27] La Rosaleda 30 044 틀:Bandera Nike Marathonbet[28] 틀:Lista desplegable R. C. Celta de Vigo 틀:Bandera Vigo 틀:Bandera Juan Carlos Unzué[29] Balaídos 29 000 틀:Bandera Adidas Estrella Galicia 0,0[30] 틀:Lista desplegable R. C. D. Español 틀:Bandera Cornellá de Llobregat[31] 틀:Bandera Quique Sánchez Flores[32] RCDE Stadium 40 500 틀:Bandera Joma Rastar Group 틀:Lista desplegable Real Betis Balompié 틀:Bandera Sevilla 틀:Bandera Quique Setién[33] Benito Villamarín 60 720 틀:Bandera Adidas[34] Green Earth[35] 틀:Lista desplegable Real Madrid C. F. 틀:Bandera Madrid 틀:Bandera Zinedine Zidane[36] Santiago Bernabéu 81 044 틀:Bandera Adidas Emirates[37] Real Sociedad 틀:Bandera San Sebastián 틀:Bandera Eusebio Sacristán[38] Anoeta 26 000[39] 틀:Bandera Adidas Qbao.com[40] 틀:Lista desplegable S. D. Eibar 틀:Bandera Éibar 틀:Bandera José Luis Mendilibar[41] Ipurúa 7083 틀:Bandera Puma[42] AVIA[43] Wiko[44] Sevilla F. C. 틀:Bandera Sevilla 틀:Bandera Eduardo Berizzo[45] Ramón Sánchez Pizjuán 42 714 틀:Bandera New Balance[46] PlayWSOP.com U. D. Las Palmas 틀:Bandera Las Palmas 틀:Bandera Pako Ayestarán[47] Gran Canaria 32 392 틀:Bandera Acerbis Gran Canaria 틀:Lista desplegable Valencia C. F. 틀:Bandera Valencia 틀:Bandera Marcelino García Toral[48] Mestalla 54 000 틀:Bandera Adidas Blu Products[49] 틀:Lista desplegable Villarreal C. F. 틀:Bandera Villarreal 틀:Bandera Javier Calleja[50] Estadio de la Cerámica 25 000 틀:Bandera Joma Pamesa Cerámica Relevos de entrenadores 틀:Columnas Equipo Entrenador (jornadas) Deportivo Alavés 틀:Bandera Luis Zubeldía (1-4)[51][52]틀:Bandera Javier Cabello (5-6)[52]틀:Bandera Gianni De Biasi (7-...)[14] U. D. Las Palmas 틀:Bandera Manolo Márquez (1-6)[53][54]틀:Bandera Pako Ayestarán (7-...)[47] 틀:Nueva columna Equipo Entrenador (jornadas) Villarreal C. F. 틀:Bandera Fran Escribá (1-6)[55][56]틀:Bandera Javier Calleja (7-...)[50] Deportivo de La Coruña 틀:Bandera Pepe Mel (1-9)[57][17]틀:Bandera Cristóbal Parralo (10-...)[17] 틀:Fin columnas 리그 순위[편집] 통합순위[편집] 순위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참가 자격 및 강등 1 바르셀로나 (C) (Q) 38 28 9 1 99 29 +70 93 UEFA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 2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Q) 38 23 10 5 58 22 +36 79 3 레알 마드리드 (Q) 38 22 10 6 94 44 +50 76 4 발렌시아 (Q) 38 22 7 9 65 38 +27 73 5 비야레알 (Q) 38 18 7 13 57 50 +7 61 UEFA 유로파리그 조별리그[58] 6 레알 베티스 (Q) 38 18 6 14 60 61 −1 60 7 세비야 (Q) 38 17 7 14 49 58 −9 58 UEFA 유로파리그 2차예선 8 헤타페 38 15 10 13 42 33 +9 55 9 에이바르 38 14 9 15 44 50 −6 51 에이바르 4-1 지로나 지로나 1-4 에이바르 10 틀:축구단 지로나 38 14 9 15 50 59 −9 51 11 에스파뇰 38 12 13 13 36 42 −6 49 에스파뇰 8점(에스퍄뇰 2–1 레알 소시에다드, 레알 소시에다드 1–1 에스파뇰)레알 소시에다드 4점(레알 소시에다드 1–2 셀타 비고, 셀타 비고 2–3 레알 소시에다드)셀타 비고 4점(에스파뇰 2–1 셀타 비고, 셀타 비고 2–2 에스파뇰) 12 레알 소시에다드 38 14 7 17 66 59 +7 49 13 셀타 비고 38 13 10 15 59 60 −1 49 14 틀:축구단 알라베스 38 15 2 21 40 50 −10 47 15 레반테 38 11 13 14 44 58 −14 46 16 애슬레틱 클럽 38 10 13 15 41 49 −8 43 아틀레틱 빌바오 2-0 레가네스 레가네스 1-0 아틀레틱 빌바오 17 레가네스 38 12 7 19 34 51 −17 43 18 데포르티보 (R) 38 6 11 21 38 76 −38 29 라리가 2 2018-19 19 라스팔마스 (R) 38 5 7 26 24 74 −50 22 20 말라가 (R) 38 5 5 28 24 61 −37 20 * 마지막 업데이트 : 2018년 5월 21일* 출처 : [1]* 순위 결정방식 : 1) 승점; 2) 골 득실차; 3) 득점 수.1:*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 시즌이 끝나지 않은 경우만 사용되는 표시: (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제16주차 경기 중 "레가네스 대 레알 마드리드" 경기는 레알 마드리드의 FIFA 클럽 월드컵 2017 참가로 2018년 2월 21일[59]로 연기되었다. 제34주차 경기 중 "세비야 대 레알 마드리드" 경기와 "바르셀로나 대 비야레알" 경기는 코파 델 레이 2017-18 시즌 결승전이 2018년 4월 21일(토)에 개최될 것이어서 이 2경기들은 5월 9일(수)로 연기되었다. 라운드별 순위[편집] 주 / 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FC 바르셀로나 2 2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8 4 6 5 3 2 4 3 4 4 4 4 3 3 3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레알 마드리드 1 5 7 4 8 6 5 2 3 3 3 3 4 4 4 4 4 4 4 4 4 4 4 4 3 3 3 3 3 3 4 3 3 3 3 3 3 3 발렌시아 7 8 9 9 4 4 3 5 2 2 2 2 2 2 2 3 3 3 3 3 3 3 3 3 4 4 4 4 4 4 3 4 4 4 4 4 4 4 비야레알 18 19 13 7 9 14 9 9 6 5 5 6 6 6 6 6 6 6 5 5 5 5 5 6 5 6 6 6 5 5 5 6 6 6 6 6 5 5 레알 베티스 19 12 15 12 7 5 6 9 7 8 8 9 8 11 12 8 14 11 7 11 13 10 8 10 7 9 10 8 8 6 6 5 5 5 5 5 6 6 세비야 FC 11 9 3 2 2 3 2 4 8 6 6 5 5 5 5 5 5 5 6 6 6 6 6 5 6 5 5 5 6 7 7 7 7 8 10 7 7 7 헤타페 13 14 10 14 14 10 12 14 14 12 12 10 12 8 7 10 8 12 9 9 9 11 11 9 11 10 11 11 9 11 11 10 10 7 7 8 8 8 에이바르 4 11 16 13 13 16 18 16 17 17 17 17 15 13 13 9 7 7 8 8 8 7 7 7 9 7 8 9 11 10 10 12 12 12 12 10 9 9 지로나 FC 9 6 11 15 15 17 16 17 15 10 10 11 10 12 9 7 10 14 10 10 10 9 10 8 10 8 7 7 7 8 8 8 8 9 9 9 11 10 RCD 에스파뇰 10 13 18 16 16 12 14 12 13 13 13 14 13 15 16 13 15 8 14 14 14 15 15 16 15 13 15 13 14 14 14 16 16 16 16 16 14 11 레알 소시에다드 3 1 2 3 6 8 8 8 9 7 7 7 7 9 10 11 9 13 15 15 15 14 14 12 14 15 12 14 15 15 13 11 9 10 8 11 10 12 셀타 비고 14 16 12 17 17 13 11 13 10 11 11 13 9 10 11 14 11 15 11 7 7 8 9 11 8 11 9 10 10 9 9 9 11 11 11 12 13 13 알라베스 15 18 20 20 19 20 19 19 19 18 18 19 20 18 18 18 17 18 17 16 17 16 16 15 16 14 16 16 16 16 16 15 15 13 13 13 12 14 레반테 6 7 8 8 5 9 10 11 12 14 14 12 14 14 15 16 16 16 16 17 16 17 17 17 17 17 17 17 17 17 17 17 17 17 17 14 15 15 아틀레틱 빌바오 12 10 4 6 10 11 13 10 11 15 15 15 16 16 14 15 12 9 12 12 12 13 13 14 12 12 14 12 13 12 12 13 13 14 14 15 16 16 레가네스 5 3 5 10 11 7 7 6 5 9 9 8 11 7 8 12 13 10 13 13 11 12 12 13 13 16 13 15 12 14 15 14 14 15 15 17 17 17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20 15 17 18 18 18 15 15 16 16 16 16 17 19 17 17 18 17 18 18 18 18 19 19 19 19 19 19 19 19 18 18 18 18 18 18 18 18 라스팔마스 16 20 14 11 12 15 17 18 18 19 19 20 19 17 20 20 20 20 20 19 19 19 18 18 18 18 18 18 18 18 19 19 19 19 19 19 19 19 말라가 17 17 19 19 20 19 20 20 20 20 20 18 18 20 19 19 19 19 19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 * 마지막 업데이트 : 2018년 5월 21일* 출처 : [2]* 순위 결정방식 : 1) 승점; 2) 골 득실차; 3) 득점 수.1:*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 시즌이 끝나지 않은 경우만 사용되는 표시: (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리그 결과[편집] 홈 \ 어웨이 ALV ATH ATM FCB CEL RCD EIB ESP GET GIR LPA LEG LEV MCF RBB RMA RSO SFC VCF VIL 알라베스 — 3-1 0-1 0-2 2-1 1-0 1-2 1-0 2-0 1-2 2-0 2-2 1-0 1-0 1-3 1-2 0-2 1-0 1-2 0-3 아틀레틱 빌바오 2-0 — 1-2 0-2 1-1 2-3 1-1 0-1 0-0 2-0 0-0 2-0 1-3 2-1 2-0 0-0 0-0 1-0 1-1 1-1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1-0 2-0 — 1-1 3-0 1-0 2-2 0-2 2-0 1-1 3-0 4-0 3-0 1-0 0-0 0-0 2-1 2-0 1-0 1-1 FC 바르셀로나 2-1 2-0 1-0 — 2-2 4-0 6-1 5-0 0-0 6-1 3-0 3-1 3-0 2-0 2-0 2-2 1-0 2-1 2-1 5-1 셀타 비고 1-0 3-1 0-1 2-2 — 1-1 2-0 2-2 1-1 3-3 2-1 1-0 4-2 0-0 3-2 2-2 2-3 4-0 1-1 0-1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1-0 2-2 0-1 2-4 1-3 — 1-1 0-0 2-1 1-2 1-1 1-0 2-2 3-2 0-1 0-3 2-4 0-0 1-2 2-4 SD 에이바르 0-1 0-1 0-1 0-2 0-4 0-0 — 3-1 0-1 4-1 1-0 1-0 2-2 1-1 5-0 1-2 0-0 5-1 2-1 1-0 RCD 에스파뇰 0-0 1-1 1-0 1-1 2-1 4-1 0-1 — 1-0 0-1 1-1 0-1 0-0 4-1 1-0 1-0 2-1 0-3 0-2 1-1 헤타페 4-1 2-2 0-1 1-2 3-0 3-0 0-0 1-0 — 1-1 2-0 0-0 0-1 1-0 0-1 1-2 2-1 0-1 1-0 4-0 지로나 2-3 2-0 2-2 0-3 1-0 2-0 1-4 0-2 1-0 — 6-0 3-0 1-1 1-0 0-1 2-1 1-1 0-1 0-1 1-2 라스팔마스 0-4 1-0 1-5 1-1 2-5 1-3 1-2 0-2 0-1 1-2 — 0-2 0-2 1-0 1-0 0-3 0-1 1-2 2-1 0-2 CD 레가네스 1-0 1-0 0-0 0-3 1-0 0-0 0-1 3-2 1-2 0-0 0-0 — 0-3 2-0 3-2 1-3 1-0 2-1 0-1 3-1 레반테 0-2 1-2 0-5 5-4 0-1 2-2 2-1 1-1 1-1 1-2 2-1 0-0 — 1-0 0-2 2-2 3-0 2-1 1-1 1-0 말라가 0-3 3-3 0-1 0-2 2-1 3-2 0-1 0-1 0-1 0-0 1-3 0-2 0-0 — 0-2 1-2 2-0 0-1 1-2 1-0 레알 베티스 2-0 0-2 0-1 0-5 2-1 2-1 2-0 3-0 2-2 2-2 1-0 3:2 4-0 2-1 — 3-5 0-0 1-2 3-6 2-1 레알 마드리드 4-0 1-1 1-1 0-3 6-0 7-1 3-0 2-0 3-1 6-3 3-0 2-1 1-1 3-2 0-1 — 5-2 5-0 2-2 0-1 레알 소시에다드 2-1 3-1 3-0 2-4 1-2 5-0 3-1 1-1 1-2 5-0 2-2 3-2 3-0 0-2 4-4 1-3 — 3-1 2-3 3-0 세비야 1-0 2-0 2-5 2-2 2-1 2-0 3-0 1-1 1-1 1-0 1-0 2-1 0-0 2-0 3-5 3-2 1-0 — 0-2 2-2 발렌시아 3-1 3-2 0-0 1-1 2-1 2-1 0-0 1-0 1-2 2-1 1-0 3-0 3-1 5-0 2-0 1-4 2-1 4-0 — 0-1 비야레알 1-2 1-3 2-1 0-2 4-1 1-1 3-0 0-0 1-0 0-2 4-0 2-1 2-1 2-0 3-1 2-2 4-2 2-3 1-0 — Updated to match(es) played on 21 May 2018. Source: [출처 필요] 통계[편집] 득점자 순위[편집] Nota: Nombres y banderas de equipos en la época. 순위 축구선수 골 참가경기수 경기당 골수 득점확률 [[Trofeo Pichichi|틀:Abreviación]] 소속팀 Nota(s) 1 틀:Bandera Lionel Messi 15 17 0.90 5.0 14 틀:Bandera F. C. Barcelona Trofeo Pichichi provisional 2 틀:Bandera Simone Zaza 10 14 0.71 2.7 10 틀:Bandera Valencia C. F. 3 틀:Bandera Cédric Bakambu 9 14 0.64 3.00 9 틀:Bandera Villarreal C. F. = 틀:Bandera Iago Aspas 9 15 0.60 3.9 9 틀:Bandera R. C. Celta de Vigo Trofeo Zarra provisional 5 틀:Bandera Christian Stuani 8 13 0.62 3.4 8 틀:Bandera Girona F. C. = 틀:Bandera Rodrigo Moreno 8 15 0.53 3.6 8 틀:Bandera Valencia C. F. 7 틀:Bandera Antonio Sanabria 7 12 0.58 2.9 7 틀:Bandera Real Betis Balompié = 틀:Bandera Luis Suárez 7 12 0.60 4.7 7 틀:Bandera F. C. Barcelona = 틀:Bandera Maxi Gómez 7 14 0.50 3.4 7 틀:Bandera R. C. Celta de Vigo = 틀:Bandera Willian José 7 15 0.50 5.1 7 틀:Bandera Real Sociedad 11 틀:Bandera Ángel Rodríguez 6 11 0.50 2.8 6 틀:Bandera Getafe C. F. = 틀:Bandera Mikel Oyarzabal 6 12 0.50 2.8 6 틀:Bandera Real Sociedad = 틀:Bandera Aritz Aduriz 6 15 0.40 4.3 6 틀:Bandera Athletic Club 14 틀:Bandera Charles Dias 5 12 0.40 2.8 5 틀:Bandera S. D. Eibar = 틀:Bandera Antoine Griezmann 5 12 0.40 5.0 5 틀:Bandera Atlético de Madrid = 틀:Bandera Santi Mina 5 15 0.30 1.6 5 틀:Bandera Valencia C. F. = 틀:Bandera Cristian Portu 5 15 0.30 3.8 5 틀:Bandera Girona F. C. = 틀:Bandera Gerard Moreno 5 15 0.30 6.2 5 틀:Bandera R. C. D. Español Datos actualizados a 틀:Fecha2 y según la página oficial de la competición. [[Archivo:Iago Aspas.JPG|섬네일|right|200px|Iago Aspas, máximo goleador español del campeonato.]] 골 도움[편집] Pos. Jugador 틀:Abreviación 틀:Abreviación 틀:Abreviación Club 1 틀:Bandera Pione Sisto 8 13 0.62 틀:Bandera R. C. Celta de Vigo 2 틀:Bandera Andrés Guardado 6 13 0.46 틀:Bandera Real Betis Balompié 3 틀:Bandera Gonçalo Guedes 5 13 0.38 틀:Bandera Valencia C. F. = 틀:Bandera Pablo Fornals 5 13 0.38 틀:Bandera Villarreal C. F. 5 틀:Bandera Jordi Alba 4 11 0.36 틀:Bandera F. C. Barcelona = 틀:Bandera Carlos Soler 4 13 0.31 틀:Bandera Valencia C. F. = 틀:Bandera Daniel Wass 4 13 0.31 틀:Bandera R. C. Celta de Vigo = 틀:Bandera Álvaro Odriozola 4 13 0.31 틀:Bandera Real Sociedad = 틀:Bandera Lionel Messi 4 13 0.31 틀:Bandera F. C. Barcelona = = = = = = = = = Datos actualizados a 틀:Fecha2 según la página oficial de la competición. [[Archivo:Shaht-Celta (7) (cropped).jpg|섬네일|right|200px|Pione Sisto, máximo asistente del campeonato.]] 골키퍼 선방 기록[편집] El mejor portero del campeonato, reflejado en el trofeo Zamora, actualmente el portero alemán Marc-André ter Stegen y el esloveno Jan Oblak están empatados en el galardón, habiendo encajado 7 goles en 16 partidos.[n. 1][60] Pos. Jugador 틀:Abreviación 틀:Abreviación 틀:Abreviación Club 1 틀:Bandera Marc-André ter Stegen 7 16 0.44 틀:Bandera F. C. Barcelona 2 틀:Bandera Jan Oblak 7 16 0.44 틀:Bandera Atlético de Madrid 3 틀:Bandera Iván Cuéllar 14 15 0.93 틀:Bandera C. D. Leganés Datos actualizados a 틀:Fecha2 según la página oficial del Diario Marca. 경고-퇴장[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기록[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La Liga Statistics – 2017–18”. 《ESPN FC》. 2018년 5월 6일에 확인함.  ↑ Gonzalez, Roger (2017년 10월 2일). “Why Barcelona vs. Las Palmas was played in an empty stadium with no fans Sunday”. CBS Sports. 2018년 2월 28일에 확인함.  ↑ “LaLiga y LaLiga2, nombres de las competiciones para la próxima temporada”.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 “Así será la Champions League y la Liga Europa en 2015-2016”.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 “Todo cambia en la UEFA Europa League”.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 http://athletic.elcorreo.com/noticias/201705/24/ziganda-entrenador-athletic-20170524202332.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autor= (추천: |author=)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coautores= (추천: |coauthors=)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futbol.as.com/futbol/2017/05/22/primera/1495480744_532508.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www.marca.com/2014/07/04/futbol/equipos/athletic/1404491383.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futbol.as.com/futbol/2015/03/23/primera/1427144895_873383.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nombre= (추천: |first=)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apellido= (추천: |last=)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www.footyheadlines.com/2015/03/atletico-madrid-15-16-kit.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www.marca.com/futbol/leganes/2016/06/13/575ef84e468aebe04f8b458f.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As (편집.). https://futbol.as.com/futbol/2017/08/01/primera/1501592554_688330.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deportivoleganes.com/el-leganes-y-joma-seguiran-unidos-dos-temporadas-mas/.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autor= (추천: |author=)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가 나 http://alaves.elcorreo.com/biasi-perfila-nuevo-20170921201107-nt.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autor= (추천: |author=)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autor2= (추천: |author2=)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www.footyheadlines.com/2017/04/deportivo-alaves-to-sign-kelme-kit-deal.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www.marca.com/futbol/alaves/2017/07/02/595929aa468aebb9018b463c.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가 나 다 http://www.europapress.es/deportes/noticia-deportivo-despide-mel-le-sustituye-cristobal-parralo-20171024170303.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www.lavozdegalicia.es/noticia/torremarathon/2017/01/19/macron-vestira-deportivo/0003_201701G19P41991.htm.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www.lavanguardia.com/deportes/futbol/20170529/423029087266/ernesto-valverde-fc-barcelona-entrenador.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autor= (추천: |author=)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arxiu.fcbarcelona.cat/web/castellano/noticies/club/temporada07-08/08/n070829100839.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nombre= (추천: |first=)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apellido= (추천: |last=)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www.sport.es/es/noticias/barca/barcelona-anuncia-acuerdo-con-rakuten-nuevo-patrocinador-5632217.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autor= (추천: |author=)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futbol.as.com/futbol/2016/09/28/segunda/1475065575_461691.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autor= (추천: |author=)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www.marca.com/futbol/girona/2017/08/17/599596a9ca4741617f8b45bb.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autor= (추천: |author=)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sextoanillo.com/index.php/2017/04/20/girona-kappa-umbro/.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nombre= (추천: |first=)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apellido= (추천: |last=)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www.elmundo.es/deportes/futbol/2017/06/16/5943d24a268e3e26198b4614.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autor= (추천: |author=)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www.levante-emv.com/levante-ud/2016/06/16/macron-vestira-levante-ud/1432828.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www.elmundo.es/deportes/2017/03/07/58be80a622601d4f198b4614.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La casa de apuestas Marathonbet patrocinará al Málaga ↑ http://cadenaser.com/ser/2017/05/28/deportes/1495986155_459862.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보관 된 사본”. 2016년 8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17일에 확인함.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sitioweb=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 El RCD Español es club que ha estado basado históricamente en la ciudad de Barcelona, pero en 2009 se trasladó a su actual estadio, que se encuentra ubicado entre los términos municipales de Cornellá de Llobregat y El Prat de Llobregat, en el Área Metropolitana de Barcelona. Actualmente la sede social del club se encuentra en el estadio, dentro del término municipal de Cornellá de Llobregat. ↑ http://www.mundodeportivo.com/futbol/rcd-espanyol/20160609/402387338683/quique-sanchez-flores-tecnico-para-las-tres-proximas-temporadas.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autor= (추천: |author=)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www.elperiodico.com/es/noticias/deportes/quique-setien-nuevo-entrenador-betis-6063421.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sevilla.abc.es/deportes/alfinaldelapalmera/noticias/real-betis/las-equipaciones-de-adidas-para-el-betis-gustan-mayoritariamente-88819-1430726772.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marketingdeportivomd.com/green-earth-nuevo-patrocinador-del-real-betis-para-la-temporada-2017-2018/.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futbol.as.com/futbol/2016/01/05/primera/1452002594_978435.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ecodiario.eleconomista.es/futbol/noticias/3909513/04/12/El-Real-Madrid-lucira-Fly-Emirates-durante-cinco-temporadas-a-22-millonesano.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www.marca.com/futbol/real-sociedad/2017/02/20/58ab0e67268e3ef7388b4785.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autor= (추천: |author=)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Aforo limitado a unos 25000-26000 espectadores debido a las obras de ampliación del estadio. Los 24.215 socios rozan el límite del aforo para la temporada 17/18 ↑ http://real-sociedad.diariovasco.com/noticias/201407/23/compania-china-patrocinara-camiseta-201407230714.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www.mundodeportivo.com/futbol/eibar/20170410/421607295532/mendilibar-renueva-con-el-eibar-hasta-2018.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보관 된 사본”. 2015년 7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 El Diario Vasco (편집.). http://sdeibar.diariovasco.com/noticias/201506/29/avia-nuevo-patrocinador-eibar-20150629200028.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El Diario Vasco (편집.). http://sdeibar.diariovasco.com/noticias/201410/04/marca-wiko-suma-lista-20141004001100-v.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www.abc.es/deportes/futbol/abci-eduardo-berizzo-dirigira-sevilla-proximas-temporadas-201706080130_noticia.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autor= (추천: |author=)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Sevilla Fútbol Club (편집.). http://www.sevillafc.es/actualidad/noticias/36303/el-sevilla-fc-ficha-por-new-balance.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año= (추천: |year=)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가 나 http://www.elnortedecastilla.es/deportes/futbol/liga-primera/pako-ayestaran-nuevo-20170927222137-ntrc.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www.superdeporte.es/valencia/2017/05/11/marcelino-entrenador-valencia/335326.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autor= (추천: |author=)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AS (편집.). http://futbol.as.com/futbol/2017/05/30/primera/1496170743_699415.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가 나 http://www.sport.es/es/noticias/laliga/javi-calleja-nuevo-entrenador-del-villarreal-6309446.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futbol.as.com/futbol/2017/06/17/primera/1497696542_868052.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autor= (추천: |author=)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가 나 http://www.marca.com/futbol/alaves/2017/09/17/59be98dc268e3e5c1a8b46a5.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www.sport.es/es/noticias/laliga/manolo-marquez-entrenador-las-palmas-laliga-6143586.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autor= (추천: |author=)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www.wradio.com.co/noticias/deportes/el-entrenador-de-la-ud-las-palmas-presenta-su-dimision/20170926/nota/3590809.aspx.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autor= (추천: |author=)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www.elperiodicomediterraneo.com/noticias/deportes/fran-escriba-renueva-temporada-villarreal_1071203.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autor= (추천: |author=)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www.wradio.com.co/noticias/deportes/el-villarreal-destituye-a-fran-escriba/20170925/nota/3589744.aspx.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autor= (추천: |author=)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http://futbol.as.com/futbol/2017/05/19/primera/1495194901_189542.html.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obra= (추천: |work=)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autor= (추천: |author=)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idioma= (추천: |languag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acceso= (추천: |access-dat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título= (추천: |title=)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fecha= (추천: |date=) (도움말);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FC바르셀로나가 코파 델 레이 2017-18 시즌에서 우승하였다. 라리가 최종순위 7위팀이 유로파리그 2차예선 참가권을 승계한다. ↑ https://www.realmadrid.com/futbol/partidos/la-liga/leganes-real-madrid-2017-12-17?pid=4500014190535 ↑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Pichichi y Zamora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제공한 텍스트가 없습니다 내용주 ↑ Galardón otorgado desde el año 1959 por el diario deportivo Marca al portero de fútbol menos goleado de la Primera División. Para optar al título hay que participar, como mínimo, en 28 partidos de liga y jugar al menos 60 minutos en cada uno de ellos. El cociente se obtiene al dividir los goles encajados entre los partidos jugados. 인용 오류: "note"이라는 이름을 가진 그룹에 대한 <ref> 태그가 존재하지만, 이에 대응하는 <references group="note" /> 태그가 없거나, 태그를 닫는 </ref> 태그가 없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라리가_2017-18&oldid=24193197" 분류: 2017년 축구2018년 축구숨은 분류: 참조 오류가 있는 문서인용 오류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인용 오류 - 제목이 없음인용 오류 - 제목 없이 URL을 사용함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9년 7월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বাংলাBosanskiCatalà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ietuviųLatviešu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venskaไทย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7: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라리가 2017-18(스페인어: Primera División de España 2017-18, 협찬사의 이름을 따 라리가 산탄데르로도 불림)은 스페인 축구 1부 리그인 프리메라 디비시온의 87번째 시즌이다. 이 시즌은 2017년 8월 18일에 시작되어 2018년 5월 20일에 막을 내렸다. 일정은 2017년 7월 21일에 공개되었다.레알 마드리드는 전 시즌 우승 구단이었다. 바르셀로나는 에르네스토 발베르데 신임 감독의 지휘 하에 2018년 4월 29일, 4경기를 남기고 2년 만이자 통산 25번째 우승을 확정지었다. 같은 해, 바르셀로나는 코파 델 레이도 석권하여 시즌을 2관왕으로 마쳤다.레반테, 지로나, 그리고 헤타페는 이 시즌에 승격하여 합류한 구단들인데, 이 중에 지로나는 사상 처음으로 라 리가 무대를 밟았다. 이 시즌을 끝으로 말라가, 라스 팔마스, 그리고 데포르티보는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당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라리가 2017-8의 승격팀과 강등팀은? Assistant: Pos. 라리가 2016-17 시즌에서 라리가 2로 강등 18위 스포르팅 히혼 12px 19위 그라나다 12px 20위 오사수나 12px 순위 라리가 2 2016-17 시즌에서 라리가로 승격 1위(우승팀) 레반테 2위(준우승팀) 지로나 FC 승격 플레이오프 최종 승자 헤타페 CF (승격 플레이오프)
Human: 아래 육척봉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육척봉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육척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육척봉을 휘두르는 격투가들. 육척봉(영어: quarterstaff)은 중세 잉글랜드에서 사용되었던 무기이다. 2 미터 정도 되는 나무 막대 하나로 만드는데, 간혹 끝을 금속 소재를 가지고 강화하기도 한다. 목차 1 어원 2 설명 3 역사 4 각주 5 외부 링크 어원[편집] 육척봉은 영어로 "쿼터스태프"영어: quarterstaff라고 하는데, quarterstaff의 어원은 불확실하다. 스태프(영어: staff)와의 상대적인 길이를 가지고 사람들이 quarterstaff라고 이름을 지었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사람들은 막대를 잡는 손의 위치를 가지고 그 어원을 추정해보기도 한다. 일단 육척봉의 1/2 지점 한가운데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손으로는 육척봉의 1/4 지점을 잡았기 때문에 quarterstaff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추정이다. 하지만 이것은 아마도 잘못된 어원이다. 당시 육척봉을 실제로 어떻게 잡았는지에 대한 문헌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이다. 다른 어원 추정으로는 나무에서 막대를 잘라내는 방법과 이름이 관련있다는 설이 있으며, 무기 소지자의 키 * 1.25 정도의 길이였기 때문에 이름이 붙었다는 설이 있다. 육척봉은 살상용 무기가 아니었기 때문에, "giving quarter"(싸움에서 진 자에게 아량을 베푼다는 의미)라는 행동과 무기의 이름이 관련있다는 설도 있다. 설명[편집] 육척봉의 재료가 되는 나무의 종류는 참으로 다양하다. 보통 서양물푸레나무, 참나무, 개암나무, 산사나무 등으로 만들었다. 끝에는 금속 꼬챙이나 덮개를 달기도 하였는데, 한쪽 끝에만 달 수도 있었고 양쪽 끝에 다 달 수도 있었다. 잉글랜드 엘리자베스 시대나 자코비안 시대의 문헌에 그림이 더러 수록되어 있다. 육척봉의 길이는 다양하다. 1.8 m에서 2.7 m 정도 되었다. (피트 단위로는 6에서 9피트) 근세에 사용된 롱 스태프(long staff)은 3.6 내지 5.4 m (12에서 18피트) 정도 되었다. 시간이 흐를수록 육척봉은 보다 짧아지고 가벼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3 m 스태프(대나무로 만들었다.)는 빅토리아 시대에 와서도 더러 사용되었다. 육척봉은 사실상 양손으로 잡는(two-handed) 몽둥이였다. 한데, 무게 배분은 육척봉 전체에 대하여 균등하였다. (예외적으로 일부는 끝의 무게가 강화되기도 하였다.) 몽둥이처럼 "때리는" 식으로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창처럼 "찌르는" 식으로도 쓰였다. 이 무기를 다루는 무예는 다른 막대기형 무기와 닮아있다. 하지만 육척봉은 다른 막대기형 무기에 대한 연습용 무기로서 자주 쓰였다. 초식에는 막기, 찌르기, 때리기, 휘두르기 등의 종류가 있었다. 역사[편집] 쿼터스태프는 잉글랜드 역사에 있어서 흔한 무기였다. 로빈 후드 전설에서는 리틀 존이 가장 잘 다루는 무기로서 등장한다. 각주[편집] Silver, G. c. 1599. Paradoxes of Defense. Thomas A. McCarthy, "Quarter-staff: A Practical Manual". London : W. Swan Sonnenschein and Co., 1883. Allanson-Winn, R.G. and C. Phillipps-Wolley, "Broadsword and Singlestick - with Chapters on Quarter-staff, Bayonet, Cudgel, Shillalah, Walking Stick, Umbrella and other Weapons of Self Defence; The Quarter-Staff". London : George Bell & Sons. 1st edition, 1898. Author unknown, "Boy Scout Quarterstaff". c. 1914 - 1920. Tony Wolf, "The Manly Art of Quarter-staff: Origins of a Victorian Combat Sport". Frank Docherty, "A Brief History of the Quarterstaff". George Silver, "Paradoxes of Defence". London: Edward Blount, 1599. Joseph Swetnam, "The Schoole of the Noble and Worthy Science of Defence". London: Nicholas Okre, 1617. Zach Wylde, "The English Master of Defence or, the Gentleman's A-la-mode Accomplish". Tork: John White, 1711. 외부 링크[편집] (영어) British Quarterstaff Association 이 글은 무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육척봉&oldid=22399890" 분류: 장병무기타격무기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무기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LietuviųPolski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5일 (토) 12: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육척봉(六尺棒, 영어: quarterstaff)은 중세 잉글랜드에서 사용되었던 무기이다. 2 미터 정도 되는 나무 막대 하나로 만드는데, 간혹 끝을 금속 소재를 가지고 강화하기도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육척봉의 길이는 몇 m정도 될까? Assistant: 1.8 m에서 2.7 m 정도 Human: 아래 국립_성공_대학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국립 성공 대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국립 성공 대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국립 쳉공 대학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국립 성공 대학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 國立成功大學 표어 穷理致知 종류 국립 대학설립 1931년 (1931)총장 쑤후이쩐(苏慧贞)부총장 황정홍(黄正弘), 진동양(陈东阳)학생 수 20,292학부생 수 11,109대학원생 수 9,183교직원 수 1,400국가 중화민국위치 타이난 시 둥 구웹사이트 https://web.ncku.edu.tw/index.php 국립 성공 대학의 위치 국립 성공 대학 전경 도서관 국립 성공 대학(중국어 정체자: 國立成功大學, 병음: Guólì Chénggōng Dàxué, NCKU; 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은 중화민국 타이난 시에 위치한 종합 대학이다. 성공대는 타이완에서 명문대 중 하나로, 남부 지역 최고의 학교로 알려졌다. 학교 안에 일제 시대에 건립된 건물이 많고, 타이난역 근처에 캠퍼스가 위치하고 있어서 뛰어난 접근성을 보인다. 타이난역과 성공대학 사이의 거리는 도보로 불과 약 1km 밖에 되지 않는다. '2019년 QS 세계 대학 순위'에 따르면, 국립 성공 대학은 타이완 내에서 3위, 아시아에서 37위, 전 세계 234위를 차지했다.[1] 9개의 대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공계, 의학 계열로 유명하다. 또, 세계 대학 네트워크에 소속되어 있다.[2] 목차 1 역사 2 순위 3 역대 총장 3.1 대만일치시기 4 조직 4.1 언어중심 5 기타 5.1 박물관 6 학교 동문 7 같이 보기 8 각주 9 외부 링크 역사[편집] 국립성공대학은 대만일치시기 때인 1931년에 '타이난고등공업학교(台南高等工業學校)'로 설립돼, 1944년 타이난공업전문학교(台南工業專門學校)'로 개칭하였다. 광복 이후인 1946년 2월, '대만성립타이난공업전과학교(台灣省立台南工業專科學校)'로 교명을 다시 개칭하였고, 같은 해 10월에는 또 다시 '대만성립공학원(台灣省立工學院)'으로 개칭하였다. 이1956년에는 명나라의 군인이였던 정성공(鄭成功)에 이름을 따 대만성립성공대학(台灣省立成功大學)으로 교명을 바꿨다. 정성공은 청나라에 맞서 싸우면서 명나라의 부흥 운동에 힘쓰면서, 타이완에서 네덜란드 세력을 물리친 업적으로 추앙받고 있는 인물이다. 그리고 비로소 1971년에 국립 대학으로 바뀌었으며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의 교명을 갖게 되었다. 순위[편집] 국립성공대학은 타이완 내 대학 순위에서 상위권에 속한다. '2019년 QS 세계 대학 순위'에 따르면, 2018년 국립 성공 대학은 국립 타이완 대학, 국립 칭화 대학과 더불어 타이완 내에서 3등, 아시아에서 37등 전 세계 234위를 차지했다. 2017년에는 타이완 내에서 3등, 아시아에서 35위, 전 세계 222위를 차지했다.[3] 2016년에는 국립 타이완 대학, 국립 칭화 대학, 국립 교통 대학과 더불어 본토 내 4등을 차지했고, 아시아에서 39위, 전 세계 241위를 차지했다.[4] 역대 총장[편집] 역대 성명 재임기간 비고 1 왕석안(王石安) 1946년 2월 ~ 1951년 8월 2 엽동자(葉東滋) 1951년 8월 ~ 1952년 2월 대리총장 3 진대균(秦大鈞) 1952년 2월 ~ 1957년 7월 4 염진흥(閻振興) 1957년 8월 ~ 1964년 12월 5 나운평(羅雲平) 1965년 1월 ~ 1971년 7월 6 예초(倪超) 1971년 8월 ~ 1978년 7월 7 왕유농(王唯農]) 1978년 8월 ~ 1980년 7월 8 하한민(夏漢民) 1980년 8월 ~ 1988년 7월 9 마철유(馬哲儒) 1988년 7월 ~ 1994년 7월 10 오경(吳京) 1994년 8월 ~ 1996년 6월 11 황정가(黃定加) 1996년 6월 ~ 1997년 2월 대리총장 12 옹정의(翁政義) 1997년 2월 ~ 2000년 5월 13 옹홍산(翁鴻山) 2000년 6월 ~ 2001년 1월 14 고강(高強) 2001년 2월 ~ 2007년 1월 15 뇌명조(賴明詔) 2007년 2월 ~ 2011년 1월 16 황황휘(黃煌煇) 2011년 2월 ~2015년 1월 17 쑤후이쩐(蘇慧貞) 2015년 2월 ~ 현재 대만일치시기[편집] 역대 성명 재임기간 비고 1 와카츠키 미치타카(若槻道隆) 1931년 1월-1941년 8월 2 사쿠마 이와오(佐久間巖) 1941年년 8월 - 1944년 3월 3 스에미츠 슈스케(末光俊介) 1944년 3월 - 1944년 10월 대리총장 4 코오 사부로오(甲婓三郎) 1944년 10월 - 1945년 10월 조직[편집] 문학원 중국문학과 및 연구소 역사학과 및 연구소 외국어문학과 및 대학원 예술연구소 대만문학과 및 연구소 고고학연구소 외어중심(外語中心) 화어중심(華語中心) 희극석사학위학정(戲劇碩士學位學程) 이학원 수학학과 및 연구소 광전과학·이정학과 및 연구소(光電科學與工程學系暨研究所) 물리학과 및 연구소 지구과학과 및 연구소 화학과 및 연구소 우주·전장 과학 연구소(太空與電漿科學研究所) 사회과학원 경제학과 및 연구소 교육연구소 법학과 및 연구소 심리학과 및 연구소 정치학과 및 연구소 정치경제학과 및 연구소 관리학원 공업·정보관리학과 및 연구소 교통관리과학과 및 연구소 기업관리학과 및 국제기업연구소 통계학과 및 연구소 회계학과 재무금융연구소 전신관리연구소 고계관리석사재직전반(高階管理碩士在職專班) 국제경영관리연구소(IMBA) 경영관리석사반(AMBA) 體育健康與休閒研究所 데이터과학연구소 공학원 해양과학기술·사무연구소 기계공학과 및 연구소 화학공학과 및 연구소 자원공학과 및 연구소 재료과학·공학과 및 연구소 토목공학과 및 연구소 수리·해양공학과 및 연구소 공학과 및 연구소 시스템·선박기전공학과 및 연구소 항공우주공학과 및 연구소 環境工程學系暨研究所 測量及空間資訊學系暨研究所 生物醫學工程學系暨研究所 奈米科技暨微系統工程研究所 民航研究所 能源國際學士學位學程 尖端材料國際碩士學位學程 自然災害減災及管理國際碩士學位學程 工程管理碩士在職專班 醫療器材創新國際碩士班 계획·설계학원 建築學系暨研究所 都市計劃學系暨研究所 工業設計學系暨研究所 創意產業設計研究所 科技藝術碩士學位學程 전기정보학원 資訊工程學系暨研究所 製造資訊與系統研究所 微電子工程研究所 電腦與通訊工程研究所 醫學資訊研究所 電機工程學系暨研究所 奈米積體電路工程碩博士學位學程 생물과학·과학기술학원 生命科學系暨研究所 生物科技與產業科學系 熱帶植物科學研究所 의학원 醫學系 口腔醫學研究所 藥學系 生理學研究所 護理學系暨研究所 老年學研究所 物理治療學系暨研究所 臨床醫學研究所 職能治療學系暨研究所 臨床藥學研究所 醫學檢驗生物技術學系暨研究所 行為醫學研究所 公共衛生學科暨公共衛生研究所 分子醫學研究所 工業衛生學科暨環境醫學研究所 基礎醫學研究所 藥理學科暨藥理學研究所 微生物及免疫學研究所 解剖學科暨細胞生物研究所 健康照護科學研究所 生物化學暨分子生物學研究所 藥學生物科技研究所 食品安全衛生暨風險管理研究所 중앙연구원협동 박사 과정 多媒體系統與智慧型運算工程 轉譯農業科學 언어중심[편집] 국립 성공 대학 언어중심은 국제문화교류의 발전을 위해 1982년 가을에 설립되었다. 성공 대학 광복(光復) 캠퍼스에 있고, 타이난역이랑 가까워 접근성도 좋다. 언어중심은 춘계반, 하계반, 추계반, 둥계반 그리고 여름방학 기간에 수업을 하며 여름방학 기간 수업을 제외한 다른 수업의 연수기간은 약 3달이다.[5] 기타[편집] 박물관[편집] 국립 성공 대학 박물관 국립 성공 대학 박물관(國立成功大學博物館)은 1933년에 준공된 건물로 원래의 용도는 전신인 타이난 고등공업학교의 행정센터로 이용되었고, 현재는 박물관으로 이용되고 있다. 대만 내 대학 중 처음으로 학교 자체가 투자해 설립한 박물관이다. 현재 박물관 내에는 260여 점의 도기, 석기, 조각 등 매우 다양한 소장품이 전시되고 있다.[6] 학교 동문[편집] 장자주(張家祝) : 전 경제부장 (2013년-2014년) 천슝원(陳雄文) : 전 노동부장 (2014년-2016년) 정난룽(鄭南榕) : 1988년 국민당의 계엄정부에 맞서 분신자살한 언론인 쉬신잉 : 민국당 주석 리쭈웬(鄭南榕) : 타이베이 101 등을 설계한 건축가 마오즈궈 : 중화민국 행정원장 (2014년-2016년) 새뮤얼 차오 충 팅 : 미국의 물리학자로, 1976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 왕젠쉬안(王建煊) : 전 감찰원장 같이 보기[편집] 타이완의 대학 목록 각주[편집] ↑ QS Asia University Rankings 2019 ↑ “Universities”. 《Worldwide Universities Network》.  ↑ QS Asia University Rankings 2018 ↑ https://www.topuniversities.com/university-rankings/asian-university-rankings/2016 ↑ https://www.whychina.co.kr/tw/twuni-cg.php ↑ https://www.twtainan.net/ko/attractions/detail/5193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국립 성공 대학 (중국어/영어) 공식 웹사이트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56559415 LCCN: n83311046 ISNI: 0000 0004 0532 3255 GND: 306895-X SUDOC: 116049596 NLA: 36623727 NKC: ko2007376581 CiNii: DA1398715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국립_성공_대학&oldid=23381601" 분류: 타이완의 국립 대학1931년 설립타이난시의 대학교둥구 (타이난시)숨은 분류: 중국어 간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Français客家語/Hak-kâ-ngîBahasa Indonesia日本語МонголSimple EnglishTagalogTiếng Việt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29일 (토) 20:4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국립 성공 대학(중국어 정체자: 國立成功大學, 병음: Guólì Chénggōng Dàxué, NCKU; 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은 중화민국 타이난시에 위치한 종합 대학이다. 성공대는 타이완에서 명문대 중 하나로, 남부 지역 최고의 학교로 알려졌다. 학교 안에는 대만일치시기에 건립된 건물이 많고, 타이난역 근처에 캠퍼스가 위치하고 있어서 뛰어난 접근성을 보인다. 타이난역과 성공대학 사이의 거리는 도보로 불과 약 1km 밖에 되지 않는다. '2019년 QS 세계 대학 순위'에 따르면, 국립 성공 대학은 타이완 내에서 3위, 아시아에서 37위, 전 세계 234위를 차지했다. 9개의 대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공계, 의학 계열로 유명하다. 또, 세계 대학 네트워크에 소속되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대만일치시기 국립 성공 대학의 역대 총장별 재임기간은 어떠했나요? Assistant: 역대 성명 재임기간 비고 1 와카츠키 미치타카(若槻道隆) 1931년 1월-1941년 8월 2 사쿠마 이와오(佐久間巖) 1941年년 8월 - 1944년 3월 3 스에미츠 슈스케(末光俊介) 1944년 3월 - 1944년 10월 대리총장 4 코오 사부로오(甲婓三郎) 1944년 10월 - 1945년 10월
Human: 아래 대한민국의_성소수자_역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역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역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역사는 성소수자 인권 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한 1990년대를 기점으로 하지만, 고문헌과 사료 등을 통해 과거 역사에 여러 성소수자 사례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목차 1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 1.1 신라 시대 1.2 고려 시대 1.3 조선 시대 2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2.1 1990년대 2.2 2000년대 2.3 2010년대 3 정치 3.1 정당 3.2 성소수자 인권단체 4 같이 보기 5 각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편집] 신라 시대[편집] “ 왕이 여자로서 남자가 되었으므로 어렸을 때 항상 여자의 놀이를 하였다 하니, 우습도다! ”   — 안정복 , 동사강목 제 3권 삼국유사에는 신라의 제36대 국왕 혜공왕이 여자 모습을 하기를 좋아하고 '도사와 함께 희롱'하였다는 대목이 있다.[1] 이를 동성애로 볼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경덕왕이 원래 딸로 태어나야 했을 아이를 억지로 아들로 만들게 하여 혜공왕이 태어났다'는 앞 대목의 기록을 볼 때 트랜스젠더의 사례로 해석할 수도 있다. 고려 시대[편집] 공민왕 고려 목종이 동성애였다는 기록이 있다.[2] 노국대장공주가 난산으로 사망하고 신돈을 통한 개혁이 실패한 이후, 고려 공민왕은 향락에 집착하게 된다. 1372년 음력 10월 1일 특수기구 자제위를 설치[3] 한 공민왕은, 그 동성애 상대자였다고 알려진 대언 김흥경을 자제위 총괄 직책에 임명한다. 자제위는 고위 관직자의 자제 중 미소년들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주로 왕의 좌우에서 시중을 드는 역할을 맡았고, 홍륜, 권진, 한안, 노선, 홍관 등이 왕의 총애를 받았다. 고려사는 자제위가 왕과 더불어 여러 음란행위들을 저질렀다고 기록한다. 이를테면, 왕의 지휘 아래 여러 후궁들을 간하고, 왕은 여자 분장을 하고 있다가 마음이 동하면 홍륜 등과 함께 육체적 관계를 맺는 등이다. 1374년 음력 9월, 공민왕은 만취 상태에서, 환관 최만생에게 익비 한씨가 홍륜과의 관계에서 잉태했다는 보고를 받는다. 왕은 이 사실을 아는 모든 사람들을 죽이겠다고 말하는데, 이에 두려움을 느낀 최만생은 자제위와 함께 모의하여 왕을 시해한다. 이튿날 시해 사실이 발각되었으며, 자제위와 최만생은 처형당한다. 조선 시대[편집] 순빈 봉씨는 조선 문종의 세자 시절 부인으로, 쫓겨난 휘빈 김씨의 뒤를 이어 1429년 음력 10월 15일 세자빈으로 책봉되었다. 하지만 다혈질적인 봉씨[4] 는 문종과 사이가 멀어졌고, 이에 세종은 세자의 후궁으로 권씨(후일의 현덕왕후), 홍씨, 정씨를 봉하게 된다. 이중 권씨가 임신(경혜공주)하자, 위기감을 느낀 봉씨는 거짓으로 임신 소동을 일으키고, 외간 남자를 엿보며, 아침부터 술에 만취해 폭언을 하는 등 난행을 일삼게 된다. 하지만 이미 휘빈 김씨를 폐출한 경험이 있는 세종은 세자빈 문제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왕비 소헌왕후 심씨와 함께 타이르는 선에서 일을 마무리하게 된다. 하지만 세자빈의 동성애 행동은 계속되었고, 마침내는 빈궁의 궁녀인 소쌍과 동침하는 사태까지 벌어진다. 이 소문이 궁녀들 사이를 떠돌다가 세종에게까지 알려지고, 원래 궐내 시녀간의 동성애 사실을 알고 있었고 이를 곤장 70대로 엄히 다스리던 세종은 격분하여 1436년 음력 10월 26일 세자빈 봉씨를 폐서인하고 같은 해 음력 12월 28일에 유일하게 문종의 자식을 낳은 권씨를 의빈에 봉하니 이가 곧 현덕왕후가 된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편집] 1955년 8월 13일 서울적십자병원에서 남성으로 태어난 조기철에게 한국 최초의 성전환 수술이 이루어졌다. 같은해 9월 30일에는 서울 경전병원 산부인과에서 경기도 화성군 우정면 석천리 출신 백기화(白基花)가 성전환 수술을 받고 여성이 되었다.[5][6] 백기화는 내성기는 여성이었지만 남성호르몬이 과다 분비되어 남성의 외성기를 갖고 태어났지만 여성이라는 사실을 알고 수술을 받았다. 한국의 경우 80년대 외국의 에이즈 위기와 남성 동성애자의 원인설이 유입되면서 정체성으로 가시화되었다. 그 동안 한국 사회에서 성소수자의 이미지나 대중적 인식은 남성 동성애자로 대표되었다고 볼 수 있다. 남성동성애자의 경우 종로나 이태원 등의 지역에서 클럽이나 바를 중심으로 하위문화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역 경제에서는 무시하기 어려운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여성 동성애자의 경우 여성주의 운동, 담론과 관련을 맺으며 운동 사회에 활발히 주체화되고 있으나 사회적 영향력도 크지 않고 사회경제적 지위도 낮았다. 1990년대[편집] 1993년 대한민국 최초의 동성애자 인권모임인 초동회가 결성되었으나, 1994년 초동회에서 남성 동성애자 인권단체인 친구사이와 여성 동성애자 인권단체인 끼리끼리로 분리되었다.[7] PC 통신 내 동성애자 모임들이 활성화되기 시작했으며, 1995년 친구사이에서 활동하던 사람들이 각 대학을 중심으로 동성애자 모임들을 조직하기 시작하여 성소수자 인권운동 단체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90년대 후반에 들어서 여성 동성애자들이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커밍아웃을 하기 시작했다. 1997년 첫 서울퀴어영화제와 대규모 성소수자 집회가 열렸다. 현재의 동성애자인권연대의 전신인 대학동성애자인권연합이 결성되었다.[8] 2000년대[편집] 배우 홍석천이 2000년에 공개적으로 커밍아웃하여 사회에 많은 논란을 일으키며 본격적으로 사회의 동성애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같은 해 제 1회 퀴어문화축제가 대학로에서 개최되었다. 2001년 대한민국의 최초 성전환 연예인인 하리수가 데뷔하여 대한민국에서 성전환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졌다. 대한민국 국회에서 성적 지향이란 단어가 최초로 포함된 국내법 국가인권위원회법이 제정되었다.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인터넷 공간에서 성소수자 사이트들을 검열하고 유해 사이트로 취급하던 정보통신윤리위원회에 항의하는 표시로 동성애자 웹 커뮤니티인 엑스존이 자진 폐쇄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정보통신윤리위원회는 2004년 국가인권위원회의 권고를 받아들여, 청소년보호법 시행령에 동성애 차별 조항을 삭제하고 성소수자 사이트들에 대한 검열 등을 중단하였다. 민주노동당이 대한민국 정당 중 처음으로 성소수자위원회를 설치하였다. 2006년, 성전환자 성별변경 법제정을 위한 공동연대가 발족되었다. 여러 인권 단체들이 성전환자의 성별 변경을 위한 법을 입법하기 위해 많은 사회적 노력을 하였고, 결국 대법원은 성기 성형을 한 성전환자에 한해 성별정정을 허가하는 판결을 내렸다. 2007년 10월 법무부에서 성적지향을 비롯, 성별과 장애, 나이, 인종, 종교 등을 이유로 생활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합리적인 이유 없는 차별을 금지하기 위한 차별금지법 입법이 예고하였으나, 근본주의 개신교 단체와 재계의 반발로 인하여 결국 무산되었다. 대한민국 제 18대 총선에서 최초로 공개적 커밍아웃한 레즈비언 정치인인 최현숙이 종로를 지역구로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성소수자 인권 단체들은 2008년에 성소수자인권단체연대체인 성소수자 차별반대 무지개 행동을 결성하고 첫 LGBT 인권포럼을 개최하였다. 2009년에는 서울을 제외한 지역에선 대구에서 최초로 퀴어문화축제가 열렸다. 2010년대[편집] 2014년 12월 8일, 서울시청 1층 로비에서 성소수자들이 서울시민인권헌장의 폐기를 항의하며 연좌시위를 벌이고 있다. 2010년 대한민국의 지상파 방송사 SBS에서 황금시간대에 최초로 게이 커플이 등장하는 텔레비전 드라마 인생은 아름다워를 약 8개월간 방영하였다. 각 지역의 교육청들은 2011년 경기도를 시작으로 학생인권조례를 공포하기 시작하였다. 서울과 경기도 등 몇몇 지역의 학생인권조례에는 성적지향도 포함되는 등, 성소수자 학생의 인권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가 도입되었다. 2012년 한 성소수자 인권 단체가 LGBT 운동을 위한 현수막을 게시하려고 하였으나 서울시 마포구가 불허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결국 국가인권위원회에 성소수자 단체가 진정을 내, 마포구에 성소수자 차별 정책을 시정하라는 권고를 이끌어냈다. 2013년이 되어 대법원은 2006년의 판결에서 더 나아가 트랜스남성에게 성기 성형 없이도 성별을 정정해주는 판결을 내렸다. 대법원은 2013년 20대 초반 남성들의 동성애를 다룬 “친구사이?”라는 영화가 성인등급으로 분류된 사안과 관련해 동성애를 유해한 것으로 취급하여 그에 관한 정보의 생산과 유포를 규제하는 경우 성적 소수자인 동성애자들의 인격권·행복추구권에 속하는 성적 자기결정권 및 알 권리, 표현의 자유, 평등권 등 헌법상 기본권을 지나치게 제한할 우려가 있는 점 등을 종합하여, 이 사건 영화는 ‘청소년 관람불가’의 등급분류기준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시하여 동성애 자체만으로 청소년에게 유해하다거나 문제가 있다고 볼수 없다고 판시한바 있다.[9] 2015년에는 서울대학교 학생회장과 고려대 동아리연합회 부회장에 커밍아웃한 레즈비언이 당선되는 등 성소수자에 대한 지지 움직임이 커지고 있다.[10] 2017년에는 청주지법 영동지원에서 트랜스여성에게 성기 성형 없이도 성별을 정정해주는 판결을 내렸다. 정치[편집] 2007년 5월 이명박 대통령은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시절, "내가 개신교 장로이기 이전에, 인간은 남녀가 결합해서 서로 사는 것이 정상이다. 그래서 동성애는 반대입장"이라며 동성애 반대 발언을 했으며, 이에 대한 항의로서 한국의 대표적인 동성애자클럽인 친구사이는 사이버시위를 하기도 했다.[11] 2012년 당시 민주당 소속이였던 김진표 국회의원은 개신교계와의 만남에서 "앞으로도 동성애·동성혼을 허용하는 법률이 제정되지 않도록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을 약속한다"라고 발언하였으며, 2016년에는 새누리당 소속의 이혜훈 전 국회의원이 한국장로교총연합회 신년하례회에서 정교분리는 없어져야 하며, 동성애자가 에이즈의 주 매개체라고 주장한 뒤 차별금지법을 반대한다고 발언했다. 한국의 동성애자들은 자신을 '이반'이라고 지칭한다. '일반'적인 사람들과 자신들이 다름을 나타내는 은어로 사용되다 최근 여러 곳에서 동성애들을 표현하는 언어로 확산되었다.[12] 정당[편집] 동성애자들의 인권을 위해 2000년 국내 정당들 중에선 최초로 민주노동당이 성소수자위원회를 설립했다. 민주노동당의 성소수자위원회는 2004년, 헌혈 전 실시하는 문진에서 에이즈 감염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동성과의 성 접촉 여부’를 묻는 것은 평등권을 침해하는 것이라고 해 동성애자의 인권을 위한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13] 또한 민주노동당 여기동 성소수자위원장과 곽정숙 당선자, 이정희 당선자는 5월 17일 국제 동성애 혐오 반대의 날을 맞아 국회 정론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장에서 동성애 혐오에 반대하는 성명을 내놓았다. 구 민주노동당이 국민참여당등과 함께 통합진보당으로 합당되면서 통합진보당 성소수자위원회가 구성되었으나, 통합진보당의 분당 이후 현재 '정의당 레인보우'라는 이름의 정의당 성소수자 당원 모임이 있다. 이 외에 녹색당과 노동당, 민중연합당, 새민중정당에서도 성소수자 권리를 공개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성소수자 인권단체[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인권단체입니다. 최초의 대한민국 성소수자 인권단체는 1993년 게이, 레즈비언들이 함께 결성한 초동회이다. 초동회는 두 달 뒤 게이, 레즈비언들이 분리해 각각 친구사이와 끼리끼리로 이어졌다. 이 중 끼리끼리는 2005년 레즈비언 상담소로 전환되었다. 한편, 주요 대학들 내에서도 성소수자 인권운동에 대한 인식이 생겨나기 시작했는데, 가장 먼저 탄생한 대학 성소수자 모임은 1995년 결성된 연세대학교 컴투게더이다. 컴투게더를 시작으로 서울대학교 마음001(現 큐이즈), 고려대학교 사람과 사람 등이 만들어졌고 대학 내에도 성소수자가 있음을 알리기 시작하였다. 1997년 말에는 대학 성소수자 모임들이 모여 대학동성애자인권연합(대동연)을 출범시켰다. 이 단체가 98년 동성애자인권연대로 이름을 바꾸게 된다. 2013년 현재 활동하고 있는 단체로는 동성애자인권연대, 레즈비언상담소,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등이 있다. 또한 성소수자 인권단체들의 연대체로 무지개행동이 있다. 대학성소수자모임연대 QUV, 서울대학교와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등 여러 대학을 비롯, '차별 없는 사회를 실현하는 대학생 네트워크 [결]'와 같은 대학생 성소수자 모임이 존재한다. 같이 보기[편집]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권리 동성애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목록 각주[편집] ↑ 《삼국사기·삼국유사》, 삼국유사 권 제2 <기이> 경덕왕·충담사·표훈대덕, 이병도 역, 누리미디어 ↑ 토론이 있는 인터넷신문 - 데일리안 ↑ 《고려사》,<세가> 43권, 공민왕 21년(1372년) 음력 10월 1일자 기사. 寘子弟衛(자제위를 설치하다)라는 문구와 함께 자제위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 있다. ↑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75권, 세종 18년(1436년) 음력 11월 7일 1번째 기사. 세종이 신하들에게 세자빈 폐출의 이유를 설명하는 이 기사에는 책을 집어던지는 등의 봉씨의 과격한 행동이 묘사되어 있다. ↑ "男性의 受難時代? 또 한 名이 女子로 轉換", 경향신문 1955년 09월 02일자 3면, 사회면 ↑ "壇上壇下", 동아일보 1955년 09월 03일자 1면, 정치면 ↑ “초동회 (한국 동성애자 인권운동단체)”. 한국성적소수자 문화인권센터. 2013년 12월 3일에 확인함.  ↑ “동성애자인권연대 (한국 동성애자 단체)”. 한국성적소수자 문화인권센터. 2013년 12월 3일에 확인함.  ↑ 대법원 2013.11.14. 선고 2011두11266 ↑ 30여 개 대학에 성소수자 동아리, 예비 신입생도 가입 문의 중앙선데이 458호 ↑ “이명박, 동성애 반대 발언 파문 관련기사”. 2007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17일에 확인함.  ↑ 동성애자를 '이반'이라 부르는 의미에 관련된 동성애자 단체의 공동 성명서 ↑ 민주노동당 성적소수자 위원회 관련기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한민국의_성소수자_역사&oldid=24068547" 분류: 한국의 역사대한민국의 역사대한민국의 성소수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17: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역사는 성소수자 인권 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한 1990년대를 기점으로 하지만, 고문헌과 사료 등을 통해 과거 역사에 여러 성소수자 사례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연세대학교에서 1995년 만든 성소수자 모임의 이름은 뭐야? Assistant: 컴투게더 Human: 아래 신원보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신원보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원보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신원보증(身元保證)은 고용계약의 계속중에 피용자가 사용자에게 입힐지도 모르는 손해·불이익을 제3자(신원보증인)에게 책임을 부담시키는 제도이다. 이에는 협의(狹義)의 신원보증과 신원인수(身元引受)의 두 가지 구별이 있다. 협의의 '신원보증'은 피용자의 책임있는 사유로 발생한 고용 계약상의 손해배상 채무를 사용자에 대해 보증하는 것으로서 이른바 장래의 채무의 보증이며 민법상의 보증의 일종이다. '신원인수'는 사용자가 그 피용자를 고용함으로써 손해를 입지 않도록, 예컨대 피용자가 질병에 걸린 경우의 손해 등 피용자가 사용자에 대하여 그 책임에 의한 채무를 부담하지 않는 경우에도 보증인(신원인수인)이 일체의 책임을 부담하는 일종의 손해담보계약(損害擔保契約)이다. 그러나 위의 어느 경우에서나 보증인 내지 인수인의 책임은 지나치게 무겁다. 그 이유는 실제상 피용자(被傭者)의 신원을 보증하는 것은 사용자가 피용자의 인물이나 재능을 알지 못하는 경우에 그 염려가 없는 인물임을 보증하는 뜻에 지나지 않는 데 있다. 그러나 신원보증·신원인수의 계약증서에는 무제한의 광범한 보증의 뜻이 기재되는 것이 보통이므로 부당한 결과를 일으키는 사례가 많다. 그리하여 종래의 판례는 당사자의 의사와 조리(條理)에 의하여 타당한 해석을 하여 신원보증인의 책임을 국한하는 데 노력하여 왔다. 종래의 판례는 첫째로 사정변경(事情變更)의 원칙을 적용함으로써 보증인에게 해지권을 주었으며, 둘째로 구체적인 책임이 발생하기 이전의 보증인의 지위는 상속되지 않는다고 하였는데 이러한 이론은 신원보증법이라는 특별법이 제정되어 이에 승계되었다(신보 6조, 7조).[1] 목차 1 신원보증법 2 신원보증금 3 함께 보기 4 각주 신원보증법[편집] 신원보증법(身元保證法)은 신원보증인의 책임을 제한하고 신원보증계약의 폐해를 시정하기 위한 법률이다. 그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이 법에서 말하는 신원보증계약이라 함은 인수·보증 기타 그 명칭의 여하를 불문하고 피용자의 행위로 인하여 사용자가 받은 손해를 배상하는 것을 약정하는 계약을 의미한다(신보 1조). (2) 기간을 정하지 아니한 보증계약은 보통 그 성립일로부터 3년, 기능습득자에 관해서는 5년이다. 특약이 있어도 5년 이상으로는 하지 못하며, 갱신은 허용되지만 갱신시부터 5년 이상을 초과하지 못한다(신보 3조). (3) 사용자는 피고용자에게 부적임(不適任)하거나 불성실한 사적(事跡)이 있어서 이로 말미암아 보증인의 책임을 야기할 염려가 있는 것을 발견한 때 및 피용자의 임무 또는 임지(任地)의 변경으로 인하여 보증인이 책임이 가중되거나 또는 그 감독이 곤란하게 된 때에는 보증인에게 그 사유를 지체없이 통지하여야 한다(신보 4조). (4) 보증인이 이 통지를 받았거나 또는 통지를 받지 아니하여도 해지할 수 있으며 또 피용자의 고의나 과실있는 행위로 인하여 발생한 손해를 보증인이 배상한 때에도 보증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신보 5조). (5) 신원보증인의 책임의 유무 및 범위를 정함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감독상의 과실 기타 일체의 사정을 고려하여 이를 결정하여야 한다(신보 6조). (6) 보증계약은 보증인의 사망으로 인하여 그 효력을 상실하며 보증인의 지위는 상속되지 않는다(신보 7조). (7) 신원보증인에 불이익한 특약은 모두 무효이다(신보 8조).[2] 신원보증금[편집] 신원보증금(身元保證金)은 고용 등 계속적 계약관계에 있는 자(피용자)가 장래 사용자에게 손해를 입힐 경우에 그 손해배상 채무를 담보하기 위하여 미리 교부하는 금전(또는 유가증권)을 말한다. 보통은 당사자간의 채무만을 담보하는 것으로 보증금과 같은 성질의 것인데, 특수한 것으로 집달관(執達官)·공증인(公證人)·출납공무원(出納公務員) 등이 납부하는 신원보증금의 제도가 있다(법조 55조, 공증 18조).[3] 함께 보기[편집] 인우보증 각주[편집] ↑ 《글로벌 세계대백과》〈신원보증〉 ↑ 《글로벌 세계대백과》〈신원보증법〉 ↑ 《글로벌 세계대백과》〈신원보증금〉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신원보증&oldid=24200247" 분류: 고용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03: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신원보증(身元保證)은 고용계약의 계속중에 피용자가 사용자에게 입힐지도 모르는 손해·불이익을 제3자(신원보증인)에게 책임을 부담시키는 제도이다. 이에는 협의(狹義)의 신원보증과 신원인수(身元引受)의 두 가지 구별이 있다. 협의의 '신원보증'은 피용자의 책임있는 사유로 발생한 고용 계약상의 손해배상 채무를 사용자에 대해 보증하는 것으로서 이른바 장래의 채무의 보증이며 민법상의 보증의 일종이다. '신원인수'는 사용자가 그 피용자를 고용함으로써 손해를 입지 않도록, 예컨대 피용자가 질병에 걸린 경우의 손해 등 피용자가 사용자에 대하여 그 책임에 의한 채무를 부담하지 않는 경우에도 보증인(신원인수인)이 일체의 책임을 부담하는 일종의 손해담보계약(損害擔保契約)이다. 그러나 위의 어느 경우에서나 보증인 내지 인수인의 책임은 지나치게 무겁다. 그 이유는 실제상 피용자(被傭者)의 신원을 보증하는 것은 사용자가 피용자의 인물이나 재능을 알지 못하는 경우에 그 염려가 없는 인물임을 보증하는 뜻에 지나지 않는 데 있다. 그러나 신원보증·신원인수의 계약증서에는 무제한의 광범한 보증의 뜻이 기재되는 것이 보통이므로 부당한 결과를 일으키는 사례가 많다. 그리하여 종래의 판례는 당사자의 의사와 조리(條理)에 의하여 타당한 해석을 하여 신원보증인의 책임을 국한하는 데 노력하여 왔다. 종래의 판례는 첫째로 사정변경(事情變更)의 원칙을 적용함으로써 보증인에게 해지권을 주었으며, 둘째로 구체적인 책임이 발생하기 이전의 보증인의 지위는 상속되지 않는다고 하였는데 이러한 이론은 신원보증법이라는 특별법이 제정되어 이에 승계되었다(신보 6조, 7조).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신원보증법 중에서 어떤 특약이 무효가 되나? Assistant: 불이익한 특약
Human: 아래 이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이도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도Ido(IPA: idɔ) 200px 언어 인구 수천 명(모두가 제2언어로 쓴다) 언어 계통 인공어 공용어 및 표준 공용어로 쓰는 나라 없음 표준 이도 협회(Uniono por la Linguo Internaciona Ido) 언어 부호 ISO 639-1 io ISO 639-2 ido ISO 639-3 ido 이도(Ido)는 에스페란토의 개선안에서 출발한 국제어이다. 그렇기 때문에 에스페란토와 비슷한 점이 많다. 이름은 에스페란토로 '자식'을 뜻하는 낱말 'ido'에서 유래했다. 20세기 초에 만들어진 이도는 현재 사용자가 몇천 명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독일, 프랑스와 스페인에 특히 많다. 이것은 보프롱이 만든 언어로서, 단순한 에스페란토 개선안이 아니며 자멘호프의 동의 없이 이루어진 것이다. 또 이도는 개선안이 아닌 새 언어로 발표되었지만, 많은 사람들은 그것을 에스페란토의 개선안으로 생각하고 있다. 이도는 로마자에 나오는 글자 26개를 그대로 쓰며, 음성구분에도 필요한 특별한 글자가 없다. 문법적으로 예외가 없지만 얼핏 보기에는 로망스어, 특히 프랑스어, 이탈리아어와 스페인어와 모습이 비슷하다. 에스페란토를 배운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도를 대부분 이해할 수 있지만 단어구조에 차이가 많아, 문법상에 다른 점이 많기 때문에 단순한 에스페란토 개선안이 아니다. 목차 1 에스페란토와의 차이점 2 단점 3 문법 3.1 대명사 3.2 단어 구조 4 이도의 역사와 커뮤니티 5 실례 5.1 주기도문 5.2 어린 왕자 5.3 Mea vido-cirklo (horizonto) 6 출판물 7 각주 8 외부 링크 8.1 일반 8.2 배우기 에스페란토와의 차이점[편집] 에스페란토 이도 명사 명사에 예외없이 'o'를 붙이며, 복수형을 표시하기 위해 'o' 뒤에 'j'를 붙인다.예: libro (책) libroj (책들). j를 붙이지 않고, 'o'를 'i'로 바꾼다.예: libro (책), libri (책들). 형용사 프랑스어처럼 형용사와 명사의 단수와 복수가 서로 맞아야 한다.즉, granda libro (큰 책)이라고 단수형으로 말하지만, 복수형이 될 경우에 grandaj libroj 라고 형용사에도 'j'를 붙여야 한다. 영어를 비롯한 대부분의 언어에서처럼 그런 규칙이 없다.예: granda libro의 복수형은 granda libri이다. 문자 자모에는 기본적인 로마 문자가 아닌 ĝ, ĵ, ŭ, ĉ, ŝ가 있다.이를 표현하지 못하는 이메일이나 뉴스그룹 같은 곳에서는 본디 글자에 x나 h를 붙여서 표시하는 것이 현재 대안으로서 사용되고 있다.예: mi loĝas("나는 ...에 살다") → mi logxas/mi loghas, ŝi("그 여자") → sxi/shi ĝ와 ĵ를 같은 j로 표시하기로 했고, ŭ를 없애고 ĉ를 ch, ŝ를 sh로 표기함으로써,위와 같은 글자를 표기할 수 없는 환경에서도 쓸 수 있다. 단점[편집] 에스페란토는 약 160만 명의 사용자가 있는 반면에, 이도는 구사자가 몇천 명 밖에 없다고 한다. 에스페란토보다 문법이 더 쉽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많지 않은 것은 무시할 수 없다. 또, 한국어로 쓰여 있는 이도 관련 자료도 많지 않다. 문법[편집] Olda (늙다)와 Irar (가다)를 이용하면 기초 문법이 다음과 같다. 명사단수형 -o (oldo) 명사복수형 -i (oldi) - 에스페란토에서는 "-oj" 형용사 -a (olda) 부사 -e (olde) 현재부정사 -ar (irar) - 에스페란토에서는 "-i" 과거부정사 -ir (irir) - 에스페란토에서는 없다 미래부정사 -or (iror) - 에스페란토에서는 없다 현재형 -as (iras) 과거형 -is (iris) 미래형 -os (iros) 명령형 -ez (irez) - 에스페란토에서는 "-u" 조건법 -us (irus) 대명사[편집] 모든 대명사가 -i로 끝나는 에스페란토의 대명사를 더 쉽게 알아들을 수 있게 이도의 대명사가 약간 다르다. 특히 mi (나)와 ni(우리)가 시끄러운 곳에서 알아듣기 힘들다는 생각이 많았다. 이도에서는 me와 ni라고 한다. 또, 유럽의 많은 언어에서 나오는 2인칭과 같이 친구사이의 tu와 친하지 않는 사람에게 쓰는 vu에서는 에스페란토의 vi와는 다르다. 마지막에, lu라는 대명사는 한국어의 '그'와 같이, 남자도 여자도 아닌 '그 사람'을 뜻하는 것이다. 이것이 핀란드어: hän과 같은 말이다. 대명사 구분 단수 복수 부정 일인칭 이인칭 삼인칭 일인칭 이인칭 삼인칭 친한 사이 모르는 사이 남성 여성 무성 통성 한국어 나, 저 너 당신 그 (남) 그 (여) 그것 그 (남녀) 우리 너희 그들 사람 (일반적으로) 에스페란토 mi vi (ci[1]) vi li ŝi ĝi ĝi[2] ni vi ili oni 이도 me tu vu il(u) el(u) ol(u) lu ni vi li on(u) 단어 구조[편집] 이도의 단어는 되도록 많은 사람들이 처음부터 뜻을 알 수 있게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독일어, 러시아어와 이탈리아어에 기원해서 만들어졌다. 이도의 처음 5000개 단어 뿌리를 알아본 결과 다음 통계가 나왔다. [1]: 2024개(38%)가 모든 6개 국어에 다 나옴 942개(17%)가 5개 국어에 나옴 1111개(21%)가 4개 국어에 나옴 585개(11%)가 3개 국어에 나옴 454개(8%)가 2개 국어에 나옴 255개(5%)가 1개 국어에 나옴 합 5371 100% 또, 이도 단어와 그 6개 국어와 비교한 다음과 같은 통계도 있다: 프랑스어 4880 - 91% 이탈리아어 4454 - 83% 스페인어 4237 - 79% 영어 4219 - 79% 독일어 3302 - 61% 러시아어 2821 - 52% 다른 언어와의 단어 비교: 에스페란토 이도 영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독일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한국어 bona bona good("bonus") buono bon gut хорошо bueno 좋다 doni donar give ("donor") dare ("donare") donner geben дать dar 주다 filtri filtrar filter filtrare filtrer filtrieren филтр filtrar 거르다 ĝardeno gardeno garden giardino jardin Garten сад jardín 뜰,정원 kavalo kavalo horse ("cavalry") cavallo cheval Pferd лошадь caballo 말(동물) maro maro sea ("marine") mare mer Meer море mar 바다 nacio naciono nation nazione nation Nation нация nación 나라 studi studiar study studiare etudier studieren учить estudiar 공부하다 juna yuna young giovane ("junior") jeune jung молодой joven 젊다, 어리다 이도의 역사와 커뮤니티[편집] 1922년에 찍은 이도국제대회, 데사우, 독일 이도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더 잘 알려진 에스페란토를 통해서 알게 되었다. 그것 때문에 비교적 에스페란토를 잘하는 이디스트가 이도를 잘하는 에스페란티스트보다 많다. 거의 모든 나라에서 이도를 사용하는 사람을 찾을 수는 있지만 독일, 프랑스와 스페인에서 사용자 비율이 가장 많다. 이도협회는 현재 네덜란드에 있다. 이도는 처음 만들어졌을 때는 인기가 많았지만 제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기 며칠 전 Louis Couturat라는 선구자가 프랑스군의 트럭에 치여 숨지고 전쟁 후에도 변화를 겪게 되었으나 1920년대에 접어들면서 점차 안정적인 사용자 기반을 가지게 되었다. 그 당시 에스페란토는 이미 많은 인기가 있었다. 인공언어가 몇 개 등장하던 시기인 1930년대에도 이도에 남아있는 사람들은 몇백 명밖에 안 되었고, 인터넷이 나오기 전에는 활동하는 사람도 거의 없었다. 인터넷과 특히 위키백과 덕분에 90년대 후반부터 이도는 예전의 활기를 되찾게 되었다. 인공언어로써 이도의 정확한 사용인구를 알기는 쉽지 않다. 또 인구를 말할 경우에 단순히 쓸 수 있는 자와 지원하는 자를 구별해야 하는데 에스페란토의 사용자들 중에는 호기심으로 이도를 배웠지만 일부러 지원하지 않고 에스페란토만 홍보하는 사람도 있다. 이도와 에스페란토가 서로 비슷하기 때문에 인터넷에서 (특히 Google Groups) 이도와 에스페란토에 대한 논쟁이 많고 영어, 에스페란토와 이도 3개국어를 이용해서 서로 논쟁하는 사람도 있다. 이하의 게시물은 호기심으로 이도를 배웠지만 에스페란토를 계속 지원하는 에스페란티스트의 의견을 잘 대표하는 예이다. “ Mi provis Idon antaŭ Esperanto, kaj alvenis konklude: la diferoj estas efike trivialaj, komparite al pli gravaj koncernaĵoj (kiujn mi ne detalos ĉi tie). Pro tio mi elektis subteni Esperanton, kaj ne subteni Idon, kvankam eble mi lernos Idon por hobio. Tamen via id-vortoj estas bone komprenebla al mi, kaj mi uzus Idon, se ne ekzistis tre pli subtenita lingvo.[3]에스페란토를 배우기 전에 이도를 배워 봤지만 결국 더 큰 문제에 비해서 (여기서는 그 문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을것입니다.) 이도와 에스페란토의 차이가 그리 크지 않고 좀 사소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것 때문에 (에스페란토를 쓰는 사람이 더 많기 때문에) 이도말고 에스페란토를 지원하기로 했지만 계속 취미로서 이도를 배울겁니다. 하지만, (이도로 쓴 사람에 대해서) 당신이 쓰던 말을 이해할 수도 있고, 만약 에스페란토 같은 기초가 확실히된 언어가 없었으면 저도 이도를 지원 했을겁니다. ” 실례[편집] 이 절은 오디오 파일에 대한 인라인 링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소리 재생에 문제가 있으면, 도움말을 참조하세요. 주기도문[편집] Patro nia, qua esas en la cielo, tua nomo santigesez; tua regno advenez; tua volo facesez quale en la cielo tale anke sur la tero. Donez a ni cadie l'omnidiala pano, e pardonez a ni nia ofensi, quale anke ni pardonas a nia ofensanti, e ne duktez ni aden la tento, ma liberigez ni del malajo. — 듣기 (도움말·정보) 어린 왕자[편집] 이하는 이도 판의 어린 왕자(La Princeto)에 나온 제17장, 지구로 온 어린 왕자가 사막에서 뱀을 만나게 된 장면. CHAPITRO XVII (...) –Bona nokto ! –dicis la surprizata princeto. –Bona nokto ! –dicis la serpento. –Adsur qua planeto me falis ? –questionis la princeto. –Adsur Tero, sur Afrika. –respondis la serpento. –Ha !... Kad esas nulu sur Tero ? –To esas la dezerto, e nulu esas sur la dezerti. Tero esas tre granda –dicis la serpento. La princeto sideskis sur stono e levis lua okuli a la cielo. –Me questionas a me –lu dicis- ka la steli intence brilas por ke uladie singlu povez trovar sua stelo. Videz mea planeto, olu esas exakte super ni... ma tre fore ! –Olu esas bela planeto –dicis la serpento-. Por quo vu venis adhike ? –Esas chagreneto inter floro e me –dicis la princeto. –Ha ! –dicis la serpento. E la du permanis silence. –Ube esas la personi ? –klamis fine la princeto-. Onu esas kelke sola sur la dezerto... –Inter la personi onu anke esas sola –dicis la serpento. La princeto regardis la serpento longatempe. –Vu esas stranja animalo ! –dicis la princeto-. Vu esas tam tenua kam fingro... –Yes, ma me esas plu potenta kam fingro di rejo –dicis la serpento. La princeto ridetis. –Me ne kredas ke vu esas tre potenta, mem vu ne havas pedi... nek vu povas voyajar... –Me povas transportar vu plu fore kam navo -dicis la serpento. Ed olu spulis la maleolo di la princeto, same kam ora braceleto. –Ta quan me tushas retroiras a la tero deube lu venis. Ma vu esas pura e vu venas de stelo... La princeto nulon respondis. –Me kompatas vu, qua esas tante sola sur ta harda granita Tero. Me povas helpar vu se vu sentas nostalgio a vua planeto. Me povas... –Ho ! –dicis la princeto-. Me bone komprenis, ma pro quo vu sempre parolas enigmatoze ? –Me solvas omna enigmati –dicis la serpento. E la du permanis silence. Averto lektenda La verko La princeto licencesas sub Creative Commons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2.0/legalcode Autoro.- Fernando Tejón, krayono@yahoo.es Ret-pagino.- http://es.geocities.com/idohispania/laprinceto/laprinceto.html Mea vido-cirklo (horizonto)[편집] 러시아의 시인 윤나 모리츠의 시로 만든 러시아의 음악가 알락산도르 수카노프가 만든 노래의 이도 번역과 연주 Me nule savas la Angla, la Franca, la Greka, Mea vid-cirklo do restas sat mikra e streta - En mea vid-cirklo trovesas nur flori, arbori, Nur tero e maro, aero, fairo, amoro. Me nule savas la Dana e la Portugala, Mea vid-cirklo restas sat infantala - Nur joyi rapide pasant', bruligiva aflikto, Nur esperi, e timi noktal' es en mea vid-cirklo. Me savas nek la Sanskrito e nek la Latina, Mea vid-cirklo es ancien-mod' quale tino Nur morto e nasko homala, nur grani ed astri Aden mea vid-cirklo penetras e standas sat mastre. Mea savo artala esas fakultativa. Mea vid-cirklo restas presk' primitiva - En olu es nia afero intima, interna Por ke kun homaro la Tero flugadez eterne. Mea vid-cirklon restriktas nur timi, esperi, En olu trovesas nur amo, nur maro e tero. Aden mea vid-cirklo penetras e standas sat mastre Nur morto e nasko homala, nur grani ed astri.                   — 듣기 (도움말·정보) 출판물[편집] 이도어로 발행되는 잡지가 몇 개 있다. 스페인 이도협회가 두 달마다 출판하는 잡지 Adavane!는 사이트에서 무료로 볼 수 있다. 이도협회가 출판하는 Progreso는 1907년부터 시작된 제일 오래된 잡지다. 프랑스에서 출판하는 Kuriero Internaciona는 몇 개월마다 출판되는 잡지이며, 6개월 정도 지나면 무료로 볼 수 있다.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이도 ↑ 공식적으로 친한 사이에서 쓰는 에스페란토 대명사이지만 거의 이용되지는 않다. 이도에서 tu와 vu가 사용되는 빈도가 거의 똑같지만 에스페란토의 vi는 ci보다 100배 이상 더 많이 사용되며, 거의 모든 에스페란토 교과서에 나오지는 않는다. ↑ 사람을 지적해서 '그것'이라고 부르는 것을 원하지 않을 경우 대명사가 아닌 tiu가 이용되기는 하다. ↑ http://gxangalo.com/modules/newbb/viewtopic.php?topic_id=112&viewmode=flat&order=ASC&start=19 외부 링크[편집] 이도 위키백과 위키책에 이 문서와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이도 일반[편집] (이도) 이도 협회 (Uniono por la Linguo Internaciona Ido) (이도) La Mondo en Ido - 이도로 쓰여 있는 블로그 배우기[편집] 모두의 이도 (영어) 이도 소개 (영어) 이도 온라인 학교 vdeh 인공어국제어 링구아프랑카노바 볼라퓌크 에스페란토 이도 인테르링구아 노비알 우니쉬 코타바 3CL 세계어 74·07 지구어 권역어 슬로비오 아프리힐리 폴크슈프락 합리어, 철학어 쳉리 이쓰퀼 로글란 로지반 로 도기 보나 보아보무 예술어, 가상어 신어 클링온어 J. R. R. 톨킨의 인공어 꿰냐 신다린 서부어 아두나익 바론 나비어 베르두리아어 스포칸스 이영도 작품 속의 인공어 아르카 대체 역사 인공어 일 베티사드의 인공어 브리터니그 베네딕 순수주의 인공어 앵글리시 하이 아이슬란드어 신비어 링구아 이그노타 발레이벨렌 인공 문자 텡과르 그 밖의 인공어 솔레솔 탈로사어 라아단 관련 항목 언어 창작자 언어창작회의 어휘재구화 인공어 제작 매뉴얼 전거 통제 LCCN: sh85064170 GND: 4333756-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도&oldid=24375351" 분류: 이도인공어에스페란티도국제어숨은 분류: 잘못된 파일 링크가 포함된 문서기타 외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에스페란토 표기를 포함한 문서핀란드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Аҧсшәа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العربيةAsturianuAymar aruAzərbaycancaتۆرکجه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miliàn e rumagnòl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FulfuldeSuomiFrançaisArpetanFryskGaeilgeGalegoHausa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nterlingue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urdîКомиLatinaLadinoLëtzebuergeschLingua Franca NovaLimburgsLigure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मराठीBahasa MelayuMaltiMirandésمازِرونیPlattdüütsch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vialOccitanਪੰਜਾਬੀPapiamentuPicard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umantschRomânăРусскийSard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iSwati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agalogTok Pisin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VènetoTiếng ViệtVolapük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4일 (화) 10: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No good Wikipedia Search Result was found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윤나 모리츠의 직업은 뭐야? Assistant: 시인 Human: 아래 카메룬_축구_국가대표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카메룬 별칭 Les Lions Indomptables(불굴의 사자) 연맹 카메룬 축구 협회 대륙 CAF (아프리카) 감독 클라렌서 세이도르프 주장 뱅자맹 무칸조 최다 출전자 리고베르 송 (137) 최다 득점자 사뮈엘 에토 (56) 홈 구장 스타드 아마두 아히조 FIFA 코드 CMR FIFA 랭킹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최고 순위: 11위 (2006년 11월)최저 순위: 79위 (2013년 2월) 첫 국제경기 출전 벨기에령 콩고 3-2 프랑스령 카메룬 (벨기에령 콩고; 1956년 9월) 최다 점수차승리 카메룬 9-0 차드 (콩고 민주 공화국; 1965년 4월) 최다 점수차패배 노르웨이 6-1 카메룬 (노르웨이, 오슬로; 1990년 10월 31일) 러시아 6-1 카메룬 (미국, 팰러앨토; 1994년 6월 28일, 1994년 FIFA 월드컵) 코스타리카 5-0 카메룬 (코스타리카, 산호세; 1997년 3월 9일) 대한민국 5-0 카메룬 ) (대한민국, 서울; 1984년 10월 4일)}} 유니폼 홈 원정 FIFA 월드컵 출전 횟수 7회 (1982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8강 (199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출전 횟수 17회 (1970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우승 (1984년, 1988년, 2000년, 2002년, 201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 횟수 3회 (2001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준우승 (2003년) 메달 기록 남자 축구 금 2000 시드니 축구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은 카메룬을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이다. 1990년 FIFA 월드컵에서 아프리카팀으로는 최초로 8강에 진출하며 월드컵에서 일명 '아프리카 돌풍'의 신호탄을 올린 주역이다. 특히 개막전에서 디펜딩 챔피언 아르헨티나를 1:0으로 물리치는 이변을 일으키며 전 세계 축구팬들을 충격에 빠트렸다. 이 개막전이 충격이기는 했지만 그래도 아프리카에서는 어느 정도 자리잡힌 나라였다. 바로 2년 전인 198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팀이기도 했고 알제리가 돌풍을 일으켰던 1982년 FIFA 월드컵에서도 파올로 로시가 이끌던 대회 우승국 이탈리아, 동구권의 강호이자 대회 3위팀 폴란드, 테오필로 쿠비야스가 버티고 있던 페루와 모두 비기며 3무를 거둔 바 있었다. 세계와의 격차가 더 컸던 당시 상황을 감안하면 이미 2010년 대회 뉴질랜드 이상으로 활약을 한번 했던 것이다. 1982년 월드컵 본선 진출 및 무패의 성적에 힘입어 2년 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처음으로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뒤이어 3연속으로 결승에 진출하였고 1988년 대회에서 다시 한번 우승을 차지했다. 목차 1 개요 1.1 아프리카 축구 돌풍의 시작 1.2 돌풍 이후 2 국제대회 기록 2.1 FIFA 월드컵 2.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4 하계 올림픽 3 주목할 만한 선수 4 특이 사항 5 각주 개요[편집] 아프리카 축구 돌풍의 시작[편집] 그리고 1990년에 와서 전세계에 카메룬의 존재를 확실히 알렸다. 개막전에서 1:0으로 아르헨티나를 무너뜨린 것을 시작으로, 동구권의 강호였던 루마니아마저 2:1로 이기면서 두 경기만에 16강을 확정지었다. 마지막 경기에서 소련에 0:4로 대패했지만 결과에 관계없이 조 1위로 올라갔다. 그리고 16강에서 발데라마가 버티던 콜롬비아마저 2:1로 누르면서 대회 최고의 화제팀으로 떠올랐다. 8강에서도 잉글랜드를 상대로 맹공을 퍼부으며 오히려 압도적인 경기를 펼쳤지만 페널티킥만 두 번을 내주면서 2:3으로 아쉽게 역전패해 돌풍을 마감했다. 이 돌풍의 핵심에는 로저 밀러가 있었다. AS 모나코, 몽펠리에, 생피에르 등 프랑스 리그앙에서 활약하던 그는 당시 38세라는 나이에도 불구하고 팀을 전두지휘하며 8강까지 올려놓는데 일조했다. 또한 개막전에서 결승골을 뽑은 오맘 비크도 카메룬의 영웅이 되었다. 1990년의 카메룬이 대활약을 하자 아프리카 축구협회에서는 FIFA에 월드컵 티켓을 늘려달라고 요청했고, FIFA은 그것을 수락해 다음 대회에선 3장으로 늘어났다. 여기서 라이벌인 나이지리아가 16강에 오르는 활약을 하면서 1998년부터는 5장으로 늘어나 지금까지 고정되어있다. 말하자면 아프리카 돌풍의 신호탄을 카메룬이 쏜 셈인데, 아이러니하게 이 때 이후 지금까지 월드컵에서 조별리그를 단 한 번도 통과해 본 적이 없다. 돌풍 이후[편집] 1994년에는 스웨덴과 비기고 브라질, 러시아에 지면서 1무 2패로 탈락했다. 소련의 해체로 러시아로 바뀌었을 뿐 마지막 경기에서 만난 것도, 대량 실점패한 것도 같았고 여기선 1:6으로 대패, 특히 한 선수에게 5골 실점이라는 굴욕적인 기록을 남겼다. 1998년에도 칠레, 오스트리아와 비기고 이탈리아에 졌지만 2무 1패로 탈락했다. 경기력은 괜찮다는 평을 받았지만 결국 승리는 없었다. 그나마 다시 부흥한 때는 2000년대 초반이었다. 2000년과 2002년 네이션스컵을 2연패하면서 아프리카 최강자로 다시 군림하기 시작했고,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면서 전세계에 카메룬의 이름을 다시 한 번 알렸다. 2002년 월드컵에선 1승 1무 1패로 탈락했지만 8강 돌풍 이후 지금까지도 유일한 월드컵 승리를 남겼고, 2003년 컨페드컵에서는 마르크비비앙 푀의 안타까운 죽음을 묻고 준우승이라는 성적을 거두었다.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면서 다시 강호의 이미지를 남겼지만 2004, 2006 네이션스컵에서 연속 8강에 그치고 같은 해 독일 월드컵 본선 진출에도 실패하면서 다시 하락세를 맞기 시작했다. 한 때 나이지리아와 더불어 아프리카 최강이던 시절이 있었지만 지금은 다섯 손가락에 꼽기도 힘든 수준이다. 2010년 남아공 월드컵, 2014년 브라질 월드컵에서 최악의 모습으로 6전 전패를 했으며 특히 크로아티아와의 경기에서는 상대 선수를 때려 퇴장당하는가 하면 경기 막판에 자기들끼리 신경전을 벌이는 등 내분으로 인해 0:4로 대패하는 굴욕을 당하기도 했다.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도 연속으로 진출에 실패할 정도로 크게 슬럼프를 겪고 있는 국가 중 하나다. 현재 유명 선수로는 흑표범 사뮈엘 에토가 있다. 2000년대 초반 제 2의 황금기 시절 주역이며, 카메룬이 주춤할 때인 08-09 FC 바르셀로나, 09-10 인테르나치오날레 2연속 트레블을 달성한 카메룬의 전설적인 선수이자 2000년대 이후 아프리카 최고의 스타이다. 그가 클럽에서는 맹활약 할 때 카메룬 대표팀이 침체되어 월드컵이나 네이션스컵 모두 제대로 힘을 못 쓰고 있으며, 설상가상 에투가 국가대표에서 은퇴한 현재는 팀이 내분으로 무너져있어 미래가 밝은 팀은 아니다. 국제대회 기록[편집] FIFA 월드컵[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없음[1] 없음[2] 1966년 기권 기권 1970년 예선 탈락 2[3] 0 1 1 3 4 1 1974년 3[4] 1 0 2 1 3 3 1978년 2[5] 0 1 1 2 4 1 1982년 조별리그 17위 3 0 3 0 1 1 3 8[6] 5 1 2 16 5 16 1986년 예선 탈락 2[7] 0 1 1 2 5 1 1990년 8강 7위 5 3 0 2 7 9 9 8[8] 6 1 1 12 6 19 1994년 조별리그 22위 3 0 1 2 3 11 1 8[9] 5 2 1 14 4 17 1998년 조별리그 25위 3 0 2 1 2 5 2 6[10] 4 2 0 10 4 14 2002년 조별리그 20위 3 1 1 1 2 3 4 10[11] 8 1 1 20 4 25 2006년 예선 탈락 10[12] 6 3 1 18 10 21 2010년 조별리그 31위 3 0 0 3 2 5 0 12[13] 9 2 1 23 4 29 2014년 조별리그 32위 3 0 0 3 1 9 0 8[14] 5 2 1 12 4 17 2018년 예선 탈락 8[15] 2 5 1 10 9 11 합계 7회 진출(7/14[16]) 8강(1회) 23 4 7 12 18 43 19 87 51 22 14 143 66 175 순위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33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47위 (아프리카 4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편집]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기록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57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1959년 1962년 불참 불참 1963년 1965년 1968년 예선 탈락 3 1 0 2 3 6 3 1970년 조별리그 5위 3 2 0 1 7 6 6 4 2 2 0 7 4 8 1972년 4강 3위 5 3 1 1 10 5 10 자동참가(개최국) 1974년 예선 탈락 2 1 0 1 2 3 3 1976년 2 1 0 1 3 4 3 1978년 2 1 0 1 2 4 3 1980년 2 1 0 1 3 3 3 1982년 조별리그 5위 3 0 3 0 1 1 3 4 2 1 1 12 5 7 1984년 우승 1위 5 3 1 1 9 3 10 4 2 0 2 9 5 6 1986년 준우승 2위 5 3 2 0 8 5 11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1988년 우승 1위 5 3 2 0 4 1 11 4 2 0 2 8 5 6 1990년 조별리그 5위 3 1 0 2 2 3 3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1992년 4강 4위 5 2 2 1 4 3 8 6 3 3 0 5 1 12 1994년 예선 탈락[17] 6 3 3 0 7 0 12 1996년 조별리그 9위 3 1 1 1 5 7 4 6 3 1 2 7 7 10 1998년 8강 8위 4 2 1 1 5 4 7 6 2 4 0 8 3 10 2000년 우승 1위 6 3 2 1 11 5 11 4 3 1 0 8 1 10 2002년 우승 1위 6 5 1 0 9 0 16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2004년 8강 6위 4 1 2 1 7 6 5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2006년 8강 5위 4 3 1 0 8 2 10 10 6 3 1 18 10 21 2008년 준우승 2위 6 4 0 2 14 8 12 6 5 0 1 13 4 15 2010년 8강 8위 4 1 1 2 6 8 4 12 9 2 1 23 4 29 2012년 예선 탈락 6 3 2 1 12 5 11 2013년 4 3 0 1 4 3 9 2015년 조별리그 13위 3 0 2 1 2 3 2 6 4 2 0 9 1 14 2017년 우승 1위 6 3 3 0 7 3 12 6 4 2 0 7 2 14 2019년 16강 13위 4 1 2 1 4 3 5 6 3 2 1 6 3 11 합계 19회 진출(19/30[18]) 우승(5회) 84 41 27 16 123 76 150 111 64 28 19 176 83 223 순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 4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92년 진출 실패 1995년 1997년 1999년 2001년 조별리그 6위 3 1 0 2 2 4 3 2003년[19] 준우승 2위 5 3 1 1 3 1 10 2005년 진출 실패 2009년 2013년 2017년 조별리그 7위 3 0 1 2 2 6 1 합계 3회 진출(3/10) 준우승(1회) 11 4 2 5 7 11 14 순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대 순위: 11위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64년 진출 실패 1968년 1972년 1976년 불참 1980년 진출 실패 1984년 조별리그 11위 3 1 0 2 3 5 3 1988년 진출 실패 1992년[20] 1996년[21] 2000년[22] 금메달 우승 6 3 3 0 11 8 12 2004년[23] 진출 실패 2008년[24] 8강 8위 4 1 2 1 2 3 5 2012년[25] 진출 실패 2016년[26] 합계 3회 진출(3/14[27]) 금메달(1회) 13 5 5 3 16 16 20 주목할 만한 선수[편집] 로제 밀라(1978-1994) 프랑수아 오맘비크(1986-1998) 토마 은코노(1976-1994) 이드리스 카를로스 카메니(2001- ) 티모테 에투바(1999- 현재) 세바스티앵 바송(2009- 현재) 제레미 은지타프(1996-2010) 리고베르 송(1994-2010) 사뮈엘 에토(1997-2014) 장 마쿤(2003- 현재) 모데스트 음바미(2005- 현재) 스테판 음비아(2005- ) 알렉상드르 송(2008- ) 특이 사항[편집]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은 2000년대에 들어서 특이한 유니폼을 착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민소매 유니폼을 착용하여 우승을 차지하였다. 이후에 열린 2002년 FIFA 월드컵에서도 착용하려고 하였으나, 국제축구연맹에서 규정 위반이라는 이유로 반대하였으며, 본 대회에서는 소매가 있는 셔츠를 받쳐입고 참가하였다.[28] 이후, 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는 원피스형 유니폼을 착용하였으나, 이 또한 국제축구연맹이 반대를 하였고 심지어는 월드컵 예선 승점 삭감 및 벌금 부과까지 검토하기도 하였다.[29] 각주[편집] ↑ 카메룬 축구협회 창립 이전 ↑ 카메룬 축구협회 창립 이전 ↑ 1차예선에서 나이지리아에게 1무 1패(원정 1:1, 홈 2:3)으로 패하면서 2차예선 진출이 좌절되었다. ↑ 1차예선에서 가봉의 기권으로 2차예선 자동 진출, 자이르와 맞붙어 1승 1패(홈 0:1, 원정 1:0)로 비기면서 재경기를 치룬 끝에 0:2 패, 최종예선 진출에 실패했고 반대로 자이르는 본선까지 올라갔다. ↑ 1차예선에서 콩고인민공화국과 1무 1패(원정 2:2, 홈 0:2)를 기록하며 2차예선 진출이 좌절되었다. 콩고인민공화국과의 홈 경기에서 1:2로 끌려가자 82분경 카메룬 관중들이 난동을 일으켰고 결국 FIFA에서 0:2 몰수패 처리했다. ↑ 1차예선에서 말라위에 1승 1무(홈 3:0, 원정 1:1)로 앞서 2차예선에 진출, 짐바브웨를 만나 1승 1패(홈 2:0, 원정 0:1)로 골득실에 앞서 3차예선에 진출, 자이르와 1승 1패(원정 0:1, 홈 6:1) 골득실에 앞서 최종라운드까지 올라가, 모로코를 2승(원정 2:0, 홈 2:1)로 누르고 사상 첫 월드컵 진출에 성공했다. ↑ 이 대회에서는 2차예선부터 참여했다. 2차예선에서 잠비아에 1무 1패(원정 1:4, 홈 1:1)로 밀려 3차예선 진출에 실패했다. ↑ 이 대회에서도 2차예선부터 참여했다. 2차예선 C조(나이지리아, 앙골라, 가봉)에서 4승 1무 1패 조 1위로 최종라운드에 진출해, 튀니지를 2승(홈 2:0, 원정 1:0)으로 누르고 본선에 진출했다. ↑ 1차예선 B조(스와질랜드, 자이르, 기권 - 라이베리아)에서 2승 2무 조 1위로 최종예선에 진출, C조(짐바브웨, 기니)에서 3승 1패로 또다시 조 1위를 차지하며 2연속 본선진출에 성공했다. ↑ 1차예선 없이 곧바로 최종예선부터 참여했다. 최종예선 4조(앙골라, 짐바브웨, 토고)에서 4승 2무 조 1위를 차지하며 3연속 본선진출에 성공했다. ↑ 1차예선 D그룹에서 소말리아에 2승(합계 6:0, 두 경기 모두 카메룬 홈에서 열림)을 거두고 최종예선 진출, A조(앙골라, 잠비아, 토고, 리비아)에서 6승 1무 1패 조 1위를 차지하며 4연속 본선진출에 성공했다. 2018년 대회 기준으로도 아프리카 대륙에서 4연속 본선에 진출한 국가는 카메룬이 유일하다. ↑ 1차예선 없이 곧바로 최종예선부터 참여했다. 최종예선 3조(코트디부아르, 이집트, 리비아, 수단, 베냉)에서 6승 3무 1패로 코트디부아르에 승점 1점이 밀려 본선 진출에 실패 드록바의 코트디부아르,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팀 이집트와 한 팀이 되어 이 중 하나만 올라가는 죽음의 조였으며, 마지막 라운드를 앞두고 조 1위에 랭크되어 있어 홈 경기에서 이집트만 잡으면 본선진출이 확정되는 상황이었고 실제로 1:0으로 앞서갔지만, 후반 막판 동점골을 내주고 종료 직전 PK를 날려버린데다 코트디부아르가 수단을 3:1로 잡아 순위가 역전당해 4연속 진출에서 멈추게 되었다. ↑ 1차예선 없이 2차부터 참여했다. 2차예선 1조(카보베르데, 탄자니아, 모리셔스)에서 5승 1무 조 1위로 최종예선에 진출, A조(가봉, 토고, 모로코)에서 4승 1무 1패 최종 1위를 하여 8년만의 본선에 진출했다. ↑ 1차예선 없이 2차부터 참여했다. 2차예선 I조(리비아, 콩고민주공화국, 토고)에서 4승 1무 1패를 기록하며 1위를 했지만 2차예선이 10개조로 이루어져 있어 플레이오프를 거쳐야 했다. 플레이오프에서 튀니지와 만나 1승 1무(원정 0:0, 홈 4:1)로 앞서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 2차예선부터 참여해 니제르를 1승 1무(3:0)로 잡고 최종예선에 진출하였다. 최종예선 B조(나이지리아, 알제리, 잠비아)에 편성되었는데, 이 조는 잠비아를 제외한 세 나라가 전 대회에서 본선에 모두 진출했었고, 그리고 16강에 진출했던 나라가 둘이나 끼어 있는 죽음의 조였다. 초반 네 경기 연속으로 한 번도 승리하지 못하는 와중에 나이지리아가 연승행진을 달리는 바람에 두 경기를 남겨두고 일찌감치 본선 진출이 좌절되었고, 5차전에 와서야 홈에서 알제리를 2:0으로 잡는 등 극심한 부진을 보이고 있다. ↑ 본선 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 단 한 경기도 지지 않고 심지어 무실점을 했는데 본선에 가지 못했다. ↑ 본선 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 콜롬비아와의 4강전 도중 마르크비비앙 푀가 사망했으며, 이를 계기로 컨페드컵 개최 주기가 월드컵 개최 전후 2년에서 월드컵 개최전 4년으로 조정되었다.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본선 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 민소매-반소매 절충 카메룬 ‘튀는’ 유니폼 ↑ FIFA "원피스 유니폼 카메룬 축구팀 징계 풀어" vdeh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국가코파 아메리카 | AFC 아시안컵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CONCACAF 골드컵 | OFC 네이션스컵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1957: 이집트 1959: 아랍 연합 공화국 1962: 에티오피아 1963: 가나 1965: 가나 1968: 콩고 킨샤사 1970: 수단 1972: 콩고 공화국 1974: 자이르 1976: 모로코 1978: 가나 1980: 나이지리아 1982: 가나 1984: 카메룬 1986: 이집트 1988: 카메룬 1990: 알제리 1992: 코트디부아르 1994: 나이지리아 1996: 남아프리카 공화국 1998: 이집트 2000: 카메룬 2002: 카메룬 2004: 튀니지 2006: 이집트 2008: 이집트 2010: 이집트 2012: 잠비아 2013: 나이지리아 2015: 코트디부아르 2017: 카메룬 2019:  ? vdeh올림픽 축구 남자 우승 국가 1896: 없음 (축구 종목 미실시) 1900: 영국 1904: 캐나다 1908: 영국 1912: 영국 1916: 없음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1920: 벨기에 1924: 우루과이 1928: 우루과이 1932: 없음 (축구 종목 제외) 1936: 이탈리아 1940: 없음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1944: 없음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1948: 스웨덴 1952: 헝가리 1956: 소련 1960: 유고슬라비아 1964: 헝가리 1968: 헝가리 1972: 폴란드 1976: 동독 1980: 체코슬로바키아 1984: 프랑스 1988: 소련 1992: 스페인 1996: 나이지리아 2000: 카메룬 2004: 아르헨티나 2008: 아르헨티나 2012: 멕시코 2016: 브라질 vdeh국제 축구 FIFA FIFA 월드컵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올림픽 FIFA U-20 월드컵 FIFA U-17 월드컵 청소년 올림픽 FIFA 클럽 월드컵 FIFA 풋살 월드컵 FIFA 비치사커 월드컵 FIFA e월드컵 유니버시아드 풋볼 어워드 남자 대표팀 목록 FIFA 코드 FIFA 랭킹 남미 CONMEBOL – 코파 아메리카 U-20 U-17 U-15 북중미카리브 CONCACAF – CONCACAF 골드컵 CONCACAF 네이션스리그 U-20 U-17 U-15 지역별 UNCAF 아시아 AFC – AFC 아시안컵 U-23 U-19 U-16 U-14 지역별 AFF CAFA EAFF SAFF WAFF 아프리카 CAF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오세아니아 OFC – OFC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유럽 UEFA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네이션스리그 U-21 U-19 U-17 FIFA 비회원국 NF-보드 – VIVA 월드컵 CONIFA – CONIFA 축구 선수권 대회 IGA – 아일랜드 게임 종합 대회 아시안 게임 올아프리카 게임 팬아메리칸 게임 동아시아 경기 대회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남아시아 경기 대회 지중해 경기 대회 카리브 게임 퍼시픽 게임 유러피언 게임 인도해 아일랜드 게임 팬아랍 게임 프랑코포니 경기 대회 루소포니아 경기 대회 vdehCAF 소속 축구 국가대표팀북아프리카 (UNAF) CAF Zone 1 리비아 모로코 알제리 이집트 튀니지 서아프리카 (WAFU)A 구역 (CAF Zone 2) 감비아 기니 기니비사우 라이베리아 말리 모리타니 세네갈 시에라리온 카보베르데 B 구역 (CAF Zone 3) 가나 나이지리아 니제르 베냉 부르키나파소 코트디부아르 토고 중앙아프리카 (UNIFFAC) CAF Zone 4 가봉 상투메 프린시페 적도 기니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카메룬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동아프리카 (CECAFA) CAF Zone 5 남수단 르완다 부룬디 소말리아 수단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우간다 지부티 케냐 탄자니아 남아프리카 (COSAFA) CAF Zone 6 나미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레소토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모리셔스 모잠비크 보츠와나 세이셸 앙골라 에스와티니 잠비아 짐바브웨 코모로 기타 레위니옹† 잔지바르†1 † CAF 준회원이며, FIFA 회원국은 아님. / 1: CECAFA의 회원국이기도 함. 남미 북중미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FIFA 월드컵 참가국vdeh1982년 FIFA 월드컵 참가국남아메리카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페루 북아메리카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아시아·오세아니아 쿠웨이트 뉴질랜드 아프리카 알제리 카메룬 유럽 벨기에 북아일랜드 서독 소련 스코틀랜드 스페인 오스트리아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잉글랜드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프랑스 헝가리 vdeh1990년 FIFA 월드컵 참가국남아메리카 브라질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북아메리카 미국 코스타리카 아시아 대한민국 아랍에미리트 아프리카 이집트 카메룬 유럽 네덜란드 루마니아 벨기에 서독 소련 스웨덴 스코틀랜드 스페인 아일랜드 오스트리아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잉글랜드 체코슬로바키아 vdeh1994년 FIFA 월드컵 참가국남아메리카 브라질 볼리비아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북아메리카 멕시코 미국 아시아 대한민국 사우디아라비아 아프리카 나이지리아 모로코 카메룬 유럽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독일 러시아 루마니아 벨기에 불가리아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아일랜드 이탈리아 vdeh1998년 FIFA 월드컵 참가국남아메리카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콜롬비아 파라과이 북아메리카 멕시코 미국 자메이카 아시아 대한민국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일본 아프리카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모로코 카메룬 튀니지 유럽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루마니아 벨기에 불가리아 스코틀랜드 스페인 오스트리아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잉글랜드 크로아티아 프랑스 vdeh2002년 FIFA 월드컵 참가국남아메리카 브라질 아르헨티나 에콰도르 우루과이 파라과이 북아메리카 멕시코 미국 코스타리카 아시아 대한민국 사우디아라비아 일본 중국 아프리카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세네갈 카메룬 튀니지 유럽 덴마크 독일 러시아 벨기에 스웨덴 스페인 슬로베니아 아일랜드 이탈리아 잉글랜드 크로아티아 터키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vdeh2010년 FIFA 월드컵 참가국남아메리카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칠레 파라과이 북아메리카 멕시코 미국 온두라스 아시아 대한민국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아프리카 가나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알제리 카메룬 코트디부아르 오세아니아 뉴질랜드 유럽 그리스 네덜란드 덴마크 독일 세르비아 스위스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페인 이탈리아 잉글랜드 포르투갈 프랑스 vdeh2014년 FIFA 월드컵 참가국남아메리카 브라질 아르헨티나 에콰도르 우루과이 칠레 콜롬비아 북아메리카 멕시코 미국 온두라스 코스타리카 아시아 대한민국 오스트레일리아 이란 일본 아프리카 가나 나이지리아 알제리 카메룬 코트디부아르 유럽 그리스 네덜란드 독일 러시아 벨기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스위스 스페인 이탈리아 잉글랜드 크로아티아 포르투갈 프랑스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참가국vdeh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참가국 대한민국 멕시코 브라질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카메룬 캐나다 프랑스 vdeh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참가국 뉴질랜드 미국 브라질 일본 카메룬 콜롬비아 터키 프랑스 vdeh201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참가국 뉴질랜드 독일 러시아 멕시코 오스트레일리아 칠레 카메룬 포르투갈 vdeh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 1982년 FIFA 월드컵 1 은코노 2 카앙 3 에노카 4 은제야 5 오나나 6 퀸데 7 음봉 8 음비다 9 밀라 10 토코토 11 투베 12 벨 13 바오캉 14 아베가 15 은둥베 16 아우두 17 캉가 18 응가 19 에낭가 20 에요보 21 에봉게 22 초방 감독: 뱅상 vdeh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 1990년 FIFA 월드컵 1 벨 2 카나비크 3 오나나 4 마싱 5 에블레 6 퀸데 7 오맘비크 8 음부 9 밀라 10 음페데 11 에케케 12 욤비 13 파갈 14 타타우 15 리비 16 은코노 17 은디프 18 종케프 19 푀틈바 20 마카나키 21 마보앙 22 송고 감독: 네폼냐시 vdeh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 1994년 FIFA 월드컵 1 벨 2 카나비크 3 송 4 에켐 5 은디프 6 리비 7 오맘비크 8 음부 9 밀라 10 음페데 11 마보앙 12 로가 13 칼라 14 타타우 15 아그보 16 차미 17 푀 18 피알라 19 엠베 20 무예메 21 은코노 22 송고 감독: 미셸 vdeh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 1998년 FIFA 월드컵 1 송고 2 엘란가 3 우메 4 송 5 칼라 6 은장카 7 오맘-비이크 8 앙지보 9 읏차미 10 음보마 11 에토 12 로랑 13 아반다 14 시모 15 은도 16 윌리엄 17 펜세 18 이푸아 19 마호베 20 올랑베 21 좁 22 알리움 감독: 르 루아 vdeh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 2002년 FIFA 월드컵 1 알리움 2 차토 3 워메 4 송 5 칼라 6 은장카 7 은도 8 제레미 9 에토 10 음보마 11 은디에피 12 로렌 13 메토모 14 에팔레 15 알누지 16 송고 17 푀 18 수포 19 젬바젬바 20 올렘베 21 조브 22 카메니 23 은곰 코메 감독: 셰퍼 vdeh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 2008년 하계 올림픽 1 팅옙 2 바닝 3 공시 4 비케이 5 송 6 음비아 7 음부아 8 만젝 9 송고 10 베카멩가 11 베베 12 베베이 13 은쿨루 14 체주 15 은갈 16 마예비 17 올레 올레 18 에낭 감독: 은퉁구 vdeh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 2010년 FIFA 월드컵 1 카메니 2 아수에코토 3 은쿨루 4 R. 송 5 바송 6 A. 송 7 눈게모 8 제레미 9 에토 (주장) 10 에마나 11 마쿤 12 봉 13 추포모팅 14 체주 15 웨보 16 술레마누 17 이드리수 18 에용 19 음비아 20 만제크 21 마티프 22 아셈베 23 아부바카르 감독: 르구엔 vdeh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 2014년 FIFA 월드컵 1 로익 페주 2 아수-에코토 3 은쿨루 4 죄구에 5 눈쿠 6 송 7 눈게모 8 무칸조 9 에토 (주장) 10 아부바카르 11 마쿤 12 베디모 13 슈포-모탱 14 체주 15 웨보 16 이탕주 17 음비아 18 에노 19 올링가 20 살리 21 마티프 22 니옹 23 은조크 감독: 핑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카메룬_축구_국가대표팀&oldid=24546988" 분류: 카메룬의 축구카메룬의 국가대표팀축구 국가대표팀아프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atinaLietuviųLatviešuमराठीBahasa MelayuNapulitanoनेपाली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吴语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9일 (화) 07: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어: Équipe du Cameroun de football)은 카메룬을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카메룬 축구 협회에서 관리·운영한다. '불굴의 사자'라는 별칭으로 알려져 있는 아프리카의 축구 강호 중 하나로 1956년 9월 콩고 민주 공화국을 상대로 국제 A매치 첫 경기를 치렀으며 현재 스타드 아마두 아히조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은 어떤 메달을 받았을까? Assistant: 금메달
Human: 아래 가족오락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가족오락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가족오락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가족 오락관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가족오락관 장르 예능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KBS 2TV → KBS 1TV 방송 기간 1983년 (파일럿) 1984년 4월 3일 ~ 2009년 4월 18일 방송 시간 본문 방송 시간 참조 방송 분량 본문 방송 분량 참조 방송 횟수 1237부작 추가 채널 KBS위성 2TV[1]KBS위성 1TV[2] 책임프로듀서 박정미[3] 제작사 DSP 미디어[4] 연출 한동규[5] 극본 오경석, 박미경, 김여진, 최미림[6] 출연자 본문 진행자 참조 여는 곡 Drop Out Orchestra - Get Up, DJ DOC - 머피의 법칙, 클론 - 쿵따리 샤바라, 터보 - Twist King, Bellini - Samba De Janeiro, Dr. Bombay - My Sitar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가족오락관 홈페이지 비고: 여는 곡이 각각 쓰인 기간은 아래 본문 역대 여는 곡 참조. 《가족오락관》(家族娛樂館)은 KBS 1TV에서 방송됐던 연예오락 프로그램이다. 1984년 4월 3일부터 2009년 4월 18일까지 방영됐으며, MBC 《유쾌한 스튜디오》와는 양대산맥을 이루었다. 목차 1 역사 2 역대 방송시간 3 역대 진행자 4 역대 게스트 5 역대 여는 곡 6 결방 사유 6.1 1990년 6.2 1998년 6.3 1999년 6.4 2000년 6.5 2001년 6.6 2002년 6.7 2003년 6.8 2004년 6.9 2005년 6.10 2006년 6.11 2007년 6.12 2008년 6.13 2009년 7 각주 8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84년 4월 3일부터 2000년 10월 5일까지는 KBS 2TV에서 방송됐으며, 2000년 봄 개편에 따라 일일시트콤과 2TV 일일드라마가 부활되면서[7] 2000년 5월 4일부터 수요일 밤 8시 55분에서 목요일 저녁 7시 5분으로 시간대를 바꿔 방송되었으나, SBS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일이》의 아성을 넘지 못하자 2000년 10월 14일부터 KBS 1TV로 채널을 이관해 2009년 4월 18일까지 방영하였다. 한때 35% 전후의 시청률을 기록하기도 했으며, 1990년대 후반에는 KBS의 9시 뉴스와 맞물리는 시간대에 편성되었음에도 15~17%의 시청률을 기록했다. 2000년 가을부터 토요일 저녁 편성으로 바뀌었음에도 10% 이상의 시청률을 꾸준히 유지했다. 그러나 2000년대 중반부터 중장년층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변모하면서 변화하는 방송 트렌드를 따라잡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으며,[8] 10대와 20대 등 젊은 층의 관심을 빼앗기게 되었다. 지금까지의 가족오락관의 이름에서 알 수 있는 '가족'이 함께 모여 볼 수 있는 예능이라는 본 취지와 달리 시청 세대가 분열하게 되면서, 무한도전이나 일요일이 좋다 등의 프로그램 등에 젊은 시청자 층을 내주면서 중장년층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굳어지게 되었고, 심지어 인터뷰에서까지 '중장년층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변모되어 인식되었다. 결국 시청률도 6~7%까지 떨어졌다. 그렇게 6~7%의 시청률을 유지해오던 가족오락관에 2009년 봄에 석연치 않은 일이 생겼다. 분명히 2009년 2월 28일 방송분 말미에도 "다음 주 토요일 저녁 7시 10분"이라고 자막을 내보냈으나 한 주 결방한 이후 시청자들에게 제대로 알리지도 않은 채 2009년 3월 14일부터 오후 5시 10분에 방송한 것이다. 방송 시작 시간을 가족이 볼 수 없는 시간으로 갑자기 바꾸었기 때문에 시청률도 3.6%까지 급격히 떨어졌다. 또한 폐지 2개월 전에 PD를 바꾸었던 것도 이 프로그램이 석연치 않게 폐지가 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9] 역대 방송시간[편집]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방송 분량 KBS 2TV 1984년 4월 3일 ~ 1985년 2월 19일 매주 화요일 저녁 7:00 ~ 밤 8:20 1시간 20분 1985년 2월 26일 ~ 1985년 4월 16일 매주 화요일 저녁 7:20 ~ 밤 8:40 1985년 4월 23일 ~ 1985년 7월 2일 매주 화요일 저녁 7:20 ~ 밤 8:30 1시간 10분 1985년 7월 9일 ~ 1985년 10월 29일 매주 화요일 저녁 7:10 ~ 밤 8:30 1시간 20분 1985년 11월 5일 ~ 1986년 5월 20일 매주 화요일 저녁 7:35 ~ 밤 8:25 50분 1986년 5월 27일 ~ 1987년 11월 10일 매주 화요일 밤 8:00 ~ 밤 8:50 1987년 11월 17일 ~ 1990년 10월 23일 매주 화요일 저녁 7:05 ~ 저녁 7:55 1990년 10월 30일 ~ 1991년 5월 14일 매주 화요일 저녁 7:10 ~ 밤 8:00 1991년 5월 21일 ~ 1992년 4월 7일 매주 화요일 밤 8:05 ~ 밤 8:55 1992년 4월 12일 ~ 1992년 10월 4일 매주 일요일 밤 8:55 ~ 밤 9:50 55분 1992년 10월 9일 ~ 1994년 2월 18일 매주 금요일 밤 8:00 ~ 밤 8:55 1994년 2월 25일 ~ 1994년 10월 7일 매주 금요일 밤 8:35 ~ 밤 9:20 45분 1994년 10월 14일 ~ 1995년 2월 17일 매주 금요일 밤 8:30 ~ 밤 9:20 50분 1995년 2월 23일 ~ 1995년 8월 31일 매주 목요일 밤 8:30 ~ 밤 9:20 1995년 9월 6일 ~ 1996년 5월 8일 매주 수요일 밤 8:30 ~ 밤 9:20 1996년 5월 15일 ~ 1997년 2월 26일 매주 수요일 밤 8:25 ~ 밤 9:15 1997년 3월 5일 ~ 1997년 10월 15일 매주 수요일 밤 8:35 ~ 밤 9:25 1997년 10월 22일 ~ 1997년 11월 19일 매주 수요일 밤 8:20 ~ 밤 9:15 55분 1997년 11월 26일 ~ 1998년 2월 11일 매주 수요일 밤 8:50 ~ 밤 9:45 1998년 2월 18일 ~ 1998년 6월 10일 매주 수요일 밤 8:45 ~ 밤 9:40 1998년 6월 17일 ~ 1998년 10월 7일 매주 수요일 밤 8:40 ~ 밤 9:30 50분 1998년 10월 14일 ~ 1999년 4월 28일 매주 수요일 밤 8:50 ~ 밤 9:45 55분 1999년 5월 5일 ~ 1999년 10월 13일 매주 수요일 밤 8:50 ~ 밤 9:50 1시간 1999년 10월 20일 ~ 2000년 4월 26일 매주 수요일 밤 8:55 ~ 밤 9:55 2000년 5월 4일 ~ 2000년 10월 5일 매주 목요일 저녁 7:00 ~ 밤 8:00 KBS 1TV 2000년 10월 14일 ~ 2008년 11월 15일 매주 토요일 저녁 6:00 ~ 저녁 7:00 2008년 11월 22일 ~ 2009년 2월 28일 매주 토요일 저녁 7:10 ~ 밤 8:10 2009년 3월 14일 ~ 2009년 4월 18일 매주 토요일 오후 5:10 ~ 저녁 6:10 역대 진행자[편집] ※ 《가족오락관》은 남녀 각각 1명씩으로 2명이 진행했다. 남성 진행자는 허참이 첫회부터 최종회까지 고정으로 맡았으며, 허참과 함께 한 역대 여성 진행자는 21명이다. 1대 오유경 1984년 4월 3일 ~ 1985년 1월 22일 2대 정소녀 1985년 1월 29일 ~ 1987년 11월 일자 미상 3대 장혜영 1987년 11월 ~ 일자 미상 4대 김자영 일자 미상 ~ 1990년 10월 1일 5대 김경희 일자 미상 6대 최영미 일자 미상 7대 김혜영 1991년 10월 8일 ~ 1992년 10월 4일 8대 전혜진 1992년 10월 5일 ~ 1994년 10월 7일 9대 이유리 1994년 10월 14일 ~ 1995년 일자 미상 10대 장서희 1995년 일자 미상 ~ 1995년 8월 30일 11대 오현정 1995년 9월 6일 ~ 1996년 일자 미상 12대 오영실 1996년 일자 미상 ~ 1997년 일자 미상 13대 손미나 1997년 6월 4일 ~ 2001년 11월 3일 14대 변우영 2001년 11월 17일 ~ 2002년 3월 30일 15대 윤지영 2002년 4월 6일 ~ 2003년 6월 21일 16대 박주아 2003년 6월 28일 ~ 2005년 10월 22일 17대 박사임 2005년 11월 5일 ~ 2006년 3월 11일 18대 이정민 2006년 3월 18일 ~ 2006년 11월 18일 19대 김새롬 2006년 11월 25일 ~ 2007년 11월 3일 20대 김보민 2007년 11월 10일 ~ 2008년 3월 29일 21대 이선영 2008년 4월 5일 ~ 2009년 4월 18일 역대 게스트[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가족오락관의 에피소드 목록입니다. 역대 여는 곡[편집] 1994년 ~ 1995년 상반기 : Drop Out Orchestra - Get Up 1995년 상반기 ~ 1996년 상반기 : DJ DOC - 머피의 법칙 1996년 상반기 ~ 1996년 하반기 : 클론 - 쿵따리 샤바라 1996년 하반기 ~ 1997년 : 터보 - Twist King 1998년 ~ 1999년 상반기 : Bellini - Samba De Janeiro 1999년 하반기 ~ 2009년 : Dr. Bombay - My Sitar 결방 사유[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1990년[편집] 4월 24일, 5월 1일, 8일, 15일 - KBS 사태 1998년[편집] 12월 16일 - 아시안 게임 야구 결승전 1999년[편집] 12월 29일 2000년[편집] 9월 28일 2001년[편집] 6월 9일 10월 6일 11월 10일 12월 1일 2002년[편집] 2월 9일 - 퀴즈탐험 신비의 세계 800회 특집 6월 1일, 8일, 22일, 29일 - 2002년 월드컵 생중계 8월 24일 10월 5일, 12일 - 2002 부산 아시안 게임 생중계 10월 26일 2003년[편집] 2월 22일 - 대구 지하철 참사 추모 방송 4월 5일 5월 17일 9월 13일 - 태풍 피해 특보 2004년[편집] 3월 13일 -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 7월 17일 8월 14일 2005년[편집] 10월 1일 10월 29일 - 특집방송 '가치 대발견 보물 찾기' 편성 11월 19일 2006년[편집] 1월 28일 4월 8일 5월 20일 8월 5일 2007년[편집] 3월 3일 12월 22일 2008년[편집] 8월 9일 - 2008 하계 올림픽 생중계 2009년[편집] 3월 7일 4월 11일 각주[편집] ↑ 방영 기간은 1996년 7월 1일부터 2000년 10월 5일까지이다. ↑ 방영 기간은 2000년 10월 14일부터 2002년 2월 27일까지이다. ↑ 최종 책임프로듀서이다. 역대 책임프로듀서는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확실하게 확인할 수 없다. ↑ 최종 제작사이다. 역대 제작사는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확실하게 확인할 수 없다. ↑ 최종 연출자이다. 역대 연출진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확실하게 확인할 수 없다. ↑ 최종 작가진이다. 역대 작가진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확실하게 확인할 수 없다. ↑ 정희정 (2000년 4월 26일). “KBS봄철개편-일일시트콤·사극 전면대치”. 문화일보. 2019년 3월 21일에 확인함.  ↑ 우리 그냥 사랑하게 해주세요[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공종식 (2010년 3월 15일). “[Interview] ‘가족오락관’ 26년 MC ‘대한민국 오락부장’ 허참”. 신동아.  외부 링크[편집] 가족오락관 - 공식 웹사이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가족오락관&oldid=24535316" 분류: 가족오락관한국방송공사의 연예오락 프로그램DSP 미디어 제작198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199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200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7월 6일 (토) 22: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가족오락관》(家族娛樂館)은 1984년 4월 3일부터 2009년 4월 18일까지 KBS 2TV, KBS 1TV에서 방송된 예능 프로그램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가족오락관이 첫 방송을 한 건 언제야? Assistant: 1984년 4월 3일 Human: 아래 무선_통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무선 통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무선 통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무선 통신 무선 통신(無線通信, 영어: wireless communication)은 둘 또는 그 이상의 지점 사이에 전기 전도체의 연결 없이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목차 1 개요 2 역사 3 주파수(Frequency) 4 대역폭(Bandwidth) 5 주파수 대역에 따른 특성 6 무선 이동통신의 세대별 특징 7 통신사별 주파수 영역의 특징 8 전파 통신 8.1 원리 8.2 종류 9 광무선통신 10 같이 보기 11 외부 링크 개요[편집] 무선통신이란 전자기파를 이용한 통신 방법과 사람의 가청주파수를 넘는(들을 수 없는) 초음파 영역을 이용한 통신 방법으로, 일반 신호(사람 목소리 등)를 고주파와 합성하여 전파를 통해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이렇게 받은 고주파 신호를 처리하여 다시 원래의 신호로 바꾸는 방법을 말한다. 넓은 의미의 무선 통신은 적외선을 이용하는 텔레비전 리모콘과 같이 수 미터 이내에서 작동하는 것에서부터 위성 통신과 같이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이루어지는 것까지 다양하다. 전파(공간파)를 이용하는 "Radio Communication"은 일반적으로 "무선통신"이라 불리지만 그 외에 적외선, 가시광선 등 (레이저, LED 등)을 이용한 광무선통신, 음파 또는 초음파를 이용한 음향통신도 광의의 무선통신(와이어리스)에 속한다. 역사[편집] 아메리카 원주민의 연기 신호, 조선시대의 봉화와 같은 고전 통신 방식도 무선 통신이라 할 수 있겠으나 전신, 전화와 같은 유선 통신에 대비되는 개념으로서의 무선 통신은 모스 부호를 이용한 무선 전신이 시초이다. 이후 라디오와 같은 무선 기술의 발달로 무전기가 사용되었으며 20세기 중반까지 일반인의 무선 통신은 아마추어 무선 통신인 HAM이 대표적이었다. 20세기 후반에 등장한 이동통신의 보급으로 무선 통신 이용자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의 출현으로 음성이나 인쇄전신부호 등의 간단한 정보의 전달을 뛰어넘어 영상 및 데이터의 전송을 실현하게 되었다. 주파수(Frequency)[편집] 먼저 주파수의 사전적 의미를 알아보면‘진동운동에서 물체가 일정한 왕복운동을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보일 때 단위시간당 이러한 반복운동이 일어난 횟수를 진동수(주파수)라고 한다.’라고 되어있다. 말이 굉장히 어려운 것 같아서 쉽게 풀어보면‘1초에 몇 번 떨리는 지를 나타낸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단위는 헤르츠(Hz)를 사용한다. 사람이 말을 하면 성대를 통해 입 밖으로 울림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울림이 공기를 매질로 하여 상대방의 고막에 전달이 된다. 상대방은 이 소리의 떨림을 귀로 감지하고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사람이 낼 수 있는 소리의 주파수는 최저 87Hz(1초에 진동이 87번 일어남)에서 최고 1,200Hz이며,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파의 주파수(가청주파수: Audio Frequency)는 15~20,000Hz 이다. 대역폭(Bandwidth)[편집] 각각의 초음파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무선기기들이 혼선 없이 자신의 무선 신호를 찾아내려면 다른 신호와 겹치지 않는 자신의 주파수 영역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대역폭이라고 한다. 주파수는 엉뚱한 주파수를 잘못 사용할 경우 범죄나 사고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정부에서 용도에 따른 주파수 분배를 하고 있다.(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전파진흥원) 주파수 대역에 따른 특성[편집] 주파수의 대역에 따라 신호가 갖게 되는 특성이 다르다. 주파수는 파장과 반비례하는데 낮은 주파수 대역은 속도가 떨어지는 대신 파장이 길기 때문에 장애물을 만나더라도 자연스럽게 굴곡되어 먼 거리까지 전파가 가능하고, 주파수가 높을 경우 대량의 데이터 전송을 빠르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직진성이 증가해 장애물을 만나면 반사되어 수신 거리가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낮은 주파수는 원거리까지 도달하는 것이 중요한 항공/선박 항로 안내용으로 쓰이고, 이동통신 및 무선 랜 등은 300MHz~30GHz 대역에 들어가는 전파를 사용하고 있다. 무선 이동통신의 세대별 특징[편집] 1세대 이동통신(1G: 아날로그): 1세대 통신은 아날로그 통신으로 음성신호를 디지털 변환 없이 아날로그로 전송한다. 음성 용량이 크고 전송속도의 한계가 있어 이용자가 많아질 경우 주파수 부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이미 7, 80년대에 예견된 일이었다. 2세대 이동통신(2G: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세대 통신기술은 디지털 통신으로 음성신호를 0과 1인 디지털 신호로 압축하여 보내기 때문에 용량이 작고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쓸 수 있게 해주며 전송속도가 Kbps 단위까지 빨라졌기 때문에 문자와 텍스트 수준의 인터넷이 가능하게 되었다. 3세대 이동통신(3G: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HSDPA)): 2007년 한국에서 WCDMA망이 상용화 되었다. WCDMA HSDPA는 이론상 14.2Mbps까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초고속 무선망이고 빨라진 데이터통신속도 덕분에 영상통화가 가능하고 멀티미디어 수준의 인터넷 역시 가능해졌다. 또한 유심칩을 탑재하여 금융서비스가 가능해졌다. 4세대 이동통신(4G)은 2G와 3G 계열의 뒤를 잇는 무선 이동 통신 표준의 네번째 세대를 의미한다. 4G 시스템은 초광대역(100+ MiB/s와 같은 기가비트 속도) 인터넷 접속, IP 전화, 게임 서비스 및 스트리밍 멀티미디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 포괄적이고 안정된 all-IP 기반의 솔루션이다. 모바일 와이맥스와 3G LTE(Long Term Evolution)의 초기 버전과 같은 4G 이전 기술들은 각각 2006년과 2009년에 상용화되었고 흔히 4G와 혼동된다. 이러한 기술들의 현재 버전은 데이터 전송 속도가 최대 약 1 Gbit/s이어야 한다는 ITU-R의 4G에 대한 요구조건을 충족하지 못한다. 따라서 4G LTE라고 흔히 광고하는 기술은 약 3.9G이다. 그러나 4G를 정의한 ITU에서는 발표 초기 4G 선정 후보로 LTE를 개선한 LTE-Advanced와 와이브로를 개선한 와이브로-에볼루션(Wibro-Evolution, 와이맥스2)을 지칭하였지만, 2010년 12월 ITU에서 LTE, 나 HSPA+ 등도 4G라고 부를 수 있다는 보도자료를 내게되었다. 이에 따라 사실 4G의 엄밀한 기술적 구분은 불가능해진 상황이며 이후 마켓팅적 용어로 각국의 통신사에서는 개별적으로 LTE 등도 '4G' 라고 부르고 있다. 통신사별 주파수 영역의 특징[편집] 1, 2세대의 경우: 1, 2세대 국내 이동통신사의 주파수 사용 현황을 살펴보면 SK텔레콤이 800MHz 대역폭을, KT, LGT가 1.8GHz의 대역폭을 사용하였다. 통신사업을 먼저 시작한 SKT는 ‘황금주파수’라고 불리는 800MHz 주파수 대역을 선점하여 사용하였는데 이 대역은 주파수 도달 거리가 멀고 통화품질이 우수하여 산속이나 지하에서도 잘 터지는 특성이 있다. 반면 KT, LGT가 사용하고 있는 1.8GHz대의 주파수 영역은 직진성이 강해 장애물을 만나면 반사되어 버리기 때문에 통화 불통지역이 나오게 된다. 실제로 한 조사에 따르면 KT, LGT가 SKT 기지국의 1.73배 가량을 더 투자하여야 SKT와 동일한 수준의 통화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한다. 3세대의 경우: 2004년 통신사들은 2G에서 3G 통신망을 서비스하기 위해 새 3G 통신망을 깔기 시작했다. SKT와 KT는 WCDMA망을 설치하기 시작하였고 LGT는 CDMA 방식에서 진보된 CDMA Rev.A로 업그레이드를 시작하였다. SKT와 KT의 WCDMA: 먼저 3G WCDMA로 공격적인 마케팅을 시작한 곳은 KT(F)였다. KT는 2007년 WCDMA망을 서울과 수도권에 먼저 설치하고 SHOW라는 슬로건과 함께 영상통화가 가능하다는 점을 부각시켜 광고를 하기 시작하였다. SKT 역시 KTF에 이어 T 라는 슬로건으로 3G 광고를 시작하였으며, SKT 역시 영상통화를 중심으로 광고를 하였으나, 초기 너무 적은 기지국 숫자로 인한 통화 불통 지역으로 인하여(위에서도 말했듯이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더 많은 기지국의 숫자가 필요하다. 3G의 경우 SKT와 KT 모두 2.1GHz대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다) 사용자의 불만사항이 많았으며, 3G 폰을 구입했던 사용자들이 다시 2G 폰으로 다운그레이드 하는 현상도 발생하였다. 지금은 기지국 증설로 어느 정도 안정화가 되었으며, SKT와 KT가 같은 주파수 대의 전파를 사용하므로 2G에서 갖고있었던 SKT의 통화품질의 우위는 3G에서는 사라졌다고 할 수 있다. LGT의 CDMA Rev.A: SKT와 KT가 영상통화 마케팅을 하고 있을 때 LGT에서는 OZ라는 슬로건을 걸고 마케팅을 시작했다. LGT는 WCDMA가 아닌 3G CDMA Rev.A라는 기술을 적용하였으며(1.7GHz) 기존 통신사에서 제공하던 텍스트형 인터넷이 아닌 실제 인터넷 페이지 접속이 가능한 ‘풀 브라우징 인터넷’을 주력으로 홍보하기 시작하였다. 파격적인 가격과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하여 기대 이상의 성과를 올렸다. 전파 통신[편집] 일반적인 무선 통신은 전파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을 말한다. 흔히 RF(Radio Frequency) 통신이라 불리기도 한다. 원리[편집] 전파를 이용한 무선 통신의 기본적인 원리는 라디오와 같다. 즉, 보내고자 하는 정보를 전파로 변조하여 전력증폭기(PA, Power Amplifier)를 통해 전파를 송출하고 수신하는 측에서는 수신된 전파를 복조하여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쌍방향 무선 통신은 송신 주파수(Tx, Transmit Frequency)와 수신 주파수(Rx, Receive Frequency)를 별도로 두어 동시에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무선 통신이다. 종류[편집] 무전기, 이동통신, 주파수공용무선통신시스템, 위성전화와 같은 음성 정보 전달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통신과 무선 인터넷, 와이브로, HSDPA와 같은 데이터 정보 전달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통신이 있다. 광무선통신[편집] 역사적으로 볼때 봉화대가 이에 해당하며 적외선을 이용하는 근거리 리모컨, 레이저를 이용하는 광무선통신 등이 있다. 인공위성-인공위성, 인공위성-지상 간 통신을 위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레이저의 경우 RF에 비해 광대역이며 방사각이 매우 작아 외부 간섭에 강하며 전자기적 잡음에도 장점이 있다. 대신 송수신간 정밀한 정렬을 필요로 한다. 같이 보기[편집] 무선랜 데시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무선 통신 (영어) 무선 통신 - Curlie (DMOZ 기반) 전거 통제 LCCN: sh92006740 NDL: 00567927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무선_통신&oldid=23958020" 분류: 무선 통신통신공학통신무선 네트워크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हिन्दी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ಕನ್ನಡ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मराठीMirandésမြန်မာဘာသာ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3일 (수) 10: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무선 통신(無線通信, 영어: wireless communication)은 둘 또는 그 이상의 지점 사이에 전기 전도체의 연결 없이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대한민국에서 3세대 이동통신망 WCDMA은 몇 년도에 상용화 되었는가? Assistant: 2007년
Human: 아래 이탈리아의_마천루_목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탈리아의 마천루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탈리아의 마천루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탈리아의 마천루 목록이다. 여기에는 표준 높이 측정을 기준으로 최소 100 m (330 ft) 이상인 이탈리아의 가장 높고 완공된 마천루가 나열된다. 여기에는 첨탑 및 건축 세부 사항이 포함되지만 안테나 마스트는 포함되지 않는다. 방송탑, 관측탑, 뾰족한 탑, 굴뚝 및 기타 고층 건축물을 제외하고 거주 할 수 있는 마천루만 순위가 매겨진다. 목차 1 가장 높은 마천루를 완공하고 밖으로 얹은 마천루 2 공사중인 가장 높은 마천루 3 가장 높은 마천루의 타임라인 4 각주 가장 높은 마천루를 완공하고 밖으로 얹은 마천루[편집] 이 목록에는 전국에서 가장 높게 완공된 +100 미터 높이의 마천루와 토핑 아웃 마천루가 포함된다. 공식적인 고소는 첨탑을 포함하지만 방송탑은 제외된다. 순위 사진 이름 도시 높이 (m) 높이 (ft) 층수 완공 연도 비고 1 토레 유니크레딧 밀라노 231 758 35 2011 높이: 146 m + 첨탑: 85 m. 2 알리안츠 타워 밀라노 209 686 50 2015 높이: 209 m + 돛대: 40 m. - 지붕 높이와 사용 가능한 가장 높은 층으로 이탈리아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이다. 3 피에몬테로 레기온 헤드쿼터스 토리노 209 686 42 + 지하 2층 2015 4 제네랄리 타워 밀라노 185[1] 574 45 2016 토핑 아웃. 5 토레 인테사 상파울로 토리노 167.25 548.7 39 2013 6 팔라초 롬바르디아 밀라노 161 528 43 2010 7 토레 솔라리아 밀라노 143 469 37 2013 8 토레 디아만테 밀라노 140 459 30 2012 이탈리아에서 가장 높은 철강 마천루.[2] 9 토레 텔레콤 이탈리아 나폴리 129 423 33 1995 10 토레 폰티나 라티나 128 419 37 2010 지붕: 128 m + 돛대: 23 m. 11 유니폴 타워 볼로냐 127 417 33 2012 11 피렐리 타워 밀라노 127 417 31 1960 2005년에 보수 공사를 마쳤다. 13 토레 에넬 1 나폴리 122 400 33 1990 13 토레 에넬 2 나폴리 122 400 33 1990 14 토레 유로스카이 로마 120 394 35 2012 지붕: 120 m + 돛대: 35 m. 14 토레 유로파르코 로마 120 394 35 2012 16 콘도미니엄 마리넬라 2 체세나티코 118 387 35 1958 2009년에 보수 공사를 마쳤다. 16 토레 사베리오 나폴리 118 387 34 1990 16 토레 프란체스코 나폴리 118 387 34 1990 19 토레 브레다 밀라노 117 384 30 1954 2009년에 개조되었다. 20 토레 델 콘시글리오 레지오날레 캄파니아 나폴리 115 377 29 1992 21 보스코 버티칼 - 토레 E 밀라노 111 364 24 2014 22 크리스탈 팰리스 브레시아 110 361 30 1990 22 토리 델 트리부날레 디 나폴리 A 나폴리 110 361 29 1991 24 레 갈파 밀라노 109 358 28 1959 재개발을 기다리고 있다. 24 마티톤 제노바 109 358 26 1992 24 토레 리트리아 토리노 109 358 21 1934 지붕: 87 m + 첨탑: 22 m. 27 토레 피센치니 제노바 108 354 31 1940 28 토레 벨라스카 밀라노 106 348 26 1958 재개발을 기다리고 있다.[3] 29 토레 하인즈 - 세자르 펠리 B 밀라노 105 344 23 2011 [4] 29 토레 산 빈센조 제노바 105 344 27 1968 31 월드 트레이드 센터 제노바 102 335 25 1992 32 그라타시엘로 디 리미니 리미니 100 328 27 1960 32 토레 가리발디 A 밀라노 100 328 25 1994 2010년에 개조되었다.[5] 32 토레 가리발디 B 밀라노 100 328 25 1992 2010년에 개조되었다.[5] 32 앰배서더 팰리스 호텔 나폴리 100 328 33 1957 32 토레 컴파르토 2 제노바 100 328 23 2014 [6] 공사중인 가장 높은 마천루[편집] 이름 도시 높이 (m) 높이 (ft) 층수 비고 시티라이프 - 일 커보 밀라노 170[7] 524 35 토레 s3a-s3b 파르코 사이언티피코 테크노로지코 제노바 140 459 40 그라타시엘로 Pp1 파도바 108 354 베로나 포르타 수드 베로나 100 328 토레 마테페로 토리노 100 328 가장 높은 마천루의 타임라인[편집] 사진 이름 도시 높이 (m) 높이 (ft) 층수 가장 긴 연도 유니크레딧 타워 밀라노 231 758 35 2011–현재 팔라초 롬바르디아 밀라노 161 528 43 2010-2011 토레 텔레콤 이탈리아 나폴리 129 423 33 1995-2010 피렐리 타워 밀라노 127 417 31 1960-1995 콘도미니엄 마리넬라 2 체세나티코 118 387 35 1958-1960 토레 브레다 밀라노 117 384 30 1954-1958 토레 피센치니 제노바 108 354 31 1940-1954 토레 리트리아 토리노 87 285 19 1934-1940 토리오네 INA 브레시아 57 187 15 1932-1934 각주[편집] ↑ "Con i suoi 175 metri, Torre Hadid è uno dei tre alti edifici che rendono inconfondibile la piazza al centro di CityLife" Archived 2011-12-02 - 웨이백 머신., CityLife Official website ↑ “La Torre diamante di Milano - Ingegneri.info”. 2015년 5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12일에 확인함.  ↑ Operazione Velasca: Ligresti mette in vendita la Torre disegnata da Banfi, Belgioioso, Peressutti e Rogers - Il Sole 24 ORE ↑ http://www.pcparch.com/#/projects/new-work/porta-nuova-garibaldi-towers-a-b-c// ↑ 가 나 “Risanamento conservativo delle Torri Garibaldi”. 2013년 10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12일에 확인함.  ↑ “Comparto 2 Genoa”. Skyscraperpage.com. 2017년 6월 2일에 확인함.  ↑ "La Torre, progettata da Daniel Libeskind e alta circa 170 metri, potrà ospitare uffici direzionali o in alternativa un complesso residenziale" Archived 2011-12-03 - 웨이백 머신., CityLife Official website vdeh가장 높은 마천루와 건축 구조물마천루개요 역사 마천루 건물 층 지역 아프리카 아시아 인도 아대륙 동북아시아 동남아시아 유럽 발칸 반도 발트3국 스칸디나비아 오세아니아 아메리카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중앙 아메리카 라틴 아메리카 국가 그리스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네덜란드 노르웨이 대한민국 덴마크 독일 라트비아 러시아 레바논 루마니아 리투아니아 마카오 말레이시아 멕시코 몰타 모로코 몽골 미국 방글라데시 베네수엘라 베트남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브라질 사우디아라비아 스위스 스웨덴 스페인 슬로베니아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아르헨티나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알제리 영국 에스토니아 에콰도르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리아 우루과이 우크라이나 이스라엘 이집트 이탈리아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지아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짐바브웨 체코 칠레 카자흐스탄 카타르 도하 캄보디아 캐나다 케냐 콜롬비아 쿠웨이트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탄자니아 터키 태국 파나마 파키스탄 페루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필리핀 홍콩 기타 영연방 유럽 연합 목록 100층 이상 건축가 상층부 기준 높이 고층 빌딩이 많은 도시 마천루가 많은 도시 교회 여성에 의해 디자인함 정교회 모스크 초창기 마천루 교육용 미래 미래의 아시아 병원 호텔 공사 비용순 주거용 건축물 초고층 쌍둥이 빌딩 철거된 건축물 목조 건축 구조물 (모든 유형)지역 아프리카 유럽 중동 남아메리카 구소련 구유고슬라비아 국가 그리스 남아프리카 공화국 네덜란드 노르웨이 뉴질랜드 대한민국 덴마크 독일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미국 바레인 벨기에 불가리아 사우디아라비아 세르비아 스리랑카 스위스 스웨덴 스페인 슬로바키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알바니아 알제리 에스토니아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리아 이란 이탈리아 이집트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캐나다 코소보 터키 투르크메니스탄 튀니지 체코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기타 영연방 국가 목록 300~400m 400~500m 20세기 이전 다리 굴뚝 댐 독립 구조물 등대 조각상 타워 쌍둥이 구조물 관련항목 모든 건물 및 구조물 건축공학 건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탈리아의_마천루_목록&oldid=24170972" 분류: 이탈리아의 마천루이탈리아의 마천루 목록유럽의 마천루 목록나라별 마천루 목록숨은 분류: 웹아카이브 틀 웨이백 링크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Русский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9일 (목) 06: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탈리아의 마천루 목록이다. 여기에는 표준 높이 측정을 기준으로 최소 100 m (330 ft) 이상인 이탈리아의 가장 높고 완공된 마천루가 나열된다. 여기에는 첨탑 및 건축 세부 사항이 포함되지만 안테나 마스트는 포함되지 않는다. 방송탑, 관측탑, 뾰족한 탑, 굴뚝 및 기타 고층 건축물을 제외하고 거주 할 수 있는 마천루만 순위가 매겨진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탈리아 마천루의 종류 및 내용은? Assistant: 사진 이름 도시 높이 (m) 높이 (ft) 층수 가장 긴 연도 유니크레딧 타워 밀라노 231 758 35 2011–현재 팔라초 롬바르디아 밀라노 161 528 43 2010-2011 토레 텔레콤 이탈리아 나폴리 129 423 33 1995-2010 피렐리 타워 밀라노 127 417 31 1960-1995 콘도미니엄 마리넬라 2 체세나티코 118 387 35 1958-1960 토레 브레다 밀라노 117 384 30 1954-1958 토레 피센치니 제노바 108 354 31 1940-1954 토레 리트리아 토리노 87 285 19 1934-1940 토리오네 INA 브레시아 57 187 15 1932-1934 Human: 아래 도모토_츠요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도모토 츠요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모토 츠요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도모토 쯔요시기본 정보본명 堂本 剛출생 1979년 4월 10일(1979-04-10) (40세)국적 일본직업 싱어송라이터배우탤런트악기 보컬기타피아노베이스드럼활동 시기 1991년 5월 5일 ~ 레이블 쟈니즈 엔터테인먼트RAINBOW☆ENDLI9비가쿠 레코드MANDARA△T.DSHAMANIPPON소속사 쟈니즈 사무소소속 그룹 KinKi Kids웹사이트 공식 사이트 도모토 쯔요시(일본어: 堂本 剛, 1979년 4월 10일 ~ )는, 일본의 가수, 배우이며, 남성 아이돌 듀오 KinKi Kids의 멤버이다. 나라현 출신. 쟈니즈 사무소 소속. 목차 1 내력 1.1 성장 1.2 아역 시절 1.3 쟈니즈 사무소 입소 1.4 돌발성 난청 2 인물 2.1 성격·특징 2.2 취미·기호 2.3 음악 2.4 패션·디자인 3 솔로 프로젝트 4 음반 작품 4.1 싱글 4.2 앨범 4.3 미니 앨범 4.4 기획 앨범 4.5 커버 앨범 5 출연 5.1 텔레비전 5.1.1 드라마 5.1.2 버라이어티 5.2 영화 6 각주 6.1 내용주 6.2 출처주 7 외부 링크 내력[편집] 성장[편집] 1979년 4월 10일, 나라 현 나라 시에서 도모토가(家)의 장남으로서 탄생. 6살 위의 누나가 있다. 〈강한 아이로 자라도록〉이라고 하는 마음을 담아, 아버지가 〈쯔요시(剛)〉라는 이름을 지어주셨다. 1983년, 사이다이지 유치원에 입원. 1986년, 나라 시립 사이다이지키타 초등학교에 입학. 농구부에 들어가, 자택의 마당에 골을 만들어 달라고 해, 매일 연습했다. 어른이 되고 나서도 자신이 출연하는 드라마 《청의 시대》나 《어린 시절》에서 그 모습을 보이거나, 자신의 관 프로그램인 《도모토 쯔요시의 쇼지키 신도이》에서 팀을 만들어 경험자들과 시합을 하기도 했다. 아역 시절[편집] 초등학교 시절에는 오사카 시 키타 구에 있는 지도 극단 《극단 아카데미》에 입속해, 도모토 나오히로(堂本 直宏)라는 예명으로, 아역으로서 무대·드라마·CM 등에 출연했다. 키타지마 사부로의 무대에서는 부모와 자식 역할로 공동 출연하거나, 다운타운이 칸사이 로컬 시절에 했던 〈다운타운 이야기〉(마이니치 방송) 등의 프로그램에 출연했다. 이 외에도 사무소 입소 전에 〈도모토 나오히로〉로서 코쿠분 타이치 등 일부 쟈니즈 탤런트와 공동 출연한 에피소드도 있다. 참고로 〈나오히로〉라는 예명의 유래는, 누나의 첫사랑의 이름으로부터. 초등학교 5학년으로 아역 활동은 접고, 6학년 부터는 학업에 전념한다. 쟈니즈 사무소 입소[편집] 초등학교 6학년 때, 어머니와 누나가 본인 몰래 이력서를 쟈니즈 사무소에 보낸 것이 계기로, 히카루GENJI의 콘서트에 초대된다. 당시에는 농구에 몰두해 중학 수험도 치렀기 때문에, 사무소에 들어갈 생각은 없고 거절할 예정이었지만, 1991년 5월 5일, 〈거절하기로 해도 자신의 입으로 말하세요〉라고 들어 어머니와 함께 요코하마 아레나에서 콘서트를 감상하고, 도모토 코이치와 만난다. 그리고 코이치와 함께, 사무소 입소를 정한다. 1992년, 나라 시립 헤이죠 중학교에 입학. 고향인 나라에서 중학교에 다니며, 일이 있을 때마다 신칸센으로 나라와 도쿄를 왕복했다. 중학교 2학년 10월, 14세의 나이에 상경. 상경 후에는 사무소의 합숙소에 살며, 오카다 준이치와 같은 방에서 생활한 적도 있다. 1993년 4월 4일, ABC TV 《KISS 했어? SMAP》에서 처음으로 〈Kinki Kids〉란 그룹명을 발표. 그 후의 KinKi Kids로서의 활동에 대해서는 킨키 키즈#경력을 참조. 1994년에 출연한 《인간·실격~만약 내가 죽는다면~》, 1995년부터 1997년에 출연한 《킨다이치 소년의 사건부》 시리즈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 솔로로 엔딩 테마 〈혼자가 아니야〉도 담당했다[주 1]. 2000년 여름, KinKi Kids 편집의 단행본 《도모토 모드》의 취재로 건강 진단을 받았을 때, 긴 시간동안 B형이라고 공언했던 혈액형이 실은 AB형이었던 것을 발견. 2002년 5월 29일, 싱글 〈거리/맹목적인 사랑의 법칙〉으로 도모토 쯔요시 명의로 솔로 데뷔[1][2]. 2005년에는, TOKIO의 코쿠분 타이치와 함께 기간 한정 유닛 〈토라지·하이지〉로도 활동. 2006년 10월 19일, 첫 솔로 사진집 〈솔직히 I LOVE YOU〉를 발매. 2008년 4월 20일, 나라 시 관광 특별 대사에 취임[3]. 돌발성 난청[편집] 2017년 6월 19일 드라마 <우리들의 용기 미만시티 2017>촬영 중 "왼쪽 귀를 시작으로 오른쪽 귀까지 들리지 않는"등의 증세가 나타나 <돌발성 난청>으로 진단되었다. 같은 달 27일 신중을 기해서 입원하였다. 같은 달 28일 생방송 <테레토 음악제 2017>과 7월 1월 생방송 <THE MUSIC DAY>의 출연을 보류하였다. 7월 4일에 퇴원하고 통원 치료. 7월 15일과 16일 요코하마 스타디움에서 열린 데뷔 20주년 행사 <KinKi Kids Party~20주년>의 라이브 현장 출연은 단념하였지만, 도쿄 도내에서 생중계 연결을 통한 영상 출연으로 노래를 선 보였다. 7월 20일 문화 방송의 특집 <You들 드디어 스무살이다!, KinKi Kids 돈나몬야! 3시간 생방송 스페셜!>에는 예정대로 생방송으로 출연을 하였다. 다음 날 21일 <ZIP!> 에 퇴원 이후 처음으로 텔레비전 생방송 출연을 하였다. <SUMMER SONIC 2017 (8월 19일 치바/20일 오사카)>과 <이나즈마 록 페스피벌 2017 (9월 17일 시가)>의 출연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라이브를 실시할 정도로 회복에 이르지 못했다는 담당 의사의 판단에 따라 출연을 보류하였다. 9월 1일~3일 교토 <헤이안 신궁>에서 개최 예정이었던 솔로 공연도 중지되었다. 그리고 10월 29일 <테레비 아사히 드림 페스티벌 2017>에서 음악 활동을 재개. 5월 31일 녹화한 음악 프로그램 <MTV언플러그드> 이후 151일 만에 KinKi Kids 두 사람이 무대에 함께 올랐다. 2018년 6월 7일 2년 만의 솔로 라이브 <ENDRECHERI TSUYOSHI DOMOTO> NHK홀 라이브에서 2017년 12월에 의학적 치료를 마친 후에는 침 치료로 전환하였으며, 어느 정도 증상은 회복되고 있지만 완치는 어렵다고 생각된다는 등의 현상을 보고하였다. 인물[편집] 성격·특징[편집] 10대 때는 주위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자신을 눌러 나타내지 않는 점도 많았지만, 〈연예인이라기보다, 한 남성으로서, 한 인간으로서 생활해 가고 싶다〉, 〈거짓말을 하지 않고, 팬에게도 자신의 있는 그대로를 보여주고 싶다[4]〉라는 생각을 강하게 갖고 있다. 고향인 나라를 각별히 사랑한다. ENDLICHERI☆ENDLICHERI의 앨범명(라이브명)이 〈Neo Africa Rainbow Ax〉로 세로반전이 되어 있거나, 2008년, 나라 100년 회관(나라 현 나라 시)에서 라이브를 행한 것을 시작으로 야쿠시지(나라 현 나라 시)나 국영 아스카 역사 공원(나라 현 타카이치 군 아스카무라)에서도 라이브를 행했다. 또, 《도모토 쯔요시의 쇼지키 신도이》나 《도모토 쯔요시의 코코로미》 등 프로그램의 기획에서 가거나, 〈나라는 자신의 원점〉 〈아이가 생긴다면 나라에서 기르고 싶다[5]〉 등, 고향에 관련한 발언도 많다. 일본의 아악에 흥미가 있어, 헤이안 신궁에서 라이브를 행하는 등 절과 신사에도 인연이 깊은 것으로부터, 2013년에는 《세계 불가사의 발견!》에서 일본 서기나 고사기에 쓰인 〈국토 양보 신화〉에 스포트라이트를 비춘 회에서 내레이션에도 첫 도전했다[6]. 사랑이라고 하는 말이나 개념에 깊은 생각이 있어, 가족이나 자신의 소중한 사람에게 대하는 사랑, 자신을 향한 사랑을 소중히 해, 음악 등으로 자신도 사랑을 발신해가고 싶다는 주지를, MC나 인터뷰 등에서 자주 말하고 있다. 또, 쟈니즈 사무소의 휴대 사이트 〈Johnny's web〉에서는 〈Love Fighter〉라고 하는 타이틀로 연재하고 있다. 할아버지 품에서 자란 아이였기 때문에, 할아버지가 생전 입원했던 때에는 바쁜 시기여도 짬을 내어 문병을 가, 돌아가신 후에도 매년 나라 현까지 오하카마이리를 하러 가고 있다. 또, 누나와도 사이가 좋아, 6년 연상의 누나는 본인이 말하기를 〈상냥한 사람〉으로, 싸운 적이 없다고 한다. 드라마 수록의 틈에 여배우와 이야기하는 것이 서툴렀지만[4], 미즈카와 아사미와는 사이가 좋아져 그 후에도 교류가 이어지고 있다[7]. 취미·기호[편집] 개그(오와라이)를 좋아해, 초등학생 때에는 〈익힌 미즈나 놈(水菜の煮たやつ)〉이라고 하는 개그 콤비를 결성해 개그맨을 목표했던 적도 있다[8]. 만화, 애니메이션을 좋아해, 《비바 BLUES (제33권)》에 등장하게 된 적도 있다(작자인 모리타 마사노리 씨는 《쇼지키 신도이》의 오프닝에 애니메이션용 일러스트를 제공). 그 외에 《드래곤볼》도 좋아해, 《도모토 형제》에서 토리야마 아키라에 대해 이야기하거나, 라디오 등에서 드래곤볼 관련 소재를 이야기하기도 한다. 또 잡지에서 〈좋아하는 만화(애니)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초시공요새 마크로스》라고 대답해, 첫사랑은 마크로스의 헤로인·링 밍메이라고 답했다. 미니어처 닥스훈트를 길렀는데, 이름은 켄시로이다. 잡지의 그라비아 등에도 본인과 함께 가끔 등장하고 있다. 이름은 좋아하는 만화인 《북두의 권》의 주인공으로부터 따왔다. 켄시로는 2015년 4월 11일, 무지개 다리를 건넜다. 함께 키우던 다른 애완견 타이슨은 2017년 9월 8일, 무지개 다리를 건넜다고 한다. 낚시에 빠져, 물고기에도 정통하다. 집에서 열대어·대형어를 시작으로 다양한 물고기를 기르고 있어, 솔로 프로젝트 네임으로도 되어있는 폴립테루스 엔드리케리 엔드리케리는 40마리 가깝게 기르고 있다. 음악[편집] 일본의 음악에서는 Mr.Children·CHAGE and ASKA·DREAMS COME TRUE·시이나 링고·TUBE를 즐겨 듣는다. Mr.Children이나 TUBU에 대해서는 자신의 프로그램 내에서나 콘서트에서 악곡을 부르는 경우도 많다. 처음으로 산 CD는 ASKA의 〈시작은 언제나 비〉로, 2013년에 첫 커버 앨범 《카바》를 발매한 때에는 악곡을 수록해, 각 잡지나 ASKA와의 대담에서도 추억을 이야기했다. DREAMS COME TRUE는, 쯔요시가 그들의 악곡 〈MARRY ME?〉가 좋다고 한 것으로부터 그 앤서 송으로 〈있지, 힘낼게.〉를 KinKi Kids에 제공받거나, 사적으로도 라이브를 보러 가거나, 3명이서 만나거나 하는 등 교류가 깊다. 《도모토 쯔요시의 쇼지키 신도이》에서는 3명이서 게릴라적인 스트리트 라이브를 행했다. 서양 음악에서는 블랙 뮤직을 즐겨 들어, 특히 펑크에 관해 깊은 생각이 있다. 특히 지미 헨드릭스와 슬라이&더 패밀리 스톤을 좋아한다. 《LOVE LOVE 사랑해》에서 공동 출연해 기타를 배운 요시다 타쿠로 외, 《도모토 형제》에서 공동 출연한 THE STREET SLIDERS의 츠치야 코헤이에게도 적극적으로 펑키 기타를 배워,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권받아 자신의 음악 폭을 넓혔다. J-FRIENDS 명의로 활동했을 때, 마이클 잭슨에게 전화로 직접 가창 지도를 받은 적이 있다. 이마이 츠바사, 니노미야 카즈나리, 오카다 준이치, KAT-TUN 등, 후배에게도 곡을 제공하고 있다. 솔로 데뷔 싱글에 수록되어있는 〈맹목적인 사랑의 법칙〉이나 〈당신〉, 〈사랑 덩어리〉 등 여성 가사로 발표한 작품도 많다. 솔로 음악 활동에 대해서는 〈솔로 프로젝트〉를 참조. 패션·디자인[편집] 2004년도의 베스트 지니스트에 선택되었다. 2005년, 여성지 《SEDA》에서 처음으로 남성 탤런트 중 기용되어, 여성 모델·카에데와 2숏으로 표지를 장식한다[9]. 또, 2005년 9월호부터 2011년 12월호까지 연재 〈쯔요코레 TSUYOSHI COLLECTION〉을 게재하고 있던 여성 패션 잡지 《PS》 주최의 〈PS Premium Live 2009 Happy7〉(2009년 10월 5일, Zepp Tokyo)에서는 시크릿 게스트로서 참가했다. 옷의 색으로 좋아하는 건 보라, 초록, 핑크(특히 쇼킹 핑크 등 채도가 높은 것). 또, 바깥에 나갈 때에 변장 등은 하지 않지만, 반대로 사람들이 그다지 말을 걸지 않는다고 한다. 여성보다 남성이 말을 거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잡지 인터뷰나 라이브 MC, 음악 프로그램 등). 아디다스를 좋아해, 평소에도 동 브랜드의 옷이나 소품을 착용하고 있어, 2010년 2월부터는 〈adidas Originals〉의 〈BE Originals 캠페인〉 이미지 캐릭터로 발탁되었다[10]. 옷을 고를 때에는 레이디스, 멘즈에 구애받지 않고 골라, 늘 오리지널리티를 원해, 입고싶은 것을 입는다. 그것이 가끔은 남들에게 기발하다고 듣거나 〈이미지가 나쁘다〉라고 사무소로부터 혼난 적도 있지만, 〈인생은 한 번뿐〉이라며 자신의 스타일을 계속 일관해온 결과, 누구도 입지 않을듯한 화려한 옷이나 이상한 아이템도 〈쯔요시스럽네〉라고 들을정도가 되었다고 한다. 시나 일러스트를 그리거나 사진을 찍는 경우가 많아, 잡지 연재에도 자주 게재된다. 2013년, 나카가와 겐 시장에게 의뢰받아 나라 시의 모자 건강 수첩의 디자인을 무상으로 만들었다.[5]. 2016년부터,《ATSUSHI NAKASHIMA (아츠시 나카시마)》콜렉션 쇼의 음악을 담당하고 있다. 2016년9월23일 「2017년 S/S 밀라노 콜렉션」 2017년2월23일 「2017년 A/W 밀라노 콜렉션」 2017년9월20일 「2018년 S/S 밀라노 콜렉션」 2018년2월26일 「2018년 A/W 밀라노 콜렉션」- 음악 이외〈ENDRECHERI〉와 콜라보레이션 한 의상 아이템도 발의 솔로 프로젝트[편집] TBS 계열 텔레비전 드라마 《꿈의 캘리포니아》의 주제가 〈거리〉가 반향을 일으켜, 2002년 4월 26일, 도모토 쯔요시 솔로 명의로 CD가 발매되는 것이 발표되어, 솔로 데뷔가 결정되었다[1]. 동시에 7월부터 첫 솔로 투어를 행하는 것도 발표되었다[1][2]. 2002년 5월 29일에 양 A면 싱글 〈거리/맹목적인 사랑의 법칙〉이 발매. KinKi Kids의 앨범에도 솔로로 자작곡을 수록했었지만, 솔로로의 싱글 발매는 이것이 처음이다[2]. 또, 쟈니즈 사무소 소속 탤런트가 자작곡으로 데뷔하는 것도 처음이다. 2005년 12월, 프로젝트 ENDLICHERI☆ENDLICHERI를 EDWIN과의 콜라보레이션으로 시동했다. 동시에 2002년, 2004년의 솔로 활동에서는 구별되어있지 않았던 KinKi Kids로의 활동과 솔로로의 음악 활동을 분리. 프로젝트 네임을 붙일 때, 본인은 〈《도모토 쯔요시(堂本剛)》라는 이름이라면, 분명히 《도모토 쯔요시=KinKi Kids》라는 아이돌로서의 이미지가 붙어버려, 아무리 음악에 힘을 주고 작품을 만들어도 대중은 그렇게 받아들여주지 않는 것이 많기 때문에, 그 이미지를 떼어내고 싶어서 다른 이름을 지었다〉라고 말하고 있다. 2011년 10월, 앨범 《Nippon》으로 구주 데뷔. KinKi Kids보다도 빠른 해외 데뷔가 되었다. ENDLICHERI☆ENDLICHERI 2005년 겨울, 프로젝트 네임 《ENDLICHERI☆ENDLICHERI(엔드리케리 엔드리케리)》를 시동했다. 2008년은 《244 ENDLI-x(쯔요시 엔드릭스)》라는 아티스트 네임으로 활동했다. 프로젝트 《ENDLICHERI☆ENDLICHERI》는 폴립테루스 엔드리케리 엔드리케리라는, 아프리카산의 고대어로부터 땄다. 유래는 〈《많은 날개를 가진다》라는 의미의 이름이기 때문에, 자신의 음악도 날개를 타 많은 사람의 마음에 전해지도록〉 〈몹시 겁이 많은 기질의 물고기로, 그게 자기 자신과도 연결되기 때문에〉. 애칭은 〈엔드리〉 〈엔 상〉 〈드리〉 〈케리〉 등 몇 개의 후보가 있었지만, 우여곡절을 거쳐 〈케리〉에 정착했다. 본인은 〈ENDLICHERI☆ENDLICHERI를 라이프워크로 하고 싶다〉라고도 말하고 있다. ENDLICHERI☆ENDLICHERI의 마스코트 캐릭터로서 〈Sankaku〉라는 캐릭터가 있다. ENDLICHERI☆ENDLICHERI 시동 시에 도모토 자신이 디자인해, 도모토 자신의 목소리를 가공해 얹어, dwango에서 착신 보이스로 전달되었다. 비 가 쿠[아름다움 나 하늘](美 我 空) 2009년 봄, 새롭게 아티스트 네임 《쯔요시(剛 紫)》로서 새로운 프로젝트 《비 가 쿠(美 我 空)》를 시동했다. 자신을 돌아보기 위해 프로젝트에서, 돌아볼 때가 왔다면 다시 시작하는 프로젝트라고 도모토는 말하고 있다. SHAMANIPPON 샤마닛폰 2011년, 〈SHAMANIPPON〉이라고 하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동. ENDRECHERI 읽는 법은 <엔드리케리>. 이전의 <ENDLICHERI☆ENDLICHERI> 와 달리 LI 에서 RE 가 되었다. 다시 시작한다는 등의 의미로 알려졌다. 2017년에는 공식 홈페이지가 새롭게 단장되고 프로젝트 이름이 발표되면서 <SUMMER SONIC 2017> 과 <이나즈마 록 페스티벌 2017> 에 출연 예정이 되었다. 2018년 3월 28일 새 앨범 <HYBRID FUNK> 의 5월 2일 발매가 통보되어 새로운 프로젝트 이름이 널리 보도되었다. 앨범에서는 <ENDLICHERI☆ ENDLICHERI> 때의 캐릭터 <Sankaku> 가 재등장. 음반 작품[편집] ※ 프로젝트명과 명의 <ENDLICHERI☆ENDLICHERI> 는 <E☆E> 로 표기. 싱글[편집] 발매일 타이틀 명의 프로젝트명 품번 비고 1 2002년 5월 29일 街/溺愛ロジック거리/맹목적인 사랑의 법칙 도모토 쯔요시(堂本剛) 【초회반(CD)】JECN-0027【통상반(CD)】JECN-0028 양 A면 싱글 2 2004년 6월 9일 WAVER 도모토 쯔요시(堂本剛) 【초회반(CD)】JECN-0047【통상반(CD)】JECN-0048 3곡 A면 싱글 3 2006년 2월 1일 ソメイヨシノ소메이요시노 E☆E E☆E 【완전초회한정반(CD)】JECN-0086【통상반(CD)】JECN-0087 4 2006년 6월 28일 The Rainbow Star E☆E E☆E 【완전초회한정반(CD+DVD)】JECN-0098/99【통상반(CD)】JECN-0100 5 2007년 2월 7일 空が泣くから하늘이 우니까 E☆E E☆E 【완전초회한정반(CD)】JECR-0001【통상반(CD)】JECR-0002 6 2008년 4월 2일 Kurikaesu 春Kurikaesu 봄 244ENDLI-x E☆E 【완전초회한정반(CD)】JECR-0006【통상반(CD)】JECR-0007 7 2009년 4월 10일 空 〜美しい我の空하늘 ~아름다운 나의 하늘 쯔요시(剛 紫) 비 가 쿠(美 我 空) 【통상반(CD)】JECR-0013 8 2009년 9월 9일 RAIN 도모토 쯔요시(堂本剛) 【초회반(CD)】JECR-0016【통상반(CD)】JECR-0017 9 2011년 4월 6일 縁を結いて인연을 맺으며 도모토 쯔요시(堂本剛) SHAMANIPPON 【초회한정반A(CD+DVD)】JECR-0018/19【초회한정반B(CD+DVD)】JECR-0020/21【통상반(CD)】JECR-0022 10 2011년 9월 7일 Nijiの詩Niji의 노래 도모토 쯔요시(堂本剛) SHAMANIPPON 【초회반A(CD)】JECR-0023【초회반B(CD+DVD)】JECR-0024/25【통상반(CD)】JECR-0026 11 2013년 9월 11일 瞬き깜빡임 도모토 쯔요시(堂本剛) SHAMANIPPON 【초회반A(CD+DVD)】JECR-0038/39【초회반B(CD+DVD)】JECR-0040/41【초회반C(CD)】JECR-0042【통상반(CD)】JECR-0043 12 2014년 11월 23일 PANTIES が だしたいんだ どしてもPANTIES 를 내고 싶어 어떻게 해서라도 도모토 쯔요시(堂本剛) SHAMANIPPON 【꽃 팬티】JECT-0019【거품 팬티】JECT-0020 CD 부착 속옷이라고 하는 형식으로 한정 발매 13 2018년 8월 22일 one more purple funk… -硬命 katana- ENDRECHERI ENDRECHERI 【초회반A(CD+DVD)】JECR-0062/63【초회반B(CD+DVD)】JECR-0064/65【통상반(CD)】JECR-0066 dTV 오리지널 드라마 은혼2 주제가 앨범[편집] 발매일 타이틀 명의 프로젝트명 품번 비고 1 2002년 8월 7일 ROSSO E AZZURRO 도모토 쯔요시(堂本剛) 【통상반(CD)】JECN-0030 2 2004년 8월 18일 [síː] 도모토 쯔요시(堂本剛) 【완전초회생산반(CD+DVD)】JECN-0053/54【통상반】JECN-0055 3 2006년 3월 1일 Coward E☆E E☆E 【완전초회생산반(CD+DVD)】JECN-0092/93【통상반】JECN-0094 4 2007년 4월 11일 Neo Africa Rainbow Ax E☆E E☆E 【완전초회생산반(CD+DVD)】JECR-0003/04【통상반】JECR-0005 5 2008년 4월 2일 I AND 愛I AND 사랑 244 ENDLI-x E☆E 【초회반A(CD+DVD)】JECR-0008/09【초회반B(CD+LIVE CD)】JECR-0010/11【통상반】JECR-0012 6 2009년 4월 10일 美 我 空 - ビ ガ ク 〜 my beautiful sky아름다움 나 하늘 - 비 가 쿠 ~ my beautiful sky 쯔요시(剛 紫) 비 가 쿠(美 我 空) 【완전초회생산반(CD)】JECR-0014【통상반】JECR-0015 7 2012년 4월 11일 shamanippon -ラカチノトヒ-shamanippon -힘 의람사- 도모토 쯔요시(堂本剛) SHAMANIPPON 【초회반A(2CD+DVD)】JECR-0027-29【초회반B(2CD+DVD)】JECR-0030-32 【통상반】JECR-0033 【이벤트 한정반】JECR-0034 8 2014년 2월 12일 shamanippon -ロイノチノイ-shamanippon -색 의명생- 도모토 쯔요시(堂本剛) SHAMANIPPON 【초회반A(CD+DVD)】JECR-0044-45【초회반B(CD+DVD)】JECR-0046-47 【통상반】JECR-0048 9 2015년 5월 20일 TU 도모토 쯔요시 (堂本剛) SHAMANIPPON 【초회반A(CD+DVD)】JECR-0049-50【초회반B(CD+DVD)】JECR-0051-52 【통상반】JECR-0053 2015년 9월 2일 【아날로그 레코드】JEJR-0001 10 2018년 5월 2일 HYBRID FUNK ENDRECHERI ENDRECHERI 【초회반A(CD+DVD)】JECR0057【초회반B(CD+DVD)】JECR0059 【통상방】JECR0061 미니 앨범[편집] 발매일 타이틀 명의 품번 비고 1 2016년 6월 8일 Grateful Rebirth 도모토 쯔요시(堂本剛) 【초회반(CD+DVD)】JECR-0054-55【통상반】JECR-0056 기획 앨범[편집] 발매일 타이틀 명의 품번 비고 1 2011년 10월 21일 Nippon 도모토 쯔요시(堂本剛) GSCD-083 구주 15개국만 발매 커버 앨범[편집] 발매일 타이틀 명의 품번 비고 1 2013년 5월 8일 カバ카바 도모토 쯔요시(堂本剛) 【초회반(CD+DVD)】JECR-0035-36【통상반】JECR-0037 출연[편집] 텔레비전[편집] 드라마[편집] 도모토 나오히로 명의 젊은 대장 천하 미안! 제31화 (1987년 7월, TV 아사히) - 주군의 아역 시절 역 아내 그리고 여자 시리즈 (마이니치 방송) (19) 심령 드라마 스페셜(4) 〈악몽 후〉 (1987년 8월 17일 ~ 8월 28일) (31) 〈모래 위의 가족〉 (1988년 9월 26일 ~ 11월 25일) - 레귤러 출연 (42) 〈생명 짧게~또 마마의 아이가 되고 싶어〉 제11 ~ 37화 (1990년 2월 5일 ~ 3월 30일) - 레귤러 출연 다운타운 이야기 제3화 (1987년 10월 20일, 마이니치 방송) - 하마다 마사토시의 아이 시절 역 교토 서스펜스 호타루 반딧불이 풀 심중 (1987년 12월 14일, 칸사이 TV) - 히로시 역 1·2·3과 4·5·육 (1988년 7월, 칸사이 TV) - 게스트 출연 부장 형사 (1989년 2월, ABC TV) - 게스트 출연 신·부장 형사 어번 폴리스 24 (1989년, ABC TV) - 게스트 출연 하트에 불을 붙여! (1989년, 후지 TV) 하트에 불을 붙여!~메이킹 (1989년, 후지 TV) 전원의 에일리언 (1989년 7월, 칸사이 TV) 토요 드라마 〈다른 사랑〉 (1990년 1월 6일 ~ 1월 13일, NHK 종합) 마경 (1990년 5월 7일 ~ 5월 11일, 칸사이 TV) 참상! 천공 검사 제9화 〈초능력 소년·이누치요〉 (1990년 5월 27일, TV 도쿄) - 이누치요 역 도모토 쯔요시 명의 연속 TV 소설 카린 제150 ~ 151화 (1994년 4월 1·2일, NHK) - 타가미 카즈노리 역 인간·실격~만약 내가 죽는다면~ (1994년 7월 8일 ~ 9월 28일, TBS) - 오오바 마코토 역 사랑과 욕망의 독안룡 다테 마사무네 (1995년 1월 1일, TBS) - 본텐마루 역 세컨드 찬스 (1995년 4월 14일 ~ 6월 30일, TBS) - 후지이 와타루 역 돌아온 세컨드 찬스 (1996년 12월 20일, TBS) - 노다 와타루 역 집 없는 아이 2 최종회 (1995년 7월 8일, 닛폰 TV) - 특별 출연 킨다이치 소년의 사건부 시리즈 (닛폰 TV) - 주연·킨다이치 하지메 역 학원 7대 불가사의 (1995년 4월 8일) 제1시리즈 (1995년 7월 15일 ~ 9월 16일) 설야차 전설 살인사건 (1995년 12월 28일) 제2시리즈 (1996년 7월 13일 ~ 9월 14일) 영구보존판 킨다이치 소년의 사건부 (1996년 9월 21일) 오와라이 킨다이치 소년의 사건부 (1997년 4월 12일) 누군가가 누군가를 사랑하고 있다 (1996년 3월 29일, TBS) - 코무라 후유키 역 어린 시절 (1996년 4월 12일 ~ 6월 28일, TBS) - 주연·아이자와 타케시 역 우리의 용기 미만도시 (1997년 10월 18일 ~ 12월 20일, 닛폰 TV) - (주연·타케루 역)*아이바 마사키&마츠모토 준 from아라시, 도모토 코이치 from킨키키즈 청의 시대 (1998년 7월 3일 ~ 9월 11일, TBS) - 주연·아즈미 류 역 너와 있던 미래를 위해서 ~I'll be back~ (1999년 1월 16일 ~ 3월 20일, 닛폰 TV) - 주연·호리가미 아츠시 역 to Heart ~사랑하며 죽고 싶어~ (1999년 7월 2일 ~ 9월 17일, TBS) - 주연·토키에다 유지 역 P.S. 잘 있습니다, 슌페이 (1999년 6월 24일 ~ 9월 16일, TBS) - 토키에다 유지 역 (특별 출연) Summer Snow (2000년 7월 7일 ~ 9월 15일, TBS) - 주연·시노다 나츠오 역 무카이 아라타의 동물일기 ~애견 로시난테의 재난~ (2001년 1월 3일 ~ 3월 17일, 닛폰 TV) - 주연·무카이 아라타 역 루키! 최종화 (2001년 6월 26일, 칸사이 TV) - CD 도둑 역 (특별 출연) 학교 선생님 (2001년 10월 7일 ~ 12월 16일, TBS) - 주연·사쿠라기 센타로 역 꿈의 캘리포니아 (2002년 4월 12일 ~ 6월 28일, TBS) - 주연·야마자키 슈 역 모토카레 (2003년 7월 6일 ~ 9월 7일, TBS) - 주연·카시와바 토지 역 홈 드라마! (2004년 4월 16일 ~ 6월 25일, TBS) - 주연·이사카 쇼고 역 라스트 프레젠트 (2005년 6월 11일, TV 아사히) - 주연·칸자키 켄지 역 별에 소원을 ~7다다미로 태어난 410만의 별~ (2005년 8월 26일, 후지 TV) - 주연·오오히라 타카유키 역 33분 탐정 시리즈 (후지 TV) - 주연·안바 로쿠로 역 33분 탐정 (2008년 8월 2일 ~ 9월 27일) 돌아오는 건가!? 33분 탐정 (2009년 3월 21일) 돌아온 33분 탐정 (2009년 3월 28일 ~ 4월 18일) 텐마 씨가 간다 (2013년 7월 15일 ~ 9월 23일, TBS) - 주연·호카이 텐마 역 플라토닉 (2014년 5월 25일 ~ 7월 13일, NHK BS 프리미엄) - 청년 역 우리들의 용기 미만도시 2017 (ぼくらの勇気 未満都市 2017) (2017년 7월 21일, 닛뽄 TV) *아이바 마사키&마츠모토 준 from아라시, 도모토 코이치 from킨키키즈 버라이어티[편집] 도모토 나오히로 명의 2시의 와이드 쇼 (1987년 8월, 요미우리 TV) -TV MAGAZINE- 맑음 때때로 타카진 (1989년 3월, ABC TV) 장난꾸러기 TV국 (1989년 가을, 요미우리 TV) - 프로그램 사회를 담당해, 키다 타로와도 공동 출연. 도모토 쯔요시 명의 과연! 더 월드 (1995년 5월 ~ 12월, 후지 TV) 도모토 쯔요시의 DO-YA! (1996년 10월 1일 ~ 1997년 9월 30일, 아사히 방송) 쯔요 짱 도모토 점포 (1999년 3월 29일 ~ 9월 27일, 닛폰 TV) 도모토 쯔요시의 쇼지키 신도이 (2002년 10월 9일 ~ 2009년 9월 30일, TV 아사히) 도모토 쯔요시의 아침까지 신도이 (2006년 1월 6일, TV 아사히) 도모토 쯔요시의 아침까지 신도이 (2007년 1월 3일, TV 아사히) 아침까지 신도이 (2008년 1월 2일, TV 아사히) 도모토 쯔요시, 심호흡. 고향 나라를 걷다 (2008년 4월 12일, 나라 TV) 24CH△NNEL (2009년 10월 7일 ~ 2010년 3월 31일, TV 아사히) 코코로미→도모토 쯔요시의 코코로미 (2010년 9월 25일 ~ 부정기, NHK 교육→NHK BS 프리미엄) 도쿄 라이브 24시 (2014년 4월 3일 ~ 4월 10일, TV 도쿄) - 목요 담당 MC 도모토 쯔요시의 야카라네 (2014년 4월 12일, MBS) 도쿄 라이브 22시 (2014년 10월 ~ 2015년 9월, TV 도쿄) ~돌격! 처음 뵙겠습니다 버라이어티~이치겐 상 (2015년 10월 ~ , TV 도쿄) 영화[편집] 도모토 나오히로 명의 저녁 하늘 맑게 개어 (1988년, 교육 영화) 나와 강아지의 개구쟁이 대사건 (1988년, 쿄와 교육 영화사) 여제 카스가노 츠보네 (1990년, 토에이) 도모토 쯔요시 명의 200X년·쇼 (1992년, 휴맥스) 슛! (1994년, 쇼치쿠) 킨다이치 소년의 사건부·상하이 인어 전설 (1997년, 토호) - 주연·킨다이치 하지메 역 판타스티포 (2005년, 제이 스톰) - 주연·코이노보리 하이지 역 도모토 쯔요시 헤이안 신궁 공연 2011 한정 특별 상영 헤이안유키 heianyuki (2012년) 러시 프라이드와 우정 (2014년, 가가) - 니키 라우다 (다니엘 브륄) 역 (더빙) 은혼 (2017년, 워너 브라더스 영화) - 타카스기 신스케 역 은혼 2: 규칙은 깨기 위해 있다 (2018년, 워너 브라더스 영화) - 타카스기 신스케 역 각주[편집] 내용주[편집] ↑ KinKi Kids의 1st 앨범 《A album》에 수록되어, 이 시점에서 솔로 데뷔는 아니었다. 출처주[편집] ↑ 가 나 다 “도모토 쯔요시 첫 솔로CD&투어”. 《Sponichi Annex》. 2002년 4월 26일. 2005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25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도모토 쯔요시가 솔로 가수 데뷔…솔로 첫 투어도 결정”. 《SANSPO.COM》. 2002년 4월 26일. 2002년 5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25일에 확인함.  ↑ 도모토 쯔요시 씨를 특별 대사에 위촉 나라 시민다요리 2008년 6월호 (No.1051) ↑ 가 나 “지금의 자신, 보여드린다”. 《YOMIURI ONLINE》 (待田晋哉). 2003년 8월 7일. 2004년 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가 나 “도모토 쯔요시가 모자 건강 수첩 디자인 고향·나라 시의 의뢰 받아 무상으로”. 《Sponich Annex》. 2013년 3월 28일. 2013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절과 신사를 좋아하는 도모토 쯔요시가 〈세계 불가사의 발견!〉으로 내레이터 첫 도전”. 나타리. 2013년 12월 20일. 2013년 12월 29일에 확인함.  ↑ “도모토 쯔요시, 〈텐마 씨가 간다〉 토크 쇼 〈미즈카와 아사미는, 아줌마 같다〉”. TVfanWeb. 2013년 9월 18일. 2013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도모토 쯔요시 오와라이 독연회 첫날 〈진심으로 하고 있습니다〉”. 《Sponichi Annex》. 2013년 11월 27일. 2013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도모토 쯔요시 여성지 표지로 모델 데뷔”. 《Sponichi Annex》. 2005년 1월 4일. 2005년 1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아디다스·오리지널스〉에서 캠페인, 12일부터 도모토 쯔요시 씨를 기용”. 《하라주쿠 신문》. 2010년 2월 8일. 2013년 12월 2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도모토 쯔요시 - 공식 웹사이트 도모토 쯔요시 〈인연을 맺으며〉 - 본인 집필 기사 vdeh도모토 쯔요시싱글도모토 쯔요시1.거리/맹목적인 사랑의 법칙 - 2.WAVER - 3.RAIN - 4.인연을 맺으며 - 5.Niji의 노래 - 6.깜빡임 - -.PANTIES 를 내고 싶어 어떻게 해서라도 (Web 한정)ENDLICHERI☆ENDLICHERI1.소메이요시노 - 2.The Rainbow Star - 3.하늘이 우니까244ENDLI-x1.Kurikaesu 봄쯔요시1.하늘 ~아름다운 나의 하늘앨범오리지널도모토 쯔요시1.ROSSO E AZZURRO - 2.[síː] - 3.shamanippon -힘 의람사- - 4.shamanippon -색 의명생- - 5.TUENDLICHERI☆ENDLICHERI1.Coward - 2.Neo Africa Rainbow Ax244ENDLI-x1.I AND 사랑쯔요시1.아름다움 나 하늘 - 비 가 쿠 ~ my beautiful sky미니1.Grateful Rebirth커버1.카바주연 연속 드라마킨다이치 소년의 사건부 제1시리즈 · 어린 시절 · 킨다이치 소년의 사건부 제2시리즈 · 우리의 용기 미만도시 · 청의 시대 · 너와 있던 미래를 위해서 ~I'll be back~ · to Heart ~사랑하며 죽고 싶어~ · Summer Snow · 무카이 아라타의 동물일기 ~애견 로시난테의 재난~ · 학교 선생님 · 꿈의 캘리포니아 · 모토카레 · 홈 드라마! · 33분 탐정 · 돌아온 33분 탐정 · 텐마 씨가 간다주연 영화킨다이치 소년의 사건부·상하이 인어 전설 · 판타스티포출연 프로그램도모토 쯔요시의 DO-YA! · 쯔요 짱 도모토 점포 · 도모토 쯔요시의 쇼지키 신도이 · 24CH△NNEL · 도모토 쯔요시의 코코로미 · 도쿄 라이브 24시 · 도쿄 라이브 22시 · ~돌격! 처음 뵙겠습니다 버라이어티~이치겐 상관련 항목KinKi Kids · J-FRIENDS · 토라지·하이지 · 쟈니즈 엔터테인먼트 vdehKinKi Kids 도모토 코이치 도모토 쯔요시 싱글 유리의 소년 사랑받기보다 사랑하고 싶어 제트코스터 로맨스 전부 껴안고/청의 시대 Happy Happy Greeting/신데렐라 크리스마스 그만두지 마,PURE 플라워 비의 Melody/to Heart 좋아하게 돼 사랑하게 돼/KinKi의 의욕충만송 여름의 왕/이제 너 이외 사랑할 수 없어 내 등에는 날개가 있어 정열 Hey! 모두 잘 지내? 슬픔 블루 solitude ~진실의 이별~ 영원의 BLOODS 마음에 꿈을 너에게는 사랑을/반짝☆반짝 박하사탕 있지, 힘낼게. Anniversary 비로도의 어둠 SNOW! SNOW! SNOW! 여름 모양 BRAND NEW SONG 영원히 Secret Code 약속 스완송 Family ~하나가 되는 것 Time 특이한 모양의 돌 아직 눈물이 되지 않은 슬픔이/향기로운 사랑도 언젠가 지는 법 열쇠 없는 상자 꿈을 꾸면 상처받는 일도 있어 장미와 태양 길은 손수 꿈의 꽃 앨범 A album B album C album D album E album F album G album -24/7- H album -H・A・N・D- I album -iD- Ø J album K album L album M album N album 베스트 앨범 KinKi Single Selection KinKi Single Selection II 39 그 외의 앨범 KinKi KaraoKe Single Selection 진행 방송 신 도모토 형제 관련 문서 쟈니즈 사무소 쟈니즈 엔터테인먼트 토라지·하이지 J-FRIENDS vdeh쟈니즈 사무소임원 대표이사 사장: 쟈니 키타가와 대표이사 부사장: 메리 키타가와 대표이사 부사장: 후지시마 쥬리 케이코 소속 탤런트솔로 콘도 마사히코 오카모토 켄이치 우치우미 코지 사토 아츠히로 야마시타 토모히사 이쿠타 토마 우치 히로키 나카야마 유마 카자마 슌스케 야라 토모유키 하세가와 준 사노 미즈키 모리모토 류타로 나카이 마사히로 키무라 타쿠야 소년대 니시키오리 카즈키요 우에쿠사 카츠히데 히가시야마 노리유키 TOKIO 죠시마 시게루 코쿠분 타이치 마츠오카 마사히로 나가세 토모야 V620th Century 사카모토 마사유키 나가노 히로시 이노하라 요시히코 Coming Century 모리타 고 미야케 켄 오카다 준이치 KinKi Kids 도모토 코이치 도모토 쯔요시 아라시 오노 사토시 니노미야 카즈나리 사쿠라이 쇼 마츠모토 준 아이바 마사키 타키 & 츠바사 타키자와 히데아키 이마이 츠바사 NEWS 코야마 케이치로 마스다 타카히사 카토 시게아키 테고시 유야 칸쟈니∞ 요코야마 유 시부타니 스바루 무라카미 싱고 마루야마 류헤이 야스다 쇼타 니시키도 료 오쿠라 타다요시 KAT-TUN 카메나시 카즈야 우에다 타츠야 나카마루 유이치 Hey! Say! JUMPHey! Say! 7 야마다 료스케 치넨 유리 나카지마 유토 오카모토 케이토 모리모토 류타로 Hey! Say! BEST 야오토메 히카루 야부 코타 아리오카 다이키 타카키 유야 이노오 케이 NYC 나카야마 유마 야마다 료스케 치넨 유리 Kis-My-Ft2 키타야마 히로미츠 센가 켄토 미야타 토시야 요코오 와타루 후지가야 타이스케 타마모리 유타 니카이도 타카시 Sexy Zone 나카지마 켄토 키쿠치 후마 사토 쇼리 마츠시마 소우 마리우스 요 A.B.C-Z 고세키 코이치 토츠카 쇼타 츠카다 료이치 카와이 후미토 하시모토 료스케 쟈니즈WEST 나카마 준타 하마다 타카히로 키리야마 아키토 시게오카 다이키 카미야마 토모히로 후지이 류세이 코타키 노조무 포~유~ 코시오카 유키  마츠자키 유스케  후쿠다 유타  타츠미 유다이 King & Prince 히라노 쇼 나가세 렌 타카하시 카이토 키시 유타 이와하시 겡키 진구지 유타 관련 회사 쟈니즈 엔터테인먼트 제이 스톰 제이 드림 도쿄 글로브좌 쟈니즈 패밀리 클럽 영 커뮤니케이션 콘서트 사무국 과거 과거의 쟈니즈 소속자 Jr. 과거의 그룹(1990년 이전) Jr. 과거의 그룹(1990년대) Jr. 과거의 그룹(2000년대) 과거의 백 밴드 그룹 OB에 의한 그룹 일람 타이업 목록 쟈니즈 주니어 목록 관련 항목 후지시마 타이스케 모리 미츠코 NO BORDER 카운트다운 라이브 대운동회 Marching J 금성 스타즈 기타 쟈니즈 Jr. 칸사이 쟈니즈 Jr. 기획 유닛 vdeh더 텔레비전 드라마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1회 - 10회('94 [2] - '96 [3])1. 타무라 마사카즈 | 2. 오다 유지 | 3. 사나다 히로유키 | 4. 나카이 마사히로 | 5. 마츠모토 코시로 | 6. 토요카와 에츠시 | 7. 이시다 잇세이 | 8. 타무라 마사카즈 | 9. 기무라 타쿠야 | 10. 오다 유지11회 - 20회('96 [4] - '99 [1])11. 카토리 싱고 | 12. 오다 유지 | 13. 쿠사나기 츠요시 | 14. 나카이 마사히로 | 15. 기무라 타쿠야 | 16. 이시다 잇세이 | 17. 다케노우치 유타카 | 18. 가네시로 타케시 | 19. 기무라 타쿠야 | 20. 에구치 요스케21회 - 30회('99 [2] - '01 [3])21. 와타베 아츠로 | 22. 도모토 츠요시 | 23. 토요카와 에츠시 | 24. 기무라 타쿠야 | 25. 타키자와 히데아키 | 26. 도모토 츠요시 | 27. 카라사와 토시아키 | 28. 기무라 타쿠야 | 29. 나가세 토모야 | 30. 에구치 요스케31회 - 40회('01 [4] - '04 [1])31 타무라 마사카즈 | 32. 카토리 싱고 | 33. 기무라 타쿠야 | 34. 타키자와 히데아키 | 35. 유스케 산타마리아 | 36. 쿠사나기 츠요시 | 37. 츠마부키 사토시 | 38. 요시오카 히데타카 | 39. 다케노우치 유타카 | 40. 나카이 마사히로41회 - 50회('04 [2] - '06 [3])41. 츠마부키 사토시 | 42. 야마다 타카유키 | 43. 카토리 싱고 | 44. 에구치 요스케 | 45. 나가세 토모야 | 46. 아베 히로시 | 47. 카메나시 카즈야 | 48. 야마다 타카유키 | 49. 토요카와 에츠시 | 50. 아베 히로시51회 - 60회('06 [4] - '09 [1])51. 쿠사나기 츠요시 | 52. 기무라 타쿠야 | 53. 마츠모토 준 | 54. 타치 히로시 | 55. 후쿠야마 마사하루 | 56. 오카다 준이치 | 57. 기무라 타쿠야 | 58 사토 류타 | 59. 니노미야 카즈나리 | 60. 마츠야마 켄이치61회 - 70회('09 [2] - '11 [3])61. 아베 히로시 | 62. 쿠사나기 츠요시 | 63. 오오사와 타카오 | 64. 카라사와 토시아키 | 65. 오노 사토시 | 66. 사카이 마사토 | 67. 니노미야 카즈나리 | 68 미즈타니 유타카 | 69. 오오사와 타카오] | 70. 에이타71회 - 80회('11 [4] - '14 [1])71. 카메나시 카즈야 | 72. 마츠모토 준 | 73. 오노 사토시 | 74. 오구리 슌 | 75. 기무라 타쿠야 | 76. 에이타 | 77. 사쿠라이 쇼 | 78. 사카이 마사토 | 79. 사카이 마사토 | 80. 마츠모토 준81회 - 90회('14 [2] - '16 [3])81 오구리 슌 | 82. 기무라 타쿠야 | 83. 오카다 준이치 | 84. 쿠사나기 츠요시 | 85. 사토 타케루 | 86. 쿠보타 마사타카 | 87. 아베 히로시 | 88. 코라 켄고 | 89. 오노 사토시 | 90. 후지와라 타츠야91회 - 100회('16 [4] - '19 [1])91. 사카이 마사토 | 92. 쿠사나기 츠요시 | 93. 후지와라 타츠야 | 94. 야마시타 토모히사 | 95. 야쿠쇼 코지 | 96. 마츠모토 준 | 97. 다나카 케이 | 98. 야마자키 켄토 | 99. 카쿠 켄토 | 100. 스다 마사키 vdeh닛칸스포츠 드라마 그랑프리 남우주연상 기무라 타쿠야 도모토 츠요시 기무라 타쿠야 기무라 타쿠야 타키자와 히데아키 기무라 타쿠야 나카이 마사히로 타키자와 히데아키 야마시타 토모히사 니노미야 카즈나리 아카니시 진 오노 사토시 카메나시 카즈야 카메나시 카즈야 오노 사토시 사카이 마사토 오노 사토시 야마시타 토모히사 오노 사토시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4457852 LCCN: no2003044241 ISNI: 0000 0000 8429 1941 뮤직브레인즈: 21ff2e57-964c-47a7-9e32-22ca7cddaf54 NDL: 00650058 CiNii: DA1359597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도모토_츠요시&oldid=24438311" 분류: 자니즈킨키 키즈1979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나라시 출신일본의 남자 싱어송라이터일본의 남자 가수일본의 남자 배우일본의 아이돌호리코시 고등학교 동문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تۆرکجهEnglishفارسیItaliano日本語SvenskaไทยTagalog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6일 (일) 23: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도모토 쓰요시(일본어: 堂本 剛, 1979년 4월 10일 ~ )는 일본의 가수, 배우이며, 남성 아이돌 듀오 KinKi Kids의 멤버이다. 나라현 출신. 쟈니즈 사무소 소속. 같은 그룹의 멤버 인 도모토 코이치 혈연 관계는 없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도모토 츠요시의 경력 및 돌발성 난청 상태는 어떠한가? Assistant: 2017년 6월 19일 드라마 <우리들의 용기 미만시티 2017>촬영 중 "왼쪽 귀를 시작으로 오른쪽 귀까지 들리지 않는"등의 증세가 나타나 <돌발성 난청>으로 진단되었다. 같은 달 27일 신중을 기해서 입원하였다. 같은 달 28일 생방송 <테레토 음악제 2017>과 7월 1월 생방송 <THE MUSIC DAY>의 출연을 보류하였다. 7월 4일에 퇴원하고 통원 치료. 7월 15일과 16일 요코하마 스타디움에서 열린 데뷔 20주년 행사 <KinKi Kids Party~20주년>의 라이브 현장 출연은 단념하였지만, 도쿄 도내에서 생중계 연결을 통한 영상 출연으로 노래를 선 보였다. 7월 20일 문화 방송의 특집 <You들 드디어 스무살이다!, KinKi Kids 돈나몬야! 3시간 생방송 스페셜!>에는 예정대로 생방송으로 출연을 하였다. 다음 날 21일 <ZIP!> 에 퇴원 이후 처음으로 텔레비전 생방송 출연을 하였다. <SUMMER SONIC 2017 (8월 19일 치바/20일 오사카)>과 <이나즈마 록 페스피벌 2017 (9월 17일 시가)>의 출연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라이브를 실시할 정도로 회복에 이르지 못했다는 담당 의사의 판단에 따라 출연을 보류하였다. 9월 1일~3일 교토 <헤이안 신궁>에서 개최 예정이었던 솔로 공연도 중지되었다. 그리고 10월 29일 <테레비 아사히 드림 페스티벌 2017>에서 음악 활동을 재개. 5월 31일 녹화한 음악 프로그램 <MTV언플러그드> 이후 151일 만에 KinKi Kids 두 사람이 무대에 함께 올랐다. 2018년 6월 7일 2년 만의 솔로 라이브 <ENDRECHERI TSUYOSHI DOMOTO> NHK홀 라이브에서 2017년 12월에 의학적 치료를 마친 후에는 침 치료로 전환하였으며, 어느 정도 증상은 회복되고 있지만 완치는 어렵다고 생각된다는 등의 현상을 보고하였다.
Human: 아래 대선거구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선거구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선거구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선거구제(大選擧區制)는 하나의 선거구에서 2명 이상의 당선자를 선출하는 선거 제도이다. 하나의 선거구에서 1명의 당선자를 선출하는 소선거구제에 대응하는 말로, 이 중에서도 한 선거구에서 2명 ~ 5명을 선출하는 것을 중선거구제라고도 한다. 목차 1 투표 방식 1.1 대한민국 2 장단점 3 함께 보기 4 각주 투표 방식[편집] 선거권자가 후보자 중 1명에게만 투표하는 단기명투표(單記名投票)와 2명 이상에게 투표하는 연기명투표(連記名投票)로 나눌 수 있는데, 넓게는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比例代表制)도 대선거구제로 볼 수 있다. 단기명 투표 단순 단기명 투표 : 단기 비이양식 투표 제도라고도 한다. 선거권자가 후보자 중 1명에게만 투표하고, 가장 많은 득표를 한 후보자 순으로 당선된다.(예. 대한민국의 자치구·시·군의회 지역구 의원 선거) 단기 이양식 투표 : 선거권자가 후보자들에 대한 선호의 순위를 표시하여 투표하여 1순위부터 쿼터{당선 필요 득표수 = 유효투표수/(당선 정원+1)}를 채운 후보자 순으로 당선되고, 쿼터를 초과하는 표는 다음 순위자에게 비례 배분한다. 연기명 투표 완전 연기명 투표 : 선거권자가 해당 선거구에서 선출되는 당선 정원만큼의 후보자에게 투표한다.(예. 한 선거구에서 6명이 선출될 경우, 후보자 중 6명에게 기표 가능) 제한 연기명 투표 : 선거권자가 해당 선거구에서 선출되는 당선 정원보다 적은 수의 후보자에게 투표한다.(예. 한 선거구에서 6명이 선출될 경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총선 참의원 의원 선거 규칙에 따르면 당선 정원의 2분의 1인 3명까지 기표 가능) 누적투표제 : 연기명 투표의 일종으로, 선거권자가 특정 후보에게 중복해서 투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기명 투표와 제한 연기명 투표는 소수파에게 유리하고, 완전 연기명 투표는 다수파에게 유리하다. 대한민국[편집] 2019년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자치구·시·군의회 지역구 의원 선거에서만 한 선거구에서 2 ~ 4명을 선출하는 중선거구제(투표 방식은 단순 단기명 투표)를 채택하고 있다.(공직선거법 제26조제2항) 장단점[편집] 대선거구제의 가장 큰 장점은 사표를 줄일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소수파의 의회 진출이 용이하고, 선거구가 넓어서 전국적으로 지명도가 있는 인물이 선출되는 데 유리하며, 지연·혈연과 같은 비합리적 요소에 의한 당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반면 후보자와 선거권자 사이의 유대 관계가 긴밀하지 못하고, 투표와 개표 등에 관한 선거비용이 많이 들며, 재보궐선거의 실시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단순 단기명 투표제를 취할 경우 소수 정당이 지지율에 비해 과대 의석을 차지할 가능성이 있고, 군소정당의 난립으로 정국 불안이 초래될 가능성도 있다. 과거 일본 중의원(2~5인 선거구)이나 현재의 아일랜드(3~5인 선거구)의 사례에서는, 지연·혈연과 같은 비합리적 요소에 의한 당선 가능성이 줄일 수 있다는 대선거구제의 이론상의 장점이 나타나기보다, 적은 득표율로도 당선될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당내 파벌 형성과 지역구에 고착된 인적 기반(고정지지표) 관리 등의 비합리적 요소에 의해 재선, 다선(多選)은 물론 의원직을 세습하는 현상이 자주 나타났다.[1][2][3] 함께 보기[편집] 선거구 소선거구제 중선거구제 각주[편집] ↑ 일본 중의원 선거 소선거구제 추진 경향신문, 1991.6.27. ↑ 국회 입법조사처 "중대선거구제, 과열경쟁속 계파정치 부작용" 연합뉴스, 2017.1.29. ↑ <일본 파벌정치 대해부> 1994년 소선거구제 도입…계파 수장 '돈·공천 권력' 급속 감소 문화일보, 2014.9.2.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선거구제&oldid=24063614" 분류: 선거 제도선거구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09: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대선거구제(大選擧區制)는 하나의 선거구에서 2명 이상의 후보를 뽑는 선거 제도이다. 하나의 선거구에서 1명의 당선자를 선출하는 소선거구제에 대응하는 말로, 이 중에서도 한 선거구에서 2~5명을 선출하는 것을 중선거구제라고도 한다(주로 특별시, 도, 광역시 단위로 시행).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대선거구제가 가지는 가장 큰 장점은 뭐야? Assistant: 사표를 줄일 수 있다는 점 Human: 아래 유치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유치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치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현재 이 문서는 특정 국가나 지역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다른 국가·지역에 대한 내용을 보충하여 문서의 균형을 맞추어 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5년 3월) 유치권(留置權, 독일어: Retentionsrecht, 프랑스어: droit de rétention , 영어: lien)은 타인의 물건이나 유가증권을 점유한[1] 자가 그 물건이나 유가증권에 관한 채권[2]의 전부를 변제[3]받을 때까지 그 물건이나 유가증권을 유치[4]하여 채무자의 변제를 심리상으로 강제하는 민법의 법정담보물권[5]이다.(대한민국 민법 제320조 제1항) B의 라디오 수선을 의뢰받은 A는 B가 수선한 대금을 지급할 때까지 라디오를 B에게 돌려주지 않고 그대로 유치할 수가 있다. 법률은 타인의 물건이나 유가증권을 점유하는 자가 그 물건이나 유가증권에 관하여 채권을 가질 때는 그 채권을 변제받을 때까지 그 물건이나 유가증권의 반환을 거절할 수 있게 하여 채권의 효력을 강화시켜야 공평하다고 판단하므로 이런 제도를 정한다. '타인의 물건이나 유가증권을 점유한 자'에서 타인이란 보통은 채무자이지만, 제3자[6]도 포함된다고 해석한다. '점유자'는 불법으로 점유한 자는 안 된다.(대한민국 민법 제320조 제2항) 도적이 도품을[7] 수선하더라도 그 수선한 대금을 특별히 보호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그 물건이나 유가증권에 관해서 생긴 채권'이란 외국에 나가 있는 친구 집의 관리를 의뢰받은 사람이 입체해서[8] 납부한 가옥의 재산세처럼 그 물건 자체에서 발생한 채권과 라디오를 수선하여 주문자에게 돌려줄 때의 수선 대금처럼 그 물건이나 유가증권의 반환 채무와 같은 법률관계나 생활 관계에서 발생한 채권을 말한다.[9] 목차 1 유치의 효력 2 경매청구권 3 유치물의 보관 4 저당권과 경합 5 동시이행의 항변권과 비교 6 경매권 7 판례 8 각주와 참고자료 9 같이 보기 유치의 효력[편집] 유치권은 목적물의[10] 인도를 거절하여 채무자의 변제를 간접으로 강제를 목적한다. '유치'한다는 것은 목적물의 점유를 계속해서 그 인도를 거절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옥의 명도를[11] 요구받은 집을 빌려 든 사람은 가옥에 가한 수선비를 가옥 소유자가 상환할 때까지 그 가옥에 계속 거주하면서 명도를 거절할 수 있으나 선박을 유치하는 때, 이것을 먼 곳의 운송 업무를 위해 사용하는 것은 유치의 한계를 넘는 것이 되어 허용될 수 없다. 요컨대 인도 거절에 필요한 범위에서 계속 사용이 허용되며, 유치권은 물권으로서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있으므로 가옥의 수선비의 상환을 청구하는 집을 빌려 든 사람은 가옥 소유자가 그 가옥을 제3자에게 팔아 버리고 나서도 그 제3자[12]에게 유치권을 행사할 수 있다. 기타 유치권자는 유치물에서 생기는 과실을[13] 취득하며 타 채권자에 우선하여 이것을 그 채권 변제에 충당할 수 있다.(과실수취권, 대한민국 민법 제323조 제1항)[14] 경매청구권[편집] 담보물권 중에서 유치권만은 우선변제권이 없으나 유치권자를 경매권자로서 인정하므로[15], 채무자가 무기한으로 변제하지 않을 때는 유치권자는 다만 유치에 그치지 않고 나아가 그 물건의 경매를 법원에 신청할 수가 있다. 경매에서 채무자나 최고가매수신고인을[16] 포함한 제3자가 목적물의 인도받으려면 유치권자에게 먼저 변제하여야 하므로 우선변제권이 있는 것과 같다[17].[18] 유치물의 보관[편집] 유치권자는 자기의 이익 때문에 타인의 물건을 보관하므로 보관할 때는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19]. 유치권자가 소유자의 승낙을 얻지 않고 그 물건을 사용할 때는 소유자는 유치권의 소멸을 청구할 수 있다[20]. 그러나 보존에 필요한 사용에 관해서는 소유자의 승낙을 요하지 않는다[21]. 그러한 사용을 하더라도 소유자의 이익을 해치는 것이 되지 않으며,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로 보존되는 것이 그 물건을 위해 필요하기 때문이다. 유치물의 보관중에 지출한 필요비[22]는 소유자에게 상환을 청구할 수 있다[23].[24] 저당권과 경합[편집] 저당권과 유치권이 경합하는 때 유치권자는 변제받지 않는 한 목적물을 인도하지 않아도 되므로, 유치권은 저당권에 우선하게 된다.[25] 당연히 전세권에도 우선하게 된다. 동시이행의 항변권과 비교[편집] 동시이행의 항변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공통점 공평의 원칙상 인정된다. 채무 변제를 촉구하는 기능을 한다. 상환이행판결이 내려진다. 차이점 대세효[26]가 있다. 동시이행의 항변권은 특정인에게만 주장 가능하다. 법률에 의거해 인정되는 권리이다. 동시이행의 항변권은 계약에 의거해 인정되는 권리이다. "변제받을 때까지" 유치권 주장이 가능하다. 동시이행의 항변권은 "이행을 제공할 때까지" 주장이 가능하다. 불가분성이 있다. 전액 변제받을 때까지 전체에 걸쳐 유치권 주장이 가능하다. 동시이행 항변권은 미제공 부분에만 권리 주장이 가능하다. 상당한 담보를 제공하여 유치권 소멸 청구가 가능하다.[27] 유치권의 행사는 채권의 소멸시효의 진행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경매권[편집] 유치권자는 채권의 변제를 받기 위하여 유치물을 경매할 수 있다[28] 판례[편집] 유치권이 성립된 부동산의 매수인은 피담보채권의 소멸시효가 완성되면 시효로 인하여 채무가 소멸되는 결과 직접적인 이익을 받는 자에 해당하므로 소멸시효의 완성을 원용할 수 있는 지위에 있다고 할 것이나, 매수인은 유치권자에게 채무자의 채무와는 별개의 독립된 채무를 부담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채무자의 채무를 변제할 책임을 부담하는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유치권의 피담보채권의 소멸시효기간이 확정판결 등에 의하여 10년으로 연장된 경우 매수인은 그 채권의 소멸시효기간이 연장된 효과를 부정하고 종전의 단기소멸시효기간을 원용할 수는 없다[29] 공사대금채권에 기하여 유치권을 행사하는 자가 스스로 유치물인 주택에 거주하며 사용하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유치물인 주택의 보존에 도움이 되는 행위로서 유치물의 보존에 필요한 사용에 해당한다[30] 유치권자는 유치물 소유자의 승낙 없이 유치물을 보존에 필요한 범위를 넘어 사용할 수 없고, 유치권자가 유치물을 그와 같이 사용한 경우에는 그로 인한 이익을 부당이득으로 소유자에게 반환하여야 한다. 그 경우에 그 반환의무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른 부당이득반환청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의무자가 실제로 어떠한 구체적 이익을 얻었는지에 좇아 정하여진다. 따라서 유치권자가 유치물에 관하여 제3자와의 사이에 전세계약을 체결하여 전세금을 수령하였다면 전세금이 종국에는 전세입자에게 반환되어야 할 것임에 비추어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가 얻은 구체적 이익은 그가 전세금으로 수령한 금전의 이용가능성이고, 그가 이와 같이 구체적으로 얻은 이익과 관계없이 추상적으로 산정된 차임 상당액을 부당이득으로 반환하여야 한다고 할 수 없다. 그리고 이러한 이용가능성은 그 자체 현물로 반환될 수 없는 성질의 것이므로 그 ‘가액’을 산정하여 반환을 명하여야 하는바, 그 가액은 결국 전세금에 대한 법정이자 상당액이다[31]. 각주와 참고자료[편집] 김형배, 민법학 강의, 신조사 신법률학사전, 법률신문사 ↑ 占有;사회 통념상 물건이 어떤 사람의 지배하에 있다고 하는, 자기와의 관련에서 벗어나 제삼자의 처지에서 사물을 보거나 판단하는 관계 ↑ 債權;재산권의 하나로서 특정인이 타 특정인에게 어떤 행위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이다. ↑ 辨濟;채무자가 채무의 내용에 따라 급부를 실현하는 행위;채무 이행. ↑ 留置;남의 물건을 맡아 둠. ↑ 法定擔保物權;제한물권 중 하나. 일정한 채권을 대상으로 하여 법률상 인정되는 담보물권으로서 유치권, 법정 질권, 법정 저당권 따위가 있다. ↑ 법률관계에서 직접 참여하는 자를 당사자라고 하며, 당사자 이외의 자를 제3자라고 한다. ↑ 절도나 강도로 말미암아 빼앗긴 물건 ↑ 立替;나중에 상환받기로 하고 금전이나 재물 따위를 대신 지급하는 일을 일상으로 이르는 말. "뀌어줌'으로 순화. ↑ 《글로벌 세계대백과》〈유치권〉 ↑ 목적물이란 대개 권리나 의무나 법률행위의 직접이나 간접 대상을 가리킨다. 물권의 목적물은 그것을 지배하는 직접 대상인 물건이지만 채권의 직접 대상은 목적인 급부이며 목적물은 간접 대상에 불과하나 법문상 목적과 목적물은 혼용된다. ↑ 明渡;건물, 토지, 선박 따위를 남에게 주거나 맡김. 또는 그런 일. ‘내어 줌’, ‘내줌’, ‘넘겨줌’, ‘비워 줌’으로 순화. ↑ 買收人;금품이나 그 밖의 수단에 넘어가 반대편이나 다른 편이 된 사람. ↑ 果實;어떤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근원이 되는 물건. 우유에 대하여 젖소, 과일에 대하여 과실나무 따위에서 생기는 이익과 물건의 사용 대가로 받는 돈이나 물건. 금리, 지대(地代) 따위를 비유로 이르는 말. 곡물, 양모 따위의 천연과실과 이자, 집세, 땅세 따위의 법정과실이 있다. ↑ 《글로벌 세계대백과》〈유치적 효력〉 ↑ 대한민국 민법 제322조 제1항, 대한민국 민사집행법 제91조 제5항 · 제268조 · 제274조 참조. ↑ 最高價買收申告人;민사소송법에서, 경매에 의거하여 동산이나 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한 사람. 舊 경락인(競落人) ↑ 경매 3조 3항 ↑ 《글로벌 세계대백과》〈경매청구권〉 ↑ 324조 1항 ↑ 324조 2항·3항 ↑ 324조 2항 단서 ↑ 必要費; 물건을 보존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비용. ↑ 325조 ↑ 《글로벌 세계대백과》〈유치물의 보관〉 ↑ 《글로벌 세계대백과》〈저당권의 순위〉 ↑ 對世效;위헌 결정의 효력이 당사자, 제3자, 모든 국가기관에도 미치는 형태;일부에 한정하지 않고 전체에 걸치는 효력. ↔ 對人效;당해 사건 당사자에게만 효력이 미치는 형태;여럿 중에서 하나씩 따로 나뉘어 있는 효력. ↑ 민법 제 327조 ↑ 민법 제322조 ↑ 대법원 2009.9.24. 선고 2009다39530 판결 ↑ 2009다40684 ↑ 2009다32324 같이 보기[편집] 가압류 강제집행 무수익여신(en:Non-performing loan, 부실채권) vdeh대한민국 민법제1편 총칙제1장 통칙 제1조 제2조 제2장 인제1절 능력 제3조 제4조 제5조 제6조 제7조 제8조 제9조 제10조 제11조 제12조 제13조 제14조 제14조의2 제14조의3 제15조 제16조 제17조 제2절 주소 제18조 제19조 제20조 제21조 제3절 부재와 실종 제22조 제23조 제24조 제25조 제26조 제27조 제28조 제29조 제30조 제3장 법인제1절 총칙 제31조 제32조 제33조 제34조 제35조 제36조 제37조 제38조 제39조 제2절 설립 제40조 제41조 제42조 제43조 제44조 제45조 제46조 제47조 제48조 제49조 제50조 제51조 제52조 제52조의2 제53조 제54조 제55조 제56조 제3절 기관 제57조 제58조 제59조 제60조 제60조의2 제61조 제62조 제63조 제64조 제65조 제66조 제67조 제68조 제69조 제70조 제71조 제72조 제73조 제74조 제75조 제76조 제4절 해산 제77조 제78조 제79조 제80조 제81조 제82조 제83조 제84조 제85조 제86조 제87조 제88조 제89조 제90조 제91조 제92조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제5절 벌칙 제97조 제4장 물건 제98조 제99조 제100조 제101조 제102조 제5장 법률행위제1절 총칙 제103조 제104조 제105조 제106조 제2절 의사표시 제107조 제108조 제109조 제110조 제111조 제112조 제113조 제3절 대리 제114조 제115조 제116조 제117조 제118조 제119조 제120조 제121조 제122조 제123조 제124조 제125조 제126조 제127조 제128조 제129조 제130조 제131조 제132조 제133조 제134조 제135조 제136조 제4절 무효와 취소 제137조 제138조 제139조 제140조 제141조 제142조 제143조 제144조 제145조 제146조 제5절 조건과 기한 제147조 제148조 제149조 제150조 제151조 제152조 제153조 제154조 제6장 기간 제155조 제156조 제157조 제158조 제159조 제160조 제161조 제7장 소멸시효 제162조 제163조 제164조 제165조 제166조 제167조 제168조 제169조 제170조 제171조 제172조 제173조 제174조 제175조 제176조 제177조 제178조 제179조 제180조 제181조 제182조 제183조 제184조 제2편 물권법제1장 총칙 제185조 제186조 제187조 제188조 제189조 제190조 제191조 제2장 점유권 제192조 제193조 제194조 제195조 제196조 제197조 제198조 제199조 제200조 제201조 제202조 제203조 제204조 제205조 제206조 제207조 제208조 제209조 제210조 제3장 소유권제1절 소유권의 한계 제211조 제212조 제213조 제214조 제215조 제216조 제217조 제218조 제219조 제220조 제221조 제222조 제223조 제224조 제225조 제226조 제227조 제228조 제229조 제230조 제231조 제232조 제233조 제234조 제235조 제236조 제237조 제238조 제239조 제240조 제241조 제242조 제243조 제244조 제2절 소유권의 취득 제245조 제246조 제247조 제248조 제249조 제250조 제251조 제252조 제253조 제254조 제255조 제256조 제257조 제258조 제259조 제260조 제261조 제3절 공동소유 제262조 제263조 제264조 제265조 제266조 제267조 제268조 제269조 제270조 제271조 제272조 제273조 제274조 제275조 제276조 제277조 제278조 제4장 지상권 제279조 제280조 제281조 제282조 제283조 제284조 제285조 제286조 제287조 제288조 제289조 제289조의2 제290조 제5장 지역권 제291조 제292조 제293조 제294조 제295조 제296조 제297조 제298조 제299조 제300조 제301조 제302조 제6장 전세권 제303조 제304조 제305조 제306조 제307조 제308조 제309조 제310조 제311조 제312조 제312조의2 제313조 제314조 제315조 제316조 제317조 제318조 제319조 제7장 유치권 제320조 제321조 제322조 제323조 제324조 제325조 제326조 제327조 제328조 제8장 질권제1절 동산질권 제329조 제330조 제331조 제332조 제333조 제334조 제335조 제336조 제337조 제338조 제339조 제340조 제341조 제342조 제343조 제344조 제2절 권리질권 제345조 제346조 제347조 제348조 제349조 제350조 제351조 제352조 제353조 제354조 제355조 제9장 저당권 제356조 제357조 제358조 제359조 제360조 제361조 제362조 제363조 제364조 제365조 제366조 제367조 제368조 제369조 제370조 제371조 제372조 제3편 채권법제1장 총칙제1절 채권의 목적 제373조 제374조 제375조 제376조 제377조 제378조 제379조 제380조 제381조 제382조 제383조 제384조 제385조 제386조 제2절 채권의 효력 제387조 제388조 제389조 제390조 제391조 제392조 제393조 제394조 제395조 제396조 제397조 제398조 제399조 제400조 제401조 제402조 제403조 제404조 제405조 제406조 제407조 제3절 수인의 채권자 및 채무자 제408조 제409조 제410조 제411조 제412조 제413조 제414조 제415조 제416조 제417조 제418조 제419조 제420조 제421조 제422조 제423조 제424조 제425조 제426조 제427조 제428조 제428조의2 제428조의3 제429조 제430조 제431조 제432조 제433조 제434조 제435조 제436조 제436조의2 제437조 제438조 제439조 제440조 제441조 제442조 제443조 제444조 제445조 제446조 제447조 제448조 제4절 채권의 양도 제449조 제450조 제451조 제452조 제5절 채무의 인수 제453조 제454조 제455조 제456조 제457조 제458조 제459조 제6절 채권의 소멸 제460조 제461조 제462조 제463조 제464조 제465조 제466조 제467조 제468조 제469조 제470조 제471조 제472조 제473조 제474조 제475조 제476조 제477조 제478조 제479조 제480조 제481조 제482조 제483조 제484조 제485조 제486조 제487조 제488조 제489조 제490조 제491조 제492조 제493조 제494조 제495조 제496조 제497조 제498조 제499조 제500조 제501조 제502조 제503조 제504조 제505조 제506조 제507조 제7절 지시채권 제508조 제509조 제510조 제511조 제512조 제513조 제514조 제515조 제516조 제517조 제518조 제519조 제520조 제521조 제522조 제8절 무기명채권 제523조 제524조 제525조 제526조 제2장 계약제1절 총칙 제527조 제528조 제529조 제530조 제531조 제532조 제533조 제534조 제535조 제536조 제537조 제538조 제539조 제540조 제541조 제542조 제543조 제544조 제545조 제546조 제547조 제548조 제549조 제550조 제551조 제552조 제553조 제2절 증여 제554조 제555조 제556조 제557조 제558조 제559조 제560조 제561조 제562조 제3절 매매 제563조 제564조 제565조 제566조 제567조 제568조 제569조 제570조 제571조 제572조 제573조 제574조 제575조 제576조 제577조 제578조 제579조 제580조 제581조 제582조 제583조 제584조 제585조 제586조 제587조 제588조 제589조 제590조 제591조 제592조 제593조 제594조 제595조 제4절 교환 제596조 제597조 제5절 소비대차 제598조 제599조 제600조 제601조 제602조 제603조 제604조 제605조 제606조 제607조 제608조 제6절 사용대차 제609조 제613조 제614조 제614조 제615조 제616조 제617조 제7절 임대차 제618조 제619조 제620조 제621조 제622조 제623조 제624조 제625조 제626조 제627조 제628조 제629조 제630조 제631조 제632조 제633조 제634조 제635조 제636조 제637조 제638조 제639조 제640조 제641조 제642조 제643조 제644조 제645조 제646조 제647조 제648조 제649조 제650조 제651조 제652조 제653조 제654조 제8절 고용 제655조 제656조 제657조 제658조 제659조 제660조 제661조 제662조 제663조 제9절 도급 제664조 제665조 제666조 제667조 제668조 제669조 제670조 제671조 제672조 제673조 제674조 제9절의2 여행계약 제674조의2 제674조의3 제674조의4 제674조의5 제674조의6 제674조의7 제674조의8 제674조의9 제10절 현상광고 제675조 제676조 제677조 제678조 제679조 제11절 위임 제680조 제681조 제682조 제683조 제684조 제685조 제686조 제687조 제688조 제689조 제690조 제691조 제692조 제12절 임치 제693조 제694조 제695조 제696조 제697조 제698조 제699조 제700조 제701조 제702조 제13절 조합 제703조 제704조 제705조 제705조 제706조 제707조 제708조 제709조 제710조 제711조 제712조 제713조 제714조 제715조 제716조 제717조 제718조 제719조 제720조 제721조 제722조 제723조 제724조 제14절 종신정기금 제725조 제726조 제727조 제728조 제729조 제730조 제15절 화해 제731조 제732조 제733조 제3장 사무관리 제734조 제735조 제736조 제737조 제738조 제739조 제740조 제4장 부당이득 제741조 제742조 제743조 제744조 제745조 제746조 제747조 제748조 제749조 제5장 불법행위 제750조 제751조 제752조 제753조 제754조 제755조 제756조 제757조 제758조 제759조 제760조 제761조 제762조 제763조 제764조 제765조 제766조 제4편 친족법제1장 총칙 제767조 제768조 제769조 제770조 제771조 제772조 제773조 제774조 제775조 제776조 제777조 제2장 가족의 범위와 자의 성과 본제778조 제779조 제780조 제781조 제782조 제783조 제784조 제785조 제786조 제787조 제788조 제789조 제790조 제791조 제792조 제793조 제794조 제795조 제796조 제797조 제798조 제799조제3장 혼인제1절 약혼 제800조 제801조 제802조 제803조 제804조 제805조 제806조 제2절 혼인의 성립 제807조 제808조 제809조 제810조 제811조 제812조 제813조 제814조 제3절 혼인의 무효와 취소 제815조 제816조 제817조 제818조 제819조 제820조 제821조 제822조 제823조 제824조 제824조의2 제825조 제4절 혼인의 효력제1관 일반적 효력 제826조 제826조의2 제827조 제828조 제2관 재산상 효력 제829조 제830조 제831조 제832조 제833조 제5절 이혼제1관 협의상 이혼 제834조 제835조 제836조 제836조의2 제837조 제837조의2 제838조 제839조 제839조의2 제839조의3 제2관 재판상 이혼 제840조 제841조 제842조 제843조 제4장 부모와 자제1절 친생자 제844조 제864조의2 제865조 제2절 양자제1관 입양의 요건과 효력 제866조 제882조의2 제2관 입양의 무효와 취소 제883조 제897조 제3관 파양제1항 협의상 파양 제898조 제904조 제2항 재판상 파양 제905조 제908조 제4관 친양자 제908조의2 제908조의8 제3절 친권제1관 총칙 제909조 제912조 제2관 친권의 효력 제913조 제914조 제915조 제916조 제917조 제918조 제919조 제920조 제921조 제922조 제923조 제3관 친권의 상실 제924조 제927조의2 제5장 후견제1절 미성년 후견과 성년 후견제1관 후견인 제928조 제929조 제930조 제932조 제933조 제934조 제935조 제936조 제937조 제938조 제939조 제940조 제2관 후견감독인 제940조의2 제940조의7 제3관 후견인의 임무 제941조 제956조 제4관 후견의 종료 제957조 제958조 제959조 제2절 한정후견과 특정후견 제959조의2 제959조의13 제3절 후견계약 제959조의14 제959조의20 제6장 삭제제960조 제973조제7장 부양 제974조 제979조 제8장 삭제제1절 삭제제980조 제983조제2절 삭제제984조 제994조제3절 삭제제995조 제996조제5편 상속법제1장 상속제1절 총칙 제997조 제998조 제998조의2 제999조 제2절 상속인 제1000조 제1001조 제1002조 제1003조 제1004조 제3절 상속의 효력제1관 일반적 효력 제1005조 제1006조 제1007조 제1008조 제1008조의2 제1008조의3 제2관 상속분 제1009조 제1010조 제1011조 제3관 상속재산의 분할 제1012조 제1013조 제1014조 제1015조 제1016조 제1017조 제1018조 제4절 상속의 승인 및 포기제1관 총칙 제1019조 제1020조 제1021조 제1022조 제1023조 제1024조 제2관 단순승인 제1025조 제1026조 제1027조 제3관 한정승인 제1028조 제1029조 제1030조 제1031조 제1032조 제1033조 제1034조 제1035조 제1036조 제1037조 제1038조 제1039조 제1040조 제4관 포기 제1041조 제1042조 제1043조 제1044조 제5절 재산의 분리 제1045조 제1046조 제1047조 제1048조 제1049조 제1050조 제1051조 제1052조 제6절 상속인의 부존재 제1053조 제1054조 제1055조 제1056조 제1057조 제1058조 제1059조 제2장 유언제1절 총칙 제1060조 제1061조 제1062조 제1063조 제1064조 제2절 유언의 방식 제1065조 제1066조 제1067조 제1068조 제1069조 제1070조 제1071조 제1072조 제3절 유언의 효력 제1073조 제1074조 제1075조 제1076조 제1077조 제1078조 제1079조 제1080조 제1081조 제1082조 제1083조 제1084조 제1085조 제1086조 제1087조 제1088조 제1089조 제1090조 제4절 유언의 집행 제1091조 제1092조 제1093조 제1094조 제1095조 제1096조 제1097조 제1098조 제1099조 제1100조 제1101조 제1102조 제1103조 제1104조 제1105조 제1106조 제1107조 제5절 유언의 철회 제1108조 제1109조 제1110조 제1111조 제3장 유류분 제1112조 제1113조 제1114조 제1115조 제1116조 제1117조 제1118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유치권&oldid=24192799" 분류: 민법물권법법률 용어숨은 분류: 일부 지역만을 다루는 글/2015년 3월일부 지역만을 다루는 모든 글전체에 세계화가 필요한 글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7:0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유치권(留置權, 독일어: Retentionsrecht, 프랑스어: droit de rétention , 영어: lien)은 타인의 물건이나 유가증권을 점유한 자가 그 물건이나 유가증권에 관한 채권의 전부를 변제받을 때까지 그 물건이나 유가증권을 유치하여 채무자의 변제를 심리상으로 강제하는 민법의 법정담보물권이다.(대한민국 민법 제320조 제1항) B의 라디오 수선을 의뢰받은 A는 B가 수선한 대금을 지급할 때까지 라디오를 B에게 돌려주지 않고 그대로 유치할 수가 있다. 법률은 타인의 물건이나 유가증권을 점유하는 자가 그 물건이나 유가증권에 관하여 채권을 가질 때는 그 채권을 변제받을 때까지 그 물건이나 유가증권의 반환을 거절할 수 있게 하여 채권의 효력을 강화시켜야 공평하다고 판단하므로 이런 제도를 정한다. '타인의 물건이나 유가증권을 점유한 자'에서 타인이란 보통은 채무자이지만, 제3자도 포함된다고 해석한다. '점유자'는 불법으로 점유한 자는 안 된다.(대한민국 민법 제320조 제2항) 도적이 도품을 수선하더라도 그 수선한 대금을 특별히 보호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그 물건이나 유가증권에 관해서 생긴 채권'이란 외국에 나가 있는 친구 집의 관리를 의뢰받은 사람이 입체해서 납부한 가옥의 재산세처럼 그 물건 자체에서 발생한 채권과 라디오를 수선하여 주문자에게 돌려줄 때의 수선 대금처럼 그 물건이나 유가증권의 반환 채무와 같은 법률관계나 생활 관계에서 발생한 채권을 말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유치권과 동시이행 항변권의 공통점, 차이점은 무엇인가? Assistant: 공통점 공평의 원칙상 인정된다. 채무 변제를 촉구하는 기능을 한다. 상환이행판결이 내려진다. 차이점 대세효[26]가 있다. 동시이행의 항변권은 특정인에게만 주장 가능하다. 법률에 의거해 인정되는 권리이다. 동시이행의 항변권은 계약에 의거해 인정되는 권리이다. "변제받을 때까지" 유치권 주장이 가능하다. 동시이행의 항변권은 "이행을 제공할 때까지" 주장이 가능하다. 불가분성이 있다. 전액 변제받을 때까지 전체에 걸쳐 유치권 주장이 가능하다. 동시이행 항변권은 미제공 부분에만 권리 주장이 가능하다. 상당한 담보를 제공하여 유치권 소멸 청구가 가능하다.[27]
Human: 아래 라플라스_연산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라플라스 연산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라플라스 연산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수학에서, 라플라스 연산자(Laplace演算子, 영어: Laplace operator) 또는 라플라시안(영어: Laplacian)은 2차 미분 연산자의 일종으로, 기울기의 발산이다.[1][2] 기호는 Δ(그리스 대문자 델타) 또는 ∇2이다. 목차 1 정의 1.1 라플라스형 연산자 2 성질 3 예 3.1 함수의 경우 3.2 텐서장의 경우 3.3 유클리드 공간의 경우 3.4 민코프스키 공간 4 역사 5 응용 6 참고 문헌 7 외부 링크 정의[편집]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준 리만 다양체 ( M , g ) {\displaystyle (M,g)} M {\displaystyle M} 위의 매끄러운 벡터 다발 E {\displaystyle E} E {\displaystyle E} 위의 코쥘 접속 ∇ {\displaystyle \nabla } 그렇다면, E {\displaystyle E} 위의 라플라스 연산자는 다음과 같이 E {\displaystyle E} 의 매끄러운 단면을 매끄러운 단면에 대응시키는 2차 미분 연산자이다. Δ : Γ ∞ ( E ) → Γ ∞ ( E ) {\displaystyle \Delta \colon \Gamma ^{\infty }(E)\to \Gamma ^{\infty }(E)} 이는 국소 좌표계에서 다음과 같다. Δ s c = g i j ∇ i ∇ j s = g i j ( ∂ j δ b c + Γ i b c ) ( δ a b ∂ i s + Γ i a b s a ) = g i j ∂ i ∂ j s c + 2 g i j Γ i a c ∂ j s a + g i j ( ∂ i b c Γ j a b + Γ i b c Γ j a b ) s a ∀ s ∈ Γ ∞ ( E ) {\displaystyle \Delta s^{c}=g^{ij}\nabla _{i}\nabla _{j}s=g^{ij}(\partial _{j}\delta _{b}^{c}+\Gamma _{ib}^{c})(\delta _{a}^{b}\partial _{i}s+\Gamma _{ia}^{b}s^{a})=g^{ij}\partial _{i}\partial _{j}s^{c}+2g^{ij}\Gamma _{ia}^{c}\partial _{j}s^{a}+g^{ij}\left(\partial _{ib}^{c}\Gamma _{ja}^{b}+\Gamma _{ib}^{c}\Gamma _{ja}^{b}\right)s^{a}\qquad \forall s\in \Gamma ^{\infty }(E)} 여기서 Γ i a b {\displaystyle \Gamma _{ia}^{b}} 는 ∇ {\displaystyle \nabla } 의 성분(크리스토펠 기호)이다. i , j , … {\displaystyle i,j,\ldots } 는 접다발의 첨자이며, a , b , … {\displaystyle a,b,\ldots } 는 E {\displaystyle E} 의 첨자이다. (주의: 물리학에서는 라플라스 연산자가 거의 항상 위와 같이 정의되지만, 수학에서는 가끔 위에 정의된 연산자 ×(−1)을 라플라스 연산자로 정의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따라, 리만 계량 g {\displaystyle g} 가 2차 성분의 계수를 결정하고, 코쥘 접속 Γ i a b {\displaystyle \Gamma _{ia}^{b}} 가 1차 성분의 계수를 결정함을 알 수 있다. 2차 성분과 1차 성분이 주어지면 0차 성분은 자동적으로 결정된다. 반대로, 매끄러운 다양체의 매끄러운 벡터 다발 위에 라플라스 연산자가 주어지면 이로부터 매끄러운 다양체 위의 리만 계량과 매끄러운 벡터 다발 위의 코쥘 접속을 읽어낼 수 있다. 위 정의는 대신 기울기 ∇ : Γ ∞ ( E ) → Γ ∞ ( E ⊗ T ∗ M ) {\displaystyle \nabla \colon \Gamma ^{\infty }(E)\to \Gamma ^{\infty }(E\otimes \mathrm {T} ^{*}M)} 와 음악 동형 ( − ) # : Γ ∞ ( E ⊗ T ∗ M ) → Γ ∞ ( E ⊗ T M ) {\displaystyle (-)^{\#}\colon \Gamma ^{\infty }(E\otimes \mathrm {T} ^{*}M)\to \Gamma ^{\infty }(E\otimes \mathrm {T} M)} 과 발산 div : Γ ∞ ( E ⊗ T M ) → Γ ∞ ( E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v} \colon \Gamma ^{\infty }(E\otimes \mathrm {T} M)\to \Gamma ^{\infty }(E)} 의 합성으로 여길 수 있다. Δ = div ∘ ( − ) # ∘ ∇ {\displaystyle \Delta =\operatorname {div} \circ (-)^{\#}\circ \nabla } 라플라스형 연산자[편집] 보다 일반적으로, 위와 같은 형태의 2차 미분 연산자에 임의의 0차 항을 추가하여 라플라스형 연산자(Laplace形演算子, 영어: Laplace-type operator) 또는 일반화 라플라스 연산자(一般化Laplace演算子, 영어: generalized Laplace operator)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3]:65–67, §2.1[4]:§2.1[5]:290, §2 구체적으로, 라플라스형 연산자 H {\displaystyle H} 는 다음과 같은 꼴의 2차 미분 연산자이다. H = Δ + T ( T ∈ Γ ∞ ( E ⊗ E ∗ ) ) {\displaystyle H=\Delta +T\qquad (T\in \Gamma ^{\infty }(E\otimes E^{*}))} 여기서 Δ {\displaystyle \Delta } 는 라플라스 연산자이며, Γ ∞ ( E ⊗ E ∗ ) {\displaystyle \Gamma ^{\infty }(E\otimes E^{*})} 는 E ⊗ E ∗ = End ⁡ ( E ) {\displaystyle E\otimes E^{*}=\operatorname {End} (E)} 의 매끄러운 단면들의 공간이다. 성질[편집] 콤팩트 리만 다양체 M {\displaystyle M} 이 주어졌으며, 그 위의 복소수 값 매끄러운 함수에 대한 라플라스 연산자를 생각하자. 이는 사실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르베그 공간) H = L 2 ⁡ ( M ; C ) {\displaystyle {\mathcal {H}}=\operatorname {L} ^{2}(M;\mathbb {C} )} 의 조밀한 부분 집합 위에 정의된다. 따라서, 임의의 t ∈ R {\displaystyle t\in \mathbb {R} } 에 대하여 유계 작용소 exp ⁡ ( i t Δ ) : H → H {\displaystyle \exp(\mathrm {i} t\Delta )\colon {\mathcal {H}}\to {\mathcal {H}}} 가 H {\displaystyle {\mathcal {H}}} 위에 잘 정의된다. 이제, 위 유계 작용소의 고윳값을 생각할 수 있다. 이는 물론 exp ⁡ ( − i t λ i ) {\displaystyle \exp(-\mathrm {i} t\lambda _{i})} 의 꼴이며, − λ i {\displaystyle -\lambda _{i}} 를 라플라스 작용소의 고윳값으로 여길 수 있다. 이 경우, { λ i } {\displaystyle \{\lambda _{i}\}} 는 음이 아닌 실수들의 가산 집합이며, 0 = λ 0 < λ 1 ≤ λ 2 ≤ λ 3 ≤ ⋯ {\displaystyle 0=\lambda _{0}<\lambda _{1}\leq \lambda _{2}\leq \lambda _{3}\leq \cdots } 의 꼴이다. ( λ 0 = 0 {\displaystyle \lambda _{0}=0} 이 항상 고윳값인 것은 상수 함수가 그 고유 벡터이기 때문이다. λ i ≥ 0 {\displaystyle \lambda _{i}\geq 0} 인 것은 부분 적분에 따라 λ ∫ M | f | 2 det g = − ∫ M f Δ f det g = ∫ M g ( ∇ f , ∇ f ) det g ≥ 0 {\displaystyle \lambda \int _{M}|f|^{2}{\sqrt {\det g}}=-\int _{M}f\Delta f{\sqrt {\det g}}=\int _{M}g(\nabla f,\nabla f){\sqrt {\det g}}\geq 0} 이기 때문이다. 양자 역학에서 H = − Δ {\displaystyle H=-\Delta } 는 자유 입자의 해밀토니언 연산자이므로, 이는 콤팩트 공간 위의 자유 입자의 에너지가 음이 아님을 나타낸다.) 리크네로비츠-오바타 정리(Lichnerowicz-[小畠]定理, 영어: Lichnerowicz–Obata theorem)에 따르면, 만약 n ≥ 2 {\displaystyle n\geq 2} 이며, 또한 R − 2 = inf X ∈ Γ ∞ ( T M ∖ M ) Ric ⁡ ( X , X ) g ( X , X ) > 0 {\displaystyle R^{-2}=\inf _{X\in \Gamma ^{\infty }(\mathrm {T} M\setminus M)}{\frac {\operatorname {Ric} (X,X)}{g(X,X)}}>0} 라면, λ 1 {\displaystyle \lambda _{1}}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λ 1 ≥ C n n − 1 {\displaystyle \lambda _{1}\geq {\frac {Cn}{n-1}}} 여기서 Γ ∞ ( T M ∖ M ) {\displaystyle \Gamma ^{\infty }(\mathrm {T} M\setminus M)} 은 어디서도 0이 아닌 벡터장들의 공간이며, Ric ⁡ ( −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Ric} (-,-)} 은 리치 곡률 텐서이다. 반대로, 만약 위 부등식이 포화된다면 M {\displaystyle M} 은 (연결 단일 연결 공간일 경우) 반지름 R {\displaystyle R} 의 초구이다. 예[편집] 함수의 경우[편집] 만약 E = M × R {\displaystyle E=M\times \mathbb {R} } 가 자명한 선다발일 경우, E {\displaystyle E} 의 단면은 단순히 M {\displaystyle M} 위의 실수 값 매끄러운 함수이다. 이 경우 라플라스 연산자는 라플라스-벨트라미 연산자(영어: Laplace–Beltrami operator)라고 하며, 이 경우 다음과 같은 특별한 공식이 존재한다. Δ s = 1 det g ∂ i ( det g g i j ∂ j s ) {\displaystyle \Delta s={\frac {1}{\sqrt {\det g}}}\partial _{i}\left({\sqrt {\det g}}g^{ij}\partial _{j}s\right)} . 여기서 det g i j {\displaystyle \det g_{ij}} 는 계량 텐서의 성분의 행렬식이다. 텐서장의 경우[편집] 만약 E = ( T M ) ⊗ p ⊗ ( T ∗ M ) ⊗ q {\displaystyle E=(\mathrm {T} M)^{\otimes p}\otimes (\mathrm {T} ^{*}\!M)^{\otimes q}} 가 ( p , q ) {\displaystyle (p,q)} 차 텐서장의 벡터 다발일 경우, E {\displaystyle E} 위에는 리만 계량에 의한 표준적인 코쥘 접속인 레비치비타 접속이 존재한다. 이 경우, 레비치비타 접속을 사용한 라플라스 연산자를 역시 라플라스-벨트라미 연산자라고 한다. 예를 들어, 벡터장의 라플라스-벨트라미 연산자는 다음과 같다. ( Δ X ) i = g j k ( ∇ j ∇ k X ) i = g j k ∂ j ∂ k X i + 2 g j k Γ j i ′ i ∂ k X i ′ + g j k ( ∂ j i ′ i Γ k i ″ i ′ + Γ j i ′ i Γ j i ″ i ′ ) X i ″ {\displaystyle (\Delta X)^{i}=g^{jk}(\nabla _{j}\nabla _{k}X)^{i}=g^{jk}\partial _{j}\partial _{k}X^{i}+2g^{jk}\Gamma _{ji'}^{i}\partial _{k}X^{i'}+g^{jk}\left(\partial _{ji'}^{i}\Gamma _{ki''}^{i'}+\Gamma _{ji'}^{i}\Gamma _{ji''}^{i'}\right)X^{i''}} 유클리드 공간의 경우[편집] 유클리드 공간 R n {\displaystyle \mathbb {R} ^{n}} 위의 실수 값 매끄러운 함수 f : R n → R {\displaystyle f\colon \mathbb {R} ^{n}\to \mathbb {R} } 의 라플라스 연산자는 직교 좌표계에서 다음과 같다. Δ f = ∑ i = 1 n ∂ 2 f ∂ x i 2 {\displaystyle \Delta f=\sum _{i=1}^{n}{\frac {\partial ^{2}f}{\partial x_{i}^{2}}}} 초구면 좌표계 ( r , θ 1 , θ 2 , … , θ n − 1 ) {\displaystyle (r,\theta _{1},\theta _{2},\ldots ,\theta _{n-1})} 에서 라플라스 연산자는 다음과 같다. Δ f = r 1 − n ∂ ∂ r ( r n − 1 ∂ ∂ r f ) + r − 2 ∇ S n − 1 f {\displaystyle \Delta f=r^{1-n}{\frac {\partial }{\partial r}}\left(r^{n-1}{\frac {\partial }{\partial r}}f\right)+r^{-2}\nabla _{\mathbb {S} ^{n-1}}f} 여기서 ∇ S n − 1 {\displaystyle \nabla _{\mathbb {S} ^{n-1}}} 은 초구 위의 라플라스-벨트라미 연산자로, 다음과 같다. ∇ S n − 1 f = ∑ i = 1 n − 1 1 ( sin 2 ⁡ θ 1 ⋯ sin 2 ⁡ θ i − 1 ) sin n − i − 1 ⁡ θ i ∂ ∂ θ i ( sin n − i − 1 ⁡ θ i ∂ ∂ θ i f ) {\displaystyle \nabla _{\mathbb {S} ^{n-1}}f=\sum _{i=1}^{n-1}{\frac {1}{(\sin ^{2}\theta _{1}\cdots \sin ^{2}\theta _{i-1})\sin ^{n-i-1}\theta _{i}}}{\frac {\partial }{\partial \theta _{i}}}\left(\sin ^{n-i-1}\theta _{i}{\frac {\partial }{\partial \theta _{i}}}f\right)} 유도: 구면 좌표계 ( r , θ 1 , … , θ n − 1 ) {\displaystyle (r,\theta _{1},\ldots ,\theta _{n-1})} 에서의 리만 계량은 d s 2 = d r 2 + r 2 d θ 1 2 + r 2 sin 2 ⁡ θ 1 d θ 2 1 + r 2 sin 2 ⁡ θ 1 sin 2 ⁡ θ 2 d θ 3 2 + ⋯ + r 2 sin 2 ⁡ θ 1 ⋯ sin 2 ⁡ θ n − 2 d θ n − 1 2 {\displaystyle \mathrm {d} s^{2}=\mathrm {d} r^{2}+r^{2}\mathrm {d} \theta _{1}^{2}+r^{2}\sin ^{2}\theta _{1}\mathrm {d} \theta _{2}^{1}+r^{2}\sin ^{2}\theta _{1}\sin ^{2}\theta _{2}\mathrm {d} \theta _{3}^{2}+\cdots +r^{2}\sin ^{2}\theta _{1}\cdots \sin ^{2}\theta _{n-2}\mathrm {d} \theta _{n-1}^{2}} 이다. 따라서 리만 계량의 행렬식의 제곱근은 det g = r n − 1 sin n − 2 ⁡ θ 1 sin n − 3 ⁡ θ 2 ⋯ sin ⁡ θ n − 2 {\displaystyle {\sqrt {\det g}}=r^{n-1}\sin ^{n-2}\theta _{1}\sin ^{n-3}\theta _{2}\cdots \sin \theta _{n-2}} 이며, Δ f = r 1 − n ∂ r ( r n − 1 ∂ r f ) + r − 2 sin 2 − n ⁡ θ 1 ∂ θ 1 ( sin n − 2 ⁡ θ 1 ∂ θ 1 f ) + 1 r 2 cos 2 ⁡ θ 1 sin 3 − n ⁡ θ 2 ( sin n − 3 ⁡ θ 2 ∂ θ 2 f ) + ⋯ {\displaystyle \Delta f=r^{1-n}\partial _{r}(r^{n-1}\partial _{r}f)+r^{-2}\sin ^{2-n}\theta _{1}\partial _{\theta _{1}}(\sin ^{n-2}\theta _{1}\partial _{\theta _{1}}f)+{\frac {1}{r^{2}\cos ^{2}\theta _{1}}}\sin ^{3-n}\theta _{2}\left(\sin ^{n-3}\theta _{2}\partial _{\theta _{2}}f\right)+\cdots } 이다. 예를 들어, 2차원 초구면 좌표계(=극좌표계)에서의 라플라스 연산자는 다음과 같다. Δ f = 1 r ∂ ∂ r ( r ∂ f ∂ r ) + 1 r 2 ∂ 2 f ∂ θ 2 {\displaystyle \Delta f={1 \over r}{\partial \over \partial r}\left(r{\partial f \over \partial r}\right)+{1 \over r^{2}}{\partial ^{2}f \over \partial \theta ^{2}}} 마찬가지로, 3차원 원통 좌표계에서의 라플라스 연산자는 다음과 같다. Δ f = 1 r ∂ ∂ r ( r ∂ f ∂ r ) + 1 r 2 ∂ 2 f ∂ θ 2 + ∂ 2 f ∂ z 2 {\displaystyle \Delta f={\frac {1}{r}}{\frac {\partial }{\partial r}}\left(r{\frac {\partial f}{\partial r}}\right)+{\frac {1}{r^{2}}}{\frac {\partial ^{2}f}{\partial \theta ^{2}}}+{\frac {\partial ^{2}f}{\partial z^{2}}}} 마찬가지로, 3차원 구면 좌표계 ( r , θ , ϕ ) {\displaystyle (r,\theta ,\phi )} 에서의 라플라스 연산자는 다음과 같다. Δ f = 1 r 2 ∂ ∂ r ( r 2 ∂ f ∂ r ) + 1 r 2 sin ⁡ θ ∂ ∂ θ ( sin ⁡ θ ∂ f ∂ θ ) + 1 r 2 sin 2 ⁡ θ ∂ 2 f ∂ ϕ 2 {\displaystyle \Delta f={\frac {1}{r^{2}}}{\frac {\partial }{\partial r}}\left(r^{2}{\frac {\partial f}{\partial r}}\right)+{\frac {1}{r^{2}\sin \theta }}{\frac {\partial }{\partial \theta }}\left(\sin \theta {\frac {\partial f}{\partial \theta }}\right)+{\frac {1}{r^{2}\sin ^{2}\theta }}{\frac {\partial ^{2}f}{\partial \phi ^{2}}}} 민코프스키 공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달랑베르 연산자입니다. 민코프스키 공간 R n , 1 {\displaystyle \mathbb {R} ^{n,1}} 은 리만 다양체가 아니지만 준 리만 다양체이며, 이 경우의 라플라스 연산자는 달랑베르 연산자라고 한다. 이는 (리만 다양체의 경우와 달리) 타원형 미분 연산자가 아니다. 역사[편집] 오늘날 "라플라스 방정식"이라고 불리는 2차 편미분 방정식 및 이 속에 등장하는 2차 미분 연산자는 이미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유체역학을 연구하는 동안 도입하였다.[6]:300, §67[7]:489, §2; 490, Fig. 3 마찬가지로, 장 르 롱 달랑베르 역시 라플라스 방정식을 연구하였다.[8]:Art. IV[9]:118 피에르시몽 라플라스는 만유인력의 법칙을 연구하는 도중 라플라스 방정식을 재발견하였으며,[10] 여기에 등장하는 2차 미분 연산자는 "라플라스 연산자"로 불리게 되었다. 이 밖에도, 달랑베르는 파동 방정식에 등장하는 달랑베르 연산자(=민코프스키 공간 위의 라플라스 연산자)를 도입하였다.[9]:117 다양체 위의 라플라스(-벨트라미) 연산자는 에우제니오 벨트라미가 고전역학을 일반적인 리만 다양체 위에 정의하기 위하여 도입하였다.[11] 리크네로비츠-오바타 정리의 경우, λ 1 {\displaystyle \lambda _{1}} 의 하한은 앙드레 리크네로비츠(프랑스어: André Lichnerowicz)가 증명하였고, 이 하한의 포화가 초구에서만 일어난다는 것은 오바타 모리오(일본어: 小畠 守生)가 증명하였다. 응용[편집] 라플라스 연산자는 물리학 또는 화학에서 벡터장의 퍼텐셜을 이용해 벡터장의 특성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전기장의 퍼텐셜인 전기 퍼텐셜에 라플라스 연산자는 취하면 전하 밀도를 유전률 상수로 나눈 값이 되는데, 이것은 푸아송 방정식의 하나로 이것의 해를 찾는 것은 정전기학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참고 문헌[편집] ↑ Rosenberg, Steven (1997). 《The Laplacian on a Riemannian manifold: an introduction to analysis on manifolds》 (PDF). London Mathematical Society Student Texts (영어) 31.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46831-2. doi:10.1017/CBO9780511623783.  ↑ Jost, Jürgen (2002). 《Riemannian geometry and geometric analysis》 (영어). Springer-Verlag. ISBN 3-540-42627-2.  ↑ Berline, N.; Getzler, E.; Vergne, M. (1992). 《Heat kernels and Dirac operators》. Grundlehren der Mathematischen Wissenschaften (영어) 298. Springer-Verlag.  ↑ Vassilevich, D. V. (2003). “Heat kernel expansion: user’s manual”. 《Physics Reports》 (영어) 388: 279–360. Bibcode:2003PhR...388..279V. arXiv:hep-th/0306138. doi:10.1016/j.physrep.2003.09.002.  ↑ Gilkey, P. 〈The spectral geometry of operators of Dirac and Laplace type〉 (PDF). Krupka, Demeter; Saunders, David. 《Handbook of global analysis》 (영어). 289–326쪽. ISBN 978-0-444-52833-9. doi:10.1016/B978-044452833-9.50006-1.  ↑ Evlerus, L. (1756). “Principia motvs flvidorum. Pars prior”. 《Commentarii academiae scientiarvm imperialis Petropolitanae》 (라틴어) 6: 271–311.  ↑ Gander, Martin J.; Wanner, Gerhard (2014). 〈The Origins of the Alternating Schwarz Method〉 (PDF). 《Domain decomposition methods in science and engineering XXI》. Lecture Notes in Computational Science and Engineering (영어) 98. Springer-Verlag. 487–495쪽. ISBN 978-3-319-05788-0. ISSN 1439-7358. doi:10.1007/978-3-319-05789-7_46.  ↑ d’Alembert, J. (1761). 《Opuscules mathématiques, ou Mémoires sur différens Sujets de Géométrie, de Méchanique, d’Optique, d’Astronomie, &c. Tome 1》 (프랑스어). 파리.  ↑ 가 나 Guilbart, Alexandre; Jouve, Guillaume (2009). “La résolution des équations aux dérivées partielles dans les Opuscules mathématiques de d’Alembert (1761–1783)” (PDF). 《Revue d’histoire des mathématiques》 (프랑스어) 15: 59–122.  ↑ Laplace, P.S. (1787). “Mémoire sur la théorie de l'anneau de Saturne”. 《Histoire de l'Académie royale des sciences》 (프랑스어).  ↑ Beltrami, Eugenio (1902). 〈Richerche di analisi applicata alla geometria〉. 《Opere matematiche di Eugenio Beltrami. Pubblicate per cura della Facoltà di scienze della R. Università di Roma》 (이탈리아어). 밀라노: U. Hoepli. 107–198쪽. JFM 33.0034.02.  외부 링크[편집] 수학 포털 “Laplace operator”.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Laplace-Beltrami equation”.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Weisstein, Eric Wolfgang. “Laplacian”.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Weisstein, Eric Wolfgang. “Vector Laplacian”.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Weisstein, Eric Wolfgang. “Tensor Laplacian”.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Weisstein, Eric Wolfgang. “Laplace-Beltrami operator”.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이철희. “라플라스-벨트라미 연산자”. 《수학노트》.  박진성 (2013). “기하학적 미분 작용소의 스펙트럼과 불변량” (PDF). 《과학의 지평》 47: 5–9.  강현석 (2013). “라플라스 작용소의 동일 고유값을 가지는 다양체” (PDF). 《과학의 지평》 47: 14–1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라플라스_연산자&oldid=22635612" 분류: 다변수 미적분학리만 기하학미분 연산자조화 함수타원 편미분 방정식푸리에 해석학피에르시몽 라플라스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CS1 - 라틴어 인용 (la)CS1 - 프랑스어 인용 (fr)CS1 - 이탈리아어 인용 (it)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FrançaisGalego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IdoÍslensk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ietuvių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iemontèis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29일 (토) 18: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수학에서 라플라스 연산자(Laplace演算子, 영어: Laplace operator) 또는 라플라시안(영어: Laplacian)은 2차 미분 연산자의 일종으로, 기울기의 발산이다. 기호는 Δ(그리스 대문자 델타) 또는 ∇2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다른 법칙을 연구하다 라플라스 방정식을 발견한 사람은 누구일까? Assistant: 피에르시몽 라플라스 Human: 아래 탤컷_파슨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탤컷 파슨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탤컷 파슨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탤컷 파슨스 출생 1902년 12월 13일(1902-12-13) 미국 콜로라도스프링스 사망 1979년 5월 8일 (76세) 서독 뮌헨 국적 미국 분야 사회학 소속 하버드 대학교 출신 대학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박사런던 정치경제대학교 애머스트 대학교 지도 교수 에드거 잘린 지도 학생 니클라스 루만 탤컷 파슨스(Talcott Parsons, 1902년 ~ 1979년)는 미국의 사회학자이다. 구조기능분석론을 확립하였으며, 그것을 통한 사회 체계론을 전개하였다. 목차 1 생애 2 이론 2.1 파슨스의 구조기능주의 권력이론 3 저서 4 각주 생애[편집] 탤컷 파슨스는 1902년 회중 교회의 성직자이자 훗날 마리에타 대학교의 총장으로 재직하는 에드워드 파슨스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애머스트 대학교에서 생물학을 전공하였으나, 3학년이 될 무렵 사회과학으로 전과하였으며, 이때의 생물학 전공 경험은 훗날 그의 사회학 이론 창립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애머스트 대학교를 졸업한 이후 그는 런던 정치경제대학교에서 공부하기 시작했으며, 1년 뒤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 교환학생으로서 입학하였다. 그는 이곳에서 막스 베버의 저작들을 처음 섭렵했고, 그의 박사학위 논문인 "최근의 독일 문학에서 나타나는 자본주의에 대한 개념"에서 그는 카를 마르크스와 베버 양측을 모두 다루었으며, 이후 그는 베버를 적극적으로 분석하여 개신교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을 번역하여 미국에 출간하기도 했으며, 베버의 이론적 구조를 분석한 사회적 행위의 구조를 출간하기도 했다. 그는 1927년 하버드 대학교에 강사로 취임했으며, 그곳에서 그가 명예 교수로 물러나는 1973년까지 줄곧 재직하였다. 1942년에는 미국 사회학 협회의 회장으로 취임하기도 했다. 이론[편집] AGIL도식은 탤컷 파슨스에 의해 기능요건 도식이다. 원래는 R.F.베일스에 의해 정식화된 소집단에서의 상호작용 과정분석에서 도출된 것이나, 그 후 이론적으로 정비되어 사회시스템에서 행위시스템 전반에 일반화되었으며, 또 경험적 연구에도 적용되고 있다. 그것은 행위시스템이 직면하는 문제를 외부적-내부적인 문제와 수단-목적의 문제라고 하는 2개의 축(軸)에 의해서 4개의 체계문제로 구분한다. 즉, A기능(adaptation:適應)은 외부적·수단적인 기능요건, G기능(goal-attainment:目的達成)은 외부적·목적적인 기능요건, I기능(integration:統合)은 내부적·목적적인 기능요건, L기능(latency·pattern-maintenance:潛在性·패턴 유지)은 내부적·수단적인 기능요건이다. 이 4개의 차원에서 체계 내의 각종 행위는 시간적으로 분화하여 시간의 경과와 함께 4개의 차원 중 어느 것에서인가 우세·극대화를 나타내게 된다. 이 극대치를 곧 각 위상(位相)의 특질로 보는데, 위상은 주기적으로 차례로 변하며, 각 위상은 AGIL의 4개의 차원이고, 베일스의 실험에 의하면 A→G→I→L 의 순서로 위상운동이 이루어진다고 한다. 이같이 AGIL 도식은 사회체계의 모든 것을 기술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르는 과정을 분석할 수 있다고 한다.[1] 파슨스의 구조기능주의 권력이론[편집] 파슨스는 사회학적 연구의 강조점을 사람들이 사회에서 어떻게 행위하는 가에 대한 탐구에서 사회가 어떻게 사람들의 행동방식을 구조화하는가에 대한 것으로 전화시켰다. 파슨스의 이론에서 '권력'이란 사회의 일반화된 시설이거나 자원이다. 권력은 사회의 자산으로서 개인이 독점할 수 없고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사회의 자원을 동원할 수 있는 능력이다. 파슨스는 권력에 대해 불변합적 접근법을 나타낸다. 사회에 내재하는 권력의 양은 일정하며 따라서 그러한권력의 분배는 상대적일 수 밖에 없다. 저서[편집] 사회적 행위의 구조 각주[편집] ↑ 《네이버 지식백과》[AGIL schema, ─圖式] (두산백과)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9546994 LCCN: n80015395 ISNI: 0000 0001 2125 8615 GND: 118591835 SELIBR: 315112 SUDOC: 028380630 BNF: cb120227306 (데이터) BIBSYS: 90068775 MGP: 242256 NLA: 35410651 NDL: 00452203 NKC: jn19990201042 BNE: XX106140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탤컷_파슨스&oldid=22482790" 분류: 1902년 태어남1979년 죽음미국의 사회학자법사회학자콜로라도스프링스 출신애머스트 대학교 동문런던 정치경제대학교 동문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동문하버드 대학교 교수기능주의20세기 사회학자숨은 분류: 로컬에는 없지만 위키데이터에는 있는 그림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MalagasyNederlandsNorsk nynorskNorskਪੰਜਾਬੀ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inaray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22일 (토) 07: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탤컷 파슨스(Talcott Parsons, 1902년 ~ 1979년)는 미국의 사회학자이다. 구조기능분석론을 확립하였으며, 그것을 통한 사회 체계론을 전개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탤컷 파슨스는 몇 년도 까지 하버드 대학교의 교수로 있었는가? Assistant: 1973년
Human: 아래 광산_이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광산 이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광산 이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1년 12월) 광산 이씨 (光山 李氏) 관향 광주광역시 시조 이정(李靖) 주요 중시조 이순백(李珣白), 이숙백(李淑白), 이승백(李升白) 주요 집성촌 전남 화순군, 전남 강진군, 전남 나주군, 경북 고령군, 전남 광산군, 충북 괴산군, 경북 달성군, 주요 인물 이선제, 이달선, 이중호, 이발, 이길, 이서 인구(2000년) 36,741명 광산 이씨(光山 李氏)는 광주광역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1] 광주이씨(光州李氏)라고도 한다. '광산'은 '광주'의 별호다. 목차 1 역사 1.1 광산 이씨 계보 1.2 광산 이씨 육도보(六度譜) 1.3 그 외 분적된 관향 2 인물 2.1 이정 2.2 이순백 2.3 이선제 2.4 이조원 2.5 이발 2.6 이길 2.7 이서 3 광산 이씨 지역별 현황 3.1 강진 광산 이씨 3.2 진도 광산 이씨 4 주요 세거지 5 광산 이씨 전국 분포도 현황 6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7 인접 본관 8 각주 9 외부 링크 역사[편집] 광산 이씨 계보[편집] 시조 이정(李靖)의 7대손으로 고려 말에 현달한 이순백(李珣白)·이숙백(李淑白)·이승백(李升白) 3형제 대에서 상서공파(尙書公派)·한림공파(翰林公派)·제학공파(提学公派) 로 분파되었다. 1856년 철종 7년 광주 증심사 선당에서 병진대동보(족보)를 발간하였는데 이 책은 상서공 순백, 한림공 숙백, 제학공 승백 삼조(三祖)의 후손을 모두 등재한 광산이씨 유일의 대동보이다. 병진대동보에 의하면 이정(李靖)을 시조로 하고 있다. 광산이씨가 가장 많이 알려진 계기가 된 것은 순백을 일세(一世)로 한 상서공파이다. 이순백을 一世로 하여 내려 오다가 五世인 이선제(李先齊) 때 이르러 다섯아들(五元으로 불림)때에 이르러 세부적을 분파가 나뉘게 된다. 첫째 아들인 이시원(양심당)의 후손들은 익산파, 낙안파, 광주파로 나뉘게 되고, 둘째 아들인 이찬원(제학공)의 후손은 영광파로 나뉘게 되고, 세째 아들인 이조원(청심당)의 후손들은 능주파, 봉황산파, 강진파, 순천파, 화순파로 나뉘게 되고, 네째 아들인 이한원(세심당)의 후손은 세심당파로 나뉘게 되고, 다섯째 아들인 이형원(성심당)의 후손들은 죽청파, 나주파, 진천 동복파, 진도 동외파, 진도 폐동파, 일곡파 등으로 나뉘게 된다. 1589년(선조 22년) 정여립의 역모사건이 일어나게 된다. 그런데 정여립의 집에서 그당시 동인의 영수였던 이발(순백부터 十世에 해당되며 이선제의 다섯째 아들인 이형원의 후손이다)과 주고 받았던 편지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동인의 영수였던 이발을 비롯한 천여명의 동인이 죽게되어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참혹했던 기축옥사로 기록되고 있다. 심지어 이발의 조상이었던 이선제까지도 직위가 박탈되었음은 물론 동인에 해당되는 사람들은 삼족을 멸하였으니 이발 선생의 82세된 노모와 어린 아들까지도 참형을 받게 되었다. 이사건을 계기로 이발 선생의 친인척까지 죽게 되었으니 이선제의 다섯아들에서 퍼져나간 많은 광산이씨 후손들이 죽게되면서 그 세력이 크게 약화되었다. 한편 숙백의 한림공파 중에는 그의 아들 순(順)이 1374년(공민 왕23) 문과에 급하여 헌납(獻納)을 거쳐 풍해 안렴사를 지냈으며, 그의 맏아들 초(椒)는 조선(朝鮮)이 개국한 후 대사성을, 차남 매(枚)는 영광 교도를 거쳐 참판을 역임했다. 회령 판관을 지낸 림(林)의 아들 형제 중 차남 근생(根生)은 단종이 폐위되고 수양대군(세조)이 등극하자 이를 개탄하여 경북 고령군 성산면 고곡동(慶北高靈郡星山面高谷洞)으로 은거하여 학문에 진력하다가 생(生)을 마치니 그후로 영남파조(嶺南派祖)가 되었다. 한림공파는 장성파, 봉연파, 영남파, 칠곡파, 성주파, 단사동파, 합천파 등으로 이어졌고 승백의 제학공파는 개성파로 이어졌다. 광산 이씨 육도보(六度譜)[편집] 1) 임오보(壬午譜) 순백 祖를 一世祖(일세조)로 하여 임오년(1762년) 영조 38년에 만들어진 광산이씨 최초의 족보로 전라도 화순 능주 개천사에서 발간하였으며 전 2권으로 내용은 경창부원군(이선제) 유서를 근거로 하고 호산공(이달선) 비문을 기준으로 하였다. 2) 정해보(丁亥譜) 임오보를 간행한 후 65년 만인 정해년(1827년) 순조 27년 전라도 화순 능주 개천사 약사전에서 간행한 상서공 순백 祖의 후손만의 족보로 전 3권이다. 3) 병진대동보(丙辰大同譜) 전 7권이며 이정을 시조로 하고 상서공 순백을 一世祖(일세조)로 하여 1856년 철종 7년 광주 증심사 선당에서 발간하였는데 상서공 순백, 한림공 숙백, 제학공 승백 삼조의 후손을 모두 등재한 광산이씨 유일의 대동보이다. 4) 신사보(辛巳譜) 상서공 순백 祖 후손의 족보로 1881년 고종 18년 앵남 영모각에서 발간하였으며 최초 항열을 도입하였고 전 9권이다. 5)임자보(壬子譜) 상서공 순백 祖 후손의 족보로 전 8권이며 1912년 순종 6년에 영모각에서 발간함. 6) 임진보(壬辰譜) 임자보 이후 100년이 되었기에 족보 수보 편찬을 절실히 느끼고 임진년(2012년)에 시작하여 2013년 완성하였지만 임진보라 칭하고 문헌록 1권 손록 3권 등 총 4권으로 영모각을 보청으로 하였다. 그 외 분적된 관향[편집] 그 외 광산 이씨에서 분적된 성씨 본관에는 낙안 이씨(樂安 李氏) 등이 있다. 인물[편집] 인물은 다음과 같다.[2] 이정[편집] 이정(李靖)은 광산 이씨의 성을 사용한 첫 번째 조상으로 향공진사를 지냈다. 1856년 철종7년에 상서공 순백, 한림공 숙백, 제학공 승백, 3형제파가 합의하여 광주 증심사 선당에서 병진대동보를 발간하였는데 여기서 이 사람을 시조로 정하였다. 이순백[편집] 이순백(珣白)은 이정(李靖)의 8세손으로 1320년(충숙왕 7년) 상왕이 원나라 환자의 참소로 토번(吐蕃)으로 유배되자 홀로 상왕을 호종하였으며 1322년(충숙왕 10년) 방환하는데 공을 세워 한림학사 사공 상서좌복야에 이르렀다. 은청광록대부 광산부원군에 봉해지고 시호 충장(忠莊)을 하사 받았다. 1856년 철종7년에 상서공 순백, 한림공 숙백, 제학공 승백, 3형제파가 합의하여 광주 증심사 선당에서 병진대동보를 발간하였는데 상서공파에서는 이 사람을 일세(一世)로 정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선제[편집] 이선제(李先齊)는 호는 필문(蓽門)으로 1389년 광주시 대촌면 이장리에서 태어나 양촌 권근, 매헌 권우에게 글을 배우고 문과에 급제하여 집현전 학사, 예문관사관, 경연청, 첨사원동첨사, 병조참의, 강원도 관찰사, 예조참판, 공조참판을 하시고 정조사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문종 때에는 예문관 제학, 춘추관 동지사, 세자 시강원을 지내고 특히 사관으로서 태종실록, 고려사, 고려사 절요 등의 수사관으로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세종임금과 더불어 많은 정사를 논의 하였고 필문(公의 호)의 초상화를 병풍에 그려놓을 정도로 믿고 사랑하였다. 선생은 집현전 학사로서 세종 5년부터 25년까지 20년간 왕을 보필하며 훈민정음 창제와 용비어천가 주해, 동국정운, 서서언해, 등 문화유산으로써 귀중한 사업을 이루는데 참여하였고, 고려사 절요, 효행록, 삼상행실 편찬에 참여 하였으며, 특히 당대 수재들만 모인 집현전의 20명 학사 중에 부수장으로 박팽년, 성삼문, 정인지 등과 고려사를 개찬하였으며 정책 입안자로도 큰 공을 세웠으니 정치 문제를 토의하고 강론하였으며 세종실록에 의하면 이재(理財)에 대한 상소로 나라 재정을 튼튼히 하고 군제를 실시하여 국방을 확고히 하였으며 시의소(試醫疏)를 올려 보건정책에 크게 이바지 하였고 단군성전 건립을 주청하고 우리 국민의 국조 숭모정신을 고취시켰다. 한편 후진에게 글을 가르쳐 호남 문현의 개방자로 추대 되었으며 향약을 만들어 학식이 있고 가문이 좋은 젊은 학사 30인을 지도하고 90인을 유적에 올리고 그들로 하여금 향풍순화의 시범이 되게 하였으며 무진군으로 강등된 광주를 공의 상소로 광주목으로 원상 회복하였으며 1453년에돌아가시니 이조판서와 예문관 대제학에 추증되었다. 이조원[편집] 이조원(李調元)은 호가 청심당(淸心堂)으로 1433년(세종 15년)에 광주시 대촌면 이장리에서 이선제의 셋째 아들로 태어나 1510년(중종 5년)에 죽었다. 천품이 고아(高雅)한 그는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독학으로 학문이 대성하였고, 부친 필문의 학통을 이어 문장과 도학이 당세의 종사(宗師)라 추앙되었다. 조정에서 그것을 알고 두 번이나 벼슬자리에 불렀으나 단종 폐위와 세조의 왕위 찬탈에 실망하여 불취(不就)하였고 조선왕족 실록에 의하면 전라 경상 양도의 어사에 특명되어 어쩔 수 없이 벼슬길에 올라 반상의 신분 질서 논란을 막고 탐관오리를 탐색하여 정리하였고 성종초에 이조정랑의 벼슬을 제수하였으나 끝내 출사하지 않고 고향에서 도학군자로서 제자들 학문지도에 여생을 마치니 청백리로 이름이 높았다. 추후 예조참판으로 추증받았으며 그 문하에서 박원형, 신승선, 이경균, 이원휘, 하숭, 고운과 같은 명신을 배출하였다. 특히 시문에도 뛰어나 단종폐위(端宗廢位)를 비탄한 "연화조(蓮花操)"와 고향에 돌아와 살면서 우국충정을 읊은 「환향가(還鄕歌)」는 훈민정음 창제 당시 국한문을 혼용한 최고의 시조로서 귀중한 국문 사료로 꼽힌다. 이발[편집] 이발(李潑)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으로 1544년(중종 39년) 중호의 차남으로 출생하여 1589년(선조 22년) 45세를 일기로 돌아가신 동인의 영수였고 호는 동암(東巖)이다. 선조 조에 알성 장원급제 하시고 호당(독서당)에 올라 학문을 연구하였으며 이조정랑 홍문관 응교 부제학 홍문관 수장, 사간원 대사간, 성균관 대사성을 역임하시고 사림의 추앙을 받다가 동서인 당색에서 동인의 영수로 서인인 수구파와 대립하고 국정을 혁신하고 조광조의 지치주의와 왕도정치를 펴고자 헌신하셨다. 1589년 정여립 역모사건에 휘말려 삭탈관직 당하고 신문중에 죽었다. 기축옥사로 불리는 정여립 역모사건[3]에 휘말린 동인은 천여명이 죽거나 유배를 당했으며 삼족을 멸하였으니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참혹했던 사화로 기록되었다. 특히 이발선생의 82세된 노모와 어린 아들까지 참형을 받았다. 1624년(인조 2년)에 영의정 이원익의 상소로 신원되어 이급, 이발, 이길 3형제가 역모의 죄가 없다는 것을 백일하에 선포하게 되었고 1691년에 이조참판으로 증직되었다. 이길[편집] 이길(李洁)은 1550년(명종 5년)에 중호의 3남으로 태어나 1589년 (선조 22년) 39세의 일기로 돌아가셨고 호는 남계(南溪)이며 이발은 자신의 형이 된다. 조선 중기 1577년(선조 10년) 태묘 별시 문과 부장원으로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 홍문관 수찬, 강원도 순무어사, 의정부사인, 홍문관 직제학으로 선조와 가장 가까운 곳에서 일하며 형인 이발과 함께 조광조의 왕도정치를 실현하다가 1589년 기축옥사에 연류되어 형 북산 이급, 동암 이발과 함께 매에 못 이겨 생을 마쳤다. 1624년(인조 2년)에 신원되고 1691년(숙종 17년)에 부제학으로 추증되었다. 이서[편집] 1566(명종 21)∼1651(효종2). 조선 중·후기의 문신·학자로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이직(以直), 호는 동호(東湖). 아버지는 진천현감 홍우(弘宇)이며, 어머니는 진주강씨(晉州姜氏)로 동부참봉 개(漑)의 딸이다. 정구(鄭逑)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605년(선조 38) 진사시에 2등으로 합격한 뒤 천거를 받아 황산찰방에 잠시 재직하였다. 이어 스승이 권신(權臣)의 배척을 받아 향리로 돌아가자 벼슬에 뜻을 버리고 성주에서 스승과 함께 학문을 강론하면서 송대 유학자들의 예설(禮說)을 담은 『오선생예설(五先生禮說)』을 편집하였다. 1620년(광해군 12) 스승이 타계하자 심상(心喪) 3년을 입고 회연서원(檜淵書院)과 비각을 세우는 한편, 『한강집(寒岡集)』을 간행하였다. 1626년(인조 4) 사축서별제에 임명되고 이듬해에 일어난 정묘호란에 임금을 호위한 공로로 6품에 승진하였다. 이어 얼마 뒤 활인서별제와 의금부도사 등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만년에는 고향인 승호(承湖)에서 후진교육에 힘쓰는 한편, 스승의 『한강언행록(寒岡言行錄)』을 편집하였다. 사후에 문인들이 ‘덕요선생(德耀先生)’이라 칭하였으며 스승·아버지 등과 더불어 성주의 회연서원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동호문집』 3권 2책이 있다. 광산 이씨 지역별 현황[편집] 강진 광산 이씨[편집] 광산이씨의 시조 이정으로 부터 그의 8세손인 순백(맏 아들)을 중시조로 하여 1世가 시작이 되고 5世가 고려사를 편찬했던 이선제선생이다. 8世에 이르러 행강 이희(李憙)선생에 이르러 전남 강진에 정착을 하게 된다. 행강 이희(李憙)선생은 조선 성종때 태어나서 중종때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라, 여러관직을 두루거치고 대사간의 벼슬을 하신 덕망이 높은 분이셨다. 이로부터 강진 광산이씨는 전라도 강진을 중심으로 주거지가 확장이 되었다. 현재 전남 강진군 성전면 수양리에 수암서원이 있는데 이희선생은 그곳에 배향되어 있다. 다른 광산이씨 상서공파에 비해 기축옥사때 받은 피해가 적다고 적다고 한다. 그 이유는 행강 이희선생의 조부에 해당되는 청심당 이조원선생의 딸이 고경명 선생의 할머니가 되신다. 기축옥사 당시의 서인에 속했던 고경명선생의 도움으로 큰화를 피하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진도 광산 이씨[편집] 광산이씨가 진도군에 많이 모여 사는 이유는 1589년 기축옥사(己丑獄死)의 화란을 피해 진도로 피신했기 때문이다. 기축옥사는 동인과 서인의 당쟁 속에서 정여립(鄭汝立, 1544~1589)의 모반을 조작해 동인(東人)들을 숙청했던 사건이다. 이때 동인계의 실권 배후인물이었던 광산이씨 이발(李潑, 1544~1589)과 그의 형제, 어머니, 아들 등 삼족이 죽임을 당하는 참화를 입게 되었다. 이때의 화를 피해 이발의 6촌 이윤(1573~?)의 아들 이근(李槿, 1602~1630)은 목포 달리도를 거쳐 이길(李洁, 1550~1589)의 아들 이원섭(李元燮)과 함께 진도군 고군면 원포로 들어왔고, 이발의 또 다른 6촌인 이원준(李元濬)은 진도군 의신면 중리에 자리를 잡았다. 1) 세거 현 황 진도군 임회면 피동에 자리를 잡은 광산이씨 집안의 일부 사람들은 용산으로 거주지를 옮겼고, 고군면 원포에 자리를 잡은 광산이씨 집안은 의신면 거룡과 읍내 동외리로 주거지를 확장했다. 의신면 중리로 들어온 이원준 후손들은 임회면 죽림, 읍내 남동, 지산면 삼당리, 임회면 팽목리, 지산면 사천리, 의신면 옥대 등에 자리를 잡았다. 이 집안을 남외파라 한다. 이원섭의 집안은 동외파라 하는데 동외파 중 일부가 조도면 성남도를 거쳐 조도면에 퍼졌다. 2)묘역 2002년에 광산이씨 5백 위를 모신 경모사를 진도군 진도읍 남산리에 세웠다. 주요 세거지[편집]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검승리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죽청리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도석리 전라남도 나주시 왕곡면 옥곡리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수양리 전라남도 신안군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고탄리, 삼대리 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 취곡리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 광천리(돈목)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삼리리 광주광역시 광산구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1동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 운암동 광산 이씨 전국 분포도 현황[편집] 광산 이씨 전국 분포도 현황은 다음과 같으며, 2010년 통계청에서 발표된 자료를 인용하였다. 시도 가구수 남 여 계 서울특별시 2,574 4,260 4,137 8,397 부산광역시 396 708 599 1,307 대구광역시 676 1,195 951 2,146 인천광역시 425 679 709 1,388 광주광역시 2,195 3,799 3,436 7,235 대전광역시 146 239 230 469 울산광역시 96 169 145 314 경기도 1,718 2,962 2,866 5,828 강원도 95 148 151 299 충청북도 91 134 163 297 충청남도 151 243 270 513 전라북도 471 712 710 1,422 전라남도 1,837 2,775 2,593 5,368 경상북도 261 417 406 823 경상남도 181 297 302 599 제주도 104 184 152 336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편집] 창선군(태조 이복 아우 의안군의 친손자)비 정경부인 낙안 이씨 인접 본관[편집] 광산 김씨 광산 탁씨 광주 노씨 금성 나씨 금성 범씨 남평 문씨 순천 김씨 반남 박씨 각주[편집] ↑ 광산 이씨 - 한국학중앙연구원 ↑ 고려사와 조선왕조 실록에 기록된 역사적사실을 바탕으로 한다. 이선제, 이조원, 이중호, 이발, 이길은 광산 이씨에서 오현으로 일컫는 이들이고, 상서공파의 후손이다. 이서는 한림공파의 후손이다. ↑ 정여립의 집에서 이발선생과 주고받은 편지가 발견되어 이를 계기로 이발을 비롯한 천여명의 동인들이 죽거나 유배를 당하였다. 외부 링크[편집] 광산 이씨 - 공식 웹사이트 광산이씨 공식 카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광산_이씨&oldid=24450656" 분류: 이씨광주광역시광산 이씨광주광역시 소재 성씨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1년 12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19일 (수) 18:3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광산 이씨(光山 李氏)는 광주광역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광주이씨(光州李氏)라고도 한다. '광산'은 '광주'의 별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강진 광산 이씨가 어느 지역을 중심으로 주거지를 확장하기 시작하였나요? Assistant: 광산이씨의 시조 이정으로 부터 그의 8세손인 순백(맏 아들)을 중시조로 하여 1世가 시작이 되고 5世가 고려사를 편찬했던 이선제선생이다. 8世에 이르러 행강 이희(李憙)선생에 이르러 전남 강진에 정착을 하게 된다. 행강 이희(李憙)선생은 조선 성종때 태어나서 중종때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라, 여러관직을 두루거치고 대사간의 벼슬을 하신 덕망이 높은 분이셨다. 이로부터 강진 광산이씨는 전라도 강진을 중심으로 주거지가 확장이 되었다. 현재 전남 강진군 성전면 수양리에 수암서원이 있는데 이희선생은 그곳에 배향되어 있다. Human: 아래 보물섬_(텔레비전_프로그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보물섬 (텔레비전 프로그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보물섬 (텔레비전 프로그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보물섬 장르 시사 · 교양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KBS제주방송총국 방송 기간 2010년 8월 6일 ~ 현재 방송 시간 매주 화요일 저녁 7:35 ~ 밤 8:25 방송 분량 50분 추가 채널 KBS 1TV 제작사 KBS제주방송총국 제작자 오수안, 양태혁 연출 권영옥, 김선희, 진명지 진행자 정현정 음성 1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자막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 방송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KBS제주 보물섬 공식 홈페이지 보물섬은 매주 화요일 저녁 7시 35분에 KBS제주방송총국에서 방송하는 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목차 1 기획 의도 2 방송 시간 3 역대 진행자 4 구성 5 외부 링크 기획 의도[편집] 제주도 도민들의 역사와 풍물을 소개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방송 시간[편집] 현재 방송 시간은 2016년 4월 26일을 기준으로 한다. 전국 방송은 KBS 네트워크 특선에서 방송된다.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KBS제주방송총국 2010년 8월 6일 ~ 2010년 12월 10일 매주 금요일 저녁 7:30 ~ 밤 8:25 (55분) 2011년 1월 6일 ~ 2012년 8월 23일 매주 목요일 저녁 7:30 ~ 밤 8:25 (55분) 2012년 9월 5일 ~ 2014년 12월 13일 매주 수요일 저녁 7:30 ~ 밤 8:25 (55분) 2015년 6월 16일 ~ 2016년 4월 19일 매주 화요일 저녁 7:30 ~ 밤 8:25 (55분) 2016년 4월 26일 ~ 현재 매주 화요일 저녁 7:35 ~ 밤 8:25 (50분) KBS 1TV 2011년 7월 2일 ~ 2011년 9월 27일 매주 화요일 오후 4:10 ~ 5:00 (50분) 2012년 1월 3일 ~ 2012년 3월 27일 2012년 7월 3일 ~ 2012년 9월 8일 2013년 6월 11일 ~ 2013년 7월 16일 2013년 7월 25일 ~ 2013년 10월 17일 2015년 10월 2일 ~ 2016년 3월 25일 매주 금요일 오전 11:00 ~ 11:55 (55분) 2016년 3월 31일 ~ 2016년 4월 21일 매주 목요일 오후 1:00 ~ 1:55 (55분) 2016년 4월 28일 ~ 2016년 12월 29일 매주 목요일 오후 1:05 ~ 1:55 (50분) 역대 진행자[편집] 현재 진행자는 2016년 4월 26일을 기준으로 한다. 역대 진행자 진행 기간 1대 이영재, 현송희 2011년 3월 10일 2대 이영재, 전주리 2011년 3월 17일 ~ 2012년 8월 23일 3대 현송희 2012년 9월 5일 ~ 2013년 4월 10일 4대 이각경 2013년 4월 17일 ~ 2014년 12월 13일 5대 한승훈 2015년 5월 16일 ~ 2016년 4월 19일 6대 강성규 2016년 4월 26일 ~ 2017년 8월 15일 7대 고새롬 2018년 3월 6일 ~ 2018년 5월 29일 8대 정현정 2018년 6월 5일 ~ '현재' 구성[편집] 걸으멍 보멍 들으멍 뜻밖의 제주 삼춘이영 조케영 외부 링크[편집] KBS제주 보물섬 홈페이지 KBS제주방송총국 화요일 프로그램 이전 보물섬 다음 KBS 뉴스 7 일일연속극 비켜라 운명아 저녁 7시 저녁 7시 35분 밤 8시 25분 vdeh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음악  · 영화 · 드라마 《가요무대》 《올댓뮤직》 《이웃집 찰스》 《TV는 사랑을 싣고》 《독립영화관》 《노래가 좋아》 《전국노래자랑》 《열린음악회》 《일일연속극》(《여름아 부탁해》) 시사교양 《내고향 스페셜》 《인간극장》 《아침마당》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사사건건》 《동물의 왕국》 《6시 내고향》 《오늘밤 김제동》 《문화산책》 《우리말 겨루기》 《생활의 발견》 《KBS 네트워크 특선》 《UHD 숨터》 《시사기획 창》 《생로병사의 비밀》 《트레킹노트 세상을 걷다》 《KBS 걸작 다큐멘터리》 《사랑의 가족》 《한국인의 밥상》 《KBS 스페셜》 《KBS 중계석》 《TV비평 시청자데스크》 《열린채널》 《거리의 만찬》 《추적 60분》 《다큐세상》 《남북의 창》 《시니어토크쇼 황금연못》 《걸어서 세계속으로》 《구석구석 대한민국 행복한 지도》 《국악한마당》 《동행》 《다큐공감》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특파원 보고 세계는 지금》 《생방송 심야토론》 《일요진단 라이브》 《TV쇼 진품명품》 《도전! 골든벨》 《글로벌 다큐멘터리》 《역사저널 그날》 《저널리즘 토크쇼 J》 《KBS 바둑왕전》 《KBS 영상실록》² 《KBS 국악대상》² 뉴스 《KBS 뉴스광장》 《KBS 930 뉴스》 《KBS 뉴스 12》 《KBS 뉴스 5》 《KBS 뉴스 7》 《KBS 뉴스 9》 (《KBS 스포츠 9》) 《KBS 뉴스 (2430)》 《KBS 주말뉴스》 《KBS 뉴스특보》¹ 스포츠 · 어린이 《KBS 스포츠 중계석》 《꼬마 어사 쿵 도령 2기》 《시노스톤》 《꼬마탐정 토비와 테리 시즌2》 《쥐라기캅스 시즌2》 《출동! 애니멀 레스큐》 《KBS 창작동요대회》² 《국악동요제》² KBS1 KBS2 MBC SBS OBS EBS1 EBS2 ¹ 유동적으로 편성되는 프로그램 ² 1년에 한 번씩 방송되는 프로그램 &(KBSNEWS24와 동시중계되는 프로그램) 이 글은 텔레비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보물섬_(텔레비전_프로그램)&oldid=23020364" 분류: 한국방송공사의 시사교양 프로그램숨은 분류: 텔레비전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5일 (목) 08:1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보물섬은 매주 화요일 저녁 7시 40분에 KBS제주방송총국에서 방송하는 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보물섬》의 진행을 맡았던 사람들은 누구이며 그들의 진행 기간은 각각 어떠한가? Assistant: 역대 진행자 진행 기간 1대 이영재, 현송희 2011년 3월 10일 2대 이영재, 전주리 2011년 3월 17일 ~ 2012년 8월 23일 3대 현송희 2012년 9월 5일 ~ 2013년 4월 10일 4대 이각경 2013년 4월 17일 ~ 2014년 12월 13일 5대 한승훈 2015년 5월 16일 ~ 2016년 4월 19일 6대 강성규 2016년 4월 26일 ~ 2017년 8월 15일 7대 고새롬 2018년 3월 6일 ~ 2018년 5월 29일 8대 정현정 2018년 6월 5일 ~ '현재'
Human: 아래 그날_이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그날 이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그날 이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그 날 이후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음반에 대해서는 그 날 이후 (음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그날 이후The Day After 감독 니콜라스 메이어 제작 로버트 파파지언 각본 에드워드 험 출연 제이슨 로바즈, 조베스 윌리암스 촬영 게인 레쳐 편집 윌리엄 폴 도니쉬, 로버트 플로리오 음악 데이빗 랙신 국가 미국 그날 이후(The Day After)는 1983년 11월 20일 미국 ABC 방송에서 방영된 TV 영화이다. 이 영화는 NATO 연합군과 바르샤바 조약기구 사이의 전쟁이 급속도로 확대된 핵전쟁을 그린 영화이다. 캔자스주와 캔자스시티, 미주리주 등 핵미사일 기지가 근처에 살고 있는 주민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 영화는 에드워드 흄(Edward Hume)이 극본을 쓰고, 니콜라스 메이어(Nicholas Meyer)가 감독을 맡았다. 핵전쟁을 그린 대표적인 작품으로 핵폭발 이후 생길 수 있는 사건에 대해 사실적인 묘사를 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이후 2004년 5월, 이 영화는 DVD로도 출시되었다. 목차 1 출연 1.1 주연 1.2 조연 2 기타 3 외부 링크 출연[편집] 주연[편집] 제이슨 로바즈 조베스 윌리암스 조연[편집] 스티브 구텐버그 존 컬럼 존 리스고 비비 베쉬 로리 레딘 에이미 메디건 제프 이스트 지오건 존슨 윌리엄 알렌 영 칼빈 정 린 맥카시 데니스 립스콤 클레이턴 데이 윌리엄 알린 파멜라 브라운 조나단 에스트린 스티븐 퍼스트 알리스 하워드 로잔나 허프만 바바라 해리스 매디슨 메이슨 바핸 무세키언 조지 페트리 글렌 로바즈 톰 스프라틀리 해리 버진 웨인 나이트 알렉스 반 허크 하비 유진 잭슨 데이빗 코프만 존 라파에트 랜디 로웰 기타[편집] 협력프로듀서: 스테파니 오스틴 조감독: 스티븐-찰스 자프 미술: 피터 울리 세트: 메리 앤 굿 배역: 행크 맥캔 외부 링크[편집] (영어) 그날 이후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그날 이후 – 올무비 이 글은 영화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그날_이후&oldid=23995843" 분류: 1983년 영화미국의 SF 영화미국의 재난 영화미국의 텔레비전 영화영어 영화 작품냉전 영화미주리주를 배경으로 한 영화캔자스주를 배경으로 한 영화미주리주에서 촬영한 영화캔자스주에서 촬영한 영화1983년 텔레비전 영화SF 전쟁 영화숨은 분류: 영화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FrançaisItaliano日本語LatinaLigure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čina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9일 (화) 00:5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그날 이후(The Day After)는 1983년 11월 20일 미국 ABC 방송에서 방영된 TV 영화이다. 이 영화는 NATO 연합군과 바르샤바 조약기구 사이의 전쟁이 급속도로 확대된 핵전쟁을 그린 영화이다. 캔자스주와 캔자스시티, 미주리주 등 핵미사일 기지가 근처에 살고 있는 주민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 영화는 에드워드 흄(Edward Hume)이 극본을 쓰고, 니콜라스 메이어(Nicholas Meyer)가 감독을 맡았다. 핵전쟁을 그린 대표적인 작품으로 핵폭발 이후 생길 수 있는 사건에 대해 사실적인 묘사를 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이후 2004년 5월, 이 영화는 DVD로도 출시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그날 이후라는 제목의 영화의 조연 중 바바라라는 이름을 가진 배우의 성은 무엇인가? Assistant: 해리스 Human: 아래 카렐_포보르스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카렐 포보르스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렐 포보르스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카렐 포보르스키 개인 정보로마자 표기 Karel Poborský출생일 1972년 3월 30일(1972-03-30) (47세)출생지 체코슬로바키아 인드르지후프흐라데츠키 174cm포지션 은퇴 (과거 윙어)청소년 클럽 기록1978-19841984-19871987-19881988-1990 TJ 트르제보니 디나모 체스케부데요비체 지스크라 트르제보니 디나모 체스케부데요비체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1991-19941994-19951995-19961996-19971998-20002001-20022002-20052006-2007 디나모 체스케부데요비체 빅토리아 지슈코프 슬라비아 프라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벤피카 라치오 스파르타 프라하 디나모 체스케부데요비체 0820(15) 0280(10) 0260(11) 0320(5) 0610(11) 0470(5) 0870(26) 0260(10)국가대표팀 기록‡1994-2006 체코 1180(8)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08년 1월 1일 기준이다.‡ 국가대표팀의 출장수와 골은 2008년 1월 1일 기준이다. 카렐 포보르스키 (체코어: Karel Poborský, 1972년 3월 30일, 체코슬로바키아 인드르지후프흐라데츠 ~ )는 체코의 은퇴한 축구 선수다. 또한 포보르스키는 체코 대표팀 역사상 A매치 최다 출장 기록을 보유한 선수로 기록돼있다. 목차 1 선수 시절 2 경력 3 수상 4 외부 링크 선수 시절[편집] 유로 96에서 출전한 국제 대회에 데뷔한 포브르스키는 포르투갈과의 8강전에서는 골키퍼의 키를 넘기는 슛을 성공시키면서 그 경기에서 유일한 득점을 기록했다. 이러한 활약으로 포보르스키는 체코 대표팀의 핵심 선수로 자리잡았다. 이 활약으로 대회가 끝난 뒤,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 입단했다. 하지만 그가 들어갔을 때 같은 포지션인 데이비드 베컴이 있었기에, 그에게 밀릴 수밖에 없었다. 주전 경쟁에서 밀려난 그는 1998년 포르투갈의 클럽 벤피카로 이적하였고, 그 활약을 통해 당시 오른쪽 윙을 절실히 원하고 있던 라치오로 자리를 옮겨 활약하게 된다. 그는 라치오에서의 대성공으로 팬들의 마음을 사로 잡았고, 계약 기간이 만료된 후 팬들은 그가 떠나는 것을 만류하기도 했지만, 그는 결국 그는 계약 기간 만료 직후 조국 체코의 클럽인 스파르타 프라하로 돌아갔다. 그리고 거기에서 3시즌간 활약한 후 다시 그가 처음으로 성인 무대에 모습을 보였던 디나모 체스케부데요비체로 돌아갔다. 그곳에서 2시즌을 뛴 후 은퇴하였고 체스케부데요비체는 포보르스키의 기여도를 감안하여 그의 등번호 8번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하였다. 경력[편집] UEFA 유로 1996 국가대표 199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국가대표 UEFA 유로 2000 국가대표 UEFA 유로 2004 국가대표 2006년 FIFA 월드컵 국가대표 수상[편집] 슬라비아 프라하 1995-96 감브리누스리가 우승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1996-97 프리미어리그 우승 스파르타 프라하 감브리누스리가 : 2002-03, 2004-05 감브리누스리가 준우승 : 2003-04 체코 컵 : 2003-04 디나모 체스케부데요비체 2005-06 체코 2부 리그 우승 체코 UEFA 유로 1996 준우승 199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3위 UEFA 유로 2004 4강 개인 UEFA 유로 1996 맨 오브 더 매치 : 체코 vs 포르투갈 8강전, 체코 vs 독일 결승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올스타팀 : 1996 체코 올해의 선수상 : 1996 외부 링크[편집] National team data (체코어) Stats and profile at zerozero.pt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vdeh체코 축구 국가대표팀 – UEFA 유로 1996 준우승 1 코우바 2 라탈 3 수호파레크 4 네드베트 5 카들레츠 6 네메체크 7 네메츠 8 포보르스키 9 쿠카 10 드룰라크 11 프리데크 12 쿠비크 13 베이블 14 베르게르 15 호르나크 16 스르니체크 17 슈미체르 18 코툴레크 19 라다 20 노보트니 21 케르브르 22 마이에르 감독: 우흐린 vdeh체코 축구 국가대표팀 – 199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3위 1 스르니체크 2 울리흐 3 코젤 4 네드베트 5 호르냐크 6 스보보다 7 네메츠 8 포보르스키 9 쿠카 10 시에글 11 베이블 12 라다 13 블체크 14 슬론치크 15 라소타 16 로크벤츠 17 슈미체르 18 푸칼 19 프리데크 20 마이에르 감독: 우흐린 vdeh체코 축구 국가대표팀 – UEFA 유로 2000 1 스르니체크 2 르제프카 3 라탈 4 네드베트 5 푸칼 6 블체크 7 네메츠 8 포보르스키 9 쿠카 10 콜레르 11 로시츠키 12 로크벤츠 13 베이블 14 호르바트 15 얀쿨로프스키 16 마이에르 17 슈미체르 18 노보트니 19 라다 20 베르게르 21 가브리엘 22 블라젝 감독: 호바네츠 vdeh체코 축구 국가대표팀 – UEFA 유로 2004 4강 1 체흐 2 그리게라 3 마레시 4 갈라세크 5 볼프 6 얀쿨로프스키 7 슈미체르 8 포보르스키 9 콜레르 10 로시츠키 11 네드베트 12 로크벤츠 13 이라네크 14 바호우셰크 15 바로시 16 블라제크 17 휘브슈만 18 헤인스 19 티체 20 플라실 21 우이팔루시 22 로제날 23 킨스키 감독: 브뤼크네르 vdeh체코 축구 국가대표팀 – 2006년 FIFA 월드컵 1 체흐 2 그리게라 3 마레시 4 갈라세크 5 코바치 6 얀쿨로프스키 7 시온코 8 포보르스키 9 콜레르 10 로시츠키 11 네드베트 12 로크벤츠 13 이라네크 14 야롤림 15 바로시 16 블라제크 17 슈타이네르 18 헤인스 19 폴라크 20 플라실 21 우이팔루시 22 로제날 23 킨스키 감독: 브뤼크네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카렐_포보르스키&oldid=23525784" 분류: 197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체코슬로바키아의 축구 선수체코의 축구 선수체코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SK 디나모 체스케부데요비체의 축구 선수SK 슬라비아 프라하의 축구 선수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의 축구 선수SL 벤피카의 축구 선수SS 라치오의 축구 선수AC 스파르타 프라하의 축구 선수UEFA 유로 1996 참가 선수UEFA 유로 2000 참가 선수UEFA 유로 2004 참가 선수2006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FIFA 센추리 클럽이탈리아의 외국인 축구 선수잉글랜드의 외국인 축구 선수199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참가 선수체코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포르투갈의 외국인 축구 선수프리미어리그의 축구 선수세리에 A의 축구 선수프리메이라리가의 축구 선수체코 1부 리그의 축구 선수영국에 거주한 체코인이탈리아에 거주한 체코인숨은 분류: 로컬에는 없지만 위키데이터에는 있는 그림체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Malagasy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24일 (목) 09: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카렐 포보르스키(체코어: Karel Poborský, 1972년 3월 30일, 체코슬로바키아 인드르지후프흐라데츠 ~ )는 체코의 은퇴한 축구 선수다. 또한 포보르스키는 체코 대표팀 역사상 A매치 최다 출장 기록을 보유한 선수로 기록돼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카렐 포보르스키가 유로 96 이후 입단하게 된 팀의 이름은? Assistant: 맨체스터 유나이티
Human: 아래 Suica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Suica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Suica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SUICA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Suica 일본의 교통카드 주 사용지역 수도권, 니가타, 센다이 호환 사용 주 발급자 동일본 여객철도 라이선스 도쿄 모노레일, 도쿄 임해 고속 철도 사용 기간 2001년부터 [1] Suica(일본어: スイカ, 한국어: 스이카)는 2001년 11월 18일에 동일본 여객철도(이하 JR 동일본)가 도쿄 근교 구간에 처음으로 도입한 교통 카드로, 소니의 비접촉형 IC카드인 FeliCa의 기술을 적용하였다. 승차권은 물론 전자 화폐로도 이용할 수 있다. 'Suica'라는 단어는 JR 동일본의 등록상표로 등록되어 있다. Suica의 일종으로, 도쿄 모노레일에서 발행하고 있는 모노레일 Suica와 도쿄 임해 고속 철도에서 발행하는 린카이 Suica가 있다. PASMO·ICOCA·TOICA와 상호 이용(공통 이용)이 일부를 제외하고 행해지고 있다. 목차 1 개요 2 종류 2.1 구카드의 제한 3 구입 방법 4 기본 규칙 4.1 이용 이력의 출력 5 철도 이용 5.1 Suica 지역 밖으로 나올 때의 제한 5.2 신칸센으로 갈아 타는 경우의 운임 자동 정산 5.3 그린차 Suica 시스템 6 이용 가능 구간 7 상호 이용 8 전자 화폐로의 이용 9 기능의 확충 9.1 크레디트 카드 기능의 부가(타사와의 제휴) 9.2 사원증 Suica 9.3 신칸센 특급권의 티켓 트레스 서비스(JR 동일본·JR 도카이) 9.4 보관함 9.5 일본 철도 박물관의 입/퇴관 9.6 e-AMUSEMENT PASS 연동 10 같이 보기 11 각주 12 외부 링크 개요[편집] 동일본 여객철도에서 개발했으며, 당초에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자사 선구 전용으로 도입하였다. 2008년 11월말 기준으로 발행 매수는 약 2,674만 장, 전자 화폐 대응 카드는 약 2,410만 장이다. Suica의 발매 전에도 동사에서는 자동 매표기에서 승차권을 사지 않고도 개찰구를 통과해 승차할 수 있는 선불 카드인 '이오 카드'(자기식)가 발매되고 있었지만, Suica는 이오 카드와 같이 자동 매표기에서 승차권을 사지 않아도 승차할 수 있는 것 외에도 자동 정산기으로의 정산 기능, 반복 사용할 수 있는 기능, 정기권 기능, 그린권 기능, 역내 매점이나 거리의 일부 점포에서의 상품 대금의 지불에도 이용할 수 있는 전자 화폐기능 등 IC카드만이 가능한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터치&고 비접촉형 IC카드라서 인식기에 대지 않아도 통과가 되기 때문에 반드시 카드 케이스나 가방에서 꺼내서 쓸 필요는 없다. 덧붙여 인식 범위가 반경 10cm 정도이므로 공중을 통해도 이용 가능한 경우가 있지만, Suica와 개찰기와의 통신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Suica를 꺼내어 직접 인식기에 대서 개찰기를 통과하는 사용법인 '터치 앤 고'를 추천 하고 있다. Suica는 "Super Urban Intelligent Card"의 약칭으로, '어디든지 갈 수 있는 IC카드'라는 의미를 가지며, 명칭을 수박을 뜻하는 '스이카'라는 단어에 맞춰서 하여금 대중과 친숙하게 하고 있다. 로고 마크에서는 'ic'의 부분이 반전 표기되고 있어 IC카드인 것을 어필하고 있다. 이미지 캐릭터는 펭귄. FeliCa는 13.56MHz의 주파수의 무선을 사용해 통신하기 위해, 통신 가능권내에 있는 복수의 FeliCa와 통신 가능하다. 안티 collision에 대응하고 있으면 복수매의 카드를 거듭해도 간섭하지 않는다고 여겨지고 있어 본카드는 대응하고 있지만, Edy는 비대응으로, 본카드와 Edy를 거듭해 사용하려고 하면 서로 간섭하는 일이 있다. 게다가 복수매의 FeliCa가 인식기로부터의 전파를 서로 빼앗아, 통신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 하지 못하고 에러를 일으키는 일이 있다. 또, IC카드로 된 운전 면허증과도 상호 간섭되어 에러가 되는 경우도 있다. 전국 각지의 규격이 같은 교통 IC카드와의 상호 이용 협정을 적극적으로 묶고 있어 이용할 수 있는 지역을 확장시키고 있다. 2010년에는 시코쿠를 제외한 JR 각사, 간토 지방 사철, 서일본 철도 및 후쿠오카 지하철의 일부에서 전자화폐 기능을 포함하여 이용하게 되었다. 종류[편집] 카드의 호칭과 색은 발행 각사에 따라서 다르다. 기본적으로 은빛 바탕에 Suica의 로고가 들어간 디자인이다. 2008년 12월부터 새로운 디자인의 Suica 카드가 발매되었다. JR 동일본 발행의 카드는 황녹색의 강조가 들어간 카드로,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Suica 카드 (무기명식) 이름 등의 개인정보는 등록하지 않고, 철도 승차시의 운임 정산이나 Suica 쇼핑 서비스 가맹점에서 물건값 지불에 이용할 수 있다. 성인용만 발매하고 있으며, 소아 이용자는 아래와 같은 어린이용 My Suica를 이용한다. 다만, 디자인면이 통상과 다른 기념 카드에 대해서는 Suica·PASMO 상호 이용 기념 Suica 카드를 제외하고 리라이트 기능이 없는 무기명 전용 카드로 발행하고 있다. My Suica (기명식) 구입시에 이름(가타카나), 생년월일, 전화 번호 등의 개인정보를 등록한다. Suica 카드의 표면에 이름이 가타카나로 인자되어 그 개인 이외는 사용할 수 없다. 개인정보를 등록하는 것으로 하여금 분실시에 사용 정지 조치, 잔고가 보존된 새 카드로 재발급을 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이 경우 수수료 있음) 소아 운임을 공제하는 어린이용 My Suica가 있다. 이미 소아용의 타사 발행의 Suica나 PASMO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는 구입할 수 없다. Suica 정기권 My Suica에 정기권 정보를 가지는 것. 성인용과 어린이용이 있다. 정기권으로서의 유효기간을 지나도 자동 정산 기능은 이용할 수 있다. 역 개찰구 직원에게 부탁하여 정기권의 유효기간 종료와 동시에 자동 정산 기능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상기의 각 Suica 카드에는 리라이트 기능이 붙어 있어 무기명식 Suica 카드를 소유하고 있으면서 나중에 개인정보를 등록하여 기명식인 My Suica로, My Suica를 소유하고 있으면서 정기권을 추가 구입하여 Suica 정기권으로 변경할 수도 있으나, 역으로 Suica 정기권이나 My Suica를 무기명식 Suica 카드로 변경할 수 없다. 그러나 Suica 정기권에서 정기권 부분을 환불하여 My Suica로 변경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 어린이용 Suica에는 유효기간이 있어[1], 기한이 지나면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계속해서 성인용을 이용하려고 한다면 JR 동일본 소속 역의 미도리노마도구치에서 성인용으로 변경하는 절차를 밟아야 한다. 도쿄 모노레일에서는 카드 색이 오렌지색, 도쿄 임해 고속 철도에서는 물색이며, 각각 모노레일 Suica 정기권과 모노레일 Suica 카드, 린카이 Suica 정기권과 린카이 Suica 카드라고 부른다. 덧붙여 2007년 3월 18일부터 발매를 개시한 사이타마 신도시 교통·센다이 공항 철도·JR 버스 간토의 3회사에서는, JR 동일본의 것과 똑같은 것을 발행하고 있다. 이처럼 Suica의 발행사는 JR 동일본 이외에도 여러 곳이지만, 카드의 기능 자체는 발행 회사에 관계없이 동일하다. 이하, 카드명의 표기는 발행 회사 관계없이 각각 'Suica 정기권', 'My Suica', '무기명식 Suica 카드'로 통일한다. 무기명식 Suica 카드는 2007년 3월 17일까지 JR 동일본에서는 'Suica 이오 카드'라고 호칭하고 있었지만, 18일부터의 서비스 변경으로 Suica 이오 카드는 발매 종료되었다. 구카드의 제한[편집] 이오 카드의 로고가 우측 상단에 들어가 있었던 Suica 이오 카드는 2007년 3월 17일에 발매 종료가 되었다. 그 후에도 무기명식 Suica 카드와 같이 사용할 수 있지만, 리라이트 기능이 없기 때문에 이 카드를 그대로 사용해 My Suica나 Suica 정기권으로 변경할 수 없고, 새로 사야 한다. 전자 화폐 비대응의 Suica는 버스(JR 버스 간토를 포함) 승차에 사용할 수 없다. ※특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한 2007년 3월 17일에 판매를 종료한 Suica 이오 카드 및 도쿄 모노레일·린카이의 각 구 Suica 카드에 대해서는 '구 Suica 카드'라고 기술한다. 구입 방법[편집] Suica는 Suica 사용 지역 내 주요 역에 설치된 창구나 카드 발매기, 역내 매점, 지정석 매표기에서 구입할 수 있다. Suica 정기권은 역의 창구, 지정석 매표기, 정기권 발매기로 구입할 수 있다. 기본 규칙[편집] 구입시에는 예탁금 500 엔이 필요하고, 발매액[2] 중 예탁금분을 뺀 만큼이 운임에 충당할 수 있는 금액이 된다. 예탁금은 카드 반환시에 같이 반환된다. 그 밖에 정기권 부분의 환불 가능액이나 SF부분의 잔액이 있는 경우는 환불 수수료로 220 엔이 공제된다. 덧붙여 잔액이 220 엔 미만의 경우는 예탁금만 환불이 된다.[3] 반환 및 환불은 각 발행 회사에서 실시한다. 부정 승차 등의 부정행위가 있었을 경우나 Suica를 분실했을 경우는 예탁금이 반환되지 않는다. 카드 충전은 자동 매표기, 자동 정산기, 정기권 발매기(Suica 정기권의 경우), 카드 발매기, 역내의 철도 매점에서 가능하다. 그 외에도 Suica를 이용할 수 있는 일부 점포, PASMO 등 상호 이용 가능한 타사 노선의 역에 있는 매표기나 카드 충전기에서도 가능하다. 최대 20,000 엔까지 충전할 수 있어 같은 카드를 반복 사용할 수 있다. 1회 충전 금액은 1,000 엔, 2,000 엔, 3,000 엔, 4,000 엔, 5,000 엔, 10,000 엔[4]이다. 뷰카드 이외의 신용카드를 이용한 충전은 정기권 발매기에서 정기권 구입시 동시에 충전하는 경우에 한정해 가능하다(My Suica를 Suica 정기권으로 변경할 때도 가능). 이전 서일본 여객철도(JR 서일본)의 ICOCA 사용 가능 지역 내의 미도리노마도구치에서 일반 신용카드로의 충전이 가능했지만, SMART ICOCA의 일반 크레디트 카드 취급 개시에 수반해 2008년 6월 30일로서 취급 종료가 되었다. My Suica 및 Suica 정기권은 개인정보가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취급역에서 본인 확인 서류를 제시한 다음 분실한 카드의 ID 번호를 신고하면, 충전 금액이 보존된 채 재발행된다(Suica 정기권인 경우에는 정기권도 같이 보존). 재발행 시에는 수수료, 예탁금이 각각 500 엔으로 합쳐서 1,000 엔이 필요하다. 분실한 카드가 발견되었을 경우는 미도리노마도구치에 신고한 다음 예탁금의 500 엔이 반환된다. 단, 무기명식 Suica 카드의 경우는 분실시 잔고 보증은 없다. 또한 Suica 이용 불가능 구간에 사용하는 정기권의 경우는 Suica가 발행되지 않고, 통상의 자기식으로 발행된다. Suica는 기본적으로 대체 수송을 받을 수 없지만, Suica 정기권의 유효 기간 내에서 권면 표시 구간내에서의 승차에 한정해 받을 수 있다. 이 카드로 입장 후 수송 혼란으로 나갈 수밖에 없게 되었을 때는 역무원 설정으로 유인 개찰 또는 자동 개찰기에서의 입장 처리를 취소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 통상시에 입장권과 같은 동일역에서의 입·출은 할 수 없다. 또한, Suica는 마지막에 이용된 날부터 10년간 이용이 없는 경우 못 쓰게 되며, 새로 사야 한다. 이용 이력의 출력[편집] 이용 이력은 센터 서버에 기록되고 있는 바로 앞 50건의 이용 이력과 Suica 카드로 기록되고 있는 바로 앞 20건의 이용 이력과 3건의 상세 이력이 있다. 이것들 중 센터 서버에 기록되고 있는 바로 앞 50건의 이용 이력은 역의 자동 매표기와 카드 발매기로 인자가 가능하다. 다만, 센터 서버가 점검 등으로 정지(정례 점검·매일 0:50 - 5:00) 하고 있으면 인자할 수 없다. 한 번 인자를 실시하면 센터 서버의 데이터에 인자가 끝난 플래그가 기록되어 Suica 지역에서의 재인자는 할 수 없다. 덧붙여 일부의 역에서는 PASMO와 같게 바로 앞 20건까지 인자할 수 있어 재인자도 가능하다. 또, Suica 카드로 기록되고 있는 바로 앞 20건의 이용 이력도 역의 자동 매표기와 카드 발매기로 표시할 수 있는 것 외, PASMO 지역의 기기에서는 이력이 카드로 남아 있는 동안은 몇 번이라도 이력 인자가 가능하다. 그 외에도 FeliCa용 리더 라이터와 소니로부터 제공되는 전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읽어낼 수도 있다. 카드상의 이용 이력을 기억하는 영역에는 상호 인증이 불필요하고 리드 액세스 가능한 서비스 파일이 오버랩 되고 있어 암호열쇠 없이 이용 이력의 읽기가 가능하지만, 라이트 액세스에는 상호 인증이 필요하다. 게다가 일부의 유시에 의해 이력 표시용 프리 소프트웨어도 개발·배포되고 있다. 이용 이력에는 일자·승차역·하차역·잔액·통번 등이 기록되어 승·하차 외, 충전했을 때나 전자 화폐로서 물품 구입했을 때에도 기록이 추가된다. Suica에는 3건의 상세한 이용 이력이 기록되고 있어 개찰 통과시각(시분까지)이나 금액이 기록되고 있다. 이것은 정기권으로의 통과 정보도 포함되어 있고, 이쪽도 유시가 작성한 일부의 프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읽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철도 이용[편집] 간이 Suica 개찰기(센잔 선 구즈오카 역) 개찰구를 통과할 때 카드 판독부에 Suica를 가볍게 터치한다. 승차역의 터치시에 최초구간 운임 상당액이 충전 되어 있는지, 또는 유효한 정기권 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 시점에서 충전 금액은 빼지 않는다. 하차역의 터치시에 승차된 구간의 운임이 전액 정산된다. 징수 금액과 잔액은 그 때마다 개찰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덧붙여 2007년 3월 17일까지는 승차시에 최초구간 운임이 공제되어 하차시에 승차 구간의 운임과 최초구간 운임과의 차액이 공제되는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었다. Suica 정기권은 정기권 구간외와 구간내를 갈아탈 때의 정산도 자동으로 행해진다. 이 경우 구간외 승차 중에서 만나도 어디까지나 Suica 정기권으로서의 효력은 계속된다. 덧붙여 자동 정산기에 있어서의 충전액을 이용한 정산이나 정기권 구간과 병용한 정산(정기권으로 연결되는 승차권과의 병용)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함께 유인 개찰에서 대응한다. 주로 사용 가능 지역의 교외에 있는 작은 역에서는 자동 개찰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 많지만, 이 경우는 간이 Suica 개찰기(사진)에 터치해 승·하차한다. 터치하지 않으면 다음번부터 이용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있다. 단지, 간이 Suica 개찰기가 설치되어 있는 많은 역에서는 자동 정산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충전 금액이 부족했을 경우는 역 계원에게 신청해 정산할 필요가 있지만, 무인역 등 일부의 역에서는 개찰외의 자동 매표기로 부족분을 충전해 다시 개찰기에 터치하는 것으로 정산한다. Suica 지역 밖으로 나올 때의 제한[편집] Suica 지역내의 역에서 승차해 지역외의 역에서 정산할 때는 역무원이 Suica용 휴대 표시기(Suica를 대면 이용 이력이나 잔액이 표시되는 인식 전용 기기)를 사용해 승차 기록을 확인한 다음 현금으로 정산을 실시한다. 이 경우 Suica에 하차 기록을 쓸 수 없기 때문에 출장 증명서를 발행받아, 다음번 이용시에 Suica 지역 내의 역 창구 등에서 하차 처리[5]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덧붙여 Suica 지역내에서도 시스템에 대응하고 있지 않는 일부의 역이나 개찰구에서는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 Suica 지역 내의 역에서 승차해 타사 노선에 자기 승차권으로 갈아 탈 때, 연락용 자동 개찰기에 먼저 자기 승차권을 투입해 그 후 Suica를 터치하는 것으로 연락용 자동 개찰기를 이용할 수 있다(일부 개찰기를 제외). 신칸센으로 갈아 타는 경우의 운임 자동 정산[편집] JR 동일본의 재래선의 역에서 승차하고, 또는 연락 타사 노선구간(JR 이외의 사철·지하철의 노선 구간 가운데, JR의 재래선에 승계역(연락역)그리고 연락 개찰로 갈아탈 수 있는 구간)의 역에 입장해 연락 개찰기로 재래선에 연락하고, 도호쿠/홋카이도/조에쓰/호쿠리쿠/야마가타/아키타/도카이도 신칸센으로 갈아 타는 경우에 운임 자동 정산을 실시하는 구조가 2008년 3월에 도입되었다. 다만 제한 사항이나 주의 사항이 있다. JR 동일본의 재래선 구간의 운임만 정산하려면 Suica, PASMO, TOICA, ICOCA를, 타사 노선구간을 포함한 운임 정산에는 Suica, PASMO를 사용 가능(복수매 병용은 불가)하다. 이하, Suica를 대표시킨다. 원칙 Suica로 승차해 환승역에 있는 신칸센 환승 개찰기로 신칸센으로 사용하는 승차권을 투입, 다음에 Suica를 터치하면 운임이 자동 정산된다. 신칸센으로 사용하는 승차권이 「도쿄도 구내」/「도쿄 야마노테 선내」/「요코하마 시내」/「센다이 시내」(지역내)발인 경우 제한: 운임 정산 구간의 기점이 지역내에 있어(하의 c-2나 d-2)기점과 종점이 동일 지역 내가 되는 것부터, 자동 정산 불가. 주의: 환승역이 아니고, 연락역에 있는 연락 개찰기로 자동 정산이 되는 경우(하의 b-2.)가 있다. a.지역 외의 역에 「Suica 카드」/「Suica 정기권」(※)으로 승차하고,지역내 환승역에 이르는 경우→환승역에서 자동 정산. b.연락 타사 노선구간의 역에 「Suica 카드」/「Suica 정기권」(※)으로 승차하는 경우, 1.연락역이 지역 외에 있다→Suica를 연락 개찰기에 대, 환승역에서 자동 정산,2.연락역이 지역내에 있는 경우→연락 개찰기로 자동 정산. ※유효 구간이 지역 내에 있는 것을 제외한다. c.지역 내에서 갑역에 승차해 병역에서 갈아 타는 경우, 1. 갑역에 승차권으로 승차하면 운임 정산 불요, 2.갑역에 잘못해 「Suica 카드」로 승차하면 갑-병이 운임 정산 구간이 되어 자동 정산 불가. d.지역내에서 을역=환승역 보다 앞에 있는 다른역까지 유효한 「Suica 정기권」(유효 구간이 지역 외나 연락 타사 노선구간으로부터 있는 것을 포함한다)이 있어도, 자동 정산에는 이용 불가. 출발역에 「Suica 정기권」으로 승차하는 경우, 1.유효 구간내 지역 내에 있는 역에서 하차해, 그 역에 승차권으로 입장하면 운임 정산 불요, 2. 다른역을 지나쳐 병역에 이르면 을-병이 운임 정산 구간이 되어 자동 정산 불가. 그린차 Suica 시스템[편집] 많은 정보를 비접촉으로 통신 가능한 FeliCa의 이점을 활용해 JR 동일본에서는 수도권의 보통 열차의 그린차에 이 카드를 이용한 그린차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좌석 상부에 설치된 리더 라이터에 미리 그린권정보가 쓰인 Suica를 승객 스스로 갖다 댄다. 이때 램프가 적색→녹색으로 변화해 차내 개찰이 생략된다. 덧붙여 보통 열차의 1등차는 자유석에서 동일 열차내에서 좌석을 이동해도 그 때마다 좌석 상부의 리더 라이터에 터치하면 좋다. 단, 개찰을 나오지 않고 후속의 열차로 갈아 타는 경우는 마지막에 착석한(터치한) 좌석의 리더 라이터에 내리기 직전에 재차 터치해 램프를 녹색으로부터 적색으로 해 둘 필요가 있다. 덧붙여 하차 할 때에는 리더 라이터에 터치할 필요는 없고, 구입 구간을 지나 다른 좌석의 리더 라이터에 터치된 시점에서 자동 갱신(램프가 녹색→적색)된다. 자동 개찰기로의 이용과는 달라, 미리 역의 자동 매표기, 또는 모바일 Suica으로의 온라인 결제로 「Suica 그린권」이라고 불리는 그린권 정보를 쓰는 것이 필요하다. 종이로 발권은 되지 않는다. Suica 그린 정기권은 구입한 시점에서 그린권 정보가 탑재되고 있으므로, 이용 때마다 그린권 정보를 쓸 필요가 없다. 개찰내는 Suica 그린권만 구입 가능하다. 현재는 쇼난 신주쿠 라인, 우츠노미야 선(도호쿠 본선)·다카사키 선(조에쓰 선·료모 선 직통열차를 포함한다), 도카이도 선·이토 선, 요코스카 선·소부 쾌속선(소부 본선·나리타 선·우치보 선·소토보 선 직통열차를 포함한다), 조반 선의 보통 열차의 그린차로 도입되고 있다. 다만 Suica 이용 가능 구간외의 아타미 - 누마즈 간은 미도입이기 때문에 자기 그린권만의 대응이 되지만, 이러한 구간까지는 동액이 되는 역까지 구입한 다음 차내에서 차장 또는 그린 어텐던트에게 그 취지를 신청하면 좋다. 이 시스템은 PASMO·TOICA로도 이용할 수 있지만, ICOCA는 이용할 수 없다. 이용 가능 구간[편집] Suica 발행 사업자의 구간 동일본 여객철도(이하 JR 동일본) - 수도권 지역(도쿄 근교 구간, 다만 가이라쿠엔 역을 제외한다)·센다이 지역·니가타 지역(니가타 근교 구간) 도호쿠·조에쓰 신칸센 중 도쿄 역 - 나스시오바라 역·다카사키 역 사이(Suica 플렉스〔펄〕은 정기권과 신칸센의 역이 2개이상 포함되는 Suica 정기권만 이용 가능. 그 이외의 Suica의 경우는 별도 특급권을 구입해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승차권을 구입할 필요가 있다.) 모바일 Suica 특급권은 JR 동일본의 신칸센 전선(도호쿠·야마가타·아키타·조에쓰·호쿠리쿠 신칸센)의 전역 상호간에서 이용할 수 있다. JR 동일본의 자동 개찰기 설치역에서도 상기 지역 이외는 Suica 대응으로 하고 있지 않다. 이것은 동일 지역내에서 자동 개찰기 설치역과 비설치역이 혼재하고 있는 경우가 많이 승·하차 미처리의 Suica가 다수 발생하기 때문이다. 도쿄 모노레일 - 전선 도쿄 임해 고속 철도 - 전선 사이타마 신도시 교통 - 전선 센다이 공항 철도 - 전선 상호 이용이 인정되고 있는 것 외의 사업자(타카드)의 구간 TOICA 지역 ICOCA 지역(긴키권 지역/오카야마·히로시마 에리어) Kitaca 지역 PASMO 지역 모두 승차로부터 하차까지 동일 지역 내에서 이동하는 경우에 한정해 사용할 수 있어 동일 지역 내의 다른 사업자 구간과의 사이로도 환승 사용이 가능하다. 도쿄 임해 고속 철도 및 PASMO 지역과 JR 동일본의 수도권 지역, 센다이 공항 철도와 JR 동일본의 센다이 지역은 각각 환승 사용할 수 있다. 덧붙여 지역 외에서 지역 내에 가는 경우는 하차역의 유인 창구에서 승차역을 신고 후에 잔액을 이용해 정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호 이용[편집] PASMO・Suica 전용 자동 개찰기(오다큐 전철 에노시마 선 후지사와 역) 이 카드는 이하의 카드 사업자와의 사이에 상호 이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아래와 같이 Suica 이용 가능 구간에서 아래와 같은 카드를 서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구역이나 취급에 제한이 있는 경우가 있다. ICOCA(JR 서일본) 서일본 여객철도(JR 서일본)이 오사카 근교 구간(일부 구간 제외)에서 도입하고 있는 IC카드 ICOCA와 2004년 8월 1일에 상호 이용이 개시되었다. 덧붙여 동카드는 2007년 9월 1일부터 오카야마·히로시마 지역에서도 이용이 개시되고 있다. 또, 2008년 3월 18일부터 전자 화폐의 상호 이용이 개시되었다. PASMO(가맹 각사국) 주식회사 파스모에서 발행하는 비접촉형 IC카드 교통 카드 PASMO는 2007년 3월 18일의 도입시부터 상호 이용이 개시되고 있다. 2008년 3월 29일부터 승차용으로서는 이용할 수 없었던 센다이·니가타의 Suica 지역에서도 PASMO를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6] PASMO는 Suica 지역내에서는 전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TOICA(JR 도카이) 2008년 3월 29일부터 도카이 여객철도(JR 도카이)의 TOICA와의 상호 이용이 개시되어 나고야·시즈오카 지역에서의 이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덧붙여 당분간 TOICA와 Suica·ICOCA의 각 지역을 걸치는 이용은 지금 그대로 대응하지 않는다(후술의 모바일 Suica에 의한 신칸센 특급권의 티켓 트레스 서비스에 의한 수도권⇔도카이도 신칸센의 이용 제외). 2008년 10월 25일 기준, 상호 이용에 대해 표에 적는다. ◎:교통 이용시·전자화폐 기능 모두 이용 가능, ○:교통 이용시만 이용 가능, ×:이용 불가능 이용처→↓소지 카드 Suica PASMO ICOCA PiTaPa TOICA Kitaca Suica ◎ ◎ ◎(1) × ○ ×(7) PASMO ◎(2) ◎ × × × × ICOCA ◎(3)(4)(5) ×(5) ◎ ○ ○ × PiTaPa × × ○(6) ◎ × × TOICA ○(2)(4)(5) ×(5) ○ × ○ × Kitaca ×(7) × × × × ○ 주 (1) PiTaPa 가맹 각사 노선⇔JR 서일본 노선 환승 개찰구에서는 이용 불가(린쿠타운 역의 전용 개찰구 제외). (2) 센다이 공항선은 유인 창구에서의 취급이 된다. (3) Suica 그린권은 구입 불가. (4) PASMO 가맹 각사 노선⇔JR 동일본 노선 환승 개찰구에서는 이용 불가 외, PASMO 가맹 각사국 관리의 일부 JR 개찰구에서 미대응의 역 있음. (5) 아야세 역-기타센주 역사이만○ (6) ICOCA지역 이용시에는 사전에 충전이 필요. (7) 2009년 3월 14일부터 전자 화폐 기능을 포함한 상호 이용 개시. 아래와 같은 사업자에서는 향후의 상호 이용이 예정·검토되고 있다. 스루토 KANSAI의 가맹 각사국이 도입을 진행시키고 있는 PiTaPa와도 상호 이용이 검토되고 있지만, PASMO와의 균형도 있기 위해서 도입 시기는 미정이다. 홋카이도 여객철도(JR 홋카이도)가 2008년 10월 25일부터 도입한 Kitaca는 2009년 3월 14일에 전자화폐를 포함한 상호 이용을 실시할 예정이다. 전자 화폐로의 이용[편집] Suica의 노선버스 및 택시로의 이용에 대해서는 (PASMO와 달리)전자 화폐에 준한 취급이 된다. 따라서 전자 화폐 비대응의 구 Suica카드는 사용할 수 없다. 전자 화폐로서는 빗트와렛트의 Edy가 선행하고 있었다. 혼잡한 역 구내에서는 물건 판매의 지불로 전자화폐를 활용하는 것으로 거스름돈의 교환을 줄일 수 있어 빠른 쇼핑이 가능해져 보다 편리성이 높다. 이 가능성에 주목한 JR 동일본에서는 이 카드를 전자화폐로서 활용하는 것으로 해, 2003년 11월부터 VIEW Suica 회원 한정으로 Suica 전자 화폐 모니터를 실시하고 있었다. 그것이 호평이었기 때문에 다음 2004년 3월 22일부터 정식으로 Suica 쇼핑 서비스로서 스타트하고 있다. 기능의 확충[편집] 크레디트 카드 기능의 부가(타사와의 제휴)[편집] 이 카드의 기능을 탑재한 크레디트 기능부의 카드에는, VIEW 카드의 기능에 Suica 정기권의 기능을 추가한 표준의 VIEW Suica를 필두로, 역 건물·여행 상품·항공 회사 등의 포인트·회원 관리 기능과 Suica 이오 카드의 기능을 통합한 더블페이스 카드, 은행 현금카드와 뷰 카드 기능, Suica 이오 카드를 일체화한 조인트 카드가 있다. VIEW Suica 카드는 500 엔의 맡겨진 돈은 불필요하다. 충전은 현금 외, 크레디트 카드 기능을 이용하고 현금을 사용하지 않고 충전 하는 것도 가능하고, 2006년 10월 1일부터는 자동 개찰기를 통과할 때에 자동 충전되는 「자동 충전」서비스도 개시되고 있다. 사원증 Suica[편집] 포스터에 부속되는 리더에게 이 카드(모바일 Suica를 포함)를 터치하면 사전에 등록한 휴대 전화의 메일 주소앞에 캠페인 정보 등의 메일의 전달이나 추첨 등을 할 수 있는 포스터·Suica·휴대 전화의 3개를 조합한 광고 시스템이다. 2006년 7월 31일 신주쿠 역의 마쓰시타 전기산업(현·파나소닉)의 캠페인부터 전개가 개시되었다. 2007년 4월 2일에는 이케부쿠로 역·우에노 역·도쿄 역·신바시 역·시부야 역의 5역을 더한 합계 6역에 설치 개소가 확대되고 있다. 신칸센 특급권의 티켓 트레스 서비스(JR 동일본·JR 도카이)[편집] 모바일 Suica의 회원은 어플리로부터 소정의 조작을 실시하는 것으로 승차시에 휴대 전화를 도호쿠·홋카이도·야마가타·아키타·조에쓰·호쿠리쿠·도카이도 신칸센의 자동 개찰기에 터치할 만한 티켓트레스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밖에 JR 도카이의 「익스프레스 예약」에 입회·등록을 실시하면 도카이도 신칸센의 인터넷 예약·티켓 트레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사전에 모바일 Suica를 조작해 익스프레스 예약 전용의 회원 등록을 실시하는지, JR 도카이 익스프레스 카드에 입회해 모바일 Suica에 등록하는 것이 필요하다. 어느 경우도 모바일 Suica의 연회비와는 별도로 익스프레스 예약 전용 회원, 또는 익스프레스 카드의 연회비가 별도 징수된다. 또한 현재로서는 JR 서일본의 「J-WEST 카드 익스프레스」에서는 등록·이용은 할 수 없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덧붙여 JR 동일본 지구의 신칸센과 도카이도 신칸센에서는 예약시에 실시하는 모바일 Suica의 조작이 다르다. 이것은 통상의 Suica 카드나 View Suica를 이용할 수 없다. 보관함[편집] 보관함 수도권 주요역을 중심으로 현금 외, Suica와 PASMO와 ICOCA에 대응하는 보관함의 설치가 진행되고 있다. 조작은 터치 패널로 실시, 영수증도 발행된다. 일본 철도 박물관의 입/퇴관[편집] 사이타마현 사이타마 시 오미야 구에 있는 일본 철도 박물관에서 Suica(PASMO·ICOCA)를 이용한 입·퇴관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1등차 Suica 시스템과 대체로 같으며 입관시에 입관권정보를 구입해, Suica에 기록하는 것으로 그대로 입관권이 되어 개찰기에 터치해 입관한다. 또, 관내의 레스토랑·박물관 숍·자동 판매기도 Suica를 이용할 수 있다. 덧붙여 같은 관은 입장이나 체험 승차의 예약에서는 IC카드제가 되고 있기 때문에 이 카드를 소지하고 있지 않는 입관자에게는 입관권 대신에 전자 화폐 비대응의 대출용 입관 IC카드를 대여 한다. e-AMUSEMENT PASS 연동[편집] 코나미의 아케이드 게임 전용 네트워크 서비스인 e-AMUSEMENT PASS를 사용 가능하기도 하다. 이는 국내 정발기기도 사용가능하나, PASELI 서비스는 이용 불가능하다. 같이 보기[편집] PASMO ICOCA PiTaPa TOICA Kitaca SUGOCA 티머니 각주[편집] ↑ 소학교 졸업년의 3월 31일, 즉 만 12세에 이르는 날(생일 전날) 이후의 최초의 3월 31일까지 유효 ↑ JR 동일본과 린카이 Suica는 2,000 엔, 모노레일 Suica는 1,000 엔, 2,000 엔, 3,000 엔, 4,000 엔, 5,000 엔, 10,000 엔 ↑ 참고 사이트(일본어) ↑ 2007년 3월 17일까지는 1,000 엔, 3,000 엔, 5,000 엔, 10,000 엔의 4종류였다 ↑ Suica를 소지하고 있으면서 이러한 일을 이해하고 있지 않는 여객에 의한 트러블도 드물게 있다 ↑ 참고(pdf파일, 일본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영어/중국어/한국어) Suica 홈페이지 (일본어) SFCard Viewer(소니의 공식 카드 이력 확인 소프트) (일본어) 비접촉형 IC카드에 의한 승차권 시스템 (鉄道総研) vdeh JR 그룹 전신: 일본국유철도 (국철 버스) | 국철청산사업단 JR 여객 철도 회사 JR 홋카이도 JR 동일본 JR 도카이 JR 서일본 JR 시코쿠 JR 큐슈 규격 신칸센 노선 홋카이도 신칸센 도호쿠 신칸센조에쓰 신칸센호쿠리쿠 신칸센 도카이도 신칸센 산요 신칸센호쿠리쿠 신칸센 - 큐슈 신칸센 JR 버스 회사 JR 홋카이도 버스 JR 버스 도호쿠JR 버스 간토 JR 도카이 버스 서일본 JR 버스주고쿠 JR 버스 JR 시코쿠 버스 JR 큐슈 버스 JR 호텔 그룹 회사 JR 홋카이도 호텔 JR 동일본 호텔 아소시아 호텔즈 & 리조트 JR 서일본 호텔 JR 시코쿠 호텔 그룹 JR 큐슈 그룹 호텔 키오스크 운영 회사 홋카이도 키오스크 JR 동일본 리테일넷 도카이 키오스크 JR 서일본 데일리 서비스넷 시코쿠 키오스크 JR 큐슈 리테일 인터넷 예약 서비스(JR 시스템: CYBER STATION) JR 홋카이도 예약 서비스 에키넷 익스프레스 예약플러스 EX 5489 서비스익스프레스 예약 5489 서비스 JR큐슈 열차 예약 서비스 IC 교통 카드 Kitaca Suica모바일 Suica TOICAEX-IC 카드 ICOCA스마트 ICOCAEX-IC 카드 ICOCA(SHIKOKU ICOCA) SUGOCA 계열 신용 카드(그룹 공동: JR 카드) JR 타워 스퀘어 카드 뷰 카드(VIEW Suica 카드) JR 도카이 익스프레스 카드 J-WEST 카드 (주요 역에서 J-WEST 카드 신청서 배포) JQ CARD 계열 광고 대행사 홋카이도 JR 에이전시 JR 동일본 기획 JR 도카이 에이전시 JR서일본 커뮤니케이션 JR 시코쿠 기획 JR큐슈 에이전시 기타 JR 화물 JR 총연 JR 시스템 관련항목 일본국유철도의 전동차 목록 - 철도박물관 - 일본 철도건설·운수시설정비지원기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Suica&oldid=22991058" 분류: 스마트카드교통 카드일본의 교통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한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anskDeutschEnglishEsperantoفارسیFrançaisMagyarItaliano日本語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2일 (월) 15: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Suica(일본어: スイカ 스이카[*])는 2001년 11월 18일에 동일본 여객철도(이하 JR 동일본)가 도쿄 근교 구간에 처음으로 도입한 교통 카드로, 소니의 비접촉형 IC카드인 FeliCa의 기술을 적용하였다. 승차권은 물론 전자 화폐로도 이용할 수 있다. 'Suica'라는 단어는 JR 동일본의 등록상표로 등록되어 있다. Suica의 일종으로, 도쿄 모노레일에서 발행하고 있는 모노레일 Suica와 도쿄 임해 고속 철도에서 발행하는 린카이 Suica가 있다. PASMO·ICOCA·TOICA와 상호 이용(공통 이용)이 일부를 제외하고 행해지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Suica 지역에서 승차해 자기 승차권으로 환승하는 방법은 어떻게 됩니까? Assistant: 또, Suica 지역 내의 역에서 승차해 타사 노선에 자기 승차권으로 갈아 탈 때, 연락용 자동 개찰기에 먼저 자기 승차권을 투입해 그 후 Suica를 터치하는 것으로 연락용 자동 개찰기를 이용할 수 있다(일부 개찰기를 제외). Human: 아래 사일런트_머조리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사일런트 머조리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일런트 머조리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일런트머조리티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사일런트 머조리티 (Silent Majority) 케야키자카46의 싱글B 사이드 손을 잡고 돌아갈까 (Type-A)시부야 강 (Type-B)놓친 버스 (Type-C)네가 없어 (통상판)발매일 2016년 4월 6일포맷 CD 싱글, 디지털 음원장르 J-POP길이 28:27 (Type-A)29:05 (Type-B)28:19 (Type-C)27:56 (통상판)레이블 소니 레코드 작사가 아키모토 야스시작곡가 버그베어프로듀서 아키모토 야스시케야키자카46 싱글 연표 사이런트 머조리티(2016년) 세상에는 사랑밖에 없어(2016년) 뮤직 비디오 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 - 유튜브 〈사일런트 머조리티〉(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 사이렌토마조리티[*], 영어: Silent Majority, 약칭: 사이마조)는 일본의 여성 아이돌 그룹 케야키자카46의 노래[1]. 2016년 4월 6일에 케야키자카46의 데뷔 싱글로 소니 레코드에서 발매됐다[2]. 노래의 센터 포지션은 히라테 유리나가 맡았다[3]. 목차 1 발매 배경 2 프로모션 3 아트워크 4 차트 성적 5 뮤직 비디오 6 노래가 사용된 곳 7 수록곡 7.1 Type-A 7.2 Type-B 7.3 Type-C 7.4 통상판 8 선발 멤버 8.1 사일런트 머조리티 8.2 손을 잡고 돌아갈까 8.3 야마노테 선 8.4 시부야 강 8.5 놓친 버스 8.6 네가 없어 9 발매일 10 차트 및 인증 10.1 데일리 차트 10.2 주간 차트 10.3 월간 차트 10.4 상반기 결산 10.5 연간 차트 10.6 인증 11 참고 문헌 12 각주 12.1 내용주 12.2 참조주 13 외부 링크 발매 배경[편집] DVD가 들어있는 Type-A · B · C, CD뿐인 통상판의 네 형태로 발매[4]. 발매일은 케야키자카46의 그룹 이름인 ‘46’에 맞춰서 2016년 4월 6일로 했으며[5], 2015년 10월부터 케야키자카46의 방송 프로그램 《케야키, 쓸 수 없어?》를 방송 개시에 따라서 기대치를 높이면서[6], 2015년 8월에 그룹을 결성하고 이후에 약 8개월 뒤 CD 데뷔가 됐다[7]. 타이틀곡 〈사일런트 머조리티〉는 ‘침묵하는 대중’[6], ‘조용한 다수파’를 의미하며[8], 발매 전의 임시 제목은 〈우리의 혁명〉(僕らの革命)이였다[9]. 〈사일런트 머조리티〉에는 AKB48이나 노기자카46의 역사로부터 배운 교훈이 활용되고 있으며[6], 아이돌 송으로는 드문 저음 쪽으 구성으로[10], 군대와 같은 의상과[주 1], 통솔된 댄스[6], 메시지성이 강한 가사를[13], 여성 아이돌 그룹답지 않은 복장으로 쿨하게 표현했으며[14], ‘체계적으로 만들머진 사회를 상징하는 장면’과 ‘젊은 사람의 강력함과 기를 나타낸 장면’의 두 가지 정경이 받아들여지고 있다[15]. 가사는 “목소리를 올리지 않은 자들은 찬성하고 있어”(声を上げない者たちは、賛成している)와 같다는 베트남 전쟁 시대의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말을 방불케하는 대사가 등장하며[16], AKB48와 같은 의상을 입고 춤주는 매뉴팩처드 걸 그룹(manufactured girl group)으로 태어나면서도, 스스로에 대해서 “닮은 옷을 입고”라고 자기 부정론을 던지는 것에 따라서[17], 자아에 눈뜨고[18], 자신들의 형상에 돌 하나를 던지는 듯한[19], 학생 운동을 생각한 내용으로 되어있다[17]. 아키모토 야스시에 따르면, 한 번 보면 그녀들의 입장은 모순을 안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거기서는 양심의 외침이 있으며, 그러한 외침을 출발점으로 하는 길을 열어나갈지 기대를 담고 작사했다[20]. 안무는 연극적인 댄스 퍼포먼스를 답습했으며[21], 곡이나 가사가 가리켜 나타내는 대상을 그대로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수법이 사용됐으며[11], 포메이션 댄스를 주고 받으면서[22], 센터 히라테 유리나가 좌우로 나란한 멤버 사이를 나아가는 모세의 십계명이라고 불리는 안무에 따라서[23], 자아의 태동이 시작되는 표현과 함께[24], ‘사회의 체계적임과 젊은 사람의 자아의 불꽃의 양면을 대비시킨 장면’이 실사되고 있다[11]. 케야키자카46가 노기자카46과 다른 점은 그곳에 있는 명확한 의지의 세기이며[11], 노기자카46가 사랑스러운 고급감을 구해서 프랑스의 여학교와 같은 세계를 지항한 것에 대해서, 케야키자카46은 스타일리쉬함 멋짐을 영국의 모즈와 같은 세계를 지향했다[11]. 프로모션[편집] 프로모션으로 2016년 4월 6일에 발매 기념 이벤트가 개최됐으며[25], 케야키자카46의 멤버가 타워레코드 시부야 점[주 2], HMV&BOOKS, SHIBUYA TSUTAYA의 세 점포에서 1일 점원을 맡았다[27]. 아트워크[편집] 자켓 사진 멤버의 배정은 아래와 같다[2]. Type-A 앞면 히라테 유리나 Type-A 뒷면 스즈모토 미유, 히라테 유리나, 이마이즈미 유이, 코바야시 유이, 와타나베 리카 Type-B 앞면 스즈모토 미유, 이마이즈미 유이, 코바야시 유이, 와타나베 리카 Type-B 뒷면 스즈모토 미유, 이마이즈미 유이, 코바야시 유이, 와타나베 리카 Type-C 앞면 하부 미즈호, 오제키 리카, 모리야 아카네, 시다 마나카, 와타나베 리사 Type-C 뒷면 하부 미즈호, 오제키 리카, 모리야 아카네, 스가이 유카, 시다 마나카, 와타나베 리사 통상판 앞면 사이토 후유카, 오다 나나, 우에무라 리나, 나가사와 나나코, 코이케 미나미, 사토 시오리, 하라다 아오이, 요네타니 나나미, 이시모리 니지카 통상판 뒷면 사이토 후유카, 오다 나나, 우에무라 리나, 나가사와 나나코, 코이케 미나미, 사토 시오리, 하라다 아오이, 요네타니 나나미, 이시모리 니지카 디스크 자켓은 시부야 강에서 촬영됐다[28]. 촬영은 사진가인 신토 타케시가 담당했다[29]. 차트 성적[편집] 이번 싱글은 2016년 4월 5일자 오리콘 데일시 CD 싱글 랭킹에서 추정매상 19만 1203장을 기록했으며, 첫 등장 1위를 획득했다[30]. 첫 날 매상으로만 노기자카46의 첫 번째 싱글 〈빙글빙글 커튼〉의 첫 주 매상 약 13만 6000장을 웃돌며[31], 데뷔 싱글로 1위를 획득할 수 없었던 노기자카46를 대신해서 1위를 달성했다[32]. 사운드스캔 재팬에 따르면[주 3], 2016년 4월 4일부터 2016년 4월 6일까지의 3일 사이에 약 25만 1000장을 팔며[34], 2016년 4월 18일자 Billboard JAPAN HOT 100[주 4], Billboard JAPAN Top Singles Sales[36], 오리콘 주간 CD 싱글 차트에서 추정 매상 26만 1580장을 기록했으며, 주간 1위를 획득했다[37]. 여성 아티스트의 싱글로는 HKT48의 〈좋아! 좋아! 스킵!〉의 25만 147장을 웃돌며, 약 3년 만에 사상 최고 기록을 갱신했다[37]. 그 후, 오리콘 주간 CD 싱글 차트에서 1위, 3위, 4위, 7위[38], 7위와 5주 연속으로 톱 10에 등장[39], 2016년 4월의 오리콘 주간 CD 싱글 차트에서 추정 매상 32만 4507장을 기록했으며, 월간 1위를 획득했다[40]. 오리콘 2016년 상반기 싱글 차트에서는 추정 매상 34만 9233장을 기록했으며, 상반기 6위를 획득[41], AKB48 자매 그룹의 매상을 웃돌았다[42]. 케야키자카46의 두 번째 싱글 〈세상에는 사랑밖에 없어〉를 발매한 후에도 2016년 8월 22일자 오리콘 주간 CD 차트에서 추정 매상 2228장을 기록했으며, 주간 30위를 획득[43], 누적 매상장수를 35만 9739장으로 계속 늘렸다[44]. 레코드 회사 관계자에 따르면 2016년 시점의 아이돌 데뷔 곡으로는 2만장에서 3만장을 팔 수 있으면 히트라는 이례적인 일이였다[45]. 뮤직 비디오[편집] 사일런트 머조리티 타이틀 곡 〈사일런트 머조리티〉의 뮤직비디오는 재개발 중인 시부야 역 공사 현장(구 도쿄 급행 전철 도요코 선 시부야 역 플랫폼 및 철거지)[46], 시부야 구 사쿠라가오가초에 있는 언덕 앞(패밀리 마트 시부야 사쿠라가오초 점과 MUSIC LAND KEY와의 사이에 있다)에서 촬영됐다. 해당 촬영지는 2018년 봄에 홀이 있는 고층 복합 시설이 완성할 예정으로 촬영에 협력한 도쿄 급행 전철 주식회사는 언젠가 또 이 장소에서 케야키자카46와 재회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46]. 발매 전의 2016년 3월 15일부터 유튜브에서 공개되었던 풀 버전의 뮤직 비디오는[47], 발매 후에 공개 종료할 예정이었지만, 발매 전 날에 재생횟수가 300만 장을 돌파한 영향을 받아서 연기됐으며[14], 재생횟수는 2016년 5월 2일 시점으로 1000만 회[48], 2016년 6월 2일 시점에서 1500만 회[49], 2016년 7월 11일 시점에서 1900만회[50], 2016년 7월 20일 시점으로 2000만 회를 돌파했다[51]. 안무는 우에노 타카히로[주 5], 의상은 오나이 키미카[52], 감독은 이케다 카즈마가 담당했다[주 6]. 노래가 사용된 곳[편집] 사일런트 머조리티 패션 렌털 애플리케이션 “mechakari”(스트라이프 인터내셔널)의 광고 음악[56]. 여성 브랜드의 신작 패션 아이템을 정액으로 랜털할 수 있는 동명 어플링이 광고에는[57], 이시모리 니지카, 우에무라 리나, 오제키 리카, 오다 나나, 코이케 미나미, 사이토 후요카, 사토 시오리, 시다 마나카, 스가이 유카, 스즈모토 미유, 나가사와 나나코, 하부 미즈호, 모리야 아카네, 와타나베 리사, 나가하마 네루가 출연하며 멤버 전원이 출여하는 하나의 광고와 일원이 출연하는 21종의 광고로 총 22종의 광고가 제작됐다[58]. 손을 잡고 돌아갈까 테마파크 하우스텐보스의 광고 음악[59]. 수록곡[편집] Type-A[편집] CD[60] # 제목작사작곡편곡 재생 시간 1. 사일런트 머조리티 (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아키모토 야스시버그베어쿠시타 마인 4:25 2. 손을 잡고 돌아갈까 (手を繋いで帰ろうか)아키모토 야스시Akira SunsetAkira Sunset 5:16 3. 야마노테 선[주 7] (山手線)아키모토 야스시후쿠다 타카시후쿠다 타카시 4:33 4. 사일런트 머조리티 (off vocal ver.) 버그베어쿠시타 마인 4:25 5. 손을 잡고 돌아갈까 (off vocal ver.) Akira SunsetAkira Sunset 5:16 6. 야마노테 선 (off vocal ver.) 후쿠다 타카시후쿠다 타카시 4:32 총 재생 시간: 28:27 DVD[60] # 제목감독 재생 시간 1. 사일런트 머조리티 뮤직비디오 (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 music video)이케다 카즈마 4:26 2. 야마노테 선 뮤직비디오 (山手線 music video)사이토 와타루 4:58 3. 이시모리 니지카 (石森虹花)  5:25 4. 코이케 미나미 (小池美波)스기야마 히로키 10:05 5. 스가이 유카 (菅井友香)  8:40 6. 나가사와 나나코 (長沢菜々香)  4:59 7. 히라테 유리나 (平手友梨奈)미키 사토시 6:08 8. 요네타니 나나미 (米谷奈々未)하시모토 유지로 5:31 9. 와타나베 리카 (渡辺梨加)  5:17 총 재생 시간: 55:29 Type-B[편집] CD[62] # 제목작사작곡편곡 재생 시간 1. 사일런트 머조리티 (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아키모토 야스시버그베어쿠시타 마인 4:25 2. 손을 잡고 돌아갈까 (手を繋いで帰ろうか)아키모토 야스시Akira SunsetAkira Sunset 5:16 3. 시부야 강[주 8] (渋谷川)아키모토 야스시나카무라 타이스케마츠우라 아키히사 4:52 4. 사일런트 머조리티 (off vocal ver.) 버그베어쿠시타 마인 4:25 5. 손을 잡고 돌아갈까 (off vocal ver.) Akira SunsetAkira Sunset 5:16 6. 시부야 강 (off vocal ver.) 나카무라 타이스케마츠우라 아키히사 4:51 총 재생 시간: 29:05 DVD[62] # 제목감독 재생 시간 1. 사일런트 머조리티 뮤직비디오 (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 music video)이케다 카즈마 4:26 2. 시부야 강 뮤직비디오 (渋谷川 music video)浜根玲奈 5:21 3. 이마이즈미 유이 (今泉佑唯)TT 3:10 4. 우에무라 리나 (上村莉菜)  3:16 5. 오제키 리카 (尾関梨香)쿠마가야 료카 7:02 6. 오다 나나 (織田奈那)  3:10 7. 사토 시오리 (佐藤詩織)  3:11 8. 시다 마나카 (志田愛佳)  6:23 9. 모리야 아카네 (守屋茜)  5:52 총 재생 시간: 41:51 Type-C[편집] CD[65] # 제목작사작곡편곡 재생 시간 1. 사일런트 머조리티 (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아키모토 야스시버그베어쿠시타 마인 4:25 2. 손을 잡고 돌아갈까[주 9] (手を繋いで帰ろうか)아키모토 야스시Akira SunsetAkira Sunset 5:16 3. 놓친 버스[주 10] (乗り遅れたバス)아키미토 야스시SoichiroK, Nozomu.SSoulife, 고토 유이치로 4:29 4. 사일런트 머조리티 (off vocal ver.) 버그베어쿠시타 마인 4:25 5. 손을 잡고 돌아갈까 (off vocal ver.) Akira SunsetAkira Sunset 5:16 6. 놓친 버스 (off vocal ver.) SoichiroK, Nozomu.SSoulife, 고토 유이치로 4:28 총 재생 시간: 28:19 DVD[65] # 제목감독 재생 시간 1. 사일런트 머조리티 뮤직비디오 (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 music video)이케다 카즈마 4:26 2. 손을 잡고 돌아갈까 뮤직비디오 (手を繋いで帰ろうか music video)니케다 케이 7:18 3. 코바야시 유이 (小林由依)이노우에 츠요시 4:44 4. 사이토 후유카 (齋藤冬優花)  4:04 5. 스즈모토 미유 (鈴本美愉)  6:41 6. 하부 미즈호 (土生瑞穂)오쿠보 타쿠로 3:25 7. 하라다 아오이 (原田葵)타나카 노조미 3:50 8. 와타나베 리사 (渡邉理佐)  8:42 9. 나가하마 네루 (長濱ねる)타나카 노조미 3:34 총 재생 시간: 46:44 통상판[편집] CD[69] # 제목작사작곡편곡 재생 시간 1. 사일런트 머조리티 (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아키모토 야스시버그베어쿠시타 마인 4:25 2. 손을 잡고 돌아갈까 (手を繋いで帰ろうか)아키모토 야스시Akira SunsetAkira Sunset 5:16 3. 네가 없어[주 11] (キミガイナイ)아키모토 야스시SoichiroK, Nozomu.SSoulife, 고토 유이치로 4:43 4. 사일런트 머조리티 (off vocal ver.) 버그베어쿠시타 마인 4:25 5. 손을 잡고 돌아갈까 (off vocal ver.) Akira SunsetAkira Sunset 5:16 6. 네가 없어 (off vocal ver.) SoichiroK, Nozomu.SSoulife, 고토 유이치로 4:42 총 재생 시간: 27:56 선발 멤버[편집] 사일런트 머조리티[편집] (센터: 히라테 유리나)[3] 3번째 열: 사이토 후유카, 오다 나나, 우에무라 리나, 나가사와 나나코, 코이케 미나미, 사토 시오리, 하라다 아오이, 요네타니 나나미, 이시모리 니지카[62] 2번째 열: 하부 미즈호, 오제키 리카, 모리야 아카네, 스가이 유카, 시다 마나카, 와타나베 리사[62] 1번째 열: 와타나베 리카, 스즈모토 미유, 히라테 유리나, 이마이즈미 유이, 코바야시 유이[62] 손을 잡고 돌아갈까[편집] 이시모리 니지카, 이마미즈미 유이, 우에무라 리나, 오제키 리카, 오다 나나, 코이케 미나미, 코바야시 유이, 사이토 후유카, 사토 시오리, 시다 마나카, 스가이 유카, 스즈모토 미유, 나가사와 나나코, 하부 미즈호, 하라다 아오이, 히라테 유리나, 모리야 아카네, 요네타니 나나미, 와타나베 리카, 와타나베 리사[62] 야마노테 선[편집] 히라테 유리나[70] 시부야 강[편집] 이마이즈미 유이, 코바야시 유이[70] 놓친 버스[편집] (센터: 나가하마 네루)[71] 이마이즈미 유이, 코바야시 유이, 스즈모토 미유, 히라테 유리나, 와타나베 리카, 나가하마 네루[70] 네가 없어[편집] 이시모리 니지카, 이마이즈미 유이, 우에무라 리나, 오제키 리카, 오다 나나, 코이케 미나미, 코바야시 유이, 사이토 후유카, 사토 시오리, 시다 마나카, 스가이 유카, 스즈모토 미유, 나가사와 나나코, 하부 미즈호, 하라다 아오이, 히라테 유리나, 모리야 아카네, 요네타니 나나미, 와타나베 리카, 와타나베 리사[69] 발매일[편집] 국가 날짜 포맷 레이블 비고 일본 2016년 6월 8일 CD+DVD, CD, 디지털 음원 소니 레코드 대한민국 2016년 9월 6일 CD, 디지털 음원 [주 12] 차트 및 인증[편집] 데일리 차트[편집] 차트 최고순위 일본 (오리콘)[30] 1 일본 (아이튠즈 스토어)[72] 1 일본 (TSUTAYA)[73] 1 주간 차트[편집] 차트 최고순위 일본 (M-ON! J-POP 최강 카운트다운 50)[74] 1 일본 (TSUTAYA)[75] 1 일본 (Billboard Japan HOT 100)[76] 1 일본 (Billboard Japan Top Singles Sales)[77] 1 일본 (Billboard Japan Radio Songs)[78] 7 일본 (오리콘)[79] 1 일본 (레코초쿠)[80] 1 일본 (아이튠스 스토어)[81] 1 일본 (M-ON! 다운로드 카운트다운 with 아이튠즈 20)[82] 1 일본 (SUPER HITS PERFECT RANKING 50)[83] 1 일본 (M-ON! 가라오케 카운트다운 50)[84] 47 월간 차트[편집] 차트 최고순위 일본 (오리콘)[40] 1 일본 (TSUTAYA)[85] 1 일본 (레코초쿠)[86] 5 일본 (M-ON! J-POP 최강 카운트다운 50)[87] 1 상반기 결산[편집] 차트 최고순위 일본 (닛케이 엔터테인먼트)[88] 4 일본 (오리콘)[41] 6 일본 (SUPER HITS PERFECT RANKING 50)[89] 7 일본 (레코초쿠)[90] 28 연간 차트[편집] 차트 최고순위 일본 (레코초쿠 연간 차트 2016 신인 아티스트 랭킹)[91] 1 인증[편집] 국가 인증 판매량/출하량 일본 (RIAJ)[92] 플래티넘 500,000^ *판매량을 기반으로 한 인증^출하량을 기반으로 한 인증x정확한 기준이 명시되지 않은 인증 참고 문헌[편집] 케야키자카46 (2016년 4월 6일). 《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 [사일런트 머조리티] (일본어). Type-A. 소니 뮤직 레코드. ASIN B01BHPEC9G. SRCL-9035/6.  케야키자카46 (2016년 4월 6일). 《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 [사일런트 머조리티] (일본어). Type-B. 소니 뮤직 레코드. ASIN B01BHPEG60. SRCL-9037/8.  케야키자카46 (2016년 4월 6일). 《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 [사일런트 머조리티] (일본어). Type-C. 소니 뮤직 레코드. ASIN B01BHPEGS8. SRCL-9039/40.  케야키자카46 (2016년 4월 6일). 《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 [사일런트 머조리티] (일본어) 통상판. 소니 뮤직 레코드. ASIN B01BHPEHDC. SRCL-9041.  각주[편집] 내용주[편집] ↑ 타이틀 곡 〈사일런트 머조리티〉의 제복 의상은 거듭되지 않게 녹색이 아닌 청녹색이 채용됐다[11]. 오나이 키미카에 따르면, 의상은 실제 군복답게 하는 것이 어떨까라고 하는 의뢰가 있으며, 단계적으로 군복답게 디자인한 몇 패턴의 의상을 제안한 점, 가장 단계가 강한 것이 채용됐다[12]. 청녹색의 제복 의상은 양탈 수재, 흑색의 노래 의상은 시부야 가를 디지털 프린트한 신축성이 있는 메시 소재가 사용되고 있다[12]. ↑ 타워레코드 시부야 점의 1일 점원은 이마이즈미 유이, 코바야시 유이, 스가이 유카, 스즈모토 미유, 하부 미즈호, 히레테 유리나, 와타나베 리카, 와타나베 리사가 맡았다[26]. ↑ 사운드스캔 재팬에 따르면, 첫 주 매상의 대부분을 독점한 지역은 1위가 도쿄 도, 2위가 가나가와 현, 3위가 사이타마 현, 4위가 지바 현, 5위가 아이치 현, 6위가 오사카 부, 7위가 이바라키 현, 8위가 홋카이도, 9위가 도치기 현, 10위가 군마 현이다[33]. ↑ 그 외, 라디오 7위, 다운로드 1위, 룩업 1위, 트위터 2위, 스트리밍 25위, 영상 재생 3위를 획득했다[35]. ↑ 우에노 타카히로(TAKAHIRO)는 타이틀 곡 〈사일런트 머조리티〉는 타이틀 곡 이외에 커플링 곡 〈손을 잡고 돌아갈까〉〈네가 없어〉의 안무도 담담했다[49]. ↑ 이케다 카즈마는[53], 과거에 AKB48의 공식 라이벌로 활동하는 노기자카46의 네 번째 싱글 〈제복의 마네킹〉 뮤직 비디오도 감독하고 있다[54]. 〈제복의 마네킹〉에서는 제복을 입고 춤추는 자신들을 “제복을 입은 마네킹이야”로는 자기 부정하는 내면으로부터의 혁명이 노래되고 있으며, 케야키자카46의 〈사일런트 머조리티〉는 그 역사의 조류로부터 탄생하고 있다[55]. ↑ 히라테 유리나의 솔로 곡 〈야마노테 선〉의 안무는 나시모토 타케아츠가 담당했다[61]. ↑ 커플링 곡 〈시부야 강〉은 이마이즈미 유이와 코바야시 유이의 유닛 ‘ゆいちゃんず’→유이짱즈가 노래하는 포크 송[63]. 다만, 이마이즈미 유이에 따르면 유닛 이름은 ‘ゆいちゃんズ’→유이짱즈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64]. ↑ 커플링 곡 〈손을 잡고 돌아갈까〉의 댄스는 스가이 유카가 남성 역, 모리야 아카네가 여성 역을 맡았으며[66], 2명이 주인공이 돼서 스토리가 전개되어 가는 연극적인 안무로 되어 있다[67]. ↑ 커플링 곡 〈놓친 버스〉의 가사는 나가하마 네루의 환겸과 거듭되는 내용으로 되어 있으며[68], 히라가나 케야자키46의 서곡에 상당한다[24]. ↑ 커플링 곡 〈네가 없어〉의 댄스는 수평으로 누워서 와타나베 리카가 멤버에게 추대받아서 운반되어 오는 장송을 연상하게 하는 안무로부터 시작한다[24]. ↑ 대한민국 국내에서는 통상판으로만 발매됐다. 참조주[편집] ↑ “欅坂46、“サイマジョ再び”の新曲MV公開 早くも「神曲」の賛辞続々” [케야키자카46, ‘사이마조 후타타비’의 신곡 MV 공개 빠르게도 ‘신(神)곡’의 찬사 이어져]. 《오리콘 스타일》 (일본어) (oricon ME). 2016년 7월 20일. 2016년 7월 20일에 확인함.  ↑ 가 나 케야키자카46 2016a, 케야키자카46 2016b, 케야키자카46 2016c, 케야키자카46 2016d. ↑ 가 나 “欅坂46、デビュー・シングル「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が本人出演「メチャカリ」新CMに起用” [케야키자카46, 데뷔 싱글 ‘사일런트 머조리티’가 본인 출연 “메차카리” 새로운 CM으로 사용]. 《TOKYO POP LINE》 (일본어) (소에노 기획). 2016년 3월 7일. 2016년 3월 7일에 확인함.  ↑ “欅坂46、デビュー曲「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が「メチャカリ」タイアップソングに決定” [케야키자카46, 데뷔곡 ‘사일런트 머조리티’가 “메차카리” 타이업송으로 결정됨]. 《Real Sound》 (일본어) (blueprint). 2016년 3월 7일. 2016년 3월 7일에 확인함.  ↑ “欅坂 乃木坂超え「最強」誓う” [케야키자카, 노기자카 넘어서 ‘최강’ 맹세하다]. 《데일리 스포츠 온라인》 (일본어) (데일리 스포츠). 2016년 4월 6일. 2016년 4월 6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아리노 히로유키 (2016년 4월 12일). “史上最高デビューの欅坂46、“成功のノウハウ”で魅力拡散させた秋元氏” [사상 최고 데뷔의 케야키자카46, ‘성공의 노하우’로 매력 확산된 아키모토 씨]. 《스포츠 호치》 (일본어) (호치 신문사). 2016년 4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12일에 확인함.  ↑ “欅坂46:CDデビューに感激 「ここからがスタート」” [케야키자카46: CD 데뷔에 감격 ‘지금부터가 시작’]. 《MANTANWEB》 (일본어) (MANTANWEB). 2016년 4월 6일. 2016년 4월 6일에 확인함.  ↑ 이시다 야스타케 (2016년 3월 24일). “乃木坂ファンが“神曲”と顔面蒼白! 欅坂46のデビューシングルが本気でヤバい” [노기자카 팬이 ‘신(神)곡’으로 안면창백! 케야키자카46의 데뷔 싱글이 진심으로 대박이야]. 《아사게이 플러스》 (일본어) (토쿠마 서점). 2016년 3월 24일에 확인함.  ↑ 히라테 유리나 (2016년 3월 20일). “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 [사일런트 머조리티]. 《히라테 유리나 공식 블로그》 (일본어). 2016년 3월 21일에 확인함.  ↑ 팝스 (2016년 4월 15일). “(4ページ目)欅坂46が提示する、ポスト「アイドル戦国時代」の戦い方 乃木坂46とも異なるグループ戦略を読む” [(4페이지째) 케야키자카46가 제시하는, 포스트 ‘아이돌 전국 시대’의 싸우는 방법 노기자카46과 다른 그룹 전략을 읽기]. 《Real Sound》 (일본어). blueprint. 2016년 4월 15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欅坂46「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MV制作秘話〉 [케야키자카46 ‘사일러트 머조리티’ 뮤비 제작 비화]. 《BRODY》 (일본어). Vol.5 2016년 6월호판. 뱌쿠야쇼보. 2016년 4월 21일. 59-63쪽. ASIN B01E53XA3Q.  ↑ 가 나 〈乃木坂46と欅坂46 永遠性も、閃光のきらめきも閉じ込めた衣装の力〉 [노기자카46과 케야키자카46 영구성도, 섬광의 반짝임도 가둔 의상의 힘]. 《装苑》 [소엔] (일본어). 분카 출판사국. 2016년 7월 28일. 25-30쪽. ASIN B01G5SQDWE.  ↑ “欅坂46センター平手友梨奈の一問一答「この春に始めたことは?」「今後のヘアスタイルの予定は?」” [케야키자카46 센터 히라테 유리나의 1문1답 ‘이 봄에 시작한 것은?’]. 《모델프레스》 (일본어) (넷 네이티브). 2016년 4월 11일. 2016년 4월 11일에 확인함.  ↑ 가 나 “まゆゆ、土田も驚嘆…欅坂46・14歳センター平手の存在感 山口百恵・ゴマキの再来!?” [마유유, 츠치다도 경탄… 케야키자카46 14세 센터 히라테의 존재감 야마구치 모모에, 고마키의 재래!?]. 《오리콘 스타일》 (oricon ME). 2016년 4월 10일. 2016년 4월 10일에 확인함.  ↑ “欅坂46「ガルアワ」初登場で堂々パフォーマンス “かっこよすぎる”デビュー曲に観客圧倒<GirlsAward 2016 S/S>” [케야키자카46 ‘걸 아워’ 첫 등장으로 당당한 퍼포먼스 ‘매우 멋진’ 데뷔곡에 관객 압도 <GirlsAward 2016 S/S>]. 《모델프레스》 (일본어) (넷 네이티브). 2016년 4월 9일. 2016년 4월 9일에 확인함.  ↑ 카이테이 모쿠교 (2016년 4월 29일). “なぜ欅坂46のデビュー曲が『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なのか” [왜 케야키자카46의 데뷔 곡이 ‘사일런트 머조리티’인 걸까]. 《우타텐》 (일본어). IBG 미디어. 2016년 4월 29일에 확인함.  ↑ 가 나 무네타카 아키마사 (2016년 4월 16일). “欅坂46「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の突破力! 楽曲とMVの創作意図を読み解く” [케야키자카46 ‘사일런트 머조리티’의 돌파력! 노래와 뮤비의 창작 의도를 풀어가]. 《Real Sound》 (일본어). blueprint. 2016년 4월 16일에 확인함.  ↑ 우스이 타카시 (2016년 4월 15일). “欅坂46がいきなり1位! 今週は女性づくし 注目はシンガーソングライター黒木渚” [케야키자카46가 갑작스럽게 1위! 이번주는 여성을 모두 열거해서 주목은 싱어송라이터 나기사 쿠로키]. 《닛케이 트렌디 넷》 (일본어) (닛케이 BP사). 2016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15일에 확인함.  ↑ 요코야마 케이 (2016년 4월 18일). “欅坂46のデビュー曲が大ヒットした3つの要因” [케야키자카46의 데뷔 곡이 대히트한 3대요인]. 《nikkansports.com》 (일본어) (닛칸 스포츠 신문사). 2016년 4월 18일에 확인함.  ↑ 아키모토 야스시 (2016년 5월 29일). “秋元康の1分後の昔話 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 傍観者にはなるな” [아키모토 야스시의 1분 후의 옛날 이야기 사일런트 머조리티 방관자는 되지 마]. 《요미우리 신문》 (일본어) (요미우리 신문사). 4면. 2016년 8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12일에 확인함。  ↑ 카츠키 타카시 (2016년 7월 26일). “乃木坂46が求めた「コンセプト」 - 乃木坂46論 第7回” [노기자카46이 구한 ‘컨셉트’ - 노기자카46론 제7회]. 《BLOGOS》 (일본어). LINE. 2016년 7월 26일에 확인함.  ↑ “欅坂46、ベビメタら“次世代系”注目アイドルを紹介” [케야키자카46, 베미메타 등 ‘차세대계’ 주목 아이돌을 소개]. 《Smart 더 텔레비전》 (일본어) (KADOKAWA). 2016년 5월 7일. 2016년 5월 7일에 확인함.  ↑ 팝스 (2016년 4월 15일). “欅坂46が提示する、ポスト「アイドル戦国時代」の戦い方 乃木坂46とも異なるグループ戦略を読む” [케야키자카46이 제시하는, 포스트 ‘아이돌 전국대전’ 싸우는 방법 노기자카46과도 다른 그룹 전략을 읽기]. 《Real Sound》 (일본어). blueprint. 2016년 4월 15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카츠키 타카시 (2016년 3월 22일). “欅坂46は早くも“グループのカラー”を打ち出した デビュー前イベントを徹底分析” [케야키자카46은 빠르게도 ‘그룹의 컬러’를 내세웠다 데뷔 전 이벤트를 철저 분석]. 《Real Sound》 (일본어). blueprint. 2016년 3월 22일에 확인함.  ↑ “欅坂CDデビュー! 渋谷タワレコにファン300人” [케야키자 CD데뷔! 시부야 타워레코드에서 팬 300명]. 《nikkansports.com》 (일본어) (닛칸 스포츠 신문사). 2016년 4월 6일. 2016년 4월 6일에 확인함.  ↑ “欅坂46、デビュー日に渋谷で1日店員「ここからがスタート」” [케야키자카46, 데뷔일에 시부야에서 1일 점원 ‘지금부터 시작’]. 《나탈리》 (일본어) (나타샤). 2016년 4월 6일. 2016년 4월 7일에 확인함.  ↑ “欅坂46メンバーが渋谷CDショップで1日店員に 平手友梨奈「声の小さいメンバーも多い…(笑)」” [케야키자카46 멤버가 시부야 CD 샵에서 1일 점원으로 히라테 유리나 “목소리가 작은 멤버도 많아...(ㅋㅋㅋ)”]. 《Real Sound》 (일본어) (blueprint). 2016년 4월 6일. 2016년 4월 6일에 확인함.  ↑ 무네타카 아키마사 (2016년 4월 16일). “(2ページ目)欅坂46「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の突破力! 楽曲とMVの創作意図を読み解く” [(2페이지째) 케야키자카46 ‘사일런트 머조리티’의 돌파력! 노래와 뮤비의 창작 의도를 풀어가]. 《Real Sound》 (일본어). blueprint. 2016년 4월 16일에 확인함.  ↑ 신토 타케시 (2016년 3월 16일). “欅坂46「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A写、JKT撮影させて頂きました!” [케야키자카46 ‘사일런트 머조리티’ A 사진, JKT 촬영해줬습니다!]. 《@TAKESHI_SHINTO》 (일본어). 트위터. 2016년 3월 21일에 확인함. “欅坂46 - SHINTO TAKESHI” [케야키자카46 - 신토 타케시]. 《신토 타케시》 (일본어). 2016년 5월 21일에 확인함.  ↑ 가 나 “オリコンデイリー CDシングルランキング 2016年04月05日付” [오리콘 데일리 CD 싱글 차트 2016년 4월 5일자]. 《오리콘 스타일》 (일본어). oricon ME. 2016년 4월 5일. 2016년 4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6일에 확인함.  ↑ “欅坂46が乃木坂超えた、初日19・1万枚発売” [케야키자카46가 노기자카 넘은, 첫 날 19 · 1만장 발매]. 《nikkansports.com》 (일본어) (닛칸 스포츠 신문사). 2016년 4월 6일. 2016년 4월 6일에 확인함.  ↑ “欅坂46がCDデビュー 先輩・乃木坂46に「少しでも近づきたい」” [케야키자카46가 CD 데뷔 선배 노기자카46에게 “조금이라도 가까워지로 싶다”]. 《도스포 Web》 (일본어) (도쿄 스포츠 신문사). 2016년 4월 6일. 2016년 4월 6일에 확인함.  ↑ “【深ヨミ】欅坂46 デビューSGセールス動向調査、売上げを引っ張る地域はどこ?” [【후카요미】케야키자카46 데뷔 싱글 세일즈 동향조사, 매상을 끄는 지역은 어디?]. 《빌보드 재팬》 (일본어) (Hanshin Contents Link Corporation, PLANTECH Co.,Ltd. & Prometheus Global Media, LLC.). 2016년 4월 17일. 2016년 4월 17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先ヨミ】欅坂46、デビューSGが25万枚超えで現在1位!” [【사키요미】케야키자카46, 데뷔 싱글이 25만 장윽 넘고 현재 1위!]. 《빌보드 재팬》 (일본어). Hanshin Contents Link Corporation, PLANTECH Co.,Ltd. & Prometheus Global Media, LLC. 2016년 4월 7일. 2016년 4월 13일에 확인함.  ↑ “欅坂46「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がセールス、ダウンロードで1位獲得、Twitter1位はラッド「前前前世」が初登場1位に” [케야키자카46 ‘사일런트 머조리티’가 세일즈, 다운로드에서 1위 획득, 트위터 1위는 RADWIMPS ‘전전전세’가 첫 등 1위로]. 《빌보드 재팬》 (일본어). Hanshin Contents Link Corporation, PLANTECH Co.,Ltd. & Prometheus Global Media, LLC. 2016년 4월 13일. 2016년 4월 13일에 확인함.  ↑ “欅坂46 デビュー作が28万枚超で初登場1位、Da-iCEとPrizmaXの2位争い結果&TOP10内で唯一のソロアーティストは?” [케야키자카46 데뷔작이 28만 장 넘어서 첫 등장 1위, Da-iCE와 PrizmaX의 2위 싸움 결과&TOP10 내에서 유일한 솔로 아티스트는?]. 《빌보드 재팬》 (일본어). Hanshin Contents Link Corporation, PLANTECH Co.,Ltd. & Prometheus Global Media, LLC. 2016년 4월 11일. 2016년 4월 11일에 확인함.  ↑ 가 나 “【オリコン】欅坂46“女性歴代最高”デビュー 乃木坂46、HKT48超え” [【오리콘】케야키자카46 ‘여성 역대 최고’ 데뷔 노기자카46, HKT48 넘어]. 《오리콘 스타일》 (일본어) (oricon ME). 2016년 4월 12일. 2016년 4월 13일에 확인함.  ↑ “欅坂46、デビュー曲MVが驚異の1000万再生突破 CDも上半期暫定4位に” [케야키자카46, 데뷔 곡 뮤직비디오가 경이의 1000만 재생 돌파 CD도 상반기 잠정 4위로]. 《오리콘 스타일》 (일본어). oricon ME. 2016년 4월. 2016년 5월 4일에 확인함.  ↑ “オリコン週間 CDシングルランキング 2016年05月02日〜2016年05月08日” [오리콘 주간 CD 싱글 차트 2016년 5월 2일 ~ 2016년 5월 8일]. 《오리콘 스타일》 (일본어). oricon ME. 2016년 5월. 2016년 5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17일에 확인함.  ↑ 가 나 “オリコン月間 CDシングルランキング 2016年04月度” [오리콘 월간 CD 싱글 차트 2016년 4월도]. 《오리콘 스타일》 (일본어). oricon ME. 2016년 5월. 2016년 5월 5일에 확인함.  ↑ 가 나 “【2016年上半期ランキング】音楽シーンをけん引する三大勢力に新たな潮流 2ページ目 ORICON STYLE” [【2016년 상반기 차트】음악 장면을 이끄는 산다이 세이료쿠에 새로운 조류 2페이지째 오리콘 스타일]. 《오리콘 스타일》 (일본어). 오리콘 스타일. 2016년 6월 24일. 2016년 6월 24일에 확인함.  ↑ “【オリコン上半期】AKB48が6年連続1・2位独占 乃木坂3位、欅坂6位で大健闘” [【오리콘 상반기】AKB48가 6년 연속 1 · 2위 단독 노기자카3위, 케야키자카 6위로 대건투]. 《오리콘 스타일》 (일본어) (오리콘 스타일). 2016년 6월 24일. 2016년 6월 24일에 확인함.  ↑ “オリコン週間 CDシングルランキング 2016年08月08日〜2016年08月14日 21〜30位” [오리콘 주간 CD 싱글 차트 2016년 8월 8일 ~ 2016년 8월 14일 21 ~ 30위]. 《오리콘 스타일》 (일본어). oricon ME. 2016년 8월. 2016년 8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16일에 확인함.  ↑ “【オリコン】欅坂46、初動30万枚超で2作連続首位 女性グループ3組目の猛発進” [【오리콘】케야키자카46, 초동 30만 장을 넘었으며 두 작품 연속 선두권 여성 그룹 3조째의 맹발진]. 《오리콘 스타일》 (일본어) (oricon ME). 2016년 8월 16일. 2016년 8월 16일에 확인함.  ↑ “史上最高デビュー! 欅坂46、発売初週26・2万枚” [사상 최고 데뷔! 케야키자카46, 발매 첫주 26 · 2만 장]. 《스포츠 호치》 (일본어) (호치 신문사). 2016년 4월 12일. 2016년 4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12일에 확인함.  ↑ 가 나 “欅坂46、「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MV公開 再開発中の旧東急東横線渋谷駅で踊る映像に” [케야키자카46, ‘사일런트 머조리티’ MV 공개, 재개발 중인 구 도쿄 급행 전철 도요코 선 시부야 역에서 춤추는 영상으로]. 《Real Sound》 (일본어) (blueprint). 2016년 3월 16일. 2016년 3월 16일에 확인함.  ↑ “欅坂46、デビュー曲『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Music Videoが驚異の1000万回再生突破!” [케야키자카46, 데뷔 곡 ‘사일런트 머조리티’ 뮤직 비디오가 경이의 1000만 재생 돌파!]. 《IDOL Planet》 (일본어) (제우스 엔터프라이즈). 2016년 5월 6일. 2016년 5월 6일에 확인함.  ↑ “欅坂46「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が遂に1000万再生突破” [케야키자카46 ‘사일런트 머조리티’가 드디어 1000만 재생 돌파]. 《도완고 제이피 뉴스》 (일본어) (드완고). 2016년 5월 2일. 2016년 5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2일에 확인함.  ↑ 가 나 “TAKAHIROが欅坂46の振付に込めた想い&“平手友梨奈”だった理由――欅坂46デビュー曲MV、驚異の1500万再生突破” [TAKAHIRO가 케야키자카46의 안무에 담은 생각&‘히라테 유리나’였던 이유――케야키자카46 데뷔 곡 뮤직비디오, 경이로운 1500만 재생 돌파]. 《모델프레스》 (일본어) (넷 네이티브). 2016년 6월 2일. 2016년 6월 2일에 확인함.  ↑ 와타나베 아키히로 (2016년 7월 11일). “欅坂46、主演ドラマ『徳山大五郎~』&主題歌「世界には愛しかない」でさらなるファンを獲得か?” [케야키자카46, 주연 드라마 “토쿠야마 다이고로 ~ ” & 주제가 ‘세상에는 사랑밖에 없어’로 한층 더 팬을 모을 것인가?]. 《Real Sound》 (일본어). blueprint. 2016년 7월 11일에 확인함.  ↑ “欅坂46「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が2000万再生を突破” [케야키자카46 ‘사일런트 머조리티’가 2000만 재생을 돌파]. 《도완고 제이피 뉴스》 (일본어) (도완고). 2016년 7월 20일. 2016년 7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20일에 확인함.  ↑ 〈12のポイントでチェック 欅坂46の取り説〉 [12 포인트로 체크, 케야키자커46의 취급 설명서]. 《アイキュン! Special!!》 [눈으로 심쿵! Special!!] (일본어). 다이아프레스. 2016년 7월 8일. 68쪽. ISBN 978-4-8023-0189-3.  ↑ “【topic】欅坂46「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MVを制作...” [【topic】케야키자카46 ‘사일런트 머조리티’ 뮤직비디오를 제작...] (일본어). P.I.C.S. 2016년 3월 18일. 2016년 3월 18일에 확인함.  ↑ “乃木坂46、33人のクリエイターと再びコラボ!” [노기자카46, 33명의 크리에이터와 다시 콜라보!]. 《CDJournal》 (일본어) (음악 출판사). 2013년 2월 25일. 2016년 7월 25일에 확인함.  ↑ 이노리 키엔 (2016년 5월 17일). “乃木坂46、欅坂46、AKB48――アイドルソングに込めた未成年の主張” [노기자카46, 케야키자카46, AKB48――아이돌 노래에 담은 미완성의 주장]. 《우타텐》 (일본어). IBG 미디어. 2016년 5월 17일에 확인함.  ↑ “欅坂46が初CM発表 デビュー前の注目度に緊張” [케야키자카46가 첫 광고 발표 데뷔 전의 주목도에 긴장]. 《nikkansports.com》 (일본어) (닛칸 스포츠 신문사). 2016년 3월 7일. 2016년 3월 8일에 확인함.  ↑ “欅坂46平手友梨奈「乃木坂46と違った色を」” [케야키자카46 히라테 유리나 “노기자카46와 다른 색을”]. 《Smart 더 텔레비전》 (일본어) (KADOKAWA). 2016년 3월 8일.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欅坂46、初囲み取材にド緊張 「面白いこと言って」に困惑” [케야키자카46, 첫 둘러싼 취재에 몹시 긴장 ‘재밌는 것 말해줘’에 곤혹]. 《오리콘 스타일》 (일본어) (oricon ME). 2016년 3월 7일. 2016년 7월 27일에 확인함.  ↑ “欅坂46「手を繋いで帰ろうか」がハウステンボスCM曲に” [케야키자카46 ‘손을 잡고 돌아갈까’가 하우스텐보스 광고 곡에]. 《나탈리》 (일본어) (나타샤). 2016년 5월 20일. 2016년 5월 20일에 확인함.  ↑ 가 나 케야키자카46 2016a. ↑ 히라테 유리나 (2016년 4월 6일). 《欅坂46メンバーが語る!「なんでもBEST3」第3回 平手友梨奈さんの『人生で一番、緊張した瞬間BEST3』》 [케야키자카46 멤버가 말한다! ‘무엇이라도 베스트 3’ 제3회 히라테 유리나 씨의 ‘인새에서 가장 긴장한 순간 베스트 3’]. (인터뷰). “STREET JACK 컬럼”. 2016년 7월 6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케야키자카46 2016b. ↑ 이마이즈미 유이; 히라테 유리나; 와타나베 리카 (2016년 4월 6일). 《欅坂46・平手&今泉&渡辺梨がお互いの素顔をぶっちゃけ!》 [케야키자카46, 히라테&이마이즈미&와타나베 리카가 서로의 민낯을 털어놓아!]. 인터뷰어: 오코다 마코토. “Smart 더 텔레비전”. 2016년 4월 6일에 확인함.  ↑ 이마이즈미 유이; 코바야시 유이 (2016년 4월 7일). 《欅坂46 ドキドキとトキメキ。(2)》 [케야키자카46 두근두근하며 두근거림. (2)]. 인터뷰어: 오누키 신노스케. “EX 대중×ZAKZAK”. 2016년 4월 7일에 확인함.  ↑ 가 나 케야키자카46 2016c. ↑ 모리야 아카네 (2016년 4월 17일). 《欅坂46メンバーが語る!「なんでもBEST3」第14回 守屋 茜さんの『(もし男性だったら)デートしたいメンバーBEST3』》 [케야키자카46 멤버가 말하다! ‘무엇이라도 베스트 3’ 제14회 모리야 아카네 씨의 ‘(만약 내가 남자였다면) 데이트하고 싶은 멤버 베스트 3’] (일본어). 인터뷰어: 니시야 케이지. “BEST TIMES”. 2016년 4월 17일에 확인함.  ↑ 카츠키 타카시 (2016년 3월 22일). “(2ページ目)欅坂46は早くも“グループのカラー”を打ち出した デビュー前イベントを徹底分析” [(2페이지) 케야키자카46는 빠르게도 ‘그룹의 컬러’를 내세운 데뷔 전 이벤트를 철저 분석]. 《Real Sound》 (일본어). blueprint. 2016년 3월 22일에 확인함.  ↑ “欅坂46 初の単独ライブ&来場者お見送りに5000人熱狂「メンバー21人全員で力を合わせて頑張りました」” [케야키자카46 첫 단독 라이브&방문자 배웅에 5000명 열광 “멤버 21명 전원이 힘을 모아서 열심히 했습니다”]. 《빌보드 재팬》 (일본어). Hanshin Contents Link Corporation, PLANTECH Co.,Ltd. & Prometheus Global Media, LLC. 2016년 3월 18일. 2016년 4월 15일에 확인함.  ↑ 가 나 케야키자카46 2016d. ↑ 가 나 다 “欅坂46が初単独公演、国際フォーラム5000人前にデビュー作全曲披露” [케야키자카46이 첫 단독 공연, 국제 포럼 5000명 앞에 데뷔작 전곡을 선보여]. 《나탈리》 (일본어) (나타샤). 2016년 3월 18일. 2016년 3월 18일에 확인함.  ↑ 渡辺彰浩 (2016년 4월 18일). “欅坂46が1万人のファンに見せつけた“成長” 初の全国握手会イベント&ミニライブレポート” [케야키자카46이 1만 명의 팬에게 보인 ‘성장’ 첫 전국 악수회 이벤트&미니 라이브 리포트]. 《Real Sound》 (일본어) (blueprint). 2016년 4월 18일에 확인함.  ↑ 사토 유마 (2016년 4월 7일). “欅坂46、デビュー曲が「乃木坂超え」の大ヒット…センター・平手友梨奈の逸材ぶりに高まる期待” [케야키자카46, 데뷔 곡이 노기자카 넘는 대 히트... 센터 히라테 유리나의 재능만으로 높아지는 기대]. 《멘즈 사이조》 (일본어) (사이조). 2016년 4월 7일에 확인함.  ↑ “TSUTAYAランキング CDシングルセル/全ジャンル デイリー 2016年4月7日(木)” [TSUTAYA 랭킹 싱글 SELL/모든 장르 데일리 2016년 4월 7일 (목)]. 《TSUTAYA 온라인》 (일본어). TSUTAYA. 2016년 4월. 2016년 4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14일에 확인함.  ↑ “J-POP最強カウントダウン50 2016/4/10(日) オンエア” [J-POP 최강 카운트다운 50 2016년 4월 10일 (일) 온에어]. 《MUSIC ON! TV》. 엠온 엔터테인먼트. 2016년 4월 10일. 2016년 8월 8일에 확인함.  ↑ “TSUTAYAランキング CDシングルセル/全ジャンル 週間 2016年4月4日(月)〜2016年4月10日(日)” [TSUTAYA 랭킹 CD 싱글 SELL/모든 장르 주간 2016년 4월 4일 (월) ~ 2016년 4월 10일 (일)]. 《TSUTAYA 온라인》 (일본어). TSUTAYA. 2016년 4월. 2016년 4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15일에 확인함.  ↑ “Billboard Japan HOT 100 2016/04/18 付け”. 《빌보드 재팬》 (일본어). Hanshin Contents Link Corporation, PLANTECH Co.,Ltd. & Prometheus Global Media, LLC. 2016년 4월. 2016년 4월 15일에 확인함.  ↑ “Billboard Japan Top Singles Sales 2016/04/18 付け”. 《빌보드 재팬》 (일본어). Hanshin Contents Link Corporation, PLANTECH Co.,Ltd. & Prometheus Global Media, LLC. 2016년 4월. 2016년 4월 15일에 확인함.  ↑ “Billboard Japan Radio Songs 2016/04/18 付け”. 《빌보드 재팬》 (일본어). Hanshin Contents Link Corporation, PLANTECH Co.,Ltd. & Prometheus Global Media, LLC. 2016년 4월. 2016년 4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15일에 확인함.  ↑ “オリコン週間 CDシングルランキング 2016年04月04日〜2016年04月10日” [오리콘 주간 CD 싱글 차트 2016년 4월 4일 ~ 2016년 4월 10일]. 《오리콘 스타일》 (일본어). oricon ME. 2016년 4월. 2016년 4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15일에 확인함.  ↑ “シングルランキング週間 4/6〜4/12” [싱글 차트 주간 4/6 ~ 4/12]. 《레코초쿠》 (일본어). 2016년 4월. 2016년 4월 17일에 확인함.  ↑ “ダウンロードランキング from iTunes ON AIR:2016/04/20” [다운로드 차트 from iTunes ON AIR:2016/04/20]. 《스페이스 샤워 TV》 (일본어). 스페이스 샤워 네트워크. 2016년 4월. 2016년 4월 28일에 확인함.  ↑ “ダウンロードランキング from iTunes ON AIR:2016/04/20” [다운로드 차트 from iTunes ON AIR:2016/04/20]. 《스페이스 샤워 TV》 (일본어). 스페이스 샤워 네트워크. 2016년 4월. 2016년 4월 28일에 확인함.  ↑ “SUPER HITS PERFECT RANKING 50 ON AIR: 2016/04/24”. 《스페이스 샤워 TV》 (일본어). 스페이스 샤워 네트워크. 2016년 4월 24일. 2016년 4월 29일에 확인함.  ↑ “M-ON! カラオケカウントダウン 50 2016/6/5(日) オンエア” [M-ON! 가라오케 카운트다운 50 2016/6/5(일) 온에어]. 《MUSIC ON! TV》 (일본어). 엠온 엔터테인먼트. 2016년 6월 5일. 2016년 8월 8일에 확인함.  ↑ “TSUTAYAランキング CDシングルセル/全ジャンル 月間 2016年4月” [TSUTAYA 랭킹 CD 싱글 SELL/모든 장르 월간 2016년 4월]. 《TSUTAYA 온라인》 (일본어). TSUTAYA. 2016년 5월. 2016년 5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5일에 확인함.  ↑ “宇多田ヒカル「花束を君に」が「ダウンロード(シングル)」首位! 三代目 J Soul Brothers from EXILE TRIBE『THE JSB LEGACY』がアルバム部門首位獲得!” [우타다 히카루 ‘약속을 그대에게’가 ‘다운로드(싱글)’ 상위권! 산다이메 J Soul Brothers from EXILE TRIBE “THE JSB LEGACY”가 음반 부문 상위권 획득!]. 《오리콘 스타일》 (일본어) (oricon ME). 2016년 5월 6일. 2016년 6월 4일에 확인함.  ↑ “J-POP最強カウントダウン50 -月間ランキング- 【歌詞入り】 2016/5/7(土) オンエア” [J-POP 최강 카운트다운 50 -월간 차트- 【가사 있응】 2016/5/7(토) 온에어]. 《MUSIC ON! TV》 (일본어). 엠온 엔터테인먼트. 2016년 5월 7일. 2016년 8월 8일에 확인함.  ↑ 우스이 타카시 (2016년 7월 21일). “乃木坂46と欅坂46が躍進 アルバムは三代目JSB” [노기자카46와 케야키자카46이 약진, 앨범은 산다이메 JSB]. 《닛케이 스타일》 (일본어). 일본 경제 신문사 닛케이 BP사. 2016년 7월 21일에 확인함.  ↑ “SUPER HITS PERFECT RANKING 50 2016年上半期ランキング” [SUPER HITS PERFECT RANKING 50 2016년 상반기 결산]. 《스페이스 샤워 TV》 (일본어). 스페이스 샤워 네트워크. 2016년 7월 8일. 2016년 8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6일에 확인함.  ↑ “上半期ランキング2016” [상반기 결산 2016]. 《레코초쿠》 (일본어). 레코초쿠. 2016년 7월. 2016년 8월 6일에 확인함.  ↑ “dヒッツ・レコチョク上半期ランキング2016発表、最も人気の楽曲は「海の声」” [d히트 레코초쿠 상반기 결산 2016 발표. 가장 인기 있는 노래는 ‘바다의 목소리’]. 《Musicman-NET》 (F.B.Communications Inc. & Magnet Co.,Ltd.). 2016년 7월 8일. 2016년 7월 8일에 확인함.  ↑ 《Japanese single certifications – 欅坂46 – 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 (일본어), 일본 레코드 협회  외부 링크[편집] 음반 목록 - 케야키자카46 공식 사이트 뮤직 비디오 欅坂46 『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 - 유튜브 (2016년 3월 15일 ~ ) 欅坂46 『手を繋いで帰ろうか』Short Ver. - 유튜브 (2016년 3월 24일) 欅坂46 『山手線』Short Ver. - 유튜브 (2016년 3월 29일) 欅坂46 『渋谷川』Short Ver. - 유튜브 (2016년 4월 5일) 특전 영상 다이제스트 1st Single「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個人PV - 유튜브 (2016년 3월 30일) 공식 레포트 ‘사일런트 머조리티’ 자켓 사진, 아티스트 사진 메이킹 레포트 - 케야키자카46 공식 사이트 vdeh케야키자카46멤버《캡틴》《부캡틴》 이시모리 니지카 이노우에 리나 우에무라 리나 오제키 리카 오다 나나 코이케 미나미 코바야시 유이 사이토 후유카 사토 시오리 《스가이 유카》(캡틴) 스즈모토 미유 세키 유키코 타케모토 유이 타무라 하노 나가사와 나나코 나가하마 네루 하부 미즈호 하라다 아오이 히라테 유리나 후지요시 카린 마츠다 리나 마츠히라 리코 모리타 히카루 《모리야 아카네》(부캡틴) 야마자키 텐 와타나베 리카 와타나베 리사 전 멤버 스즈키 미즈호 하라다 마유 이마이즈미 유이 시다 마나카 요네타니 나나미 CD 작품싱글 사일런트 머조리티 세상에는 사랑밖에 없어 두 사람의 계절 불협화음 바람에 휘날려도 유리를 깨라! 앰비벌런트 검은 양 앨범 새하얀 것은 더럽히고 싶어 참가 악곡 누구를 제일 사랑하는가? 국경없는 시대 첫사랑 도어 관련 항목 아키모토 야스시 Sony Music Records 소니 뮤직 Seed & Flower 케야키라고 쓸 수 없어? KEYABINGO! AKB48 SHOW!(별책 · 노기자카46 SHOW! / 케야키자카46 SHOW! / 46 SHOW! / 히라가나 케야키자카46 SHOW!) AKB48 사카미치 시리즈 노기자카46 요시모토자카46 히나타자카46 vdeh2016년 오리콘 싱글 차트 1위 작품1월 입술에 Be My Baby (4일) 차가운 바람과 짝사랑/ENDLESS SKY/One and Only (11일) BOYMEN NINJA (18일) 날개 (25일) 2월 빛의 물방울/Touch (1일) G4·IV (8일) Wanna be! (15일) TRAGEDY (22일) 벚꽃 나이트 피버/잠깐 우직하게! 저돌맹진/오스! 코부시혼 (29일) 3월 부활LOVE (7일) UNLOCK (14일) 너는 멜로디 (21일) Gravity (28일) 4월 봄망초 필 무렵 (4일) 치킨 LINE (11일) 사일런트 머조리티 (18일) 74억분의 1의 너에게 (25일) 5월 역전Winner (2일) 달콤하게 씹는 공주 (9일) 승리의 날까지 (16일) 진검SUNSHINE (23일) I seek/Daylight (30일) 6월 I seek/Daylight (6일) 날개는 필요 없어 (13일) Beautiful World (20일) L.U.V (27일) 7월 THE IDOLM@STER CINDERELLA GIRLS STARLIGHT MASTER 03 하이파이☆데이즈​ (4일) 눈물 (11일) 죄와 여름 (18일) 사랑을 모르는 너에게 (25일) 8월 장미와 태양 (1일) 맨발로 Summer (8일) 나는 없어 (15일) 세상에는 사랑밖에 없어 (22일) 금의 사랑, 은의 사랑 (29일) 9월 Sha la la☆Summer Time (5일) LOVE TRIP/행복을 나눠라 (12일) 최고야 (19일) Power of the Paradise (26일) 10월 WILD WILD WILD (3일) DUMB & DUMBER (10일) Another Starting Line (17일) 파노라마 (24일) 요비스테 (31일) 11월 Fantastic Time (7일) 길은 손수 꿈의 꽃 (14일) 사요나라의 의미 (21일) 하이 텐션 (28일) 12월 섹시 캣의 연설/드러내고 마주해/그렇지 않아 (5일) 두 사람 세종 (12일) NOROSHI (19일) Give Me Love (26일) 1968 1969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사일런트_머조리티&oldid=24230412" 분류: 케야키자카46의 노래2016년 싱글2016년 오리콘 싱글 차트 1위 작품광고 음악데뷔 싱글2016년 노래숨은 분류: CS1 - 일본어 인용 (ja)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Bahasa Indonesia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6일 (목) 15: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사일런트 머조리티〉(サイレントマジョリティー 사이렌토마조리티[*], 영어: Silent Majority, 약칭: 사이마조)는 일본의 여성 아이돌 그룹 케야키자카46의 노래. 2016년 4월 6일에 케야키자카46의 데뷔 싱글로 소니 레코드에서 발매됐다. 노래의 센터 포지션은 히라테 유리나가 맡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사일런트 머조리티 타이틀 곡의 안무를 담당한 사람이 누구야? Assistant: 우에노 타카히로
Human: 아래 눈물이_주룩주룩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눈물이 주룩주룩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눈물이 주룩주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눈물이 주룩주룩涙そうそう 감독 도이 노부히로 각본 요시다 노리코 촬영 하마다 타케시 편집 호가키 준노스케 음악 센주 아키라 배급사 도호 미로비전 개봉일 2006년 9월 30일 2007년 5월 17일 시간 118분 국가 언어 일본어 수익 31억엔(일본) 《눈물이 주룩주룩》 (일본어: 涙そうそう 나다소우소우[*])는 2006년의 일본 영화이다. TBS 개국 50주년 기념 기획 "눈물이 주룩주룩 프로젝트" 작품으로, 일본 가요 〈눈물이 주룩주룩〉(작사: 모리야마 료코, 작곡: BEGIN)의 가사를 모티브로 영화로 제작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2007년 5월 17일 개봉되었다. 목차 1 줄거리 2 등장 인물 3 제작진 3.1 주제가 4 수상 정보 5 외부 링크 줄거리[편집] 아라가키 요타로 (츠마부키 사토시)는 오키나와현 나하 시에서 자신의 가게를 차리기 위해 시내의 시장이나 술집에서 열심히 일하며 살고있다. 그러던 어느 날 고등학교 입학 시험에 합격한 요타로의 여동생 아라가키 카오루 (나가사와 마사미)가 살던 섬을 떠나 나하 시로 오게 되며 함께 살게 된다. 둘은 부모의 재혼으로 남매가 된 사이로, 어릴적 어머니를 병으로 잃고 각자 친척집에서 자랐다. 등장 인물[편집] 아라가키 요타로: 츠마부키 사토시 아라가키 가오루: 나가사와 마사미 이나미네 케이코: 아소 구미코 이나미네 요시로 (케이코의 아버지): 하시주메 이사오 요타로의 친구 류이치: 츠카모토 타카시 아라가키 미토 (할머니): 타이라 토미 미도리: 모리시타 아이코 카네시로 아키요시 (카오루의 아버지): 나카무라 다츠야 의사: 오오모리 나오 카메오카: 후나코시 에이이치로 (우정 출연) 카오루의 고등학교 담임: 요자 요시아키 아라가키 미츠에 (요타로의 엄마): 코이즈미 쿄코 어린 아라가키 요타로: 히로타 료헤이 어린 아라가키 카오루: 사사키 마오, 하루나 카제하나 제작진[편집] 감독 : 도이 노부히로 각본 : 요시다 노리코 제작 : 야기 야스오 프로듀서 : 하마나 카즈야, 나스다 쥰, 신도 준이치 라인 프로듀서 : 사카모토 타다히사 조감독 : 이노코시 히로유키 녹음 : 부신 음악 : 센주 아키라 촬영 : 하마다 타케시 편집 : 호가키 준노스케 미술 : 오가와 토미오 조명 : 마츠오카 야스히코 기록 : 스즈키 카즈미 제작 담당 : 모리 타로 제작 협력 : 필름 페이스 배급 : 도호 제작 : "눈물이 주룩주룩" 제작위원회 (TBS, 아뮤즈, 도호, 호리프로, TBS R&C, MBS) 주제가[편집] 주제곡 : 〈눈물이 주룩주룩〉 (빅터 엔터테인먼트) 작사: 모리야마 료코, 작곡: BEGIN, 노래 : 나츠카와 리미 삽입 노래 : 〈삼신의 꽃〉 (임페리얼 레코드) 노래 : BEGIN 삽입곡 (선술집 장면) : 〈태양〉 (미발표 곡) 작곡 : 고치 수상 정보[편집] 제30회 일본 아카데미상 우수 남우주연상 : 츠마부키 사토시 우수 여우주연상 : 나가사와 마사미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눈물이 주룩주룩 - 공식 웹사이트 (일본어) 눈물이 주룩주룩 - 일본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눈물이 주룩주룩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한국어) 눈물이 주룩주룩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이 글은 영화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눈물이_주룩주룩&oldid=21159144" 분류: 2006년 영화일본의 영화 작품드라마 영화로맨스 영화오키나와현을 배경으로 한 작품도이 노부히로 감독 영화일본의 드라마 영화TBS 제작 영화도호오키나와현을 배경으로 한 영화일본의 로맨스 영화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화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Bahasa Indonesia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4월 25일 (수) 00:0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눈물이 주룩주룩》(일본어: 涙そうそう 나다소우소우[*])는 2006년의 일본 영화이다. TBS 개국 50주년 기념 기획 "눈물이 주룩주룩 프로젝트" 작품으로, 일본 가요 〈눈물이 주룩주룩〉(작사: 모리야마 료코, 작곡: BEGIN)의 가사를 모티브로 영화로 제작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2007년 5월 17일 개봉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눈물이 주룩주룩'의 등장인물과 역할은? Assistant: 아라가키 요타로: 츠마부키 사토시 아라가키 가오루: 나가사와 마사미 이나미네 케이코: 아소 구미코 이나미네 요시로 (케이코의 아버지): 하시주메 이사오 요타로의 친구 류이치: 츠카모토 타카시 아라가키 미토 (할머니): 타이라 토미 미도리: 모리시타 아이코 카네시로 아키요시 (카오루의 아버지): 나카무라 다츠야 의사: 오오모리 나오 카메오카: 후나코시 에이이치로 (우정 출연) 카오루의 고등학교 담임: 요자 요시아키 아라가키 미츠에 (요타로의 엄마): 코이즈미 쿄코 어린 아라가키 요타로: 히로타 료헤이 어린 아라가키 카오루: 사사키 마오, 하루나 카제하나 Human: 아래 2018년_FIFA_월드컵_아시아_지역_3차_예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대회 개요개최 기간 2016년 9월 1일 ~ 2017년 9월 5일참가국 12개국 최종 순위통계총 경기수 60경기이전 대회 / 다음 대회 ← 2014 2022 → v • d • e • h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은 2016년 9월 1일부터 2017년 9월 5일까지 약 1년 동안 진행되었다. 2차 예선의 각 조에서 1위를 기록한 8개국과 각 조에서 2위를 기록한 국가 중 성적이 가장 높은 4개국 등 총 12개 팀이 6개 팀씩 A조, B조로 나뉘어 1개국당 10경기를 치르며 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각 조에서 1, 2위를 기록한 팀은 2018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며 각 조의 3위 팀은 아시아 지역 플레이오프에 진출된다. 플레이오프 승자는 북중미 지역 4위 팀과의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1] 목차 1 참가국 2 시드 배정 2.1 조 추첨 결과 3 경기 결과 3.1 A조 3.2 B조 4 득점 선수 5 기록 5.1 팀 득점 기록 5.2 팀 실점 기록 6 같이 보기 7 각주 참가국[편집] 사우디아라비아 (A조 1위) 아랍에미리트 (A조 2위) 오스트레일리아 (B조 1위) 카타르 (C조 1위) 중국 (C조 2위) 이란 (D조 1위) 일본 (E조 1위) 시리아 (E조 2위) 태국 (F조 1위) 이라크 (F조 2위) 대한민국 (G조 1위) 우즈베키스탄 (H조 1위) 시드 배정[편집] 조 추첨은 2016년 4월 12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렸다. FIFA 랭킹은 2016년 4월 기준. 포트 1 포트 2 포트 3 포트 4 포트 5 포트 6 이란 (42위) 오스트레일리아 (50위) 대한민국 (56위) 일본 (57위) 사우디아라비아 (60위) 우즈베키스탄 (66위) 아랍에미리트 (68위) 중국 (81위) 카타르 (83위) 이라크 (105위) 시리아 (110위) 태국 (119위) 조 추첨 결과[편집] A조 B조 슬롯 1 이란 오스트레일리아 슬롯 2 대한민국 일본 슬롯 3 우즈베키스탄 사우디아라비아 슬롯 4 중국 아랍에미리트 슬롯 5 카타르 이라크 슬롯 6 시리아 태국 경기 결과[편집] 보기 색상 기준 본선에 직행한 조 1위와 조 2위 팀 AFC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조 3위 팀 조별 예선에서 탈락한 팀 A조[편집] 순위 팀 v • d • e • h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1 이란 10 6 4 0 10 2 +8 22 2 대한민국 10 4 3 3 11 10 +1 15 3 시리아 10 3 4 3 9 8 +1 13 4 우즈베키스탄 10 4 1 5 6 7 -1 13 5 중국 10 3 3 4 8 10 -2 12 6 카타르 10 2 1 7 8 15 -7 7   이란 — 1-0 2-0 1-0 2-0 2-2 대한민국 0-0 — 2-1 3-2 3-2 1-0 시리아 0-0 0-0 — 1-0 2-2 3-1 우즈베키스탄 0-1 0-0 1-0 — 2-0 1-0 중국 0-0 1-0 0-1 1-0 — 0-0 카타르 0-1 3-2 1-0 0-1 1-2 — 2017년 9월 5일 경기 이후 기준 FIFA분류 기준 : 본선 티켓 2016년 9월 1일 20:00 UTC+9 대한민국 3 – 2 중국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 관중수: 51,238명 심판: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정즈  20' (자책골) 이청용  62' 구자철  66' 리포트 (FIFA)리포트 (AFC) 위하이  73' 하오쥔민  76' 2016년 9월 1일 21:00 UTC+5 우즈베키스탄 1 – 0 시리아 부뇨드코르 스타디움, 타슈켄트 관중수: 29,100명 심판: 사토 류지 게인리흐  74' 리포트 (FIFA)리포트 (AFC) 2016년 9월 1일 21:00 UTC+4:30 이란 2 – 0 카타르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수: 78,000명 심판: 헤티캄카남게 페레라 구차네자드  90+4'자한바흐슈  90+6' 리포트 (FIFA)리포트 (AFC) 2016년 9월 6일 19:35 UTC+8 중국 0 – 0 이란 선양 올림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선양 관중수: 35,776명 심판: 아드함 마카드메 리포트 (FIFA)리포트 (AFC) 2016년 9월 6일 20:00 UTC+8 시리아 0 – 0 대한민국 투안쿠 압둘 라만 스타디움, 스름반 (말레이시아)[2] 관중수: 4,350명 심판: 크리스 베스 리포트 (FIFA)리포트 (AFC) 2016년 9월 6일 19:00 UTC+3 카타르 0 – 1 우즈베키스탄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관중수: 7,898명 심판: 알리 에브라힘 압둘나비 리포트 (FIFA)리포트 (AFC) 크리메츠  86' 2016년 10월 6일 20:00 UTC+9 대한민국 3 – 2 카타르 수원월드컵경기장, 수원 관중수: 32,550명 심판: 모흐드 아미룰 이즈완 야콥 기성용  11'지동원  56'손흥민  58' 리포트 (FIFA)리포트 (AFC) 알하이도스  17' (PK)소리아  45' 2016년 10월 6일 19:35 UTC+8 중국 0 – 1 시리아 산시 스타디움, 시안 관중수: 37,368명 심판: 무하맛 타키 리포트 (FIFA)리포트 (AFC) 알마와스  54' 2016년 10월 6일 18:00 UTC+5 우즈베키스탄 0 – 1 이란 부뇨드코르 스타디움, 타슈켄트 관중수: 34,000명 심판: 벤 윌리엄스 리포트 (FIFA)리포트 (AFC) 호세이니  27' 2016년 10월 11일 18:00 UTC+5 우즈베키스탄 2 – 0 중국 부뇨드코르 스타디움, 타슈켄트 관중수: 21,503명 심판: 헤티캄카남게 페레라 비크마예프  50' 슈쿠로프  85' 리포트 (FIFA)리포트 (AFC) 2016년 10월 11일 18:15 UTC+3:30 이란 1 – 0 대한민국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수: 75,800명 심판: 사토 류지 아즈문  25' 리포트 (FIFA)리포트 (AFC) 2016년 10월 11일 19:00 UTC+3 카타르 1 – 0 시리아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관중수: 9,940명 심판: 아흐메드 알카프 알하이도스  37' (PK) 리포트 (FIFA)리포트 (AFC) 2016년 11월 15일 20:00 UTC+9 대한민국 2 – 1 우즈베키스탄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 관중수: 30,526명 심판: 파하드 알미르다시 남태희  67'구자철  85' 리포트 (FIFA)리포트 (AFC) 비크마예프  25' 2016년 11월 15일 19:35 UTC+8 중국 0 – 0 카타르 투오동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쿤밍 관중수: 32,763명 심판: 모하나드 카심 리포트 (FIFA)리포트 (AFC) 2016년 11월 15일 20:00 UTC+8 시리아 0 – 0 이란 투안쿠 압둘 라만 스타디움, 스름반 (말레이시아)[2] 관중수: 4,560명 심판: 알리 사바흐 아다이 알카이시 리포트 (FIFA)리포트 (AFC) 2017년 3월 23일 19:35 UTC+8 중국 1 – 0 대한민국 허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창사 관중수: 30,950명 심판: 피터 그린 위다바오  34' 리포트 (FIFA)리포트 (AFC) 2017년 3월 23일 20:00 UTC+8 시리아 1 – 0 우즈베키스탄 항 제밧 스타디움, 믈라카 (말레이시아)[2] 관중수: 350명 심판: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카르빈  90+1' (PK) 리포트 (FIFA)리포트 (AFC) 2017년 3월 23일 19:00 UTC+3 카타르 0 – 1 이란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관중수: 10,237명 심판: 리우궉만 리포트 (FIFA)리포트 (AFC) 타레미  52' 2017년 3월 28일 20:00 UTC+9 대한민국 1 – 0 시리아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 관중수: 30,352명 심판: 아드함 마카드메 홍정호  4' 리포트 (FIFA)리포트 (AFC) 2017년 3월 28일 16:30 UTC+4:30 이란 1 – 0 중국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수: 78,115명 심판: 무하맛 타키 타레미  46' 리포트 (FIFA)리포트 (AFC) 2017년 3월 28일 18:00 UTC+5 우즈베키스탄 1 – 0 카타르 부뇨드코르 스타디움, 타슈켄트 관중수: 19,000명 심판: 모하나드 카심 아흐메도프  66' 리포트 (FIFA)리포트 (AFC) 2017년 6월 12일 21:15 UTC+4:30 이란 2 – 0 우즈베키스탄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수: 59,730명 심판: 아흐메드 알카프 아즈문  23'타레미  88' 리포트 (FIFA)리포트 (AFC) 2017년 6월 13일 21:45 UTC+8 시리아 2 – 2 중국 항 제밧 스타디움, 믈라카 (말레이시아)[2] 관중수: 4,737명 심판: 암마르 알제네이비 알마와스  12' (PK)알살레  90+3' 리포트 (FIFA)리포트 (AFC) 가오린  68' (PK)우시  75' 2017년 6월 13일 22:00 UTC+3 카타르 3 – 2 대한민국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관중수: 5,373명 심판: 헤티캄카남게 페레라 알하이도스  25', 75'아피프  51' 리포트 (FIFA)리포트 (AFC) 기성용  62'황희찬  70' 2017년 8월 31일 20:00 UTC+8 중국 1 – 0 우즈베키스탄 우한 스포츠 센터, 우한 관중수: 51,666명 심판: 헤티캄카남게 페레라 가오린  84' (PK) 리포트 (FIFA)리포트 (AFC) 2017년 8월 31일 21:00 UTC+9 대한민국 0 – 0 이란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 관중수: 63,124명 심판: 피터 그린 리포트 (FIFA)리포트 (AFC) 2017년 8월 31일 20:00 UTC+8 시리아 3 – 1 카타르 항 제밧 스타디움, 믈라카 (말레이시아)[2] 관중수: 300명 심판: 알리 사바흐 아다이 알카이시 카르빈  7', 54'알마와스  90+5' 리포트 (FIFA)리포트 (AFC) 아사달라  35' 2017년 9월 5일 18:00 UTC+3 카타르 1 – 2 중국 할리파 국제경기장, 도하 관중수: 5,686명 심판: 아흐메드 알카프 아피프  47' 리포트 (FIFA)리포트 (AFC) 샤오즈  74'우레이  84' 2017년 9월 5일 19:30 UTC+4:30 이란 2 – 2 시리아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수: 62,165명 심판: 사토 류지 아즈문  45', 64' 리포트 (FIFA)리포트 (AFC) 모하마드  13'알소마  90+3' 2017년 9월 5일 20:00 UTC+5 우즈베키스탄 0 – 0 대한민국 부뇨드코르 스타디움, 타슈켄트 관중수: 34,000명 심판: 무하맛 타키 리포트 (FIFA)리포트 (AFC) B조[편집] 순위 팀 v • d • e • h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1 일본 10 6 2 2 17 7 +10 20 2 사우디아라비아 10 6 1 3 17 10 +7 19 3 오스트레일리아 10 5 4 1 16 11 +5 19 4 아랍에미리트 10 4 1 5 10 13 -3 13 5 이라크 10 3 2 5 11 12 -1 11 6 태국 10 0 2 8 6 24 -18 2   일본 — 2-0 2-1 1-2 2-1 4-0 사우디아라비아 1-0 — 2-2 3-0 1-0 1-0 오스트레일리아 1-1 3-2 — 2-0 2-0 2-1 아랍에미리트 0-2 2-1 0-1 — 2-0 3-1 이라크 1-1 1-1 1-2 1-0 — 4-0 태국 0-2 0-3 2-2 1-1 1-2 — 2017년 9월 5일 경기 이후 기준 FIFA 분류 기준 : 본선 티켓 2016년 9월 1일 18:30 UTC+8 오스트레일리아 2 – 0 이라크 퍼스 오벌, 퍼스 관중수: 18,923명 심판: 알리레자 파가니 루옹고  58'유리치  64' 리포트 (FIFA)리포트 (AFC) 2016년 9월 1일 19:35 UTC+9 일본 1 – 2 아랍에미리트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사이타마 관중수: 58,895명 심판: 압둘라흐만 알자심 혼다  11' 리포트 (FIFA)리포트 (AFC) 칼릴  20', 54' (PK) 2016년 9월 1일 20:30 UTC+3 사우디아라비아 1 – 0 태국 킹 파드 국립 경기장, 리야드 관중수: 40,983명 심판: 푸밍 알아베드  84' (PK) 리포트 (FIFA)리포트 (AFC) 2016년 9월 6일 19:00 UTC+8 이라크 1 – 2 사우디아라비아 샤알람 스타디움, 샤알람 (말레이시아)[3] 관중수: 3,400명 심판: 카미스 알마리 압둘라힘  18' 리포트 (FIFA)리포트 (AFC) 알아베드  81' (PK), 87' (PK) 2016년 9월 6일 19:15 UTC+7 태국 0 – 2 일본 라차망칼라 국립 경기장, 방콕 관중수: 44,500명 심판: 모르센 토키 리포트 (FIFA)리포트 (AFC) 하라구치  18'아사노  75' 2016년 9월 6일 19:30 UTC+4 아랍에미리트 0 – 1 오스트레일리아 알자지라 모하메드 빈 자예드 경기장, 아부다비 관중수: 40,893명 심판: 모흐드 아미룰 이즈완 야콥 리포트 (FIFA)리포트 (AFC) 케이힐  75' 2016년 10월 6일 19:35 UTC+9 일본 2 – 1 이라크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사이타마 관중수: 57,768명 심판: 김동진 하라구치  26'야마구치  90+5' 리포트 (FIFA)리포트 (AFC) 압둘아미르  60' 2016년 10월 6일 20:00 UTC+4 아랍에미리트 3 – 1 태국 알자지라 모하메드 빈 자예드 경기장, 아부다비 관중수: 18,242명 심판: 리우궉만 맙쿠트  14', 47'칼릴  90+3' 리포트 (FIFA)리포트 (AFC) 타나  65' 2016년 10월 6일 20:45 UTC+3 사우디아라비아 2 – 2 오스트레일리아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지다 관중수: 51,616명 심판: 발렌틴 코발렌코 알자심  5'알샴라니  79' 리포트 (FIFA)리포트 (AFC) 세인스버리  45'유리치  71' 2016년 10월 11일 20:00 UTC+11 오스트레일리아 1 – 1 일본 도클랜즈 스타디움, 멜버른 관중수: 48,460명 심판: 나와프 슈크랄라 예디나크  52' (PK) 리포트 (FIFA)리포트 (AFC) 하라구치  5' 2016년 10월 11일 16:00 UTC+3:30 이라크 4 – 0 태국 PAS 스타디움, 테헤란 (이란)[3] 관중수: 2,255명 심판: 마닝 압둘라힘  7', 24', 87', 90+4' 리포트 (FIFA)리포트 (AFC) 2016년 10월 11일 20:45 UTC+3 사우디아라비아 3 – 0 아랍에미리트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지다 관중수: 60,102명 심판: 김종혁 알파라지  73'알아베드  79'알셰흐리  90+1' 리포트 (FIFA)리포트 (AFC) 2016년 11월 15일 19:35 UTC+9 일본 2 – 1 사우디아라비아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사이타마 관중수: 58,420명 심판: 무하맛 타키 기요타케  45' (PK)하라구치  79' 리포트 (FIFA)리포트 (AFC) 하우사위  90' 2016년 11월 15일 19:00 UTC+7 태국 2 – 2 오스트레일리아 라차망칼라 국립 경기장, 방콕 관중수: 36,534명 심판: 파하드 알마리 티라신  20', 58' (PK) 리포트 (FIFA)리포트 (AFC) 예디나크  9' (PK), 65' (PK) 2016년 11월 15일 19:20 UTC+4 아랍에미리트 2 – 0 이라크 알자지라 모하메드 빈 자예드 경기장, 아부다비 관중수: 14,583명 심판: 일기즈 탄타셰프 칼릴  26'마타르  90+3' 리포트 (FIFA)리포트 (AFC) 2017년 3월 23일 16:30 UTC+4:30 이라크 1 – 1 오스트레일리아 PAS 스타디움, 테헤란 (이란)[3] 관중수: 3,270명 심판: 김종혁 야신  76' 리포트 (FIFA)리포트 (AFC) 레키  40' 2017년 3월 23일 19:00 UTC+7 태국 0 – 3 사우디아라비아 라차망칼라 국립 경기장, 방콕 관중수: 41,613명 심판: 알리 압둘나비 리포트 (FIFA)리포트 (AFC) 알살라위  26'톤분  84' (자책골)알모아세르  90+2' 2017년 3월 23일 19:30 UTC+4 아랍에미리트 0 – 2 일본 하자 빈 자예드 경기장, 알아인 관중수: 23,725명 심판: 랍샨 이르마토프 리포트 (FIFA)리포트 (AFC) 쿠보  13'콘노  51' 2017년 3월 28일 20:00 UTC+11 오스트레일리아 2 – 0 아랍에미리트 시드니 풋볼 스타디움, 시드니 관중수: 27,328명 심판: 아흐메드 알카프 어빈  7'레키  78' 리포트 (FIFA)리포트 (AFC) 2017년 3월 28일 19:35 UTC+9 일본 4 – 0 태국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사이타마 관중수: 59,003명 심판: 김동진 카가와  8'오카자키  19'쿠보  57'요시다  83' 리포트 (FIFA)리포트 (AFC) 2017년 3월 28일 20:30 UTC+3 사우디아라비아 1 – 0 이라크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지다 관중수: 60,153명 심판: 발렌틴 코발렌코 알셰흐리  53' 리포트 (FIFA)리포트 (AFC) 2017년 6월 8일[4] 19:30 UTC+9:30 오스트레일리아 3 – 2 사우디아라비아 애들레이드 오벌, 애들레이드 관중수: 29,875명 심판: 랍샨 이르마토프 유리치  7', 36'로기치  64' 리포트 (FIFA)리포트 (AFC) 알다우사리  23'알살라위  45+2' 2017년 6월 13일 19:00 UTC+7 태국 1 – 1 아랍에미리트 라차망칼라 국립 경기장, 방콕 관중수: 24,417명 심판: 무하맛 타키 몽콘  69' 리포트 (FIFA)리포트 (AFC) 맙쿠트  90+3' 2017년 6월 13일 16:55 UTC+4:30 이라크 1 – 1 일본 PAS 스타디움, 테헤란 (이란)[3] 관중수: 983명 심판: 푸밍 카밀  73' 리포트 (FIFA)리포트 (AFC) 오사코  8' 2017년 8월 29일 20:30 UTC+4 아랍에미리트 2 – 1 사우디아라비아 하자 빈 자예드 경기장, 알아인 관중수: 10,221명 심판: 김종혁 맙쿠트  21'칼릴  60' 리포트 (FIFA)리포트 (AFC) 알아베드  20' (PK) 2017년 8월 31일 19:35 UTC+9 일본 2 – 0 오스트레일리아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사이타마 관중수: 59,492명 심판: 알리레자 파가니 아사노  41'이데구치  82' 리포트 (FIFA)리포트 (AFC) 2017년 8월 31일 19:00 UTC+7 태국 1 – 2 이라크 라차망칼라 국립 경기장, 방콕 관중수: 22,604명 심판: 나와프 슈크랄라 이브라힘  63' (자책골) 리포트 (FIFA)리포트 (AFC) 메람  34'압둘아미르  85' (PK) 2017년 9월 5일 20:00 UTC+10 오스트레일리아 2 – 1 태국 멜버른 렉탱귤러 스타디움, 멜버른 관중수: 26,393명 심판: 리우궉만 유리치  69'레키  86' 리포트 (FIFA)리포트 (AFC) 뽁끌라오  82' 2017년 9월 5일 17:00 UTC+3 이라크 1 – 0 아랍에미리트 암만 국제경기장, 암만 (요르단)[3] 관중수: 2,185명 심판: 아드함 마카드메 후세인  29' 리포트 (FIFA)리포트 (AFC) 2017년 9월 5일 20:30 UTC+3 사우디아라비아 1 – 0 일본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지다 관중수: 62,165명 심판: 발렌틴 코발렌코 알무왈라드  63' 리포트 (FIFA)리포트 (AFC) 득점 선수[편집] 55경기에서 120골이 터졌다. 이 경기중에서 자책골을 3골 넣었다. 5 골 토미 유리치 모하나드 압둘라힘 나와프 알아베드 아흐메드 칼릴 4 골 하라구치 겐키 하산 알하이도스 알리 맙쿠트 3 골 매슈 레키 밀레 예디나크 메흐디 타레미 마흐무드 알마와스 오마르 카르빈 2 골 가오린 사르다르 아즈문 사드 압둘아미르 아사노 다쿠마 쿠보 유야 모하메드 알살라위 야햐 알셰흐리 기성용 구자철 티라신 댕다 마라트 비크마예프 1 골 팀 케이힐 잭슨 어빈 마시모 루옹고 톰 로기치 트렌트 세인스버리 하오쥔민 우시 위다바오 위하이 레자 구차네자드 잘랄 호세이니 알리레자 자한바흐슈 마흐디 카밀 아메드 야신 저스틴 메람 혼다 케이스케 이데구치 요스케 카가와 신지 기요타케 히로시 콘노 야스유키 오카자키 신지 오사코 유야 야마구치 호타루 요시다 마야 아크람 아피프 세바스티안 소리아 알리 아사달라 살만 알무와샤르 타이시르 알자심 살렘 알다우사리 파히드 알무왈리드 나세르 알샴라니 오마르 하우사위 홍정호 황희찬 지동원 이청용 남태희 손흥민 아흐메드 알살레 타나 차나붓 몽콘 톳끄라이 뽁끌라오 아난 이스마일 마타르 오딜 아흐메도프 알렉산드르 게인리흐 예고르 크리메츠 오타베크 슈쿠로프 1 자책골 정즈 (대한민국 전) 아흐메드 이브라힘 (태국 전) 톤분 께사랏 (사우디아라비아 전) 기록[편집] 팀 득점 기록[편집] 17골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16골 오스트레일리아 11골 대한민국 이라크 10골 이란 아랍에미리트 9골 시리아 8골 중국 카타르 6골 우즈베키스탄 태국 팀 실점 기록[편집] 24실점 태국 15실점 카타르 13실점 아랍에미리트 12실점 이라크 11실점 오스트레일리아 10실점 대한민국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8실점 시리아 7실점 우즈베키스탄 일본 2실점 이란 같이 보기[편집]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 각주[편집] ↑ FIFA.com. “2018 FIFA World Cup Russia™, Qualifiers, Asia, Road to Russia - FIFA.com” (영어). 2017년 3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시리아는 시리아 내전으로 인한 안전 문제로 인해 모든 홈 경기를 말레이시아에서 치렀다. ↑ 가 나 다 라 마 이라크는 이라크 내전으로 인한 안전 문제로 인해 태국, 오스트레일리아, 일본과의 홈 경기를 이란에서 치렀다. 사우디아라비아와의 홈 경기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이란과의 정치적 분쟁을 이유로 이란에서 경기를 치르는 것을 거부했기 때문에 말레이시아에서 치렀으며, 아랍에미리트와의 홈 경기는 아랍에미리트가 2017년 카타르 외교 위기의 여파로 인해 이란에서 경기를 치르는 것을 거부했기 때문에 요르단에서 치렀다. ↑ 오스트레일리아와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는 2017년 6월 13일에 열릴 예정이었지만 오스트레일리아가 201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하는 관계로 일정이 변경되었다. vdeh2018년 FIFA 월드컵 예선남미 최종 예선 북중미카리브 1차 예선 2차 예선 3차 예선 4차 예선 5차 예선 아시아 1차 예선 2차 예선 3차 예선 플레이오프 아프리카 1차 예선 2차 예선 3차 예선 오세아니아 1차 예선 2차 예선 (OFC 네이션스컵) 3차 예선 유럽 최종 예선 A조 B조 C조 D조 E조 F조 G조 H조 I조 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대륙간 플레이오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8년_FIFA_월드컵_아시아_지역_3차_예선&oldid=24408262" 분류: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BosanskiČeština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venskaไทยTürkçe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0일 (월) 22: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은 2016년 9월 1일부터 2017년 9월 5일까지 약 1년 동안 진행되었다. 2차 예선의 각 조에서 1위를 기록한 8개국과 각 조에서 2위를 기록한 국가 중 성적이 가장 높은 4개국 등 총 12개 팀이 6개 팀씩 A조, B조로 나뉘어 1개국당 10경기를 치르며 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각 조에서 1, 2위를 기록한 팀은 2018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며 각 조의 3위 팀은 아시아 지역 플레이오프에 진출된다. 플레이오프 승자는 북중미 지역 4위 팀과의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에서 대한민국이 속한 조의 경기 결과는 어땠을까? Assistant: 순위 팀 v • d • e • h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1 이란 10 6 4 0 10 2 +8 22 2 대한민국 10 4 3 3 11 10 +1 15 3 시리아 10 3 4 3 9 8 +1 13 4 우즈베키스탄 10 4 1 5 6 7 -1 13 5 중국 10 3 3 4 8 10 -2 12 6 카타르 10 2 1 7 8 15 -7 7   이란 — 1-0 2-0 1-0 2-0 2-2 대한민국 0-0 — 2-1 3-2 3-2 1-0 시리아 0-0 0-0 — 1-0 2-2 3-1 우즈베키스탄 0-1 0-0 1-0 — 2-0 1-0 중국 0-0 1-0 0-1 1-0 — 0-0 카타르 0-1 3-2 1-0 0-1 1-2 —
Human: 아래 창원시의_행정_구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창원시의 행정 구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창원시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창원시의 행정 구역은 5개 일반구, 2읍 6면 49동(법정동 194개)으로 구성되어 있다. 창원시의 면적은 2012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744.26km2이며[1], 인구는 2012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1,093,329명이고, 세대수는 408,227가구이다.[2] 창원시 5개 구(區)의 행정구역은 국회의원 선거구를 기준으로 획정되었다. 목차 1 인구와 면적 2 행정 구역 2.1 의창구 2.2 성산구 2.3 마산합포구 2.4 마산회원구 2.5 진해구 3 역사 3.1 창원군 3.2 창원시 3.3 행정 구역 변천사 4 각주 5 외부 링크 인구와 면적[편집] 창원시의 면적[1] 과 2018년 6월 30일을 기준으로 한 인구[2] 및 그 비율은 다음과 같다. 행정구역(구) 면적(km2) 면적비율 인구(명) 인구비율 의창구 211.15 28.23% 257,813 24.08% 성산구 82.22 11.00% 231,812 21.66% 마산합포구 241.07 32.23% 183,759 17.16% 마산회원구 90.58 12.11% 201,864 18.85% 진해구 122.91 16.43% 195,461 18.25% 창원시 747.91 100.00% 1,070,691 100.00% 자치시의 인구가 100만명을 넘으면 광역시 승격의 조건을 갖춘 것으로 보는 게 일반적인데,[3] 인구 100만명을 광역시 승격의 조건이라고 명시한 법률 규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 현재 수원시와 창원시는 인구가 100만명을 초과하지만, 광역시가 아닌 자치시이다. 행정 구역[편집] 의창구[편집] 의창구의 행정 구역은 1읍 2면 5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창구의 면적은 211.22 km²이고, 인구는 2012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255,394명이다.[2] 행정동 한자 면적 인구 세대 동읍 東邑 59.75 23,653 8,665 북면 北面 73.70 11,393 4,656 대산면 大山面 33.80 7,675 3,353 의창동 義昌洞 8.24 37,757 14,190 팔룡동 八龍洞 14.28 45,449 15,648 명곡동 明谷洞 6.62 55,281 28,163 봉림동 鳳林洞 12.18 38,237 16,283 용지동 龍池洞 2.65 35,949 13,653 의창구 區計 211.22 255,394 96,316 성산구[편집] 성산구의 행정 구역은 38개의 법정동을 7개의 행정동으로 관리하고 있다. 성산구의 면적은 82.09km2이며, 인구는 2012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246,801명이다.[2] 반송동은 의창구에 둘러싸인 월경지(越境地)이다. 이는 1992년 국회의원 선거 당시에 창원시 선거구를 게리맨더링으로 분리한 것을 국회와 선거관리위원회가 20년 넘게 방치했기 때문이다. 반송동 주민들은 의창구로, 의창구 용지동 주민들은 성산구로 변경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4][5] 행정동 한자 면적 인구 세대 반송동 盤松洞 2.06 49,635 16,187 중앙동 中央洞 4.87 22,670 10,809 상남동 上南洞 1.14 33,662 10,713 사파동 沙巴洞 8.06 56,923 19,214 가음정동 加音丁洞 2.89 45,085 15,338 성주동 聖住洞 24.94 28,521 9,027 웅남동 熊南洞 38.13 10,305 4,021 성산구 城山區 82.09 246,801 85,336 마산합포구[편집] 마산합포구의 행정 구역은 15행정동 4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산합포구의 면적은 240.2km2이며, 인구는 2012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185,505명이다.[2] 행정동 한자 면적 인구 세대 구산면 龜山面 43.64 5,177 2,397 진동면 鎭東面 32.30 10,936 4,285 진북면 鎭北面 46.57 4,262 1,826 진전면 鎭田面 78.58 4,490 2,122 현동 顯洞 19.51 2,135 930 가포동 架浦洞 4.47 1,586 702 월영동 月影洞 2.62 33,877 11,810 문화동 文化洞 1.71 13,667 5,678 반월중앙동 半月中央洞 1.03 18,491 6,820 완월동 琓月洞 2.73 11,852 4,446 자산동 玆山洞 1.16 14,197 5,308 교방동 校坊洞 2.35 11,750 4,445 노산동 鷺山洞 0.38 7,911 3,378 오동동 午東洞 1.76 21,638 9,701 합포동 合浦洞 0.66 8,237 3,743 산호동 山湖洞 0.76 15,451 6,632 마산합포구 馬山合浦區 240.23 185,505 74,223 마산회원구[편집] 마산회원구의 행정 구역은 1읍 12행정동 71리 256통 2,141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산회원구의 면적은 90.58km2이며, 인구는 2012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221,388명이다.[2] 행정동 한자 면적 인구 세대 내서읍 內西邑 55.84 73,288 23,979 회원1동 檜原洞 0.73 12,964 5,507 회원2동 3.36 14,666 5,985 석전동 石田洞 0.80 18,228 7,478 회성동 檜城洞 9.55 8,298 3,431 양덕1동 陽德洞 0.77 13,780 5,699 양덕2동 1.73 30,208 10,468 합성1동 合城洞 5.78 10,557 4,633 합성2동 1.93 10,743 4,902 구암1동 龜岩洞 2.38 12,194 4,803 구암2동 0.74 11,853 4,505 봉암동 鳳岩洞 6.16 4,609 2,097 마산회원구 90.58 221,388 83,487 진해구[편집] 진해구의 행정 구역은 15행정동 284통 2,074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해구의 면적은 120.14km2이며, 인구는 2012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182,383명이다.[2] 행정동 한자 면적 인구 세대 중앙동 中央洞 12.63 8,748 2,813 태평동 太平洞 4.58 7,197 2,949 충무동 忠武洞 0.86 4,796 2,146 여좌동 餘佐洞 4.54 12,962 5,336 태백동 太白洞 1.77 7,274 3,220 경화동 慶和洞 2.12 11,480 4,307 병암동 屛岩洞 1.71 8,848 3,425 석동 石洞 2.24 19,817 6,790 이동 泥洞 0.91 11,931 5,128 자은동 自隱洞 6.11 12,563 4,476 덕산동 德山洞 2.04 11,495 3,997 풍호동 豊湖洞 7.38 18,344 5,984 웅천동 熊川洞 27.78 4,656 2,143 웅동1동 熊東洞 32.75 9,014 3,333 웅동2동 12.72 33,528 12,818 진해구 120.14 182,383 68,865 역사[편집] 1408년 7월 : 조선 태종 8년에 의창현(義昌縣)과 회원현(會原縣)이 창원부(昌原府)로 합병,승격하여 판관을 두었다. 1415년 : 태종 15년에 창원도호부로 승격하였다. 1601년 : 선조 때에 창원대도호부로 승격하였다. 1617년 : 광해군 9년에 칠원현이 창원에 합쳐졌다가 분리되었다. 1627년 : 인조 5년에 진해현(현재의 삼진지방)이 창원에 속했다가, 인조 7년에 분리되었다. 1661년 : 현종 2년에 창원읍에서 전패를 유실한 불상사가 일어나 조정에서 그 책임을 물어 창원대도호부를 창원현으로 강등시켰으나, 1670년 현종 11년에 다시 대도호부로 승격시켰다.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고종 32년에 23부제 실시로 진주부 예하 창원군이 되었다. 1896년 8월 4일 : 건양 원년에 13도제 실시에 따라 경상남도 창원군이 되었다.[6] 1899년 5월 6일 : 광무 3년에 창원부로 승격하였다.[7] 1903년 7월 3일 : 광무 7년에 창원부가 창원군이 되었다.[8] 1906년 9월 24일 : 광무 10년에 창원부로 개칭하고 부윤을 두었다.[9] 같은 날, 월경지(越境地) 정리로 진해군 대산면과 칠원군 구산면이 창원부에 편입되고, 진주군 양전면이 진해군에 편입되었다.[10] 1908년 9월 14일 : 융희 2년에 진해군과 웅천군이 창원부에 합병되고, 칠원군이 함안군에 합병되었다.[11] 1910년 10월 1일 : 창원부가 마산부로 개칭되었다.[12] 창원군[편집] 1914년 4월 1일 : 도시 지역인 각국거류지와 외서면 일원을 제외한 마산부의 나머지 지역이 창원군으로 개편되었다.[13] (15면) 1931년 4월 1일 : 진해면이 진해읍으로 승격하였다.[14] (1읍 14면) 1955년 9월 1일 : 진해읍이 진해시로 승격하였다.[15] (14면) 창원시[편집] 1973년 7월 1일 : 창원면 · 상남면 · 웅남면 일원과 내서면 · 구산면 일부가 마산시로, 웅천면 일원이 진해시로 각각 편입되었다.[16] (10면) 1974년 4월 1일 : 마산시 두대동, 덕정동, 삼동동, 반송동, 연덕동, 용지동, 목동, 토월동, 외동, 정동, 가음정동, 남산동 등 12개 동 전역과 서상동과 27개 동 일부 지역 43,342천m2를 대규모 기계공업기지 건설을 위하여 산업기지개발구역으로 지정하였다.[17] 1976년 9월 1일 : 경상남도 창원지구출장소가 설치되었다.[18] 1980년 4월 1일 : 마산시 창원출장소 관리 지역(구 창원면·상남면·웅남면 지역)을 관할로 창원시가 신설되고, 창원군은 의창군으로 개칭하였다.[19](창원시 18행정동) 18행정동 - 의안동, 동정동, 소계동, 팔용동, 상북동, 봉림동, 반송동, 두대동, 내동, 용지동, 토월동, 외동, 가음정동, 남산동, 성주동, 웅남동, 양곡동, 삼귀동 1983년 7월 1일 : 경상남도 도청이 창원시로 이전되었다.[20] 1990년 4월 30일 : 토월동이 신월동, 사파동으로 분동되었다. (창원시 19행정동) 1991년 8월 28일 : 상북동이 명서동, 봉곡동으로, 반송동이 반림동, 반지동으로 각각 분동되었다. (창원시 21행정동) 1992년 9월 1일 : 명서동이 명서1, 2동으로 분동되었다. (창원시 22행정동) 1994년 9월 1일 : 남산동이 대방동으로 분동되었다. (창원시 23행정동) 1995년 1월 1일 : 창원시가 창원시 일원과 창원군 동면, 북면, 대산면을 관할로 하는 도농복합시 형태로 개편되었다. 같은 날, 마산시도 창원군 내서면, 구산면,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과 통합하고 도농복합시 형태로 개편되었다.[21] (3면 23행정동) 1995년 3월 2일 : 동면이 동읍으로 승격되고, 의안동이 도계동으로, 사파동이 상남동으로 각각 분동되고, 웅남동은 신촌동에 합동되었다. (1읍 2면 24행정동) 1997년 7월 14일 : 의안동·동정동·소계동을 의창동으로, 팔용동·대원동을 팔룡동으로, 도계동·명서1·2동을 명곡동으로, 봉곡동·사림동을 봉림동으로, 반림동·반지동을 반송동으로, 내동·중앙동을 중앙동으로, 용호동·신월동을 용지동으로, 사파동·대방동을 사파동으로, 가음정동·남산동을 가음정동으로, 신촌동·삼귀동을 웅남동으로 합동하는 행정동 통폐합이 이루어졌다. (1읍 2면 12행정동) 2010년 7월 1일 : 마산시, 진해시와 통합하여 5개 구의 창원시로 새로이 출범하였다.(5구 2읍 6면 43행정동) 행정 구역 변천사[편집] 옛 창원군 역사는 웅천군, 창원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14년 4월 1일 : 도시 지역인 각국거류지와 외서면 일원을 제외한 마산부의 나머지 지역이 창원군으로 개편되었다.[13] (15면) 1949년 8월 15일 : 마산부를 마산시로 개칭하였다.[22] 1955년 9월 1일 : 창원군 진해읍이 진해시로 승격하였다. 1958년 8월 15일 : 마산시 행정동 명칭과 구역을 확정하였다.[23] (가포동, 월영동, 창포동, 월남동, 반월동, 완월동, 중앙동, 자산동, 서성동, 동성동, 중성동, 부림동, 추산동, 성호동, 교원동, 교방동, 오동동, 산호동, 석전동, 회원동, 상남동, 양덕동, 봉암동) 1963년 6월 24일 : 마산시 월영동을 월영1동과 월영2동으로, 회원동을 회원1동과 회원2동으로, 상남동을 상남1동과 상남2동으로, 산호동을 산호동과 합포동으로 분동하였다. 1970년 10월 1일 : 마산시 양덕동을 양덕1동과 양덕2동으로 분동하였고, 산호동을 산호1동으로, 합포동을 산호2동으로 개칭하였다. 1973년 7월 1일 : 창원군 창원면·상남면·웅남면 일원과 내서면·구산면 일부가 마산시로, 창원군 웅천면 일원이 진해시로 각각 편입되었다.[16] 대통령령 제6542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창원군 창원면 일원 마산시 의창1동,의창2동,상북동,성주동,용지동,웅남1동,웅남2동,합성동,회성동,현동 창원군 상남면 일원 창원군 웅남면 일원 창원군 내서면 구암리,합성리,회성리,두척리 창원군 구산면 예곡리,우산리,현동리,덕동리 창원군 웅천면 일원 진해시 웅천1동,웅천2동 1975년 10월 1일 : 거제군 장목면 저도, 망와도가 진해시에 편입되었다. 1976년 9월 1일 : 1973년 7월에 마산시에 편입된 구 창원면(의창동 제외)·상남면·웅남면 지역을 관할로 경상남도 직할의 창원출장소가 설치되었고[18], 의창1동을 의창동으로, 의창2동을 팔룡동으로 개칭하였다. 1979년 5월 1일 : 마산시 합성동을 합성1동과 합성2동으로, 양덕1동을 양덕1동과 양덕3동으로 분동하였다. 1980년 4월 1일 : 마산시 창원출장소와 의창동을 관할로 창원시가 신설되고, 창원군은 의창군으로 개칭하였다. 법률 제3188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마산시 의창동,팔룡동,상북동,용지동,웅남1동,웅남2동,성주동,삼귀동 창원시 의안동,동정동,소계동,팔룡동,두대동,내동,상북동,봉림동,반송동,용지동,토월동,외동,가음정동,남산동,성주동,웅남동,양곡동,삼귀동 1981년 2월 15일 : 마산시 합성1동을 합성동으로, 합성2동을 구암동으로 개칭하였다. 1982년 9월 1일 : 마산시 합성동을 합성1동과 합성2동으로 분동하였다. 1983년 2월 15일 : 의창군 웅동면이 진해시에 편입되었다. 대통령령 제11027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의창군 웅동면 일원 진해시 웅동1동,웅동2동 1983년 7월 1일 : 경상남도 도청이 부산직할시에서 창원시로 이전되었다.[20] 1983년 10월 1일 : 마산시 석전동을 석전1동과 석전2동으로 분동하였다. 1985년 8월 1일 : 창원시 외동을 중앙동으로 개칭하였다. 1985년 10월 21일 : 마산시 구암동을 구암1동과 구암2동으로 분동하였다. 1989년 1월 1일 : 의창군 천가면이 부산직할시 강서구로 편입되었다.[24] (8면) 법률 제4051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의창군 천가면 부산직할시 강서구 천가동 1989년 5월 10일 : 마산시에 합포출장소(남부)와 회원출장소(북부)를 설치하였다. 1990년 4월 30일 : 창원시 토월동이 신월동과 사파동으로 분동하였다. 1990년 7월 1일 : 마산시에 구제가 실시되어 합포출장소를 합포구로, 회원출장소를 회원구로 승격하였다. 마산시조례 제1590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마산시 가포동,현동,월영1동,월영2동,창포동,월남동,반월동,완월동,중앙동,자산동,서성동,동성동,중성동,부림동,추산동,성호동,교원동,교방동,오동동,산호1동,산호2동,상남1동,상남2동,회원1동,회원2동,석전1동,석전2동,양덕1동,양덕2동,양덕3동,합성1동,합성2동,구암1동,구암2동,봉암동 마산시 합포구 가포동,현동,월영1동,월영2동,창포동,월남동,반월동,완월동,중앙동,자산동,서성동,동성동,중성동,부림동,추산동,성호동,교원동,교방동,오동동,산호1동,산호2동,상남1동,상남2동 마산시 회원구 회원1동,회원2동,석전1동,석전2동,양덕1동,양덕2동,양덕3동,합성1동,합성2동,구암1동,구암2동,봉암동 1991년 1월 1일 : 의창군의 명칭이 창원군으로 환원되었다.[25] 1991년 8월 28일 : 창원시 상북동이 명서동과 봉곡동으로, 반송동이 반림동과 반지동으로 분동하였다. 1992년 9월 1일 : 창원시 명서동이 명서1동과 명서2동으로 분동되었다. 1993년 12월 1일 : 저도, 망와도가 진해시에서 거제군으로 환원되었다. 1994년 9월 1일 : 창원시 남산동이 남산동과 대방동으로 분동하였다. 1995년 1월 1일 : 창원군 지역이 전부 창원시와 마산시에 분할 편입되고, 창원군은 폐지되었다.[21] 법률 제4774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창원군 동면,북면,대산면,구산면,진동면,진북면,진전면,내서면 창원시 동면,북면,대산면 마산시 합포구 구산면,진동면,진북면,진전면 마산시 회원구 내서면 1995년 3월 1일 : 창원시 동면이 동읍으로, 마산시 내서면이 내서읍으로 승격하였고, 창원시 의안동이 의안동과 도계동으로, 사파동이 사파동과 상남동으로 분동하였고, 웅남동은 신촌동에 합동하였다. 진해시 웅동2동 일부(0.95km2)가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편입되었다. 1996년 7월 1일 : 진해시 충무로1가동과 충무로4가동을 중앙동으로, 충무로2가동과 충무로3가동을 태평동으로, 충무로5가동과 충무로6가동을 충무동으로, 여좌1가동과 여좌2가동을 여좌동으로, 태백동과 여좌3가동을 태백동으로, 경화1가동과 경화2가동을 경화동으로, 장천동과 행암동을 장암동으로, 웅천1동과 웅천2동을 웅천동으로 합동하였고, 경화3가동을 병암동으로 개칭하였다. 1997년 5월 12일 : 마산시 월영1동·창포동·월남동을 문화동으로, 부림동·동성동·서성동을 동서동으로, 추산동과 성호동을 성호동으로, 상남1동과 교원동을 노산동으로, 상남2동과 산호2동을 합포동으로, 중성동과 오동동을 오동동으로, 양덕2동과 양덕3동을 양덕2동으로 합동하였고, 월영2동을 월영동으로, 산호1동을 산호동으로 개칭하였다. 1997년 7월 14일 : 창원시 의안동·동정동·소계동을 의창동으로, 팔용동과 대원동을 팔룡동으로, 도계동·명서1동·명서2동을 명곡동으로, 봉곡동과 사림동을 봉림동으로, 반림동과 반지동을 반송동으로, 내동과 중앙동을 중앙동으로, 용호동과 신월동을 용지동으로, 사파동과 대방동을 사파동으로, 가음정동과 남산동을 가음정동으로, 신촌동과 삼귀동을 웅남동으로 합동하였다. 1998년 9월 14일 : 진해시 풍호동과 장암동을 풍호동으로 합동하였다. 2000년 12월 31일 : 마산시가 구제(합포구·회원구)를 폐지하였다. 2010년 7월 1일 : 창원시, 마산시, 진해시가 통합하여 창원시로 출범하고, 5개 일반구(의창구·성산구·마산회원구·마산합포구·진해구)를 설치하였다. 법률 제10052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창원시 동읍,북면,대산면,의창동,팔룡동,명곡동,봉림동,용지동, 반송동,중앙동,상남동,사파동,가음정동,성주동,웅남동 창원시 의창구 동읍,북면,대산면,의창동,팔룡동,명곡동,봉림동,용지동 창원시 성산구 반송동,중앙동,상남동,사파동,가음정동,성주동,웅남동 마산시 내서읍,구산면,진동면,진북면,진전면,가포동,현동,월영동,문화동,반월동,완월동,중앙동,자산동,동서동,성호동,교방동,오동동,노산동,산호동,합포동,회원1동,회원2동,석전1동,석전2동,양덕1동,양덕2동,합성1동,합성2동,구암1동,구암2동,봉암동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회원1동,회원2동,석전1동,석전2동,양덕1동,양덕2동,합성1동,합성2동,구암1동,구암2동,봉암동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진동면,진북면,진전면,가포동,현동,월영동,문화동,반월동,완월동,중앙동,자산동,동서동,성호동,교방동,오동동,노산동,산호동,합포동 진해시 중앙동,태평동,충무동,여좌동,태백동,경화동,병암동,석동,이동,자은동,덕산동,풍호동,웅천동,웅동1동,웅동2동 창원시 진해구 중앙동,태평동,충무동,여좌동,태백동,경화동,병암동,석동,이동,자은동,덕산동,풍호동,웅천동,웅동1동,웅동2동 2017년 1월 1일 : 창원시 석전1동· 석전2동을 석전동으로, 반월동· 중앙동을 반월중앙동으로, 동서동·성호동을 오동동으로 합동하였다. 각주[편집] ↑ 가 나 창원시의 면적, 2012년 1월 1일 기준, 2012년 7월 13일 확인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월별 주민등록인구 ↑ 화성·수원·오산 하나 되는 시나리오 Archived 2014년 1월 4일 - 웨이백 머신《화성신문》2007년 12월 8일 최대호 기자 ↑ 창원시 이상한 행정구 나누기..'섬'같은 반송동 ↑ 창원 반지·용지동 주민 "구 바꿔달라" ↑ 칙령 제36호 ↑ 칙령 제16호 ↑ 칙령 제10호 ↑ 칙령 제48호 ↑ 칙령 제49호 ↑ 칙령 제69호 ↑ 조선총독부령 제7호 ↑ 가 나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년 12월 29일) ↑ 법률 제73호 ↑ 가 나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 건설부고시 제92호 ↑ 가 나 경상남도조례 제853호 ↑ 동해시등시설치와시·군관할구역및명칭변경에관한법률 [시행 1980. 4. 1.] [ 법률 제3188호], 1979. 12. 28., 제정] ↑ 가 나 법률 제3426호 경상남도사무소의소재지변경에관한법률 (1981년 4월 13일) ↑ 가 나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년 8월 3일) ↑ 법률 제32호 (1949년 7월 4일) ↑ 마산시조례 제126호 ↑ 법률 제4051호 부산직할시강서구설치및시·도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88년 12월 31일) ↑ 법률 제4274호 충청북도제원군등4개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90년 12월 31일) 외부 링크[편집] 창원시 통계정보 시스템 vdeh경상남도 창원시의 행정 구역마산합포구 구산면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 가포동 교방동 노산동 문화동 반월중앙동■ 산호동 오동동 완월동 월영동 자산동 합포동 현동 마산회원구 내서읍 구암1동 구암2동 봉암동 석전동 양덕1동 양덕2동■ 합성1동 합성2동 회성동 회원1동 회원2동 성산구 가음정동 반송동 사파동 상남동 성주동■ 웅남동 중앙동 의창구 동읍 대산면 북면 명곡동■ 봉림동 용지동▼ 의창동 팔룡동 진해구 경화동 덕산동 병암동 석동 여좌동 웅동1동 웅동2동 웅천동 이동 자은동 중앙동 충무동 태백동 태평동 풍호동■ ▼ : 시청이 위치함, ■ : 구청이 위치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창원시의_행정_구역&oldid=24352035" 분류: 창원시의 행정 구역경상남도의 시군별 행정 구역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31일 (금) 09: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창원시의 행정 구역은 5개 일반구, 2읍 6면 49동(법정동 194개)으로 구성되어 있다. 창원시의 면적은 2012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744.26km2이며, 인구는 2012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1,093,329명이고, 세대수는 408,227가구이다.창원시 5개 구(區)의 행정구역은 국회의원 선거구를 기준으로 획정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창원부가 마산부로 칭호를 고친 날짜는 언제일까? Assistant: 1910년 10월 1일 Human: 아래 조사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조사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사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사석(趙師錫, 1632년 ∼ 1693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의 사촌동생이자 숙종 후기~경종 때의 소론 온건파 당수였던 조태구의 아버지이다. 노론 4대신 중 한 명이었던 조태채와 소론 4대신 중 한 명이었던 조태억은 그의 조카이다. 본관은 양주, 자는 공거(公擧), 호는 만회(晩悔), 만휴(晩休), 향산(香山), 나계(蘿溪), 시호는 충헌(忠憲)이다.[1] 당적은 서인으로[2], 노소분당 후 입장을 분명히 하지 않아 노론에게 소론으로 분류되어 공격받았으며, 기사환국 후에는 남인에게 노론으로 분류되어 역병이 창궐하던 지역으로 유배된 뒤 배소에서 사망했다. 훗날, 그의 아들인 조태구가 소론 당수가 되어 경종을 수호한 전력 아래 소론의 기록인 《숙종실록보궐정오》에는 소론으로 분류되어 호평되어 있으며, 반면에 노론의 기록인 《숙종실록》을 비롯한 《수문록》·《단암만록》·《소설 인현왕후전》 등에는 악평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남인으로 잘못 인지되기도 한다. 목차 1 생애 2 가족관계[1] 3 조사석이 등장한 작품 4 각주 생애[원본 편집] 1632년, 형조판서를 지낸 조계원과 신씨 사이에서 5남 중 넷째로 태어났다.[1] 1660년(현종 원년)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2년 뒤인 1662년(현종 3년)에 대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다. 검열로 있을 당시 현종이 이숙(李䎘)·박증휘(朴增煇) 등을 유배보내면서 이 일을 기록하지 말도록 했는데 이를 거부해 파직되었다.[3] 그러나 곧 파직이 거두어졌고[4] 1672년 정언이 되었다.[5] 이후 숙종 때 승지와 충청도수군절도사, 경기도관찰사, 수어사, 이조참판을 거쳐 1680년 예조판서,[6] 호조판서, 이듬해에 대사헌과[7] 지의금부사, 한성부판윤, 우참찬, 이조판서, 좌참찬을 거쳐 1684년 판의금부사[8]와 병조판서 등을 거쳐 1687년 우의정에 올랐다.[9] 같은해 김만중이 조사석을 두고 항간에 조사석이 동평군 이항과 가까이 지내며 후궁 장씨와 결탁하여 출세하였다는 말이 떠돈다고 전했다가 숙종의 노여움을 사 유배되기도 했다.[10][11][12] 이듬해인 1688년 좌의정에 올랐고[13] 당시 유배되어 있던 남구만과 여성제의 서용을 청하기도 했다.[14] 1690년 왕세자 책봉일에 하례에 참석하지 않아 숙종의 신임을 완전히 잃게 되었으며, 끝내 이것이 빌미가 되어 경신대출척 당시 김석주를 도와 무고한 남인을 살육하는데 참여했다는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으며[15] 고성에 유배되어 유배지에서 풍질에 걸려 12월 24일 죽었다.[1] 1694년 갑술환국으로 복관되었다.[16] 가족관계[1][원본 편집] 증조부 : 조준수(趙俊秀) 조부 : 조존성(趙存性) 아버지 : 조계원(趙啓遠) - 이항복의 문인, 형조판서 어머니 : 평산 신씨 - 영의정 신흠의 딸, 선조의 부마 신익성의 누이 형 : 조가석(趙嘉錫) 조카 : 조태억(趙泰億) - 영조 초 소론 영수, 좌의정 조카며느리 : 청송 심씨 - 주서 심귀서(沈龜瑞)의 딸, 여주목사 심추(沈樞)의 손녀, 인조반정 정사공신 1등 공조참판 청운군 심명세(靑雲君 沈命世)의 증손녀 동생 : 조희석(趙禧錫) 조카 : 조태채(趙泰采) - 노론 4대신, 좌의정 조카며느리 : 청송 심씨 - 풍덕부사 심익선(沈益善)의 딸, 영의정 심지원(沈之源)의 손녀, 효종의 부마 청평도위 심익현(靑平都尉 沈益顯)의 조카 부인 : 안동 권씨 - 권확의 손녀 장남 : 조태로(趙泰老) 차남 : 조태구(趙泰耉) - 숙종 후기 ~ 경종 시대 소론 영수, 영의정 삼남 : 조태기(趙泰耆) - 목사 며느리 : 청송 심씨 - 해주목사 심익상(沈益相)의 딸, 영의정 심지원(沈之源)의 손녀, 효종의 부마 청평도위 심익현(靑平都尉 沈益顯)의 조카 장녀 : 윤재(尹宰)에게 출가 조사석이 등장한 작품[원본 편집] 《장희빈》 (SBS, 1995년~1995년, 배우:김무생) 《장희빈》 (KBS2TV, 2002년~2003년, 배우:백윤식) 《장옥정, 사랑에 살다》 (SBS, 2013년~2013년, 배우:최상훈) 각주[원본 편집] ↑ 가 나 다 라 《국역 국조인물고》 속고5 조사석의 묘갈명(墓碣銘) ↑ 《조선왕조실록》숙종실록 4권, 숙종 1년 6월 4일 신유 1번째기사 中 "서인으로 떴다 잠겼다 하면서 용납되기를 구한 자는 조사석(趙師錫)·이단석(李端錫)·이하(李夏) 등이었다." ↑ 《조선왕조실록》 현개 16권, 8년(1667 정미 / 청 강희(康熙) 6년) 1월 30일(을사) 2번째기사 ↑ 《조선왕조실록》현개 17권, 8년(1667 정미 / 청 강희(康熙) 6년) 3월 10일(갑신) 4번째기사 ↑ 《조선왕조실록》 현종 20권, 13년(1672 임자 / 청 강희(康熙) 11년) 4월 22일(정유) 2번째기사 ↑ 《조선왕조실록》 숙종 9권, 6년(1680 경신 / 청 강희(康熙) 19년) 7월 18일(을사) 1번째기사 ↑ 《조선왕조실록》 숙종 12권, 7년(1681 신유 / 청 강희(康熙) 20년) 8월 19일(기해) 1번째기사 ↑ 《조선왕조실록》 숙종 15권, 10년(1684 갑자 / 청 강희(康熙) 23년) 12월 11일(임인) 2번째기사 ↑ 《조선왕조실록》 숙종 18권, 13년(1687 정묘 / 청 강희(康熙) 26년) 5월 1일(무인) 1번째기사 ↑ 《조선왕조실록》 숙보 18권, 13년(1687 정묘 / 청 강희(康熙) 26년) 9월 10일(을유) 1번째기사 ↑ 김만중은 이 일을 사위 이이명의 형 이사명에게 들었는데 이것이 기사환국 때 김만중을 비롯한 서인이 공격당하는 빌미가 되었다. ↑ 노대환, 《소신에 목숨을 건 조선의 아웃사이더》 역사의 아침, 2007, p.190, ISBN 9788995884980 ↑ 《조선왕조실록》 숙종 19권, 14년(1688 무진 / 청 강희(康熙) 27년) 1월 20일(갑오) 1번째기사 ↑ 《조선왕조실록》 숙종 19권, 14년(1688 무진 / 청 강희(康熙) 27년) 10월 11일(경술) 2번째기사 ↑ 《조선왕조실록》 숙종 23권, 17년(1691 신미 / 청 강희(康熙) 30년) 윤7월 17일(경오) 2번째기사 ↑ 《조선왕조실록》 숙종 26권, 20년(1694 갑술 / 청 강희(康熙) 33년) 4월 2일(기사) 7번째기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사석&oldid=23760952" 분류: 1632년 태어남1693년 죽음조선의 문신과거 급제자조선 숙종양주 조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2월 24일 (일) 06:2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조사석(趙師錫, 1632년 ∼ 1693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의 사촌동생이자 숙종 후기~경종 때의 소론 온건파 당수였던 조태구의 아버지이다. 노론 4대신 중 한 명이었던 조태채와 소론 4대신 중 한 명이었던 조태억은 그의 조카이다. 본관은 양주, 자는 공거(公擧), 호는 만회(晩悔), 만휴(晩休), 향산(香山), 나계(蘿溪), 시호는 충헌(忠憲)이다. 당적은 서인으로, 노소분당 후 입장을 분명히 하지 않아 노론에게 소론으로 분류되어 공격받았으며, 기사환국 후에는 남인에게 노론으로 분류되어 역병이 창궐하던 지역으로 유배된 뒤 배소에서 사망했다. 훗날, 그의 아들인 조태구가 소론 당수가 되어 경종을 수호한 전력 아래 소론의 기록인 《숙종실록보궐정오》에는 소론으로 분류되어 호평되어 있으며, 반면에 노론의 기록인 《숙종실록》을 비롯한 《수문록》·《단암만록》·《소설 인현왕후전》 등에는 악평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남인으로 잘못 인지되기도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조사석의 할아버지의 이름은 무엇인가? Assistant: 조존성(趙存性)
Human: 아래 죠죠의_기묘한_모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죠죠의 기묘한 모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죠죠의 기묘한 모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애니메이션에 대해서는 죠죠의 기묘한 모험 (애니메이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죠죠의 기묘한 모험ジョジョの奇妙な冒険 장르 어드벤처, 액션 만화 작가 아라키 히로히코 출판사 슈에이샤 애니북스 연재 잡지 주간 소년 점프 → 울트라 점프 레이블 점프 코믹스 연재 기간 주간 소년 점프1987년 1, 2호 ~ 2004년 47호울트라 점프2005년 4월호 ~ 연재중 권수 124권 (2019년 3월) 틀 - 토론 《죠죠의 기묘한 모험》(ジョジョの奇妙な冒険 조조노 기묘나 보켄[*], 6~8부 : JOJO'S BIZARRE ADVENTURE, 5부 : LE BIZZARRE AVVENTURE DI GIOGIO, 이하 죠죠)은 아라키 히로히코가 연재하는 일본의 만화다. 주인공의 이름은 항상 죠죠로 불린다. 1987년부터 2004년까지 슈에이샤의 주간 소년 점프에 연재되었고 2005년부터 현재까지의 내용은 울트라 점프에 연재중이다. 죠죠는 점프작품 중에서 여기는 잘나가는 파출소에 이어 두 번째로 오래 연재된 만화이다. 작품의 테마는 "인간 찬가". 동료들과의 정, 강적과의 사투 등 소년 만화의 기본을 다루면서도 개성적인 표현법, 독특한 작화 등의 유일한 세계관을 구축하고 있다. 3부는 OVA, 1부, 3부, 5부는 PC 게임화, 외전으로 소설화도 되었다. 2007년 2월 17일 1부는 극장판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되었고, 2012년 10월 25주년 기념으로 애니메이션화 및 2013년 8월 29일 게임화되었다. 이외에도 작품 내 캐릭터 키시베 로한을 주인공으로 한 키시베 로한 루브르에 가다외 미디어 믹스 작품도 있다. 목차 1 부제 2 세계관 3 죠스타 가문 가계도 4 출판 정보 4.1 잡지 연재 4.2 단행본 4.2.1 《스틸 볼 런》의 세계 4.3 해적판 5 TV 애니메이션 5.1 주요 등장인물 5.2 스탠드 5.3 스태프 5.4 삽입곡 6 스탠드 6.1 스탠드의 능력과 그 종류 6.1.1 스탠드의 능력치 6.1.2 스탠드의 종류 7 각주 8 외부 링크 부제[편집] 죠죠는 8편의 부제가 있다. 각각의 편에서 주인공은 모두 다르지만 항상 줄여서 죠죠라고 불려 질 수 있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부제 부제(일본어) 부제(영어) 시대 설정 권수 주인공 1부 팬텀 블러드 ファントムブラッド Phantom Blood 서기 1880년 ~ 1881년(1화 ~ 5화)서기 1888년 ~ 1889년(6화 ~ 44화) 1 - 5 죠나단 죠스타 2부 전투조류 戦闘潮流 Battle Tendency 서기 1938년 ~ 1939년 5 - 12 죠셉 죠스타 3부 스타더스트 크루세이더즈 スターダストクルセイダース Stardust Crusaders 서기 1988년 ~ 1989년 12 - 28 쿠죠 죠타로 4부 다이아몬드는 부서지지 않는다 ダイヤモンドは砕けない Diamond is unbreakable 서기 1999년 29 - 47 히가시카타 죠스케 5부 황금의 바람 黄金の風 VENTO AUREO(영어권 국가에서는 Goldden wind) 서기 2001년 47 - 63 죠르노 죠바나 6부 스톤 오션 ストーンオーシャン Stone Ocean 서기 2011년 ~ 2012년 64 - 80 쿠죠 죠린 《스틸 볼 런》의 세계 7부 스틸 볼 런 スティール・ボール・ラン STEEL BALL RUN 서기 1890년 ~ 1891년 1 - 24(81 - 104) 죠니 죠스타 8부 죠죠리온 ジョジョリオン JoJolion 서기 2011년 25 - 연재중(105 - 연재중) 히가시카타 죠스케 1부 팬텀 블러드 배경은 19세기 말 영국. 영국의 귀족 청년이자 주인공 죠나단 죠스타와 하급 계층 출신이면서 카리스마와 야망의 소유자 디오 브란도(DIO)가 '석가면'과 '파문'을 이용한 성장과 대립기가 그려져 있다. 2부 전투조류 배경은 1938년 미국. 세계 대전이 진행 중이던 시대다. 죠나단의 손자 죠셉 죠스타도 할아버지 처럼 '파문'을 지니고 있다. 그런 가운데, 인류를 능가하는 지적 생물 '기둥 속 사내'가 발굴 되고, 인류의 위협이 될 '기둥 속 사내'를 파괴하기 위해 죠셉 일행은 움직인다. 3부 스타더스트 크루세이더즈 배경은 1988년 일본. 100년 만에 죠나단의 몸을 빼앗은 DIO가 해양에서 관속에 보관된 채로 발견되었고 발견한 어부가 관을 부숴났고 이로인해 DIO가 부활한다. DIO로 인해 죠셉의 손자 쿠죠 죠타로에게 스탠드 능력이 생긴다. DIO의 영향으로 위독에 빠진 어머니를 구하기 위해 죠타로는 죠셉과 함께 DIO가 잠복한 아지트를 찾아 나선다. 4부 다이아몬드는 부서지지 않는다 배경은 1999년 일본. 죠셉과 히가시카타 토모코의 숨겨진 아들 히가시카타 죠스케가 사는 마을에선 스탠드 유저의 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었다. 원인을 조사하고 마을을 지키기 위해 죠스케와 동료들은 마을에 숨은 스탠드 유저와 싸움을 펼친다. 5부 황금의 바람 배경은 2001년 이탈리아. DIO의 아들 죠르노 죠바나는 어렸을적 의부모에게 학대 당했을때 갱스터가 죠르노를 구해, 갱스터를 동경한다. 마피아 보스가 되어 거리를 평화롭게 한다는 꿈을 가지고 갱 조직의 일원으로 들어가.부챠라티라는 스탠드 유저를 갱두목으로 모신다. 6부 스톤 오션 배경은 2011년 미국. 쿠죠 죠타로의 딸 쿠죠 죠린은 함정에 빠져 감옥에 수감된다. 죠린은 스탠드 구현의 화살 파편에 찔려 스탠드 유저가 되고, 탈옥을 포기하고 적들과 싸움에 나선다. 7부 스틸 볼 런 배경은 1890년 미국 샌디에이고 만. 이 땅에서 '스피드 왜건 재단'등의 투자로 세기의 레이스가 개최된다. 철구를 사용하는 수수께끼의 남자 쟈이로 체펠리와 반신 불수 기수 죠니 죠스타는 각각의 목적을 위해 뉴욕을 목표로 한다. 8부 죠죠리온 배경은 대지진이 일어난 일본 모리오쵸. 벽의 눈이란 지각융기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수수께끼의 청년을 발견한다. 세계관[편집] 주인공은 모두 죠죠(JoJo, GioGio)라는 애칭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작중에서 죠죠라는 애칭이 자주 이용되는 것은 3부 초기까지이다. 1부와 2부는 파문(波紋)이라는 특수 능력을 익힌 인간들이 뱀파이어나 '기둥 속 사내'라는 인간보다 훨씬 강력한 생물에 직면한 작품으로, 격투가 주체였다. 3부 이후에는 스탠드(スタンド, 유파문(幽波紋)이라고도 표현)라는 정신 에너지가 구현화된 능력을 사용해 인간들끼리 싸우는 내용으로 다양한 능력이 있는 스탠드의 공방이 이 작품의 골자이다. 아라키 작품의 특징으로 흔히 '의성어'와 '포즈'가 꼽힌다. 의성어는 중금속이나 공포 영화에서 착상한 것이다. 만화책 표지 등에서 볼 수 있는 이른바 '죠죠서기'라는 자세에 관해서는 20대 시절 처음 간 이탈리아 여행에서 미켈란젤로의 작품을 보고 강한 충격을 받은 것을 계기로 조각 같이 육체적인 포즈를 나름대로 만화에 도입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죠스타 가문 가계도[편집] 메리 죠스타죠지 죠스타 1세 에리나 펜들턴죠나단 죠스타1?디오 브란도 (DIO)(양자)?(불명) 죠지 죠스타 2세리사리사 (엘리자베스 죠스타) 수지Q 죠스타(아내)죠셉 죠스타2()히가시카타 토모코(애인) 쿠죠 사다오쿠죠 세이코(홀리 죠스타)() ?쿠죠 죠타로3 시즈카 죠스타(수양딸)히가시카타 죠스케4(숨겨진 아들) 죠르노 죠바나5 쿠죠 죠린6운가로리키엘도나텔로 베르사스 쟈이로 체페리7죠니 죠스타7(스틸 볼 런)디에고 브란도 (Dio) 출판 정보[편집] 전부 슈에이샤 출판이다. 잡지 연재[편집] 6부까지 주간 소년 점프 1987년 1,2호 ~ 2003년 19호 (1~5부 63권, 6부 17권) 1부 팬텀블러드 주간 소년 점프 1987년 1, 2호 ~ 46호 (44화, 1~5권) 2부 전투조류 주간 소년 점프 1987년 47호 ~ 1989년 15호 (69화, 5~12권) 3부 스타더스트 크루세이더즈 주간 소년 점프 1989년 16호 ~ 1992년 19호 (152화, 12~28권) 4부 다이아몬드는 부서지지 않는다 주간 소년 점프 1992년 20호 ~ 1995년 51호 (174화, 29~47권) 5부 황금의 바람 주간 소년 점프 1995년 52호 ~ 1999년 17호 (154화, 47~63권) 6부 스톤 오션 주간 소년 점프 2000년 1호 ~ 2003년 19호 (158화, 1(64)~17(80)권) 7부 스틸 볼 런 주간 소년 점프 2004년 8호 ~ 2004년 17호 (11화, 1~2권) 주간 소년 점프 중간호 아카마루 점프 (1화, 2권) 주간 소년 점프 2004년 29호 ~ 2004년 39호 (10화, 3~4권) 주간 소년 점프 2004년 46호 ~ 2004년 47호 (2화, 4권) 울트라 점프 2005년 4월호 ~ 2011년 5월호 (5권~24권) 8부 죠죠리온 울트라 점프 2011년 6월호 ~ (1권 ~ ) 단행본[편집] "침략자 디오 (侵略者ディオ)" (출시일: 1987년 8월 10일) "피의 갈망! (血の渇き!)" (출시일: 1988년 1월 8일) "암흑의 기사들 (暗黒の騎士達)" (출시일: 1988년 4월 8일) "쌍두룡의 홀로 (双首竜の間へ)" (출시일: 1988년 6월 10일) "마지막 파문! (最後の波紋!)" (출시일: 1988년 8월 10일) "죠죠 VS 궁극생물 (JoJo Vs. 究極生物)" (출시일: 1988년 10월 7일) "에이자의 적석 (エイジャの赤石)" (출시일: 1988년 12월 6일) "최종시련! (最終試練!)" (출시일: 1989년 2월 10일) "죽음의 절벽으로 질주하라 (死の崖へつっ走れ)" (출시일: 1989년 4월 10일) "선혈의 비눗방울 (鮮赤のシャボン)" (출시일: 1989년 6월 9일) "바람으로 돌아간 전사 (風にかえる戦士)" (출시일: 1989년 8월 10일) "초생물 탄생!! (超生物の誕生!!)" (출시일: 1989년 10월 9일) "DIO의 저주 (DIOの呪縛)" (출시일: 1989년 12월 5일) "무인선과 원숭이 (無人船と猿)" (출시일: 1990년 2월 9일) "총은 칼보다 강하다 (銃は剣よりも強し)" (출시일: 1990년 4월 10일) "싸움의 연륜! (戦いの年季!)" (출시일: 1990년 6월 8일) "공포의 러버즈 (恐ろしきラバーズ)" (출시일: 1990년 8월 8일) "꿈의 DEATH 13 (夢のDEATH13)" (출시일: 1990년 10월 8일) "마법 램프 (魔法のランプ)" (출시일: 1990년 12월 4일) "폭탄장치 오렌지 (爆弾仕かけのオレンジ)" (출시일: 1991년 2월 8일) "다리가 죽여주는 여자 (脚がグンバツの女)" (출시일: 1991년 5월 10일) "밀실에서 사라지다 (密室で消失)" (출시일: 1991년 7월 10일) "다비즈 컬렉션 (ダービーズコレクション)" (출시일: 1991년 9월 10일) "지옥의 문지기 펫 숍 (地獄の門番 ペット・ショップ)" (출시일: 1991년 11월 8일) "다비 더 플레이어 (ダービー・ザ・プレイヤー)" (출시일: 1992년 2월 10일) "아공간의 독기 바닐라 아이스 (亜空の瘴気 ヴァニラ・アイス)" (출시일: 1992년 4월 10일) "DIO의 세계 (DIOの世界)" (출시일: 1992년 6월 10일) "아득한 여정, 안녕 친구여 (遥かなる旅路 さらば友よ)" (출시일: 1992년 8월 4일) "히가시카타 죠스케 등장하다 (東方仗助登場する)" (출시일: 1992년 11월 4일) "니지무라 오쿠야스, 케이초 (虹村億泰・形兆)" (출시일: 1993년 1월 7일) "히로세 코이치(에코즈) (広瀬康一(エコーズ))" (출시일: 1993년 3월 4일) "야마기시 유카코는 사랑을 한다 (山岸由花子は恋をする)" (출시일: 1993년 5월 10일) "이탈리아 요리를 먹으러 가자 (イタリア料理を食べに行こう)" (출시일: 1993년 7월 2일) "만화가 집에 놀러가자 (漫画家のうちへ遊びに行こう)" (출시일: 1993년 9월 3일) "키시베 로한의 모험 (岸辺露伴の冒険)" (출시일: 1993년 11월 4일) "'시게찌'의 하베스트 (「重ちー」のハーヴェスト)" (출시일: 1994년 2월 4일) "키라 요시카게는 조용히 살고 싶다 (吉良吉影は静かに暮らしたい)" (출시일: 1994년 5월 2일) "시어 하트 어택 (シアーハートアタック)" (출시일: 1994년 8월 4일) "아버지의 눈물 (父の涙)" (출시일: 1994년 11월 4일) "가위바위보 꼬마가 온다! (ジャンケン小僧がやって来る!)" (출시일: 1995년 1월 11일) "하이웨이 스타 (ハイウェイ・スター)" (출시일: 1995년 3월 3일) "고양이는 키라 요시카게를 좋아해 (猫は吉良吉影が好き)" (출시일: 1995년 5월 11일) "에니그마는 수수께끼! (エニグマは謎だ!)" (출시일: 1995년 8월 4일) "우리 아빠는 아빠가 아니야 (ぼくのパパはパパじゃない)" (출시일: 1995년 10월 4일) "어나더 원 바이츠 더 더스트 (アナザーワン バイツァ・ダスト)" (출시일: 1996년 1월 10일) "크레이지 다이아몬드는 부서지지 않는다 (クレイジー・ダイヤモンドは砕けない)" (출시일: 1996년 3월 4일) "안녕히, 모리오초 - 황금의 마음 (さよなら杜王町 - 黄金の心)" (출시일: 1996년 5월 10일) "내 꿈은 갱스터 (ぼくの夢はギャング・スター)" (출시일: 1996년 7월 4일) "폴포의 유산을 노려라! (ポルポの遺産を狙え!)" (출시일: 1996년 9월 4일) "부차라티 간부: 보스로부터의 첫 번째 지령 (ブチャラティ幹部:ボスからの第一指令)" (출시일: 1996년 11월 1일) "보스로부터의 제2지령: 키를 손에 넣어라! (ボスからの第二指令:「キーをゲットせよ!」)" (출시일: 1997년 2월 4일) "피렌체행 특급열차 (フィレンツェ行き超特急)" (출시일: 1997년 4월 4일) "더 그레이트풀 데드 (ザ・グレイトフル・デッド)" (출시일: 1997년 6월 4일) "골드 익스피리언스의 역습 (ゴールド・エクスペリエンスの逆襲)" (출시일: 1997년 9월 4일) "베네치아 상륙작전 (ヴェネツィア上陸作戦)" (출시일: 1997년 11월 4일) "거츠의 "G" (ガッツの「G」)" (출시일: 1998년 1월 9일) "플라이트 코드 없음! 보스의 과거를 밝혀라 (フライト・コードなし!ボスの過去をあばけ)" (출시일: 1998년 3월 4일) "내 이름은 도피오 (ぼくの名はドッピオ)" (출시일: 1998년 6월 4일) "당장이라도 무너져 내릴 듯한 하늘 아래서 (今にも落ちて来そうな空の下で)" (출시일: 1998년 8월 4일) "콜로세움의 사내랑 만나라! (コロッセオの男に会え!)" (출시일: 1998년 10월 2일) "그녀석의 이름은 디아볼로 (そいつの名はディアボロ)" (출시일: 1999년 1월 8일) "레퀴엠은 고요히 울려퍼지니 (レクイエムは静かに奏でられる)" (출시일: 1999년 3월 4일) "잠자는 노예 (眠れる奴隷)" (출시일: 1999년 4월 30일) "죄인번호 FE40536 쿠죠 죠린 (囚人番号FE40536 空条徐倫)" (출시일: 2000년 5월 1일) "그린 돌핀 스트리트 형무소 면회실 (グリーン・ドルフィン・ストリート刑務所の面会人)" (출시일: 2000년 8월 4일) "프리즈너 오브 러브 (プリズナー・オブ・ラヴ)" (출시일: 2000년 10월 4일) "가자! 푸 파이터즈 (行くぞ!フー・ファイターズ)" (출시일: 2000년 12월 4일) "새비지 가든 작전 (サヴェジ・ガーデン作戦)" (출시일: 2001년 2월 2일) "집중호우 경보발령 (集中豪雨警報発令)" (출시일: 2001년 4월 4일) "울트라 시큐리티 징벌방 (ウルトラセキュリティ懲罰房)" (출시일: 2001년 6월 4일) "불타라 드래곤즈 드림 (燃えよドラゴンズ・ドリーム)" (출시일: 2001년 9월 4일) "『녹색』의 탄생 (『緑色』の誕生)" (출시일: 2001년 11월 2일) "AWAKEN - 각성 (AWAKEN - 目覚め)" (출시일: 2002년 2월 4일) "맞이하라! 천국의 때 (向かえ!天国の時)" (출시일: 2002년 4월 4일) "탈옥으로... (脱獄へ…)" (출시일: 2002년 7월 4일) "하늘 높이 스카이 하이! (空高くスカイ・ハイ!)" (출시일: 2002년 9월 4일) "신월까지 앞으로 3일 (新月まであと3日)" (출시일: 2002년 12월 4일) "헤비 웨더 (ヘビー・ウェザー)" (출시일: 2003년 2월 4일) "케이프 커너버럴에서 (ケープ・カナベラルにて)" (출시일: 2003년 4월 4일) "메이드 인 헤븐 (メイド・イン・ヘブン)" (출시일: 2003년 7월 4일) (마지막권) 《스틸 볼 런》의 세계[편집] "1890년 9월 25일 샌디에이고 해변 (1890年9月25日 サンディエゴビーチ)" (출시일: 2004년 5월 20일) "1st.STAGE 15000미터 (1st. STAGE 15,000メートル)" (출시일: 2004년 5월 20일) "2nd.STAGE 애리조나 사막 횡단 (2nd. STAGE アリゾナ砂漠越え)" (출시일: 2004년 11월 4일) "자이로 체펠리의 숙명 (ジャイロ・ツェペリの宿命)" (출시일: 2004년 11월 4일) "대통령의 음모 (大統領の陰謀)" (출시일: 2005년 8월 4일) "스케어리 몬스터즈 (スケアリーモンスターズ)" (출시일: 2005년 11월 4일) "넓고 넓은 대초원의 작은 묘표 (広い広い大草原の小さな墓標)" (출시일: 2006년 3월 3일) "사나이의 세계로 (男の世界へ)" (출시일: 2006년 5월 2일) "폭풍의 밤이 온다 (嵐の夜がやってくる)" (출시일: 2006년 9월 4일) "일리노이 스카이라인 미시간 레이크라인 (イリノイ・スカイライン ミシガン・レイクライン)" (출시일: 2006년 11월 2일) "황금 장방형을 만들어라! (黄金長方形をつくれ!)" (출시일: 2007년 3월 2일) "유체로의 조건 우정으로의 조건 (遺体への条件 友情への条件)" (출시일: 2007년 5월 2일) "부서져가는 철구 (壊れゆく鉄球)" (출시일: 2007년 9월 4일) "승리자로서의 자격 (勝利者への資格)" (출시일: 2007년 12월 4일) "게티스버그의 꿈 (ゲティスバーグの夢)" (출시일: 2008년 5월 2일) "아주 간단히 행해지는 지독한 행위 (いともたやすく行われる えげつない行為)" (출시일: 2008년 9월 4일) "D4C" (출시일: 2009년 3월 4일) "티켓 투 라이드 (チケット・ゥ・ライド)" (출시일: 2009년 7월 3일) "부자가 될 순 없어 (お金持ちにはなれない)" (출시일: 2009년 11월 4일) "러브 트레인 - 세계는 하나 (ラブトレイン - 世界はひとつ)" (출시일: 2010년 3월 9일) "볼 브레이커 (ボール・ブレイカー)" (출시일: 2010년 7월 2일) "브레이크 마이 하트 브레이크 유어 하트 (ブレイク・マイ・ハート ブレイク・ユア・ハート)" (출시일: 2010년 11월 4일) "하이 볼티지 (ハイ・ヴォルテージ)" (출시일: 2011년 5월 19일) "성조기여 영원하라 (星条旗よ 永遠なれ)" (출시일: 2011년 6월 3일) "어서오세요 모리오초에 (ようこそ 杜王町へ)" (출시일: 2011년 12월 19일) "히가시카타 죠스케라는 이름 (東方定助という名前)" (출시일: 2012년 4월 19일) "그 가계도 (その家系図)" (출시일: 2012년 9월 19일) "레몬과 귤 (レモンとみかん)" (출시일: 2013년 5월 17일) "모리오초 『1901년』 (杜王町『1901年』)" (출시일: 2013년 10월 18일) "히가시카타 츠루기의 목적 그리고 건축가 (東方つるぎの目的 そして建築家)" (출시일: 2014년 3월 19일) "킹 낫싱 (キング・ナッシング)" (출시일: 2014년 5월 19일) "매일이 여름방학 (毎日が夏休み)" (출시일: 2014년 10월 17일) "장남: 히가시카타 죠빈 (長男・東方常敏)" (출시일: 2015년 2월 19일) "로카카카 나무를 쫓아라! (ロカカカの樹を追え!)" (출시일: 2015년 7월 17일) "쌍둥이가 마을에 온다 (双児が町にやって来る)" (출시일: 2015년 12월 18일) "하토짱의 보이 프렌드 (鳩ちゃんのボーイフレンド)" (출시일: 2016년 3월 18일) "워킹 하트 (ウォーキング・ハート)" (출시일: 2016년 7월 19일) "히가시카타 가의 새벽 (東方家の夜明け)" (출시일: 2016년 12월 19일) "돌로미테의 푸른 산호초 (ドロミテの青い珊瑚礁)" (출시일: 2017년 7월 19일) "어머니와 자식 (母と子)" (출시일: 2017년 9월 19일) "하나레로산에서 탈출하라 (鼻炉山から脱出しろ)" (출시일: 2017년 12월 19일) "히가시카타 가의 북쪽. 과수원 (東方家の北。果樹園)" (출시일: 2018년 7월 19일) "성형외과 - 우 토모키 선생 (整形外科医 – 羽伴毅先生)" (출시일: 2018년 10월 19일) "함께 부탁해. 닥터 우 (一緒にお願い。ドクター・ウー)" (출시일: 2019년 3월 19일) 해적판[편집] 대한민국에서는 이 만화를 메가톤맨(Megaton Man)이라는 제목으로 불법으로 복사판을 출판한 바 있었다. 역자 및 배포자는 불명으로 이 해적판에서는 마치 원본의 내용을 왜곡한 엉뚱한 대사들로 가득하다. 죠죠의 팬들은 이 번역 때문에 메가톤맨을 또 다른 작품이라고 얘기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대사의 경우 원본의 "더 월드!"의 경우 "그럼 나의 월드 맛좀 쬐끔만 보거라!" 등으로 번역하고 등장인물의 경우는 주인공의 이름은 무조건 죠죠로 번역하고 명백한 본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상인"(왕첸)이나 "페리오"(체펠리), "체리"(카쿄인 노리아키) 같은 이상한 이름으로 번역하는 등 원판을 접한 독자들에게 웃음을 주고 있다. 애니메이션도 메가톤맨을 기반으로 한 자막이 나오기까지했다. 또, 귀면쟁투(鬼面爭鬪)라는 제목의 해적판도 존재했었다.귀면쟁투는 가장 번역이 잘 됐지만 중국 정발 만화책을 기반으로 만들어서인지 디오의 흡혈좀비를 강시라고 부르는등 중국풍 대사가 많다 애초에 책 제목도 한자.스톤 오션이라는 제목의 해적판도 존재했으나 4권까지만 번역된뒤에 회사가 망해 사라졌다.또한 1권은 매우 찾기도 얻기도 어렵다. TV 애니메이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죠죠의 기묘한 모험 (TV 애니메이션)입니다. 2012년에 제작된 25주년 애니메이션으로 2012년 10월 05일 부터 2013년 04월 05일까지 도쿄 MXTV에서 방영되었다. 총 26화로 구성되어 있으며 1부와 2부의 내용을 다룬다. 2014년 4월 4일 3부 : 스타더스트 크루세이더즈가 방영해 2015년 6월 19일에 종영했고. 오는 2016년 4월 1일 0시 30분에 4부 : 다이아몬드는 부서지지 않는다 1화가 방영되었다.[1] 주요 등장인물[편집] 이 부분의 성우 목록은 죠죠의 기묘한 모험 All Star Battle 1,2부 등장인물 성우진과 겹칩니다. 1부 팬텀 블러드 죠나단 죠스타(C.V. 오키츠 카즈유키) 디오 브란도(C.V. 코야스 타케히토) 윌 A. 체페리(C.V. 시요야 요쿠) 로버트 E.O. 스피드왜건(C.V. 우에다 요지) 에리나 펜들턴(C.V. 카와스미 아야코) 2부 전투조류 죠셉 죠스타(C.V. 스기타 토모카즈) 시저 체페리(C.V. 사토 타쿠야) 리사리사(C.V. 타나카 아츠코) 루돌 폰 슈트로하임(C.V. 이마루오카 아츠시) 기둥의 남자 와무우(C.V. 오오츠카 아키오) 에시디시(C.V. 후지와라 케이지) 카즈(C.V. 이노우에 카즈히코) 3부 스타더스트 크루세이더즈 쿠죠 죠타로(C.V 오노 다이스케) 죠셉 죠스타(C.V 이시즈카 운쇼) 카쿄인 노리아키(C.V 히라카와 다이스케) 장 피에르 폴나레프(C.V 코마츠 후미노리) 모하메드 압둘(C.V 미야케 켄타) DIO(디오 브란도)(C.V 코야스 타케히토) 4부 다이아몬드는 부서지지 않는다 히가시카타 죠스케(C.V 오노 유우키) 히로세 코이치(C.V 카지 유우키) 키시베 로한(C.V 사쿠라이 타카히로) 니지무라 오쿠야스(C.V 타카기 와타루) 쿠죠 죠타로(C.V 오노 다이스케) 스탠드[편집] 3부 주요 인물 쿠죠 죠타로 - 타로 카드 No 17 - 별 : 스타플래티나(별의 백금(星の白金)) 죠셉 죠스타 - 타로 카드 No 9 - 은둔자 : 허밋 퍼플 (Hermit Purple(은자의 자색)) 카쿄인 노리아키 - 타로 카드 No 5 - 교황 : 하이어로팬트 그린 (법황의 녹) 장 피에르 폴나레프 - 타로 카드 No 7 - 전차 : 실버 채리엇 (은의 전차) 무함마드 압둘 - 타로 카드 No 1 - 마술사 : 매지션즈 레드(Magician's Red) (마술사의 적(赤)) DIO(디오 브란도) - 타로 카드 No 21 - 세계 : (The world) 이기 - 타로 카드 No. 0 - 바보 : 더 풀 (The Fool(ザ・フール)바보/광대(愚者)) 스태프[편집] 제작 - david production 연출 - 츠다 나오카츠 프로듀서 - 오오모리 히로유키, 모리 료스케, 후쿠다 쥰, 하야시 토시야스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카지타 코지 제작 협력 - 카와이 코헤이 프로듀스 협력 - 사토미 테츠로 시리즈 구성 - 코바야시 야스코 캐릭터 디자인 & 총작화감독 - 1,2 부:시미즈 타카코, 3부:코미노 마사히코 서브 캐릭터 디자인 & 프롭 디자인 - 마치다 신이치 디렉터 - 츠다 나오카츠 시리즈 디렉터 - 스즈키 켄이치 비쥬얼 디렉터 - 소에지마 야스후미 미술감독 - 요시하라 슌이치로 미술설정 - 아오키 카오루, 소에지마 야스후미 색채설계 - 무라타 마리코 촬영감독 - 야마다 카즈히로 편집 - 히로세 키요시 음향감독 - 이와나미 요시카즈 음악 - 1부:마츠오 하야토, 2부:이와사키 타쿠, 3부:칸노 유고 음악 효과 - 1부:오쿠다 이조, 2,3부:코야마 야스마사 음악 제작 - 1부:IMAGINE, 2부:Office Without, 3부:ONE MUSIC 삽입곡[편집] 1부 오프닝 - 죠죠~그 피의 숙명~( ジョジョ~その血の運命~ ) 노래 - 토미나가 TOMMY 히로아키 (富永TOMMY弘明 ) 작곡 - 타나카 코헤이(田中公平) 작사 - 후지바야시 쇼코(藤林聖子) 2부 오프닝 - BLOODY STREAM 노래 - Coda 작곡 - 오오모리 토시유키(大森俊之) 작사 - 코다마 사오리(こだまさおり) 1,2부 엔딩 - Roundabout 노래 - Yes 작곡 - 스티브 하우(Steve Howe) 작사 - 존 앤더슨(Jon Anderson) 수록 앨범 - Fragile(1972) 3부 오프닝 - Stand Proud 노래 - 하시모토 진(橋本仁) 작곡 - 와카바야시 타카츠구(若林タカツグ) 작사 - 후지바야시 쇼코(藤林聖子) 3부 엔딩 - Walks like an Egyptian 노래 - Bangles 작곡 - 리암 스텐버그(Liam Sternberg) 작사 - 리암 스텐버그(Liam Sternberg) 수록 앨범 - Party Starters(1984) 스탠드[편집] 스탠드는 죠죠의 기묘한 모험에 나오는 초 자연적인 능력이며,정신이 구현되생긴다 죠죠의 기묘한 모험을 상징하는 요소 중 하나이다. 3부 부터 사용되었으며, 1, 2부에선 흡혈귀에 대적하기 위한 '파문법'이라는 능력을 사용한다. 스탠드사 한 명당 하나의 스탠드만 가질 수 있으나 스탠드의 종류에 따라 하나의 스탠드가 여러 개체로 분리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스탠드는 스탠드 능력을 지닌 자의 눈에만 보이지만 스탠드 능력이 없는 사람을 공격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는 스탠드로만 공격 할 수 있다. 스탠드가 입은 데미지는 스탠드사에게도 전달되며, 스탠드가 죽으면 스탠드사도 죽는다. 역으로 스탠드사가 사망할 시 스탠드 능력도 소멸된다. 또한 스탠드는 스탠드사의 눈에만 보이며 일반인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다. 다만 예외적으로 극히 일부의 스탠드는 일반인의 눈에도 보인다. 스탠드사의 능력에 따라 스탠드가 업그레이드 되기도 하는데 그 예가 엔리코 푸치 신부로 그의 스탠드가 최초에는 화이트 스네이크(상대방의 기억과 스탠드의 능력을 뽑아내서 강탈하는 능력)를 갖고 있었으나 이를 녹색의 아기와 합쳐서 C-MOON(중력방향이 역전되는 능력)으로 업그레이드 시키고 메이드 인 해븐(시간을 빨리 흘러가게 하는 능력)으로 스탠드를 업그레이드 시킨 사례가 있다. 마지막으로 스탠드사들은 스탠드를 통해 물 속에서 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탠드를 얻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스탠드 구현의 화살' 이라는 아티팩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화살에 찔린 사람에게 스탠드의 재능이 있다면 찔린 상처가 머지 않아 회복되고 스탠드가 발현하지만, 스탠드에 재능이 없는 사람이 찔릴 경우 죽어버린다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방법은 강력한 스탠드력을 진 스탠드 유저의 주위에 있는 것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6부의 엔리코 푸치 신부의 스탠드, 화이트 스네이크의 능력을 통해 스탠드 유저의 '스탠드 디스크'를 훔쳐내어 다른 사람에게 삽입하는 것이 있다. 훔쳐낸 스탠드와 적성이 잘 맞는 사람이라면 본래의 위력보다 더한 위력을 낼 수 있다.[2] 하지만 이 방법 또한 단점이 있다. 훔쳐낸 스탠드를 다룰 수 있는 능력이 되지 않는 사람이 디스크를 사용했을 경우 스탠드 능력이 생기지 않고 튕겨나간다.[3] 그리고 7부에선 '악마의 손바닥'이라는 특수한 지형이 곳곳에 나타나는데, 스탠드 재능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곳에서 스탠드를 얻을 수 있다. 8부에서 '벽의 눈'이라는 장소에 있으면 스탠드가 발현된다. 스탠드의 능력과 그 종류[편집] 스탠드의 능력치[편집] 스탠드의 능력치는 6가지의 항목으로 나뉘고, A, B, C, D, E의 등급으로 평가된다. 여기서 C는 일반인과 동급으로 간주된다. 스탠드의 능력치는 다음과 같다. 파워: 스탠드 자체가 지닌 물리적 힘, 또는 파괴력을 의미한다. A : 손으로 다이아몬드를 으깰 수 있는 수준 B : 강철구조물을 부술 수 있는 수준 C : 일반인 수준 D : 나무젓가락을 부러뜨릴 수 있는 수준 E : 무완력 스피드: 스탠드가 움직일 수 있는 속도를 의미한다. A : 빛의 속도 B : 총알이 날아가는 속도 C : 일반인 수준 D : 거북이가 움직이는 속도 E : 달팽이가 움직이는 속도 사정거리: 스탠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거리, 다시 말해 스탠드의 능력이 적용되는 거리를 의미한다.[4] A : 지구 반바퀴 이상 B : 1km이상 C : 100m 정도 D : 1m정도 E : cm단위 지속력: 스탠드 능력이 지속될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한다.[5] A : 하루 이상 B : 8시간 정도 C : 한시간 이내 D : 1분 이내 E : 10초 이내 정밀동작성: 스탠드를 정밀하게 움직일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A : 아주 세밀한 동작까지 구현 가능 B : 정밀기계 수준 C : 일반인 수준 D : 투박함 E : 매우 투박함 성장성: 스탠드의 발전 가능성을 의미한다. A : 전혀 다른 세계의 스탠드로 변신 B : 10배 이상 강해짐 C : 원래 능력의 2배가 임계점 D : 거의 성장하지 않음 E : 성장정지 능력치가 높을수록 강력한 스탠드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3부의 '크림', 5부의 '골드 익스피리언스'와 같이 능력치는 높은 편이 아니지만 스탠드 능력을 잘 활용하여 큰 활약을 펼치는 스탠드가 다수 있고, 같은 등급의 능력치를 가져도 위력에 차이가 있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작중에서 묘사될 때 원래 표시된 능력치와는 모순되는 것 처럼 보이는 경우가 있다.[6] 능력치는 스탠드 유저의 정신력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락한다. 스탠드의 종류[편집] 스탠드의 종류는 스탠드의 외관이나 전투 성향 등을 통해 나뉜다. 스탠드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근거리 파워형: 말 그대로 스탠드의 사정거리가 짧아 가까운 거리에서밖에 스탠드 파워를 사용할 수 없지만 그만큼 강력한 파워를 지닌 스탠드들이 이 부류에 속한다. 주인공들의 스탠드들은 대부분 근거리 파워형이며, 다른 스탠드들 중에서도 근거리 파워형이 다수를 차지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더 월드', '스타 플래티나', '크레이지 다이아몬드' 등이 있다. 원거리형: 근거리 파워형 스탠드와는 다르게 긴 사정거리를 가지고 있어 스탠드 유저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 행동할 수 있는 스탠드들이 이 부류에 속한다. 하지만 본체로부터 멀리 떨어진다고는 해도 본체의 명령에 따라 움직이며, 사정거리 이상으로 떨어질수록 힘이 약해진다. 대표적인 예로는 '하이에로펀트 그린', '섹스 피스톨즈' 등이 있다. 자동추적형: 자동적으로 적을 추적할 수 있는 스탠드들이 이 부류에 속한다. 본체가 멀리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도 움직이게 할 수는 있으나 움직임이 단순하고, 특정 조건 하에서만 움직이기 때문에 머리를 쓰면 쉽게 차단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체가 직접 움직일 수 없는 대신 스탠드의 능력치는 평균적으로 높은 편에 속하고, 자동추적형 스탠드는 설령 파괴된다 하더라도 본체에 데미지를 입히지 않는다.[7] 대표적인 예로는 '시어 하트 어택'등이 있다. 자율형: 본체와는 별개로 자기 자신만의 의식을 가지고 움직이는 스탠드들이 이 부류에 속한다. 대체적으로 본체와 잠재적인 의식은 공유하나, 본체에게 반항하거나 컨트롤이 불가능해지는 극단적인 경우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 단점이다. 대표적인 예로 '드래곤즈 드림'이나 'D4C' '베이비 페이스' '화이트 스네이크' 등이 있다. 동화형: 물체와 동화하여 나타나는 스탠드들이 이 부류에 속하며, 이런 부류의 스탠드들은 물체와 동화했기에 일반인들도 보고 만질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아쿠아 넥클리스'(물에 동화), '옐로 템퍼런스'(흡수한 고기에 동화), '러브 디럭스'(머리카락에 동화) 등이 있다. 일체화형: 본체와 일체화하여 나타나는 스탠드들이 이 부류에 속하며, 스탠드 능력이 본체에 직접 적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스트레이 캣'이 있다. 군체형: 여러 개로 나뉜 실체를 가지고 있는 스탠드들이 이 부류에 속하며, 이 경우 그 여러 개의 실체들을 통틀어서 하나의 스탠드로 본다. 실체들 개별적으로는 약하지만, 전체로는 상당한 강함을 보여준다. 하나가 없어져도 본체엔 큰 데미지가 가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부류의 스탠드는 실체들을 하나씩 제거해 나가는 방법이 비효율적이고, 본체를 직접 제거하는 방법이 더 효과적이다. 대표적인 예로 '하비스트'나 '배드 컴퍼니'가 있다. 분열형: 본 스탠드를 분열시켜 별개의 스탠드로 사용할 수 있는 스탠드들이 이 부류에 속한다. 분열된 스탠드가 본 스탠드와는 다른 성능이나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경유우도 있다. 군체형과 비슷한 점이 있는데 바로 본체에 대한 데미지가 분산된다는 점이다. 대표적인 예로 '시어 하트 어택'이 있다. 장착형: 본체를 옷이나 메이크업같이 감싸는 스탠드들이 이 부류에 속한다. 본체의 방어나 공격을 강화시키는 경우가 많으며, 이런 성질로 인해 근거리 파워형에 속하는 스탠드들이 많다. 대표적인 예로 '화이트 앨범' 등이 있다. 도구형: 도구의 형태를 띈 스탠드들이 이 부류에 속한다. 대부분 본체의 손을 떠나면 무용지물이 되는 것이 단점이다. 대표적인 예로 '엠페러', '토트신' 등이 있다. 부정형형: 일정한 형태가 마땅히 없는 스탠드들이 이 부류에 속한다. 물리적인 공격이 먹히지 않으며, 변신하는 능력을 가진 경우가 많다. 무척 강력한 종류 중 하나이지만 본체를 지키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더 풀' 등이 있다. 각주[편집] ↑ “죠죠의 기묘한 모험 4부 방영확정 및 총 정리”. 2016년 1월 27일. 2016년 3월 19일에 확인함.  ↑ 본편에서 엠폴리오가 웨더 리포트의 스탠드 '웨더 리포트'를 얻고 원래 본체가 사용하지 못했던 산소농도 제어를 통해 푸치 신부를 제거한다. ↑ 본편에서 죠린이 아버지 죠타로의 스탠드 '스타 플래티나'의 디스크를 사용해 보았으나 튕겨져 날아갔다. ↑ 예외적으로 DIO의 스탠드 '더 월드'나 죠타로의 '스타 플래티나'의 능력인 시간 정지의 경우 일정한 사정거리 내에서만 발동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발동된다. ↑ 6부에서 죠타로의 스탠드 '스타 플래티나 더 월드'의 스탠드 파워 자체의 지속력은 A 이지만 능력인 시간 정지의 지속력은 E(최대 5초)에 속하며, 이로 인해 메이드 인 헤븐 전에서 고전하게 된다. ↑ 3부에서 DIO의 스탠드 '더 월드'의 본래 사정거리는 10m 정도이지만 사정거리가 2m 남짓인 죠타로의 '스타 플래티나'와 별 다를 바 없이 묘사된다. ↑ 예외적으로 키라 요시카게의 '시어 하트 어택'은 본 스탠드 '킬러 퀸'의 왼손에서 발사되는 분열형 스탠드이기 때문에 본체인 키라 요시카게의 왼손에 데미지가 간다. 본편에서 히로세 코우이치가 스탠드 '에코즈 Act 3'의 능력인 3 Freeze를 사용하여 시어 하트 어택을 무겁게 해 땅바닥에 고정시켰을 때 키라 요시카게의 왼손도 무거워져 땅으로 곤두박질 쳤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인용집에 이 문서와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죠죠의 기묘한 모험 (영어) 죠죠의 기묘한 모험 - KLOV 게임 (영어) 죠죠의 기묘한 모험 (만화) - 애니메 뉴스 네트워크 vdeh아라키 히로히코 作 《죠죠의 기묘한 모험》본편팬텀 블러드  · 전투조류  · 스타더스트 크루세이더즈  · 다이아몬드는 부서지지 않는다  · 황금의 바람  · 스톤 오션  · 스틸 볼 런  · 죠죠리온애니메이션OVA  · TV 애니메이션게임죠죠의 기묘한 모험  · 미래를 위한 유산  · 황금의 선풍  · All Star Battle죠죠와 그들의 일족초대 죠죠 죠나단 죠스타  · 2대 죠죠 죠셉 죠스타  · 3대 죠죠 쿠죠 죠타로  · 4대 죠죠 히가시카타 죠스케  · 5대 죠죠 죠르노 죠바나  · 6대 죠죠 쿠죠 죠린  · 7대 죠죠 죠니 죠스타  · 리사리사죠죠의 동료쟈이로 체펠리  · 무함마드 압둘  · 카쿄인 노리아키  · 장 피에르 폴나레프  · 루돌 폰 슈트로하임악역디오 브란도  · 디아볼로  · 엔리코 푸치  · 머라이어  · 타커스  · 엔야 할멈  · J. 가일기타 등장 인물가출 소녀음악SOUL'd OUT  · Roundabout  · 죠죠 ~그 피의 운명~  · Bloody Stream  · Stand Proud  · Walks like an Egyptian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죠죠의_기묘한_모험&oldid=24539837" 분류: 미완결 작품일본의 만화1987년 만화2005년 만화주간 소년 점프의 만화죠죠의 기묘한 모험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SuomiFrançaisGalego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Napulitano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agalogУкраїнська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7일 (일) 21:0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죠죠의 기묘한 모험》(ジョジョの奇妙な冒険 조조노 기묘나 보켄[*], 6~8부 : JOJO'S BIZARRE ADVENTURE, 5부 : LE BIZZARRE AVVENTURE DI GIOGIO, 이하 죠죠)은 아라키 히로히코가 연재하는 일본의 만화다. 1987년부터 2004년까지 슈에이샤의 주간 소년 점프에 연재되었고 2005년부터 현재까지의 내용은 울트라 점프에 연재중이다. 죠죠는 점프작품 중에서 여기는 잘나가는 파출소에 이어 두 번째로 오래 연재된 만화이다. 작품의 테마는 "인간 찬가"이다. 동료들과의 정, 강적과의 사투 등 소년 만화의 기본적 특정을 가지면서, 성적인 표현법, 독특한 작화 등을 통해 독자적인 세계관을 구축하였다고 평가받는다. 3부는 OVA, 1부, 3부, 5부는 PC 게임화, 외전으로 소설화도 되었다. 2007년 2월 17일 1부는 극장판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되었고, 2012년 10월 25주년 기념으로 애니메이션화 및 2013년 8월 29일 게임화되었다. 이외에도 작품 내 캐릭터 키시베 로한을 주인공으로 한 키시베 로한은 움직이지 않는다의 가다외 미디어 믹스 작품도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죠죠의 기묘한 모험의 연출가가 누구야? Assistant: 츠다 나오카츠 Human: 아래 독일_연방의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독일 연방의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독일 연방의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독일 연방의회 Deutscher Bundestag 제19회 연방의회 의회 체제의회 체제 하원조직의장 볼프강 쇼이블레 (기민련) 2017년 10월 25일 취임부의장 에델가르드 불맨, (사민당) 페테르 힌제, (기사련)헤르만 오토 졸름스, (자민당) 클라우디아 로흐, (녹색당) 페트라 파우, (좌파당) 2017년 10월 25일 취임 구성정원 709의원임기 4년 정당구성 여당 (399)      기민기사연합 (246)      기독교민주연합 (200)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46)      독일 사회민주당 (152) 야당 (310)      독일을 위한 대안 (91)      자유민주당 (80)      좌파당 (69)      동맹 90/녹색당 (67)      무소속 (4) 선거이전 선거 2017년 9월 24일의사당 국가의회 의사당 내 연방의회 회의장웹사이트 독일 연방의회 공식 웹사이트 독일의 정치 기본법(헌법) 독일의 인권 연방헌법재판소 행정부 연방대통령(국가원수) 요아힘 가우크 연방총리(정부수반) 앙겔라 메르켈 부총리 지크마르 가브리엘 연방내각 제3차 메르켈 내각 입법부 연방회의 연방참의원(상원) 연방의회(하원) 합동위원회 사법부 연방재판소 연방헌법재판소 연방행정재판소 연방사법재판소 연방재무재판소 연방노동재판소 연방사회재판소 지방자치 주 현 군 자치체집합 자치체 선거 독일의 선거제도 독일의 정당 목록 독일의 국민투표 독일의 대외 관계 v • d • e • h 독일 연방의회(獨逸聯邦議會,독일어: Deutscher Bundestag 도이쳐 분데스탁[*])은 베를린에 있는 독일연방공화국 의회이다. 연방 하원이라고 번역되기도 하지만, 공식 명칭은 연방의회이다. 연방의회는 독일 정치체제에서 유일하게 국민에 의해 직접선출되는 헌법기관이다. 법정의원 정수는 598명이나[1], 실제 의원수는 초과의석과 보상의석으로 인해 대부분 의원정수를 초과한다. 의회의 임기는 원칙적으로 4년이다. 연방의회 의원은 교섭단체나 의원그룹을 결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절차와 조직상의 특별지위를 누릴 수 있다. 연방의회는 연방의회의장이 대표한다. 현 19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 111석의 초과의석이 발생했고, 총 6개 정당이 5% 저지조항 이상의 득표를 하여, 의회에 진출하면서 각 정당에 대해 초과의석에 대한 보상의석이 배분되면서, 현재 연방의회는 709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방의회의장은 기민련 출신의 볼프강 쇼이블레이다. 부의장으로는 게르다 하젤펠트(기사련), 볼프강 티어제(사민당), 헤르만 오토 졸름스(자민당), 페트라 파우(좌파당), 카나린 괴링-에크카르트(녹색당)을 선출했다. 의원중 최고령자는 기민련의 하이츠 리젠후버로 의사진행규칙에 따라 연방의회 1차 회의의 임시의장을 맡았었다. 연방의회는 여러가지 기능이 있다. 먼저 입법기능을 수행한다. 즉 연방법을 제정하고, 기본법(헌법)을 개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종종 독일 연방참의원과의 협력이 필요하다. 또 하원은 국제조약을 비준하고, 연방예산을 의결한다. 절차에 따라 연방의회는 절대다수의 지지로 정부수반인 총리를 선출한다. 그외에 국가원수(연방대통령)과 연방판사, 그리고 기타 주요 연방기구 인사에 참여한다. 연방의회는 정부와 연방 행정부에 대해 견제권을 행사한다. 연방군의 파병을 통제한다. 국민의 요구를 전하고, 반대로 국민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공공적 기능도 정치적으로 중요하다. 목차 1 본회의장 2 연방의회의 기능 2.1 입법 기능 2.1.1 입법절차 개요 2.1.2 일반법안의 처리 2.1.3 조세관련 법률의 특별규정 2.1.4 국제법적 문제에 관한 법률의 특별 규정 2.2 예산심의 기능 2.3 주요 공직 선출 기능 2.3.1 총리 선출 2.3.2 불신임투표와 신임투표 2.3.3 대통령 선출 2.3.4 연방 판사의 선출 2.4 행정부 견제 기능 2.4.1 발언권과 출석권리 및 의무 2.4.2 질의 2.4.3 국정조사위원회 2.4.4 국방감독관 2.4.5 정보기관 통제 2.4.6 무장군 파병 허가 2.4.7 국가기관의 탄핵 3 의원의 활동과 연방의회의 운영 3.1 연방의회 의원의 활동 3.1.1 회의가 열리는 주의 활동 3.1.2 회의가 없는 주의 활동 3.1.3 불체포 특권, 면책 특권 및 증언거부권 3.1.4 하원의원에 대한 정보수집 3.1.5 하원의원 재정지원 3.2 연방의회의 운영 3.2.1 의사 규정 3.2.2 토론 3.2.3 표결 3.2.3.1 기명 표결 4 의원기관 및 지원조직 4.1 의원 기관 4.1.1 교섭단체 4.1.2 의장단 4.1.3 원로회의 4.1.4 상임위원회 4.1.5 연구 위원회 4.1.6 의장단의 질서 유지 4.2 지원 조직 4.2.1 P국:의회및 의원 4.2.2 W국:학술조사국 4.2.3 I국:정보및 문헌 4.2.4 Z국:중앙지원 5 17대 독일 연방의회 5.1 교섭단체별 의석분포와 대표 5.2 연방의회과 교섭단체의 여성비율 및 연령분포 5.2.1 여성의원 비율 5.2.2 연령 분포 6 역사 6.1 역사적 발전 6.2 제1대 연방의회(1949-1953) 6.3 제2대 연방의회(1953-1957) 6.4 제3대 연방의회 (1957-1961) 6.5 제4대 연방의회(1961-1965) 6.6 제5대 연방의회(1965-1969) 6.7 제6대 연방의회(1969-1972) 6.8 제7대 연방의회(1972-1976) 6.9 제8대 연방의회(1976-1980) 6.10 제9대 연방의회(1980-1983) 6.11 제10대 연방의회(1983-1987) 6.12 제11대 연방의회(1987-1990) 6.13 제12대 연방의회(1990-1994) 6.14 제13대 연방의회(1994-1998) 6.15 제14대 연방의회(1998-2002) 6.16 제15대 연방의회(2002-2005) 6.17 제16대 연방의회(2005-2009) 6.18 제17대 연방의회(2009-2013) 6.19 제18대 연방의회(2013-) 6.20 연방의회 교섭단체 6.21 역대 정당별 의석 분포 6.22 최대 교섭단체와 제 1당 7 각주 8 외부 링크 본회의장[편집] 독일연방회의가 열리는 본회의장은 독일제국의회건물에 있는 가장 큰 회의실이다. 본회의장 전면에는 의장과 그의 대리인, 2명의 서기, 연방의회 사무총장, 본회의 보좌진이 자리하는 의장석이 있다. 의장석에 봤을 때 좌측 전면에는 연방의회 국방감독관석과 연방참의원석이 있고, 우측에는 정부석이 있다. 각각 의장석과 가장 가까운 자리는 총리와 연방참의원 의장을 위해 비워둔다. 의장석 뒤쪽에는 2.5톤짜리 독수리모양의 연방의회 문장이 있고[2], 그 아래 독일과 유럽연합의 깃발이 걸려있다. 본회의장 가운데에 발언석이 마련되어 있다. 발언대 앞에는 속기사와 연방의회 의원이 자리한다. 의장은 본회의를 준비한다. 의장석에서 봤을 때, 오른쪽에는 자민당소속의원이, 그 왼쪽에 기민련/기사련 소속 의원이 자리를 한다. 가운데 자리는 녹색당이 차지하고, 그 왼쪽에 사민당이 자리를 한다. 녹색당이 사민당보다 좌파적이라 여겨 지지만, 녹색당이 의회에 진출하던 1983년 의장석 기준으로 사민당 오른쪽자리를 요구함에 따라 녹색당은 가운데에 자리를 잡게 됐다. 통일이후 1990년 민주사회당이 의회에 진출한 후, 사민당이 맨 왼쪽자리를 양보함에 따라 좌파당(민사당의 후신)이 가장 왼쪽이 자리하고 있다. 연방정부석과 연방참의원석 뒤쪽에는 진행 중인 회의안건을 보여주는 전광판이 있다. 녹색으로 "F"자가 표시되면 텔레비전으로 중계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방의회의 좌석은 연방선거후 교섭단체에 따라 고정 설치되게 된다. 본회의장은 거울을 이용해 자연광으로 조명을 보충하고 있으며, 출입을 허가받은 일반 시민은 건물 옥상의 유리 돔에 올라가 본 회의장을 내려볼 수 있다. 연방의회의 기능[편집] 입법 기능[편집] 입법절차 개요[편집] 독일의 입법과정 연방의회는 연방정부, 연방참의원과 더불어 법률안에 대한 발의권이 있다. 연방의회에서 법안을 발의하려면 5%의 의원이나 교섭단체의 지지가 필요하다. 법안은 연방의회 상임위원회의 검토를 거쳐야 하며, 기본법 77조에 따라 연방의회 전체 회의의 검토를 거친후 채택되거나 거부된다. 하원에서 법안이 통과되면 협의를 위해 연방참의원으로 넘긴다. 연방 정부의 법안은 연방참의원으로 넘겨 검토토록 한다. 연방참의원의 입장과 정부의 반론을 종합한 법률안을 하원으로 넘기게 된다. 연방참의원이 발의하는 법률안은 먼저 연방정부에 넘겨 정부의 입장을 들은 후, 하원에 넘긴다. 법안이 하원에서 채택되면, 최종적 통과를 위해 연방참의원의 추가적 검토를 거쳐야 한다. 해당 법안이 이의제기법안인지, 동의법안인지에 따라 다르다. 이의제기법안을 상원이 거부했을 때, 하원에서 재의결하면 효력이 발생한다. 동의법안에 대해 상원이 거부하면 법안은 폐기된다. 법률이 상원의 동의가 필요없는 경우, 상원원은 이의제기를 할 수 있다. 이는 지연 거부권의 효과를 지닌다. 이 경우 법안은 하원에 재송부되고, 하원은 이를 재의결할 수 있다. 상원에서 2/3의 찬성으로 이의가 제기된 법률의 경우 하원 2/3의 찬성을 얻어 재의결할 수 있다. 연방참의원이 동의 필수법안에 대해 수정을 가하고자 할 경우, 이의제기를 첨부해 하원으로 보내기도 한다. 이는 기본법 77조가 예상하지 못한 경우이다. 이런 이의제기는 무시할 수 없는 것이 된다. 이를 통해 연방참의원은 하원에 많은 것을 넘겨주고, 경우에 따라 전혀다른 의사형성을 할 수 있는 협상위원회를 도구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서로 연관된 법률을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일반법안의 처리[편집] 먼저 법안은 '1차 독회'에서 검토된다. 이때 사안의 중요성과 정치적 이해에 따라 1차 의견교환이나 본회의 토론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대부분 의견개진 없이 여러 상임위원회로 넘긴다. 대부분 "책임" 상임위원회이외에도 법사위원회나 예산결산위원회에서 법안의 법적, 재정적 영향에 대해 논의한다. 상임위 검토단계에서 법안에 대한 주요논의와 자세한 논의가 이루어진다. 법안은 의원들의 검토를 거쳐고, 적지 않게 대폭적인 수정이 이루어진다. 의원들은 정기적으로 정부나 행정부 전문가나 학계나 현장 전문가들로부터 의견을 청취한다. 상임위안이 "2차 독회"를 통해 검토가 이뤄지는 본회의로 다시 넘어간다. 2차 독회에서는 구체적 사안에 대한 검토와 수정안을 추가한다. 수정안은 대부분 상임위에서 추가되지만, 교섭단체나 그룹, 대안을 제시하려은 개별의원에 의해서도 추가된다. 많은 경우 상임위안이 채택되고, 2차 독회에서 법률안 논의 종결된다. 특정 그룹만 해당 법안을 지지하거나 이견이 있을 경우 "3차 독회"가 열린다. 이런 이의는 야당이나 상원이나 정부 또는 여당의 이의제기를 받은 총리가 제기한다. 3차 독회후 표결한다. 법안의 상원 동의필수여부와 상관없이 발효를 위해 상원으로 보내진다. 이후 다음단계의 입법과정이 진행된다. 협조정위원회에서 법안의 변경을 제안하고 하원이 재의결하는 경우 "4차 독회"가 열린다. 연방참의원이 이의제기를 하면 "5차 독회"가 하원에서 개최된다. 연방의회는 지속적 기관이 아니라 임기중에만 존재하는 기관이다. 임기종료와 더불어 하원의 모든 업무와 프로젝트는 그게 어느 단계에 있느냐와 상관없이 종료된다. 이를 불연속성의 원칙이라고 한다. 다음 회기에서 계속 논의하고자 한다면 새 의회에서 다시 발의를 해야 한다. 예외로 인정되는 것이 청원이다. 이는 시민으로 부터 나왔고, 시민의 요구는 임기와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조세관련 법률의 특별규정[편집] 재정법에 의한 세금에 대한 입법은 연방에서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연방이 대부분의 영역에 대해 입법권을 행사한다. 그렇기 때문에 독일에는 각 주가 부과하는 세금이 없다. 이는 누구에게 어느 정도 소득에 얼마의 세금을 효과적으로 징수할 것이가 하는 국가기관의 권한인 조세 결정권과 구별되는 것이다. 지자체의 수입과 연관된 세법의 변경은 기본법 105조 3항에 의거 연방참의원의 동의가 필요하다. 국제법적 문제에 관한 법률의 특별 규정[편집] 국제법적 조약은 종종 국가나, 국내 국가기관의 규칙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는 2가지 기제가 있다. 하나는 편입이고, 다른 하나는 변환이다. 편입은 조약을 비준하게 되면 기준 법률에 포함되는 방식으로 영국에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변환은 국가에 맞게 변환시키는 방식으로 오류와 모순의 가능성이 있다. 독일은 변환모델을 채택하고 있으며, 비준을 위해 국제조약을 입법의 대상으로 다루는 조약법을 필요로한다. 이 법 없이는 연방대통령은 조약을 비준할 수 없다(기본법 59조). 변환을 위해 새로운 규범이 필요하다면, 법과 규칙의 개정이 함께 이뤄진다. 주와 관계되는 문제에 대해 연방이 국제조약을 체결하는 경우 연방정부는 주의 의견을 청취한다. 하지만 연방기관인 연방참의원과는 관련이 없다. 예산심의 기능[편집] 예산심의권은 의회의 중요한 권한이다. 의회는 예산심의권을 통해 연방이 어느 분야에 중점을 둘 것인가를 결정한다. 예산심의는 엄격하게 봤을 때, 입법권에 해당하지 않는다. 의회는 예산권을 조정된 의회안을 통해 행사한다. 연방예산은 전통적으로 연방법으로 연방참의원의 동의 없이 채택된다.(기본법 110조) 예산심의권이 의회 권한의 핵심임에도 독일 국가의 전통에서 의회의 예산권은 늦게 도입되었다. 비스마르크 시대에는 법적으로 정부가 중요한 분야의 예산권을 가지고 있었고, 이런 경험은 완전한 예산권이 없는 의회는 약한 의회라는 것을 보여줬다. 총리실이 제출한 예산에 대한 토론에서는 1차 독회나 2차 독회에서 처럼 연방정부의 정책에 대한 일반적인 논의가 이루어진다. 야당은 연방정부가 작성한 예산의 약점을 국민에게 알리는 기회로 이용한다. 그리고 정부는 야당의 공격을 방어한다. 주요 공직 선출 기능[편집] 연방의회는 다른 국가기관의 장을 선출하거나 선출에 영향력을 행사한다. 낮은 직급 수준에서는 최고 국가기관이 하부기관을 민주적 위임의 원칙에 따라 조정한다. 예를 들어 대통령이 공무원을 임명하고, 총리가 장관을 선택하는 것이다. 총리 선출[편집] 연방총리는 기본법 33조에 따라 연방의회에서 의견개진 없이 비밀선거로 선출한다. 먼저 연방 대통령이 총리후보를 제안한다. 대부분의 경우 선거일 저녁에 총리로 제안할 후보가 정해진다. 원치적으로 대통령은 선거에서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한 정당의 총리후보를 총리후보로 제안한다. 제안된 총리후보가 하원 다수의 지지로 당선되면 대통령은 선출된 후보를 총리로 임명한다. 지금까지 제안된 모든 후보가 총리로 선출됐다. 제안된 후보를 하원이 총리로 선출하지 않으면, 하원은 서로 추천해서 하원의원 절대다수의 지지로 총리후보를 선출할 14일간의 시간을 갖게된다. 총리후보를 선출하지 못하고 기한이 지나면, 단순 다득표자를 총리후보로 선출할 수 있다. 선출된 총리후보가 절대다수로 선출된 경우 대통령은 7일내에 임명하게 된다. 단순다수득표로 선출된 경우 7일 내에 선출된 후보를 총리로 임명할지, 연방의회를 해산할지를 결정해야 한다. 불신임투표와 신임투표[편집] 총리가 연방의회에서 과반수의 지지를 상실한 경우, 총리직을 내놓아야 하며, 이와 동시에 후임자를 절대과반수의 지지로 선출해야 한다(기본법 67조). 대통령은 현직 총리를 해임하고 새로 선출된 후보를 총리로 임명해야 한다. 총리는 연방의회에 신임투표를 제기할 수 있다(기본법 68조). 신임투표에 대해 절대과반수의 지지를 얻지 못하면, 대통령은 총리의 제안에 따라 연방의회를 해산하거나 연방참의원의 동의를 얻어 입법비상사태를 선포할 수 있다. 대통령 선출[편집] 연방회의의 임무는 대통령을 선출하는 것이다. 연방의회의원은 연방회의의 반수를 구성한다. 나머지 반수는 주의회에서 비례대표선거제로 선출된 사람들로 구성된다. 연방의회의장은 연방의회의 의장을 겸한다. 연방 판사의 선출[편집] 연방의회는 기본법 94조에 따라 특별선출위원회를 통해 연방헌법재판소 판사의 반수를 선출한다. 헌법재판관으로 선출되기 위해서는 12명의 위원중 8명의 지지를 받아야 한다. 이는 정치적으로 편향되지 않은 헌법재판관을 선출하기 위해서다. 원칙적으로 양대 교섭단체가 협의해 친 기민련 후보와 친 사민당 후보 1명씩을 묶어 추천한다. 가끔씩 녹색당이나 자민당 후보도 입후보해 당선되기도 한다. 헌법재판관이 추천한 정당의 정치적 노선에 따라 판결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나머지 헌법재판관의 반수는 연방참의원 2/3의 지지로 선출된다. 다른 연방 최고법원, 즉 연방대법원과 연방행정법원, 연방재정법원, 연방노동법원과 연방사회법원의 판사는 담당부서의 장관과 판사선출위원회가 함께 선출한다. 판사 선출위원회는 각 연방주의 담당 장관과 그에 상응하는 수의 연방의회의원으로 구성된다(기본법 95조 3항). 행정부 견제 기능[편집] 연방의회의 주요 기능중 하나가 행정부에 대한 견제이다. 발언권과 출석권리 및 의무[편집] 연방의회 의원외에 연방정부 장관(총리 포함)과 연방참의원의원은 연방의회에 참석해 발언할 권리가 있다. 발언하면 언제든지 의원들은 경청할 의무가 있다.연방정부 장관들이나 적어도 그들의 대리인은 대부분의 연방의회 회의에 참석한다. 반면 연방참의원의원은 본회의에 참석하는 경우가 드물다. 상원의원은 대부분 자기 주의 이익과 관련된 사안이 논의될 때 주로 참석한다. 반대로 연방의회 소환권을 가진다. 연방의회는 언제든지 장관을 본회의나 상임위원회에 부를 수 있는 권리가 있다. 이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행정부를 견제할 수 있고, 정책에 대해 현안 질문을 통해 문제제기 할 수 있다. 질의[편집] 의원들에 부여된 질의 권한은 중요한 견제 수단이다. 특히 야당 의원들이 질의를 자주 활용한다. 소 질의는 교섭단체나 5%이상의 의원이나 교섭단체가 요구할 수 있는 것으로 정부활동 전반에 관한 서한 질의이다. 의원에게 지역이나 특정 주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문서로 답변한다. 그리고 대부분 공개되지 않는다. 13대 연방의회(1994-1998)의 경우 2070건의 소질의가 있었다. 대 질의의 경우 "소 질의"에 비해 강한 것으로 논쟁을 일으키거나 야당이 정부 활동을 문제점을 공개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또 특정 주제에 대해 문서로 답해지기도 하며, 답변에 대해 하원에서 토론이 벌어지기도 한다. 대 질문도 5% 이상의 의원이나 교섭단체가 제기해야 한다. 13대 연방의회에서 156건의 대질의가 있었다. 대정부 질의시간에는 원칙적으로 모든 의원이 연방정부에 구두로 질의할 수 있다. 의원은 연방정부 대리인에게 직접 답변에 대한 재 질의를 할 수 있다. 모든 질의에 답변할 시간이 부족한 경우, 답변 못한 질문은 문서로 답변한다. 13대 연방의회에서는 18,477건의 구두 질의가 있었고, 그중 14579(79%)는 당시 야당이던 사민당과 녹색당, 민사당에 의해 이뤄졌다. 현안논의 시간은 5분내에 이뤄지는 짧은 토론으로 질의 시간에 대해 보충하거나, 별도의 안건을 제기할 수 있다. 이는 도입된지 오래되지 않은 것으로, 1980년 도입되었으며, 그 특별한 구조로 연방의회의 토론문화를 부드럽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리고 현안논의를 통해 현안에 대해 더 빨리 논의할 수 있게 됐다. 13대 연방의회에서는 103건의 현안 논의가 있었다. 본회의 질의 처럼 상임위원회에서도 정부질의라 불리는 내각회의에 대한 질의가 이루어진다. 이 시간에 연방정부 대리인은 내각회의에서 논의된 특정 주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질의를 받는다. 13대 연방의회에서는 41건의 정부질의가 있었다. 국정조사위원회[편집] 연방의회 1/4의 지지로 조사 내용을 특정해 조사위원회 구성을 요구할 수 있다. 또 국방위원회는 자체적으로 조사위원회 구성을 요구할 있다. 조사위원회는 조사위원회법에 따라 조사활동을 벌인다. 일반적으로 추정되는 정부활동의 문제를 밝히기 위해 야당이 조사위원회 구성을 요구한다. 조사위원회가 조사대상의 진실을 규명하는 것보다 정적에게 정치적 상처를 입히는 데 더 많이 사용된다는 비판이 있다. 조사위원회의 1/4의 동의로 발안할 수 있기 때문에 친정부적인 조사위원회 다수파가 조사하는 것을 막을 수는 없다. 조사위원회 다수파는 구체적인 활동의 법위를 제어할 수 있고, 조사위원회의 의견이 포함된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어, 정부의 문제가 공개된 경우에만 책임 추궁을 한다. 1949년이래 50여개의 조사위원회가 활동했다. 국방감독관[편집] 연방의회 국방감독관은 연방의회의 조력조직으로, 의원직을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다. 일반적 과정을 거치지 않고 연방군 구성원의 청원과 항의를 받는 역할을 한다. 국방감독관은 헌법에 제한을 명시하고 있지만, 박탈될 수 없는 군인들의 기본권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독일군 리더쉽원칙이 잘 지켜지는 지를 검토하게 된다. 이런 의미에서 국방감독관은 의회의 군대, 즉 파평시 의회의 허가를 받는 군대로서의 독일군 상을 대표한다. 정보기관 통제[편집] 9명의 연방의회 의원으로 구성된 의회통제위원회는 연방소속 독일 정보기관을 통제한다. 해당 정보기관은 연방정보부와 군사보안국, 연방헌법보호청이다. 통제위원회 소속 의원은 동료의원에게 비밀엄수의 의무를 진다. G-10 위원회는 기본법 10조에 따른 서신, 우편의 비밀을 정보기관이 침해하는 지 감시하는 역할을 한다. 무장군 파병 허가[편집] 연방헌법제판소의 판결에 의해 독일 연방군의 기본법 24조에 따른 나토영역 이외 지역의 파병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헌재는 의회의 군대 원칙이라 불리는 파병시 필히 의회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했다. 그 이후 정부가 의결한 무장군 파병은 입법과정과 별도로 2차의 독회를 통해 검토된다. 관련 의결은 연방참의원의 동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일반 의결처럼 처리된다. 2001년 슈뢰더는 파병문제허가를 신임안과 연계시키기도 했다. 국가기관의 탄핵[편집] 연방의회과 연방참의원, 연방대통령이 헌법이나 연방법을 의도적으로 위반한 경우, 헌법재판소에 탄핵 심판을 요구할 수 있다. 양원 중 하나에서 2/3의 찬성을 통해 탄핵을 발의할 수 있다. 연방회의에서 대통령이 새롭게 선출되고, 임무를 더 이상 수행할 수 없게 되면, 탄핵안은 종결된다. 하지만 의회는 연방정부의 장관을 탄핵할 수 없다. 정부는 직간접적으로 의회와 관련이 있지만, 독립적이 존재이기 때문에 불신임투표를 통해서만 해임된다. 연방정부의 장관은 면책특권이 없다. 장관이 의원직을 겸직한 경우, 형사처벌에 앞서 의회는 의원으로서의 면책특권을 제거해야 한다. 의원의 활동과 연방의회의 운영[편집] 연방의회 의원의 활동[편집] 연방의회 의원의 업무는 회기주와 비회기주의 업무로 나뉜다. 독일 연방의회는 격주로 회의를 개최하며, 법정휴일이 있는 경우 이 주기는 약간 조정된다. 회의가 열리는 주의 활동[편집] 연방의회에서 회의가 있는 주의 하원의원들의 활동은 월요일부터 시작된다. 늦은 오후 원내 대표단과 교섭단체내 주요 위원회, 그 주에 있을 상임위원회와 본회의 준비를 한다. 기타 다른 의원들은 화요일 아침에 도착해서 교섭단체내의 각각의 업무그룹별로 회의를 갖는다. 오후에 교섭단체별로 의원총회를 갖는다. 이후 종종 주별로 또 회의를 갖는다. 수요일에는 상임위원회나 대정부질문, 현안 질문등이 열린다. 목요일과 금요일에 프로그램에 대한 본회의 토론이 개최된다. 목요일과 금요일에 집중적으로 본회의전 상임위를 개최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그렇게 본회의와 상임위가 겹칠 가능성을 줄인다. 원칙적으로 회기주의 업무는 의원들이 지역구로 돌아갈 수 있도록 금요일 이른 오후에 끝나게 된다. 이런 틀이 엄격히 지켜지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상임위와 본회의가 겹치지 않게 하는 것은 쉬운일이 아니다. 연방의회 의원은 원칙적으로 하루에 8시간에서 15시간 업무를 본다. 의원들은 이 시간에 서신이나 신문을 보기와 몇시간씩 열리는 교섭단체 의원총회, 업무그룹 회의, 상임위 회의, 본회의 등에 참여, 인터뷰 응답, 지역구 방문객 접대, 연설 준비, 법률안 준비등의 일을 해야한다. 많은 의원들이 본회의가 열리는 시간에 다른 중요한 일을 처리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일상적 본회의에는 몇몇 의원(주로 해당안건의 전문가들)만이 참여하는 것은 놀라운 일은 아니다. 회의가 없는 주의 활동[편집] 비회기주에 의원들은 회기주를 준비하는 것 외에 지역구 행사에 참여한다. 많은 수의 의원들은 지역구에서 시민면담시간을 마련하고 있고, 지역 행사에 참여하거나, 다양한 분야의 인사들과 접촉한다. 그리고 몇몇 의원은 비회기주 동안 자기 원래 직업에 종사하기도 한다. 의원직외 다른 일은 비회기 주에만 할 수 있다. 불체포 특권, 면책 특권 및 증언거부권[편집] 기본법 46조에 의하면 하원의원은 연방의회나 상임위원회에서 행한 투표나 발언으로 임기중이나 임기후에 형사법상 또는 공무원법상 책임이 면제된다. 단 명예훼손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않는다. 하원의장은 견책이나 경고를 줄 수 있으며, 의원의 회의 참석을 금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연방의회 의원은 하원의 승인없이 체포되거나 증언을 강요받지 않는다. 현행범이거나 범행 이튿날 체포된 경우 불체포 특권은 적용되지 않는다. 소송을 시작하려면 기본법 18조에 따라 연방의회의 의결을 거쳐야 한다. 그리고 사전수사와 권리 제약 절차는 연방의회의 명령에 따라 공개되어야 한다. 이 규정은 의회의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한 장치이지, 의원 개인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가 아니다. 이는 역사적 조건에 기인한다. 의회제 초기에 행정부는 자신들과 좋지 않은 관계에 있는 의원의 의원직 박탈의 구실로 허위이거나 실제의 범죄에 얽어넣는 방법이 흔히 쓰였다. 하루안에 없었던 일을 조작하는 것을 매우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해당 불체포 규정이 생겨났다. 현재 이 조항은 시대착오적인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연방의회는 임기가 시작할 때 정기적으로 교통법규위반에 면책조항을 폐지하고 있다. 하원 의원은 증언거부권에 따라 의원으로서 수행한 면담에 대해 공개하지 않을 수 있다. 증언거부권에 따라 면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문서에 대한 압수도 금지하고 있다. 정보원의 보호는 견제기능을 수행할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하원의원에 대한 정보수집[편집] 녹색당과 좌파당 교섭단체가 연방의회의원이 연방정보부의 감시를 받고 있는지에 대해 여러 차례 자료제출 요구를 한 바 있다. 연방정부의 답변은 하원 의원을 "특권적인 방식 다루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원칙적으로 연방정보부가 하원의원에 대한 정보를 수집, 저장, 전파하는 것은 합법적인 것이며, 의회법으로 제한을 했어야 하는 것이다. 이런 현실은 야당에 의해 많은 비판을 받았다. 자민당 국내정책 전문가인 막스 스테들러는 정부의 이런한 답변은 "받아 들일수 없다"고 말하고, 의원 감시를 즉각적으로 중단 할 것을 요구했다. 하원의원 재정지원[편집] 하원의원은 세금을 내는 세비와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 운영비,그리고 철도 교통권과 항공료 보전, 보좌관 임금, 임기 만료후 과도기 지원금, 노령연금등의 여타 지원이 이루어진다. 연방의회 사무처 내에 이 문제를 담당하는 부서가 따로 있다. 연방의회의 운영[편집] 의사 규정[편집] 연방의회의 업무에 대해서는 대부분 "의사 규정"에 정해져 있다. 이 규정은 의회 회기가 시작될 때 새로 의결된다. 일반적으로 이 규정은 이전 임기의 규정을 약간 수정하여 채택한다. 의사 규정은 부칙으로 중요한 규정을 함께가지고 있다. 연방의회 행동규정과,비밀준수규정이 그것이다. 의사규정은 단순과반수로 수정이 가능하며, 참석자의 2/3가 찬성하면 예외가 적용될 수 있다. 토론[편집] 연방의회의 토론은 가끔 감정적으로 진행된다. 야유는 회의안건이나 발언 내용에서 비롯된다. 소속 교섭단체에 대상으로한 공격에 대해서 종종 야유를 보낸다. 연설자가 허가하면 중간질문을 할 수 있다. 질문자는 버튼으로 질문을 신청할 수 있다. 질문자는 호명이 되면, 질문을 위해 일어서야 한다. 또 질문자는 해당 답이 끝날 때까지 서 있어야 한다. 같은 교섭단체 연설에 대해 환호를 보내는 것은 의무이지만, 반대편에 대해 환호하는 것은 드물다. 야유와 환호는 구별되어 속기록에 기록된다. 독일 연방의회 의회텔레비전과 푀닉스를 통해 의회 토론은 중계된다. 표결[편집] 연방의회의 대부분의 표결은 거수로 진행된다. 최종표결시는 기립과 착석으로 표결한다. 의장이 다수가 어느안인지 확실하지 않을시 찬반과 기권을 표시한 3개의 문으로 들어오는 의원수로 표를 집계하는 재입장 표결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의장단은 공개투표를 한다. 법률로 비밀투표를 규정하고 있는 경우에만 투표용지로 투표한다. 독일 연방의회에는 전자투표를 실시하지 않는다. 기명 표결[편집] 한 교섭단체나 하원의원 5%이상의 찬성으로 특정안건에 기명투표를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의원 투표용지로 기명투표를 하며, 투표 내용은 속기록에 기록된다.[3] 의원기관 및 지원조직[편집] 의원 기관[편집] 교섭단체[편집] 연방의회 의원은 대부분 교섭단체에 속해 있다. 교섭단체는 원칙적으로 같은 정당소속의 의원들로 구성된다. 단 기민련/기사련 교섭단체는 예외이다. 기민련은 바이에른 이외의 주에서 출마하고, 기사련은 바이에른 주에서만 출마해 서로 경쟁하지 않으며,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은 연방의회에서 단일 교섭단체를 구성하고 있다. 그룹은 같은 정당소속 의원들이 교섭단체를 구성하기에는 그 수가 적은 경우 결성하는 의원단체이다. 교섭단체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전체의원수의 5%이상이 필요하고, 그룹의 경우 3명이상의 의원이 필요하다. 그룹의 경우 교섭단체에 비해 권한이 제한된다. 예를 들면 발언권이 없거나 하원 부의장을 추천할 수 없다. 교섭단체에 속하지 않는 의원도 교섭단체 소속의원과 같은 권리와 의무를 지닌다. 제 18대 연방의회에는 4개의 교섭단체가 있다(기민련/기사련, 사민당, 좌파당, 녹색당). 각 교섭단체는 원내대표를 선출한다. 원내대표는 교섭단체의 업무를 조율하고 이를 통해 연방의회의 임무를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원내대표단은 각각 자기 책임분야를 나눈다. 이들은 관련 상임위 소속의원들과 긴밀히 협의해 교섭단체의 노선을 정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개별의원은 교섭단체를 통해 분업이나 지지를 받을 수 있어 이익을 보지만 교섭단체의 지침을 따라야 한다. 기본법 38조에 지시난 명령에 따르지 않고, 양심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교섭단체의 지침을 따르는 문제에 비판이 제기되었다. 하지만 개별 의원은 개인으로만 당선된 것이 아니라 당원으로서 당선됐기 때문에 정당의 노선을 따르도록 하는 것은 허용된다는 주장도 있다. 일상적인 업무에서 원내총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중재자로서 개별논쟁의 협의하고, 연방의회의장단 회의에 교섭단체의 이해를 전하고, 중요하거나 표차이가 많이 나지않는 표결에 의원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등의 일을 한다. 원내총무는 의사규정에 대한 상세히 알고 있어야 한다. 원내총무단의 업무를 위해 교섭단체는 연방의회의 재정지원을 받는다. 이들은 개별 의원에 고용되는 것이 아니라 교섭단체에 고용된다. 의장단[편집] 연방의회의장의 질서유지용 종 연방의회 의장단은 연방의회 의장과 부의장들로 구성된다. 의장은 관습적으로 집권여당 여부와 관계없이 최대 교섭단체에서 맡고 있다.1994년 부터 모든 교섭단체는 부의장을 추천할 권리를 가지게 됐다. 하원의 회의 사회는 의장단이 돌아가면서 본다. 아주 중요한 회의인 경우 의장이 처음부터 끝까지 사회를 본다. 하원의장은 의회 가택권과 연방의회 내 경찰권을 가진다. 하원의회 경찰은 하원의장의 지휘를 받는다. 그리고 의장은 연방의회 사무처의 주요인사의 인사권을 갖고 있다. 형식적으로 모든 헌법기관의 서신과 법률안은 의장앞으로 발송된다. 그외에 의장은 대외적으로 연방의회를 대표하고, 연방의회 직선으로 선출된 관계로 서열상 연방대통령 다음 자리를 차지한다. 원로회의[편집] 원로회의에 나이나 의원 경력이 많은 순으로 선출하는 것은 아니지만 의회 경험이 풍부한 의원들로 구성한다. 이들은 의장단 측에서 본회의 진행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어떤 문제를 얼마나 길게 회의안건에 넣을 지를 결정하는 것도 이들의 역할이다. 회기주의 기본적인 일정도 원로회의에서 정한다. 원로회의에는 연방의회 의장단과 교섭단체 원내총무들이 소속되고, 정당별 의석비에 따라 구성한다. 연방정부는 옵저버로 한명의 대표를 파견한다. 상임위원회[편집] 연방의회에는 주요 분야별로 상임위원회가 구성되어 있다. 상임위원회는 15명에서 42명으로 구성되며, 그 의회의 교섭단체별 의석비율을 반영한다. 소속 상임위원은 교섭단체가 결정한다. 교섭단체에 속하지 않은 의원은 한 상임위에 속해서 활동하지만, 상임위에서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상임위는 비공개 회의를 통해 법안을 준비하고, 상세한 내용에 대해 논의한다. 하지만 상임위는 공개 청문회를 개최하고, 이를 통해 의회외부의 전문가의 해당 문제에 대한 의견을 모을 수 있다. 교섭단체는 상임위에서 정당과 교섭단체의 노선에서 상임위의 검토와 본회의를 준비하기 위해 상임위와 상응하는 다양한 업무그룹을 구성한다. 예산결산위원회와 법제사법위원회는 특별 권한을 가진다. 이들은 재정적, 법률적 측면에서 그의 모든 법률을 자세히 검토한다. 국방위원회는 다른 상임위와 달리 독자적으로 조사위원회를 구성할 수 있다. EU문제 상임위도 특별한 지위를 가진다. 이 상임위는 기본법 45조에 따라 연방정부로부터 연방의회의 권한을 지키는 일을 한다. 외무위원회와 EU, 국방, 청원위원회는 기본법에 정해져 있으며, 나머지 상임위의 수와 크기는 임기가 시작될 때 정하게 된다. 상임위 위원장은 의석분포에 상임위별로 배분된다. 전통적으로 예산결산위원회의 위원장은 야당에서 맡는다. 연구 위원회[편집] 여러 전문분야를 포괄하는 주요한 사회 발전에 대해 논의하도록 연방의회는 연구위원회(독일어: Enquête-Kommissionen)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런 변화에 대한 입법을 준비하기 위해서다. "윤리와 현대 의학의 권리" 연구위원회가 그런 경우로, DNA검사와 착상전 유전자검사, 유전자 기술, 복제, 기타 생물학적, 생명공학적 변화에 대해 연구한 바 있다. 의장단의 질서 유지[편집] 필요하다면 의장단은 의원에게 논점으로 돌아오거나 질서를 지키도록 요구할 수 있다. 이는 연방의회 의사규정 36조에 규정되어 있다. 세 번째 논점회귀 요구와 질서유지 요구시 의장단은 연설중인 의원의 발언을 중지시킬 수 있다. 하원의원이 심하게 의회의 질서를 어지럽히는 경우 퇴장 명령이 내려지기도 한다. 퇴장명령을 받은 의원은 본회의와 상임위에 참석할 수 없으며, 그 기간동안 세비등을 지급받지 못한다. 1949년 쿠르트 슈마허는 연방총리 콘라트 아데나워를 "연합국의 총리"라고 칭했다가 20일간 회의에 참석금지 명령을 받았다. 이런 엄격한 징벌은 슈마허와 아데나워 간의 조정으로 곧 해제되었다. 지원 조직[편집] 독일 연방의회 사무처는 2600여명의 직원과 함께 헌법기관인 연방의회를 보좌한다. 사무처는 의회에 기반시설을 제공하고 지원업무를 수행한다. 사무처는 행정기술상 연방 최고행정기관에 속하며, 연방정부의 각 부나 다른 연방최고행정기관과 같은 수준으로 분류된다. 사무처는 P국(의원과 의원), W국(학술조사국), I국(정보와 문헌), Z국(중앙지원국) 등으로 나뉘어 있다. P국:의회및 의원[편집] 본회의가 진행되는 동안 의회 속기사는 야유와 표결결과를 포함한 토론 내용의 전부를 기록한다. 본회의장 지원담당자는 남색 연미복 차림을 하고 있어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연방의회의원은 연방의회의 재정으로 자신의 보좌진을 둘 수 있다. 한 담당부서가 별도로 보좌진을 지원하는 업무와 의원의 노동법상 어려움에 대해 조언하는 업무을 한다. W국:학술조사국[편집] 연방의회는 학술조사국을 두고, 의원들에게 필요한 전문지식을 제공한다. 의원들이 요청하는 문제에 조사하기도 하고, 전문적 의견제시하거나 학술조사국이 정치적으로 논쟁이 될 만한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 임기동안 수천건이 넘는 조사요청에 응하고 있고, 위에서 말한 적극적 정보제공도 하고 있다. I국:정보및 문헌[편집] 정보 및 문헌국은 의원과 보좌진에 정보와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130만권 이상의 장서를 확보하고 있는 의회 도서관을 비롯, 의회내 소통과 정보통신 업무를 담당하는 IT실, 반문자서비스와 대민 정보제공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등이 있다. Z국:중앙지원[편집] Z국은 재정, 인사, 기술을 담담하며 사무처의 중추역할을 한다. 17대 독일 연방의회[편집] 교섭단체별 의석분포와 대표[편집] 2009년 9월 27일 연방의회 선거에서 선출된 17대 연방의회는 2009년 10월 27일 개원했다. 선관위 발표 공식 선거결과에 따른 의석분포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4] 기민련/기사련 교섭단체는2009년 9월 29일 당시 원내대표였던 폴커 카우더를 235표중 226표의 지지로 원내대표로 재선출했다. 같은 날 사민당 교섭단체는 당시 외무부장관이며 사민당 총리후보였던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를 146표중 126표의 지지로 새 원내대표로 선출했다. 같은 날 자민당은 원내대표로 귀도 베스트벨레를 만장일치고 재 선출했다. 임기 시작과 더불어 베스트벨레가 연방정부에 참여하게 되면서, 2009년 10월 29일 브리깃트 홈부르거를 원내대표로 선출했다. 좌파당 교섭단체는 2009년 10월 9일 당시 공동원내대표였던 그레고르 기시를 원내대표로 선출했다. 녹색당 교섭단체는 2009년 10월 6일 두명의 연방의회선거 대표후보(총리후보)였던 레나테 퀴나스트(79%지지)와 위르겐 트리틴(91%지지)을 공동원내대표로 선출했다. 연방의회과 교섭단체의 여성비율 및 연령분포[편집] 여성의원 비율[편집] 17대 연방의회의 여성의원 비율은 32.8%로 선거전의 32.1%, 2002년 선거 결과 32.5%에 비해 약간 증가했다.[5][6] 2000년대 들어서서 여성의원 비율이 30%를 넘으면서 정체경향을 보이고 있다. 반면 1987년부터 1998년 사이에는 10%에서 30%로 증가해 매 선거마다 5%씩 여성의원 비율의 증가를 보여주었다.[7] 2001-2005년에 실시된 동유럽확장 이전의 기존 15개 유럽연합 회원국 의회의 평균 여성의원 비율은 24.2%였으며, 개별 국가간의 격차는 심했다.[8] 그리고 해당 국가의 최근 여성의원 비율의 변화경향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핀란드의 경우 37.%(2002)에서 41.5%(2007)로 증가했고,[9] 오스트리아의 경우 33.9%(2002)에서 27.3%(2008)로[10] 그 비율이 줄어들었다. 현재 32.8%인 독일하원의 여성의원 비율은 2009년 10월 현재 18번째로 높은 비율이다.[9] 기사련 여성의원 수는 지난 16대 의회에서 9명이던 것이 17대 의회에서 6명으로 줄어 들었다.[11] 13.3%의 여성의원 비율은 17대 원내 정당중 가장 낮은 수치이다. 녹색당과 좌파당의 경우 여성의원의 비율이 50%가 넘는다. 아래의 표는 정당별로 남여 의원 수와 비율, 원내대표를 보여 주고 있다. 괄호안의 숫자와 이름은 지난 의회의 자료이다.[6] 정당 여성 남성 전체 여성의원비율 원내대표[12] 남 여 기민련 42 152 194 21,6 % – – 기사련 6 (9[11]) 39 (36[11]) 45 (45[11]) 13,3 % (20,0 %) – – 기민련/기사련 합계 48 (46) 191 (176) 239 (222) 20,1 % (20,7%) 폴커 크라우더 (    "    ) 자민당 23 (15) 70 (46) 93 (61) 24,7 % (24,6 %) 브리키트 홈부르거(귀도 베스트벨레) 사민당 56 (80) 90 (141) 146 (221) 38,4 % (36,2 %)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페터 슈트룩) 좌파당 40 (26) 36 (27) 76 (53) 52,6 % (49,1 %) 그레고르 기시 (    "   /오스카 라퐁텐) 녹색당 37 (29) 31 (22) 68 (51) 54,4 % (56,9 %) 레나테 퀴나스트 (    "    ) 위르겐 트리틴 (프리츠 쿤) 무소속 –    (0) –    (3) –    (3) –    (0 %) – – 연방의회 합계 204 (196) 418 (415) 622 (611) 32,8 % (32,1 %) 15,0 % (0 %) 여성 원내 대표 비율 74,1 % (91,1 %)남성 원내대표 비율 10,9 % (8,3 %) 남/녀 공동 원내 대표 비율 (괄호 밖의 연방선거관리위원회의 인터넷 자료에서 가져옴.[13] 비율은 직접 계산.) 연령 분포[편집] 17대 연방의회 의원 평균연령은 49.24세다. 정당별 평균연령의 차이는 크지 않다. 사민당이 51.64세로 가장 높고, 기사련 50.24세, 기민련 49.23세, 좌파당 48.57세, 자민당 47.52세로 뒤를 있는다. 녹색당은 평균연령 46.62로 가장 젊은 정당이다.[14] 17대 연방의회에서 최연소 의원은 자민당소속으로 학생인 22세의 프로리안 베른 슈나이더이다. 그가 역대 연방의회의원 최연소 의원은 아니다. 안나 뤼어만이 19세에 선출된 바 있다.[15] 17대 연방의회 최연소 여성의원은 24세의 녹색당 소속 아그니츠카 말차크이다.[16] 최고령 의원은 개원시 임시의장을 맡았던, 기민련의 하인츠 리젠후버로 74세이다. 역사[편집] 역사적 발전[편집] 독일에서는 다른 유럽국가나 미국과 달리 국가수준 의회와 민주주의의 전통이 깊지 않다. 1832년 함바흐 축제를 제외하고는 19세기 중반 남독일에 의회제 헌법이 생길 때까지 의회제나 민주주의에 대한 체계적인 노력이 없었다. (남성)보통선거로 선출된 최초의 민주적 의회는 프랑크푸르트 국민회의이다. 이 의회는 1848/49년 프랑크푸르트 파울 교회에서 회의를 갖고, 강한 양원을 가진 입헌 군주제 헌법인 소위 파울교회 헌법(프랑크푸르트 헌법)을 제정했다. 황제는 제국의회의 결정에 대해 정지권을 행사할 수 있어서 의회 민주주의의 발전은 더 기다려야만 했다. 파울교회 헌법은 제2, 제3의 독일 민주헌법, 즉 바이마르 헌법과 기본법에 많은 영향을 줬다. 파울교회 헌법과 국민회의는 제후들의 저항 속에 좌초하고 말았다. 1900년 경 제국의회 2008년 제국의회건물 1871년 제국건설과 더불어 독일 의회는 사라졌다. 보통, 자유, 평등, 비밀 선거로 선출돼 그 해 만들어진 제국의회는 정부구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그리고 이 선거는 남성만 투표권과 피선거권을 가졌다. 이 의회의 전신은 역시 보통, 자유, 평등, 비밀 선거로 선출된 북독일연방 제국의회다(1867년 부터). 제국헌법의 민주화는 1차대전 군사적 패배 이후 1918년 10월 28일 의회제 군주제를 만든 헌법개정에 의해 이루어졌다. 1919년 바이마르 국민회의는 1918년 11월 혁명이후 최초의 민주 공화제 헌법을 만들었다. 바이마르 헌법의 발효이후 1920년 선거에서 선출된 제국의회가 그 역할을 이어받을 때까지 의회의 역할을 했다. 제국 선거법은 다수대표제가 비례대표제로 바뀌고, 여성 선거권이 도입된 것 외에 대부분 유지됐다. 1933년 전권위임법의 채택으로 제국의회의 민주주의 시대는 끝났다. 의회제도는 유지 됐지만 입법과 정부견제기관으로서 역할은 상실하게 됐다. 2차대전 말 무조건 항복에 따라 독일인 주권을 행사하지 못하는 무 의회시대가 시작됐다. 동서갈등이 진전됨에 따라 서방 연합군은 단일 서 독일 국가를 만드는 것이 필요했다. 1948년 9월 1일 서독 (임시)헌법을 제정하는 것이 목적인 자문의회가 본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서방점령지와 소련점령지간의 재통합의 희망은 무너졌다. 1949년 5월 23일 기본법이 발표되고, 다음날 발효됐다. 동독지역은 10월 7일 독일 민주 공화국이 됐다. 국민의회 기관인 후에 "연방의회"으로 명칭을 변경한 자문의회가 연방참의원에 비해 강력한 권한을 가지는 것에 거의 논쟁이 없었다. 연방의회가 오늘날 실제로 가지고 있는 권리와 의무에 대한 논의에서도 거의 의견일치를 봤다. 통일 후 1991년 제정된 수도이전 의결에 따라 1999년 본에서 베를린의 제국의회 건물로 이전했다. 제1대 연방의회(1949-1953)[편집] 제1대 연방의회 선거는 1949년 8월 14일 실시됐으며, 1949년 9월 7일 본에서 첫 회의를 개최했다. 연방의회보다 연방참의원이 먼저 개회했다. 두 입법기관은 이로써 완성되었다. 첫 회의에서 최고령 의원이었던 파울 뢰베 임시의장을 맡아 에리히 쾰러를 1대 연방의회의장으로 선출했다. 9월 12일 테오도어 호이스를 연방회의에서 대통령으로 선출하고, 3일 후 연장하원에서 콘라트 아데나워를 초대 총리로 선출했다. 1950년 쾰러가 소속 교섭단체의 지지를 상실함에 따라 2대 하원의장으로 헤르만 엘러스를 새로 선출했다. 제1대 연방의회는 전쟁후 처리와 추방을 적절한 틀 속에서 합법적 수단을 통해 이뤄야하는 어려운 과제를 수행해야 했다. 또한 경제성장과 사회기반시설의 재건을 위한 법적 환경을 만들어야 했다. 전후 배상에 관한 법이나, 유럽 석탄 철광석 공동체에 관한 국제협약의 비준 등이 매우 중요한 법이었다. 그외에 경영조직법과 주택건설법, 경제기적에 한 몫을 한 독점법등도 주요한 법이었다. 연방정부가 이스라엘과 맺은 전후보상협정도 연방의회의 인준을 필요로 했다. 1949년 11월에 이미 사민당 교섭단체 대표인 쿠르트 슈마허가 아데나워를 "연합국의 총리"라 지칭한 후, 슈마허가 연방의회에 일시적 출석이 금지되면서 소동이 발생했다. 제2대 연방의회(1953-1957)[편집] 제2대 연방의회 선거는 1953년 9월 6일 실시됐다. 개원 회의에서는 마리 엘리자베스 뤼던가 임시의장을 맡아 해르만 엘러스를 하원의장으로 선출했다. 그리고 하원은 아데나워를 총리로 재선출했다. 1954년 테오도어 호이스를 거의 논쟁없이 연방대통령으로 재선출했다. 1954년 하원의장 엘러스의 급서이후 그 후계자로 오이겐 게르스텐마이어를 선출했다. 이 선거는 독일 연방의회 역사상 유일하게 같은 교섭단체 소속의원이 경쟁한 선거였다. 기민/기사련의 "공식"후보인 게르스텐마이어는 연정소속 의원들에게 너무 친교회적이었다. 그래서 자민당 의원 한스 라이프의 추천으로 에른스트 렘머가 대안 후보로 입후보 했다. 선거결과 게르스텐마이어가 3차까지 가는 투표끝에 14표차로 겨우 당선됐다. 제2대 연방의회는 국가제도의 공고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 이 기간동안 연금개혁과 로마 조약, 유럽방위공동체에 대한 비준이 있었다. 1955년에서야 비로서 독일이 대부분의 주권을 회복함에 따라 외교정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고, 이 또한 연방의회의 임무과 되었다. 나토가입과 더불어 재무장과 연방군 창설이 이뤄집에 따라 이 분야에 대한 입법이 필요했다. 여기에 기본법에 무장권리를 도입되는 것도 포함되며, 사민당의 반대속에 통과되었다. 제3대 연방의회 (1957-1961)[편집] 3대 연방의회 선거는 1957년 9월 15일 실시됐다. 개원회의에서 마리 엘리베스 뤼더스에서 임시의장을 맡아 오이겐 게르스텐마이어를 하원의장으로 아데나워를 연방총리로 각각 재선출했다. 1959년 연방대통령선거에서 하인리히 뤼브케를 2대 연방대통령으로 선출했다. 사민당은 1959년 계급정당에서 사민주의 국민정당으로 변화를 선언한 고데스베르크 강령을 채택했다. 1960년 사민당 의원 헤베르트 베너는 사민당이 친서방 노선과 서유럽 조약체제에 가입할 것을 선언했다. 1961년 선거운동 와중에 베를린 장벽이 세워졌다. 제4대 연방의회(1961-1965)[편집] 1961년 선거 개표 1961년 9월 17일 선거로 선출된 4대 연방의회는 개원회에서 로베르크 페르트멩게스가 임시의장을 맡아 오이겐 게르스텐마이어 연방의회의장으로, 아데나워를 연방총리로 선출했다. 1963년 아데나워 사임이후 루드비히 에어하르트가 연방총리로 선출됐다. 1964년 연방대통령 선거에서는 사민당의 지지로 하인리히 뤼브케를 재선출했다. 4대 연방의회의 주요 입법은 다음과 같다. 1963년 아데나워의 주도로 독불친선조약이 체결되어고, 연방의회에서 비준됐다. 사민당과 자민당, 그리고 일부 기민/기사련 의원들은 서문에 나온 내용이 다른 서방국가에 대한 의무를 나타내는 것이라는 우려를 표했다. 1962년 슈피겔 스켄들은 아데나워 시대의 종말을 가져왔다. 아데나워와 국방부장관 프란츠 요세프 슈트라우스는 비판적인 잡지에 보복행위를 했고, 이 일로 슈트라우스 사임하게 됐고, 아데나워도 타격을 받았다. 스켈들 과정에 모든 자민당 장관이 사임했다. 1963년 아데나워가 사임하고 나서 자민당 장관들은 연정에 다시 복귀했다. 에어하르트 총리수행 방식은 아데나워에 비해 유연한 편이어서, 내각내에서 많은 토론이 이뤄졌다. 중요한 토론은 나치 시대에 있었던 살인의 공소시효에 관한 논쟁이었다. 이 논쟁에서 사실상의 공소시효의 연장을 주장한 측이 승리했다. 동독과 긴장완화 정책도 4대 연방의회의 중요한 논쟁거리였다 제5대 연방의회(1965-1969)[편집] 1965년 9월 19일 선거로 임기를 시작한 5대 연방의회는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연방총리와 대연정의 쿠르트 게오르크 키징거의 대연정을 특징으로 한다. 개원회의에서는 콘라트 아데나워가 임시의장을 맡아 오이겐 게르스텐마이어를 연방의회의장으로 선출했다. 1966년 에어하르트의 사임이후 키싱거를 3대 연방총리로 선출했다. 처음으로 사민당의 빌리 브란트가 부총리를 맡아 연방정부에 참여했다. 1969년 구스타프 하이네만을 연방대통령으로 선출하면서 1969년의 사회자유연정의 전조가 나타났었다. 제6대 연방의회(1969-1972)[편집] 1969년 9월 28일 선출된 6대 연방의회는 처음으로 건설적 불신임안과 연방총리 신임안이 제출되고, 연방의회가 해산된 첫 의회다. 이미 임기가 시작할 때무터 큰 변화가 있었다. 사민당과 자민당은 처음으로 연정을 구성했고, 기민련은 처음으로 야당이 되었다. 임시의장 빌리암 보름의 사회로 카이 우베 폰 하셀을 연방의회 의장으로 선출했다. 그 후 빌리 브란트를 사민당 최초의 연방총리로 선출했다. 제7대 연방의회(1972-1976)[편집] 1972년 11월 19일 선출된 7대 연방의회는 개원회의에서 임시의장 루트비히 에르하르트의 사회로 안네마리 렝거를 최초의 여성 이자 사민당 하원의장으로 선출했다. 빌리 브란트는 연방총리로 재선되었다. 1974년 스파이사건으로 브란트가 불러남에 따라, 헬무트 슈미트를 연방총리로 선출했다. 그리고 몇 주후 발터 셸을 연방회의에서 연방대통령으로 선출했다. 제8대 연방의회(1976-1980)[편집] 1976년 10월 3일 선출된 8대 연방의회는 임시의장 루트비히 에르하르트의 사회로 카를 카르스텐스를 하원의장으로 선출했다. 1979년 카르스텐스가 연방대통령으로 선출됨에 따라, 리카르트 슈튀클렌을 후임의장으로 선출했다. 제9대 연방의회(1980-1983)[편집] 1980년 10월 5일 선출된 9대 연방의회는 두 번의 신임투표와 1번의 건설적 불신임투표를 거친후 1983년 해산했다. 개원회의에서 임시의장 헤르베르트 베너의 사회로 리하르트 슈튀켈른을 하원의정으로 재선출했다. 1982년 신임투표에서 헬무트 슈미트는 재신임을 받는에 성공한다. 그렇지만 1982년 10월 기민련/기사련과 자민당의 건설적 불신임 투표로 헬무트 콜에게 연방총리직을 넘겨준다. 1982년 12월 신임안이 의회에 제출되고, 연방대통령 카르스텐스는 심도 깊은 헌법적 고려 끝에 하원의 해산을 결정한다. 제10대 연방의회(1983-1987)[편집] Wasserwerk: 연방의회 본회의장 (1986–1992) 1983년 3월 6일 선출된 10대 연방의회는 임시의장 빌리 브란트의 사회로 라이너 바르젤을 하원의장으로 선출했다. 이후 헬무트 콜을 총리로 선출했다. 10대 연방의회에는 수십년 만에 새로운 정치세력인 녹색당이 진출했다. 1984년 대통령선거에서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를 6대 연방대통령으로 선출했다. 플릭 스켄들로 불린 정치자금 스켄들로 바르젤이 물러나면서 필립 예닝거가 하원의장을 이어 받았다. 제11대 연방의회(1987-1990)[편집] 1987년 1월 25일 선거후 11대 연방의회는 개원한다. 이 회의에서 빌리 브란트가 임시의장을 맡아, 필립 옌닝거를 하원의장으로 선출한다. 이후 헬무트 콜을 수상으로 재선출한다. 라이히크리스탈나흐트 50주년 행사 연설을 하면서 범죄행위자들의 동기를 부정확하게 말하는 사건으로 하원의장이 사임함에 따라 후임자로 리타 쥐스무트를 선출했다. 1989년에는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연방대통령 선출 했다. 제12대 연방의회(1990-1994)[편집] 독일 연방의회 본회의장 (1992-1999) 1990년 12월 2일 선거후 1990년 12월 20일 전체 독일에서 자유선거로 선출된 의획 1932년 이래 처음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민사당은 교섭단체는 구성하지 못했지만 새로운 정치세력으로 연방의회에 진출했다. 임시의장은 빌리 브란트가 맡아, 리타 쥐스무트를 연방의회의장으로 선출했다. 1주일 후 헬무트 콜을 연방총리로 재선출했다.1994년 연방대통령 선거에서는 로만 헤르초크가 7대 대통령으로 당선됐다. 1992년 새로 건설한 본 소재 연방의회 건물에서 첫 회의를 가졌다. 새 의회의 중심과제는 갑작스럽게 이뤄진 독일 통일로 인해 생긴 어려운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었다. 동독의 경제는 붕괴됐고, 재건이 필요했다. 국영기업 처리는 신탁청에 맡겨졌다. 동독지역 경제 개선을 위해 서독이 수억 마르크가 드는 연대세를 도입해야 했다. 기본법에 대한 대폭적 개정없이 일부 개정을 통해 통일 독일의 헌법으로 채택됐다. 동서독의 차이로 낙태문제가 논쟁거리가 되기도 했다. 연방의회는 근소한 표차로1999년까지 연방주요기관을 본에서 베를린으로 옮기기로 결정한다. 망명오남용 제한문제도 중요한 국내문제 논쟁거리였다. 연방정부와 야당의 망명문제 타협으로 기본법 개정이 있었다. 1956년 이래 처음으로 세대간 정의문제(인구, 연금체제)가 다루어졌다. 그리고 전국민적으로 요양보험이 도입되었다. 법적으로 중요한 변화는 성적 자기결정권의 보호가 개선되었다. 독일 통일을 위해 대외정책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1991년 2+4 조약 비준이후 유럽연합 건설을 위한 마스트리히트 조약의 비준이 있었다. 그외에 연방 헌법재판소는 연방군이 나토지역외 지역에 파병할 경우 연방의회가 동의해야 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1994년 2월 25일 예술가 크리스토와 쟝클라우드가 제국의회 건물을 천으로 덮는 문제로 격렬한 논쟁이 있었다. 천으로 덮은 퍼포먼스는 1995년 5월 실시됐다. 제13대 연방의회(1994-1998)[편집] 13대 연방의회 선거는 1994년 10월 16일 실시됐으며, 1994년 11월 10일 개원해 임시의장 스테판 헤임의 사회로 리타 쥐스무트를 의장으로 재선출했다. 헬무트 콜을 총리로 재선출했다. 통일후 두 번째 의회인 13대 연방의회는 동독지역 재건문제를 다뤄야 했다. 당시는 지구화가 심화되던 때였다. 연방의회는 표결에서 연방정부와 더불어 생산입지로서 독일의 경쟁력을 유지강화하는 한편, 복지국가도 가능한 한 유지하도록 노력했다. 중요한 변화는 1997년 연금법을 야당의 반대속에 개정한 것이다. 대외정책적으로 중요한 결정은 암스테르담 조약과 유로화 도입을 비준한 것이다. 제14대 연방의회(1998-2002)[편집] 제국의회 공사현장 1999 1998년 9월 27일 선거에서 연방의회는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임시의장 프레드 겝하르트의 사회로 개원회의에서 26년 만에 사민당출신인 볼프강 티어제를 하원의장으로 선출했다. 게하르트 슈뢰더를 7번째 연방총리로 선출했으며, 1999년 연방의회를 베를린 제국의회 건물로 이전했다. 새로 건설한 하원건물은 주요 하원의원 이름(야콥 카이저, 파울 뢰브, 마리에 엘리자베스 뤼더스)을 건물이름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같은해 오하네스 라우를 8대 대통령으로 재선출했다. 2001년에는 연방총리가 신임안을 제출하기도 했다. 적녹연정의 핵심 정책은 생태적 세제개혁과 원자력발전 중단, 이전 정부의 복지정책적 삭감의 회복, 이주법 개정이었다. 앞은 세가지 정책은 실현됐지만, 이주법 개정은 기민련/기사련이 다수를 장악하고 있던 연방참의원의 반대로 무산됐다. 주요 대외정책은 1999년 코소보 전쟁참여와 2001년 슈뢰더가 신임과 연계시킨 아프카니스탄 파병이 그것이었다. 2002년 이라크 전쟁당시 연방정부는 미국의 침공에 반대입장을 취했다. 다음 선거직전에 내려진 전쟁반대 결정은 100여년 만에 발생한 대홍수시 보여준 위기관리능력과 더불어 선거승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제15대 연방의회(2002-2005)[편집] 2002년 9월 22일 실시된 선거에서 사민당과 녹색당은 근소한 차로 승리했다. 오토 쉴리이 임시의장을 맡아 폴프강 티어제를 하원의장으로 게하르트 슈뢰더를 연방총리로 재선출했다. 2004년에는 호르스트 쾰러를 연방대통령으로 선출했다. 연방총리 슈뢰더는 재선이후 개혁프로그램을 시작한다. 2003년 복지체제의 축소를 담고 있는 아젠다 2010제출했다. 국가기관의 개혁을 하는 내용의 하르츠 IV와 같은 법률을 노동조합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연방의회에서 통과시켰다. 이민법도 연방참의원과 협상을 거쳐 통과시켰다. 국내정책 개혁을 개속하는 한편, 극우주의에 대한 싸움을 이어갔다. 그 일환으로 독일민족주의당(NPD)대한 금지 요청도 이루어졌다. 대외정책적 측면에서는 유럽연합 헌법 비준이 이루어졌다. 사민당이 2005년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주의회 선거 패배이후 슈뢰더는 신임안을 제기했다가 재신임을 받는데 실패한다. 결국 연방대통령 쾰러는 연방의회를 해산한다. 제16대 연방의회(2005-2009)[편집] 2005년 9월 18일 실시된 선거에서 기민련/기사련과 자민당 연합과, 사민당과 녹색당 연합 모두 과반수를 획득하는데 실패한다. 좌파당의 성장으로 흑황연정과 적녹연정이 불가능한 상태가 됐다. 오토 쉴리를 임시의장으로 기민련의 로베르트 람머르트를 연방의회의장으로 선출한다. 한달간의 연정 협상끝에 앙겔라 메르켈을 연방총리로하는 대연정이 구성됐다. 대연정의 주요과제는 연방제의 개혁이었다. 연방제개혁 I (2006)에서는 입법관할과 입법시 연방참의원의 동의가 필요한 법에 대한 개혁이 있었다. 연방제 개혁 II (2009)에서는 연방과 연방주간의 재정관계를 개혁하고, 재정적자의 한계를 정하는 내용을 헌법에 추가했다. 2007년 재정위기 극복도 16대 연방의회의 주요과제였다. 이로 인해 경기부양책에 제시되었고, 독일 건국이래 최대 신규 재정적자를 기록했다. 대연정은 건강보험개혁을 단행했고, 환경보호 수단을 강화했다. 탈세방지도 주요 과제였다. 법죄와의 전쟁을 위한 법률은 기본권을 제약한다는 이유로 야당과 집권당 일부의 비판을 직면해야 했다. 제17대 연방의회(2009-2013)[편집] 2009년 9월 27일 실시된 선거에서 기민련/기사련과 자민당 연합이 다수를 차지했으며, 10월 27일 개원했다. 임시의장 하인츠 리젠후버의 사회로 노베르트 람머르트를 연방의회의장으로 재선출했다. 그리고 연방총리로 앙겔라 메르켈을 재선출했다. 제18대 연방의회(2013-)[편집] 2009년 9월 22일 실시된 선거에서 기민련/기사련이 과반수에 근접하였다. 자민당은 한석도 얻지 못했다. 원내정당은 기민련/기사련, 사민당, 녹색당, 좌파당이다. 사민당과 녹색당은 좌파당과의 연정인 적-녹-적 연정을 꺼리는 상황이다.[17] 그래서 기민기사련이 사민당과 연정을 구성하는 대연정이나 녹색당과 연정을 구성하는 것이 유력하다. 10월 27일 개원한다. 연방의회 교섭단체[편집] 기민련, 기사련(1949년 이후 공동교섭단체), 사민당, 자유당은 1대 연방의회부터 교섭단체를 구성하고 있다. 독일당은 1949년에서 1961년까지 연방의회에서 활동했으며, 1953년부터 지역구 당선으로 의석을 배정받을 수 있었다. 1957년에는 기민련이 협의에 의해 특정지역구에 후보를 내지 않아, 독일당 후보의 당선을 도왔다. 제1대 연방의회(1949-1953)에 바이에른당과 중앙당, 재건당, 독일제국당, 남슐레스비히 유권자단체, 독일공산당이 하원에 의석을 가지고 있었으나 교섭단체를 구성하지 못 했다. 그외 무소속 의원이 3명 있었다. 당시 여러 정당이 의석을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은 당시 선거법상 1개 주에서만 5%이상 득표하면 의석을 배정받았기 때문이다. 이 규정은 1953년부터 폐지되었다. 제2대 연방의회(1953-1957)에는 주요 3당 외에 독일당과 전독일동맹/전후이주자협회가 교섭단체가 구성해 활동했다. 그외 3인 중앙당 지역구 의원도 원내에서 활동했다. 제3대 연방의회(1957-1961)에는 기민련/기사련과 사민당, 자민당, 독일당 의석을 확보했다. 1961년부터 1983년까지는 기민련/기사련과 사민당, 자민당만 연방의회에 의석을 가지고 있었다. 1983년 부터 녹색당은 정기적으로 연방의회에서 교섭단체를 구성해 활동하고 있다.(독일 통일후 독동지역의 동맹90만 원내진출에했던 시기(1990-1998)는 예외) 마지막으로 1990년 통일사회당의 후신인 민사당이 원내진출에 성공했다. 1990년에서 1998년까지는 그룹을 구성했고, 1998년부터 2002년까지는 교섭단체를 구성했다. 2002년에서 2005년까지는 2인의 지역구의원을 당선시켰다. 16대 연방의회(2005–2009)에서는 선거대안사회정의와의 공동명부로 다시 교섭단체를 구성했다.(이후 2007년 좌파당으로 통합) 역대 정당별 의석 분포[편집] 연방의회 의석분포 (임기초 기준) 연방의회 임기 정원 기민련/기사련 사민당 자민당 녹색당1 민사당/좌파당2 독일당 기타 1대 연방의회 1949–1953 402 139 131 52 – – 17 0633 2대 연방의회 1953–1957 487 243 151 48 – – 15 0304 3대 연방의회 1957–1961 497 270 169 41 – – 17 – 4대 연방의회 1961–1965 499 242 190 67 – – – – 5대 연방의회 1965–1969 496 245 202 49 – – – – 6대 연방의회 1969–1972 496 242 224 30 – – – – 7대 연방의회 1972–1976 496 225 230 41 – – – – 8대 연방의회 1976–1980 496 243 214 39 – – – – 9대 연방의회 1980–1983 497 226 218 53 – – – – 10대 연방의회 1983–1987 498 244 193 34 27 – – – 11대 연방의회 1987–1990 497 223 186 46 42 – – – 12대 연방의회 1990–1994 662 319 239 79 08 17 – – 13대 연방의회 1994–1998 672 294 252 47 49 30 – – 14대 연방의회 1998–2002 669 245 298 43 47 36 – – 15대 연방의회 2002–2005 603 248 251 47 55 02 – – 16대 연방의회 2005–2009 614 226 222 61 51 54 – – 17대 연방의회 2009-2013 622 239 146 93 68 76 – – 18대 연방의회 2013년부터 630 310 193 - 63 64 – – 1 1983-1990년 녹색당, 1990-1994년 동맹 90, 1994년 부터 [[동맹 90/녹색당]] 2 1990-2007년 민주사회당 또는 좌파당.사민당, 2007년부터 좌파당 3 바이에른당 17, 독일 공산당 15, 경제 재건협회(정당) 12, 독일 중앙당 10, 독일보수당-독일우파당 5, 남슐레스비히 선거연합(SSW) 1, 무소속 3 4 전독일블록/전후 이주자연합 27, 독일 중앙당 3 최대 교섭단체와 제 1당[편집] 1949-1972년과 1976-1998년,그리고 2005년부터 현재까지의 기간에는 기민련/기사련 교섭단체가 최대였다. 1972-1976년과 1998-2005년에는 사민당 교섭단체가 최대 교섭단체였다. 기민련과 기사련은 별개의 정당이기 때문에 1953년과 1957년, 1990년 2009년 선거를 제외하고는 사민당이 제 1당이었다. 해당 선거이후 임기 동안은 기민련이 제 1당이었다. 각주[편집] ↑ 연방선거법(BWahlG) 1조 1항 1절 ↑ “Abgerufen am 29. Juni 2010”. 2009년 6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3월 8일에 확인함.  ↑ “Glossar, Deutscher Bundestag: Namentliche Abstimmung”. 2011년 6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3월 8일에 확인함.  ↑ http://www.bundestag.de: 17대 연방의회 의석분포 Archived 2011년 3월 12일 - 웨이백 머신, 2011.3.4 검색 ↑ Errechnet nach: Der Bundeswahlleiter: Endgültiges Ergebnis der Bundestagswahl 2009. 11   Abgeordnete im 17. Deutschen Bundestag nach Alter, Geschlecht und Partei.[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가 나 “Internetseite des Deutschen Bundestages: Abgeordnete 16. Wahlperiode. Abgeordnete in Zahlen. Zusammensetzung Frauen und Männer. (Stand Juli 2009).”. 2010년 6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3월 8일에 확인함.  ↑ “Internetseite des Deutschen Bundestages: Parlaments- und Wahlstatistik 1949-2002/03. S. 17.” (PDF). 2009년 12월 1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3월 8일에 확인함.  ↑ “vgl. Abbildung 6.1 in: Bundesministerium für Familie, Senioren, Frauen und Jugend: Gender Datenreport. 6.2 Geschlechtsspezifische Verteilung der Parlamentssitze und Ministerämter im europäischen Vergleich.”. 2011년 6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3월 8일에 확인함.  ↑ 가 나 Inter-Parliamentary Union: Women in National Parliaments. 2009.10.31 현재 ↑ politischebildung.com: Onlineversion des Themenheftes Herrschaft und Macht. Ablauf der Unterrichtssequenzen. M1 Einzelarbeit Frauenanteil im Nationalrat. (abgerufen 9. Oktober 2010; PDF, 361,6 KB ↑ 가 나 다 라 “süddeutsche.de: Einsame CSU-Frauen im Bundestag. 30. September 2009.”. 2011년 7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3월 8일에 확인함.  ↑ Internetseite des Deutschen Bundestages: Fraktionen. (Stand 17. Dezember 2009) ↑ Der Bundeswahlleiter: Endgültiges Ergebnis der Bundestagswahl 2009. 11   Abgeordnete im 17. Deutschen Bundestag nach Alter, Geschlecht und Partei.[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Veröffentlichung des Bundeswahlleiters über das Durchschnittsalter der Parteien des Deutschen Bundestages” (PDF). 2009년 10월 1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월 11일에 확인함.  ↑ Spiegel-Artikel ↑ Spiegel-Artikel Erste Rede, erster Rücktritt, erste Diäten ↑ 독일 사민당-녹색당, 구애하는 좌파당 '왕따'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독일 연방의회 독일 연방의회 웹페이지 vdeh독일 연방의회 의장 에리히 쾨흘러 헤르만 에흘러스 오이겐 게르슈텐마이어 카이우베 폰 하셀 아네마리 렝거 카를 카르슈텐스 리하르트 슈튀클렌 라이너 바르첼 필리프 예닝거 리타 쥐스무트 볼프강 티어제 노르베르트 라메르트 vdeh유럽 의회 독립국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라트비아 러시아[* 1]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모나코 몬테네그로 몰도바 몰타 바티칸 시국 벨기에 벨라루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산마리노 세르비아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2]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아르메니아[* 3]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1] 안도라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영국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 이탈리아[* 2] 조지아[* 1] 체코 카자흐스탄[* 1] 코소보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3] 터키[* 1]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속령 건지섬 멘섬 스발바르 제도 아크로티리 데켈리아[* 3] 올란드 제도 저지섬 지브롤터 페로 제도 체첸 공화국 인구시 공화국 다게스탄 공화국 아디게야 공화국 미승인국 아르차흐 공화국[* 3] 남오세티야[* 1] 북키프로스[* 3] 압하지야[* 1] 트란스니스트리아 노보로시야 연방국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일부 영토가 아시아에도 속한다. ↑ 가 나 일부 영토가 아프리카에도 속한다. ↑ 가 나 다 라 마 지리적으로는 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문화적 이유로 종종 유럽으로 분류된다. vdeh 독일의 선거총선 1848 1867.2 1867.8 1871 1874 1877 1878 1881 1884 1887 1890 1893 1898 1903 1907 1912 1919 1920 1924.5 1924.12 1928 1930 1932.7 1932.11 1933.3 1933.11 1936 1938 1949 1953 1957 1961 1965 1969 1972 1976 1980 1983 1987 1990 1994 1998 2002 2005 2009 2013 2017 동독의 총선 1949 1950 1954 1958 1963 1967 1971 1976 1981 1986 1990 대통령 선거 1919 1925 1932 1949 1954 1959 1964 1969 1974 1979 1984 1989 1994 1999 2004 2009 2010 2012 2017 국민투표 1926 1928 1929 1933 1934 1936 1938 동독의 국민투표 1951 1954 1968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48326211 LCCN: n91075486 ISNI: 0000 0001 1092 3632 GND: 2116123-9 SUDOC: 03134951X BNF: cb12258183j (데이터) NKC: ko200527605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독일_연방의회&oldid=24296368" 분류: 하원독일 의회독일 연방의회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کوردیČeštinaDanskDeutschDolnoserbs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Hornjoserbsce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urdîLatinaLëtzebuergesch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Тоҷикӣ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8일 (화) 13: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독일 연방의회(獨逸聯邦議會,독일어: Deutscher Bundestag 도이처 분데스탁[*])는 베를린에 있는 독일연방공화국 의회이다. 연방 하원이라고 번역되기도 하지만, 공식 명칭은 연방의회이다. 연방의회는 독일 정치체제에서 유일하게 국민에 의해 직접선출되는 헌법기관이다. 법정의원 정수는 598명이나, 실제 의원수는 초과의석과 보상의석으로 인해 대부분 의원정수를 초과한다. 의회의 임기는 원칙적으로 4년이다. 연방의회 의원은 교섭단체나 의원그룹을 결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절차와 조직상의 특별지위를 누릴 수 있다. 연방의회는 연방의회의장이 대표한다. 현 19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 111석의 초과의석이 발생했고, 총 6개 정당이 5% 저지조항 이상의 득표를 하여, 의회에 진출하면서 각 정당에 대해 초과의석에 대한 보상의석이 배분되면서, 현재 연방의회는 709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방의회의장은 기독교민주연합 출신의 볼프강 쇼이블레이다. 부의장으로는 게르다 하젤펠트(기독교사회연합), 볼프강 티어제(사회민주당), 헤르만 오토 졸름스(자유민주당), 페트라 파우(좌파당), 카나린 괴링-에크카르트(녹색당)을 선출했다. 의원중 최고령자는 기민련의 하이츠 리젠후버로 의사진행규칙에 따라 연방의회 1차 회의의 임시의장을 맡았었다. 연방의회는 여러 가지 기능이 있다. 먼저 입법기능을 수행한다. 즉 연방법을 제정하고, 기본법(헌법)을 개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종종 독일 연방참의원과의 협력이 필요하다. 또 하원은 국제조약을 비준하고, 연방예산을 의결한다. 절차에 따라 연방의회는 절대다수의 지지로 정부수반인 총리를 선출한다. 그외에 대통령과 연방판사, 그리고 기타 주요 연방기구 인사에 참여한다. 연방의회는 정부와 연방 행정부에 대해 견제권을 행사한다. 연방방위군의 파병을 통제한다. 국민의 요구를 전하고, 반대로 국민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공공적 기능도 정치적으로 중요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제15대 독일 연방의회의 역사는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2002년 9월 22일 실시된 선거에서 사민당과 녹색당은 근소한 차로 승리했다. 오토 쉴리이 임시의장을 맡아 폴프강 티어제를 하원의장으로 게하르트 슈뢰더를 연방총리로 재선출했다. 2004년에는 호르스트 쾰러를 연방대통령으로 선출했다. 연방총리 슈뢰더는 재선이후 개혁프로그램을 시작한다. 2003년 복지체제의 축소를 담고 있는 아젠다 2010제출했다. 국가기관의 개혁을 하는 내용의 하르츠 IV와 같은 법률을 노동조합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연방의회에서 통과시켰다. 이민법도 연방참의원과 협상을 거쳐 통과시켰다. 국내정책 개혁을 개속하는 한편, 극우주의에 대한 싸움을 이어갔다. 그 일환으로 독일민족주의당(NPD)대한 금지 요청도 이루어졌다. 대외정책적 측면에서는 유럽연합 헌법 비준이 이루어졌다. 사민당이 2005년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주의회 선거 패배이후 슈뢰더는 신임안을 제기했다가 재신임을 받는데 실패한다. 결국 연방대통령 쾰러는 연방의회를 해산한다.
Human: 아래 역슬래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역슬래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역슬래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문장 부호 아포스트로피 ( ’ ' ) 괄호 ( [ ], ( ), { }, ⟨ ⟩ ) 쌍점 ( : ) 쉼표 ( , ) 줄표 ( ‒, –, —, ― ) 줄임표 ( …, ... ) 느낌표 ( ! ) 마침표 ( .。 ) 붙임표 ( -, ‐ ) 물음표 ( ? ) 따옴표 ( ‘ ’, “ ” ) 쌍반점 ( ; ) 빗금 ( / ) 공백 문자 ( ) ( ) ( ) (␠) (␢) (␣) 가운뎃점 ( · ) 일반 타이포그래피 앰퍼샌드 ( & ) 골뱅이표 ( @ ) 별표 ( * ) 역슬래시 ( \ ) 불릿 ( • ) 캐럿 ( ^ ) 저작권 기호 ( © ) 통화 기호 ( ¤ ) 칼표 ( †, ‡ ) 도 기호 ( ° ) 중복 부호(같음표) ( 〃 ) 역느낌표 ( ¡ ) 역물음표 ( ¿ ) 해시 기호 ( # ) 숫자 기호 ( № ) 서수 기호 ( º, ª ) 백분율 기호 · 천분율 기호 ( %, ‰, ‱ ) 단락 기호 ( ¶ ) 프라임 기호 ( ′ ) 등록된 상표 기호 ( ® ) 부분 기호 ( § ) 서비스 기호 ( ℠ ) 음성 녹음 저작권 기호 ( ℗ ) 물결표 ( ~ ) 상표 기호 ( ™ ) 밑줄 문자 ( _ ) 수직선 ( |, ¦ ) 별자리표 ( ⁂ ) 손가락표 ( ☜, ☞ ) 그러므로 기호 ( ∴ ) 왜냐하면 기호 ( ∵ ) 물음느낌표 ( ‽ ) 아이러니 기호 ( ؟ ) 마름모 ( ◊ ) 참고표 ( ※ ) 붙임줄 ( ⁀ ) 전화 기호 ( ☏, ☎ ) 온천 기호 ( ♨ ) 성별 기호 ( ♂, ♀ ) 오전/오후 기호 ( ㏂, ㏘ ) v • d • e • h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원 기호에 대해서는 ₩ 문서를, 엔 기호에 대해서는 ¥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역슬래시(영어: backslash) 또는 역사선(逆斜線, 영어: reverse solidus)은 문장 부호의 일종이며, 1960년에 밥 베머가 ASCII 문자 집합을 만들면서 추가하였다. 역슬래시(\)는 슬래시(/)를 좌우로 뒤집은 형태이며,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그은 선 모양이다. 대한민국과 일본의 컴퓨터 문자 체계에서는 역슬래시 기호에 원 기호와 엔 기호를 각각 배정해 놓고 있기 때문에 이들 기호로 표시된다. 목차 1 용례 2 대한민국과 일본의 문자 집합 3 같이 보기 4 외부 링크 용례[편집]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와 C, 펄과 같은 관련된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역슬래시는 그 뒤에 따라 오는 문자가 특수하게 처리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종종 탈출 문자라고도 불린다. 예를 들어 여러 언어에서 "\n"은 개행 문자를 나타낸다. 또한 줄 끝에 오는 역슬래시는 그 줄과 다음 줄이 하나로 합쳐져야 한다는 것을 가리키기도 한다. 도스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시스템에서 역슬래시는 경로명에서 디렉토리 이름과 파일 이름을 구분하는 데 사용된다. 반면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들은 그 목적으로 슬래시를 쓰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종종 혼란을 주곤 한다. 역슬래시가 구분자로 쓰인 것은 디렉토리 개념이 없던 초기 운영체제들에서 슬래시를 명령줄 옵션을 나타내는 데 사용했기 때문이다. (유닉스에서는 하이픈을 대신 사용했다.) 그러나 이들 시스템에서도 보통 명령줄 옵션과 혼동이 되지 않는다면 슬래시를 역슬래시 대신에 쓸 수 있다. 수학에서 역슬래시와 비슷하게 생긴 문자는 차집합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곤 한다. 대한민국과 일본의 문자 집합[편집] 대한민국과 일본에서 각각 ASCII 문자 집합에 대응하는 KS X 1003과 JIS X 0201에서는 역슬래시 자리에 역슬래시 대신 원화(₩, U+20A9) 및 엔화(¥, U+00A5)를 대신 그려 넣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스템에서는 ASCII와의 호환성을 위해 이들을 역슬래시로 처리하고 있으며,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의 기본 글꼴을 비롯한 많은 글꼴들이 역슬래시를 엔화 및 원화 기호로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적지 않은 사용자들이 엔화 또는 원화 기호와 역슬래시를 서로 혼동해서 사용하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슬래시 외부 링크[편집] (영어) Larry Osterman's Explanation for Backslash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역슬래시&oldid=22328413" 분류: 문장 부호인쇄 약물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NederlandsNorskPortuguês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lovenščina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Хальмг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1일 (화) 18: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역슬래시(영어: backslash) 또는 역사선(逆斜線, 영어: reverse solidus)은 문장 부호의 일종이며, 1960년에 밥 베머가 ASCII 문자 집합을 만들면서 추가하였다. 역슬래시(영어: Backslash)는 슬래시(/)를 좌우로 뒤집은 형태이며,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그은 선 모양이다. 대한민국과 일본의 컴퓨터 문자 체계에서는 역슬래시 기호에 원 기호와 엔 기호를 각각 배정해 놓고 있기 때문에 이들 기호로 표시되거나 입력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역슬래시가 구분의 의미로 쓰이지 않는 운영체제는? Assistant: 유닉스 Human: 아래 충북보건과학대학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충북보건과학대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주성대학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충북보건과학대학교Chungbuk Health & Science University표어 창의, 품성, 봉사 종류 전문대학설립 1991년총장 송승호설립자 박재국(瑞岩)학교법인 주성학원학생 수 2,768명 (2018년)[1]교직원 수 전임교원: 91명 (2018년)[1]기타교원: 153명 (2018년)[1]국가 대한민국위치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덕암길 10상징물 소나무, 철쭉, 호랑이웹사이트 충북보건과학대학교 홈페이지 충북보건과학대학교(忠北保健科學大學校, Chungbuk Health & Science University)는 대한민국의 전문대학 중 하나이다. 2012년까지는 주성대학이었다. 목차 1 연혁 2 교육편제 3 학교 동문 4 각주 5 외부 링크 연혁[편집] 1991년 11월 30일: 주성(전문)대학 설립 1992년 3월 11일: 개교 2005년 1월 10일: 윤석용 설립자 사망[2] 2005년 3월 2일: 충주캠퍼스, 옥천캠퍼스 제천캠퍼스 설치 2005년 5월: 박재국 충북도의원 재단 인수[3][4] 2010년: 교육과학기술부 선정 학자금대출제한대학[5]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 선정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6] 2011년 11월 1일 : 제 7대 이사장 박재택, 2대 총장 박용석 취임[7] 2012년 9월 6일: 충북보건과학대학교로 교명 변경 2017년: 교육부 선정 특성화전문대학 S등급 선정, 충청.호남권 NCS 거점센터 대학 선정[8] 2018년 : 자율개선대학 선정[9] 2019년 2월 9일 : 4대 총장 송승호 취임[10] 교육편제[편집] 다음은 충북보건과학대학교의 2018년 기준 전문학사 학위 과정 일람이다. 보건의료 과학기술 사회서비스 경찰·부사관 예체능 바이오생명제약과 방사선과 보건행정과 응급구조과 임상병리과 작업치료과 치기공과 치위생과 간호학과 의료재활학과 언어재활보청기과 바이오의료정보과 반도체전자과 에너지전기과 자동차과 컴퓨터응용기계과 호텔제과음료과 창업경영과 사회복지과 보건체육청소년과 복지행정과 경찰행정과 건설정보부사관과 정보통신부사관과 태권도외교과 스포츠건강관리과 학교 동문[편집] 분류:충북보건과학대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각주[편집] ↑ 가 나 다 대학알리미 개별 공시 ↑ “주성대 윤석용이사장 아파트서 투신자살 - 충북인뉴스”. 2019년 2월 28일에 확인함.  ↑ “주성대 인수, 박재국 도의원은 누구인가”. 《충북넷》. 2019년 2월 28일에 확인함.  ↑ “주성대 매각협상 유성종 전 학장이 매파역 - 충북인뉴스”. 2019년 2월 28일에 확인함.  ↑ 학자금 대출 제한받는 하위30개 대학 어디?, 경향신문, 2010년 9월 7일 작성. ↑ 정부, 43개 사립대학 재정지원 제한, 연합뉴스, 2011년 9월 5일 작성. ↑ “대학안내 > 대학역사”. 2019년 2월 28일에 확인함.  ↑ “충북보건과학대, 특성화사업 평가 최고등급 - 머니투데이 뉴스”. 2018년 5월 18일에 확인함.  ↑ “충북보건과학대, 대학 기본역량 진단 '자율개선대학' 선정 - 머니투데이 뉴스”. 2018년 8월 23일. 2019년 3월 1일에 확인함.  ↑ “대학안내 > 대학역사”. 2019년 2월 2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충북보건과학대학교 홈페이지 vdeh 충청북도의 대학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국립 공군사관학교 청주교육대학교 충북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충주캠퍼스·증평캠퍼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충북지역대학) 공립 충북도립대학교 사립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극동대학교 꽃동네대학교 서원대학교 세명대학교 순복음총회신학교 우석대학교 (진천캠퍼스) 유원대학교 (영동캠퍼스) 중원대학교 청주대학교 전문대학 강동대학교 대원대학교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충청대학교 한국폴리텍Ⅳ대학 (청주캠퍼스)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충북보건과학대학교&oldid=24512223" 분류: 충청북도의 전문대학청주시의 학교1991년 설립1992년 개교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7월 2일 (화) 04:5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충북보건과학대학교(忠北保健科學大學校, Chungbuk Health & Science University)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의 사립 전문대학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충북보건과학대학교의 예체능계열에는 어떤 과가 있나요? Assistant: 태권도외교과 스포츠건강관리과
Human: 아래 평창읍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평창읍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평창읍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강원도 평창군 평창읍 平昌邑 Pyeongchang-eup 면적 116.31 km2 인구 8,906명 (2016년 12월 31일) 인구밀도 77 명/km2 세대 4,008가구 (2016년 12월 31일) 행정리 41 반 144 읍사무소 평창읍 노성로 127 홈페이지 평창읍 주민센터 평창읍(平昌邑)은 평창군의 군청소재지로, 한강 상류의 평창강 좌안에 위치하고 있다. 31번 국도와 42번 국도가 지나나 고개가 많으며, 겨울에는 눈이 많다. 부근에는 담배, 명주를 비롯하여 약초, 꿀 등의 생산량이 많아 이들이 집산되는 지역이 평창읍이며, 지하자원도 존재한다. 2016년 기준 인구는 8,906명이다. 목차 1 행정 구역 2 관광 3 각주 4 외부 링크 행정 구역[편집] 상리(上里) 중리(中里) 1리~2리 하리(下里) 1리~6리 천변리(川邊里) 종부리(鍾阜里) 1리~3리 노론리(老論里) 이곡리(耳谷里) 조동리(鳥洞里) 고길리(古吉里) 지동리(池洞里) 유동리(柳洞里) 약수리(藥水里) 조둔리(鳥屯里) 천동리(泉洞里) 도돈리(道敦里) 응암리(鷹岩里) 마지리(馬池里) 1리~2리 대상리(大上里) 대하리(大下里) 입탄리(入彈里) 향동리(杏洞里) 여만리(餘萬里) 후평리(後坪里) 주진리(舟津里) 1리~2리 용항리(龍項里) 임하리(林下里) 계장리(溪長里) 다수리(多水里) 하일리(河一里) 원당리(元堂里) 뇌운리(雷雲里) 관광[편집] 군내에는 대관령면(구 도암면) 횡계리에 용평 리조트가 있고 진부면 동산리에는 대한민국 4대 사찰 중의 하나인 월정사를 비롯해 많은 문화재들이 있다. 각주[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편집] 평창군 평창읍사무소 vdeh강원도 평창군의 행정 구역 군청소재지: 평창읍 평창읍 대관령면 대화면 미탄면 방림면 봉평면 용평면 진부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평창읍&oldid=21969489" 분류: 평창군의 행정 구역강원도의 읍·면1979년 설치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CebuanoEnglishفارسیFrançaisҚазақшаРусскийSvenska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8월 13일 (월) 09:5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평창읍(平昌邑)은 평창군의 군청소재지로, 한강 상류의 평창강 좌안에 위치하고 있다. 31번 국도와 42번 국도가 지나고 고개가 많으며, 겨울에는 눈이 많다. 부근에는 담배, 명주를 비롯하여 약초, 꿀 등의 생산량이 많아 이들이 집산되는 지역이 평창읍이며, 지하자원도 존재한다. 2016년 기준 인구는 8,906명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3개의 리가 있는 평창읍의 리는 무엇인가? Assistant: 종부리 Human: 아래 아라이_료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아라이 료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라이 료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라이료타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아라이 료타新井 良太 Ryota Arai 한신 타이거스 No.83 아라이 료타(2012년 8월 17일, 메이지 진구 야구장) 기본 정보 국적 일본 생년월일 1983년 8월 16일(1983-08-16) (35세) 출신지 히로시마현 히로시마 시 사에키 구 신장 188 cm 체중 98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우타 수비 위치 1루수, 3루수, 외야수 프로 입단 연도 2005년 드래프트 순위 대학생·사회인 드래프트 4순위 첫 출장 2006년 7월 25일 연봉 3,300만 엔(2014년) 경력 주니치 드래건스 (2006년 ~ 2010년) 한신 타이거스 (2011년 ~ ) 아라이 료타 일본어식 한자 표기: 新井 良太 가나 표기: あらい りょうた 국립국어원 표준 표기: 아라이 료타 통용 표기: 아라이 료타 로마자: Ryota Arai 아라이 료타(일본어: 新井 良太, 1983년 8월 16일 ~ )는 일본의 전직 프로 야구 선수이며, 센트럴 리그인 한신 타이거스에 2군 육성코치이다. 한국계 일본인으로 귀화 전 한국명은 박양태(朴良太)이다. 히로시마에 소속된 아라이 다카히로의 동생이다. 목차 1 인물 2 상세 정보 2.1 출신 학교 2.2 선수 경력 2.3 지도자 경력 2.4 수상·타이틀 경력 2.4.1 수상 2.5 주요 기록 2.5.1 첫 기록 2.5.2 기타 2.6 등번호 2.7 연도별 타격 성적 2.8 연도별 수비 성적 3 각주 인물[편집] 아라이 료타(新井 良太)는 1983년 8월 16일 히로시마현 히로시마 시 사에키 구에서 태어났다. 한국계 일본인으로 귀화 전 한국명은 박양태(朴良太)이다. 그의 형인 아라이 다카히로도 프로 야구 선수이다. 상세 정보[편집] 출신 학교[편집] 고료 고등학교 고마자와 대학 선수 경력[편집] 주니치 드래건스(2006년 ~ 2010년) 한신 타이거스(2011년 ~ 2017년) 지도자 경력[편집] 한신 타이거스 2군 육성 코치(2018년 ~ ) 수상·타이틀 경력[편집] 수상[편집] 월간 사요나라상 : 1회(2012년 9월) 조지아혼 상 : 1회(2012년도 제9회) 스피드 업 상 : 1회(2012년) 주요 기록[편집] 첫 기록[편집] 첫 출장 : 2006년 7월 25일, 대 한신 타이거스 8차전(나고야 돔), 7회말에 나카타 겐이치의 대타로서 출장 첫 타석 : 상동, 7회말에 노미 아쓰시의 앞에서 삼진 첫 안타 : 2006년 9월 10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17차전(히로시마 시민 구장), 7회초에 데니 유리의 대타로서 출장, 하야시 마사키로부터 우전 안타 첫 선발 출장 : 2006년 10월 12일, 대 한신 타이거스 22차전(한신 고시엔 구장), 6번·1루수로서 선발 출장 첫 타점 : 2007년 4월 21일, 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5차전 (메이지 진구 야구장), 7회초에 다쓰나미 가즈요시의 대타로서 출장, 엔도 마사타카로부터 우전 1타점 2루타 첫 도루 : 2010년 6월 7일, 대 지바 롯데 마린스 4차전(나고야 돔), 8회초에 2루 안착(투수: 야마다 아키사카, 포수 : 사토자키 도모야) 첫 홈런 : 2010년 6월 9일, 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3차전(클리넥스 스타디움 미야기), 7회 초에 나가이 사토시에게서 중전 솔로 첫 맹타상 : 2012년 7월 7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11차전(도쿄 돔, 8회 초에 니시무라 겐타로로부터 우전 안타로 달성 기타[편집] 형제 아베크 홈런[1] 2012년 7월 29일, 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15차전(한신 코시엔 구장), 4회말에 아라이 료타가 미우라 다이스케로부터 중월 3점 홈런, 7회말에 아라이 다카히로가 하야시 마사노리로부터 좌월 2점 홈런 2012년 8월 12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16차전(교세라 돔 오사카), 3회말에 아라이 료타가 후쿠이 유야로부터 좌월 2점 홈런, 6회말에 아라이 다카히로가 나카타 렌으로부터 좌월 3점 홈런 등번호[편집] 25(2006년 ~ 2010년) 32(2011년 ~ 2017년) 83(2018년 ~ ) 연도별 타격 성적[편집] 연도 소속 경기 타석 타수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루타 타점 도루 도루자 희생번 희생플 볼넷 고의사구 몸맞 삼진 병살타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2006년 주니치 18 24 23 2 6 2 0 0 8 0 0 0 0 0 0 0 1 9 0 .261 .292 .348 .639 2007년 29 28 25 5 7 3 0 0 10 2 0 0 0 0 2 0 1 5 0 .280 .357 .400 .757 2008년 24 19 18 2 3 0 0 0 3 0 0 0 0 0 0 0 1 5 0 .167 .211 .167 .377 2009년 8 6 6 0 0 0 0 0 0 0 0 0 0 0 0 0 0 3 0 .000 .000 .000 .000 2010년 45 60 59 6 9 0 0 1 12 2 1 0 0 0 1 0 0 14 2 .153 .167 .203 .370 2011년 한신 43 27 26 3 5 0 0 0 5 3 0 0 0 0 1 0 0 8 1 .192 .222 .192 .414 2012년 110 370 322 38 90 18 0 11 141 32 1 0 3 1 38 0 6 73 7 .280 .365 .438 .803 2013년 119 401 357 44 85 14 1 14 143 51 2 2 1 2 37 0 4 89 10 .238 .315 .401 .716 2014년 78 196 173 19 51 9 0 7 81 34 0 0 1 2 17 1 3 48 0 .295 .364 .468 .832 통산:9년 474 1131 1009 119 256 46 1 33 403 124 4 2 5 5 96 1 16 254 20 .254 .327 .399 .726 2014년 기준. 연도별 수비 성적[편집] 연도 1루 3루 외야 경기 척살 보살 실책 병살 수비율 경기 척살 보살 실책 병살 수비율 경기 척살 보살 실책 병살 수비율 2006 5 25 0 0 1 1.000 2 0 0 0 0 ---- - 2007 2 7 0 0 1 1.000 - 1 0 0 0 0 ---- 2008 4 8 0 0 1 1.000 - - 2009 1 1 0 0 0 1.000 - - 2010 22 94 4 2 7 .980 1 1 0 0 0 1.000 - 2011 27 43 0 1 1 .977 - 4 2 0 0 0 1.000 2012 26 62 8 0 4 1.000 64 37 93 13 8 .909 25 35 1 0 0 1.000 2013 22 105 4 1 4 .991 94 50 140 10 13 .950 - 통산 109 345 16 4 19 .989 161 88 233 23 21 .933 30 37 1 0 0 1.000 2013년 기준. 각주[편집] ↑ 1981년 롯데 오리온스(당시) 소속이던 레론 리 & 레온 리 형제 이래 31년 만의 기록이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라이_료타&oldid=22164468" 분류: 198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일본의 야구 선수일본 프로 야구 1루수일본 프로 야구 3루수일본 프로 야구 외야수주니치 드래건스 선수한신 타이거스 선수히로시마현 출신히로시마시 출신고마자와 대학 동문한국계 일본인일본으로 귀화한 사람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연도별 타격 성적을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8월 31일 (금) 03: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아라이 료타(일본어: 新井 良太, 1983년 8월 16일 ~ )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며, 센트럴 리그인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2군 타격코치이다.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사에키구 태생의 한국계 일본인으로 귀화 전 한국명은 박양태(朴良太)이다. 히로시마와 한신에서 활약했던 전 프로 야구 선수 아라이 다카히로의 동생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아라이 료타의 연도별 수비 성적에 대한 정보는? Assistant: 연도 1루 3루 외야 경기 척살 보살 실책 병살 수비율 경기 척살 보살 실책 병살 수비율 경기 척살 보살 실책 병살 수비율 2006 5 25 0 0 1 1.000 2 0 0 0 0 ---- - 2007 2 7 0 0 1 1.000 - 1 0 0 0 0 ---- 2008 4 8 0 0 1 1.000 - - 2009 1 1 0 0 0 1.000 - - 2010 22 94 4 2 7 .980 1 1 0 0 0 1.000 - 2011 27 43 0 1 1 .977 - 4 2 0 0 0 1.000 2012 26 62 8 0 4 1.000 64 37 93 13 8 .909 25 35 1 0 0 1.000 2013 22 105 4 1 4 .991 94 50 140 10 13 .950 - 통산 109 345 16 4 19 .989 161 88 233 23 21 .933 30 37 1 0 0 1.000
Human: 아래 회문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회문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회문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회문산(回文山) 회문산 자연휴양림높이 837 m위치 전라북도 순창군산맥 노령산맥좌표 북위 35° 30′ 00″ 동경 127° 06′ 22″ / 북위 35.5° 동경 127.106°  / 35.5; 127.106좌표: 북위 35° 30′ 00″ 동경 127° 06′ 22″ / 북위 35.5° 동경 127.106°  / 35.5; 127.106 회문산(回文山)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순창군에 있는 높이 837m의 산이다. 목차 1 개요 2 사진첩 3 같이 보기 4 각주 5 참고 문헌 6 외부 링크 개요[편집] 북서쪽에는 투구봉으로도 불리는 장군봉(780미터)이, 북쪽 중앙에는 큰지붕으로 불리는 회문봉(837미터)이 솟아 있다. 동쪽 산줄기에는 천마봉과 깃대봉, 남쪽 산줄기에는 돌곳봉과 시루바위가 있다. 주요 수종은 신갈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등 참나무류이다. 행정구역은 전라북도 임실군 덕치면 회문리, 일중리와 순창군 구림면 안정리의 경계에 속하며, 회문산 자연휴양림이 조성되어 있다. 회문산의 물줄기는 일중천을 통해 섬진강에 합류하여 남해의 광양만으로 흐른다. 고려 말기에 무학이 이성계를 위해 기도했다는 만일사와 무학바위가 있는 등 무학에 대한 전설이 전한다. 1846년 천주교 병오박해 때 김대건 신부의 일가가 피신했던 곳으로서 이들의 묘소가 남아 있다. 조선 말기에는 최익현과 임병찬이 이 곳에서 의병을 일으키기도 했다. 구림천과 옥정호에서 흘러내린 섬진강이 회문산을 감싸듯이 휘감고 있어, 지형적으로 피난처로 삼기에 유리한 곳이었기 때문이다. 한국 전쟁 중에는 조선로동당 전라북도 도당 위원장 방준표가 이끄는 조선인민유격대가 회문산에 아지트를 설치하여 격전이 있었다. 이 때문에 양민 희생자를 위한 위령탑과 빨치산 사령부를 재현한 비목공원이 세워져 있다.[1] 증산교에서 김제시와 완주군에 걸친 모악산을 어머니 산으로, 회문산을 아버지 산으로 삼고 있어 증산교 도인들이 자주 찾는 산이다. '한국의 5대 명당'으로도 불려 암반 위에까지 묘지가 많이 설치되어 있기도 하다. 사진첩[편집] 회문산의 겨울 회문산의 빙벽 회문산 산길 회문산 6·25 양민희생자 위령탑 같이 보기[편집] 한국의 산 각주[편집] ↑ 이승철 (2005년 8월 16일). “회문산에서 만난 서글픈 역사의 흔적 - 전북 순창 회문산 휴양림 속의 빨치산 사령부에 가다”. 오마이뉴스. 2008년 6월 20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편집] “[주말산행코스] 호남의 산 - 회문산”. 《월간산》 (432호). 2005년 10월. 2008년 6월 1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회문산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회문산 자연휴양림 vdeh 전라북도의 산공원 | 교통 | 도로 | 도서관 | 동굴 | 박물관 | 산 | 서원 | 섬 | 성 | 온천 | 저수지 | 종합병원 | 축제 | 하천 | 해수욕장고창군 방장산 선운산 소요산 군산시 소성산 월명산 김제시 모악산 남원시 고리봉 교룡산 기린봉 바래봉 반야봉 봉화산 지리산 무주군 대덕산 덕유산 민주지산 삼도봉 설천봉 적상산 중봉 향로봉 향적봉 부안군 내변산 백산 변산 주산 순창군 강천산 내장산 추월산 회문산 완주군 대둔산 모악산 장군봉 천등산 익산시 미륵산 배산 임실군 국사봉 오봉산 장수군 남덕유산 법화산 봉화산 장안산 팔공산 전주시 건지산 기린봉 정읍시 내장산 두승산 백암산 진안군 구봉산 마이산 부귀산 운장산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회문산&oldid=22986088" 분류: 전라북도의 산순창군의 지리휴양림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2일 (월) 01: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회문산(回文山)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순창군에 있는 높이 837m의 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회문산을 아버지의 산으로 삼는 신도들이 있는 종교는 어떤종교인가? Assistant: 증산교 Human: 아래 돼지고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돼지고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돼지고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돼지 고기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통구이로 조리중인 돼지고기 돼지고기는 돼지를 도축하여 얻은 고기 음식이다. 돈육(豚肉), 제육(豬肉, 원말:저육)이라고도 한다. 돼지는 오래전부터 세계 여러 나라에서 고기를 얻기 위한 가축으로 길러져 왔다. 이슬람교의 무슬림과 유대교의 유대인들은 돼지를 불결한 동물로 여기기 때문에 돼지고기를 먹지 않는다. 목차 1 국가별 소비량 2 국가별 돼지부위의 명칭 3 대중적 인식과 오해 4 종교 사회와 돼지고기 5 각주 국가별 소비량[편집]  세계 돼지고기 소비량 국가 2010 2011 2012 2015 중화인민공화국 50,800 51,108 53,802 56,096 유럽 연합 20,952 20,822 20,382 20,173 미국 8,654 8,340 8,441 8,668 러시아 2,896 3,035 3,208 3,267 브라질 2,577 2,644 2,670 2,696 일본 2,488 2,522 2,557 2,549 베트남 2,072 2,113 2,160 2,205 멕시코 1,784 1,710 1,850 1,953 대한민국 1,539 1,487 1,546 1,628 필리핀 1,418 1,432 1,446 1,521 우크라이나 776 806 953 992 타이완 901 919 906 879 캐나다 810 800 834 810 홍콩 467 558 547 536 오스트레일리아 482 482 511 510 아르헨티나 326 359 362 419 기타 3,815 3,981 4,091 4,173 합계 102,756 103,118 106,266 109,075 단위 : 톤. 출처 : 미국 농무부[1] 구이, 찌개, 수육, 산적, 편육, 돈가스, 탕수육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요리되는 돼지고기는 부위별로 이름을 붙여 취급된다. 각각의 요리 방식에 알맞은 부위가 있다. 한국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부위는 삼겹살이다.[2] 하지만 그 상대적 비중은 감소하는 추세에 있으며, 대신 앞,뒷다리살의 소비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3] 머리 : 편육으로 만들거나 삶은 고기를 먹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고사를 지낼 때 제물(祭物)로 이용되기도 한다. 볼살 : 돼지 얼굴 양옆에서 나온 부위이다. 콧등살 : 귀한 특수부위로 취급된다. 삼각살 : 돼지 코 안쪽 살로, 삼각형 모양이다. 혓바닥 : 돼지가 죽을 때까지 움직이는 부위이다. 목살 : 목뼈 주위에 있는 고기이다. 주로 구이에 이용된다. 항정살 : 목과 어깨를 잇는 부위이다. 주로 구이에 이용된다. 두항정살 : 머리에 붙은 항정살 족발 : 발 부위 고기이다. 찌거나 삶아서 먹는다. 삼겹살 : 복부의 고기로 주로 굽거나 찜으로 먹는다. 갈비살 : 갈비뼈 주위의 고기로 여러가지 요리법이 있다. 흔히 '돼지 갈비'라고 부를 때는 양념한 갈비살을 구워 먹는 것을 말한다. 갈매기살 : 횡격막에 붙어있는 살을 말한다. 등심 : 등뼈 주위의 고기를 말한다. 구이로 이용된다. 안심 : 내부에 위치한 살로, 돈가스, 산적 등에 이용된다. 돼지껍데기(돈피) : 돼지의 껍데기의 털을 뺀 것으로, 구이용으로 사용된다. 국가별 돼지부위의 명칭[편집] 한국 미국 영국 대중적 인식과 오해[편집] 돼지고기는 대표적인 고지방 식품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사실은 삼겹살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부위가 고단백 저지방 식품이다. 안심, 등심, 목심, 앞다리살, 뒷다리살, 갈비살, 항정살 등은 지방이 적고 단백질과 비타민 등 여러 가지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고 있다. 또한 돼지고기 등 육류 단백질은 ‘완전 단백’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우리 몸에서 합성할 수 없는 필수 아미노산 8종(이소류신, 류신, 리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트레오닌, 트립토판, 발린)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돼지고기를 먹으면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진다는 속설 역시 오해다. 돼지고기에는 스테아린산이 풍부한데, 이는 체내 콜레스테롤 증가를 억제한다. 또한 좋은 콜레스테롤로 알려진 리포단백질(HDL)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한 전문가는 지방이 많은 삼겹살조차도 수육으로 먹거나 기름이 빠지는 판에 구워서 야채와 함께 먹으면 결코 몸에 해롭지 않다고 강조한다.[3] 종교 사회와 돼지고기[편집] 종교와 관련하여 돼지고기 섭취가 금기시 되어있는 종교를 믿는 신자는 물론 돼지고기를 섭취하지 않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유대교 혹은 그 분파나, 이슬람교를 믿는 국가들은 대다수가 돼지고기를 섭취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대부분 중동에 위치하기 때문에 돼지같은 가축이 자라기에는 그만큼 좋은 환경이 되지않기 때문에 돼지가 질병에 걸리기가 쉽고, 돼지고기를 먹은 사람의 돼지고기 섭취 후의 질병에 대한 위험성을 우려하기 때문이기도 하고 종교적 종교적 교리상의 사유로 돼지고기 섭취가 금기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학자들과 종교 연구직을 맡고있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건강상의 질병 자체를 염려했기 때문에 그 건강상의 질병 자체를 이유로 종교 경전 등에 자체적으로 넣은 것일수도 있다는 얘기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꼭 형식적으로 따르지 않는 몇몇 국가들도 있다고 한다. 하지만 신자들 중에서는 명시된 교리인 것인데 꼭 어겨서는 안 된다는 생각이 있어 돼지고기 금식을 반드시 따르는 사람도 있다. 또한 기독교 종교 내에서도 구약성서에서 돼지고기 섭취가 금지되어 있다고 한다. 각주[편집] ↑ “Livestock and Poultry: World Markets and Trade” (PDF).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4년 8월 1일에 확인함.  ↑ 송주희 (2005년 3월 31일). “돼지고기는 역시 삼겹살 .. 농협 부위별 인기조사…2위 갈비·3위 목살”. 《한국경제》. 2012년 7월 12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9월 29일에 확인함.  ↑ 가 나 김경은 편집위원 (2014년 12월 22일). “돼지고기 먹으면 살찐다는 생각은 ‘오해’”. 《경향신문》. 2015년 1월 3일에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3일에 확인함.  vdeh고기 본문  사냥감 : 생선 : 고기 : 가금 : 해산물 가금류와 사냥 고기 곰 닭 오리 칠면조 거위 꿩 뇌조 타조 기러기 메추라기 자고새 비둘기 박쥐 원숭이 토끼 사슴 캥거루 뱀 거북 기각류 앨리게이터 크로커다일 가축 소와 송아지 들소 물소 개 고양이 낙타 코끼리 염소 기니피그 말 양 라마 돼지 야크 곤충 생선과 해산물 게 가재 바닷가재 새우 멸치 베트남메기 배스 메기 잉어 대구 검정우럭 돌고래 장어 가자미 참바리 해덕 넙치 청어 대서양고등어 참고등어 만새기 돛새치 젖빛고기 납작금눈돔 꽁치 농어 민물꼬치고기 폴록 연어 정어리 납서대 황새치 틸라피아 송어 다랑어 명태 성게 해삼 멍게 고래 상어 조리법 간 숙성 구이 고기완자 내장 마른고기 바비큐 베이컨 살라미 살루메 소시지 스테이크 스튜 양념장 연육화 염장 염장고기 육회 생육회 절임 조림 찜 촙 커틀릿 케밥 콘드 비프 타르타르 스테이크 튀김 패티 페퍼로니 퐁뒤 해기스 햄 훈제고기 관련 주제 정육점 식인 배양육 식물성 고기(육류 유사체) 고기 절단기 식육 윤리 식품 보존 도축 적색육 백색육 전거 통제 LCCN: sh85105003 GND: 4053849-7 NDL: 0056111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돼지고기&oldid=24181538" 분류: 돼지고기고기숨은 분류: 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ашҡортса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ahasa BanjarবাংলাBosanskiCatalàMìng-dĕ̤ng-ngṳ̄ČeštinaDanskDeutschZazaki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Bahasa Indonesia日本語ҚазақшаLatinaLietuvių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Bahasa MelayuनेपालीNederlandsNorskNouormandਪੰਜਾਬੀDeitsch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inaray吴语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20: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돼지고기는 돼지를 도축하여 얻은 고기를 일컫는다. 돈육(豚肉), 제육(豬肉)이라고도 한다. 돼지는 오래전부터 세계 여러 나라에서 고기를 얻기 위한 가축으로 길러 왔다. 이슬람교의 무슬림과 유대교의 유대인들은 구약성서 레위기에 적힌 대로 돼지를 부정한 동물로 여기기 때문에 고기를 먹지 않는다. 중국 및 일부 국가에서만 돼지고기를 많이 먹었을 뿐 세계적인 육고기 소비 형태는 돼지보다는 닭고기를 많이 먹는 편이다. 그러나 한국은 1970년대 들어 정부차원의 양돈산업 활성화 정책에 영향으로 현재에는 닭고기보다 돼지고기를 더 많이 섭취하는 국가로 변모하였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발표에 따르면 2017년 품목 별 농업 생산액 1위는 6조 7702억원을 기록한 돼지라고 한다. 이는 사상 처음으로 기존에 지속적으로 1위 자리를 지켜왔던 쌀을 2위로 밀어낸 것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돼지고기에 포함된 필수아미노산 종류의 개수는? Assistant: 8
Human: 아래 이강석_(군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강석 (군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강석 (군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강석 (이기붕의 아들)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8년 2월) 이강석李康石 이승만 일가와 이기붕 일가 (사진에서 맨 오른쪽에 있는 이가 이강석) 출생일 1937년 2월 5일 출생지 일제 강점기 경성부 사망일 1960년 4월 28일 (23세) 사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경무대 본관 전주(全州) 별명 호(號)는 산남(山南), 산은(汕隱) 종교 유교(성리학) → 개신교(감리회) 정당 무소속 부모 이승만(양부) 프란체스카 도너(양모) 이기붕(생부) 박마리아(생모) 친척 이강희(누나) 이강욱(남동생) 이봉수(양형) 이인수(양형) 복무 대한민국 육군 복무 기간 1958년 ~ 1960년 최종 계급 대한민국 육군 소위 지휘 소대장, 작전장교 이강석(李康石, 1937년[1] 2월 5일 ~ 1960년 4월 28일)은 대한민국의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육군 장교로 이기붕의 아들이자 이승만의 양자이다. 목차 1 생애 2 가족 관계 3 학력 4 이강석을 연기한 배우들 4.1 TV 드라마 5 함께 보기 6 각주 생애[편집] 이강석은 1957년 3월 26일, 이승만의 83세 생일에 맞추어 양자로 입적되었다. 부부였던 이승만과 프란체스카 사이에 소생이 없었다. 이승만에겐 전처인 박승선(朴承善, 1876년 12월 15일 ~ 1911년 6월 13일)과의 사이에 이봉수(李鳳秀, 1896년 4월 17일 ~ 1904년 3월 16일)란 아들이 있었지만, 미국 체류 중에 병사했으며 이승만은 그 죽은 아들을 늘 잊지 못했다고 한다. 아들에 대한 이승만의 집착과 이기붕의 아들인 이강석에 대한 프란체스카의 애정으로 이강석은 이승만의 83세 생일에 맞춰서 양자로 입적된다. 양자 입적 후 이강석과 관련된 추문 역시 들끓었다. 이강석은 서울대 법대를 다녔는데, 학교에서는 이강석의 ‘부정편입’ 문제로 말이 많았다. 서울대 법대생들이 동맹휴학에 돌입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하자, 이강석은 서울대 법대를 중퇴하고 육군사관학교로 재입학하여 14기로 나왔으며, 대한민국 육군 소위로 임관하였다. 이승만의 양자로 입적된 이강석의 권력도 역시 막강했는데, 이를 근거로 대표적인 예가 어느 청년이 이강석을 사칭한 사건인 '가짜 이강석 사건'을 들을 수 있다. 1959년에는 미국 유학, 5월 25일 미국 포트 베닝 (Fort Benning) 보병학교에서 군사 교육을 마치고 귀국했다.[2] 이강석은 수많은 정치테러와 부정선거로 인해 수많은 국민들을 죽게 만들었던 아버지 이기붕을 매우 증오했었다. 1960년 3·15 부정선거에 대해 민중들이 항거한 4·19 혁명으로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 성명을 발표한 지 이틀 뒤인 4월 28일, 경무대에 비서가 쓰던 36호실에서 가장 증오했고 미국으로 도주하려고 했던 아버지 이기붕과 어머니 박마리아와 사랑했던 남동생 이강욱을 권총으로 쏘고 자살했다. 가족 관계[편집] 아버지 : 이기붕 (李起鵬, 1896년 12월 20일 ~ 1960년 4월 28일) 어머니 : 박마리아 (朴瑪利亞, 1906년 4월 19일 ~ 1960년 4월 28일) 누나 : 이강희 (李康姬, 1935년 12월 19일 ~ 1949년 5월 31일) 남동생 : 이강욱 (李康旭, 1940년 5월 26일 ~ 1960년 4월 28일) 학력[편집] 1949년 경기중학교 중퇴 1953년 서울고등학교 졸업 1953년 서울대학교 법학과 중퇴 1958년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14기 1958년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 졸업 1958년 대한민국 육군헌병학교 졸업 1959년 미국 육군보병학교 졸업 이강석을 연기한 배우들[편집] TV 드라마[편집] 길용우 - 1981년 (제1공화국) MBC 드라마 정선일 - 1989년 (제2공화국) MBC 드라마 오대규 - 1989년 (무풍지대) KBS 드라마 손민우 - 1998년 (삼김시대) SBS 드라마 이재현 - 2003년 (야인시대) SBS 드라마 함께 보기[편집] 가짜 이강석 사건 이인수 (1931년 9월 1일 출생, 이강석의 양형.) 각주[편집] ↑ 이기붕 일가 자살 기사를 실은 1960년 4월 29일 동아일보 기사에는 이강석의 나이를 24세로 기재하고 있다. ↑ e-영상역사관 » 대한뉴스 :클립보기 이 글은 군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강석_(군인)&oldid=24271018" 분류: 1937년 태어남1960년 죽음경성부 출신대한민국 육군 소위대한민국의 감리교도전주 이씨효령대군파양자서울고등학교 동문대한민국의 검정고시 통과자육군사관학교 동문육군보병학교 동문육군헌병학교 동문미국 육군보병학교 동문대한민국 제1공화국자살한 군인화기로 자살한 사람가족 살해자이승만이기붕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8년 2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군인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24일 (금) 16:2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강석(李康石, 1937년 2월 5일~1960년 4월 28일)은 대한민국의 육군사관학교를 나온 육군 장교로 이기붕(대한민국 제3대 국방부 장관)의 아들(친장남)이자 이승만(제1·2·3대 대한민국 대통령)의 양자(양삼남)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강석의 사망원인은 무엇일까요? Assistant: 자살했다 Human: 아래 쓰루가오카하치만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쓰루가오카하치만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쓰루가오카하치만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쓰루가오카하치만구 본궁으로 이어지는 참배길 제신 오진 천황히메노카미진구 황후창건 1063년제례 9월 15일주소 일본 가나가와현 가마쿠라 시 유키노시타 2정목 1-31번지 오픈 스트리트 맵에 쓰루가오카하치만구의 지도가 있습니다. 일본 포털 역사 포털 문화유산 포털 쓰루가오카하치만구(일본어: 鶴岡八幡宮 쓰루가오카 하치만구[*]) 또는 쓰루가오카하치만 궁은 일본의 신사 중 하나로, 가나가와현 가마쿠라 시에 있다. 사가미 국의 이치노미야 (제1신사)였다. 지금은 신사본청의 별표신사 중 하나이다. 오진 천황, 히메노카미, 진구 황후를 모시고 있다. 목차 1 역사 2 경내 2.1 잠복 은행나무 3 외부 링크 역사[편집] 고헤이 6년(1063년) 8월, 가와치(河內) 국(지금의 일본 오사카부 하비키노 시)을 본거지로 한 가와치 겐지의 2대 도료(棟梁, 당주)였던 미나모토노 요리요시(源賴義)가 전9년의 역에서 전승을 기원했던 교토(京都)에 있던 이와시미즈 하치만구(石淸水八幡宮)의 호국사(혹은 가와치 겐지 집안의 씨신인 쓰바이 하치만구)를 가마쿠라의 유이노사토(由比鄕) 쓰루가오카(鶴岡)에 쓰루가오카 와카미야(鶴岡若宮)로서 권청한 것이 처음이다. 에이호(永保) 원년(1081년) 2월에는 3대 도료인 미나모토노 요시이에(源義家)가 이곳을 수리했는데, 특히 요시이에는 이와시미즈 하치만구에서 관례를 올리고 스스로를 하치만타로(八幡太郞) 요시이에라 칭한 것으로 유명하다. 지쇼4년(1180년) 10월, 헤이케 타도의 군사를 일으켜 가마쿠라로 들어온 가와치 겐지의 후예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는 이 달 12일, 신궁을 현재의 위치인 고바야시노사토(小林鄕) 기타야마(北山)로 옮긴다. 이후 이 신전을 중심으로 훗날 막부의 중추가 될 시설들이 정비되어 갔다. 겐큐 2년(1191년)에 신전이 화재로 불탄 뒤에는 상·하 양궁 체제로서 거듭 이와시미즈 하치만구의 호국사를 권청했다. 죠겐(承元) 2년(1208년)에는 신궁사(神宮寺)가 지어진다.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가마쿠라 막부를 열게 된 뒤, 미나모토노 요시이에의 권청으로 이루어졌다는 연고도 있었기에 일본의 무사 집안들로부터 숭배와 경외의 대상이 되었지만, 가마쿠라 막부가 쇠퇴한 뒤에는 승방의 수도 감소하는 등 쇠퇴했고, 센고쿠 시대에는 사토미(里見) 집안이 불을 지르기도 했는데(쓰루가오카 하치만구 전투), 호조 우지쓰나가 다시 일으켰다. 에도 시대에는 에도 막부의 비호를 받아 규모가 더욱 넓어졌는데, 인왕문, 관음당, 법화당 등 불교적인 이름이 붙은 당우가 건립되었고, 3대 쇼군 이에미쓰(家光)의 치세에는 약사당, 종루, 누문 등도 지어졌다. 또 경내에는 넓이 다섯 간 되는 다보대탑이나 동조궁(東照宮)도 존재했다. 에도 막부가 무너지고, 1868년 3월 13일에 신정부는 신사의 신주(神主)를 겸하고 있는 승려들에 대한 환속 명령을 내렸으며, 1870년에 대교선포(大敎宣布)로 신도가 국교로 지정되면서, 쓰루가오카 하치만궁에 대해서도 이른바 '폐불훼석' 운동이 시작되었다. 에도 시대 이래의 다보대탑 등의 불당은 파괴되고 불상이나 불구(佛具), 경전 등도 파괴되고 소각처분되거나 뿔뿔이 흩어져, 일부는 현재 가마쿠라 내의 주후쿠 사(壽福寺), 센소 사(淺草寺), 후몬인(普門院) 등의 절과 고토(五島) 미술관, 도쿄 국립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가까스로 남아있던 불당도 화재로 소실되고, 지금은 외국인 관광객이 촬영한 사진이나 스케치로만 남아 있다. 경내[편집] 쓰루가오카 하치만구의 본궁(本宮, 상궁上宮)은 에도 시대인 분세이(文政) 11년(1828년)에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徳川家斉)에 의해 재건된 것으로 일본의 중요문화재이다. 61개의 커다란 돌계단을 올라 사쿠라다몬(桜門)을 지나서 깊숙이 위치한 배전(拝殿)에서 본전으로 이어진다. 계단 밑에도 무전(舞殿)이 있는데 「하배전(下拝殿)」이라 불리는 곳으로 앞면에 있는 건축물은 21세기에 들어 증축된 것이며 당초에는 붉은칠이 없이 새하얗게 되어 있었다.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요구로 춤을 추게 된 시즈카 고젠(静御前)이 요리토모의 면전에서 미나모토노 요시쓰네(源義経)를 사모하는 노래를 불렀다는 일화가 유명한데, 물론 당시에는 오늘날과 같은 무전이 없었고, 와카미야(若宮) 사전(社殿)의 회랑에서 춤을 추었다고 한다. “ 吉野山 峰の白雪 ふみわけて 入りにし人の 跡ぞ恋しきしづやしづ しづのをだまき くり返し 昔を今に なすよしもがな요시노 산봉우리 흰 눈을 헤치고 들어가신 그대 발자취를 따르고 싶어라. 시즈여 시즈 하시던 그때로 시간을 돌릴 수 있다면 좋으련만 ” 요리토모는 이에 몹시 격노했지만, 옆에 있던 호조 마사코는 유인(流人) 시절 요리토모와의 힘든 만남을 가지던 때와 그가 헤이케 타도를 외치며 거병했을 때의 불안했던 나날들을 말하며 "그때의 제 심정이 지금의 시즈카와 같습니다. 요시쓰네로부터 여러 해에 걸쳐 받아온 사랑을 잊고, 연모하지 않는다면 정결한 여인이라 할 수 없겠지요. 내가 저 자리에 있었어도 지금과 똑같이 노래했을 겁니다." 라며 요리토모를 달랬고 요리토모는 이에 노염을 거두고 시즈카에게 상을 내렸다고 한다. 또한 경내에는 「겐페이노이케(源平池)」라는, 호조 마사코(北条政子)가 팠다는 전설이 있는 연못이 있는데, 겐지노이케(源氏池)에는 인공섬이 세 개, 헤이케노이케(平家池)에는 4개의 인공섬이 조성되어 있어 각자 태어나고 죽는 인간의 일생을 의미한다. 겐지노이케의 인공섬의 경우는 섬 안에 기상변천사(旗上弁天社)라는 신사가 있다. 겐페이노이케에는 돌다리가 있는데, 「태고교(太鼓橋)」라 불리는 것으로 원래는 나무로 만들어져 붉은색을 입히고 「적교(赤橋)」라 불렸다. 호조 씨의 방계인 아카바시(赤橋) 집안의 묘지(苗字)는 이 다리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예전에는 다리로의 출입이 가능했고 다리 위에서 기념촬영을 할 수도 있었지만 오늘날에는 울타리로 막혀 있다. 잠복 은행나무[편집] 겐포(建保) 7년(1219년) 1월 27일 2대 쇼군 미나모토노 요리이에의 아들로 하치만구 벳토였던 구교(公暁)가 사네토모를 암살할 때 숨어있었다는, 잠복 은행나무(隠れ銀杏)라는 별명이 붙은 거대한 은행나무가 쓰루가오카 하치만구 본전 입구 앞에 서 있었다. 이 전설이 널리 퍼지게 된 것은 에도 시대(江戸時代)에 들어서였고, 당대의 사료에는 전하지 않는 이야기로써 수령 8백 년에서 천 년 정도 되는 나무의 수령으로 미루어 가마쿠라 초기에는 사람이 숨어 있을 정도로 굵지는 않았다는 주장도 있어 진위를 가릴 수 없다. 구교가 숨은 것은 이 나무의 선대 나무이고 에도 시대에 잠복 은행나무로 알려진 나무는 2대째로 실제 잠복 은행나무의 아들뻘 되는 나무라고 해석하는 설도 있었다. 잠복 은행나무는 1955년부터 가나가와 현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쓰루가오카 하치만구의 심벌 비슷한 존재로써 자리잡았으나, 2010년 3월 10일 4시 40분경 가마쿠라 시에 불었던 강풍으로 은행나무는 뿌리째 뽑혀 쓰러져 버렸다. 쓰러진 나무는 세 부분으로 나뉘어 3월 15일 뿌리부터 높이 4미터까지에 해당하는 부분을 원래 있던 장소에서 7미터 떨어진 곳으로 옮겨 심었다. 나머지 두 부분은 하치만구 경내에 보존되었다. 옮겨 심은 부분에서는 다시 싹이 돋아난 것이 확인되었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와 분류가 있습니다. 쓰루가오카하치만구 (분류) 좌표: 북위 35° 19′ 29″ 동경 139° 33′ 21″ / 북위 35.32472° 동경 139.55583°  / 35.32472; 139.55583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38368232 LCCN: n80008779 NDL: 00554038 CiNii: DA0609228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쓰루가오카하치만구&oldid=23246422" 분류: 가나가와현의 신사가마쿠라시의 건축물가나가와현의 중요문화재일본의 사적일본의 국보 (공예품)가마쿠라 시대의 건축무로마치 시대의 건축에도 시대의 건축사가미국1191년 완공된 건축물1828년 완공된 건축물가마쿠라시의 역사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FrançaisItaliano日本語Português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11일 (화) 21:3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쓰루가오카하치만구(일본어: 鶴岡八幡宮 쓰루가오카 하치만구[*]) 또는 쓰루가오카하치만 궁은 일본의 신사 중 하나로, 가나가와현 가마쿠라시에 있다. 사가미국의 이치노미야 (제1신사)였다. 지금은 신사본청의 별표신사 중 하나이다. 오진 천황, 히메노카미, 진구 황후를 모시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겐포 7년은 서기 몇 년이니? Assistant: 1219년
Human: 아래 애비_웜백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애비 웜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애비 웜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애비 웜백 애비 웜백 (2011년 9월)개인 정보전체 이름 Mary Abigail Wambach출생일 1980년 6월 2일(1980-06-02) (39세)출생지 미국 뉴욕주 로체스터키 180cm포지션 공격수청소년 클럽 기록1994–19981995–19971998–2001 아워 레이디 오브 머시 고등학교로체스터 스피릿플로리다 대학교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2002–20032009–201020112013–2014 워싱턴 프리덤워싱턴 프리덤매직잭웨스턴 뉴욕 플래시 0036 00(23)0039 00(21)0011 000(9)0029 00(17)국가대표팀 기록‡2001–2015 미국 0255 0(184)지도자 기록2011 매직잭 (선수 겸 코치)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15년 11월 13일 기준이다.‡ 국가대표팀의 출장수와 골은 2015년 12월 17일 기준이다. 메달 기록 미국의 선수 여자 축구 올림픽 금 2004 아테네 여자 축구 금 2012 런던 여자 축구 메리 애비게일 "애비" 웜백(영어: Mary Abigail "Abby" Wambach, 1980년 6월 2일 ~ )은 미국의 전직 여자 축구 선수로 선수 시절 포지션은 공격수이다. 목차 1 경력 1.1 초기 경력과 대학 1.2 클럽 1.3 국가대표 2 사생활 3 외부 링크 경력[편집] 초기 경력과 대학[편집] 뉴욕주 로체스터 출신이다. 4세 때부터 축구를 시작했으며 3경기에서 27득점을 기록한 경력 때문에 한때는 여자 팀에서 남자 팀으로 옮겨가기도 했다. 뉴욕 주 로체스터에 있는 가톨릭계 사립 고등학교인 아워 레이디 오브 머시 고등학교(Our Lady of Mercy High School)에 진학한 뒤부터는 축구 뿐만 아니라 농구 선수로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고등학교 재학 중이던 1997년 당시에는 34경기에 142득점을 기록했고 같은 해에 미국 축구 지도차 협회(National Soccer Coaches Association of America, NSCAA)로부터 올해의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1998년부터 2001년까지 플로리다 대학교 소속 여자 대학 축구 팀인 플로리다 게이터스(Florida Gators)에서 뛰는 동안 전미 대학 체육 협회(NCAA, National Collegiate Athletic Association) 여자 대학 축구 선수권 대회 1회 우승(1998년), 사우스이스턴 콘퍼런스(Southeastern Conference, SEC) 4회 연속 우승(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을 경험했으며 통산 96득점, 도움 49개, 242포인트, 결승골 24득점, 해트트릭 10회를 기록했다. 그 밖에 전(全) 미국(All-American) 올해의 신인 선수(1998년), SEC 올해의 신인 선수(1998년), SEC 올해의 선수(2000년, 2001년), SEC 토너먼트 최우수 선수(2000년, 2001년)로 선정되었고 4년 연속 SEC 올해의 선발 대표 명단(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3년 연속 전(全) 미국 선발 대표 명단(1999년, 2000년, 2001년)에 포함되었다. 클럽[편집] 2002년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WUSA, Women's United Soccer Association) 드래프트 선수로 지명되어 워싱턴 프리덤(Washington Freedom)에 입단했다. 2003년 파운더스 컵(Founders Cup,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의 우승 팀 결정전)에서 팀 동료인 미아 햄과 함께 워싱턴 프리덤의 우승에 공헌했으며 대회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2009년 새로 창설된 여자 프로 축구 리그인 미국 여자 프로 축구(WPS, Women's Professional Soccer) 소속 클럽인 워싱턴 프리덤에서 뛰었다. 2009년 시즌에서 8득점, 도움 5개를 기록했으며 2010년 시즌에서는 13득점, 도움 8개를 기록했다. 2011년 새로운 스폰서가 들어서면서 팀 이름이 매직잭(magicJack)으로 변경되었고 연고지 또한 워싱턴 D.C.에서 플로리다주 보카러톤으로 이전했다. 2011년 7월 22일부터 10월 26일까지 선수 겸 코치를 역임했다. 2013년 1월 11일 내셔널 우먼스 사커 리그(National Women's Soccer League) 소속 클럽인 웨스턴 뉴욕 플래시(Western New York Flash)로 이적했다. 국가대표[편집] 2003년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에서의 활약을 인정받아 미국 여자 축구 대표팀에 소집되었다.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 노르웨이와의 8강전 경기에서 결승골을 기록하여 미국의 준결승 진출을 이끌었고 미국이 3위를 차지하는 데에 공헌했다. 2004년 아테네 하계 올림픽에서 브라질과의 결승전에서 헤딩 결승골을 기록하여 미국의 올림픽 여자 축구 금메달을 이끌었다. 2007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 6경기에 출전하여 6득점을 기록했으며 미국이 3위를 차지하는 데에 공헌했다. 2008년 베이징 하계 올림픽에서는 미국 여자 축구 대표팀 명단에 포함되었지만 대회 개막 직전에 일어난 경기에서 왼발 골절상을 입는 바람에 참가하지 못했다.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 조별 예선 3경기(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콜롬비아, 스웨덴)에 선발 출전했지만 스웨덴과의 조별 예선 경기에서 1득점을 기록하는 데에 그쳤다. 브라질과의 8강전 경기(미국은 연장전까지 2-2 동점을 기록한 뒤 승부차기에서 5-3 승리를 기록함)에서 연장 후반전 추가 시간에 동점골을 기록했으며 프랑스와의 준결승전(미국은 프랑스에 3-1 승리를 기록함)에서 결승골을 기록했다. 일본과의 결승전(미국은 연장전까지 2-2 동점을 기록한 뒤 승부차기에서 1-3 패배를 기록함)에서도 연장 전반전에 득점을 기록했지만 미국은 승부차기에서 일본에 패하고 만다. 그렇지만 그는 대회 실버볼(Silver Ball)과 브론즈붓(Bronze Boot)을 수상하게 된다. 2012년 런던 하계 올림픽에서 미국의 올림픽 여자 축구 금메달을 이끌었으며 2012년 FIFA 올해의 여자 선수로 선정되었다. 2013년 6월 20일에 열린 대한민국과의 친선 경기에서 4득점을 기록하면서 미아 햄(158득점)이 보유하고 있던 미국 여자 축구 대표팀 최다 득점 기록을 갱신했다. 2014년 8월 24일 기준으로 222경기에 출전하여 168득점을 기록했는데 이 기록은 남녀 축구 선수를 모두 포함해서 세계에서 가장 많은 국가대표팀 득점 기록이다.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는 미국의 세 번째 우승에 공헌했다. 사생활[편집] 2013년 10월 5일 하와이주에서 자신의 오랜 친구였던 세라 허프먼(Sarah Huffman)과 동성결혼을 했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애비 웜백 애비 웜백 공식 홈페이지 애비 웜백 FIFA 주관 대회 기록 - 국제축구연맹 (영어) 애비 웜백 - 페이스북 애비 웜백 - 트위터 vdehFIFA 올해의 여자 선수FIFA 올해의 여자 선수2000년대 2001: 햄 2002: 햄 2003: 프린츠 2004: 프린츠 2005: 프린츠 2006: 마르타 2007: 마르타 2008: 마르타 2009: 마르타 2010년대 2010: 마르타 2011: 사와 2012: 웜백 2013: 앙거러 2014: 케슬러 2015: 로이드 더 베스트 FIFA 풋볼 어워드 여자 베스트 선수2010년대 2016: 로이드 2017: 마르턴스 2018: 마르타 vdeh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우승 (3회) 1 솔로 2 르루 3 램폰 (주장) 4 사워브런 5 오하라 6 엥전 7 복스 8 로드리게스 9 오라일리 10 로이드 11 크리저 12 홀리데이 13 모건 14 브라이언 15 래피노 16 챌러프니 17 히스 18 해리스 19 어츠 20 웜백 21 네이허 22 클링전버그 23 프레스 감독: 엘리스 전거 통제 WorldCat VIAF: 4382140 LCCN: n200704168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애비_웜백&oldid=24389298" 분류: 1980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미국의 여자 축구 선수2003년 FIFA 여자 월드컵 참가 선수2007년 FIFA 여자 월드컵 참가 선수2011년 FIFA 여자 월드컵 참가 선수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참가 선수미국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미국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올림픽 축구 메달리스트여자 축구 공격수FIFA 센추리 클럽FIFA 올해의 선수 수상자2004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2012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로체스터 (뉴욕주) 출신독일계 미국인아일랜드계 미국인미국의 성소수자 인물성소수자 스포츠인레즈비언 스포츠인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বাংলা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atviešuMalagasyनेपालीNederlandsNorskਪੰਜਾਬੀPolskiپنجابی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6일 (목) 18: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메리 애비게일 "애비" 웜백(영어: Mary Abigail "Abby" Wambach, 1980년 6월 2일 ~ )은 미국의 전직 여자 축구 선수로 선수 시절 포지션은 공격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프로 입단 전까지 애비 웜백의 축구 경력은 어느 정도였습니까? Assistant: 뉴욕주 로체스터 출신이다. 4세 때부터 축구를 시작했으며 3경기에서 27득점을 기록한 경력 때문에 한때는 여자 팀에서 남자 팀으로 옮겨가기도 했다. 뉴욕 주 로체스터에 있는 가톨릭계 사립 고등학교인 아워 레이디 오브 머시 고등학교(Our Lady of Mercy High School)에 진학한 뒤부터는 축구 뿐만 아니라 농구 선수로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고등학교 재학 중이던 1997년 당시에는 34경기에 142득점을 기록했고 같은 해에 미국 축구 지도차 협회(National Soccer Coaches Association of America, NSCAA)로부터 올해의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1998년부터 2001년까지 플로리다 대학교 소속 여자 대학 축구 팀인 플로리다 게이터스(Florida Gators)에서 뛰는 동안 전미 대학 체육 협회(NCAA, National Collegiate Athletic Association) 여자 대학 축구 선수권 대회 1회 우승(1998년), 사우스이스턴 콘퍼런스(Southeastern Conference, SEC) 4회 연속 우승(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을 경험했으며 통산 96득점, 도움 49개, 242포인트, 결승골 24득점, 해트트릭 10회를 기록했다. 그 밖에 전(全) 미국(All-American) 올해의 신인 선수(1998년), SEC 올해의 신인 선수(1998년), SEC 올해의 선수(2000년, 2001년), SEC 토너먼트 최우수 선수(2000년, 2001년)로 선정되었고 4년 연속 SEC 올해의 선발 대표 명단(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3년 연속 전(全) 미국 선발 대표 명단(1999년, 2000년, 2001년)에 포함되었다. Human: 아래 경인여자대학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경인여자대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경인여자대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경인여자대학교Kyung-in Women's University표어 정의·사랑·진리·창조 종류 사립설립 1992년총장 류화선학교법인 태양학원학생 수 5,000여 명 (2015년)[1]국가 대한민국위치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양산로 63 (계산2동 548-4)상징물 진달래, 소나무, 비둘기웹사이트 http://www.kiwu.ac.kr/ 경인여자대학교 전경 경인여자대학교(敬仁女子大學校)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계양구에 있는 여자 전문대학이다. 목차 1 학훈 2 교육지표 3 연혁 4 학과안내 (2014학년도 신설학과 포함) 5 각주 학훈[편집] 정의, 사랑, 진리, 창조 교육지표[편집] 경천애인 교육 전문직업 교육 민족통일 교육 세계시민 교육 애국애족 교육 연혁[편집] 1990년 12월 27일 : 학교법인 태양학원 설립인가 1991년 11월 30일 : 경인여자전문대학 설립인가 1992년 3월 2일 : 경인여자전문대학 개교 1992년 10월 6일 : 학과 증과 (비서행정과(야간), 전자편집디자인과(주간), 산업안전위생과(야간)) 1993년 9월 16일 : 학과 증원 (전자계산과(야간), 전자편집디자인과(야간), 환경공업과(야간), 세무회계과(야간), 유아교육과 증과 1994년 9월 3일 : 간호과 증과, 학과 증원(유아교육과(주간), 전자편집디자인과(야간), 사무자동화과(야간)) 1995년 1월 5일 : 경인여자전문대학 부설 사회교육원 설립인가 1995년 1월 18일 : 경인여자전문대학 부속 유치원 설립인가 1995년 7월 28일 : 경인여자전문대학 부설 사회교육원 증과, 증원 1995년 10월 12일 : 사회체육과(주간) 증과, 학과 증원(간호과, 유아교육과(야간)) 1996년 10월 4일 : 산업환경연구소 개소 1996년 10월 21일 : 전자계산과를 전산정보과로 명칭 변경, 학과 증원 (무역실무과9주간), 실무영어과(주간), 비서행정과(주간)) 1997년 4월 10일 : 경인여자전문대학 체육관 기공식 1997년 4월 25일 : 경인여자전문대학 LAN 개통식 1997년 10월 21일 : 멀티미디어 교육 연구소 설립 1997년 11월 27일 : 학과 증원 (사회체육과(야간), 산업안전위생과(주간)), 학과 감원 (환경공업과 (야간)) 1998년 5월 1일 : 경인여자대학으로 교명 변경 1998년 10월 30일 : 스포토피아 완공 1998년 11월 19일 : 학부제 인가 (멀티미디어정보전산학부, 산업ㆍ환경공학부, 컴퓨터정보디자인학부), 학과 명칭 변경 (실무영어과 → 관광영어과) 1999년 5월 12일 : 디자인연구소 설립 1999년 11월 15일 : 학과 증과 (피부미용과), 학부제 인가 (관광학부) 2000년 7월 14일 : 교육부 관선이사 파견 2001년 10월 9일 : 학부(과) 명칭 변경, 3년제 인가 내역 멀티미디어정보전산학부 → 컴퓨터정보기술학부 컴퓨터정보디자인학부 → 디지털미디어디자인학부 사회체육과 → 레저스포츠과 2개 학부(과) 3년제 인가 : 컴퓨터정보기술학부, 유아교육과 2004년 3월 8일 : 국제교육센터 개소 2004년 10월 7일 : 학부(과) 명칭 변경, 인원 조정 내역 컴퓨터정보기술학부 → 컴퓨터정보학부 산업ㆍ환경공학부 → 환경보건과 인원 감원 : 환경보건과(야간) 인원 증원 : 피부미용과(야간) 2005년 11월 30일 : 학부(과) 명칭 변경, 인원 조정 내역 학과 증과 : 부동산컨설팅과 컴퓨터정보학부 멀티미디어응용전공 → 멀티미디어영상전공 전산정보전공 → 전산커뮤니티전공 무역실무과 → 무역과 관광학부 관광전공 → 항공ㆍ관광전공 관광특수산업전공 → 이벤트ㆍ카지노전공 관광통역전공 → 관광영어통역전공 인원 감원 : 컴퓨터정보학부(야간), 환경보건과(야간), 디지털미디어디자인학부(야간), 비서행정과(야간) 인원 증원 : 관광학부(주간), 비서행정과(주간) 2006년 2월 27일 : 학생종합서비스센터, 취업지원센터 설치 2009년 3월 2일 : 학부(과) 명칭 변경 내역 환경보건과 → 환경보건학부 (환경복지전공, 보건관리전공) 디지털미디어디자인학부 → 디자인학부 영상애니메이션디자인전공 → 멀티미디어디자인전공 2010년 3월 2일 : 학부제 폐지, 전공별 모집에서 학과별 모집으로 변경 내역 정보미디어학부 → 학부제 폐지, 전공별 모집에서 학과로 변경 영상방송정보전공 → 영상방송정보과(3년제) e-비지니스전공 → e-비지니스과(3년제) 정보처리응용전공 → 정보미디어과(3년제) 환경보건학부 → 학부제 폐지, 전공별 모집에서 학과로 변경 환경복지전공 → 환경보건과 보건관리전공 → 보건의료관리과 관광학부 → 학부제 폐지, 전공별 모집에서 학과로 변경 항공 ․ 관광전공 → 항공관광과 호텔경영전공 → 호텔경영과 카지노·이벤트전공 관광영어전공 → 관광영어과 관광일본어전공 → 관광일본어과 디자인학부 → 전공제 폐지 멀티미디어디자인전공 커뮤니케이션디자인전공 뉴미디어디자인전공→*광고영상디자인과(3년제) 패션·문화디자인과(3년제) 아동미술과 시각디자인과 학과 신설 : 경영과(주간), 사회복지과(주간), 식품영양조리과, 아동보육과, 방송연예과(주간) 2011년 3월 2일 : 학부(과) 명칭 변경 (환경보건과 → 보건환경과, 식품영양조리과 → 식품영양과) 2012년 2월 14일 : 20주년 기념관 신축공사 착공 2012년 3월 2일 : 학부(과) 명칭 변경, 인원 조정 내역 e-비지니스과 → e-비즈니스과 무역과 → 국제무역통상과 아동미술과(주간) 3년제 전환 학과 폐지 : 비서행정과(야간), 정보미디어과 (3년) 학과 신설 : 호텔경영과(야간), 사회복지과(야간), IT기업연계특성화과(주간), 쟈끄데상쥬 헤어과(주간), 차이나비즈니스과(주간) 2012년 4월 6일 : 경인여자대학교로 교명 변경 2012년 5월 3일 : EGG Creative Design 학교기업 설치 2013년 7월 2일 : 학부(과) 명칭 변경, 인원 조정 내역 e-비지니스과 → e-비즈니스과 IT기업연계특성화과(주간) → IT기업연계과(주간) 학과 폐지 : 부동산경영과(주간), 방송연예과(주간) 학과 신설 : 금융서비스과(주간), KWPPA 웨딩플래너과(주간), 실용음악과(주간) 2013년 8월 28일 : 2015학년도 전문대학 수업연한 4년제 간호과 지정 2013년 12월 4일 :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인가 (간호학과(야간), 유아교육학과(야간), 무역학과(야간), 경영학과(야간), 항공관광학과(야간)) 2014년 2월 28일 : 학부(과) 명칭 변경, 인원 조정 내역 영상방송정보과 → 영상방송과 IT기업연계과 → 스마트미디어과 호텔경영과 → 호텔&카지노과 쟈끄데상쥬 헤어과 → I Belle 헤어과 레저스포츠과 → 아동체육과 학과 폐지 : 영상방송정보과(야간), 항공관광과(야간), 호텔경영과(야간), 관광일본어과(야간), 식품영양과(야간), 세무회계과(야간) 2014년 11월 28일 :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인가 (비서행정학과(야간), 세무회계학과(야간), 식품영양학과(야간)) 2015년 2월 28일 : 학부(과) 명칭 변경, 인원 조정 내역 광고영상디자인과 → 광고디자인과 국제무역통상과 → 국제무역과 간호과 (3년제) → 간호학과 (4년제) 학과 폐지 : e-비즈니스과(주간), 관광영어과(주간), 관광일본어과(주간), 시각디자인과(주간) 2015년 12월 7일 :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인가 (영상방송학과(야간), 호텔&카지노학과(야간)) 2016년 12월 5일 :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인가 (광고디자인학과, 보건환경학과) 2017년 2월 28일 : 금융서비스과를 금융비즈니스과로 학과 명칭 변경 2018년 2월 28일 : 학과 명칭 변경 내역 스마트미디어과 → 스마트IT과 아동체육과 → 아동건강보육과 아동미술과 → 아동미술보육과 차이나비즈니스과 → 글로벌비즈니스과 2018년 : 교육부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결과 역량강화대학 선정 및 조건부 일반재정지원[2] 학과안내 (2014학년도 신설학과 포함)[편집] 환경보건학부, 세무회계과, 무역과, 비서행정과, 유아교육과 정보미디어학부 : 영상방송정보전공, 정보처리응용전공 디자인학부 : 뉴미디어 디자인전공, 영상애니메이션 디자인전공,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전공 관광학부 : 항공·관광전공, 관광영어전공, 호텔&카지노전공, 관광일본어전공, 관광경영전공 간호학, 경영과즈 피부미용과, 경영과 201굥양 신설학과 : 사회복지과, 방송연예과, 경영과, 식품영양조리과, 아동보육과, 아동미술과 2010학년도 명칭변경학과 : 디자인학부 - 광고영상디자인과, 패션·문화디자인과, 시각디자인과 2014학년도 계약학과 개설 : 피부미용과(주) 2014학년도 산업체위탁반 개설 : 식품영양과(야) 2014학년도 명칭변경학과 : 영상방송정보과 - 영상방송과, IT기업연계과 - 스마트미디어과, 호텔경영과 - 호텔&카지노과, 쟈끄데상쥬 헤어과 - I Belle 헤어과, 레저스포츠과 - 아동체육과 2014학년도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개설 : 비서행정학과, 세무회계학과, 식품영양학과 각주[편집] ↑ 대학개별공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2018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결과(전문대학), 연합뉴스, 2018년 8월 23일 작성. vdeh 인천광역시의 대학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국립 경인교육대학교 (인천캠퍼스) 인천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인천지역대학) 사립 가천대학교 (메디컬캠퍼스) 안양대학교 (강화캠퍼스)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인천가톨릭대학교 인하대학교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전문대학 경인여자대학교 인천재능대학교 인하공업전문대학 한국폴리텍Ⅱ대학 (인천캠퍼스) 대학원대학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주안대학원대학교 외국계대학 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유타대학교 (아시아캠퍼스) 조지메이슨대학교 (송도캠퍼스) 한국뉴욕주립대학교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vdeh대한민국의 여자대학일반대학 광주여자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전문대학 경인여자대학교 배화여자대학교 부산여자대학교 서울여자간호대학교 수원여자대학교 숭의여자대학교 한양여자대학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경인여자대학교&oldid=24512137" 분류: 1992년 개교인천광역시의 전문대학인천 계양구의 학교대한민국의 여자 대학설립자 백창기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7월 2일 (화) 04: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경인여자대학교(敬仁女子大學校, Kyung-in Women's University)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계양구에 위치한 사립 여자 전문대학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경인여자대학교에서 비서행정학과는 몇 년도에 개설되었는가? Assistant: 2014
Human: 아래 문국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문국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문국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글의 정확성과 사실 여부에 대해 논란이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0년 2월 18일) 문국현기본 정보국적 대한민국출생 1949년 1월 12일(1949-01-12) (70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성북동(現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본관 남평학력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 MBA경력 유한킴벌리 대표이사 사장KT 사외이사창조한국당 대표최고위원선진과 창조의 모임 원내대표김광수경제연구소 고문뉴 패러다임 인스티튜트 대표이사부모 아버지 문성규, 어머니 임현정형제 4남 2녀 중 넷째 배우자 박수애자녀 슬하 2녀군복무 육군중위 전역종교 천주교 (세례명 : 바오로)의원 선수 1의원 대수 18정당 무소속지역구 前 서울 은평구 을 문국현(文國現, 1949년 1월 12일 ~ )은 대한민국의 기업인이자 정치인이다. 목차 1 학력 2 이력 2.1 유한 킴벌리 2.2 시민사회 활동 2.3 2007년 대선 출마 2.3.1 대선 공약 2.3.2 개헌 공약 3 정치적 지지층 4 의정 활동 5 정치적 입장 5.1 이명박 정부의 탄압 주장 6 역대 선거 결과 7 저서 8 주요 수상 9 각주 10 외부 링크 학력[편집] 1961년 서울돈암국민학교 졸업 1964년 동성중학교 졸업 1967년 중동고등학교 졸업 1971년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학·경영학 학사 1972년 육군보병학교 졸업 1977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제경영학 석사 1984년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석사 이력[편집] 3번의 학력고사 도전 후 1967년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과에 합격 (경영학 복수전공), 육군 학군장교(ROTC)로 임관때 국방부장관상을 수상했다. 병기 장교의 보직을 받고 통역장교로 선발되어 군 교범을 한글로 번역하는 일 등의 업무를 수행했다.[1] 베트남 전쟁에도 잠시 참전[출처 필요]한 그는 육군 중위로 만기 전역했다. 대학교 4학년 때 유한양행의 창업자인 유일한의 전 재산 사회 환원 사실을 알게 된 후 유일한 박사를 평생동안 존경하는 인물로 삼았다고 밝혔다.[출처 필요] 이러한 영향으로 전역 후 1974년 유한킴벌리에 입사하게 됐다. 1977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회사에서는 전산실장을 맡아 당시 한국에 초기이던 전산시스템을 도입했다. 1984년에는 회사에서 안식년을 받아 미국과 오스트레일리아를 둘러보았으며 이때의 경험으로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라는 유한킴벌리의 환경보호운동을 시작했다. 1995년에는 대표이사 사장에 취임했고 2003년에는 킴벌리클라크 북아시아 총괄 사장까지 겸하게 됐다. 유한 킴벌리[편집] 환경운동 1984년부터 시작한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 운동을 주도하여 생태 환경 보전 및 교육활동을 했다. 매출액의 0.1%~0.5%를 투자하는 이 운동은 나무심기와 숲가꾸기를 주로하며 북한 숲 조성활동이나 몽골 사막화지역 나무심기 등도 지원했다. IMF 위기의 극복 1997년 IMF 외환위기 당시 공장가동률이 절반대로 떨어지는 위기 상황이 닥쳤으나 대량해고 대신 3조2교대의 근무일정을 4조2교대로 하여 4일을 일하고 4일을 쉬는 정책을 취했다. 이는 고용 증대 효과를 불러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근로자들의 생산성이 향상되어 불량률이 떨어지고 시장점유율이 높아지는 장점까지 수반됐다. 이 때문에 킴벌리 클라크의 대표가 문국현을 극찬하기도 했다.[출처 필요] 최근 활동 "지속가능경영"을 도입하여 2006년부터 지속 가능성 보고서를 냈다.[2] 2006년에만 매출액 약 7.7%성장 순이익률 10.9%의 성장을 하는 가운데 지역사회에 총 112.5억원을 투자했다.[출처 필요] 2007년 3월 2일에는 경기도 기흥에 킴벌리클라크의 글로벌 R&D센타를 유치했다. 2007년 3월 8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천을 목표로 하는 UN 글로벌 콤팩트에 가입했다. 시민사회 활동[편집] 1995년 환경정의 이사 1996년 유엔환경개발기구 (UNEP) 한국위원회 이사 2005년 평생학습클럽 공동회장 (뉴패러다임센터) 2007년 대선 출마[편집] 2007년 8월 23일, 유한킴벌리 대표이사 사장, 킴벌리클락 동아시아 총괄사장직 그리고 KT 사외이사직을 사임하고, 200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 출마 선언을 했다.[3] 10월 30일 창조한국당을 창당하고 이용경 전 KT사장, 이정자 녹색구매네트워크 상임대표와 함께 공동대표가 됐으며 11월 4일 대선 후보로 추대됐다. 11월 18일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가 정책연합을 통한 단일화를 제안한 데 대해 11월 20일 문국현 후보가 "실정한 사람들과 단일화를 할 수 없다"며 "정 후보에게 국민에 대한 사과와 함께 후보 사퇴를 공식적으로 요청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단일화 문제를 토론할 수 있다"며 "정권 연장 차원의 단일화가 아닌 정권교체, 시대교체 차원의 후보 단일화가 필요하다"고 밝혀 협의 가능성은 남겨뒀다.[4] 11월 25일 대통합민주신당 유시민 의원의 자신에 대한 비판에 관련해 "유시민 의원이 그간 보여온 정동영 후보에 대한 태도와 발언에 비춰 볼 때 정 후보 지지야 말로 완벽한 자기부정"이라며 "2004년, 열린우리당이 과반의 의석을 얻고 바로 시작된 이른바 '실용, 개혁' 논쟁부터 최근의 대통합민주신당의 경선 과정까지 참여정부 기간 거의 대부분을 유 의원은 정동영 후보를 인정한 적이 단 한 번도 없는 사람"이라고 말했다. 그는 "유 의원이 참여정부의 관점에서 매사를 해석하려 하는 걸 이해하지 못하는 건 아니나 일관성은 가져야 한다. 그래야 설득력이 생긴다"며 "매 시기 자신의 정치적 고향을 이해관계에 따라 부정하고 인정하며 줄다리기 하는 정치 말고, 당당하게 평가할 건 평가하고 비판할 건 비판하는 정치야말로 유 의원이 늘 주장하던 참정치가 아닐까 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 같은 당을 하고 있는 140명 의원들의 면면을 보라"며 "참여정부 임기 내내 대통령과 정부를 부정한 사람들이 절반을 넘어 거의 70 내지 80%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그런 당에 몸담고 있는 유 의원이야말로 자기부정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5] 2007년 12월 19일에 있었던 대선에서 1,375,478의 표와 5.8%의 득표율을 얻어 4위에 그쳤다. 대선 공약[편집] 문국현 솔루션[6] 이라는 대선 공약을 발표했다. 일자리 500만개 근로조건과 삶의 질을 개선 토지 공개념 강화 중소기업 지원 강화 남북 경제공동체 엄정한 법치주의 고용안정 공교육 강화 평생 학습사회 사회투자형 복지 개헌 공약[편집] 문국현은 11월 4일 창조한국당 대표 수락연설에서 다음과 같은 개헌 공약을 내걸었다. 대통령 4년 중임제 대통령 결선 투표제 정당명부식 비례 대표제 정.부통령제 정치적 지지층[편집] 환경운동연합,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 시민사회단체 출신의 사람들이 핵심 지지층으로 알려져 있다. 김재현 건국대학교 교수, 홍종학 경원대학교 교수(MBC라디오 프로그램 '손에 잡히는 경제'의 진행자)등이다. 전 서울시장인 오세훈과는 친하며 많은 부분 정책을 공감하지만 공식적으로 지지를 표명하지 않았다. 한편 방송, 신문 등의 미디어에서는 한국의 젊은 인터넷 사용자들 사이에서 문국현을 지지하는 이들이 많아보였으나 실제 지지율은 그에 크게 못미쳤다.[7] 통합민주당의 천정배 의원과 정책적으로 연대한다고 발표했다. 의정 활동[편집] 2007년 10월 30일 : 창조한국당 창당 (공동대표 : 문국현, 이용경, 이정자) 2007년 : 창조한국당 17대 대통령 후보 2008년 4월 : 서울시 은평을에서 18대 국회의원으로 당선,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외통위) 활동 2008년 6월 : '공영방송지키기대책위원회' 출범, '창조한국당'―'자유선진당', 공동교섭단체협상 이후 원내교섭단체 선진과 창조의 모임 출범 2008년 12월 : '2008년 국정감사 우수의원'에 문국현 외 78명 (국정감사 모니터단 NGO 선정) 정치적 입장[편집] 경제 및 투명성 부분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되고 있다. 언론매체에서는 범여권으로 분류되고 있으나, 기업인 이미지와 함께 여러 친기업적인 정책으로 인해 민주노동당으로부터 우파 성향이라는 공격을 받았다.[출처 필요] 핵심 공약으로는 수출과 중소기업을 중시하는 정책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안을 제시했다. 남북정상회담에 찬성했으며 북미수교를 지지했다. 한미 FTA에 대해 경계적 입장을 취했으며 경쟁력 강화를 주장했다. "사람이 희망이다."를 정치적 구호로 사용했다. 민생안정 평생교육, 중소기업시대 개막, 남북경제공동체 건설, 공정한 신뢰사회 구축의 4개 핵심 정책 방향을 발표했다.[8] 2007년 12월 11일 문국현 창조한국당 후보는 "행복도시를 국민적 합의를 거쳐 백지화하고 세종시에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세종국제교육도시를 건설하겠다"고 공약했다. 문국현 후보는 "모든 중앙행정부처를 연기공주로 이전하는 참여정부의 방안은 위헌판결이 났기 때문에 따를 수 없다"며 "일각에서 제기되는 행정수도 복원 주장은 새로운 위헌 시비만 낳을 뿐 실현가능성이 없다"고 주장했다. 국제교육도시 건설과 관련해 "행정중심복합도시는 정치적 타협의 산물로, 원래의 목적인 수도권 인구분산과 충청권의 발전 효과도 크게 기대하기 어려운 참여정부의 대표적 실정으로 끝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라고 사유를 설명했다. 특히 "행복도시는 통일시대를 내다보지 못한 근시안적이고 반통일적 처사"라고 참여정부 정책을 비판했다. 또한 "어정쩡한 수도분할 상태를 그냥 두고 21세기에 세계로 뻗어나가는 위대한 대한민국을 건설 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9] 이에 충북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지방분권국민운동 대전·충남·충북 본부등 시민단체에서는 12일 성명을 내고 “문국현 후보는 행정중심복합도시 훼손 공약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10] 이명박 정부의 탄압 주장[편집] 김민석, 강기갑 의원과 마찬가지로 이명박 정부의 정치 탄압을 받았다고 알려졌으며, 이를 강기갑 의원이 지적하며 비판했다.[11] 검찰은 공천헌금수수와 정치자금법 위반혐의로 기소했으나[12] 현재 1심판결에서는 검찰이 기소한 이들 혐의에 대해 모두 이유없다며 공천헌금과 정치자금법 위반은 무죄판결을 내렸다. 다만 검사가 기소하지 않은 당채이자율이 시중금리보다 싸다는 이유로 판사가 불고불리의 원칙을 어겨가면서까지 집행유예를 내렸으나 이는 무리한 정치판결이란 비판을 받았다. 이에 대해 창조한국당 김석수 대변인은 '근대사법체계의 근간인 불고불리의 원칙, 즉 검사가 기소한 사안에 대해 판사가 판단해야함에도 불구하고 검찰기소내용은 모두 무죄로 판결하면서 엉뚱한 내용으로 유죄판결 내린것은 납득할 수 없는 판결'이라고 평가했다.[13] 검찰의 구형은 고등 법원의 판결 이후에 나온 것으로, 공천 헌금이 아니라는 고등 법원의 판결조차 무시했다는 측면에서 의혹과 비판의 여론이 있다.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제17대 대선 대통령 17대 창조한국당 5.8% 1,375,498표 4위 낙선 제18대 총선 국회의원(서울 은평구 을) 18대 창조한국당 52.0% 48,656표 1위 저서[편집] 《자본주의 4.0》, 문국현 지음, 석세스티브이, 2011년, ISBN 978-89-6244-149-9 《사람이 희망이다》, 문국현 외 지음, 웅진윙스, 2007년, ISBN 978-89-01-07063-6 《지구 온난화의 부메랑》,김수종,문국현,최열 공저, 도요새 발행, 2007년, ISBN 978-89-89831-27-3 《도시의 생명력, 그린웨이》,김기호, 문국현 지음, 랜덤하우스 코리아, 2006년, ISBN 978-89-5924-990-9 《유한킴벌리-세계가 배우는 한국기업의 희망》,문국현,조동성,IDS & Associates consulting 지음, 한즈미디어, 2005년, ISBN 978-89-90785-82-4 《녹색공동체를 위한 실천》,UNEP, 나남출판, 1997년, ISBN 978-89-300-3542-2 《다주면 다 얻는다》김성수,김영호외, 지식산업사, 2007년,ISBN 978-89-423-9004-5 《문국현 솔루션(창조한국10가지미래구상)》환경재단도요새 편집부 지음, 서재경 역, 2007년,ISBN 978-89-89831-37-2 주요 수상[편집] 2007. 06 : 월간조선 2007 대한민국 경제리더 대상(사회책임경영부문) 2006. 11 : Excellence Korea 2006 베스트리더십 2006. 02 : 한국경영학회 제19회 경영자대상 2005. 04 : 대한민국 금탑산업훈장 (산림조성공로) 2004. 04 : 여성지위 향상상 소롭티미스트 한국협회 2003. 02 : 전국경제인연합회 국제경영원 최우수경영인상(대기업부문) 2002. 10 : 미시간 주립대학교 Global Korea Award 2002 2002. 07 : 한국능률협회컨설팅 제3회 대한민국 기업이미지 대상 최고경영자상 각주[편집] ↑ 문국현·이인제·권영길 문국현 ″문화정책이 창조한국 조타수[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유한킴벌리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 지지율 조사, 경향신문 ↑ “문국현 "정동영 사퇴하라"”. 2011년 1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4월 29일에 확인함.  ↑ 文후보 측 "유시민, 자기부정 말아야 " ↑ “문국현 솔루션”. 2007년 11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9월 27일에 확인함.  ↑ '커밍아웃'한 문국현 사람들 ↑ “왜 문국현인가?”. 2007년 11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9월 27일에 확인함.  ↑ 문국현 "행복도시 백지화하고 국제교육도시 건설" ↑ "문국현은 '행정도시 백지화' 발언 사과하라"충북경실련, “문국현, 행정도시 훼손공약 철회하라” ↑ IT는 아이뉴스24, 연예스포츠는 조이뉴스24 ↑ 뉴스채널 :: 매일경제 TV :: mbn :: ↑ [깨진 링크([http://web.archive.org/web/*/http://www.newscani.com/news/121003 과거 내용 찾기)] ::::: 뉴스캔 NEWSCAN [인터넷언론 뉴스서비스전문 메신저 뉴스캔]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편집] 뉴 패러다임 인스티튜트 홈페이지 창조한국당 문국현의 미니홈피 문국현의 블로그 문국현 다음카페 페이스북 그룹 문국현 페이스북 다음카페 - 아고라문함대 문국현을 지지하는 블로그 전 임 (은평구 갑)이미경(은평구 을)이재오 제18대 국회의원(서울 은평구 을) 2008년 5월 30일 ~ 2009년 10월 22일 창조한국당 (은평구 갑)이미경 후 임 이재오 전임(신설) 제1대 창조한국당 대표최고위원2007년 10월 30일 ~ 2009년 10월 30일 후임송영오 전임권선택 제2대 선진과 창조의 모임 원내대표2009년 1월 1일 ~ 2009년 9월 1일 후임(해체) vdeh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1] 손학규 이해찬 한나라당 이명박[2] 박근혜 원희룡 홍준표 민주노동당 권영길[3] 심상정 노회찬 민주당 이인제[4] 장상 김민석 신국환 기타 정당원내정당 심대평(국민중심당)[5] 문국현(창조한국당)[6] 정근모(참주인연합)[7] 원외정당 허경영(경제공화당)[8] 전관(새시대참사람연합)[9] 금민(한국사회당)[10] 이수성(화합과도약을위한국민연대)[11] 무소속이회창[12]굵은 글씨는 등록된 후보를, 가는 글씨는 경선에서 탈락하였거나 등록되지 않은 후보를 나타냄.[ ] : 해당 후보의 기호, ― : 중도 사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문국현&oldid=24324205" 분류: 대한민국의 제18대 국회의원1949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대한민국의 기업인서울특별시 출신대한민국의 저술가서울돈암초등학교 동문동성중학교 (서울) 동문중동고등학교 동문한국외국어대학교 동문육군보병학교 동문서울대학교 대학원 동문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 동문대한민국 육군 중위대한민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 군인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창조한국당남평 문씨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대한민국의 환경 운동가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정확성에 논란이 있는 글/2010년 2월정확성에 논란이 있는 모든 글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8년 11월출처가 필요한 글/2009년 10월출처가 필요한 글/2008년 11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9일 (수) 21: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문국현(文國現, 1949년 1월 12일~)은 대한민국의 기업인이자 정치인으로, 제18대 국회의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문국현이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1심에서 받은 판결은 무엇인가? Assistant: 무죄판결 Human: 아래 임청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임청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임청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린칭샤林靑霞 Brigitte Lin 출생 1954년 11월 3일(1954-11-03) (64세)중화민국 자이다른 이름 Venus Lin, Bridget Lin직업 영화배우, 가수활동 기간 1973년 ~ 1994년 학력 고졸배우자 邢李㷧자녀 소생 2녀 임청하(중국어 정체자: 林靑霞, 병음: Lín Qīngxiá 린칭샤[*], 광둥어: lam4 Cing1 Haa4 람칭하, 영어: Brigitte Lin, 1954년 11월 3일 ~ )는 중화민국 태생의 여성 영화배우이고 음반을 발표한 바 있는 가수이기도 하다. 중국 영화의 아이콘으로 간주된다.[1] 영문명은 Brigitte Lin이고, 다른 이름은Venus Lin와Bridget Lin이다. 목차 1 생애 2 출연작 3 관련 인물 4 관련 출판물 5 각주 6 외부 링크 생애[편집] 중국어 이름은 Lin Ching Hsia이고 광둥어 이름은 Lam Ching Ha이다. 영어 이름은 Brigitte Lin이다. 그녀의 원적지는 중화인민공화국 산둥 성 지난이며 그녀의 부친이 본래 중화인민공화국 산둥 성 지난 출생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전한 직후에 중화민국 타이베이로 이주하였다가 다시 중화민국 자이로 거주지를 옮겼다. 중화민국 자이 시 태생이며 현재 국적은 홍콩이다. 데뷔 영화는 송호수 감독의 1973년 중화민국 영화 창외(窓外)이다.[2] 대한민국에서는 2005년에 국내에서 상영되었다. 임청하는 이한상 감독의 금옥양연홍루몽(The Dream Of The Red Chamber)에서 남성역을 맞았다. 이후 도검소, 동방불패에서도 남자 역할을 맡았다. 1988년 성룡의 폴리스 스토리에 출현하여 아시아 권에 널리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1989년에는 경천대모살(Deception)에 왕조현과 함께 출현하여 좋은 연기 호흡을 보여 주었고, 동방불패 2, 동성서취에서 다시 조우하여 연기하였다. 임청하는 1991년 정소동 감독의 동방불패에 출연하면서 스타가 되었다. 동방불패에서 남자의 몸이지만 무공을 익혀 여자가 된 동방불패로 출연하여, 이연걸, 관지림과 연기 대결을 펼쳤다. 남장으로 분한 임청하의 모습은 신비하였고, 매서운 눈빛에 뚜렷한 이목구비와 강인한 표정은 독창적인 동방불패를 탄생시켰다. 동방불패 이후, 임청하는 신용문객잔, 절대쌍교, 백발마녀전, 녹정기2, 도마단, 천룡팔부, 추남자등 출연하여 전성기를 맞았고, 왕자웨이 감독의 영화 중경삼림과 동사서독에 출연하면서 북아메리카와 유럽에도 이름이 알려졌다. 임청하는 1995년 이후 영화에는 출연하지 않았으며, 몇몇 영화의 나레이션에 참여하였다. 임청하는 2010년 왕가위 감독의 일대종사로 스크린에 복귀하여 공리, 송혜교, 양조위와 함께 연기 호흡을 맞춘다. 출연작[편집] 1973년 창외 (Outside The Winodow / 窓外 / 송호수) : 호기, 진한, 장리인 1974년 장정만루 (Long Way From Home / 長情萬縷) : 친샹린(진상림) 1974년 여붕우 (Girl Friend / 女朋友 / 백경서) : 석봉, 샤오팡팡(소방방), 친샹린(진상림), 하령령 1974년 순순적애 (Love, Love, Love / 純純的愛 ) : 친샹린(진상림) 1975년 팔백장사 (Eight Hundred Heroes / 八百壯士) : 서풍, 장애가 1976년 추가 (The Autumn Love Song / 秋歌) : 친샹린(진상림) 1976년 아시일편운 (Cloud Of Romanc / 我是一片雲) : 친샹린(진상림), 진한 1976년 아시일사구 (Come Fly With Me / 我是一沙鷗) : 친샹린(진상림) 1977년 금옥양연홍루몽(The Dream Of The Red Chamber / 金玉良緣紅樓夢 / 이한상) : 장애가, 혜영홍, 미설 1977년 분향채홍 (The Love Affair Of Rainbow / 奔向彩虹) : 친샹린(진상림) 1978년 월몽롱조몽롱 (Misty Moon / 月朦朧鳥朦朧) : 친샹린(진상림), 진한, 마영림 1978년 백사전 (한국 작품 / 이한상, 최동준) : 이예성, 진지민, 친샹린(진상림) 1979년 일편정심 (The Choice Of Love / 一片情深) : 친샹린(진상림), 장영진 1979년 안아재림초 (Wild Goose On The Wing / 雁兒在林梢 / 유립립) : 운중악, 유문정, 여수능 1980년 연애반두성 (Poor Chasers / 戀愛反斗星 / 백경서) : 귀아뢰, 진추하, 진한, 알란 탐 1981년 애살 (Love Massacre, 愛殺 / 담가명) : 장국주, 엽덕한, 용강, Tina Lau, 안휘, 친샹린(진상림) 1982년 무림쌍절 (Demon Fighter / 武林雙絶 / 장봉익) : 정소추 1982년 지분기병 (The Deadly Angels / 脂粉奇兵 / 구양준, 양수신) : 양혜산, 가준웅, 이소비, 양수신, 허불료 1983년 열혈전사 (Golden Queen's Commando / 紅粉兵團 / 주연평) : 엽청문, 이새봉 1983년 아애야래향 (All The Wrong Spies / 我愛夜來香 / 태적라빈) : 임자상, 서극, 진패 1983년 촉산 (Zu Warriors From The Magic Mountain / 蜀山 / 서극) : 원표, 맹해 1984년 강호영웅 (Last Hero In China, Be Careful Sweetheart / 江湖英雄 / 구양준) : 정소추 1984년 지분쌍포 (Phoenix The Raider / 脂粉雙炮 / 구양준) : 양혜산, 이소비 1984년 대복성 (Great Luckey Star, Fantasy Mission Force / 大福星 / 성룡) : 성룡, 정소추 1984년 군자호구 (The Other Side Of Gentleman / 君子好逑 / 임영동) : 알란탐 1985년 늑대 7 (Seven Foxes / 주연평) : 탁종화, 왕걸 1985년 폴리스 스토리 (Police Story / 警察故事 / 성룡) : 성룡, 장만옥 1987년 횡재삼천만 (The Thirty Million Rush / 橫材三千萬 / 맥가) : 맥가, 서소봉 1987년 탈명가인, 비창 (Lady In Black / 奪命佳人 / 손중) : 양가휘 1987년 봉화가인, 기기표표 (Flag Of Honor / 烽火佳人 / 정선새) : 여수릉, 하문석, 가준웅 1988년 금야성광찬란 (Tonight's Starlight Is Splendid / 今夜星光燦爛 / 허안화) : 임자상, 슈치에, 오요한, 곽지동 1988년 도검소 (The Three Swordsman / 刀劍笑 / 황태래) : 유덕화, 양사호 1989년 경천대모살 (Deception / 驚魂記 / 종지명) : 왕조현, 왕소봉, 이자웅 1989년 몽중인 (Dream Lovers / 夢中人 / 구정평) : 주윤발, 양설의, 금연령, 관산 1990년 홍진 (Red Dust / 傷傷紅塵 / 엄호) : 진한, 장만옥, 고요화 1992년 녹정기 (Royal Tramp / 鹿鼎記 / 왕정, 정소동) : 주성치, 장민, 이가흔 1992년 동방불패 (Swordsman 2 / 笑傲江湖 之 東方不敗 / 정소동) : 이연걸, 관지림, 이가흔, 임세관 1992년 신용문객잔 (Dragon Inn 新龍門客棧 / 이혜민) : 양가휘, 장만옥, 견자단, 웅흔흔 1992년 절대쌍교 (Handsome Siblings / 絶代雙驕 / 증지위) : 유덕화, 장민, 오진우, 원영의 1993년 백발마녀전 (The Bride With White Hair / 白髮魔女傳 / 우인태) : 장국영, 오진우, 고웅, 남결영 1993년 동성서취 (The Eagle Shooting Heroes / 射英雄傳之東成西就 / 유진위) : 왕조현, 장만옥, 장국영, 양조위, 유가령 1993년 녹정기 2 : 신룡교 (Royal Tramp 2 / 鹿鼎記 2 : 神龍敎 / 왕정, 정소동) : 주성치, 장민, 구숙정, 진백상 1993년 동방불패 2 풍운재기 (Swordsman 3 / 東方不敗 3 : 風雲再起 / 이혜민, 정소동) : 왕조현, 우영광, 원결영 1993년 도마단 (Peking Opera Blues, 刀馬旦 / 서극) : 엽청문, 종초홍, 우마, 반항생 1993년 추남자 (Boys Are Easy / 追男仔 / 왕정) : 오요한, 양가휘, 장만옥, 구숙정 1993년 백발마녀전 2 (The Bride With White Hair 2 / 白髮魔女傳 / 호대위, 우인태) : 장국영, 종려시, 진금홍 - 마녀 연애상 역 1993년 초류향 (楚留香 / 고룡) : 정소추 1994년 천룡팔부 (Dragon Chronicles / 天龍八部 之 天山童 / 전영강) : 공리, 장민, 임문룡, 서소강, 요계지 1994년 육지금마 (Deadful Melody / 六指琴摩 / 오면근) : 원표, 유가령 1994년 화룡풍운 (Fire Dragon / 火雲傳奇 / 원화평) : 막소총, 오군여 1994년 흑표천하 (The Black Panther Warriors / 黑豹天下 / 곽요량) : 등광영, 임달화, 양가휘, 장위건 1994년 중경삼림 (Chungking Express / 重慶森林 / 왕가위) : 양조위, 가네시로 다케시, 왕페이(왕비), 주가령 - 노랑머리 마약밀매 중계자 역 1995년 동사서독 (Ashes of Time / 東邪西毒 / 왕가위) : 장국영, 장만옥, 양조위, 양가휘 1998년 미소년지련 (Bishonen / 美少年之戀 / 양범) : 오언조, 풍덕륜, 서기 2001년 유원경몽 (Peony Pavilion / 遊園驚夢 / 양범) : 왕조현, 미야자와 리에, 오언조 2008년 동사서독 리덕스 (Ashes Of Time Redux / 왕가위) : 장학우, 장국영, 장만옥 관련 인물[편집] 왕조현 장국영 장만옥 친샹린(진상림) 양가휘 이연걸 관지림 공리 성룡 관련 출판물[편집] The Last Star of the East: Brigitte Lin Ching Hsia and Her Films (2005)[3] 窗裏窗外 Inside and outside the window (2011)[4][5] 雲去雲來 Cloud Goes, Cloud Comes (2014)[4] 각주[편집] ↑ “Top 10 Best Chinese Movie Actresses of All Time”. 《China Whisper》 (영어). 2015년 11월 9일. 2017년 8월 12일에 확인함.  ↑ He Ying (何颖) (2008). 〈Brigitte Lin, Legend of the Ageless Beautiful Girl〉 《林青霞,不老的玉女传奇》. 《快乐阅读》 [Happy Reading] (중국어). Changsha, Hunan: Hunan Education Press. 6쪽. ISSN 1671-329X.  ↑ Akiko., Tetsuya, (2005). 《The last star of the East : Brigitte Lin Ching Hsia and her films》. Los Angeles, Calif.: Akiko Tetsuya. ISBN 0976487128. OCLC 60449219.  ↑ 가 나 1954-, Lin, Qingxia,; 1954-, 林青霞,. 《Yun qu yun lai》 Di 1 ban판. Guilin Shi. ISBN 7549559503. OCLC 899206278.  ↑ “Legendary film star Lin Ching-hsia releases memoirs”. 《Ecns.cn》.  외부 링크[편집] 다음 임청하 영화 정보 네이버 임청하 임청하 파란 임청하 영화 정보 HKMDB vdeh금마장 최우수 여우주연상1960년대 1962 유민 1963 러디 1965 리리화 1966 귀아뢰 1967 장칭 1968 링보 1969 리리화 1970년대 1970 귀아뢰 1971 루옌 1972 옹천옥 1973 상관영봉 1975 루옌 1976 쉬펑 1977 진추하 1978 톈뉴 1979 린펑자오 1980년대 1980 쉬펑 1981 장애가 1982 왕핑 1983 육소방 1984 양혜산 1985 양혜산 1986 장애가 1987 매염방 1988 정유령 1989 장만옥 1990년대 1990 임청하 1991 장만옥 1992 진령지 1993 오가려 1994 진충 1995 샤오팡팡 1996 샤오팡팡 1997 장만옥 1998 리샤오루 1999 이려진 2000년대 2000 장만옥 2001 친하이루 2002 리신제 2003 오군여 2004 양구이메이 2005 서기 2006 저우쉰 2007 진충 2008 류메이쥔 2009 리빙빙 2010년대 2010 뤼리핑 2011 예더셴 2012 계륜미 2013 장쯔이 2014 천샹치 2015 임가흔 2016 저우둥위, 마쓰춘 2017 후이잉훙 2018 사영훤 여우조연상 남우주연상 남우조연상 신인배우상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00243089 LCCN: n79012317 ISNI: 0000 0001 2145 240X SUDOC: 086911562 BNF: cb140045707 (데이터) 뮤직브레인즈: 345c66a9-959a-412b-9e39-1bf0ddb25772 BNE: XX1309387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임청하&oldid=24191718" 분류: 1954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타이완의 여자 영화 배우홍콩의 여자 영화 배우홍콩의 여자 뮤지컬 배우타이완의 여자 가수1973년 데뷔홍콩의 여자 가수홍콩의 작사가20세기 중국 사람캐나다에 거주한 타이완인미국에 거주한 타이완인21세기 중국 사람자이시 출신타이완계 홍콩인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CS1 - 중국어 인용 (zh)중국어 간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광둥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NederlandsSvenskaไทยTiếng Việt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5: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임청하(중국어 정체자: 林青霞, 병음: Lín Qīngxiá 린칭샤[*], 광둥어: lam4 Cing1 Haa4 람찡하, 영어: Brigitte Lin, 1954년 11월 3일~ )는 대만 태생의 여성 영화배우이고 음반을 발표한 바 있는 가수이기도 하다. 중국 영화의 아이콘으로 간주된다. 영문명은 Brigitte Lin이고, 다른 이름은 Venus Lin와 Bridget Lin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임청하의 영어 이름은 뭐야? Assistant: Brigitte Lin
Human: 아래 신비주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신비주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비주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비가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1년 6월) 신비주의(神秘主義, mysticism)는 좁게는 종교에 딸린 신비주의에 국한하지만, 넓게는 철학ㆍ역사ㆍ자연 신비주의로 확대 가능하다. 신비주의를 믿거나 실천하는 사람을 신비가나 신비주의자라고 칭한다. 일반으로, 신비주의에서 신비 지식[1] 追求(추구)와 신비 체험 追求(추구)를 모두 포함하지만, 이 둘은 구분된다[2]. 목차 1 신비 2 중요한 개념 3 유대교 신비주의 4 기독교 신비주의 5 신비주의 음악 6 같이 보기 7 각주 신비[편집] 신비는[3] 감각 遮斷(차단)이나 초월한 사람과 직접으로 하는 접촉을 뜻하기도 한다. 신비는 신비한 감각이 있어야 하고 태어나면서 갖추지 못한 사람은 啓發(계발)해야 한다. 중요한 개념[편집] 신비주의에는 반드시 다음의 중요한 개념이 있어야 한다. 엑스터시. 흔히 怳惚境(황홀경)으로 언역되고 말할 필요도 없이 이때 단순한 混亂(혼란)이나 混沌(혼돈)으로 의식의 沈滯(침체)나 忘我(망아)나 무기와 구분되는 개념이다. 합일. 절대적인 존재나 고등한 단계나 차원으로 跳躍(도약)하여 합일되는 체험을 칭한다. 비존재. 비대상. 외양상 矛盾(모순)인 듯하나 중요한 진리가 含蓄(함축)된, 非有, 非無, 非無無로 묘사되고 어떻게 불리는지를 떠나 부정의 부정으로 묘사된다. 유대교 신비주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카발라입니다. 기독교 신비주의[편집] 기독교에서 신비주의는 《디오니시오스 위서》에 의해 전파되었으며, 성 프란체스코의 체험에 생생하게 나타나고 에크하르트에 이르러 독특한 사상이 되었다. 이어 조이제(1295-1366)나 타울러(1300경-1361) 등 신비사상가들에게 계승되어, 벨기에의 로이스부르크(1293-1381)에 이르러서는 굶주린 신에게 먹힌다는 특수한 일체관(一體觀)을 의미하였다. 가톨릭의 정통 신앙에 입각하는 제르송(1363-1429)도 여러 학파의 절충을 바라면서 신비적 직관에서 내적(內的) 생명을 구했다. 그러나 신비주의는 결코 명상이나 개인적 도취에만 그친 것은 아니며, 실천활동을 중시하여 개혁운동과도 관련이 있었다. 11세기 코뮌의 자치권 요구 폭동에서는 클뤼니 개혁파의 신비적 설교자가 선두에 섰다. 성 프란체스코로부터 시작되는 탁발승단은 교회에 대한 무언의 개혁운동이었다. 토마스 아 켐피스를 낳은 네덜란드의 '공동생활의 형제회'(Brethren of the Common Life)도 세속적 활동을 중시하는 신비주의였다. 신비주의 음악[편집] 신비주의 음악은 자연이나 신의 본질을 인식하여 최고 경지에 도달해 깨달아 기뻐한다는 종교상 체험에 토대한다. 사티가 한때 신비주의성 작풍을 보였으나 유대교도였던 스크랴빈은 이 종교에 딸린 체험과 예술 감각이 일치해 독특한 작풍을 선보였다. 신비 화음[4]이라는 독자 음 체계를 발명하여 멜로디나 화성도 모두 이 6음으로 된 음렬에서 나오게 한다. 후일 쇤베르크에 의거한 음렬 기법을 생각게 하는 수법을 엄격히 쓰고 음만이 아니라 색채를 내는 건반이 있는 도구를 쓰기도 하며 스크린에 색채의 변화를 영상화 하고 마지막에는 향기나 맛까지 포함시킨 모든 감각을 동원하는 '신비극'을 연출하기도 한다.[5] 같이 보기[편집] 카발라 영지주의 각주[편집] ↑ 秘儀(비의) ↑ 이론에 근거해 연구하려는 신비학, 체험하려는 신비술과 신비 체험으로 구분하자고 제안된 적이 있다 ↑ <그리스어: myein →눈과 귀와 입을 닫는다 ↑ 全音階(전음계)와 4도로 구성된 화음으로 성립된 6음으로 형성된 화음 ↑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서양 음악의 역사 - 현대 음악〉 vdeh신앙 체계 결정론 교체신교 남녀 이신론 내재신론/만유내재신론 뉴에이지 다신교 단일신교/선택적 일신교 무신론 무우주론 무지론 밀교 반신론 범신론 불가지론 비신론 비이원론 샤머니즘 신비주의 신지학 심령주의 악신론 애니미즘/물활론 양신론 영지주의 오컬트/오컬티즘 유신론 이신론 이원론 인본주의 일신교/유일신교 일신숭배 일원론 전신론 초월론 초월신론 테오파니즘 텔레마 토테미즘 헤르메스주의 현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신비주의&oldid=20782353" 분류: 신비주의밀교심령주의종교 활동종교철학숨은 분류: 그리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2011년 6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BrezhonegBosanskiCatalàCorsu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urlanFrysk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Patois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ಕನ್ನಡLatinaLëtzebuergeschLigure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मराठीBahasa MelayuMirandésNederlandsNorsk nynorskNorsk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inarayייִדיש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2월 19일 (월) 22:2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신비주의(神秘主義, mysticism 미스티시즘[*])는 어떤 이념, 윤리, 의식, 신화, 전설, 마술 따위에 의해 변성의식상태의 일종인 종교적 황홀경에 드는 것이다. 그리함으로써 어떤 궁극적 지식의 통찰을 얻는 것, 그리고 다양한 행위와 실천으로써 인간이 새로이 거듭나는 것까지 가리키기도 한다. "신비(미스틱)"라는 말은 고대 그리스어 어원으로, "닫다(close)"라는 뜻의 μύω에서 비롯되었다.광의의 신비주의는 샤머니즘 같은 민간토착종교로부터 아브라함계 종교나 인도계 종교 같은 조직적 종교, 그리고 뉴에이지나 신흥종교 같은 근대 영성운동에 이르기까지 모든 종교에서 찾아볼 수 있다. 협의의 신비주의는 중세에 기독교 수행에 있어 성경적, 전례적, 영성적, 명상적 차원을 가리키는 것이었다. 근세 시대에 신비주의의 정의는 “기이한(extraordinary) 경험과 정신의 상태”에 관한 신념과 이념들로 확장되었다. 근대에 "신비주의"는 “절대자, 무한자, 신과 합일”되는 의미로써 좁은 정의와 함께 넓은 적용례를 가지게 된다. 이 제한된 정의가 여러 다양한 종교에서 적용되면서 "신비적 체험(mystical experience)"이 신비주의의 핵심 요소로서 고평가되었다. 1960년대부터 학자들은 "신비적 경험"을 과학적으로 연구하여 그 영원적, 구성주의적 접근의 유효성을 논하기 시작했는데, 영원적 접근은 현재 학자들에게 거의 기각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학자들은 역사적 문화적 맥락을 중시하는 맥락주의적 접근을 취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기독교의 신비주의는 어떻게 진행되었는가? Assistant: 기독교에서 신비주의는 《디오니시오스 위서》에 의해 전파되었으며, 성 프란체스코의 체험에 생생하게 나타나고 에크하르트에 이르러 독특한 사상이 되었다. 이어 조이제(1295-1366)나 타울러(1300경-1361) 등 신비사상가들에게 계승되어, 벨기에의 로이스부르크(1293-1381)에 이르러서는 굶주린 신에게 먹힌다는 특수한 일체관(一體觀)을 의미하였다. 가톨릭의 정통 신앙에 입각하는 제르송(1363-1429)도 여러 학파의 절충을 바라면서 신비적 직관에서 내적(內的) 생명을 구했다. 그러나 신비주의는 결코 명상이나 개인적 도취에만 그친 것은 아니며, 실천활동을 중시하여 개혁운동과도 관련이 있었다. 11세기 코뮌의 자치권 요구 폭동에서는 클뤼니 개혁파의 신비적 설교자가 선두에 섰다. 성 프란체스코로부터 시작되는 탁발승단은 교회에 대한 무언의 개혁운동이었다. 토마스 아 켐피스를 낳은 네덜란드의 '공동생활의 형제회'(Brethren of the Common Life)도 세속적 활동을 중시하는 신비주의였다. Human: 아래 익산고속버스터미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익산고속버스터미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익산고속버스터미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익산고속버스터미널 공식명칭 익산고속버스터미널 종류 터미널 국가 대한민국 주소 전라북도 익산시 익산대로 56(평화동) 운영기관 금호고속 터미널코드 615 행선지표기 익산 고속버스 운행 운행 시외버스 운행 미운행 시내버스 운행 미운행 익산고속버스터미널은 전라북도 익산시 익산대로 56 (평화동 247-1)에 위치한 고속버스 터미널이다. 고속버스 전산망상의 터미널 번호는 615이다. 금호터미널 소유의 터미널이다. 본관 건물은 4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차고및 정비창이 갖추어져 있다. 1층은 승차홈과 매표소가 있으며, 2층은 커피숍이 있으며, 3·4층은 현재 비어 있다. 서울행은 금호고속이 단독 운행한다. 목차 1 운행 노선 2 같이 보기 3 각주 4 외부 링크 운행 노선[편집] 2013년 12월 1일 부터 천안행 노선이 운행중지되었다.[1] 2018년 5월 14일 부터 인천행 노선이 안산에 중간경유한다. 운행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 시간표 익산 ↔ 서울호남 금호고속 익산 ↔ 서울호남 익산공단, 팔봉동, 정안휴게소 30분(평일) 20~30분(토,일) 첫차:06:00(익산 기준)막차:22:00(익산 기준(월~금)) 22:30(익산 기준(토,일)) 익산 ↔ 인천 금호고속중앙고속 익산 ↔ 인천 익산공단, 팔봉동, 정안휴게소, 안산 6회 07:00, 09:00, 12:20, 14:10, 17:00, 19:00 익산 ↔ 울산 전북고속금호고속 익산 ↔ 울산 신복 2회 09:05, 17:05 같이 보기[편집] 익산시외버스터미널 각주[편집] ↑ “천안터미널 익산 노선 운행중지 안내”.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익산시청 고속버스 시간표 코버스 홈페이지 (익산발 고속버스 노선 예매) vdeh대한민국의 시외·고속버스터미널서울특별시 서울경부 서울호남 동서울 서울서부 서울남부 상봉 가락시장 김포공항 동대문 마장동 수유리 신촌 잠실 장지역 인천광역시 강화 외포리 화도 인천 인천공항 부평역 송도 용현동 경기도 가평 목동 설악 청평 현리 고양 고양화정 광명 철산 광주 곤지암 구리 군포 김포 도농 · 금곡 · 평내 · 마석 동두천 부천 송내역 부천역·소사동·송내사거리 수원 광교중앙역 서수원 수원역 아주대 영통입구 우만동 성남 가천대 시흥 하늘휴게소 안산 상록수역 안성 공도 대림동산 양성 일죽 주은풍림 죽산 중앙대입구 안양역 · 안양 · 범계 · 호계동 · 비산동 양주역 양평 용문 여주 능서 대신 태평 전곡 오산 용인 백암 신갈 양지 유방동 의정부 의왕고천 의왕TG 이천 장호원 문산 금촌 운정 파주적성 평택 평택시외 송탄 안중 서정리·용이동·청북 평택대 해군기지 포천 송우 신북 운천 일동 하남 서신 동탄 조암 향남 강원도 강릉 강릉시외 주문진 간성 거진 대진 동해 동해시외 삼척 삼척시외 도계 임원 호산 속초 속초시외 양구 남면 양양 낙산 영월 상동 원주 원주시외 문막 인제 백담입구 신남 원통 현리 정선 고한사북 북평 임계 동송 신철원 와수 육단 춘천 춘천시외 강촌 태백 평창 대화 장평 진부 횡계 홍천 내면 서석 양덕원 화천 사창리 횡성 둔내 충청북도 괴산 연풍 단양 매포 보은 보은고속 속리산 영동 추풍령 황간 옥천 안내 청산 음성 감곡 대소 무극 삼성 생극 충북혁신도시 제천 제천시외 백운 증평 진천 광혜원 이월 청주 청주시외 청주공항 북청주 남청주 미원 오창 충주 목계 수안보 주덕 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충청남도 대전 서대전 유성 유성시외 대전청사 대전도룡 관저·건양대병원 용두동 도마동 부사동 신흥동 북대전 자운대 조치원 세종 세종청사 고대홍대 전의 금암 · 신도안 · 양정 · 엄사 공주 공암 동학사 산성 유구 금산 논산 논산시외 강경 연무 연무시외 당진 기지시 삽교천 신평 합덕 보령 대천해수욕장 부여 홍산 서산 고북 해미 서천 장항 아산 아산시외 신창 예산 신례원 천안 병천 성환 쌍용 한기대 청양 정산 태안 만리포 안면도 홍성 광천 내포 전라북도 고창 대산공용 무장 상하 선운사 해리 흥덕 군산 군산시외 대야 김제 만경 원평 남원 남원시외 덕과 반선 인월 무주 구천동 안성 부안 격포 줄포 순창 적성 고산 대둔산 봉동 삼례 운주 익산 익산시외 금마 여산 함열 임실 관촌 강진공용 오수 장수 번암 장계 전주 전주시외 정읍 신태인 태인 진안 백운 안천 광주광역시전라남도 광주 문화동 소태역 송정역 진월동 강진 마량 성전 고흥 과역 나로도 녹동 곡성 옥과 광양 광영 동광양 태인 구례 나주 영산포 영삼거리 다시 담양 목포 남악 무안 보성 벌교 예당 조성 순천 순북 점암 지도 여수 여천 영광 법성포 홍농 영암 독천 삼호 신북 완도 고금 당목 장성 장성사거리 장흥 노력항 회진 진도 녹진 함평 문장 학교 해남 땅끝 화순 능주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동대구 서대구 대구북부 · 대구서부 · 현풍 용계 경산 영남대 자인 하양 경주 경주시외 건천 산내 아화 안강 입실 고령 구미 구미공단 선산 군위 우보 김천 문경 점촌 가은 봉화 춘양 상주 함창 성주 안동 경북도청 안동역 길안 풍산 영덕 강구 병곡 영해 장사 영양 영주 풍기 풍기IC 꽃동산 영천 임포 예천 용궁 울진 기성 부구 온정 죽변 평해 후포 의성 단촌 도리원 안계 탑리 청도 운문사 청송 월정 주왕산 진보 왜관 약목 포항 포항시외 송라 청하 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경상남도 부산 부산서부 김해공항 동래 신평 하단 해운대 울산 울산시외 신복 방어진 언양 봉계·공업탑·남창·무거·옥동·웅촌·태화·호계·효문 고현 장승포 거창 고성 배둔 김해 장유 진영 남해 밀양 유천 표충사 사천 곤양 삼천포 산청 생초 원지 양산 통도사 의령 신반 진주 진주시외 개양 반성 창녕 남지 부곡 영산 창원 내서 남산 창원역 마산 마산시외 남마산 진해 통영 하동 진교 화개 함안 함양 백무동 서상 안의 합천 가야 삼가 초계 해인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 · 서귀포 고속도로 환승정류장 낙동강휴게소 선산휴게소 섬진강휴게소 인삼랜드휴게소 정안알밤휴게소 횡성휴게소  :현재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하지 않거나 없어진 터미널 굵은 글씨는 고속버스가 운행하는 터미널 vdeh익산시의 교통철도노선 장항선 군산선 전라선 호남선 호남고속선 역 익산역 오산리역¹ 용동역¹ 함열역 황등역¹ 동익산역 ¹ : 여객취급을 하지 않는 역 고속도로노선 익산평택 (17) 호남 (25) 새만금포항지선 (204) 나들목·분기점 삼례 익산 익산 분기점 논산 분기점 일반도로국도 1호 21호 23호 26호 27호 국지도 68호 지방도 706호 711호 718호 720호 722호 723호 724호 735호 740호 741호 799호 주요 간선도로간선도로 익산대로 강변로 군익로 동서로 목천로 무왕로 미륵사지로 백제로 번영로 새만금북로 석암로 서부로 선화로 여강로 인북로 중앙로 천호로 칠목재로 탑천로 평동로 하나로 함낭로 함안로 호남로 호반로 황등서로 태성길 교량 공덕대교 목천대교 웅포대교 터널 천호터널 버스시내 익산 시내버스 고속·시외 익산고속 익산시외 금마 여산 함열 항공공항 군산공항 기타시내 마이비카드 캐시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익산고속버스터미널&oldid=24141544" 분류: 전라북도의 버스 교통익산시의 건축물익산시의 교통대한민국의 버스 터미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3일 (금) 10:5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익산고속버스터미널은 전라북도 익산시 평화동에 있었던 고속버스 터미널로, 금호터미널에서 운영했다. 이용률 부진으로 2022년 12월 31일을 마지막으로 영업을 종료했으며, 고속버스는 바로 옆의 익산공용버스터미널로 기착 터미널을 옮겨서 운행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익산고속버스터미널에 있는 익산에서 서울호남을 오가는 버스의 경유지는 어디인가요? Assistant: 익산공단, 팔봉동, 정안휴게소
Human: 아래 TBS_비디오_사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TBS 비디오 사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TBS 비디오 사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1년 11월) TBS 비디오 사건(일본어: TBSビデオ問題, TBSビデオもんだい, TBS 비디오 문제)은 1989년 10월 26일에 TBS의 와이드 쇼인 『3시에 만납시다』의 스태프가 변호사인 사카모토 쓰쓰미가 옴진리교를 비판한 인터뷰 영상을 방송 직전에 옴진리교 간부에게 보여준 것이 9일 후인 11월 4일에 일어난 사카모토 쓰쓰미 변호사 일가족 살해 사건의 발단이 된 사건이다. 일본에서는 옴(진리교) 비디오 사건, 옴(진리교) 비디오 문제, 단순하게 TBS 옴(진리교) 사건, TBS 문제, TBS 사건, TBS 비디오 사건 이라고도 부른다.[1] 목차 1 사건의 전개 1.1 국회 참고인 초치  2 TBS 비판과 과열 2.1 보도윤리의 위반 2.2 내부조사의 파탄 2.3 매스미디어와 시청자간의 신뢰 관계 2.4 잇따른 파문 3 그 후의 TBS 3.1 프로그램 대폭 개편 3.2 보도 쪽의 와이드쇼 일체 중단 3.3 심야방송의 자숙 3.4 기구(機構) 개혁 3.5 노선 변경 3.6 거듭되는 방송 개편 4 각주 5 관련 항목 6 외부 링크 사건의 전개[편집] 1989년 10월 26일 다음날인 27일의 방송에 옴진리교와 관련 내용을 내보내는 것을 기획한 『3시에 만납시다』는 26일 오전에 옴진리교 비판의 선봉에 섰던 사카모토 쓰쓰미 변호사와의 인터뷰를 녹화했다. 같은날 낮부터 『3시에 만납시다』금요일 당시 프로듀서 A(이하 A로 지칭)가 통솔하던 취재반(사회정보국)은 후지산에 있는 옴진리교 도장에서 보도국사회부와 같이 아사하라 쇼코(마쓰모토 지즈오)가 "수중 쿵바카"[2]를 선보이는 것을 취재했다. 보도국 사회부 기자가 인터뷰를 끝낸 후에 『3시에 만납시다』취재반의 인터뷰가 시작되었다. 인터뷰가 뒤얽힌(紛糾) 가운데에 A는 사카모토 쓰쓰미 변호사의 인터뷰를 아사하라의 초능력 영상과 같이 방송한다는 것을 옴진리교 측에 밝혔다. 결국 옴진리교측에서 사전에 비디오를 보여달라고 요청했고 그 때의 사태를 수습했다. 옴진리교의 하야카와 기요히데, 조유 후미히로, 아오야마 요시노부가 당일 늦은 밤에 TBS(과학기술관)를 찾아 인터뷰가 수록되어있는 비디오를 보여줄 것을 끈질기게 요구했다. 여기서 프로그램 종합 프로듀서 B(이하 B로 지칭)가 부하에게 인터뷰를 수록한 그 비디오를 3명에게 보여주도록 지시하고 3명은 비디오를 시청했다. 하야카와는 이 때의 일을 메모 하고 있었다. 결국 옴진리교 측의 항의로 인해 TBS측의 스태프는 인터뷰(옴진리교 특집 자체에 대한)를 방송하지 말 것을 승낙·약속하고 옴진리교 측의 간부는 그 상황을 뒤로 한다. 1989년 10월 31일 - 하야카와, 조유, 아오야마 3명이 요코하마 법률 사무소를 찾았지만 사카모토가 교단을 고소하겠다는 뜻을 내비쳤고 결국 교섭이 결렬 되었다. 1989년 11월 4일 - 사카모토 쓰쓰미 변호사 일가족 살해 사건(당시에는 '실종 사건')이 발생함. 1995년 9월 5일 - 가나가와현 경찰이 TBS에게 수사 협력을 의뢰함. 9월 중에 도쿄지검이 TBS 관계자(A, B와 "수중 초능력"을 같이 취재한 보도국 사회부 기자도 포함)로부터 사정의 청취를 실시함. 1995년 10월 9일 - TBS가 사내 조사위원회를 설치함. 1995년 10월 12일 - TBS가 도쿄지검의 요청에 응해서 사카모토의 인터뷰 테이프를 임의 제출함. 1995년 10월 19일 - 닛폰 TV가 TBS가 방영 전 사카모토의 인터뷰 비디오를 옴진리교 간부에게 보여준 것을 보도함. 같은 날 TBS는 저녁에 뉴스 프로그램인 『JNN 뉴스의 숲』에서 그에 대해 부정한다는 성명을 방송함. 1996년 3월 11일 - TBS는 사카모토의 인터뷰 비디오를 보여준 사실은 없었다라고 말하며 "사내조사개요"를 발표. 1996년 3월 12일 - 하야카와 피고 공판. TBS의 프로듀서 및 하야카와의 공술조서의 요지를 알림(사건의 핵심인 하야카와 메모가 알려졌다), 요코하마 법률 사무소가 TBS에게 공개질문서(公開質問状)를 보냄. TBS는 회견에서 부인을 되풀이함. 1996년 3월 19일 - TBS는 요코하마 법률 사무소의 공개질문서에 대한 회답서를 제출함. 사카모토의 인터뷰 비디오를 보여준 일은 없었다고 회답. TBS의 오가와 상무가 중의원 법무위원회에 참고인을 초치(招致, 청해서 오게함). 사내조사개요에 따라서 발언. 1996년 3월 23일 - 하야카와 메모의 전모가 밝혀짐. 1996년 3월 25일 - TBS의 이소자키 히로조 사장이 사카모토의 인터뷰 비디오를 옴진리교의 하야카와 일행에게 보여준 것을 인정하는 내용의 긴급 기자회견을 염. 동시에 A의 징계·해고 처분을 발표. 1996년 3월 28일 - TBS의 오가와 전 상무, 중의원 법무위원회에 진사(陳謝, 까닭을 밝히며 사과함). 1996년 4월 2일 - TBS의 이소자키 사장 등이 중의원 체신위원회에 참고인 초치. 1996년 4월 3일 - TBS의 이소자키 사장 등이 중의원 체신위원회에 참고인 초치. 1996년 4월 30일 - TBS는 사카모토의 인터뷰 테이프 문제에 대해서 사내조사개요 등을 발표함. 19시 00분부터 19시 20분까지 이소자키 사장에 의한 특별방송 "시청자 여러분에게(視聴者の皆様)"가, 19시 20분부터 22시 50분까지 "비디오 문제검정특번『증언·사카모토 쓰쓰미 변호사 테이프 문제로부터 6년 반』(ビデオ問題検証特番『証言・坂本弁護士テープ問題から6年半』)[3]을 방영함. 우정성[4]에 최종보고서를 제출함. B의 징계 해고와 이소자키 사장 등 3명의 사임을 발표함. 1996년 5월 1일 - 이소자키 사장이 인책 사임. 후임은 스나하라 유키오가 됨. 1996년 5월 20일 - TBS는 23시 50분부터 5분간 특별 방송 "시청자 여러분에게"라는 제목으로 방영을 했으며 이 프로그램에서 스나하라 사장이 경과를 알렸음. 이후의 대책 및 사과 방송을 했다. 1996년 5월 20일~5월 24일 - TBS는 불상사에 의한 자숙 조치로서 심야방송을 그만둠. 1996년 5월 24일 - TBS는 요코하마 법률 사무소에 공개질문장에 대한 회답서를 다시 제출함. 3월 19일에 보낸 회답서를 전면적으로 철회하고 사카모토와의 인터뷰 비디오를 보여준 것을 인정했으며 동시에 유족과 요코하마 법률 사무소 등에게 진사함. 1996년 12월 18일 - TBS "앞으로의 방송을 생각하는 모임(放送のこれからを考える会, 의장 : 홋타 쓰토무 변호사)이 보도 현장에 있어서 "개의 확립(個の確立,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하고 그 결과에 스스로 책임을 지는 것)"을 요청함. 국회 참고인 초치 [편집] 1996년 3월 19일 “ 사내조사는 미리 판단하지 않았으며 엄정, 공정히 처리했습니다. 그 결과를 숨김없이 발표했습니다. 사내조사에서는 옴진리교의 3명에게 대응했던 사원 두 명 밖에 당일 건물내에 있던 외부 스태프등에게 상황을 들었습니다. (중략) 그랬던 상황에서 저희들은 테이프는 보여주지 않았다고 확신합니다. 검찰청의 수사결과에 대해서는 저희들은 언급할 수 없지만 사내의 조사에서는 보여줬다고 하는 사실은 나오지 않고 있다고 확신하고 있습니다. ”   — 오가와(大川) 참고인, 중의원 법무위원회 1996년 3월 28일 “ 3월 19일 이곳 법무위원회에서 사내조사의 결과를 보고 했습니다만 그 후 새로운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TBS 사원이 옴진리교의 간부 세 명에게 사카모토 쓰쓰미 변호사의 인터뷰 테이프를 보여주었습니다. 전에 이 위원회에서 보고한 내용은 착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정말 죄송합니다. 정정하면서, 같이 사죄 드립니다. ”   — 오가와(大川) 참고인, 중의원 법무위원회 TBS 비판과 과열[편집] 보도윤리의 위반[편집] TBS측의 스태프가 옴진리교 간부에게 비디오를 보여준 것은 정보원의 비밀이라고 하는 저널리즘의 원칙에 반하여 보도윤리를 크게 위반한 것으로 비판을 받았다. 또 TBS가 비디오를 옴진리교 간부에게 보여준 것으로 인해 사카모토가 살해당했다라고 하는 비난도 있었고 TBS 이외의 보도 기관이나 여론도 이것을 인정하고 TBS를 비판해서 책임을 추궁했다. 게다가 옴진리교 간부의 공판에서 당사자의 공술이나 메모가 밝혀진 것이 알려지고 사실을 인정하기까지 5개월 이상에 걸쳐 틀린 것 투성이인 '내부조사'를 근거로 의혹을 계속 부정하고 이전의 조사의 불투명함으로부터 볼 때 TBS는 사실을 파악하고 있는데도 의도적으로 숨긴 것 아니냐는 의심을 받고 있었다. 이러한 엉터리 대응에 대한 위기 관리의 실패도 TBS 비판을 더욱더 가속화하는 요인이 되었다. 내부조사의 파탄[편집] 당초 조사위원회 설치를 할 때는 보도국을 중심으로 한 선후책이 모아졌지만 1995년 10월 19일 닛폰 TV의 의혹보도로 인해 사태가 일변하게 된다. 일련의 경위를 파악하고 있지 않던 일부 경영 간부가 닛폰 TV에게 항의를 표했다. 간부들의 독단에 가까운 형태로 "뉴스의 숲" 내에서 항의 성명의 방송이 결정되기도 했다. 이 항의 성명의 방영으로인해 TBS는 의혹을 부정하지 않을 수 없었던 상황에까지 몰리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고 나서 조사위원회는 경영간부가 중심으로 되지만 그 조사는 해당 프로듀서들로부터 들은 것만으로 그 발언을 그대로 받아들인 "결론이 되었던" 것이다. 그것도 해당 프로듀서는 TBS의 내부 조사와 검찰의 사정 청취에 다른 발언을 했고 TBS의 내부위원회는 이 일을 파악 조차 하지 못했다. 일련의 경위로부터 비디오 문제는 보도·저널리즘이나 보도기관에 신뢰를 크게 뒤흔든 매우 중대한 사건이 되었다. 또한 TBS는 피해자의 유족에 대해서도 불성실한 대응을 하고 있었다. 미야코(쓰쓰미의 부인)의 아버지인 오야마 도모유키(大山友之)의 수기 《미야코 들립니까》(2000년, 신조사)를 227쪽 부터 조금 긴 인용을 했다. (전략) 1주일 후인 3월 19일, 중의원 법무위원회에서 참고인으로서 초치된 TBS 상무는 이 모순에 막혀서 대답이 궁해지고 결국 추태를 보이는 결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결국 같은 해 4월 30일 TBS는 감독관청인 우정성에 사건의 전말을 보고합니다. 이 "사카모토 테이프 조사보고의 요지"에 의해서 몇몇 일간지 회사의 기사를 읽고 비교해 보았지만 TBS가 속이려했던 의도가 보인 반면 사태의 진상이 전혀 밝혀지지 않은 것에 강한 분노를 느꼈습니다. 거기서 저는 직접 TBS에 요청을 해보았습니다. 진상을 이 눈과 귀로 확인 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집에서 TBS 본사로 전화를 걸고 광고 담당부서에 연결 되었으며 주소, 성명, 어떤 입장에 선 사람인지를 이번에는 또 다른 남자의 소리가 느닷없이 들리며 "도대체 뭘 어쩌라는거야! 뭘 요구하는거야!" 이렇게 으름장을 냈습니다. 이거에 놀랐습니다. 엄청난 분노도 솟았습니다. 하지만 저는 진상을 아는 것과 우정성에 제출한 보고서와 똑같은 것을 입수하는 것이 목적임을 생각하고 꾹 참고 "요구가 아니라 부탁하는 전화입니다. 사카모토 비디오의 보고..."라고 말하자마자 또 전화 상대가 바뀌었습니다. "저는 광고부 부장 XX입니다" 있었습니다! 책임자는 자리를 비웠다면서 그 장소에 있었던 것입니다! 정중하게 자기 소개는 했습니다만 용건을 전하니 "있긴 있습니다만 남은 부수도 적고 부외자(部外者)에게 보여주는 것도 아닙니다만 어쩔수 없군요, 보내겠습니다"라는 대답이 돌아왔습니다. 역시 저는 부외자였습니다. "어쩔 수 없네 보내줄 거니까 고맙게 생각해라"라고 끝난 정도의 인간으로서 일을 맡은 것입니다. 매스 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하는 특권의식에 사로잡힌 그들의 거만함을 강하게 느꼈습니다. 물론 매스 커뮤니케이션을 뭉뚱그려서 말할 생각은 없습니다. 다만 형법에 저촉하기까지 말할 수 없더라도 도무지 이성이 있는 인간으로서 해서는 안 되는 과오를 저지르고 그것을 부끄럽게 여기지도 않고 거꾸로 끝까지 숨기려고 한 TBS의 당시의 경영진은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최하급에도 들 수 없으며 아니 아예 두어서는 안된다라는 생각은 지금까지도 바뀌지 않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위는 있었습니다만 96년 5월 2일에 광고부장이 첨부한 것과 함께 다음의 표제의 서류를 보내 준 것은 고맙게 여기고 있습니다. (하략) 매스미디어와 시청자간의 신뢰 관계[편집] TBS가 비디오를 보여준 것을 인정하며 전면적으로 입장을 바꾼 1996년 3월 25일, TBS의 간판 프로그램 《NEWS 23》의 캐스터를 맡고 있던 지쿠시 데쓰야는 그 날 방송에서 "매스미디어가 시청자간의 신뢰 관계를 신뢰 관계의 상에서 존재하고 있던 것을 위반했다"라며 "TBS는 오늘 죽은 것이나 다름 없습니다.[5]…… 오늘 오후 저는 이 프로그램을 마지막으로 그만두기로 결심했습니다"[6]라고 발언했다. 이 발언도 엄청난 반향을 불러았다. 잇따른 파문[편집] 한편 여론의 TBS 비판이나 "TBS가 비디오를 옴진리교 간부에게 보여줘서 사카모토가 살해 당했다"라는 비난에 대해서는 사카모토는 그 이전에 라디오에 출연해서 아사하라와 전화로 토론을 했으며 "TBS가 보여준 테이프의 내용이 살해의 직접적인 동기로 되었던 건 아닙니까"와 같은 보도는 "타당성을 깎아내리고 있다"라는 반론이나 "TBS 비난에 즐거워해서(보도 윤리로서) 문제의 본질을 놓치고 있다"라는 이의[7]도 있었다. 또한 이것들의 비판이 지나쳐서 비판의 대상이 살해 피의자인 옴진리교에서 TBS로 넘어간 것으로 일련의 옴진리교 사건 바로 그것에 대한 진상 규명이 소홀했다는 의견도 있다. 그 후의 TBS[편집] 프로그램 대폭 개편[편집] TBS는 일찍이 "민족의 웅", "보도의 TBS"(『8시야! 전원 집합』이나『미토코몬(水戸黄門)』, 『JNN 뉴스코프』, 『퀴즈 더비』등의 인기 프로그램이 많았다)등으로 불렸지만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에 걸쳐서 사내의 인원 구성의 고령화 등으로 프로그램 편성의 개혁이 뒤떨어지는 일이 발생하고 닛폰 TV나 후지 TV에 시청률을 내주고 TBS는 전체적으로 시청률의 하락의 늪에 빠지게 되었다. 특별히 평일 정오대에는 『신고의 오래 기다렸어(新伍のお待ちどおさま)』를 빼고 이른바 죽음의 틀 이라고 야유를 받았다. 또 평일 밤 10시에 TV 아사히의 『뉴스 스테이션』에 대항해서 밤 10시에 뉴스 프로그램을 신설했지만 시청률 부진의 이유로 2년 만에 사라졌다(『JNN 뉴스 22 프라임 타임』, 『JNN 뉴스 테스크 '88・'89). 게다가 『퀴즈, 100명에게 물었습니다』나 『기미아·브레이쿠』등 인기 프로그램을 억지로 폐지하고 억지로 시작한『무브』도 시청률이 엄청 낮았다. 2000년대 이후에는 1970년대~80년대의 인기를 자랑하는 프로그램의 재편집판이나 리메이크판 등을 방송하는 것이 매우 증가해서 어쩐지 프로그램 편성에 복고풍의 부분이 나타나는 것이 보여진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와이드쇼인 『모닝Eye』, 『3시에…』의 다음 프로그램인『슈퍼 와이드』, 아침 방송인『빅모닝』→『더 프레쉬!』, 심야 방송인『브로드 캐스터』, 『스페이스 J』가 높은 시청률을 얻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비디오 문제가 발각된 것이다. 결국 1996년 6월 중의 개편 이후, 편성·조직의 개혁을 실행하게 된다. 보도 쪽의 와이드쇼 일체 중단[편집] 1985년에 드러난 TV아사히의 오후 프로그램 『애프터눈 쇼』의 '야라세 린치 사건' 이상의 방송계 치대의 사건이 되어버린 이 문제에 대해 TBS는 사회적 비난을 뒤집어쓰고 각 넷국(net局)에게도 큰 타격을 전했고[8] 보도와의 선을 그은 것이 애매하게 되었다라는 지적을 받고 당시 방송 중에 있었던 보도 쪽의 와이드쇼 프로그램을 중단하는 소위 '보도 쪽의 와이드쇼'라고 불리는 프로그램으로부터의 철퇴를 표명했다. TBS는 1996년 6월과 10월에 개혁을 실시했다. 심야방송의 자숙[편집] 불상사에 의한 자숙조치로서 5월 20일부터 24일까지 5일간 TV의 심야방송을 그만두거나 이 기간은 NEWS23의 방송을 제1부만 하도록 단축하기도 했다. 라디오의 심야방송은 평상시와 같이 진행되었다. 이 외에 지방국에서는 TBS의 심야 프로그램을 보여주지 않고 통쾌! 아카시가 전시대(본편은 간사이 로컬)등 MBS의 프로그램을 보여주는 케이스도 있었다. 기구(機構) 개혁[편집] 당시 이른바 보도 쪽의 와이드쇼계의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정보계에서 일부 버라이어티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프로그램이 '사회정보국' 이라고 불리는 섹션에서 제작 되었지만 이 건에 관해서는 「보더리스(borderless, ボーダーレス)」「노장르(non-genre)」의 섹션이기 때문에 일어난 문제는 아닐까하는 안팎에서의 지적도 있었다. 이러한 소리를 감안해 사회정보국을 폐지했다. 폐지 후 뉴스계의 프로그램은 일단 모두 보도국에서 이관됐고 그 외의 프로그램은 모두 제작국에서 이관됐으며 이것이 후에 TBS 사내의 제작국, 라디오국 등을 회사를 쪼개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2000년에 TBS 엔터테인먼트, TBS 스포츠, TBS 라디오&커뮤니케이션즈, 2001년에는 TBS 라이브에 저마다 회사에서 나뉘었던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라이브의 3개 회사도 2004년에 도쿄 방송으로 통합되었다. 2009년에 TBS 자체적으로 이름을 '주식회사 도쿄 방송(약칭 : TBS 홀딩스, TBSHD)으로 변경, 방송 면허 승인을 포함한 텔레비전 방송사업 및 문화사업의 현재의 일 전부를 도쿄 방송에 분할해서 순수 소유주 주식회사가 되었다. 이와 관련해서 TBS에서의 이 흐름을 받아 TV 도쿄 이외의 도쿄에 있는 다른 방송국도 같은 부서의 정리재편을 시작해서 닛폰 TV 방송망(사회정보국)과 후지 TV(편성국 사회정보부)는 각기 단계적으로 폐지·일반 프로그램 제작 부문으로의 흡수등이 진행되었다. TV 아사히(정보국)만 개편을 하지 않고 같은 부서는 유지했다(2007년의 기구 개혁에서 정보국은 보도국으로 흡수되었다). 노선 변경[편집] 1996년 6월 개편에서는『슈퍼 와이드』(『3시에 만납시다』의 후속 프로그램)이 종료되고 4개월간 드라마 재방송을 했다. 『당신에게 온타임(あなたにオンタイム)』·『프레쉬!(フレッシュ!, Fresh!)』를 폐지하고 같은 시간에 타 방송사에서 방영하는 프로그램(裏番組)인『줌인!! 아침!(ズームイン!!朝!)』을 의식해서 지방정보를 다루는 프로그램인 『안녕 쿠지라(おはようクジラ)』를 시작했다. 한편으로는 버라이어티 방송인 『퀴즈 악마의 속삭임』을 종료하고 『빛나는 일본의 별!』을 시작했다. 9월에는 『스페이스 J』·『모닝Eye』가 끝났으며, 『모닝Eye』의 후속 프로그램으로는『동그란 마켓(はなまるマーケット)』을, 『슈퍼 와이드』를 방송하고 있던 오후 3시대에 『레이디스4』(TV 도쿄 제작)와 같은 살롱 토크를 중심으로 한 정보 프로그램『근사한 당신』을 시작했다. 『선데이 모닝』과 『브로드 캐스터』(2008년 9월 종료)는 보도국 제작에 이행했기 때문에 중단되었다. 『동그란 마켓』에 대해서는 방송 시작 후 10년을 넘는 인기 장수 프로그램이 되어서 노선 변경의 성과를 가져왔다. 거듭되는 방송 개편[편집] 그러나『안녕 아침』·『근사한 당신』 및 정오 때는 시청률이 나빠져 리뉴얼·중단이 반복되었다. 『저스트』는 트렌드 정보를 충실히 이행했고 『베스트 타임』은 집안 일이나 가계, 방의 개선 등을 테마로 두었다. 한편으로『저스트』가 정식으로 예능 뉴스를 다룬다던가 『베스트 타임』은 프로그램 주체로 뉴스를 와이드쇼적 출연으로 소개하는등 종전의 정의에 의한 '보도쪽의 와이드 쇼'의 사실상의 부활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9] 2005년에는 "TBS 평일 와이드 대개편"이라고 선전한 개혁을 실시했다. 보도국이 주체인 『이브닝5』외에 『미노몬타의 아사즈밧!』, 『오늘발 플러스!』(2006년 9월 종영}을 시작했다. 2006년 10월 개편에서 『핑퐁!』, 『2시, 차오!』(모두 2009년 3월 종영)을 시작했다. 모두 정보 프로그램으로 구분되어 있다.[10] 하지만 『아사즈밧!』의 TBS 후지가(家) 날조 보도 문제 등 불상사가 잇달아 발각되고 있다. 『2시, 차오!』는 2007년 9월에 제작비의 사정으로 중단되었다. 『더 와이드』(닛폰 TV 방송망)를 보고 있던 시청자를 끌어들여 시청률 두 자릿수를 기록하고 있었다. 하지만 도라바라 ZONE을 거치고 간사이 로컬 프로그램에서 전국 넷 프로그램으로 오른 『정보 라이브 미야네가게(情報ライブ ミヤネ屋)』(요미우리 TV)가 2008년 여름 부터 간토 지방에도 방송되면서 시청률을 빼앗겨 고전했고 2009년 3월 종영했다. 또한 『2시, 차오!』에서는 방송 중에 여성 리포터가 상해 사건을 일으켜서 서류 송검되기도 했다.[11] 2009년에는 또 대폭적인 개편을 실시했다. JNN뉴스의 일부를 빼고 『THE NEWS (TBS・JNN)』로 이름을 바꿨다. 골든 타임의 뉴스 프로그램 『총력보도! THE NEWS』를 시작으로 4시간 연속 프로그램인『히루오비!』, 17시 대에는 정보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사카스상』(サカスさん)으로 흥을 돋구며 시작함에도 불구, 전편보다도 시청률이 낮아졌다. 심할 때는 한자리수까지 내려가서 『미토코몬』의 재방송(16시대에 방송)이 1일중으로 최고 시청률 프로그램이라고 불리는 불명예스러운 기록도 생겼고 게다가 TV 도쿄에게 지는 날도 있어서 '(1992년 이후로) 역사를 배우지 않고 있다', '이제(아카사카스 재개발등으로 이익을 얻고 있는) 부동산업에 전환해서 면허를 반환해야한다'등 독한 의견도 나오고 있다.[12] 게다가 7월 17일을 기해서 『히루오비!』, 9월 28일에는 『총력보도! THE NEWS』를 각기 축소했다. 1996년의 노선 변환 직후의 수준까지 대폭 후퇴해버렸다. 각주[편집] ↑ 단순하게 TBS 사건이라고 말하면 TBS 나리타 사건을 생각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 숨을 수분간 참는 수행. 물 속에 잠겨서 하는 "수중 쿵바카"나 그 변형인 "수중 에어 타이트 사바디"등이 있다(세계 기록은 11분이지만 5분 30초간 물 속에 있던 이노우에 요시히로에 대해 아사하라는 "뭐를 두려워한거야"라고 발언했지만 아사하라의 기록에는 겨우 15초라고만 되어있다).[1][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일본어에서 番은 番組(방송 프로그램)의 준말이다. ↑ 한국의 우정사업본부와 유사함. ↑ 지쿠시는 저서 "뉴스 캐스터"(집영사신서)에서 원래 이 말은 방송 직전의 회의 중에서 스태프가 발언한 것으로 방송에 있어서 자신의 말로서 나가도 좋은가에 대한 동의를 얻은 뒤에 발언했다고 하는 후일담을 기록하고 있다. ↑ “뉴스 23시 관련 내용(TBS 홈페이지)”. 2007년 11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25일에 확인함.  ↑ 「다하라 소이치로의 싸우는 텔레비전론(論)」 다하라 소이치로(문예춘추) 「다하라가 날았다 국제뉴스의 현장」 기무라 다로(도쿄 신문 출판국) 「이와나미 북렛 NO.406『TBS 사건과 저널리즘』」 구로다 기요시(암파서점) 모두 '이 문제는 어느 보도기관에서도 일어날 수 있는 문제였'으므로 TBS 비난에 즐거워서 지기 비판·자기 반성을 하지 않은 매스미디어의 자세나 TBS에게 과열된 비판보도에 대해서 의문을 던지고 있다. ↑ 마이니치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간사이 지방의 시청자에게서는 "MBS는 TBS의 프로그램을 빼라" 라고 하는 소리도 있었다. ↑ 『저스트』에서는 스캔들 화제는 다루지 않았다. 예를 들자면 1999년에 일어난 아사카 미쓰요와 노무라 사치요 사이에서 일어난 소동(이른바 미치・사치 소동(サッチー騒動)은 TBS 이외의 '보도쪽의 와이드 쇼'에 적용 시키는 일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연일 알리고 있었지만 『저스트』는 다 프로그램만큼 다루지 않았다. 『토쿠다네』(후지 TV)도 같은 방침을 취하고 있다. ↑ 『토쿠다네!』(후지 TV)의 등장 이후 개편에 의한 카테고리 구분은 존재하면서도 보더리스화가 진행되고 있다. ↑ “TBSリポーターを書類送検” (일본어). NHK 시가 현(滋賀). 2009년 10월 21일. 2007년 3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월 18일에 확인함.  ↑ “TBSの研究 (4)低迷続く視聴率 : M&Aと企業防衛 : 特集 : マネー・経済 : YOMIURI ONLINE(読売新聞)[[분류: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TBS 비디오 사건]]”. 2007년 8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8월 6일에 확인함.  URL과 위키 링크가 충돌함 (도움말) 관련 항목[편집] 사카모토 쓰쓰미 변호사 일가족 살해 사건 옴진리교(현재 : 알레프)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사카모토 쓰쓰미 변호사 일가족 살해 사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TBS_비디오_사건&oldid=24194992" 분류: 도쿄 방송1989년 일본1995년 일본1996년 일본일본의 사건1989년 10월텔레비전 논쟁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CS1 - 일본어 인용 (ja)인용 오류 - URL과 위키 링크가 충돌함출처가 필요한 글/2011년 11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20:1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TBS 비디오 문제(일본어: TBSビデオ問題, TBSビデオもんだい)는 1989년 10월 26일에 TBS의 와이드 쇼인 『3시에 만납시다』의 스태프가 변호사인 사카모토 쓰쓰미가 옴진리교를 비판한 인터뷰 영상을 방송 직전에 옴진리교 간부에게 보여준 것이 9일 후인 11월 4일에 일어난 사카모토 쓰쓰미 변호사 일가족 살해 사건의 발단이 된 사건이다. 일본에서는 옴(진리교) 비디오 사건, 옴(진리교) 비디오 문제, 단순하게 TBS 옴(진리교) 사건, TBS 문제, TBS 사건, TBS 비디오 사건 이라고도 부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TBS 비디오 사건이란 무엇인가 Assistant: 당초 조사위원회 설치를 할 때는 보도국을 중심으로 한 선후책이 모아졌지만 1995년 10월 19일 닛폰 TV의 의혹보도로 인해 사태가 일변하게 된다. 일련의 경위를 파악하고 있지 않던 일부 경영 간부가 닛폰 TV에게 항의를 표했다. 간부들의 독단에 가까운 형태로 "뉴스의 숲" 내에서 항의 성명의 방송이 결정되기도 했다. 이 항의 성명의 방영으로인해 TBS는 의혹을 부정하지 않을 수 없었던 상황에까지 몰리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고 나서 조사위원회는 경영간부가 중심으로 되지만 그 조사는 해당 프로듀서들로부터 들은 것만으로 그 발언을 그대로 받아들인 "결론이 되었던" 것이다. 그것도 해당 프로듀서는 TBS의 내부 조사와 검찰의 사정 청취에 다른 발언을 했고 TBS의 내부위원회는 이 일을 파악 조차 하지 못했다. 일련의 경위로부터 비디오 문제는 보도·저널리즘이나 보도기관에 신뢰를 크게 뒤흔든 매우 중대한 사건이 되었다. Human: 아래 민진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민진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민진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민진후(閔鎭厚, 1659년 ~ 1720년)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인현왕후의 오빠이자 민진원과 민진영(閔鎭永)의 형이다. 스승은 송시열이며, 명성황후의 5대조이다. 본관은 여흥. 목차 1 생애 2 가족 관계 3 참고 자료 4 민진후가 등장한 작품 5 각주 생애[편집] 민유중과 송준길의 딸인 은진 송씨의 아들로 태어났다. 인현왕후와 민진원은 그의 동생들이다. 소년 시절 아버지 민유중과 백부 민정중의 스승이기도 한 송시열의 문하에서 문인으로 수학하였다. 1681년(숙종 7) 생원이 된 뒤 1686년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정자 (正字)가 되었으나, 1689년(숙종 15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집권하자 삭탈관직되어 귀양 갔다. 1694년(숙종 20년) 갑술환국으로 인현왕후가 복위되자 세자시강원 설서(說書)로 복직되었다. 이후 다시 중용되어 사간원정언, 부응교, 헌납, 시독관, 수찬, 검토관, 북평사를 거쳐, 97년 충청도관찰사가 되었다. 대사간, 강화부유수, 장례원판결사, 형조참의, 병조참판, 호조참판을 했고 한성부판윤으로 승진, 형조판서를 거쳐 우참찬이 되었다. 예조판서, 좌참찬, 한성부판윤, 지경연사를 계속 했다. 곧 예조판서, 지의금부사, 수어사를 했다. 곧 한성부판윤, 예조판서, 우참찬, 지의금부사를 했다. 1705년 조선 초기 좌정승 김종서의 죄를 회복하고, 관작의 복구를 청했으나 무산되었다. 1706년 의금부 지사(知事)로서, 유생 임보(林溥)가 세자모해설(世子謀害說)을 발설하여 일어난 옥사 때 왕 앞에서 함부로 논죄하다가 탄핵, 파직되었다. 그러나 이후 복직되어 판의금부사, 좌참찬, 수어사, 판중추부사, 한성부판윤, 형조판서, 판돈녕부사 등을 했다. 형조판서, 수어사, 판돈녕부사, 제조, 병조판서, 한성부판윤, 예조판서를 거쳐 판의금부사, 수어사, 좌참찬, 한성부판윤이 되고 예조판서, 지경연사, 형조판서, 한성부판윤, 판의금부사, 좌참찬 등을 했다. 그러나 한때 소론의 탄핵으로 귀양을 갔다가 1717년 다시 기용되어 여러 요직을 거쳐 동지사(冬至使)로 청나라에 다녀오고 돈령부판사, 예조판서, 한성부판윤을 거쳐, 1718년 숭록대부에 올랐다. 내국제조(內局提調)로서 홍문관제학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였다. 1719년 의정부 우참찬, 개성부 유수로 있다가 죽었다. 인품이 뛰어나고 문집으로 《지재집》(趾齋集)이 전한다. 시호는 충문(忠文), 경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김창집, 이이명, 이건명, 조태채와도 친분이 깊었다. 가족 관계[편집] 조부 : 민광훈(閔光勳) 조모 : 연안이씨(延安李氏), 이조판서 이광정(李光庭)의 딸 아버지 : 민유중(閔維重) 어머니 : 은진 송씨(송준길(宋浚吉)의 딸) 누나 : 여흥 민씨(이만창(李晩昌)[1] 에게 출가) 남동생 : 민진원(閔鎭遠) 제수 : 파평 윤씨(윤지선(尹趾善)의 딸) 여동생 : 인현왕후 매제 : 조선 19대 국왕 숙종 여동생 : 초명 민정성 혹은 민정제[2] 매제 : 신석화(申錫華, 신정(申晸)의 아들. 장렬왕후 조씨의 언니의 손자로 숭선군의 처남의 아들이다.) 계모 : 풍양 조씨 이복 남동생 : 민진영(閔鎭永, 1682 ~ 1724) 이복 여동생 : 이장휘(李長輝)에게 출가(이선의 아들) 이복 여동생 : 홍우조(洪禹肇)에게 출가 초실 : 본관 연안(延安) 이단상(李端相)의 딸[3] 장녀[4] : 조규빈(趙奎彬)[5] 에게 출가 외손자 : 조영진(趙榮進)[6] 계실 : 이덕로(李德老)의 딸 아들 : 민익수(閔翼洙, 1690 ~ 1742)[7] 손자 : 민백분(閔百奮)[8] 손녀 : 홍지해(洪趾海)에게 출가 - 홍상간(洪相簡)의 어머니 손녀 : 윤일복(尹一復, 윤지술(尹志述)의 아들, 둘째며느리 윤씨의 친정조카)에게 출가 아들 : 민우수(閔遇洙, 1694 ∼1756) 자부 : 칠원 윤씨(윤지술[9] 의 누나, 구성필(具成必)[10] 의 생질녀) 손자 : 민백첨(閔百瞻) 손자 : 민백겸(閔百兼) 차녀 : 김광택(金光澤)[11] 에게 출가 참고 자료[편집] 한영우 (2001년 10월 20일). 《명성황후와 대한제국》 초 1쇄판. 서울: 효형출판. ISBN 89-86361-57-4.  민진후가 등장한 작품[편집] 박병훈 - 1988년 인현왕후, MBC 드라마 차광수 - 1995년 장희빈, SBS 드라마 김명수 - 2002년 장희빈, KBS 드라마 각주[편집] ↑ 이숙의 아들로, 김수흥(金壽興)의 사위인 이만성(李晩成)의 형이다. 누이 이씨는 오두인(吳斗寅)의 아들 오이주(吳履周)의 처이다. 이만창의 사촌누이는 민진후 남매의 외사촌형인 송병문(宋炳文, 송준길 손자)에게 출가하여 딸을 낳았는데, 이 딸이 장성하여 김창집(金昌集, 노론4대신 중 한 명)의 장남인 김제겸(金濟謙)과 혼인하였다. ↑ 《문정공유고(文貞公遺稿)》에 수록된 "제망실송부인문(祭亡室宋夫人文)"에서 발췌. "제망실송부인문"은 민유중이 1673년 2월 14일에 치룰 계실 은진송씨의 장례에 앞서 지은 제문으로, 이 제문에 민유중은 은진송씨가 사망 직전에 출산한 쌍둥이 자매를 정성과 정제로 작명했음을 보고하고 있다. 제문의 내용에 따르면 이 제문이 쓰여진 당시에 은진 송씨가 남긴 자녀는 총 2남 5녀로, 민유중의 최종 가계에 기록된 송씨의 자녀수와 일치하지 않는데 이는 1672년에 탄생한 삼녀 신이(혹은 정신)와 쌍둥이 중 한 명이 조졸한 탓이다. 성인식 혹은 혼인식을 치루기 전에 사망한 자녀는 부모의 가계에 포함하지 않는다. ↑ 김수항의 차남 김창협(金昌協)의 처제이며 김창국(金昌國)의 맏사위인 이하조(李賀朝, 영빈 김씨의 형부)의 누이이다. 이단상의 장남 이희조(李喜朝)는 김수흥의 사위로 김창협과는 사촌남매이며, 이단상의 다른 사위 송징오는 이하조의 처와 이종남매이기도 하다. 이단상의 질녀 이씨는 인경왕후의 당백모(김만균(金萬鈞)의 처)이며 원몽린(元夢隣, 숙경공주의 남편)의 고종아우이자 노론4대신 중 한 명인 이건명(李健命)의 장모이다. ↑ 폐비가 되어 사가로 돌아온 인현왕후가 저택 별채에서 유폐생활을 하며 손수 키운 질녀이다. 《소설 인현왕후전》에는 인현왕후가 민진후(閔鎭厚)의 딸을 거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소설 인현왕후전》에 잘못 쓰여진 것일 수도 있으나 인현왕후가 둘 다 거두었을 가능성도 배재할 수 없다. ↑ 조태휘(趙泰彙) 아들이며 노론4대신 중 한 명인 조태채(趙泰采)의 친조카이다. ↑ 영조에게 어머니 민씨가 인현왕후의 폐비시절을 직접 모셨던 것을 피력하고 어머니 혹은 인현왕후가 썼다는 수필을 바쳐 상당한 재물과 관직을 얻었으며 음서로 문관 당상직에 오를 만큼 영조의 각별한 총애를 받았다. 영조를 인현왕후가 폐비시절 머물었던 민유중의 저택(당시는 민백분의 소유) 별채로 멋대로 안내하여 영조가 인현왕후가 침실로 썼다는 건물에 '감고당'으로 이름짓고 친필로 편액을 써주고, 조규빈을 종2품 한성부우윤으로 특진해주었는데, 훗날 영조실록의 사관이 그 집안 사람들에게서 전해들었던 바에 따르면 방향이 틀린 곳이었다고 한다. 출처: 영조실록 97권, 37년(1761 신사 / 청 건륭(乾隆) 26년) 6월 13일(경진) 4번째기사 ↑ 명성황후의 고조부 ↑ 명성황후의 증조부 ↑ 경종 즉위 후, 무고의 옥을 재수사하여 경종의 생모인 희빈 장씨의 무고함을 밝히고 왕후로 추존해야 한다는 소론과 남인의 주장이 일어나자 국상 중이니 언급치 말라는 경종의 왕명을 무시하고 성균관 장의의 입장으로 권당을 선언하며 숙종이 희빈 장씨를 죽인 것은 빛나는 업적이니 만인과 후세가 이를 칭송하도록 행록에 남길 것을 요구한 자가 바로 윤지술이다. 이 사건의 배후로 추정되는 민진원과 그 무리(노론)에게 결기 넘치는 젊은 영웅으로 추앙받으며 보호받다가 신임옥사로 뒷배를 모두 잃고 즉결 처형됐다. ↑ 윤지술 남매의 어머니 능성구씨의 양동생으로, 가문의 배경으로 영조의 각별한 총애를 받아 진사에 불과한 출신으로 음관(蔭官)‧문관(文官)‧무관(武官)의 높은 관직에 모두 올라 대신들의 반발이 격렬했다. ↑ 김만중(金萬重)의 손자로 기사환국 때 처참된 이사명(李師命)의 사위인 김용택(金龍澤)의 친형이다. 김춘택(金春澤)의 사촌아우다. 전임서종태 제573대 한성부판윤1702년 음력 10월 8일 ~ ? 후임최규서 전임송창 제580대 한성부판윤1703년 음력 10월 21일 ~ ? 후임조태채 전임윤세기 제589대 한성부판윤1705년 음력 2월 18일 ~ ? 후임서종태 전임권시경 제597대 한성부판윤1706년 음력 8월 9일 ~ ? 후임이익수 전임강현 제603대 한성부판윤1707년 음력 12월 4일 ~ ? 후임김우항 전임이언강 제622대 한성부판윤1711년 음력 3월 5일 ~ ? 후임황흠 전임김석연 제635대 한성부판윤1713년 음력 2월 22일 ~ ? 후임윤덕준 전임홍만조 제644대 한성부판윤1716년 윤음력 3월 3일 ~ ? 후임강현 vdeh종묘배향공신 94현문묘 동시 배향 6현 이언적 이황 이이 김집 송시열 박세채 종묘배향 94현 태조실: 조준 의안대군 남재 이제 이지란 남은 조인옥 정종실: 익안대군 태종실: 하륜 조영무 정탁 이천우 이래 세종실: 황희 허조 최윤덕 신개 양녕대군 효령대군 이수 문종실: 하연 세조실: 한확 권람 한명회 예종실: 박원형 성종실: 신숙주 정창손 홍응 중종실: 박원종 유순정 성희안 정광필 인종실: 홍언필 김안국 명종실: 심연원 이언적 선조실: 이준경 이황 이이 인조실: 이원익 신흠 신경진 이귀 능원대군 이서 김류 효종실: 김상헌 김집 송시열 민정중 민유중 인평대군 현종실: 김좌명 정태화 김수항 김만기 숙종실: 남구만 윤지완 박세채 김만중 최석정 김석주 경종실: 이유 민진후 영조실: 김창집 최규서 민진원 조문명 김재로 장조실: 민백상 이종성 정조실: 김종수 유언호 김조순 순조실: 이시수 김재찬 김이교 조득영 조만영 남연군 문조실: 남공철 김로 조병귀 헌종실: 이상황 조인영 철종실: 이헌구 김수근 익평군 고종실: 신응조 박규수 이돈우 민영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민진후&oldid=23757390" 분류: 1659년 태어남1720년 죽음조선의 문신과거 급제자여흥 민씨인현왕후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2월 23일 (토) 14: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민진후(閔鎭厚, 1659년 ~ 1720년)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인현왕후의 오빠이자 민진원과 민진영(閔鎭永)의 형이다. 스승은 송시열이며, 명성황후의 5대조이다. 본관은 여흥.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민진후의 할아버지 이름은 무엇인가요? Assistant: 민광훈
Human: 아래 소명여자고등학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소명여자고등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명여자고등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7° 29′ 15″ 동경 126° 47′ 28″ / 북위 37.4874471° 동경 126.7911685°  / 37.4874471; 126.7911685 소명여자고등학교素明女子高等學校Somyong Girls' High School 교훈 이웃을 위한 참다운 봉사자 개교 1962년 설립형태 사립 교장 이순복 국가 대한민국 위치 경기도 부천시 부일로571번길 84 (소사동) 학생 수 882 명 (2018년 5월 1일 기준) 교직원 수 96 명 (2018년 5월 1일 기준) 상징 교목: 단풍나무, 교화: 수련, 교조: 까치 학교법인 인천가톨릭교육재단 관할관청 경기도교육청 웹사이트 http://www.somyong.hs.kr 소명여자고등학교(素明女子高等學校)는 경기도 부천시 소사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다. 목차 1 학교 연혁 2 학교 동문 3 참고 자료 4 외부 링크 학교 연혁[편집] 1956년 4월 5일 : 소명가정기술학교 개교, 초대 교장 신성우 신부 취임 1960년 12월 1일 : 재단법인 경성구 천주교회 유지재단에서 소명여자중학교 설립 인가 신청 1962년 3월 17일 : 소명여자고등학교 설립인가 3학급, 초대 교장 신성우 신부 취임 1965년 2월 8일 : 소명여자 중.고등학교 졸업식 거행(고등학교 제1회 졸업생수 33명) 1970년 12월 23일 : 소명여자종합고등학교로 학칙 변경 1976년 12월 23일 : 소명여자중학교와 소명여자종합고등학교로 분리 1980년 11월 19일 : 소명여자고등학교로 학교명 변경 1980년 11월 24일 : 소명여자고등학교 학칙변경 산업체 특별학급(야간 상과) 설치 1981년 5월 30일 : 성가정관 준공 1991년 12월 23일 : 본관교사 증축(5층) 1992년 3월 2일 : 소명여자 중․고등학교의 법인이 재단법인 천주교 서울 대교구 유지재단에서 학교법인 인천 카톨릭 교육재단으로 무상 양도 양수합의 1993년 11월 6일 : 설립자 및 초대교장 신성우 신부 흉상 제막 및 성가 정상 봉헌 2002년 11월 16일 : 학교 푸른 숲 조성 완료 2004년 11월 18일 : 빛관 다목적실 준공 2009년 7월 1일 : 빛관 교실증축(2010.2월) 2017년 3월 2일 : 제12대 교장 이순복 수녀 취임 2018년 2월 7일 : 제54회 졸업식 (343명) 총 졸업생 수 20,533명 학교 동문[편집] 분류:소명여자고등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참고 자료[편집] 소명여자고등학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교알리미 외부 링크[편집] 소명여자고등학교 홈페이지 vdeh학교법인 인천가톨릭교육재단 인천대건고등학교 박문여자고등학교 소명여자고등학교 박문중학교 소명여자중학교 인천박문초등학교 vdeh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고등학교가톨릭학원 계성고등학교(서울) 동성고등학교(서울) 광암학원 안법고등학교(안성) 효명고등학교(평택) 대지학원 논산대건고등학교(논산) 쌘뽈여자고등학교(논산) 선목학원 근화여자고등학교(경주) 대건고등학교(대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무학고등학교(경산) 성의고등학교(김천) 성의여자고등학교(김천) 효성여자고등학교(대구) 해은학원 오천고등학교(포항) 성모학원 대양전자통신고등학교(부산) 데레사여자고등학교(부산) 성모여자고등학교(부산) 지산고등학교(부산) 순심교육재단 순심고등학교(칠곡) 순심여자고등학교(칠곡) 인천가톨릭교육재단 박문여자고등학교(인천) 소명여자고등학교(부천) 인천대건고등학교(인천) 해성학원 전주성심여자고등학교(전주) 전주해성고등학교(전주) 성지학원 성지여자고등학교(창원) 해성고등학교(거제) 청주가톨릭학원 매괴고등학교(음성) 양업고등학교(청주) 살레시오회 살레시오고등학교(광주) 살레시오여자고등학교(광주) 기타 대전성모여자고등학교(대전) 목포마리아회고등학교(목포) 복자여자고등학교(천안) 상지여자상업고등학교(상주) 성심여자고등학교(서울) 신성여자고등학교(제주) 진광고등학교(원주) 알로이시오전자기계고등학교(부산) 성요셉여자고등학교(강진) 고등과정 각종학교 화요일아침예술학교(연천) 특수학교 서울애화학교(서울) 명혜학교(안산) 청주성신학교(청주) 충주성모학교(충주) 충주성심학교(충주) 꽃동네학교(음성) 은혜학교(광주) 교구 단체 성지 병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 vdeh 경기도의 고등학교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가평군 가평고 설악고 조종고 청심국제고 청평고 고양시 가좌고 경기영상과학고 고양고 고양국제고 고양동산고 고양예고 고양외고 고양일고 능곡고 대화고 덕이고 도래울고 무원고 백마고 백석고 백송고 백신고 백양고 서정고 성사고 세원고 신일비즈니스고 안곡고 일산고 일산국제컨벤션고 일산대진고 일산동고 저동고 저현고 정발고 주엽고 중산고 풍동고 행신고 화수고 화정고 과천시 과천고 과천여고 과천외고 과천중앙고 광명시 광명경영회계고 광명고 광명공고 광명북고 광문고 광휘고 명문고 소하고 운산고 진성고 충현고 광주시 경화여고 경화여자e비즈니스고 곤지암고 광남고 광주고 광주중앙고 태전고 초월고 구리시 갈매고 구리고 구리여고 서울삼육고 수택고 인창고 토평고 군포시 군포고 군포중앙고 군포e비즈니스고 산본고 산본공고 수리고 용호고 흥진고 김포시 김포고 김포외고 김포제일고 김포제일공고 마송고 사우고 솔터고 양곡고 운양고 장기고 통진고 풍무고 하성고 남양주시 가운고 광동고 금곡고 남양주공고 덕소고 도농고 동화고 마석고 별가람고 별내고 심석고 오남고 와부고 진건고 진접고 청학고 퇴계원고 판곡고 평내고 호평고 동두천시 동두천고 동두천외고 동두천중앙고 보영여고 신흥고 한국문화영상고 부천시 경기경영고 경기국제통상고 경기예고 계남고 덕산고 도당고 범박고 부명고 부천고 부천공고 부천북고 부천여고 부천정보산업고 상동고 상원고 상일고 소명여고 소사고 송내고 수주고 시온고 심원고 역곡고 원미고 원종고 정명고 중원고 중흥고 성남시 계원예고 낙생고 늘푸른고 돌마고 동광고 보평고 복정고 분당경영고 분당고 분당대진고 분당영덕여고 분당중앙고 불곡고 서현고 성남고 성남금융고 성남여고 성남외고 성남테크노과학고 성보경영고 성일고 성일정보고 송림고 수내고 숭신여고 야탑고 양영디지털고 운중고 위례한빛고 이매고 이우고 태원고 판교고 풍생고 한솔고 효성고 수원시 경기과고 경기대명고 경기체고 고색고 곡정고 광교고 권선고 대평고 동우여고 동원고 망포고 매원고 매탄고 매향여자정보고 삼일공고 삼일상고 수성고 수원고 수원공고 수원농생명과학고 수원여고 수원외고 수원정보과학고 수원칠보고 수원하이텍고 수일고 숙지고 영덕고 영복여고 영생고 영신여고 유신고 율천고 이의고 장안고 조원고 창현고 천천고 청명고 태장고 한봄고 호매실고 화홍고 효원고 시흥시 경기자동차과학고 군서고 군자디지털과학고 배곧고 서해고 소래고 시화공고 시흥고 시흥능곡고 시흥매화고 신천고 은행고 장곡고 정왕고 한국조리과학고 함현고 안산시 경기모바일과학고 경안고 경일관광경영고 고잔고 광덕고 단원고 대부고 부곡고 상록고 선부고 성안고 성포고 송호고 신길고 안산강서고 안산고 안산공고 안산국제비즈니스고 안산동산고 안산디자인문화고 양지고 원곡고 초지고 한국디지털미디어고 안성시 가온고 경기창조고 안법고 안성고 안성두원공고 안성여고 일죽고 죽산고 한겨레고 안양시 경기글로벌통상고 관양고 근명여자정보고 동안고 백영고 부흥고 성문고 신성고 안양고 안양공고 안양여고 안양여상 안양예고 안양외고 양명고 양명여고 인덕원고 충훈고 평촌경영고 평촌고 평촌공고 양주시 덕계고 덕정고 덕현고 양주고 양주백석고 옥정고 한국외식과학고 양평군 양동고 양서고 양일고 양평고 양평전자과학고 용문고 지평고 청운고 여주시 경기관광고 대신고 세종고 여강고 여주고 여주자영농업고 여주제일고 이포고 점동고 연천군 연천고 전곡고 오산시 매홀고 성호고 세교고 세마고 오산고 오산정보고 운암고 운천고 용인시 고림고 구성고 기흥고 덕영고 대지고 동백고 백암고 보라고 보정고 상현고 서원고 서천고 성복고 성지고 수지고 신갈고 신봉고 용인고 용인바이오고 용인백현고 용인삼계고 용인 외대부고 죽전고 청덕고 초당고 태성고 포곡고 풍덕고 현암고 홍천고 흥덕고 의왕시 경기외고 모락고 백운고 우성고 의왕고 의정부시 경기북과고 경민고 경민비즈니스고 경민IT고 동국사대 부속 영석고 발곡고 부용고 상우고 송양고 송현고 의정부고 의정부공고 의정부광동고 의정부여고 호원고 효자고 이천시 다산고 마장고 부원고 율면고 이천고 이천세무고 이천양정여고 이천제일고 이현고 장호원고 한국도예고 효양고 파주시 경기세무고 광탄고 교하고 금촌고 동패고 문산고 문산수억고 문산제일고 봉일천고 삼광고 세경고 운정고 율곡고 지산고 파주고 파주여고 한민고 한빛고 평택시 경기물류고 동일공고 라온고 비전고 송탄고 신한고 안중고 은혜고 이충고 진위고 청담고 청북고 태광고 평택고 평택기계공고 평택여고 한광고 한광여고 한국관광고 현화고 효명고 포천시 관인고 동남고 송우고 영북고 일동고 포천고 포천일고 하남시 남한고 미사강변고 미사고 신장고 위례고 풍산고 하남경영고 하남고 한국애니메이션고 화성시 나루고 남양고 능동고 동탄고 동탄국제고 동탄중앙고 두레자연고 반송고 발안바이오과학고 병점고 봉담고 비봉고 삼괴고 송산고 안화고 예당고 이산고 정현고 창의고 하길고 한백고 향남고 향일고 홍익디자인고 화성고 화성반월고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소명여자고등학교&oldid=23680349" 분류: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고등학교경기도의 사립 고등학교대한민국의 여자 고등학교일반계 고등학교부천시의 고등학교1962년 개교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2월 11일 (월) 02:5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소명여자고등학교(素明女子高等學校)는 경기도 부천시 소사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소명여고에 12대 교장으로 이순복 수녀가 취임한 것은 언제인가? Assistant: 2017년 3월 2일 Human: 아래 화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화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화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서진의 관료·역사가에 대해서는 화교 (서진)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화교(華僑) 海外华人 총인구 5천만 명 이상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잘못된 이름입니다, 너무 많은 등 언어 중국어 외 종교 주로 불교, 도교, 유교, 기독교, 소수의 이슬람교 민족계통 근연민족 중국인 화교(華僑, 영어: Overseas Chinese)는 중국에서 태어나서 다른 나라에 정착하여 그 나라에 활동하는 사람을 말한다. 한국, 동남아시아, 미국, 일본,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러시아 등에 거주하고 있으며, 그 수는 약 4천만 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주로 광동, 복건계가 많지만, 최근에는 상하이나 베이징계 화교도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출신지와 거주 지역의 언어를 사용하며, 최근에는 표준 중국어와 영어도 널리 쓰이고 있다. 동남아시아의 화교들은 주로 광동, 복건 등의 화남 지방 출신이 많으며, 소수민족이면서도 자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등 현지의 정치, 경제에 많은 영향력을 끼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화교 중에서는 다른 국가에 오래 머물러 혼혈이 많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목차 1 서구의 화교 2 한국의 화교 3 신 화교 4 동남아시아의 화교 5 같이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서구의 화교[편집] 서구의 화교들은 미국, 오스트레일리아등에서 육체 노동자로 근무하면서 뿌리를 내렸는데, 미국 건설노동자, 설탕제조에 필요한 사탕수수 추수 노동자 등으로 근무했다. 유한양행 설립자인 유일한의 부인 호미리도 미국에서 나고 자란 미국계 화교이다. 한국의 화교[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한국화인입니다. 한국에 화교 사회가 정착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말이며 임오군란으로 군인들이 인천에 있을 때 그들의 식사와 허드랫일들을 도우기 위해 파견된 청나라 소작농과 노비 등 하층민 중국인 남성 여성들이 인천에 건너왔고 생업을 위해 상업을 하였다. 군인들은 몇 년지나고 모두 돌아갔지만 이들은 청나라의 보호를 받지 못하여 돌아가지 못하고 인천에 살기 시작했다. 청나라는 서양 열강들에 반식민지화되면서 식민지와 조계지에 대한 중요성을 알게 되었고 임오군란을 핑계로 조선을 속국으로 명시하고 서양 열강들처럼 인천에 조계지를 설치하였고 중국 화교들은 청나라의 지령으로 조선의 서민들을 수탈의 대상으로 삼으며 경제적 수탈을 행했다. 일제강점기때에도 화교에 의한 경제적 수탈에 의해 조선에서 약 1억엔이라는 자본 유출이 일어났고 이로 인해 조선인들과 일본인들에 의한 만보산 학살 등도 일어났으며 조선인들이 화교들의 후안무치에 폭동을 일으켜 화교 배척 학살 사건이 일어났다.. 20세기 초반부터 요식업에 종사하는 화교가 늘어났다. 대부분 중국 대륙에서 건너 왔지만, 도중에 성립된 중화인민공화국으로 인해, 국적은 종전의 중화민국으로 되어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화교가 경제적인 실권을 쥐는 것을 지속적으로 견제해 왔는데 1961년 외국인토지소유금지법으로 화교들의 부동산 소유를 제한했고 1963년 화폐개혁 등으로 돈을 끌어냈다. 우리나라의 화교의 기원은 1882년 임오군란에서 그 유래를 찾아 볼 수 있다. 그 당시 중국인 오장경(吳長慶)이 임오군란을 수습하기 위해 청국 군사 4000명을 데리고 우리나라에 들어왔는데 이들의 군수 물자를 조달하기 위해 따라 들어온 청나라 상인들로부터 화교의 정착이 시작되었다.[1] 이어 1884년 인천 제물포항 주변에 청국조계지가 설정되면서 본격적으로 화교가 들어와 전국적으로 확산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2] 그러나 화교 사회는 우리 정부의 각종 제도적 제한과 차별 대우 아래 위축되어 갔다.[3][4] 10만명에 가깝던 화교는 대한민국 건국 초기부터 70년대까지 화교 경제 진출을 막기 위해 각종 제한을 걸어 대만,홍콩,미국 등으로 이주해 한때 2만명까지 줄었다. 그 이후 1998년 외국인에게 호의적인 정책이 시행되면서 2001년도에는 22,917명으로 점차 안정적이 되었다. 1990-2000년대 이후 다시 돌아오고 있어 2010년대 귀화자를 포함한 화교 인구는 5만명 정도이다. 2010년 기준으로 화교 숫자는 21,490명 수준이다. 이중에 13,316명이 영주권비자(F-5)이며 거주비자(F-2)는 6,569명이다. 다만 이들은 자발적인 집계이고 실제 숫자는 현재 화교 3세까지 합산하면 5만명 가량이다. [5] 지역 화교 인구 서울특별시 8,769명 경기도 2,484명 인천광역시 2,839명 부산광역시 1,732명 대구광역시 871명 충청남도 647명 전라북도 585명 충청북도 569명 강원도 558명 대전광역시 514명 경상북도 432명 경상남도 358명 광주광역시 334명 제주시 295명 울산광역시 282명 전라남도 221명 신 화교[편집] 1992년 한중 수교 이후에 대한민국에 새로 들어온 중화인민공화국의 중국인들을 말한다. 동남아시아의 화교[편집] 동남아시아의 화교는 다른 지역과 달리 수백년전부터 이민을 오고 그들만의 정체성을 지켜온 경우가 많다. 동남아시아 몇몇 국가의 경제 주도권을 잡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재일 중국인 재일 대만인 중국계 인도네시아인(en:Chinese Indonesian) - 세계 최대의 화교(2010년 기준 약 880만 명, 전 국민의 3.7% 차지) 1998년 5월 인도네시아 폭동(en:Indonesian riots of May 1998) 중국계 싱가포르인(en:Chinese Singaporean) - 싱가포르에서 최다민족(2011년 기준 약 280만 명, 전 국민의 74.1% 차지) 강화어운동(講華語運動, en:Speak Mandarin Campaign, SMC) - 동남아 화교중 유일하게 간체자 사용 이유. 말레이시아 화교 중화학교 월교 각주[편집] ↑ http://www.d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5107 ↑ http://news.donga.com/3/03/20141208/68426101/1 ↑ http://www.ichinatown.or.kr/introduction/overseas_chinese/drift.asp ↑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2729365 ↑ http://news.mk.co.kr/newsRead.php?no=990922&year=2014 외부 링크[편집] 한국화교인권포럼 중화민국 교무위원회 중화인민공화국 교무판공실 전거 통제 LCCN: sh2005002341 NDL: 00564773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화교&oldid=24496268" 분류: 화교숨은 분류: 참조 오류가 있는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Mìng-dĕ̤ng-ngṳ̄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Français客家語/Hak-kâ-ngî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NederlandsРусскийСаха тыла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8일 (금) 22:1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화교(華僑, 영어: overseas Chinese)은 중국인 출신으로 다른 국가에 사는 중국인들을 말하는 단어이며, 한국어권에서는 화교(華僑)라고 통칭한다. 해외에서 갖은 탄압을 받아오고 있기 때문에 "아시아의 유대인"이라는 별칭이 있다. 대부분이 서양열강과 일본이 중국에 설치한 상하이, 산둥, 북경, 심양, 다롄 등 식민지 중국에서 동남아 등으로 끌고간 쿨리 한인(漢人) 노예들이다. 한국, 동남아시아, 미국, 일본,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러시아 등에 거주하고 있으며, 그 수는 약 4천만 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주로 산둥, 심양, 상하이, 북경, 다롄, 광동, 복건계가 많다. 이들은 출신지와 거주 지역의 언어를 사용하며, 최근에는 표준 중국어와 영어도 널리 쓰이고 있다. 영국, 프랑스 등 서양 열강으로 인해 동남아시아로 끌려간 화교들은 주로 광동, 복건 등의 화남 지방 출신이 많으나 북경, 심양, 상하이 등 중국 북부에서 끌려간 중국인들도 꽤 존재한다. 또한 화교들은 중국인 혼혈아들이다. 화교(華僑) : 중국(중화인민공화국 또는 대만(중화민국))에서 태어나 중국 국적을 유지하면서 해외에서 이민자로 체류하는 사람. 한국어권에서는 화교·화인·화예를 구분하지 않고 화교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화인(華人) : 체류국의 국적을 취득한 사람. 넓은 의미로 화교·화인·화예를 구분하지 않을 때는 화인이라 부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서울특별시의 화교인구는 몇 명인가? Assistant: 8,769명
Human: 아래 김흠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흠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흠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5년 12월) 김흠순(金欽殉, 598년 ~ 680년)은 가야의 왕족 출신으로 신라의 군인 겸 정치가이자 외척이었다. 신라 화랑도의 19대 풍월주이며 관직은 시중에 이르렀다. 그는 가야국 금관가야의 왕 구형왕의 증손자였으며 김서현의 아들로 김유신의 동생이다. 본관은 김해 김씨이다. 목차 1 생애 2 가족 관계 3 김흠순이 등장한 작품 3.1 TV 드라마 3.2 영화 4 관련 항목 생애[편집] 가야 왕 구형왕의 손자 김서현과 만명부인 김씨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 김씨는 진흥왕의 동생 숙흘종의 딸로, 외할아버지 숙흘종은 딸과 가야계 왕족 김서현의 결혼을 완강히 반대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야합하여 아들을 낳았고 이름을 유신이라 하였다. 처음에 그들의 결혼을 인정하지 않던 숙흘종 내외는 하는 수 없이 딸의 결혼을 인정했다. 유신이 태어나고 3년 뒤에 아들 흠순이 태어났다. 660년 황산벌 전투에 김유신과 함께 출정하였다. 계백의 군대에 신라군이 4번 패하자, 흠순은 아들인 반굴을 전장에 투입하여 힘껏 싸우다 죽게 하였다. 이를 본 품일이 자신의 아들 관창을 적진에 보내 마찬가지로 죽게 하자, 이를 본 신라군이 의기충천하여 마침내 백제군을 격파하였다. 고구려 정벌시 김유신은 총사령관인 대총관에 임명되었으나, 늙고 쇠약해진 데다 병까지 들어 직접 원정에 참가하지는 못하고 서라벌에 남았으며, 김인문(金仁問)·김흠순(金欽純) 등이 주장(主將)으로 나섰다. 그해 신라는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삼국 통일의 대업을 이루었다. 676년에는 당나라 군대를 최종적으로 몰아내고 신라의 삼국 통일을 보기도 했다. 삼국 통일 이후 그는 승상(丞相)의 지위에 이르렀다. 그러나 당나라는 삼국 통일을 원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신라가 여제(麗濟) 양국을 공취(攻取)한 것에 노하여 신라 승상 김흠순 (金欽純)을 잡아 가두기도 하였다. 가족 관계[편집] 조부 : 김무력(金武力, 518~579) 조모 : 아양공주(阿陽公主) - 진흥왕과 사도왕후의 딸. 아버지 : 김서현(金舒玄, 564 ~ ?) 어머니 : 만명부인(萬明夫人, 574 ~ ?) 형 : 김유신(金庾信, 595~673) 누이 : 영창부인(永昌夫人) 누이 : 문명왕후(文明王后, ? ~681) 누이: 김정희(金政姬) 부인 : 보단낭주(菩丹娘主) - 12대 풍월주 보리의 딸 아들 : 김원수(金元帥) 아들 : 제29대 풍월주 김원선(金元宣) 부인 : 이단낭주(利丹娘主) - 12대 풍월주 보리의 딸 아들 : 김원훈(金元訓) 부인 : 미상 아들 : 김반굴(金盤屈) - 생모미상 김흠순이 등장한 작품[편집] TV 드라마[편집] KBS 드라마 《삼국기》 허기호 (1992년~1993년) SBS 드라마 《연개소문》 김기복, 이켠, 여진구 (2006년~2007년) KBS 드라마 《대왕의 꿈》 박재웅 (2012년~2013년) 영화[편집] 《황산벌》 (2003년), 《평양성》 (2011년) - 신정근 관련 항목[편집] 김유신 김원술 반굴 전임춘추공 제19대 풍월주 후임예원공 이 글은 한국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흠순&oldid=21090155" 분류: 598년 태어남680년 죽음풍월주화랑신라의 무신한국의 장군신라의 군인신라의 정치인육군 군인김해 김씨신라의 불교 신자김유신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5년 12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한국사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Bahasa Indonesi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4월 12일 (목) 19: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흠순(金欽純, 598년 ~ 680년)은 가야의 왕족 출신으로 신라의 군인 겸 정치가이자 외척이었다. 신라 화랑도의 19대 풍월주이며 관직은 시중에 이르렀다. 그는 가야국 금관가야의 왕 구형왕의 증손자였으며 김서현의 아들로 김유신의 동생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신라의 삼국 통일 이후 김흠순은 어떤 지위에 올랐을까? Assistant: 승상(丞相) Human: 아래 북송_태종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북송 태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북송 태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북송 태종 지위 북송의 제2대 황제 재위 976년 ~ 997년 전임자 태조 후임자 진종 이름 묘호 태종(太宗) 시호 지인응도신공성덕문무예열대명광효황제(至仁應道神功聖德文武睿烈大明廣孝皇帝) 신상정보 부친 선조 모친 소헌황후 두씨 배우자 숙덕황후 윤씨의덕황후 부씨명덕황후 이씨원덕황후 이씨 송태종 문황제(宋太宗 文皇帝 939년 11월 20일 ~ 997년 5월 8일)는 중국의 오대 십국 후주의 무관이자, 송 황조의 제2대 황제(재위: 976년 ~ 997년)이다. 송태조 조광윤의 친동생으로 후에 형의 휘를 피휘하여 '빛 광'으로 바꿔서 광의(光義)로 사용하다가 즉위를 하고 나서 경(炅)으로 고쳤다.그의 재위 기간 동안 송나라 지배체제의 기초가 확립되었다. 송태조 조광윤의 적장자들을 제치고 그가 제위에 오른 것은 조광윤의 뜻과 상반되는 것이기도 했고, 재위기간 내내 정통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즉위 3년 만에 그는 양쯔 강(揚子江) 유역과 그 이남에 남아 있던 독립 제국인 오월(吳越)과 북한(北漢)을 정벌하고 소국들을 정벌하여 979년 당나라 멸망 이후 중국을 재통일하였다. 목차 1 생애 2 황제 즉위 2.1 요나라 정벌 3 존호, 시호, 묘호 4 가족관계 4.1 황후 4.2 후궁 4.3 황자 4.4 황녀 5 기타 5.1 형과의 갈등 5.2 조광윤 독살설 5.3 기타 6 관련 항목 7 관련 자료 8 각주 9 외부 링크 생애[편집] 태조가 후주의 장군이었던 때부터 항상 형에게 협력하고, 보조하였고, 진교의 변으로 태조를 옹립할 때도 조보(趙普) 등과 함께 중심이 되어 태조를 설득하였다. 태조가 사망하고 나서 아들이 후사를 잇지 않고 태종이 즉위한 것에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다만 급사를 하고 양위를 받은 것에 대해 암살설도 사라지지 않았다. 후에 태조의 장자 조덕소(趙德昭)가 자살하고, 둘째 아들 조덕방(趙德芳)이 의문의 죽음을 당하고 적장자의 황위 승계에 엄격한 북송에서는 형인 태조의 자식에게 제위를 물려주지 않고 자신의 아들에게 물려준 것에 대해 항상 규탄의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즉위 초 그는 자신의 계승에 이의를 제기하는 관료들을 해직하고 유배보냈다. 단 사대부와 비판을 하는 자는 죽이지 말라는 태조의 유지를 이어 그들을 처형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태종에게는 태조에 뒤지지 않는 수완이 있었고, 979년 태조가 통일하지 못하고 남긴 오대십국 중의 오, 월, 북한을 멸망시켜, 태조의 업을 잇고 중국을 재통일하는 업적을 남긴다. 황제 즉위[편집] 요나라 정벌[편집] 거란족의 요나라 정벌은 연운 16주를 거란에게 바친 이후의 중국 군주들의 숙원사업이었고, 조광윤 역시 북벌을 계획하던 중 급서했다. 즉위 초, 태종은 북한의 영토였던 베이징[北京]과 만리장성 사이에 위치한 연운16주(燕雲十六州)는 당시 거란족이 세운 요(遼:947~1125)나라가 지배하고 있었는데, 이 지역을 탈환하기 위해 태종은 979년 5월 연운16국도 수복하고자 병력을 징발, 태원을 출발하여 요나라에 원정군을 보내지만, 대패하고 만다. 처음에는 두 개의 성을 손쉽게 공략하였지만, 지금의 베이징인 연경을 공략하는 데는 실패하고 만다. 본인도 화살을 맞고 상처를 입었으며, 무주공산이 된 지휘부를 대신하여 태조의 장자인 조덕소를 황위로 옹립하기 위한 움직임도 이 상황에서 발생하였는데, 결국 조덕소의 자결로 이 사태는 마무리 된다. 993년, 팽산현의 현령 제원진의 수탈에 대한 반발로 순화 4년 봄에 왕소파, 이순 등의 농민들이 쓰촨에서 봉기하였는데, 태종은 이때 황제의 옥새를 박은 문서를 내려 제원진을 두둔하였다. 3년여간에 걸친 내전은 결국 995년 성도가 함락되면서 약 5만여명의 사망자를 내고 끝을 맺었다.[1] 내치를 착실하게 이뤄 과거시험으로 문관을 대거 채용하고, 감찰제도를 갖추어, 당시까지 군인정치의 폐해로부터 문치주의로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루었다. 즉위 초부터 한림원의 학사들에게 영을 내려 당나라[2]의 행정관제를 연구하도록 명하였는데, 지방 행정제도에서는 당나라의 1주1진제(一州一鎭制)를 답습하였다. 이는 각지에 확대된 각 군의 개편과 최고사령관직의 축소를 의미한다. 또한 전국을 15로로 나누어 각 로에는 행정장관인 전운사(轉運使)를 파견했다. 또한 전운사는 황제가 직접 임명하거나 중앙에서 파견하도록 하고, 각 로 전운사들과 절도사들의 업무를 감독, 관리하기 위해 어사를 비밀리에 수시로 파견하였다. 태종의 재위 말년에는 송의 지배체제가 확립되었고 문화적·경제적으로 번영을 구가하기 시작했다 태종은 21년의 통치기간이 지난 997년 59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으며, 그의 아들이 제3대 황제 진종(眞宗)으로 계승, 등극했다. 존호, 시호, 묘호[편집] 존호는 978년 8월 쯤에, 응운통천성명문무황제(應運統天聖明文武皇帝)라는 호를 받았고, 981년 10월 경에 존호를 개정하여 응운통천예문영무대성지명광효황제(應運統天睿文英武大聖至明廣孝皇帝)라는 호를 받았으며, 984년 9월 경에 존호를 가상하여 응운통천예문영무대성지인명덕광효황제(應運統天睿文英武大聖至仁明德廣孝皇帝)라는 호를 받았으나, 태종은 불허하였다. 992년 9월 경에 존호를 재가상하여 법천숭도명성인효문무황제(法天崇道明聖仁孝文武皇帝)라는 호를 받았고, 995년 11월 경에 개정을하여 법천숭도상성지인황제(法天崇道上聖至仁皇帝)라는 호를 받았다. 사후에 시호는 신공성덕문무황제(神功聖德文武皇帝)이나, 진종 때인 1008년에 시호를 가상하여 지인응도신공성덕문무예열대명광효황제(至仁應道神功聖德文武睿烈大明廣孝皇帝)로 추시하였다. 묘호는 태종(太宗)이며, 능은 영희릉(永熙陵)이다. 가족관계[편집] 황후[편집] 봉호 시호 이름(성씨) 별칭 재위년도 생몰년도 비고 군부인(郡夫人) 숙덕황후(淑德皇后) 윤씨(尹氏) (추존) 태종 즉위 후 추존됨. 국부인(國夫人) 의덕황후(懿德皇后) 부씨(符氏) 여남군부인(汝南郡夫人)초국부인(楚國夫人)월국부인(越國夫人) (추존) 941년 ~ 975년 태종 즉위 후 추존됨. 황후(皇后) 명덕황후(明德皇后) 이씨(李氏) 황태후(皇太后)만안궁태후(萬安宮太后) 984년 ~ 997년 960년 ~ 1004년 현비(賢妃) 원덕황후(元德皇后) 이씨(李氏) 농서군군(隴西郡君)부인(夫人)황태후(皇太后) (추존) 943년 ~ 977년 진종 즉위 후 추존됨. 후궁[편집] 봉호 시호 이름(성씨) 별칭 생몰년도 비고 귀비(貴妃) 손씨(孫氏) ? ~ 983년 현비(賢妃) 덕비(德妃) 주충혜(朱冲惠) 주정혜(朱正惠) ? ~ 1035년 귀의(貴儀) 귀비(貴妃) 장씨(臧氏) 소원(昭媛) 숙비(叔妃) 왕씨(王氏) 덕비(德妃) 숙의(淑儀) 현비(賢妃) 고씨(高氏) 순용(順容) 현비(賢妃) 소씨(邵氏) 박릉현군(博陵縣君)낭야군부인(琅琊郡夫人)초국부인(楚國夫人) ? ~ 1016년 첩여(婕妤) 귀비(貴妃) 방씨(方氏) 숙비(淑妃) ? ~ 1022년 소용(昭容) 숙의(淑儀) 오씨(吳氏) ? ~ 1007년 상궁(尙宮) 숙의(淑儀) 이씨(李氏) ? ~ 993년 황자[편집] - 봉호 시호 이름 생몰년도 생모 별칭 비고 1 한왕(漢王) 공헌(恭憲) 조덕숭(趙德崇)조원좌(趙元佐) 965년 ~ 1027년 원덕황후 이씨 위왕(衛王)초왕(楚王)제왕(齊王) 2 황태자(皇太子) 소성(昭成) 조덕명(趙德明)조원희(趙元僖) 966년 ~ 992년 광평군왕(廣平郡王)진왕(陳王)허왕(許王)공효태자(恭孝太子) 3 황태자(皇太子) 조덕창(趙德昌)조원간(趙元侃)조항(趙恒) 968년 ~ 1022년 원덕황후 이씨 한왕(韓王)양왕(襄王)수왕(壽王) 제3대 황제 진종(眞宗). 4 상왕(商王) 공정(恭靖) 조덕엄(趙德嚴)조원빈(趙元份) 969년 ~ 1005년 기왕(冀王)월왕(越王)옹왕(雍王) 5대 황제 영종(英宗)의 조부. 5 월왕(越王) 문혜(文惠) 조덕화(趙德和)조원걸(趙元傑) 972년 ~ 1003년 익왕(益王)오왕(吳王)곤왕(衮王)안왕(安王) 6 진왕(鎭王) 공의(恭懿) 조원악(趙元偓) 977년 ~ 1018년 서국공(徐國公)팽성군왕(彭城郡王)영왕(寧王)상왕(相王)서왕(徐王)등왕(鄧王) 7 초왕(楚王) 공혜(恭惠) 조원재(趙元侢) 981년 ~ 1014년 경국공(涇國公)안정군왕(安定郡王)서왕(舒王)조왕(曹王) 8 주왕(周王) 공숙(恭肅) 조원엄(趙元儼) 986년 ~ 1044년 숙비 왕씨 조국공(曹國公)광릉군왕(廣陵郡王)영왕(榮王)단왕(端王)형왕(荊王)연왕(燕王) 9 숭왕(崇王) 조원억(趙元億) 대국공(代國公)안정군왕(安定郡王) 조졸함. 황녀[편집] - 봉호(공주) 봉호(제희) 시호 이름 생몰년도 생모 별칭 비고 1 등국대장공주(滕國大長公主) 화경대장제희(和慶大長帝姬) 요절함 2 서국대장공주(徐國大長公主) 영혜대장제희(英惠大長帝姬) 영혜(英惠) ? ~ 990년 채국공주(蔡國公主)위국공주(魏國公主)연국장공주(燕國長公主) 3 빈국대장공주(邠國大長公主) ? ~ 983년 원명대사(員明大師)조국장공주(曹國長公主) 4 양국대장공주(揚國大長公主) 화정대장제희(和靖大長帝姬) 화정(和靖) ? ~ 1033년 귀비 장씨 선자공주(宣慈公主)노국장공주(魯國長公主)복국장공주(福國長公主)등국대장공주(鄧國大長公主) 5 옹국대장공주(雍國大長公主) 의순대장제희(懿順大長帝姬) 의순(懿順) ? ~ 1004년 현의공주(賢懿公主)정국장공주(鄭國長公主)한국대장공주(韓國大長公主) 6 위국대장공주(衛國大長公主) 자명대장제희(慈明大長帝姬) 자명(慈明) ? ~ 1024년 귀비 장씨 수창공주(壽昌公主)진국장공주(陳國長公主)보자정각대사(報慈正覺大師)건국장공주(建國長公主)신국대장공주(申國大長公主) 7 형국대장공주(荊國大長公主) 헌목대장제희(獻穆大長帝姬) 헌목(獻穆) 986년 ~ 1051년 귀비 방씨 만수공주(萬壽公主)수국장공주(隋國長公主)위국장공주(魏國長公主)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기타[편집] 형과의 갈등[편집] 형 조광윤이 데려온 후촉의 후궁 서씨의 그 재능과 미모는 조광윤과 그의 동생인 조광의가 서로 질투하여 다투게 만들었다[3]고도 한다. 서씨와 함께 포로로 잡혀오고 맹창이 죽자 더 이상 기다릴 수 없었던 조광윤은 재빨리 서씨를 후궁으로 맞아들였다. 《노여록》(爐餘錄)에 의하면 '촉주가 죽자 곧 태조의 궁으로 들어가 총애를 받았다.'고 묘사되어 있다. 그러나 동생 조광의도 이 재색을 겸비한 서씨를 노리고 있었다.[3] 서기 976년 겨울 조광윤이 임종이 가까워 침대에 누워 거의 움직이지 못하게 되자 조광의는 서씨에 대한 마음을 행동으로 옮겼다. 한밤중에 조광의는 형 조광윤을 몇번이나 불렀으나 대답이 없자 서씨를 희롱했다. 조광윤이 일어나 이를 알고 분노하여 옥부(옥으로 된 도끼)로 바닥을 내리쳤다.[3] 놀란 황후와 태자가 왔을 때는 이미 임종이 가까워져 있었고, 조광의는 슬그머니 자신의 관저로 돌아갔다. 그리고 조광윤은 세상을 떠난다.[3] 조광윤 독살설[편집] 979년 11월 북송 태조가 갑자기 사망하자 일각에서는 조광의가 친형을 독살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이 의혹은 그가 정통이 아니라는 설과 함께 그를 괴롭혔다. 기타[편집] 송태종에게 복수를 다짐했으나 실패한 화예부인은 자결한다. 그러나 일설에는 조광의가 화예부인을 제거했다고도 한다. 야사에 의하면, 그는 서씨가 수도로 압송되어 왔을 때부터 형이 그녀에게 빠져 헤어나지 못하자 매우 불만이 많았는데, 수차례 걸쳐 간하였으나 형은 들은 체도 하지 않았다고 한다. 서씨에 대한 원한이 사무친 조광의는 제위에 오른 뒤 서씨와 함께 사냥하러 갈 기회를 만들어 그녀를 잔인하게 살해했다[4]는 것이다. 활시위를 팽팽히 당겨 짐승을 겨누다 돌연 화예부인에게로 화살을 돌려 한 발에 죽였다[4]는 것이다. 관련 항목[편집] 조광윤 화예부인 관련 자료[편집] 송사(宋史) 권1 태조본기(太祖本紀) 송사(宋史) 권4 태종본기(太宗本紀) 《노여록》(爐餘錄) 각주[편집] ↑ 중국역사이야기 3, 59p ↑ 특히 당태종과 당현종의 정책 ↑ 가 나 다 라 샹관핑, 중국사 열전 후비:황제를 지배한 인물들(한정민 역, 달과소, 2008) 403페이지 ↑ 가 나 샹관핑, 중국사 열전 후비:황제를 지배한 인물들(한정민 역, 달과소, 2008) 404페이지 외부 링크[편집] http://www.guoxue123.com/shibu/0101/00songs/004.htm (영어) 송 황제 태종의 전함 기록 전임북송 태조 제2대 북송의 황제976년 ~ 997년 후임북송 진종 vdeh송나라의 역대 황제추존 성조 희조 순조 익조 선조 북송 태조 태종 진종 인종 영종 신종 철종 휘종 흠종 남송 고종 효종 광종 영종 이종 도종 공제 단종 소제 삼황오제 → 하나라 → 상나라 → 주나라 → 진(秦)나라 → 한나라 → 삼국시대 → 진(晉)나라 / 오호 십육국 → 남조 / 원위 - 북주 - 북제 → 수나라 → 당나라 → 오대 / 십국 → 송나라 / 요나라 / 서하 / 금나라 → 원나라 → 명나라 → 청나라 → 중화민국 / 중화인민공화국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8018546 LCCN: n87872267 ISNI: 0000 0000 6322 0124 GND: 124972047 BNF: cb15035011b (데이터) NDL: 0062500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북송_태종&oldid=24399341" 분류: 북송 태종939년 태어남997년 죽음북송의 황제송나라의 장군오대 십국 시대 사람쿠데타로 집권한 지도자10세기 중국 사람10세기 중국의 군주카이펑시 출신숨은 분류: 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تۆرکجهMìng-dĕ̤ng-ngṳ̄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8일 (토) 22: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송 태종(宋太宗, 939년 11월 20일(음력 10월 7일) ~ 997년 5월 8일(음력 3월 29일))은 중국의 오대 십국 후주의 무관이자, 송 황조의 제2대 황제(재위: 976년 ~ 997년)이다. 송태조 조광윤의 친동생으로 후에 형의 휘를 피휘하여 '빛 광'으로 바꿔서 광의(光義)로 사용하다가 즉위를 하고 나서 경(炅)으로 고쳤다.자는 정의(廷宜)이다. 절일은 건명절(乾明節)이다. 그의 재위 기간 동안 송나라 지배체제의 기초가 확립되었다. 송태조 조광윤의 적장자들을 제치고 그가 제위에 오른 것은 조광윤의 뜻과 상반되는 것이기도 했고, 재위기간 내내 정통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즉위 3년 만에 그는 양쯔 강(揚子江) 유역과 그 이남에 남아 있던 독립 제국인 오월(吳越)과 북한(北漢)을 정벌하고 소국들을 정벌하여 979년 당나라 멸망 이후 중국을 재통일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북송 태종의 생애는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태조가 후주의 장군이었던 때부터 항상 형에게 협력하고, 보조하였고, 진교의 변으로 태조를 옹립할 때도 조보(趙普) 등과 함께 중심이 되어 태조를 설득하였다. 태조가 사망하고 나서 아들이 후사를 잇지 않고 태종이 즉위한 것에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다만 급사를 하고 양위를 받은 것에 대해 암살설도 사라지지 않았다. 후에 태조의 장자 조덕소(趙德昭)가 자살하고, 둘째 아들 조덕방(趙德芳)이 의문의 죽음을 당하고 적장자의 황위 승계에 엄격한 북송에서는 형인 태조의 자식에게 제위를 물려주지 않고 자신의 아들에게 물려준 것에 대해 항상 규탄의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즉위 초 그는 자신의 계승에 이의를 제기하는 관료들을 해직하고 유배보냈다. 단 사대부와 비판을 하는 자는 죽이지 말라는 태조의 유지를 이어 그들을 처형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태종에게는 태조에 뒤지지 않는 수완이 있었고, 979년 태조가 통일하지 못하고 남긴 오대십국 중의 오, 월, 북한을 멸망시켜, 태조의 업을 잇고 중국을 재통일하는 업적을 남긴다.
Human: 아래 주한_미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주한 미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주한 미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의 전시작전권 환수, 카투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주한 미군(USFK) 주한 미군(USFK)의 문장 활동 기간 1957. 7. 1 ~ 현재 국가 미국 소속 미국 국방부 종류 전구 사령부 역할 전시 한반도 방어 및 대한민국 국군 유지 지원. 규모 23,000~28,500명(1개 여단 순환배치)[1][2][3] 명령 체계 미국 태평양 사령부 한미연합사령부 본부 대한민국 캠프 험프리스 지휘관 지휘관 로버트 에이브럼스 대장 표장 고유 부대 휘장 주한 미군(駐韓美軍, 영어: United States Forces Korea, USFK)은 대한민국에 주둔하는 미국의 군대이다. 한미상호방위조약과 주한미군지위협정에 의해 대한민국 내에서 합법적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주한미군을 통솔하는 조직은 한미연합사령부로, 사령관은 미군 대장이며, 부사령관은 대한민국 육군 대장이다. 2016년 2월 19일에 주한 미해군 사령부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서 부산광역시 부산 해군기지로 옮겼고,[4] 대한민국 전역에 분포하는 50여 개 미군 부대의 90% 이상이 2018년 말까지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에 위치한 미군의 세계 최대 해외기지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할 계획이다.[5][6] 이에 따라 2017년 7월에 미국 제8군사령부가 이전하였고, 2018년 6월에 주한미군사령부가 이전하였다.[7][8] 한편, 주한 미군 전역 군인이 베트남 전쟁에서 사용하고 남은 다량의 고엽제를 1978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의 캐럴 기지에 매립하였다[9]고 폭로하는 등 주한 미군 기지는 각종 정치적, 사회적, 환경적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목차 1 전시작전권 전환 2 개관 3 구조 3.1 지휘부 3.2 예하 통합사령부 3.3 병력 4 주요 무기 5 주둔지 5.1 주한미군의 Area별 배치 5.2 유사시 국가지휘소로 쓰이는 지하벙커 5.3 전투 기지 5.4 비전투 시설 6 한미 방위비(주한미군 운영경비)분담금 7 한미 주둔군 지위협정(SOFA) 8 미군 범죄 8.1 미군범죄 형사재판권 9 한국국적자 병역 문제 10 역사 10.1 1948년 ~ 1949년 1차 철수 10.2 1953년 ~ 1971년 2차 철수 10.3 1971년 ~ 1979년 3차 철수, 한미연합사 창설 10.3.1 1979년 카터 행정부의 주한미군 철군 이유 10.4 1979년 ~ 1994년 추가 감축, 전술핵무기 철수, 평시작전권 반환 11 2009년 ~ 2017년까지 예정된 감축 및 재배치 11.1 2015년 12월 대한민국의 전시작전권 전환 관련 사항 11.2 구체적 규모, 통일 이후 주둔 사항 12 미국 내의 주한미군 감축, 철수론 12.1 2004년 미 의회예산국의 주한미군 감축 방안 12.2 2010년 해외주둔 미군 감축, 철수론 13 같이 보기 14 각주 15 외부 링크 전시작전권 전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의 전시작전권 전환입니다. 주한미군이 행사하는 대한민국의 전시작전권은 2012년 4월 17일부터 대한민국 국군이 환수해 행사하기로 합의되었으나,[10] 2010년 6월 27일 이명박 대통령과 미국 오바마 대통령이 2015년 12월로 연기하였고,[11] 2014년 10월 23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안보협의회(SCM)에서 대한민국과 미국 국방부 장관은 전작권 전환 시기를 정하지 않고 2020년대 중반에 전환 여부를 검토한다고 합의하여 사실상 무기한 연기되었다.[12] 주일미군은 사령관이 중장인데 비해, 주한미군 사령관은 대장이다. 전시작전통제권이 미국에 있기 때문이다. 2010년에는 대한민국 국군이 전작권을 환수하면 현재 4성 장군인 주한미군 사령관이 주일미군과 같은 3성 장군으로 바뀌고 주한미군 사령관이 주일미군 사령관의 통제를 받아 독도문제 등 한일관계에서 대한민국이 어려움을 겪게 될 수 있다는 일방적인 주장이 근거 없이 유포되기도 하였다.[13] 당시 한미 양국은 전작권 전환에 따라 한미연합사가 폐지될 경우, 그와 함께 미군의 한국전투사령부(KORCOM)를 창설하도록 합의했었다. 즉, 대한민국의 전시작전권 환수는 한미연합사의 기능이 각각 대한민국 국군과 미국의 한국전투사령부(KORCOM)로 나뉘어 이관되는 것 뿐이다. 또한, 전작권이 전환되더라도 대한민국 해군과 대한민국 공군의 전시작전통제권은 계속 미군이 갖게 된다. 개관[편집] 주한미군은 단지 유사시에 빨리 병력을 투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주일미군은 해군의 비중이 크지만, 주한 미군은 상대적으로 미국 육군의 비중이 훨씬 크다. 유사시 대한민국 방위를 지원하기 위해 투입되는 미군 증원전력은 육·해·공군과 해병대를 포함하여 병력 약 69만명, 함정 약 160 척, 항공기 약 2,000 대의 규모이다. 전시에 미국 육군은 미국 8군예하의 현 미국 2 보병사단 외에도 4개 사단이 추가로 증원되며, 미국 제7함대와 미국 7 공군이 지원된다. 미국 육군인 미국 8군 미국 2 보병사단은 여단전투단 5개가 사단 1개, 사단 5개가 미국 8군을 구성하는 5각 편제를 따르고 있다.[14] 현재 한반도 내에 주둔하고 있는 주한미군 육군은 미국 2 보병사단 뿐이지만, 평택 육해공 통합기지가 완공되면 유사시에 증원되는 4개 사단이 이곳으로 전개하게 된다. 주한미군 사령부는 대한민국에 있는 미국 육군(미국 8군 미국 2 보병사단) · 미국 해군(미국 제7함대) · 미국 7 공군 제51전투비행단 및 미국 해병대를 이끄는 합동 군사 본부이다. 한미연합사 예하 주한국제연합군(UN군. 중립국 감시단)이 있다. 1978년 이전 1975년 12월 31일까지 한미연합사 대신 이 UN군 사령부가 주한미군을 지휘했다.[15] 한국휴전협정에는 외국군이 한반도에 주둔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구조[편집] 지휘부[편집] 주한 미군/유엔사령부/한미연합군사령부 사령관: 대장 로버트 에이브럼스 주한 미군 부사령관/제7공군 사령관: 중장 케네스 윌즈바흐(Kenneth S. Wilsbach) 참모장: 소장 마이클 미니한(Stephen C. Williams) 주임원사: 월터 A. 타칼리쿠드(Walter A. Tagalicud) 예하 통합사령부[편집] 제8군 주한 미국 해군 제7공군 주한 미군 특수작전사령부 병력[편집] 2009년 10월: 27,114 명[16] 2011년 1월: 28,500 명[17] 10월: 26,000 명[1] 2017년 기준 23,000 명[2] 2019년 기준 28,500 명[18] 추가로 주한 미국 8군에 있는 대한민국 육군 소속인 카투사[19] 2,609명과 군무원은 제외한 것이다. 2011년 4월 19일, 대한민국 국방부는 "언론이 보도한 미측 보고서에 나오는 병력 규모는 실제 병력이 아니라 시설 수용 규모를 기준으로 집계한 것일 뿐 실제 병력 규모와는 무관하다."라고 밝혔다.[17] 유사시 대한민국 방위를 지원하기 위해 투입되는 미군 증원전력은 육·해·공군과 해병대를 포함하여 병력 약 69만 명, 함정 약 160 척, 항공기 약 2,000 대의 규모이다. 평택기지의 인원 미군: 14491명 미군가족: 11075명 미군 군무원: 5420명 한국군 카투사: 1600명 한미연합사 한국군: 800명 기타: 1145명 총 44531명 주요 무기[편집] 항공기: 90대 헬기: 104대 전차: 180대 장갑차: 100여대 화포: 60대 미사일: 지대지미사일 40발, 지대공미사일 60대[20] 주둔지[편집] 주한 미군의 시설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주한미군의 Area별 배치[편집] Area I: USAG Red Cloud (캠프 레드 클라우드) Area II: USAG Yongsan (용산 기지) Area III: USAG Humphreys Area IV: USAG Daegu (캐럴 기지, 헨리 기지 등) Area V: Osan (오산공군기지) 미 공군의 전자전기(電子戰機)인 EC-130H 컴퍼스 콜이 한국에 전개했다고 미국의 항공전문 매체인 애비에이셔니스트가 년01월15일보도했다. 컴퍼스 콜은 C-130 허큘리스 수송기에 각종 전자장비를 달아 전자전 전문기로 개조한 것이다. 미 공군의 설명에 따르면 미군과 동맹군의 항공ㆍ해상ㆍ특수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공세적 역정보전과 전자공격(EA) 능력을 갖춘 기종이라고 돼 있다. 미 본토의 애리조나주 투손의 데이비스-몬선 기지에 주둔한 제55 전자전 전대(ECG) 소속 14대가 전부일 정도로 미 공군에서도 소중한 전력이다. 이 중 한 대가 지난 14일 일본 요코타를 거쳐 한국 오산의 미 공군기지로 이동했다. 미군은 이미 계획한 훈련 일정에 따른 조치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평창 겨울올림픽과 패럴림픽 기간 중 북한의 도발에 대비한 움직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21] Area VI: Kunsan (군산공군기지) 유사시 국가지휘소로 쓰이는 지하벙커[편집] [22] 유사시 국가지휘소로 쓰이는 지하벙커는 알려진 것만 6개다. 한미 양국군은 2017년까지 들어서는 경기도 평택시의 주한미군 기지 내에 '한국전투사령부(KORCOM)'지휘소를 만들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의 B-1 B-1 벙커는 수도방위사령부가 관리하는 대한민국 정부의 전쟁 지휘소다. 지금까지 대한민국의 역대 대통령들이 주요 국가훈련 때 이 벙커를 찾았다. 마찬가지로 수도방위사령부의 또 하나의 B-1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방부에 있는 B-2 충청남도 계룡시 계룡대에 있는 U-3 한미연합사령부 지휘통제소(CP 탱고. 암호명 탱고 Tango) CP 탱고는 1970년대에 만들었다. 탱고는 군 작전상 암호명이다. 한강 이남의 경기도에 위치한다. 민간인출입통제구역의 단단한 화강암 터널 속에 몇 개 층이 있다. 외부와 단절된 채 2개월 이상 생활할 수 있다. 스키프(SCIP)라는 최첨단 정보시설이 있는데,첩보위성과 주한미군 U-2 정찰기의 대북감시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받아본다. 미국 중앙정보부(CIA) 및 미국 국방부 정보국(DIA)과 핫라인이 설치돼 있다. 존재 자체가 비밀에 쌓였다가 2005년 3월 방한한 콘돌리자 라이스 당시 미국 국무장관이 이곳을 전격 방문하면서 외부에 이름이 알려졌다. 라이스 장관은 한 · 미 연례 연합훈련에 따라 '워 게임(War Game)'을 하고 있던 100여명의 군인들을 격려했다. 용산 미군기지 내에 있는 CC서울(Command Center) 'CC서울'은 흔히 미8군 벙커로 부른다. 한미연합사가 운영한다. 1979년 12·12사태 당시 노재현 국방부 장관이 피신했던 곳이다. 한 · 미 지휘부들이 평상시에 이용한다. 전쟁 발발 땐 지휘부가 'CP 탱고'로 자리를 옮긴다. 오스카 벙커 오스카는 지금까지 정확한 장소가 외부에 알려지지 않았다. UFG연습(을지프리덤가디언) 시 지휘와 통제는 이들 벙커의 유기적인 연결로 이뤄진다. UFG는 한미연합사령부 주관으로 실시되는 방어 중심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연습이다. 올해도 예년과 비슷한 대한민국 국군 56,000여명과 미군 30,000여명과 참가한다. 모든 벙커는 하루 24시간 불이 꺼지지 않는다. 청와대 벙커는 대형 모니터 10개로 이뤄진 스크린이 있고 국가정보원과 충청남도 계룡시에 있는 대한민국 육군 · 해군 · 공군 작전사령부,경찰청·산림청·한국전력 상황실의 정보가 실시간으로 뜬다. 전국에서 발생하는 안보·재난 관련 비상상황을 가장 먼저 파악할 수 있다. 인공위성을 통해 북한의 주요 군시설 상황 파악도 거의 실시간으로 이뤄진다. 2010년 천안함 침몰 사건, 연평도 포격이 발생했을 때 이명박 대통령은 이곳에서 현장 상황을 점검하며 참모들과 대응책을 논의했다. 철제문 두께가 2m여서 핵공격을 받더라도 끄떡없다. 전투 기지[편집] ※ 2009년 2월 미 극동공병단 회의록 원문에는 '12~17+' 로 표기하였다. 한미 양국군은 2015년까지 들어서는 경기도 평택시의 주한미군 기지 내에 '한국전투사령부(KORCOM)'지휘소를 만들 것으로 알려졌다. 평택 육군 기지 USAG 험프리스 기지 철수할 용산기지 외 나머지 잔여 시설. 실제 주한미군은 주둔하지 않을 것. K-16 CP 탱고 (TANGO 지휘 센터): 경기도 과천. 현재 대한민국에 매각하는 것을 추진 중이다.[23][24] 용인 우편 시설 미국 7 공군 오산공군기지 기지 외 오산공군기지 수원 CAB 청주 CAB 대구 미국 8군(미국 육군), 미국 7 공군, 미국 제7함대, 미국 해병대 통합 기지 캠프 워커 캠프 캐롤 캠프 헨리 캠프 조지 캠프 무적 (포항, 미국 해병대) 대구 COB (미국 7 공군) 김해 COB (미국 7 공군) DRMO A'PO 8번 부두 (Pier #8) 부산 자재 창고시설 (Storage Facility) 포항비행장 (미국 제7함대) 군산 미국 7 공군 외 군산 미국 7 공군 기지 군산 POL 터미널 (미국 제7함대 소속) 광주광역시 COB 진해 미국 제7함대 기지 비전투 시설[편집] 전투시설과 마찬가지로 2009년 2월 미국 극동공병대 회의록 원문에는 '12~17+' 로 표기하였다. 모두 대한민국 영토이다. 또한 미군이나 미 군무원이 주둔해 있지 않는다. Northern Presence 한·미 합동 훈련장(Joint Training Area. 경기도 북부 문산, 연천 소재)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 Warrior Base Bull's Eye Traing Area (완전 폐쇄가 아닌, 반으로 축소) Gun Training Area[25] Watkins Range Alamo ASA (Det L) 까막산(Kamaksan) ASA (Det M) 파평(Papyungsan. 경기도 파주) ATC(항공 훈련단) 신북(Shinbuk) Relay 콩코드 (Concord) 화악산 이븐 리치 (경기도 가평군 북면. Hwaaksan Evenreach) South West Hub 고려산 ASA (인천광역시 강화도 Koryosan) 대구 자재 시설 (Storage Area) 마산 탄약 보급 창고 (Ammunition Depot) South East Hub 경상북도 예천 항공기지 (Yechon AB. 미국 7 공군) 리치먼드 (Richmond) 다트 보드 (Dart Board) 브루클린 (Brooklyn) 창산 (Chang San) 비슨 (Beason) 하이 포인트 (High Point) 메디슨 (Madison) 한미 방위비(주한미군 운영경비)분담금[편집]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은 2011년 기준 8,125억원 이었다.[26] 2004년에는 6,601억원, 2005년과 2006년에는 6,804억 원, 2007년 7,255억 원, 2008년 7,415억 원, 2009년 7,600억 원, 2010년 7,904억 원이었다. 환율은 2000년 1,200원, 2001년 1,100원, 2002년 1,300원, 2003년 1,200원, 2004년 1,200원[27][28] 2005년부터 국방부 참여하에 외교통상부가 주관하고 있다. 방위비 분담금은 2004년까지 달러와 원화를 함께 지불하다가 2005년 이후 전액 원화로 지불하여 환율 변동의 영향 없이 안정적인 예산 운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매년 대한민국의 분담 비율이 증가되고 있다.[29] 한미 양국은 2008년 12월 2009년 이후 방위비 분담금 결정에 적용할 새로운 협정에 합의하였고, 이 협정은 2009년 3월 국회 비준 동의를 받아 발효되었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을 유효기간으로 하는 이 협정은 연도별 방위비 분담금을 전전년도 소비자 물가지수를 반영하여 인상하되 최대 4%를 넘지 않기로 하였다. 이에 따라 2009년 7,600억 원(2007년 물가 상승률 2.5% 적용), 2010년 7,904억 원(2008년 물가 상승률이 4.7%이나 상한선인 4% 적용)을 부담하게 되었다. 2000년도 기준 18억 9,500만 달러로, 42%이다. 독일의 경우 57억 6,700만 달러(21%), 일본의 경우 63억 3,200만 달러(79%)이다.[30] 방위비 분담금 지원 항목 (2010년 기준) 인건비 (46%): 주한미군이 고용한 한국인 고용원에 대한 인건비 군사건설 (28%): 주한미군용 시설 건설 군수지원 (15%): 주한미군 탄약저장, 항공기 정비 등 용역 및 물자지원 연합방위력 증강사업(CDIP) (11%) Cato Institute의 Doug Bandow씨의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정부가 주한미군에 쓰는 비용은 일 년마다 약 150억 달러라고한다 (1998년 기준).[31] 150억 달러는 1998년 환율기준으로 약 21조원이다. 그와 비교해 대한민국 국방부의 1998년 국방예산은 약 14조 원이었다. 대한민국 국군의 국방비는 2010년 기준 29조 5,627억 원이다. GDP 대비 2.62%, 정부재정대비 14.7%이다.[32] 주변 국가 중 미국은 병력 142만여 명, 6,610억 달러, 일본은 병력 22만 9천여 명, 510억 달러, 중국은 병력 228만 5천여 명, 1,000억 달러(추정), 러시아는 병력 103만여 명, 533억 달러(추정)를 지출하고 있다.[33] 2019년 한국이 부담해야 할 주한미군 주둔비가 작년보다 8.2% 인상된 1조380억 원대로 정해졌다.[34] 한미 주둔군 지위협정(SOFA)[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주한미군지위협정입니다. 지위협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한미 주둔군 지위협정(SOFA)은 1968년 체결되어 1991년과 2001년 2차례 개정되었다. 협정 22조 5항에는 주한미군이 국내에서 살인, 강간 등 12대 중대 범죄를 저질러도 현장 체포가 아니면 구속수사를 못하도록 규정되어있다. 동두천시에서 여학생을 성폭행한 미군도 범행 후 소속 부대로 돌아갔기 때문에 기소 시점까지 불구속 상태로 놔둘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1] 미군 범죄[편집] 인신매매와 매춘을 금지하는 주한미군에 의한 경고 1971년 7월 9일에 흑인병사들이 폭동하고 안정리 사건을 일으킨다.[35][36] 흑인병사들이 클럽을 습격했지만 한국 경찰과 미군 헌병이 진압했다.[35][36] 미군 범죄는 2008년 234건 283명에서 2010년 316건 380명으로 크게 늘어났다.[1] 미군 범죄 급증에는 2001년 9 11테러 이후 유지해온 통행금지를 2008년부터 완화하고 2010년 7월부터 전면해제한 것이 큰 원인으로 꼽힌다. 1992년의 윤금이 피살 사건이후는 미군 위안부에 대한 대처를 바꾸었다.[37][38] 2014년 6월 25일에 미군 위안부 122명은 배상을 요구하는 소장을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제출했다.[39][40][41][42] 미군범죄 형사재판권[편집] 한반도의 평시상태에서 미합중국 군 당국은 미합중국 군대의 군속에 대하여 형사재판권을 가지지 않으므로, 미합중국 군대의 군속이 범한 범죄에 대하여 대한민국의 형사재판권과 미합중국 군 당국의 형사재판권이 경합하는 문제는 발생할 여지가 없고, 대한민국은 대한민국과 아메리카합중국 간의 상호방위조약 제4조에 의한 시설과 구역 및 대한민국에서의 합중국 군대의 지위에 관한 협정(1967. 2. 9. 조약 제232호로 발효되고, 2001. 3. 29. 조약 제553호로 최종 개정된 것) 제22조 제1항 (나)에 따라 미합중국 군대의 군속이 대한민국 영역 안에서 저지른 범죄로서 대한민국 법령에 의하여 처벌할 수 있는 범죄에 대한 형사재판권을 바로 행사할 수 있다[43]. 한국국적자 병역 문제[편집] 2006년 대한민국 국적자인 미국 시민권자(이중국적자)와 영주권자가 대한민국의 징집을 기피하고 미군에 입대해 논란이 있었다. 당시 주독일 미군으로 배치된 이중국적자는 휴가 차 한국을 방문하면서 병역법 위반이 들통나 출국금지 조치되었으며, 미국 영주권자인 다른 한 명은 병무청 '블랙리스트'에 올랐으나 미군으로 입대한 후 주한 미군으로 배치되었다.[44] 이들에 대해 국방부와 병무청은 '미군 복무는 개인적 취업활동으로 의무로서의 병역과는 다르다'면서 '법과 원칙대로 반드시 병역의무를 이행토록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나,[45] 실제로는 주한 미군 지위 협정(SOFA) 등을 핑계대다가 결국 수 개월 만에 이들의 한국국적 포기신청을 법무부가 받아들여 대한민국 병적에서 제적시키는 형식으로 병역 이행 없이 마무리됐다.[46] 이와 관련해 주한미군 지휘부는 자국 당국에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고 입대한 미군을 주한미군으로 배치하지 말 것을 요청하였다.[47] 역사[편집] 미군은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에서 항복함에 따라, 미군은 한반도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위도 38도선 이남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의 항복을 받아내기 위해 1945년 9월 8일 남한 땅에 발을 내디뎠다. 1945년 9월 8일, 처음으로 존 하지 중장이 이끄는 미국 제 24군단 소속 미군 제 7 보병사단이 인천에 도착하였다. 이들을 환영하기 위해 인천보안대원과 조선노동조합원 등이 연합국기를 들고 행진하던 중 일본인 경관들이 아무 이유없이 발포하여 노조위원장 권평근과 보안대원 이석우가 배와 가슴에 총탄을 맞아 현장에서 숨지고 14명의 중경상자를 낸 불상사가 일어났다.[48] 그 외에, 9월 29일에는 미국 제 40사단이 부산에, 10월 8일에는 미국 제 16사단이 목포에 도착하였다. 11월말 당시 38선 이남에 주둔한 미국 제24군단 병력수는 약 7만 명이었다. 이미 1945년 5월 이후 태평양 전쟁에 뒤늦게 뛰어든 소비에트 연방은 이미 미국에 앞서 38선 이북 지역의 일본군을 무장해제시키기 위해 한반도에 병력을 파견한 상태였다. 연합국은 1943년 카이로회담에서 조선의 독립을 결정하였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38도선의 경계는 봉쇄되고 남북간의 교류가 중단되었다. 남한 지역에는 국제 연합(UN)의 감시하에 치러진 총선을 통하여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다. 반면 북한 지역에서는 같은 해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가 수립되었다. 1948년 소련 정부는 자국 병력을 북한에서 철수시켰고, 미군도 역시 이듬해 1949년 남한의 신생 방위군 훈련을 위한 KMAG라는 자문단 예하 500명만 남겨둔 채 전 병력을 철수시켰다. 1950년 6월 25일 북한은 남한 지역을 적화 통일하기 위해 전면 남침을 감행하였다. 당시 미군은 유엔이 지정한 남한 지역 방위 책임을 맡고 있긴 했다. 그러나 그 전까지 어느 미국인도 한반도 지역에 관심을 두지 않고 있어서 미군의 방위선에 남한을 제외시키는 애치슨 선언이 발표되기도 했다. 3년 간의 한국 전쟁에서 500만 명이 넘는 유엔 참전국 군인과 군무원들이 한국 전쟁에 참전하였으며, 1953년 7월 27일 남한이 배제되고, 북한을 포함한 중공과 미국이 휴전협정[49] 이 이루어질 때까지 33,000명의 미군 전사자를 포함하여 총 14만 명에 달하는 유엔 참전국 군인이 전사하였다. 전투의 중단과 함께 휴전협정은 오늘날까지도 유지되고 있다. 이는 현대 전쟁사상 최장기에 걸친 휴전으로 기록되고 있다. UN 안전보장이사회의 1950년 결의안에 따라 미국은 유엔 사령부 지휘 등 합법적 임무를 부여 받았으며, 1954년 한미상호방위조약을 통해 양국은 외국의 침략 시 상호 협력할 것을 약정하였다. 또한, 미국은 1978년 한-미 양국 정부에 의해 설립된 통합 군사 본부인 한미연합군사령부(한미연합사)의 파트너로서 대한민국 방위 계획과 유사시 양국 군대를 통제할 책임을 지고 있다. 1948년 ~ 1949년 1차 철수[편집] 미군은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자마자 9월 15일부터 철수하기 시작했다. 1948년 11월 여수·순천 사건이 발발하자 잠시 철군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철수하여 이듬해 6월 29일 500여명의 군사 고문단만 남겨두었다.[50] 대한민국 정부는 주한미군 철수가 전쟁을 의미한다고 보아 총력 저지하였다. 국제 연합(UN) 한국임시위원단은 대한민국 정부 요청에 따라 보고서를 작성하여 1948년 10월 30일 유엔 총회에 제출했으나, 철군 저지에 실패했다.[51] 또한 대한민국 정부는 미국에 한미상호방위조약 외, 군사원조, 경제원조를 요청했으나 모두 거부되었다. 이승만 대통령은 1949년 6월 진해 해군기지를 극동 미해군 기지로 제의했으며,[52] 반공 태평양 동맹체 구성도 제의했지만, 모두 거부되었다. 1950년 1월 12일 애치슨 미국 국무부 장관의 기자회견에서 대한민국이 미국 태평양 방위선에서 제외되었다. 1950년 1월 26일 당시 댈러스 미 국무부 고문이 방한했을 때, 대한민국을 포함시켜 달라고 요청했으나 역시 거부되었다. 그리고 5개월이 지난 1950년 6월 2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한국 전쟁을 일으켰다. 1953년 ~ 1971년 2차 철수[편집] 6.25전쟁 휴전이후 1954년에는 5개 사단, 1956년에는 1개 사단이 철수하였다. 이후 약 7만 명 정도가 일정기간 유지되었다. 이후 1966년 7월, 한국 전쟁 당시 체결된 '주한미국군대의 형사재판권에 관한 대한민국과 미합중국 정부간의 협정'(이른바 '대전 협정')을 개정, 보완한 '주한미군지위협정'을 체결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정된 때는 2002년 12월 28일 이었다. 닉슨 대통령 당시 주한미군 2차 철수가 있었다. 닉슨이 대통령 이 되기 2년 전인 1967년 10월, 외교·안보 격월 잡지인 'Foreign Affairs'에 기고한 "베트남 후의 아시아"라는 논문에서, 그는 3가지 주장을 했다. (닉슨 독트린과 괌 독트린) 닉슨 독트린과 괌 독트린의 주요 내용 미국은 더 이상 '세계경찰'이 아니다. 베트남에서 철군해야 한다. 미군의 아시아 개입은 축소하고, 아시아 국가들 스스로 방위하여야 한다. 한국 전쟁 이후 4개 사단이 있었으나, 베트남 전쟁으로 1960년대부터 1971년에 걸쳐 2개 사단은 철수하였다. 그리하여 1971년 이전 까지 미국 7보병사단과 미국 2 보병사단의 2개 사단만 남아 있었다. 1971년 2월 6일, 최규하 외무장관과 포터 주한 미국 대사의 공동성명을 발표한 후 3월 미국7보병사단 20,000여 명을 철수했다. 이는 1973년 박정희 대통령이 유신 헌법을 강행한 이유가 컸다. 미국 정부는 대한민국의 민주화를 촉구하며 주한미군을 철수할 것을 보였고, 대한민국 국군의 월남 파병은 주한미군이 베트남 전쟁으로 배치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도 중요한 이유였다. =>이부분이 사실과 다릅니다 편집자는 수정하길 닉슨독트린이 유신헌법보다 먼저발표 닉슨은 유신 비난한적이 없습니다 카터가 비난함 <최규하 외무장관과 포터 주한 미국 대사의 공동성명 내용> 미국7보병사단을 철수하고 미국 2 보병사단은 후방으로 배치하며 전방은 대한민국 국군이 담당한다. 대한민국 국군의 현대화를 지원한다.[53] 연례안보협의회를 개최한다.[54] 1974년 9월 주한 국제연합군(UN군 사령부. 중립국 감시단 운영), 주한미군사령부, 미군 제8군 사령부가 통합되었다. 1976년 1월 1일에 UN군 사령부는 해체되었고, 1978년 한미연합사령부가 창설되었다. 1971년 ~ 1979년 3차 철수, 한미연합사 창설[편집] 박정희 대통령은 전시작전권 환수를 처음으로 추진하였다. 1968년 김신조 간첩일당 청와대 피습사건때는 미국 국민의 피해가 없어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과 달리, 1976년 판문점 도끼 살인 사건때 미군 보니파스 대위 등이 순직한 것에 대해 미국이 준 전시태세(데프콘 2)를 선포했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1978년 이후 부마 사태 등으로 대한민국의 민주화를 둘러싼 대한민국과 미국의 갈등은 심해졌고, 그 때마다 미국은 대한민국 정부에게 주한미군 철수를 내세웠다. 지미 카터 대통령은 주한미군 철수를 대선공약으로 대통령이 되었다. 그는 1977년 1월 20일 부터 1981년 1월 20일까지 재임했다. 이에 따라 1977년 9월 1,000명, 1978년 11월에는 500명을 철수시켰다. 또한 1978년 한미연합사령부(한미연합사)가 창설되었다. 그러나 제3땅굴 발견으로 미국 국방부는 한반도 내의 군사적 긴장감을 고려하여 주한미군 철수를 무기한 연기하는 문제를 검토중이라고 발표했다. 1979년 6월 카터 대통령이 서울을 방문할 때 주한미군의 철군 계획이 완전히 백지화 되었다. 3개월 뒤인 1979년 10월 중앙정보부장 김재규는 박정희 대통령을 시해하였다. 10·26 사건 1심 최종 변론에서(당시 군법회의. 현재에도 군사재판은 단심이다), 김재규는 당시 1948년 정부 수립 이래 최악이었던 한미관계를 완전히 복원시키며, 대한민국의 민주화를 위해 시해했다고 말했다.('부마민주항쟁' 참조) 1979년 카터 행정부의 주한미군 철군 이유[편집] 카터 독트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미국 제7함대·미국 7 공군과 군수지원만 있으면 대한민국 국군은 단독방어가 가능하다. 주변 4대 강대국 (중공, 일본, 소련, 미국)들이 한반도에서 전쟁이 재발하는 것을 싫어하며, 미국7보병사단이 일부 철수해도 충분히 북한을 억제할 수 있다. 대한민국 경제가 북한을 앞질렀다. 철군하면서 대한민국 국군을 현대화시키면 된다. 미국 7 공군은 가장 강력한 억지력이다. 1979년 ~ 1994년 추가 감축, 전술핵무기 철수, 평시작전권 반환[편집] 주한미군은 냉전 시대 동북아시아 지역의 세력균형을 유지하는데 기여했으며, 대한민국의 정권 격변기 때마다 민주화를 지지하는 태도를 취했으나, 내정간섭이라는 항의에 밀려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 못했다. 1979년 12.12사태 당시 주한미군 사령관 위컴 장군은 당시 전두환 소장의 신군부에 강력한 항의를 했으나 항의에 그쳤다. 1980년 5월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대한민국 국군 20사단 등 신군부측의 병력이동과 관련, 주한미군의 작전 지휘하에 있는 부대의 이동이라는 측면에서 주한미군이 간접적으로 신군부를 지원했다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미국정부는 1980년 5·18 광주 민주화 운동에 동원한 특전사 부대나 20사단 부대는 광주에 투입될 당시나 광주에서 작전을 수행하던 중에는 한미연합사 작전통제권하에 있지 않았으며, 그 기간 동안 광주에 투입되었던 대한민국 국군의 어느 부대도 미국의 통제하에 있지 않았다고 해명했다.[55] 1987년 노태우 대통령 후보자도 전시작전권 전환을 대선 공약으로 제시했다. 1989년, 소련과 동구권 붕괴가 현실로 다가올 때, 이미 미국은 지금부터 주한미군 방위비를 대한민국이 부담하지 않으면, 미군을 7,000명 가량 감축할 것이라고 하였다. 이때부터 대한민국은 방위비를 50%가량 부담하기 시작했다. 1990년대에 들어 소련의 해체, 독일의 재통일, 동유럽의 민주화 등으로 냉전 시대의 논리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되었다. 또한 1970년대 이래 중미 관계의 꾸준한 개선과 한소 수교, 한중 수교로 한반도 주변 강대국 간의 군사적 적대관계도 완화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한반도의 군사적 충돌은 남북한 간의 지역분쟁일 뿐, 세계적인 전략에 영향을 주는 분쟁이 아니기 때문에 주한미군이 대한민국에 주둔할 필요가 없으므로 철수가 바람직하다는 철수론이 제기되었다. 반면 북한이 공산권 맹방의 도움 없이도 대한민국에 대해 기습공격을 감행할 수 있는 능력을 이미 갖추고 있다는 '북한 위협론'을 들어 주한미군의 주둔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이런 논란 속에 미국은 1990년 당시 43,000명의 주한미군을 3단계에 걸쳐 20,000명 수준까지 줄이기로 하고, 1단계 철수를 실행해 37,000명으로 병력을 감축했다. 그러나 1994년 북한 핵 문제의 대두로 한반도에 전쟁위기가 고조되자 이 계획은 중단되었다. 당시 대한민국에 전시작전통제권이 없었기 때문에 김영삼 정부는 미국 7 공군이 평안남도 영변 원자력 연구소를 폭격할 것을 거의 직전에 알았다. 1991년, 주한미군은 그전까지 있던 모든 전술핵무기를 철수시켰다. 1992년 7월 한미연례안보회의(SCM)에서는 한미연합사 예하에 있는 야전사령부를 해체하고, 그해 12월 1일 해병사령부를 창설하였다. 1993년 군사 정권 이후 처음으로 김영삼 정부 당시 한국국방연구원에 비공개로 연구하였는데, 대한민국 국군을 충분히 현대화시킨다면 남북 분단이 지속되어도, 군 복무기간을 최소 1년 3개월으로 단축할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즉, 그때 이미 주한미군의 방향을 비공식적으로 합의하였다는 것이다.[56] 1994년 12월 1일, 대한민국은 평시작전권을 미국으로부터 환수받았다. 2009년 ~ 2017년까지 예정된 감축 및 재배치[편집] 앞으로 주한미군은 당시 규모 28,500명을 유지하기로 하였으나, 2011년 10월 11일 당시 정확한 인원은 총 26,000명이다.[1] 2015년 12월 대한민국의 전시작전권 전환 관련 사항[편집] 2009년에 이미 아파치 대전차 헬리콥터 2개 대대를 철수하고 1개 대대만 잔류해 있다. 즉 1개 대대는 대한민국에서 철수 후 이라크에 재배치 아파치 헬리콥터는 서해5도와 강화도 인천 등에 북한 호버크래프트와 상륙정을 이용한 기습공격 시 이를 제압할 임무를 가지고 있다. 지금은 이 지역에 대한 방어임무가 주한미군 아파치 대대에서 대한민국 국군으로 이관 되었다. 현재는 대한민국 공군 KA-1 전술 통제기가 맞고 있다. 2015년 12월 전시작전권이 대한민국의 전시작전권 전환과 동시에 한미연합사령부대신 미군 고유의 한국전투사령부(KORCOM)가 탄생하며, 미국 2 보병사단은 서울 남쪽 경기도 평택 험프리스 기지로 축소되어 재배치된다. 2015년 12월 대한민국의 전시작전권 전환이나 차후 맺게 될 평화 협정에 따라 UN군 사령부 (중립국 감시단) 자체를 철수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이 또한 한미연합사 소속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 JSA를 포함한 모든 비무장지대와 한강 이북에는 대한민국 국군만 있게 된다. 2004년 이후 공동경비구역의 경비 임무는 대한민국 국군이 단독적으로 수행하며, 지휘통제권은 계속 UN군사령부(한미연합사 소속)가 가지고 있으므로, 주한미군 일부 요원들과 중립국 감시단이 주둔해 왔다. 현재 남한에는 스위스, 스웨덴 대표 주재. 반면 북한은 과거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 1994년 폴란드가 철수하였다. 체코슬로바키아는 국가가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나뉜 이래 더 이상 중립국 감시단의 임무를 이어받지 않았으나 폴란드는 자국 영토에서 여전히 중립국 감시단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한편 주한미군은 정전협정이 체결된 1953년 이후 판문점 일대의 경비임무를 맡아오다 1991년 이를 대한민국 국군에 인계하고 대성동 주변 지역과 오울렛 초소(Ouellette, 일명 241초소)만을 관할하다 2004년 11월 1일 이들의 경비 임무를 대한민국 국군에 반환하였다. 그 후 40여 명의 병력을 캠프 보니파스[57] 에 남겨두고, 앞으로 3∼4년간 군사정전위 연락업무 등을 담당하도록 했던 이래 정년에 대한민국의 전시작전권 환수됨과 함께 이들 역시 대한민국 국군에 모두 인계하게 된다. 대한민국의 미 대사관을 포함한 전국 모든 미군 시설은 의무경찰 상설 경비 중대 대원들이 경비하고 있다. 구체적 규모, 통일 이후 주둔 사항[편집] 아래 명기한 모든 사항은 2010년 부로 공개되었습니다[58] 2009년 2월 미 극동공병단 회의록 원문에는 '12~17+' 로 표기하였다. 별도로, 2003년부터 경기도 북부 문산과 연천에 한·미 합동 훈련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 곳은 물론 대한민국 영토이다. 주요 미군 기지(용산기지, 평택 험프리스 기지, 오산공군기지, 대구, 진해)는 미국 영토로 간주한다. 기타 전투 기지인 물류·통신 시설 부지는 미군이나 미 군무원이 주둔해 있지 않는다. 이 자료에는 주한미군의 규모를 2003년~2009년에는 '28,000명(+/-)' 로 기술하였으나, 2010년~2017년에는 따로 분명히 명시되지는 않았다. 2011년 10월 11일 당시 정확한 인원은 총 26,000명이다.[1] 단, 2011년~2016년에는 5,700명(35%), 2012년~2020년에 14,250명(85%)이 3년간 가족을 동반할 수 있다고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2015년 12월 대한민국의 전시작전권 전환 이후, 늦어도 2020년 이전 주한미군의 수는 대략 16,285 ~ 16,764명이다. 그러나 월터 L. 샤프 주한미군 사령관은 2009년 기준, 2012년 4월 17일에 대한민국의 전시작전권 전환에도 현 28,500명 정원을 유지할 것이라고 하였었다. 그 이후로는 1,000여 명 혹은 수십여 명만 남기는 방안도 있다.[31] 한편 2011년 10월 11일 당시 정확한 인원은 총 26,000명이다.[1] 어떻게 보면 이 자료가 가족 동반을 비롯한 시설, 제도 추진을 2020년까지 상정하였으므로, 장차 도래할 남북 통일을 배제하고 만들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통일 후에도 주한미군이 주둔할 가능성은 높다고 할 수 있겠다. 이와 관련하여 과거 '한미동맹의 미래에 대한 공동협의' 보고서에 이미 명시되어 있긴 하다. 1999년 제31차 한미연례안보회의(SCM)에서 조성태 대한민국 국방부 장관과 윌리엄 코언 미국 국방부 장관의 지시에 따라 2년 간의 협의 끝에 작성되어 2002년 제34차 SCM에 보고된 문서다.[59] 그러나 이후 2004년, 번복하고 미국 의회(의회 예산국)(CBO)에서 주한미군 축소 방안이 나왔다. 1989년 독일의 통일 관련 4자회담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에서 소련은 나토군이 구 동독지역에 주둔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통일에 찬성하였기 때문에, 현재까지 구 동독지역은 독일 연방군만이 주둔하고 있다. 미국은 서독 지방에 계속 미군을 주둔시킬 수 있었다. 이로 볼 때, 한국의 통일 시, 중국과 러시아는 적어도 주한미군을 휴전선 이북에 주둔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하거나, 나아가 주한미군을 완전히 철수시킬 확률이 매우 높다 하겠다. 해외 미군이 제일 많이 주둔하고 있는 독일(63,000여 명), 일본(33,400여 명)과 이탈리아 (12,000여 명)의 공통점은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킨 전범 국가(추축국)이라는 것도 통일 후 미군이 1개 여단전투단 이상 주둔시키기 어려운 이유이다. 주한미군의 대규모 감축 대신 한반도의 비핵화와 미사일 개발 제한 등 비대칭 전력의 억제, 그리고 MD(미사일 방어)로 동북아의 평화 유지와 미국의 이익을 도모할 공산이 크다. 감축방안은 아래의 예에 기술한 대로, 2020년 이전까지 15,000명으로 감축 & 2개 여단전투단 상시 순환 배치 후, 나아가 1,000여 명만 주둔, 1개 여단전투단 상시 순환 배치. 그 이후 '소수 장비관리 요원만 남기고 병력 전부를 본토로 철수시키고 여단전투단 순환배치도 아예 하지 않는 방안'까지도 될 수 있다.[60] 미국 내의 주한미군 감축, 철수론[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주한미군의 철수입니다. 2004년 미 의회예산국의 주한미군 감축 방안[편집] 물론 앞으로도 주한미군은 당시 규모 28,500명을 계속 유지하기로 하였었다. 또한 2002년에는 한국이 통일된 후에도 주한미군을 주둔시킬 것이라고도 합의하였다. 2011년 10월 11일 당시 정확한 인원은 총 26,000명이다.[1] 2004년 당시, 미 의회 예산국(CBO)은 주한미군 감축의 3가지 방안을 구체적으로 검토해 상원에 보고하였다.[61][62] 이 보고서는 주독미군과 주한미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당시 도널드 럼즈펠드 미국 국방부 장관은 같은 해 2004년 2월 "해외주둔 미군 재배치에 따른 가장 큰 변화는 독일과 대한민국 등에서 일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 보고서는 '럼즈펠드 구상'에 따라 한국, 일본, 하와이 기지들이 통,폐합되는 가운데 태평양 지역의 안보의 주축으로 부상할 것이 확실시되는 주일 미군의 재배치 문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60] 2010년 해외주둔 미군 감축, 철수론[편집] [63] 재정적자 감축을 주장해 온 미국 공화당의 중간선거 압승이 주한미군 예산 삭감으로 이어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이번 중간선거에서 공화당 승리의 1등 공신인 보수주의 유권자 운동단체 '티 파티'에서 주한미군 예산 삭감 주장이 벌써부터 제기되고 있다. '티 파티'의 대표주자격으로 이번 상원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랜드 폴(켄터키주) 당선자는 7일(현지시간) 미국 ABC방송에 출연, 한국.일본.유럽에 더 많은 방위비를 분담시키든지 아니면 미군을 철수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그는 국방비 삭감 문제와 관련, "(유럽 주둔) 미군 일부를 집으로 불러들이든지 아니면 유럽으로 하여금 그들의 방위에 더 많은 돈을 내도록 해야 한다"면서 "일본과 한국도 자신들의 방위에 더 많이 돈을 내야 하고, 아니면 그곳에 주둔한) 군대를 고국으로 불러들여 (예산을) 절약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직 어떤 분야에서 어떤 식으로 예산 삭감을 추진 할지에 대한 티 파티의 명확한 입장은 나오지 않고 있지만 폴 당선자의 이번 언급은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이나 기지이전 문제 등에서 한국의 부담이 커질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미국 공화당은 그동안 선거 과정에서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재정적자 증가를 강하게 비난하며 불필요한 예산 삭감 등을 통한 재정 건전화를 주장해 왔다. 이번 선거가 있기 전에도 미 의회 내에서는 해외주둔 미군의 경비감축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표출돼 왔다. 바니 프랭크(미국 민주당. 매사추세츠주) 하원 금융위원장을 비롯한 미국 상원.하원의원 57명은 지난달 `국가재정책임개혁위원회(NCFRR) 앞으로 보낸 서한에서 재정적자를 줄이기 위한 가장 현실적인 방법은 7,120억 달러에 이르는 국방예산의 삭감이라면서 유럽과 아시아의 미군 주둔비용 문제를 재점검하라고 요구했다. 서한 발송을 주도한 프랭크 위원장은 지난 7월 주한미군을 포함한 해외주둔 미군 철수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리처드 부시 브루킹스연구소 동북아정책연구실장은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공화당 주도의 의회가 한미동맹에 어떤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생각할 수는 없다"면서도 "현재의 예산 환경 하에서 의회가 주한미군 기지 이전 등에 대한 모든 예산을 제공할지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임스 매티스 미국 국방장관은 2018년04월27일(현지시간) 남북 평화협정 체결 시 주한미군 문제도 향후 협상 의제로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매티스 장관은 이날 국방부에서 마리우시 브와슈차크 폴란드 국방장관과 회동 직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평화협정이 체결되면 미군이 한반도에 계속 주둔할 필요가 있는가’라는 질문에 “아마도 그것은 먼저 동맹과의 협상에서, 물론 북한과의 협상에서도 우리가 논의할 이슈의 일부”라고 답했다.[64] 같이 보기[편집] 미군 장갑차에 의한 여중생 압사 사건 지위협정 북미평화협정 주한미군지위협정(USFK SOFA) 한미연합사령부(ROK-US CFC) 캠프 험프리스 카투사(KATUSA) 주일 미군(USFJ)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의 전시작전권 전환 전시 작전통제권 조선인민군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SOFA 개정문제, 한미정상회담서 논의하길 매일경제, 2011.10.11. ↑ 가 나 미하원이 선 그은 주한미군 규모…실제 규모는 아시아경제, 2018.5.15. ↑ https://news.v.daum.net/v/20190524100519928 ↑ 주한 美해군사령부 부산 이전 서울신문, 2016.2.20. ↑ 용산 주한미군사령부, 6월 하순 평택으로 이사 시작 연합뉴스, 2018.4.17. ↑ 용산 미군 '세계최대 해외 미군기지'로 조성된 평택기지로 2017년 이전 완료 경향신문, 2015.12.13. ↑ 평택 미군기지 여의도 5배…단일 미군기지로는 세계 최대 연합뉴스, 2018.6.29. ↑ 주한미군사령부 평택 '입주'…용산엔 환경오염 문제 남아 JTBC, 2018.6.29. ↑ “'33년 만에 드러난 충격적 진실' 주한미군, 고엽제 칠곡 '캠프캐럴'에 묻었다”. 한국경제. 2011년 5월 20일. 2012년 2월 15일에 확인함.  ↑ 제41차 SCM 공동성명 전문 연합뉴스, 2009.10.22. ↑ 전작권 전환 2015년말로 연기 매일경제, 2010.06.27. ↑ 시점 못박지 않은 전작권 전환..무기연기 가능성 노컷뉴스, 2014.10.24. ↑ 전작권 전환 연기..軍, 구체일정 재수립 불가피 파이낸셜뉴스, 2010.06.27. ↑ 이론적인 5각 편제는 대대 5개가 여단 1개를 구성하나, 실제로는 차이가 있다. ↑ 현재 대한민국에는 중립국 감시단으로 스위스와 스웨덴 대표단이 주재하고 있으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 대표단이, 1994년 폴란드 대표단이 철수하였다.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분리된 체코와 슬로바키아는 중립국 감시단의 임무를 이어받지 않았으나, 폴란드는 자국에서 여전히 중립국 감시단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 <그래픽> 세계 주둔 미군 현황 연합뉴스, 2009.10.22. ↑ 가 나 국방부, 주한미군 2만8500명 유지 재확인 정책브리핑, 2011.4.19. ↑ https://news.v.daum.net/v/20190524100519928 ↑ 2015년 12월 1일에 전시작전권이 전환되면, 한미연합사가 폐지에 따라 카투사 제도도 함께 폐지된다는 루머가 있었다. 그러나 카투사는 한미연합사 소속이 아니라 대한민국 국군 육군참모본부 직할부대이며, 한미연합사가 창설되기 전에 카투사 제도가 먼저 있었다. 즉, 한미연합사의 폐지와 동시에 카투사 제도가 폐지된다는 것은 낭설이다. ↑ 대한민국 국방부 2010년 판 국방백서 44페이지 <도표 3-5> 주한미군의 주요 조직과 보유 전력 ↑ “한국 날아온 전자전기··· 美 '전략 폭격기 삼총사' 모였다”. 《중앙일보》. 2018년 1월 17일. 2018년 1월 23일에 확인함.  ↑ <인사이드 Story> 대한민국서 가장 은밀한 6곳은? 한국경제, 2011.8.8. ↑ <정밀해부> 전작권 전환 연기와 군사비 논쟁의 방정식 신동아, 2010.8.25. ↑ TANGO는 알파벳 T를 의미하는 음표 문자이다. 군사나 통신 분야에서 쓰인다. ↑ Gun이라 함은 기갑을 제외한, 자주포 포함 모든 야포 종류를 포함한다. ↑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 압박 커질 듯 세계일보, 2012.1.6. ↑ 통계청 통합검색 통계DB, '방위비분담금현황: 방위비 분담금 지원현황' ↑ 국방부 국방정보공개 간행물 정책자료집, '2010 국방백서 국문판 전체'-제3절 주한미군의 안정적인 주둔여건 보장' (71쪽) ↑ 1987년 제 19차 한미연례안보협의회의(SCM)이후 1990년 3,000만 달러, 1991년 4,000만 달러, 1992년 5,000만 달러. 이에 따라 대한민국의 군사비를 GNP의 6%로 책정하였다. ↑ 국방부 국방정보공개 간행물 정책자료집 중 '한미동맹과 주한미군' ↑ 가 나 https://www.cato.org/pubs/pas/pa-308.pdf ↑ 국방부 국방정보공개 간행물 정책자료집 중 '2010 국방백서 국문판 부록' ↑ 국방부 국방정보공개 간행물 정책자료집 중 '국방비 홍보책자', SIPRI Yearbook 2010(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 Military Balance 2010(런던: 국제전략문제연구소), 2009 일본 방위백서 ↑ 이정진 (2019년 2월 10일). “韓美방위비분담협정 가서명…8.2% 인상돼 1조380억원대 타결”. 2019년 2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한-미 우호'의 아랫도리… '양공주'들을 민간외교관으로 활용하다 한겨레신문, 2005.2.1. ↑ 가 나 “잊을 수가 없어 나를 경멸하던 엄마의 눈빛을” 기지촌 할머니 51명 설문조사…국가는 미군 요구대로 여성들 관리하던 ‘거대한 포주’ 한겨레21 (제695호), 2008.1.24. ↑ RIGHTS-SOUTH KOREA: Prostitution Thrives with U.S. Military Presence Inter Press Service, Jul 7, 2009. ↑ After soldier held for rape, U.S. vows assistance Korean Joongang Daily, Sept 30, 2011. ↑ '기지촌 여성' 국가 상대 집단 손배소송 연합뉴스, 2014.6.25. ↑ Former Korean 'comfort women' for U.S. troops sue own government Reuters, Jul 11, 2014. ↑ "조국 경제 발전에 기여한 소녀들의 충정은…" 한겨레신문, 2014.7.4. ↑ Adam Justice Former ‘Comfort Women’ Sue South Korean Government International Business Times, Jul 11, 2014. ↑ 2005도798 ↑ 국내 병역법 어긴 미군 입대자, 처벌은 어떻게 연합뉴스, 2006.2.17. ↑ 미군 복무 이중국적자 제대 후 국내체류시 징집 병무청, 2006.2.23. ↑ 한국국적 미군, 병역 문제 또 도마 뉴시스, 2007.3.15. ↑ "한국국적 보유자 주한미군에 배치말라" 연합뉴스, 2006.5.9. ↑ 매일신보 1945년 9월 12일字를 “秘錄 韓國外交<1>: 건국前夜①”. 경향신문. 1975년 1월 15일. 4면. 에서 재인용 ↑ 이승만 대통령이 계속 북진을 주장하여, 결국 중공의 팽덕회, 북한의 남일, 미국의 클라크 장군만이 휴전협정에 조인하였다. ↑ 최동희, 갈등의 평화론, 도서출판 나남, 1987, 163면; 김학준, 강대국관계와 한반도, 서울:을유분화사, 1983, 153면 ↑ 최동희, 갈등의 평화론, 도서출판 나남, 1987, 164면; 한국외무부, 한국외교 30년, 서울:한국외무부, 1979, 104면 ↑ 최동희, 갈등의 평화론, 도서출판 나남, 1987, 164면; 김학준, 강대국관계와 한반도, 서울:을유문화사, 1983, 155면 ↑ 종래 불가능했던 무기와 탄약의 대한민국의 자체 생산을 미국이 허가했다. 또한 국방과학연구소(ADD)가 설립되었다. ↑ 한미연례안보회의(SCM)로서, 지금까지 계속 주최하고 있다. ↑ 1980년 5월 대한민국 光州서 일어난 사건에 관한 미국정부 성명서 ↑ 전시작통권 `말바꾼' 전직 국방장관들 연합뉴스, 2006.8.11. ↑ 1976년 8월 18일 판문점 도끼 살인 사건에서 순직한 미군 보니파스 대위를 기념 ↑ USFK J8 2009 Peninsula Engineer Conference (2009년 2월 4일 자. 기밀 해제)를 참조 ↑ 韓美, '흡수통일'과 '통일후 미군 주둔'에 합의 프레시안, 2006.2.15. ↑ 가 나 미국 예비군의 기동전략체제로의 전환 의미에 대해서는 외부 링크를 보라 ↑ 주한美육군 1000명만 남을 수도 문화일보, 2004.5.20. ↑ 美, '주한미군 완전철수'도 최근 검토 연합뉴스, 2004.5.20. ↑ '주한미군 예산삭감' 목소리 높아지나 한국경제신문, 2010.11.9. ↑ “매티스 美국방장관 “평화협정 체결 시 주한미군 주둔 문제도 협상 의제””. 2018년 5월 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영어) 주한 미군 - 공식 웹사이트 (영어) 주한 미국 육군/제8군 (영어) 주한 미국 해군 사령부 주한 미국 공군 (영어) 군산 공군기지 - 제8전투비행단 (영어) 오산 공군기지 - 제51전투비행단 (영어) globalsecurity.org (영어) 2009년 12월 31일 기준 전 세계 국가별 현역 미군 배치 현황 vdeh미국의 통합전투사령부현재지역 남부 북부 알래스카 아프리카 유럽 중부 아프가니스탄 인도-태평양 한국 일본 기능 사이버 수송 전략 특수작전 과거지역 극동 대서양 북동 태평양 베트남 타이완 태국 필리핀 이라크 기능 우주 타격 합동전력 국군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해안경비대 특수부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주한_미군&oldid=24493251" 분류: 주한 미군1954년 설립대한민국-미국 관계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עבריתBahasa Indonesia日本語Bahasa MelayuNorsk中文文言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8일 (금) 03: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주한 미군(駐韓 美軍, 영어: United States Forces Korea, USFK)은 현재 대한민국에 주둔하는 미군이다. 한미상호방위조약과 주한미군지위협정에 의해 대한민국 내에서 합법적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주한 미군을 지휘통제하는 주한 미군사령부는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예하 통합전투사령부이며, 주로 한미연합군사령부의 지휘를 받는다. 2016년 2월 19일에 주한 미해군 사령부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서 부산광역시 부산 해군기지로 옮겼고, 대한민국 전역에 분포하는 50여 개 미군 부대의 90% 이상이 2018년 말까지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에 위치한 미군의 세계 최대 해외기지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17년 7월에 미국 제8군사령부가 이전하였고, 2018년 6월에 주한미군사령부가 이전하였다.한편, 주한 미군 전역 군인이 베트남 전쟁에서 사용하고 남은 다량의 고엽제를 1978년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의 캐럴 기지에 매립하였다고 폭로하는 등 주한 미군 기지는 각종 정치적, 사회적, 환경적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부자나라 한국이 분담금을 훨씬 더 많이 내게 될 것”이라고 하면서 방위비 분담금 대폭 인상을 요구하는 것에 대해 '민중공동행동' 시민사회는 주한미국대사관과 방위비분담금특별협정 회의가 열리는 한국국방연구원 앞에서 "돈 없으면 집에 가라"를 외치는 시위를 벌였으며 한국 정부가 "전년 대비 13%를 조금 웃도는 인상률"을 최종안으로 제시했으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거부하자 주한미군사령부는 2020년 3월 25일 한국인 근로자 9000여 명(노조 추산 8500여 명) 중 생명과 안전, 보건 및 군 대비태세 관련 분야의 필수 인력을 제외한 4500여 명(노조 추산 4000여 명)을 휴직 대상으로 정하고 "무급휴직 기간 종료가 통지될 때까지 무급휴직에 처하게 될 것이다. 본 결정은 귀하의 서비스, 전문적 직업의식, 헌신, 근무성과 등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라는 내용의 ‘무급휴직 최종 결정 통지서'를 전달하였다. 이에 주한미군 한국인 근로자들이 3월 30일부터 기지 앞에서 "무급휴직 철회" 등 사태 해결을 요구하는 철야 농성을 벌였고 한국정부는 협상에서 미국 측에 “근로자 월급은 먼저 지급하자”고 제안했지만, 미국이 “일괄 협상 타결을 해야 한다”며 거부하자 국회는 4월 29일 재석의원 185명 전원의 찬성으로 '주한미군 소속 한국인 근로자의 생활안정 등 지원을 위한 특별법'을 의결하여 방위비 협상이 지연돼 주한미군 소속 한국인 근로자가 급여를 계속 받지 못할 경우, 월 평균 급여의 70%를 지급하는 고용보험법에 따른 구직급여 수급 대상이 되는 실질적 실업상태로 간주하여 월 75억원의 예산으로 4000여명에게 월 평균 180만~198만원이 지원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주한 미군의 Area2는 어느 지역에 위치해 있는가? Assistant: 용산 Human: 아래 주오히로사키_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주오히로사키 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주오히로사키 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주오히로사키역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주오히로사키 주오히로사키 역 개괄 관할 기관 고난 철도 소재지 일본 아오모리 현 히로사키 시 좌표 북위 40° 35′ 58.52″ 동경 140° 28′ 21.59″ / 북위 40.5995889° 동경 140.4726639°  / 40.5995889; 140.4726639 개업일 1952년 1월 26일 승강장 구조 단선 승강장 1면 1선 노선 고난 철도 ■ 오와니 선 오와니 기점 13.9km ← 히로코시타 (0.8 km) 주오히로사키 역(일본어: 中央弘前駅)은 일본 아오모리 현 히로사키 시에 위치한 고난 철도 오와니 선의 철도역이다. 이 노선의 종점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목차 1 이용 현황 2 역 주변 3 역사 4 인접 역 이용 현황[편집] 승차 인원 추이 연도 1일 평균 승차 인원 1일 평균 승하차 인원 2004 893 1,814 2005 910 1,800 2006 762 1,542 2007 658 1,317 2008 607 1,227 2009 512 1,027 2010 499 1,014 2011 961 2012 937 2013 897 2014 845 2015 737 역 주변[편집] 히로사키 대학 의학부 히로사키 대학 의학부 부속 병원 도호쿠 여자 단기 대학 히로사키 주오 병원 역사[편집] 1952년 1월 26일 : 히로사키 전기 철도의 역으로서 개업. 1970년 10월 1일 : 고난 철도로 양도. 1986년 4월 1일 : 업무 위탁화. 1997년 4월 1일 : 운행 취급 업무 위탁화. 인접 역[편집] 고난 철도 오와니 선 히로코시타오와니 방면 ■ 오와니 선 시·종착역 vdeh고난 철도 오와니 선오와니 - 슈쿠가와라 - 사바이시 - 이시카와푸루마에 - 이시카와 - 기주쿠코코마에 - 쓰가루오사와 - 마쓰키타이 - 고구리야마 - 지토세 - 세이아이추코마에 - 히로사키가쿠인다이마에 - 히로코시타 - 주오히로사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주오히로사키_역&oldid=22132948" 분류: 고난 철도아오모리현의 철도역히로사키시의 철도역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မြန်မာဘာ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8월 28일 (화) 12: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주오히로사키역(일본어: 中央弘前駅(ちゅうおうひろさきえき))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에 위치한 고난 철도 오와니 선의 철도역이다. 이 노선의 종점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주오히로사키역의 2004년 일평균 승차인원은? Assistant: 893
Human: 아래 로베르트_후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로베르트 후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로베르트 후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로베르트 후트 개인 정보전체 이름 Robert Huth출생일 1984년 8월 18일(1984-08-18) (34세)출생지 동독 비스도르프키 1.91m포지션 센터백청소년 클럽 기록1999–2000 2000–2001 2001–2002 VfB 포르투나 비스도르프 1. FC 우니온 베를린 첼시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2002–2006 2006–2009 2009–2015 2015 2015–2018 합계 첼시 미들즈브러 스토크 시티 → 레스터 시티 (임대) 레스터 시티 042 00(0) 053 00(2) 149 0(13) 014 00(1) 068 00(5) 326 0(21)국가대표팀 기록2003 2004–2005 2004–2009 독일 U-20 독일 U-21 독일 004 00(0) 019 00(2)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로베르트 후트 (독일어: Robert Huth, 1984년 8월 18일, 동베를린 비스도르프 ~) 는 독일의 전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센터백이다. 후트는 2001년에 당시 첼시 FC의 감독이었던 클라우디오 라니에리에 의해 베를린을 연고로 하는 1. FC 우니온 베를린에서 첼시로 이적하였다. 그는 2006년에 미들즈브러 FC로 이적하여 3년간 리버사이드 스타디움에서 활약하다 2009년에 £5M의 가격으로 스토크 시티 FC에 이적하였다. 그는 2010-11 시즌을 성공적으로 보낸 뒤 스토크의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다. 목차 1 클럽 경력 1.1 첼시 FC 1.2 미들즈브러 FC 1.3 스토크 시티 FC 2 국가대표팀 경력 2.1 국가대표팀 득점기록 3 통계 3.1 클럽 3.2 국가대표팀 4 수상 4.1 클럽 4.2 국가대표팀 4.3 개인 5 사생활 6 각주 7 외부 링크 클럽 경력[편집] 첼시 FC[편집] 후트는 2001-02 시즌의 마지막 경기에 17세의 나이로 하프타임에 교체되며 데뷔전을 치루었다. 이 경기의 상대는 애스턴 빌라 FC로, 이 경기는 1-3 패로 끝났다. 2003년 8월 레딩 FC는 2003-04 시즌을 앞두고 그를 임대하려 하였으나, 첼시 FC 구단측은 이 제안을 거절하였다.[1] 그는 2003-04 시즌에 20경기 출장하였고, 후트는 첼시 잔류에 대해 만족감을 드러냈다.[2] 2004-05 시즌, 그는 부상으로 인해 출장을 별로 많이 하지 못하였다.[3] 2005-06 시즌 초, 첼시에서 후트는 존 테리, 윌리암 갈라스, 그리고 히카르두 카르발류의 존재에 밀려 출장기회가 더 줄어들었다. 위의 세명은 2004년에 클라우디오 라니에리의 후임으로 온 조제 모리뉴가 선호하는 센터백들이었다. 그러나, 모리뉴는 2005년 여름에 후트를 영입하려고 하는 분데스리가 클럽 FC 바이에른 뮌헨의 제안을 거절하였다.[4] 후트는 MŠK 질리나와의 UEFA 챔피언스리그 예선전[5] 과 버밍엄 시티 FC와의 FA컵 경기[6] 에서 첼시를 위해 두골을 득점하였다. 2005-06 시즌 말, 후트는 적은 1군출장에 불만을 표출하였고, 미들즈브러 FC, 위건 애슬레틱 FC, 에버턴 FC은 그에게 이적 제안을 하였다.[7][8][9] 그는 2006년 FIFA 월드컵이 종료되는 대로 미들즈브러 FC에 합류할 것임을 확인하고, 5년 계약을 체결하였다.[10] 미들즈브러 FC[편집] 2006년 7월 13일, 제안된 미들스브러 FC 이적은 메디컬 테스트 실패로 인해 수포로 돌아갔다.[11] 미들스브러는 후트를 영입하기 위해 계속 협상하였고, 8월 31일에 £6M의 이적료로 이적을 확정시켰다.[12] 그는 2006년 12월 5일, 1-2로 패한 토트넘 홋스퍼 FC전에서 첫 미들즈브러 득점을 하였다.[13] 그는 잦은 부상으로 실망스러운 첫 시즌을 보냈으나, 2007년 12월 29일, 포츠머스 FC와의 리그 원정 경기에서 복귀하여 인상적인 성과를 보였다. 조나단 우드게이트가 토트넘 홋스퍼 FC로 이적한 뒤, 후트는 데이비드 휘터와 센터백 듀오를 형성하였다. 2월 3일, 후트는 뉴캐슬 유나이티드 FC와의 경기에서 득점하여 케빈 키건의 팀을 상대로 승점을 획득하였다.[14] 2008-09 시즌 이후 미들즈브러가 강등당하고, 에마누엘 포가테츠가 장기 부상을 당함에 따라 후트는 팀의 주장이 되었다. 스토크 시티 FC[편집] 스토크 시티의 후트 2009년 8월 27일, 후트는 £5M에 스토크 시티 FC와 계약을 체결하였다.[15] 그는 2009년 8월 29일에 선덜랜드 AFC와의 경기에서 데이브 킷슨과 교체투입되며 스토크 데뷔전을 치루었고, 스토크는 경기에서 1-0으로 이겼다.[16] 그는 2009년 10월 29일 에버튼 FC전에도 데이브 킷슨과 교체되어 스토크 소속 첫골을 득점하며 프리미어리그 100경기 출장을 자축하였다.[17] 10월 17일,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전에서 매튜 업슨의 얼굴을 주먹으로 가격함에도 불구하고, 주심으로부터 아무런 조취도 받지 않았다.[18] 이후, 후트는 이 행위에 대해 FA의 징계가 내려졌다.[19] 그는 이후 사죄하였고, 행위에 대해 업슨에게 사과하였다.[20] FA는 후트의 징계를 3경기 출장 정지로 확정하였다.[21] 2010년 1월 16일, 그는 리버풀 FC와의 경기에서 90분에 동점골을 득점하였다.[22] 그는 이후 포츠머스 FC와의 경기에서 스토크 이적 이후로는 3호골을 득점하였다. 그는 친정팀 첼시 FC와의 FA컵 8강전에서 주장완장을 받았고, 이 경기에 대해 그는 자신에게 있어서 자랑스럽다고 생각하였다.[23] 후트는 애스턴 빌라 FC와의 경기에서 93분에 득점하며, 팀의 첫 승리를 견인하였고, 2010-11 시즌을 산뜻하게 출발하도록 하였다.[24] 그는 이후 버밍엄 시티 FC,[25] 위건 애슬레틱 FC,[26] 블랙번 로버스 FC,[27] 울버햄프턴 원더러스 FC[28] 을 상대로는 1골을, 선덜랜드 AFC[29] 를 상대로는 2골을 득점하였다. 그는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와의 FA컵 8강전에서 득점하여 팀의 39년 만에 팀이 준결승전에 진출하도록 하였다.[30][31] 그는 볼턴 원더러스 FC와의 준결승전에도 득점하였고, 스토크는 5-0으로 승리하였으며, 후트 본인은 한 시즌에 9골을 득점한 첫 스토크 수비수가 되었다.[32][33] 그는 2010-11 시즌을 성공적으로 마친 뒤,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다.[34] 2011년 여름, 토니 풀리스 감독은 전 잉글랜드 국가대표였던 조나단 우드게이트와 매튜 업슨을 영입하였고, 후트는 그에게는 생소한 라이트 백의 임무를 맡겼다.[35][36] 그러나, 스토크가 수비에서 형편없는 성과를 보이자, 후트는 센터백 자리로 복귀하여 라이언 쇼크로스와 듀오를 형성하였으며, 이후 에버튼 FC를 상대로 득점하였다.[37] 국가대표팀 경력[편집] 후트는 데드볼 스페셜리스트로 킥력이 우수하다. 그는 20세의 젊은 나이에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일원이 되었다. 그는 2003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여하였다. 그와 센터백 듀오를 이루던 선수는 그와 동갑인 페어 메르테자커였고, 후트는 200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당시 주전으로 활약하였다. 국가대표팀 훈련에서의 후트 2005년 6월 29일, 그는 멕시코와의 컨페더레이션스컵 3위 결정전에 그의 국가대표팀 첫골을 득점하였고, 독일은 연장전끝에 4-3 승리를 거두었다. 2006년 6월 기준으로 그는 17경기에 출장하여 2득점을 올렸다. 그는 2006년 3월, 1-4로 패한 이탈리아와의 피렌체 친선전에서 두 번째 골을 득점하였다. 조국에서 열린 2006년 FIFA 월드컵에서 그는 크리스토프 메첼더와 페어 메르테자커에 밀려 주전 자리를 잃었다. 그는 수비적 실책으로 비난의 대상이 되었고, 대회 이전의 평가전에서만 1경기 출장하는데 그쳤고, 대회에서는 에콰도르와의 조별리그 최종전 출장에 그쳤다. 2008년 3월 20일, 그는 소속클럽에서 기량을 회복한 뒤 스위스와의 평가전에서 월드컵 이후로는 처음으로 차출되었다.[38] 그는 나중에 발부상을 당하여 UEFA 유로 2008 출전이 무산되었다. 국가대표팀 득점기록[편집] 2010년 1월 19일 기준 골 날짜 경기장 상대 점수 최종결과 대회 1. 2005년 6월 29일 첸트랄슈타디온, 라이프치히 멕시코 3 – 2 4–3 200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 2006년 3월 1일 스타디오 아르테미오 프란키, 피렌체 이탈리아 1 – 4 1–4 친선경기 통계[편집] 클럽[편집] 클럽 시즌 리그 FA컵 리그컵 유럽대항전 합계 출장 골 출장 골 출장 골 출장 골 출장 골 첼시 FC 2001–02 1 0 0 0 0 0 0 0 1 0 2002–03 2 0 1 0 0 0 2 0 5 0 2003–04 16 0 1 0 1 0 2 1 20 1 2004–05 10 0 1 1 0 0 4 0 15 1 2005–06 13 0 4 0 1 0 3 0 21 0 합계 42 0 7 1 2 0 11 1 62 2 미들즈브러 FC 2006–07 12 1 1 0 1 0 – 14 1 2007–08 13 1 3 0 0 0 – 16 1 2008–09 24 0 4 0 0 0 – 28 0 2009–10 4 0 0 0 1 0 – 5 0 합계 53 2 8 0 2 0 0 0 63 2 스토크 시티 FC 2009–10 32 3 5 0 0 0 – 37 3 2010–11 35 6 6 3 3 0 – 44 9 2011–12 23 1 2 2 2 0 10 0 37 3 합계 90 10 13 5 5 0 10 0 118 15 경력 합계 185 12 28 6 9 0 21 1 243 19 국가대표팀[편집] 2011년 6월 기준[39]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연도 출장 골 2004 4 0 2005 10 1 2006 3 1 2009 2 0 합계 19 2 수상[편집] 클럽[편집] 첼시 FC 프리미어리그: 2004-05, 2005-06 프리미어리그 아시아 트로피: 2003 스토크 시티 FC FA컵 준우승: 2010-11 국가대표팀[편집]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3위: 2005 FIFA 월드컵 3위: 2006 개인[편집] 스토크 시티 코칭스태프가 선정한 올해의 선수: 2010 스탠리 매슈즈 포터리스 올해의 선수: 2011 스토크 시티 올해의 선수: 2011 스토크 시티 선수들이 선정한 올해의 선수: 2011 사생활[편집] 베를린에서 자란 후트는 그가 TV에서 가끔가다 보는 SV 베르더 브레멘과 헤르타 BSC 베를린의 서포터가 되었다. 그는 1996-97 시즌의 DFB-포칼 결승전에서 볼보이로 활약하였다.[40] 각주[편집] ↑ “Chelsea reject Royals bid”. 《BBC Sport》. 2003년 8월 19일. 2011년 1월 13일에 확인함.  ↑ “Huth is happy to stay at Chelsea”. 《BBC Sport》. 2004년 10월 14일. 2011년 1월 13일에 확인함.  ↑ “Chelsea rocked by Huth lay-off”. 《BBC Sport》. 2005년 2월 2일. 2011년 1월 13일에 확인함.  ↑ “Huth: I'm not going to Bayern”. 《dailymail.co.uk》. 2005년 3월 22일. 2011년 1월 13일에 확인함.  ↑ “Chelsea back among Euro elite”. 《BBC Sport》. 2003년 8월 26일. 2009년 12월 5일에 확인함.  ↑ “Chelsea 2–0 Birmingham”. 《BBC Sport》. 2005년 1월 30일. 2009년 12월 5일에 확인함.  ↑ “Latics' £5.5m Huth offer accepted”. 《BBC Sport》. 2006년 5월 26일. 2011년 1월 13일에 확인함.  ↑ “Everton to hijack Wigan Huth move”. 《BBC Sport》. 2006년 5월 29일. 2011년 1월 13일에 확인함.  ↑ “Middlesbrough agree fee for Huth”. 《BBC Sport》. 2006년 6월 7일. 2011년 1월 13일에 확인함.  ↑ “Huth says Boro contract is agreed”. 《BBC Sport》. 2006년 6월 11일. 2011년 1월 13일에 확인함.  ↑ “Huth fails his medical at Middlesbrough”. 《The Guardian》. 2006년 7월 13일. 2009년 9월 16일에 확인함.  ↑ “Woodgate & £6m Huth sign for Boro”. 《BBC Sport》. 2006년 8월 30일. 2009년 9월 16일에 확인함.  ↑ “Tottenham 2–1 Middlesbrough”. 《BBC Sport》. 2006년 12월 5일. 2009년 10월 5일에 확인함.  ↑ “Newcastle 1–1 Middlesbrough”. 《BBC Sport》. 2008년 2월 3일. 2009년 10월 5일에 확인함.  ↑ “City swoop for Huth”. 《Stoke City》. 2009년 8월 27일. 2009년 10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3월 23일에 확인함.  ↑ “Tony Pulis plays down Stoke City's lofty ambitions”. 《The Guardian》. 2009년 8월 31일. 2009년 9월 16일에 확인함.  ↑ “Everton 1–1 Stoke”. 《BBC Sport》. 2009년 10월 4일. 2009년 10월 5일에 확인함.  ↑ “Stoke 2–1 West Ham”. 《BBC Sport》. 2009년 10월 17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 (도움말) ↑ “Huth pleads guilty to FA charge”. 《BBC Sport》. 2009년 10월 20일. 2010년 5월 22일에 확인함.  ↑ “Club Statement On Robert Huth”. 《Stoke City》. 2009년 10월 20일. 2009년 10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27일에 확인함.  ↑ “Stoke's Huth given three-game ban”. 《BBC Sport》. 2009년 10월 22일. 2009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Stoke City 1–1 Liverpool”. 《BBC Sport》. 2010년 1월 16일. 2010년 1월 16일에 확인함.  ↑ “Stoke defender Robert Huth proud after captaincy honour”. 《BBC Sport》. 2010년 3월 8일. 2011년 1월 13일에 확인함.  ↑ “Stoke 2 - 1 Aston Villa”. 《BBC Sport》. 2010년 9월 13일. 2011년 1월 13일에 확인함.  ↑ “Stoke 3 - 2 Birmingham”. 《BBC Sport》. 2010년 11월 9일. 2011년 1월 13일에 확인함.  ↑ “Wigan 2 - 2 Stoke”. 《BBC Sport》. 2010년 12월 4일. 2011년 1월 13일에 확인함.  ↑ “Blackburn 0 - 2 Stoke”. 《BBC Sport》. 2010년 12월 26일. 2011년 1월 13일에 확인함.  ↑ “Wolverhampton 0 - 1 Stoke”. 《BBC Sport》. 2011년 2월 5일.  ↑ “Stoke 3 - 2 Sunderland”. 《BBC Sport》. 2011년 2월 5일.  ↑ “Stoke 2 - 1 West Ham”. 《BBC Sport》. 2011년 3월 13일. 2011년 3월 14일에 확인함.  ↑ “City Pair Pay Tribute To Supporters”. 《stokecityfc.com》. 2011년 3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3월 14일에 확인함.  ↑ “Rampant City Make History”. 《stokecityfc.com》. 2011년 4월 18일에 확인함.  ↑ “Bolton 0 - 5 Stoke”. 《BBC Sport》. 2011년 4월 17일. 2011년 4월 18일에 확인함.  ↑ “Robert Huth named Stoke City's player of the year”. 《BBC Sport》. 2011년 5월 24일. 2011년 5월 24일에 확인함.  ↑ “What now for Robert Huth?”. 《Vital Stoke》. 2011년 10월 18일에 확인함.  ↑ “Stoke defender Robert Huth to return for Tel-Aviv tie”. 《BBC Sport》. 2011년 10월 17일. 2011년 10월 18일에 확인함.  ↑ “Normal Service Is Resumed”. 《Stoke City F.C.》. 2011년 12월 5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Huth recalled to Germany squad”. 《FIFA》. 2008년 3월 20일. 2009년 9월 16일에 확인함.  ↑ “Huth, Robert”. 《National Football Teams》. 2011년 6월 5일에 확인함.  ↑ Stoke City Official Matchday Magazine, 2011년 9월 29일, v Besiktas 외부 링크[편집] 스토크 시티 FC 공식 프로파일 (독일어) Fussballdaten 프로파일 로베르트 후트 - 사커베이스 프리미어리그 프로파일 vdeh스토크 시티 FC 올해의 선수 1978: 켄덜 1979: 도일 1980: 도드 1981: 폭스 1982: 폭스 1983: M.토마스 1984: 볼드 1985: 매킬로이 1986: 버스친 1987: 딕슨 1988: 파킨 1989: 카마라 1990: 폭스 1991: M.토마스 1992: 비긴스 1993: 스테인 1994: 크랜슨 1995: 시귀르드손 1996: 왈라스 & 프루도 1997: 그리핀 1998: 휘틀 1999: 킨 2000: 오코너 2001: 구나르손 2002: W.토마스 2003: 슈타니악 2004: 아킨바이 2005: 힐 2006: 호프켄스 2007: 히긴보텀 2008: 로렌스 2009: 파예 2010: 에더링턴 2011: 후트 2012: 크라우치 2013: 베고비치 2014: 쇼크로스 2015: 은존지 2016: 버틀런드 2017: 그랜트 2018: 앨런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vdeh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 200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3위 1 칸 (주장) 2 힝켈 3 프리드리히 4 후트 5 오보모옐라 6 엥엘하트 7 슈바인슈타이거 8 프링스 9 항케 10 다이슬러 11 브르다리치 12 레만 13 발라크 14 아자모아 15 에언스트 16 히츨슈페르거 17 메르테자커 18 보로프스키 19 슈나이더 20 포돌스키 21 슐츠 22 쿠라니 23 힐데브란트 감독: 클린스만 vdeh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 2006년 FIFA 월드컵 3위 1 레만 2 얀젠 3 프리드리히 4 후트 5 켈 6 노보트니 7 슈바인슈타이거 8 프링스 9 항케 10 뇌빌 11 클로제 12 칸 13 발라크 (주장) 14 아자모아 15 히츨슈페르거 16 람 17 메르테자커 18 보로프스키 19 슈나이더 20 포돌스키 21 메첼더 22 오동코어 23 힐데브란트 감독: 클린스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로베르트_후트&oldid=24381213" 분류: 1984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독일의 축구 선수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첼시 FC의 축구 선수미들즈브러 FC의 축구 선수스토크 시티 FC의 축구 선수레스터 시티 FC의 축구 선수200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참가 선수2006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베를린 출신잉글랜드의 외국인 축구 선수독일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독일 U-21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독일 청소년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프리미어리그의 축구 선수잉글리시 풋볼 리그의 축구 선수1. FC 우니온 베를린의 축구 선수잉글랜드에 거주한 독일인독일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LietuviųMalagasyМонгол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5일 (수) 11: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로베르트 후트(독일어: Robert Huth, 1984년 8월 18일, 동베를린 비스도르프 ~)는 독일의 전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센터백이다. 후트는 2001년에 당시 첼시 FC의 감독이었던 클라우디오 라니에리에 의해 베를린을 연고로 하는 1. FC 우니온 베를린에서 첼시로 이적하였다. 그는 2006년에 미들즈브러 FC로 이적하여 3년간 리버사이드 스타디움에서 활약하다 2009년에 £5M의 가격으로 스토크 시티 FC에 이적하였다. 그는 2010-11 시즌을 성공적으로 보낸 뒤 스토크의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스토크 시티로 이적하기 전 구단에서 로베르트 후트의 선수 경력은 어떻습니까? Assistant: 2006년 7월 13일, 제안된 미들스브러 FC 이적은 메디컬 테스트 실패로 인해 수포로 돌아갔다.[11] 미들스브러는 후트를 영입하기 위해 계속 협상하였고, 8월 31일에 £6M의 이적료로 이적을 확정시켰다.[12] 그는 2006년 12월 5일, 1-2로 패한 토트넘 홋스퍼 FC전에서 첫 미들즈브러 득점을 하였다.[13] 그는 잦은 부상으로 실망스러운 첫 시즌을 보냈으나, 2007년 12월 29일, 포츠머스 FC와의 리그 원정 경기에서 복귀하여 인상적인 성과를 보였다. 조나단 우드게이트가 토트넘 홋스퍼 FC로 이적한 뒤, 후트는 데이비드 휘터와 센터백 듀오를 형성하였다. 2월 3일, 후트는 뉴캐슬 유나이티드 FC와의 경기에서 득점하여 케빈 키건의 팀을 상대로 승점을 획득하였다.[14] 2008-09 시즌 이후 미들즈브러가 강등당하고, 에마누엘 포가테츠가 장기 부상을 당함에 따라 후트는 팀의 주장이 되었다. Human: 아래 교과서포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교과서포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교과서포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교과서포럼은 대한민국 초·중·고등학교의 기존 교과서가 좌파적 성향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다.[1] 뉴라이트 계열의 단체이다. 목차 1 목적과 이념 2 대안교과서 한국근현대사 3 관련 활동 4 평가와 비판 4.1 긍정적 평가 4.2 부정적 평가 5 주요 인물 6 참여/후원단체 7 같이 보기 8 각주 9 외부 링크 목적과 이념[편집] 뉴라이트 운동 계열의 단체로서 2005년 1월 25일에 창립하였다. 교과서포럼은 창립선언문에서 창립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역사를 바로 세우기보다 역사를 바로 씀으로써 중·고등학교 교육현장을 바로잡고 미래세대를 올바르게 인도해야 하겠다는 절박감이 우리를 하나로 뭉치게 하였다. 창립선언문에 따르면 이 단체의 활동 목적은 다음과 같다. <교과서포럼>은 대한민국의 근·현대사와 관련된 각종 교과서를 분석·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하면서 사실을 추구하는 학도로서의 성실성과 엄숙성, 및 겸허함을 견지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다. 대안교과서 한국근현대사[편집] 2008년 9월, 교과서포럼은 국방부·통일부·상공회의소와는 별도로 역사교과서의 서술을 비판하면서 수정을 요구한 바 있다.[2] 교과서포럼은 기존 대한민국 교과서의 현대사와 경제사 관련 서술을 문제삼아 이 부분을 중점적으로 수정한 《대안교과서 한국 근·현대사》(도서출판 기파랑)를 2008년 3월 24일에 출간하였다. '대안교과서'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지만, 교과서 검정을 받지 못한 책이다. 주로 수정된 내용은 일제 강점기 동안의 경제사와 대한민국 역사에 대한 기술로, 현행 교과서에 비해 긍정적으로 다루어졌다. “ 일제의 한국 지배는 한국인의 정치적 권리를 부정한 폭력적 억압 체제였다. 국내외의 한국인들은 불굴의 투쟁으로 독립의 권리를 끝내 쟁취하였다. 그 시기는 억압과 투쟁의 역사만은 아니었다. 근대 문명을 학습하고 실천함으로써 근대국민국가를 세울 수 있는 '사회적 능력'이 두텁게 축적되는 시기이기도 하였다. ” 이밖에 항일 운동에 대한 기술은 비중이 줄고 남은 부분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중심으로 서술되었다. 3·1 운동에서부터 한성임시정부,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민국 정부로 이어지는 정통성의 계보를 뚜렷이 밝히고, 자유민주주의와 산업화의 성공을 부각시켜 대한민국의 역사를 이승만과 박정희 지도자의 역할 중심으로 설명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역사는 보론으로 기술되어 정통성 계보에 속해있지 않음을 명확히 했다.[3] 한편, 교과서포럼은 대안 교과서 시안에서 4·19 혁명을 ‘4·19학생운동’으로, 5·16 군사정변을 ‘5·16혁명’으로 기술하였다가 관련 단체 회원들의 항의로 논란을 빚기도 했다.[4] 교과서포럼 측은 항의 주장 일부를 받아들여 4·19를 민주혁명으로 표기하였다.[5] 일본 요미우리 신문은 최근 한국의 뉴라이트 계열 학자들이 출간한 역사책 '대안 교과서'에 대해 “일제시대를 찬미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이 교과서는 한국의 대학 교수들이 포함된 '뉴라이트'라는 집단에서 만든 것”이라며 지식인들이 만든 교과서라는 점을 강조했다. 끝으로 요미우리신문은 한국의 일부 언론이 이 대안 교과서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면서 조선일보의 보도 내용을 인용해 “균형 잡힌 역사 교육의 첫걸음”이라고 덧붙였다.[6] 관련 활동[편집] 뉴라이트 교과서포럼은 한국현대사학회라는 이름으로 다시 활동하고 있다는 시각이 있다.[7][8] 이 단체는 교과서포럼에 고문·운영위원·필진으로 참여한 인사가 16명에 이르며, 교과서포럼의 구성원 가운데 작고한 고 김일영 교수, 이동복 북한민주화포럼 대표 등 사회단체 인사 등을 제외하면 핵심 인사 대부분이 현대사학회로 옮겨왔다는 지적이다.[9] 평가와 비판[편집] 긍정적 평가[편집] 2008년 5월 26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뉴라이트 대안교과서 출판기념회에서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는 "우리 청소년들이 왜곡된 역사 평가를 배우고 있다고 생각하면 정말 전율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발언을 하였고, "뜻 있는 이들이 현행 교과서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청소년들이 잘못된 역사관을 키우는 것을 크게 걱정했는데 이제 걱정을 덜게 됐다"고 소신을 밝혔다.[10] 일본 요미우리 신문은 최근 한국의 뉴라이트 계열 학자들이 출간한 역사책 '대안 교과서'에 대해 “일제시대를 찬미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이 교과서는 한국의 대학 교수들이 포함된 '뉴라이트'라는 집단에서 만든 것”이라며 지식인들이 만든 교과서라는 점을 강조했다. 끝으로 요미우리신문은 한국의 일부 언론이 이 대안 교과서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면서 조선일보의 보도 내용을 인용해 “균형 잡힌 역사 교육의 첫걸음”이라고 덧붙였다.[6] 자민당 의원 3명의 울릉도 기획방문을 입안하고 인천공항에서 강제출국된 시모조 마사오 다쿠쇼쿠대학 교수는 "이제까지 한국의 역사교과서는 과거의 역사를 ‘일본의 침략’이라는 구도로 기술해왔다"면서 "대안교과서는 통계와 자료 등 객관적 기술을 중시해 일본의 식민통치를 한국의 근대화에 도움을 주었다고 일정한 평가를 부여하는 등 지금까지 감정적인 기술과는 대조적이다"라고 호평했다.[11] 부정적 평가[편집] 2008년 6월 5일 열린 역사교육연대회의의 학술토론회에서는 교과서포럼의 교과서가 편향되어 있다는 비판을 제기했다.[12] 이 학술토론회를 통해 비판을 받은 부분은 다음과 같다. 사실 기술의 오류 : 역사학자인 주진오, 박찬승, 홍석률 등은 이 교과서가 철저한 실증주의를 내세우고 있음에도 대한제국 고종 즉위년과 카이로 회담일, 한자 표기, 사진 설명 등에 오류가 많다고 지적했다. 사실 오류에 대해서는 이 교과서를 지지하는 측에서도 '옥의 티'로 지적한 바 있다.[13] 식민지 근대화론 : "오늘날 한국 현대 문명의 제도적 기초가 그 과정에서 닦였음을 강조"하여 식민 지배를 문명의 학습화 과정으로 설명한 것은 잘못되었다는 비판이 있었다. 이는 통계 수치를 제시할 때 그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여 정확한 역사 인식을 방해했다는 비판과 이어진다. 예를 들어 3·1 운동 이후 경찰 숫자의 증가율 둔화나 일제 강점기 말기의 조선인 취학률 급증 추세를 제시할 때 그러한 변화가 나오게 된 역사적 배경이 충분히 설명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항일 운동 : 일제 강점기 동안의 항일 운동이 우파 위주로 비중이 작게 서술된 것은 물론, 이승만의 활동을 내세우기 때문에 우파 가운데서도 김구와 안창호를 소박하게 그리거나 일부 폄훼했다는 비판이 있다. 친일파 문제 : 민족문제연구소는 이 교과서가 일제 강점기 말기의 저항이 어려웠던 상황을 강조하여 독립불가능론, 친일불가피론, 전국민친일론을 내세움으로써 "위험하고 창피한 교과서"가 되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기타 : 재벌과 노동자, 기독교와 불교, 보수주의 세력과 진보주의 세력 중 전자 쪽에 편향되는 서술로 일관했다는 비판이 있다. 역사학계에서는 일찍부터, 《대안교과서 한국 근·현대사》 편집자 중, 한국사 전공자는 한명도 없으며 교과서포럼이 일본의 극우 단체인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과 유사하다고 지적한 바 있다.[14] 비판 입장에 선 역사학자들은 사실관계가 잘못되거나 지나치게 편향적으로 기술된데다 비문[모호한 표현]이 많은 등 기본이 갖추어져 있지 않고 내용이 매우 부실한 교과서라 충격이 적을 것이라고 내다보기도 했다.[15] 뉴라이트 교과서 포럼에서 만든 책의 내용 중 김구와 관련된 서술에서 글에는 김구를 깎아내리기 위한 의도가 다분히 개입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비판이 일었다. 이 책에서는 김구가 "일본 상인을 군인으로 오인하여 살해하였다"고 서술하였다. 하지만 2004년 7월 서울고검이 "김구가 무고한 일본인을 살해했다"고 주장한 문건을 배포한 친일작가 김완섭씨를 허위사실로 인한 명예훼손으로 직권 기소한 바가 있었듯이,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 서술에서는 백범이 죽인 자는 일본군 중위로서 이름은 스치다 조료였다고 기록되어 있다.[16] 신용하 서울대 명예교수는 뉴라이트재단과 교과서포럼에 대해 “일본의 자금으로 만들어진 친일단체”라고 주장한다. 신 교수는 또 대안교과서에 대해서는 “조선총독부가 만든 일제 식민지 통치의 선전물이 학문의 외피를 둘러쓰고 대안교과서라는 이름으로 나와 있습니다.”라고 평가하며 “일본의 이같은 지원이 서울대에도 들어와 ‘식민지 근대화론’을 펼치거나, 위안부와 정신대는 자발적인 일이라는 등 극우파의 주장을 그대로 대변하는 사람들이 나오고 있다”면서 “이 사람들이 외로우니까 탈을 쓰고 나온 것이 바로 뉴라이트 등 신보수주의 세력들”이라고 주장했다.[17] 주요 인물[편집] 교과서포럼 창립을 위해 결성된 준비위원회 간부를 맡은 학자는 다음과 같다.[1] 박효종: 서울대학교 국민윤리교육과 교수 (위원장) 김일영: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신지호: 자유주의연대 대표 류석춘: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전상인: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대안교과서 편집자로 참여한 학자는 다음과 같다.[18][19] 이영훈: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책임편집자) 김용직: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김영호: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김재호: 전남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김세중: 연세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김종석: 홍익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전상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주익종: 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 김광동: 나라정책연구원 원장 김영환: 시대정신 편집위원 참여/후원단체[편집] 교육공동체시민연합 기독교사회책임 바른사회를 위한 시민회의 북한민주화 네트워크 북한민주화 포럼 자유주의연대 초/중/고 교장협의회 학교를 사랑하는 학부모 모임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한국사학법인연합회 교과서포럼 후원회 같이 보기[편집] 대안교과서 한국현대사학회 사단법인 시대정신 대한민국의 뉴라이트 각주[편집] ↑ 가 나 민동용 (2004년 12월 17일). “[학술] “근현대사 교과서 左편향 바로잡겠다””. 동아일보. 2008년 7월 9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 한국은 ‘이념전쟁’ 중, 역사교과서 둘러싼 논쟁 격화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한국경제》, 2008.9.23. ↑ 유석재 (2008년 3월 22일). “교과서 포럼, 대한민국 정통성 옹호한 대안교과서 출간”. 조선일보.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7월 9일에 확인함.  ↑ 장원재 (2006년 12월 1일). “4·19에 ‘뺨 맞은’ 뉴라이트 교과서”. 동아일보. 2008년 7월 9일에 확인함.  ↑ 김동원 (2006년 12월 14일). “"대안 교과서에 4.19를 혁명으로 표기"”. 동아일보. 2008년 7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日요미우리 “뉴라이트 교과서, 일제 찬미” ↑ 닻 올린 현대사학회…‘뉴라이트 역사인식’ 판박이 한겨레 2011년 6월 ↑ 현대사학회는 역사를 ‘이해’할 자세가 되어 있나 경향신문 2011년 6월 ↑ 누가 ‘역사내전’을 부추기나 한겨레21 2011년 6월 ↑ 김동현 기자 (2008년 5월 26일). “뉴라이트 교과서 극찬한 박근혜의 역사관”. 뷰스앤뉴스. 2015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4월 29일에 확인함.  ↑ 독도 일본땅” 일 교수, 한국 뉴라이트교과서 찬양 한겨레 2011년 8월 ↑ 김승은 (2008년 6월). “[뉴라이트의 '위험한' 교과서 읽기] - 역사교육연대회의의 학술토론회”. 《민족사랑》: 15~17쪽.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 이경남 (2008년 7월). “‘대안교과서-한국 근·현대사’ 30가지 오류”. 《신동아》 (586호): 508~517쪽.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장윤선,김덕련 (2005년 1월 27일). “"교과서포럼, 일 우익 '새역모' 한국판" - 현행 역사교과서가 '자학사관'?... 역사학계 "언급할 가치없다"”. 오마이뉴스. 2008년 7월 9일에 확인함.  ↑ 안수찬 (2008년 5월 28일). ““워낙 부실한 교과서라 충격 적을 것” - 교과서포럼 ‘한국 근·현대사’ 분석한 주진오 교수 인터뷰”. 한겨레. 2008년 7월 11일에 확인함.  ↑ 뉴라이트와 현 정부에 조롱당하는 김구 주석 ↑ 신용하 교수 “일본 신식민주의 사관 유입” ↑ 금동근 (2008년 3월 26일). “뉴라이트 ‘대안교과서’ 책임편집 이영훈 교수 인터뷰”. 동아일보. 2008년 7월 9일에 확인함.  ↑ 배영대 (2008년 3월 24일). “김옥균·이승만·박정희 ‘혁명적 재해석’”. 중앙일보. 2008년 7월 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교과서포럼 홈페이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교과서포럼&oldid=22998046" 분류: 대한민국의 정치 단체대한민국의 교육2005년 설립대한민국의 뉴라이트숨은 분류: 인용 오류 - 보이지 않는 문자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모호한 표현이 구체적으로 지적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3일 (화) 05: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교과서포럼은 대한민국 초·중·고등학교의 기존 교과서가 좌파적 성향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다. 이 조직은 뉴라이트 계열의 단체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교과서포럼에서는 «대안교과서 한국 근·현대사»를 언제 출간했을까? Assistant: 2008년 3월 24일
Human: 아래 경남로봇고등학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경남로봇고등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경남로봇고등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5° 20′ 52″ 동경 128° 26′ 18″ / 북위 35.3478024° 동경 128.4383528°  / 35.3478024; 128.4383528 경남로봇고등학교慶南로봇高等學校Gyeongnam Robot High School 교훈 성실, 근면, 창조 개교 1966년 설립형태 사립 교장 강용도 교감 김명숙 국가 대한민국 위치 경상남도 함안군 대산면 대산중앙로 102-2 (평림리) 학생 수 144 명 (2018년 5월 1일 기준) 교직원 수 25 명 (2018년 5월 1일 기준) 상징 교목: 느티나무, 교화: 장미 학교법인 명덕육영회 관할관청 경상남도교육청 웹사이트 http://gr-h.gne.go.kr 경남로봇고등학교(慶南로봇高等學校)는 경상남도 함안군 대산면 평림리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다. 목차 1 학교 연혁 2 설치 학과 3 학교 동문 4 참고 자료 5 외부 링크 학교 연혁[편집] 1966년 11월 17일 : 대산농업고등학교 3학급 설립 인가 1972년 9월 12일 : 교명변경인가 대산상업고등학교 1986년 9월 26일 : 교명변경인가 함안대산종합고등학교 1999년 1월 14일 : 교명변경인가 함안대산고등학교 2004년 11월 11일 : 갈마정 (디지털 도서관) 개관 2004년 11월 30일 : 헬스장(체력단련실) 개장 2014년 3월 1일 : 교명변경인가 경남로봇고등학교 2014년 3월 1일 : 학칙변경인가 로봇제어전자과 1학급, 로봇콘텐츠과 1학급 2016년 2월 3일 : 제47회 47명 졸업(졸업생 누계 4,011명) 2016년 3월 1일 : 학칙변경인가 로봇제어전자과 1학급, 로봇소프웨어과 1학급 2016년 3월 1일 : 제18대 강용도 교장 취임 설치 학과[편집] 로봇소프트웨어과 로봇제어전자과 학교 동문[편집] 분류:경남로봇고등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참고 자료[편집] 경남로봇고등학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교알리미 외부 링크[편집] 경남로봇고등학교 - 공식 웹사이트 vdeh 경상남도의 고등학교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거제시 거제고 거제공고 거제상문고 거제여상 거제옥포고 거제제일고 거제중앙고 경남산업고 연초고 해성고 거창군 거창고 거창공고 거창대성고 거창여고 거창중앙고 대성일고 아림고 김해시 구산고 김해가야고 김해건설공고 김해경원고 김해고 김해대청고 김해분성고 김해분성여고 김해삼문고 김해삼방고 김해생명과학고 김해수남고 김해여고 김해영운고 김해외고 김해율하고 김해임호고 김해제일고 김해중앙여고 김해한일여고 장유고 진영고 진영제일고 고성군 경남항공고 고성고 고성중앙고 철성고 남해군 경남해양과학고 남해고 남해정보산업고 남해제일고 남해해성고 창선고 밀양시 밀성고 밀성제일고 밀양고 밀양동명고 밀양여고 삼랑진고 세종고 한국나노마이스터고 사천시 경남자영고 곤양고 사천고 사천여고 삼천포고 삼천포공고 삼천포여고 삼천포중앙고 용남고 산청군 간디고 경남간호고 단성고 덕산고 산청고 신등고 지리산고 양산시 경남외고 물금고 범어고 보광고 서창고 양산고 양산남부고 양산여고 양산제일고 웅상고 효암고 의령군 신반정보고 의령고 의령여고 진주시 경남과고 경남예고 경남자동차고 경남정보고 경남체고 경상사대부고 경진고 경해여고 공군항공과학고 대곡고 대아고 명신고 삼현여고 선명여고 진서고 진양고 진주고 진주기계공고 진주동명고 진주여고 진주외고 진주제일여고 진주중앙고 창녕군 남지고 영산고 창녕고 창녕공고 창녕대성고 창녕슈퍼텍고 창녕여고 창녕옥야고 창원시 경남관광고 경상고 마산가포고 마산고 마산공고 마산구암고 마산내서여고 마산무학여고 마산삼진고 마산여고 마산용마고 마산제일고 마산제일여고 마산중앙고 성지여고 웅천고 진해고 진해세화여고 진해여고 진해용원고 진해중앙고 창신고 창원경일고 창원경일여고 창원고 창원공고 창원과고 창원기계공고 창원남고 창원남산고 창원대산고 창원대암고 창원명곡고 창원명지여고 창원문성고 창원봉림고 창원사파고 창원성민여고 창원신월고 창원여고 창원용호고 창원중앙고 창원중앙여고 창원토월고 태봉고 한일여고 합포고 통영시 동원고 충렬여고 충무고 통영고 통영여고 하동군 금남고 옥종고 진교고 하동고 하동여고 함안군 경남로봇고 군북고 명덕고 칠원고 함안고 함양군 서상고 안의고 함양고 함양제일고 합천군 삼가고 야로고 원경고 초계고 합천고 합천여고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vdeh 대한민국의 특성화 고등학교서울 강서공업고등학교 경기기계공업고등학교 경기상업고등학교 경기여자상업고등학교 경복비즈니스고등학교 고명경영고등학교 광신정보산업고등학교 광운전자공업고등학교 단국공업고등학교 대경상업고등학교 대동세무고등학교 대일관광고등학교 대진디자인고등학교 덕수고등학교 동구마케팅고등학교 동명여자정보산업고등학교 동산정보산업고등학교 동일여자상업고등학교 리라아트고등학교 미래산업과학고등학교 상일미디어고등학교 서서울생활과학고등학교 서울공업고등학교 서울관광고등학교 서울금융고등학교 서울디자인고등학교 서울디지텍고등학교 서울문화고등학교 서울방송고등학교 서울아이티고등학교 서울여자상업고등학교 서울영상고등학교 서울전자고등학교 서울컨벤션고등학교 서울항공비즈니스고등학교 서일국제경영고등학교 선린인터넷고등학교 선일이비즈니스고등학교 선정국제관광고등학교 성동공업고등학교 성동글로벌경영고등학교 성수공업고등학교 성암국제무역고등학교 세그루패션디자인고등학교 세명컴퓨터고등학교 송곡관광고등학교 송파공업고등학교 신정여자상업고등학교 신진자동차고등학교 염광여자메디텍고등학교 영등포공업고등학교 영락의료과학고등학교 영신간호비즈니스고등학교 예림디자인고등학교 예일디자인고등학교 용산공업고등학교 유한공업고등학교 은평메디텍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병설미디어고등학교 인덕공업고등학교 일신여자상업고등학교 정화여자상업고등학교 한강미디어고등학교 한세사이버보안고등학교 한양공업고등학교 해성국제컨벤션고등학교 홍익디자인고등학교 화곡보건경영고등학교 휘경공업고등학교 부산 경남공업고등학교 경성전자고등학교 계성여자상업고등학교 금정전자공업고등학교 대광발명과학고등학교 대양전자정보고등학교 대연정보고등학교 대진전자통신고등학교 동래원예고등학교 동아공업고등학교 동의공업고등학교 부산경영고등학교 부산공업고등학교 부산관광고등학교 부산디지털고등학교 부산마케팅고등학교 부산문화여자고등학교 부산보건고등학교 부산산업과학고등학교 부산에너지과학고등학교 부산여자상업고등학교 부산영상예술고등학교 부산전자공업고등학교 부산정보고등학교 부산정보관광고등학교 부산진여자상업고등학교 부산컴퓨터과학고등학교 부산항만물류고등학교 부일전자디자인고등학교 성심보건고등학교 세정상업고등학교 해운대공업고등학교 해운대관광고등학교 대구 경북공업고등학교 경북여자상업고등학교 경상공업고등학교 대구공업고등학교 대구관광고등학교 대구달서공업고등학교 대구보건고등학교 대구서부공업고등학교 대구여자상업고등학교 대구전자공업고등학교 대구제일여자상업고등학교 대중금속공업고등학교 상서고등학교 영남공업고등학교 조일고등학교 인천 강남영상미디어고등학교 경인여자고등학교 계산공업고등학교 도화기계공업고등학교 문학정보고등학교 부평공업고등학교 영종국제물류고등학교 영화관광경영고등학교 인천기계공업고등학교 인천디자인고등학교 인천미래생활고등학교 인천비즈니스고등학교 인천생활과학고등학교 인천세무고등학교 인천세무고등학교 인천여자공업고등학교 인천여자상업고등학교 인천정보산업고등학교 인천중앙여자상업고등학교 인천하이텍고등학교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인평자동차고등학교 재능고등학교 정석항공과학고등학교 청학공업고등학교 한국문화콘텐츠고등학교 한진고등학교 광주 광주경영고등학교 광주공업고등학교 광주여자상업고등학교 광주자연과학고등학교 광주전자공업고등학교 금파공업고등학교 동일미래과학고등학교 송원여자상업고등학교 전남공업고등학교 전남여자상업고등학교 대전 계룡디지텍고등학교 대전공업고등학교 대전국제통상고등학교 대전대성여자고등학교 대전생활과학고등학교 대전신일여자고등학교 대전여자상업고등학교 대전전자디자인고등학교 유성생명과학고등학교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울산 언양고등학교 울산공업고등학교 울산기술공업고등학교 울산미용예술고등학교 울산산업고등학교 울산상업고등학교 울산생활과학고등학교 울산애니원고등학교 울산여자상업고등학교 세종 성남고등학교 세종하이텍고등학교 경기 경기관광고등학교 경기국제통상고등학교 경기글로벌통상고등학교 경기모바일과학고등학교 경기물류고등학교 경기세무고등학교 경기영상과학고등학교 경기자동차과학고등학교 경민IT고등학교 경민비즈니스고등학교 경일관광경영고등학교 경화여자English Business고등학교 고양고등학교 광명경영회계고등학교 광명공업고등학교 군자디지털과학고등학교 군포e비즈니스고등학교 근명여자정보고등학교 김포제일공업고등학교 남양주공업고등학교 동일공업고등학교 매향여자정보고등학교 발안바이오과학고등학교 부천공업고등학교 부천정보산업고등학교 분당경영고등학교 산본공업고등학교 삼일공업고등학교 삼일상업고등학교 성남금융고등학교 성남방송고등학교 성보경영고등학교 성일정보고등학교 세경고등학교 수원공업고등학교 수원농생명과학고등학교 수원정보과학고등학교 시화공업고등학교 신일비즈니스고등학교 안산공업고등학교 안산국제비즈니스고등학교 안산디자인문화고등학교 안성두원공업고등학교 안양공업고등학교 안양여자상업고등학교 양영디지털고등학교 양평전자과학고등학교 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 오산정보고등학교 용인바이오고등학교 용인정보고등학교 의정부공업고등학교 일산고등학교 일산국제컨벤션고등학교 일죽고등학교 정명정보고등학교 청담고등학교 평촌경영고등학교 평촌공업고등학교 하남경영고등학교 한국관광고등학교 한국도예고등학교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한국문화영상고등학교 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 한국외식과학고등학교 한국조리과학고등학교 한봄고등학교 홍익디자인고등학교 강원 강릉정보공업고등학교 강릉중앙고등학교 강원생활과학고등학교 강원애니고등학교 거진정보공업고등학교 김화공업고등학교 도계전산정보고등학교 동광산업과학고등학교 동해상업고등학교 소양고등학교 영서고등학교 영월공업고등학교 원주공업고등학교 정선정보공업고등학교 춘천기계공업고등학교 춘천한샘고등학교 태백기계공업고등학교 홍천농업고등학교 화천정보산업고등학교 황지정보산업고등학교 충북 국원고등학교 대성여자상업고등학교 보은자영고등학교 보은정보고등학교 영동산업과학고등학교 영동인터넷고등학교 옥천상업고등학교 제천디지털전자고등학교 제천산업고등학교 제천상업고등학교 증평공업고등학교 증평정보고등학교 진천상업고등학교 청주공업고등학교 청주농업고등학교 청주여자상업고등학교 청주하이텍고등학교 충북공업고등학교 충북상업정보고등학교 충주공업고등학교 충주상업고등학교 학산고등학교 한국호텔관광고등학교 한림디자인고등학교 현도정보고등학교 충남 강경상업고등학교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공주정보고등학교 광천제일고등학교 금산산업고등학교 금산하이텍고등학교 논산공업고등학교 논산여자상업고등학교 당진정보고등학교 대천여자상업고등학교 병천고등학교 부여전자고등학교 부여정보고등학교 서산공업고등학교 서천여자정보고등학교 예산전자공업고등학교 주산산업고등학교 천안공업고등학교 천안상업고등학교 천안여자상업고등학교 충남인터넷고등학교 충남조선공업고등학교 충남해양과학고등학교 홍성공업고등학교 전북 강호항공고등학교 군산상업고등학교 군산여자상업고등학교 김제자영고등학교 남원용성고등학교 남원제일고등학교 덕암정보고등학교 부안제일고등학교 삼례공업고등학교 서림고등학교 오수고등학교 완산여자고등학교 이리공업고등학교 장계공업고등학교 전주공업고등학교 전주상업정보고등학교 전주생명과학고등학교 정읍제일고등학교 줄포자동차공업고등학교 진경여자고등학교 진안공업고등학교 칠보고등학교 학산고등학교 한국게임과학고등학교 한국경마축산고등학교 한국치즈과학고등학교 한국한방고등학교 전남 고흥산업과학고등학교 광양하이텍고등학교 구림공업고등학교 나주공업고등학교 나주상업고등학교 다향고등학교 담양공업고등학교 목포공업고등학교 목포성신고등학교 목포여자상업고등학교 목포중앙고등학교 벌교상업고등학교 법성고등학교 병영상업고등학교 보성정보통신고등학교 삼계고등학교 순천공업고등학교 순천전자고등학교 순천청암고등학교 순천효산고등학교 신안해양과학고등학교 여수공업고등학교 여수정보과학고등학교 여수해양과학고등학교 영광공업고등학교 영광전자고등학교 영광정보산업고등학교 영암전자과학고등학교 완도수산고등학교 장성하이텍고등학교 전남기술과학고등학교 전남미용고등학교 전남보건고등학교 전남자연과학고등학교 전남조리과학고등학교 정남진산업고등학교 진도실업고등학교 진성여자고등학교 한국말산업고등학교 함평골프고등학교 해남공업고등학교 호남원예고등학교 황산고등학교 경북 감포고등학교 강구정보고등학교 경북간호고등학교 경북과학기술고등학교 경북기계금속고등학교 경북생활과학고등학교 경북식품과학마이스터고등학교 경북조리과학고등학교 경북하이텍고등학교 경북항공고등학교 경산여자상업고등학교 경주공업고등학교 경주디자인고등학교 경주여자정보고등학교 경주정보고등학교 고령고등학교 구미여자상업고등학교 구미정보고등학교 군위정보고등학교 금성여자상업고등학교 금호공업고등학교 김천상업고등학교 김천생명과학고등학교 다인정보고등학교 명인정보고등학교 문경공업고등학교 봉양정보고등학교 삼성생활예술고등학교 상산전자고등학교 상주공업고등학교 상지여자상업고등학교 신라공업고등학교 안강전자고등학교 영주동산고등학교 영천전자고등학교 용운고등학교 울릉고등학교 의성공업고등학교 청도전자고등학교 청송자동차고등학교 태화고등학교 평해정보고등학교 포항과학기술고등학교 포항여자전자고등학교 포항해양과학고등학교 한국산림과학고등학교 한국생명과학고등학교 한국펫고등학교 흥해공업고등학교 경남 거제여자상업고등학교 거창공업고등학교 경남간호고등학교 경남관광고등학교 경남로봇고등학교 경남산업고등학교 경남자동차고등학교 경남자영고등학교 경남정보고등학교 경남항공고등학교 경남해양과학고등학교 경진고등학교 김해건설공업고등학교 김해생명과학고등학교 김해한일여자고등학교 남해정보산업고등학교 마산공업고등학교 밀성제일고등학교 사천여자고등학교 선명여자고등학교 신반정보고등학교 진영제일고등학교 진주기계공업고등학교 진해세화여자고등학교 창녕공업고등학교 창녕슈퍼텍고등학교 창원공업고등학교 창원기계공업고등학교 초계고등학교 한일전산여자고등학교 함양제일고등학교 제주 서귀포산업과학고등학교 제주고등학교 제주여자상업고등학교 중문고등학교 한국뷰티고등학교 한림공업고등학교 공업고 과학고 과학중점고 국립고 국제고 기숙형공립고 농업고 마이스터고 영재학교 예술고 외국어고 자율공립고 자율대안고 자율사립고 체육고 특성화고 해양과학고 vdeh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축구부 고등학교 대학교 서울 동부 경희고등학교 광운전자공업고등학교 대신고등학교 배재고등학교 용문고등학교 인창고등학교 재현고등학교 서울 서부 경신고등학교 동북고등학교 상문고등학교 숭실고등학교 언남고등학교 여의도고등학교 서울 남부 가락고등학교 남강고등학교 서울공업고등학교 장훈고등학교 중동고등학교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한양공업고등학교 서울 북부 대동세무고등학교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보인고등학교 영등포공업고등학교 중경고등학교 중앙고등학교 인천 강화고등학교 부평고등학교 인천하이텍고등학교 인천남고등학교 경기 중부 과천고등학교 삼일공업고등학교 수원고등학교 수원공업고등학교 용호고등학교 경기 서부 경기국제통상고등학교 광명공업고등학교 광문고등학교 서해고등학교 안산고등학교 진영정보공업고등학교 초지고등학교 경기 남부 신갈고등학교 오산고등학교 이천제일고등학교 청담고등학교 태성고등학교 경기 북동 광동고등학교 청운고등학교 청평고등학교 경기 북서 경기영상과학고등학교 고양고등학교 능곡고등학교 세경고등학교 통진고등학교 파주고등학교 경기 북부 구리고등학교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영석고등학교 의정부고등학교 강원 갑천고등학교 강릉문성고등학교 강릉중앙고등학교 상지대관령고등학교 육민관고등학교 원주공업고등학교 주천고등학교 춘천고등학교 춘천기계공업고등학교 대전 / 충북 / 충남 유성생명과학고등학교 운호고등학교 제천제일고등학교 청주대성고등학교 / 강경상업고등학교 신평고등학교 천안제일고등학교 대구 / 경북 대구공업고등학교 대륜고등학교 청구고등학교 / 글로벌선진학교 경주정보고등학교 영문고등학교 영덕고등학교 오상고등학교 평해공업고등학교 부산 / 울산 경남공업고등학교 기장고등학교 동래고등학교 동아고등학교 부경고등학교 부산정보고등학교 / 학성고등학교 경남 거제고등학교 경남정보고등학교 김해생명과학고등학교 남해해성고등학교 마산공업고등학교 보건고등학교 창녕고등학교 창원기계공업고등학교 철성고등학교 통영고등학교 광주 / 전북 / 전남 숭의과학기술고등학교 / 고창북고등학교 군산제일고등학교 백제고등학교 이리고등학교 전주공업고등학교 / 목포공업고등학교 순천고등학교 제주 대기고등학교 서귀포고등학교 제주중앙고등학교 제주제일고등학교 오현고등학교 K리그 주니어 강원강릉제일고등학교 경기매탄고등학교 경기안양공업고등학교 경기풍생고등학교 경남진주고등학교 경북용운고등학교 경북포항제철고등학교 광주금호고등학교 대구현풍고등학교 대전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부산개성고등학교 서울오산고등학교 울산현대고등학교 인천대건고등학교 전남광양제철고등학교 전북전주영생고등학교 충북충주상업고등학교 여자부 강원화천정보산업고등학교 강호상공고등학교 경기오산정보고등학교 경남로봇고등학교 경북포항여자전자고등학교 광주운남고등학교 대구동부고등학교 대전동신고등학교 부산알로이시오전자기계고등학교 서울동산정보산업고등학교 울산현대고등학교 인천디자인고등학교 전남광양여자고등학교 전북한별고등학교 충남인터넷고등학교 충북충주예성여자고등학교 해체 경동고등학교 경복고등학교 보성고등학교 용산고등학교 서울양정고등학교 서울한영고등학교 휘문고등학교 검도부 골프부 국궁부 농구부 동계스포츠부 레슬링부 바둑부 배구부 사격부 수영부 야구부 양궁부 유도부 조정부 축구부 카누부 태권도부 탁구부 펜싱부 필드하키부 핸드볼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경남로봇고등학교&oldid=22921805" 분류: 특성화 고등학교대한민국의 고등학교 축구부경상남도의 사립 고등학교함안군의 고등학교남녀공학 고등학교1966년 개교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1월 4일 (일) 09: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경남로봇고등학교(慶南로봇高等學校)는 경상남도 함안군 대산면 평림리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경남로봇고등학교에 헬스장을 개장한건 몇 월 며칠인가? Assistant: 11월 30일 Human: 아래 봉화_축서사_석조비로자나불좌상_및_목조광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목조광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목조광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목조광배(奉化 鷲棲寺 石造毘盧遮那佛坐像 및 木造光背) 대한민국의 보물 종목 보물 제995호 (1989년 4월 15일[1] 지정)수량 1구시대 통일신라소유 축서사위치 봉화 축서사주소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월계길 739, 축서사 (개단리)좌표 북위 36° 58′ 53″ 동경 128° 48′ 00″ / 북위 36.981512° 동경 128.800124°  / 36.981512; 128.800124좌표: 북위 36° 58′ 53″ 동경 128° 48′ 00″ / 북위 36.981512° 동경 128.800124°  / 36.981512; 128.800124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목조광배(奉化 鷲棲寺 石造毘盧遮那佛坐像 및 木造光背)는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축서사에 있는 통일신라의 불상이다. 1989년 4월 15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995호로 지정[1]되었다. 목차 1 개요 2 같이 보기 3 각주 4 참고 자료 개요[편집] 문수산(文殊山) 정상 가까이에 자리잡은 축서사에 모셔져 있지만, 원래부터 이곳에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 불상의 높이는 1.08m이며, 얼굴은 가는 눈, 꼭 다문 입, 반듯하고 넓은 신체에서 고요함과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양 어깨에 걸쳐 입은 옷에는 주름이 평행 계단식으로 표현되어 다소 형식화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무릎 사이의 부채꼴 모양으로 넓게 퍼진 주름은 다른 불상들의 U자형과는 달리 물결무늬로 특이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는 평행 계단식 옷주름과 함께 9세기 후반의 특징을 잘 보여 준다. 대좌(臺座)는 통일신라 후기에 유행한 8각으로 상·중·하대를 모두 갖추고 있다. 하대에는 각 면에 사자 1구씩을 새겼고, 중대에는 손을 모으고 있는 인물상을, 상대에는 꽃무늬를 새겨 넣었다. 현재 불상 뒤에 나무로 만들어진 광배(光背)가 있는데 여기에는 화려한 꽃무늬와 불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이것은 후대에 만들어진 것이고, 원래의 돌로 만든 광배는 윗부분만 남아있다. 이 불상은 통일신라 후기에 많이 만들어졌던 비로자나불상 가운데 하나로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제244호)과 동일한 특징을 보여주어 당시 조각수법과 신앙형태를 알 수 있다. 석탑기에 의해 9세기 후반에 만들었다는 절대연대가 밝혀져 통일신라 후기의 불상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축서사 각주[편집] ↑ 가 나 문화공보부고시제758호, 《국보및보물지정》, 문화공보부장관, 대한민국 관보 제11206호, 10-11쪽, 1989-04-15 참고 자료[편집]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목조광배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이 문서에는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한 국가문화유산포털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봉화_축서사_석조비로자나불좌상_및_목조광배&oldid=23434165" 분류: 경상북도의 보물봉화군의 문화재석불비로자나불좌상신라의 불상9세기 작품목조광배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공공누리 제1유형 저작물을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1월 8일 (화) 04: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목조광배(奉化 鷲棲寺 石造毘盧遮那佛坐像 및 木造光背)는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축서사에 있는 통일신라의 불상이다. 1989년 4월 15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995호로 지정되었다가, 2010년 8월 25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의 크기는 얼마나 될까? Assistant: 1.08m
Human: 아래 열역학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열역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열역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열역학 계의 예. 열전달에 의해 피스톤 운동을 하는 기관. 열 역 학 고전적 카르노 기관 분과 고전열역학 통계역학 화학열역학 평형열역학/비평형열역학 법칙 열역학 제0법칙 열역학 제1법칙 열역학 제2법칙 열역학 제3법칙 계 상태 상태방정식 이상기체 실제 기체 물질의 상태 열역학적 평형 공제부피 과정 등압과정 등적과정 등온과정 단열과정 등엔트로피 과정 등엔탈피 과정 준정적과정 다방과정 자유팽창 가역과정 비가역과정 내적가역성 순환 열기관 냉난방 순환 열효율 계의 성질 비고: 기울임꼴로 된 것들은 공액변수이다. 열역학도 세기 성질과 크기 성질 상태함수 온도  / 엔트로피 (개론) 압력 / 부피 화학적 퍼텐셜 / 입자수 증기량 대비성질 과정함수 일 열 물성 순수 물질의 열역학적 데이터베이스 비열용량  c = {\displaystyle c=} T {\displaystyle T} ∂ S {\displaystyle \partial S} N {\displaystyle N} ∂ T {\displaystyle \partial T} 압축률  β = − {\displaystyle \beta =-} 1 {\displaystyle 1} ∂ V {\displaystyle \partial V} V {\displaystyle V} ∂ p {\displaystyle \partial p} 열팽창  α = {\displaystyle \alpha =} 1 {\displaystyle 1} ∂ V {\displaystyle \partial V} V {\displaystyle V} ∂ T {\displaystyle \partial T} 방정식 카르노 정리 클라우지우스 정리 열역학 기본관계 이상기체 법칙 맥스웰 관계식 온사게르 상호관계식 브리지먼 열역학 방정식 열역학 방정식 표 퍼텐셜 자유 에너지 자유 엔트로피 내부 에너지 U ( S , V ) {\displaystyle U(S,V)} 엔탈피 H ( S , p ) = U + p V {\displaystyle H(S,p)=U+pV} 헬름홀츠 자유 에너지 A ( T , V ) = U − T S {\displaystyle A(T,V)=U-TS} 깁스 자유 에너지 G ( T , p ) = H − T S {\displaystyle G(T,p)=H-TS} 역사 열역학사 개괄 열 개념의 역사 엔트로피의 역사 기체 법칙 영구기관의 역사 과학철학 엔트로피와 시간 엔트로피와 생명 브라운 래칫 맥스웰의 도깨비 열죽음 역설 로슈미트의 역설 협동학 이론 열소설 열이론 활력 열의 사사당량 원동력 주요 저서 마찰 때 발생하는 열의 원인에관한 실험적 조사 불균일 물질의평형에 대하여 불의 원동력에 관한 고찰 연표 열역학사 연표 열기관 개발사 연표 교육 맥스웰의 열역학적 표면 에너지 분산으로서의 엔트로피 과학자 베르누이 카르노 클라페롱 클라우지우스 카라테오도리 뒤엠 깁스 헬름홀츠 줄 맥스웰 폰 마이어 온사게르 랭킨 스미튼 슈탈 톰슨 켈빈 남작 워터슨   분류:열역학 v • d • e • h 열역학(熱力學, thermodynamics)은 에너지, 열, 일, 엔트로피와 과정의 자발성을 다루는 물리학의 분야다. 통계 역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그로부터 수많은 열역학 관계식을 유도할 수 있다. 물질이나 에너지를 서로 교환하는 여러 물리계 사이의 열역학적 과정을 다룰 때, 고전 열역학은 그 과정이 완료되는 시간이나 그 과정이 얼마나 빨리 일어나는지에 대해서는 관심을 갖지 않는다. "열역학"이라는 용어 대신 평형 열역학이란 용어를 사용하며, 준정적 과정(quasi-static process)이라는 개념이 매우 중요하다. 준정적 과정은 "매우 천천히 변하여" 각 순간마다 "평형상태"로 간주할 수 있는 이상적인 과정을 말한다. 비평형 열역학(non-equilibrium thermodynamics)에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열역학적 과정을 연구한다. 열역학 법칙은 매우 일반적인 법칙으로, 관찰하는 대상이나 물질 사이의 상호작용에 상관없이 항상 성립하는 법칙이다. 즉, 관찰하고자 하는 계와 이를 둘러싼 환경 사이에 에너지와 물질 교환이 평형을 이룬다는 사실만 확인되면 항상 적용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한 예로 20세기 초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자발 방출(spontaneous emission)과 현재 연구 중인 블랙홀 열역학이 있다. 목차 1 열역학의 역사 2 열역학 변수 3 열역학 퍼텐셜 4 열역학 계 5 열역학 법칙 5.1 열역학 제0법칙: 열적 평형의 추이성 5.2 열역학 제1법칙: 에너지 보존 5.3 열역학 제2법칙: 엔트로피의 증가 5.4 열역학 제3법칙: 절대 0도의 불가능성 6 열역학 법칙과 역학 7 예제 7.1 카르노 기관 7.2 온도만으로 기술되는 계 7.3 온도와 압력만으로 기술되는 계 7.4 온도와 압력, 화학 퍼텐셜으로 기술되는 계 7.5 온도와 자기장으로 기술되는 계 8 같이 보기 9 외부 링크 열역학의 역사[편집] 열역학의 역사는 열과 에너지에 관한 정의라 해도 무관하다. 1789년, 벤자민 럼포드에 의해 열을 물질의 일종이라 간주했던 열소이론이 깨지면서 열역학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1801년 존 달튼은 모든 기체는 온도의 증가에 따라 그 부피가 균일하게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1808년 게이뤼삭은 모든 기체의 부피가 0으로되는 온도를 외삽에 의해 예측할 수 있게 하였고, -273℃를 절대온도 0이라고 하였다. 1824년 카르노가 카르노 사이클을 만들었고, 1849년 켈빈에 의해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1850년 루돌프 클라우지우스는 열역학 제 2법칙을 정의했다. 또한 몇 달 뒤에 열역학 제 1법칙도 정의했다. 1873년 반데르발스가 상태방정식을 고안했다. 1878년 조시아 깁스는 깁스에너지와 상률의 개념을 도입했다. 1886년 라울은 프랑코 라울의 법칙을 발표하였고, 1901년 길버트 루이스는 퓨개시티와 활동도의 개념을 도입했다. 1949년 레들리히와 쾅은 상태방정식을 실제기체에 맞게 수정하였고, 1955년 케네스 피쳐는 비중심 인자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흔히 여기까지의 역사를 고전열역학의 범주로 불린다. 열역학 변수[편집] 일반적인 계의 형태나 계가 만족해야 하는 조건에 따라 계의 상태를 기술하기 위한 변수를 다르게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변수는 다음과 같다. 역학적 변수: 압력 : p {\displaystyle p} 부피 : V {\displaystyle V} 통계적 변수: 온도 : T {\displaystyle T} 엔트로피 : S {\displaystyle S} 계를 구성하는 입자의 수가 일정하지 않은 열린 계(open system)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변수를 더 생각한다. 계의 입자 수 N {\displaystyle N} 화학 퍼텐셜(chemical potential) μ {\displaystyle \mu } 위에 열거된 역학적 변수들은 근본적인 고전 물리학 혹은 양자 물리학으로 기술할 수 있지만, 통계적인 변수는 오로지 통계 역학으로만 이해할 수 있다. 열역학이 적용되는 대부분의 경우에, 하나 이상의 열역학 변수는 변하지 않는 상수로 간주되고, 나머지 변수들만 변하게 된다. 수학적으로, 이것은 계의 상태를 n-차원 공간의 한 점으로 대응시켜 기술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상수가 아닌 변수의 개수이다. 통계 역학을 고전 물리학이나 양자 물리학과 결합하여, 이들 변수들 사이의 관계식을 나타내는 상태 방정식을 유도할 수 있다. 가장 간단하고 가장 중요한 상태 방정식은 바로 이상 기체의 상태 방정식이다. p V = n R T {\displaystyle pV=nRT} 여기서 R {\displaystyle R} 은 기체 상수다. 혹은 다음과 같이 기술하기도 한다. p V = N k T {\displaystyle pV=NkT} 여기서 k {\displaystyle k} 는 볼츠만 상수로, 온도와 에너지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본 물리 상수다. 기체상수는 볼츠만 상수를 몰로 나타낸 것이다. 열역학 퍼텐셜[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열역학 퍼텐셜입니다. 물리계의 열역학 변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 4가지 열역학 퍼텐셜로 정의할 수 있다. 내부 에너지(internal energy) E: dE=TdS - pdV 헬름홀츠 자유 에너지 A: dA = −SdT - pdV 기브스 자유 에너지 G: dG = −SdT + Vdp 엔탈피 H: dH = TdS + Vdp 위에 열거된 열역학 퍼텐셜들은 서로 무관한 양이 아니고 적절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위의 열역학 퍼텐셜의 미분형을 합성함수의 미분을 사용하여 아래와 같은 관계식을 찾을 수 있다. E = H − P V = A + T S {\displaystyle E=H-PV=A+TS} A = E − T S = G − P V {\displaystyle A=E-TS=G-PV} G = A + P V = H − T S {\displaystyle G=A+PV=H-TS} H = G + T S = E + P V {\displaystyle H=G+TS=E+PV} 위에 열거한 열역학 퍼텐셜과 열역학 변수 사이 관계식은 계에 상관없이 성립한다; 이 관계식은 계의 구성요소간 상호작용에 무관하게 통계 역학으로부터 자연스럽게 얻을 수 있는 일반적인 관계식이다. 하지만 계의 구성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이나, 양자역학적인 에너지 준위와 에너지 준위의 축퇴도(degeneracy), 혹은 계의 분배함수를 모른다면, 위 네 가지 열역학 퍼텐셜은 계의 열역학 변수로만으로 완전히 표현할 수는 없다. 하지만 일단 열역학 퍼텐셜 중 하나가 열역학 변수로 완전히 결정된다면, 나머지 세 열역학 퍼텐셜은 위 관계식을 사용하여 쉽게 얻을 수 있다. 열역학 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열역학 계입니다. 열역학 계란 우주 전체 중에서 우리가 관심있는 일부를 말한다. 우주 전체 중에서 우리가 관심갖는 계를 제외한 나머지 우주를 흔히 환경 또는 열원라고 부른다. 환경과 계 사이에 실제 경계 혹은 가상적인 경계가 존재하여 이 둘을 분리할 수 있다. 이 경계의 특성에 따라 환경과 계 사이에 에너지만 이동할 수도 있고, 물질이나 엔트로피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계의 특성에 따라 열역학 계를 분류한다. 계와 환경 사이의 에너지, 물질, 엔트로피 교환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열역학 계를 3가지로 분류한다. 고립계: 환경과 열, 물질, 일 모두 교환하지 않는 계이다. 이 말은 수학적으로 T d S = 0 , d N = 0 , p d V = 0 {\displaystyle TdS=0,dN=0,pdV=0} 를 의미하며, 따라서 d E = 0 {\displaystyle dE=0} 를 의미한다. 고립계의 예로, 외부와 완전히 격리된 기체 실린더를 예를 들 수 있다. 닫힌계(closed system): 환경과 에너지(열과 일)는 교환하지만 물질은 교환하지 않는 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닫힌계에서는 오직 d N {\displaystyle dN} 이다. 예를 들어, 온실은 온실 외부(환경)과 열을 교환하지만 물질을 교환하지 않으므로 닫힌계로 간주할 수 있다. 계가 열을 교환하든지 혹은 일을 교환하든지 혹은 둘 다 교환하든지, 이런 특성은 경계의 성질로 이해하여 다음과 같은 경계를 정의한다. 단열 경계(adiabatic boundary): 열교환이 일어나지 않는다, T d S = 0 {\displaystyle TdS=0} 단단한 경계(rigid boundary): 일 교환이 일어나지 않는다, p d V = 0 {\displaystyle pdV=0} 열린 계(open system) : 에너지(열과 일), 물질 모두 환경과 교환하는 계이다. 이런 경계는 투과성 있는(permeable) 경계라 한다. 바다는 열린 계로 간주할 수 있다. 현실적으로 환경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엄밀한 고립계는 존재할 수 없다. 왜냐하면 아무리 환경과 계 사이의 결합을 제거하더라도 중력은 제거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정상상태의 계에서 빠져나가는 에너지와 들어오는 에너지는 같다. [1] 주어진 일련의 조건 하에서 평형상태의 계는 정의된 상태(definite state)라고 한다. 계의 상태는 여러 세기 변수(intensive variables)와 크기 변수(extensive variables)로 기술된다. 계의 특성은 이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정해주는 상태 방정식(equation of state)로 기술된다. 열역학 법칙[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열역학 법칙입니다. 열역학에는 네가지의 근본적인 법칙이 있다. 이 사법칙은 여러 가지의 서로 동등한 방법으로 기술할 수 있다. 열역학 제0법칙: 열적 평형의 추이성[편집] 열역학 제 0 법칙에 따르면, 만약 계 A와 계 B가 접촉하여 열역학적 평형상태를 이루고 있고 계 B와 계 C가 접촉하여 열역학적 평형상태를 이루고 있다면, 계 A와 계 C가 접촉하여도 열역학적 평형을 이룬다. 두 계가 접촉하였을 때 열역학적 평형을 이루지 못한다면, 두 계 사이에 에너지나 물질의 알짜이동이 있다. 서로 열역학적 평형을 이루고 있는 두 계는 나중에 다시 접촉하였을 때도 평형을 이룬다. 열역학 제0법칙은 열역학의 근본적인 개념이지만, 이것을 법칙으로 진술하게 된 것은 놀랍게도 열역학의 많은 부분이 완성된 후인 1930년대이다. 이미 열역학 1,2,3법칙이 확립되었기 때문에, 열역학의 가장 근본적인 이 개념은 자연스럽게 0법칙의 지위를 얻게 되었다. 여전히 열역학 제0법칙의 지위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출처 필요] 열역학적 평형은 열적 평형(열교환과 온도와 관계)과 역학적 평형(일교환과 압력 같은 일반화된 힘과 관계)과 화학적 평형(물질교환과 화학퍼텐셜과 관계)을 포함한다. 요약: A와 B가 열평형을 이루고 있고, B와 C가 열평형을 이루고 있다면, A와 C도 서로 열평형을 이룬다. 열역학 제1법칙: 에너지 보존[편집] 열역학 제 1 법칙에 따르면, 단열 과정에서 일교환은 과정(process)의 구체적인 형태에 상관없이 초기 상태와 최종 상태에만 관계한다. 단열과정에서는 열이동이 없기 때문에, 이것은 에너지 보존 법칙과 동등한 진술이다. 이 법칙은 단열과정하에서 계의 에너지 이동은 계가 한 일 혹은 계에 한 일밖에 없음을 의미한다. 이는 수학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d U = d q − d w {\displaystyle dU=dq-dw} 여기서 U는 계의 내부 에너지, q는 계로 흘러들어간 열에너지, w는 계가 한 일이다. 열전도율(P) 고온의 열저장고와 저온의 열저장고를 물체로 연결해놓으면 고온의 열저장고에서 열에너지가 저온의 열저장고로 전도된다. 이러한 전달되는 열에너지를 단위시간당 전달되는 비율을 전도율이라고 한다. 연결된 물체의 면적을 A, 길이를 L이라고 하면 전도율 P = kA(Th-Tc)/L로 나타낼 수 있다(k=열전도도, Th=고온의 열저장고의 온도, Tc=저온의 열저장고의 온도). 열전도도 k 는 물체의 고유한 특징으로 상수값을 지닌다. 열에너지를 빨리 전달하는 물질일수록 좋은 열전도체로서 k값이 크다. 요약: 고립계의 에너지총합은 일정하다 열역학 제2법칙: 엔트로피의 증가[편집] 열역학 제2법칙에 따르면, "열원(reservoir)으로부터 양의 열에너지를 뽑아서 모두 일로 전환하되, 다른 추가적인 효과를 동반하지 않는 순환과정(cycle)은 존재하지 않는다."(Kelvin-Planck 진술) 다시 말해, 열적으로 고립된 거시계의 엔트로피는 절대 감소하지 않는다(맥스웰의 도깨비 참고). 하지만 미시계에서는 제2법칙이 진술하는 것과 반대로 행동하는 엔트로피의 요동(fluctuation)이 있다(요동 정리(Fluctuation Theorem)). 사실, 가역 동역학(time-reversible dynamics)와 인과율의 공리(Axiom of Causality)로부터 요동 정리를 수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고, 이것이 제2법칙의 증명이 되겠다. 논리적으로 제2법칙은 물리학의 "법칙"이라기 보다, 매우 큰 계 혹은 오랜 시간에 대한 정리일 뿐이다. 요약: 고립계에서의 엔트로피는 절대 감소하지 않는다. 열역학 제3법칙: 절대 0도의 불가능성[편집] 열역학 제3법칙은 통계학상으로 나타나는 자연적인 법칙이며, 절대영도에 다다르는 것의 불가능에 대하여 다룬다. 이 법칙은 엔트로피의 값의 결정에 기준점(절대영도)을 제공해 주는데, 이처럼 절대영도를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결정된 엔트로피를 절대 엔트로피라고 한다. 엔트로피는 절대영도에 가까워질수록 변화량이 0에 수렴하며, 절대영도에서 완전한 결정상태의 엔트로피는 0이다. 다만 자연계에서 절대영도는 존재할 수 없고 단지 0으로 수렴할 뿐이다. '어떠한 계, 혹은 계의 어떠한 상태에서든지, 엔트로피는 절대영도에서 최소이다'라고 표현할 수도 있으며, '유한번의 과정을 통해 절대영도에 도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라는 표현도 사용할 수 있다. 요약: 자연계에서 절대영도는 존재하지 않는다. 열역학 법칙과 역학[편집] 열역학 제1법칙은 고전역학 혹은 양자역학의 법칙만으로 엄밀하게 얻어진다. 요동 정리(fluctuation theorem)로부터 열역학 제2법칙을 역학법칙으로부터 유도할 수 있으나. 거시계나 시간을 무한대로 보내는 극한에서만 성립한다. 예제[편집] 카르노 기관[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카르노 기관입니다. 기관이란 열저장고에서 열을 뽑아 일을 수행하는 장치다. 기관의 효율은 열효율로 나타낸다. 열효율은 공급된 열에너지에 대한 일의 비율 (즉 사용한 에너지/얻은 에너지)로 정의한다 열효율이 마찰이나 막흐름 등에 의한 에너지 손실이 하나도 없이 최대가 되는 기관을 카르노 기관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열효율 = W(일)/얻은 열에너지(Qh) = 1 - Ql(방출한 열에너지)/Qh 인데, 카르노 기관에서는 열효율 = 1 - Tl(저온의 열저장고의 온도)/Th(고온의 열저장고의 온도) 이다. Tl<Th이므로, 카르노 기관의 효율은 100%보다는 낮음을 알 수 있다. 즉, 효율이 100%인 가상의 영구기관은 열역학 제2법칙을 위배하여 실재할 수 없다. 온도만으로 기술되는 계[편집] 흑체 복사 문제는 광자의 개수가 보존되지 않기 때문에 대표적인 예제가 될 수 있다. 이렇게 입자수가 보존되지 않는 계는 상전이나 자발대칭파괴가 일어나지 않는다면, 온도만으로 완전히 결정된다. 상전이나 자발대칭파괴가 일어난다면, 상을 구별하기 위해 다른 물리량이 필요하다. (다행히도 흑체 복사 문제에서는 이런 일은 이러나지 않는다.) 내부 에너지가 온도만의 함수이므로, 헬름홀츠 자유 에너지 F = U - TS를 정의해서 사용할 수 있다. 온도와 압력만으로 기술되는 계[편집] 대부분의 "순수한" 비자성물질은 이 범주에 속한다. 이러한 계의 상태는 정렬된 상(ordered phase)에서 상전이나 자발적인 대칭성 파괴가 없다면 온도와 압력만으로 완전히 기술할 수 있다. U와 V(혹은 밀도 ρ)가 T와 P의 함수로 주어진다면, 우리는 헬름홀츠 자유 에너지 F = U - TS와 기브스 자유 에너지 G = U - TS + PV와 엔탈피 H = U + PV를 정의할 수 있다. 온도와 압력, 화학 퍼텐셜으로 기술되는 계[편집] 원자/분자가 한 종류 이상 있다면, 이 범주에 속한다. 이러한 계의 상태는 온도와 압력, 화학 퍼텐셜로 기술할 수 있다. 여기서도 정렬된 상의 상전이나 자발적인 대칭 파괴가 없을 때만 3가지 양으로 기술할 수 있다. 온도와 자기장으로 기술되는 계[편집] 다루고자 하는 물질이 강자성이나 초전도성을 띠면, 이 범주에 속한다. 이러한 계는 온도와 자기장만으로 완전히 기술된다. 이 경우도 상전이나 자발적인 대칭 파괴가 없을 때이다. 같이 보기[편집] 물질의 열역학적 특성 열역학 방정식 통계 역학 르장드르 변환 열역학의 역사 외부 링크[편집] 위키인용집에 이 문서와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열역학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열역학 열역학과 통계역학 - Richard Fitzpatrick vdeh물리학의 주요 분야분류 응용물리학 실험물리학 이론물리학 에너지운동 열역학 역학 고전역학 라그랑주 역학 해밀턴 역학 연속체 역학 천체역학 통계역학 유체역학 양자역학 파동장 중력 전자기학 양자장론 상대성이론 특수 상대성이론 일반 상대성이론 전문 분야 가속물리학 음향학 천체물리학 핵 천체물리학 항성물리학 헬리오 물리학 태양물리학 우주물리학 천체입자물리학 원자 분자 광 물리학 계산물리학 응집물질물리학 고체물리학 디지털 물리학 기초공학 재료물리학 수리물리학 핵물리학 광학 기하광학 물리광학 비선형 광학 양자광학 입자물리학 현상학 플라스마 고분자물리학 통계물리학 물리학과 다른 과학 생물리학 심장물리학 생물역학 의학물리학 신경물리학 농업물리학 토양물리학 대기물리학 화학물리학 경제물리학 지구물리학 정신물리학 vdeh난방, 환기, 공기 조화기본 개념 대류 엔탈피 유체동역학 전열 습도 잠열 미세먼지 굴뚝 효과 열역학 물의 증기압 기술 공기조화 부동액 중앙 난방 냉각제 전기난로 공기조화기술 패시브 하우스 냉각 환기 구성 요소 인버터 에어 도어 공기여과기 공기청정기 보일러 송풍기 콘덴서 냉각탑 제습기 벽난로 퓸 후드 요로 열교환기 히트파이프 열펌프 HEPA 가습기 선풍기 기계실 석유난로 냉매 히터 트롬브 벽 측정및 제어 인텔리전트 빌딩 이산화 탄소 센서 인텔리전트 빌딩 실온 온도조절기 직업, 무역,서비스 건축공학 빌딩 정보 모델링 (BIM) 환경공학 기계공학 산업 단체 ASHRAE ASTM 인터내셔널 BSRIA 건강 및 안전 실내 대기질 (IAQ) 간접 흡연 아픈 건물 증후군 (SBS)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열역학&oldid=24134930" 분류: 열역학고전물리학물리학의 기본 개념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7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인용집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Aragonésالعربيةঅসমীয়া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Boarisch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VõroFrançaisFrysk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PatoisქართულიKabɩyɛҚазақшаKurdî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umbaart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Plattdüütsch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Саха тылаSardu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inaray吴语ייִדיש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일 (목) 02: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열역학(熱力學, thermodynamics)은 에너지, 열, 일, 엔트로피와 과정의 자발성을 다루는 물리학의 분야다. 통계 역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그로부터 수많은 열역학 관계식을 유도할 수 있다. 물질이나 에너지를 서로 교환하는 여러 물리계 사이의 열역학적 과정을 다룰 때, 고전 열역학은 그 과정이 완료되는 시간이나 그 과정이 얼마나 빨리 일어나는지에 대해서는 관심을 갖지 않는다. "열역학"이라는 용어 대신 평형 열역학이란 용어를 사용하며, 준정적 과정(quasi-static process)이라는 개념이 매우 중요하다. 준정적 과정은 "매우 천천히 변하여" 각 순간마다 "평형상태"로 간주할 수 있는 이상적인 과정을 말한다. 비평형 열역학(non-equilibrium thermodynamics)에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열역학적 과정을 연구한다. 열역학 법칙은 매우 일반적인 법칙으로, 관찰하는 대상이나 물질 사이의 상호작용에 상관없이 항상 성립하는 법칙이다. 즉, 관찰하고자 하는 계와 이를 둘러싼 환경 사이에 에너지와 물질 교환이 평형을 이룬다는 사실만 확인되면 항상 적용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한 예로 20세기 초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자발 방출(spontaneous emission)과 현재 연구 중인 블랙홀 열역학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열역학의 역사를 시작한 사람의 이름은? Assistant: 벤자민 럼포드 Human: 아래 알마티_국제공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알마티 국제공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알마티 국제공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알마티 국제공항Международный Аэропорт АлматыAlmaty International Airport 알마티 국제공항 전경 IATA: ALA – ICAO: UAAA 개요 공항종별 민간 지역 알마티 위치 카자흐스탄 알마티 거점 항공사 아스타나 항공 해발고도 2,234 ft / 681 m 좌표 남위 21° 19′ 18″ 동경 055° 25′ 32″ / 남위 21.32167° 동경 55.42556°  / -21.32167; 55.42556 웹사이트 알마티 국제공항 홈페이지 지도 ALA알마티 국제공항 위치 활주로 방향 면적(m*m) ILS 표면 길이 폭 05R/23L 4,397 YES 아스팔트 05L/23R[1] 4,500 콘크리트 통계 (2011) 승객[2] 3,665,538 알마티 국제공항(카자흐어: Халықаралық Алматы Әуежайы, 러시아어: Международный Аэропорт Алматы, IATA: ALA, ICAO: UAAA)은 카자흐스탄 알마티에 있는 국제공항으로 도심부터 약 18킬로미터 떨어져 있다. 목차 1 운항 노선 1.1 화물 노선 2 같이 보기 3 각주 4 외부 링크 운항 노선[편집] 항공사목적지 아스타나 항공 아부다비, 악타우, 악퇴배, 암스테르담, 안탈리아, 아스타나, 아티라우, 바쿠, 방콕(수완나품), 베이징(캐피탈), 비슈케크, 델리, 두샨베, 프랑크푸르트, 홍콩, 이스탄불(아타튀르크), 카라간다, 코스타나이, 쿠알라룸푸르, 키질로르다, 런던(히스로), 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우랄, 오스카엔, 파블로다르, 사마라, 세인트피터즈버그, 서울(인천), 쉼켄트, 타슈켄트, 트빌리시 중국남방항공 우루무치 아시아나항공 서울(인천) 체코항공 프라하 에어로스비트 항공 키예프(보리스필) 에어발틱 리가 아시아윙 에어 코쿠쉐타우, 페트로파블 에바 트래픽 컴패니 비슈케크 BMI 런던(히스로) 돈바스아에로 키예프(보리스필) 에티하드 항공 아부다비 하이난 항공 베이징(캐피탈) 알타쉬 항공 카라간다, 코스나타이, 키질로르다, 파블로다르, 오스카멘 캄에어 계절편 : 카불 KLM 암스테르담 루프트한자 프랑크푸르트 마한 에어 테헤란(이맘호메이니) 로시야 항공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스 라인 예카테린부르크 S7 항공 노보시비르스크 스캣 에어 악타우, 안탈리아, 아스타나, 보드룸, 두샨베, 코쿠쉐타우, 코스타나이, 페트로파블, 상트페테르부르크, 세메이, 샴엘셰이크, 쉼켄트, 타라즈, 타슈켄트 세메이비아 에어 세메이 소몬 항공 두샨베 스카이 항공 안탈리아 타지키 항공 두샨베 트랜스아에로 항공 모스크바(도모데도보) 터키 항공 이스탄불(아타튀르크) 투르크메니스탄 항공 아슈하바트 우크라이나 국제항공 키예프(보리스필) 우즈베키스탄 항공 타슈켄트 화물 노선[편집] 항공사목적지 독일화물항공 프랑크푸르트(한) 카고룩스 룩셈부르크 페덱스 익스프레스 광저우, 파리(샤를 드 골) 델타 에어 홍콩 에미레이트 스카이카고 두바이, 상하이(푸둥) KLM(마틴 에어 운영) 암스테르담 루프트한자 카고 크라스노야르스크, 프랑크푸르트 UPS 항공 쾰른(본), 바르샤바, 상하이(푸둥) 같이 보기[편집]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국제공항 각주[편집] ↑ “New Runway at Almaty”. en.alaport.com. 2010년 1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4월 22일에 확인함.  ↑ “Almaty Airport’s work results for 2011”. en.alaport.com. 2012년 5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2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알마티 국제공항 (카자흐어/러시아어/영어) 알마티 국제공항 - 공식 웹사이트 (영어) 알마티 국제공항 사고 역사 - 에비에이션 세이프티 네트워크 (영어) 알마티 국제공항 - Great Circle Mapper (영어) 알마티 국제공항 기상 정보 - NOAA / NWS (영어) 알마티 국제공항 - World Aero Data vdeh 카자흐스탄의 공항국제공항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알마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알마티_국제공항&oldid=24471437" 분류: 카자흐스탄의 공항1935년 개항한 공항숨은 분류: 카자흐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러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Cebuano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עבריתहिन्दी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Тоҷикӣ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3일 (일) 22:0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알마티 국제공항(카자흐어: Халықаралық Алматы Әуежайы, 러시아어: Международный Аэропорт Алматы, IATA: ALA, ICAO: UAAA)은 카자흐스탄 알마티에 있는 국제공항으로 도심부터 약 18킬로미터 떨어져 있다. 1935년에 소규모 민군 합동 공항으로 개항했으며 1990년까지는 카자흐 민간 항공국의 일부였다. 1991년에 알마아타 공항으로 개편되었고 1993년에 독립 기업이 되었다. 1994년에 알마티 공항으로 바꿨다. 2004년에 현재의 터미널 건물이 완성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알마티 국제공항에서 화물 운항 노선은 어디로 가는가? Assistant: 항공사목적지 독일화물항공 프랑크푸르트(한) 카고룩스 룩셈부르크 페덱스 익스프레스 광저우, 파리(샤를 드 골) 델타 에어 홍콩 에미레이트 스카이카고 두바이, 상하이(푸둥) KLM(마틴 에어 운영) 암스테르담 루프트한자 카고 크라스노야르스크, 프랑크푸르트 UPS 항공 쾰른(본), 바르샤바, 상하이(푸둥)
Human: 아래 SR-25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SR-25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SR-25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SR-25 종류 반자동 저격총 역사 사용국가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이스라엘 대한민국 개발년도 1990년대 제원 중량 4.88 kg SR-25(Stoner Rifle-25)은 유진 스토너가 설계하고 나이츠 아르마먼트 컴퍼니에서 생산하는 반자동 저격총이다. 회전 노리쇠 방식와 가스 직동식으로 작동하며, 탄약은 7.62 x 51 mm NATO를 사용한다. 어느 정도 AR-10, M16 소총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약 60%의 부품이 M16과 호환된다. 목차 1 파생형 1.1 Mk.11 1.2 M110 SASS 2 사용국가 3 외부 링크 파생형[편집] Mk.11[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M110 SASS[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사용국가[편집] 오스트레일리아 이스라엘 국방군 폴란드 GROM 부대 미국 미국 육군 미국 해군 미국 해병대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SR-25 (영어) 나이츠 아르마먼트 - SR-25, 스토너 소총 25, 308 구경, SASS (영어) 현대 화기 - 나이츠 SR-25, 마크11 모델0 과 XM110 저격총 (영어) Future Weapons: "The M 110 Sniper Rifle" - 유튜브 vdehAR-15 관련 화기 문서들 AR-10 AR-15 M16/A1/A2/A3/A4 M4/A1 카빈 디마코 C7, C8 콜트 코만도, XM177 CAR-15 M231 FPW SDM-R, SAM-R 마크11 'SWS'/ KAC SR-25 마크12 특수목적소총 SEAL 정찰용 소총 마크18 'CQBR' GatMalite Ares Shrike La France M16K 콜트 자동소총 CAR-703 이 글은 화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SR-25&oldid=21801272" 분류: 미국의 반자동 소총저격소총아말라이트 소총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화기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orskPolskiРусский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7월 18일 (수) 07:0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SR-25(Stoner Rifle-25)은 유진 스토너가 설계하고 나이츠 아르마먼트 컴퍼니에서 생산하는 반자동 저격총이다. 회전 노리쇠 방식와 가스 직동식으로 작동하며, 탄약은 7.62 x 51 mm NATO를 사용한다. 어느 정도 AR-10, M16 소총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약 60%의 부품이 M16과 호환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SR-25를 사용하는 국가중 중동 국가에 속해있는 나라는? Assistant: 이스라엘 Human: 아래 종교_개혁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종교 개혁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종교 개혁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기독교 예수 그리스도 탄생 죽음 부활 승천 역사적 예수 기초 교회 신약성경 사도 천국 복음 연표 베드로 바울로 경전 구약성경 신약성경 성경 목록 정경 외경 다양한 기독교의 정경 기독교 신학 구원 세례 성찬·성체성사 삼위일체 성부 성자 성령 가톨릭주의 그리스도론 마리아론 변증론 종말론 기독교의 역사와 전통 초대교회 콘스탄티누스 공의회 사도신경 성전 전도 동서 교회의 분열 십자군 종교 개혁 반종교 개혁 교파 가톨릭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가톨릭교회 정교회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아시리아 동방교회 개신교 성공회 루터교 침례교 칼뱅주의 감리교 오순절운동 복음주의 재림주의 신사도운동 성경복귀운동 재세례파 후스파 플리머스 형제단 퀘이커 회복 기독교 예수 그리스도 후기성도 교회 여호와의 증인 단일오순절교 유니테리언주의 기독교 관련 설화 창조주의 노아의 방주 기타 일반 강론·설교 기도 전례 교회력 성화상 음악 미술 에큐메니즘 유신진화론 타종교 관계 비판 기독교 포털 v • d • e • h 종교개혁가들 종교 개혁가(독일어: Reformator, 영어: Protestant Reformers)란 16세기 유럽에서 서방교회의 심각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노력한 개혁 찬성파 인물들로 개혁 반대파 로마 카톨릭 교회와 맞섰던 개신교 인물인 마르틴 루터, 울리히 츠빙글리, 필리프 멜란히톤, 장 칼뱅, 마르틴 부서, 기욤 파렐, 테오도르 드 베즈, 외콜람파디우스, 볼프강 카피토, 피터 버미글리, 하인리히 불링어, 테오도르 드 베즈, 피에르 비레 와 같은 신학자들이다. 종교 개혁가들의 신학은 교황과 교회의 권위보다는 성경의 권위를 더 중요하게 어기며 그 신학적 체계를 세우는데 있어서 성경이 그 근본 사상을 이루고 있다. 로마 카톨릭 교회라는 종교를 성경적 관점에서 개혁하였다라는 말에서 종교개혁이라고 말한다면 이런 운동의 앞장선 성직자들을 종교개혁가라고 부른다. 이들 보다 100년전에 교회개혁에 희생당한 선구자들은 위클리프, 윌리엄 틴데일, 얀 후스, 그리고 사보나롤라와 같은 인물들이다. 1517년 10월 31일은 마르틴 루터의 95개 반박문을 게시한 날로 종교개혁기념일을 제정하여고 2017년 10월 31일은 종교개혁500주년기념일을 전 세계적으로 행사를 가졌다. 목차 1 선구자들 2 주된 종교개혁자들 3 급진적 개혁자들 3.1 2세대들 4 같이 보기 선구자들[편집] 종교개혁 이전 인물들 존 위클리프 얀 후스 프라하의 제롬 혹은 히에로니무스 사보라롤라 피터 발도 웨셀 간스포트 윌리엄 틴들 주된 종교개혁자들[편집] 마르틴 루터 울리히 츠빙글리 필리프 멜란히톤 기욤 파렐 장 칼뱅 마르틴 부서 외콜람파디우스 볼프강 카피토 피터 버미글리 하인리히 불링어 테오도르 드 베즈 피에르 비레 앤드류 멜빌 존 낙스 안드레아스 카를슈타트 마르틴 켐니츠 토마스 크랜머 마티아스 플라키우스 Caspar Hedio Justus Jonas Jan Łaski Aonio Paleario Laurentius Petri Olaus Petri Jiří Třanovský Joachim Vadian Primož Trubar 급진적 개혁자들[편집] 재세레파 John of Leiden 토마스 뮌처 카스퍼 폰 슈뱅크펠트 Sebastian Franck 메노 시몬스 2세대들[편집] Hans Denck Conrad Grebel 발타자르 후부마이어 Felix Manz 같이 보기[편집] 종교개혁 종교개혁기념일 종교개혁500주년기념일 vdeh기독교의 역사 세기:1세기 2세기 3세기 4세기 5세기 6세기 7세기 8세기 9세기 10세기 11세기 12세기 13세기 14세기 15세기 16세기 17세기 18세기 19세기 20세기 21세기 예수의 공생애 &사도 시대 예수 공생애 십자가형 부활 성령 대표직 사도 칠십 문도 사도 바오로 예루살렘 공의회 대사명 신약 배경 복음서 행전 바오로 서간 공동 서간 묵시 전니케아 시기 유대교 영혼 유스티노 순교자 이그나티우스 박해 교부 이레네오 마르키온주의 규범 테르툴리아누스 몬타누스주의 오리게네스 후기 고대 콘스탄티누스 수도 의회: 니케아 I 신경 아타나시우스 아리우스주의 히에로니무스 아우구스티누스 콘스탄티노폴리스 I 에페소스 I 칼케돈 동방 기독교 동방 정교회 동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크리소스토무스 네스토리우스파 성상파괴 대분열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 아르메니아 그리스 조지아 이집트 시리아 에티오피아 불가리아 오스만 제국 러시아 아메리카 20세기 중세 시대 펠라기우스주의 그레고리 I 켈트 독일 스칸디나비아 키예프 대공국 서임권 안셀모 아벨라르 클레르보의 베르나르 보고밀파 카타리파 십자군 발도파 재판 스콜라주의 도미니코 프란치스코 보나벤투라 아퀴나스 위클리프 아비뇽 교황 분열 보헤미아 개혁 후스 공의회주의 종교 개혁개신교 에라스무스 다섯 솔라 성찬 칼뱅 v. 아르미니우스 아르미니우스주의 도르트 전쟁 루터교 마르틴 루터 95 논제 보름스 회의 멜란히톤 정교회 성찬 협화서 칼뱅주의 츠빙글리 칼뱅 장로교 스코틀랜드 녹스 TULIP 도르트 하나 되는 세 고백서 웨스트민스터 성공회 연표 헨리 VIII 크랜머 합의 39 개조 기도 청교도 내전 재세례파 급진 개혁 그레벨 스위스 형제회 뮌처 순교자 회의 메노 시몬스 스미스 가톨릭교 수위권 발달 교황력 연표 라테라노 IV 트리엔트 반개혁 토머스 모어 레오 X 과달루페 예수회 얀센주의 하비에르 수도원 해산 전쟁 테레사 바티칸 I & II 현대주의 1640–1789 회복주의 영국 교파 침례교 회중주의 대각성 감리교 밀러주의 경건주의 신 & 구 루터교 1789–현재 야외 집회 성결 운동 독립 가톨릭 교회 제2차 대각성 회복 운동 여호와의 증인 모르몬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재림주의 제3차 대각성 아주사 회복 에큐메니즘 복음주의 예수 운동 주류 개신교 오순절주의 카리스마 해방 신학 기독교 우파 연표 선교 연표 순교자 신학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개신교 가톨릭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종교_개혁가&oldid=24166648" 분류: 종교 개혁가숨은 분류: 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anskDeutschEnglishFrançaisFryskLatinaNederlandsSvenska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8일 (수) 10: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종교 개혁가(독일어: Reformator, 영어: Protestant Reformers)란 16세기 유럽에서 서방교회의 심각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노력한 서방교회 개혁 찬성파 인물들로 개혁 반대파인 현재의 천주교회와 맞섰던 서방교회 개혁 찬성파인 개신교 인물인 마르틴 루터, 울리히 츠빙글리, 필리프 멜란히톤, 장 칼뱅, 마르틴 부서, 기욤 파렐, 테오도르 드 베즈, 외콜람파디우스, 볼프강 카피토, 피터 버미글리, 하인리히 불링어, 피에르 비레와 같은 신학자들이다. 종교 개혁가들의 신학은 당시 서방교회가 강조했던 교황과 교회의 권위보다는 성경의 권위를 더 중요하게 어기며 그 신학적 체계를 세우며 성경이 그 근본 사상을 이루고 있다. 서방기독교 또는 사방교회라는 종교를 성경적 관점에서 개혁하였다라는 말에서 종교개혁이라고 말한다면 이런 운동의 앞장선 성직자들을 종교개혁가라고 부른다. 이들 보다 100년전에 서방교회 개혁을 주장하다가 희생당한 선구자들은 위클리프와 윌리엄 틴데일, 얀 후스, 사보나롤라 같은 인물들이다. 1517년 10월 31일은 마르틴 루터의 95개 반박문을 게시한 날을 기념해 종교개혁기념일을 제정하였고, 2017년 10월 31일은 종교개혁500주년기념일을 전 세계적으로 행사를 가졌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483년 독일에서 태어난 종교 개혁가는? Assistant: 마르틴 루터
Human: 아래 사미_케디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사미 케디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미 케디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사미 케디라 2012년, 레알 마드리드의 케디라개인 정보전체 이름 Sami Khedira[1]출생일 1987년 4월 4일(1987-04-04) (32세)[1]출생지 서독 슈투트가르트키 189 ㎝포지션 중앙 미드필더클럽 정보현 소속팀 유벤투스등번호 6청소년 클럽 기록1992–1995 1995-2004 외핑엔 슈투트가르트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2004-2006 2006-2010 2010-2015 2015- 슈투트가르트 II 슈투트가르트 레알 마드리드 유벤투스 021 00(1) 098 0(14) 102 00(6) 029 00(7)국가대표팀 기록‡2003-2004 2007-2009 2009- 독일 U-17 독일 U-21 독일 010 00(2) 015 00(5) 069 00(7)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16년 11월 11일 기준이다.‡ 국가대표팀의 출장수와 골은 2016년 11월 11일 기준이다. 사미 케디라 (독일어: Sami Khedira ˈsaːmiː xeˈdiːʁaː[*], 1987년 4월 4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슈투트가르트 ~) 는 독일의 프로 축구 선수로, 유벤투스와 독일 국가대표팀 소속의 중앙 미드필더이다.[2] 그는 슈투트가르트에서 데뷔하여 2007년에 분데스리가 우승을 거두었고, 2010년에 레알 마드리드로 이적했다. 스페인에서의 5시즌 간, 그는 7개의 국내 및 국제 대회 우승을 거두었는데, 2014년에는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도 거두었다. 2015년, 그는 이탈리아의 유벤투스로 자유 이적해, 이적 첫 시즌에 세리에 A 우승도 거두었다. 2009년을 기점으로 독일 성인 국가대표로 활약한 케디라는 50경기 넘게 국가대표로 활약했다. 그는 2010년 FIFA 월드컵과 2012년, 2016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의 준결승행 주역이며, 2014년 FIFA 월드컵 우승도 거두었었다. 목차 1 클럽 경력 1.1 슈투트가르트 1.2 레알 마드리드 1.3 유벤투스 2 국가대표팀 경력 2.1 청소년 국가대표팀과 첫 출전 2.2 2010년 FIFA 월드컵 2.3 UEFA 유로 2012 2.4 2014년 FIFA 월드컵 2.5 UEFA 유로 2016 2.6 2018년 FIFA 월드컵 3 플레이스타일 4 사생활 5 경력 통계 5.1 클럽 5.2 국가대표팀 5.3 국가대표팀 득점 기록 6 수상 6.1 클럽 6.2 국가대표팀 6.3 개인 7 각주 8 외부 링크 클럽 경력[편집] 슈투트가르트[편집] 1995년에 슈투트가르트 유소년 아카데미에 합류하기 전, 그는 외핑엔 소속이었다. 2006-07 시즌의 첫 달, 그는 아어민 페 1군 감독에 의해 분데스리가 경기에 차출되었다. 그의 첫 경기는 2006년 10월 1일, 헤르타 BSC전으로, 그는 2-2로 비긴 이 원정 경기에서 안토니우 다 시우바와 교체로 들어가 첫 경기를 치렀다. 10월 29일, 샬케 04와 벌인 고틀리브-다임러-경기장 안방 경기에서 처음으로 두 골을 넣어 3-0 승리에 일조했다. 2007년 1월 29일, 그는 2009년 6월까지 유효한 구단과의 첫 계약서에 서명했다.[3] 5월 19일, 케디라는 에네르기 콧부스와의 최종전에 나서 슈바브인 (Die Schwaben) 의 결승골을 넣어 2-1 승리에 일조했고, 구단은 15년만에 처음으로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4] 2008년 7월 9일, 그는 2011년 여름까지 계약을 연장했다.[5] 그 다음 시즌, 그는 개인 단일 시즌 최다인 7골을 27경기에서 기록했는데, 그 중에 12월 13일 바이에른 뮌헨 원정 경기에서는 2골을 넣어 2-2 무승부를 돕기도 했다.[6] 레알 마드리드[편집] 2013년 9월, 마드리드 더비 경기에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아르다 투란을 제치는 케디라. 2010년 7월 30일, 케디라는 비공개 이적료로 레알 마드리드에 입단하였고, 2015년까지 유효한 계약서에 서명했다.[7] 케디라는 8월 13일, 바이에른 뮌헨과의 프란츠-베켄바워-컵 친선경기에서 데뷔전을 펼쳤고, 레알 마드리드가 승부차기 끝에 4-2로 이겼다. 리그 데뷔전은 16일 뒤에 치렀는데, 마요르카를 상대로 적지에서 득점 없이 비겼다.[8] 그는 스페인 무대 첫 시즌에 모든 대회를 통틀어 40경기를 뛰었고, 2011년 4월 20일, 바르셀로나와의 코파 델 레이 고전 더비 결승전에서 무찌르고 첫 우승을 맛보았다. 2011년 10월 18일, 리옹과의 UEFA 챔피언스리그 경기에서 레알 마드리드 소속으로는 처음으로 주요 대회 득점을 올렸다. 그는 말라가와의 코파 델 레이 경기에서 대회 첫 골을 넣어 레알 마드리드가 안방에서 0-2로 밀리다가 3-2로 역전할 수 있게 도왔고, 5-0 대승을 거둔 에스파뇰과의 경기에서는 첫 리그전 골을 기록했다. 2012년 4월 21일, 케디라는 바르셀로나를 상대로 자신의 리그 2호골을 기록했다. 이 골은 레알 마드리드의 리그 108호 골이었고, 종전에 1989-90 시즌에 세운 라 리가 최다 득점 기록인 107골을 넘어섰다.[9] 유벤투스[편집] 2015년 6월 9일, 이탈리아의 유벤투스는 자유 이적으로 4년 계약에 합의를 보고 입단했다고 발표했다. 이 이적은 7월 1일, 2015-16 시즌의 시작과 함께 성사되었다.[10][11] 8월 1일, 케디라는 마르세유와 시즌 전 친선전을 시작한 지 25분 만에 힘줄 부상으로 들것에 실려나갔고, 라치오와의 그 다음 주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경기에 참가하지 못했다.[12][13] 이틀 후, 유벤투스는 케디라의 오른쪽 허벅지 근육이 찢어진 것을 확인했고, 그가 두 달 동안 활동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다.[14] 그는 9월 30일에 현장에 복귀했는데, 케디라는 2-0으로 이긴 세비야와의 UEFA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 경기에 선발로 출전했다.[15] 10월 4일, 케디라는 볼로냐와의 안방 경기에서 세리에 A 데뷔전을 선발로 치러 63분 쐐기골을 기록했다.[16] 2016년 3월 20일, 케디라는 4-1로 이긴 토리노와의 토리노 더비 경기에서 리그 4호골을 추가했지만, 이후 같은 경기에서 반칙으로 즉시 퇴장당했다.[17] 8월 20일, 2016-17 시즌을 2-1로 이긴 피오렌티나와의 경기에서 첫 골을 기록하는 것으로 시작했다.[18] 한 주 후, 그는 라치오와의 리그 원정 경기에서 1-0 결승골의 주인공이 되었다.[19] 국가대표팀 경력[편집] 2011년, 독일 국가대표팀의 케디라 청소년 국가대표팀과 첫 출전[편집] 케디라는 독일 청소년 국가대표팀 일원으로 여러 연령대에 30차례의 경기에 출전하였으며, 2009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독일 U-21 대표팀의 주장으로 참가했으며, 잉글랜드와의 결승전에서의 4-0 승리로 이끌었다. 2009년 9월 5일, 케디라는 남아프리카 공화국과의 친선경기에서 성인 대표팀 첫 경기를 치렀다. 그는 경기 73분에 지몬 롤페스와 교체로 들어갔었다. 2010년 FIFA 월드컵[편집] 그는 요아힘 뢰프 감독에 의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열린 2010년 FIFA 월드컵에 독일 대표로 차출되었다. 그는 부상당한 미하엘 발라크를 대신해 중앙 미드필더로 배치되어 7경기를 모두 출전하였으며, 두 번만 교체되었다. FIFA 월드컵을 앞두고 5차례의 친선경기에 참가한 후, 그는 오스트레일리아와의 독일 첫 조별 리그 경기에 출전했다. 2010년 7월 10일, 그는 우루과이와의 대회 3위 결정전에서 성인 국가대표팀 경기 첫 득점이자, 독일의 대회 16번째이며 마지막 골을 기록했다. 이 결승골은 경기 종료 8분을 앞두고 터졌고, 3-2로 이겨 젊은 독일 국가대표팀의 3위에 일조했다.[20] UEFA 유로 2012[편집] 케디라는 UEFA 유로 2012의 예선전 경기에 8경기 선발로 나서, 독일의 예선 조 10전전승의 기록에 공헌했다. 그는 본선에서도 준결승전까지 선발로 나서 끝까지 뛰었고, 그리스와의 PGE 아레나 그단스크에서의 8강 일전에서는 득점도 기록해 4-2 승리에 일조했으며, 대회의 팀 일원으로도 선정되었다.[21] 2014년 FIFA 월드컵[편집] 2014년 FIFA 월드컵에서 베르나르드를 상대하는 케디라 케디라는 2013년 11월 15일, 이탈리아와의 친선경기에서 오른쪽 무릎의 전방 십자 인대가 파열되는 부상을 당했고, 거의 6개월 간 출장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었고, 2014년 FIFA 월드컵 본선 참가 여부에도 비상이 걸렸다.[22] 그러나, 그는 제때에 회복되어 독일의 본선 선수단 일원으로 승선했고,[23] 포르투갈과의 대표팀 첫 경기에 출전해 4-0 승리를 도왔다.[24] 7월 8일, 그는 브라질과의 준결승전에서 독일의 5번째 골을 기록해 7-1 승리에 일조했다.[25] 그는 아르헨티나와의 결승전을 앞두고 몸을 풀던 도중 부상을 당해 크리스토프 크라머가 그를 대신했지만,[26] 독일은 연장전 끝에 1-0으로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다.[27] UEFA 유로 2016[편집] 케디라는 요아힘 뢰프에 의해 UEFA 유로 2016의 독일 대표팀 23인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28] 7월 2일, 그는 이탈리아와의 8강전에서 전반에 부상으로 나갔고, 남은 대회 경기에 못나갔다. 독일은 연장전 끝에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6-5로 이겼다.[29] 지난 대회와 마찬가지로, 독일은 준결승전에서 또다시 발목을 잡혔는데, 7월 7일에 개최국 프랑스에게 0-2로 패했다.[30] 2018년 FIFA 월드컵[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플레이스타일[편집] 케디라는 그와 같은 부문의 선수들 중 최고의 선수로 손꼽히며,[31] 케디라는 역동적이며 다재다능한 미드필더로 여겨지며, 좋은 의식과 "흠잡을 데 없는 공중 경합 능력"을 지니고 있어, 경기장을 넓게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고, 공을 회수해 재빠르게 공격을 전개할 수도 있다. 그는 머리로 정확하게 골로 이을 수 있으며, 강력한 중거리 슛을 쏘기도 한다.[1][2] 물리적으로 힘이 좋고, 체력이 넘치며, 전술적으로 지적인 선수로, 그는 공을 따내는 능력, 일률, 시야, 그리고 탄탄한 기술과 믿음직한 패스 능력도 지니고 있어, 미드필더로 어느 역할이든지 수행할 수 있다. 비록, 중앙 미드필더로 기용되지만, 그는 강한 체력과 다재다능함을 바탕이나 수비형 미드필더나 구역간 미드필더로도 수행 가능하다.[10][32][33][34] 사생활[편집] 케디라는 슈투트가르트 출신이다. 그의 부친은 튀니지인이며, 모친은 독일인이다.[35] 사미의 동생 라니는 RB 라이프치히 소속으로,[36] 독일 U-19 국가대표 출전 경력이 있다.[37] 케디라는 2011년 5월부터 독일 패션 모델 레나 게어케와 가까이 지냈다.[38] 둘은 GQ지의 2012년 2월호 표지로 나왔다.[39] 경력 통계[편집] 클럽[편집] 2016년 11월 11일 기준[40] 클럽 시즌 리그 컵1 대륙2 기타3 합계 출 리그 출장 골 출장 골 출장 골 출장 골 출장 골 슈투트가르트 II 2004–05 남부 레기오날리가 5 0 — 5 0 [41] 2005–06 7 0 7 0 [42] 2006–07 9 1 9 1 [43] 합계 21 1 — 21 1 — 슈투트가르트 2006–07 분데스리가 22 4 4 0 — 26 4 [43] 2007–08 24 1 4 0 5 0 1 0 34 1 [44][45] 2008–09 27 7 2 0 8 1 — 37 8 [46][47] 2009–10 25 2 2 1 8 0 35 3 [48] 합계 98 14 12 1 21 1 1 0 132 16 — 레알 마드리드 2010–11 라 리가 25 0 7 0 8 0 — 40 0 [49] 2011–12 28 2 4 1 8 1 2 0 42 4 [49] 2012–13 25 3 6 1 11 0 2 0 44 4 [49] 2013–14 13 1 0 0 5 0 — 18 1 [49] 2014–15 11 0 3 0 2 0 1 0 17 0 [49] 합계 102 6 20 2 34 1 5 0 161 9 — 유벤투스 2015–16 세리에 A 20 5 1 0 4 0 0 0 25 5 [49] 2016–17 9 2 0 0 4 0 0 0 13 2 [49] 합계 29 7 1 0 8 0 0 0 38 7 — 경력 합계 250 28 33 3 63 2 6 0 352 33 — 1.^ DFB-포칼, 코파 델 레이, 및 코파 이탈리아 경기 포함 2.^ UEFA 챔피언스리그, UEFA 유로파리그 / UEFA컵, 및 UEFA 인터토토컵 경기 포함. 3.^ DFB-리가포칼,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UEFA 슈퍼컵, 및 FIFA 클럽 월드컵 경기 포함. 국가대표팀[편집] 2016년 11월 11일 기준[50] 독일 국가대표팀 연도 출장 골 2009 1 0 2010 16 1 2011 7 0 2012 12 1 2013 8 2 2014 9 1 2015 4 0 2016 12 2 합계 69 7 국가대표팀 득점 기록[편집] 아래의 점수에서 왼쪽의 점수가 독일의 점수이다.[50] # 일정 장소 상대 득점 결과 대회 1. 2010년 7월 10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포트엘리자베스, 넬슨만델라베이 경기장 우루과이 3–2 3–2 2010년 FIFA 월드컵 2. 2012년 6월 23일 폴란드, 그단스크, PGE 아레나 그단스크 그리스 2–1 4–2 UEFA 유로 2012 3. 2013년 2월 6일 프랑스, 파리, 파르크 데 프랭스 프랑스 2-1 2-1 친선경기 4. 2013년 10월 11일 독일, 쾰른, 라인 에네르기 슈타디온 아일랜드 1–0 3–0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전 5. 2014년 7월 8일 브라질 ,벨루 오리존치, 미네이랑 브라질 5–0 7–1 2014년 FIFA 월드컵 6. 2016년 10월 11일 독일, 하노버, 니더작센슈타디온 북아일랜드 2–0 2–0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전 7. 2016년 11월 11일 산마리노, 세라발레, 산마리노 경기장 산마리노 1–0 8–0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전 수상[편집] 2007년, 슈투트가르트에서 분데스리가 우승을 자축하는 케디라 클럽[편집] 슈투트가르트[40] 분데스리가: 2006–07[51] DFB-포칼 준우승: 2006–07[51] 레알 마드리드[40] UEFA 챔피언스리그: 2013–14[52] FIFA 클럽 월드컵: 2014 라 리가: 2011–12[51] 코파 델 레이: 2010–11, 2013–14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2012 유벤투스[40] 세리에 A: 2015–16 코파 이탈리아: 2015–16 국가대표팀[편집] 독일[40] FIFA 월드컵:2014 독일 U-21 UEFA U-21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2009[53] 개인[편집] 바덴뷔르템베르크 명예 훈장: 2016[54]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의 팀: 2012[55] 각주[편집] ↑ 가 나 다 “FIFA World Cup South Africa 2010: List of Players” (PDF). FIFA. 2010년 6월 12일. 11면. 2013년 12월 8일에 확인함.  ↑ 가 나 “Sami Khedira”. Real Madrid C.F. 2014년 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3월 3일에 확인함.  ↑ “Origins are Irrelevant in Football – Portrait of Sami Khedira”. Qantara.de. 2009년 2월 21일. 2010년 8월 19일에 확인함.  ↑ “El Stuttgart se corona campeón alemán con su triunfo ante el Cottbus (콧부스전 승리로 독일 정상을 자축한 슈투트가르트)” (스페인어). Diario AS. 2007년 5월 19일. 2016년 3월 20일에 확인함.  ↑ “Khedira signs until 2011”. 《VfB Stuttgart》. 2008년 7월 9일. 2008년 7월 9일에 확인함.  ↑ “Rescata Stuttgart empate ante Bayern Munich (바이에른 뮌헨을 상대로 무승부를 거두어 기사회생한 슈투트가르트)” (스페인어). Televisa Deportes. 2008년 12월 13일. 2016년 3월 20일에 확인함.  ↑ “Terms agreed with Real Madrid”. 《VfB Stuttgart》. 2010년 7월 30일. 2010년 7월 30일에 확인함.  ↑ “Report: Mallorca v Real Madrid”. ESPN Soccernet. 2010년 8월 30일. 2010년 8월 30일에 확인함.  ↑ Hayward, Ben (2012년 4월 21일). “Real Madrid breaks all-time Liga goals record with Sami Khedira's Clasico strike against Barcelona”. Goal.com. 2012년 4월 23일에 확인함.  ↑ 가 나 “Khedira signs for Juventus”. juventus.com. 2015년 6월 9일. 2015년 6월 9일에 확인함.  ↑ “Juventus sign Sami Khedira from Real Madrid on free transfer”. The Guardian. 2015년 6월 9일. 2015년 6월 9일에 확인함.  ↑ “Khedira hamstring strain”. 《Football Italia》. 2015년 8월 1일. 2015년 8월 1일에 확인함.  ↑ “Juventus midfielder Sami Khedira ruled out of Italian Super Cup”. 《Eurosport》. 2015년 8월 1일. 2015년 8월 1일에 확인함.  ↑ Gladwell, Ben (2015년 8월 3일). “Juventus midfielder Sami Khedira out for two months with thigh injury”. ESPN FC. 2015년 8월 3일에 확인함.  ↑ “Sami Khedira impresses on debut as Juventus are too canny for Sevilla”. The Guardian. 2015년 9월 30일. 2015년 10월 5일에 확인함.  ↑ “Juventus-Bologna: 3–1”. BBC Sport. 2015년 10월 4일. 2015년 10월 5일에 확인함.  ↑ “Torino 1-4 Juventus”. BBC Sport. 2016년 3월 20일. 2016년 3월 20일에 확인함.  ↑ “Juventus 2 - 1 Fiorentina”. Football Italia. 2016년 8월 20일. 2016년 8월 29일에 확인함.  ↑ Mina Rzouki (2016년 8월 28일). “Khedira stars again as Juventus earn a hard-fought win at Lazio”. ESPN FC. 2016년 8월 29일에 확인함.  ↑ “Khedira completes comeback”. 《ESPN Soccernet》. 2010년 7월 10일. 2010년 7월 14일에 확인함.  ↑ “UEFA EURO 2012 Team of the Tournament”. UEFA. 2012년 7월 2일. 2015년 6월 9일에 확인함.  ↑ “DFB confirms Sami Khedira blow”. 《espnfc.com》. 2013년 11월 16일. 2013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Germany World Cup 2014 squad”. 《The Telegraph》. 2014년 6월 2일. 2014년 6월 22일에 확인함.  ↑ “Germany 4-0 Portugal”. 《BBC》. 2014년 6월 16일. 2014년 6월 22일에 확인함.  ↑ “Brazil 1-7 Germany”. 《BBC》. 2014년 7월 8일.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Khedira out of final, Kramer steps in”. ESPN FC. 2014년 7월 13일. 2015년 10월 5일에 확인함.  ↑ “Germany-Argentina: 1–0”. BBC Sport. 2014년 7월 13일. 2015년 10월 5일에 확인함.  ↑ “Germany - Squad”. UEFA.com. 2016년 7월 11일에 확인함.  ↑ Adams, Sam (2016년 7월 2일). “Hector the shoot-out hero as Germany finally defeat Italy”. 《UEFA.com》 (Union of European Football Associations). 2016년 7월 3일에 확인함.  ↑ Burke, Jason (2016년 7월 7일). “Germany 0–2 France: Antoine Griezmann's double fires hosts into Euro 2016 final with Portugal”. 《The Daily Telegraph》. 2016년 7월 7일에 확인함.  ↑ Michael Cox (2014년 6월 4일). “In praise of the box-to-box midfielder”. ESPN FC. 2016년 8월 21일에 확인함.  ↑ Mina Rzouki (2012년 10월 26일). “The importance of being Sami Khedira”. Football España. 2016년 8월 21일에 확인함.  ↑ Ogo Sylla (2015년 9월 30일). “Khedira comes to Juventus’ rescue”. La Gazzetta dello Sport. 2016년 8월 21일에 확인함.  ↑ “Khedira signs for Juve until 2019”. Marca.com. 2015년 9월 6일. 2016년 8월 22일에 확인함.  ↑ “Deutsche Talente und ihre Alternativen” (독일어). Kurier. 2009년 6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Rani Khedira verlässt den VfB”. 《vfb.de》 (독일어). VfB Stuttgart. 2014년 6월 17일. 2014년 7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7일에 확인함.  ↑ “U 15-Junioren Team Nationalspieler Rani Khedira” (독일어). Deutscher Fussball-Bund. 2010년 8월 19일에 확인함.  ↑ “Ein Paar, sie sind ein Paar”. RP Online. 2011년 5월 9일. 2012년 2월 8일에 확인함.  ↑ “Dream-Team”. GQ. 2012년 2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8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S. Khedira”. soccerway.com. 2014년 7월 17일에 확인함.  ↑ “Khedira, Sami” (독일어). kicker. 2014년 3월 22일에 확인함.  ↑ “Khedira, Sami” (독일어). kicker. 2014년 3월 22일에 확인함.  ↑ 가 나 “Khedira, Sami” (독일어). kicker. 2014년 3월 22일에 확인함.  ↑ “Khedira, Sami” (독일어). kicker. 2014년 3월 22일에 확인함.  ↑ “Sami Khedira” (독일어). Fussballdaten.de. 2014년 3월 22일에 확인함.  ↑ “Khedira, Sami” (독일어). kicker. 2014년 3월 22일에 확인함.  ↑ “Sami Khedira” (독일어). Fussballdaten. 2014년 3월 22일에 확인함.  ↑ “Khedira, Sami” (독일어). kicker. 2014년 3월 22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Sami Khedira » Club matches”. World Football. 2016년 4월 3일에 확인함.  ↑ 가 나 “Sami Khedira”. NFT. 2016년 9월 15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Sami Khedira”. fussballdaten.de. 2014년 7월 17일에 확인함.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l언어= (도움말) ↑ “Der Traum ist wahr: Real gewinnt "La Décima"” (독일어). kicker.de. 2014년 5월 24일. 2014년 7월 17일에 확인함.  ↑ Gartenschläger, Lars (2013년 6월 6일). “Khedira, Özil, Neuer – Aufstieg der Euro-Helden” (독일어). welt.de. 2014년 7월 17일에 확인함.  ↑ “Khedira mit Verdienstorden geehrt” (독일어). sport1.de. 2016년 7월 31일. 2016년 8월 3일에 확인함.  ↑ “Ten Spain players in Team of the Tournament”. UEFA.com. 2016년 10월 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사미 케디라 공식 웹사이트 Fussballdaten 프로파일 BDFutbol 프로파일 사미 케디라 - National-Football-Teams.com (영어) 사미 케디라 FIFA 주관 대회 기록 - 국제축구연맹 (영어) vdeh유벤투스 FC – 현재 명단 1 슈쳉스니 2 데 실리오 3 키엘리니 4 카세레스 5 퍄니치 6 S. 케디라 7 호날두 10 디발라 11 코스타 12 산드루 14 마튀이디 15 바르찰리 16 콰드라도 17 만주키치 19 보누치 20 칸셀루 21 핀솔리오 22 페린 23 잔 24 루가니 30 벤탕쿠르 33 베르나르데스키 37 스피나촐라 감독: 사리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vdeh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 2010년 FIFA 월드컵 3위 1 노이어 2 얀젠 3 프리드리히 4 아오고 5 타스치 6 케디라 7 슈바인슈타이거 8 외질 9 키슬링 10 포돌스키 11 클로제 12 비제 13 뮐러 14 바트슈투버 15 트로호프스키 16 람 (주장) 17 메르테자커 18 크로스 19 카카우 20 J. 보아텡 21 마린 22 부트 23 고메스 감독: 뢰프 vdeh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 UEFA 유로 2012 4강 1 노이어 2 귄도안 3 슈멜처 4 회베데스 5 후멜스 6 케디라 7 슈바인슈타이거 8 외질 9 쉬를레 10 포돌스키 11 클로제 12 비제 13 뮐러 14 바트슈투버 15 벤더 16 람 (주장) 17 메르테자커 18 크로스 19 괴체 20 보아텡 21 로이스 22 칠러 23 고메스 감독: 뢰프 vdeh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 2014년 FIFA 월드컵 우승 (4회) 1 노이어 2 그로스크로이츠 3 긴터 4 회베데스 5 후멜스 6 케디라 7 슈바인슈타이거 (부주장) 8 외질 9 쉬를레 10 포돌스키 11 클로제 12 칠러 13 뮐러 14 드락슬러 15 두름 16 람 (주장) 17 메르테자커 18 크로스 19 괴체 20 보아텡 21 무스타피 22 바이덴펠러 23 크라머 감독: 뢰프 vdeh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 UEFA 유로 2016 4강 1 노이어 2 무스타피 3 헥토어 4 회베데스 5 후멜스 6 케디라 7 슈바인슈타이거 (주장) 8 외질 9 쉬를레 10 포돌스키 11 드락슬러 12 레노 13 뮐러 14 잔 15 바이글 16 타 17 보아텡 18 크로스 19 괴체 20 자네 21 키미히 22 테어 슈테겐 23 고메스 감독: 뢰프 vdeh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 2018년 FIFA 월드컵 1 노이어 (주장) 2 플라텐하르트 3 헥토어 4 긴터 5 후멜스 6 케디라 7 드락슬러 8 크로스 9 베르너 10 외질 11 로이스 12 트라프 13 뮐러 14 고레츠카 15 쥘레 16 뤼디거 17 보아텡 18 키미히 19 루디 20 브란트 21 귄도안 22 테어 슈테겐 23 고메스 감독: 뢰프 전거 통제 VIAF: 310508149 GND: 105256522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사미_케디라&oldid=24382724" 분류: 1987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슈투트가르트 출신튀니지계 독일인바덴뷔르템베르크의 축구 선수독일의 축구 선수독일 청소년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독일 U-21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축구 미드필더축구 유틸리티 플레이어분데스리가의 축구 선수VfB 슈투트가르트 II의 축구 선수VfB 슈투트가르트의 축구 선수라리가의 축구 선수레알 마드리드 CF의 축구 선수유벤투스 FC의 축구 선수2010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UEFA 유로 2012 참가 선수2014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UEFA 유로 2016 참가 선수FIFA 월드컵 우승팀 선수독일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스페인에 거주한 독일인이탈리아에 거주한 독일인스페인의 외국인 축구 선수이탈리아의 외국인 축구 선수2018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세리에 A의 축구 선수독일 U-16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숨은 분류: CS1 - 스페인어 인용 (es)CS1 - 독일어 인용 (de)인용 오류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کوردی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Malti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5일 (수) 16:3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사미 케디라(독일어: Sami Khedira ˈsaːmiː xeˈdiːʁaː[*], 1987년 4월 4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슈투트가르트 ~)는 독일의 은퇴한 프로 축구 선수로, 중앙 미드필더였다.그는 슈투트가르트에서 데뷔하여 2007년에 분데스리가 우승을 거두었고, 2010년에 레알 마드리드로 이적했다. 스페인에서의 5시즌 간, 그는 7개의 국내 및 국제 대회 우승을 거두었는데, 2014년에는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도 거두었다. 2015년, 그는 이탈리아의 유벤투스로 자유 이적해, 이적 첫 시즌에 세리에 A 우승도 거두었다. 2009년을 기점으로 독일 성인 국가대표로 활약한 케디라는 50경기 넘게 국가대표로 활약했다. 그는 2010년 FIFA 월드컵과 2012년, 2016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의 준결승행 주역이며, 2014년 FIFA 월드컵 우승도 거두었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사미 케디라의 클럽 경력은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1995년에 슈투트가르트 유소년 아카데미에 합류하기 전, 그는 외핑엔 소속이었다. 2006-07 시즌의 첫 달, 그는 아어민 페 1군 감독에 의해 분데스리가 경기에 차출되었다. 그의 첫 경기는 2006년 10월 1일, 헤르타 BSC전으로, 그는 2-2로 비긴 이 원정 경기에서 안토니우 다 시우바와 교체로 들어가 첫 경기를 치렀다. 10월 29일, 샬케 04와 벌인 고틀리브-다임러-경기장 안방 경기에서 처음으로 두 골을 넣어 3-0 승리에 일조했다. 2007년 1월 29일, 그는 2009년 6월까지 유효한 구단과의 첫 계약서에 서명했다.[3] 5월 19일, 케디라는 에네르기 콧부스와의 최종전에 나서 슈바브인 (Die Schwaben) 의 결승골을 넣어 2-1 승리에 일조했고, 구단은 15년만에 처음으로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4] 2008년 7월 9일, 그는 2011년 여름까지 계약을 연장했다.[5] 그 다음 시즌, 그는 개인 단일 시즌 최다인 7골을 27경기에서 기록했는데, 그 중에 12월 13일 바이에른 뮌헨 원정 경기에서는 2골을 넣어 2-2 무승부를 돕기도 했다.[6] Human: 아래 박광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박광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광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박광온기본 정보국적 대한민국출생 1957년 3월 26일(1957-03-26) (62세)대한민국 전라남도 해남거주지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학력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광고홍보학 석사경력 MBC 앵커MBC 보도국장민주통합당 선거대책위원회 홍보본부장새정치민주연합 원내부대표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종교 천주교(세례명: 암브로시오)소속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원 선수 2의원 대수 19·20정당 더불어민주당지역구 경기 수원시 정당내 직책 최고위원제3정조위원장경기도당위원장국회 직책 기획재정위원회 간사웹사이트 박광온 트위터 박광온(朴洸瑥, 1957년 3월 26일 ~ )은 대한민국의 언론인 출신 정치인이다. 제19·20대 국회의원이다. 목차 1 학력 2 경력 3 진행 3.1 텔레비전 4 역대 선거 결과 5 외부 링크 학력[편집] 현산남초등학교 광주동성중학교 광주상업고등학교 고려대학교 사회학 학사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언론홍보학 석사 경력[편집] 1984.01 ~ 1997.07: MBC 기자 입사, 보도국 사회부, 외신부, 정치부 1997.08 ~ 2000.05: MBC 도쿄 특파원 2000.05 ~ 2001.07: MBC 보도국 국제부 부장 2000.5.13 ~ 2002.1.13: MBC 뉴스데스크 주말 앵커 2001.07 ~ 2001.10: MBC 보도행정부 2001.10 ~ 2003.02: MBC 보도국 정치부 차장 2003.03 ~ 2005.01: MBC 보도국 정치담당 전문기자 2005.02 ~ 2005.09: MBC 보도국 통일외교부 부장 2005.09 ~ 2006.08: MBC 보도국 뉴스편집센터 1CP 부장 2006.08 ~ 2007.07: MBC 보도국 정치·국제에디터 2007.07 ~ 2008.09: MBC 논설위원실 논설위원 2008.3.31 ~ 2008.09.05: MBC 뉴스와 경제 앵커 2008.09 ~ 2009.03: MBC 보도국장 2008 ~ 2009:《일요 인터뷰 人》 진행자 2010.05 ~ 2011.05: MBC 100분 토론 진행자 2011.09: 정계 입문 2012.10 ~ 2012.12: 제18대 대통령선거 민주통합당 문재인후보 선거대책위원회 홍보본부장, 대변인 2013.05 ~ 2014.01: 민주당 홍보위원장 2014.01 ~ 2014.10: 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 대변인 2014.07 ~ 2016.05: 제19대 국회의원 (경기 수원시 정, 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2014.08 ~ 2016.05: 제19대 국회 후반기 기획재정위원회 위원 2015.03 ~ 2016.05: 제19대 국회 동북아역사왜곡대책특별위원회 위원 2015.05 ~ 2016.05: 제19대 국회 후반기 운영위원회 위원 2015.05 ~ 2016.05: 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 2015.06 ~ 2016.01: 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당대표 비서실장 2016.04 ~ 2016.05: 더불어민주당 대변인 2016.05 ~ : 제20대 국회의원 (경기 수원시 정, 더불어민주당) 2016.06 ~ 2018.05: 제20대 국회 전반기 기획재정위원회 간사 2017.05 ~ 2018.05: 제20대 국회 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2018.07 ~ : 제20대 국회 후반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 2016.05 ~ 2016.08: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 2016.05 ~ : 더불어민주당 국민연금 공공투자 특별위원회 위원장 2016.09 ~ 2017.06: 더불어민주당 제2정책조정위원회 위원장 2017.05 ~ 2017.07: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대변인 2017.05 ~ 2017.07: 국정기획자문위원회 경제1분과 위원 2017.06 ~ 2018.07: 더불어민주당 제3정책조정위원회 위원장 2018.02 ~ 2018.07: 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 위원장 2018.08 ~ :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진행[편집] 텔레비전[편집] 2000년 ~ 2002년: MBC 《MBC 뉴스데스크》 2008년: MBC 《MBC 뉴스와 경제》 2008년 11월 23일 ~ 2010년 5월 16일: MBC 《MBC 뉴스와 인터뷰》 - 일요인터뷰 2010년 ~ 2011년: MBC 《MBC 100분 토론》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 대수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7·30 재보궐 19대 국회의원 경기 수원시 정 새정치민주연합 39,461 표 52.67% 1위 초선 총선 20대 국회의원 경기 수원시 정 더불어민주당 52,209 표 46.34% 1위 재선 외부 링크[편집] 박광온 블로그 박광온 트위터 전 임 김진표 제19대 국회의원(경기 수원시 정) 2014년 7월 31일 ~ 2016년 5월 29일 새정치민주연합 → 더불어민주당 (수원시 갑)이찬열(수원시 을)정미경(수원시 병)김용남 후 임 (수원시 갑)이찬열(수원시 을)백혜련(수원시 병)김영진(수원시 정)박광온(수원시 무)김진표 전 임 (수원시 갑)이찬열(수원시 을)정미경(수원시 병)김용남(수원시 정)박광온 제20대 국회의원(경기 수원시 정) 2016년 5월 30일 ~ 더불어민주당 (수원시 갑)이찬열(수원시 을)백혜련(수원시 병)김영진(수원시 무)김진표 후 임 (현직) vdeh 뉴스데스크현재 진행 중인 앵커평일 왕종명 이재은 허일후(MBC 스포츠뉴스) 주말 김수진 박연경(MBC 스포츠뉴스) 전직 앵커남성 박근숙 곽노환 김기도 김기주 김창식 이영익 정병수 하순봉 형진한 이득렬 고진 강성구 송도균 임택근 김기덕 차인태 김영수 김동진 추성춘 구본홍 엄기영 손석희 신경민 이상열 정길용 최우철 조정민 정동영 이인용 김상수 이인용 박광온 김성수 박광온 연보흠 권순표 왕종명 김연국 김세용 박경추 김창옥 최일구 김상운 황헌 정연국 최대현 신동호 권재홍 도인태 박용찬 박상권 이준희 이상현 천현우 엄주원 박성호 여성 최경미 백지연 정혜정 박영선 이미영 조일수 김현경 김은주 김은혜 최율미 이주연 김지은 박나림 오은실 김주하 박혜진 서현진 최윤영 차미연 김수진 문지애 양승은 박보경 김소영 강다솜 이정민 정다희 박연경 배현진 김수지 손정은 전직 MBC 스포츠뉴스 앵커 이철원 송재익 양진수 임주완 최창섭 고창근 이현우 이윤철 성경환 송인득 유협 김창옥 임재홍 변창립 이창섭 한선교 홍은철 이윤재 최재혁 강재형 이재용 김범도 김상호 하지은 김완태 신동진 박경추 방현주 김성주 김경화 임경진 오상진 김정근 한준호 유수민 전종환 이하정 최현정 손정은 양승은 이성배 서인 이진 김초롱 이재은 차예린 김원경 유선경 정슬기 김나진 기상 캐스터 김동완 지윤태 김승환 장수영 차수진 손애성 현인아 이은주 이미영 이규리 임성희 안숙진 박미숙 김혜은 조문기 안혜경 최현정 박은지 배수연 박신영 이현승 정혜경 이문정 이창민 이귀주 김가영 임성은 이서경(평일) 박선영(주말) 최아리 기타 카메라 출동 (이상로, 신재민, 김진원, 김상수, 김민호, 신강균, 유종현, 홍순관, 정형일, 전동건, 양영철, 김상운, 신동욱, 김재철, 심재철, 노웅래, 최문순, 최명길, 김장겸, 박성희, 윤도한, 박상후, 최일구, 허용범, 전평국, 조기양, 전태국, 정연국, 심원택, 박성제, 이강택, 이호인, 고주룡, 이용마, 이상호, 김병헌, 왕종명, 최훈, 김정원, 김세의) 도청장치 방송사고 PC방 실험 사건 땡전 뉴스 MBC 뉴스센터 (1981년 ~ 1989년, 1991년 ~ 1993년) MBC 스포츠뉴스 (통합 이전 및 분리 편성)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박광온&oldid=24450589" 분류: 대한민국의 제19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20대 국회의원1957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문화방송의 직원프리랜서 아나운서1984년 데뷔무안 박씨민주당 (대한민국, 2011년) 당원더불어민주당 당원대한민국의 텔레비전 기자해남군 출신현산초등학교 (전남) 동문광주동성중학교 동문광주동성고등학교 동문고려대학교 동문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동문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친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19일 (수) 18: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박광온(朴洸瑥, 1957년 3월 26일~)은 대한민국의 MBC 기자 출신 정치인이다. 제19·20·21대 국회의원이다.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2023. 4.~2023. 9.)를 지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박광온은 7.30 재보궐 선거에서 몇 표를 받았나요? Assistant: 39,461 표
Human: 아래 신이_없는_일요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신이 없는 일요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이 없는 일요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신이 없는 일요일神さまのいない日曜日 장르 판타지 소설 저자 이리에 키미히토 삽화 시노 출판사 후지미 쇼보 레이블 후지미 판타지아 문고 발매일 2010년 1월 권수 7권 만화 작가 이리에 키미히토시노(캐릭터 원안) 작화 아바라 헤이키 출판사 후지미 쇼보 연재 잡지 월간 드래건 에이지 연재 기간 2010년 11월 ~ 2013년 8월 발매일 2010년 10월 9일 ~ 2013년 7월 9일 권수 3권 TV 애니메이션 원작 이리에 키미히토 감독 쿠마자와 유우지 시리즈 구성 콘바루 토모코 캐릭터 디자인 미야마에 신이치 음악 히로미 미즈타니 애니메이션 제작 매드하우스 제작 신이 없는 제작 위원회 방영 기간 2013년 7월 ~ 틀 - 토론 위키프로젝트 라이트 노벨・만화・애니메이션 포털 문학 《신이 없는 일요일》(일본어: 神さまのいない日曜日)은 이리에 키미히토가 쓴 일본의 라이트 노벨이다. 삽화는 시노가 담당했다. 줄여서 카미나이(神ない), 카미니치(神日) 등으로 부른다. 2009년 제 21회 일본 판타지아 대상을 수상하였으며 2010년 1월부터 후지미 판타지아 문고(후지미 쇼보)를 통해 발간되었다. 《월간 드래건 에이지》(후지미 쇼보)의 2010년 11월 호부터 2013년 8월 호까지 아바라 헤이키가 작화를 맡아 만화 판이 연재되었다. 같은 해 12월 19일에는 마리 엔터테인먼트를 통해 드라마 CD가 발매되었다. 2013년 7월 TV 애니메이션 방송이 시작되었다. 목차 1 줄거리 2 등장 인물 2.1 주요 인물 2.2 사자의 계곡(네크로폴리스)의 주민 2.3 사령도시 오르타스 2.4 고라 학원 반 친구들 2.5 봉인 도시 오스티아 2.6 이능력자 2.7 마녀여단(카븐) 3 설정 3.1 원작 3.2 만화 4 TV 애니메이션 4.1 스태프 4.2 주제가 4.3 각화 리스트 4.4 일본 방송국 4.5 블루레이 디스크 / DVD 4.6 Web 라디오 5 각주 6 외부 링크 줄거리[편집] 15년 전부터 더이상 사람들이 태어나지 않게 되었으며, 동시에 죽은 자들이 살아 생전처럼 움직이는 세계가 되었다. 그 세계에서 아이는 묘지기(죽은 자에게 안식을 주는 직업)로서 마을 사람들의 존경을 받고 있다. 그러나 어느날 찾아 온 식인 장난감이라 스스로를 밝힌 존재로부터 모든 일의 진상을 알게된다. 살고 있던 마을 주민은 전부 죽은 자들이며, 그녀가 믿고 있던 양친에 대한 사실들도 거짓이었다. 그녀는 그들을 애도한 후에 파탄해가고 있는 세계를 구하기 위해 결심을 하고는 같은 묘지기인 상처를 가진 자와 식인 장난감을 쫓아온 유리와 함께 여행을 떠난다. 등장 인물[편집] 드라마 CD판과 애니메이션 판의 성우가 다른 경우만 따로 표기. 그 외에는 같음. 주요 인물[편집] 아이 아스틴(Ai Astin) 성우 - 토요사키 아키 사자의 계곡(네크로폴리스) 출신 묘지기와 인간의 하프. 12세 소녀. 8살에 친어머니(아르파)를 잃고, 요키와 안나에 의해 키워졌으나, 함프니의 습격으로 마을이 괴멸되자 어쩔 수 없이 세계의 진실과 마주하게 된다. 사용 무기는 샤벨. 이 샤벨은 어머니의 유품. 묘지기 특유의 초신체능력을 가지고 있다. 정신적으로는 그 나이 또래와 비슷하나 세계를 구하려는 장대한 꿈을 품고 “포기하기 전까진 포기하지 않아”라고 단언할 정도로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지나치게 강한 그 의지는 광기에 가까울 정도로 위태로워 유리나 여행을 통해 만나게되는 사람들에게서 충고를 듣곤 한다. 단순하게 생과 사의 이치를 되돌리는 것으로는 세계를 구할 수 없다는 사실이 아이로 하여금 “세계를 구한다”는 꿈을 여러번 좌절하게 만든다. 결국 5권에서는 치명적인 실패를 하여 완전히 좌절해버린다. 식인 장난감(함프니 함바트, Hampnie Hambart)/키즈나 아스틴(Kizuna Astin) 성우 - 나미카와 다이스케 불노불사의 청년으로 알비노체질이라 피부가 희며, 태양 빛에 약하다. 본인이 직접 말하길 32~33살. 죽은 자의 존재를 용서하지 못하고 방랑하면서 죽은 자를 모조리 사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식인 장난감(함프니 함바트)라는 별명이 붙었다. 하나라는 이름의 여자를 찾고 있다. 어떤 마을을 지나던 때에 그곳 주민들(죽은 자들)로부터 습격을 받자 스스로 정한 룰에 따라 그들을 괴멸시키는 것이 스토리의 시작이다. 그의 이능력은 불노불사. 사망해도 죽은 자가 되지 않으며 상처 하나 없는 상태로 되살아난다. 아이와 만나기 전까지는 “한 번 죽는 것으로 건강한 원래 상태로 돌아간다”며 악취미적으로 능력을 이용하고 있었다. 그의 근원의 바람은 “행복하게 죽는 것”이며, 그가 바라는 죽음의 조건 모두를 충족했을 경우 이 불사 능력은 사라진다. 1권 끝부분에 “아내를 잃고, 딸을 울리고, 친구와 묘지기에게 신세를지고, 미련을 남기다”라는 바람대로 죽음을 맞이해버리며 다른 산 자들이 그랬듯이 그도 죽은 자로서 되살아난다. 함프니는 죽은 자를 용서하지 않기에 자신도 예외가 아니지만 단 하루만 그 룰을 꺾고 아버지로서 아이에게 다가가 딸의 손에 매장된다. 아르파/하나 아스틴(Hana Astin) 성우 - 고토 유코(드라마 CD판) / 사토 리나(애니메이션 판)[주 1]. 아이의 친어머니. 마을 사람들로부터 살아 생전에는 당찬 인상의 묘지기였다는 얘기를 듣곤 한다. 사실 감정을 가지고 있는 등 “망가진” 묘지기이다. 용모는 아이가 16살 정도로 커진다면 그녀와 같은 모습이 될 거라고 한다. 지옥과 같은 세상 속에서도 사람들이 희망을 가지는 장소로써의 “천국”을 만든 장본인. 하나 자신은 이것은 어디까지나 자신의 일이며, 아이에게는 아이만의 미래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스토리 시작 4년 전에 사망한다. “원초의 묘지기”로도 일컬어지며 아이가 스카보다도 상위 개체인 것으로부터 어머니인 그녀 역시도 특수한 존재였을 거라 생각되나 자세한 이야기는 불명. 상처를 가진 자(스카, Scar) 성우 - 노토 마미코 묘지기 여성. 오른쪽 눈썹에서 눈꺼풀까지 상처를 가지고 있어 상처를 가진 자(스카)라고 불린다. 본인도 그렇게 불리는 것을 좋아한다. 함프니의 판단으로는 초대 묘지기라 한다. 이 세계에서 말하는 이른바 ”보통의 묘지기”. 언제나 웃는 얼굴로 대답하면서도 감정과 같은 종류의 것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완력이 강하다. 살아있는 자들로부터의 “질문, 검색”에는 기계적인 대응을 한다. 그러나 “상처를 가진 자”라는 이름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아이를 보면서 “묘지기의 기능을 뛰어넘고 싶어”라고 바라는 등 일반적인 묘지기에게는 볼 수 없는 면도 가지고 있다. 2권에서 세리카의 목소리에 이끌려 묘지기이면서도 사람의 어머니가 되었다. 죽은 자가 존재하지 않는 오스티아에서도 자아를 유지할 수 있어 단순한 묘지기를 초월한 능력을 계속 보인다. 사자의 계곡(네크로폴리스)의 주민[편집] 마을의 이름은 등장하지 않으나 원작 제 1권에 마을의 통칭명은 기제되어 있다. 원초의 묘지기 아르파가 주도해 만든 살아있는 자와 죽은 자가 공존하는 천국. 처음에는 완전하게 기능하고 있었으나 4년 전에 아르파가 사망함과 동시에 시스템이 붕괴되었다. 아이의 존재로 묘지기의 정기 순회를 회피할 수 있었으며, 마을을 방문하는 자를 습격해 존속을 꾀하는 죽은 자의 계곡이 되어버렸다. 결국 마을을 지나가던 함프니에게 손을 뻗치다가 반격당해 괴멸당한다. 47명의 마을 사람들 모두 아이가 매장해주었다. 요키(Yōki) 성우 - 노지마 히로후미 아이를 돌보는 청년. 아이의 양아버지와 같은 존재. 안나와는 부부. “마을”에 유일한 살아있는 자. 다른 살아있는 자를 먹고 존속하는 마을의 악마적인 부분과, 그를 위해 마을 사람들이 아이를 이용해 먹고 있는 현실에 근심하고 있다. 함프니 습격 시에 그가 놓아주었으나, 안나를 쫓아가 자살한다. 시체는 안나와 같은 묘에 매장되었다. 안나(Anna) 성우 - 와타나베 아케노 아이를 돌보주던 여성. 아이의 양엄마와 같은 존재. 요키와 부부 사이. 죽은 자이기에 썩는 냄새를 숨기기 위해 향수를 항상 사용하고 있다. 요키와 같은 정직한 성격이라 아이를 마을로부터 떨어뜨려 놓는 것이 아이를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함프니의 습격으로 머리에 구멍이 뚫려 죽는다. 시체는 요키와 같은 묘에 매장되었다. 유토(Yūto) 성우 - 마루야마 에이지 아이와 친했던 농부. 아이는 그를 무뚝뚝했지만 그 목소리 어딘가에 다정함이 느낄 수 있었다고 말한다. 죽은 자가 되어 생존 본능만이 극대화되어 멋대로 행동하게 되는 것을 숨겨왔다. 몸을 앞세워 아이를 보호하려는 자세에는 함프니도 감탄한다. 함프니의 습격으로 머리에 구멍이 뚫려 죽었으며, 시체는 불타버렸다. 아이가 그 재를 매장했다. 히코츠(Hikōtsu) 성우 - 요시노 히로유키 천국을 목표로하는 죽은 자들의 리더. 함프니에 의하면 그는 벌써 살아 생전의 모습과는 달리 살인충동을 가지고 있으며, 뇌의 부패가 상당히 진행되었고, 언동이 파탄된 상태이다. 함프니가 죽은 자를 용서치 않는 모습을 보고는 그는 아무런 근거도 없이 함프니의 모습에 자신을 미화시켜 투영하고는 “나라면 함프니를 죽일 수 있다”고 호언 장담하며 깝친다. 함프니의 바람을 듣고는 정신 착란을 일으키고 천국이 붕괴하는 것에 절망할 정도의 인간성은 남아있는 듯 하다. 그들 집단의 반은 함프니의 자폭으로 섬멸되었다. 남은 자들도 아이와 유리에게 소탕된다. 딱히 언급되지는 않았으나 그들의 시체는 매장되었다고 보여진다. 사령도시 오르타스[편집] 울라 에울레우스 헤크마티카(Ulla Euleus Hecmatika) 성우 - 코마츠 미카코 오르타스의 공주. 통칭 “코로시오하케”. 공식적으로 모습을 드러낼 때에는 언제나 눈가리개와 마스크를 착용해 얼굴을 막고 있다. 사실 그녀는 그녀를 본 자, 말을 건 자, 만진 자 중 살아있는 자를 모조리 죽이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오르타스에서 그녀가 유일한 살아있는 자였고, 이러한 사실을 아이와 만나고서 처음 알게 되었다. 키리코 즈브레스카(Kiriko Zubreska) 성우 - 카키하라 테츠야 울라를 섬기는 소년. 사실은 “고국(오리아스)”, “악역(폭스)”, “강공(렉스)”, “홍설(디바)”, “절검(벨에라)”라는 5인의 죽은 자 결격오망성(라프스타)로부터 급한대로 긁어 모아 만든 인조인간. 세리카 헤크마티카 울라의 쌍둥이 언니. 동생과는 달리 이 세상에 태어난 이후 전혀 나이를 먹지 않은 아기 상태였으나 오르타스의 죽은 자를 모두 없애자 성장을 하였으며 상처를 가진 자를 어머니로 인식한다. 샷드 성우 - 키무라 료헤이 울라의 가면을 만든 장인으로 라이온씨라 불린다. 고라 학원 반 친구들[편집] 타냐 스웻지우드(Tanya Swedgewood) 성우 - 이마이 아사미 원작 3권부터 등장 시력이 전혀 없는 Q클래스의 위원장. 이능력은 풍경을 소리로 감지하는 “영리안(零里眼)” 룬 사지타리우스(Run Sagittarius) 성우 – 타카하시 미나미(高橋未奈美) 푸른 머리카락의 소녀. 이능력은 “수중호흡” 볼라스 파렌(Volrath Fahren) 성우 - 하라 사유리 사체조정사 견습생인 안경 소녀. 이능력은 “초악력(超握力)” 하디 볼라스의 연인. 미미에타 게덴버그(Mimieta Gedenburg), 메메포 게덴버그(Memepo Gedenburg) 성우 - 카쿠마 아이 귀족의 딸의 세 쌍둥이. 이능력은 2명의 몸을 3명이 공유하는 “1.5중 인격” 기기 토토기 22세 남성. 10년간 동면 상태로 지내던 중 발견되었기 때문에 겉모습은 12살 정도로 보인다. 봉인 도시 오스티아[편집] 알리스 칼라(Alis Color) 성우 - 우치야마 코우키 원작 제 3권부터 등장(정확히는 원작 2권 최종 페이지에 등장) 이능력은 노리고 있는 장소로 사냥감을 날러벼리는 “권총먹기(버저비터)” 작중에서는 신체의 한계를 뛰어넘어 무리하는것으로 능력을 증폭시킴. 8권에서는 나인을 죽이기위해 심장을 던져 은빛 총알을 만들어내 그대로 날렸다. (여담으로 이 총알이 아이가 죽은 이유이다.) 디 엔지 스트라트미토스(Dee Ensy Stratmitos) 성우 - 키타무라 에리 원작 제 3권부터 등장 서쪽의 마녀. “유령” 이능력자[편집] 진(더스트 빌리버) 죽은 자의 나라, 오르타스의 독립대사. 홍(紅)의 귀부인. 노이레휀 살아있는 자의 나라, 훼르미고라의 귀족. 부유(浮遊)하는 소년. 마키아 일렉토스 통칭 ”파괴권(브로큰 피스트)” 마녀여단(카븐)[편집] 마담 익스프레스 레기온즈 헤이브 숀 설정[편집] 세계관 본편이 시작되기 15년 전 즈음, 사람이 죽지 않게 되고, 사람 사이에서 아이가 태어나지 않게 되었다. 그리하여 도처에서 죽은 자를 묻기 위해 묘지기가 나타났으며, 마음 속 깊은 바람이 “이능력”이라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죽은 자 사망해 죽은 몸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활동하는 존재. 세계 전체로는 역병의 유행으로 2억 정도의 인구가 존재하며 전체로 보면 소수파이다. 죽은 자는 생전의 기억과 인격 그대로 되살아나며, 얼마 동안은 살아 생전과 차이가 없으나, 몸이 “생명 활동을 정지한 죽은 몸”이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 수록 육체는 부패하기 시작한다. 이 부패에는 죽은 자의 뇌도 예외가 아니기 때문에 전두엽을 시초로 이성을 유지하도록 해주는 기관부터 순서대로 기능이 저하되어가며, 결국에는 생존 본능만이 극대화되어 멋대로 행동하게 된다. 살아 있는 자와 같이 생존 활동을 뇌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머리 부분을 파괴하면 물리적으로 움직일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묘지기에게 매장되기까지는 진정한 의미로는 죽은 것이 아니다. 묘지기 아름다운 외관을 가진 사람 형태의 존재. 공통적으로 죽은 자를 묻기 위해 스코프를 휴대하고 있다. 죽은 자를 묻는 것을 최고의 행동이념으로 삼고 있으며 원칙적으로는 죽은 자의 의사와 상관 없이 강제로 매장한다. 총 숫자는 밝혀진 바 없으나 함프니가 “파리보다도 지조도 없이 솟아나고 있다”고 평가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번개를 동반하면서 허공에서부터 같은 얼굴의 묘지기가 대량으로 출현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능(이능력) 진심으로 마음 속 깊은 곳에서 강하게 “바라는 것”으로 세계의 주인에게 “바람이 이루어 지는” 형태로 발현되는 힘. 대표적으로는 함프니의 불노불사나 울라의 살계 등이 있다. 이 세계에는 “진심이 담긴 바람”은 이루어진다고 여겨지고 있으며, 이를 뒤집어 얘기하면 이루어지지 않은 “바람”은 진심이 아니라는 뜻이 된다. 원작[편집] 이리에 키미히토, 후지미 판타지아 문고(후지미 쇼보) 신이 없는 일요일 2010년 1월 25일 초판, ISBN 978-4-8291-3477-1 신이 없는 일요일 II 2010년 5월 25일 초판, ISBN 978-4-8291-3521-1 신이 없는 일요일 III 2010년 10월 25일 초판, ISBN 978-4-8291-3579-2 신이 없는 일요일 IV 2011년 2월 25일 초판, ISBN 978-4-8291-3612-6 신이 없는 일요일 V 2011년 6월 25일 초판, ISBN 978-4-8291-3649-2 신이 없는 일요일 VI 2011년 11월 19일 초판, ISBN 978-4-8291-3699-7 신이 없는 일요일 VII 2012년 4월 20일 초판, ISBN 978-4-8291-3738-3 신이 없는 일요일 VIII 2013년 7월 20일 초판, ISBN 978-4-8291-3912-7 문고판・카도카와 문고, 일러스트:isuZu 신이 없는 일요일 묘지기 소녀(2013년 5월 25일, ISBN 978-4-04-100841-6) 신이 없는 일요일 II 죽은 자의 나라(2013년 5월 25일, ISBN 978-4-04-100842-3) 신이 없는 일요일 III 산 자의 학원(2013년 7월 25일 예정, ISBN 978-4-04-100916-1) 만화[편집] 작화 :아바라 헤이키, 드래건 코믹스 에이지(후지미 쇼보) 2011년 6월 9일 초판, ISBN 978-4-04-712728-9 2012년 4월 9일 초판, ISBN 978-4-04-712779-1 2012년 11월 8일 초판, ISBN 978-4-04-712837-8 2013년 8월 9일 초판 예정, ISBN 978-4-04-712888-0 TV 애니메이션[편집] 2013년 7월부터 방송 중이다. 감독은 쿠마자와 유우지이며 캐릭터 디자인은 미야마에 신이치, 음향감독은 모토야마 사토시, 그리고 애니메이션 제작은 매드하우스가 담당하고 있다. 2012년에 방송되었던 오다노부나노 야보우의 메인 스태프들이 함께하고 있다. 스태프[편집] 원작 - 이리에 키미히토(후지미 판타지아 문고 후지미 쇼보 발간) 원작 일러스트 - 시노 감독 - 쿠마자와 유우지 시리즈 구성 - 콘바루 토모코 캐릭터 디자인 & 총작화감독 - 미야마에 신이치 프로프디자인 - 나카노 료코 미술설정 - 카네히라 카즈시게 미술감독 - 시미즈 쥰코 색체설계 - 오오노 하루에 3D감독 - 유부타 슈헤이 촬영감독 - 카와시타 히로키 편집 - 키무라 카시코 음향감독 - 모토야마 사토시 음악 - 히로미 미즈타니 음악제작 - STAR CHILD 레코드 프로듀서 - 나카노 마유미, 야마나카 타카히로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하시모토 겐타로 애니메이션 제작 - 매드하우스 제작 – 카미나이(神ない) 제작 위원회 주제가[편집] 오프닝 테마「Birth」 작사, 작곡 - 야마구치 아키히코 / 편곡 - 에이지 카와이 / 노래 - 키타무라 에리 엔딩 테마「끝나지 않는 멜로디를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작사, 작곡, 편곡 - 나카무라 히로시 / 노래 - 코마츠 미카코 각화 리스트[편집] 화 서브 타이틀 제 1화 죽음의 계곡I 제 2화 죽음의 계곡II 제 3화 죽음의 계곡III 제 4화 오르타스I 제 5화 오르타스II 제 6화 오르타스IIl 제 7화 고라 학원I 제 8화 고라 학원II 제 9화 묘지기가 태어난 장소 제 10화 3학년 4반I 제 11화 3학년 4반II 제 12화(完) 3학년 4반III 일본 방송국[편집] 방송지역 방송국 방송기간 방송일시 방송계열 비고 도쿄도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 2013년 7월 6일 - 토요일 25:30 - 26:00 전국 독립 방송 협의회 사이타마현 TV 사이타마 2013년 7월 7일 - 일요일 25:00 - 25:30 치바 현 지바 TV 카나가와 현 TV 가나가와 효고현 선 TV 2013년 7월 8일 - 월요일 24:30 - 25:00 교토부 교토 방송 월요일 25:00 - 25:30 전국 방송 AT-X 2013년 7월 9일 - 화요일 20:00 - 20:30 CS 방송 재방송 있음 아이치현 TV 아이치 화요일 27:05 - 27:35 TXN(TV 도쿄계열) 일본 전국 NTT 도코모 애니메이션 스토어(d마켓) 2013년 7월 10일 - 수요일 12:00 갱신 인터넷 텔레비전 [주 2] 니코니코 생방송 수요일 23:00 - 23:30 [주 3] BS11 2013년 7월 12일 - 금요일 23:00 - 23:30 BS방송 ANIME+ 반다이 채널 2013년 7월 26일 - 금요일 12:00 갱신 인터넷 텔레비전 니코니코 채널 블루레이 디스크 / DVD[편집] 권 발매일 수록화 규격 물품 번호 BD DVD BD DVD 1 2013년 9월 25일 예정 제 1화 – 제 3화 제 1화 – 제 2화 KIXA-90357 KIBA-2047 2 2013년 10월 23일 예정 제 4화 – 제 6화 제 3화 – 제 4화 KIXA-90358 KIBA-2048 3 2013년 11월 27일 예정 제 7화 – 제 9화 제 5화 – 제 6화 KIXA-90359 KIBA-2049 4 2013년 12월 25일 예정 제 10화 – 제 11화 제 7화 – 제 8화 KIXA-90360 KIBA-2050 5 2014년 1월 22일 예정 제 12화 – 제 13화 제 9화 – 제 10화 KIXA-90361 KIBA-2051 6 2014년 2월 26일 예정 - 제 11화 – 제 13화 - KIBA-2052 Web 라디오[편집] 《신이 없는(神ない) 라디오 사유리(紗友里)와 아이(亜衣)의 일요일》이라는 타이틀로 2013년 6월 30일부터 히비키 라디오 스테이션을 통해 방송 중. 매주 일요일 갱신된다. 출연자는 볼라스 파렌(Volrath Fahren) 역의 하라 사유리와 미미에타 게덴버그(Mimieta Gedenburg) 및, 메메포 게덴버그(Memepo Gedenburg) 역의 카쿠마 아이. 각주[편집] ↑ 사토가 몸이 안 좋아 급히 변경되었다 ↑ 제 1화만 6월 29일 18:00에 선행 방송(48시간 선착 2000명 한정) ↑ 제 1화는 7월 1일 23:00 - 23:30에 선행 방송(선착 2000명 한정) 외부 링크[편집] 후지미 쇼보|신이 없는 일요일 드라마 CD 신이 없는 일요일 / 마린 엔터테인먼트 TV 애니메이션 “신이 없는 일요일” 공식 사이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신이_없는_일요일&oldid=21872096" 분류: 후지미 판타지아 문고일본의 판타지 소설2010년 소설월간 드래곤 에이지판타지 만화일본의 라이트 노벨드라마 CD2013년 애니메이션UHF 애니메이션라이트 노벨의 애니메이션화 작품매드하우스2013년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Bahasa Indonesia日本語РусскийTagalog中文文言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7월 26일 (목) 01: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신이 없는 일요일》(일본어: 神さまのいない日曜日)은 이리에 키미히토가 쓴 일본의 라이트 노벨이다. 삽화는 시노가 담당했다. 줄여서 카미나이(神ない), 카미니치(神日) 등으로 부른다. 2009년 제 21회 일본 판타지아 대상을 수상하였으며 2010년 1월부터 후지미 판타지아 문고(후지미 쇼보)를 통해 발간되었다. 《월간 드래건 에이지》(후지미 쇼보)의 2010년 11월 호부터 2013년 8월 호까지 아바라 헤이키가 작화를 맡아 만화 판이 연재되었다. 같은 해 12월 19일에는 마리 엔터테인먼트를 통해 드라마 CD가 발매되었다. 2013년 7월 TV 애니메이션 방송이 시작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코로시오하케가 공식 석상에서 눈가리개와 마스크를 해 얼굴을 막고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Assistant: 그녀는 그녀를 본 자, 말을 건 자, 만진 자 중 살아있는 자를 모조리 죽이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Human: 아래 서울광진우체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서울광진우체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울광진우체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7° 32′ 16″ 동경 127° 05′ 24″ / 북위 37.5377351° 동경 127.0899118°  / 37.5377351; 127.0899118 서울광진우체국 기본 정보종류 우체국위치 서울특별시 광진구 강변역로 2관할지역 서울특별시 광진구·성동구 일원현황 홈페이지 http://www.koreapost.go.kr/se/143/ 서울광진우체국(서울廣津郵遞局)은 서울 광진·성동 지역의 우편 서비스 및 우체국금융 서비스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서울지방우정청 소속 우체국이다. 서울특별시 광진구 강변역로 2에 있다. 목차 1 기본 정보 2 연혁 3 관할 우체국 4 조직 5 각주 6 외부 링크 기본 정보[편집] 주소: 서울특별시 광진구 강변역로 2 (구의동) 우편번호: 05048 연혁[편집] 1997년 9월 8일: 서울광진우체국 개국 (2과 11계) 1997년 10월 1일: 서울광진우체국 직제개편 (4과 1실) 2000년 11월 13일: 서울성동우체국 편입 (1996.12.12. 업무개시) 2001년 7월 2일: 서울중곡3동우편취급소 개국[1] 2004년 12월 1일: 서울광진우체국 직제개편 (3과 1실) 2005년 1월 1일: 세종대학교우체국 폐국[2] 2009년 7월 27일: 동서울우편물류센터 편입 (2006.07.01. 업무개시) 2010년 11월 1일: 서울성동우체국 관서급 조정 (6급국 → 5급국) 2013년 12월 31일: 서울금호4가우체국 폐국[3] 2014년 1월 1일: 우편구역을 다음과 같이 고시[4] 서울광진우체국 관할 우편구역 배달국 배달구역 구역번호 서울광진우체국 광진구 전지역, 성동구 전지역 04900 ~ 0512004700 ~ 04809 2014년 7월 4일: 세종대학교출장소 폐국[5] 2014년 9월 26일: 서울자양아파트우편취급국 폐국[6] 2015년 7월 1일: 서울광진우체국 직제개편 (4과 1실) 2017년 1월 2일: 우편구역을 다음과 같이 고시[7] 서울광진우체국 관할 우편구역 배달국 배달구역 구역번호 서울광진우체국 광진구 전지역, 성동구 전지역 04900 ~ 0512004700 ~ 04809 관할 우체국[편집] 우체국명 사진 주소 비고 서울건국대학교우체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120(화양동) 건국대학교 학생회관 1층 서울경안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로 242(구의동) 서울광나루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로 80(광장동) 서울금호4가우체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금호로 48 (금호동4가) 2013년 12월 31일 폐국 서울금호동우체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금호로11길 2(금호동2가) 서울능동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면목로 17-1(군자동) 서울대림아파트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독서당로 434(응봉동) 서울뚝섬우체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뚝섬로3길 10(성수동1가) 서울마장동우체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고산자로 352(마장동) 서울성동우체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303(행당동) 서울성수노룬산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아차산로30길 25(자양동) 서울성수동우체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아차산로 104(성수동2가) 서울성수아파트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아차산로7길 28(성수동2가) 서울옥수동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독서당로 173(옥수동,극동그린아파트상가 1층) 서울왕십리우체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마장로 194(홍익동) 서울용답동우체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천호대로 378(용답동) 서울자양동우체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뚝섬로 640(자양동) 서울자양아파트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번영로4길 5 2014년 9월 26일 폐국 서울장로회신학대학교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로5길 25-1(광장동) 장로회신학대학교 서울중곡3동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용마산로 189(중곡동) 2001년 7월 2일 신설 서울중곡동우체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긴고랑로 68(중곡동) 서울테크노마트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나루로56길 85(구의동) 테크노마트 서울한양대학교우체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222(사근동) 한양대학교 서울화양동우체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나루로 356(화양동) 세종대학교우체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군자동 산98 2005년 1월 1일 폐국 세종대학교출장소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209 (군자동) 2014년 7월 4일 폐국 조직[편집] 영업과 금융영업실 우편영업실 우편물류과 집배실 발착특수 운용실 소포물류과 소포실 소포물류실 지원과 경영지도실 지부실 각주[편집] ↑ 서울체신청고시 제2001-20호, 2001년 6월 14일. ↑ 서울체신청고시 제2004-49호, 2004년 12월 4일. ↑ 서울지방우정청고시 제2013-6호, 2013년 11월 27일. ↑ 서울지방우정청고시 제2013-7호, 2013년 12월 26일. ↑ 서울지방우정청고시 제2014-6호, 2014년 5월 30일. ↑ 서울지방우정청고시 제2014-18호, 2014년 9월 25일. ↑ 서울지방우정청고시 제2016-16호, 2017년 1월 5일. 외부 링크[편집] 서울광진우체국 웹사이트 vdeh 우정사업본부본부 직속 우정공무원교육원 우정사업정보센터 우정사업조달센터 지방우정청서울지방우정청국제우편물류센터 우체국 서울중앙 서울강남 서울광진 서울강서 광화문 서대문 동대문 서울마포 서울관악 서울은평 여의도 서울금천 서울성북 서울강동 서울송파 서울양천 서울동작 서울서초 서울용산 서울노원 서울중랑 서울도봉 서울구로 우편집중국 동서울 경인지방우정청안양우편물류센터 우체국 부천 인천 서인천 인천계양 남인천 인천남동 의정부 수원 동수원 군포 안양 성남 성남분당 안산 고양일산 고양덕양 남양주 시흥 광명 용인수지 평택 용인 화성 화성동탄 부평 서수원 이천 안성 포천 경기광주 파주 김포 구리 강화 가평 양평 여주 동두천 연천 백령 오산 하남 우편집중국 부천 의정부 안양 고양 성남 수원 부산지방우정청부산국제우체국 우체국 부산 동래 남부산 부산사상 부산금정 부산사하 해운대 북부산 부산연제 울산 남울산 마산 창원 진주 김해 부산진 양산 동부산 부산영도 통영 진해 거제 거창 기장 부산강서 동울산 거창 고성 남해 마산합포 밀양 사천 산청 의령 창녕 하동 함안 함양 합천 우편집중국 부산 진주 울산 창원 충청지방우정청우체국 대전 서대전 대전유성 대전대덕 대전둔산 천안 공주 청주 서청주 충주 제천 아산 동천안 세종 서산 논산 금산 홍성 예산 서천 당진 청양 부여 보령 태안 단양 괴산 진천 옥천 음성 영동 보은 우편집중국 대전 청주 천안 전남지방우정청우체국 광주 북광주 서광주 광주광산 목포 여수 순천 광양 나주 해남 강진 고흥 곡성 구례 담양 무안 보성 영광 영암 완도 장성 장흥 진도 함평 화순 우편집중국 광주 영암 경북지방우정청우체국 대구 동대구 서대구 북대구 대구달서 대구수성 포항 경주 안동 구미 경산 영주 상주 달성 김천 영천 의성 문경 울진 예천 영덕 봉화 칠곡 청도 청송 성주 군위 영양 고령 울릉 우편집중국 대구 안동 포항 전북지방우정청우체국 전주 동전주 군산 익산 정읍 김제 완주 남원 부안 무주 임실 진안 순창 고창 장수 우편집중국 전주 강원지방우정청우체국 춘천 원주 강릉 삼척 동해 속초 양구 양양 영월 인제 정선 철원 태백 평창 홍천 화천 횡성 우편집중국 원주 강릉 제주지방우정청우체국 제주 서귀포 우편집중국 제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서울광진우체국&oldid=23771307" 분류: 서울특별시 소재의 우체국서울 광진구 소재의 관공서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2월 26일 (화) 04:3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서울광진우체국(서울廣津郵遞局)은 서울 광진·성동 지역의 우편 서비스 및 우체국금융 서비스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서울지방우정청 소속 우체국이다. 서울특별시 광진구 강변역로 2에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서울광진우체국에서 관할하는 우체국은 어디인가요? Assistant: 우체국명 사진 주소 비고 서울건국대학교우체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120(화양동) 건국대학교 학생회관 1층 서울경안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로 242(구의동) 서울광나루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로 80(광장동) 서울금호4가우체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금호로 48 (금호동4가) 2013년 12월 31일 폐국 서울금호동우체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금호로11길 2(금호동2가) 서울능동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면목로 17-1(군자동) 서울대림아파트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독서당로 434(응봉동) 서울뚝섬우체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뚝섬로3길 10(성수동1가) 서울마장동우체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고산자로 352(마장동) 서울성동우체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303(행당동) 서울성수노룬산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아차산로30길 25(자양동) 서울성수동우체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아차산로 104(성수동2가) 서울성수아파트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아차산로7길 28(성수동2가) 서울옥수동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독서당로 173(옥수동,극동그린아파트상가 1층) 서울왕십리우체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마장로 194(홍익동) 서울용답동우체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천호대로 378(용답동) 서울자양동우체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뚝섬로 640(자양동) 서울자양아파트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번영로4길 5 2014년 9월 26일 폐국 서울장로회신학대학교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로5길 25-1(광장동) 장로회신학대학교 서울중곡3동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용마산로 189(중곡동) 2001년 7월 2일 신설 서울중곡동우체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긴고랑로 68(중곡동) 서울테크노마트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나루로56길 85(구의동) 테크노마트 서울한양대학교우체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222(사근동) 한양대학교 서울화양동우체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나루로 356(화양동) 세종대학교우체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군자동 산98 2005년 1월 1일 폐국 세종대학교출장소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209 (군자동) 2014년 7월 4일 폐국
Human: 아래 동춘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동춘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춘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비슷한 이름의 동촌역에 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동춘(스퀘어원) 역명판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인천교통공사 소재지 인천광역시 연수구 경원대로 180 좌표 북위 37° 24′ 14.93″ 동경 126° 40′ 48.45″ / 북위 37.4041472° 동경 126.6801250°  / 37.4041472; 126.6801250 개업일 1999년 10월 6일 역 번호 I131 승강장 구조 2면 2선 노선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계양 기점 21.9 km ← 원인재 (1.1 km) 동막 →(1.0 km) 동춘역(東春驛)은 인천광역시 연수구 동춘동에 위치한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전철역이다. 부역명은 초기에는 나사렛국제병원이였으나, 이후 2012년 10월 5일에 인근에 스퀘어원이 개점되면서 스퀘어원으로 변경되었다. 인천 남동인더스파크 역시 인근에 있다. 목차 1 역사 2 역 구조 2.1 승강장 3 역 주변 4 이용객 변동 5 인접한 역 6 각주 7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94년 3월 19일 : 동춘역으로 역명 결정[1] 1999년 10월 6일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2] 2012년 10월 5일 : 스퀘어원 개점으로 인해 부역명을 나사렛국제병원에서 스퀘어원으로 변경 역 구조[편집]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이다.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편집] 원인재 ↑ 하 | | 상 ↓ 동막 상행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원인재·부평·귤현·계양 방면 하행 동막·센트럴파크·국제업무지구 방면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할 수 없는 횡단불가 역이다. 역 주변[편집] 남동인더스파크 2단지 여성의 광장(연수수도사업소) 이마트 연수점(구 동춘점)(연결되어 있다.) 일렉트로마트 연수점 연수구청 스퀘어원 홈플러스 인천연수점 CGV 인천연수 영풍문고 인천스퀘원점 이용객 변동[편집]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인천1호선 승차 7,117 6,956 6,994 7,720 7,222 7,185 7,105 7,953 8,369 9,003 [3] 하차 7,767 7,610 7,406 7,816 7,307 7,292 7,224 8,159 8,684 9,255 승하차 14,884 14,606 14,400 15,536 14,529 14,477 14,328 16,113 17,053 18,258 노선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인천1호선 승차 10,262 10,374 9,901 9,997 9,970 하차 10,545 10,545 9,969 10,088 10,365 승하차 20,807 20,919 19,870 20,085 20,335 인접한 역[편집] 인천 도시철도 1호선 I130 원인재계양 방면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I132 동막국제업무지구 방면 각주[편집] ↑ 인천직할시고시 제94-35호, 1994년 3월 19일. ↑ 인천광역시지하철공사공고 제1999-54호, 1999년 10월 4일. ↑ 인천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 일반 자료실 외부 링크[편집] 인천교통공사 동춘(스퀘어원)역 (철도 통합정보시스템) vdeh인천 도시철도 1호선계양 - 귤현 - 박촌 - 임학 - 계산 - 경인교대입구 - 작전 - 갈산 - 부평구청 - 부평시장 - 부평 - 동수 - 부평삼거리 - 간석오거리 - 인천시청 - 예술회관 - 인천터미널 - 문학경기장 - 선학 - 신연수 - 원인재 - 동춘 - 동막 - 캠퍼스타운 - 테크노파크 - 지식정보단지 - 인천대입구 - 센트럴파크 - 국제업무지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동춘역&oldid=24456800" 분류: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인천 연수구의 전철역1999년 개업한 철도역숨은 분류: 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Ido日本語Norsk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0일 (목) 21: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동춘역(Dongchun station, 東春驛)은 인천광역시 연수구 동춘동에 위치한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전철역이다. 부역명은 초기에는 나사렛국제병원이였으나, 이후 2012년 10월 5일에 인근에 스퀘어원이 개점되면서 스퀘어원으로 변경되었다. 인천 남동인더스파크 역시 인근에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동춘역과 가장 가까운 구청은 어디인가? Assistant: 연수구청 Human: 아래 니콜라_부르바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니콜라 부르바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니콜라 부르바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수학 원론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에우클레이데스의 저서에 대해서는 원론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부르바키의 《집합론》 1970년 판 표지 니콜라 부르바키(프랑스어: Nicolas Bourbaki 프랑스어 발음: ​[nikɔla buʁbaki])는 20세기에 프랑스를 중심으로 활동한 수학자들의 단체가 사용한 가명이다. 부르바키의 회원들은 1935년부터 현대 수학을 집합론을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저술 활동을 시작, "니콜라 부르바키"라는 이름으로 책을 발표했다. 그들의 저술은 최대한의 엄밀성과 일반성을 추구한 것으로 유명하다. 부르바키의 정체가 밝혀지기 전까지, '부르바키 그룹'은 공식적으로는 "니콜라 부르바키의 공동 작업자 협회"(Association des collaborateurs de Nicolas Bourbaki)라는 명칭으로 파리의 고등사범학교에 사무소를 두고 활동했다. 목차 1 저작 2 회원들 3 참고 문헌 4 외부 링크 저작[편집] 부르바키는 현대 수학의 대부분을 자기 완비된 형태로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학 원론》(Éléments de mathématique)을 저술했다. 다음은 《수학 원론》에 속하는 책들의 목록으로, 괄호 안은 프랑스어 원제목이다. 번호 제목 원어 제목 장 수 쪽 수 출판 연도 1 집합론 Théorie des ensembles 4 352 1970 2 대수학 Algèbre 10 2011=654+432+489+212+224 1970~2012 3 일반위상수학 Topologie générale 10 710=376+334 1971~1974 4 실변수 함수론 Fonctions d’une variable réelle 7 336 1976 5 위상 벡터 공간 Espaces vectoriels topologiques 5 400 1981 6 적분론 Intégration 9 900=284+154+106+222+134 1959~1969 7 가환대수학 Algèbre commutative 10 1111=364+352+208+187 1968~1998 8 리 군과 리 대수 Groupes et algèbres de Lie 9 1170=146+320+288+272+144 1971~1982 9 스펙트럼 이론 Théories spetrales 2 168 1967 미분 가능 다양체와 해석다양체 Variétés différentielles et analytiques (fascicule de résultats) 198 1971 수학의 역사 Éléments d’histoire des mathématiques 376 1974 《미분 가능 다양체와 해석다양체》는 다양체에 대한 결과를 정리한 책("fascicule de résultats")으로, 한 권의 저술로 취급되지 않는다. 마지막 9부 《스펙트럼 이론》이 1983년에 출판되면서 부르바키의 활동은 잠정적으로 중단되었으나, 20세기 말에 추가로 가환대수학을 다루는 분책(fascicle)이 출판되었다. 부르바키가 써낸 책들은 상당수가 그 분야에서 표준 참고서적으로 자리잡았으나, 지나칠 정도로 간결한 문체로 인해 교재로는 부적합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50년대에는 현대 수학을 다루는 대학원 수준의 교재가 거의 없었기에, 부르바키의 영향력은 상당하였다.[1] 공집합을 나타내는 기호인 ∅ {\displaystyle \varnothing } 나 난해한 부분을 가리키는 '부르바키 급커브 기호'(tournant dangereux, ☡)와 함께, 유럽 언어에서 쓰이는 단사(프랑스어: injectif), 전사(프랑스어: surjectif), 전단사(프랑스어: bijectif) 등의 용어도 부르바키가 도입한 것이다. 수의 집합을 칠판 볼드체로 표시하는 것 또한 부르바키가 원조였다고 주장하는 이가 많지만, 이는 확실하지 않다. 해당 기호들이 프린스턴 대학 강의록이나 거닝(Gunning)과 로시(Rossi)의 다변수 복소함수록 교재에 등장할 때까지도 부르바키의 출판물에서는 일반적인 볼드체만을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부르바키 그룹의 회원이었던 장피에르 세르는 칠판 볼드체를 칠판 이외의 장소에 사용하는 것을 강하게 비난하였다. 회원들[편집] 모임의 초기 활동에 대해서는 불분명한 점이 많으나, 현재는 당시의 자료들이 대부분 공개된 덕택에 많은 정보가 밝혀져 있다. 부르바키에서 창립 회원으로 활동한 이들로는 앙리 카르탕, 클로드 슈발레, 장 쿨롱(Jean Coulomb), 장 델사르트(Jean Delsarte), 장 디외도네, 샤를 에레스만(프랑스어: Charles Ehresmann), 르네 드 포셀(프랑스어: René de Possel, 숄렘 만델브로이트(폴란드어: Szolem Mandelbrojt) 및 앙드레 베유 등이 있으며, 여기에 포함된 인물이 전부인지는 확실치 않다. 부르바키는 1934년 말 쯤에 이미 예비 모임을 갖기도 했는데,[2] 장 르레와 폴 뒤브레유는 예비 모임에는 참석했으나 정식 출범 이전에 탈퇴했다. 그 외에 나중에 참가한 이들 중에서 중요한 인물로는 로랑 슈바르츠, 장피에르 세르,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사무엘 에일렌베르크, 서지 랭 및 로제 고드망이 있다. 참고 문헌[편집] ↑ O'Connor, J. J.; E. F. Robertson (2005년 12월). “Bourbaki: the post-war years” (영어). … by 1958 when the original six books were completed, the first few of these books were already almost 20 years out of date.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Parshall, Karen V. H.; Liliane Beaulieu (1993년 3월). “Years Ago: A Parisian café and ten proto-Bourbaki meetings (1934–1935)” (PDF). 《The Mathematical Intelligencer》 15 (1): 27–35. doi:10.1007/BF03025255.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Guedj, Denis (1985년 6월 1일). “Nicholas Bourbaki, collective mathematician: an interview with Claude Chevalley”. 《The Mathematical Intelligencer》 (영어) 7 (2): 18–22. Zbl 0558.01035. doi:10.1007/BF03024169.  Borel, Armand (1998년 3월). “Twenty-five years with Nicolas Bourbaki, 1949–1973” (PDF). 《Notice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45 (3): 373–380. Zbl 0908.01009.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외부 링크[편집] (프랑스어) 니콜라 부르바키 공동연구자 협회 공식 웹사이트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PlanetMath, Nicolas Bourbaki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20155551 LCCN: n50042127 ISNI: 0000 0001 1881 3307 GND: 140993142 SELIBR: 178838 SUDOC: 034831541 BNF: cb12002825g (데이터) NDL: 00433995 NKC: mzk200321654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니콜라_부르바키&oldid=22399933" 분류: 니콜라 부르바키집단 가명프랑스의 수학자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CS1 - 영어 인용 (en)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폴란드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עבריתहिन्दीKreyòl ayisyenMagyarÍslensk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КыргызчаमराठीNederlandsNorsk nynorskPolskiPiemontèis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lovenčinaShqip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5일 (토) 12: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니콜라 부르바키(프랑스어: Nicolas Bourbaki 프랑스어 발음: ​[nikɔla buʁbaki])는 20세기에 프랑스를 중심으로 활동한 수학자들의 단체가 사용한 가명이다. 부르바키의 회원들은 1935년부터 현대 수학을 집합론을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저술 활동을 시작, "니콜라 부르바키"라는 이름으로 책을 발표했다. 그들의 저술은 최대한의 엄밀성과 일반성을 추구한 것으로 유명하다. 부르바키의 정체가 밝혀지기 전까지, '부르바키 그룹'은 공식적으로는 "니콜라 부르바키의 공동 작업자 협회"(Association des collaborateurs de Nicolas Bourbaki)라는 명칭으로 파리의 고등사범학교에 사무소를 두고 활동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부르바키의 예비모임은 몇년도 말 쯤에 가졌어? Assistant: 1934년
Human: 아래 홍천_수타사_홍우당_부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홍천 수타사 홍우당 부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홍천 수타사 홍우당 부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홍천수타사홍우당부도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수타사홍우당부도(壽陀寺紅藕堂浮屠) 강원도의 문화재자료 종목 문화재자료 제15호 (1984년 6월 2일 지정)수량 1기시대 조선시대위치 홍천 수타사주소 강원도 홍천군 동면 덕치리 25번지좌표 북위 37° 41′ 55″ 동경 127° 57′ 20″ / 북위 37.69861° 동경 127.95556°  / 37.69861; 127.95556좌표: 북위 37° 41′ 55″ 동경 127° 57′ 20″ / 북위 37.69861° 동경 127.95556°  / 37.69861; 127.95556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홍천 수타사 홍우당 부도(洪川 壽陀寺 紅藕堂 浮屠)는 강원도 홍천군 동면 덕치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승탑이다. 1984년 6월 2일 강원도의 문화재자료 제15호로 지정되었다. 목차 1 개요 2 현지 안내문 3 각주 4 참고 자료 개요[편집] 수타사로 들어가는 길 옆에는 7기의 부도가 서 있는데, 이 부도도 그 중의 하나이다. 부도란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 두는 곳으로, 이 부도는 '홍우당'이라는 호를 가진 승려의 사리를 모시고 있다. 땅 위로 드러난 사각 바닥돌 위로, 3단으로 이루어진 기단(基壇)을 두고, 납작한 공모양의 탑몸돌을 올린 후 지붕돌을 얹은 모습으로, 바닥돌을 제외한 대부분이 6각을 이루고 있다. 기단 중에서 아래받침돌은 옆면마다 선으로 무늬를 새기고, 윗면에는 두 겹의 연꽃잎을 둘러 새겼다. 가운데받침돌은 여섯 모서리에 마디가 있는 작은 기둥을 새겨두고, 면마다 직선으로 이루어진 무늬를 두었다. 윗받침돌은 아래와 대칭되는 두툼한 연꽃잎을 조각하여 장식하였다. 지붕돌은 윗면의 여섯 모서리선이 두툼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모서리에서 미끄러지는 각 귀퉁이가 위로 솟아있다. 꼭대기에는 낮은 받침돌 위로 공 모양과 꽃봉오리 모양의 돌이 차례로 놓여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 6각으로 이루어진 전체적인 구성양식으로 보아, 조선시대 즈음에 이 부도를 세웠을 것으로 짐작된다. 현지 안내문[편집] 이 홍우당 부도와 같은 유형은 고려말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에 전국적으로 만들어지는 대표적인 양식이다. 고려말까지는 지대석(地臺石)[1]만이 사각형이고 모든 부재[2]들이 8각형인데 비해, 조선시대에는 부도의 가운데 부분인 탑신부가 둥근 원형으로 변화되는 모습을 하고 있다. 이것은 경기 양주군 회암사의 지공·나옹·무학대사의 부도를 시작으로 전국에 확산되었다.[3] 사각형의 지대석(地帶石) 위에 전체적으로 6각형의 부도를 세웠다. 하대석의 각 면에는 한 개의 안상(眼象)[4]을, 기단 중석의 각 모서리에는 작은 기둥을 새겨 넣었다. 기단 상대석에는 위로 향한 연꽃이 매우 힘차 보인다.[3] 홍우당은 1611년(광해군 3)에 태어나 1689냔(숙종 15)에 돌아가신 스님으로, 비문의 글씨가 닳아 읽기가 어려우나, 남양 홍씨이고 법명(法名)은 선천(善天)임을 알 수 있다. 돌아가신 후 화장을 하였는데, 네모진 것 한 알과 둥근 은색 사리 두 알이 나오자 이를 봉안하였다. 비문은 스님이 돌아가신 다음 해인 1690년에 세워졌으므로 부도 역시 이 때 세워진 것으로 추정한다.[3] 각주[편집] ↑ 지대석(地臺石) : 기초부에 까는 받침돌 ↑ 부재 : 탑의 각 부분에 쓰인 재료 ↑ 가 나 다 현지 안내문 인용 ↑ 안상(眼象) : 탑 면석에 팔면의 오금곡선으로 안쪽을 파낸 모양 참고 자료[편집] 수타사홍우당부도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이 문서에는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한 국가문화유산포털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홍천_수타사_홍우당_부도&oldid=18977899" 분류: 강원도 (남)의 문화재자료홍천군의 문화재승탑조선의 조각1690년 작품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공공누리 제1유형 저작물을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7년 6월 24일 (토) 18: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홍천 수타사 홍우당 부도(洪川 壽陀寺 紅藕堂 浮屠)는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영귀미면 덕치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승탑이다. 1984년 6월 2일 강원특별자치도의 문화재자료 제15호로 지정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홍천 수타사 홍우당 부도에서는 승려의 사리를 모시는데 그 승려의 호는 뭐야? Assistant: 홍우당 Human: 아래 모리타_잇세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모리타 잇세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모리타 잇세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모리타잇세이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모리타 잇세이森田 一成 Issei Morita 한신 시절 기본 정보 국적 일본 생년월일 1989년 8월 4일(1989-08-04) (29세) 출신지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신장 185 cm 체중 98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좌타 수비 위치 1루수 프로 입단 연도 2007년 드래프트 순위 고교생 드래프트 3순위 첫 출장 2011년 7월 26일 마지막 경기 2013년 10월 8일 경력 한신 타이거스(2008 ~ 2014) 모리타 잇세이 일본어식 한자 표기: 森田 一成 가나 표기: もりた いっせい 국립국어원 표준 표기: 모리타 잇세이 통용 표기: 모리타 잇세이 로마자: Issei Moritaa 모리타 잇세이(일본어: 森田 一成, 1989년 8월 4일 ~ )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다.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출신이며 현역 시절 포지션은 내야수였다. 목차 1 인물 1.1 프로 입단 전 1.2 프로 야구 선수 시절 1.3 그 후 2 플레이 스타일 3 상세 정보 3.1 출신 학교 3.2 선수 경력 3.3 개인 기록 3.4 등번호 3.5 연도별 타격 성적 3.6 연도별 수비 성적 4 각주 5 외부 링크 인물[편집] 프로 입단 전[편집] 초등학교 1학년 때 소프트볼을 비롯해 3학년 때 연식 야구를 처음 시작했다. 간사이 고등학교에 진학해 1학년 가을부터 벤치에 앉았으나 오카야마현 대회 결승에서 오른쪽 어깨가 탈구돼 수술했기 때문에 당초 대타로 출전이 많았다. 2학년 춘계 2학년 하계, 3학년 춘계 등 3번이나 고시엔 대회에 출전했으며 3학년 춘계 대회에서는 8강에 진출했다. 고교 통산 홈런은 25개였다. 당시 한신 타이거스의 시니어 디렉터로 모리타의 장타력을 높게 평가했던 호시노 센이치의 추천도 있어[1] 2007년 고교생 드래프트에서 한신에게 3순위로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등번호는 64번. 프로 야구 선수 시절[편집] 2008년 시즌 후 오른쪽 어깨 부상의 영향으로 보류 선수 명단에서 제외됐고[2] 이듬해인 2009년에 육성 선수로 계약을 맺었다. 등번호도 122번으로 변경됐다. 9월 16일 웨스턴 리그 주니치 드래곤스전에서 6번·1루수로 선발 출장해 1점 뒤진 6회 기쿠치 마사노리에게 백 스크린을 맞추는 추정 비거리 140m 짜리의 대형 동점 솔로 홈런을 치면서 2군에서 프로 첫 홈런을 기록했다. 당시 왼쪽 허벅지 근육 파열로 2군에서 재활 중이던 크레이그 브라젤에게서 전날 타격 지도를 받아 즉시 실천한 일타가 됐다.[3] 2010년 지배하에 선수로 재등록됐고 등번호도 69번으로 변경됐다. 프레시 올스타 게임에도 출전했으며 10월 4일부터 26일까지 미야자키현에서 개최된 피닉스 리그에 참가해 4개의 홈런을 치며 전체 선수 중 공동 3위의 성적을 남겼다. 2011년에 처음으로 춘계 스프링 캠프에 발탁됐다.[2] 개막은 2군에서 시작했지만 6월에 2군 감독인 요시타케 하루키의 조언으로 변경한 타격 폼이 주효해 컨디션을 끌어올리면서 7월부터 2군 경기에서 4번 타자를 맡게 됐다.[2] 그 후 4번 타자로 선발 출전한 10경기에서 타율 3할 5리를 기록하며 호조를 이어나갔고 7월 26일에 첫 1군 승격을 완수했다. 승격 당일인 주니치전(한신 고시엔 구장)에서 5회에 대타로 첫 출전해 그 타석에서 2점 홈런을 날렸다. 첫 타석에서 홈런을 친 것은 일본 프로 야구 역대 51번째였으며 헤이세이 태생 및 한신 선수로서는 사상 최초의 기록이었다. 또한 대타로 프로 첫 타석 홈런은 역사상 13번째 기록이었다. 이 홈런으로 한신 타이거스 선수로서는 300번째 홈런을 날린 선수가 됐다.[4] 하지만 8월 7일에 쓰루 나오토와 교체돼 2군으로 강등됐고 8월 23일에 부상을 당한 크레이그 브라젤을 대신해서 다음 날에 다시 승격했다.[5] 8월 25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도쿄 돔)에서 7번·1루수로 첫 1군 선발 출전을 했다. 2012년에는 주로 2군에서 출전 기회를 가졌고 89경기에 출전해 77안타, 타율 0.277, 3홈런, 27타점을 올렸고 9월 17일에 처음으로 1군에 승격됐다.[6] 9월 23일 주니치전에서 시즌 첫 적시타를 때려냈다.[7] 2013년에는 웨스턴 리그에서 홈런왕(16개), 타점왕(69타점)의 타이틀을 획득했다. 1군 정착에는 이르지 못했으나 시즌 막판에는 1루수로 공식전 선발에 기용됐다.[8] 2014년에는 1군에서의 출전 기회는 없었고[9] 10월 28일에 방출 통보를 받았다. 2군에서의 성적은 84경기에 출전하여 59안타, 7홈런을 몰아치며 타율은 2할 7푼 3리였다.[10] 11월 9일에 시즈오카현 구사나기 구장에서 열린 12구단 트라이아웃에 참가하고 백 스크린에 홈런을 포함한 5타수 3안타 1볼넷이라는 결과를 남겼지만 타 구단의 오퍼없이 현역에서 은퇴했다. 12월 2일에 자유 계약이 공시됐다.[11] 그 후[편집] 2015년 5월에 미국으로 건너갔고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 프레스노 캠퍼스에서 영어를 배우고 있다.[12] 플레이 스타일[편집] 드래프트에서 지명을 추천했던 호시노로부터 “마쓰이 히데키나 나카타 쇼보다 타구를 날리는 힘이 더하다”라고 확실한 보증을 각인받았을 정도[13]의 장타력을 무기로 삼았다. 2군 코치인 야기 히로시로부터 변화구를 대응하는 교묘한 배트 컨트롤을 높게 평가받았다[14][15]. 한편 팀원이었던 크레이그 브라젤과는 몸집이 크고 비슷한 폼의 좌타자라는 공통점이 있었는데[16] 풍모도 비슷하여 ‘작은 브라젤’(小ブラゼル)이라고 불리기도 하였다.[4] 참고로 2013년 추계 스프링 캠프에서 한신의 ‘제너럴 매니저 지휘 육성 & 타격 코디네이터(DC)’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한 가케후 마사유키는 자신의 현역 시절에 클린업을 구성했던 랜디 바스(모리타처럼 체구가 컸고 장타력이 높은 좌타자에 1루수)를 본뜬 ‘작은 바스’(小バース)"라고 불렸다.[17] 한편 수비에는 아직 완벽하지 않아 2011년에 처음으로 1군으로 승격됐을 때도 대타로만 출전했다.[18] 그 후에는 웨스턴 리그의 공식전이나 연습에서 3루를 지키는 기회는 있었지만 1군과 2군 모두 지명 타자를 채택하지 않는 공식전에서 주전으로 기용될 경우에는 1루수로서 출전하는 일이 많았다. 상세 정보[편집] 출신 학교[편집] 간사이 고등학교 선수 경력[편집] 한신 타이거스(2008년 ~ 2014년) 개인 기록[편집] 첫 출장 : 2011년 7월 26일, 대 주니치 드래곤스 10차전(한신 고시엔 구장), 5회말에 노미 아쓰시의 대타로 출장 첫 타석·첫 안타·첫 홈런·첫 타점 : 상동, 5회말에 멕시모 넬슨으로부터 좌월 2점 홈런 ※역대 51번째의 첫 타석 홈런 첫 선발 출장 : 2011년 8월 25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18차전(도쿄 돔), 7번·1루수로서 선발 출장 등번호[편집] 64(2008년) 122(2009년 ~ 2010년 시즌 도중) 69(2010년 시즌 도중 ~ 2014년) 연도별 타격 성적[편집] 연도 소속 경기 타석 타수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루타 타점 도루 도루자 희생번 희생플 볼넷 고의사구 몸맞 삼진 병살타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2011년 한신 20 34 32 2 8 3 1 1 16 5 0 0 0 1 1 0 0 8 0 .250 .265 .500 .765 2012년 11 30 24 3 5 1 1 0 8 4 0 0 0 1 5 0 0 4 0 .208 .333 .333 .666 2013년 13 19 19 0 4 1 0 0 5 2 0 0 0 0 0 0 0 8 1 .211 .211 .263 .474 통산 : 3년 44 83 75 5 17 5 2 1 29 11 0 0 0 2 6 0 0 20 1 .227 .277 .387 .664 연도별 수비 성적[편집] 연도 1루 경기 척살 보살 실책 병살 수비율 2011 9 60 3 1 5 .984 2012 9 50 4 0 4 1.000 2013 3 24 1 0 1 1.000 통산 21 134 8 1 10 .993 각주[편집] ↑ 仙さん、虎・森田を指名後押し「松井秀以上」[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산케이 스포츠, 2011년 7월 27일 ↑ 가 나 다 4年目森田、阪神初の初打席初アーチ - 닛칸 스포츠, 2011년 7월 27일 ↑ 닛칸 스포츠, 2009년 9월 17일 ↑ 가 나 「小ブラゼル」森田 球団史上初のプロ初打席本塁打 - 스포츠 닛폰, 2011년 7월 27일 ↑ ‘阪神・ブラゼルが抹消、右太もも裏肉離れ’ - 산케이 스포츠, 2011년 8월 25일 ↑ 阪神・秋山が抹消、代わって森田が初昇格 Archived 2013년 12월 3일 - 웨이백 머신 - 산케이 스포츠, 2013년 7월 26일 ↑ 虎・森田、今季初タイムリー! Archived 2013년 12월 2일 - 웨이백 머신 - 산케이 스포츠, 2013년 7월 26일 ↑ 【阪神】森田先制打「結果出てよかった」 - 닛칸 스포츠, 2013년 7월 10일 ↑ “森田一成”. 일본 야구 기구. 2014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2014年度 阪神タイガース個人打撃成績(ウエスタン・リーグ)”. 일본 야구 기구. 2014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2014年度 自由契約選手 - 일본 야구 기구, 2014년 12월 2일 확인 ↑ もと阪神タイガースの森田一成さんが渡米!次の一歩は“学生”から - 2015년 5월 26일 ↑ 虎首位呼んだァ!森田が満塁一掃二塁打 - 산케이 스포츠, 2011년 3월 6일 ↑ 本間勝魅力の長打力(フレッシュオールスター出場)~阪神・森田一成内野手~ - 닛칸 스포츠, 2010년 6월 2일 ↑ 阪神・八木C「もっている運命」森田を祝福[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산케이 스포츠, 2011년 7월 27일 ↑ 阪神・森田がびっくり弾!“師匠”ブラゼルの祝福に涙?[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석간 후지, 2011년 7월 27일 ↑ 掛布DC命名 新井良は「小ミスター」 - 닛칸 스포츠, 2013년 11월 7일 ↑ 森田、抹消後初試合で再昇格アピール弾 - 데일리 스포츠, 2011년 8월 10일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개인 연도별 성적: 모리타 잇세이 - 일본 야구 기구 (NPB.jp)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모리타_잇세이&oldid=23313455" 분류: 1989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일본의 야구 선수일본 프로 야구 1루수한신 타이거스 선수오카야마시 출신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연도별 타격 성적을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23일 (일) 13:2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모리타 잇세이(일본어: 森田 一成, 1989년 8월 4일 ~ )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다.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출신이며 현역 시절 포지션은 내야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모리타 잇세이의 작은 바스란 별명은 그의 어떤 플레이 스타일 때문에 붙여졌을까 Assistant: 드래프트에서 지명을 추천했던 호시노로부터 “마쓰이 히데키나 나카타 쇼보다 타구를 날리는 힘이 더하다”라고 확실한 보증을 각인받았을 정도[13]의 장타력을 무기로 삼았다. 2군 코치인 야기 히로시로부터 변화구를 대응하는 교묘한 배트 컨트롤을 높게 평가받았다[14][15]. 한편 팀원이었던 크레이그 브라젤과는 몸집이 크고 비슷한 폼의 좌타자라는 공통점이 있었는데[16] 풍모도 비슷하여 ‘작은 브라젤’(小ブラゼル)이라고 불리기도 하였다.[4] 참고로 2013년 추계 스프링 캠프에서 한신의 ‘제너럴 매니저 지휘 육성 & 타격 코디네이터(DC)’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한 가케후 마사유키는 자신의 현역 시절에 클린업을 구성했던 랜디 바스(모리타처럼 체구가 컸고 장타력이 높은 좌타자에 1루수)를 본뜬 ‘작은 바스’(小バース)"라고 불렸다.[17]
Human: 아래 난양_이공대학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난양 이공대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난양 이공대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난양 이공대학(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종류 자치교설립 1991년총장 Prof Su Guaning학부생 수 33,500대학원생 수 10,000교직원 수 3,300국가 싱가포르위치 북위 1° 20′ 41″ 동경 103° 40′ 53″ / 북위 1.34472° 동경 103.68139°  / 1.34472; 103.68139좌표: 북위 1° 20′ 41″ 동경 103° 40′ 53″ / 북위 1.34472° 동경 103.68139°  / 1.34472; 103.68139규모 200 헥타르웹사이트 www.ntu.edu.sg 난양 이공대학의 위치 난양 이공대학(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NTU, 중국어 정체자: 南洋理工大學, 병음: Nányáng Lǐgōng Dàxué, 말레이어: Universiti Teknologi Nanyang, 타밀어: நன்யாங் தொழில்நுட்ப பல்கலைக்கழகம்)은 싱가포르의 2대 공립 대학의 하나이다. 본래 사립대학으로 출발하였으나, 현재는 공립학교로 운영된다. 캠퍼스는 싱가포르에서 가장 크며, 공과대학은 세계에서 가장 크다. 200 헥타르 규모의 윈난 정원(Yunnan Garden, 雲南園)) 캠퍼스는 2010년 제1회 세계 청소년 올림픽의 선수촌이었으며,[1][2] 2011년 7월에는 제3회 아세안 학교 게임(ASG, the 3rd ASEAN school Games)이 개최된 곳이기도 하다.[3] 빠르게 성장하는 연구 대학 중 하나이며, 많은 재단으로부터 기부를 받아 NTU의 연구 재단 규모는 경쟁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2개의 연구 센터가 유명하며, 싱가포르 지구연구소[4]와 싱가포르 환경 생명공학(the Singapore Centre on Environmental LifeSciences Engineering)[5]도 유명하다. 목차 1 개요 2 동문 3 장학 제도 4 학업시스템 4.1 공대 4.2 이과대 4.3 난양 경영대 4.4 인문대와 사회과학대 4.5 자치 기관 4.6 연구소와 센터 5 연구 기관 및 센터 5.1 다분야 연구 클러스터 5.2 기타 기관 및 센터 5.3 대외 협력 센터 6 난양 크로니클 7 캠퍼스 이러닝 8 랭킹 9 참고 10 외부 링크 개요[편집] 행정관(Administrative Building) 화예관(華裔館), 구.행정관(Chinese Heritage Centre, formerly the administrative building of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이위남(李偉南)도서관 난양 이공대학은 싱가포르 남서부 주롱에 위치해 있으며 철저한 능력주의를 따른다. 윈난 정원(Yunnan Garden, 雲南園)) 캠퍼스는 경치로 유명하며, 싱가포르 시 중심에서 남서쪽으로 25km 떨어져 있다. 1986년에 캠퍼스가 부분 완성되었으며, 일본인 건축가 단게 겐조(丹下健三)가 설계한 곳이다. 200만m2(200 헥타르)의 넓은 대지에 위치한 학교는 '가든(Garden)’ 캠퍼스라는 표현처럼 ‘정원’이 연상된다. 지붕에 잔디를 얹은 예술디자인미디어대학(미대) 건물은 예술성과 친환경적인 컨셉트를 절묘하게 조화시킨 건물로 잘 알려져 있다. 물리 및 수학과 건물은 가장 훌륭한 교실, 실험실 등이 갖춰져 있으며, 옥스퍼드와 함께 디자인한 실험실을 갖추고 있다. 싱가포르에서 가장 좋고 현대화된 설비이다. 캠퍼스 무선망을 통해 학습 및 행정 업무가 가능하다.[6] 미국 Ewing Marion Kauffman 재단의 해외 첫 지원이었다. 캠퍼스 전체를 아우르는 유무선 인터넷 인프라가 구축됐으며 e러닝 시스템을 통한 수업도 활발하다. 수 관잉 NTU 총장은 “다문화 연구 대학을 추구하는 난양 이공대학은 미국, 유럽, 중국, 인도 등 전 세계로 우리의 영역을 넓혀가나고 있다”며 “최첨단의 연구 인력과 시설을 바탕으로 전 세계적인 명성을 거듭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7][8] 현재의 NTU라는 이름으로 최종 설립된 것은 1991년이지만, 1955년 한 독지가의 기부로 설립된 사립‘난양대학’이 그 전신이다. 1981년 8월 설립된 난양기술학교(Nanyang Technology Institute)가 오늘날의 NTU로 발전했다.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기술 대학으로 명성을 날리고 있으며, ‘다양한 학과 교육(diverse discipline)을 통한 인재 육성’이라는 학교의 비전처럼 8개 단과대학에 공학·응용과학·경영학·커뮤니케이션·회계·상업, 교육·인문·사회과학·화학·수학·예술·디자인·미디어 등의 학부를 두고 있다. 이공대학 국제 연맹(Global Alliance of Technological Universities)의 창립 멤버 학교이기도 하다.[9][10] ‘글로벌NTU프로그램’이라는 명칭 아래 해외 교환 학생 유치는 물론 NTU 학생들을 해외로 내보내는 데도 적극적이다. 난양 이공대학 학생의 20%는 중국·인도·인도네시아·베트남 등 아시아 각지에서 유학온 학생들이 차지하고 있다. 해외 유학 프로그램으로는 ‘국제교환학생프로그램(INSTEP)’부터 ‘글로벌여름학기(GSS)’, ‘글로벌집중어학연수프로그램(GIP)’ 등 다채로운 과정이 개설돼 있다. 수많은 연구개발(R&D) 센터와 연구소가 포진해 있다. NTU가 현재 추진 중인 다양한 과학기술 프로젝트에는 스탠퍼드·MIT·카네기멜론·코넬대 등의 대학 연구진들이 참여하고 있다. 동문[편집] 난양 이공대학(NTU)은 매년 우수 동문을 상대로 ‘난양자오요우장(Nanyang Alumni Award)’을 수여한다. 특별상, 성과상, 서비스상, 젊은 동문상 4개 분야 수상자들을 보면 싱가포르는 물론 전 세계에서 활약 중인 NTU 출신들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NTU가 아시아 명문대학의 하나로 명성을 쌓게 되면서, 아시아 정치 지도자들의 자녀들도 공부하기도 한다.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Susilo Bambang Yudhoyono) 인도네시아 대통령, 노벨 평화상 수상자인 주제 하무스 오르타 동티모르 대통령, 응우옌 민 찌엣 베트남 국가주석의 자제들이 NTU를 거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학 제도[편집] 장학제도 역시 독창적이다. 먼저 눈에 띄는 것은 대학원생들을 위한 ‘총장장학제도’. 총장장학제도는 연구 부문을 대상으로 한 장학제 중 가장 혜택이 많다. 그만큼 최상위 성적을 받은 학생들이나 뛰어난 리더십 및 연구에 열정을 가진 학생들을 선정해 수여하는데, 이들에게는 수강료 면제 혜택과 동시에 매월 3200싱가포르달러(약 250만원)가 지급된다. 또, 글로벌 리더십을 길러주기 위해 해외 주요 컨퍼런스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4년 내 두 번)가 제공된다. 이 밖에 연간 500싱가포르달러가 교재비로 지급되며, 기숙사도 우선 배정된다. ‘연구장학제도’도 특징적이다. 대상은 1, 2등급을 받은 학생들이다. 박사과정에 있는 대학원생에게는 매달 2000 싱가포르 달러가 지급되며 연구성과에 따라 최대 2500 싱가포르 달러까지 제공된다. 또 대상자로 선정되면 매년 별도의 연구비를 받을 수 있고 PC 및 통신 사용료도 지원된다. 싱가포르 국제 대학원 어워드 등 해외 유학생만을 대상으로 수여되는 상도 존재한다. 난양이공대학 측은 “우리 장학제도는 학생들의 학문적 성취를 위해서만이 아니라 글로벌 인재들로 하여금 난양기술대학을 선택하도록 하는 중요한 요소”라며 “우수 인재 유치 및 양성이 장학 제도의 기본 원칙”이라고 설명했다. 난양기술대학의 장학제도는 동문들의 기부금으로도 운영되는데, 이 학교가 최근 1년 새 모은 기부금은 130만싱가포르달러(약 10억5000만원)에 달했다.[11] 학업시스템[편집] 난양 이공대학(NTU)은 과학·엔지니어링·정보기술(IT)·생명과학·나노기술 등 이공계 분야의 연구 및 혁신활동과 더불어 경영학석사(MBA) 과정을 제공한다. 현재 NTU는 전 세계 40여개국에서 온 2500명의 교수진과 연구진을 보유하고 있으며 1만 9100명의 학부생과 8600명 이상의 대학원생이 있다. 학부는 회계학·상업·컴퓨터공학·재료공학·전기전자공학·도시구조공학·기계제조공학 등의 전공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학제적(cross-disciplinary)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학업 선택권과 성취도를 높일 수 있도록 했다. 또 4개 단과대에 12개 스쿨을 운영 중이다. 엔지니어링 단과대는 기술과 혁신에 중점을 둔 6개 스쿨을, 과학 단과대는 물리·수학 과정에서 명예학위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비즈니스 단과대의 난양 비즈니스 스쿨은 싱가포르내 유일의 비즈니스 스쿨로 세계 MBA 100위 안에 꼽힌다. 이밖에 인류·예술·사회과학 단과대가 있다. 대학원은 연구과정과 코스 또는 논문 과정 등 두가지 형태의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고 있다. NTU는 세계의 리더를 양성한다는 교육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MIT대·스탠포드대·코넬대·워싱턴대 등 세계 유명대학들과도 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학생들에게 해외 교육 옵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 대학은 특히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활성화에 힘입어 졸업 후 한 달 내에 100%에 가까운 취업률을 자랑하고 있다.[출처 필요] 5000개 이상의 기업·기관들이 이 대학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고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기업·정부·대학 관계자들로 이뤄진 자문위원회도 운영되고 있다. 자문위는 새로운 교육 및 연구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기존 프로그램의 개선작업을 수행한다. 기업의 혁신과 창의적인 사업 아이디어 창출을 위한 연구능력 지원과 인재확보를 돕는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허브로 ‘혁신과 기술 전환 오피스(Innovation & Technology Transfer Office)’와 ‘혁신센터(Innovation Centre)’가 운영되고 있다. 이들 기구를 통해 학생들은 8∼30주에 걸쳐 교수지도 하에 현장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21세기 첨단 기술분야로 꼽히는 나노기술(NT) 분야에서도 산학협력도 수행하고 있다. NTU는 지난 2003년 나노기술 석사학위 과정을 설치한데 이어 2005년 일본기업과 공동으로 나노메트롤로지 센터를 세웠다. 또 대학내 NT 연구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나노클러스터(Nano Cluster)도 구축했다. 공대[편집] College of Engineering website School of Chemical and Biomedical Engineering (SCBE) Schoo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CEE) School of Computer Engineering (SCE) School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EEE) School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MSE) School of Mechanical and Aerospace Engineering (MAE) 이과대[편집] School of Biological Sciences (SBS) School of Physical and Mathematical Sciences (SPMS) 난양 경영대[편집] Nanyang Business School (NBS) 인문대와 사회과학대[편집] School of Art, Design and Media (ADM) Wee Kim Wee Schoo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CI) Schoo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HSS) 자치 기관[편집] Earth Observatory of Singapor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NIE) S. Rajaratnam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RSIS) Singapore Centre on Environmental Life Sciences Engineering[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연구소와 센터[편집] 공자연구소 Cornell-Nanyang Institute of Hospitality Management Energy Research Institute @ NTU Institute of Advanced Studies Institute for Media Innovation Lien Chinese Enterprise Research Centre Nanyang Environment and Water Research Institute Nanyang Technopreneurship Center 연구 기관 및 센터[편집] 다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MIT, 스탠포드 대학교, 코넬 대학교, 칼텍(Caltech), 워싱턴 대학교, 카네기 멜론 대학교 등을 포함한 핵심 파트너와의 협력 뿐만 아니라, 아시아의 세계 수준 대학교들인 북경대, 상해교통대, 와세다 대학교, 인도공대(Indian Institutes of Technology,IIT), 유럽의 캠브리지 대학교,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Eidgenössische Technische Hochschule Zürich, Karolinska Institutet 및 Technische Universität München 등과 협력하고 있다. 다분야 연구 클러스터[편집] Biomedical and Pharmaceutical Engineering Cluster (BPE Cluster)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Centre (BMERC) Centre for Biotechnology (CBT) Centre for Chiral and Pharmaceutical Engineering (CCPE) Computer-integrated Medical Intervention Laboratory (CIMIL) Physiological Mechanics Laboratory (PML) Nanoscience and Nanotechnology Cluster (NanoCluster) Advanced Materials Research Centre (AMRC) Facility for Analysis, Characterisation, Testing and Simulation (FACTS) Microelectronics Centre (MEC) MicroMachines Centre (MMC) Photonics Research Centre (PhRC) Precision Engineering and Nanotechnology (PEN) Centre Intelligent Devices and Systems Cluster Centre for Computational Intelligence (C2i) Centre for High Performance Embedded Systems (CHiPES) Centre for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CHFE) Centre for Integrated Circuits and Systems (CICS) Centre for Intelligent Machines (CIM) Centre for Mechanics of Micro-Systems (CMMS) Robotics Research Centre (RRC) Advanced Computing and Media Cluster Centre for Advanced Media Technology (CAMTech) Interaction and Entertainment Research Centre (IERC) BioInformatics Research Centre (BIRC) InfoComm Cluster Network Technology Research Centre (NTRC) Positioning and Wireless Technology Centre (PWTC) Centre for Multimedia and Network Technology (CeMNet) Centre for Signal Processing (CSP) Centre for Information Security (CIS) 기타 기관 및 센터[편집] Centre for Research on Small Enterprise Development (CRSED) Chinese Heritage Centre (CHC) Information Communication Institute of Singapore (ICIS) Institute of Defence and Strategic Studies (IDSS) Institute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IESE) 대외 협력 센터[편집] Energetic Materials Research Centre (EMRC) Intelligent Systems Centre (IntelliSys) NTU-CIDB Centre for Advanced Construction Studies (CACS) NTU-MINDEF Protective Technology Research Centre (PTRC) NTU-MPA Maritime Research Centre NTU-NEA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Centre (EERC) NTU-PWD Geotechnical Research Centre (GRC) NTU-SGI Centre for Graphics and Imaging Technology (CGIT) Satellite Engineering Centre (SEC) Temasek Laboratories@NTU Thales@NTU 난양 크로니클[편집] Nanyang Chronicle은 캠퍼스 내 최대 인터넷 및 출판물 소식통이다.(인쇄부수 15,000) NTU의 staff들과 학생들로 조직되어 3주마다 출판된다. WKWSCI(Wee Kim Wee Schoo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에서 가이드해주기도 한다. 1994년 7월 캠퍼스의 뉴스와 소식을 전해주고, 캠퍼스의 여론을 전하기 위해 처음 출판되었다. 또한 언론 분야의 학생들에게 훈련 기회를 주기도 한다.[12] 2010년 현재, 편집장은 Shereen Naaz Charles이며 편집 관리인은 Elizabeth Law이다. 캠퍼스 이러닝[편집] 캠퍼스의 IT 서비스 센터에서 관리한다(CITS). 2000년부터는 WIFI 무선망을 제공하여 11Mb 속도로 이용되고 있으며, 모바일 기기(컴퓨터, PDA 등)로도 캠퍼스 거의 대부분에서 접속할 수 있다. 이-러닝 서비스는 edveNTUre에서 제공되는데, edveNTUre는 블랙보드 기술에 기반하여 프레임워크와 생태계를 교수법에 제공한다. 강의 녹화, 강의 노트 등도 가능하며, 협력, 토론, 과제, 프로젝트 등도 지원한다. (2010년 1월 현재, 매주 이용량은 9백만 페이지뷰를 초과한다) 랭킹[편집] 2010년, 《QS 세계 대학 순위》에서[13] NTU는 세계 100위권(세계 1%) 안에 들었다. NTU의 공과대학은 언급률(cited) 7위에 올랐다.[14] 경영대학의 MBA는 35위이다.[15] S. Rajaratnam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는 university-affiliated 싱크탱크에서 아시아 1위, 세계 13위에 올랐다[16]. 지난 2004년에는 영국 ‘타임스’가 뽑은 최고 교육시설을 갖춘 전 세계 200대 대학 50위, 아시아 대학 중에는 7위에 랭크됐으며 다음해에는 48위로 올라섰다. 그해 공과대학 중에서는 26위의 영예를 차지했다. 싱가포르 정부 역시 국가 차원에서 이 대학을 싱가포르국립대학(NUS)와 함께 세계적인 수준의 학문 연구 메카로 육성하기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인정받아 난양 이공대학은 2000년대에는 타임스 등 세계 유수의 미디어들이 선정하는 우수 대학 명단에 매년 이름을 올렸다. 2000년 ‘아시아위크’가 발표한 아시아 명문 과학기술대학 순위에서 9위에 선정됐고 같은 해 12월에는 싱가포르 내에서 최초로 캠퍼스에서 무선 인터넷 인프라를 제공하는 등 대학 혁신을 주도했다. 세계 25대 기술 대학에 포함되기도 했다. 참고[편집] ↑ “Youth Olympic Village”. 2010년 7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3월 24일에 확인함.  ↑ “Singapore 2010 Youth Olympic Games”. 2012년 5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보관 된 사본”. 2011년 6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28일에 확인함.  ↑ “Earth Observatory of Singapore”.  ↑ “Singapore Centre on Environmental Life Sciences Engineering”.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NTU Tianjin College”.  ↑ “Global Universities에 관한 기사”.  ↑ “[미래를 준비하는 대학](5)난양기술대학교 - 수 관잉 총장 인터뷰”.  ↑ “Global Alliance of Technological Universities”.  ↑ “NTU 2015”.  ↑ “[미래를 준비하는 대학](5)난양기술대학교 - 수 관잉 총장 인터뷰”.  ↑ "About Us". http://www3.ntu.edu.sg/chronicle/about.html Archived 2011년 7월 17일 - 웨이백 머신 Retrieved 2006-04-06 ↑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 “Essential Science Indicators Ver 2.3” (PDF).  ↑ “Global MBA Rankings 2011”.  ↑ “THE GLOBAL “GO-TO THINK TANKS 2010”” (PDF). 2011년 2월 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난양 이공대학 난양 이공대학 - 공식 웹사이트 NTU Cultural Activities Club website THE Rankings -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2008) NTU 50th anniversary celebrations site Nanyang Business School (NBS)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NIE) S. Rajaratnam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RSIS) Article about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student reviews Scholarship Information of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Virtual tours of NTU student events[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Virtual tours of NTU facilities[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Virtual tours of directions to NTU buildings[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Virtual tours of directions to NTU hall offices[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난양_이공대학&oldid=24270131" 분류: 싱가포르의 대학교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대학 정보 틀에서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중국어 간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말레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타밀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8년 9월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تۆرکجهবাংলা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ietuviųമലയാളംBahasa Melayu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தமிழ்ไทยTagalog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4일 (금) 11: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난양 이공대학(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NTU, 중국어 간체자: 南洋理工大学, 병음: Nányáng Lǐgōng Dàxué, 말레이어: Universiti Teknologi Nanyang, 타밀어: நன்யாங் தொழில்நுட்ப பல்கலைக்கழகம்)은 싱가포르의 2대 공립 대학의 하나이다. 본래 사립대학으로 출발하였으나, 현재는 공립학교로 운영된다. 캠퍼스는 싱가포르에서 가장 크며, 공과대학은 세계에서 가장 크다. 200 헥타르 규모의 윈난 정원(Yunnan Garden, 雲南園)) 캠퍼스는 2010년 제1회 세계 청소년 올림픽의 선수촌이었으며, 2011년 7월에는 제3회 아세안 학교 게임(ASG, the 3rd ASEAN school Games)이 개최된 곳이기도 하다. 빠르게 성장하는 연구 대학 중 하나이며, 많은 재단으로부터 기부를 받아 NTU의 연구 재단 규모는 경쟁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2개의 연구 센터가 유명하며, 싱가포르 지구연구소와 싱가포르 환경 생명공학(the Singapore Centre on Environmental LifeSciences Engineering)도 유명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난양 이공대학의 총장학제도에 선정되면 얼마의 상금을 받을까? Assistant: 3200싱가포르달러(약 250만원 Human: 아래 서울강동경찰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서울강동경찰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울강동경찰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7° 31′ 47″ 동경 127° 07′ 28″ / 북위 37.5297735° 동경 127.1243715°  / 37.5297735; 127.1243715 서울강동경찰서 서울강동경찰서 신청사 기본정보 설치년도 1978년 10월 5일 주소 서울특별시 강동구 성내로 57 (성내동) 지휘체계 국가 대한민국 상급기관 서울특별시지방경찰청 관할구역 강동구 일원[1] 지구대파출소 천호지구대, 길동지구대, 암사지구대, 성내지구대, 강일파출소, 명일파출소, 둔촌파출소, 고덕파출소 함께 읽기 웹사이트 서울강동경찰서 - 공식 웹사이트 지도 서울강동경찰서(서울江東警察署, Seoul Gangdong Police Station)는 서울특별시지방경찰청이 관할하는 경찰서 중 하나이다. 서울특별시 강동구 일원을 관할한다. 대한민국의 서울특별시 강동구 성내로 57 (성내동)에 위치하고 있다. 서장은 총경으로 보한다.[2] 목차 1 연혁 2 조직 3 관할 지구대 및 파출소 4 같이 보기 5 각주 6 외부 링크 연혁[편집] 1978년 10월 5일: 강동경찰서 개서 1979년 10월 9일: 청사 준공 2015년 10월 8일: 신청사로 이전 조직[편집] 부속실 청문감사관 경무과 생활안전과 112종합상황실 여성청소년과 수사과 형사과 교통과 경비과 정보보안과 관할 지구대 및 파출소[편집] 서울강동경찰서는 4개 지구대와 4개 파출소를 산하에 두고 있다.[3] 명칭 사진 주소 관할구역 치안센터 천호지구대 구천면로 141 (천호동) 천호2·3·4동 천호2치안센터천호3치안센터 길동지구대 천호대로187길 6 (길동) 길동 길2치안센터 암사지구대 고덕로 137 (암사동) 암사1·2·3·4동, 천호1동 암사3치안센터천호1치안센터 성내지구대 성내로 33 (성내동) 성내1·2·3동 성내3치안센터성내2치안센터 강일파출소 아리수로91길 20 (강일동) 강일동, 상일동 상일치안센터 명일파출소 동남로 895 (명일동) 명일1·2동 명일치안센터 둔촌파출소 진황도로 239 (둔촌동) 둔촌1·2동 둔촌1치안센터 고덕파출소 고덕로61길 61 (고덕동) 고덕1·2동 고덕치안센터 같이 보기[편집] 서울특별시지방경찰청 각주[편집] ↑ 대한민국 경찰청 (2016년 12월 5일). “경찰서의 명칭·위치 및 관할구역”.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6년 12월 22일에 확인함.  ↑ 대한민국 국회 (2014년 5월 20일). “경찰법 제17조 제1항”. 2014년 6월 22일에 확인함.  ↑ 서울특별시지방경찰청과 경찰서의 조직 및 사무분장규칙 별표6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서울강동경찰서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서울강동경찰서 공식 웹사이트 vdeh 대한민국 경찰청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 검찰청 병무청 방사청 경찰청 소방청 문화재청 농진청 산림청 특허청 기상청 행복청 새만금청 해경청 본청 소속 청장 차장 경찰병원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도서관 경찰교육훈련기관 경찰인재개발원 중앙경찰학교 경찰수사연수원 지방경찰청서울지방경찰청 중부 종로 남대문 서대문 혜화 용산 성북 동대문 마포 영등포 성동 동작 광진 서부 강북 금천 중랑 강남 관악 강서 강동 종암 구로 서초 양천 송파 노원 방배 은평 도봉 수서 직할대 101경비단 기동단 22경찰경호대 국회경비대 서울청사경비대 김포공항경찰대 경찰특공대 202경비대 부산지방경찰청 중부 동래 영도 동부 부산진 서부 남부 해운대 사상 금정 사하 연제 강서 북부 기장 대구지방경찰청 중부 동부 서부 남부 북부 수성 달서 성서 달성 강북 인천지방경찰청 중부 미추홀 남동 논현 부평 삼산 서부 계양 연수 강화 직할대 인천공항경찰대 광주지방경찰청 동부 서부 남부 북부 광산 대전지방경찰청 중부 동부 서부 대덕 둔산 유성 직할대 대전청사경비대 울산지방경찰청 중부 남부 동부 울주 경기남부지방경찰청 수원중부 수원남부 수원서부 안양동안 안양만안 과천 군포 성남수정 성남중원 분당 부천소사 부천원미 부천오정 광명 안산단원 안산상록 시흥 평택 오산 화성서부 화성동탄 용인동부 용인서부 광주 의왕 하남 이천 김포 안성 여주 양평 직할대 과천청사경비대 경기남부기동대 경기북부지방경찰청 의정부 양주 고양 일산동부 일산서부 남양주 구리 동두천 파주 포천 가평 연천 강원지방경찰청 춘천 강릉 원주 동해 태백 속초 삼척 영월 정선 홍천 평창 횡성 고성 인제 철원 화천 양구 충북지방경찰청 청주흥덕 청주상당 청주청원 충주 제천 영동 괴산 단양 보은 옥천 음성 진천 충남지방경찰청 천안서북 천안동남 서산 논산 아산 공주 보령 당진 홍성 예산 부여 서천 금산 청양 태안 세종지방경찰청 세종 직할대 세종청사경비대 전북지방경찰청 전주완산 전주덕진 군산 익산 정읍 남원 김제 완주 고창 부안 임실 순창 진안 장수 무주 전남지방경찰청 목포 여수 순천 나주 광양 고흥 해남 장흥 보성 영광 화순 함평 영암 장성 강진 담양 곡성 완도 무안 진도 구례 경북지방경찰청 경주 포항북부 포항남부 구미 경산 안동 김천 영주 영천 상주 문경 칠곡 의성 청도 영덕 울진 봉화 예천 성주 청송 영양 군위 고령 울릉 경남지방경찰청 창원중부 창원서부 마산중부 마산동부 진주 김해중부 김해서부 진해 통영 사천 거제 밀양 양산 거창 합천 창녕 고성 하동 남해 함양 산청 함안 의령 제주지방경찰청 제주동부 제주서부 서귀포 직할대 해안경비단 산하 공공기관 도로교통공단 소관기관 제주자치경찰단 경찰공제회 재향경우회 총포화약안전기술협회 관련 항목 대한민국의 경찰 대한민국의 경찰관 계급 101경비단 및 202경비대는 서울지방경찰청 소속이지만 대통령경호처가 작전지휘권을 행사한다.[1] 중심경찰서제도[2] 도입으로 서울송파경찰서, 대구성서경찰서, 수원남부경찰서, 분당경찰서, 부천원미경찰서, 청주흥덕경찰서, 전주완산경찰서, 창원중부경찰서 등 7개 경찰서는 경무관(3급 상당)이 경찰서장으로 임용된다. 이 글은 경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서울강동경찰서&oldid=23771057" 분류: 서울 강동구 소재의 관공서서울특별시의 경찰서1978년 설치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경찰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26일 (화) 02: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서울강동경찰서(서울江東警察署, Seoul Gangdong Police Station)는 서울특별시경찰청이 관할하는 경찰서 중 하나이다. 서울특별시 강동구 일원을 관할한다. 대한민국의 서울특별시 강동구 성내로 57 (성내동)에 위치하고 있다. 서장은 총경으로 보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천호지구대의 주소는 무엇인가요? Assistant: 구천면로 141 (천호동)
Human: 아래 조종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조종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종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종호(趙鍾淏, 1921년 12월 22일 ~ 2010년 3월 26일)는 대한민국의 제4·5·11·12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이다. 본관은 한양이며, 충청북도 단양군 출생이다. 목차 1 생애 2 약력 3 가족 관계 4 함께 보기 5 역대 선거 결과 6 각주 7 참고 자료 생애[편집] 국민대학교를 졸업하였다. 1945년 9월 한국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였으며, 제4대 대통령이자 야당 지도자인 윤보선의 비서실장이었다.[1] 공무원이 되어 충청북도 단양군에서 면장, 면의회 의원 등을 지내다가 1954년 대한민국 3대 총선에 무소속으로 출마했다가 낙선하면서 중앙 정계에 입문했으며, 1958년 4대 총선 때 충북 단양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되면서 본격적인 정치활동을 시작했다.[1] 두 번째와 세 번째로 출마한 4대 총선(무소속)과 5대 총선(헌정동지회)에서는 당선되었다. 1960년 8월 윤보선이 제4대 대통령에 선출되자 윤보선의 청와대 비서실장이 되어 입각했다.[1] 그러나 5·16 군사 정변 이후 1962년 3월 윤보선의 하야 이후 감시대상이 되었다. 이후 제3공화국, 제4공화국에서 민정당, 신민당, 국민당, 민주통일당, 무소속으로 계속 출마했으나 여당인 민주공화당 후보들에게 밀려 모두 낙선했다. 1980년 신군부가 국가보위입법회의를 설치했을 때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에 선출되었다. 이는 윤보선의 구 민주당 구파 계열에 대한 안배 차원에서 입법의원이 되었던 것이다. 이를 계기로 1981년 1월 민주정의당 창당에 참가한 뒤 두 차례 더 국회의원을 지냈다. 11대 총선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서울 동작구에서 당선됐다. 12대 국회에선 민정당 전국구 의원으로 활동했다.[1] 종교는 불교이다. 약력[편집] 국민대학교 정치학과 졸업 윤보선 전 대통령 비서실장 한민당 창당준비위원회 조직위원장 한민당 중앙당 총무국장, 당무위원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민주정의당 창당 발기인, 농수산위원장 민주정의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국회 농수산위 위원 국회 내무위 위원 대한민국헌정회 운영위원 가족 관계[편집] 부인 : 장인옥 아들 : 조중원 딸 : 조근주 딸 : 조근자 함께 보기[편집] 제1공화국 제2공화국 제3공화국 한국민주당 5·16 군사 정변 윤보선 김도연 김준하 장면 장도영 장준하 현석호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제3대 총선 국회의원(충북 단양군) 3대 무소속 14.54% 3,246표 2위 낙선 제4대 총선 국회의원(충북 단양군) 4대 무소속 44.13% 10,695표 1위 제5대 총선 국회의원(충북 단양군) 5대 헌정동지회 31.60% 8,746표 1위 제6대 총선 국회의원(충북 제천군·단양군) 6대 민정당 29.78% 20,355표 2위 낙선 제7대 총선 국회의원(충북 제천군·단양군) 7대 신민당 25.03% 22,348표 2위 낙선 제8대 총선 국회의원(충북 제천군·단양군) 8대 국민당 27.19% 23,020표 2위 낙선 제9대 총선 국회의원(충북 충주시·중원군·제천시·제원군·단양군) 9대 민주통일당 19.95% 34,071표 3위 낙선 제10대 총선 국회의원(충북 충주시·중원군·제천시·제원군·단양군) 10대 무소속 10.54% 20,886표 4위 낙선 제11대 총선 국회의원(서울 동작구) 11대 민주정의당 26.68% 44,398표 2위 제12대 총선 국회의원(전국구) 12대 민주정의당 35.2% 7,040,477표 전국구 26번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부고] 윤보선 前대통령 비서실장 조종호 씨 동아일보 2010년 3월 26일자 참고 자료[편집] 조종호 - 대한민국헌정회 이보환. “단양군지 - 제1장 정치” (PDF). 단양군. 2016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22일에 확인함.  전 임 장영근 제4대 국회의원(단양군) 1958년 5월 31일 ~ 1960년 7월 28일 무소속 → 자유당 후 임 조종호 전 임 조종호 제5대 국회의원(단양군) 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 헌정동지회 후 임 김종무 vdeh1980년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총 81명)정계 정래혁 박명근 남재희 정석모 장승태 채문식 한영수 고재청 유한열 오세응 손세일 권중돈 유옥우 김윤환 신상초 이종률 김철 이태구 조종호 진의종 경제계 정수창 유기정 박태준 학계 김상협 정의숙 권이혁 서명원 안세희 박봉식 박승재 김대환 나창주 김만제 한기춘 박일경 윤근식 법조계 정희택 이태청 이진우 윤길중 김사용 이병호 이범렬 임영득 종교계 강신명 이병주 이영복 서경보 조향록 전달출 김봉학 이종흥 여성계 김정례 김행자 안목단 이경숙 노동계 정한주 문화·사회계 이호 송지영 정범석 박인각 김준 권정달 박윤종 이정식 이종찬 언론계 방우영 이원경 이진희 향군대표 이맹기 이형근 국보위 대표 이광노 이기백 심유선 조영길 이우재 김영균 노재원 박종문 정태수 서동렬 전 임 정희섭·김수한(신설) 제11대 국회의원(서울 동작구)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민주정의당 서청원 후 임 박실·허청일 vdeh민주정의당 제12대 국회의원 전국구 1번 이재형 7번 서정화 13번 나웅배² 19번 현홍주 25번 김성기² 31번 정창화 37번 지연태 43번 김집 49번 김학준² 55번 정휘동 61번 이성호 67번 김태수† 2번 진의종 8번 박종문 14번 조일문 20번 이영욱 26번 조종호 32번 김종인 38번 임두빈 44번 지갑종 50번 서정화 56번 김장숙 62번 이진† 68번 홍희표† 3번 노태우² 9번 강경식 15번 권중동 21번 김영작² 27번 이상희 33번 김영구 39번 정현경 45번 최명헌 51번 김두종 57번 박혜경² 63번 정호근† 69번 김문기† 4번 왕상은 10번 황인성² 16번 이성열 22번 조상현 28번 류근환 34번 최병렬 40번 진치범 46번 이종률² 52번 양경자 58번 이철우 64번 김중위† 70번 정동윤† 5번 유학성 11번 박동진² 17번 김현자 23번 김영정 29번 한양순 35번 강용식 41번 최영덕 47번 조경목 53번 문희갑² 59번 안영화 65번 박성태† 71번 심국무† 6번 이상재 12번 이용훈 18번 배성동 24번 안갑준 30번 홍종욱 36번 송용식 42번 임영득 48번 김형효 54번 김양배² 60번 최상진 66번 김정균† 72번 김종렬† ²사퇴      †승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종호&oldid=24521703" 분류: 대한민국의 제4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5대 민의원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대한민국의 제11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12대 국회의원1921년 태어남2010년 죽음한양 조씨단양군 출신국민대학교 동문민주당 (대한민국)대한민국 제2공화국대한민국 제3공화국대한민국 제5공화국윤보선장면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7월 4일 (목) 06:1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조종호(趙鍾淏, 1921년 12월 22일 ~ 2010년 3월 26일)는 대한민국의 제4·5·11·12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이다. 본관은 한양이며, 충청북도 단양군 출생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조종호는 윤보선의 무엇이었나? Assistant: 비서실장 Human: 아래 세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세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세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세례 성사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9월) 초기 기독교 예술에서의 침례. 대한민국 개신교회에서 이루어진 세례식의 예 세례(洗禮) 또는 세례 성사(洗禮聖事)는 물을 이용하는 정화의식이다. 세례는 기독교, 만다야교, 시크교를 포함하여 여러 종교에서 행해진다. 기독교의 세례는 유대교의 의식인 미크바에 기원을 두고 있다. 목차 1 기독교의 세례 1.1 세례의 형태 1.2 세례의 의미와 기능 1.3 세례의 자격 1.3.1 신자의 세례 1.3.2 유아 세례 1.4 시초 2 각주 기독교의 세례[편집] 파울로스는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세례를 받는 사람은 그리스도와 영적(靈的)으로 연합되어 그의 죽음에 동참한다고 설명한다.대부분의 기독교 종파에서는 물을 이용하는 세례 의식을 행하고, 이를 예수께서 성만찬과 더불어 친히 제정한 성사라고 믿는다. 하지만 세례의 의미나 세례를 받을 수 있는 자격, 세례의 형태 등에 대해서는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령운동을 강조하는 오순절 교회를 비롯한 몇몇 종파에서는 물에 의한 세례는 성령에 의한 세례로 대체되었다고 보고 있으며, 물에 의한 세례는 기독교 전통에 의해 불필요하게 계승되었다고 보고 있다. 세례의 형태[편집] 기독교 공동체의 전통에 따라 세례의 예식은 다음과 같다. 침수례 - 몸 전체를 물속에 담그는 방식 (침례라고도 한다.) 살수례 - 물을 머리에 뿌리는 방식 관수례 - 물을 머리에 붓는 방식 이 중 정교회나 침례교, 오순절교회에서는 침수례를, 로마 가톨릭교회는 관수례를 실시하며, 성공회, 감리교, 장로교 등의 개신교 종파는 관수례를 실시한다. 원래 고대에 채택되던 형태는 침수례이나, 살수례와 관수례는 세례를 받는 사람들이 많아짐에 따라 시간을 줄이기 위해 약식으로 제정된 전통이다. (정확히는 고대기독교에는 침수례나 살수례나 관수례나 모두 세례의 형태로 인정을 받았다.) (디다케) 세례의 의미와 기능[편집] 기독교 내에서도 각 종파마다 세례의 의미와 효력에 대한 견해 차이가 있다. 로마 가톨릭교회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세례는 구원에 있어 필수적인 성사로 보며, “너희는 가서 모든 민족들을 제자로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고, 내가 너희에게 명령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여라”(마태 28,19-20) 라고 말씀하신 주님의 말씀에 따라, 주님께서 친히 행하라 명하신 성사로 본다. 세례는 그리스도 안에서 새 생명으로 태어나게 한다. 주님의 뜻에 따라, 교회가 구원에 필요하듯이 세례도 구원에 필요하다. 우리는 세례를 통하여 교회에 들어간다.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세례성사를 받음으로써 원죄와, 세례받기 전까지 지은 모든 본죄와 잠벌을 용서받을 수 있다고 가르친다. (다만 세례성사를 받은 후에도 죄로 기우는 경향인 사욕은 남아 있으므로, 세례 이후에 지은 죄는 고해성사를 통해 용서 받을 수 있다고 가르친다.) 어린 아이들도 원죄로 타락하고 더러워진 인간의 본성을 지니고 태어나므로, 갓 태어난 아이들과 어린 아이들에게 세례를 주는 유아세례 또한 필수적이다.[1] 성공회 성공회에서는 "세례를 받고 그리스도 예수와 하나가 된 우리는 이미 예수와 함께 죽었다는 것을 모르십니까? 과연 우리는 세례를 받고 죽어서 그분과 함께 묻혔습니다. 그래서 그리스도께서 아버지의 영광스러운 능력으로 죽은 자들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신 것처럼 우리도 새 생명을 얻어 살아가게 된 것입니다."라고 언급한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 6장 3절과 4절의 내용을 근거로 세례성사를 죄의 용서와 구원에 필요한 성사(Sacrament)로 보고 있다. 또한 어른과 어린이 모두 세례를 통해 하느님의 은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어린이에게 사제가 세례성사를 집전하는 유아세례가 있다. 루터교 세례는 구원을 받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며 성사의 요구조건으로 하고 있다. 한 예로서,마르틴 루터는 1529년에 "The Large Catechism"(대요리)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 간단히 말해서, 세례의 능력과 효과와 유익과 열매는 구원이다. 왕자가 되기 위해 세례를 받는 사람은 없다. 단어 그대로 "구원받기 위한" 것이다. 우리가 아는 바와 같이 "구원받는다"는 것은 죄와 사망, 사탄으로부터 해방되어 그리스도의 왕국에 들어가 그와 함께 영원히 사는 것이다. ” 침례교 침례가 가치있는 관습이긴 하지만 아무런 성스러운 능력을 갖고 있지 않다고 주장한다. 하나님의 구원하시는 능력은 보이지 않고 내적인 것이며, 성례전 자체와는 독립적인 것으로서, 침례는 이 능력의 결과를 외적으로 증언하는 행위라는 견해이다. 침례 '의식'이 의미있고 필요한 것이라고 가르치나, 유아세례는 반대한다. 개혁주의 (개혁교회 및 장로교) 개혁주의는 예수를 하나님 나라의 왕으로 보며, 세례를 성찬과 더불어 예수가 그의 백성들에게 시행하라고 제정한 성례전으로 본다. 이는 구약의 할례와 유월절 의식이 신약의 교회에 발전된 모습으로 나타난 것이라고 해석한다. (이것은 언약 신학의 한 내용이다.) 그러므로 세례는 '예수를 믿는 자는 하나님의 백성이 된다'는 하나님의 언약이 자기 위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표라고 본다. 그것을 물로 씻는 형태로 제정된 것은 다른 종파들과 같이 예수의 피흘림으로 죄 용서를 받는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함이라고 해석한다. 이러한 '하나님의 언약의 징표'라는 의미에서 구약 시대에는 아직 신앙이 확인 되지 않은 어린 아이에게도 할례를 시행했는데, 이것을 본받아 개혁주의 역시 유아 세례를 기독교 가정 내에서 시행하는 것을 동조한다. 세례의 자격[편집] 신자의 세례[편집] 세례(침례)를 받을 수 있는 자격은 교파마다 다르나, 대개 자기 신앙을 고백하는 신자로서, 글로서 신앙을 고백하거나 공개적으로 신앙을 선언하여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나타내는 사람에게 주어진다.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정교회, 성공회에서는 세례를 주기 전, 세례 받기를 원하는 성인 입교자로 하여금 일정 기간의 교리 교육을 받게 한 뒤 세례를 준다. 유아 세례[편집] 교회의 전통에 따라, 로마 가톨릭교회, 루터교, 성공회, 장로교. 감리교 등에서 행하는 유아 세례의 경우에는 세례를 받고 신앙고백을 한 부모가 자녀를 대신하여 유아세례의 자격을 받을 수 있다. 유아 세례의 기록은 성서에는 없지만 4세기에 교부 성 아우구스티노 주교에 의해 그 필요성이 기술되었다. 아우구스티노는 세례가 죄를 씻어주기 때문에 새로 태어난 아이에게도 행해져야 하는데, 이는 갓난아기도 원죄에 의해 더렵혀졌으며 따라서 세례를 받기 전에 사망할 경우 죄의 저주를 받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보다 한 세기 전에 교부인 터툴리안은 믿음으로 받는 세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주장한 바 있다. “ "상황과 개인적인 성향, 또한 나이를 고려하여 세례를 늦추는 것이 좋다. 하지만 어린 아이의 경우에는... 그들이 그리스도를 알 수 있게 되면 그리스도인이 되게 하라." ” 성공회의 종교개혁 전통을 강조하는 저교회파 성공회를 포함한 많은 복음주의 기독교인들은 세례가 "내적인 변화를 외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라는 입장을 취한다. 세례는 그리스도를 따라 행해지는 것이며, 그들의 삶을 그리스도께 맡기고 새로운 피조물로 태어났을 때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편지 5장 17절) 그 내적인 변화를 다른 사람들에게 외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시초[편집] 로마 가톨릭 교회의 세례 기독교에서 침례가 교회 공동체로 참여할 수 있는 자격을 얻는 일정한 의식이 된 것은 세례자 요한으로부터 찾아볼 수 있다. 세례자 요한이 예언자라고 믿는 사람들은 그가 준 침례를 앞으로 올 메시아에 대해 준비하는 회개의 메시지로 받아들인다.(루가 복음서 3장 3-6절, 8절) 요한은 죄사함이 있기 위해서는 회개가 필요하다고 말하였다. 죄의 얼룩은 지워질 수 있는 것이며, 타락한 행위로부터 돌이켜 주님의 길로 돌아갈 때에 지워질 수 있는 것이다. 이 과정은 세례 의식에서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많은 기독교인들은, 세례 요한이 그의 세례가 충분한 것이 아니며, 회개만으로는 죄로부터의 분리라는 목표에 도달할 수 없다고 가르쳤을 것이며, 죄로부터의 해방을 위해서는 그가 줄 수 없는 더 큰 세례가 필요하다고 가르쳤을 것이라 믿고 있다. 루가 복음서에 따르면, 세례 요한은 자신이 신발끈을 풀어드릴 자격도 안 되는 높은 분이 오셔서 성령과 불로써 침례를 주실 것이라 말하였다. (루가 복음서 3장 16절) 기독교에서는 세례가 보여주는 것은, 사람이 회개함으로써 하나님께 받아들여지려는 노력은, 죄의 대가를 대신 지시는 하느님의 어린양(라틴어: Agnus Dei)에 의해 대체되고 완전해진다는 것이라고 믿는다. 마태오 복음서에 의하면 예수는 열두 제자에게 "아버지, 아들,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라는 임무를 맡긴다.(마태오 복음서 28장 19절) 이 구절은 세례의 일반적인 방식이 되었는데, 실제로 민중신학자 안병무 선생은 《갈릴래아의 예수》에서 마태오 복음서 28장 19절을 교회사적으로 해석하였다. 안병무 선생에 의하면 기독교의 성격이 예수운동에서 보편교회로 바뀌면서 직제와 전례를 정하게 되었으므로 예수가 성부, 성자, 성령으로 세례를 주라고 했다는 이야기가 들어간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사도행전에 기록된 바로는 사도들은 예수의 이름만으로 세례를 준 것으로 되어 있다. (사도행전 8장 16절, 10장 48절, 19장 5절) 각주[편집] ↑ 가톨릭교회 교리서 http://maria.catholic.or.kr/dictionary/doctrine/doctrine_view.asp 에서 요약 vdeh기독교예수 그리스도 탄생《가현설 강생 · 주현절》 세례《주현절》 죽음《대속·속죄》 부활 승천 기독교의 예수관 기초 교회 신약성경 사도 하느님의 나라 복음 연표 베드로 바울로 교부 경전 구약성경 《모세오경 역사서 예언서 칠십인역》 신약성경 《사복음서 바울로 서간》 성경 목록 정경《기독교의 정경》 외경 《신약외경》 성서비평학 성서정과 신학 신학의 3갈래《역사신학 성서신학 조직신학》 신학의 2갈래《이론신학 실천신학》 죄 복음 《산상 설교 사복음서》 회개 믿음 은총 구원 천국·하느님의 나라《에덴 동산 약속의 땅》 삼위일체 《성부 성자 성령》 교회 《공교회주의》《로마가톨릭주의》 전례 《미사 성찬예배 개신교 예배》 성례전·성사 《세례 성찬·성체성사》 교회론 그리스도론 마리아론 율법 변증론 종말론 역사 전통 초대교회 사도 교부 교황 총대주교 세계 공의회 동서 교회의 분열 십자군 서방 교회의 분열 종교 개혁 반종교 개혁 동방 정교회의 분열 교파와 운동서방 기독교 로마 가톨릭교회 개신교 (성공회 루터교 장로교 침례교 칼뱅주의 감리교 오순절운동 복음주의 재림주의 신사도운동 성경복귀운동 재세례파 후스파 플리머스 형제단 퀘이커) 동방 기독교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아시리아 동방교회 동방 가톨릭교회 회복된 기독교 예수 그리스도 후기성도 교회 여호와의 증인 단일오순절교 유니테리언주의 그리스도아델피안 기독교 운동 청교도 운동 경건주의 운동 옥스퍼드 운동 교회 일치 운동 기독교 근본주의 개혁주의 복음주의 신정통주의 신복음주의 자유주의 신학 해방신학 민중신학 기타 일반 강론·설교 기도 교회력 성화상 음악 미술 타종교 관계 비판《신화적 예수》 분류 기독교 포털 vdeh로마 가톨릭교회 조직 교황제도 신학 전례 양식 역사 예수 사도 초기 기독교 교황제도의 역사 공의회 십자군 전도 동서 교회의 분열 서방 교회의 분열 종교 개혁 반종교 개혁 나라별 로마 가톨릭교회 교계제도 교황 추기경 총대주교 상급대주교 관구장 주교 수도 대주교 대주교 주교 사제 부제 신학 삼위일체 원죄 하나이고 거룩하고 보편되며 사도로부터 이어오는 교회 미사 은총 구원 산상 수훈 십계명 교의 영혼과 육체 성사 세례성사 견진성사 성체성사 고해성사 병자성사 성품성사 혼인성사 마리아론 로마 가톨릭교회의 마리아론 성모 마리아 역사 하느님의 어머니 평생 동정 원죄 없는 잉태 성모 승천 교부·교회학자 대 그레고리오 교황 레오 1세 그레고리우스 대 바실리오 다마스쿠스의 요한 로베르토 벨라르미노 소화 데레사 베다 페트루스 다미아니 페트루스 크리솔로구스 보나벤투라 브린디시의 라우렌시오 푸아티에의 힐라리우스 프란치스코 드 살 세비야의 이시도루스 시에나의 카타리나 십자가의 요한 아빌라의 테레사 아우구스티누스 아타나시우스 안셀무스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알폰소 마리아 데 리구오리 암브로시우스 시리아의 에프렘 예루살렘의 키릴로스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 클레르보의 베르나르 토마스 아퀴나스 파도바의 안토니오 페트루스 카니시우스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히에로니무스 교황 로마 주교 교리 호칭 상징 성좌 콘클라베 바티칸 시국 교황무류성 역대 교황 교황 프란치스코 교황 베네딕토 16세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교황 요한 바오로 1세 교황 바오로 6세 교황 요한 23세 교황 비오 12세 교황 비오 11세 교황 베네딕토 15세 교황 비오 10세 교황 레오 13세 교황 비오 9세 수도회 가르멜회 도미니코회 베네딕토회 살레시오회 성모 승천회 성십자가회 시토회 아우구스티노회 예수회 오라토리오회 카르투시오회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카푸친 작은형제회 천주의 성 요한 수도회 ) 제2차바티칸 공의회 교회의 정의 교회헌장 비그리스도교와 교회의 관계에 대한 선언 사목헌장 전례 양식비잔티움 전례 그리스 러시아 루마니아 루테니아 마케도니아 멜키트 벨라루스 불가리아 슬로바키아 알바니아 우크라이나 이탈리아계 알바니아 크로아티아 헝가리 아르메니아 전례 아르메니아 안티오키아 전례 마론파 시리아 시로말란카라 알렉산드리아 전례 에티오피아 콥트 칼데아 전례 시로말라바르 칼데아 기타 전례 라틴 전례 로마 전례 모자라빅 전례 사룸 전례 성공회 전례 암브로시오 전례 전거 통제 LCCN: sh85011718 GND: 4059150-5 BNF: cb119655131 (데이터) HDS: 25623 NDL: 00570737 BNE: XX52564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세례&oldid=24179824" 분류: 세례가톨릭 전례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9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ragonésالعربيةܐܪܡܝܐ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Boarisch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islamaবাংলাBrezhonegБуряадCatalàCebuano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FryskGàidhligGalegoગુજરાતી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HrvatskiHornjoserbsce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Kabɩyɛಕನ್ನಡLatinaLimburgsLumbaartLingála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Dorerin NaoeroPlattdüütsch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ИронPolskiپښتوPortuguêsRuna SimiRumantsch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Sicilianuسنڌي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ChiShonaShqip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KiswahiliŚlůnsk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VènetoTiếng ViệtWalonWinaray吴语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16:4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세례(洗禮)는 물을 이용하는 정화의식이다. 세례는 기독교, 만다야교, 시크교를 포함하여 여러 종교에서 행해지며,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성사중 하나로 사용되기 때문에 세례성사라 부르기도 한다. 대부분의 기독교 공동체에서는 공동체에 받아들인다는 의미로 물로 세례한다. 물 머리에 뿌리거나 끼얹는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몸의 일부를 물에 담그거나 전체를 물에 담그는 침례라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 과정은 전통적으로 세 번 이루어지는데, 각각 야훼의 삼위를 상징한다.성경에서는 공관복음서에는 세례자 요한이 예수에게 세례를 베푸는 모습으로 처음 등장한다. 현재 대부분의 교회에서 삼위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는데, 교회 일치 운동에서는 이 부분을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하나의 공동체라는 주장의 근거로 삼기도 한다. 루터교회와 같은 특정 기독교 교단에서는 세례를 통해 교회 회원 자격을 부여하며, 피세례자는 세례시 서약을 한다.물로 세례를 받아야 구원받는다고 보는 교리가 있으며, 따라서 세례를 받기 전에 사망한 이들의 구원 문제에 대한 논쟁이 초대 교회부터 이루어졌다. 이들 중 일부는 키프리아누스, 예루살렘의 키릴로스의 관점에 따라 순교를 "피에 의한 세례"로 보고 당시 물로 세례받지 않은 이들이 이로서 구원받았다고 본다.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세례를 받고자 하는 소망'만 가진 채로 죽은 이들이 그 소망으로 이미 세례를 받았다고 보는 교리를 발전시켰다. 그러나 울리히 츠빙글리를 따르는 일부 개신교 교단에서는 세례가 구원에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관점을 가지고 있다.이처럼 여러 교단에 걸쳐 세례의 방식과 중요성에 대해 다양한 입장을 가지고 있다. 퀘이커와 구세군의 경우 물 세례를 아예 집행하지 않는다. 침례교의 경우 물을 뿌리는 세례가 아닌, 몸을 물에 담그는 세례가 진정한 세례라고 인정한다. 대부분의 교단은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푸는데, 이는 예수가 승천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남긴 명령으로 전해지는 '지상명령'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단일오순절교에서는 오직 성자 예수의 이름만으로 세례를 준다. 2010년 기준 절반 이상의 기독교도들은 믿는 가정에서 태어난 아이에게 유아세례를 베푸나, 침례교와 재세례파 등의 교단에서는 본인의 믿음으로 받는 세례만이 유효하다고 본다. 동방 정교회와 오리엔트 정교회의 경우 세례를 받은 이들에게 십자가 목걸이를 주어 평생동안 착용하도록 하는데, 이는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기독교에서 생각하는 세례 및 유아세례는 어떤 거야? Assistant: 교회의 전통에 따라, 로마 가톨릭교회, 루터교, 성공회, 장로교. 감리교 등에서 행하는 유아 세례의 경우에는 세례를 받고 신앙고백을 한 부모가 자녀를 대신하여 유아세례의 자격을 받을 수 있다. 유아 세례의 기록은 성서에는 없지만 4세기에 교부 성 아우구스티노 주교에 의해 그 필요성이 기술되었다. 아우구스티노는 세례가 죄를 씻어주기 때문에 새로 태어난 아이에게도 행해져야 하는데, 이는 갓난아기도 원죄에 의해 더렵혀졌으며 따라서 세례를 받기 전에 사망할 경우 죄의 저주를 받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보다 한 세기 전에 교부인 터툴리안은 믿음으로 받는 세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주장한 바 있다. “ "상황과 개인적인 성향, 또한 나이를 고려하여 세례를 늦추는 것이 좋다. 하지만 어린 아이의 경우에는... 그들이 그리스도를 알 수 있게 되면 그리스도인이 되게 하라." ” 성공회의 종교개혁 전통을 강조하는 저교회파 성공회를 포함한 많은 복음주의 기독교인들은 세례가 "내적인 변화를 외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라는 입장을 취한다. 세례는 그리스도를 따라 행해지는 것이며, 그들의 삶을 그리스도께 맡기고 새로운 피조물로 태어났을 때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편지 5장 17절) 그 내적인 변화를 다른 사람들에게 외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Human: 아래 인생은_아름다워_(1997년_영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인생은 아름다워 (1997년 영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생은 아름다워 (1997년 영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인생은 아름다워La Vita E Bella 감독 로베르토 베니니 제작 엘다 페리지안루이지 브라스치 각본 로베르토 베니니빈센조 세라미 출연 로베르토 베니니니콜레타 브라시조르지오 칸타리니지우스티노 듀라노세르지오 비니 부스트릭 촬영 토니노 델리 콜리 편집 시모나 파지 음악 니콜라 피오바니 제작사 미라맥스 필름 배급사 미라맥스 필름 개봉일 1997년 12월 20일 (1997-12-20) (이탈리아)1999년 3월 16일 (1999-03-16) (대한민국) 시간 116분[1] 국가 이탈리아 언어 이탈리아어독일어영어 제작비 2000만 달러[2] 수익 2억 2920만 달러[3] 《인생은 아름다워》(이탈리아어: La vita è bella, 영어: Life Is Beautiful)는 1997년에 개봉한 이탈리아 영화로, 귀도 오레피체(로베르토 베니니 분)라는 이탈리아계 유태인이 풍부한 상상력으로 나치의 유태인 수용소에서 가족을 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영화는 제71회 아카데미상 수상식에 작품상, 남우주연상, 감독상, 각본상, 편집상, 음악상, 외국어 영화상 등에 노미네이트되었으며, 이 중 로베르토 베니니가 남우주연상의 영광을 안았으며, 더불어 음악상과 외국어 영화상 등 총 3개 부문을 수상했다. 목차 1 줄거리 2 캐스팅 2.1 주연 2.2 조연 3 한국어 더빙 성우진(KBS) 4 수상 4.1 칸 영화제 4.2 아카데미상 5 반응 6 참고자료 7 외부 링크 줄거리[편집] 영화의 처음 부분과 중간 부분은 묘한 로맨틱 코미디와 슬랩스틱 코미디가 섞여 있다. 귀도 오레피체는 젊은 유대계 이탈리아인으로 아레초에 도착하여 서점을 열 꿈을 가지고 잠시 웨이터 일을 하게 된다. 그는 자기의 삼촌이자 웨이터인 엘라시오와 같이 살게 된다. 귀도는 초등학교 교사인 도라(Dora, 유태인이 아닌 일반 이탈리아인이다) 와 사랑에 빠지게 된다. 결국 귀도와 도라는 결혼하게 되고, 몇 년 뒤 아들 조슈아를 낳게 된다. 영화에서 조슈아는 이 부분에서 네 살 반 먹은 어린애로 등장하지만, 영화에서 처음과 마지막을 설명하는 사람은 나이 먹은 조슈아이다. 중간 부분에서, 귀도와 그의 삼촌, 조슈아는 조슈아의 생일에 유대인 수용소로 끌려가게 된다. 도라는 독일군 장교에게 가족과 같이 가게 해달라고 요청하게 되고 받아들여지게 된다. 기차에 올라탈 때 도라만 붉은 옷을 입었고, 나머지는 모두 다 검은 빛깔의 옷을 입게 된다. 귀도는 조슈아를 나치로부터 숨기고 조슈아에게 몰래 음식을 가져다준다. 그러는 동안 엘라시오 삼촌은 가스실에서 죽게 되지만, 아무도 이 사실을 모르고 있다. 조슈아의 천진난만한 영혼을 유지하기 위해서 귀도는 조슈아에게 이 캠프는 단지 게임일 뿐이고, 최초로 1,000점을 따는 사람에게 탱크를 준다고 거짓말을 한다. 그러면서 귀도는 조슈아가 울거나, 엄마가 보고 싶다거나, 배고프다고 하는 등 떼를 쓰거나 말을 듣지 않고 소리를 지르거나 하면 점수가 깎이게 되고, 만약 조용히 지내 나치에게 안 잡히면 1,000점을 얻어서 탱크를 받을 수 있다고 말한다. 유태인 수용소에서 많은 사람들이 죽어갔지만, 천진난만한 조슈아는 아버지의 이야기를 그대로 믿었기 때문에 아무런 의문을 품지 않는다. 귀도는 아들과 함께 영화가 거의 끝날 무렵까지 살아남게 되나, 미군이 진격해 온다는 소문에 혼란을 느껴 아들을 숨기면서 조금만 더 기다리면 1,000점을 얻을 수 있으니까 잘 숨어 있으라고 말한다. 그리고 귀도는 도라를 찾아 나서다가 나치에게 발견되어 총살당하게 되지만, 숨겨둔 아들은 나치에게 발각당하지 않는다. 이윽고 그런 난리 통에서 살아남은 조슈아는 미군 탱크가 수용소를 해방하자 자신이 게임에서 승리자가 되었다고 믿게 된다. 나중에 조슈아는 도라와 만나지만, 도라는 귀도가 죽은 줄 모르고 있다. 세월이 흘러 조슈아는 아버지의 희생으로 자신이 살아남았다는 걸 깨닫게 되는 것으로 영화는 끝난다. 캐스팅[편집] 주연[편집] 로베르토 베니니 - 귀도 오레피체 역 니콜레타 브라스키 - 도라 역 조르조 칸타리니 - 조슈아 역 지우스티노 듀라노 - 엘리세오 삼촌 역 조연[편집] 세르지오 비니 부스트릭 - 페루치오 파피니 역 마리사 파레데스 - 도라 어머니 역 호스트 부흐홀즈 - 레싱 박사 역 리디아 알폰시 - 구치아르디니 역 줄리아나 로조디체 - 교장선생님 역 아메리고 폰타니 - 로돌프 역 피에트로 데 실바 - 바르톨로메오 역 프란체스코 구조 - 비토리노 역 라파엘라 레보로니 - 엘레나 역 클라우디오 알폰시 - 아미코 로돌포 역 길 바로니 - 장관 역 마시모 비안치 위르겐 본 베레나 브라티 로버트 카메로 엔니오 콘살비 지안카를로 코센티노 아르온 크레이그 알피에로 파로미 한국어 더빙 성우진(KBS)[편집] 최병상 - 귀도(로베르토 베니니) 이선 - 조슈아(조르조 칸타리니) 차명화 - 도라(니콜레타 브라스키) 이광자 - 교장 선생님(쥴리아나 로조디스) 이선영 - 도라의 어머니(마리사 파레데스) 박상일 - 장학사(프랑체스코 메스콜리) 김태연 - 레싱 박사(호스트 부콜츠) 정기항 - 귀도의 삼촌(지우스티노 듀라노) 황재경 - 도라의 친구(라파엘라 레보로니) 문관일 - 사장(지안카를로 코센티노) 이재용 - 로돌포(아메리고 폰타니) 김관진 - 피루치오(세르지오 부스트릭) 석원희 - 호텔 직원(앤드라 나르디니) 이장원 - 바르톨로메오(피에트로 드 실바) 이현주 - 엘레노라(카를로타 망기온) 수상[편집] 칸 영화제[편집] 수상 그랑프리 (1998)[4] 아카데미상[편집] 수상 음악상 외국어 영화상 남우주연상 노미네이트 감독상 편집상 작품상 각본상 반응[편집] 이 영화는 재정적으로도 성공하였으며, 1997년부터 1998년까지 이탈리아에서 2천 3백만 유로를 벌어들였으며[출처 필요], 미국에서는 5천 8백만 달러를 벌어들였다.[5] 인생은 아름다워는 로튼 토마토에서 7.8/10이란 평가를 받았다. 참고자료[편집] ↑ http://www.bbfc.co.uk/releases/la-vita-e-bella-life-beautiful-1970 ↑ “보관 된 사본”. 2013년 6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4일에 확인함.  ↑ http://www.boxofficemojo.com/movies/?id=lifeisbeautiful.htm ↑ “Festival de Cannes: Life Is Beautiful”. 《festival-cannes.com》. 2009년 10월 1일에 확인함.  ↑ http://boxofficemojo.com/movies/?id=lifeisbeautiful.htm 외부 링크[편집] 위키인용집에 이 문서와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인생은 아름다워 (1997년 영화) (영어) Life Is Beautiful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vdeh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1947–1955 구두닦이 (1947) 메시어 빈센트 (1948) 자전거 도둑 (1949) 말라파가의 성벽 (1950) 라쇼몽 (1951) 금지된 장난 (1952) 지옥문 (1954) 사무라이 I: 미야모토 무사시 (1955) 1956–1975 길 (1956) 카비리아의 밤 (1957) 나의 아저씨 (1958) 흑인 오르페 (1959) 처녀의 샘 (1960) 거울을 통해 어렴풋이 (1961) 시벨의 일요일 (1962) 8과 1/2 (1963) 어제, 오늘, 내일 (1964) 중심가의 상점 (1965) 남과 여 (1966) 가까이서 본 기차 (1967) 전쟁과 평화 (1968) 제트 (1969) 완전 범죄 (1970) 핀치 콘티니의 정원 (1971) 부르주아의 은밀한 매력 (1972) 아메리카의 밤 (1973) 아마코드 (1974) 데루수 우자라 (1975) 1976–2000 색깔 속의 흑백 (1976) 마담 로자 (1977) 손수건을 꺼내라 (1978) 양철북 (1979) 모스크바는 눈물을 믿지 않는다 (1980) 메피스토 (1981) 비긴이 시작되면 (1982) 화니와 알렉산더 (1983) 위험한 행마 (1984) 오피셜 스토리 (1985) 한밤의 암살자 (1986) 바베트의 만찬 (1987) 정복자 펠레 (1988) 시네마 천국 (1989) 희망의 여행 (1990) 지중해 (1991) 인도차이나 (1992) 아름다운 시절 (1993) 위선의 태양 (1994) 안토니아스 라인 (1995) 콜리야 (1996) 캐릭터 (1997) 인생은 아름다워 (1998) 내 어머니의 모든 것 (1999) 와호장룡 (2000) 2001–현재 무인지대 (2001) 러브 인 아프리카 (2002) 야만적 침략 (2003) 씨 인사이드 (2004) 톳치 (2005) 타인의 삶 (2006) 카운터피터 (2007) 굿' 바이: Good & Bye (2008) 엘 시크레토: 비밀의 눈동자 (2009) 인 어 베러 월드 (2010) 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2011) 아무르 (2012) 더 그레이트 뷰티 (2013) 이다 (2014) 사울의 아들 (2015) 세일즈맨 (2016) 판타스틱 우먼 (2017) 로마 (2018) vdeh유럽 영화상 작품상1988-2000 살인에 관한 짧은 필름 (1988) 안개 속의 풍경 (1989) 오픈 도어스 (1990) 하층민들 (1991) 어린이 도둑 (1992) 우르가 (1993) 라메리카 (1994) 랜드 앤 프리덤 (1995) 브레이킹 더 웨이브 (1996) 풀 몬티 (1997) 인생은 아름다워 (1998) 내 어머니의 모든 것 (1999) 어둠 속의 댄서 (2000) 2001-현재 아멜리에 (2001) 그녀에게 (2002) 굿바이 레닌 (2003) 미치고 싶을 때 (2004) 히든 (2005) 타인의 삶 (2006) 4개월, 3주... 그리고 2일 (2007) 고모라 (2008) 하얀 리본 (2009) 유령 작가 (2010) 멜랑콜리아 (2011) 아무르 (2012) 더 그레이트 뷰티 (2013) 이다 (2014) 유스 (2015) 토니 에르트만 (2016) 더 스퀘어 (2017) 콜드 워 (2018) vdeh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 외국어영화상1995년 - 2009년 《일 포스티노》 (1995) 《리디큘》 (1996) 《쉘 위 댄스》 (1997) 《인생은 아름다워》 (1998) 《내 어머니의 모든 것》 (1999) 《와호장룡》 (2000) 《아멜리에》 (2001) 《이 투 마마》 (2002) 《야만적 침략》 (2003) 《씨 인사이드》 (2004) 《쿵푸 허슬》 (2005)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 (2006) 《잠수종과 나비》 (2007) 《바시르와 왈츠를》 (2008) 《브로큰 임브레이스》 (2009) 2010년 - 현재 《밀레니엄 제1부: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 (2010) 《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2011) 《아무르》 (2012) 《가장 따뜻한 색, 블루》 (2013) 《포스 마쥬어: 화이트 베케이션》 (2014) 《사울의 아들》 (2015) 《엘르》 (2016) 《인 더 페이드》 (2017) 《로마》 (201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인생은_아름다워_(1997년_영화)&oldid=23934155" 분류: 1997년 영화이탈리아의 영화 작품코미디 드라마 영화아카데미 음악상 수상작아카데미 외국어영화상 수상작홀로코스트 영화토스카나주를 배경으로 한 영화로베르토 베니니 감독 영화1939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1945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1930년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1940년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이탈리아의 드라마 영화이탈리아의 코미디 영화숨은 분류: 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4년 3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LatviešuമലയാളംनेपालीNederlandsNorskਪੰਜਾਬੀ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9일 (금) 15: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인생은 아름다워》(이탈리아어: La vita è bella, 영어: Life Is Beautiful)는 1997년에 개봉한 이탈리아 영화로, 귀도 오레피체(로베르토 베니니 분)라는 이탈리아계 유대인이 풍부한 상상력으로 나치의 유대인 수용소에서 가족을 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영화는 제71회 아카데미상 수상식에 작품상, 남우주연상, 감독상, 각본상, 편집상, 음악상, 외국어 영화상 등에 노미네이트되었으며, 이 중 로베르토 베니니가 남우주연상의 영광을 안았으며, 더불어 음악상과 외국어 영화상 등 총 3개 부문을 수상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인생은 아름다워'라는 영화에서 귀도와 도라가 낳은 아들의 이름은 무엇일까? Assistant: 조슈아 Human: 아래 대한민국_농수산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한민국 농수산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농수산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농수산부農水産部 설립일 1973년 3월 3일 전신 농림부 해산일 1987년 1월 1일 후신 농림수산부 산하기관 농촌진흥청 (73.03 ~ 87.01) 수산청 (73.03 ~ 87.01) 농수산부(農水産部)는 농산·잠업·식량·농지·수리 및 축산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었다. 1973년 3월 3일 농림부를 개편하여 발족하였으며 1987년 1월 1일 농림수산부로 개편되면서 폐지되었다. 목차 1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2 연혁 3 조직 3.1 외청 4 역대 장·차관, 차관보 4.1 농수산부 장관 4.2 농수산부 차관 4.3 농수산부 차관보 4.3.1 농수산부 농정차관보 4.3.2 농수산부 식산차관보 4.3.3 농수산부 농산차관보 4.3.4 농수산부 식량차관보 4.3.5 농수산부 제1차관보 4.3.6 농수산부 제2차관보 5 각주 6 외부 링크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편집] 정부조직법 [법률 제2557호, 1973.03.03 일부개정] 제29조 및 제36조[1] 농수산부직제 [대통령령 제6596호, 1973.03.28 일부개정] 제1조[2] 연혁[편집] 1973년 3월 3일 - 농림부를 폐지하고 농수산부를 신설, 산림청을 내무부로 옮김. 1987년 1월 1일 - 농수산부를 폐지하고 농림수산부를 신설. 조직[편집] 국립부산생사검사소 ( 1974.07 ~ 1981.11 ) 국립서울생사검사소 ( 1974.07 ~ 1981.11 ) 사료대책위원회 ( 1974.12 ~ 1987.12 ) 서울식물방역사무소 ( 1977.02 ~ 1978.04 ) 감사관 ( 1977.09 ~ 1987.12 ) 감사관(감사담당)실 ( 1981.11 ~ 1987.12 ) 감사관(조사담당)실 ( 1981.11 ~ 1987.12 ) 강원도농수산통계사무소 ( 1978.04 ~ 1987.12 ) 강원도농업통계사무소 ( 1974.01 ~ 1978.04 ) 경상남도농수산통계사무소 ( 1978.04 ~ 1987.12 ) 경상남도농업통계사무소 ( 1974.01 ~ 1978.04 ) 경상북도농수산통계사무소 ( 1978.04 ~ 1987.12 ) 경상북도농업통계사무소 ( 1974.01 ~ 1978.04 ) 공보관 ( 1973.03 ~ 1987.12 ) 국립농산물검사소 ( 1973.03 ~ 1986.12 ) 국립농업경제연구소 ( 1973.11 ~ 1978.04 ) 국립농업자재검사소 ( 1973.03 ~ 1987.12 ) 국립동물검역소 ( 1974.05 ~ 1987.08 ) 국립생사검사소 ( 1973.03 ~ 1986.12 ) 국립식물검역소 ( 1978.04 ~ 1986.12 ) 국립종자공급소 ( 1974.11 ~ 1987.01 ) 국립종자공급소 보급과 ( 1974.11 ~ 1986.12 ) 국립종축원 ( 1984.01 ~ 1986.12 ) 국립종축장 ( 1973.01 ~ 1984.01 ) 군산식물방역사무소 ( 1977.02 ~ 1978.04 ) 기획관리실 ( 1973.03 ~ 1987.12 ) 농산국 ( 1973.03 ~ 1987.12 ) 농산물유통국 ( 1986.05 ~ 1987.12 ) 농수산공무원교육원 ( 1973.08 ~ 1976.06 ) 농수산통계관 ( 1978.04 ~ 1987.12 ) 농수산통계관(경제통계담당)실( 1981.11 ~ 1987.12 ) 농수산통계관(농산통계담당)실( 1981.11 ~ 1987.12 ) 농수산통계관(수산통계담당)실( 1981.11 ~ 1987.12 ) 농수산통계관(유통경제통계담당)실( 1981.11 ~ 1987.12 ) 농어촌개발국 ( 1986.05 ~ 1987.12 ) 농업개발국 ( 1973.03 ~ 1981.11 ) 농업경제국 ( 1976.12 ~ 1981.11 ) 농업공무원교육원 ( 1976.06 ~ 1986.12 ) 농업정책국 ( 1981.11 ~ 1987.12 ) 농지개발국 ( 1976.12 ~ 1981.11 ) 농지관리국 ( 1976.12 ~ 1981.11 ) 농지국 ( 1973.03 ~ 1976.12 ) 농지국 ( 1981.11 ~ 1986.05 ) 농특사업국 ( 1973.03 ~ 1976.12 ) 농특사업국 ( 1978.04 ~ 1981.11 ) 부산식물방역사무소 ( 1977.02 ~ 1978.04 ) 수산조정관 ( 1978.04 ~ 1981.11 ) 식량국 ( 1973.03 ~ 1981.11 ) 양곡관리국 ( 1973.03 ~ 1981.11 ) 양정국 ( 1981.11 ~ 1987.12 ) 유통경제국 ( 1973.03 ~ 1976.12 ) 인천식물방역사무소 ( 1977.02 ~ 1978.04 ) 잠사원예국 ( 1976.12 ~ 1978.04 ) 전라남도농수산통계사무소 ( 1978.04 ~ 1987.12 ) 전라남도농업통계사무소 ( 1974.01 ~ 1978.04 ) 전라북도농수산통계사무소 ( 1978.04 ~ 1987.12 ) 전라북도농업통계사무소 ( 1974.01 ~ 1978.04 ) 제주식물방역사무소 ( 1977.02 ~ 1978.04 ) 총무과 ( 1973.03 ~ 1987.12 ) 축산국 ( 1973.03 ~ 1987.12 ) 충청북도농수산통계사무소 ( 1978.04 ~ 1987.12 ) 충청북도농업통계사무소 ( 1974.01 ~ 1978.04 ) 특작국 ( 1981.11 ~ 1986.05 ) 외청[편집] 농촌진흥청 수산청 역대 장·차관, 차관보[편집] 농수산부 장관[편집] 정부 대수 이름 임기 출신지 출신학교 비고 제 4 공화국 27대 김보현(金甫炫) 1973년 3월 3일 ~ 1973년 8월 7일 전남 광양 서울대 전라남도지사&체신부 장관 28대 정소영(鄭韶永) 1973년 8월 8일 ~ 1975년 12월 18일 경북 대구(현 경북과 분리) 미국 워싱턴주립대 대통령비서실 경제제1수석비서관&재무부 차관&국제경제연구원장&고려종합경제연구소 회장 29대 최각규(崔珏圭) 1975년 12월 19일 ~ 1977년 12월 19일 강원 강릉 서울대 강원도지사&상공부 장관&경제부총리&제13대 국회의원 30대 장덕진(張德鎭) 1977년 12월 20일 ~ 1978년 12월 21일 강원 춘천 고려대 농수산부 차관&경제기획원 차관&제8대 국회의원&농업진흥공사 이사장&사회발전연구소 회장&대한축구협회장 31대 이희일(李熺逸) 1978년 12월 22일 ~ 1979년 12월 13일 함남 신흥 고려대 대통령비서실 경제제1수석비서관&동력자원부 장관&제13대 국회의원 32대 이재설(李在卨) 1979년 12월 14일 ~ 1980년 5월 21일 경기 경성(현 서울) 서울대 건설부 차관&체신부 장관 33대 정종택(鄭宗澤) 1980년 5월 22일 ~ 1980년 9월 1일 충북 청원 서울대 충청북도지사&노동청장&환경부 장관&정무제1장관&제11·12·13대 국회의원&한국정치발전연구회 이사장 34대 1980년 9월 2일 ~ 1981년 3월 9일 제 5 공화국 35대 고건(高建) 1981년 3월 10일 ~ 1982년 5월 20일 경기 경성(현 서울 종로) 서울대 전라남도지사&서울특별시장&교통부 장관&내무부 장관&국무총리&대통령 권한대행&제12대 국회의원 36대 박종문(朴鍾汶) 1982년 5월 21일 ~ 1985년 2월 15일 경남 거창 경북대 강원도지사&농수산부 농산국장·식산차관보·농산차관보&제12대 국회의원 37대 황인성(黃寅性) 1985년 2월 19일 ~ 1986년 12월 31일 전북 무주 육사 전라북도지사&국무총리비서실장&외자청장&조달청장&교통부 장관&국무총리&제11·12·14대 국회의원 농수산부 차관[편집] 정부 대수 이름 임기 출신지 출신학교 비고 제 4 공화국 24대 이득용(李得龍) 1973년 3월 28일 ~ 1973년 8월 8일 경남 김해 서울대 농림부 식산차관보 25대 장덕진(張德鎭) 1973년 8월 8일 ~ 1975년 12월 23일 강원 춘천 고려대 경제기획원 차관&농수산부 장관&제8대 국회의원&농업진흥공사 이사장&사회발전연구소 회장&대한축구협회장 26대 주성규(朱聖奎) 1975년 12월 24일 ~ 1976년 5월 7일 경남 진해(현 경남 창원) 연세대 농수산부 양정국장·식량차관보&국립농산물검사소장&고합건설 사장 27대 장덕희(張德熙) 1976년 5월 11일 ~ 1978년 6월 27일 경기 경성(현 서울) 서울대 농수산부 양정국장·농지국장·기획관리실장·식량차관보&국립종축장장&수협중앙회장&농업협동조합중앙회장 28대 남욱(南旭) 1978년 6월 27일 ~ 1980년 7월 9일 경남 하동 부산대 농수산부 농지국장·식량차관보&국립농산물검사소장 29대 강인희(姜仁熙) 1980년 7월 19일 ~ 1983년 10월 9일 경남 진주 연세대 농수산부 농업기획관·농업개발국장·농정차관보·식량차관보 제 5 공화국 30대 조익래(趙益來) 1983년 10월 15일 ~ 1986년 8월 28일 경남 사천 서울대 경상남도지사&농수산부 농지관리국장·농산국장·농정차관보&금호개발 회장 31대 류종탁(柳鍾卓) 1986년 8월 29일 ~ 1986년 12월 31일 경북 대구(현 경북과 분리) 서울대 산림청장&농수산부 차관보 농수산부 차관보[편집] 농수산부 농정차관보[편집] 정부 대수 이름 임기 출신지 출신학교 비고 제 4 공화국 9대 함만준(咸萬準) 1973년 1월 23일 ~ 1974년 2월 21일 강원 김화 서울대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장·경제조정관&농수산부 기획관리실장&축산진흥협회장 10대 임영득(任煐得) 1974년 2월 21일 ~ 1975년 5월 20일 전남 광주(현 전남과 분리) 서울대 인천세관장&전매청 기획관리관&재무부 세관국장&농수산부 식산차관보 11대 오준석(吳俊碩) 1975년 5월 20일 ~ 1976년 5월 14일 경남 수산청 차장&농수산부 식산차관보&제7·8·9·10대 국회의원 12대 함만준(咸萬準) 1976년 5월 14일 ~ 1978년 3월 15일 강원 김화 서울대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장·경제조정관&농수산부 기획관리실장&축산진흥협회장 13대 강인희(姜仁熙) 1978년 3월 15일 ~ 1979년 3월 13일 경남 진주 연세대 농수산부 농업기획관·농업개발국장·식량차관보&농수산부 차관 14대 윤항렬(尹恒烈) 1979년 3월 13일 ~ 1980년 8월 12일 경기 시흥 서울대 농수산부 식량국장·기획관리실장·식량차관보&경제과학심의회의 상임위원 15대 조익래(趙益來) 1980년 8월 14일 ~ 1981년 11월 2일 경남 사천 서울대 경상남도지사&농수산부 농지관리국장·농산국장&농수산부 차관 농수산부 식산차관보[편집] 정부 대수 이름 임기 출신지 출신학교 비고 제 4 공화국 6대 한봉수(韓鳳洙) 1973년 1월 15일 ~ 1973년 8월 14일 경기 시흥 서울대 대통령비서실 경제제1비서관&농림부 기획관리실장 7대 임영득(任煐得) 1973년 8월 14일 ~ 1974년 2월 21일 전남 광주(현 전남과 분리) 서울대 인천세관장&전매청 기획관리관&재무부 세관국장&농수산부 농정차관보 8대 남욱(南旭) 1974년 2월 21일 ~ 1974년 12월 5일 경남 하동 부산대 농수산부 농정국장·농직국장·농산차관보·식량차관보&농수산부 차관&농산물검사소장 9대 이재용(李載容) 1974년 12월 5일 ~ 1976년 5월 14일 경북 의성 농촌진흥청 차장&농림부 농업생산국장 10대 오준석(吳俊碩) 1976년 5월 14일 ~ 1976년 5월 22일 경남 수산청 차장&농수산부 농정차관보&제7·8·9·10대 국회의원 11대 김영진(金榮鎭) 1976년 5월 14일 ~ 1977년 2월 16일 농수산부 기획관리실장·농산차관보 12대 윤근환(尹勤煥) 1977년 2월 16일 ~ 1979년 3월 13일 전남 함평 서울대 농촌진흥청장&농수산부 농산차관보&농림수산부 장관&농업경영연구소장&농업기술연구소장 13대 박종문(朴鍾汶) 1979년 3월 13일 ~ 1980년 3월 19일 경남 거창 경북대 강원도지사&농수산부 농산국장·농산차관보&농수산부 장관&제12대 국회의원&농업기술연구소장 14대 김영진(金榮鎭) 1980년 3월 19일 ~ 1980년 4월 30일 농수산부 기획관리실장·농산차관보 15대 김주호(金周浩) 1980년 4월 30일 ~ 1980년 7월 21일 경남 함안 서울대 조달청장&농수산부 농업경제국장·식량국장·기획관리실장 농수산부 농산차관보[편집] 정부 대수 이름 임기 출신지 출신학교 비고 제 4 공화국 초대 채관식(蔡寬植) 1973년 1월 23일 ~ 1973년 11월 20일 서울대 농촌진흥청 시험국장&농림부 농산국장·기획관리실장·농정차관보&농산물검사소장&농어촌개발공사 사장 2대 남욱(羅旭) 1973년 11월 20일 ~ 1974년 2월 21일 경남 하동 부산대 농수산부 농정국장·농직국장·식산차관보·식량차관보&농수산부 차관&농산물검사소장 3대 윤근환(尹勤煥) 1974년 2월 21일 ~ 1977년 2월 16일 전남 함평 서울대 농촌진흥청장&농수산부 식산차관보&농림수산부 장관&농업경영연구소장&농업기술연구소장 4대 김영진(金榮鎭) 1977년 2월 16일 ~ 1980년 3월 19일 농수산부 기획관리실장·식산차관보 5대 박종문(朴鍾汶) 1980년 3월 19일 ~ 1981년 4월 8일 경남 거창 경북대 강원도지사&농수산부 농산국장·식산차관보&농수산부 장관&제12대 국회의원&농업기술연구소장 농수산부 식량차관보[편집] 정부 대수 이름 임기 출신지 출신학교 비고 제 4 공화국 초대 주성규(朱聖奎) 1973년 1월 23일 ~ 1973년 9월 26일 경남 진해(현 경남 창원) 연세대 농촌진흥청 지도국장&농림부 양정국장·기획관리실장&농수산부 차관&국립농산물검사소장 2대 장덕희(張德熙) 1973년 9월 26일 ~ 1973년 10월 10일 경기 경성(현 서울) 서울대 농수산부 양정국장·농지국장·기획관리실장&농수산부 차관&수협중앙회장 3대 배규성(裴奎聖) 1973년 10월 10일 ~ 1976년 5월 14일 경북 김천 서울대 농수산부 농정국장·식량국장 4대 남욱(南旭) 1976년 5월 14일 ~ 1978년 6월 27일 경남 하동 부산대 농수산부 농정국장·농직국장·식산차관보·농산차관보&농수산부 차관&농산물검사소장 5대 윤항렬(尹恒烈) 1978년 6월 27일 ~ 1979년 3월 13일 경기 시흥 서울대 농수산부 식량국장·기획관리실장·농정차관보&경제과학심의회의 상임위원 6대 강인희(姜仁熙) 1979년 3월 13일 ~ 1980년 7월 19일 경남 진주 연세대 농수산부 농업기획관·농업개발국장·농정차관보&농수산부 차관 7대 이병기(李丙基) 1980년 8월 14일 ~ 1981년 11월 2일 경남 부산(현 경남과 분리) 서울대 대통령비서실 농업비서관&농촌진흥청 차장&농수산부 농지국장·농업경제국장·식량국장&농림수산부 차관&농산물검사소장 농수산부 제1차관보[편집] 정부 대수 이름 임기 출신지 출신학교 비고 제 5 공화국 초대 조익래(趙益來) 1981년 11월 2일 ~ 1983년 10월 15일 경남 사천 서울대 경상남도지사&농수산부 농지관리국장·농산국장&농수산부 차관 2대 류종탁(柳鍾卓) 1983년 10월 19일 ~ 1984년 6월 4일 경북 대구(현 경북과 분리) 서울대 산림청장&농수산부 농업기획관·정책연구관·제2차관보&농림수산부 차관 3대 명의식(明宜植) 1984년 6월 4일 ~ 1986년 7월 11일 충남 청양 서울대 농촌진흥청 기획관리관&농수산부 농지관리국장·기획관리실장&농수산물검사소장&축산업협동조합중앙회장 4대 이동우(李東雨) 1986년 7월 12일 ~ 1987년 12월 31일 충남 부여 홍익대 대통령비서실 새마을비서관&산림청장&농촌진흥청장&농수산부 농수산통계관·농업개발국장&농림수산부 차관 농수산부 제2차관보[편집] 정부 대수 이름 임기 출신지 출신학교 비고 제 5 공화국 초대 이병기(李丙基) 1981년 11월 2일 ~ 1982년 5월 13일 경남 부산(현 경남과 분리) 서울대 대통령비서실 농업비서관&농촌진흥청 차장&농수산부 농지국장·농업경제국장·식량국장&농산물검사소장 2대 조경식(曺京植) 1982년 5월 13일 ~ 1983년 9월 16일 경남 밀양 서울대 경제기획원 총괄국장·예산실장&국방부 관리차관보&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3대 김동준(金東俊) 1983년 10월 19일 ~ 1984년 5월 29일 농수산부 기획관리실장&농축수산물유통공사 사장 4대 류종탁(柳鍾卓) 1984년 6월 4일 ~ 1986년 8월 29일 경북 대구(현 경북과 분리) 서울대 산림청장&농수산부 농업기획관·정책연구관·제1차관보&농림수산부 차관 5대 이병석(李炳淅) 1986년 9월 29일 ~ 1986년 12월 31일 전북 임실 서울대 농수산부 양정국장·농정국장·기획관리실장&농림수산부 차관&감사원 감사위원 각주[편집] ↑ ① 농수산부장관은 농산·잠업·식량·농지·수리 및 축산에 관한 사무를 장리한다. ↑ 농수산부는 농산·잠업·식량·농지·수리 및 축산에 관한 업무를 관장한다. 외부 링크[편집] 농수산부직제 vdeh 대한민국의 폐지된 중앙행정기관원 경제기획원 국무원 국토통일원 심계원 재정경제원 통일원 부 건설교통부 건설부 공보부 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적자원부 교통부 국가안전기획부 국토해양부 내무부 노동부 농림부 농림수산부 농림수산식품부 농수산부 동력자원부 문교부 문화공보부 문화관광부 문화부 문화체육부 미래창조과학부 보건복지가족부 보건부 보건사회부 부흥부 사회부 산업자원부 상공부 상공자원부 안전행정부 여성부 외교통상부 외무부 재무부 재정경제부 정보통신부 중앙정보부 지식경제부 체신부 체육부 체육청소년부 통상산업부 행정자치부 실 공보실 국무총리실 기획조정실 내각수반비서실 대통령경호실 대통령실 무임소장관실 정무장관(제3)실 정무장관(제2)실 정무장관(제1)실 제2무임소장관실 제1무임소장관실 특임장관실 행정조정실 위원회 감찰위원회 경제위원회 고시위원회 공안위원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국가비상기획위원회 국가청렴위원회 국가청소년위원회 국민고충처리위원회 군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금융감독위원회 금융개혁위원회 기획예산위원회 노사정위원회 대일항쟁기피해조사 및 지원위원회 방송위원회 부패방지위원회 부흥위원회 비상기획위원회 사정위원회 사회정화위원회 언론윤리위원회 여성특별위원회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정부혁신추진위원회 제2의건국범국민추진위원회 종합유선방송위원회 중소기업특별위원회 중앙경제위원회 중앙인사위원회 중앙정보연구위원회 중화학공업추진위원회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청소년보호위원회 청소년위원회 청소년육성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탄핵심판위원회 해외협력위원회 행정개혁위원회 행정개혁조사위원회 행정쇄신위원회 헌법위원회 처 과학기술처 국민안전처 국정홍보처 기획예산처 기획처 내각사무처 외자구매처 원호처 환경처 공보처 총무처 청 공업단지관리청 공업진흥청 관재청 국토건설청 군사원호청 노동청 소방방재청 수산청 식품의약품안전청 예산청 외자청 원자력청 임시외자관리청 전매청 중소기업청 철도청 항만청 해무청 해운항만청 환경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한민국_농수산부&oldid=22717809" 분류: 대한민국 농림축산식품부대한민국의 폐지된 중앙행정기관1973년 설립1987년 폐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0월 8일 (월) 12: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농수산부(農水産部)는 농산·잠업·식량·농지·수리 및 축산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었다. 1973년 3월 3일 농림부를 개편하여 발족하였으며 1987년 1월 1일 농림수산부로 개편되면서 폐지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대한민국의 제 4,5 공화국 때에 농수산부의 역대 차관의 임기와 출신정보는 어떠한가요? Assistant: 정부 대수 이름 임기 출신지 출신학교 비고 제 4 공화국 24대 이득용(李得龍) 1973년 3월 28일 ~ 1973년 8월 8일 경남 김해 서울대 농림부 식산차관보 25대 장덕진(張德鎭) 1973년 8월 8일 ~ 1975년 12월 23일 강원 춘천 고려대 경제기획원 차관&농수산부 장관&제8대 국회의원&농업진흥공사 이사장&사회발전연구소 회장&대한축구협회장 26대 주성규(朱聖奎) 1975년 12월 24일 ~ 1976년 5월 7일 경남 진해(현 경남 창원) 연세대 농수산부 양정국장·식량차관보&국립농산물검사소장&고합건설 사장 27대 장덕희(張德熙) 1976년 5월 11일 ~ 1978년 6월 27일 경기 경성(현 서울) 서울대 농수산부 양정국장·농지국장·기획관리실장·식량차관보&국립종축장장&수협중앙회장&농업협동조합중앙회장 28대 남욱(南旭) 1978년 6월 27일 ~ 1980년 7월 9일 경남 하동 부산대 농수산부 농지국장·식량차관보&국립농산물검사소장 29대 강인희(姜仁熙) 1980년 7월 19일 ~ 1983년 10월 9일 경남 진주 연세대 농수산부 농업기획관·농업개발국장·농정차관보·식량차관보 제 5 공화국 30대 조익래(趙益來) 1983년 10월 15일 ~ 1986년 8월 28일 경남 사천 서울대 경상남도지사&농수산부 농지관리국장·농산국장·농정차관보&금호개발 회장 31대 류종탁(柳鍾卓) 1986년 8월 29일 ~ 1986년 12월 31일 경북 대구(현 경북과 분리) 서울대 산림청장&농수산부 차관보
Human: 아래 젤다의_전설_신들의_트라이포스_2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젤다의 전설 신들의 트라이포스 2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젤다의 전설 신들의 트라이포스 2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젤다의 전설: 신들의 트라이포스 2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비디오 게임 정보 | 제목 = 젤다의 전설 신들의 트라이포스 2 | 원제목 = ゼルダの伝説 神々のトライフォース2The Legend of Zelda: A Link Between Worlds} 젤다의 전설 신들의 트라이포스 2(ゼルダの伝説 神々のトライフォース2, The Legend of Zelda: A Link Between Worlds) 는 2014년 6월 21일[1]에 닌텐도에서 발매된 닌텐도 3DS용 액션 어드벤처 게임이다. 목차 1 개요 2 등장 인물 2.1 주요 캐릭터 2.2 칠현자 2.3 던전 보스 3 필드와 던전 3.1 주요 지역 3.1.1 하이랄 (ハイラル) 3.1.2 로우랄 (ロウラル) 3.2 던전 3.2.1 하이랄의 던전 3.2.2 로우랄의 던전 4 아이템 4.1 콜렉트 아이템 4.1.1 검 4.1.2 옷 4.1.3 방패 4.1.4 장비 4.2 사용 아이템 4.2.1 라비오의 아이템 5 미니 게임 6 기타 7 각주 8 외부 링크 개요[편집] 젤다의 전설 신들의 트라이포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미국에서 2013년 4월 17일 방송된 Nintendo Direct Luigi special 2 2013.4.17[2]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1991년에 슈퍼 패미컴용으로 발매된 젤다의 전설 신들의 트라이포스의 속편이며, 신들의 트라이포스 이후 긴 시간이 흐른 뒤의 하이랄 평원이 이번 작품의 무대이다.[3][4] 이 때문에 배경 음악과 음향 효과, 맵 구성, 그래픽 디자인 등에서 전작과 비슷한 점이 많다. 이번 작품에서는 하이랄 외에 로우랄 (ロウラル, Lorule)이라는 세계가 존재한다. 주인공 링크가 사제 유가에 의해 그림 속에 봉인된 일곱 현자의 자손들을 구출, 하이랄과 로우랄 두 세계를 구하는 것이 이 게임의 목표이다. 닌텐도 3DS로 발매되는 젤다의 전설 시리즈 게임으로는 두 번째이지만, 시간의 오카리나 3D는 리메이크작이기 때문에 완전한 신작은 이 게임이 처음이다. 휴대용 3D 게임 중 처음으로 60프레임 속도를 채용한 작품이다. 등장 인물[편집] 주요 캐릭터[편집] 링크 (성우: 사이가 미츠키) 하이랄의 대장장이 견습생인 소년. 어떤 계기로 모험을 떠나게 된다. 후에 라비오의 팔찌의 힘으로 벽화가 되는 능력을 가지게 된다. 젤다 (성우: 후지무라 아유미) 하이랄의 공주. 트라이포스를 관리하며, 이 때문에 하이랄 성에서 유가에 의해 그림에 갇혀 로우랄로 납치된다. 트라이포스가 분열할 때 지혜의 트라이포스가 깃들었다. 최종결전에서 링크에게 빛의 활과 화살을 건네준다. 유가 (ユガ) (성우: 오기노 세루) 로우랄의 사제. 정중한 말투를 사용한다. 로우랄의 성지에서 우연히 하이랄로 이어진 균열을 발견하고 하이랄에 트라이포스가 있다는 것을 알아낸다. 힐다 공주와 함께 하이랄의 트라이포스를 이용하는 것을 계획, 하이랄에 와서 일곱 현자를 그림에 가두고 로우랄 각지의 던전에 봉인했다. 트라이포스가 분열하고 봉인되어있던 가논을 부활해 힘의 트라이포스를 얻지만 힐다에 의해 봉인된 뒤 최종 결전에서 다시 소환되었다. 트라이포스의 힘으로 세계 정복을 노리고 있었는데 이로 인해 로우랄 부활에 트라이포스를 사용하고자 했던 힐다 공주와 대립, 그녀를 그림에 넣어 봉인하고 지혜의 트라이포스도 얻고자 링크를 공격한다. 그러나 자신이 쏜 공격을 링크가 받아쳐 그림에 봉인된다. 힐다 공주 (ヒルダ) (성우: 하야미 케) 로우랄의 공주. 황폐해진 로우랄을 되살리기 위해 트라이포스를 사용하기로 계획, 유가를 하이랄에 보냈다. 용기의 트라이포스를 얻기 위해 유가의 힘을 억제, 현자를 구출하기 위해 로우랄에 온 링크를 지원한다. 최종 결전에서 젤다가 가진 지혜의 트라이포스를 얻었으나 트라이포스를 사용하는데 유가와 의견이 엇갈려 그림에 봉인된뒤 유가가 가져간다. 유가가 쓰러진 후에도 로우랄 재건을 포기하지 않았으나 로우랄에 온 라비오에 의해 자신의 행동을 깨닫고 뉘우친 뒤 링크와 젤다를 트라이포스와 함께 하이랄로 보낸다. 라비오 (ラヴィオ) (성우: 사이가 미츠키, 斎賀みつき) 행상인. 링크의 집에 정착, 아이템 샵을 여는 대신 링크에게 팔찌를 준다. 같이 다니는 새 "시로"(シロ)는 아이템 회수를 담당하고 있다. 토끼 모습의 복면을 쓰고 있는데 실제 외모는 링크와 닮았다. 원래 로우랄에 거주하며 힐다를 모시고 있었지만, 힐다와 유가의 계획을 알게 되고 하이랄로 도망, 링크의 집에 아이템 샵을 열어 링크를 지원했다. 힐다가 야망을 포기하도록 설득한다. 사하스라라 (サハスラーラ) (성우: 오기노 세루, 荻野晴朗) 카카리코 마을에 사는 현자 가논 과거 하이랄을 공포에 몰아넣었다가 용사에 의해 봉인된 마왕. 힘의 트라이포스가 가논에게 깃든 상태로 봉인되어 유가와 힐다에 의해 소환되고 유가의 마법으로 유가와 합쳐진다. 칠현자[편집] 유가에 의해 그림에 갇혀 로우랄 각지의 던전에 봉인되어 있으며, 링크가 구출하면 해방되어 현자로 각성한 뒤 링크에게 힘을 준다. 구리 (グリ) (성우: 사이가 미츠키, 斎賀みつき) 링크가 일하고 있는 대장간의 외아들. 유가에 의해 어둠의 신전에 봉인된 후 링크에 의해 구출된다. 오렌 (オーレン) (성우: 하야미 케) 조라 족의 여왕. 미끈미끈 돌을 누군가 훔쳐 모습이 변했다. 물의 사원에 봉인. 세레스 (セレス) (성우: 하야미 케, はやみけい) 교회의 성직자. 유가에게 제일 먼저 그림에 갇힌다. 해골 숲에 봉인되었다. 아스팔 (アスファル) (성우: 오기노 세루) 사하스라라의 제자인 청년. 세레스가 납치된 것을 알고 유가를 주목하나 링크의 눈앞에서 유가에 의해 그림에 갇힌다. 로우랄 마을의 한 집에서 링크에게 구출된다. 롯소 (ロッソ) (성우: 오기노 세루, 荻野晴朗) 헤브라 산의 광산에서 채굴을 하는 남성. 직업 상 링크와 대장장이 가족과 알고 지냈다. 얼음의 유적에 봉인되었다. 아이린 (アイリン) (성우: 사이가 미츠키, 斎賀みつき) 마법사 소녀. "초록"에게 친절하게 대하면 좋은 일이 생긴다는 점괘를 듣고 우연히 만난 링크에게 자신을 부를 수 있는 종을 준다. 유가에 의해 사막의 신전에 봉인된다. 임파 (インパ) (성우: 하야미 케, はやみけい) 하이랄 성에 근무. 젤다의 곁을 지킨다. 세레스가 납치된 것을 보고 온 링크를 젤다에게 알현시키지만 유가에 의해 봉인되어 거북 바위에 갇혀 있다. 던전 보스[편집] 유가 (ユガ) (1회차) 동쪽 신전의 보스. 벽 속을 이동하면서 마법으로 공격한다. 게토 마고 (ゲト・マーゴ) 바람의 관의 보스. 위에 눈이 달린 원반 모양의 몬스터. 주변이 낭떠러지인 방을 돌아다니며 링크를 쳐내지만 보스 스스로는 공격하지 않는다. 데구테루 (デグテール) 헤라의 탑의 보스. 전작에서도 던전의 보스로 등장한 대형 애벌레. 스스로는 공격하지 않으면서 바닥을 돌아다닌다. 꼬리가 약점. 공격할 때마다 움직임이 빨라진다. 이후에 로우랄 성에서 중간 보스로 등장. 유가 (ユガ) (2회차) 하이랄 성의 보스. 이번에는 3장의 그림 분신을 만들어 전기 공격을 한다. 쥬얼락 (ジュエルロック) 어둠의 신전 보스. 맹수형 몬스터. 머리가 약점이다. 처음에는 투구를 쓰고 있으며, 투구를 공격해 깨뜨리면 울부짖어 횃불을 끈 뒤 빠르게 달려들어 공격한다. 워트 (ワート) 물의 사원의 보스. 데구테루와 마찬가지로 전작에서 던전의 보스로 등장한 대형 해파리. 처음에는 거품에 싸인 눈을 몸에 두르고 있다. 눈을 없애면 점프해 링크를 밟거나 레이저를 쏜다. 이후에 로우랄 성에서 중간 보스로 등장한다. 너클 마스터 (ナックルマスター) 해골 숲의 보스. 철제 장갑을 낀 오른손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손바닥에 눈이 붙어있다. 바닥으로 자신을 내리치거나 주먹을 쥐고 달려들어 공격한다. 스탈 블라인드 (スタルブラインド) 버려진 자들의 아지트의 보스. 해골형 몬스터. 검과 방패를 가지고 있다. 체력이 줄어들면 방패를 버리고 회전 베기로 공격하며, 체력이 더 줄면 머리가 분리해 따로 공격한다. 블랙 슈 아이즈 (ブラックシュアイズ) 얼음의 유적의 보스. 털을 가진 몬스터 이다. 몸 주변에 얼음 결정을 띄우고 있으며 이 결정들로 삼각형을 만들어 공격을 한다. 보스 자체도 몸을 얼려서 녹인 후 공격해야 한다. 자가나가 (ザーガナーガ) 사막의 신전의 보스. 식물 형태의 몬스터. 곳곳에 있는 기둥들을 옮겨 다니며 작은 몬스터를 보내 공격한다. 체력이 떨어지면 꽃잎 부분이 열려 빔을 쏘며 공격한다. 볼가롯크 (ボルガロック) 거북 바위의 보스. 바위를 뒤집어 쓴 거북이 모습의 몬스터. 처음에는 링크가 있는 철망 밑의 용암속에서 불기둥을 뿜으며 공격하며 체력이 줄면 철망위에 올라 목을 뻗거나 회전을 하며 공격한다. 유가 (ユガ) (3회차) 로우랄 성의 보스이자 이번 작품의 최종 보스. 가논과 합체해 힘의 트라이포스를 얻은 유가이다. 마법 공격과 삼지창을 휘두르며 육탄전을 벌이다 지혜의 트라이포스를 얻고 전기를 띠는 공을 던져 공격한다. 링크가 쳐낸 자신의 공격을 받으면 그림이 되어 벽으로 들어간다. 필드와 던전[편집] 본 작품은 하이랄과 평행세계인 로우랄 두 세계가 무대이다. 전반에는 하이랄에서 스토리를 진행하고 이후 하이랄과 로우랄을 오가며 스토리를 진행한다. 로우랄과 하이랄은 벽의 균열로 연결되어있어 벽화가 된 뒤 균열로 들어가 왕래할 수 있다. 주요 지역[편집] 하이랄 (ハイラル)[편집] 링크와 젤다가 살고 있는 세계 링크의 집/ 라비오 상점 링크의 집. 라비오가 정착해 아이템 샵이 된다. 카카리코 마을 (カカリコ村) 하이랄의 서쪽에 있는 마을. 조라 족에게서 미끈미끈 돌을 훔친 남자를 쫓으면 다다르게 된다. 사하스라라가 여기에 거주한다. 헤브라 산 (ヘブラ山) 하이랄 북동부의 화산. 롯소의 광산과 헤라의 탑이 있다. 신비한 사막 (あやしの砂漠) 하이랄 남서부의 사막. 사막의 신전이 있다. 하일리아 호수 (ハイリア湖) 하이랄 남동부의 호수. 바람의 관이 있다. 미로숲 (迷いの森) 카카리코 마을 북쪽에 있는 숲. 마스터 소드가 봉인되어 있다. 로우랄 (ロウラル)[편집] 힐다가 통치하는 세계. 전작 신들의 트라이포스의 어둠의 세계에 해당한다. 원래 이 세계에도 트라이포스가 있었으나 이를 둘러싸고 다툼이 끊이지 않아 다툼을 끝내기 위해 힐다의 조상이 트라이포스를 파괴했으며 현재 황폐해졌다. 신들의 트라이포스에서는 문 펄을 갖지 않은 사람은 모습이 몬스터나 동물, 나무로 변하는 세계였으나 이번 작품에서는 보통 사람이 살고 있다. 또 빛의 세계에서 벌어진 일이 어둠의 세계에도 영향을 끼친다는 설정도 이번 작품에는 있지 않다. 버려진 자들의 마을 (はぐれ者の村) 로우랄 서부의 마을. 하이랄에서 카카리코 마을이 있는 장소에 있다. 데스마운틴 (デスマウンテン) 로우랄 북동부의 산. 하이랄의 헤브라 산에 해당한다. 전작에서는 거북 바위가 있었으나 이번 작품에는 얼음의 유적이 있다. 악마의 늪 (悪魔の沼) 로우랄 남서부의 호수. 하이랄에서 신비한 사막이 있는 곳. 서부에는 모래가 있고 아이린이 여기에 봉인되어있다. 해골 숲 (ドクロの森) 던전 항목 참조. 던전[편집] 하이랄에 5곳, 로우랄에 7곳이 있다. 다른 시리즈의 던전에 비해 난이도가 낮다. 하이랄의 던전[편집] 동쪽 신전 (東の神殿) 하이랄 동부에 있다. 첫번째 던전으로 난이도는 낮다. 활과 화살을 이용해 크리스탈 스위치를 작동하는 부분이 있다. 보스는 유가. 바람의 관 (風の館) 하이리아 호수 중앙의 섬 위에있는 풍차 건물에 있는 던전. 토네이도 로드를 이용해 탐색한다. 보스는 게토 마고. 헤라의 탑 (ヘラの塔) 전작에도 있는 헤브라 산에있는 높은 탑. 이번 작에서는 전작보다 세로로 길쭉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총 13층이다. 망치와 얼굴 블록을 이용해 올라간다. 보스는 데구테루. 하이랄 성 (ハイラル城) 하이랄 왕국의 성. 보스는 유가. 로우랄의 던전[편집] 하이랄에 있는 던전에서 큰 보물상자에는 큰 문 열쇠만 있지만, 로우랄에 있는 던전의 큰 보물상자에는 콜렉트 아이템 (옷과 마스터 소드 강화 소재 등)이 있기도 하다. 어둠의 신전 (闇の神殿) 전작에도 있었던 로우랄 동부의 신전. 하이랄에는 동쪽 신전이 있는 곳. 빛과 관련된 장치나 빛이 있으면 보이지 않는 발판, 벽이 있다. 보스는 쥬얼락. 물의 사원 (水のほこら) 전작에도 있었던 로우랄 남쪽의 던전. 물과 관련된 장치가 많이 등장한다. 수수께끼 풀이와 후크샷 사용이 필요하다. 보스는 워트. 해골 숲 (ドクロの森) 전작에도 있었던 로우랄 북서부의 숲과 지하 던전. 하이랄에서 미혹의 숲이 있는 곳이다. 지상과 지하를 오가며 진행한다. 지하 미궁에서는 폴 마스터 (フォールマスター)가 떨어진다. 보스는 너클 마스터. 버려진 자들의 아지트 (はぐれ者のアジト) 버려진 자들의 마을에 있는 던전. 지하에는 여자 도둑이 잡혀있는 감옥이 있고 후반에는 그녀를 데리고 탈출한다. 보스는 스탈 블라인드. 얼음 유적 (氷の遺跡) 데스마운틴에 있는 던전. 전작에서 거북 바위가 있던 자리에 있다. 바닥이 좁고 얼음으로 되어있는 곳이 많아 신중한 조작이 필요하다. 파이어 로드를 사용하거나 얼굴 모양 조각의 혀를 당겨 장치를 작동시키며 진행한다. 보스는 블랙 슈 아이즈. 사막의 신전 (砂漠の神殿) 전작에도 있던 신비의 사막에 있는 던전. 모래가 많아 샌드 로드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보스는 자가나가. 던전 자체는 하이랄에 있으나 보스의 문을 나가면 던전 외부에 있는 균열로 이어지고 균열로 들어가면 로우랄에 있는 악마의 늪 서쪽의 모래 지역으로 가게된다. 거북바위 (カメイワ) 로우랄에 있는 거북이 모양의 바위 속에있는 던전. 전작의 얼음 탑이 있던 자리에 있다. 던전은 전체적으로 거북이 모양을 하고 있다. 내부는 용암으로 채워져 있으며, 아이스 로드로 용암을 식혀 진행한다. 보스는 볼가롯크. 로우랄 성 (ロウラル城) 로우랄의 중심부에 있는 성. 전작에서 피라미드가 있던 자리에 위치해 있는 본작의 마지막 던전. 4마리의 중간 보스를 쓰러뜨리고 큰 문을 여는것이 목적. 그 앞에는 최종 보스가 기다리는 왕의 방이 있다. 아이템[편집] 콜렉트 아이템[편집] 검[편집] 잊어버린 검 (忘れ物の剣) 하이랄의 병사장이 대장간에서 잊어버린 검. 누구나 다룰 수 있게 설계되어있으며, 위력은 낮다. 마스터 소드 (マスターソード) 미혹의 숲에 잠들어 있던 퇴마의 검. 하이랄 성을 봉인하고 있던 마력을 깨뜨릴 수 있다. 체력이 모두 차 있을 때 휘두르면 빔을 쏠 수 있다. 마스터 소드 LV2 마스터 소드를 강하게 할 수 있는 특수 광석 "마스터 스톤"을 한 인물에게 전달하면 얻을 수 있다. 칼의 몸체가 빨간색으로 변해 위력이 강해진다. 마스터 소드 LV3 마스터 소드 LV2를 소지한 상태에서 다시 한 인물에게 "마스터 스톤"을 건네면 얻을 수 있다. 검신이 황금빛으로 빛나며 칼의 빔도 위력이 상승한다. 어디서 하는지 힌트를 주자면 마스터 소드를 LV2로 강화시킨 후 나오는 대사가 "뭐, 그런 사람은 적어도 이 세상엔 없을 테니까" 라는 대사에 힌트가 숨어있다. 옷[편집] 녹색 옷 링크가 처음부터 입고있는 대장장이 작업복. 대장장이의 아내가 만든 특제 옷이다. 파란 옷 데미지가 반감되는 옷. 빨간 옷 파란 옷보다 더 데미지를 줄여주는 특수 섬유로 만들어진 본작 최강의 옷. 방패[편집] 방패 상점에서 50루피를 주고 구입할 수 있는 평범한 방패. 화살과 돌 등의 물리적 공격을 막을 수 있다. 하일리아의 방패 (ハイリアの盾) 고대의 기술로 만들어진 방패. 보통의 방패는 막지 못했던 불꽃과 빔, 레이저 등도 막을 수 있게 되었고 방패를 먹는 몬스터도 먹을 수 없다. 폭발 등 일부 공격은 막을 수 없다. 장비[편집] 라비오의 팔찌 (ラヴィオの腕輪) 라비오가 링크의 집에 머물게 되면서 보답으로 준 낡은 팔찌. 벽에 들어가 벽화화 할 수 있다. 조라의 물갈퀴 (ゾーラの水かき) 조라 족에서 내려져 오는 고성능 물갈퀴. 깊은 물에 빠져도 죽지 않으며 잠수할 수 있다. 파워 글러브 (パワーグローブ) 채석장의 롯소가 애용하는 장갑. 작은 바위 등을 들 수 있다. 파워풀 글러브 (パワフルグローブ) 큰 바위도 들 수 있게 하는 최강의 글러브 벌 배지 (ハチバッヂ) 풀에서 나오는 벌에게 공격당하지 않게 되며 벌의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 배지를 획득한 뒤 벌을 공격할 수 없게 된다. 페가수스의 신발 (ペガサスの靴) L버튼을 누르면 바라보고 있는 방향으로 달릴 수 있다. 진행방향의 반대로 스틱을 조작하면 멈출 수 있다. 노력의 비결 (頑張りの秘訣) 노력을 위한 요령이 적힌 두루마리. 노력 게이지가 1.5배가 된다. 사용 아이템[편집] 등불 (カンテラ) 링크를 중심으로 주위가 약간 밝아지고 횃대에 불을 붙일 수 있다. 슈퍼 등불 (スーパーカンテラ) 조건을 충족하면 얻을 수 있는 횃불의 강화판. 불을 지피는 행동의 데미지가 8배로 늘어난다. 잠자리채 (ムシ獲りアミ) 벌과 요정을 잡을 수 있다. 슈퍼 잠자리채 (スーパームシ獲りアミ) 조건을 충족하면 얻을 수 있는 잠자리채의 강화판. 휘두르는 행동의 데미지가 8배로 늘어난다. 힌트 안경 (ヒントメガネ) 세계 곳곳에 있는 힌트 유령을 보여주는 안경. 이름처럼 유령에게 말을 걸면 힌트를 들을 수 있다. 힌트를 들을려면 3DS 본체를 가지고 걸었을 때 일정하게 얻는 게임 코인이 하나 필요하다. 빈병 (ビン) 잠자리채로 잡은 벌이나 요정, 상점에서 얻을 수 있는 물약 등을 넣을 수 있는 병. 하이랄, 로우랄에 총 5개가 있다. 빛의 화살 (光の弓矢) 전투 중 벽화가 된 상태에서만 사용가능. 트라이포스의 빛을 가지고 있다. 라비오의 아이템[편집] 라비오의 상점에서 빌린 아이템은 링크가 쓰러지기 전까지 사용할 수 있고, 링크가 쓰러지면 회수되어 다시 라비오의 상점에 진열된다. 라비오 아이템을 사용하면 화면 왼쪽 하단의 "노력 게이지"가 줄어든다. 빌린 아이템은 아이콘에 라비오 마크가 있고, 아이템을 구입하면 마크가 없어지며 쓰러져도 회수되지 않는다. 구입한 아이템은 특정 조건을 충족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름도 "나이스 (아이템 이름)"으로 바뀐다. 활과 화살 (弓矢) 라비오의 상점에서 20루피에 대여 가능. 적이나 장애물에 닿을 때 까지 날아간다. 다른 시리즈와 달리 노력 게이지를 소비하고 화살 개수 제한은 없다. 구매 가격은 800루피. 강화 후 한번에 세 방향으로 화살을 쏠 수 있다. 해머 (ハンマー) 라비오의 상점에서 20루피에 대여 가능. 링크의 정면을 내리쳐 말뚝을 치거나 적을 공격할 수 있다. 구매 가격은 800루피. 강화 후 충격의 범위가 넓어진다. 토네이도 로드 (トルネードロッド) 라비오의 상점에서 20루피에 대여 가능. 주위에 토네이도를 일으켜 잠시 공중에 뜰 수 있다. 공중에서 이동은 불가하다. 발생시킨 토네이도로 적을 기절시킬 수 있고 영향 범위가 넓고 강력해 노력 게이지 소비도 가장 많다. 구매 가격은 800루피. 강화 후 토네이도가 커지고 데미지도 줄 수 있다. 부메랑 (ブーメラン) 라비오의 상점에서 50루피에 대여 가능. 앞으로 날아간 뒤 다시 돌아온다. 적에게 맞추면 그 적의 움직임을 잠시 멈출 수 있으며 멀리 떨어진 아이템을 가져오거나 스위치를 작동 시킬 수 있다. 구매 가격은 800루피. 강화 후 속도와 사거리가 증가하고 한번에 3개까지 던질 수 있다. 후크샷 (フックショット) 라비오의 상점에서 50루피에 대여 가능. 부메랑처럼 적의 움직임을 멈추거나 멀리 떨어진 아이템을 가져올 수 있으며, 특정 사물에 쏘아 절벽을 뛰어 넘을 수 있다. 이번 작품에서는 보물 상자에 쏠 수 없다. 구매 가격은 800루피. 강화 후에는 발사 속도가 높아져 공격도 할 수 있다. 폭탄 (バクダン) 라비오의 상점에서 50루피에 대여 가능. 땅에 놓으면 잠시 후 폭발해 적에게 데미지를 주거나 약한 벽을 허물 수 있다. 링크도 폭발 데미지를 받을 수 있다. 놓은 폭탄을 다시 들어 던지는 것도 가능하다. 활처럼 노력 게이지를 소비하기 때문에 폭탄 개수는 한정되어 있지 않다. 구매 가격은 800루피. 강화 하면 폭발 범위와 위력이 강해진다. 파이어 로드 (ファイアロッド) 라비오의 상점에서 100루피로 대여 가능. 불덩이를 앞으로 날려 땅에 떨어지면 불기둥이 솟아 오른다. 불기둥은 얼음을 녹이거나 얼음으로 공격하는 적을 공격할 수 있다. 또 머리 위의 철망 등을 관통해 공격하거나 얼음을 녹일 수 있다. 링크가 불기둥에 닿으면 데미지를 받는다. 구매 가격은 1200루피로 라비오의 상점에서 가장 비싸다. 강화하면 불덩이의 크기가 커진다. 아이스 로드 (アイスロッド) 라비오의 상점에서 100루피에 대여 가능. 링크의 앞 허공에 얼음 덩어리를 만들어 아래로 떨어뜨린다. 용암을 일정 시간 굳히거나 적을 얼려 움직이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빨간 거품 불꽃을 끌 수 있다. 얼음 덩어리는 머리보다 높은 곳에서 생겨 머리 위 적을 공격하거나 스위치를 작동 시킬 수 있다. 구매 가격은 1200루피로 파이어 로드와 마찬가지로 가장 비싸다. 강화 후에는 한번에 4개의 얼음 덩어리를 만들어 낸다. 샌드 로드 (サンドロッド) 라비오의 상점에서 50루피에 대여할 수 있으나 어떤 인물(은 현자 아스팔)이 링크보다 먼저 빌려 잠시 대여, 사용할 수 없다. 모래가 있는 장소에서 사용하면 일정 시간 링크의 앞에 모래 기둥을 만들 수 있다. 모래 기둥에 벽화로 들어갈 수 있으며, 빔 공격을 막거나 모래 속에 있는 적을 나오게 할 수 있다. 모래가 없는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모래 기둥은 나오지 않고 적을 맞춰 기절 시킬 수 있다. 구매 가격은 800루피. 강화 하면 모래 기둥이 무너지지 않고 적을 맞췄을 때 기절하는 시간도 늘어난다. 미니 게임[편집] 지금까지의 시리즈 처럼 일부 미니 게임의 경품에 하트 조각이 있다. 이번 작에서는 루피를 버는 게임이 많다. 보물상자 게임 (宝箱屋) (하이랄) 카카리코 마을에 있다. 50루피를 내면 두 보물 상자 중 하나를 열 수 있다. 하나에는 1루피가, 다른 하나에는 100루피가 들어있다. 꼬꼬 피하기 게임 (コッコよけ) 좁은 울타리 안에서 날아다니는 꼬꼬에 닿지 않도록 피하는 게임. 3가지 난이도가 있으며, 모두 30초를 넘기면 클리어. "엔드 리스" 모드는 꼬꼬에 닿을 때 까지의 시간을 기록한다. (최대 1000초, 16분 40초) 후다닥 레이스장 (ダダっとレース) 하일리아 호수의 북동쪽에서 롯소의 집 뒤쪽까지 도보, 수영으로 제한 시간 내에 도착하면 클리어. 제한 시간은 처음에는 1분 15초, 그 이후에는 1분 5초이다. 아슬아슬 루피 게임 (ギリギリルピー) 30초 동안 루피를 모으는 게임. 30초 안에 아슬아슬 누나/ 형님에게 말을 걸어야 루피를 얻을 수 있고, 30초를 넘기면 루피를 몰수당한다. 멈춘 시간에 따라 보너스가 다르다. (30초에 가까울 수록 많다.) 하이랄과 로우랄의 입장료와 지형이 다르다. 옥타 구장 (オクタ球場) 로우랄 공터에서 할 수 있다. 던져진 공을 쳐 필드에 놓인 24개의 항아리를 맞추는 야구 같은 게임. 30구를 던지면 종료되며 그때까지 항아리를 맞춰 얻은 루피를 가질 수 있다. 보물상자 게임 (宝箱屋) (로우랄) 버려진 자들의 마을에 있다. 200루피를 내면 15개의 보물 상자 중 3개를 선택해 열 수 있다. 다양한 금액의 루피나 물약의 재료 등을 얻을 수 있다. 통쾌! 배틀 도장 (痛快!大バトル道場) 전작에서 가논의 탑이 있던 데스 마운틴에 있는 탑. 적을 모두 쓰러뜨려 한 층씩 올라가 최상층으로 올라가야 한다. 최상층에서 적을 쓰러뜨리면 클리어. 기본적으로 일반 몬스터들이 나오며 특정 층에서 중간 보스 급의 적과 데구테루가 나온다. 기타[편집] 섀도 링크 (シャドウリンク) 엇갈림 통신을 통해 다른 플레이어가 그림자 링크로 등장, 배틀을 할 수 있다. 트레저 헌트 하이랄과 로우랄 곳곳에 작은 던전이 있다. 던전에는 고액의 루피가 들어있는 보물 상자가 있다. 보물 상자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난이도가 높은 조작이 필요하다. 본 작의 발매일에 다운로드 버전과 금색 본체에 트라이포스가 새겨져 있는 닌텐도 3DS XL "젤다의 전설 신들의 트라이포스2 한정판 패키지"가 동시 발매되었다. 광고 음악은 전작의 광고 음악을 제작한 스챠다라파가 제작했다. 각주[편집] ↑ 일본에서 당초 2014년에 발매될 예정이었으나 일정을 앞당겨 2013년에 발매되었다. ↑ 닌텐도 다이렉트 35분 15초 ↑ 신들의 트라이포스의 세계관상 속편으로 꿈꾸는 섬과 이상한 나무열매가 있는데, 본 작은 수백년이 더 흐른 뒤의 이야기이다. ↑ 신들의 트라이포스와 시리즈 처음작인 젤다의 전설 사이의 이야기로 보인다. 외부 링크[편집] 젤다의 전설 신들의 트라이포스 2 (한국 닌텐도) 젤다의 전설 신들의 트라이포스 2 (일본 닌텐도) Official Site - The Legend of Zelda: A Link Between Worlds for the Nintendo 3DS and Nintendo 2DS family of systems. (「Zelda Universe」사이트 내) vdeh젤다의 전설시리즈 작품2D 젤다의 전설 링크의 모험 신들의 트라이포스 꿈꾸는 섬 스위치 이상한 나무열매 신들의 트라이포스 & 4개의 검 4개의 검+ 이상한 모자 몽환의 모래시계 대지의 기적 신들의 트라이포스2 트라이포스 삼총사 3D 시간의 오카리나 (3D) 무쥬라의 가면 (3D) 바람의 지휘봉 (HD) 황혼의 공주 (HD) 스카이워드 소드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 파생 작품 CD-i 게임 컬렉션 팅글의 루피랜드 팅글의 벌룬 파이트 링크의 사격 트레이닝 젤다무쌍 케이던스 오브 하이랄 세계관 등장 인물 링크 젤다 에포나 미드나 가논돌프 팅글 하이랄 왕국 트라이포스 마스터 소드 미디어 TV 시리즈 만화 하이랄 히스토리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젤다의_전설_신들의_트라이포스_2&oldid=24474294" 분류: 젤다의 전설닌텐도 3DS 게임2013년 비디오 게임평행 우주를 소재로 한 작품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 nynorsk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venska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4일 (월) 14: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젤다의 전설 신들의 트라이포스 2(일본어: ゼルダの伝説 神々のトライフォース2 제루다노 덴세츠 카미가미노 토라이훠어스 니[*], The Legend of Zelda: A Link Between Worlds)는 2014년 6월 21일에 닌텐도에서 발매된 닌텐도 3DS용 액션 어드벤처 게임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젤다의 전설 - 신들의 트라이포스 2> 의 검 아이템의 종류와 특징이 뭐야? Assistant: 잊어버린 검 (忘れ物の剣) 하이랄의 병사장이 대장간에서 잊어버린 검. 누구나 다룰 수 있게 설계되어있으며, 위력은 낮다. 마스터 소드 (マスターソード) 미혹의 숲에 잠들어 있던 퇴마의 검. 하이랄 성을 봉인하고 있던 마력을 깨뜨릴 수 있다. 체력이 모두 차 있을 때 휘두르면 빔을 쏠 수 있다. 마스터 소드 LV2 마스터 소드를 강하게 할 수 있는 특수 광석 "마스터 스톤"을 한 인물에게 전달하면 얻을 수 있다. 칼의 몸체가 빨간색으로 변해 위력이 강해진다. 마스터 소드 LV3 마스터 소드 LV2를 소지한 상태에서 다시 한 인물에게 "마스터 스톤"을 건네면 얻을 수 있다. 검신이 황금빛으로 빛나며 칼의 빔도 위력이 상승한다. 어디서 하는지 힌트를 주자면 마스터 소드를 LV2로 강화시킨 후 나오는 대사가 "뭐, 그런 사람은 적어도 이 세상엔 없을 테니까" 라는 대사에 힌트가 숨어있다. Human: 아래 박대석_(1939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박대석 (1939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대석 (1939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산남 박대석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박대석朴大錫 前 대한민국 부산 영도구 구청장(前 大韓民國 釜山 影島區 區廳長) 임기 1995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대통령 김영삼 (대한민국 대통령)김대중 (대한민국 대통령) 노무현 (대한민국 대통령) 고건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 노무현 (대한민국 대통령) 총리 이홍구 (대한민국 국무총리) 이수성 (대한민국 국무총리) 고건 (대한민국 국무총리) 김종필 (대한민국 국무총리 서리) 김종필 (대한민국 국무총리) 박태준 (대한민국 국무총리) 이헌재 (대한민국 국무총리 권한대행) 이한동 (대한민국 국무총리) 장상 (대한민국 국무총리 서리)전윤철 (대한민국 국무총리 권한대행)장대환 (대한민국 국무총리 서리) 전윤철 (대한민국 국무총리 권한대행)김석수 (대한민국 국무총리 서리) 김석수 (대한민국 국무총리)고건 (대한민국 국무총리)이헌재 (대한민국 국무총리 권한대행)이해찬 (대한민국 국무총리)한덕수 (대한민국 국무총리 권한대행)한명숙 (대한민국 국무총리) 장관 김우석 (내무부 장관) 서정화 (내무부 장관) 강운태 (내무부 장관) 조해령 (내무부 장관) 김정길 (행정자치부 장관 서리) 김정길 (행정자치부 장관)김기재 (행정자치부 장관) 최인기 (행정자치부 장관) 이근식 (행정자치부 장관) 김두관 (행정자치부 장관) 허성관 (행정자치부 장관) 오영교 (행정자치부 장관)권오룡 (행정자치부 장관 직무대리) 이용섭 (행정자치부 장관) 차관 정태수 (내무부 차관) 이근식 (내무부 차관) 석영철 (행정자치부 차관 서리) 석영철 (행정자치부 차관) 김흥래 (행정자치부 차관) 김재영 (행정자치부 차관) 정영식 (행정자치부 차관) 조영택 (행정자치부 차관) 김주현 (행정자치부 차관) 권오룡 (행정자치부 차관) 권오룡 (행정자치부 제1차관) 문원경 (행정자치부 제2차관) 장인태 (행정자치부 제2차관) 문정수 (부산광역시 시장) 안상영 (부산광역시 시장) 오거돈 (부산광역시 시장 직무대리) 안준태 (부산광역시 시장 직무대리) 허남식 (부산광역시 시장) 신상정보 국적 대한민국 출생일 1939년 12월 2일(1939-12-02) 출생지 일제 강점기 충청북도 영동군 사망일 2013년 2월 3일 (73세) 사망지 대한민국 부산 영도구 거주지 대한민국 부산 영도구 본관 밀양(密陽) 학력 한국해양대학교 해사학과 경력 前 한나라당 대표전임위원前 동아대학교 초빙교수 정당 무소속 종교 유교(성리학) → 개신교 웹사이트 보트 비전 군사 경력 군복무 대한민국 해병 복무기간 1962년 6월 ~ 1988년 8월 최종계급 대한민국 해병 원사 전역(1988년 8월) 지휘 분대장 참전 베트남 전쟁 박대석(朴大錫, 1939년 12월 2일 ~ 2013년 2월 3일)은 대한민국의 정치가 겸 행정가이다. 호(號)는 산남(山南)·영도(影島)이다. 목차 1 학력 1.1 비학위 수료 2 경력 3 외부 링크 학력[편집] 부산 동래고등학교 한국해양대학교 해사학과 비학위 수료[편집] 한국해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최고위정책과정 수료 경력[편집] 1990년 11월 6일을 기하여 민주자유당 지방자치행정위원 직위 보임. 1991년 부산직할시 시의원(정당: 민주자유당 → 무소속 → 민주자유당). 1992년 2월 29일을 기하여 민주자유당 첫 탈당. 1993년 5월 31일을 기하여 민주자유당 복당과 함께 민주자유당 상임위원 직위 보임. 민선 1기 부산 영도구청장(정당: 민주자유당 → 무소속 → 신한국당 → 무소속 → 한나라당) 1995년 10월 31일을 기하여 민주자유당 재탈당. 1996년 5월 20일을 기하여 신한국당 입당하여 신한국당 전임위원 직위 보임. 1996년 8월 21일을 기하여 신한국당 탈당. 1998년 1월 19일을 기하여 한나라당 입당하여 한나라당 대표전임위원 직위 보임. 민선 2기 부산 영도구청장(정당: 한나라당 → 무소속). 1999년 12월 1일을 기하여 한나라당을 마지막 탈당하고 이후 본격 무소속 전향. 민선 3기 부산 영도구청장(정당: 무소속). 동아대학교 초빙교수. 외부 링크[편집] 두산대백과사전 서울신문 - 2013년 02월 03일 네이버 데이터 보트 비전 - 박대석 前 부산 영도구 구청장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박대석_(1939년)&oldid=24297737" 분류: 1939년 태어남2013년 죽음대한민국의 기업인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대한민국 해병대의 군인부산광역시 출신밀양 박씨대한민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 군인낙민초등학교 (부산) 동문동래중학교 동문동래고등학교 동문한국해양대학교 동문동아대학교 교수김영삼 정부김대중 정부노무현 정부20세기 대한민국 사람21세기 대한민국 사람민주자유당 당원신한국당 당원한나라당의 정치인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대한민국의 개신교도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28일 (화) 14: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박대석(朴大錫, 1939년 12월 2일(1939-12-02) ~ 2013년 2월 3일(2013-02-03))은 대한민국의 행정가 출신 정치인이다. 부산광역시의원과 3선 영도구청장을 역임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정치인 박대석 (1939년) 이 초빙교수로 재직하던 대학교의 이름은? Assistant: 동아대학교
Human: 아래 오범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오범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범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오범석 개인 정보로마자 표기 Oh Beom-Seok출생일 1984년 7월 29일(1984-07-29) (34세)출생지 대한민국 울산광역시키 181cm포지션 풀백 (오른쪽), 미드필더클럽 정보현 소속팀 강원 FC등번호 14청소년 클럽 기록2000-2002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2003-200720072008-20092009-20102011-20152013-201420162017- 포항 스틸러스→ 요코하마 FC (임대)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울산 현대수원 삼성 블루윙즈→ 경찰 (군 복무)항저우 뤼청강원 FC 070 0(3)010 0(0)028 0(0)033 0(4)105 0(1)039 0(4)국가대표팀 기록‡200320062005-2013 대한민국 U-20대한민국 U-23대한민국 011 0(0)004 0(1)043 0(2)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16년 1월 1일 기준이다.‡ 국가대표팀의 출장수와 골은 2013년 1월 1일 기준이다. 오범석(吳範錫, 1984년 7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오른쪽 풀백이며 가끔 수비형 미드필더로 뛰기도 한다. 현재 K리그1 강원 FC에 소속되어 있다. 목차 1 개요 2 축구인 생활 2.1 선수 생활 2.2 국가 대표 생활 3 그 외 4 경력 4.1 선수 경력 4.2 국가 대표 경력 5 수상 5.1 개인 5.2 클럽 5.2.1 포항 스틸러스 5.3 국가대표 6 각주 7 외부 링크 개요[편집] 옥동초등학교, 학성중학교,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머리를 잘 써 상대 선수를 잘 피해 다니며 오버래핑을 하여 꾀돌이를 뜻하는 포르투갈어인 '사까나시(Sacanage, 사카나지)'라는 별명이 붙었다. 터프한 플레이로 지능적이고 꼭 필요한 상황에서 반칙을 많이 범하여 '반칙왕'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하였다. 축구인 생활[편집] 선수 생활[편집] 2003년 포항 스틸러스에 입단하여, 오른쪽 풀백과 중앙 미드필더 및 수비수를 오가며 팀 내에 없어서는 안 될 선수로 성장하여 2004년 K리그 준우승에 공헌하였다. 2007년 일본 J리그의 요코하마 FC에 임대되었으나,[1] 그 해 시즌 결과 팀은 최하위로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2008년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의 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로의 이적을 추진하였으나,[2][3] 그 과정에서 성남 일화 천마로의 이적을 추진하던 포항 스틸러스와 마찰을 빚었다.[4][5] 포항 스틸러스 측과 오범석 측은 각각 '임의탈퇴'와 '국제축구연맹 제소'라는 강경책을 내세워 대립하였고,[6][7] 결국 포항 스틸러스가 이적 동의서를 발급하면서 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로 완전 이적하였다.[8] 이 과정에서 포항과 성남의 팬들에게 많은 비난을 받기도 하였다. 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로 이적한 이후 데뷔전 상대로 FC 테레크 그로즈니를 맞아 '최우수 선수'에 선정되는 등[9] 주전 선수로 뛰며 좋은 활약을 펼쳤지만, 2009 시즌엔 로만 시스킨에게 주전 경쟁에서 밀리며 많은 기회를 잡지 못하였다. 결국 2009년 7월 K리그 팀 울산 현대로 이적하였다.[10] 2010년 1월 10일 강민수를 상대로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 트레이드되었다.[11] 2013년부터 경찰 축구단에 입대하여 군 복무하다가 2014 시즌 중 군 복무를 마치고 수원으로 복귀하였다. 2015년 시즌 후 FA 자격을 얻었고, 홍명보 감독을 따라 항저우 뤼청으로 이적하였다. 2016년 12월, K리그 클래식으로 승격한 강원 FC로 이적하였다. 국가 대표 생활[편집] 2005년 1월 16일 콜롬비아와의 친선경기에서 데뷔하여, 2007년 AFC 아시안컵에 참가하였다. 한때 2006년 FIFA 월드컵 이후 장기적으로 송종국을 이어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차세대 오른쪽 풀백을 맡을 적임자로 지목되고 있었다.[12] 이후 오범석은 2006년 아시안 게임, 2007년 AFC 아시안컵, 2010년 FIFA 월드컵 등 여러 메이저 대회에 출전했는데 특히 2007년 AFC 아시안컵때 일본과의 3-4위 결정전 승부차기에서 두번째 키커로 나가 성공했고, 스코어 6대 5 승리를 이끈 것과 동시에 대한민국의 다음 대회의 자동 출전권을 획득했다. 그리고 2010년 FIFA 월드컵 첫 경기에는 차두리의 백업 선수로 시작했지만, 허정무 감독은 아르헨티나와의 조별리그 2차전에 오범석을 선발로 기용했다. 그러나 오범석은 상대 선수인 앙헬 디 마리아에게 반칙을 범하면서 동료 선수인 박주영의 자책골로 선 실점하는 원인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상대 선수한테 집중적으로 공략당하면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이후 오범석은 차두리에 선발 자리를 다시 내주었다. 그 외[편집] 오범석의 아버지는 오세권으로, 과거 축구선수로 활약했으며 포지션은 골키퍼였다. 은퇴 이후에 대한축구협회 기술위원과 내셔널리그 사무국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김희태축구센터에서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오범석의 누나인 오유미는 미스코리아 출신으로, 2003년 미스코리아 미(美) 출신이다.[13] 2007년에는 영국의 한 축구 전문 월간지에서 선정한 '이적시장에서 주목해야 할 선수 100인 명단'에 포함되기도 하였다.[14] 2009년 6월, 민수지와 결혼하였다.[15] 경력[편집] 선수 경력[편집] 2003년 ~ 2007년 포항 스틸러스 2007년 요코하마 FC (임대) 2008년 ~ 2009년 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2009년 ~ 2011년 울산 현대 2011년 ~ 2013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13년 ~ 2014년 경찰 (임대) 2014년 ~ 2015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16년 항저우 뤼청 2017년 ~ 강원 FC 국가 대표 경력[편집] 2007년 AFC 아시안컵 대표 2010년 FIFA 월드컵 대표 수상[편집] 개인[편집] 2002년 KBS배 수비상 수상 클럽[편집] 포항 스틸러스[편집] K리그 우승 1회 (2007년) K리그 준우승 1회 (2004년) FA컵 우승 1회 (2008년) FA컵 준우승 1회 (2007년) A3 챔피언스컵 준우승 1회 (2005년) 국가대표[편집] 2007년 AFC 아시안컵 3위 각주[편집] ↑ 포항, 요코하마에 오범석 6개월 임대키로 ↑ 오범석, 러시아 리그 진출… 바이아웃 금액 제시받아 ↑ 오범석, 러시아 사마라 FC로 완전 이적 ↑ 포항, '오범석 성남 이적' 공식 발표... 러시아행 급제동 ↑ '이적 갈등' 오범석 "유럽서 뛰고픈 생각 뿐"… 23일 러시아 출국 강행 ↑ 포항, 러시아 이적 오범석에 강수… '임의탈퇴' 고려 ↑ ‘이적 진통’ 오범석 ‘FIFA 제소’ 초강수 ↑ 오범석, 러시아 완전 이적... "유럽서 성공하겠다" ↑ 오범석, 러 데뷔전서 최우수 선수 ↑ 러시아 사마라 FC 소속의 국가대표 오범석 영입[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수원-울산, 강민수-오범석 맞트레이드”. OSEN. 2011년 1월 10일.  ↑ [1] ↑ 오범석의 특별한 가족 이야기 '누나는 미스코리아' ↑ 오범석, 英 <포포투> 선정 '유럽 진출 유력' 100人 선정 ↑ 오범석, 2살 연하의 여대생과 결혼···제주도 신혼여행 후 소속팀 합류 외부 링크[편집] 오범석 K리그 기록 - 한국프로축구연맹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오범석 vdeh강원 FC – 현재 명단 1 김호준 2 최우재 3 이호인 4 발렌티노스 5 이재익 6 조지훈 7 정석화 8 이재권 9 정조국 10 빌비야 11 김현욱 13 한국영 14 오범석 (C) 15 키요모토 16 함석민 17 신광훈 18 조재완 19 박창준 20 한용수 21 이승규 22 정승용 23 강지훈 24 서명원 25 이민수 27 이재관 29 이현식 30 이태호 31 이광연 32 정민우 33 지의수 35 정지용 37 윤석영 55 제리치 77 김지현 88 김경우 99 김오규 감독: 김병수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03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1 김영광 2 오범석 3 김치우 4 김치곤 5 박주성 6 김진규 7 이종민 8 이호 9 정조국 10 최성국 11 조원희 12 성경일 13 남궁웅 14 권집 15 박주영 16 한재웅 17 임유환 18 김동현 19 여효진 20 이호진 21 김호준 감독: 박성화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06년 아시안 게임 1 김영광 2 조원희 3 김진규 4 김동진 5 김치우 6 이호 7 백지훈 8 김두현 9 정조국 10 이천수 (주장) 11 최성국 12 김치곤 13 정인환 14 이종민 15 오범석 16 오장은 17 김동현 18 박주영 19 염기훈 20 정성룡 감독: 페르베이크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07년 AFC 아시안컵 3위 1 이운재 (주장) 2 송종국 3 김진규 4 김동진 6 이호 7 최성국 8 김두현 9 조재진 10 이천수 11 이근호 12 이동국 13 김치곤 14 김상식 15 김치우 16 오범석 17 김정우 18 우성용 19 염기훈 20 손대호 21 김용대 22 강민수 23 정성룡 27 오장은 감독: 페르베이크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10년 FIFA 월드컵 1 이운재 2 오범석 3 김형일 4 조용형 5 김남일 6 김보경 7 박지성 (주장) 8 김정우 9 안정환 10 박주영 11 이승렬 12 이영표 13 김재성 14 이정수 15 김동진 16 기성용 17 이청용 18 정성룡 19 염기훈 20 이동국 21 김영광 22 차두리 23 강민수 감독: 허정무 vdeh2013 K리그 챌린지 베스트 11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GK 김호준 DF 최철순 김형일 이재성 오범석 MF 염기훈 이호 최진수 김영후 FW 이근호 알렉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오범석&oldid=24106632" 분류: 1984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축구 수비수축구 미드필더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포항 스틸러스의 축구 선수요코하마 FC의 축구 선수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의 축구 선수울산 현대 축구단의 축구 선수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축구 선수안산 무궁화 축구단의 축구 선수저장 뤼청의 축구 선수강원 FC의 축구 선수K리그1의 축구 선수K리그2의 축구 선수J1리그의 축구 선수러시아 프리미어리그의 축구 선수중국 슈퍼리그의 축구 선수일본의 외국인 축구 선수중국의 외국인 축구 선수러시아의 외국인 축구 선수2006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2007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2010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옥동초등학교 (울산) 동문학성중학교 (울산) 동문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동문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K리그2 베스트 11 수상자일본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러시아에 거주한 대한민국인중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해주 오씨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Català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atinaMalagasy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7일 (토) 00: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오범석(吳範錫, 1984년 7월 29일~)은 대한민국의 전직 축구 선수이다. 현역 시절 포지션은 오른쪽 풀백이며 간혹 수비형 미드필더로 뛰기도 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05년 1월 16일, 오범석이 데뷔한 경기의 상대국가는 어디인가? Assistant: 콜롬비아 Human: 아래 일출봉_(드라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일출봉 (드라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출봉 (드라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일출봉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MBC 방송 기간 1992년 2월 12일 ~ 1992년 10월 29일 방송 시간 매주 수·목요일 밤 9시 45분 방송 분량 1시간 방송 횟수 72부작 기획 최종수 연출 이재갑 극본 임충 출연자 유인촌, 임영규, 도지원, 박순애 외 음성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아날로그) 《일출봉》은 1992년 2월 12일 ~ 1992년 10월 29일까지 방영된 MBC 수목드라마이다. 목차 1 소개 2 줄거리 3 등장 인물 4 참고 사항 5 결방 6 각주 7 외부 링크 소개[편집] 양반의 자식이지만 천민 신분으로 살아온 업산을 주인공으로 씨종 염동,업산의 젊은 상전 윤오성,오성의 배다른 동생 진성이 주축이 되어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반을 시대배경으로 엄격한 봉건신분사회가 와해돼가던 조선조 후기 민초들의 삶을 그린 작품이다.[1][2] 줄거리[편집] 양반가문인 송진사댁 며느리 이씨는 시댁으로 가는 길에 화적떼를 만난다. 이에 이씨는 어느 마을의 윤진사댁으로 피신해 갓 낳은 아들 석주를 이곳에 맡기고 시댁으로 향한다.그러나 얼마 못가 그녀는 돌림병에 걸리고 그 후유증으로 심한 기억상실증에 시달려 아들을 어디에 두었는지 알지 못한다. 윤진사 일가는 석주의 부모가 나타나지 않자 그를 노비로 삼아 업산이라는 이름을 붙여주게 되는데 업산은 윤진사 외아들 오성의 멸시와 매질을 당하다가 한양으로 뛰쳐나가게 된다. 한양에 당도한 그는 명문 김판서 집안의 딸 금옥과 운명적으로 만나 신분을 숨긴 채 살다가 과거에 급제,진사·형조참판의 벼슬을 오른다.집안이 몰락한 나머지 무전취식하다 포도청에 갇힌 오성을 만난 업산은 자신의 신분을 노출시킬 것인지 아니면 오성을 모른 체 할 것인지 고민하다가 결국 전자를 택한다. 형조참판이 노비 출신이라는 사실이 알려지자 궁궐이 일시에 발칵 뒤집히게 되나 그의 본명이 석주라는 사실이 또다시 밝혀져 숨겨진 자신을 다시 찾는 감격을 맛본다.[3] 등장 인물[편집] 유인촌 : 업산이/김석주 역. 원래 양반의 자식이었지만 어머니가 기억상실증에 걸린 뒤 노비로 팔려나간다. 우여곡절 끝에 훗날 형조참판의 지위에 까지 이르는 파란만장한 삶을 산다. 임영규 : 윤오성 역. 윤 진사의 적자. 업산이의 젊은 상전으로 업산이와 함께 자란다. 그러나 열등감 때문에 평생을 업산이와 천적으로 지낸다. 정성모 : 윤진성 역. 윤 진사의 서자. 서출이기에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고 동생인 오성을 상전으로 모셔야 한다. 결국 언문소설을 통해 사회변혁의 시민의식을 일깨우는 것을 평생의 업으로 삼는다. 전인택 : 염동 역. 윤 진사댁 노비. 업산이가 형처럼 따랐던 인물로 거칠고 도전적인 성격의 소유자이다. 같은 씨종인 자근년이를 사랑했으나 늙은 부자에게 자근년이가 팔려나가자, 그녀를 구하려다 살인범이 되어 도망노비가 된다. 도지원 : 서은옥 역. 박순애 : 오성의 처, 한씨 역. 한인수 : 김 생원 역. 박혜숙 : 업산의 생모, 이씨 역. 김용선 : 윤 진사의 처, 오성 母, 김씨 역. 김형자 : 업산의 양모, 개똥이네 역. 오지연 : 윤 진사 씨종 역. 임경옥 : 업산의 정실부인, 조씨 역. 권은아 : 먼산댁 역 최선균 한창호 김찬구 이기영 이치우 : 이동지 역 최낙천 박영태 남영진 김종결 : 밤피리 역. 이효정 : 석우 역. 곽진영 : 부용 역. 이영호 : 업산의 아들 수산 역 문혁 한춘일 현석 : 홍경래 역 참고 사항[편집] 조연출 중의 한 명이었던 이주환 PD는 뒷날 인어 아가씨란 드라마의 연출을 맡았고[4] 이 작품에서 은아리영 역을 맡았던 장서희는 곽진영(부용 역)과 함께 KBS 2TV 아씨에서 호흡을 맞췄으며 도지원(서은옥 역)과 임경옥(조씨 역)이 이 작품 캐스팅(은심 역) 물망에 한때 거론되기도 했고 92년 3월 25일부터 5월 14일 최종회까지 <일출봉>과 경쟁한 SBS 유심초에서 윤보배 역으로 나온 변소정은 인어 아가씨 작가 임성한(본명 임영란)씨의 전작인 MBC 온달 왕자들 출연진[5]에 속했으며 김형자(개똥이네 역)는 임성한(본명 임영란) 작가의 작품 중 하나였던 아현동 마님 출연진 중 한 명[6]이었다. 한인수(김 생원 역), 도지원(서은옥 역), 김종결(밤필 역), 이효정(석우 역) 등은 SBS 여인천하에서 호흡을 맞췄는데 이 작품과 경쟁한 MBC 홍국영의 담당 연출자[7]는 <일출봉> 담당 PD 이재갑씨였다. 앞서 본 것처럼 조연출 중의 한 명이었던 이주환 PD는 뒷날 인어 아가씨란 드라마의 연출을 맡았고[8] 이 작품에서 은아리영 역을 맡았던 장서희는 곽진영(부용 역)과 함께 KBS 2TV 아씨에서 호흡을 맞췄는데 이 작품에서 의동 역으로 나온 차광수는 곽진영과 MBC 탤런트 공채 동기[9]다. 조연출 중의 한 명이었던 이주환 PD는 뒷날 인어 아가씨란 드라마의 연출을 맡았고[10] 이 작품에서 은아리영 역을 맡았던 장서희는 KBS 2TV 장희빈의 장희빈 역 물망에 한때 거론되었으며[11] 유인촌(업산이/김석주 역), 정성모(윤진성 역), 전인택(염동 역) , 한인수 (김 생원 역) 등은 이 드라마 출연진에 속했다. 박순애(한씨 역), 한인수(김 생원 역), 임경옥(조씨 역) 등은 KBS 2TV 그대 있음에에서 호흡을 맞췄는데 이 드라마 출연진 중의 한 명이었던 김현주는 박혜숙(이씨 역)이 출연한 드라마에 속했던[12] MBC 여울목에서 박혜숙과 공연한 바 있었다. 결방[편집] 1992년 6월 24일 - 6.25 특집 드라마 나목 1부 편성으로 결방 1992년 6월 25일 - 6.25 특집 드라마 나목 2부 편성으로 결방 1992년 8월 11일 - 8.15 특집 드라마 춘원 이광수 1부 편성으로 결방 1992년 8월 12일 - 8.15 특집 드라마 춘원 이광수 2부 편성으로 결방 각주[편집] ↑ TV3社(사)"시청자를잡아라".경향신문.1992년 1월 11일. ↑ MBC'일출봉'사극 새모습 보여줘.한겨레.1992년 4월 3일. ↑ MBC TV,새 사극 '일출봉' 12일부터 방영.연합뉴스.1992년 2월 3일. ↑ 황정우 (2003년 1월 8일). “<MBC 「인어아가씨」'질질끈다' 비판 비등>”. 연합뉴스. 2016년 10월 15일에 확인함.  ↑ “변소정, "진짜 선생님 된 기분이에요"”. 중앙일보. 2001년 11월 22일. 2016년 10월 15일에 확인함.  ↑ 황세준 (2007년 9월 6일). “[사진]김형자-김병기,'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OSEN. 2016년 10월 15일에 확인함.  ↑ 배국남 (2001년 2월 11일). “[방송] "기다려라 정난정, 홍국영이 간다"”. 한국일보. 2016년 10월 15일에 확인함.  ↑ 황정우 (2003년 1월 8일). “<MBC 「인어아가씨」'질질끈다' 비판 비등>”. 연합뉴스. 2016년 10월 15일에 확인함.  ↑ “MBCTV 탤런트 최종합격자”. 경향신문. 1991년 4월 3일. 2016년 10월 15일에 확인함.  ↑ 황정우 (2003년 1월 8일). “<MBC 「인어아가씨」'질질끈다' 비판 비등>”. 연합뉴스. 2016년 10월 15일에 확인함.  ↑ 유창재 (2002년 10월 31일). “[인터뷰] KBS2 '장희빈' 맡은 '김혜수'..어릴때부터 꿈꿔오던 역할”. 한국경제신문. 2016년 10월 15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오광수 (1994년 9월 12일). “심은하-이창훈 사촌간으로 출연 MBC주말극 「여울목」서-손지창·신인 김경아도”. 경향신문. 2016년 10월 1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문화방송 수목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여명의 눈동자(1991년 10월 7일 ~ 1992년 2월 6일) 일출봉(1992년 2월 12일 ~ 1992년 10월 29일) 여자의 방(1992년 11월 4일 ~ 1993년 5월 6일) vdeh의 텔레비전 드라마현재 아침드라마 (《모두 다 쿵따리》) 일일연속극(《용왕님 보우하사》) 월화드라마(《검법남녀 2》) 수목 미니시리즈(《신입사관 구해령》)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이몽》) 특집드라마† 과거 거부실록 시리즈 공화국 시리즈 논스톱 시리즈 달수 시리즈 드라마 페스티벌 목금드라마 베스트극장 베스트셀러극장 수사반장 시즌드라마 시트콤 아침드라마 예능드라마 여인열전 시리즈 외화시리즈 일요 드라마 극장 일요아침드라마 일일연속사극 일일 특별기획 드라마 자유무대 전원일기 조선왕조 오백년 주말연속극 토요드라마 하이킥 시리즈 한국인 재발견 시리즈 †부정기적 프로그램 KBS MBC SBS tvN OCN JTBC MBN 채널A TV조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일출봉_(드라마)&oldid=23895346" 분류: 1992년 드라마문화방송 수목 미니시리즈문화방송의 역사 드라마임충 시나리오 작품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3월 21일 (목) 19: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일출봉》은 1992년 2월 12일 ~ 1992년 10월 29일까지 방영된 MBC 수목드라마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드라마에서 이씨의 아들이 업산이라는 이름을 얻기 전 실제 본명은 무엇일까? Assistant: 석주
Human: 아래 아칸소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아칸소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칸소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칸소 주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알캔사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알캔사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좌표: 북위 34° 48′ 서경 92° 12′ / 북위 34.8° 서경 92.2°  / 34.8; -92.2 아칸소주 State of Arkansas 주기 문장  • 별명: The Natural State, The Razorback State, & The Land of Opportunity 주도 리틀록최대도시 리틀록행정 군 75면적전체 137,732 km2폭 385 km길이 420 km내수면 비율 2.09 %위도 33°N ~ 36°30'N경도 89°41'W ~ 94°42'W높이최고 839 m평균 198 m최저 17 m시간대 CST: UTC-06 / CDT: UTC-05인구 32위전체 2,673,400인구밀도 19.82 (34위)언어공용어 영어기타합중국 가입 1836년 6월 15일 (25번째)약자 AR US-AR웹사이트 www.arkansas.gov 아칸소주(State of Arkansas)는 미국 남부의 주이며, 미국에서 유일하게 다이아몬드가 채광되는 주이다. 북쪽으로는 미주리주에, 동쪽으로는 테네시주와 미시시피주에, 남쪽으로는 루이지애나주에, 서쪽으로는 텍사스주와 오클라호마주에 접한다. 알캔사 주의 북서부는 구릉 형태의 오자크 대지이나, 그 밖의 곳은 미시시피 강 하류 저지의 대평야이며 저습지가 많다. 주의 동쪽 경계에 미시시피 강이 흐르고, 또 주의 동쪽에서 서쪽으로 미시시피 강의 지류인 아칸소 강이 흐른다. 미국의 제42대 대통령 빌 클린턴의 고향이다. 목차 1 역사 1.1 초기 역사 1.2 탐험과 정착 1.3 준주 시대 1.4 주 지위와 남북 전쟁 1.5 남부 제주의 통합기 1.6 1800년대 후반 1.7 1900년대 초반 1.8 1900년대 중반 1.9 1900년대 후반 1.10 21세기 2 경제 2.1 서비스업 2.2 제조업 2.3 농업 2.4 광업 3 주민 4 교육 4.1 대학과 대학교 5 외부 링크 역사[편집] 초기 역사[편집] 약 12,000년 전에 알캔사 지방에는 아메리카 인디언들이 살았다. 초기의 유럽인 탐험가들은 3개의 주요 종족 - 캐도 족, 오세이지 족과 쿼포 족을 지방에서 찾았다. 알캔사라는 명칭은 캔자스주와 동일한 어원에서 파생된다. 원주민인 칸사족(Kaw people)은 대평원의 수 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알캔사라는 단어는 '강의 하류 사람들의 땅(land of downriver people)' 또는 '남쪽 바람의 사람들(people of the south wind)'을 의미한다. 탐험과 정착[편집] 1541년 스페인의 탐험가 에르난도 데 소토가 알캔사를 도달한 원정을 이끌었다. 유럽인들은 자신들이 탐색하던 금을 찾는 데 실패하였으나 역사가들은 원정이 인구의 거의를 죽인 병들을 소개하였다고 믿는다. 1673년 프랑스의 자크 마르케트 신부와 루이 졸리에는 자신들이 쿼포 인디언들을 만난 알캔사 강의 입구로 들어가는 데 미시시피 강을 여행하였다. 1682년 르네-로베르 카블리에 드 라 살이 미시시피 강 유역을 프랑스를 위하여 주장하였다. 1686년 라 살은 알캔사 강 입구 근처에 알캔사 교역장이라 불리는 교역소를 지은 앙리 드 통티에게 대지의 양도를 만들었다. 1717년 프랑스는 스코틀랜드의 은행원 존 로에게 루이지애나에서의 독점적인 교역의 권리들을 주었다. 자신의 회사에 돈을 융자하는 데 로는 "미시시피 계획"을 개발하였다. 로의 회사는 결국 "미시시피 사기"라 불리는 재정적 재앙에서 무너졌다. 그러나 계획은 루이지애나에 많은 정착자들을 데려왔다. 대략 100명의 유럽인과 몇명의 아프리카 노예들이 교역지 근처에 정착하였다. 정착자들의 대부분은 떠났으나 어떤 농부들은 남아있었다. 1762년 프렌치 인디언 전쟁이 일어나는 동안에 프랑스는 미시시피 강 서부의 대지를 할양하였다. 이 대지는 루이지애나 준주를 포함하였다. 1800년 스페인은 루이지애나 준주를 프랑스에 돌려주었다. 1803년 미국은 프랑스로부터 루이지애나 준주를 매입하였다. 준주 시대[편집] 1812년 루이지애나 준주의 남부는 루이지애나주로 만들어졌다. 알캔사 주를 포함한 북부는 미주리 준주가 되었다. 1817년 미국 정부는 지방에서 인디언 종족들 사이에 평화를 지키기 위하여 현재 알캔사 주 북서부에 포트 스미스를 설립하였다. 1819년 정부는 알캔사 준주를 창조하였다. 그 준주는 오늘날의 알캔사 주와 현재의 오클라호마주의 일부를 포함하였다. 포트 스미스의 타운은 근처에 개발된 밴뷰런 요새 주위에 자라났다. 워싱턴 타운은 텍사스주로 향하는 길에 중요한 정지의 점이 되었다. 1800년대 초반에 알캔사의 북서부는 체로키 족의 큰 수에 일시적 집이 되었다. 그러나 체로키 족과 다른 동부의 종족들은 1830년대 동안에 인디언 영토(오늘날의 오클라호마 주)로 이주하는 데 강요되었다. 주 지위와 남북 전쟁[편집] 남북 전쟁 중의 피리지 전투 (1862년) 1836년 6월 15일 알캔사는 25번째 주로 합중국에 편입되었다. 미국은 당시 노예제의 의문에 거대한 토론에 교전 중이었다. 1860년으로 봐서 알캔사 주는 435,450명의 백인 인구와 대략 110,000명의 노예들이 있었다. 많은 노예들은 알캔사 저지대들에서 면화 재배에 일하였다. 노예제를 반대한 에이브러햄 링컨이 1860년에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몇몇의 남부의 노예주들이 합중국으로부터 탈퇴하여 아메리카 맹방을 형성하였다. 주의 투표인들은 처음에 탈퇴에 반대하였으나 1861년 4월 12일 남북 전쟁이 일어난 후에 주는 곧 맹방에 가입하였다. 알캔사 주는 1861년 8월 미시시피주에서 윌슨즈 크리크 전투에 싸우는 데 군인들을 보냈다. 남군이 전투에서 승리하였다. 1862년 3월 북군이 알캔사 주로 들어와 남군을 물리쳤다. 12월에는 북군이 프레리 그로브 전투에서 남군을 물리쳤다. 1863년 9월 10일 북군은 리틀록을 차지하였다. 그러고나서 남군은 자신들의 수도를 알캔사 주 남서부에 있는 워싱턴으로 옮겼다. 1864년 북부에 충성을 하는 알캔사 주민들이 리틀록에 합중국 정부를 설립하고 노예제를 폐지하는 새로운 주 헌법을 썼다. 그러나 주의 거의는 북군 혹은 남군에 의한 아무런 통치를 받지 않았다. 무법의 게릴라들이 도둑질하고 많은 주민들을 살해하였다. 남부 제주의 통합기[편집] 전쟁에 이어 남부 제주의 통합기 동안에 전직 남군들이 합중국에 재가입하는 데 거부한 알캔사 주의 입법부를 지배하였다. 미국 의회는 알캔사 주를 군사 통제의 아래에 놓았다. 연방군은 1867년부터 1874년까지 주를 영유하였다. 알캔사 주는 1868년에 합중국으로 재편입되었다. 그해에 주는 흑인 남성들에게 투표하는 권리를 주는 새 헌법을 채택하였으나 전직 남군들에게는 부인하였다. 공화당 정부는 경제 개발, 학교들의 설립과 전 노예들의 인권들을 보호하는 데 서두르는 시도를 하였다. 공화당원과 민주당원 사이와 백인과 흑인들 사이에 폭력이 일어났다. 쿠 클럭스 클랜 같은 반흑인 단체들이 공포를 퍼뜨렸다. 1872년 2명의 공화당원들이 주지사를 위한 경쟁에 충돌하였다. 엘리샤 백스터는 조지프 브룩스를 꺾었으나, 브룩스는 사기를 고발하고 자신이 우승한 주장을 하였다. 1874년 4월 15일 브룩스는 총으로 위협하면서 백스터에게 상원을 떠나라고 강요하였다. 2명의 경쟁 후원자들이 브룩스 - 백스터 전쟁이라 불리는 사건에 충돌하였다. 5월 15일 율리시스 S. 그랜트 대통령은 백스터를 주지사로 선언하였다. 그해 후반에 주는 거의 수정되었어도 아직도 쓰이는 새 헌법을 채택하였다. 1800년대 후반[편집] 새로운 철도들이 1800년대 후반에 알캔사 주를 가로질렀다. 재목 회사들은 풍부한 숲의 자원들을 거두어 들이는 데 주로 이동하였다. 강들을 따라 놓인 새로운 제방들과 배수구들이 삼각주에서 대지의 붐을 일으켰다. 1887년 보크사이트가 리틀록 근처에서 발견되고 광산들이 개장되었다. 1900년대 초반[편집] 1900년대 초반은 지속적인 개발을 가져왔다. 향상된 학교들, 보건과 다른 정부 서비스들이 적어도 타운들에서 유효하였다. 쌀의 자람이 알캔사 주의 동부에 소개되었고, 면화를 대신하였다. 1921년 엘도라도 근처에서 석유가 찾아졌다. 주의 첫 큰 수력 발전 댐이 1924년에 지어졌다. 하지만 농업의 가격들이 1920년 후에 떨어지고 많은 알캔사 주민들이 자신들의 농장들을 잃었다. 주는 또한 1927년에 파괴적인 미시시피 강 홍수, 1930년의 가뭄과 1930년대의 대공황에 의하여 충격을 받았다. 1934년 면화의 가격이 생산 가격의 아래에 떨어진 후, 어떤 반란적 알캔사 주 농부들은 타이론자에서 가장 짧게 간 남부 소작인 조합을 결성하였다. 그러나 상태들은 소작인과 물납 소작인들을 위하여 부족하게 남았다. 1932년 알캔사 주의 여성 해티 캐러웨이는 미국 상원에 선출되는 데 첫 여성이 되었다. 그녀는 자신의 남편 새디어스 캐러웨이 상원이 사망한 후 곧 치루어진 특별 선거를 이겼다. 1900년대 중반[편집] 리틀록 나인에 흑인 학생들을 보호하는 데 보내진 연방군 (1957년)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는 동안에 알캔사 주의 농업과 광업이 확장되었다. 전쟁이 일어난 후에 곧 주는 농업적에서 산업적 경제로 옮겨지기 시작하였다. 많은 농부들은 농기구 사용에 의하여 대체되었다. 제조업이 자라났으나 이 모든 미숙련 노동자들을 위한 직업을 마련하는 데 빠르지 않았다. 많은 사람들이 다른 주들에서 직업을 찾으러 알캔사 주를 떠났다. 이 문제들에 불구하고 1940년대와 1950년대 동안에 알캔사 주의 공장들의 수가 2배로 자라났다. 공장들의 수가 1955년에 설립된 알캔사 산업 개발 위원회에 의하여 주로 몰려들었다. 1957년 알캔사 주는 학교의 인종 통합에 놓인 논쟁의 중심지가 되었다. 1954년 미국 대법원은 공공 학교에서 의무적인 인종 분리가 비헌법적이라고 통치하였다. 1957년 연방 법원은 리틀록에 있는 센트럴 고등학교에 인종 차별을 없애는 데 명령을 내렸다. 주지사 오벌 E. 포버스는 인종 차별 폐지를 막기 위하여 알캔사 주군을 보냈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주군을 연방 통치 아래에 두고 법원의 명령을 집행하는 데 미국 육군을 보냈다. 1970년으로 봐서 알캔사 주 학교와 다른 공공 시설들의 대부분이 매우 인종적으로 합쳐졌다. 1960년대 초반에 알캔사 주의 제조업 소득은 처음으로 그 농장 소득을 통과하였다. 포버스 주지사는 1964년 6번째 임기로 재선되었다. 알캔사 주지사들 중에 아무도 3개 이상의 임기를 지내지 않았다. 1967년 윈스롭 록펠러가 남부 제주 통합기 이래 처음으로 알캔사 주의 공화당 지사가 되었다. 1900년대 후반[편집] 알캔사 강 개발 프로그램이 1970년에 완료되었다. 맥클렐런-커 알캔사 강 항해 시스템으로 개명된 개발은 주를 가로질러 미시시피 강으로부터 오클라호마 주로 들어가는 항해를 하는 데 강을 열었다. ㅇ라캔사 주지사에 5번이나 선출된 민주당원 빌 클린턴이 1992년 대통령으로 선출되고 1996년에도 재선되었다. 1996년 5월 짐 가이 터커 주지사는 재정적 연구소들을 속여서 빼앗고 불법적 대부금을 이기는 음모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지사 직을 떠난 그는 검정과 공동체 서비스로 선고를 받았다. 21세기[편집] 오늘날 알캔사 주는 공해와 수질 오염을 줄이고, 주를 위한 충분한 동력을 공급하고, 그 공동 교육을 향상하고, 불안정한 농장 경제를 강하게 하는 직무들을 향하였다. 주의 공무원들은 다른 나라들과 무역을 촉진하고 새로운 산업을 끌어들이는 데 어떤 시도에서 성공하였다. 주의 북서부는 번영하고 퇴직자들은 이 지방을 즐거움으로 찾았다. 하지만 많은 삼각주의 군들은 인구를 잃었다. 알캔사 주는 그 학교들을 국가적 평균으로 가져오는 시도를 되풀이하였으나, 기금의 문제들이 남아있다. 사립 학교들과 자택 학습이 인기에 증가하였다. 새로운 주니어 칼리지들과 존재하는 칼리지들의 새로운 지점들이 교육적 기회들에서 확장되었다. 경제[편집] 서비스업[편집] 서비스업은 알캔사 주의 고용과 국내 총생산에서 둘다 70 퍼센트 이상을 차지한다. 서비스업의 대부분은 리틀록과 다른 메트로폴리탄 지역들에 집중되어 있다. 주도인 리틀록은 주 정부 활동의 중심지이다. 많은 금융 회사와 보험 회사들도 또한 리틀록에 사무실을 두고 있다. 많은 호텔, 식당과 소매상들은 리틀록 지역과 주의 북서부에서 운영된다. 큰 병원들은 파예트빌, 포트 스미스, 존스보로와 리틀록에서 의료 간호를 마련한다. 리틀록 공군 기지는 알캔사 주에서 가장 큰 군사 기지이다. 백화점들의 체인 딜러즈는 리틀록에 기지를 두고, 미국에서 가장 큰 할인 스토어 체인 월마트는 벤턴빌에 기지를 두었다. 2개의 지도적인 트럭 교통 회사들이 주에 본부를 두었는 데, 로얼에 있는 J. B. 헌트와 포트 스미스에 있는 ABF 화물 시스템이다. 제조업[편집] 타이슨 식품 회사의 본사 건물 식품은 주의 지도적인 제조품들이다. 가금육 가공업이 지도적인 식품 가공업이며, 스프링데일에 기지를 둔 타이슨 식품 회사는 세계에서 가장 큰 가금육 생산과 가공자들 중의 하나이다. 다른 식품 가공업 공장 지대들은 포트 스미스, 존스보로, 리틀록과 다른 도시들에 있다. 합성 금속 제품, 초기 금속 제품과 교통 수단들도 또한 중요한 제조품들이다. 건축과 구조의 금속들은 주에서 만들어지는 합성 금속 제품들의 가장 가치적인 타입이며, 알루미늄, 철과 제철은 초기 금속 제품들의 지고적인 타입이다. 항공기 부품, 자동차 부품과 열차가 알캔사 주에서 만들어진다. 농업[편집] 파인 블러프에서 수확물의 소량 농장 지대가 알캔사 주 내륙 지역의 대략 5분의 2를 덮고 있다. 닭은 지도적인 농산물이며, 알캔사 주는 닭의 사육에서 지도적인 주들 중의 하나이다. 닭의 대부분은 주의 서부에서 기른다. 육우, 낙농제품, 달걀, 돼지와 칠면조도 또한 중요한 축산물이다. 육우는 주의 대부분에서 사육되고, 낙농업은 오자크 고원, 리틀록 근처와 포트 스미스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알캔사 주는 달걀 생산과 칠면조 사육에서 지도적인 주이다. 돼지는 주로 주의 서부에서 기른다. 수확물은 농장 소득의 거의를 차지한다. 면화, 쌀과 콩은 주의 가장 가치적인 수확물이다. 알캔사 주는 면화와 콩의 생산의 둘다에서 지도적인 주들 안에 들어있다. 알캔사 주는 미국에서 지도적인 쌀의 생산지이다. 쌀은 주로 미시시피 앨러비얼 평야 지방에서 자란다. 어떤 농부들은 자신들의 논에 홍수를 일으켜 거기에다가 물고기를 기른다. 다른 지도적인 수확물은 옥수수, 건초와 밀을 포함한다. 옥수수와 밀은 동부에서 자라고, 건초는 주의 북서부에서 중요하다. 광업[편집] 천연가스는 알캔사 주의 지도적인 광물이며, 석유는 그 다음이다. 주의 천연가스는 거의 아코마 분지에서 찾아진다. 그 분지는 알캔사 주의 서부로부터 오클라호마주로 들어가 뻗어있다. 알캔사 주의 가장 큰 유전들은 남부 경계의 근처에 놓여있다. 브롬과 깨진 돌도 또한 중요한 광물이며, 알캔사 주는 지도적인 브롬 체굴의 주이다. 주의 몇몇의 지역들은 채석장들이 있다. 주민[편집] 다운타운 리틀록의 스카이라인 2000년 미국 인구 조사국은 알캔사 주의 인구가 2,673,400명이라고 보고하였다. 주의 인구는 1990년으로 본 2,350,725명에서 대략 14 퍼센트로 증가하였다. 2000년 조사국에 의하면 알캔사 주는 50개의 주들 중에 33위에 들어와있다. 알캔사 주민의 절반 이상은 메트로폴리탄 지역들에 살고 있다. 알캔사 주에서 전적으로 놓여 있는 4개의 메트로폴리탄 지역들은 핫스프링스, 존스보로, 리틀록-노스리틀록과 파인 블러프이다. 파예트빌-스프링데일-로저스 메트로폴리탄 지역은 주로 알캔사 주에 놓여 있고 미주리 주로 뻗어 나간다. 포트스미스 메트로폴리탄 지역은 오클라호마 주로 뻗어 나간다. 멤피스(테네시주)와 텍사캐나(텍사스주)와 텍사캐나 지역들은 주로 테네시 주와 텍사스 주에 놓여있다. 주도인 리틀록은 주에서 가장 큰 도시이며, 대략 183,000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다. 알캔사 주는 30,000명 이상의 인구와 함께 한 9개의 다른 도시들이 있다. 인구의 순서로 봐서 이 도시들은 포트 스미스, 노스리틀록, 파예트빌, 존스보로, 파인 블러프, 스프링데일, 콘웨이, 로저스와 핫스프링스이다. 알캔사 주민의 대략 16 퍼센트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이다. 다른 큰 인구 단체들은 아일랜드, 독일, 영국과 아메리카 인디언 계통이다. 교육[편집] 대학과 대학교[편집] 알캔사 주립 대학교 센트럴 알캔사 대학교 헨더슨 주립 대학교 하딩 대학교 존 브라운 대학교 에클레시아 칼리지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아칸소주 (영어/스페인어) [주정부 홈페이지] (영어/스페인어) 아칸소 주 관광 (영어) 아칸소주 - Curlie (DMOZ 기반) vdeh 미국의 행정 구역주 네바다 네브래스카 노스다코타 노스캐롤라이나 뉴멕시코 뉴욕 뉴저지 뉴햄프셔 델라웨어 로드아일랜드 루이지애나 매사추세츠 메릴랜드 메인 몬태나 미네소타 미시간 미시시피 미주리 버몬트 버지니아 사우스다코타 사우스캐롤라이나 아이다호 아이오와 아칸소 알래스카 애리조나 앨라배마 오리건 오클라호마 오하이오 와이오밍 워싱턴 웨스트버지니아 위스콘신 유타 인디애나 일리노이 조지아 캔자스 캘리포니아 켄터키 코네티컷 콜로라도 테네시 텍사스 펜실베이니아 플로리다 하와이 특별구워싱턴 D.C. (컬럼비아 특별구)행정 관할 괌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북마리아나 제도 아메리칸사모아 푸에르토리코 군소 제도 나배사 섬 미드웨이 환초 베이커 섬 웨이크 섬 자르비스 섬 존스턴 환초 킹먼 암초 팔미라 환초 하울랜드 섬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50033129 LCCN: n79034503 ISNI: 0000 0004 0647 0986 GND: 4079828-8 SUDOC: 176560335 BNF: cb11997202n (데이터) NKC: ge11741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칸소주&oldid=24376595" 분류: 아칸소주미국 남부미국의 주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አማርኛ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ܐܪܡܝܐمصرىAsturianuAymar ar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Boarisch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Bislamaবাংলাབོད་ཡིགবিষ্ণুপ্রিয়া মণিপুরী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Chavacano de ZamboangaMìng-dĕ̤ng-ngṳ̄НохчийнCebuanoکوردیCorsu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miliàn e rumagnòl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ArpetanNordfriiskFryskGaeilgeGagauz贛語GàidhligGalegoAvañe'ẽ𐌲𐌿𐍄𐌹𐍃𐌺ગુજરાતીGaelgHausa客家語/Hak-kâ-ngîHawaiʻi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Hornjoserbsce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nterlingueIgboIñupiak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KabɩyɛҚазақшаಕನ್ನಡKurdîKernowekLatinaLadinoLëtzebuergeschLingua Franca NovaLimburgsLigureLumbaartلۊری شومالیLietuviųLatviešuमैथिलीMalagasyОлык марийMāori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Кырык марыBahasa Melayuမြန်မာဘာသာمازِرونیDorerin NaoeroNāhuatlPlattdüütschNedersaksies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Diné bizaadOccitanИронਪੰਜਾਬੀKapampanganPapiamentuपालि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umantschRomânăРусскийसंस्कृतम्Саха тылаSarduSicilianuScotsسنڌي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eelterskSvenskaKiswahiliŚlůnsk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VolapükWinaray吴语Хальмг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Zeêuws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4일 (화) 13: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아칸소주(State of Arkansas)는 미국 남부의 주이며, 미국에서 유일하게 다이아몬드가 채광되는 주이다. 북쪽으로는 미주리주에, 동쪽으로는 테네시주와 미시시피주에, 남쪽으로는 루이지애나주에, 서쪽으로는 텍사스주와 오클라호마주에 접한다. 아칸소주의 북서부는 구릉 형태의 오자크 대지이나, 그 밖의 곳은 미시시피강 하류 저지의 대평야이며 저습지가 많다. 주의 동쪽 경계에 미시시피강이 흐르고, 또 주의 동쪽에서 서쪽으로 미시시피강의 지류인 아칸소강이 흐른다. 미국의 제42대 대통령 빌 클린턴의 고향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알캔사 주에서 값어치가 컸던 수확물엔 어떤 것들이 있었나? Assistant: 면화, 쌀과 콩 Human: 아래 비봉_나들목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비봉 나들목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비봉 나들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7° 14′ 37.08″ 동경 126° 52′ 56.17″ / 북위 37.2436333° 동경 126.8822694°  / 37.2436333; 126.8822694 비봉 나들목 소재지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 구포리 개통일 1996년 12월 17일 서해안고속도로 구조물 번호 30 목포 기점 313.15 km ← 발안 나들목 (13.62 km)매송 나들목 →(4.02 km) 접속노선 국도 제39호선지방도 제313호선 비봉 나들목(Bibong IC)은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 구포리에 설치된 서해안고속도로의 30번 교차로이다. 나들목 진출입로는 비봉면 쌍학리와 접하고 있으며, 남양읍(화성시청), 봉담읍, 비봉면, 매송면 및 수원시 서부 지역 (권선구 평동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이 나들목과 발안 나들목 사이엔 화성휴게소가, 매송 나들목 사이엔 매송휴게소가 있다. 목차 1 연혁 2 구조물 정보 3 접속하는 도로 4 교통량 정보 5 각주 연혁[편집] 1996년 12월 17일 : 서해안고속도로 안산 ~ 포승 구간 개통에 따라 영업 개시[1] 구조물 정보[편집] 위치: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 구포리 영업소: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 화성로 2011 접속하는 도로[편집] 지방도 제313호선 (화성로) 국도 제39호선 (서해로) 교통량 정보[편집] 요금소 통행량 (대/일) 각주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비봉 (폐쇄식) 6,514 9,306 10,599 11,386 12,350 13,312 14,216 14,737 15,048 14,578 [2] 요금소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비봉 (폐쇄식) 14,515 15,855 14,879 14,856 15,865 15,479 14,913 각주[편집] ↑ 건설교통부공고 제1996-327호, 1996년 12월 16일. ↑ 한국도로공사 > 고속도로안내 > 교통통계 > 통계자료 > 영업소이용차량 vdeh고속도로 제15호선 서해안고속도로 죽림JC 일로 목포TG 무안 함평JC 12 함평 영광 고창JC 253 고창 선운산 줄포 부안 서김제 동군산 군산 동서천JC 151 서천 춘장대 무창포 대천 광천 홍성 해미 서산 당진JC 30 당진 송악 포승 서평택 서평택JC 40 153 발안 비봉 매송 팔곡JC 50 안산JC 50 서서울TG 조남JC 100 목감 광명역 일직JC 110 소하JC 금천 vdeh화성시의 교통철도노선 경부선(■ 수도권 전철 1호선) ■ 수인선 ● 신분당선 ○ 서해선 ○ 수서고속철도 ○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 ○ 신안산선 ○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역 동탄역 ● 경부선 : (수원시) ← 병점역 → (오산시) ● 수인선 : (수원시) ← 어천역 야목역 → (안산시) 고속도로노선 경부 (1) () 서해안 (15) 평택파주 (17) 평택시흥 (153) 오산화성 (171) 수도권제2순환 (400) 나들목·분기점 매송 나들목 비봉 나들목 발안 나들목 조암 나들목 송산마도 나들목 봉담 나들목 정남 나들목 안녕 나들목 기흥동탄 나들목 동탄 분기점 서오산 분기점 향남 나들목 고정 나들목 마도 나들목 양감 나들목 화성 나들목 남비봉 나들목 남봉담 나들목 동탄 나들목 마도 분기점 팔탄 분기점 화성 분기점 일반도로국도 1호 39호 43호 77호 82호 국지도 23호 82호 84호 98호 지방도 301호 302호 305호 306호 309호 310호 311호 313호 314호 315호 317호 318호 322호 주요 간선도로자동차전용 봉담과천로 비봉매송로 간선도로 서부지역: (39)서해로 (43)삼천병마로 (43)은행나무로 (77)남양로 (77)(82)포승향남로 [98]매송고색로 [313][322]화성로 [318]시청로 [322]주석로 제부로 궁평항로 전곡항로 [322]송산포도로 [305]공룡로 [318]마도로 3.1만세로 [313]포승장안로 [82]발안로 [309]서봉로 동부지역: (1)경기대로 (43)봉영로 [84][315][318]효행로 정조로 서부로 10용사로 동탄원천로 동탄지성로 영통로 삼성1로 동탄중앙로 노작로 [311][317]동부대로 [317]동탄기흥로 버스시내 화성 시내버스 화성 마을버스 시외 동탄 조암 향남 서신 기타시내 티머니 이비카드 캐시비 이 글은 도로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비봉_나들목&oldid=24185811" 분류: 국도 제39호선대한민국의 나들목경기도의 도로 시설물화성시의 교통서해안고속도로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도로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3: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비봉 나들목(Bibong IC)은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 구포리에 설치된 서해안고속도로의 30번 교차로이다. 나들목 진출입로는 비봉면 쌍학리와 접하고 있으며, 남양읍(화성시청), 봉담읍, 비봉면, 매송면 및 수원시 서부 지역 (권선구 평동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이 나들목과 발안 나들목 사이엔 화성휴게소가, 매송 나들목 사이엔 매송휴게소가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비봉 나들목에 통행량이 가장 많았던 연도는? Assistant: 2015년
Human: 아래 백범일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백범일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백범일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드라마에 대해서는 백범일지 (드라마)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백범일지(白凡逸志) 대한민국의 보물 종목 보물 제1245호 (1997년 6월 12일 지정)수량 2권 1책시대 일제강점기소유 재단법인 김구재단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9길 10-10 (충정로2가) 재단법인 김구재단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백범일지》(白凡逸志)는 독립운동가인 백범 김구가 쓴 자서전이다. 1929년과 1943년 각각 집필된 두 권의 친필본은 1997년 6월 1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245호로 지정되었다.[1][2] 1948년 발행된 재판과 제3판에 각각 1949년에 친필 서명한 두 권의 책이 인천광역시 한국근대문학관에 소장되어 있다.[2] 목차 1 개요 2 내용 3 〈나의 소원〉 4 현재 출간된 백범일지 5 같이 보기 6 각주 7 참고 자료 개요[편집] 김구는 17살 때 조선왕조 최후의 과거에 응시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동학에 입문하여 19세에 팔봉접주가 되어 동학군의 선봉장으로 해주성을 공격하였다. 21살 때는 국모의 원한을 갚는 거사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었으나 탈옥하여 공주 마곡사에 입산, 승려가 되기도 하였다.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된 후 독립운동에 몸을 던졌으며, 안중근과 안명근 의사의 의거에 관여하였다. 1919년 3·1운동 직후 상해로 망명,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초대 경무국장과 내무총장을 거쳐 1926년 국무령에 취임하였다. 1939년에는 임시정부 주석에 취임하였고, 이듬해 한국광복군을 조직하여 항일무장부대를 편성, 1941년 대일선전포고를 하였다. 일기의 상편은 1929년 김구가 53세 되던 해에 상해임시정부에서 1년 정도 독립운동을 회고하며 국한문혼용체로 김인, 김신 두 아들에게 쓴 편지형식으로, 「우리집과 내 어릴 적」,「기구한 젊은 때」,「방랑의 길」,「민족에 내놓은 몸」 등의 순서로 기록하고 있다. 하편은 김구가 주도한 1932년 한인애국단의 두 차례에 걸친 항일거사로 인해 상해를 떠나 중경으로 옮겨가며 쓴 것으로,「3·1운동의 상해」,「기적 장강 만리풍」 등의 제목 아래 민족해방을 맞게 되기까지 투쟁 역정을 기록하고 있다. 임시정부 환국이나 삼남 순회 대목의 서술은 1945년말 정도에 첨부하여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상·하편 뒤에 붙은「나의 소원」은 완전독립의 통일국가건설을 지향하는 김구의 민족이념정신이 잘 나타나 있다. 이 『백범일지』는 1947년 12월 15일 국사원에서 처음 김구의 아들 김신에 의하여 초간 발행된 것을 필두로 오늘날까지 국내외에서 10여본이 출판사를 통해 중간되었다. 더욱이 김구가 상해 이후 중경까지 27년간 임시정부요직을 두루 지내며 틈틈이 써놓은 친필원본이란 것과 임시정부의 1차 사료인 동시에 독립운동사 연구 및 위인전기사료로 귀중한 자료이다. 내용[편집] 상권은 백범이 53세 되던 해인 1929년에 상하이 임시정부 청사에서 1년 정도 시간을 두고 지난 독립운동 사실을 회고하며 집필하였고, 하권은 백범이 67세 되던 해인 1943년경 충칭 임시정부 청사에서 집필하였다고 하권 책머리의 서문에서 적고 있다. 상권은 만년필에 국한문 혼용이며, 하권은 모필(毛筆)로 역시 국한문을 혼용하여 적었다. 상권은 첫머리에 『여인신양아서(與仁信兩兒書)』란 제목으로 아들인 인(仁)과 신(信) 형제에게 보내는 편지가 실려 있는데, 백범의 친필이 아닌 듯하다. 다음 『백범일지상권(白凡逸志上卷)』이란 제목으로 「조선과 가정(祖先과 家庭)」, 「출생급유년시대(出生及幼年時代)」 두 편이 수록되었는데 이는 상권을 집필할 때 쓴 것이 아니라 하권 집필 때 쓴 것으로 추정되며, 이어 일지(逸志)가 시작되는데 첫머리 부분이 떨어져 나갔다. 한국의 독립운동사를 임시정부 주석답게 잘 묘사하고 있으나, 사회주의자들의 독립운동에 대한 언급이 없고, 오히려 고려공산당의 총격 사건만 언급하는 등 사회주의에 대한 편견이 있다는 비평을 받기도 한다. 1947년 12월 15일 국사원에서 처음으로, 아들 김신에 의해 초간 발행을 필두로 오늘날까지 국내·외에서 10여 본이 중간(重刊)되었다. 그러나 자료나 보조원 없이 오로지 기억을 더듬으면서 집필한 것으로 치하포 사건 같은 왜곡, 과장 등에 서술내용과 시기가 모순되는 경우가 많고 인명, 지명 등에도 착오가 있다.[3][4] 〈나의 소원〉[편집] 〈나의 소원〉은 백범일지의 본문 뒤에 실려있는 글로 동포에게 호소하는 글이다. 위키문헌에 이 글과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백범일지 "네 소원이 무엇이냐?" 하고 하느님이 물으시면, 나는 서슴지 않고 "내 소원은 대한 독립이오" 하고, 대답할 것이다. "그 다음 소원은 무엇이냐?" 하면, 나는 또 "우리나라의 독립이오" 할 것이요, 또 "그 다음 소원이 무엇이냐?" 하는 셋째번 물음에도, 나는 더욱 소리를 높여서 "나의 소원은 우리나라 대한의 완전한 자주독립이오" 하고 대답할 것이다. …(중략)… 내가 원하는 우리 민족의 사업은 결코 세계를 무력으로 정복하거나 경제력으로 지배하려는 것이 아니다. 오직 사랑의 문화, 평화의 문화로 우리 스스로 잘 살고 인류 전체가 의좋게 즐겁게 살도록 하는 일을 하자는 것이다. 어느 민족도 일찍이 그러한 일을 한 이가 없었으니 그것은 공상이라고 하지 말라. 일찍이 아무도 한 자가 없길래 우리가 하자는 것이다. 이 큰 일은 하늘이 우리를 위하여 남겨놓으신 것임을 깨달을 때에 우리 민족은 비로소 제 길을 찾고 제 일을 알아본 것이다. 나는 우리나라의 청년남녀가 모두 과거의 조그맣고 좁다란 생각을 버리고, 우리 민족의 큰 사명에 눈을 떠서 제 마음을 닦고 제 힘을 기르기로 낙을 삼기를 바란다. 젊은 사람들이 모두 이 정신을 가지고 이 방향으로 힘을 쓸진대 30년이 못하여 우리 민족은 괄목상대(刮目相對)하게 될 것을 나는 확신하는 바이다. — 백범[5] 현재 출간된 백범일지[편집] 2010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에 출간된 백범일지는 다음과 같다. 《백범일지》, 도진순 역, 돌베개, 2002년 8월 1일 출간 (ISBN 8971992255) 《쉽게 읽는 백범일지》, 도진순 역, 돌베개, 2005년 11월 23일 출간 (ISBN 8971992298) 《김구 백범일지 (만화)》, 김세라 저, 주니어 김영사, 2009년 10월 12일 출간 (ISBN 9788934935506) 《어린이 백범일지》, 장세현 저, 푸른나무, 2008년 10월 13일 출간 《어린이와 청소년이 함께 읽는 백범일지》, 신경림 역, 나남, 2008년 1월 10일 출간 같이 보기[편집] 김구 도왜실기 윤치호 일기 술회 이봉창 윤봉길 유상근 최흥식 이덕주 동학 농민 운동 안태훈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인애국단 한국독립당 안중근 안공근 안공근 암살 사건 각주[편집] ↑ 문화체육부고시제1997-34호, 《보물지정및변경지정》, 문화체육부장관, 대한민국 관보 제13633호, 37면, 1997-06-14 ↑ 가 나 최재봉 (2018년 8월 28일). “[단독] ‘백범일지’ 김구 친필 서명본 나왔다”. 한겨레. 2018년 8월 28일에 확인함.  ↑ 주해본 펴낸 도진순 교수 "국민 애독서 '백범일지' 참모습 찾았죠." 경향신문 1997년 8월 13일 ↑ 金九에게 이런 모습이? '백범일지' 판본따라 달라지는 그의 말,말,말 역사문제연구소 배경식 연구원 '올바르게 풀어 쓴 백범일지'(너머북스) 조선일보 2008년 9월 20일 ↑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참고 자료[편집] 백범일지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이 문서에는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한 국가문화유산포털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위키문헌에 이 글과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백범일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백범일지&oldid=24135612" 분류: 일기1929년 책대한민국의 수필대한민국의 보물김구일제 강점기의 책숨은 분류: 공공누리 제1유형 저작물을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문헌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일 (목) 06:5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백범일지》(白凡逸志)는 독립운동가인 백범 김구가 쓴 자서전이다. 1929년과 1943년 각각 집필된 두 권의 친필본은 1997년 6월 1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245호로 지정되었다. 1948년 발행된 재판과 제3판에 각각 1949년에 친필 서명한 두 권의 책이 인천광역시 한국근대문학관에 소장되어 있다. 백범일지’ 판본은 크게 4가지다. 김구가 1929년과 1942년에 탈고한 친필본과 그것을 옮겨적은 필사본 2종, 1947년에 공식적으로 출간된 국사원본까지다. 국사원본은 이광수가 윤문한 1947년 책을 말한다. 백범일지는 명문장가인 이광수의 윤문이라는 꽃단장을 통해 재탄생했다. ‘국사원본 백범일지’는 처음부터 유려한 문장, 쉽고 간결한 문체로 출발했다. ‘친필본 백범일지’와는 차이가 너무 많은 작품이다. 1994년 백범의 아들 김신이 친필 원본을 공개함으로써 이광수의 윤문과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구가 과거에 응시한 나이는? Assistant: 17살 Human: 아래 남간정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남간정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남간정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남간정사(南澗精舍) 대전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종목 유형문화재 제4호 (1989년 3월 18일 지정)수량 1동위치 우암사적공원주소 대전광역시 동구 충정로 53 (가양동)좌표 북위 36° 20′ 53.44″ 동경 127° 27′ 32.29″ / 북위 36.3481778° 동경 127.4589694°  / 36.3481778; 127.4589694좌표: 북위 36° 20′ 53.44″ 동경 127° 27′ 32.29″ / 북위 36.3481778° 동경 127.4589694°  / 36.3481778; 127.4589694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남간정사(南澗精舍)는 대전광역시 동구 가양동에 있는, 조선 숙종 때 학자인 송시열이 말년에 강학을 위하여 지은 별당건물이다. 1989년 3월 18일 대전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4호로 지정되었다. 목차 1 개요 2 사진 3 같이 보기 4 참고 자료 개요[편집] 낮은 야산 기슭 숲이 우거진 골짜기에 자리하고 있는 남간정사는 조선 중기의 대학자인 우암 송시열(1607∼1689)이 지은 것이다. 우암은 소제동에 살 때 서재를 짓고 능인암이라 하여 학문을 연마하였다. 숙종 9년(1683) 능인암 아래에 이 건물을 지었는데, 많은 제자를 기르고 그의 학문을 대성한 유서깊은 곳이다. 앞면 4칸·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2칸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왼편은 앞뒤 통칸의 온돌방을 들였다. 오른편 뒷쪽 1칸은 방으로 하고 앞쪽 1칸은 마루보다 높은 누를 만들어 아래에 아궁이를 설치하였다. 계곡의 샘에서 내려오는 물이 대청 밑을 통하여 연못으로 흘러가도록 하였는데, 이는 우리나라 조경사에서도 매우 중요하고 독특한 양식이다. 건물 앞에는 잘 가꾸어진 넓은 연못이 있어 운치를 더하고 있다. 남간정사 오른쪽에는 일제시대에 소제동에서 옮겨 지은 기국정이, 뒷편 언덕에는 후대에 지은 사당인 남간사가 있다. 또한 송시열의 문집인 『송자대전』 목판을 보관한 장판각이 맞은편 언덕에 있다. 송시열과 관련된 건물이 한 곳에 모여 있어 조선시대 건축 연구에도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사진[편집] 같이 보기[편집] 송시열 송자대전 우암사적공원 참고 자료[편집] 남간정사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이 문서에는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한 국가문화유산포털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남간정사 - 대전광역시 동구청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남간정사&oldid=21659942" 분류: 대전광역시의 유형문화재대전 동구의 건축물송시열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공공누리 제1유형 저작물을 인용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6월 30일 (토) 00:4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남간정사(南澗精舍)는 대전광역시 동구 가양동에 있는, 조선 숙종 때 학자인 송시열이 말년에 강학을 위하여 지은 별당건물이다. 1989년 3월 18일 대전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4호로 지정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우암 송시열이 남간정사를 지은곳은 어디일까 Assistant: 능인암 아래
Human: 아래 세레스_네그로스_FC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세레스 네그로스 FC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세레스 네그로스 FC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세레스 FC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세레스 FC 전체 이름 세레스 라 살레 풋볼 클럽 창단 연도 2012년 경기장 파나드 경기장 수용 인원 15,500명 구단주 레오 레이 얀손 감독 리스토 비다코비치 리그 유나이티드 풋볼 리그 디비전 1 2018 1위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 홈 원정 서드 우승 국내 리그 국내 대회 국제 대회 현재 시즌 세레스 네그로스 풋볼 클럽, 약칭 세레스 풋볼 클럽은 필리핀의 최고 리그인 유나이티드 풋볼 리그 디비전 1에 소속되어 있고, 서네그로스 주 바콜로드에 위치한 축구단이다. 세레스 FC는 서네그로스 주 축구 협회 구단 중 하나이고, 원래 구단명은 세레스 라 살 풋볼 클럽이었다. 구단 이름 세레스는 리키 레오 얀손과 레오 레이 얀손이 소유하고 필리핀의 네그로스 섬 지역 최대 지상 수송 회사인 발라카 운송 주식회사가 운영하는 세레스 라이너 버스 노선에서 따왔다. 라 살은 구단과 가장 인접한 바콜로드의 세인트 라 살 대학교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구단 경기장은 바콜로드에 위치한 파나드 경기장이다. 세레스는 2014년 유나이티드 풋볼 리그 디비전 2에서 우승하여 1부 리그로 승격하면서 구단 최초의 중요한 성공을 거두었다. 그 이후로, 세레스는 UFL FA 리그 컵과 유나이티드 풋볼 리그 디비전 1 챔피언십에서 우승하였다. 목차 1 역사 1.1 네그로스 축구 챔피언십 1.2 PFF 내셔널 클럽 챔피언십 1.3 UFL 참가 2 문양과 색깔 3 아시아 클럽 토너먼트 4 유니폼 제조사와 셔츠 스폰서 5 임원 5.1 코치 및 임원 명단 6 현재 선수 명단 6.1 외국인 선수 7 감독 8 수상 8.1 리그 8.2 컵 8.3 국제 대회 9 기록 10 각주 11 외부 링크 역사[편집] 네그로스 축구 챔피언십[편집] 2012년 1월, 세레스 FC는 바콜로드 유나이티드 FC를 11-0으로 꺾고, 초대 네그로스 남자 축구 챔피언십 챔피언에 등극했다. PFF 내셔널 클럽 챔피언십[편집] 세레스 FC는 산 카를로에서 열린 비사야 지역 예선에서 모든 팀을 꺾고 2013년 PFF 내셔널 클럽 챔피언십 16강에 안착했다. 세레스는 16강전에서 UFL 컵 우승팀인 스탈리온 FC를 만나 1-0으로 승리했다. 8강전에서 2012년 UFL 우승팀인 글로벌 FC를 만나서 또한 1-0으로 승리했다. 준결승전에서, 세레스 FC는 카야 FC를 3-1로 꺾고 2013년 PFF 내셔널 챔피언십 결승에 올랐다. 세레스 FC는 결승전에서 파사르가드 FC를 1-0의 스코어로 꺾으면서 2013년 PFF 내셔널 클럽 챔피언십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UFL 참가[편집] 2012년 8월, 세레스 FC의 보조 코치 중 한 명의 말에 따르면, 클럽이 2013년 PFF 내셔널 클럽 챔피언십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을 때, 유나이티드 풋볼 리그에 참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세레스가 2013년 PFF 내셔널 클럽 챔피언십을 우승한 이후, 구단 감독 알리 고는 세레즈가 UFL의 2013년 시즌에 참가하지 않을 것이고 세레스가 토너먼트에 참가하는 것은 빨라도 올해 안에 있는 다음 UFL 컵이라고 암시했다. 문양과 색깔[편집] 클럽의 문양은 세레스 버스 회사의 엠블럼에서 유래하였다. 문양은 대학교 축구 팀으로 알려진 세인트 라 살 대학교를 상징하는 초록색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중앙은 클럽을 소유하고 운영하는 발라카 운송 주식회사인 얀손 회사의 타원형 로고가 있다. 클럽의 색깔은 하얀 테두리가 있는 파란색인데, 이는 세레스 크리우스 FC와 같은 다른 스포츠 클럽과 필리핀의 서네그로스 주에 있는 얀손 그룹이 운영하는 팀들과 일치한다. 아시아 클럽 토너먼트[편집] 시즌 대회 라운드 클럽 점수 2014 AFC 프레지던트컵 B조 리명수 2–2 다퉁 2–0 예디겐 1–2 2015 AFC 컵 플레이오프 마지야 0–1 2016 E조 슬랑오르 2–2 셰이크 쟈말 단몬디 2–0 탬파인스 로버스 1–1 유니폼 제조사와 셔츠 스폰서[편집] 기간 유니폼 제조사 셔츠 후원사 2012–16 아디다스 세레스 2016– 푸마 임원[편집] 코치 및 임원 명단[편집] 지위 이름 국적 회장 레오 레이 얀손 필리핀인 감독 James Dinsay 필리핀인 기술 고문 알리 고 필리핀인 수석 코치 알리 고 필리핀인 보조 코치 프랭크 무스칸/ 이안 롤랜드 트레예스 필리핀인 현재 선수 명단[편집] 2016년 1월 21일 기준[1]. 번호 포지션 이름 2 DF 손용찬 3 DF 제이슨 사비오 4 DF 발렌틴 카마 6 MF 케빈 잉그레소 7 MF 비에베니도 마라뇽 8 MF 마누엘 오트 9 FW 아드리안 가야르도 11 MF 슈테판 슈뢰크 (SpVgg 그로이터 퓌르트에서 임대) 14 MF 칼리 드 무르가 16 DF 아르니에 파시나보 주니어 17 MF 제이슨 팬헤이 번호 포지션 이름 18 MF 오만 오쿠나이야 21 FW 네이트 벌키 22 MF 폴 멀더스 23 MF 마르틴 스테우블레 24 MF 마윈 엔젤레스 25 GK 루이 카사스 26 DF 김상민 (주장) 28 DF 제프리 크리스티안스 29 FW 패트릭 레이첼트 55 DF 마빈 엔젤레스 69 DF 잘소어 소리아노 88 GK 에두아르도 사카파뇨 외국인 선수[편집] 유나이티드 풋볼 리그 디비전에서는, 구단에서 5명 이상의 비 필리핀 국적의 선수를 등록할 수 있다. 영주권을 얻은 외국인 선수들은 자국인으로 등록될 수 있다. 김상민 손용찬 발렌틴 카마 오만 오쿠나이야 아드리안 가야르도 비에베니도 모레용 감독[편집] 이름 감독 연수 프레디 라자리토 2012–13 알리 고[2] 2013–14 차승룡[3][4] 2014–15 알리 고 2015–16 프랭클린 무스칸[5] 2016 (AFC 컵) 리스토 비다코비치[6] 2016– 수상[편집] 리그[편집] 유나이티드 풋볼 리그 디비전 1 우승: 2015[7] 유나이티드 풋볼 리그 디비전 2 우승: 2014 컵[편집] UFL FA 리그 컵 우승: 2014 PFF 내셔널 클럽 챔피언십 우승 (2): 2012–13, 2013–14 UFL 컵 준우승: 2015, 2016 국제 대회[편집] AFC 컵 2015: 플레이오프 AFC 프레지던트 컵 2014: 조별 리그 기록[편집] 시즌 부 팀 수 순위 PFF 챔피언십 UFL 컵 UFL FA 컵 UFL FA 리그 컵 프레지던트컵 리그 참가 전 — 2013 — — — 우승 8강 — — — 2014 2 12 1위 우승 TBD — 우승 조별 예선 2015 1 10 1위 준결승 준우승 TBD TBD 각주[편집] ↑ “On 2016 AFC Cup: We don’t underrate our opponents – Go”. Watchmen Daily Journal. 2016년 1월 21일. 2017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22일에 확인함.  ↑ “보관 된 사본”. 2015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25일에 확인함.  ↑ “보관 된 사본”. 2015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25일에 확인함.  ↑ http://www.sunstar.com.ph/bacolod/sports/2015/03/05/korean-coach-leaves-ceres-fc-395694 ↑ http://www.bworldonline.com/content.php?section=Sports&title=afc-cup-ceres-draws-kaya-loses&id=123560 ↑ http://ceresfootball.com/vidakovic-named-as-new-ceres-coach/ ↑ Songalia, Ryan (2015년 7월 25일). “Ceres FC claims UFL League title with Socceroo domination”. Rappler. 2015년 7월 2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공식 홈페이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세레스_네그로스_FC&oldid=23699619" 분류: 세레스 네그로스 FC2012년 설립된 축구단필리핀의 축구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LietuviųPolskiPortuguês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4일 (목) 11: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유나이티드 시티 풋볼 클럽은 필리핀의 최고 리그인 필리핀 풋볼 리그에 소속되어 있고, 서네그로스 주 바콜로드에 위치한 축구단이다. 서네그로스 주 축구 협회 구단 중 하나이고, 원래 구단명은 세레스 라 살 풋볼 클럽이었다. 구단의 이전 이름 세레스는 리키 레오 얀손과 레오 레이 얀손이 소유하고 필리핀의 네그로스섬 지역 최대 지상 수송 회사인 발라카 운송 주식회사가 운영하는 세레스 라이너 버스 노선에서 따왔다. 라 살은 구단과 가장 인접한 바콜로드의 세인트 라 살 대학교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구단 경기장은 바콜로드에 위치한 파나드 경기장이다. 세레스는 2014년 유나이티드 풋볼 리그 디비전 2 2014년 유나이티드 풋볼 리그 디비전 2에서 우승하여 1부리그로 승격 하면서 구단 최초의 중요한 성공을 거두었다. 그 이후로, 세레스는 UFL FA 리그컵과 유나이티드 풋볼 리그 디비전 1 챔피언십에서 우승 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세레스 네그로스 FC의 역대 경기 기록은 어떨까? Assistant: 시즌 부 팀 수 순위 PFF 챔피언십 UFL 컵 UFL FA 컵 UFL FA 리그 컵 프레지던트컵 리그 참가 전 — 2013 — — — 우승 8강 — — — 2014 2 12 1위 우승 TBD — 우승 조별 예선 2015 1 10 1위 준결승 준우승 TBD TBD Human: 아래 고백부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고백부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백부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고백부부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KBS 2TV 방송 기간 2017년 10월 13일 ~ 2017년 11월 18일 방송 시간 매주 금, 토 밤 11:00 ~ 12:10 방송 분량 70분 방송 횟수 12부작 추가 채널 KBS 드라마, KBS JOY 원작 한번 더 해요 (홍승표, 김혜연) 기획 KBS 드라마 제작국 책임프로듀서 하원 프로듀서 유웅식, 손수천 편집 송은정 촬영 홍일섭, 최성원 제작사 고백부부 문전사, (주)콘텐츠 지음, KBS N 제작자 한석원 연출 하병훈, 김상훈 조연출 노철우, 한혜진 극본 권혜주 출연자 장나라, 손호준, 허정민, 한보름, 장기용, 고보결, 이이경, 조혜정 외 음악 문성남 음성 디지털 자막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외부 링크  고백부부 홈페이지 《고백부부》는 2017년 10월 13일부터 2017년 11월 18일까지 KBS 2TV에서 방영된 한국방송공사 금토드라마이다. 목차 1 줄거리 2 등장 인물 2.1 주요 인물 2.2 진주네 가족 2.3 반도네 가족 2.4 진주반도의 보물 2.5 한국대 사람들 2.6 그 외 인물 2.7 특별출연 3 시청률 4 OST 4.1 파트 1 4.2 파트 2 4.3 파트 3 4.4 파트 4 4.5 파트 5 5 수상 6 편성 7 각주 8 같이 보기 9 외부 링크 줄거리[편집] 결혼을 후회하는 부부의 전쟁 같은 리얼 인생 체인지 드라마.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장나라 : 마진주 역 2017년 38세. 전업주부, 서진의 엄마 1999년 20세. 한국대 사학과 1학년 손호준 : 최반도 역 2017년 38세. 제약회사 영업맨, 서진의 아빠 1999년 20세. 한국대 토목과 1학년 허정민 : 안재우 역 2017년 38세. 야구 응원단장, 미혼 1999년 20세. 한국대 토목과 1학년, 한국대 응원단, 반도의 친구, 윤보름의 첫사랑 한보름 : 윤보름 역 2017년 38세. 에어로빅 원장, 미혼 1999년 20세. 한국대 사학과 1학년, 한국대 응원단, 진주의 친구, 안재우의 첫사랑 장기용 : 정남길 역 2017년 41세. 한국사 스타 강사, 미혼 1999년 23세. 한국대 사학과 4학년, ROTC, 한국대 이사장의 아들 고보결 : 민서영 역 1999년 20세. 무용과 1학년, 최반도의 첫사랑 이이경 : 고독재 역 2017년 38세. 영화사 제작 피디, 기혼자 1999년 20세. 한국대 토목과 1학년, 반도의 친구 조혜정 : 천설 역 2017년 38세. 연락두절 1999년 20세. 한국대 사학과 1학년, 진주의 친구, 보름의 기숙사 룸메이트 진주네 가족[편집] 김미경 : 고은숙 역 1999년 49세. 진주의 어머니, 판석의 1살 연상 아내, 신장 투석 치료 중, 10년 후 별세 이병준 : 마판석 역 2017년 66세. 1999년 48세. 진주의 아버지, 은숙의 연하 남편, 한국극장 직원 차민지 : 마은주 역 2017년 39세. 1999년 21세. 진주의 1살 터울 언니 반도네 가족[편집] 김병옥 : 최기일 역 2017년 71세. 1999년 53세. 반도의 아버지 조련 : 강경숙 역 2017년 69세. 1999년 51세. 반도의 어머니 고은민 : 최자연 역 2017년 44세. 아들을 하나 둔 주부 1999년 26세. 반도의 6살 터울 누나 진주반도의 보물[편집] 박아린 : 서진 역 2017년 3세. 진주와 반도의 아들 한국대 사람들[편집] 임지규 : 박현석 역 2017년 44세. 반도의 거래처인 예림소아과 병원장, 예림의 남편 1999년 26세. 한국대 의과대 이도연 : 김예림 역 2017년 40세. 현석의 아내 1999년 22세. 한국대. 부잣집 딸 그 외 인물[편집] 전영인 : 최반도의 조카 역 천신남 : 폐지 줍는 사람 역 인성호 : 최반도의 영업 의사 역 박대원 시현 : 안재우에게 관심 갖는 여성 역 안중권 김보라 최화영 김재흠 신희국 김승완 고은이 : 한국대 교수 역 원근수 : 한국대 토목과 94학번 선배 역 송인섭 우현욱 장우용 오정환 정민하 이정훈 조연우 조현식 : 2017년 보험설계사 / 1999년 반도의 토목과 선배 역 석보배 이무녕 정종우 임호준 은서율 손동화 마민희 이혜은 신준항 당현석 임묵진 이윤상 박용 김아람 신희국 김승완 좌채원 은서율 신율이 이지송 윤해윤 유금 금광산 : 윤보름의 오빠 역 이승재 황보정일 : 윤보름의 오빠 역 옥주리 정현석 : 민서영의 아버지 역 안수빈 양대혁 김대국 주상혁 권태진 리민 윤예원 윤현 이세욱 김미준 강찬양 최윤준 권해성 특별출연[편집] 염동헌 : 교수 역 정윤호 : 아동교재 외판원 역 김기두 : 취사병 예비역 역 이상민 : 인기 가수 역 이휘재 : 라디오 DJ 역 시청률[편집] 최저 시청률과 최고 시청률은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7년 회차 방송일 부제 TNmS 시청률[1] AGB 시청률[2]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제1회 10월 13일 결혼은 해피엔딩이 아니다 5.2% 5.5% 4.6% 5.2% 제2회 10월 14일 추억은 편의대로 기억된다 6.1% 6.4% 6.0% 6.6% 제3회 10월 20일 다시 찾아온 봄날 4.9% 5.5% 5.2% 5.4% 제4회 10월 21일 다시, 심장이 뛴다 5.3% 6.0% 4.8% 5.5% 제5회 10월 27일 첫 사랑의 기준 5.3% 5.4% 5.5% 5.8% 제6회 10월 28일 당신은 당신일 때, 더욱 빛난다 5.2% 5.6% 5.5% 6.0% 제7회 11월 3일 진실과 거짓 사이, 그곳엔 진심이 있다 6.3% 6.1% 5.8% 5.8% 제8회 11월 4일 세상에 맞설 당신만의 무기 5.5% 6.3% 6.7% 7.1% 제9회 11월 10일 우리가 사랑했던 시간들... 6.9% 7.3% 6.5% 6.4% 제10회 11월 11일 당연한 건 없었다 6.9% 7.9% 6.0% 5.5% 제11회 11월 17일 엉킨 마음은 우리가 외면하고 방치할 때 커진다 6.6% 7.0% 5.4% 5.7% 제12회 11월 18일 사랑하는 나의 전우여 7.6% 7.9% 7.3% 7.6% 평균 시청률 6.0% 6.4% 5.8% 6.1% OST[편집] 고백부부 OST Part. 1 에브리 싱글 데이(Every Single Day)의 사운드트랙 음반발매일 2017년 10월 14일장르 드라마음악레이블 NHN벅스 파트 1[편집] # 제목작사작곡가수 재생 시간 1. Go Back  문성남, 정재우문성남, 정재우에브리 싱글 데이 3:35 2. Go Back (Inst.)   문성남, 정재우  3:35 총 재생 시간: 7:10 고백부부 OST Part. 2 소향의 사운드트랙 음반발매일 2017년 10월 21일장르 드라마음악레이블 NHN벅스 파트 2[편집] # 제목작사작곡가수 재생 시간 1. 바람의 노래  김순곤Various Artists소향 4:22 2. 바람의 노래 (Inst.)   Various Artists  4:22 총 재생 시간: 8:44 고백부부 OST Part. 3 심규선(Lucia)의 사운드트랙 음반발매일 2017년 10월 28일장르 드라마음악레이블 NHN벅스 파트 3[편집] # 제목작사작곡가수 재생 시간 1. Dream  꿀단지꿀단지심규선 4:08 2. Dream (Inst.)   꿀단지  4:08 총 재생 시간: 8:16 고백부부 OST Part. 4 최낙타의 사운드트랙 음반발매일 2017년 10월 29일장르 드라마음악레이블 NHN벅스 파트 4[편집] # 제목작사작곡가수 재생 시간 1. 고백  yoda한밤(Midnight), 김세진최낙타 3:48 2. 고백 (Inst.)   한밤(Midnight), 김세진  3:48 총 재생 시간: 7:36 고백부부 OST Part. 5 이석훈의 사운드트랙 음반발매일 2017년 11월 4일장르 드라마음악레이블 NHN벅스 파트 5[편집] # 제목작사작곡가수 재생 시간 1. 우리라는 세상  1601, 김호경1601이석훈 4:13 2. 우리라는 세상 (Inst.)   1601  4:13 총 재생 시간: 8:26 수상[편집] 2017년 KBS 연기대상 미니시리즈부문 여자우수상 장나라 2017년 KBS 연기대상 베스트커플상 장나라 & 손호준 편성[편집] 전작 《최강 배달꾼》이 2017년 9월 23일에 종영되어 2017년 9월 29일 첫 방송 예정이었지만, 추석과 장기 연휴로 인해 2주 후인 10월 13일에 첫 회가 방영되었다. 참고로, 2017년 9월 29일 추석 특선영화 《내부자들》, 9월 30일 《뮤직뱅크 인 자카르타》, 10월 6일 추석 특선영화 《형》, 10월 7일 추석 특집 《건반 위의 하이에나》가 각각 방송되었다. 각주[편집] ↑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 ↑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 같이 보기[편집] 웹툰 《한번 더 해요》 외부 링크[편집] 고백부부 공식사이트 한국방송공사 금토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최강 배달꾼(2017년 8월 4일 ~ 2017년 9월 23일) 고백부부(2017년 10월 13일 ~ 2017년 11월 18일) 폐지 vdeh 금토드라마2010년대 후반2015년 《프로듀사》 2017년 《최고의 한방》 《최강 배달꾼》 《고백부부》 TV 소설 | 1TV 아침 | 2TV 아침 | 1TV 일일 | 2TV 일일 | 월화 | 수목 | 금요 | 금토 | 주말 (연속극  · 특별기획) | 대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고백부부&oldid=24448071" 분류: 2017년 드라마한국방송공사 금토드라마가족 드라마시간 여행을 소재로 한 드라마한국방송공사 예능드라마대한민국의 웹 만화의 텔레비전 드라마화 작품권혜주 시나리오 작품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Bahasa IndonesiaBahasa Melayu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9일 (수) 09:0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고백부부》는 2017년 10월 13일부터 2017년 11월 18일까지 방송되었던 KBS 2TV 금토 드라마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고백 부부에서 장나라가 맡은 배역의 이름은 무엇일까? Assistant: 마진주
Human: 아래 2016년_하계_올림픽_여자_배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16년 하계 올림픽 여자 배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6년 하계 올림픽 여자 배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6년 하계 올림픽여자 배구 개최 기간 2016년 8월 6일~ 20일 경기장 지나시우 두 마라카나지뉴 참가국 12개국 메달리스트   중국  세르비아  미국 « 2012년2020년 » 2016년 하계올림픽 배구 경기   남자   여자 선수명단   남자   여자 비치발리볼 경기 남자 여자 2016년 하계 올림픽 여자 배구 경기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8월 6일부터 8월 20일까지 열렸다. 중국 대표팀이 결승에서 세르비아를 이기고 이 종목에서 세번째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다.[1] 미국 대표팀은 네덜란드를 이기고 동메달을 획득했다.[2] 목차 1 예선 2 본선 조편성 3 조별 예선 3.1 A조 순위표 3.2 A조 경기 일정 3.3 B조 순위 표 3.4 B조 경기 일정 4 8강 토너먼트 4.1 대진표 4.2 8강전 4.3 4강전 4.4 동메달 결정전 4.5 결승전 5 본선 심판 6 최종 순위 7 같이 보기 8 각주 9 외부 링크 예선[편집] 예선을 거쳐 국가 올림픽 위원회별로 한 팀씩 총 12팀이 본선에 참가했다.[3] 여자 배구 예선 통과 국가 목록이다. 본선 진출 자격 날짜 장소 할당 국가 주최국 2009년 10월2일 덴마크 코펜하겐 1 브라질 2015년 월드컵 1-2위 2015년 8월22일~9월6일 일본 2 중국 세르비아 유럽 대표 2016년 1월4~9일 터키 앙카라 1 러시아 북중미 대표 2016년 1월7~9일 미국 링컨 1 미국 남미 대표 2016년 1월6~10일 아르헨티나 바릴로체 1 아르헨티나 아프리카 대표 2016년 2월12~16일 카메룬 야운데 1 카메룬 아시아·오세아니아 대표 2016년 5월14~22일 일본 도쿄 1 일본 세계 예선1 상위팀 3 이탈리아 네덜란드 대한민국 세계 예선2 1위 2016년 5월20~22일 푸에르토리코 산후앙 1 푸에르토리코 합계 12 본선 조편성[편집] 2015년 10월 세계 순위를 기준으로 해서 12개 팀을 서펀틴 방식으로 두개 조로 나누어 편성했다. 서펀틴 방식은 상위 2개 팀을 같은 조에 배정하고 그 아래 순위 2팀은 다른 조에 배정하는 식으로 조를 나누는 것이다. 하지만 주최국인 브라질은 순위와 상관 없이 A조에 1번 시드를 받았다.[4] 조 편성은 2016년 5월23일 확정됐다. 괄호안의 숫자는 세계 순위다.[5] A조 B조 브라질 (주최국) 미국 (1) 러시아 (4) 중국 (2) 일본 (5) 세르비아 (6) 대한민국 (9) 이탈리아 (8) 아르헨티나 (12) 네덜란드 (14) 카메룬 (21) 푸에르토리코 (16) 조별 예선[편집] 12개국 팀이 두 조로 나뉘어 리그전을 펼친 뒤, 각조 상위 4개 팀이 8강에 진출한다. 3-0 또는 3-1로 이기면 승점 3점, 3-2로 이기면 승점 2점, 2-3으로 지면 승점 1점이 부여된다. 0-3 또는 1-3으로 지면 승점이 없다.[5][6] A조 순위표[편집] 순위 팀v • d • e • h 경기 승리 패배 승점 얻은 세트 잃은 세트 세트 득실 얻은 점수 잃은 점수 점수 득실 통과 1 브라질 (H) 5 5 0 15 15 0 — 377 272 1.386 8강 2 러시아 5 4 1 12 12 4 3.000 393 323 1.217 3 대한민국 5 3 2 9 10 7 1.429 384 372 1.032 4 일본 5 2 3 6 7 9 0.778 347 364 0.953 5 아르헨티나 5 1 4 2 3 14 0.214 319 407 0.784 6 카메룬 5 0 5 1 2 15 0.133 328 410 0.800 2016년 8월14일(현지시각)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리우올림픽 공식 사이트(H) 주최국. A조 경기 일정[편집] (경기장: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히나시우 두 마라카나지우. 시간은 브라질 현지 기준이며 한국 시간은 이보다 12시간 빠름.) 2016년 8월 6일 (2016-08-06) 09:30v • d • e • h 일본 1-3 대한민국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5,760 심판: 데니 세스페데스 패트리시아 롤프 ( 25-19, 15-25, 17-25, 21-25 )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6일 (2016-08-06) 15:00v • d • e • h 브라질 3-0 카메룬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7,890 심판: 하이케 크라프트 쟝리우 ( 25-14, 25-21, 25-13 )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6일 (2016-08-06) 20:30v • d • e • h 러시아 3-0 아르헨티나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5,437 심판: 이브라힘 알나마 루이스 마시아스 ( 25-13, 25-10, 25-16 )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8일 (2016-08-08) 11:35v • d • e • h 일본 3-0 카메룬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5,400 심판: 로게리우 에스피칼스키 에르냔 카사미켈라 (25 - 20, 25 - 15, 25 - 17)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8일 (2016-08-08) 20:30v • d • e • h 러시아 3-1 대한민국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5,398 심판: 피오트르 두데크 이브라힘 알나마 (25-23, 23-25, 25-23, 25-14)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8일 (2016-08-08) 22:35v • d • e • h 브라질 3-0 아르헨티나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7,651 심판: 나스르 샤반 파브리치오 파스칼리 ( 25-16, 25-19, 25-11 )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10일 (2016-08-10) 17:05v • d • e • h 러시아 3-0 카메룬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6,396 심판: 이브라힘 알나마 모함마드 샤미리 ( 25-19, 25-22, 25-23 )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10일 (2016-08-10) 20:30v • d • e • h 대한민국 3-0 아르헨티나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7,248 심판: 패트리시아 롤프 타오우피크 부다야 ( 25-18, 25-20, 25-23 )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10일 (2016-08-10) 22:35v • d • e • h 브라질 3-0 일본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8,759 심판: 수사나 로드리게스 루이스 마시아스 ( 25-18, 25-18, 25-22 )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12일 (2016-08-12) 11:35v • d • e • h 아르헨티나 3-2 카메룬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5,345 심판: 타오우피크 부다야 아르투로 디 지아코모 ( 19-25, 25-19, 26-28, 25-21, 15-13)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12일 (2016-08-12) 20:30v • d • e • h 러시아 3-0 일본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7,448 심판: 모함마드 샤미리 하이케 크라프트 ( 25-14, 30-28, 25-18 )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12일 (2016-08-12) 22:35v • d • e • h 브라질 3-0 대한민국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8,790 심판: 패트리시아 롤프 쟝리우 ( 25-17, 25-13, 27-25 )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14일 (2016-08-14) 11:35v • d • e • h 대한민국 3-0 카메룬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6,893 심판: 루이스 마시아스 로게리우 에스피칼스키 ( 25-16, 25-22, 25-20 )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14일 (2016-08-14) 20:30v • d • e • h 일본 3-0 아르헨티나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5,939 심판: 데니 세스페데스 파브리치오 파스칼리 ( 25-23, 25-16, 26-24 )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14일 (2016-08-14) 22:35v • d • e • h 브라질 3-0 러시아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8,892 심판: 나스르 샤반 타오우피크 부다야 ( 25-23, 25-21, 25-21 ) 기록지 상세 통계 B조 순위 표[편집] 순위 팀v • d • e • h 경기 승리 패배 승점 얻은 세트 잃은 세트 세트 득실 얻은 점수 잃은 점수 점수 득실 통과 1 미국 5 5 0 14 15 5 3.000 470 400 1.175 8강 2 네덜란드 5 4 1 11 14 7 2.000 455 425 1.071 3 세르비아 5 3 2 10 12 6 2.000 410 394 1.041 4 중국 5 2 3 7 9 9 1.000 398 389 1.023 5 이탈리아 5 1 4 3 4 12 0.333 351 374 0.939 6 푸에르토리코 5 0 5 0 0 15 0.000 277 379 0.731 2016년 8월14일(현지시각)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리우올림픽 공식 사이트순위 결정방식: 1) 이긴 경기 수 2) 승점 3) 세트 득실률 4) 점수 득실률 5) 승자승. B조 경기 일정[편집] (경기장: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히나시우 두 마라카나지우. 시간은 브라질 현지 기준이며 한국 시간은 이보다 12시간 빠름.) 2016년 8월 6일 (2016-08-06) 11:35v • d • e • h 중국 2-3 네덜란드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6,410 심판: 수사나 로드리게스 파울루 투르시 ( 23-25, 21-25, 25-18, 22-25, 13-15 )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6일 (2016-08-06) 17:05v • d • e • h 미국 3-0 푸에르토리코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6,832 심판: 타오우피크 부다야 강주희 ( 25-17, 25-22, 25-17 )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6일 (2016-08-06) 22:35v • d • e • h 세르비아 3-0 이탈리아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4,373 심판: 피오트르 두데크 아르투로 디 지아코모 ( 27-25, 25-20, 25-23 )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8일 (2016-08-08) 09:30v • d • e • h 중국 3-0 이탈리아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4,804 심판: 패트리시아 롤프 파울루 투르시 ( 25-21, 25-21, 25-16 )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8일 (2016-08-08) 15:00v • d • e • h 미국 3-2 네덜란드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5,455 심판: 모함마드 샤미리 주라야 모크리 ( 18-25, 25-18, 21-25, 25-20, 15-8 )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8일 (2016-08-08) 17:05v • d • e • h 세르비아 3-0 푸에르토리코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5,730 심판: 강주희 안드레이 제노비치 ( 29-27, 25-18, 25-20 )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10일 (2016-08-10) 09:30v • d • e • h 중국 3-0 푸에르토리코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4,386 심판: 하이케 크라프트 강주희 ( 25-20, 25-17, 25-18 )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10일 (2016-08-10) 11:35v • d • e • h 이탈리아 0-3 네덜란드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5,539 심판: 주라야 모크리 나스르 샤반 ( 21-25, 20-25, 20-25 )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10일 (2016-08-10) 15:00v • d • e • h 미국 3-1 세르비아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7,134 심판: 에르냔 카사미켈라 로게리우 에스피칼스키 ( 25-17, 21-25, 25-18, 25-19 )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12일 (2016-08-12) 09:30v • d • e • h 중국 0-3 세르비아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3,509 심판: 강주희 수사나 로드리게스 ( 19-25, 19-25, 22-25 )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12일 (2016-08-12) 15:00v • d • e • h 미국 3-1 이탈리아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7,243 심판: 로게리우 에스피칼스키 데니 세스페데스 ( 25-22, 25-22, 23-25, 25-20 )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12일 (2016-08-12) 17:05v • d • e • h 네덜란드 3-0 푸에르토리코 경기장: 마라자낭지뉴 관중: 6,742 심판: 이브라힘 알나마 에르냔 카사미켈라 ( 25-14, 25-22, 25-16 )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14일 (2016-08-14) 09:30v • d • e • h 세르비아 2-3 네덜란드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6,387 심판: 수사나 로드리게스 안드레이 제노비치 ( 22-25, 20-25, 25-22, 25-18, 8-15 )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14일 (2016-08-14) 15:00v • d • e • h 이탈리아 3-0 푸에르토리코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7,225 심판: 강주희 패트리시아 롤프 ( 25-14, 25-13, 25-22 )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14일 (2016-08-14) 17:05v • d • e • h 미국 3-1 중국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6,897 심판: 하이케 크라프트 주라야 모크리 ( 22-25, 25-17, 25-19, 25-19 ) 기록지 상세 통계 8강 토너먼트[편집] 대진표[편집] 8강전4강전결승전          8월16일 22:15A1 브라질28월18일B4 중국3 중국38월16일 10:00 네덜란드1 A3 대한민국18월20일B2 네덜란드3 중국38월16일 18:00 세르비아1 A2 러시아08월18일B3 세르비아3 세르비아38월16일 14:00 미국2 3·4위전A4 일본08월20일B1 미국3 네덜란드1 미국3 8강전[편집] (경기장: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히나시우 두 마라카나지우. 시간은 브라질 현지 기준이며 한국 시간은 이보다 12시간 빠름.) 2016년 8월 16일 (2016-08-16) 10:00v • d • e • h 대한민국 1-3 네덜란드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6,351 심판: 패트리시아 롤프 나스르 샤반 ( 19-25, 14-25, 25-23, 20-25 )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16일 (2016-08-16) 14:00v • d • e • h 일본 0-3 미국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7,226 심판: 파울루 투르시 하이케 크라프트 ( 16-25, 23-25, 22-25 )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16일 (2016-08-16) 18:00v • d • e • h 러시아 0-3 세르비아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7,121 심판: 수사나 로드리게스 에르냔 카사미켈라 ( 9-25, 22-25, 21-25 )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16일 (2016-08-16) 22:15v • d • e • h 브라질 2-3 중국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9,498 심판: 피오트르 두데크 블라디미르 시모노비치 ( 25-15, 23-25, 22-25, 25-22, 13-25 ) 기록지 상세 통계 4강전[편집] 2016년 8월 18일 (2016-08-18) 13:00v • d • e • h 세르비아 3–2 미국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5,837 심판: 안드레이 제노비치 나스르 샤반 (20–25, 25–17, 25–21, 16–25, 15–13) 기록지 상세 통계 2016년 8월 18일 (2016-08-18) 22:15v • d • e • h 중국 3–1 네덜란드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8,411 심판: 데니 세스페데스 파브리치오 파스칼리 (27–25, 23–25, 29–27, 25–23) 기록지 상세 통계 동메달 결정전[편집] 2016년 8월 20일 (2016-08-20) 13:00v • d • e • h 네덜란드 1–3 미국 3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7,897 심판: 파울루 투르시 피오트르 두데크 (23–25, 27–25, 22–25, 19–25) 기록지 상세 통계 결승전[편집] 2016년 8월 20일 (2016-08-20) 22:15v • d • e • h 1  중국 3–1 세르비아 2  경기장: 마라카낭지뉴 관중: 8,773 심판: 수사나 로드리게스 패트리시아 롤프 (19–25, 25–17, 25–22, 25–23) 기록지 상세 통계 본선 심판[편집] 국제 배구 연맹이 선정한 심판 20명이 이번 올림픽 본선 경기 진행을 맡았다.[7] 에르냔 카사미켈라(Hernán Casamiquela) 아르투로 디 지아코모(Arturo Di Giacomo) 로게리우 에스피칼스키(Rogerio Espicalsky) 파울루 투르시(Paulo Turci) 쟝리우(Liu Jiang) 데니 세스페데스(Denny Cespedes) 나스르 샤반(Nasr Shaaban) 하이케 크라프트(Heike Kraft) 모함마드 샤미리(Mohammad Shahmiri) 파브리치오 파스칼리(Fabrizio Pasquali) 루이스 마시아스(Luis Macias) 피오트르 두데크(Piotr Dudek) 이브라힘 알나마(Ibrahim Al-Naama) 안드레이 제노비치(Andrey Zenovich) 블라디미르 시모노비치(Vladimir Simonović) 주라야 모크리(Juraj Mokrý) 강주희 수사나 로드리게스(Susana Rodríguez) 타오우피크 부다야(Taoufik Boudaya) 패트리시아 롤프(Patricia Rolf) 최종 순위[편집] 순위 팀 1  중국 2  세르비아 3  미국 4 네덜란드 5 대한민국 러시아 브라질 일본 9 아르헨티나 이탈리아 11 카메룬 푸에르토리코 출처: 리우올림픽 공식 사이트[8] 같이 보기[편집] 2016년 하계 올림픽 배구 2016년 하계 올림픽 남자 배구 2016년 하계 올림픽 비치발리볼 각주[편집] ↑ “China crowned champions in Rio de Janeiro”. 《rio2016.fivb.com》. 2016년 8월 20일.  ↑ “USA raise high wall to stop Netherlands for bronze medal”. 《rio2016.fivb.com》. 2016년 8월 20일.  ↑ “Rio 2016 – FIVB Volleyball Qualification System” (PDF). 국제 배구 연맹. 2015년 6월 15일에 확인함.  ↑ “FIVB Senior World Ranking - Women (as of October 2015)”. 국제 배구 연맹. 2016년 6월 7일에 확인함.  ↑ 가 나 “Rio 2016 Women’s Volleyball Pools Unveiled”. 국제 배구 연맹. 2016년 5월 23일. 2016년 6월 10일에 확인함.  ↑ “RIO 2016 Women's Volleyball Pool Schedule” (PDF). 국제 배구 연맹. 2016년 6월 8일. 2016년 6월 14일에 확인함.  ↑ “VOLLEYBALL LIST OF REFEREES”. 국제 배구 연맹. 2016년 6월 9일에 확인함.  ↑ “리우올림픽 공식 사이트 여자 배구 순위”. 2016년 8월 1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국제 배구 연맹의 올림픽 공식 사이트(영문) vdeh2016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골프 근대5종 농구 남자 여자 다이빙 럭비 레슬링 배구 남자 여자 배드민턴 복싱 비치발리볼 사격 사이클 수구 수영 승마 싱크로나이즈 양궁 역도 요트 유도 육상 조정 체조 축구 남자 여자 카누 탁구 태권도 테니스 트라이애슬론 펜싱 하키 핸드볼 vdeh올림픽 배구대회 1896 -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남 여 2008 남 여 2012 남 여 2016 남 여 2020 남 여 선수 명단남자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6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여자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6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메달리스트 목록 경기장 목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6년_하계_올림픽_여자_배구&oldid=23924977" 분류: 2016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2016년 배구올림픽 배구여자 배구2016년 여자 배구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Magyar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7일 (수) 17:1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16년 하계 올림픽 배구 여자 경기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8월 6일부터 8월 20일까지 열렸다. 중국 대표팀이 결승에서 세르비아를 이기고 이 종목에서 세번째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다. 미국 대표팀은 네덜란드를 이기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6년에 열린 하계 올림픽의 여자 배구 본선 경기의 조편성은 어떻게 이루어졌나요? Assistant: A조 B조 브라질 (주최국) 미국 (1) 러시아 (4) 중국 (2) 일본 (5) 세르비아 (6) 대한민국 (9) 이탈리아 (8) 아르헨티나 (12) 네덜란드 (14) 카메룬 (21) 푸에르토리코 (16) Human: 아래 서울교통공사_2000호대_VVVF_전동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울메트로 2000호대 VVVF 전동차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에는 여러 문제가 있습니다. 문서를 편집하여 수정하시거나 토론 문서에서 의견을 나눠주세요.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7년 1월) 이 글의 정확성과 사실 여부에 대해 논란이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7년 2월 26일)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성수역에 진입 중인 204편성 구로디지털단지역에 진입 중인 208편성 제작 및 운영 주 용도 도시 철도 전용 통근형 전동차 제작사 1, 2, 4차분 : 현대로템3, 5차분 : 다원시스 운영 회사 서울교통공사 제작 연도 1차분 : 2005년2차분 : 2007년 ~ 2008년3차분 : 2017년 ~ 2018년4차분 : 2019년 ~ 2020년 (예정)5차분 : 2022년 (예정) 생산량 61개 편성 586량 사용량 61개 편성 586량 제원 차량 중량 118.6 t 궤간 1,435 mm 성능 동력 방식 동력분산식 전기 방식 직류 1,500V 가공가선방식 제어 방식 1, 2, 4차분 : VVVF-미쓰비시 기반 현대로템 IGBT(IPM) 2레벨 1C4M제어3, 5차분 : VVVF-IGBT(다원시스) 2레벨 1C4M제어 기어비 14:99 (7.07) 기동가속도 3.0 km/h/s 설계 최고 속도 100 km/h 감속도 3.5 km/h/s(비상시) 4.5 km/h/s 전동기 출력 210[1] kW 편성 출력 4,200(6000마력) kW 구동 장치 농형 3상 유도전동기[2] 제동 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MT비 5M 5T 보안 장치 ATO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는 1980년부터 1982년까지 도입된 저항제어와 1983년부터 도입된 초퍼제어 전동차를 대체하기 위하여, 2005년부터 도입된 서울 지하철 2호선의 통근형 전동차이다. 현재 2호선 본선에 총 10량 54개 편성(540량), 성수지선에 현재 총 4량 4개 편성(16량)이 운행 중이다. 목차 1 기술적 사양 1.1 제어 기기 1.2 차체 및 대차 1.3 실선 설비 1.4 TCMS와 ATO대응 준비 1.5 편성 1.5.1 10량 편성 1.5.2 4량 편성 2 배속 3 현재 운행구간 4 도입 역사 4.1 1차분 4.2 2차분 4.3 3차분 4.4 4차분 4.5 5차분 5 현황 6 반입 경로 7 특이 사항 7.1 도입 초기 고장 7.2 개조 후 차적 편입 7.3 자전거 전용칸 개조 7.4 측면 행선 LED 가동 중단 8 사고 9 사진 10 각주 11 함께 보기 기술적 사양[편집] 한국형 표준전동차를 기초로 하며 대형 전동차에 맞게 재설계되었다. 제어 기기[편집] IPM으로 된 VVVF-IGBT 인버터를 적용하였다. 1대의 인버터가 1량분(4개)의 전동기를 제어하였다. 전동기는 현대로템에서 제작된 한국산 210kW의 전동기를 적용하였다. SIV는 현대로템의 180kVA IGBT-SIV를 사용하였다. 차체 및 대차[편집] 차체는 STS304 스테인리스를 적용하였다. 대차는 중형 전동차 모델을 기초로 더욱 경량화 된 대차를 채용하였다. 차량중량은 1개 편성 10량 기준 118.6톤으로 1량에 11.86톤이다. 실선 설비[편집] 객실 내부에 LCD TV, LED를 사용한 전자노선도가 설치되었다. 객실 창문은 UV코팅 처리된 통유리를 사용하고 있다. 유선형 FRP 선두부를 적용하였다. 1차분 실내 2차분 실내 TCMS와 ATO대응 준비[편집] 지상/차상간 인터페이스 성능을 적용한 설비로 운행되며 차량 운전실 내부에 냉난방제어, 방송기기, 행선표시제어가 설치되었다. 편성[편집] 편성은 팬터그래프와 주변압기, 제어기기, 전동기가 탑재된 M'차, 제어기기와 전동기만이 탑재된 M차, 그리고 보조전원장치와 공기압축기, 축전지, 제어실등을 갖춘 Tc차와 제어실이 없는 T1, 그리고 아무 기기도 탑재되지 않는 T차로 구성되어 있다. 10량 편성[편집] ◇◇ ◇◇ ◇◇ 20XX 21XX 22XX 23XX 24XX 25XX 26XX 27XX 28XX 29XX Tc M M' T M' T1 T M M' Tc ←내선순환 ※XX는 편성 번호 외선순환→ 객차번호 설치된 전장품 20XX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21XX M(주변환장치) 22XX M'(팬터그래프, 주변환장치, 주변압기) 23XX T(무동력객차) 24XX M'(팬터그래프, 주변환장치, 주변압기) 25XX T1(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26XX T(무동력객차) 27XX M(주변환장치) 28XX M'(팬터그래프, 주변환장치, 주변압기) 29XX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4량 편성[편집] ◇◇ ◇◇ 20XX 21XX 22XX 23XX Tc M' M' Tc ←성수 ※XX는 편성 번호 신설동→ 객차번호 설치된 전장품 20XX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21XX M'(팬터그래프, 주변환장치, 주변압기) 22XX M'(팬터그래프, 주변환장치, 주변압기) 23XX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배속[편집] 201~234, 239~242편성 : 신정차량사업소, 10량 257~260편성 : 군자차량사업소, 4량 261~272, 285~292편성 : 군자차량사업소, 10량 현재 운행구간[편집] ■ 서울 지하철 2호선 : 시청 ~ 시청, (10량 편성 운행) ■ 서울 2호선 성수지선 : 성수 ~ 신설동, (4량 편성 운행) 도입 역사[편집] 1차분[편집] 1980년 도입된 저항제어 전동차 대체분으로 2005년 도입되었다. 편성 번호는 본선 201~205편성과 성수지선 257편성으로 배정되었다. 승객용 시트는 무광택 스테인리스 시트를 적용하였다. 객실 창문은 UV코팅 처리된 통유리를 채용하였다. 객실에 전자 노선도와 LCD TV가 설비되었다. 측면 도색은 검은색, 초록색 조합을 적용하였다. 출입문 내부 문양이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 출입문과 동일하다. 객실 내 통로문이 수동문이다. 2차분[편집] 1982년 도입된 저항제어, 1983년부터 1984년 도입된 초퍼제어 전동차 대체분으로 2007년부터 2008년까지 도입되었다. 편성 번호는 본선 215~231, 261~272편성과 성수지선 258~260편성으로 배정되었다. 스테인리스 외판 두께를 늘려 굴곡을 없앴다. 승객용 시트를 난연재 모켓시트로 적용하였다. 차량 간 통로문이 수동문에서 통유리 자동문으로 변경되었다. 객실 출입문 구동방식을 공기 압축식에서 스크류모터 전기 구동방식으로 변경하였다. 측면 도색은 청록색, 초록색 조합을 적용하였다. 승객 키 차이를 고려한 낮은 손잡이가 설치되었다. 223~231, 271~272편성은 기존 초퍼제어 전동차 부수차를 개조하여 해당 편성 T칸(4·7호차)으로 편입하였다. 출입문의 무늬가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와 같이 구 서울메트로 로고를 사용한다. 3차분[편집] 1989년부터 1991년까지 도입된 초퍼제어 전동차 대체분으로 2017년부터 2018년까지 도입되었다. 편성 번호는 본선 206~213, 239~242, 285~292편성으로 배정되었다. 객실 통로폭이 기존 1000mm에서 1200mm로 늘었다. 통로문이 18개에서 3개만 설치하였다. 손잡이가 승객 키에 맞게 높낮이를 적용하였다. 객실 조명이 기존 형광등에서 LED로 변경되었다. 입석승객과 좌석승객간 접촉으로 불편하던 부분은 안전강화유리로 칸막이를 설치하였다. 출입문 측면에는 승객 승하차 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LED 방향표시등이 설치되었다. 상부에는 노선안내표시기가 설치되었다. 객실 선반이 적용되지 않았다. 열차 내 행선지에 원활, 보통, 혼잡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되었다. 각 량의 맨 끝에는 LED 역안내기가 설치되었다. 객실 내부 좌석 폭이 넓어지며, 중앙 7인석이 6인석으로 줄어들었다. 출입문의 무늬가 206~210, 288~290편성의 경우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와 같이 구 서울메트로 로고를 사용하며, 211~213, 239~242, 285~287, 291, 292편성의 경우 서울교통공사 로고를 사용한다. 4차분[편집] 1991년부터 1994년까지 도입된 초퍼제어 전동차, 1993년 도입되어 2005년 개조된 성수지선 개조저항 대체분으로 2019년부터 2020년까지 도입될 예정이다. 편성 번호는 본선 214, 232~238, 273~284, 293편성과 성수지선 256편성으로 배정되었다. 243, 244편성은 결번이다. 5차분[편집] 1993년 도입되어 2005년에 개조된 신정지선 개조저항, 1991년부터 1992년까지 도입되어 2007년부터 2008년까지 개조된 223~231, 271, 272편성의 4, 7번째칸 대체분으로 2022년에 도입될 예정이다. 294, 295편성은 결번돼서 제작되지 않았다. 편성 번호는 신정지선 245~248편성과 본선 223~231, 271, 272편성의 4, 7번째칸으로 배정될 예정이다. 현황[편집]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201 편성 2005년 운행 중 202 편성 운행 중 203 편성 운행 중 204 편성 운행 중 205 편성 운행 중 206 편성 2017년 운행 중 207 편성 운행 중 208 편성 운행 중 209 편성 운행 중 210 편성 운행 중 211 편성 2018년 운행 중 212 편성 운행 중 213 편성 운행 중 214 편성 2019년 시운전 중 215 편성 2007년 운행 중 216 편성 운행 중 217 편성 운행 중 218 편성 운행 중 219 편성 운행 중 220 편성 운행 중 221 편성 2008년 운행 중 222 편성 운행 중 223 편성 2007년 운행 중 MELCO 초퍼제어 전동차의 무동력 T칸을 개조하여 편입되었다. 229~231편성은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224 편성 운행 중 225 편성 2008년 운행 중 226 편성 운행 중 227 편성 운행 중 228 편성 운행 중 229 편성 운행 중 230 편성 운행 중 231 편성 운행 중 232 편성 2019년 시운전 중 233 편성 시운전 중 234 편성 시운전 중 235 편성 시운전 예정 236 편성 도입 예정 237 편성 도입 예정 238 편성 도입 예정 239 편성 2018년 운행 중 240 편성 운행 중 241 편성 운행 중 242 편성 운행 중 245 편성 2022년 도입 예정 신정지선 신도림 ~ 까치산 구간 6량 열차로 운행될 예정이다. 246 편성 도입 예정 247 편성 도입 예정 248 편성 도입 예정 256 편성 2020년 도입 예정 성수지선 성수 ~ 신설동 구간 4량 열차로 운행될 예정이다. 257 편성 2005년 운행 중 성수지선 성수 ~ 신설동 구간 4량 열차로 운행 중이다. 258 편성 2007년 운행 중 259 편성 운행 중 260 편성 운행 중 261 편성 2008년 운행 중 262 편성 운행 중 263 편성 운행 중 264 편성 운행 중 265 편성 운행 중 266 편성 운행 중 267 편성 운행 중 268 편성 운행 중 269 편성 운행 중 270 편성 운행 중 271 편성 운행 중 GEC 초퍼제어 전동차의 무동력 T칸을 개조하여 편입되었다. 272 편성 운행 중 273 편성 2020년 도입 예정 274 편성 도입 예정 275 편성 도입 예정 276 편성 도입 예정 277 편성 도입 예정 278 편성 도입 예정 279 편성 도입 예정 280 편성 도입 예정 281 편성 도입 예정 282 편성 도입 예정 283 편성 도입 예정 284 편성 도입 예정 285 편성 2018년 운행 중 286 편성 운행 중 287 편성 운행 중 288 편성 운행 중 289 편성 운행 중 290 편성 운행 중 291 편성 운행 중 292 편성 운행 중 293 편성 2020년 도입 예정 반입 경로[편집] 전동차 반입 경로는 다음과 같다. 군자차량사업소 : 신창원역 → 서울역 → 동묘앞역 → 군자차량사업소 (1,2,4차분) 신정차량사업소 : 신창원역 → 서울역 → 동묘앞역 → 성수역 → 신도림역 → 신정차량사업소 (1,2,4차분) 신정차량사업소 : 김천역 → 서울역 → 동묘앞역 → 성수역 → 신도림역 → 신정차량사업소 (3차분) 군자차량사업소 : 김천역 → 서울역 → 동묘앞역 → 군자차량사업소 (3차분) 특이 사항[편집] 도입 초기 고장[편집] 2005년 도입 초기에 TCMS 시스템 신호시스템 부조화로 인하여 운행 중 갑작스러운 비상제동 체결 사고가 여러 차례 일어났다. 현재는 해당 문제가 모두 해결되었다. 개조 후 차적 편입[편집] 223~231, 271, 272편성은 기존 구형 초퍼제어 전동차의 무동력차를 개조하여 해당 편성 T칸(4·7호차)으로 편입되었다. 개조 T칸 객실 내부는 타 2차 도입분 VVVF 전동차와 설비가 동일하나, 부수차 자체의 프레임을 개조할 수 없어서 7인 좌석에 있는 창문은 2분할 통유리로 되어 있고, 대차도 초퍼제어 전동차에서 사용한 대차를 그대로 사용한다. 차체는 마일드스틸 차체로 적용되었다. 해당 객차들은 2022년에 신정지선 24량과 함께 교체된다. 2차 VVVF T칸 개조차량 반입 모습(무동력 부수객차) 자전거 전용칸 개조[편집] 2009년부터 고객의 이동 편의를 위하여 229~231편성은 전동차 Tc(운전실이 있는 칸) 맨 앞에 자전거 전용칸 개조가 이루어졌다. 즉, 자전거의 경우 주인이 직접 들고 다녀야 한다. 측면 행선 LED 가동 중단[편집] 현재 스크린도어가 모두 설치되어 측면 안내기가 소등되어 에너지 절감을 하여 서울교통공사 로고가 부착되었다. 사고[편집] 2015년 12월 25일 : 229편성은 차량 정비 중, 기관사의 실수에 의하여 전신주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2016년 5월 28일 : 227편성은 구의역에서 달려오는 열차를 미처 보지 않고 스크린도어를 혼자 수리하던 수리공 1명을 치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3] 사진[편집] 성수역에서 대기 중인 204편성 (하부 배장기 절단 전) 신대방역으로 향하는 201편성 (하부 배장기 절단 전) 건대입구역에 진입하는 272편성 구로디지털단지역에 진입 중인 266편성 각주[편집] ↑ 1시간 정격출력은 230kW ↑ 현대로템 KTM-ILS-210CA형, 정격출력 : 210kW, 단자전압 : 1,100V, 정격전류 : 136A, 회전수 : 2,200rpm ↑ 유태환 (2016년 5월 29일). “'반복된 인재(人災)'..警, 스크린도어 사망 사고 과실 본격 수사”. 《이데일리》. 2018년 4월 21일에 확인함.  함께 보기[편집]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vdeh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증기 기관차 모가 4륜 푸러 아메 터우 발틱 고로 사타 소리 마터 파시 혀기³ 미카 630³ 660³ 700³ 810³ 900³ 901 디젤 기관차 2000 2100 3000 3100 3200 4000 4100 4200 4300 4400 5000 6000 6100 6200 6300 7000 7100 7200 7300 7400 7500 7600 9100 전기 기관차 데로 8000 8100 8200 8500 증기 동차 시그 디젤 동차 게하 나게하³ 3등 디젤 DC 협궤 DC³ DEC DHC NDC CDC · RDC 특별 동차² Roger-1000k 전기 동차고속형 KTX-I KTX-산천 KTX-DD HEMU-430X HSR-350x EMU-250¹ EMU-300¹ 특별 동차² 일반 간선형 EEC TTX 한국형 표준전동차 AUTS TEC 200000 210000 ITX-청춘 368000 인천국제공항철도 1000 특별 동차² 광역전철/도시철도형 서울 지하철·수도권 전철 D000 1000 3000 311000 319000 321000 331000 341000 351000 361000 371000 391000 인천국제공항철도 2000 인천 도시철도 부산 도시철도/동해선 381000 대구 도시철도 광주 도시철도 대전 도시철도 부산-김해경전철 K-AGT 무가선 저상 트램 객차 및 화차 새마을호 무궁화호 통일호 비둘기호 3등 객차 대용 객차 귀빈 객차² 협궤 객차³ 발전차 난방차 수화물차 우편차 화차† 자기부상열차 KOMAG-01 HML-01 HML-02 DMV-92 HML-03 UTM-01 UTM-02 에코비 SUMA550 가로줄 : 운행 중단. 1 : 도입 예정. 2 : 귀빈 전용. 3 : 협궤 전용. 기울임 : 기술 개발용. † : 화차는 객차가 아니지만, 분류의 편의상 포함함. vdeh수도권 전철 차량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3000호대 311000호대ᆞ312000호대 319000호대 321000호대 331000호대 341000호대 351000호대 361000호대 368000호대‡ 371000호대 391000호대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1000호대 VVVF 2000호대 저항제어 2000호대 초퍼제어 2000호대 VVVF 3000호대 초퍼제어 3000호대 VVVF 4000호대 5000호대 6000호대 7000호대 · 8000호대 SR000 서울시메트로9호선서울9호선운영 9000호대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2000호대● 공항철도 1000호대‡ 2000호대 신분당선주식회사경기철도주식회사 D000호대 우이신설경전철 UL000호대● 의정부경전철 U100호대● 용인 경전철 Y100호대● 김포골드라인운영 1000호대● ● : 경전철 ‡ : 별도 등급으로 운행하는 차량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서울교통공사_2000호대_VVVF_전동차&oldid=24474813" 분류: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7년 1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정확성에 논란이 있는 글/2017년 2월정확성에 논란이 있는 모든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4일 (월) 17:0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는 서울 지하철 2호선에서 운행 중인 서울교통공사의 통근형 전동차다. 현재 총 10량 84개 편성(794량) 중 본선용 총 10량 75개 편성(750량), 신정지선용 총 6량 4개 편성(24량), 성수지선용 총 4량 5개 편성(20량)이 운행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객차번호 22XX에 설치된 전장품은? Assistant: M'(팬터그래프, 주변환장치, 주변압기)
Human: 아래 문화콘서트_난장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문화콘서트 난장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문화콘서트 난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문화콘서트 난장 문화콘서트 亂場 장르 음악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광주 MBC 방송 기간 2007년 3월 15일 ~ 2017년 10월 28일 2018년 4월 28일 ~ 방송 시간 토요일 오후 4시 35분 ~ 6시 5분 방송 분량 90분 추가 채널 MBC NET, 목포 MBC 기획 김민호 프로듀서 김민호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문화콘서트 난장 《문화콘서트 난장》(문화콘서트 亂場, NANJANG)은 광주 MBC의 음악 전문 텔레비전 프로그램으로 2007년 3월 15일부터 방송되고 있다. 목차 1 방송 시간 2 역대 진행자 3 제작진 4 수상 내역 5 방영 목록 5.1 2007년 5.2 2008년 5.3 2009년 5.4 2010년 5.5 2011년 5.6 2012년 5.7 2013년 5.8 2014년 5.9 2015년 6 각주 7 외부 링크 방송 시간[편집] 방송국 방송 시간 광주 MBC,목포 MBC,여수 MBC 매주 토요일 16:55 - 18:25매주 월요일 14:00 - 15:00 부산 MBC 매주 일요일 15:50 - 16:50 울산 MBC 매주 월요일 11:00 - 12:00 원주 MBC 매주 금요일 01:00 - 02:00 안동 MBC 매주 토요일 11:00 - 12:00 MBC NET 매주 금요일 18:00 - 19:00 역대 진행자[편집] 정다희 : 2007년 3월 15일 ~ 2008년 6월 30일 문혜원 : 2008년 7월 7일 ~ 2009년 5월 18일 박새별 : 2009년 6월 1일 ~ 2011년 1월 15일 하현우 : 2011년 1월 22일 ~ 2012년 10월 27일 나무 : 2012년 11월 3일 ~ 2014년 1월 25일 제이레빗 : 2014년 2월 8일 ~ 2014년 6월 28일 짙은 : 2014년 7월 19일 ~ 2017년 10월 28일 제작진[편집] 기획 : 김민호 기술감독 : 이창원 영상 : 정석훈 음향 : 신종면 카메라 : 서준배, 박노현, 정호진, 이경섭, 김환 외주카메라 : 김종식 마이크 : 이성은 카메라보 : 김희훈, 최상혁 외주조명 : LAMP (김도형, 전재영, 노민한, 이승훈, 박태형, 김대곤, 김대훈) 외주작가 : A.M.I 이승철 외주음향 : 베어사운드 (최윤녕) LED : 온세미디어 (이상명, 박상식) 음악감독 : 문선수 홍보 : 박태석 장치 : 권경덕, 이도성 미술감독 : 김주호 CG : 김경화, 김아영 타이틀제작 : 엠바이엠미디어 (여진구) 경호 : ㈜다한 (김보권, 김영훈) 분장코디 : 강현숙 유지희 작가 : 손선지 FD : 이성현 사진 : 정한성 연출 : 김민호 수상 내역[편집] 2011년 제38회 한국방송대상 어린이 청소년・문화예술분야 TV부문 작품상 2009년 제109회 이달의 PD상 TV예능・드라마부문 3월 수상작 선정 방영 목록[편집] 2007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3월 15일 이승환 2회 3월 22일 이승환, 진도 군립 민속 예술단 3회 3월 29일 카피머신, 쿤타앤뉴올리언스 4회 4월 12일 익스트림 크루, 진도 소포 걸군농악 5회 4월 19일 김종서 6회 4월 26일 김종서, IS 7회 5월 3일 크라잉넛, 노름마치 8회 5월 10일 크라잉 넛, 오순희(플라맹고), 노름마치 9회 5월 18일 윤선애, 카피머신 10회 5월 25일 MC 스나이퍼, 블랙홀 11회 6월 1일 박상민 12회 6월 8일 박상민, 뷰렛 13회 6월 15일 현진영의 소리쳐봐 14회 6월 22일 고구려 밴드, 서영은 15회 6월 29일 정민아, 하이 미스터 메모리 16회 7월 6일 김성민스토리, 슈퍼 키드 17회 7월 12일 소규모 아카시아 밴드, 파니핑크 18회 7월 20일 맨, 적우, 윤여규 19회 7월 27일 <블랙홀 트리뷰트 1> 20회 8월 3일 <블랙홀 트리뷰트 2> 21회 8월 10일 카리브, 윈디 시티 22회 8월 17일 더캣하우스, 커먼그라운드 23회 8월 24일 <난장 In Rock 1>지킬, 뉴크, 지하드, 미르 24회 9월 7일 <난장 In Rock 2>아프리카, 고구려밴드, 프리다칼로, 타카피 25회 9월 21일 스키조, 피아 26회 9월 28일 지하드, 이현석 프로젝트 27회 10월 5일 그림, 장군밴드 28회 10월 12일 카피머신 29회 10월 19일 전제덕, 말로 30회 10월 26일 웅산 31회 11월 2일 사리타(with 윈디 시티 김반장), 박완규 32회 11월 9일 못, 피터팬 컴플렉스 33회 11월 16일 숙명가야금연주단(게스트-강은일, 익스트림 크루) 34회 11월 23일 꽃별, 김사랑 35회 11월 30일 버블시스터즈, 허니 패밀리 36회 12월 7일 DB(Dreaming Butterfly), 박기영 37회 12월 14일 모투, 훌리건 38회 12월 21일 장레이, 나카타 유미, 도드리 39회 12월 28일 이승환 2008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출연자 40회 1월 4일 선글라스, 김목경 41회 1월 11일 소규모 아카시아 밴드, 인스턴트 로맨틱 플로어 42회 1월 18일 이문수, 유진 박 43회 1월 25일 지플라, 오! 부라더스 44회 2월 1일 재즈파크(게스트-김동희), BMK 45회 2월 8일 <설특집-최고의 난장을 찾아라> 46회 2월 25일 라이어밴드(게스트-박학기, 이승훈) 47회 2월 22일 윤수일 밴드 48회 2월 29일 앨리스 인 네버랜드, 박선주 49회 3월 7일 이상은 20주년 기념 콘서트 50회 3월 21일 정길선, 타카피 51회 3월 28일 풍경, 프리스타일 52회 4월 4일 새바, 크리스탈레인 53회 4월 11일 강채이, 김경호 54회 4월 18일 리아, 공명 55회 4월 25일 소히, 이한철과 런런런어웨이즈 56회 5월 2일 세렝게티, 이지형 57회 5월 16일 김주홍과 노름마치 (게스트: 김광석, 미연) 58회 5월 23일 아라연, 아프리카 59회 5월 26일 강산에, 하찌와 TJ 60회 6월 2일 더 레이시오스, 왓 61회 6월 9일 로맨틱카우치, 해령 62회 6월 16일 강허달림, 고구려밴드 63회 6월 23일 내 귀에 도청장치 어쿠스틱 라이브 64회 6월 30일 바드, 한충은 65회 7월 7일 <난장 in 힙합> - 키비, TBNY, 제이스, 김디지 66회 7월 14일 아나야, 이퍼블릭 67회 7월 21일 스타보우, 김광진 68회 7월 28일 여울, 그린티 69회 8월 4일 <넥스트 트리뷰트> 70회 8월 11일 오르겔탄츠, 아이앤아이장단 71회 8월 18일 <난장 Summer Festival> 72회 8월 25일 퓨전국악그룹 樂(락), 레이니썬 73회 9월 1일 이인관, 바닐라 유니티 74회 9월 15일 <젊은 국악의 숨결 1> 거문고 팩토리, 이박사 75회 9월 22일 류주환, 애즈원 76회 9월 29일 메인스트릿, 이사오 사사키 77회 10월 6일 망각화, 한희정 78회 10월 13일 성유빈, 정경화 79회 10월 20일 <명예의 전당 1> 이정선 80회 10월 27일 타타클랜, 언니네 이발관 81회 11월 3일 해피체어, 와투씨 82회 11월 10일 <명예의 전당 2> 토미 엠마뉴엘 83회 11월 17일 사리타, 윈디 시티 84회 11월 24일 싱어송라이터 허민, 재즈 뮤지션 Gina 85회 12월 1일 피아노 방으로의 초대 이루마 86회 12월 8일 대중 음악의 새로운 미래 장기하와 얼굴들 87회 12월 15일 장르를 초월하는 기타리스트 김광석 88회 12월 22일 뜨거운감자, 난장의 발견 I - 검정치마 2009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출연자 89회 1월 19일 김광석 다시부르기, 브로콜리 너마저 90회 1월 26일 영화음악 작곡가, 기타리스트 이병우 91회 2월 2일 키네틱 옌, 눈뜨고 코베인 92회 2월 9일 <3人3色>여성싱어송라이터 - 박새별, 오지은, 뎁 93회 2월 16일 펑키록밴드 - 퍼니피플, 새바 94회 2월 23일 난장의 발견II - 우주히피, 슬기둥 95회 3월 2일 카스트라토 정세훈, 인디언수니 96회 3월 9일 R&B 보컬리스트 정엽, 휘루 97회 3월 16일 황보령=SmackSoft, 블루앤블루 98회 3월 23일 <SKA스페셜!> 카피머신, 킹스턴 루디스카 100회 3월 30일 <100회스페셜1> 빅 밴드메탈(블랙홀+서울솔리스트재즈오케스트라, 전인권) 100회 4월 6일 <100회스페셜2> 김수철&사물놀이 101회 4월 13일 아마도이자람밴드, 뷰렛 102회 4월 20일 Return of the King 백두산 컴백 스페셜! 103회 4월 27일 나폴레옹 다이나마이트, 별마루 104회 5월 4일 이장혁, 갤럭시 익스프레스 105회 5월 11일 커먼그라운드, 폰부스 106회 5월 18일 로로스, 조윤섭 107회 6월 1일 Lasse Lindh, 안경은오형 108회 6월 8일 조원선, 서울전자음악단 109회 6월 15일 캐스커, 앨리스 인 네버랜드 110회 6월 22일 Rumi & The Sufis, 국카스텐, 검정치마 111회 6월 29일 강은일 해금플러스, 메이트 112회 7월 6일 YB의 共存 113회 7월 13일 루네, 허클베리 핀 114회 7월 20일 노브레인 115회 7월 27일 난장의 발견 V : 수트케이스, SPOTLITE 116회 8월 3일 레이니썬 117회 8월 10일 록밴드 H2O, 퓨전그룹 오감도 118회 8월 17일 2009 Summer festival 1. 크라잉넛 119회 8월 24일 Summer festival 2. 바이날로그, 와이낫 120회 8월 31일 Summer festival 3.불나방스타, 장기하와 얼굴들 121회 9월 7일 색소포니스트 이정식의 All that jazz 122회 9월 14일 박라온 Jazz 퀸텟 123회 9월 21일 록 보컬리스트 김경호(Guest : 박완규) 124회 9월 28일 Acoustic Cafe 125회 10월 5일 기타리스트 박경호, 퓨전재즈 전영세 트리오 126회 10월 12일 하찌와 TJ, 포크록밴드 악퉁 127회 10월 19일 난장의 발견VII 플라스틱 피플, 트리플H 128회 10월 26일 뉴에이지 피아니스트 나카무라 유리코 129회 11월 2일 Austrailia스페셜1 Skazz&The Melbournians 130회 11월 9일 Austrailia스페셜2 사리타, 스웨이드(suade) 131회 11월 16일 보컬리스트 김신일, 문샤이너스 132회 11월 23일 지역밴드열전 '이 세상 모든 음악' 133회 11월 30일 수험생을 위한 문화콘서트 난장 '미친듯 놀자' 134회 12월 7일 서영은, 세란재즈오케스트라, 스노우시티 135회 12월 14일 정원영밴드 (guest 임주연) 136회 12월 21일 모리카와 나츠키, 주철환 137회 12월 28일 Merry&Happy (오감도, 오! 부라더스, 이영현, MC 스나이퍼) 2010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출연자 138회 1월 4일 Art of parties with 신대철, 플래닛 스톤 139회 1월 11일 이창선 대금스타일, 재즈보컬리스트 황혜정 140회 1월 18일 성유빈, 테이 141회 1월 25일 박강수, 스왈로우 142회 2월 1일 건훈씨, 3호선 버터플라이 143회 2월 8일 도원경 특집 2월 15일 난장스페셜 Best 5 144회 2월 22일 루시드 폴, 나비 145회 3월 1일 박주원, 코코어 146회 3월 8일 문진오, 노리플라이 147회 3월 15일 체리필터 148회 3월 22일 늘솜, 존로스(johnlos) 149회 4월 5일 정인, 정민아(with 서영도) 150회 5월 24일 악퉁, 와이낫 151회 5월 31일 소울 컴퍼니 152회 6월 7일 옥상달빛, 비갠후 153회 6월 14일 유발이의 소풍, 바드 154회 6월 21일 라이어밴드, 나무자전거 155회 6월 28일 웅산, 달빛요정역전만루홈런 156회 7월 5일 박새별, 제8극장 157회 7월 12일 주병선, 몽니 158회 7월 24일 랄라스윗, 옥수사진관 159회 7월 31일 김창완 밴드 160회 8월 7일 허니 패밀리, 닥터코어 911 161회 8월 14일 우쿨렐레 피크닉, 옐로우 몬스터즈 162회 8월 21일 이상은 163회 8월 28일 오지은(오지은과 늑대들), 칵스 164회 9월 4일 슈프림팀, 네바다51 165회 9월 11일 오리엔탈 익스프레스, 나루 166회 9월 18일 GYMF 기념 (고고스타, 스윗리벤지, 킹스턴 루디스카, 국카스텐) 167회 9월 25일 오소영, 블랙캔디 168회 10월 2일 플라워 169회 10월 9일 라즈베리필드, 할리퀸 170회 10월 16일 NY물고기, 데이브레이크 171회 10월 23일 뮤지음, 하이 미스터 메모리 172회 10월 30일 권진원, 이부영, 네오 트래디셔널 재즈 트리오 173회 11월 6일 라 벤타나, 로맨틱펀치 174회 11월 20일 달빛요정역전만루홈런 추모특집, 디어 클라우드 175회 11월 27일 허클베리 핀 (With 문샤이너스, 국카스텐) 176회 12월 4일 연주, 스웨이드(suade) 177회 12월 11일 내 귀에 도청장치, 한음파 178회 12월 18일 한희정, 더 핀 179회 12월 25일 엘리자베스 콩토마누, 그루브올스타즈 2011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출연자 180회 1월 8일 아트오브파티스, 크래쉬 181회 1월 15일 가을방학, 아웃사이더 182회 1월 22일 난장지존 하현우 special (with 오지은과 늑대들, 조덕환, 신대철) 183회 1월 29일 안치환과 자유 (guest 백자) 특집 2월 5일 문화콘서트 난장 다시보기 특집 184회 2월 12일 보드카레인, 황보령=SmackSoft 185회 2월 19일 십센치, 최명화 186회 2월 26일 레미 파노시앙 트리오, 치바사운드 187회 3월 5일 난장 in seoul 김연우, G3(신대철, 샘 리, 김세황) 188회 3월 12일 '달빛요정역전만루홈런' 故이진원 추모특집, 스카워즈 189회 3월 19일 서울소닉(이디오테잎, 비둘기우유, 갤럭시 익스프레스) 190회 3월 26일 정원영, 유승호 트리오 191회 4월 2일 브로콜리 너마저, 퍼플헤이즈 191회 4월 9일 지오바니 미라바시 트리오 192회 4월 16일 좋아서 하는 밴드, 반반 프로젝트 193회 4월 23일 최고은, 이스터녹스 194회 4월 30일 한국힙합의 신화 가리온, 소울스테디락커스 195회 5월 7일 타틀즈, 와이낫 196회 5월 14일 토끼3종세트 제이레빗, 루싸이트토끼, 야광토끼 197회 5월 21일 노브레인, 락캣츠 198회 6월 4일 닐스 란 도키 트리오 199회 6월 11일 백두산, 엑시즈 200회 6월 18일 특집Ⅰ. 살아있는 울림, 산울림을 노래하라! 200회 6월 25일 특집Ⅱ. 산울림 그리고 김창완 밴드 200회 7월 2일 특집Ⅲ. 난장을 빛낸 뮤지션들 201회 7월 9일 보컬리스트의 재발견 최혁주, 박희수 202회 7월 16일 이대희&최미령, 타카피 203회 7월 23일 진보, 크로우 204회 7월 30일 빅마마 소울, 넘버원코리안 205회 8월 6일 박라온, 옐로우 몬스터즈 206회 8월 13일 2011 summer special 1탄 검정치마, FM 207회 8월 20일 2011 summer special 2탄 여행스케치, 카피머신 208회 8월 27일 2011 summer special 3탄 러버더키, 비갠후 209회 9월 3일 밴드 강산에 210회 9월 17일 신윤철, 허클베리 핀 211회 9월 24일 열혈사운드의 대결 ,스키조 VS 피아 212회 10월 8일 박아셀, 트랜스픽션 213회 10월 15일 에브리 싱글 데이, 문샤이너스 214회 10월 22일 잉거마리, 소울 트레인 215회 10월 29일 기타아티스트 김세황의 사계 216회 11월 5일 보사노바뮤지션 나희경, The hottest band 로맨틱펀치 217회 11월 12일 삼色스페셜 신예밴드 (엑시즈, 예리밴드, 톡식) 218회 11월 19일 삼色스페셜 여성밴드 (슈퍼8비트, 스토리셀러, 스윗리벤지) 219회 11월 26일 바이루피타, 고고스타 220회 12월 3일 장기하와 얼굴들 221회 12월 10일 제이레이디즈(J.lady's), 훌(wHOOL) 222회 12월 17일 음유시인 박강수, 밴드 망각화 223회 12월 24일 이바디 2012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출연자 224회 1월 7일 방송대상 수상기념 국카스텐스페셜[1](게스트:김바다, 갤럭시 익스프레스, 라퍼커션) 225회 1월 14일 일렉트로닉 파티(텔레파시, 카세트 슈왈제네거, 홀로그램파티) 특집 1월 21일 설특집 BEST 12 226회 1월 28일 우주히피, 로지피피 227회 2월 4일 펄스데이, 브로큰 발렌타인 228회 2월 11일 기타리스트 박주원, 힙합뮤지션 버벌진트 229회 2월 18일 타루, 게이트 플라워즈(게스트:신대철) 230회 2월 25일 이이언, 칵스 231회 3월 3일 랄라스윗, 앙상블 시나위 232회 3월 10일 킹스턴 루디스카, 서교그룹사운드 233회 8월 18일 스윙즈, 안녕바다 234회 8월 25일 적우스페셜 게스트:케이몬, 케이사운드 콰이어 235회 9월 1일 Lasse Lindh, 연진(라이너스의 담요) 236회 9월 8일 감성미학의 피아노 아티스트 이루마 237회 9월 15일 재즈보컬리스트 이부영, 이혜원 238회 9월 22일 데이브레이크, 이스턴 사이드 킥 239회 10월 6일 R&B보컬리스트 보니, 시온 240회 10월 13일 핸섬피플, 무키무키만만수 241회 10월 20일 정수라밴드 242회 10월 27일 스카웨이커스, 사우스카니발, 킹스턴 루디스카 243회 11월 3일 안녕바다, 어반자카파 244회 11월 10일 소란, DJ클릭 245회 11월 17일 가을방학, 원펀치 246회 11월 24일 레미 파노시앙 트리오, 이건민퀸텟 247회 12월 1일 록 페스티벌 part 1. 예리밴드, 바이바이배드맨, 네바다51, 로맨틱펀치 248회 12월 8일 록 페스티벌 part 2. 몽키비츠, 블랙백, 내 귀에 도청장치, 피아 249회 12월 15일 옐로우 몬스터즈, 로코프랭크 250회 12월 22일 김보경with 셰인, 바닐라어쿠스틱 2013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출연자 특집 1월 5일 2013 이들을 주목하라! 251회 1월 12일 아트오브파티스, 스몰오 252회 1월 19일 제이레빗, 갤럭시 익스프레스 253회 1월 26일 2013 서울소닉(구남과여라이딩스텔라, 로다운 30, 노브레인) 254회 2월 2일 클래지콰이, 번아웃하우스 255회 2월 9일 두 번째 달, 가자미소년단 256회 2월 16일 솔루션스, 타미, 손승연 257회 2월 23일 정세훈, 친목도모 258회 3월 2일 윈디 시티, 이박사 259회 3월 9일 좋아서 하는 밴드, 어쿠스틱 라이브Ⅰ. 게이트 플라워즈 260회 3월 16일 이승환과 아우들Ⅰ. 이승환밴드 261회 3월 23일 이승환과 아우들 Ⅱ. 안녕바다, 옐로우 몬스터즈, 로맨틱펀치 262회 3월 30일 NY물고기, 브릭 263회 4월 6일 네미시스, 쏜애플 264회 4월 13일 락타이거즈, 황보령=SmackSoft 265회 4월 20일 가왕 더 원(The one), 어쿠스틱라이브Ⅱ. 허클베리 핀 266회 4월 27일 피터팬 컴플렉스, 잠비나이 267회 5월 4일 시오엔, 김바다 268회 5월 11일 여성 싱어송라이터 3人3色 시와, 최고은, 사비나 앤 드론즈 269회 5월 18일 장미여관, 해리빅버튼 270회 5월 25일 박희수, 갈릭스 271회 6월 1일 오지은, 불나방스타쏘세지클럽 272회 6월 8일 타루, 술탄 오브 더 디스코 273회 6월 15일 솔튼페이퍼, 마그나 폴 274회 6월 22일 브로콜리 너마저, 코어매거진 275회 6월 29일 한희정, 이진우 276회 7월 6일 딕펑스, 루나 (게스트:게이트플라워즈 염승식) 277회 7월 13일 박새별, 아이씨사이다 278회 7월 20일 디어 클라우드, 이승열 279회 7월 27일 일렉트로닉에 빠지다Ⅰ. 클래지콰이 프로젝트, 텐시러브러브엑스테레오(Love X Stereo), 더 레이시오스 280회 8월 3일 일렉트로닉에 빠지다Ⅱ. 이바이저, 루디스텔로, 뉴튼, DJ한민 281회 8월 10일 임헌일, 무아 282회 8월 17일 시나위 트리뷰트Ⅰ. 블랙독, 엑시즈, 예리밴드, 옐로우 몬스터즈톡식, 게이트 플라워즈, 브로큰 발렌타인, 딕펑스 283회 8월 24일 시나위 트리뷰트Ⅱ. 아프리카, 로맨틱펀치, 스토리셀러, 디아블로피아, 해리빅버튼, 악퉁, 안녕바다 284회 8월 31일 전설의 귀환 록밴드 시나위 285회 9월 7일 이제는 케이록이다Ⅰ. 옐로우 몬스터즈, 엑시즈, 블랙독, 게이트 플라워즈예리밴드, 톡식, 딕펑스, 브로큰 발렌타인 286회 9월 14일 이제는 케이록이다Ⅱ. 로맨틱펀치, W & JAS, 악퉁, 스토리셀러피아, 해리빅버튼, 아프리카, 디아블로, 안녕바다 특집 9월 21일 시나위 트리뷰트 & 시나위 쇼케이스 287회 9월 28일 in 광주월드뮤직페스티벌 / 아칼레 우베, 파블로 288회 10월 5일 서문탁, 김사랑 289회 10월 19일 김지수, H2O 290회 11월 2일 윈터플레이, 아시안체어샷 291회 11월 9일 아웃사이더, 이스턴 사이드 킥 292회 11월 23일 다이나믹 듀오, 벨맨 293회 11월 30일 안녕바다, 옐로우 몬스터즈, 로맨틱펀치 294회 12월 14일 소란, 이슈타르 295회 12월 28일 바닐라어쿠스틱, 판타스틱 드럭스토어 2014년[편집] 회차 방송일 출연자 296회 1월 4일 웅산, 찰리정밴드 297회 1월 11일 라 벤타나, 살롱드 오수경 298회 1월 18일 W & JAS, 로큰롤라디오 299회 1월 25일 나무 굿바이 스페셜 (게스트:선제, D, 윤석철) 특집 2월 1일 난장 다시보기 베스트 300회 2월 8일 난장의 명랑숙녀 MC 제이레빗, 장미여관 301회 3월 1일 브로큰 발렌타인, 어반 자카파 2015년[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각주[편집] ↑ 문화콘서트 난장이 2011년 9월, 제38회 한국방송대상에서 ‘문화예술분야 TV부문 작품상’을 수상한 기념으로 특별히 기획한 무대이다. 《티브이데일리》 2011년 12월 20일자 외부 링크[편집] 문화콘서트 난장 - 공식 웹사이트 문화콘서트 난장 - 트위터 문화콘서트 난장 - 페이스북 MBC NANJANG의 채널 - 유튜브 광주 MBC 토요일 프로그램 이전 문화콘서트 난장 다음 쇼 음악중심 나 혼자 산다 스페셜 낮 3시 35분 낮 4시 55분 저녁 6시 15분 vdeh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오락·예능 《얼마예요?》 《아내의 맛》 《연애의 맛》 《처음부터 패밀리 부라더시스터》 《강적들》 《모란봉 클럽》 《슬기로운 360》 《#집밥천재 밥친구》 드라마 TV조선 주말드라마 《조선생존기》 교양·다큐 《그림의 재발견 - 이웃집 화가》 《살림 9단의 만물상》 《열린비평 TV를 말하다》 《식객 허영만의 백반기행》 《내가 사랑하는 문화 유산》 《내 몸 사용설명서》 《내 몸 플러스》 《보험 사용설명서》 《이사야사 부동산 버라이어티》 《인생다큐 마이웨이》 《정은표의 세계유산순례》 《엄마의 봄날》 《팡팡터지는 정보쇼 알맹이》 《모큐멘터리 - 진짜 사랑》 《세계테마기행》 뉴스·보도 《TV조선 뉴스퍼레이드》 《네트워크 매거진》 《TV조선 뉴스 9》 《TV조선 뉴스 (930)》 《TV조선 뉴스현장》 《TV조선 뉴스 7》 《TV조선 뉴스특보》 시사·교양·대담 《신통방통》 《보도본부 핫라인》 《사건파일 24》 《시사쇼 이것이 정치다》 어린이 《샤이닝스타》 과거 프로그램 《보금자리》 《모닝 뉴스 깨》 《TV조선 뉴스 날》 《TV조선 정오뉴스》 《TV조선 마감뉴스》 《TV조선 뉴스 1》 《TV조선 뉴스와이드》 《뉴스와이드 활》 《뉴스와이드 참》 《TV조선 뉴스 4》 《TV조선 주말뉴스 7》 《TV조선 저녁뉴스 7》 《TV조선 뉴스 12》 《TV조선 뉴스 5》 《뉴스특급 730》 《TV조선 스포츠뉴스》 《TV조선 스포츠 판》 《구조신호 시그널》 《내일은 미스트롯》 《대찬인생》 《두번째 서른》 《엄마가 뭐길래》 《이것은 실화다》 《스토리 잡스》 《아이돌잔치》 《TV조선 주말뉴스 토 일》 《유연채의 뉴스의 눈》 《TV조선 뉴스와 생활경제》 《TV조선 뉴스와 날씨》 《시사코미디 10PM》 《시사토크 판》 《TV조선 월화드라마》 《TV조선 수목드라마》 《TV조선 금토드라마》 《TV조선 주말드라마》 《CSI: 소비자 탐사대》 《TV조선 스페셜》 《야생의 왕국》 《백세시대 프로젝트 위대한 유산》 《사랑은 아무나 하나》 《여자가 욱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5000만의 나눔퀴즈쇼 주세요》 《이봉규의 정치 옥타곤》 《윤슬기의 시사Q》 《무궁화 삼천리》 《고성국 라이브쇼》 《문화콘서트 난장》 《최희준의 왜?》 《TV조선 뉴스 10》 《3488 오늘!》 《TV조선 네트워크 뉴스》 《뉴스를 쏘다》 《TV조선 뉴스 판》 《TV조선 뉴스 (1825)》 《NEW 코리아 헌터》 《박종인의 땅의 역사》 《황수경의 생활보감》 《지구와 사람과 동물》 《치유의 식탁》 《배낭 속에 인문학》 《라라랜드》 《중국의 아이들》 《아름다운 당신》 《아름다운 당신 시즌2》 《아름다운 당신 시즌3》 《한집 살림》 《땡철이 게스트하우스 투어 어디까지 가봤니?》 《여자가 욱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히딩크의 축구의 신》 《숲속 라이브》 《별별톡쇼》 《동네 앨범》 JTBC · MBN · TV조선 · 채널A¹ 매년에 한번씩 방송되는 프로그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문화콘서트_난장&oldid=24494380" 분류: 대한민국의 음악 텔레비전 프로그램TV조선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숨은 분류: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위키데이터에 없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8일 (금) 12: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문화콘서트 난장》(문화콘서트 亂場, NANJANG)은 광주 MBC의 음악 전문 텔레비전 프로그램으로 2007년 3월 15일부터 방송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음악 프로그램 '문화콘서트 난장'의 2007년 방영 목록은 어떨까? Assistant: 3월 15일 이승환 2회 3월 22일 이승환, 진도 군립 민속 예술단 3회 3월 29일 카피머신, 쿤타앤뉴올리언스 4회 4월 12일 익스트림 크루, 진도 소포 걸군농악 5회 4월 19일 김종서 6회 4월 26일 김종서, IS 7회 5월 3일 크라잉넛, 노름마치 8회 5월 10일 크라잉 넛, 오순희(플라맹고), 노름마치 9회 5월 18일 윤선애, 카피머신 10회 5월 25일 MC 스나이퍼, 블랙홀 11회 6월 1일 박상민 12회 6월 8일 박상민, 뷰렛 13회 6월 15일 현진영의 소리쳐봐 14회 6월 22일 고구려 밴드, 서영은 15회 6월 29일 정민아, 하이 미스터 메모리 16회 7월 6일 김성민스토리, 슈퍼 키드 17회 7월 12일 소규모 아카시아 밴드, 파니핑크 18회 7월 20일 맨, 적우, 윤여규 19회 7월 27일 <블랙홀 트리뷰트 1> 20회 8월 3일 <블랙홀 트리뷰트 2> 21회 8월 10일 카리브, 윈디 시티 22회 8월 17일 더캣하우스, 커먼그라운드 23회 8월 24일 <난장 In Rock 1>지킬, 뉴크, 지하드, 미르 24회 9월 7일 <난장 In Rock 2>아프리카, 고구려밴드, 프리다칼로, 타카피 25회 9월 21일 스키조, 피아 26회 9월 28일 지하드, 이현석 프로젝트 27회 10월 5일 그림, 장군밴드 28회 10월 12일 카피머신 29회 10월 19일 전제덕, 말로 30회 10월 26일 웅산 31회 11월 2일 사리타(with 윈디 시티 김반장), 박완규 32회 11월 9일 못, 피터팬 컴플렉스 33회 11월 16일 숙명가야금연주단(게스트-강은일, 익스트림 크루) 34회 11월 23일 꽃별, 김사랑 35회 11월 30일 버블시스터즈, 허니 패밀리 36회 12월 7일 DB(Dreaming Butterfly), 박기영 37회 12월 14일 모투, 훌리건 38회 12월 21일 장레이, 나카타 유미, 도드리 39회 12월 28일 이승환 Human: 아래 댄_브라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댄 브라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댄 브라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댄 브라운Daniel Brown 출생 1964년 06월 22일(1964-06-22) (55세)미국, 뉴 햄프셔 주 직업 소설가 언어 영어 국적 미국 모교 애머스트 대학교 장르 스릴러 대표작 디지털 포트리스디셉션 포인트천사와 악마다 빈치 코드로스트 심벌인페르노 배우자 Blythe Newlon 웹사이트 http://www.danbrown.com 댄 브라운(Daniel Brown, 1964년 6월 22일 ~ )은 미국의 소설가이다. 가장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디지털 포트리스》, 《다 빈치 코드》, 《천사와 악마》 등이 있다. 그의 소설은 모두 스릴러이며 대부분 24시간에 걸친 보물찾기의 형식을[1]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암호학, 기호, 열쇠, 음모론 관련 테마가 자주 등장한다. 그의 책들은 52개의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2012년을 기준으로 2억부 이상 팔렸다. 그의 책들 중 《다 빈치 코드》와 《천사와 악마》는 영화화 되기도 하였다. 그의 소설 중 4권은 로버트 랭던이라는 같은 주인공을 가진다. 로버트 랭던이 등장하는 소설들은 역사와 기독교관련 테마가 모티프로 사용되는데, 이 때문에 그의 소설은 많은 논란을 일으켰다. 그는 자신의 웹사이트([[1]])에서 자신의 책들은 반 기독교적인 내용의 책들이 아니라고 하고 있으며 자신도 현재 "계속되는 영적인 여행"중에 있다고 한다. 더 나아가서 그는 자신의 책 《다 빈치 코드》는 단순히 "종교적인 토론과 고찰을 하게 만드는 재미있는 이야기"일 뿐이며 "우리의 믿음에 대해서 탐험하고 자아성찰의 기회를 가지게 하는 긍정적인 촉매제"라고 했다. 목차 1 이른 생애 2 작곡가, 가수생활 3 작가 생활 3.1 영향 및 특징 4 기부 활동 5 저서 5.1 시리즈가 아닌 책들 5.2 로버트 랭던 시리즈 5.3 유머 책 6 각주 이른 생애[편집] 댄 브라운은 미국의 뉴 햄프셔 주에서 3형제의 맏이로 태어나고 자랐다. 그는 자신의 아버지 리처드 브라운이 교과서를 쓰며 교사로 있었던 필립스 엑시터 아카데미를 다녔다. 필립스 엑시터 아카데미를 졸업한 후에는 애머스트 대학교에서 공부했다.[2][3] 그의 부모님은 모두 음악도 하였으며 교회 합창단에서 속했다. 그의 어머니는 오르가니스트이기도 하였다.[4] 그는 미국 성공회 교도로 자랐으나[2] 시간이 지나면서 종교를 새로운 관점으로 보게 되며 기독교나 성공회로부터 멀어졌다.[5] 비밀과 퍼즐, 암호에 관한 댄 브라운의 관심은 어렸을 때 집에서부터 시작되었다. 그가 어린 아이였던 시절 댄 브라운의 부모님이 종사했었던 음악, 언어, 수학을 모두 엮을 수 있었던 것은 암호와 코드였다. 그는 어렸을 때 애너그램과 크로스워드 퍼즐을 풀기 위해 몇시간씩 매달렸고, 그와 그의 동생들은 아버지가 생일이나 휴일이 되면 만들어준 복잡한 보물찾기를 했다. 예를 들어, 크리스마스에는 선물을 머리맡이나 크리스마스 트리 밑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보물지도를 갖고 마을을 돌아다니면서 아버지가 숨겨 놓은 선물을 찾아야 했다.[6] 그의 소설《다 빈치 코드》에서 소피(Sophie Neveu)와 쟈크(Jacques Sauniere)와의 관계는 댄 브라운이 자신과 아버지 사이의 관계에서 따온 것이며 이 소설의 23장의 내용은 자신이 어려서 했었던 보물찾기들 중 하나에서 영감을 얻어 쓴 것이라고 한다.[7] 애머스트 대학교에서는 스쿼시를 하며 애머스트 글리 클럽에서 노래를 불렀다. 외부강사였던 소설가 앨런 랠척(en:Alan Lelchuck)한테서 글쓰기를 배웠다. 1985년에는 스페인의 세빌대학에서 미술사를 공부했다. 그는 1986년 애머스트 대학을 졸업했다.[6][8] 작곡가, 가수생활[편집] 애머스트를 졸업한 후 댄 브라운은 음악관련 진로를 택했다. 신시사이저로 소리를 합성하여 아이들을 위해 신시애니멀즈라는 카세트를 냈다. 이 카세트는 "Happy Frogs", "Suzuki Elephants"등의 곡을 수록하고 있었으며 몇백개가 팔렸다. 그 후, 그는 달리안스(Dalliance)라는 자신의 레코드 회사를 세웠고, 성인들을 겨냥해 관점이라는 CD를 공동 발매하였고, 이 CD도 몇백개 팔렸다. 1991년에 그는 싱어송라이터이자 피아니스트가 되기 위해 할리우드로 갔다. 그는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비벌리 힐스 사립 초등학교에서 가르쳤다. 또한, en:National Academy of Songwriters에도 들어가 많은 이벤트에 참가했다. 이곳에서 그는 자신의 미래 배우자 Blythe Newlon을 처음 만났는데 아티스트 개발 부서 소속인 그녀는 자신의 직접적인 임무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댄 브라운의 개인적인 프로젝트에 관심을 갖고 많이 도와주었다. 언론에 홍보활동을 하고, 이벤트를 열고, 인맥을 연결해주는 등 댄 브라운에게 도움을 주었고 둘의 관계가 발전하여 1997년에 결혼하게 되었다.[9] 1993년에 CD 댄 브라운을 발매했다."976-Love"와 "If You Believe in Love."등의 노래가 수록되어 있다. 1994년에 CD 천사 & 악마을 발매했다. CD의 디자인에 소설 《천사와 악마》 에 사용한 것과 같은 앰비그램을 사용했다. 댄 브라운은 이 앨범의 라이너 노트에 자신의 부인의 참여에 대해 언급하며 감사를 표했다. "Here in These Fields"와 "All I Believe" 등의 곡이 수록되었다.[10] 브라운 내외는 1993년에 댄 브라운의 고향인 뉴 햄프셔로 돌아왔다. 브라운은 필립스 엑시터 아카데미에서 영어교사가 되었고, 링컨 아커맨 스쿨의 6, 7, 8학년들에게 스페인어 수업을 했다. 작가 생활[편집] 1993년 타히티 섬에서 휴가를 보내다[6] 댄 브라운은 시드니 셸던의 소설 The Doomsday Conspiracy를 읽고 스릴러 작가가 되기로 결심하였다.[6][11][12] 그는 《디지털 포트리스》를 쓰기 시작했고, 자신이 1985년에 공부했었던 세빌을 배경으로 삼았다. 그리고 자신의 부인과 함께 "Danielle Brown"이라는 필명으로《187 Men to Avoid: A Survival Guide for the Romantically Frustrated Woman》라는 가벼운 책을 쓰기도 했다. 이 책의 작가 프로파일에는 "Danielle Brown은 현재 뉴 잉글란드에 산다: 학교에서 가르치고, 책을 쓰고, 사람을 피하면서"라고 쓰여 있지만 저작권은 댄 브라운 본인에게 있다. 1996년에 댄 브라운은 책 쓰는 것에 전념하기 위하여 교사직을 그만두었다. 《디지털 포트리스》는 1998년 출판되었고, 그의 아내가 홍보를 도왔다. 몇달 후, 《The Bald Book》이라는 유머 책을 아내 이름으로 출판했지만 사실상 댄 브라운의 작품이라고 출판사 관계자가 밝혔다. 그 후 댄 브라운은 《천사와 악마》, 《디셉션 포인트》를 각각 2000년, 2001년에 쓰고 출판했다. 《천사와 악마》에는 주인공으로 하버드 기호학 교수 로버트 랭던가 처음 등장한다. 댄 브라운의 첫 세 소설은 크게 성공하지 못했다. 각자 초판에 10,000부 이하밖에 팔리지 않았다. 하지만 그의 4번째 소설 《다 빈치 코드》는 출판과 동시에 바로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2003년에 출판된지 일주일 만에 뉴욕 타임즈 베스트셀러 목록에 올라갔다. 현재 가장 인기 많았던 스릴러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2009년 기준으로 전 세계에 약 8100만부 이상 팔렸다.[13][14]《다 빈치 코드》의 성공으로 인해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었던 댄 브라운의 이전 소설들도 잘 팔리기 시작했다. 그래서 2004년, 댄 브라운의 책 4권 모두 뉴욕 타임즈 베스트셀러 목록에 올라갈 수 있었다.[15] 2005년에는 댄 브라운이 타임즈 매거진이 선정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안에 들었고, 포브스 매거진은 댄 브라운을 2005 연예인 100인에서 12위로 선정했다. 또한, 그의 매년 수입을 약 7650만 US달러로 예상했다. 타임즈는 《다 빈치 코드》로 인한 그의 수입을 약 2억 5000만 US달러 정도로 예상했다. 로버트 랭던 시리즈의 세번째 책, 《로스트 심벌》은 2009년 9월 15일에 출판되었다.[16]출판사 관계자에 의하면 이 책은 첫날에 천만부 이상 하드커버와 e북으로 미국, 캐나다, 영국 등에서 팔렸다. 이런 성공으로 첫 5백만부에 이어서 추가적으로 600,000부의 하드커버가 프린트되었다.[17] 로버트 랭던이 등장하는 댄 브라운의 네번째 소설, 《인페르노》는 2013년 3월 14일 출판되었다.[18] 이는 곧 베스트셀러가 되었다.[19] 2006년 인터뷰에서 댄 브라운은 로버트 랭던이 출연할 소설로 12개를 현재 구상하고 있다고 하였다.[20] 댄 브라운의 소설 속 사람들은 실제 사람의 이름을 따서 지어지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로버트 랭던은 "존 랭던"의 성을 따 와서 만든 이름인데, 존 랭던은 《천사와 악마》에 쓰인 앰비그램을 디자인한 사람이다. "캐멀랜고 칼로 벤트레스카"라는 인물은 댄 브라운의 만화가 친구 "클라라 벤트레스카"의 이름을 따서 만들었다. 소설 속에서 로버트 랭던의 에디터로 등장하는 조나스 파쿠만은 댄 브라운의 실제 에디터 제이슨 카푸만의 이름을 딴 것이다. 이 외에더 뉴 햄프셔의 어떤 도서관의 사서, 필립스 엑시터 아카데미의 프랑스어 선생님 등을 기반으로 소설 속 인물을 만들어내기도 했다고 밝혔다. 영향 및 특징[편집] 앞서 언급되었던 시드니 셸던 이외에도 댄 브라운은 자신에게 영감을 준 다른 작가나 작품들에 대하여 많은 언급을 했다. 그는 자신이 가장 큰 영향을 준 책 6개를 꼽았다. 그 여섯개는 더글러스 호프스태터의《괴델, 에셔, 바흐》, 프레드 우릭슨의 《Codes Ciphers & Other Cryptic & Clandestine Communication(코드, 암호 & 다른 암호적 & 비밀스러운 의사소통)》, 존 스타인벡의《생쥐와 인간》, 존 랭던의《말놀이:앰비그램과 앰비그램에 대한 고찰》, 윌리엄 셰익스피어의《헛소동》(Much Ado About Nothing), 제임스 뱀포드의《퍼즐 팰리스》이다. 그는 《헛소동》에 대해서 "나는 영어교사가 되어 이 작품을 가르쳐야 하는 입장이 되기 전깨지는 '헛소동'이 얼마나 웃긴 극인지 진실로 알지 못했다. 이보다 더 위트있는 대화는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고 말했다. 또한 로버트 러들럼의 《본 트릴로지》에 대해 "러들럼의 초기 작품들은 복잡하고 똑똑하며 동시에 번개와 같은 빠르기로 전개된다. 그의 책들은 나로 하여금 세계적인 스릴러에 관심을 가지게 했다."고 말했다."[21][22] 그가 좋아하는 다른 작품들에는 제퍼리 아처의 《케인과 아벨》, 넬슨 드밀의 《자두섬》, 그리고 《스타일의 원소》등이 있다. 댄 브라운의 소설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테마는 일상 속에서 생활하던 주인공을 일상에서 빼내어 전혀 다르고 새로운 환경에서 위기에 대처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이야기의 전개는 24시간 안에서 이루어지며 강한 여성 캐릭터가 등장한다.[1] 그의 소설들은 모두 방대한 양의 리서치가 필요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런 특징 때문에 책 한권을 쓰는데만 약 2년까지 걸린다. 댄 브라운은 이런 큰 작업을 진행할 때 계속 집중할 수 있도록 책의 큰 테마(댄 브라운은 이것을 "빅 아이디어"라고 부른다)를 정할 때 자신에게 정말 흥미 있는 주제를 선택한다고 한다. 댄 브라운은 가장 이상적인 테마와 그 대상은 쉽게 옳고 그름이 나뉘지 않으며 사람들에게 도덕적 문제를 제기하여 토론의 주제가 될 수 있는 것이라고 했다. 브라운은 퍼즐과 코드, 보물찾기를 매우 좋아하기 때문에 이런 테마로 글을 쓰며 이런 내용들을 엮어 넣는다. 댄 브라운에게 글쓰기란 계속적이고 규칙적인 연습을 통해 이루어지는 활동이며 이를 위해서 그는 매우 규칙적인 생활을 한다. 이는 《디지털 포트리스》를 쓰면서 만든 습관으로 글쓰기와 학교 교사를 동시에 했어야 했던 시절에 형성되었다.그는 매일 새벽 4시, 집중을 방해하는 것이 없고 자신이 가장 생산적이라고 느끼는 시간에 기상한다. 일어나서 가장 먼저 하는 활동이 글쓰기이고, 이는 그에게 상징적인 의미를 가진다고 한다. 그는 자신의 책상위에 앤틱 모래시계를 놓아서 매시간마다 잠시 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스트레칭을 한다.[23] 기부 활동[편집] 2004년 8월, 댄 브라운과 그의 형제들은 220만 US달러의 기부금을 아버지를 기념하여 필립스 엑스터 아카데미에 기부했다. 이 돈은 "리처드 브라운 테크놀로지 기부금"이라는 이름으로 "필요한 학생들에게 컴퓨터와 하이테크 장비를 지급하기 위해" 사용되었다.[24] 브라운 내외는 뉴 햄프셔 자선 재단을 지지하기도 한다.[25] 저서[편집] 시리즈가 아닌 책들[편집] 《디지털 포트리스》 (1998) 《디셉션 포인트》 (2001) 로버트 랭던 시리즈[편집] 《천사와 악마》 (2000) 《다 빈치 코드》 (2003) 《로스트 심벌》 (2009) 《인페르노》 (2013) 《오리진》 (2017) 유머 책[편집] 《피해야 할 187 남자: 로맨틱하게 화가난 여성을 위한 생존 가이드》(187 Men to Avoid: A Survival Guide for the Romantically Frustrated Woman) (1995, Danielle Brown이라는 필명으로 아내와 함께 씀) 《대머리 책》(The Bald Book) (1998, 아내와 함께 씀) 각주[편집] ↑ 가 나 Brown. Witness statement; Pages 17 & 21. ↑ 가 나 Paulson, Michael. "Dan Brown on religion and writing" Boston.com; September 20, 2009 ↑ Kaplan, James (2009년 9월 13일). “Life after 'The Da Vinci Code'”. 2009년 9월 13일에 확인함.  ↑ “"Da Vinci Code Author Dan Brown and Siblings, Valerie Brown '85 and Gregory Brown '93 Establish New Fund in Honor of their Father" The Exeter Initiatives. November 1, 2004”. 2009년 5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5월 23일에 확인함.  ↑ “보관 된 사본”. 2014년 1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2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Lattman, Peter (2006년 3월 14일). “'The Da Vinci Code' Trial: Dan Brown’s Witness Statement Is a Great Read”. 《Wall Street Journal》. 2011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Brown. Witness statement; Page 36. ↑ Amherst alumni page ↑ Walters, Joanna and Alice O'Keeffe. How Dan Brown's wife unlocked the code to bestseller success in The Observer, March 12, 2006. ↑ Rogak, Lisa. The Man Behind the Da Vinci Code – an Unauthorized Biography of Dan Brown. Andrews McMeel Publishing, 2005. ISBN 0-7407-5642-7 ↑ Sources differ on how Sheldon inspired Brown. He indicates on Page 3 of his witness statement that Sheldon's book was an attention-holding page turner that reminded him how fun it was to read, but the BBC source indicates that he thought he could "do better" than Sheldon. ↑ “Decoding the Da Vinci Code author”. BBC. 2004년 8월 10일. 2009년 5월 18일에 확인함.  ↑ Daniel Henninger. “Holy Sepulchre! 60 Million Buy 'The Da Vinci Code'”. 《The Wall Street Journal》. 2009년 5월 18일에 확인함.  ↑ Marcus, Caroline (2009년 9월 13일). “Brown is back with the code for a runaway bestseller”. 《Sydney Morning Herald》. 2009년 9월 13일에 확인함.  ↑ Mehegan, David (2004년 5월 8일). “Thriller instinct”. 《The Boston Globe》. 2009년 4월 20일에 확인함.  ↑ Carbone, Gina (2009년 4월 20일). “Dan Brown announces newbook, 'The Lost Symbol'”. Boston Herald. 2009년 4월 20일에 확인함.  ↑ Rich, Motoko (2009년 9월 16일). “Dan Brown’s ‘Lost Symbol’ Sells 1 Million Copies in the First Day”. 《The New York Times》. 2009년 9월 16일에 확인함.  ↑ McLaughlin, Erin (2013년 1월 15일). “New Dan Brown Novel, ‘Inferno,’ Set for May Release”. ABC News. 2013년 4월 19일에 확인함.  ↑ “Bestsellers”. 《The New York Times》. 2013년 6월 23일. 2013년 6월 17일에 확인함.  ↑ Kirschling, Gregory (2006년 3월 26일). “'Da' Last Big Interview”. 《Entertainment Weekly》. 2009년 5월 18일에 확인함.  ↑ "Dan Brown's 6 favorite books". The Week'. September 18, 2009. ↑ "Meet the Writers: Dan Brown" Archived 2012년 11월 27일 - 웨이백 머신. Barnes & Noble. 2003. Retrieved September 8, 2013. ↑ Brown. Witness statement; Pages 6 & 7. ↑ “Da Vinci Code Author Dan Brown and Siblings, Valerie Brown '85 and Gregory Brown '93 Establish New Fund in Honor of their Father”. 2004년 11월 1일. 2009년 5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5월 18일에 확인함.  ↑ "Bridges: The Foundation of Our Future: THE NEW HAMPSHIRE CHARITABLE FOUNDATION 2009 REPORT TO THE COMMUNITY" Archived 2010년 8월 7일 - 웨이백 머신. New Hampshire Charitable Foundation. 2009. Retrieved July 21, 2012. (PDF document) vdeh댄 브라운소설 디지털 포트리스(1998) 천사와 악마(2000) 디셉션 포인트(2001) 다빈치 코드(2003) 로스트 심벌(2009) 인페르노(2013) 영화 각색 작품 다빈치 코드(2006) 천사와 악마(2009) 인페르노(2016)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02403515 LCCN: n95086067 ISNI: 0000 0001 0929 7080 GND: 124429548 SELIBR: 258460 SUDOC: 07418105X BNF: cb14529449m (데이터) BIBSYS: 4045029 뮤직브레인즈: 634650ff-6a05-450f-8e44-8669b648bff8 NDL: 00934700 NKC: xx0008745 ICCU: IT\ICCU\RAVV\366833 BNE: XX1660007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댄_브라운&oldid=24281065" 분류: 1964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미국의 소설가애머스트 대학교 동문댄 브라운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B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문헌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অসমীয়া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eilge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Bahasa IndonesiaIdo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ಕನ್ನಡ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Kapampang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Zeêuws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6일 (일) 07:4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댄 브라운(Daniel Brown, 1964년 6월 22일 ~ )은 미국의 소설가이다. 가장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디지털 포트리스》, 《다 빈치 코드》, 《천사와 악마》 등이 있다. 그의 소설은 모두 스릴러이며 대부분 24시간에 걸친 보물찾기의 형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암호학, 기호, 열쇠, 음모론 관련 테마가 자주 등장한다. 그의 책들은 52개의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2012년을 기준으로 2억부 이상 팔렸다. 그의 책들 중 《다 빈치 코드》와 《천사와 악마》는 영화화 되기도 하였다. 그의 소설 중 4권은 로버트 랭던이라는 같은 주인공을 가진다. 로버트 랭던이 등장하는 소설들은 역사와 기독교관련 테마가 모티프로 사용되는데, 이 때문에 그의 소설은 많은 논란을 일으켰다. 그는 자신의 웹사이트([1])에서 자신의 책들은 반 기독교적인 내용의 책들이 아니라고 하고 있으며 자신도 현재 "계속되는 영적인 여행"중에 있다고 한다. 더 나아가서 그는 자신의 책 《다 빈치 코드》는 단순히 "종교적인 토론과 고찰을 하게 만드는 재미있는 이야기"일 뿐이며 "우리의 믿음에 대해서 탐험하고 자아성찰의 기회를 가지게 하는 긍정적인 촉매제"라고 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댄브라운은 대학교를 다니면서 음악도 배우고 국어 수학등 많은 것을 배웠는데 졸업년도는 어떻게 될까? Assistant: 1986년
Human: 아래 김성용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성용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성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전(前) 주한 미국 대사인 성 김의 한국식 이름은 김성용이다. 김성용(金星鏞, 일본식 이름: 武宮廣明, 1918년 1월 9일 ~ 1999년 1월 7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정치가이다.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목차 1 학력 2 약력 3 가족 관계 4 역대 선거 결과 5 참고자료 6 외부 링크 학력[편집] 서울 경복중학교 졸업 도쿄 제국대학교 법학부 학사 미국 미시간 주립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석사 미국 미시간 주립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박사 약력[편집] 서독 방문 시(1970년) 일본고등고시 행정과 2부 합격 외무부 정무국장 겸 통상국장 한중통상회의 수석대표 주 제네바 특명전권공사 민주당 중앙상임위원 제24~27차 UN총회 대표 동남아6개국순방 친선사절 1971년 주 말레이시아 대사 제6대 국회의원 민주당 (전국구) 제7대 국회의원 신민당 (전국구) 제9대 국회의원 유신정우회 가족 관계[편집] 아버지: 김재희(전남 담양군 창평면의 천석꾼) 남매: 김삼순(金三純, 1909년 2월 3일 - 2001년 12월 11일) 균학자 남매: 김사순(이회창의 어머니) 형제: 김홍용(金洪鏞, 1902년 10월 3일 - 1950년 8월 15일, 제2대 국회의원) 형제: 김문용(金汶鏞, 1916년 6월 23일 담양 - 1995년 2월 7일, 제2대 국회의원)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제6대 총선 국회의원(전국구) 6대 민주당 13.5% 1,252,827표 전국구 2번 제7대 총선 국회의원(전국구) 7대 신민당 32.7% 3,554,224표 전국구 9번 참고자료[편집] 김성용 - 대한민국헌정회 <이회창 누구인가… ⑵ 친인척> 政·官·財·법조계 망라 [국민일보] 2002-05-09 외부 링크[편집] 전임갈홍기 제4대 주(駐)말레이시아 대사1971년 8월 ~ 1975년 2월 후임전상진 vdeh민주당 제6대 국회의원 전국구1963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1번 조재천² 7번 장덕창¹ 2번 김성용² 8번 계광순† 3번 류창열 9번 성원경¹ 4번 장치훈 10번 한근조†² 5번 최희송 11번 이태용† 6번 이춘기¹ ¹승계전 사퇴      ²사퇴      †승계 vdeh신민당 제7대 국회의원 전국구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1번 박순천 7번 정운갑 13번 박재우 19번 김현기† 2번 김도연² 8번 한통숙 14번 이기택 3번 정해영 9번 김성용 15번 이민우 4번 고흥문 10번 김재화¹ 16번 김수한 5번 이재형 11번 연주흠 17번 김상현 6번 김세영 12번 편용호 18번 조흥만 ¹등록 무효      ²사망      †승계 vdeh유신정우회 제9대 국회의원 간선대표 제2기 (국민회의)1976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갈봉근 권갑주 김동성 김신 김진봉 민병권 서영희 신상초 윤태일 이승윤 장동식 지종걸¹ 현오봉 강문봉¹ 권일 김명회 김영도 김창규 박동묘 서인석 안종열 이도선 이영근 전부일 최영철 변우량† 강문용 권중동 김삼봉 김용성 김충수 박정자 송호림 안춘생 이범준 이정식 전재구 최영희 마달천† 고재필 권효섭 김성용 김익준 남상돈 박찬현 송효순 오정근 이성근 이종식 정일영 최우근 구범모 김기형 김세련 김종필 노진환 백두진 신광순 윤여훈 이숙종 이종찬 정재호 한태연 구태회 김도창 김세배 김진복 문태갑 백영훈 신범식 윤주영 이승복 이진희 주영관 함명수 ¹사퇴      †승계 이 글은 교육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정치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성용&oldid=24314618" 분류: 대한민국의 제6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7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9대 국회의원1918년 태어남1999년 죽음도쿄 대학 동문미시간 주립 대학교 동문서울대학교 교수고려대학교 교수연세대학교 교수민주당 (대한민국, 1963년) 당원신민당신한민주당 당원신민주공화당친일인명사전 수록자숨은 분류: 교육인에 관한 토막글정치인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29일 (수) 13: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성용(金星鏞, 일본식 이름: 武宮廣明, 1918년 1월 9일 ~ 1999년 1월 7일)은 일제강점기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정치인, 대학 교수이다. 종교는 천주교(세례명: 디모테오)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성용이 한중통상회의에서 맡은 직책은 무엇인가? Assistant: 수석대표 Human: 아래 장현_(1956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장현 (1956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현 (1956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장현기본 정보출생 1956년 2월 21일(1956-02-21)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사망 1990년 8월 16일 (34세)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장르 대중음악활동 시기 1975년 ~ 1990년 가족 동생 장덕관련 활동 현이와덕이 대표곡 〈너 나 좋아해 나 너 좋아해〉 1985년 〈현이와덕이 - 뒤 늦은 후회〉 1985년 〈현이와덕이 - 일기장〉 1976년 〈현이와덕이 - 꼬마인형〉 1975년 〈현이와덕이 - 순진한 아이〉 1978년 〈현이와덕이 - 소녀와 가로등〉 1978년 〈장현 솔로 - 더욱 큰 사랑 ('78 MBC 국제가요제 입상품)〉 1978년 장현(1956년 2월 21일 ~ 1990년 8월 16일)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가수 장덕의 오빠이며, 1980년대 현이와 덕이를 결성하여 많은 사랑을 받았다. 1990년 2월 4일 동생 장덕은 불면증과 우울증으로 인한 약물 과다복용으로 숨졌으며, 같은 해 8월 장현도 설암으로 건강이 악화되자 사망하였다. 목차 1 생애 2 학력 3 가수로서의 활동 4 암 투병과 사망 5 노래, 레코드, 음반 6 같이 보기 7 각주 생애[편집] 1955년생으로 알려지기도 했으나 실제로는 1956년 2월 21일(음력 1월 10일)에 태어났다. 아버지는 첼리스트였고 어머니는 화가였다.[1] 1961년 4월 21일 동생 장덕이 태어났고 이후 동생과 함께 미8군부대에서 먼저 데뷔한 후 1976년 현이와 덕이라는 이름으로 한국가요계에 데뷔하였다. 장현은 1976년 <젊음의 도시> 등 영화에도 출현하였으며, 1978년에는 MBC 서울국제가요제에서 입상하였다. (<더욱 큰 사랑> 가수 : 장현 / 작사,작곡 : 장덕) 학력[편집] 1962년 8월 서울충무초등학교(前) → 1963년 2월 싱가포르 빅토리아 스쿨 초등부(前) → 1963년 8월 캐나다 온타리오주 오타와 코퍼스 크리스티 스쿨 초등부(前) → 1964년 2월 미국 텍사스주 멤피스 로잰 컬리지에이트 스쿨 초등부(前) → 1964년 8월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새너제이 맨저니타 홀 스쿨 초등부(前) → 1965년 2월 미국 캘리포니아 주 카멀바이더시 올 세인츠 데이 스쿨 초등부(前) → 1968년 2월 서울흥인초등학교 졸업 1971년 2월 서울사대부중 졸업 1974년 2월 경기도 안양영화예술고등학교 졸업 가수로서의 활동[편집] 장현은 동생 장덕과 함께 현이와 덕이를 결성하여 많은 사랑을 받았다.[2] 1975년 장현은 동생 장덕은 미8군부대에서 '드래곤 랫츠(Dragon Rats)'라는 이름으로 데뷔하였으며, 이듬해 1976년 현이와 덕이로 재결성하여 한국가요계 데뷔하였다. 특히 동생 장덕은 작사,작곡,편곡,프로듀싱을 했을 만큼 음악계에서 능력을 인정 받았다. 1977년 동생 장덕은 진미령이 부른 <소녀와 가로등>의 작사, 작곡가 자격으로 제1회 <MBC 서울 국제가요제>에서 최연소로 입상하였으며, 이후 4년 연속 이대회에서 작사/작곡가로 입상하게 된다. [3] 이들은 <젊은 도시> <우리들의 고교시대>, <내마음 나도몰라>, <선생님 안녕>, <꿈초롱 둘이서> 등 10여편 영화에 주연 또는 조연으로 출연하였다.[4] 이후 현이와덕이는 1978년 그들의 첫 레코드 모음집인 <순진한 아이> <꼬마인형> <소녀와 가로등> <일기장> <작은소녀의 사랑이야기> <너는> 등이 수록된 [정규1집]을 취입, 출반했다.[5] 한때 장현은 '현이와 거룩한 성' 등의 타 그룹 또는 솔로로 전환했으나, 1985년 재결합하여 <너나 좋아해 나너 좋아해> <이젠 안녕> <잠깐> <뒤늦은 후회> 등이 수록 된 정규2집을 발표한다.[6] 그러나 얼마 뒤 다시 해체하였고, 각자의 길을 걷게 된다. 이후 싱어송라이터였던 동생 장덕은 1986년 4집 솔로앨범 타이틀곡 '님 떠난 후' 가 가요톱텐 5주 연속 1위를 하여 골든컵을 수상(1987) 하였으며, 자신이 작곡한 이은하의 <미소를 띄우며 나를 보낸 그 모습처럼> 마저 크게 히트 하였다. 또한 ABU 가요제에서 한국대표가 되는 등 1987년 가장 성공한 여자스타 대열에 합류하였다. 그리고 장현은 코아기획을 설립하여 회사 대표이사로 일하게 된다. 암 투병과 사망[편집] 1980년대 말 장현은 설암 말기로 인해 시한부 인생을 선고받았다. 이에 동생 장덕은 오빠 장현의 병간호에 들어가 연예인 활동을 잠정 중단한다. 그와중에 평소에 앓아 오던 불면증과 정신병과 우울증이 겹치면서 약물을 과다복용을 하게 되는데, 결국 1990년 2월 4일 서울특별시 마포구 염리동 자택에서 28세로 사망하였고, 장현 또한 "혀의 일부분을 자른다면 회생 가능성이 있다."라는 진단을 거부하여 결국 병이 악화되어 같은 해 8월 16일 세상을 떠났다(향년 34세).[7] 노래, 레코드, 음반[편집] 더욱 큰 사랑 - '78 MBC 국제가요제 입상 1978년 현이와 덕이 정규 1집[8] 1985년 현이와 덕이 정규 2집[9] 1987년 장현 만날수 없는 사랑 정규 1집.[10] 같이 보기[편집] 장덕 현이와 덕이 각주[편집] ↑ 이투데이 (2013년 3월 16일). “‘불후의 명곡’ 고 장덕 추모 특집…요절한 가수 장덕은 누구?”. 2013년 4월 14일에 확인함.  ↑ 이투데이 (2013년 3월 16일). “‘불후의 명곡’ 고 장덕 추모 특집…요절한 가수 장덕은 누구?”. 2013년 4월 14일에 확인함.  ↑ “두엣 현이와 덕이 순진한 아이 취입”. 경향신문. 1978년 5월 23일.  ↑ “두엣 현이와 덕이 순진한 아이 취입”. 경향신문. 1978년 5월 23일.  ↑ “두엣 현이와 덕이 순진한 아이 취입”. 경향신문. 1978년 5월 23일.  ↑ “남매듀엣 <현이와덕이> 7년만에 재결합”. 매일경제. 1985년 9월 5일.  ↑ 이투데이 (2013년 3월 16일). “‘불후의 명곡’ 고 장덕 추모 특집…요절한 가수 장덕은 누구?”. 2013년 4월 14일에 확인함.  ↑ “현이와 덕이 정규 1집”. 2014년 4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21일에 확인함.  ↑ “현이와 덕이 정규 2집”. 2014년 4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21일에 확인함.  ↑ “장현 만날수 없는 사랑 정규 1집”. 2014년 4월 21일에 확인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장현_(1956년)&oldid=24193166" 분류: 1955년 태어남1990년 죽음1975년 데뷔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암으로 죽은 사람현이와 덕이설암으로 죽은 사람서울특별시 출신 가수서울특별시 출신 배우대한민국의 작사가캐나다에 거주한 대한민국인싱가포르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서울흥인초등학교 동문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동문안양예술고등학교 동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7: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장현(1956년 2월 21일 ~ 1990년 8월 16일)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가수 장덕의 오빠이며, 1976년 장덕과 현이와 덕이를 결성하였다. 1990년 2월 4일 동생 장덕은 감기약과 기관지 확장제 그리고 수면제를 동시에 복용해서 쇼크사로 숨졌으며, 같은 해 8월 장현도 설암으로 건강이 악화되어 사망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장현이 가수로 데뷔한 해는? Assistant: 1976년
Human: 아래 이에로클리스_스톨티디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에로클리스 스톨티디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에로클리스 스톨티디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에로클리스 스톨티디스 개인 정보전체 이름 Ιεροκλής Στολτίδης로마자 표기 Ieroklis Stoltidis출생일 1975년 2월 2일(1975-02-02) (44세)출생지 그리스 테살로니키키 1.85m포지션 은퇴 (과거 수비형 미드필더)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1992–2003 2003–2010 2010–2011 합계: 이라클리스 올림피아코스 케르키라 234 0(33) 142 0(20) 027 00(2) 403 0(55)국가대표팀 기록‡1994-1998 2004 1999–2008 그리스 U-21 그리스 U-23 그리스 018 00(1) 003 00(1) 006 00(2)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08년 4월 20일 기준이다.‡ 국가대표팀의 출장수와 골은 2007년 7월 8일 기준이다. 이에로클리스 스톨티디스 (그리스어: Ιεροκλής Στολτίδης, 1975년 2월 2일, 테살로니키 ~) 는 흔히 "이에로" (Iéro) 로 알려진 은퇴한 그리스의 축구 선수로, 현역 시절 수비형 미드필더로 활약했었다. 그는 열정적이고, 안정적인 정신력과 육체적 대담함을 갖춘 결단력있는 앵커맨으로 알려져 있다. 목차 1 클럽 경력 2 국가대표팀 경력 3 통계 4 수상 4.1 클럽 4.2 개인 5 각주 6 외부 링크 클럽 경력[편집] 스톨티디스는 델타 에트니키의 폰티오이 코자니스에서 축구를 시작한 후, 이라클리스로 이적해 8년을 활약했다. 그는 테살로니키 연고의 클럽에서 1992년 12월에 알파 에트니키 데뷔전을 치렀으나, 1995-96 시즌이 돼서야 팀의 주전 선수로 활약하기 시작했다. 이어지는 시기동안 그는 UEFA컵에 처음 출전했다. 스톨티디스는 2002-03 시즌에 비약적으로 발전해, 클럽의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다. 6월, 234번의 알파 에트니키 경기에 출전한 후, 그는 올림피아코스로 떠나 2년 계약을 맺었다. 그는 당시 올림피아코스를 떠난 제 일리아스를 대체하게 되었다. 나중에 우승을 차지한 파나티나이코스와 AEK와의 2003-04 시즌 경기에 득점한 후, 서포터들의 사랑을 받게 되었다. 스톨티디스는 UEFA 챔피언스리그 무대에 첫 발을 딛었고, 5경기에서 2골을 넣었다. 2004-05 시즌, 두샨 바예비치 감독의 지도 하에 주전이었던 그는 25경기에 나가 2골을 기록했다. 그는 같은 시즌 챔피언스리그 경기에 540분동안 팀의 전경기에 출전하였고, 나중에 우승을 차지한 리버풀과의 홈경기에서 결승골을 넣기도 했다. 같은 시즌, 그는 올림피아코스에서 알파 에트니키와 그리스 컵을 모두 우승했다. 2005-06 시즌, 그는 파나티나이코스와 올림피아코스간의 그리스 고전 더비에서 처음으로 선발 출전해 2-0으로 올림피아코스가 이긴 경기에서 또다시 득점을 기록했다. 스톨티디스는 2005-06 시즌에 올림피아코스에서 또다시 더블을 차지하는 것으로 마쳤고, 그리스 올해의 축구 선수로 뽑히기도 했다. 2007-08 시즌, 스톨티디스는 또다시 성공적인 시즌을 보냈다. 타키스 레모니스와 함께 중원 수비의 듀오로 굳히면서, 이에로는 아르헨티나 국가대표 크리스티안 라울 레데스마와 강력한 조합을 이루었다. 스톨티디스는 챔피언스리그에서의 성공을 이어나갔고, 이번에 올림피아코스는 조 2위를 차지해 16강 진출을 이룩해냈다. 조별 리그를 3골 2어시스트로 마치면서, 스톨티디스는 그의 경력에 있어 가장 기억에 남을 활약을 펼쳤는데, 3-1, 3-0으로 이긴 베르더 브레멘전에서 스톨티디스가 3차례 골네트를 가른 것을 들 수 있었다. 2010년 그는 케르키라와 1년 계약하였고, 1년 후인 2011년에 프로 생활에 마침표를 찍었다. 국가대표팀 경력[편집] 스톨티디스는 스페인에 밀려 1998년 U-21 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그리스 U-21 국가대표팀의 일원이었다. 1999년 11월, 그는 그리스 국가대표팀 경기에 처음으로 출전했고,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 그리스를 대표로 출전했다.[1] 올림피아코스에서 맹활약하는 주가 높은 선수임에도 불구하고, 그는 UEFA 유로 2004에서 우승을 거둔 그리스의 최종 엔트리에 들지 못했고,[2]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전과 UEFA 유로 2008의 최종 엔트리에도 들지 못했다. 결국 언론에서 의문을 제기하자, 스톨티디스는 체코와의 친선전을 앞두고 레하겔 체제에서 처음으로 차출되었다. 그는 "저는 더이상 앞에서 활약할 수 있는 수준을 충족하도록 활약할 수 있는 나이가 아닙니다. 팬들의 감사와 지지와는 별개로, 저는 앞에서 높은 수준으로 대회에서 활약할 수 있게 더 일찍 차출되었다면 감독의 제의를 망설임 없이 수락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확신하고 싶습니다." 라고 답했다.[3] 통계[편집] 클럽 시즌 출장 골 케르키라 2010-11 27 2 합계 27 2 올림피아코스 2009-10 3 0 2008-09 9 1 2007–08 26 3 2006–07 26 4 2005–06 27 5 2004–05 26 2 2003–04 25 5 합계 142 20 이라클리스 2002–03 28 6 2001–02 25 6 2000–01 13 1 1999-00 32 5 1998–99 30 6 1997–98 27 7 1996–97 28 1 1995–96 27 0 1994–95 17 0 1993–94 6 1 1992–93 1 0 합계 234 33 경력 합계 403 55 수상[편집] 클럽[편집] 올림피아코스 수페르리가 엘라다: 2004-05, 2005-06, 2006-07, 2007-08, 2008-09 그리스 컵: 2004-05, 2005-06, 2007-08, 2008-09 그리스 슈퍼컵: 2007 개인[편집] 그리스 올해의 축구 선수: 2004-05, 2005-06, 2006-07 각주[편집] ↑ “Ieroklis Stoltidis Biography and Statistics”. Sports Reference. 2009년 12월 2일에 확인함.  ↑ “Papadopoulos in Greek squad”. BBC. 2004년 5월 23일. 2014년 6월 19일에 확인함.  ↑ http://www.uefa.com/competitions/euro/news/kind=1/newsid=653499.html 외부 링크[편집] ZeroZero 프로파일 및 통계 11v11.com 프로파일 및 통계 vdeh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 – 2004년 하계 올림픽 1 암바리스 2 갈라노풀로스 3 라고스 4 모라스 5 발라스 6 스톨티디스 7 아그리티스 8 네베글레라스 9 살핑기디스 10 미트루 11 파파도풀로스 12 카리피디스 13 군둘라키스 14 포타키스 15 사파니스 16 빈트라 17 타랄리디스 18 야누 21 마누사키스 감독: 아포스톨라키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에로클리스_스톨티디스&oldid=22383591" 분류: 1975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축구 미드필더그리스의 축구 선수수페르리가 엘라다의 축구 선수이라클리스 테살로니키 FC의 축구 선수올림피아코스 FC의 축구 선수AO 케르키라의 축구 선수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그리스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그리스 U-21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AOK 케르키라의 축구 선수숨은 분류: 그리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ΕλληνικάEnglishFrançaisItaliano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3일 (목) 15:0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에로클리스 스톨티디스(그리스어: Ιεροκλής Στολτίδης, 1975년 2월 2일, 테살로니키 ~)는 흔히 "이에로" (Iéro)로 알려진 은퇴한 그리스의 축구 선수로, 현역 시절 수비형 미드필더로 활약했었다. 그는 열정적이고, 안정적인 정신력과 육체적 대담함을 갖춘 결단력있는 앵커맨으로 알려져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에로클리스 스톨티디스는 이라클리스 팀에 몇 년간 소속되어 있었습니까? Assistant: 8년 Human: 아래 도쿄_여자대학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도쿄 여자대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쿄 여자대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6년 10월) 도쿄 여자 대학(일본어: 東京女子大学, とうきょうじょしだいがく, Tokyo Woman’s Christian University, TWCU)은 도쿄도 스기나미 구에 있는 일본의 사립 여자 대학이다. 목차 1 개략 2 역사 3 캠퍼스 4 학부, 현대교양학부 5 대학원 6 부속 연구소 7 국제교류 · 해외연수 8 저명한 동문 9 같이 보기 10 외부 링크 개략[편집] 일본에서는 흔히 "돈조"(とんじょ)의 약칭으로 부르며 기독교를 교육의 근본 방침으로 한다. 초대 총장은 《무사도》의 저자이자 한 때 일본 화폐 5000엔(円)에 초상이 실려 있었던 니토베 이나조이다. 전문 학술을 연구하고 진리와 평화를 사랑하며 인류의 복지에 기여하는 교양있는 여성을 양성하는 것을 이념으로 하고 있다. 이 이념과 목적에 기초한 리버럴 아트 교육이 본교의 교육 방침이다. 한국어 교육이나 비교문화 연구에 열심인 것으로도 유명한 대학이다. 역사[편집] 스코틀랜드의 에든버러에서 열린 에든버러선교대회의 결의에 따라 북미의 개신교 여러 종파의 도움을 받아 개설되었다. 1918년 설립 1948년 학제 개혁으로 문학부를 설치 1950년 단기대학부를 설치 1961년 문학부를 개조해서 문리학부를 설치 1988년 단기대학부를 개조해서 현대문화학부를 설치 캠퍼스[편집] 도쿄여자대학의 캠퍼스는 1920-30년대에 걸쳐 안토닌 레이몬드 설계의 건축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03년에는 DOCOMOMO JAPAN선정 일본의 모던 무브먼트의 건축으로 지정되었다.  정면의 본관을 비롯한 총 7동의 건물은 국가 등록 유형 문화재로 등록되어 있다. 영화 《히로인 실격(주연: 키리타니 미레이, 야마자키 켄토, 사카구치 켄타로)》, 《시간을 달리는 소녀(주연: 나카리이사)》등이 촬영되기도 했다. 학부, 현대교양학부[편집] 넓은 식견과 창조성을 갖고 전문성이 있는 교양인으로서 현대 사회의 다양한 과제를 주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인물 육성을 목적으로 한다. (학칙 제3조, 제2항) 인문학과 철학전공 일본문학전공 영어문학문화전공 역사전공 국제사회학과 국제관계전공 경제학전공 사회학전공 인간과학과 심리학전공 커뮤니케이션전공 언어과학전공 수리과학과 수학전공 정보이학전공 대학원[편집] 수학 및 수리 과학에 관련된 영역의 연구 능력을 높이고 폭넓은 시야를 갖으며, 많은 분야에서 학술의 진보와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자 및 고도의 전문적 직업인의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대학원 학칙 제5조, 제2항) 인간과학연구과 이학연구과 부속 연구소[편집] 비교문화 연구소 여성학 연구소 국제교류 · 해외연수[편집] 교류 해외학교 중국 - 상해외국어대학교, 북경대학교 한국 - 이화여자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미국 - 세인트마이켈즈대학교, 스크립스대학교,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프레즈비티언대학 캐나다 - 맥길대학교 영국 - 케임브릿지대학교, 요크대학교 아일랜드 - 더블린시티대학교 스페인 - Alcalingua, Universidad de Alcalá 프랑스 - Université Catholique de L'Ouest 저명한 동문[편집] 분류:도쿄 여자대학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도모토 아키코(堂本暁子) - 지바현지사 타베 미카코(多部未華子) - 일본의 배우 세토우치 자쿠초(瀬戸内寂聴) - 소설가 타케시타 케이코(竹下景子) - 일본의 배우 이데타 나나(出田奈々) - NHK 아나운서 하라다 카나(原田佳奈) - 일본의 배우 카이호 미사토(海保知里) - 전 TBS 아나운서 노무라 마사키(野村真季) - TV아사히 아나운서 이도 마사에(井戸正枝) - 정치가 나스 아사코(南壽あさ子) - 가수 니시오 유카리(西尾由佳理) - 아나운서 타카하시 마아사(高橋真麻) - 아나운서 야마모토 유미코(山本悠美子) - 관동TV 아나운서 같이 보기[편집] 한국의 유학 제휴교 성신여자대학교 일본의 유명한 사립 여자 대학 쓰다주쿠 대학 일본의 유명한 국립 여자 대학 오차노미즈 여자 대학 나라 여자 대학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도쿄 여자대학 도쿄 여자 대학 공식 사이트 (일본어, 영어) vdeh도쿄도의 대학국공립 국립간호대학교 도쿄 가쿠게이 대학 도쿄 공업대학 도쿄 농공대학 도쿄 대학 도쿄 예술대학 도쿄 외국어대학 도쿄 해양대학 수도 대학 도쿄 오차노미즈 여자대학 히토쓰바시 대학 사립 가쿠슈인 대학 가쿠슈인 여자대학 게이오기주쿠 대학 고마자와 대학 고쿠가쿠인 대학 고쿠시칸 대학 교린 대학 국제 기독교 대학 니혼 대학 다마 미술대학 다쿠쇼쿠 대학 데이쿄 대학 도요 대학 도카이 대학 도쿄 공과대학 도쿄 여자대학 릿쿄 대학 메이지 대학 무사시 대학 성심여자대학 세이조 대학 소카 대학 아시아 대학 아오야마 가쿠인 대학 여자미술대학 와세다 대학 일본여자대학 오비린 대학 조치 대학 주오 대학 호세이 대학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도쿄_여자대학&oldid=22019711" 분류: 도쿄 여자대학1918년 개교도쿄도의 대학교스기나미구일본의 사립 대학일본의 여자 대학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6년 10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Français日本語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8월 16일 (목) 02:5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도쿄 여자 대학(일본어: 東京女子大学, とうきょうじょしだいがく, Tokyo Woman’s Christian University, TWCU)은 도쿄도 스기나미구에 있는 일본의 사립 여자 대학이다. 도쿄 소재의 중상위권 여자대학인 츠토우혼죠(津東本女)에 속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도쿄 여자대학 현대교양학부가 학칙으로 지정한 학부의 목적은 무엇인가? Assistant: 넓은 식견과 창조성을 갖고 전문성이 있는 교양인으로서 현대 사회의 다양한 과제를 주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인물 육성
Human: 아래 한혜진_(가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한혜진 (가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혜진 (가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한혜진기본 정보본명 한명숙출생 1965년 11월 8일(1965-11-08) (53세)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직업 가수장르 트로트활동 시기 1984년 ~ 현재 배우자 허준서(재혼)학력 서울예술대학교 영화과 졸업종교 불교레이블 쿠킹뮤직소속사 아랑 엔터테인먼트웹사이트 트로트 가수 한혜진 웹사이트 한혜진(본명:한명숙, 1965년 11월 8일 ~ )은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이다. 경상북도 경주에서 출생한 그녀의 현재 주요 거주지는 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이다. 대표곡 가슴 아픈 말 하지마 1990년 사랑이 뭐길래 1991년 갈색추억 1993년 마지막 연인 1996년 서울의 밤 1999년 너는 내 남자 2003년 위험한 사랑 2005년 정말 진짜로 2007년 사랑아 가자 2010년 지푸라기 2016년 목차 1 생애 2 학력 3 결혼과 이혼 4 정규 음반 5 출연작 5.1 뮤지컬 5.2 텔레비전 드라마 5.3 연극 5.4 텔레비전 프로그램 5.5 라디오 프로그램 6 수상 경력 7 각주 8 외부 링크 생애[편집] 1984년 뮤지컬 배우 첫 데뷔하였고 이듬해 1985년 KBS 한국방송공사 공채 탤런트로 정식 연기자 데뷔하였으며 1년 후 1986년 연극배우 데뷔 1년 후 1987년 "MBC 강변가요제"에서 《사랑의 신이여 내 곁에》라는 곡으로 입상하여 가수 데뷔 1988년 "MBC 신인가요제"에서 《용서할 수 없어도》라는 곡으로 재차 입상 1988년 《가슴 아픈 말 하지마》라는 곡으로 정식 가수 데뷔하였으며 대표곡으로는 《갈색추억》, 《너는 내 남자》 등이 있다. 학력[편집] 경주근화여자고등학교 졸업 서울예술대학교 영화과 졸업 결혼과 이혼[편집] 한혜진은 2000년 프로복싱 미들급 동양챔피언 김복열씨와 7년 열애 끝에 결혼했지만 9년만에 이혼했다. 두번째 남편으로 6살 연상의 사업가 허준서와 2012년 결혼했고, 한혜진은 방송에서 남편이 큰 사업을 하는 대범한 성격으로서 집에서는 요리도 하고 살림도 하는 자상하고 가정적인 성격이라고 소개했다. 2016년 9월 1일 언론을 통해 한혜진 남편이 부동산 사기 및 특정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징역 8년 구형을 받았다고 알려졌다. 한혜진 남편 허준서씨는 대한특공무술연맹의 총재를 맡고 있었다.[1][2][3] 정규 음반[편집] 2017년《그리워라》 2016년《지푸라기》 2010년《Born Again》 2003년《너는 내 남자》 2001년《傷心》 1999년《서울의 밤》 1996년《Last Lover》 1993년《갈색추억》 1990년《사랑이 뭐길래》 출연작[편집] 뮤지컬[편집] 1984년 《포기와 베스》 ... 베스 역(여자 주인공) 1989년 《아가씨와 건달들》 ... 미스 애들레이드 역(여자 주연) 1990년 《러브 스토리》 ... 제니 역(여자 주연) 텔레비전 드라마[편집] 1985년 KBS 1TV 대하드라마 《새벽》 ... 백신애 역(단역) 연극[편집] 1986년 《리어 왕》 ... 코델리아 공주 역(주연) 1989년 《에덴의 동쪽》 ... 애브라 베이컨 역(주연) 텔레비전 프로그램[편집] 2003년 7월 19일, 2004년 4월 17일, 2007년 9월 29일 KBS1 《가족오락관》 2013년 9월 9일 MBC 《기분 좋은 날》 연예플러스 스타데이트 라디오 프로그램[편집] 2005년 9월 5일 ~ 2006년 3월 26일 wbs 원음방송 《한혜진의 가요세상》 수상 경력[편집] 1987년 MBC 강변가요제 입상 1988년 MBC 신인가요제 입상 2010년 제4회 대한민국 나눔대상 국회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 위원장상 각주[편집] ↑ 남편 징역 8년 구형…가수 한혜진은 누구? 머니투데이. 2016년 09월 01일 ↑ 가수 한혜진 남편, 35억대 부동산 사기사건 연루...사기로 징역 받은적 있어 한국경제TV. 2015년 12월 10일 ↑ ‘갈색 추억’ 한혜진, 부동산 사기 혐의로 징역 8년 구형 서울경제. 2016년 09월 01일 외부 링크[편집] maniadb 마이고 인물정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혜진_(가수)&oldid=24534019" 분류: 1965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여자 가수1984년 데뷔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대한민국의 작사가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근화여자고등학교 동문서울예술대학교 동문경주시 출신대한민국의 불교 신자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7월 6일 (토) 16: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한혜진(본명: 한명숙, 1965년 11월 8일 (음력 10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현재 거주지는 경기도 남양주시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가수 한혜진이 1993년 발표한 음반의 제목은 무엇인가? Assistant: 갈색추억 Human: 아래 기능장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기능장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능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기능장(技能長, Master Craftsman)은 1973년 12월 31일 국가기술자격법 제정으로 생겨난 대한민국의 국가기술자격이다. 기능장의 역할은 최고급 수준의 숙련기능을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작업 관리, 소속 기능 인력의 지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계층과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주는 현장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목차 1 역사 2 분야 3 취득 자격 4 시험 및 취득 방법 5 필기 시험 6 제출 서류 7 실기 시험 8 연간 검정 횟수 9 검정 종목 10 통계 11 각주 12 외부 링크 역사[편집] 본래 기능장은 기능사의 한 등급이었으나, 1999년 3월 28일 기술계/기능계 구분 폐지로 기능사에서 분리되었다. 분야[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국가기술자격 직무분야 및 종목입니다. 이 부분의 본문은 국가기술자격 종목 (기능장)입니다. 취득 자격[편집] 기능장은 관련 경력이 있어야 응시할 수 있는데, 요구 경력은 다음과 같다. 구분 필요경력 실무 경력만 있을 경우 9년 여타자격 기능사(산업기사)이상의 자격 취득 후 기능대학(폴리텍대학)의 기능장 과정 이수자 및 이수예정자 a 없음 산업기사 이상 취득자 a 5년 기능사 취득자 a 7년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의 다른종목 기능장 취득자 a 없음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에 해당되는 외국자격 취득자 a 없음 실무경력은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만 인정된다. a 자격 취득 이후의 경력만 인정. 시험 및 취득 방법[편집] 먼저 필기 시험을 거쳐야 하고, 필기 시험에 합격하면 다시 실기 시험을 거쳐야 한다. 실기 시험에서 합격하면 해당 자격에 대한 자격증이 교부되어 자격을 취득하게 된다. 필기 시험[편집] 필기 시험은 4지 선다형의 객관식으로 출제되며, 문항 수는 60개이고 100점 만점이다. 과목별 점수에 관계 없이 60점 이상 득점하면 합격으로 처리된다. 필기 시험 합격 유효 기간은 2년이며, 그 기간 이내에 실기 시험 원서를 접수하여야 한다. 제출 서류[편집] 필기시험에 합격하면 서류를 제출해야 하는데, 제출해야 할 서류는 다음과 같다. 학력 : 졸업증명서, 졸업예정증명서, 재학증명서, 재적증명서, 수료증명서 등 경력 : 경력증명서(담당업무가 상세히 기재된 것에 한함), 4대보험 가입증명서(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 중 택1), 자영업인 경우 사업자등록증명원 1부 등 학력으로 제출할 경우 온라인으로 제출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면 된다. 단, 기간내에 제출하지 않았거나 응시요건을 충족하지 못했을 경우 최종적으로 불합격 처리된다. 실기 시험[편집] 실기 시험은 작업형과 필답형, 그리고 복합형이 있다. 필기와 마찬가지로 100점 만점이고 60점 이상 득점하면 합격으로 처리된다. 연간 검정 횟수[편집] 기능장은 1년에 2회의 정기 검정이 시행된다. 검정 종목[편집] 모두 29개의 종목이 있으며, 1부와 2부의 구분 없이 함께 치러진다. 통계[편집] 연도/현황[1]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필기 응시자(합격률) 56,668(53.9%) 7,254(48.2%) 8,981(48.7%) 10,544(39.6%) 13,605(47.7%) 17,100(41.2%) 실기 응시자(합격률) 51,171(30.0%) 6,710(24.6%) 7,646(25.9%) 7,776(30.1%) 9,500(32.2%) 12,201(27.9%) 자격 취득자 15,384 1,654 1,977 2,342 3,061 3,409 각주[편집] ↑ 큐넷 자격검정통계 총괄현황 외부 링크[편집] 큐넷 공식 홈페이지 vdeh 대한민국의 국가기술자격기술 · 기능분야 기능사(종목) 산업기사(종목) 기사(종목) 기능장(종목) 기술사(종목) 서비스 분야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게임그래픽전문가 게임기획전문가 게임프로그래밍전문가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스포츠경영관리사 워드프로세서 전자상거래운용사 텔레마케팅관리사 사회조사분석사 소비자전문상담사 임상심리사 전자상거래관리사 직업상담사 컨벤션기획사 컴퓨터활용능력 비서 전자회계운용사 한글속기 이 글은 기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자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기능장&oldid=19514176" 분류: 국가기술자격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기술에 관한 토막글자격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7년 9월 3일 (일) 07: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기능장(技能長, Master Craftsman)은 1973년 12월 31일 국가기술자격법 제정으로 생겨난 대한민국의 국가기술자격이다. 기능장의 역할은 최고급 수준의 숙련기능을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작업 관리, 소속 기능 인력의 지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계층과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주는 현장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자격증 없이 오로지 실무 경험만으로 기능장 시험을 보려면 몇 년 동안 경력을 쌓아야 하나? Assistant: 9년
Human: 아래 이해원_(1930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해원 (1930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해원 (1930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해원(李海元, 1930년 9월 14일 ~ 2014년 12월 11일)은 대한민국의 정치가 겸 기업가이다.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호(號)는 자산(玆汕)이다. 국회의원, 장관, 서울특별시 시장, 자유민주연합 고문, 신한국당 고문 등을 지냈다. 목차 1 학력 2 상훈 3 역대 선거 결과 4 외부 링크 학력[편집]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석사 수료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석사 수료 상훈[편집] 청조근정훈장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제8대 총선 국회의원(충북 제천군·단양군) 8대 민주공화당 48.33% 40,915표 1위 제9대 총선 국회의원(충북 충주시·중원군·제천시·단양군) 9대 민주공화당 22.26% 38,001표 2위 제11대 총선 국회의원(충북 충주시·중원군·제천시·단양군) 11대 민주정의당 29.57% 61,721표 1위 외부 링크[편집] 이해원 - 대한민국헌정회 공동체사회포럼 (이해원 前 신한국당 고문이 생전에 공동체사회포럼 회장 재직) 전 임 김유택 제8대 국회의원(제천군·단양군) 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17일 민주공화당 후 임 (충주시·중원군·제천군·단양군)이종근·이해원 전 임 (충주시·중원군)이종근(제천군·단양군)이해원 제9대 국회의원(충주시·중원군·제천시·단양군)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민주공화당 → 무소속 이종근 후 임 이종근·이택희 vdeh유신정우회 제10대 국회의원 간선대표 제3기 (국민회의) 갈봉근 김영수 김주인 백영훈 신동순 안갑준 이도환 이승윤¹ 이종률 장지량 정희채 최경록¹ 한기춘 남재한† 고재필 김영자 박동앙 변우량 신범식 오준석 이동원 이양우 이종식 전부일 조병규 최대현 한옥신 이호동† 김봉기 김옥열 박준규 서영희 신상철 윤식 이명춘 이영근 이종찬 전정구 조상호 최영희 한태연 김유복† 김성환² 김용호 박현서 선우련 신상초 윤여훈 이상익 이자헌 이철희 정병학 조일제 최우근 함명수 김세배 김윤환 박형규 송방용 신철균 윤인식 이석제 이정석 이해원 정일영 조홍래 최태호¹ 현기순 김영광 김종하 백두진 신광순 심융택 이경호 이성근 이정식 장기선 정재호 천병규 태완선 고귀남† ¹사퇴      ²사망      †승계 전 임 이종근·이택희 제11대 국회의원(충주시·중원군·제천시·제원군·단양군)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민주정의당 → 무소속 김영준 후 임 이춘구·이택희 전임김정례 제21대 보건사회부 장관1985년 2월 19일 ~ 1988년 2월 25일 후임권이혁 전임박세직 제24대 서울특별시장1991년 2월 19일 ~ 1992년 6월 25일 후임이상배 vdeh서울특별시장 현직 시장: 박원순 (37대, 민선 7기) 1 김형민 2 윤보선 3·4 이기붕 전예용 (권한대행) 5 김태선 이익흥 (권한대행) 6 김태선 7 고재봉 8 허정 9 임흥순 10 장기영 정종철 (권한대행) 김흥주 (권한대행) 11 김상돈 12 윤태일 13 윤치영 14 김현옥 15 양택식 16 구자춘 17 정상천 18 박영수 19 김성배 20 염보현 21 김용래 22 고건 23 박세직 24 이해원 25 이상배 26 김상철 우명규 (권한대행) 27 이원종 28 우명규 29 최병렬 30 조순 강덕기 (권한대행) 31 고건 32 이명박 33·34 오세훈 권영규 (권한대행) 35·36·37 박원순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이 글은 정치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해원_(1930년)&oldid=24360035" 분류: 대한민국의 제8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9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10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11대 국회의원1930년 태어남2014년 죽음제천시 출신전주 이씨대한민국의 보건사회부 장관전두환 정부의 국무위원대한민국 해군 군인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문서울대학교 대학원 동문미네소타 대학교 동문대한민국의 기업인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타이완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민주공화당 (대한민국) 당원민주정의당신민주공화당새한국당자유민주연합 당원신한국당 당원덕흥대원군파숨은 분류: 정치인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일 (일) 08: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해원(李海元, 1930년 9월 14일 ~ 2014년 12월 11일)은 대한민국의 정치가 겸 기업가이다.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호(號)는 자산(玆汕)이다. 국회의원, 장관, 서울특별시 시장, 자유민주연합 고문, 신한국당 고문 등을 지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해원이 2위를 기록한 총선은 몇 대 총선이였을까? Assistant: 제9대 Human: 아래 프랑스_혁명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프랑스 혁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프랑스 혁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프랑스혁명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프랑스 혁명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프랑스의 역사Histoire de France 선사시대 구석기시대(기원전 160만년 ~ 기원전 5700년) 신석기시대(기원전 5700년 ~ 기원전 1300년) 켈트인(기원전 1300년 ~ 기원전 680년) 고대 그리스인(기원전 680년 ~ 기원전 290년) 갈리아인(기원전 290년 ~ 기원전 51년) 갈리아 전쟁(기원전 58년 ~ 기원전 50년) 로마령 갈리아(기원전 51년 ~ 기원후 486년) 게르만족 대이동(3세기 ~ 5세기) 중세 프랑크 왕국 메로빙거 왕조(481년 ~ 754년) 카롤링거 왕조(754년 ~ 843년) 서프랑크 왕국(843년 ~ 987년) 카롤링거 왕조(843년 ~ 987년) 중세 프랑스 왕국(987년 ~ 1492년) 카페 왕조(987년 ~ 1328년) 위크 카페 즉위(987년) 부빈 전투(1214년) 성 루이 9세 치세(1226년 ~ 1270년) 발루아 왕조(1328년 ~ 1498년) 백년전쟁(1337년-1453년) 근세 근세 프랑스 왕국(1492년 ~ 1791년) 발루아-오를레앙 왕조(1498년 ~ 1515년) 이탈리아 전쟁(1494년-1559년) 발루아-앙굴렘 왕조(1515년 ~ 589년) 위그노 전쟁(1562년 ~1598년) 부르봉 왕조(1589년 ~ 1792년) 30년 전쟁(1618년 ~ 1648년) 루이 14세 치세(1661년 ~ 1715년) 프랑스 대혁명(1789년 ~ 1799년) 프랑스 입헌왕국(1791년 ~ 1792년) 근대 프랑스 제1공화국(1792년 ~ 1804년) 국민공회(1792년 ~ 1795년) 총재정부(1795년 ~ 1799년) 통령정부(1799년 ~ 1804년) 프랑스 제1제국(1804년 ~ 1814년) 부르봉 왕정복고(1814년 ~ 1830년) 7월 혁명(1830년) 7월 왕정(오를레앙 왕조)(1830년 ~ 1848년) 2월 혁명(1848년) 프랑스 제2공화국(1848년 ~ 1852년) 프랑스 제2제국(1852년 ~ 1870년) 프랑스 제3공화국(1870년 ~ 1940년) 파리 코뮌(1871년) 현대 비시 프랑스(1940년 ~ 1944년)프랑스 임시 정부(1944년 ~ 1946년)프랑스 제4공화국(1946년 ~ 1959년)프랑스 제5공화국(1959년 ~ 현재) v • d • e • h 프랑스 혁명(Révolution française [ʁevɔlysjɔ̃ fʁɑ̃sɛːz], 1789년 5월 5일~1799년 11월 9일)[1]은 프랑스에서 일어난 자유주의 혁명이다. 프랑스 혁명은 엄밀히 말해 1830년 7월 혁명과 1848년 2월 혁명도 함께 일컫는 말이지만, 대개는 1789년의 혁명만을 가리킨다. 이때 1789년의 혁명을 다른 두 혁명과 비교하여 프랑스 대혁명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절대왕정이 지배하던 프랑스의 앙시앵 레짐(Ancien Régime)하에서 자본가계급이 부상하고(18세기에 모든 선진국에서 나타난 특징적인 현상), 미국의 독립전쟁으로 자유의식이 고취된 가운데 인구 대다수를 차지하던 평민의 불만을 가중시켜 마침내 흉작이 일어난 1789년에 봉기하게 되었다. 도시민과 농민의 개입(대공포)으로 폭력양상을 띤 이 혁명은 2년간에 걸쳐 전 체제를 전복시켰다. 이 혁명은 혁명의 소문을 들은 피지배 민족의 자유와 독립 쟁취 의식을 고취하여 여러 민족을 거느린 주변 여러 강대국을 불안하게 하였다.[2] 프랑스 혁명은 앙시앵 레짐을 무너뜨렸지만 혁명 후 수립된 프랑스 공화정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Napoléon Bonaparte)가 일으킨 쿠데타로 무너진 후 75년간 공화정, 제국, 군주제로 국가 체제가 바뀌며 굴곡된 정치 상황이 지속되었으나 역사상으로 민주주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프랑스 혁명은 크게 보면 유럽과 세계사에서 정치권력이 왕족과 귀족에서 자본가계급으로 옮겨지는, 역사 분야에서 완전히 새로운 시기를 열어 놓을 만큼 뚜렷이 구분되는 전환점이었다. 목차 1 배경 1.1 불평등한 사회 체제 1.2 국가 재정 파탄 1.3 프랑스 민중의 사회 개혁 의지 2 혁명의 전개 2.1 삼부회 소집 2.2 바스티유 감옥 습격 2.3 베르사유 행진 2.4 입법 의회 2.5 바렌 사건 2.6 로마 가톨릭교회의 저항 3 프랑스 혁명 전쟁 3.1 8월 10일 사건 3.2 9월 학살 3.3 발미 전투 4 공화국의 성립 4.1 공포 정치 4.2 테르미도르의 쿠데타 4.3 총재 정부 4.4 통령 정부 5 혁명 정신 6 연표 7 세계 열강들의 혁명 시기 8 관련 예술 작품 9 같이 보기 10 각주 11 참고 자료 배경[편집] 루이 16세 프랑스는 18세기에 들어와서 혁명 전야까지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1701~1714년), 미국 독립 전쟁(1775~1783년)을 비롯한 여섯 차례의 큰 전쟁에 관련했다. 이런 전쟁은 프랑스에 절대로 이익이 되는 것은 아니었다. 이미 루이 14세(재위 1643~1715년)의 만년에 국가 재정은 위기 양상을 나타내기 시작했는데, 그 후 위기는 더욱 심각해지고 만성화되어 갔다. 또한 루이 14세에 의한 낭트 칙령의 폐지(1685년)와 그에 따른 위그노의 국외 추방은 그 후의 프랑스 산업 발전을 현저하게 저해하는 결과가 되었다. 프랑스에서 부르주아의 발전은 영국에 비해서 지지부진했으나, 18세기 후반에는 중농주의자의 주장으로 대표되는 곡물 거래의 자유, 인클로저의 자유를 요구하는 세력이 대두되고 있었다. 공업 부문에 있어서도 면직물 공업이 18세기 초부터 부상하기 시작해서 재래의 모직물 · 린네르 공업과 경합하게 되었다. 18세기 후반, 길드의 규제는 여전히 강했으나, 자본주의식 매뉴팩처가 각지에 출현하고 있었다. 1774년 재무총감 자리에 앉은 중농주의자인 안 로베르 자크 튀르고는 부르주아의 발전을 저지하던 영주와 국가의 통제를 없애버리려 했다. 1776년에는 ‘여섯 가지 칙령’이 공포되었는데, 이것은 농민을 노예 수준의 부담에서 해방시키고, 공업에 있어서의 길드제를 폐지하며, 농업과 노동에 대한 자유를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것은 부르주아적 이해와 대립하는 봉건적 귀족과 그들에 기생하던 특권 상인의 세력을 약화시키는 것이 불가피한 과제가 되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부르주아적 발전에 대응하여 노동자의 자본에 대한 투쟁이 조직적으로 일어났다. 견직물 공업의 중심지였던 리옹에서는 직조공들의 파업이 18세기 후반에 연이어 일어나기에 이르렀다. 한편 귀족 계급은 성직자와 함께 봉건적 특권을 누리고 있었는데, 18세기에는 여러 그룹으로 갈라져 있었다. 군대에 복무하는 군인 귀족과 법무에 종사하는 법조 귀족이 대표적인 귀족이었지만, 약간의 귀족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상류귀족은 궁정(宮廷)에 빌붙어 영지 경영에 관심을 갖지 않고 나태한 생활을 보냈으며, 대부분의 사람은 막대한 부채를 짊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이 18세기 후반에는 절대왕권 제도와 절대왕권제의 지지자였던 귀족들 대부분도 재정적 곤란에 처해 있었다. 그들은 농민을 더욱 착취하여, 농촌을 거의 황폐화시켰다. 프랑스에서 부르주아가 발전하려면 사회적 대변혁이 불가피했었다. 계몽 사상가는 이와 같은 모순된 사회 제도를 맹비난하면서 합리적인 사회제도의 출현을 선동했다.[3] 당시 프랑스는 계몽사상가인 장 자크 루소와 백과전서파인 볼테르 등 사회계약설이 많은 지식인에게 영향을 주었고 그것을 국민이 공감하여, 당시의 사회 제도(구체제)에 대한 반발심을 가지고 있었다. 부르봉 왕가 정부, 특히 국왕 루이 16세는 이를 완화하기 위해 점진적인 개혁을 목표로 했지만, 특권 계급과 국민과의 괴리를 채울 수 없었다. 불평등한 사회 체제[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구체제입니다. 프랑스 혁명은 이런 구체제(앙시앵 레짐)의 모순에서 발생하였다. 구체제 하에서는 인구의 2% 정도밖에 안 되는 제1계급(추기경 등의 로마 가톨릭 고위 성직자)과 제2계급(귀족)은 면세 등의 혜택을 누리면서, 주요 권력과 부와 명예를 독점하였다. 인구의 약 98%를 차지하던 제3계급(평민)은 무거운 세금을 부담해야 했다. 그 3계급이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삼부회가 있었지만 한동안이나 소집되지 않았기 때문에, 제3계급은 실질적으로 정치 참여에서 배제된 것이다. 국가 재정 파탄[편집] 루이 16세(재위 1774∼92)의 정부는 영국의 신대륙 진출을 견제하려고 미국 독립 전쟁(1775~83년)을 지원하였으나 과도한 군사비 집행으로 인해 재정궁핍에 빠지게 된다. 또한 프랑스 왕실재정 역시 선대의 향락으로 인해 국고는 바닥을 드러내게 된다. 1787년 2월, 재정총감 칼론은 명사회를 소집하고, 특권신분에게도 과세하는 ‘임시지조’를 제안한다. 그러나 귀족·성직자들은 파리 고등법원과 결탁해 재정안에 저항하였고 그로인해 파산 직전에 이른 재정을 메우기 위해 제3신분에게 부과되는 세금은 점점 과중해졌다.[4] 루이 16세에 이르러 재정은 파탄나고 흉년이 거듭됐으며 목걸이 사건이 일어나며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는 프랑스 의회에 미움을 사게되고 왕실에 대한 불만은 시민 계급을 중심으로 극에 달하게 된다. 목걸이 사건은 사기꾼 라 모트 부인이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 이름으로 돈과 목걸이를 손에 넣은 사기극으로 왕비가 사치를 해 재정의 위기를 가져오게 됐다는 오해를 퍼뜨려 결국 왕비가 1793년 10월 16일 참수형에 처해지는 도화선이 된다. 프랑스 민중의 사회 개혁 의지[편집] 제3계급 중에서도 의사, 변호사, 사업가 등 전문지식을 통해서 부를 축적한 전문직 일명 부르주아지 계층은 혈연과 교회의 권위로써 부와 권력을 향유하는 1, 2신분을 제치고 사회의 주도층이 되길 원하고 있었다. 따라서 계몽주의 사상을 강력하게 신봉하고 있었다.[5] 프랑스 혁명 당시 육체 노동자, 노숙인, 소상인 등의 프롤레타리아 계급들도 자신들의 의지에 따라 혁명에 참여했는데, 이들은 "자연으로 돌아가라"는 장 자크 루소의 직접민주주의 이념의 영향으로 “모든 사람은 평등하며,인간의 존엄성을 중시하여야 한다"는 열망에서 귀족 계층들의 불평등한 사회체제에 항거하려는 이념으로 혁명에 가담하였다. 혁명의 전개[편집] 삼부회 소집[편집] 테니스 코트의 서약 이 부분의 본문은 삼부회 및 테니스 코트의 서약입니다. 루이 16세는 시민들의 불만을 잠재우려 재정 개혁을 단행하려 하였다. 재무 장관이었던 샤를 알렉상드르 드 칼론은 명사회를 소집해 특권 계층에게도 세금을 부과하는 개혁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자신들의 기득권을 침해받을 것을 우려한 로마 가톨릭교회 성직자들과 귀족들은 개혁안을 거부하고, 삼부회를 소집할 것을 요구하였다. 1789년의 삼부회가 열리던 당시의 상황은 심각하였다. 1788년의 흉작과 혹독한 겨울로 인한 고통이 전국토를 휘감았다. 정부는 나약했으며 멸시받고 있었다. 관리들은 불복종이 표출되는 것을 진압하기를 두려워하거나 망설이고 있었다. 대의원들에게 주어진 서면 지시 사항은 정치적 · 사회적 · 경제적 관심들을 총망라한 것이었으며 아주 많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었다. 이러한 소란 가운데, 왕과 그의 신하들은 여전히 수동적인 자세였다. 그들은 삼부회가 개별적으로 열려야 할지 아니면 함께 종합적으로 고민해야 할지 하는 문제도 결정하지 못했다. 1789년 5월 5일 루이 16세는 베르사유 궁전의 살 데 메뉘 플레지르(Salle des Menus Plaisirs)에서 삼부회를 소집하였고,[6] 귀족 188명, 성직자 247명, 평민 500명이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7] 재무총감 네케르는 재정의 조건을 전제로, 몇 가지 작은 개혁안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표결방식을 둘러싸고 귀족, 성직자 대표와 평민 대표 간에 갈등이 생겼다. 국새상서(國璽尙書)인 샤를 루이 프랑소와 드 폴 드 바렝탕(Charles Louis François de Paule de Barentin)은 그들이 신분별로 또는 인원수대로 투표할 수 있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고 알려왔다. 제삼부회(Tiers État)는 회의를 개별적으로 할지 모여서 할지도 결정하지 못한 것에 대해서 실망하였다. 귀족들 중 일부와 하위직 성직자들의 다수는 실질적인 개혁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제삼부회에 동의하였다고 알려졌다. 합동 회의를 개최한다면, 다수를 차지하는 평민 계급은 개혁, 특권의 폐지와 부동산에 대한 중세적 권리의 폐지를 통과시킬 것이었다. 분리 회의를 하는 경우, 귀족의 대부분과 상급 성직자는 개혁을 제한하려고 할 것이었다. 따라서, 삼부회를 합동으로 개최하자는 것이 제삼부회의 첫 번째 의제로 부각하였다.[8] 귀족, 성직자 대표는 신분별 표결 방식을, 평민 대표는 머릿수 표결 방식을 지지함으로써 자신들이 속한 계급에 유리한 방향으로 회의를 이끄려고 한 것이다. 평민 대표들은 머리수 표결 방식이 채택되지 않자 1789년 6월 20일 회의장을 테니스 코트 건물로 옮기고, 요구가 승인되어 헌법이 제정될 때까지는 이 의회를 해산하지 않는다고 선언하고 국민의회를 조직하였다(테니스 코트의 서약). 국민의회에 진보적 사고를 갖고 있던 로마 가톨릭 사제와 자유주의 귀족 47명도 합류하였다. 7월 9일에는 제헌국민의회라 칭하여, 인민의 최고 입법 기관으로서 프랑스 헌법 제정에 착수하였다. 바스티유 감옥 습격[편집] 시민들에게 공격받는 바스티유 감옥, 장 피에르 루이 로렌트 휴엘, 수채화, 37,8 x 50,5 cm, 1789년 작 이 부분의 본문은 바스티유 습격 및 프랑스 인권 선언입니다. 왕당파가 제헌국민의회의 무력 탄압을 기도하여, 지방으로부터 군대를 결집하고 있다는 것이 전해지자, 1789년 7월 12일부터 군대와의 사이에 충돌을 반복하였다. 7월 14일 아침, 파리 민중들은 혁명에 필요한 무기를 탈취하기 위하여 바스티유 감옥을 습격하였다. 민중들은 도개교(跳開橋)를 내리고 감옥으로 쇄도하여, 감옥을 점령하였다. 이 습격의 성공은 바야흐로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다. (바스티유 습격) 이들이 프랑스 대혁명에 가담한 이유는 기득권층들에 대한 감정적인 불만이나 부르주아의 선동 때문이 아니라, "자연으로 돌아가자"면서 평등사회를 추구한 장 자크 루소의 영향으로 불평등한 사회체제에 저항하는 사회개혁의지를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덕분에 혁명의 불길은 지방까지 확산되었다. 8월 4일에 제헌국민의회는 봉건적 특권이 폐지되었음을 선언하고, 1789년 8월 26일에는 프랑스 인권 선언을 채택하였다. 베르사유 행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베르사유 행진입니다. 그러나 국왕이 제헌국민의회의 선언을 인정하지 않았다. 정치적인 혼란과 전년 흉작의 영향으로 파리의 물가가 상승하기 시작하자 1789년 10월 5일 파리의 수많은 여성들이 무기를 들고 빗속에서 파리 시청 앞 광장에 모여 베르사유 궁전에 난입하여 국왕과 의회에 음식을 요구하는 생존권 투쟁을 하였다. 이들의 압력으로 루이 16세는 압력을 받아 프랑스 인권 선언을 인정하고 그녀들에게 이끌려 파리 튈르리 궁전에 가족과 함께 이주당한다. 이후, 루이 16세 일가는 파리 시민의 감시 속에서 살게 된다. 이 시기의 혁명은 온건한 미라보, 라파예트 등 입헌군주제를 지지하는 온건파 혁명주의자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었다. 시민군은 자유주의 귀족 라파예트를 총사령관에 임명하였고, 1790년에는 그의 제안에 따라 삼색기(현재 프랑스 국기)가 혁명의 깃발이 되었다. 입법 의회[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입법 의회입니다. 1791년 9월에는 제한 선거와 입헌 군주제를 골자로 한 새로운 헌법(1791년 프랑스 헌법)이 제정되었다. 이 헌법은 군주제 하에서 평민도 일정 이상의 세금을 납부하면 선거권을 인정하는 10월이 되어 첫 번째 선거가 실시되고 새 의회인 입법의회가 구성되었다. 입법의회에는 입헌군주제를 지키려는 온건파인 푀양파와 국왕없이 공화제를 주장하는 지롱드파와 자코뱅파가 힘을 가졌다. 지롱드파는 부유한 상공업자를 비롯한 상층, 중층 시민(부르주아)를 지지 기반으로 하고 있었다. 바렌 사건[편집] 탈출실패 후 파리로 되돌아온 루이 16세 일가 이 부분의 본문은 바렌 사건입니다. 혁명 발발로 귀족과 성직자 등 특권 계급의 대부분이 국외로 망명하기 시작하였다. 1791년 국왕과 민중의 중개자인 미라보가 죽자, 과격한 혁명을 거부한 루이 16세는 마리 앙투아네트의 친한 관계에 있는 스웨덴 귀족 한스 악셀 폰 페르센의 도움을 받아, 왕비의 친정인 오스트리아로 피신할 계획을 세웠다. 1791년 6월 20일, 파리를 탈출한 루이 16세 일가는 국경 앞의 바렌에서 민중들에게 발각되어, 6월 25일 파리로 되돌아왔다. 이 사건은 프랑스 국민들에게 충격을 주었고, 동시에 루이 16세의 반혁명 의도가 폭로되었다. 혁명의 파급을 두려워하는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은 8월 27일 《필니츠 선언》을 발표하여, 루이 16세의 지위를 보장하지 않으면 전쟁을 하겠다고 위협했기 때문에 루이 16세는 국왕에 머물게 되었다. 하지만 비교적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던 국왕 옹호파 민중의 지지를 상실하였다. 로마 가톨릭교회의 저항[편집] 프랑스 혁명의 타깃은 봉건 왕조를 겨냥하는 한편, 다른 한편으로는 가톨릭교회를 겨냥하고 있었다. 시민들은 곳곳에서 앙시앵 레짐을 상징하는 가톨릭교회를 습격하고 성상을 파괴했다. 이 때문에 로마 가톨릭교회는 프랑스 혁명에 극렬 저항했다. 가톨릭교회는 교종을 통해 프랑스 혁명을 분쇄 시키기 위해 가톨릭 군주들의 군대 파병을 요청하고, 가톨릭 신자들을 내세워 반혁명 선동을 일삼았다. 프랑스 혁명으로 경제 상황이 악화되자 가톨릭교회는 시민들을 선동해 반란을 일으켰다.[9] 대표적인 로마 가톨릭교회의 반란이 방데 반란이다. 방데 반란은 수많은 희생자를 낳고 진압되었다. 프랑스 혁명 전쟁[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프랑스 혁명 전쟁입니다. 프랑스 혁명의 사상이 전파될까 두려워한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의 지배계급들은 자국의 혁명 지지파를 박해하였다. 프랑스는 《필니츠 선언》과 왕당파와 망명 귀족(에미그레 : 이민이라는 의미)의 선동 활동은 혁명 정부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라고 받아들였다.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양국은 1792년 2월 대(對)프랑스동맹을 체결하였고 지롱드파 내각은 혁명을 계속하기 위해 대외 전쟁을 단행한다. 프랑스 혁명 정부는 오스트리아에는 1792년 4월 20일[10], 그리고 프로이센에는 같은 해이지만 약간 지체하여 7월 8일에 선전포고를 했고, 프랑스 혁명 전쟁이 발발했다.[11] 그러나 프랑스군 장교들은 보수적인 귀족 계급이기 때문에 혁명 정부에 대한 협력에는 소극적이었고, 혁명군은 각지에서 전투에서 패배했다. 마리 앙투아네트는 모국과 동맹국에게 프랑스 왕실을 위협하는 혁명군의 움직임을 서신으로 전했다는 의심을 받았다. 8월 10일 사건[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8월 10일 사건입니다. 튈르리 궁전의 습격, 카루젤 광장에서의 전투 프로이센군이 국경을 넘어 프랑스 영토로 침입하자 정부는 조국의 위기를 전국에 호소하고, 이에 따라 프랑스 각지에서 조직된 의용병들이 파리에 집결했다. 이때 마르세이유의 의용병이 노래한 ‘라 마르세예즈’는 이후에 프랑스 국가(國歌)가 되었다. 파리 시민과 의용병은 프랑스군이 패배한 원인을 루이 16세와 마리 앙투아네트가 적과 내통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8월 10일에 튈르리 궁전을 공격하여 왕권을 중지시키고, 내부의 적인 국왕 일가를 모두 떵플 탑에 유폐했다. 당시 튈르리 궁전에는 스위스 용병대가 국왕 일가의 신변 경호를 하고 있었다. 그러나 루이 16세가 민중에게 발포를 금지했기 때문에, 그 대부분이 민중에게 학살되었다. 스위스 용병대 이외에도 일부 귀족이나 군인이 국왕 일가의 신변을 지키기 위해 분전했는데, 그 중에는 앙리 드 라 로슈자클랭과 프랑스와 드 샤레트, 루이 드 레스큐르, 장 니콜라 스토프레 등 후 방데 반란에서 지도적 역할을 한 인물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9월 학살[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9월 학살입니다. 8월 26일에 롱위가 프로이센군에 의해 공략되고, 파리 침공에 대한 위기감이 한층 높아졌다. 의용병을 모집했지만, 한편으로는 “감옥에 수감되어 있는 반혁명주의자들이 의용군의 출병 후 파리에 남은 가족을 학살할 것"이라는 풍문이 떠돌고 있었다. 9월 2일 아침 혁명전쟁에서 오스트리아군이 베르덩 요새를 함락시키고, 그 패전 소식이 파리에 충격을 가져왔다. 당통은 의회 연설을 통해 시민을 선동하였다. 그리하여 반혁명파의 사냥이 시작되어 프랑스 전역의 반혁명 용의자를 체포하였고, 특별형사재판소의 약식 재판만으로 처형에 처하는 9월 2일부터 며칠 간의 학살이 이뤄졌다. 발미 전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발미 전투입니다. 프랑스군은 9월 20일 발미 전투를 계기로 반격에 성공하여 적군을 국경 밖까지 밀어냈다. 이 과정에서 의용병에 참가한 많은 하층민 계급(상퀼로트, 무산자 계급)의 ​​정치적 발언권이 급속하게 증가했다. 상퀼로트는 급진적인 정책을 제시한 자코뱅파를 옹호했고, 혁명은 극좌화되어 갔다. 자코뱅파에는 로베스피에르, 마라, 당통 등이 소속되어 있었다. 이때의 혁명전쟁의 시작과 함께 발행한 아시냐 지폐(교회의 토지 등을 담보로 한 불환지폐)의 증발(액면가의 57%로 급락)은 나중에 1794년 최고가격령 폐지와 함께 발생한 급격한 인플레이션의 원인이 되었다. 한편, 흑인 노예를 이용한 플랜테이션 농업으로 전 유럽 수요의 절반 이상을 공급한 설탕이나 커피의 재배로 프랑스에 막대한 이익을 가져오고 있던 카리브 해의 식민지 생 도맹그(Saint - Domingue; 오늘날의 아이티 공화국)에서는 인권 선언에 의해서 물라토(백인과 흑인의 혼혈)에게 자유인으로 선거권이 인정되는 지를 둘러싸고 현지의 백인 크리올과 물라토 사이에 항쟁이 발생하고 있었다. 1791년 8월 22일에 부두교의 고위성직자 듀티 브쿠만이 흑인 노예를 이끌고 해방을 요구하면서 반란을 일으켰다. 생 도맹그는 영국, 스페인의 개입을 불러 대혼란에 빠졌다. 생 도맹그가 혼란스런 정세에 빠져있는 동안 프랑스 입법 의회는 1792년 4월 4일에 유색인 자유인의 평등을 결의하여, 물라토를 아군으로 끌어들이려고 했지만, 식민지의 대다수를 차지한 흑인 노예의 불만은 수습되지 않았다. 공화국의 성립[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국민 공회입니다. 처형되는 루이 16세 한편 혁명 전쟁은 민족주의를 자극시켜 지방에서 의용군이 조직되어 파리로 모이게 하였고, 프랑스군은 마침내 9월 20일에 프로이센군에게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입법의회가 해산되었다. 그리고 재산이나 소득 금액에 상관없이 모든 남자에게 선거권이 주어지는 보통 선거가 제도화되고, 선거를 통해 새로운 의회인 국민공회가 소집되었다. 1792년 9월 21일 국민공회는 공화정을 선포하여, 프랑스 제1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이에 따라 1791년 프랑스 헌법은 불과 1년 만에 폐지됐다. 공화국 정부는 루이 16세를 혁명 재판에 회부했다. 국왕이 전쟁 때 프랑스 정부와 국민을 배신했다는 증거가 많이 제출되어 1793년 1월 14일 국민 공회는 찬성 387, 반대 334로 루이 16세의 사형을 의결했다. 그러나 찬성 중 26표는 집행유예를 검토해야 한다는 조건부였다. 이 26표를 반대표로 의결하면 찬성 361 대 반대 360로 찬반 동수가 되기 때문에, 18일 집행유예에 대한 투표가 진행됐다. 찬성 380 대 반대 310로 집행유예 없음으로 의결되었기 때문에, 사형이 확정됐다. 1월 21일, 2만 명의 시민이 지켜보는 가운데 루이 16세는 파리의 혁명 광장(현재 콩코드 광장)에서 단두대에 처형되었다.[12] 10월 16일 마리 앙투아네트도 뒤로 손이 묶여 퇴비수레에 태워져 시내를 돈 이후 처형되었다. 국왕에게 사형 투표한 의원들은 "국왕 살인"으로 이후 보복을 받게된다. 그들은 이후의 왕정복고에서 권좌에 복귀한 왕당파로부터 원수로 백색 테러의 표적이 되었기 때문이다. 공포 정치[편집] 막시밀리앵 드 로베스피에르 이 부분의 본문은 공포정치입니다. 1793년 1월 루이 16세의 처형은 유럽 각국에 충격을 주었고, 영국 · 스페인 · 사르데냐 왕국도 반혁명에 서게 됐다. 또한 프랑스의 벨기에 합병은 영국의 적개심을 불러일으켰다. 그 이유는 벨기에의 셸데 강 하구의 점령은 영국과 유럽의 무역에 대한 위협요소이기 때문이었다. 영국을 중심으로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이 결성되어 각국의 군대가 프랑스 국경을 넘었다. 혁명 정부는 “30만명 모병”을 선포하고, 이것에 대한 반발로 왕당파가 부추긴 1793년 3월 방데 반란이 일어나 전국으로 확대되었다. 프랑스 혁명군들 중에서도 탈영자가 늘어만 갔다. 프랑스는 벨기에에서 오스트리아와 벌인 전투도 패했다.[13] 이러한 위기 외에도 지롱드파가 하층민의 식량 위기에 대해 아무런 정책을 취하지 않을 것을 선언하면서 하층민의 분노가 폭발한다. 6월 2일, 하층민이 지지하는 자코뱅파가 국민 공회에서 지롱드파를 추방하고 로베스피에르가 권력을 장악했다. 7월 13일 자코뱅의 지도자이자 저널리스트인 장 폴 마라가 샤를로트 코르데에게 암살을 당하는 등 테러리즘도 연발하여 프랑스 정세는 매우 불안정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자코뱅 당은 독재 정치를 시작한다. 공안위원회, 보안위원회, 혁명재판소 등의 기관을 통해 공포 정치를 했고, 반대파를 차례로 단두대로 보냈다. 로베스피에르는 당통, 에베르, 라부아지에, 카미유 데뮬랭, 뤼실 두플레시 등 에베르 파와 당통 파를 숙청했고, 농민에 대한 토지의 무상 분배 등 자기의 이상으로 하는 독립 소생산자에 의한 공화제의 수립을 목표로 했다. 법에 의한 보호와 신체의 자유, 소유의 권리를 담은 “인권 선언”은 휴지조각에 불과했다. 자코뱅 파는 8월 23일에 “국가총동원”을 선포하고 징병제를 실시하여 군비를 정돈하고 외국의 간섭 전쟁에 반격에 성공했다. 이처럼 프랑스 본토에서는 공포 정치가 진행되었지만, 한편 생 드망에서는 1793년 8월 29일 프랑스 본토에서 파견된 국민 공회 의원 레제 프리시테 손토나가 노예 제도의 폐지를 독단으로 선언 하고 이 선언을 추인했다 로베스피에르와 자코뱅 파는 1794년 2월 4일 국민 공회에서 푸뤼비오즈 16일 법을 통과, 서구 세계 최초의 식민지를 포함한 전반적인 노예제 폐지를 결의했다. 이렇게 루이지애나, 기아나, 산토 도밍고(현재 아이티), 마르티니크, 과들루프 등 대륙의 광대한 지역에서 《흑인법》 아래 농장 농업에 묶여 있던 흑인 노예는 해방되어 자유인이 되었다. 이것은 영국에 저항하고 있었던 산토 도밍고의 흑인 실력자 투생 루베르튀르의 프랑스 복귀를 이끌어내는 등 자코뱅 파를 통해 자유와 평등이 실천되었다고 할 수 있다. 테르미도르의 쿠데타[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테르미도르의 반동입니다. 결과적으로 로베스피에르는 국내외의 혼란한 상황 속에서 자신의 의견을 완고하게 관철시켜려 하여 많은 사람들을 단두대에서 처형하는 공포정치를 실시하였다. 로베스피에르는 혁신 정책은 민중의 지지를 얻었으나 상공업자들과 토지를 얻은 농민들은 혁명이 더 이상 진행되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그러나 공포정치가 계속되자 반대파는 1794년 7월 27일(혁명력 2년) 측근인 생 쥐스트와 함께 참석한 로베스피에르는 국민공회에서 의장 조제프 푸셰,데르브와와 랑베르 탈리앵, 비요 바렌 등에게 탄핵을 당한다. (테르미도르의 반동) 장내에서 탈리앵 등이 “폭군을 타도하자!”라는 연설을 하였으며, 로베스피에르 파의 체포를 요구하여, 오후 3시 로베스피에르, 쿠통, 생 쥐스트 등의 체포 결의가 통과했다. 다음 날 7월 28일 로베스피에르 등 22명은 자신들이 애용한 단두대에서 처형을 당한다. 총재 정부[편집] 혁명력 8년 브뤼메르 18일의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이 부분의 본문은 총재 정부 및 통령 정부입니다. 로베스피에르가 처형된 후인 1795년에 국민공회는 공화력 3년 헌법을 제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총재정부를 수립하였다. 이는 5명의 총재가 행정권을, 원로원과 500인회에서 입법권을 갖는 체제로 운영되었다. 하지만 총재정부는 출범하자마자 반대파들이 일으킨 반란을 직면하게 되었다. 1795년 10월 5일 반대파가 일으킨 방데미에르 13일 반란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장군에 의해 진압되었다. 반대파의 반란을 진압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이후 이집트 원정과 이탈리아 원정을 통해 국민들의 지지를 얻었다. 반면, 총재정부는 당시의 경제, 사회적 불안에 대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며 민심을 잃었다. 통령 정부[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브뤼메르 18일입니다. 마침내 나폴레옹은 1799년 브뤼메르 18일에 쿠데타를 일으켜 총재정부를 전복시키고 통령정부를 수립하여 제1대 대통령의 자리에 올랐다. 프랑스 혁명으로 태어난 프랑스 제1공화국은 나폴레옹에 의해 시작된 프랑스 최초의 제정으로 10여년의 단명으로 막을 내렸다. 또한 나폴레옹이 실각한 후 혁명으로 붕괴된 부르봉 왕조가 부활했다. (부르봉 왕정복고) 혁명 정신[편집] 1789년 혁명 초기부터 혁명의 슬로건은 자유와 평등, 박애였고[14], 이러한 혁명 과정에서 발간된 여러 기록물에서는 세부적인 권리와 당면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일부에서는 자유와 평등, 권리로 표현된 경우도 있고, 1789년 8월 26일에 발표한 《프랑스 인권선언》에는 혁명 슬로건에 부수되는 당면 문제들이 거론되어 있다[15]. 선언문 제2항에서 “자유와 소유권, 안전 그리고 억압에 대한 저항”이라고 밝히어 자유와 소유권, 안전(생존권), 저항권을 천명하였다. 널리 확산된 혁명 정신의 여파로 다양한 계층에서 분출된 수많은 요구들이 혼란의 와중에서 수시로 반영되었고 1793년에 제정한 '프랑스 헌법'에는 자유와 평등, 안전, 소유권을 말하였고(특히 제8조는 안전과 인격, 권리 그리고 재산이 거론되었다), 1799년 12월 15일 《통령 정부 선언문》에서는 “소유권, 평등 그리고 자유라는 거룩한 권리”로서 나타나고 있다, 그밖에 1794년 〈방토즈 법령 시행규칙〉에 대한 생 쥐스트의 기록이나 1795년 총재 정부 헌법에서도 혁명의 목표들은 다양하게 나타나있다. 혁명 정신과 관련하여“박애”를 올바르게 명시한 기록은 1793년 파리 시 집정관 회의이며, 다음과 같은 표어를 모든 집에 내걸도록 하자고 결의하였다. “ 공화국을 위해 흩어지지 말고 단결하라. 자유와 평등, 박애가 아니면 죽음을 달라. ”   — 1793년 파리 집정관 회의 한편, 자유와 평등이라는 이념 속에는 르네상스 이래 인본주의의 영향으로 인간존중, '인간존엄'이라는 천부인권사상이 전제되어 있고 이는 곧 인도주의, 박애주의와 연결되어 이미 혁명정신인 우애, 박애정신을 당연히 포함한다고 하겠다. 1875년 공화국 헌법(제3공화국 헌법)이 채택되면서, 프랑스 공화국의 공식 이념으로서 자유와 평등, 박애가 확고히 자리잡았다. 연표[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프랑스 혁명 연표입니다. 세계 열강들의 혁명 시기[편집] 미국 - 1775년 미국 독립 혁명 일본 - 1868년 메이지 유신 영국 - 1688년 명예 혁명 프랑스 - 1789년 프랑스 혁명 독일 - 1848년 1848년 독일 혁명 러시아 - 1917년 러시아 혁명 관련 예술 작품[편집] 문학 《소설 프랑스 대혁명》앙드레 까스텔로 소설 《소설 프랑스 혁명》사토 겐이치 소설 《프랑스 혁명과 마리 앙투아네트》피에르 시프이 소설 《다이아몬드 목걸이 사건과 마리 앙투아네트 신화》주명철 《마리 앙투아네트 베르사유의 장미》슈테판 츠바이크 평전 《마리 앙투아네트 왕비》캐서린 래스키 소설 《마리 앙투아네트》안토니아 프레이 전기소설 영화 《프랑스 대혁명》 1989년 제작, 로베르토 엔리코 감독, 미국, 상영시간 360분.[16] 《당통》 1982년 작, 안제이 바이다 감독, 제라드 드빠르디유 주연[16] 만화 《베르사유의 장미》 (이케다 리요코, 1972년) 《테르미도르》 (김혜린, 1988년) 음악 《영웅교향곡》 (베토벤) 처음에 베토벤은 프랑스 혁명을 기리며 이 곡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게 헌정하려고 했으나, 1804년 5월 나폴레옹이 황제가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그 이름을 지워 버렸다는 일화가 있다. 같이 보기[편집] 러시아 혁명 프랑스 5월 혁명 프랑스 혁명력 시민혁명 프랑스 인권 선언 저항권 제3 계급 부르주아지 프롤레타리아 공화주의 인본주의 천부인권사상 보통선거 인민주권 (1793년 프랑스 헌법) 단두대 삼부회 국민의회 제헌국민의회 통령정부 바스티유 감옥 습격 사건 자코뱅당 국민공회 지롱드당 테르미도르의 반동 프랑스 혁명에 관한 성찰 미국독립전쟁 루이 16세 마리 앙트와네트 장 자크 루소 로베스피에르 당통 마라 생 쥐스트 에베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베토벤(영웅교향곡)(본래는 나폴레옹을 위해 지어진 곡이지만, 나폴레옹에게 실망하여 '어느 이름모르는 영웅을 위한 곡'이라고 곡명을 바꿈) 공포정치 프랑스 혁명 관련 인물 각주[편집] ↑ 프랑스어판 위키백과 ↑ 조르주 뒤비 (2006). 《지도로 보는 세계사》. 채인택 옮김. 생각의 나무. 75쪽. ISBN 89-8498-618-6. 부르주아 계급이 부상하고(18세기에 모든 선진국에서 나타난 특징적인 현상), 미국의 독립전쟁으로 자유의식이 고취된 가운데 흉작으로 불만이 고조된 프랑스에서는 혁명이 발발한다. 도시민과 농민대중의 개입(대공포)으로 폭력양상을 띤 이 혁명은 2년간에 걸쳐 전 체제를 전복시킨다. 이 혁명은 혁명의 소문을 들은 피지배민족의 자유와 독립쟁취 의식을 고취하여 여러 민족을 거느린 주변 강대국들을 불안하게 한다.  ↑ 〈절대왕제의 쇠퇴와 프랑스 혁명〔槪說〕〉.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2004. 프랑스는 18세기에 들어와서 혁명 전야까지 에스파냐의 계승전쟁을 비롯한 여섯 차례의 큰 전쟁에 관련했다. 이들 전쟁은 결코 이익이 되는 것은 아니었다. 이미 루이 14세의 만년에 국가 재정은 위기 양상을 나타내기 시작했는데, 그 후 위기는 더욱 심각해지고 만성화되어 갔다. 또한 루이 14세에 의한 위그노의 국외 추방은 그 후의 프랑스 산업 발전을 현저하게 저해하는 결과가 되었던 것이다. 프랑스의 부르주아적 발전은 영국에 비해서 지지부진한 것이었으나, 18세기 후반에는 중농주의자의 주장으로 대표되는 것 같은 곡물 거래의 자유, 인클로저의 자유를 요구하는 세력이 대두되고 있었다. 공업 부문에 있어서도 면직물 공업이 18세기 초부터 대두되기 시작해서 재래의 모직물·린네르 공업과 경합하게 되었다. 18세기 후반, 길드적 규제는 여전히 강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본주의적 매뉴팩처가 각지에 출현하고 있었다. 1774년 재무총감의 자리에 앉은 중농주의자인 튀르고는 부르주아적 발전을 저지하던 영주적(領主的)·국가적 통제를 제거할 것을 꾀했다. 1776년에는 ‘여섯 가지 칙령(勅令)’이 공포되었는데, 이것은 농민을 농노적(農奴的) 부담에서 해방시키고, 공업에 있어서의 길드제를 폐지하며, 농업·노동에 대한 자유를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것은 부르주아적 이해와 대립하는 봉건적 귀족과 기생적(寄生的) 특권 상인의 세력을 약화시키는 일이 불가피한 과제가 되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부르주아적 발전에 대응하여 노동자의 자본에 대한 투쟁이 조직적으로 실시되기에 이르렀다. 견직물 공업의 중심지였던 리옹에서는 직포공(織布工)의 스트라이크가 18세기 후반에 속발(續發)되기에 이르고 있다. 한편 귀족 계급은 승려(僧侶)와 함께 봉건적 특권을 누리고 있었는데, 18세기에는 여러 그룹으로 갈라져 있었다. 군무에 복무하는 대검귀족(帶劍貴族)과 법복귀족(法服貴族)으로 대별되고 있었으나 약간의 귀족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상류귀족은 궁정(宮廷)에 기식(寄食)하여 영지 경영에 관심을 갖지 않고 나태한 생활을 보냈으며, 대부분의 사람은 막대한 부채를 짊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이 18세기 후반에는 절대왕제와 절대왕제의 지지자였던 귀족의 대부분도 재정적 곤경에 빠져 있었다. 그들은 농민의 착취를 강화시키는 것으로써 더욱더 농촌을 황폐시켰다. 프랑스의 부르주아적 발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사회의 대변혁이 불가피했었다. 계몽 사상가는 이와 같은 모순에 찬 사회 제도에 통렬한 비난을 가하여 합리적인 사회제도의 출현을 선동했다.  ↑ Gerald Leinwand (1986). 〈Chapter 14 The French Revolution and Napoleon: A Close Look at a Revolution〉. 《The Pageant of World History》. Allyn & Bacon. 320쪽. ISBN 978-0-205-08680-1. In 1789, the power of governing was in the hand of a well meaning but feeble king, Louis XVI. Louis XVI had inherited many problems from Louis XV, who boasted that after his reign there would be a deluge. He meant that after his reign there would be a flood of troubles.  ↑ 김성환, 《교실밖 세계사여행》, 사계절, P.179. ↑ Arthur William Holland (1911). 〈Opening of the States-General.〉.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The French Revolution》. The elections to the states-general of 1789 were held in unfavourable circumstances. The failure of the harvest of 1788 and a severe winter had caused widespread distress. The government was weak and despised, and its agents were afraid or unwilling to quell outbreaks of disorder. At the same time the longing for radical reform and the belief that it would be easy were almost universal. The cahiers or written instructions given to the deputies covered well-nigh every subject of political, social or economic interest, and demanded an amazing number of changes. Amid this commotion the king and his ministers remained passive. They did not even determine the question whether the estates should act as separate bodies or deliberate collectively. On the 5th of May the states-general were opened by Louis in the Salle des Menus Plaisirs at Versailles.(1789년의 삼부회가 열리던 당시의 상황은 심각하였다. 1788년의 흉작과 혹독한 겨울로 인한 고통이 전국토를 휘감았다. 정부는 나약했으며 멸시받고 있었다. 관리들은 불복종이 표출되는 것을 진압하기를 두려워하거나 망설이고 있었다. 이와 함께, 근본적인 개혁에 대한 갈망과 그 개혁이 쉬울 것이라는 신념이 일반적이었다. 대의원들에게 주어진 서면 지시 사항은 정치적 · 사회적 · 경제적 관심들을 총망라한 것이었으며 아주 많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었다. 이러한 소란 가운데, 왕과 그의 신하들은 여전히 수동적인 자세였다. 그들은 삼부회가 개별적으로 열려야 할지 아니면 함께 종합적으로 고민해야 할지 하는 문제도 결정하지 못했다. 1789년 5월 5일 루이16세는 베르사이유 궁전의 살 드 메뉘 플레지르에서 삼부회를 열었다.  ↑ 디트리히 슈바니츠, 《교양-사람이 알아야 할 모든 것》, 들녘, 2004년, ISBN 89-7527-420-9, 219쪽 “…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는 1788년 삼부회(三部會)를 소집했다. 이것은 1614년이 마지막으로 개최되었던 중세적 의회였다. 거기에서는 귀족, 교회와 일반 시민의 대표가 따로 모였다. ” ↑ Arthur William Holland (1911). 〈Opening of the States-General.〉.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The French Revolution》. Barentin, the keeper of the seals, informed them that they were free to determine whether they would vote by orders or vote by head. Necker, as director-general of the finances, set forth the condition of the treasury and proposed some small reforms. The Tiers État (Third Estate) was dissatisfied that the question of joint or separate deliberation should have been left open. It was aware that some of the nobles and many of the inferior clergy agreed with it as to the need for comprehensive reform. Joint deliberation would ensure a majority to the reformers and therefore the abolition of privileges and the extinction of feudal rights of property. Separate deliberation would enable the majority among the nobles and the superior clergy to limit reform. Hence it became the first object of the Tiers État to effect the amalgamation of the three estates.(국새상서(國璽尙書)인 샤를 루이 프랑소와 드 폴 드 바렝탕Charles Louis François de Paule de Barentin)은 그들이 신분별로 또는 인원수대로 투표할 수 있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고 알려왔다. 재무총감 네케르는 재정의 조건을 전제로, 몇 가지 작은 개혁안을 제안하였다. 제삼부회(Tiers État)는 회의를 개별적으로 할지 모여서 할지도 결정하지 못한 것에 대해서 실망하였다. 귀족들 중 일부와 하위직 성직자들의 다수는 실질적인 개혁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제삼부회에 동의하였다고 알려졌다. 합동 회의를 개최한다면, 다수를 차지하는 평민 계급은 개혁, 특권의 폐지와 부동산에 대한 중세적 권리의 폐지를 통과시킬 것이었다. 분리 회의를 하는 경우, 귀족의 대부분과 상급 성직자는 개혁을 제한하려고 할 것이었다. 따라서, 삼부회를 합동으로 개최하자는 것이 제삼부회의 첫 번째 의제로 부각하였다.  ↑ 브리태니커 편찬위원회《근대의 탄생》(Agora,P267) ↑ F. A. M. Miguet (1824).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from 1789 to 1814》. 130쪽. On the 20th of April, [...] Having failed in these efforts, I now come, according to the terms of the constitution, to propose to the national assembly war against the king of Hungary and Bohemia." ... As soon as the king had withdrawn, the assembly voted an extraordinary sitting for the evening. In that sitting war was almost unanimously decided upon.  ↑ 김용구. 《세계외교사》 1995(上•下 合本)판. 서울대학교 출판부. 2쪽. ISBN 89-7096-413-4. 이에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양국은 1792년 2월 對프랑스동맹을 체결하였고 프랑스는 4월 오스트리아에 대하여 전쟁을 선포하였다. 20여 년간의 유럽전쟁이 시작된 것이다.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초판= (도움말) ↑ Arthur William Holland (1911). 〈Trial and execution of Louis XVI.〉.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The French Revolution》. On the question whether Louis was guilty none ventured to give a negative vote. The motion for an appeal to the people was rejected by 424 votes to 283. The penalty of death was adopted by 361 votes against 360 in favour of other penalties or of postponing at least the execution of the sentence. On the 21st of January 1793 Louis was beheaded in the Place de la Révolution, now the Place de la Concorde.  ↑ 디트리히 슈바니츠, 《교양-사람이 알아야 할 모든 것》, 들녘, 2004년, ISBN 89-7527-420-9, 226쪽 “왕의 처형과 벨기에의 합병은 영국의 적개심을 불러일으켰다. 그 이유는 벨기에의 셸데 강 하구의 점령은 영국과 유럽의 무역에 대한 위협요소이기 때문이었다. 프랑스 혁명군들 중에서도 탈영자가 늘어만 갔다. 프랑스는 벨기에에서 오스트리아와 벌인 전투도 패했다. 국민의회는 이런 압력을 받자 그 해결방안을 상업, 재정, 농업 따위의 특수분과 담당위원회들에게 위임했다. ” ↑ Georges Lefebvre (2005) [1947]. 《The Coming of the French Revolution》 Princeton UP. p. 212. ↑ Martin, Henri.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French monarchy》 Volume II (1866) p. 481 ↑ 가 나 http://www.vop.co.kr/view.php?cid=A00000306480 프랑스 혁명 다룬 영화 '프랑스 대혁명'과 '당통', 민중의 소리 참고 자료[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프랑스 혁명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거 통제 LCCN: sh85051319 GND: 4018183-2 BNF: cb11941849g (데이터) HDS: 1721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프랑스_혁명&oldid=24415653" 분류: 1789년 프랑스1792년 프랑스1794년 프랑스1789년 분쟁1790년 분쟁1791년 분쟁1792년 분쟁1793년 분쟁1794년 분쟁막시밀리앙 드 로베스피에르프랑스 혁명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Boarisch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বাংলা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Cebuanoکوردی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VõroFøroysktFrançaisNordfriiskFurlanFryskGaeilgeGàidhligGalegoAvañe'ẽGaelg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nterlingue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PatoisJawaქართულიQaraqalpaqshaKabɩyɛҚазақшаಕನ್ನಡКъарачай-малкъарKurdîKernowekLatinaLëtzebuergeschЛезгиLingua Franca NovaLimburgsLigureLumbaartລາວ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MaltiMirandésမြန်မာဘာသာمازِرونیNapulitanoPlattdüütsch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icard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mantsch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Саха тылаSarduSicilianuScotsسنڌي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Ślůnskiதமிழ்తెలుగు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epsän kel’Tiếng ViệtWest-VlamsWinaray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2일 (수) 13: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프랑스 혁명(프랑스어: Révolution française [ʁevɔlysjɔ̃ fʁɑ̃sɛːz], 영어: French Revolution, 1789년 5월 5일 ~ 1799년 11월 9일)은 프랑스에서 일어난 시민 혁명이다. 프랑스 혁명은 엄밀히 말해 1830년 7월 혁명과 1848년 2월 혁명도 함께 일컫는 말이지만, 대개는 1789년의 혁명만을 가리킨다. 이때 1789년의 혁명을 다른 두 혁명과 비교하여 프랑스 대혁명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프랑스 혁명 기념일은 매년 7월 14일로 국경일이자 공휴일이다. 프랑스 혁명의 발단이 된 바스티유 감옥 습격이 발생한 1789년 7월 14일을 기리기 위해서 이듬해 1790년 7월 14일에 진행된 혁명기념 축제가 그 기원이다. 프랑스 사회는 절대왕정이 지배하던 앙시앵 레짐(구체제) 하에서 18세기에 모든 선진국에서 나타난 일반적 특징처럼 자본가 계급이 부상하고 있었다. 또한 미국 독립혁명의 영향으로 자유의식이 고취되어 있었다. 이런 가운데 발생한 심각한 경제불황은 인구의 절대다수(98%)를 차지하던 평민들의 불만을 가중시켰으며 마침내 흉작이 발생한 1789년에 봉기하게 되었다. 시민과 농민의 개입으로 민중혁명의 단계로 변화된 이 혁명은 3년간에 걸쳐 모든 체제를 전복시켰다. 혁명 소식을 접한 피지배 민족들이 자유와 독립 쟁취 의식에 고취되자 여러 민족을 거느린 유럽의 군주들은 불안감을 느꼈다.프랑스 혁명이 앙시앵 레짐(구체제)을 무너뜨린 후 80년간 공화정, 제정, 군주정으로 국가 체제가 바뀌며 불안한 정치 상황이 지속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뒤이어 이어진 나폴레옹 전쟁과 함께 결국 유럽에 민족주의, 자유주의를 널리 퍼뜨리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크게 보면 유럽과 세계사에서, 정치 권력이 왕족과 귀족에서 자본가 계급으로 옮겨지는, 역사적으로 완전히 새로운 시기를 열어 놓을 만큼 뚜렷이 구분되는 전환점이 되는 사건이다. 자본주의의 발전기에 있어서 시민 계급이 절대 왕정에 저항하여 봉건적 특권 계급과 투쟁해서 승리를 쟁취했으며 새로운 정부와 새로운 사회를 건설해낸 최초의 사회 혁명이라 할 수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프랑스 왕비가 참수형에 처해진 연도는? Assistant: 1793년
Human: 아래 링컨의_집에서_살아남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링컨의 집에서 살아남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링컨의 집에서 살아남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링컨의 집에서 살아남기The Loud House 장르 코미디 일상물 TV 애니메이션 기획 크리스 사비노 감독 크리스 사비노 카일 마샬 (Slice of Life 단편) 프로듀서 캐런 말락 이그제큐티브프로듀서 크리스 사비노 성우 그랜트 팔머 캐서린 타버 릴리아나 머미 니카 푸터만 크리스티나 푸체리 제시카 디시코 그레이 그리핀 라라 질 밀러 칼릴 해리스 오프닝 곡 "The Loud House" 엔딩 곡 "In The Loud House" 음악 미셸 루이스 더그 록웰 크리스 사비노 제작 니켈로디언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미국) 잼 필드 엔터테인먼트 (캐나다) 방송사 니켈로디언 YTV 해상도 HDTV 1080i 방영 기간 2016년 5월 2일 ~ 2016년 5월 3일 ~ 시즌 3 화수 78 틀 - 토론 《링컨의 집에서 살아남기》(영어: The Loud House 더 라우드 하우스[*])는 크리스 사비노가 창작하고 니켈로디언에서 방영하는 미국의 TV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다. 니켈로디언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와 잼 필드 엔터테인먼트에서 제작하는 이 애니메이션은 '링컨 라우드'라는 이름의 11살 소년이 라우드 집안의 열한 명의 자식 중 유일한 아들로서 겪는 일을 다루고 있다. 2013년에 열린 단편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에 크리스 사비노가 피치한 2분 가량의 단편을 기반으로 하며, 이듬해 제작이 승인되어 2016년 5월 2일에 초연되었다. 사비노가 어린 시절 대가족에서 자란 경험이 바탕이 되는 이 애니메이션은 신문 코믹 스트립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가상의 도시 미국 미시간 주의 로열 우드를 배경으로 하는 이 애니메이션은 11살 소년 링컨 라우드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링컨은 대부분이 여자 형제들로 이루어진 대가족에서 유일한 아들이다. 열 자매는 장녀 로리, 예쁘지만 어리석은 레니, 록 스타를 꿈꾸는 루나, 코미디언 지망생 루안, 운동신경이 뛰어난 린, 우울한 고스족 루시, 성격이 극과 극인 두 쌍둥이 롤라와 라나, 꼬마 천재 리사, 그리고 아기 릴리로 구성되어 있다.[1] 일반적으로 각 에피소드마다 링컨이 제4의 벽을 부수면서 혼란스러운 라우드 가족을 설명하며 시작한다. 목차 1 배역 1.1 주역 1.2 주변 인물 2 캐스팅 3 개발 3.1 애니메이션 3.2 각본과 캐릭터 3.3 음악 4 공개와 에피소드 4.1 방영 개요 4.2 시즌 1 (2016년) 4.3 시즌 2 (2016년 ~ 2017년) 4.4 시즌 3 (2018년 ~ 2019년) 5 반응 5.1 시청률 5.2 평가 5.3 수상 및 후보 6 각주 7 외부 링크 배역[편집] 성우는 미국/한국 순이다. 주역[편집] 링컨 라우드 (11)(성우: 숀 라이언 폭스(파일럿)→그랜드 팔머(1기 1~22화)[2]→콜린 딘(1기 23화~현재)/양정화) 로리 라우드 (17)(성우: 캐서린 타버/여민정) 레니 라우드 (16)(성우: 릴리아나 머미/이지현) 루나 라우드 (15)(성우: 니카 푸터만/류점희) 루안 라우드 (14) (성우: 크리스티나 푸체리/정혜원) 린 라우드 (13)(성우: 제시카 디시코/김연우) 루시 라우드 (8)(성우: 제시카 디시코/이지현) 라나 라우드 (6)(성우: 그레이 그리핀/정혜원) 롤라 라우드 (6)(성우: 그레이 그리핀/류점희) 리사 라우드 (4)(성우: 라라 질 밀러/김자연) 릴리 라우드 (생후 15개월)(성우: 그레이 그리핀/김자연) 클라이드 맥브라이드 (성우: 칼릴 해리스/김혜성) 주변 인물[편집] 린 라우드 시니어 (성우: 브라이언 스테파넥/김정훈) 리타 라우드 (성우: 질 탤리/김연우) 하워드&해럴드 맥브라이드 (성우:미국: 마이클 맥도널드&웨인 브레이디) 로버트 "바비" 산티아고 (본명: 로버트 알레한드로 마르티나즈-미안 루이스 산티아고 주니어)(성우: 카를로스 페나 주니어/김정훈) 로니 앤 산티아고 (성우: 브리아나 이디/김자연) 캐스팅[편집] "각각의 등장인물에 다른 사람을 배정한다면 좋은 일이지만, 현재 모든 것이 잘 굴러가기 때문에 바꾸지 않을 것이다. 게다가 들어가는 비용도 엄첨나다. 하나의 쇼를 제작하는 데에는 들어가는 인력에도 비용이 있고, 그들은 거의 대부분 에피소드에서 참여한다. 하지만, 그들은 형제이고 그러한 사운드를 내기 위해 한 명이 두 역을 맡는 것이 옳다고 생각했다. 당신이 루시가 린과 같은 성우라고 말할 수는 있어도, 이들은 서로가 자매처럼, 그리고 같은 집에서 태어난 것처럼 느껴진다."[3] —크리스 사비노 링컨 라우드 역에 그랜트 팔머, 로리 라우드 역에 캐서린 타버, 레니 라우드 역에 릴리아나 머미, 루나 라우드 역에 니카 푸터만, 루안 라우드 역에 크리스티나 푸체리, 린과 루시 라우드 역에 제시카 디시코, 라나와 롤라, 그리고 릴리 라우드 역에 그레이 그리핀, 리사 라우드 역에 라라 질 밀러, 클라이드 맥브라이드 역에 칼릴 해리스가 캐스팅되었다. 사비노는 인터뷰에서 역할의 나이와 같은 성우를 선호하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면서 "어른인 여배우를 고용해야 한다는 사실은 알고 있지만, 링컨은 그 또래의 아이가 해야 했다"고 말했다. 그리고 "어른이 아무리 아이 연기를 잘해도 거기엔 뭔가 빠져있고, 어른이 복제할 수 없는 아이만의 진성이 그들의 목소리에 있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말했다.[3] 어른 성우에 대해서 특정한 사람에게 찾아가 요청을 했는지, 아니면 모든 역에 오디션을 보았는지를 물었을 때, 사비노는 오디션을 보았지만 "여기에 나오는 많은 여성들이 이미 내가 작업하던 많은 쇼에서 함께 했던 분들이다. 그리고 그들이 쇼에 완벽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저 그들이 와서 다양한 역할을 연기하고 최고로 잘 맞는 사람을 뽑으면 되었다."고 말했다. 이어 자신의 기억이 맞다면 캐스팅할 10개의 배역을 15명에서 16명 중에서 뽑았다며 자신들은 누가 적절할 것인지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제시카 디시코가 두 역을 맡을 줄은 몰랐으며 그레이 그리핀이 세 역을 하게 될 줄도 몰랐으며, 그들은 "너무나 잘해주었다. 작은 역도 그들에게 맡겼는데, 그것도 훌륭하게 해냈다."고 말했다.[3] 닉 애니메이션 팟캐스트에서 루안 역의 크리스티나는 이 역을 맡으면서 "말장난의 팬"이 된 것 같다면서 "아재처럼 모든 것에 말장난을 같다 붙이게 되었다"고 말했다. 레니 역의 릴리아나는 그녀를 "연기하는 게 너무 좋다. 레니는 명랑하고 멍청하고, 그냥 바보 금발을 연기하는 게 즐겁다"고 말했다.[4] 제시카 디시코는 어떻게 두 역할을 연기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그저 쓰여진 데로 읽었을 뿐이다. 함께 하면서 흥분되는 에너지가 있다"면서 "캐릭터가 너무 깔끔하게 정립되어 있어 쉽게 둘을 오갈 수 있다"고 말했다.[4] 개발[편집] 시리즈의 기획자 크리스 사비노는 이전에도 숱한 유명 애니메이션을 작업해왔다. 애니메이션 산업에 뒤어드는 여러 젊은 신참들에게 자신의 경험을 조언해주며 그들이 니켈로디언 단편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시즌 1에 피치, 시리즈로 제작되는 모습을 지켜보던 그는 이에 고무되어 자신도 참여하기로 마음먹는다.[5] 인디와이어 인터뷰에서는, 니켈로디언의 중역 제나 보이드가 자신들이 하는 것 중 가장 훌륭한 것이 단편 프로그램이라며 이를 제안받았다고 말했다.[6] 그는 《링컨의 집에서 살아남기》를 포함한 세 개의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었으며, 그 중 한 아이디어를 2013년 니켈로디언 단편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에서 단편으로 선보였다.[5] 이후 1년이 되어 그린라이트가 켜졌다.[4] 애니메이션[편집] 프로그램의 애니메이션 스타일은 사비노가 사랑하던 만화와 그의 지식을 융합했다. 그는 자신이 원하던 카툰 스타일에는 셀에 그린 손 그림이 이상적이라고 생각했지만, 11명의 독특한 캐릭터들을, 더 나아가 텔레비전 형식에서 작업하는 것이 애니메이터들에게 큰 부담이 되리라 생각했기 때문에 방법을 모색했다.[7] 코믹 스트립에서 보이는 선을 복제, 모든 캐릭터에 적용하여 이러한 미학을 유지하려고 노력했으며, 하모니(Harmony)라는 애니메이션 소프트웨어를 사용했다. 이 소프트웨어는 이미지를 움직이기 위해 조작을 가했을 때, 더욱 유동적인 마무리를 줄 수 있었다.[7] 화면의 색조는 그가 어릴 적 매료된 1970년대 만화의 한정된 색상을 본떴으며 바닥과 벽, 그 외 환경에는 고전 코믹 스트립에서 나타나는 망점을 도입했다.[7] 작품에 참여한 애니메이터 조던 로사토의 말에 의하면, 하나의 에피소드를 제작하는 데에는 800 ~ 1,000장의 스토리보드가 필요하다고 한다.[8] 각본과 캐릭터[편집] 레니의 이름은 존 스타인벡(사진)의 희곡 《생쥐와 인간》의 등장인물에서 가져왔다.프로그램은 사비노가 자신이 대가족에서 자랐던 경험을 기반으로 했다. 개발 초기에는 라우드 일가가 25명의 토끼 자매로 구성될 예정이였지만, 개발책임자 보이드의 조언을 받은 후 인간으로 바뀌었다. 사비노는 "그녀가 맞았어요. 우리가 형제의 수를 25명에서 10명으로 줄이니 모든 게 딱 맞아 떨어졌죠."라고 회상했다".[6] 사비노는 토끼의 귀와 코를 지우는 등 살짝 변경을 주었으며 10명의 형제 사이에서 살아가는 11살 소년 링컨을 창조했다.[7] 사비노의 말에 의하면, 초기 토끼로 구상하고 있었을 때 그들의 이름은 모두 "B"로 시작했다. 이유에 대해서는 "유일하게 여성스러운 단어였기 때문"이라고 말한다.[6] 등장인물이 인간이 되자 그는 모두 "L"로 이름이 시작되고 네 글자였던 자신의 다섯 자매 이름을 따와 로리, 리사, 린, 루안, 라나의 이름을 지어주었다.[3][9] 그리고 자신의 닥스훈트 롤라와, 어머니가 기르던 닥스훈트 루나의 이름을 가져왔고, 루시와 릴리는 자신과 아내가 딸을 낳으면 고려하고 있던 이름을 가져왔다.[6] 레니는 존 스타인벡의 희곡 《생쥐와 인간》에 등장하는 레니(Lennie)에 기반을 두었다. 사비노는 "그녀는 자신의 강점을 모르지만, 대단히 착하다는 면"에서 비슷하다며, 네 글자에 맞게 철자를 줄여 레니(Leni)로 바꾸었다고 말했다.[6] 가장 마지막에 지어진 링컨의 이름은 루이스, 리오, 리안 등의 이름이 고려되었지만 전부 캐릭터와 맞지 않다고 생각해 기각, 문득 자신이 살던 거리 이름 '링컨'을 떠올린 사비노가 지어줬다.[9] 사비노는 자신의 삶에서 진정으로 가져온 것이 있다면 바로 누이들의 이름이라면서, 그들이 이름 사용을 고맙게 생각하고 있다고 전했다.[6] 《피너츠》와 같이 모든 캐릭터의 의상에는 특징적인 색이 있다.[7] 단편 애니메이션에서 그는 열 형제와의 동거와 데이트를 해야 했던 자신의 어려움을 반영했고 전 세계인의 공감을 얻기 위해 링컨이 화장실에 가려고 하는 이야기를 꾸며냈다. 링컨이 화장실에 가지 못하게 가로막는 이 시끄러운 아이들 속에서 그는 애니메이션의 이름을 착안했다.[7] 이야기의 창작에서 사비노가 중점을 두었던 것은 대가족에서 나타나는 유머를 발굴하여 대중의 반향을 일으키는 것이었다. 최상급의 작가진들이 모여 독특한 개별 캐릭터의 성격을 기술하고 설득력 있는 링컨의 상황을 연출했다.[7] 사비노는 인터뷰에서 캐릭터의 생일은 없으며 마찬가지로 생일 에피소드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들은 나이가 너무 구체적"이었고, "로리가 18세가 되면 집을 나가야 하기 때문에 17세로 정해두었다. 그러면 "문 밖으로 한 발" 태도를 가지게 된다."며 "나이를 먹으면 로리가 방출"되기 때문에 모두의 나이를 올리지 않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링컨의 집에서 살아남기》의 끝에서 18세가 된 로리가 대학에 가는 슬픈 에피소드를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3] 음악[편집] 여는 곡과 닫는 곡을 공동 작곡한 사비노가, 이것이 얼마나 쇼에서 중요한가를 질문받았을 때 그는 "굉장히 중요하다"면서 "단 1분의 여는 곡 조차도 쇼 전체를 아울러 규정하는 것이었다"고 어릴 적 기억을 떠올렸다. 이어 곡은 30초 분량만 할당되었고, 자신이 쓴 수많은 가사를 주제곡을 작곡하는 천재들이 이 중 몇몇을 선정하여 작업했다고 말했다. 그리고 곡은 반드시 귀에 하루종일 맴돌게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6] 공개와 에피소드[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링컨의 집에서 살아남기의 에피소드 목록입니다. 대한민국 방영 로고 미국 현지 시각으로 2016년 5월 2일 오후 5시 니켈로디언에서 데뷔했다.[10] 대한민국에서는 2016년 5월 3일 오후 8시 니켈로디언 코리아에서 초연되었다.[11] 국제적으로는 이스라엘과 이탈리아에서 5월 15일에 초연되었다.[12] 라틴 아메리카, 브라질, 폴란드, 독일, 프랑스, 아프리카가 그 다음 날 초연되었다.[13] 동남아시아에서는 5월 20일에, 호주, 뉴질랜드, 영국, 아일랜드에서는 5월 30일에 방영하기 시작했다.[14] 캐나다에서는, YTV에서 스닉 픽을 2016년 9월 5일에 방영했으며, 2016년 9월 6일에 공식적으로 초연되었다.[15] 2014년 6월, 니켈로디언은 《링컨의 집에서 살아남기》 시즌 1의 13개 에피소드 제작이 허가되었다고 발표했다.[16] 에피소드 개수는 이후 26개로 오른다.[17] 2016년 5월 25일, 니켈로디언은 14개의 에피소드로 이루어진 두 번째 시즌의 제작이 허가되었다고 발표했다.[18] 2016년 10월 19일, 26개의 에피소드로 이루어진 시즌 3 제작이 허가되었다.[19] 〈링컨 라우드의 마지막 조각을 먹기 위한 ABC〉란 제목의 스페셜 미니코믹이 2015 샌디에이고 코믹콘 인터내셔널에서 무료로 공개되었다. 창작자 크리스 사비노가 각본을 썼고, 사비노와 스토리보드 아티스트 조던 로사토가 그렸으며, 아트 디렉터 아만다 린다가 채색했다.[20] 〈듀스 와일드〉란 제목의 두 번째 미니코믹은 2016 샌디에이고 코믹콘 인터내셔널에서 무료로 공개되었다. 크리스 사비노와 카를라 새키스 슈롭셔가 각본, 사비노와 조던 로사토가 그림, 아만다 린다가 채색을 담당했으며, 미겔 푸가와 재러드 모건이 표지를 그렸다. 방영 개요[편집] 시즌 회수 방송 날짜 시즌 시작 시즌 종료 파일럿 2014년 6월 5일 (2014-06-05) 1 26 2016년 5월 2일 (2016-05-02) 2016년 11월 8일 (2016-11-08) 2 26 2016년 11월 9일 (2016-11-09) 2017년 12월 1일 (2017-12-01) 단편 추후 공개 2016년 4월 15일 (2016-04-15) 추후 공개 3 26 2018년 1월 19일 (2018-01-19) 2019년 3월 7일 (2019-03-07) 4 26 2019년 5월 27일 (2019-05-27) 추후 공개 시즌 1 (2016년)[편집] 어둠 속에 남겨지다(Left in the Dark)/메시지를 지워라!(Get the Message) 간섭쟁이 형제들(Heavy Meddle)/링컨과 트로피(Making the Case) 면허증 따기 대작전(Driving Miss Hazy)/대장이 된 링컨(No Guts, No Glori!) 달콤 구역(The Sweet Spot)/어른 식탁(A Tale of Two Tables) 발표 숙제 성공 대작전(Project Loud House)/여행 장소 정하기(In Tents Debate) 조용한 세상(Sound of Silence)/공포의 침입자(Space Invader) 완벽한 선물(Picture Perfect)/습관을 버려라!(Undie Pressure) 혼자만의 수영장(Linc or Swim)/릴리 바꾸기 대작전(Changing the Baby) 밤샘 파티(Overnight Success)/쫓겨나기는 싫어!(Ties That Bind) 물려받은 자전거(Hand-Me-Downer)/범인을 잡아라!(Sleuth or Consequences) 나비 효과(Butterfly Effect)/에너지 절약 운동(The Green House) 거미를 보호하라!(Along Came a Sister)/집안일 나누기(Chore and Peace) 링컨의 첫 콘서트(For Bros About to Rock)/숨겨진 돈을 찾아라!(It's a Loud, Loud, Loud, Loud, House) 미인 대회에 나간 라나(Toads and Tiaras)/릴리 돌보기 대작전(Two Boys and a Baby) 날 대신해 줘!(Cover Girls)/링컨의 특별한 데이트(Save the Date!) 관심이 필요해!(Attention Deficit)/리무진 타는 남자(Out on a Limo) 가족 밴드(House Music)/치과에 간 링컨(A Novel Idea) 공포의 만우절(April Fools Rules!)/시리얼 탐험(Cereal Offender) 여자 박사 링컨(Lincoln Loud: Girl Guru)/차고 세일(Come Sale Away) 진짜 사나이(Roughin' It!)/초대장이 필요해!(The Waiting Game) 운동은 괴로워(The Loudest Yard)/루시의 예언(Raw Deal) 댄스 파티(Dance Dance Resolution)/질투심 유발 작전(A Fair to Remember) 링컨과 남자 형제들(One of the Boys)/고자질쟁이 롤라(A Tattler's Tale) 깔깔 회사(Funny Business)/임시 휴일(Snow Bored) 공포 영화는 무서워!(The Price of Admission)/독감 전쟁(One Flu Over the Loud House) 링컨의 가정교사(Study Muffin)/즐거운 나의 집(Homespun) 시즌 2 (2016년 ~ 2017년)[편집] 라우드 가족의 크리스마스(11 Louds a Leapin') 최악의 직업 체험(Intern for the Worse)/할아버지는 청춘(The Old and the Restless) 오빠 연습(Baby Steps)/자매 싸움 규칙(Brawl in the Family) 소란스러운 휴가(Suite and Sour)/사랑에 빠진 루시(Back in Black) 동급생이 된 리사(Making the Grade)/아빠의 새 자동차(Vantastic Voyage) 쌍둥이 자매의 도전(Patching Things up!)/바람둥이를 잡아라!(Cheater by the Dozen) 도둑을 막아라!(Lock 'N Loud)/사진첩 다시 만들기(The Whole Picture) 링컨은 불운아(No Such Luck!)/개구리 구출 작전(Frog Wild) 봄방학 리스트(Kick the Bucket List)/로리의 파티(Party Down) 피자 먹기 대작전(Fed Up!)/달걀 아기 돌보기(Shell Shock) 에이스 새비 공모전(Pulp Friction)/동물들의 모험(Pets Peeved!) 릴리의 말버릇(Potty Mouth)/고백 편지(L is For Love) 외갓집에 간 로니 앤(The Loudest Mission: Relative Chaos) 학년 사진 만들기(Out of the Picture!)/완벽한 룸메이트(Room with a Feud) 링컨의 이별 후유증(Back Out There)/루시의 마법(Spell It Out!) 공포의 만우절(Fool's Paradise)/직장 구하기 대작전(Job Insecurity) '으아아 쇼' 체험기(ARGGH! You For Real?)/로리의 독립(Garage Banned!) 클라이드의 변심(Change of Heart)/체력 훈련(Health Kicked!) 미래를 위하여!(Future Tense)/린을 이겨라!(Lynner Takes All!) 설득의 제왕(Yes-Man)/친구 사귀기(Friend or Faux?) 루안과 코미디언 대회(No Laughing Matter)/깜짝 파티 대작전(No Spoilers!) 신비한 사원의 전설(Legends)/사인을 받아라!(Mall of Duty) 공포의 핼러윈(Tricked!) 독서 이야기(Read Aloud!)/출생의 비밀(Not a Loud?) 공포의 여우 인형(The Crying Dame)/휴대폰 중독(Anti-Social) 클라이드의 독립선언(Snow Way Out!)/눈 속에 갇히다!(Snow Way Down!) 시즌 3 (2018년 ~ 2019년)[편집] 링컨 가족의 수상한 휴가(Tripped!) 토끼가 된 링컨(White Hare)/할아버지의 여자 친구(Insta-gran) 록스타가 될 거야!(Roadie to Nowhere)/아빠의 요리(A Fridge Too Far) 셀카 전쟁(Selfie Improvement)/홈스쿨링은 어려워!(No Place Like Homeschool!) 도시인은 어려워!(City Slickers)/루안을 속여라!(Fool Me Twice!) 진정한 챔피언(Net Gains)/비밀 화장실(Pipe Dreams) 우울한 흡혈귀들(Fandom Pains)/엄마도 휴식이 필요해!(Rita Her Rights!) 체육선생님의 데이트(Teachers' Union)/루시의 암송회(Head Poet's Anxiety) 연구소로 간 리사(The Mad Scientist)/장거리 연예는 어려워!(Missed Connection) 안녕, 에이스 세비(Deal Me Out!)/친구 카드(Friendzy) 농장 파티(Pasture Bedtime)/레니의 변신(Shop Girl) 롤라의 도전(Gown and Out)/상처받은 아빠(Breaking Dad) 해충을 피해서!(Ruthless People)/목공은 어려워(What Wood Lincoln Do?) 물꼬 부부 구하기 대작전(Scales of Justice)/탐정이 된 링컨(Crimes of Fashion) 루나의 꿈(Really Loud Music!) 반응[편집] 시청률[편집] 《링컨의 집에서 살아남기》는 방영 첫 달 만에 최고의 시청률을 기록한 어린이 TV 애니메이션이 되었다.[21] 2016년 5월 니켈로디언은 작년 5월보다 평균 68% 더 많은 어린이 시청자(6-11살)를 끌어모았다.[22] 2016년 6월에 《링컨의 집에서 살아남기》는 《스폰지밥 네모바지》을 대신해 니켈로디언의 시청률이 가장 높은 프로그램이 되었다.[23]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2016년 여름 아동 방송사 중 니켈로디언이 시청률이 가장 높았던 주요 요인으로 《링컨의 집에서 살아남기》를 꼽았다.[24] 시마 자르가미는 초연 후 4주 동안 다른 채널의 프로그램보다 더 많은 시청자를 끌어들였다고 말했다.[25] 평가[편집] 《링컨의 집에서 살아남기》는 애니메이션, 목소리 연기, 각 에피소드의 따뜻한 주제 등에서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커먼 센스 미디어의 에밀리 애쉬비는 쇼의 목소리 캐스팅과 주제 메시지를 칭찬하며, "아이들은 《링컨의 집에서 살아남기》에 재미를 위해 오지만, 매 이야기마다 조화로운 캐스팅과 놀랍고 마음이 따스해지는 작품의 주제로 돌아온다"고 적었다.[26] 디 A.V. 클럽의 케빈 존슨은 쇼에 B+를 매기며, "여성 캐릭터들은 자신들의 특성으로 정의되지만, 그들에 의해 판단되지 않는다."고 적었다.[27] 하워드와 헤롤드 맥브라이드는 결혼한 동성애 커플로서, 긍정적으로 표현되어 칭찬을 받았다.[28] 《배너티 페어》의 로라 브래들리는 《링컨의 집에서 살아남기》에 대해 "정확히 옳은 방식으로 주제(동성 결혼)를 다루었다. 어린이 프로그램에서 이러한 표현은 중요하다."고 말했다.[29] 《틴 보그》의 드 엘리자베스는 "쇼의 가장 훌륭한 점은 그들을 다르게 표현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게다가 그들의 배우자 관계에 큰 별표를 그려 소개하기도 했다."고 말했다.[30] 《프리스키》의 타이 구든은 "두 아버지(혹은 어머니)를 둔 아이는 티비에서 볼 수 있는 (그러한) 가족을 보고, 보다 즐거움을 느낄 것이다."라고 언급했다.[31] 《타임》은 게이 커플을 등장시킨 "니켈로디언의 결정에 사람들은 열광한다"고 보도했다.[32] 하지만, 이 캐릭터들은 보수 언론 단체로부터 비판에 부딪혔다. 기독교 단체 미국가족협회는 맥브라이드의 부모님이 방송에 나오는 것을 막기 위해 "니켈로디언은 의제를 밀어붙이는 게 아닌, 오락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한다.[33] 수상 및 후보[편집] 2017년 1윌 《링컨의 집에서 살아남기》는 〈Attention Deficit〉에서 그려진 하워드와 해롤드의 모습으로 제28회 GLAAD 미디어 어워드의 최우수 단일 에피소드 부문에 후보로 올랐다.[34] 연도 주최 상/부문 후보 결과 출처 2017 제28회 GLAAD 미디어 어워드 GLAAD 미디어 어워드 최우수 단일 에피소드 (〈Attention Deficit〉) 니켈로디언 미결정 [34] 각주[편집] ↑ “The Loud House - Nickelodeon Animation Studio” (영어). 니켈로디언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2016년 8월 3일에 확인함.  ↑ “10 SISTERS? NO PROBLEM! Nickelodeon's New Original Animated Comedy Series, The Loud House”. Business Wire. 2016년 3월 28일. 2016년 4월 20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Squarespace. “Meet the Artist - Chris Savino — Beyond the Cartoons”.  ↑ 가 나 다 Nick Animation. “Episode 20: The Loud House Sisters”. 《유튜브》.  ↑ 가 나 Hector Navarro (2016년 5월 20일). “Episode 2: Chris Savino - Nick Animation Podcast”. 2016년 6월 3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잭슨 머피 (2016년 4월 21일). “Nickelodeon’s “The Loud House” – An Interview With Chris Savino”. 《인디와이어》. 2017년 4월 12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Building “The Loud House”: An Interview With Creator Chris Savino”. 《버라이어티411》. Marjorie Galas. 2017년 4월 12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Nick Animation (2016년 8월 6일). “Artists Sessions: Jordan Rosato”. 《유튜브》. 2017년 4월 12일에 확인함.  ↑ 가 나 Nickelodeon. “Inside The Loud House w/ Creator Chris Savino”. 《유튜브》.  ↑ “Nickelodeon to Debut 'The Loud House' May 2”. Animation World Network. 2016년 3월 28일. 2016년 8월 13일에 확인함.  ↑ “2016년 5월 3일자 니켈로디언 편성표”. 《SBS》. 2016년 11월 22일에 확인함.  ↑ “מאי בערוצי ניקלודיאון”. 《Pop Tarts》 (히브리어). 2016년 5월 1일. 2016년 5월 2일에 확인함.  ↑ “What's New In May 2016 On Nickelodeon Africa”. 2016년 3월 22일. 2016년 3월 31일에 확인함.  ↑ “What's On - Free TV & Paid TV Specials”. 2016년 3월 31일에 확인함.  ↑ “YTV Loud House - Corus Entertainment”. 《YTV》. Corus Entertainment.  ↑ “Nickelodeon Orders 13 Episodes of 'The Loud House'” (영어). 2014년 6월 6일. 2016년 8월 3일에 확인함.  ↑ Fields, Anna (2016년 3월 28일). “Nickelodeon Sets Premiere Date For First Series From Its Annual Animated Shorts Program” (영어). Forbes. 2016년 8월 3일에 확인함.  ↑ Getzler, Wendy (2016년 5월 25일). “Nick renews Loud House, adds Glitch Techs” (영어). 2016년 8월 3일에 확인함.  ↑ Nickelodeon Greenlights Third Season of Hit Kids’ Animated Series ‘Loud House’ (Exclusive) Variety. Accessed October 19, 2015. ↑ Savino, Chris. “Chris Savino on Instagram”. 《Instagram》. 2016년 3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13일에 확인함.  ↑ “Nickelodeon Greenlights Second Season of The Loud House as It Hits Number One on TV”. 2016년 5월 25일. 2016년 5월 25일에 확인함.  ↑ Flores, Terry (2016년 5월 25일). “Nickelodeon Greenlights Season 2 of 'Loud House,' Picks Up New Game-Themed Toon”. 2016년 5월 25일에 확인함.  ↑ Starr, Michael (2016년 6월 1일). “'Loud' Nick 'toon beats 'SpongeBob'”. 《New York Post》. News Corp. 2016년 6월 2일에 확인함.  ↑ Villarreal, Yvonne (2016년 6월 8일). “Nickelodeon veteran Russell Hicks exits as Viacom executive drain continues”. 《Los Angeles Times》. Tribune Publishing. 2016년 6월 10일에 확인함.  ↑ Sandberg, Bryn Elise (2016년 6월 7일). “Nickelodeon President Russell Hicks Exits Post”. 《The Hollywood Reporter》. Prometheus Global Media. 2016년 6월 10일에 확인함.  ↑ Ashby, Emily (2016년 5월 11일). “The Loud House”. 《Common Sense Media》 (영어). 2016년 5월 12일에 확인함.  ↑ Johnson, Kevin (2016년 5월 2일). “The crowded Loud House bustles with personality”. A.V. Club. 2016년 5월 11일에 확인함.  ↑ Harrison, Ellie (2016년 7월 20일). “Nickelodeon has introduced its first same-sex married couple and Twitter is so happy”. 《Radio Times》 (Immediate Media Company). 2016년 7월 21일에 확인함.  ↑ Bradley, Laura (2016년 7월 19일). “Nickelodeon's New Cartoon Features a Gay Married Couple”. 《Vanity Fair》. 2016년 7월 19일에 확인함.  ↑ Elizabeth, De (2016년 7월 21일). “Nickelodeon Features Same Sex Couple on New Show 'The Loud House'”. 《Teen Vogue》 (Condé Nast). 2016년 7월 21일에 확인함.  ↑ Gooden, Tai (2016년 7월 21일). “Nickelodeon's 'Loud House' Introduces An Interracial Gay Couple in an Important Move for Children's TV”. 《The Frisky》 (SpinMedia). 2016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21일에 확인함.  ↑ Gajanan, Mahita (2016년 7월 19일). “Nickelodeon Cartoon The Loud House to Feature Married Gay Couple”. 《Time》 (Time Inc.). 2016년 7월 21일에 확인함.  ↑ Johnston, Rich (2016년 7월 19일). “One Million Moms Targets Nickelodeon's Loud House For Having Two Dads”. Rich Johnston. 2016년 7월 21일에 확인함.  ↑ 가 나 Coggan, Devan (2017년 1월 31일). “GLAAD Media Awards honor Moonlight, Supergirl, Black Mirror, and more”. 《Entertainment Weekly》. Time Inc.  외부 링크[편집] 공식 웹사이트 공식 텀블러 공식 인스타그램 (영어) 링컨의 집에서 살아남기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The Loud House – TV.com The Loud House - 무비폰 The Loud House - 잽투잇 "링컨의 집에서 살아남기"의 일본어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링컨 라우드: 박로미 로리 라우드: 타케우치 쥰코 (竹内順子) 레니 라우드: 사와시로 미유키 (沢城みゆき) 루나 라우드: 스기모토 유우 (杉本ゆう) 루안 라우드: 이세 마리야 (伊瀬茉莉也) 린 라우드: 오가사와라 아리사 (小笠原亜里沙) 루시 라우드: 사이토 아야카 (齋藤彩夏) 라나 라우드&롤라 라우드: 타이치 요우 (大地葉) 리사 라우드: 아라이 사토미 (新井里美) 릴리 라우드: 코오로기 사토미 (こおろぎさとみ) 린 라우드 시니어: 모리카와 토시유키 (森川智之) 리타 라우드: 나카가와 리에 (中川里江) 클라이드 맥브라이드: 산페이 유우코 (三瓶由布子) 하워드 맥브라이드: 나카무라 다이키 (中村大樹) 해럴드 맥브라이드: 이시이 코지 (石井康嗣) 로버트 "바비" 산티아고: 호시 소이치로 (保志総一朗) 로니 앤 산티아고: 오리카사 후미코 (折笠富美子) 마리아 산티아고: 코바야시 유 (小林ゆう) 아그네스 존슨: 타키자와 로코 (滝沢ロコ) 디마티노 선생: 하야시바라 메구미 (林原めぐみ) 페넬로페: 니시무라 치나미 (西村ちなみ) 청크: 타케토라 (武虎) 마고: 가이다 유키 (甲斐田ゆき) 캐롤 핑그레이: 카토 에미리 (加藤英美里) 매기: 시라이시 료코 (白石涼子) vdeh니켈로디언 오리지널 시리즈/닉툰스1980년대 아웃 오브 컨트롤 (1985-) 더블 데어 (1986-93; 2000) 돈 저스트 싯 데어 (1988-90) 해이 두드 (1989-91) 1990년대 와일드 앤 크레이지 키즈 (1990-92) 살루트 유어 쇼트스 (1991-92) 힐사이드 (1991-93) 왓 울드 유 두? (1991-93) 클래리사 익스플레인스 잇 올 (1991-94) 웰컴 프레시멘 (1991-96) 렌과 스팀피 (1991-96) 더그 (1991-94) 아 유 어프레이드 인 더 다크? (1991–96; 1999–2000) 러그래츠 (1991–2004) 라운드하우스 (1992–96) 레전드 오브 더 히든 템플 (1993–95) 디 어드벤처스 오브 피트 앤 피트 (1993–96) 우당탕탕 로코와 친구들 (1993–96) 와이너빌 (1993–97) 마이 브라더 앤 미 (1994–95) 아! 리얼 몬스터 (1994–97) 시크릿 월드 오브 알렉스 맥 (1994–98) 올 댓 (1994–2005) 스페이스 케이세스 (1996–97) 미스터리 파일스 오브 셸비 우 (1996–98) 더 오프-비트스 (1996–99) 카브램! (1996–2000) 케난 & 켈 (1996–2000) 해이 아놀드! (1996–2004) 저니 오브 알렌 스트레인지 (1997–2000) 앵그리 비버스 (1997–2001) 피겨 잇 아웃 (1997–99; 2012–13) 아니모프스 (1998–2000) 쿠생 스키터 (1998–2001) 오 예! 카툰스 (1998–2001) 와일드 토른베리스 (1998–2004) 캣독 (1998–2005) 원 헌드레드 디즈 포 에디 맥다우드 (1999–2002) 아만다 쇼 (1999–2002) 로켓 파워 (1999–2004) 2000년대 노아 노우스 베스트 (2000–01) 케이틀린스 웨이 (2000–02) 더 브라더스 가르시아 (2000–04) 펠스위크 (2000–02) 아스 툴드 바이 진저 (2000–06) 타이나 (2001–02) 액션 리그 나우! (2001–02) 인베이더 짐 (2001–06) 티미의 못말리는 수호천사 (2001-2017) 닉 캐논 쇼 (2002–03) 초크존 (2002–08) 천재소년 지미 뉴트론 (2002–06) 로미오! (2003–06) 올 글로운 업! (2003–08) 마이 라이프 에스 어 틴에이지 로봇 (2003–05) 드레이크와 조쉬 (2004–07) 대니 팬텀 (2004–07) 네드의 학교에서 살아남기 (2004–07) 닉툰스 필름 페스티발 (2004–09) 언패뷸ㄴ러스 (2004–07) 조이 101 (2005–08) 아바타: 아앙의 전설 (2005–08) 캣스크래치 (2005–07) The X's (2005–06) 미스터 미티 (2005–07) 저스트 포 킥스 (2006) 카파 마이키 (2006–07) 저스트 조던 (2007–08) 엘티그레 (2007–08) 웨이사이드 (2007–08) 네이키드 브라더스 밴드 (2007–09) 탁 앤 더 파워 오브 주주 (2007–09) 백 엣 더 반야드 (2007–11) 아이칼리 (2007–12) 댄스 온 선셋 (2008) 메이킹 피엔드스 (2008) 러그래츠 프리 스쿨 데이즈 (2008) 마이 패밀리스 갓 거트스 (2008–09) 마이티 B! (2008–11) 트루 잭슨 (2008–11) 마다가스카의 펭귄 (2008–15) 트룹 (2009–13) 빅 타임 러쉬 (2009–13) 브레인서지 (2009–14) 팬보이 & 첨첨 (2009–14) 2010년대 빅토리어스 (2010–13) 플래닛 신 (2010–13) 비밀요원 터프퍼피 (2010–15) 파워레인저 사무라이 (2011–12) 하우스 오브 아누비스 (2011–13) 슈퍼 닌자 (2011–13) 윙스 프렌즈 (2011-15) 버킷 앤 스키너스 에픽 어드벤처스 (2011–13) 쿵푸 팬더: 전설의 마스터 (2011-16) 돌연변이 특공대 닌자 거북이 (2012-2017) 프레드: 더 쇼 (2012) 하우 투 락 (2012) 코라의 전설 (2012–14) 유 것타 씨 디스 (2012–14) 마빈 마빈 (2012-13) 로봇과 몬스터 (2012–15) 선더맨스 (2013-2018) 몬스터 vs 에이리언 (2013–14) 파워레인저 메가포스 (2013–14) 샘 & 캣 (2013–14) 산제이 & 크레이그 (2013-16) 오썸네스TV (2013–15) 헌티드 해서웨이스 (2013–15) 에브리 위치 웨이 (2014–15) 리듬파워 빵오리 (2014-16) 맥스 & 슈레드 (2014-16) 원 헌드레드 띵스 투 두 비포 하이 스쿨 (2014-16) 동글이 버드 하비 (2015-2017) 벨라 앤드 더 불독스 (2015-16) 메이크 잇 팝 (2015-2016) 탈리아 인 더 키친 (2015) WITS 아카데미 (2015) 파워레인저 다이노 차지 (2015) 듄스 클럽 (2015) 스쿨 오브 락 (2016-2018) 아더 킹덤 (2016) 올 인 위드 캠 뉴턴 (2016) 레전더리 두다스 (2016) 재거 이튼의 메가 라이프 (2016) 파워 레인저 닌자 스틸 (2017) 라비드스 인베이전 (2013-2017) 니키, 리키, 디키 & 던 (2014-2018) 슈퍼 울트라 크레이지 괴짜들 (2015-2018) 게임 셰이커스 (2015-2019) 파라다이스 런 (2016-2018) 뻔슨은 야수 (2017-2018) 신기한 아파트 웨인 (2017-2019) 방송 중 스폰지밥 네모바지 (1999-) 헨리 데인저 (2014-) 앨빈과 슈퍼밴드 (2015-) 미라큘러스: 레이디버그와 블랙캣 (2015-) 링컨의 집에서 살아남기 (2016-) 크러시랫스 (2016-) 핑키 마링키 (2019-) 레인보우 버터플라이 유니콘 키티 (2019-) 그 외 닉툰스 틴닉 닉 앳 나이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링컨의_집에서_살아남기&oldid=24232898" 분류: 니켈로디언의 텔레비전 프로그램2010년대 미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캐나다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2016년 애니메이션2017년 애니메이션2018년 애니메이션2019년 애니메이션미국의 어린이 텔레비전 프로그램미국의 코미디 텔레비전 프로그램영어 텔레비전 프로그램가공의 도시를 배경으로 한 작품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인용 오류 - 날짜CS1 - 히브리어 인용 (he)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같은 ID가 포함된 TV.com 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hqipСрпски / srpskiไทยTagalog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7일 (금) 06:2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링컨의 집에서 살아남기》는 미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다. 니켈로디언 방영에 크리스 사비노 기획. 본작은 11형제자매의 외동아들 링컨 라우드의 어지러운 일상 이야기를 다룬다. 무대는 미시간주 남동부에 위치하는 가상의 마을 로열 우즈이며, 이것은 기획자 사비노의 고향 로열오크에 기하는 것이다. 2013년 매년하는 애니메이티드 쇼츠 프로그램 당시 2분짜리 단편으로서 니켈로디언에 피치되었으며, 이듬해 제작이 결정되었다. 사비노 본인의 어릴 적 경험에 크게 기반하고 있으며, 또한 그 애니메이션은 신문 코믹 스트립에 영향받은 것이 크다. 2016년 5월 2일 초연되었고 현재까지 총 5 시즌이 방영되었다. 초연 당시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였으며, 방영에서 한 달이 되었을 때는 아동대상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에서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기 이른다. 각종 매체에서 본작을 주목하였으며, 제28회, 제29회 GLAAD 미디어 어워드에서 결혼한 백인 흑인 게이 커플인 하워드, 해롤드 맥브라이드를 넣은 공적으로 노미네이션되기도 하였다. 뉴스에 따르면 이 둘의 등장은 역사적이며, 또한 시청률을 크게 끌어높였다 한다. 2017년 5월에는 등장인물 링컨 라우드와 클라이드 맥브라이드가 아동 텔레비전 매체에서의 다인종 등장인물의 예시로서 《버라이어티》의 표지를 장식기도 하였다.2019년 10월 14일 스핀오프 시리즈 《카사그란데 가족》이 초연.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링컨의 집에서 살아남기, 시즌3의 첫번째 에피소드의 제목은 무엇일까? Assistant: Tripped! Human: 아래 신장_위구르_자치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신장 위구르 자치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장 위구르 자치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장위그루자치구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4년 9월) 新疆维吾尔自治区 Xīnjiāng Wéiwú'ěr Zìzhìqūشىنجاڭ ئۇيغۇر ئاپتونوم رايونى 약자: 疆 우루무치 톈산 톈디 행정 단위 자치구 청사소재지 우루무치(乌鲁木齐) 면적 1,660,000km² (1위) 인구 (2010년) 인구밀도 21,813,334 (25위) 13/km² (29위) 공산당 서기 천취안궈(陈全国) 주석 쉐커라이티 자커얼(雪克来提·扎克尔) 민족 위구르족(45%)한족(41%)카자흐족(7%)회족(5%)키르기스족(0.9%)몽골족(0.8%) ISO 3166-2 CN-65 시차 UTC+8 웹사이트: (자치구 정부) 신장 위구르 자치구(شىنجاڭ ئۇيغۇر ئاپتونوم رايونى/Shinjang Uyghur aptonom rayoni 신장 위구르 압토놈 라요니, 중국어 간체자: 新疆维吾尔自治区, 정체자: 新疆維吾爾自治區, 병음: Xīnjiāng Wéiwú'ěr Zìzhìqū 신장 웨이우얼 쯔즈취[*])는 중화인민공화국 북서쪽에 위치하는 자치구이다. 중앙아시아 위구르족의 자치구이며, 그 영역은 위구르족에게는 동튀르케스탄(شەرقىي تۈركىستان 셰르키이 튀르키스탄) 지역으로 불리고 있다. 아울러 신장(新疆)은 "새로운(新 신) 영토(疆 강)를 뜻하며 "위구르"(ئۇيغۇر)의 뜻은 위구르어로 "단결"과 "연합"을 의미한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시간대는 베이징 시간(北京時間)으로 통일되어 있으므로 공식적인 중국 내의 시차는 존재하지 않지만,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는 비공식적으로 베이징 시간보다 2시간 늦은 신강 시간(영어판)(新疆時間)이 사용되고 있다. 이런 문제 때문에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는 출퇴근 시간을 현지 시간에 맞게 조정한다. 가령, 베이징에서 9시 출근에 5시 퇴근이라고 치면 신장에서는 11시 출근에 7시 퇴근이 되는 식이다.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탄압 때문에 규모는 작지만 일부에서 분리 독립을 요구하는 운동이 전개되고 있다. 목차 1 역사 1.1 18세기 이전 1.2 청의 지배 1.3 동튀르케스탄 공화국 2 지리 3 행정구역 4 인구 5 경제 6 외부 링크 역사[편집] 18세기 이전[편집] 신장(新疆 신강[*])은 고대 중국인들이 서역이라고 부르던 지역의 일부분으로 비단길이 이 지역을 지나갔으며, 역사적으로 오랜 기간 유목민족-흉노족, 돌궐족, 몽골족 등의 지배를 받았다. 한나라나 당나라 때와 같이 중국의 왕조가 강성했던 시기에는 관부를 설치해 직접 지배하기도 했으며 이 지역의 민족들과 나라들을 영향권 아래 두기도 했다. 당 왕조 이후 중국은 이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상실하였으며, 이 지역은 위구르 제국의 영역이 되었다. 위구르인들은 10세기에 이슬람교를 받아들인 이후, 차가타이칸국의 지배하에서 급속히 이슬람화되었다. 이곳에서 모굴리스탄이 나타났고, 여기서 독립한 위구르인들은 야르칸드 칸국이라는 위구르인들의 마지막 왕조를 세웠다. 그리고 이 국가는 중가르 칸국에게 멸망당했다. 청의 지배[편집] 1755년 몽골을 완전히 정복한 청 제국이 이 지역을 침략하였다. 중가르 칸국의 지배하에 있었던 신강(동튀르케스탄)은 청나라에게 멸망당하면서 청의 지배를 받았고, 그곳에 있었던 위구르인들 혹은 청나라 조정으로부터 이주한 위구르인들은 이에 저항하였으나 1759년 이 지역은 청의 군사적 지배하에 들어갔다. 그러나 위구르인들의 저항은 계속되었고, 19세기 중반 청 제국이 혼란에 빠지면서 통제력을 상실하게 되자 1864년 대대적인 반란이 일어나 청의 군대는 이 지역에서 철수하였다. 반란세력들 간의 내전 결과, 야꿉 벡이라는 인물이 통일 국가를 수립하였다. 그는 이슬람의 수호자를 자처하면서 근대식 소총과 화포를 구입하여 무력을 증강하였고, 영국과 러시아의 승인을 받기도 하였으나 1876년 청군과의 전투에서 패한 직후 급사하였다. 이후 청은 1884년 이 지역에 신강성을 설치하여 자국의 영토로 합병하였다. 동튀르케스탄 공화국[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동튀르케스탄 이슬람운동 및 동튀르케스탄 독립운동입니다. 1933년 11월 동튀르케스탄 제1공화국이 처음으로 건국되었으나 3개월 만에 소멸되었고, 1944년에 다시 설립되었다. 그러나 공화국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에 병합되었고, 1955년 신장 위구르 자치구가 되었다. 지리[편집] 타림 분지 신장은 크고 인구가 희박한 지역으로 면적은 160만km2가 넘고 중국 전체 면적의 6분의 1을 차지한다. 남쪽은 티베트 자치구(시짱 자치구), 남동쪽은 칭하이 성과 간쑤 성, 동쪽은 몽골, 북쪽과 서쪽은 러시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인도에 접해 있다. 예전에는 인도 카슈미르의 라다크 지방에 속했던 아크사이친의 대부분을 관할하고 있으며 인도는 1962년 이래 이곳의 지배권을 주장하고 있다. 동서로 뻗어있는 톈산 산맥이 북쪽의 준가얼 분지와 남쪽의 타림 분지를 분리한다. 중가르은 건조한 스텝 지대이다. 타림 분지는 오아시스 도시로 둘러싸여있고 타클라마칸 사막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동쪽에는 신장에서 가장 해발고도가 낮은 투르판 분지가 있고 서쪽은 톈산 산맥이 쪼개져 이리 강 계곡을 형성한다. 신장에서 가장 해발고도가 높은 곳은 8611m의 K2로 파키스탄과의 경계이다. 다른 산맥들로 남서쪽의 카라코람 산맥, 서쪽의 파미르 고원, 북쪽의 알타이 산맥이 있다. 신장의 대부분은 지질학적으로 어린 곳으로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이 충돌하여 톈산 산맥, 쿤룬 산맥, 파미르 고원을 형성하였다. 결과적으로 신장은 주요 지진 발생 지대이다. 신장은 바다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으로 중가르 분지의 거얼반퉁구터 사막(古尔班通古特沙漠)은 유라시아에서 접근하기 어려운 곳으로 꼽히며 가장 가까운 해안선에서 2648km 떨어져있다. 행정구역[편집]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행정 구역 # 이름 시청소재지 위구르어위구르어 라틴표기 한자병음 인구(2010) 지급시 1 우루무치 시(오로목제) 톈산 구 ئۈرۈمچى شەھىرىÜrümchi Shehri 乌鲁木齐市Wūlǔmùqí Shì 3,110,280 2 커라마이 시(극랍마의) 커라마이 구 قاراماي شەھىرىQaramay Shehri 克拉玛依市Kèlāmǎyī Shì 391,008 3 투루판 시(토로번) 가오창 구 تۇرپان شەھىرىTurpan Shehri 吐鲁番市Tǔlǔfān Shì 622,679 4 하미 시(합밀) 이저우 구 قۇمۇل شەھىرىQumul Shehiri 哈密市Hāmì Shì 572,400 지구 5 아러타이 지구(아륵태) 아러타이 시 ئالتاي ۋىلايىتىAltay Wilayiti 阿勒泰地区Ālètài Dìqū 526,980 6 타청 지구(탑성) 타청 시 تارباغاتاي ۋىلايىتىTarbaghatay Wilayiti 塔城地区Tǎchéng Dìqū 1,219,212 7 카스 지구(객십) 카스 시 قەشقەر ۋىلايىتىQeshqer Wilayiti 喀什地区Kāshí Dìqū 3,979,362 8 아커쑤 지구(아극소) 아커쑤 시 ئاقسۇ ۋىلايىتىAqsu Wilayiti 阿克苏地区Ākèsū Dìqū 2,370,887 9 허톈 지구(화전) 허톈 시 خوتەن ۋىلايىتىXoten Wilayiti 和田地区Hétián Dìqū 2,014,365 자치주 10 보얼타라 몽골 자치주(박이탑랍 몽고) 보러 시 بۆرتالا موڭغۇل ئاپتونوم ئوبلاستىBörtala Mongghul Aptonom Oblasti 博尔塔拉蒙古自治州Bó'ěrtǎlā Měnggǔ Zìzhìzhōu 443,680 11 창지 후이족 자치주(창길 회족) 창지 시 سانجى خۇيزۇ ئاپتونوم ئوبلاستىSanji Xuyzu Aptonom Oblasti 昌吉回族自治州Chāngjí Huízú Zìzhìzhōu 1,428,592 12 이리 카자흐 자치주(이리 합살극) 이닝 시 ئىلى قازاق ئاپتونوم ئوبلاستىIli Qazaq Aptonom Oblasti 伊犁哈萨克自治州Yīlí Hāsàkè Zìzhìzhōu 2,482,627 13 커쯔러쑤 키르기스 자치주(극자르소 가이극자) 아투스 시 قىزىلسۇ قىرغىز ئاپتونوم ئوبلاستىQizilsu Qirghiz Aptonom Oblasti 克孜勒苏柯尔克孜自治州Kèzīlèsū Kē'ěrkèzī Zìzhìzhōu 525,599 14 바인궈렁 몽골 자치주(파음곽릉 몽고) 쿠얼러 시 بايىنغولىن موڭغۇل ئاپتونوم ئوبلاستىBayingholin Mongghul Aptonom Oblasti 巴音郭楞蒙古自治州Bāyīnguōlèng Měnggǔ Zìzhìzhōu 1,078,492 자치구직할현급행정구 (1) 스허쯔 시(석하자) / شىخەنزە شەھىرىShixenze Shehri 石河子市Shíhézǐ Shì 635,582 (2) 우자취 시(오가거) / ئۇجاچۇ شەھىرىWujachu Shehri 五家渠市Wǔjiāqú Shì 72,613 (3) 투무수커 시(도목서극) / تۇمشۇق شەھىرىTumshuq Shehri 图木舒克市Túmùshūkè Shì 147,465 (4) 아라얼 시(아랍이) / ئارال شەھىرىAral Shehri 阿拉尔市Ālā'ěr Shì 166,205 (5) 베이툰 시 / بەيتۈن شەھىرىBeatün Shehiri 北屯市Běitún Shì 76,300 (6) 톄먼관 시 / باشئەگىم شەھىرىBashegym Shehiri 铁门关市Tiĕménguān Shì 50,000 (7) 솽허 시 / قوشئۆگۈز شەھىرىQoshögüz Shehiri 双河市Shuānghé Shì 53,800 인구[편집] 10개가 넘는 소수민족이 살고 있다. 인구의 절반 가량은 위구르족이지만, 한족과 카자흐족이 그 다음을 차지하고, 그밖에 후이족 또는 둥간족·키르기스족·몽골족·타지커족·우즈베크족·타타르족·시버족·다우르족, 살라르족, 만주족 등도 있다. 이밖에도 18세기 중국에 들어온 러시아인인 어뤄스족도 살고 있다. 종교는 대다수가 이슬람교를 믿으나 일부는 샤머니즘과 라마교를 믿으며, 어뤄스족은 대부분 정교회 신자이다. 공용어는 중국어지만 각 민족은 여러 언어를 쓴다. 2009년 당시 신장의 민족 민족 주민 %1 위구르족 10,019,758 46.42 한족 8,416,867 38.99 카자흐족 1,514,814 7.02 후이족 980,359 4.54 키르기스족 189,309 0.88 몽골족둥샹족다우르족 179,615 0.83 타지커족 39,493 0.21 시버족 42,790 0.20 만주족 26,195 0.11 투자족 15,787 0.086 우즈벡족 16,669 0.066 어뤄쓰족 11,672 0.048 먀오족 7,006 0.038 티베트족 6,153 0.033 좡족 5,642 0.031 타타르족 4,883 0.024 살라르족 3,762 0.020 2009년 신장의 주요 민족 분포도 위구르족 한족 카자흐족 기타 신장 45.2% 40.6% 6.7% 7.5% 우루무치(위륌치) 12.8% 75.3% 2.3% 9.6% 카라마이 13.8% 78.1% 3.7% 4.5% 투르판 70.0% 23.3% <0.1% 6.6% 쿠물 18.4% 68.9% 8.8% 3.9% 산지 후이족 자치주 3.9% 75.1% 8.0% 13.0% 뵈르탈라 몽골 자치주 12.5% 67.2% 9.1% 11.1% 바인골린 몽골 자치주 32.7% 57.5% <0.1% 9.7% 악수 지구 + 아랄 71.9% 26.6% <0.1% 1.4% 키질수 키르기즈 자치주 64.0% 6.4% <0.1% 29.6% 카슈가르 + 툼슉 DACLC 89.3% 9.2% <0.1% 1.5% 호탠(호탄) 96.4% 3.3% <0.1% 0.2% 일리 카작 자치주1 16.1% 44.4% 25.6% 13.9% - 쿠이툰 0.5% 94.6% 1.8% 3.1% - 이리 예전 지구 27.2% 32.4% 22.6% 17.8% - 타르바가타이 4.1% 58.6% 24.2% 13.1% - 알타이 1.8% 40.9% 51.4% 5.9% 시핸재 DACLC 1.2% 94.5% 0.6% 3.7% 경제[편집] 홍산(紅山)에서 바라본 우루무치 시가지 신장은 과일 생산으로 유명하며 포도, 멜론, 배, 면화, 밀, 보리, 호두 등이 생산된다. 19세기 후반에 이 지역은 소금, 소다, 금, 옥, 석탄 생산으로 유명했다. 중국 정부의 서부대개발 정책 덕분에 신장의 2004년 명목 GDP는 약 2200억 위안(322억 달러)에서 2008년에 4200억 위안(615억 달러)로 증가했다. 2008년 1인당 GDP는 19893위안(2913달러)이었다. 악수와 카라마이에서 석유와 가스 추출 산업이 붐을 일으키고 있고 동서 송유관을 통해 상하이와 연결된다. 석유와 석유 화학 부문은 신장의 지역 경제의 60%를 차지한다. 신장의 2008년 수출액은 193억 달러였고 수입액은 29억 달러였다. 신장의 수출입 총량의 대부분이 카자흐스탄과 아라 길을 통해 이뤄진다. 중국의 첫 번째 자유 국경 무역 지대가 신장과 카자흐스탄의 국경 도시 호르고스에 위치한다. 호르고스는 중국 서부의 가장 큰 내륙항으로 중앙아시아 시장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1956년 간쑤 성의 란저우에서 우루무치에 이르는 길이 1903km의 란신 철로(蘭新鐵路)가 개통되었다. 1980년대 우루무치부터 카자흐스탄까지의 철도가 개통되었다. 2005년 기준, 우루무치에서 카자흐스탄의 알마티에 이르는 기차가 정확히 14번 운행하였다고 한다. 외부 링크[편집] (중국어) 공식 홈페이지 (중국어) 위구르족공식사이트 (러시아어) 위구르족공식사이트 (영어/중국어) 신장의 일반적인 아틀라스 vdeh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행정 구역 수부: 우루무치시 우루무치시 톈산구 사이바커구 신스구 수이모거우구 터우툰허구 다반청구 미둥구 우루무치현 커라마이시 커라마이구 두산쯔구 바이젠탄구 우얼허구 투루판시 가오창구 퉈커쉰현 산산현 하미시 이저우구 이우현 바리쿤 카자흐 자치현 허톈 지구 허톈시 허톈현 뤄푸현 민펑현 피산현 처러현 위톈현 모위현 아커쑤 지구 아커쑤시 원쑤현 사야현 바이청현 아와티현 쿠처현 커핑현 신허현 우스현 카스 지구 카스시 바추현 쩌푸현 가스현 예청현 웨푸후현 수러현 마이가이티현 잉지사현 사처현 수푸현 타스쿠얼간 타지크 자치현 커쯔러쑤 키르기스 자치주 아투스시 아허치현 우차현 아커타오현 바인궈렁 몽골 자치주 쿠얼러시 허징현 위리현 허숴현 체모현 보후현 룬타이현 뤄창현 옌치 후이족 자치현 창지 후이족 자치주 창지시 푸캉시 치타이현 마나쓰현 지무싸얼현 후투비현 무러이 카자흐 자치현 보얼타라 몽골 자치주 보러시 아라산커우시 징허현 원취안현 이리 카자흐 자치주자치주 직할 이닝시 쿠이툰시 이닝현 터커쓰현 니러커현 자오쑤현 신위안현 훠청현 궁류현 차부차얼 시버 자치현 타청 지구 타청시 우쑤시 어민현 위민현 사완현 퉈리현 허부커싸이얼 몽골 자치현 아러타이 지구 아러타이시 칭허현 지무나이현 푸윈현 부얼진현 푸하이현 하바허현 자치구직할현급시 스허쯔시 아라얼시 투무수커시 우자취시 베이툰시 톄먼관시 솽허시 커커다라시 쿤위시 이리 카자흐 자치주는 부성급자치주이다. vdeh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성 간쑤성 광둥성 구이저우성 랴오닝성 산둥성 산시성 (산서성) 산시성 (섬서성) 쓰촨성 안후이성 윈난성 장시성 장쑤성 저장성 지린성 칭하이성 푸젠성 하이난성 허난성 허베이성 헤이룽장성 후난성 후베이성 자치구 광시 좡족 자치구 내몽골 자치구 티베트 자치구 신장 위구르 자치구 닝샤 후이족 자치구 직할시 베이징시 상하이시 충칭시 톈진시 특별행정구 마카오 홍콩 타이완성(현재는 분리된 타이베이, 가오슝, 신베이, 타이중, 타이난 시 포함)과 푸젠성 일부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실효 통치 지역이 아니며 중화민국의 영토이다. vdeh중앙아시아의 나라와 지역나라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때때로 포함되는 나라와 지역 러시아 알타이 몽골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북서부 지역 인도 카슈미르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이란 호라산 지역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52087655 LCCN: n81018776 GND: 4077460-0 BNF: cb11941810f (데이터) NDL: 00571077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신장_위구르_자치구&oldid=24377305" 분류: 신장영토 분쟁중화인민공화국의 위구르족 자치지방내륙아시아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4년 9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구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정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간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기타 외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아랍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cèhAfrikaansአማርኛAragoné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বাংলাབོད་ཡིགBrezhonegᨅᨔ ᨕᨘᨁᨗCatalàMìng-dĕ̤ng-ngṳ̄Cebuano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ZazakiDolnoserbs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FryskGaeilge贛語GalegoGaelg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HrvatskiHornjoserbsce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КыргызчаLatinaLadinoЛезгиLingua Franca NovaLietuviųLatviešuMalagasy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vialOccitanИронਪੰਜਾਬੀPolski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Саха тылаSicilianuScots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Ślůnskiதமிழ்ไทยTürkmençe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inaray吴语ХальмгVahcuengh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4일 (화) 16: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신장 위구르 자치구(위구르어: شىنجاڭ ئۇيغۇر ئاپتونوم رايونى 신장 위구르 압토놈 라요니, 중국어 간체자: 新疆维吾尔自治区, 정체자: 新疆維吾爾自治區, 병음: Xīnjiāng Wéiwú'ěr Zìzhìqū 신장 웨이우얼 쯔즈취[*])는 중화인민공화국 북서쪽에 위치하는 자치구이다. 중앙아시아 위구르족의 자치구이며, 아울러 신장(新疆)은 "새로운(新 신) 영토(疆 강)를 뜻하며 "위구르"(ئۇيغۇر)의 뜻은 위구르어로 "단결"과 "연합"을 의미한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시간대는 북경시간(北京時間)으로 통일되어 있으므로 공식적인 중국내의 시차는 존재하지 않지만, 신장 위구르자치구에서는 비공식적으로 베이징 시간보다 2시간 늦은 신장 시간(新疆時間)이 사용되고 있다. 이런 문제 때문에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는 출퇴근 시간을 현지 시간에 맞게 조정한다. 가령, 베이징에서 9시 출근에 5시 퇴근이라고 치면, 신장에서는 11시 출근에 7시 퇴근이 되는 식이다. 당시 근대화되지 못한 청나라는 영국과 러시아 등에 패배하여 반식민지 상태에 놓였고 러시아와 영국은 신장과 티베트 지역을 언제든 점령할 수 있었으나 당시 인구가 희박하고 사막이 많은 척박한 땅이였기 때문에 러시아와 영국에게 필요성이 없는 영토였다. 또한 신장과 티베트 지역은 영국과 러시아의 불필요한 충돌을 피하기 위한 완충 지대였다. 독일 패망 이후 혼란함을 틈타 소련의 대폭적 지원을 받은 공산당이 침략하였다. 당시 중국 동부와 해안가는 일본 제국이 정복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중국 정부는 소련 영토가 될 수도 있었던 신장 지역을 지키는 데 필사적이었다.톈산 산맥에 의해 크게 북부의 중가리아와 남부의 타림 분지로 나뉜다. 중가리아는 중국 본토에서 이주해 온 한족과 회족이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인구의 과반수를 차지하는 데 반해 타림 분지에서는 여전히 위구르족이 다수에 해당한다. 타클라마칸 사막 등 황량하거나 험준한 지형이 많아, 사람이 살기에 적합한 지역은 전체 면적의 9.7%에 불과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중국 신장의 2004년 GDP는 몇억 달러인가? Assistant: 322억 달러
Human: 아래 Sexy_Summer에_눈이_내린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Sexy Summer에 눈이 내린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Sexy Summer에 눈이 내린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Sexy Summer니유키가후루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Sexy Summerに雪が降るSexy Summer에 눈이 내린다Sexy Zone의 싱글수록 음반 one Sexy Zone발매일 2012년 10월 3일장르 J-POP레이블 포니캐년 Sexy Zone 싱글 연표 Lady 다이아몬드(2012년) Sexy Summer에 눈이 내린다(2012년) Real Sexy!/BAD BOYS(2013년) 〈Sexy Summer에 눈이 내린다〉(Sexy Summerに雪が降る Sexy Summer니 유키가 후루[*])는, Sexy Zone의 3번째 싱글이다. 목차 1 개요 2 수록곡 2.1 초회 한정반 2.2 통상반 3 각주 개요[편집] 전작 〈Lady 다이아몬드〉로부터 약 6개월 만의 싱글이다. 초회 한정반A, B와 통상반의 3형태로 발매. 통상반에는 초회 프레스 사양이 존재한다. 다만 예약 판매도 포함하면, 회장 한정 SUMMARY 2012 기념반(〈Johnny's Dome Theatre SUMMARY〉의 TOKYO DOME CITY HALL 회장만)도 존재한다[1]. 표제곡 〈Sexy Summer에 눈이 내린다〉는 《초잠입! 리얼 스코프 하이퍼》의 테마 송, 커플링곡 〈너를 위해 내가 있어〉는 《2012 런던 올림픽 배구 세계 최종 예선》의 이미지 송. 또, 〈비라도〉는 멤버 마츠시마·마리우스에 쟈니즈 Jr. 6명을 가세한 유닛, Sexy Boyz의 악곡이다[2]. 수록곡[편집] 초회 한정반[편집] Sexy Summerに雪が降る / Sexy Summer에 눈이 내린다 작사: 미우라 요시코 / 작곡: Janne Hyoty, Martin Grano / 편곡: 스즈키 Daichi 히데유키 후지 TV 계열 《초잠입! 리얼 스코프 하이퍼》 테마 송 キミのため ボクがいる / 너를 위해 내가 있어 작사: 사토 쇼리 / 작곡: Anders Dannvik, Takuya Harada, DAICHI / 편곡: 이시즈카 토모키 TBS·후지 TV 계열 《2012 런던 올림픽 배구 세계 최종 예선》 이미지 송 雨だって / 비라도 - Sexy Boyz 작사: 이하시 나루야 / 작곡: Fredrik Samsson, 이하시 나루야 / 편곡: 이쿠타 마신 DVD 초회 한정반 A 〈Sexy Summerに雪が降る〉 Music Clip 초회 한정반 B 〈Sexy Summerに雪が降る〉 Making + 포토 소책자 통상반[편집] Sexy Summerに雪が降る / Sexy Summer에 눈이 내린다 キミのため ボクがいる / 너를 위해 내가 있어 雨だって / 비라도 ベイサイドエレジー / 베이사이드 엘레지 작사: zopp / 작곡: Anders Wigelius, Erik Wigelius / 편곡: 나카니시 히로, 사토 야스마사 Sexy Summerに雪が降る-Inst.- キミのため ボクがいる-Inst.- 雨だって-Inst.- ベイサイドエレジー-Inst-. 각주[편집] ↑ “DISCOGRAPHY”. 《Sexy Zone Official Site》. 포니캐년. 2012년 3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9월 21일에 확인함.  ↑ “DISCOGRAPHY”. 《Sexy Zone Official Site》. 포니캐년. 2012년 3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9월 30일에 확인함.  vdehSexy Zone 나카지마 켄토 키쿠치 후마 사토 쇼리 마츠시마 소우 마리우스 요 싱글 Sexy Zone Lady 다이아몬드 Sexy Summer에 눈이 내린다 Real Sexy!/BAD BOYS 바이바이Du바이~See you again~/A MY GIRL FRIEND King & Queen & Joker 남자 never give up 너에게 HITOMEBORE Cha-Cha-Cha 챔피언 컬러풀 Eyes 승리의 날까지 요비스테 앨범 one Sexy Zone Sexy Second Sexy Power3 Welcome to Sexy Zone Sexy Zone 5th Anniversary Best(베스트 앨범) 관련 문서 쟈니즈 사무소 포니캐년 배구 월드컵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Sexy_Summer에_눈이_내린다&oldid=21801380" 분류: 2012년 노래2012년 오리콘 싱글 차트 1위 작품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Tiếng Việt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7월 18일 (수) 07: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Sexy Summer에 눈이 내린다〉(Sexy Summerに雪が降る Sexy Summer니 유키가 후루[*])는 Sexy Zone의 3번째 싱글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sexy summer 음반에 참여한 스태프에는 누가 있을까? Assistant: Sexy Summerに雪が降る / Sexy Summer에 눈이 내린다 キミのため ボクがいる / 너를 위해 내가 있어 雨だって / 비라도 ベイサイドエレジー / 베이사이드 엘레지 작사: zopp / 작곡: Anders Wigelius, Erik Wigelius / 편곡: 나카니시 히로, 사토 야스마사 Human: 아래 유기화학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유기화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기화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메테인 분자 구조: 가장 단순한 탄화수소 화합물 유기화학(有機化學, Organic chemistry)은 유기 화합물의 구조나 특성, 제법 및 응용등을 연구하는 화학의 한 분야이다. 원래는 살아있는 생명체에 의해 만들어진 물질(유기물)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정의되었으나, 1828년 프리드리히 뵐러가 무기물인 사이안산암모늄으로부터 요소를 만들어내어, 유기물질이 생명체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실험실에서도 만들어질 수 있음이 알려진 이후로는 탄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재정의되었다. 유기화학에서의 유기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탄소와 수소를 포함하고 있는 분자를 지칭한다. 목차 1 구조분석 및 구조결정 2 명명법 3 같이 보기 4 외부 링크 구조분석 및 구조결정[편집] 주어진 화합물의 구조를 분석하는 것은 유기화학에서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여러가지 분석기법이 동원되는데, 기본적으로 NMR, IR, Mass Spectrometry Data등이 필요하며 기타 특성으로 고체화합물의 경우 녹는점을 측정하며 UV-vis data를 통해 분자내 발색단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광학활성인 화합물의 경우 비선광도(specific rotation)나 CD spectrum등의 자료가 필요하다. 추가적인 구조분석자료로 고체시료의 경우 X-ray crystallography data가 이용된다. 명명법[편집] IUPAC 명명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하나의 유기 화합물의 이름과 표현 유기 화합물의 이름은 규칙을 논리적으로 따라 조직적인 이름으로 이루어지거나, 다양한 전통을 따라 비조직적인 이름으로 이루어진다. 조직적인 이름은 IUPAC의 권고로 규정되어 이루어진다. 조직적인 명명법은 분자 안의 부모 구조의 이름으로 시작한다. 이때 이러한 부모 이름은 접두사, 접미사, 숫자로 수정된다. 수백만의 유기 화합물이 알려져 있는 상황에서 조직적인 이름을 체계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부담이 되는 일이다. 그러므로 IUPAC 권고는 복잡한 분자들이 아닌 단순한 화합물에 따라가려고 한다. 조직적인 명명을 이용하려면 부모 구조의 이름과 그 구조들을 이해하여야 한다. 부모 구조에는 탄화 수소, 복소환식화합물, 또 그에 따른 단작용하는 파생물을 포함한다. 조직적이지 않은 명명은 적어도 유기 화학자들에게 더 단순하고 애매함이 없다. 비조직적인 이름은 화합물의 구조를 가리키지 않는다. 비조직적인 이름은 대부분의 천연 상품을 포함하는 복잡한 분자들에 쓰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비공식적으로 이름이 붙은 리세르그산 디에틸아미드라는 이름은 조직적으로 이름을 붙이면 (6aR,9R)-N,N-diethyl-7-methyl-4,6,6a,7,8,9-hexahydroindolo-[4,3-fg] quinoline-9-carboxamide가 된다. 같이 보기[편집] 유기 화합물 유기 반응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유기화학 (영어) Organic-Chemistry.org, Organic Chemistry Portal - Recent Abstracts and (Name)Reactions vdeh화학의 주요 분야물리화학 고체화학 광화학 계산화학 물리화학 분광학 양자화학 이론화학 열화학 전기화학 지구화학 표면과학 유기화학 고분자화학 물리유기화학 생물물리화학 생물유기화학 생화학 신경화학 약학 유기금속화학 유기화학 의약화학 화학생물학 무기화학 무기화학 뭉치화학 생물무기화학 재료과학 핵화학 그 외 녹색화학 분석화학 습식화학 우주화학 초분자화학 클릭 화학 환경화학 화학 교육 주기율표 전거 통제 LCCN: sh85023022 GND: 4043793-0 NDL: 0057447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유기화학&oldid=22353225" 분류: 유기화학숨은 분류: 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অসমীয়া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Boarisch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Dolnoserbs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VõroFøroysktFrançaisFurlanGàidhligGalego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PatoisJawaქართულიTaqbaylitKabɩyɛҚазақшаಕನ್ನಡ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umbaart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Bahasa MelayuMaltiမြန်မာဘာသာPlattdüütsch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vialOccitanਪੰਜਾਬੀPolski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inaray吴语ייִדיש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2일 (수) 11:0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유기화학(有機化學, 영어: organic chemistry)은 유기 화합물의 구조나 특성, 제법 및 응용 등을 연구하는 화학의 한 분야이다. 원래는 살아있는 생명체에 의해 만들어진 물질(유기물)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정의되었으나, 1828년 프리드리히 뵐러가 무기물인 사이안산 암모늄으로부터 요소를 합성하여 유기 화합물이 생명체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실험실에서도 만들어질 수 있음이 알려진 이후로는 탄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재정의되었다. 유기화학에서의 유기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탄소를 포함하고 있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유기화합물의 명명법은 어떤 방식으로 이뤄지는가? Assistant: 유기 화합물의 이름은 규칙을 논리적으로 따라 조직적인 이름으로 이루어지거나, 다양한 전통을 따라 비조직적인 이름으로 이루어진다. 조직적인 이름은 IUPAC의 권고로 규정되어 이루어진다. 조직적인 명명법은 분자 안의 부모 구조의 이름으로 시작한다. 이때 이러한 부모 이름은 접두사, 접미사, 숫자로 수정된다. 수백만의 유기 화합물이 알려져 있는 상황에서 조직적인 이름을 체계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부담이 되는 일이다. 그러므로 IUPAC 권고는 복잡한 분자들이 아닌 단순한 화합물에 따라가려고 한다. 조직적인 명명을 이용하려면 부모 구조의 이름과 그 구조들을 이해하여야 한다. 부모 구조에는 탄화 수소, 복소환식화합물, 또 그에 따른 단작용하는 파생물을 포함한다. 조직적이지 않은 명명은 적어도 유기 화학자들에게 더 단순하고 애매함이 없다. 비조직적인 이름은 화합물의 구조를 가리키지 않는다. 비조직적인 이름은 대부분의 천연 상품을 포함하는 복잡한 분자들에 쓰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비공식적으로 이름이 붙은 리세르그산 디에틸아미드라는 이름은 조직적으로 이름을 붙이면 (6aR,9R)-N,N-diethyl-7-methyl-4,6,6a,7,8,9-hexahydroindolo-[4,3-fg] quinoline-9-carboxamide가 된다.
Human: 아래 KBS_글로벌_24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KBS 글로벌 24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BS 글로벌 24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KBS 월드뉴스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KBS 930 뉴스의 국제뉴스 코너인 KBS 월드뉴스에 대해서는 KBS 930 뉴스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KBS 글로벌 24 KBS GLOBAL 24 장르 S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KBS 2TV 방송 기간 1999년 5월 3일 ~ 2000년 4월 29일2008년 3월 31일 ~ 2008년 11월 13일2013년 4월 8일 ~ 현재 방송 시간 매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8시 30분 ~ 8시 55분 방송 분량 25분 추가 채널 KBS 24시 뉴스 책임프로듀서 남종혁 프로듀서 최지예 임세빈 연출 이지연, 류지나 진행자 메인 : 김지원 서브 : 박태원 출연자 수화 : 한현심 음성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자막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 방송한국 수어 통역 방송 (2014년 ~ ) HD 방송 여부 HD 관련 프로그램 지구촌 뉴스 외부 링크  KBS 글로벌 24 홈페이지 비고: 한국 수어 통역 방송 (2014년 11월 3일 이후 기준) KBS 장애인 서비스 뉴스의 <수화 제공 뉴스> 있음. U-KBS HEART, KBS 24시 뉴스에서는 방송되지 않음.[1] KBS 검색 결과의 전체 회차 보기 및 KBS 장애인 서비스 메뉴의 2TV의 다시 보기 창의 VOD를 제공되지 않고 있음. 《KBS 글로벌 24》는 대한민국 KBS 2TV에서 월요일 ~ 목요일 저녁 8시 30분에 방송되는 한국방송공사의 저녁 국제뉴스 프로그램이다. KBS 장애인 서비스 및 KBS 2TV 편성표의 창이 뜨지 않고 홈페이지가 클릭하여 뜨지 않고 있다. KBS 2TV 편성표 및 검색결과의 이미지의 1TV에서 방송된 2013년 4월 8일 ~ 2013년 10월 17일 이전 (1TV), 2TV에서 방송시간 변경 이후 2013년 10월 21일 ~ 2014년 12월 31일, 2015년 1월부터 이미지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 목차 1 기획 의도 2 방송 시간 3 앵커 3.1 현재 앵커 3.1.1 메인 3.1.2 서브 3.2 역대 앵커 3.2.1 메인 3.2.2 서브 4 구성 5 타이틀 변천사 6 같이 보기 7 각주 및 임시 앵커 기획 의도[편집] 세계 주요 뉴스와 온 오프라인을 망라한 국제 정보를 새로운 방식으로 신속하게 전달하는 생방송 국제 한국방송공사의 뉴스 프로그램이다. 방송 시간[편집] 현재 방송 시간은 2018년 9월 17일부터를 기준으로 한다. 일부 설날 · 추석 연휴 혹은 실황 중계에는 방송되지 않는다.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KBS 2TV 1999년 5월 3일 ~ 2000년 4월 29일 월요일 ~ 토요일 아침 6시 ~ 6시 30분 (30분) 2008년 3월 31일 ~ 2008년 11월 13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30분 ~ 6시 50분 (20분) 2013년 10월 21일 ~ 2015년 1월 2일 평일 저녁 6시 ~ 6시 30분 (30분) 2015년 1월 5일 ~ 2016년 4월 21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 6시 30분 (30분) 2016년 4월 25일 ~ 2017년 5월 25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8시 30분 ~ 8시 55분 (25분) 2018년 9월 17일 ~ 현재 2017년 5월 29일 ~ 2018년 9월 14일 평일 저녁 8시 30분 ~ 8시 55분 KBS 1TV 2013년 4월 8일 ~ 2013년 10월 17일 월요일 ~ 목요일 밤 12시 ~ 12시 40분 (40분) 앵커[편집] 현재 메인 앵커는 2018년 9월 17일부터를 기준으로 하며, 서브 앵커는 2017년 11월 20일부터를 기준으로 한다. 메인 앵커의 경우 2008년 3월 31일부터 2008년 11월 13일까지 아나운서가 진행하였으나, 2013년 4월 8일부터 2015년 9월 17일까지 보도국 기자가 진행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가 2015년 9월 21일부터 아나운서가 진행하는 방식으로 환원되었다. 현재 앵커[편집] 메인[편집] 김지원 (여) - KBS 아나운서 서브[편집] 박태원 (남) - KBS 아나운서 역대 앵커[편집] 메인[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역대(대수) 진행자 진행 기간 비고 1대 백승주 아나운서 2008년 3월 31일 ~ 2008년 11월 13일 2대 박에스더 기자 2013년 4월 8일 ~ 2014년 4월 11일 3대 하송연 기자 2014년 4월 14일 ~ 2015년 9월 17일 4대 이각경 아나운서 2015년 9월 21일 ~ 2016년 4월 21일 [2] 5대 윤수영 아나운서 2016년 4월 25일 ~ 2016년 12월 28일 [3] 6대 김진희 아나운서 2017년 1월 2일 ~ 2018년 3월 23일 [4] 7대 윤지영 아나운서 2018년 3월 26일 ~ 2018년 9월 14일 8대 김지원 아나운서 2018년 9월 17일 ~ 현재 [5] 서브[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역대(대수) 진행자 진행 기간 비고 1대 장수연 아나운서 2013년 4월 8일 ~ 2013년 10월 17일 2대 김승휘 아나운서 2013년 10월 21일 ~ 2015년 1월 8일 3대 김희수 아나운서 2015년 1월 12일 ~ 2016년 4월 21일 4대 박태원 아나운서 2016년 4월 25일 ~ 현재 [6] 구성[편집] 코너명 진행자 글로벌 주요뉴스 김지원 아나운서 글로벌 현장 글로벌 오늘의 픽 글로벌 카드뉴스 글로벌 스토리 (지구촌 뉴스 지구촌 화제영상 재방송) 박태원 아나운서 클로징 김지원 아나운서 타이틀 변천사[편집] 현재 타이틀은 2013년 4월 8일을 기준으로 한다. 기수 타이틀 방송 기간 1기 KBS 월드뉴스 1999년 5월 3일 ~ 2000년 4월 29일2008년 3월 31일 ~ 2008년 11월 13일 2기 KBS 글로벌 24 2013년 4월 8일 ~ 현재 같이 보기[편집] 지구촌 뉴스 특파원 보고 세계는 지금 각주 및 임시 앵커[편집] ↑ 다만, KBS 24시 뉴스의 경우, 다른 시간대에 이 프로그램을 재방송한다. ↑ 이각경 아나운서(現. 평일 KBS 뉴스 9 앵커)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15년 12월 14일 ~ 2015년 12월 17일 방송분은 윤수영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윤수영 아나운서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16년 10월 11일 ~ 2016년 10월 12일, 2016년 12월 12일 ~ 2016년 12월 15일 방송분은 김진희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KBS의 파업으로 인하여, 2016년 12월 8일 방송분은 임수민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KBS의 노조 파업으로 인하여, 2017년 8월 28일 ~ 2017년 9월 1일 방송분은 엄지인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17년 9월 4일 ~ 2018년 1월 23일 방송분은 강성곤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김지원 아나운서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18년 11월 8일 방송분은 박지현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19년 4월 8일 ~ 2019년 4월 10일 방송분은 주말 KBS 뉴스 9 앵커인 박소현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KBS의 노조 파업으로 인하여, 2017년 9월 4일 ~ 2017년 11월 17일 방송분은 강성곤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KBS 2TV 월요일 ~ 목요일 프로그램 이전 KBS 글로벌 24 다음 일일드라마(태양의 계절) 옥탑방의 문제아들 (월)월화드라마 재방송 (화)살림하는 남자들 (수)제보자들 (목) 저녁 7시 50분 밤 8시 30분 밤 8시 55분 vdeh 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드라마 일일드라마 (《태양의 계절》) 월화드라마 (《퍼퓸》) 수목드라마 (《저스티스》) 주말드라마 (《세상에서 제일 예쁜 내 딸》) 예능 《옥탑방의 문제아들》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아이를 위한 나라는 있다》 《썸바이벌 1+1》 《살림하는 남자들》 《해피투게더》 《뮤직뱅크》 《연예가중계》 《으라차차 만수로》 《유희열의 스케치북》 《영화가 좋다》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배틀 트립》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슈퍼맨이 돌아왔다》 《개그콘서트》 《연예대상》¹ 《가요대축제》¹ 《연기대상》¹ 시사교양 《생방송 아침이 좋다》 《그녀들의 여유만만》 《2TV 생생정보》 《제보자들》 《세상의 모든 다큐》 《영상앨범 산》 《KBS 재난방송센터》 《다큐멘터리 3일》 뉴스  · 스포츠 《KBS 아침뉴스타임》(《주간연예수첩》) 《지구촌 뉴스》 《KBS 뉴스타임 (1400)》 《KBS 경제타임》 《KBS 글로벌 24》 《비바! K리그》 《스포츠 하이라이트》 어린이 《자동공부책상 위키 2》 《TV유치원》 《파파독 시즌 2》 《쉿! 내 친구는 빅파이브》 《핑크퐁 원더스타》 《누가누가 잘하나》 《또봇 V》 재방송 일일연속극 (《여름아 부탁해》) 《걸어서 세계속으로》 《다큐공감》 《사랑의 가족》 《생활의 발견》 《인간극장》 《트레킹노트 세상을 걷다》 《ㅋㄷㅋㄷ코딩TV》 《TV는 사랑을 싣고》 KBS1 KBS2 EBS1 EBS2 MBC OBS SBS †현재 잠정 중단된 프로그램 ¹ 연중 1회 방송되는 프로그램 ² 유동적으로 편성되는 프로그램 대한민국의 저녁 뉴스 프로그램지상파 KBS 뉴스 5 (평일, KBS 1TV) KBS 뉴스 7 (평일, KBS 1TV) KBS 스포츠 9 (매일, KBS 1TV) KBS 경제타임 (월요일 ~ 목요일, KBS 2TV) KBS 글로벌 24 (월요일 ~ 목요일, KBS 2TV) MBC 스포츠뉴스 (매일, MBC TV) SBS 오 뉴스 (평일, SBS TV) SBS 스포츠뉴스 (매일, SBS 1TV) 지역 민영 방송사 TBC 대경뉴스광장 (평일, TBC) TJB 뉴스 (1745) (평일, TJB) 투데이 뉴스 (월요일 ~ 목요일, TJB) kbc 저녁뉴스 (평일, kbc 광주방송) CJB 뉴스 (1740) (평일, CJB 청주방송) JTV 저녁뉴스 (평일, JTV 전주방송) ubc 뉴스라인 (평일, ubc 울산방송) 뉴스퍼레이드 강원 (평일, G1 강원민방) JIBS 저녁뉴스 (평일, JIBS 제주국제자유도시방송) OBS 뉴스 오늘 (평일, OBS경인TV) 오늘의 월드뉴스 (평일, OBS경인TV) 종합편성 채널A 뉴스 TOP 10 (평일, 채널A) 정치부 회의 (평일, JTBC) 이 시각 뉴스룸 (평일, JTBC) 뉴스 & 이슈 (평일, MBN) MBN 뉴스와이드 (평일, MBN) 시사쇼 이것이 정치다 (평일, TV조선) 보도 채널 YTN 24 (1830) (평일, YTN) 뉴스가 있는 저녁 (평일, YTN) YTN 24 (2100) (매일, YTN) YTN 24 (1950) (주말, YTN) 뉴스워치 (평일, 연합뉴스TV) 뉴스메이커 (평일, 연합뉴스TV) 뉴스 20 (매일, 연합뉴스TV) 뉴스리뷰 (평일, 연합뉴스TV) 뉴스 19 (주말, 연합뉴스TV) 과거 KBS 뉴스 헤드라인 (평일, KBS 1TV) KBS 뉴스와 일기해설 (평일, KBS 1TV) KBS 오늘의 뉴스 (평일, KBS 1TV) KBS 뉴스센터 (1900) (평일, KBS 1TV) KBS 7시 뉴스 (평일, KBS 1TV) KBS 전국 7시 뉴스 (평일, KBS 1TV) 와이드 정보 700 (평일, KBS 1TV) KBS 저녁뉴스 (평일, KBS 1TV) KBS 뉴스네트워크 (평일, KBS 1TV) KBS 수도권뉴스 (평일, KBS 1TV) KBS 지역권뉴스 (평일, KBS 1TV) KBS 뉴스월드 (월요일 ~ 목요일, KBS 1TV) KBS 스포츠뉴스 (평일, KBS 1TV) KBS 2TV 뉴스 (1900) (평일, KBS 2TV) KBS 뉴스 (1800) (월요일 ~ 목요일, KBS 2TV) KBS 뉴스타임 (1800) (평일, KBS 2TV) KBS 6시 뉴스타임 (월요일 ~ 목요일, KBS 2TV) 투데이 스포츠 (평일, KBS 2TV) 뉴스타임 스포츠 (평일, KBS 2TV) 스포츠 IN 스포츠 (평일, KBS 2TV) 스포츠 타임 (월요일 ~ 목요일, KBS 2TV) KBS 월드뉴스 (월요일 ~ 목요일, KBS 2TV) 오늘의 뉴스 (평일, KBS 2TV) KBS 뉴스타임 (2150) (평일, KBS 2TV) MBC 오늘의 뉴스 (평일, MBC TV) MBC 뉴스센터 500 (평일, MBC TV) MBC 5시 뉴스 (평일, MBC TV) MBC 뉴스 (1700) (평일, MBC TV) 5 MBC 뉴스 (평일, MBC TV) MBC 뉴스브리핑 (평일, MBC TV) MBC 종합뉴스 (평일, MBC TV) MBC 뉴스이브닝 (평일, MBC TV) MBC 뉴스센터 630 (평일, MBC TV) MBC 저녁뉴스 (평일, MBC TV) 6시 뉴스매거진 (평일, MBC TV) MBC 뉴스 (1800) (평일, MBC TV) MBC 이브닝뉴스 (평일, MBC TV) MBC 뉴스콘서트 (평일, MBC TV) MBC 뉴스 (1850) (평일, MBC TV) MBC 뉴스라인 (평일, MBC TV) MBC 뉴스센터 (1800) (평일, MBC TV) SBS 뉴스 (1730) (평일, SBS TV) SBS 530 뉴스 (평일, SBS TV) 수도권 뉴스현장 (평일, SBS TV) 생방송 투데이 1부 (평일, SBS TV) SBS 뉴스퍼레이드 (평일, SBS TV) SBS 수도권뉴스 (평일, SBS TV) SBS 뉴스버라이어티 (평일, SBS TV) PSB 뉴스투데이 (평일, PSB) KNN 뉴스투데이 (평일, KNN) KNN 경남투데이 (평일, KNN) 오늘의 종합뉴스 (평일, KNN) KNN 뉴스와 건강 (평일, KNN) 전국뉴스패트롤 (평일, TJB) TJB 뉴스스테이션 (평일, TJB) TJB 뉴스 6 (평일, TJB) GTB 뉴스퍼레이드 (평일, GTB 강원민방) 뉴스현장 강원 (평일, GTB 강원민방) iTV 뉴스 (1600) (평일, iTV 경인방송) iTV 로컬635 (평일, iTV 경인방송) iTV 로컬투데이 (평일, iTV 경인방송) iTV 수도권뉴스 (평일, iTV 경인방송) OBS 뉴스 (1600) (평일, OBS경인TV) OBS 경인브리핑 (평일, OBS경인TV) OBS 뉴스 355 (평일, OBS경인TV) OBS 경제+ (평일, OBS경인TV) OBS 뉴스&이슈 (평일, OBS경인TV) 글로벌 투데이 (평일, OBS경인TV) 채널A 뉴스현장 (평일, 채널A) JTBC 1분뉴스 (평일, JTBC) JTBC 뉴스 6 (평일, JTBC) JTBC 뉴스 이브닝 (평일, JTBC) 뉴스 큐브 6 (평일, JTBC) 뉴스2.0 (평일, MBN매일경제TV) MBN 5시 뉴스 (평일, MBN) MBN 뉴스와이드 주말 저녁 (주말, MBN) TV조선 뉴스특급 730 (평일, TV조선) TV조선 저녁뉴스 7 (평일, TV조선) TV조선 뉴스 (1825) (평일, TV조선) 쏙쏙 경제 (월요일 ~ 목요일, YTN) YTN 이브닝뉴스 (평일, YTN) 뉴스 통 (평일, YTN) 이브닝 8 뉴스 (평일, YTN) 뉴스만만 (평일, YTN) 뉴스 21 (평일, YTN) 북한은 오늘 (평일, 뉴스Y 연합뉴스TV) 지방시대 (평일, 뉴스Y) 생생네트워크 (평일, 연합뉴스TV)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KBS_글로벌_24&oldid=24526762" 분류: 한국방송공사의 뉴스 텔레비전 프로그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spañol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5일 (금) 09: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KBS 글로벌 24》(KBS GLOBAL 24)는 대한민국 KBS 2TV에서 월요일 ~ 목요일 저녁 8시 30분에 방송되었던 한국방송공사의 저녁 국제 심층 뉴스쇼 프로그램이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현재 KBS 글로벌 24는 언제 방송하나요? Assistant: 월요일 ~ 목요일 저녁 8시 30분 ~ 8시 55분 Human: 아래 조큐의_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조큐의 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큐의 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큐의 난(承久の乱)날짜조큐 3년(1221년) 6월장소헤이안쿄결과 막부군의 압승교전국 가마쿠라 막부 일본 조정지휘관 호조 요시토키 호조 야스토키 호조 도키후사 호도 도모토키 다케다 노부미쓰 고토바 상황 후지와라노 히데야스 오우치 고레노부병력 약 190,000(아즈마카가미) 조큐의 난(일본어: 承久の乱)은 가마쿠라 시대의 조큐(承久) 3년(1221년) 고토바 상황이 가마쿠라 막부(鎌倉幕府)에 대한 토벌군을 일으켰다가 패배한 병란(兵亂)이다. 조큐의 변(承久の変), 조큐 전투(承久の合戰)이라 불리기도 한다. 난이 일어날 당시 싯켄(執權)은 호조 요시토키(北条義時)이다. 당시 무가 정권(武家政權)인 가마쿠라 막부의 성립과 함께, 치천(治天)의 군(君)이라 불리던 상황(上皇)을 중심으로 한 교토(京都)의 구게 정권(公家政權)과의 이두정치(二頭政治)가 계속되던 일본의 정치 체제는 이 사건을 계기로 막부에 주도권이 넘어가면서 조정의 권력이 제한되고 막부가 황위계승 등에 영향력을 갖게 되는 등의 변동을 겪게 되었다. 목차 1 배경 2 상황, 무사들에게 막부 타도를 위한 거병을 권하다 3 난의 경과 4 전후처리 5 사건의 영향 6 조큐의 난과 변 7 사료 7.1 역사서 7.2 군담소설 7.3 역사이야기 8 각주 9 참고문헌 10 같이 보기 배경[편집] 겐페이 전쟁(지쇼 주에이의 난) 과정에서 가마쿠라를 본거지로 삼은 미나모토노 요리토모(源賴朝)를 동량(棟梁)으로서 도고쿠(東國) 무사들이 중심이 되어 수립된 가마쿠라 막부는 도고쿠를 비롯한 여러 구니에 슈고(守護) · 지토(地頭)를 설치하고 경찰권을 장악했지만, 서쪽에는 아직 조정의 힘이 강한 구니도 많았으므로 자연스럽게 일본은 막부와 조정의 이두정치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고토바 상황은 다재다능한 인물로써 《신고금 와카집(新古今和歌集)》를 직접 편찬했을 정도로 학예에 뛰어났고, 무예에도 정통해 수렵을 좋아한 활발하고 호방한 성격의 천황이었다. 상황은 여지껏 존재하던 북면 무사에 더해 서면(西面) 무사를 설치해 군사력 강화를 꾀했는데, 이러한 상황의 재원은 조코도령(長講堂領)·하치조뇨인령(八條女院領) 같은 여러 구니에 설치된 팽대한 장원(莊園)에 있었다. 하지만 이들 장원 가운데 상당수에 막부의 지토가 배치되면서 연공(年貢)이 제때 들어오지 않는 사태가 거듭되었고, 그 자신이 장원영주이기도 했던 고토바 상황이나 그를 둘러싼 근신들, 그리고 막부의 지토 사이에는 여러 차례 분쟁이 일어났다. 그러던 조큐 원년(1219년) 1월, 막부의 3대 쇼군(將軍)이었던 미나모토노 사네토모(源実朝)가 조카 구교(公曉, 요리이에의 아들)에게 암살되는 사건이 발생한다. 《조큐기(承久記)》를 비롯한 옛 이야기에서는 이를 '관타치(官打ち, 신분에 어울리지 않는 지위에 오른 것이 불행을 불렀다는 생각)' 등의 저주조복(呪詛調伏)의 효과로 생각한 고토바 상황이 몹시 기뻐했다고 한다(하지만 이에 대해 근년의 연구에서는 사실 고토바 상황은 무가정권과 대립하려 한 것이 아니라 공(公) · 무(武)를 융화한 정치를 꾀했고 때문에 사네토모의 위계를 올려주어 우대했었다는 견해가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사네토모의 급사로 인해 가마쿠라의 정무는 요리토모의 정실이자 미망이었던 호조 마사코(北條政子)가 대행하고, 그의 남동생이던 싯켄 요시토키가 이를 보좌하는 형태가 되었다. 막부는 새로운 쇼군으로 황족 마사나리(雅成) 친왕을 맞이하고 싶다는 의사를 고토바 상황에게 요청했는데, 이에 대해 상황은 자신의 근신인 후지와라노 다다쓰나(藤原忠綱)을 가마쿠라에 보내어 애첩 이가노 쓰보네(伊賀局, 원래는 시라뵤시白拍子) 가메기쿠(龜菊) 소유의 영지였던 셋쓰(攝津) 나가노에(長江) 장원과 구라하시(倉橋) 장원의 지토를 철폐할 것과 당시 고케닌(御家人)으로서 친원파(親院派)[1]이기도 했던 서면 무사 니시나 모리토오(仁科盛遠)에 대한 처분을 철회해줄 것을 제시했다. 요시토키는 상황의 이러한 요청을 막부의 근간을 뒤흔드는 것으로 보고 거부하고, 동생 도키후사(時房)에게 1천 기(騎)를 주어 교토에 보내 무력 협박을 통한 교섭을 시도했지만 강경한 조정의 태도 앞에 결렬된다. 요시토키는 황족 쇼군을 포기하고 셋칸케(攝關家)에서 쇼군을 맞이하기로 결정, 같은 해 6월 구조 미치이에(九條道家)의 아들인 미토라(三寅)를 맞이해 쇼군으로 삼았다. 여기에 싯켄이 중심이 되어 정무를 집행하는 싯켄 체제가 형성되었다. 쇼군 후계 문제는 고토바 상황이나 요시토키에게도 응어리로 남는 결과가 되었는데, 여기서 문제가 된 것은 사네토모 생전부터 이미 자기의 후계자로써 황족 쇼군을 맞이할 것을 검토한 데서 시작되었다는 설이 있다. 우와요코테 마사타카(上横手雅敬)의 주장에 따르면 겐포(建保) 4년(1216년) 8월, 사네토모가 히로모토에게 "겐지의 정통이 이미 줄어들어 자손이 이를 계승하지 못하고 있으니, 끝까지 관직을 갖고 가문을 세우길 원한다."고 했다는 《아즈마카가미》의 기록에서, 마땅히 가문(황실)이 후계를 요구하면, 이에(황족 쇼군의 아버지) 상응하는 관위를 요구하게 되고, 고토바 상황도 이를 승낙했기 때문에 사네토모를 승진시켰을 것이라는 설이었다. 하지만 이 설은 사네토모가 암살된 뒤 고토바 상황이 황족을 쇼군으로 내어주기를 거절한 이유를 설명할 수 없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는데, 이에 대해 고우치 소스케(河内祥輔)는 앞서 사네토모가 황자를 자신의 양자로 삼는다던지 하는 형식으로 후계자로 지명한 뒤, 쇼군의 지위를 양위하고 사네토모는 그의 후견이 되려던 당초의 구상이 사네토모의 암살로 무너졌다는 점, 막부 내에서 새로운 쇼군에 대한 반대 세력 때문에 황자가 암살될 것을 두려워한 고토바 상황이 황자의 안전을 보장(고우치 자신은 이를 막부 기구 및 호조씨 이하 주요 고케닌의 교토로의 이전 등을 들었음)하며 내놓은 조건을 막부가 거절한 것이라고 설명한다.(거꾸로 이때 황족 쇼군뿐 아니라 고셋케 쇼군의 옹립마저 상황이 거절한다면 불리한 것은 주요 목적을 잃은 막부측이 되며, 미토라가 가마쿠라로 가는 것을 허락한 시점에서 고토바 상황에게는 애초에 막부를 타도할 생각이 없었고 최종 목적도 당시 가마쿠라에서 이루어지던 호조씨 중심의 '현행 체제'를 타도하는 데에 있었지, '막부' 자체가 존속되는 것까지 교토가 반대하지는 않았음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같은 해 7월, 다이리 슈고(內裏守護)였던 미나모토노 요리시게(源賴茂, 미나모토노 요리마사의 손자)가 서면 무사들에게 습격당해 살해되는 사건이 일어났다. 이유는 요리시게가 쇼군이 되려 했기 때문이라고 하지만, 막부와 관련된 문제로 고토바 상황이 조정의 병력(서면 무사)을 움직이는 것은 정황상 부자연스러우며, 단지 그 무렵 고토바 상황에 의해 이루어지던 가마쿠라 조복(調伏)[2]의 가지기도(加持祈祷)[3]의 움직임을 요리시게에게 들켰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이 사건 직후 고토바 상황이 조복 기원에 썼던 최승사천왕원(最勝四天王院)이 해체되었다. 조정과 막부의 긴장은 나날이 높아졌고, 고토바 상황은 막부 토벌의 의사를 굳혔으나, 쓰치미카도(土御門) 상황은 이에 반대했다. 셋쇼 고노에 이에자네(近衛家實) 및 그의 아버지 모토미치(基通)을 시작으로 많은 구교(公卿)들도 막부 토벌에 대해서는 반대, 혹은 소극적인 입장이었다. 반면 준토쿠(順德) 천황은 막부 토벌에 적극적이어서 조큐 3년(1221년)에는 가네나리(懐成) 친왕에게 양위한 뒤 자유로운 입장에서 이 계획에 협력했다. 또한 고노에 이에자네가 물러나고 새로운 외척인 미치이에가 셋쇼가 되었으며, 비밀리에 각지의 사찰과 신사에 요시토키 조복의 가지기도를 올리라는 명이 전달되었다. 조정이 막부를 토벌하려 한다는 소문이 새어나오면서 조정과 막부의 대결은 불가피해졌다. 상황, 무사들에게 막부 타도를 위한 거병을 권하다[편집] 같은 해 5월 14일 고토바 상황은 야부사메소에(流鏑馬揃え)를 구실로 여러 구니의 병력을 모았고, 북면의 무사나 서면의 무사 및 인근 무사를 포함해 오반야쿠(大番役)로 교토에 머무르고 있던 무사 1,700여 기를 모아들였다. 그 중에는 막부의 유력 고케닌인 오노 모리쓰나(小野盛綱)와 미우라 다네요시(三浦胤義)도 포함되어 있었다. 막부의 지사 기관인 교토슈고(京都守護)였던 오에 지카히로(大江親廣, 오에 히로모토의 아들)는 상황의 강요로 어쩔 수 없이 교토측에 가담했다. 동시에 친막부파인 다이나곤(大納言) 사이온지 기미쓰네(西園寺公經)는 유폐되었다. 다음 날 15일 교토측의 후지와라노 히데야스(藤原秀康)가 이끄는 8백 기가 교토슈고 이가 미쓰스에(伊賀光季)의 저택을 습격했다. 미쓰스에는 얼마 되지 않는 병사들을 데리고 분전했으나 전사했고, 죽기 직전에 하인을 탈출시켜 교토에서의 변고를 가마쿠라에 고하게 했다. 고토바 상황은 여러 나라의 고케닌과 슈고 · 지토들에게 요시토키 추토(追討)를 명하는 인센(院宣)[4]을 띄웠다. 동시에 막부군을 방비하기 위해 인근 구니의 관소(關所)를 차지했다. 교토측의 사기는 크게 올랐고, "조적(朝敵, 조정의 적)이 된 이상 요시토키에게 가담하는 자는 천 명도 되지 않을 것이다"라는 낙관적인 태도를 보였는데, 이에 대해서 도고쿠 무사였던 죠 이에사다(庄家定)가 "요시토키측의 무사는 적어도 1만 명은 됩니다. 저도 간토에 있었다면 요시토키를 따랐을 것입니다"라며 지나친 낙관론을 경계했고, 고토바 상황은 이에 노여워했다고 한다. 이는 상황이 내린 인센의 효과를 굳게 믿었기 때문이었다. 조정은 여러 구니의 무사들이 모두 우방이 될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었다. 고토바 상황은 미우라 요시무라(三浦義村)를 필두로 막부의 유력 고케닌들에게는 특별히 인젠을 동봉한 사자를 가마쿠라에 보냈다. 특히 요시무라에 대해서는 "(동생 다네요시를) 일본총추포사(日本總追捕使)에 삼아주시면 분명 아군이 될 것입니다"라 약속했기에 크게 기대하고 있었다. 가마쿠라는 사이온지 기미쓰네의 게시(家司)인 미요시 나가히라(三善長衡)와 이가 미쓰스에가 탈출시킨 하인으로부터 상황이 각지 무사들에게 막부 타도를 명했다는 사실을 19일에 전달받았다. 교토측 사자는 이보다 조금 뒤에 도착하는 바람에, 경계하고 있던 막부측에게 붙들렸다. 다네요시의 밀서를 받은 요시무라는 사자를 되돌려 보내고 곧바로 밀서를 막부에 신고해 버렸다. 21일에는 인(院)의 근신(近臣)이면서도 상황의 계획에 반대해왔던 이치조 요리우지(一條賴氏)가 가마쿠라로 도망친다. 상황이 무사들에게 막부 타도를 명하며 군사를 일으키도록 했다는 소식에 가마쿠라의 무사들은 크게 동요했지만,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미망인인 호조 마사코가 요리토모 이래의 은혜를 호소하고 상황측을 토벌해달라는 성명을 내면서 일시에 진정되었다. 《아즈마카가미》 및 《조큐키》에서는 호조 마사코가 가마쿠라 무사들 앞에서 눈물을 흘리며 "돌아가신 우대장(右大將, 요리토모)의 은혜는 산보다도 높고 바다보다도 깊습니다. 지금 역신(逆臣)의 참언으로 잘못된 윤지(綸旨)가 내려졌으니, 히데야스와 다네요시를 죽여서 돌아가신 3대 쇼군의 유적을 지켜주시오. 인(院)의 우방이라면 지금 여기서 자신의 뜻을 말한 뒤 교토측에 가담해도 좋소."라고 읍소하여, 요시토키를 중심으로 고케닌들을 집결시키는데 성공했다고 전하고 있다. 난의 경과[편집] 요시토키나 야스토키(泰時), 도키후사, 오에노 히로모토, 미우라 요시무라, 아다치 가게모리(安達景盛) 등이 모여 열린 작전회의에서 하코네(箱根) · 아시가라(足柄)에서 결사항전을 벌이자는 신중론에 맞서 히로모토는 교토로의 적극적인 출격을 주장했고, 마사코의 재결로 히로모토의 주장이 채택되자 서둘러 병사를 모았고, 5월 22일, 도카이도(東海道) · 도산도(東山道) · 호쿠리쿠도(北陸道)의 세 방향으로 나누어 교토로 진격했다. 다급하게 이루어진 파병이었으므로 도카이도 군은 당초 18기(騎)만으로 가마쿠라를 출발했고, 야스토키가 도중에 가마쿠라로 돌아가 천황이 직접 병사를 이끄는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할 지를 요시토키에게 물었을 때 요시토키는 "천황에게는 활을 겨눌 수 없다. 즉시 갑옷을 벗고 활의 시위를 끊고 항복해라. 수도에서 병력만 보내온다면 힘이 다할 때까지 싸워라"고 명령했다고 전해진다. 막부 군은 도로상에서 서서히 병력을 증강했고 최종적으로는 19만 기로 늘어났다(《아즈마카가미》). 요시토키는 붙잡은 상황의 사자에게 "상황께서 싸움을 좋아하시는 것 같아서 동생 호조 도키후사(北条時房)와 아들 호조 야스토키에게 19만 기를 주어 보냈습니다. 부족하다 여기신다면, 발이 빠른 사자를 즉각 보내주시면 제가 몸소 20만 기를 거느리고 교토로 올라가겠나이다."라는 취지의 선전포고의 서찰을 주고 교토로 돌려보냈다. 가마쿠라 무사들이 인젠(院宣)을 받들어 요시토키를 토멸했을 것이라 믿고 막부군의 출격을 예측하지 못했던 고토바 상황과 교토측 지휘부는 당황했고, 막부군에 맞서기 위해 지체없이 후지와라노 히데야스를 총대장으로 하는 17,500여 기를 미노(美濃)에 보냈다. 이들은 미노와 오와리(尾張)의 경계인 오와리(尾張) 강에 포진했지만, 막부군보다도 훨씬 적은 병력을 그나마 분산시키는 실책을 범한다. 6월 5일 다케다 노부미쓰(武田信光)·오가사와라 나가키요(小笠原長淸)가 이끄는 도산도군 5만여 기가 오이에 도(大井戶渡)에 진을 치고 있던 오우치 고레노부(大内惟信)의 교토측 무사 2천 기를 격파했다. 후지와라노 히데야스와 미우라 다네요시는 지키기 어렵다고 판단해 우지(宇治) · 세타(瀨田)에서 교토를 지키기로 하고 재빨리 퇴각을 결정했다. 6일 야스토키와 도키후사가 이끄는 막부군 주력인 도카이도 군 10만 기가 오와리 강을 건너 스노마타(墨俣)의 진(陣)을 쳤고, 진을 탈출해 외곽에서 야마다 시게타다(山田重忠) 등이 구이세(杭瀨) 강에서 분전했으나 교토측은 완전히 무너져 대패하고 만다. 호조 도모토키(北條朝時)가 이끄는 호쿠리쿠도 4만 기도 교토측을 격파하고 가가(加賀)에 난입, 교토 진격을 눈 앞에 두고 있었다. 미노와 오와리에서의 패전 소식에 교토측은 동요했고 도성 안은 대혼란에 빠졌다. 고토바 상황은 직접 무장하고 히에이(比叡) 산에 올라가 승병(僧兵)들과 협력하고자 했지만, 앞서 상황이 내렸던 지샤에 대한 억제책에 불만을 품고 있던 히에이 산은 이를 거절했고, 어쩔 수 없이 교토측은 남은 전 병력을 모아 우지 · 세타에 진을 치고 우지 강에서 막부 군을 방어하기로 결정, 구게들도 다이쇼군(大將軍)으로써 참진했다. 6월 13일, 드디어 양쪽은 충돌했다. 교토측은 우지 강의 다리를 부수고 비가 내리는 와중에도 활을 쏘며 결사적으로 항전했다. 막부군은 호우로 불어난 물 때문에 강을 건너지 못하고 공격하지 못하다가 다음날인 14일, 장애를 무릅쓰고 적들이 지키고 있는 앞에서 바로 강을 건넜다. 많은 익사자를 내가며 적진을 돌파하는데 성공한 막부군의 공격 앞에 교토측은 패주했고, 막부군은 교토로 들이닥쳤다. 막부군은 지샤 및 교토측의 구게, 무사들의 저택에 불을 지르고 약탈과 폭행을 일삼았다. 《조큐기》에 보면 패주한 교토측 무사 후지와라노 히데야스와 미우라 타네요시, 야마다 시게타다는 최후의 일전을 준비하고자 고쇼로 달려갔으나 상황은 문을 굳게 닫고 그들을 돌려보냈고, 야마다 시게타다는 "겁쟁이 주군에게 속았다!"며 문을 치면서 분개했다고 한다. 한편 고토바 상황은 태도를 바꾸어 막부군에게 사자를 보내 "이번 난은 모신(謀臣)이 기획한 것"이라며 요시토키 추토의 선지를 취소하고, 대신 후지와라노 히데야스와 미우라 다네요시 등을 잡아들일 것을 명하는 선지를 내렸다. 상황에게 버림받은 교토측 무사들은 도지(東寺)에서 버티면서 저항했지만, 미우라 요시무라의 공격에 후지와라노 히데야스나 야마다 시게타다는 패주하고 미우라 다네요시는 분전 끝에 자결했다. 전후처리[편집] 7월 주모자였던 고토바 상황은 오키(隠岐) 섬, 준토쿠 상황은 사도(佐渡) 섬에 각각 유배되었다. 막부 토벌 계획에 반대한 쓰치미카도 상황은 스스로 원해서 도사(土佐)에 유배되었다.(후에 아와阿波로 옮겨짐). 고토바 상황의 황자인 로쿠조노미야(六條宮)·레이제이노미야(冷泉宮)도 각각 다지마(但馬), 비젠(備前)으로 유배되었다. 어린 천황도 폐위되어 구조 폐제(九条廢帝)라 불리게 되었고(메이지 이후에 시호가 주어졌다), 이쿠스케(行助) 법친왕(法親王)의 아들이 고호리카와(後堀河) 천황으로 즉위했다. 친막부파로써 고토바 상황에 구속되었던 사이온지 기미쓰네가 내대신(內大臣)에 임명되어 막부의 의향을 받아 조정을 주도하게 되었다. 고토바 상황의 막대한 장원은 몰수되어, 이쿠스케 법친왕에게 물려주었다. 다만 그 지배권은 막부가 장악했다. 막부 토벌 계획에 참가한 상황측의 '구교로서 싸움을 일으킨 장본인(合戰張本公卿)'으로 지명된 이치조 노부요시(一條信能) · 하무로 미쓰지카(葉室光親) · 미나모토노 아리마사(源有雅) · 하무로 무네유키(葉室宗行) · 다카쿠라 노리시게(高倉範茂) 등의 구교들은 가마쿠라로 압송되던 길에 처형되고, 나머지 인의 근신들도 각지에 유배, 혹은 근신 처분이 내려졌다. 또한 고토 모토키요(後藤基淸) · 사사키 쓰네타카(佐々木経高) · 고노 미치노부(河野通信) · 오에 지카히로(大江親廣) 등 막부 고케닌들까지 포함된 교토측의 무사가 다수 숙청되고 추방되었다. 막부군의 총대장 야스토키나 도키후사 등은 교토의 로쿠하라(六波羅)에 머무르며 조정의 감시 및 서국 무사의 통솔을 맡았다. 조정은 교토슈고를 대신해 새롭게 설치된 로쿠하라 단다이(六波羅探題)의 감시를 받게 되었고, 황위계승을 비롯해 조정에 대한 가마쿠라 막부의 통제가 강화되었다. 또한 교토측의 구게, 무사의 소유영지 약 3,000개소가 몰수되어 막부측 고케닌에게 지급되고, 새로운 지토가 대량으로 보임되었다. 사건의 영향[편집] 난 이후 조정은 막부에 완전히 종속되었다. 막부는 조정을 감시하며 황위 계승까지도 관여하게 되었고, 조정은 막부를 두려워해 세세한 부분 하나까지 빠뜨리지 않고 막부에 보고하며 막부의 지시를 구하는 입장이 되었다. 인세이(院政)의 재정적 기반이었던 죠코도령(長講堂領)·하치조뇨인령 등 상황 소유의 영지도 일단 막부에 몰수되었다가 다시 치천의 군에게 관리권이 돌아간 뒤에도 최종 소유권만은 막부에 귀속되었다. 또한 인의 근신으로서 처형된 이들의 상당수는 고토바 상황의 지지를 얻어 집안의 지위 상승을 꾀했던 자들이었는데, 조큐의 난이 실패로 돌아가면서 지위가 상승되기는커녕 쇠퇴(혹은 몰락)하게 되어, 인의 근신층 구성에도 변화가 일어났다(이는 아버지가 처음 대신이 된 뒤 자신의 승진 과정도 그와 비슷하게 밟아가던 호우몬 다다노부(거병파)와 사이온지 기미쓰네(반대파) 및 그 자손들이 이 난을 기회로 크게 나뉘고 있는 데서도 볼 수 있다). 또한 교토를 지지하던 사이고쿠의 구게·무가들로부터 많은 땅을 몰수하여 이를 전공이 있는 고케닌에게 대량 지급해 주었기에 싯켄 호조씨 집안과 고케닌 사이의 신뢰관계는 견고해졌으며, 가마쿠라 막부의 개부기(開府期)에 이어 많은 고케닌이 서국으로 이주하면서 막부의 지배는 기나이(畿內)에까지 강하게 미치게 되었다. 죠큐의 난이 있고 이듬해에 태어난 승려 니치렌(日蓮)은 이 사건을 '선대 미문의 하극상'으로 여겼지만, 교토 조정에는 이미 나라를 다스릴 힘이 없으며 "왕법은 이미 다하였다"고 해석했다. 그 자신이 도고쿠 출신으로 교토에 대해 품었을 강한 반발심까지 합쳐져, 가마쿠라 막부(호조 종가 즉 도쿠소케)야말로 진정한 '일본의 국주(국왕)'라 생각해, '수많은 탄압에도 불구하고' 국가를 일으킨 가마쿠라 막부에게만 포교를 행했고 교토나 조정에 대한 포교에는 소극적, 혹은 부정적이 되었다는 견해가 있다. 조큐의 난과 변[편집] 야스다 모토히사(安田元久)의 '역사사상의 호징에 대해서(歴史事象の呼称について)'에 의하면, 본 사건에 대해 다이쇼(大正) 중기까지는 '조큐의 난(乱)'의 표기가 주류였으나, 황국사관(皇國史観)의 입장에서 '조큐의 변(変)'이란 표기를 사용하게 하였다. 이것은 상황이 '반란'을 일으킨 것은 아니라는 사상적 입장을 우선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변'은 주로 불의의 정치적, 사회적 사건에서, '난'은 주로 무력을 동반한 사건에 사용된 것이었기에 전란이 발생한 본 사건에 '변'의 표기는 무리가 있다고 한다. 제2차 세계대전 후는 '난'의 표기가 주류가 되었다. 그러나 다나카 다카시(田中卓)의 교양일본사(教養日本史)을 시작으로 메이세이샤(明成社)의 고등학교용 교과서인 최신일본사(最新日本史), 새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新しい歴史教科書をつくる会)의 중학교용 교과서 "새 역사교과서"(新しい歴史教科書)등에서는 '변'을 사용하였다. 사료[편집] 역사서[편집] 《구칸쇼(愚管抄)》: 지엔(慈円) 저작. 일설에는 지엔은 이 책을 소유한 고토바 상황에게 막부 토벌을 단념하게 하려고 했다고 한다. 《아즈마카가미(吾妻鏡)》: 편찬물. 가마쿠라 막부의 반 공식기록. 군담소설[편집] 《조큐기록(承久記録)》(조큐기): 전 2권. 조큐의 난을 기록한 군담소설. 난의 원인을 고토바 상황의 부덕(不德)에 있다고 기록했다. 이본(異本)이 많다. 역사이야기[편집] 《로쿠다이쇼지키(六代勝事記)》: 조큐의 난을 고토바 상황이 부덕한 악왕(惡王)이었던 데서 비롯되었다고 하고 있다. 《마스카가미(増鏡)》: 전술의 호조 요시토키와 야스토키의 일화, 오키에 유배된 고토바 상황의 오키에서의 생활을 전하였다. 각주[편집] ↑ 여기서 '인(院)'이란 상황 또는 법황의 존칭이다. ↑ 진언종이나 천태종에서 부처의 힘을 빌어 악마를 멸망시킴. ↑ 주문을 외우며 신불에게 가호를 빌어 병이나 재앙을 면함. ↑ 상황이 내리는 선지(宣旨) 참고문헌[편집] 일본쪽 참고문헌입니다. 別冊歴史読本『後鳥羽上皇 野望!承久の乱』新人物往来社、1990年 石井進『日本の歴史 (7) 鎌倉幕府』中公文庫、1974年、ISBN 4-12-200070-X 栃木孝惟, 益田宗, 日下力, 久保田淳 『保元物語;平治物語;承久記』岩波書店、1992年、ISBN 4-00-240043-3 関幸彦 『北条政子―母が嘆きは浅からぬことに候 』ミネルヴァ書房、2004年、ISBN 4-623-03969-2 渡辺保 『北条政子』吉川弘文館、1985年、ISBN 4642050029 {{isbn}}의 변수 오류: 유효하지 않은 ISBN. 河内祥輔「朝廷・幕府体制の諸相」(初出:「日本中世の朝廷・幕府体制」『歴史評論』500号(1991年12月) 所収:『日本中世の朝廷・幕府体制』(吉川弘文館、2007年) ISBN 4-642-02863-3 安田元久「歴史事象の呼称について」(『学習院大学文学部紀要』30号、1983年) 같이 보기[편집] 일본의 역사교과서 문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큐의_난&oldid=22047013" 분류: 가마쿠라 시대의 사건가마쿠라 시대 교토가마쿠라 시대의 전투일본 황실고토바 천황야마시로국1221년 일본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日本語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ไทย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8월 20일 (월) 10: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조큐의 난(일본어: 承久の乱)은 가마쿠라 시대의 조큐(承久) 3년(1221년) 고토바 상황이 가마쿠라 막부(鎌倉幕府)에 대한 토벌군을 일으켰다가 패배한 병란(兵亂)이다. 조큐의 변(承久の変), 조큐 전투(承久の合戰)이라 불리기도 한다. 난이 일어날 당시 싯켄(執權)은 호조 요시토키(北条義時)이다. 당시 무가 정권(武家政權)인 가마쿠라 막부의 성립과 함께, 치천(治天)의 군(君)이라 불리던 상황(上皇)을 중심으로 한 교토(京都)의 구게 정권(公家政權)과의 이두정치(二頭政治)가 계속되던 일본의 정치 체제는 이 사건을 계기로 막부에 주도권이 넘어가면서 조정의 권력이 제한되고 막부가 황위계승 등에 영향력을 갖게 되는 등의 변동을 겪게 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조큐의 난을 '선대 미문의 하극상'으로 평가한 승려의 이름은 무엇일까? Assistant: 니치렌
Human: 아래 스프링_프레임워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스프링 프레임워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프링 프레임워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스프링 프레임워크 개발자 피보탈 소프트웨어 최근 버전 5.0.1 / 2017년 10월 24일 (19달 전)(2017-10-24) 운영 체제 크로스 플랫폼 (멀티 플랫폼) 플랫폼 자바 가상 머신 종류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라이선스 아파치 라이선스 2.0 웹사이트 (영어) www.springsource.org 스프링 프레임워크(Spring Framework)는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서 간단히 스프링(Spring)이라고도 불린다. 동적인 웹 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공기관의 웹 서비스 개발 시 사용을 권장하고 있는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의 기반 기술로서 쓰이고 있다. 목차 1 역사 2 특징 3 주요 모듈 3.1 제어 반전 컨테이너 3.2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프레임워크 3.3 데이터 액세스 프레임워크 3.4 트랜잭션 관리 프레임워크 3.5 모델-뷰-컨트롤러 패턴 3.6 배치 프레임워크 4 참고 자료 5 외부 링크 역사[편집] 로드 존슨이 2002년에 출판한 자신의 저서인 Expert One-on-One J2EE Design and Developement 에 선보인 코드를 기반으로 시작하여 점점 발전하게 되었다. [1] 이 프레임워크는 2003년 6월에 최초로 아파치 2.0 라이선스로 공개되었으며 주요 버전 이력은 다음과 같다. 1.0 : 2004년 3월 2.0 : 2006년 10월 2.5 : 2007년 11월 3.0 : 2009년 12월 3.1 : 2011년 12월 4.0 : 2013년 12월 5.0 : 2017년 9월 2006년에 1.2.6 버전으로 Jolt Productive Award[2] 와 Jax Innovation Award[3] 를 수상하였다. 특징[편집] 스프링은 다른 프레임워크에 비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경량 컨테이너로서 자바 객체를 직접 관리한다. 각각의 객체 생성, 소멸과 같은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며 스프링으로부터 필요한 객체를 얻어올 수 있다. 스프링은 POJO(Plain Old Java Object) 방식의 프레임워크이다. 일반적인 J2EE 프레임워크에 비해 구현을 위해 특정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거나 상속을 받을 필요가 없어 기존에 존재하는 라이브러리 등을 지원하기에 용이하고 객체가 가볍다. 스프링은 제어 반전(IoC : Inversion of Control)을 지원한다. 컨트롤의 제어권이 사용자가 아니라 프레임워크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스프링에서 사용자의 코드를 호출한다. 스프링은 의존성 주입(DI : Dependency Injection)을 지원한다. 각각의 계층이나 서비스들 간에 의존성이 존재할 경우 프레임워크가 서로 연결시켜준다. 스프링은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AOP : Aspect-Oriented Programming)을 지원한다. 따라서 트랜잭션이나 로깅, 보안과 같이 여러 모듈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기능의 경우 해당 기능을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다. 스프링은 영속성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한다. iBATIS나 Hibernate 등 이미 완성도가 높은 데이터베이스 처리 라이브러리와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스프링은 확장성이 높다. 스프링 프레임워크에 통합하기 위해 간단하게 기존 라이브러리를 감싸는 정도로 스프링에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많은 라이브러리가 이미 스프링에서 지원되고 있고 스프링에서 사용되는 라이브러리를 별도로 분리하기도 용이하다. 주요 모듈[편집] 스프링에서 사용되는 주요 모듈은 다음과 같다. 제어 반전 컨테이너[편집] 제어 반전(IoC: Inversion of Control) 컨테이너는 스프링의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기능으로서 자바의 반영(reflection)을 이용해서 객체의 생명주기를 관리하고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을 통해 각 계층이나 서비스들간의 의존성을 맞춰준다. 이러한 기능들은 주로 환경설정을 담당하는 XML 파일에 의해 설정되고 수행된다.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프레임워크[편집] 스프링은 로깅이나 보안, 트랜잭션 등 핵심적인 비즈니스 로직과 관련이 없으나 여러 곳에서 공통적으로 쓰이는 기능들을 분리하여 개발하고 실행 시에 서로 조합할 수 있는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AOP)을 지원한다.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강력한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프레임워크인 AspectJ도 내부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스프링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실행시(Runtime)에 조합하는 방식도 지원한다. 데이터 액세스 프레임워크[편집] 스프링은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고 자료를 저장 및 읽어오기 위한 여러 가지 유명한 라이브러리, 즉 JDBC, iBATIS(MyBatis), Hibernate 등에 대한 지원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트랜잭션 관리 프레임워크[편집] 스프링은 추상화된 트랜잭션 관리를 지원하며 XML 설정파일 등을 이용한 선언적인 방식 및 프로그래밍을 통한 방식을 모두 지원한다. 모델-뷰-컨트롤러 패턴[편집] 스프링은 웹 프로그램밍 개발 시 거의 표준적인 방식인 Spring MVC라 불리는 모델-뷰-컨트롤러(MVC) 패턴을 사용한다. DispatcherServlet이 Controller 역할을 담당하여 각종 요청을 적절한 서비스에 분산시켜주며 이를 각 서비스들이 처리를 하여 결과를 생성하고 그 결과는 다양한 형식의 View 서비스들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배치 프레임워크[편집] 스프링은 특정 시간대에 실행하거나 대용량의 자료를 처리하는데 쓰이는 일괄 처리(Batch Processing)을 지원하는 배치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기본적으로 스프링 배치는 Quartz 기반으로 동작한다. 참고 자료[편집] ↑ Rod Johnson (2002년 10월). 《Expert One-on-One J2EE Design and Developement》 (영어). Wrox. ISBN 978-0-7645-4385-2.  ↑ (영어) Jolt Winners 2006 ↑ (독일어) JAX Innovation Award Gewinner 2006 Archived 2009년 8월 17일 - 웨이백 머신 외부 링크[편집] (영어) 스프링 프레임워크 공식 사이트 (영어) 스프링 프레임워크 커뮤니티 사이트 한국 스프링사용자 모임(KSUG) 전거 통제 GND: 7526076-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스프링_프레임워크&oldid=23656361" 분류: 자바 플랫폼, 엔터프라이즈 에디션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FrançaisעבריתMagyar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ଓଡ଼ିଆ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తెలుగు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7일 (목) 17:5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스프링 프레임워크(영어: Spring Framework)는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 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서 간단히 스프링(Spring)이라고도 한다. 동적인 웹 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공기관의 웹 서비스 개발 시 사용을 권장하고 있는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의 기반 기술로 쓰이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특징은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경량 컨테이너로서 자바 객체를 직접 관리한다. 각각의 객체 생성, 소멸과 같은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며 스프링으로부터 필요한 객체를 얻어올 수 있다. 스프링은 POJO(Plain Old Java Object) 방식의 프레임워크이다. 일반적인 J2EE 프레임워크에 비해 구현을 위해 특정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거나 상속을 받을 필요가 없어 기존에 존재하는 라이브러리 등을 지원하기에 용이하고 객체가 가볍다. 스프링은 제어 반전(IoC : Inversion of Control)을 지원한다. 컨트롤의 제어권이 사용자가 아니라 프레임워크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스프링에서 사용자의 코드를 호출한다. 스프링은 의존성 주입(DI : Dependency Injection)을 지원한다. 각각의 계층이나 서비스들 간에 의존성이 존재할 경우 프레임워크가 서로 연결시켜준다. 스프링은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AOP : Aspect-Oriented Programming)을 지원한다. 따라서 트랜잭션이나 로깅, 보안과 같이 여러 모듈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기능의 경우 해당 기능을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다. 스프링은 영속성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한다. iBATIS나 Hibernate 등 이미 완성도가 높은 데이터베이스 처리 라이브러리와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스프링은 확장성이 높다. 스프링 프레임워크에 통합하기 위해 간단하게 기존 라이브러리를 감싸는 정도로 스프링에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많은 라이브러리가 이미 스프링에서 지원되고 있고 스프링에서 사용되는 라이브러리를 별도로 분리하기도 용이하다. Human: 아래 해리_S._트루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해리 S. 트루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해리 S. 트루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해리 S. 트루먼Harry S. Truman 미국의 제33대 대통령 임기 1945년 4월 12일 ~ 1953년 1월 20일 부통령 없음 (1945-1949)앨번 W. 바클리 (1949-1953) 전임: 프랭클린 D. 루스벨트(제32대)후임: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제34대) 미국의 제34대 부통령 임기 1945년 1월 20일 ~ 1945년 4월 12일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전임: 헨리 A. 월리스(제33대)후임: 앨번 W. 바클리(제35대) 신상정보 국적 미국 출생일 1884년 5월 8일(1884-05-08) 출생지 미국 미주리주 라마 사망일 1972년 12월 26일 (88세) 사망지 미국 미주리주 캔자스시티 학력 윌리엄 크리스먼 고등학교 (고졸) 정당 민주당 배우자 베스 트루먼 (1919-1972) 자녀 마거릿 종교 침례교 군사 경력 1918년의 트루먼 복무 미국 육군 미주리 주방위군 미국 육군 예비군 복무기간 1905년–1911년 (주방위군)1917년–1919년 (육군)1920년–1953년 (예비군) 최종계급 소령(Major) (육군) 대령(Colonel) (예비군) 지휘 * 제35보병사단 제60여단 제129야포 D포대 포대장 제102보병사단 제379야포연대 제1대대 대대장 제102보병사단 제379야포연대 연대장 참전 제1차 세계대전 서부전선 해리 S. 트루먼(영어: Harry S. Truman, 문화어: 해리 트루맨, 1884년 5월 8일 ~ 1972년 12월 26일)은 미국의 제34대 부통령(1945년), 33번째 대통령(1945년 4월 12일~1953년)이었다. 이는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부통령이 된 지 불과 82일 만에 대통령직을 승계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독일의 항복을 받았고, 태평양 전쟁에서 천황인 히로히토로부터 항복을 받았으며, 한국 전쟁 당시 미국의 대통령이었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핵공격 명령을 내린 국가 원수이다. 해리 S. 트루먼의 S는 그의 친할아버지와 외할아버지의 이름이 S로 시작하기 때문에 아버지가 그냥 S라고 붙였다. 목차 1 생애 1.1 어린시절 1.2 첫 정치생활 2 부통령에서 대통령으로 2.1 대통령 재임기간 2.2 외교 2.2.1 대 아시아 외교 2.2.1.1 1945년~1946년 2.2.1.2 1947년 2.2.1.3 1948년 2.2.1.4 1949년 2.2.1.5 1950년 3 여담 3.1 귀신 소동 3.2 그의 미들네임 S에 관한 논란 3.3 기타 3.4 퇴임 후 4 읽어보기 5 각주 6 외부 링크 생애[편집] 어린시절[편집] 그는 어렸을 적 역사책을 너무 많이 읽어서 시력이 나빠져서 사관학교에 가진 못하였지만, 시력 검사표를 외워 미주리주 소위 방위군에 임관하고 1차대전에 참전하여 포병장교로 프랑스에서 근무하다가 대위로 제대했다. 첫 정치생활[편집] 그는 1919년, 베스 트루먼과 결혼하고, 남성복 가게를 열었으나 3년도 못 가 망하고 말았다. 하지만 아내와의 결혼생활은 행복하였다. 그 뒤, 정치계에 투신하여 1922년부터 1934년까지 판사로 봉사하였고, 연방 상원의원의 길을 열었다. 1944년까지 연방 상원의원으로 국방위원장까지 맡았지만 그다지 주목 받거나 활발한 상원의원은 못되고 그저 무난한 편이었다. 부통령에서 대통령으로[편집] 1945년 4월 12일 트루먼이 부통령이 된 지 83일날, 프랭클린 루스벨트가 뇌일혈로 사망하자 대통령직을 승계하여 대통령이 되었다. 리틀 보이(Little Boy)라는 별명으로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때 개발되어 완성된 원자 폭탄이 있었는데, 이것을 과연 일본에 투하해야 하느냐 말아야 하느냐 하는 결단을 내려야 했다. 결국 일본을 무조건 항복시키기 위해서 1945년 8월 6일 히로시마에, 8월 9일 나가사키에 각각 투하하여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받는데는 성공하는 쾌거를 달성하였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20만명이 죽거나, 방사능 질병으로 고통을 받게 되었으므로, 트루먼의 원자탄 투하는 일본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비판을 받아야 했다. 국내에서는 페어 딜(Fair Deal)이라는 정책을 펼쳤는데 이것은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추진했던 뉴딜정책을 연장 확대한 것으로 세계 대전이 끝난 뒤의 미국 경제를 안정시키는데 큰 역할을 했다. 대통령 재임기간[편집] 선거일 밤, 그는 자신이 패배할 것이라고 생각했으나, 다음날 아침 자신의 승리를 알리는 소식에 잠을 깼고, 그 날 시카고트리뷴은 '공화당 후보 듀이, 트루먼에 승리하다'라는 역사적인 오보를 냈다. 한국 전쟁 중에서 더글러스 맥아더와는 정치적으로 좌우 대립 갈등을 벌였으며 그 때문에 아이젠하워를 선택했다는 견해가 있다. 외교[편집] 백악관 공식 초상화 1965년 린든 B. 존슨(왼쪽)과 트루먼 대통령(오른쪽)과 그의 부인 베스 트루먼(트루먼의 뒤쪽). 트루먼의 등장은 프랭클린 루스벨트가 신봉했던 파시즘의 종식을 전제로 한 미국 외교정책의 전면적 변화를 예고하는 것이었다. 무엇보다도 트루먼은 반소 감정이 매우 강해, 이미 상원의원 시절에 "독일군들과 소련군들이 피가 다 빠질 때까지 싸웠으면 좋겠다."는 독설을 서슴지 않았던 인물이었다. 그는 국제주의적인 협상과 타협을 비도덕적인 것으로 간주하였으며, 자유세계의 방위를 위해선 소련이라는 '세계적인 깡패'에 대해 십자군적인 자세를 가져야 한다는 신념의 소유자였다. 트루먼 재임시, 미군은 한반도의 38도선 이남을 1945년 9월 9일부터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의 공식 출범시까지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을 수립해 다스렸다. 1947년 3월 12일, 트루먼은 상하 양원 합동회의에서 행한 연설에서 이른바 트루먼 독트린으로 불리는 선언을 하였다. 이 선언은 이승만을 비롯한 남한의 정치인들의 환영을 받았다. 마침내 미소공동위원회는 아무런 성과없이 1947년 8월 해산하자, 1947년 9월 유엔 총회에 한국문제 해결을 위탁했다. 1948년 총선거를 실시하기로 하였으나 소련의 반대로 인하여 남한에서만 총선거가 이루어졌고, 곧 대한민국이 수립되어 미군정은 통치권을 이양하고 해체되었다. 한국 전쟁 발발 당시 유엔군 조직을 주도하여 대한민국 편에 참전하게 만드는 절대적인 역할을 하였다. 1951년 9월에는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을 통해 일본의 주권과 국교를 정상화하였고 그 해에 미일안전보장조약을 조인하였다. 대 아시아 외교[편집] 1945년~1946년[편집] 트루먼 재임시, 미군은 한반도의 38도선 이남을 1945년 9월 9일부터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수립시까지 다스렸다. 미군정은 자체적으로 자본주의 체제를 남한 사회에 이식하였다. 미국은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승인하지도 않았고 건준과 인민위원회도 부정하였다.(→맥아더 포고령) 미군정은 진주 직후 남한의 직접통치에 들어가게 되었지만 효과적으로 통치할 경험도, 능력도 없어 옛 조선총독부의 일본인, 친일파 인사들을 그대로 등용, 실질적으로 조선총독부를 계승한 식민지 통치를 하였다. 1946년 1월 15일 미군정은 1개 연대 병력으로 남조선국방경비대를 창설하였다.(이후 병력을 증강하여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의 대한민국 육군의 기반이 되었다.) 일본으로부터 독립된 한국의 시한적인 통치기관이었던 미군정과 소군정은 한국통일의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1946년 3월 서울에서 양국 점령군 대표로서 구성되는 미소공동위원회를 열었다. 그러나, 1946년 5월 미소공동위원회가 무기한 휴회하였다.[1] 이에 따라 미군정은 38선 이남만의 입법기관으로서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을 준비하였고 1946년 12월 12일 개원하였다. 1947년[편집] 1947년 3월 12일, 트루먼은 상하 양원 합동회의에서 행한 연설에서 이른바 트루먼 독트린으로 불리는 선언을 하였다. 그는 "미국의 목적은 한 사람이 독재정치를 하는 공산 제국주의에 대항해 자유민주주의 제도와 영토보전을 위해 투쟁하는 세계의 모든 국민을 원조하는 것"이라고 선언하며 좌익과 우익간의 대립이 심각했던 그리스와 터키에서 공산세력의 진출을 저지하기 위한 자금 4억 달러를 의회에 요청하였다. 하지만 트루먼 독트린의 실제 이유는 공산주의 확산을 방관할 시 유럽과 아시아라는 대형 시장을 잃을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실례로 미국은 시장으로서의 가치가 큰 유럽을 경제적으로 지원하여 당시 옛 소련 주도로 벌어지던 공산주의 확산을 막으려고 한 적이 있다.[2][3] 트루먼 독트린이 발표되자 이승만은 트루먼에게 감사의 편지를 보내 대한민국에 이 정책을 수용하게 함으로써 민족주의자와 공산주의자 사이에 협력을 이끌어 내려는 미 군정의 정책을 포기하게 하도록 권하였다. 이승만은 '미국 내에서 즉각적인 과도 독립 정부를 수립함으로써 공산주의의 진출에 대한 방파제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구는 '트루먼이 전 세계 자유애호 국민에게 희망을 주었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발송했다. 김성수는 트루먼에게 찬사를 표하는 무선전보를 보냈다. 장덕수는 '이것은 트루먼에게 큰 불빛이다. 긴 터널의 출구가 보이기 시작했다'고 했다.[3] 마침내 미소공동위원회는 아무런 타결 없이 1947년 8월 해산하였다. 공동위원회는 본질적으로 한국통일을 위한 어떠한 공통점을 찾기 어려운 회합이었다. 왜냐하면 미국은 한반도의 통일이 친미적으로 이루어지기를 주장했고, 소련은 소련대로 친소적으로 통일되기를 고집했기 때문이다. 소련 점령군과의 협상에 실패한 미국은 양자간의 타협에 의한 해결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리하여 미국은 1947년 9월 유엔 총회에 한국문제 해결을 위탁했다. 당시 공산블록을 제외한 대다수의 회원국들은 미국측의 영향하에 있었으므로, 미국이 제의한 한국통일 결의안은 1947년 11월의 총회에서 통과되었다. 미국이 제의한 한국통일 결의안은 1947년 11월의 총회에서 통과되었다.[4] 1948년[편집] 1948년 총선거를 실시하기로 하였으나 소련의 반대로 인하여 남한에서만 총선거가 이루어졌고, 곧 대한민국이 수립되어 미군정은 통치권을 이양하고 해체되었다.[5] 미국은 미군정이 종료하고 주한미군 철수를 확정했음에도 한국을 포기하지 않았다. 1948년 8월 미국은 대사관이 총괄하는 미사절단을 한국에 파견했다.[6] 미국은 미사절단을 통해 한국에서 여전히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미사절단은 신생 대한민국의 안정화와 한국에서 반공보루 구축이라는 목표를 실현시키기 위해 활동했다.[7] 1949년[편집] 1949년 1월 2일 트루먼은 이승만이 장면을 주미 대사로 인정해달라는 붓글씨로 쓴 친필 서한을 받았다.[8] 그리고, 미국은 대한민국을 승인(1949년 1월)하고 초대 주한미국대사로 존 무초를 임명(1949년 3월 20일)하였다. 1949년 4월 10일 주미 대사관에, 서울의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미국과의 군사원조 교섭을 비밀리에 실천하라는 지시를 담은 편지가 전달되었다. 이에 따라 장면 대사는 트루먼 대통령과 의회내 극우파 의원들을 집중적으로 만났다. 장면 대사와 조병옥 특사의 외교활동이 더욱 활발해지자 그 후 미국의 대(大)신문들은 사설을 통해 트루먼 행정부의 대공유화(對共宥和) 정책을 비난하고 "두 한국 외교관의 호소는 미국으로부터 당연히 응답을 얻을 수가 있어야한다"고 지적했다. 미국내에서 군사원조에 대한 여론이 호전되고 있을 때, 미국 극동담당 차관보인 윌튼 버터워스(W. Walton Butterworth) 가 장면대사에게 국무성을 방문해달라는 요청이 있었다. 버터워스는 조병옥 특사와 장면 대사의 미국정부에 대한 군사원조 요구와 주장을 미국내에서 여론화시키는 작업때문에 국무성이 곤경에 빠졌으므로 장면 대사에게 다음과 같이 항의를 했다. "한국 정부가 한국 사정을 미국 일반시민에게 직접 호소해서 미국 정부에 압력을 가하려는 것은 정당한 방법도 아니며 효과도 없을 것입니다. 강력한 방위력이 있는 것처럼 행세하여 국민으로하여금 정부의 방위력을 믿게 하고 또 공산군의 남침을 저지하면서 정상적인 외교절차를 밟아 무기와 군장비를 요청해야 될 것입니다. 그렇지 않고 한국 정부가 계속 이대로 남한의 군사력을 과소평가하는 성명을 낸다면 한국 국민사이에 불안감만 조성하여 오히려 공산주의자들의 목적과 활동을 돕는 결과밖에는 되지 못할 것입니다" 이러한 국무성의 항의에 대해 장면 대사는 "우리는 어떤 책략으로서 그런 것이 아니고 진정으로 우리의 위급한 사정을 우방인 미국국민에게 호소하여 주의를 환기시켜 한국에 대한 미국의 도의적인 책임을 환기시키고자 했을 뿐"이라고 응수했다.(장면 회고록을 재인용)[9] 1949년 6월 14일 주미 대사 장면은 미국 국무장관 서리, 딘 애치슨과 회담, 무기 원조를 요청하였다. 트루먼 대통령은 1949년 6월 7일자 교서에서 마셜 플랜을 모방하여 한국의 장기적인 경제부흥대책을 위해 만든 1억 5천만 달러의한국경제원조안을 승인해달라고 요청하면서, 유럽 국가들에 승인해왔던 원조를 한국에도 적용해야만 하며, 공여된 원조는 단지 구호(relief)가 아니라 부흥(recovery)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10] 또한, 트루먼은 한국을, 민주주의가 공산주의의 위협하에서도 경제적으로 번영할 수 있다는 시금석(試金石)으로 삼으려 했다. 1949년 6월 이른바 한국을 시금석으로 결정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의회에 보냈다.[11] 1950년[편집] 1949년 미국 의회에 제출된 한국경제원조안은 1950년 1월 부결됨으로써 한국경제원조에 차질을 가져왔다. 1950년 1월 20일, 장면은 극동 차관보 버터워스를 만났다. 이 자리에서 장면은 1월 19일, 경제협력처의 대한(對韓)원조에 우호적인 법안이 통과되지 않았다는 점이 한국내에 미칠 영향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국무부에서 이에 대해 재검토해 줄 수 있는가를 질문했다. 버터워스 차관보는 국무장관과 대통령이 곧 이 문제에 대해서 성명을 낼 것으로 생각한다고 대답했다. 그리고 현재 시점에서 행정부가 더 할 수 있는 일은 없지만 현재 고려중인 방안이 의회로부터 하나 혹은 다른 형태의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버터워스 차관보는 장면 대사의 질문에 대한 답변 중 대통령의 재량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중국 지역에 대한 상호방위원조계획(MDAP) 예산으로 책정된 7500만 달러 중 한국 원조에 전용할 수 있는 예산은 1월 19일에도 밝혔듯 하원의 동의를 이끌어 내지 않는 한 1달러도 없다는 점을 확실히 했다.[12] 그 대신 '극동경제원조안(極東經濟援助案)'이 채택되어 1950 회계연도에 9천만 달러가 할당되긴 했으나 한국 전쟁시까지 불과 4,500만 달러만이 사용됨으로써 한국경제에 큰 도움이 되지는 못했다.[13] 미국은 한국 전쟁(1950년~1953년) 당시 유엔군을 조직하여 대한민국 편에서 참전하여 절대적인 역할을 하였다. 1951년 9월에는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을 통해 일본과 다시 국교를 정상화하였고 그 해에 미일안전보장조약을 조인하였다. 그러나 냉전의 양상이 초래되자, 미국은 유엔이라는 집단 안전보장체제만으로는 세계평화를 유지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집단 방위체제와 상호 방위체제의 구축에 노력하게 되었다. 이러한 바탕 위에 소위 말하는 봉쇄정책이 등장했으며, 이는 소련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공산세력을 군사적으로 봉쇄하고,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 고립시키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여담[편집] 귀신 소동[편집] 트루먼은 임기 초기에 책이 날아다니고 밤에 이상한 발자국 소리가 나고 만년필이 저절로 움직이는 등 폴터가이스트 현상에 시달렸다. 이 현상에 화를 참지 못하고 불같이 진노한 트루먼은 자신이 거주하는 대통령궁에서 귀신이 나오던 일부 지역을 불도저로 밀어버리고 새로 지으라고 명령했다. 그 뒤로 귀신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한다.[1] 그의 미들네임 S에 관한 논란[편집] “ 내 이름은 해리슨 영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해리슨에서 온 해리가 내 이름이 되었고, 두 개의 이니셜로 이름을 쓸 수 있도록 S만이 더해졌다. 내 친할아버지의 이름은 앤더슨 시프 트루먼이고 내 외할아버지의 이름은 솔로몬 영이었다. 그래서 나는 그 두 이름에 같이 쓰이는 S를 받았다. ” — 트루먼 자서전 트루먼은 미들네임이 없이, S란 이니셜만 있었다. 이름이 아닌 이니셜을 쓰는 것은 미주리 주를 비롯한 미국 남부의 관습이었다. 종종 트루먼은 S가 이니셜이 아니라 완전한 이름이라서 뒤쪽에 붙는 점은 빼야 한다고 농담을 하곤 했다. 그러나 공식 문서와 대통령 문고에선 모두 이름의 S에 이니셜임을 뜻하는 점을 붙여 쓰고 있다. 또한 해리 S. 트루먼 문고가 보유한 여러 시기의 트루먼의 서명들에서도 자신이 직접 S 뒤에 점을 붙여 쓴 것은 분명하다. 기타[편집] 트루먼 대통령은 미국 대통령 역사상 4번째 암살 위기를 겪었다. 1950년 11월 1일 오후 2시 15분 백악관 공사 중 오스카 코아조와 그라젤리오 토레솔라라는 푸에르토리코 민족주의자가 침입해 영빈관 현관에서 대통령 경호원들과 총격전을 벌였고 그 과정에서 토레솔라와 최초로 경호원 1명이 사망했다. 이후에 국회는 트루먼에게 영구적 경호를 인정하는 법안을 제출했다. 퇴임 후[편집] “ 솔직히 난 당신을 얕보았습니다. 그리고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신 그대가 대통령이 된 것이 싫었습니다. 그러나 당신은 그 누구보다 서구 문명을 잘 지켜내셨습니다! ” — 영국 수상 윈스턴 처칠 퇴임 후, 그는 키가 작아서(175 cm) 붙은 애칭인 "리틀 맨(little man)"이 아닌, 서방세계를 공산주의로부터 막아낸 거인이란 뜻의 "리틀 빅 맨(little big man, 작은 거인)"이라는 애칭을 얻었다. 1972년 12월 26일, 향년 88세로 사망했다. 읽어보기[편집] 트루먼 독트린 한국전쟁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이오시프 스탈린 더글러스 맥아더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조지프 매카시 이승만 클립튼 트루먼 대니얼 (손자) 각주[편집] ↑ 〈한국과 미국의 관계〔서설〕〉.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2004.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 (1940년대편 1권) 46쪽 ↑ 가 나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 (1940년대편 2권) 24~25쪽 ↑ 〈한국과 미국의 관계〔서설〕〉.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2004.  ↑ 〈한국과 미국의 관계〔서설〕〉.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2004.  ↑ 김도민, 〈1948~50년 주한미대사관의 설치와 정무활동〉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2.8.) 국문초록. “미국은 미군정이 종료하고 주한미군 철수를 확정했음에도 한국을 포기하지 않았다. 1948년 8월 미국은 대사관이 총괄하는 미사절단을 한국에 파견했다.” ↑ 김도민, 〈1948~50년 주한미대사관의 설치와 정무활동〉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2.8.) 국문초록. “미국은 미사절단을 통해 한국에서 여전히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미사절단은 신생 대한민국의 안정화와 한국에서 반공보루 구축이라는 목표를 실현시키기 위해 활동했다. ” ↑ [대한민국 제1호] 張勉 초대 주미대사 붓글씨로 신임장 작성-조 선일보 "1949년 1월 1일 미국이 가장 먼저 우리 정부를 공식적으로 승인하자, 정부는 당시 유엔 파견 수석 대표였던 장면 박사를 초대 주미대사로 임명했다." ↑ “秘錄 韓國外交<32> : 政府樹立 직후⑭”. 경향신문. 1975년 3월 26일.  ↑ 조청란, 〈트루먼 행정부의 대한정책(大韓政策) 연구(1945~1953)〉 강원대학교 석사논문(2004) 48쪽. ↑ 〈한국과 미국의 관계〔서설〕〉.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2004. 트루먼 미국대통령은 한국을 민주주의가 공산주의의 위협하에서도 경제적으로 번영할 수 있다는 시금석(試金石)으로 삼으려 했다. 1949년 6월 이른바 한국을 시금석으로 결정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의회에 보냈다.  ↑ “FRUS 1950 Vol. VII Korea” (PDF). 11-14쪽.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초창기의 대미외교〉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해리 S. 트루먼 (영어) 해리 S. 트루먼 - 미국 의회 인명 사전 해리 S. 트루먼의 생가 - 뉴욕 타임스 제33대 미국 대통령 전 임프랭클린 D. 루스벨트 1945년 4월 12일 (승계) ~ 1953년 1월 20일 후 임드와이트 아이젠하워 조지 워싱턴 · 존 애덤스 · 토머스 제퍼슨 · 제임스 매디슨 · 제임스 먼로 · 존 퀸시 애덤스 · 앤드루 잭슨 · 마틴 밴 뷰런 · 윌리엄 헨리 해리슨 · 존 타일러 · 제임스 K. 포크 · 재커리 테일러 · 밀러드 필모어 · 프랭클린 피어스 · 제임스 뷰캐넌 · 에이브러햄 링컨 · 앤드루 존슨 · 율리시스 S. 그랜트 · 러더퍼드 B. 헤이스 · 제임스 A. 가필드 · 체스터 A. 아서 · 그로버 클리블랜드 · 벤저민 해리슨 · 그로버 클리블랜드 · 윌리엄 매킨리 · 시어도어 루스벨트 ·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 우드로 윌슨 · 워런 G. 하딩 · 캘빈 쿨리지 · 허버트 후버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 해리 S. 트루먼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존 F. 케네디 · 린든 B. 존슨 · 리처드 닉슨 · 제럴드 포드 · 지미 카터 · 로널드 레이건 · 조지 H. W. 부시 · 빌 클린턴 · 조지 W. 부시 · 버락 오바마 · 도널드 트럼프 제34대 미국 부통령 전 임헨리 A. 월리스 1945년 1월 20일 ~ 1945년 4월 12일 후 임앨번 W. 바클리 존 애덤스 · 토머스 제퍼슨 · 에런 버 · 조지 클린턴 · 엘브리지 게리 · 다니엘 D. 톰프킨스 · 존 C. 칼훈 · 마틴 밴 뷰런 · 리처드 멘터 존슨 · 존 타일러 · 조지 M. 댈러스 · 밀러드 필모어 · 윌리엄 R. 킹 · 존 C. 브레킨리지 · 해니벌 햄린 · 앤드루 존슨 · 스카일러 콜팩스 · 헨리 윌슨 · 윌리엄 A. 휠러 · 체스터 A. 아서 · 토머스 A. 헨드릭스 · 리바이 P. 모턴 · 애들레이 E. 스티븐슨 · 개릿 A. 호바트 · 시어도어 루스벨트 · 찰스 W. 페어뱅크스 · 제임스 S. 셔먼 · 토머스 R. 마셜 · 캘빈 쿨리지 · 찰스 G. 도스 · 찰스 커티스 · 존 낸스 가너 · 헨리 A. 월리스 · 해리 S. 트루먼 · 앨번 W. 바클리 · 리처드 닉슨 · 린든 B. 존슨 · 휴버트 호레이쇼 험프리 · 스피로 애그뉴 · 제럴드 포드 · 넬슨 록펠러 · 월터 먼데일 · 조지 H. W. 부시 · 댄 퀘일 · 앨 고어 · 딕 체니 · 조 바이든 · 마이크 펜스 전임조지 마셜 제19대 타임 올해의 인물1945년 후임제임스 F. 번스 전임조지 마셜 제22대 타임 올해의 인물1948년 후임윈스턴 처칠 vdeh타임 올해의 인물~ 1950년 찰스 린드버그(1927년) 월터 크라이슬러(1928년) 오웬 대니얼 영(1929년) 모한다스 간디(1930년) 피에르 라발(1931년) 프랭클린 D. 루스벨트(1932년) 휴 새뮤얼 존슨(1933년) 프랭클린 D. 루스벨트(1934년) 하일레 셀라시에(1935년) 월리스 심프슨(1936년) 장제스와 쑹메이링(1937년) 아돌프 히틀러(1938년) 이오시프 스탈린(1939년) 윈스턴 처칠(1940년) 프랭클린 D. 루스벨트(1941년) 이오시프 스탈린(1942년) 조지 마셜(1943년)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1944년) 해리 S. 트루먼(1945년) 제임스 F. 번스(1946년) 조지 마셜(1947년) 해리 S. 트루먼(1948년) 윈스턴 처칠(1949년) 미국의 병사(1950년) ~ 1975년 모하마드 모사데그(1951년) 엘리자베스 2세(1952년) 콘라트 아데나워(1953년) 존 포스터 덜레스(1954년) 할로 커티스(1955년) 헝가리의 자유투사(1956년) 니키타 흐루쇼프(1957년) 샤를 드 골(1958년)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1959년) 미국의 과학자(1960년) 조지 비들 찰스 드레이퍼 존 엔더스 도널드 글레이저 조슈아 레더버그 윌러드 리비 라이너스 폴링 에드워드 퍼셀 아이작 라비 에밀리오 세그레 윌리엄 쇼클리 에드워드 텔러 찰스 타운스 제임스 밴 앨런 로버트 우드워드 존 F. 케네디(1961년) 교황 요한 23세(1962년) 마틴 루터 킹 주니어(1963년) 린든 B. 존슨(1964년) 윌리엄 웨스트모얼랜드(1965년) 25세 이하 세대(1966년) 린든 B. 존슨(1967년) 아폴로 8호 승무원(1968년) 윌리엄 앤더스 프랭크 보먼 짐 러벌 미국의 중산층(1969년) 빌리 브란트(1970년) 리처드 닉슨(1971년) 헨리 키신저와 리처드 닉슨(1972년) 존 시리카(1973년) 파이살 알사우드(1974년) 미국의 여성들(1975년) 수전 브라운밀러 캐슬린 바이얼리 앨리슨 치크 질 콘웨이 베티 포드 엘라 그래소 칼라 힐스 바버라 조던 빌리 진 킹 캐럴 서턴 수지 샤프 애디 와이엇 ~ 2000년 지미 카터(1976년) 안와르 사다트(1977년) 덩샤오핑(1978년) 루홀라 호메이니(1979년) 로널드 레이건(1980년) 레흐 바웬사(1981년) 컴퓨터(1982년) 로널드 레이건과 유리 안드로포프(1983년) 피터 위버로스(1984년) 덩샤오핑(1985년) 코라손 아키노(1986년) 미하일 고르바초프(1987년) 위기에 처한 지구(1988년) 미하일 고르바초프(1989년) 조지 H. W. 부시(1990년) 테드 터너(1991년) 빌 클린턴(1992년) 국제중재자(1993년) 야세르 아라파트 프레데리크 빌렘 데 클레르크 넬슨 만델라 이츠하크 라빈 교황 요한 바오로 2세(1994년) 뉴트 깅리치(1995년) 데이비드 호(1996년) 앤디 그로브(1997년) 빌 클린턴과 케네스 스타(1998년) 제프 베이조스(1999년) 조지 W. 부시(2000년) ~ 현재 루돌프 줄리아니(2001년) 내부고발자(2002년) 신시아 쿠퍼 콜린 롤리 셰런 왓킨스 미국의 병사(2003년) 조지 W. 부시(2004년) 선한 사마리아인(2005년) 보노 빌 게이츠 멀린다 게이츠 너(2006년) 블라디미르 푸틴(2007년) 버락 오바마(2008년) 벤 버냉키(2009년) 마크 저커버그(2010년) 시위자(2011년) 버락 오바마(2012년) 교황 프란치스코(2013년) 에볼라 투사들(2014년) 제리 브라운 켄트 브랜틀리 엘라 왓슨스트리커 포데이 골라흐 살로메 카르마 앙겔라 메르켈(2015년) 도널드 트럼프(2016년) 침묵을 깬 사람들(2017년) 수호자들 (자말 카슈끄지 / 마리사 레사 / 와 론 & 초 소에 우 / '더 캐피털' 소속 언론인 5인)(2018년) vdeh냉전의 주요 인물 냉전 미국 해리 S. 트루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존 F. 케네디 린든 B. 존슨 리처드 닉슨 헨리 키신저 (미국 국무장관) 제럴드 포드 지미 카터 로널드 레이건 조지 H. W. 부시 소비에트 연방 이오시프 스탈린 니키타 흐루쇼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유리 안드로포프 콘스탄틴 체르넨코 미하일 고르바초프 보리스 옐친 안드레이 그로미코 (외무 장관) 아나톨리 도프리닌 (미국 주재 소비에트 연방 대사) 영국 윈스턴 처칠 클레먼트 애틀리 해럴드 맥밀런 해럴드 윌슨 마거릿 대처 서독 콘라트 아데나워 빌리 브란트 헬무트 슈미트 헬무트 콜 바티칸 시국 교황 비오 12세 교황 요한 23세 교황 바오로 6세 교황 요한 바오로 1세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중화인민공화국 마오쩌둥 저우언라이 (총리) 화궈펑 덩샤오핑 자오쯔양 (총서기) 프랑스 샤를 드 골 알랭 포에르 조르주 퐁피두 발레리 지스카르데스탱 프랑수아 미테랑 중앙유럽 엔베르 호자 (알바니아) 요시프 브로즈 티토 (유고슬라비아) 임레 너지 (헝가리)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루마니아) 알렉산데르 둡체크 (체코슬로바키아) 에리히 호네커 (동독) 레흐 바웬사 (폴란드) 남아시아,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장제스 장징궈 (중화민국)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대한민국) 김일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호찌민 (베트남) 응오딘지엠 (남베트남) 폴 포트 (캄보디아) 인디라 간디 자와할랄 네루 (인도) 수카르노 수하르토 (인도네시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이멜다 마르코스 (필리핀) 라틴 아메리카 후안 도밍고 페론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 레오폴도 갈티에리 (아르헨티나) 피델 카스트로 체 게바라 (쿠바) 다니엘 오르테가 (니카라과) 살바도르 아옌데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칠레) 중동 누르 무함마드 타라키 하피줄라 아민 바브락 카르말 모하마드 나지불라 아흐마드 샤 마수드 (아프가니스탄)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 루홀라 호메이니 (이란) 사담 후세인 (이라크) 가말 압델 나세르 안와르 엘 사다트 (이집트) 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메나헴 베긴 (이스라엘) 아프리카 파트리스 루뭄바 모부투 세세 세코 (콩고/자이르) 콰메 은크루마 (가나) 이디 아민 (우간다) 아고스티뉴 네투 조제 에두아르두 두스산투스 조나스 사빔비 (앙골라) 시아드 바레 (소말리아)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 (에티오피아) 분류vdeh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 이승만 이시영 제임스 밴 플리트 장제스 하일레 셀라시에 1세 응오딘지엠 아드난 멘데레스 허위 김좌진 오동진 조병세 안중근 윤봉길 이준 강우규 김구 안창호 신익희 김창숙 손병희 이승훈 한용운 최익현 이강년 민영환 더글러스 맥아더 해리 S. 트루먼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프랑수아 톰발바예 다비드 다코 수루 미강 아피디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레온 음바 아마두 아히조 하마니 디오리 조모 케냐타 무테사 2세 필리베르트 치라나나 퉁쿠 압둘 라흐만 푸트라 알 하즈 타놈 키티카초른 쑹메이링 천궈푸 쑨원 천치메이 피델 산체스 에르난데스 조만식 임병직 서재필 박정희 최규하 시리낏 끼띠야꼰 푸미폰 아둔야뎃 전두환 김규식 조소앙 유관순 전거 통제 WorldCat VIAF: 61561827 LCCN: n79029742 ISNI: 0000 0001 0907 0193 GND: 118624210 SELIBR: 231951 SUDOC: 027418022 BNF: cb120318266 (데이터) BIBSYS: 90069814 뮤직브레인즈: 2e83d240-c6c6-4749-b706-f6ef695dfa70 NLA: 35225073 NDL: 00476338 NKC: jn20000720305 US Congress: T000387 BNE: XX114160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해리_S._트루먼&oldid=24492214" 분류: 해리 S. 트루먼1884년 태어남1972년 죽음미국의 대통령미국의 부통령미국의 한국 전쟁 관련자미국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맨해튼 계획 관련자미주리주 출신 정치인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미국 육군 대령미국의 반공주의자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해리 S. 트루먼 행정부미국의 침례교도민주당 (미국)의 정치인1948년 미국 대통령 후보1952년 미국 대통령 후보1944년 미국 부통령 후보미주리주의 연방 상원의원미국의 회고록 작가타임 올해의 인물프랭클린 D. 루스벨트 행정부의 각료미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민주당 (미국) 대통령 후보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문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14 종류의 전거 통제 정보를 포함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인용집위키문헌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ymar aruAzərbaycancaتۆرکجه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islamaবাংলাBrezhonegBosanskiCatalàMìng-dĕ̤ng-ngṳ̄CebuanoکوردیCorsu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ދިވެހިބަސް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VõroFøroysktFrançaisFryskGaeilgeGàidhligGalegoGaelg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HrvatskiHornjoserbsce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urdîKernowekLatinaLëtzebuergeschLingua Franca NovaLumbaartLietuviųLatviešuमैथिलीMalagasy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مازِرونیPlattdüütsch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Kapampangan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umantschRomânăРусскийKinyarwandaसंस्कृतम्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inaray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7일 (목) 20: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해리 S. 트루먼(영어: Harry S. Truman, 문화어: 해리 트루맨, 1884년 5월 8일 ~ 1972년 12월 26일)은 미국의 제34대 부통령(1945년), 33번째 대통령(1945년 4월 12일~1953년)이었다. 이는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부통령이 된 지 불과 82일 만에 대통령직을 승계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나치 독일의 항복을 받았고,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 제국의 천황인 히로히토로부터 항복을 받았으며, 한국 전쟁 당시 미국의 대통령이었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핵무기를 전쟁에서 사용하라고 명령한 국가 원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해리 S. 트루먼의 외교 활동은 어땠을까? Assistant: 트루먼의 등장은 프랭클린 루스벨트가 신봉했던 파시즘의 종식을 전제로 한 미국 외교정책의 전면적 변화를 예고하는 것이었다. 무엇보다도 트루먼은 반소 감정이 매우 강해, 이미 상원의원 시절에 "독일군들과 소련군들이 피가 다 빠질 때까지 싸웠으면 좋겠다."는 독설을 서슴지 않았던 인물이었다. 그는 국제주의적인 협상과 타협을 비도덕적인 것으로 간주하였으며, 자유세계의 방위를 위해선 소련이라는 '세계적인 깡패'에 대해 십자군적인 자세를 가져야 한다는 신념의 소유자였다. 트루먼 재임시, 미군은 한반도의 38도선 이남을 1945년 9월 9일부터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의 공식 출범시까지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을 수립해 다스렸다. 1947년 3월 12일, 트루먼은 상하 양원 합동회의에서 행한 연설에서 이른바 트루먼 독트린으로 불리는 선언을 하였다. 이 선언은 이승만을 비롯한 남한의 정치인들의 환영을 받았다. 마침내 미소공동위원회는 아무런 성과없이 1947년 8월 해산하자, 1947년 9월 유엔 총회에 한국문제 해결을 위탁했다. 1948년 총선거를 실시하기로 하였으나 소련의 반대로 인하여 남한에서만 총선거가 이루어졌고, 곧 대한민국이 수립되어 미군정은 통치권을 이양하고 해체되었다. 한국 전쟁 발발 당시 유엔군 조직을 주도하여 대한민국 편에 참전하게 만드는 절대적인 역할을 하였다. 1951년 9월에는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을 통해 일본의 주권과 국교를 정상화하였고 그 해에 미일안전보장조약을 조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