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
stringlengths
3.39k
214k
Human: 아래 이삼평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삼평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삼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삼평(李參平, ? ~ 1655년 9월 10일)은 조선 시대의 도공이다. 임진왜란 때 일본 규슈로 끌려가 아리타 자기(또는 이마리 자기)의 모태를 만든 인물로 알려져 있다. 일본명은 가네가에 산베에(金ヶ江三兵衛). 목차 1 생애 2 사후 3 기타 4 각주 5 같이 보기 6 외부 링크 생애[편집] 충청도 금강(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출신으로 1592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임진왜란을 일으켰을 때 일본군 중 나베시마 나오시게(鍋島直茂) 군에 잡혀 일본에 끌려 간 도공 중 한 명이다. 이후 가네가에 산베에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이삼평은 나베시마 나오시게의 가신 다쿠 야스토시에 의탁하면서, 오기 군 다쿠에 살았다. 일반적으로 전해져 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이삼평은 자기의 원료인 고령토를 찾기 위해 나베시마 가문의 영지인 사가 번내를 전전했고, 마침내 1616년 아리타 동부의 泉山에서 양질의 고령토를 발견하곤 덴구다니에 가마를 지어 일본 첫 백자를 구웠다. 이로써 아리타 자기가 시작됐다고 한다. 아리타의 절인 류센지(龍泉寺)의 장부에 1655년에 죽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계명은 월창정심거사(月窓浄心居士)였다. 이삼평의 묘소는 오랜 세월 잊혀졌지만, 1959년 덴구다니 가마 부근에서 계명이 새겨진 묘석의 하부 부분이 발견되어 시로카와 묘지에 옮겨졌다. 묘석 상부 부분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 묘석은〈이삼평의 묘〉로서 아리타 정 지정 사적으로 지정됐다. 사후[편집] 도잔 신사에 도조 이삼평 비 이삼평은 사가현 아리타 지역에서는 도자기의 시조라는 의미에서 도조(陶祖)로 받들어지고 있다. 아리타의 도잔 신사는 오진 천황, 나베시마 나오시게와 함께 이삼평을 제신으로 모시고 제사를 지내고 있다. 1917년 아리타 자기 창업 300년을 기념하여 도잔 신사에〈도조 이삼평 비〉가 건립됐다. 매년 5월 4일 도조 축제가 열린다. 또 1990년에는 그의 고향인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에 한일합동 기념비가 세워졌다.[1] 기타[편집] 오늘날 일반적으로 불리는 이삼평이라는 이름은 가네가에 가문의 문서에 본래 성은 이씨라는 기록과 산베에라는 이름이 삼평(參平) 혹은 삼평(三平)으로 기록된 일로부터 유추한 것이다. 아리타 자기의 역사에 관한 조사 결과를 보면 1610년대 전반부터 아리타 서부에서 이미 자기를 생산하기 시작했다는 기록이 있는 만큼 이삼평이 아리타 자기의 원조라는 데 대해 의문시하는 경향도 있다. 하지만 아리타 자기의 탄생과 발전에 이삼평을 비롯한 조선 출신 도공들의 역할이 컸다는 데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 각주[편집] ↑ 두산백과사전_이삼평[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같이 보기[편집] 심당길 박평의 박수승 백파선(불의 여신 정이) 심당길 심수관 여대남 이가원유 이작광 이경 김종전 강항 & 간양록 사쓰마야키(ja:薩摩焼) 조선 통신사 조선 쇄환사 사명대사 왜관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도잔 신사 (일본어) 이삼평 가마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삼평&oldid=22959447" 분류: 생년 미상1655년 죽음조선 사람한국계 일본인사가현정유재란 관련자일본-한국 관계도래인에도 시대의 도예가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9일 (금) 15:3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삼평(李參平, ? ~ 1655년 9월 10일)은 조선 시대의 도공이다. 임진왜란 때 일본 규슈로 끌려가 아리타 자기(또는 이마리 자기)의 모태를 만든 인물로 알려져 있다. 일본명은 가네가에 산베에(金ヶ江三兵衛).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삼평은 일본으로 끌려간 후 무슨 이름으로 불렸어? Assistant: 가네가에 산베에 Human: 아래 헌터리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헌터리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헌터리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음반에 대해서는 헌터리아 (Hunteria)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헌터리아(Hunteria) 기본 정보본명 이광욱(Kwang Wook Lee)출생 1983년 9월 25일(1983-09-25) (35세) 대한민국 대전광역시직업 가수장르 댄스, 소프트 락활동 시기 2012년 ~ 레이블 위프엔터테인먼트소속사 헌터리아 엔터테인먼트웹사이트 공식사이트 헌터리아(본명: 이광욱, 1983년 9월 25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2012년 1월 4일에 1집 《헌터리아 (Hunteria)》로 데뷔하였다. 목차 1 개요 2 학력 3 앨범 3.1 디지털 싱글 4 음반 외 활동 4.1 방송 4.2 공식 단독 콘서트 4.3 주요 공연 4.4 영화 4.5 기타 활동 5 로고 6 언론 보도 7 각주 8 외부 링크 9 같이 보기 개요[편집] 헌터리아는 2012년 1월 4일에 데뷔한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현재까지 《헌터리아 (Hunteria)》, 《마초리아 (Machoria)》, 《터프리아 (Toughria)》, 《스카리아 (Scaria)》 총 4장의 디지털 싱글 앨범을 발매하였다. 특히 2012년 5월 16일에 발매한 《터프리아 (Toughria)》는 대한민국 제 18대 박근혜 대통령 공식 선거 캠페인 송으로 쓰였다.[1] 2013년에는 일본 진출 데뷔곡인 《스카리아 (Scaria)》를 발매하였고 하반기에는 일본 프로모션 진행과 각종 지상파 방송출연 및 지자체 행사의 초대 가수로 활동하였다. 일본에 진출하여 도쿄, 하카타, 텐진에서 성공적인 단독 콘서트를 릴레이 했으며 한국 롯데백화점에서 단독 팬사인회를 개최하였다. 2014년 2월에는 'Story C' 잡지 화보 활동과 팟캐스트 라디오의 특별 게스트로 출연하였으며 2014년 4월부터 11월까지 MBC 라디오 방송 '오후의 발견'에 고정 게스트로 출연하였다. 2015년에는 Darale's Production 특별기획 《헌터리아가 간다》고정 호스트로 출연하였다. 학력[편집] 대전성룡초등학교 졸업 대전둔산중학교 줄업 한밭고등학교 졸업 충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졸업 앨범[편집] 디지털 싱글[편집] # Album Information Track List 1집 《헌터리아 (Hunteria)》 발매일 : 2012년 1월 4일 언어 : 한국어 헌터리아 (Hunteria) 헌터리아 (Hunteria) (Inst.) 2집 《마초리아 (Machoria)》 발매일 : 2012년 2월 29일 언어 : 한국어 마초리아 (Machoria) (Feat. 단비) 마초리아 (Machoria) (Inst.) 3집 《터프리아 (Toughria)》 발매일 : 2012년 5월 16일 언어 : 한국어 터프리아 (Toughria) (Feat. 여주) 터프리아 (Toughria) (Inst.) 4집 《스카리아 (Scaria)》 발매일 : 2013년 6월 26일 언어 : 한국어 스카리아 (Scaria) 스카리아 (Scaria) (Inst.) 음반 외 활동[편집] 방송[편집] CMB 열전동네방네 초대가수 출연 (2013년 5월 10일) KBS 세종 고향의 밤 초대가수 출연 (2013년 5월 25일) KBS 전국 충청도 사투리 구연 초대가수 출연 (2013년 10월 14일) MBC 대전 라디오 방송 '오후의 발견' 고정 게스트 출연 (2014년 4월 16일 ~ 2014년 11월 12일) MBC 태교음악회 초대가수 출연 (2014년 12월 23일) Darale's Production 특별기획 '헌터리아가 간다' 메인 호스트 출연 (2015년 7월 1일 ~ 2015년 11월 1일) 특별기획 '헌터리아가 간다' 세종시편 특별기획 '헌터리아가 간다' 강화도편 특별기획 '헌터리아가 간다' 서울 북한산편 특별기획 '헌터리아가 간다' 공주유네스코세계문화유적지편 특별기획 '헌터리아가 간다' 광복절특집 서울 광화문편 특별기획 '헌터리아가 간다' 일본특집 일본 나고야편 공식 단독 콘서트[편집] 일본 도쿄 신주쿠 신오오쿠보 K-plaza 첫 쇼케이스 (2013년 8월 2일) 일본 후쿠오카 하카타 「あぷろ博多店」 공식 콘서트 (2014년 8월 2일) 롯데백화점 단독 공연 및 팬 싸인회 개최 (2014년 9월 27일) 일본 후쿠오카 텐진 나카스 공식 콘서트 (2014년 11월 29일) 서울 홍대 「Jack B Nimble」 공식 콘서트 (2016년 10월 7일) 주요 공연[편집] 2012년 서울난지 락페스티벌 게릴라 게스트 2012년 중국 베이징 왕푸친 게릴라 게스트 2012년 어울림 한마당 초대가수 2013년 공주대학교 라이브하우스 스페셜 게스트 2013년 라이브하우스 카페 투어 초대가수 2013년 라이브클럽 이벤트 초대가수 2013년 차없는 거리 행사 초대가수 2013년 땅끝마을 진도 사찰콘서트 초대가수 2013년 생활협동조합 초대가수 2013년 바른먹거리 한살림 초대가수 2014년 69주년 광복절기념 시민화합축제 초대가수 2014년 음식문화거리축제 초대가수 2014년 전어 대하 주꾸미 축제 초대가수 2014년 김장 담그기 행사 축제 초대가수 2014년 코스모스축제 초대가수 2014년 용인 법륜사 축제 초대가수 2014년 한화이글스 후원회 초대가수 2014년 건축사협회 초대가수 2015년 서울 홍대 힐링 음악회 초대가수 영화[편집] 1992년 《원색의 청춘》 출연 (강욱 역) 기타 활동[편집] 2012년 대한민국 제 18대 박근혜 대통령 공식 선거 캠페인 송 가수 2014년 2월 5일 Story C 2월호 특집 화보 2014년 2월 12일 Story C 팟캐스트 라디오 스페셜 게스트 출연 2014년 11월 3일 월간 토마토 11월호 특집 화보 2015년 MBC 라디오 방송 '오후의 발견' 로고송 가수 2015년 충남대학교 동문회 월간 회보 독점 인터뷰 로고[편집] 언론 보도[편집] 마음의 고향에서 노래하는 가수 <옥천신문> 2012년 10월 19일 “싸이같은 월드스타 되기위해 1초도 안쉬어요” <대전일보> 2013년 7월 2일 내가 바로 헌터리아다 <Story C> 2014년 2월 5일 대전 토박이 아이돌 ‘헌터리아’의 열정 <대전일보> 2014년 2월 13일 "팬들 덕분에 제가 이만큼 컸죠" <대전일보> 2014년 9월 26일 천천히 그리고 조금씩 <월간 토마토> 2014년 11월 3일 대전 토박이 헌터리아 열정의 음악세계 보니 <대전일보> 2014년 12월 31일 각주[편집] ↑ [https://www.youtube.com/watch?v=cACegQKysX4%7C대한민국 제 18대 박근혜 대통령 공식 선거 캠페인 송으로 쓰인 《터프리아 (Toughria)》 외부 링크[편집] 가수 헌터리아의 인스타그램 가수 헌터리아의 블로그 가수 헌터리아의 페이스북 가수 헌터리아의 트위터 가수 헌터리아의 유튜브 채널 같이 보기[편집] K-pop 음악가 목록 헌터리아의 음반 목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헌터리아&oldid=24196838" 분류: 1983년 태어남2010년대 가수2012년 데뷔대전광역시 출신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작곡가한국어 가수대한민국의 댄스 음악가대한민국의 아이돌대전둔산중학교 동문한밭고등학교 동문충남대학교 동문전주 이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22: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헌터리아(본명: 이광욱, 1983년 9월 25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2012년 1월 4일에 1집 《헌터리아 (Hunteria)》로 데뷔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헌터리아의 디지털 싱글 앨범 중 1집 헌터리아의 발매 연월일은 언제인가? Assistant: 2012년 1월 4일 언
Human: 아래 HTML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HTML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ML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ml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개발자 W3C와 WHATWG최근 버전 HTML5.2최근 버전 출시일 2017년 12월 17일미리보기 버전 HTML 5.3 (초안)미리보기 버전 출시일 2018년 10월 18일주요 구현체 TEXT/HTML 영향을 받은 언어 SGML영향을 준 언어 XHTML웹사이트 http://www.w3.org/ HTML HTML과 HTML5 DHTML XHTML XHTML 모바일 프로필과 cHTML 캔버스 요소 문자 인코딩 문서 객체 모델 글꼴 계열 HTML 편집기 HTML 요소 HTML 프레임 HTML5 비디오 HTML 스크립팅 웹 브라우저 엔진 쿼크 모드 스타일 시트 종속형 시트 (CSS) 유니코드와 HTML W3C와 WHATWG 웹 색상 WebGL 웹 저장소 월드 와이드 웹 비교 문서 마크업 언어 웹 브라우저 레이아웃 엔진 HTML HTML5 HTML5 미디어 비표준 HTML XHTML v • d • e • h HTML은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yperText Markup Language, 문화어: 초본문표식달기언어, 하이퍼본문표식달기언어)라는 의미의 웹 페이지를 위한 지배적인 마크업 언어다. HTML은 제목, 단락, 목록 등과 같은 본문을 위한 구조적 의미를 나타내는 것뿐만 아니라 링크, 인용과 그 밖의 항목으로 구조적 문서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미지와 객체를 내장하고 대화형 양식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HTML은 웹 페이지 콘텐츠 안의 꺾쇠 괄호에 둘러싸인 "태그"로 되어있는 HTML 요소 형태로 작성한다. HTML은 웹 브라우저와 같은 HTML 처리 장치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자바스크립트와 본문과 그 밖의 항목의 외관과 배치를 정의하는 CSS 같은 스크립트를 포함하거나 불러올 수 있다. HTML과 CSS 표준의 공동 책임자인 W3C는 명확하고 표상적인 마크업을 위하여 CSS의 사용을 권장한다.[1] 목차 1 역사 1.1 개발 1.2 최초 규격 1.3 표준 버전의 역사 1.3.1 HTML 버전 스케줄 1.3.2 HTML 초안 버전 스케줄 1.3.3 XHTML 버전 2 마크업 2.1 HTML 요소 2.1.1 HTML 요소의 일반적인 형태 2.1.2 HTML 요소의 가장 보편적인 형태 2.1.3 태그의 기본적인 형태 2.1.4 단락 구획 2.1.5 주석 사용 2.1.6 HTML에서 사용되는 마크업 요소의 형태 2.1.7 주요 HTML 요소들 2.1.8 속성 2.2 데이터 형식 2.3 문서 형식 선언 3 시맨틱 웹 4 전송 4.1 HTTP 4.2 HTML 전자 우편 4.3 명명 규칙 4.4 HTML 애플리케이션 5 위지위그 편집기 6 같이 보기 7 각주 8 외부 링크 역사[편집] 개발[편집] 팀 버너스리 1980년,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의 계약자였었던 물리학자 팀 버너스리가 HTML의 원형인 인콰이어를 제안하였다. 인콰이어는 CERN의 연구원들이 문서를 이용하고 공유하기 위한 체계였다. 1989년에 팀 버너스리는 인터넷 기반 하이퍼텍스트 체계를 제안하는 메모를 작성했다.[2] 버너스 리는 1990년 말에 HTML을 명시하고, 브라우저와 서버 소프트웨어를 작성했다. 그 해에 버너스리와 CERN 데이터 시스템 엔지니어 로버트 카일리아우와 함께 CERN측에 자금 지원을 요청하였지만, 이 프로젝트는 CERN으로부터 정식으로 채택 받지 못했다. 버너스리의 개인적인 기록[3] 에 1990년부터 "하이퍼텍스트가 사용되는 여러 분야의 일부"를 열거했고 백과사전을 그 목록의 첫 번째로 두었다. 최초 규격[편집] HTML 최초의 일반 공개 설명은 1991년 말에 버너스리가 처음으로 인터넷에서 문서를 "HTML 태그"(HTML tag)로 부르면서 시작되었다.[4][5] 그것은 머릿글자로 이루어진 20개의 요소를 기술하였고, 상대적으로 HTML의 단순한 디자인이었다. 하이퍼링크를 제외한 HTML 태그들은 CERN 자체의 SGML 기반 문서화 포맷인 SGML GUID에 강하게 영향을 받았다. 이 요소 중 13개는 HTML 4 버전에서도 여전히 존재한다.[6] HTML은 동적인 웹 페이지의 웹 브라우저를 통한 문자와 이미지 양식이다. 문자 요소의 대부분은 1988년 ISO 기술 보고서 9537 SGML을 이용한 기법에서 찾을 수 있다. 하지만 SGML 개념의 일반적인 마크업은 단지 개별 효과 보다는 요소 기반이고 또한 구조와 처리의 분리(?)(HTML은 CSS와 함께 이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해 왔다.) 버너스리는 SGML 응용 프로그램이 되는 HTML을 고안해야 했고 그것은 공식적으로 IETF(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에 의하여 1993년 중반, HTML 규격에 대한 최초의 제안을 간행물로 정의했다. (버너스리와 덴 콘놀리에 의한 문법을 규정하는 SGML 문서 형식 정의(SGML DTD)가 포함된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TML)" 인터넷 초안[7]) 이 초안은 6개월 후 만료된다. 하지만 NCSA 모자이크 브라우저의 인라인 이미지를 내장하는 사용자 정의 태그의 사례는 주목할 만 했고, 성공적인 프로토타입에 대한 표준을 기반한 IETF의 철학을. [8] 마찬가지로 데이브 라그렛의 경쟁 인터넷 초안인 "HTML+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포맷)"은 1993년 말에 테이블과 기입양식 같은 요소들을 이미 구현하여 표준화 제안을 했다.[9] 이후 1994년 초 HTML과 HTML+ 초안은 만료되었고, IETF는 HTML 작업 그룹을 설립해 1995년에 HTML 2.0을 완성한다. 최초의 HTML의 규격은 미래에 수행될 HTML 표준을 기반으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었다.[8]RFC 1996년에 HTML 2.0은 HTML과 HTML+ 초안의 아이디어가 포함됐다고 발표했다.[10] HTML 2.0 지정은 이전의 초안들로부터 새로운 버전을 구별하기 위해서였다.[11] 게다가 IETF의 후원하에 개발은 상충하는 이해 관계 때문에 지연되었다. 1996년부터 HTML 규격은 상용 소프트웨어 제작사의 투입으로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에서 유지해 왔다.[12] 하지만 2000년부터 HTML 또한 국제 표준(ISO/IEC 15445:2000)이 되었다. 현재 W3C에 의해 발표된 최신 규격은 1999년 말에 발표된 HTML 4.01 권고안이며 2001년에 문제와 오류들이 수정되어 발표된 안이 최종 승인되었다. 표준 버전의 역사[편집] HTML 버전 스케줄[편집] 1995년 11월 24일 HTML 2.0이 IETF의 RFC 1866로 발표되었다. 추보의 RFC의 추가된 기능: 1995년 11월 25일: RFC 1867 (양식 기반 파일 업로드) 1996년 5월: RFC 1942 (테이블) 1996년 8월: RFC 1980 (클라이언트 측 이미지맵) 1997년 1월: RFC 2070 (국제화) 2000년 6월, 이 모든 것들이 RFC 2854에 의하여 더 이상 쓰이지 않고 역사적인 것으로 선언됨. 1997년 1월 HTML 3.2[13] 가 W3C 권고안으로 발표되었다. 이것은 1996년 9월에 폐쇄한 HTML 작업 그룹인 IETF와 같이 W3C에 의하여 배타적으로 개발되고 표준화된 첫 번째 버전이다.[14] HTML 3.2에서 여러 종류의 겹치는 확장 수학 수식을 완전히 제외 시키고 넷스케이프의 비주얼 마크업 태그의 대다수를 채택했다. 넷스케이프의 블링크 요소와 마이크로소프트의 마퀴 요소는 두 회사의 상호 협의 하에 누락시켰다.[12] HTML에서 수학적 수식과 비슷한 마크업은 이후 MathML이 나올 때까지 14개월 동안 표준이 아니었다. 1997년 12월 HTML 4.0[15] 이 W3C 권고안으로 출시되었다. HTML 4.0은 세 가지 문서 형태를 제공한다: Strict(엄격): 사용이 중지된 요소를 금지한다. Transitional(변이): 사용이 중지된 요소를 허용한다. Frameset(프레임셋): 대부분 프레임 관련 요소에서만 허용한다. 처음에 코드네임 "쿠가"[16] 에서 HTML 4.0은 다양한 브라우저 특정 요소의 종류와 속성을 채택하였지만 동시에 스타일시트에 찬성하는 세력의 반대로 넷스케이프의 시각적 마크업 기능을 단계적으로 제거하기로 했다. HTML 4는 ISO 8879 - SGML에 따른 SGML 응용 프로그래밍 언어다.[17] 1998년 4월 HTML 4.0[18] 이 버전이 증가되지 않고 조금 수정되어 재발표되었다. 1999년 12월 HTML 4.01[19] 이 W3C 권고안으로 출시되었다. HTML 4.0과 마찬가지로 세 가지 문서 형태를 제공한다. 그리고 2001년 5월 12일에 그것에 대한 최종 오류 수정 사항 이 발표되었다. 2000년 5월 ISO/IEC 15445:2000[20] [21] ("ISO HTML", HTML 4.01 Strict 기반)이 ISO/IEC 국제 표준과 함께 출시되었다. ISO에서 이 표준안은 ISO/IEC JTC1/SC34 (ISO/IEC 공동 기술 위원회 1, 소위원회 34 - 문서 표현과 처리 언어)의 범위에서 떨어져 나왔다.[20] 2008년 중반, HTML 4.01과 ISO/IEC 15445:2000은 HTML의 대부분의 최근 버전이다. XML 기반 병렬 개발 언어인 XHTML을 통해 W3C의 HTML 작업 그룹은 2000년대 초중반에 성장하였다. HTML 초안 버전 스케줄[편집] 1991년 10월 HTML 요소[4]: 비공식적 CERN 문서에서 12개의 HTML 태그 목록이 대중에게 언급되었다. 1992년 7월 6단계 이후의 개정판과 함께 HTML DTD,[1] 의 첫 번째 비공식 초안 1992년 11월 HTML DTD 1.1 (1.0 대신에 1.1을 RCS 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첫 번째 버전 번호로 시작한다.), 비공식 초안 1993년 6월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22] 는 인터넷 초안(표준에 대한 간략한 제안)과 함께IETFIIIR 작업 그룹에 의하여 발표되었다. 그것은 한 달 후 IETF에 의해 [2] 6가지 추가 초안을 더한 두 번째 버전 [3] 으로 대체되었고 결국 HTML 2.0이 RFC1866을 주도했다. 1993년 11월 HTML+가 인터넷 초안과 함께 IETF에 의하여 출시되었고, HTML 초안과의 경쟁을 제안하였다. 1994년 5월 HTML+는 만료되었다. 1995년 4월 (1995년 3월에 저술) HTML 3.0[23] 이 IETF 표준안으로 제안되었지만 이 제안은 이후 5개월 동안 진전이 없어서 만료되었다. 여기에는 데이브 라겟의 HTML+ 제안의 표와 복잡한 수학적 수식을 표시를 지원하는 것과 같은 특성의 상당부분을 포함했다.[24] W3C는 HTML3와 CSS를 지원하는 시험하기 위하여 자체적으로 아레나 브라우저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HTML 3.0은 여러 이유로 성공하지 못했다. 2008년 1월 HTML 5[25] 초안 작업은 W3C에 의해 발표되었다. 비록 문법은 SGML의 문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지만, HTML 5는 난해한 SGML 문법과 호환되지 않는다. 그리고 HTML 5를 "html" 시리즈라고 명시적으로 정의되었다.[26] XHTML 버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XHTML입니다. XHTML은 XML 1.0을 이용하여 HTML 4.01을 새로 만든 독립된 언어다. XHTML 1.0[27] 은 2000년 1월 26일에 W3C 권고안으로 발표되었다. 이후 2002년 8월 1일에 개정과 재발표를 하였다. 이것은 XML에 관하여 새로 작성된 HTML 4.0 과 HTML 4.01 같이 세가지 문서 형태를 사소한 규약과 함께 제공한다. XHTML 1.1[28] 2001년 5월 31일에 W3C 권고안으로 발표되었다. 그것은 XHTML 1.0 strict 기반이지만 사소한 변경 사항과 사용자 정의 기능을 포함하고, XHTML의 모듈화 으로부터 모듈을 이용하여 새로 작성되었다. XHTML 2.0[29] 은 아직까지 W3C 작업 초안이다. W3C는 2009년 말까지 XHTML 2 그룹을 중단한다고 발표하였다.[30]. 그러므로 XHTML 2.0 표준은 사라질 것이다. XHTML은 XHTML 1.x와 호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XHTML 1.0 에서 업데이트된 것 보다 XHTML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언어가 특성이 더 정확해진다. XHTML5는 HTML 5 초안에서 HTML 5와 함께 정의되었다.[31] 마크업[편집] HTML 4 구문 강조 HTML 마크업은 HTML 요소(엘리먼트, Elements)와 그들의 속성(Attributes)과 문자 기반 데이터 형태와 문자 참조와 엔티티 참조를 포함하는 몇 가지 핵심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또 다른 중요한 구성 요소로는 문서 형식 정의(DTD, Document Type Definition)를 명시하는 문서 형식 선언(document type declaration)이다. 차기 HTML 5에서는 DTD를 지정하지 않아도 되고 오직 레이아웃 모드로 지정된다 [4]. Hello world 프로그램은 프로그래밍 언어와 스크립트 언어 그리고 마크업 언어를 비교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HTML에서의 Hello world 프로그램은 단 9줄에 불과하다: <!doctype html> <html> <head> <title>Hello HTML</title> </head> <body> <p>Hello World!</p> </body> </html> (<html>과 </html>사이의 문자는 웹 페이지를 표현한다. <body>와 </body>사이의 문자는 표시되는 페이지의 내용이며, <head>와 </head>사이의 문자는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웹 페이지를 표현하기위해 필요한 해더 정보를 담고 있다.<title>과 </title>사이의 문자는 웹 브라우저의 페이지 제목을 정의하는데 사용된다.)Hello world 프로그램을 최대로 짧게 만들고 싶다면: Hello world 이라고 해도 되지만, 웹 표준에 위배된다.이 문서 형식 정의는 HTML 5이다. 만약 <!doctype html>로 선언하지 않은 경우 대다수의 브라우저는 "쿽스 모드"로 렌더링한다.[32] HTML 요소[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HTML 요소입니다. HTML 문서는 완전한 HTML 요소로 구성되어 있고, HTML 요소의 가장 보편적인 형태는 세 가지 구성 요소를 가진다: "시작 태그"(Start Tag)와 "종료 태그"(End Tag) 와 같은 태그 한 쌍; 몇 가지 요소 속성은 그 태그들 내에서 특성을 부여한다. 마지막으로 문자와 그래픽 정보 콘텐츠를 화면에 표현한다. HTML 요소는 태그의 사이와 포함되는 모든 것이다. 태그는 꺾쇠괄호(<>)로 둘러싸인 키워드이다. HTML 요소의 일반적인 형태[편집] <tag>보이는 내용</tag> HTML 요소의 이름은 태그의 이름이다. 그리고 종료 태그의 이름은 슬래시 문자 ("/")로 시작된다. HTML 요소의 가장 보편적인 형태[편집] <tag attribute1="value1" attribute2="value2">보이는 내용</tag> 속성이 주어지지 않는다면 시작 태그의 기본값을 사용하게 된다. 태그의 기본적인 형태[편집] HTML의 머리부분 (<head>...</head>), 보통 제목은 <head>의 안에 포함된다. 예제: <head> <title>제목</title> </head> 단락 구획[편집] <p>단락 1</p> <p>단락 2</p> 새 줄(<br>), <br> 와 <p> 간의 차이점은 'br'은 페이지의 의미론적 구조를 변경하지 않는 줄바꿈(breaks a line)인 반면 'p'는 단락으로 페이지를 구분한다. <code><p>이것은 <br /> 줄바꿈을 <br /> 포함하는 <br /> 단락이다. </p></code> 주석 사용[편집] <!--..설명!..--> 주석은 코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웹 페이지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HTML에서 사용되는 마크업 요소의 형태[편집] 구조적 마크업은 본문의 목적을 표현한다. 예를 들어, <h2>골프</h2>는 "골프"를 두 번째 수준의 제목으로 규정한다. 그리고 그것은 브라우저에서 이 장의 처음에 나오는 HTML 마크업 제목과 유사한 방식으로 해석될 것이다. 구조적 마크업은 어떤 특정한 렌더링을 표시하지 않지만,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는 요소 포맷팅에 대한 기본적인 스타일을 표준화했다. 텍스트는 캐스캐이딩 스타일시트(CSS)로 더 꾸밀 수 있다. 표현적 마크업은 기능에 관계없이 본문의 외관을 표현한다. 예를 들어, <b>굵은 글씨</b>는 시각적 결과 장치가 굵은 글씨 속에 있는 "boldface"를 해석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하지만, 이것을 할 수 있는 장치가 무엇을 해야 할 지(예를 들어 텍스트를 크게 읽어주는 장치와 같은 )에 대한 어떠한 지시도 하지 않는다. <b>굵게</b>와 <i>이탤릭</i>과 같은 경우에는 보통 시각적 해석에 필적하는 여러 가지 요소가 있지만, 본래가 더 의미론적이다. 즉, 각각 <strong>strong emphasis</strong>와 <em>emphasis</em>같이 할 수 있다. 음성 사용자 에이전트가 어떻게 후자의 두 요소를 해석하는 지 지켜보는 것은 쉽다. 그러나 그것은 그들의 표현 상대와 맞먹지는 않는다. 예를 들자면 책의 이름을 강조하는 것이 스크린을 읽는 유저에게는 바람직하지 않지만, 화면에서 그러한 이름이 이탤릭체로 될 것이다. 대부분의 표현 마크업 요소는 스타일 디자인에 근거한 CSS에 호응해서 HTML 4.0 스펙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이다. 하이퍼텍스트 마크업은 다른문서와 연결시켜주는 문서의 부분이다. XHTML 1.1 버전을 통한 HTML은 본문속에서 하이퍼링크를 생성하기위해 anchor 요소(<a>위키백과</a>)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덧붙여, href 속성은 반드시 정확한 URL을 설정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HTML 마크업인 <a href="https://ko.wikipedia.org/">한국어 위키백과</a>는 하이퍼링크로써 "한국어 위키백과" 처럼 보일 것이다. 하이퍼링크로써 이미지를 표현하는 예제 <a href="http://example.org"><img src="image.gif" alt="alternative text" width="50" height="50"></a> 주요 HTML 요소들[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HTML 요소입니다. <br> 줄바꾸기 <p> 단락바꾸기(한줄 떨어짐) <hr> 가로줄 <center>...</center> ...을 가운데 정렬 <font>...</font> ...의 폰트를 바꿈 <ul><li>...<li>...</ul> ...을 순서없는 목록으로 만듦(기본: 까만동그라미) <ol><li>...<li>...</ol> ...을 순서있는 목록으로 만듦(기본: 숫자) <table></table> 표만들기 <tr></tr> 행(<table>...</table>...에 넣는다) <td></td> 열(<tr>...</tr> ...에 넣는다) <td colspan=숫자></td> 그 셀부터 숫자만큼의 오른쪽 셀을 병합한다 <td rowspan=숫자></td> 그셀부터 숫자만큼의 아래쪽 셀을 병합한다 속성[편집] 대부분의 요소 속성들은 이름-값 형태이고, "="로 구분하고, 요소의 시작 태그 안에서 요소의 이름 다음에 쓰인다. 값은 외따옴표 또는 쌍따옴표로 둘러쌀 수 있다. 비록 어떤 문자로 구성된 값들이 HTML에서 인용부호 없이 사용될 수도 있지만(XHTML에서는 허용되지 않음), 그 값은 따옴표나 쌍따옴표 또는 쌍 인용부호로 둘러쌀 수 있다.[33][34] 인용부호를 사용하지 않고, 속성값을 사용하는 것은 안전하지 않다.[35] 이름값 쌍 속성과 대조하여, 요소 태그의 시작에 단순히 그 존재만으로도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태그가 있다.[4][37] 대부분의 요소는 몇 가지 일반적인 속성을 가질 수 있다. id 속성은 요소에 대한 문서 전체의 고유 식별자를 제공한다. 이것은 스타일시트에 의해 외관적인 특성을 제공하고, 브라우저에 의해 특정 요소를 처리하거나 스크립트에 의해 요소의 내용이나 외관을 바꿀 수 있다. 페이지의 URL에 달려 있는 것처럼, 보통 페이지 다음에 오는 요소에 대한 세계에서 유일한 식별자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https://en.wikipedia.org/wiki/HTML#Attributes 에 있는 ID 속성과 같다. class 속성은 유사한 요소를 분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것은 어휘적 또는 표현적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휘적으로 분류는 미세 포맷에 사용된다. 표현적 목적으로 HTML 문서는 class="notation"과 같은 지정자에서, 이 class 값을 갖는 모든 요소는 문서의 주 텍스트에 종속된다는 것을 지시한다. 이러한 요소는 HTML 소스에서 나타났던 장소에 나타나는 대신에 함께 모여서 페이지에서 각주와 같이 표현된다. 작성자는 특정 요소에 표현적 속성을 지닌 style 비 속성 코드를 사용할 것이다. 단순하고, 특정한 또는 특수한 스타일 속성을 가진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너무 성가시긴 하지만, 스타일시트로 속성을 선택할 때는 요소의 id나 class 속성을 사용하는 것이 더 낫다고 간주된다. title 속성은 요소에서 숨겨진 뜻을 설명하는 글을 첨부하는 곳에 사용된다. 대부분의 브라우저의 이 속성은 자주 툴팁과 같이 참조하는 것처럼 보인다. 단축 요소(abbr)는 아래와 같이 다양한 속성을 설명하는데 쓰일 수 있다: <abbr id="anId" class="aClass" style="color:blue;" title="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TML</abbr> 이 예제는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 HTML처럼 보인다. 이 단축에 커서를 가리키면 그 제목인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가 보일 것이다. 대부분의 요소 또한 언어와 관련된 속성인 lang과 dir을 취한다. 데이터 형식[편집] HTML은 스크립트 데이터와 스타일시트 데이터, 그리고 ID, 이름, URI, 숫자 길이의 단위, 언어, 미디어 기술자, 색상, 문자 인코딩, 날짜와 시간 등을 포함하는 속성 값의 종류를 위한 몇 가지 데이터 형태를 정의 내린다. 이러한 모든 데이터 형식은 문자 데이터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분리되었다. 문서 형식 선언[편집] HTML 문서는 문서 형식 선언 (비공식적으로, "doctype")으로 시작해야 한다. 브라우저에서 doctype의 기능은 렌더링 모드를 지시하는 것이며, 부분적으로는 쿼크 모드를 피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doctype의 원래의 목적은 문서 형식 정의 (DTD)에 기반한 SGML 도구를 통하여 HTML 문서의 파싱과 유효 여부 확인을 가능하게 하려는 것이었다. DOCTYPE에 대한 DTD는 DTD에 순응하는 문서를 가진 허용 또는 금지된 내용을 지정하고 기계가 읽을 수 있는 문법을 포함하도록 지시한다. 반면 브라우저는 HTML을 SGML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수행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DTD를 읽지 않는다. HTML 5는 기술적인 제한으로 인해 DTD를 정의하지 않는다. 그래서 HTML5에서 doctype 선언 <!doctype html>는 DTD를 참조하지 않는다. HTML 4 doctype의 예제는 다음과 같다.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EN" "http://www.w3.org/TR/html4/strict.dtd"> 이런 선언은 엄격한 HTML 4.01을 만들기 위해 DTD를 참조한다. 이것은 선언적인 요소인 font 같은 요소는 포함하지 않으며, CSS나 span, div 요소는 유지한다. SGML 기반의 유효 확인자(validator)들은 문서를 적절히 해석하거나, 유효 여부 확인을 실행하기 위해 DTD를 읽는다. 최근의 브라우저에서 이 doctype은 쿼크 모드에 반대되는 표준 모드를 활성화한다. 게다가 HTML 4.01은 임시적이고 프레임 단위의 DTD를 제공한다. 시맨틱 웹[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시맨틱 웹입니다. 전송[편집] HTML 문서를 다른 컴퓨터 파일과 같은 방법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HTML 문서들은 대부분 웹 서버에 의한 HTTP나 또는 이메일을 통하여 전송된다. HTTP[편집] 월드 와이드 웹은 주로 웹 서버에서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HTTP)을 이용하는 웹 브라우저로 전송되는 HTML 문서를 위해 고안되었다. 그러나 HTTP는 HTML 이외에도 이미지나 소리, 그리고 기타 내용물을 서비스하는 데 사용된다. 브라우저가 받는 각 문서를 어떻게 다른지 알려주게 하기 위해, 다른 정보가 문서와 함께 전송된다. 이 메타데이터는 보통 MIME 타입 (예, text/html or application/xhtml+xml)과 문자 인코딩을 포함한다. (HTML에서 문자 인코팅 참조) 최근의 브라우저에서 HTML 문서와 함께 전송되는 MIN 타입은 문서가 초기에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 지에 대한 영향을 끼칠 것이다. XHTML MIME 타입과 함께 전송된 문서는 잘 구성된 XML로 기대되며, 문법 오류는 브라우저가 그것을 해석하지 못하게 할 것이다. HTML MIME 타입과 함께 전송된 동일 문서가 HTML에 관대한 브라우저에서는 성공적으로 출력될 것이다. W3C 권고안에서는 권고안 부록 C에 나오는 가이드라인을 따르는 XHTML 1.0 문서는 MIME 타입으로 표시될 것이다.[38] 현재의 XHTML 1.1 작업 초안은 또한 XHTML 1.1 문서는 MIME 타입으로 표시될 것이라고 언급하고 있다.[39][40] HTML 전자 우편[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HTML 전자 우편입니다. 대부분의 그래픽 이메일 클라이언트는 단순 텍스트로는 불가능한 어휘적 마크업과 형식을 제공하기 위해 종종 정의되지 않는 HTML 부분집합 사용을 허용한다. 이것은 색상 제목, 강조, 인용문, 인라인 이미지와 도표와 같은 인쇄정보를 포함한다. 그러한 많은 클라이언트들은 HTML 이메일 메시지를 작성하는 GUI 편집기와 그것을 해석하여 보여주기 위한 렌더링 엔진을 포함한다. 그러나 전자 메일에서 HTML를 포함시키는 것은 호환성 문제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논쟁의 대상이 된다. 그 이유는 피싱 공격의 은닉을 도와줄 수 있고, 스팸 필터를 혼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단순 텍스트보다 크기가 더 커지기 때문이다. 명명 규칙[편집] 웹 문서의 가장 일반적인 파일 확장자는 .html이다. 일반적으로 줄여서 .htm라고도 하며, DOS나 FAT와 같은 초기 운영 체제와 파일 시스템이 파일 확장자를 3자로 제한했기 때문이다. HTML 애플리케이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HTML 애플리케이션입니다. HTML 애플리케이션 (HTA; 파일 확장자 ".hta")는 애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브라우저에서 HTML과 DHTML을 사용하는 윈도용 애플리케이션이다. 정상적인 HTML 파일은 웹 서버와 통신하면서, 웹페이지 객체와 HTTP 쿠키만 다루는 웹 브라우저의 보안 모델에 제한된다. HTA는 완벽히 신뢰된 애플리케이션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파일의 생성/편집/제거와 윈도 레지스트리 엔트리에 보다 더 많은 특권을 가진다. 그 까닭은 그것은 브라우저의 보안 모델 외부에서 작동하기 때문이다. HTA는 HTTP를 경유하여 실행되지 않지만, 실행 파일과 같이 다운로드가 될 수 있으며, 로컬 파일 시스템에서 실행된다. 위지위그 편집기[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위지위그입니다. 몇 가지 위지위그(What You See Is What You Get, WYSIWYG) 편집기는 HTML 문서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직관적으로 나타내고 편집기가 HTML 문서로 생성하여 더 이상 사용자가 HTML에 대한 광대한 지식을 가질 필요가 없게 되었다. 웹 페이지 편집은 위지위그 편집 방식이 압도적으로 우위에 있었다. 하지만 이 방식은 생성된 코드의 질이 낮았고 위지윔(What Your See IS What You Mean, WYSIWIM)방식으로의 변화를 옹호하는 목소리 늘어났기 때문에 비난을 받았었다.[41][42] 위지위그 편집기는 다음과 같은 결함 때문에 논쟁의 여지가 있는 논제이다. 주로 의미와는 상반된 레이아웃에 의존하며, 종종 의도된 의미를 전달하지 않고, 단순히 레이아웃을 복사만 하는 마크업을 사용한다.[43] 종종 HTML의 케스케이딩 성질과 CSS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잡다하고 중복되는 코드를 생성한다. 종종 태그 수프라고 불리는 비문법적인 마크업을 생성한다. HTML 문서의 많은 정보는 레이아웃에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러한 모델은 그것의 위지위그 본질에 대해 비난을 받아왔다.[44]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지위그 편집기가 페이지를 작성하는데 편리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저자들의 HTML에 대한 상세한 전문적 지식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위지위그 방식이 웹 저작을 지배하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HTML5 구문 분석 XHTML 동적 HTML HTML 편집기 마이크로포맷 웹 색상 CSS 팀 버너스리 Alt 속성 각주[편집] ↑ HTML 4 — Conformance: requirements and recommendations ↑ Tim Berners-Lee, "Information Management: A Proposal." CERN (1989년 3월, 1990년 5월). W3.org ↑ 팀 버너리, "Design Issues" ↑ 가 나 다 “Tags used in HTML”.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 1992년 11월 3일. 2010년 3월 7일에 확인함.  ↑ “First mention of HTML Tags on the www-talk mailing list”.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 1991년 10월 29일. 2010년 3월 3일에 확인함.  ↑ “Index of elements in HTML 4”.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 1999년 12월 24일. 2010년 3월 3일에 확인함.  ↑ 팀 버너스리 (1991년 12월 9일). “Re: SGML/HTML docs, X Browser (archived www-talk mailing list post)”. 2010년 3월 7일에 확인함. SGML은 매우 일반적입니다. HTML은 간단한 구조를 가진 하이퍼텍스트 문서에 적용된 SGML 기본 구문의 응용입니다.  ↑ 가 나 Raymond, Eric. 〈IETF and the RFC Standards Process〉. 《The Art of Unix Programming》. In IETF tradition, standards have to arise from experience with a working prototype implementation — but once they become standards, code that does not conform to them is considered broken and mercilessly scrapped. …Internet-Drafts are not specifications, and software implementers and vendors are specifically barred from claiming compliance with them as if they were specifications. Internet-Drafts are focal points for discussion, usually in a working group… Once an Internet-Draft has been published with an RFC number, it is a specification to which implementers may claim conformance. It is expected that the authors of the RFC and the community at large will begin correcting the specification with field experience.  ↑ “HTML+ Internet-Draft - Abstract”. 2016년 5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17일에 확인함. Browser writers are experimenting with extensions to HTML and it is now appropriate to draw these ideas together into a revised document format. The new format is designed to allow a gradual roll over from HTML, adding features like tables, captioned figures and fill-out forms for querying remote databases or mailing questionnaires.  ↑ “RFC 1866: Hypertext Markup Language - 2.0 - Acknowledgments”.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2005년 9월 22일. 2005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16일에 확인함. Since 1993, a wide variety of Internet participants have contributed to the evolution of HTML, which has included the addition of in-line images introduced by the NCSA Mosaic software for WWW. Dave Ragget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riving the forms material from the HTML+ specification. Dan Connolly and Karen Olson Muldrow rewrote the HTML Specification in 1994. The document was then edited by the HTML working group as a whole, with updates being made by Eric Schieler, Mike Knezovich, and Eric W. Sink at Spyglass, Inc. Finally, Roy Fielding restructured the entire draft into its current form.  ↑ “RFC 1866: Hypertext Markup Language - 2.0 - Introduction”.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2005년 9월 22일. 2005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16일에 확인함. This document thus defines an HTML 2.0 (to distinguish it from the previous informal specifications). Future (generally upwardly compatible) versions of HTML with new features will be released with higher version numbers.  ↑ 가 나 Raggett, Dave (1998). 《Raggett on HTML 4》. 2007년 7월 9일에 확인함.  ↑ “HTML 3.2 Reference Specification”.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7년 1월 14일. 2010년 3월 3일에 확인함.  ↑ “IETF HTML WG”. 2007년 6월 16일에 확인함. 주: 이 작업그룹은 폐쇄되었다.  ↑ “HTML 4.0 Specification”. W3C. 1997년 12월 18일. 2010년 3월 4일에 확인함.  ↑ Arnoud Engelfriet. “Introduction to Wilbur”. Web Design Group. 2007년 6월 16일에 확인함.  ↑ “HTML 4 - 4 Conformance: requirements and recommendations”. 2010년 3월 4일에 확인함.  ↑ “HTML 4.0 Specification”. W3C. 1998년 4월 24일. 2010년 3월 12일에 확인함.  ↑ “HTML 4.01 Specification”.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9년 12월 24일. 2010년 3월 4일에 확인함.  ↑ 가 나 ISO (2000). “ISO/IEC 15445:2000 - Information technology -- Document description and processing languages --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2010년 3월 12일에 확인함.  ↑ CS.TCD.ie ↑ Hypertext Markup Language: A Representation of Textual Information and MetaInformation for Retrieval and Interchange ↑ “HTML 3.0 Draft (Expired!) Materials”.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5년 12월 21일. 2010년 3월 4일에 확인함.  ↑ “HyperText Markup Language Specification Version 3.0”. 2007년 6월 16일에 확인함.  ↑ “HTML 5”. World Wide Web Consortium. 2008년 6월 10일. 2010년 3월 4일에 확인함.  ↑ “HTML 5, one vocabulary, two serializations”. 2010년 3월 4일에 확인함.  ↑ “XHTML 1.0: The Extensible HyperText Markup Language (Second Edition)”.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 2000년 1월 26일. 2010년 3월 7일에 확인함.  ↑ “XHTML 1.1 - Module-based XHTML - Second Edition”.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 2007년 2월 16일. 2010년 3월 7일에 확인함.  ↑ “XHTML 2.0”.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 2006년 7월 26일. 2010년 3월 7일에 확인함.  ↑ “XHTML 2 Working Group Expected to Stop Work End of 2009, W3C to Increase Resources on HTML 5”.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 2009년 7월 17일. 2010년 3월 7일에 확인함.  ↑ “HTML 5”.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 2008년 10월 24일. 2010년 3월 7일에 확인함.  ↑ Activating Browser Modes with Doctype ↑ “On SGML and HTML”.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 2010년 3월 7일에 확인함.  ↑ “XHTML 1.0 - Differences with HTML 4”.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 2010년 3월 7일에 확인함.  ↑ Korpela, Jukka (1998년 7월 6일). “Why attribute values should always be quoted in HTML”. Cs.tut.fi. 2010년 3월 7일에 확인함.  ↑ “Objects, Images, and Applets in HTML documents”.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 1999년 12월 24일. 2010년 3월 7일에 확인함.  ↑ img 요소에서[36] ismap 속성과 같이. ↑ “XHTML 1.0 The Extensible HyperText Markup Language (Second Edition)”. World Wide Web Consortium. 2000. 2008년 12월 7일에 확인함. XHTML Documents which follow the guidelines set forth in Appendix C, "HTML Compatibility Guidelines" may be labeled with the Internet Media Type "text/html" [RFC2854], as they are compatible with most HTML browsers. Those documents, and any other document conforming to this specification, may also be labeled with the Internet Media Type "application/xhtml+xml" as defined in [RFC3236].  ↑ “RFC 2119: Key words for use in RFCs to Indicate Requirement Levels”. Harvard University. 1997. 2008년 1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2월 7일에 확인함. 3. SHOULD This word, or the adjective "RECOMMENDED", mean that there may exist valid reasons in particular circumstances to ignore a particular item, but the full implications must be understood and carefully weighed before choosing a different course.  ↑ “XHTML 1.1 - Module-based XHTML - Second Edition”. World Wide Web Consortium. 2007. 2008년 12월 7일에 확인함. XHTML 1.1 documents SHOULD be labeled with the Internet Media Type text/html as defined in [RFC2854] or application/xhtml+xml as defined in [RFC3236].  ↑ Sauer, C.: WYSIWIKI - Questioning WYSIWYG in the Internet Age. In: Wikimania (2006) ↑ Spiesser, J., Kitchen, L.: Optimization of html automatically generated by WYSIWYG programs. In: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orld Wide Web, pp. 355--364. WWW '04. ACM, New York, NY (New York, NY, USA, May 17-20, 2004) ↑ “XHTML Reference: blockquote”. 2010년 3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3월 12일에 확인함.  ↑ Doug Engelbart's INVISIBLE REVOLUTION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HTML 위키책에 이 문서와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HTML 위키배움터에관련된 자료가 있습니다. HTML 위키배움터에관련된 자료가 있습니다. HTML (영어) WHATWG's HTML Living Standard (영어) W3C's HTML 5.1, the upcoming version of HTML (영어) W3C's HTML5, the most recent finished specification (28 October 2014) (영어) W3C's HTML 4.01 specification (24 December 1999) (영어) Dave Raggett's Introduction to HTML (영어) Tim Berners-Lee Gives the Web a New Definition (한국어) HTML4.01 규격 한국어 번역본 vdehW3C제품 및 표준권고 ARIA 캐노니컬 XML CDF CSS DOM Geolocation API HTML (HTML5) ITS JSON-LD MathML OWL P3P PLS RDF RDF 스키마 SISR SKOS SMIL SOAP SRGS SRI SSML SVG SCXML SPARQL Timed text VoiceXML 웹 스토리지 WSDL XForms XHTML XHTML+RDFa XInclude XLink XML XML 베이스 XML 암호화 XML 이벤트 XML 인포메이션 세트 XML 이름공간 XML 스키마 XML 시그너처 XOP XPath XPath 2.0 XPointer XProc XQuery XSL XSL-FO XSLT (요소) 참고 XAdES XHTML+SMIL XUP 작업 중인 초안 CCXML CURIE EME InkML MSE RIF SMIL 타임시트 sXBL WICD XFDL XFrames XBL XMLHttpRequest 가이드라인 웹 콘텐츠 접근성 가이드라인 이니셔티브 Multimodal Interaction Activity (MMI) Markup Validation Service 웹 접근성 이니셔티브 웹플랫폼 과거 C-HTML HDML JSSS PGML VML XHTML+MathML+SVG 조직 Advisory Committee (AC) 월드 와이드 웹 재단 선출된 그룹 Advisory Board (AB) 테크니컬 아키텍처 그룹(TAG) 워킹 그룹 CSS HTML 지오로케이션 소셜 웹 SVG WHATWG 웹 플랫폼 폐쇄된 그룹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DDWG) WebOnt 소프트웨어 CERN httpd Libwww 브라우저 라인 모드 (1990-) 아레나 (1993-98) 아고라 (1994-97) 아르고 (1994-97) 어마야 (브라우저/편집기, 1996-2012) 콘퍼런스 국제 월드 와이드 웹 콘퍼런스 (IW3C) 운영 위원회 (IW3C2) 최초의 콘퍼런스 ("WWW1", 1994) vdehISO 표준 목록: ISO 표준 목록 ISO 로마자 표기법 목록 IEC 표준 목록 분류: 분류:ISO 표준 분류:OSI 프로토콜 1~9999 1 2 3 4 5 6 7 9 16 31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28 216 217 226 228 233 259 269 302 306 428 518 519 639 -1 -2 -3 -5 -6 646 690 732 764 843 898 965 1000 1004 1007 1073-1 1413 1538 1745 1989 2014 2015 2022 2047 2108 2145 2146 2240 2281 2709 2711 2788 2848 2852 3029 3103 3166 -1 -2 -3 3297 3307 3602 3864 3901 3977 4031 4157 4217 4909 5218 5428 5775 5776 5800 5964 6166 6344 6346 6385 6425 6429 6438 6523 6709 7001 7002 7098 7185 7200 7498 7736 7810 7811 7812 7813 7816 8000 8178 8217 8571 8583 8601 8632 8652 8691 8807 8820-5 8859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8879 9000 9075 9126 9241 9293 9362 9407 9506 9529 9564 9594 9660 9897 9945 9984 9985 9995 10000~19999 10005 10006 10007 10116 10118-3 10160 10161 10165 10179 10206 10218 10303 -11 -21 -22 -28 -238 10383 10487 10585 10589 10646 10664 10746 10861 10957 10962 10967 11073 11170 11179 11404 11544 11783 11784 11785 11801 11898 11940 11941 11941 (TR) 11992 12006 12182:1998 12207 12234-2 13211 -1 -2 13216 13250 13399 13406-2 13407 13450 13485 13490 13567 13568 13584 13616 14000 14031 14224 14289 14396 14443 14496 -10 1-14 14644 -1 -2 -3 -4 -5 -6 -7 -8 -9 14649 14651 14698 14698-2 14750 14882 14971 15022 15189 15288 15291 15292 15408 15444 15445 15438 15504 15511 15686 15693 15706 15706-2 15707 15897 15919 15924 15926 15926 WIP 15930 16023 16262 16750 17024 17025 17369 17799 18000 18004 18014 18245 18629 18916 19005 19011 19092-1 19092-2 19114 19115 19125 19136 19439 19501:2005 19752 19757 19770 19775-1 19794-5 20000+ 20000 20022 21000 21047 21827:2002 22000 23008-2 23270 23360 24613 24707 25178 26000 26300 26324 27000 관련 27000 27001 27002 27003 27004 27005 27006 27007 27729 27799 28000 29110 29199-2 29500 31000 32000 38500 42010 80000 같이 보기: "ISO"로 시작하는 전체 문서 vdeh웹 브라우저 비교 가벼운 웹 브라우저 역사 목록 유닉스용 연표 시장 점유율 기능 광고 차단 증강 브라우징 북마크 북마크릿 라이브 북마크 스마트 북마크 브라우저 확장 브라우저 보안 브라우저 동기화 비교 쿠키 다운로드 관리자 파비콘 증분 검색 플러그인 프라이버시 모드 탭 유니버설 편집 버튼 웹 표준 Acid 테스트 종속형 시트 HTML HTML5 자바스크립트 MathML OCSP SVG WebGL XHTML 관련 주제 BrowserChoice.eu CRL HTTP HTTPS iLoo 인터넷 스위트 맨 인 더 브라우저 모바일 웹 오프라인 리더 PAC Pwn2Own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사이트 특화 브라우저 SPDY SSL/TLS 웹소켓 위젯 월드 와이드 웹 WPAD XML 데스크톱블링크 기반 크로미엄 브레이브 크롬 드래곤 오페라 슬레이프니르 슬림젯 SR웨어 아이언 UC 브라우저 비발디 얀덱스 브라우저 Sputnik 세이프존 네이버 웨일 게코 기반 AT&T 포고* 아방트 카미노* 모질라 파이어폭스 Conkeror GNU 아이스캣 아이스드래곤 스위프트폭스* Swiftweasel* 텐포폭스 팀버울프 토르 브라우저 워터폭스 XB 브라우저* Galeon* Ghostzilla* K-멜레온 가제하카세* Kirix Strata 로터스 심포니* 루나스케이프 모질라* Beonex Communicator* Classilla 넷스케이프* 시몽키 트라이던트 기반 AOL 익스플로러* 아방트 딥넷 익스플로러* 그린브라우저 인터넷 익스플로러* 루나스케이프 맥스톤 미디어브라우저* 메뉴박스 네오플래닛* 넷캡터* 슬림브라우저 스페이스타임 울트라브라우저* 웹IE ZAC 브라우저 웹킷 기반 Arora* 아방트 Dooble 에픽 플로크* 플루이드 아이캡 캉커러 루나스케이프 맥스톤 미도리 옴니웹 Origyn Web Browser* Otter Browser QtWeb QupZilla rekonq 사파리 시이라* 슬림보트 surf Torch 유즈블 웹 웹포지티브 xombrero 텍스트 기반 ELinks Emacs/W3* 라인 모드 브라우저* 링크 링크스 W3m 기타 abaco 어마야* 아라크네* 아레나* 카론 딜로 eww Gazelle 핫자바* IBM 홈 페이지 리더* 아이브라우즈* KidZui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모자이크* Mothra* 넷포지티브* 넷서프 페일 문 모바일블링크 기반 안드로이드 브라우저 크로미엄 브레이브 크롬 오페라 모바일 실크 게코 기반 파이어폭스 모바일 MicroB* 미니모* 프레스토 기반 오페라 미니 삼지창 기반 맥스톤 웹킷 기반 BOLT 돌핀 브라우저 파이어폭스 포 iOS 맥스톤 머큐리 브라우저 S60용 웹 브라우저 Rockmelt 사파리 스틸 기타 블레이저 CM 브라우저 딥피시* ibisBrowser 인터넷 익스플로러 모바일* 아이리스 브라우저* 캉커러 임베디드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넷프론트 노키아 Xpress* Skweezer* 스카이파이어* 티샤크* 선더호크 UC 브라우저 비전 WinWAP 스무즈 Wire 브라우저 텔레비전 및 비디오 게임 콘솔게코 기반 Kylo 프레스토 기반 인터넷 채널 웹킷 기반 구글 TV 닌텐도 3DS 인터넷 브라우저 닌텐도 DS 브라우저 넷프론트 스팀 오버레이 Wii U 인터넷 브라우저 기타 MSN TV* 별표(*)로 된 부분은 더 이상 개발 중이 아닌 소프트웨어를 의미 전거 통제 LCCN: sh95002791 GND: 4373477-7 BNF: cb12493600c (데이터) BNE: XX53972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HTML&oldid=24522163" 분류: 마크업 언어HTMLW3C 표준ISO 표준1990년 도입오픈 포맷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문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RFC 매직 링크를 사용하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Boarisch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CatalàMìng-dĕ̤ng-ngṳ̄НохчийнکوردیCorsu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Dolnoserbs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FurlanFryskGaeilgeGàidhligGalegoگیلکیગુજરાતી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Hornjoserbsce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QaraqalpaqshaҚазақшаភាសាខ្មែរKurdîКыргызчаLëtzebuergeschLingua Franca NovaLigureLumbaartLietuviųLatgaļuLatviešuमैथिलीMalagasyОлык марий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Scotsسنڌي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ၽႃႇသႃႇတႆး 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ürkmençe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olofייִדיש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4일 (목) 09: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하이퍼 텍스트 마크업 언어(영어: Hyper Text Markup Language, HTML, 문화어: 초본문표식달기언어, 하이퍼본문표식달기언어)는 웹 페이지 표시를 위해 개발된 지배적인 마크업 언어다. 또한, HTML은 제목, 단락, 목록 등과 같은 본문을 위한 구조적 의미를 나타내는 것뿐만 아니라 링크, 인용과 그 밖의 항목으로 구조적 문서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미지와 객체를 내장하여 대화형 양식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HTML은 웹 페이지 콘텐츠 안의 꺾쇠 괄호에 둘러싸인 "태그"로 되어있는 HTML 요소 형태로 작성한다. HTML은 웹 브라우저와 같은 HTML 처리 장치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자바스크립트, 본문과 그 밖의 항목의 외관과 배치를 정의하는 CSS 같은 스크립트를 포함하거나 불러올 수 있다. HTML과 CSS 표준의 공동 책임자인 W3C는 명확하고 표상적인 마크업을 위하여 CSS의 사용을 권장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XHTML은 점차 어떤식으로 발전했어? Assistant: XHTML 1.0[27] 은 2000년 1월 26일에 W3C 권고안으로 발표되었다. 이후 2002년 8월 1일에 개정과 재발표를 하였다. 이것은 XML에 관하여 새로 작성된 HTML 4.0 과 HTML 4.01 같이 세가지 문서 형태를 사소한 규약과 함께 제공한다. XHTML 1.1[28] 2001년 5월 31일에 W3C 권고안으로 발표되었다. 그것은 XHTML 1.0 strict 기반이지만 사소한 변경 사항과 사용자 정의 기능을 포함하고, XHTML의 모듈화 으로부터 모듈을 이용하여 새로 작성되었다. XHTML 2.0[29] 은 아직까지 W3C 작업 초안이다. W3C는 2009년 말까지 XHTML 2 그룹을 중단한다고 발표하였다.[30]. 그러므로 XHTML 2.0 표준은 사라질 것이다. XHTML은 XHTML 1.x와 호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XHTML 1.0 에서 업데이트된 것 보다 XHTML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언어가 특성이 더 정확해진다. XHTML5는 HTML 5 초안에서 HTML 5와 함께 정의되었다.[31] Human: 아래 피에르시몽_드_라플라스_후작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피에르시몽 드 라플라스 후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피에르시몽 드 라플라스 후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라플라스 후작 피에르시몽 출생 1749년 3월 23일(1749-03-23) 프랑스 왕국 노르망디 보몽앙오주(프랑스어: Beaumont-en-Auge) 사망 1827년 3월 5일 (77세) 프랑스 왕국 파리 거주지 프랑스 국적 프랑스 분야 수학, 물리학 소속 파리 사관학교(프랑스어: École militaire) 출신 대학 캉 대학교 지도 교수 장 르 롱 달랑베르 지도 학생 시메옹 드니 푸아송 주요 업적 블랙홀의 존재를 추측라플라스 방정식라플라스 변환퍼텐셜 이론구면 조화 함수라플라스 연산자라플라스 분포라플라스-벨트라미 연산자라플라스-룽게-렌츠 벡터라플라스 전개이산 라플라스 연산자라플라스 법칙라플라스 수라플라스 극한드 무아브르-라플라스 법칙라플라스 방법 수상 후작 (프랑스어: Marquis, 1817) 피에르시몽 드 라플라스 후작(프랑스어: Pierre-Simon, marquis de Laplace, 프랑스어 발음: ​[pjɛʁ simɔ̃ laplas], 1749년 3월 23일~1827년 3월 5일)은 프랑스의 수학자이다. 목차 1 생애 1.1 유년 1.2 성년 1.3 나폴레옹 집권기 동안의 라플라스 1.4 부르봉 복고 이후의 라플라스 2 업적 2.1 《천체 역학》 2.2 라플라스 변환 2.3 구면 조화 함수 2.4 퍼텐셜 이론 3 참고 문헌 4 외부 링크 생애[편집] 유년[편집] 라플라스는 1749년 노르망디 보몽앙오주(프랑스어: Beaumont-en-Auge)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피에르 라플라스(프랑스어: Pierre Laplace)였고, 어머니는 마리안 소숑(프랑스어: Marie-Anne Sochon)이었다. 라플라스 가족은 1750년 정도까지는 농업에 종사했다. 라플라스 가족 저택이 1925년에 화재로 손실되면서 라플라스의 생애에 대한 기록이 상당수 소실되어, 라플라스의 유년에 대해서는 자료가 적다.[1] 라우즈 볼(영어: W. W. Rouse Ball)의 《수학사 개론》[2] 에 의하면, 라플라스 가족은 가난한 농부 집안이나, 소작농 집안이었다. 볼에 따르면, 이러한 불우한 환경에서 그의 수학적 능력과 열정에 감복한 부유한 이웃의 도움으로 교육을 받았고, 보몽앙오주의 학교에서 잡역부로 일하다, 학생이 될 수 있었다. 그곳에서 장 르 롱 달랑베르에게 소개장을 받은 이후, 1771년 파리로 올라가 인생을 개척했다고 한다. 하지만, 칼 피어슨[1] 은 반대로 라플라스 가족이 부유한 농경 집안이었다고 한다. 라플라스는 1765년에 16세의 나이로 캉 대학교에 입학하였다. 처음에 라플라스는 로마 가톨릭 교회 신학을 공부하려 하였으나, 곧 수학으로 관심을 돌렸다. 피어슨은 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적었다.[1] 라플라스 시대에, 캉은 노르망디에서 제일 지적으로 활발한 지역이었다. 라플라스는 여기서 교육받았고, 교수가 된 것이다. 이곳에서 라플라스는 첫 논문을 토리노 왕립 학회의 학회지 《멜랑주》(프랑스어: Mélanges) 4권 (1766년~1769년)에 출판하였다. 이는 그가 22-23세에 파리로 상경한 1771년보다 2년 이상 빠르므로, 그는 파리에 상경가기도 전, 20세 이전에 토리노의 조제프루이 라그랑주와 교류했다는 증거이다. 그는 단순히 촌동네에서 조금 잘한 꼬맹이가 아니었던 것이다! 1765년, 다시 말해 16세에 라플라스는 보몽앙오주 오를레앙 공작 학교를 졸업했고, 캉 대학교에 들어가 5년간 공부한 것이다.Indeed Caen was probably in Laplace’s day the most intellectually active of all the towns of Normandy. It was here that Laplace was educated and was provisionally a professor. It was here he wrote his first paper published in the Mélanges of the Royal Society of Turin, Tome iv. 1766–1769, at least two years before he went at 22 or 23 to Paris in 1771. Thus before he was 20 he was in touch with Lagrange in Turin. He did not go to Paris a raw self-taught country lad with only a peasant background! In 1765 at the age of sixteen Laplace left the "School of the Duke of Orleans" in Beaumont and went to the University of Caen, where he appears to have studied for five years. 성년[편집] 라플라스는 캉 대학교의 교수 피에르 르 카뉘(프랑스어: Pierre Le Canu)의 소개장을 들고, 1769년에 19세의 나이로 파리로 상경하여 장 르 롱 달랑베르를 찾았다. 라플라스의 현손에 따르면,[1] 달랑베르는 라플라스를 매우 귀찮아해서, 자기에게 오는 걸 막기 위해 두꺼운 수학책을 던져주고, 이걸 다 읽고 나서 들어오라고 했다. 라플라스가 며칠 안 돼서 돌아오자, 달랑베르는 더 화를 내며, 라플라스가 단 며칠 만에 그 책을 읽었을 리 없다는 생각을 숨기지 않았다. 하지만 몇 차례 책 내용에 대해서 질문을 하고, 대답을 받고 나자 달랑베르는 그가 책을 다 읽었다는 것을 알았고, 그 후 라플라스는 그에게 인정받았다고 한다. 달랑베르의 소개를 받아, 1771년부터는 파리 군관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1773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이 되었다. 1788년 5월 15일에 39세의 나이로, 18세의 소녀 마리 샤를로트 드 쿠르티 드 로망주(프랑스어: Marie-Charlotte de Courty de Romanges)와 결혼하였고, 아들 사를에밀 라플라스(프랑스어: Charles-Émile Laplace)와 딸 소피쉬잔(Sophie-Suzanne)을 두었다. 나폴레옹 집권기 동안의 라플라스[편집] 1799년 11월 9일에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브뤼메르 18일 쿠데타로 권력을 잡았고, 곧 1799년 11월 12일에 라플라스를 내무부 장관으로 임명하였다. 피어슨은 이를 부정하지만, 볼에 따르면, 라플라스는 나폴레옹이 집권하자 그에게 내무부 장관직을 얻고자 찾아갔다고 한다. 그러나 같은 해 12월 25일에 나폴레옹은 라플라스를 해고하였다. 나폴레옹은 자서전에서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적었다. 기하학자로는 일류이지만, 라플라스는 평균 이하의 관리라는 것이 곧 분명해졌다. 그가 첫 사무를 본 뒤, 실수를 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라플라스는 어떤 비판도 좋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는 모든 곳에서 사소한 트집을 잡았고, 그에게는 모든 아이디어가 결함 투성이였다. 결국 그는 부서에 무한소가 무엇인지 보여주었다.Géomètre de première catégorie, Laplace n’a pas tardé à se montrer un administrateur plus que médiocre ; de son premier travail nous avons immédiatement compris que nous nous étions trompés. Laplace ne traitait aucune question d’un bon point de vue : il cherchait des subtilités de partout, il avait seulement des idées problématiques et enfin il portait l’esprit de l’infiniment petit jusque dans l’administration. — [3] 볼은 라플라스와 나폴레옹 간의 유명한 일화를 한 편 소개하고 있다.[2] 라플라스는 나폴레옹에게 올라가 자신의 저작을 한 부 진상했다. 이후 둘이 나눈 대화가 잘 기록되어 있으며, 특별한 대화였기 때문에 완전하게 소개하려고 한다. 누군가가 나폴레옹에게 이 책이 신에 관해서 아무런 이야기도 쓰고 있지 않다는 것을 말해준 적이 있었다(라플라스 이전까지만 해도 신의 천사가 신의 명을 받들어 행성들을 밀어 움직이고 있다는 이론이 횡행하고 있었다). 남을 당황하게 만드는 질문을 하길 즐겼던 나폴레옹은, 책을 받으며 말했다. '라플라스 경, 사람들이 말하길, 당신이 우주에 대해 방대한 책을 썼으면서도, 창조주에 관한 이야기를 한 마디도 쓰지 않았다고 하오.'(당시까지만 해도 무신론은 범죄시 되고 있었다.) 라플라스는 정치에 관심이 많았고, 권력을 얻고자 하는 욕망이 강했지만, 자신의 철학을 굽히기를 좋아하지 않았고, 얼굴을 들어 말했다. 제게는 그 가설이 필요 없었나이다.Je n’avais pas besoin de cette hypothèse-là. 나폴레옹은 대단히 재미있어 하며, 그 대답을 조제프루이 라그랑주에게 전해주었다. 그 말을 전해들은 라그랑주는 이렇게 외쳤다. 아, 이건 멋진 가설이다. 그것 하나만으로 많은 것이 설명되지 않는가.Ah! c’est une belle hypothèse; ça explique beaucoup de choses. 라플라스가 내무부에서 해고됐지만, 나폴레옹과 라플라스는 서로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자 했다. 나폴레옹은 1799년 12월 24일에 그를 상원의원에 추대했으며, 1806년에 백작 작위를 수여하였다. 라플라스는 《천체 역학》(프랑스어: Mécanique céleste) 제3권을 나폴레옹에게 헌정하였다. 부르봉 왕정 복고 이후에 출판된 것에는 이것이 삭제되어 있으며, 피어슨은 그것을 내버려 두었더라도 검열 때문에 없어졌을 것이라고 말한다. 부르봉 복고 이후의 라플라스[편집] 1814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세력이 쇠퇴하고 있다는 신호를 감지한 라플라스는 재빨리 부르봉 왕가의 쪽으로 돌아섰다. 1817년에 라플라스는 부르봉 왕정복고와 함께 후작으로 승격되었다. 라플라스는 1827년에 파리에서 사망하였다. 라플라스의 사후, 라플라스의 뇌를 외과의사 프랑수아 마장디(프랑스어: François Magendie)가 채집해서 오랜 기간 보존해 두었다. 나중에 이는 영국 해부학 박물관에 전시되었는데, 평균 두뇌 크기보다 더 작다고 한다. 업적[편집] 《천체 역학》[편집] 그의 저서 《천체 역학》(프랑스어: Mécanique céleste, 총 5권)에서는 고전역학에서 뉴턴이 택했던 방식인, 기하학적 접근방식에 대한 번역을 실어, 당시 물리학을 집대성하고 확장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더불어 《확률론의 해석이론》 등의 명저를 남겼으며, 수리 물리학 발전에 엄청난 공헌을 했다. 라플라스 변환, 라플라스 방정식 등에 그의 이름이 남아 있다. 그는 성운 가설을 다시 진술하고 발전시켰다. 이는 블랙홀과 중력 붕괴에 대한 최초의 이론적 예측이다. 《천체 역학》에서는 강체 또는 유체의 운동에서부터, 지구의 모양, 조석이론까지 논하고 있다. 이 문제들은 결국 미분방정식을 푸는 것이지만,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여 발전시킨 것이 많다. 특히 오차평가 등은 그가 썼던 확률론의 응용이기도 하다. 라플라스 변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라플라스 변환입니다. 1744년 레온하르트 오일러, 조제프루이 라그랑주 에 이어, 미분방정식에 대한 해를 찾기 위한 노력으로, 라플라스는 다음과 같은 변환을 생각했다.[4]:260 z = ∫ X ( x ) e a x d x {\displaystyle z=\int X(x)e^{ax}dx} and z = ∫ X ( x ) x a d x . {\displaystyle z=\int X(x)x^{a}dx.} 1785년, 라플라스는 위의 식을 이용한 라플라스 변환을 이용해서 미분 방정식을 통째로 대수 방정식으로 변환해, 대수 방정식을 푼 뒤, 그 해를 다시 역변환해 미분 방정식의 해를 얻는 방식으로 미분방정식을 푸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 방식은 공학 수학분야에서 널리 응용되고 있다.[4]:261–262[5] 구면 조화 함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구면 조화 함수입니다. 구면 조화 함수 르장드르 는 1783년 파리 아카데미에 보낸 논문에서, 현재 연관 르장드르 함수로 알려져 있는 함수를 알렸다.[2] 만약 한 이차원 평면의 두 점을 평면에서 극좌표로 (r, θ)와 (r ', θ') 로 나타낸다고 할 때, 여기서 일반성을 잃지 않고 r ' ≥ r 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코사인법칙을 이용해서, 두 점 사이의 거리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 d = 1 r ′ [ 1 − 2 cos ⁡ ( θ ′ − θ ) r r ′ + ( r r ′ ) 2 ] − 1 2 . {\displaystyle {\frac {1}{d}}={\frac {1}{r'}}\left[1-2\cos(\theta '-\theta ){\frac {r}{r'}}+\left({\frac {r}{r'}}\right)^{2}\right]^{-{\tfrac {1}{2}}}.} 이 표현을 테일러 급수 표현 방식을 써서 r/r ' 에 대해 전개하면, 1 d = 1 r ′ ∑ k = 0 ∞ P k 0 ( cos ⁡ ( θ ′ − θ ) ) ( r r ′ ) k . {\displaystyle {\frac {1}{d}}={\frac {1}{r'}}\sum _{k=0}^{\infty }P_{k}^{0}(\cos(\theta '-\theta ))\left({\frac {r}{r'}}\right)^{k}.} 을 얻는다. 여기서 P0k(cosф) 함수는 르장드르 연관 함수 라고 불린다. 라플라스는 르장드르에게 공을 돌리며, 위 결과를 삼차원 공간으로 확장하여 구면 조화 함수를 정의하였다. 이들을 적당한 계수를 곱해 더하면 제곱 적분 가능한 모든 3차원 공 모양 평면 위의 함수를 표현할 수 있다.[2] 퍼텐셜 이론[편집] 구면 조화 함수 이론을 다룬 논문에서, 스칼라 퍼텐셜 이론도 다루고 있다. 중력은 벡터량이므로, 크기와 방향을 가지고 있다. 퍼텐셜 함수는 스칼라 량으로, 크기만을 가지고 있는 함수이기 때문에 계산하기에도, 이론으로 다루기에도 훨씬 간편하다. 퍼텐셜 이론은 이전부터 존재해왔지만, 라플라스는 미적분학을 퍼텐셜함수에 적용해, 퍼텐셜 함수가 항상 다음의 미분방정식(라플라스 방정식)을 만족함을 보였다.:[2] ∇ 2 V = ∂ 2 V ∂ x 2 + ∂ 2 V ∂ y 2 + ∂ 2 V ∂ z 2 = 0 {\displaystyle \nabla ^{2}V={\partial ^{2}V \over \partial x^{2}}+{\partial ^{2}V \over \partial y^{2}}+{\partial ^{2}V \over \partial z^{2}}=0} - 그리고, 이 결과에 힘입어, 라플라스는 중력이론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었다. 구면 조화 함수는 이 라플라스 방정식의 중요하고 실용적인 해이다. 구면좌표계에서 라플라스 방정식을 변수분리법 으로 변환하고, 각도에 관한 해만 뽑아내면, 이는 라플라스의 구면 조화 함수의 합이 된다. 이는 다른 좌표계에서 잡은 해를 구하는 것보다 훨씬 간편할 때 쓴다. 참고 문헌[편집] ↑ 가 나 다 라 Pearson, Karl (1929년 12월). “Laplace, being Extracts from Lectures delivered by Karl Pearson”. 《Biometrika》 (영어) 21: 202–216. JSTOR 2332557.  ↑ 가 나 다 라 마 Ball, W. W. Rouse (1908). 《A Short Account of the History of Mathematics》 (영어) 4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Bonaparte, Napoléon. 《Mémoires de Sainte Hélène》 (프랑스어).  ↑ 가 나 Gillispie, C. C. 《Pierre Simon Laplace 1749–1827: A Life in Exact Science》 (영어).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0-691-01185-0.  ↑ Deakin, M. A. B. (1981). “The development of the Laplace transform”. 《Archive for the History of the Exact Sciences》 (영어) 25 (4): 343–390. doi:10.1007/BF01395660.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피에르시몽 드 라플라스 후작 O’Connor, John J.; Edmund F. Robertson (1999년 1월). “Pierre-Simon Laplace”. 《MacTutor History of Mathematics Archive》 (영어).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Pierre-Simon Laplace”. 《수학 계보 프로젝트》 (영어). 미국 수학회.  전거 통제 WorldCat VIAF: 4932158 LCCN: n81077094 ISNI: 0000 0001 2275 8822 GND: 118726536 SELIBR: 205973 SUDOC: 026965704 BNF: cb119110516 (데이터) MGP: 108295 NLA: 35803805 NDL: 00446884 NKC: mzk2003202328 Léonore: LH/1477/83 BNE: XX96160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피에르시몽_드_라플라스_후작&oldid=23760262" 분류: 피에르시몽 라플라스1749년 태어남1827년 죽음프랑스의 수학자프랑스의 천문학자프랑스의 물리학자프랑스의 불가지론자프랑스의 후작프랑스의 내무장관프랑스 제1제국의 귀족계몽주의 철학자이론물리학자결정론자이신론자로마 가톨릭교회 이탈자칼바도스주 출신레지옹 도뇌르 그랑도피시에 훈장 수훈자왕립학회 석학회원아카데미 프랑세즈의 회원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스웨덴 왕립 과학원의 회원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미국 예술과학 아카데미 석학회원18세기 프랑스 사람19세기 프랑스 사람18세기 수학자19세기 수학자18세기 천문학자19세기 천문학자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CS1 관리 - 추가 문구CS1 - 프랑스어 인용 (fr)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인용집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АдыгабзэAfrikaansAragoné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বাংলাBosanskiБуряад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KabɩyɛҚазақшаಕನ್ನಡ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igure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मराठीMirandés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olskiPiemontèis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संस्कृतम्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తెలుగు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inaray吴语Хальмг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24일 (일) 02: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피에르시몽 드 라플라스 후작(프랑스어: Pierre-Simon, marquis de Laplace, 프랑스어 발음: ​[pjɛʁ simɔ̃ laplas], 1749년 3월 23일~1827년 3월 5일)은 프랑스의 수학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라플라스가 내무부의 장관으로 일하게 된 것은 몇년도부터인가? Assistant: 1799년
Human: 아래 독일의_고속버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독일의 고속버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독일의 고속버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독일의 고속버스(독일어: Fern bus)는 독일에서 운영되고 있는 고속버스를 의미한다. 목차 1 역사 2 현황 3 관련 규정 3.1 승객 운송에 관한 법률 3.2 버스기사 근무 시간에 대한 규정 3.3 운송 약관 4 장점과 단점[14] 4.1 장점 4.2 단점 5 철도 사업과의 관계 5.1 철도 이용과의 비교 5.2 철도 산업과의 연계 6 운영 기업과 노선 종류 6.1 운영 기업 6.2 노선 종류 6.2.1 Flixbus 6.2.2 Postbus 7 버스 목록 7.1 베를린 7.2 브레멘 7.3 도르트문트 7.4 드레스덴 7.5 뒤셀도르프 7.6 프랑크푸르트암마인 7.7 프라이부르크임브라이스가우 7.8 함부르크 7.9 라이프치히 7.10 뮌헨 7.11 노이브란덴부르크 7.12 뉘른베르크 7.13 슈투트카르트 8 이용 방법 9 전망과 한계점 9.1 전망 9.2 한계점 10 관련 통계 11 출처 역사[편집] 고속버스는 2차 세계대전 직후 한동안 독일 내에서 교통수단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당시에는 독일연방철도(Deutsche Bundesbahn)와 도이체 분데스포스트(Deutsche Bundespost) 등 두 곳에서 국내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는 다양한 노선들을 운영했다. 특히 당시의 고속버스는 철도에 비해 저렴한 이용료가 특징으로 교통비 지출이 부담스러운 저소득층이 주요 고객이었다. 하지만 점차 자가용이 보급되고 소득수준이 향상되기 시작하면서 독일 내 고속버스에 대한 수요는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했고 1980년대를 기점으로 대부분의 버스 노선이 폐지되기에 이른다. 이러한 추세는 2000년 대까지 지속되었다. 특히 2012년까지 독일에서는 ‘승객 운송에 관한 법률(Personenbeförderungsgesetz)’로 인해 버스 노선을 신설하는 데에 많은 제한이 따랐다. 이 법률은 1935년 제정된 이후 법안의 내용 대부분이 개정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었다.[1] 해당 법률의 2013년 개정 이전 내용에 따르면 버스 노선의 신설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만 허가된다. 해당 시간, 해당 노선에 이용할 수 있는 다른 교통수단이 없는 경우 현존하는 교통수단보다 현저히 짧은 운행시간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현존하는 교통수단보다 현저히 낮은 운임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이는 사업자 간의 과도한 경쟁을 막고자 하는 취지에서 도입되었으나, 2000년대 들어 소비자로부터 비교적 저렴하고 환경친화적인 고속버스를 이용할 기회를 박탈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잇따르기 시작했다.[2][3] 결국 2012년 9월 14일 의회에서 기독교민주당, 자유민주당, 사회민주당, 기독교사회연합당 그리고 녹색당 등이 법안을 개정하기로 합의하였고, 같은 해 11월 2일 연방상원에서 2013년 1월 1일부터 유효한 개정법률의 입안이 가결된다.[4] 이후 플릭스부스(FlixBus), 마인페른부스(MeinFernbus), ADAC 포스트부스(ADAC Postbus) 등 다양한 신규 사업자들이 시장에 진출해 국내외를 아우르는 다양한 버스 노선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머지않아 시티투시티(City2City)와 다인부스(Deinbus)가 사업에서 철수하고 ADAC 역시 포스트부스와의 합작사업에서 발을 빼는 등 독일 내 고속버스 산업은 한 차례 재편 과정을 겪게 된다.[5] 이후 플릭스부스가 마인페른부스를 합병하면서 2015년 기준으로 시장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으며 그 뒤를 포스트부스, 베를린 리니엔 부스(Berlin Linien Bus)등이 따르고 있다.[6] 현황[편집] 2013년 법 개정 후로 독일의 고속버스 시장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2014년에 1600만 명에서 2015년에는 36% 증가한 2180 만 명, 2016년에는 그것보다 더 증가한 2720만 명의 이용객을 예상하고 있다.[7] 특히나 낮은 가격, 편리성, 모바일을 이용한 마케팅은 젊은 이용객들이 가장 많이 소비한다.[8] 초반에 여러 버스회사가 있었던 것에 반해 현재는 국내편은 2~3개의 회사가 대부분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9] 다른 나라로 이동하기가 쉬운 유럽의 여건상 독일의 국내도시를 연결하는 노선뿐만 아니라 다른 유럽지역의 도시들을 연결하는 노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더욱더 유럽지역 간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였다. 이렇게 증가하는 고속버스의 시장은 기존의 이동수단의 좋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고속버스는 기차(철도)시장에 가장 큰 위협요소이다. 관련 규정[편집] 승객 운송에 관한 법률[편집] 승객 운송에 관한 법률(Personenbeförderungsgesetz, PBefG)은 2013년 개정 전까지 고속버스 노선 신설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경우에만 신설할 수 있게 제한했다. 해당 시간, 해당 노선에 이용할 수 있는 다른 교통수단이 없는 경우 현존하는 교통수단보다 현저히 짧은 운행시간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현존하는 교통수단보다 현저히 낮은 운임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위 법률들은 2013년 1월 1일 개정되어 지금은 고속버스 노선 신설이 매우 자유롭다. 이를 통해 약 140개의 노선이 신설되었다.[10] 버스기사 근무 시간에 대한 규정[편집] 독일은 버스 기사의 근무시간이 안전과 연관이 깊음을 이해하고 근무시간에 대해 다음과 같이 규정했다.[11] 운전기사는 1주일에 2일만 10시간 운전이 가능하며 그 이외에는 1일 9시간 이상을 운전할 수 없다. 1주일 동안 56시간 이상을, 2주일 동안 90시간 이상의 운전을 할 수 없다. 4시간을 운전시 무조건 45분간의 휴식을 취해야 한다. 버스 이동이 끝나면 그 다음 운행까지 11시간의 휴식을 취해야 한다. 단, 1주일에 3일은 9시간의 휴식만으로도 괜찮다 운송 약관[편집] 회사마다 규정이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다.[12][13] 한 사람당 하나의 짐을 무료로 운송할 수 있다. 그 외에는 추가요금을 내고 운송할 수 있다. 하지만 유모차는 무료이다. 자전거나 개와 같은 동물은 운송을 할 수 없다. 다만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견의 경우는 예외이다. 장점과 단점[14][편집] 장점[편집] 고속버스의 가장 큰 장점은 낮은 가격이다. 기차와 비행기와 비교했을 때 현저히 낮다. 대부분 20~30유로의 가격으로 독일 전역을 갈 수 있다.[15] 또한 고객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도 고객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 중 하나이다. 대부분의 도시마다 버스정류장이 있으며, 다른 교통편과 쉽게 연결되는 지역에 정류장이 입지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거의 환승 없이 이동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또 온라인 티켓팅으로 인해 언제든지 쉽게 예약을 할 수 있으며, 출발 20분 전까지는 자유롭게 변경, 취소가 가능하다. 수수료가 부가 되거나 또는 환불이 되지 않는 기차나 비행기와 달리 쿠폰의 형식으로 환불이 되어 후에 다시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수속을 밟지 않아도 되며 이를 위해 길게 줄을 서지 않아도 되는 것은 장점이다. 또 고속버스가 제공하는 시설은 고객들이 고속버스를 다시 찾는 이유 중 하나이다. 무선 인터넷이 제공되며, 버스에서 영화나 음악이 자체 미디어 센터를 통해 제공된다. 비행기나 기차에서처럼 독서를 위한 조명이 제공되며, 콘센트도 설치되어있다. 음료와 간단한 간식 등도 제공받거나, 구매가 가능하다. 단점[편집] 목적지가 먼 경우 이동시간이 기차와 비행기보다는 현저히 길고, 교통상황에 따라 이동시간의 변동이 크다. 그래서 정확한 시간에 도착해야 하는 고객에게는 불편을 초래 할 수 있다. 또한, 연착이 될 경우 실시간으로 공지되는 것이 아니라서 버스가 지금 어떤 상황인지 모른 채 기다려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내부에 있는 화장실은 비상상황을 위해 설치되었으나 위생사태에 문제가 있으면 긴 시간 이동해야 할 시 목적지에 멈추기 전까지는 어떠한 조치를 취하기 어렵다. 또한, 한번 착석 시 이동하기가 어렵고 옆 사람 때문에 불만을 호소하는 고객들도 있다. 또한 간혹 어떤 도시에는 공식적인 정류장이라고 말하기 힘든 곳이 있다. 어떠한 표지판도 없는 경우도 있으며, 간이 표지판 하나 세워 둔 임시정류장이 많다.그래서 처음 그곳에 도착한 여행객은 아예 정류장을 찾지 못하거나 비슷한 목적지에 버스가 여러 대 있어 자신의 버스를 찾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철도 사업과의 관계[편집] 일찍부터 국내 철도 노선이 발달한 독일 내에서 고속버스 산업이 성장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었다. 특히 ‘승객 운송에 관한 법률(Personenbeförderungsgesetz)’’로 인해 신규 고속버스 사업자들의 시장 진입이 제한되면서 오랜 기간 동안 독일의 고속버스 산업은 부진을 면치 못하는 입장이었다. 하지만 해당 법안의 개정 이후 고속버스 산업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철도 이용의 대안으로서 떠오르고 있다. 철도 이용과의 비교[편집] 독일 내에서 고속버스는 철도 운임의 약 20~60% 정도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속버스는 대체로 예매 취소에 대한 환불 규정이 철도에 비해 관대한 편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고속버스 사업자는 철도와 달리 14세 이하의 어린이에게도 운임을 받는다는 점은 주의해야 한다.[16] 또 독일의 철도는 냉방 시스템, 좌석 테이블, 그리고 식사 카트 등 고속버스에 비해 잘 정비된 시설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17] 독일 철도 산업은 2015년 보스턴 컨설팅 그룹(Boston Consulting Group, Inc.)이 발표한 종합 평가에서 유럽 6위를 차지하기도 했다.[18] 이에 비해 독일의 고속버스 산업은 아직 시설이나 서비스에 있어서는 미흡한 경우가 많다. 철도 산업과의 연계[편집] 독일국영철도회사(Deutsche Bahn AG)는 현재 고속버스 사업으로 IC 부스(IC bus)를 운영하고 있다. IC 부스의 티켓은 독일국영철도회사의 여행 센터(Reisezentren)나 티켓 판매기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반카드(BahnCard)의 할인 혜택 역시 적용 받을 수 있다.[19] 운영 기업과 노선 종류[편집] 운영 기업[편집] 2013년부터 고속버스 회사 많아져 지금은 크게 Flixbus, Postbus, Berlin Linien Bus und IC Bus (Deutsche Bahn), Megabus, Deinbus, Eurolines Germany로 6개의 회사들이 존재한다. 이 외에도 많은 고속버스 회사들이 여러가지 노선들을 운영 중이다. 올해 Postbus와 Berlin Linien Bus 는 통합되거나 없어진다. 노선 종류[편집] 독일은 고속버스를 통해서 국내 도시간의 이동뿐만 아니라 국제간의 이동도 가능하다. 대부분의 회사에서 이미 다양한 나라를 목적지로 하는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기 때문에 대도시뿐만 아니라 중소도시에도 노선이 지나가므로 다른 목적지를 경유해서 가기는 하지만 환승할 필요 없이 목적지까지 갈 수 있다. 독일의 고속버스는 한국과는 다르게 따로 터미널이 존재하지 않는다. 보통 공항이나 역 주변에 승하차 할 수있는 곳이 존재한다. 노선도는 모든 회사 사이트에 제공하고 있다. Flixbus[편집] 독일에서 가장 큰 고속버스 회사이다. 버스의 색은 초록색이다.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벨기에, 이탈리아와 같은 유럽국가 총 20개국을 통하는 노선을 운영 중이다. 이뿐 아니라 독일 국내에서도 도시간 이동 노선이 매우 다양해 대부분의 도시로 이동하기에 불편함이 없다.[20] Postbus[편집] 독일의 고속버스 회사 중 2번째로 큰 회사이다. 버스의 색은 노랑색이다. 노선은 회사의 규모나 입지에 비해서 다양한 편은 아니다. 2015년에 노선을 좀 더 추가하여 현재는 120개의 도시들을 목적지로 하는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 폴란드, 체코등의 나라를 연결하고 있다.[21] 버스 목록[편집] 베를린[편집] Linie Name Streckenführung Betreiber Verbundsystem 91 아헨 – 베를린[22] [23][24][25][26][27][28][29][30][31][32][33] [34] 아헨(독일어: Aachen) – 묀헨글라트바흐(독일어: Mönchengladbach) – 크레펠트(독일어: Krefeld) – 뒤스부르크(독일어: Duisburg) – 오버하우젠(독일어: Oberhausen) – 함(독일어: Hamm) – 하노버 ZOB 하노버|ZOB – 베를린 ZOB 베를린|ZOB Flixbus MeinFernbus Flixbus 5301 베를린 – 아헨, 뮌스터(독일어: Münster) – 아헨 베를린 – 브라운슈바이크 – 하노버 – 빌레펠트(독일어: Bielefeld) – 귀터슬로(독일어: Gütersloh) – 뮌스터 – 뒤스부르크 – 뒤셀도르프(독일어: Düsseldorf) – 아헨 Berlinlinienbus Berlinlinienbus 075 프랑크푸르트(독일어: Frankfurt) – 암스테르담(독일어: Amsterdam) – 베를린 프랑크푸르트암마인(독일어: Frankfurt am Main) – 쾰른(독일어: Köln) – 뒤셀도르프 – 뒤스부르크 – 이셀부르크(독일어: Isselburg) – 위트레흐트(독일어: Utrecht) – 암스테르담 (NL) – 흐로닝언(독일어: Groningen) (NL) – 리어 – 우플렌겐-리멜스 – 올덴부르크(독일어: Oldenburg) – 브레멘 – 함부르크 – 베를린 - 프랑크푸르트 – 암스테르담 – 함부르크 & 암스테르담 – 함부르크 – 베를린 MFB MeinFernbus MeinFernbus Flixbus 590 암스테르담 – 바트외인하우젠(독일어: 바트 Oeynhausen) – 베를린 암스테르담 (네덜란드)(독일어: Niederlande) – 엔스헤데(독일어: Enschede) – 바트외인하우젠 – 하노버 – 베를린 Flixbus MeinFernbus Flixbus 베를린 – 바트벤트하임(독일어: 바트 Bentheim) – 암스테르담 베를린 – 마그데부르크(독일어: Magdeburg) – 바트벤트하임 – 엔스헤데 – 암스테르담 (NL) 벤트하이머 역(독일어: Bentheimer Eisenbahn), Flixbus MeinFernbus Flixbus 1207 베를린 – 콧부스(독일어: Cottbus) – 괴츨리츠(독일어: Görlitz)/잠베르크(독일어: Senftenberg) – 드레스덴(독일어: Dresden) 베를린 – 콧부스 – 잠베르크 – 드레스덴 – 콧부스 – 베를린 쮸드쿠르즈 Bex Berlin Linien Bus 40 브레멘 – 드레스덴 드레스덴 – 베를린 – 함부르크 – 브레멘 Postbus 100 베를린 – 하노버 – 파리 베를린 – 브라운슈바이크 – 하노버 ZOB – 안트베르펜(독일어: Antwerpen) – 브뤼셀(독일어: Brüssel) – 파리 Bex, Eurolines France, Eurolines Belgium Eurolines (Kabotage), Berlin Linien Bus 1402 베를린 – 브레멘 베를린 – 헬름슈테르 – 브라운슈바이크 – 하노버 – 브레멘 Bex Berlin Linien Bus 72 브레머하펜 – 베를린 브레머하펜(독일어: Bremerhaven) – 브레멘 – 함부르크 – 베를린 Flixbus MeinFernbus Flixbus 69 베를린 – 다름슈타트 베를린 – 브라운슈바이크 – 괴팅겐(독일어: Göttingen) – 카셀(독일어: Kassel) – 풀다(독일어: Fulda) – 하나우(독일어: Hanau) – 다름슈타트(독일어: Darmstadt) Flixbus MeinFernbus Flixbus 1202 베를린 – 드레스덴 베를린 – 쉐너펠트 공항 – 드레스덴 Bex Berlin Linien Bus 프라하(독일어: Prag) – 베를린 – 함부르크 프라하 (CZ) – 드레스덴 – 쉐너펠트 공항 – 베를린 – 마그데부르크 – 볼프스부르크(독일어: Wolfsburg) – 하노버 – 브레멘 – 함부르크 Student Agency 28 베를린 – 드레스덴 베를린 – 드레스덴 Elite Traffic, Flixbus MeinFernbus Flixbus W1 (Hellö) 베를린 – 빈(독일어: Wien) 베를린 – 드레스덴 – 프라하 – 브르노(독일어: Brünn) – 빈 (AT)(독일어: Österreich) Hellö Berlin Linien Bus 60 베를린 – 빈 베를린 – 드레스덴 – 프라하 – 빈 (AT) Blaguss, Westbus, Flixbus Eurolines, MeinFernbus Flixbus B1300 (EL) 베를린 – 프라하 베를린 – 드레스덴 – 프라하 (CZ)Anschlussverkehr: 브라티슬라바(독일어: Bratislava) Deutsche Touring, Bex Berlinlinienbus, Eurolines 070 드레스덴 – 베를린 – 함부르크 드레스덴 – 베를린 알렉산더 광장 – 함부르크 MFB MeinFernbus MeinFernbus Flixbus 27 뒤셀도르프 – 베를린 뒤셀도르프 – 에센(독일어: essen) – 보훔(독일어: bochum) – 하노버 – 베를린 Flixbus MeinFernbus Flixbus 1301 베를린 – 뒤셀도르프 베를린 – 하노버 – 빌레펠트 – 도르트문트 – 에센 – 뒤셀도르프 Bex Berlinlinienbus 92 베를린 – 뒤셀도르프 베를린 – 헤르네(독일어: Herne) – 에센 – 뒤셀도르프 Flixbus MeinFernbus Flixbus 051 뒤셀도르프 – 마그데부르크 – 베를린 뒤셀도르프 – 에센 – 도르트문트 – 카셀 – 괴팅겐 – 제젠(독일어: Seesen) – 고슬라 – 바트 하르츠부르크 – 베르니게로데 – 브란켄부르크 – 크베들린부르크 – 아셔슬레벤 (– 할버슈타트 – 헬름슈테르) – 마그데부르크 – 베를린 MFB MeinFernbus 1304 베를린 – 뒤스부르크 베를린 – 브라운슈바이크 – 하노버 ZOB – 빌레펠트 , 브락페드 역 – 귀터슬로 – 뮌스터 – 뒤스부르크 Berlin Linien Bus Berlin Linien Bus 1403 베를린 – 킬(독일어: Kiel) 킬 – 오이틴(독일어: Eutin) – 뤼베크(독일어: Lübeck) – 라체부르크(독일어: Ratzeburg) – 묄른 – 베를린 Bex Berlin Linien Bus 1202 베를린 – 에르푸르트(독일어: Erfurt) 베를린 – 할레 – 예나(독일어: Jena) – 바이마르 Bahn호프 바이마르|Bahn호프 – 에르푸르트 Bex Berlin Linien Bus 052 베를린 – 핼리 – 게라(독일어: Zeitz) 베를린 – 할레 – 메르제부르크(독일어: Merseburg) – 바이센펠스(독일어: Weißenfels) – 차이츠 – 게라 MeinFernbus Flixbus K479 (Flix) 베를린 – 오르후스(독일어: Aarhus) 베를린 – 바트 제게베르크(독일어: Bad Segeberg) – 플렌스부르크(독일어:Flensburg) – 콜링(독일어:Kolding) (덴마크) – 오르후스(DK) Abildskou Eurolines, Berlin Linien Bus, Flixbus 1302 베를린 – 다름슈타트 베를린 – 핼리 oder 라이프치히 – 예나 – 에르푸르트 – 기센, 독일 수학 박물관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다름슈타트 Bex Berlin Linien Bus 프라이부르크 – 베를린 프라이부르크 – 카를스루에(독일어: Karlsruhe) – 만하임(독일어: Mannheim) – 프랑크푸르트 – 베를린 Flixbus MeinFernbus Flixbus 015 프라이부르크 – 베를린 프라이부르크 – 카를스루에 –슈투크카르트 – 뷔르츠부르크(독일어: Würzburg) – 라이프치히 – 베를린 MFB MeinFernbus MeinFernbus Flixbus 1203 프라이부르크 – 베를린 프라이부르크 – 카를스루에 – 슈투크카르트 – 뷔르츠부르크 – 라이프치히 – 베를린 Bex Berlinlinienbus N15 프라이부르크 – 슈투트카르트 – 베를린 프라이부르크임브라이스가우 – 카를스루에 – 슈투크카르트 – 하일브론(독일어: Heilbronn)/네카르줄름(독일어: Neckarsulm – 뷔르츠부르크 – 라이프치히 – 베를린 MFB MeinFernbus MeinFernbus Flixbus 88 Ringlinie 하노버 – 함부르크 – 베를린 – 하노버 하노버 – 함부르크 – 베를린 – 하노버 Flixbus 1401 베를린 – 함부르크 (Schnellverkehr) 베를린 – 함부르크 HARU Berlin Linien Bus 22 베를린 – 함부르크 베를린 – 함부르크 Elite Traffic, Flixbus MeinFernbus Flixbus 050 킬 – 함부르크 – 베를린 킬 – 칼텐키르헨(독일어: Kaltenkirchen) – 함부르크 – 베를린 MFB MeinFernbus 206 킬 – 함부르크 킬 – 함부르크 – 베를린 Autokraft Berlin Linien Bus 058 베를린 – 하노버 – 크레펠트 베를린 – 하노버 – 함 – 헤르네 – 보트로프 – 오버하우젠 – 뒤스부르크 – 크레펠트 MFB MeinFernbus 1210 베를린 – 하일브론 베를린 – 핼리 – 예나 – 바이마르 – 에르푸르트 – 뷔르츠부르크 – 하일브론 Bex Berlin Linien Bus 030 베를린 – 코블렌츠(독일어: Koblenz) 베를린 – 바징하우젠 – 도르트문트 – 에센 – 뒤셀도르프 – 코블렌츠 MFB MeinFernbus 67 코블렌츠 – 베를린 코블렌츠 – 기센 – 마르부르크 – 카셀 – 괴팅겐 – 베를린 Flixbus 1406 베를린 – 쾰른 베를린 – 포츠담(독일어: Potsdam) – 마그데부르크– 하노버 – 부퍼탈(독일어: Wuppertal) – 쾰른 , 공항 Berlinlinienbus Berlinlinienbus N30 드레스덴 – 베를린 – 쾰른 드레스덴 – 베를린 – 하노버 – 도르트문트 – 에센 – 뒤셀도르프 – 쾰른 MFB MeinFernbus 89 베를린 – 뒤셀도르프 베를린 – 할레 – 라이프치히 – 마르부르크 (Lahn) – 지겐(독일어: Siegen) – 쾰른 – 뒤셀도르프 Flixbus 078 쾰른 – 라이프치히 – 베를린 쾰른 – 지겐 – 기센 – 바트 헤르스펠트로텐부르크 – 아이제나흐(독일어: Eisenach) – 라이프치히 – 베를린 MFB MeinFernbus 064 베를린 – 카셀 – 쾰른 베를린 – 브라운슈바이크 – 괴팅겐 – 카셀 – 부퍼탈 – 쾰른 MFB MeinFernbus 16 쾰른 – 베를린 쾰른 – 도르트문트 – 하노버 – 브라운슈바이크 – 베를린 Flixbus 61 쾰른 – 베를린 본(독일어: bonn) – 쾰른 – 부퍼탈 – 빌레펠트 – 베를린 Flixbus 038 본 – 쾰른 – 베를린 오이스키르헨 – 본 – 쾰른 – 부퍼탈 – 베를린 MFB MeinFernbus 70 콘스탄츠 – 베를린 콘스탄츠(독일어: Konstanz) – 징겐(독일어: Singen) – 필링겐-슈베닝겐(독일어: Villingen-Schwenningen) – 튀빙겐 – 슈투트카르트 공항 – 슈투트카르트 – 뷔르츠부르크 – 라이프치히 – 베를린 Flixbus MeinFernbus Flixbus 006 취리히 – 뮌헨 – 베를린 취리히(독일어: Zürich) (CH) – 콘스탄츠 – 메어스부르크(독일어: Meersburg) – 프리드리히스하펜(독일어: Friedrichshafen) – 뮌헨 – 뉘른베르크 – 바이로이트 – 힘멜크론 – 뮌흐베르크 – 라이프치히 – 베를린 Flixbus Flixbus N06 취리히 – 뮌헨 – 베를린 취리히 (CH) – 콘스탄츠 – 메어스부르크 – 프리드리히스하펜 – 뮌헨 – 바이로이트 – 힘멜크론 – 라이프치히 – 베를린 Flixbus Flixbus 1407 베를린 – 베를린, ZOB – 슈베린 – 퀼룽스보른 베를린 – 슈베린 – 비스마르 – 퀼룽스보른 Bex Berlin Linien Bus 50 베를린 – 취리히 베를린 – 쉬코이디츠 – 라이프치히 – 예나- 예나 역 – 에르푸르트 – 프랑크푸르트 – 다름슈타트 – 하이델베르크(독일어: Heidelberg) – 만하임 – 카를스루에 – 슈투트카르트 – 징겐 – 취리히 (CH) Postbus 025 라이프치히 – 베를린 라이프치히 – 베를린 MFB MeinFernbus 65 라이프치히 – 베를린 라이프치히 – 베를린 알렉산더 광장 MFB MeinFernbus 021 베를린 – 뷔르츠부르크 – 렌다바 베를린 – 라이프치히 공항 – 밤베르크 – 뷔르츠부르크 – 로텐부르크오프데어타우버(독일어:로텐부르크 ob der Tauber) – 울름(독일어: Ulm) – 렌다바 Bex Berlin Linien Bus 009 루드비히스하펜 – 뉘른베르크 – 베를린 뉘른베르크 – 네카르줄름 – 하이델베르크 – 만하임 – 루트비히스하펜 – 바이로이트 – 베를린 MFB MeinFernbus 026 베를린 – 프랑크푸르트 – 트리어 – 룩셈부르크 (DELUX express)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프랑크푸르트 공항 – 마인츠(독일어: Mainz) – 카이저슬라우테른(독일어: Kaiserslautern) – 트리어(독일어: Trier) – 룩셈부르크 DeLux Express/MFB MeinFernbus MeinFernbus Flixbus 1201 베를린 – 뮌헨 베를린 – 라이프치히 공항 – 라이프치히 – 루돌프스타인 – 호프 – 바이로이트 – 뉘른베르크 – 잉골슈타트 – 뮌헨 ZOB Bex Berlin Linien Bus 034 베를린 – 뮌헨 베를린 – 뮌흐베르크 – 바이로이트 – 뮌헨 MFB MeinFernbus 51 베를린 – 뉘른베르크 – 뮌헨 베를린 – 라이프치히 – 바이로이트 – 뉘른베르크 공항 – 뮌헨 Postbus 24 베를린 – 라이프치히 – 뮌헨 베를린 – 라이프치히 – 뮌헨 Flixbus 14 뮌스터 – 베를린 뮌스터 – 오스나브뤼크(독일어: Osnabrück) – 하노버 – 베를린 Flixbus 031 뮌스터 – 하노버 – 베를린 뮌스터 – 오스나브뤼크 – 멜레 – 뷘데 – 바트외인하우젠 – 하노버 – 베를린 MFB MeinFernbus 049 베를린 – 뤼베크 – 노이뮌스터 베를린 – 슈베린 – 뤼베크 – 바트 제게베르크 – 노이뮌스터 MFB MeinFernbus 1209 베를린 – 파사우 (바트 퓌씽) 베를린 – 라이프치히 – 호프 – 레겐스부르크 – 데겐도르프 – 파사우 – 바트 퓌씽 – 바트 그리스바흐 – 바트 비른바흐 Bex Berlin Linien Bus 96 파사우 – 베를린 베를린 – 라이프치히 – 뉘른베르크 – 레겐스부르크 – 파사우 Flixbus 041 베를린 – 레겐스부르크 – 파사우 베를린 – 호프 – 젤프 – 바이덴 – 슈반도르프 – 레겐스부르크 – 데겐도르프 – 파사우 MFB MeinFernbus 93 베를린 – 파더보른 베를린 – 마그데부르크 – 브라운슈바이크 – 잘츠키터(독일어: Salzgitter) – 힐데스하임(독일어: Hildesheim) – 하멜른(독일어: Hameln) – 데트몰드(독일어: Detmold) – 파더보른 Flixbus 059 베를린 – 하노버 – 파더보른 베를린 – 하노버 – 빌레펠트 – 파더보른 MFB MeinFernbus 64 로이틀링겐 – 베를린 로이틀링겐(독일어: Reutlingen) – 튀빙겐 – 슈투트카르트 공항 – 하일브론 – 뉘른베르크 – 바이로이트 – 베를린 Flixbus 42 뮌헨 – 로스토크 뮌헨 – 암베르크(독일어: Amberg) – 뉘른베르크 – 바이로이트 – 라이프치히 – 베를린 – 로스토크 Omnibus Koch Flixbus 047 바르네뮌데 – 베를린 – 드레스덴 로스토크 – 베를린 – 드레스덴 MFB MeinFernbus 514 라이프치히 – 베를린 – 로스토크 라이프치히 – 베를린 – 로스토크 Flixbus 68 베를린 – 에르푸르트 – 로텐부르크 베를린 – 할레 – 예나 – 바이마르 – 에르푸르트 – 샤토됭 – 뷔르츠부르크 – 로텐부르크 Flixbus 63 베를린 – 자르브뤼켄(독일어: Saarbrücken) 베를린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마인츠 – 카이저슬라우테른 – 자르브뤼켄 Traco Tours, Flixbus MeinFernbus Flixbus 013 자르브뤼켄 – 프랑크푸르트 – 베를린 자르브뤼켄 – 홈부르크 – 비스바덴 – 마인츠 –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공항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베를린 MFB MeinFernbus N13 베를린 – 프랑크푸르트 – 자르브뤼켄 베를린 – 라이프치히 – 프랑크푸르트 –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공항 – 마인츠 – 카이저슬라우테른 – 홈부르크 – 자르브뤼켄 MFB MeinFernbus 014 슈파이어 – 베를린 슈파이어 – 슈베칭엔 궁전 – 하이델베르크 – 벤스하임(독일어: Bensheim) –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공항 – 알스펠트 – 바트 헤르스펠트로텐부르크 – 베를린 MFB MeinFernbus 50 베를린 – 프랑크푸르트 – 슈투트카르트 베를린 – 라이프치히 – 에르푸르트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만하임 – 카를스루에 –슈투트카르트 공항 Postbus 1204 베를린 – 뷔르츠부르크 – 슈투트카르트 베를린 – 핼리 – 예나 – 에르푸르트, 에르푸르트 바이마르 공항 – 뷔르츠부르크 – 슈투트카르트 Berlin Linien Bus 017 베를린 – 뮌스터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슈투트카르트 베를린 – 하노버 – 바트외인하우젠 – 오스나브뤼크 – 뮌스터 – 도르트문트 – 지겐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프랑크푸르트 공항 – 다름슈타트 – 카를스루에 – 슈투트카르트 MFB MeinFernbus 042 튀빙겐 – 슈투트카르트 – 뉘른베르크 – 베를린 튀빙겐 – 로이틀링겐 – 슈투트카르트 – 뉘른베르크 – 베를린 MFB MeinFernbus 044 암스테르담 /비트문드 – 브레멘 – 베를린 암스테르담 (NL) – 흐로닝언 (NL) – 리어 – 우플렌겐-리멜스 – 올덴부르크 – 델몬호르스트 – 브레멘 – 베를린 MFB MeinFernbus 585 베를린 – 바젤 베를린 – 프라이부르크 – 뢰어라흐 – 바젤 Flixbus N75+ 암스테르담 – 브레멘 – 함부르크 – 베를린 암스테르담 (NL) – 흐로닝언 (NL) – 브레멘 – 함부르크 – 베를린 MFB MeinFernbus 1205 베를린 – 하르츠 베를린 – 마그데부르크 – 크베들린부르크 – 탈레 – 브란켄부르크 – 베르니게로데 – 바트 하르츠부르크 – 고슬라 – 클라우스탈-첼러펠트 – 브라운라제 – 바트 라우터백 – 바트 사흐사 Bex Berlin Linien Bus 12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베를린 본 – 쾰른 – 뒤셀도르프 – 뒤스부르크 – 에센 – 보훔 – 도르트문트 – 빌레펠트 (브락페드 역) – 하노버 – 브라운슈바이크 – 볼프스부르크 – 마그데부르크 – 베를린 Postbus 1405 베를린 - 뤼겐 (슈트랄준트) 베를린 – 베를린, ZOB – 노이브란덴부르크 – 그라이프스발트 – 슈트랄준트 – 베르겐 – 빈츠 – 젤린 – 뤼겐 Bex Berlin Linien Bus 039 뤼겐 – 베를린 – 뮌헨 괴렌 – 젤린 – 빈츠 – 베르겐 auf 뤼겐 – 슈트랄준트 – 그라이프스발트 – 베를린 – 공항 베를린 – 드레스덴 – 켐니츠 – 츠비카우 – 레겐스부르크 – 뮌헨 MFB MeinFernbus MeinFernbus Flixbus 1208 베를린 - 츠비카우 베를린 - 라이프치히 – 켐니츠 – 츠비카우 Berlin Linien Bus Berlin Linien Bus 브레멘[편집] Linie Name Streckenführung Betreiber Verbundsystem 29 올덴부르크 – 드레스덴 올덴부르크 (Oldb) – 브레멘 – 하노버 – 마그데부르크 – 할레 – 라이프치히 – 드레스덴 Flixbus MeinFernbus Flixbus 도르트문트[편집] Linie Name Streckenführung Betreiber Verbundsystem 592 도르트문트 – 암스테르담 도르트문트 – 보훔 – 에센 – 뒤스부르크 – 위트레흐트 (NL) – 암스테르담 (NL) Flixbus MeinFernbus Flixbus 드레스덴[편집] Linie Name Streckenführung Betreiber Verbundsystem 29 올덴부르크 – 드레스덴 올덴부르크 (Oldb) – 브레멘 – 하노버 – 마그데부르크 – 할레 – 드레스덴 Flixbus MeinFernbus Flixbus 드레스덴 – 하노버 – 암스테르담 (067) 드레스덴 – 라이프치히 – 할레 – 마그데부르크 – 브라운슈바이크 – 하노버 – 바트외인하우젠 – 오스나브뤼크 – 암스테르담 MFB MeinFernbus MeinFernbus Flixbus 뒤셀도르프[편집] Linie Name Streckenführung Betreiber Verbundsystem 41 드레스덴 – 뒤셀도르프 드레스덴 – 라이프치히 – 괴팅겐 – 카셀 – 에센 – 뒤셀도르프 Flixbus MeinFernbus Flixbus 23 드레스덴 – 뒤셀도르프 드레스덴 – 라이프치히 – 할레 – 카셀 – 도르트문트 – 에센 – 뒤셀도르프 Flixbus MeinFernbus Flixbus 86 드레스덴 – 뒤셀도르프 드레스덴 – 예나 – 바이마르 – 에르푸르트 – 카셀 – 보훔 – 에센 – 뒤셀도르프 Flixbus MeinFernbus Flixbus 76 드레스덴 – 뒤셀도르프 드레스덴 – 켐니츠 – 게라 – 예나 – 에르푸르트 – 바트 헤르스펠트로텐부르크 – 기센 – 지겐 – 쾰른 – 뒤셀도르프 Flixbus MeinFernbus Flixbus 프랑크푸르트암마인[편집] Linie Name Streckenführung Betreiber Verbundsystem 586 브레멘 – 프랑크푸르트 – 바젤 브레멘 – 하노버 – 힐데스하임 – 카셀 – 마르부르크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하이델베르크 – 카를스루에 – 프라이부르크 – 뢰어라흐 - 바젤 Flixbus 83 자르브뤼켄 – 프랑크푸르트/M – 드레스덴 자르브뤼켄 – 마인츠 – 프랑크푸르트/Main – 기센 – 알스펠트 – 라이프치히 – 드레스덴 Flixbus 012 루드비히스하펜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드레스덴 루드비히스하펜 – 만하임 – 하이델베르크 – 프랑크푸르트/Main – 라이프치히 – 드레스덴 MFB MeinFernbus 17 드레스덴 – 프랑크푸르트 드레스덴 – 켐니츠 – 예나 – 에르푸르트 – 기센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마인츠 August 킬 Reisen Flixbus 016 프라이부르크 – 프랑크푸르트 – 에센 프라이부르크 – 카를스루에 – 만하임 –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공항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지겐 – 도르트문트 – 에센 MFB MeinFernbus 11 뮌스터 – 프랑크푸르트/M – 뮌헨 뮌스터 – 도르트문트 – 지겐 – 기센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뉘른베르크 – 뮌헨 Flixbus B300 프랑크푸르트 – 프라하 – Brno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뉘른베르크 – 플젠 – 프라하 – Brno Deutsche Touring Eurolines 022 프라이부르크 – 프랑크푸르트 – 올덴부르크 뢰어라흐 – 프라이부르크임브라이스가우 – 카를스루에 – 만하임 –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공항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Hbf. – 하노버 – 브레멘 – 올덴부르크 (Oldb) MFB MeinFernbus IT36 프랑크푸르트 – Turin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만하임 – 카를스루에 – 슈투트카르트 – 밀라노 – 투린 (IT) Deutsche Touring Eurolines 프랑크푸르트 – 튀빙겐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하이델베르크 – 하일브론 – 슈투트카르트 – 튀빙겐 DeinBus.de W2 빈 – 프랑크푸르트 빈 (A) – Linz (A) – 레겐스부르크 – 뉘른베르크 – 프랑크푸르트 Hellö 007 프랑크푸르트 – 취리히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다름슈타트 – 하이델베르크 – 유로파 파크 – 프라이부르크임브라이스가우 – 뢰어라흐 – 취리히 (CH) MFB MeinFernbus 프라이부르크임브라이스가우[편집] Linie Name Streckenführung Betreiber Verbundsystem 프라이부르크 – 콘스탄츠 프라이부르크임브라이스가우 – 징겐 – 마이나우 – 콘스탄츠 DeinBus.de 프라이부르크 – 트리어 프라이부르크임브라이스가우 ZOB – 켈 – 스타스부르크 – 자르브뤼켄 – 트리어 DeinBus.de 함부르크[편집] Linie Name Streckenführung Betreiber Verbundsystem 암스테르담 – 흐로닝언 – 브레멘 – 함부르크 암스테르담 (NL) – 흐로닝언 (NL) – 우플렌겐-리멜스 – 올덴부르크 – 브레멘 – 함부르크 Flixbus MeinFernbus Flixbus 591 킬 – 암스테르담 킬 – 함부르크 – 브레멘 – 올덴부르크 – 흐로닝언 (NL) – 암스테르담 (NL) Flixbus 19 로스토크 – 함부르크 – 아헨 로스토크 – 비스마르 – 뤼베크 – 함부르크 – 브레멘 – 뮌스터 – 레클링하우젠 – 오버하우젠 – 뒤스부르크 – 크레펠트 – 묀헨글라트바흐 – 아헨 Flixbus 5302 로스토크 – 뤼베크/슈베린 – 함부르크 – 브레멘 로스토크 – 뤼베크/슈베린 – 함부르크 – 브레멘 Berlinlinienbus Berlinlinienbus 15 함부르크 – 드레스덴 함부르크 – 브라운슈바이크 – 라이프치히 – 드레스덴 Flixbus 79 함부르크 – 켐니츠 함부르크 – 하노버 – 노르트하우젠 – 에르푸르트 – 예나 – 게라 – 켐니츠 Flixbus 2201 함부르크 – 프라이부르크 함부르크 – 하노버 – 괴팅겐 – 카셀 – 프랑크푸르트 – 만하임 – 카를스루에 – 프라이부르크 Berlinlinienbus Berlinlinienbus Flixbus 37 뒤스부르크 – 도르트문트 – 함부르크 뒤스부르크 – 에센 – 보훔 – 도르트문트 – 뮌스터 – 브레멘 – 함부르크 Flixbus 12 카를스루에 – 함부르크 함부르크 – 하노버 – 괴팅겐 – 카셀 – 알스펠트 – 기센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만하임 – 카를스루에 Schack Touristik Flixbus 033 함부르크 – 프랑크푸르트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괴팅겐 – 힐데스하임 – 함부르크 MFB MeinFernbus 33 함부르크 – 프라이부르크 함부르크 – 하노버 – 괴팅겐 – 카셀 – 뷔르츠부르크 – 슈투트카르트 공항 – 로이틀링겐 – 튀빙겐 – 프라이부르크임브라이스가우 Flixbus 37 함부르크 – 뒤스부르크 함부르크 – 브레멘 – 도르트문트 – 보훔 – 에센 – 뒤스부르크 Flixbus 079 예나 – 킬 예나 – 바이마르 – 에르푸르트 – 괴팅겐 – 하노버 – 함부르크 – 킬 MFB MeinFernbus 21 함부르크 – 쾰른 함부르크 – 빌레펠트 – 부퍼탈 – Leverkusen – 쾰른 Flixbus 함부르크 – 쾰른 함부르크 – 브레멘 – 뒤셀도르프 – 쾰른 Flixbus 13 함부르크 – 쾰른 함부르크 – 브레멘 – 오스나브뤼크 – 뮌스터 – 뒤셀도르프 – 쾰른 Flixbus BC 145 코펜하겐 – 로테르담 코펜하겐 – 뤼베크 – 함부르크 – 브레멘 – 올덴부르크 (Oldb) – 흐로닝언 (NL) – 암스테르담 (NL) – 헤이그 (NL) – 로테르담 (NL) Deutsche Touring Eurolines 31 함부르크 – 뮌헨 함부르크 – 하노버 – 괴팅겐 – 밤베르크 – 뉘른베르크 (공항) – 뮌헨 Postbus 005 함부르크 – 브라운슈바이크 – 뮌헨 함부르크 – 베르겐 – 첼레 – 브라운슈바이크 – 마그데부르크 – 라이프치히 – 뉘른베르크 – 뮌헨 MFB MeinFernbus X05 함부르크 – 뮌헨 함부르크 – 하노버 – 괴팅겐 – 풀다 항 – 뮌헨 MFB MeinFernbus 80 뮌헨 – 함부르크 뮌헨 – 뉘른베르크 – 할레 – 마그데부르크 – 브라운슈바이크 – 함부르크 Flixbus 510 뮌헨 – 함부르크 뮌헨 – 아우쿠스부르크(독일어: Augusbrug) – 울름 – 슈투트카르트 공항 – 뷔르츠부르크 – 풀다 – 카셀 – 함부르크 Flixbus N05 뮌헨 – 함부르크 – 질트 뮌헨 – 뉘른베르크 – 에를랑겐 – 뷔르츠부르크 – 하노버 – 함부르크 – 킬 – 플렌스부르크 – 니뷜 – 질트 Flixbus Flixbus N07 함부르크 – 밀라노 함부르크 – 하노버 – 괴팅겐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만하임 – 하이델베르크 – 카를스루에 – 프라이부르크임브라이스가우 – 뢰어라흐 – 취리히 (CH) – 밀라노 (IT) MFB MeinFernbus 9EURO Bus 함부르크 – 프랑크푸르트 – 만하임 공항 함부르크 – 함부르크 ZOB – 하노버 공항 – 하노버 ZOB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공항 – 다름슈타트 – 하이델베르크 – 만하임 ZOB Deutsche Touring 20 뉘른베르크 – 카셀 – 함부르크 뉘른베르크 – 에를랑겐 – 밤베르크 – 샤토됭 – 뷔르츠부르크 – 풀다 – 카셀 – 괴팅겐 – 하노버 – 함부르크 Flixbus 024 취리히 – 슈투트카르트 – 함부르크 취리히 – 콘스탄츠 – 슈투트카르트 – 뷔르츠부르크 – 괴팅겐 – 하노버 – 함부르크 MFB MeinFernbus 60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킬/로스토크 – 치노비츠 본 – 쾰른 – 부퍼탈 – 뒤셀도르프 – 뒤스부르크 – 에센 – 도르트문트 – 뮌스터 – 오스나브뤼크 – 브레멘 – 함부르크 – 킬 – 뤼베크 – 로스토크 – 그라이프스발트 – 루브민 – 볼카스트 – 치노비츠 Postbus 30 킬 – 슈투트카르트 킬 – 함부르크 – 솔토우 – 하노버 – 괴팅겐 – 카셀 – 프랑크푸르트 – 만하임 – 카를스루에 – 슈투트카르트 Postbus 78 킬 – 비스바덴 킬 – 함부르크 – 브레멘 – 뒤셀도르프 – 본 – 코블렌츠 – 마인츠 – 비스바덴 Flixbus 87 함부르크 – 튀빙겐 함부르크 – 브레멘 – 오스나브뤼크 – 뮌스터 – 도르트문트 – 프랑크푸르트 – 하이델베르크 – 하일브론 – 슈투트카르트 – 튀빙겐 Flixbus 라이프치히[편집] Linie Name Streckenführung Betreiber Verbundsystem 651 Unisaxe 켐니츠 – 하트만스도르프 – 뮐라우 – 페니크 – 라이프치히 RBM VMS (켐니츠-Penig als Linie 650) 뮌헨[편집] Linie Name Streckenführung Betreiber Verbundsystem – 울름 – 뮌헨 – 바이로이트 울름 – 아우쿠스부르크 – 뮌헨 – 잉골슈타트 – 뉘른베르크 – 바이로이트 Deutsche Touring Eurolines 81 브레멘 – 뮌헨 브레멘 – 오스나브뤼크 – 빌레펠트 – 파더보른 – 마르부르크 – 기센 – 아샤펜부르크 – 뷔르츠부르크 – 뉘른베르크 – 뮌헨 Flixbus 52 드레스덴 – 뮌헨 드레스덴 – 켐니츠 – 레겐스부르크 – 란츠후트 – 뮌헨, 공항 – 뮌헨 Postbus 5101 라이프치히 – 예나 – 뮌헨 라이프치히 – 예나 – 뉘른베르크 Berlin Linien Bus Berlin Linien Bus 5102 라이프치히 – 예나 – 뮌헨 예나 – 바이마르 – 에르푸르트, 공항 – 밤베르크 뉘른베르크 – 잉골슈타트 – 뮌헨 Berlin Linien Bus Berlin Linien Bus 25 드레스덴 – 뮌헨 드레스덴 – 켐니츠 – 뉘른베르크 – 뮌헨 Flixbus 73 드레스덴 – 뮌헨 드레스덴 – 켐니츠 – 츠비카우 – 레겐스부르크 – 뮌헨 Baumann Busbetrieb Flixbus 43 뒤스부르크 – 뮌헨 뒤스부르크 – 뒤셀도르프 – 쾰른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뷔르츠부르크 – 에를랑겐 – 뉘른베르크 – 슈바바흐 – 뮌헨 Omnibus Koch Flixbu 027 뮌헨 – 에센 뮌헨 – 아우쿠스부르크 – 슈투트카르트 – 카를스루에 – 하이델베르크 – 만하임 – 쾰른 – 뒤셀도르프 – 에센 – 아우쿠스부르크 MFB MeinFernbus 39 뮌헨 – 에센 뮌헨 – 슈투트카르트 공항 – 카를스루에 – 만하임 – 마인츠 – 쾰른 – 뒤셀도르프 – 에센 Flixbus Flixbus N36 프랑크푸르트 – 뮌헨 – 빈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하이델베르크 – 하일브론 – 슈투트카르트 – 슈투트카르트 공항 – 울름 – 아우쿠스부르크 – 뮌헨 – 빈 Flixbus 227 뮌헨 – 도르트문트 뮌헨 – 아우쿠스부르크 – 울름 – 슈투트카르트 공항 – 카를스루에 – 하이델베르크 – 만하임 – 다름슈타트 – 본 – 레버쿠젠 – 뒤셀도르프 – 에센 – 보훔 – 도르트문트 Flixbus N27 에센 – 카를스루에 – 뮌헨 에센 – 뒤셀도르프 – 쾰른 – 만하임 – 하이델베르크 – 카를스루에 – 슈투트카르트 – 울름 – 아우쿠스부르크 – 뮌헨 MFB MeinFernbus 092 만하임 – 슈투트카르트 – 뮌헨 만하임 – 하이델베르크 – 카를스루에 – 슈투트카르트 – 아우쿠스부르크 – 뮌헨 MFB MeinFernbus 뮌헨 – 프랑크푸르트 뮌헨 – 슈투트카르트 공항 – 하일브론 – 하이델베르크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DeinBus.de 뮌헨 – 프랑크푸르트 뮌헨 – 카를스루에 – 만하임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Baumann Busbetrieb, Flixbus MeinFernbus Flixbus 001 프라이부르크 – 프리드리히스하펜 – 뮌헨 프라이부르크임브라이스가우 – 티티제 – 메어스부르크 – 하그나우 – 임멘슈타드 – 프리드리히스하펜 – 뮌헨 VBM Busreisen, Flixbus Flixbus 028 아헨/코블렌츠 – 뮌헨 아헨 – 쾰른 – 본 – 코블렌츠 – 마인츠 – 비스바덴 –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공항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뷔르츠부르크 – 에를랑겐 – 뮌헨 MFB MeinFernbus MeinFernbus Flixbus 83 뮌헨 – 레겐스부르크 – 프라하 뮌헨 – 레겐스부르크 – 플젠 – 프라하 (CZ) AutobusOberbayern, MeinFernbus MeinFernbus Flixbus 뮌헨 – 슈투트카르트 – 튀빙겐 뮌헨 – 슈투트카르트 공항 – 튀빙겐 DeinBus.de X06 취리히 – 뮌헨 취리히 – 뮌헨 Flixbus Flixbus 206 뢰어라흐 – 장크트갈렌 – 뮌헨 뢰어라흐 – 바젤 (CH) – 빈터투어 (CH) – 장크트갈렌 (CH) – 뮌헨 Flixbus Flixbus 101 튀빙겐 – 뮌헨 프라이부르크임브라이스가우 – 티티제 – 필링겐-슈베닝겐 – 튀빙겐 – 로이틀링겐 – 슈투트카르트 공항 – 메칭엔 – 바트 우라흐 – 메르클링겐 – 울름 – 아우쿠스부르크 – 뮌헨 Kocher Ι Lutz, Flixbus Flixbus 88 IC Bus 뉘른베르크 – 뮌헨 – 취리히 뉘른베르크 – 뮌헨 공항 – 뮌헨 – 취리히 (CH) DB Fernverkehr 뮌헨 – 뮌스터 뮌헨 – 뉘른베르크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기센 – 지겐 – 도르트문트 – 뮌스터 Flixbus MeinFernbus Flixbus 037 뮌헨 – 뒤스부르크 뮌헨 – 뉘른베르크 – 뷔르츠부르크 – 아샤펜부르크 – 기센 – 지겐 – 도르트문트 – 에센 – 뒤스부르크 MFB MeinFernbus MeinFernbus Flixbus 24 뮌스터 – 뮌헨 뮌스터 – 도르트문트 – 지겐 – 기센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뉘른베르크 공항 – 뮌헨 Postbus W4 빈 – 뮌헨 빈 (AT) – Linz (AT) – Salzburg (AT) – 뮌헨 Hellö W5 빈 – Strassburg 빈 (AT) – 뮌헨 – 슈투트카르트 – 카를스루에 – Straßburg (F) Hellö 노이브란덴부르크[편집] Linie Name Streckenführung Betreiber Verbundsystem 뉘른베르크[편집] Linie Name Streckenführung Betreiber Verbundsystem 045 루드비히스하펜 – 뉘른베르크 – 에를랑겐 루드비히스하펜 – 만하임 – 하이델베르크 – 하일브론/네카르줄름 – 뉘른베르크 ZOB – 에를랑겐 MFB MeinFernbus 92 IC Bus 만하임–뉘른베르크–프라하 만하임 – 뉘른베르크 – 프라하 DB Fernverkehr 슈투트카르트[편집] Linie Name Streckenführung Betreiber Verbundsystem 75 프라이부르크 – 슈투트카르트 – 드레스덴 프라이부르크임브라이스가우 – 카를스루에 – 슈투트카르트 공항 – 뉘른베르크 – 켐니츠 – 드레스덴 Flixbus 74 슈투트카르트 공항 – 드레스덴 슈투트카르트-공항 – 슈투트카르트 – 하일브론 – 뷔르츠부르크 – 밤베르크 – 켐니츠 – 드레스덴 Flixbus – 프라이부르크 – 슈투트카르트 프라이부르크임브라이스가우 – 필링겐-슈베닝겐 – 튀빙겐 – 슈투트카르트 공항 DeinBus.de – 슈투트카르트 – 콘스탄츠 (– 마이나우) 슈투트카르트 공항 – 튀빙겐 – 징겐 (Hohentwiel) – 콘스탄츠 (– 마이나우) DeinBus.de – 뵈블링겐 – 뮌헨 뵈블링겐 – 슈투트카르트 공항 – 노우울름 – 뮌헨 DeinBus.de 043 뢰어라흐 – 슈투트카르트 뢰어라흐 – 프라이부르크임브라이스가우 – 카를스루에 – 슈투트카르트 바이힝엔 MFB MeinFernbus 055 라이프치히 – 에르푸르트 – 오펜부르크 라이프치히 – 예나 – 바이마르 – 에르푸르트 – 뷔르츠부르크 – 슈투트카르트 – 카를스루에 – 오펜부르크 MFB MeinFernbus 008 프라이부르크 – 튀빙겐 프라이부르크임브라이스가우 – 유로파 파크 – 슈투트카르트 바이힝엔 – 로이틀링겐 – 튀빙겐 MFB MeinFernbus – 뉴팅엔 – 슈투트카르트 – 뉘른베르크 – 에를랑겐 뉴팅엔 – 에슬링겐암네카어 – 슈투트카르트 – 하일브론 – 뉘른베르크 – 에를랑겐 bader Reisen Flixbus 021 드레스덴 – 뉘른베르크 – 카를스루에 드레스덴 – 켐니츠 – 바이로이트 – 뉘른베르크 – 슈투트카르트 – 카를스루에 MFB MeinFernbus 이용 방법[편집] 독일의 고속버스 예매는 인터넷으로 쉽게 할 수 있다. 이용하고자 하는 버스 회사의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날짜와 시간, 출발지와 목적지, 인원수, 이름을 입력하면 시간표와 함께 요금이 나온다. 한국인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영어로 서비스가 제공되니 어렵지 않게 예매를 할 수 있다. 버스 회사의 가격을 비교하는 앱도 있으니 가장 저렴한 가격을 골라 이용하면 된다. 한국과는 다르게 일찍 예매할수록 싸고, 공휴일이나 주말은 더 비싸다. 또한 교환이나 환불이 안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한다. 버스 회사마다 자전거나 애완동물을 데리고 이용할 수 있으니 참고하여 결정하면 된다. 전망과 한계점[편집] 전망[편집] 독일 버스는 2013년도부터 이용되면서 점차 새로운 버스 회사와 새로운 노선이 계속 생겨나고 있다. 처음 고속버스가 생길 때 오랫동안 독점하던 기차에 비해서 영향력이 작을 것이라고 내다 봤다. 하지만 독일인들은 기차의 비싼 요금과 개선되지 않은 서비스에 비해 저렴하고 보다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버스를 이용하기 시작했다. 독일인 뿐만 아니라 여행객들에게도 저렴한 가격으로 유럽을 이동할 수 있다는 사실이 상당한 희소식으로 전해진다. 이로 인하여 매 년 버스의 점유율은 증가하고 있다.[35] 이제 버스 회사들은 보다 좋은 서비스와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경쟁을 하고 있다. 경쟁으로 인해 보다 나은 시장이 될 것이다. 그에 비해 한국은 1983년 10월 26일에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이 설립되었으며 11개의 회원사가 가입되어 고속버스 운송사업의 공익성을 구현하고 있다. 경쟁 없이 업체 상호간에 협조하여 업체의 공동이익 증진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36] 이 사실로 미루어 보아 회사마다 제공하는 서비스가 같고 현재보다 나은 서비스를 기대하긴 힘들 것으로 보인다. 한계점[편집] 독일 고속버스는 주변국으로도 뻗어 나가고 있다. 독일 내에서는 고속버스의 문제가 풀렸지만 타국의 입장에서는 독일의 고속버스가 들어오는 것에 대한 법이나 규제가 존재한다. 한 예로 스위스에서는 독일의 버스가 완전히 자유롭게 돌아다니지 못하게 몇가지의 규정을 제시하고 있다.[37] 다른나라의 법이 독일의 고속버스 성장을 저해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과도한 경쟁으로 인하여 저가 출혈경쟁이 지속되면서 수익성이 좋지 않다. 이로 인해 시티투시티(City2City)와 다인부스(Deinbus)가 사업에서 철수하고 MeinFernbus와 Flixbus는 합병을 선언했다. 가격을 인상할 경우 이미 저렴한 가격을 접한 승객들의 가격 저항은 불가피하다고 본다. 관련 통계[편집] 출처[편집] ↑ http://www.gesetze-im-internet.de/pbefg/index.html ↑ https://www.welt.de/print-welt/article159724/Jahrzehnte-auf-der-Standspur.html) ↑ http://www.taz.de/!5196591/ ↑ 902nd Meeting of the Federal Council of 2 November 2012 there point 5 (the Bundesrat Printed Matter 586/12) ↑ http://www.young-germany.de/topic/live/travel-location/derailing-the-train-how-intercity-buses-are-changing-the-way-we-travel-in ↑ http://www.fernbusse.de/wp-content/uploads/2016/01/PM-fernbusse-12-01-16-grafik-2.png ↑ http://www.fernbusse.de/aktuelles/deutscher-fernbus-markt-waechst-knapp-22-millionen-fahrgaeste-2015-1554/ ↑ http://www.fernbusse.de/aktuelles/studie-vor-allem-preisbewusste-alleinreisende-unter-35-jahren-im-fernbus-1447/ ↑ http://www.fernbusse.de/aktuelles/august-2016-preise-am-deutschen-fernbus-markt-weiter-stabil-1587/ ↑ https://www.gesetze-im-internet.de/pbefg/BJNR002410961.html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83040&cid=48575&categoryId=48575 ↑ https://www.flixbus.com/service/baggage ↑ “보관 된 사본”. 2016년 5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http://www.sueddeutsche.de/reise/selbstversuch-billig-fernbus-atemlos-durch-die-nacht-1.2435952-3 ↑ http://www.fernbusse.de/aktuelles/verkehrsmittelvergleich-1345/ ↑ https://www.european-traveler.com/germany/intercity-long-distance-bus-travel-in-germany/ ↑ http://www.howtogermany.com/pages/trains.html ↑ http://www.consultancy.uk/news/1958/uk-rail-system-8th-in-europe-service-quality-main-issue ↑ “보관 된 사본”. 2016년 10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https://www.flixbus.com/ ↑ “보관 된 사본”. 2016년 10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https://www.bahn.de/p/view/angebot/fernbus/index.shtml ↑ http://www.expressbus.de/de/startseite/ ↑ https://www.flixbus.de/bus-routes ↑ https://meinfernbus.de/unser-angebot/streckennetz ↑ https://www.deinbus.de/bus-mitfahrgelegenheit/Karte.php ↑ https://www.rve.de/index.php ↑ http://gerdes-reisen.de/ ↑ “보관 된 사본”. 2016년 11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보관 된 사본”. 2013년 10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http://www.bohr.de/linienverkehr/busverbindungen ↑ “보관 된 사본”. 2016년 1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https://www.ubb-online.com/de/static/fernbuslinien ↑ “보관 된 사본” (PDF). 2016년 8월 2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https://de.m.wikipedia.org/wiki/Fernbusverkehr_in_Deutschland ↑ “보관 된 사본”. 2016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http://bazonline.ch/wirtschaft/flixbus-auch-in-der-schweiz/story/2791229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독일의_고속버스&oldid=24204678" 분류: 독일의 교통버스 교통숨은 분류: 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Français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13: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독일의 고속버스(독일어: Fern bus)는 독일에서 운영되고 있는 고속버스를 의미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독일 고속버스의 화장실은 어떤 문제점이 있을까? Assistant: 내부에 있는 화장실은 비상상황을 위해 설치되었으나 위생사태에 문제가 있으면 긴 시간 이동해야 할 시 목적지에 멈추기 전까지는 어떠한 조치를 취하기 어렵다. Human: 아래 백자_달항아리_(국보_제309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백자 달항아리 (국보 제309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백자 달항아리 (국보 제309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백자 달항아리(白磁 壺) 대한민국의 국보 종목 국보 제309호 (2007년 12월 17일 지정)수량 1점시대 조선시대소유 이건희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백자대호(白磁大壺) 대한민국의 보물(해지)종목 보물 제1424호 (2004년 11월 26일 지정) (2007년 12월 17일 해지) 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백자 달항아리(白磁 壺)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조선시대의 백자이다. 2007년 12월 17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309호로 지정되었다.[1] 목차 1 개요 2 규격 3 현상 4 내용 및 특징 5 같이 보기 6 각주 7 참고 자료 개요[편집] 백자 달항아리는 보통 높이가 40cm 이상 되는 대형으로, 둥글고 유백색(乳白色)의 형태가 둥근 달을 연상하게 되어 일명 ‘달항아리’라고도 불린다. 조선 17세기 후기~18세기 전기의 약 1세기 동안(특히 18세기 전기 50년간) 조선왕조 유일의 관요(官窯) 사옹원(司饔院)의 분원(分院) 백자제작소(경기도 광주)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당시 광주지역에 산재한 340여 개소의 가마 가운데 금사리 가마에서 주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크기가 대형인 탓에 한번에 물레로 올리지 못하고 상하 부분을 따로 만든 후, 두 부분을 접합하여 완성한 것으로 성형(成型)과 번조(燔造)가 매우 어렵다. 순백의 미와 균형감은 전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우리나라 백자의 독특하고 대표적인 형식이다. 국보 제309호 백자 달항아리는 높이 44cm, 몸통지름 42cm 크기에 구연부가 짧고 45°정도 경사진 것으로 몸통의 곡선이 둥글며 매우 풍만한 형태를 하고 있다. 몸통의 중심부 이어붙인 부분에 일그러짐이 거의 없어서 측면 곡선은 거의 완전한 원을 그리고 있다. 구연부의 외반 정도와 수직 굽이 조화되어 풍만하면서 안정적이며 전반적으로 완전한 균형을 유지하고 있어 전형적인 조선 중기 백자 호의 특징을 보인다. 몸통 전면에 성형 흔적 없이 표면이 일정하게 정리되어 있어 최고수준의 환경에서 제작되었음을 보여주며, 굽은 수직에 가깝고 깎음새도 매우 단정하다. 규격[편집] 높이 44.2cm, 몸지름 42.4cm, 입지름 21.3cm, 밑지름 16.5cm이다. 현상[편집] 태토는 자기질화되어 매우 단단하며, 유색은 상아색 계통이나 뭉친 부분에서는 약간 파르스름한 색을 머금고 있는 등 용융상태 우수한 편이다. 사용과정에서 유층으로 불순물이 배어 크고 작은 얼룩이 있다. 유약은 전면적으로 빙렬이 많고, 여러 군데 박락된 부분과 패인 홈과 긁힌 자국이 많다. 유약의 박락은 굽다리 주변에서 집중적으로 관찰된다. 굽다리 안바닥은 기본적으로 무유이며, 약간 숙성이 덜된 흔적이 보인다. 굽다리 바닥에 수평을 맞추기 위해 갈아낸 흔적(약 4mm 내외)이 있다. 몸통 내면에는 물레자국이 선명하며 중간에 상하반부를 이은 돌출대가 있고, 그 주위에 터진 금이 있다. 내용 및 특징[편집] 구연부가 짧고 45° 정도 경사진 것으로 몸통의 곡선이 둥글며 매우 풍만한 형태를 하고 있다. 몸통의 중심부 이어붙인 부분에 일그러짐이 거의 없어서 측면 곡선은 거의 완전한 원을 그리고 있다. 구연부의 외반 정도와 수직 굽이 조화되어 풍만하면서 안정적이며 전반적으로 완전한 균형을 유지하고 있어 전형적인 조선중기의 특징을 보인다. 몸통 전면에 성형 흔적없이 표면이 일정하게 정리되어 있어 최고수준의 환경에서 제작되었음을 보여주며, 굽은 수직에 가깝고 깎음새도 매우 단정하다. 유약은 무색투명하여 태토의 백색을 그대로 투과해 보이며 전면에 미세한 pin-hole이 있고 용융상태는 양호하다. 태토는 정선되었으나 치밀도가 약간 떨어지며, 유태색은 순백색이나 아주 엷은 담청색을 띠고 있다. 기면 전체에 잡물(얼룩)이 스며들어 색상이 변질된 부분이 있다. 국보로 지정가치가 충분하다 같이 보기[편집] 백자 각주[편집] ↑ 문화재청고시제2007-119호, 《국가지정문화재(국보) 지정》, 문화재청장, 대한민국 관보 제16651호, 456면, 2007-12-17 참고 자료[편집] 백자 달항아리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이 문서에는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한 국가문화유산포털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백자_달항아리_(국보_제309호)&oldid=19726633" 분류: 서울특별시의 국보조선 백자해제된 대한민국의 보물숨은 분류: 공공누리 제1유형 저작물을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7년 10월 4일 (수) 17:0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백자 달항아리(白磁 壺)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조선시대의 백자이다. 2007년 12월 17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309호로 지정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달항아리 아가리는 몇도정도나 기울어져 있는줄 알아? Assistant: 45°
Human: 아래 롤러코스터_(음악_그룹)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롤러코스터 (음악 그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롤러코스터 (음악 그룹)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롤러코스터 (Roller Coaster) 기본 정보 국가 대한민국 장르 모던 록, 전자 록, 애시드 재즈 활동 시기 1999년 ~ 2006년 (활동연도) 2015년 (해체) 구성원 조원선 (보컬, 키보드) 이상순 (기타) 최진우 (베이스, 프로그래밍) 롤러코스터(영어: Roller Coaster)는 조원선, 이상순, 최진우로 구성된 대한민국의 모던 록 밴드이다. 목차 1 결성 및 활동 2 구성원 3 음반 4 각주 5 외부 링크 결성 및 활동[편집] 롤러코스터는 솔로로 활동하던 최진우, 객원보컬과 코러스 활동을 하던 조원선 그리고 기타리스트였던 이상순이 모여 결성하였다.[1] 1999년 1집 《Roller Coaster》로 데뷔하였고[2], 처음 롤러코스터의 음악이 소개 되었을때 음악 전문가들은 이들의 음악장르를 대개 애시드 재즈나 혹은 애시드 팝 이라고 분류해 놓았으나, 일렉트로니카나 펑크스타일의 곡도 발표하면서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선보였다. 1999년 9월 9일부터 12일까지 대학로 컬트홀에서 첫 라이브 콘서트를 열었다. 2000년 8월 정규 2집 앨범인 《일상다반사》를 발매하였다.[3] 2002년 4월 정규 3집 앨범인 《Absolute》를 발매하였다.[4] 1999년 결성해 멤버의 변화없이, 2006년까지 5장의 정규 앨범과 한장의 라이브 앨범을 내놓았다. 멤버 중 보컬인 조원선은 2009년에 솔로 앨범을 발매하였다.[5] 이후에 별다른 그룹활동이 없다가, 조원선과 이상순은 각자의 길에 충실할 것을 원함으로써 2015년 해체되었다. 구성원[편집] 조원선 1972년 7월 3일(1972-07-03)생. 보컬 담당 이상순 1974년 8월 25일(1974-08-25). 기타 담당 김동률과 베란다 프로젝트 그룹 결성. 2010년 5월 18일,《Day Off》 발표. 2011년 11월, 가수 이효리와의 열애를 인정, 2013년 9월 결혼. 최진우 1971년 4월 6일(1971-04-06)생. 베이스 기타와 프로그래밍 담당. 1990년 동경 One 90 페스티벌 최우수 기타리스트상 수상 1996년 1집 앨범 'JinuJoke' 발매 좋아하는 아티스트: 조용필, 안전지대, 벤 헤일런 토이(Toy)의 유희열과 해군 동기. 김세황과도 친분이 있음. 음반[편집] 1999년 《Roller Coaster》 (1집) 2000년 《일상다반사》 (2집) 2002년 《Absolute》 (3집) 2002년 《Live》 (실황음반) 2004년 《Sunsick》 (4집) 2006년 《Triangle》 (5집) 2006년 〈유행가〉 (디지털 싱글) 각주[편집] ↑ 롤러코스터의 첫 콘서트 《연합뉴스》, 1999년 8월 27일 ↑ 1집의 제목은 한때 '내게로 와'로 알려졌으나, 앨범 재킷의 'Roller Coaster'라는 제목과, 조원선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Roller Coaster'이다. ↑ '롤러 코스터' 2집 《한국일보》, 2000년 8월 10일 ↑ 나른한 사운드에 기계音 덧입혀 《한국일보》, 2002년 4월 1일 ↑ “롤러코스터 조원선, 17년 만에 첫 솔로”. 2009년 3월 18일. 2009년 3월 29일에 확인함.  이름 목록에서 |이름1=이(가) 있지만 |성1=이(가) 없음 (도움말)[깨진 링크] 외부 링크[편집] vdeh롤러코스터 조원선 이상순 최진우 정규 앨범 1집 《Roller Coaster》 2집 《일상다반사》 3집 《Absolute》 4집 《SunSick》 5집 《Triangle》 싱글 앨범 디지털싱글 〈유행가〉 대표곡 〈습관〉 〈Love Virus〉 〈Last Scene〉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롤러코스터_(음악_그룹)&oldid=22740604" 분류: 모던 록대한민국의 팝 록 밴드전자 음악 그룹대한민국의 전자 음악 그룹일렉트로니카 그룹혼성 음악 그룹3인조 음악 그룹해체한 음악 그룹한국대중음악상 수상 음악가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저자 또는 편집자 없음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0월 9일 (화) 20: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롤러코스터(영어: Roller Coaster)는 조원선, 이상순, 최진우로 구성된 대한민국의 모던 록 밴드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99년에 데뷔한 롤러코스터는 몇 년도에 해체했어? Assistant: 2015년 Human: 아래 붉은_수수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붉은 수수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붉은 수수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붉은 수수밭红高粱 감독 장이머우 제작 우톈밍 각본 천젠위주웨이 원작 모옌의 소설,홍까오량 가족 출연 궁리장원텅루쥔 촬영 구창웨이 음악 자오지핑 제작사 서안전영제편창 개봉일 1987년 1989년 9월 9일 시간 95분 국가 중국 언어 관화 《붉은 수수밭》 (중국어 간체자: 红高粱, 정체자: 紅高粱, 병음: Hóng Gāoliáng)은 고량주 증류업에 종사하는 젊은 여성을 다룬 1987년 중국 영화이다. 모옌의 소설 《홍까오량 가족》이 원작이다. 영화 감독 장이머우의 감독 데뷔작이자 영화 배우 궁리의 데뷔작으로, 두 사람은 이 영화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게 된다. 목차 1 배역 2 한국판 성우진(MBC) 3 평가 3.1 수상 4 각주 5 외부 링크 배역[편집] 장원 - 조부 궁리 - 구아 한국판 성우진(MBC)[편집] 박일 - 조부(장원) 최성우 - 구아(궁리) 김용식 전국근 이미자 이윤연 이상범 최한 정재헌 방성준 이원찬 김두희 양준건 평가[편집] 수상[편집] 제38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1988년) 황금곰상[1] 금계상 (1988년) 작품상 촬영상 음향상 음악상 몬트리올 국제 영화제 (1989년) 홍콩 국제 영화제 (1989년) 중국어 영화 10선 각주[편집] ↑ http://www.berlinale.de/en/archiv/jahresarchive/1988/03_preistr_ger_1988/03_Preistraeger_1988.html 외부 링크[편집] (영어) 붉은 수수밭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vdeh장이머우1980년대 붉은 수수밭 (1987) 대호미주표 (1988) 1990년대 국두 (1990) 홍등 (1991) 귀주 이야기 (1992) 인생 (1994) 트라이어드 (1995) 뤼미에르와 친구들 (1995, 단편) 키프 쿨 (1997) 책상 서랍 속의 동화 (1999) 집으로 가는 길 (1999) 2000년대 행복한 날들 (2000) 영웅 (2002) 연인 (2004) 천리주단기 (2005) 황후화 (2006) 영화 보는 날 (2007, 단편) 삼창박안경기 (2009) 2010년대 산사나무 아래 (2010) 진링의 13소녀 (2011) 5일의 마중 (2014) 그레이트 월 (2016) 삼국: 무영자 (2018) 원 세컨드 (2019) vdeh베를린 영화제 황금곰상 수상작1951-1979 《Die Vier im Jeep》 & 《...Sans laisser d'adresse》 & 《인 비버 밸리》 & 《재판은 끝났다》 & 《신데렐라》 (1951) 《원 섬머 오프 해피니스》 (1952) 《공포의 보수》 (1953) 《홉슨의 사위 고르기》 (1954) 《더 래츠》 (1955) 《인버테이션 투 더 댄스》 (1956) 《12인의 성난 사람들》 (1957) 《산딸기》 (1958) 《사촌들》 (1959) 《엘 라사리요 데 토르메스》 (1960) 《밤》 (1961) 《사랑의 유형》 (1962) 《디아볼로》 & 《부시도》 (1963) 《메마른 여름》 (1964) 《알파빌》 (1965) 《막다른 골목》 (1966) 《출발》 (1967) 《누가 그의 죽음을 보았는가》 (1968) 《얼리 웍스》 (1969) 《핀치 콘티니의 정원》 (1971) 《캔터베리 이야기》 (1972) 《대지의 눈물》 (1973) 《더디 크레이비츠의 수습 기간》 (1974) 《입양》 (1975) 《버팔로 빌과 인디언들》 (1976) 《고양》 (1977) 《아쎈소르》 & 《트라웃》 & 《왓 맥스 세드》 (1978) 《데이비드》 (1979) 1980-1999 《하트랜드》 & 《팔레르모 오어 울프스부르그》 (1980) 《질주》 (1981) 《베로니카 포스의 갈망》 (1982) 《어센던시》 & 《벌집》 (1983) 《사랑의 행로》 (1984) 《우먼 앤드 더 스트레인저》 & 《웨더비》 (1985) 《슈탐하임 - 더 바더-마인호프 갱 온 트라이얼》 (1986) 《테마》 (1987) 《붉은 수수밭》 (1988) 《레인 맨》 (1989) 《뮤직 박스》 & 《줄 위의 종달새 (1990) 《더 하우스 오브 스마일》 (1991) 《그랜드 캐년》 (1992) 《향혼녀》 & 《결혼 피로연》 (1993) 《아버지의 이름으로》 (1994) 《라빠》 (1995) 《센스 앤 센서빌리티》 (1996) 《래리 플린트》 (1997) 《중앙역》 (1998) 《씬 레드 라인》 (1999) 2000-현재 《매그놀리아》 (2000) 《정사》 (2001)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 《블러디 선데이》 (2002) 《인 디스 월드》 (2003) 《미치고 싶을 때》 (2004) 《카르멘》 (2005) 《그르바비차》 (2006) 《투야의 결혼》 (2007) 《엘리트 스쿼드》 (2008) 《밀크 오브 소로우: 슬픈 모유》 (2009) 《허니》 (2010) 《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2011) 《시저는 죽어야 한다》 (2012) 《아들의 자리》 (2013) 《백일염화》 (2014) 《택시》 (2015) 《화염의 바다》 (2016) 《우리는 같은 꿈을 꾼다》 (2017) 《터치 미 낫》 (2018) 《시너님즈》 (201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붉은_수수밭&oldid=24415509" 분류: 황금곰상 수상작1987년 영화중국의 영화 작품중일 전쟁 영화감독 데뷔 영화소설을 바탕으로 한 영화중국의 드라마 영화1930년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장이머우 감독 영화중국의 역사 영화중국의 로맨스 영화숨은 분류: 중국어 정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간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Deutsch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Italiano日本語മലയാളംBahasa MelayuNederlandsNorsk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2일 (수) 13:1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붉은 수수밭》(중국어 간체자: 红高粱, 정체자: 紅高粱, 병음: Hóng Gāoliáng)은 고량주 증류업에 종사하는 젊은 여성을 다룬 1987년 중국 영화이다. 모옌의 소설 《홍까오량 가족》이 원작이다. 영화 감독 장예모의 감독 데뷔작이자 영화 배우 궁리의 데뷔작으로, 두 사람은 이 영화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게 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붉은 수수밭 한국판에서 구아(궁리)역을 맡은 성우의 이름은? Assistant: 최성우
Human: 아래 금강초롱꽃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금강초롱꽃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금강초롱꽃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금강초롱꽃 보전 상태 관심필요(LC: least concern) 생물 분류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국화군 목: 국화목 과: 초롱꽃과 아과: 초롱꽃아과 속: 금강초롱꽃속(Hanabusaya)Nakai 종: 금강초롱꽃(H. asiatica) 학명 Hanabusaya asiatica(Nakai) Nakai 금강초롱꽃(학명: Hanabusaya asiatica)은 초롱꽃과에 속하는 식물로, 한국고유종이다. 금강초롱꽃속(Hanabusaya)은 한국 고유 속 7가지 중 하나이다. 목차 1 이름 2 분포 지역 3 특징 4 습성 5 이용 6 유사종 7 각주 8 외부 링크 이름[편집] 금강초롱꽃속의 학명 Hanabusaya는 조선총독부의 지원을 받아 한반도 식물을 연구하던 일본의 식물학자 나카이 다케노신이 과거 초대 조선 공사를 지낸 하나부사 요시모토를 기리기 위해 그의 이름을 속명으로 삼은 것이다. 종소명도 발견지인 조선을 반영한 것이 아닌, 아시아산이라는 뜻의 asiatica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금강산 묘길상 부근의 군락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해 보호하는 등 금강초롱꽃에 대한 각별한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 하나부사야속이라 부르지 않고, 1976년부터 금강산이아(Keumkangsania)속이라고 라틴어 속명을 바꾸어 쓰는데, 학술적으로는 인정받지 못한다.[1] 분포 지역[편집] 경기도의 유명산·화악산·명지산·강원도의 치악산·오대산·설악산·북한의 금강산 등 한국 중부 지방의 높은 산에만 산다.[1] 특징[편집]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다. 높이는 30~90cm로 직립으로 자란다. 잎의 형태를 보면, 근생엽은 밑부분에 달려 있고 비늘조각은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7-12mm로서 4-6개의 잎이 어긋나기하지만 윗부분의 것은 마디사이가 짧기 때문에 모여나기한 것 같고 난상 긴 타원형이며 털이 없으나 윗부분에는 털이 다소 있고 길이 5.5~15cm, 폭 2.5~7cm로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가장자리는 안으로 굽은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통꽃으로 피며 길이가 4.5~4.8cm, 직경이 2cm로서 연한 자주색 또는 백색(for.alba T.Lee)이고 밑을 향해 달리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길이 1-1.2mm, 중앙부의 나비는 1-2mm로서 털이 없다. 수술은 5개이며 수술대 밑부분이 넓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꽃밥은 길이 8-9mm이고 암술대는 끝에 털이 있으며 끝이 3개로 갈라져서 말리고, 씨방은 하위이다. 과실은 3실이고, 종자는 많다. 뿌리는 굵게 덩이뿌리를 형성하면서 뻗고 갈라지며, 몇개의 잔뿌리가 뻗어 있다. 초롱꽃속이나 잔대속의 식물들과는 달리 줄기에 나는 잎이 줄기 중앙에 4∼6장씩 모여서 달리므로 구분된다.[1] 습성[편집] 배수가 잘 되는 비옥한 점질양토에서 잘 자라며 충분한 광을 요한다. 실생으로 번식하며, 고산식물로 15~25℃에서 잘 자라고 환기를 요한다. 이용[편집] 관화식물로 화분식재용이나 화단용으로 개발할 가치가 있다. 유사종[편집] 변종 검산초롱꽃(Hanabusaya asiatica var. latisepala)은 평안북도와 함경남도의 심산지역에서 자생한다.[2] 아종에는 흰금강초롱꽃(H. asiatica Nakai for. alba T. Lee)이 있다. 각주[편집] ↑ 가 나 다 현진오 (2007년 9월 8일). “[현진오의 野, 야생화다!] 금강초롱꽃, 외국유래 학명붙은 사연”. 《서울신문》. 2016년 1월 2일에 확인함.  ↑ Kim, Y. D., et al. (1999). Molecular evidence for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Hanabusaya asiatica Nakai (Campanulaceae), an endemic species in Korea. Journal of Plant Biology 42(2), 168-73. 외부 링크[편집] 국립생물자원관 멸종위기 야생생물 - 금강초롱꽃 환경부 자연생태 라이브러리 동영상관 생물 분류 식별자Hanabusaya asiatica Wd: Q15548104 GBIF: 3166590 iNaturalist: 554569 IPNI: 142532-1 IUCN: 13188466 NCBI: 103032 플랜트 리스트: kew-370509 POWO: urn:lsid:ipni.org:names:142532-1 트로피코스: 5501748 WCSP: 370509 Symphyandra asiatica Wd: Q38608631 GBIF: 3166594 IPNI: 145469-1 트로피코스: 50045232 vdeh한국의 고유종포유류 고라니 멧토끼 제주등줄쥐 조류 노랑부리백로 크낙새 양서류 고리도롱뇽 꼬마도롱뇽 수원청개구리 제주도롱뇽 아무르산개구리 이끼도롱뇽 파충류 부경고사우루스 † 코레아노사우루스 † 코레아케라톱스 † 어류 가시납지리 가는돌고기 각시붕어 감돌고기 금강모치 기름종개 긴몰개 꺽저기 꺽지 꼬치동자개 꾸구리 꾹저구 끄리 낙동납자루 누치 눈동자개 돌마자 돌상어 동사리 됭경모치 드렁허리 모래주사 무태장어 묵납자루 미유기 미호종개 배가사리 부안종개 새코미꾸리 서호납줄갱이 † 섬진자가사리 수수미꾸리 쉬리 어름치 얼룩새코미꾸리 얼룩동사리 여울마자 왕종개 임실납자루 좀수수치 줄납자루 참쉬리 참종개 치리 칼납자루 큰볏말뚝망둥어 큰줄납자루 흰수마자 곤충 가는무늬하루살이 갑옷바퀴 강하루살이 고려소똥풍뎅이 고수귀뚜라미붙이 규산애꽃벌 극동붙이금풍뎅이 금빛하루살이 긴날개중베짱이 긴배자루맵시벌 꼬마측범잠자리 노동귀뚜라미붙이 노랑띠들명나방 동대귀뚜라미붙이 두눈강도래 둥근허리애꽃벌 등줄어리쌕쌔기 모마디뿔개미 뭉퉁강도래 민날개강도래 비단벌레 비룡귀뚜라미붙이 뾰족가슴좁쌀바구미 사슴벌레붙이 산여치 산측범잠자리 서해안모래풍뎅이 소똥구리붙이 알락좀과실파리 엷은털왕사슴벌레 영일모래풍뎅이 오대개미 오대산귀뚜라미붙이 우리여치 운문산반딧불이 원표애보라사슴벌레 제주붉은버섯벌레 제주청날개애메뚜기 조계길쭉먼지벌레 진길쭉먼지벌레 참송장풍뎅이 털보왕사슴벌레 털애꽃벌 톱니땅풍뎅이 팔공산밑들이메뚜기 한강모래풍뎅이 한국모래풍뎅이 한국강도래 한국큰그물강도래 한국민날개밑들이메뚜기 해동길쭉먼지벌레 협각류 고려기수가게거미 고려잔나비거미 관악유령거미 동국땅거미 들갈거미 모가게거미 모산굴뚝거미 목이유령거미 반도굴아기거미 반도비탈거미 백운가게거미 백운비탈가게거미 부채유령거미 삼각굴뚝거미 삼악가게거미 속리가게거미 속리유령거미 왕굴뚝거미 용기가게거미 참구멍응애 팔공가게거미 한국깔때기거미 한국거북이등거미 한국늑대거미 한국땅거미 화엄접시거미 환선굴뚝거미 환선잔나비거미 갑각류 두두럭징거미새우 민손옆새우 연체동물 띠구슬알다슬기 산골조개 참달팽이 환형동물 거진꼬리해삼 파우손모조해삼 식물 구상나무 풍산가문비 문수조릿대 신이대 제주조릿대 수원사시나무 쌍실버들 제주산버들 개수양버들 개족도리풀 섬버들 키버들 큰산버들 병개암나무 너도밤나무 외대으아리 할미밀망 매자나무 모데미풀 꼬리말발도리 양덕고광나무 섬고광나무 고광나무 서울고광나무 금강인가목 섬국수나무 산이스라지 섬벚나무 흑산가시 가시복분자딸기 섬나무딸기 떡조팝나무 긴잎산조팝나무 개느삼 큰꽃땅비싸리 민땅비싸리 해변싸리 솔비나무 좀갈매나무 섬피나무 개염주나무 노각나무 한라산참꽃나무 미선나무 개나리 만리화 산개나리 장수만리화 물들메나무 서울제비꽃 섬새우난초 섬쥐똥나무 숫명다래나무 버들개회나무 오동나무 이노리나무 줄댕강나무 청괴불나무 병꽃나무 개나리 구상나무 금강초롱꽃 단양쑥부쟁이 덕우기름나물 할미꽃 분취 강계버들 돌부추 선부추 좀부추 균계 연살색잔나비버섯 동심기계충버섯 † : 절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금강초롱꽃&oldid=22999271" 분류: 자동으로 기본명이 추가된 생물 분류 식별자초롱꽃과풀꽃한국의 고유종 식물나카이 다케노신이 명명한 분류군숨은 분류: 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ebuanoEspañolSvenskaTiếng ViệtWinaray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3일 (화) 09: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금강초롱꽃(영어: Diamond bluebell, 학명: Hanabusaya asiatica)은 초롱꽃과에 속하는 식물로, 한국고유종이다. 금강초롱꽃속(Hanabusaya)은 한국 고유 속 7가지 중 하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금강초롱꽃은 몇 cm일까? Assistant: 30~90cm Human: 아래 강혜정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강혜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강혜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강혜정 출생 1982년 1월 4일(1982-01-04) (37세)대한민국 인천광역시직업 배우활동 기간 1997년 ~ 현재소속사 씨제스 엔터테인먼트 배우자 타블로자녀 딸 이하루웹사이트 씨제스 엔터테인먼트 강혜정 강혜정(1982년 1월 4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1] 목차 1 학력 2 데뷔 3 결혼과 가족 4 활동 4.1 영화 4.2 드라마 4.3 연극 4.4 더빙 4.5 방송 4.6 라디오 4.7 뮤직비디오 4.8 홍보 대사 4.9 광고 5 수상 내역 6 각주 7 외부 링크 학력[편집] 인천외국어고등학교 서울예술대학교 연극과 데뷔[편집] 강혜정은 1997년 하이틴 잡지 모델로 연예계에 데뷔하였다.[2] 1998년 SBS 드라마 《은실이》에서 주인공 은실이를 괴롭히는 이복 언니 "영채 역"을 연기하며, 배우로 데뷔하였다. 2001년 영화 《나비》를 통해 스크린 데뷔를 하였고, 이 영화로 그해 부천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 여우 주연상을 수상하였다.[3] 2003년 오디션을 통해 300 대 1의 경쟁을 뚫고 영화 《올드보이》에서 "미도 역"에 발탁되었고,[4][5][6] 제57회 칸 국제영화제 심사위원 대상을 수상하며, 국내외 큰 화제를 모으며, 강혜정은 제24회 청룡 영화상 여우 조연상, 제24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신인 여우상 등을 수상하며, 차세대 충무로 스타로 인정받았으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후 영화 《쓰리, 몬스터》, 《남극 일기》, 《연애의 목적》, 《도마뱀》, 《허브》 등 에 출연하였으며,[3] 2005년 출연한 《웰컴 투 동막골》이 800만 관객을 동원하며, 톱배우로 올라섰다.[7] 결혼과 가족[편집] 2008년 말 지인의 소개로 만난 래퍼 타블로와 친분을 쌓았고, 이후 연인관계로 발전하였다. 타블로가 자신이 진행중인 라디오 프로그램을 통해 교제사실을 공식인정하였고, 강혜정 또한 미니홈피를 통해 열애사실을 인정하였다.[8][9][10][11][12][13][14] 1년 열애끝에 2009년 10월 26일 결혼식을 올렸다.[15][16] 2010년 5월 2일 외동딸 이하루를 출산하였다.[17][18] 같은해 9월 출산 4개월만에 연극 《프루프》를 통해 연극에 첫 도전하며, 연기활동을 재개하였다. 2012년 11월 6일 방송된 SBS 《힐링캠프 - 기쁘지 아니한가》 남편 타블로 편에 깜짝 출연했다.[19][20] 활동[편집] 영화[편집] 개봉 년도 제목 역할 감독 비고 2017년 루시드 드림 소현 역 김준성 2014년 개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 정현 역 김성호 2012년 뒷담화:감독이 미쳤어요 이재용 다큐멘터리,제17회 부산국제영화제 상영작 2009년 걸프렌즈 송이 역 강석범 우리 집에 왜 왔니 이수강 역 황수아 킬미 서진영 역 양종현 트라이앵글 오성혜 역 지영수 TV 영화,한일 합작프로젝트 '텔레시네마' 웨딩 팰리스 크리스틴 유 2007년 허브 차상은 역 허인무 2006년 도마뱀 아리 역 강지은 2005년 친절한 금자씨 뉴스 앵커 역 박찬욱 우정 출연 웰컴 투 동막골 여일 역 박광현 보이지 않는 물결 노이 역 펜엑 라타나루앙 남극일기 이유진 역 임필성 특별출연 연애의 목적 미술교사 최홍 역 한재림 2004년 쓰리, 몬스터 - 컷 피아니스트 아내 역 박찬욱 한국, 일본, 홍콩 공동 제작 영화 2003년 올드보이 미도 역 2001년 나비 유키 역 문승욱 드라마[편집] 2017년 KBS2 월화 미니시리즈 《저글러스》 ... 왕정애 역 2014년 MBC 단막극 《드라마 페스티벌 - 내 인생의 혹》 ... 신금지 역 2012년 tvN 월화 미니시리즈 《결혼의 꼼수》 ... 유건희 역 2011년 MBC 월화 미니시리즈 《미스 리플리》 ... 문희주 역 2008년 SBS 수목 드라마스페셜 《온에어》 ... 강혜정 역(특별출연) 2007년 KBS2 월화 미니시리즈 《꽃 찾으러 왔단다》 ... 나하나 역 2003년 인터넷 드라마 《내방네방 - 제1부 '402호 이야기'》 2002년 MBC 청춘시트콤 《논스톱3》 ... 강혜정 역 1999년 MBC 청춘시트콤 《점프》 ... 강혜정 역 1998년 SBS 월화 드라마 《은실이》 ... 장영채 역 연극[편집] 2010년 《프루프》... 캐서린 역 더빙[편집] 2006 애니메이션 《빨간모자의 진실》... 빨간 모자 역 (더빙)[21] 방송[편집] 2013년 ~ 2014년 KBS2 《해피선데이-슈퍼맨이 돌아왔다》- 일상및 미션 전달, 돌아왔을때 출연 2012년 SBS 《힐링캠프 - 기쁘지 아니한가》 ※특별출연 2009년 MBC 《황금어장 - 무릎팍도사》 2009년 KBS1 《낭독의 발견》 2009년 KBS2 《해피투게더》 2008년 MBC 《놀러와》 라디오[편집] 2016년 MBC FM4U 《이루마의 골든디스크》 (5일간 임시진행) 2015년 MBC FM4U 《타블로와 꿈꾸는 라디오》 (9일간 임시 진행) 2009년 SBS 파워FM 《송은이 신봉선의 동고동락》 2007년 KBS 쿨FM 《안재욱, 차태현의 미스터 라디오》 뮤직비디오[편집] 2008년 거미 〈거울을 보다가〉 2004년 한영애 〈외로운 가로등〉 ※봉준호 감독 연출 2004년 SG워너비 〈Timeless〉, 〈죽을만큼 사랑했어요〉 2002년 왁스 〈부탁해요〉 2003년 포지션 〈e-sperado〉 1998년 태사자 〈Time〉 홍보 대사[편집] 2012년 《세이브 더 칠드런》 홍보대사 (with 타블로) 광고[편집] 한국 마스타푸드 트윅스(Twix) SG세계물산 옴파로스 ※원빈과 출연 LG카드 (현 신한카드) 매일유업 카페라떼 매일유업 아침에 사과 요구르트 신한금융투자 SMORE CMA ※타블로와 출연 교육부 보건복지부 아이행복카드 ※실제 자녀 이하루와 김소현, 유수영과 공동 출연 수상 내역[편집] 2006년 제43회 대종상영화제 여우조연상 《웰컴 투 동막골》 2005년 제6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여우주연상 《연애의 목적》 2005년 제1회 프리미어 라이징 스타 어워즈 여우주연상[22] 《웰컴 투 동막골》 2005년 제4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여우조연상 《웰컴 투 동막골》 2005년 제26회 청룡영화상 여우조연상 《웰컴 투 동막골》 2005년 제3회 CGV 관객이 뽑은 올해의 영화상 최고의 여자배우상[23] 《올드보이》 2004년 제5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여우주연상 《올드보이》 2004년 제24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신인여우상 《올드보이》 2004년 제4회 대한민국청소년영화제 신인배우상《올드보이》 2003년 제24회 청룡영화상 여우조연상 《올드보이》 2001년 제5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여우주연상 《나비》 각주[편집] ↑ 강혜정 - 네이버인물정보 ↑ “스타매력탐방 : 소녀에서 여인까지 팔색조 강혜정”. 스포츠조선. 2005년 8월 11일.  ↑ 가 나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cine21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제공한 텍스트가 없습니다 ↑ “영화세상 : 올드보이 미도역 강혜정”. 한국일보. 2003년 12월 1일.  ↑ “강혜정 “빨간 립스틱에 입 튀어나온 덕에 ‘올드보이’ 미도 발탁””. 뉴스엔. 2009년 12월 17일.  ↑ “최민식 “강혜정, 올드보이 오디션 진짜 회칼들고 등장””. 뉴스엔. 2012년 2월 7일.  ↑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naver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제공한 텍스트가 없습니다 ↑ “타블로 “강혜정과 만남에 더 좋은 사람 될 것같다” 애틋 사랑고백”. 뉴스엔. 2009년 2월 6일.  ↑ “타블로, "강혜정은 내 천국"… 커플사진 공개 '다정'”. 이데일리. 2009년 9월 2일.  ↑ “강혜정, 타블로와 첫키스 깜짝공개 “볼 뽀뽀, 입술에도 받고싶더라””. 뉴스엔. 2009년 12월 8일.  ↑ “타블로-강혜정 일본서 빗속데이트 “건담 보려고 폭우속 달렸다””. 뉴스엔. 2009년 8월 14일.  ↑ “타블로 "강혜정, 나랑 똑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 노컷뉴스. 2012년 4월 30일.  ↑ “타블로 강혜정과 결혼 발표 “첫눈에 반한 강혜정, 나의 운명”(입장전문)”. 뉴스엔. 2012년 9월 5일.  ↑ “임신 5주 강혜정, 촉망받는 여배우서 타블로 아내까지 ‘여자라서 행복해요’”. 무비조이. 2012년 9월 5일.  ↑ “타블로-강혜정, 철통 보안 속 '비공개 결혼식' 올려”. 마이데일리. 2009년 10월 26일.  ↑ “타블로-강혜정 부부, 영화 같은 결혼식 현장 공개”. 매일경제. 2009년 10월 27일.  ↑ “타블로-강혜정, 2일 첫 딸 출산…"신비로운 기적의 날"”. 이데일리. 2010년 5월 2일.  ↑ “타블로-강혜정 부부, 첫 딸 출산 '너무 행복해~'”. 조이뉴스24. 2010년 5월 2일.  ↑ “‘힐링캠프’ 타블로-강혜정 부부, 딸 하루 양 첫 공개…‘귀요미!’”. 스포츠동아. 2012년 11월 6일.  ↑ “타블로 딸 공개, '누가봐도 타블로-강혜정 딸!' 방송 최초 공개!”. 문화저널21. 2012년 11월 6일.  ↑ “강혜정,"촬영이야, 더빙이야" ; '빨간모자'로 완벽 성우변신”. 마이데일리. 2006년 3월 21일.  ↑ “조승우 강혜정, 프리미어 선정 '한국영화 뉴파워' 선정”. 스타뉴스. 2005년 9월 29일.  ↑ “최민식·강혜정 '2004 관객이 뽑은 최고배우'”. 스타뉴스. 2005년 1월 14일.  외부 링크[편집] 강혜정 미니홈피 - 싸이월드 강혜정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강혜정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강혜정의 수상 목록vdeh대종상 여우조연상 수상자1960년대 한은진 (1962) 황정순 (1963) 최지희 (1964) 윤인자 (1965) 황정순 (1966) 주증녀 (1967) 황정순 (1968) 1970년대 사미자 (1971) 도금봉 (1972) 최인숙 (1973) 도금봉 (1974) 박정자 (1975) 태현실 (1976) 선우용여 (1977) 문정숙 (1978) 정애란 (1979) 1980년대 김신재 (1980) 김형자 (1981) - (1982) 고두심 (1983) 박정자 (1984) 한은진 (1985) 이혜영 (1986) 김형자 (1987) 김지미 (1989) 1990년대 유혜리 (1990) 배종옥 (1991) 이혜영 (1992) 이미연 (1993) 남수정 (1994) 정경순 (1995) 김청 (1996) 정경순 (1997) 이미연 (1999) 2000년대 김여진 (2000) 윤소정 (2001) 방은진 (2002) 송윤아 (2003) 김가연 (2004) 나문희 (2005) 강혜정 (2006) 심혜진 (2007) 김해숙 (2008) 김영애 (2009) 2010년대 윤여정 (2010) 심은경 (2011) 김해숙 (2012) 장영남 (2013) 김영애 (2014) 김해숙 (2015) 라미란 (2016) 김소진 (2017) 진서연 (2018) 최우수작품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남우 | 신인여우 vdeh대한민국 영화대상 여우조연 오지혜 (2002) 윤여정 (2003) 고두심 (2004) 강혜정 (2005) 추자현 (2006) 공효진 (2007) 김지영 (2008) 미개최 (2009) 윤여정 (2010) 최우수작품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 남우 | 신인 여우 2011년 이후 폐지 vdeh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여우주연2000년대 전도연 (2000) 이영애 (2001) 배두나 (2002) 문소리 (2003) 강혜정 (2004) 강혜정 (2005) 엄정화 (2006) 예지원 (2007) 김민희 (2008) 김혜자 (2009) 2010년대 윤여정 (2010) 탕웨이 (2011) 황정민 (2012) 정유미 (2013) - (2014) 김민희 (2015) 손예진 (2016) 한예리 (2017) 이솜 (2018) * 2010년 이후 여우주연상과 여우조연상을 여자연기자상으로 통합대상 | 최우수작품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남우 | 신인여우 vdeh청룡영화상 여우조연1960년대 최지희 (1963) 황정순 (1964) 황정순 (1965) 조미령 (1966) 한은진 (1967) 황정순 (1969) 1970년대 사미자 (1970) 전계현 (1971) 안인숙 (1972) 최정민 (1973) 1990년대 손숙 (1990) 김보연 (1991) 이혜영 (1992) 김혜선 (1993) 정경순 (1994) 송옥숙 (1995) 조은숙 (1996) 정경순 (1997) 유혜정 (1998) 이미연 (1999) 2000년대 하지원 (2000) 오지혜 (2001) 송윤아 (2002) 강혜정 (2003) 염정아 (2004) 강혜정 (2005) 정유미 (2006) 나문희 (2007) 김지영 (2008) 김해숙 (2009) 2010년대 윤여정 (2010) 김수미 (2011) 문정희 (2012) 라미란 (2013) 김영애 (2014) 전혜진 (2015) 박소담 (2016) 김소진 (2017) 김향기 (2018) 최우수작품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남우 | 신인여우 vdeh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신인여우1980년대 - (1980) 나영희 (1981) - (1983) 이보희 (1984) - (1985) - (1986) - (1987) - (1988) 진영미 (1989) 1990년대 이미연 (1990) 최진실 (1991) 이아로 (1992) 오정해 (1993) 박선영 (1994) 이지은 (1995) 이정현 (1996) 이혜은 (1997) 전도연 (1998) 김윤진 (1999) 2000년대 김규리, 박예진, 이영진 (2000) 서주희 (2001) 손예진 (2002) 임수정 (2003) 강혜정 (2004) 정유미 (2005) 한효주 (2006) 박시연 (2007) 서우 (2008) 박보영 (2009) 2010년대 이민정 (2010) 유다인 (2011) 김고은 (2012) 정은채 (2013) 임지연 (2014) 권소현 (2015) 정하담 (2016) 최희서 (2017) 김가희 (2018) 최우수작품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남우 | 신인여우 vdeh씨제스 엔터테인먼트 대표이사 회장:백창주 배우남성 곽도원 강홍석 류준열 박성웅 설경구 송새벽 송일국 서장원 이창용 최민식 진혁 정석원 한선천 여성 강혜정 김유리 김혜은 문소리 박주미 류혜영 라미란 정선아 채시라 윤지혜 이레 이청아 황정음 정인선 임세미 홍서영 가수 JYJ(김재중, 김준수,박유천동생박유환) 거미 노을 관련 항목 씨제스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vdehYG 엔터테인먼트경영진 양현석 (회장·총괄 프로듀서) 황보경 (대표이사·사장) 가수현재 소속 그룹 지누션 지누 션 원타임 테디 오진환 송백경 태빈 빅뱅 G-Dragon T.O.P. 태양 대성 악동뮤지션 이찬혁 이수현 WINNER 강승윤 김진우 이승훈 송민호 iKON 김진환 송윤형 BOBBY 김동혁 구준회 정찬우 젝스키스 은지원 이재진 김재덕 강성훈 장수원 블랙핑크 지수 제니 로제 리사 트레저 13 방예담 최현석 김준규 윤재혁 하루토 박정우 소정환 하윤빈 마시호 김도영 요시노리 박지훈 아사히 현재 소속 솔로 이은주 페리 이하이 원 CL 박산다라 과거 소속 그룹 킵식스 박동호 심영호 이새영 스위티 안내영 성미현 빅마마 이영현 이지영 신연아 박민혜 XO 전승우 강성민 바운스 강진우 김우근 원티드 김재석 전상환 하동균 서재호 비바소울 Jood Samuel D'low 소울스타 이창근 이승우 이규훈 45RPM 이현배 J-Kwondo 에시리 G.R. 스토니 스컹크 스컬 쿠시 YMGA 마스타 우 디지털 마스터 에픽하이 타블로 DJ 투컷 미쓰라 진 과거 소속 솔로 휘성 거미 렉시 세븐 프라임 레드락 JC지은 공민지 박봄 남태현 싸이 승리 B.I 유닛 · 프로젝트 그룹 무가당 GD&TOP GD X TAEYANG 하이 수현 BOM&HI CL&민지 수펄스 MOBB 배우현재 소속 이수혁 임예진 차승원 정혜영 최지우 장현성 유인나 남주혁 손호준 이성경 갈소원 강동원 김희애 김희정 김새론 황승언 과거 소속 구혜선 박한별 임아람 정성일 허이재 강혜정 양경모 양현모 이종석 프로듀서현재 소속 FUTURE BOUNCE (최필강 a.k.a PK·DEE.P) BIGTONE 강규용 a.k.a Q Rovin 함승천 강욱진 Choice37 Lydia Paek 장석준 a.k.a AiRPLAY 조성확 민연재 과거 소속 용감한 형제 강동철 강흑철 DJ Murf 방송인현재 소속 안영미 과거 소속 유병재 오상진 하이그라운드 타블로(대표) 검정치마 조휴일 밀릭 인크레더블 8 코드쿤스트 이디오테잎 디구루 제제 디알 펀치넬로 오프온오프 영채널 콜드 혁오 오혁 임동건 임현제 이인우 더블랙레이블 테디(대표) 쿠시 자이언티 R.Tee DRESS 서원진 전소미 Joe Rhee 24 Peejay 재규어중사 Bryan Cha$e 오케이션 Seoppoem DJ BOID YGX 승리 (대표) 안다 권현빈 Blue.D PSYG 싸이(대표) 연습생 장한나 조미연 문수아 이채영 지니 박 임수아 박서영 최래성 김종섭 YG케이플러스현재 소속여성 모델 허보미 한혜연 이루영 오혜지 강승현 박예운 지호진 김현희 이승미 정지영 이수진 최영지 김예지 신하영 이성경 최소라 황소희 유은비 정한솔 신해남 이송이 이호정 신현지 지이수 김효정 주희정 이정현 이재이 엄유정 박수진 정유정 이하은 송현민 여연희 황현주 김혜아 현지은 홍효 엄예진 배윤영 엘리스 나딘 박선하 이다정 김수빈 김은선 정소현 윤선아 권지야 최하림 신예민 이연주 김예림 박세진 신혜진 박정민 최정인 전민옥 김세인 윤은화 심소영 안예원 박효린 김설희 최세희 고은비 남성 모델 송재희 김영 최창욱 박병민 이현욱 김필수 박형섭 장기용 변우석 남주혁 주우재 정성중 김보헌 임후석 김종훈 이봄찬 조환 서홍석 맹주호 이후림 김태완 김기범 김태우 이석찬 정용수 강희 박기태 서수원 이규호 박보성 신재혁 이현준 김학수 김성욱 신용국 최한빈 데이비드 권현빈 정의성 김정식 김민종 최연규 방주호 김현진 조효인 강성진 이지석 조성훈 휘황 야마토 코타 칸슈지 타모츠 관련 문서 YG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YG PLUS 하이그라운드의 음반 더블랙레이블의 음반 YGX의 음반 전거 통제 WorldCat VIAF: 39653055 LCCN: no2017032217 ISNI: 0000 0001 1057 4989 GND: 1089557779 SUDOC: 119913143 BNF: cb15003162d (데이터) BNE: XX518288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강혜정&oldid=24138884" 분류: 대한민국 영화대상 수상자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배우인천외국어고등학교 동문1997년 데뷔인천광역시 출신198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YG 엔터테인먼트 소속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숨은 분류: 참조 오류가 있는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РусскийSvenskaWinaray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일 (목) 19: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강혜정(1982년 1월 4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배우 강혜정이 2007년에 출연한 영화의 이름은? Assistant: 허브
Human: 아래 심기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심기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심기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심기섭 대한민국의 제27·28·29대 강원도 강릉시장 임기 1995년 7월 1일 ~ 2006년 3월 30일 전임 권혁신 후임 최명희 신상정보 국적 대한민국 출생일 1944년 10월 21일(1944-10-21) (74세) 출생지 일제 강점기 강원도 강릉 거주지 대한민국 본관 삼척 학력 성균관대학교 상과대학 학사 관동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경력 강릉시농업협동조합 조합장 농협중앙회 운영위원 제13대 민주정의당 국회의원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강릉시지부 지부장 민주자유당 국책자문위원 민선 제1·2·3대 강릉시장 강릉정보산업진흥원 초대 이사장 정당 민주정의당 → 무소속 → 민주자유당 → 신한국당 → 한나라당 심기섭(沈起燮, 1944년 10월 21일 ~ , 강원도 강릉시)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자 기초단체장이었다. 목차 1 학력 2 경력 3 함께 보기 4 역대 선거 결과 5 각주 6 참고 자료 7 외부 링크 학력[편집] 1957년 강릉경포초등학교 졸업 1960년 강릉중학교 졸업 1963년 강릉상업고등학교 졸업 1971년 성균관대학교 상과대학 학사 1976년 관동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경력[편집] 1982년 ~ 1988년 강릉시농업협동조합 조합장 1985년 ~ 1988년 농협중앙회 운영위원 1988년 ~ 1992년 제13대 민주정의당 국회의원(초선) 1991년 관동문학회 문학상 제정 1993년 ~ 1995년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강릉시지부 지부장 1994년 민주자유당 국책자문위원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민선 초대(제1대) 강릉시 시장[1] 1997년 ~ 성균관대학교 총동문회 부회장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민선 제2대 강릉시 시장(재선) 2002년 7월 1일 ~ 2006년 3월 30일 민선 제3대 강릉시 시장(대한민국 최초의 민선 3연선 기초단체장)[1] 2003년 2월 13일 ~ 2006년 3월 30일 강릉정보산업진흥원 초대 이사장(강릉시장 당연직)[2] 함께 보기[편집] 심대평 심완구 심우영 심재홍 심상대 심재민 심재덕 심의조 심춘택 심헌구 심재국 심민 심규언 심영목 심성택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제13대 총선 국회의원(전국구) 13대 민주정의당 34.0% 6,670,494표 전국구 39번 승계 제14대 총선 국회의원(강원 원주시) 14대 무소속 23.29% 16,754표 3위 낙선 제1회 지방 선거 강원도 강릉시장 27대 (민선 1기) 민주자유당 25.70% 27,031표 1위 제2회 지방 선거 강원도 강릉시장 28대 (민선 2기) 한나라당 51.70% 50,218표 1위 제3회 지방 선거 강원도 강릉시장 29대 (민선 3기) 한나라당 44.95% 40,557표 1위 10·28 재보궐선거 국회의원(강원 강릉시) 18대 무소속 11.52% 7,883표 3위 낙선 각주[편집] ↑ 가 나 “강릉시청”. 2013년 1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22일에 확인함.  ↑ 디지털강릉문화대전 참고 자료[편집] 심기섭 - 대한민국헌정회 외부 링크[편집] vdeh민주정의당 제13대 국회의원 전국구 1번 채문식 7번 김동인 13번 이동진 19번 최창윤² 25번 손주환² 31번 김길홍 37번 신영순 2번 윤길중 8번 이광노 14번 이도선 20번 최재욱 26번 이상하 32번 강재섭 38번 도영심 3번 정석모 9번 이윤자 15번 김종기 21번 유기천 27번 김장숙 33번 김정길 39번 심기섭† 4번 강영훈² 10번 이원조 16번 지연태 22번 나창주 28번 양경자 34번 조남옥 40번 안찬희† 5번 이병용 11번 김종곤 17번 박철언 23번 서상목 29번 이상회 35번 이재황 41번 최상진† 6번 박태준 12번 김인기 18번 조경목 24번 박승재 30번 홍세기 36번 임인규 ²사직      †승계 전임권혁신 제27·28·29대 강원도 강릉시장(민선)1995년 7월 1일 ~ 2006년 3월 30일 후임(권한대행)박종혁최명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심기섭&oldid=24110053" 분류: 대한민국의 제13대 국회의원1944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강릉시 출신경포초등학교 동문강릉중학교 동문강릉상업고등학교 동문성균관대학교 동문관동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동문대한민국의 금융인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강릉시장민주정의당한나라당의 정치인삼척 심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27일 (토) 21: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심기섭(沈起燮, 1944년 10월 21일 ~ 2020년 12월 2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제13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제27·28·29대 강릉시장을 지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심기섭 씨가 민주자유당의 주요 정책에 자문을 맡게 된 해는 언제일까? Assistant: 1994년 Human: 아래 광한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광한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광한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남원 광한루(南原 廣寒樓) 대한민국의 보물 종목 보물 제281호 (1963년 1월 21일 지정)수량 1동시대 조선소유 국유 주소 전라북도 남원시 요천로 1447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광한루(廣寒樓)는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는 누각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281호로 지정되었다. 광한루, 광한루원, 남원 목차 1 개요 2 같이 보기 3 각주 4 외부 링크 개요[편집] 조선 태조 때 황희가 남원에 유배되었을 때 지은 것으로 처음엔 ‘광통루’(廣通樓)라 불렀다고 한다. ‘광한루’라는 이름은 세종 16년(1434년) 정인지가 고쳐 세운 뒤 "월궁의 광한청허부와 흡사하다"하여 이름을 바꾸었다. 지금 건물은 정유재란 때 불에 탄 것을 인조 16년(1638년) 남원부사 신감에 의하여 다시 지어진 것으로 부속건물은 정조 때 세운 것이다.[1] 전면에는 부사 이상억이 쓴, ‘호남제일루’라는 판액이 걸려 있다. 누각에는 83점의 편액이 있으며, 용성지에 실려 있는 것과 합하면 약 200여 수가 된다. 김종직, 정철, 정인지, 강희맹, 백광훈, 이경여 등의 시가 있다. 또한 광한루는 판소리 춘향가의 주인공인 성춘향과 이몽룡이 만난 곳으로 유명하다. 현재는 광한루원이라는 공원으로 확장되어 있다. 같이 보기[편집] 광한루원 춘향전 각주[편집] ↑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광한루 광한루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이 문서에는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한 국가문화유산포털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광한루원 공식 사이트 vdeh 대한민국의 누정서울 경회루 낙천정 망원정 보신각 부용정 봉황각 석파정 세검정 아소정 오운정 용양봉저정 용왕정 탑골공원 팔각정 향원정 황학정 부산 노을정 망미루 모연정 세심정 야망정 영가대 하마정 해월정 대구 관수정 동계정 봉무정 소계정 수월루 압로정 이노정 태고정 하목정 하엽정 원호루 인천 연미정 광주 만귀정 만취정 부용정 양과동정 취가정 풍암정 풍영정 호가정 환벽당 대전 백운루 삼매당 옥류각 취백정 울산태화루세종 독락정 경기 금수정 대성원 반구정 보산정 봉황정 사은정 산영루 세심정 애련정 영월루 육괴정 택승정 항미정 화석정 강원 경포대 고석정 금강정 금란정 방해정 소양정 오성정 요선정 운암정 월파정 의상대 자규루 조양루 죽서루 천학정 청간정 학음정 해암정 합강정 해운정 호해정 충북 가학루 관란정 관어대 경호정 금남루 금병헌 금호루 낙건정 독락정 동고정 무농정 봉양정 빙옥정 삼호정 세심정 양신정 여의정 월송정 읍청루 응청각 채하정 청녕각 침강정 탁사정 팔영루 한벽루 한천정 함벽정(영동) 함벽정(청주) 화수루 화수정 충남 공북루 광복루 경이정 노은정 반월루 백화정 사송정 사자루 쌍수정 석송정 수북정 여민루 여하정 영남루 영일루 우화루 원산정 이수정 임리정 진남루 청허정 팔괘정 화암정 전북 고무정 광제정 광한루 구암정 귀래정 낙덕정 만취정 무진정 벽남정 사계정 송정 쌍계정 수덕정 수선루 수운정 쌍벽루 아석정 어은정 어필각 연파정 영광정 영모정 영월정 양요정 오괴정 오리정 운서정 월파정 육모정 자락정 자천대 추천대 취석정 태고정 퇴수정 풍욕정 피향정 학남정 한벽당 한풍루 함벽루 함벽정 전남 거연정 고사정 관어정 광풍각 기영정 기오정 낙민루 남극루 남휘루 남희정 독수정 동백정 만호정 면앙정 명옥헌 물염정 방춘정 방호정 벽류정 부춘정(영암) 부춘정(화순) 사인정 상월정 석문정 세연정 송강정 송석정 식영정(담양) 식영정(무안) 쌍계정 여택정 연계정 영벽정 영보정 영팔정 용호정 운조루 운흥정 자형정 장범루 장암정 장춘정 정수루 죽림정 척서정 청계정 초연정 침계정 침류정 한후정 함허정 호은정 환산정 회사정 회선정 경북 경체정 관가정 귀래정 귀애정 낙강정 뇌풍정 도암정 동계정 만귀정 만세루 만우정(안동) 만우정(청송) 만휴정 망미정 망양정 매학정 모은정 방초정 백운정 벽송정 벽절정 병암정 봉황대 부나원루 분옥정 사미정 산수정 삼괴정 삼귀정 삼휴정 선몽대 소류정 송만정 수봉정 시북정 만취정 야일당 야옹정(봉화) 야옹정(예천) 약천정 영이정 옥간정 월송정 용암정 일신재 일우정 조양각 천운정 청간정 청암정 초간정 침락정 침류정 쾌재정 태고정 포석정 화수루 경남 거연정 건계정 계림정 관수루 관수정 광암정 광풍루 교수정 기양루 농산정 농월정 뇌룡정 망경루 무진정 문암정 벽한정 봉명정 부사정 부용정 비봉루 삼은정 소천정 심소정 쌍계루 수암정 악양루 악양정 연화대 영남루 오연정 완재정 요수정 우곡정 월연정 일원정 정암루 청학루 촉석루 취수정 팔영루 학사루 함벽루 함화루 현산정 호연정 제주 관덕정 연북정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광한루&oldid=22347538" 분류: 대한민국의 누정전라북도의 보물남원시의 문화재남원시의 건축물조선의 건축물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링크가 없는 위키공용분류공공누리 제1유형 저작물을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9월 12일 (수) 07:0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광한루(廣寒樓)는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는 누각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281호로 지정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광한루의 명칭은 누가 지었을까요? Assistant: 조선 태조 때 황희가 남원에 유배되었을 때 지은 것으로 처음엔 ‘광통루’(廣通樓)라 불렀다고 한다. ‘광한루’라는 이름은 세종 16년(1434년) 정인지가 고쳐 세운 뒤 "월궁의 광한청허부와 흡사하다"하여 이름을 바꾸었다.
Human: 아래 동물_농장의_등장인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동물 농장의 등장인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물 농장의 등장인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목차 1 메이저 영감 2 나폴레옹 3 모세(모지스) 4 스노볼 5 스퀼러 6 프레더릭 7 필킹턴 8 존스 9 복서 10 윔퍼 11 클로버 12 미니무스(미니머스) 13 뮤리엘 14 벤자민 15 몰리 메이저 영감[편집] 메이저 영감(Old Major)은 조지 오웰(George Owell)의 소설 동물농장(Animal Farm)에 나오는 돼지이며, 그는 카를 마르크스와 블라디미르 레닌을 상징한다. 그는 농장의 모든 동물의 존경을 받았던 늙은 수퇘지였다. 책의 첫부분에 메이저 영감은 농장의 동물들에게 자신이 12년을 살아오면서 겪었던 인간들의 불공평한 지배와 억압에 대해 연설하며 인간에 맞선 혁명을 호소한다. 또한 그는 동물들에게 자신의 꿈꾼 이상적인 세계, 즉 인간이 사라지고 영국이 동물들에 의해 통치되는 세상에 대해 말하며 영국의 짐승들이란 노래를 퍼뜨린다. 그는 사흘 후 잠결에 사망하지만 그의 이상은 동물농장의 모든 동물들에게 퍼져 돼지들 중 특히 나폴레옹과 스노볼을 주축으로 혁명을 위한 준비를 해나간다. 나폴레옹[편집] 나폴레옹(Napoleon)은 조지 오웰(George Orwell)의 소설 동물 농장(Animal Farm)에 나오는 독재자 돼지이며 소련의 독재자 이오시프 스탈린(서기1879년~1953년)을 상징한다. 초기 프랑스판 번역에서는 세자르(율리우스 카이사르)로 번역되었다. 버크셔 돼지로, 생김새가 약간 사나워 보이고 덩치가 크다. 말재주는 없었지만 고집이 세고 모든 일에 자신의 뜻을 관철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의지가 강했다. 그는 메이저 영감(Old Major; 블라디미르 레닌을 상징)의 동물주의(공산주의) 이론을 스노볼(Snowball; 레프 트로츠키를 상징)과 함께 체계화 시키던 중, 장원 농장(매너 농장, Manor Farm; 농노가 해방되지 않은 제정 러시아를 나타냄)에서 동물의 봉기가 일어났다. 농장주 존스 부부(Mr. and Mrs. Jones; 니콜라이 2세와 알렉산드라 황후를 상징)와 일꾼들이 쫓겨나고, 스노볼과 스퀼러(Squealer) 등의 돼지들은 함께 동물 농장을 선포한다. 봉기 이후에 각종 단체를 조직하는 열성적 혁명가 스노볼과는 반대로 그는 비밀리에 블루벨이 낳은 개(비밀 경찰) 9마리를 친위대로 키웠다. 나중에 스노볼과 풍차 건립 문제(경제 개발 문제)를 두고 크게 대립하게 되자, 자신의 친위대인 9마리의 개들로 스노볼을 축출하고 독재자의 자리에 오른다. 집권 3주 후, 그는 풍차를 건립하기로 선언하고 자신이 그동안 금지해 왔던 이웃 농장주와의 거래를 스스로 시작한다. 동시에 그는 자신의 대변인이 된 스퀼러를 통해 동물 농장의 법인 7계명까지 바꾸면서 자신을 정당화시킨다. 그런데 풍차 공사가 절반쯤 진행되었을 때 풍차가 무너지는 일이 발생하고, 그 후 동물들은 다시 풍차를 건립하고 '나폴레옹 풍차'라고 명명되지만, 풍차의 전투 때 프레더릭 일당에 폭약에 의해 또다시 파괴된다. 그리고 세 번째로 풍차를 건립할 때 복서가 쓰러졌고, 결국 완공되었지만 전기를 생산하지는 못하고 옥수수를 찧는 데 사용하게 된다. 동물 농장은 점점 안정되지만, 돼지들과 개를 제외한 모든 동물은 굶주림에 시달린다. 결국, 나폴레옹과 돼지들은 인간들처럼 두 발로 걷고 옷을 입고 인간을 불러 술자리를 함으로써 동물 농장은 봉기 이전과 다를 바 없는 모습이 되어버린다. 원작자 조지 오웰은 사회주의 좌파 지식인이었으며 봉건주의 나라인 러시아가 민중 봉기인 러시아 혁명을 통해 공산주의 국가인 소련으로 탈바꿈 한데 찬성하였다. 러시아 혁명의 최종적 승자인 레닌이 사망하자, 진정한 공산주의자 중의 한명이었던 레프 트로츠키(본명 레프 브론스타인)가 정권을 이어받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이오지프(조지프) 스탈린이 정권을 잡고 트로츠키를 해외 추방한데 분개하여 이 소설을 작성하였다. 소설에 나오는 나폴레옹이 스탈린이며 쫓겨난 스노볼이 트로츠키를 의미한다. 나폴레옹은 스노볼이 인간(자본가)들과 결탁하여 배신하였다고 주장하였으나 실제로는 나폴레옹 자신이 인간(자본가)들에게 뒷돈을 받는 장면이 묘사되는데 이는 스탈린이 경제난이 극심해져서 정권 유지가 곤란해지자, 영국 자본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군수 산업을 키우는 내용을 우회적으로 비판한 것이다. 독일의 히틀러는 이를 간파하고 공산주의(영국 자본가들의 지원을 받는 소련의 스탈린)를 몰락시키지 못하면 유대인의 세상(영국 유대인 자본가들의 세상)이 될 것이라고 판단하여 불가침조약을 깨고 독소침공을 감행한다. 모세(모지스)[편집] 모세(Moses)는 존스 씨가 가장 귀여워하는 집까마귀이다. 동물들에게 슈가 캔디 마운틴이라는, 1년 내내 일요일이라 일하지 않아도 되며 천지가 각설탕과 케이크로 널려 있는 나라가 구름 너머 어딘가에 있다고 말했다. 동물들은 모세가 일도 하지 않고 이런 말이나 지껄이는 것이 불쾌했지만, 동물들 중 일부는 슈가 캔디 마운틴이 실존한다고 믿었다. 동물들의 반란으로 존스 씨와 일꾼들, 존스 씨의 부인이 농장에서 쫓겨날 때 존스 씨 일행을 따라 농장에서 사라졌다. 그리고 몇 년 후 풍차의 전투가 일어난 후에 돌아와서 슈가 캔디 마운틴 이야기를 계속했고, 자신이 정말 그 나라에 가 봤다고 말했다. 러시아의 정교회를 상징하는데 어떤 사람들은 정교회 수도사인 그리고리 예피모비치 라스푸틴을 상징한다고 주장한다. 스노볼[편집] 스노볼(Snowball)은 쾌활하고 뛰어난 언변가에 여러 가지 재주를 지닌 돼지이며, 돼지들 중에서도 최고의 명필이었다. 7계명도 직접 썼다. 나폴레옹이 독재자가 되기 전 나폴레옹과 공동 대장을 맡았다. 외양간의 전투 때 전략을 짜고 손수 동물들을 지휘하고 작전 명령을 하면서 싸웠다. 존스에게 총 한 발을 등에 맞았는데, 이것은 나중에 나폴레옹의 이빨에 뜯긴 상처였다고 조작되었다. 이 전투에서의 공로로 복서와 함께 동물 영웅 1등 훈장을 받았다. 풍차 건립 계획을 주장하다가 나폴레옹의 개들에 의해 농장에서 축출되었고, 그 후로 더 이상 등장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그 후로도 많이 언급된다. 스탈린에 의해 쫓겨난 레프 트로츠키와 그의 휘하에 있던 혁명가들을 상징한다. 스퀼러[편집] 스퀼러(Squealer)는 나폴레옹의 대변인으로 아주 뛰어난 언변가이다. 나폴레옹이 독재자가 된 후 동물들을 설득하고, 과거의 농장 역사를 조작하고 스노볼이 존스 씨의 첩자였다는 등 스노볼의 행적도 조작했다. 나중에 '네발은 좋고 두 발은 나쁘다!'를 외치던 양들을 자작나무 숲으로 데리고 가서 새로운 구호('네발은 좋고 두 발은 더욱 좋다!')를 외치도록 교육했다. 소설 속에서 처음으로 두 발로 걸은 돼지이다.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또는 '프라우다' 지를 상징한다. 프레더릭[편집] 프레더릭(Priderick)은 소설 동물 농장에 등장하는 몇 안 되는 인간 중 한 명으로, 핀치필드 농장의 농장주이다. 이웃 농장인 폭스우드보다 크기는 작았지만 운영은 잘되었다. 폭스우드의 농장주 필킹턴을 아주 싫어하고 필킹턴도 그를 싫어하여 서로 의견이 일치한 적이 없었다. 나폴레옹에게 위조 지폐를 지불하고 동물 농장의 목재를 몽땅 사간 적도 있다. 풍차 전투 초반에 총을 앞세워 동물들에게 부상을 입혀 후퇴하게 하고 폭약으로 풍차를 파괴시켰다. 그런데 파괴시킨 것이 동물들을 적개심에 차게 하여, 동물 농장 동물들에게 패배했다. 핀치필드는 제3제국(나치 독일)을 상징하고 프레더릭은 총통 아돌프 히틀러를 상징한다. 필킹턴[편집] 필킹턴(Pilkington)은 조지 오웰(George Owell)의 소설 동물 농장에 나오는 인간으로, 동물 농장에 인접해 있는 폭스우드 농장을 소유하고 있다. 필킹턴은 매우 게으른 사람이어서 그의 폭스우드 농장은 제대로 운영되지 않았다. 필킹턴은 미국의 프랭클린 델러노 루스벨트 대통령과 영국의 윈스턴 처칠 수상으로 묘사되며, 그의 농장 폭스우드는 자본주의 국가인 미국과 영국을 상징한다. 필킹턴은 핀치필드의 농장주인 프레드릭과 철천지 원수이지만 존스가 동물 농장을 탈환하려 할 때 프레드릭과 협조하여 동물 농장에 무장한 일꾼들을 보내 존스를 돕는다. 동물 농장의 나폴레옹과 친하게 지내려 하지만, 나폴레옹이 프레드릭의 꼬임에 넘어가 필킹턴의 목재 구입 의사를 거절하고 그를 적으로 취급하면서 둘의 관계가 악화된다. 후에 동물 농장이 프레드릭의 침공을 받았을 때 나폴레옹으로부터 지원 요청을 받지만 거절하며 알아서 하라고 한다. 존스[편집] 존스(Mr. Jones)는 조지 오웰의 소설인 동물 농장에 나오는 인물로 제정 러시아의 로마노프 왕조의 마지막 황제인 니콜라이 2세를 상징한다. 소설에서 메이너 농장<니콜라스 2세의 통치하의 러시아를 상징함>의 주인이다. 농장 동물들을 못살게 굴고 학대하고 먹이도 잘 주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가축들이 반감을 가져 동물 반란 을 일으키게하는 결정적 요인이 되었다. 메이저 영감의 연설 때 모임에 참석한 농장 동물들이 연설이 끝나고 영국의 짐승들을 합창할 때 존즈 씨는 헛간에 여우가 침입했다고 단정하고 총을 쏘아 모임이 빨리 끝났다. 어느 날 존즈 씨의 부하들이 동물들의 먹이주는 시간을 잘 안지키고 존즈는 부실한 농장 경영과 동물에 대한 나쁜 대우에 메이너 농장 동물들이 반기를 들어 인간무리 일당을 농장 밖으로 내쫓는다. 그 후 존즈는 레드 라이언 술집에 술에 계속 취해있고 반란을 일으킨 동물들을 폄하하였다. 어느날 존즈는 이웃농장 주인들과 그들의 부하를 이끌고 메이너 농장에서 동물 농장<볼셰비키들이 세운 러시아 사회주의 공화국을 상징함>으로 명칭을 바꾼 농장으로 공격하지만 외양간 전투에서 후퇴하였고 큰 실패와 피해를 받았다. 다시 술집에 잠적하여 알코올 중독자가 되지만 후에 알코올 중독자 수용 시설에서 죽는다. (소설 내용의 첫 중간부터 존즈의 행방이 잘 나오지 않다가 끝 부분에 조금 나온다) 역사적으로 보면 니콜라스 2세는 제정 러시아의 마지막 황제였다. 황제가에는 매우 부유하고 풍족한 삶을 누렸지만 당시 러시아 백성들은 많이 굶주렸다. 왕가의 사치행위와 부실한 통치<제 1차 세계대전의 참가로 많은 러시아 병사들이 죽었고 식량부족난이 극심하였지만 조치를 취하지 않았거나 무신경 썼다.>로 인해 국민들이 반기를 일으켜 1917년에 3월 혁명으로 차르가 붕괴하였다. 그 후 케렌스키 임시정부가 통치 할때 시베리아의 별장에서 살다가 볼셰비키당의 러시아 장악이후 왕가 모두 총살당하였다. 복서[편집] 복서는 동물 농장에 나오는 말로, 코 밑에 2개의 하얀 줄무늬가 있다. 힘이 말 두세 마리를 합친 정도로 세다. 외양간의 전투에서 용감히 싸워 동물 영웅 1등 훈장을 받았고 풍차 건설 때 가장 열심히 일했다. 풍차 전투에서 가장 큰 부상을 당했으며 나폴레옹을 믿고 따르며 '나폴레옹은 언제나 옳다'를 좌우명으로 삼기까지 했으나, 결국에는 나폴레옹이 아파서 일을 못한다는 이유로 도축장에 팔아버렸다. 쉽게 세뇌당하고 어리석고 우매한 민중을 상징한다. 윔퍼[편집] 동물농장의 지도자인 나폴레옹이 같이 경쟁한 지도자 스노볼을 추방시킨후 농장 밖의 사람들과 거래하겠다고 선언하였다. 나폴레옹은 농장 밖에 사람들과 거래하는것을 도와주는 중재자인 인간 윔퍼를 고용한다. 윔퍼는 유일하게 사람으로써 동물농장을 드나들수 있다. 허나 동물들은 그를 증오한다. 윔퍼는 소련 때 중진국을 상징한다. 클로버[편집] 나이가 제법 든 암말인데 새끼를 4번이나 낳았다. 나폴레옹이 독재자가 된 후 뮤리엘의 도움으로 7계명이 날조되어가는 것을 여러 번 발견하지만, 이상함을 느낄 뿐 날조되었다는 것을 알지는 못했다. 아기 오리 떼에게 울타리를 만들어 주고, 복서가 쓰러졌을 때 약을 먹여 주고, 복서에게 말동무가 되어 주고, 농장에 새로 사들인 말 세 마리에게 이야기를 해 주며 부모 같은 존재가 되어 주는 등 등장인물 중에서 동정과 친절함을 가장 많이 보여주는 동물이고, 복서와 더불어 민중 계급을 상징하는 동물이다. 미니무스(미니머스)[편집] 미니무스(Minimus) 돼지는 지도자 나폴레옹 돼지를 위해 시를 쓰거나 등 문학작품을 짓는다. 미니무스는 시와 노래작곡에 대단한 재주가 있다고 한다. 나폴레옹은 '영국의 짐승들' 부르는 것을 금지하고 대신 다른 노래를 부르게 했는데, 그 대신 부르게 한 노래는 미니무스가 작곡한 것이었다. 미니무스는 작가인 막심 고리키와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를 상징한다. 뮤리엘[편집] 글을 천천히 읽을 줄 아는 늙은 염소이다. 덕분에 신문 조각을 가지고 와 동물들에게 읽어 준다. 클로버에게 날조되어가는 7계명을 여러 번 읽어 주었다. 소설의 마지막에 뮤리엘이 죽는 것은 남아있던 지식인층의 소멸을 상징한다고 보기도 한다. 또한 클로버와 마찬가지로 의외로 정이많고 따뜻힌 마음을 가지고 있다 . 벤자민[편집] 농장에서 가장 나이가 많고 성질도 제일 고약하고 성격도 매우 무뚝뚝한 당나귀이다. 그는 속마음으로 복서를 매우 존중하고 존경한다. 벤자민에 얽힌 이야기에 따르면, 벤자민은 소련의 유대인 혹은 냉소적 지식인을 상징한다. 1. 하느님이 파리를 쫓으라고 그에게 꼬리를 달아준다라는 말이지만 자기(벤자민)에게는 차리리 꼬리도 파리도 없었으면 좋겠다고 한다. 2. '존스 무리를 내쫓고 지금이 더 행복한가?'라는 질문에 벤자민은 '당나귀는 오래 산다네. 당나귀 죽은일이 있나?'라고 답변한다. 3. 풍차 전투때 프레드릭이 동물들의 힘들고 정성스럽게 지은 (아직 안에 기계만 없고 겉만 완성됨)풍차에 폭약을 넣을때 오직 동물중들 벤자민만이 어떤 결과가 일어나는지 알았다. 4. 풍차재건에 몰두하는 복서가 다쳤을 때 다른 동물보다 유난히 걱정하는 동물이 벤자민이다. 복서가 쓰러졌을 때 동물들이 스퀼러에게 복서가 쓰러졌다고 알리러 스퀼러에게 달려갈 때, 클로버와 함께 복서 곁에 남아서 파리를 쫓아 주었고 나중에 복서가 마구간에서 쉴 때도 파리를 쫓아 주었다. 복서가 말 도살업자한테 팔려가기 직전에 복서와 떠나는것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다. 복서가 팔려나갈때 동물농장의 동물들은 흥분한 벤자민을 처음 보았다고 한다. 복서가 팔려나간후에 벤자민은 우울해졌다. 5. 클로버가 늙어 눈이 나빠져서 헛간 벽에 쓰여졌던 7계명(사실상 1계명)을 못읽어 벤자민에게 읽어주라고 요청했다. 벤자민은 '절대 7계명을 읽지않겠다.'는 그의 신념을 한번만 깨고 읽어주었다. 몰리[편집] 흰 말이며 메이저 영감이 연설할 때 꼴찌로 도착했고 각설탕을 씹고 있었다. 읽기와 쓰기를 배울 때 자기 이름에 들어가는 알파벳 여섯 글자 빼고는 배우지 않았으며 리본을 달고 다닌다. 외양간의 전투가 끝나고 겨울이 오자 몰리는 사라졌는데, 얼마 후 목격자가 나타났고, 그는 몰리가 어떤 술집의 이륜마차를 끄는 일을 하고 있다고 증언했다. 그 후 동물들은 몰리 얘기를 입 밖에 내지 않았다. 몰리는 부르주아, 망명한 귀족(을)를 상징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동물_농장의_등장인물&oldid=24454290" 분류: 동물 농장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0일 (목) 10: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다음은 조지 오웰의 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동물 농장에 나왔던 모세는 어떤 동물인가? Assistant: 집까마귀 Human: 아래 제갈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제갈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갈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갈 서(諸葛 緖, ?~?)는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 서진의 정치가며, 제갈충(諸葛 沖)의 아버지이다. 목차 1 생애 2 《삼국지연의》 속 제갈서 3 제갈 서의 친족관계 4 각주 생애[편집] 정원 2년(255년), 관구검의 난을 틈타 동오의 승상 손준이 쳐들어오자, 태산태수로서 연주자사 등애의 지휘를 받아 여장 땅에서 손준 군을 저지했다.[1] 후에 옹주자사가 되어, 263년, 종회, 등애와 함께 촉 정벌전의 대장이 되었다.[1] 등애는 답중에 주둔한 강유를 공격하는 한편, 제갈서는 음평 교두에 주둔하여 강유가 물러나 양안관을 구원하지 못하게 했다. 그러나 강유가 공함곡으로 빠져나와 북쪽으로 나아가 옹주를 공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이에 속아 30리나 후퇴하여 강유가 교두를 빠져나와 검각으로 퇴각하는 길을 열어주었다. 뒤늦게 추격했을 때에는 강유가 하루 전에 이미 교두를 나간 뒤였다. 등애가 음평 길로 나아가 강유성을 치려 하자, 이를 따르지 않고 백수관으로 가 종회(鍾會)와 합류했다. 이로 인해 종회의 고발을 받아 군세를 빼앗기고 도읍에 소환되었다. 그 후, 서진 시대에는 태상을 거쳐 위위를 역임하였다.[2] 《삼국지연의》 속 제갈서[편집] 263년, 등애의 부장이 되어 촉 정벌전에 참전하여, 답중에 있는 강유(姜維)의 퇴로를 끊었으나, 영수(甯隨)의 계책으로 검각으로 패퇴하였다. 이에 격노한 종회에게 죽을 뻔하였지만, 등애의 소속이였기 때문에 군세를 빼앗기고 자신은 낙양으로 호송되었다. 제갈 서의 친족관계[편집] 각주[편집] ↑ 가 나 진수, 《삼국지》 권28 왕관구제갈등종전 ↑ 방현령 등, 《진서》 권31 열전 제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제갈서&oldid=23898011" 분류: 삼국지 위나라의 인물서진 사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日本語ไทย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2일 (금) 12:2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제갈 서(諸葛 緖, ?~?)는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 서진의 정치가며, 제갈충(諸葛 沖)의 아버지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등애의 지휘로 손준군을 몰아낼 때의 지위는 무엇일까? Assistant: 태산태수
Human: 아래 두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두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두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두베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두베 Dubhe 큰곰자리 성도(星圖). 두베(Dubhe)는 그림 중앙에서 약간 위에 있다. 명칭 바이어 명명법 큰곰자리 알파, α UMa, Alpha UMa 플램스티드 명명법 큰곰자리 50 밝은 별 목록 HR 4301 헨리 드레이퍼 목록 HD 95689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SAO 15384 소천성표 BD+62°1161 히파르코스 목록 HIP 54061 다른 이름 아크, Ak, CCDM J11037+6145AB, FK5 417, GC 15185, PPM 17705, WDS J11037+6145AB[1]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별자리 큰곰자리 적경(α) 11h 03m 43.67152s[2] 적위(δ) +61° 45′ 03.7249″[2] 겉보기등급(m) 1.79[3] 절대등급(M) –1.10 ± 0.04[4]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9 km/s[5] 적경 고유운동 –134.11 mas/년[2] 적위 고유운동 –34.70 mas/년[2] 성질 광도 A: 316 L☉[6] 분광형 A: K0 III[6] + B: F0 V[7] U-B 색지수 +0.93[3] B-V 색지수 +1.07[3] 변광성 분류 변광성으로 의심됨.[8] 추가 사항 질량 A: 4.25 / B: ~1.6 M☉[6] 표면온도 A: 4,660 K[9] 중원소 함량 (Fe/H) A: –0.20 ± 0.07[9] 표면 중력 (log g) A: 2.46[9]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두베[10] 또는 큰곰자리 알파(Alpha UMa, α UMa)는 큰곰자리에서 두 번째로 밝은 항성이다. 바이어 명명법 명칭인 '알파'와 달리 별자리에서 가장 밝지는 않다. 목차 1 설명 2 명명법 3 문화 4 각주 설명[편집] 큰곰자리 알파 A와 희미한 짝별 B 두베는 북두칠성의 일원이며 북극성 폴라리스를 향해 나란히 놓여 있는 두 별 중 하나이다. 지구로부터 약 123 광년 떨어져 있으며 중심핵에 있는 수소를 소진하여 주계열 단계를 떠나 거성으로 진화한 상태이다. 맨눈으로 볼 때는 하나의 별처럼 보이지만 사실 두베는 분광쌍성으로 짝별은 분광형 F0 V의 주계열성이다. 두 별은 평균적으로 약 23 천문단위 떨어져 있으며 질량중심을 44.4 년에 1회 공전하고 있다.[7] 이외에 주인별로부터 8 분각 떨어진 곳에 F8 분광형, 7 등급 밝기의 분광쌍성이 또 있다. 이 분광쌍성은 '큰곰자리 알파 C'로 불리기도 하나, 두베와는 별도로 HD 95638 명칭이 부여되어 있다.[7] 두베는 1000분의 1 등급 진폭으로 밝기가 변화하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지금까지 10 가지의 방사진동 형태가 관측되었으며 그 주기는 6.4 시간부터 6.4 일 사이이다.[11] 두베는 큰곰자리를 이루는 구성원이기는 하나 큰곰자리 운동성단(우주공간에서 같은 움직임을 보여주는 별의 무리)에는 속해 있지 않다.[12] 명명법[편집] 큰곰자리 알파는 바이어 명명법 방식으로 붙인 이름이다. 전통적으로 불려오던 이름에는 두베와 '아크'가 있다. 두베는 아랍어로 곰을 의미하는 단어 '두브'에서 왔다. 이 '두브'는 아랍어 구문 ظهر الدب الاكبر‏ ('자르 아드-두브 알-아크바르', 큰곰의 등)에서 유래한 단어이다. 잘 불리지 않는 이름 '아크'는 '눈'이라는 뜻이다.[13] 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항성의 고유명칭을 목록화 및 표준화하는 취지하에 WGSN(항성명칭심의위원회)을 조직했다.[14] 2016년 7월 위원회에서 최초로 발표한 항성명칭 고시문에 두베가 포함되어 정식명칭으로 등재되었다.[15] 동아시아 별자리에서 두베는 자미원(紫微垣)의 북두(北斗, '북쪽의 국자')에 속해 있다. 북두는 두베, 큰곰자리 베타, 감마, 델타, 엡실론, 제타, 에타의 일곱 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두베의 단독 명칭은 북두일(北斗一, '북두의 첫 번째 별) 또는 천추(天樞)이다.[16] 힌두교인들은 이 별을 '일곱 리쉬' 중 한 명인 '크라투'로 부른다.[13] 문화[편집] 두베는 유타주의 공식 주성(州星)이다.[17] 'USS 두베'는 과거 미국 해군 소속이었던 배의 이름이다.[18] 각주[편집] ↑ “DUBHE -- Spectroscopic binary”,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1년 12월 23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Bibcode:2007A&A...474..653V. arXiv:0708.1752. doi:10.1051/0004-6361:20078357.  ↑ 가 나 다 Johnson, H. L.; 외. (1966),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Communications of the Lunar and Planetary Laboratory》 4 (99): 99, Bibcode:1966CoLPL...4...99J  ↑ Carney, Bruce W.; 외. (March 2008), “Rotation and Macroturbulence in Metal-Poor Field Red Giant and Red Horizontal Branch Stars”, 《The Astronomical Journal》 135 (3): 892–906, Bibcode:2008AJ....135..892C, arXiv:0711.4984, doi:10.1088/0004-6256/135/3/892  ↑ Wilson, Ralph Elmer (1953), “General catalogue of stellar radial velocities”, 《Washington》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Bibcode:1953GCRV..C......0W  ↑ 가 나 다 Guenther, D. B.; Demarque, P.; Buzasi, D.; Catanzarite, J.; Laher, R.; Conrow, T.; Kreidl, T. (2000). “Evolutionary Model and Oscillation Frequencies for α Ursae Majoris: A Comparison with Observations”. 《The Astrophysical Journal》 530 (1): L45–L48. Bibcode:2000ApJ...530L..45G. PMID 10642202. doi:10.1086/312473.  ↑ 가 나 다 Tokovinin, A. A. (1997). “MSC - a catalogue of physical multiple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Series》 124: 75. Bibcode:1997A&AS..124...75T. doi:10.1051/aas:1997181.  ↑ Samus, N. N.; Durlevich, O. V.; 외. (2009).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VizieR On-line Data Catalog: B/gcvs. Originally published in: 2009yCat....102025S》 1. Bibcode:2009yCat....102025S.  ↑ 가 나 다 McWilliam, Andrew (December 1990), “High-resolution spectroscopic survey of 671 GK giants. I - Stellar atmosphere parameters and abundances”,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74: 1075–1128, Bibcode:1990ApJS...74.1075M, doi:10.1086/191527  ↑ “IAU Catalog of Star Names”.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Buzasi, D.; Catanzarite, J.; Laher, R.; Conrow, T.; Shupe, D.; Gautier, T. N.; Kreidl, T.; Everett, D. (2000). “The Detection of Multimodal Oscillations on α Ursae Majoris”. 《The Astrophysical Journal》 532 (2): L133. Bibcode:2000ApJ...532L.133B. PMID 10715242. arXiv:astro-ph/0002512. doi:10.1086/312573.  ↑ Motz, Lloyd; Nathanson, Carol (1988). 《The Constellations: An Enthusiast's Guide To The Night Sky》. Doubleday. 39쪽. ISBN 978-0385176002.  ↑ 가 나 Allen, R. H. (1963).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Reprint판. New York: Dover Publications Inc. 438쪽. ISBN 0-486-21079-0. 2012년 9월 4일에 확인함.  ↑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PDF).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6 月 15 日 ↑ State of Utah. “Utah State Centennial Star - Dubhe”. 《Utah's Online Library》. 2018년 2월 14일에 확인함.  ↑ “Section Patrol Craft Photo Archive Dubhe (ID 2562)”. 《NavSource Online》. 2018년 2월 14일에 확인함.  좌표: 11h 03m 43.7s, +61° 45′ 03″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두베&oldid=24042647" 분류: 큰곰자리다중성K형 거성F형 주계열성유타주의 상징바이어 천체플램스티드 천체변광성 후보숨은 분류: 기타 외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Беларуская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urlanעבריתहिन्दी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ëtzebuergeschNederlandsNorsk nynorskNorsk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6일 (화) 14: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두베 또는 큰곰자리 알파(Alpha UMa, α UMa)는 큰곰자리에서 두 번째로 밝은 항성이다. 바이어 명명법 명칭인 '알파'와 달리 별자리에서 가장 밝지는 않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큰곰자리 알파를 힌두교인들은 무엇이라고 부르는가? Assistant: 크라투 Human: 아래 장시성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장시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시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시 성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江西省 Jiāngxī Shěng 약자: 赣 행정 단위 성 청사소재지 난창 (南昌) 면적 166,900km² (18위) 인구 (2007년) 인구밀도 45,290,000 (13위) 271/km² (16위) 공산당 서기 류치(刘奇) 성장 이롄훙(易炼红) 민족 한족 - 99.7%쉐족 - 0.2% ISO 3166-2 CN-36 시차 UTC+8 웹사이트: www.jiangxi.gov.cn 장시성(강서성, 중국어: 江西省, 병음: Jiāngxī Shěng)은 중화인민공화국 중남부에 있는 성이다. 창강 남쪽에 있으며 성도는 난창이다. 목차 1 역사 2 지리 3 경제 4 행정구역 5 문화 6 관광 7 자매 도시 8 외부 링크 역사[편집] 춘추전국시대에는 주로 초나라의 영역이며, 한나라 때는 양주에 속했다. 오대십국의 시기에는 남당이 홍주를 도읍으로 하여 이것이 남창의 기원이 되었다. 원나라 때는 현대의 장시성 지역에 가까운 강서행성이 성립되었고, 명청 시대도 이것에 준했다. 명대에 경덕진의 도자기가 활발하게 생산되어 해외에까지 수출되었다. 중화민국 때는 강서 남부 산간지대는 마오쩌둥의 정강산 혁명 근거지가 되었고, 중화소비에트공화국의 임시 정부가 서금에 놓였다. 중국 국민당의 공세에 의해 중국 공산당은 서금을 폐쇄하고 옌안을 목적지로 하는 장정에 나서게 된다. 지리[편집] 중국 중부의 내륙부에 위치해, 북쪽은 후베이성, 안후이 성, 동쪽은 저장성, 푸젠성, 남쪽은 광둥성, 서쪽은 후난성과 접한다. 성 북부는 장강 남해안이 되어, 중국 최대의 담수호인 《포양 호》가 펼쳐진다. 남부는 산지 지형으로, 중국공산당 역사상 유명한 《정강산》도 있다. 경제[편집] 벼농사가 주요 작물이며, 유채와 면화와 같은 환금작물도 재배된다. 장시 성은 미네랄이 풍부하여 구리나 텅스텐, 금, 은, 우라늄, 토리움, 탄타룸, 니오비움 등의 매장량이 중국에서도 수위에 있다. 구리 광산이 있는 데싱과 텅스텐 광산이 있는 다유현은 광산으로 유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차 산업이 발달한 장시 성은 주위의 성들과 비교할 때 가난한 성에 해당하며, 이것은 주변의 다른 성들이 중국에서 가장 부유한 성들 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장시 성의 기술과 경제의 중심지는 난창이다. 행정구역[편집] 11개의 지급시에 25개의 시직할구, 11개의 현급시와 64개의 현이 있다. 지급시는 다음과 같다. 장시 성의 행정구역 № 이름 한자 병음 면적(Km2) 인구(2010년) 시청소재지 지급시 1 난창 시(남창시) 南昌市 Nánchāng Shì 7432.18 5,042,565 둥후 구 2 징더전 시(경덕진시) 景德镇市 Jǐngdézhèn Shì 5256.23 1,587,477 창장 구 3 핑샹 시(평향시) 萍乡市 Píngxiāng Shì 3823.99 1,854,510 안위안 구 4 주장 시(구강시) 九江市 Jiǔjiāng Shì 18796.79 4,728,763 쉰양 구 5 신위 시(신여시) 新余市 Xīnyú Shì 3177.68 1,138,873 위수이 구 6 잉탄 시(응담시) 鹰潭市 Yīngtán Shì 3556.74 1,124,906 웨후 구 7 간저우 시(감주시) 赣州市 Gànzhōu Shì 39317.14 8,368,440 장궁 구 8 지안 시(길안시) 吉安市 Jí'ān Shì 25283.80 4,810,340 지저우 구 9 이춘 시(의춘시) 宜春市 Yíchūn Shì 18637.67 5,419,575 위안저우 구 10 푸저우 시(무주시) 抚州市 Fǔzhōu Shì 18811.12 3,912,312 린촨 구 11 상라오 시(상요시) 上饶市 Shàngráo Shì 22826.04 6,579,714 신저우 구 문화[편집] 징더전의 도자기 공예 국가역사문화명성으로 도자기로 유명한 징더전이 있다. 장시 성은 역사 이래로 선종의 중심지였고, 하카 건축의 뛰어난 예를 발견할 수 있는 곳이다. 다른 지방에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장시의 요리도 풍부하고 특징적이다. 향이 중국 내에서도 강한 편에 속하며, 매운 고추와 피클 등의 강한 재료를 많이 사용한다. 장시 성 북쪽 3분의 2는 간어의 사용자가 집중된 지역이다. 난창화, 이춘화, 지안화가 이에 포함된다. 성 남쪽 3분의 1은 하카어를 사용한다. 또한 성 북쪽 경계를 따라 만다린어, 후이저우어, 우어가 사용된다. 간주는 중국 희곡의 하나로 장시 성에서 행해지는 독특한 문화이다. 장시성은 오랫동안 불교 선종의 역사적 중심지였으며, 하카 건축의 빼어난 예가 많다. 관광[편집] 루샨 국립공원 지우장 시의 북쪽 항 근처는 루 산의 리조트 지역으로 유명하다. 또한 시 근처의 둥린 사와 티에푸 사는 주요 불교 사원이다. 루 산 (庐山 려산) - 세계자연유산 산칭 산 (三清山 삼청산) - 세계자연유산 둥린 사 (东林寺 동림사) 티에푸 사 (铁佛寺 철불사) 룽후 산 (龙虎山 용호산) 자매 도시[편집] 필리핀 보홀 주 미국 켄터키주 브라질 마투그로수두술주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장시성 (중국어) 공식 홈페이지 vdeh장시성의 행정구역 성도: 난창시 난창시 둥후구 시후구 칭윈푸구 완리구 칭산후구 신젠구 난창현 진셴현 안이현 징더전시 주산구 창장구 러핑시 푸량현 핑샹시 안위안구 샹둥구 롄화현 상리현 루시현 주장시 쉰양구 롄시구 차이쌍구 뤼창시 궁칭청시 루산시 우닝현 펑쩌현 융슈현 슈수이현 후커우현 더안현 두창현 신위시 위수이구 펀이현 잉탄시 웨후구 위장구 구이시시 간저우시 장궁구 난캉구 간셴구 루이진시 스청현 안위안현 닝두현 쉰우현 싱궈현 딩난현 상유현 위두현 룽난현 충이현 신펑현 취안난현 다위현 후이창현 지안시 지저우구 칭위안구 징강산시 지안현 융펑현 융신현 신간현 타이허현 샤장현 쑤이촨현 안푸현 지수이현 완안현 이춘시 위안저우구 펑청시 장수시 가오안시 퉁구현 징안현 이펑현 펑신현 완짜이현 상가오현 푸저우시 린촨구 둥샹구 난펑현 러안현 진시현 난청현 쯔시현 이황현 광창현 리촨현 충런현 상라오시 신저우구 광펑구 더싱시 상라오현 포양현 우위안현 옌산현 위간현 헝펑현 이양현 위산현 완녠현 vdeh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성 간쑤성 광둥성 구이저우성 랴오닝성 산둥성 산시성 (산서성) 산시성 (섬서성) 쓰촨성 안후이성 윈난성 장시성 장쑤성 저장성 지린성 칭하이성 푸젠성 하이난성 허난성 허베이성 헤이룽장성 후난성 후베이성 자치구 광시 좡족 자치구 내몽골 자치구 티베트 자치구 신장 위구르 자치구 닝샤 후이족 자치구 직할시 베이징시 상하이시 충칭시 톈진시 특별행정구 마카오 홍콩 타이완성(현재는 분리된 타이베이, 가오슝, 신베이, 타이중, 타이난 시 포함)과 푸젠성 일부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실효 통치 지역이 아니며 중화민국의 영토이다.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39032961 LCCN: n79128971 GND: 4110252-6 BNF: cb12066284j (데이터) NDL: 00777888 NKC: ge88462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장시성&oldid=24421128" 분류: 장시성숨은 분류: 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cèh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བོད་ཡིགBrezhonegCatalàMìng-dĕ̤ng-ngṳ̄НохчийнCebuano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NordfriiskGaeilge贛語Gaelg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KongoLatinaLietuviųLatviešu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vialKapampanganPolski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inaray吴语Vahcuengh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3일 (목) 17:0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장시성(중국어: 江西省, 병음: Jiāngxī Shěng) 또는 강서성은 중화인민공화국 중남부에 있는 성이다. 창강 남쪽에 있으며 성도는 난창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장시성에서는 무슨 재료를 음식에 많이 사용할까? Assistant: 매운 고추와 피클
Human: 아래 강하엽병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강하엽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강하엽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4년 2월) 크레타 침공 당시 낙하산강착 강하엽병(降下獵兵, 독일어: Fallschirmjäger 팔쉬름예거[*])는 독일에서의 공수부대의 명칭이다. 원어인 팔쉬름(Fallschirm)은 낙하산, 예거(jäger)는 엽병(경보병)을 의미하며 독일어에서는 자국 이외의 공수부대도 "팔쉬름예거"라고 부른다. 나치 독일의 팔쉬름예거는 제2차 세계 대전 최초로 대규모 강하작전을 실시한 부대이며 대규모 강하작전을 수행할 수 없게 된 대전중기 이후는 정예보병부대로서 활약했다. 사령관은 크루트 슈투덴트로 이 부대가 존재했던 기간 내내 역임하였다. 영연방이나 미국의 공수부대와는 달리 독일의 팔시름예거는 일부 예외를 빼곤 육군이 아닌 공군소속관할이었다. 목차 1 역사 2 작전 3 장비 4 목록 4.1 독일 국방군 4.1.1 공군 4.1.1.1 대규모부대 4.1.1.2 사단 4.1.1.3 여단 및 연대 4.1.2 그 외 부대 4.1.2.1 무장친위대SS 4.1.2.2 육군 5 참고 자료 역사[편집] 독일군 최초의 공수부대는 1936년 1월 2일에 결정되었다. 독일 공군(루프트바페)의 괴링연대 제1대대에서 모집한 24명의 훈련생이 그들이었다. 이들은 3월에 슈텐달에서 공군이 개설한 낙하산 강하 훈련 학교에서 훈련을 실시했다. 1936년 10월에는 중낙하산 보병중대(Schwere-Fallschirminfanterie-Kompanie)의 편제가 결정되었고 1937년부터 공군시설을 빌려 훈련을 개시했다. 이 부대는 1938년 6월 1일부로 대대로 증강되었는데 1939년 1월 1일을 기해 공군으로 이관되었고 제1팔쉬름예거 연대 제2대대로 나뉘었다. 개전초기엔 몇 개 대대뿐이던 병력은 그 후 3개 팔슈름야거 연대에 지원화기 및 항공기를 추가하여 사단규모까지 확대하였다. 이것이 제7항공사단(제1팔쉬름예거사단의 전신)이다. 1940년 4월 9일 강하엽병 부대는 덴마크 침공에서 최초로 강하작전을 실시했다. 이들은 이른 아침 올보르공항을 공격, 점령했다. 이 공항은 이후 노르웨이 침공에서 독일 공군의 연료보급기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된다. 또 이 공격에서 올보르 주변의 다리 여러곳을 점거하였다. 이날은 마스네도 요새공격 등 덴마크 내 여러곳에서 강하작전이 펼쳐졌다. 적과의 교전이 있던 최초의 공수공격은 베젤 연습작전 초기 노르웨이 스타방에르 인근의 솔라공항을 탈취한 때이다. 이에 이은 노르웨이전에서는 강하엽병 최초의 패배도 있었다. 1940년 4월 14일 1개 중대가 돔바스의 마을과 철도접합점에 강하, 노르웨이 공군에 의해 격파되었다. 이후엔 제7항공사단의 강하엽병이 재편성되어 새로운 공군엘리트 보병사단군의 중심이 되었다. 이들 사단에는 제1강하엽병 사단에서부터 순서대로 번호를 붙였다. 각 사단은 기계화보병사단으로서의 편성과 장비를 제공받았고 서부전선에서 때때로(적공세에 대한) 「소방부대」역할을 맡는 경우가 있었다. 그 구성부대는 전장에선 사단에서 분리된 임시전투단 편성으로 있거나 머릿수만 채운 부대나 장비로 편성되는 일도 있었다. 이들 부대는 독일군의 관습대로, 이를테면 프랑스전 때의 ‘에르트만 집단’, 북아프리카의 람케 강하엽병 여단(Fallschirmjäger-Brigade Ramcke)같이 지휘관의 이름으로 불렀다. 1944년 중기 이후 강하엽병은 전황변화로 인해 강하훈련을 시행하지 않게 되었지만 일종의 경칭으로서 ‘강하엽병’라는 명칭은 그대로 사용하였다. 대전말기의 팔쉬름예거 사단은 12개 이상으로 늘었고 신설사단에선 훈련부족으로 질이 떨어져있었다. 이들 사단 중 제9강하엽병사단은 제2차 대전중에 독일에서 창설된 마지막 강하엽병 사단이었다. 이 사단은 1945년 4월 베를린 전투 중 괴멸되었다. 또한 같은 공군소속이라도 이들 강하엽병 사단과 독일공군야전사단은 별개였다. 야전사단은 독일공군의 잉여병력으로 창설된 편성, 운용 모두 빈약한 경보병사단이었다. 54,449명 이상의 강하엽병이 전사했으며 8000명 이상이 행방 불명되었다. 작전[편집] 강하엽병은 1940년의 강하작전에서 에반에말 요새의 점령, 북유럽침공에서의 강하작전, 1944년의 몬테카시노 전투, 노르망디 상륙작전에서의 카랑탕 방위전(TV드라마 《밴드 오브 브라더스》에 묘사되어있다.) 등 많은 격전지에 참전하였다. 강하엽병의 가장 유명한 강하작전은 1941년 크레타 전투이다. 제7항공사단의 거의 대부분이 투입된 이 작전은 당초부터 차질이 있어서 강하 중이나 착지직후에 공격을 받아 전사하는 병사가 줄을 이었다. 또 당시엔 소총이나 기관총 등 부피가 큰 장비는 컨테이너에 넣어서 투하했는데 병사와 한참 떨어진 위치에 투하되어 회수할 때까지 권총이나 수류탄으로만 싸워야하는 처지에 놓이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비행장을 점거하고 나서야 수송기로 제5산악엽병사단의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 격전 끝에 어떻게든 크레타섬을 점령했지만 강하엽병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이를 본 히틀러는 이런 종류의 대규모 강하작전은 성공가망이 희박하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 작전에선 강하 이전의 기습효과를 잃고 있었으며 이를 잃지 않았다면 피해를 줄일 가능성이 있었다. 한편 연합군도 대규모 강하작전을 할 때마다 손해가 늘어났기에 대전말기에는 비슷한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1943년 12월 20일부터 28일에 걸쳐 제1팔쉬름예거 사단 3연대 3대대는 이탈리아 오르토나 전투에 참가하였다. 몬테카시노 전투 중 제1강하엽병사단은 일반 보병으로서 행동하였다. 추축국이 건물을 이용할 위험이 있기에 연합군이 몬테카시노 수도원을 폭격으로 파괴한 결과 이 잔해는 공교롭게도 깨진 바위조각으로 만들어진 견고한 요새처럼 되었고 그 때문에 남은 팔쉬름예거는 거듭되는 돌격이나 엄청난 포격에도 끈질기게 버티며 수 개월간 전투를 지속할 수 있었다. 연합군은 팔쉬름예거의 굳건한 수비에 대해 ‘녹색 악마’라는 별명을 붙였고 그들이 측면으로부터 포위될 위험성 때문에 철수한 후에서야 폴란드군과 프랑스령 모로코부대가 수도원터를 점령할 수 있었다. 장비[편집] 일반적인 독일군 헬멧(우측)과 팔시름예거 헬멧(좌측 뒤) 강하엽병의 장비는 보통의 경우 매우 양호했으며 독일군에서도 가장 우수한 무기를 지급받았다. 이들은 전자동사격이 가능한 자동소총이나 무반동포, 겔릭포를 실전에서 사용한 최초의 부대이다. 또 강하엽병에게는 독일군의 근대화된 헬멧 ‘슈탈헬름 M1935’을 기초로한 전용헬멧이 지급되었다. 강하 중에 낙하산줄에 걸리지 않게 하기 위해 외형은 표준헬멧에서 전방의 차양과 측면에서부터 후면까지의 굴곡을 축소한 형상이 되었고 가죽제 안쪽머리받이나 턱끈도 전용구조로 변경하였다. 강하엽병이 사용한 낙하산은 캐노피가 연합군 것처럼 양쪽어깨 부분에서 하네스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등 중앙의 끈 하나로 연결된 방식이기 때문에 강착자는 하강 중에 자세제어를 거의 할 수 없었으며 또 비행기에서 앞으로 펼친 자세로 뛰어내려야만 했다. 게다가 무릎과 팔꿈치로만 착지하기 때문에 패드를 장착하고 있어도 부상율은 현저히 높았다. 강하시에 휴대할 수 있는 장비의 수도 적었으며 권총집에 넣은 권총 한 정과 수류탄, 짧은 대검 정도였다. 소총, 기타 무기는 병사와는 별도로 컨테이너에 수납하여 투하했기 때문에 회수할 때까지는 빈약한 무장 상태였다. 이에 반해 대전 중기 이후에 실전투입된 연합군 공수부대는 케이스에 넣은 소총이나 기관단총을 휴대하고 강하했다. 일본군의 낙하산부대도 팔렘방의 강하작전에서 무장컨테이너를 회수할 때까지 경장비로 전투해야만 했다. 이 때문에 일본군 낙하산부대도 나중에 기관단총이나 분할식소총을 장비했다. FG42를 겨누고 있는 병사 이 장비문제에 대하여 헤르만 괴링은 소총, 기관단총, 경기관총의 기능을 통일한, 게다가 경량이며 강하시에 휴대할 수 있는 범용무기의 개발을 지시했고, FG42가 만들어졌다. 이것은 1943년부터 종전까지 소수가 제조, 배치되었다. 목록[편집] 독일 국방군[편집] 공군[편집] 대규모부대[편집] 제1강하엽병군 (Erste Fallschirmjägerarmee) 제1강하엽병군단(I. Fallschirmjägerkorps) 제2강하엽병군단II. Fallschirmjägerkorps) 사단[편집] 제1강하엽병사단(1.Fallschirmjägerdivision) 제2강하엽병사단(2.Fallschirmjägerdivision) 제3강하엽병사단(3.Fallschirmjägerdivision) 제4강하엽병사단(4.Fallschirmjägerdivision) 이탈리아군 공수사단에서 많은 병사가 추가되었다. 제5강하엽병사단5.Fallschirmjägerdivision) 제6강하엽병사단(6.Fallschirmjägerdivision) 제7강하엽병사단(7.Fallschirmjägerdivision) 제8강하엽병사단(8.Fallschirmjägerdivision) 제9강하엽병사단(9.Fallschirmjägerdivision) 제10강하엽병사단(10.Fallschirmjägerdivision) 제11강하엽병사단(11.Fallschirmjägerdivision) 미편성 제20강하엽병사단(20.Fallschirmjägerdivision) 미편성 제21강하엽병사단(21.Fallschirmjägerdivision) 미편성 강하엽병 훈련보충사단(Fallschirmjäger-Ausbildungs-und-Ersatz-Division) 여단 및 연대[편집] 람케 강하엽병여단 강습돌격연대 (Luftlande-Sturmregiment) 제1, 2, 3, 4 대대로 편성 바렌틴 연대 (Luftwaffen-Regiment Barenthin) 타부대에서 소집된 병사로 구성 강하 돌격포 여단 3호 돌격포 및 4호 돌격포를 장비한 돌격포 부대 제11 강하돌격포 여단(Luftwaffen-Regiment Barenthin XI) 제12 강하돌격포 여단(Fallschirm-Sturmgeschütz-Brigade XII) 교도강하엽병연대(Fallschirmjäger-Lehrregiment) 강하엽병연대 z.b.V(Fallschirmjäger-Regiment z.b.V) 휘브너 강하엽병연대(Fallschirmjäger-Regiment Hübner) 그 외 부대[편집] 무장친위대SS[편집] 제500 SS 강하엽병대대(500. SS-Fallschirmjäger-Bataillon) 제600 SS 강하엽병대대(600. SS-Fallschirmjäger-Bataillon) 육군[편집] 중강하엽병중대(Schwere-Fallschirminfanterie-Kompanie) 브란덴부르크 연대(Brandenburg-Regiment) 제22 강습보병사단(22.Luftlande-Infanterie-Division) 제91 강습보병사단(91.Luftlande-Infanterie-Division) 참고 자료[편집] 《알기쉬운 제2차 세계대전사 5》 이대영 저 - 호비스트 출판 돔바스 전투에서의 팔슈름야거 미국 전략전술보고 제2차대전에서의 팔슈름야거 Report vdeh 강하엽병 제부대의 기사십자 철십자장 수훈자 헤르베르트 아프라티스 하인츠 파울 아돌프 구스타프 알트만 헬무트 아르프케 요제프 바르메틀러 카를하인츠 베커(곡엽) 에리히 바이네 카를 베르거 헤르베르트 바이어 에른스트 블라우엔슈타이너 볼프강 폰 블뤼허 백작 루돌프 뵐라인 루돌프 뵈흐믈러 브루노 브레우어 만프레트 뷔트너? 게오르크 르쿨트르 에곤 델리카 루돌프 돈트 라인하르트 카를 에거(곡엽) 요한 엥겔하르트 볼프강 에르트만 베르너 에발트 페르디난트 폴틴 헤르베르트 프리스 에른스트 프뢰밍 빌헬름 풀다 로베르트 가슈트 알프레트 겐츠 발터 게리케(곡엽) 에른스트 게르머 지크프리트 게르슈트너 헬무트 구스타프 괴르츠 프란츠 그라스멜(곡엽) 쿠르트 그뢰슈케(곡엽) 안드레아스 하글 라이노 하머 프리드리히 하우버 리하르트 하이드리히(곡엽검) 루트비히 하일만(곡엽검) 에리히 헬만 하리 헤어만 막스 헤르츠바흐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폰 데어 하이테 남작(곡엽) 요하네스마티아스 횐샤이트 에두아르트 게오르크 휘프너 게오르크 루페르트 야코프 롤프 카를 에른스트 예거 박사 지크프리트 얌로프스키 빌헬름 켐프케 호르스트 케르핀 헬무트 케루트 카를 코흐 발터 코흐 빌리 코흐 루돌프 크라트체르트 하인츠 크링크 한스 크로흐(곡엽검) 마르틴 퀴흐네 루돌프 쿠르츠 카를 랑게마이어 박사 에리히 레프코프스키 발터 리빙 롤프 마거 요하네스 마르숄레크 오이겐 마인들(곡엽검?) 요아힘 마이스너 오토 멩게스 게르하르트 메르틴스 하인츠 마이어(곡엽) 베르너 밀히 박사 게르트 미슈케 카를 노이호프 하인리히 노이만 하인리히 오르트 후고 파울 헤르베르트 파이트슈 에리히 피트촌카(곡엽) 프리츠 프라거 헤르만베른하르트 람케(곡엽검금강석) 지크프리트 라멜트 에른스트 빌리 라프레거 아돌프 라이닝하우스 파울에른스트 레니슈 루돌프 레네케(곡엽) 헬무트 링글러 아르놀트 폰 론 발터 잔데르 브루노 자센 게르하르트 샤흐트 마르틴 셰흐터 리하르트 슈임프 호르스트 슈임프케 게르하르트 슈이르머(곡엽) 알프레트 슐렘 헤르베르트 슈미트 레온하르트 슈미트? 카를로타르 슐츠(곡엽) 에리히 슈스터 알프레트 슈바르츠만 귄터 젬페르트 후베르트 슈니어스 알베르트 슈테켄 에트가어 슈텐트츨러 쿠르트 슈테파니 귄터 슈트라에흘러포흘 쿠르트 슈투덴트(곡엽) 알프레트 슈투름 카를 슈테판 타네르트 한슷 토이젠 코르트 티톈 에리히 팀 루돌프 토스흐카 호르스트 트레베스 하인리히 트레트너(곡엽) 헤르베르트 트로트츠 알렉산더 울리히 쿠르트 베트 피크토어 피탈리? 헬무트 바그너 에리히 발터(곡엽검) 프리드리히빌헬름 방게린 하인리히 벨슈코프 발터 베르너 한스카를 비티히 루돌프 비트치히(곡엽) 힐마르 차흔 오토 지라흐       ← 이 색깔 음영이 칠해진 것은 수훈 여부에 의심의 여지가 있음을 의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강하엽병&oldid=22730091" 분류: 독일의 공수 부대 및 조직낙하산병독일어 낱말루프트바페독일의 특수부대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4년 2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עבריתMagyar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PolskiPortuguêsСрпски / srpski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9일 (화) 08: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강하엽병(降下獵兵, 독일어: Fallschirmjäger 팔쉬름예거[*])는 독일에서의 공수부대의 명칭이다. 원어인 팔쉬름(Fallschirm)은 낙하산, 예거(jäger)는 엽병(경보병)을 의미하며 독일어에서는 자국 이외의 공수부대도 "팔쉬름예거"라고 부른다. 나치 독일의 팔쉬름예거는 제2차 세계 대전 최초로 대규모 강하작전을 실시한 부대이며 대규모 강하작전을 수행할 수 없게 된 대전중기 이후는 정예보병부대로서 활약했다. 사령관은 크루트 슈투덴트로 이 부대가 존재했던 기간 내내 역임하였다. 영연방이나 미국의 공수부대와는 달리 독일의 팔시름예거는 일부 예외를 빼곤 육군이 아닌 공군소속관할이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강하엽병에 가장 유명한 작전은 무슨전투인가요? Assistant: 크레타 전투 Human: 아래 금치훈장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금치훈장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금치훈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공2급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공2급 금치훈장(공1급 금치훈장 부장) 공4급 금치훈장 금치훈장(일본어: 金鵄勲章 킨시쿤쇼[*], 영어: Order of the Golden Kite)은 일본의 훈장 가운데 하나이다. 수여 대상은 일본 제국 육군과 일본 제국 해군의 군인과 군속이다. 금치장(金鵄章)이라고도 불리었다. 이름의 유래는 진무 천황의 동정(東征)에서 진무의 활 시위에 멈춘 황금빛의 솔개가 빛을 발하여 나가스네히코의 군대에게 현기증을 나게 하였다는 일본 신화에 근거한다. 목차 1 역사 2 공급 2.1 공1급 2.2 공2급 2.3 공3급 2.4 공4급 2.5 공5급 2.6 공6급 2.7 공7급 3 디자인 4 각주 5 외부 링크 역사[편집] 금치훈장은 1890년 메이지 23년 2월 11일(기원절) 메이지 천황이 발표한 〈금치훈장창설조칙〉(金鵄勲章創設ノ詔勅)에 의해 만들어졌고, 같은 날 공표된 칙령 11호 〈금치훈장 등급제식과 패용식〉[1] 에 따라 제식 등의 여러 사항이 제정되었다. 무공이 뛰어난 자들을 공1급부터 시작하여, 공7급까지 일곱 등급으로 나누어 공급에 따라 훈장을 수여하게 하였다. 청일 전쟁 시작 후 1892년 9월 29일에는 〈금치훈장연금령〉[2] 이 제정되어 “공급에 따라 종신 연금”을 주도록 하였다.[3] 1945년 태평양 전쟁의 패전 후에 금치훈장에 대한 사무를 소관하고 있던 육군성과 해군성이 모두 폐지되었고, 각각 제1복원성, 제2복원성이 사무를 이어갔다. 이듬해 1946년에는 생존자에 대한 서훈이 일시 정지되었다. 1947년 5월 3일에는 일본 헌법이 시행되었다. 연합군 최고사령부(GHQ)의 지시에 의하여 이날 시행된 〈내각 관제 폐지 등에 관한 정령〉[4] 1조에 따라 〈금치훈장 서사조례〉(金鵄勲章叙賜条例)[5] 〈금치훈장 등급제식과 패용식〉 등이 폐지되었기 때문에, 금치 훈장은 폐지되었다. 2003년 일본에서는 법 개정까지 훈장의 등급을 숫자로 나타내고 있었다. 금치훈장의 등급은 공급(功級)으로 불리어서 ‘공n급’으로 표시하였다. 직함 표기를 할 때 표시 순서는 직위 → 계급 → 위계 → 훈등 → 공급 → 작위 →학위 → 이름 순이다. 예를 들자면 ‘추밀원 의장 원수 육군 대장 종일위 대훈위 공일급 공작 야마가타 아리토모’로 표기한다. 공급[편집] 공1급 금치훈장을 패용한 가타오카 시치로(해군 정장) 육군 정장으로 오른쪽 가슴에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에 나란히 공1급 부장을 패용한 가와무라 가게아키 육군 약장으로 공1급 부장을 오른쪽에 패용한 오카무라 야스지 금치훈장에 부수하여 서훈을 받은 군인의 공적을 나타내기 위한 등급이다. 위계, 훈등과 더불어 ‘공○급’과 같은 형식으로 표시를 했다.[6] 각 급은 공식적으로 공급 금치훈장처럼 등급 + 금치훈장 형태로 불린다. 또한 공급에 따라 하사되는 연금도 달라졌다. 공1급[편집] 대상 : 천황 직례부대의 장관(친보직) 사령관에게 특별 전위를 수여한다. 패용 : 정장은 대수로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에 숙이고, 부장은 왼쪽 갈빗대에 패용한다. 연금 : 900엔 공2급[편집] 대상 : 공로가 있는 장군, 영관급 최상위 공급이다. 패용 : 정장(공1급 금치훈장과 동일)은 오른쪽 늑골에 패용한다. 연금 : 650엔 공3급[편집] 대상 : 장관이 첫 서임받는 급수이며, 공로가 있는 영관, 위관의 최상위 공급이다. 패용 : 정장 (공2급 금치부장과 동일)은 중수로 목에 패용한다. 연금 : 400엔 공4급[편집] 대상 : 영관급에게 처음 서임되는 공급. 위관, 준사관, 하사관의 최상위 공급 패용 : 정장은 소수로 왼쪽 갈빗대에 패용한다. 연금 : 210엔 공5급[편집] 대상 : 위관급에게 처음 서임되는 공급. 또한 공로가 있는 준사관, 하사관의 공급. 또한 최상의 병사의 공급 패용 : 정장은 소수로 왼쪽 갈빗대에 패용한다. 연금 : 140엔 공6급[편집] 대상 : 준사관, 하사관에게 처음 서임되는 공급이다. 또한 공로가 있는 병사의 공급이 된다. 패용 : 정장은 소수로 왼쪽 갈빗대에 패용한다. 연금 : 90엔 공7급[편집] 대상 : 사병들에게 처음 서임되는 공급이다. 패용 : 정장은 소수로 왼쪽 갈빗대에 패용한다. 연금액 : 65엔 디자인[편집] 공급에 따른 리본 공7급 공6급 공5급 공4급 공3급 공2급 공1급 각주[편집] ↑ 「金鵄勲章ノ等級製式及佩用式」, 칙령 제11호, 1890년 2월 11일 ↑ 〈금치훈장연금령〉(金鵄勲章年金令), 1894년 칙령 제173호 ↑ 〈금치훈장연금령〉(金鵄勲章年金令), 1894년 칙령 제173호, 제1조 ↑ 「内閣官制の廃止等に関する政令」, 1947년 쇼와 22년 정령 제4호 ↑ 〈금치훈장 서사조례〉(金鵄勲章叙賜条例), 1894년 칙령 제193호 ↑ 肩書きにおける表示順は、職、階級、위계, 훈등, 공급, 작위, 학위, 성명となる(예:추밀원의장 원수육군대장종1위대훈위공1급공작山縣有朋)。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금치훈장 Japan, Cabinet Office: 장식과 메달—금치훈장, 현 훈장 제도에서 언급하지 않은 것 일본 조폐국: 금치훈장 제작 과정 제2차 세계 대전 일본 제국 해군 금치훈장 수상 vdeh 일본의 훈장국화장 대훈위 국화장경식 대훈위 국화대수장 동화장 동화대수장(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욱일장 욱일대수장(훈일등 욱일대수장) 욱일중광장 욱일중수장 욱일소수장 욱일쌍광장 욱일단광장 서보장 서보대수장 서보중광장 서보중수장 서보소수장 서보쌍광장 서보단관장 보관장보관대수장 보관모단장 보관백접장 보관등화장 보관행엽장 보관파광장문화훈장 문화훈장 수장자 목록 폐지된 훈장 금치훈장 관련항목 훈장 위계 포장 상배 위험업무종사자서훈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금치훈장&oldid=23276127#공급" 분류: 일본의 군사훈장금치훈장 수훈자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Čeština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עברית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ไทย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16일 (일) 15: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금치훈장(일본어: 金鵄勲章 킨시쿤쇼[*], 영어: Order of the Golden Kite)은 일본의 훈장 가운데 하나이다. 수여 대상은 일본 제국 육군과 일본 제국 해군의 군인과 군속이다. 금치장(金鵄章)이라고도 불리었다. 이름의 유래는 진무 천황의 동정(東征)에서 진무의 활 시위에 멈춘 황금빛의 솔개가 빛을 발하여 나가스네히코의 군대에게 현기증을 나게 하였다는 일본 신화에 근거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금치훈장에서 직함을 표기할 때 가장 마지막에 적는 요소는 뭐야? Assistant: 이름
Human: 아래 아스테릭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아스테릭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스테릭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영화에 대해서는 아스테릭스 (영화)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아스테릭스》(프랑스어: Astérix or Astérix le Gaulois, 영어: Asterix)는 프랑스의 르네 고시니가 쓰고 알베르 우데르조가 그린 만화로, 1959년 10월 29일 프랑스의 만화 잡지 삘로뜨(Pilote)에 처음 발표되었다. 1977년 고시니가 사망하고 나서는 우데르조가 혼자 만화를 그리고 있다. 로마군과 싸우는 켈트족 전사들의 이야기이다. 2009년을 마지막으로 총 34권이 출판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문학과지성사에서 2001년부터 2008년에 걸쳐 33권까지 간행하였으며, 2013년 3월에 최종권인 34권을 출판함으로써 완간되었다.[1] 목차 1 등장인물 1.1 켈트족 1.1.1 갈리아 또는 골(프랑스) 1.1.2 브르통(영국) 1.1.3 헬베티아(스위스) 1.2 라틴족 1.2.1 로마제국(이탈리아) 1.3 게르만족 1.3.1 고트 (독일) 1.3.2 노르만(북유럽) 1.3.3 벨기에 1.4 이집트인(이집트) 2 작품 목록 3 영화 4 각주 5 외부 링크 등장인물[편집] 켈트족[편집] 갈리아 또는 골(프랑스)[편집] 아스테릭스 키작은 꾀돌이 전사. 마법 물약을 마시면 힘이 세진다. 오벨릭스 아스테릭스의 가장 친한 친구. 직업은 선돌 배달부. 어렸을 적 물약통에 빠져 평생 그 효과를 보게 됐다. 애완견 이데픽스를 항상 데리고 다닌다. 파노라믹스 드루이드교 사제. 여러 가지 물약과 시약을 만들 수 있는데, 특히 '마법 물약'은 초인적인 힘이 생기는 해 아스테릭스를 비롯한 골족(族) 사람들이 많이 이용함을 볼 수 있다. 아브라라쿠르식스 마을의 대장. 항상 하늘이 무너질까봐 걱정한다. 방패꾼들이 드는 방패를 타고 이동하는 게 보통인데, 대장치곤 굴러떨어질 때가 많다. 《아스테릭스와 무적의 방패》편에서 이 방패는 베르생제토릭스의 것이었는데 로마군(軍)에 의해 결국 아브라라쿠르식스에게 흘러들어가게 된 사실이 밝혀진다. 골라골라트릭스 마을의 생선가게 주인. 자기 생선을 함부로 다루면 참지를 못한다. 종종 오토마틱스와 싸우는 걸 볼 수 있으며, 결국 이 싸움이 골족 사람들의 싸움으로 번지기도 한다. 자바자바린느 골라골라트릭스의 아내. 아메릭스 오벨릭스의 사촌형. 《아스테릭스, 황금낫을 찾아라》편에 등장. 로마군에 의해 감금됐다가 아스테릭스와 오벨릭스의 도움으로 재회한다. 아즈카노닉스 마을의 노병. 실력도 얼마 안 되면서 허세만 대단하다. 그의 아내는 오벨릭스가 사랑할 만큼 미인이다. 아쉬랑스투릭스 자칭 최고의 음유시인이라고 하나, 듣는 이들은 못 들어주겠다고 생각한다. 그 때문인지 종종 오토마틱스에게 맞으며 이야기의 끝 부분에선 줄에 묶여 잔치에 참여하지 못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아스테릭스, 라하자드 왕국에 가다》편에선 노래를 불러 왕국에 비를 내린 적도 있으며, 《아스테릭스와 신(神)들의 전당》에선 신들의 전당에서 돼지 멱따는 소리로 노래해 로마인들을 전부 내쫓은 적도 있다. 노래가 무거운지 이따금씩 음표를 쓸어내는 경우가 있다. 자신의 재능을 이해하지 못하는 마을 사람들을 야만인이라 부르며 화를 낸다. 오토마틱스 갈리아 마을의 대장장이. 아쉬랑스투릭스가 노래만 부르려 하면 항상 때린다. 골라골라트릭스와는 사이가 별로 좋지 않아 자주 싸운다. 홀리데익스 루테시아에 사는 아브라라쿠르식스의 조카. 노르만인들에게 잡히게 된다. 베르생제토릭스 갈리아의 영웅. 율리우스 카이사르에게 패해 무기를 내려놓은 후 처형당한다. 브르통(영국)[편집] 조리퐁락스 칸티움의 한 작은 마을에 살고 있는 브로통인. 로마군에 저항하기 위해 마술 물약을 가지러 골에 있는 그의 사촌 아스테릭스를 만나러 간다. 마을까지 마술 물약을 가지고 가는 동안 온갖 모험을 겪는다. 크린락스 조리퐁락스의 친구로, 런더니움에서 골의 항아리 라는 여인숙을 운영한다. 오벨릭스와 런더니움 탑에 갇히지만 오벨릭스의 도움으로 탈옥한다. 젠틀락스 크린락스의 사촌. 여인숙을 운영한다. 얼떠리락스 럭비 선수. 부상을 당해 치료를 받던 중 마술 물약을 마시게 된다. 젠틀탁스 <로마군이 된 아스테릭스>에 나오는 인물로, 로마군에 입대한다. 헬베티아(스위스)[편집] 라틴족[편집] 로마제국(이탈리아)[편집] 율리우스 카이사르 갈리아의 모든 지방을 점령하고도 아스테릭스가 사는 작은 마을을 빼앗지 못해 골머리를 썩고 있다. 카이우스 보누스 《골족(族)의 영웅, 아스테릭스》편에 나오는 '프티보눔' 지방의 백부장. 마법 물약을 이용해 자신의 충성스런 오른팔 마르쿠스 사카푸스를 배신하고 홀로 황제가 되려 했으나, 결국 파노라믹스의 스프를 마시고 수염이 잔뜩 나 일을 그르치고 몽골 지방으로 보내진다. 마르쿠스 사카푸스 《골족의 영웅, 아스테릭스》편에 등장하는 카이우스 보누스의 충성스런 오른팔. 속으론 마법 물약을 이용해 카이우스 보누스를 배신하고 혼자 황제가 되려 했으나, 결국 카이우스 보누스가 일을 그르쳐 실패한다. 칼리굴라 미누스 《골족의 영웅, 아스테릭스》에 나오는 '프티보눔' 지방의 키 작은 병사. '로마의 놀이'에서 술래가 돼 골족 포로로 변장한 뒤 스파이로 아스테릭스가 사는 마을에 들어간다. 마법 물약까지 먹었지만, 골족 마을 특유의 축제 놀이로 결국 정체가 밝혀진다. 툴리우스 옥토푸스 《골족의 영웅, 아스테릭스》편에 등장하는 덩치 큰 로마군(軍) 병사. 골족 마을의 사제 파노라믹스를 납치하는가 하면, 파노라믹스가 지시하는 마법 물약을 만들기 위해 그리스 상인으로부터 금값을 주고 딸기를 구해오기도 해 카이우스 보누스에게 원형 경기장 관람권을 받았다. 카이우스 코집투스 《글래디에이터가 된 아스테릭스》편에 등장하는 검투사 조련사. 스포츠티우스 《아스테릭스, 올림픽에 나가다》편에 등장하는 로마 팀 대표선수이자 병사. 골족 사람들에 의해 사기가 떨어져 올림픽에서 우승하진 못 했지만 후에 백부장으로 승진한다. 출세리우스 《아스테릭스, 올림픽에 나가다》편에 등장하며 스포츠티우스의 코치 겸 감독이자 백부장으로, 후에 올림픽에서 승리한 아스테릭스의 도움을 받아 스포츠티우스와 함께 사령관으로 승진한다. 랑겔루스 《아스테릭스, 마을의 대결투》편에 등장하는 로마의 장군. 자신의 영리한 보좌관 페르클루스와 로마에 저항하지 않고 로마의 풍습을 받아들이려 하는 골족 족장 세룸 콩크리트릭스를 이용해 골족 마을을 점령하려 했다. 아브라라쿠르식스와 콩크리트릭스와 대결을 붙여 콩크리트릭스가 우승하면 그와 페르클루스를 검투장으로 보내버리려고 했으나, 우여곡절 끝에 마법 물약을 마신 아브라라쿠르식스에 의해 콩크리트릭스는 결투에서 지고 결국 페르클루스와 함께 줄행랑 친다. 미우무스 이간질리우스 《아스테릭스와 로마군 스파이》편에 나온 로마군 간첩. 마을에 내분을 일으키지만 늘 그렇듯 실패하고 검투장의 사자들에게 던져지는 불쌍한 신세가 된다. 마르쿠스 브루투스 로마의 장군으로 카이사르의 총애를 받는다. 《아스테릭스, 올림픽에 나가다》에서 잠깐 출연했으며 후에 카이사르를 시해한다. 카이우스 졸리기부스 《아스테릭스와 무적의 방패》편에 등장하는 게으름뱅이 로마군. 어찌나 게으름뱅이인지 15년간 진급을 한 번도 못 했다고 한다. 호민관 뒤틀리우스 잡동사니우스로부터 오베르뉴인(人)으로 변장해 베르생제토릭스의 방패에 대한 정보를 캐내오라는 명령을 받았지만, 포도주에 잔뜩 취해 오히려 미슐랭우스의 정보를 아스테릭스에게 알려주고 감옥에 갇힌다. 후에 카이사르의 눈에 띄어 운좋게 백부장으로까지 승진하는 파란만장한 병사. 풍선부러푸스 《아스테릭스와 무적의 방패》편에 등장하는 딸기코의 백부장. 허가 없이 군대를 떠났던 로마군 병사 마르쿠스 포커우스를 눈 감아 준다는 조건으로 베르생제토릭스의 방패를 갖게 되나, 오베르뉴의 상인 알랑빅스에게 포도주 한 항아리를 받고 팔아버린다. 나중에는 졸리기부스와 함께 포도주를 퍼마시다 술에 취하고 얼떨결에 제르고비 주둔부대 대장으로 승진한다. 류마티우스 미슐랭우스, 마르쿠스 포커우스 《아스테릭스와 무적의 방패》편에 등장하는 두 병사들로 현재는 제대해 각자 바퀴 장사와 음식점 경영을 하고 있다. 미슐랭우스는 당시 아무도 건드릴 생각을 못 한 베르생제토릭스 방패를 갖고 가려 한 병사로 노름에 빠진 나머지 마르쿠스 포커우스와의 노름에서 결국 방패를 잃는다. 한편 미슐랭우스로부터 방패를 갖게 된 마르쿠스 포커우스는 백부장 풍선부러푸스에게 정체가 발각돼 다시 방패를 넘기고, 이 방패는 오베르뉴의 상인 알랑빅스를 거쳐 최종적으로 골족 마을의 대장 아브라라쿠르식스가 소유한다. 카이우스 긴코푸리우스 《아스테릭스와 예언자》에 등장하는 긴 코를 가진 특이한 외모의 백부장. 주사위를 던져 그 수를 맞추는 것으로 예언자를 시험했는데 우연히 예언자가 그 수를 맞추자 엉터리가 아닌 것으로 착각, 그를 이용해 골족 마을을 정복하고 카이사르의 자리까지 넘보려 했다. 그러나 실패해서 골족 마을 사람들에게 흠씬 두들겨맞은 감찰관 클로디우스 블랙쿠스에게 강등당해 일개 병사가 되고 만다. 튈리우스 걸리보로부스 《아스테릭스와 두 쪽난 마을》에 등장하는 백부장. 또다른 골족 마을 사람인 어물트리트릭스가 잘못 갖다 준 가짜 마법 물약을 마신 후 골족 마을을 점령하려 했으나 가짜 약의 효과로 몸이 부풀어 아스테릭스 일행에게 참패한다. 게르만족[편집] 고트 (독일)[편집] 텔레비릭 《아스테릭스, 고트족(族) 국경을 넘다》에 등장하는 고트족 마을의 대장. 파노라믹스를 잡아와 그의 마법을 이용하려 했으나 완고한 파노라믹스의 태도에 실패하고, 바꾸리데릭의 반란에 휘말리게 된다. 쿠테타리크 바꾸리데릭 골족 언어 통역사. 고트족끼리 서로 권력싸움을 하게 하려는 파노라믹스의 계략에 휘말려, 마법 물약을 먹고 반란을 일으켜 대장 자리를 빼앗았으나 대장 자리를 노리는 또다른 동족들과 싸우게 된다. 제너럴 일렉트릭 고트족 청소부. 파노라믹스의 마법 물약을 마시고 단숨에 대장 자리에 오르려 하였다. 파쇼모아클릭 아내한테 꼼짝못하는 공처가로 마법 물약을 마시고 일렉트릭과 싸웠다. 시시리크, 사소리크 뿌셔뿌셔리크 치매리크, 이크리크 노르만(북유럽)[편집] 울라프 그로스바프 노르만족의 우두머리. 벨기에[편집] 일흔여섯식스 타르릭스 얀반아이크식스 이집트인(이집트)[편집] 클레오파트라 카이사르의 애인이자 이집트의 여왕. 《아스테릭스, 클레오파트라를 만나다》편에 나온다. 누메로비스 《아스테릭스, 클레오파트라를 만나다》에 등장하는 알렉산드리아의 건축가로 클레오파트라로부터 궁전을 3개월 만에 지으라는 특명을 받았다. 아몽포비스 누메로비스의 라이벌. 누메로비스를 악어밥으로 만들기 위해 여러가지 테니스코트니스《로마군이된 아스테릭스》에 등장하는 사람으로 로마군 사령부를 여인숙으로 착각해 로마군에 입대하게 되었다. 작품 목록[편집] 한국어판은 문학과지성사에서 독점 출판하고 있다.[2] 2008년에 33권까지 한국어판이 나온 이후 2009년에 34권 "Asterix and Obelix's Birthday: The Golden Book"이 출판되었으나, 오랫동안 한국어판으로는 나오지 않다가 2013년에 와서야 비로소 《아스테릭스, 생일 축하해!》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었다. 01권 《골족(族)의 영웅, 아스테릭스》 02권 《아스테릭스, 클레오파트라를 만나다》 03권 《글래디에이터가 된 아스테릭스》 04권 《아스테릭스, 바이킹을 물리치다》 05권 《아스테릭스, 올림픽에 나가다》 06권 《아스테릭스, 신대륙을 발견하다》 07권 《아스테릭스, 고트족(族) 국경을 넘다》 08권 《아스테릭스, 황금 낫을 찾아라》 09권 《아스테릭스와 골의 12보물》 10권 《아스테릭스, 마을의 대결투》 11권 《아스테릭스, 영국에 가다》 12권 《로마군(軍)이 된 아스테릭스》 13권 《아스테릭스와 무적의 방패》 14권 《아스테릭스, 솥단지를 채워라》 15권 《아스테릭스, 스페인에 가다》 16권 《아스테릭스와 로마군 스파이》 17권 《아스테릭스, 스위스에 가다》 18권 《아스테릭스와 신(神)들의 전당》 19권 《아스테릭스와 카이사르의 월계관》 20권 《아스테릭스와 예언자》 21권 《아스테릭스, 코르시카에 가다》 22권 《아스테릭스와 카이사르의 선물》 23권 《오벨릭스 선돌 판매 회사》 24권 《아스테릭스, 벨기에에 가다》 25권 《아스테릭스와 두 쪽 난 마을》 26권 《아스테릭스의 오디세이아》 27권 《아스테릭스의 아기》 28권 《아스테릭스, 라하자드 왕국에 가다》 29권 《장미와 검(劍)》 30권 《오벨릭스의 수난》 31권 《아스테릭스와 라 트라비아타》 32권 《아스테릭스, 골 마을의 개학》 33권 《아스테릭스, 하늘이 무너지다》 34권 《아스테릭스, 생일 축하해!》 영화[편집] 1999년에 오리지널 스토리로 'Claude Zidi'가 감독한 'Asterix & Obelix vs. Caesar (Astérix et Obélix contre César)'가 있으며, 2002년엔 《아스테릭스, 클레오파트라를 만나다》편이 'Alain Chabat'이 감독한 'Asterix & Obelix: Mission Cleopatre (Astérix et Obélix: Mission Cléopâtre)'라는 제목으로 실사 영화화돼 개봉했다. 또 실사로 'Frédéric Forestier'와 'Thomas Langmann'이 감독한 영화 'Asterix at the Olympic Games (Astérix aux Jeux olympiques)'은 2008년 개봉했는데 7800만유로를 쏟아부어 '가장 많은 돈을 쓴 영화'라는 말이 붙은 데다가 프랑스 축구의 전설인 지네딘 지단을 출연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유럽 각국에서 흥행에 참패했다. 각주[편집] ↑ 문학과지성사 : 《아스테릭스, 생일 축하해!》 책 소개 참조. - 2013년 3월 20일 확인 ↑ 그보다 훨씬 전인 1992년과 1993년에 제1권과 제28권이 코스모스에서 각각 《검투사 아스테릭스》와 《인도 라자드 왕국에 가다》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으나 현재는 절판. 외부 링크[편집] (영어) 아스테릭스 공식 홈페이지 (영어) Asterix around the World - 세계 각국의 언어로 출판된 판본을 소개하는 팬페이지. 문학과지성사 : 한국어판 아스테릭스 소개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81481486 LCCN: n85383106 GND: 4351915-5 NKC: aun201482194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스테릭스&oldid=22893856" 분류: 아스테릭스숨은 분류: 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ÆngliscالعربيةAsturianuBoarisch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FryskGaeilgeGàidhlig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मराठीMirandésPlattdüütsch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uormandOccitanPolskiΠοντιακά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VènetoTiếng ViệtWest-VlamsWinaray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일 (목) 00:4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아스테릭스》(프랑스어: Astérix or Astérix le Gaulois, 영어: Asterix)는 프랑스의 르네 고시니가 쓰고 알베르 우데르조가 그린 만화로, 1959년 10월 29일 프랑스의 만화 잡지 삘로뜨(Pilote)에 처음 발표되었다. 1977년 고시니가 사망하고 나서는 우데르조가 혼자 만화를 그리고 있다. 로마군과 싸우는 켈트족 전사들의 이야기이다. 2009년을 마지막으로 총 34권이 출판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문학과지성사에서 2001년부터 2008년에 걸쳐 33권까지 간행하였으며, 2013년 3월에 최종권인 34권을 출판함으로써 완간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아스테릭스'에서 고트족 마을의 대장역을 맡은 등장인물의 이름은? Assistant: 텔레비릭 Human: 아래 한큐전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한큐전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큐전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큐 전철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한큐 전철 주식회사Hankyu Corporation 형태 주식회사 산업 분야 운수업 창립 2005년 4월 1일 시장 정보 비상장 국가 일본 본사 소재지 일본오사카부 오사카 시 기타 구 시바다 1초메 16번 1호 사업 지역 게이한신 지역 핵심 인물 스미 가즈오(대표이사 및 사장) 자본금 1억 엔 매출액 1,706억 3,900만 엔 (2011년 3월 기준) 영업이익 308억 3,200만 엔 (2011년 3월 기준) 순이익 58억 500만 엔 (2011년 3월 기준) 자산총액 1조 734억 8,600만 엔 (2011년 3월 31일 기준) 주요 주주 한큐 한신 홀딩스 100% 모기업 한큐 한신 토호 그룹 웹사이트 한큐 전철 공식 홈페이지 한큐 전철 주식회사Hankyu Corporation 형태 주식회사 산업 분야 운수업 창립 1907년 10월 19일 후신 분할신설: 한큐 전철 분할존속: 한큐 한신 홀딩스 해체 2005년 4월 1일 시장 정보 비상장 국가 일본 본사 소재지 일본오사카부 오사카 시 기타 구 시바다 1초메 16번 1호 사업 지역 게이한신 지역 핵심 인물 스미 가즈오(대표이사 및 사장) 자본금 1억엔 모기업 한큐 한신 토호 그룹 한큐 전철 주식회사(阪急電鉄株式会社, Hankyu Corporation)는 일본의 긴키 지방에 노선을 갖고 있는 민간 전철 회사이다. 오테 사철(大手私鉄)이라고 불리는 대규모 전철 회사의 하나이며 일반적인 약칭은 한큐이다. 한큐 한신 홀딩스의 자회사로, 한큐 한신 토호 그룹에 소속하는 기업이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브로드웨이 뮤지컬 극단인 다카라즈카 가극단(宝塚歌劇団)을 운영하고 있고, 1936년부터 1988년까지는 프로 야구 팀 "한큐 브레이브스(현재의 오릭스 버펄로스)"의 구단주이기도 했다. 본사 사무실은 오사카부 오사카 시 키타 구에 위치해 있지만, 등기상의 본사 소재지는 오사카부 이케다 시 사가에 정이다. 스룻토KANSAI의 카드에 인쇄 된 부호는 HK이다. 목차 1 역사 1.1 연표 2 한큐 전철의 호칭 3 철도 사업 3.1 노선 3.1.1 고베 선 계통 3.1.2 다카라즈카 선 계통 3.1.3 교토 선 계통 3.2 열차 종별 3.2.1 열차 종별의 표시 3.3 타사 노선과의 직통 운전 3.4 차량 3.5 운임 3.5.1 회수권 4 특기 사항 4.1 홈의 호칭 4.2 역·차내에서의 안내 4.3 휴대 전화 전원 off 차량 4.4 부활한 「우선 좌석」 4.5 텔레비전·영화 촬영 4.6 그 외 5 관계 기업 6 각주 7 외부 링크 역사[원본 편집] 한큐백화점 우메다 본점 한큐한신 홀딩스 탄생 기념 헤드 마크를 게시한 6000계 전철. 하나쿠마 역 홈에서 1907년에 설립된 미노오 아리마 전기 궤도가 1910년 3월 10일에 현재의 다카라즈카 본선·미노오 선에 해당하는 우메다 - 다카라즈카,이시바시 - 미노오를 개업한 것이 시작. 창업자 고바야시 이치조는 경영 안정을 위해 연선 개발에 힘을 써 주택지 분양, 다카라즈카 신온천, 다카라즈카 가극대(후의 소녀가극단, 현재의 다카라츠카 가극단)등의 사업을 다각적으로 전개했다. 계속 되어 한신간의 수송에 참가. 1918년, 회사명을 한신 급행 전철으로 개칭. 현재까지 계속 되는 약칭 「한큐」는 이것에 유래한다(정식 회사명에도 채용된다). 한신간에 참가한 것으로, 이후 이미 한신간에 도시간연락 전철을 영업하고 있었던 한신 전기 철도와는 격렬하게 싸우는 라이벌 관계가 되었다. 1936년에는 고베시내의 산노미야 역에 고가선으로 노선 연장했다. 덧붙여 「전철」이라고 하는 말은, 「전기 철도」라고 하는 말을 상호에 사용하는 것에,철도성이 어디까지나 궤도법 준거의 「전기 궤도」인 것을 근거로서 난색을 나타낸 것으로부터 대책으로서 고바야시 이치조가 생각해 낸 말로, 이후 궤도법 감독하의 각사가 고속 전기 철도에의 탈피를 도모할 때에 유용하게 활용되게 되었다. 1943년, 전시 기업 통합 정책(육상 교통 사업 조정법)에 의해 게이한 전기철도를 합병,게이한신 급행 전철이 된다. 덧붙여 이때 「한큐」라는 약칭은 공식으로는 사용되지 않게 되어 「게이한신(급행)」이라고 여겨졌지만,오사카 시전의 전차 정류장명에서도 「한큐한신전」(우메다)·「게이한신 급행전」(덴로쿠) 등과 혼합해서 이용되고 있었다고 한다. 전후의 1949년에 가타노 선·우지 선·게이신 선·이시야마사카모토 선이 게이한 전기철도로서 재분리. 이때 약칭도 「게이한신」으로부터 「한큐」로 되돌리고 있다. 1973년,한큐 전철로 회사명 변경. 1992년 스트아드페아시스템「라가르스르」를 개시한다. 그러나,버블붕괴로 쟈야마치 지구 등의 재개발 사업의 실패에 의한 거액의 손실을 입었다. 1995년 1월 17일의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고베 본선·이타미 선·이마즈 선 등이 심대한 피해를 받았지만 동년 6월 12일에 거의 전선이 복구,1998년에는 이타미 역도 재건되었다. 지진 재해 이후도, 길어지는 소비불황이나 서일본 여객철도(JR서일본)등과의 격렬한 경합, 1자녀화등의 영향에 의해 수송 인원은 감소. 부동산·호텔 사업의 재편이나, 다카라즈카 신온천 이래 90년이상의 역사를 가지는 유원지 「다카라즈카 패밀리 랜드」의 폐원,포트 아일랜드에 있던 「고베 포트피어 랜드」로부터의 사업 철퇴(그 후 고베 시가 운영을 하다가 2006년 폐원)등, 그룹 사업의 재편이 진행된다. 그 집대성으로서 2005년 4월 1일에 구·한큐 전철로부터 철도, 부동산, 레저, 유통의 4사업을 분할 승계하는 신·한큐 전철(한큐 전철 분할 준비(주)로부터 상호 변경)과 호텔 경영을 통괄하는 한큐 호텔 매니지먼트, 여행업의 한큐 교통사의 직영 사업회사 2회사가 맞추어 3회사로 재편해, 구·한큐 전철은 지주회사 한큐홀딩스(현·한큐 한신 홀딩스)(으)로 이행했다. 덧붙여 2007년 10월 19일 창업 100주년을 맞이했다. 연표[원본 편집] 1906년 1월 15일 미노오 아리마 전기 철도 창립 발기인회 설립. 1907년 6월 1일 미노오 아리마 전기 궤도로 회사명 변경. 1907년 10월 19일 미노오 아리마 전기 궤도 창립총회. 1910년 3월 10일 다카라즈카 본선 우메다 - 다카라즈카간, 미노오 선 이시바시 - 미노오간이 개통. 1911년 5월 1일 다카라즈카 신온천(후의 다카라즈카 패밀리 랜드)이 개업. 1913년 7월 1일 다카라즈카 창가대(현재의 다카라츠카 가극단)를 조직. 1918년 2월 4일 한신 급행 전철로 회사명 변경. 1921년 9월 2일 서보 선 다카라즈카 - 니시노미야기타구치간이 개통. 1925년 6월 1일 우메다 한큐빌딩(구관)에 한큐 마켓이 개업. 1925년 10월 15일 신쿄판철도(1930년에 게이한 전기철도에 합병)에 의해 텐짐바시 - 아와지간이 개통. 1926년 12월 18일 서보 선이 전노선 개통. 이마즈 선으로 개칭. 1928년 1월 16일 신쿄판철도에 의해 아와지 - 다카츠키마치(현재의 다카츠키 시) 간이 개통. 1928년 11월 1일 신쿄판철도에 의해 다카츠키마치 - 사이인간이 개통. 1928년 11월 9일 신쿄판철도에 의해 아라시야마 선이 개통. 1929년 4월 15일 우메다 역에 한큐백화점이 개점. 1932년 8월 연극, 영화의 흥행을 주된 목적으로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현재의 도호)를 설립. 1936년 4월 1일 고베 본선 서나다(현재의 오지코엔 역) - 고베(현재의 산노미야 역) 간이 개통. 1943년 10월 1일 한신 급행 전철이 게이한 전기철도를 합병, 게이한신 급행 전철이 된다. 1945년 5월 1일 가타노 전기 철도의 사업을 양도해 가타노 선으로 한다. 1946년 11월 20일 생산부를 닛코 식산 주식회사(현·한큐 산업 주식회사)로서 분사화. 1949년 1월 1일 기타노 선을 휴지. 1949년 12월 1일 가타노 선·우지 선·게이신 선·이시야마사카모토 선을 게이한 전기철도(신)로 분리. 신쿄판선을 교토 본선으로 개칭. 1967년 3월 1일 센리야마 선이 센리 선으로 개칭,기타센리 역까지 개통. 기타센리 역에 일본 최초의 본격적인 자동 개찰기설치. 1968년 4월 7일 고베 본선이 고베 고속 철도·산요 전기 철도와 상호 직통 운전 개시. 1969년 12월 6일 센리 선·교토 본선이 오사카 시 교통국 지하철 사카이스지 선과 상호 직통 운전 개시. 1973년 4월 1일 한큐 전철로 회사명 변경. 1973년 11월 23일 우메다 역의 이전 확장 공사가 완료. 1988년 10월 31일 한큐블레이브스를 오리엔트·리스(현 오릭스)에 양도. 1989년 4월 1일 선불 카드「라가르카드」도입. 1989년 12월 7일 분사·지주회사화의 준비를 위한 완전 자회사·한큐 전철 분할 준비 주식회사(현 한큐 전철)의 등기상의 설립 연월일. 1992년 4월 1일 스트아드 페아시스템 「라가르스르」개시. 1994년 9월 1일 일본 최초의 부정 승차방지 시스템 「페어 라이드 시스템(Fare ride system)」을 도입. 1995년 1월 17일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각선에 피해. 동년 1월 23일까지 교토 본선, 다카라즈카 본선, 고베 본선의 일부에서 운행 재개. 1995년 2월 5일 이마즈 선이 전선 복구. 1995년 3월 11일 이타미 선이 신이타미 - 이타미(가역) 간에서 운행 재개. 1995년 6월 12일 고베 본선이 전선 복구. 1996년 1월 1일 「젠틀 사운드 서비스」의 일환으로서 역·차내에서의 안내를 변경(자세한 것은 특기 사항 참조). 1997년 11월 17일 다카라즈카 본선으로 노세 전철 일본생명보험 주오 역까지 노선연장을 실시하는 직통 특급 일본생명보험 익스프레스의 운전을 개시. 1998년 2월 15일 산요 전기 철도와의 상호 직통 운전을 중지, 고베 본선은 신가이치까지의 운행. 1998년 10월 1일 이마즈(남)선 1인 승무 운전을 개시. 1998년 11월 21일 이타미 역 본역이 완성. 이타미(가역) - 이타미간은 단선으로 운전 재개. 1999년 3월 6일 이타미(가역) - 이타미간이 복선 운전 재개, 지진 재해로부터 실로 4년 만에 완전 복구. 1999년 4월 1일 전노선의 전차량으로 우선 좌석을 폐지(전차량의 전좌석을 우선 좌석화). 2002년 10월 1일 교토 본선으로 여성 전용 차량을 2개월간 한정으로 시험 도입. 6300계의 특급·통근 특급·쾌속 특급에만 설정. 동년12월 2일부터 본격 도입. 2003년 6월 10일 휴대 전화의 전원 off를 규칙으로 한 차량 「휴대 전화 전원 off 차량」을 전열차로 시험적으로 도입(자세한 것은 특기 사항 참조). 7월 11일부터 본격 도입. 2004년 8월 1일 비접촉형 IC카드 PiTaPa에 의한 승차 서비스를 개시. HANA PLUS 카드 발행. 2005년4월 1일 한큐 전철·한큐 호텔 매니지먼트·한큐 교통사의 각사를 직할 하는 지주회사 한큐홀딩스에 이행. 동일자로 철도·부동산등의 사업은 회사 분할에 의해서 한큐 전철 분할 준비(주)에 승계시킨 다음 동사를 한큐 전철로 개칭, 구 한큐 전철을 한큐홀딩스로 개칭. 2006년 1월 21일 JR서일본의 ICOCA로 철도 노선이 이용 가능하게 된다. 2006년 7월 1일 PiTaPa 대응 카드를 이용한 「IC정기권 서비스(PiTaPa 정기 서비스)」를 개시. 2006년 10월 1일 모회사의 한큐홀딩스가 한신 전기 철도와의 경영 통합에 수반해 한큐 한신 홀딩스로 회사명 변경. 2007년 10월 1일 HANA PLUS 카드를 대신해 STACIA 카드 발행 개시. 2007년 10월 19일 창립 100주년을 맞이한다. 2007년 10월 29일 전노선의 전차량에 우선 좌석을 재설치. 휴대 전화 전원 off 차량의 장소를 일부 변경. 한큐 전철의 호칭[원본 편집] 간사이 사철 에서는 "ㅇㅇ전차"라는 호칭이 정착하고, 차내 방송이나 역의 게시물, 웹 사이트에서도 "ㅇㅇ전차"라는 애칭을 사용하고 있지만, 한큐 전철은 공식적으로는 "한큐 전차"라고는 안내하지 않는다. 이것은 1992년의 창업 85주년을 계기로 회사 측이 공식 통칭을 "한큐 전철"으로 변경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승객 사이에서는 현재까지도 "한큐 전차", "한큐 선", "한큐"이라고 하는 약칭이 많이 사용되고, 교토 시영 지하철 시조 역, 오사카 시영 지하철 우메다 역 등 타사·타국에서 환승 안내 표시도 "한큐 전차"이다. 그러나 한큐 측에서도 용품 간행물은 때때로 "한큐 전차"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한큐 전철은 "전기 철도"라는 호칭을 "전철"로 생략하고, 공식적인 사명으로 정한(당시의 회사 명은 "한신 급행 전철") 일본 최초의 철도 회사이다. 지하철 노선 철도 사업[원본 편집] 노선[원본 편집] 크게 고베 선·다카라즈카 선·교토 선의 3개로 나눌 수 있어 각각 본선과 거기에 부수 하는 지선을 가진다. 라인 칼라는 노선도 외, 홈의 발차 번선, 보통 전철의 행선지 표시판(각 지선만)등에 사용되고 있다. 고베 선 계통[원본 편집] 고베 본선(神戸本線):우메다(梅田) 역(오사카 시) - 산노미야(三宮) 역(고베 시) 이타미 선(伊丹線):쓰카구치(塚口) 역(효고현 아마가사키 시) - 이타미(伊丹) 역(효고 현 이타미 시) 이마즈 선(今津線):다카라즈카(宝塚) 역(효고 현 다카라즈카 시) - 이마즈(今津) 역(효고 현 니시노미야 시) 고요 선(甲陽線):슈쿠가와(夙川) 역 - 코요엔(甲陽園) 역(니시노미야 시) 다카라즈카 선 계통[원본 편집] 다카라즈카 본선(宝塚本線):우메다 역 - 다카라즈카 역 미노오 선(箕面線):이시바시(石橋) 역(오사카부 이케다 시) - 미노오(箕面) 역(오사카 부 미노오시) 교토 선 계통[원본 편집] 교토 본선(京都本線):주소(十三) 역(오사카 시) - 가와라마치(河原町)역(교토 시) 센리 선(千里線):덴진바시스지6초메(天神橋筋六丁目) 역(오사카 시) - 기타센리(北千里) 역(오사카 부 스이타 시) 아라시야마 선(嵐山線):가쓰라(桂) 역 - 아라시야마(嵐山) 역(교토 시) 이 외 , 다카라즈카 본선 주소 - 다카라즈카간, 고베 본선 주소 - 니시노미야기타구치간, 이마즈(기타) 선 다카라즈카 - 니시노미야기타구치간의 환상 구간을 「순환선」이라고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이전에는 각 역의 운임표 주변에 게시되고 있던 설명서 등에도 그 기술을 볼 수 있었지만, 동구간에 환상 운전은 행해지지 않은 것 외 「순환선」의 호칭은 JR 오사카 순환선을 연상 시키기도 해 적극적으로는 이용되지 않았다. 운임 계산에 있어서의 설명서나 기획 승차권·정기승차권의 유효 구간 표시등에서 조금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이다.[1] 한큐의 노선에는 터널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공사기간과 비용이 늘어나고, 메이지 - 타이쇼 시대의 토목 기술에서는 위험이 컸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터널 공사를 피했기 때문이다. 다카라즈카 선은 터널을 필요로 하는 루트를 피한 결과, 커브가 많은 노선이 되었다. 현재에도 터널은 제2종 철도 사업 구간(고베 고속선)을 제외하면 전선으로 3개소밖에 존재하지 않고, 그 중 2개소는 사이인 - 가와하라마치간과 덴로쿠 부근의 지하선에 통하는 입구여서, 출입구가 있는 순수한 터널은 센리 선의 센리 터널 하나이다. 덧붙여 직통 운전을 실시하고 있는 노세 전철에는 수많은 터널이 있다. 한신 니시오사카 선이 긴테쓰남바 역까지 개통하는 2009년 이후는(개업 후는 한신 남바선으로 개칭), 간사이에서는 유일 오사카 시 주오 구에 노선이 없는 대기업 사철이 된다(다만 교토 본선의 차량 자체는 사카이스지 선을 개입시키고 주오 구에 노선 연장하고 있는 것도 있다). 열차 종별[원본 편집] 한큐 전철에 대해 설정되는 열차 종별은 다음과 같다. 특급·통근 특급·쾌속 급행 고베 선·교토 선 특급 일본생명보험 익스프레스 다카라즈카 선 급행·통근 급행 고베 선·다카라즈카 선 준급 고베 선·이마즈 선·다카라즈카 선·교토 선·센리 선 통근 준급 다카라즈카 선·미노오 선 열차 종별의 표시[원본 편집] 열차 종별은 선두 차량 전면의 통과 표지등이나 종별 표시기로 식별할 수 있다. 통과 표지등의 점등 패턴은 다음과 같다. 정면에서 봤을 때 양쪽이 점등 - 쾌속 급행·통근 특급·특급 일본생명보험 익스프레스·특급(임시·대절·회송·시운전 열차도 포함한다) 정면에서 봤을 때 우측이 점등 - 통근 준급·준급·통근 급행·급행 점등되지 않았음 - 보통 급행의 점등 패턴은 긴키 일본 철도와 같다. 타사 노선과의 직통 운전[원본 편집] 오사카 시 교통국:교토 선·센리 선과 사카이스지 선과 상호 연결 운행. 오사카 시영 지하철의 차량의 노선연장은 기본으로서 다카츠키 시까지이지만, 시운전이나 이벤트 등에서 노선 연장한 실적이 있다. 고베 고속 철도:고베 선이 도자이 선 신가이치 역까지 노선 연장. 산요 전기 철도:1998년까지 고베 선이 고베 고속 철도 도자이 선을 경유해 산요 전철 본선 스마우라코겐 역까지 노선 연장, 산요 차량도 고베 선 한큐롯코 역까지 노선 연장. 산요 차량은 현재에도 산노미야 역까지 노선 연장하고 있어 즉시의 회송 때, 우메다 측에도 수백 미터 주행하기 때문에 승객 취급은 하고 있지 않는 한큐 선내를 달리는 산요 차량은 존재한다. 덧붙여 1998년까지는 롯코 역으로부터 한큐미카게 역 서쪽의 대피선까지 회송되어 즉시를 하고 있었다. 노세 전철:다카라즈카 선이 노선 연장. 노세 전철은 한큐 그룹의 일원으로,2003년 이후는 도색도 한큐와 같다. 노세 전철의 차량(원래는 한큐의 차량)은 차량 검사나 이벤트 시에 히라이 차고나 쇼쟈쿠 차고까지 입선하고 있다. 차량[원본 편집] 미노오 아리마 전기 궤도 및 그 후신의 한신 급행 전철(한큐)에 의해서 부설된 고베 선·다카라즈카 선과 기타오사카 전기 철도 및 그 후신의 신쿄판철도에 의해서 부설된 교토선과는 그 과정이 다르기 때문에 차량 규격에 차이가 있다. 차량의 전장품도, 다카라즈카 선은 도시바제, 교토 선은 신쿄판시대의 자취로 토요 전기 제조제로 나눌 수 있다. 지금도 이 관습을 계속 지키고 있다(그 밖에 도시바 제품은 다카라즈카 선의 전장품 외에 전역의 역무기기나 전철의 공조 장치,엘리베이터, 업무용 PC등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매스 콘은 간사이에서는 드물게 원 핸들 매스 콘을 적극적으로 채용하고 있다. 전후 1948년의 550형이후 모든 한큐차량은 계열의 나니와 공사 기계(후의 알나 공업 기계)가 건조하고 있었다(차량을 신규 제조하는 것을 「건조」라고 표현한다). 그러나 한큐와 도부 철도,도쿄 도 교통국,오사카 시 교통국등의 주된 납입처가 경영 상황의 어려움으로부터 차량 신조를 억제, 수주가 격감했기 때문에 2002년에 동사는 해산. 그 후의 한큐차의 건조 메이커로 선택된 것은 지금까지 간사이의 대기업 사철과 거래가 없었던(다만, 공영인 교토 시·오사카 시와는 거래가 있었다)히타치 제작소. 덧붙여 한큐의 경영 사정은 여전히 어려워 1960년대 후반 - 1980년대 전반에 제조된 차량을 아르나 차량이나 글로벌 텍에서 갱신 공사를 시공해 연명 사용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1970년대 전반까지의 차량에 관해서는 재차의 갱신 공사 시공이 된다). 최근의 차량(갱신차 포함한다)에는 경년 열화도 고려해 차체나 도어부에 꽤 진한 색을 사용하게 되었다. 덧붙여 외부도색에 대해서는 8000계 도입시와 9300계 도입시에 신색채용(메탈릭 오렌지등이 검토되었다)의 안이 부상했던 적이 있지만, 이용자나 사내로부터도 항의나 반대 의견이 속출했기 때문에 6000,7000계열의 지붕부분을 아이보리색으로 고치는 것 이외는 폐안이 되었다(다만 현재에도 이용자나 부내중에서는 아이보리색을 차체 하단 부분에도 마련하는 정도이면 좋다는 의견도 소수 존재하고 있다). 덧붙여 교토 선에 노선 연장한 지하철 사카이스지 선의 차량에 관해서는,스텐레스 차체에 차계의 띠를 감은 66계가 달리고 있다. 이전에는 알루미늄제 차체에 다대를 감은 60계도 달리고 있었다. 한큐 전철에 있어서의 형식의 부번은 다음과 같다. 한큐 전철의 형식 번호는 1980년대에 폐차된 810계를 마지막으로, 이후는 4자리수가 되어 있다. 부수차(T차)에는 동계의 전동차(M차)의 차번에 50을 더한 번호를 붙인다. 중간차에는 선두차의 차번에 500을 더한 번호를 붙인다. 모하,쿠하 등의 형식 기호는 붙이지 않는다. C#7613(7013F에 속하는 산노미야의 2호차)를 예에 취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7 (천의 자리)…차량 형식의 계열을 나타낸다. 1로부터 시작되어 형태나 성능마다 9까지의 숫자로 나눌 수 있다(4는 사업용차). 6 (백의 자리)…0 - 4선두차,5 - 9중간차,0 - 2·5 - 7다카라즈카 선,3·4·8·9교토 선. 1100계 - 3100계까지는 0·5가 고베 선용,1·6이 다카라즈카 선용이었다. 2·7은 평상시는 사용하지 않고, 시작차나 특별 차량용으로 비울 수 있다. 1 (십의 자리)…0 - 4전동차,5 - 9부수차 3 (일의 자리)…제조 순위 번호. 제조순서에 타사와 같은 1은 아니고 0부터 붙일 수 있다(산요 전기 철도도 같다). 다만,3300계까지 교토 선용은 신쿄판시대의 자취로 1부터 시작되도록 되고 있었다. 다만, 원래 선두차였던 차량으로 그 후의 개조로 운전대를 철거(중간차화)했을 경우에서도 개번 되는 일 없이 제조 당시의 번호인 채로 사용되고 있는(예:3000계의C#3000) 경우가 있다. 고베 선/다카라즈카 선 9000계 8200계 8000계 7000계 6000계 5100계 5000계 3100계(일부 노세 전철에 양도) 3000계 2000계(편성은 소멸,부수차만 존재。일부 노세 전철에 양도) 교토 선 9300계 8300계 7300계 6300계 5300계 3300계 2300계 사업용 4050형 운임[원본 편집] 어른 보통 여객 운임(소아 반액). 2004년 12월 1일 기준. 영업 거리 운임(엔) 영업 거리 운임(엔) 최초 구간 4 km 150 34 - 42 360 5 - 9 180 43 - 51 390 10 - 14 220 52 - 60 450 15 - 19 260 61 - 70 510 20 - 26 270 71 - 76 600 27 - 33 310 회수권[원본 편집] 다음과 같은 종류의 회수권을 발매하고 있다. 유효기간은 발매일부터 3개월 후의 말일까지. 덧붙여 낮시간대 10 - 16시간의 사이에 입장·정산 사용하는 것을 가리킨다. 주말에는 주말 다이어로 운전하는 평일(명절·연말 연시 기간)도 포함한다. 보통 회수권 - 10회분의 금액으로 11회 승차 가능 시차 회수권 - 평일 낮·토요일 유효. 10회분의 금액으로 12회 승차 가능. 하프 시차 회수권 - 5회분의 금액으로 6회 승차 가능. 시차 회수권의 하프판. 토·일 회수권 - 주말 유효. 10회분의 금액으로 14회 승차 가능. 하프 토·일 회수권 - 5회분의 금액으로 7회 승차 가능. 토·일 회수권의 하프판. 노세 전철·고베 고속·산요 전철·고베 전철 연락은 보통 회수권·하프 시차 회수권·하프 토일 회수권만의 발매이다. 유효 구간이 한큐 선내만되는 경우는 회수권 카드로의 발매도 실시하고 있다. 회수권 카드만, 보통 회수권 22회권(20회분의 금액)을 발매하고 있다. 2007년 4월 1일부터 180엔,260엔,310엔 구간의 모든 회수권에 대해서는 유효기간내이면 한신 전철에서도 이용 가능해졌다. 다만 그대로는 이용하지 못하고, 한신선으로 이용할 때는 입장전에 청색의 매표기로 한신의 회수권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 또, 한신 선 180엔,260엔,310엔 구간의 회수권도 이와 같이 한큐로 사용 가능하다. 이쪽도 사용전에 적색의 매표기로 한큐의 회수권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 한큐는 목적지를 지나쳐서 정산 때, 회수권을 1매만 권면에 기재된 액면의 금권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50엔 구간을 270엔의 보통 승차권(또는 회수권)으로 입장·승차했을 경우, 하차시에 180엔의 회수권을 가지고 목적지를 지나쳐서 정산을 할 수 있다. 불리를 알면서 합계 금액이 과잉이 되는 경우도 사용할 수 있다.(예:510엔 구간을 260엔의 보통 승차권(또는 회수권)으로 입장, 하차시에 260엔의 회수권을 가지고 목적지를 지나쳐서 정산) 이 때는 개찰기·정산기의 이용은 하지 못하고, 계원 창구에서 정산할 필요가 있다. 2008년 12월 29일에 위조 레인보우 카드(오사카시 교통국의 스루토KANSAI 대응 카드)의 사용이 발각되었기 때문에,2009년 2월부터 순차적으로 자동 매표기로의 라가르카드를 포함한 스루토KANSAI 대응 카드로의 회수권 및 회수 카드로의 교환을 할 수 없게 될 예정이다.[2] 특기 사항[원본 편집] 홈의 호칭[원본 편집] 일반적으로 홈을 부르는 법은 「○번선」이지만, 한큐 전철에서는 「○호선」이라고 하는 부르는 법이다. 이것은 「○번선」이 사내에서의 구내 배선에 대해서 부르는 법이기 때문이다. 다만,산노미야 역은 예외적으로 「0번 홈」이라고 하는 부르는 법을 하고 있다. 홈이 2차량분밖에 없는 역에서는 섬식·대향식에 관계 없이 원칙으로서 자동 방송으로 홈 번호를 말하지 않고 「여러분, 곧 아와지 방면을 향하는 전철이 도착합니다」(교토 선)과 같이, 행선지의 방면에서 표현한다. 예외적으로 홈이 3차량분 이상 있는 역에서도 번호를 말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교토 선의 역이나, 우등 열차 통과역에 많다. 예:소노다 역,아이카와 역,이바라키시 역,다카쓰키시 역,가쓰라 역). 단지 차량이 입선하고 올 때의 방송에서는 「0호선에 들어갔던 전철은…」이라고 홈의 안내도 포함해 안내된다. 또,니가와 역은 한신 경마개최시의 임시 열차의 관계로 회송차의 발착이 있기 위해 행선지조차 붙지 않는다. 이전에는 쇼자쿠 역도 배선의 관계상 1개의 홈에서 양방향의 열차가 나오기 위해 행선지가 붙지 않았지만, 열차 안내 장치·방송 기기의 갱신에 의해 2008년 2월부터 우등 열차 정차역 같은 수준의 상세 방송으로 변경되었다. 아와지 역에는 1호선이 없고,2 - 5호선만 존재한다. 이전에는 1호선이 존재했으나[3] 사내 업무에도,승객에게도 혼란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1호선 폐지 시에 번호를 차례차례로 보내지 않았던 경위가 있다. 덧붙여 쇼자쿠 역에도 1호선 홈이 없지만, 이것은 다른 이유에 의한다.(쇼자쿠 역#역 구조를 참조) 가쓰라 역에는 1호선의 근처에 「C호선」이 있다. 원래는 인접하는 차량 기지의 C호선을 것을 홈을 설치하고 역으로 한 것이다. 번호를 차례차례로 보내지 않았던 점으로 1호선이 없는 아와지 역과 같은 이유이다. 신포우 선과 교토 선에서는 열차의 홈의 「노란선의 안쪽에 물러서 주세요.」의 발음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역·차내에서의 안내[원본 편집] 한큐 전철의 승강장 역명판의 예(한큐 니시노미야 가덴즈 개업전의 니시노미야기타구치 역). 2000년대 전반무렵까지 만들어진 안내 사인등의 서체에는 주로 「나르」가 이용되었다. 한큐 전철의 승강장 역명판의 예(한큐 니시노미야 가덴즈 개업 후의 니시노미야기타구치 역).상기의 것과 폰트나 영문자 표기등이 다르다. 덴진바시스지 6초메 역에 정차하는 열차는 「다음은 텐짐바시스지료쿠초메, 덴로쿠입니다」라는 아나운스를 한다. 약칭을 육성으로 말하는 경우가 많은 가운데 드문 예이다. 우메다, 산노미야, 다카라즈카 등의 JR의 노선으로 갈아 타기가 가능한 역에 도착할 때의 환승 안내에서는 구 일본 국철시대부터 일관해서 JR선의 안내를 하고 있지 않다. 다만 2006 - 2007년의 다이어 개정으로 노선도에는 표기하게 되어 있다. 덧붙여 오사카 시 교통국은 사카이스지 선 오기마치 역을 JR 오사카 순환선의 환승역으로서 안내하고 있지만, 한큐전차의 노선도에는 그 취지가 기재되지 않았다. 역 구내의 자동 방송은 탤런트인 가타야마 미쓰오와 마리코 유미가 담당하고 있다. 덧붙여서 가타야마는 JR 다카라즈카 선의 역 방송도 맡고 있다. 1996년 1월 1일, 「젠틀 사운드 서비스」의 일환으로서 역·차내에서의 안내를 변경했다. 구체적으로는 자사 선내에서의 차장의 호루라기에 의한 발차 신호를 원칙 폐지. 우등 열차의 정차역의 안내를 「다음은 00까지 멈추지 않습니다」로부터 「다음은 00역에 정차」. 차역의 안내를 「다음은 00입니다」로부터 「다음의 정차역은 00입니다」로, 또 안내 회수를 주요역을 제외해 원칙 1회로 했다. 2005년 10월 1일부터 차내에서의 안내 방송을 「다음의 정차역은 00입니다」로부터 「다음은 00, 00입니다」로 변경하고 있다. 2006년 10월 1일부터는 고베 선·다카라즈카 선에서,2007년 3월 16일부터는 교토 선의 역 홈에서의 안내 방송을 「지금 도착의 전철은 각 역 정차 우메다행입니다」로부터 「지금 도착의 전철은 각 역 정차 오사카 우메다행입니다」로 변경하고 있다.[4] 우메다·산노미야·신가이치·가와하라마치의 4역에 대해서는 「오사카 우메다」 「고베 산노미야」 「고베 신개발지」 「교토 가와하라마치」와 같이 아나운스 한다.(반복하는 경우는 2번째 이후 오사카·고베·교토의 부분을 생략 한다) 휴대 전화 전원 off 차량[원본 편집] 한큐 전철에서는 휴대 전화의 전원 off를 종일 규칙으로 한 차량 「휴대 전화 전원 off 차량」을 전열차로 설정했다. 2003년 6월 10일부터 1개월간 한정으로 시험 도입, 동년 7월 11일부터 본격적으로 도입했다. 또 교토선에 직통하는 오사카 시 교통국 지하철 사카이스지 선이나 같은 한큐 그룹의 노세 전철·고베 전철이 도입되고 있다. 또 이「휴대 전화 전원 off 차량」에 대한 아나운스는, 육성에 의해서 조금 다른 일이 있다. 설정 차량:1차량(고베·다카라즈카·교토·기타센리·이타미·미노오·카와니시노세구치 방면 선두 차량) 부활한 「우선 좌석」[원본 편집] 하나 더, 한큐 전철의 독자 룰로서 특필된 것이 「전석 우선 좌석」이다. 한큐 전철에서는 「특정의 자리를 고집하지 않고, 모든 좌석에서 쌍방양보의 정신을」이라는 일로부터, 정해진 우선 좌석을 폐지해 1999년 4월부터 「전석 우선 좌석」을 도입하고 있었다. 한큐 전철에서 「휴대 전화 전원 off 차량」이 설정된 것은, 동업 타사가 「우선 좌석 부근에서는 휴대 전화의 전원을 off」라고 하는 룰을 빠짐없이 도입했지만, 한큐는 특정의 우선 좌석이 없었기 때문에 이렇게 되었다. 그런데 , 한큐 전철측의 기대와는 정반대로 이 「전석 우선 좌석」은 잘 쓰이지 않고, 거의 좌석의 쌍방양보를 하지 않다고 하는 현상으로 2007년 6월말의 한큐한신 홀딩스의 주주 총회에서 재설치의 요망이 있던 것을 기회로 전석 우선 좌석을 재검토하게 되어, 동년 10월 29일에 「전석 우선 좌석」은 폐지되어 다시 「우선 좌석」을 설치했다. 그러나, 우선 좌석의 설치 개소는 기본적으로 각 차량의 「우메다를 전방으로 했을 때의 최후미 좌석」이지만 운전대, 혹은 운전대 자취가 존재하는 차량은 그러한 역측의 좌석이 되고 있어 중간에 운전대 및 그 폐지 개조를 실시한 차량이 포함되는 편성(고베 선의8032F등)은 우선 좌석이 차량에 의해서 앞쪽에 있거나 뒤편에 있어 별로 통일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염려가 있다. 텔레비전·영화 촬영[원본 편집] 1990년대 후반무렵에 간사이의 철도 사업자에서는 처음으로 외부의 사업자의 TV프로,영화,드라마의 촬영을 인정했다.(일본의 철도 사업자로 최초로 이 사업을 개시한 것은 게이세이 전철이다) 철도 사업자에서는 유일하게 일본 총무성에서 동경110도 CS위탁 방송사업자 인정을 받고 있어 2002년부터 다카라즈카 가극 전문 채널 「다카라즈카·스카이·스테이지」를 방송하고 있다. 그 외[원본 편집] 한큐홀딩스(현·한큐한신 홀딩스)로서 지주회사가 되기 전의 구·한큐 전철은 1936년부터 1988년까지 프로 야구 구단인 한큐 블레이브스(후에 오릭스·블루 웨이브, 현재는 오릭스 버펄로스)를 가져, 그 본거지(전용 구장)으로서 한큐 니시노미야 구장(후의 한큐 니시노미야 스타디움,2002년에 폐쇄)을 소유하고 있었다. 등기상의 본점 소재지를 오사카부 이케다 시에 두고 있어서, 이케다 시를 소관하는 도요노 세무서의 법인세 랭크에서는 항상 톱이다. 일본의 철도 사업자로 처음으로 「학생 전용 출구」를 1965년에 고요 선 고요소노 역을 시작으로 일부의 역에서 개설했다(교복 착용이 조건). 1969년에는 「통근 전용 출구」를 쓰카구치 역, 이케다 역, 도다 역에 설치했다. 이러한 출입구는 1992년까지 설치되어 있었다. 출퇴근 시간 등의 역 안내 업무의 임시 안내계(아르바이트)로서 학생반이 설치되어 있다. 그 이름대로 대학생과 전문학교생이 고용 대상이다. 간사이 사철로 처음으로 역 구내에 입식·우동 가게를 마련한 것은 한큐 전철이다. 국제 문화 공원 도시에 토지를 보유하고 있다.[5] 관계 기업[원본 편집] 한큐 한신 도호 그룹에 속하는 전기업의 일람은 한큐 한신 도호 그룹을 참조. 한큐백화점 도호 한신 전기 철도 한큐 전철 그룹 노세 전철 기타오사카 급행 전철 고베 전철 호쿠신 급행 전철 고베 고속 철도 한큐 버스 한큐 데넨 버스 신에쓰 버스 단고가이리쿠 교통 한큐 택시 한큐 교통사 간사이 TV 방송 - FNN/FNS의 준키국. 후지산케이 그룹에도 가깝다 한큐커뮤니케이션(옛 TBSBritannica) 알나 차량 스테이션 파이낸스 씨어터·드라마 시티 어번·에이스 모리쿠미 고마·스타디움 - 도호 그룹이기도 하다 도쿄 라쿠텐치 - 도호 그룹이기도 하다 자동화 시스템 - 도호 그룹이기도 하다 시모츠이 전철 - 한큐 전철이 자본 참가하고 있지만, 관계는 비교적 희박하다. 젠탄 버스 - 일찍이 한큐 전철의 관련 기업이었다. 이케다 은행 - 한큐 한신 홀딩스가 대주주로, 한큐 전철의 역 구내에 설치된 ATM(PatSat)의 관리 은행. 마이니치 방송 - 간사이 TV의 개국에 기여한 이미지가 강하지만,마이니치 방송의 전신인 신일본 방송의 개국에도 기여했다. FM오사카 - 한큐 한신 홀딩스가 주주로 되어 있다. 현재 SDD(스톱·드링크·드라이빙[Stop-Drink-Driving])프로젝트(음주 운전을 하지 말자는 운동)의 스폰서로서 한큐 한신 도호 홀딩스로서 제공. Kiss-FM KOBE - 시기는 불명하지만, 과거에 제공 프로그램이 있었다. 각주[원본 편집] ↑ 참고 링크:한큐 전철 첫 참배 승차권의 안내(첫 참배 그룹과 티켓 등에 기재가 있다)http://rail.hankyu.co.jp/hatsumoude/ Archived 2007년 12월 10일 - 웨이백 머신 ↑ “5,000엔 라가르카드(소아2,500엔)의 발매 중지 및 스루토KANSAI카드에 의한 회수권의 발매 중지에 대해”. 2009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16일에 확인함.  ↑ 오사카측의 터미널이 텐짐바시 역(현재의 텐짐바시스지 6초메 역)이었던 무렵에 아와지 - 주소간의 열차에 사용되고 있었다 ↑ “참고 사이트(일본어)”. 2007년 9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16일에 확인함.  ↑ 참고 pdf 파일(일본어) 외부 링크[원본 편집] (일본어) 한큐 전철 정보 (일본어) 한큐 전철 주식회사 회사 정보 vdeh한큐 한신 도호 그룹지주회사 한큐 한신 홀딩스 철도산업 한큐 전철(한큐 전철 고베 본선 한큐 전철 다카라즈카 본선 한큐 전철 교토 본선) 한신 전기 철도 한신 전기 철도 본선 한신 전기 철도 한신 난바 선 기타오사카 급행 전철 고베 전철 보유노세 전철 호쿠신 급행 전철 고베 고속 철도 롯코 마야 철도 버스·택시 사업 한큐 버스 한신 버스 한큐 시골 버스 신테츠 버스 단고 해륙 교통 오사카 공항 교통 한큐 택시 한신 택시 여행·운송 사업 한큐 한신 교통사 홀딩스〔한큐 교통사(한큐 한신 비지니스 여행/트라픽스)/한큐 한신 익스프레스〕 호텔 사업 한큐 한신 호텔(한큐 한신 레스토랑) 부동산 사업 한큐 부동산 한신 부동산 엔터테인먼트·커뮤니케이션 사업 도호 다카라즈카 가극단 주식회사 오에스 코마 스타디움 간사이 TV 방송 한큐 커뮤니케이션 소매 사업 H2O 리테일링 (기업)〔한큐 한신 백화점(한큐 백화점 한신 백화점) 주식회사 한쇼쿠(한큐 오아시스 한큐 패밀리 스토어 한큐 닛쇼 스토어 주식회사 한큐 프레쉬엘)〕 주식회사 한큐 리테일즈(아스나스) 북 퍼스트 그외 사업 한신 타이거스 프로 야구팀 한큐 한신 카드 관련 시설 다카라즈카 대극장 한신 고시엔 구장 우메다 한큐 빌딩 한큐 그랜드 빌딩 한큐 차야마치 빌딩 하비스 오사카 우메다 한신 제2 빌딩 관련 항목 대규모 사철(준 대기업 사철) 센슈 이케다 홀딩스 FNN FNS 스룻토KANSAI PiTaPa Hanica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시 교통국(오사카 시영 지하철) 산요 전기 철도 게이한 전기 철도 한큐전철 신포선 한큐 마을(우메다) 한큐·한신 경영 통합 한큐 전철 (소설) vdeh일본의 대규모 · 준대규모 사유 철도간토대규모 사철 게이세이 전철(게이세이) 게이오 전철(게이오) 게이힌 급행 전철(게이큐) 도부 철도(도부) 도쿄 급행 전철(도큐) 도쿄 지하철(도쿄 메트로) 사가미 철도(소테쓰) 세이부 철도(세이부) 오다큐 전철(오다큐) 준대규모 사철 신케이세이 전철(신케이세이) 주부대규모 사철 나고야 철도(메이테쓰) 긴키 닛폰 철도(긴테쓰) 긴키대규모 사철 게이한 전기 철도(게이한) 긴키 닛폰 철도(긴테쓰) 난카이 전기 철도(난카이) 한신 전기 철도(한신) 한큐 전철(한큐) 준대규모 사철 고베 고속 철도(고베 고속) 기타오사카 급행 전철(기타큐) 산요 전기 철도(산요) 센보쿠 고속 철도(센보쿠 고속) 관련 사철 고베 전철(신테쓰/신덴) 규슈대규모 사철 서일본 철도(니시테쓰) 그룹 게이오 게이세이 게이큐 게이한 긴테쓰 난카이 니시테쓰 도부 도큐 메이테쓰 세이부(HD) 소테쓰(HD) 오다큐 한큐 한신 토호(HD) 관련 문서 JR 사철 일본 민영 철도 협회 PASMO 트랜 패스 manaca 스룻토 KANSAI PiTaPa nimoca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큐전철&oldid=22982191" 분류: 1907년 설립2005년 폐지2005년 설립이케다시복합 기업한큐 전철한큐 한신 홀딩스한큐 한신 도호 그룹한신 전기 철도일본의 철도 기업다카라즈카 가극단1910년 개통한 철도 노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1일 (일) 20:1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한큐 전철 주식회사(阪急電鉄株式会社, Hankyu Corporation)는 일본의 긴키 지방에 노선을 갖고 있는 민간 전철 회사이다. 오테 사철(大手私鉄)이라고 불리는 대규모 전철 회사의 하나이며 일반적인 약칭은 한큐이다. 한큐 한신 홀딩스의 자회사로, 한큐 한신 토호 그룹에 소속하는 기업이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브로드웨이 뮤지컬 극단인 다카라즈카 가극단(宝塚歌劇団)을 운영하고 있고, 1936년부터 1988년까지는 프로 야구 팀 "한큐 브레이브스(현재의 오릭스 버펄로스)"의 구단주이기도 했다. 본사 사무실은 오사카부 오사카시 키타 구에 위치해 있지만, 등기상의 본사 소재지는 오사카부 이케다시 사가에정이다. 스룻토KANSAI의 카드에 인쇄 된 부호는 HK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한큐전철에서 전석 우선 좌석을 도입하기 시작한 해는 언제일까? Assistant: 1999년
Human: 아래 아빠_어릴_적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아빠 어릴 적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빠 어릴 적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아빠 어릴 적엔 장르 명랑만화 만화 작가 강모림 출판사 서울문화사 연재 잡지 아이큐점프 발매일 1997년 12월 ~ 1998년 2월 권수 2권 TV 애니메이션 원작 강모림 - 《아빠 어릴 적엔》 기획 홍상운 총감독 장문심 캐릭터 디자인 김정결, 장문심 음악 이성장, 윤세희 제작 비엔비웍스 방송사 MBC 방영일 2016년 1월 12일 ~ 2016년 12월 30일 화수 총 45화(화당 2부, 본방송 : 26화, 재방송 19화) 틀 - 토론 관련 항목 국가별 한국 · 일본 · 중국 · 대만 · 홍콩 미국(코믹스) · 프랑스 · 영국 목록 만화 작품 (대한민국 · 일본) 만화 스토리 작가 분류 만화 작품 만화 만화가 위키프로젝트 만화 작품 포털 만화 v • d • e • h 《아빠 어릴 적엔》은 강모림의 만화 및 비엔비웍스가 이를 각색한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이다. 목차 1 방영 일시 2 제작진 3 방영 목록 3.1 2016년 4 유사한 작품 5 외부 링크 방영 일시[편집] 방영 채널 방영 기간 방영 시간 MBC 2016년 1월 12일 ~ 2016년 8월 9일 화요일 오후 3시 55분 ~ 4시 25분 2016년 8월 26일 ~ 2016년 12월 30일 금요일 오후 3시 10분 ~ 3시 40분 제작진[편집] 기획 : 홍상운 책임 프로듀서 : 최창규 총감독 · 제작자 : 장문심 제작 : 비엔비웍스 원작 : 강모림 배경 감독 : 서강호 연출 감독 : 장문심, 김정결 제작 프로듀서 : 최헌국 시나리오 · 각색 : 조석신, 이서연, 윤세희 해외 마케팅 프로듀서 : 이형기 스토리 보드 : 오윤호, 윤홍권, 김정결 캐릭터 디자인 : 김정결, 장문심 애니메이션 : 오윤호, 박현수, 오진영, 홍준호, 변지성, 이일호, 윤병락, 홍순호, 오은주, 배완례, 이윤례, 최윤희, 한나영, 박소연, 이정민, 홍혜연, 성기용, 김은미, 윤지희, 김은애, 김주혜 배경 : 최태미, 이호준, 장혜리, 이수지, 안미래, 최미나 렌더링 · 편집 : 최헌국 목소리 출연 : 안소이, 이종혁, 기경옥, 류승곤, 강시현 작곡 : 이성장 작사 : 윤세희, 이성장 노래 : 서가영 녹음 · 믹싱 : 김승민, 정명우 음향 효과 : 김병찬 제작 지원 : 지오그린, 바닐라투어 행정 : 하숙자 조연출 : 조은희 방영 목록[편집] 2016년[편집] 회차 방영일 부제 1화 1월 12일 내가 먹을겨 덤벼봐 2화 1월 19일 닭싸움해유 만화가게 가유 3화 1월 26일 난 네가 좋아 극장 탈출 4화 2월 2일 곤충 소동 아버지 구두 5화 2월 16일 수박 서리 부대 북청 물장수 6화 2월 23일 은주를 구하라 우리 할머니 7화 3월 8일 반장 아무개 아르바이트 8화 3월 22일 김치 내 사랑 자전거 9화 3월 29일 꾀병 텔레비전 사유 10화 4월 5일 우리는 친구 추억의 뽑기 11화 4월 12일 생활 통지표 아빠한테 데려다 줘유 12화 4월 19일 어릿광대 옛날 이야기 13화 4월 26일 붕어빵 대보름달 14화 5월 3일 안 계시면 오라이 사춘기 15화 5월 10일 어버이날 선물 썰매타기 16화 5월 17일 발명왕 소룡 굴렁쇠 17화 5월 24일 엿장수 맘대로 신비한 모자 18화 5월 31일 전화기 칩스 선생님 19화 6월 7일 권투 시합 가족의 사랑 20화 6월 14일 새마을 운동 선생님 죄송해유 21화 6월 21일 나도 라면 나라 사랑 22화 6월 28일 추억의 약장수 태권도 23화 7월 5일 머리하는 날 빨간 손 파란 손 24화 7월 12일 아버지의 실직 불주사 맞는날 25화 7월 19일 콩쿨 대회 거리의 사진사 26화 7월 26일 꽁보리밥 도시락 나는 어쩌라구유 27화 8월 2일 내가 먹을겨(재) 덤벼봐(재) 28화 8월 9일 닭싸움해유(재) 만화가게 가유(재) 29화 8월 26일 난 네가 좋아(재) 극장 탈출(재) 30화 9월 2일 곤충 소동(재) 아버지 구두(재) 31화 9월 9일 수박 서리 부대(재) 북청 물장수(재) 32화 9월 23일 은주를 구하라(재) 우리 할머니(재) 33화 9월 30일 반장 아무개(재) 아르바이트(재) 34화 10월 7일 김치 내 사랑(재) 자전거(재) 35화 10월 14일 꾀병(재) 텔레비전 사유(재) 36화 10월 21일 우리는 친구(재) 추억의 뽑기(재) 37화 10월 28일 생활 통지표(재) 아빠한테 데려다 줘유(재) 38화 11월 4일 어릿광대(재) 옛날 이야기(재) 39화 11월 11일 붕어빵(재) 대보름달(재) 40화 11월 18일 안 계시면 오라이(재) 사춘기(재) 41화 11월 25일 어버이날 선물(재) 썰매타기(재) 42화 12월 2일 발명왕 소룡(재) 굴렁쇠(재) 43화 12월 16일 엿장수 맘대로(재) 신비한 모자(재) 44화 12월 23일 전화기(재) 칩스 선생님(재) 45화 12월 30일 권투 시합(재) 가족의 사랑(재) 유사한 작품[편집] 검정고무신 안녕 자두야 외부 링크[편집] MBC 만화마당 다시보기 - 아빠 어릴 적엔 vdeh 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드라마 아침드라마 (《모두 다 쿵따리》) 일일연속극 (《용왕님 보우하사》) 월화드라마 (《검법남녀 2》) 수목 미니시리즈 (《신입사관 구해령》)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이몽》) 예능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섹션TV 연예통신》 《마이 리틀 텔레비전 V2》 《나 혼자 산다》 《침착한 주말》 《전지적 참견 시점》 《쇼! 음악중심》 《출발! 비디오 여행》 《신비한TV 서프라이즈》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호구의 연애》 《구해줘! 홈즈》 《복면가왕》 《방송연예대상》¹ 《연기대상》¹ 《가요대제전》¹ 시사교양 《생방송 오늘아침》 《기분 좋은 날》 《실화탐사대》 《이상한 나라의 며느리》 《#파워매거진》 《우리말 나들이》 《생방송 오늘저녁》 《네트워크 특선》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MBC 스페셜》 《PD수첩》 《MBC 100분 토론》 《휴먼다큐 사람이 좋다》 《나누면 행복》 《우리동네 피터팬》 《문화사색》 《탐나는 TV》 《기억·록, 100년을 탐험하다》 《TV 예술무대》 《통일전망대》 《생방송 행복드림 로또 6/45》 《MBC 다큐프라임》(수도권,부산,영동용) 《시골 주치의 프로젝트 왕진원정대》 《어린이에게 새생명을》² 뉴스 《MBC 뉴스투데이》 《930 MBC 뉴스》 《12 MBC 뉴스》 《2시 뉴스외전》 《MBC 뉴스데스크》 (《MBC 스포츠뉴스》) 《MBC 주말뉴스》 《MBC 뉴스특보》² 스포츠 《스포츠 다이어리》 《스포츠 매거진》 《MBC 스포츠 특집》² 어린이 《뽀뽀뽀 모두야 놀자》 《MBC 만화마당 《빠샤메카드》 《아이돌타임 프리파라》 《꾸러기 식사 교실》 KBS1 KBS2 EBS1 EBS2 MBC OBS SBS †현재 잠정 중단된 프로그램 ¹ 연중 1회 방송되는 프로그램 ² 유동적으로 편성되는 프로그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빠_어릴_적엔&oldid=23335243" 분류: 문화방송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2016년 애니메이션1997년 만화201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대한민국의 만화만화의 애니메이션화 작품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2월 25일 (화) 15:1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아빠 어릴 적엔》은 강모림의 만화 및 비엔비웍스가 이를 각색한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6년 방영된 TV 애니메이션 아빠 어릴 적엔의 회차별 방송일 및 부제는 무엇일까? Assistant: 회차 방영일 부제 1화 1월 12일 내가 먹을겨 덤벼봐 2화 1월 19일 닭싸움해유 만화가게 가유 3화 1월 26일 난 네가 좋아 극장 탈출 4화 2월 2일 곤충 소동 아버지 구두 5화 2월 16일 수박 서리 부대 북청 물장수 6화 2월 23일 은주를 구하라 우리 할머니 7화 3월 8일 반장 아무개 아르바이트 8화 3월 22일 김치 내 사랑 자전거 9화 3월 29일 꾀병 텔레비전 사유 10화 4월 5일 우리는 친구 추억의 뽑기 11화 4월 12일 생활 통지표 아빠한테 데려다 줘유 12화 4월 19일 어릿광대 옛날 이야기 13화 4월 26일 붕어빵 대보름달 14화 5월 3일 안 계시면 오라이 사춘기 15화 5월 10일 어버이날 선물 썰매타기 16화 5월 17일 발명왕 소룡 굴렁쇠 17화 5월 24일 엿장수 맘대로 신비한 모자 18화 5월 31일 전화기 칩스 선생님 19화 6월 7일 권투 시합 가족의 사랑 20화 6월 14일 새마을 운동 선생님 죄송해유 21화 6월 21일 나도 라면 나라 사랑 22화 6월 28일 추억의 약장수 태권도 23화 7월 5일 머리하는 날 빨간 손 파란 손 24화 7월 12일 아버지의 실직 불주사 맞는날 25화 7월 19일 콩쿨 대회 거리의 사진사 26화 7월 26일 꽁보리밥 도시락 나는 어쩌라구유 27화 8월 2일 내가 먹을겨(재) 덤벼봐(재) 28화 8월 9일 닭싸움해유(재) 만화가게 가유(재) 29화 8월 26일 난 네가 좋아(재) 극장 탈출(재) 30화 9월 2일 곤충 소동(재) 아버지 구두(재) 31화 9월 9일 수박 서리 부대(재) 북청 물장수(재) 32화 9월 23일 은주를 구하라(재) 우리 할머니(재) 33화 9월 30일 반장 아무개(재) 아르바이트(재) 34화 10월 7일 김치 내 사랑(재) 자전거(재) 35화 10월 14일 꾀병(재) 텔레비전 사유(재) 36화 10월 21일 우리는 친구(재) 추억의 뽑기(재) 37화 10월 28일 생활 통지표(재) 아빠한테 데려다 줘유(재) 38화 11월 4일 어릿광대(재) 옛날 이야기(재) 39화 11월 11일 붕어빵(재) 대보름달(재) 40화 11월 18일 안 계시면 오라이(재) 사춘기(재) 41화 11월 25일 어버이날 선물(재) 썰매타기(재) 42화 12월 2일 발명왕 소룡(재) 굴렁쇠(재) 43화 12월 16일 엿장수 맘대로(재) 신비한 모자(재) 44화 12월 23일 전화기(재) 칩스 선생님(재) 45화 12월 30일 권투 시합(재) 가족의 사랑(재) Human: 아래 김성훈_(1993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성훈 (1993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성훈 (1993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성훈 (야구 선수)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성훈 Kim Seong-Hun 삼성 라이온즈 No.4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1993년 10월 27일(1993-10-27) (25세) 출신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신장 172 cm 체중 68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좌타 수비 위치 2루수, 유격수, 3루수, 중견수 프로 입단 연도 2016년 드래프트 순위 2016년 2차 6라운드(삼성 라이온즈) 첫 출장 KBO / 2017년 7월 28일고척 대 넥센전 계약금 6,000만원 연봉 7,000만원 (2019년) 경력 삼성 라이온즈 (2016년 ~ 현재)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유니버시아드 2015년 광주 메달 기록 대한민국의 선수 남자 야구 유니버시아드 동 2015 광주 야구 김성훈(1993년 10월 27일 ~ )은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내야수, 외야수이다. 목차 1 아마추어 시절 2 삼성 라이온즈 시절 3 출신 학교 4 통산 기록 5 각주 6 외부 링크 아마추어 시절[편집] 청원고등학교 시절 외야수로 활동했지만 프로에서 지명되지 못해 대학에 진학했고,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에 진학하자마자 포지션을 유격수로 변경했다. 디지털서울문예대 2학년 때인 2013년 대학야구 춘계리그에서 허정협과 함께 고려대와 원광대를 꺾으며 돌풍을 일으켰으며,[1] 4학년 때인 2015년 춘계리그에서도 주장이자 1번 타자로 맹활약해 팀이 첫 전국 대회 8강에 진출하는 데 기여했다.[2] 이러한 활약에 힘입어 2015년 7월 하계 유니버시아드 야구 국가대표팀에 발탁돼 주전으로 활약하며[3] 한국이 20년 만에 유니버시아드 야구 메달을 획득하는 데 일조했다. 삼성 라이온즈 시절[편집] 2016년 신인 드래프트 2차 6라운드에 지명돼 입단하였다. 유격수가 아닌 2루수로 2군 생활을 시작했지만 2군에서 타격 부진으로 1군에 올라갈 기회를 좀처럼 잡지 못했다. 10월 8일 1군 최종 전을 앞두고 처음으로 1군에 등록됐으나 경기에는 출장하지 못했다. 2017년 시즌 김상수의 부상으로 인해 생긴 팀의 내야 키스톤의 공백을 강한울과 조동찬만으로 메꾸기엔 무리라는 판단을 한 김한수 감독에 의해 7월에 1군으로 콜업됐다. 7월 29일에 넥센전에서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경기에서 1타수 무안타를 기록했다. 7월 30일에 첫 선발 출장해 데뷔 첫 안타를 번트 안타로 기록했다. 이후 8월 2일 두산전에서 니퍼트를 상대로 데뷔 첫 3루타를 쳐 냈고 허경민의 실책으로 득점하는 등 좋은 활약들을 꾸준히 펼쳤다. 후반기에만 47경기에 나서 타율 0.318, 18타점, 4도루를 기록하며 기대 이상의 시즌을 보냈다. 규정 타석은 채우지 못했지만 출루율 0.370으로 높은 출루율을 기록했다.장타력은 부족했지만 적극적인 주루가 팀 타선에 큰 활력소가 됐다. 2018년 5월 김상수의 부상 공백으로 꾸준한 기회를 얻었다. 9월 19일 KIA전에서 데뷔 첫 5안타를 기록하는 등 후반부 들어 클러치 히팅 능력이 빛을 발하며 2할대 타율, 24타점, 12도루를 기록했다. 출신 학교[편집] 서울길동초등학교 건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서울 청원고등학교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통산 기록[편집] 연도 팀명 타율 경기 타수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루타 타점 도루 도실 볼넷 사구 삼진 병살 실책 2017 삼성 0.318 47 151 27 48 4 2 0 56 18 4 2 12 1 16 2 2 2018 0.243 110 185 24 45 9 3 0 60 24 12 6 16 6 23 2 4 통산 2시즌 0.270 157 336 51 93 13 5 0 116 42 16 8 28 7 39 4 6 각주[편집] ↑ 김기중 (2013년 4월 3일). “디지털서울문예대, 고려대·원광대 이겼다”. 《한국대학신문》. 2018년 11월 18일에 확인함.  ↑ 임주형 (2015년 4월 10일). “대학야구, 만년 꼴찌의 반란”. 《서울신문》. 2018년 11월 18일에 확인함.  ↑ 박준형 (2015년 7월 10일). “김성훈,'첫 안타 신고합니다' (광주U대회)”. 《조선일보》. OSEN. 2018년 11월 1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김성훈 - KBO 타자별 기록 vdeh삼성 라이온즈 - 현재 명단감독 86 김한수 코치 82 김태한 (수석) 76 이영수 (타격) 78 강봉규 (타격) 79 박진만 (수비) 85 최태원 (작전) 88 오치아이 (투수) 90 권오원 (트레이닝) 91 정현욱 (불펜) 96 진갑용 (배터리) 97 강명구 (주루) 99 황두성 (트레이닝) -- 시라사카 (트레이닝) 퓨처스 감독 84 성준 퓨처스 코치 72 이윤효 (작전) 74 박재현 (주루) 75 조규제 (투수) 77 김종훈 (타격) 98 채상병 (배터리) 육성군 코치 70 신동주 (타격) 71 조동찬 (수비) 89 이정식 (배터리) 94 조진호 (투수) 투수 00 홍정우 1 윤성환 2 우규민 11 정인욱 13 맥과이어 15 양창섭 17 김대우 19 정광운 20 이승현 26 장필준 27 한기주 29 백정현 35 헤일리 40 최지광 43 장지훈 44 문용익 45 권오준 46 박세웅 48 김시현 49 김용하 51 최충연 54 김태우 56 최채흥 57 임현준 60 김승현 61 이수민 102 이재익 103 김윤수 106 박용민 109 맹성주 111 김동찬 113 안도원 포수 12 김민수 47 강민호(주장) 52 김응민 68 서주원 112 최종현 114 채상준 내야수 4 김성훈 6 손주인 7 김상수 8 김호재 14 박계범 16 이원석 23 김재현 32 최영진 41 백승민 50 러프 62 공민규 63 윤정빈 66 이태훈 101 김태수 105 곽경문 115 김선우 117 김성표 외야수 9 박찬도 24 김기환 31 이현동 34 김헌곤 37 황선도 38 김동엽 55 이성곤 58 박해민 59 최선호 64 송준석 65 구자욱 군입대 선수 강한울 구준범 권정웅 김결의 김성윤 김성한 남기효 심창민 안주형 윤대경 윤영수 임대한 이성규 최민구 2019년 신인지명 선수 46 원태인(1차지명) 53 이학주(2차 1라운드 지명) 42 김도환(2차 2라운드 지명) 3 양우현(2차 3라운드 지명) 28 이병헌(2차 4라운드 지명) 30 오상민(2차 5라운드 지명) 104 김준우(2차 6라운드 지명) 108 서장민(2차 7라운드 지명) 116 이해승(2차 8라운드 지명) 118 박승규(2차 9라운드 지명) 120 김연준(2차 10라운드 지명)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성훈_(1993년)&oldid=24154185" 분류: 199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서울특별시 출신KBO 리그 내야수KBO 리그 2루수KBO 리그 유격수KBO 리그 3루수KBO 리그 외야수KBO 리그 중견수KBO 리그 지명 타자삼성 라이온즈 선수서울길동초등학교 동문건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동문청원고등학교 (서울) 동문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동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5일 (일) 23: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성훈(金成勳, 1993년 10월 27일 ~ )은 전 KBO 리그 kt 위즈의 내야수, 외야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성훈은 몇 년도에 삼성 라이온즈를 입단했을까? Assistant: 2016년
Human: 아래 노모_히데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노모 히데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노모 히데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노모 히데오野茂 英雄 Hideo Nomo 노모 히데오(2011년) 기본 정보 국적 일본 생년월일 1968년 8월 31일(1968-08-31) (50세) 출신지 오사카부 오사카 시 미나토 구 신장 188 cm 체중 99.8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우타 수비 위치 투수 프로 입단 연도 1989년 드래프트 순위 1순위 첫 출장 NPB / 1990년 4월 10일 MLB / 1995년 5월 2일 마지막 경기 NPB / 1994년 8월 24일 MLB / 2008년 4월 18일 경력 신일본제철 긴테쓰 버펄로스(1990 ~ 1994) 로스앤젤레스 다저스(1995 ~ 1998) 뉴욕 메츠(1998) 밀워키 브루어스(1999) 디트로이트 타이거스(2000) 보스턴 레드삭스(2001) 로스앤젤레스 다저스(2002 ~ 2004) 탬파베이 데블 레이스(2005) 캔자스시티 로열스(2008) 일본 국가대표팀 올림픽 1988년 일본 야구 전당 전당 헌액자 선출년 2014년 득표율 82.4%(324표 중 243표) 선출방법 경기자 표창 노모 히데오 일본어식 한자 표기: 野茂 英雄 가나 표기: のも ひでお 국립국어원 표준 표기: 노모 히데오 통용 표기: 노모 히데오 로마자: Hideo Nomo 메달 기록 일본의 선수 남자 야구 올림픽 은 1988 서울 야구 노모 히데오(일본어: 野茂 英雄, 1968년 8월 31일 ~ )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다. 목차 1 인물 2 상세 정보 2.1 출신 학교 2.2 선수 경력 2.3 수상·타이틀 경력 2.3.1 타이틀 2.3.2 수상 2.4 개인 기록 2.4.1 첫 기록(NPB) 2.4.2 기록 달성 경력(NPB) 2.4.3 기타 2.4.4 MLB 2.5 등번호 2.6 연도별 투수 성적 3 외부 링크 인물[원본 편집] 오사카부 오사카 시 미나토 구 출신으로 사회인 야구팀인 신일본제철에서 활약을 하여 1988년 서울 올림픽 일본 대표팀 선수로 출전, 팀의 은메달 획득에 공헌을 하였다. 1989년 드래프트 회의에서 1순위로 지명을 받아 긴테쓰 버펄로스에 입단하여 데뷔 첫 해인 1990년에 시즌 최다인 18승과 2.91의 평균자책점, 287탈삼진, 6할9푼2리의 최고 승률을 연거푸 기록하여 신인왕과 MVP를 석권하였다. 5년간 일본에서의 선수생활을 마치고 메이저 리그 진출을 선언하여 1995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 입단하였다. 입단 첫 해 13승 6패의 성적과 평균자책점 2.54의 좋은 성적으로 그 해 신인상을 수상하는 등 훌륭한 활약을 보였으며, 타자에게 등을 보이는 꽈배기 스타일의 독특한 투구폼과 낙차 큰 포크볼로 리그 정상급 투수로 자리매김하였다. 2008년 시즌을 끝으로 선수 생활을 은퇴했다. 상세 정보[원본 편집] 출신 학교[원본 편집] 오사카 부립 세이조 공업 고등학교 선수 경력[원본 편집] 사회인 시대 신일본제철 NPB 긴테쓰 버펄로스(1990년 ~ 1994년) MLB 로스앤젤레스 다저스(1995년 ~ 1998년) 뉴욕 메츠(1998년) 밀워키 브루어스(1999년) 디트로이트 타이거스(2000년) 보스턴 레드삭스(2001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2002년 ~ 2004년) 탬파베이 데블 레이스(2005년) 캔자스시티 로열스(2008년) 국가대표 경력 1988년 서울 올림픽 일본 국가대표 수상·타이틀 경력[원본 편집] 타이틀[원본 편집] NPB 다승왕 : 4회(1990년 ~ 1993년) 최고 승률 : 1회(1990년) 최우수 평균 자책점 : 1회(1990년) 최다 탈삼진 : 4회(1990년 ~ 1993년) MLB 최다 탈삼진 : 2회(1995년, 2001년) 수상[원본 편집] NPB 신인왕(1990년) MVP : 1회(1990년) 베스트 나인 : 1회(1990년) 사와무라 에이지상 : 1회(1990년) 월간 MVP : 2회(1990년 6월, 1992년 8월) 일본 프로 스포츠 대상(1990년) 호치 프로 스포츠 대상(1990년) 넘버 MVP상(1990년) MLB 신인왕(1995년) 월간 MVP : 2회(1995년 6월, 1996년 9월) 개인 기록[원본 편집] 첫 기록(NPB)[원본 편집] 첫 등판·첫 선발 : 1990년 4월 10일, 대 세이부 라이온스 1차전(후지이데라 구장), 6이닝 4실점에서 패전 투수 첫 탈삼진 : 상동, 1회초에 기요하라 가즈히로로부터 첫 승리·첫 완투 승리 : 1990년 4월 29일, 대 오릭스 브레이브스 5차전(한큐 니시노미야 구장), 9이닝 2실점 첫 완봉 승리 : 1990년 6월 24일, 대 닛폰햄 파이터스 13차전(도쿄 돔) 기록 달성 경력(NPB)[원본 편집] 통산 1000탈삼진 : 1993년 8월 27일, 대 오릭스 블루웨이브 16차전(그린 스타디움 고베), 5회말에 다카하시 사토시로부터 ※역대 90번째(사상 최고 속도 : 871회) 통산 1000투구 이닝 : 1994년 5월 31일, 대 세이부 라이온스 9차전(후지이데라 구장) ※역대 253번째 기타[원본 편집] 1경기 17탈삼진 달성 당시 프로 야구 타이 기록(1990년 4월 29일) 1경기 개인 최다 볼넷 16개 프로 야구 신기록(1994년) 시즌 탈삼진률 10.99 프로 야구 신기록(1990년, 달성 당시) 6경기 연속 두 자릿수 탈삼진 프로 야구 신기록(1991년 4월 7일 ~ 5월 9일) 프로 야구 사상 최단 경기 통산 1000 탈삼진 달성 올스타전 출장 : 5회(1990년 ~ 1994년) MLB[원본 편집] 노히트 노런 : 2회(1996년, 2001년) MLB 올스타전 출장 : 1회(1995년) ※선발 투수. 등번호[원본 편집] 11(1990년 ~ 1994년, 1999년, 2001년, 2005년) 16(1995년 ~ 1998년) 23(2000년) 10(2002년 ~ 2004년) 91(2008년) 연도별 투수 성적[원본 편집] 연도 소속 등판 선발 완투 완봉 무볼넷 승리 패전 세이브 홀드 승률 상대타자 투구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고의사구 몸맞 탈삼진 폭투 보크 실점 자책점 평자책 WHIP 1990년 긴테쓰 29 27 21 2 1 18 8 0 -- .692 975 235.0 167 18 109 2 4 287 12 0 87 76 2.91 1.17 1991년 31 29 22 4 0 17 11 1 -- .607 1024 242.1 183 21 128 1 5 287 15 1 92 82 3.05 1.28 1992년 30 29 17 5 1 18 8 0 -- .692 900 216.2 150 13 117 0 1 228 4 0 73 64 2.66 1.23 1993년 32 32 14 2 0 17 12 0 -- .586 1064 243.1 201 22 148 1 7 276 13 1 106 100 3.70 1.43 1994년 17 17 6 0 0 8 7 0 -- .533 512 114.0 96 9 86 0 2 126 7 0 55 46 3.63 1.60 1995년 LAD 28 28 4 3 0 13 6 0 -- .684 780 191.1 124 14 78 2 5 236 19 5 63 54 2.54 1.06 1996년 33 33 3 2 0 16 11 0 -- .593 932 228.1 180 23 85 6 2 234 11 3 93 81 3.19 1.16 1997년 33 33 1 0 0 14 12 0 -- .538 904 207.1 193 23 92 2 9 233 10 4 104 98 4.25 1.37 1998년 12 12 2 0 0 2 7 0 -- .222 295 67.2 57 8 38 0 3 73 4 1 39 38 5.05 1.40 NYM 17 16 1 0 0 4 5 0 -- .444 392 89.2 73 11 56 2 1 94 9 3 49 48 4.82 1.44 '98 소계 29 28 3 0 0 6 12 0 -- .333 687 157.1 130 19 94 2 4 167 13 4 88 86 4.92 1.42 1999년 MIL 28 28 0 0 0 12 8 0 0 .600 767 176.1 173 27 78 2 3 161 10 1 96 89 4.54 1.42 2000년 DET 32 31 1 0 0 8 12 0 0 .400 828 190.0 191 31 89 1 3 181 16 0 102 100 4.74 1.47 2001년 BOS 33 33 2 2 1 13 10 0 0 .565 849 198.0 171 26 96 2 3 220 6 0 105 99 4.50 1.35 2002년 LAD 34 34 0 0 0 16 6 0 0 .727 926 220.1 189 26 101 5 2 193 6 0 92 83 3.39 1.32 2003년 33 33 2 2 0 16 13 0 0 .552 897 218.1 175 24 98 6 1 177 11 0 82 75 3.09 1.25 2004년 18 18 0 0 0 4 11 0 0 .267 393 84.0 105 19 42 1 4 54 3 0 77 77 8.25 1.75 2005년 TB 19 19 0 0 0 5 8 0 0 .385 472 100.2 127 16 51 2 2 59 3 0 82 81 7.24 1.77 2008년 KC 3 0 0 0 0 0 0 0 0 ---- 27 4.1 10 3 4 0 0 3 1 0 9 9 18.69 3.23 NPB : 5년 139 134 80 13 2 78 46 1 -- .629 4475 1051.1 797 83 588 4 19 1204 51 2 413 368 3.15 1.32 MLB : 12년 323 318 16 9 1 123 109 0 0 .530 8462 1976.1 1768 251 908 31 38 1918 109 17 993 932 4.24 1.35 굵은 글씨는 시즌 최고 성적. 외부 링크[원본 편집] (일본어) 공식 홈페이지 (일본어) 노모 히데오 팬사이트 - BALLPLAYERS.JP - (영어) 경력 통계와 선수 정보 - MLB,  ESPN,  Baseball-Reference.com,  Fangraphs,  The Baseball Cube,  Baseball-Reference (Minors) '그라운드 떠난 노모'- 스타들, '노모를 말하다' 《조이뉴스》, 2008년 7월 21일 vdeh일본 프로 야구 명구회 역대 회원투수 가네다 마사이치 이나오 가즈히사 고야마 마사아키 요네다 데쓰야 가지모토 다카오 미나가와 무쓰오 무라야마 미노루 스즈키 게이시 호리우치 쓰네오 야마다 히사시 에나쓰 유타카 히라마쓰 마사지 히가시오 오사무 무라타 조지 기타벳푸 마나부 사사키 가즈히로 다카쓰 신고 구도 기미야스 노모 히데오 야마모토 마사히로(야마모토 마사) 이와세 히토키 구로다 히로키 야수 야마우치 가즈히로 에노모토 기하치 노무라 가쓰야 나가시마 시게오 히로세 요시노리 장훈(하리모토 이사오) 오 사다하루 에토 신이치 도이 마사히로 다카기 모리미치 마쓰바라 마코토 시바타 이사오 오스기 가쓰오 후지타 다이라 기누가사 사치오 후쿠모토 유타카 야마자키 히로유키 야마모토 고지 아리토 미치요 와카마쓰 쓰토무 야자와 겐이치 가토 히데지 가도타 히로미쓰 오시마 야스노리 아라이 히로마사 아키야마 고지 고마다 노리히로 다쓰나미 가즈요시 이치로(스즈키 이치로) 기요하라 가즈히로 후루타 아쓰야 노무라 겐지로 이시이 다쿠로 마쓰이 히데키 다나카 유키오 마에다 도모노리 가네모토 도모아키 마쓰이 가즈오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이나바 아쓰노리 미야모토 신야 고쿠보 히로키 알렉스 라미레스 나카무라 노리히로 다니시게 모토노부 이구치 다다히토 와다 가즈히로 아라이 다카히로 후쿠도메 고스케 아라키 마사히로 아오키 노리치카 아베 신노스케 도리타니 다카시 우치카와 세이이치 후쿠우라 가즈야 vdeh사와무라 에이지상1940년대 1947: 벳쇼 다케히코 1948: 나카오 히로시 1949: 후지모토 히데오 1950년대 1950: 사나다 시게오 1951: 스기시타 시게루 1952: 스기시타 시게루 1953: 오토모 다쿠미 1954: 스기시타 시게루 1955: 벳쇼 다케히코 1956: 가네다 마사이치 1957: 가네다 마사이치 1958: 가네다 마사이치 1959: 무라야마 미노루 1960년대 1960: 호리모토 리쓰오 1961: 곤도 히로시 1962: 고야마 마사아키 1963: 이토 요시아키 1964: 진 바크 1965: 무라야마 미노루 1966: 무라야마 미노루, 호리우치 쓰네오 1967: 오가와 겐타로 1968: 에나쓰 유타카 1969: 다카하시 가즈미 1970년대 1970: 히라마쓰 마사지 1972: 호리우치 쓰네오 1973: 다카하시 가즈미 1974: 호시노 센이치 1975: 소토코바 요시로 1976: 이케가야 고지로 1977: 고바야시 시게루 1978: 마쓰오카 히로무 1979: 고바야시 시게루 1980년대 1981: 니시모토 다카시 1982: 기타벳푸 마나부 1983: 엔도 가즈히코 1985: 고마쓰 다쓰오 1986: 기타벳푸 마나부 1987: 구와타 마스미 1988: 오노 유타카 1989: 사이토 마사키 1990년대 1990: 노모 히데오 1991: 사사오카 신지 1992: 이시이 다케히로 1993: 이마나카 신지 1994: 야마모토 마사히로 1995: 사이토 마사키 1996: 사이토 마사키 1997: 니시구치 후미야 1998: 가와사키 겐지로 1999: 우에하라 고지 2000년대 2001: 마쓰자카 다이스케 2002: 우에하라 고지 2003: 이가와 게이, 사이토 가즈미 2004: 가와카미 겐신 2005: 스기우치 도시야 2006: 사이토 가즈미 2007: 다르빗슈 유 2008: 이와쿠마 히사시 2009: 와쿠이 히데아키 2010년대 2010: 마에다 겐타 2011: 다나카 마사히로 2012: 셋쓰 다다시 2013: 다나카 마사히로 2014: 가네코 지히로 2015: 마에다 겐타 2016: 크리스 존슨 2017: 스가노 도모유키 2018: 스가노 도모유키 ※1947년에 제정됨. 상기 이외의 연도는 수상자 없음 vdeh퍼시픽 리그 MVP1950년대 1950: 벳토 가오루 1951: 야마모토 가즈토 1952: 유키 스스무 1953: 오카모토 이사미 1954: 오시타 히로시 1955: 이이다 도쿠지 1956: 나카니시 후토시 1957: 이나오 가즈히사 1958: 이나오 가즈히사 1959: 스기우라 다다시 1960년대 1960: 야마우치 가즈히로 1961: 노무라 가쓰야 1962: 하리모토 이사오 1963: 노무라 가쓰야 1964: 조 스탠카 1965: 노무라 가쓰야 1966: 노무라 가쓰야 1967: 아다치 미쓰히로 1968: 요네다 데쓰야 1969: 나가이케 도쿠지 1970년대 1970: 기타루 마사아키 1971: 나가이케 도쿠지 1972: 후쿠모토 유타카 1973: 노무라 가쓰야 1974: 가네다 도메히로 1975: 가토 히데지 1976: 야마다 히사시 1977: 야마다 히사시 1978: 야마다 히사시 1979: 찰리 매뉴엘 1980년대 1980: 기다 이사무 1981: 에나쓰 유타카 1982: 오치아이 히로미쓰 1983: 히가시오 오사무 1984: 부머 웰스 1985: 오치아이 히로미쓰 1986: 이시게 히로미치 1987: 히가시오 오사무 1988: 가도타 히로미쓰 1989: 랄프 브라이언트 1990년대 1990: 노모 히데오 1991: 궈타이위안 1992: 이시이 다케히로 1993: 구도 기미야스 1994: 이치로 1995: 이치로 1996: 이치로 1997: 니시구치 후미야 1998: 마쓰이 가즈오 1999: 구도 기미야스 2000년대 2000: 마쓰나카 노부히코 2001: 터피 로즈 2002: 알렉스 카브레라 2003: 조지마 겐지 2004: 마쓰나카 노부히코 2005: 스기우치 도시야 2006: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2007: 다르빗슈 유 2008: 이와쿠마 히사시 2009: 다르빗슈 유 2010년대 2010: 와다 쓰요시 2011: 우치카와 세이이치 2012: 요시카와 미쓰오 2013: 다나카 마사히로 2014: 가네코 지히로 2015: 야나기타 유키 2016: 오타니 쇼헤이 2017: 데니스 사파테 2018: 야마카와 호타카 vdeh퍼시픽 리그 신인왕1950년대 1950: 아라마키 아쓰시 1951: 가게야마 가즈오 1952: 나카니시 후토시 1953: 도요다 야스미쓰 1954: 다쿠와 모토지 1955: 에노모토 기하치 1956: 이나오 가즈히사 1957: 기무라 다모쓰 1958: 스기우라 다다시 1959: 하리모토 이사오 1960년대 1961: 도쿠히사 도시아키 1962: 오자키 유키오 1965: 이케나가 마사아키 1967: 다카하시 요시마사 1969: 아리토 미치요 1970년대 1970: 사토 미치오 1971: 미나가와 야스오 1972: 가토 하지메 1973: 니이미 사토시 1974: 미쓰이 마사하루 1975: 야마구치 다카시 1976: 후지타 마나부 1977: 사토 요시노리 1978: 무라카미 유키히로 1979: 마쓰누마 히로히사 1980년대 1980: 기다 이사무 1981: 이시게 히로미치 1982: 오이시 다이지로 1983: 후타무라 다다미 1984: 후지타 히로마사 1985: 구마노 데루미쓰 1986: 기요하라 가즈히로 1987: 아와노 히데유키 1988: 모리야마 료지 1989: 사카이 쓰토무 1990년대 1990: 노모 히데오 1991: 하세가와 시게토시 1992: 다카무라 히로시 1993: 스기야마 겐토 1994: 와타나베 히데카즈 1995: 히라이 마사후미 1996: 가네코 마코토 1997: 고사카 마코토 1998: 오제키 다쓰야 1999: 마쓰자카 다이스케 2000년대 2001: 오쿠보 마사노부 2002: 쇼다 이쓰키 2003: 와다 쓰요시 2004: 미세 고지 2005: 구보 야스토모 2006: 야기 도모야 2007: 다나카 마사히로 2008: 고마쓰 사토시 2009: 셋쓰 다다시 2010년대 2010: 사카키바라 료 2011: 마키타 가즈히사 2012: 마스다 나오야 2013: 노리모토 다카히로 2014: 이시카와 아유무 2015: 아리하라 고헤이 2016: 다카나시 히로토시 2017: 겐다 소스케 2018: 다나카 가즈키 ※상기 이외의 연도는 수상자 없음 vdeh퍼시픽 리그 다승왕1950년대 1950: 아라마키 아쓰시 1951: 에토 다다시 1952: 노구치 마사아키 1953: 가와사키 도쿠지 1954: 다쿠와 모토지, 다나카 후미오 1955: 다쿠와 모토지 1956: 미우라 마사요시 1957: 이나오 가즈히사 1958: 이나오 가즈히사 1959: 스기우라 다다시 1960년대 1960: 오노 쇼이치 1961: 이나오 가즈히사 1962: 구보 유키히로 1963: 이나오 가즈히사 1964: 고야마 마사아키 1965: 오자키 유키오 1966: 요네다 데쓰야 1967: 이케나가 마사아키 1968: 미나가와 무쓰오 1969: 스즈키 게이시 1970년대 1970: 나리타 후미오 1971: 기타루 마사아키 1972: 야마다 히사시, 가네다 도메히로 1973: 나리타 후미오 1974: 가네다 도메히로 1975: 히가시오 오사무 1976: 야마다 히사시 1977: 스즈키 게이시 1978: 스즈키 게이시 1979: 야마다 히사시 1980년대 1980: 기다 이사무 1981: 이마이 유타로, 무라타 조지 1982: 구도 미키오 1983: 히가시오 오사무, 야마우치 가즈히로 1984: 이마이 유타로 1985: 사토 요시노리 1986: 와타나베 히사노부 1987: 야마오키 유키히코 1988: 와타나베 히사노부, 니시자키 유키히로, 마쓰우라 히로아키 1989: 아와노 히데유키 1990년대 1990: 와타나베 히사노부, 노모 히데오 1991: 노모 히데오 1992: 노모 히데오 1993: 노다 고지, 노모 히데오 1994: 이라부 히데키 1995: 킵 그로스 1996: 킵 그로스 1997: 니시구치 후미야, 고이케 히데오 1998: 니시구치 후미야, 다케다 가즈히로, 구로키 도모히로 1999: 마쓰자카 다이스케 2000년대 2000: 마쓰자카 다이스케 2001: 마쓰자카 다이스케 2002: 제레미 파웰 2003: 사이토 가즈미 2004: 이와쿠마 히사시 2005: 스기우치 도시야 2006: 사이토 가즈미 2007: 와쿠이 히데아키 2008: 이와쿠마 히사시 2009: 와쿠이 히데아키 2010년대 2010: 와다 쓰요시, 가네코 지히로 2011: 다나카 마사히로, D. J. 홀튼 2012: 셋쓰 다다시 2013: 다나카 마사히로 2014: 가네코 지히로 2015: 오타니 쇼헤이, 와쿠이 히데아키 2016: 와다 쓰요시 2017: 기쿠치 유세이, 히가시하마 나오 2018: 다와타 신사부로 vdeh퍼시픽 리그 최우수 평균 자책점1950년대 1950: 아라마키 아쓰시 1951: 유키 스스무 1952: 유키 스스무 1953: 가와사키 도쿠지 1954: 다쿠와 모토지 1955: 나카가와 다카시 1956: 이나오 가즈히사 1957: 이나오 가즈히사 1958: 이나오 가즈히사 1959: 스기우라 다다시 1960년대 1960: 오노 쇼이치 1961: 이나오 가즈히사 1962: 구보타 오사무 1963: 구보 유키히로 1964: 쓰마지마 요시로 1965: 미우라 기요히로 1966: 이나오 가즈히사 1967: 아다치 미쓰히로 1968: 미나가와 무쓰오 1969: 기타루 마사아키 1970년대 1970: 사토 미치오 1971: 야마다 히사시 1972: 세이 도시히코 1973: 요네다 데쓰야 1974: 사토 미치오 1975: 무라타 조지 1976: 무라타 조지 1977: 야마다 히사시 1978: 스즈키 게이시 1979: 야마구치 데쓰지 1980년대 1980: 기다 이사무 1981: 오카베 노리아키 1982: 다카하시 사토시 1983: 히가시오 오사무 1984: 이마이 유타로 1985: 구도 기미야스 1986: 사토 요시노리 1987: 구도 기미야스 1988: 고노 히로후미 1989: 무라타 조지 1990년대 1990: 노모 히데오 1991: 와타나베 도미오 1992: 아카호리 모토유키 1993: 구도 기미야스 1994: 신타니 히로시 1995: 이라부 히데키 1996: 이라부 히데키 1997: 고미야마 사토루 1998: 가네무라 사토루 1999: 구도 기미야스 2000년대 2000: 에비스 노부유키 2001: 나단 민치 2002: 가네다 마사히코 2003: 사이토 가즈미, 마쓰자카 다이스케 2004: 마쓰자카 다이스케 2005: 스기우치 도시야 2006: 사이토 가즈미 2007: 나루세 요시히사 2008: 이와쿠마 히사시 2009: 다르빗슈 유 2010년대 2010: 다르빗슈 유 2011: 다나카 마사히로 2012: 요시카와 미쓰오 2013: 다나카 마사히로 2014: 가네코 지히로 2015: 오타니 쇼헤이 2016: 이시카와 아유무 2017: 기쿠치 유세이 2018: 기시 다카유키 vdeh퍼시픽 리그 최우수 승률 투수1950년대 1950: 노무라 다케시 1951: 나카타니 노부오 1952: 유키 스스무 1953: 오가미 다케토시 1954: 니시무라 사다아키 1955: 나카무라 다이세이 1956: 우에무라 요시노부 1957: 이나오 가즈히사 1958: 아키모토 유사쿠 1959: 스기우라 다다시 1960년대 1960: 오노 쇼이치 1961: 이나오 가즈히사 1962: 미나가와 무쓰오 1963: 다나카 쓰토무, 모리나카 지카라 1964: 조 스탠카 1965: 하야시 도시히코 1966: 미나가와 무쓰오 1967: 이시이 시게오 1968: 무라카미 마사노리 1969: 세이 도시히코 1970년대 1970: 사사키 고이치로 1971: 야마다 히사시 1972: 사토 미치오 1973: 야기사와 소로쿠 1974: 다케무라 가즈요시 1975: 스즈키 게이시, 노무라 오사무 1976: 야마다 히사시 1977: 이나바 미쓰오 1978: 야마다 히사시 1979: 야마다 히사시 1980년대 1980: 기다 이사무 1981: 마시바 시게쿠니 1982: 구도 미키오 1983: 다카하시 나오키 1984: 이시카와 마사루 1985: 이시모토 요시아키 1986: 와타나베 히사노부 1987: 구도 기미야스 1988: 궈타이위안 1989: 호시노 노부유키 1990년대 1990: 노모 히데오 1991: 구도 기미야스 1992: 이시이 다케히로 1993: 구도 기미야스 1994: 궈타이위안 1995: 히라이 마사후미 1996: 호시노 노부유키 1997: 니시구치 후미야 1998: 구로키 도모히로 1999: 시노하라 다카유키 2000년대 2000: 오노 신고 2001: 다노우에 게이사부로 2002: 제레미 파웰 2003: 사이토 가즈미 2004: 이와쿠마 히사시 2005: 사이토 가즈미 2006: 사이토 가즈미 2007: 나루세 요시히사 2008: 이와쿠마 히사시 2009: 다르빗슈 유, 스기우치 도시야 2010년대 2010: 스기우치 도시야 2011: 다나카 마사히로 2012: 셋쓰 다다시 2013: 다나카 마사히로 2014: 기시 다카유키 2015: 오타니 쇼헤이 2016: 와다 쓰요시 2017: 센가 고다이 2018: 마이크 볼싱어 vdeh퍼시픽 리그 최다 탈삼진1950년대 1950: 요네카와 야스오 1951: 아베 하치로 1952: 유키 스스무 1953: 요네카와 야스오 1954: 다쿠와 모토지 1955: 가와무라 히사후미 1956: 가지모토 다카오 1957: 가지모토 다카오 1958: 이나오 가즈히사 1959: 스기우라 다다시 1960년대 1960: 스기우라 다다시 1961: 이나오 가즈히사 1962: 요네다 데쓰야 1963: 이나오 가즈히사 1964: 오자키 유키오 1965: 오자키 유키오 1966: 다나카 쓰토무 1967: 스즈키 게이시 1968: 스즈키 게이시 1969: 스즈키 게이시 1970년대 1970: 스즈키 게이시 1971: 스즈키 게이시 1972: 스즈키 게이시 1973: 나리타 후미오 1974: 스즈키 게이시 1975: 히가시오 오사무 1976: 무라타 조지 1977: 무라타 조지 1978: 스즈키 게이시 1979: 무라타 조지 1980년대 1980: 기다 이사무 1981: 무라타 조지 1982: 마쓰누마 히로히사 1983: 야마오키 유키히코 1984: 사토 요시노리 1985: 사토 요시노리 1986: 와타나베 히사노부 1987: 아와노 히데유키 1988: 오가와 히로시 1989: 아와노 히데유키 1990년대 1990: 노모 히데오 1991: 노모 히데오 1992: 노모 히데오 1993: 노모 히데오 1994: 이라부 히데키 1995: 이라부 히데키 1996: 구도 기미야스 1997: 니시구치 후미야 1998: 니시구치 후미야 1999: 구도 기미야스 2000년대 2000: 마쓰자카 다이스케 2001: 마쓰자카 다이스케 2002: 제레미 파웰 2003: 마쓰자카 다이스케 2004: 아라카키 나기사 2005: 마쓰자카 다이스케 2006: 사이토 가즈미 2007: 다르빗슈 유 2008: 스기우치 도시야 2009: 스기우치 도시야 2010년대 2010: 다르빗슈 유 2011: 다르빗슈 유 2012: 다나카 마사히로 2013: 가네코 지히로 2014: 노리모토 다카히로 2015: 노리모토 다카히로 2016: 노리모토 다카히로 2017: 노리모토 다카히로 2018: 노리모토 다카히로 ※1989년에 타이틀로 제정됨. vdeh퍼시픽 리그 베스트 나인 (투수 부문)1950년대 1950: 아라마키 아쓰시 1951: 에토 다다시 1952: 유키 스스무 1953: 가와사키 도쿠지 1954: 니시무라 사다아키 1955: 나카무라 다이세이 1956: 가지모토 다카오 1957: 이나오 가즈히사 1958: 이나오 가즈히사 1959: 스기우라 다다시 1960년대 1960: 오노 쇼이치 1961: 이나오 가즈히사 1962: 이나오 가즈히사 1963: 이나오 가즈히사 1964: 조 스탠카 1965: 오자키 유키오 1966: 다나카 쓰토무 1967: 아다치 미쓰히로 1968: 미나가와 무쓰오 1969: 스즈키 게이시 1970년대 1970: 기타루 마사아키 1971: 야마다 히사시 1972: 야마다 히사시 1973: 나리타 후미오 1974: 가네다 도메히로 1975: 스즈키 게이시 1976: 야마다 히사시 1977: 야마다 히사시 1978: 스즈키 게이시 1979: 야마다 히사시 1980년대 1980: 기다 이사무 1981: 무라타 조지 1982: 구도 미키오 1983: 히가시오 오사무 1984: 이마이 유타로 1985: 히가시오 오사무 1986: 와타나베 히사노부 1987: 구도 기미야스 1988: 니시자키 유키히로 1989: 아와노 히데유키 1990년대 1990: 노모 히데오 1991: 궈타이위안 1992: 이시이 다케히로 1993: 구도 기미야스 1994: 이라부 히데키 1995: 이라부 히데키 1996: 에릭 힐만 1997: 니시구치 후미야 1998: 니시구치 후미야 1999: 마쓰자카 다이스케 2000년대 2000: 마쓰자카 다이스케 2001: 마쓰자카 다이스케 2002: 제레미 파웰 2003: 사이토 가즈미 2004: 이와쿠마 히사시 2005: 스기우치 도시야 2006: 사이토 가즈미 2007: 다르빗슈 유 2008: 이와쿠마 히사시 2009: 다르빗슈 유 2010년대 2010: 와다 쓰요시 2011: 다나카 마사히로 2012: 요시카와 미쓰오 2013: 다나카 마사히로 2014: 가네코 지히로 2015: 오타니 쇼헤이 2016: 오타니 쇼헤이 2017: 기쿠치 유세이 2018: 기쿠치 유세이 vdeh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 1988년 하계 올림픽 은메달 감독30 스즈키 요시노부코치 31 가와시마 가쓰지 32 야마나카 마사타케 투수 11 시오자키 데쓰야 12 와타나베 도미오 14 스즈키 데쓰 15 기쿠치 사토시 16 요시다 슈지 18 이시이 다케히로 19 노모 히데오 포수 20 후루타 아쓰야 22 오타케 아쓰요시 내야수 1 니시 마사후미 2 가쓰라기 히로키 3 요네자키 군지 6 노무라 겐지로 9 오가와 히로후미 10 쓰쓰이 다이스케 28 오모리 다케시 외야수 8 나카지마 데루시 21 마에다 마코토 25 마쓰모토 야스시 27 도마시노 겐지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14974892 LCCN: n95116087 ISNI: 0000 0000 8475 6868 NDL: 00397785 CiNii: DA09921463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노모_히데오&oldid=23405729" 분류: 1968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일본의 야구 선수일본 프로 야구 투수긴테쓰 버펄로스 선수일본 프로 야구 최우수 선수일본 프로 야구 신인왕 수상자일본 출신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선수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선수뉴욕 메츠 선수밀워키 브루어스 선수보스턴 레드삭스 선수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선수탬파베이 데블 레이스 선수캔자스시티 로열스 선수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해의 신인상 수상자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투수1988년 하계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올림픽 야구 메달리스트일본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일본의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오사카시 출신명구회사와무라 에이지상 수상자일본 야구전당 헌액자기쿠치 간상 수상자1988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내셔널 리그 올스타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연도별 투수 성적을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Français日本語Malagasy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3일 (목) 10: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노모 히데오(일본어: 野茂 英雄, のも ひでお, 1968년 8월 31일~)는 일본의 은퇴한 야구 선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노모 히데오가 LA 다저스 팀에 입단한 것은 몇 년도입니까? Assistant: 1995년 Human: 아래 유니언_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유니언 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니언 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유니언 잭 (마블 코믹스)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현재 영국의 국기로 사용중인 유니언 잭 유니언 잭(영어: Union Jack) 또는 유니언 기(영어: Union Flag 유니언 플래그[*])는 영국의 국기에서 사용하는 왕실 깃발 디자인이며, 여러 영국 연방 왕국 국기에 포함된다. 목차 1 역사 1.1 1801년 이전 유니언 잭 1.2 1801년 이후 유니언 잭 1.3 현재의 국기 디자인 문제 2 유니언 잭을 포함하는 국기 또는 주기 2.1 국기, 속령의 기 2.2 주기 3 같이 보기 역사[편집] 유니언 잭의 구성 초창기의 유니언 잭 1707년까지 스코틀랜드에서 널리 사용된 유니언 잭 웨일스의 적룡 문양이 포함된 유니언 잭 디자인 1801년 이전 유니언 잭[편집]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6세가 1603년 잉글랜드의 왕위를 물려받아 잉글랜드의 제임스 1세가 되면서 잉글랜드 왕국과 스코틀랜드 왕국은 동군연합이 되었다. 1606년 4월 12일 왕령으로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동군연합을 상징하는 새로운 기를 제정했다. 이 기는 잉글랜드의 국기(흰 바탕에 붉은 십자를 그린 성 게오르기우스 십자)와 스코틀랜드의 국기(파란 바탕에 흰 X자 모양의 십자를 그린 성 안드레아 십자)를 겹쳐서 만들었다. 처음에는 선박과 해군의 기로만 사용했으며 1634년에 국왕의 배에만 사용하도록 제한했었다. 1707년 선포한 합병령으로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으로 합하면서 국기가 되었다. 여러 가지 밝기의 파란 색이 스코틀랜드 기에 사용한다. 유니언 기 배경색은 짙은 네이비 블루(팬턴 280)이며, 현재 스코틀랜드 국기에 사용하는 배경색은 2003년 스코틀랜드 의회에서 정한 옅은 로열 블루(팬턴 300)이다. 웨일스는 1282년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가 병합해서 잉글랜드 일부로 여겼기 때문이다. 현재 웨일스 국기는 20세기에 만들었다. 아일랜드 왕국은 1542년부터 잉글랜드와 동군연합 상태로 있었지만 이 유니언 잭에는 표현하지 않았다. 1801년 이전 유니언 잭은 처음 채택한 미국의 국기에서도 왼쪽 귀퉁이에 사용했었다. 말하자면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 국기를 합해서 만든 게 바로 유니언 기이다. 1801년 이후 유니언 잭[편집] 현재 유니언 잭은 1800년 선포한 합병령으로 1801년 1월 1일, 아일랜드 왕국과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이 결합하여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이 되면서 만들었다. 아일랜드 나타내는 성 파트리치오 십자(흰 바탕에 붉은 X자 모양의 십자가를 그림)가를 스코틀랜드의 성 안드레아 십자 위에 추가했다. 붉은 십자는 잉글랜드의 헨리 2세가 아일랜드를 다스리기 위해 보낸 피츠제럴드 가문의 문장에서 온 것으로 생각한다. 실제 이 문양은 아일랜드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에 하프나 켈트 십자, 토끼풀, 또는 (1922년 이후) 아일랜드 삼색기를 사용한다. 현재의 국기 디자인 문제[편집] 많은 웨일스 사람들은 적룡기나 성 데이비드 기를 포함한 새로운 유니언 플래그를 제작할 것을 요구하고 있고, 몇몇 사람들은 실제로 그 디자인을 제안하고 있기도 하다. 기존 디자인(잉글랜드+스코틀랜드+(북)아일랜드)은 현재의 영국 구성 국가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유니언 잭이 생길 때에는 웨일스가 잉글랜드에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웨일스 국기가 반영되지 않았으나, 현재는 웨일스가 잉글랜드에서 독립했으니 마땅히 유니언 잭에 반영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반대하는 쪽에서는 웨일스가 왕국(kingdom) 지위가 아닌 공국(公國, principality; 웨일스 공 참고) 지위이기 때문에 유니언 플래그에 반영할 수 없다는 논리를 들고 있다(잉글랜드, 스코틀랜드, 구(舊) 아일랜드는 각각 왕국의 지위를 지닌 채 연합왕국을 이루었다). 2007년 11월 말, 웨일스 렉섬이 지역구인 이언 루카스 영국 하원 의원(노동당)이 하원 의사당에서 웨일스의 깃발이 유니언 잭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보수당의 스튜어드 잭슨 의원(지역구: 잉글랜드 피터버러)이 “희한한 제안(eccentric proposal)”이라고 비난하였으나, 마거릿 호지 문화부 장관은 국기의 개정을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유니언 잭을 포함하는 국기 또는 주기[편집] 영국 국기인 유니언 잭은 영국이 아닌 여러 나라의 국기에도 사용되고 있다. 독립국 중에는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투발루, 피지의 국기에 포함되어 있다. 캐나다도 1965년 현재의 단풍나무 기를 채택하기 전까지는 유니언 잭을 국기에 사용했다. 매니토바주,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온타리오주의 기에는 영국 국기가 들어있다. 미국의 하와이주는 영국의 지배를 겪지는 않았음에도 유니언 잭이 들어있다. 피지는 공화국으로 출범한 이후에도 아직까지 유니언 잭이 남아있다. 니우에는 별이 추가되어 있다. 국기, 속령의 기[편집] 뉴질랜드의 국기 니우에의 기 몬트세랫의 기 버뮤다의 기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의 기 세인트헬레나의 기 앵귈라의 기 어센션 섬의 기 영국령 남극 지역의 기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의 기 영국령 인도양 지역의 기 오스트레일리아의 국기 쿡 제도의 기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의 기 투발루의 국기 트리스탄다쿠냐 제도의 기 포클랜드 제도의 기 피지의 국기 핏케언 제도의 기 주기[편집] 뉴사우스웨일스주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매니토바주의 기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기 (캐나다) 빅토리아주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온타리오주의 기 (캐나다)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주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주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하와이주의 기 (미국) 같이 보기[편집] 영국의 기 목록 대영 제국의 기 목록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유니언 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유니언_잭&oldid=24375315" 분류: 대영 제국영국의 기기 도안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বাংলাCymraegDeutschEnglishEsperantoFøroysktGaeilgeहिन्दीBahasa IndonesiaລາວമലയാളംBahasa MelayuScotsSlovenščina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4일 (화) 10: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유니언 잭(영어: Union Jack) 또는 유니언 기(영어: Union Flag 유니언 플래그[*])는 영국의 국기에서 사용하는 영국 왕실의 깃발 디자인이며, 여러 영연방 왕국 국기에 포함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801년 전에 유니언 잭은 미국 국기 어느쪽에 있었는가? Assistant: 왼쪽 귀퉁이
Human: 아래 위덕대학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위덕대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덕대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덕대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6° 0′ 46″ 동경 129° 16′ 59.2″ / 북위 36.01278° 동경 129.283111°  / 36.01278; 129.283111 위덕대학교Uiduk University표어 진리탐구, 인격도야, 이타자리 종류 사립설립 1995년종교 대한불교진각종총장 장익학교법인 회당학원학부생 수 3,173명 (2018년)[1]대학원생 수 266명 (2018년)[1]교직원 수 전임교원: 127명 (2018년)[1]기타교원: 91명 (2018년)[1]국가 대한민국위치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동해대로 261상징물 배롱나무, 코뿔소웹사이트 http://www.uu.ac.kr/ 위덕대학교의 위치 위덕대학교(威德大學校, Uiduk University)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사립 대학이다. 진각종에서 설립하였다. 목차 1 연혁 2 교육편제 2.1 학부 3 주요 동문 4 각주 연혁[편집] 1995년 12월 16일 : 위덕대학교 설립 1996년 3월 11일 : 개교 1999년 9월 3일 : 대학박물관 설립 2012년 : 교육과학기술부 선정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2] 2018년 : 교육부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결과 역량강화대학 선정 및 조건부 일반재정지원[3] 교육편제[편집] 학부[편집] 다음은 2018년 기준 위덕대학교의 학부 과정 일람이다. 인문사회 사범 자연 공학 예체능 불교문화학과 자율전공학부 일본언어문화학과 경찰행정학과 경찰정보보안학과 소방방재학과 글로벌비즈니스학과 사회복지학과 항공관광학과 유아교육과 특수교육학부 초등특수교육전공 중등특수교육전공 외식산업학부 제과제빵전공 호텔조리전공 식품영양학전공 보건관리학과 간호학과 물리치료학과 언어청각치료학과 에너지전기공학부 전기공학전공 원전·제어시스템공학전공 IT융합학과 그린에너지공학부 반도체전자공학전공 신재생에너지공학전공 건강스포츠학부 레저스포츠전공 평생체육지도전공 주요 동문[편집] 분류:위덕대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대학알리미 개별 공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43개 사립대학 정부 재정지원 제한, 연합뉴스, 2012년 8월 31일 작성. ↑ 2018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결과(일반대학), 연합뉴스, 2018년 8월 23일 작성. vdeh학교법인 회당학원 위덕대학교 심인고등학교 진선여자고등학교 심인중학교 진선여자중학교 vdeh 경상북도의 대학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국립 경북대학교 (상주캠퍼스) 금오공과대학교 안동대학교 육군3사관학교 공립 경북도립대학교 사립 가야대학교 (고령캠퍼스) 경운대학교 경일대학교 경주대학교 김천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효성캠퍼스) 대구대학교 (경산캠퍼스) 대구사이버대학교 대구예술대학교 대구한의대학교 (삼성캠퍼스·오성캠퍼스) 대신대학교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동양대학교 (영주캠퍼스) 영남대학교 (경산캠퍼스) 영남신학대학교 위덕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한동대학교 전문대학 가톨릭상지대학교 경북과학대학교 경북보건대학교 경북전문대학교 구미대학교 대경대학교 (메인캠퍼스) 문경대학교 서라벌대학교 선린대학교 성덕대학교 안동과학대학교 영남외국어대학 포항대학교 한국폴리텍Ⅵ대학 (구미캠퍼스·영주캠퍼스) 호산대학교 대학원대학 경안신학대학원대학교 사이버대학 한국복지사이버대학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위덕대학교&oldid=24521461" 분류: 경상북도의 대학교경주시의 학교1995년 설립1996년 개교대한민국의 불교 대학위덕대학교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4일 (목) 03:2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위덕대학교(威德大學校, Uiduk University)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사립 대학이다. 진각종에서 설립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위덕대학교에서 가장 많은 학과가 속해 있는 학부는 무엇인가? Assistant: 인문사회 Human: 아래 광화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광화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광화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광화문 光化門 광화문 정면기본 정보위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지리 좌표계 북위 37° 34′ 33.68″ 동경 126° 58′ 36.84″ / 북위 37.5760222° 동경 126.9769000°  / 37.5760222; 126.9769000상태 사용 중완공 1395년1864년 (복원)2010년 (복원)파괴 1592년 (임진왜란)1950년 (한국 전쟁) 철거 1927년 (이전)용도 경복궁 정문 2011년 11월 광화문 광화문(光化門)은 경복궁의 남쪽에 있는 정문이다. ‘임금의 큰 덕(德)이 온 나라를 비춘다’는 의미이다.[1] 1395년에 세워졌으며, 2층 누각인 광화문 앞의 양쪽에는 한 쌍의 해치 조각상이 자리잡고 있다. 광화문의 석축부에는 세 개의 홍례문이 있다. 가운데 문은 임금이 다니는 문이고, 나머지 좌우의 문은 신하들이 다니던 문이었다. 광화문의 천장에는 주작의 그림이 그려져 있다. 광화문은 한국 전쟁으로 두 차례 소실되었으며, 월대와 해태 등을 제외한 일부 복원공사가 완료되어 2010년 8월 15일에 공개되었다.[2] 목차 1 역사 1.1 조선시대 1.2 일제강점기와 한국 전쟁 1.3 전후 복원 2 갤러리 3 영상 4 교통 5 같이 보기 6 각주 역사[편집] 광화문과 해치 (1900년경) 조선시대[편집] 1395년 조선 태조 때 창건되어 정도전에 의해 '사정문' (四正門)으로 명명되었다. 당시 '오문' (午門)이라 불리기도 했다. 1425년 조선 세종 때에 들어 집현전의 학사들이 지금의 '광화문' (光化門)으로 이름을 바꾸었다.[3] 임진왜란 당시에는 경복궁과 함께 방화로 소실되었으나, 조선 후기에 흥선대원군(헌의대원왕 이하응)이 경복궁을 다시 중건하면서 재건되었다. 일제강점기와 한국 전쟁[편집] 1910년 한일 병합 이후 조선총독부가 경복궁 일대에 조선총독부 청사를 조성하는 과정에서, 그 위치상 청사 앞을 가린다는 이유를 들어 광화문을 철거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3] 그러나 조선은 물론 일본의 지식인들까지 철거 결정에 반발하였다. 특히 야나기 무네요시는 1922년 일본 잡지 <개조> (改造)에 '사라져가려고 하는 어느 조선 건축에 대하여'라는 제목으로 광화문의 운명을 기리는 글을 게재하였고, 일본에서 발표된 이후 《동아일보》에 한국어 번역본이 실리면서 조선총독부의 정책에 대한 반대 여론이 들끓게 되었다. 이에 조선총독부는 광화문 철거 계획을 철회하고 총독부 청사가 완공된 이듬해인 1927년 광화문을 건춘문 (경복궁의 동문) 쪽으로 이전 설치하였다.[3] 광화문은 1945년 해방 이후에도 이 자리에 그대로 남아 있었다.[출처 필요]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면서 폭격을 맞아 광화문의 목조 부분이 불에 타 없어지고 석축만 남게 되었다.[4] 이후 석축은 그대로 두고 현판은 새로 제작, 상부는 철근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1968년 12월 11일에 중건하였다. 하지만 광화문의 자리를 경복궁의 본래 축이 아닌 총독부 청사의 축에 맞춰 재건축하였고[5], 건축 전부터 겉모양만 복원하는 것은 잘못되었다는 여론이 일기도 했다.[6] 더구나 높이도 원래 높이보다 좀 더 높게 지어졌으며, 현판 역시 한자 현판이 아닌 당대 한글 전용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여 박정희 대통령이 직접 한글로 쓴 현판을 사용하였다.[3] 전후 복원[편집] 1995년에 문민정부에서는 2003년부터 광화문을 부분 철거하고 2009년까지 본래의 위치에서 석축 위의 목조 건물로 복원할 것을 발표하였다.[7] 2006년부터는 문화재청 주도의 경복궁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기존의 광화문을 고종 중건기 모습으로 복원하기 위해 철거 · 해체하였다.[8] 광화문 복원 사업은 2010년 10월에 완료될 예정이었으나[9] G20 서울 정상회의의 개최로 인해 앞당겨져 8월 15일 광복절에 일반인에게 공개되었다. 광화문 편액(扁額)은 조선 후기 경복궁 중건 시 훈련대장(訓鍊大將)으로 영건도감 제조(營建都監 提調)를 겸하여 서사관(書寫官)으로 광화문 편액을 쓴 임태영 장군의 서체를 원형 복원한 것이다. 갤러리[편집] 조선총독부 건물 앞에 놓인 광화문의 모습 (1990년대) 광화문내측(2002년) 광화문 현판의 모습 (2012년) 광화문 수문장의 모습 (2012년) 광화문 (2015년) 광화문 전경 (2016년) 광화문과 관광객들의 모습 광화문 내측 (2018년) 영상[편집] 광화문 영상보기 교통[편집] ■ 수도권 전철 3호선 경복궁역 ■ 서울 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 같이 보기[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광화문 오픈 스트리트 맵에 광화문의 지도가 있습니다. 한국 포털 역사 포털 문화유산 포털 광화문 광장 경복궁 정도전 광화문역 광화문로 세종대로 숭례문 흥인지문 세종대왕 흥선대원군 각주[편집] ↑ 윤희철 (2016년 11월 19일). “[윤희철의 건축스케치]경복궁의 가을”. 《경향신문》. 2016년 11월 19일에 보존된 문서.  ↑ 권영전 (2010년 8월 15일). “'원모습 복원' 광화문 현판 모습 드러내”. 《연합뉴스》 (서울). 2016년 11월 19일에 보존된 문서.  ↑ 가 나 다 라 전국역사지도사모임 (2016년 12월). 《표석을 따라 경성을 거닐다》. 유씨북스. 220-223쪽.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광화문 복원(光化門 復元), 《동아일보》, 1966.2.17. ↑ 광화문(光化門) 복원, 《경향신문》, 1968.12.11. ↑ 광화문 복원(光化門 復元)에 이론(異論), 《경향신문》, 1968.3.20. ↑ 광화문(光化門)도 제모습 찾는다, 《경향신문》, 1995.2.28. ↑ 경복궁 창건 당시 광화문 터 보존한다, 세계일보, 2007년 12월 24일 ↑ 경복궁 광화문 복원 상량식…내년 10월 복원 완료, 뉴시스, 2009년 11월 26일 좌표: 북위 37° 34′ 33.76″ 동경 126° 58′ 37.27″ / 북위 37.5760444° 동경 126.9770194°  / 37.5760444; 126.977019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광화문&oldid=24400150" 분류: 서울특별시의 문대한민국의 성문경복궁숨은 분류: 인용 오류 - URL 없이 확인날짜를 사용함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7년 11월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KapampanganPolskiไทยTagalog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9일 (일) 01: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광화문(光化門)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조선왕조 법궁인 경복궁의 남쪽에 있는 정문이다. "임금의 큰 덕(德)이 온 나라를 비춘다"는 의미이다. 1395년에 세워졌으며, 2층 누각 구조로 되어 있다. 경복궁의 정전인 근정전으로 가기 위해 지나야 하는 문 3개 중에서 첫째로 마주하는 문이며, 둘째는 흥례문, 셋째는 근정문이다. 광화문 앞에는 지금은 도로 건설로 사라진 월대가 자리잡고 있었으며, 양쪽에는 한 쌍의 해태 조각상이 자리잡고 있다. 광화문의 석축부에는 세 개의 홍예문(虹霓門, 아치문)이 있다. 가운데 문은 임금이 다니던 문이고, 나머지 좌우의 문은 신하들이 다니던 문이었는데, 왼쪽 문은 무신이, 오른쪽 문은 문신이 출입했다. 광화문의 가운데 문 천장에는 주작이 그려져 있고, 왼쪽 문에는 거북이가, 오른쪽 문에는 천마가 그려져 있다.1392년 태조 시기에 경복궁과 함께 지어진 광화문은 조선의 주요 관청이 밀집한 육조거리의 기준점으로 자리잡았다. 1592년 선조 대에 이르러 임진왜란으로 경복궁 전체의 소실과 함께 파괴되어 한동안 폐허로 남아 있었다가, 1865년 흥선대원군의 경복궁 중건으로 복원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1926년 완공된 조선총독부 청사 조성 과정에서 총독부에 의해 철거가 계획되었으나, 각계의 반발에 부딪혀 경복궁 동쪽 건춘문 쪽으로 이전하였다. 해방 후 한국 전쟁으로 목조 부분이 소실되어 석축만 남아 있었다가, 1968년 중앙청 앞 원래 자리에 철근 콘크리트로 재건하였다. 이후 2006년부터 목조 복원을 통한 고종 대 모습으로의 회귀를 위해 기존 건물을 해체하였으며, 월대와 해태 등을 제외한 일부 복원공사가 완료되어 2010년 8월 15일에 공개되었다. 2022년부터는 문앞 월대와 해태상의 복원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광화문은 오늘날 서울를 넘어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대표 건축물로 남아 있다. 광화문 앞의 육조거리는 일제강점기와 해방 후 경제성장을 거치며 세종로라는 최대 규모의 도로가 건설되어 중대한 교통로로 기능하였으며, 이후 광화문광장이 조성되어 서울 도심 속 대표 집회·휴식 공간으로 자리잡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일제강점기부터 한국전쟁 이전까지의 광화문의 운명은? Assistant: 1910년 한일 병합 이후 조선총독부가 경복궁 일대에 조선총독부 청사를 조성하는 과정에서, 그 위치상 청사 앞을 가린다는 이유를 들어 광화문을 철거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3] 그러나 조선은 물론 일본의 지식인들까지 철거 결정에 반발하였다. 특히 야나기 무네요시는 1922년 일본 잡지 <개조> (改造)에 '사라져가려고 하는 어느 조선 건축에 대하여'라는 제목으로 광화문의 운명을 기리는 글을 게재하였고, 일본에서 발표된 이후 《동아일보》에 한국어 번역본이 실리면서 조선총독부의 정책에 대한 반대 여론이 들끓게 되었다. 이에 조선총독부는 광화문 철거 계획을 철회하고 총독부 청사가 완공된 이듬해인 1927년 광화문을 건춘문 (경복궁의 동문) 쪽으로 이전 설치하였다.[3] 광화문은 1945년 해방 이후에도 이 자리에 그대로 남아 있었다.[출처 필요]
Human: 아래 1951년_아시안_게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1951년 아시안 게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951년 아시안 게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1회 아시안 게임1951 एशियाई खेल1951 Asian Games대회 개요개최국 인도개최 도시 뉴델리참가국 11개국참가 선수 489명종목 8개 종목개회식 1951년 3월 4일폐회식 1951년 3월 11일 공식 개회 선언 라젠드라 프라사드 대통령선수 선서 발데브 싱성화 점화 달리프 싱주경기장 델리 경기장이전 대회 / 다음 대회 첫 대회 1954 마닐라 1951년 아시안 게임은 1951년 3월 4일부터 3월 11일까지 인도 뉴델리에서 개최된 제1회 아시안 게임이다. 11개국에서 총 489명의 선수가 참가해 8개 종목에 걸쳐 기량을 겨루었다. 목차 1 대회 이전의 상황 2 경기 종목 3 참가국 4 메달 집계 5 대회 이모저모 대회 이전의 상황[원본 편집] 1951년 아시안 게임 개막식에서 인도 선수단의 입장 아시안 게임 이전에는 극동 선수권 대회가 있었다. 극동 선수권 대회는 1913년 필리핀 체육인의 중심으로 만들어진 대회로 일본, 중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홍콩을 중심으로 개최되었다. 그러나 이 대회는 1937년에 발발한 중일 전쟁을 계기로 폐지되고 만다. 그 후 지속하지 못하다가 다시 아시아인들의 위한 스포츠가 논의가 시작한 것은 1948년 런던 하계 올림픽이 열리던 기간이었다. 그때 아시아 13개국 단장들이 국제 올림픽 위원회로부터 아시아 지역 대회 개최에 대한 사전 협의를 요청했다. 1948년 8월 8일에는 인도 올림픽 위원회 대표였던 구루 두트 손디(Guru Dutt Sondhi)가 아시안 게임을 창설하기로 결의했다. 1949년 2월 13일에는 인도 델리에서 아시아 경기 연맹이 정식으로 결성되었다. 경기 종목[원본 편집] 농구 다이빙 사이클 수구 수영 역도 육상 축구 참가국[원본 편집] 총 11개국이 참가하였다. 네팔, 버마(현재의 미얀마), 실론(현재의 스리랑카), 싱가포르, 아프가니스탄, 이란, 인도, 일본, 태국, 필리핀이 처음으로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였다.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필리핀, 스리랑카, 싱가포르, 태국 7개국은 1회 대회부터 지금까지 아시안 게임 역사상 한 번도 빠짐 없이 참가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원래 1951년 아시안 게임에 참가할 예정이었지만 한국 전쟁의 여파로 인하여 불참했으며, 중국은 등록 마감 시한까지 선수 명단을 등록하지 못하여 불참했다. 또한 파키스탄은 인도와의 카슈미르 분쟁을 이유로 불참했으며, 소련, 베트남은 정치 체제를 이유로 참가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네팔 (8) 버마 (58) 실론 (3) 싱가포르 아프가니스탄 이란 (49) 인도 (151) (개최국) 인도네시아 (35) 일본 (72) 태국 필리핀 메달 집계[원본 편집] 1951년 아시안 게임 메달 집계 순위 국가         합계 1 일본 24 21 15 60 2 인도 15 16 20 51 3 이란 8 6 2 16 4 싱가포르 5 7 2 14 5 필리핀 5 6 8 19 6 실론 0 1 0 1 7 인도네시아 0 0 5 5 8 버마 0 0 3 3 합계 57 57 55 169 대회 이모저모[원본 편집] 아시안 게임 최초의 금메달리스트는 수영 자유형 1,500m에 출전한 싱가포르의 수영 선수인 네오 취콕이다. 그는 수영 자유형 4개 종목 모두에서 1위를 차지하면서 4관왕이 되었다. 아시안 게임 이전 1951년 아시안 게임뉴델리 1951 다음 없음 마닐라 1954 vdeh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메달 집계 메달리스트 상징 개최지 선정 OCA NOC APC NPC 하계 아시안 게임 1951 1954 1958 1962 1966 1970 1974 1978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2 2026 2030 동계 아시안 게임 1986 1990 1996 1999 2003 2007 2011 2017 2021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2005 2007 2009 (실내) 2009 (무도) 2013 2017 2021 해변 아시안 게임 2008 2010 2012 2014 2016 2020 청소년 아시안 게임 2009 2013 2017 2021 장애인 아시안 게임 2010 2014 2018 2022 2026 vdeh1951년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농구 다이빙 사이클 수구 수영 역도 육상 축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1951년_아시안_게임&oldid=24134321" 분류: 1951년 아시안 게임하계 아시안 게임1951년 인도1951년 스포츠인도에서 개최된 스포츠 대회뉴델리1951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1951년 3월인도의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Bikol CentralCatalà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हिन्दी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ភាសាខ្មែរमराठीBahasa Melayuनेपाली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اردوTiếng Việt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일 (수) 23: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1951년 아시안 게임은 1951년 3월 4일부터 3월 11일까지 인도 뉴델리에서 개최된 제1회 아시안 게임이다. 11개국에서 총 489명의 선수가 참가해 8개 종목에 걸쳐 기량을 겨루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51년 아시안 게임의 경기 종목 중에서 자전거를 타는 경기를 무엇이라 하는가? Assistant: 사이클 Human: 아래 맨발의_청춘_(1998년_드라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맨발의 청춘 (1998년 드라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맨발의 청춘 (1998년 드라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맨발의 청춘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KBS2 방송 기간 1998년 2월 2일 ~ 1998년 3월 24일 방송 시간 월, 화 저녁 저녁 6시 8분 ~ 7시 10분 → 월, 화 밤 9시 50분 ~ 11시 방송 횟수 16부작 기획 윤흥식 연출 김용규, 전산(5회~16회) 조연출 김원용, 김형석 극본 이찬규 출연자 배용준, 고소영 외 음성 한국어 《맨발의 청춘》은 1998년 2월 2일부터 1998년 3월 24일까지 방영된 월화 미니시리즈인데 당시 IMF 상황이었음에도 비현실적이자 통속적인 멜로극 형식을 표방했다는 지적 외에도 방송 당일에야 첫 회분을 완성하는 등 촬영일정에 허덕거려야 했다[1]. 한편,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여 프로포즈 이후 이어진 월화 미니시리즈의 슬럼프에서 벗어났으나 작위적 상황설정과 우연의 남발, 어설픈 연기 등의 지적을 받아왔다[2]. 목차 1 방송 시간 2 기획 의도 3 등장 인물 4 참고 사항 5 각주 방송 시간[편집]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KBS 2TV 1998년 2월 2일 ~ 1998년 2월 24일 월, 화 저녁 6시 8분 ~ 7시 10분 (1시간 2분) 1998년 3월 2일 ~ 1998년 3월 24일 월, 화 밤 9시 50분 ~ 11시 (1시간 10분) 기획 의도[편집] 출생의 비밀을 갖고 태어난 주인공의 사랑과 야망을 그린 드라마[3] 등장 인물[편집] 배용준 : 장요석 역 - 주인공, 정자의 사생아, 경찰대 졸업 고소영 : 기혜준 역 - 요석을 사랑하는 법조인 집안의 딸 변우민 : 기승준 역 - 성재의 아들, 혜준의 오빠 이종원 : 장상엽 역 - 명식의 아들, 깡패 김원희 : 김예주 역 - 상엽의 애인 박근형 : 기성재 역 -서울지검 특수부 부장검사, 혜준의 아버지) 김무생 : 장명식 역 - 요석의 생부, 암흑가의 보스 김성겸 : 장도수 역 - 명식의 아버지 이보희 : 한수림 역 - 요석의 어머니 정성모 : 강수 역 김학철 : 장명식의 오른팔 역 오욱철 : 기성재 고문 변호사 역 정동남 : 장명식의 부하 역 김주승 유태웅 김주영 김창숙 이배국 양금석 박소현 김세준 박남현 문미봉 이종만 안대용 권이지 강경헌 이칸희 이은주 강성진 김하균 참고 사항[편집] 김원희를 주역으로 캐스팅하는 과정에서 SBS 측과 한때 마찰을 빚었다. 인기 스타 배용준을 내세워 초반부터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지만 엉성한 짜임새, 어설픈 연기, 과도한 폭력 장면으로 여론의 질타를 받았는데[4] 첫 회가 나간 뒤 주인공인 배용준이 "과도한 폭력드라마는 싫다"며 촬영을 거부했다는 소문까지 나돌았다. 야외촬영에 전산 PD를 5회부터 급히 투입시켰는데 KBS 측은 "담당 PD 김용규의 건강이 좋지 않아서 그랬다"고 해명했지만 방송가 측에서는 KBS 측이 일부 연기자들과 김용규 PD의 관계, 폭력묘사에 대한 비난 여론 등을 의식하여 전산 PD를 5회부터 투입한 것으로 보았다. 극 중 장영필 역의 이종원이 본인의 무리를 이끌고 상대편 조직의 은거지를 급습하여 패싸움을 벌이는 장면이 지나치게 폭력적이란 이유로 98년 2월 9일 방송위원회 회의에서 경고 조치를 받았다[5]. 각주[편집] ↑ 노형석 (1998년 2월 3일). “궁핍한 시대 안방극장 또 사랑놀음 대결”. 한겨레신문. 2018년 6월 25일에 확인함.  ↑ 김희경 (1998년 2월 17일). “KBS'맨발의 청춘' '꾹 참고 본다마는..."”. 동아일보. 2018년 6월 25일에 확인함.  ↑ 오광수 (1998년 2월 2일). “스타군단의'멜로물'맞대결”. 경향신문.  ↑ 김희경 (1998년 2월 17일). “KBS'맨발의 청춘' "꾹 참고 본다마는…"”. 동아일보.  ↑ 이나리 (1998년 2월 11일). “TV 드라마 “아직도 정신 못차렸나””. 세계일보. 2018년 6월 25일에 확인함.  한국방송공사 월화 미니시리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진달래꽃 필 때까지(1998년 1월 5일 ~ 1998년 1월 26일) 맨발의 청춘(1998년 2월 2일 ~ 1998년 3월 24일) 거짓말(1998년 3월 30일 ~ 1998년 6월 2일) 이 글은 텔레비전 드라마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맨발의_청춘_(1998년_드라마)&oldid=24526695" 분류: 1998년 드라마한국방송공사 월화드라마숨은 분류: 텔레비전 드라마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7월 5일 (금) 09: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맨발의 청춘》은 1998년 2월 2일부터 1998년 3월 24일까지 방영된 월화 미니시리즈인데 당시 IMF 상황이었음에도 비현실적이자 통속적인 멜로극 형식을 표방했다는 지적 외에도 방송 당일에야 첫 회분을 완성하는 등 촬영일정에 허덕거려야 했다. 한편,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여 프로포즈 이후 이어진 월화 미니시리즈의 슬럼프에서 벗어났으나 작위적 상황설정과 우연의 남발, 어설픈 연기 등의 지적을 받아왔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드라마 맨발의 청춘에서 장영필의 배역을 맡은 배우는 누구일까? Assistant: 이종원
Human: 아래 박보영의_작품_목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박보영의 작품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보영의 작품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8년 《너의 결혼식》 언론시사회 에서 박보영. 다음은 대한민국의 배우 박보영의 작품 목록이다. 목차 1 출연 작품 1.1 영화 1.2 드라마 2 기타 활동 2.1 뮤직비디오 2.2 음반 2.3 화보 2.4 텔레비전 프로그램 2.5 라디오 프로그램 3 홍보대사 4 광고 5 같이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출연 작품[편집]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참고 2005 《이퀄(Equal)》 김다미 단편 영화[1][2] 2008 《울학교 이티》 한송이 《초감각 커플》 현진 《과속스캔들》 황정남/황제인 2009 《시선 1318》 - <릴레이> 김희수 옴니버스 영화[3][4] 2011 《리오》 쥬엘 목소리 더빙 2012 《미확인 동영상: 절대클릭금지》 세희 《늑대소년》 순이/은주 2013 《눈의 여왕》 겔다 목소리 더빙 2014 《피끓는 청춘》 박영숙 2015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 차주란/시즈코 《돌연변이》 주진 《열정같은소리하고있네》 도라희 2018 《너의 결혼식》 환승희 드라마[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참고 2006 EBS 《비밀의 교정》 차아랑 2007 SBS 《마녀유희》 어린 마유희 SBS 《달려라 고등어》 심청아 SBS 《왕과 나》 어린 폐비 윤씨 2008 KBS 《정글피쉬》 이은수 단막극[5][6] KBS 《최강칠우》 최우영 특별출연 (1회)[7] SBS 《스타의 연인》 어린 이마리 특별출연 (1회)[8] 2015 tvN 《오 나의 귀신님》 나봉선 2017 JTBC 《힘쎈여자 도봉순》 도봉순 2019 tvN 《어비스》 고세연 기타 활동[편집] 뮤직비디오[편집] 연도 가수 제목 비고 2007 구정현 Goodbye Sadness 오죽했으면, 그러니까 [9][10] FLY TO THE SKY 오늘도 이쁜걸 2008 박혜경 사랑과 우정사이 유리(Yuri) 가슴아 제발 2011 IU 나만 몰랐던 이야기 BEAST Fiction 2013 SPEED 슬픈 약속 노개런티 출연 [11][12][13][14] It's over (Feat. 박보영) 음반[편집] 연도 제목 앨범 비고 2008 자유시대 《과속스캔들》 OST 원곡(그룹 '모자이크')[15] 2012 나의 왕자님(My Prince) 《늑대소년》 OST 2013 It's over (Feat. 박보영) 1집 Superior Speed SPEED의 노래 피처링 2014 피끓는 청춘 《피끓는 청춘》 OST 2015 떠난다 《오 나의 귀신님》 OST 2018 내 얘기 좀 들어봐 《너의 결혼식》 OST 화보[편집] 연도 발행월 잡지명 2007 11월 Junior 2008 12월 Cine21(681호), Film2.0(417호), 대학내일, PC사랑, SCREEN 2009 1월 SCREEN, City life(162호) 2월 VOGUE girl, Allure 3월 Cine21(693호), Uway 6월 Movie Week(381호) 12월 ELLE 2011 6월 ELLE girl 10월 NYLON 2012 6월 Movie Week(531호), NYLON, COSMOPOLITAN 7월 Uway 10월 VOGUE 12월 Cine21(882호) 2013 1월 DAZED & CONFUSED, Esquire, InStyle 5월 Harper's BAZAAR 6월 W 11월 THE STAR 12월 Harper's BAZAAR, ELLE 2014 1월 magazine M(45호,48호), THE BIG ISSUE(76호), Cine21(940호), W 2월 K WAVE, MAXMOVIE MAGAZINE 3월 VOGUE girl 2015 6월 magazine M(118호), Harper's BAZAAR 7월 SURE 9월 MAXMOVIE MAGAZINE 10월 magazine M(136호), Céci, OhBoy! 11월 magazine M(140호), THE STAR, LADY경향, ELLE, COSMOPOLITAN 12월 Cine21(1035호), NYLON 2016 3월 InStyle 11월 ELLE 12월 Céci 2017 5월 여성조선, 우먼센스 2018 8월 1stLOOK, 씨네21 텔레비전 프로그램[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16] 날짜 비고 2006 《선생님과 함께하는 5월 이야기》 보조 진행자 내레이션 5.18 기념재단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교육 동영상[17] 2007 SBS 《김미화의 U》 10월 1일 355회 SBS 《퀴즈! 육감대결》 10월 28일 26회 2008 SBS 《퀴즈! 육감대결》 1월 6일 36회 《앙드레 김 패션쇼》 메인 모델 10월 16일 제9회 세계지식포럼[18] 10월 19일 제15회 제주 억새꽃 축제[19] KBS 《개그콘서트》 12월 28일 447회 봉숭아학당-왕비호 2010 SBS 《스타 금의환향 프로젝트 달고나》 12월 25일 파일럿 프로그램 2011 SBS 《일요일이 좋다-런닝맨》 1월 9일 25회 부천 뮤지엄 만화규장각 MBC 《세바퀴》 목소리 출연 이경실 전화연결 1월 22일 87회 다짜고짜 스피드 퀴즈 MBC 《무한도전》 길 첫사랑 재연 1월 29일 234회 TV는 사랑을 싣고 특집 MBC 《7일간의 기적》 2월 17일 26회 KBS 《해피투게더 시즌3》 8월 18일 210회 동안 스타 특집 MBC 《코이카의 꿈》 자원봉사 11월 20일 페루 편 자원봉사 내레이션 11월 27일 2012 KBS 《해피선데이-1박 2일 시즌2》 목소리 출연 3월 25일 379회 KBS 《개그콘서트》 5월 27일 648회 생활의 발견 SBS E! 《TV 컬투쇼》 5월 28일 스타와 토킹 어바웃 MBC 《놀러와》 6월 4일 391회 국민 여동생 스페셜 KBS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10월 29일 96회 SBS E! 《TV 컬투쇼》 10월 31일 제2회 컬투쇼 UCC 웹툰 콘테스트 Mnet 《슈퍼스타K 4》 11월 2일 12회 SBS 《일요일이 좋다-런닝맨》 11월 4일 118회 헌터의 역습 SBS 《접속! 무비월드》 11월 10일 영화는 수다다 MBC 《2012 코이카의 꿈》 자원봉사 11월 14일 엘살바도르 편 11월 21일 KBS 《연예가중계》 11월 17일 게릴라 데이트 MBC 《휴먼다큐 사랑》 내레이션 11월 29일 내겐 너무 예쁜 언니 편 MBC 《놀러와》 12월 3일 411회~412회 트루맨쇼 12월 17일 MBC 《위대한 유산 아리랑》 MC 12월 6일 생방송 2013 KBS 《해피선데이-1박 2일 시즌2》 목소리 출연 1월 6일 420회 KBS 《폭력 없는 학교-이제 네가 말할 차례》 역할극 재연 내레이션 1월 23일 다큐멘터리 채널CGV 《선데이 시네마》 내레이션 2월 ~ 10월 매주 일요일 오전 8시 MBC 《섹션TV 연예통신》 2월 22일 라이징 스타 SBS 《정글의 법칙 in 뉴질랜드》 병만족 3월 8일 ~ 5월 10일 10부작 On Style 《겟 잇 뷰티-셀프》 5월 27일 일주일 동안 방영 평일 오전 7시, 오후 1시, 11시 주말 오전 9시, 오후 2시, 12시 KBS 《해피선데이-1박 2일 시즌2》 목소리 출연 9월 22일 457회 MBC 《2013 코이카의 꿈》 자원봉사 내레이션 10월 26일 인도네시아 편 내레이션 11월 2일 2014 SBS 《금요일엔 수다다》 1월 18일 그들 각자의 영화관 SBS 《일요일이 좋다-런닝맨》 1월 19일 181회 농촌 로맨스 KBS W 《애프터스쿨의 뷰티바이블》 2월 25일 2015 KBS 《해피선데이-1박 2일 시즌3》 차태현의 여사친[20] 6월 14일 545회~547회 두근두근 우정여행 6월 21일 6월 28일 tvN 《코미디빅리그》 7월 5일 127회 갑과 을 SBS 《일요일이 좋다-런닝맨》 10월 18일 269회 추억 유산 레이스 MBC 《섹션TV 연예통신》 11월 15일 스타ting KBS 《연예가중계》 11월 21일 게릴라 데이트 KBS 《개그콘서트》 11월 29일 823회 유.전.자 2016 Mnet, tvN 《위키드(WE KID)》 멘토 2월 18일 ~ 4월 7일 8부작 Mnet 《엠카운트다운》 특별 MC 6월 30일 KCON 2016 뉴욕 2017 JTBC 《힘쎈여자 도봉순 커밍순》 2월 17일 0회 스페셜 JTBC 《한끼줍쇼》 2월 22일 19회 2018 MBC 《섹션TV 연예통신》 7월30일 928회 Comedy TV 《맛있는녀석들》 8월31일 184회 라디오 프로그램[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날짜 비고회 2012 SBS 파워FM 《최화정의 파워타임》 5월 10일 KBS 쿨FM 《슈퍼주니어의 키스 더 라디오》 5월 14일 MBC FM4U 《푸른밤, 정엽입니다》 5월 16일 SBS 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5월 19일 MBC FM4U 《간미연의 친한친구》 5월 20일 MBC 표준FM 《윤하의 별이 빛나는 밤에》 5월 21일 SBS 파워FM 《장기하의 대단한 라디오》 5월 24일 SBS 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10월 23일 MBC FM4U 《유세윤과 뮤지의 친한친구》 10월 24일 SBS 파워FM 《박소현의 러브 게임》 11월 16일 SBS 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12월 27일 2014 SBS 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1월 21일 SBS 파워FM 《박소현의 러브 게임》 1월 22일 2015 SBS 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11월 18일 SBS 파워FM 《박소현의 러브 게임》 11월 23일 2017 팟캐스트 《송은이&김숙 비밀보장》 3월 29일 100회 특집 전화연결 2018 SBS 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4월 18일, 4월 19일 스페셜DJ SBS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5월 31일 깜짝전화연결 SBS 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6월 5일, 6월 6일 스페셜DJ SBS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6월 18일 스페셜DJ SBS 파워FM 《박소현의 러브 게임》 8월 3일 SBS 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8월 14일 VLIVE 《배우What수다》 8월 16일 홍보대사[편집] 연도 활동명 2009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 행복공감봉사단 2기 단장[21] 굿 다운로더 스타 서포터즈[22] 2010 서울 G20 정상회의 성공기원 스타 서포터즈[23] 2011 제15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홍보대사[24] 2012 인터넷 신문 '캠퍼스 오늘' 명예 기자[25] 2013 생태교통 수원 2013 홍보대사[26] 한국국제협력단(KOICA) 홍보대사[27] 2014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사랑, 하나 더' 캠페인[28][29] 경찰병원 명예 홍보대사[30] 2014~2015 CJ CGV 글로벌 사회공헌 프로젝트 '토토의 작업실' 홍보대사 (베트남[31], 인도네시아[32]) 2015~현재 관세청 홍보대사[33][34] 2017 산돌초록우산어린이체 프로젝트 손글씨 재능기부[35] 광고[편집] 연도 기업명 브랜드명 품목 비고 2006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력원자력[36] 공익 광고 롯데제과 자일리톨 휘바 껌 SK케미칼 트라스트 의약품 한국석유화학협회 화학탐구 프런티어 페스티벌 행사 홍보 포스터 이현어패럴 블루테일[37] 의류 오뚜기 맛있는 오뚜기밥 레토르트 식품 진라면컵 인스턴트 식품 우리금융지주 우리은행 금융 2006~2007 한국교육방송공사 EBSi 기업 PR 2007 웅진코웨이 룰루 비데 한신공영 세븐밸리 아웃렛 SK텔레콤 Ting 이동 통신 예신퍼슨스 마루아이[38] 의류 2008 한국존슨앤드존슨 클린앤클리어[39] 화장품 2008~2009 농심 안성탕면[40] 인스턴트 식품 2009 이베이코리아 G마켓 스타샵[41] 의류 기획재정부 행복공감 복권위원회[42] 공익 광고 빙그레 끌레도르[43] 아이스크림 농협목우촌 또래오래[44] 치킨 삼성그룹 하하하 캠페인[45] 기업 PR 2009~2010 MPK그룹 미스터피자[46] 피자 2009~2011 하이마트 하이마트[47] 전자제품 쇼핑몰 2011~2013 이스트소프트 줌[48] 인터넷 포털 사이트 2013 한국닌텐도 튀어나와요 동물의 숲[49] 콘솔 게임 스타럭스[50] 레스포색[51] 가방 ELCA[52]한국 크리니크[53] 화장품 한국파프리카생산자자조회[54] 파프리카[55] 채소 2013~2016 넥슨 코리아 서든어택[56][57][58][59] 온라인 게임 2015~2016 와이디온라인 갓 오브 하이스쿨[60] 모바일 게임 LG유플러스 홈IoT(IoT@home)[61] 인터넷 서비스 동서식품 포스트 그래놀라[62] 시리얼 코익[63] 안나 수이 로맨티카[64] 향수 지면 광고 삼성화재 애니카 다이렉트[65] 자동차보험 2015~2017 무학 좋은데이[66][67] 소주 2015~2018 클레어스코리아 게리쏭9컴플렉스[68] 화장품 한국, 중국 클라우드9[69] 2015~현재 LG유니참 쏘피 바디피트[70][71][72] 생리대 한국, 중국 2016~2017 나눔씨엔씨 씽크네이처[73][74][75] 헤어케어 씽크네이처 세라마데카 바디워시&바디로션 2016~2018 동원F&B 동원몰[76][77] 식품 쇼핑몰 2016~2018 한국코카콜라 토레타 by 아쿠아리우스[78][79] 음료수 2017 롯데하이마트 롯데하이마트[80] 전자제품 쇼핑몰 2017~현재 한국파프리카생산자자조회 파프리카[81] 채소 동아제약 가그린[82] 덴탈케어 2018~현재 지앤푸드 굽네치킨[83] 치킨 같이 보기[편집] 박보영의 수상 및 후보 목록 각주[편집] ↑ 2005년 제7회 서울국제청소년영화제 현실도전상 수상작 ↑ 한국아이닷컴 뉴스부 (2008년 12월 27일). “박보영 첫 출연작 영화 '이퀄'은 무슨 작품?”. 한국일보.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2008년 제9회 전주국제영화제 폐막작 ↑ 이승영 (2008년 4월 1일). “‘입맞춤’·‘시선1318’, 전주영화제 개·폐막작”. 뉴시스. 2016년 12월 5일에 확인함.  ↑ 2010년 9월 23일 극장판 개봉 ↑ 박세연 (2010년 9월 16일). “박보영-김수현 `정글피쉬1` 23일 극장판 개봉”. 매일경제. 2017년 1월 16일에 확인함.  ↑ 김형우 (2009년 1월 11일). “구혜선 “과속스캔들 박보영 너무 잘돼 나도 행복” 왕과나 폐비 인연 의리 과시”. 뉴스엔. 2017년 1월 13일에 확인함.  ↑ 김건우 (2008년 12월 6일). “충무로 블루칩' 박보영, '스타의 연인' 카메오 출연”. 스타뉴스. 2017년 1월 13일에 확인함.  ↑ 김연정 (2007년 5월 18일). “정일우-백성현 ‘Goodbye Sadness' 정체는 12억 짜리 프로젝트”. 연합뉴스. 2017년 2월 28일에 확인함.  ↑ 강희수 (2007년 5월 29일). “‘굿바이 새드니스’ 동영상, 1주일 만에 100만 클릭”. OSEN. 2017년 2월 28일에 확인함.  ↑ 성예라 (2013년 1월 8일). “'슬픈약속' 박보영 노개런티, "시나리오가 좋아서"”. 머니투데이.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조애진 (2013년 1월 9일). “아이돌 뮤비와 5·18 ‘대박 만남’”. 한겨레. 2017년 1월 13일에 확인함.  ↑ 이혜린 (2013년 1월 11일). “5.18 다룬 박보영 뮤비, 광주MBC '뉴스데스크'서 보도”. OSEN.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신원철 (2013년 1월 8일). “박보영 노개런티로 MV 출연…'대박나서 밥이나 사주세요'”. 엑스포츠뉴스.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고재완 (2008년 12월 4일). “'충무로 뉴아이콘' 박보영, 그에게 궁금한 몇가지”. 아시아경제.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단순 게스트일 경우 공백 처리 ↑ 민웅기 (2007년 5월 15일). “'충무로 뉴아이콘' 박보영, 그에게 궁금한 몇가지”. 연합뉴스.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김지미 (2008년 10월 17일). “'열정 빛난 피날 레…앙드레 김 패션쇼”. 매일경제. 2017년 1월 31일에 확인함.  ↑ 김지선 (2008년 10월 19일). “'억새꽃.오름.제주도 '굉~장히 아름다워요'”. 연합뉴스. 2017년 1월 31일에 확인함.  ↑ '여자 사람 친구'의 줄임말 ↑ 백종민 (2009년 5월 1일). “복권위원회, 배우 박보영 행복공감봉사단장 위촉”. 조이뉴스24.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 김건우 (2009년 11월 10일). “원빈·이민호·박보영 "전 국민 '굿 다운로더' 되길"”. 스타뉴스.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 오대일 (2010년 10월 21일). “'G20 성공기원' 입 모은 국민 스타들”. 노컷뉴스.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 안진용 (2011년 6월 8일). “박보영,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얼굴 됐다”. 한국일보.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 이은정 (2012년 11월 13일). “'늑대소년' 박보영 "나도 이제 대학생 기자"”. 세계일보.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 송재원 (2013년 4월 23일). “생태교통 수원 2013' 홍보대사 위촉패 수여받는 박보영”. 아시아경제.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 문성호 (2013년 11월 25일). “코이카 홍보대사 박상원의 바통을 이어받은 박보영”. 서울신문.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 박찬수 (2014년 6월 10일). “박보영, 빈곤아동 돕기 재능기부”. 뉴시스.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 조준영 (2014년 6월 10일). “"아이들은 우리의 미래"…박보영, '재능기부' 비화 공개”. TV리포트.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 고범준 (2014년 12월 24일). “박보영, 경찰병원 명예홍보대사 위촉”. 뉴시스.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 유병철 (2014년 6월 10일). “박보영 재능기부, 한가인 하지원 이어 베트남 청소년 위해 멘토로 나서 ‘훈훈’”. 한국경제TV.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 윤기백 (2015년 10월 22일). “CJ CGV, 인도네시아 토토의 작업실 영화제 개최… 박보영 동참”. 스포츠월드.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 김민우 (2015년 9월 21일). “탤런트 박보영, 관세청 홍보대사로 위촉”. 머니투데이.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 이현재 (2016년 5월 12일). “[국경관리연수원]중학교에 진로체험 프로그램 개방”. 조세일보. 2016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송송이 (2017년 9월 12일). “‘박보영, 손글씨 재능기부…위기상황 아동 위해”. 스포츠경향. 2017년 9월 13일에 확인함.  ↑ 이형석 (2008년 12월 5일). “충무로 ‘18세 박보영’ 찜”. 헤럴드경제.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유상우 (2006년 8월 3일). “'반올림#3' 서민우, 블루테일 모델”. 뉴시스.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김임순 (2007년 9월 27일). “마루아이 모델 ‘유승호·박보영’ 인기”. 한국섬유신문.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온라인뉴스팀 (2014년 8월 18일). “남지현, 과거 박보영과 광고 촬영…앳된 모습 '눈길'”. 스포츠서울.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김병희 (2009년 4월 21일). “농심 '안성탕면' : 신세대 아이콘 박보영·김현중 닭살 멘트”. 한국경제.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김보람 (2009년 3월 6일). “"박보영 따라하기"… 패션 스타일 `불티`”. 매일경제. 2017년 2월 1일에 확인함.  ↑ 이기룡 (2009년 5월 1일). “영화배우 박보영, 복권위원회 행복공감봉사단장 위촉”. 뉴시스.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황성운 (2009년 5월 4일). “박보영, 임수정에 이어 '끌레도르' 모델 발탁”. 노컷뉴스.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황혜진 (2009년 5월 20일). “여기도 치킨, 저기도 치킨…“불황엔 치킨광고가 판친다””. 헤럴드팝.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이직 (2009년 6월 30일). “삼성 하하하 캠페인 2009 성공적 마무리”. 베타뉴스.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심수진 (2009년 7월 10일). “‘국민 남매’ 유승호와 박보영, ‘미스터 피자’ 새 모델로”. 노컷뉴스.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문미영 (2009년 2월 10일). “차태현-박보영 최고몸값 '하이마트 커플'”. 한국일보.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박종권 (2011년 6월 21일). “박보영, 광고에서 커리어우먼으로 변신”. 스포츠조선.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튀어나와요 동물의 숲 공식 계정 (2013년 1월 23일). “『튀어나와요 동물의 숲』의 다이렉트 영상이 공개되었습니다.”. 트위터.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Starluxe, 레스포색 한국 공식 수입 업체 ↑ 뉴미디어부 (2013년 2월 15일). “박보영 '레스포색' 한국인 첫 뮤즈 선정!”. 매일신문.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The Estée Lauder Companies Inc. ↑ 박태성 (2013년 3월 5일). “박보영, `크리니크 새 모델이에요`”. 매일경제.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KOREA Paprika Growers Association Group ↑ 한국파프리카생산자자조회 (2013년 5월 28일). “2013 박보영 파프리카 CF”. 한국파프리카생산자자조회. 2016년 6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최종봉 (2013년 1월 10일). “청순 여배우 '박보영' FPS 게임 서든어택에 등장”. 포모스.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구남인 (2014년 3월 6일). “서든어택, 꿀잼 업데이트 5탄 '1대 1 전용채널' 추가”. 포모스. 2016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조상현 (2014년 6월 12일). “서든어택, '승리의 6월' 캠페인 제 2탄 공개...신규 콘텐츠 및 이벤트 진행”. 포모스. 2016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최종봉 (2015년 10월 1일). “서든어택, 신규 '박보영' 캐릭터 출시와 함께 팬미팅 진행”. 포모스. 2016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박상진 (2015년 7월 10일). “박보영, 갓 오브 하이스쿨' 홍보 모델 발탁”. 엑스포츠뉴스.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권오용 (2015년 9월 29일). “LGU+, 홈IoT 온라인 광고 3000만 뷰 넘어”. 일간스포츠.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이광호 (2015년 11월 3일). “동서식품, '포스트 그래놀라' 신규 TV 광고 온에어”. 아시아경제.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KOICC, 안나 수이 향수 한국 공식 수입 업체 ↑ 정은나리 (2015년 11월 3일). “박보영, 국민여동생의 변신…'매혹적 요정'”. 세계일보. 2016년 12월 5일에 확인함.  ↑ 김현민 (2015년 12월 31일). “2016년 새해인사말, 국민 귀요미 박보영의 새해 대박 인사! “삼촌들~ 대박!””. 헤럴드경제.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제갈수만 (2015년 12월 10일). “무학, 순한소주 좋은데이 모델에 배우 박보영 선정”. 뉴시스.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김태현 (2016년 11월 21일). “무학, 박보영과 '좋은데이' 모델 재계약”. 이데일리. 2016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박윤진 (2015년 12월 23일). “박보영, 클레어스코리아 얼굴 됐다…亞시장 공략”. 마이데일리. 2017년 3월 14일에 확인함.  ↑ 황지혜 (2017년 3월 14일). “박보영, 3년 연속 ‘클라우드9’ 전속모델 재계약”. 뉴스1. 2017년 3월 14일에 확인함.  ↑ 전상희 (2015년 10월 2일). “쏘피 바디피트, 4가지 라인별 ‘안심숙면420 슈퍼롱’ 출시”. 스포츠조선.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짜이서울 (2016년 2월 12일). “한국 판매 NO.1 박보영 강추 한방 생리대 귀애랑, 내몸에순한면”. 짜이서울. 2017년 2월 1일에 확인함.  ↑ 위키트리 (2017년 5월 12일). “'마음도 예뻐' 생리대 10만개 기부한 박보영”. 위키트리. 2017년 5월 16일에 확인함.  ↑ 김정혁 (2016년 12월 21일). “박보영, 자연주의 브랜드 씽크네이처 샴푸 모델로 발탁”. 아시아경제. 2016년 12월 26일에 확인함.  ↑ 씽크네이처 홈페이지 (2017년 1월 2일). “잡지광고 좋은생각 2017년 2월”. 씽크네이처 홈페이지. 2017년 1월 11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김수지 (2017년 4월 7일). “'힘쎈여자 도봉순' 박보영, 캄보디아 고아원 기부 위한 팬사인회 개최”. 스포츠서울. 2017년 4월 16일에 확인함.  ↑ 이주현 (2016년 2월 22일). “동원몰, 1등 식품쇼핑몰 경쟁력 강화…박보영 모델 선정”. 아시아경제.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황상욱 (2017년 5월 12일). “알뜰하게 푸드득(FOOD得)할 땐, '동원몰'”. 부산일보사. 2017년 5월 16일에 확인함.  ↑ 이주현 (2016년 4월 25일). “코카-콜라, 수분보충 음료 '토레타' 광고모델 박보영 선정”. 아시아경제.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김성원 (2017년 2월 13일). “코카-콜라사 ‘토레타’, 배우 박보영 광고 모델 2년 연속 선정”. 파이낸셜뉴스. 2017년 2월 13일에 확인함.  ↑ 심성미 (2017년 6월 14일). “[2017 상반기 고객감동 방송광고] 롯데하이마트, 매달 다른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안”. 한국경제. 2017년 6월 27일에 확인함.  ↑ 한국파프리카생산자자조회 (2017년 6월 1일). “7년 파프리카 CF (30초)”. 한국파프리카생산자자조회. 2017년 6월 27일에 확인함.  ↑ 민승기 (2017년 6월 27일). “동아제약, ‘가그린’ 새 TV광고 선봬”. 머니투데이. 2017년 6월 27일에 확인함.  ↑ 이정현 (2018년 12월 12일). “박보영-차은우 "굽네치킨 새 얼굴 됐어요"”. 합뉴스. 2018년 12월 1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박보영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박보영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박보영 - 한시네마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박보영의_작품_목록&oldid=24152058" 분류: 여자 배우 작품 목록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5일 (일) 17: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다음은 대한민국의 배우 박보영의 작품 목록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배우 박보영이 제일 처음 출연한 공익 광고의 기업명은 무엇일까요? Assistant: 한국수력원자력 Human: 아래 야마구치_데쓰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야마구치 데쓰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야마구치 데쓰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야마구치 데쓰야山口 鉄也 Tetsuya Yamaguchi 요미우리 자이언츠 No.47 야마구치 데쓰야(2013년) 기본 정보 국적 일본 생년월일 1983년 11월 11일(1983-11-11) (35세) 출신지 가나가와현 요코하마 시 가나가와 구 신장 184 cm 체중 88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좌투좌타 수비 위치 투수 프로 입단 연도 2005년 드래프트 순위 육성 선수 드래프트 1순위 첫 출장 2007년 4월 29일 연봉 3억 2,000만 엔(2017년)[1]※2015년부터 3년 계약 경력 요미우리 자이언츠(2006 ~ ) 일본 국가대표팀 WBC 2009년, 2013년 야마구치 데쓰야 일본어식 한자 표기: 山口 鉄也 가나 표기: やまぐち てつや 국립국어원 표준 표기: 야마구치 데쓰야 통용 표기: 야마구치 테츠야 로마자: Tetsuya Yamaguchi 메달 기록 일본의 선수 남자 야구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금 2009 로스앤젤레스 2009 WBC 야마구치 데쓰야(일본어: 山口 鉄也, 1983년 11월 11일 ~ )는 일본의 프로 야구 선수이며, 현재 센트럴 리그인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소속 선수(투수)이다. 홀드수, 홀드 포인트수의 세계 기록 보유자이다. 애칭은 ‘굿 상’(ぐっさん).[2] 목차 1 인물 2 상세 정보 2.1 출신 학교 2.2 선수 경력 2.3 수상·타이틀 경력 2.3.1 타이틀 2.3.2 수상 2.4 개인 기록 2.4.1 투수 기록 2.4.2 타격 기록 2.4.3 기록 달성 경력 2.4.4 기타 2.5 등번호 2.6 연도별 투수 성적 3 각주 4 외부 링크 인물[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상세 정보[편집] 출신 학교[편집] 요코하마 시립 요코하마 상업고등학교 선수 경력[편집] 프로팀 경력 요미우리 자이언츠(2006년 ~ ) 국가 대표 경력 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일본 국가대표팀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일본 국가대표팀 수상·타이틀 경력[편집] 타이틀[편집] 최우수 중간 계투 : 3회(2009년, 2012년, 2013년) 수상[편집] 신인왕(2008년) 골든 루키상(2008년) 도쿄 돔 MVP 특별상(2008년, 2012년) 월간 MVP : 1회(2012년 7월) ‘조지아혼’상 : 1회(2012년도 제4회) 통산 200 홀드 연맹 수상(2014년 6월) 개인 기록[편집] 투수 기록[편집] 첫 등판 : 2007년 4월 29일, 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5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8회말에 3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마무리, 1이닝 무실점 첫 승리 : 2007년 5월 9일, 대 한신 타이거스 8차전(한신 고시엔 구장), 8회말에 4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1이닝 무실점 첫 탈삼진 : 상동, 8회말에 도리타니 다카시로부터 헛스윙 삼진 첫 홀드 : 2007년 8월 29일, 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20차전(삿포로 돔), 8회초 1사에 2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1/3이닝 무실점 첫 세이브 : 2008년 4월 22일, 대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3차전(우쓰노미야 기요하라 구장), 8회초 2사에 3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마무리, 1과 1/3이닝 무실점 첫 선발 : 2010년 4월 3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2차전(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 3과 1/3이닝 4실점 첫 선발 승리 : 2010년 4월 10일, 대 주니치 드래곤스 2차전(도쿄 돔), 7과 2/3이닝 3실점 타격 기록[편집] 첫 안타 : 2008년 10월 8일, 대 한신 타이거스 24차전(도쿄 돔), 7회말에 스캇 애치슨으로부터 좌전 안타 기록 달성 경력[편집] 통산 100홀드 : 2011년 9월 6일, 대 주니치 드래곤스 13차전(나고야 돔), 8회말에 4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1이닝 무실점 통산 200홀드 : 2014년 6월 6일, 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3차전(도쿄 돔), 9회초 1사에 2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1과 1/3이닝 무실점 ※NPB 사상 최초 통산 500경기 등판 : 2014년 9월 24일, 대 주니치 드래곤스 23차전(나고야 돔), 7회말에 2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1이닝 1실점 ※역대 94번째 통산 250홀드 : 2015년 9월 26일, 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23차전(도쿄 돔), 7회초에 3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1이닝 무실점 ※NPB 사상 최초 통산 600경기 등판 : 2016년 7월 22일, 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15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 12회말에 5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1/3이닝 1실점 ※역대 38번째 기타[편집] 9년 연속 60경기 등판(2008년 ~ 2016년) ※일본 프로 야구 기록 통산 270홀드(2016년 시즌 종료 시점) ※세계 기록 통산 320홀드 포인트(2016년 시즌 종료 시점) ※세계 기록 올스타전 출장 : 5회(2009년, 2012년 ~ 2015년) 한 타석의 투구수 19구 : 2013년 8월 24일, 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19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 8회말에 쓰루오카 가즈나리를 헛스윙 삼진 처리 ※역대 3번째, 프로 야구 타이 기록 등번호[편집] 102(2006년 ~ 2007년 시즌 도중) 99(2007년 시즌 도중 ~ 2007년 시즌 종료) 47(2008년 ~ ) 39(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연도별 투수 성적[편집] 연도 소속 등판 선발 완투 완봉 무볼넷 승리 패전 세이브 홀드 승률 상대타자 투구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고의사구 몸맞 탈삼진 폭투 보크 실점 자책점 평자책 WHIP 2007년 요미우리 32 0 0 0 0 2 0 0 2 1.000 114 25.1 24 2 15 2 2 21 3 1 14 11 3.91 1.54 2008년 67 0 0 0 0 11 2 2 23 .846 293 73.2 61 3 12 1 3 69 4 0 20 19 2.32 0.99 2009년 73 0 0 0 0 9 1 4 35 .900 292 78.0 53 1 14 1 5 62 3 0 12 11 1.27 0.86 2010년 73 2 0 0 0 8 3 5 20 .727 364 88.2 80 10 16 1 8 85 6 0 33 30 3.05 1.08 2011년 60 0 0 0 0 5 1 2 25 .833 239 61.2 45 2 16 0 3 38 4 0 12 12 1.75 0.99 2012년 72 0 0 0 0 3 2 5 44 .600 277 75.1 47 1 7 2 3 68 2 0 7 7 0.84 0.72 2013년 64 0 0 0 0 4 3 6 38 .571 262 66.2 47 1 17 2 2 55 3 0 12 9 1.22 0.96 2014년 60 0 0 0 0 4 3 2 35 .571 246 56.1 61 1 20 3 6 42 1 1 19 19 3.04 1.44 2015년 60 0 0 0 0 4 5 2 29 .444 216 52.2 48 5 15 2 2 31 2 0 18 16 2.73 1.20 2016년 63 0 0 0 0 1 6 1 19 .143 204 48.0 48 6 12 2 28 1 0 30 26 4.88 1.25 통산 : 10년 624 2 0 0 0 50 20 28 270 .714 2303 626.1 466 26 132 36 499 29 2 177 160 2.30 1.03 2016년 시즌 종료 기준 굵은 글씨는 시즌 최고 성적, 붉은색 글씨는 일본 프로 야구 역대 최고 성적. 각주[편집] ↑ 巨人 - 契約更改 - プロ野球 - 닛칸 스포츠, 2016년 11월 24일 확인 ↑ 先発転向の巨人・山口鉄也。成否を握る“マイナス思考”。(1/2) Number Web, 2010년 10월 25일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개인 연도별 성적 - 야마구치 데쓰야 - 일본 야구 기구 공식 홈페이지 vdeh센트럴 리그 신인왕1950년대 1950: 오시마 노부오 1951: 마쓰다 기요시 1952: 사토 다카오 1953: 곤도 마사토시 1954: 히로오카 다쓰로 1955: 니시무라 가즈노리 1956: 아키야마 노보루 1957: 후지타 모토시 1958: 나가시마 시게오 1959: 구와타 다케시 1960년대 1960: 호리모토 리쓰오 1961: 곤도 히로시 1962: 조노우치 구니오 1964: 다카하시 시게유키 1966: 호리우치 쓰네오 1967: 다케가미 시로 1968: 다카다 시게루 1969: 다부치 고이치 1970년대 1970: 야자와 겐이치 1971: 세키모토 시토시 1972: 야스다 다케시 1974: 후지나미 유키오 1976: 다오 야스시 1977: 사이토 아키오 1978: 스미 미쓰오 1979: 후지사와 기미야 1980년대 1980: 오카다 아키노부 1981: 하라 다쓰노리 1982: 쓰다 쓰네미 1983: 마키하라 히로미 1984: 고바야카와 다케히코 1985: 가와바타 준 1986: 나가토미 히로시 1987: 아라이 유키오 1988: 다쓰나미 가즈요시 1989: 도마시노 겐지 1990년대 1990: 요다 쓰요시 1991: 모리타 고이치 1992: 구지 데루요시 1993: 이토 도모히토 1994: 야부 게이이치 1995: 야마우치 야스유키 1996: 니시 도시히사 1997: 사와자키 도시카즈 1998: 가와카미 겐신 1999: 우에하라 고지 2000년대 2000: 긴조 다쓰히코 2001: 아카호시 노리히로 2002: 이시카와 마사노리 2003: 기사누키 히로시 2004: 가와시마 료 2005: 아오키 노리치카 2006: 소요기 에이신 2007: 우에조노 게이지 2008: 야마구치 데쓰야 2009: 마쓰모토 데쓰야 2010년대 2010: 조노 히사요시 2011: 사와무라 히로카즈 2012: 노무라 유스케 2013: 오가와 야스히로 2014: 오세라 다이치 2015: 야마사키 야스아키 2016: 다카야마 슌 2017: 교다 요타 2018: 아즈마 가쓰키 ※상기 이외의 연도는 수상자 없음 vdeh센트럴 리그 최우수 중간 계투1990년대 1996: 고노 히로후미 1997: 시마다 나오야 1998: 오치아이 에이지 1999: 이와세 히토키 2000년대 2000: 이와세 히토키 2001: 기즈카 아쓰시 2002: 이시이 히로토시 2003: 이와세 히토키 2004: 오카모토 신야 2005: 후지카와 규지 2006: 후지카와 규지, 가토 다케하루 2007: 구보타 도모유키 2008: 구보타 도모유키 2009: 야마구치 데쓰야 2010년대 2010: 아사오 다쿠야 2011: 아사오 다쿠야 2012: 야마구치 데쓰야 2013: 스캇 매티슨, 야마구치 데쓰야 2014: 후쿠하라 시노부 2015: 후쿠하라 시노부 2016: 스캇 매티슨 2017: 구와하라 겐타로, 마르코스 마테오 2018: 곤도 가즈키 vdeh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 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우승 감독83 하라 다쓰노리코치 72 이토 쓰토무(수석 코치) 71 야마다 히사시(투수) 92 요다 쓰요시(투수) 81 시노즈카 가즈노리(타격) 63 다카시로 노부히로(내야 수비 주루) 73 오가타 고이치(외야 수비 주루) 투수 11 다르빗슈 유 14 마하라 다카히로 15 다나카 마사히로 16 와쿠이 히데아키 18 마쓰자카 다이스케 19 이와타 미노루 20 이와쿠마 히사시 22 후지카와 규지 26 우쓰미 데쓰야 28 고마쓰 사토시 31 와타나베 슌스케 39 야마구치 데쓰야 47 스기우치 도시야 포수 2 조지마 겐지 10 아베 신노스케 29 이시하라 요시유키 내야수 5 구리하라 겐타 6 나카지마 히로유키 7 가타오카 야스유키 8 이와무라 아키노리 9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25 무라타 슈이치 52 가와사키 무네노리 외야수 1 후쿠도메 고스케 23 아오키 노리치카 24 우치카와 세이이치 35 가메이 요시유키 41 이나바 아쓰노리 51 이치로 vdeh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3위감독88 야마모토 고지코치 78 히가시오 오사무(투수 종합) 99 나시다 마사타카(야수 종합) 92 요다 쓰요시(투수) 81 다쓰나미 가즈요시(타격) 63 다카시로 노부히로(내야 수비 주루) 73 오가타 고이치(외야 수비 주루) 75 하시가미 히데키(전략) 투수 11 와쿠이 히데아키 14 노미 아쓰시 15 사와무라 히로카즈 16 이마무라 다케루 17 다나카 마사히로 18 스기우치 도시야 20 마에다 겐타 21 모리후쿠 마사히코 26 우쓰미 데쓰야 28 오토나리 겐지 35 마키타 가즈히사 47 야마구치 데쓰야 50 셋쓰 다다시 포수 2 아이카와 료지 10 아베 신노스케 27 스미타니 긴지로 내야수 1 도리타니 다카시 3 이바타 히로카즈 5 마쓰다 노부히로 6 사카모토 하야토 7 마쓰이 가즈오 41 이나바 아쓰노리 46 혼다 유이치 외야수 9 이토이 요시오 13 나카타 쇼 24 우치카와 세이이치 34 조노 히사요시 61 가쿠나카 가쓰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야마구치_데쓰야&oldid=22164396" 분류: 198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일본의 야구 선수일본 프로 야구 투수요미우리 자이언츠 선수일본 프로 야구 신인왕 수상자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요코하마시 출신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연도별 투수 성적을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8월 31일 (금) 02: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야마구치 데쓰야(일본어: 山口 鉄也, 1983년 11월 11일 ~ )는 일본의 프로 전 야구 선수이며 야구 지도자이다, 현재 센트럴 리그인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1군 투수코치이다. 홀드수, 홀드 포인트수의 세계 기록 보유자이다. 애칭은 ‘굿 상’(ぐっさん).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야마구치 데쓰야가 2007년부터 속해있던 팀 이름은 무엇인가? Assistant: 요미우리
Human: 아래 과천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과천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과천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7° 27′ 동경 127° 00′  / 북위 37.450° 동경 127.000°  / 37.450; 127.000 과천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1914년까지 존재한 행정구역에 대해서는 과천군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과천시 과천시청 청사 과천시의 위치 현황 국가 대한민국 면적 35.86 km2 세대 21,011 가구 (2018) 총인구 57,663 명 (2018) 인구밀도 1,608 명/km2 행정동 6개 법정동 10개 시장 김종천(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신창현(더불어민주당)(의왕시·과천시) 시청 소재지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69 홈페이지 http://www.gccity.go.kr/ 상징 시목 밤나무 시화 철쭉 시조 비둘기 과천시(果川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부에 있는 시이다. 북쪽으로 관악산(632m)과 구룡산(306m), 우면산(293m)을 경계로 서울특별시 관악구, 서초구와 접하고, 청계산(618m)을 경계로 동쪽으로는 성남시, 남서쪽으로는 안양시, 남쪽으로는 의왕시와 접한다. 서울대공원·서울경마공원 등의 문화시설이 있고, 정부과천청사가 위치한다. 과천시의 시외 지역 전화번호는 서울특별시와 동일한 02이다. 시목은 밤나무, 시화는 철쭉, 시조(市鳥)는 비둘기, 시의 동물은 말이다. 목차 1 역사 2 지리 3 행정 구역 3.1 인구 구조와 추이 4 문화·관광 5 교육 기관 6 교통 6.1 도로 6.2 철도 6.3 버스 6.3.1 버스 업체 7 주요 기관 8 자매 도시 9 출신 인물 10 사진 11 각주 12 같이 보기 13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86년 이전의 역사는 과천군, 시흥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행정 구역의 역사는 과천시의 행정 구역#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75년 고구려 장수왕 63년 율목군이라고 칭하였고, 757년 신라 경덕왕 때는 한산주 율진군이 되었고, 940년 고려 태조 때는 과주로 바뀌었다. 1018년 고려 현종 때는 과주현으로, 1413년 조선 태종 때는 경기도 광주목에 속한 과천현으로 개칭되었다. 1895년 5월 26일 경기도 과천군으로 변경되었고, 1914년 시흥군에 흡수되어 지금의 과천시 일대(종전의 과천군 군내면과 동면 주암리)는 시흥군 과천면이 되었다. 1963년 건설부 고시에 의해 1990년까지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구역에 편입되었으며, 1979년 경기 과천지구 지원사업소가 설치되었다. 1982년부터 2012년까지 기획재정부 등 경제부처를 중심으로 7개의 중앙부처가 위치하였다.[1] 1985년 8월 1일 시외전화 요금수입 감소, 이미 서울통화권으로 자연스럽게 편입된 광명시, 고양군 신도읍(현 고양시 덕양구 일부), 광주군 서부면(현 하남시 일부)을 제외한 다른 경기도 지역과의 형평성 문제 등과 같은 숱한 논란에도 불구하고[2] 정부서울청사 및 청와대와의 연락 용이 차원에서 종래 안양시 통화권(지역번호 0343) 지역이었던 과천지역이 서울특별시 통화권(지역번호 02)으로 편입되었다.[3] 1986년 1월 1일 시흥군 과천면 일원에 과천시가 설치되었다.[4] 2012년 말부터 정부과천청사의 정부 기관 대부분이 정부세종청사로 이전하여 과천청사에는 법무부, 공무원 교육원 등이 남으며, 중앙정부의 서울·경인 지역 지방청들이 입주할 계획이다. 지리[편집] 과천중앙공원 현충탑 과천은 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한 중소도시로 북쪽으로는 서울특별시 관악구, 동작구, 서초구와 접해있으며, 서쪽으로는 경기도 안양시, 동쪽으로는 성남시, 남쪽으로는 의왕시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5] 기반암은 대부분이 호상 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양재천 연안에는 충적지가 널리 발달하였다. 주요 산으로는 서쪽에 629m의 관악산, 응봉(鷹峰:348m), 동쪽으로 청계산(618m) 등이 솟아 있다. 관악산과 청계산은 북쪽에 있는 구룡산(306m), 우면산(293m)과 함께 북으로는 서울특별시, 서쪽으로는 안양시, 동쪽으로는 성남시, 남쪽으로는 의왕시와 경계를 이룬다. 북동쪽에는 한강의 지류인 양재천이 흐르고, 양재천 양안에는 범람원이 발달하였다. 과천시의 면적은 35.86 km²로 대한민국에서 구리시에 이어 두 번째로 면적이 좁고, 대한민국 국토 면적의 0.036%, 경기도 면적의 0.35%를 차지하고 있으며, 과천시 전체 면적의 85.4%인 30.64 km²가 개발제한구역이다.[6] 행정 구역[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과천시의 행정 구역입니다. 과천시 행정구역 과천시의 행정 구역은 6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35.86 km²[6]이고, 인구는 2017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5만7527 명, 2만0903 가구[7]이다. 행정동 한자 면적 (km²) 인구 (명) 세대 중앙동 中央洞 6.99 6,869 2,501 갈현동 葛峴洞 4.36 11,345 3,645 별양동 別陽洞 0.68 11,148 3,796 부림동 富林洞 0.37 10,456 3,754 과천동 果川洞 10.77 9,521 4,119 문원동 文原洞 12.69 8,188 3,088 과천시 果川市 35.86 57,527 20,903 * 인구는 2017년 12월 31일 기준, 면적은 2012년 12월 31일 기준 인구 구조와 추이[편집] 과천시는 2010년 12월 말 기준으로 0~14세 인구는 18.6%, 65세 이상 인구는 8.8%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72.6%로 전국평균 72.8%보다 비율이 낮고, 유소년인구부양비는 25.6%로 전국 평균인 22.8%보다 높고, 노년인구부양비는 12.2%로 전국 평균인 14.5%보다 낮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96.4로 여자가 다소 많다.[8] 과천시의 인구는 2009년 1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사이에 7만명 대를 유지하다가, 2015년 5월 이후 6만명 대로 다시 줄었다.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과천시의 연도별 인구(내국인) 추이 연도 총인구 1990년 72,325명 1995년 68,005명 2000년 66,592명 2005년 56,587명 2010년 66,319명 2015년 64,817명 문화·관광[편집] 서울대공원 서울랜드 과천과학관 서울대공원[9] 서울대공원은 과천시 청계산 막계동에 있는 공원으로, 한국에서 가장 큰 동물원과 식물원이 있다. 놀이공원인 서울랜드와 더불어 서울·수도권 시민들의 일일 나들이에 나서는 과천의 명소다. 서울랜드[10] 서울랜드는 과천시 막계동에 있는 테마파크이다. 세계의 광장, 모험의 나라, 환상의 나라, 미래의 나라 및 삼천리 동산 등 각각 독특한 주제를 갖춘 위락 시설을 다양하고 체계적으로 설치하여 1988년 5월 서울올림픽을 앞두고 문을 열었다. 1994년 과천선(서울 지하철 4호선) 개통과 더불어 대공원역을 통한 서울대공원의 동·식물원, 산림욕장, 국립현대미술관 등과 연계한 이용이 점차 활성화되어 현재는 수도권 시민들의 일일 나들이 장소가 되었다. 해마다 튤립, 벚꽃, 국화 등 화려한 꽃 축제를 개최한다. 그리고 전시 이벤트 등을 도입하여 지속적으로 변화를 꾀하고 있으며, 특히 야간 개장에 따른 쇼를 도입하여 방문객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야간 휴식 공간이 되고자 노력하고 있다. 국립과천과학관[11] 국립과천과학관은 과천시 상하벌로에 위치한 과학관으로, 과학기술자료를 수집·조사·연구하여 이를 보존·전시하며, 각종 과학기술교육프로그램을 개설하여 과학기술지식을 보급하는 시설로서 교육과학기술부 소속이며 관장은 고위공무원 나급(2~3급 상당)이다. 2008년 11월 14일 개관하였다. 렛츠런파크 서울[12] 렛츠런파크 서울은 과천시 주암동 685에 위치한 경마장이다. 전 이름은 서울 경마공원으로, 한국마사회가 1989년 9월 1일에 개장하였고, 약 7만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관람대 2개소를 비롯하여 가족공원과 승마장, 마사박물관 등 다양한 시설을 갖고 있으며 주말에는 6만명이 넘는 관람객이 방문하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13] 국립현대미술관은 대한민국 최대의 미술관으로, 1969년 경복궁 소전시관에서 개관한 것을 시작으로 1973년 덕수궁 석조전으로 이관하였으며, 1986년 현 위치로 한 번 더 이관하였다. 문화체육관광부 소속으로 관장은 고위공무원 나급(2~3급 상당)이며 2006년 과천 청사 개관 20주년을 맞아 직제 개정 및 경영 혁신을 통한 행정형 책임운영기관으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서울랜드, 서울대공원과 함께 수도권 시민들의 일일 나들이 코스로 교육, 문화의 장이 되고 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의 옛 기무사령부 터에 서울분관이 있다. 과천향교(경기도지정 문화재 제9호) 연주대(경기도지정 기념물 제20호] 기암절벽에 자리잡은 암자로 해발 629m지점에 있다. 추사박물관[14] 남태령 교육 기관[편집] 청계초등학교 과천고등학교 대학원대학교    구세군사관대학원대학교 고등학교    과천고등학교 과천여자고등학교 과천중앙고등학교 과천외국어고등학교 중학교    과천중학교 과천문원중학교 초등학교    과천초등학교 - 과천시 최초의 교육 기관 이였으며 1982,3,4년 각각 문원, 청계, 관문 초등학교가 개교 하면서 분리 되었다. 관문초등학교 문원초등학교 청계초등학교 교통[편집] 도로[편집] 고속도로 : 제2경인고속도로 (인덕원 나들목) 국도 : 국도 제47호선 지방도 : 지방도 제309호선 (과천우면산도시고속화도로,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철도[편집] 한국철도공사 과천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안양시) ← 정부과천청사역 - 과천역 - 대공원역 - 경마공원역 - 선바위역 → (서울특별시 서초구) 버스[편집] 많은 타 지역 버스가 과천대로와 중앙로를 경유하며, 과천시 면허의 시내버스 회사인 과천여객과 마을버스 회사인 과천운수가 존재한다. 버스 업체[편집] 시내버스 업체명 대표자 위 치 과천여객 장정훈 문원동 142 마을버스 업체명 대표자 위 치 과천운수 장정훈 문원동 142 주요 기관[편집] 경기도립과천도서관 정부과천청사 한국마사회 과천시시설관리공단 - 과천시민회관 빙상장은 피겨스케이팅 선수 김연아의 연습 장소였다. 경기과천교육도서관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문원도서관 과천문화원 과천시청소년수련관 관문체육공원 문원체육공원 자매 도시[편집] 대한민국 경상남도 통영시 대한민국 전라남도 장성군 대한민국 강원도 동해시 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 캐나다 앨버타주 에어드리 시 (1997)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 난닝 시 (2005) 일본 와카야마현 니시무로 군 시라하마 정[15] 출신 인물[편집] 김동찬 - 축구 선수 김승일 - 시인 김신욱 - 축구 선수 김평래 - 축구 선수 김해진 - 피겨 스케이팅 선수 문정원 - 플로리스트 신아영 - 방송인 오반석 - 축구 선수 오효주 - 아나운서 이수혁 - 배우 이진하 - 디자이너 정윤기 - 야구 선수 진 - 가수 (방탄소년단 멤버) 후이 - 가수 (펜타곤 멤버) 레나 - 래퍼 (프리스틴 멤버) 사진[편집] 과천시민회관 등 과천중앙공원 서울랜드 시민회관 정부과천청사 시내전경 각주[편집] ↑ 2011년 제28회 통계연보 Archived 2013년 12월 30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4월 5일 확인 ↑ 통신공사 "과천전화 서울편입 민정당만 생색" 동아일보, 1985.1.11. ↑ 과천지역 서울통화권 편입 안내 경향신문, 1985.7.29. 소형광고 ↑ 법률 제3798호 구리시등11개시설치와군관할구역의조정및금성시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5년 12월 28일) ↑ 2010년 제28회 통계연보, 위치 및 면적 ↑ 가 나 과천시 위치/면적/지도 과천시 홈페이지, 2015.6.9. 확인 ↑ 주민등록 인구통계 Archived 2011년 3월 3일 - 웨이백 머신 행정자치부, 2018년 4월 9일 확인. ↑ 과천시 통계연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1년통계연보 PDF자료 ↑ [grandpark.seoul.go.kr 홈페이지] ↑ [www.seoulland.co.kr 홈페이지] ↑ [www.sciencecenter.go.kr 홈페이지] ↑ [www.kra.co.kr 홈페이지] ↑ [www.mmca.go.kr 홈페이지] ↑ [www.chusamuseum.go.kr 홈페이지] ↑ 김기중 (2009년 7월 1일). “과천시-일본 시라하마정, 자매결연 체결”. 뉴시스.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같이 보기[편집] 굴다리시장 청계산 갱매폭포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과천시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과천시청 (공식) 서울특별시 관악구 서울특별시 서초구 경기도 안양시 경기도 성남시    경기도 과천시     경기도 의왕시 vdeh 경기도의 행정 구역도청소재지: 수원시 고양시 과천시 광명시 광주시 구리시 군포시 김포시 남양주시 동두천시 부천시 성남시 수원시 시흥시 안산시 안성시 안양시 양주시 여주시 오산시 용인시 의왕시 의정부시 이천시 파주시 평택시 포천시 하남시 화성시 가평군 양평군 연천군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vdeh경기도 과천시의 행정 구역 시청소재지: 중앙동 갈현동 과천동 문원동 별양동 부림동 중앙동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과천시&oldid=24520713" 분류: 과천시경기도의 도시1986년 설치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인용 오류 - 날짜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ebuano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客家語/Hak-kâ-ngî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МонголNederlandsNorskPolskiРусскийSlovenčinaSvenskaTagalogTürkçeاردوTiếng ViệtWinaray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3일 (수) 23:1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과천시(果川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부에 위치한 시이다. 북쪽으로 관악산(632m), 우면산(293m)을 경계로 서울특별시 관악구, 서초구와 접하고, 청계산(618m)을 경계로 동쪽으로는 성남시 수정구 남서쪽으로는 안양시 동안구, 남쪽으로는 매봉산(369m)을 경계로 의왕시와 접한다. 서울대공원과 서울경마공원, 국립과천과학관 등의 문화시설이 있으며, 정부과천청사가 위치한다. 시목은 밤나무, 시화는 철쭉, 시조(市鳥)는 비둘기, 시의 동물은 말 등이다. 1982년에 정부 부처들을 시작으로 1985년에 일반 전화 가입자들까지 단계적으로 서울 통화권(02)으로 편입되어, 광명시와 더불어 시 전역이 서울의 지역 번호를 공용한다. 따라서 경기도의 031국을 쓰지 않는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과천시의 넓이는 얼마야? Assistant: 35.86 km² Human: 아래 배드_로봇_프로덕션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배드 로봇 프로덕션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배드 로봇 프로덕션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배드 로봇 프로덕션스Bad Robot Productions 산업 분야 영화, 텔레비전 창립 1998년, 미국 국가 미국 핵심 인물 J. J. 에이브럼스, 브라이언 버크 웹사이트 www.badrobot.com 배드 로봇 프로덕션 (Bad Robot Productions)은 2001년 J. J. 에이브럼스가 설립한 영화 & TV 제작회사로 J. J. 에이브럼스가 회장직을 맡고 있으며 브라이언 버크는 부회장을 맡고 있다. 배드 로봇은 원래 터치스톤 픽처스의 자사였으나 2006년 J. J. 에이브럼스와의 계약에 따라서 파라마운트 픽쳐스, 유니버설 스튜디오, 컬럼비아 픽처스, 스크린 젬스, 월트 디즈니 픽처스, 워너 브라더스와 함께 분리되었다. 그 후 두 회사는 계약 해지 기일까지 식스 디그리스와 브라이언에 대해서를 제작해 동반자 역할을 계속 해왔다. 로봇이 튀어나오면서 "BAD ROBOT!" 목소리가 나오는 로고는 2001년에 제작되었다.[1][2] 목차 1 제작 작품 1.1 영화 2 TV 시리즈 3 각주 4 외부 링크 제작 작품[편집] 영화[편집] 개봉 연도 제목 감독 제작비 흥행 2001 캔디 케인 존 달 2300만달러 3664만달러 2008 클로버필드 맷 리브스 2500만달러 1억 7076만 달러 2009 스타 트렉: 더 비기닝 J. J. 에이브럼스 1억 5000만달러 3억 8568만달러 2010 굿모닝 에브리원 로저 미첼 4000만달러 5878만달러 2011 슈퍼 에이트 J. J. 에이브럼스 5000만달러 2억 5942만달러 미션 임파서블: 고스트 프로토콜 브래드 버드 1억 4500만달러 6억 9305만달러 2013 스타 트렉: 다크니스 J. J. 에이브럼스 1억 8500만달러 4억 5181만달러 2015 인피니틀리 폴라 베어 마야 포브스 670만달러 210만달러 미션 임파서블: 로그네이션 크리스토퍼 매쿼리 150만달러 6827만달러 스타 워즈: 깨어난 포스 J. J. 에이브럼스 3억 600만달러 20억 6822만달러 2016 클로버필드 10번지 댄 트랙턴버그 1500만달러 1억 1020만달러 스타 트렉 비욘드 저스틴 린 1억 8500만달러 3억 4350만달러 2018 클로버필드 패러독스 줄리어스 오나 4500만달러 없음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 크리스토퍼 매쿼리 1억 7800만달러 7역 9100만달러 오버로드 줄리어스 에이버리 3800만달러 4170만달러 개봉 예정 영화 2019 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 J. J. 에이브럼스 TV 시리즈[편집] 방영년도 제목 특징 1998-2002 펠리시티 완결 2001–2006 앨리어스 종료 2004–2010 로스트 완결 2005 더 캐치 파일럿만 방영 (정규 방영은 2005-2006 시즌에 방영할려 했으나 ABC에서 취소했다.) 2006–2007 브라이언에 대해서 완결 2006–2007 식스 디그리즈 종료 2008–2013 프린지 완결 2009 희망의 힘 파일럿만 방영 (정규 방영은 2009-2010 시즌에 방영할려 했으나 HBO에서 취소했다.) 2010 언더커버스 종료 2011-2016 퍼슨 오브 인터레스트 완결 2012 알카트라즈 종영 2012-2014 레볼루션 종영 2013 올모스트 휴먼 종영 2014 빌리브 종영 2016 웨스트월드: 인공지능의 역습 방영중 각주[편집] ↑ 목소리의 주인공은 J. J.의 자녀인 핸리, 그레시 에이브럼스 ↑ EW Gets the Stories Behind Those Goofy TV Production-Company Logos, The title came to creator J.J. Abrams during a writers' meeting, and he recorded his children, Henry and Gracie (ages 2 and 3), saying the words into his Powerbook's microphone. "That day in the office while editing," says Abrams, "I put together sound effects on my computer, burned a QuickTime movie on a CD, gave it to postproduction, and three days later it was on national television.", issue: December 07, 2001, Entertainment Weekly 외부 링크[편집] 배드 로봇 프로덕션스 - 공식 웹사이트 vdeh 미국의 주요 영화 배급 및 제작사할리우드 5대 메이저유나이티드 인터내셔널 픽처스컴캐스트 유니버설 스튜디오 (포커스 피처스 / 워킹 타이틀 필름스) 유니버설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드림웍스 애니메이션,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 Amblin Partners <협력관계> (앰블린 엔터테인먼트, 드림웍스, Participant Media) 바이어컴 파라마운트 픽쳐스 (파라마운트 애니메이션) Paramount Players (코미디 센트럴 필름스, 니켈로디언 무비스, MTV 필름스) CBS 코퍼레이션 CBS Films 워너 미디어 그룹Warner Bros. Entertainment 워너 브라더스 (뉴 라인 시네마, 캐슬 록 엔터테인먼트) DC 엔터테인먼트 Warner Bros. Family Entertainment (워너 브라더스 애니메이션) Turner Broadcasting System HBO Films 카툰 네트워크 스튜디오 월트 디즈니 컴퍼니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월트 디즈니 픽처스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마블 엔터테인먼트 (마블 스튜디오 外) 루카스 필름 터치스톤 픽처스 <해체> (할리우드 픽처스, 카라반 픽처스) Disney Nature ESPN Films, UTV Motion Pictures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스 모션 픽처스 20세기 폭스 (폭스 서치라이트 픽처스) 20세기 폭스 애니메이션 (블루 스카이 스튜디오)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소니 픽처스 모션 픽처스 그룹 컬럼비아 픽처스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 트라이스타 픽처스 (TriStar Productions) 스크린 젬스 소니 픽처스 클래식스 Sony Pictures Worldwide Acquisitions Triumph Films, Destination Films, Stage 6 Films, Affirm Films 할리우드 미니-메이저 영화사들MGM Holidings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유나이티드 아티스츠 <前:유나이티드 인터내셔널 픽처스> 오라이온 픽쳐스 Weinstein Family 미라맥스/디멘션 필름스 <前:월트 디즈니 컴퍼니, 現: beIN Media Group> 와인스타인 컴퍼니 -> Lantern Entertainment Lions Gate Entertainment 라이언스 게이트/서밋 엔터테인먼트 렐러티비티 미디어 로그 픽처스 Trigger Street Productions Millennium Entertainment Millennium Films 제작사 리젠시 엔터프라이즈 <前:워너 브라더스, 現:20세기 폭스> 빌리지 로드쇼 픽처스 <現:워너 브라더스> Revolution Studios <前: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레전더리 픽처스 <前:워너 브라더스, 現:컴캐스트> 스카이댄스 미디어 <現:바이어컴> 해즈브로 스튜디오 할리우드 영화 투자사 랫팩-듄 엔터테인먼트 <前:20세기 폭스, 現:워너 브라더스> TSG 엔터테인먼트 <現:20세기 폭스> 할리우드 영화 제작사 Kennedy Miller Mitchell Scott Free Productions 제리 브룩하이머 필름스 실버 픽처스 (다크 캐슬 엔터테인먼트) Centropolis Entertainment 이매진 엔터테인먼트 Morgan Creek Entertainment Group The Kennedy/Marshall Company 크루즈/와그너 프로덕션스 레이크쇼어 엔터테인먼트 One Race Films Bad Hat Harry Productions 1492 픽처스 오리지널 필름 ImageMovers The Playtone Company Happy Madison Productions 신카피 배드 로봇 프로덕션스 GK 필름스 월든 미디어 The Kerner Entertainment Company 플래티넘 듄스 플랜 B 엔터테인먼트 WingNut Films Marv Films Chernin Entertainment 사라진 헐리우드 영화사PolyGram Filmed Entertainment Propaganda Films Gramercy Pictures Interscope Communications 바이어컴 파라마운트 밴티지 타임 워너 Geffen Film Company 워너 인디펜던트 픽처스 퍼스트 내셔널 픽처스 RKO 픽처스 Carolco Pictures The Ladd Company Rysher Entertainment Overture Films vdehJ. J. 에이브럼스영화감독 미션 임파서블 3 (2006) 스타 트렉: 더 비기닝 (2009) 슈퍼 에이트 (2011) 스타 트렉 다크니스 (2013)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2015) 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 (2019) 제작 졸업 (1996) 서버번 (1999) 캔디 케인 (2001) 클로버필드 (2008) 스타 트렉: 더 비기닝 (2009) 굿모닝 에브리원 (2010) 슈퍼 에이트 (2011) 미션 임파서블: 고스트 프로토콜 (2011) 스타 트렉 다크니스 (2013) 미션 임파서블: 로그네이션 (2015)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2015) 클로버필드 10번지 (2016) 스타트렉 비욘드 (2016) 클로버필드 패러독스 (2018)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 (2018) 오버로드 (2018) 각본 수첩 속의 행운 (1990) 헨리의 이야기 (1991) 사랑 이야기 (1992) 두 낚시꾼에게 무슨 일이 생겼나 (1997) 아마겟돈 (1998) 캔디 케인 (2001) 미션 임파서블 3 (2006) 슈퍼 에이트 (2011)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2015) 텔레비전 펠리시티 (1998–2002) 앨리어스 (2001–2006) 로스트 (2004–10) 프린지 (2008–13) 언더커버스 (2010) 프로덕션 회사 배드 로봇 프로덕션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배드_로봇_프로덕션스&oldid=24030222" 분류: 1998년 설립배드 로봇 프로덕션미국의 영화 제작사J. J. 에이브럼스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Català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ietuvių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Türkçe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4일 (일) 16: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배드 로봇 프로덕션(Bad Robot Productions)은 1999년에 J. J. 에이브럼스가 설립한 영화 & TV 제작회사로 J. J. 에이브럼스가 회장직을 맡고 있으며 브라이언 버크는 부회장을 맡고 있다. 배드 로봇은 원래 터치스톤 픽처스의 자사였으나 2006년 J. J. 에이브럼스와의 계약에 따라서 파라마운트 픽쳐스, 유니버설 스튜디오, 컬럼비아 픽처스, 스크린 젬스, 월트 디즈니 픽처스, 워너 브라더스와 함께 분리되었다. 그 후 두 회사는 계약 해지 기일까지 식스 디그리스와 브라이언에 대해서를 제작해 동반자 역할을 계속 해왔다. 로봇이 튀어나오면서 "BAD ROBOT!" 목소리가 나오는 로고는 2001년에 제작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배드 로봇 프로덕션스의 TV시리즈는 무엇이 있을까? Assistant: 방영년도 제목 특징 1998-2002 펠리시티 완결 2001–2006 앨리어스 종료 2004–2010 로스트 완결 2005 더 캐치 파일럿만 방영 (정규 방영은 2005-2006 시즌에 방영할려 했으나 ABC에서 취소했다.) 2006–2007 브라이언에 대해서 완결 2006–2007 식스 디그리즈 종료 2008–2013 프린지 완결 2009 희망의 힘 파일럿만 방영 (정규 방영은 2009-2010 시즌에 방영할려 했으나 HBO에서 취소했다.) 2010 언더커버스 종료 2011-2016 퍼슨 오브 인터레스트 완결 2012 알카트라즈 종영 2012-2014 레볼루션 종영 2013 올모스트 휴먼 종영 2014 빌리브 종영 2016 웨스트월드: 인공지능의 역습 방영중
Human: 아래 서태지와_아이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서태지와 아이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태지와 아이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서태지와 아이들 기본 정보 결성 지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장르 랩/힙합 활동 시기 1992년 ~ 1996년 레이블 예당음향반도음반 이전 구성원 서태지이주노양현석 대표곡 난 알아요 1992년 환상속의 그대 이제는 너와 함께한 시간속에서 이밤이 깊어가지만 하여가 1993년 너에게 우리들만의 추억 마지막 축제 발해를 꿈꾸며 1994년 교실 이데아 아이들의 눈으로 영원 널 지우려 해 Come Back Home 1995년 필승 Free Style Good Bye 1996년 시대유감 K-pop 포털 서태지와 아이들(Taiji Boys, Seo Taiji & Boys)은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이다. 보컬, 작사·작곡의 서태지와 코러스 및 백보컬과 안무를 맡은 이주노, 양현석 세 명으로 구성되었다. 1992년 1집 《서태지와 아이들》로 데뷔하였으며 4집 《SEOTAIJI & BOYS IV》를 끝으로 해체되었다. 목차 1 활동 내용 1.1 데뷔 및 활동 (1992–1995) 1.2 은퇴 (1996) 2 영향 3 은퇴 이후 4 이전 구성원 5 음반 목록 6 수상 6.1 가요 프로그램 1위 7 광고 8 같이 보기 9 각주 10 외부 링크 활동 내용[편집] 데뷔 및 활동 (1992–1995)[편집] 시나위의 해체 이후 서태지는 당시 대한민국에 막 도입되기 시작한 미디 음악에 관심을 갖게 된다. 그 때의 미디 작업으로 〈난 알아요〉, 〈환상속의 그대〉등 서태지와 아이들 1집에 수록될 곡들의 일부가 만들어진다.[1] 새로운 음악 활동을 모색하던 서태지는 1992년 1월에 양현석, 이주노를 만나 '서태지와 아이들'을 결성하고 1992년 4월에 1집 《Yo! Taiji》를 발표한다. 1992년 4월 11일, MBC의 특종 TV 연예에 데뷔하게 된 그들은 방송 3사의 가요 순위 프로그램을 모두 석권 하였다. 당시 심사위원들은 노래를 듣고 7.8점이라는 역대 가장 낮은 점수를 주었다. 그리고 서태지와 아이들의 실제 데뷔는 1992년 3월 14일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였다. 또한 TV저널 올해의 스타상, 서울가요대상 최고 인기상, 스포츠서울 올해의 가수상, 대한민국 영상음악 대상 골든 디스크상, MBC 10대 가수 가요제 최고 인기 가요상과 신인 가수상, KBS 가요대상 15대 가수상등 그해 가요계에 부여된 모든 상을 휩쓸었고 《Yo! Taiji》는 데뷔 음반으로는 최다 판매량인 180만장의 판매고를 기록했다. 1993년 6월에 발표된 2집은 〈하여가〉로 활동을 시작하여 국내 최초로 220만장 이상 판매고를 기록했다. 또한 다시 한 번 각 방송사 및 언론사의 가요 프로그램 1위를 휩쓸었으며, 각종 상을 수상하게 된다. 음악적인 면에서도 〈하여가〉의 힙합음악에 국악을 접목시킨 음악과 〈수시아〉의 158비트에 달하는 빠른 멜로디는 1990년대 말 테크노 열풍에 한발 앞서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2] 2집 발표 이후 서태지와 아이들은 잠시 일본 공연을 했으며 3집 앨범 제작을 위해 몇 달간의 공백기를 가진다. 그러던 1994년 8월 3집 앨범을 발표하며 〈발해를 꿈꾸며〉를 시작으로 3집 활동을 시작한다. 3집에서는 기존의 댄스 음악의 비중이 약해지고 록의 비중이 늘어났다. 댄스 음악에 열광했던 일부 팬들은 실망하기도 하였으나, 한국의 교육을 비판한 〈교실 이데아〉 등은 당시 청소년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3집은 160만장의 판매고를 올렸으며 대한민국 100대 명반[3] 에 선정되었다. 3집때에는 사탄설 등 서태지와 아이들을 둘러싼 각종 괴소문들이 횡행했는데, 이는 〈교실 이데아〉를 거꾸로 들어보면 사탄의 메시지가 들어 있다는 괴소문이 PC 통신을 통해 전국에 퍼졌고, 언론에까지 보도되면서 생겨난 것이다. 이 외에도 동성애자설, 임신설 등이 퍼졌다. 이러한 괴소문들은 MBC 뉴스데스크, KBS 추적 60분, SBS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교실 이데아〉를 직접 돌려 틀어 사실 무근임을 밝혀내면서 잠잠해졌다.[4] (교실 이데아 소동) 또한 3집에는 기존 앨범에서는 볼 수 없는 강한 사회적 메시지가 수록되어 있었다. 기존의 앨범은 상업적 색채가 강한 사랑 이야기가 주를 이룬 데 반해, 3집 앨범에는 통일, 교육 현실, 마약 문제 등의 사회 비판적 내용들이 대거 등장하였다. 특히 뉴 메탈 색채를 강하게 드러낸 〈교실 이데아〉는 교육 현실을 직설적으로 꼬집으면서 10대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다. 이런 사회적인 색채의 음악과 그에 대한 당시 10대 팬 들의 반응 이후 ‘서태지 담론’이라는 말까지 생겨났다. 1994년 대한민국 학계와 언론계가 뽑은 〈광복 50년 한국을 바꾼 100인〉에 가수로서는 최초로 선정되는 등[5] 다양한 일들이 있었지만, 정작 그가 시도한 음악적 변화 자체는 큰 대중적 주목을 끌지 못했다.[4] 하지만 훗날 서태지의 음악적 성취가 재평가 되면서 3집 수록곡인 〈발해를 꿈꾸며〉가 고등학교 7차 교육과정의 '음악과 생활' 교과서에 수록되기도 하였다. 당시 서태지와 아이들은 앨범때마다 수십 회 이상의 TV 출연을 하면서도 꾸준히 라이브 공연을 펼쳤다. 1992년, 1994년, 1995년에 각각 1, 2, 3집 활동에 해당하는 라이브 앨범을 발표하였다. 또한 1992년, 1993년, 1994년에는 환경문제를 주제로 당대 아티스트들이 모인 환경 콘서트인 '내일은 늦으리'에 참가하여 환경 문제에 목소리를 더했다. 일본에도 진출하여 1994년에는 일본판 앨범을 발매하였다. 은퇴 (1996)[편집] 훗날 서태지는 4집 발표 전에 이미 서태지와 아이들의 은퇴가 예정되어 있었다고 밝혔다. 1~3집 활동 기간 동안 큰 인기를 누린 그들이지만, 너무나 바쁜 일정, 시간에 쫓겨 앨범을 만드는 데 대한 부담이 너무나 컸다고 그 후 당시를 떠올리며 심경을 밝혔다.[1] 3집에서 댄스적인 색채를 없애고 록, 메탈 등을 선보인 서태지와 아이들은 1995년 10월에 4집을 발매함과 동시에 갱스터 랩 스타일의 〈컴백홈〉으로 활동을 시작한다. 갱스터 랩은 당시 대한민국에서는 생소한 장르로, 기존의 인기를 유지하지 못할 것이라는 일부의 관측도 있었다. 그러나 4집 음반은 발매 첫날 30만장이 팔리는 등 총 240만장 이상이 팔려 당시까지 대한민국 가요계 역사상 세 번째 더블 밀리언 셀러를 기록했다. 앨범 발매때마다 그러하듯, 서태지와 아이들은 각 방송사 가요순위 1위를 휩쓸었고, 〈컴백홈〉을 듣고 다시 집으로 돌아온 학생의 이야기가 각 방송사 뉴스를 통해 전파를 타는 기현상도 벌어졌다. 또한 `컴백 홈` 방송 출연 당시 립싱크 공연에 반발하여 마이크를 아예 소지하지 않는 등의 파격 행위도 이어졌다. 1995년 연말에 큰 활약을 펼친 후에도 그들은 길거리에서 게릴라 콘서트를 펼쳐 〈필승〉의 뮤직 비디오를 만드는 등 인기몰이를 계속하였으나, 이듬해 1월 19일 MBC 인기가요 베스트 50에서 방송된 공연을 끝으로 활동을 중단하였다. 1월 31일에는 성균관대학교 유림회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새로움에 대한 부담과 이에 따라 창작의 고통이 컸으며 화려할 때 미련없이 떠난다"라는 말을 남기고 돌연 그룹 해체와 은퇴를 선언하며 미국으로 떠났다. 이날 서태지와 아이들의 갑작스러운 은퇴 소식은 전 사회적인 충격으로 다가왔으며 각 방송사 9시 뉴스의 메인 뉴스가 되었고, 각 일간지의 일면을 장식했다.[4] 2월에는 베스트 앨범을 발표하였다. 3달 여의 활동 끝에 그룹은 은퇴했지만 4집의 여파는 은퇴 이후에도 남았다. 4집 수록곡인 〈시대유감〉은 공연윤리위원회의 검열에서 가사를 지적받았다. 서태지와 아이들은 이 곡을 가사가 삭제된 상태에서 그대로 4집에 수록하였다. 이 사실이 알려진 이후 공연 윤리 위원회의 검열 제도에 대한 문제제기가 이어졌으며, 포크가수 정태춘의 심의 철폐 운동과 시너지를 일으켜 현재 공윤의 사전심의 철폐에 공을 세웠다고 평가된다.[6] 실제로 공연 윤리 위원회는 1996년 6월 7일에 폐지되었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7월 10일에 〈시대유감〉 싱글 앨범이 발표되어 가사가 삭제되지 않은 원곡을 들을 수 있게 되었다. 은퇴 선언 이후 미국으로 떠난 서태지는 1년여간 아무런 음악적 활동을 하지 않고 휴식을 취했다.[1] 영향[편집] 서태지와 아이들의 등장 이후로 대한민국 음악계는 많은 변화를 겪었다. 서태지와 아이들이 등장하기 전에는 발라드나 트로트 음악 등이 대한민국 대중 음악계의 주류를 이루었으나, 서태지와 아이들 이후로 랩 음악이 가미된 댄스 음악이 가요계를 장악하게 되었다. 따라서 대한민국 가요계는 정확히 서태지와 아이들이 등장한 1992년 4월 11일을 기점으로 구분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서태지와 아이들의 활동은 대중문화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반향도 불러 일으켰는데, 서태지와 아이들은 “10대들의 대통령”이라 불리며 청소년들의 지지를 얻었다. 4집 앨범 수록곡 중 〈시대유감〉은 공연윤리위원회의 심의에 통과하지 못하자 이에 항의하는 의미로 가사가 전부 삭제된 채 앨범에 실렸으며, 이 외에 다른 수록곡들도 심의에 제출된 곡의 가사와 앨범에 실린 곡의 가사가 서로 다르다는 이유로 물의를 빚었다. 결국 이 사건이 음반 사전 심의규제 폐지 운동에 큰 도움을 주었고, 현재 사전 심의 제도는 폐지된 상태이다. 그리고 이후 H.O.T.와 젝스키스 등의 이후 아이돌 시장의 시초를 만들었다. 국내 아이돌그룹의 시작은 H.O.T.이지만 그건 시스템을 만든 것이고 휴식기와 활동기의 구분도 서태지와 아이들이 처음이고 한국어 랩도 처음 방송에서 시도한 그룹이었다. 은퇴 이후[편집] 그룹의 리더였던 서태지는 잠적 기간을 거쳐 이른바 서태지 밴드를 결성, 록 위주의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양현석과 이주노는 각각 음반 기획자와 안무가로 활동하고 있다. 이 중에 양현석은 YG 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하여 후배 가수들을 양성하고 있다. 멤버 전원이 자신보다 최소 12살 이상 연하의 여성과 결혼했다. 서태지는 16살 연하의 여성과 결혼했고 양현석은 12살 연하의 여성과 결혼했으며 이주노는 23살 연하의 여성과 결혼했다.[7] 병역은 양현석만 현역 입대 후 의가사전역했으며 나머지는 면제되었다. 이전 구성원[편집] 이름 소개 서태지 본명 : 정현철 생년월일 : 1972년 2월 21일(1972-02-21) (47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가회동 학력 : 서울북공업고등학교 (자퇴) 포지션 : 리더, 메인보컬 활동기간 : 1992년 ~ 1996년 이주노 본명 : 이상우 생년월일 : 1967년 2월 10일(1967-02-10) (52세)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부천시 학력 : 소래고등학교 포지션 : 리드래퍼 활동기간 : 1992년 ~ 1996년 양현석 이름 : 양현석 생년월일 : 1969년 12월 2일(1969-12-02) (49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안국동 학력 : 광명공업고등학교 포지션 : 메인래퍼 활동기간 : 1992년 ~ 1996년 음반 목록[편집] 《서태지와 아이들 1집》 (발매: 1992년 3월 23일) 1집은 180만장 돌파. 데뷔곡이며 댄스스타일과 랩이 가미된 것이 특징이다. 원래는 YoYoYo 믹싱이 없었으나 양현석의 의견에 따라 추가했다. 《서태지와 아이들 2집》 (발매: 1993년 6월 21일) : 랩 메탈에 태평소 가락을 덧붙여 화제가 된 하여가를 비롯한 발라드와 댄스계열 음악들이 수록되었다. 2집은 220만장 돌파 《서태지와 아이들 3집》 (발매: 1994년 8월 10일) : 통일의 염원을 노래한 발해를 꿈꾸며, 입시 및 교육제도를 비판한 교실이데아, 마약의 문제를 다룬 제킬박사와 하이드 등의 록계열의 음악이 수록되었다. 3집은 160만장 돌파. 《서태지와 아이들 4집》 (발매: 1995년 10월 5일) : 서태지의 특이한 랩 창법이 화제가 된 갱스터 랩 음악인 컴백홈, 사회의 전반적인 부조리에 대한 비판을 얼터너티브 록 음악에 담아낸 시대유감, 금전지상주의를 비판한 1996 그들이 지구를 지배했을 때, 김종서와 함께 작업한 프리스타일 등의 곡이 수록되었다. 3집이 음악의 측면에서 커다란 변화를 이뤄냈다면 4집에서는 음악 외의 부분, 즉 패션 스타일이나, 안무 등에 있어서 큰 변화가 있었다. 《Live & Techno Mix》(발매:1992년 11월 20일) : '92 서태지와 아이들 콘서트 실황 일부와 1집 리믹스로 구성되어 있다. 《'93 마지막 축제》(발매:1994년 1월 15일) : 서태지와 아이들의 2집활동을 마무리하는 '93 마지막 축제 콘서트 실황음반이다. 《'95 다른 하늘이 열리고》(발매:1995년 3월 27일) : 서태지와 아이들의 3집활동을 마무리하는 '95 다른 하늘이 열리고 콘서트 실황음반이다. 《Goodbye Best Album》(발매:1996년 2월 10일) : 96년 서태지와 아이들 은퇴선언후 발매된 베스트앨범이다. Good Bye 가사버전이 수록되어 있다. 《시대유감》 (발매: 1996년 7월 10일) : 사전심의제도 폐지를 기념하여 발매된 싱글 음반, 시대유감의 가사 무삭제본과 이전 앨범의 곡 일부가 수록되어 있다. '서태지와 아이들'로 발매된 마지막 음반이다. 수상[편집] 1992년 TV저널 올해의 스타상 대상 1992년 서울가요대상 올해의 가수상, 최고인기가수상 1992년 골든디스크 본상 1992년 KBS 가요대상 15대 가수상 1992년 MBC 10대 가수가요제 최고 인기가요상, 신인가수상 1992년 SBS 가요대전 대상 1993년 서울가요대상 작곡상, 기획상, 올해의 가수상, 최고인기가수상 1993년 대한민국 골든디스크 본상 1993년 KBS 가요대상 본상 1993년 MBC 10대가수가요제 본상 1993년 SBS 가요대전 대상 1994년 MBC 10대가수가요제 본상 1994년 KBS 가요대상 본상 1994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1994년 골든디스크 본상 1995년 KBS 가요대상 본상 1995년 서울가요대상 최고인기가수상 1995년 골든디스크 최고인기가수상 1995년 MBC 10대 가수 가요제 최고인기가요(컴백홈) 1996년 MTV MUSIC VIDEO Asian Viewer (컴백홈)[8] 가요 프로그램 1위[편집] 연도 수상 내역 (총 66회) 1992년 (총 42회) 난 알아요 (총 26회) 6월 16일 SBS 《인기가요》 1위 6월 19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6월 23일 SBS 《인기가요》 1위 6월 26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6월 30일 SBS 《인기가요》 1위 7월 1일 KBS 《가요톱텐》 1위 7월 3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7월 7일 SBS 《인기가요》 1위 7월 10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7월 14일 SBS 《인기가요》 1위 7월 15일 KBS 《가요톱텐》 1위 7월 17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7월 21일 SBS 《인기가요》 1위 7월 22일 KBS 《가요톱텐》 1위 7월 24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7월 28일 SBS 《인기가요》 1위 7월 29일 KBS 《가요톱텐》 1위 7월 31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8월 4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5일 KBS 《가요톱텐》 1위 (5주 연속) (골든컵) 8월 7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8월 11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14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8월 18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21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10주 연속) 8월 25일 SBS 《인기가요》 1위 (11주 연속) 환상속의 그대 (총 16회) 9월 11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9월 18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9월 25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10월 2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10월 4일 SBS 《인기가요》 1위 10월 9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5주 연속) 10월 11일 SBS 《인기가요》 1위 10월 18일 SBS 《인기가요》 1위 10월 21일 KBS 《가요톱텐》 1위 10월 25일 SBS 《인기가요》 1위 10월 28일 KBS 《가요톱텐》 1위 11월 1일 SBS 《인기가요》 1위 11월 4일 KBS 《가요톱텐》 1위 11월 8일 SBS 《인기가요》 1위 (6주 연속) 11월 11일 KBS 《가요톱텐》 1위 11월 18일 KBS 《가요톱텐》 1위 (5주 연속) (골든컵) 1993년 (총 13회) 하여가 (총 13회) 7월 18일 SBS 《인기가요》 1위 7월 25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1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6일 MBC 《결정최고인기가요》 1위 8월 8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11일 KBS 《가요톱텐》 1위 8월 15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18일 KBS 《가요톱텐》 1위 8월 22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25일 KBS 《가요톱텐》 1위 8월 29일 SBS 《인기가요》 1위 (7주 연속) 9월 1일 KBS 《가요톱텐》 1위 (4주 연속) 9월 10일 MBC 《결정최고인기가요》 1위 (통산 2주) 1995년 (총 11회) Come Back Home (총 11회) 11월 3일 MBC 《인기가요베스트50》 1위 11월 5일 SBS 《TV가요20》 1위 11월 8일 KBS 《가요톱텐》 1위 11월 10일 MBC 《인기가요베스트50》 1위 11월 12일 SBS 《TV가요20》 1위 11월 15일 KBS 《가요톱텐》 1위 11월 17일 MBC 《인기가요베스트50》 1위 (3주 연속) (BEST OF BEST) 11월 19일 SBS 《TV가요20》 1위 (3주 연속) 11월 22일 KBS 《가요톱텐》 1위 11월 29일 KBS 《가요톱텐》 1위 12월 6일 KBS 《가요톱텐》 1위 (5주 연속) (골든컵) 광고[편집] LG전자 미니스타 SK하이닉스 CD 비젼 유니레버 코리아 칸츄리콘 같이 보기[편집] 교실 이데아 소동 각주[편집] ↑ 가 나 다 2008년 8월 6일 MBC에서 방영된 ‘서태지 컴백 스페셜 북공고 1학년 1반 25번’에서 밝힌 내용 ↑ 대중 음악 100대 명반 30위 서태지와 아이들 ‘서태지와 아이들Ⅱ’ 《경향신문》, 2007년 12월 6일 ↑ “공식 홈페이지의 3집 설명”. 2009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추억의 LP 여행) <서태지와 아이들> 서태지下, 《주간한국》, 2005년 1월 19일 ↑ 『광복 50년 한국을 바꾼 100인』 월간중앙 별책부록, 1995. ↑ '동백 아가씨'가 금지곡 된 진짜 이유 오마이뉴스, 2005년 1월 30일 ↑ 진짜 ‘아이들’과 결혼한 서태지와아이들 3명 ‘평균 17살차’ ↑ '컴백홈'아시아권서 1위 외부 링크[편집] (영어) 서태지와 아이들 - 마이스페이스 (영어) 서태지와 아이들 - 라스트 FM vdeh서태지와 아이들 서태지 양현석 이주노 정규 앨범 Seotaiji and Boys 1 (1992) Seotaiji and Boys 2 (1993) Seotaiji and Boys 3 (1994) Seotaiji and Boys 4 (1995) 비정규 앨범 Live & Techno Mix (1992) '93 마지막 축제 (1994) 다른 하늘이 열리고 (1995) Goodbye Best Album (1996) 싱글 / 노래 "난 알아요" "환상 속의 그대" "하여가" "너에게" "발해를 꿈꾸며" "교실 이데아" "Come Back Home" "필승" "시대유감" 컴필레이션 앨범92 내일은 늦으리관련 문서 서태지 개인 음반 교실 이데아 소동 vdeh서울가요대상 대상 수상자1990년대 변진섭 (1990) 태진아 (1991) 서태지와 아이들 (1992) 서태지와 아이들 (1993) 김건모 (1994) 룰라 (1995) 클론 (1996) H.O.T (1997) H.O.T · 젝스키스 (1998) 조성모 · 핑클 (1999) 2000년대 조성모 (2000) 김건모 (2001) 보아 (2002) 이효리 (2003) 신화 (2004) 동방신기 (2006) 빅뱅 (2007) 원더걸스 (2008) 소녀시대 (2009) 2010년대 소녀시대 (2010) 슈퍼주니어 (2011) 싸이 (2012) EXO (2013) EXO (2014) EXO (2015) EXO (2016) 방탄소년단 (2017) 방탄소년단 (2018) 대상 최고 앨범상 신인상 OST상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서태지와_아이들&oldid=24550945" 분류: 서태지와 아이들하이원 서울가요대상 대상 수상 음악가골든디스크 본상 수상 음악가골든디스크 인기상 수상 음악가1990년대 음악 그룹3인조 음악 그룹한국어 음악 그룹영어 음악 그룹남성 음악 그룹대한민국의 힙합 그룹대한민국의 보이 밴드1991년 결성된 음악 그룹1992년 데뷔1996년 해체된 음악 그룹아이돌 그룹숨은 분류: 로컬에는 없지만 위키데이터에는 있는 그림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NederlandsPortuguêsРусский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0일 (수) 00: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서태지와 아이들(영어: Taiji Boys 또는 영어: Seotaiji and Boys)은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이다. 보컬, 작사·작곡의 서태지와 코러스 및 백보컬과 안무를 맡은 이주노, 양현석 세 명으로 구성되었다. 1992년 1집 《Seotaiji and Boys》로 데뷔하였으며 4집 《Seotaiji and Boys IV》를 끝으로 해체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서태지와 아이들의 노래인 시대유감은 몇 집 앨범의 수록곡인가? Assistant: 4집 Human: 아래 퍼머넌트_웨이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퍼머넌트 웨이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퍼머넌트 웨이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5년 4월) 펌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펌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파마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파마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퍼머넌트 웨이브(영어: permanent wave; 문화어: 볶음머리) 또는 펌(영어: perm)은 헤어스타일의 하나이다. 목차 1 역사 2 개요 3 같이 보기 4 각주 5 외부 링크 역사[편집] 실용적인 열 방식을 만들어낸 최초의 사람은 1872년의 마르셀 그라토(Marcel Grateau)이다.[1] 개요[편집] 머리에 헤어 아이론 또는 헤어 드라이어를 이용한 일시적인 웨이브와는 달리, 머리를 감아도 반영구적으로 형태가 유지되는 웨이브라는 의미로 생겨난 말이다. 일반적인 경우, 화학적인 작용을 가진 약제를 사용하며 모발에서 시스틴 결합의 환원과 산화 등의 화학반응을 의도적으로 일으키는 것으로 모발의 구조나 형태를 변화시킨 후 고정시키는 것이다. 파마를 뜻하는 영어 permanent wave(퍼머넌트 웨이브)는 줄여서 perm(펌)이라고도 하는데, 요즘은 웨이브를 가진 머리를 스트레이트 스타일로 바꾸는 경우를 스트레이트 파마라고 부르는 등, 각각의 화학작용으로 스타일을 바꾸는 것 자체를 파마라고 하기도 한다. 그러나, 태어나서부터 웨이브가 있는 경우는 파마라 하지 않고 곱슬머리라 한다. 또한 요즘은 디지털펌이나 볼륨펌 등, 파마의 종류도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헤어스타일 각주[편집] ↑ Ed. Foan, G.A. & Bari-Woolls, J., "The Art and Craft of Hairdressing, Pitman, 1938. There were three editions and the second (1938) edited by Bari-Woollss is strongly recommended for this subject.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퍼머넌트 웨이브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전거 통제 LCCN: sh85099983 GND: 4267540-6 BNF: cb12011114v (데이터) NDL: 01070329 이 글은 패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퍼머넌트_웨이브&oldid=21380277" 분류: 머리 모양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5년 4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문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패션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SuomiFrançaisHrvatski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Polski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ščinaSvenska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5월 23일 (수) 14: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퍼머넌트 웨이브(영어: permanent wave; 문화어: 볶음머리) 또는 단순히 펌(영어: perm)은 헤어스타일의 하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퍼머넌트 웨이브란 무슨 의미일까? Assistant: 반영구적으로 형태가 유지되는 웨이브
Human: 아래 윤진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윤진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윤진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윤진서 2011년 영화 《결정적 한방》 언론시사회 및 기자간담회에서의 윤진서본명 윤수경 (尹水京)출생 1983년 8월 5일(1983-08-05) (35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국적 대한민국직업 배우활동 기간 2001년 ~ 현재소속사 FNC엔터테인먼트 학력 서울예술대학교 연극과 학사 졸업웹사이트 www.yoonjinseo.com 윤진서(1983년 8월 5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본명은 윤수경으로 2001년 연기 활동을 시작해 2003년 박찬욱 감독의 영화 《올드보이》에 조연으로 출연하면서 얼굴이 알려졌다. 《올드보이》로 2004년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을 수상했다. 이후 영화 《슈퍼스타 감사용》(2004년), 《바람 피기 좋은 날》(2007년), 《두 사람이다》(2007년), 《비스티 보이즈》(2008년), 《비밀애》(2010년), 드라마 《돌아온 일지매》(2009년), 《도망자 플랜 B》(2010년), 《일년에 열두남자》(2012년), 《냄새를 보는 소녀》(2015년) 등에 출연했다. 목차 1 삶과 경력 1.1 어린 시절과 배우 데뷔 2 학력 3 활동 영역 3.1 2003년 이후의 활동 4 출연 작품 4.1 영화 4.2 텔레비전 4.3 뮤직 비디오 5 그 밖의 활동 5.1 음반 5.2 저서 6 수상 및 후보 7 각주 7.1 내용주 7.2 참조주 8 외부 링크 삶과 경력[편집] 어린 시절과 배우 데뷔[편집] 윤진서의 본명은 윤수경(尹水京)으로[1] 1983년 8월 5일 서울에서 1남 2녀 중 차녀로 태어나, 구일초등학교, 신서중학교, 양천여자고등학교를 거쳐 서울예대 연극과를 졸업했다.[2] 그녀는 가정 환경에 대해 2013년 발간한 산문집에서 “아버지에게 사랑을 받으며 자라는 또래 아이들이 나는 늘 부러웠다.”,[3] “난 아버지랑 같이 살지 못”했다,[4] “행복하고 따뜻했던 가정은 아니었”다고[5] 쓰고 있다. 윤진서는 고등학교 시절 단짝 친구들과 떨어지기 싫어 인원제한이 없던 연극부에 가입해서 활동했다.[6] 고등학교 2학년[주 1] 여름방학 때 상명대학교가 주최한 고등학생을 위한 영화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하였는데, 그곳에서 만난 친구들을 통해 유럽 영화를 접하고 흠뻑 빠지게 되었다. 그녀는 “지금까지 경험해 보지 못한 영화의 신세계에 나는 홀딱 빠져버렸고, 아직도 세상엔 재미있고 훌륭한 영화들이 많으며, 내가 본 영화는 그중 천분의 일도 채 되지 않음을 실감했다.”고 밝혔다.[7] 윤진서는 이후 고등학교 3학년 때인 2001년 영화 《버스, 정류장》에 오디션을 거쳐 단역(여학생3)으로 캐스팅돼 출연하면서 영화계에 발을 들여놓게 되는데(개봉은 2002년),[8] 2008년 필름2.0과의 인터뷰에서 왜 배우가 됐냐는 질문에 “고등학교 2학년 때 단편영화를 연출해본 경험이 있다. (...) 배우로 한 학년 아래 후배를 캐스팅했는데 연기가 너무 답답한 거다. 자꾸 예쁘게만 보이려고 하는 거다. (...) 뭔가 말로 설명할 수 없는 아우라가 함께 있었으면 했다. 그래서 차라리 내가 연기를 해봐야겠다고 마음먹었다. 나는 미인이 아니니까 영화에서 예쁘게만 보이지 않을 거라는 이상한 자신감 같은 것이 있었다.”라고 말하였다.[9] 학력[편집] 서울구일초등학교 (졸업) 신서중학교 (졸업) 양천여자고등학교 (졸업) 서울예술대학교 연극과 (졸업) 활동 영역[편집] 2003년 이후의 활동[편집] 단역과 단편영화 출연 경력이 전부였던 신인 배우 윤진서는 2003년 11월 개봉한 박찬욱 감독의 화제작 《올드보이》에 출연하면서 처음 주목을 받았다. 이 영화는 윤진서가 이름이 있는 배역으로 출연한 첫 작품으로, 그녀는 조연이긴 하나 중요한 역할인 이우진(유연석/유지태 분)의 누나 이수아를 연기했다.[10][11] 윤진서는 이 작품에서 신비하고 순수한 이미지를 선보이며 주목을 받았고,[12][13] 2004년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을 수상하였다.[14] 윤진서는 《올드보이》가 개봉한 다음 달인 2003년 12월 류승범과 같이 출연한 MBC의 5분 드라마인 《한뼘드라마》 〈크리스마스의 연인〉 편을 통해 텔레비전에도 얼굴을 비추었다.[15] 다음 해인 2004년 초 윤진서는 서태지의 7집 《7th Issue》 수록곡인 〈로보트〉와 〈Heffy End〉 및 〈Live Wire〉의 뮤직비디오에 출연하였다.[16][17] 같은 해 9월 개봉한 야구를 소재로 한 영화 《슈퍼스타 감사용》에서는 야구장 직원 박은아 역으로 출연해 감사용(이범수 분)과의 로맨스를 연기했다.[11] 그녀는 《슈퍼스타 감사용》에 출연한 이후 발음 교정의 필요성을 느껴 성우에게 발성과 발음을 교습받았다.[18] 윤진서는 이 해 영화 잡지 프리미어가 영화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과대평가된 여자배우에 1위인 전지현에 이어 2위에 뽑히기도 했다.[19] 이후 2005년 10월 개봉한 일곱 남녀의 사랑을 그린 로맨스 영화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에서 꽃미남 가수를 짝사랑하는 예비수녀 임수경을 연기했는데,[20] “평범한 캐릭터보다는 영화적인 캐릭터를 해보고 싶”어 이 작품을 선택했다고 말했다.[21] 같은 해 11월 개봉한 《사랑해, 말순씨》에서는 극중 광호(이재응 분)가 짝사랑하는 옆방 누나 은숙을 연기했다.[22][23] 윤진서는 2007년 개봉한 불륜을 소재로 한 영화 《바람 피기 좋은 날》에 김혜수, 이민기, 이종혁과 함께 출연해 이종혁(여우 두 마리 역)의 상대역인 내숭쟁이 주부 작은 새를 연기했고,[24] 만화가 강경옥의 동명 만화를 원작으로 한 공포영화 《두 사람이다》에서 주변 사람들의 살해 시도에 시달리는 고등학생 김가인을 연기했다.[25] 출연 작품[편집]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01 아름다운 유년 누나 단편영화 2002 버스, 정류장 여학생3 취화선 단역(기생)[주 2] 역할 이름 없음 2003 모빌(자장가) 옴니버스 영화 《쇼 미》 중 한 편[주 3] 올드보이 이수아/미장원 소녀 따로 또 같이 옴니버스 영화 《이공》 중 한 편[주 4] 2004 슈퍼스타 감사용 박은아 나의 새 남자친구 단편영화[주 5] 2005 친절한 금자 씨 감방 죄수 우정출연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 임수경 사랑해, 말순씨 은숙 2007 바람 피기 좋은 날 작은새 두 사람이다 김가인 만화가 강경옥의 동명 만화가 원작 울어도 좋습니까? 영남 2008 비스티 보이즈 지원 우린 액션배우다 uncredited, 본인 다큐멘터리 영화 이리 진서 2010 비밀애 연이 2011 결정적 한방 박하영 2012 영화판 다큐멘터리 영화 2013 그녀가 부른다 진경 2014 경주 김여정 산타바바라 수경 2015 태양을 쏴라 사라 2017 커피메이트 인영 2018 리벤져 말리 †개봉일(공개일) 순. 텔레비전[편집] 연도 제목 역할 방송사 비고 2003 한뼘드라마 진서 MBC 〈크리스마스의 연인〉 편[주 6] 2004 파리의 연인 단역 SBS 마지막회에 출연 MBC 베스트극장 정맑음 MBC 〈액션배우 정맑음〉 편[주 7] 2009 돌아온 일지매 달이/월희 1인2역 2010 도망자 플랜 B 윤소란 형사 KBS2 2012 일년에 열두남자 나미루 tvN 2013 상속자들 차은석 SBS 1회 특별출연 KBS 드라마 스페셜 서하진 KBS2 〈진진〉 편[주 8] 2014 패션왕 코리아 2 출연 SBS 2015 냄새를 보는 소녀 염미 SBS 나에게 건배 라여주 UMAX & O'live 2016 대박 숙빈 최씨 SBS 뮤직 비디오[편집] 연도 곡명 가수 2004 로보트 서태지 Heffy End Live Wire 2005 귀로 나얼 2009 잘 지내 정엽 2010 지나간다 김범수 2011 옷자락이라도 M시그널 2014 날 위로하려거든 윤상 그 밖의 활동[편집] 음반[편집] 2008년 〈L'amourse〉 (디지털 싱글) 2009년 〈내가 꿈꾸는 그 곳〉 (돌아온 일지매 OST 4번 트랙) 저서[편집] 산문집 《Vivre sa vie》(비브르 사 비). 그책, 2013, ISBN 978-89-94040-41-7 소설 《파리 빌라》. 달, 2015, ISBN 979-11-58160-05-0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출처 2004 제40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올드보이 수상 [1] 제3회 대한민국영화대상 여우조연상 후보 [2] 2014 제1회 들꽃영화상 여우주연상 그녀가 부른다 후보 [3] 2015 SBS 연기대상 미니시리즈부문 여자 특별연기상 냄새를 보는 소녀 후보 [4] 2016 제10회 케이블TV 방송대상 케이블스타부문 공감스타상 나에게 건배 수상 [5] SBS 연기대상 장편드라마 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대박 후보 각주[편집] 내용주[편집] ↑ 《FILM2.0》 2008년 11월호 인터뷰 기사에서는 1학년 때라고 쓰고 있으나 윤진서의 산문집을 참고하여 여기서는 2학년으로 표기하였다. ↑ 《취화선》 DVD 기준으로 1시간 14분 25초 경에 등장. ↑ 옴니버스 영화 《쇼 미》(Show Me)는 2003년 8월 26일 서울 시네마오즈 상영관에서 처음 공개되었다(출처). ↑ 옴니버스 영화 《이공》(異共)은 2003년 12월 8일 SK텔레콤의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 준(June)을 통해 처음 공개되었다(출처). ↑ 포털사이트 다음의 무료 온라인 영화제인 ‘다음검색 필름페스티벌’ 상영작 중 하나로, 2004년 10월 25일 첫 공개되었다. (출처). ↑ 2003년 12월 22일부터 12월 25일까지 4회에 걸쳐 방송. ↑ 2004년 9월 17일 방송. ↑ 2013년 12월 8일 방송. 참조주[편집] ↑ 이경미 (2010년 4월 11일). “생활속 작은실천이 지구 바꿔요”. 한겨레. 2014년 1월 24일에 확인함. 윤씨의 본명인 ‘수경’도 한자로는 물 수(水)에 서울 경(京)이어서 서울의 한강과 뜻이 통한다.  ↑ 씨네21. “인물 - 윤진서”. 2014년 1월 31일에 확인함.  ↑ 윤진서, 《Vivre sa vie》, 19쪽. ↑ 윤진서, 《Vivre sa vie》, 21쪽. ↑ 윤진서, 《Vivre sa vie》, 30쪽. ↑ 이영진 (2003년 12월 3일). “제게서 비현실적인 분위기가 풍기나요? <올드보이>의 배우 윤진서”. 《씨네21》. 2014년 6월 28일에 확인함.  ↑ 윤진서, 《Vivre sa vie》, 27-29쪽. ↑ 황세원 (2007년 2월 9일). “‘바람피기 좋은 날’ 윤진서 “숱하게 떨어진 오디션…결국 비결은 솔직””. 쿠키뉴스. 2014년 1월 31일에 확인함.  ↑ 하정민 (2008년 11월). “토크2.1 <이리> 윤진서”. 《FILM2.0》 (413). ISSN 1599-1261.  ↑ 정명화 (2008년 11월 20일). “윤진서 "美 '올드보이' 수아 역은 무명배우가 했으면"”. 조이뉴스24. 2014년 7월 12일에 확인함.  ↑ 가 나 김규한 (2004년 9월 13일). “[인터뷰] <슈퍼스타 감사용> 윤진서 - 상큼한 청순미의 화신”. 맥스무비. 2014년 7월 12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 이규창 (2004년 10월 14일). “'올드보이' 윤진서 vs '주홍글씨' 엄지원 닮은젊은?”. 스타뉴스. 2014년 7월 12일에 확인함.  ↑ 박혜명 (2007년 8월 3일). “진서는 한사람이다”. 《씨네21》. 2014년 7월 12일에 확인함.  ↑ 일간스포츠. “제46회 백상예술대상”. 2014년 7월 12일에 확인함.  ↑ 문용성 (2003년 12월 21일). “류승범-윤진서 '크리스마스 연인'”. 굿데이. 2014년 7월 19일에 확인함.  ↑ 이재원 (2004년 3월 25일). “서태지 또다시 윤진서 ‘찜’”. 스포츠투데이. 서태지는 7집 타이틀곡 ‘로보트’ 뮤직비디오에 이어 후속곡 ‘heffy end’ 뮤직비디오의 주인공으로 윤진서를 선택했다.  ↑ 윤현진 (2009년 4월 7일). “서태지 ‘줄리엣’ 뮤비 주연, 최준영 ‘눈길’”. 뉴스엔. 2014년 7월 26일에 확인함.  ↑ 윤고은 (2004년 9월 20일). “윤진서, 성우로부터 대사 맹연습”. 연합뉴스. 2014년 7월 19일에 확인함.  ↑ 서병기 (2004년 11월 29일). “왜 강동원과 전지현이 과대평가된 남녀배우로 뽑혔을까?”. 헤럴드경제. 2014년 7월 19일에 확인함.  ↑ 김현록 (2005년 8월 11일). “윤진서-정경호, 예비수녀-댄스가수 사랑 그려”. 스타뉴스. 2014년 7월 26일에 확인함.  ↑ 정명화 (2005년 10월 5일). “윤진서, "불같은 사랑을 하고 싶다"”. 조이뉴스24. 2014년 7월 26일에 확인함.  ↑ 고미석 (2005년 11월 3일). “[씨네리뷰]아! 기억속의 다락방…‘사랑해, 말순씨’”. 동아일보. 2014년 7월 26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 김천홍 (2005년 11월 3일). “윤진서, 청춘 멜로물 '울어도 좋습니까?' 촬영 시작”. 스포츠조선. 2014년 8월 2일에 확인함.  ↑ 정우성 (2007년 3월). “영화 ‘바람피기 좋은 날’의 ‘작은 새’ 배우 윤진서”. 《레이디경향》. 2014년 10월 13일에 확인함.  ↑ 정명화 (2007년 8월 14일). “[리뷰]'두사람이다', 수위 높은 올해 마지막 공포물”. 조이뉴스24. 2014년 10월 13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윤진서 윤진서 공식 웹사이트 윤진서 공식 웹사이트 (FNC 엔터테인먼트) 윤진서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윤진서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윤진서 - 인스타그램 윤진서 - 트위터 윤진서 - 페이스북 윤진서 미니홈피 - 싸이월드 vdeh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1960년대 - (1965) - (1966) 문희, 남정임 (1967) 윤정희 (1968) 전양자 (1969) 1970년대 김지수 (1970) 김윤정 (1971) 나오미 (1972) 박지영, 최정민 (1973) 진도희, 명희 (1974) 문숙, 양정화 (1975) 김형자 (1976) 유미나, 명현숙 (1977) 정희 (1978) 이인옥 (1979) 1980년대 원미경 (1980) 이미숙, 김민희 (1981) 나영희, 안소영 (1982) 박선희 (1983) 이보희 (1984) 조용원 (1985) 이혜영 (1986) 김혜수 (1987) 신혜수, 하희라 (1988) 진영미 (1989) 1990년대 이미연 (1990) 김성령, 지경원 (1991) 이아로 (1992) 오연수 (1993) 류금신, 지수원 (1994) 정선경 (1995) 김선재 (1996) 이은정 (1997) 최지우 (1998) 전지현 (1999) 2000년대 여고괴담 두번째 이야기 출연진 (2000) 서정 (2001) 이요원 (2002) 손예진 (2003) 윤진서 (2004) 수애 (2005) 정유미 (2006) 박시연 (2007) 한예슬 (2008) 박보영 (2009) 2010년대 조안 (2010) 신현빈 (2011) 배수지 (2012) 한예리 (2013) 김향기 (2014) 천우희 (2015) 박소담 (2016) 이상희 (2017) 최희서 (2018) 이재인 (2019) 대상 | 작품상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자조연 | 여자조연 | 남자신인연기 | 여자신인연기 vdehFNC 엔터테인먼트경영진 한성호 (대표, 총괄 프로듀서) 한승훈 (이사) 김영선 (이사) 가수현재 그룹 FT아일랜드 (최종훈  · 이홍기  · 이재진  · 최민환  · 송승현) 씨엔블루 (정용화  · 이종현  · 강민혁  · 이정신) AOA (지민  · 유나  · 유경  · 혜정  · 설현  · 찬미) 엔플라잉 (이승협  · 권광진  · 차훈  · 김재현  · 유회승) SF9 (영빈  · 인성  · 재윤  · 다원  · 로운  · 주호  · 태양  · 휘영  · 찬희) 허니스트 (김철민  · 김환  · 서동성  · 오승석) 체리블렛 (해윤  · 유주  · 미래  · 보라  · 지원  · 코코로  · 레미  · 채린  · 린린  · 메이) 현재 솔로 초아 과거 그룹 M시그널 (견우  · 전근화) AOA (유경  · 초아  · 민아) 과거 솔로 주니엘 오원빈 이노베이터 배우현재 배우 박광현 이동건 정진영 윤진서 조재윤 성혁 김원희 곽동연 정해인 박두식 정우 정유진 과거 배우 이다해 이한나 이엘리야 김민서 정혜성 희극인현재 희극인 송은이 이국주 문세윤 정형돈 유재석 노홍철 김용만 이세영 과거 희극인 지석진 방송인 조우종 문지애 드라마 PD신우철관련 방송 미남이시네요 (SBS, 2009) 넌 내게 반했어 (MBC, 2011) 상속자들 (SBS, 2013) 청담동 111 (tvN, 2013 ~ 2014) 백년의 신부 (TV조선, 2014) 학교 2015 (KBS, 2015) 언니는 살아있다 (SBS, 2017) 달콤한 원수 (SBS, 2017) 황후의 품격 (sbs, 2018) 관련 항목 FNC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전거 통제 VIAF: 271957935 ISNI: 0000 0004 2657 543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윤진서&oldid=24036064" 분류: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수상자198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서울특별시 출신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배우서울예술대학 연극과 동문서울구일초등학교 동문신서중학교 동문양천여자고등학교 동문FNC 엔터테인먼트 소속숨은 분류: 인용 오류 - 보이지 않는 문자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Bahasa IndonesiaPolski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5일 (월) 14: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윤진서(본명: 윤수경, 한국 한자: 尹水京, 1983년 8월 5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2001년 연기 활동을 시작해 2003년 박찬욱 감독의 영화 《올드보이》에 조연으로 출연하면서 얼굴이 알려졌다. 《올드보이》로 2004년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을 수상했다. 이후 영화 《슈퍼스타 감사용》(2004년), 《바람 피기 좋은 날》(2007년), 《두 사람이다》(2007년), 《비스티 보이즈》(2008년), 《비밀애》(2010년), 드라마 《돌아온 일지매》(2009년), 《도망자 플랜 B》(2010년), 《일년에 열두남자》(2012년), 《냄새를 보는 소녀》(2015년) 등에 출연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배우 윤진서의 데뷔작은 뭐야, Assistant: 버스, 정류장 Human: 아래 항성_질량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항성 질량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항성 질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항성 질량은 천문학자들이 어떤 항성의 질량을 표시할 때 쓰는 용어이다. 보통 ‘태양질량(M☉)의 몇 배’ 형식으로 표시하는데, 예를 들면 시리우스의 질량은 2.02 M☉으로 표시한다.[1] 어떤 항성의 질량은 생애주기동안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외부적, 내부적 원인에 따라 변한다. 예를 들면 짝별로부터 물질을 흡수하면 질량은 늘어나며, 항성풍이나 맥동으로 물질을 뿜어내면 질량은 줄어든다. 목차 1 속성 2 범위 3 질량 변화 4 참고 문헌 속성[편집] 항성은 보통 태어났을 때의 질량에 따라 그 운명이 결정되므로 질량 정도에 기준하여 항성의 종류를 나눈다. 태양질량 0.5배 이하의 별은 ‘질량이 매우 작은 별’로 점근거성가지(AGB) 단계를 거치지 않고 곧장 백색 왜성이 된다. ‘질량이 작은 별’은 태양 질량 1.8~2.2배(구성물질이 다르기 때문에 명확한 경계가 없다.)보다 작은 항성들로 점근거성가지 단계에 들어가며 여기서 축퇴하는 헬륨핵을 만든다. ‘중간질량 항성’은 태양질량의 7~10배 이하 항성들로, 헬륨융합 작용으로 축퇴하는 탄소-산소 핵을 만든다. ‘무거운 항성’은 최소 태양질량의 5~6배, 크게는 7~10배 이상의 항성으로 이런 별은 탄소 융합작용을 거쳐 중심핵이 붕괴된 뒤 초신성 폭발로 생을 끝마친다.[2] 이런 거대한 천체는 죽은 뒤에 중심부에 항성질량 블랙홀을 남긴다. 항성의 반지름과 질량으로부터 표면중력이 결정된다. 거대한 별 표면의 중력은 주계열 단계 항성에 비해 매우 작으며 반대로 백색왜성 등 밀집성은 주계열성보다 막대하게 표면중력이 크다. 표면중력은 항성의 스펙트럼에 영향을 끼치며, 중력이 높을수록 흡수선의 폭은 넓어진다.[3] 범위[편집] 용골자리 에타는 지금까지 발견된 천체 중 아주 무거운 집단에 속하는 별로, 질량은 대충 태양의 100~150배로 추측된다.[4] 에타별의 생애는 매우 짧아 수백만 년에 불과하다. 아치스 성단에 대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현시대 우주에서 항성이 지니는 질량상한은 태양의 150배라고 한다.[5] 한계수치가 왜 이 값인지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어떤 별이 가스를 우주로 날려버리지 않으면서 가장 밝게 빛날 수 있는 한계를 에딩턴 광도로 표시하는데 이 법칙이 한계질량에 대해 일부 해답을 주고 있다. 다만 성단 RMC 136a에 있는 R136a1의 질량이 태양의 265배임이 최근 밝혀져 에딩턴 한계의 신빙성에 의문을 던졌다.[6] 여기에 대해 한 연구에 따르면 RMC 136a 내 질량 150배보다 큰 천체는 한계질량 가까운 쌍성 두 개가 합쳐져 생긴 것이라 하여, 기존의 질량이론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주장했다.[7] 빅 뱅 이후 처음 탄생한 태초의 항성 질량은 지금보다 훨씬 커 최대 태양의 300배 이상이었으리라 추측되는데,[8] 그 이유는 리튬보다 무거운 원소가 당시 항성에는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질량이 무거운만큼 이 별들(항성종족 III)은 빠르게 죽었고 지금은 단지 이론상의 천체일 뿐이다. 반대로 황새치자리 AB A의 짝별 황새치자리 AB C의 질량은 목성의 93배에 불과한데 이는 중심핵에서 수소를 태우는 주계열 별 중 가장 가벼운 값이다.[9] 항성의 중원소함량이 태양과 비슷할 경우 가질 수 있는 최솟값은 대략 목성의 75배 정도이다.[10][11] 그러나 항성에 있는 중원소의 양이 극도로 적을 경우 최솟값은 좀 더 올라가서 태양의 8.3% 또는 목성의 87배 정도가 된다.[11][12] 이보다 작은 천체를 갈색 왜성이라고 하며, 가스 행성과 항성 사이의 회색지대를 차지한다. 질량 변화[편집] 지금도 태양은 전자기 에너지를 태양풍 형태 물질로 우주공간에 뿜으면서 질량을 조금씩 잃고 있다. 그 비율은 매년 약 2~3×10^-14 M☉이다.[13] 태양이 적색거성 단계에 들어서면 물질은 더욱 빠른 속도로 태양을 탈출할 것이며 그 속도는 진화단계가 적색거성가지의 첨단부에 이를 때 1년에 7~9×10^−14 M☉이 될 것이며, 점근거성가지 단계에서는 10−6 M☉까지 올라가고, 태양이 죽음을 맞아 행성상성운이 되었을 때에는 10−5 ~ 10−4 M☉으로 가장 빠른 속도로 질량을 우주에 뿌릴 것이다. 이렇게 태양이 백색 왜성이 되기 전까지 우주에 내보내는 질량은 초기질량의 46%에 이른다.[14] 참고 문헌[편집] ↑ Liebert, J.; 외. (2005), “The Age and Progenitor Mass of Sirius B”, 《The Astrophysical Journal》 630 (1): L69–L72, Bibcode:2005ApJ...630L..69L, arXiv:astro-ph/0507523, doi:10.1086/462419.  ↑ Kwok, Sun (2000), 《The origin and evolution of planetary nebulae》, Cambridge astrophysics series 33,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3–104쪽, ISBN 0-521-62313-8.  ↑ Unsöld, Albrecht (2001), 《The New Cosmos》 5판, New York: Springer, 180–185, 215–216쪽, ISBN 3540678778.  ↑ Smith, Nathan (1998), “The Behemoth Eta Carinae: A Repeat Offender”, 《Mercury Magazin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27: 20, 2006년 8월 13일에 확인함.  ↑ 《NASA's Hubble Weighs in on the Heaviest Stars in the Galaxy》, NASA News, 2005년 3월 3일, 2006년 8월 4일에 확인함.  ↑ 《Stars Just Got Bigger》,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2010년 7월 21일, 2010년 7월 24일에 확인함.  ↑ LiveScience.com, "Mystery of the 'Monster Stars' Solved: It Was a Monster Mash", Natalie Wolchover, 2012-08-07 ↑ 《Ferreting Out The First Stars》, Harvard-Smithsonian Center for Astrophysics, 2005년 9월 22일, 2006년 9월 5일에 확인함.  ↑ 《Weighing the Smallest Stars》, ESO, 2005년 1월 1일, 2006년 8월 13일에 확인함.  ↑ Boss, Alan (2001년 4월 3일), 《Are They Planets or What?》,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2006년 9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6월 8일에 확인함.  ↑ 가 나 Shiga, David (2006년 8월 17일), 《Mass cut-off between stars and brown dwarfs revealed》, New Scientist, 2006년 11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8월 23일에 확인함.  ↑ 《Hubble glimpses faintest stars》, BBC, 2006년 8월 18일, 2006년 8월 22일에 확인함.  ↑ Carroll, Bradley W.; Ostlie, Dale A. (1995), 《An Introduction to Modern Astrophysics》 revis 2판, Benjamin Cummings, 409쪽, ISBN 0201547309.  ↑ Schröder, K.-P.; Connon Smith, Robert (2008), “Distant future of the Sun and Earth revisited”,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6 (1): 155–163, Bibcode:2008MNRAS.386..155S, arXiv:0801.4031, doi:10.1111/j.1365-2966.2008.13022.x  vdeh항성진화 항성 형성 전주계열성 주계열성 수평거성 점근거성 끌어올림 불안정띠 레드클럼프 행성상성운 원시 행성계 원반 밝은 청색변광성 볼프-레이에별 신성 의사 초신성 초신성 극초신성 색등급도 원시별 분자운 보크구상체 젊은 항성체 허빅-아로천체 하야시 경로 하야시 한계 헤니에이 경로 황소자리 T형 항성 허빅 Ae/Be 별 종류 준왜성 (B형) 왜성 (청색 주황색 적색 황색) 준거성 거성 (청색 적색) 밝은 거성 초거성 (청색 적색 황색) 극대거성 (황색) 청색 낙오성 껍질별 특이별 (Ap/Bp 별 바륨별 탄소별 CH 별 수은-망가니즈 별 Am 별 S형 별) 테크네튬 별 변광성 (불규칙 반규칙 오리온) 잔해 백색왜성 (흑색왜성) 중성자별 (펄서 마그네타) 항성질량 블랙홀 밀집성 쿼크별 프레온 별 Q별 퍼즈볼 보손 별 그라바스타 암흑 에너지 별 검은 별 약전자기별 자기권 연속적 붕괴 천체 암흑물질성 이론적인 별 암흑물질성 쿼시 별 손-지트코프 천체 아이언 스타 중간 단계 갈색왜성 준갈색왜성 떠돌이 행성 구조 핵 대류층 복사층 광구 흑점 채층 코로나 태양풍 (거품) 성진학 에딩턴 한계 핵합성 알파 반응 삼중 알파 과정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 헬륨섬광 CNO 순환 탄소 연소 과정 네온 연소 과정 산소 연소 과정 규소 연소 과정 S-과정 R-과정 특성 항성 분류 항성 명칭 항성 역학 유효온도 항성운동학 (고유운동 시선속도) 항성 자기장 등급 (절대등급 겉보기등급 사진등급) 질량 반지름 광도 금속함량 미소난류 행성계 항성 자전 항성계 (쌍성 다중성 접촉쌍성) UBV 측광계 항성 목록 별자리별 질량이 큰 별 질량이 작은 별 반지름이 큰 별 밝게 보이는 별 광도가 큰 별 가까운 별 갈색왜성 항성 천문학 연대표 항성목록 헨리 드레이퍼 목록 히파르코스 목록 고전역학 뉴턴의 블랙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항성_질량&oldid=16066010" 분류: 항성천문학항성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EnglishРусский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6년 3월 24일 (목) 22:3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항성 질량은 천문학자들이 어떤 항성의 질량을 표시할 때 쓰는 용어이다. 보통 ‘태양질량(M☉)의 몇 배’ 형식으로 표시하는데, 예를 들면 시리우스의 질량은 2.02 M☉으로 표시한다. 어떤 항성의 질량은 생애주기 동안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외부적, 내부적 원인에 따라 변한다. 예를 들면 짝별로부터 물질을 흡수하면 질량은 늘어나며, 항성풍이나 맥동으로 물질을 뿜어내면 질량은 줄어든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용골자리 에타는 태양질량의 몇배로 관측되나요? Assistant: 100~150배
Human: 아래 11월_11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11월 11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1월 11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1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5번째(윤년일 경우 316번째) 날에 해당한다. 10월 - 11월 - 12월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2019년 기준모두 보기 11월 11일 2044년: 금요일 2043년: 수요일 2042년: 화요일 2041년: 월요일 2040년: 일요일 2039년: 금요일 2038년: 목요일 2037년: 수요일 2036년: 화요일 2035년: 일요일 2034년: 토요일 2033년: 금요일 2032년: 목요일 2031년: 화요일 2030년: 월요일 2029년: 일요일 2028년: 토요일 2027년: 목요일 2026년: 수요일 2025년: 화요일 2024년: 월요일 2023년: 토요일 2022년: 금요일 2021년: 목요일 2020년: 수요일 2019년: 월요일 2018년: 일요일 2017년: 토요일 2016년: 금요일 2015년: 수요일 2014년: 화요일 2013년: 월요일 2012년: 일요일 2011년: 금요일 2010년: 목요일 2009년: 수요일 2008년: 화요일 2007년: 일요일 2006년: 토요일 2005년: 금요일 2004년: 목요일 2003년: 화요일 2002년: 월요일 2001년: 일요일 2000년: 토요일 1999년: 목요일 1998년: 수요일 1997년: 화요일 1996년: 월요일 1995년: 토요일 목차 1 사건 2 문화 3 탄생 4 사망 5 기념일 6 관련 항목 사건[편집] 1889년 - 워싱턴 준주가 워싱턴주로 승격 1918년 - 제1차 세계 대전 종료 1931년 - 영국 연방 수립 1942년 - 독일 및 이탈리아군 안톤 작전 개시. 비시 프랑스를 무력으로 점령. 1945년 - 대한민국 해군의 모태가 되는 해방병단이 결성되다. 1960년 - 대한민국 총리 장면에 의해 대한민국의 정보기관인 중앙정보연구위원회(국정원의 전신)가 조직되다. 1975년 - 앙골라가 포르투갈로부터 독립하다. 1977년 - 이리역 폭발사고가 일어나다. 1981년 - 앤티가 바부다가 유엔에 회원국으로 가입하다. 2003년 - 열린우리당이 창당하다. 2010년 - 제5차 서울 G-20 정상회의가 개최되다. 2014년 - 포르투갈에서 레지오넬라증의 유행으로 278명이 감염되고 5명이 사망했다. 문화[편집] 1675년 - 라이프니츠가 y = f(x)의 그래프 아래의 면적을 계산하는데 처음으로 적분 계산법을 도입하다. 1911년 - 가나의 축구 클럽인 하츠 오브 오크가 창단되다. 1991년 - 서울지방항공청이 발족하다. 2001년 - 도전! 골든벨이 KBS 1TV에서 방송시간을 변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2002년 - 제4대 천주교 마산교구장으로 안명옥 주교가 착좌하였다. 2005년 - 전라남도청이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남악신도시로 이전함. 대한민국 춘포역이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역사로서 근대문화유산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2011년 - KBS 2TV의 금요 시츄에이션 드라마 '부부클리닉 사랑과 전쟁(시즌 2)'이 시즌 1을 시청했던 수 많은 시청자들의 요구에 따라 2년 7개월간의 공백을 깨고 다시 부활되었다. 2014년 - KBO 리그 한국시리즈 6차전에서 삼성 라이온즈가 넥센 히어로즈를 11대 1로 꺾고 시리즈 전적 4승 2패로 사상 첫 한국시리즈 4년 연속 우승을 달성하였다. 2016년 - 광주원주고속도로가 개통되었다. 2018년 -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100주년을 맞아 전 세계 70여 개국 정상들이 참가한 가운데 프랑스 파리 개선문과 샹젤리제 거리 일대에서 종전 100주년 기념식이 열렸다. 탄생[편집] 1050년 - 신성로마제국 하인리히 4세 1657년 - 오스트리아의 장군 구이도 슈타렘베르크 1821년 - 러시아의 소설가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1863년 - 프랑스의 화가 폴 시냐크 1875년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육군 참모총장 콘라트 폰 횟첸도르프 1864년 - 프랑스의 소설가 모리스 르블랑 1864년 - 오스트리아의 평화주의자 알프레트 헤르만 프리트 1869년 - 이탈리아 왕국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1882년 - 스웨덴 국왕 구스타프 6세 1885년 - 미국의 장군 조지 S. 패튼. 1922년 - 미국 소설가 커트 보네거트 1941년 - 대한민국의 배우 태현실. 1945년 - 니카라과의 대통령, 혁명 지도자 다니엘 오르테가 1952년 - 일본의 가수 요시 이쿠조 1955년 - 부탄의 군주 지미 싱게 왕축 1962년 - 미국의 배우 데미 무어 1962년 - 대한민국의 배우 최명길. 1968년 - 대한민국의 소설가 김영하 1972년 - 미국의 야구 선수 다니엘 리오스 1972년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이상민 1973년 - 미국의 가수,기타리스트 제이슨 화이트 1974년 - 미국 영화 배우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1977년 -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마니시 1983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치우 1983년 - 일본의 영화 배우, 모델 아오이 소라 1983년 - 독일의 축구 선수 필리프 람 1983년 - 대한민국의 개그우먼 김혜선 1987년 - 일본의 가수 테고시 유야 1988년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이성혜 1989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한희 1989년 - 일본의 가수 다나카 레이나 (모닝구무스메) 1989년 - 미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애덤 리펀 1990년 - 대한민국의 가수 한가빈 1992년 - 대한민국의 가수 최민환 (FT아일랜드). 1994년 - 대한민국의 가수 해령 (베스티). 1995년 - 대한민국의 래퍼 쿤 (업텐션). 1998년 - 대한민국의 아역배우 오재무 사망[편집] 1751년 - 프랑스의 철학자 쥘리앵 오프루아 드 라메트리. 1855년 - 덴마크의 철학자 쇠렌 키르케고르. 1917년 - 하와이 왕국의 여왕 릴리우오칼라니. 1958년 - 프랑스의 영화평론가 앙드레 바쟁. 1982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행자. 1984년 - 미국의 인권 운동가 마틴 루터 킹 1세. 2004년 - 팔레스타인의 정치가 야세르 아라파트. 2007년 - 미국의 영화감독 델버트 만. 2010년 - 대한민국의 모델이자 배우 유동숙. 2016년 - 미국의 배우 로버트 본. 2018년 - 일본의 정치인 소노다 히로유키. 기념일[편집] 농업인의 날 - 대한민국 보행자의 날 - 대한민국 광고의 날 - 대한민국 눈의 날 - 대한민국, 대한안과학회 지체장애인의 날 - 대한민국, 한국지체장애인협회 유엔참전용사 국제추모식 -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주관 정부기념행사) 및 6·25전쟁에 참전한 21개국 빼빼로 데이 - 대한민국 앙골라 독립기념일 - 앙골라 영령 기념일 - 영연방 국가의 현충일 미국: 재향군인의 날 - 과거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기념일이었으나 1954년 5월 24일 아이젠하워 대통령에 의해 모든 전쟁의 재향군인의 날(Veterans day)로 바뀌게 됨 광군절(독신자의 날) 레일데이 - 대한민국 독립기념일 - 폴란드 관련 항목[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11월 11일 전날: 11월 10일 다음날: 11월 12일 - 전달: 10월 11일 다음달: 12월 11일 음력: 11월 11일 모두 보기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11월_11일&oldid=23910551" 분류: 11월 11일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Аҧсшәа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অসমীয়াAsturianuАвар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Bahasa Banjarবাংলাবিষ্ণুপ্রিয়া মণিপুরীBrezhonegBosanskiCatalàMìng-dĕ̤ng-ngṳ̄НохчийнCebuanoکوردیCorsuČeštinaKaszëbsczi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ZazakiދިވެހިބަސްΕλληνικάEmiliàn e rumagnòl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VõroFøroysktFrançaisArpetanFurlanFryskGaeilgeGagauz贛語GàidhligGalegoBahasa HulontaloગુજરાતીGaelg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Hornjoserbsce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gbo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TaqbaylitҚазақшаKalaallisutಕನ್ನಡКъарачай-малкъарRipoarischKurdîКоми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umbaartລາວLietuviųLatviešuमैथिलीMalagasyОлык марий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ЭрзяньNāhuatlNapulitanoPlattdüütschNedersaksies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vialNouormandSesotho sa LeboaOccitanLivvinkarjalaଓଡ଼ିଆਪੰਜਾਬੀPangasinanKapampanganPolskiپنجابیپښتو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संस्कृतम्Саха тылаSicilianuScotsسنڌي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KiswahiliŚlůnsk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ürkmençeTagalogSetswana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дмурт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est-VlamsVolapükWalonWinarayХальмг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VahcuenghZeêuws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4일 (일) 22: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11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5번째(윤년일 경우 316번째) 날에 해당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날은 어느 해의 11월 11일인가? Assistant: 1918년 Human: 아래 빅데이터로_보는_세상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빅데이터로 보는 세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빅데이터로 보는 세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빅데이터로 보는 세상은 KBS 제1라디오의 라디오 프로그램이다. 진행자는 홍소연 아나운서이며, 방송시간은 평일 오전 11시 10분부터 오전 11시 40분까지이다. 목차 1 코너 1.1 매일 코너 1.2 요일별 코너 2 지역 자체 프로그램 3 외부 링크 코너[편집] 매일 코너[편집] 핫클릭! 설왕설래(정영진, 유승찬) 요일별 코너[편집] (월) 빅퀴즈! 답이 보인다/빅데이터 인사이드 (화) 마음을 읽으면 트렌트가 보인다/앱속으로 들어온 빅데이터 (수) 빅퀴즈! 답이 보인다/돈이보이는 빅데이터 (목) 트렌드 차이나/빅데이터는 승부사 (금) 이곳으로 떠나볼까/이것이 궁금하다 지역 자체 프로그램[편집] 다음 지역 프로그램은 자체 캠페인이 끝난뒤 오전 11시 11분에 방송된다. 안동, 포항, 울산은 개별로 자체제작을 하지않고, 대구, 부산의 자사프로그램을 송출한다. 춘천, 대전, 전주, 창원은 자체방송을 하지 않는다. 방송국 지역 타이틀명 진행자 KBS원주 영서남부 라디오에 물어보세요 유연배 KBS충주 충북북부 92.1 여기는 라디오 충주입니다 김경희 KBS청주 충북남부 생생충북 김보경 KBS대구 대구광역시경상북도 생생 매거진 오늘 손지민 KBS부산KBS울산 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 라디오정보센터 차경애 KBS광주 광주광역시전라남도중북부전라북도 라디오정보시대 박재효 KBS목포KBS순천 전남서남지방전남동부지방 라디오상담실 김석훈최명순 KBS진주 경상남도 지금은 정보시대 김미균 KBS제주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의오늘 고새롬 외부 링크[편집] KBS 제1라디오 빅데이터로 보는 세상 공식 홈페이지 KBS 1라디오 평일 프로그램 이전 빅데이터로 보는 세상 다음 라디오 주치의 신성원입니다 와이파이 삼국지 백은하의 영화관, 정여울의 도서관 KBS춘천 1라디오 평일 프로그램 이전 빅데이터로 보는 세상 다음 라디오 주치의 신성원입니다 와이파이 삼국지 백은하의 영화관, 정여울의 도서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빅데이터로_보는_세상&oldid=24444328" 분류: 한국방송공사의 라디오 프로그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18일 (화) 12: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빅데이터로 보는 세상은 KBS 1라디오에서 2015년 1월 1일부터 2021년 9월 24일까지 방송했던 라디오 시사 프로그램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빅데이터로 보는 세상에서 KBS광주가 송출하는 방송의 타이틀명은 어떻게 될까? Assistant: 라디오정보시대
Human: 아래 호찌민_지하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호찌민 지하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호찌민 지하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호찌민 지하철Đường sắt đô thị Thành phố Hồ Chí Minh 정보종류 지하철국가 베트남운행 지역 호찌민 시소유자 도시철도국노선 수 1 (건설중)9 (계획중) 운영개업일 2020[1]시설총 영업거리 173km궤간 1,435mm최고속도 80 km/h노선도 호찌민 지하철(베트남어: Đường sắt đô thị Thành phố Hồ Chí Minh / 塘鐵都市城舖胡志明)은 베트남 호찌민 시가 운영을 계획하고 있는 미개통된 지하철 망이다. 이 망은 2001년에 심한 교통 혼잡 문제를 해결할 목적으로 종합 대중교통 망 계획의 일부로 호찌민과 이웃하는 성을 포함하여 처음 제안되었다.[2][3] 현재 대부분의 망이 기획 단계에 있으며 기금이 마련됨에 따라 각기 다른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연결하는 망 중에 9군에 있는 벤탄 시장과 수오이티엔을 연결하는 1호선은 원래 2017년 말이나 2018년에 완공할 예정이었지만,[4][5], 이후 2020년까지 연기되었다.[1] 2호선의 건설은 2010년 8월에 시작되었다.[6] 목차 1 현재 계획 2 2007년 개정 계획 2.1 1호선 2.2 2호선 2.3 3호선 2.4 4호선 2.5 5~6호선 2.6 기타 노선 3 각주 4 외부 링크 현재 계획[편집] 최종 계획인 2013년 4월 8일 결의안 No. 568/QĐ-TTg에 의해 승인되었다.[7] 그 계획에 의하면 호찌민 시 도시 철도 체계는 다음과 같다.[8] 2013년 마스터 플랜 노선 연장 (km) 역 경로 참고  1  19.7 14 벤탄 시장-수오이띠엔 놀이공원 건설중[9] 비엔호아나 빈즈엉 성까지 연장 가능  2  48 ? 꾸찌 현 -떠이닌 버스역- 탐르엉 - 벤타인 - 투티엠 1단계: 벤타인 - 탐르엉 (11개 역이 건설중)[10]  3A  19.8 ? 벤탄 - 꽁호아 환승역[nb 1] - 떤끼엔 떤안까지 확장 가능  3B  12.1 ? 꽁호아 환승역- 티응헤 - 빈프억 환승역[nb 2] 투쩌우못까지 확장 가능, 빈즈엉 지하철과 연결  4  36.2 ? 탄쑤언 - 푸뉴언 환승역 - 벤타인 - 히엡프억  4B  5.2 ? 쟈딘 공원 (4호선) - 탄손나트 국제공항 - 랑짜카 (5호선) 1단계: 탄손나트 국제공항 - 랑짜카[11]  5  26 ? 껀지우옥 버스역 - 버이히엔 - 할짜까 - 사이공 교 1단계: 바이히엔-사이공 교[12]  6  5.6 ? 바께오 환승역- 푸럼 환승역 2013년 계획에서는 트램과 모노레일 노선도 들어가 있다. 2013년 마스터 플랜 노선 연장 (km) 역 경로 참조 트램 1 12.8 ? 바손 (1호선) - 보반끼엣 - 리치우호앙 - 현재의 서부버스역 (벤쎄미엔 떠이) 빈꿔이까지 연장 가능 모노레일 2 27.2 ? 50번 국도 - 쑤언트이 (2군) - 빈꿔이 모노레일 3 16.5 ? 응우옌 오안과 판반찌 환승- 꽝쭝 소프트웨어 파크 - 떤짜인히엡 철도역 2007년 개정 계획[편집] 호치민 지하철 프로젝트는 호치민시 인민위원회의 의장 직속 정부 조직인 도시철도 관리국(MAUR)이 관리한다.[13] 이 조직이 내놓은 2007년 계획에는 적어도 6개의 도시철도가 필요하다. 이 도시 교통 개발 마스터플랜은 2020년까지 총 길이 37km의 모노레일 또는 경전철 노선 3개를 개발하고 총 길이 107km인 지하철 6개를 개발할 계획이다.[14] 이미 버스 교통의 주요 허브인 1군에 있는 벤탄 시장은 여러 노선을 연결하는 주요 허브가 될 것이다. 2007 마스터플랜[15] 노선 연장 (km)   역  경로  1  19.7 14 벤탄 시장–수오이띠엔 놀이공원, 9군  2  11.3[16] 11 벤탄 시장–탐르엉, 12군  3  10.4 ? 벤탄 시장–빈떤  4  16 ? 랑짜까, 떤빈–반타인 공원, 빈타인 군  5  17 ? 투티엠, 2군–껀지으억, 8군  6  6 ? 바께오 떤빈–푸람, 6군 1호선[편집] 1호선 예상도 2007년 4월 10일, 호찌민 시 정부는 11억 달러의 1호선을 승인했다. 벤탄 시장에서 19.7km를 운행하다가, 지하로 오페라 하우스, 바쏜 조선소 구간 2.6km 달리다가, 사이공 강을 건너 지상으로 수오이 띠엔 공원으로 가며 2군을 통과하여, 9군의 롱빈에서 종착역까지 이어진다. 모두 1호선에는 14개의 역이 있으며 그 중 벤탄, 오페라 하우스, 바쏜 3개 역은 지하에 역이 만들어지게 된다.[15] 2800만 달러의 비용이 소요되는 1호선 롱빈 구간 작업은 2008년 2월 21일에 시작되었다.[17][18] 사이공 강 동쪽에서 지상으로 올라가는 부분의 건설은 2012년 8월에 시작되었다.[19] 2호선[편집] 2호선 예상도 미국 달러로 $1.2억이 소요되는 2호선에 대한 계획은 MVA 아시아 사에 의해 2008년 11월에 제안되었고[20], 2008년 12월에 정부에 의해 승인을 받았다. 2호선은 벤탄 시장과 12군의 탐르옹 사이에 11개의 역을 포함할 것이다. 팜홍타이, 깍망탕탐, 쯔엉찐 거리를 통과하는 노선으로 이어진다. 주요 구간의 총 길이 11.3km 중 9.6km가 지하로 연결된다.[16] 탄손나트 국제공항 근처의 쯔엉찐(떠이닌 버스 정류장), 사이공 역 근처의 호아헝이 주요역으로 포함될 것이다. 벤탄 시장의 동쪽에서 투티엠 신도시로 확장된 2호선은 원래 MVA에 의해 제안되었다. 이 확장은 노선의 전체 길이는 19km가 될 것이다.[4][21] 이 프로젝트의 예상 비용은 독일재건은행, 아시아개발은행과 유럽​​투자은행에 의해 지원될 것이다.[4][22] 2008년 2월 독일 정부는 이 프로젝트에 8,600만 유로를 지원하기로 발표했다. 건설은 공식적으로 2010년 8월에 시작하여[6], 2020년에 개장을 위해 25 헥타르 넓은 탐 루옹 창고로 시작할 것이다.[23] 3호선[편집] 지하철 3호선은 동쪽으로 벤탄 시장과 서쪽으로 빈탄 군의 안락[15]과의 사이와 촐롱(차이나타운)으로 알려져 있는 5군, 6군을 사이를 통과한다. 시 인민위원회가 자금 펀딩과 지원을 위해 프랑스 정부와 얘기한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3호선에 대해서는 다른 노선보다 세부 사항이 더 잘 알려져 있지 않다.[24]확정은 되지 않았지만, 2006년 문서를 보면 가능한 3호선의 확장노선을 벤탄 시장의 북쪽에서 트득 군까지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21] 4호선[편집] 스페인 컨설팅 회사인 Ardanuy Ingenieria는 2009년 10월 6일, 4호선 프로젝트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제공하기로 계약을 맺었다.[15] 이 노선은 떤빈 군(탄손나트 국제공항 근처)의 랑짜까 교차로에서 빈타인 군의 반타인 공원까지 16km를 확장된다. 5~6호선[편집] 2009년 4월 4일, 스페인의 IDOM, Ingeniería, Arquitectura y Consultoría SA는 5호선(2군 투티엠에서 8군 껀지윽까지 20km 구간)과 6호선(떤빈 군의 바께오에서 6군의 푸람까지 6km 구간) 구간에 대해 호찌민 도시 철도와 계약을 체결했다. 연구는 12개월 이내에 완료되어야 한다.[25] 기타 노선[편집] 중국 상하이 대외 경제 기술 합작 회사(Sfeco)는 고법 군과 4군 사이의 응우옌 오안 – 응우옌 반린 지하철 노선 12km에 대한 예비 타당성 조사를 실시했다.[26] 2006년 문서는 그 노선을 탄손나트 국제공항에 연결하는 보조 회선과 나베 현에 대한 남쪽 확장을 고려한 것으로 나타났다.[21] 각주[편집] ↑ 가 나 “Ho Chi Minh City selects underground contractors”.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14년 7월 26일. 2015년 4월 25일에 확인함.  ↑ Robert Schwandl (2007). “Ho Chi Minh City Metro”. 《UrbanRail.net》. 2010년 5월 26일에 확인함.  ↑ “Ho Chi Minh City plans to build a metro network”. 《International Railway Journal》. 2002년 5월 1일. 2010년 6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The work begins: HCM City to have first subway in 2014”. 《VietnamNet Bridge》. 2010년 4월 30일.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Work starts on Ho Chi Minh City metro line”. 《International Railway Journal》. 24 August 2010. 28 August 2010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가 나 “Ceremony launches work on Ho Chin Minh City metro Line 2”.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10년 8월 25일.  ↑ “Decision 568/QĐ-TTg”. 《Thu Vien Phap Luat》. 2017년 4월 25일에 확인함.  ↑ “Master plan of urban railways system”. 《MAUR》 (영어). 2017년 4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25일에 확인함.  ↑ “TP HCM khởi công ga ngầm metro Bến Thành”. 2017년 4월 25일에 확인함.  ↑ “TPHCM khởi công tuyến tàu điện ngầm số 2”. 2017년 4월 25일에 확인함.  ↑ “5 tuyến metro của TP HCM đang triển khai đến đâu?”. 2017년 4월 25일에 확인함.  ↑ “TPHCM: Tuyến metro số 2 và 5 đủ vốn vẫn chưa thể khởi công”. 2017년 6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25일에 확인함.  ↑ “Overview of Management Authority for Urban Railways”. 2012년 7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4월 4일에 확인함.  ↑ M.Vong (2007년 4월 10일). “Vietnam to build first subway with Japanese aid”. 《Thanh Nien》. 2010년 5월 14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호치민 지하철”. 《Railway-Technology.com》. 2010년 4월 4일에 확인함.  ↑ 가 나 “City sets to start construction of metro route No.2”. 《Thanh Nien》 (Sai Gon Giai Phong). 2010년 6월 2일. 2010년 6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10일에 확인함.  ↑ “Ho Chi Minh City breaks ground”.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08년 2월 28일. 2010년 7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14일에 확인함.  ↑ Duc Trung (2008년 2월 18일). “Vietnam’s first subway line ready to break ground”. 《Thanh Nien》.  ↑ “Work starts on Ho Chin Minh City metro Line 1”.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12년 8월 31일.  ↑ Dinh Muoi (2008년 11월 30일). “Plans for HCMC's second metro route submitted”. 《Thanh Nien》. 2010년 5월 14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MVA Asia Ltd (October 2006). “Preparing the Ho Chi Minh City Metro Rail System Project: Technical Assistance Reports” (PDF). 아시아개발은행. 4쪽. 2010년 6월 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10일에 확인함.  ↑ Dinh Muoi (2008년 12월 11일). “HCMC's subway route No.2 approved”. 《Thanh Nien》. 2010년 5월 14일에 확인함.  ↑ theaveasia (2015년 1월 20일). “Construction work starts on Metro Line No. 2 in Ho Chi Minh City”. 《AveAsia》. 2016년 6월 17일에 확인함.  ↑ Tran Tam (2009년 6월 12일). “City seeks French support for metro project”. 《Thanh Nien》. 2010년 5월 14일에 확인함.  ↑ Minh Quang (2009년 4월 7일). “Spanish firm signs metro deal”. 《Thanh Nien》. 2010년 5월 14일에 확인함.  ↑ “China investor likely to replace Russian firms in subway project”. 《The SGT Daily》. October 2006. 2011년 3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14일에 확인함.  내용주 ↑ Cộng Hoà 환승역은 베트남어로 "Ngã sáu Cộng Hoà", junction of Nguyễn Văn Cừ Blv. Trần Phú, Lý Thái Tổ, Hùng Vương, Nguyễn Thị Minh Khai, Phạm Viết Chánh ↑ 빈프억 환승역 또는 베트남어로 "Ngã tư Bình Phước"는 NH1A와 NH13의 환승역이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호찌민 지하철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Management Authority for Urban Railways An updated map of the future Saigon Metro Ho Chi Minh at UrbanRail.net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호찌민_지하철&oldid=24201585" 분류: 호찌민시의 교통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CS1 - 영어 인용 (en)베트남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ČeštinaDanskEnglishFrançais日本語NederlandsNorskPolskiSvenskaไทย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08: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호찌민 지하철(베트남어: Đường sắt đô thị Thành phố Hồ Chí Minh / 塘鐵都市城舖胡志明)은 베트남 호찌민 시가 운영을 계획하고 있는 미개통된 지하철 망이다. 이 망은 2001년에 심한 교통 혼잡 문제를 해결할 목적으로 종합 대중교통 망 계획의 일부로 호찌민과 이웃하는 성을 포함하여 처음 제안되었다.현재 대부분의 망이 기획 단계에 있으며 기금이 마련됨에 따라 각기 다른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연결하는 망 중에 9군에 있는 벤탄 시장과 수오이티엔을 연결하는 1호선은 원래 2017년 말이나 2018년에 완공할 예정이었지만,, 이후 2020년까지 연기되었다. 2호선의 건설은 2010년 8월에 시작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호찌민 지하철의 1호선의 역은 총 몇개인가요? Assistant: 14 Human: 아래 마리오_바르가스_요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Jorge Mario Pedro Vargas Llosa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2010년) 출생 1936년 3월 28일(1936-03-28) (83세)페루 아레키파 직업 작가, 정치인, 언론인, 수필가 국적 페루, 스페인 모교 산마르코스 국립 대학교 (Universidad Nacional Mayor de San Marcos), 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박사 수상내역 세르반테스 문학상(1994년) 노벨 문학상(2010년) 배우자 훌리아 우르키디 (1955–1964)패트리샤 요사(Patricia Llosa) (1965–2016) 자녀 알바로 바르가스 요사곤살로 바르가스 요사모르가나 바르가스 요사 웹사이트 http://www.mvargasllosa.com 제1대 바르가스 요사 후작 호르헤 마리오 페드로 바르가스 요사(스페인어: Jorge Mario Pedro Vargas Llosa, I marqués de Vargas Llosa, 1936년 3월 28일 ~ )는 페루의 작가, 정치인, 언론인, 수필가이다. 라틴 아메리카에서 가장 중요한 소설가와 수필가 중 한 사람이며, 라틴 아메리카의 붐 세대를 이끌어 가는 작가 중 한 사람이다.[1] 2010년에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바르가스 요사는 1960년대에 명성을 얻었다. 그 시절에 그는 "《도시와 개들》"(La ciudad y los perros, The City and the Dogs, 1963/1966)[2]), "《녹색의 집》"(La casa verde, 1965/1968), 기념비적인 작품인 "《카테드랄 주점에서의 대화》"(Conversación en la catedral, 1969/1975) 등을 발표했다. 1990년 대통령 선거에도 출마했지만 알베르토 후지모리 후보에 패했다. 2011년 2월 3일 스페인의 국왕 후안 카를로스 1세는 칙령 134/2011호에 의해 그를 후작으로 봉작하였다.[3] 목차 1 노벨 문학상 수상 2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3 장르 및 연도 별 작품 목록 3.1 소설 4 각주 5 외부 링크 노벨 문학상 수상[편집] 2010년에 노벨 문학상을 받았는데 스웨덴 한림원은 바르가스 요사를 수상자로 선정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 그의 권력 구조 지도와 개인의 저항, 반란, 패배에 대한 그의 강력한 이미지들 때문에 이 상을 드립니다.[4] ”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편집] 바르가스 요사의 작품은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양가적 측면을 모두 보인다.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규범적 범주의 규정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하지만 케이스 부커(M. Keith Booker)는 바르가스 요사의 초기작만큼은 분명히 모더니즘적 성향을 보인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초기작들은 일반적으로 ‘모더니즘적 특징’이라고 알려져 있는 요소들을 잘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바르가스 요사의 후기작들은 포스트모더니즘적 성향을 보인다. 이러한 작품들은 포스트모더니즘 예술 작품의 일반적 특징에 따라 매우 가볍고, 익살스러우며, 우스운 어조, 포스트모더니즘적 인물설정 등의 요소를 갖추고 있다. 장르 및 연도 별 작품 목록[편집] 소설[편집] 괄호 안의 년도는 해당 작품이 한국어로 번역된 첫 해. 1959 – Los jefes (두목들) 1963 – La ciudad y los perros (도시와 개들) 1966 – La casa verde (『녹색의 집』, 1986) 1969 – Conversación en la catedral (카테드랄 주점에서의 대화) 1973 – Pantaleón y las visitadoras (『판탈레온과 특별봉사대』, 2009) 1977 – La tía Julia y el escribidor (『나는 훌리아 아주머니와 결혼했다』, 2009) 1981 – La guerra del fin del mundo (『세상 종말 전쟁』, 2003) 1987 – El hablador (허풍쟁이) 1988 – Elogio de la madrastra (『새엄마 찬양』, 2010) 1993 – Lituma en los Andes (안데스의 리투마) 1997 – Los cuadernos de don Rigoberto (『리고베르토씨의 비밀노트』, 2004) 2000 – La fiesta del chivo (『염소의 축제』, 2010) 2003 – El paraíso en la otra esquina (『천국은 다른 곳에』, 2010) 2006 – Travesuras de la niña mala (『나쁜 소녀의 짓궂음』, 2011) 2010 – El sueño del celta(켈트족의 꿈) 각주[편집] ↑ Boland & Harvey 1988, 7쪽 과 Cevallos 1991, 272쪽 ↑ 첫 번째 연도는 원래 출판연도이며 두 번째 연도는 영어판 출간연도임. ↑ “Real Decreto 134/2011, de 3 de febrero, por el que se concede el título de Marqués de Vargas Llosa a don Jorge Mario Vargas Llosa.” (pdf) (스페인어). Boletín Oficial del Estado.  ↑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2010”. Nobelprize. 2010년 10월 7일. 2010년 10월 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문학 포털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 공식 웹사이트 (영어)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 월드캣 (영어)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 가디언 (영어)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 뉴욕 타임스 vdeh 노벨 문학상 수상자경제학상 | 문학상 | 물리학상 | 생리 의학상 | 평화상 | 화학상1901-1925 1901: 프뤼돔 1902: 몸젠 1903: 비에른손 1904: 미스트랄 / 에체가라이 1905: 시엔키에비치 1906: 카르두치 1907: 키플링 1908: 오이켄 1909: 라겔뢰프 1910: 폰 하이제 1911: 마테를링크 1912: 하웁트만 1913: 타고르 1915: 롤랑 1916: 폰 헤이덴스탐 1917: 기엘레루프 / 폰토피단 1919: 슈피텔러 1920: 함순 1921: 프랑스 1922: 베나벤테 1923: 예이츠 1924: 레이몬트 1925: 쇼 1926-1950 1926: 델레다 1927: 베르그손 1928: 운세트 1929: 만 1930: 루이스 1931: 카를펠트 1932: 골즈워디 1933: 부닌 1934: 피란델로 1936: 오닐 1937: 마르탱뒤가르 1938: 벅 1939: 실란패 1944: 옌센 1945: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1946: 헤세 1947: 지드 1948: 엘리엇 1949: 포크너 1950: 러셀 1951-1975 1951: 라게르크비스트 1952: 모리아크 1953: 처칠 1954: 헤밍웨이 1955: 락스네스 1956: 히메네스 1957: 카뮈 1958: 파스테르나크 1959: 콰시모도 1960: 페르스 1961: 안드리치 1962: 스타인벡 1963: 세페리스 1964: 사르트르 (수상 거부) 1965: 숄로호프 1966: 아그논 / 작스 1967: 아스투리아스 1968: 가와바타 1969: 베케트 1970: 솔제니친 1971: 네루다 1972: 뵐 1973: 화이트 1974: 욘손 / 마르틴손 1975: 몬탈레 1976-2000 1976: 벨로 1977: 알레익산드레 1978: 싱어 1979: 엘리티스 1980: 미워시 1981: 카네티 1982: 마르케스 1983: 골딩 1984: 사이페르트 1985: 시몽 1986: 소잉카 1987: 브로드스키 1988: 마푸즈 1989: 셀라 1990: 파스 1991: 고디머 1992: 월컷 1993: 모리슨 1994: 오에 1995: 히니 1996: 심보르스카 1997: 포 1998: 사라마구 1999: 그라스 2000: 가오싱젠 2001-현재 2001: 나이폴 2002: 임레 2003: 쿠체 2004: 옐리네크 2005: 핀터 2006: 파무크 2007: 레싱 2008: 르클레지오 2009: 뮐러 2010: 요사 2011: 트란스트뢰메르 2012: 모옌 2013: 먼로 2014: 모디아노 2015: 알렉시예비치 2016: 딜런 2017: 이시구로 2019: vdeh←  2010년 노벨상 수상자  →물리학상 안드레 가임 (러시아, 네덜란드)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러시아, 영국) 화학상 리처드 F. 헥 (미국) 네기시 에이이치 (일본) 스즈키 아키라 (일본) 생리학·의학상 로버트 G. 에드워즈 (영국) 문학상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페루, 스페인) 평화상 류샤오보 (중국) 경제학상 피터 다이아몬드 (미국) 데일 모텐슨 (미국) 크리스토퍼 피사리데스 (키프로스, 영국) 전거 통제 WorldCat VIAF: 32003942 LCCN: n79079153 ISNI: 0000 0001 2278 019X GND: 118803964 SELIBR: 99221 SUDOC: 027177610 BNF: cb11927697t (데이터) BIBSYS: 90054988 NLA: 35577956 NDL: 00459580 NKC: jn19990008739 ICCU: IT\ICCU\CFIV\010589 RLS: 000083043 BNE: XX1064943 CiNii: DA0004805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마리오_바르가스_요사&oldid=23389609" 분류: 1936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페루의 작가페루의 수필가페루의 소설가노벨 문학상 수상자페루의 노벨상 수상자스페인계 페루인스페인의 후작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 동문산마르코스 국립 대학교 동문미겔 데 세르반테스 상 수상자하버드 대학교 교수로마 가톨릭교회 이탈자페루의 극작가페루의 문학 평론가케임브리지 대학교 처칠 칼리지 교수페루의 무신론자숨은 분류: CS1 - 스페인어 인용 (es)스페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15 종류의 전거 통제 정보를 포함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B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문헌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Català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eilgeGàidhligGalegoAvañe'ẽעבריתहिन्दी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atina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Bahasa MelayuNāhuatlPlattdüütsch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olski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inaray吴语Yorùbá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31일 (월) 10: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제1대 바르가스 요사 후작 호르헤 마리오 페드로 바르가스 요사(스페인어: Jorge Mario Pedro Vargas Llosa, I marqués de Vargas Llosa, 1936년 3월 28일 ~ )는 페루의 작가, 정치인, 언론인, 수필가이다. 라틴 아메리카에서 가장 중요한 소설가와 수필가 중 한 사람이며, 라틴 아메리카의 붐 세대를 이끌어 가는 작가 중 한 사람이다. 2010년에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바르가스 요사는 1960년대에 명성을 얻었다. 그 시절에 그는 "《도시와 개들》"(La ciudad y los perros, The City and the Dogs, 1963/1966)), "《녹색의 집》"(La casa verde, 1965/1968), 기념비적인 작품인 "《카테드랄 주점에서의 대화》"(Conversación en la catedral, 1969/1975) 등을 발표했다. 1990년 대통령 선거에도 출마했지만 알베르토 후지모리 후보에 패했다. 2011년 2월 3일 스페인의 국왕 후안 카를로스 1세는 칙령 134/2011호에 의해 그를 후작으로 봉작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가 집필한 소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Assistant: 1959 – Los jefes (두목들) 1963 – La ciudad y los perros (도시와 개들) 1966 – La casa verde (『녹색의 집』, 1986) 1969 – Conversación en la catedral (카테드랄 주점에서의 대화) 1973 – Pantaleón y las visitadoras (『판탈레온과 특별봉사대』, 2009) 1977 – La tía Julia y el escribidor (『나는 훌리아 아주머니와 결혼했다』, 2009) 1981 – La guerra del fin del mundo (『세상 종말 전쟁』, 2003) 1987 – El hablador (허풍쟁이) 1988 – Elogio de la madrastra (『새엄마 찬양』, 2010) 1993 – Lituma en los Andes (안데스의 리투마) 1997 – Los cuadernos de don Rigoberto (『리고베르토씨의 비밀노트』, 2004) 2000 – La fiesta del chivo (『염소의 축제』, 2010) 2003 – El paraíso en la otra esquina (『천국은 다른 곳에』, 2010) 2006 – Travesuras de la niña mala (『나쁜 소녀의 짓궂음』, 2011) 2010 – El sueño del celta(켈트족의 꿈)
Human: 아래 요도도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요도도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요도도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7월) 요도 도노 요도 도노(일본어: 淀殿, 1569년(에이로쿠 12년)경 ~ 1615년(게이쵸 20년) 5월 8일)는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의 여성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豐臣秀吉)의 측실이다. 요도기미(일본어: 淀君)라고도 불린다. 센고쿠 다이묘인 아자이 나가마사(浅井長政)의 처(妻)이자 오다 노부나가(織田信秀)의 누이동생인 오이치(お市) 사이에서 태어난 장녀로, 본명은 아자이 자차(浅井茶々) 또는 아자이 기쿠코(浅井菊子)이다. 히데요시의 외아들 도요토미 히데요리(豊臣秀頼)의 생모이다. 오사카 전투에서 패하면서 오사카 성(大坂城)에서 아들 히데요리와 그 운명을 함께하였다. 목차 1 생애 1.1 유년기 1.2 혼인 1.3 말년과 사망 2 요도도노가 등장한 작품 3 호칭 4 기타 인물상 및 에피소드 생애[편집] 유년기[편집] 1569년경 아버지 아자이 나가마사의 영지인 오미 국(近江国) 오다니 성(小谷城)에서 출생하였다. 덴쇼(天正) 원년(1573년) 아자이 나가마사가 외숙인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로부터 공격 받고 성을 잃을 때 어머니인 오이치, 동생들인 하쓰(初), 에요(江与)와 함께 후지카케 나가카쓰(藤掛永勝)에 의해 구출되어 목숨을 건졌다. 이 때 아버지인 나가마사와 조부 히사마사(久政)는 자결하였고 가문의 후계자이자 동생인 만보쿠마루(万福丸)는 노부나가의 명령에 의해 하시바 히데요시(羽柴秀吉)의 손에 죽음을 당하였다. 이후 또 다른 외숙인 오다 노부카네(織田信包)에게 거두어져 기요스 성(清洲城)에서 유년기를 보냈다. 덴쇼 10년(1582년) 노부나가가 혼노지의 변(本能寺の変)으로 가신 아케치 미쓰히데(明智光秀)에게 암살당한 뒤, 같은 해 어머니 오이치가 오다 가문의 가신인 시바타 가쓰이에(柴田勝家)와 재혼하면서 가쓰이에의 거성인 에치젠 국(越前国) 기타노쇼 성(北の庄城)으로 거처를 옮겼다. 그러나 이듬해인 덴쇼 11년 (1583년) 양부 가쓰이에는 하시바 히데요시와의 싸움인 시즈가타케 전투(賤ヶ岳の戦い)에서 패하여 자결하였고, 오이치 또한 남편의 뒤를 따라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히데요시의 보호로 살아남은 자차를 비롯한 세 자매는 이후 오다 나가마스(織田長益)에게 거두어져 아즈치 성(安土城)에 머물렀다. 이 때 아자이 나가마사의 누나로 친고모인 교고쿠 마리아(京極マリア)와의 혈연 관계를 빌어 교고쿠 다쓰코(京極竜子)의 후견을 받았다. 혼인[편집] 덴쇼 16년(1588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측실이 되었다. 자차가 측실이 된 데에는 자차의 어머니 오이치를 사모하였던 히데요시가 세 자매 중 가장 오이치를 닮은 자차를 선택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 이듬해인 덴쇼 17년(1589년) 아들 쓰루마쓰(鶴松)를 출산하였다. 아들의 탄생에 기뻐한 히데요시로부터 야마시로 국(山城国) 요도 성(淀城)을 하사받으면서 「요도노 가타(淀の方)」라는 호칭으로 불렸다. 쓰루마쓰는 덴쇼 19년(1591년) 사망하였으나 1593년 차남 히데요리(秀頼)가 태어나면서 후계자 문제는 해결되었다. 히데요리의 후견으로 자신의 유모인 오오쿠라쿄노 쓰보네(大蔵卿局), 오네바노 쓰보네(饗庭局) 등을 중용하여 도요토미 가문 내에서 실권을 쥐었다. 또한 고야 산(高野山) 지묘인(持明院)에 양친의 초상을 모시고 아버지인 나가마사를 비롯한 아자이 일족의 명복을 빌기 위한 요겐인(養源院)을 건립하였다. 말년과 사망[편집] 게이초 5년(1600년) 부교(奉行) 이시다 미쓰나리(石田三成)가 다이로(大老)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에 대항하여 군사를 일으키면서 세키가하라 전투(関ヶ原の戦い)가 발발하였다. 이 전투에서 도요토미 가문은 표면적으로 관여하지 않고 관망하는 태도를 유지하였으나 상당수의 직할령을 상실하였다. 이후 에도(江戸)에 노골적으로 무가 정권(武家政権)을 수립하기 시작한 이에야스와 대립하였으나 게이초 20년(1615년) 오사카 전투(大坂の役)에서 완패하면서 아들 히데요리, 가신 오노 하루나가(大野治長) 등과 함께 자결하였다. 묘소는 교토(京都) 히가시야마(東山)의 요겐인(養源院), 오사카(大阪) 다이유지(太融寺)에 위치해 있으나 요도 도노가 실제로 자결하는 장면을 목격한 사람은 없고, 시신 또한 발견되지 않은 탓에 일각에서는 요도도노가 히데요리와 함께 사쓰마(薩摩), 우에노(上野) 등지로 달아났다는 설도 있다. 요도도노가 등장한 작품[편집] 한국 《임진왜란》(MBC, 1985년~1986년, 배우:이혜숙) 《불멸의 이순신》 (KBS, 2004년~2005년, 배우:김혜진) 《징비록》 (KBS, 2015년, 배우:손가영) 《임진왜란 1592》 (KBS, 2016년, 배우:한소연) 일본 《천지인》 (NHK, 2009년, 배우:후카다 쿄코) 《고우~공주들의 전국~》 (NHK, 2011년, 배우:미야자와 리에) 《군사 칸베에》 (NHK, 2014년, 배우:니카이도 후미) 《사나다마루》 (NHK, 2016년, 배우:다케우치 유코) 호칭[편집] 요도도노의 이름은 자차(茶々, 또는 오차お茶) 또는 기쿠코(菊子)로, 생전에 쓰이던 이름은 자차이며 기쿠코는 조정으로부터 내려진 공식적인 이름으로서 문서에 사용된 이름일 뿐 실제로 요도 도노 본인이 사용하였던 이름은 아니다. 요도 도노의 생전에는 머물렀던 거소의 명칭을 따서 요도노 가타(淀の方), 요도노 우에사마(淀之上様), 요도노 뇨보(淀の女房) 혹은 니노 마루도노(二の丸殿), 니시노 마루도노(西の丸殿) 등으로 통용되었다. 히데요시의 사후에는 불교에 귀의하여 다이코인(大広院,大康院)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현대에 통용되는 요도 도노(淀殿), 혹은 요도 기미(淀君)라는 호칭은 막상 요도 도노의 생전에는 쓰인 바가 없으며, 모두 에도 시대 이후에 생겨난 호칭이다. 「요도기미(淀君)」라는 호칭이 정착된 것은 메이지 시대, 쓰보우치 쇼요(坪内逍遥)의 유명 희곡인 『기리히토하(桐一葉)』의 상연 이후라는 것이 정설이다. 오와다 테쓰오(小和田哲男), 다나카 타카코(田中貴子) 등의 주장에 따르면 '요도(淀)'라는 이름에 대한 경칭으로 굳이 '기미(君)'를 쓴 것은 당시 유녀, 매춘부 등을 표현할 때 「유군(遊君)」, 「쓰지 기미(辻君)」와 같이 '기미(君)'라는 글자를 자주 사용한 것에서 착안하여 요도 도노에게 악녀, 음부의 이미지를 각인시키기 위한 작가의 의도적인 표현이었다는 설도 있다. 그러나 '기미(君)' 자체는 경칭의 뜻 외에 특별히 안 좋은 의미를 가진 단어는 아니며, 에도 바쿠후 말기에 편찬된 「도쿠가와 바쿠후 가보(徳川幕府家譜)」에 따르면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계실인 아사히 히메(朝日姫),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계실 스겐인(崇源院)을 일컬을 때에도 각각 「아사히 기미(朝日君)」, 「오에요 기미(於江与君)」라는 호칭을 사용하였으므로 '기미(君)'가 반드시 요도 도노를 멸시할 의도로 일부러 사용된 표현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한편 1960년 이노우에 야스시(井上靖)의 소설 『요도 도노의 일기(淀どの日記)』 이후 요도 도노의 호칭으로는 「요도 도노(淀殿)」가 일반화되었으며, '요도 기미'는 1987년의 NHK 대하드라마인 『독안룡 마사무네(独眼竜政宗)』 이후로 방송계에서도 일절 쓰이지 않는 표현이 되었다가 2006년 공명의 갈림길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다시쓰이게 되었다. 기타 인물상 및 에피소드[편집]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정실로 요도도노의 며느리였던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딸 센히메는 요도 도노의 조카이기도 하다. 여동생 스겐인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카 도요토미 히데카쓰(豊臣秀勝)와 결혼했으나 임진왜란 중 남편을 잃고,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장남 도쿠가와 히데타다와 재혼하여 얻은 딸이 센히메이다. 요도 도노 모자와 최후를 함께 한 것으로 알려진 가신 오오노 하루나가는 요도 도노와는 젖형제 사이로, 이미 당대부터 두 사람이 내밀한 관계를 가진 사이라는 소문이 돌았을 정도로 둘의 사이가 좋았다고 한다.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히데요리가 히데요시의 친자식이 아닌 오오노 하루나가의 자식이라는 설도 있었다. 친정의 혈연을 중시하여 가문의 멸문지화 이후 방랑하던 사촌 오다 노부카쓰(織田信雄)를 오사카 성으로 불러들여 지내도록 조치하였다. 또한 동생 에요가 도쿠가와 히데타다와 재혼하자 에요와 에요의 전 남편인 하시바 히데카쓰(豊臣秀勝)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조카 사다코(完子)를 거두어 친딸처럼 키우기도 하였다. 이후 사다코는 구게(公家)의 일원인 구조 유키이에(九条幸家)의 정실이 되었다. 오사카 전투 당시 히데요리를 성 밖으로 내보내지 않고 요도 도노 본인만이 전장에 나타나 군사들을 독려하면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당대에 여성이 전장에 나타나는 것이 드문 일은 아니었으나, 총대장이 한 번도 전선에 나와 보지 않은 데 반해 그 모친만이 빈번하게 나타난 것은 정상적인 상황은 아니었다. 그러나 오사카 겨울, 여름 양 전투 내내 요도 도노와의 의견 대립으로 도요토미 진영에서 출분한 사람들은 오다 일족 몇몇과 가타기리 가쓰모토(片桐且元) 등 소수로, 요도 도노는 패색이 짙어지는 동안에도 마지막까지 오사카 성과 도요토미 군을 장악하고 있었던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요도도노의 사후, 기일마다 요도 도노의 묘소에 시녀들이 모여 법요를 거행하였던 것이 그 시녀들의 자손에게도 죽 이어져 오늘날까지 내려오고 있다. 여동생인 조쿄인, 스겐인와는 어린 시절부터 매우 사이 좋은 자매 관계를 유지하였다. 어머니 오이치의 사후, 두 동생에게 "너희들은 오미의 명문 아자이 가문의 딸들이다. 꼴사납게 행동해서는 안 된다" 라고 훈계하였다고 한다. 요도도노의 어머니 오이치는 센고쿠 시대 최고의 미녀로 유명하였는데, 장녀인 요도 도노 또한 오이치를 닮아 미인이었다고 한다. 특히 오이치와 같이 키가 커서 170 cm 가량의 장신이었다고 전해지며, 아들 히데요리 또한 아버지 히데요시와 달리 요도 도노를 닮아 체격이 당당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반면 여동생 에요는 언니와 달리 몸집이 작았다. vdeh도요토미 정권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요토미 히데쓰구 도요토미 히데요리 도요토미 가문 오만도코로 기타노만도코로 요도도노 | 도요토미 히데나가(히데야스) 닛슈니 아사히히메 | 하시바 히데카쓰(이시마쓰마루) 도요토미 쓰루마쓰 | 도요토미 구니마쓰 덴슈니 | 하시바 히데카쓰 도요토미 히데토시 도요토미 히데카쓰 하시바 히데야스 하시바 나가요시 하시바 다카요시 다이묘오대로 도쿠가와 이에야스 마에다 도시이에(도시나가) 모리 데루모토 우에스기 가게카쓰 우키타 히데이에 |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삼중로 이코마 지카마사 호리오 요시하루 나카무라 가즈우지 오봉행 아사노 나가마사 이시다 미쓰나리 마시타 나가모리 나쓰카 마사이에 마에다 겐이 | 미야베 게이준 도미타 잇파쿠 기타 다이묘 취차 어가중 칠수조 교토소사대 황모의중 문치파 무단파 시즈가타케의 칠본창 칠장 정책 태합검지 도수령 병농분리 신분통제령 인소령 총무사령 훤화정지령 해적정지령 바테렌 추방령 기요스 회의 주고쿠 국분 시코쿠 국분 규슈 국분 오슈 임치 천정대판 천정통보 전쟁 혼노지의 변 야마자키 전투 시즈가타케 전투 고마키·나가쿠테 전투 기슈 정벌 시코쿠 정벌 도야마 전투 규슈 정벌 오다와라 정벌 센보쿠 잇키 가사이·오자키 잇키 구노헤 마사자네의 난 우메키타 잇키 임진왜란 정유재란 세키가하라 전투 오사카 전투 직할령 태합장입지 오사카 사카이 교토 후시미 나가사키 | 오사카 성 후시미 성 주라쿠다이 나고야 성 야마자키 성 묘카쿠지 성 교토 신성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무가정권 도요토미 씨(하시바 씨 기노시타 씨) 관백 태합 도요쿠니 신사 오사카 번 전거 통제 WorldCat VIAF: 48083655 LCCN: n81058408 ISNI: 0000 0000 6724 2312 SUDOC: 117989223 NDL: 0062673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요도도노&oldid=24283176" 분류: 1615년 죽음센고쿠 시대 사람일본의 자살한 사람아자이씨도요토미씨기노시타 씨에치젠국 사람오미국 사람오사카성일본의 인물신 (센고쿠 시대)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여자17세기 일본 사람16세기 일본 사람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7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Bikol Central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Italiano日本語Portuguêsไทย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6일 (일) 14:0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요도도노(일본어: 淀殿(よどどの), 1569년(에이로쿠 12년)경 ~ 1615년(게이쵸 20년) 5월 8일)는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의 여성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측실이다. 요도기미(일본어: 淀君)라고도 불린다. 센고쿠 다이묘인 아자이 나가마사의 아내이자 오다 노부나가의 누이동생인 오이치 사이에서 태어난 장녀로, 본명은 아자이 차차(浅井茶々) 또는 아자이 기쿠코(浅井菊子)이다. 히데요시의 외아들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생모이다. 오사카 전투에서 패하면서 오사카성에서 아들 히데요리와 그 운명을 함께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582년에 노부나가를 죽인 사람은 누구야? Assistant: 아케치 미쓰히데 Human: 아래 테르시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테르시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테르시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568년 하일리하레 전투 그림. 창병방진 및 대포등 당시 군대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그림 오른쪽에 스페인군의 테르시오가 있다. 테르시오(Tercio)는 1534년부터 1704년에 걸쳐 스페인 왕국이 채용한 군사편성 혹은 그 부대의 전투대형을 말한다. 단순히 전투대형을 지칭할 때는 스페인 방진(Spanish square)이라고 부른다. 테르시오의 편성 및 전투대형은 17세기 초엽까지 유럽 각국에서 왕성하게 모방했다. 목차 1 역사 1.1 이전 역사 1.2 영광과 쇠퇴 2 편성 3 전투대형 4 테르시오에 대한 도전 4.1 네덜란드 4.2 스웨덴 4.3 프랑스 5 참고자료 6 관련항목 7 외부 링크 역사[편집] 이전 역사[편집] 약 700년에 걸친 레콩키스타를 완료한 스페인 왕국은 이베리아 반도의 대부분을 지배하에 두게 되었고, 이제 유럽 강국의 지위를 타국과 다투게 되었다. 1494년 프랑스의 이탈리아 반도에 대한 침공에 의해 이탈리아 전쟁이 발발하자, 스페인은 아라곤 왕국에 연유한 계승권을 이유로 이 전쟁에 개입했다. 곤살로 페르난데스 데 코르도바를 총사령관으로 임명하고, 이탈리아 반도에 상륙한 스페인군이었으나, 세미나라 전투에서 프랑스군에게 패배했다. 이 당시 스페인군은 검과 원형방패를 장비한 로델레로(Rodelero;보병)과 히네테(Jinete)라고 불리는 경기병을 중심으로 편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런 편성은 중기병과 스위스 창병을 중심으로 편성된 프랑스군에게 야전에서 승리할 수는 없었다(상세한 것은 곤살로 페르난데스 데 코르도바의 항목을 참조). 전후 곤살로는 이탈리아에 남아 스페인군의 군제개혁을 진행했다. 즉 원형방패와 검을 폐지하고, 스위스 창병과 같은 파이크를 지니게 했다. 창병은 밀집대형(방진)을 조직하고 주위와 양익에 소형의 투사병(크로스보우, 총)을 배치했다. 그리고 곤살로는 장교의 숫자를 증가시켰다. 그때까지 1명의 장교가 병사 100~600명을 지휘했으나, 곤살로는 병사 300명 당 약 4~6명의 장교를 배치시켰다. 이것은 부대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서였다. 한 부대는 1,000명 전후로 구성되고, 지휘관에는 코로넬(Coronel;대령)의 계급이 내려졌다. 지휘관의 계급에 유래해 이 부대는 코로네리아(Coronelía;코로네냐 라고도)라고 부르게 되었다(다만 이런 개혁은 체리뇰라 전투 이후라는 설도 있다). 1503년 이 신식 스페인군은 체리뇰라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격파하는 데 성공했다. 체리뇰라 전투는 또한 화기와 야전 축성이 효과를 발휘한 전투이기도 하다. 이후 군대의 구성에서 화기가 차지하는 비율이 서서히 증가하게 되었다. 영광과 쇠퇴[편집] 1534년 스페인군은 3개(서쪽:Tercero=영어:Third)의 부대를 이탈리아 반도에 보냈다. 테르시오란 명칭은 이 시기 처음으로 출현했으나, 이렇게 3개의 부대로 나누게 된 유래에 대해 생각해 보자. 부대에는 각각 롬바르디아(Lombardia), 나폴리(Napoli), 시칠리아(Sicilia) 란 호칭이 붙여졌다. 당시 군대는 주로 용병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전시에 따라 고용되는 것이 기본이었다. 테르시오도 주요 구성원은 용병이었으나, 이탈리아 반도를(훗날 네덜란드에서도) 계속 지킬 필요가 있었기에 테르시오는 평상시에도 유지되었고, 상비군적인 성격을 갖게 되었다. 장시간에 걸친 고용은 항상 일정이상의 숙련도,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즉시 대응할 수 있는 전력으로써 스페인군의 강력함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당연하게도 이로 인해 스페인 국고는 압박을 받게 되었다. 이것은 신대륙에서 들어오는 금은으로 인해 윤택해진 스페인에게도 견딜 수 없을 정도의 지출을 강요해 역대 국왕은 여러 번에 걸쳐 국가 파산선언을 하기에 이르렀다. 1525년 파비아 전투. 아직 테르시오라는 호칭으로 불리지는 않았으나, 편성은 이미 확립되어 있었다. 그런데도 16세기를 통해 테르시오는 최정예의 군단으로서 각지에서 활약했다. 1525년 파비아 전투에서 프랑스 왕 프랑수아 1세를 포로로 잡는 전과를 올렸다. 테르시오의 힘으로 스페인은 이탈리아 전쟁에서 승리했고, 프랑스의 이탈리아에 대한 개입을 좌절시켰다. 네덜란드의 반란도 16세기말까지 거의 억제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17세기에 들어서자, 테르시오에게 도전하는 시도가 나타났다. 네덜란드의 마우리츠 판 나사우는 테르시오를 격파하기 위해 신식 군대를 편성하고, 네덜란드식 대대라고 불리는 전투대형을 내놓았다. 마우리츠의 개혁은 유럽에 퍼지게 되었고, 스웨덴의 구스타브 2세 아돌프는 이것을 집대성하고 세련되게 만들어 1631년 브라이텐펠트 전투에서 신성로마제국군의 스페인 방진을 격파했다. 이런 도전을 받은 테르시오도 곧 개혁에 착수했다. 1635년 펠리페 4세는 포고를 알리고, 테르시오의 군제개혁을 진행시켰다. 테르시오 1부대에 있는 병사 정원수를 3,000명에서 1,000명 전후로 감소시키고, 지휘의 효율화에 노력했다. 시대에 뒤쳐졌던 전투대형도 개량해 스페인 방진과 스웨덴식 대대를 융합시킨 새로운 대형을 채용했다. 1637년에는 민병을 테르시오 속에 참가시키면서 지방 테르시오라고 불리는 군단을 편성하고 동원병력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1643년 로크루아 전투에서 대패를 겪는등, 이미 스페인과 테르시오의 군사적 우위는 잃어버린 뒤였다. 그 후에도 테르시오는 여러가지 개량이 가해졌으나, 1704년 펠리페 5세(루이 14세의 손자)가 프랑스식의 연대와 대대를 구성하는 군제를 채용하게 되면서 테르시오는 소멸하게 되었다. 편성[편집] 테르시오의 편성은 시대에 따라 변천되었으나, 이글에는 초기 시기의 편성을 기초로 기술하였다. 테르시오를 구성하는 병과는 아래의 4종류가 있다. 파이크병(Pikeman) – 파이크(장창)을 갖고, 갑옷은 일부 혹은 전혀 장비하지 않은 창병. 코르스렛(Corselet) – 파이크를 갖고, 갑옷과 투구로 완전히 무장한 창병. 아르케부스 총병(Arquebusier) – 아르케부스(화승총)을 갖고 있는 총병. 머스켓 총병(Musketeer) – 머스켓 총을 갖고 있는 총병. 즉 이 당시 머스켓은 아르케부스보다 대형인 총의 호칭이었다. 머스켓이 축소되어 선입된 총 전반을 가리키는 호칭이 된 것은 17세기에 들어서였다. 기본단위는 중대로써 정원수는 250명(혹은 300명)이었다. 대위 1명, 중위 1명, 중사 1명, 기수 1명으로 중대를 지휘하고, 그외 종자 1명, 보급계장교 1명, 고적수(鼓笛手) 1명, 종군사제 1명, 이발사 1명이 참가하였다. 장교를 포함한 중대 본부요원의 총 숫자는 11명이었다. 테르시오를 구성하는 중대에는 아래의 2종류가 존재했다(아래 기록은 병사수 250명을 기준으로 한 경우) A – 본부요원 11명, 파이크병 108명, 코르스렛 111명, 머스켓 총병 20명 B – 본부요원 11명, 아르케부스 총병 224명, 머스켓 총병 15명 테르시오 1부대는 A중대 10개, B중대 2개인 12개중대로 구성되어 있다(병사 300명의 경우 A중대 8개, B중대 2개인 10개중대). 총 숫자는 3,000명 정도이고, 그 내역은 장교와 사무원 132명, 파이크병 1,080명, 코르스렛 1,111명, 아르케부스 총병 448명, 머스켓 총병 230명이었다. 전체의 지휘는 대령(코로넬)이 맡았고, 그를 보좌하는 장교단(테르시오 전체의 본부요원)은 30명 전후였다. 다만 이것은 이상적인 완전편성의 숫자이고, 꼭 현실의 테르시오와 일치하지는 않는다. 실제로는 1개중대의 병력수는 150명 정도인 경우가 많았고, 이상치의 절반인 1,500명 혹은 그 이하의 병력수로 구성된 테르시오가 대부분이었다 초기때 창과 총의 비율은 약 3:1이었다. 이것은 중기병의 위협이 매우 커서, 창병의 방어능력이 중요시 된 것이 이유였다. 시대가 흐르면서 화기의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고, 또 피스톨 기병의 대두로 중기병의 위협이 감소되면서 이 비율은 크게 변화되었다. 16세기 후반에는 2:1이 되었고, 16세기말에는 1.5:1, 17세기 초엽에는 1:1이 되었다. 그 후 창병은 감소가 지속되었고, 17세기말에는 총검이 개발되면서 창병은 완전히 모습을 감추었다. 무엇보다 위의 내용에 따라 얼마안가 곧 테르시오도 소멸하게 되었다. 전투대형[편집] 전투시 테르시오는 창병과 총병을 조합해 하나의 거대한 방진을 만들었다. 즉 창병이 종심 20열에서 30열 정도의 방진을 조직한다. 이 방진의 사방(四方)을 2열의 총병이 들어가 에워싼다. 이때 정면에는 위력이 큰 머스켓 총병을 배치한다. 거기에 네귀퉁이에는 종심 4열에서 6열 정도의 총병의 작은 방진을 조직한다. 이로 인해 모든 방위에서 사각이 없는 방진이 완성되었다. 다만, 숫자는 완전한 정원수일 때 였다. 병력이 실제로 절반에 불과할 때는 이것도 분배가 필요했다. 또한 상황에 따라 종심의 깊이 및 횡렬의 길이는 적절하게 변경되었다. 스페인은 이 전투대형을 “Cuadro de Terreno”(야전방진)이라고 불렀다. 타국에서는 이 전투대형 자체를 테르시오라고 불렀고, 혹은 단순하게 스페인 방진이라고 불렀다. 한편 테르시오의 방어 편중은 명백했다. 이것은 스페인의 전투 교훈에서 얻어진 것이다. 레콩키스타의 전투에서 산악지대가 많은 이베리아 반도의 지세에서 많은 이슬람의 거점을 탈취하는 공성전이 있었다. 테르시오 이전의 장비가 요새 돌입때의 난전에 적합한 검과 원형방패였던 것도 이것을 나타낸다. 이탈리아 전쟁에서 프랑스 중기병의 위협에 직면한 스페인은 기병의 기동력과 충격력을 감소시킬 방법을 생각했다. 성벽, 화기, 참호 같은 공성전의 방어적 요소가 나오게 된 것은 이런 과거의 경험에서 비추어 보면 당연한 것이다. 그 결과 이 정도까지 방어를 중시한 대형 방진이 완성된 것이다. 말하자면, 테르시오는 보병에 의해 구성된 요새였다. 이 때문에 테르시오의 기동력은 매우 나빠져 이동 및 방향전환에는 막대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것은 테르시오의 목적이 방어에 있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당연한 결과였다. 적을 맞아 싸우는 경우에는 움직일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은 동시에 이쪽에서 공격에 나서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런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스페인은 테르시오의 전면에 대포를 배치했다. 이것은 또한 요새의 개념을 야전에 집어 넣은 것이기도 했다. 테르시오를 격파하려면 공성전과 마찬가지로 외벽(창병)을 제거하고, 포격으로 대형을 무너뜨리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러나 16세기 거대하고 둔중한 대포는 야전에서 테르시오를 무너뜨릴 정도의 포격을 가하는 것은 매우 곤란했다. 결국 스페인의 적들이 선택한 것은 그들의 적을 모방하는 것이었다. 그 결과 16세기의 전장은 테르시오 끼리 마주쳐 충돌하고 조금씩 상대방의 창병을 제거하는 광경이 되풀이되었다. 승리를 얻기 위해서는 상대가 피해를 견디지 못하고 철수하거나, 병사의 사기가 저하되어 스스로 붕괴되는 것을 기다리는 수밖에는 없었다. 이 시대는 용병이 군대의 주력이었기 때문에 부대로써 결속력이 낮아 사기저하에 의한 붕괴는 빈번하게 일어났다. 이점에서 상비군적인 테르시오는 결속력이 높아 우위에 설 수 있었다. 또한, 붕괴되더라도 괴멸적인 타격을 받는 일은 어려웠다. 테르시오는 추격을 할 수 없었다. 야전에 의한 조기 결판이 기대되는 시대는 없었다. 전술적으로나 전략적으로도 방어가 중시되었기 때문에 결전보다 기동전이나 소모전이 다수를 차지했다. 이 때문에 16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전쟁의 기간은 장기화 되었다. 테르시오에 대한 도전[편집] 네덜란드[편집] 군제개혁의 선구자 나사우 백작 마우리츠. 1568년 스페인의 지배하에 있던 네덜란드에서 반란이 일어나, 80년 전쟁이 시작되었다. 스페인은 진압을 위해 테르시오를 항상 네덜란드에 주둔시켰다. 또한 각지의 반란을 예방하기 위해 지역주민을 감시하는 많은 요새를 건설했다. 요새의 숫자에 비례해 주둔병도 증가하여 스페인군 전체의 규모는 확대되었다. 스페인군이 규모를 확대하자, 대항세력인 프랑스등 타국도 군대를 확대할 수밖에 없었다. 16세기부터 17세기에 걸쳐 유럽의 군대가 팽대화된 원인 중 하나가 네덜란드에서 스페인이 진행한 전략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네덜란드 총독 나사우 백작 마우리츠는 테르시오에게 승리할 방법을 연구했다. 테르시오의 최대 결점은 공격에 사용할 수 없는 혹은 사용하기 어려운 점을 들 수 있었다. 여기서 마우리츠는 화기에 주목했다. 당시 화기는 명중률, 신뢰성이 낮았지만, 창방진에 대해서 우위에 설 수 있었다. 마우리츠는 중대의 창병을 감소시키고, 총병을 증가시켰다. 앞에 이야기한 16세기말 테르시오의 창:총의 비율은 1.5:1 이었으나, 이것을 마우리츠는 역전시켜 1:1.5 가 되게 하였다. 17세기 중반에는 네덜란드군의 화기는 계속 증가해 1:2가 되었다. 아래 16세기말 네덜란드군의 편성과 전투대형에 대해 기술하였다. 네덜란드군의 기본편성은 중대로써 정원수는 100명~150명 정도였다. 내역은 장교와 사무원 14명, 파이크병 50명, 총병 86명이었다(150명일 때). 통상 10개~20개 중대가 1개 연대가 되었고, 이것을 행정상의 관리단위였다. 전시에는 4개~6개정도의 중대를 조합해 대대(전대)를 만들었다. 대대는 테르시오의 결점을 불식시키기 위한 새로운 대형이었다. 전투대형으로써 테르시오의 결점은 2가지 였다. 하나는 거대해서 둔중한 점. 전열의 병사가 교전할 때 후열의 병사는 가만히 있는다는 점이 2번째였다. 이런 결점을 개량해 마우리츠가 내놓은 것은 네덜란드식 대형이라 불리는 전투대형이었다. 테르시오보다 얇은 종심 10열의 창병방진을 조직하고, 그 양익 아니면 후방에 같은 종심 10열의 총병방진을 배치한 것이다. 대규모의 회전에서 이 대대를 교차해 배치한다. 실질적으로 네덜란드식 대대는 테르시오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부대의 기동력 및 유연성은 향상되었으나, 반대로 방어력은 저하되었다. 그러나 마우리츠는 이것을 충분하다고 생각했다. 이 시기에는 이미 중기병의 위협이 감소되었기 때문에 이전보다 방어를 중시할 필요는 없었던 것이다. 거기에 마우리츠는 일제사격 전술을 발전시켜, 후방행진(카운터 마치)라고 불리는 전술을 내놓았다. 즉 전열의 병사가 일제사격을 한다. 그 후 전열의 병사는 최후미로 이동하여 장진을 실시한다. 그 사이 후열의 병사가 전진해 나가 일제사격을 가한다. 이것을 되풀이 하는 것으로 인해 이론상 끊임없이 일제사격을 퍼부을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런 복잡한 부대기동을 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훈련이 필요했다. 마우리츠는 총병의 일련의 행동을 패턴화시켜 이것을 기초로 한 훈련을 실시했다. 이런 교육방법은 네덜란드식 교련이라고 불렸고, 그 효과가 높자 순식간에 각국에 파급되었다. 스웨덴[편집] 스웨덴 왕 구스타브 2세 아돌프는 마우리츠식 군제개혁을 더욱 발전시켰다. 구스타브 아돌프는 전국적으로 징병제를 실시해 동원 병력의 증가에 노력했다. 또한 부대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중대(中隊)안의 장교의 숫자를 대폭으로 증가시켰다. 스웨덴군의 기본단위는 중대로써 정원수는 150명이었다. 그 내역은 장교 16명, 파이크병 54명, 머스켓 총병 72명, 사무원 8명이었다. 통상 8개 중대가 1개 연대가 되어 이것을 행정상의 관리단위가 되었다. 네덜란드군과 마찬가지로 전시에 여러 개의 중대를 조합했으나, 구스타브 아돌프는 네덜란드식 대대를 개량해 스웨덴식 대대를 만들어 냈고, 이것을 상위 단위로써 여단을 창설했다. 스웨덴식 대대는 창병방진의 후방에 총병방진을 배치하고, 거기에 후방에 예비의 총병방진을 배치하였다. 3번째 총병은 언제라도 양익의 지원으로 돌릴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화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가능하게 만들었다. 대규모 전투시 이 대대를 복잡하게 조합한 스웨덴식 여단을 운용했다. 거기에 구스타브 아돌프는 각 여단 사이에 연대포라 불리는 경량화된 소형 대포를 배치하여 전체의 화력을 높였다. 또 구스타브 아돌프는 후방행진 이상으로 공격적인 점진(漸進)일제사격 전술이라 불리는 전술을 내놓았다. 즉 전열의 병사가 일제사격을 한다. 그 후 전열의 병사는 최후미로 이동하지 않고, 그 자리에서 장진을 실시한다. 후열의 병사는 전열의 병사 앞으로 전진해 나가 일제사격을 한다. 이것을 되풀이하는 것으로 적에게 접근하면서 일제사격을 퍼붓는 것이다. 첨진일제사격 전술은 적의 대열을 격파할 가능성을 총병에게 주었다. 브라이텐펠트 전투의 구스타프 아돌프. 또한 구스타브 아돌프는 기병, 포병에도 개혁을 실시했다. 전투시 스웨덴 기병은 카라콜을 이용하지 않고, 발도돌격전술(사벨 차지)을 사용했다. 이것은 잃어버렸던 기병의 타격력을 어느정도 회복시킬 수 있었다. 또 기병에게 머스켓 총병의 소부대를 참가시켜, 기병의 화력을 크게 높였다(다만 기동력은 떨어졌다). 포병의 보충은 구스타브 아돌프가 특히 힘을 기울였던 점이다. 30년 전쟁에 참가한 1630년 시점에서 스웨덴군은 타국에 몇배에 달하는 포병을 가지고 있었다. 거기에 보병지원을 위해 연대포를 개발한 것은 위에 언급했다. 스웨덴군이 특히 걸출했던 점은 이들 보병, 기병, 포병을 단독의 병과가 아닌, 조합하여 운용했던 점이다. 이런 운용방법을 삼병전술이라 불리었다. 1631년 브라이텐펠트 전투에서 삼병전술을 이용한 스웨덴군은 황제군의 스페인 방진을 격파했다. 스웨덴식 군제개혁은 네덜란드식 군제개혁과 마찬가지로 대단한 영향을 끼쳤다. 테르시오가 스페인 방진을 폐지하고 새로운 대형을 개발한 것은 1635년의 일이었다. 이것은 스페인 방진과 스웨덴식 대대를 합성한 것이다. 프랑스[편집] 1643년 로크루아 전투. 스페인의 테르시오는 대패를 맞았고, 그 가치가 크게 저하되었다. 이탈리아 전쟁이래, 프랑스는 스페인의 주적이었다. 16세기초엽은 테르시오에 의해 스페인이 우위에 섰으나, 얼마안가 프랑스는 이 군제를 모방해 대항했다. 다만 프랑스군은 의연히 중기병을 군대의 중핵으로 삼았다. 17세기에 이르자, 프랑스는 네덜란드식 군제개혁을 진행해 나갔다. 여기서도 기병을 중시한 프랑스군은 중기병, 경기병, 용기병을 조합해 효과적으로 사용했다. 1643년 로크루아 전투에서 프랑스군은 스페인군의 테르시오를 격파했다. 브라이텐펠트 전투와 다르게 본가 스페인의 테르시오를 격파한 것으로 결정적으로 그 가치를 저하시켰다. 그 후도 테르시오는 개량을 하면서 계속 사용되었으나, 1704년 루이 14세의 손자 펠리페 5세가 테르시오를 대신해 연대와 대대의 편성을 채용함으로써 기어코 테르시오는 소멸했다. 참고자료[편집] 일본위키 참고문헌입니다. (バート・S・ホール)著、市場泰雄訳、『火器の誕生とヨーロッパの戦争』平凡社 ジェフリー・パーカー著、大久保桂子訳、『長篠合戦の世界史 -ヨーロッパ軍事革命の衝撃1500年-1800年』同文館出版 ウィリアム・H・マクニール著、高橋均訳、『戦争の世界史 -技術と軍隊と社会』刀水書房 マイケル・ハワード著、奥村房夫、奥村大作共訳、『ヨーロッパ史と戦争』学陽書房 관련항목[편집] 알라트리스테(17세기 유럽을 무대로 한 소설. 3권에서 테르시오의 전투가 상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외부 링크[편집] https://web.archive.org/web/20020526110755/http://www.geocities.com/ao1617/Index.html - 상세한 테르시오의 해설(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테르시오&oldid=23719522" 분류: 30년 전쟁스페인의 역사군사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uskaraSuomiFrançaisGalego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atina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SvenskaУкраїнська吴语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7일 (일) 07:2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테르시오(tercio)는 1534년부터 1704년에 걸쳐 스페인 왕국이 채용한 군사편성 혹은 그 부대의 전투대형을 말한다. 단순히 전투대형을 지칭할 때는 스페인 방진(Spanish square)이라고 부른다. 테르시오의 편성 및 전투대형은 17세기 초엽까지 유럽 각국에서 왕성하게 모방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80년 전쟁은 몇 년도에 일어났니? Assistant: 1568년
Human: 아래 남상국_(기업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남상국 (기업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남상국 (기업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남상국 (1945년)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남상국출생 1945년 5월 22일(1945-05-22)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아산시사망 2004년 3월 11일 (58세)한강사인 투신자살국적 대한민국 학력 서울대학교직업 기업인 남상국(南相國, 1945년 5월 22일 ~ 2004년 3월 11일, 충청남도 아산)은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며 서울대학교를 졸업하였다. (주)대우건설 사장을 역임했다. 목차 1 생애 2 평가 3 상훈 4 가족 5 각주 생애[편집] 서울대학교 공업교육과를 졸업하였으며 1974년 2월 평사원으로 대우그룹에 입사하였다.[1] 평사원으로 20년간 대우그룹의 건설부문의 중견 요직을 역임하고 각지의 건설현장에서 근무하였으며[2] 이후 이사로 발탁되어 1997년 2월 15일 대우그룹 건설부문 전무에 임명되었고[3], 1998년 초고층 주상복합의 가능성을 보고 여의도'트럼프 월드'의 개발을 시작, 프리미엄이 50%이상 상승하여 당첨자들의 대만족평을 받기도 하였다.[2] 그해 7월 31일 숙명여자대학 행정관 준공식에 참석하였다.[4] 1998년 대우그룹 개발사업본부 본부장에 임명되어 서종욱 이사, 정재영 이사, 김건희 상무 등을 ‘스리 톱’으로 채용하기도 했다.[5] 1998년 12월 31일 (주)대우그룹 계열사별로 실시된 특별 승진 인사 때, 그는 대우그룹 건설부문 전무에서 사장으로 2계급 특진하였다.[6] 1999년 대우그룹 건설부문 대표이사·사장이 되었고, 1999년 1월 5일 건설부문 국내사업분야담당이 되었다.[7] 2월 5일 아파트 공사현장 안전점검의 날을 주관하였다.[8] 2000년 10월 22일 대우그룹 계열사들이 법인 분리될 때 대우건설 사장에 유임되었으며[9][10] 2001년 대우건설이 (주)대우그룹에서 떨어져 나와 신설법인으로 태어난 뒤[2] 2002년 (주)대우건설 대표이사·사장을 지냈다. 2002년 대한건설협회 회원이사에 선임되었다.[11] 2002년 5월 1일에는 대한건설협회 부회장에 선출되었다.[12] 2002년8월 1일 한국사랑의집짓기운동연합회에서 주관하는 사랑의 집짓기운동에 동참하여 3천만원 상당의 숙소와 식사를 지원하였으며 아산지역 사업에 참여하는 자원봉사자들에게는 대우건설 직원연수원(도고그린호텔)의 객실과 1주일동안 자원봉사자들의 아침과 저녁식사를 지원하기도 했다.[13] 2004년 3월 21일 한강수난구조대원들이 한남대교 아래에서 사체를 인양하는 모습 2003년 9월 5일 노건평에게 "사장직을 연임할 수 있도록 힘써 달라"는 청탁과 함께 3천만 원을 수수한 혐의를 받았고[14][15] 수사하는 과정에서, 3월 11일 방송에서 대통령 노무현이 공식 기자회견에서 처음엔 실명이 언급되지 않았으나, 나중에 기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 과정에서 돈을 건넨 자신의 이름이 실명으로 언급되었다. 2004년 3월 11일 남상국은 한강에 투신자살했다.[15] 그 사건으로 말미암아 노건평은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16] 이로써 남상국이 살아 있었다면 역시 유죄 판결을 받았으리라는 추정이 가능하다. 평가[편집] 대우그룹의 환란 후 그룹 내부의 파열상황에서도 우수한 인재의 누수를 막을 수 있었던 것은, 그의 철저한 인력관리야말로 비결중의 비결이라고 지적한다.[2] 회사의 경영침체로 워크아웃 상태가 되었을 때, 그는 직원들의 마음을 독려하여 다잡았고, 개발사업을 늘렸다 한다. 그가 사장이던 2001년∼2003년 대우건설이 수주한 사업들이 2004∼2006년 연평균 5000억 원대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는 증언도 있다.[5] 상훈[편집] 2003년 12월 21일 주택건설의 날, 주택건설 산업 공로로 건설교통부 장관으로부터 금탑산업훈장을 수상받았다.[17] 가족[편집] 부인 김선옥[18] 각주[편집] ↑ <목요기획 건설업계 이공계CEO 두각> 기술·경영 접목… 시너지 만점 파이낸셜뉴스 2003-08-06자 ↑ 가 나 다 라 [프론티어] 남상국 대우건설 사장 :: 네이버 뉴스 ↑ 네이버 뉴스 ↑ 네이버 뉴스 ↑ 가 나 donga.com[뉴스]-[이코노카페]대우건설 故남상국 사장에 대한 재평가 ↑ 네이버 뉴스 ↑ 네이버 뉴스 ↑ 네이버 뉴스 ↑ 대우重·(주)대우 6개社로 분할 파이낸셜뉴스 2000-10-22자 ↑ 대우중공업·(주)대우, 6개사로 분할 파이낸셜뉴스 2000-10-22자 ↑ 대한건설협회, 회원이사 선임 파이낸셜뉴스 2002-03-31자 ↑ 심현영씨등 7명, 대한건설協 부회장 선임 :: 네이버 뉴스 ↑ 대우건설 3000만원 지원 사랑의 집짓기운동 동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국민일보 2002-08-01자 ↑ "노건평씨, 인사청탁 대가로 3천만원 수수" 프레시안 2004-03-10일자 기사 ↑ 가 나 노건평, 이번엔 '판사 전용통로' 이용해 물의 프레시안 2004-05-01자 기사 ↑ 법원 넘어간 노건평·박연차…공방 예고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22일 주택건설의 날 행사 파이낸셜뉴스 2003-12-21자 ↑ [weekly chosun] 모멸… 자괴… 자살 盧 정권에서 스러져간 사람들 - 1등 인터넷뉴스 조선닷컴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남상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남상국_(기업인)&oldid=24536395" 분류: 1945년 태어남2004년 죽음아산시 출신대한민국의 기업인대한민국의 자살한 사람투신자살한 사람익사한 사람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7월 7일 (일) 04: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남상국(南相國, 1945년 5월 22일 ~ 2004년 3월 11일, 충청남도 아산)은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며 서울대학교를 졸업하였다. (주)대우건설 사장을 역임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남상국은 대학교 졸업후 어떤기업에 입사하나요? Assistant: 대우그룹 Human: 아래 2016년_KBO_포스트시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16년 KBO 포스트시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6년 KBO 포스트시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계획되었거나 진행 중인 야구 행사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2016 타이어뱅크 KBO 포스트시즌은 2016년 10월 10일부터 11월 2일까지 실시되었다. 목차 1 달라지는 점 2 진출팀 소개 3 대진표 4 와일드카드 결정전 4.1 출장자 명단 4.2 경기 기록 4.3 1차전 4.4 2차전 5 준플레이오프 5.1 출장자 명단 5.2 경기 기록 5.3 1차전 5.4 2차전 5.5 3차전 5.6 4차전 6 플레이오프 6.1 출장자 명단 6.2 경기 기록 6.3 1차전 6.4 2차전 6.5 3차전 6.6 4차전 7 한국시리즈 8 중계 일정 8.1 TV 중계 8.1.1 와일드카드 결정전 8.1.2 준플레이오프 8.1.3 플레이오프 8.2 라디오 중계 8.2.1 와일드카드 결정전 8.2.2 준플레이오프 8.2.3 플레이오프 9 같이 보기 달라지는 점[편집] 지난 시즌과 동일하게 4,5위간의 와일드카드 결정전을 시작으로 승리팀이 3위팀과 준 플레이오프를 치르고 이후 2위팀과 플레이오프, 1위팀과 한국시리즈를 치르는 순으로 포스트시즌이 진행된다. 와일드카드 결정전은 2전 2선승제로 한다. 4위 팀에게 1승 어드밴티지를 부여하므로 5위 팀은 2경기를 모두 이겨야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하고 그 외의 경우(1차전이나 2차전에서 4위 팀이 한게임이라도 이기거나 비길경우)는 4위 팀이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올해부터 잠실 중립구장 규정이 완전히 폐지되어 정규리그 1위팀이 홈 어드밴티지를 가지게 된다. 즉 1위팀은 1/2/6/7차전 경기를 홈에서 치루며, 플레이오프 승리팀의 경우에는 3/4/5차전을 홈에서 치루게 된다. 진출팀 소개[편집] 2016년 포스트시즌에 진출한 팀은 두산 베어스, NC 다이노스, 넥센 히어로즈, LG 트윈스, KIA 타이거즈이다. 특히 2013년 이후 3년만에 서울을 연고로 하는 3개팀(두산 베어스, 넥센 히어로즈, LG 트윈스)이 모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게 되었다. 먼저, 두산 베어스는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했으며, 지난 시즌 준플레이오프부터 시작해서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한데 이어 이번 시즌에는 더스틴 니퍼트, 마이클 보우덴, 장원준, 유희관의 일명 "판타스틱 4" 선발진을 앞세워 1995년 이후 무려 21년 만에 정규시즌 우승과 동시에 단일 시즌 최다승인 93승을 기록하며 한국시리즈에 직행하면서 2년 연속 한국시리즈 진출 기록까지 세웠다. 정규시즌 2위 NC 다이노스는 2014년부터 3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 성공, 2년 연속 플레이오프 직행에 성공했다. 시즌 초중반에는 15연승까지 달리는 등 승승장구하며 한때 선두 두산을 위협했으나, 주축 선수들 중 일부의 사건 사고 연루와 선발진 공백을 시즌 중에 겪으며 위기를 맞았지만 극복하며 무난히 3년 연속 가을야구의 초대를 받았다. 정규시즌 3위 넥센 히어로즈는 4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을 기록했는데, 올 시즌 주축선수들의 대거 이탈로 힘든 시즌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깨고 김세현을 비롯한 기존 선수들의 재발견과 신재영을 필두로 한 신진 선수들도 발굴했다. 동시에 기존의 거포군단에서 기동력을 중심으로하는 다른 팀 컬러를 확립하며 값진 기록을 세웠다. 한편, 지난 시즌 9위를 기록했던 LG 트윈스는 지난 시즌부터 착실하게 투타 리빌딩을 성공적으로 하면서 완벽한 신구조화를 일구어 내며 정규시즌 4위로 2014년 이후 2년만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포스트시즌 티켓을 따낸 KIA 타이거즈는 2011년 이후 무려 5년만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였다. KIA의 김기태 감독은 2013년 LG 감독 2년차에 LG를 가을야구를 진출 시킨데 이어 KIA 감독 부임 2년차만에 팀을 가을야구로 이끄는데 성공했다. 대진표[편집]   와일드카드 결정전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한국시리즈                                           1  두산 베어스 4     2  NC 다이노스 3     2  NC 다이노스 0     3  넥센 히어로즈 1     4  LG 트윈스 1     4  LG 트윈스 2     4  LG 트윈스 3     5  KIA 타이거즈 1   와일드카드 결정전[편집] 출장자 명단[편집] 팀 선수 명단 LG 트윈스 감독 - 양상문 코치 - 서용빈, 김정민, 경헌호, 한혁수, 유지현, 강상수, 박종호, 최정우 투수 - 우규민, 류제국, 이동현, 임정우, 진해수, 정찬헌, 데이비드 허프, 김지용, 헨리 소사, 봉중근 포수 - 유강남, 정상호 내야수 - 황목치승, 루이스 히메네스, 오지환, 손주인, 윤진호, 정성훈, 양석환, 서상우 외야수 - 이병규(7), 김용의, 안익훈, 이천웅, 박용택, 이형종, 문선재, 채은성 KIA 타이거즈 감독 - 김기태 코치 - 박흥식, 김종국, 조계현, 이대진, 김태룡, 김창희, 나카무라 다케시, 유동훈 투수 - 임창용, 최영필, 윤석민, 지크 스프루일, 고효준, 한승혁, 헥터 노에시, 홍건희, 김윤동, 양현종, 김광수, 김진우 포수 - 이성우, 한승택 내야수 - 김선빈, 서동욱, 안치홍, 강한울, 이범호, 김주형, 고영우, 브렛 필 외야수 - 신종길, 김주찬, 나지완, 이호신, 김호령, 노수광 경기 기록[편집] 2016 타이어뱅크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관중수 경기 MVP 어드밴티지 KIA 타이거즈 LG 트윈스 10월 10일(월) 1차전 KIA 타이거즈 4 - 2 LG 트윈스 서울 잠실 야구장 18시 30분 25,000명 헥터 노에시(KIA 타이거즈) 10월 11일(화) 2차전 KIA 타이거즈 0 - 1 LG 트윈스 18시 30분 25,000명 류제국(LG 트윈스) 승리팀: LG 트윈스 1차전[편집] 2016년 10월 10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KIA 타이거즈 ◄ 0 0 0 2 0 1 0 1 0 4 5 1 0 LG 트윈스 0 0 0 0 0 0 0 2 0 2 6 2 2 승리 투수 : 헥터 노에시  패전 투수 : 데이비드 허프  세이브 : 임창용  홀드 : 고효준, 윤석민 KIA 임창용, 역대 포스트 시즌 최고령 세이브 (만 40세 4개월 6일) 1차전 MVP : KIA 헥터 노에시 7이닝 2실점(1자책) 1볼넷 3탈삼진 5피안타 (투구수 : 98개) 1차전에서 LG에서는 데이비드 허프가, KIA에서는 헥터 노에시가 각각 등판했다. 양팀 외국인 에이스의 팽팽한 투수전으로 전개된 경기는 4회에 KIA 쪽으로 넘어갔다. 4회초, 브렛 필의 중전 안타와 나지완의 우익 선상 2루타로 만든 1사 2,3루에서 이범호의 2루 플라이와 안치홍의 땅볼로 찬스가 무산되는듯 했지만, 안치홍의 유격수 땅볼 타구를 오지환이 잡지 못하며 루상의 주자 2명을 모두 홈으로 불러들여 2:0으로 앞서 나갔다. 이후, KIA는 6회초, 브렛 필의 2루타와 김주찬의 1루 땅볼로 만든 1사 3루에서 나지완의 중견수 희생플라이로 1점을 추가했고, 8회초에 2사 2루에서 김주찬의 적시타로 2루 주자 노수광이 홈을 밣으며, 스코어를 4:0으로 벌렸다. LG는 이어진 8회말 공격에서 오지환의 2루타와 이병규(7)의 내야 플라이 타구를 김선빈이 놓치면서 만든 무사 1,3루 상황에서 유강남의 안타로 1점을 만회했고, 이어진 대타 서상우의 타석에서 폭투로 3루주자가 홈에 들어오면서 1점을 더 추가했지만, 1루 주자 유강남의 주루 미스로 아웃이 되면서 분위기가 완전히 가져오지 못하고, 1차전을 내주게 되었다. 이 날 경기는 양 팀의 유격수로 인해 희비가 갈렸다. LG는 앞서 언급한 4회초에 오지환의 실책으로 2점을 내주며 KIA에 분위기를 내줬고, 반면, KIA의 유격수 김선빈은 2회와 4회에 두 번의 안타성 타구를 병살로 연결시키는 호수비를 선보이며, LG의 분위기를 끊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2차전[편집] 2016년 10월 11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KIA 타이거즈 0 0 0 0 0 0 0 0 0 0 1 2 6 LG 트윈스 ◄ 0 0 0 0 0 0 0 0 1 1 8 0 4 승리 투수 : 임정우  패전 투수 : 임창용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 LG 류제국, 역대 포스트 시즌 한 경기 최다 몸에 맞는 공 타이 기록 (3개, 6번째) LG 김용의, 역대 포스트 시즌 3번째 끝내기 희생플라이 2차전 MVP : LG 류제국 8이닝 0실점 6볼넷 6탈삼진 1피안타 (투구수 : 116개) 2차전에서 LG에서는 류제국이, KIA에서는 양현종이 각각 등판했다. 이날 경기는 역대 최고의 투수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투수전이 펼쳐졌다. LG 선발 류제국은 6회 1사까지 노히트를 기록하는 등, 8이닝동안 6볼넷 1피안타 6탈삼진으로 최고의 피칭을 보였다. KIA 선발 양현종은 6이닝 동안 95개의 공을 던지면서 2회말을 제외하고 매 이닝 주자를 내보냈다. 하지만, 주자를 한 명도 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위기관리 능력을 보여줬다. 1회 말 선두타자 출루, 3회 말 1사 2, 3루, 4회 말 선두타자 출루, 그리고 5,6회 이어지는 실점 위기를 완벽히 막아냈다. 또한 야수들도 호수비를 펼치며 양팀의 선발투수들의 어깨를 가볍게 했다. 5회말, LG가 2사 2루 상황에서 박용택의 안타성 타구를 좌익수 김주찬이 뒤로 넘어지면서 캐치하며 실점을 막았고, 이어진 6최초, KIA 공격에서 1사 2루 상황에서 나지완의 안타성 타구를 유격수 오지환이 다이빙 캐치로 막아내며, 실점을 막았다. 특히, 8회말, 2사 1,3루의 상황에서 양석환의 안타성 타구를 KIA의 우익수 노수광이 그림 같은 다이빙 캐치로 잡아 양팀의 응원단의 희비를 엇갈리게 했다. 경기의 승패는 9회말에 갈렸다. 정상호의 안타와 손주인의 고의4구, 서상우의 안타로 만든 1사 만루상황에서 김용의의 중견수 희생플라이에 3루주자가 홈에 들어오면서 LG 트윈스가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참고로 당시 희생플라이를 만든 중견수는 김호령이었는데, 당시 김용의의 타구였다면, 보통 공을 잡는것을 포기하고 끝내기 안타가 될 정도의 타구였으나, 끝까지 쫓아가서 플라이공을 포구했고, 끝내기 안타가 아닌 희생플라이를 만들어내어 그 투혼에 탈락을 했음에도 찬사를 받았다.) 준플레이오프[편집] 출장자 명단[편집] 팀 선수 명단 넥센 히어로즈 감독 - 염경엽 코치 - 이강철, 박철영, 강병식, 홍원기, 손혁, 정수성, 박승민, 심재학 투수 - 앤디 밴 헤켄, 스캇 맥그레거, 신재영, 오주원, 마정길, 박주현, 황덕균, 김정훈, 이보근, 김상수, 김세현 포수 - 박동원, 김재현, 주효상 내야수 - 서건창, 김민성, 윤석민, 김하성, 채태인, 김지수, 김웅빈 외야수 - 고종욱, 이택근, 대니 돈, 유재신, 임병욱, 강지광, 김민준 LG 트윈스 감독 - 양상문 코치 - 서용빈, 김정민, 경헌호, 한혁수, 유지현, 강상수, 박종호, 최정우 투수 - 우규민, 류제국, 이동현, 임정우, 진해수, 정찬헌, 데이비드 허프, 김지용, 헨리 소사, 봉중근, 임찬규, 윤지웅 포수 - 유강남, 정상호 내야수 - 황목치승, 루이스 히메네스, 오지환, 손주인, 윤진호, 정성훈, 양석환, 서상우 외야수 - 김용의, 안익훈, 이천웅, 박용택, 문선재, 채은성 경기 기록[편집] 2016 타이어뱅크 KBO 준플레이오프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관중수 경기 MVP 10월 13일(목) 1차전 LG 트윈스 7 - 0 넥센 히어로즈 서울 고척스카이돔 18시 30분 16,300명 김용의(LG 트윈스) 10월 14일(금) 2차전 LG 트윈스 1 - 5 넥센 히어로즈 18시 30분 16,300명 앤디 밴 헤켄(넥센 히어로즈) 10월 15일(토) 이동일 10월 16일(일) 3차전 넥센 히어로즈 1 - 4 LG 트윈스 서울 잠실 야구장 14시 00분 25,000명 유강남(LG 트윈스) 10월 17일(월) 4차전 넥센 히어로즈 4 - 5 LG 트윈스 18시 30분 24,352명 이동현(LG 트윈스) 승리팀: LG 트윈스, 준플레이오프 MVP: 오지환(LG 트윈스) 1차전[편집] 2016년 10월 13일 - 서울 고척스카이돔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 1 0 0 0 3 2 1 0 0 7 9 1 3 넥센 히어로즈 0 0 0 0 0 0 0 0 0 0 11 0 2 승리 투수 : 헨리 소사  패전 투수 : 스캇 맥그레거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 1차전 MVP : LG 김용의 4타수 3안타 2타점 3득점 (준PO 1차전 타율 : 0.750) 1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스캇 맥그레거가, LG에서는 헨리 소사가 각각 등판했다. 1차전은 초반에 승부가 갈렸다. 1회초, LG는 김용의의 안타와 이천웅의 투수땅볼, 박용택의 안타로 만든 1사 1,3루에서 히메네스의 1루 땅볼로 선취점을 올렸다. 이후 소강상태 경기는 5회초에 LG쪽으로 분위기가 넘어간다. 양석환의 볼넷과 정상호의 안타, 손주인의 희생 번트로 만든 1사 2,3루에서 김용의의 좌중간 2루타로 2점을 추가했고, 박용택의 적시타로 LG는 5회초에 3점을 내며 달아났고, 6회초에는 오지환의 내야 안타와 채은성의 2루타로 만든 무사 2,3루에서 폭투와 정상호의 희생 플라이로 2점을 더 추가했다. LG는 7회초에도 김용의의 안타와 이천웅의 희생 번트, 박용택의 적시타로 1점 더 추가 승부에 사실상 쐐기를 박았다. 넥센은 LG보다 안타를 2개 더 때렸으나, 타선의 응집력이 아쉬웠다. 특히, 1회말과, 4회말에 두차레의 만루찬스를 살리지 못한 것이 뼈아팠다. 2차전[편집] 2016년 10월 14일 - 서울 고척스카이돔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0 0 0 0 0 0 0 1 0 1 4 0 1 넥센 히어로즈 ◄ 1 0 1 3 0 0 0 0 X 5 10 1 6 승리 투수 : 앤디 밴 헤켄  패전 투수 : 우규민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홈런 :  넥센 – 임병욱 (우규민 상대로 3회 1점) 2차전 MVP : 넥센 앤디 밴 헤켄 7.2이닝 1실점 1볼넷 5탈삼진 3피안타 (투구수 : 102개) 2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앤디 밴 헤켄이, LG에서는 우규민이 각각 등판했다. 2차전은 1차전과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1회말, 넥센은 고종욱의 안타와 김하성의 적시타로 선취점을 획득했고, 3회말에는 임병욱이 우중간을 넘어가는 솔로홈런(비거리: 125m)를 날리며, 2:0으로 앞서나갔다.(이 홈런은 서울 고척스카이돔구장의 포스트시즌 1호 홈런이 되었다.) 넥센은 4회말, 김민성과 이택근읜 연속안타와 박동원의 희생 번트, 임병욱의 볼넷으로 만든 1사 만루에서 서건창의 2타점 적시타와 고종욱의 1타점 적시타로 3점을 추가, 전날 두 차례의 만루 상황에서 타선이 터지지 않은 아쉬움을 날렸다. LG는 8회초에 1점을 만회했지만, 승부를 뒤집기에는 역부족이였고, 전날 불붙은 타격감이 하루 만에 식어버린 것이 아쉬웠다. 반면, 넥센은 선발 앤디 밴 헤켄에 7.2이닝 호투에 힘입어 시리즈를 원점으로 만들고, 승부는 잠실로 넘어가게 되었다. 3차전[편집] 2016년 10월 16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넥센 히어로즈 0 0 0 0 1 0 0 0 0 1 6 1 2 LG 트윈스 ◄ 0 0 0 2 0 0 2 0 X 4 9 0 6 승리 투수 : 데이비드 허프  패전 투수 : 신재영  세이브 : 임정우  홀드 : 정찬헌홈런 :  LG – 유강남 (4회 신재영 상대로 4회 2점) 3차전 MVP : LG 유강남 4타수 1안타 2타점 1득점 1홈런 (준PO 3차전 타율 : 0.250) 3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신재영이, LG에서는 데이비드 허프가 각각 등판했다. 4차전[편집] 2016년 10월 17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넥센 히어로즈 0 4 0 0 0 0 0 0 0 4 6 2 2 LG 트윈스 ◄ 0 0 2 0 2 0 0 1 X 5 13 0 4 승리 투수 : 정찬헌  패전 투수 : 김세현  세이브 : 임정우  홀드 : {{{홀드투수}}} 4차전 MVP : LG 이동현 2.1이닝 0실점 0볼넷 1탈삼진 0피안타 (투구수 : 26개) 4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스캇 맥그레거가, LG에서는 류제국이 각각 등판했다. 준플레이오프 MVP : 오지환 0.500 (12타수 6안타 4볼넷 3타점 2득점) 플레이오프[편집] 출장자 명단[편집] 팀 선수 명단 NC 다이노스 감독 - 김경문 코치 - 이동욱, 전준호, 최기문, 박승호, 최일언, 이광길, 구천서, 양승관 투수 - 임정호, 이민호, 재크 스튜어트, 에릭 해커, 배재환, 임창민, 원종현, 장현식, 김진성, 구창모, 최금강 포수 - 김태군, 용덕한 내야수 - 박민우, 모창민, 이상호, 지석훈, 손시헌, 에릭 테임즈, 박석민, 조영훈, 이호준 외야수 - 김준완, 김종호, 김성욱, 이종욱, 나성범, 권희동 LG 트윈스 감독 - 양상문 코치 - 서용빈, 김정민, 경헌호, 한혁수, 유지현, 강상수, 박종호, 최정우 투수 - 우규민, 류제국, 이동현, 임정우, 진해수, 정찬헌, 데이비드 허프, 김지용, 헨리 소사, 봉중근, 임찬규, 윤지웅 포수 - 유강남, 정상호 내야수 - 황목치승, 루이스 히메네스, 오지환, 손주인, 윤진호, 정성훈, 양석환, 서상우 외야수 - 김용의, 안익훈, 이천웅, 박용택, 문선재, 채은성 경기 기록[편집] 2016 타이어뱅크 KBO 플레이오프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관중수 경기 MVP 10월 21일(금) 1차전 LG 트윈스 2 - 3 NC 다이노스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18시 30분 11,000명 용덕한(NC 다이노스) 10월 22일(토) 2차전 LG 트윈스 0 - 2 NC 다이노스 14시 00분 11,000명 박석민(NC 다이노스) 10월 23일(일) 이동일 10월 24일(월) 3차전 NC 다이노스 1 - 2 LG 트윈스 서울 잠실 야구장 18시 30분 25,000명 양석환(LG 트윈스) 10월 25일(화) 4차전 NC 다이노스 8 - 3 LG 트윈스 18시 30분 25,000명 에릭 해커(NC 다이노스) 승리팀: NC 다이노스, 준플레이오프 MVP: 박석민(NC 다이노스) 1차전[편집] 2016년 10월 21일 -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0 0 0 0 0 0 1 1 0 2 3 0 5 NC 다이노스 ◄ 0 0 0 0 0 0 0 0 3 3 10 0 3 승리 투수 : 임창민  패전 투수 : 임정우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정찬헌, 진해수홈런 :  LG – 루이스 히메네스 (7회 에릭 해커 상대로 7회 1점), 정상호 (8회 에릭 해커 상대로 8회 1점) 1차전 MVP : NC 용덕한 1타수 1안타 1타점 (PO 1차전 타율 : 1.000) 1차전에서 NC에서는 에릭 해커가, LG에서는 헨리 소사가 각각 등판했다. 2차전[편집] 2016년 10월 22일 -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0 0 0 0 0 0 0 0 0 0 4 0 1 NC 다이노스 ◄ 0 0 0 0 0 0 2 0 X 2 5 1 1 승리 투수 : 재크 스튜어트  패전 투수 : 데이비드 허프  세이브 : 이민호  홀드 : 원종현홈런 :  NC – 박석민 (데이비드 허프 상대로 7회 2점) 2차전 MVP : NC 박석민 3타수 1안타 2타점 1득점 1홈런 (PO 2차전 타율 : 0.333) 2차전에서 NC에서는 재크 스튜어트가, LG에서는 데이비드 허프가 각각 등판했다. 3차전[편집] 2016년 10월 24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10 11 R H E B NC 다이노스 0 0 0 0 0 1 0 0 0 0 0 1 6 1 9 LG 트윈스 ◄ 1 0 0 0 0 0 0 0 0 0 1 2 6 1 16 승리 투수 : 임정우  패전 투수 : 김진성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 3차전 MVP : LG 양석환 1타수 1안타 1타점 (PO 3차전 타율 : 1.000) 3차전에서 NC에서는 장현식이, LG에서는 류제국이 각각 등판했다. 4차전[편집] 2016년 10월 25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NC 다이노스 ◄ 0 0 0 1 0 0 3 2 2 8 13 0 5 LG 트윈스 0 0 1 0 0 0 0 2 0 3 8 0 5 승리 투수 : 에릭 해커  패전 투수 : 데이비드 허프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홈런 :  NC – 에릭 테임즈 (우규민 상대 4회 1점), 박석민 (데이비드 허프 상대 7회 1점), 김성욱 (데이비드 허프 상대 7회 2점) 4차전 MVP : NC 에릭 해커 7이닝 1실점 3볼넷 1탈삼진 6피안타 (투구수 : 105개) 플레이오프 MVP : NC 박석민 0.222 (9타수 2안타 4볼넷 2홈런 3타점 3득점) 4차전에서 NC에서는 에릭 해커가, LG에서는 우규민이 각각 등판했다. 한국시리즈[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6년 한국시리즈입니다. 중계 일정[편집] 2016년 한국 프로 야구 포스트시즌은 다음과 같은 방송사로부터 중계방송되었다. TV 중계[편집] 와일드카드 결정전[편집] 1차전 SBS TV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녹화중계 KBS N 스포츠 - 캐스터: 이호근, 해설: 송진우 MBC SPORTS+ - 캐스터: 한명재, 해설: 박재홍 SPOTV - 캐스터: 최두영, 해설: 염종석 2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이종범 준플레이오프[편집] 1차전 KBS 2TV - 캐스터: 김현태, 해설: 이용철 2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정민철 3차전 SBS TV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4차전 SBS TV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플레이오프[편집] 1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정민철 2차전 KBS 2TV - 캐스터: 유지철, 해설: 이용철 3차전 주관방송사 Sky Sports - 캐스터: 임용수, 해설: 이효봉 옵튜브 중계 MBC SPORTS+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SBS Sports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KBS N 스포츠 - 캐스터: 강성철, 해설: 송진우, 장성호 SPOTV - 캐스터: 김민수 해설: 염종석 4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정민철, 이종범 라디오 중계[편집] 와일드카드 결정전[편집] KBS 제2라디오 - 캐스터: 유지철, 해설: 동봉철 준플레이오프[편집] 틀:없다 플레이오프[편집] 틀:없다 같이 보기[편집] 2016년 KBO 리그 2016년 한국시리즈 vdehKBO 포스트시즌1980년대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년대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년대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년대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vdeh 2016년 대한민국 야구 « 2015 2017 » 국내 리그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 한국시리즈) 퓨처스 리그 고교 야구 대한민국 고교야구 주말리그 황금사자기 청룡기 대통령배 봉황대기 제4회 대한야구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 대학 야구 KBA 회장기 춘계 추계 KBO 총재기 대통령기 대학야구선수권 아시안대회 아시아시리즈 KBO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6년_KBO_포스트시즌&oldid=24249273" 분류: KBO 포스트시즌2016년 야구2016년 대한민국2016년 10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20일 (월) 12: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16 타이어뱅크 KBO 포스트시즌은 2016년 10월 10일부터 11월 2일까지 실시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6년 KBO 포스트시즌에서 와일드카드 결정전의 경기상황과 결과는 어땠을까? Assistant: 2016 타이어뱅크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관중수 경기 MVP 어드밴티지 KIA 타이거즈 LG 트윈스 10월 10일(월) 1차전 KIA 타이거즈 4 - 2 LG 트윈스 서울 잠실 야구장 18시 30분 25,000명 헥터 노에시(KIA 타이거즈) 10월 11일(화) 2차전 KIA 타이거즈 0 - 1 LG 트윈스 18시 30분 25,000명 류제국(LG 트윈스) 승리팀: LG 트윈스
Human: 아래 유엔_안전_보장_이사회_이사국_목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이사국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이사국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상임이사국 5개국과 2년 임기의 비상임이사국 10개국 총 15개국으로 구성된다. 비상임이사국 10개국은 유엔 총회에서 실시되는 선거를 통해 선출되며 유엔 총회는 해마다 비상임이사국 10개국 가운데 5개국을 선거를 통해 새로 선출한다. 1965년까지는 상임이사국 5개국과 비상임이사국 6개국 총 11개국으로 구성되었다. 목차 1 현재의 안전 보장 이사회 1.1 상임이사국 1.2 비상임이사국 2 지역 그룹 2.1 이전의 안전 보장 이사회 구성 3 역대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 4 역대 안전 보장 이사회 비상임이사국 4.1 1946년-1965년 4.2 1966년-현재 5 이사국 재임 기간 6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된 기록이 없는 국가 7 같이 보기 8 각주 현재의 안전 보장 이사회[편집]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회원국 (2019년 기준) 지도      상임이사국      비상임이사국 상임이사국[편집] 국가 지역 그룹 임기 시작 중화인민공화국 아시아 태평양 지역 1971년 (중화민국이 보유하고 있던 상임이사국 의석을 승계함) 프랑스 서유럽과 기타 지역 1946년 러시아 동유럽 지역 1991년 (소련이 보유하고 있던 상임이사국 의석을 승계함) 영국 서유럽과 기타 지역 1946년 미국 서유럽과 기타 지역 1946년 비상임이사국[편집] 국가 지역 그룹 임기 시작 임기 종료 코트디부아르 아프리카 지역 2018년 2019년 적도 기니 아프리카 지역 2018년 2019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프리카 지역 2019년 2020년 쿠웨이트 아시아 태평양 지역 2018년 2019년 인도네시아 아시아 태평양 지역 2019년 2020년 벨기에 서유럽과 기타 지역 2019년 2020년 독일 서유럽과 기타 지역 2019년 2020년 폴란드 동유럽 지역 2018년 2019년 페루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2018년 2019년 도미니카 공화국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2019년 2020년 지역 그룹[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유엔 지역 그룹입니다.      아프리카 지역 그룹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      동유럽 지역 그룹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그룹      서유럽과 기타 지역 그룹      무소속      유엔 비회원국 또는 영토 유엔은 전체 회원국을 5개 그룹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비상임이사국 의석은 다음과 같은 비율로 선출된다. 아프리카 지역 그룹: 3개국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 2개국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그룹: 2개국 서유럽과 기타 지역 그룹: 2개국(최소한 1개국은 서유럽 국가) 동유럽(경제 이행 국가) 지역 그룹: 1개국 아랍 국가 1개국은 반드시 아프리카 지역 그룹,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 가운데 하나에 선출된다. 유엔 총회는 해마다 2년 임기의 비상임이사국 5개국을 선거를 통해 새로 선출하며 선거는 매년 10월 16일에 시작된다. 비상임이사국은 전체 회원국의 과반수 가운데 2/3 이상이 찬성하면 선출된다. 비상임이사국은 중임은 가능하지만 연임은 불가능하다. 선거 계획표 비상임이사국의 임기가 시작되는 연도 홀수 해 짝수 해 아프리카 1개국 2개국 * 아시아 태평양 1개국 1개국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1개국 1개국 서유럽과 기타 지역 2개국 없음 동유럽 없음 1개국 (*) 아랍 국가 1개국은 반드시 아프리카 지역 그룹,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 가운데 하나에 선출된다. 1968년부터 짝수 해에 아랍 국가 1개국에 배정된 비상임이사국 의석이 교체되는데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 쪽 아랍 국가 1개국의 비상임이사국 임기가 만료되면 아프리카 지역 그룹 쪽에서 아랍 국가 1개국이 선출되며 반대로 아프리카 지역 그룹 쪽 아랍 국가 1개국의 임기가 만료되면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 쪽에서 아랍 국가 1개국이 선출되는 방식으로 번갈아가면서 선출된다. 이전의 안전 보장 이사회 구성[편집] 1946년부터 1965년까지 안전 보장 이사회 비상임이사국 6개국은 다음과 같은 비율로 선출되었다. 라틴 아메리카: 2개국 영국 연방: 1개국 동유럽: 1개국 중동: 1개국 서유럽: 1개국 역대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편집] 연도 서유럽과 기타 지역 동유럽 지역 아시아 태평양 지역 1946년-1971년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 중화민국 1971년-1991년 중화인민공화국 1991년-현재 러시아 역대 안전 보장 이사회 비상임이사국[편집] 1946년-1965년[편집] 연도 라틴 아메리카 지역 영국 연방 지역 동유럽과 아시아 지역[1] 중동 지역 서유럽 지역 1946년 브라질 멕시코 오스트레일리아 폴란드 이집트 네덜란드 1947년 콜롬비아 시리아 벨기에 1948년 아르헨티나 캐나다 우크라이나 SSR 1949년 쿠바 이집트 노르웨이 1950년 에콰도르 인도 유고슬라비아 1951년 브라질 터키 네덜란드 1952년 칠레 파키스탄 그리스 1953년 콜롬비아 레바논 덴마크 1954년 브라질 뉴질랜드 터키 1955년 페루 이란 벨기에 1956년 쿠바 오스트레일리아 유고슬라비아 1957년 콜롬비아 필리핀 이라크 스웨덴 1958년 파나마 캐나다 일본 1959년 아르헨티나 튀니지 이탈리아 1960년 에콰도르 실론 폴란드 1961년 칠레 터키 아랍 연합 공화국 라이베리아[2] 1962년 베네수엘라 가나 루마니아 아일랜드 1963년 브라질 필리핀 모로코[3] 노르웨이 1964년 볼리비아 코트디부아르[4] 체코슬로바키아 1965년 우루과이 말레이시아 요르단 네덜란드 1966년-현재[편집] 연도 아프리카 지역 * 아랍 국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 * 아랍 국가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서유럽과 기타 지역 동유럽 지역 1966년 말리 나이지리아 우간다 일본 요르단 *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네덜란드 뉴질랜드 불가리아 1967년 에티오피아 인도 브라질 캐나다 덴마크 1968년 알제리 * 세네갈 파키스탄 파라과이 헝가리 1969년 잠비아 네팔 콜롬비아 핀란드 스페인 1970년 부룬디 시에라리온 시리아 * 니카라과 폴란드 1971년 소말리아 일본 아르헨티나 벨기에 이탈리아 1972년 기니 수단 * 인도 파나마 유고슬라비아 1973년 케냐 인도네시아 페루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리아 1974년 카메룬 모리타니 이라크 * 코스타리카 벨로루시 SSR 1975년 탄자니아 일본 가이아나 이탈리아 스웨덴 1976년 베냉 리비아 * 파키스탄 파나마 루마니아 1977년 모리타니 인도 베네수엘라 캐나다 서독 1978년 가봉 나이지리아 쿠웨이트 * 볼리비아 체코슬로바키아 1979년 잠비아 방글라데시 자메이카 노르웨이 포르투갈 1980년 니제르 튀니지 * 필리핀 멕시코 동독 1981년 우간다 일본 파나마 아일랜드 스페인 1982년 토고 자이르 요르단 * 가이아나 폴란드 1983년 짐바브웨 파키스탄 니카라과 몰타 네덜란드 1984년 부르키나파소[5] 이집트 * 인도 페루 우크라이나 SSR 1985년 마다가스카르 태국 트리니다드 토바고 오스트레일리아 덴마크 1986년 콩고 가나 아랍에미리트 * 베네수엘라 불가리아 1987년 잠비아 일본 아르헨티나 서독 이탈리아 1988년 알제리 * 세네갈 네팔 브라질 유고슬라비아 1989년 에티오피아 말레이시아 콜롬비아 캐나다 핀란드 1990년 코트디부아르 자이르 예멘 *[6] 쿠바 루마니아 1991년 짐바브웨 인도 에콰도르 오스트리아 벨기에 1992년 카보베르데 모로코 * 일본 베네수엘라 헝가리 1993년 지부티 파키스탄 브라질 뉴질랜드 스페인 1994년 나이지리아 르완다 오만 * 아르헨티나 체코 1995년 보츠와나 인도네시아 온두라스 독일 이탈리아 1996년 이집트 * 기니비사우 대한민국 칠레 폴란드 1997년 케냐 일본 코스타리카 포르투갈 스웨덴 1998년 가봉 감비아 바레인 * 브라질 슬로베니아 1999년 나미비아 말레이시아 아르헨티나 캐나다 네덜란드 2000년 말리 튀니지 * 방글라데시 자메이카 우크라이나 2001년 모리셔스 싱가포르 콜롬비아 아일랜드 노르웨이 2002년 카메룬 기니 시리아 * 멕시코 불가리아 2003년 앙골라 파키스탄 칠레 독일 스페인 2004년 알제리 * 베냉 필리핀 브라질 루마니아 2005년 탄자니아 일본 아르헨티나 덴마크 그리스 2006년 가나 콩고 공화국 카타르 * 페루 슬로바키아 2007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도네시아 파나마 벨기에 이탈리아 2008년 부르키나파소 리비아 * 베트남 코스타리카 크로아티아 2009년 우간다 일본 멕시코 터키 오스트리아 2010년 가봉 나이지리아 레바논 * 브라질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011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도 콜롬비아 독일 포르투갈 2012년 모로코 * 토고 파키스탄 과테말라 아제르바이잔 2013년 르완다 대한민국 아르헨티나 오스트레일리아 룩셈부르크 2014년 차드 나이지리아 요르단 *[7] 칠레 리투아니아 2015년 앙골라 말레이시아 베네수엘라 뉴질랜드 스페인 2016년 이집트 * 세네갈 일본 우루과이 우크라이나 2017년 에티오피아 카자흐스탄 볼리비아 이탈리아[8] 스웨덴 2018년 코트디부아르 적도 기니 쿠웨이트 * 페루 네덜란드[8] 폴란드 2019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도네시아 도미니카 공화국 독일 벨기에 2020년 니제르 튀니지 * 베트남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에스토니아 이사국 재임 기간[편집]      상임이사국      2019년 비상임이사국      옛 유엔 회원국 연도 국가 첫 임기 연도 최근의 임기 연도 지역 그룹 각주 74년 프랑스 1946년 2020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상임이사국. 74년 영국 1946년 2020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상임이사국. 74년 미국 1946년 2020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상임이사국. 48년 중화인민공화국 1971년 2020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상임이사국. 46년 소련 1946년 1991년 동유럽 지역 옛 상임이사국. 러시아가 승계함. 28년 러시아 1991년 2020년 동유럽 지역 상임이사국. 26년 중화민국 1946년 1971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옛 상임이사국. 중화인민공화국이 승계함. 22년 일본 1958년 2017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20년 브라질 1946년 2011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18년 아르헨티나 1948년 2014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14년 콜롬비아 1947년 2012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14년 인도 1950년 2012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14년 파키스탄 1952년 2013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13년 이탈리아 1959년 2017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12년 벨기에 1947년 2020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12년 캐나다 1948년 2000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12년 독일 1977년 2020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서독 시대의 임기 4년 포함. 11년 폴란드 1946년 2019년 동유럽 지역 10년 오스트레일리아 1946년 2014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10년 칠레 1952년 2015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10년 네덜란드 1946년 2018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10년 나이지리아 1966년 2015년 아프리카 지역 10년 파나마 1958년 2008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10년 페루 1955년 2019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10년 스페인 1969년 2016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10년 베네수엘라 1962년 2016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9년 이집트 1946년 2017년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아랍 연합 공화국 시대의 임기 2년 포함. 8년 덴마크 1953년 2006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8년 인도네시아 1973년 2020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8년 노르웨이 1949년 2002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8년 우크라이나 1948년 2017년 동유럽 지역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임기 4년 포함. 7년 말레이시아 1965년 2016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7년 멕시코 1946년 2010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7년 뉴질랜드 1954년 2016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7년 루마니아 1962년 2005년 동유럽 지역 7년 터키 1951년 2010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7년 유고슬라비아 1950년 1989년 동유럽 지역 현재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세르비아, 슬로베니아에 걸쳐 있었음. 6년 알제리 1968년 1989년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6년 오스트리아 1973년 2010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6년 볼리비아 1964년 2018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6년 불가리아 1966년 2003년 동유럽 지역 6년 코스타리카 1974년 2009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6년 코트디부아르 1964년 2019년 아프리카 지역 6년 쿠바 1949년 1991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6년 에콰도르 1950년 1992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6년 에티오피아 1967년 2018년 아프리카 지역 6년 가봉 1978년 2011년 아프리카 지역 6년 가나 1962년 2007년 아프리카 지역 6년 요르단 1965년 2015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6년 모로코 1963년 2013년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6년 필리핀 1957년 2004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6년 포르투갈 1979년 2012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6년 세네갈 1968년 2017년 아프리카 지역 6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2007년 2020년 아프리카 지역 6년 스웨덴 1957년 2018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6년 시리아 1947년 2003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아랍 연합 공화국 시대의 임기 1년 포함. 6년 튀니지 1959년 2003년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6년 잠비아 1969년 1988년 아프리카 지역 5년 아일랜드 1962년 2002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5년 우간다 1966년 2010년 아프리카 지역 4년 앙골라 2003년 2016년 아프리카 지역 4년 방글라데시 1979년 2001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4년 베냉 1976년 2005년 아프리카 지역 4년 부르키나파소 1984년 2009년 아프리카 지역 첫 임기 7개월 동안에는 오트볼타라는 이름을 사용했음. 4년 카메룬 1974년 2003년 아프리카 지역 4년 핀란드 1969년 1990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4년 그리스 1952년 2006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4년 기니 1972년 2003년 아프리카 지역 4년 가이아나 1975년 1983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4년 헝가리 1968년 1993년 동유럽 지역 4년 이라크 1957년 1975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4년 자메이카 1979년 2001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4년 케냐 1973년 1998년 아프리카 지역 4년 쿠웨이트 1978년 2019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4년 레바논 1953년 2011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4년 리비아 1976년 2009년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4년 말리 1966년 2001년 아프리카 지역 4년 모리셔스 1977년 2002년 아프리카 지역 4년 네팔 1969년 1989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4년 니카라과 1970년 1984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4년 콩고 공화국 1986년 2007년 아프리카 지역 4년 대한민국 1996년 2014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4년 르완다 1994년 2014년 아프리카 지역 4년 탄자니아 1975년 2006년 아프리카 지역 4년 토고 1982년 2013년 아프리카 지역 4년 우루과이 1965년 2017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4년 자이르 1982년 1991년 아프리카 지역 현재의 콩고 민주 공화국. 4년 짐바브웨 1983년 1992년 아프리카 지역 3년 체코슬로바키아 1964년 1979년 동유럽 지역 현재의 체코, 슬로바키아에 걸쳐 있었음. 2년 아제르바이잔 2012년 2013년 동유럽 지역 2년 바레인 1998년 1999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2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010년 2011년 동유럽 지역 2년 보츠와나 1995년 1996년 아프리카 지역 2년 부룬디 1970년 1971년 아프리카 지역 2년 벨로루시 SSR 1974년 1975년 동유럽 지역 현재의 벨라루스. 2년 카보베르데 1992년 1993년 아프리카 지역 2년 실론 1960년 1961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현재의 스리랑카. 2년 차드 2014년 2015년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2년 크로아티아 2008년 2009년 동유럽 지역 2년 체코 1994년 1995년 동유럽 지역 2년 지부티 1993년 1994년 아프리카 지역 2년 도미니카 공화국 2019년 2020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2년 감비아 1998년 1999년 아프리카 지역 2년 동독 1980년 1981년 동유럽 지역 2년 적도 기니 2018년 2019년 아프리카 지역 2년 과테말라 2012년 2013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2년 기니비사우 1996년 1997년 아프리카 지역 2년 온두라스 1995년 1996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2년 이란 1955년 1956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2년 카자흐스탄 2017년 2018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2년 리투아니아 2014년 2015년 동유럽 지역 2년 룩셈부르크 2013년 2014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2년 마다가스카르 1985년 1986년 아프리카 지역 2년 몰타 1983년 1984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2년 모리타니 1974년 1975년 아프리카 지역 2년 나미비아 1999년 2000년 아프리카 지역 2년 니제르 1980년 1981년 아프리카 지역 2년 오만 1994년 1995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2년 파라과이 1968년 1969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2년 시에라리온 1970년 1971년 아프리카 지역 2년 싱가포르 2001년 2002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2년 슬로바키아 2006년 2007년 동유럽 지역 2년 슬로베니아 1998년 1999년 동유럽 지역 2년 소말리아 1971년 1972년 아프리카 지역 2년 수단 1972년 1973년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2년 태국 1985년 1986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2년 트리니다드 토바고 1985년 1986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2년 카타르 2006년 2007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2년 아랍에미리트 1986년 1987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2년 아랍 연합 공화국 1961년 1962년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현재의 이집트, 시리아에 걸쳐 있었음. 2년 베트남 2008년 2009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2년 예멘 1990년 1991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선출 당시부터 첫 임기 5개월 동안에는 남예멘이었음. 남예멘이 북예멘(예멘 아랍 공화국)과 통일된 이후에도 그 자리를 승계받았음. 1년 라이베리아 1961년 1961년 아프리카 지역 임기 1년만 역임하고 사퇴함.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된 기록이 없는 국가[편집] 다음은 유엔 회원국 가운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된 기록이 없는 국가들이다.      옛 유엔 회원국 국가 지역 그룹 아프가니스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알바니아 동유럽 지역 안도라 서유럽과 기타 지역 앤티가 바부다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아르메니아 동유럽 지역 바하마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바베이도스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벨리즈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부탄 아시아 태평양 지역 브루나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 캄보디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아프리카 지역 코모로 아프리카 지역 키프로스 아시아 태평양 지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아시아 태평양 지역 도미니카 연방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엘살바도르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에리트레아 아프리카 지역 에스토니아 동유럽 지역 에스와티니 아프리카 지역 피지 아시아 태평양 지역 조지아 동유럽 지역 그레나다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아이티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아이슬란드 서유럽과 기타 지역 이스라엘 서유럽과 기타 지역 키리바시 무소속 키르기스스탄 아시아 태평양 지역 라오스 아시아 태평양 지역 라트비아 동유럽 지역 레소토 아프리카 지역 리히텐슈타인 서유럽과 기타 지역 말라위 아프리카 지역 몰디브 아시아 태평양 지역 마셜 제도 아시아 태평양 지역 미크로네시아 연방 아시아 태평양 지역 몰도바 동유럽 지역 모나코 서유럽과 기타 지역 몽골 아시아 태평양 지역 몬테네그로 동유럽 지역 모잠비크 아프리카 지역 미얀마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나우루 아시아 태평양 지역 북마케도니아 동유럽 지역 팔라우 아시아 태평양 지역 파푸아뉴기니 아시아 태평양 지역 세인트키츠 네비스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세인트루시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사모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산마리노 서유럽과 기타 지역 상투메 프린시페 아프리카 지역 사우디아라비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세르비아 동유럽 지역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동유럽 지역 세이셸 아프리카 지역 솔로몬 제도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남수단 아프리카 지역 수리남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스위스 서유럽과 기타 지역 타지키스탄 아시아 태평양 지역 탕가니카 영국 연방 지역 동티모르 아시아 태평양 지역 통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 투르크메니스탄 아시아 태평양 지역 투발루 아시아 태평양 지역 우즈베키스탄 아시아 태평양 지역 바누아투 아시아 태평양 지역 잔지바르 영국 연방 지역 같이 보기[편집] 유엔 회원국 각주[편집] ↑ 동유럽 지역 대표 의석과 아시아 지역 대표 의석은 1956년까지 단일 의석이었다. ↑ 라이베리아는 1961년에 서유럽 대표로 선출되었다. ↑ 모로코는 1963년부터 1964년까지 중동 대표로 선출되었다. ↑ 코트디부아르는 1964년부터 1965년까지 영국 연방 대표로 선출되었다. ↑ 1984년 8월까지의 국명은 오트볼타 공화국이었다. ↑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되던 당시에는 남예멘이었으며 1990년 5월 남예멘과 북예멘이 통일되면서 예멘이 되었다. ↑ 사우디아라비아는 2013년 유엔 총회에서 실시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비상임이사국 선거를 통해 선출되었지만 유엔 안전 보장이사회가 중동 분쟁 해결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거절했다. 이에 따라 요르단이 사우디아라비아를 대신하여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되었다. ↑ 가 나 2016년 유엔 총회에서 실시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비상임이사국 선거에서 이탈리아와 네덜란드는 비상임이사국의 2년 임기를 각각 1년씩 나누기로 합의했다. 이탈리아의 비상임이사국 임기는 2017년 1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네덜란드의 비상임이사국 임기는 2018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이다. vdeh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UNSC) 이사국 상임이사국 러시아 미국 영국 중화인민공화국 프랑스 비상임이사국 코트디부아르 적도 기니 쿠웨이트 폴란드 페루 (2018년 1월 1일 ~ 2019년 12월 31일) 도미니카 공화국 벨기에 독일 인도네시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9년 1월 1일 ~ 2020년 12월 31일) vdeh 유엔주요 기구 총회(→ 의장) 안전 보장 이사회(→ 이사국) 경제 사회 이사회 신탁 통치 이사회 국제사법재판소 사무국 사무총장 사무부총장 주요 본부 뉴욕 (본부) 나이로비 빈 제네바 기금 및 계획 유니세프(UNICEF) 유엔 개발 계획(UNDP) 유엔 난민 기구(UNHCR) 세계 식량 계획(WFP) 유엔 마약 범죄 사무소(UNODC) 유엔 인구 기금(UNFPA) 유엔 무역 개발 회의(UNCTAD) 유엔 환경 계획(UNEP) 유엔 팔레스타인 난민 구호 사업 기구(UNRWA) 유엔 여성기구(UN Women) 유엔 인간 주거 계획(UN-Habitat) 전문 기구 세계은행(World Bank) 국제 통화 기금(IMF) 세계 보건 기구(WHO) 유네스코(UNESCO) 국제 노동 기구(ILO) 식량 농업 기구(FAO) 국제 농업 개발 기금(IFAD) 국제 해사 기구(IMO) 세계 기상 기구(WMO) 세계 지식 재산권 기구(WIPO) 국제 민간 항공 기구(ICAO)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 유엔 산업 개발 기구(UNIDO) 만국 우편 연합(UPU) 세계 관광 기구(UNWTO) 기타 기구 유엔 에이즈 합동 계획(UNAIDS) 유엔 재해 경감 국제 전략(UNISDR) 유엔 프로젝트 조달 기구(UNOPS) 관련 기구 국제 원자력 기구(IAEA) 세계 무역 기구(WTO)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 기구(CTBTO) 화학 무기 금지 기구(OPCW) 국제 형사 재판소(ICC) 국제 무역 센터(ITC) 회원국 정회원 옵서버 역사 국제 연맹 대서양 헌장 연합국 공동 선언 유엔(UN) 회원국 확장의 역사 결의안 총회 결의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관련 항목 유엔 헌장 유엔기 유엔의 날 국제 기념일 유엔 글로벌 콤팩트 유엔 기념 공원 밀레니엄 개발 목표 지속가능 개발 목표 유엔 대학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유엔_안전_보장_이사회_이사국_목록&oldid=24511000" 분류: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lovenčinaSoomaaligaไทยاردو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21: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상임이사국 5개국과 2년 임기의 비상임이사국 10개국 총 15개국으로 구성된다. 비상임이사국 10개국은 유엔 총회에서 실시되는 선거를 통해 선출되며 유엔 총회는 해마다 비상임이사국 10개국 가운데 5개국을 선거를 통해 새로 선출한다. 1965년까지는 상임이사국 5개국과 비상임이사국 6개국 총 11개국으로 구성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이사국 중 2019년 기준 현재 비상임이사국인 국가들의 정보는 무엇인가? Assistant: 국가 지역 그룹 임기 시작 임기 종료 코트디부아르 아프리카 지역 2018년 2019년 적도 기니 아프리카 지역 2018년 2019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프리카 지역 2019년 2020년 쿠웨이트 아시아 태평양 지역 2018년 2019년 인도네시아 아시아 태평양 지역 2019년 2020년 벨기에 서유럽과 기타 지역 2019년 2020년 독일 서유럽과 기타 지역 2019년 2020년 폴란드 동유럽 지역 2018년 2019년 페루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2018년 2019년 도미니카 공화국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2019년 2020년 Human: 아래 한국창조과학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한국창조과학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창조과학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의사과학(유사과학) 의사과학의 문제점 과학적 사실 왜곡 데이터의 조작 과학적 방법론의 부재 반지성주의의 조장 가짜뉴스의 유포 연구 부정행위 의사과학의 분류 원형과학 쓰레기과학 반과학 화물숭배과학 과거의 원형과학 연금술 점성술 대체의학 의사과학/사이비과학 (쓰레기과학) 창조과학 젊은 지구 창조설 지적 설계 환원 불가능한 복잡성 게임뇌 평평한 지구설 골상학 논란의 대상 피라미드 파워 육각수 (물) 물은 답을 알고있다. 지구공동설 초심리학 혈액형 성격설 관상학 정신분석학 세포 기억설 바이오리듬 켐트레일 유사의학 대체 암 치료법 동종요법 해독 안티백신 안아키 정치 현상과 매개한 경우 전환 치료 성적 지향 전환 시도 의사과학 단체 한국창조과학회 평평한 지구 학회 v • d • e • h 한국창조과학회(韓國創造科學會, 영어: Korean Association of Creationism Research)는 기독교 근본주의에 기초하여 기독교적 세계관을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한국 개신교 계열의 종교적 반과학 단체이다. 이들은 반지성주의에 입각해 창조과학이라는 사이비과학을 이용하며, 진화학을 비롯해 이미 증명된 과학들을 반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들은 축자영감설에 따라 구약성서의 창세기에 나오는 천지창조가 문자적으로 사실이며, 젊은 지구설이 창조과학적으로 입증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바탕으로, 이들은 과학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창조주의(Creationism)가 포함되기를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진화를 포함하여 자연에서 관찰되는 사실들을 부정하며, 학술적인 연구 실적이 없어 과학 학회로 볼 수는 없다. 일반적으로 학계에서는 과학을 부정하는 종교적 반과학 단체로 보고 있다.[1] 목차 1 역사 1.1 연혁 2 주장 3 청소년 대상 교육활동 4 비판 4.1 과학 학회로서의 논란 4.2 편향적이고 정치적인 교과서 개정 시도 4.3 근본주의 개신교 4.4 낮은 신빙성과 의도적인 왜곡 4.5 가짜뉴스의 유포 4.6 청소년에 대한 의사과학교육 4.7 창조과학 운동에 대한 각계의 반대 성명 5 같이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80년 8월 12일에서 15일 사이에 제칠일안식교의 조지 맥크리디 프라이스가 저술한 '새로운 지질학'이란 책의 의사과학적인 주장에 영향을 받은 미국 창조과학회의 헨리 M 모리스(Henry M. Morris)와 듀안 T. 기쉬(Duane T. Gish)와 같은 사람들이 한국을 방문하여 창조과학을 전파하였고, 이에 조직신학자 안명준이 제안하여[2][3] 당시 진화생물학 및 우주천문학과 연관성이 적은 이공계 전공자들 중 반도체물리학자 양승훈이[4], 재료공학자 김영길 교수를 초대 회장으로 하여 식물생리학자 이웅상교수와 함께 1981년 1월 31일에 한국창조과학회를 설립하였다.[5][6] 일반적으로 현대 지질학에 대한 반대로 시작되었지만 초기에 진화생물학, 지질학 및 천문학 분야의 전공자가 없는 상태에서 출발하여 학문적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근본주의적 축자영감설의 해석을 추종하며 우주 및 지구 연대를 6천년-1만년 등으로 매우 짧다고 주장하는 젋은 지구 창조설을 주장하는 단체로 알려져 있다. 기독교 창조론을 과학적으로 증명하려는 태도로 인해 천문학과 생물학 그리고 지질학계의 정설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주장을 하고 있으며, 실제 과학적 관점과는 전혀 동떨어진 유사과학적인 관점으로 비판을 받고 있다.[7] 또한 진화생물학을 특정하여 이에 "반대한다"는 주장은 기존의 조지 맥크리디 프라이스의 홍수지질학에 더불어 조나단 웰스의 영향을 받은 통일교적 기원을 갖고 있기에 초반에 이 단체는 통일교와 관련되었다고 알려져 있었다. 창조과학회는 후에 이것이 오해라고 해명하려 했으나[8][9][10] 바이오로고스를 비롯한 신학단체에서는 조나단 웰스에서 기원한 창조과학회의 안티진화생물학 주장이 문선명에 의한 직접적인 교시에 의한 것임을 명시하여[11] 이것이 반기독교적임을 재차 강조하고 있다. 이를 통해 창조과학은 사실상 통일교와 제7일 안식교에 의해 그 핵심 논리의 기반이 만들어진 것임을 보여준다. 이들의 반기독교적 근본과 반과학성 때문에 창조과학회의 최초 설립자였던 물리학자 양승훈과 조직신학자 안명준 등은 이를 지적했지만 창조과학회는 이들을 배척했고, 따라서 이들은 창조과학회를 탈퇴하게 되었다.[12] 하지만 이들이 주장하는 오랜 지구 창조설 역시 진화를 비롯한 명백한 과학적 사실을 부정하기에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13] 연혁[편집] 1981년 1월 31일: 한국창조과학회 창립 1990년 11월 12일: 사단법인 한국창조과학회 설립인가 1997년 9월: 한국창조과학회 홈페이지 개설 주장[편집] 한국창조과학회의 주장은 일반적으로 일치되지 않거나, 내부에서도 여러가지 충돌이 있지만, 가장 기본적인 주장만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성경은 절대적으로 옳으며 역사적, 과학적 사실을 담고 있다.[14] 진화론은 무신론적이며 인본주의적이므로 복음 전파의 장애물이다.[15] 진화는 거짓이다.[16] 현대 과학이 서술하는 자연사가 완전히 틀렸다는 것이 계속해서 증명되고 있다.[17] 축자영감설에 입각하여 젊은 지구 창조설을 입증하는 창조과학만이 현대 과학의 올바른 대안이다.[18] 공교육기관에서도 진화론 대신 기독교 창조론을 과학 시간에 가르쳐야 한다.[19] 청소년 대상 교육활동[편집] 한국창조과학회에서는 "차세대사역"의 일환으로[20] 창조과학의 명칭을 "착한과학"으로 변형하여 2013년부터 중고생들 대상으로 창조과학 동아리 지원, 진로탐방, 창조과학회 참여자들에 의한 강연, 창조과학 탐사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21][22] 2014년까지 한국창조과학회에서는 이 교육프로그램에 "착한과학 프로젝트"라는 명칭을 사용하였으나 2015년에 그 명칭을 다시 "창조실험과학"으로 재변경하였다.[23] 이와 관련하여 한국창조과학회는 출판, 미디어제작, 자료보급과 함께 청소년 대상 창조과학 교육 프로그램을 담당할 주식회사 착한과학을 설립하여 운영을 시작하였다.[24][25][26] 비판[편집] 창조과학회는 과학적으로 이미 명백한 사실로 밝혀진 진화[27][28][29]를 비롯하여 다양한 과학적 사실들을 부정하므로, 모든 양심적인 과학자들은 창조과학회의 주장을 일종의 사이비과학으로 보고 있으며[30], 이는 기독교를 포함한 종교계에 종사하는 사람들도 마찬가지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의사과학으로서 이미 위치가 정해진 창조과학의 한계와, 유신진화론 등으로 과학과 충분히 대립하지 않을 수 있는 창조주의를 유사과학적 틀에 가두어 버림으로서 기독교를 반지성주의에 물들게 하고 신학적 깊이를 얕게 만들었기 때문이다.[31] 과학 학회로서의 논란[편집] 이들은 논문의 인용에 있어서 많은 오류를 범하며, 논리의 비약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또한, 이 단체의 직접적인 연구는 전무하며, 과학계에 출판된 과학논문이 단 한개도 알려진 바가 없다. 또한, 내용의 과학적 자문 없이 어린이용 서적도 만들어 논란이 있다.[32] 심각한 것은 진화가 명백한 사실로 증명된 현재에 이를 부정하기 위해 사실과 다른 주장들을 아이들에게 주입하는 것은 아이들에게 반지성주의를 유발시킬 수 있는 큰 문제를 낳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런 문제점들을 지적하며, 창조과학회가 과학학회가 아님을 분명히 이야기하고 있다.[33] 심지어는 종분화가 대진화와 같은 정의를 가짐에도 이것이 다르다는 식의 억지 주장들을 함으로서, 과학계에서 기본적으로 가진 정의들을 왜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편향적이고 정치적인 교과서 개정 시도[편집] 한국창조과학회는 기독교 창조론을 정규 과학과목 교과서에 포함시켜 가르쳐야 한다며 학술연구 결과에 의한 주장이 아니라 헌법소원 등의 과학 외적인 방법으로 교육계에 압력을 행사하고 있다.[34] 그러나 이는 대한민국 헌법 제20조 2항의 정교분리 원칙[35] 을 무시하는 행위이며, 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사례로 미국 수정 헌법 제1조에 명시된 정교분리의 원칙[36] 에 입각하여 지적설계론 및 기독교 창조론을 초·중등 과정의 과학교육 시간에 가르치도록 강제하는 것은 위헌이라는 판례가 존재한다.[37] 근본주의 개신교[편집] 한국창조과학회는 젊은 지구 창조론을 지지하며 이를 과학적으로 증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결성된 단체이며 안식일교 계열의 기독교 근본주의에서 지지하는 축자영감설에 기초한 기독교 세계관만을 고집하기 때문에, 현대과학의 연구 성과에 상대적으로 타협적인 오랜 지구 창조론 및 지적설계론은 지지하지 않는다. 지구의 나이에 대해서는 창조과학 내에서도 의견이 엇갈린다고는 하지만 한국창조과학회의 핵심적인 인물들은 기독교 성경의 창세기 1장 및 2장에 기술된 6일간의 천지창조를 글자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는 모든 입장에 대해서 "신앙이 과학에 타협한 결과"라고 비난하고 있다.[38] 또한 한국창조과학회는 젊은 지구 창조설을 지지하지 않고 오랜 지구 창조설을 지지한다는 이유로 2008년에 한국창조과학회의 창립 멤버인 양승훈 교수를 제명한 바 있다.[18][39][40] 무엇보다, 창조과학의 지지자들은 창조과학에 대해 반증 가능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과학적인 의미가 있는 토론과 논쟁이 불가능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18][41] 낮은 신빙성과 의도적인 왜곡[편집] 창조과학회에서는 진화론이 단지 진화 생물학만이 아니라 빅뱅 이론, 화학진화, 고고학, 천문학, 지질학 등의 넓은 분야에 걸쳐 있다는 주장을 하나, 이는 논리의 비약으로 끊임없이 지적받고 있다. 때때로 창조과학회에서는 다른 과학 논문을 인용하기도 하나, 원래의 내용을 왜곡하거나, 일부만 체리 피킹하여 사용하는 등의 행위를 보이고 있다. 다음은 창조과학회에서 인용하는 논문 중 문제가 되고 있는 주제의 예시들이다. 달의 충돌구에 관한 새로운 과학적 발견을 가지고, 이것이 달의 나이, 지구의 나이 및 진화론에 위협이 된다는 주장을 아무런 인용없이 했다.[42] 창조과학회는 달 표토의 헬륨-3 함유량과 달의 나이에 대한 글을 쓰면서 "RATE에서 태양의 활동은 훨씬 더 왕성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는 점이나 "필자의 생각에는 양성자 평균 밀도에 대한 H-3의 기여를 2×10^-5, He-3의 기여를 1/12×1.6×10^-4로 가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주장하는 점에 대해 아무런 이유 제시도, 인용도 하지 않아 논란이 있다.[43] 창조과학회는 캄브리아기의 대폭발 현상에 대해 이것이 창조설의 근거인 듯이 글을 서술했으나,[44], 에디아카라 동물군의 발견으로, 캄브리아기의 대폭발이 받아들여지지 않게 되자 이 발견이 진화론의 기초를 무너뜨린다고 주장했다.[45] 그런데, 여기에서 이들이 인용한 논문들은 진화의 과정을 연구하는 내용이며, 긴시간에 걸쳐 진화한 모습들을 서술한다.[46][47] 창조과학회는 굴의 진화에 관한 논문을 인용하며, 굴의 진화가 잘못되었고, 그저 주변의 환경에 따라 다른 무늬가 되는거라고 주장하였으나[48], 그들이 글에서 언급한 1922년 원본 논문과 재발견 논문, 그리고 인용된 서적에는 이 발견이 쥬라기 시절 굴의 화석이며, 다른 서식지에 따라 다르게 진화해 온 과정을 이야기하고 있다.[49][50][51] 창조과학회는 현화식물의 화분에 대해 고식물학적 수수께끼이며, 새로 발견된 화분의 화석으로 진화론을 부정한다고 쓰고 있는데[52], 이 화석을 발견한 실제 논문을 보면, 이것은 초기 단계의 현화식물 진화를 증명하는 매우 중요한 증거가 된다고 쓰여있다.[53] 창조과학회는 고대 지구에선 산소의 양이 많았다고 주장하며 밀러 실험과 화학진화를 비판하는 글을 썼다[54]. 그러나 이 주장에 나온 인용 자료는 산소가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관한 내용이었다[55]. 창조과학회는 원시대기를 산화성이라고 주장했으나, 2011 논문에서는, 달의 대기 분석을 통해 원시대기가 환원성이었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었다[56]. 창조과학회에서는 또한 쥐라기에서 다람쥐와 유사한 포유류 화석이 발견된 것을 가지고, "그들이 다람쥐처럼 보였다면, 아마도 그들은 다람쥐였을 것이다."라는 비약을 하며, 이것이 진화론적 패러다임과 들어맞지 않는 이유라고 했다[57]. 인용한 논문을 보면, 이것은 다람쥐와 유사한 포유류일 뿐 다람쥐는 아니며, 이 화석은 중이의 뼈 형태가 포유류의 진화를 지지한다고 나와있다.[58] 또한, 과학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왜곡하여, 진화에 영향을 주는 항시 증가하는 유전정보(과학에서의 정의는 유전자 다양성)가 증가하지 않는다는 비주류 주장을 펼치는데, 이러한 잘못된 주장에서 재정의하는 유전정보는 유전자의 총량, 새로운 기능, 유전체의 총량을 섞어쓰며, 각각의 분리된 정의에서의 정보는 항시 증가한다는 점은 이미 알려진 부분이다[59]. 예를 들어 새로운 기능이 형성되는 겸형 적혈구 유전자나 대장균의 장기간 진화 실험에 대해서는 유전자의 총량이 증가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유전체의 총량이 증가하는 유전자 중복과 같은 현상에서는 새로운 기능이 생기지 않았다고 증가하며, 유전자의 총량이 증가하는 트랜스포존과 같은 것에서는 유전체의 총량이 증가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심지어는 셋 모두가 증가하는 플라스미드나 용원성 생활사 바이러스의 예에서는 이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주장을 한다. 또한, ENCODE project의 정의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마치 정크 DNA라는 개념이 사라졌다고 주장하기까지 하는 것이다. (Junk DNA는 유전자가 아닌 부분을 이야기하는 것이며, 그 기능이 있다고 해서 앞의 유전자 중복과 같은 현상들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다.)[60] 이와 비슷한 주장으로 "이로운 변이가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식의 주장도 있는데, 이 역시 위의 유전정보에 대한 주장과 마찬가지로 어떠한 근거도 없는 주장으로서, 변이의 유리함과 불리함은 환경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므로 모든 변이는 유리한 변이가 될 수도, 불리한 변이가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이용한 말장난에 가깝다. 이들은 초파리의 변이의 한 종류인 안테나페디아의 사진을 공개하면서 이것이 불리한 변이라고 주장하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로 이 변이 역시 특정 환경에서는 유리한 변이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61] 창조과학회에서는 마치 과학자들이 새로운 발견을 했을 때 이것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 것처럼 주장하는 경향도 있으며, 이럴 경우 의도적으로 원 논문에 대한 인용을 피하고 기사만을 인용하는 등 악질적인 왜곡을 서슴치 않는다. 창조과학회의 추종자들은 한 창조가 이 세상의 근원이라고 주장하는 단체라고 주장하며, DNA 연구를 왜곡한다. 네안데르탈인과 인간에 관한 DNA 연구와 통하여 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이 상호 교배가 가능했음이 밝혀졌음에도, 이들은 그냥 두개의 다른 종이라고 주장하며, 다지역 기원설이 힘을 얻는 와중에도 한 지역의 인류가 전세계로 급격히 퍼졌음을 압도적으로 지지하고 있다고 오래된 주장을 한다. 창조과학회의 추종자들은, 이미 증명된 진화이론을 부정하며 돌연변이는 많이 일어나나 그 돌연변이가 연속적으로 이어진다는 점이 아직까지 입증이 안 되었다는 주장을 하지만, 앞서 말한 "이로운 변이가 주장하지 않는다"와 같이 아무런 근거도 없으며, 생명의 연속성은 DNA의 서열 탐구를 통해 이미 밝혀진 사실이다. 가짜뉴스의 유포[편집] NTD라는 언론사에서 해외의 연구를 바탕으로 쓰여진 기사[62]를 엉터리로 번역해서 잘못 쓰여진 기사[63]를 내었는데, 그대로 가져다가 그것이 마치 진화론을 무너뜨리는 것처럼 왜곡해서 기사를 썼다.[64] 이와같은 무분별한 가짜뉴스의 유포로 인해 실제 연구의 결과를 왜곡하는 등의 행위를 저지르고 있다. 청소년에 대한 의사과학교육[편집] 2013년부터 한국창조과학회는 착한과학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고, 2015년 주식회사 착한과학 설립 이후에는 창조실험과학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창조과학 교육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데, 특히 진화학 및 지질학 관련 강연 및 실습 프로그램에서 진화에 의한 종분화의 부정 및 노아의 홍수에 의한 단기간의 지층 형성 등 현대 과학의 추세를 무시하는 사이비과학을 가르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22][65] 창조과학 운동에 대한 각계의 반대 성명[편집] 한국창조과학회는 여타 창조과학 운동처럼 창조과학이 과학이며 교육과정에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미국의 다른 단체들에 의해 시행된 창조과학 운동에 대해 과학계와 교육계, 시민권단체, 장로교, 성공회, 천주교, 감리교에서 이미 반대 성명을 낸 적이 있다.[66] 일반적으로 복음주의권에서도 창조과학을 받아들이지 않으며, 창조과학을 지지하는 단체는 극보수주의적 근본주의자들 뿐이다. 2017년 9월부터는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에 몇몇 과학자들이 주축이 되어 창조과학의 해악성에 대해 알리는 릴레이 기고문을 게시하고 있다[67] 같이 보기[편집] 김영길 (공학자) 의사과학 창조과학 지적설계 평평한 지구 학회 창조주의 축자영감설 반지성주의 제칠일안식교 통일교 각주[편집] ↑ “창조과학의 반 지성주의”.  ↑ 안명준, "기독교와 과학", 성경과 세계, 유윤종외 (평택대학교출판부:2016)), 186 ↑ http://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24262 ↑ http://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25823 ↑ [1]한국에서의 창조론 운동의 회고와 전망 ↑ '창조론' 내부 논쟁 시작되다(뉴스앤조이) ↑ [2]강건일, <진화론 창조론 산책>, 참과학 ↑ “창조과학의 회고와 전망, 통일교 집단으로 오인받아”.  ↑ “통일교 신자 조나단 웰스”.  ↑ “진화학 반대의 통일교적 기원”.  ↑ http://biologos.org/blogs/ted-davis-reading-the-book-of-nature/science-and-the-bible-intelligent-design-part-4 ↑ “내가 창조과학회를 떠난 네가지 이유”.  ↑ http://mall.godpeople.com/?G=9788988042663 ↑ 한국창조과학회. “정확무오한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  ↑ 한국창조과학회. “Mission-창조신앙의 회복”.  ↑ 한국창조과학회. “진화론의 거짓을 폭로합니다”.  ↑ 한국창조과학회. “부정되고 있는 수십 억 년의 지구연대”.  ↑ 가 나 다 뉴스앤조이. “양승훈 교수, "창조과학 운동은 세월호와 유사" -<창조에서 홍수까지> 출간 "아마추어가 창조론 조타수 자처"”. 한국창조과학회의 핵심 주장은 지구의 나이를 1만여 년 내외로 보는 젊은 지구설과, 노아의 홍수에 의해 대격변이 일어나 현재의 모든 지층이 형성되었다는 격변설이다.  ↑ 한국창조과학회. “Goal-교육개혁”.  ↑ 11월 차세대사역자모임 성료 ↑ “한국창조과학회 2013년 11월 뉴스레터”.  ↑ 가 나 “2013.10.26 착한과학프로젝트 - 고려대 탐방 성료”. 두번째 실험 파트는 동물 실험파트로 생명유전과 관련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초파리를 이용하여 초파리 알에서 부터 성체까지를 관찰하고, 돌연변이가 된 초파리 등도 함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돌연변이를 통한 종의 변화나 발달은 이루어 지지 않음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  ↑ 예를 들면, 2013년 10월 뉴스레터 에는 "착한과학 지질탐사캠프"라는 명칭으로 되어 있는데 2015년 직후 "창조실험과학 지질탐사캠프" 라는 명칭으로 변경되어 있다. ↑ 한국창조과학회장 이은일. “다시 새로운 출발선에서”. 2015년 새로운 출발을 다시 다짐하면서, 창조과학 관련 출판, 미디어제작, 자료 보급 등이 활성화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착한과학을 통해 교육 컨설팅을 비롯하여, 대안학교 등과 연계한 창조과학적인 과학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 새로운 시도들이 있을 것입니다.  ↑ “한국창조과학회 2013년 제2회 정기 이사회 및 총회 성료”. 출판 관련해서 ㈜착한과학으로 명칭변경, CMS 후원제도 시행 및 학술대회 개최 예정지 건에 대하여 보고 하였다.  ↑ “한국창조과학회 2014년 3월 교육위원회의 성료”. (주)착한과학이 촬영-편집을 담당  ↑ http://www.nas.edu/evolution/TheoryOrFact.html ↑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00114-007-0260-0 ↑ http://bio.biologists.org/content/early/2015/10/23/bio.014241?utm_source=TrendMD&utm_medium=cpc&utm_campaign=Biol_Open_TrendMD_1 ↑ https://ncse.com/ ↑ “교회가 창조과학을 재고해야 하는 이유”.  ↑ “어린이용 서적들" ↑ http://weekly.chosun.com/client/news/print.asp?ctcd=C02&nNewsNumb=002371100008 ↑ “진화론만 가르치는 교과서는 위헌”… 창조과학회,헌법소원 낸다-국민일보 2009년 5월 19일자,유영대 기자 ↑ “국가법령정보센터_대한민국헌법”. 국교는 인정되지 아니하며 종교와 정치는 분리된다  ↑ “First Amendment”. Cornell University Law School Legal Information Institute. Congress shall make no law respecting an establishment of religion  ↑ “Tammy Kitzmiller, et al. v. Dover Area School District, et al., Case No. 04cv2688”.  ↑ ““창조과학회서도 엇갈리는 지구 나이””.  ↑ 크리스천투데이. “양승훈 교수의 ‘한국창조과학회를 떠나며…’”.  ↑ 뉴스M(미주뉴스앤조이). “양승훈 교수와 창조과학회, '창조론'으로 대립(양 교수 "오랜 지구론" 주장…창조과학회, 제명으로 응수)”.  ↑ McComas, William F. (1998).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 Rationales and Strategies (TEN MYTHS OF SCIENCE: REEXAMINING WHAT WE THINK WE KNOW)》.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15년 1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19일에 확인함. 창조주의자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핵심적인 아이디어는 종들은 전적으로 어떤 초자연적인 존재에 의해 형성된 지구 상에 존재한다는 것이다. 명백히 그와 같은 신념이 거짓이라 것을 반증할 수 있는 과학적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 종의 창조관을 반증하는 것이 불가능함으로 과학적이라고 볼 수 없으며, “창조과학”이라는 용어는 일종의 모순어법인 것이다. 창조과학은 종교적인 신념과 같은 것이며, 그것을 반증 가능성을 요구하지 않는다.  ↑ “달의 가장 큰 바다는 충돌 충돌구가 아니었다.(Lunar Impact: Major Moon Basin Was Not a Big Hit)”.  ↑ “달 표토의 헬륨-3 함유량과 달의 나이 : 젊은 달의 반대 증거라는 주장에 대한 반론.(Helium-3 capture in lunar regolith and the age of the moon)”.  ↑ “캄브리아기의 폭발 : 창조를 뒷받침하는 강력한 증거(The Cambrian Explosion : A Strong Argument Favoring Creation)”.  ↑ “창조과학회,캄브리아기에서 발견된 척추동물 물고기 화석은 진화론의 기초를 붕괴시키고 있다. (Cambrian Fossil Intensifies Evolutionary Conundrum)”.  ↑ “A primitive fish from the Cambrian of North America”.  ↑ “Lower Cambrian vertebrates from south China”.  ↑ “잘못됐던 굴의 진화 이야기(Evolution’s oyster twist)”. 2014년 11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The Use of Gryphaea in the Correlation of the Lower Lias”.  ↑ “THE EVOLUTION OF THE LIASSIC OYSTERS OSTREA-GRYPHAEA”.  ↑ “Oyster life positions and shell beds from the Upper Jurassic of Poland” (PDF).  ↑ “현화식물의 잃어버린 화분 미스터리 : 고식물학적 수수께끼 (Mystery of the Flower’s Missing Pollen: A Paleobotanical Puzzle)”. 2014년 11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Potomacapnos apeleutheron gen. et sp. nov., a new Early Cretaceous angiosperm from the Potomac Group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eudicot leaf architecture”.  ↑ “'생명의 기원' 논란의 종지부 : 산소는 처음부터 있었다.(Curtains for OOL: Oxygen Was Present from the Start)”. 2014년 11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Making oxygen before life”.  ↑ “Academic Aspects of Lunar Water Resources and Their Relevance to Lunar Protolife”.  ↑ “쥐라기에서 다람쥐와 유사한 포유류 화석이 발견되었다.(Jurassic Squirrels?)”.  ↑ “Three new Jurassic euharamiyidan species reinforce early divergence of mammals”. Our findings also favour a Late Triassic origin of mammals in Laurasia and two independent detachment events of the middle ear bones during mammalian evolution.  ↑ http://skepties.net/p/1830/ ↑ http://www.creation.or.kr/library/itemview.asp?no=589 ↑ http://journals.plos.org/plosbiology/article?id=10.1371/journal.pbio.0030245 ↑ “유전자 분석이 진화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다”.  ↑ “진화에 대한 새로운 발견”. , 해당 글의 제목은 "진화론 무너지나"였다가 가짜 뉴스임이 판명된 후 수정되었다. ↑ “근거 잃은 진화론”. :해당 내용은 NTD뉴스를 그대로 옮긴 것에 창조과학회의 사견을 더한 것으로, 오타인 "저널 오브 에볼루션"까지 그대로 가져왔다. ↑ “2013.11.23 부산 씨리얼 창조과학 캠프 성료”. 이번 캠프에서는 아이들 앞에서 직접 시연한 지층 실험과, 습곡이 오랜 시간 걸려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는 것을 몸소 체험하도록 굳기를 달리한 찰흙으로 습곡을 만드는 실험을 추가했다.  ↑ “미국과학교육센터 Voices for evolution”. 2015년 1월 16일에 확인함.  ↑ 브릭 소리마당: 창조과학 연속 기고 외부 링크[편집] 한국창조과학회 - 공식 웹사이트 한국창조과학회 - 페이스북 한국창조과학회 - 트위터 착한과학연구소 - 공식 웹사이트 (보존된 문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국창조과학회&oldid=24508754" 분류: 한국의 기독교기독교계 신흥 종교창조주의의사과학창조과학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13: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한국창조과학회(韓國創造科學會, 영어: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는 대한민국의 창조과학을 주장하는 단체이다. 창조과학을 이용하여, 진화를 비롯, 진화학, 지질학, 천문학을 비롯한 과학적 사실을 부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단체이다. 전통적 기독교 신학과 개신교 신학 전통에서 벗어난 극보수주의적 기독교 근본주의에 기초하여 기독교적 세계관을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축자영감설에 따라 구약성서의 창세기에 나오는 천지창조가 문자 그대로 사실이며, 젊은 지구 창조설이 창조과학적으로 증명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바탕으로, 이들은 과학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젊은 지구 창조설이 포함되기를 요구한다. 학회를 표방하나 과학적 사실들을 부정하고, 학술적인 연구가 전혀 진행된 적이 없어 과학 학회가 아닌 일종의 언론집단에 가까우며, 학계에서는 과학을 부정하는 종교적 반과학 단체로 보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한국창조과학회의 결성 목적과 가치관, 주요 이력은 무엇이며 이들을 바라보는 외부의 평가는 어떻습니까? Assistant: 한국창조과학회는 젊은 지구 창조론을 지지하며 이를 과학적으로 증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결성된 단체이며 안식일교 계열의 기독교 근본주의에서 지지하는 축자영감설에 기초한 기독교 세계관만을 고집하기 때문에, 현대과학의 연구 성과에 상대적으로 타협적인 오랜 지구 창조론 및 지적설계론은 지지하지 않는다. 지구의 나이에 대해서는 창조과학 내에서도 의견이 엇갈린다고는 하지만 한국창조과학회의 핵심적인 인물들은 기독교 성경의 창세기 1장 및 2장에 기술된 6일간의 천지창조를 글자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는 모든 입장에 대해서 "신앙이 과학에 타협한 결과"라고 비난하고 있다.[38] 또한 한국창조과학회는 젊은 지구 창조설을 지지하지 않고 오랜 지구 창조설을 지지한다는 이유로 2008년에 한국창조과학회의 창립 멤버인 양승훈 교수를 제명한 바 있다.[18][39][40] 무엇보다, 창조과학의 지지자들은 창조과학에 대해 반증 가능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과학적인 의미가 있는 토론과 논쟁이 불가능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18][41]
Human: 아래 잎새버섯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잎새버섯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잎새버섯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잎새버섯 생물 분류 역: 진핵생물 계: 균계 아계: 쌍핵균아계 문: 담자균문 아문: 담자균아문 강: 담자균강 목: 구멍장이버섯목 과: 왕잎새버섯과 속: 잎새버섯속 종: 잎새버섯(G. frondosa) 학명 Grifola frondosa(Dicks.) Gray 이명 Polyporus frondosus Fr.[1] 잎새버섯(Grifola frondosa)은 은행나뭇잎같은 갓들이 여러 겹으로 겹쳐진 것처럼 생겼으며, 색은 검은색이나 갈색, 혹은 흰색이다. 일본에서는 마이다케 버섯이라고 부른다. 목차 1 항암 효과 2 사례 3 양식 4 요리 5 각주 항암 효과[편집] 버섯에는 면역다당체 특히 베타글루칸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물질이 항암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버섯을 대상으로 항암효과를 연구했으며, 그 중 하나가 잎새버섯이다. 잎새버섯의 정제과정에서 면역다당체가 농축된 MD fraction이 가장 항암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2007년 꽃송이버섯의 항암면역물질 보유량이 잎새버섯 보다 3배, 표고버섯의 12배, 영지버섯의 3배, 아가리쿠스의 5배 뛰어나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2] 하지만 항암효과는 단순히 항암면역물질인 베타글루칸의 함량으로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1998년 미국 FDA는 잎새버섯 추출물을 항암보조제로 시판을 승인했다. 하지만 잎새버섯은 주로 의학이 아닌 대체의학계에서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임상시험을 정확하게 수행하고 연구 발표가 될 경우 대체의학이 아닌 의학적인 발견으로 간주되므로 아직은 효과가 충분히 검증되었다고 말할 수가 없다. 2005년 1월 20일 미국 암협회는 암치료 대체치료요법 안내책자에서 마이다케 버섯의 추출물인 Maitake D-fraction(마이타케 디-프렉션)을 암치료 대체요법 제품으로 소개했다. 같은 해 5월 9일 미국 FDA는 마이타케 디-프렉선의 2단계 신약임상시험을 허가했다. 메모리얼 슬로언 케터링 암센터는 임상시험결과 항암효과가 인정되었다고 발표했다.[3] 이 분야의 권위자는 20여년간 항암물질을 연구해 온 일본 고베 약학대의 난바 히로아키 교수로서, 잎새버섯 추출물 연구성과로 미국 대체의학회 공로상을 수상하기도 했다.[4] 2012년 현재 일본의 600명 이상, 미국의 3,000명 이상의 의사들이 항암제와 잎새버섯 엑기스 및 정제를 병용하여 치료하고 있다.[5] 사례[편집] 일본의 시부타미 중앙병원 원장인 시미즈 묘우세이가 암이 전신에 퍼져 3개월 시한부 선고를 받고, 항암치료와 병행하여 잎새버섯 액기스를 5개월간 복용하고 나은 사례가 유명하다. 일본에서는 그 의사의 저서가 암환자의 필독서로 알려지기도 했다.[6][7] 양식[편집] 1980년 일본에서 최초로 양식 재배에 성공하였으며, 현재는 한국에서도 많이 양식해서 판매 중이다. 요리[편집] 항암효과로 유명한 영지버섯, 상황버섯 등은 딱딱하여 물에 달여먹는 방법만 소개되나, 잎새버섯은 양식되어 시판되는 송이버섯 처럼 각종 요리를 해먹는다. 각주[편집] ↑ McIlvaine, Charles; Robert K. Macadam; and Robert L. Shaffer. 1973. One Thousand American Fungi. Dover Publications. New York. 729 pp. (Polyporus frondosus, pp. 482-483 & Plate CXXVIII.)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32&aid=0001984452 ↑ http://m.cancerline.co.kr/?article=5216 ↑ http://m.cancerline.co.kr/?article=6539 ↑ http://m.cancerline.co.kr/?article=6099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5&aid=0002230626 ↑ http://m.cancerline.co.kr/?article=7835 전거 통제 LCCN: sh99001493 NDL: 0057560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잎새버섯&oldid=20092340" 분류: 왕잎새버섯과1785년 기재된 균류숨은 분류: 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생물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еларускаяCatalàCebuanoCorsuČeštinaDeutschEnglishEestiفارسیSuomiFrançais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NederlandsPolskiPiemontèis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venskaУкраїнськаWinaray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7년 11월 19일 (일) 23: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잎새버섯(Grifola frondosa, 영어: hen of the woods)은 은행나뭇잎같은 갓들이 여러 겹으로 겹쳐진 것처럼 생겼으며, 색은 검은색이나 갈색, 혹은 흰색이다. 일본에서는 마이다케 버섯이라고 부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항암효과를 가지고 있는 버섯의 물질은 뭐야? Assistant: 베타글루칸 Human: 아래 란제리_소녀시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란제리 소녀시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란제리 소녀시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란제리 소녀시대 장르 드라마, 로맨스, 청춘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KBS 2TV 방송 기간 2017년 9월 11일 ~ 2017년 10월 3일 방송 시간 매주 월요일, 화요일 밤 10시 ~ 11시 10분 방송 분량 70분 방송 횟수 8부작 추가 채널 KBS 드라마, KBS WORLD 원작 김용희의 소설 《란제리 소녀시대》 기획 KBS 드라마 제작국 책임프로듀서 문준하 프로듀서 노상훈 제작사 FNC애드컬쳐, 씨그널 엔터테인먼트 그룹 제작자 안석준, 민현일, 이성진 연출 홍석구 극본 윤경아 출연자 보나, 채서진, 서영주, 이종현, 여회현, 도희 외 음성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자막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란제리 소녀시대 홈페이지 《란제리 소녀시대》는 배우들의 캐스팅도 촬영 2주 전부터 급히 진행되어 땜빵 드라마라는 편견을 안고[1] KBS 2TV에서 2017년 9월 11일부터 2017년 10월 3일까지 방영된 월화드라마다. 작가 김용희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하여 1979년 대구를 배경으로 그 시절 여고생들의 사랑과 우정을 다루었다. 8부작 드라마로는 이례적으로 웰메이드라는 호평을 받으며 마무리 됐다. 신인 배우들로 채워진 라인업에 막대한 제작비 없이도 스토리와 연출만 탄탄하다면 충분히 사랑받을 수 있다는 진리를 일깨웠다.[2] 목차 1 소개 2 등장 인물 2.1 주요 인물 2.2 정희네 식구들 2.3 정현여고 사람들 2.4 주변 인물 2.5 그 외 3 시청률 4 OST 4.1 Part. 1 4.2 Part. 2 5 같이 보기 6 동시간대 드라마 7 수상 8 각주 9 외부 링크 소개[편집] 1979년 대구를 배경으로 소녀들의 성장통과 사랑을 그린 드라마이다. 고등학생들의 풋풋한 첫사랑과 아무나 빨갱이로 잡아넣는 폭력적 시대였지만 그 시대만이 가질 수 있는 낭만이 있었던 1970년대 대구를 표현해낸 작품이다. 란제리의 의미에 대해 배우 서영주가 인터뷰를 했다.[3] '란제리 소녀시대'라는 제목이 가진 의미 또한 원작과는 달라졌다. 이에 왜 제목이 '란제리 소녀시대'인지에 대해 의문을 갖는 시청자들도 적지 않았다. 더욱이 지상파 드라마에 란제리라는 단어가 등장하는 것이 충격적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이에 대해 서영주는 "제목만 봤을 땐 나도 파격적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저 란제리로 이슈를 끌려고 한 게 아니다. 란제리를 드라마에 풀어내는 게 어떻게 가능할까 싶었는데 정말 가능하더라"며 제목에 대한 해명을 전했다. 특히 서영주는 "드라마에 등장한 '끈난닝구'가 일종의 란제리다. 그 '끈난닝구'는 서울 사람들이 입는 것으로 여겨지며 소녀들의 로망으로 나온다"고 설명했다. 극 중 이정희를 비롯한 소녀들은 '끈난닝구'라고 불리는 캐미솔 톱을 교복 안에 입는 걸 일종의 로망으로 여겼다. 이어 서영주는 "소녀들의 사랑과 성장 이야기를 보여주는 가운데 '끈난닝구' 즉 란제리가 그들의 로망이지 않았을까 생각한다"며 "그 로망으로 잘 표현됐던 것 같다"고 덧붙였다.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보나 : 이정희 역 - 고2 채서진 : 박혜주 역 - 고2. 서울에서 전학 옴. 서영주 : 배동문 역 - 고2. 정희에게 첫눈에 반함. 이종현 : 주영춘 역 - 20세. 약국집 잡일을 도와주는 일명 약방총각 여회현 : 손진 역 - 고3. 전교 1등을 놓친 적 없는 수재 도희 : 심애숙 역 - 고2. 학교 일진 아카시아파 수장. 정희 4인방의 숙적 정희네 식구들[편집] 권해효 : 정희의 아버지 이귀남 역 - 40대 후반. 자그마한 메리야스 공장 사장. 자수성가한 자린고비 김선영 : 정희의 어머니 박필례 역 - 40대 후반 박하나 : 홍도화 역 - 30대 중후반. 정희네 일을 도와주는 식모. 정희네 남매가 이모로 부름. 조병규 : 이봉수 역 - 정희의 쌍둥이 오빠. 혜주를 짝사랑함. 정현여고 사람들[편집] 인교진 : 오만상 역 - 30대 후반. 정희네 담임이자 수학 교사 김재화 : 왕봉자 역 - 30대 중반. 교련 교사 백은경 : 전현희 역 - 정희 4인방 중 한 명 방수진 : 김언주 역 - 정희네 반 우등생이자 정희 4인방 중 한 명 서예슬 : 소은자 역 - 정희 4인방 중 한 명 김수현 : 김기려 역 이봄 : 박귀자 역 - 정희네 반 반장 주변 인물[편집] 조덕현 : 혜주의 아버지 역 - 40대 후반. 서울에 있는 대학교수 한그림 : 3번 언니 역 - 20세. 정희네 메리야스 공장 3번 시다 조아인 : 주앵초 역 - 7세. 영춘의 동생 그 외[편집] 조미녀 : 아카시아파 일진 학생 역 보라 : 아카시아파 일진 학생 역 문호진 : 약사 역 문가영 최나무 김석진 이우 김로은 이수연 : 선숙 역 이채경 : 손진의 어머니 역 안보현 시청률[편집] 최저 시청률과 최고 시청률은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7년 회차 방송일 TNmS 시청률[4] AGB 시청률[5]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제1회 9월 11일 4.7% 4.8% 4.3% 4.4% 제2회 9월 12일 4.8% 5.1% 4.8% 5.0% 제3회 9월 18일 4.8% 4.9% 4.1% 4.2% 제4회 9월 19일 5.0% 5.2% 4.1% 4.3% 제5회 9월 25일 5.0% 5.3% 4.2% 4.4% 제6회 9월 26일 5.3% 5.4% 4.7% 4.8% 제7회 10월 2일 4.5% 4.8% 4.4% 4.7% 제8회 10월 3일 3.8% 3.9% 3.7% 3.8% OST[편집] Part. 1[편집] 란제리 소녀시대 OST Part.1 재윤, 허니스트의 사운드트랙 음반발매일 2017년 9월 13일장르 드라마음악 # 제목작사작곡가수 재생 시간 1. 다시 우리 만나도  한승훈한승훈, 김창락, 정진욱재윤(SF9) 3:43 2. 반하겠어 (Drama Ver.)  김철민, 신승익, Denis Seo김철민, 신승익, Denis Seo허니스트(HONEYST) 3:51 3. 다시 우리 만나도 (Inst.)   한승훈, 김창락, 정진욱  3:43 총 재생 시간: 11:17 Part. 2[편집] 란제리 소녀시대 OST Part.2 혜정의 사운드트랙 음반발매일 2017년 9월 19일장르 드라마음악 # 제목작사작곡가수 재생 시간 1. 사랑소녀  고진영, 정진욱고진영, 정진욱혜정 3:40 총 재생 시간: 3:40 같이 보기[편집] 《응답하라 1988》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목록/ㄹ 2017년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목록 동시간대 드라마[편집] MBC 월화드라마 《왕은 사랑한다》 : 2017년 7월 17일 ~ 2017년 9월 19일 SBS 월화드라마 《조작》 : 2017년 7월 24일 ~ 2017년 9월 12일 《사랑의 온도》 : 2017년 9월 18일 ~ 2017년 11월 21일 수상[편집] 2017년 KBS 연기대상 남자 연작 · 단막극상 여회현 각주[편집] ↑ “이종현 "'란제리소녀시대'=땜빵드라마? 사실 섭섭했죠"”.  ↑ “‘란제리 소녀시대’, 8부작 ‘땜빵드라마’의 대반란”.  ↑ “서영주 "'란제리 소녀시대' 속 란제리, 소녀들의 로망으로 표현"”.  ↑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 ↑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 2017년 3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1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란제리 소녀시대 공식사이트 한국방송공사 월화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학교 2017(2017년 7월 17일 ~ 2017년 9월 5일) 란제리 소녀시대(2017년 9월 11일 ~ 2017년 10월 3일) 마녀의 법정(2017년 10월 9일 ~ 2017년 11월 28일) vdeh 월화드라마2000년대 전반2000년 《나는 그녀가 좋다》 《성난 얼굴로 돌아보라》 《바보같은 사랑》 《RNA》 《가을동화》 《눈꽃》 2001년 《귀여운 여인》 《비단향꽃무》 《인생은 아름다워》 《쿨》 《순정》 《미나》 2002년 《겨울연가》 《햇빛 사냥》 《거침없는 사랑》 《러빙유》 《천국의 아이들》 《고독》 2003년 《아내》 《여름향기》 《상두야, 학교가자》 《그녀는 짱》 2004년 《낭랑 18세》 《백설공주》 《북경 내 사랑》 《구미호 외전》 《오!필승 봉순영》 《미안하다, 사랑한다》 2000년대 후반2005년 《쾌걸춘향》 《열여덟 스물아홉》 《러브홀릭》 《그녀가 돌아왔다》 《웨딩》 《이 죽일 놈의 사랑》 2006년 《안녕하세요 하느님》 《봄의 왈츠》 《미스터 굿바이》 《포도밭 그 사나이》 《구름계단》 《눈의 여왕》 2007년 《꽃피는 봄이 오면》 《헬로! 애기씨》 《꽃 찾으러 왔단다》 《한성별곡》 《아이 엠 샘》 《얼렁뚱땅 흥신소》 《못된 사랑》 2008년 《싱글파파는 열애 중》 《강적들》 《살아가는 동안 후회할 줄 알면서 저지르는 일들》(단막) 《최강칠우》 《연애결혼》 《그들이 사는 세상》 2009년 《꽃보다 남자》 《남자이야기》 《결혼 못하는 남자》 《2009 전설의 고향》 《공주가 돌아왔다》 《천하무적 이평강》 2010년대 전반2010년 《공부의 신》 《부자의 탄생》 《국가가 부른다》 《구미호: 여우누이뎐》 《성균관 스캔들》 《매리는 외박중》 2011년 《드림하이》 《강력반》 《동안미녀》 《스파이 명월》 《포세이돈》 《브레인》 2012년 《드림하이 2》 《사랑비》 《빅》 《해운대 연인들》 《울랄라 부부》 《학교 2013》 2013년 《광고천재 이태백》 《직장의 신》 《상어》 《굿 닥터》 《미래의 선택》 《총리와 나》 2014년 《태양은 가득히》 《빅맨》 《트로트의 연인》 《연애의 발견》 《내일도 칸타빌레》 《힐러》 2010년대 후반2015년 《블러드》 《후아유 - 학교 2015》 《너를 기억해》 《별난 며느리》 《발칙하게 고고》 《오 마이 비너스》 2016년 《무림학교》 《베이비시터》(단막) 《동네변호사 조들호》 《백희가 돌아왔다》(단막) 《뷰티풀 마인드》 《구르미 그린 달빛》 《우리집에 사는 남자》 《화랑》 2017년 《완벽한 아내》 《개인주의자 지영씨》(단막) 《쌈 마이웨이》 《학교 2017》 《란제리 소녀시대》 《마녀의 법정》 《저글러스》 2018년 《라디오 로맨스》 《우리가 만난 기적》 《너도 인간이니?》 《러블리 호러블리》 《최고의 이혼》 《땐뽀걸즈》 2019년 《동네변호사 조들호 2: 죄와 벌》 《국민 여러분!》 《퍼퓸》 《너의 노래를 들려줘》 《조선로코 녹두전》 TV 소설 | 1TV 아침 | 2TV 아침 | 1TV 일일 | 2TV 일일 | 월화 | 수목 | 금요 | 금토 | 주말 (연속극  · 특별기획) | 대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란제리_소녀시대&oldid=24002730" 분류: 2017년 드라마한국방송공사 월화드라마대한민국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1970년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대구광역시를 배경으로 한 작품한국방송공사 청소년 드라마씨그널엔터테인먼트그룹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Bahasa Melayu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0일 (수) 01: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란제리 소녀시대》는 2017년 9월 11일부터 2017년 10월 3일까지 방송된 KBS 2TV 월화 드라마이다. 작가 김용희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하여 1979년 대구를 배경으로 그 시절 여고생들의 사랑과 우정을 다루었다. 8부작 드라마로는 이례적으로 웰메이드라는 호평을 받으며 마무리되었다. 배우들의 캐스팅이 촬영 2주 전부터 급히 진행되어 '땜빵 드라마'라는 편견을 안았지만, 신인 배우들로 채워진 라인업에 막대한 제작비 없이도 스토리와 연출만 탄탄하다면 충분히 사랑받을 수 있다는 진리를 일깨웠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란제리 소녀시대의 1회 대한민국 시청률은 몇 퍼센트인가요? Assistant: 4.7%
Human: 아래 카스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카스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스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스 시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قەشقەر 喀什 Kāshí 약자: 아팍 호자의 묘 행정 단위 현급시 면적 555km² 인구 (2007년) 인구밀도 440,000 793/km² 지역전화 0998 ISO 3166-2 CN-65-01 우편번호 844000 시차 UTC+8 웹사이트: www.xjks.gov.cn 카스(위구르어: قەشقەر 캐슈캐르, 중국어: 喀什, 병음: Kāshí)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있는 현급 도시이다. 1999년의 조사에서 인구는 20만5,056명이다. 인구의 80%는 현지 토착민인 위구르족 등이 차지한다. 고대 소륵국의 수도였으며, 실크로드의 요충지로 이슬람의 거점도시로 발전하였고, 1986년에 국가역사문화명성으로 지정되었다. 목차 1 역사 2 지리 3 날씨 4 교통 4.1 항공 4.2 육상 4.3 철도 5 주민 6 일요 시장 7 행정 구역 8 볼거리 9 자매 도시 10 갤러리 11 각주 12 외부 링크 역사[편집] 고대에는 소륵국(疏勒國)의 수도였다. 타림분지 주변에는 예부터 코카소이드라고 하는 인도유럽 어족계의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 소륵국도 그 중의 하나이다. 흉노가 강성했던 시대에는 간접지배를 받았지만, 중국이 통일되어 한나라가 서역으로 진출해 서역도호부를 설치하면서, 그 세력 아래로 들어가게 되었다. 그 후 중국의 세력이 후퇴하면, 유연이나 돌궐 등 북방민족의 간접 지배하에 떨어지거나 당이 안서도호부를 설치하면서, 안서 4진의 하나인 소륵도독부가 설치되었다. 소륵은 타림분지 남부를 지나는 실크로드 남로의 요충지이며, 이 땅을 방문한 당나라의 현장은 소륵을 불교가 번성한 나라라고 기술하고 있다. 북방의 몽골고원에서 서돌궐을 대신하였던 위구르가 9세기가 되어 약해지면서, 키르기즈에 멸망 당하자 위구르족이 대거 서천, 타림분지로 남하하였다. 위구르는 토착의 구인어계 민족과 혼혈해, 이 땅의 언어가 터키어 계열의 위구르화되었다. 10세기에는 최초의 터키계 이슬람 왕조인 카라한 왕조의 세력이 파미르 고원을 넘어 카슈가르에 들어와 그 왕도가 된 적도 있다. 송나라 때에는 거란족이 세운 서요에 속하였으며, 원나라 때에는 차가타이 한국의 도시가 되었고, 명나라 때에는 야르칸드 한국에 속했다. 이러한 역사 속에서 카슈가르는 이슬람화된 위구르족의 종교 중심지가 된다. 청나라 때는 건륭제의 신장 정복 정책에 의해, 카슈가르 곧 례주가 설치되어 신강 남부를 통치하는 참찬대신이 주재했다. 청나라 말기의 혼란기에는 코칸드 한국에서 온 야크브 베크가 카슈가르를 거점으로 잠시 타림분지 일대를 지배했지만, 좌종당에 의해 토벌 되었다. 청나라가 멸망하고, 1913년에 소륵현이 설치되어, 1933년부터 다음 해에 걸쳐 단기간이지만 동투르키스탄 이슬람 공화국이 이 땅에 섰던 적도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1952년에는 소륵현에서 카스 시가 분리되어 떨어져 나왔다. 1986년 대외로 개방되면서 동시에 국가역사문화명성으로 지정되었다. 시내에는 카스 지구 행정관공서가 설치되어 있다. 위구르족이 많아 동쪽 투르키스탄 분리운동이 번성하고, 신장 위구르 자치주의 분리독립을 위한 테러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지리[편집] 카스는 북위 39° 24’26” , 동경 76° 6’47”의 텐산 산맥 주변의 타클라마칸 사막의 서부에 위치하고 있다. 해발 고도는 평균 1,289.5m이며 최고 해발고도는 1502m, 최저 해발고도는 1264m이다. 아무다리야 강 계곡의 길과 코칸트, 사마르칸트, 알마티, 아커쑤, 호탄으로부터의 길의 접합점에 위치한다. 카스는 고대부터 정치와 상업의 중심지로 유명했다. 카스 오아시스는 중국으로부터의 남북길이 타클라마칸 사막 주변에서 만나는 곳에 있다. 또한 타슈쿠르간의 정북쪽과 현재의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동부 잘랄라바드에 해당하는 고대 불교 왕국 간다라를 통과한다. 현재의 도시에서 서쪽으로 약 200km 떨어진 곳은 키르기스스탄과의 국경이고 주요 실크로드가 아라이 계곡입구에서 교차하여 남서쪽으로 발흐, 북서쪽으로 페르가나로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날씨[편집] 쾨펜의 기후 구분에 의하면 카슈가르는 사막 기후(BWk)이다. 뜨거운 여름과 차가운 겨울을 가지며 두 계절 간 큰 온도차를 가지고 있다. 월간 일평균 기온은 1월에 −5.3 °C 에서 7월에는 25.6 °C까기 치솟는다. 반면, 연간 평균은 11.84 °C이다. 봄은 길고 빨리 오며, 가을은 비교적 다소 짧다. 카슈가르는 지상에서 가장 건조한 도시 중 하나로, 연간 강수량이 64mm에 지나지 않는다. 가장 습한 달인 7월조차도 평균강수량 9.1mm 수준 밖에 기록되지 않는다. 극단적으로 건조한 환경으로 인해, 찬 겨울임에도 불구하고 눈을 보기 힘들다. 1월은 최저 −24.4 °C까지 내려가고, 7월에는 40.1 °C까지 올라간다. 서리가 없는 기간은 평균 215일을 기록한다. 월간 평균 일조량은 3월엔 50% 정도이고, 9월엔 70% 정도여서, 년간 2,726 시간의 일조 시간을 기록한다. Kashgar (1971−2000)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평균최고기온 °C (°F) 0.3 (32.5) 5.1 (41.2) 13.5 (56.3) 22.2 (72) 26.4 (79.5) 30.2 (86.4) 32.1 (89.8) 30.7 (87.3) 26.5 (79.7) 19.8 (67.6) 10.6 (51.1) 1.9 (35.4) 18.3 (64.9) 일평균기온 °C (°F) −5.0 (23) −0.6 (30.9) 7.6 (45.7) 15.4 (59.7) 19.7 (67.5) 23.2 (73.8) 25.4 (77.7) 24.0 (75.2) 19.2 (66.6) 12.3 (54.1) 4.3 (39.7) −2.9 (26.8) 11.9 (53.4) 평균최저기온 °C (°F) −10.2 (13.6) −6.2 (20.8) 1.7 (35.1) 8.6 (47.5) 12.9 (55.2) 16.1 (61) 18.6 (65.5) 17.2 (63) 11.9 (53.4) 4.7 (40.5) −1.9 (28.6) −7.7 (18.1) 5.5 (41.9) 평균 강수량 mm (인치) 2.1 (0.08) 5.7 (0.22) 6.7 (0.26) 5.2 (0.2) 8.5 (0.33) 7.7 (0.3) 9.1 (0.36) 7.9 (0.31) 5.3 (0.21) 2.5 (0.1) 1.6 (0.06) 1.7 (0.07) 64.0 (2.52) 평균강수일수 (≥ 0.1 mm) 2.2 2.1 2.3 1.6 2.9 3.5 3.7 3.7 2.5 1.1 .6 1.7 27.9 평균 상대 습도 (%) 67 58 48 40 41 41 43 49 53 56 61 70 52.0 평균 월간 일조시간 154.9 160.1 184.5 213.7 255.6 304.3 312.2 287.5 259.4 239.9 196.2 158.0 2,726.3 가능 일조율 52 53 50 54 58 68 69 68 70 69 65 54 61.5 출처: 중국기상국[1] 교통[편집] 카슈가르 공항 카슈가르 역(철도) 항공[편집] 카슈가르 공항은 주로 국내선으로 이용되며, 대부분 우루무치에서 연결되는 교통 수단이다. 유일한 국제선 비행기는 파키스탄의 수도 이슬라마바드와 화물과 승객이 연결된다. 육상[편집] 이곳은 카라코람 고속도로(Karakorum highway, KKH)의 시작점이며 파키스탄과의 국경인 쿤자랍 고개를 넘어 이슬라마바드까지 연결된다. 파키스탄과 연결하는 정기 버스 노선이 존재하한다. 또한, 키르기스스탄으로 가는 길도 있다. 철도[편집] 카슈가르는 중국 서단의 철도 역을 가지고 있다.[2] 이곳에서 나머지 중국 철도 네트워크가 란신선으로 연결된다. 1999년 12월, 카스에는 신장성 남부를 가로지르는 란신 철도(南疆铁路, Lanxin Railway)가 개통되었다.[3] 카슈가르로 가는 기차는 주로 우루무치에서 매일 출발하며, 약 24시간 정도 소요된다. 2007년 현재, 이 철도는 파키스탄과 연결하는 것을 추진중이다. 카슈가르-호탄 선이 2011년 개통되어 카슈가르를 남부 타림 분지에 있는 사처 현(야르칸드), 카르길리크 그리고 호탄과 연결한다. 주민[편집] 카슈가르 시장 대부분의 주민이 이슬람교도인 위구르족이다. 신장의 최대 도시이자, 주도인 우루무치와 비교할 때, 카슈가르는 덜 산업화되었고, 한 족 거주자가 월등히 적다. 1998년에는 카슈가르 도시 인구 311,141명 중 81%가 위구르 족이었고, 18%가 한족이었다.[4] 2000년 인구조사에서 카슈가르의 인구는 340,640명으로 증가했으며, 2010년의 인구조사에서 이 수치는 506,640명으로 늘어났다. 이러한 인구 증가의 요인 중 일부는 국경의 변화 때문이며, 도시 인구를 포함한 수치이기도 하다.[5] 일요 시장[편집] 카슈가르 국제시장 카스에서는 매주 일요일 유서깊은 큰 시장인 일요시장이 열린다. 이 곳에서는 주변 농민들이 직접 제배한 다양한 과일과 채소, 공예품 등이 거래된다. 고대로부터 일요시장은 실크로드에서 가장 큰 시장중에 하나였지만, 지금은 그 명성이 많이 줄어들었다. 하지만, 여전히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진다. 원래는 일요일에만 열리는 비상설 시장이지만, 최근에는 상설 시장으로 발전하였다. 카스를 찾는 사람들에게 가장 많은 볼거리를 제공하는 시장이다. 시장에서는 주변 호탄 등지에서 만들어진 비단, 카펫, 캐쉬미어, 옥, 귀금속들도 거래된다. 행정 구역[편집] 4개 가도, 8개 향을 관할한다. 가도변사소: 恰萨街道, 亚瓦格街道, 吾斯塘博依街道, 库木代尔瓦扎街道. 향: 乃则尔巴格乡, 夏马勒巴格乡, 多来特巴格乡, 浩罕乡, 色满乡, 荒地乡, 伯什克然木乡, 帕哈太克里乡. 볼거리[편집] 카라쿨 호(카라쿨 호수) 모하메드 카슈가르의 묘 막이불탑 민가(民家)/고(古)주택가 위스푸하스모스크 이드가 모스크-애제타이 청진사 직인가(수공예품 거리) 향비묘 (아팍호자의 묘) 반초성(班超城); 서역을 제패한 반초의 유적 대바자르 자매 도시[편집] 파키스탄 길기트 (2009년) 말레이시아 믈라카 (2012년 2월)[6] 갤러리[편집] 아이티걸 모스크 향비묘(아팍호자의 묘) 그옆의 모스크 각주[편집] ↑ 中国地面国际交换站气候标准值月值数据集(1971-2000년) (중국어). 중국기상국. 2011년 7월. 2013년 9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3월 6일에 확인함.  ↑ “Issue 21 – Analysis – Fear and Loathing split Xinjiang’s would-be Las Vegas”. 2006년 10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7월 13일에 확인함.  ↑ “보관 된 사본”. 2006년 10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7월 13일에 확인함.  ↑ Stanley W. Toops (2004년 3월 15일). 〈The Demography of Xinjiang〉. S. Frederick Starr. 《Xinjiang: China's Muslim Borderland》. Routledge. 256–257쪽. ISBN 978-0765613189.  ↑ “KĀSHÍ SHÌ (County-level City)”. 《시 인구》.  ↑ “Malacca ties up with sister city Kashgar”. New Straits Times. 2013년 7월 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카스시 (중국어) 공식 웹사이트 vdeh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행정 구역 수부: 우루무치시 우루무치시 톈산구 사이바커구 신스구 수이모거우구 터우툰허구 다반청구 미둥구 우루무치현 커라마이시 커라마이구 두산쯔구 바이젠탄구 우얼허구 투루판시 가오창구 퉈커쉰현 산산현 하미시 이저우구 이우현 바리쿤 카자흐 자치현 허톈 지구 허톈시 허톈현 뤄푸현 민펑현 피산현 처러현 위톈현 모위현 아커쑤 지구 아커쑤시 원쑤현 사야현 바이청현 아와티현 쿠처현 커핑현 신허현 우스현 카스 지구 카스시 바추현 쩌푸현 가스현 예청현 웨푸후현 수러현 마이가이티현 잉지사현 사처현 수푸현 타스쿠얼간 타지크 자치현 커쯔러쑤 키르기스 자치주 아투스시 아허치현 우차현 아커타오현 바인궈렁 몽골 자치주 쿠얼러시 허징현 위리현 허숴현 체모현 보후현 룬타이현 뤄창현 옌치 후이족 자치현 창지 후이족 자치주 창지시 푸캉시 치타이현 마나쓰현 지무싸얼현 후투비현 무러이 카자흐 자치현 보얼타라 몽골 자치주 보러시 아라산커우시 징허현 원취안현 이리 카자흐 자치주자치주 직할 이닝시 쿠이툰시 이닝현 터커쓰현 니러커현 자오쑤현 신위안현 훠청현 궁류현 차부차얼 시버 자치현 타청 지구 타청시 우쑤시 어민현 위민현 사완현 퉈리현 허부커싸이얼 몽골 자치현 아러타이 지구 아러타이시 칭허현 지무나이현 푸윈현 부얼진현 푸하이현 하바허현 자치구직할현급시 스허쯔시 아라얼시 투무수커시 우자취시 베이툰시 톄먼관시 솽허시 커커다라시 쿤위시 이리 카자흐 자치주는 부성급자치주이다.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58276862 LCCN: n80110337 GND: 4395054-1 BNF: cb119476450 (데이터) NDL: 0062834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카스시&oldid=24183487" 분류: 카스시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현급시국가역사문화명성카스 지구의 행정 구역위구르족비단길숨은 분류: CS1 - 중국어 인용 (zh)위구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lemannischالعربية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Cebuano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עבריתहिन्दी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GĩkũyũКыргызчаLadinoLietuviųLatviešuMalagasy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مازِرونیनेपालीNederlandsNorskଓଡ଼ିଆਪੰਜਾਬੀPolskiپنجابیپښتو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inaray吴语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23:2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카슈가르시(위구르어: قەشقەر 캐슈캐르, Kashgar) 또는 카스시(중국어: 喀什, 병음: Kāshí)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있는 현급 도시이다. 1999년의 조사에서 인구는 20만5,056명이다. 인구의 80%는 현지 토착민인 위구르족 등이 차지한다. 고대 소륵국의 수도였으며, 실크로드의 요충지로 이슬람의 거점도시로 발전하였고, 1986년에 국가역사문화명성으로 지정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카스시에 위치한 아팍호자의 묘의 다른 명칭은 무엇인가? Assistant: 향비묘 Human: 아래 클레어_패터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클레어 패터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클레어 패터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클레어 캐머런 패터슨Clair Cameron Patterson 출생 1922년 6월 2일(1922-06-02) 미국 아이오와주 미첼빌 사망 1995년 12월 5일 (73세) 미국 캘리포니아주 시랜치 국적 미국 분야 지구화학 소속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출신 대학 그리널 대학교시카고 대학교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지도 교수 해리슨 브라운 주요 업적 지구의 나이 계산, 납에 의한 대기 오염 연구 클레어 캐머런 패터슨(영어: Clair Cameron Patterson, 1922년 6월 2일 ~ 1995년 12월 5일)은 미국의 지구화학자이자, 환경운동가이다. 아이오와주의 그리널에 있는 그리널 대학교를 졸업하고, 시카고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종신교수직을 얻었다. 패터슨은 우라늄·납법을 발달시켜서 납·납법을 개발했다. 그리고, 캐니언 디아블로 운석에 포함되는 납동위체를 이용하고, 지구의 나이를 45.5억년이라고 계산했다. 이는 당시의 모든 계산보다 정확하였고, 이후에도 지구의 나이에 대한 예측은 변화가 없다. 패터슨은 1940년대 후반에 시카고 대학교에서 지구의 나이를 계산하는 연구를 하는 중에 처음으로 납 오염에 우연히 알게 되었다. 그의 납 오염에 대한 일은 공업적인 원인으로 일어나는 대기나 인체에 있어서의 납농도의 증대와 그 위험성에 관한 전면적인 재평가에 연결되고, 그 후 그의 운동은 납이 첨가된 휘발유와 식품 저장 용기에 있어서 땜납 사용금지에 있어서 큰 역할을 다했다. 목차 1 생애 2 지구의 나이의 계산 3 환경중의 납 오염 4 납 오염 반대 운동 5 각주 6 참고 문헌 생애[편집] 아이오와주의 미첼빌에서 태어났다. 아이오와주에 있는 그리널 대학교에 재학 중일때 아내인 로리 매클리어리를 만났다. 패터슨은 그리널 대학교에서 화학 학사학위를 취득하고,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분자분광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 이후에 잠시 맨해튼 계획에 종사하였다가, 시카고 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밟으면서 테네시주의 오크리지로 이주하였고, 그곳에서 질량분석법을 배웠다.[1]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에 패터슨은 시카고 대학교에 되돌아왔다. 아내인 로리는 적외 분광에 대한 연구를 하였고, 패터슨 자신은 시카고 대학교에서 해리슨 브라운의 지도하에 박사 과정을 밟았다. 시카고 대학교에서의 연구원 생활을 경과하고, 패터슨은 지도 교수인 해리슨 브라운과 함께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의 지질학부로 옮겼고, 지구화학 프로그램의 창립 멤버가 되었다.[2] 퍼트는 평생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에 적을 두었다. 그와 로리는 4명의 아이를 낳았다. 지구의 나이의 계산[편집] 해리슨 브라운은 화성암 중의 납동위체를 꼽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고, 1948년에 자신의 지도를 받는 학생이던 클레어 패터슨에게 졸업 과제로서 주었다. 이 기간에 패터슨은 운석은 태양계의 형성의 뒤에 남은 찌꺼기이며, 운석의 나이를 측정함으로 지구의 나이를 밝힐 수 있다고 하는 추측을 하였고, 이를 토대로 실험을 했다. 실험자료를 모으는 것에는 시간이 걸리고, 1953년에 최후의 표본을 캐니언 디아블로 운석에 손에 넣었다. 그는 운석에서 얻어낸 실험자료를 아르곤 국립 연구소에 가져가서 그곳에 있는 좋은 최신 모델의 질량 분석기로 분석을 하였다. 그 후 곧 위스콘신 대학교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패터슨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당시 패터슨이 발표한 지구의 나이는 45.50억년(오차7000만년)이었고, 2014년 현재에는 오차의 범위가 약 2000만년으로 작아졌지만 이 숫자는 지금도 변하고 있지 않다. 환경중의 납 오염[편집] 그는 마이크로그램 단위의 납을 보통인 암석으로 단리하고, 동위체의 조성을 결정하는 능력이 있어, 대서양과 태평양의 퇴적물 중의 납을 조사했다. 대륙이 바다에 흙더미를 퇴적시킨 다른 연대부터, 현재 환경중에 인위적으로 확산한 납의 양은 바다에 퇴적한 양의 80배이며, 납의 지구화학적인 사이클은 현저하게 방해를 받고 있는 것을 보일 수 있었다. 분석 방법의 한계가 있었으므로, 그는 다른 연구법도 취하였다. 깊은 곳의 바닷물은 표층부근의 바닷물과 비교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바륨과 같은 금속 원소와는 대조적으로 3 ~ 10배의 납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찾아냈다. 이것에 의해 그는 납농도는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수준의 2배정도인 당시의 상식을 의심하게 되었다. 패터슨은 당초의 실험으로 이용한 공백에 보여지는 혼입물의 문제에 되돌아갔다. 그린란드에서 얻은 빙상 코어에서 대기중의 납 함유량은 내연 엔진의 노킹을 절감한다고 해서 테트라에틸납이 연료에 널리 사용되게 되어서 바로 후에 꾸준히 위험할때까지 증대하기 시작한 것을 그는 찾아냈다. 계속해서 실험자료에 납이 혼입한 원인이 제조에 있어서 납이 각양각색 사용되고 있는 것과 대기 중의 납 오염인 것을 특별히 정하고, 그의 발견은 공중위생에 있어서 중대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으므로 나머지의 인생을 될 수 있는 한 환경에서 납을 제거하는 것에 바쳤다. 납 오염 반대 운동[편집] 1965년부터 클레어 패터슨은 납 오염 반대 운동을 전개하기 시작했으며, 《Contaminated and Natural Lead Environments of Man》의 출판과 함께 패터슨은 공업적인 원인으로 환경과 식물 연쇄에 있어서의 납의 수준이 증대하고 있는 문제에 대중에게 눈길을 끌기로 했다. 다른 과학자의 실험 방법을 비판하고 있는 것도 있어서, 그는 로버트 키호와 같은 권위 있는 전문가의 강한 반대도 있었다. 납이 첨가된 휘발유인 유연휘발유를 석유 시장에서 퇴출시키는 노력을 하는 중에 에틸 사의 로비 활동이나, 토머스 미즐리의 유산(테트라에틸납이나 클로로플루오로카본을 포함), 납을 첨가하는 공업 전체에 대하여 싸웠다. 《거의 모든 것의 역사》의 저자인 빌 브라이슨은 납공업에 대한 패터슨의 비판을 받고, 중립으로 여겨지고 있는 미국 연방공중보건국을 포함시켜 많은 연구 기관에서 계약이 거부되었다고 언급하고 있다. 1971년에는 미국 전체 국가연구 회의의 대기납오염위원회로부터 제외되었지만, 그가 당시 그 분야의 제일인자이었던 것을 생각하니 대단히 기묘했다. 패터슨의 노력은 최종적으로는 1973년의 환경보전기관(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의 선언, 미국 전체의 모든 휘발유에 첨가된 납의 60 ~ 65%의 단계적인 삭감과 1986년까지의 최종적인 제거에 연결되었다. 미국인의 혈중 납농도는, 1990년대 후반에 80%까지 떨어졌다고 보고되었다.[3] 다음에 그는 비슷한 실험적인 부족에 의해 납의 증대를 숨겨지고 있었던 식품에 눈을 돌렸다. 어떤 연구로 신선한 물고기와 비교되어 있는 통조림의 물고기는 1그램당 0.3 ~ 1400나노그램의 납 농도가 증대하고 있는 것을 내보였다. 한편 공적인 연구소는 400 ~ 700나노그램의 증대라고 보고하고 있다.[4] 그는 1600년 전 페루인의 뼈의 납·바륨·칼슘 농도를 비교하고, 현대의 인류에 있어서 700배로부터 1200배나 되는 납을 소유하고 있어, 다른 원소에서는 그다지의 차이가 없는 것을 나타냈다.[5] 1978년에 클레어 패터슨은 납 수준의 증대와 감소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보다 많은 연구를 필요하다고 논의하고 있는 국가연구 회의의 위원에게 임명되었다.[6] 그의 의견은 78쪽의 반대 의견서에 저술되어 있으며, 그곳에서는 휘발유, 식품용기, 페인트, 유약, 수도관에 있어서 즉각 규제 조치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해져 있다. 30년 후 이 내용의 대부분은 받아들여지고, 미국과 세계의 다른 많은 나라에서 실행에 옮겨졌다. 각주[편집] ↑ Biographical memoir by George R. Tilton ↑ “Interview with Shirley Cohen from the Caltech Oral History archives” (PDF). 2011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18일에 확인함.  ↑ Blood Lead Levels Keep Dropping; New Guidelines Proposed for Those Most Vulnerable Archived 2006년 9월 27일 - 웨이백 머신(1997년2월 20일) ↑ Settle, D. M.; Patterson (1980), “Lead in albacore: guide to lead pollution in Americans”, Science 207: 1167 ~ 76 ↑ Ericson, J.E.; Shirahata, H.; Patterson, C.C. (1975), “Skeletal concentrations of lead in ancient Peruvians”, N. Engl. J. Med. 300: 949 ~ 51 ↑ Lead in the Human Environment,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980) 참고 문헌[편집] Patterson, C. (1956), “Age of meteorites and the Earth”,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10: 230 ~ 237, doi : 10.1016/0016-7037(56)90036-9 Patterson, C.; Chow, T. J. (1962), “The occurrence and significance of lead isotopes in pelagic sediments”,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26: 263 ~ 308, doi : 10.1016/0016-7037(62)90016-9 Patterson, C. (1965), “Contaminated and natural environments of man”, Arch. Environ. Health 11: 344 ~ 360, PMID 14334042 빌 브라이슨 (2003), 거의 모든 것의 역사, 까치, ISBN 89-7291-364-2 Davidson, Cliff I., ed. (1998), Clean Hands: Clair Patterson's Crusade against Environmental Lead Contamination, New York: Nova Science Publishers, pp. xxxiv+162, ISBN 1-56072-568-0 McGrayne, S. Bertsch (2002), “Ch. 9: Lead-Free Gasoline and Clair C. Patterson”, Prometheans in the Lab, New York: McGraw-Hill, ISBN 0-07-140795-2 Tilton, George R., Clair Cameron Patterson Denworth, L. Toxic Truth: A Scientist, A Doctor, and the Battle over Lead, Beacon Press, 2009. Casanova, I (1998), “Clair C. Patterson (1922-1995), discoverer of the age of the Earth.”, Int. Microbiol. 1 (3): 231–2, 1998 Sep, PMID 10943366 Flegal, A R (1998), “Clair Patterson's influence on environmental research.”, Environ. Res. 78 (2): 64–70, 1998 Aug, doi : 10.1006/enrs.1998.3861, PMID 9725987 Needleman, H L (1998), “Clair Patterson and Robert Kehoe: two views of lead toxicity.”, Environ. Res. 78 (2): 79–85, 1998 Aug, doi : 10.1006/enrs.1997.3807, PMID 9719611 Flegal, A (1998), “Clair Patterson's Influence on Environmental Research.”, Environ. Res. 78 (2): 65–185, 1998 Aug, PMID 9719609 Nriagu, J O (1998), “Clair Patterson and Robert Kehoe's paradigm of "show me the data" on environmental lead poisoning.”, Environ. Res. 78 (2): 71–8, 1998 Aug, doi : 10.1006/enrs.1997.3808, PMID 9719610 전거 통제 WorldCat VIAF: 50595213 LCCN: n83028608 ISNI: 0000 0000 2325 8806 GND: 121321088 NLA: 4928629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클레어_패터슨&oldid=22329658" 분류: 1922년 태어남1995년 죽음미국의 지질학자미국의 활동가지구화학자맨해튼 계획 관련자아이오와주 출신그리널 대학교 동문시카고 대학교 동문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동문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CatalàDeutsch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МакедонскиNederlands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vensk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1일 (화) 19: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클레어 캐머런 패터슨(영어: Clair Cameron Patterson, 1922년 6월 2일 ~ 1995년 12월 5일)은 미국의 지구화학자이자, 환경운동가이다. 아이오와주의 그리널에 있는 그리널 대학교를 졸업하고, 시카고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종신교수직을 얻었다. 패터슨은 우라늄·납법을 발달시켜서 납·납법을 개발했다. 그리고, 캐니언 디아블로 운석에 포함되는 납동위체를 이용하고, 지구의 나이를 45.5억년이라고 계산했다. 이는 당시의 모든 계산보다 정확하였고, 이후에도 지구의 나이에 대한 예측은 변화가 없다. 패터슨은 1940년대 후반에 시카고 대학교에서 지구의 나이를 계산하는 연구를 하는 중에 처음으로 납 오염에 우연히 알게 되었다. 그의 납 오염에 대한 일은 공업적인 원인으로 일어나는 대기나 인체에 있어서의 납농도의 증대와 그 위험성에 관한 전면적인 재평가에 연결되고, 그 후 그의 운동은 납이 첨가된 휘발유와 식품 저장 용기에 있어서 땜납 사용금지에 있어서 큰 역할을 다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클레어 패터슨의 생애는 어땠을까? Assistant: 아이오와주의 미첼빌에서 태어났다. 아이오와주에 있는 그리널 대학교에 재학 중일때 아내인 로리 매클리어리를 만났다. 패터슨은 그리널 대학교에서 화학 학사학위를 취득하고,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분자분광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 이후에 잠시 맨해튼 계획에 종사하였다가, 시카고 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밟으면서 테네시주의 오크리지로 이주하였고, 그곳에서 질량분석법을 배웠다.[1]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에 패터슨은 시카고 대학교에 되돌아왔다. 아내인 로리는 적외 분광에 대한 연구를 하였고, 패터슨 자신은 시카고 대학교에서 해리슨 브라운의 지도하에 박사 과정을 밟았다. 시카고 대학교에서의 연구원 생활을 경과하고, 패터슨은 지도 교수인 해리슨 브라운과 함께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의 지질학부로 옮겼고, 지구화학 프로그램의 창립 멤버가 되었다.[2] 퍼트는 평생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에 적을 두었다. 그와 로리는 4명의 아이를 낳았다.
Human: 아래 2007~2008년_세계_식료품_가격_위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07~2008년 세계 식료품 가격 위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07~2008년 세계 식료품 가격 위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12월) 세계식량가격 상승을 나타낸 그래프 2007-2008 세계 식료품 가격 위기는 2006년 후반기 이후 2008년 전반기까지 약 2년간 세계 식량가격이 급격히 상승한 사건을 의미한다. 이 기간동안의 식량 가격 폭등은 전 세계적으로 저개발국가와 선진국 양쪽 모두에 정치적·경제적 불안정을 심화시켰고 사회적 불안을 가중시켰다. 목차 1 원인 1.1 구체적 원인 1.2 근본적 원인 2 세계 각국에 끼친 영향 2.1 방글라데시 2.2 브라질 2.3 부르키나파소 2.4 카메룬 2.5 코트디부아르 2.6 이집트 2.7 에티오피아 2.8 아이티 2.9 인도 2.10 인도네시아 2.11 라틴 아메리카 2.12 멕시코 2.13 모잠비크 2.14 파키스탄 2.15 버마 2.16 파나마 2.17 필리핀 2.18 러시아 2.19 세네갈 2.20 소말리아 2.21 타지키스탄 2.22 예멘 3 같이 보기 원인[편집] 구체적 원인[편집] 식량가격 급등의 구체적 원인에 대해서는 계속 논의가 진행 중이다. 2006년 말미에 일어난 식량가격 폭등의 중요한 원인으로 곡물 생산국가들의 가뭄과 원유가격의 상승이 지적되고있다. 석유가격의 상승은 비료 값과 운송비, 농기계 운용비등을 상승시켰다. 또한 전체적인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아시아(특히 중국과 인도)의 많은 중산층에서 소비하는 식량의 양이 증가한 것도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선진국에서 생물연료(원료의 대부분이 곡물인)의 사용이 증가한 것도 한가지 원인으로 지적된다. 이러한 복합적인 원인들이 작용하는 가운데 세계 식량 비축량이 감소하게 되자 전 세계적인 식량 가격은 급등하게 된다. 근본적 원인[편집] 식량가격 급등의 근본적인 원인 역시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무역 및 농업 생산에 있어서의 구조적 변화, 선진국들이 자국농민의 보호를 위해 행한 막대한 보조금 지급, 값비싼 원료와 연료가 요구되는 식량으로의 농업산업 다양화, 상품시장에서의 투기, 기후변화 등이 중요한 원인으로 지적된다. 2009년 현재 세계경제위기로 인해 식량의 가격은 상당히 떨어진 상태이지만 일부 학자들은 이것이 일시적인 현상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세계 각국에 끼친 영향[편집] 식량가격폭등은 주로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부르키나파소, 카메룬, 세네갈, 모리타니, 코트디부아르, 이집트, 모로코 등지에서는 2007년 말에서 2008년 초까지 식량가격폭등에 대한 시위와 폭동이 일어났다. 그밖에 멕시코, 볼리비아, 예멘, 우즈베키스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스리랑카,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지에서도 식량가격폭등과 관련된 폭동이 발생했다. 방글라데시[편집] 수도 다카 주변에서 10,000명의 낮은 임금과 높은 식량가격에 불만을 품은 노동자들이 자동차와 버스에 방화하고 공장시설을 파괴했다. 최소한 20명의 경찰관을 포함하여 수십명의 사람들이 이과정에서 부상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나라는 2002년 이후 식량 공급이 수요를 상회했지만 석유와 화석연료에 의존하는 농법으로 인해 식량 가격은 대폭 상승했다. 경제학자들은 30만~150만명의 방글라데시인들이 굶주림을 겪고있다고 추정한다. 브라질[편집] 2008년 4월, 브라질 정부는 일시적으로 쌀의 수출을 금지했다.이는 브라질내 소비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였다. 부르키나파소[편집] 2008년 2월 22일, 세계에서 가장 먼저 식량 폭동이 일어났다. 최대 65%의 식량가격 상승에 반발하여 이 나라의 제2, 제3의 도시에서 폭동이 발발하였으며 이는 수도인 와가두구에까지 번졌다. 군대가 동원되어 진압작전을 펼쳤으며 한 마을에선 1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체포되기도 했다. 부르키나파소 정부는 식량에 붙는 세금을 낮추고 비축된 식량을 방출하겠다고 약속하였다. 카메룬[편집] 코코아 생산량이 세계에서 4번째를 달리는 카메룬은 2008년 2월 말 식량 및 연료 가격의 폭등과 폴 비야(Paul Biya) 대통령의 임기연장(25년간 통치를 명문화)에 반발하는 폭동이 일어났다. 최소 7명의 시위대가 사망하는 등 15년 이래 가장 큰 불안정을 겪었다. 사망자의 숫자는 24명까지 늘어났다. 카메룬 정부는 쌀, 밀가루, 어류에 붙는 세금을 경감할 것을 약속했다. 또한 정부는 소매상들과 수입상품에 붙는 관세를 낮추데 합의함으로써 식량 가격을 낮출 수 있었다. 그러나 2008년 4월말 식물가격은 안정되지 않고 몇몇 물품은 오히려 더 상승했다. 2008년 4월 24일 카메룬 정부는 카메룬의 식량생산량을 배가하고 식량자급을 달성하기 위한 긴급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코트디부아르[편집] 3월 31일, 수도 아비장에서 식량가격폭등의 항의하는 수십명의 시위대에 경찰이 최류탄을 쏘는 것이 목격되었다. 이 폭동은 식량과 연료가격의 급등으로 인해 일어난 것으로, 당시 단 삼일만에 소고기의 가격은 kg당 $1.68 에서 $2.16 로 상승했으며 휘발유의 가격은 리터당 $1.68 에서 $2.16로 폭등했다. 이집트[편집] 4월 8일 공업도시 마할라(Mahalla)에서 식량 가격 폭등에 항의하는 시위대에 경찰이 개입하여 7세 소년이 머리에 총상을 입고 사망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식량 가격, 특히 지난 몇달동안 두배가 오른 빵 가격의 상승으로 인해 많은 인구가 고통 받았다. 에티오피아[편집] 가뭄과 식량가격폭등으로 수천명의 주민들이 기근의 위험에 직면해 있다. 아이티[편집] 2008년 4월 12일 아이티 상원은 총리인 알렉시스(Jacques-Édouard Alexis)를 식량가격상승으로 인한 폭동발생을 이유로 실각시켰다. 이 폭동으로 5명이 사망했다. 2007년 말 이후 2달 만에 연료가격이 3배로 뜀에 따라 쌀과 콩, 과일과 연유등의 가격도 50% 가량 상승했다. 높은 물가와 쌀에 대한 보조금을 15% 삭감하는 정책이 발표되자 그해 4월에 폭동이 발생했다. 인도[편집] 2007년 식량부족으로 인해 웨스트벵골 주에서 폭동이 발발했다. 인도는 바스마티종 쌀을 제외한 모든 쌀의 수출을 금했다. 인도네시아[편집] 2008년 1월이후 식량 가격과 휘발유 가격이 거의 2배로 상승하자 이에 항의하는 거리시위가 발생했다. 라틴 아메리카[편집] 2008년 4월, 국제 연합 식량 연합 기구(FAO)에 소속된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은 브라질리아에서 만나 높은 식량 가격과 식량의 부족 그리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폭동에 대처하기 위한 모임을 가졌다. 멕시코[편집] 멕시코의 펠리페 칼데론 대통령은 경제계의 대표들을 만나 2008년 12월 까지 커피, 정어리, 참치, 석유, 스프, 홍차등 150개 품목의 가격을 동결하기로 합의했다. 이 조치는 2004년 12월 이후 4.95%로 최고를 기록하고 있는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모잠비크[편집] 2월 중순 모잠비크의 시골마을 초케(Chokwe)에서 폭동이 시작되어 수도인 마푸토까지 번졌다. 이 과정에서 최소한 4명이 사망했다. 파키스탄[편집] 파키스탄 육군은 농경지와 창고로부터 식량을 강탈당하는 것을 막기위해 곳곳에 배치되었다. 이러한 조치는 식량가격 상승을 막지 못했다. 파키스탄의 신정부는 식량 비축분을 적절히 관리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비난 받았다. 버마[편집] 한때 세계에서 가장 많은 쌀 생산량을 자랑했던 버마는 지금도 자급량을 채우고도 남을만한 쌀을 생산하고 있다. 40년간 쌀의 수출량은 400만 톤에서 지난해 4만톤으로 급감했는데, 이는 버마 군부의 태만으로 관개나 보관에 필요한 인프라가 결여되었기 때문이다. 2008년 5월 3일 사이클론 나르기스는 버마의 쌀 경작지를 강타했고 많은 농경지를 훼손시켰다. FAO는 이 지역이 동남아시아 쌀 생산의 65%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장기적인 식량 부족과 배급 부족에 대한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군사정부는 쌀 가격에 대해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으며 여전히 같은 비율로 쌀을 수출하고 있다. 한 버마경제전문가는 "사이클론은 적어도 2번의 수확기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것이고 해당 지역에는 아무런 산출물도 나오지 않을 것이다. 이는 수년간 쌀과 식량부족을 야기할 수 있고, 버마 경제가 입는 타격은 더욱더 심해질 것" 이라고 예측했다. 파나마[편집] 파나마에서는 높은 쌀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 정부가 비싼 시장가격으로 쌀을 사들인 다음 식료 가판대에서 다른 값싼 대체제와 쌀을 교환할 수 있게 하였다. 필리핀[편집] 필리핀의 아로요정부는 4월 13일, "필리핀에서 식량 가격과 관련된 폭동이 없을 것이고 아이티와 같은 상황은 오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회의장 Sergio Apostol은 "아이티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는 반면, 우리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필리핀은 식량 부족을 겪고있지 않으며, 이는 아이티의 상황과는 다른 것" 이라 말했다. "식량 폭동은 먼 곳의 이야기만은 아니다" 라고 말한 법무부 장관 Raul Gonzalez의 발언은 정부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4월 15일 세계최대의 쌀 수입국인 필리핀은 중국과 일본 및 아시아의 주요국가들에게 쌀 수출 금지 정책의 해금을 위한 긴급회의를 소집할 것을 촉구했다. 필리핀의 농림부 장관은 "자유무역이 이루어져야한다"고 진술했다. 2008년 4월 말 필리핀 정부는 세계은행에 쌀 수출국이 쌀 수출을 금지정책을 풀도록 압력을 행사해 줄것을 건의했다. 러시아[편집] 러시아 정부는 2007년 10월 식량가격상승으로 인한 국민들의 반발을 우려하여 소매상들에게 선거가 있기 전까지 식량 가격을 동결하도록 압력을 가했다. 이 가격 동결은 2008년 5월 1일에 해제되었다. 세네갈[편집] 2008년 3월 31일, 세네갈에서 식량과 연료 가격 상승에 항의하는 폭동이 발생했다. 24명의 시위대가 체포된 뒤 구금당한 것에 대해 지역의 한 인권단체는 보안군에 대한 고문과 가혹행위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로 인해 더 큰 규모의 시위가 2008년 4월 26일 다카르에서 발생했다. 소말리아[편집] 식량가격 폭등과 통화가치의 붕괴로 분노한 수천명의 소말리아인들이 2008년 5월 5일 폭동을 일으켜 최소한 5명이 정부군과 무장한 가계 주인들에게 살해당했다고 여러 목격자와 관계자들이 전하고 있다. 이 시위는 에티오피아군의 소말리아 침공으로 인해 인권유린이 한창인 가운데 일어났다. 타지키스탄[편집] 세계 각지의 여러 미디어는 타지키스탄 곳곳에서 식량위기의 전조가 보이고 있으며 에너지 부족으로 인해 나라 전체가 심각한 기근상태에 빠져들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UN은 타지키스탄 인구의 1/3인 670만명이 2008~2009년 겨울을 나기위한 충분한 식량을 확보하지 못했다고 발표했다. 예멘[편집] 식량가격 폭등에 항의하는 폭동이 3월 말에서 4월 초까지 예멘 남부에서 발생하였다. 경찰서가 불탔고 무장한 시위대에 의해 바리케이트가 쳐졌으며 예멘군은 진압을 위해 탱크와 군용차량을 배치했다. 수천명의 시위대가 며칠동안 대치를 계속하였고 1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체포되었지만 당국은 인명피해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시위대측은 부상당한 14명중 적어도 한명 이상이 사망했다고 주장했다. 같이 보기[편집] 애그플레이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07~2008년_세계_식료품_가격_위기&oldid=22422110"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12월2007년2008년경제 문제아프리카의 경제아시아의 경제폭동국제경제학2007년 경제2008년 경제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Dansk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Magyar日本語Lietuviųമലയാളം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rtuguêsРусскийSicilianuதமிழ்ไทย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6일 (일) 08: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07-2008 세계 식료품 가격 위기는 2006년 후반기 이후 2008년 전반기까지 약 2년간 세계 식량가격이 급격히 상승한 사건을 의미한다. 이 기간동안의 식량 가격 폭등은 전 세계적으로 저개발국가와 선진국 양쪽 모두에 정치적·경제적 불안정을 심화시켰고 사회적 불안을 가중시켰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버마의 쌀 감소의 원인과 그 결과, 앞으로의 예측 상황은 어떠한가? Assistant: 한때 세계에서 가장 많은 쌀 생산량을 자랑했던 버마는 지금도 자급량을 채우고도 남을만한 쌀을 생산하고 있다. 40년간 쌀의 수출량은 400만 톤에서 지난해 4만톤으로 급감했는데, 이는 버마 군부의 태만으로 관개나 보관에 필요한 인프라가 결여되었기 때문이다. 2008년 5월 3일 사이클론 나르기스는 버마의 쌀 경작지를 강타했고 많은 농경지를 훼손시켰다. FAO는 이 지역이 동남아시아 쌀 생산의 65%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장기적인 식량 부족과 배급 부족에 대한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군사정부는 쌀 가격에 대해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으며 여전히 같은 비율로 쌀을 수출하고 있다. 한 버마경제전문가는 "사이클론은 적어도 2번의 수확기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것이고 해당 지역에는 아무런 산출물도 나오지 않을 것이다. 이는 수년간 쌀과 식량부족을 야기할 수 있고, 버마 경제가 입는 타격은 더욱더 심해질 것" 이라고 예측했다. Human: 아래 US_여자_오픈_챔피언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US 여자 오픈 챔피언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US 여자 오픈 챔피언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US 여자 오픈 챔피언십대회 정보지역 웨스트버지니아주 찰스턴 (2019년)창설 1946년코스 찰스턴 컨트리 클럽 (2019년)파 72길이 6,693 야드 (6,120 m)주최 USGA투어 LPGA 투어형식 스트로크 플레이상금 5,000,000 달러 개최 월 5월 - 6월대회 기록합계 272, 안니카 소렌스탐 (1996)272, 줄리 잉스터 (1999)272, 전인지 (2015)점수 –16, 줄리 잉스터 (1999)최근 우승자 아리야 주타누간 US 여자 오픈 챔피언십(United States Women's Open Championship) 또는 US 여자 오픈은 전미 골프 협회(United States Golf Association)가 주최하는 13개의 골프 대회 중 하나이자, 5개의 LPGA 투어 메이저 대회 중 하나이다. 목차 1 개관 2 역대 우승자 3 역대 한국인 챔피언[3] 4 각주 5 외부 링크 개관[편집] 1946년에 창설된 US 여자 오픈은 LPGA가 1950년에 설립된 이후 LPGA가 인정한 유일한 메이저 대회였다. 여자 프로 골프 선수 협회(Women's Professional Golfers Association; WPGA)가 처음 3년 동안 대회를 운영하였고, 다음 4년 동안 LPGA가 운영하다가 1953년에 USGA 대회가 되었다.[1] 일반적으로는 7월 초에 개최되며, LPGA 시즌의 세 번째 메이저 대회이다. 이 대회는 여자 골프에서 가장 높은 상금을 가지고 있다. US 오픈과 달리 US 여자 오픈은 세계적으로 메이저 대회로 인정되지는 않는다. 레이디스 유러피언 투어(Ladies European Tour; LET)는 미국에서 열리는 세 개의 메이저 대회를 인정하지 않으며, JLPGA 투어는 자체적인 메이저 대회를 가지고 있다. 다만 LPGA 투어가 여자 골프에서 지배적인 투어이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의 중요성은 제한적이다. 2007년 외국인 선수의 숫자가 처음으로 미국인 선수를 넘었다.[2] 2008년 대회에서 19세의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박인비가 우승하였으며, 박인비는 최연소 우승자가 되었다. 역대 우승자[편집] 연도 우승자 국적 점수 파 2위와의 차이 총상금($) 우승자상금 ($) 2018 아리야 주타누간 태국 277 −11 플레이오프 5,000,000 900,000 2017 박성현 대한민국 277 −11 2타 5,000,000 900,000 2016 브리타니 랭 미국 282 −6 플레이오프 4,500,000 810,000 2015 전인지 대한민국 272 −8 1타 4,500,000 810,000 2014 미셸 위 미국 278 −2 2타 4,000,000 720,000 2013 박인비 대한민국 280 −8 4타 3,250,000 585,000 2012 최나연 대한민국 281 −7 4타 3,250,000 585,000 2011 유소연 대한민국 281 −3 플레이오프 3,250,000 585,000 2010 폴라 크리머 미국 281 −3 4타 3,250,000 585,000 2009 지은희 대한민국 284 E 1타 3,250,000 585,000 2008 박인비 대한민국 283 −9 4타 3,250,000 585,000 2007 크리스티 커 미국 279 −5 2타 3,100,000 560,000 2006 안니카 소렌스탐 (3) 스웨덴 284 E 플레이오프 3,100,000 560,000 2005 김주연 대한민국 287 +3 2타 3,100,000 560,000 2004 멕 말론 (2) 미국 274 −10 2타 3,100,000 560,000 2003 힐러리 렁키 미국 283 −1 플레이오프 3,100,000 560,000 2002 줄리 잉스터 (2) 미국 276 −4 2타 3,000,000 535,000 2001 카리 웹 (2) 오스트레일리아 273 −7 8타 2,900,000 520,000 2000 카리 웹 오스트레일리아 282 −6 5타 2,750,000 500,000 1999 줄리 잉스터 미국 272 −16 5타 1,750,000 315,000 1998 박세리 대한민국 290 +6 플레이오프 1,500,000 267,500 역대 한국인 챔피언[3][편집] 1998년 박세리 2005년 김주연 2008년 박인비 2009년 지은희 2011년 유소연 2012년 최나연 2013년 박인비 2015년 전인지 2017년 박성현 각주[편집] ↑ “U.S. Women's Open: History”. USGA. 2013.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23일에 확인함.  ↑ “U.S. Women's Open Notebook”. PGA 투어. 2007년 6월 26일. 2013년 3월 6일에 확인함.  ↑ 김경무 (2017년 7월 17일). ““박성현 US 여자오픈 우승 ‘드디어 해냈다’”. 한겨레.  외부 링크[편집] (영어) US 여자 오픈 챔피언십 - 공식 웹사이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US_여자_오픈_챔피언십&oldid=23843903" 분류: 골프 대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日本語NederlandsNorskPortuguêsSvensk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1일 (월) 21:1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US 여자 오픈 챔피언십(United States Women's Open Championship) 또는 US 여자 오픈은 전미 골프 협회(United States Golf Association)가 주최하는 13개의 골프 대회 중 하나이자, 5개의 LPGA 투어 메이저 대회 중 하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US 여자 오픈이 창설된 연도는 언제인가? Assistant: 1946년
Human: 아래 견양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견양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견양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양검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5년 12월) 견양검 甄良劍 지위 강주도독(康州都督) 신상정보 출생일 ? 사망일 936년 음력 9월 사망지 고려 진주 (現 대한민국 경상남도 진주시) 왕조 후백제 가문 후백제 배우자 有 종교 불교 견양검(甄良劍, ? ~ 936년 음력 9월)은 후백제 초대 군주 견훤의 둘째 아들이다. 목차 1 생애 2 가족 관계 3 양검이 등장한 작품 3.1 TV 드라마 4 참고문헌 생애[편집] 본래에는 강주(康州)에서 도독(都督)을 지내고 있었다. 935년, 아버지 견훤이 서자이자 넷째 아들인 이복 동생 금강을 편애하여 적장자인 동복 형 신검 대신에 왕태자로 삼으려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에 위기를 느낀 형 신검과 아우 용검, 아찬 능환 등과 더불에 모반을 일으켜 금강을 암살하고 견훤을 금산사에 유폐시켰다. 형인 신검이 왕위에 오른 후에도 직위를 유지하였다. 이후에 견훤이 고려로 망명했다가 936년에 왕건과 함께 군사를 이끌고 쳐들어오자 이에 맞섰다. 그러나 박영규를 비롯한 후백제의 장수들이 일찍이 투항하는 바람에 전력에 큰 공백이 생겨 전세가 불리해졌다. 결국 마지막 전투인 일리천 전투에서 고려군에게 패배하고 신검, 용검, 능환 등과 함께 항복하였다. 항복한 이후에 모반을 꾀하고 견훤을 몰아냈던 벌을 받아 아우인 용검과 함께 징벌되어 그는 진주로 귀양을 갔다가 그곳에서 사형에 처해졌다. 가족 관계[편집] 조부 : 아자개(阿慈介) 조모 : 상원부인(上院夫人) 계조모 : 남원부인(南院夫人) 부왕 : 견훤(甄萱 867~936 재위:892/900~935) 모후 : 왕비 박씨(王妃 朴氏) 본인 : 견양검(甄良劍, ? ~ 936년) 양검이 등장한 작품[편집] TV 드라마[편집] 《태조 왕건》(KBS, 2000년~2002년, 배우: 주민준, 서후) 참고문헌[편집]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견양검&oldid=22876314" 분류: 생년 미상936년 죽음후백제의 왕족육군 군인후백제의 군인한국의 장군전주 견씨후백제 사람사형된 사람견훤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5년 12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0월 30일 (화) 00: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견양검(甄良劍, ? ~ 936년 음력 9월)은 후백제 국왕 견훤의 둘째 아들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견양검의 아버지 이름은 무엇인가? Assistant: 견훤 Human: 아래 박희양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박희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희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박희양(朴熙陽, 1867년 음력 8월 22일~1932년 양력 9월 8일)은 대한제국의 관료로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지냈다. 역시 중추원 참의를 역임한 박이양의 동생이다. 본관은 반남이다. 목차 1 가족관계 2 생애 3 같이 보기 4 참고자료 5 각주 가족관계[편집] 증조부 : 박종구(朴宗球) 조부 : 박용수(朴容壽) 부 : 박제순(朴齊恂) -- 양부 : 박제성(朴齊性) 생애[편집] 1885년 법부 주사를 시작으로 농상공부 주사, 참서관, 서기관과 문관전고소(文官銓考所)[1] 위원을 거치는 등 대한제국의 관료로 근무했다.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된 1910년 조선총독부가 설치한 중추원 부찬의에 임명되었으며, 1912년에는 한국병합기념장을 수여받았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 참전 군인과 그 가족들을 위로하기 위한 경성군인후원회에 기부금 2원을 납부하였고, 1915년 한일 병합 5주년을 기하여 식민통치를 홍보하고자 열린 시정5년기념 조선물산공진회 경성협찬회에 부회원으로 참가하여 10원을 기부한 일이 있다. 1916년에는 조선총독부의 반도사편찬사업에 조사주임에 임명되었다. 반도사편찬사업은 일본인과 조선인이 본래 한 뿌리였음을 명확히 하는 것이 첫 번째 목적으로 제시된 사업이다. 1920년 유교의 부흥을 내세운 친일 단체로 박이양이 이사로 있던 대동사문회에 평사로 참가하였다. 1921년 중추원 개편 때 주임대우 참의가 되어 1924년까지 재임했다. 중추원에 재직한 총 기간은 약 14년이다. 2002년 발표된 친일파 708인 명단과 2008년 공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모두 포함되었다. 2007년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에도 들어 있다. 같이 보기[편집] 조선총독부 중추원 대동사문회 참고자료[편집]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2007년 12월). 〈박희양〉 (PDF). 《2007년도 조사보고서 II - 친일반민족행위결정이유서》. 서울. 645~650쪽쪽. 발간등록번호 11-1560010-0000002-10.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각주[편집] ↑ “대한제국 직원록 1908년 (02. 내각 > 문관전고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2008년 11월 17일에 확인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박희양&oldid=24200133" 분류: 1867년 태어남1932년 죽음대한제국의 관료일제 강점기의 관료조선총독부 중추원 간부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친일인명사전 수록자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반남 박씨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03:0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박희양(朴熙陽, 1867년 음력 8월 22일~1932년 양력 9월 8일)은 대한제국의 관료로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지냈다. 역시 중추원 참의를 역임한 박이양의 동생이다. 본관은 반남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박희양은 몇 년도에 한국병합기념장을 받았니? Assistant: 1912년
Human: 아래 카타히라_리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카타히라 리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타히라 리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가타히라 리나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카타히라 리나片平里菜기본 정보출생 1992년 5월 12일(1992-05-12) (27세)일본 후쿠시마현 후쿠시마 시국적 일본직업 싱어송라이터장르 J-pop악기 보컬, 기타활동 시기 2012년 - 현재 레이블 소니 뮤직 아티스트소속사 포니캐년웹사이트 카타히라 리나 공식 웹사이트 카타히라 리나(일본어: 片平 里菜, 1992년 5월 12일 ~ )는 일본의 싱어송라이터이다. 후쿠시마현 후쿠시마 시 출신. 소속 레이블은 포니캐년, 소속사무소는 소니 뮤직 아티스트다. 목차 1 내력 2 디스코그래피 2.1 싱글 2.1.1 디지털 싱글 / EP 2.2 앨범 2.2.1 정규 앨범 2.3 참여 작품 2.3.1 싱글 2.3.2 앨범 3 타이업 4 라이브 4.1 라이브 투어 5 출연 5.1 영화 5.2 CM 5.3 라디오 5.3.1 인터넷 라디오 6 각주 7 외부 링크 내력[편집] 2011년 9월 FM TOKYO가 주최하는 10대 청소년 대상 여름 페스티벌 「섬광라이어트2011」의 파이널 스테이지에 출연하여 자작곡 여름밤으로 1만여팀 중에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했다. 그 결과로 2012년 소니 워크맨 브랜드의 광고 캠페인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Play You. 레이블에서 제1탄 아티스트로 발탁된다.[1][2] SMA과 계약했다. 2013년 1월 디지털 싱글 「시작하며」를 발매했다.[1] 8월 7일 포니캐년 레이블에서 싱글 「여름밤」을 발매하며 메이저 데뷔했다. 2014년 1월 25일 두번째 싱글 「여자는 울지 않아」를 발매. 1월 31일부터 첫번째 원맨 투어 「여자는 울고, 웃고, 외쳐」를 단독 라이브 콘서트 투어를 시작한다. 4월 3일부터 FM 요코하마에서 새 방송 프로그램 「카타코토 라디오」 진행을 시작했다[3]. 4월 30일 세번째 싱글 「Oh JANE/당신」을 발매했다. 8월 6일 첫번째 정규 앨범 「amazing sky」를 발매했다. 2015년 2월 25일 네번째 싱글 「누군가는/매캐한」을 발매했다. 8월 다섯번째 싱글 「누구라 해도 신데렐라 스토리」를 발매했다. 2016년 1월 13일 여섯번째 싱글 「이 눈물을 모르죠」를 완전한정생산반으로 발매했다. 2월 3일에는 두번째 정규 앨범 「최고의 짓」을 발매했다. 3월 17일 오키나와 국제 영화제에서 노래 최고의 짓을 소재로 제작된 동명의 영화 최고의 짓이 월드 프리미어 초청 상영되었다. 카타히라 리나는 이 영화에서 본인 역할로 직접 출연하였다[4]. 4월 1일 일곱번째 싱글 결로를 발매했다. 7월 22일 iTunes 한정으로 LIVE EP 「카타히라 리나 기타치며 노래하는 원맨투어 2016」를 발매했다. 디스코그래피[편집] 싱글[편집]   발매일 타이틀 매체 제품번호 최고순위오리콘[5] 1st 2013년 8월 7일 여름밤 CD PCCA-03871 44위 2nd 2014년 1월 15일 여자는 울지 않아 CD PCCA-03959 18위 3rd 2014년 4월 30일 Oh JANE/당신 CD PCCA-04010 28위 4th 2015년 2월 25일 누군가는/매캐한 CD+DVD PCCA-4175(완전한정생산반) 25위 CD PCCA-4176(통상반) 5th 2015년 8월 28일 누구라 해도 신데렐라 스토리 CD+DVD PCCA-04276(완전한정생산반) 37위 CD PCCA-04277(통상반) 6th 2016년 1월 13일 이 눈물을 모르죠 CD PCCA-70468(완전수량한정생산반) 15위 7th 2016년 4월 27일 결로 CD+DVD PCCA-04378(초회한정반) 24위 CD PCCA-04379(통상반) CD PCCA-70741(TV애니메이션「마요이가」반) 8th 2017년3월1일 이름 CD+DVD PCCA-04500(초회한정반) 44위 CD PCCA-04501(통상반) 디지털 싱글 / EP[편집] 발매일 타이틀 판매형태 2013년 1월 16일 시작하며 디지털 음원 2016년 7월 22일 기타치며 부르는 LIVE EP 【카타히라 리나 기타치며 노래하는 원맨투어 2016】 디지털 음원 2017년6월21일 lucy 디지털 음원 앨범[편집] 정규 앨범[편집]   발매일 타이틀 매체 제품번호 최고순위오리콘[6] 1st 2014년 8월 6일 amazing sky CD+DVD PCCA-4064(초회한정반) 12위 CD PCCA-4065(통상반) 2nd 2016년 2월 3일 최고의 짓 CD+DVD PCCA-4339(완전수량한정생산반) 8위 CD PCCA-4340 (통상반) 3rd 2017년 12월 20일 사랑 탓 CD PCCA-04605 참여 작품[편집] 싱글[편집] 종류 발매일 타이틀 아티스트 매체 제품번호 최고순위오리콘[7] 게스트 보컬 2015년 12월 9일 거짓말 하는 입술 도쿄 스카 파라다이스 오케스트라 CD+DVD CTCR-40375/B(완전한정생산반)  16위 CD CTCR-40376(통상반) 앨범[편집] 종류 발매일 타이틀 매체 제품번호 참가곡 컴필레이션 2012년 6월 27일 ASIAN KUNG-FU GENERATION presents NANO-MUGEN COMPILATION 2012 CD(2장) KSCL-2056/2057 시작하며 2014년 12월 10일 아오하라이드 “MUSIC RIDE” CD ESCL-4321 여자는 울지 않아 2016년 1월 27일 30th anniversary THE BLUE HEARTS re-mix『re-spect』 CD 정열의 장미情熱の薔薇[8] 타이업[편집] 사용년도 곡명 타이업 2012년 시작하며 SONY Sound Premium 「시작하며」편 CM송[2] 2013년 baby J SPORTS STADIUM2013 중계 테마송 Come Back Home 후쿠시마 TV개국50주년 이미지송 FM802 2013년 8월 「HEAVY ROTATION」 여름밤 니혼테레비계열 『뮤직 드래곤』 2013년 7월 오프닝 테마 2014년 여자는 울지 않아 TV 아사히계열 『musicる TV』 2014년 1월 오프닝 테마 TV 가나가와 『saku saku』 2014년 1월 엔딩 테마 쇼가쿠칸 『CanCam』 2014년 4월호&5월호 CM송[9] Hey boy! J SPORTS STADIUM2014 중계 테마송 짝사랑의 맛 TOKYO FM『SCHOOL OF LOCK!』 공식 벨런타인 송[10] 작은 돌은 차버려 후쿠시마 TV 「함께 걷자! 후쿠시마」 이미지 송[11] Oh JANE TBS 계열 『CDTV』 2014년 5월 엔딩 테마[12] TV 가나가와 『saku saku』 2014년 5월 엔딩 테마 당신 KADOKAWA 배급 영화 『라이브』 주제가[13] 마음은 NHK-FM 『Music Line』 2014년8・9월 엔딩 테마[14] tiny room 아이에스 필드 배급 영화 『버니 플래퍼즈』 삽입곡[15] 2015년 누군가는 수험생응원프로젝트『Toppo 돌파』 공식 응원송[16] 스타터 J SPORTS STADIUM2015 중계 테마송[17] 모습 영화 「가구라메」 주제가 누구라 해도 신데렐라 스토리 TBS 계열 『왕의 브런치』의 8・9월 엔딩 테마 2016년 Party 스트리밍 음악 서비스KKBOX TV CM송[18] 결로 애니메이션 「마요이가」엔딩 테마[19] 라이브[편집] 라이브 투어[편집] 일정 타이틀 세부사항 연주 라이브 1st 2013년4월1일 - 4월30일 카타히라 리나 꾸밈없는 웃는 얼굴로 연주하며 노래하는 투어 2013 공연일・장소(20개 장소 20공연) 공연일 지명 공연장 4월1일 이시노마키 BLUE RESISTANCE 4월2일 오후나토 FREAKS 4월3일 미야코 KLUB COUNTER ACTION 4월5일 아오모리 ASYLUM 4월7일 이와키 club SONIC iwaki 4월8일 미토 club SONIC mito 4월9일 지바 SHIZU SOUND STREAM 4월11일 시즈오카 MESCALIN DRIVE 4월12일 나가노 LIVE HOUSE J 4월14일 오사카 Soap opera classics 4월15일 고베 WYNTERLAND 4월16일 오카야마 CRAZYMAMA 2nd Room 4월19일 구마모토 しそにぬ 시소니누[*] 4월20일 사가 RAG-G 4월21일 후쿠오카 Hair Design Gram 4월22일 야마구치 Organ’s Melody 4월23일 히로시마 ふらんす座 프랑스자[*] 4월24일 요나고 Live House ONE MAKE 4월29일 센다이 시민활동시어터 4월30일 후쿠시마 Live Space C-moon 비고 디지털 싱글「시작하며」를 발매하며 개최했다. 카타히라 리나 최초의 전국 투어. 최종공연은 카타히라 리나 자신이 최초로 연주하며 노래하는 라이브를 했던 지역, 후쿠시마시의 라이브하우스 『Live Space C-moon』에서 열렸다[20]. 2nd 2014년5월12일 - 7월11일 카타히라 리나 그 장소에서 우연히 연주하며 노래하는 투어 2014 공연일・장소(23개 장소 23공연) 공연일 지명 공연장(이벤트명) 5월12일 이시노마키 BLUE RESISTANCE 5월13일 오후나토 FREAKS 5월14일 미야코 KLUB COUNTER ACTION 5월17일 이시노마키 遊楽館 かなんホール 유가쿠칸 가난홀[*] 5월20일 아키타 CLUB SWINDLE 5월21일 이와키 club SONIC iwaki 5월24일 후쿠시마 하토리코 고원 레지나 숲(바람과 록 CARAVAN후쿠오카 ~이와세군 텐에이무라~) 5월25일 요코하마 아카렌가지구 야외 특설공연장(GREENROOM FESTIVAL’14) 6월8일 나고야 EDITS(SAKAE SP-RING 2014) 6월9일 나가노 LIVE HOUSE J 6월10일 니가타 SHOW! CASE!! 6월17일 삿포로 COLONY 6월21일 마츠야마 キティホール 키티홀[*] 6월23일 오카야마 城下公会堂 시로시타코카이도[*] 6월24일 히로시마 ナミキジャンクション 나미키정션[*] 6월27일 야마구치 Organ’s Melody 6월28일 구마모토 Arbaro 6월30일 후쿠오카 ROOMS 7월2일 가고시마 SR HALL 7월4일 타카마츠 MONSTER 7월8일 오사카 KITCHEN和 키친니코[*] 7월9일 교토 磔磔 타쿠타쿠[*] 7월11일 도쿄 自由学園明日館 지유가쿠엔 묘니치칸[*] 비고 3rd싱글「Oh JANE/당신」 발매 후에 개최. 덧붙여, 같은 싱글의 수록곡 「그 장소에서 우연히」를 투어 타이틀로 삼았다. 최종공연은 도쿄도 도시마 구 『自由学園明日館 지유가쿠엔 묘니치칸[*]』의 강당에서, “완전 언플러그드 원맨”으로, 마이크 앰프를 쓰지 않은 언플러그드 상태로 원맨 라이브가 이루어졌다.[21][22]. 덧붙여 마지막 공연에서 자신의 두번째 원맨투어를 발표했다[22]. 원맨라이브 1st 2014년1월31일 - 2월9일 카타히라 리나 1st 원맨 투어 2014〝여자는 울고, 웃고, 외쳐〟 공연일・장소(3개 장소 3공연) 공연일 지명 공연장 1월30일 도쿄 渋谷WWW 시부야WWW[*] 2월8일 오사카 南堀江knave 미나미호리에네이브[*] 2월9일 후쿠시마 Live Space C-moon 備考 2nd싱글「여자는 울지 않아」을 발매한 후에 개최했다. 메이저 데뷔 후 첫 라이브 투어. 투어 마지막 날 후쿠시마 공연에서 세번째 싱글의 발매를 발표했다[23]. 2nd 2014년11월16일 - 12월13일 카타히라 리나 2rd 원맨 투어 2014〝amazing sky〟 공연일・장소(6개 장소 6공연) 공연일 지명 공연장 11월16일 아이치 ell. FISTALL 11월18일 미야기 LIVE HOUSE enn 2nd 11월23일 오사카 UMEDA AKASO 11월24일 도쿄 恵比寿LIQUIDROOM 에비스리퀴드룸[*] 12월6일 후쿠오카 Queblick 12월13일 후쿠시마 Live Space C-moon 비고 1st앨범 「amazing sky」를 발매한 후 개최했다. 3rd 2015년5월9일 - 7월19일 카타히라 리나 연주하며 노래하는 원맨투어 2015〝최고의 짓〟 공연일・장소(12개 장소 12공연) 공연일 지명 공연장 5월9일 오사카 BIG CAT 5월24일 삿포로 cube garden 6월12일 도쿄 시부야 TSUTAYA O-EAST 6月19日 이시노마키 BLUE RESITANCE 6月20日 오후나토 FREAKS 6月21日 미야코 KLUB COUNTER ACTION 6月26日 나고야 Electric Lady Land 7月3日 다카마츠 DIME 7月5日 히로시마 CLUB QUATTRO 7月10日 구마모토 CIB 7月12日 후쿠오카 스미요시신사 노가쿠당(住吉神社能楽殿 스미요시진쟈 노가쿠당[*]) 7月19日 이와키 club SONIC iwaki 備考 4th싱글「누군가는/매캐한」을 발매한 후 개최했다. 4th 2016년2월6일 - 3월21일 카타히라 리나 3rd 연주하며 노래하는 원맨투어 2016〝그런 식으로 사랑할 수 있어?〟 공연일・장소(10개 장소 10공연) 공연일 지명 공연장 2월6일 고리야마 HIP SHOT JAPAN 2월7일 사이타마 HEAVEN'S ROCK さいたま新都心 사이타마신토신[*] VJ-3 2월13일 니가타ㅏ GOLDEN PIGS RED STAGE 2월14일 센다이 Rensa 2월28일 후쿠오카 Drum Logos 3월5일 홋카이도 PENNY LANE 24 3월12일 히로시마 Club Quattro 3월13일 나고야 다이아몬드홀ダイアモンドホール 3월18일 오사카 なんばHatch 난바Hatch[*] 3월21일 도쿄 Zepp DiverCity 비고 2nd앨범「최고의 짓」을 발매한 후에 개최. 투어 마지막날인 도쿄 공연에서 4번째 연주하며 노래하는 원맨 투어 개최를 발표했다. 5th 2016년6월10일 - 8월13일 카타히라 리나 연주하며 노래하는 원맨 투어 2016〝저기 이런 세상이라고 해도 둘이서만큼은 잘 해나가자 공연일・장소(18개 장소 19공연) 공연일 지명 장소 6月10日 교토 磔磔 타쿠타쿠[*] 6月12日 마츠야마 키티홀(キティホール) 6月13日 다카마츠 DIME 6月14日 히로시마 클럽 콰트로(クラブクアトロ) 6月17日 요코하마 요코하마 붉은 벽돌 창고1호관 홀 6月19日 나고야 다이아몬드홀(ダイアモンドホール) 6月20日 하마마츠 LiveHouse浜松窓枠 LiveHouse하마마츠마도와쿠[*] 6月24日 삿포로 PENNY LANE24 7月1日 후쿠오카 都久志会館 츠쿠시카이칸[*] 7月3日 구마모토 B.9 V1 7月8日 니가타 LOTS 7月10日 카나자와 MILLION CITY 7月19日 센다이 Rensa 7月22日 고리야마 HIP SHOT JAPAN 7月23日 모리오카 CLUB CHANGE WAVE 7月29日 오카야마 CRAZYMAMA KINGDOM 7月31日 오사카 오사카 시 중앙공회당 8月12日 도쿄 에비스 더 가든 홀(恵比寿 ザ・ガーデンホール) 8月13日 도쿄 에비스 더 가든 홀(恵比寿 ザ・ガーデンホール) 비고 7th싱글 「결로」를 발매한 후에 개최했다. 출연[편집] 영화[편집] 최고의 짓(2016년, 제8회 오키나와 국제영화제 출품) - 주연・카타히라 리나(본인) 역[4] CM[편집] SONY Sound Premium 「시작하며」 편 산토리 「호로요이」(2015년3월 - ) 라디오[편집] YOKOHAMA RADIO APARTMENT 「카타코토라디오 カタコトラジオ 」 (2014년4월3일 - , FM 요코하마)[3] 인터넷 라디오[편집] SCHOOL OF LOCK!, 스마트폰LOCKS!・『카타히라LOCKS!』 (2012년11월15일 - 2015년9월30일 、JFN・TOKYO FM) 각주[편집] ↑ 가 나 “섬광라이어트출신 카타히라 리나의 화제곡이 디지털 싱글로”. ナタリー. 2013년 1월 15일. 2013년 1월 21일에 확인함.  ↑ 가 나 片平里菜 (2013년 3월 30일). 《Power Push 카타히라 리나 데뷔까지의 족적을 따라가는 인터뷰와 연표》. 인터뷰어: 西廣智一. “ナタリー”. 2013년 8월 18일에 확인함.  ↑ 가 나 “카타히라 리나, 4월부터 매주 80분간 라디오 생방송에 도전”. ナタリー. 2014년 3월 27일. 2014년 3월 30일에 확인함.  ↑ 가 나 “카타히라 리나의 노래 「최고의 짓」이 영화화, 카타히라 본인역으로 주연”. 《映画ナタリー》. 2016년 3월 17일. 2016년 3월 17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의 CD 싱글랭킹”. 《오리콘예능인사전》. 오리콘. 2016년 5월 4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의 CD 앨범랭킹”. 《오리콘 예능인 사전》. 오리콘. 2016년 2월 10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의 CD 싱글랭킹”. 《오리콘 예능인 사전》. オリコン. 2013년 8월 14일에 확인함.  ↑ “유데타마고, 블루하츠의 콜라보 앨범에서 멤버들을 그리다”. 2015년 12월 10일.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여자는 울지 않아」가 CanCam테레비 CM송으로”. ナタリー. 2014년 2월 19일. 2014년 3월 30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SOL!」 공식 발렌타인 송, 오늘밤 온에어”. ナタリー. 2014년 2월 13일. 2014년 2월 17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출신지 후쿠시마를 흥분시키는 신곡과 정규 방송 결정”. ナタリー. 2014년 3월 18일. 2014년 3월 30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의 신곡 “Oh JANE”이, TBS『CDTV』의 5월 엔딩 테마로 결정”. ロッキング・オン. 2014년 4월 15일. 2014년 4월 15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의 4월 발매 신작에 카메다 세이지, 스카파라의 모테기, 오키 참가”. ナタリー. 2014년 2월 22일. 2014년 2월 22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데뷔 기념일인 8월 7일에 니코니코생방송 특별방송 결정. 호화 게스트도”. BARKS. 2014년 8월 1일. 2014년 8월 6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여성을 위한 영화에 삽입곡 「tiny room」 제공”. ナタリー. 2014년 5월 29일. 2014년 8월 6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의 수험생 응원송 완성, SOL!생방송 출연 및 첫방송”. ナタリー. 2014년 12월 12일. 2015년 2월 10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야구방송 테마송에 신곡 제공”. ナタリー. 2015년 2월 1일. 2015년 2월 10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KKBOX」 CM송을”. BARKS. 2016년 2월 22일. 2016년 2월 23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애니메이션 「마요이가」ED곡을 4월에 싱글로 발매”. ナタリー. 2016년 2월 29일. 2016년 3월 1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출신지 후쿠시마에서 집같은 분위기로 투어 파이널 공연”. ナタリー. 2013년 5월 1일. 2013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22살 생일에 도호쿠지방부터 연주하며 노래하는 투어 스타트”. BARKS. 2014년 5월 13일. 2014년 5월 31일에 확인함.  ↑ 가 나 “카타히라 리나, 가을 원맨투어 발표. 공연횟수도 배로 늘어”. BARKS. 2014년 7월 13일. 2014년 8월 3일에 확인함.  ↑ “서프라이즈 발표도! 카타히라 리나, 첫 원맨투어가 후쿠시마에서 막을 내리다”. ナタリー. 2014년 2월 10일. 2014년 2월 1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카타히라 리나 - 공식 웹사이트 (일본어) 카타히라 리나 공식 블로그 카타히라 리나 - 유튜브 카타히라 리나 - 인스타그램 카타히라 리나 - 트위터 vdeh카타히라 리나싱글맥시1.여름밤 - 2.여자는 울지 않아 - 3.Oh JANE/당신 - 4.누군가는/매캐한 - 5.누구라 해도 신데렐라 스토리 - 6.이 눈물을 모르죠 - 7.결로 - 8.이름디지털 싱글1.시작하며 - 2.Lucy앨범정규 오리지널1.amazing sky - 2.최고의 짓 - 3.사랑 탓EP디지털 한정 카타히라 리나 기타치며 노래하는 원맨투어 2016(LIVE EP)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카타히라_리나&oldid=24484501" 분류: 199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일본의 여자 가수일본의 여자 싱어송라이터후쿠시마현 출신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Magyar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6일 (수) 03:4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카타히라 리나(일본어: 片平 里菜, 1992년 5월 12일 ~ )는 일본의 싱어송라이터이다. 후쿠시마현 후쿠시마시 출신. 소속 레이블은 포니캐년, 소속사무소는 소니 뮤직 아티스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카타히라 리나의 정규앨범 발매일별 앨범 정보는 어떠한가요? Assistant:   발매일 타이틀 매체 제품번호 최고순위오리콘[6] 1st 2014년 8월 6일 amazing sky CD+DVD PCCA-4064(초회한정반) 12위 CD PCCA-4065(통상반) 2nd 2016년 2월 3일 최고의 짓 CD+DVD PCCA-4339(완전수량한정생산반) 8위 CD PCCA-4340 (통상반) 3rd 2017년 12월 20일 사랑 탓 CD PCCA-04605 Human: 아래 도네이션웨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도네이션웨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네이션웨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도네이션웨어(donationware)는 사용자에게 완전한 기능의 소프트웨어를 제공하지만 프로그래머나 일반 업체(일반적으로 비영리)에 선택적인 기부를 부탁하는 것을 말한다. 도네이션웨어가 모든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구입은 선택이기 때문에 프리웨어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목차 1 역사 2 유명한 예 3 참조 4 같이 보기 역사[편집] 레드 라이더(Red Ryder)는 1980년대에 애플 매킨토시용으로 작성된 통신 및 단말 에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의 이름이다. 이 소프트웨어는 인터넷에 처음 배포된 도네이션웨어 프로그램 가운데 하나였다. 펜실베니아에 위치한 프리소프트 컴퍼니를 설립한 스캇 왓슨(Scott Watson)이 작성하였다. 광고에 돈을 들이지 않고 전자 게시판에 레드 라이더를 제공하여 왓슨은 맥용 1등 통신 프로그램을 시장화하여 배포할 수 있었다. 그는 상점에 이것을 판매하지 않았다. 이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다운로드한 사람 누구에게나 그에게 40불을 보내면 좋겠다는 것이 의도였다. 나중에 그는 "저는 저작권 침해 문제의 이점을 이용했습니다. 수많은 프로그램 이용자들이 마음대로 이를 복사해갔죠. 저는 무료로 뭔가를 배포하고 이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마음에 들어서 돈을 지불한다면 소프트웨어를 파는 사람들보다 더 많은 이익을 얻으리라 추측했습니다."라고 말하였다. 유명한 예[편집] Vim CCleaner 참조[편집] Jesse Reichler (2006년) Donationware experience - An article describing experiments with Donationware: Ethical Software, Work Equalization, Temporary Licenses, Collective Bargaining, and Microdonations at Donationcoder. 같이 보기[편집] 선물 경제 - 기부 경제 프리웨어 vdeh소프트웨어 배포사용권 비어웨어 자유 자유-오픈 소스 오픈 소스 사유 퍼블릭 도메인 보상 모형 상용 소프트웨어 크리플웨어 셰어웨어 내그웨어 포스트카드웨어 프리웨어 케어웨어 도네이션웨어 애드웨어 크라우드펀딩 Freemium 제공 방식 디지털 배급 번들 사전 설치 소프트웨어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플러스 서비스 직접설치 파일 공유 사기 및 불법 베이퍼웨어 셔블웨어 스케어웨어 악성 소프트웨어 랜섬웨어 스파이웨어 웜 트로이 목마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소프트웨어 유지 보수 어밴던웨어 장기 지원 복제 방지 디지털 권한 관리 소프트웨어 저작권 소프트웨어 특허 제품 키 제품 활성화 하드웨어 제한 이 글은 소프트웨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도네이션웨어&oldid=17006176" 분류: 소프트웨어 사용권소프트웨어 배포프리웨어숨은 분류: 소프트웨어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zərbaycanca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Hrvatski日本語Mirandés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6년 7월 31일 (일) 02: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도네이션웨어(donationware)는 사용자에게 완전한 기능의 소프트웨어를 제공하지만 프로그래머나 일반 업체(일반적으로 비영리)에 선택적인 기부를 부탁하는 것을 말한다. 도네이션웨어가 모든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구입은 선택이기 때문에 프리웨어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왓슨이 레드 라이더를 게시판에 배포하며 책정한 가격은? Assistant: 무료
Human: 아래 조니_에번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조니 에번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니 에번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니 에번스 2017년의 에번스개인 정보전체 이름 Jonathan Grant Evans출생일 1988년 1월 3일(1988-01-03) (31세)출생지 북아일랜드 벨파스트키 188cm포지션 센터백클럽 정보현 소속팀 레스터 시티등번호 6청소년 클럽 기록2004-2006 맨체스터 유나이티드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2006-2015 2006 2006-2007 2008 2015-2018 2018-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로열 앤트워프 (임대) → 선덜랜드 (임대) → 선덜랜드 (임대) 웨스트브로미치 앨비언 레스터 시티 131 00(4) 011 00(2) 018 00(1) 015 00(0) 089 00(5) 013 00(0)국가대표팀 기록‡ 2004-2005 2006 2006- 북아일랜드 U-16 북아일랜드 U-17 북아일랜드 U-21 북아일랜드 006 00(0) 008 00(1) 003 00(0) 070 00(2)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19년 2월 3일 기준이다.‡ 국가대표팀의 출장수와 골은 2018년 6월 5일 기준이다. 조너선 그랜트 "조니" 에번스(Jonathan Grant "Jonny" Evans, 1988년 1월 3일, 북아일랜드 벨파스트 ~ )는 북아일랜드의 축구 선수로 프리미어리그의 클럽 레스터 시티 소속이다. 목차 1 클럽 경력 2 국가대표팀 경력 3 수상 4 사소한 것 5 각주 6 외부 링크 클럽 경력[편집] 그린아일랜드 FC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한 에번스는 2004년 7월에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 스카웃되었다. 2006-07 시즌 초반에는 앤트워프에서 임대생활을 했으며 맨유로 돌아와 다시 챔피언십리그의 선덜랜드로 임대되었다. 2007년 9월 26일 코번트리 시티와의 칼링 컵 경기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공식 데뷔전을 치렀다. 2007-08 시즌 겨울이적시장에서 선덜랜드의 감독인 로이 킨의 요청으로 선덜랜드에 재임대되었다. 2008-09 시즌에는 헤라르드 피케의 이적으로 다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로 복귀했다. 팀의 3번째 수비수가 된 그는 리오 퍼디낸드와 네마냐 비디치의 결장 시 공백을 메우거나 컵 대회에 주로 출전하는 등 출전 시간을 늘려나가기 시작하였다. 2011-12 시즌엔 주전 센터백으로 리그 29경기를 포함하여 시즌 총 40경기에 출전하였다. 그러나, 잦은 실수와 주전 경쟁에 밀린 에반스는 8월 30일에 웨스트 브로미치와 4년 계약을 맺고 이적함으로써 11년 간의 맨유 생활을 청산하였다. 국가대표팀 경력[편집] 2006년 9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의 공식 경기 출장 경험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18세의 어린 나이로 북아일랜드 대표팀에 선발되어 스페인과의 유로 2008 예선전에 출장하였다. 북아일랜드는 이 경기에서 3:2로 승리하였다. 현재는 북아일랜드의 수비진의 주전 멤버로 나오고 있다. 수상[편집] 챔피언십리그 - 2006-07 FA 커뮤니티 실드 (2) - 2010, 2011 FIFA 클럽 월드컵 - 2008 프리미어리그 (3) - 2008-09, 2010-11, 2012-13 풋볼 리그 컵 (2) - 2009, 2010 사소한 것[편집] 에번스는 영국 학생의 성적을 측정하는 국가자격시험인 GCSE 9과목 모두 A+ 혹은 A의 성적을 받았다.[1] 각주[편집] ↑ “Manchester News - Jonathan Evans. Latest News. Greenisland F.C. [[2007년]] [[12월 19일]]”. 2008년 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5월 29일에 확인함.  URL과 위키 링크가 충돌함 (도움말) 외부 링크[편집] (영어) 프로필 ManUtd.com (영어) 조니 에번스의 블로그 vdeh레스터 시티 FC – 현재 명단 1 슈마이켈 3 칠웰 4 쇠윈쥐 5 모건 6 에번스 7 그레이 8 이헤아나초 9 바디 10 메디슨 11 올브라이턴 12 워드 14 페레이라 15 매과이어 17 야쿠포비치 18 아마티 19 반스 21 틸레만스 22 제임스 24 멘디 25 은디디 28 푸흐스 29 베날루안 31 게잘 38 초우두리 감독: 로저스 vdeh북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 UEFA 유로 2016 1 맥고번 2 매클로플린 3 퍼거슨 4 매콜리 5 J. 에번스 6 베어드 7 맥긴 8 데이비스 (주장) 9 그리그 10 래퍼티 11 워싱턴 12 캐롤 13 C. 에번스 14 댈러스 15 매컬로 16 노우드 17 맥네어 18 휴스 19 워드 20 카스카트 21 매지니스 22 호드슨 23 매너스 감독: 오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니_에번스&oldid=23702911" 분류: 1988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북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의 축구 선수로열 앤트워프 FC의 축구 선수선덜랜드 AFC의 축구 선수웨스트브로미치 앨비언 FC의 축구 선수레스터 시티 FC의 축구 선수축구 센터백벨기에의 외국인 축구 선수북아일랜드 U-21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UEFA 유로 2016 참가 선수북아일랜드 청소년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프리미어리그의 축구 선수잉글리시 풋볼 리그의 축구 선수숨은 분류: 인용 오류 - URL과 위키 링크가 충돌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Bahasa MelayuMaltiNederlandsNorsk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संस्कृतम्Simple EnglishSlovenščina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4일 (목) 21: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조너선 그랜트 "조니" 에번스(Jonathan Grant "Jonny" Evans, MBE, 1988년 1월 3일, 북아일랜드 벨파스트 ~ )는 북아일랜드의 축구 선수로 프리미어리그의 클럽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소속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04년 7월 축구선수 조니 에번스를 스카웃한 프로 팀은 어디인가? Assistant: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Human: 아래 개미학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개미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개미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개미학자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꿀을 빠는 고기개미 개미학 (Myrmecology, 현지 발음: [mɜːrmᵻˈkɒlədʒi]: 그리스어의 μύρμηξ, myrmex, "개미" 와 λόγος, logos, "학문" 에서 유래함) 은 개미에 대한 과학적 연구에 집중하는 곤충학의 분파이다. 몇몇 초기 개미학자들은 개미 사회를 이상적인 사회의 형태로 여겼으며, 이를 연구하여 인류 사회의 문제의 해결책을 찾고자 하였다.[출처 필요] 개미는 그 복잡하고 다양한 진사회성의 형태, 사회적 조직으로 인해 오늘날에도 사회체계의 혁신에 관한 연구를 위한 모델로 사용되고 있다. 개미 사회는 그 다양함과 생태계에서 차지하는 중요함으로 인해 생물다양성과 보존에 관한 연구에도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요즈음에 개미 군체는 기계학습, 복잡한 상호작용 연결망과, 마주침과 상호작용 네트워크, 병렬연산 등의 컴퓨터 분야의 추계성과의 관련성을 연구하고 모델화하는 일에도 사용된다.[1] 목차 1 역사 2 학제간의 응용 3 소설 속의 개미학자 4 유명한 개미학자 4.1 현시대의 개미학자 5 관련 용어 6 참고 문서 7 각주 8 외부 링크 역사[편집] 개미의 삶에 대한 인류의 관심은 먼 옛날부터 수많은 고대의 전통민요와 함께 존재해왔지만, 개미학 myrmecology 이라는 단어는 윌리엄 모턴 휠러 (1865–1937) 가 만들어냈다. 개미의 삶에 대한 탐색에 기반한 최초의 과학적 사고는 처음에는 본능, 학습, 사회에 대한 발상에 흥미가 있었던 스위스의 심리학자 오거스트 포렐 (1848–1931) 이 보여주었다. 그는 1874년에 스위스의 개미에 대한 저서 'Les fourmis de la Suisse' 를 썼고, 그의 집의 이름을 'La Fourmilière' (개미군체) 라고 지었다. 포렐은 초기의 연구에서 한 군체에 복수의 종의 개미를 혼합하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 그는 개미의 polydomy와 monodomy를 적었고 이를 국가의 군체와 비교하였다.[2] 휠러는 개미의 사회적인 조직에 대한 새로운 관점으로 개미를 관찰하였고, 1910년에 우즈홀에서 초개체에 대한 발상을 선도한 "유기체로서의 개미군락"에 대한 강의를 진행했다. 휠러는 군체 내에서 먹이를 공유하는 영양교환을 개미 사회의 핵심으로 여겼다. 이는 염색한 음식을 이용하여 연구되었고 어떻게 음식이 군체 내에서 퍼지는지를 관찰할 수 있었다.[2] 호레이스 도니소프와 같은 몇몇 학자들은 개미의 계통분류학을 연구했다. 이러한 전통은 생물학의 다른 분야가 진보하기 전까지 세계 곳곳에서 지속되었다. 유전학의 도래, 비교행동학의 발상과 진보는 새로운 사상을 이끌었다. 이러한 조사는 사회생물학으로 명명된 분야를 창설한 에드워드 윌슨이 선도하였다.[2] 학제간의 응용[편집] 공학자들은 생체모방을 위해, 네트워크 공학자들은 좀 더 효율적인 네트워크를 위해 개미를 연구한다. 어떻게 개미의 무리가 교통 정체 없이 움직이는지, 명령을 하달하는 상위 존재 없이 최대한 효율적인 경로로 이동하기 위해 움직임을 최적화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이미 개미 연구의 성과를 구조적인 설계와 상호연결망에 적용한 수많은 사례가 있지만, 인류가 만든 체계의 효율성은 여전히 개미군체의 효율성에 근접하지 못했다. 소설 속의 개미학자[편집] 워너 브라더스가 1954년에 개봉한 흑백서사영화 Them! 은 워싱턴DC의 농무부에서 개미학자 해롤드 메드포드 박사를(에드먼드 그웬 역) 방문하는 장면을 묘사한다. 유명한 개미학자[편집] 가나다순으로 정렬한다. 어니스트 앙드레 (1838–1911), 프랑스의 곤충학자 토마스 보그마이어 (1892–1975), 독일-브라질의 신학자, 곤충학자 윌리엄 L. 메이시 주니어 (1922–1997), 미국의 곤충학자 지오반니 코벨리 (1849–1937), 이탈리아의 곤충학자, 로베레토 박물관의 책임자 아서 찰스 콜 주니어 (1908–1955), 미국의 곤충학자 월터 세실 크롤리, 영국의 곤충학자 윌리엄 스틸 크라이튼 (1902–1973), 미국의 곤충학자 호레이스 도니소프 (1870–1951), 영국의 개미학자이며 몇몇 개미종을 명명함 카를로 에메리 (1848–1925), 이탈리아의 곤충학자 요한 크리스티안 파브리시우스 (1745–1808), 덴마크의 곤충학자, 린네의 제자 어거스트 포렐 (1848–1931), 스위스의 개미학자이며 사람과 개미의 뇌 구조를 연구함 에밀 어거스트 괼디 (1859–1917), 스위스-브라질의 자연학자, 동물학자 윌리엄 굴드 (1715–1799), 호레이스 도니소프가 "영국의 개미학의 아버지" 라 서술함 로버트 에드먼드 그레그 (1912–1991), 미국의 곤충학자 토마스 카버힐 젤던 (1811–1872), 영국의 내과의사, 동물학자, 식물학자 발터 볼프강 켐프 (1920–1976), 브라질의 개미학자 하인리히 커터 (1896–1990), 스위스의 개미학자 니콜라스 쿠즈네초프,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쿠즈네초프-우담스키'로도 알려짐 (1898–1963) 피에르 앙드레 라트레이으 (1762–1833) 프랑스의 곤충학자 존 러벅 경 (첫 번째 에이브버리 남작) (1834–1913), 막시목의 감각기관에 대해 저술함 윌리엄 T. 만 (1886–1960), 미국의 곤충학자 구스타브 마이어 (1830–1908), 오스트리아의 곤충학자이자 빈의 해충의 교수, 막시목의 전문가 카를로 메노지 also as Carlo Minozzi (1892–1943), 이탈리아의 곤충학자 빌헬름 닐란델 (1822–1899), 핀란드의 식물학자, 선태식물학자, 균류학자, 곤충학자, 개미학자 바질 데렉 랙 몰리 (1920–1969), 유전학, 동물의 사회적 행동, 농해충의 행동을 연구함 퍼거스 오루크 (1923– 2010), 아일랜드의 동물학자 율리우스 로저 (1819–1865), 독일의 내과의사, 곤충학자, 민속학자 펠릭스 상치 (1872–1940), 스위스의 곤충학자 시어도어 크리스찬 쉬네일라 (1902–1968), 미국의 동물심리학자 프레데릭 스미스 (1805–1879), 1949년부터 대영박물관의 동물학부에서 일한 막시목의 전문가 로이 R. 스넬링 (1934–2008), 미국의 곤충학자이며 수많은 희귀하거나 새로운 개미 종에 대한 중요한 발견에 기여함 에리히 바스만 (1859–1931), 오스트리아의 곤충학자 닐 앨버트 웨버 (1908–2001), 미국의 개미학자 존 오바다야 웨스트우드 (1805–1893), 영국의 곤충학자, 지질학자이며 예술적인 재능이 있다고 기록됨 윌리엄 모턴 휠러 (1865–1937), 미국 자연사 박물관의 무척추동물학 분야의 큐레이터이며 다양한 신종을 기술함 현시대의 개미학자[편집] 도낫 아고스티, 스위스의 곤충학자 체자레 바로니 우르바니, 스위스의 개미 분류학자 머레이 S. 블룸 (1929–), 미국의 화학생태학자, 페로몬의 전문가 배리 볼턴, 영국의 개미분류학자 알프레드 부싱어, 독일의 개미학자 앙리 카냥, 프랑스의 개미학자 존 S. 클라크, 스코틀랜드의 개미학자 세드릭 알렉스 콜링우드, 영국의 곤충학자 마크 애미던 데럽, 미국의 개미학자 프란세스크 자비에르 에스파달레 이 겔라베르트, 스페인의 개미학자, 지중해와 마카로네시아의 개미와 외래종의 전문가 데보라 고든 (1955–), 개미 군체의 행동과 생태학을 연구함 윌리엄 H. 고트왈드 주니어, 미국의 곤충학자 마이클 J. 그린, 화학적 단서와 행동패턴의 상효작용을 연구함 베르트 휄도블러 (1936–), 퓰리처상을 수상한 독일의 개미학자 로랑 켈러 (1961–), 스위스의 혁신적인 생물학자, 개미학자 존. E. 라트케 존 T. 롱기노, 미국의 곤충학자 마크 W. 모페트 (1958–), 미국의 곤충학자, 사진작가 코리 S. 모로, 미국의 혁신적인 생물학자, 곤충학자이며 개미의 진화와 다각화에 대해 저술함 저스틴 오블 슈미트, 미국의 곤충학자이며 개미, 말벌, 거미류의 화학적, 행동적 방어행위에 대해 연구함 베른하르트 사이페르트, 독일의 곤충학자 스티븐 O. 섀턱, 미국의-호주의 곤충학자 마리오 R. 스미스, 미국의 곤충학자 로버트 W. 테일러, 호주의 개미학자 알베르토 티나트 라네라, 스페인의 개미학자 월터 R. 칭켈, 미국의 개미학자 제임스 C. 트레거, 미국의 개미학자 게리 J. 엄프리, 미국의 생물통계학자, 개미학자 필립 S. 워드, 미국의 곤충학자 에드워드 오즈본 윌슨 (1929–), 퓰리처상을 수상한 미국의 개미학자이며 사회생물학 분야를 혁신함 관련 용어[편집] Myrmecochorous (형용사) 개미가 흩뜨리는 Myrmecophagous (형용사) 개미에게 먹이가 되는 Myrmecophile (명사) 개미와 동지를 공유하는 습성이 있는 유기체. myrmecophilous (형용사), myrmecophily (명사) myrmidon (명사) 호메로스의 일리아드에 등장하는, 개미가 제우스의 권능을 통해 변신한 개미인간이며, 아킬레스의 전사로서 싸웠다. 참고 문서[편집] 개미사육 개미사육장 벌, 말벌, 개미 기록회 스티그머지, 개미 등의 사회성 곤충의 협업을 돕는 생물학적 기제 개미학 뉴스, 개미 연구를 위한 독립적인, 국제적인, 비영리적인 학술지 국제사회곤충연맹 개미집단최적화 군집지능 각주[편집] ↑ Deborah Gordon (2010). 《Ant Encounters Interaction Networks and Colony Behavior》.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43쪽. ISBN 978-0691138794.  ↑ 가 나 다 Sleigh, Charlotte (2007) Six legs better : a cultural history of myrmecology.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ISBN 0-8018-8445-4 외부 링크[편집] Documentary about myrmecology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개미학&oldid=24067290" 분류: 곤충학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8년 8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BosanskiCatalà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a .lojban.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lovenčinaதமிழ்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16:2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개미학 (Myrmecology, local pronunciation: [mɜːrmᵻˈkɒlədʒi]: 그리스어의 μύρμηξ, myrmex, "개미" 와 λόγος, logos, "학문"에서 유래함) 은 개미에 대한 과학적 연구에 집중하는 곤충학의 분파이다. 몇몇 초기 개미학자들은 개미 사회를 이상적인 사회의 형태로 여겼으며, 이를 연구하여 인류 사회의 문제의 해결책을 찾고자 하였다. 개미는 그 복잡하고 다양한 진사회성의 형태, 사회적 조직으로 인해 오늘날에도 사회체계의 혁신에 관한 연구를 위한 모델로 사용되고 있다. 개미 사회는 그 다양함과 생태계에서 차지하는 중요함으로 인해 생물다양성과 보존에 관한 연구에도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요즈음에 개미 군체는 기계학습, 복잡한 상호작용 연결망과, 마주침과 상호작용 네트워크, 병렬연산 등의 컴퓨터 분야의 추계성과의 관련성을 연구하고 모델화하는 일에도 사용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단어 myrmecology를 만든사람은 누구인가? Assistant: 윌리엄 모턴 휠러
Human: 아래 문부식_(1959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문부식 (1959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문부식 (1959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문부식(文富軾, 1959년 ~ )은 대한민국의 학생운동가이자, 사회운동가로, 전 진보신당 대변인이었다. 부산광역시에서 태어났다. 목차 1 개요 2 경력 3 논란 3.1 조선일보 관련 3.2 택시기사 폭행 사건 4 시집 5 수필집 6 방송 출연 7 각주 개요[편집] 문부식은 유복한 군인 집안으로, 아버지 문경삼은 육사 8기로 김종필과 동기였으나 1959년 부조리와 이승만 정권에 환멸을 느끼고 대령으로 전역했다.[1] 부산 고신대 신학과에 재학 중이던 1982년 3월 18일, 전두환 독재 정권과 미국의 묵인 하에 이루어진 광주항쟁의 진상을 알리고자 부산 미국문화원에 방화했다. 당시 정부에서는 이 사건을 불순세력의 사주에 의한 것으로 규정하여 문부식에게 사형을 선고했다. 6년 9개월만인 1988년 12월 석방되었으나, 7개월 후 한미문제연구소 사건으로 다시 구속되어 1년 6개월 형을 받고 만기출소했다.[2] 김은숙과는 1980년 복학하면서 고신대학교 같은 3학년 학생으로 서로 사귀게 되었다. 방화후 각각 군입대 및 노동현장으로 갈 계획이였으나 사건이 의외로 커지고 3월 20일 서정화 내무부장관의 강경한 담화가 발표되자 둘은 일단 도피하기로 했다. 우선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의 지학순 주교에게 갈 목적으로 3월 20일 밤차를 타고 21일 원주에 도착했으나 해외출장 중으로 만날 수 없어 원주교육원의 최기식 신부에게 찾아갔다. 1982년 4월 1일 자수를 두 시간 앞두고 최기식 신부에게 부탁해 성단관리인 문길환과 원주에서 치악산 서점을 경영하던 김영애와 김현장을 증인으로 세우고 김은숙과 결혼식을 대신한 예식을 올렸다.[1] 경력[편집] 1995년부터 출판일을 시작해, 도서출판 삼인의 주간과 계간 당대비평의 편집위원을 거쳐 꾸리에 출판사 비상근 기획위원으로 일했다. 2011년 12월 5일부터 2011년 12월 30일까지 진보신당 대변인으로 일했다.[3] 2013년 7월 격월간지 <말과활>을 창간했다.[4] 논란[편집] 조선일보 관련[편집] 2002년 7월 12일 조선일보와 인터뷰를 통해 <동의대 사건 민주화 인정은 납득할 수 없다>는 제목으로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광기의 시대를 생각함>(삼인)의 내용을 소개하면서, “민주화보상심의위원회가 지난 4월 동의대 사건 관련자 46명에 대해 화재 진상규명을 하기에 앞서 민주화운동 관련자로 인정한 것은 성급한 것”이라고 비판하고 “민주화운동 인정 여부는 공론 영역에서 충분한 논의를 통해 설득력을 갖추고 사회적 합의를 거쳐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여 발표 매체 및 내용을 둘러 싸고 민주화 운동가들 사이에 논란이 되었다.[5] 이후 같은 매체에 2003년 2월 4일 '슬픔에 관하여- 겨울, 광화문 단상'을 기고하여 광화문의 촛불의 의미를 부정하고 폄하한다는 비난을 받았다.[6] 택시기사 폭행 사건[편집] 2011년 12월 29일 택시기사 폭행 및 경찰서 공공기물을 파손하여 진보신당 대변인 직에서 자진 사퇴했다. 당시 언론에는 문부식이 "자신을 알아보지 못한다"는 이유로 택시기사를 폭행했다고 전해졌지만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당 택시기사 이**씨는 "문 대변인이 홍대 앞에서 택시를 탔는데 만취가 돼 있었다. 택시를 타는 곳에 배웅을 나온 사람들과 앞선 술자리에서 괴로운 얘기들이 오간 것 같았다. 그런데, 일산으로 가는 중간에 문 대변인이 나를 아까 술자리에 함께 있던 사람으로 오해했던 것 같다. 운전을 하고 있는데 중간에 갑자기 '00야, 네가 왜 운전을 하고 있냐', '지금 어디로 가는거냐', ' 00야, 네가 왜 택시를 몰고 있냐'고 하다가 (별다른 대답이 없거나 본인의 생각과 다른 대답이 나오자) 갑자기 뒤에서 얼굴을 때렸다"라고 증언했다. 김 진보신당은 즉시 문부식을 대변인직에서 해임했고, 홍세화 대표가 택시기사와 해당지구대를 직접 방문해 사과의 뜻을 전했다. 당 택시기사는 사정을 이해하고 "언론에 보도가 된 것이 너무 안타깝다"고 밝혔으며, "당대회에도 참석하겠다"는 의사를 보였다.[7] 시집[편집] 문부식 (1993). 《꽃들》. 푸른숲. ISBN 8971840420.  수필집[편집] 문부식 (2002). 《잃어버린 기억 을 찾아서: 광기 의 시대 를 생각함》. 삼인. ISBN 8987519686.  방송 출연[편집] KBS 《이것이 인생이다》 미 문화원사건 문부식씨의 잃어버린 시간들 (1998년 8월 20일 방송) 각주[편집] ↑ 가 나 이정호 (2011년 5월 27일). “부산미문화원 방화사건, 김은숙을 추모하며”. 참세상. 2012년 5월 9일에 확인함.  ↑ 하니리포터 지승호 (2002년 8월 26일). “문부식과 '광기의 시대'”. 한겨레. 2012년 4월 30일에 확인함.  ↑ 류정민 기자 (2011년 12월 5일). “'미문화원 방화' 문부식, 진보신당 대변인 됐다”. 미디어오늘. 2012년 4월 30일에 확인함.  ↑ 손정호 기자 (2015년 5월 8일). “[손정호기자의 피플&]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사건 주동 문부식 격월간 '말과활'기획주간”. 부산일보. 2016년 5월 18일에 확인함.  ↑ 민임동기 기자 (2002년 7월 18일). ““왜 하필 조선일보와…” 문부식 논쟁 가열”. 미디어오늘. 2012년 4월 30일에 확인함.  ↑ 임순혜 (2003년 2월 5일). “<조선> 꼭두각시로 전락한 문부식씨”. 오마이뉴스. 2012년 4월 30일에 확인함.  ↑ 김종철 (2012년 1월 2일). “문 전 대변인 사건 관련해 당원여러분께 간략히 말씀드릴 것이 있습니다”. 2014년 5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5월 2일에 확인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문부식_(1959년)&oldid=23034579" 분류: 1959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대한민국의 테러리스트방화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6일 (금) 22: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문부식(文富軾, 1959년 ~ )은 대한민국의 학생운동가이자, 사회운동가로, 전 진보신당 대변인이었다. 부산광역시에서 태어났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문부식의 배우자는? Assistant: 김은숙 Human: 아래 오현경_(1970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오현경 (1970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현경 (1970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오현경 출생 1970년 3월 25일(1970-03-25) (49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직업 배우활동 기간 1987년 ~ 현재종교 개신교(장로회)소속사 화이브라더스코리아 학력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자녀 홍채령(딸)수상 1990년 KBS 연기대상 신인상2008년 제16회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탤런트부문 우수상웹사이트 화이브라더스코리아 오현경오현경 - 인스타그램 오현경(1970년 3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1989년 미스코리아 진(眞)이다. 목차 1 생애 2 학력 3 출연작 3.1 드라마 3.2 영화 4 방송 활동 4.1 예능 4.2 라디오 4.3 내레이션 5 경력 6 수상 및 후보 7 참고 사항 8 각주 9 외부 링크 생애[편집] 1970년 서울에서 출생하였으며 지난날 한때 전라남도 나주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녀는 경기도 성남 계원예술고등학교 2학년 재학 중이던 1987년에 CF 모델로 활동하였고, 이듬해 1988년 KBS 드라마 《사랑이 꽃피는 나무》로 연기자로 데뷔하였다.[1] 1989년 단국대학교 연극영화학과 1학년 재학 중에 제33회 미스코리아 대회에서 '진'으로 선발되었다. 이후 CF 모델과 드라마 주·조연으로 활발히 활동했다. 1998년말 활동을 중단하고 미국에서 머무르게 된다. 2002년 귀국하여 계몽사 홍승표 회장과 결혼식을 올렸고, 딸을 출산하였다. 결혼 4년 뒤인 2006년 이혼했으며 오상지로 개명했다가 다시 원래 이름으로 바꿨다.[2] 2007년 SBS 주말연속극 《조강지처 클럽》에 출연하면서 8년 만에 연예계 활동을 재기하였다. 당시 이 작품은 시청률 30%를 상회하며 성공적으로 복귀할 수 있었고, 여러 작품에서 활발히 활동 중이다. 학력[편집] 계원예술고등학교 연극영화과 (졸업) 단국대학교 연극영화학과 (학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연극영화전공 (석사과정 수료) 출연작[편집] 드라마[편집] 1988년 KBS2 청춘드라마 《사랑이 꽃피는 나무》 1989년 KBS1 일요아침드라마 《당추동 사람들》 ... 태권도 사범 아셔더 역 1990년 KBS2 주말연속극 《야망의 세월》 ... 박형숙 역 1990년 MBC 대하드라마 《대원군》 ... 각순황귀비 역 1992년 MBC 미니시리즈 《분노의 왕국》 ... 이복남 역 1992년 MBC 미니시리즈 《억새 바람》 ... 제니 역 1993년 KBS1 일일연속극 《들국화》 ... 은경 역 1994년 SBS 일요아침드라마 《목소리를 낮춰요》 1994년 SBS 수목드라마 《이 남자가 사는 법》 ... 장수미 역 1994년 KBS2 미니시리즈 《폴리스》 ... 송채연 역 1994년 MBC 수목드라마 《아들의 여자》 ... 박숙 역 1995년 SBS 월화드라마 《야망의 불꽃》 ... 박부희 역 1995년 KBS2 미니시리즈 《남자 만들기》 ... 영애 역 1996년 EBS 설날특집극 《까치 까치 설날은》 ... 국길란 역 1996년 KBS2 미니시리즈 《컬러 - 옐로》 ... 주홍미 역 1996년 KBS2 미니시리즈 《머나먼 나라》 ... 장상희 역 1996년 MBC 미니시리즈 《화려한 휴가》 ... 이한나 역 1997년 KBS2 미니시리즈 《폭풍속으로》 ... 은주 역 1997년 MBC 미니시리즈 《불꽃놀이》 ... 재희 역 1997년 KBS2 일요아침드라마 《세 여자》 ... 문정 역 1997년 SBS 월화드라마 《사랑하니까》 ... 어지나 역 2007년 SBS 주말특별기획 《조강지처 클럽》 ... 나화신 역 2009년 MBC 일일시트콤 《지붕 뚫고 하이킥!》 ... 이현경 역 2009년 tvN 미니시리즈 《미세스 타운 - 남편이 죽었다》 ... 서홍주 역 2010년 MBC 주말연속극 《글로리아》 ... 나진주 역 2011년 SBS 아침드라마 《미쓰 아줌마》 ... 강금화 역 2011년 tvN 미니시리즈 《버디버디》 ... 민세화 역 2012년 SBS 대기획《대풍수》 ... 수련개 역 2013년 tvN 미니시리즈 《우와한 녀》 ... 조아라 역 2013년 KBS2 미니시리즈 《상어》 ... 유선영 역 2013년 KBS2 주말연속극 《왕가네 식구들》 ... 왕수박 역[3] 2014년 SBS 주말 2부작드라마 《엄마의 선택》 ... 진소영 역 2014년 MBC 주말특별기획 《전설의 마녀》 ... 손풍금 역 2015년 tvN 일일연속극 《울지 않는 새》 ... 천미자 역 2016년 SBS 주말특별기획 《미녀 공심이》 ... 주재분 역 2016년 KBS2 주말연속극 《월계수 양복점 신사들》 ... 이동숙 역 2018년 KBS2 미니시리즈 《라디오 로맨스》 ... 남주하 역 2018년 MBC 주말특별기획 《신과의 약속》 ... 김재희 역 2019년 KBS2 미니시리즈 《왜그래 풍상씨》 ... 친구 역(특별출연) 영화[편집] 2015년 《스물》 ... 동우 모 역 방송 활동[편집] 예능[편집] 1990년 KBS2 《가족오락관》 ... 게스트 1995년 HBS 《스타 한마당 우리는 맞수》 ... MC 1995년 MBC 《우정의 무대》 ... 게스트 1996년 SBS 《토요미스테리 극장》 ... MC 1996년 HBS 《도전! 남자 중의 남자》 ... MC 1996년 KBS2 《슈퍼선데이 - 오현경의 여인극장》 1997년 GTV 《시선 집중 패션 자키》 ... MC 1997년 MBC 《퀴즈 영화탐험》 ... MC 2011년 tvN 《뮤직토크쇼 러브송》 ... MC 2013년 JTBC 《미스코리아 비밀의 화원》 ... MC 2013년 KBS W 《버킷리스트》 ... MC 2014년 JTBC 《유자식 상팔자》 ... MC 2014년 MBC QUEEN 《소원을 말해봐》 ... MC 2016년 TV조선 《모란봉 클럽》 ... MC 2017년 MBC 《발칙한 동거 - 빈방 있음》 ... 게스트 2017년 6월 24일 ~ 2017년 7월 1일 KBS2 《배틀 트립》 ... 여행 게스트 라디오[편집] 1993년 MBC 《FM은 내 친구》 ... DJ 2014년 EBS 《EBS FM 책 읽는 라디오 낭독 시리즈》 ... 낭독자 내레이션[편집] 《희망 다큐 무지개》 (SBS) 경력[편집] 1998년 공주영상대학 겸임교수 2003년 JY골프 대표 2003년 휴먼컴 이사장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1989 제33회 미스코리아 眞 빈칸 수상 1990 KBS 연기대상 신인상 야망의 세월 수상 2008 제16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탤런트부문 우수상 조강지처 클럽 수상 SBS 연기대상 연속극부문 여자 연기상 수상 10대 스타상 수상 2013 KBS 연기대상 여자 조연상 왕가네 식구들 후보 2014 MBC 연기대상 특별기획부문 여자 우수연기상 전설의 마녀 후보 SBS 연기대상 특집,단막극부문 여자 특별연기상 엄마의 선택 수상 2015 MBC 연기대상 특별기획부문 여자 우수연기상 전설의 마녀 수상 2018 MBC 방송연예대상 버라이어티부문 여자 최우수상 발칙한 동거 - 빈방 있음 후보 MBC 연기대상 주말특별기획부문 조연상 신과의 약속 후보 참고 사항[편집] 오현경의 고등학교 후배[4]인 김지수는 오현경과 같은 미스코리아 출신이었던 김혜리가 출연한 KBS 1TV 《태조 왕건》 강비 역 물망[5]에 한때 거론됐다.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오현경 ↑ 「연기자 터잡기」일단 성공 美人(미인)대회 출신…「야망의 세월」형숙役(역) 오... - 동아일보 ↑ 오현경→오상지→다시 '오현경'으로 돌아온다 - 스타뉴스 ↑ 여기서 나온 유행어가 바로 ‘나 미스코리아 나갔던 여자야’인데 드라마 극중에서는 실제로 1993년 미스코리아 대회에 출전하여 진(眞)을 수상하였다. ↑ 이현희 (2015년 2월 2일). “'런닝맨' 김지수 오현경 미모 극찬 "학창시절 여신이었다"”. TV리포트. 2016년 9월 27일에 확인함.  ↑ 배국남 (2000년 3월 23일). “서구이미지 벗고 '강비'로 飛上”. 한국일보. 2016년 9월 27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틀:깨진 링 외부 링크[편집] 오현경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미스코리아 진(眞) 1988년 1989년오현경 1990년 김성령 서정민 미스코리아 서울 1988년 1989년고현정, 남궁옥, 박은경, 오현경, 이재경, 장경숙, 채경진 1990년 강주현, 김성령, 김정애, 김혜리, 박수현, 양현정 김태화, 김현숙, 서정민, 양정아, 윤제선, 이승은, 이종희 vdeh미스코리아 진1950년대 박현옥 (1957) 오금순 (1958) 오현주 (1959) 1960년대 손미희자 (1960) 서양희 (1961) 서범주 (1962) 김명자 (1963) 신정현 (1964) 김은지 (1965) 윤귀현 (1966) 홍정애 (1967) 김윤정 (1968) 임현정 (1969) 1970년대 유영애 (1970) 노미애 (1971) 박연주 (1972) 김영주 (1973) 김은정 (1974) 서지혜 (1975) 정경숙† (1976) 김성희 (1977) 손정은 (1978) 서재화 (1979) 1980년대 김은정 (1980) 이은정 (1981) 박선희 (1982) 임미숙 (1983) 최영옥 (1984) 배영란 (1985) 김지은 (1986) 장윤정 (1987) 김성령 (1988) 오현경 (1989) 1990년대 서정민 (1990) 이영현 (1991) 유하영 (1992) 궁선영 (1993) 한성주 (1994) 김윤정 (1995) 이은희 (1996) 김지연 (1997) 최지현 (1998) 김연주 (1999) 2000년대 김사랑 (2000) 김민경 (2001) 금나나 (2002) 최윤영 (2003) 김소영 (2004) 김주희 (2005) 이하늬 (2006) 이지선 (2007) 나리 (2008) 김주리 (2009) 2010년대 정소라 (2010) 이성혜 (2011) 김유미 (2012) 유예빈 (2013) 김서연 (2014) 이민지† (2015) 김진솔† (2016) 서재원† (2017) 김수민† (2018) †미스 유니버스에 출전하지 않은 인물.1983년 이전까지는 그 해 당선된 미스코리아 진이 미스 유니버스에 출전, 1983년 이후에 당선된 미스코리아 진은 당선된 다음 해에 열리는 미스 유니버스 대회에 대한민국 대표로 출전했다.2016년 당선자 이후부터는 미스 유니버스 대한민국 대표로 출전하지 못한다. vdeh화이브라더스코리아 대표이사:지승범 배우남성 김윤석 주원 김상호 이동휘 유해진 최태준 주진모 엄태웅 김성오 송새벽 김민재 민진웅 지윤호 이선호 유승목 주진모 무진성 신주환 최정헌 류경수 김영웅 장명갑 여성 이시영 임지연 김옥빈 이다희 오현경 박혜수 한선화 김주현 채서진 전수진 정다빈 오연아 서영희 하연주 황우슬혜 박세완 강별 송상은 배민정 길해연 이전 소속 김정은 가수남성 건일 이수웅 여성 박보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오현경_(1970년)&oldid=24507796" 분류: 1970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1987년 데뷔미스코리아 진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서울특별시 출신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비디오 자키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대한민국의 방송인서울여의도초등학교 동문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장원중학교 동문계원예술고등학교 동문단국대학교 동문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동문대한민국의 장로교도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09: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오현경(한국 한자: 吳賢慶, 1970년 3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오현경이 2016년 진행한 TV조선의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Assistant: 모란봉 클럽
Human: 아래 제2차_고구려-당_전쟁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제2차 고구려-당 전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2차 고구려-당 전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2차 고구려-당 전쟁고구려-당 전쟁의 일부날짜660년 ~ 662년장소랴오둥 반도 일대 및 한반도 중·북부결과 고구려의 피로스의 승리교전국 당나라동돌궐, 신라 고구려말갈지휘관 당 고종 이세적 글필하력 소정방 방효태 † 김유신 연개소문 연남생 뇌음신 생해 vdeh고구려-당 전쟁 제1차 고구려-당 전쟁 연개소문의 정변 안시성 전투 만천과해 현도성 전투 신성 전투 개모성 전투 건안성 전투 요동성 전투 백암성 전투 비사성 전투 주필산 전투 안시성 전투 요동 전선 소모전 신성 전투 적리성 전투 박작성 전투 귀단수 전투 적봉진 전투 횡산 전투 석성 전투 제2차 고구려-당 전쟁 패수 전투 평양성 포위전 사수 전투 표하 전투 제3차 고구려-당 전쟁 연남건의 정변 신성 전투 금산성 전투 안시성 전투 부여성 전투 설하수 전투 평양성 포위전 vdeh당나라의 주변 국가 원정 및 정복 수말당초 곽읍 전투 호뢰 전투 현무문의 변 동돌궐 토욕혼 서역 고창 언기 구자 서돌궐 정복 제1차 고구려 설연타 토번 백제 제2차 고구려 제3차 고구려 제2차 고구려-당 전쟁(第二次高句麗-唐戰爭)은 서기 660년 당 고종이 고구려를 침공하여 662년까지 지속된 전쟁이다. 전쟁은 고구려의 승리로 끝났지만, 수도인 평양성 바로 앞까지 전선이 밀리고 요동 방어선이 무너지는 등 고구려는 점차 망조가 들기 시작한다. 목차 1 배경 1.1 백제의 멸망과 고구려의 고립 1.2 고구려의 신라 침공: 칠중성,북한산성 전투 2 당의 대규모 해상 침공 3 개전 초기: 대동강, 압록강 전투 4 철륵의 반란과 고립된 당의 대군 5 사수 전투 6 신라군의 보급과 당군의 대탈출 7 표하 전투 8 당나라의 퇴각과 평가 8.1 누락된 전쟁 기록의 의문 배경[편집] 앞서 당나라는 설연타를 멸망시켜서 사실상 고구려를 제외한 주변국을 모두 제압하였다. 또한 당나라와 신라의 연합작전으로 소정방이 이끄는 당나라의 대군이 바다를 건너 백제를 침입,멸망시킴으로써 고구려는 외교적으로 완전히 고립된 상황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것은 1차 고구려-당 전쟁 때와 달리 고구려 남쪽에서는 신라군 또한 당나라군을 도와 고구려를 공격함으로써 고구려는 남과 북 양쪽으로 공격을 받게되는 더한 어려움에 처하게 되었다. 당나라 역시 전쟁 실패 이후 내부 정쟁으로 장손무기를 비롯한 관롱집단이 측천무후에게 숙청당하는 후폭풍이 있었다. 그런60년 백제의 멸망 시 당나라는 13만이나 되는 대군을 해상을 통해 공격하여 성공한 자신감으로 2차 고구려-당 전쟁 때는 대대적인 해상으로의 침공작전을 기획하게 된다. 백제의 멸망과 고구려의 고립[편집] 660년 음력 6월에 소정방이 군사 13만 명을 이끌고 신라와 함께 백제를 침략하였다. 나당연합군의 공세에 밀려 백제는 결국 멸망하고 말았다. 661년 보장왕20년, 이에 고구려는 장군 뇌음신과 말갈 장군 생해를 보내서 신라의 술천성을 공격했으나 함락시키지 못하고 이어서 신라의 북한산성을 공격하였다. 성주인 대사 동타천의 용맹한 반격으로 회군하였다. 661년 백제를 멸망시킨 나당연합군은 그 여세를 몰아 고구려로 진격하였다. 당나라군은 평양을 직접 공격하였고, 당 고종은 4만 4천 명의 병력을 징발하여 고구려의 변방을 공격하였다. 그러나 백제 부흥군은 왜국으로 부터의 구원군의 지원을 받으며 나당연합군의 후미를 치는 바람에 신라군이 다시 남진하여 백제부흥군과 싸워야 했으며, 그 상황을 이용하여 고구려는 서북 변방에 병력을 집결시켜 당나라군을 격퇴하였다. 이에 당나라군은 그 해 음력 4월에 다시금 대군을 거느리고 수륙양공 작전을 구사하며 평양을 향해 진군하였다. 하지만 이번에도 당나라군이 패하자 당나라 조정에서는 고구려와 휴전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어났으며, 이에 밀린 당 고종은 일시적으로 고구려 공략을 중지하였다. 고구려의 신라 침공: 칠중성,북한산성 전투[편집] 661년(보장왕 20년) 5월, 고구려는 백제 부흥군 지원을 위해 장군 뇌음신과 말갈의 장군 생해(生偕)의 군대와 연합하여 신라의 칠중성을 침공하였다. 칠중성은 고구려가 수차례 신라를 침공했던 신라 북부지역의 요지였다. 20여일간 신라군은 맹렬히 저항했다. 마침내 함락이 용이하지 않아 고구려군은 포위를 풀고 물러나려 하였으나 칠중성 내부에 분열이 생기면서 함락하게 된다. 고구려군이 물러날 기세를 보이자 성 내부의 비삽이라는 관리가 몰래 고구려 진영으로 편지를 보내어 "성의 식량이 떨어지고 힘이 다했으니 이제 공격하면 반드시 항복을 받을 수 있다"라고 하였다. 이에 뇌음신과 생해의 고구려,말갈군은 다시 맹렬히 공격을 한다. 성주였던 필부는 비삽이 배신한 것을 알고 그의 머리를 베어 성밖으로 던지면서 성 안의 신라군사들에게 말하였다. " 충신과 의로운 병사는 죽어도 굴하지 않는다. 힘써 노력하라. 성의 존망이 이 한 번의 싸움에 달렸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병사의 기운이 피로하고 지쳐 죽고 부상한 자가 절반이 넘었다. 고구려와 말갈군이 바람을 타고 불을 질러 다시금 성을 맹공격하였고 성주 였던 필부와 그의 군사들은 명렬히 저항하였으나 결국 모두 전사하고 마침내 성은 함락되고 말았다. 이 소식은 신라 서라벌까지 전달되었고 무열왕은 크게 슬퍼하여 그의 관등을 추증하였다. 이제 뇌음신과 생해의 고구려,말갈군은 지만 군사를 옮겨 북한산성을 포위하여 공격을 시작한다. 고구려군은 열흘이 지나도록 포위망을 풀지 않고, 포차(抛車)를 벌려놓고 돌을 던지며 북한산성을 공격하였다. 신라 북한산성의 성주(城主)인 대사(大舍) 동타천(冬陁川)은 군사를 지휘하여 20여 일간을 견뎠으나 군량과 힘이 다하여 마침내 신라군은 위태롭게 되었다. 하지만 시기적으로 전투 당시 장마철로 진입하던 때로 추정된다. 삼국사기에는 별안간 큰 별이 고구려군진에 떨어지고 번개와 벼락이 치며 큰비를 퍼부으니, 고구려군은 포위를 풀고 물러갔다고 기록되어 있다. 실제로 장마가 시작되는 시기로써 고구려군이 철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고구려와 신라의 칠중성, 북한산성 전투는 중국 측 사서에는 등장하지 않으며 삼국사기에만 등장한다. 661년은 이미 백제가 망한 직후 이므로 백제 부흥군을 지원 또는 백제 멸망에 따른 신라에 대한 견제를 위해 고구려가 신라를 공격한 것으로 추측된다. 주목할 것은 말갈의 장수와 말갈 군사가 신라 침공에 동원되었는데, 661년 시점에도 말갈은 고구려와 긴밀한 유대관계를 맺고 있었다는 추측이 가능하다. 당의 대규모 해상 침공[편집] 661년 음력 8월에 당나라는 드디어 총력을 다해 고구려 공격에 나섰다. 당군은 총 44만의 대군을 6개의 부대로 편성하였다. 예전 수나라의 침공, 그리고 당태종의 1차 침공 때와 확연한 차이는 주력 침공군은 해상으로 바다를 건너 고구려에 상륙하였다는 점이다. 과거에는 고구려 침공 시, 수양제, 당태종은 수군을 통한 공격도 있었지만 엄연히 주력은 육상을 통한 요하를 건너 요동으로 진공하던 전통적인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번 당나라의 2차침공은 전혀 다른 방식으로 기획되었다. 과거 중화왕조의 전통적인 침공방식이었던 요하를 건너서 요동을 경유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해상을 통해 대단위 침공하는 방식이었다. 이미 당태종 때 부터 오랜 기간 선박을 건조하고 수군을 양성하여 충분한 준비를 마쳤기에 총 6개의 대부대 중 2개의 대부대인 소사업의 부여도행군과 정명진의 누방도행군은 과거 전통적인 침공루트인 요하를 건너 요동지역으로 침공하였지만 이것은 고구려의 주의를 끌려는 양동작전이었고 실제 정작 주력이자 대다수라 할 수 있는 4개의 대부대, 계필하력의 요동도행군, 소정방의 평양도행군, 임아상의 패강도행군, 방효태의 옥저도행군은 해상을 통해 바다를 건너 침공하려 하였다. 계필하력의 정예 요동도행군은 고구려의 국토상 중단 부분인 압록강 하구를 점령하여 북쪽 요동지역과 고구려 남부지역을 단절시키고, 한편 나머지 다른 3개의 대부대는 고구려 수도 평양성의 대동강 하구에 상륙하여 방어군을 일소한 후 고구려 수도 평양성을 순식간에 침공하여 함락시키려 하였다. 특히 평양성을 직공하려는 소정방, 방효태, 임아상의 부대는 660년 백제 침공 때도 성공적으로 해상 침공 작전을 수행했던 진짜 주력 부대였다. 당의 이런 대담한 해상을 통한 대단위 침공작전은 이후 한국전쟁 때 인천상륙작전, 2차세계대전 때 연합군의 노르망디 상륙작전 등으로 세계 전쟁사에서도 자주 재연되었다. 무엇보다 전년도에도 소정방, 방효태 등은 같은 방식으로 성공적으로 백제를 침공하여 해안에서 방어군을 요격하고 백제의 수도 사비성을 순식간에 포위 함락시킨 성공적인 경험이 있었다. 또한 파견된 군사와 부대의 규모 또한 지난번 백제 정벌 시 소정방이 이끄는 13만군의 해상을 통한 침공작전의 규모를 훨씬 상회하는 3배가 넘었다. 또한 국토의 면적 및 동원할 수 있는 군사력 또한 고구려는 백제와 규모 자체가 달랐음으로 우선 고구려의 주력군이 방어진을 치고 있는 요동지역의 고구려 대군을 묶어두기 위한 양동작전으로써 과거 비사성 함락과 수차례 소규모 침공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던 게릴라전에 능했던 정명진을 파견하여 요동과 북쪽 부여 방면으로도 2갈래로 침공하였다. 그리고 정작 진짜 주력이었던 대다수의 부대는 해상을 통한 침공으로 4개의 부대가 상륙하였고 그 중 고구려와 수차례 실전경험이 있던 계필하력이 이끄는 요동도행군은 압록강하구에, 그리고 전년 백제 침공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던 소정방이 이끄는 평양도행군과 방효태의 옥저 도행군 그리고 임아상의 패강도행군을 합쳐서 수십만이 고구려의 수도 평양성으로 몰려 들었다. 이 정도의 대단위 상륙작전은 규모 면에서도 과거 한국전쟁 때 더글러스 맥아더가 이끌던 미군의 인천상륙작전을 훨씬 상회하며 2차세계대전 때 연합군의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비견될 정도의 대규모 침공작전이었다. (하지만 1차 고구려-당 전쟁 때와는 달리 요동지역 및 그 외 지역의 구체적인 전투 기록및 일지가 남아 있지 않다) 개전 초기: 대동강, 압록강 전투[편집] 가을 8월, 마침내 소정방의 평양도행군, 방효태의 옥저도행군, 임아상의 패강도행군 등의 당나라 대군은 패수, 지금의 대동강하류에 상륙하였다. 이들은 정확히 1년 전 백제침공 때도 똑같이 백제영토였던 기벌포에 상륙하여 방어하던 백제군을 물리치고 백제 수도 사비성을 함락시킨 승리의 경험이 있었다. 장소는 달랐지만 시작은 같았다. 갑작스러운 당의 수십만 대군이 바다로부터 기습적으로 밀려오자 해안에서 격렬히 반격하던 고구려 군사들도 크게 격파당하였고 결국 인근 마읍산을 탈취당하였으며 마침내 얼마 멀지 않는 평양성까지 도달하여 포위하였다. 또한 9월, 계필하력의 요동도행군은 압록강 하류로 상륙한다. 고구려에서는 대막라지 연개소문이 그의 아들 연남생에게 고구려 정예부대 정병 수 만명을 이끌고 압록강을 수비하게 하고 있었고 당나라의 모든 부대가 건너오지 못하였다. 하지만 661년의 겨울은 아주 빨리 찾아왔고 계필하력의 요동도행군이 압록강에 도착하였을 때는 압록강에 얼음이 얼었다. 계필하력은 군사를 이끌고 얼음 위로 강을 건너 북을 두드리고 함성을 지르며 기습 공격해왔고 이에 방심하던 고구려 군사가 패주하였다. 계필하력이 수십 리를 추격하며 고구려 군사 3만명을 죽였다. 남은 군사는 모두 항복하였고, 연남생은 간신히 자기 몸만 피하여 달아났다. 이렇게 개전초기 당의 주력 대군은 순식간에 대동강에 상륙하여 방어하던 고구려군을 물리치고 평양성을 포위하였고 또다른 정예주력부대는 압록강 하류를 방어하던 고구려 정예부대를 섬멸하고 진주하게 되어 고구려는 주력 대다수 군이 있는 압록강 이북 요동 지역 및 국내성과 압록강 이남의 수도 평양이 단절되는 위기까지 맞게 된다. 마치 과거 한니발의 카르타고 주력부대와 대치하던 로마군이 스키피오의 지휘하에 뒤를 돌아 카르타고의 수도를 직공하여 함락시켰던 상황과 비슷하게 되었다. 전쟁의 양상은 처음 당나라가 기획했던 방향으로 순조롭게 진행되었다. 철옹성이었던 고구려의 수도 평양성이지만 외부의 지원을 받을 수 없게 완전히 포위된 고립 상황이 되어 큰 위기를 맞게 되었다. 철륵의 반란과 고립된 당의 대군[편집] 하지만 전쟁의 양상은 갑자기 전혀 다른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661년 10월, 철륵의 회흘부 추장 비속독의 대규모 봉기가 일어난다.본국 당나라에서는 수도 장안이 위급해지는 긴급상황이 발생하게되고 당나라는 정인태를 대총관으로 철륵도행군을 편성하여 출진시켰고 그리고 병력이 부족하여 고구려로 출병했던 소사업의 부대를 회군시켜서 선악도행군으로 긴급히 편성하였고 설인귀,손인사,유심례등을 부총관으로 참전시켜 철륵과의 전쟁에 나섰다. 하지만 정인태가 이끄는 당의 철륵도행군은 전멸을 당해 당은 큰 위기에 빠졌고 이를 타개하기 위해 철륵 출신의 계필하력의 정예 요동도행군 마저도 철륵 전선에 추가 투입을 위해 긴급히 군사를 철수하라는 조서가 있었으므로 계필하력이 이끄는 주력 요동도행군도 다시 바다를 건너 당으로 돌아가야 했다. 또한 661년의 겨울은 빨리 찾아왔고 무척이나 추웠다. 이렇게 갑작스러운 철륵의 반란에 따른 당나라 내부 문제가 발생하여 고구려에 출정했던 상당수의 부대가 이미 급히 당나라로 회군하자, 해상으로 대거 침입하여 평양성을 포위한 소정방의 평양도행군, 임아상의 패강도행군, 방효태의 옥저도행군 등의 당의 대부대는 이제 역으로 적국 한가운데에서 완전 고립상태에 빠진다. 허를 찌르는 해상으로의 고구려 내부 깊숙히 침공한 작전은 좋았지만 갑작스럽게 상황이 바뀌자 이젠 오히려 적국 한가운데 깊숙히 고립되어 사지에 빠진 상태가 되었다. 게다가 고구려 국토의 중단 부분이었던 요충지 압록강 하구를 점령했던 계필하력의 요동도행군의 철수하여 완전히 고립되어 버렸다. 마치 2차세계대전의 독소전 당시 소련 내부에 깊숙히 진입했다가 퇴로가 끊겨서 소련군에게 포위되어 전멸 위기를 당한 스탈린그라드 전투의 프리드리히 파울루스의 독일군의 형국과 비슷했다. 당의 군사들은 무릎을 끌어안고 곡소리를 했다고 기록에 나와 있을 정도로 절망적인 상황에 빠진다. 소정방은 함자도총관 유덕민을 긴급히 신라에 보내어 식량 및 군사 원조를 요청한다. 1년 전 660년 백제 침공 때 순식간의 해안의 백제군을 요격하고 백제의 수도 사비성을 함락했던 때 와는 상황이 너무나도 달랐다. 고구려의 수도 평양성은 견고했고 장기전으로 이어졌고 이것은 때 이른 고구려의 겨울의 추위를 맞게 되어 따뜻한 중국 남부에서 징발되었던 당의 침공군을 더욱 힘들게 하였다. 또한 압록강 부근에 진주했던 계필하력의 정예 요동도행군의 철수로 요동지역과의 단절이 해제되면서 북쪽의 정예 고구려군이 대단위로 수도 평양성으로 몰려올 수 있었다. 이제 당의 대군은 각지에서 몰려드는 고구려의 대군에 역으로 포위되어 전멸 위기에 놓이게 되었다. 스탈린그라드 전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사수 전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사수 전투입니다. 한편 바다로 직접 건너온 방효태가 지휘하는 옥저도행군은 중국 영남지역의 수군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상륙하여 패수, 현재 대동강 상류의 사수 부근에 주둔하였다. 임아상의 패강도행군과 소정방의 평양도행군은 평양성을 포위하고 있였다. 661년 12월, 날씨가 몹시 추워서 패수가 얼어 붙었고 당나라 군대가 높은 망루가 있는 수레인 운차와 성문을 깨뜨리는 충팽을 앞세우고 북과 징을 울리며 공격해왔다. 고구려 병사들은 용감하고 씩씩했으므로, 총반격에 나서서 당군을 크게 물리치고 당군의 두 진지를 빼앗았다. 이제 당은 다만 두 진지만이 남아 있었으므로, 다시 추가로 총공격하여 밤에 빼앗을 계획을 세워놓고 있었다. 661년의 겨울은 빨리 찾아왔고 무척이나 추웠다. 게다가 갑작스러운 철륵의 반란에 따른 당나라 내부 문제가 발생하여 고구려에 출정했던 상당수의 부대가 이미 급히 당나라로 회군하였다. 따라서 해상으로 대거 침입했던 소정방의 평양도행군, 임아상의 패강도행군, 방효태의 옥저도행군 등의 당의 대부대는 이제 완전 고립상태에 빠진다. 허를 찌르는 해상으로의 고구려 내부 깊숙이 침공한 작전은 좋았지만 갑작스럽게 상황이 바뀌자 이젠 오히려 적국 한가운데 깊숙히 고립되어 사지에 빠진 상태가 되었다. 게다가 압록강 하구를 점령했던 계필하력의 요동도행군의 철수로 육로로의 식량보급도 끊겨 버렸다. 마치 2차세계대전의 독소전 당시 소련 내부에 깊숙히 진입했다가 퇴로가 끊겨서 소련군에게 포위되어 전멸 위기를 당한 파울루스 독일 집단군의 형국과 비슷했다. 당의 군사들은 무릎을 끌어안고 곡소리를 했다고 기록에 나와 있을 정도로 절망적인 상황에 빠진다. 소정방은 함자도총관 유덕민을 긴급히 신라에 보내어 식량 및 군사 원조를 요청한다. 1년 전 660년 백제 침공 때 순식간의 해안의 백제군을 요격하고 백제의 수도 사비성을 함락했던 때와는 상황이 너무나도 달랐다. 고구려의 수도 평양성은 견고했고 때이른 고구려의 겨울은 추위와 고립으로 당의 대군은 전멸 위기에 놓이게 만들었다. 662년 2월, 드디어 고구려군은 각지의 부대를 모아 각각 고립된 당의 대군에 총공격을 나선다. 특히 방효태가 이끄는 옥저도행군은 따듯한 중국 남부 영남지역의 부대로 고구려의 추위를 견디기 더더욱 어려웠다. 대막리지 연개소문의 지휘하에 고구려의 대군은 당의 임아상의 패강도행군, 방효태의 옥저도행군을 공격하여 완전히 몰살시켰다. 이 전투에서 패강도행군은 완전히 무너졌고 대총관 임아상은 행방불명되었다. 한편 옥저도행군 대총관 방효태는 그의 부장들이 포위망을 뚫고 유백영이나 조계숙의 다른 진영으로 탈출하기를 권하였으나 방효태는 '유백영등이 어떻게 나를 구원하겠는가? 또 내가 데리고 온 향리 자제 5천여명이 이제 모두 죽었는데 어찌 나 한 몸만 살아남길 구하겠는가?' 하였다. 이어서 연개소문이 이끄는 고구려군이 육박하여 공격하니 죽은 자가 수만명에 달했고 방효태는 몸에 화살이 고슴도치처럼 집중되어 그 아들 13인과 방효태가 이끈 옥저도행군은 사수에서 몰살하였다. 신라군의 보급과 당군의 대탈출[편집] 당군의 고구려 협공 요청에 따라 신라군이 평양으로 향하던 도중, 평양을 포위하고 있던 소정방으로부터의 다급한 군량수송 요청이 함자도총관 유덕민을 통해 들어왔다. 적지에 들어가 군량을 수송하고 돌아와야 하는 어려운 작전에 누구도 자원하려는 자가 없는 가운데, 김유신이 스스로 임무를 수행하겠다고 자청해왔다. 문무왕은 기뻐하며 곧 떠나려는 김유신에게 "국경을 넘어서부터, 상벌은 마음대로 하라(出疆之後 賞罰專之可也)"는 면책특권을 주었다. 12월 10일에 유신은 군량 수송을 위해 부장군 김인문·김진복(金眞服)·김양도 등과 함께 쌀 4천 섬과 조(租) 22,250섬을 당군 진영까지 수송할 수송부대를 이끌고 고구려 국경으로 들어갔다. 662년 (보장왕 21년) 2월 16일(음력 정월 23일)에 칠중하(七重河)를 건넜다. 김유신은 고구려군이 큰길에서 지킬 것을 염려해 일부러 험하고 좁은 길을 택해 나아갔는데, 이따금 길에서 적병을 만나 싸워서 이기면서 장새(獐塞)의 험한 곳에 이르렀다. 겨울의 혹한에 사람과 말이 지치고 피곤해 쓰러지는 자가 속출하는 앞에서 김유신은 웃옷을 벗고 직접 채찍을 잡고 말을 몰아 앞에서 사람들을 이끌었다. 그렇게 험한 길을 빠져나와 휘하의 보기감(步騎監) 열기(裂起)·구근(仇近) 등 15명을 먼저 평양에 보내어 신라군이 도착했음을 소정방은 알렸는데, 이때 소정방은 난새와 송아지를 종이에 그려 보냈다. 원효(元曉)의 풀이로 이것이 신라군에게 "어서 군사를 돌리라(速還)"는 암호임이 확인되었고, 양오(楊隩)에 진을 친 김유신은 김인문과 김양도·김군승 부자를 보내어 당의 진영에 군량을 보내고, 소정방의 평양도행군은 군량을 받자마자 바로 바다를 통해 다시 대철수 작전을 수행했다. 마치 2차세계대전 초기, 독일군에 의해 완전 포위된 연합군이 다이나모 작전을 통해 덩케르크에서 세기의 대철수작전을 했던 것과 양상이 같았다. 다이나모 작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표하 전투[편집] 김유신의 명령으로 당의 진영에 갔던 김양도 등은 따로 군사 8백 명과 함께 뱃길로 귀국했는데, 김유신은 퇴각하는 길에 고구려군의 기습에 대비해 북과 북채를 모든 소의 허리와 꼬리에 매달아 뛸 때마다 소리를 내게 하고, 또 땔나무를 쌓아 놓고 태워서 연기와 불이 끊이지 않게 해놓는 등의 교란 작전을 펼치면서 밤중에 몰래 표하(瓢河, 임진강)에 이르렀다. 강을 건너기에 이르러 김유신은 "나중에 건너는 놈은 베겠다!"는 명을 내렸고, 군사들이 다투어 강을 건너는데 반쯤 건너자 고구려 병사들이 추격해 와서 미처 건너지 못한 신라 병사들을 잡아 죽였다. 김유신은 다음날 고구려 병사를 뒤쫓아 격퇴하였다. 신라군이 강나루를 건너 강가에서 쉬는데 고구려군이 또 다시 강을 건너 공격 해 왔다. 하지만 노련한 백전노장 김유신의 신라군은 이미 방비가 되어 있었다. 신라군은 이번에 쇠뇌를 이용한 집단사격으로 고구려군을 역습했고 추격전을 폏쳤던 고구려 장수였던 소형 아달혜를 사로잡는 전과를 올렸으며 고구려군을 만여명이나 쓰러뜨려 패퇴시키고 무사히 신라로 귀환하였다. 당나라의 퇴각과 평가[편집] 2차 고구려-당전쟁에서도 고구려는 당나라를 물리쳤지만, 요동지역에서만 전쟁이 치루어졌던 1차 고당 전쟁때와는 달리 2차 고당 전쟁때는 당군이 6갈래로 대대적인 침공을 하였으며 후반에는 신라군도 북진하여 평양성에 합류하였다. 따라서 고구려는 요동지역을 포함, 그 후방인 압록강 이남 지역 전체가 주 전장터가 되었다. 평양성은 오랫동안 포위되었었고 당의 요청에 따라 신라도 침공군을 보내어 북진하여 평양성에 합류하여서 고구려 남부지역을 포함 고구려의 전 지역의 경제 활동에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한편 당나라는 백제 원정의 성공으로 자신감을 얻어 또 다시 대규모 고구려 원정을 하였으나 도중에 철륵이 봉기하여 철륵과의 전쟁을 치루게 되었고 또 고구려의 강력한 저항에 따른 실패하여 이로 인해 많은 장병과 군수물자를 잃고 피해가 적지 않아 고구려 원정을 사실상 당분간 포기하는 상태가 되었다. 누락된 전쟁 기록의 의문[편집] 2차 고구려-당 전쟁의 기록은 예전 1차 고구려-당 전쟁 때 보다도 더 남아있는 기록이 빈약하며 대부분이 생략되어 있다. 당나라는 예전 고구려-수 전쟁, 1차 고구려-당 전쟁 때와 마찬가지로 총 6개 방면 44만군의 거국적인 출병을 하였으나 중국측 사서에는 단지 계필하력의 요동도행군이 압록강 유역의 고구려 연남생의 부대를 이기고 급히 철군한 것, 그리고 소정방의 평양도행군이 대동강 유역에 상륙하여 평양성을 포위한 것, 사수 대첩으로 전해 지는 옥저도행군의 방효태와 그의 아들들이 전멸한 기록 정도만이 짧게 남아 있다. 따라서 육로로 진격했던 소사업의 부여도행군과 정명진의 누방도행군의 요동지역에서의 전투기록과 행적이 전혀 나와 있지 않으며 해상으로 대대적으로 침공했던 계필하력의 요동도행군, 소정방의 평양도행군, 임아상의 패강도행군, 방효태의 옥저도행군의 상세한 이동 및 전투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자세한 전황 및 전쟁의 추이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제2차_고구려-당_전쟁&oldid=23531921" 분류: 여당전쟁660년 분쟁661년 분쟁662년 분쟁660년 한국661년 한국662년 한국660년 중국661년 중국662년 중국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1월 24일 (목) 18: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제2차 고구려-당 전쟁(第二次高句麗-唐戰爭)은 당 고종이 고구려를 침공하여 660년부터 662년까지 지속한 전쟁이다. 전쟁은 고구려의 대승로 끝났지만, 고구려는 전쟁 확대를 피하기 위해 전후 당나라의 봉선 의식에 태자를 보내는 등 당나라에게 상당한 수위의 친선 의사를 보이게 된다. 또한 이듬해에는 백제 부흥군과 왜국이 나당 연합군과의 전투에서 대패하며 고구려의 남방 전선이 송두리째 흔들리게 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제2차 고구려와 당나라의 전쟁은 어떤역사를 가지고 있을까? Assistant: 2차 고구려-당전쟁에서도 고구려는 당나라를 물리쳤지만, 요동지역에서만 전쟁이 치루어졌던 1차 고당 전쟁때와는 달리 2차 고당 전쟁때는 당군이 6갈래로 대대적인 침공을 하였으며 후반에는 신라군도 북진하여 평양성에 합류하였다. 따라서 고구려는 요동지역을 포함, 그 후방인 압록강 이남 지역 전체가 주 전장터가 되었다. 평양성은 오랫동안 포위되었었고 당의 요청에 따라 신라도 침공군을 보내어 북진하여 평양성에 합류하여서 고구려 남부지역을 포함 고구려의 전 지역의 경제 활동에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한편 당나라는 백제 원정의 성공으로 자신감을 얻어 또 다시 대규모 고구려 원정을 하였으나 도중에 철륵이 봉기하여 철륵과의 전쟁을 치루게 되었고 또 고구려의 강력한 저항에 따른 실패하여 이로 인해 많은 장병과 군수물자를 잃고 피해가 적지 않아 고구려 원정을 사실상 당분간 포기하는 상태가 되었다. Human: 아래 한국어의_남북_간_차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08년 2월)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하는 한국어의 언어적인 차이를 가리킨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하는 한국어는 언어학적으로는 동일한 언어이지만 남북 분단의 장기화 때문에 몇 가지 점에서 차이가 있다. 아래에서는 남북 언어 규범을 중심으로 그 언어적 차이를 기술한다. 목차 1 총론 2 자모음 3 발음 3.1 자음 3.2 모음 3.3 음조 4 표기법 4.1 용언 어형에 관한 표기 4.2 한자어에 관한 표기 4.3 합성어에 관한 표기 5 띄어쓰기 6 어휘 6.1 정치 체제, 사회 제도로 인한 차이 6.2 외래어의 차이 6.3 기타 어휘의 차이 7 같이 보기 8 참고 문헌 9 각주 총론[편집] 한국어의 맞춤법은 1933년에 조선어학회가 제정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해방 후에도 남북에서 계속 사용되었지만 1948년에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각기 출범하면서 서로 다른 언어 정책을 펼치게 되었다. 1954년에 북한이 조선어 철자법을 제정함으로써 처음으로 규범상 남북 간 언어 차이가 생기게 되었는데, 이때에는 맞춤법에서 몇 가지 세세한 부분이 개정되었을 뿐이어서, 전체적으로 보면 남북 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1960년대에 들어서 북한에서 이른바 주체사상이 대두되면서 언어 정책에서 큰 변화가 생겨났다. 북한에서는 ‘조선어를 발전시키기 위한 몇 가지 문제’(1964년 1월 3일), ‘조선어의 민족적 특성을 옳게 살려 나갈 데 대하여’(1966년 5월 14일)라는 김일성 교시에 따라, 1966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 직속 국어사정위원회가 ‘조선말규범집’을 발표하면서, 이때 남북 간의 언어 규범에 큰 차이가 생겼다. 그 후 북한에서는 1987년 및 2010년에 조선말규범집을 개정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띄어쓰기에 관한 규정은 2000년에 ‘조선말 띄여쓰기규범’이 제정되였다가 2003년에 새로‘띄여쓰기규정’이 제정되었는데, 이것이 2010년의 조선말규범집에 반영되면서 북한의 현행 띄어쓰기 규범이 되였다. 남한에서는 1933년에 제정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계속 사용해 오다가, 1988년에 그것을 개정한 한글 맞춤법을 제정했으며 표준어 규정도 같이 만들어 오늘에 이른다. 자모음[편집] 한국어를 표기하는 문자로는 남북 모두 한글을 쓴다. 다만 활자와 관련하여 ‘ㅌ’은 북한에서는 ‘ㄷ’ 안에 가로줄을 그어서 표기하는 문자가 아니라 ‘ㄷ’ 위에 긋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자모 중에 합성 모음 자모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와 합성 자음 자모 ‘ㄲ, ㄸ, ㅃ, ㅆ, ㅉ’을 정식 자모로 인정하지 않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이러한 합성 자모도 정식 자모로 인정한다. 자음 자모 중에 남북 간 명칭이 서로 다른 것이 있다. 자모 대한민국 명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명칭 ㄱ 기역 기윽 ㄷ 디귿 디읃 ㅅ 시옷 시읏 ㄲ 쌍기역 된기윽 ㄸ 쌍디귿 된디읃 ㅃ 쌍비읍 된비읍 ㅆ 쌍시옷 된시읏 ㅉ 쌍지읒 된지읒 대한민국의 명칭 ‘기역’, ‘디귿’, ‘시옷’은 훈몽자회(訓蒙字會, 1527년)에서 사용한 명칭을 계승한 것인 데에 반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명칭은 ‘-ㅣ으-’라는 어형을 사용해 일관된 명칭을 붙였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훈몽자회에서 사용한 잘못된 한자어 명칭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라는 비판적 의견이 있다.[1] 경음 자모의 명칭은 대한민국에서 ‘쌍-’을 붙이는 데에 반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된-’을 붙인다. 사전 표제어 배열 사전 표제어 배열은 아래와 같다. 모음 남: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북: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ㅚ ㅟ ㅢ ㅘ ㅝ ㅙ ㅞ 자음 남: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북: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ㄲ ㄸ ㅃ ㅆ ㅉ 조선말규범집(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합성 자모를 정규 자모로 삼아 기본 자모 뒤에 배열하는 데에 반해 한글 맞춤법(대한민국)에서는 합성 자모를 기본 자모 배열 안에 집어 넣는다. 예를 들면 ‘ㅏ’ 다음에는 ‘ㅏ’와 ‘ㅣ’의 합성 자모 ‘ㅐ’가 오거나 또는 ‘ㅗ’ 다음에는 ‘ㅗ’로 시작하는 합성 자모 ‘ㅘ, ㅙ, ㅚ’가 오는 것이 그 예이다. 자음 자모 ‘ㅇ’에 관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음가를 가진 받침 경우만 ‘ㅅ’과 ‘ㅈ’ 사이에 배치하지만 음가를 가지지 않는 초성의 경우 모든 자음 자모 뒤에 (즉 ‘ㅉ’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로서 배열한다. 발음[편집] 표준어와 문화어는 자음・모음의 음소 종류와 수는 같지만 음성적인 특징이 약간 다르다. 대한민국의 표준어 발음은 서울 방언에 근거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화어 발음은 평양 방언에 근거해서 발음하기 때문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자음[편집] 자음에 관해서는 아래와 같은 차이가 인정된다. /ㅈ/, /ㅊ/, /ㅉ/은, 서울 방언에서는 치조구개 파찰음 [ʨ], [ʨʰ], [ʨʼ]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나, 평양 방언에서는 치조 파찰음 [ʦ], [ʦʰ], [ʦʼ]로 발음(예: ‘자동’은 대한민국에서 [ʨadoŋ],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ʦadoŋ]). 그리고 /지/, /시/ 등은 평양에서는 구개음화하지 않는 발음 [ʦi], [si]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자어는 남한에서 두음 법칙에 따라 어두에 /ㄴ/의 일부와 /ㄹ/이 나타나지 않지만 북한에서는 두음 법칙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어두에 /ㄴ/, /ㄹ/이 나타난다. 단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이 발음은 노년층의 화자 중에는 어두의 /ㄴ/, /ㄹ/을 발음하지 못하고 남한과 같이 발음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고 추정된다. 모음[편집] 모음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나타난다. /ㅓ/는 서울 방언에서는 원순의 정도가 약하고, 평양 방언에서는 원순의 정도가 강하다. 국제 음성 기호로 나타내면 서울 방언이 [ʌ]인 데 반해 평양 방언은 [ɔ]이다. 이 원순성 때문에 서울 방언 화자에게 평양 방언의 ㅓ발음은 ㅗ에 가까운 소리로 들린다. 음조[편집] 음조는 서울 방언과 평양 방언이 서로 다르지만 그 차이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진행되고 있지 않다. 그렇지만 ‘조선말대사전’(1992년)에서는 몇몇 단어를 음성 분석기로 분석한 단어의 음조가 3단계로 표시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꾀꼬리’의 음조는 232(2가 낮고 3이 높음)로 나타나는 등 서울 방언과 다른 음조가 발견된다. 표기법[편집] 용언 어형에 관한 표기[편집] 1. -아/-어형 어간 끝소리가 ‘ㅣ, ㅐ, ㅔ, ㅚ, ㅟ, ㅢ’인 모음 어간은 남한에서 ‘-어’가 붙지만 북한에서는 ‘-여’가 붙는다. 그러나 실제 발음은 남한에서도 과도음 [j]를 수반할 경우가 많다. 남 북 피어 피여 내어 내여 세어 세여 되어 되여 뛰어 뛰여 희어 희여 2. 불규칙활용 북한에서 불규칙활용에‘-아/어’를 붙일 때 앞모음의 ‘ㅏ,ㅗ’가 오는 경우, ‘ㅂ’이 ‘오’로 바꾼다. 남 북 아름다워 아름다와[2] 고마워 고마와 3. 어미에서 ‘ㄹ’ 직후의 경음 표기 어원적으로 관형사형 ‘-ㄹ’이 들어가 종성 ‘ㄹ’이 포함된 어미들을 남한에서는 ‘-ㄹ까, -ㄹ쏘냐’ 등으로 적는 데 반해, 북한에서는 ‘-ㄹ가, -ㄹ소냐’와 같이 ‘ㄹ’ 직후가 평음 글자로 적힌다. '-ㄹ게'는 원래 'ㄹ께'로 적던 것이지만, 예외를 인정할 이유가 없는 것이므로, 예사소리 형태로 통일한다는 뜻에서 'ㄹ게'로 바꾼 것이다.[3]. 한자어에 관한 표기[편집] 1. 두음 법칙 문화어에서는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표준어에서는 ‘ㄹ’이 어두에 오는 한자어는 직후에 모음 [i] 혹은 반모음 [j]가 오는 경우(문자로는 ‘ㄹ’이 ‘ㅣ, ㅑ, ㅕ, ㅖ, ㅛ, ㅠ’와 어울리는 경우)에 ‘ㄹ’이 ‘ㅇ’으로 표기와 발음이 바뀌며, 그 이외의 경우는 ‘ㄹ’이 ‘ㄴ’으로 바뀌지만, 문화어에서는 초성 ‘ㄹ’을 그대로 발음하고 표기한다. 남 북 한자 표기 이성계 리성계 李成桂 연습 련습 練習 낙하 락하 落下 냉수 랭수 冷水 전라남도 나주시 전라남도 라주시 全羅南道羅州市 평안북도 영변군 평안북도 녕변군 平安北道寧邊郡 이것과 마찬가지로 ‘ㄴ’이 어두에 오는 한자어에서 직후에 모음 [i] 혹은 반모음 [j]가 오는 경우에 (문자로는 ‘ㄴ’이 ‘ㅣ, ㅕ, ㅛ, ㅠ’와 어울리는 경우) 표준어에서는 ‘ㄴ’이 ‘ㅇ’으로 바뀌지만, 문화어에서는 어두에 ‘ㄴ’이 유지된다. 남 북 한자표기 이승 니승 尼僧 여자 녀자 女子 양강도 량강도 兩江道 전라남도 여수시 전라남도 려수시 全羅南道麗水市 경상북도 예천군 경상북도 례천군 慶尙北道醴泉郡 또한, 위에서 언급했듯이 북한의 표준 발음법에서는 표기대로 어두의 ‘ㄴ, ㄹ’을 그대로 발음하기로 되어 있다. 다만 남한에서도 ‘유(柳), 임(林)’ 등의 성은 ‘유(兪), 임(任)’ 등과 구별하기 위해 일부러 ‘류(柳), 림(林)’으로 쓰는 경우도 있다. 2. 한자음 한자음들 가운데 남한에서 ‘몌, 폐’로 표기하는 것이 북한에서는 ‘메, 페’로 표기된다. 발음은 남한에서도 [메], [페]로 할 수가 있다. 이와 반대로 남한에서 '게'로 적는 한자 중에서 '휴게실'의 '게' 만은 '계'로 표기된다. 발음은 남한과 같이 [게]가 된다. 남 북 한자 표기 몌별 메별 袂別 폐쇄 페쇄[4] 閉鎖 휴게 휴계[5] 休憩 일부 한자는 한자음이 다른 경우가 있다. 남 북 한자 표기 갹 거 醵 왜 외 歪 또 북한에서 ‘수(讐)’의 일반적인 한자음은 ‘수’이지만 ‘怨讐’라는 한자어의 경우에는 ‘원쑤’가 된다. 이는 ‘원수(元帥)’와 발음이 같아지는 것을 꺼린 것으로 추측된다[6]. 합성어에 관한 표기[편집] 1. 사이시옷 체언 어근이 어울릴 때 남한에서는 사이시옷을 받쳐 쓰지만 북한에서는 쓰지 않는다. 다만 발음은 남한과 동일하다. 남 북 발음 젓가락 저가락 [젇까락/저까락] 나뭇잎 나무잎 [나문닙] 2. 합성어의 어근 표기 합성어 표기는 낱낱 어근을 명시하는 것이 원칙이나 어원 의식이 희박한 경우에는 명시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이것은 남북이 동일하다. 그러나 어근을 어떻게 분석하는가에 따라 몇몇 합성어의 경우 표기법의 차이가 보인다. 남 북 올바르다 옳바르다 벚꽃 벗꽃 위에서 ‘올바르다’는 남한에서 ‘올’의 부분이 어원 의식을 잃었다고 판단하여 발음대로 ‘올바르다’라고 적은 데 반해 북한에서는 ‘옳다’의 어간이라 판단하여 ‘옳바르다’로 적는다. 발음은 [올바르다]로 동일하다. ‘벚꽃’은 남한에서 ‘벚’과 ‘꽃’의 합성어로 파악한 데 반해 북한에서는 어원 의식을 잃었다고 판단하여 ‘벗꽃’으로 적는다. 띄어쓰기[편집] 대한민국의 맞춤법은 띄어쓰기 규정이 느슨한 데 비해 북한의 맞춤법은 자세한 규정이 있다. 일반적으로 북한에 비해 대한민국이 띄어쓰기를 자주 한다. 주요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1. 의존명사 의존명사(문화어로는 ‘불완전명사’)는 대한민국에서는 띄어쓰고 북한에서는 붙여 쓴다. 수사와 단위성 의존명사의 띄어쓰기도 하나, 대한민국에서는 일부 붙여 쓰기를 허용하고 있다. 남 북 내 것 내것 할 수 있다 할수 있다 한 개 한개 2. 보조용언 보조용언은 북한에서는 붙여 쓰지만, 대한민국에서는 기본적으로 띄어씀이 원칙이나, 붙여 쓰기를 허용하는 경우도 있다. 남 북 먹어 보다 / 먹어보다 먹어보다 올 듯하다 / 올듯하다 올듯하다 읽고 있다 읽고있다 자고 싶다 자고싶다 위와 같이 대한민국에서는 ‘-아/-어’형이나 관형사형 뒤에 보조용언이 올 때 붙여 쓰기를 허용하고[7] 있으나 ‘-고’ 뒤에서는 허용하지 않는다. 3. 하나의 개념을 나타낸 것 두 개 이상의 단어가 어울려서 하나의 개념을 나타내는 것은, 대한민국에서는 원칙적으로 띄어쓰나, 북한에서는 붙여 쓴다. 단, 고유명사와 전문 용어는 대한민국에서도 붙여 쓰기를 허용하고 있다. 남 북 국어 사전 국어사전 경제 부흥 상황 경제부흥상황 서울 대학교 인문 대학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어휘[편집] 표준어는 서울 방언에 기초를 두고 문화어는 평양 방언에 기초를 둔다. 그러나 남북 둘 다 표준어의 어휘와 어형은 1936년에 조선어학회가 정한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에 기초를 두고 있기 때문에, 기초적인 어휘는 남북 간의 차이가 거의 없다. 그러나 정치 체제와 사회 제도의 차이 때문에 신조어에는 차이가 생겨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이후 계속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8] 정치 체제, 사회 제도로 인한 차이[편집] 남(한자표기) 북(한자표기) 한반도(韓半島) 조선반도(朝鮮半島) 한국 전쟁(韓國戰爭) 조국해방전쟁(祖國解放戰爭) 초등학교(初等學校) 소학교(小學校) 친구(親舊) 동무 ‘동무’는 고유어로, 한반도 전체에서 널리 쓰였었는데, 남북 분단 후에 북한에서는 러시아어 ‘товарищ’(친구, 동지, 토바리시)의 번역어로 사용하면서부터는, 남한에서는 북한에서 쓰는 공산주의 용어로 치부되어서 거의 쓰이지 않는다! (‘어깨동무’등의 말에서는 명맥을 유지한다.) 외래어의 차이[편집] 외래어 어휘는, 남북이 각각 영어와 러시아어를 통해 주로 들여왔기에, 정착된 어형이 많이 다르며, 또한 외국 국명이나 지명은 남북 모두 현지어를 기준으로, 명칭을 부여한다. 대한민국 (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 트랙터 (영어: Tractor) 뜨락또르 (러시아어: трактор) 스타킹 (영어: Stocking) 스토킹 (영어: Stocking) 폴란드 (영어: Poland) 뽈스까 (폴란드어: Polska) 기타 어휘의 차이[편집] 그 밖에, 남북의 어휘의 차이는 주로, 서울`방언과 평양`방언의 차이에서 연유된다고 추측된다. 남 북 옥수수 강냉이 위[上] 우[9] 망치 마치 ‘강냉이, 우’와 같은 어휘는, ‘남쪽에서도 방언형 "강원도, 경상도"로 실생활에서 사용하기’도 한다. 문화어에만 있는 고유 어휘로는, ‘마스다(깨서 못쓰게 만들다)’와, 그 자동사 형태인 ‘마사지다(깨어져 못쓰게 되다)’ 같은 단어는 그것에 대응하는 어휘가 표준어에 없다. 마찬가지로, 표준어에만 있는 고유 어휘도 많다. 같이 보기[편집] 한글 맞춤법 조선말규범집 한자 부활 참고 문헌[편집] 연규동, 「북한의 외래어 - 〈조선말대사전〉을 중심으로 - 」, 《언어학》 제37호, 한국 언어학회, 2003 각주[편집] ↑ 〈북녘말〉 기윽 디읃 시읏 김태훈 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2007년 10월 7일 《한겨레신문》 ↑ 조선말대사전:《우선 외모로부터 아름다와야 하지 않을가요?》 《아니야, 겉보다 속이 아름다와야 해…》(장편소설 《백양나무》) ↑ 국립국어원 온라인가나다 '-ㄹ게 / -ㄹ께 , -ㄹ거 / -ㄹ꺼' ↑ 페쇄[페:쇄] pʰe:swɛ 막거나 닫는것. (閉鎖)|| ~장치(문화어발음사전, 2014). ↑ 휴계-실[휴게실] hjugeɕil 쉴수 있게 마련된 방. (休憩室)|| 극장~(문화어발음사전, 2014). 그런데 조선어 철자법(1954)에서는 '《揭》만은 본음대로 《게》로 적는다.'라고 되고 있었다. ↑ 그런데, 이 단어에 대하여 북한의 사전에서는 한자를 병기하지 않고 고유어와 같이 취급하고 있다. ↑ 국립국어원 온라인 가나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북한 "남북 언어 서로 다른 길 걸어", 북한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 정순기 교수, 2007년 10월 9일 《SBS뉴스》 ↑ 다만 북한에서도 실제상 위로 발음하기가 많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국어의_남북_간_차이&oldid=24548049" 분류: 한국어언어 비교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2008년 2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한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러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폴란드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erantoBahasa Indonesia日本語РусскийTagalog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9일 (화) 11: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하는 한국어의 언어적인 차이를 가리킨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하는 한국어는 언어학적으로는 동일한 언어이지만 남북 분단의 장기화 때문에 몇 가지 점에서 차이가 있다. 아래에서는 남북 언어 규범을 중심으로 그 언어적 차이를 기술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북한에서 조선어철자법이 제정된 해가 언제야? Assistant: 1954년
Human: 아래 2010년_FIFA_월드컵_남미_지역_예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10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0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0년 FIFA 월드컵 남아메리카 지역 예선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0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은 2007년 10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열렸다. 회원국 수가 적어서 월드컵 지역 예선 중 유일하게 풀리그 형식으로만 진행이 된다. 남미 예선에서 1위부터 4위까지를 기록한 4개 팀은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5위를 기록한 팀은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에서 4위를 기록한 팀과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는데, 대륙간 플레이오프의 승자는 본선에 진출하게 된다. 목차 1 경기 결과 1.1 라운드 1 1.2 라운드 2 1.3 라운드 3 1.4 라운드 4 1.5 라운드 5 1.6 라운드 6 1.7 라운드 7 1.8 라운드 8 1.9 라운드 9 1.10 라운드 10 1.11 라운드 11 1.12 라운드 12 1.13 라운드 13 1.14 라운드 14 1.15 라운드 15 1.16 라운드 16 1.17 라운드 17 1.18 라운드 18 2 대륙간 플레이오프 3 본선 진출 4 외부 링크 경기 결과[편집] 보기 색상 기준 본선에 직행한 조 4위 이상 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조 5위 팀 탈락한 조 6위 이하 팀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브라질 18 9 7 2 33 11 +22 34 칠레 18 10 3 5 32 22 +10 33 파라과이 18 10 3 5 24 16 +8 33 아르헨티나 18 8 4 6 23 20 +3 28 우루과이 18 6 6 6 28 20 +8 24 에콰도르 18 6 5 7 22 26 −4 23 콜롬비아 18 6 5 7 14 18 −4 23 베네수엘라 18 6 4 8 23 29 −6 22 볼리비아 18 4 3 11 22 36 −14 15 페루 18 3 4 11 11 34 −23 13   브라질 – 4-2 2-1 0-0 2-1 5-0 0-0 0-0 0-0 3-0 칠레 0-3 – 0-3 1-0 0-0 1-0 4-0 2-2 4-0 2-0 파라과이 2-0 0-2 – 1-0 1-0 5-1 0-2 2-0 1-0 1-0 아르헨티나 1-3 2-0 1-1 – 2-1 1-1 1-0 4-0 3-0 2-1 우루과이 0-4 2-2 2-0 0-1 – 0-0 3-1 1-1 5-0 6-0 에콰도르 1-1 1-0 1-1 2-0 1-2 – 0-0 0-1 3-1 5-1 콜롬비아 0-0 2-4 0-1 2-1 0-1 2-0 – 1-0 2-0 1-0 베네수엘라 0-4 2-3 1-2 0-2 2-2 3-1 2-0 – 5-3 3-1 볼리비아 2-1 0-2 4-2 6-1 2-2 1-3 0-0 0-1 – 3-0 페루 1-1 1-3 0-0 1-1 1-0 1-2 1-1 1-0 1-0 – 라운드 1[편집] 2007년 10월 13일 16:30 UTC-2 우루과이 5 - 0 볼리비아 몬테비데오 수아레스  4' 포를란  38' 아브레우  47' 산체스  67' 부에노  83' 2007년 10월 13일 17:40 UTC-3 아르헨티나 2 - 0 칠레 부에노스아이레스 리켈메  27', 45' 2007년 10월 13일 17:50 UTC-5 에콰도르 0 - 1 베네수엘라 키토 레이  68' 2007년 10월 13일 20:00 UTC-5 페루 0 - 0 파라과이 리마 2007년 10월 14일 16:00 UTC-5 콜롬비아 0 - 0 브라질 보고타 라운드 2[편집] 2007년 10월 16일 20:40 UTC-4 베네수엘라 0 - 2 아르헨티나 마라카이보 밀리토  16' 메시  43' 2007년 10월 17일 16:00 UTC-4 볼리비아 0 - 0 콜롬비아 라파스 2007년 10월 17일 19:10 UTC-3 칠레 2 - 0 페루 산티아고 수아소  11' 페르난데스  51' 2007년 10월 17일 18:10 UTC-4 파라과이 1 - 0 우루과이 아순시온 발데스  14' 2007년 10월 17일 21:45 UTC-2 브라질 5 - 0 에콰도르 리우데자네이루 바그네르 로베  19' 호나우지뉴  72' 카카  77', 85' 일라누  83' 라운드 3[편집] 2007년 11월 17일 16:00 UTC-3 아르헨티나 3 - 0 볼리비아 부에노스아이레스 아구에로  41' 리켈메  57', 74' 2007년 11월 17일 16:10 UTC-5 콜롬비아 1 - 0 베네수엘라 보고타 부스토스  82' 2007년 11월 17일 20:10 UTC-3 파라과이 5 - 1 에콰도르 아순시온 발데스  9' 리베로스  27', 88' 산타 크루스  51' 아얄라  83' 카비에데스  80' 2007년 11월 18일 17:00 UTC-2 우루과이 2 - 2 칠레 몬테비데오 수아레스  42'아브레우  81' 살라스  59', 70' (페널티킥) 2007년 11월 18일 16:10 UTC-5 페루 1 - 1 브라질 리마 바르가스  72' 카카  44' 라운드 4[편집] 2007년 11월 20일 18:40 UTC-4 베네수엘라 5 - 3 볼리비아 산크리스토발 아리스멘디  20', 40' 게라  81' 말도날도  89', 90+2' 모레노  19', 77'아르세  27' 2007년 11월 20일 19:50 UTC-5 콜롬비아 2 - 1 아르헨티나 보고타 부스토스  62'다이로 모레노  82' 메시  36' 2007년 11월 21일 16:30 UTC-5 에콰도르 5 - 1 페루 키토 아요비  10', 48'카비에데스  24'멘데스  44', 62' 멘도사  86' 2007년 11월 21일 21:45 UTC-2 브라질 2 - 1 우루과이 상파울루 루이스 파비아누  45', 64' 아브레우  9' 2007년 11월 21일 22:30 UTC-3 칠레 0 - 3 파라과이 산티아고 카바냐스  24'다 실바  45+1', 56' 라운드 5[편집] 2008년 6월 14일 16:00 UTC-3 우루과이 1 - 1 베네수엘라 몬테비데오 루가노  12' 바르가스  56' 2008년 6월 14일 20:00 UTC-5 페루 1 - 1 콜롬비아 리마 마리뇨  40' 로다예가  8' 2008년 6월 14일 15:00 UTC-4 파라과이 2 - 0 브라질 아순시온 산타 크루스  26'카바냐스  49' 2008년 6월 14일 18:10 UTC-3 아르헨티나 1 - 1 에콰도르 부에노스아이레스 팔라시오  90+3' 우루티아  68' 2008년 6월 14일 19:30 UTC-4 볼리비아 0 - 2 칠레 라파스 메델  29', 76' 라운드 6[편집] 2008년 6월 17일 19:00 UTC-3 우루과이 6 - 0 페루 몬테비데오 포를란  8', 38' (페널티킥) 부에노  61', 69' 아브레우  90' 2008년 6월 18일 16:10 UTC-4 볼리비아 4 - 2 파라과이 라파스 보테로  23', 70' 가르시아  25' 모레노  76' 산타 크루스  66' 발데스  82' 2008년 6월 18일 17:00 UTC-5 에콰도르 0 - 0 콜롬비아 키토 2008년 6월 18일 21:50 UTC-3 브라질 0 - 0 아르헨티나 벨루오리존치 2008년 6월 19일 20:00 UTC-4:30 베네수엘라 2 - 3 칠레 푸에르토라크루스 말도나도  59' 아랑고  80' 수아소  65' (페널티킥) 하라  72' 라운드 7[편집] 2008년 9월 6일 16:00 UTC-3 아르헨티나 1 - 1 파라과이 부에노스아이레스 아구에로  60' 에인세  13' (자책골) 2008년 9월 6일 16:10 UTC-5 에콰도르 3 - 1 볼리비아 키토 카이세도  21' 멘데스  51' (페널티킥) 베니테스  72' 보테로  40' 2008년 9월 6일 18:20 UTC-5 콜롬비아 0 - 1 우루과이 보고타 에구렌  15' 2008년 9월 6일 20:30 UTC-5 페루 1 - 0 베네수엘라 리마 알바  39' 2008년 9월 7일 21:00 UTC-4 칠레 0 - 3 브라질 산티아고 루이스 파비아누  21', 83' 호비뉴  45' 라운드 8[편집] 2008년 9월 9일 20 :00 UTC-4 파라과이 2 - 0 베네수엘라 아순시온 리베로스  28' 발데스  45' 2008년 9월 10일 17:40 UTC-3 우루과이 0 - 0 에콰도르 몬테비데오 2008년 9월 10일 18:40 UTC-4 칠레 4 - 0 콜롬비아 산티아고 하라  26' 수아소  38' 푸엔테스  48' 페르난데스  71' 2008년 9월 10일 21:50 UTC-3 브라질 0 - 0 볼리비아 리우데자네이루 2008년 9월 10일 21:30 UTC-5 페루 1 - 1 아르헨티나 리마 파노  90+3' 캄비아소  82' 라운드 9[편집] 2008년 10월 11일 15:00 UTC-4 볼리비아 3 - 0 페루 라파스 보테로  4', 16' 가르시아  81' 2008년 10월 11일 18:10 UTC-3 아르헨티나 2 - 1 우루과이 부에노스아이레스 메시  6' 아구에로  13' 루가노  40' 2008년 10월 11일 18:20 UTC-5 콜롬비아 0 - 1 파라과이 보고타 카바냐스  9' 2008년 10월 12일 15:30 UTC-4:30 베네수엘라 0 - 4 브라질 산크리스토발 카카  6' 호비뉴  10', 67' 아드리아누  19' 2008년 10월 12일 16:55 UTC-5 에콰도르 1 - 0 칠레 키토 베니테스  71' 라운드 10[편집] 2008년 10월 14일 16:00 UTC-4 볼리비아 2 - 2 우루과이 라파스 모레노  15', 41' 부에노  64' 아브레우  88' 2008년 10월 15일 17:10 UTC-4 파라과이 1 - 0 페루 아순시온 카르도소  81' 2008년 10월 15일 20:15 UTC-3 칠레 1 - 0 아르헨티나 산티아고 오레야나  35' 2008년 10월 15일 22:00 UTC-3 브라질 0 - 0 콜롬비아 리우데자네이루 2008년 10월 15일 20:30 UTC-4:30 베네수엘라 3 - 1 에콰도르 푸에르토라크루스 말도나도  48' 모레노  56' 아랑고  67' 미나  12' 라운드 11[편집] 2009년 3월 28일 17:00 UTC-3 우루과이 2 - 0 파라과이 몬테비데오 포를란  28' 루가노  57' 2009년 3월 28일 19:10 UTC-3 아르헨티나 4 - 0 베네수엘라 부에노스아이레스 메시  26' 테베스  47' 로드리게스  51' 아구에로  73' 2009년 3월 28일 19:20 UTC-5 콜롬비아 2 - 0 볼리비아 보고타 토레스  26' 렌테리아  88' 2009년 3월 29일 16:00 UTC-5 에콰도르 1 - 1 브라질 키토 노보아  89' 바프티스타  72' 2009년 3월 29일 18:10 UTC-5 페루 1 - 3 칠레 리마 파노  34' 산체스  2' 수아소  32' (페널티킥) 페르난데스  70' 라운드 12[편집] 2009년 3월 31일 20:00 UTC-4:30 베네수엘라 2 - 0 콜롬비아 시우다드과야나 페도르  77' 아랑고  82' 2009년 4월 1일 15:30 UTC-4 볼리비아 6 - 1 아르헨티나 라파스 모레노  11' 보테로  33' (페널티킥) 다 로사  44' 토리코  86' 곤살레스  24' 2009년 4월 1일 16:20 UTC-5 에콰도르 1 - 1 파라과이 키토 노보아  63' 베니테스  90+3' 2009년 4월 1일 19:10 UTC-4 칠레 0 - 0 우루과이 산티아고 2009년 4월 1일 22:10 UTC-3 브라질 3 - 0 페루 포르투알레그리 루이스 파비아누  18' (페널티킥) 펠리피 멜루  64' 라운드 13[편집] 2009년 6월 6일 16:00 UTC-3 우루과이 0 - 4 브라질 몬테비데오 다니에우 아우베스  12' 주앙  36' 루이스 파비아누  52' 카카  75' (페널티킥) 2009년 6월 6일 16:50 UTC-4 볼리비아 0 - 1 베네수엘라 라파스 리베로  33' (자책골) 2009년 6월 6일 18:00 UTC-3 아르헨티나 1 - 0 콜롬비아 부에노스아이레스 디아스  56' 2009년 6월 6일 18:50 UTC-4 파라과이 0 - 2 칠레 아순시온 페르난데스  13' 수아소  50' 2009년 6월 7일 15:30 UTC-5 페루 1 - 2 에콰도르 리마 바르가스  52' 몬테로  38' 테노리오  59' 라운드 14[편집] 2009년 6월 10일 16:00 UTC-5 에콰도르 2 - 0 아르헨티나 키토 아요비  72' 팔라시오스  83' 2009년 6월 10일 18:00 UTC-5 콜롬비아 1 - 0 페루 메데인 팔카오 가르시아  25' 2009년 6월 10일 21:50 UTC-3 브라질 2 - 1 파라과이 헤시피 호비뉴  40' 니우마르  49' 카바냐스  25' 2009년 6월 10일 21:00 UTC-4 칠레 4 - 0 볼리비아 산티아고 보세주르  43' 에스트라다  74' 산체스  78', 88' 2009년 6월 10일 20:30 UTC-4:30 베네수엘라 2 - 2 우루과이 시우다드과야나 말도나도  9' 레이  75' 수아레스  63' 포를란  72' 라운드 15[편집] 2009년 9월 5일 15:30 UTC-5 콜롬비아 2 - 0 에콰도르 메데인 마르티네스  81' 구티에레스  90+4' 2009년 9월 5일 15:30 UTC-5 페루 1 - 0 우루과이 리마 렝히포  86' 2009년 9월 5일 18:30 UTC-4 파라과이 1 - 0 볼리비아 아순시온 카바나스  45+1' (페널티킥) 2009년 9월 5일 21:30 UTC-3 아르헨티나 1 - 3 브라질 로사리오 다톨로  66' 루이장  24' 루이스 파비아누  30', 68' 2009년 9월 5일 21:30 UTC-4 칠레 2 - 2 베네수엘라 산티아고 비달  10' 미야르  52' 말도나도  33' 레이  45+1' 라운드 16[편집] 2009년 9월 9일 15:00 UTC-4 볼리비아 1 - 3 에콰도르 라파스 에세로테  4' 멘데스  4' 발렌시아  46' 베니테스  66' 2009년 9월 9일 18:00 UTC-3 우루과이 3 - 1 콜롬비아 몬테비데오 수아레스  6' 스쿠타이  77' 아브레우  88' 마르티네스  64' 2009년 9월 9일 19:00 UTC-4 파라과이 1 - 0 아르헨티나 아순시온 발데스  28' 2009년 9월 9일 20:30 UTC-4:30 베네수엘라 3 - 1 페루 푸에르토라크루스 페도르  32', 52' 바르가스  70' 푸에느마여  41' (자책골) 2009년 9월 9일 22:00 UTC-3 브라질 4 - 2 칠레 사우바도르 니우마르  31', 73', 76' 바프티스타  40' 수아소  45+1' (페널티킥) 라운드 17[편집] 2009년 10월 10일 18:30 UTC-3 아르헨티나 2 - 1 페루 부에노스아이레스 이과인  48' 팔레르모  90+3' (페널티골) 렝히포  90' 2009년 10월 10일 17:00 UTC-5 콜롬비아 2 - 4 칠레 메데인 비달  13' (자책골) 모레노  63' 폰세  35' 수아소  36' 발에베아  72' 오레야나  79' 2009년 10월 10일 17:00 UTC-5 에콰도르 1 - 2 우루과이 키토 발렌시아  67' 수아레스  69' 포를란  90+4' (페널티골) 2009년 10월 10일 17:30 UTC-4:30 베네수엘라 1 - 2 파라과이 시우다드과야나 론돈  70' 카바나스  55' 카르도소  79' 2009년 10월 11일 16:00 UTC-4 볼리비아 2 - 1 브라질 라파스 올리바레스  10' 모레노  31' 니우마르  70' 라운드 18[편집] 2009년 10월 14일 15:00 UTC-5 페루 1 - 0 볼리비아 리마 파노  54' 2009년 10월 14일 18:00 UTC-4 브라질 0 - 0 베네수엘라 캄푸그란지 2009년 10월 14일 19:00 UTC-3 칠레 1 - 0 에콰도르 산티아고 수아소  53' 2009년 10월 14일 19:00 UTC-2 우루과이 0 - 1 아르헨티나 몬테비데오 볼라티  84' 2009년 10월 14일 20:00 UTC-4 파라과이 0 - 2 콜롬비아 아순시온 라모스  61' 로다예가  80' 대륙간 플레이오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입니다. 남미 지역 예선 5위 팀은 북중미카리브 지역 최종 예선 4위 팀과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는데, 대륙간 플레이오프의 승자는 본선에 진출하게 된다.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코스타리카 1-2 우루과이 0-1 1-1 본선 진출[편집] 다음 팀이 2010년 FIFA 월드컵에 남미 대표로 출전하는 5개 팀이다.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파라과이 우루과이 외부 링크[편집] (영어/프랑스어/독일어/스페인어) FIFA(국제 축구 연맹)의 2010년 FIFA 월드컵 남미 예선 페이지 vdeh 2010년 FIFA 월드컵예선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플레이오프 본선 A조 B조 C조 D조 E조 F조 슬로바키아 대 이탈리아 G조 포르투갈 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H조 결선 토너먼트 결승전 일반 정보 논란 시드 배정 선수 명단 일정 통계 경고 기록 심판 중계권 공식 상징 자블라니 (공식 경기구) 자쿠미 (공식 마스코트)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식 비디오 게임) 화제 문어 파울 부부젤라 vdeh2010년 FIFA 월드컵 예선남미 최종 예선 북중미카리브 1차 예선 2차 예선 3차 예선 최종 예선 아시아 1차 예선 2차 예선 3차 예선 최종 예선 플레이오프 아프리카 1차 예선 2차 예선 최종 예선 오세아니아 1차 예선 (남태평양 게임) 최종 예선 (OFC 네이션스컵) 유럽 최종 예선 1조 2조 3조 4조 5조 6조 7조 8조 9조 플레이오프 아일랜드 대 프랑스 플레이오프 대륙간 플레이오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0년_FIFA_월드컵_남미_지역_예선&oldid=24450047" 분류: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BosanskiCatalàČeština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SuomiFrançaisHrvatskiMagyarItaliano日本語LietuviųमराठीBahasa MelayuMalti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9일 (수) 16: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10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은 2007년 10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열렸다. 회원국 수가 적어서 월드컵 지역 예선 중 유일하게 풀리그 형식으로만 진행이 된다. 남미 예선에서 1위부터 4위까지를 기록한 4개 팀은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5위를 기록한 팀은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에서 4위를 기록한 팀과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는데, 대륙간 플레이오프의 승자는 본선에 진출하게 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0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에서 코스타리카와 우르과이의 대륙간 플레이오프 경기의 결과는 어땠을까? Assistant: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코스타리카 1-2 우루과이 0-1 1-1 Human: 아래 이지훈_(이스포츠_감독)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지훈 (이스포츠 감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지훈 (이스포츠 감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지훈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출생 1980년 3월 1일(1980-03-01) (39세)경기도 광명시 프로게이머 정보 종목 피파 시리즈 (선수)스타크래프트 (감독)리그 오브 레전드 (감독) 소속팀 ⓝ016 프로게임단 (1999~2000)KTF 매직엔스 (2000~2005)KTF 매직엔스 수석코치 (2008)KT 롤스터 감독 (2008~2017)Gen.G e스포츠 단장 (2018~현재) 메달 기록 대한민국의 선수 WCGC 2000 금 2000 대한민국 용인 FIFA 2000 이지훈(1980년 3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전직 FIFA 시리즈 프로게이머이다. 현재 Gen.G e스포츠 단장을 맡고 있다. 목차 1 선수 시절 2 감독 활동 3 수상 경력 3.1 선수 경력 3.2 감독 경력 3.2.1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3.2.2 스페셜포스 3.2.3 리그 오브 레전드 4 외부 링크 선수 시절[편집] FIFA 시리즈 프로게이머 출신으로, 현역 시절에는 WCGC 2000 우승, 기타 FIFA 리그 10회 이상 우승 등 대한민국에서는 독보적인 FIFA 프로게이머였다. KT 롤스터의 로고에는 별 3개가 달려 있는데, 이는 KT의 팀단위 리그 우승 및 KT에 소속된 선수의 개인리그 우승 횟수가 10번이 될 때마다 한 개씩 달린 것이다. 그런데 이지훈 감독이 FIFA 프로게이머 시절 개인리그를 총 18회 우승하였으므로, 이 별들 중 약 6할은 이지훈 감독이 채운 것이라 할 수 있다. 감독 활동[편집] FIFA 프로게이머 생활을 은퇴한 후 이지훈은 KTF 매직엔스 수습코치로 활동 중 김철감독의 경질로 2008년 KTF 매직엔스의 감독에 임명된다. 이지훈은 이영호를 슈퍼스타 게이머로 육성하는 데 성공하고 MSL 우승자 출신인 박지수를 영입하는 한편, 타 팀 출신이 아닌 순수 KT 소속 선수인 우정호와 김대엽의 성장을 지켜보았다. 김대엽 우정호 고강민 등 튼튼한 라인업으로 팀의 리빌딩에 성공하게 된다. 그러던 중 승부조작사건으로 인한 이탈로 팀에 위기가 찾아오지만, 팀을 재정비하여 09-10 프로리그 위너스 리그 우승, 그리고 팀의 숙원인 09-10 프로리그 통합 우승을 하면서 명장 반열에 오르게 된다. 10-11 프로리그가 한창이던 2011년 1월 26일 팀 내 프로토스 에이스 중 하나였던 우정호가 급성 백혈병 판정을 받으면서 다시 위기가 찾아오는 듯하였으나, 정규시즌 3위를 거둬 준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따낸 뒤 결승까지 팀을 진출시켰고, 마침내 결승에서 또다시 SK텔레콤 T1을 제압하고 2회 연속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 2011년 8월 20일 오랜 연인이었던 김나영씨와 결혼식을 올렸다. 2010년과 2011년 2연속으로 올해의 감독상을 수상하였다. 2012년 10월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을 창단하였으며, 이 중 과거의 행실이 좋지 않은 원준호를 영입했으나, 현재는 철저한 관리를 통해 좋은 성적을 내는 리그 오브 레전드 게이머로 육성하고 있다. 그러나 2013년 2월 팀에서 방출되었다. 2014년 2월 18일 KT 롤스터의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 전담 감독으로 보직이 변경되었다. 또한 KT 롤스터 전체 총괄 감독으로도 배정되었다. 2017년 10월 24일 오전 11시, 이지훈 감독은 최근 2년 연속 '롤드컵' LoL 월드 챔피언십 진출에 실패하며 부진을 책임지고 감독직에서 자진사퇴하게 되었다. 이에 kt 롤스터는 이지훈 감독의 그 동안의 노고를 기리고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선수단과 단장이 참석한 가운데 퇴임식을 갖고 감사패와 행운의 황금열쇠를 전달하였다. 수상 경력[편집] 선수 경력[편집] 2001년 KIGL 상반기 리그 우승 2001년 코카콜라 월드사이버월드컵 우승 2000년 KIGL 하계 / 추계 / 동계리그 우승 2000년 WCGC 2000 우승 감독 경력[편집]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편집] 2010년 경남-STX컵 마스터즈 2010 3위 2010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우승 2010년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 우승 2010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정규시즌 감독상 2010년 2010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올해의 지도자상 2011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우승 2011년 2011 대한민국 e스포츠대상 올해의 지도자상 2012년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준우승 2013년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 3위 2014년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1라운드 우승 스페셜포스[편집] 2009년 생각대로 T SF프로리그 2009 1ST 준우승 2010년 생각대로 T SF프로리그 2010 1ST 준우승 2011년 생각대로 T SF프로리그 2010 2ND 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편집] 용쟁호투 준우승(0:3 World Elite Gigabyte) (A팀) OLYMPUS the Champions Winter 2012-2013 8강 (A팀) 컨디션 헛개수 NLB Winter 2012-2013 다이아리그 8강 (A팀) 용쟁호투 8강 (B팀) OLYMPUS the Champions Winter 2012-2013 3위 (B팀) 2013 LOL 클럽 마스터즈 3위 제4회 인천 실내무도아시아경기대회 리그 오브 레전드 부문 국가대표 선발전 1위 (B팀) 2013 MLG Winter Championship 우승 (B팀) 제4회 인천 실내무도아시아경기대회 리그 오브 레전드 부문 1위(금메달) (Bullets) 2013 핫식스 리그오브레전드 챔피언스 서머 2013 준우승 (Bullets) 외부 링크[편집] 이지훈 - 트위터 이 전 - 제1대 WCGC FIFA 2000 부문 우승자 WCGC 2000 다 음  김두형  vdeh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리그리그개인전 스타리그 MBC게임 스타리그 곰TV 클래식 소닉 스타리그1 아프리카TV 스타리그1 SSL 시리즈1 단체전 프로리그 (1군) 드림리그 (2군) MBC게임 팀리그 위너스리그 경남 - STX컵 마스터즈 조직협회 한국e스포츠협회 게임 개발사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게임 배급사 한빛소프트 방송국 OGN MBC 게임 곰TV 아프리카TV SPOTV GAMES 경기장 용산 e-Sports 스타디움 (온게임넷→OGN, 철거됨) 히어로센터 (MBC 게임, 철거됨) 곰TV 목동 스튜디오 (곰TV, 철거됨) ITV 랭킹전 iTV 스튜디오/인천 종합문화예술회관 야외 특설무대(iTV 경인방송, 철거됨) 프릭 업 스튜디오 (아프리카TV) 넥슨 아레나 (SPOTV GAMES) 방송인OGN 정소림 엄재경 김정민 아프리카TV 박상현 이승원 임성춘 SPOTV GAMES 김철민 한승엽 이성은 과거 게임단 KT 롤스터 STX SouL 웅진 스타즈 SK텔레콤 T1 CJ 엔투스 삼성 칸 제8프로게임단 공군 ACE 이스트로 위메이드 폭스 온게임넷 스파키즈 MBC게임 히어로 화승 OZ 기타 e스포츠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명예의 전당 골든 마우스 MSL 금배지 KeSPA컵 1KeSPA 비공인 리그2012년 9월 22일부로 대한민국의 모든 KeSPA 공인 스타크래프트 리그가 완전히 종료됨. 단, KeSPA 비공인 리그는 열리고 있음. vdeh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II 리그리그개인전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아프리카TV)) SSL 시리즈 (SPOTV 게임즈) 스타리그 (OGN, 폐지) 단체전 프로리그 (한국e스포츠협회, 폐지)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e스포츠 연맹, 폐지) 기타 KeSPA컵 조직종목사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관련 단체 한국e스포츠협회 e스포츠 연맹 (해체) 방송국 SPO TV 게임즈 아프리카TV(GSL 2016 시즌 1부터 주관중) OGN 곰eXP(GSL 2015 시즌 3까지 주관) 경기장 넥슨 아레나 프릭 업 스튜디오 신도림 TG e스타디움 게임단 진에어 그린윙스 MVP 아프리카 프릭스 ZeNEX oGs SlayerS 공군 ACE TSL NS호서 웅진 스타즈 fOu SouL AZUBU LongZhu 프라임 스베누 삼성 갤럭시 CJ 엔투스 KT 롤스터 SK텔레콤 T1 방송인SPOTV 게임즈 성승헌 채민준 김익근 유대현 고인규 안준영 정인호 아프리카TV 박상현 황영재 박진영 채정원 vdeh 대한민국 리그 오브 레전드 리그대회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리그 오브 레전드 챌린저스 코리아 KeSPA컵 조직협회한국e스포츠협회종목사라이엇 게임즈방송국 OGN SPOTV GAMES 나이스 게임 TV 경기장 LoL Park 참가 게임단챔피언스 참가팀 KSV e스포츠 아프리카 프릭스 진에어 그린윙스 팀 배틀코믹스 담원 게이밍 KT 롤스터 킹존 드래곤X 한화생명 e스포츠 SK텔레콤 T1 그리핀 챌린저스 참가팀 MVP BBQ 올리버스 콩두 몬스터 방송인OGN 전용준 김의중 김동준 이현우 SPOTV GAMES 성승헌 이기민 신동진 하광석 강승현 고인규 나이스게임TV 정진호 김의중 하광석 강승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지훈_(이스포츠_감독)&oldid=23328869" 분류: 1980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e스포츠 선수대한민국의 e스포츠 코치대한민국의 e스포츠 감독KT 롤스터의 선수FIFA 시리즈 프로게이머광명시 출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2월 24일 (월) 12: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지훈(李智勳, 1980년 3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전직 FIFA 시리즈 프로게이머이다. 프로게임단 지도자, 프로게임단 행정가로로 활동했다. 현재 Gen.G의 상무를 맡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스포츠 감독 이지훈이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을 창단한 연도는 언제인가? Assistant: 2012년
Human: 아래 낙원상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낙원상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낙원상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낙원상가(樂園商街)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 낙원동 일대에 있는 상가 건물이다. 악기 전문 상가로 알려져 있다. 지상 1층에는 도로가 지나고, 그 위아래로 건물이 지어진 형태이다. 낙원악기상가는 1965년부터 낙원동 시장을 재개발하여 세운 초창기 주상복합건물로서, 격동의 현대사와 호흡한 서울시내 중심의 건물로 그 보존 가치를 인정받아 2013년 서울미래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목차 1 역사 2 각주 3 같이 보기 4 외부 링크 역사[편집] 일제 강점기 말기, 서울 시내 안에서 7개 구역이 공습으로 인한 화재를 방지하고자 소개(疏開)되었는데, 경운동에서 청계천까지를 잇는 길이 600 m 폭 50 m의 구역도 그 중 하나였다.[1] 해방 이후 이 소개지(疏開地)에는 무허가 판잣집이 난립하였다. 1967년, 낙원동 일대에 들어선 무허가 주택과 낙원시장을 정리하고 현대식 상가 건물을 짓는 계획이 발표되었다.[2] 이에 따라 낙원상가는 1967년 10월 26일 착공되어 1968년 9월 15일 사용승인을 받고 1970년 12월 12일 완공되었다.[3] 지하 1층에는 약 3,306m2의 면적에 종래의 재래시장이 들어섰고, 지상 2층부터 5층까지는 약 29,752m2의 면적에 다양한 상가가 입주하였으며, 6층부터 15층까지는 당시로서는 최고급의 아파트로 설계되어 약 15,868m2의 면적을 149세대가 분양받았다.[4] 비슷한 시기에 파고다공원을 현대식으로 단장하고, 담장을 허문 자리에 ‘파고다 아케이드’를 건설하는 계획이 수립되었다.[5] 이에 따라 파고다 아케이드는 1967년 4월 4일 착공되어[6], 같은 해 12월 12일 공원과 함께 준공되었으며[7], 같은 달 20일 개관되었다.[8] 그러나 아케이드는 소송 끝에 1983년 7월 철거되었다.[9] 아케이드에 있던 음악 상점들이 낙원상가로 대거 이주하면서, 1980년대의 낙원상가는 음악 전문 상가로 거듭났다.[10] 충무로에 있던 악사 인력 시장이 이곳으로 옮겨오기도 하였다.[11] 즉 낙원상가는 ‘음악인의 성지’와도 같은 곳이 되었다.[12][13]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반주장치가 대중화함에 따라 악사와 밴드를 찾는 수요가 줄어들면서 낙원상가는 점점 쇠퇴하였다.[14][15] 심지어 2007년 서울특별시에서는 낙원상가의 철거 및 재개발 계획을 밝히기도 하였다.[16][17] 그렇지만 낙원상가는 악기 전문 상가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2013년에는 서울특별시 미래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12], 2015년 초에는 도시재생 선도지역으로 지정되었다.[18] 2010년대 중반에 들어서는 다양한 세대가 어울리는 공간으로 탈바꿈하였다.[15] 한편 청계천2가와 퇴계로2가를 잇는 폭 40 m의 도로가 1967년 3월 8일 착공하여[19], 같은 해 4월 17일 개통하였다.[20] 계동 입구~종로2가 간의 도로는 1976년 이후에 폭 40 m로 확장되었다.[21] 이들 도로는 1966년에 삼일로로 명명되었다가 후에 삼일대로로 바뀌었으며, 낙원상가는 삼일대로 위에 있다. 각주[편집] ↑ 손정목 (2003). 《서울 도시계획이야기 1》. 경기: 한울. 246쪽. ISBN 9788946031371.  ↑ “樂園(낙원)시장商街(상가)아파트 이달末頃(말경)착공예정”. 매일경제. 1967년 10월 10일.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2012). 《낙원 핵심상징 개선사업 연구 용역 최종보고서》. 서울: 서울특별시 종로구. 48쪽.  ↑ 위의 책, 13쪽. ↑ “새모습보일 파고다公園(공원)”. 경향신문. 1967년 3월 13일.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파고다公園(공원) 外廓(외곽)에아케이드 설치”. 매일경제. 1967년 4월 8일.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商街(상가)「아케이드」도 開店(개점) 12日(일)파고다重修竣工式(중수준공식)”. 매일경제. 1967년 12월 12일.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京鄉(경향)가이드”. 경향신문. 1967년 12월 19일.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16年(연)만에 헐리는 파고다 아케이드”. 동아일보. 1983년 7월 4일.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김보라 (2017년 4월 15일). “랄랄라~ 낙원상가…3만개 악기가 춤춘다”. 한국경제.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낙원상가2층에 떠돌이樂士(악사)시장”. 경향신문. 1983년 7월 26일.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가 나 박용수 (2016년 7월 4일). “반세기 역사 간직한 '서울 미래유산' 등재 '낙원악기상가', 방문객 확인 가능한 표식 부착”. 데이터뉴스.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손대선; 이현주 (2015년 3월 23일). “[이사람]이대귀 대표 "우리들의 낙원은 지금 변신중"”. 뉴시스.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앞의 책, 13쪽. ↑ 가 나 박미향 (2016년 3월 16일). “낙원상가에서 울려퍼지는 부활의 노래”. 한겨레.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안승섭 (2007년 3월 12일). “<남대문시장.낙원상가 반세기만에 재개발>”. 연합뉴스.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정성호 (2007년 6월 14일). “서울역 고가도로 신축..도심 4개축 재정비(종합)”. 연합뉴스.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이정현 (2015년 3월 9일). “'서울 도시계획 100년 좌우' 재생선도지역 27곳 선정”. 연합뉴스.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退溪路(퇴계로)2街(가)←→淸溪川(청계천)2街(가) 道路新設(도로신설)로 建物撤去(건물철거)”. 동아일보. 1967년 3월 2일.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中心街南北(중심가남북) 縱貫(종관),不良(불량)건물헐어 模範街(모범가)로 三一路(삼일로)”. 경향신문. 1967년 4월 17일.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樂園洞(낙원동)~桂洞(계동)등 2개道路幅(도노폭)확장”. 동아일보. 1976년 9월 11일.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편집] 허리우드: 낙원상가 4층에 들어선 극장. 세운상가: 비슷한 시기에 세워진 주상복합 건물. 외부 링크[편집] 낙원상가 - 공식 웹사이트 우리들의 낙원상가 - 공식 블로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낙원상가&oldid=23979232" 분류: 서울 종로구의 건축물서울미래유산서울특별시의 쇼핑몰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6일 (토) 21: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낙원상가(樂園商街)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 낙원동 일대에 있는 상가 건물이다. 악기 전문 상가로 알려져 있다. 지상 1층에는 도로가 지나고, 그 위아래로 건물이 지어진 형태이다. 낙원악기상가는 1965년부터 낙원동 시장을 재개발하여 세운 초창기 주상복합건물로서, 격동의 현대사와 호흡한 서울시내 중심의 건물로 그 보존 가치를 인정받아 2013년 서울미래유산으로 등재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낙원상가가 완공된 날짜는 언제인가요? Assistant: 1970년 12월 12일 Human: 아래 산업로_(광양_하동)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산업로 (광양 하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산업로 (광양 하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산업로 (하동군)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일반 국도 59 산업로 국도 제59호선의 일부 총연장 10.281km 개통년 1995년 12월 27일 기점 전라남도 광양시 태인동 주요경유지 전라남도 광양시경상남도 하동군 종점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주요교차도로 남해고속도로국도 제2호선국도 제19호선 2001년 이전 고속국도 노선(기종점은 2001년 8월 24일 이전을 기준으로 함) 노선 기호와 사용 연도 1995년 ~ 1996년 노선명 남해고속도로제3지선(고속국도 제6-3호선) 기점 경상남도 하동군 종점 전라남도 광양시 산업로(産業路)는 전라남도 광양시 태인동 태인교 북단과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하동 나들목 (계천사거리)을 잇는 왕복 4차선의 도로이다. 1995년 12월 27일 남해고속도로제3지선(고속국도 제6-3호선)으로 개통했으나 도로 구조 상 고속도로로 관리하기 어렵다는 사유로 1996년 7월 1일 고속도로에서 해제되고 국도 제59호선으로 지정되었다. 섬진대교를 기준으로 서쪽 광양시 구간은 태인로(太仁路), 동쪽 하동군 구간은 산업대로(産業大路)로 명명되었다가 2009년 7월 10일 산업로로 통일하였다. 목차 1 연혁 2 주요 경유지 3 노선 4 주요 건물 및 시설 5 특이 사항 6 각주 7 외부 링크 연혁[편집] 1991년 11월 9일 : 전 구간 착공 1992년 4월 29일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 전라남도 동광양시 태인동 구간을 고속국도 제6호의3호선 남해제3지선으로 지정[1] 1992년 6월 9일 : 남해제3지선 하동 ~ 광양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계천리 ~ 전라남도 동광양시 태인동 7.5km 구간 도로구역 결정[2] 1995년 1월 1일 : 종점을 '전라남도 동광양시 태인동'에서 '전라남도 광양시 태인동'으로 변경[3] 1995년 1월 18일 : 1995년 12월까지 영업소 건설을 위해 경상남도 하동군 금성면 갈사리 240m 구간 도로구역 변경[4] 1995년 12월 27일 : 향후 4차선 확장을 대비한 왕복 2차선의 형태로 전 구간 개통[5][6] 1996년 7월 1일 : 도로 구조상 고속도로로 관리하기 어려워 고속도로 노선 지정 폐지[7], 동시에 섬진대교를 경계로 산업대로와 태인로로 분리 및 국도 제59호선으로 지정[8] 2001년 8월 25일 : 국도 제59호선이 광양 ~ 양양 구간으로 확대되면서 국도 제59호선의 일부구간이 됨[9] 2009년 7월 10일 :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산업로를 고시[10] 주요 경유지[편집] 전라남도 광양시 태인동 경상남도 하동군 (금성면 - 금남면) 노선[편집] 이름[11]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태인교 북단 국도 제2호선(백운1로)삼봉산로 광양시 태인동 섬진대교삼거리 국도 제59호선(태인4길) 국도 제59호선 구간 섬진대교 하동군 금성면 갈사사거리 (이름 없음) 금성로 진정천교 금남면 하동 나들목(계천사거리) 10호선 남해고속도로국도 제19호선(섬진강대로) 주요 건물 및 시설[편집] 조선내화 (전라남도 광양시 산업로 55) 특이 사항[편집] 이 도로가 고속도로로 존재했던 기간은 약 반년 정도에 불과하나, 고속도로 개통 당시에 설치되었던 표지판은 현재도 적지않은 수가 남아있으며, 대부분 '고속도로 제6-3호선'표기를 '국도 제59호선'으로만 바꿔서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12][13] 각주[편집] ↑ 대통령령 제13636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1992년 4월 29일 일부개정. ↑ 건설부고시 제1992-284호, 1992년 6월 9일. ↑ 대통령령 제14486호, 1994년 12월 31일 타법개정.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6호, 1995년 1월 18일. ↑ 건설교통부공고 제1995-400호, 1995년 12월 28일. ↑ 옥포~내서 하동~광양 고속도 내일 확장개통, 《경향신문》 1995년 12월 26일 (네이버 디지털 뉴스 아카이브) ↑ 대통령령 제15102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1996년 7월 1일 일부개정. ↑ 대통령령 제1510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1996년 7월 1일) ↑ 대통령령 제17348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2001년 5월 24일) ↑ 행정안전부고시 제2009-30호, 2009년 7월 10일. ↑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 국토해양부 도로표지 안내시스템 - 용포마을 부근표지판은 전체적으로 1990년대 중반까지 쓰였던 형식으로, '고속도로 제6-3호선' 표기가 있던 자리는 '국도 제59호선'으로, '고속도로 제6호선' 표기가 있던 자리는 '고속도로 제10호선'으로 각각 바뀌었다. ↑ 국토해양부 도로표지 안내시스템 - 진정마을 부근의 표지판으로, 기존 '고속도로 제6-3호선' 표기 자리에 '국도 제59호선'을 덧붙인 흔적이 보인다. 옛 표지판에서 사용하던 형식의 서체(굴림체에 가까운 서체)인 것으로 보아 국도 격하 직후에 변경한 이후 지금까지 사용해 온 것으로 보인다. 외부 링크[편집] 산업로 (광양 하동) (전남 광양시) 산업로 (광양 하동) (경남 하동군) vdeh 대한민국의 고속도로남북 [1] 경부 () [15] 서해안 [17] 평택파주 [25] 호남 논산천안 [27] 순천완주 [29] 세종포천 [35] 통영대전 중부 [37] 제2중부 [45] 중부내륙 [55] 중앙 [65] 동해 동서 [10] 남해 [12] 무안광주 광주대구 [16] 울산 [20] 새만금포항 [30] 당진영덕 [32] 아산청주 [40] 평택제천 [50] 영동 [52] 광주원주 [60] 서울양양 순환 [100] 서울외곽순환 [300] 대전남부순환 [400] 수도권제2순환 [600] 부산외곽순환 경인 [110] 제2경인 [120] 경인 [130] 인천국제공항 지선 [102] 남해제1지선 [104] 남해제2지선 [105] 남해제3지선 [151] 서천공주 [153] 평택시흥 [171] 오산화성 용인서울 [204] 새만금포항지선 [251] 호남지선 [253] 고창담양 [301] 상주영천 [451] 중부내륙지선 [551] 중앙지선 예정 [14] 함양울산 [17] 익산평택 [173] 익산평택지선 [202] 새만금포항지선 [255] 강진광주 [500] 광주외곽순환 [700] 대구외곽순환 폐지 [1] 양재 - 한남 [2] 신월 - 양평 [6] 덕천 - 구포 [6-3] 남해제3지선 [7-2] 구마지선 [15] 목포 - 죽림 [22] 김천영천 [120] 인천 - 서인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산업로_(광양_하동)&oldid=24185687" 분류: 전라남도의 도로경상남도의 도로광양시의 교통하동군의 교통국도 제59호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3: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산업로(産業路)는 전라남도 광양시 태인동 태인교 북단과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하동 나들목 (계천사거리)을 잇는 왕복 4차선의 도로이다. 1995년 12월 27일 남해고속도로제3지선(고속국도 제6-3호선)으로 개통했으나 도로 구조 상 고속도로로 관리하기 어렵다는 사유로 1996년 7월 1일 고속도로에서 해제되고 국도 제59호선으로 지정되었다. 섬진대교를 기준으로 서쪽 광양시 구간은 태인로(太仁路), 동쪽 하동군 구간은 산업대로(産業大路)로 명명되었다가 2009년 7월 10일 산업로로 통일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동광양시의 이름이 바뀐 날짜는 언제인가? Assistant: 1995년 1월 1일
Human: 아래 한일장신대학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한일장신대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일장신대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5° 45′ 48.7″ 동경 127° 12′ 23.4″ / 북위 35.763528° 동경 127.206500°  / 35.763528; 127.206500 한일장신대학교Hanil University and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종류 사립설립 1922년종교 개신교 (예장통합)총장 구춘서학부생 수 869명 (2017년)[1]교직원 수 96명 (2017년)[1]국가 대한민국위치 전라북도 완주군 상관면 왜목로 726-15웹사이트 공식 사이트 한일장신대학교의 위치 한일장신대학교(韓一長神大學校, Hanil University and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는 전라북도 완주군 상관면 왜목로 726-15에 있는 사립 대학이다. 목차 1 역사 2 개설 학과 2.1 학부 과정 2.2 대학원 과정 3 교내 운동부 4 학교 동문 5 역대 역임 교수 6 외부 링크 7 각주 역사[편집] 한일장신대학교의 역사는 일제 강점기에서부터 시작한다. 1922년 6월 2일 미국 남장로교 선교부에서 파견한 선교사 엘리자베스 조해너 셰핑(Elizabeth Johanna Shepping, 한국 이름 서서평)이 광주에 여성들을 위한 전도부인(Bible woman) 양성학교인 이일성경학교[2]를 세웠고, 1923년 9월 4일에는 매티 잉골드 테이트(Mattie Ingold Tate) 선교사가 전주에 여성성경학교를 세웠다.[3] 그 뒤 여성성경학교는 전주한예정성경학교로 이름을 바꾸고 중화산동으로 자리를 옮겼으나 1940년에 신사참배 강요의 거부로 광주와 전주의 성경학교가 폐교되며 문을 닫았다.[4] 1947년 9월 전주한예정성경학교가 다시 문을 열였으며, 1948년 9월에는 이일성경학교가 다시 문을 열였다.[3] 1952년 전주한예정성경학교는 전주고등성경학교로 인가를 받았고, 1956년에는 전주한예정성서신학원으로 이름을 바꾸고 전라북도 교육위원회로부터 고등학교령에 의한 각종학교로 허가를 받았다.[4] 1961년 4월 1일 전주한예정성서신학원과 이일성경학교가 합병됐고, 각 학교 이름의 첫 글짜를 따서 한일신학원으로 이름을 바꾸었다.[4] 1967년 7월 전라북도 교육위원회로부터 한일여자신학교로 변경 인가를 받았으며,[4] 1973년 11월 14일에는 대학령에 의한 각종학교로 인가를 받았고,[3] 1978년 9월에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총회에서 지방 신학교로 인준을 받았다.[4] 1980년 2월 21일 대한민국 문교부로부터 4년제 학칭 변경 인가를 받았고, 1982년에는 한일신학교로 이름을 바꾸고 남녀공학 신입생을 모집했으며, 1984년 11월 16일 문교부가 한일신학교를 4년제 대학 학력 인정 학교로 인정했다.[3] 1994년 12월 교육부로부터 4년제 정규 대학으로 승인을 받았으며,[4] 1995년 3월 1일에 한일신학대학교로 학교 이름을 바꾸었고 1996년 11월 4일에 대학원 설립 승인을 받았다.[3] 1998년 9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총회에서 총회직영신학대학으로 허락받고 이름을 오늘날의 한일장신대학교로 바꾸었다.[3] 개설 학과[편집] 학부 과정[편집] 한일장신대학교 개설 학과 목록 신학부 사회복지학부 인문사회과학부 음악학부 심리상담학부 간호학과 계약학과 사회복지학부 대학원 과정[편집] 한일장신대학교 대학원 과정 학과 목록 일반대학원 특수대학원 사회복지대학원 아시아태평양국제신학대학원 NGO정책대학원 심리치료대학원 교내 운동부[편집] 한일장신대학교는 야구부와 양궁부를 운영하고 있다. 야구부는 2003년 처음 창단했다가 2013년에 해체했었고, 2018년 3월 6일에 폐교된 서남대학교의 야구부를 인수해 재창단했다.[5] 학교 동문[편집] 분류:한일장신대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역대 역임 교수[편집] 분류:한일장신대학교 교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외부 링크[편집] 한일장신대학교 홈페이지 각주[편집] ↑ 가 나 “대학알리미 공시정보”. 2018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10일에 확인함.  ↑ 김종표 (2017년 9월 6일). “한일장신대, 개교 95주년 기념식·명예박사 학위 수여식”. 전북일보. 2018년 5월 10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한일장신대학교 연혁”. 2018년 5월 10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한일장신대학교 역사”. 2018년 5월 10일에 확인함.  ↑ 임충식 (2018년 3월 6일). “한일장신대 야구부 재창단…‘폐교‘ 서남대 야구팀 인수”. 뉴스1. 2018년 5월 10일에 확인함.  이 글은 대학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기독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vdeh 전라북도의 대학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국립 군산대학교 전북대학교 전주교육대학교 한국농수산대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전북지역대학) 사립 예수대학교 예원예술대학교 (전북희망캠퍼스) 우석대학교 (전주캠퍼스) 원광대학교 전주대학교 한일장신대학교 호원대학교 전문대학 군산간호대학교 군장대학교 백제예술대학교 서해대학 원광보건대학교 전북과학대학교 전주기전대학 전주비전대학교 한국폴리텍Ⅴ대학 (김제캠퍼스·익산캠퍼스) 대학원대학 원불교대학원대학교 사이버대학 원광디지털대학교 (익산캠퍼스·전주캠퍼스)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vdeh대한민국의 대학교 야구부 고등학교 대학교 한국대학야구연맹서울 고려대학교 동국대학교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한양대학교 부산 경성대학교 동아대학교 동의대학교 대구 계명대학교 인천 인천재능대학교 인하대학교 광주 동강대학교 송원대학교 세종 홍익대학교 경기 경희대학교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세계사이버대학 중앙대학교 강원 강릉영동대학교 충북 건국대학교 유원대학교 충남 단국대학교 전북 원광대학교 한일장신대학교 호원대학교 전남 세한대학교 경북 영남대학교 경남 경남대학교 제주 제주관광대학교 제주국제대학교 한국대학야구협회 가천대학교 평생교육원 세종대학교 평생교육원 인천대학교 평생교육원 KBS스포츠예술과학원 농구부 야구부 축구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일장신대학교&oldid=24125788" 분류: 대한민국의 대학교 야구부1923년 개교전라북도의 대학교완주군의 학교대한민국의 사립 대학대한민국의 신학교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대학교에 관한 토막글기독교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30일 (화) 16:0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한일장신대학교(韓一長神大學校, Hanil University and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는 전라북도 완주군에 있는 대한민국의 사립 대학이다.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계열로, 장로교계 신학 대학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여성성경학교를 세운 날짜는 언제인가? Assistant: 1923년 9월 4일 Human: 아래 대성_(가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성 (가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성 (가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성 2012년 3월, 'K-Collection fashion show 2012' 공연중인 대성.기본 정보본명 강대성 (姜大聲)출생 1989년 4월 26일(1989-04-26) (30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동직업 가수, 배우장르 발라드활동 시기 2006년 8월 19일 ~ 현재 종교 개신교레이블 YG PLUS, YGEX소속사 YG 엔터테인먼트소속 그룹 빅뱅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 대성(본명: 강대성, 1989년 4월 26일 ~ )은[1] 대한민국의 보이 그룹 빅뱅에서 리드보컬을 맡고 있다. 대성은 YG 엔터테인먼트 소속으로 6개월여간 연습생 기간을 거친 후, BIGBANG의 멤버로 데뷔하였다. 그의 해외 활동시 사용되는 이름은 D-LITE으로 기쁨, 즐거움, 환희, 유쾌함을 의미하는 'Delight'라는 단어의 약술이다. 목차 1 생애 1.1 어린시절과 데뷔 과정 1.2 2006–07: 빅뱅 데뷔와 초기 활동 1.3 2008–09: 트로트 솔로, 패밀리가 떴다, 캣츠와 교통사고 부상 1.4 2010: 추가적인 솔로 활동, 왓츠업, 밤이면 밤마다 1.5 2011-13: 빅뱅 컴백과 D'scover 1.6 2014: D'slove와 Delight 1.7 2015-현재: "앵콜 !! 3D Tour [D-LITE DLive D'slove]" 2 학력 3 음반 목록 4 음반 외 활동 4.1 드라마 4.2 예능 (고정) 4.3 뮤지컬 4.4 영화 4.5 광고 출연 5 투어 6 사건 및 사고 6.1 2009년 사고 6.2 2011년 사건 7 각주 8 외부 링크 생애[편집] 어린시절과 데뷔 과정[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빅뱅 (음악 그룹)입니다. 대성(본명: 강대성)은 1989년 4월 26일 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동에서 1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어린시절 가수의 꿈을 키우며 아버지의 반대를 뒤로 하고 MBC 아카데미에서 보컬수업을 받았고, 경인고등학교 재학 시절 YG 엔터테인먼트의 정식 오디션을 거쳐 연습생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2006년 곰TV·MTV 코리아에서 방송된 서바이벌 다큐 프로그램 《리얼다큐 빅뱅(BIGBANG)》을 통해 만장일치로 최종 멤버에 발탁이 되었으며, 지드래곤, 태양, T.O.P, 승리와 함께 YG 엔터테인먼트에서 제작하는 최초의 아이돌 힙합 그룹 BIGBANG의 멤버로 정식 합류하게 되었다. 2007년 9월 학교를 자퇴했었던 그는 2008년 5월 고졸 검정고시 합격해,[2][3] 그해 11월에는 경희대학교 포스트모던음악학과에 수시모집에 합격해 09학번으로 입학했지만[4] 바쁜 연예 활동으로 국제사이버대학교 예체능학부 레저스포츠학과에 편입하였다. 대성은 독실한 기독교인으로 알려져 있다.[5][6] 2006–07: 빅뱅 데뷔와 초기 활동[편집] 빅뱅은  2006년 8월 19일 첫 싱글 〈Bigbang〉을 발표하였고, 같은 날 YG 패밀리 10주년 콘서트에서 첫 무대에 섰다. 2006년 9월 23일 음악 프로그램 《쇼! 음악중심》에서 공식 데뷔하였다. 대성은 세 번째 싱글 음반 〈Bigbang 03〉에 수록 된 "웃어본다"로 첫 솔로 곡을 불렀다. 이 곡은 그해 12월에 발매 된 빅뱅의 첫 번째 정규 음반 《BIGBANG Vol.1》에 수록되었다. 빅뱅은 2007년 그들의 첫 번째 EP 《Always》의 발매와 동시에 타이틀 곡 "거짓말"은 엄청난 메가히트를 기록했고, 이후 두 번째 EP 《Hot Issue》의 "마지막 인사"와 세 번째 EP 《Stand Up》의 "하루하루"가 연이어 차트 정상을 차지하며 최정상의 대세 그룹으로 우뚝 섰다.[7][8] 빅뱅의 데뷔한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 대성은 성대 결절 진단을 받았다. 거의 몇년 동안, 그는 자신의 성대 및 대인기피증과 무대 공포증으로 고생했었다. 그러나 그는 당시 같은 소속사의 선배 가수 거미의 도움으로 극복 할 수 있었다고 한다. 특히 이전에 빅뱅의 두 번째 앨범 발매 전에, 대성은 상태가 크게 개선되었다.[출처 필요] 2008–09: 트로트 솔로, 패밀리가 떴다, 캣츠와 교통사고 부상[편집] 빅뱅은 본격적인 일본 데뷔를 앞서, 멤버의 개인 활동에 주력하기 시작했다. 2008년 대성은 그의 첫 번째 트로트 싱글 음반 〈날 봐, 귀순〉을 발표했다.[9] 그는 이 음반이 그룹 활동에 안좋은 영향을 줄까하는 생각도 있었지만, 차별화 되는 다른 무언가를 도전해보고 싶었다고 언급했다.[10] 그는 리얼 버라이어티 쇼 《일요일이 좋다 - 패밀리가 떴다》의 고정 진행자로 출연했다. 그해 한국 버전으로 공연 되는 뮤지컬 《캣츠》에서 '럼텀터거' 역할로 출연했다.[11] 대성은 그룹의 멤버 승리와 함께 MBC 음악 프로그램 《쇼! 음악중심》의 진행을 맡았다. 2009년 초, 대성은 그의 두 번째 트로트 싱글 음반 〈대박이야〉을 발표했다.[10] 그는 당초 승리와 뮤지컬 《샤우팅》에 출연할 예정이였다.[12] 하지만 뮤지컬 공연을 앞둔 8월, 갑작스런 교통사고 부상으로 출연이 무산 되었고, 고정중이던 프로그램에서는 임시 하차 되었다.[13][14] 대성은 빅뱅으로 멤버로서 2009년 10월, 드림 콘서트를 통해 복귀하였다.[15] 2010: 추가적인 솔로 활동, 왓츠업, 밤이면 밤마다[편집] YG 엔터테인먼트는 2010년 대성과 그룹의 멤버 T.O.P과 솔로 음반을 발매한다고 발표했다. 대성은 2010년 1월, 새로운 디지털 싱글 〈솜사탕〉을 발매했다.[16] 이 곡의 가사는 대성이 직접 썼다.[17] 그러나 추가적인 앨범은 발매 되지 않았다. 2011년 초, YG 엔터테인먼트는 한해동안 대성과 승리의 왕성한 활동을 예고했지만 대성은 이뤄지지 않았으며, 승리는 2011년 1월 EP 음반을 발매했다. 2010년 대성은 MBC에서 사전제작하는 송지나 작가의 텔레비전 드라마 《왓츠업》의 출연을 확정 지었다. 드라마 촬영은 2011년 2월에 마무리 되었다. 2010년 11월, 그는 버라이어티 토크쇼 《밤이면 밤마다》 에 고정 진행자로 출연했다. 그해 대성은 이효리의 새로운 앨범 《H-Logic》의 수록곡 "How Did We Get"에 피처링에 참여했다. 2011-13: 빅뱅 컴백과 D'scover[편집] 2012년 9월, Alive World Tour 공연 중인 대성. 2011년 4월, 대성은 빅뱅의 네 번째 EP 《BIGBANG MINI 4》에 수록 된 솔로 곡 "Baby Don't Cry"를 발표했다. 이 곡은 Big Show 2011 콘서트에서 첫 공연 되었고, 음반의 타이틀 곡과 함께 여러 음원 차트에 진입했다. 그해 5월 31일, 대성은 자신의 아우디 차량을 운전하던 중 음주운전 추돌사고로 양화대교에 쓰러져 있던 오토바이 운전자를 역과, 오토바이 사고로 사망자가 발생한 사건(교통사고 치사사건)에 연루되었다.[18] 그는 검찰 조사 결과 혐의 없음 처분을 받긴 했지만,[19] 그러나 당시의 후유증으로 마음을 추스리며 개인 활동과 동시에 빅뱅의 활동을 전면 중단했다.[20] 대성은 2011년 11월 6일, 북아일랜드의 벨파스트에서 열린 MTV 유럽 뮤직 어워드(EMA)에 참석하며 첫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2011년 12월과 2012년 1월, 그는 한국과 일본에서 열린 YG 패밀리 콘서트에 합류했다.[21][22] 그의 뮤지컬 드라마 《왓츠업》이 MBN에서 2011년 12월 3일 방송을 시작했다. 대성은 드라마의 OST에 직접 참여해 "Lunatic"을 불렀다.[23] 대성은 2012년 3월, 컴백한 빅뱅의 다섯 번째 EP 《Alive》의 수록곡이자 그의 솔로 곡 "날개"을 발표했다. 대성은 2013년 2월 27일, 일본에서 그의 첫 솔로 정규 음반 《D'scover》을 발표했다. 그의 솔로 음반은 12곡을 모두 일본어로 불렀으며, "Baby Don't Cry"와 "날개"는 일본어로 새롭게 녹음했다. 이 음반은 오리콘 앨범 데일리 차트 2위로 데뷔했고,[24][25] 오리콘 앨범 위클리 차트 2위를 차지했다.[26] 성공적인 솔로 데뷔와 동시에 그는 일본 솔로 콘서트를 개최하였고, 3월 23일과 24일에 고베 월드 기념관에서, 3월 30일과 31일에 도쿄 니혼 부도칸에서 투어를 시작했다.[27] 당초, 대성은 고베와 도쿄에서 음반 홍보를 위한 총 4회의 콘서트를 개최하겠다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2월 28일에, 그 계획은 팬들의 뜨거운 요청들로 인해, 17개 도시 21회 콘서트에서 추가가 된 18개 도시 25회 콘서트로 변경 되었다고 재발표되었다. 이 콘서트 투어는 3월 23일 고베의 월드 기념관에서 시작되어, 6월 18일 카나가와의 요코하마 아레나에서 막을 내렸다.[28] 2014: D'slove와 Delight[편집] 2014년 2월, YGEX는 2013년에 발매 된 대성의 솔로 음반 《D'scover》과 2014년 7월에 발매 되는 새로운 음반의 연속적인 성공을 기원하고자 6월과 7월에 7개 도시에서 12회 공연을 갖는 대성의 일본 솔로 아레나 투어(DLITE DLive 2014 in Japan)를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그해 3월 29일, YGEX는 추가적으로 DLITE DLive 2014의 도쿄 니혼 부도칸 공연(7월 18일)을 추가했다고 발표했다. 4월 15일, YGEX는 대성의 DLITE DLive 2014의 오사카 성홀 공연(7월 26일과 27일)을 추가해 총 8개 도시에서 15회 공연을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5월 7일, 대성의 아레나 투어 제목은 [DLITE DLive 2014 in Japan ~D’slove~]으로 정식 발표 되었다. 대성은 그의 솔로 아레나 "D-LITE DLive Tour 2014 in Japan"를 기념하는 총 4곡이 수록 된 미니 디지털 음반 《RAINY RAINY》을 6월 11일에 발표했다. 이 음반은 일본 실시간 차트를 포함한 아이튠즈 1위와 뮤모 차트 4위를 차지했다.[29] 대성의 첫 일본어 오리지널 솔로 음반 《D'slove》는 7월 16일에 발매 되어, 30,090장을 팔아 오리콘 앨범 데일리 차트 1위로 데뷔했다.[30] 이 음반은 오리콘 앨범 위클리 차트 2위를 기록했다. 대성은 일본 아레나 투어 [D-LITE DLive Tour 2014 in Japan - D'slove]의 오사카 성홀 공연을 7월 27일에 개최하며 성공리에 마무리했다. 그는 8개 도시 15회 공연으로 170,000명의 관객수를 동원했으며, 이는 2년 연속 일본 투어에 10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한 최초의 한국 솔로 가수의 기록을 세웠다.[31][32][33] 9월 18일, YGEX는 대성의 일본 아레나 투어 공연 실황을 담은 DVD [D-LITE DLive Tour 2014 in Japan - D'slove]를 10월 22일 발매한다고 발표했고,[34] 연말 시즌을 기념하는 엔카 미니 음반 《でぃらいと》를 10월 29일에 발매 한다고 발표했다.[35][36][37] 이 음반은 9가지 버전의 4곡과 이전에 한국에서 발표한 트로트 2곡을 일본어 엔카 곡으로 커버했다. 그의 오리지날 두 곡은 좋은 찬사를 받아,[38][39] 65,048장을 팔아 오리콘 앨범 데일리 차트 1위를 차지했다.[40][41][42] 오리콘 앨범 위클리 차트에서는 68,335장의 판매량으로 1위를 기록했다.[43][44][45] 오리콘 앨범 연간 차트에서는 64위를 기록했다. 2015-현재: "앵콜 !! 3D Tour [D-LITE DLive D'slove]"[편집] 2014년 10월 20일, YGEX는 대성의 솔로 투어 앵콜 공연 "Encore!! 3D Tour [D-LITE DLive D'slove]"을 2015년 1월 31일과 2월 1일에 요요기 국립경기장에서 2월 10일과 11일에 오사카 성홀에서 개최된다고 발표했다.[46][47][48][49][50] 대성은 성공적인 앙코르 콘서트로 일본 솔로 아레나 투어를 작년에 이어 성공리에 끝마쳤다.[51] 학력[편집] 풍향초등학교 두암중학교 → 오류중학교 (전학) 경인고등학교 (중퇴) → 대입검정고시 (합격)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예술·디자인대학 포스트모던음악학과 (중퇴) 국제사이버대학교 예체능학부 레저스포츠학과 음반 목록[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대성의 음반 목록입니다. 정규 음반 2013: D'scover 2014: D'slove 미니 음반 (EP) 2014: でぃらいと 2017: D-DAY 음반 외 활동[편집] 빅뱅으로 활동한 것에 대해서는 빅뱅의 음반 외 활동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드라마[편집] 년도 방송사 제목 역할 참고 2011 MBN 왓츠업 하도성 주연 예능 (고정)[편집] 년도 방송사 제목 역할 참고 2008-2009 MBC 쇼! 음악중심 진행자 with 승리 2008-2010 SBS 일요일이 좋다 - 패밀리가 떴다 진행자 with 유재석, 이효리, 김종국, 이천희, 박예진, 윤종신, 김수로 2010-2011 SBS 밤이면 밤마다 진행자 with 탁재훈, 박명수, 김제동, 정용화, 유이 2013 MTV 재팬 D'splay (디스플레이) 진행자 with VJ Boo 2013 MTV 재팬 D'splay Returns (디스플레이 리턴즈) 진행자 with VJ Boo 2018 넷플릭스 YG전자 with 승리, 유병재, 이재진, IKON, WINNER, 산다라박, 지누션, 블랙핑크, 원 뮤지컬[편집] 년도 제목 역할 참고 2008 캣츠 럼텀터거 한국 버전 영화[편집] 년도 제목 역할 참고 2010 새미의 어드벤쳐 새미 한국어 더빙, with 설리 광고 출연[편집] 빅뱅으로 출연한 것에 대해서는 빅뱅의 음반 외 활동 목록#광고 출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단독 광고 연도 기업명 브랜드명 종류 공동 출연 2009년 BHC 〈BHC 치킨〉 프랜차이즈 외식업체 투어[편집] 빅뱅의 솔로 콘서트 투어 목록#대성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13: D-LITE D'scover TOUR 2013 IN JAPAN ∼DLIVE∼ 2014: D-LITE DLive 2014 in Japan~D'slove 2015: Encore!! 3D Tour [D-LITE DLive D'slove] 사건 및 사고[편집] 2009년 사고[편집] 2009년 8월 11일 오후 4시에 《패밀리가 떴다》 방송 촬영 후 괴산군에서 서울특별시로 가던 중 평택시 부근에서 빗길로 교통사고를 당했다.[52] 이 사고로 대성은 코뼈, 척추횡돌기, 왼쪽 눈뼈 골절 등으로 8주 동안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하는 진단을 받았으며,[53] 동승한 매니저는 오른팔에 경미한 부상을 입었고 코디네이터는 다리를 심하게 다쳐 수술을 받았다.[54] 이 사고로 인해 당시 대성이 출연하던 뮤지컬 '샤우팅'에서는 하차하고,[55] 《패밀리가 떴다》에서 임시 하차하고 승리가 대신 촬영에 참여했다.[56] 2011년 사건[편집] 2011년 5월 31일 새벽 1시 30분 경 대성은 부모님 집을 방문하기 위해 자신의 승용차를 몰던 중 양화대교 남단 방향 끝부분 내리막길 1차로에서, 대성의 차량에 앞서 달리던 택시가 길가에 쓰러져 있던 오토바이 운전자를 발견하고 오토바이 운전자 앞에 차를 세운 상황을 대성 차량 앞에 가던 또 다른 차가 먼저 발견, 비상등 없이 갑자기 비켜나가는 바람에 미쳐 보지 못하고 이미 혈중 알코올 0.165를 넘는 수치로 만취해서 가로등을 들이받고 쓰러져 있던 오토바이 운전자를 역과한 뒤 택시와 충돌했다.[57] 택시 운전기사는 큰 부상은 입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최초 사고자인 오토바이 운전자는 숨진 것으로 최종 확인됐다.[58] 사고 직후 대성은 서울영등포경찰서에서 5시간 동안 1차 조사를 받고 6시 50분 경에 귀가하였고 쓰러져있던 오토바이 운전자를 보지 못했다고 진술했다.[59] 서울영등포경찰서는 1차 중간 수사 결과 발표를 통해 대성은 혈중알코올농도를 측정한 결과 음주상태는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지만[60] 규정속도 60 km/h 구간에서 80 km/h로 주행하던 중 전방 부주의에 의한 사고라고 밝혔고 오토바이 운전사의 정확한 사망 경위와 사망 시점을 확인하기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분석을 의뢰했다고 밝혔다.[61] 경찰의 1차 중간 수사 결과 발표 이후, YG 엔터테인먼트 측은 대성이 경찰서 진술에서 자신은 80 km/h로 주행했다고 진술하였으나 사고 당시 현장에서 목격한 택시 기사의 진술에 따르면 대성이 60 km/h 정도로 주행했다고 진술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62] 경찰은 전방주시 태만으로 사고가 발생하였고 규정속도(60km/h) 구간에서 80km/h로 달려서 사고가 난 것이기 때문에 규정속도 위반으로 사망 과실 여부와는 관련 없이 불구속 입건하였다고 밝혔다.[63] 2011년 8월 29일, 서울중앙지방검찰청 남부지검은 대성의 교통사고 사망사건에 대하여 무혐의 처분을 내렸다.[64] 검찰은 오토바이 운전자가 대성의 승용차와 충돌 하기 전의 생존 여부를 명확히 밝힐 증거가 없다는 점, 사망한 오토바이 운전자가 대성이 운전하는 차량에 치이기 3분 전에 혈중알콜농도 0.186% 상태로 운전하다 가로등에 얼굴 부위를 들이받아 척수 손상을 동반한 흉부골절, 다발성 늑골 골절로 인한 폐파열, 과다출혈 등의 치명상을 입었던 점 등을 통해 대성의 차량과 추돌이 피해자 사망의 결정적 원인이 아닐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65] 이번 사건에 대해 검찰이 무혐의 결론을 내림에 따라 일부에서는 대성의 연예계 활동 복귀를 전망하였으나,[66] 검찰의 무혐의 결론과 관계없이 2011년 동안 대성의 연예계 활동 계획은 전혀 없고 교회에 다니는데에 열중할 것이라고 밝혔다.[67] 각주[편집] ↑ Mark Russell (2014년 4월 29일). 《K-Pop Now!: The Korean Music Revolution》. Tuttle Publishing. 34쪽. ISBN 978-1-4629-1411-1.  ↑ “빅뱅 대성·승리, 고교자퇴.."학력 낮아도 1위"”. 스타뉴스. 2007년 9월 18일.  ↑ “'빅뱅' 대성 고졸검정고시 합격 대입도전...승리와 희비 엇갈려”. 이데일리. 2008년 5월 24일.  ↑ “Internet Archive Wayback Machine”. Web.archive.org. 2009년 5월 2일. 2012년 2월 12일에 확인함.  ↑ Widney (2015년 4월 19일). “K-pop’s Christianity Conundrum”. 《The One Shot》. 2015년 9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9월 5일에 확인함.  ↑ “Daesung’s Church Interview”. 《Big Bang updates》. 2011년 11월 1일. 2017년 6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9월 5일에 확인함.  ↑ “빅뱅 쥬크온차트 8주 연속 1위 기염, JOO도 2주만에 7위 진입”. 2008년 1월 21일. 2008년 2월 1일에 확인함.  ↑ “Big Bang's 'Day by Day' Sweeps J-Pop Charts for Four Weeks”. KBS Global. 2008년 9월 8일. 2008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2월 18일에 확인함.  ↑ Mo, Shin-Jeong. 빅뱅 대성, 트로트 싱글 '날 봐 귀순' 공개 (Big Bang's Daesung Reveals Trot Single "Nalbwa Gwisun") Archived 2008년 7월 10일 - 웨이백 머신. The Korea Times. June 16, 2008. Retrieved October 27, 2009. ↑ 가 나 Han, Sang-hee. Young Singers Jumping Into Trot Genre. The Korea Times. April 28, 2009. Retrieved October 27, 2009. ↑ 빅뱅 대성 "귀여움 즐길 ‘캣츠’ 무대 선보일터" (Big Bang's Daesung Delights in Cats). Newsen. September 17, 2008. Retrieved October 27, 2009. ↑ Big Bang members to play selves in musical. The Korea Herald. June 25, 2009. Retrieved October 27, 2009. ↑ Big Bang Member Injured in Car Accident. The Korea Times. August 12, 2009. Retrieved October 27, 2009. ↑ Dae-sung to Undergo Surgery This Week. The Korea Times. August 17, 2009. Retrieved October 27, 2009. ↑ Park, Se-Yeon. 빅뱅, 대성 포함 ‘드림콘서트’ 총출동..5멤버 6개월만의 국내무대 (Big Bang, Including Daesung, Perform Together at "Dream Concert" for First Time in 6 Months in Korea) Archived [날짜 없음], - Archive.is. JoongAng Ilbo|Joins.com/Newsen. October 9, 2009. Retrieved October 27, 2009. ↑ “'패떴' 떠나는 대성, 솔로신곡 '솜사탕' 온라인공개”. 《Star News》. 2010년 1월 20일. 2010년 1월 22일에 확인함.  ↑ “Family Outing Daesung, Yoon Jong Shin, Singer, Composer and the possibility of renewed co-operation”. Star News; rough translation by Miseremei. 2012년 3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30일에 확인함.  ↑ “Police say Daesung killed motorcyclist, Korean Internet explodes”. CNN. 2011년 6월 24일. 2012년 5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16일에 확인함.  ↑ “Big Bang's G-Dragon apologizes for marijuana scandal”. Manila Bulletin. 2011년 12월 5일. 2012년 1월 3일에 확인함.  ↑ “Korea's Big Bang wins MTV EMA award”. Manila Bulletin. 2011년 11월 7일. 2011년 12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17일에 확인함.  ↑ “2011 YG Family Concert”. YG-Life. 2011년 10월 21일에 확인함.  ↑ “Daesung to join YG Family for year-end concert”. 《KBS Global and BIGBANGUpdates》. 2012년 7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0월 21일에 확인함.  ↑ “YG notice”. 2011년 12월 8일에 확인함.  ↑ “Daesung (D-Lite) is #2 on Oricon's daily chart with 'D'scover'”. 2015년 3월 11일에 확인함.  ↑ “YG LIFE - Daesung Climbs Up Ranks on Oricon for Three Days, Satisfying Japanese Fans with His Solo Album”. 《YG LIFE》. 2015년 3월 11일에 확인함.  ↑ “빅뱅 대성, 日 오리콘 주간 2위 '그룹 출신 솔로 중 최고기록' - enews24”. 《enews24.interest.me》. 2015년 3월 11일에 확인함.  ↑ “보관 된 사본”. 2014년 3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17일에 확인함.  ↑ “TOUR :: D-LITE OFFICIAL WEBSITE” (일본어). avex marketing. 2013년 2월 28일. 2013년 2월 28일에 확인함.  ↑ “YG LIFE - DAESUNG tops Japan’s iTunes with single "RAINY RAINY"”. 《YG LIFE》. 2015년 3월 11일에 확인함.  ↑ “YG LIFE - DAESUNG’s solo album huge hit: Tops Japan’s Oricon chart”. 《YG LIFE》. 2015년 3월 11일에 확인함.  ↑ http://www.ygfamily.com/network/Network_Info.asp?IDX=5893&Page=1&n2PageSize=9&LANGDIV=E ↑ “Daesung wraps up his solo Japanese arena tour in Osaka”. 2015년 3월 11일에 확인함.  ↑ “Big Bang’s Daesung Successfully Wraps Up Japanese Solo Arena Tour”. 2015년 7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3월 11일에 확인함.  ↑ “NEWS - BIGBANG OFFICIAL WEBSITE”. 《BIGBANG OFFICIAL WEBSITE》. 2015년 3월 11일에 확인함.  ↑ “NEWS - BIGBANG OFFICIAL WEBSITE”. 《BIGBANG OFFICIAL WEBSITE》. 2015년 3월 11일에 확인함.  ↑ “YG LIFE - BIGBANG’s DAESUNG: Japan Mini Album D-LITE & Solo DVD album out in October”. 《YG LIFE》. 2015년 3월 11일에 확인함.  ↑ “Big Bang’s Daesung to Release Japanese Mini Album and Solo Tour DVD Next Month”. 2015년 7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3월 11일에 확인함.  ↑ “NEWS - BIGBANG OFFICIAL WEBSITE”. 《BIGBANG OFFICIAL WEBSITE》. 2015년 3월 11일에 확인함.  ↑ “NEWS - BIGBANG OFFICIAL WEBSITE”. 《BIGBANG OFFICIAL WEBSITE》. 2015년 3월 11일에 확인함.  ↑ http://www.ygfamily.com/artist/Network_Info.asp?IDX=6107&Page=1&n2PageSize=9&LANGDIV=K&ATYPE=2&ARTIDX=8 ↑ “Big Bang’s Daesung Tops Oricon Chart with Album ‘D-Lite’”. 2015년 7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3월 11일에 확인함.  ↑ “Daesung (D-Lite) ranks #1 on Oricon Daily Chart + to thank fans with an encore solo concert in Japan next year”. 2015년 3월 11일에 확인함.  ↑ “BIGBANGのD-LITE「でぃらいと」自身初のオリコンアルバム週間ランキング1位獲得! - K-POP - 韓流・韓国芸能ニュースはKstyle”. 《Kstyle》. 2015년 3월 11일에 확인함.  ↑ “빅뱅 대성, 미니앨범 日 오리콘 위클리차트 '첫 1위'”. 《Daum 연예》. 2015년 3월 11일에 확인함.  ↑ “Big Bang Member Daesung's New EP 'D-LITE' Tops Japan's Oricon Weekly Chart”. 《KpopStarz》. 2015년 3월 11일에 확인함.  ↑ http://ygex.jp/bigbang/news/detail.php?id=1015683 ↑ http://www.ygfamily.com/artist/Network_Info.asp?IDX=6108&Page=1&n2PageSize=9&LANGDIV=E&ATYPE=2&ARTIDX=8 ↑ http://www.yg-life.com/archives/47922?lang=en ↑ “보관 된 사본”. 2015년 7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9월 26일에 확인함.  ↑ “보관 된 사본”. 2015년 7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9월 26일에 확인함.  ↑ http://ygfamily.com/network/Network_Info.asp?IDX=6425 ↑ 김용호 (2009년 8월 12일). “빅뱅 대성, 빗길 교통사고”. 세계일보. 2017년 9월 9일에 확인함.  ↑ 김원겸 (2009년 8월 14일). “대성 눈뼈골절 추가발견… 치료기간 8주로 늘어”. 동아일보. 2017년 9월 9일에 확인함.  ↑ 유명준 (2009년 8월 12일). “YG "대성 코뼈 부상…코디네이터는 수술"”. 세계일보. 2017년 9월 9일에 확인함.  ↑ 이순녀 (2009년 8월 13일). “교통사고 ‘빅뱅’ 대성 뮤지컬 ‘샤우팅’ 하차”. 서울신문. 2017년 9월 9일에 확인함.  ↑ 이정연 (2009년 9월 14일). “‘교통사고’ 대성, ‘패떴’ 6주만에 복귀”. 동아일보. 2017년 9월 9일에 확인함.  ↑ “대성 차에 치인 사망자, 선행사고 있었나?”. 동아일보. 2011년 6월 11일. 2017년 9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09-09저자=김원겸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도움말) ↑ “빅뱅 대성 교통사고…앞에 있던 오토바이 운전자 사망”. 동아일보. 2011년 5월 31일. 2017년 9월 9일에 확인함.  ↑ 최정주 (2011년 5월 31일). “대성 교통사고 “오토바이 사망자, 못보고 역과” 경찰조사 진술”. 서울신문. 2011년 6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9일에 확인함.  ↑ 김원겸 (2011년 5월 31일). “대성, 사망자 발생한 교통사고 연루”. 동아일보. 2017년 9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9일에 확인함.  ↑ 안진용 (2011년 5월 31일). “경찰 "대성, 전방 부주의에 의한 사고다"”. 한국일보. 2017년 9월 9일에 확인함.  ↑ 곽현수 (2011년 6월 2일). “YG 공식입장, "하루 빨리 결과 나와 대성이 짐을 덜었으면 한다"”. 티브이데일리. 2017년 9월 9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백지은 (2011년 6월 24일). “경찰, "빅뱅 대성, 불구속 기소…추가 소환 계획 없다"”. 스포츠조선. 2017년 9월 9일에 확인함.  ↑ 이준형 (2011년 8월 29일). “'빅뱅' 대성, 사망 교통사고 무혐의 처분”. 이투뉴스. 2017년 9월 9일에 확인함.  ↑ 이현우 (2011년 8월 29일). “빅뱅 대성, 교통사고 사망사건 `무혐의`”. 스타투데이. 2017년 9월 9일에 확인함.  ↑ “대성, 사망 교통사고 무혐의‥빅뱅 컴백하나?”. 스타투데이. 2011년 8월 29일. 2017-09-09저자=이현우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도움말) ↑ 김라현 (2011년 8월 20일). “빅뱅 대성, 교통사고 사망사건 무혐의 처분… 활동계획은 無”. 웰페어뉴스. 2017년 9월 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K-pop 포털 대성 - 공식 웹사이트 (한국) (일본어) 대성 (D-LITE) - 공식 웹사이트 (일본) 빅뱅 - 공식 웹사이트 (영어) 빅뱅 - 유튜브 vdeh대성(D-Lite) 음반 목록 음반 외 활동 정규 음반일본 D'scover (2013) D'slove (2014) EP일본 でぃらいと (2014) 싱글 및 노래대한민국 날 봐, 귀순 대박이야! 솜사탕 일본 I Love You Rainy Rainy 콘서트 투어일본 D-LITE D'scover TOUR 2013 IN JAPAN ∼DLIVE∼ D-LITE DLive 2014 in Japan~D'slove 관련 방송 패밀리가 떴다 밤이면 밤마다 관련 항목 BIGBANG YG 엔터테인먼트 vdeh빅뱅 G-Dragon T.O.P. 태양 대성 승리 정규 음반대한민국 BIGBANG Vol.1 Remember MADE 일본 NUMBER 1 BIGBANG BIGBANG 2 ALIVE MADE SERIES EP대한민국 Always Hot Issue Stand Up BIGBANG MINI 4 Alive 일본 For The World With U 스페셜에디션대한민국 빅뱅 스페셜에디션 STILL ALIVE 일본 ALIVE -MONSTER EDITION- Special Final in Dome Memorial Collection 컴필레이션 음반 Asia Best 2006-2009 The Ultimate The Best Of BIGBANG The Best Of BIGBANG 2006-2014 라이브 음반대한민국 The Real Vol.1 Live Concert The Great Vol.2 Live Concert 2009 BIGSHOW Live Album 2010 BIGSHOW Live Album 2011 BIGSHOW Live Album 2012 BIGBANG Alive Tour Live Album 2013 BIGBANG Alive Tour Live Album : The Final In Seoul 2014 BIGBANG +α in Seoul 일본 Love & Hope Tour 2011 Live Album 콘서트 투어대한민국 1st Live Concert - The R.E.A.L The G.R.E.A.T Want You Tour BIG SHOW 2009 BIG SHOW 2010 BIG SHOW 2011 일본 Stand Up Tour ELECTRIC LOVE TOUR 2010 BIGBANG Presents Love & Hope Tour 2011 Japan Dome Tour + Big Bang+α BIGBANG JAPAN DOME TOUR 2014 ~ 2015 “X” 세계 Global Warning Tour BIGBANG ALIVE GALAXY TOUR 2012 BIGBANG MADE World Tour BIGBANG10 THE CONCERT : 0.TO.10 유닛 GD&TOP GD X TAEYANG 관련 방송 리얼다큐 빅뱅 BIGBANG TV 같이 보기 YG 엔터테인먼트 양현석 공식색:유니버스 블루 팬클럽:V.I.P 싱글 목록 음반 목록 음반 외 활동 콘서트 투어 목록 솔로 콘서트 투어 목록 수상 및 후보 목록   분류   위키공용 vdehYG 엔터테인먼트경영진 양현석 (회장·총괄 프로듀서) 황보경 (대표이사·사장) 가수현재 소속 그룹 지누션 지누 션 원타임 테디 오진환 송백경 태빈 빅뱅 G-Dragon T.O.P. 태양 대성 악동뮤지션 이찬혁 이수현 WINNER 강승윤 김진우 이승훈 송민호 iKON 김진환 송윤형 BOBBY 김동혁 구준회 정찬우 젝스키스 은지원 이재진 김재덕 장수원 블랙핑크 지수 제니 로제 리사 트레저 13 방예담 최현석 김준규 윤재혁 하루토 박정우 소정환 하윤빈 마시호 김도영 요시노리 박지훈 아사히 현재 소속 솔로 이하이 원 CL 박산다라 과거 소속 그룹 킵식스 박동호 심영호 이새영 스위티 안내영 성미현 빅마마 이영현 이지영 신연아 박민혜 XO 전승우 강성민 바운스 강진우 김우근 원티드 김재석 전상환 하동균 서재호 비바소울 Jood Samuel D'low 소울스타 이창근 이승우 이규훈 45RPM 이현배 J-Kwondo 에시리 G.R. 스토니 스컹크 스컬 쿠시 YMGA 마스타 우 디지털 마스터 에픽하이 타블로 DJ 투컷 미쓰라 진 과거 소속 솔로 휘성 거미 렉시 세븐 프라임 레드락 JC지은 공민지 박봄 남태현 싸이 강성훈 승리 B.I 유닛 · 프로젝트 그룹 무가당 GD&TOP GD X TAEYANG 하이 수현 BOM&HI CL&민지 수펄스 MOBB 배우현재 소속 이수혁 임예진 차승원 정혜영 최지우 장현성 유인나 남주혁 손호준 이성경 갈소원 강동원 김희애 김희정 김새론 황승언 과거 소속 구혜선 박한별 임아람 정성일 허이재 강혜정 양경모 양현모 이종석 프로듀서현재 소속 FUTURE BOUNCE (최필강 a.k.a PK·DEE.P) BIGTONE 강규용 a.k.a Q Rovin 함승천 강욱진 Choice37 Lydia Paek 장석준 a.k.a AiRPLAY 조성확 민연재 과거 소속 용감한 형제 강동철 강흑철 DJ Murf 방송인현재 소속 안영미 과거 소속 유병재 오상진 더블랙레이블 테디(대표) 자이언티 R.Tee DRESS 서원진 전소미 Joe Rhee 24 Peejay 재규어중사 Bryan Cha$e 오케이션 Seoppoem DJ BOID YGX 안다 권현빈 Blue.D 연습생 장한나 조미연 문수아 이채영 지니 박 임수아 박서영 최래성 김종섭 YG케이플러스현재 소속여성 모델 허보미 한혜연 이루영 오혜지 강승현 박예운 지호진 김현희 이승미 정지영 이수진 최영지 김예지 신하영 이성경 최소라 황소희 유은비 정한솔 신해남 이송이 이호정 신현지 지이수 김효정 주희정 이정현 이재이 엄유정 박수진 정유정 이하은 송현민 여연희 황현주 김혜아 현지은 홍효 엄예진 배윤영 엘리스 나딘 박선하 이다정 김수빈 김은선 정소현 윤선아 권지야 최하림 신예민 이연주 김예림 박세진 신혜진 박정민 최정인 전민옥 김세인 윤은화 심소영 안예원 박효린 김설희 최세희 고은비 남성 모델 송재희 김영 최창욱 박병민 이현욱 김필수 박형섭 장기용 변우석 남주혁 주우재 정성중 김보헌 임후석 김종훈 이봄찬 조환 서홍석 맹주호 이후림 김태완 김기범 김태우 이석찬 정용수 강희 박기태 서수원 이규호 박보성 신재혁 이현준 김학수 김성욱 신용국 최한빈 데이비드 권현빈 정의성 김정식 김민종 최연규 방주호 김현진 조효인 강성진 이지석 조성훈 휘황 야마토 코타 칸슈지 타모츠 관련 문서 YG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YG PLUS 하이그라운드의 음반 더블랙레이블의 음반 YGX의 음반 vdeh 일요일이 좋다런닝맨고정 출연자 유재석 지석진 김종국 이광수 송지효 하하 양세찬 전소민 과거 출연자 박수아 송중기 개리 기타 런닝맨의 에피소드 목록 런닝맨의 미션 목록 종영된 코너 꽃놀이패 K팝스타 5 아빠를 부탁해 K팝스타 4 룸메이트 K팝스타 3 맨발의 친구들 K팝스타 2 K팝스타 1 다이어트 서바이벌 빅토리 김연아의 키스 & 크라이 영웅호걸 골드미스가 간다 패밀리가 떴다 2 패밀리가 떴다 분리된 편성 K팝스타 6: 더 라스트 찬스 정글의 법칙 전거 통제 뮤직브레인즈: 268b782c-b6c7-41a4-b2ef-36cddd76b6ad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성_(가수)&oldid=24429550" 분류: 웹아카이브 틀 archiveis 링크대성빅뱅의 일원서울특별시 출신 음악가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대한민국의 아이돌광주풍향초등학교 동문오류중학교 동문대한민국의 검정고시 통과자국제사이버대학교 동문1989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서울특별시 출신 가수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YG 엔터테인먼트 소속2006년 데뷔숨은 분류: 웹아카이브 틀 경고CS1 - 일본어 인용 (ja)인용 오류 - 날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1년 6월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EnglishEspañolSuomiFrançais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JawaქართულიລາວМонголBahasa MelayuPortuguêsРусскийไทยTagalog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5일 (토) 01: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대성(본명: 강대성, 본명 한자: 姜大聲, 1989년 4월 26일 ~ )은 대한민국의 보이 그룹 빅뱅의 리드보컬이다. 대성은 YG 엔터테인먼트 소속으로 6개월여간 연습생 기간을 거친 후, BIGBANG의 멤버로 데뷔하였다. 그의 해외 활동시 사용되는 이름은 D-LITE으로 기쁨, 즐거움, 환희, 유쾌함을 의미하는 'Delight'라는 단어의 약술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가수 대성이 넷플릭스에서 출연한 방송의 이름은? Assistant: YG전자
Human: 아래 양곤_관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양곤 관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양곤 관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양곤관구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ရန်ကုန်တိုင်း양곤 관구 (MLCTS: yankun tuing/rankun tuing) 주도 양곤 지역 저지 면적 10,170 km² 인구 5,560,000 (2000) 민족 버마족, 카인족, 중국인, 인도인, 몬족 종교 불교, 크리스트교, 힌두교, 이슬람교 양곤 관구(버마어: ရန်ကုန်တိုင်း)는 미얀마의 행정 구역이다. 저지 미얀마의 심장부에 위치하고 북쪽과 동쪽으로 바고 관구, 남쪽으로 마르타반 만, 서쪽으로 에야와디 관구와 접한다. 양곤 관구의 수도인 양곤은 미얀마의 옛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이다. 다른 중요한 도시로는 탄린과 트완테가 있다. 미얀마에서 가장 많이 개발된 지역이자 주요한 국제적 관문이다. 목차 1 역사 2 인구 3 경제 4 교통 역사[편집] 이 지역은 역사적으로 몬족이 살고 있었다. 정치적으로 이 지역은 1057년 이전에는 몬 왕국의 지배를 받았고 1057년 이후에는 약간의 시기를 제외하고는 북쪽의 버마족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 지역의 지배권은 1287~1539년과 1740~1757년에 바고를 본거지로 하는 몬 왕국에게 되돌아왔다. 포르투갈인들은 1599~1613년까지 탄린(시리암)과 그 주변 지역을 지배하였다. 18세기 중반에 얼라웅퍼야 왕이 슈웨다곤 파고다 주변의 강 건너의 작은 어촌을 확장시키기로 하기 전까지, 탄린은 저지 미얀마의 가장 중요한 항구 도시였다. 영국은 제1차 영국-미얀마 전쟁 때 양곤을 처음 점령하였으나 전쟁 후에 다시 버마족의 관할로 돌아왔다. 영국은 1852년의 제2차 영국-미얀마 전쟁 때 양곤과 저지 미얀마를 모두 점령하였고, 양곤을 영국령 버마의 상업과 정치의 중심지로 변모시켰다. 양곤은 영국령 버마와 오늘날의 양곤 관구와 바고 관구를 포함하는 한타와디 주의 수도가 되었다. 영국인들은 많은 인도인들을 데려와 노동자와 공무원으로 일하게 했다. 1930년대까지 인도인들은 양곤 시 인구의 절반을 차지하였다. 1차 대전과 2차 대전 사이에 양곤은 버마 민족주의 운동의 중심이 되었다. 양곤 관구는 1942년 4월부터 1945년 5월까지 일본의 점령하에 있었다. 1948년 1월에 미얀마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후에 한타웨이 주는 페구(바고) 관구로 개칭되었고 양곤은 그 수도가 되었다. 1964년에 양곤 관구가 바고 관구로부터 분리되었다. 바고 관구의 수도는 양곤에서 바고로 바뀌었다. 1974년 6월에 한타웨이와 흐모비가 바고 관구에서 양곤 관구로 편입되었다. 전쟁 후에 양곤은 크게 성장하였다. 미얀마 정부는 양곤 주변에 위성 도시들을 세웠다. 오늘날 양곤 관구는 본질적으로는 양곤 대도시권과 그를 둘러싼 배후지이다. 인구[편집] 2000년에 구의 인구는 556만 명, 양곤 대도시권에는 400만 명 이상이 사는 것으로 추정된다. 버마족, 카인족, 몬족과 같은 토착 미안먀인들이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한다. 구에는 또한 많은 수의 중국인과 인도인들이 살고 있다. 주민의 대다수는 상좌부 불교도이고 이슬람교도와 크리스트교도가 뒤를 잇는다. 언어는 버마어가 공식 언어로 사용된다. 영어는 양곤의 엘리트 사이의 주요 제2언어이다. 경제[편집] 양곤 관구는 미얀마에서 가장 잘 개발된 지역이다. 양곤은 저지 미얀마의 모든 상품의 교역의 중심이다. 바인나웅 시장은 쌀, 콩 등의 농산품이 거래되는 미얀마에서 가장 큰 도매 시장이다. 미얀마의 합법적인 수출입의 대부분은 미얀마에서 가장 크고 분주한 항구인 탄린의 틸라와 항을 통과한다. 양곤에는 최소한 14개의 경공업 지대가 있으며 수 천의 노동자가 일하고 있다. 양곤 도시권 밖은 벼농사가 지배적이다. 다른 작물로는 황마, 고무, 사탕수수, 땅콩이 있다. 교통[편집] 양곤 구는 미얀마에서 최고의 교통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미얀마의 다른 지역으로 가는 모든 운송수단은 양곤을 통과한다. 5개의 고속도로가 양곤과 미얀마의 다른 지역을 연결한다. 양곤 국제공항은 미얀마의 주요한 국제간의 관문이다. 양곤 중앙역은 5,068km의 미얀마 철도의 중심축이다. 양곤과 아예와디 관구를 연결하는 트완테 운하 또한 수송과 교역을 위해 널리 사용된다. 자동차는 값비싼 교통 수단이기 때문에 버스가 중요한 교통 수단이다. 2008년 1월 현재, 양곤 관구에는 거의 182,000개의 자동차가 있어, 나라 전체의 17.7%를 차지한다. vdeh 미얀마의 행정 구역관구 마궤 만달레이 바고 사가잉 양곤 에야와디 타닌타리 주 라카인 몬 샨 친 카야 카인 카친 자치구 나가 다누 파오 팔라웅 코캉 자치관구 와 연방령 네피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양곤_관구&oldid=18761366" 분류: 미얀마의 관구숨은 분류: 버마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기타 외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cèhالعربيةবাংলাCatalàCebuanoDeutschEnglishEestiفارسیSuomiFrançaisहिन्दी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Македонски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ਪੰਜਾਬੀ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ၽႃႇသႃႇတႆး Svenskaதமிழ்ไทย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7년 5월 17일 (수) 09:4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양곤도(버마어: ရန်ကုန်တိုင်းဒေသကြီး)는 미얀마의 행정 구역이다. 저지 미얀마의 심장부에 위치하고 북쪽과 동쪽으로 베쿠도, 남쪽으로 마르타반만, 서쪽으로 에야워디도와 접한다. 양곤 관구의 수도인 양곤은 미얀마의 옛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이다. 다른 중요한 도시로는 탄린과 트완테가 있다. 미얀마에서 가장 많이 개발된 지역이자 주요한 국제적 관문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양곤 관구의 역사 중 흐모비와 한타웨이가 바고 관구에서 양곤 관구로 편입된 해는 언제인가? Assistant: 1974년 Human: 아래 하버드_대학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하버드 대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하버드 대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하버드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하버드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하버드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 표어 Veritas(라틴어:진리) 종류 사립설립 1636년총장 로렌스 바카우 (Lawrence Seldon Bacow)학부생 수 6,700대학원생 수 14,000교직원 수 교수: 4,671국가 미국위치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상징물 크림슨웹사이트 하버드 대학교 홈페이지 하버드 대학교의 위치 메모리얼 처치 (Memorial Church)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는 미국의 아이비 리그 사립 대학이다. 하버드 대학교는 오랜 역사와 큰 영향력, 그리고 많은 재산으로 세계의 일류 대학 중 하나가 되었다.[1][2] 목차 1 개요 1.1 역사 1.1.1 미국 최초의 대학교 1.1.2 설립 1.1.3 종합대학교 1.2 캠퍼스 1.3 구성 1.4 학교 현황 1.5 입학 현황 1.6 평가 1.7 저명한 동문 1.8 대중문화 속 하버드 대학교 1.9 갤러리 1.10 같이 보기 1.11 각주 1.12 외부 링크 개요[편집] 하버드 대학교는 1636년에 매사추세츠 식민지 일반의회가 설립하였다.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며, 처음에는 '새로운 대학'(New College) 또는 '새 도시 대학'(The college at New Towne)으로 불렸으나, 1639년 3월 13일에 '하버드 칼리지'(Harvard College)라는 이름을 지었다. 젊은 청교도 성직자 존 하버드의 성을 따서 지은 것이다. 그는 유언을 남겨서 4백여권의 책과 재산의 절반인 현금 779파운드를 학교에 기부하였다.[3] 훗날에 여러 학과와 전문대학원들이 통합되면서 하버드 대학교가 되었다. 지금도 학부는 하버드 칼리지라고 부른다. 찰스 윌리엄 엘리엇은 40년간 하버드 총장으로 일하면서 하버드 대학교를 근대 연구 대학으로 변모시켰다. 엘리엇의 개혁은 선택 과목, 소규모 강의 등에 관한 변화도 포함하고 있었다. 하버드 모델은 미국 교육에 영향을 끼쳤다. 하버드 대학교는 현재까지 졸업생과 교수를 포함해서 세계에서 가장 많은 157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4] 또한 프랭클린 루즈벨트와 존 F. 케네디에 이르기까지 미국에서 가장 많은 총 7명의 미국 대통령, 36명의 퓰리처상 수상자, 미국에서 가장 많은 21명의 연방 대법원 대법관과 7명의 세계은행 총재, 세계에서 가장 많은 62명의 억만장자와 미국에서 가장 많은 335명의 로즈 장학생이 하버드를 졸업했다.[5][6] 세계 각국에 포진한 하버드 유학파들로 인해 하버드 출신은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지도층을 형성하고 있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미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높은 권위를 자랑한다. 하버드 대학교의 학부는 4년제 과정이다. 학부 학생들은 의학, 법학, 경영학 등의 전문 분야는 공부할 수 없으며 자연과학, 응용과학, 사회과학, 인문학 등을 공부한다.[7] 전문대학원 과정에 메디컬 스쿨, 로스쿨, 비즈니스 스쿨과 케네디 스쿨 등을 두고 있다. 역사[편집] 캠퍼스 내 존 하버드 동상 미국 최초의 대학교[편집] 아이비리그 대학 중의 하나인 하버드 대학교는 기독교인은 지식이 부족하면 안 된다는 신념을 실천하기 위하여 책과 현금을 기증한 영국 청교도 목사 존 하버드의 이름을 딴 미국 교육 역사에서 처음의 대학교이다. 설립[편집] 하버드 대학교는 1636년 메사추세츠 식민지 관할 의원회(Great and General Court of Massachusetts Bay Colony)의 투표를 거쳐 대학교 설립을 구체화시키게 되었다. 영국 식민지 시대에 시작된 하버드 대학교는 처음에는 학생 아홉 명과 강사 한 명을 두고 목사 양성을 목적으로 출범했다고 한다.[8] 찰스턴 출신의 존 하버드 목사가 이곳에 정착한지 얼마되지 않은 1638년 세상을 떠나면서 그의 장서와 재산을 뉴 잉글랜드에 새로 세워진 대학교인 하버드 대학교에 기증함으로써, 하버드 대학교는 존 하버드 목사의 이름을 추모하는 의미에서 1639년 하버드 칼리지(Harvard College)로 명명되게 되었다. 1650년에 하버드 칼리지의 헌장(charter)이 수립되었다. 초기 하버드 대학교는 많은 청교도 목사를 양성했다. 비록 초교파적이었지만, 초기 학교는 회중교회와 유니테리안 성직자들을 교육시켰다. 종합대학교[편집] 1782년에 메디컬 스쿨(Harvard Medical School), 1816년에 신학대학원(Harvard Divinity School), 1817년에 로스쿨(Harvard Law School), 1867년에 치의학대학원(Harvard School of Dental Medicine), 1908년에 비즈니스 스쿨(Harvard Business School), 1920년에 교육대학원(Harva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1922년에 공공보건대학원(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그리고 1936년에 케네디 스쿨(Harvard Kennedy School)을 설립하면서 차츰 현대적인 종합대학이 됐다. 캠퍼스[편집] 하버드 홀 하버드 대학교의 메인 캠퍼스(main campus)는 중앙 케임브리지 시에 있는 하버드 야드(Harvard Yard) 중심에 있으며 그 인근에 있는 하버드 스퀘어(Harvard Square)까지 연장되어 있다.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과 하버드 스타디움(Harvard Stadium)을 포함한 많은 대학의 운동 시설들은 찰스 강의 다른 면인 하버드 스퀘어로부터 남서쪽 건너편에 있는 보스턴 올스턴 지역에 있다. 메인 캠퍼스에서 찰스 강 건너편에 자리잡고 있는 올스턴 지역까지 도보로 갈 수 있다. 하버드 메디컬 스쿨, 하버드 덴털 스쿨, 하버드 공공보건대학원은 보스턴 롱우드 메디컬 앤드 아카데믹 에리어(Longwood Medical and Academic Area)에 위치해 있다. 하버드 로스쿨은 하버드 야드 북쪽에 위치해 있다. 하버드 야드에는 중앙 관리 사무소, 대학교 메인 도서관들, 세버 홀(Sever Hall), 유니버시티 홀(University Hall)을 포함한 대학교 건물들, 메모리얼 교회(Memorial Church), 다수의 학부 1학년생 기숙사들이 있다. 학부 2학년생과 학부 3학년생과 학부 4학년생은 12개동의 기숙사(residential Houses)에 살며 그중에 9개동은 하버드 야드 남쪽이나 찰스 강 근처에 있고 나머지 3개동은 하버드대 학부 캠퍼스의 부분인 쿼드랭글(Quadrangle)에서 북서쪽으로 반마일 떨어진 래드클리프가 하버드 시스템에 통합될때까지 이전에 래드클리프 칼리지 학생들이 사용했던 거주지역에 위치해 있다. 각각 기숙사는 학부생, 사감, 교수를 위한 방 뿐만 아니라 식당, 도서관, 다양한 그밖에 학생시설들을 포함한다. 그 시설은 에드워드 하크니스(Edward Harkness)에 의해서 최선을 다해서 하나의 선물로 만들어졌다. 이전 래드클리프 칼리지 캠퍼스의 중앙인 래드클리프 야드는 교육대학원과 캠브리지 공원에 인접해 있다. 구성[편집] 더들리 하우스 하버드 로스쿨 랑델 홀 열람실 하버드 대학교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문리대학(Faculty of Arts and Sciences)에 부수하여 공학응용과학대학(School of Engineering and Applied Sciences)이 있다. 문리대학은 아래 과정을 함께 제공한다. 하버드 칼리지 학부과정(Harvard College) (1636) 일반대학원(Graduate School of Arts and Sciences) (1872) 평생교육원(Harvard Division of Continuing Education) 아래에 하버드 서머 스쿨 (Harvard Summer School) (1871), 하버드 익스텐션 스쿨(Harvard Extension School) (1910)이 있다. 의과대학원(Harvard Medical School) (1782) 치의학대학원(Harvard School of Dental Medicine) (1867). 신학대학원(Harvard Divinity School) (1816) 법과대학원(Harvard Law School) (1817) 경영대학원(Harvard Business School) (1908) 건축대학원(Graduate School of Design) (1914) 교육대학원(Harva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1920) 공공보건대학원(School of Public Health) (1922) 케네디 행정대학원(Harvard Kennedy School of Government) (1936) 1999년 래드클리프 칼리지(Radcliffe College)가 래드클리프 대학원(Radcliffe Institute for Advanced Study)으로 개편하게 되었다. 모든 하버드 학생들은 소속 학위과정에 상관없이 다른 학과나 전문 전문대학원 혹은 이웃 MIT에서 일부 과목을 수강할 수 있다. 학교 현황[편집] 와이드너 도서관 하버드 대학은 세계 최고의 도서관 규모를 자랑한다.[9][10] 무려 1500만 권의 장서와 각종 자료가 약 90 여개 도서관에 비치돼 있다고 한다. 하버드 도서관은 서울 소재 대학 도서관들을 합친 것보다 더 많은 자료를 소장하고 있다. 하버드 대학은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대학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하버드의 투자 펀드 자산은 2009년 6월 기준 약 2백58억 달러(약 32조 원)이었다.[11] 입학 현황[편집] 하버드 야드 (Harvard Yard) 2018년 졸업예정으로 2014년 가을에 입학하는 학부 합격자 발표 현황에 따르면 총 34,295명 지원자중 2,023명만이 합격하여 합격률 5.89%를 기록했다.[12] 미국 종합대학 중 두번째로 낮은 합격률이었다.[13] 합격한 학생들의 등록률(yield rate)은 82%로 미국 종합대학 중 가장 높았다.[14] 미국에서 가장 많은 내셔날 메릿 장학생(National Merit Scholars)들이 하버드에 진학한다.[15] 일반대학원과 비즈니스 스쿨, 로스쿨, 메디컬 스쿨 등의 전문대학원들도 각 분야에서 입학 경쟁이 미국에서 가장 치열한 수준이다. 일반대학원의 경우 석사·박사 통합과정만 제공하는데 경제학, 영문학 등의 주요 분야 석사·박사 통합과정 합격률은 해마다 5% 이하이다.[16][17] 평가[편집] 하버드의 학부는 《U.S. 뉴스 & 월드 리포트》 미국 종합대학 학부 순위에서 언제나 3위권 안에 들었으며 최근 순위에서는 2위를 차지했다.[18] 전문대학원의 경우 비즈니스 스쿨이 1위[19], 로스쿨이 2위[20], 메디컬 스쿨이 1위[21], 교육대학원이 3위[22], 건축대학원이 1위[23]를 기록했다. 또한 비즈니스 스쿨은 《파이낸셜 타임스》의 세계 경영대학원 순위에서 세계 1위[24], 로스쿨은 《QS》 세계 로스쿨 순위에서 세계 1위[25], 메디컬 스쿨은 《U.S. 뉴스 & 월드 리포트》 세계 메디컬 스쿨 순위에서 세계 1위를 차지했다.[26] 일반대학원은 생물학, 화학, 경제학, 정치학, 영문학 등을 포함해서 모든 자연과학, 사회과학 및 인문학 분야에서 최상위권에 있다.[27][28] 공학의 경우 미국 내 20위 권으로 다른 학과들에 비해서 경쟁력이 떨어지는 편이다. 소속 교수 및 박사과정 학생/졸업생들의 연구실적, 수상이력 등을 주로 평가하는 중국 세계 대학 학술 순위에서 해마다 1위[29], 학교 명성, 평판도를 주로 비교하는 《U.S. 뉴스 & 월드 리포트》 세계 대학 순위에서 해마다 1위[30], 영국 타임즈 고등교육 세계 대학 랭킹에서 현재 6위[31], 타임즈 고등교육 세계 대학 학계 평판도 순위에서 해마다 1위[32], 영국 QS 세계 대학 순위에서 현재 2위[33]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소속 교수들의 수상이력과 학계나 재계에서 유력한 졸업생 수를 주로 비교하는 사우디아라비아 세계대학랭킹센터(Center for World University Rankings)의 세계 대학 순위에서도 해마다 1위[34]를 기록하고 있다. 저명한 동문[편집] 조지 W. 부시 (비즈니스 스쿨 M.B.A. 1975), 버락 오바마 (로스쿨 J.D. 1991) 케네디 형제: 로버트 F. 케네디 (A.B. 1948), 에드워드 M. 케네디 (A.B. 1956), 존 F. 케네디 (S.B. 1940) en:Category:Harvard University alumni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분류:하버드 대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널리 알려진 사람으로는 미국 대통령 존 애덤스, 존 퀸시 애덤스, 러더퍼드 헤이스, 시어도어 루즈벨트, 프랭클린 루즈벨트, 존 F. 케네디, 조지 W. 부시, 버락 오바마, 퍼스트 레이디 미셸 오바마, 독립선언서에 최초로 사인한 사람 존 핸콕, 전 부통령 앨 고어, 전 캐나다 총리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과 피에르 트뤼도, 캐나다 총독 데이비드 로이드 존스턴, 전 멕시코 대통령 미겔 데 라 마드리드, 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 비센테 폭스, 펠리페 칼데론, 전 칠레 대통령 세바스티안 피녜라, 콜롬비아 대통령 후안 마누엘 산토스, 중화민국 총통 마잉주, 싱가포르 총리 리셴룽, 파키스탄 총리 베나지르 부토, 이스라엘 총리 베냐민 네타냐후, 그리스 총리 안토니스 사마라스, 전 노르웨이 총리 그로 할렘 브룬틀란, 전 아일랜드 대통령 메리 로빈슨, 라이베리아 대통령 엘런 존슨설리프, 전 매사추세츠 주지사 밋 롬니, 전 뉴욕 시장 마이클 블룸버그, 연방 대법원 대법원장 존 로버츠, 대법관 엘레나 케이건, 안토닌 스칼리아, 앤서니 케네디, 법무장관 로레타 린치, 전 국무장관 딘 애치슨과 헨리 키신저, 주일 대사 캐럴라인 케네디, 전 재무장관 로런스 서머스, 전 연방 준비 제도 이사회 의장 벤 버냉키, 세계은행 총재 김용, 잉글랜드 은행 총재 마크 카니, 자선 사업가 아가 칸 4세, 맥킨지 & 컴퍼니의 실질적인 설립자 마빈 바우어, 블랙스톤 그룹 설립자 스티븐 슈워츠먼, 골드만 삭스 회장 겸 CEO 로이드 블랭크파인, JP모간 체이스 회장 겸 CEO 제이미 다이먼, 마이크로소프트 설립자 빌 게이츠, 전 마이크로소프트 CEO 스티브 발머, 페이스북 설립자 마크 저커버그, 휴렛 패커드 CEO 메그 휘트먼,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폴 새뮤얼슨, 토머스 사전트, 정치학자 새뮤얼 헌팅턴, 생리학/지리학/역사학자 재러드 다이아몬드, 이론물리학자 로버트 오펜하이머, 노벨 물리학자 셸던 리 글래쇼, 노벨 화학자 마틴 챌피, 로저 첸, 철학자이자 시인 헨리 데이비드 소로, 사상가이자 시인 랠프 월도 에머슨, 작가 T. S. 엘리엇, 과학소설가 마이클 크라이튼, 첼리스트 요요 마, 지휘자 레너드 번스타인, 기타리스트 톰 모렐로, 배우 맷 데이먼, 나탈리 포트만, 토미 리 존스, 텔레비전 진행자 코넌 오브라이언, 농구선수 제러미 린 등이 있다. 한인 동문으로는 초대 대통령 이승만, 독립운동가 최기일, 한표욱, UN 사무총장 반기문, 전 국무총리 한덕수, 전 주미대사 함병춘, 전 기획재정부 장관 박재완 , 전 동력자원부 장관 서상철, 전 건설부 장관 서영택, 전 국회의원 박진, 권영세, 국회의원 김광림, 홍문종, 헤럴드 회장 홍정욱, 삼성전자 부회장 이재용, 김앤장 법률사무소 설립변호사 김영무, 네이버 대표이사 김상헌, 철학자 김용옥, 서울시립대학교 총장 이건,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백낙청, 프리랜서 방송 MC SBS 스포츠 아나운서 신아영 등이 있다. 대중문화 속 하버드 대학교[편집] 《하버드 대학의 공부벌레들》 (미국 영화, 드라마, 1973) 《러브 스토리》 (미국 소설, 1970, 영화, 1970) 《퀴즈 쇼》 (미국 영화, 1994) 《굿 윌 헌팅》 (미국 영화, 1997) 《아메리칸 사이코》 (미국 영화, 2000) 《금발이 너무해》 (미국 영화, 2001) 《다빈치 코드》 (미국 소설, 2003, 영화, 2006) 《소셜 네트워크》 (미국 영화, 2010) 《열정속으로 하버드 로스쿨》 (미국 회고록, 1977) 《앨리 맥빌》 (미국 드라마, 1997-2002) 《슈츠》 (미국 드라마, 2011-) 《웨스트 윙》 (미국 드라마, 1999-2006) 《NCIS》 (미국 드라마, 2003-) 《더 프랙티스》 (미국 드라마, 1997-2004) 《보스턴 리걸》 (미국 드라마, 2004-2009) 《블루 블러드》 (미국 드라마, 2010) 《하우스 오브 카드》 (미국 드라마, 2013-) 《러브 스토리 인 하버드》 (한국 드라마, 2004) 갤러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하버드 대학교 같이 보기[편집] 하버드 로스쿨 하버드 메디컬 스쿨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하버드 케네디 스쿨 래드클리프 칼리지 하버드-옌칭 연구소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 피커링의 하렘 와이드너 도서관 포그 미술관 각주[편집] ↑ Keller, Morton; Keller, Phyllis (2001). 《Making Harvard Modern: The Rise of America's University》. Oxford University Press. 463–481쪽. ISBN 0195144570. Harvard's professional schools... won world prestige of a sort rarely seen among social institutions. (...) Harvard's age, wealth, quality, and prestige may well shield it from any conceivable vicissitudes.  ↑ Spaulding, Christina (1989). 〈Sexual Shakedown〉. Trumpbour, John. 《How Harvard Rules: Reason in the Service of Empire》. South End Press. 326–336쪽. ISBN 0896082849. ...[Harvard's] tremendous institutional power and prestige (...) Within the nation's (arguably) most prestigious institution of higher learning...  ↑ “John Harvard (British minister)”. Enyclopedia Britannica. 2009년 7월 17일에 확인함. 그는 자기 돈의 반을 나누었고, 자신이 모은 고전과 신학 서적도 기증하였다....하버드의 선물은 학교의 지속적인 운영을 보장하였다.  ↑ 학교별 노벨상 수상기록. 현재까지 학생으로든 교수로든 하버드와 연고가 있는 노벨상 수상자 총 157명 중 총 73명이 하버드를 졸업했다. ↑ Billionaire universities Forbes ↑ Billionaire universities business insider ↑ 학부 학생들은 다른 대부분의 북미 대학과 마찬가지로 무전공으로 시작했다가 2학년 시작 전에 전공(concentration)을 정한다. 따라서 학부에서 어느 학과에 입학했다거나 어느 학과를 졸업했다고 말하지 않는다. ↑ “하버드 대학 웹사이트”. 2010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8월 25일에 확인함.  ↑ Library Investment Index Summarizes Relative Size of ARL University Libraries for 2011–12 ↑ World's Largest University Library Centers Around Widener-Half of 3,600,000 Volumes ↑ 미국 보스턴 글로브 신문, The Boston Globe, 2009년 8월 6일자 ↑ College Admits Class of 2018 ↑ College Admissions: Ivy League Remains Elusive for Class of 2018 ↑ Class of 2018 Yield Rates ↑ Colleges With the Most Freshman Merit Scholars, 2009 ↑ The Harvard Crimson: And You Thought It Was Hard to Get into Harvard College! ↑ Harvard University - acceptance rates of all degree programs ↑ US News National Universities ↑ US News Business ↑ US News Law ↑ US News Medicine ↑ US News Education ↑ 2014 US Best Architecture Schools ↑ FT MBA World ↑ QS Law Rankings ↑ US News Clinical Medicine Rankings ↑ US News Graduate Schools ↑ Tilburg University Economics Ranking 2008-2012 ↑ ARWU Rankings ↑ U.S. News Best Global Universities Rankings ↑ THES Rankings ↑ THES Reputation Rankings ↑ QS Rankings ↑ “CWUR Rankings”. 2013년 7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1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영어) 하버드 대학교 공식 웹사이트 하버드 대학교 소개 동영상 vdeh 매사추세츠 주의 대학공립 매사추세츠 대학교 보스턴 애머스트 사립 뉴잉글랜드 음악원 마운트 홀리오크 칼리지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버클리 음악 대학 벤틀리 대학교 보스턴 대학교 보스턴 칼리지 브랜다이스 대학교 서퍽 대학교 스미스 칼리지 애머스트 칼리지 웰즐리 칼리지 윌리엄스 칼리지 터프츠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대학 헐트 국제경영대학원 노스캐롤라이나 뉴욕 메릴랜드 매사추세츠 일리노이 캘리포니아 vdeh아이비 리그 다트머스 브라운 예일 컬럼비아 코넬 펜실베이니아 프린스턴 하버드 vdeh미국 대학 협회 (AAU)공립 대학노스캐롤라이나, 채플힐 · 뉴욕 주립 (버펄로 · 스토니브룩) · 럿거스 · 메릴랜드 · 미네소타 · 미시간 · 미시간 주립 · 미주리 · 버지니아 · 아이오와 · 아이오와 주립 · 애리조나 · 오리건 · 오하이오 주립 · 워싱턴 · 위스콘신, 매디슨 · 인디애나, 블루밍턴 · 일리노이, 어배너-섐페인 · 조지아 공과 · 캔자스 · 캘리포니아 (데이비스 · 로스앤젤레스 · 버클리 · 샌디에이고 · 샌타바버라 · 어바인) · 콜로라도 · 텍사스, 오스틴 · 텍사스, A&M · 퍼듀 · 펜실베이니아 주립 · 플로리다 · 피츠버그사립 대학노스웨스턴 · 뉴욕 · 듀크 · 라이스 · 로체스터 · 매사추세츠 공과 · 밴더빌트 · 보스턴 · 브라운 · 브랜다이스 · 서던 캘리포니아 · 스탠포드 · 시카고 · 에모리 · 예일 · 워싱턴, 세인트루이 · 존스 홉킨스 · 카네기 멜런 · 캘리포니아 공과 · 컬럼비아 ·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 코넬 · 툴레인 · 펜실베이니아 · 프린스턴 · 하버드캐나다의 대학맥길 · 토론토 vdeh대학 연구 협회 (URA)미국 네브래스카, 링컨 노스이스턴 노던일리노이 노스웨스턴 노스캐롤라이나, 채플힐 노스텍사스 노터데임 뉴멕시코 뉴멕시코 주립 듀크 라이스 럿거스 로체스터 록펠러 메릴랜드 미네소타 미시간 미시간 주립 밴더빌트 버지니아 버지니아 공과 뉴욕 주립, 버펄로 보스턴 브라운 사우스캐롤라이나 스탠포드 스토니브룩 시러큐스 시카고 일리노이 공과 아이오와 아이오와 주립 애리조나 애리조나 주립 앨라배마 서던메소디스트 루이지애나 주립 매사추세츠 공과 예일 오리건 오클라호마 오하이오 주립 워싱턴 워싱턴, 세인트루이스 웨인 주립 위스콘신, 매디슨 윌리엄 & 메리 캘리포니아, Davis 캘리포니아,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 버클리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일리노이, 시카고 유타 인디애나, 블루밍턴 일리노이, 어배너-섐페인 존스 홉킨스 카네기 멜런 캘리포니아 공과 컬럼비아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코넬 콜로라도, 볼더 터프츠 테네시 텍사스, 댈러스 텍사스, 알링턴 텍사스, A&M 텍사스, 오스틴 툴레인 퍼듀 펜실베이니아 펜실베이니아 주립 프린스턴 플로리다 플로리다 주립 피츠버그 하버드 하와이, 마노아 휴스턴 국제 맥길 와세다 토론토 피사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28987800 LCCN: n78096930 ISNI: 0000 0004 1936 754X GND: 2012974-9 SUDOC: 026453169 BNF: cb118698578 (데이터) ULAN: 500312819 NLA: 35176433 NKC: kn2002032237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하버드_대학교&oldid=24440317" 분류: 아이비 리그하버드 대학교1636년 개교케임브리지 (매사추세츠주)의 대학교매사추세츠주의 대학교미국 대학 협회숨은 분류: 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ULA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Kaszëbsczi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FryskGaeilgeGàidhligGalegoAvañe'ẽ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KabɩyɛҚазақшаភាសាខ្មែរಕನ್ನಡКъарачай-малкъарKurdî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ingua Franca Nova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Plattdüütsch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apiamentuPolski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संस्कृतम्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inaray吴语ייִדישYorùbá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7일 (월) 13:0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하버드 대학교(영어: Harvard University)는 미국 메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 위치한 아이비리그 사립 대학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하버드 대학교 메인 캠퍼스와 하버드 야드, 그리고 그 인근 지역에는 어떤 시설들이 위치해 있습니까? Assistant: 하버드 대학교의 메인 캠퍼스(main campus)는 중앙 케임브리지 시에 있는 하버드 야드(Harvard Yard) 중심에 있으며 그 인근에 있는 하버드 스퀘어(Harvard Square)까지 연장되어 있다.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과 하버드 스타디움(Harvard Stadium)을 포함한 많은 대학의 운동 시설들은 찰스 강의 다른 면인 하버드 스퀘어로부터 남서쪽 건너편에 있는 보스턴 올스턴 지역에 있다. 메인 캠퍼스에서 찰스 강 건너편에 자리잡고 있는 올스턴 지역까지 도보로 갈 수 있다. 하버드 메디컬 스쿨, 하버드 덴털 스쿨, 하버드 공공보건대학원은 보스턴 롱우드 메디컬 앤드 아카데믹 에리어(Longwood Medical and Academic Area)에 위치해 있다. 하버드 로스쿨은 하버드 야드 북쪽에 위치해 있다. 하버드 야드에는 중앙 관리 사무소, 대학교 메인 도서관들, 세버 홀(Sever Hall), 유니버시티 홀(University Hall)을 포함한 대학교 건물들, 메모리얼 교회(Memorial Church), 다수의 학부 1학년생 기숙사들이 있다. 학부 2학년생과 학부 3학년생과 학부 4학년생은 12개동의 기숙사(residential Houses)에 살며 그중에 9개동은 하버드 야드 남쪽이나 찰스 강 근처에 있고 나머지 3개동은 하버드대 학부 캠퍼스의 부분인 쿼드랭글(Quadrangle)에서 북서쪽으로 반마일 떨어진 래드클리프가 하버드 시스템에 통합될때까지 이전에 래드클리프 칼리지 학생들이 사용했던 거주지역에 위치해 있다. 각각 기숙사는 학부생, 사감, 교수를 위한 방 뿐만 아니라 식당, 도서관, 다양한 그밖에 학생시설들을 포함한다. 그 시설은 에드워드 하크니스(Edward Harkness)에 의해서 최선을 다해서 하나의 선물로 만들어졌다. 이전 래드클리프 칼리지 캠퍼스의 중앙인 래드클리프 야드는 교육대학원과 캠브리지 공원에 인접해 있다.
Human: 아래 한국프로농구_포스트시즌_2011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한국프로농구 포스트시즌 2011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프로농구 포스트시즌 2011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0~2011 대한민국 프로 농구 포스트시즌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0-2011 현대모비스 프로 농구의 포스트시즌은 2011년 3월 25일부터 시작하여 4월 중순까지 진행된다. 부산 KT 소닉붐이 창단 처음으로 정규리그를 우승했으며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는 정규 시즌 2위를 차지 하면서 4강에 직행하였다. 한편 6강 플레이오프 대진은 지난 09-10시즌 대진에 리벤지매치가 되면서 화제가 되었으며, 4강에서는 1,2위팀이 모두 떨어지는 결과가 나온 끝에 정규시즌 3위 KCC와 4위 동부가 7전 4선승제로 경기를 치러 4승 2패로 KCC가 우승을 차지 하였다. 목차 1 순위 1.1 정규 시즌 1.2 최종 순위 2 토너먼트표 3 6강 플레이오프 3.1 1차전 3.2 2차전 3.3 3차전 4 4강 플레이오프 4.1 4강 플레이오프 (A조) 4.2 4강 플레이오프 (B조) 5 챔피언 결정전 6 트리비아 7 각주 순위[편집] 정규 시즌[편집] 성적 팀 경기수 승 패 승률 승차 비고 1 부산 KT 소닉붐 54 41 13 0.759 - 4강 PO 직행 2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54 38 16 0.704 3 3 전주 KCC 이지스 54 34 20 0.630 7 6강 PO 진출 4 원주 동부 프로미 54 31 23 0.574 10 5 창원 LG 세이커스 54 28 26 0.519 13 6 서울 삼성 썬더스 54 27 27 0.500 14 7 서울 SK 나이츠 54 20 34 0.370 21 진출실패 8 울산 모비스 피버스 54 20 34 0.370 21 9 안양 한국인삼공사 54 16 38 0.296 25 10 대구 오리온스 54 15 39 0.278 26 최종 순위[편집] 성적 팀 경기수 승 패 승률 승차 비고 1 전주 KCC 이지스 54 34 20 0.630 7 챔피언전 우승 2 원주 동부 프로미 54 31 23 0.574 10 챔피언전 준우승 3 부산 KT 소닉붐 54 41 13 0.759 0 4강 PO 진출 4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54 38 16 0.704 3 5 창원 LG 세이커스 54 28 26 0.519 13 6강 PO 진출 6 서울 삼성 썬더스 54 27 27 0.500 14 7 서울 SK 나이츠 54 20 34 0.370 21 진출실패 8 울산 모비스 피버스 54 20 34 0.370 21 9 안양 한국인삼공사 54 16 38 0.296 25 10 대구 오리온스 54 15 39 0.278 26 토너먼트표[편집]   6강 플레이오프     4강 플레이오프     챔피언 결정전                                     1  부산 KT 1     4  원주 동부 3     4  원주 동부 3       5  창원 LG 0         4  원주 동부 2       3  전주 KCC 4         2  인천 전자랜드 1       3  전주 KCC 3     3  전주 KCC 3     6  서울 삼성 0   6강 플레이오프[편집] 1차전[편집] 2011년 3월 25일원주 치악체육관 원주 동부 프로미 65 18 (1Q) 1314 (2Q) 1320 (3Q) 1513 (4Q) 14 55 창원 LG 세이커스 경기 내용 1쿼터 초반은 LG의 분위기. LG는 알렉산더가 착실한 골밑 득점을 올리며 기선을 제압했다. 문태영은 2점에 그쳤지만 김주성을 무득점으로 묶으며 수비에 집중했다. 2-6으로 끌려가던 동부의 공격은 곧 살아났다. 박지현이 잇따라 그물망을 흔들며 7점을 올렸고 윤호영이 5점을 보탰다. 벤슨은 리바운드 4개를 따내며 골밑을 장악했다. 1쿼터는 18-13 동부의 근소한 우세. 2쿼터는 팽팽했다. 동부는 박지현 윤호영이, LG는 알렉산더 문태영 등이 공격을 주도했다. 하지만 큰 경기에 대한 부담감으로 인해 양 팀의 공격은 원활하지 못했다. 2쿼터 5분이 지난 시점에서 두 팀이 기록한 턴오버는 10개나 됐다. 3쿼터는 벤슨의 독무대였다. 잠잠하던 벤슨은 3쿼터 시작과 함께 호쾌한 덩크슛으로 포효했다. 이어 LG가 무득점으로 묶인 사이 혼자서 4점을 올렸다. 점수는 순식각에 10점차. 여기에 김주성의 골밑슛까지 터졌다. LG는 문태영이 김주성에게 철철히 막히고 알렉산더의 득점포도 가동되지 않으며 답답한 경기를 이어갔다. 그나마 교체 투입된 루이스가 골밑서 고군분투했지만 나머지 선수들의 득점 지원이 없었다. 3쿼터 까지 동부가 52-41로 앞섰다. 반격에 나선 LG는 침묵했던 3점포가 터지며 경기 분위기를 가져왔다. 박형철, 문태영이 연달아 그물망을 흔들었고 이현준의 자유투까지 이어졌다. 점수는 순식간에 56-53. 동부는 턴오버를 남발하며 경기를 내주는 듯 보였다. 하지만 이때 LG의 분위기는 다시 급격히 가라앉았다. 에이스 문태영이 5반칙으로 물러난 것. 경기 내내 심판 판정에 불만을 보였던 문태영은 4쿼터 4분 18초를 남기고 김주성과 더블 파울을 당하며 5반칙 퇴장했다. 분위기를 가져오는 데 성공한 동부는 이후 황진원의 3점포, 중거리포가 터지며 점수차를 벌렸다. 이날 19점을 올린 황진원은 벤슨, 김주성, 윤호영에게 상대 수비가 집중되는 틈을 타 깜짝 활약을 펼쳤다. 결국 LG는 문태영의 공백을 메우지 못하고 6강 플레이오프 1차전을 동부에게 내줬다. 문태영은 김주성의 두터운 수비에도 13점 7리바운드로 비교적 선전했지만 경기 막판 퇴장 당하며 이날 패배의 원인을 제공했다. 2011년 3월 26일전주 실내 체육관 전주 KCC 이지스 105 23 (1Q) 16 27 (2Q) 19 25 (3Q) 16 30 (4Q) 26 77 서울 삼성 썬더스 경기 내용 전반전부터 완전히 KCC의 것이었다. 1쿼터 초반만 해도 삼성이 이정석과 이승준의 중거리슛에 힘입어 1x점으로 근소하게 앞섰으나 추승균이 연속 득점으로 따라잡더니 강병현이 내곽포를 터뜨리면서 역전했다. 추승균이 3점포로 힘을 보탰고 1쿼터 종료 50초전 강병현도 외곽포까지 터뜨리면서 리드를 잡아갔다. 2쿼터 들어서자마자 임재현이 외곽포를 연이어 작렬하며 삼성의 기선을 꺾어놨다. 벌어지는 점수차를 삼성의 이정석이 외곽포로 간신히 한자릿 수 까지 좁혔지만 하승진이 골밑 공격으로 다시 점수차를 벌려놨다. 강은식마저도 외곽포를 터뜨리면서 멤버 모두가 고루 점수를 낸 KCC는 전반전을 완전히 우세한 상태로 50-35로 앞선 채 끝냈다. 후반 들어서 KCC는 다시 심기일전한 삼성의 수비를 뚫지 못하고 3분 30초 가량 점수를 내지 못하고 있다가 전반에서도 활약했던 강병현이 골밑을 꾸준히 파고든 덕에 점수를 터뜨렸다. 여기에 다니엘스가 덩크를 꽂아넣으며 점수차를 더 벌이기 시작했다. 이어 다니엘스는 내곽에서도 점수를 더 냈으며 리바운드까지 성공하면서 3쿼터에만 10점을 뽑아냈다. 다른 용병 에릭 도슨도 자유투 4개를 깔끔하게 성공시키며 팀 승리에 힘을 보탠 결과 3쿼터를 15점 차로 앞선 채 끝냈다. 마지막 쿼터에서는 임재현과 유병재가 외곽포가 연이어 림을 갈라 점수차를 27점까지 벌렸다. 하승진도 삼성의 수비를 뚫고 높이를 내세워 덩크슛을 넣었다. 여기에 완연한 기세를 탄 강병현이 3점포를 성공시키며 이날 경기의 23득점째를 성공했다. 다니엘스의 득점으로 KCC의 득점은 101점을 넘기 시작했고 삼성과의 점수차는 30점 이상이 되면서 더 이상의 삼성의 추격을 허락하지 않았다. 2차전[편집] 2011년 3월 27일원주 치악체육관 원주 동부 프로미 76 19 (1Q) 13 21 (2Q) 19 17 (3Q) 19 19 (4Q) 12 63 창원 LG 세이커스 경기 내용 동부는 1쿼터 초반부터 강하게 몰아쳤다. 동부의 압박에 LG는 1쿼터 시작 후 3분 여 동안 득점을 하지 못했다. 반면 동부는 8득점하며 앞서갔다. 동부는 1쿼터 종료 1분 30여 초를 남기고 김주성이 3번째 반칙을 저지르는 바람에 잠시 코트를 떠났지만, 끝까지 집중력을 잃지 않고 리드를 유지해 19-13으로 1쿼터를 마무리했다. 그러나 쉽게 당할 LG가 아니었다. LG는 2쿼터 들어 주포 문태영(9득점)을 이용해 조금씩 점수차를 좁혔다. 2쿼터 종료 3분 여를 남겼을 때 LG는 26-29까지 추격하는 데 성공했다. 그렇지만 LG는 동점을 눈 앞에 두고 달성하지 못했다. 동부가 황진원과 김주성의 연속 득점에 힘입어 달아난 것. 전반이 끝났을 때 양 팀의 점수차는 40-32으로 8점차였다. 양 팀의 쫓고 쫓기는 추격전은 3쿼터에 더 치열해졌다. 동부는 벤슨이 6점, 황진원과 김주성이 각각 4점씩을 기록하며 총 17득점을 올리며 달아났다. 그렇지만 LG는 3점슛 3개를 꽂아 넣으며 추격의 발판을 만들었다. 거기에 문태영이 6득점으로 자신의 몫을 다하며 총 19득점을 기록했다. 양 팀의 점수차는 6점으로 좁혀졌다. 치열한 접전의 승리자는 동부였다. 4쿼터 초반 LG의 공격을 4차례나 차단한 동부는 자신들의 찬스에서는 꾸준히 득점을 올리며 점수차를 벌렸다. 동부는 4쿼터 중반 벤슨과 윤호영이 잇달아 5반칙 퇴장을 당하며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그러나 끝까지 리드를 유지한 동부는 승리의 기쁨을 만끽했다. 2011년 3월 28일전주 실내 체육관 전주 KCC 이지스 104 19 (1Q) 28 25 (2Q) 19 15 (3Q) 22 23 (4Q) 13 22 (연장[1]) 16 98 서울 삼성 썬더스 경기 내용 1쿼터 초반만 해도 삼성은 1차전의 모습을 그대로 이어 가는 듯 했다. 1쿼터 시작 후 2분이 지났을 무렵 KCC에 0-8로 뒤진 것. 그러나 기우에 불과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삼성다운 농구가 펼쳐졌다. 이승준과 애론 헤인즈가 각각 8점씩을 기록하며 살아났고, 3점슛도 4개나 터지며 무려 28득점에 성공한 것. KCC는 추승균이 9득점으로 분전했지만 19득점에 그쳤다. 그렇지만 KCC는 2쿼터 들어 대대적인 반격에 나섰다. 9점의 점수차는 순식간에 좁혀졌다. 2쿼터 중반 하승진이 강혁과 볼 다툼 도중 쓰러져 어깨를 잡고 코트를 떠났지만, 전태풍이 잇달아 3점포를 터트리며 31-30으로 역전시킨 것. 그러나 삼성도 당하고만 있지 않았다. 2쿼터 막판 이규섭과 이원수가 연이어 3점슛을 성공시키며 다시 점수차를 벌렸다. 그 결과 삼성은 47-44로 전반을 마칠 수 있었다. 3쿼터 막판 연이은 3점슛으로 분위기를 내주지 않은 탓일까? 3쿼터 삼성은 KCC보다 나은 모습을 보여줬다. KCC가 공격에서 해법을 찾지 못하고 슛 난조로 15득점에 그친 것. 하승진이 어깨에 붕대를 감고 출전했지만 2득점에 그친 것이 가장 아쉬웠다. 반면 삼성은 헤인즈(10득점)가 공격의 중심에 서서 자신들에게 주어진 기회를 모두 득점으로 연결하며 22점을 올렸다. 4쿼터 시작 전만 해도 삼성이 리드하던 10점의 점수차는 시간이 흐를수록 좁혀져 4쿼터 중반 2점차가 됐다. 그렇지만 삼성은 방법을 찾지 못했다. 2분 30여초를 남기고 80-80으로 동점을 허용한 것. 그리고 종료 19.8초를 남기고 시도한 회심의 공격에 실패하며 연장전에 돌입했다. 연장 접전 끝에 웃은 것은 KCC였다. KCC는 2차 연장 초반 다니엘스의 골밑 득점과 추승균의 3점포로 승부에 쐐기를 박으며 분위기를 가져왔고, 결국 승리를 차지했다. 3차전[편집] 2011년 3월 29일창원 실내체육관 창원 LG 세이커스 68 16 (1Q) 28 19 (2Q) 15 19 (3Q) 14 14 (4Q) 19 76 원주 동부 프로미 원주 동부 프로미, 4시즌 연속 4강 플레이오프 진출 경기 내용 동부는 경기 초반 상대의 골밑을 집중 공략했다. 김주성은 1쿼터서 7개의 슛을 모두 성공시키며 15점을 넣었다. LG는 기승호(8점)와 크리스 알렉산더(7점)의 공격력이 살아나며 2쿼터를 19-15로 앞섰다. 전반전은 동부가 43-35로 리드. LG는 후반서 폭발적인 공격력을 앞세워 동부를 맹추격했다. 루이스가 골팀서 연속 득점을 올리며 기세를 올린 LG는 3쿼터 중반 기승호가 3점슛 2개를 성공시키며 51-54까지 따라붙었다. 이어 LG는 3쿼터 1분 53초를 남기고 루이스가 골밑 득점을 올리며 54-54로 경기를 처음으로 동점으로 만들었다. 동부는 김주성의 골밑 공격에 이은 득점으로 역전을 허용하지 않고 57-54서 4쿼터를 맞았고 양 팀은 5점 안쪽서 팽팽한 줄다리기를 펼쳤다. 위기에 상황서 동부를 이끈 것은 골밑의 우위였다. 윤호영과 김주성은 골밑서 확률 높은 2점슛을 연이어 성공시키며 점수 차를 좁혀주지 않았다. 김주성은 72-66서 종료 1분 10여 초를 남겨 놓고 공격 리바운드를 잡아내며 상대에게 추격할 기회를 제공하지 않았다. 김주성은 종료 44초를 남기고 드리블 돌파에 이은 골밑슛을 성공시키며 승부를 결정지었다. 2011년 3월 30일서울 잠실 서울 삼성 썬더스 81 22 (1Q) 28 15 (2Q) 26 24 (3Q) 20 20 (4Q) 23 97 전주 KCC 이지스 전주 KCC 이지스, 4시즌 연속 4강 플레이오프 진출 경기 내용 4강 플레이오프[편집] 4강 플레이오프 (A조)[편집] 1차전 2011년 4월 4일부산 사직체육관 부산 KT 소닉붐 73 17 (1Q) 1721 (2Q) 916 (3Q) 2424 (4Q) 18 68 원주 동부 프로미 2차전 2011년 4월 6일부산 사직체육관 부산 KT 소닉붐 70 25 (1Q) 1612 (2Q) 2012 (3Q) 1621 (4Q) 23 75 원주 동부 프로미 3차전 2011년 4월 8일원주 치악체육관 원주 동부 프로미 58 18 (1Q) 1011 (2Q) 197 (3Q) 1222 (4Q) 16 57 부산 KT 소닉붐 4차전 2011년 4월 10일원주 치악체육관 원주 동부 프로미 81 29 (1Q) 1820 (2Q) 1426 (3Q) 216 (4Q) 15 68 부산 KT 소닉붐 4강 플레이오프 (B조)[편집] 1차전 2011년 4월 5일인천 삼산월드체육관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94 17 (1Q) 2216 (2Q) 2019 (3Q) 2023 (4Q) 13 91 전주 KCC 이지스 2차전 2011년 4월 7일19:00 인천 전자랜드 vs. 전주 KCC 인천삼산월드체육관 3차전 2011년 4월 9일15:00 전주 KCC vs. 인천 전자랜드 전주실내체육관 4차전 2011년 4월 11일19:00 전주 KCC vs. 인천 전자랜드 전주실내체육관 챔피언 결정전[편집] 2010~2011 현대모비스 프로 농구 챔피언 결정전(2011 KBL FINALS)은 2011년 4월 16일부터 정규시즌 4위 원주 동부 프로미와 3위 전주 KCC 이지스가 7전 4선승제로 진행하여 전주 KCC 이지스가 4승 2패로 통산 5번째 우승을 차지하였다. 1차전 2011년 4월 16일14:30 전주 KCC 이지스 vs. 원주 동부 프로미 전주실내체육관 2차전 2011년 4월 17일14:15 전주 KCC 이지스 vs. 원주 동부 프로미 전주실내체육관 3차전 2011년 4월 20일18:30 원주 동부 프로미 vs. 전주 KCC 이지스 원주실내체육관 4차전 2011년 4월 22일17:50 원주 동부 프로미 vs. 전주 KCC 이지스 원주실내체육관 5차전 2011년 4월 24일14:30 원주 동부 프로미 vs. 전주 KCC 이지스 잠실실내체육관 6차전 2011년 4월 26일18:30 전주 KCC 이지스 vs. 원주 동부 프로미 잠실실내체육관 2010-2011프로농구 우승 전주 KCC 이지스다섯 번째 우승 트리비아[편집] 지난 시즌 플레이오프 진출 팀 중 모비스만 유일하게 올라가지 못했다. 그리고 최초로 지난 시즌 우승팀만 플레이오프에 올라가지 못하는 불명예스러운 기록을 세웠다. KT는 정규리그 우승을 하면서 팀 창단 처음으로 2년 연속 4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고, 전자랜드역시 팀 창단 처음으로 정규리그 준우승을 하면서 2003~2004 시즌 이후 7년 만에 4강 플레이오프 진출을 하였다. 6강 플레이오프 대진표가 지난 시즌과 똑같은 매치업이었다.(동부 VS LG는 순위만 바뀌었음.) 그리고 양팀간의 경기가 모두 3:0으로 끝이 났다. KCC 하승진은 2008~2009 시즌 올스타전에 이어 플레이오프 3차전에서도 3점슛을 성공시켜 화제가 되었다. 삼성이 6강 플레이오프에서 3:0으로 떨어지자, 3월 31일 안준호 감독은 성적부진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자진사퇴하였다. 차기 감독으로 김상준 중앙대 감독이 확정되었다. 2011년 한국 프로 야구 개막으로 인해 MBC 스포츠 플러스와 SBS ESPN이 야구중계를 하면서 일부 경기는 MBC 게임과 디원TV에서 방송하기도 했다. 이는 최초로 비스포츠 방송에서 농구 플레이오프 중계를 한 첫 번째 사례이다. 동부가 챔피언 결정전에 올라가면서, 2008~2009 시즌 이후 2년 만에 정규리그 4위팀이 챔피언결정전에 진출하였다. KT는 2008~2009 시즌 모비스와 똑같이 정규리그 우승을 하고도 4강 플레이오프에서 1승 3패로 떨어졌다, 이는 08-09의 모비스 이후 두 번째로 정규리그 우승팀이 챔프전에 올라가지 못하는 사례이다. LG도 6강 플레이오프 탈락 후, 강을준감독이 사퇴하고 2009년 12월 17일 SK 감독에서 사퇴한 김진 감독이 취임하였다. 프로 농구 사상 두 번째로 정규 시즌 1~2위 팀이 4강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하였다(첫 번째는 2008~2009시즌). KCC가 3년 연속으로 챔피언결정전에 오르면서 정규리그 3위팀이 5시즌 연속으로 챔피언 결정전에 진출하였다. 그리고 정규리그 3위팀이 챔프전에 진출한 횟수는 총 8번으로 이는 정규리그 2위팀이 챔프전에 진출한 횟수 7번의 기록을 깼다. KCC는 챔피언결정전 3차전에서 역대 챔프전 최소 득점(54점) 패전과 역대 챔프전 전반 최소득점(1,2쿼터 합계 20점)이라는 불명예스러운 기록을 남겼다, 특히 3점슛은 10개 시도에 단 1개만 들어갔다. KCC는 이번 챔피언결정전 우승으로 역대 챔프전 3위팀으로는 3번째 우승이자 KBL 통산 최다 우승기록인 5회 우승의 대기록을 달성하게 되었다. 각주[편집] ↑ 2차 연장까지 진행 vdeh KBL 플레이오프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국프로농구_포스트시즌_2011&oldid=23962794" 분류: 한국프로농구 시즌2011년 농구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3일 (수) 22:0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10-2011 현대모비스 프로 농구의 포스트시즌은 2011년 3월 25일부터 시작하여 4월 중순까지 진행된다. 부산 KT 소닉붐이 창단 처음으로 정규리그를 우승했으며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는 정규 시즌 2위를 차지 하면서 4강에 직행하였다. 한편 6강 플레이오프 대진은 지난 09-10시즌 대진에 리벤지매치가 되면서 화제가 되었으며, 4강에서는 1,2위팀이 모두 떨어지는 결과가 나온 끝에 정규시즌 3위 KCC와 4위 동부가 7전 4선승제로 경기를 치러 4승 2패로 KCC가 우승을 차지 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한국프로농구 포스트시즌 2011의 팀별 경기 결과와 최종순위는 어떠한가요? Assistant: 성적 팀 경기수 승 패 승률 승차 비고 1 전주 KCC 이지스 54 34 20 0.630 7 챔피언전 우승 2 원주 동부 프로미 54 31 23 0.574 10 챔피언전 준우승 3 부산 KT 소닉붐 54 41 13 0.759 0 4강 PO 진출 4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54 38 16 0.704 3 5 창원 LG 세이커스 54 28 26 0.519 13 6강 PO 진출 6 서울 삼성 썬더스 54 27 27 0.500 14 7 서울 SK 나이츠 54 20 34 0.370 21 진출실패 8 울산 모비스 피버스 54 20 34 0.370 21 9 안양 한국인삼공사 54 16 38 0.296 25 10 대구 오리온스 54 15 39 0.278 26 Human: 아래 사할린_한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사할린 한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할린 한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할린 한민족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사할린 한인 총인구 약 5만 5,000 명 언어 러시아어, 한국어 종교 동방 정교회, 개신교 민족계통 사할린 한인(러시아어: Сахалинские корейцы, 영어: Sakhalin Koreans)은 사할린 섬에 거주하는 한민족을 말한다. 목차 1 역사 2 거주 지역 2.1 관련 방송매체 3 사할린 한인 학살 4 관련 항목 5 각주 역사[편집] 19세기에 러시아 연해주로 건너간 조선인 중 일부가 러시아 영토인 사할린 섬 북부로 넘어간 경우가 있었다. 또한 러일 전쟁 이후 일본이 사할린 섬 남부를 차지하여 가라후토 청이 형성된 이후 일본으로 건너간 조선인 중 일부가 가라후토로 건너간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1930년대 중반까지 이러한 인원은 소수였으며, 1930년대 말에서 1940년대 초까지 일제에 의해 사할린 섬으로 강제 징용되면서 본격적으로 한민족의 사할린 이동이 시작되었다.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의 전시 상황에 부족한 노동력을 보충하기 위해 조선인들을 가라후토로 강제 징용하여 이들을 탄광·군수공장 등에서 혹사시켰다. 일제는 1937년 만주전쟁에서 군수산업 부문의 노동력이 부족하자 1939년부터 모집의 형태로, 1942년부터는 관 알선 방식으로, 1944년부터는 강제징용의 형태로 조선인들을 끌고 갔다. 이중징용(二重徵用)이란 강제동원이 이루어진 것도 이 때다. 사할린에 있는 군수공장으로 해상 연료운반사업이 어렵게 되자 일본 본토 내의 석탄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사할린에 있는 조선인 노동자 1만여 명을 다시 본토로 끌고 갔던 것이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사할린 고려인 이산가족이 생겼다. 1944년 8~9월에 걸쳐 이중징용된 3200여명의 조선인들의 생사는 아직도 확인되지 않고 있다.[1] 제2차 세계대전이 일본의 패망으로 끝나면서 가라후토는 소련에 반환되었다. 이에 따라 가라후토의 일본인들은 일본으로 송환되었으나, 일본 정부는 조선인들은 일본인이 아니라는 이유로 이들을 방치했다. 광복 이후의 혼란으로 대한민국은 이들을 송환할 여력이 없었으며, 한국전쟁 이후에는 냉전으로 대한민국과 소련이 적대관계에 있었기 때문에 사할린의 한인들은 대한민국과 소련, 일본 세 나라의 무관심 속에서 무국적자로 어려운 삶을 살았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이들을 회유하기도 했으나, 이들 대부분은 경상도·전라도 등 한국 남부 출신으로 대한민국에 연고가 있었기 때문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의 송환을 거부하였다. 1960년대와 1970년대를 거치면서 일부는 소련 국적을 취득하기도 했으나, 대한민국으로 귀환을 바라던 1세대들은 계속 무국적자로 남아 어려운 생활을 이어갔다. 1988년 이후 대한민국과 소련의 관계가 개선되면서 이들의 고향 방문이 추진되어 일부가 대한민국을 찾기도 했으며, 이들 중 일부는 대한민국에 정착을 희망하여 사할린 교포 정착촌이 조성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1세대의 귀환만 지원하고 소련 국적을 취득하지 않은 사할린 동포사이에서 태어난 2세 이하 자녀들을 한국인으로 인정하길 거부했다. 그러나 한국법원은 소련국적을 취득하지 않아 사실상 무국적이었던 사할린 한인 사이에서 태어난 2세는 대한민국 국적자라고 판결했다.[2] 거주 지역[편집] 러시아 사할린주에 3만여 명이 살고 있으며, 이 중 50%는 유즈노사할린스크에 거주한다. 러시아 외에 대한민국에 3,500여 명이 귀환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1,000여 명이 귀환했다. 관련 방송매체[편집] 사할린 우리말 방송국 새고려신문 사할린 한인 학살[편집] 사할린 한인들에 대한 일본의 학살은 미즈호 마을에서 일본인들이 한인 27명을 학살한 사건 외에는 그동안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았으나, 2008년에 러시아의 연방보안국(FSB) 간부가 조선인 학살을 바탕으로 쓴 소설을 출간하면서 일본의 사할린 한인 학살이 추가로 알려졌다.[3] 2012년에는 일본이 사할린 한인들을 대량학살했을 것이라는 1946년의 소련 정부 보고서 초안이 공개되었다.[4] 관련 항목[편집] 한국인 사할린 한인 쿠릴 열도 분쟁 징용 가라후토 청 각주[편집] ↑ “망향의 섬 사할린, 우린 잊고 있었다”. 내 마음속의 굴렁쇠. 2008년 8월 15일에 확인함.  ↑ 사할린 강제징용 동포 2세 ‘대한민국 국적 맞다’ ↑ 러 FSB 간부가 日 사할린 한인학살 다룬 소설 출간 ↑ "日, 종전후 사할린 한인 학살했다" vdeh재외한인아시아 재대만 한국인 재일한인/ 재일 조선인 조선적 북조선국적 한국국적 일본국적 재중한인 재중동포 한국국적 고려인 사할린 한인 재베트남 한국인 재필리핀 한국인 재인도네시아 한국인 아메리카 한국계 미국인 한국계 캐나다인 재멕시코 한국인 유럽 재독 한국인 재스페인 한국인 오세아니아 한국계 뉴질랜드인 한국계 오스트레일리아인 방언 재중 한국어 중앙아시아 한국어 재일 한국어 재미 한국어 관련 항목 코리아타운 한국인 입양아 한국학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사할린_한인&oldid=24108416" 분류: 러시아의 민족사할린섬한국계 러시아인소련-한국 관계러시아-한국 관계일본-한국 관계소련-일본 관계숨은 분류: 러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Русский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7일 (토) 13:2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사할린 한인(러시아어: Сахалинские корейцы, 영어: Sakhalin Koreans)은 사할린섬에 거주하는 한민족을 말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일본은 2차 세계대전에서 진 후, 어디 땅을 소련에게 돌려줬어? Assistant: 가라후토는
Human: 아래 야요이_시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야요이 시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야요이 시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야요이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야요이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일본의 역사日本史 선사시대 구석기 시대 35,000~14,000 BC 조몬 시대 14,000~300 BC 야요이 시대 300 BC~250 AD 선주민(하야토·야마토·에조) 고대 고훈 시대 250~538 야마토 왕권 야마타이국 아스카 시대 538~710 다이카 개신 642 다이호 율령 701년 나라 시대 710~794 헤이안 시대 794~1185 섭관정치 헤이시 정권 1167~1185 중세 가마쿠라 시대 1185~1336 가마쿠라 막부 1192~1333 겐무 신정 1333~1336 무로마치 시대 1336~1573 난보쿠초 시대 1336~1392 남조 북조 무로마치 막부 1336~1573 센고쿠 시대 1467~1573 호소카와 정권 1493~1549 미요시 정권 1549~1568 근세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1573~1603 오다 정권 1573~1583 도요토미 정권 1585~1603 에도 시대 1603~1868 에도 막부 1603~1868 막말 1853~1868 근현대 메이지 시대 1868~1912 메이지 유신 다이쇼 시대 1912~1926 쇼와 시대 1927~1989 군정기 1945~1952 전후 쇼와 시대 1952~1989 헤이세이 시대 1989~2019 잃어버린 10년 1991~2000 레이와 시대 2019~ 목록 일본 제국 ("전전") 1868~1947 일본국 ("전후") 1945~현재 주제별 역사 일본의 과학사 일본의 경제사 일본의 군사사 v • d • e • h 야요이 시대(일본어: 弥生時代;미생시대)는, 홋카이도, 오키나와를 제외한 일본열도의 시대구분 중 하나이며, 조몬시대에 후에 이어지며, 고훈시대의 전에 해당하는 약 기원전 3세기 부터 3세기 중반까지에 해당하는 시대의 명칭이다. 조몬 시대에 한반도로부터 큐슈를 지나서 일본으로 들어온 도래인들인 야요이인들은 한반도에서 유래한 수도경작(水稻耕作)을 사용하며 기원전 3세기 경부터 일본 열도 각지, 특히 유래지에서 가까운 큐슈 지역에 씨족 단위의 촌락을 형성하고 을 한반도 지역의 문화를 일본으로 전래시켰다. 이 시대의 문화를 야요이 문화라고 한다.[1] :18 야요이 문화는 금속기의 병용(倂用)과 한반도에서 기원(起原)한 수도경작(水稻耕作)을 특징으로 하며, 곡물 축적과 관개용수 통제 등이 원인이 되어 계급이 분화하고, 각지에 사제자(司祭者)를 왕으로 한 소국가(小國家)들이 성립되었다.[2] 기원전 5세기 중반에 처음 한반도에서부터 큐슈 북부로 수전경작기술을 중심으로 한 생활 체계가 전해지고, 기원전 3세기부터는 본격적으로 큐슈, 시코쿠, 혼슈를 지나 토호쿠 북부까지 전해졌다. 초기의 논은 후쿠오카 시 하카타 구에 있는 이타즈케 유적과 사가현 가라쓰 시의 나바타케 유적과 같이 큐슈 북부지역에 집중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야요이 시대의 시작이다. 죠몬인들이 살던 죠몬 시대후기부터, 대규모 관개 시설을 필요로 하지 않는 어업과 수렵을 대부분이 하였고 밭에 심는 벼의 재배(陸稻耕作)은 매우 소규모로 있었지만, 한반도에서 건너간 야요이(彌生)시대에서는 처음으로 대규모 관개 시설을 사용하는 수도경작(水稻耕作)이 도입되었다. 목차 1 수도경작(水稻耕作) 2 한반도의 야요이인 일본진출 3 명칭 4 농경 5 석기 6 각주 7 외부 링크 수도경작(水稻耕作)[편집] 수도경작(水稻耕作)은 대륙에선 볼 수 없는 한반도에서 기원한 경작의 형태로 야요이 시대에는 특히 수도경작(水稻耕作)이 도입되어 곡물의 비축이 가능해지면서 잉여작물의 생산과 축적이 발달하여, 이것이 부(富)에 연결되어 가지는 것과 가지지 못하는 것, 더 나아가서 빈부의 차와 상하관계가 생겨났다. 또한 대규모 관개 시설을 사용한다 벼농사 기술의 도입에 의해 개간과 농업용수의 대규모의 노동력이 필요하게 되어 집단의 대형화가 진행되었다. 대형화된 집단 사이에서는 부와 경작지, 수리권(水利権) 등을 둘러싸고 싸움이 발생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싸움을 통한 집단의 통합, 상하관계가 진전된 결과 각지의 조그만 나라가 생기고 3세기 중엽에 왜국의 야마타이코쿠의 여왕 히미코가 대륙에 조공을 했다는 중국사서 기록이 있으나 일본학자들은 일본서기,고사기와 외국사서등에서는 히미코를 찾아볼 수 없고 중국의 무분별한 외국 조공 기록들에 의심을 가지고 있어서 히미코가 실존인물인지에 대해서는 부정적이며 실존자체가 확실치 않다. 덧붙여 이 무렵 이후 일본은 한반도와 대륙에서 왜라고 불렸다. 한반도의 야요이인 일본진출[편집] 한반도 야요이인 일본진출에 대해선 (韓半島の弥生人日本進出) 야요이 시대를 나타내는 묘제(墓制)의 용어에는 지석묘(支石墓),방형주구묘(方形周溝墓)라고 하는 이장시설의 외부구조로 구분하는 것이 있고 목관묘(木棺墓),토광묘(土壙墓)같이 이장시설 내부에 있는 형태로 구분하는 것이 있다. 특히 야요이인들이 한반도 북부와 남부에 살고 있던 한반도 도래인(韓半島渡來人)이라는 증거는 야요이의 묘제(墓制)에서 찾아볼 수 있다.야요이인의 묘제로서 목관묘는 한반도에서 도래된 묘제로서 야요이 시대 전기말(弥生時代前期末)까지 서일본(西日本)에 널리 퍼져 특히 기나이 지방(畿内)에 주로 방형주구묘 내부의 주체부로서 목관묘가 쓰여졌다. 일본에서 카메칸보(甕棺墓)라고 불리는 옹관묘는 한반도 남부에서 전해져서 이토시마반도(糸島半島), 시마바라반도(島原半島)의 후쿠오카시,사가현 칸자키군에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한국에서만 발견되는 지석묘(支石墓)의 경우에는 규슈의 이토시마반도, 시마바라반도에 퍼져갔다.[3] 또한 한반도 남부에서만 대량으로 발견되는 방형주구묘(方形周溝墓)는 야요이인의 방형주구묘보다 훨씬 이른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방형주구묘를 만들었던 한반도인이 일본으로 도래(渡來)하여 일본에 방형주구묘(方形周溝墓)가 전파(傳播)되었고 방형주구묘는 일본의 대표적 묘제인 전방후원분(前方後円墳)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규슈 북부에서부터 방형주구묘가 발견되며 특히 일본 간사이 긴키 지방(近畿地方)까지 퍼져 긴키 지방에 방형주구묘(方形周溝墓)가 대량으로 발견되었다. 야요이 시대 중기에는 한반도(韓半島)의 방형주구묘가 일본열도의 주부 지방, 간토지방(中部地方,関東地方)까지 도래하게 된다.[4] 명칭[편집] 야요이 시대의 야요이 토기 《야요이》라는 명칭은 1884년 발견지인 도쿄 시 분쿄 구 야요이 초의 패총에서 발견된 토기에 연유해 야요이식 토기로 부른 것에서 유래한다. (그 후 도시화의 진행으로 정확한 발견지를 확인할 수 없게 되었다.) 처음엔 야요이식 토기를 사용한 시대라는 의미에서 〈야요이식 시대〉라고 부르고, 그 후 ‘식’을 생략하는 호칭이 일반화되었다. 야요이 시대라는 명칭의 기원이 된 야요이에서 출토된 토기들이 현재의 토기편년 상에서 고훈시대 전기에 해당한다는 설이 유력시되고 있다. 한반도 도래인은 농경민족이었고 때문에 일본에 수전농경문화가 전파된 계기는 한반도 도래인의 이주가 시작되면서 시작된것이다. 농경[편집] 수도경작(水稻耕作)은 기원전 1200년경부터 한반도에서만 사용되었다. 기존에는 무거동과 마전리 유적을 통해 기원전 7~5세기를 최상한 연대로 보았으나, 2015년 5월 세종시에서 약 4000평 가량의 논농사 유적이 발견되었는데 기원전 12~13세기(B.C.13~B.C.12)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3세기 한반도로부터 일본 열도로 사람들이 이동하였는데[5] 이들 고대 한국인(야요이인)들이 일본에 대규모 관개 시설을 사용하는 경작(水稻耕作)을 전수해주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6] 또한, 일본인 학자에 의해 일본 각지의 초기 논의 구조 형태와 농기구들, 토기, 주거 형태와 부락 등을 통해 그러한 주장이 고고학적으로도 규명되고 있다. 한반도 벼농사의 도래에 관해 교토대학 사학과의 가도와키 데이지(門脇禎二) 교수는 토기의 고고학 측면에서 다루고 있다. 이타즈케에서 시작한 벼농사와 한민족으로 부터 전수받은 청동기를 특징으로 한 야요이 문화는 세토 내해를 통해 동쪽으로 전해졌는데, 현재 후쿠오카와 가라쓰, 요시노가리, 그리고 세토 내해의 오카야마, 킨기 지방의 나라 분지에 전해졌으며 이를 바탕으로 쿠니들이 세워졌다. 수도경작은 기원전 2세기 이후에는 주부 지방에 보급되었고, 1세기 전까지 간토와 도호쿠 남부에 전파되었다. 최종적으로 3세기까지 도호쿠 북부까지 수도경작의 벼농사가 전파됨으로써 홋카이도를 제외한 고대 일본은 3세기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농경 생활이 행해지기 시작한다.[1] :18~19 농경문화와 더불어 직물의 기술도 전해졌다. 이것이 일본열도에 전해진 것은 주로 한반도 남부로부터 집단적으로 이주해 온 사람들에 의해서였다고 생각된다. 이것은 한반도 남부의 것과 같은 형의 고인돌이 북큐슈에서 자주 발견되고, 서일본의 야요이시대 전기의 고인돌에서 발견되는 인골의 평균신장이 죠몬시대 인골의 그것과 비교해 볼 때 한반도 남부인의 신장에 가깝다는 것으로도 알 수 있다.[7] 석기[편집] 야요이 시대의 석기는 크게 조몬 시대에서 내려온 타제석기와 당시 한반도의 민무늬토기 시대로부터 전해진 마제석기 (대륙계간석기)등으로 구분된다. 각주[편집] ↑ 가 나 구태훈 (2009), 《일본사 파노라마》 ↑ 〈일본의 역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2004. BC 3세기경에 금속기의 병용(倂用)과 수도경작(水稻耕作)을 특징으로 하는 야요이(弥生) 문화가 서(西)일본에서 일어나 곡물 축적과 관개용수 통제 등이 원인이 되어 계급이 분화하고, 각지에 사제자(司祭者)를 왕으로 한 소국가(小國家)가 성립되었다.  ↑ 崎谷満『DNA・考古・言語の学際研究が示す新・日本列島史』(勉誠出版 2009年) ↑ 「前方後円墳の成立と変遷」近藤義郎 『考古学研究』15-1、1968年 ↑ 강성현 (2005). 《21세기 한반도와 주변 4강대국》. 가람기획. 156쪽. ISBN 89-8435-224-1. 김달수의 《일본 열도에 흐르는 한국 혼》에 의하면 고대 한반도의 고구려․백제․신라․가야국으로부터 일본 열도로의 이동이 시작된 것은 기원전 3세기, 일본의 이른바 야요이(彌生)시대부터였다고 한다.  ↑ Dennis Normile (2003년 5월 30일). “Earlier Start for Japanese Rice Cultivation”. Sciencemag. 2013년 6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7월 11일에 확인함. One theory holds that immigrants fleeing the turmoil of China's Warring States period, beginning about 450 B.C., took the technology overland to present-day Korea, then across the relatively narrow Korea Strait to Japan's Kyushu Island. An alternative theory is that seafaring traders carried the technique to lands bordering the Yellow and East China seas around 1000 B.C. or earlier.  ↑ 연민수 (1998). 《일본역사》. 보고사. 23쪽. ISBN 89-86142-81-3. 농경문화와 더불어 직물의 기술도 전해졌다. 이것이 일본열도에 전해진 것은 주로 한반도 남부로부터 집단적으로 이주해 온 사람들에 의해서였다고 생각된다. 이것은 한반도 남부의 것과 같은 형의 지석묘가 북큐슈에서 자주 발견되고, 서일본의 야요이시대 전기의 지석묘에서 발견되는 인골의 평균신장이 죠몬시대 인골의 그것과 비교해 볼 때 한반도 남부인의 신장에 가깝다는 것으로도 알 수 있다.  외부 링크[편집] 국립민속박물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야요이_시대&oldid=24470344" 분류: 야요이 시대일본의 역사일본의 고대사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ашҡортсаবাংলাBrezhoneg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LietuviųBahasa MelayuNederlands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3일 (일) 16:2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야요이 시대(일본어: 弥生時代)는 홋카이도, 오키나와를 제외한 일본열도의 시대구분 중 하나이며, 조몬인들의 조몬시대 후에 이어지며, 고훈시대로 이어지는 기원후 3세기 중반까지에 해당하는 시대의 명칭이다. 그 시작에 대해서는 관점에 따라 여러 이론이 있어 기원전 10세기라는 설부터 기원전 3세기라는 설까지 다양하다. 조몬 시대에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도래한 야요이인들은 기원전 10세기부터 일본 열도 각지, 특히 유래지에서 가까운 규슈 등 서일본 지역을 중심으로 씨족 단위의 촌락을 형성하고 대륙 지역의 문화를 일본으로 전래시켰다.:18 그리하여 발생한 야요이 문화는 금속기의 병용(倂用)과 수도경작(水稻耕作)을 특징으로 하며, 곡물 축적과 관개용수 통제 등이 원인이 되어 계급이 분화하고, 각지에 사제자(司祭者)를 오오키미(왕)으로 한 소국가들이 성립되었다. 일본 쌀 품종 중 극히 일부가 중국 남방의 장강지역 품종이 나타난 것을 근거로 사기다니미츠루는 지금까지의 연구결과와는 정반대로 야요이인들이 중국 장강지역에서 기원했다는 일설을 최초로 주장한 적이 있으나 해당 쌀 품종이 극히 일부이며 시기가 불분명하다는 점, 야요이묘제들이 중국에서는 보이지 않고 한반도에서만 보인다는 점, 고고학적 유물이 한반도식 간돌도끼(磨製石斧)라는 점, 일본에서 하플로 O1b2가 중국 장강지역에서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 점으로 야요이인 장강기원설은 지지받고 있지 않고 있다.기원전 5세기 중반에 한반도에서 규슈 북부로 수전경작 기술을 중심으로 한 생활 체계가 전해지고, 차례로 규슈, 시코쿠, 혼슈까지 전파되었다. 초기의 논은 후쿠오카시 하카타구에 있는 이타즈케 유적과 사가현 가라쓰시의 나바타케 유적과 같이 규슈 북부지역에 집중적으로 발견되고 있으며, 이는 야요이 시대의 시작을 보여준다. 조몬 시대 후기부터 대규모 관수를 필요로 하지 않는 밭에 심는 벼의 재배, 이른바 육도경작(陸稻耕作)은 소규모로 있었지만, 야요이 시대에서는 처음으로 대규모 관개시설을 사용하는 경작이 도입되었다. 이러한 촌락들은 야요이 시대가 끝날 때에는 일본 혼슈의 북부까지 퍼져 있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수도경작은 어떤 지역에서만 사용되었을까? Assistant: 한반도 Human: 아래 숙의_박씨_(순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숙의 박씨 (순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숙의 박씨 (순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숙의 박씨 지위 숙의 이름 별호 궁인 박씨 (宮人 朴氏) 신상정보 출생일 미상 출생지 조선 사망일 1854년 음력 6월 30일 사망지 조선 매장지 숙의박씨묘(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왕조 조선 배우자 조선 순조 자녀 영온옹주 숙의 박씨(淑儀 朴氏, ? ~ 1854년 음력 6월 30일)는 조선의 제23대 왕 순조의 후궁이다. 목차 1 생애 2 가족 관계 3 숙의 박씨가 등장한 작품 4 출처 5 외부 링크 생애[편집] 본관은 밀양이다[1]. 원래 궁인 신분으로, 순조의 승은을 입은 후 1817년(순조 17년) 10월 11일 새벽 딸(영온옹주)을 낳아 종2품 숙의에 봉해졌다[2]. 그러나 유일한 소생인 영온옹주는 태어난 후 병을 자주 앓고 말을 잘 하지 못하였고[3], 1829년(순조 29년) 음력 4월 8일 13세의 나이로 요절하고 말았다[4]. 한편 박씨는 1854년(철종 5년) 음력 6월 30일에 사망하였다[5]. 사후 효창원(정조의 아들 문효세자의 묘)에 장지를 마련하였다. 이곳은 현재의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동 인근인데, 일제 강점기 말엽인 1945년 3월에 강제 이장되어 현재 박씨의 묘소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의 서삼릉 경내에 있다. 그녀의 묘는 서삼릉 전 지역이 사적으로 지정될 때 함께 사적 제200호로 지정되었다[1]. 가족 관계[편집] 남편 : 순조 (純祖, 1790년~1834년, 재위:1800년~1834년) 딸 : 영온옹주 (永溫翁主, 1817년~1829년) 숙의 박씨가 등장한 작품[편집] 《구르미 그린 달빛》(2016년, KBS, 배역:전미선) 출처[편집] ↑ 가 나 숙의박씨묘 - 두산세계대백과사전 ↑ 《조선왕조실록》순조 20권, 17년(1817 정축 / 청 가경 22년) 10월 11일(신사) 1번째기사 ↑ 《조선왕조실록》순조 31권, 30년(1830 경인 / 청 도광 10년) 7월 15일(경오) 3번째기사 ↑ 《조선왕조실록》순조 30권, 29년(1829 기축 / 청 도광 9년) 4월 8일(신미) 1번째기사 ↑ 《승정원일기》 123책 (탈초본 2555책) 철종 5년 6월 30일 정유 22/30 기사 외부 링크[편집]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 vdeh 조선의 후비와 대한제국의 후비4대조추존 목조 효공왕후 이씨 추존 익조 정숙왕후 최씨 부인 손씨 추존 도조 경순왕후 박씨 후궁 조씨 추존 환조 의혜왕후 최씨 부인 이씨 정빈 김씨 조선후비태조 신의왕후 한씨 신덕왕후 강씨 성비 원씨 정경궁주 유씨 화의옹주 김씨 찬덕 주씨 정종 정안왕후 김씨 성빈 지씨 숙의 지씨 숙의 기씨 숙의 문씨 숙의 이씨 숙의 윤씨 초궁장 태종 원경왕후 민씨 효빈 김씨 신빈 신씨 선빈 안씨 명빈 김씨 의빈 권씨 소빈 노씨 정빈 고씨 숙의 최씨 숙공궁주 김씨 의정궁주 조씨 혜순궁주 이씨 신순궁주 이씨 덕숙옹주 이씨 혜선옹주 홍씨 순혜옹주 장씨 서경옹주 세종 소헌왕후 심씨 영빈 강씨 신빈 김씨 혜빈 양씨 귀인 박씨 귀인 최씨 숙의 조씨 소용 홍씨 숙원 이씨 상침 송씨 사기 차씨 문종 현덕왕후 권씨 폐 휘빈 김씨 폐 순빈 봉씨 숙빈 홍씨 소의 류씨 숙의 문씨 소용 권씨 소용 정씨 소용 윤씨 상궁 장씨 사칙 양씨 단종 정순왕후 송씨 숙의 김씨 숙의 권씨 세조 정희왕후 윤씨 근빈 박씨 폐 소용 박씨 추존 덕종 소혜왕후 한씨 귀인 권씨 귀인 윤씨 숙의 신씨 예종 장순왕후 한씨 안순왕후 한씨 공빈 최씨 상궁 기씨 후궁 이씨 성종 공혜왕후 한씨 폐비 윤씨(제헌왕후) 정현왕후 윤씨 명빈 김씨 귀인 정씨 귀인 엄씨 귀인 권씨 귀인 남씨 소의 이씨 숙의 하씨 숙의 홍씨 숙용 심씨 숙용 권씨 숙원 윤씨 연산군 거창군부인 신씨 숙의 곽씨 숙의 이씨 숙의 윤씨 숙의 권씨 숙의 민씨 숙용 장씨 숙용 전씨 숙용 조씨 숙원 최씨 숙원 김씨 숙화 김씨 궁인 안씨 내인 정금 중종 단경왕후 신씨 장경왕후 윤씨 문정왕후 윤씨 경빈 박씨 희빈 홍씨 창빈 안씨 귀인 한씨 숙의 나씨 숙의 김씨 숙의 홍씨 숙의 이씨 숙원 이씨 숙원 권씨 인종 인성왕후 박씨 숙빈 윤씨 혜빈 정씨 귀인 정씨 양제 윤씨 명종 인순왕후 심씨 경빈 이씨 순빈 정씨 소의 신씨 숙의 한씨 숙의 신씨 숙의 정씨 숙의 정씨 선조 의인왕후 박씨 인목왕후 김씨 공빈 김씨(공성왕후) 인빈 김씨 순빈 김씨 정빈 민씨 정빈 홍씨 온빈 한씨 귀인 정씨 숙의 정씨 소원 윤씨 광해군 문성군부인 류씨 소의 윤씨 소의 홍씨 숙의 허씨 숙의 원씨 숙의 권씨 소용 정씨 소용 임씨 소원 신씨 상궁 이씨 상궁 최씨 궁인 조씨 궁인 변씨 추존 원종 인헌왕후 구씨 후궁 김씨 인조 인렬왕후 한씨 장렬왕후 조씨 폐 귀인 조씨 귀인 장씨 숙의 나씨 숙원 장씨 상궁 이씨 효종 인선왕후 장씨 안빈 이씨 숙의 김씨 숙원 정씨 현종 명성왕후 김씨 숙종 인경왕후 김씨 인현왕후 민씨 인원왕후 김씨 희빈 장씨 화경숙빈 최씨 명빈 박씨 영빈 김씨 귀인 김씨 소의 유씨 경종 단의왕후 심씨 선의왕후 어씨 영조 정성왕후 서씨 정순왕후 김씨 정빈 이씨 영빈 이씨 귀인 조씨 폐 숙의 문씨 추존 진종 효순왕후 조씨 추존 장조 헌경왕후 홍씨 숙빈 임씨 경빈 박씨 양제 가선 정조 효의왕후 김씨 의빈 성씨 수빈 박씨 원빈 홍씨 화빈 윤씨 순조 순원왕후 김씨 숙의 박씨 추존 문조 신정왕후 조씨 헌종 효현왕후 김씨 효정왕후 홍씨 경빈 김씨 정빈 윤씨 숙의 김씨 철종 철인왕후 김씨 귀인 박씨 귀인 조씨 숙의 방씨 숙의 범씨 숙의 김씨 궁인 이씨 궁인 박씨 대한제국후비고종태황제 명성태황후 민씨 순헌황귀비 엄씨 영보당 이씨 귀인 장씨 광화당 이씨 보현당 정씨 내안당 이씨 복녕당 양씨 삼축당 김씨 정화당 김씨 궁인 서씨 궁인 김씨 궁인 장씨 순종효황제 순명효황후 민씨 순정효황후 윤씨 이 글은 조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한국 사람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숙의_박씨_(순조)&oldid=19421525" 분류: 생몰년 미상밀양 박씨조선의 후궁조선 순조숨은 분류: 조선에 관한 토막글한국 사람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7년 8월 27일 (일) 13: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숙의 박씨(淑儀 朴氏, ? ~ 1854년 음력 6월 30일)는 조선의 제23대 왕 순조의 후궁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순조의 후궁인 숙의 박씨의 생애는 어땠습니까? Assistant: 본관은 밀양이다[1]. 원래 궁인 신분으로, 순조의 승은을 입은 후 1817년(순조 17년) 10월 11일 새벽 딸(영온옹주)을 낳아 종2품 숙의에 봉해졌다[2]. 그러나 유일한 소생인 영온옹주는 태어난 후 병을 자주 앓고 말을 잘 하지 못하였고[3], 1829년(순조 29년) 음력 4월 8일 13세의 나이로 요절하고 말았다[4]. 한편 박씨는 1854년(철종 5년) 음력 6월 30일에 사망하였다[5]. 사후 효창원(정조의 아들 문효세자의 묘)에 장지를 마련하였다. 이곳은 현재의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동 인근인데, 일제 강점기 말엽인 1945년 3월에 강제 이장되어 현재 박씨의 묘소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의 서삼릉 경내에 있다. 그녀의 묘는 서삼릉 전 지역이 사적으로 지정될 때 함께 사적 제200호로 지정되었다[1].
Human: 아래 중화인민공화국의_고속도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중화인민공화국의 고속도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화인민공화국의 고속도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중국국가고속공로망 징시 고속공로 자오신댠 나들목 부근(2004년 7월 촬영) 중화인민공화국의 고속도로는 중국국가고속공로망(중국어 간체자: 中国国家高速公路网, 정체자: 中國國家高速公路網, 병음: Zhōngguó Guójiā Gāosùgōnglù wǎng 중궈 궈자 가오쑤궁루 왕[*])으로 부른다. 현재 중국은 세계유수의 고속도로망이 정비된 나라 중 하나이다. 목차 1 개요 2 역사 3 건설비 4 고속도로의 호칭 4.1 고속도로의 제한 속도 4.2 고속도로에 관한 법규 4.3 고속도로 표지 4.4 나들목의 번호 붙임 5 고속도로 요금과 차입금 5.1 과금방법 6 고속도로망 6.1 5종 7횡 6.2 7918망 7 각주 8 외부 링크 개요[편집] 중국의 고속도로의 총연장은 2012년 말 97,355 km였는데, 그 해에만 12,409 km가 건설되었다. 이는 전 세계에서 가장 긴 고속도로에 해당한다. 최근[모호한 표현][언제?] 한 해 평균 약 6,000 km 이상의 고속도로가 건설되고 있다. 역사[편집] 고속도로가 존재하지 않은 중국에서 최초에 개통한 것은 1988년에 상하이 시에서 개통한 호가 고속공로이다. 그 후 베이징과 허베이성의 스자좡을 연결하는 징시 고속공로가 개통했지만 이후 1993년까지 건설된 고속도로는 거의 없었다. 1992년 이후 중국에서는 2010년까지 35,000 km의 중국 국가고속공로망을 구축하는 계획(5종 7횡)이 입안 및 실시되어 5개의 남북방향의 도로와 7개의 동서의 도로로부터 이루어지는 12의 고규격간선도로의 구축이 목표로 여겨졌다. 계획은 앞당겨져 2009년 말에는 이미 65,000 km의 고속도로를 포함하는 382만 km의 도로가 완성되어 있었다.[1] 2005년 1월 13일 교통부 부장이었던 장춘샨(张春贤)은 5종 7횡 구상의 다음 구상으로 이후 30년 간으로 인구 20만 명 이상의 모든 지방중핵도시를 서로 연락하는 85,000 km의 고속도로 네트워크(7918구상)을 건설한다고 발표했다. 그것은 베이징에서 방사상에 자라는 7개의 노선과 국내를 남북에 묶는 9노선, 동서에 잇는 18노선으로부터 이루어지는 구상으로 전장 가운데의 68,000 km은 간선도로 17,000 km이 5개의 지방환상도로이다.(단,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지배하에 없는 타이완의 계획선도 이론상으로만 포함된다) 또 2개의 평행 루트와 30개 이상의 상호접속노선이 포함된다. 이 구상에서는 32,000 km의 고속도로가 화중 및 서부지방에서 구축되게 된다. 1989년 1월 1일의 단계에서 147 km만의 정비에 머무르고 있었던 중국의 고속도로이지만 2009년 12월 31일에는 총연장 65,000 km의 고속도로망이 정비되어 2007년에는 8,300 km가 건설되고 있다. 고속도로망은 2020년까지 100,000 km, 미국을 넘어 세계 제1위의 규모에 확대하는 계획이 세워져 있다. 건설비[편집] 고속공로 네트워크 구축의 총 예산은 2조 위안으로 추정되고 있다. 2005년부터 2010년까지의 연간 투자액은 약 1400억 위안에서 1,500억 위안, 2010년부터 2020년까지의 연간 투자액은 약 1,000억 위안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고속도로의 호칭[편집] 징시 고속공로의 표지판. 구표기는 Jingshi Freeway로 되어 있었다.(2004년 촬영) 징선 고속공로의 출구안내표지(2004년 촬영) 중국에서는 예전에 "모터웨이(Motorway)"도 "하이웨이(Highway)"도 맞춰서 "프리웨이(Freeway)"라고 칭했다. "프리"는 교통이 자유롭게 흐르고 있는 즉 교차지점은 각 차선이 분리되어 고속도로상의 교통은 신호기나 일시정지 표식과 같은 교통 제어 시설에 의해 규제되지 않는 것을 뜻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통행요금을 징수하는 고속도로인 것에도 관련되지 않고 "프리"를 "무료"로 오해했기 때문 1990년대에 "익스프레스웨이(Expressway)"의 명칭으로 일치되었다. 현재 사용되는 "하이웨이"는 고속도로를 의미하지 않는 단어로서 사용되고 있다.(중화인민공화국의 국도를 참조) 또 중국에서는 쾌속공로(快速公路)와 고속공로(高速公路)라고 하는 구분도 존재한다. 양자는 거의 동일하지만 쾌속공로는 주로 도시부에 정비된 고규격도로이다. 본문중에서는 양자를 고속도로로서 다루는 것으로 한다. 고속도로의 제한 속도[편집] 중화인민공화국 도로교통안전법은 2004년 5월 1일에 전국 고속도로의 제한 속도를 110 km/h에서 120 km/h로 변경했다. 그러나 지방의 고속도로에서는 제한속도변경에 시간이 걸리고 있는 개소도 있어 일부에서는 종래의 110 km/h가 되고 있다. 최저속도제한은 70 km/h이지만 추월 차선의 최저속도 제한은 100 km/h로부터 110 km/h와 달리 정해져 있다. 최저속도위반 및 최고속도위반은 교통법규위반으로 여겨진다. 고속도로에 관한 법규[편집] 1990년대 중반까지 면허 취득 1년 미만인 운전자는 고속도로의 운전이 금지되고 있었지만 2004년 5월 1일 현재에서는 허가되고 있다. 오른쪽에서의 추월, 속도위반, 비상통행대(갓길)의 불법주행 등의 위반자는 교통법규위반으로 여겨지고 특히 오른쪽에서의 추월은 엄격하게 경고된다. 고속도로 표지[편집] 중국의 고속도로에서는 간체자 중국어 및 영어에 의한 도로 표지가 정비되고 있다.(징시 고속공로의 일부는 제외) 중국의 고속도로의 표지는 한국, 일본, 스위스, 미국의 고속도로와 같이 녹지에 흰문자를 사용해서 표기된다. 나들목의 안내표지는 각각 출구의 3,000 m, 2,000 m, 1,000 m와 5,00 m 앞 출구 직전 출구자체에 있어 나들목의 앞에서부터 표시되고 있다. 각 나들목에는 다음 나들목까지의 거리의 안내 표지도 있다. 휴게소 및 간이 휴게소는 교통량이 많은 고속도로에서는 고밀도에 설치되고 있으며, 특히 주유소의 밀도는 높다. 표지는 나들목, 요금소, 휴게소 및 주차구역, 분기점이 대표적인 것이지만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와 같이 "차간거리확인"의 표지판도 설치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법률에서는 적어도 100m의 차간거를 보유하기 위한 것인다. 속도감시구간에 있어서 단속개소에는 많은 경우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다.(징선 고속공로의 베이징 구간에는 카메라 위에도 경고 표지가 설치되어 있음) 이 속도단속장치의 더미도 존재하고 있다. 또 운전자에게 감속을 촉구하는 표식, 비탈진 길에 관한 경고, 비상통행대(갓길 혹은 노견)의 통행금지, 혹은 노면의 이상에 관한 표지판이 존재한다. 또 추월 차로를 나타내는 표지도 설치되고 있다. 영어표기는 대부분은 문제 없지만 때때로 잘못된 표기도 보인다. 고속도로에서는 디지털 표시기의 정비가 진행되어, 속도 초과에 대하여 주의 환기, 도로공사 상황, 교통정체 정보, 날씨 정보, 우회로 등을 표시한다. 나들목의 번호 붙임[편집] 중국 고속도로의 나들목에는 번호가 첨부되어 있으며, 기점을 1번으로 한 통과 번호가 보통이다. 그러나 장시 고속공로에서는 허베이 성에 0번 나들목이 존재한다. 나들목의 일부에는 보조 나들목(예:No. 14A, 14B)을 병설하고 있다. 고속도로 요금과 차입금[편집] 징스 고속공로의 도우디안 나들목의 요금표(2004년 촬영) 고속도로는 거의 모두 유료이다. 요금은 1 km 당 약 0.5중국원에서 최저요금(예를 들면 5위안)은 거리에 관계 없이 적용된다. 고속도로에 의한 표준적인 금액보다 높을 경우(진찌 고속공로는 1 km당 0.66위안)이나 저렴한 경우(징시 고속공로는 1 km당 0.33위안)도 존재한다. 통행요금에 관련되지 않고 고속도로는 고규격으로 건설되어 또 정체의 발생과도 관계가 없다. 고속도로 계획은 교통부에 의해 계획되고 건설된다. 중국의 고속도로는 성 정부에 의한 직접 투자를 채용하지 않고 은행 혹은 예정되는 통행요금수입을 담보에 증권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한 영리의 기업(관민 일체가 된 기업체)에 의한 건설 및 운영된다. 이방식을 채용할 이유로서는 지방 정부의 세입이 한정적이어서 자금조달 능력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또 고속도로 건설은 중국 공산당과 국무원의 정책이 불일치가 된 희유한 예 중 하나이다. 1990년대 말에 휘발유세에 의해 공공의 간선도로의 건설 자금을 조달하는 입법화가 요구되었지만 전국인민대표대회에 의해 부결되었다. 과금방법[편집] 대부분의 고속도로는 카드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다. 고속도로 (혹은 고속도로의 유료구간)에의 입구에서는 입선 카드가 운전자에게 넘겨줘진다. 지불되는 요금은 고속도로에서 나갈 때에 운전수가 출구요금소에 입선 카드를 반환할 때에 주행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징퉁 고속공로 등의 일부의 고속도로에서는 정액제를 채용해 증가하는 교통 유량에 대응하고 있지만 수입면에서 불리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 일부 고속도로는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을 채용하고 있다. 현재 통행요금의 지불에는 현금만이 인정을 받고 있다. 고속도로망[편집] 5종 7횡[편집] 1992년에 입안된 중국 고속공로 계획에서는 남북방향에 5개와 동서방향에 7개의 계12개의 고속도로(5종 7횡)을 만드는 계획이었다. 번호의 머리에는 "국도"(Guodao)의 머리 문자인 "G"의 문자를 붙일 수 있다. 세로(남북방향)에는 G010, G020, G030, G040, G050의 번호가 옆(동서방향)에는 G015, G025, G035, G045, G055, G065, G075의 번호가 배정되었고, 일반국도에는 G101에서 G112, G20에서 G228, G301에서 G330까지의 번호가 배정되었다. 5종 7횡의 고속도로망은 2005년에 발표된 "7918망"에 의해 일부에 재편되었다. 5종 퉁싼 고속공로(010) : 퉁장(헤이룽장 성) - 싼야(하이난 성) 징푸 고속공로(020) : 베이징 - 푸저우 징주 고속공로(030) : 베이징 - 주하이 얼허 고속공로(040) : 얼롄하오터 - 허커우(윈난 성) 위잔 고속공로(050) : 충칭 - 잔장(광둥 성) 7횡 쑤만 고속공로(015) : 쑤이펀 - 만저우리 단라 고속공로(025) : 단둥 - 라싸 칭인 고속공로(035) : 칭다오 - 인촨 롄훠 고속공로(045) : 롄윈강 - 훠얼궈쓰 후룽 고속공로(055) : 상하이 - 청두 후루이 고속공로(065) : 상하이 - 루이리 헝쿤 고속공로(075) : 헝양 - 쿤밍 7918망[편집] 2005년 1월 13일, 교통부가 공포한 "국가고속공로망규화"로 채용된 방사상 고속도로와 종횡의 고속도로망을 조합시킨 정비 계획이며, 수도에서 방사선 7개, 9개의 남북종관선, 18개의 동서횡단선으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을 "7918망"이라고 칭해졌다. 번호의 맨 앞자리에는 "국도" (Guodao)의 머리 문자인 "G"라는 문자로 되어 있다. 방사선에는 1에서 9까지(실제로는 7까지)의 번호가, 남북방향에는 11에서 89까지의 홀수번호로, 동서방향에는 10에서 90까지의 짝수번호로 되어있다. 91에서 99까지의 숫자는 각 지방(분지, 도시권, 섬 등)을 순환하여 연결되는 도로의 숫자이다. 간선도로에 부속되는 연락선에는 간선 번호의 뒤에 1이 있고 또 1로부터 시작되는 숫자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G15 선하이 고속공로의 연락선으로 취급되는 르자오 - 란카오간 고속도로에는 G1511이라는 번호로 되어 있다. 이후의 연락선은 G1512, G1513으로 되어 있다.) 도시순환고속도로에는 접속하는 간선도로의 번호의 뒤에 0이 있고 또 1로부터 시작되는 숫자로 되어 있다.(예를 들면 G15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G1501, G1502 등) 또 간선도로에 병행되는 노선에는 방위(방각)의 영어 머리 문자인 N·E·W·S의 문자를 붙일 수 있다.(예를 들면 G15에 병행되는 창수 - 타이저우간 고속도로에는 G15W의 번호로 되어 있다.) 수도방사선 7개 노선 G1 (징하 고속공로) 베이징 시 ~ 헤이룽장 성 하얼빈 시 G2 (징후 고속공로) 베이징 시 ~ 상하이 시 G3 (징타이 고속공로) 베이징 시 ~ 타이완 성 신베이 시 G4 (징강아오 고속공로) 베이징 시 ~ 광둥 성 선전 시 G4W (강아오 고속공로) 광둥 성 광저우 시 ~ 마카오 G5 (징쿤 고속공로) 베이징 시 ~ 윈난 성 쿤밍 시 G6 (징짱 고속공로) 베이징 시 ~ 티베트 자치구 라싸 시 G7 (징신 고속공로) 베이징 시 ~ 신장 위구르 자치구 우루무치 시 남북종관선 9개 노선 G11 (허다 고속공로) 헤이룽장 성 허강 시 ~ 랴오닝 성 다롄 시 G1111 (허하 고속공로) 헤이룽장 성 허강 시 ~ 헤이룽장 성 하얼빈 시 G1112 (지솽 고속공로) 지린 성 지안 시 ~ 지린 성 솽랴오 시 G1113 (단푸 고속공로) 랴오닝 성 단둥 시 ~ 랴오닝 성 푸신 시 G15 (선하이 고속공로) 랴오닝 성 선양 시 ~ 하이난 성 하이커우 시 G15W (창타이 고속공로) 장쑤 성 창수 시 ~ 저장 성 타이저우 시 G1511 (르란 고속공로) 산둥 성 르자오 시 ~ 허난 성 카이펑 시 G1512 (용진 고속공로) 저장 성 닝보 시 ~ 저장 성 진화 시 G1513 (원리 고속공로) 저장 성 원저우 시 ~ 저장 성 리수이 시 G1514 (닝상 고속공로) 푸젠 성 닝더 시 ~ 장시 성 상라오 시 G25 (창선 고속공로) 지린 성 창춘 시 ~ 광둥 성 선전 시 G2511 (신루 고속공로) 랴오닝 성 선양 시 ~ 내몽골 자치구 퉁랴오 시 G2512 (푸진 고속공로) 랴오닝 성 푸신 시 ~ 랴오닝 성 진저우 시 G2513 (화이쉬 고속공로) 장쑤 성 화이안 시 ~ 장쑤 성 쉬저우 시 G35 (지광 고속공로) 산둥 성 지난 시 ~ 광둥 성 광저우 시 G45 (다광 고속공로) 헤이룽장 성 다칭 시 ~ 광둥 성 광저우 시 G4511 (룽허 고속공로) 장시 성 간저우 시 ~ 광둥 성 허위안 시 G55 (얼광 고속공로) 내몽골 자치구 얼롄하오터 시 ~ 광둥 성 광저우 시 G5511 (지아 고속공로) 내몽골 자치구 후룬베이얼 시 ~ 내몽골 자치구 우란차부 시 G5512 (진신 고속공로) 산시 성 진청 시 ~ 허난 성 신샹 시 G5513 (창장 고속공로) 후난 성 창사 시 ~ 후난 성 장자제 시 G65 (바오마오 고속공로) 내몽골 자치구 바오터우 시 ~ 광둥 성 마오밍 시 G75 (란하이 고속공로) 간쑤 성 란저우 시 ~ 하이난 성 하이커우 시 G7511 (친둥 고속공로) 광시 좡족 자치구 친저우 시 ~ 광시 좡족 자치구 둥싱 시 G85 (유쿤 고속공로) 충칭 시 ~ 윈난 성 쿤밍 시 G8511 (쿤모 고속공로) 윈난 성 쿤밍 시 ~ 윈난 성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 동서종관선 18개 노선 G10 (쑤이만 고속공로) 헤이룽장 성 쑤이펀허 시 ~ 내몽골 자치구 만저우리 시 G1011 (하이퉁 고속공로) 헤이룽장 성 하얼빈 시 ~ 헤이룽장 성 자무쓰 시 G12 (훈우 고속공로) 지린 성 훈춘 시 ~ 내몽골 자치구 우란하오터 시 G1211 (지헤 고속공로) 지린 성 지린 시 ~ 헤이룽장 성 헤이허 시 G1212 (선지 고속공로) 랴오닝 성 선양 시 ~ 지린 성 지린 시 G16 (단시 고속공로) 지린 성 단둥 시 ~ 내몽골 자치구 시린하오터 시 G18 (룽우 고속공로) 산둥 성 룽청 시 ~ 내몽골 자치구 우하이 시 G1811 (황스 고속공로) 허베이 성 창저우 시 ~ 허베이 성 스자좡 시 G20 (칭인 고속공로) 산둥 성 칭다오 시 ~ 닝샤 후이족 자치구 인촨 시 G2011 (칭신 고속공로) 산둥 성 칭다오 시 ~ 산둥 성 칭다오 시 G2012 (딩우 고속공로) 산시 성) 위린 시 ~ 간쑤 성 우웨이 시 G22 (칭란 고속공로) 산둥 성 칭다오 시 ~ 간쑤 성 란저우 시 G30 (롄훠 고속공로) 장쑤 성 롄윈강 시 ~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이리 카자흐 자치주 G3011 (류거 고속공로) 간쑤 성 주취안 시 ~ 칭하이 성 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 G3012 (투허 고속공로) 신장 위구르 자치구 투루판 지구 ~ 신장 위구르 자치구 허톈 지구 G3013 (카이 고속공로) 신장 위구르 자치구 카스 지구 ~ 중국과 키르기스스탄의 국경선 G3014 (쿠이아 고속공로)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이리 카자흐 자치주 ~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이리 카자흐 자치주 G3015 (쿠이타 고속공로)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이리 카자흐 자치주 ~ 신장 위구르 자치구 타청 지구 G3016 (칭이 고속공로)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이리 카자흐 자치주 ~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이리 카자흐 자치주 G36 (닝뤄 고속공로) 장쑤 성 난징 시 ~ 허난 성 뤄양 시 G40 (후산 고속공로) 상하이 시 ~ 산시 성 시안 시 G4011 (양리 고속공로) 장쑤 성 양저우 시 ~ 장쑤 성 창저우 시 G42 (후룽 고속공로) 상하이 시 ~ 쓰촨 성 청두 시 G4211 (닝우 고속공로) 장쑤 성 난징 시 ~ 안후이 성 우후 시 G4212 (허안 고속공로) 안후이 성 허페이 시 ~ 안후이 성 안칭 시 G50 (후유 고속공로) 상하이 시 ~ 충칭 시 G5011 (우허 고속공로) 안후이 성 우후 시 ~ 안후이 성 허페이 시 G56 (항루이 고속공로) 저장 성 항저우 시 ~ 윈난 성 루이리 시 G5611 (다리 고속공로) 윈난 성 다리 시 ~ 윈난 성 리장 시 G60 (후쿤 고속공로) 상하이 시 ~ 윈난 성 쿤밍 시 G70 (푸인 고속공로) 푸젠 성 푸저우 시 ~ 닝샤 후이족 자치구 인촨 시 G7011 (스톈 고속공로) 후베이 성 스옌 시 ~ 간쑤 성 톈수이 시 G72 (취안난 고속공로) 푸젠 성 취안저우 시 ~ 광시 좡족 자치구 난닝 시 G7211 (난유 고속공로) 광시 좡족 자치구 난닝 시 ~ 중국과 베트남의 국경선 G76 (샤룽 고속공로) 푸젠 성 샤먼 시 ~ 쓰촨 성 청두 시 G78 (산쿤 고속공로) 광둥 성 산터우 시 ~ 윈난 성 쿤밍 시 G80 (광쿤 고속공로) 광둥 성 광저우 시 ~ 윈난 성 쿤밍 시 G8011 (카이허 고속공로) 윈난 성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 윈난 성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지역순환선 6개 노선 G91 (랴오중 순환 고속공로) 랴오닝 성 번시 시 ~ 랴오닝 성 푸순 시 G92 (항저우 만 순환 고속공로) 상하이 시 ~ 저장 성 닝보 시 G9211 (용저우 고속공로) 저장 성 닝보 시 ~ 저장 성 저우산 시 G93 (청유 순환 고속공로) 쓰촨 성 청두 시 ~ 충칭 시 ~ 쓰촨 성 청두 시 G94 (주강 삼각주 순환 고속공로) 광둥 성 선전 시 ~ 홍콩 ~ 마카오 ~ 광둥 성 선전 시 G9411 (관포 고속공로) 광둥 성 둥관 시 ~ 광둥 성 포산 시 G98 (하이난 순환 고속공로) 하이난 성 하이커우 시 ~ 하이난 성 싼야 시 ~ 하이난 성 하이커우 시 G99 (타이완 순환 고속공로) 타이완 성 타이베이 시 ~ 타이완 성 가오슝 시 ~ 타이완 성 타이베이 시 (타이완은 중국 대륙의 지배가 미치지 못하므로 서류상으로만 존재) 각주[편집] ↑ Xubo, Liu. Highway development. Archived 2007년 8월 19일 - 웨이백 머신 Ministry of Communication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5 November 2005.MacLeod, Calum. China's highways go the distance. USA TODAY, 29 January 2006.Li, Lin. Expressways being built at frenetic pace. SINA English, 4 April 2006. 외부 링크[편집] (Very Big!!) Map of the 2020 "7918" expressway network from the chinese Ministry of Transport China Motor Way network maps (in English and more compact) vdeh중화인민공화국의 고속도로수도방사선주선 G1 G2 G3 G4 G5 G6 G7 병행선 G4W 남북종관선주선 G11 G15 G25 G35 G45 G55 G65 G75 G85 병행선 G15W 연락선 G1111 G1112 G1113 G1511 G1512 G1513 G1514 G2511 G2512 G2513 G4511 G5511 G5512 G5513 G7511 G8511 동서종관선주선 G10 G12 G16 G18 G20 G22 G30 G36 G40 G42 G50 G56 G60 G70 G72 G76 G78 G80 연락선 G1011 G1211 G1212 G1811 G2011 G2012 G3011 G3012 G3013 G3014 G3015 G3016 G4011 G4211 G4212 G5011 G5611 G7011 G7211 G8011 지역순환선주선 G91 G92 G93 G94 G98 G99(¹) 연락선 G9211 G9411 도시순환선순환선 G0401 G1001 G1101 G1501(푸저우) G1501(광저우) G1501(하이커우) G1501(닝보) G1501(칭다오) G1501(상하이) G1501(선양) G1501(샤먼) G2001(지난) G2001(스자좡) G2001(타이위안) G2001(인촨) G2501(창춘) G2501(항저우) G2501(난징) G2501(선전) G2501(톈진) G3001(란저우) G3001(우루무치) G3001(시안) G3001(정저우) G4001 G4201 G4201 G4501 G5001 G5601 G6001(구이양) G6001(후허하오터) G6001(라싸) G6001(난창) G6001(시닝) G7201 (1) :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타이완 지역에 정하고 있는 명목상의 도로명칭. 타이완의 일반 국도를 참조. vdeh아시아의 고속도로독립국 네팔 대한민국 동티모르[* 1] 라오스 러시아[* 2] 레바논 말레이시아 몰디브 몽골 미얀마 바레인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스리랑카 시리아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아르메니아[* 3] 아제르바이잔[* 2] 아프가니스탄 예멘 오만 요르단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이란 이스라엘 이집트[* 4] 인도 인도네시아[* 5] 일본[* 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지아[* 2]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카자흐스탄[* 2] 카타르 캄보디아 쿠웨이트 키르기스스탄 키프로스[* 3] 타지키스탄 태국 터키[* 2]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필리핀 속령 마카오[* 6] 차고스 제도 [* 7] 티베트[* 8] 동튀르케스탄[* 8] 홍콩[* 6] 미승인 국가 아르차흐 공화국[* 3] 남오세티야[* 2] 북키프로스 압하지야[* 2] ↑ 오세아니아에 속하는 국가로 분류되는 경우도 있다.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일부 영토가 유럽에도 속한다. ↑ 가 나 다 지리적으로는 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문화적 이유로 종종 유럽으로 분류한다. ↑ 일부 영토가 아프리카에도 속한다. ↑ 가 나 일부 영토가 오세아니아에도 속한다. ↑ 가 나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역이다. ↑ 영국령 인도양 지역의 일부이다. ↑ 가 나 나라 목록 206개 국가에 포함되지 않는 나라이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중화인민공화국의_고속도로&oldid=22408464" 분류: 나라별 고속도로중화인민공화국의 고속도로숨은 분류: 중국어 정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간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모호한 표현이 구체적으로 지적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ČeštinaDeutschEnglishEuskaraSuomiFrançaisעברית日本語NederlandsPolskiРусскийไทย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5일 (토) 19:3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중화인민공화국의 고속도로는 중국국가고속공로망(중국어 간체자: 中国国家高速公路网, 정체자: 中國國家高速公路網, 병음: Zhōngguó Guójiā Gāosùgōnglù wǎng 중궈 궈자 가오쑤궁루 왕[*])으로 부른다. 현재 중국은 세계유수의 고속도로망이 정비된 나라 중 하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의 진찌 고속공로의 요금은 1km당 얼마야? Assistant: 0.66위안 Human: 아래 직무유기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직무유기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직무유기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직무유기죄(職務遺棄罪)는 공무원이 정당한 이유 없이 그 직무수행을 거부하거나 그 직무를 유기하는 죄이다. 1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또는 3년 이하의 자격정지에 처한다(대한민국 형법 제122조). 모든 공무원은 '법령을 준수하여 성실히 직무를 수행하여야 한다(국공 56조. 지공 48조)'. 그리고 공무원이 이러한 직무에 위배되는 일을 하였을 때에는 파면(罷免)·감봉(減俸)·견책(譴責)의 징계처분을 받게 되는 것이나(국공 78조), 형법은 더 나아가 이에 대하여 형사상 책임까지도 물을 수 있게 한 것이다. 본죄가 성립하기 위하여는 주관적으로 직무를 버린다는 인식과 객관적으로 직무 또는 직장을 벗어나는 행위가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단순히 직무수행과 관련하여 태만(怠慢)·분망(奔忙)·착각(錯覺) 기타 일신상 또는 객관적인 사정으로 말미암아 부당한 결과를 초래한 것에 불과한 경우에는 직무유기죄는 성립되지 않는다.[1] 목차 1 판례 1.1 직무유기가 성립하는 경우 1.2 직무유기가 성립하지 않는 경우 2 각주 3 같이 보기 판례[편집] 서울 강남경찰서 교통과 팀장 송모씨(54·경위)이 2015년 11월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에서 교통 단속을 할 때 같은 경찰서 동료 경찰관에게서 “논현파출소장 지인이 음주운전에 단속됐으니 알아봐달라”는 부탁을 받고 "음주 혐의로 세워둔 운전자에 대해 음주 측정을 하거나 진술을 받지 않고 보내줬다"는 이유로 기소되어 1심인 서울중앙지법 형사단독 판사는 "동료 경찰관들이 적발한 음주운전 혐의자에 대해 음주측정 등의 조치를 취하지 않고 그대로 순찰차에 태워 귀가하도록 해 자신에게 주어진 가장 중요한 직무를 유기한 것은 경찰공무원의 신분을 유지할 수 없을 정도로 죄질이 불량하다"며 징역 3월에 집행유예 1년을 선고했지만 "형량이 너무 무겁다"며 항소하자 서울중앙지법 형사항소5부(재판장 장일혁 부장판사)가 2017년 6월 30일 "25년 동안 성실히 근무했고 이 사건으로 송씨가 이미 해임됐으며 금전적 대가나 이득을 취한 것이 아니다"는 이유로 벌금 500만원을 선고했다. 피고인 변호사가 박모씨가 몇년 전에 부장판사에서 퇴직한 변호사로 전관예우 논란이 있은 가운데[2]검찰총장은 2017년 9월 18일 대법원에 비상상고를 하였고[3]대법원은 2017년 12월 5일에 벌금형을 파기했지만 피고인에게 미치는 효력은 없다.[4] 직무유기가 성립하는 경우[편집] 경찰관이 불법체류자임을 알면서도 이들의 신병을 출입국관리사무소에 인계하지 않고 본서인 수원중부경찰서 외사계에조차도 보고하지 않고 훈방하면서 이들의 인적 사항조차 기재해 두지 않은 경우[5] 직무유기가 성립하지 않는 경우[편집] 전매공무원인 피고인이 외제담배를 긴급압수한 후 도주한 범칙자를 찾는 데 급급하여 미처 압수수색영장을 신청하지 못한 이 사건에서와 같이 직무수행과 관련하여 태만, 분망, 착각 등 일신상 또는 객관적 사유로 인하여 부당한 결과를 초래한 것에 불과한 경우에는 직무유기죄는 성립하지 않는다.[6] 경찰관이 검사로부터 범인을 검거하라는 지시를 받고서도 그 직무상의 의무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아니하고 오히려 범인에게 전화로 도피하라고 권유하여 그를 도피하게 한 경우 작위범인 범인도피죄만이 성립하고 부작위범인 직무유기죄는 따로 성립하지 아니한다.[7] 행정공무원이 신축건물에 대한 착공 및 준공검사를 마치고 관계서류를 작성함에 있어 그 허가조건 위배사실을 숨기기 위하여 허위의 복명서를 작성, 행사한 경우는 작위범인 허위공문서작성 및 동행사죄만 성립하고 부작위범인 직무유기죄는 따로 성립하지 아니한다.[8] 각주[편집]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직무유기죄〉 ↑ 직무유기 경찰에 법에 없는 벌금형 선고… 대법원 "위법" ↑ 직무유기 경찰관 징역형 아닌 벌금형에… 검찰총장, 비상상고 ↑ [1] ↑ 2005도4202 ↑ 82도1633 ↑ 96도51 ↑ 2002도5004 같이 보기[편집] 공무원의 직무에 관한 범죄 대한민국 형법 제122조 직무유기죄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글은 법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직무유기죄&oldid=20830995" 분류: 법률형법공무원 직무에 관한 죄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법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2월 27일 (화) 11: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직무유기죄(職務遺棄罪)는 공무원이 정당한 이유 없이 그 직무수행을 거부하거나 그 직무를 유기하는 죄이다. 1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또는 3년 이하의 자격정지에 처한다(대한민국 형법 제122조). 모든 공무원은 '법령을 준수하여 성실히 직무를 수행하여야 한다(국가공무원법 56조와 지방공무원법 48조)'. 그리고 공무원이 이러한 직무에 위배되는 일을 하였을 때에는 파면(罷免)·감봉(減俸)·견책(譴責)의 징계처분을 받게 되는 것이나(국가공무원법 78조), 형법은 더 나아가 이에 대하여 형사상 책임까지도 물을 수 있게 한 것이다. 본죄가 성립하기 위하여는 주관적으로 직무를 버린다는 인식과 객관적으로 직무 또는 직장을 벗어나는 행위가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단순히 직무수행과 관련하여 태만(怠慢)·분망(奔忙)·착각(錯覺) 기타 일신상 또는 객관적인 사정으로 말미암아 부당한 결과를 초래한 것에 불과한 경우에는 직무유기죄는 성립되지 않는다. 1988년 대한민국 헌법을 개헌하면서 신설된 헌법재판소에 국민이 직접 청구할 수 있는 헌법소원의 대상에서 말하는 '공권력의 불행사에 의한 기본권 침해를 받은 자'가 발생하지 않게 하여 국민의 정당한 자유와 권리가 보장되어 국민주권주의가 정상적으로 실현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하지만 죄가 있어도 불기소처분할 수 있는 검사의 선택적 기소권 행사와 불기소 처분에 대한 불복 절차인 항고와 법원 재정신청이라는 복잡한 절차와 낮은 인용율로 인하여 제대로 적용되지 않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음주운전 혐의가 있는 사람을 귀가조치함으로 직무유기죄로 징역3월에 집행유예1년을 선고받은 송모경위가 항소하자 벌금 500만원으로 형량을 낮춘 부장판사의 이름은 무엇인가? Assistant: 장일혁 부장판사
Human: 아래 렉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렉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렉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렉스(Rex)는 "왕"을 뜻하는 라틴어 낱말이다. 목차 1 생물학 2 컴퓨터 과학 3 정치 4 인명 4.1 가공의 인물 생물학[편집] 티라노사우루스 렉스(Tyrannosaurus rex) 고양이 품종: 코니시 렉스, 데번 렉스 컴퓨터 과학[편집] REXX: 프로그래밍 언어 정치[편집] 렉스당은 벨기에의 파시즘 정당이다. 인명[편집] 렉스 해리슨: 영국의 배우 렉스 루거: 미국의 프로레슬링선수 DJ 렉스: 대한민국의 힙합 DJ 렉스 틸러슨: 미국의 엔지니어이자 기업가 렉스 린: 미국의 배우 타일러 렉스: 미국의 남자 프로레슬링선수 사이먼 렉스: 미국의 배우 렉스 리: 미국의 배우 렉스 일리오르: 영어의 주니어 렉스 스타우트: 미국의 소설가 가공의 인물[편집] 렉스는 토이스토리의 등장 인물이다. 렉스는 공룡킹 어드벤처의 등장 인물이다. 렉스 루터: DC 코믹스 세계관에 등장하는 슈퍼빌런 이 문서는 명칭은 같지만 대상이 다를 때에 쓰이는 동음이의어 문서입니다.어떤 링크가 이 문서를 가리키고 있다면, 그 링크를 알맞게 고쳐 주세요.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렉스&oldid=23682133" 분류: 동음이의어 문서숨은 분류: 모든 동음이의어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CatalàCebuano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MagyarItaliano日本語Latina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1일 (월) 14: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렉스(Rex)는 "왕", 통치자를 뜻하는 라틴어 낱말이다. 주로 로마 왕정의 왕을 가리킬 때 사용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한국의 DJ렉스는 어떤 분야의 뮤지션인가? Assistant: 대한민국의 힙합 DJ Human: 아래 대전_시티즌_2018_시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전 시티즌 2018 시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전 시티즌 2018 시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전 시티즌 2018 시즌연고지 대전광역시경기장 대전월드컵경기장구단주 이재관[1] (~6/30) 허태정 (7/2~)사장 김호감독 고종수K리그 챌린지 4위 최다득점자 리그: 키쭈 (11골)시즌: 키쭈 (11골) 홈 유니폼 원정 유니폼 ← 2017 2019 → 대전 시티즌 2018 시즌은 대전의 21번째 시즌이자 K리그2에서는 4번째 시즌이다. 대표이사로 과거 팀의 감독이였던 김호가 선임되었고, 원래는 이기범 감독이 대전의 제 11대 감독으로 선임되었으나 팬들의 반발로 무산되면서 고종수 감독이 대전의 11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목차 1 전지 훈련 2 정규 시즌 2.1 겨울 이적시장 (시즌 전) 2.2 시즌 전반기 2.3 여름 이적시장 2.4 시즌 후반기 3 경기 결과 3.1 K리그2 3.2 FA컵 3.3 친선 경기 4 선수단 4.1 선수 명단 4.2 현재 선수 명단 4.3 영구 결번 4.4 코칭스태프 4.5 프로팀 5 선수 이적 5.1 영입 5.2 신인 5.3 방출 5.4 임대 및 군입대 6 관련 항목 7 각주 전지 훈련[편집] 대전 시티즌은 1월 2일부터1월 12일까지 경상남도 통영시로 1차 전지훈련을 떠났으며, 1월 16일부터 2월 6일까지 터키 안탈리아로 2차 전지훈련을 떠났고, 2월 11일부터 2월 24일까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3차 전지훈련을 가졌다. 하지만 전지훈련 용역업체 선정 공고를 통해 선정한 용역업체가 김호 대표 이사의 측근인 K씨가 운영하는 AI스포츠라는 점이 밝혀지면서 논란이 일었다.[2] 또한 2차 전지훈련의 경우 33명만이 터키로 떠났고, 20명은 경남 창녕군에서 훈련 했다. 정규 시즌[편집] 겨울 이적시장 (시즌 전)[편집] 2017년 11월 1일 김호 前 대전 시티즌 감독을 윤정섭 대표 이사의 후임 대표 이사로 선임하였으나 과거 대전 감독 시절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퇴진했고, 최근 용인시축구센터에서 불미스러운 사건에 휘말려있던 인물인 김호의 대표 이사 선임에 많은 팬들이 반발하였으며,[3] 김호 대표 이사와 함께 용인시축구센터 출신인 이기범 신갈고등학교 감독을 신임 감독으로 내정하였지만,[4] 이기범 역시 김호와 마찬가지로 용인시축구센터에서 불미스러운 사건에 휘말려있었고, 프로팀 감독 경력이 전무한 사람일 뿐더러 팬들의 그 어떤 동의없이 이루어진 선임이라는 이유로 감독 선임 문제 역시 팬들의 반발을 샀다.[5] 구단주이자 대전광역시장인 권선택 시장이 시장직을 상실하면서 이재관 시장 권한대행이 대전 시티즌의 구단주 대행이 되었다.[6] 2017년 11월 24일 이기범 감독 선임을 철회하고 前 대전 구단의 선수였던 고종수를 신임 감독으로 선임하였으나,[7] 하지만 이기범이건 고종수건 둘 다 김호의 사람이라는 공통점이 있기에, 고종수 선임 역시 김호가 자기 자신의 말을 잘들을 자기 사람 심기에 불과하다는 것으로밖에는 보이지 않으며, 아무래도 대중에게 많이 알려지지 않았던 이기범보다는 선수 시절 활약이나 이름값이 훨씬 높은 고종수를 선임하면서 이기범 감독 선임으로 좋지 못했던 여론을 무마하려고 하던 것이 아니냐며 팬들로부터 비난을 샀다. 12월 1일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취임식을 통해 고종수 감독이 공식 취임하였으며,[8] 자신을 보좌할 수석 코치로는 과거 수원 삼성 시절 동료있던 김진우 코치를 내정했는데, 이를 두고 대전팬들은 지나치게 많은 수원 삼성 출신 인물들이 대전 구단에서 자리잡는 것이 아니냐며 반발하였으며, 결국 불만을 참지 못한 대전팬들이 대전시티즌 비상대책위원회를 결성하는 사태로 까지 이르렀다.[9] “ 대전시티즌 팬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대저니스타, 대전의아들 대표해 글을 올립니다. 지난 몇 년간 우리는 칼바람이 몰아치는 겨울과 같은 시기를 지내왔습니다. 어느 순간부터 리그 순위를 입에 올리지 않는 게 서로에게 예의처럼 받아들여졌습니다. 시민들은 더 이상 ‘졌지만 잘 싸웠다’는 얘기를 해주지 않았습니다. 홈경기가 열리는 날 경기장에는 이제 더 이상 과거와 같은 활기가 돌지 않습니다. 그렇게 패배는 우리의 일상에 너무 익숙하게 스며들었습니다. 하지만 희망을 놓은 적은 없습니다. 오히려 그럴수록 믿어야만 했습니다. 더 내려갈 데가 없으니 남은 건 다시 올라갈 일뿐이라고. 우린 안 될 거야, 라며 비관론을 입에 올리던 사람들에게 한 방 먹여줄 날이 분명히 있을 거라고. 그때마다 기대는 늘 실망이 되었습니다. 올해도 다르지 않습니다. 아니, 기존의 실망과는 차원이 다른 절망이 이미 다음 시즌을 예약해 놓고 있습니다. 새로운 감독에 대한 소식과 사장선임에 대한 뉴스는 저희를 경악하게 했습니다. 내년엔 올해보다는 나아지리라는 관성적인 희망조차 사치가 돼가고 있습니다. 모두 아시다시피 지금 대전시티즌은 구단 역사상 최악의 상황을 맞고 있습니다. 아니, 이미 최악의 상황입니다. 구단은 성적 부진과, 프런트와의 마찰, 특정 에이전트와의 유착 의혹으로 논란을 일으킨 바 있는 김호 전 감독을 지난달 대전시티즌 대표이사로 선임했습니다. 그가 대전시티즌의 사령탑으로 있던 시절 팀이 어떤 모습으로 추락했는지 우리는 아직 잊지 않았습니다. 그런 그가 프로감독 경력이 전무하고 구단과의 마찰을 일으키며 대전을 떠난 고종수 수원삼성 코치를 대전시티즌의 사령탑으로 선임하고 심지어는 연령별 유소년팀 지도자들이 능력과 인성 모든 면에서 낙제점인 전 감독 후보 이기범과 대표이사, 감독 라인으로 교체될 거라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 촌극이 벌어지는 배경에는 전문성은커녕 축구에 애정조차 없는 대전시 공무원들이 직간접적으로 관여하고 있습니다. 환부는 이미 곪아 터졌지만, 적폐는 개선되지 않았습니다. 패배가 익숙해지고 시민들의 관심에서 멀어질수록 과거의 폐단들은 최소한의 상식조차 잊은 채 버젓이 구단을 망가뜨릴 것입니다. 그로 인해 이득을 볼 사람들이 누군지 우리는 이미 알고 있습니다. 이 글을 읽고 불편해할 사람들이 누군지 우리는 이미 알고 있습니다. 지금 방향대로 대전시티즌이 또 새해를 맞이한다면, 그렇다면, 이제는 희망을 입에 올릴 수조차 없게 될지 모릅니다. 그다음엔 구단의 존폐를 입에 올려야 할지 모릅니다. 변화가 없다면 절망은 예정대로 우리를 맞이할 것입니다. 대전 팬들에게 말씀드립니다. 어디서 어떤 방법으로든 시티즌을 사랑하시는 모든 분의 참여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중지를 모아야 할 때입니다. 모든 대전 팬들이 함께 모여서 힘을 합치자고 감히 제안 드립니다. 정상화 방안을 모색하고 논의합시다. 대전시티즌 정상화를 위하여 다양한 방안들에 대한 고견을 듣고자 합니다. 구단운영에 간섭하여 현 상태를 만든 대전시문체부 담당자들에 대한 법적 대응, 사장의 퇴진운동, 유소년 문제 등 팀을 위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방안들을 함께 논의합시다. 누구든 좋습니다. 어디라도 좋습니다. 대저니스타와 대전의아들 두 단체에서 시작하여 진행하지만 퍼플크루와 일반 팬들의 동참 역시 부탁드립니다. 간절히 기다리겠습니다. 대저니스타와 대전의아들은 모임 개최를 맡는 것으로 소임을 다하기로 뜻을 모았습니다. 모임을 지속적으로 이어가는 데 필요한 집행 및 운영 조직 구성은 참여하신 모임이나 팬들 중에서 선출, 지원을 통해 이뤄지길 바랍니다. 대저니스타와 대전의아들은 모임의 참여자로서 함께 해나가겠습니다.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대전시티즌 모든 팬의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는 단체가 되길 바랍니다. 현 추진 중인 모임의 가칭은 ‘대전시티즌 비상대책위원회’로 정한 상황입니다. 이 글을 확인하시는 어떠한 커뮤니티나 SNS상에라도 댓글로 관심을 표해주시기 바랍니다. 관심이 모아진다면 추후 다시 공지하여 오프라인 모임을 빠른 시일 내로 개최하도록 하겠습니다. (EX. 모인다면 참석하고 싶다. 나의 의견은 어떻다. 한다면 언제 어디서 하는 게 좋겠다. 등등의 답글을 남겨주세요) 이 모임에 대해 고견이 있으시거나, 지난 김호 감독체제에서의 어떤 한 부정한 일이라도 알고 계시다면 fdt.taejon@gmail.com 로 메일 주시기 바랍니다. 이번이 정말 마지막이라고 생각합니다. 적어도 우리에게는 그렇습니다. 우리 모두 단결합시다! 우리들의 팀을 지키기 위해! 대저니스타, 대전의아들 일동 ” 또 업친데 덥친격으로 대전시티즌 구단이 새롭게 꾸려가는 과정에서 새 사무국장 내정설이 돈 것은 물론 사무국장 신규 채용공고를 특정 구인사이트에만 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논란이 일었다.[10] 12월 16일 김진규가 은퇴를 선언하고 광주 FC 코치로 부임한다고 보도되었으나,[11] 이에 김진규는 처음 듣는 이야기라며 코치 부임설을 일축하였다.[12] 12월 19일 한국프로축구연맹이 FA 취득 선수 명단을 공지하였으며, 대전은 김해식, 김태봉, 김태은, 이현승, 황지웅, 문진용 김기용, 김성수, 조상범 총 9명의 선수가 취득하였으며, 그 중 황지웅과 김태봉, 김해식 FA 보상금이 발생하게 된다. 12월 22일 브라질 용병 페드루 엔히키 지 산타나 아우메이다를 영입하였다.[13] 하지만 영입 과정에서 선수의 나이를 잘못 보도하며 구설수에 오르기도 하였다.[14] 12월 26일 우선지명과 자유선발로 김세윤과 이지솔, 문용휘를 영입하였다.[15] 12월 27일 우선지명으로 KC대학교의 공격수 유해성을 영입하였다.[16] 12월 29일 포항 스틸러스로부터 골키퍼 김진영을 영입하였다.[17] 12월 31일 부천 FC 1995로부터 올림픽 대표팀 수비수 고명석을 영입하였다.[18] 2018년 1월 2일 이영창이 자신의 SNS를 통해 부천 FC 1995 이적을 밝혔다. 1월 3일 김태은과 이현승이 각각 대전 입단 전 소속팀이였던 부천 FC와 서울 이랜드에 재입단하였으며,[19][20] 이영익 前 감독은 경남 FC의 수석 코치로 재부임하였다.[21] 1월 4일 성남 FC로부터 외국인 공격수 필리프 흘로호우스키를 영입하였다.[22] 1월 5일 골키퍼 전수현이 FC 안양으로 이적하였다.[23] 1월 5일 김호 사장이 대전에서 2018시즌까지 뛰는 것으로 계약을 연장했던 브루노에게 방출 통보를 날리고 일방적으로 계약을 파기하면서 이에 브루노 측은 FIFA의 선수 보호 규정에도 어긋나는 행동이라며 반발해 FIFA에 제소를 비롯해 계약된 올 시즌까지의 잔여 연봉을 요구할 것임을 밝히면서 논란이 일었다.[24] 1월 8일 제주 유나이티드와 수원 삼성, 강원 FC로부터 박수창과 고민성, 백종환을 영입하였다.[25][26] 1월 9일 조상범이 자유 계약으로 수원 FC로 이적하였으며,[27] 전남 드래곤즈에서 임민혁과 김성주를 임대로, 대구 FC에서 조귀범을 자유 계약으로 영입하였다.[28] 1월 11일 대전 시티즌 주장 출신 안상현을 성남 FC로부터 장준영과 트레이드로 재영입하였으며,[29] 인천 유나이티드와의 트레이드도 감행하여 이호석을 내주고 박명수를 영입하였다.[30] 1월 12일 성남 FC로부터 오장은과 안재준을 영입하였다.[31] 광주 FC 코치 부임설이 나돌던 김진규가 은퇴를 선언하고 오산고등학교 코치로 부임하였었다. 1월 15일 신갈고등학교 출신 신인 안주형과 김성익을 영입하였다.[32] 1월 18일 김승섭, 강수병 등 신인 선수 7명에 이준호, 강한빛 등 K3리그 출신 선수까지 총 9명을 영입하였지만,[33] 50명 넘는 수준의 지나치게 큰 선수단 규모로 팬들의 우려를 낳았으며, 또한 일부 선수들에게 지난해 12월 중순부터 계약 해지를 강요하고 숙소 입소와 훈련 등에 배재하면서 7,8명의 대전 선수들이 한국프로축구선수협회에 제소를 하면서 또다시 구설수에 올랐다.[34] 2018시즌 팀의 주장으로는 오장은, 부주장으로는 안상현이 선임되었다.[35]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축구단으로 지난해 반년간 임대를 떠났던 김정주가 강릉시청 축구단으로 이적하였다.[36] 2월 9일 대전시티즌 비상대책위원회가 대전시티즌 정상화 추진위윈회로 단체명을 변경하고 김호와 고종수의 과거 사건을 비롯한 논란에 대한 해명을 요구하는 소명 요청서를 서면으로 제출하며 본격적으로 단체 행동에 돌입하였다.[37][38] 김해식과 황지웅이 자유 계약으로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축구단으로 이적하였다.[39] 2월 15일, 구단 측의 일방적인 계약 해지 논란이 있었던 브루노가 결국 FC 안양으로 이적했다.[40] 대전 시티즌이 팀의 2군 감독인 이기범 감독의 아들인 이지호를 영입했다는 사실이 밝혀지며 논란이 일었다.[41] 시즌 전반기[편집] 3월 3일 부천 FC와의 리그 개막전에서 대전은 윌리앙 포프에게 선취골을 허용했지만, 이후 프리킥에서 윤준성이 동점골을 성공시키며 승부를 원점으로 되돌렸지만, 후반 막판 집중력과 체력 저하의 한계를 드러내며 추가골을 허용, 1:2로 패했다.[42] 한편 이날 경기에서 대전팬들은 응원을 하지 않는 보이콧과 동시에 "수원 레전드", "간담회를 개최하라" "이런 팀을 응원할 수 없다." 등의 김호를 비판하는 내용의 현수막도 내걸었다.[43] 이기범 2군 감독의 아들인 이지호가 대전 시티즌에 입단하면서 구설수에 올랐다.[44] 3월 7일 분데스리가 TSG 1899 호펜하임으로부터 박인혁을 영입하였다.[45] 3월 11일 안산 그리너스 FC와의 원정 경기에서는 상대가 2명이나 퇴장당했음에도 수적 우위를 전혀 살리지 못하면서 후반 막판 극장골을 허용, 2:3로 패하며 리그 2연패를 기록하였다.[46] 3월 17일 분요드코르로부터 미드필더 쇼흐루흐 가도예프를 영입하였다.[47] 3월 18일 서울 이랜드와의 홈경기에서 대전은 상대가 2명이나 퇴장당하는 수적 우위 속에 페드로의 패널티킥을 앞세워 1:0 승리를 거두면서 고종수 감독은 데뷔승을 거두었다.[48] 한편 이날 경기 역시 대전 팬들은 3경기 연속으로 응원을 하지 않는 보이콧과 동시에 대전 구단을 비판하는 내용의 현수막을 내걸었다.[49] 3월 25일 부산 아이파크와의 홈경기에서 대전은 골키퍼 김진영이 퇴장당하는 수적 열세 속에 1:0 패배를 거두었다.[50] 3월 28일 탄천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성남 FC와의 FA컵 3라운드 경기서 대전은 무랄랴에게 선취골을 실점하며 1:0 패배, FA컵에서 탈락했다.[51] 3월 30일 루마니아 국적의 아우렐리안 키추를 영입하였다.[52] 4월 1일 광주 FC와의 원정 경기서 대전은 상대가 1명 퇴장당하는 수적 우위 속에 쇼흐루흐 가도예프의 골을 앞세워 1:0 승리를 거두었다.[53] 4월 7일 FC 안양과의 원정 경기에서 대전은 전반에 선취골을 허용했지만, 이후 상대가 1명 퇴장당하는 수적 우위 속에 박수창의 골을 앞세워 1:1 무승부를 거두었다.[54] 4월 14일 아산 무궁화 FC와의 홈경기서 대전은 아산과 팽팽히 맞섰고, 김승섭이 프로 데뷔골까지 성공시켰지만 2:1로 패했다.[55] 한편 이날 경기 종료 후에는 김호 대표 이사가 심판에게 욕설을 퍼붙고 심판실에 난입해 고성을 질렀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또다시 논란이 일었고,[56] 대전 구단은 제재금 2000만원 징계를 받게 되었다. 4월 21일 성남 FC와의 홈경기서 대전은 전반에 패널티킥을 내주며 끌려갔지만, 후반 들어 키쭈가 K리그 데뷔골을 성공시키며 승부를 원점으로 되돌렸지만, 후반 막판 패스 미스를 범하며 추가골을 내주면서 2:1로 패했다.[57] 한편 이날 경기에서는 대전 팬들이 김호의 2000만원 제재금 징계에 대해 항의하는 내용의 옷을 입으며 대전 구단의 혈세 낭비를 강하게 비판하기도 하였다.[58] 4월 29일 수원 FC와의 원정 경기서 대전은 후반들어 박재우의 2어시스트를 바탕으로 한 박인혁과 쇼흐루흐 가도예프의 골을 앞세워 2:1 승리를 거두었다.[59] 5월 12일 FC 안양과의 홈 경기서 대전은 가도에프의 멀티골과 키쭈의 골을 앞세워 3:2 승리를 거두며 시즌 첫 연승을 거두었다.[60] 5월 19일 아산 무궁화 FC와의 원정 경기서 대전은 김진영의 슈퍼 세이브와 안상현의 골을 앞세워 1:0 승리를 기록, 3연승을 거두었다.[61] 여름 이적시장[편집] 5월 부진한 활약을 보여주던 페드로가 대전 구단과의 계약을 해지하였다. 시즌 후반기[편집] 경기 결과[편집] K리그2[편집] 1 2018년 3월 3일 대전 시티즌 1:2 부천 FC 1995 대전월드컵경기장   15:00 윤준성  34' 포프  13' 공민현  85' 관중 수: 2,172 심판: 서동진 MVP: 공민현 2 2018년 3월 11일 안산 그리너스 FC 3:2 대전 시티즌 안산와~스타디움   15:00 이건  11' 박준희  66' 장혁진  90' 박수창  9' (PK) 세쿠 코네  52' (OG) 관중 수: 5,532 3 2018년 3월 18일 대전 시티즌 1:0 서울 이랜드 대전월드컵경기장   15:00 페드로  76' (PK) 관중 수: 1,158 심판: 김영수 4 2018년 3월 25일 대전 시티즌 0:1 부산 아이파크 대전월드컵경기장   15:00 이동준  10' 관중 수: 1,197 심판: 최영호 5 2018년 4월 1일 광주 FC 0:1 대전 시티즌 광주월드컵경기장   15:00 가도에프  61' 관중 수: 874 6 2018년 4월 7일 FC 안양 1:1 대전 시티즌 안양종합운동장   15:00 정희웅  19' 박수창  83' 관중 수: 405 7 2018년 4월 14일 대전 시티즌 1:2 아산 무궁화 FC 대전월드컵경기장   15:00 김승섭  32' 김민균  22' 허범산  82' 관중 수: 418 8 2018년 4월 21일 대전 시티즌 1:2 성남 FC 대전월드컵경기장   15:00 정성민  26' (PK)서보민  86' 키쭈  57' 관중 수: 587 9 2018년 4월 29일 수원 FC 1:2 대전 시티즌 수원종합운동장   16:00 마테우스  90+4' 박인혁  48'가도에프  53' 관중 수: 2,375 10 2018년 5월 12일 대전 시티즌 3:2 FC 안양 대전월드컵경기장   15:00 가도에프  29',  49'키쭈  45+1' 알렉스  46',  90+2' (PK) 관중 수: 956 11 2018년 5월 19일 아산 무궁화 FC 0:1 대전 시티즌 이순신종합운동장   19:00 안상현  49' 관중 수: 1,427 12 2018년 5월 26일 성남 FC v 대전 시티즌 탄천종합운동장   19:00 13 2018년 6월 3일 대전 시티즌 v 광주 FC 대전월드컵경기장   19:00 14 2018년 6월 6일 대전 시티즌 v 안산 그리너스 FC 대전월드컵경기장   19:30 15 2018년 6월 9일 부천 FC 1995 0:2 대전 시티즌 부천종합운동장   19:00 박인혁01' 박인혁41' 관중 수: 1,082 MVP: 박인혁 16 2018년 7월 1일 부산 아이파크 v 대전 시티즌 구덕종합운동장   19:00 17 2018년 7월 9일 대전 시티즌 v 수원 FC 대전월드컵경기장   19:30 18 2018년 7월 14일 아산 무궁화 FC v 대전 시티즌 이순신종합운동장   19:00 19 2018년 7월 22일 대전 시티즌 v 성남 FC 대전월드컵경기장   19:00 20 2018년 7월 28일 서울 이랜드 v 대전 시티즌 잠실올림픽주경기장   19:00 21 2018년 8월 4일 대전 시티즌 v 광주 FC 대전월드컵경기장   19:00 22 2018년 8월 11일 FC 안양 v 대전 시티즌 안양종합운동장   19:00 23 2018년 8월 15일 서울 이랜드 v 대전 시티즌 잠실올림픽주경기장   19:00 24 2018년 8월 20일 부천 FC 1995 v 대전 시티즌 부천종합운동장   19:30 25 2018년 8월 26일 대전 시티즌 v 안산 그리너스 FC 대전월드컵경기장   19:00 26 2018년 9월 3일 대전 시티즌 v 수원 FC 대전월드컵경기장   19:30 27 2018년 9월 8일 부산 아이파크 v 대전 시티즌 구덕종합운동장   19:00 28 2018년 9월 15일 대전 시티즌 v 서울 이랜드 대전월드컵경기장   19:00 29 2018년 9월 23일 광주 FC v 대전 시티즌 광주월드컵경기장   15:00 30 2018년 9월 29일 안산 그리너스 FC v 대전 시티즌 안산와~스타디움   15:00 31 2018년 10월 6일 대전 시티즌 v 아산 무궁화 FC 대전월드컵경기장   15:00 32 2018년 10월 13일 수원 FC v 대전 시티즌 수원종합운동장   15:00 33 2018년 10월 21일 대전 시티즌 v 부산 아이파크 대전월드컵경기장   15:00 34 2018년 10월 27일 성남 FC v 대전 시티즌 탄천종합운동장   15:00 35 2018년 11월 3일 대전 시티즌 v 부천 FC 1995 대전월드컵경기장   15:00 36 2018년 11월 11일 대전 시티즌 v FC 안양 대전월드컵경기장   14:00 FA컵[편집] 3라운드 2018년 3월 28일 성남 FC 1:0 대전 시티즌 탄천종합운동장   19:30 무랄랴  56' 관중 수: 885 심판: 송민석 친선 경기[편집] 선수단[편집] 선수 명단[편집] 현재 선수 명단[편집] 번호 국적 이름 입단 연도 전 소속팀 군대 골키퍼 1 김진영 2018 포항 스틸러스 미필 31 문용휘 2018 신인 미필 36 임민혁 2018 전남 드래곤즈 미필 62 한호동 2018 더스파구사쓰 군마 미필 90 박주원 2013[62] 신인 군필 92 박준혁 2018 성남 FC 군필 수비수 2 김예성 2018 신인 미필 3 황재훈 2018 수원 FC 군필 4 윤준성 2015[63] 포항 스틸러스 군필 5 권영호 2018 후지에다 MYFC 미필 6 안재준 2018 성남 FC 군필 15 조귀범 2018 대구 FC 미필 22 윤신영 2017 레노파 야마구치 군필 23 전상훈 2017 경남 FC 군필 24 황재원 2018 대구 FC 면제 25 고명석 2018 부천 FC 1995 미필 26 박재우 2015 신인 미필 34 박명수 2018 인천 유나이티드 미필 35 조태근 2018 이스턴 SC 면제 38 장원석 2017 제주 유나이티드 군필 44 이지솔 2018 신인 미필 48 강수병 2018 신인 미필 51 윤경보 2018 신인 미필 52 황재정 2017 신인 미필 57 김성훈 2018 신인 미필 66 박수일 2018 김해시청 미필 77 백종환 2018 강원 FC 군필 미드필더 7 오장은 2018 성남 FC 면제 13 신학영 2017 경남 FC 미필 17 고민성 2018 수원 삼성 블루윙즈 미필 20 안상현 2018 성남 FC 군필 27 키쭈 2018 FC 비토룰 콘스탄차 해당 없음 28 김민성 2018 신인 미필 30 가도예프 2018 분요드코르 해당 없음 39 조예찬 2016[64]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미필 41 강윤성 2018 신인 미필 42 공용훈 2017[65] 김해시청 미필 46 김성익 2018 신인 미필 49 박태현 2018 서울 유나이티드 미필 96 황인범 2015[66] 신인 군필[67] 공격수 8 박수창 2018 제주 유나이티드 군필 9 뚜르스노프 2018 분요드코르 해당 없음 11 김승섭 2018 신인 미필 12 강한빛 2018 화성 FC 미필 14 유해성 2018 신인 미필 16 박대훈 2016 신인 미필 19 김찬희 2017 포천 시민축구단 군필 32 유진석 2018 포천 시민축구단 미필 33 김성주 2018 전남 드래곤즈 미필 40 남윤재 2015[68]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미필 43 김세윤 2018 신인 미필 45 안주형 2018 신인 미필 50 이준호 2018 청주City FC 미필 53 임준식 2016 신인 미필 54 안동민 2018 신인 미필 64 박인혁 2018 TSG 1899 호펜하임 미필 65 송인학 2018 신인 미필 88 이건철 2018 제주 유나이티드 미필 시즌 중 이적 9 정민우 2017 수원 FC 미필 10 필립 2018 성남 FC 해당 없음 55 이지호 2018 신인 미필 56 서정호 2018 신인 미필 91 페드로 2018 ACS 폴리 티미쇼아라 해당 없음 2018 시즌 종료 당시 기준 영구 결번[편집] 번호 포지션 국적 이름 헌정 기간 18 FW 김은중 18년 (2016-2034) 21 GK 최은성 21년 (2012-2033) 코칭스태프[편집] 프로팀[편집] 직위 이름 부임연도 구단주 허태정 2018 대표 이사 김호 2018 사무국장 권헌규 2018 감독 고종수 2018 수석 코치 김진우 2018 스카우트 김영근 2014 박철 2017 이정래[69] 2018 2군 감독 이기범 2018 2군 코치 황연석 2018 피지컬 코치 디노 2018 선수 이적[편집] 영입[편집] # 이름 포지션 이적 구단 이적 유형 이적 시기 1 김정주 FW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임대 복귀 겨울 이적시장 2 남윤재 FW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임대 복귀 겨울 이적시장 3 조예찬 MF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임대 복귀 겨울 이적시장 4 공용훈 MF 김해시청 임대 복귀 겨울 이적시장 5 페드로 FW ACS 폴리 티미쇼아라 자유 계약 겨울 이적시장 6 김진영 GK 포항 스틸러스 완전 영입 겨울 이적시장 7 고명석 DF 부천 FC 1995 완전 영입 겨울 이적시장 8 필립 DF 성남 FC 완전 영입 겨울 이적시장 9 박수창 MF 제주 유나이티드 완전 영입 겨울 이적시장 10 고민성 MF 수원 삼성 임대 겨울 이적시장 11 백종환 DF 강원 FC 완전 영입 겨울 이적시장 12 조귀범 FW 대구 FC 완전 영입 겨울 이적시장 13 임민혁 GK 전남 드래곤즈 임대 겨울 이적시장 14 김성주 MF 전남 드래곤즈 임대 겨울 이적시장 15 안상현 MF 성남 FC 트레이드 겨울 이적시장 16 박명수 DF 인천 유나이티드 트레이드 겨울 이적시장 17 오장은 MF 성남 FC 완전 영입 겨울 이적시장 18 안재준 DF 성남 FC 완전 영입 겨울 이적시장 19 강한빛 FW 화성 FC 완전 영입 겨울 이적시장 20 이준호 MF 청주City FC 완전 영입 겨울 이적시장 21 유진석 FW 포천 시민축구단 완전 영입 겨울 이적시장 22 박태현 DF 서울 유나이티드 완전 영입 겨울 이적시장 23 조태근 DF 이스턴 SC 자유 계약 겨울 이적시장 24 권영호 DF 후지에다 MYFC 자유 계약 겨울 이적시장 25 한호동 GK 더스파구사쓰 군마 완전 영입 겨울 이적시장 26 박인혁 FW TSG 1899 호펜하임 완전 영입 겨울 이적시장 27 가도에프 MF 분요드코르 완전 영입 겨울 이적시장 28 키쭈 MF FC 비토룰 콘스탄차 완전 영입 겨울 이적시장 29 박준혁 GK 성남 FC 자유 게약 여름 이적시장 30 이건철 FW 제주 유나이티드 임대 여름 이적시장 31 뚜르느소프 MF 알카라이티야트 SC 완전 영입 여름 이적시장 신인[편집] # 이름 포지션 이전 구단 지명 유형 비고 1 김세윤 FW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우선 지명 2 최재원 GK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우선 지명 대학 진학 3 이태극 DF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우선 지명 대학 진학 4 변승환 MF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우선 지명 대학 진학 5 고범준 MF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우선 지명 대학 진학 6 박지호 FW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우선 지명 대학 진학 7 홍유진 DF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우선 지명 대학 진학 8 김현진 MF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우선 지명 대학 진학 9 이지솔 DF 언남고등학교 자유 선발 10 문용휘 GK 용인대학교 자유 선발 11 유해성 FW KC대학교 자유 선발 12 안주형 FW 신갈고등학교 자유 선발 13 김성익 MF 신갈고등학교 자유 선발 14 김승엽 FW 경희대학교 자유 선발 15 강수병 DF 언남고등학교 자유 선발 16 김민성 FW 언남고등학교 자유 선발 17 윤경보 DF 호남대학교 자유 선발 18 김예성 DF 광주대학교 자유 선발 19 안동민 Fw 신평고등학교 자유 선발 20 이지호 Fw 예원예술대학교 자유 선발 방출[편집] # 이름 포지션 이적 구단 이적 유형 이적 시기 1 레반 FW AFC 튀비즈 임대 복귀 겨울 이적시장 2 이영창 GK 부천 FC 1995 완전 이적 겨울 이적시장 3 김태은 DF 서울 이랜드 자유 계약 겨울 이적시장 4 이현승 FW 부천 FC 1995 자유 계약 겨울 이적시장 5 김태봉 DF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자유 계약 겨울 이적시장 6 김해식 DF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자유 계약 겨울 이적시장 7 김기용 GK 화성 FC 자유 계약 겨울 이적시장 8 조상범 MF 수원 FC 자유 계약 겨울 이적시장 9 황지웅 FW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자유 계약 겨울 이적시장 10 문진용 DF 강릉시청 자유 계약 겨울 이적시장 11 김성수 MF 청주 FC 자유 계약 겨울 이적시장 12 크리스찬 FW 자유 계약 겨울 이적시장 13 김진규 DF 은퇴 겨울 이적시장 14 전수현 GK FC 안양 자유 계약 겨울 이적시장 15 장준영 DF 성남 FC 트레이드 겨울 이적시장 16 이호석 FW 인천 유나이티드 트레이드 겨울 이적시장 17 김정주 FW 강릉시청 완전 이적 겨울 이적시장 18 김대열 MF 천안시청 자유 계약 겨울 이적시장 19 브루노 FW FC 안양 자유 계약 겨울 이적시장 20 박우정 DF 강릉시청 자유 계약 겨울 이적시장 21 페드로 FW 사나트 나프트 자유 계약 여름 이적시장 22 정민우 FW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완전 이적 여름 이적시장 23 서정호 FW 자유 계약 여름 이적시장 24 한의권 FW 수원 삼성 블루윙즈 완전 이적 여름 이적시장 25 이지호 FW 제주 유나이티드 자유 계약 여름 이적시장 26 필립 FW FO ŽP 슈포르트 포드브레조바 자유 계약 여름 이적시장 임대 및 군입대[편집] # 이름 포지션 임대 구단 이적 시기 임대 기간 1 박주원 GK 아산 무궁화 겨울 이적시장 21개월 2 황인범 MF 아산 무궁화 겨울 이적시장 21개월 관련 항목[편집] 대전 시티즌 각주[편집] ↑ 대전광역시장 권한대행 ↑ “대전시티즌 김호 사장, K 씨와 '유착'”. 대전 뉴스. 2017년 12월 18일.  ↑ 구창민 (2017년 11월 6일). “김호 대전시티즌 대표이사 취임, 지역축구계 우려 빗발”. 중도일보.  ↑ 한준 (2017년 11월 1일). “대전 시티즌, ‘전설’ 김호 대표이사 내정…감독은 이기범”. SPOTV NEWS.  ↑ 윤희섭 (2017년 11월 8일). “팬들 “대전시티즌 감독선임 소통해야”… 이기범 신갈고 감독 하마평”. 충청투데이.  ↑ “권선택 역대 대전시장 가운데 '최초' 중도 낙마”. MBN 뉴스. 2017년 11월 14일.  ↑ 박찬준 (2017년 11월 24일). “고종수, 대전 감독 내정 '김호 대표와 8년만의 재회'”. 스포츠조선.  ↑ 김진엽 (2017년 12월 1일). “고종수 취임식, 고종수 감독, “대전 클래식 승격이 최우선 목표”. 스포탈코리아.  ↑ 대전시티즌 비상대책위원회 ↑ 윤희섭 (2017년 12월 6일). “대전시티즌 사무국장 채용문제 ‘시끌’”. 충청투데이.  ↑ 남장현 (2017년 12월 16일). “광주FC, 박진섭 감독-김진규 코치 확정…코치진 인선완료!”. 스포츠동아.  ↑ 김현회 (2017년 12월 16일). “‘광주 코치설’ 김진규, “처음 듣는 이야기… 현역 이어가고파”!”. 스포츠니어스.  ↑ 이상필 (2017년 12월 22일). “대전시티즌, 브라질 공격수 페드로 영입”. 스포츠 투데이.  ↑ 서동영 (2017년 12월 22일). “새 외국인선수 나이도 틀리게 발표한 대전”. 축구저널.  ↑ 김우종 (2017년 12월 26일). “'고종수호' 대전, 미래 밝힐 김세윤·이지솔·문용휘 영입”. 스타뉴스.  ↑ 박수진 (2017년 12월 27일). “'고종수호' 대전, 신인 FW 유해성 추가 영입”. 스타뉴스.  ↑ 김우종 (2017년 12월 29일). “'고종수호' 대전, '前포항 195cm GK' 김진영 영입”. 스타뉴스.  ↑ 이균재 (2017년 12월 31일). “대전, 중앙 수비수 고명석 영입”. OSEN.  ↑ 김성진 (2018년 1월 3일). “이현승, 3년 만에 부천 재입단”. 스포탈코리아.  ↑ 박상경 (2018년 1월 3일). “서울 이랜드, DF 김태은 재영입”. 스포츠조선.  ↑ 정성인 (2018년 1월 3일). “경남FC, 클래식 걸맞게 코치 구성도 탄탄하게”. 경남도민일보.  ↑ 박수진 (2018년 1월 4일). “'고종수호' 대전, 슬로바키아 출신 FW 홀로홉스키 영입”. 스타뉴스.  ↑ 송치훈 (2018년 1월 5일). “FC안양, 대전서 GK 전수현 FA 영입”. 스포츠동아.  ↑ 김호 사장의 독불장군식 운영, 혈세 낭비 자초 ↑ 이균재 (2018년 1월 8일). “대전, 미드필더 박수창-고민성 영입”. OSEN.  ↑ 윤승재 (2018년 1월 8일). “베테랑 수비수 백종환, 고종수 품에 안겼다”. STN.  ↑ 박주성 (2018년 1월 9일). “수원FC, 대전서 멀티 플레이어 조상범 영입”. 인터풋볼.  ↑ 김달호 (2018년 1월 9일). “대전시티즌, 임민혁·김성주 임대, 조귀범 영입”. 대전일보.  ↑ 이균재 (2018년 1월 11일). “대전, 트레이드로 베테랑 MF 안상현 영입”. OSEN.  ↑ “인천UTD, 측면 공격수 이호석 영입…박명수와 맞트레이드”. 인천유나이티드. 2018년 1월 11일.  ↑ 윤승재 (2018년 1월 12일). “'베테랑 폭풍 영입' 대전, 오장은-안재준 영입”. STN.  ↑ 이형주 (2018년 1월 15일). “'고종수호' 대전, 박명수‧김성익‧안주형 영입”. STN.  ↑ 송치훈 (2018년 1월 18일). “대전시티즌, 2018시즌 신인선수 9명 영입”. 스포츠동아.  ↑ 박찬준 (2018년 1월 19일). “'김 호-고종수 체제' 대전, 이번엔 선수계약 문제로 '구설'”. 스포츠조선.  ↑ 김유미 (2018년 1월 22일). “대전 시티즌, 2018시즌 주장 오장은·부주장 안상현”. 베스트일레븐.  ↑ 장영우 (2018년 1월 23일). “전력보강 강릉시청 새 시즌 키워드는 '명예회복'”. 한국실업축구연맹.  ↑ 금상진 (2018년 2월 8일). “대전시티즌 팬 본격 단체행동 돌입, 시티즌 정상화 요구”. 중도일보.  ↑ 지상현 (2018년 2월 9일). “대전시티즌 팬들, 김호향해 11대 의혹 해명요구”. 디트뉴스.  ↑ 장영우 (2018년 2월 9일). ““2018시즌 기대하세요!” 8개 구단 2차 전지훈련 한창”. 내셔널리그.  ↑ 김진엽 (2018년 2월 15일). “FC안양, 대전시티즌에서 브라질 FW 브루노 영입”. 스포탈코리아.  ↑ 대전시티즌, 감독 아들과 계약 ↑ 승격 노리는 부천, 끈적한 고종수의 대전보다 강했다 ↑ 대전시티즌 팬들, 개막전 '현수막 게릴라 시위' ↑ 대전시티즌, 감독 아들과 계약 ↑ [http://sports.new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382&aid=0000630126 대전시티즌, 분데스리가 호펜하임 출신 공격수 박인혁 영입 ↑ 대전시티즌 9명이 싸운 안산에 2-3역전패 ↑ 대전시티즌, 우즈베키스탄 국가대표 출신 MF 가도에프 영입 ↑ '초보 사령탑' 고종수 대전 시티즌 감독, 2연패 끝 첫 승 ↑ 성난 대전시티즌 팬들, 3경기째 게릴라 시위 ↑ 대전시티즌 부산에 아쉬운 0-1패배, 2연승 실패 ↑ '대전 격파' 성남, 166일만에 짜릿한 홈 승리 ↑ 대전 시티즌, 루마니아 출신 미드필더 키쭈 영입 ↑ 대전, 광주 원정서 1-0 승… 6위로 상승 ↑ 대전시티즌 안양과 1-1무승부, 승점1점 추가로 리그5위로 올라 ↑ 대전시티즌 강팀 아산에 잘 싸웠으나 1-2 아쉬운 패배 ↑ 김호 대표, 심판 대기실 난입 밀치고.폭언… 축구 원로의 막무가내 판정 불복 ↑ 집중력 부족했던 대전시티즌, 성남에 1-2패배 ↑ ‘김호 사퇴’ 외치는 대전 서포터스 ↑ 대전시티즌, 박인혁 데뷔골로 수원FC 2-1로 제압 ↑ http://www.sportalkorea.com/news/view.php?gisa_uniq=2018051216474308&section_code=10&cp=se&gomb=1 '가도에프 2골' 대전, 안양에 3-2 승...시즌 첫 연승] ↑ '안상현 결승골' 대전, 아산에 1-0 승...3연승+5위 등극 ↑ 군 복무 기간 제외 ↑ 군 복무 기간 제외 ↑ 임대 기간 제외 ↑ 임대 기간 제외 ↑ 군 복무 기간 제외 ↑ 2018 아시안게임 금메달 획득에 따른 조기 전역 ↑ 임대 기간 제외 ↑ 공식 직함은 스카우트지만 사실상 골키퍼 코치 역할 수행 vdeh대전 시티즌 창단: 1997년 연고: 대전광역시 구단 역사 선수 감독 유소년클럽 U-18 U-15 U-12 시즌 통계 현재 시즌 홈 구장 한밭종합운동장 (1997년~2002년) 대전월드컵경기장 (2001년~현재) 훈련장 덕암축구센터 친선경기 It's Daejeon 축구대회 미디어 CMB 대전방송 관련 항목 대전광역시 퍼플 크루 대저니스타 시즌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영구결번 18-김은중 21-최은성 우승 K리그 챌린지 2014 FA컵 2001 웹사이트: dcfc.co.kr vdeh 2018년 대한민국 축구 « 2017 2019 » 국내 리그 K리그 K리그1 (경기 결과) K리그2 R리그 승강PO 이적시장 내셔널리그 챔피언십 K3리그 어드밴스 K3리그 베이직 WK리그 국내 컵 FA컵 결승전 내셔널축구선수권대회 챌린저스 컵 유소년 대학 리그 K리그 주니어 전국 초중고 축구리그 고등 중등 초등 아시안 대회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 결선 토너먼트 결승 국가대표팀 국가대표팀 풋살FK리그 (2016-17  · 2017-18)  · FK컵클럽 시즌K리그 클래식 강원 FC 경남 FC 대구 FC 상주 상무 FC 서울 수원 삼성 블루윙즈 울산 현대 인천 유나이티드 전남 드래곤즈 전북 현대 모터스 제주 유나이티드 포항 스틸러스 K리그 챌린지 광주 FC 대전 시티즌 부산 아이파크 부천 FC 1995 서울 이랜드 FC 성남 FC 수원 FC 아산 경찰청 안산 그리너스 FC FC 안양 대한민국 축구 협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전_시티즌_2018_시즌&oldid=24193130" 분류: 대전 시티즌 시즌대한민국 축구단 2018 시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7: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대전 시티즌 2018 시즌은 대전의 21번째 시즌이자 K리그2에서는 4번째 시즌이다. 대표이사로 과거 팀의 감독이였던 김호가 선임되었고, 원래는 이기범 감독이 대전의 제 11대 감독으로 선임되었으나 팬들의 반발로 무산되면서 고종수 감독이 대전의 11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대전 시티즌의 2018년 당시 코칭스태프는 누구일까? Assistant: 직위 이름 부임연도 구단주 허태정 2018 대표 이사 김호 2018 사무국장 권헌규 2018 감독 고종수 2018 수석 코치 김진우 2018 스카우트 김영근 2014 박철 2017 이정래[69] 2018 2군 감독 이기범 2018 2군 코치 황연석 2018 피지컬 코치 디노 2018
Human: 아래 막스_슈티르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막스 슈티르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막스 슈티르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막스 슈티르너 요한 카스파 슈미트(Johann Kaspar Schmidt) (1806년 10월 25일 – 1856년 6월 26일), 필명인 막스 슈티르너(Max Stirner)로 더욱 잘 알려진 독일 철학자이다. 그는 허무주의, 실존주의, 정신분석 이론,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아나키즘, 특히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의 선구자로 간주된다.[1][2] 슈티르너의 주저는 유일자와 그 소유(The ego and its own, 독일어:Der Einzige und sein Eigentum in German, 직역하면 유일한 자와 그의 것)이며, 이 책은 1845년 라이프치히에서 처음 출간된 이후 여러 판본으로 번역되었다. 목차 1 생애 2 철학 2.1 에고이즘 2.2 아나키즘 2.2.1 에고이스트 연합 2.2.2 혁명 2.3 헤겔의 가능한 영향 3 저작 3.1 우리 교육의 잘못된 원칙 3.2 예술과 종교 3.3 유일자와 그 소유 3.4 슈티르너의 비평가들 3.5 철학적 반동 3.6 반동의 역사 4 비평 5 동시대인의 코멘트 6 영향 6.1 맑스와 엥겔스 6.2 슈티르너와 포스트-구조주의 6.3 니체에 대한 연관의 가능성 6.4 루돌프 슈타이너 6.5 아나키즘 6.6 자유연애, 동성애, 그리고 여성주의 7 같이 보기 8 노트 9 참고 10 더 읽을거리 11 외부 링크 11.1 일반 11.2 다른 철학자들과의 관계 11.3 텍스트 생애[편집] 막스 슈티르너의 출생지인 바이로이트의 모습 슈티르너는 바이에른의 바이로이트에서 태어났다. 얼마되지 않는 그의 삶에 대해서는 슈티르너의 전기를 쓴 스코틀랜드계 독일 작가인 존 헨리 맥케이에 의한 것이다. 그의 전기(Max Stirner – sein Leben und sein Werk)는 1898년 독일에서 처음 출판됐고, 영어로는 2005년 에서야 번역되었다. 슈티르너는 알버트 크리스티앙 하인리히 슈미트( Albert Christian Heinrich Schmidt, 1769-1807)와 소피아 엘레오노라 라인라인(Sophia Eleonora Reinlein, 1778–1839)의 유일한 자식이였다. 그의 아버지는 1807년 4월 19일, 37세의 나이로 결핵으로 사망했다.[3] 그의 어머니는 약사였던 하인리히 발러슈테트(Heinrich Ballerstedt)와 재혼 했고, 서프로이센의 클룸(Kulm, 오늘날의 Chełmno)에 정착했다. 슈티르너가 20살이 되었을때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에 진학했고,[3] 그곳에서 문헌학, 신학, 철학을 공부했다. 그리고 이후 그의 사상 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헤겔의 강의에 참석하게 된다.[4] 그는 철학의 역사, 종교와 철학 그리고 주관적 정신에 대한 헤겔의 강의를 들었다. 이후 슈티르너는 프리드리히 알렉산더 대학교로 옴겨가게 되는데, 이는 루트비히 포이어바흐가 그곳에서 공부하던 것과 동일한 시간대 였다.[5] 슈티르너는 베를린으로 돌아와 교사 자격증을 얻지만, 프로이센 정부로 부터 전임 교사 자격을 얻지는 못했다.[6] 1841년 베를린에 머무를 동안, 젊은 철학자들의 모임인 프라이엔(자유인)에 참여하게 되고, 이 모임은 이후 청년헤겔학파로 분류되게 된다.19세기 문학과 철학에서 유명한 몇몇의 인물들이 이그룹에 참여 했는데, 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브루노 바우어, 그리고 아놀드 루게 같은 이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통념과는 달리 포이어바흐는 헤겔좌파의 담론에 열정적으로 참여 했지만, 프라이엔의 멤버는 아니였다.프라이엔의 멤버는 아니였지만 다른 헤겔좌파와 관련된 유명했던 대표적인 인물로는 미하일 바쿠닌이있다. 바쿠닌은 1840년 베를린에서의 유학중에 헤겔좌파를 만나게 되고 급격한 사상의 변화를 경험하게된다. 이후 당대의 모든 이데올로기를 부정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아나키즘에 도달한다. 이와 관련한 사상의 변화는 그가 1842년에 작성한 독일에서의 반동이라는 글에서 잘 나타 나는데, 이글의 마지막 문장에서 그의 유명한 '파괴의 열정은 창조의 열정이다'라는 문구가 등장했다.[7]헤겔학파의 몇몇의 멤버는 헤겔의 변증법적 방법을 열정적으로 이용해 세계를 분석했고, 헤겔의 결론에도 변증법적인 변화를 시도하다가 결국 헤겔좌파는 점차적으로 헤겔의 영향에서 벗어나게 된다. 포이어바흐와 바우노가 이러한 변화를 주도했다. 토론은 자주 프리드리히거리 히펠 주점에서 벌어졌으며, 맑스와 엥겔스 같은 이들도 참여 했는데, 이들은 당시까지 포이어바흐 이론의 지지자였다. 슈티르너는 엥겔스와 자주 교류했으며, 엥겔스는 그를 좋은 친구라고 불렀다.[8] 하지만 맑스와 슈티르너가 직접 마주한 적이 있었는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내성적인 성격의 슈티르너는 주점 내에서의 논쟁에 자주 참여 하지는 않았지만, 클럽의 충실한 멤버이자 세심한 청중이였다.[9] 현재 남아있는 그의 초상화는 슈티르너의 전기 작가인 맥케이의 부탁으로 프라이엔 이후 40년의 시간이 흐른뒤 엥겔스에 의해 그려진 것이다. 히펠 주점에서의 프라이엔에 대한 스케치는 슈티르너를 직접적으로 묘사한 유일한 그림이다. 이후 슈티르너는 그로피우스여학교에서[10] 일하게 되고, 그동한 주저인 유일자와 그 소유를 쓰게 되는데 이는 다른 사상가인 바우노와 포이어바흐, 빌헬름 바이틀링의 권위주의적 사회주의(authoritarian socialism), 그리고 프루동과 같은 이들을 비판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 1844년 10월 책의 출판으로 인한 논쟁에 참여하기 위해 그는 교직에서 사임한다. 슈티르너는 결혼을 두번하게 된다. 그의 첫번째 아내는 가정부 였고 그가 어린 나이에 사랑에 빠진 이였지만, 결혼후 얼마 되지 않은 1838년 임신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사망한다. 이후 1843년 프라이엔에서 지적 교류를 하던 마리 댄하르트와 재혼하지만, 1846년 이혼하게 된다. 슈티르너는 유일자와 그의 소유를 "나의 연인 마리 댄하르트에게"라며 헌정한다. 이후 그녀는 가톨릭으로 개종했고, 1902년 런던에서 사망한다. 교직을 그만둔 뒤, 슈티르너는 그의 연인 댄하르트와 함께 청년헤겔학파가 소유하고 협력의 원칙에 때라 운영되는 우유배달 사업을 계획했다. 사업을 실패했는데 낙농가에서 잘입은 지식인이였던 그에게 의구심을 품었고, 우유가게 치곤 과도하게 잘꾸며진 인테리어가 주는 거부감 때문이였다. 유일자와 그 소유 이후, 그는 슈티르너의 비평가들(Stirner's Critics)을 써서 논쟁에 반박을 했고, 생활금을 마련하기 위해 아담 스미스와 장 바스티세의 글을 번역한다. 이후 1852는 반동의 역사(History of Reaction)라는 글을 썼고, 1856년 벌레에 물린뒤 열병을 앓다가 그해 6월 26일 사망한다. 그의 장례식에는 브루노 바우어가 참석했었으며, 그의 시신은 Friedhof II der Sophiengemeinde Berlin 묘지에 안장된다. 철학[편집] 프리드리히 엥겔스(1820년 ~ 1895년)에 의해 그려진 프라이엔에서의 막스 슈티르너의 모습 슈티르너의 철학은 니힐리즘, 실존주의,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아나키즘에(특히 개인주의적 아나키즘, 포스트아나키즘, 포스트-레프트 아나키즘)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슈티르너의 주저는 유일자와 그 소유(독일어:Der Einzige und sein Eigentum, 번역하면 유일한 자와 그의 것)이다. 에고이즘[편집] 슈티르너는 자아를 완벽하게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 하며, '창조적 무' 언어의 종점이라 묘사한다. 슈티르너는 대체로 심리적 에고이즘과 윤리적 에고이즘의 지지자로 이해된다. 후자의 경우 분쟁의 여지가 있는데, 그러한 주장이 슈티르너의 글에서 직접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데다가, 그의 이익을 위해 어떠한 일을 해야 한다면 그것은 인간의 마음을 억누르는 새로운 고정관념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가 자신의 흥미에 따라 행동하지 않는것을 비합리적이라고 간주한 것에 의해, 합리적 에고이스트로 간주될 수는 있다. 그러나 그가 말하는 이익이란 이기적인 것과, 이타적인 규범을 모두 포함하여 반드시 주관성이 중심이어야 하는것이다. 개인의 자기 실현은 각 개인의 그의 욕망에 따라 에고이즘을 수행하는 것에 있다. 마지못해 행해지는 에고이즘과 기꺼이 행해지는 에고이즘의 차이는, 전자는 '공허한' 관념에 사로잡혀 더욱 높은 이유에 따라 행동 해야 한다고 믿으며, 사소한 행복과 안전을 바라며 자신의 진정한 욕망을 깨닫지 못하는 이들이다. 반면 후자는, 자신의 가려진 욕망을 전적으로 인식하며 그의 선택에 따라 자유로이 행동하는 자이다. 신성한 것이란 자신을 인정하지 못하는 비자발적 에고이스트에게만 존재한다... 요컨데 에고이스트이고자 하지 않는 에고이스트, 자신을 떨쳐버리는 이(그의 에고이즘을 억누르며), 그러나 동시에 자신을 버리는 것은 오로지 고귀해 짐으로서 그의 에고이즘을 충족하기 위한 것이다. 그는 에고이스트임을 그만두고자 하기에, 그는 천상과 지상에서 그가 마땅히 봉사하고 희생해야 하는 더 높은 존재를 찾고자 한다. 그러나 얼마나 많이 그가 동요하고 자신을 억누른다 하더라고 결국엔 모두 그 자신을 위한 것이니... 이를 나는 비자발적 에고이스트라고 부른다... 매 순간 너는 너 자신을 잃고자 하지 않는 창조자인, 너 자신의 창조물이다. 너 보다 더욱 높은 존재로서의 너, 너를 능가하는 너... 바로 이가 너가 인식하지 못하는 비자발적 에고이스트이다. 따라서 너의 더 높은 본질이란, 소외의 본질이다.... 소외는 "신성한 것"의 기준이다. — The Ego and its Own, Cambridge edition, pp. 37–8 자유주의(liberalism)가 인간을 선언한 이래로, 이것이 오직 기독교의 마지막 결과물 뿐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기독교는 본래 “인간”과 “진짜 인간”을 실현하는 것 외에 다른 사명을 가지지 않았다. 이로써 기독교가 나에 대하여 불멸의 교리와 목가적 보살핌의 대상으로서 무한한 가치를 부여한다는 주장의 속임수가 밝혀진다. 이는 나를 오직 인간으로서만 소중히 여길 뿐이다. 오직 인간만이 불멸하며, 내가 오로지 인간이기 때문에 나 또한 그렇다는 것이다. 사실, 기독교는 자유주의가 모든 인간이 동일하다고 말한 것처럼 누구도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설교해야 한다. 그러나 이 영원함이란, 이 평등이란, 내가 아닌 내 안의 인류만을 말할 뿐이다. 인류의 운반자이자 껍데기로서의 나만이 죽지 않는다. 모두가 “왕은 죽지 않는다”라는 말을 알고 있듯이 루드비히는 죽지만 왕은 남는다. 나는 죽지만 정신은, 인간은 남게 된다. 이제 나를 완전히 인간과 동일하게 만들기 위하여 누군가는 “진짜 유적존재”가 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개발했다.[11] 인간 이라는 종교는 기독교의 마지막 변형일 뿐이다. 자유주의라는 종교는 나의 본질을 나에게서 분리해 그것을 나 위에 놓는다. 이것은 다른 종교가 그들의 신이나 우상을 찬양하는 것과 동일하게 “인류”를 찬양한다. 이것은 나의 것과 나의 특질과 나의 소유에서 벗어난 소외된 무언가를 나의 “본질”로 만듦으로써 나의 것을 다른 세계의 무언가로 바꿔 버린다. 요컨대 이것은 나를 인간 아래에 놓고 그리함으로써 나에 대해 소명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 "the unique and its property" pp. 188-189[12] 그의 철학에서 자발적 에고이스트는 그 자신의 사상의 소유자로서(그의 저서의 제목처럼) 비자발적 에고이스트는 반대로 소유 당하는 이로서 대조적으로 묘사된다. 오로지 그가 법, 권리, 도덕, 종교등의 '신성한' 진리가 단지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가상의 개념임을 인식하고, 이에 복종하길 거부할때 그는 자유로울 수 있다. 슈티르너에게 있어서 자유의 추구란 창조자와 창조물의 복합적인 의미를 지니는데, 창조자로서 기성 질서를 거부하고, 그로서 기존 질서에서 거부되었던 것이 창조된다는 것인데, 말하자면 파괴가 창조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슈티르너에게 있어서 힘은 에고이즘의 방법론이다. 그는 힘을 이용해 얻은 재산만이 오직 정당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나키즘[편집] 슈티르너는 보편적으로 받아 들여지는 사회제도 – 국가, 자본주의적 사적 소유권, 자연권 그리고 사회 그 자체 마져도 – 단지 환상이며 인간의 마음을 돌아다니는 유령(spook)으로[13] 간주하고 이의 권위를 부정한다.[14] 그는 무도덕주의의 측면에서 에고이즘을 옹호 했고, 각 개인은 오직 그의 순수한 욕구에 따라 '에고이스트 연합'으로서 단결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에게 있어서 소유란 단지 힘으로 얻어지는 것이다. "누구든지 쟁취하는 것을 아는 자, 그것을 지키는 자에게 소유는 주어진다." 그리고, "내가 나의 힘으로 가지고 있는 것, 그것은 나의 것이다. 내가 소유자로서 자신을 주장하는 한, 나는 그것의 소유자이다." 그는 또한 말했다, "나는 너의 소유 앞에서 수줍게 물러서지 않을 것이며, 어떠한 존중심도 없이 언제나 나의 소유로 여길 것이다. "[15]슈티르너는 사람을 포함한 세계의 모든 것을 도덕적 제약 없이 – 그 권리라는 것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했다.[16] 그는 다른 사람의 이익을 고려하는 것은 그것이 자신의 이익으로 발전하는 것이 아닌한 불합리한 것이라고 주장했으며, 이것이 행위의 유일하게 적합한 이유라고 생각했다. 그는 또한 고정된 사회를 실체없는 유령으로 간주 했고, 개인이 실체라고 했다. 에고이스트 연합[편집] 슈티르너의 에고이스트 연합 이라는 개념은 유일자와 그의 소유에서 처음 등장했다. 연합은 비체계적인 협회로 간주되며, 국가에 대조하여 주장되었다.[17] 연합은 당사자들의 지지를 통해 끊임없이 갱신되는 에고이스트들 간의 관계로 이해될 수 있다.[18]연합은 당사자들 모두가 의식적인 에고이즘으로 부터 참여 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일 당사자들중 누군가 고통을 겪음에도 이의 겉모습을 유지하려 한다면, 연합은 퇴락하여 다른 무언가로 변모하고 만다.[18] 이 연합은 사람의 뜻을 넘어서는 권위가 나타나서는 안되는 것이다. 에고이즘은 사상에 반대하지도 사랑에 반대하지도 않는다. 이것은 사랑의 달콤함의 적이 아니며, 헌신과 희생의 적도 아니다. 친밀한 따스함의 적이 아니며, 또한 비판이나 사회주의의 적도 아니다. 요컨대 에고이즘은 특정한 관심사의 적이 아니다. 이것은 특정한 관심사의 배제가 아니다. 이것은 오로지 무심함과 무관심에 대항할 뿐이다. 사랑에 반대하지 않으나, 신성한 사랑에 대한 반대이며, 사상의 반대가 아니라 신성한 사상에 대한 반대이고, 사회주의에 대한 반대가 아니라, 신성한 사회주의에 대한 저항이다. 마치 자신을 고립시키고, 유리시키며, 고독에 빠져들길 원하는 처럼 보이는 에고이스트의 배타성이란, 오로지 무관심의 배제를 통하여 관심사에 대한 완전한 참여를 하기 위한 것이다. — Max Stirner. Stirner’s Critics[19] 그러나 내가 왜 공공선에 신경을 써야 하는가? 공공선은 나의 선이 아니며, 단지 자기부정의 최악의 형태일 뿐이다. 내가 “굴복” 할 때만이 공공선이 번영할 것이며, 내가 굶주릴 때만이 국가가 화려해 질 것이다…… 인민은 발언권을 지녀야 할 것이다. 입이 없는 자가 발언을 할 수 있다니! 오직 개인만이 발언권을 가질 뿐이다. 그러니 언론의 자유의 모든 문제가 “인민의 자유”라는 형태를 취할 때, 모든 것이 뒤집어진다. 이것은 오직 개인의 권리이자, 개인의 더 나은 힘일 뿐이다. 만일 인민이 언론의 자유를 가진다면, 인민의 가운데서도 나는 자유를 얻지 못할 것이다. 인민의 자유는 내 자유가 아니며, 인민의 자유로서 언론의 자유는 반드시 나에게 적대하는 언론의 법과 함께 나타날 것이다. 이 말은 오늘날의 자유에 대한 노력에 대항하며 선언되어야 한다. 인민의 자유는 내 자유가 아니다! 인민의 자유, 인민의 권리라는 이 범주를 허용해 보자. 예를 들어, 인민의 권리로서 모두는 무장할 권리가 있다. 그러나 그중에 권리를 박탈당한 자가 있지 않겠는가? 사람은 그 자신의 권리를 박탈할 수 없지만, 나에게 속한 권리가 아닌 인민에게 속한 권리로서 그것을 박탈당할 것이다. 인민의 자유를 위하여 나는 감금될 수 있으며, 죄수로서 무장할 권리를 잃는다. 자유주의(Liberalism)는 인민의 자유, 공동체의 자유, “사회”의, 보편의, 인류의, 인류의 이상의, 인민의, 공동체의, 발언권을 가진 “사회”의 창조에 대한 마지막 시도로 나타난다. 개인을 희생하지 않고서는 인민은 자유로워질 수 없다. 이 자유에서 중요한 것은 개인이 아닌, 인민이기 때문이다. 인민이 더욱 자유로워 지면, 개인은 더욱 구속된다. 아테네의 인민은 정확히 그들이 가장 자유로웠던 시기에, 도편추방제를 만들었고 무신론자들을 추방했으며, 가장 현명한 사상가를 독살했다…… 모든 신성한 것은 구속이자, 족쇄다. 신성한 모든 것들은 법의 파괴자들에 의해 파괴되어야 한다. 그러니 우리의 시대는 모든 영역에서 이 파괴자의 무리를 가지고 있다. 그들은 무법을 위해 이 법을 어길 준비를 하고 있다…… 인민은 강한 시민을 추방하고, 교회의 이단자들에 대한 종교 재판을 자행하며, 국가의 반역자에 대한 종교재판을 행함으로써 그 자신의 왕권 위에 서려는 자들을 억압할 것이다. 인민에게 중요한 것은 자기주장일 뿐이다. 이것은 모두에게서 “애국적 희생”을 요구한다. 따라서 모두는 그 자신으로서는 다르지 않으며 무의미하고, 그가 그 스스로 해야 하는 것들, 즉 자신을 실현하게 하는 것들은 할 수도 없으며 허용될 수조차 없다. 모든 인민, 모든 국가는 개인에게 불의다…… 내가 헌법, 헌장, 법률에 자신을 가두어 “내 몸과 마음을 인민에게 바친다”라고 선언해야 한다면 어떻게 자유로울 수 있는가? 내 능력이 “사회의 조화를 방해하지 말라”라는 그들의 규율 안에서만 허용되고 개발될 수 있다면, 내가 어떻게 나 자신일 수 있겠는가? 인민과 인류의 몰락은 나를 나의 부흥으로 이끌 것이다. 들어보라, 내가 글을 쓰는 지금 이 순간조차도 우리의 사랑스러운 독일 존재의 1000년을 기념하는 내일의 축제를 위한 종소리가 시작되고 있다. 이 종소리는 이 장례식의 장송곡의 소리다!... 독일 민족과 독일 인민들은 그들 뒤에 10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 얼마나 기나긴 삶인가! 그러니 가서 잠들어 다신 깨어나지 말아라, 그렇게 네가 그토록 오랫동안 사슬로 묶어왔던 모든 이들이 이로써 자유로워 질 것이다. 인민은 죽었다. 나여 영원하라! 오, 그대 너무도 고통받는 독일 인민이여 너의 고통은 무엇이냐? 그것은 사상이 그 자신의 육신을 만들지 못하는 고통이며 새벽이 가기 전에 무로서 사라져 버릴 유령 들린 정신의 고통 이건만, 너는 아직 구원과 성취를 갈망하구나. 그대 친애하는 사상이여, 그대 친애하는 유령이여, 너는 내 안에서도 오랫동안 살아왔다. 나는 너의 구원을 위한 말을 거의 발견했다고 상상했었고, 배회하는 정신을 위한 살과 뼈를 발견했었다. 그리고 나는 너의 영원한 안식을 알리는 종소리를 듣게 되었고, 마지막 희망이 사라져 가며, 마지막 사랑도 사라져갔다. 그리고 나서 나는 황량한 죽은 자의 집에서 빠져나와 산자들을 부른다. 오직 살아있는 자만이 권리를 지닌다. 잘 가거라, 그대 수백만의 꿈이여, 잘 가거라, 그대 자신의 아이들에 대한 천년의 폭정이여! 내일 그들은 너를 무덤으로 데려갈 것이다. 곧 너의 자매들과 너의 인민들이 너를 따르리라. 그러나 그들 모두가 뒤따랐을 때, 인류는 매장될 것이고, 나 자신은, 웃고 있는 상속자일 것이다! — Max Stirner. The Unique and Its Property pp. 225-229[20] 모든 운동과 이데올로기에는 권리의 주체가 되는 일종의 정체성이 존재한다. 여기서 권리를 보장 받기 위해서는 그 이데올로기가 요구하는 정체성(성, 인종, 민족 등)에 포함되어야 한다. 이는 개인의 집단 정체성(혹은 그것의 도덕성)에 대한 굴복을 의미하며, 이렇게 사람은 세계를 그 자신으로서 직접 마주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해 진다. 개인은 이에올로기에 연계하지 않고서는 안전을 보장 받을 수 없다. 누군가 그 정체성에서 벗어난다면(혹은 쫓겨난다면) 그는 곧 이데올로기가 그에게 약속한 모든 권리를 박탈 당할 것이다. 결국 사람은 그 정신에 복종하는한 자유로울 권리가 있는 것이다. 슈티르너는 이를 정신의 지배로서 파악한다. 이에 맞서서 등장한 개념이 어떠한 정신의 지배와도 연계하지 않은 고유한 개인(혹은 유일자)이 그들의 공통된 욕망을 위해 상호적으로 교류하는 연합체인 에고이스트 연합이다. 혁명[편집] 슈티르너는 전통적인 형태의 혁명의 모델을 비판했다. 그러한 운동은 암묵적으로 국가주의적인 것이라고 주장했는데, 이는 고전적인 혁명이 결국에는 체제를 전복하더라도 새로운 국가의 질서를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슈티르너는 전위대가 주도하는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변화인 정치혁명을 비판하고, 사회 곳곳에 존재하는 개인들이 주도하는 아래서 위로 향하는 혁명, 즉 사회혁명을 주장한다. 특정한 자유를 향한 갈망은 언제나 새로운 지배를 목표로 한다. 혁명이 그래왔던 것 처럼 "그것의 옹호자들에게 자유를 위해 싸우고 있다는 느낌을 준다." 그러나 사실 그들은 특정한 자유만을 쫓았기 때문에 새로운 지배인 "법에 의한 지배"를 만들어 낸다. 네가 그토록 자유를 원한다면, 어째서 자유의 적음과 많음의 정도에 대하여 언쟁하는가? 자유는 오직 모든 자유일 수 밖에 없다. 조각난 자유는 자유가 아니다. 너는 모든 자유를 얻을 수 있는 가능성에,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롭고자 하는 가능성에 절망하고 있다. 아니면 심지어 이것을 바라는 것조차 광기라고 생각하는가? 그렇다면 환상을 떨쳐버리고, '도달할 수 없는 것' 보다 나은것에 고통을 쏟으며 살으라. — Max Stirner. The Ego and its Own. p. 145[21] 특정한 자유(양심의 자유, 종교의 자유, 표현의 자유, 사유재산을 소유할 자유등)은 그것을 강제할 권력을 필요로 한다. 그 권력이 바로 국가다. 국가는 법과 경찰이라는 모습으로 그 질서를 강제하고, 그 질서를 방해하는 것은 범죄라 칭한다. 이러한 질서에서는 자유의 수호자인 국가에 복종하는 순종적인 시민만이 자유로운 인간이며, 거역하는 이는 무법자라는 역설이 탄생한다. 그리고 이런 위선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하는 이데올로기가 바로 자유주의(liberalism)다. 그러나 만일 국가가 사라진다면, 자유주의자들이 말하는 자유 또한 사라질 것이다. 혁명과 반역은 결코 동의어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전자는 국가와 사회의 기존 조건 안에서의 단순한 위치의 전복이며, 정치적이거나 사회적인 행위이다. 반면 후자는 그것의 불가피한 결과로서 환경의 변화를 초래하지만, 이는 그것을 위한 목적이 아닌 개인의 불만에서 시작하는 것이다. 이것은 단지 무장봉기가 아니라, 그것이 초래할 협약을 고려치 않는 개인의 반역이다. 혁명은 새로운 협약을 맺는 것을 목표로 하나, 반역은 우리를 더이상 지배 받지 않을 길로 이끌며, 단지 우리 자신과 약속하게 만든다. 또한 더이상 제도에 의존하도록 만들지도 않는다. 이것은 확립된 것과의 싸움이 아니다. 존재하는 것들이 지금은 번영할 지라도, 내가 그것으로 부터 자신을 해방시키기만 한다면 그것은 스스로 붕괴되기 시작할 것이기 때문이다. 단지 내가 확립된 것에서 떠나는 것 만으로도 그것은 쇠락하며 죽어갈 것이다. 이제 나의 목표는 단지 확립된 질서를 전복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뛰어 넘는 것이다. 나의 목표와 행위는 정치적이거나 사회적인 것이 아니라 에고이스트적 행위이자 목적이다. — Max Stirner. The Ego and its Own. pp. 420–421 부르주아는 국가의 은혜를 통하여 국가의 보호를 받는다. 그는 국가의 권력이 붕괴되면 모든 것을 잃을까봐 두려워할 것이다. 그러나 잃을 것이 없는 프롤레타리아는 어떨까? 그는 잃을 것이 없기에, “그 없는 것”에 대하여 국가의 보호를 받아야 할 필요가 없다. 반대로 국가의 보호를 받는 이들에게서 그 보호가 사라진다면, 그들은 이로써 무언가를 얻어낼 것이다. 그러므로 가지지 못한 이들은 국가를 가진 자를 보호하고 그들에게 특권을 부여하는 권력이며 자신들에게서는 고혈을 뽑아낼 뿐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으로 여길 것이다. 국가는 부르주아의 국가이며, 부르주아의 재산이다. 국가는 인간을 노동에 따라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그의 복종(충성)에 따라, 국가가 그에게 하달한 권리가 국가의 법에 알맞게 집행되었는가에 따라 그를 보호한다. 부르주아 체제하에서 노동자들은 언제나 국가의 영역(국가의 영역 안에서 소유할 수 있는 모든 것은 국가에 속하며, 개인이 가진 것은 봉토일 뿐이다.), 특히 돈과 땅에 대한 처분권이 있는 소유주, 즉 자본가들의 손에 떨어진다. 노동자들은 그들의 노동이 소비자에게 갖는 가치의 범위까지 도달하는 것을 실현할 수 없다. 노동이 착취되고, 자본가들은 이로부터 가장 큰 이익을 얻는다. 좋은 급료를 받는 이들은 오직 국가의 지배와 화려함을 드높이며, 국가의 종으로서 봉사하는 노동일뿐이다. 국가는 그들의 “선량한 시민”인 소유주들이 위험에 빠지지 않고 낮은 급료를 지불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국가는“선량한 시민”을 보호하기 위해 좋은 급료로서 “경찰”(헌병에서부터 사법 기관과 교육체계 등의 모든 종류의 공무직, 이를테면 "국가라는 기계" 그 전체)이라는 권력의 종들을 확보하고, 그“선량한 시민”들은 노동자들을 더욱 착취하기 위해 기꺼이 더욱 많은 세금을 지불한다. 그러나 노동계급은 본질적으로 보호받지 못하기 때문에, 이 국가에 적대적인 힘으로 남게 된다. 소유주의 국가, 이 “시민 왕”은 그의 원칙에서 노동을 그 자체의 가치로 보지 않는다. 이것은 착취되고, 소유주라는 적의 전리품에 불과하다. 노동자들은 가장 강력한 힘을 그들 손아귀에 쥐고 있다. 만일 그들이 의식적으로 이것을 한번 사용 한다면, 무엇도 이에 대적하지 못할 것이다. 이것은 단지 그들이 노동을 멈추고서 그들 노동의 생산물을 자신의 것으로 여기며 향유하는 것이다. 이것은 그들이 세상 도처에 존재함을 보여주는 노동쟁의이다. 국가는 노동의 노예제에 기초해 있다. 만일 노동이 해방된다면, 국가는 소멸하리라. — Max Stirner. The Ego and its Own. p. 105[22] 노동자들이 노동의 힘을 주체적으로 소유한다면 자본주의는 붕괴할 것이다. 헤겔의 가능한 영향[편집] 카를 뢰비트나 로렌스 스테폴로비치같은 학자는 헤겔은 유일자와 그 소유에 강한 영향을 끼쳤다고 주장한다. 스테플로비치는 유일자와 그 소유는 분명히 전반적으로 비헤겔주의적일 뿐만 아니라 헤겔의 세계와 자아에 대한 결론에 대한 적의가 가득하지만, 이것이 헤겔이 헤겔에 그에게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의미는 아니라고 한다. 헤겔과 슈티르너가 이어지는 주요 시점은 정신현상학에서 절대지로 향햐는 현상학적 통로가 끝나는 지점에서 발견된다. 슈티르너의 작품은 질문에 대한 답변의 형태를 취할때 가장 명확히 이해된다. 무엇이 일련의 가짜 지식을 지나 절대지에 도달하도록 의식을 일깨우는가? — Lawrence Stepelevich, "Max Stirner as Hegelian", Journal of the History of Ideas, v.15, pp. 597–614 (1985). 헤겔을 넘어서고 그에 맞서기위해 진정한 변증법적 방식으로 헤겔의 프로젝트를 이어갔으며, 스테폴로비치는 슈티르너의 이러한 노력으로 헤겔의 프로젝트가 완성되었다고 주장했다. 스테플로비치는 헤겔의 현상학의 의도를 요약한 장 이폴리트를 인용하며 결론 지었다. "세계의 역사는 완료되었고, 이제 필요한 것은 특정한 개인이 그 자신을 재발견 하는 것이다." 유일자로서 슈티르너는 자신을 특정한 개인에 놓았고, 이후 헤겔주의자로서 자기의식과 그의 결정인 대상과의 유희를 통한 이론적 재발견에 의한 유용한 결론을 제시한다. "우상은 오직 나를 통해서만 존재한다. 내가 오직 그들이 재생산 되는 것을 중단하는 것 만으로도 그들은 더이상 존재하지 않게 된다. '신성한 권력'은 내가 자신을 억누르고 그것을 찬양할때만이 존재한다. 세계와 나의 교류는 나의 향유로서 구성되며, 나는 이를 자기향유를 위해 소비한다." (Ego, 319) — Lawrence Stepelevich, "Max Stirner as Hegelian" 더글라스 모가치, 위드카인드 디 리더(Widukind De Ridder)같은 학자는 슈티르너는 분명히 동시대인인 포이어바흐나 바우노처럼 헤겔의 제자였지만, 이러한 사실이 그를 헤겔주의자로 만드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다른 헤겔주의자와는 반대로, 헤겔의 내재적 비판과 계몽주의의 모든 시도를 경멸했고, 포이어바흐와 바우노의 해방의 주장도 거부했다. 합리성의 체현이 불완전하게 내제하고 있다는 헤겔과는 달리, 슈티르너는 이를 변환해야 하는 것이 아닌 단지 하나의 대상으로서 그대로 남겼으며 오로지 유일자의 향유이자 소모물일 뿐이었다.[23] 모가치에 의하면 슈티르너는 헤겔을 넘어간 것이아니라. 그 자체의 철학을 남겼다. 슈티르너는 인간 자아의 개념화를 거부하고, 모든 종류의 합리성 혹은 보편적 기준이 결여된 것으로서 제시했다. 자아는 더욱이 행동의 영역에서 '구체화 되지 않는 나'로 간주되었다. '나'는 실현해야될 어떠한 본질을 가진 것이 아니며 삶은 자기해소의 과정인 것이다. 인본주의자인 헤겔학파가 주체성에 보편적이고 윤리적인 임무를 부여한 것과 달리 슈티르너는 유일자를 개념화할 수 있는 모든 시도에서 거리를 두었다 : ‘유일자의 개념에 대한 더이상의 발전은 있을 수 없다. 어떠한 철학 체계도 이로부터 무언가를 만들어 내거나, 끄집어 내거나 생각할 수 없을것이다. 차라리 이것은 개념으로서의 발전 자체를 중단했다. — Douglas Moggach & Widukind De Ridder, "Hegelianism in Restoration Prussia,1841–1848: Freedom, Humanism and ‘Anti-Humanism’ in Young Hegelian Thought.", In: 'Hegel's Thought in Europe: Currents, Crosscurrents and Undercurrents', ed. Lisa Herzog (pp. 71-92). Basingstoke and New York: Palgrave Macmillan, 2013, p. 75 저작[편집] 우리 교육의 잘못된 원칙[편집] 1842년 Das unwahre Prinzip unserer Erziehung (우리교육의 잘못된 원칙) 맑스가 편집을 맡았던 라인 신문을 통해 출간 되었다.[24] 글은 오토 프리드리히 테오도르 하인시우스(Otto Friedrich Theodor Heinsius)의 인본주의 vs. 현실주의(Humanism vs. Realism)라는 논문에 반박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슈티르너는 교육은 적통적인 인본주의적 방법이든 실용적인 현실주의적 방법이든 여전히 진정한 가치가 결여되어 있다고 설명한다. 그렇기에 교육이란 개인의 고유성을 보존하고 자아를 실현할수 있는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예술과 종교[편집] Kunst und Religion (예술과 종교)역시 라인 신문을 통하여 1846년 6월 14에 출간 되었다. 이것은 브루노 바우어와 그의 헤겔에 대한 비판글인 '헤겔의 종교적 교리와 신앙의 관점에서 예술 판단'을 다루었다. 바우어는 헤겔의 종교와 예술에 대한 관계를 뒤집으면서 예술은 통용되는 확정성과 명쾌함 그리고 보편 윤리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종교보다 철학에 더욱 가깝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슈티르너는 헤겔과 바우노의 비판을 넘어서 예술은 오히러 종교에 대한 대상을 만들어 내기에 슈티르너가 철학이라고 간주하는 것이 - 헤겔 바우노와는 달리 - 될 수 없었다. [철학]은 종교처럼 대상에 반대하는 것도, 예술처럼 그것을 만드는 것도 아니다. 오히러 이는 대상과 대상이 만들어 지는 행위가 자유의 공기로 호홉 하도록 분쇄를 하는 것이다. 철학의 정신인 이성은 순전히 그 자신과 연관되며 문제는 대상없이 스스로 끝나게 된다. — Max Stirner, 'Kunst und Religion, p. 110. 슈티르너는 철학은 종교처럼 대상을 귀찮게 하지도, 예술처럼 대상을 만들어 내지도 않다는 하며 신중히 변증법적 삼인조(예술-종교-철학)에서 철학을 빼내 왔다. 사실 슈티르너와 관련해서 철학이란 예술과 철학에 모두 무심한 것이였다. 이로서 슈티르너는 바우노의 종교 비판을 무시하고 그것을 급진화 하였다.[23] 유일자와 그 소유[편집] 슈티르너의 주저 유일자와 그 소유(독:Der Einzige und sein Eigenthum, 영:The Ego and Its Own)은 1844년 10월 라이프치히에서 출간 되었다. "유일자와 그 소유"에서 슈티르너는 반권위주의적이고 개인주의적 관점에서 프러시아 사회와 근대 서구 문명을 맹렬히 비판했다. 그는 인간의 존재를 언어와 현실을 넘어선 '창조하는 무'로서 여기는 접근 방식을 제공했다. 이책은 모든 종교와 이데올로기들이 공허한 개념에 기초해 있다고 주장한다. 뿐만 아니라 개인을 넘어서 권위를 주장하는 사회 기관, 국가, 사법기관, 교회, 대학같은 교육체계 까지 이와 같은 개념에 기초하여 있다고 주장한다. 슈티르너의 논의는 주로 동시대 인들을 향해 비판의 한계를 확장했다. 특히 포이어바흐, 종교, 자유주의, 인본주의(포이어바흐의 '인간은 인간에게 있어 최고의 존재다' 라는 주장을 신이라 불렸던 것의 위치에 인간을 대입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이 구조는 여전히 종교적이라고 비판하며), 민족주의,국가주의, 자본주의, 사회주의, 공산주의까지 당시 사상의 전 영역을 공격했다. 정신의 시대에 사상들은 그들을 만들어낸 나의 머리위로 높이 솟아올아, 고열로 인한 환각처럼 주위를 맴돌며 전율케 하는 무서운 힘을 얻게 되었다. 한낱 사상에 지나지 않던 유령은 이제 그 자신의 육신을 지니게 되어 신, 황제, 교황, 조국이 되었다. 만일 내가 그들의 육체를 파괴하고 나의 것을 돌려 받아 "나만이 육신을 지닌 자이다"이라 말할 수 있다면, 나는 이제 세계를 나로서, 나의 것으로서, 나의 소유로서, 모든것이 나에게 속하는 것으로서 얻게 되리라. — Max Stirner, 'The Ego and Its Own, p 15. 슈티르너의 비평가들[편집] 슈티르너의 비평가들(Stirner's Critics)은 1845년 9월 위겐즈 피어텔야르스쉬리프트(Wigands Vierteljahrsschrift)를 통해 출간 되었다. 그의 저서에 비판한 3인의 글들, 포이어바흐의 '기독교의 본질', M. 헤스의 '최후의 철학자들', 셀리가의 'M. 슈티르너 유일자와 그 소유'에 비판하기 위한 것이였는데 여기서 슈티르너는 그 자신을 3인칭화 해서 설명한다. 철학적 반동[편집] 철학적 반동' (The Philosophical Reactionaries)은 1847년 오토 비간트가 편집하는 저널인 Die Epigonen를 통해 라이프치히에서 발간 되었다. 그 시점에서 비간트는 이미 유일자와 그의 소유를 발간했고, 슈티르너가 번역한 아담 스미스와 장 바스티세의 저작들 까지 출간이 완료된 상태였다. 제목이 표시해 주듯이 철학적 반동은 쿠노 피셔(Kuno Fischer, 1824–1907)의 Die Moderne Sophisten(1847)에 반박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글은 G. Edward 라고 서명 되어 있었는데 이때문에 존 헨리 맥케이가 조심스럽게 이를 슈티르너의 컬렉션에 포함할때 까지 저작자에 대한 분쟁이 있었다. 이글은 2011에서야 영어로 번역 되었으며, 서문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맥케이는 이 글이 슈티르너가 피셔의 유일자 비판을 반박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G. Edward와 슈티르너를 동일인으로 식별했다. 글은 ‘Ein Apologet der Sophistik und “ein Philosophischer Reactionäre” 제목과 Die Philosophischen Reactionäre라는 제목으로도 출간 되었다. 더욱이 이상한 것은 비간트가 인적 사항을 거짓으로 기입했던 Edward의 글을 연이어 출간 했던 것이다. 그리고 맥케이가 주장 했듯이 슈티르너가 이에 대해 부정한 적은없다. 그러나 이는 여전히 시시한 근거가 슈티르너를 작가로서 인식 되게 할만큼 적당한가라는 문제를 남긴다. 이러한 정황증거들로 인하여 몇몇의 학자들이 Die Philosophischen Reactionäre의 내용과 스타일을 기반으로 의심을 제기하게 된다. 그러나 확실이 집고 넘어가야할 것은 이것은 유일자가 작성되고 3년 뒤, 청년헤겔학파가 시들어버리고난 뒤에 쓰여졌다는 것이다. — Max Stirner "The Philosophical Reactionaries: 'The Modern Sophists' by Kuno Fischer", Newman, Saul (ed.), Max Stirner (Critical Explorations in Contemporary Political Thought), Basingstoke and New York: Palgrave Macmillan, p. 90 (2011). 글의 대부분은 피셔의 궤변의 정의에 대해 다뤄지고 있다. 많은 재치와 함께, 피셔의 궤변 비판이 가진 자기 모순의 본질이 드러나게 된다. 피셔는 철학과 궤변사이의 날카로운 구분을 만들었고, 동시에 궤변을 "철학의 거울상"으로 간주하였다. 소피스트들은 "철학의 공기"에서 호흡하며 "변증법적으로 형식적인 유창함을 이끌어낸다.". 슈티르너의 대답이 눈에 띈다. 당신들 철학자들은 자신의 무기로 해를 입는다는 것을 알지 못하는가? 당신이 단지 변증법적으로 상정한 것을 내가 변증법적으로 사라지게 한다면, 당신의 상식은 무엇이라 답할것인가. 당신은 나를 모든 것을 무로서, 무를 유로서, 흑을 백으로서, 백을 흑으로서 만드는데 유창한 이라고 묘사한다. 내가 당신의 순수한 예술을 돌려 보낼때 당신은 나에 대해 무엇을 할것인가? — Max Stirner, "The Philosophical Reactionaries: 'The Modern Sophists' by Kuno Fischer", Newman, Saul (ed.), Max Stirner (Critical Explorations in Contemporary Political Thought), Basingstoke and New York: Palgrave Macmillan, p. 99 (2011). 다시 유일자로 돌아가 슈티르너는 주장한다. 슈티르너는 스스로 그에 책에 대하여, 어느정도는 그가 바라는 것에 대하여 서투른 표현을 했다고 묘사했다. 이것은 인생 최고의 순간에서의 고된 작업이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이것을 부분적으로 서툴다고 불렀다. 그는 철학자들에 의해 파괴되고, 국가와 종교, 신자들에의해 학대 되었어며, 관념이 자행하는 혼돈으로 부터 폐허가 되어버린 언어와 사투를 벌여야 했다. — Max Stirner, "The Philosophical Reactionaries: 'The Modern Sophists' by Kuno Fischer", Newman, Saul (ed.), Max Stirner (Critical Explorations in Contemporary Political Thought), Basingstoke and New York: Palgrave Macmillan, p. 104 (2011). 반동의 역사[편집] 반동의 역사는 1851년 얼마뒤 오스트리아에서 금지 되는 Allgemeine Deutsche Verlags-Anstalt 에서 2부분으로 나눠 출간 되었다.[3]이것은 최근에 벌어근 1848년 독일 혁명에 대한 글이었고, 주로 슈티르너가 수집하여 번역한 글들의 컬렉션이였다. 서문과 몇몇 부분은 슈티르너가 직접 작성한 글이였는데 에드먼드 버크와 오귀스트 콩트를 혁명에 반하는 두 인물로서 인용한다. 비평[편집] 슈티르너의 저작은 그의 동시대 인들에게선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슈티르너는 포이어바흐의 인본주의를 중심으로한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면서 그를 논쟁으로 끌어 들였다. 모스헤스(그시절에 맑스와 가까웠던) 그리고 셀리가( 바우노의 지지자였던 Franz Zychlin von Zychlinski의 필명)또한 슈티르너에 응답하였다. 슈티르너는 이에 '슈티르너의 비평가들(stirner's critics, 1845년 9월)'로서 답변한다. 이는 책의 몇가지 요점을 독자들에게 명확히 설명하고자하는 목적이 강했는데 특히 포이어바흐와 관련하여 그러한 설명이 강조 되었다. 동시대인의 코멘트[편집] 슈티르너의 저서가 쓰여진뒤 20년 후 작가 프리드리히 랑게는 다음과 같은 글을 썼다.:슈티르너는 그의 악명높은 글, '유일자와 그 소유'에서 모든 도덕 관념을 부정하기 까지 했다. 모든 것이 어떤 방식으로든 간에 부정 되었다. 외부적 힘, 믿은 혹은 단지 관념 마져도 사람의 위에서 그의 변덕을 억누르는 것으로 간주 되었다. 슈티르너의 부정이란 그의 증오의 한계와 같은 것 이였다. 긍정적인 두번째 부분이 추가 되지 못한 얼마나 가련한 책인가. 그랬다면 이것은 셸링의 철학의 경우보단 쉬웠을 겄이다. 제약 없는 자아를 해방해서 모든 종류의 이상주의를 나의 의지와 나의 이상으로서 계속해서 낳을 수 있었을 것이다. 슈티르너는 의지에 너무나 많은 고통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이것을 인간 본성적 힘의 원천 이듯이 그려냈다. 이것은 우리에게 쇼펜하우어를 떠올리게 한다. — History of Materialism, ii. 256 (1865) 어떤 이들은 책의 두번째 부분이 슈티르너가 아닌 프리드리히 니체에 의하여 곧 추가될 것이라고 믿었다.프리드리히 니체와 막스 슈티르너의 관계는 이로서 더욱 복잡하게 될것이라 여겨졌다.[25] 조지 j. 스탁( George J. Stack)의 Lange and Nietzsche에 따르면[26] 니체는 랑게의 History of Materialism을 계속해서 여러번 읽었고 때문에 슈티르너에게 관해 익숙했을 것이라고 한다. 영향[편집] 유일자는 성공적인 반응을 얻고 당대의 유명한 철학자들의 반응을 이끌었지만, 곧 절판되고 그는 죽을때까지 서서히 잊혀져가는 인물이였다.[27] 슈티르너는 헤겔좌파에 파멸적인 영향을 끼치지만 그의 철학은 맑스에게 중요한 영향을 끼쳤고, 그의 철학은 '유럽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의 기초를 정립한 것으로 평가 된다.[27] 에드문트 후설 한번 소규모 청중들에게 유일자의 '매혹적인 힘'에 대하여 언급했다.[28] 미술 평론가이자 슈티르너주의자인 하버트 리드는 그의 저서는 유럽 문명이 최초로 등장한 이래 모래 주머니안에 갇혀 남아있다고 언급했다.[29] 루돌프 슈타이너, 구스타프 란다우어, 빅토르 세르주,[30] 위르겐 하버마스 같은 많은 사상가 들이 젊은 시절에 유일자를 읽고 감동을 했다. 몇몇은 공개적으로 그들의 사상에 대한 영향을 밝혔다[31] 에른스트 융거'의 저서 en:Eumeswil,에선 Anarch가 슈티르너의 유일자에 기초하여 묘사된다.[32]카뮈의 저서 반항하는 인간(The rebel)에서도 유일자에 대한 묘사가 등장한다. 이외에 영향을 받은 인물들로는 대표적으로 벤자민 터커, 제임스 후네커,[33] 도라 마즈던, 렌조 노바토레, 엠마 골드먼,[34] 게오르그 브란데스, 존 쿠퍼 포이스,[35] 마르틴 부버 ,[36] Sidney Hook,[37] 로버트 앤턴 윌슨, 호스트 마타이 크엘러, 엔리코 아리고니, 마르셀 뒤샹, 라울 바네겜을 포함한 몇몇의 상황주의 작가들[38] 그리고 막스 에른스트. 또한 유일자와 오스카 와일드의 사회주의 아래서의 인간의 영혼에서 유사성이 관측 되는데, 몇몇의 역사가들은 그게 유일자에 익숙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39] 1844년 유일자가 출간된 이래 책은 정치적 학술적 관심에 의해 간헐적으로 인기를 얻어 부활하곤 했다. 오늘날 그의 많은 아이디어들은 포스트-레프트 아나키즘의 이데올로기 비판과 타협하지 않는 개인주의라는 측면에서 나타난다. 그는 여러 고정된 관념 예를 들면 성 역할등을 유령으로 간주해 그 권위를 부정한 것에서 개인주의적 여성주의의 선구자로 간주 되기도 한다. 또한 그의 아이디어는 포스트-아나키즘의 중요한 이론가인 사울 뉴먼에의해 많은 동감을 얻으며 보편적으로 받아 들여지게 된다. 맑스와 엥겔스[편집] 프리드리히 엥겔스에 의해 그려진 프라이엔의 모임을 묘사한 그림 엥겔스는 프라이엔에서의 슈티르너의 모습을 시로 묘사했다. 슈티르너를 보라, 그를 보라, 모든 억압의 조용한 적. 그 순간, 그는 여전히 맥주를 들이키지만, 머지않아 피를 물처럼 마시게 될 것이다. 모두가 사납게 "왕을 타도하라" 외칠때 슈티르너는 즉시 "법 또한 타도하라" 답한다. 슈티르너 존엄히 선포 하니 네가 자신을 굽히고 감히 자유롭다 칭할 때 너는 곧 노예제에 익숙해지리니 교조주의를 타도하고, 법마저 타도하라.[40] 그는 슈티르너를 좋은 친구라고 부르곤 했다.[8] 1844년 11월 엥겔스는 맑스에게 편지를 썻다. 그는 쾰른에서 모세 헤스와의 방문을 보고하고 이것은 그에게서 막스 슈티르너의 새책인 유일자를 얻기 위한 것이였다고 전했다. 맑스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엥겔스는 맑스에게 유일자 사본을 보내줄 것을 약속하며 슈티르너는 "분명히 자유인들중 가장 재능있고, 독창이며, 근면한 이" 라고 표현하며 그의 글은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말한다.[8]책에대한 열정을 가지고 엥겔스는 맑스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그의 생각을 자유로이 표현했다.:그러나 무엇이 진실이느냐 하는 그의 원칙에 대해선, 우리 역시도 반드시 받아 들여야 하는 사실이네. 어떠한 이유에 따라 행동하기 이전에 우리는 반드시 우리 스스로의 에고이스트적인 이유를 만들어내야 하네, 이러한 의미에서 어떠한 물질적 기대는 치워 버리고 우리 공산주의자들은 에고이즘의 미덕으로서 단지 개인이 아닌 인간이길 원하네[41] 나중에 맑스와 엥겔스는 슈티르너의 저작에 대한 주요한 비판을 작성한다. 독일이데올로기의 2/3가량의 슈티르너를 비판하는데 할애한 성 막스라는 장인데, 이는 슈티르너의 전체 저작의 양을 초과하는 분량이었다.[42] 이사야 벌린이 묘사했듯이 500페이지가 넘어가는 분량이 슈티르너를 조롱하기 위해 할애되어 있었다.[43] 책은 1845-1846년 사이 작성 되었지만 1932년이 될때까지 출간되지 않았다. 슈티르너를 향한 맑스의 길고 사나운 논쟁은, 맑스가 관념론에서 유물론으로 옮겨가는 계기가 되었다고 간주된다. 맑스는 공산주의와 슈티르너의 도덕적 니힐리즘을 화해 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결과적으로 변증법적 유물론을 제안하게 된다.[44] 슈티르너와 포스트-구조주의[편집] Post-anarchism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영향력있는 포스트 구조주의 사상가인 쟈크 데레다는 그의 글 '마르크스의 유령들'에서 맑스와 슈티르너의 관계에 대하여 다루었고 슈티르너의 개념인 망령(specters)과 유령(spooks)등을 분석했다[45]포스트구조주의의 또다른 주요한 사상가인 질 들뢰즈는 그의 저서인 '감각의 논리'에서 슈티르너를 언급했다.[46] 사울 뉴먼은 슈티르너는 최초의 포스트 아나키스트라 칭했다 한편으론 푸코, 라캉, 들뢰즈 그리고 데레다등을 앞질렀으며 한편으론 그들에겐 불가능했던 비본질주의적 측면에서의 자본주의 사회를 비판했다는 점에서 그들이미 초월 했다고 말한다. 이것은 특히 슈티르너가 자아는 '창조적 무'다 라고 하며 이데올로기의 얽매임을 거부하고,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이라고 한점에서 들어난다고 주장한다. 니체에 대한 연관의 가능성[편집] 슈티르너와 니체의 생각은 많은 면에서 비교되며, 많은 작가들은 그들의 사상의 명백한 유사성에 대하여 토론하고, 몇몇은 그들의 영향 관계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곤 한다.[47]독일에서 니체가 잘 알려지기 시작한 초기에 연관된 사상가에 대한 토론은 슈티르너 보단 쇼펜하우어에 관한 것이었다.[48] 니체가 잘 알고 지내던 사이인 랑게의 'History of Materialism'과 하르트만의 Philosophy of the Unconscious에 의하면 니체가 유일자를 읽었다는 것은 확실하다.[49] 그러나 니체의 글 어디에서도 슈티르너에 대한 이야기가 직접적으로 나오진 않는다.[50] 2002년 발견된 전기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니체는 랑게와 하르트만을 만나기 이전인 1865년 10월에, 1840년대 슈티르너의 친구였던 Eduard Mushacke를 만남으로서 슈티르너의 저작을 이미 읽었을 가능성이 제기 되었다.[51] 그럼에도 불구하고 니체의 저작은 광범하게 퍼졌고, 그가 슈티르너에게 이론적인 빚을 지고 있는것이 아니냐는 의문이 지속적으로 제기 되었다. 1891년초(니체가 죽진 않았으나 정신적인 문제에 시다라리던 기간) 하르트만은 니체가 슈티르너를 표절했다고 주장하기 까지 했다.[52] 세기의 전환점에서 니체가 슈티르너에게 영향을 받았다는 이야기는 광범하게 퍼졌고 평범한 것이 되었다. 적어도 독일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관측되었다. " 현대 독일에서의 슈티르너의 영향력 놀라울 정도로 추정되며, 일반적으로 니체와 동일선상에 놓여진다. 두 사상가는 본질적으로 같은 철학의 주창자로 간주된다.[53] 니체가 슈티르너로 부터 영향을 받았는가 하는 문제는 시작될 때부터 큰 논쟁으로 분류도긴 했지만 곧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게 된다[54] .[55]20세기 중엽에 슈티르너가 니체에 가한 영향에 대한 언급은 무조건 기각 되거나, 대답할수 없는 것으로 간주 되었다.[56] 그러나 니체가 슈티르너에게 영향을 받았는지에 대한 주장은 그들의 글쓰기가 유사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제기 되었다.[57]어쨋든 슈티르너가 니체에게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한 가장 중대한 문제는 니체가 읽었는가에 한정된 것이 아니다.[58] abissonichilista라는 아나키스트는 슈티르너와 니체의 차이를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 유일자는 초인이 아니며, 인간을 초월한 무언가도 아니다. 유일자는 그 자신의 삶과 사상과 행동을 소유한 실천적 에고이스트다. 인간에겐 갈구해야 할 외부적 목표가 없으며, 그 외부의 중대한 의미도 존재하지 않는다. 목적과 의미는 사람에 의해 지속적으로 만들어지고, 파괴되고, 재창조되고, 무시된다. 니체는 신의 죽음과 삶의 본질적인 의미의 부족에 의해 괴롭힘을 받았다. 그는 이를 새로운 존재와 새로운 도덕성으로서 재창조하길 원했다. 슈티르너에게 있어서 신은 죽지 않았으며, 인간성(Humanity)이라는 이름으로 부활했을 뿐이다. 인류(Humanity)는 근대성의 최고의 존재다. 슈티르너는 문화와 사회기관에 의한 의미와 목표의 부과에 반대한다. 개인은 자신의 삶에서 중요한 것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그들은 자신에게 의미 있는 것을 발견하여 전유하고 소비할 수 있다. 자기해방은 미리 조립된 의미를 발견하거나, 초인이 그것을 제공하기를 기다리는 것이 아니다. 완전함과 개선은 해방의 척도가 아니며, 이 또한 사람들이 어떻게 살아야 하고 생각해야 하고,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외부의 이미지일 뿐이다. 소유(Ownness)는 그 자신이 살기 위해 어떤 이미지를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의 행위이자 특질이다. 변증법적 에고이즘은 외부에서 비롯된 가치의 척도와 의미와 목적 없이 살아가기 위한 철학이다. 이것은 엄격함이 온화함 보다, 의무가 선택 보다, 필요가 자유 보다, 완전함이 불완전함 보다 낫다는 개념에 도전한다. 슈티르너는 새로운 도덕성, 새로운 영적 이상이나 새롭고 향상된 인간 집단성을 추구하지 않았다. 그는 인간을 경멸하지 않았으며, 사회 제도와 국가 그리고 사람에게 명령을 내리는 "마음의 지배"를 경멸했다. 슈티르너는 모든 숭고함과 신비로운 본질을 부정했다. 유일자와 그 소유에서 인간성은 "유령(spook)"이다 초인 또한 유령이다.[59] ” 루돌프 슈타이너[편집] 루돌프 슈타이너가 1900년 신학자로 변모하기 이전 그의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의 방향은 슈티르너의 자아에 대한 것과 강한 유사성을 지니고 있으며 그의 철학적 기반에 영향을 주었다[60] 아나키즘[편집] 아나키즘 역사 및 상징 스페인 분리주의 혁명(1873) 미국 헤이마켓 사건(1886) 바르셀로나 비극의 열흘(1909) 멕시코 혁명(1910) 제1차 세계 대전(1914~1918) 아르헨티나 파타고니아 반란(1920) 러시아 크론시타트 반란(1921) 스페인 제2공화국(1931) 스페인 내전(1936) 제2차 세계 대전(1939~1945) 프랑스 68혁명(1968) 로마 국제회의 국제 아나키스트 암스테르담 회의 행덕사건 16 인권 선언 자유영역분쟁 아마카스 사건 붉은 역삼각 프로보 전선 WTO시위 베트남 전쟁 반전시위 관련 분파 사회적 아나키즘 정강주의 반역 아나키즘 개인주의적 아나키즘 집산주의적 아나키즘 상호주의적 아나키즘 환경주의적 아나키즘 실존주의적 아나키즘 여성주의적 아나키즘 초월주의적 아나키즘 인식론적 아나키즘 크립토 아나키즘 기독교 아나키즘 불교 아나키즘 민족아나키즘 아나르코자본주의 아나코-코뮤니즘 아나코 신디칼리즘 퀴어 아나키즘 포스트 레프트 아나키 관계 개념 무신론 고전적 반국가주의 어피너티 그룹 직접 민주주의 자유지상주의 반권위주의 반자본주의 탈민족주의 반제국주의 후기구조주의 국제주의 반전주의 불법주의 상호주의 수평주의 이성주의 평화주의 반파시즘 반파쇼 자유연합론 양심적 병역 거부 무정부·무군대 예시적 정치 자생적 질서 계급 투쟁 자유사상 자유연애 불가지론 이신론 반신론 회의론 니힐리즘 실존주의 인본주의 시민 불복종 직접행동 노동조합 협동조합 스쾃 파업 불매동맹 포스트모더니즘 다다이즘 사이버펑크 P2P 핵티비즘 자연법 실정법 일리걸리즘 개인주의 자기소유권 관련 텍스트 《조선혁명선언》 《허무당선언》 《사이버스페이스 독립선언문》 《카탈로니아 찬가》 《정치적 정의와 그것이 일반미덕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관한 고찰》 《재산이란 무엇인가》 《경제적 여러 모순의 체계》 《노동자계급의 정치적 능력에대해서》 《근대과학과 아나키즘》 《국가와 무정부》 《신과 국가》 《상호부조론》 《이 책을 훔쳐라》 국제 조직 제1인터네셔널 국제 여단 국제노동자협회 (1992년) 청년국제당 세계산업노동자연맹 전국노동자연합 아나키스트 블랙 크로스 과거 국내 조직 의열단 동방무정부주의자연맹 이천자유회 한국청년전지공작대 조선자유노동자조합 조선인신진회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조선에스페란토문화사 조선동흥노동동맹 조선노동동흥회 함흠정진청년회 선구독서회 진우연맹 본능아연맹 우리계 다물단 불령사 흑색청년자유연합회 흑로회 흑색공포단 흑전사 흑도회 흑기연맹 흑우연맹 관련 인터넷 조직 Anarkismo.net 코피미즘 선교 교회 스웨덴 해적당 독일 해적당 해적당 인터네셔널 파이러트베이 어나니머스 관련 목록 아나키스트들의 상징 아나코 펑크 밴드 아나키스트 커뮤니티 아나키스트 소설 유대인 아나키스트 러시아 아나키스트 아나키스트 음악가 아나키스트 조직 아나키스트 간행물 아나키스트 시인 아나키스트 영화 관련 경제 산업 혁명 경제 불균형 카르텔 석유 노동가치설 자본론 21세기 자본 제국주의론 자본축적론 기본소득 은 본위제 금 본위제 검은 목요일 브레튼 우즈 체제 스미소니언 협정 킹스턴 체제 변동 환율제 신자유주의 빈곤 노동 빈곤층 모기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유럽 국가부채위기 신용파산스왑 중앙은행 본원통화 통화승수 연방준비제도 지급준비제도 전자화폐 비트코인 관련 인물 고드윈 프루동 크로포트킨 바쿠닌 말라테스타 쿠르베 골드만 버크만 소로 소렐 마흐노 두루티 톨스토이 오웰 파이어아벤트 슈티르너 렌조 노바토레 촘스키 터커 몬슨 푸코 워드 카밀로 촐고츠 호프만 루빈 북친 후미코 슈스이 사카에 김원봉 하기락 백정기 신채호 이회영 이규창 유림 유자명 정화암 김산 홍형의 김종진 원심창 오면직 황상규 박열 나월환 조약골 v • d • e • h 슈티르너의 철학은 근대 아나키즘 특히 개인주의적 아나키즘과, 에고이스트적 아나키즘의 발전에 중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의 아나키즘은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이지만 사회적 아나키스트인 엠마 골드만 그리고 페데리카 몬세니를 비롯한 많은 사회적 아나키스트들에게도 영감을 주었다. 유럽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에서 그는 이후 나타난 지지자들인 에밀 아망드, 한 라이너, 렌조 노바토레, 존 헨리 맥케이, 미구엘 기메네즈 이구알라다, 그리고 레프 체르니 같은 이들에게 강한 영향을 주었다. 미국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에서 그는 벤자민 터커와 그의 매거진 리버티에서 자주 논해 졌었다. 터는 슈티르너에게 영향을 받아 자연권을 버리고 에고이즘으로 대체하게 된다.[61] 리버티의 몇몇의 글들은 분명히 에고에즘의 경향이 나타났다. 영국에선 하버트 리드가 슈티르너에게 강하게 영향을 받았으며 그는 에고이즘을 일종의 실존주의로 묘사했다. 이후 1960년대 다니엘 게렝의 '아나키즘: 이론에서 실천까지'에서 게랭은 슈티르너를 헤겔주의의 반개인주의가 사상계를 지배하던 시절에 개별성을 보호한 인물로 평가 했다[62] 1970년대 미국에선 상황주의자들의 집단인 'for ourselves에서 '탐욕할 권리:모든 것을 요구하는 것의 실질적인 필요성에 대한 논문' 을 썼는데 그들은 슈티르너에게 강하게 영향을 받아 에고이즘적 공산주의를(egoist-communism, 혹은 communist-egoism) 주장하게 된다.[63] 이후 미국에서 슈티르너의 이데올로기 비판에 영향을 받아 포스트-레프트 아나키즘이 등장한다. 제이슨 멕퀸은 이렇게 말했다. "언제나 내가 이데올로기를 비판할때 이는 막스 슈티르너의 회의주의적이고 개인주의적인 관점에 뿌리를 둔다"[64] 그리고 밥 블랙과 '페럴 폰/울피 랜드스트라이커' 같은 이들역시 슈티르너의 에고이즘에 강한 영향을 받았다. 포스트-구조주의와, 아나키즘의 혼합물인 포스트 아나키즘 이론가인 사울 뉴먼역시 슈티르너에게 강하게 영향을 받았고 슈티르너의 철학과 포스트 구조주의에 대한 글을 썼다. 반역 아나키즘 역시 슈티르너에게서 강하게 영향을 받았다. 반역 아나키즘 이론가인 울피 랜드스트라이커와 알프레도 보나노역시 슈티르너에게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보나노는 슈티르너와 관련해 Max Stirner 그리고 "Max Stirner und der Anarchismus" 같은 글을 쓰기도 했다.[65] 자유연애, 동성애, 그리고 여성주의[편집] “ 만일 슈티르너가 말했다면: 너는 살아있는 본질이나 동물 이상이다. 이것은 너는 여전히 동물이라는 것이지만, 그 동물성은 네가 누구인지 완전히 표현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그는 말한다: "너는 인간 이상의 존재지만, 또한 인간이기도 하다. 너는 남성 이상의 존재지만, 또한 남성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 인간성과 남성성은 너를 완전히 표현하지 못한다. 그러니 너는 너를 '진정한 인간성'이나 '진정한 남성성'으로 묶어두고자 하는 모든 것들에 무관심할 수 있다. 그러나 너는 이로 인해 언제나 고문을 당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식적인 의무로서 너 자신을 괴롭혀왔다. 여전히 오늘날에도 거룩한 인민은 너를 그들과 함께 묶어두고자 한다." ”   — 막스 슈티르너, Stirner’s Critics(1845)[66] 독일 슈티르너주의자이자 양성애자였던 아돌프 브랜드는 1896년 동성애에 관련된 간행물인 en:Der Eigene(유일자)을 간행하게 되는데, 이는 세계 최초의 동성애 관련 출판물 이였으며 1931년까지 간행 되었다.[67] 간행물의 이름은 슈티르너의 저서인 '유일자와 그 소유에서'비롯된 것이었다. 또 다른 초기 성소수자 운동가로는 슈티르너의 전기 작가이자 게이였던 존 헨리 맥케이가 있다. 슈티르너에게 영향을 받는 여성주의자는 대표적으로 en:The Freewoman과 en:The New Freewoman을 편집했던 도라 마즈던과 엠마 골드만 같은 이들이 있었다. 슈티르너는 또한 자유 연애와 폴리아모리의 전파자인 에밀 아망드에게도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68] 같이 보기[편집] 앙리 아르봉 자유로운 사람들 노트[편집] ↑ (영어) 막스 슈티르너 -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 ↑ Goodway, David. Anarchist Seeds Beneath the Snow. Liverpool University Press, 2006, p. 99. ↑ 가 나 다 John Henry Mackay: Max Stirner – Sein Leben und sein Werk Archived 2016년 11월 9일 - 웨이백 머신 p. 28 ↑ The Encyclopedia of Philosophy, volume 8, The Macmillan Company and The Free Press, New York 1967. ↑ Stepelevich, Lawrence (Oct–Dec 1985). “Max Stirner as Hegelian”. 《Journal of the History of Ideas  - JSTOR 경유 (구독 필요)》 46 (4): 602.  ↑ Marshall, Peter (1992). 《Demanding the Impossible》. Harper Collins. 221쪽. ISBN 0002178559.  ↑ https://theanarchistlibrary.org/library/mikhail-bakunin-the-reaction-in-germany ↑ 가 나 다 Lawrence L Stepelevich, The revival of Max Stirner ↑ Gide, Charles & Rist, Charles. A History of Economic Doctrines from the Time of the Physiocrats to the Present Day. Harrap 1956, p. 612 ↑ The Encyclopedia of Philosophy, volume 8, The Macmillan Company and The Free Press, New York 1967 ↑ Karl Marx, "On the Jewish Question" Deutsch-franzosische ]ahrbucher, ed. Arnold Ruge (Paris, 1 844), p. 197. ↑ https://libcom.org/library/unique-its-property ↑ 울피 랜드스트라이커(Wolfi Landstreicher)의 2017년 번역본에서는 phantasm으로 번역되었다. ↑ Heider, Ulrike. Anarchism: Left, Right and Green, San Francisco: City Lights Books, 1994, pp. 95–96 ↑ Stirner, Max. The Ego and Its Own, p. 248 ↑ Moggach, Douglas. The New Hegelia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p. 194 ↑ Thomas, Paul (1985). 《Karl Marx and the Anarchists》. London: Routledge/Kegan Paul. 142쪽. ISBN 0-7102-0685-2.  ↑ 가 나 Nyberg, Svein Olav. “The union of egoists” (PDF). 《Non Serviam》 (Oslo, Norway: Svein Olav Nyberg) 1: 13–14. OCLC 47758413. 2010년 12월 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9월 1일에 확인함.  ↑ https://theanarchistlibrary.org/library/max-stirner-stirner-s-critics ↑ https://libcom.org/library/unique-its-property ↑ https://theanarchistlibrary.org/library/max-stirner-the-ego-and-his-own The craving for a particular freedom always includes the purpose of a new dominion, as it was with the Revolution, which indeed “could give its defenders the uplifting feeling that they were fighting for freedom,” but in truth only because they were after a particular freedom, therefore a new dominion, the “dominion of the law.” Freedom you all want, you want freedom. Why then do you haggle over a more or less? Freedom can only be the whole of freedom; a piece of freedom is not freedom. You despair of the possibility of obtaining the whole of freedom, freedom from everything — yes, you consider it insanity even to wish this? — Well, then leave off chasing after the phantom, and spend your pains on something better than the — unattainable. ↑ The commoner is what he is through the protection of the State, through the State’s grace. He would necessarily be afraid of losing everything if the State’s power were broken. But how is it with him who has nothing to lose, how with the proletarian? As he has nothing to lose, he does not need the protection of the State for his “nothing.” He may gain, on the contrary, if that protection of the State is withdrawn from the protégé. Therefore the non-possessor will regard the State as a power protecting the possessor, which privileges the latter, but does nothing for him, the non-possessor, but to — suck his blood. The State is a — commoners’ State, is the estate of the commonalty. It protects man not according to his labor, but according to his tractableness (“loyalty”) — to wit, according to whether the rights entrusted to him by the State are enjoyed and managed in accordance with the will, i. e., laws, of the State. Under the regime of the commonalty the laborers always fall into the hands of the possessors, of those who have at their disposal some bit of the State domains (and everything possessible in State domain, belongs to the State, and is only a fief of the individual), especially money and land; of the capitalists, therefore. The laborer cannot realize on his labor to the extent of the value that it has for the consumer. “Labor is badly paid!” The capitalist has the greatest profit from it. — Well paid, and more than well paid, are only the labors of those who heighten the splendor and dominion of the State, the labors of high State servants. The State pays well that its “good citizens,” the possessors, may be able to pay badly without danger; it secures to itself by good payment its servants, out of whom it forms a protecting power, a “police” (to the police belong soldiers, officials of all kinds, e.g. those of justice, education, etc. — in short, the whole “machinery of the State”) for the “good citizens,” and the “good citizens” gladly pay high tax-rates to it in order to pay so much lower rates to their laborers. But the class of laborers, because unprotected in what they essentially are (for they do not enjoy the protection of the State as laborers, but as its subjects they have a share in the enjoyment of the police, a so-called protection of the law), remains a power hostile to this State, this State of possessors, this “citizen kingship.” Its principle, labor, is not recognized as to its value; it is exploited,[ausgebeutet] a spoil [Kriegsbeute] of the possessors, the enemy. The laborers have the most enormous power in their hands, and, if they once became thoroughly conscious of it and used it, nothing would withstand them; they would only have to stop labor, regard the product of labor as theirs, and enjoy it. This is the sense of the labor disturbances which show themselves here and there. The State rests on the — slavery of labor. If labor becomes free. the State is lost. The Ego and its Own ↑ 가 나 Moggach, Douglas & De Ridder, Widukind. Hegelianism in Restoration Prussia,1841–1848: Freedom, Humanism and ‘Anti-Humanism’ in Young Hegelian Thought. In: 'Hegel's Thought in Europe: Currents, Crosscurrents and Undercurrents', ed. Lisa Herzog (pp. 71-92). Basingstoke and New York: Palgrave Macmillan, 2013, pp. 82-83 ↑ Encyclopaedia of Philosophy, The Macmillan company Press, New York, 1967 ↑ See Bernd A. Laska: Nietzsche's initial crisis. In: Germanic Notes and Reviews, vol. 33, n. 2, fall/Herbst 2002, pp. 109–133 ↑ George J. Stack, Lange and Nietzsche, Walter de Gruyter, Berlin, New York, 1983, p. 12, ISBN 978-3-11-008866-3 ↑ 가 나 (영어) 막스 슈티르너 -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 ↑ Max Stirner, a durable dissident – in a nutshell ↑ Quoted in Read's book, "The Contrary Experience", Faber and Faber, 1963. ↑ See Memoirs of a revolutionary, 1901–1941 by Victor Serge. Publisher Oxford U.P., 1967 ↑ See Bernd A. Laska: Ein dauerhafter Dissident. Nürnberg: LSR-Verlag 1996 (online) ↑ See Bernd A. Laska: Katechon und Anarch. Nürnberg: LSR-Verlag 1997 (online) ↑ Huneker's book Egoists, a Book of Supermen (1909)contains an essay on Stirner. ↑ See Goldman, Anarchism and Other Essays, p. 50. ↑ Wilson, A N (2004년 11월 1일). “World of books”. 《The Daily Telegraph》 (London). 2010년 5월 12일에 확인함.  ↑ Between Man and Man by Martin Buber, Beacon Press, 1955. ↑ From Hegel to Marx by Sidney Hook, London, 1936. ↑ "The long revolution is preparing to write works in the ink of action whose unknown or nameless authors will flock to join Sade, Fourier, Babeuf, Marx, Lacenaire, Stirner, Lautréamont, L’hautier, Vaillant, Henry, Villa, Zapata, Makhno, the Communards, the insurrectionaries of Hamburg, Kiel, Kronstadt, Asturias – all those who have not yet played their last card in a game which we have only just joined: the great gamble whose stake is freedom." Raoul Vaneigem. The Revolution of Everyday Life ↑ David Goodway, Anarchist Seeds Beneath the Snow, Liverpool University Press, 2006 (pg.75). ↑ Henri Arvon, Aux sources de 1'existentialisme Max Stirner (Paris, 1954), p. 14 ↑ Zwischen 18 and 25, pp. 237–238. ↑ "Chapter Sankt Max in Die deutsche Ideologie ↑ I. Berlin, Karl Marx (New York, 1963), 143. ↑ G. Stedman-Jones, 'Introduction' in K. Marx & F. Engels, The Communist Manifesto (London, 2002) ↑ Jacques Derrida. Specters of Marx. Routledge. 1994 ↑ "Human or divine, as Stirner said, the predicates are the same whether they belong analytically to the divine being, or whether they are synthetically bound to the human form" (Gilles Deleuze. The Logic of Sense. Continuum. 2004). p. 122. ↑ Albert Levy, Stirner and Nietzsche, Paris, 1904; Robert Schellwien, Max Stirner and Friedrich Nietzsche, 1892; H.L. Mencken, The Philosophy of Friedrich Nietzsche, 1908; K. Löwith, From Hegel To Nietzsche New York, 1964, p187; R.A. Nicholls, "Beginnings of the Nietzsche Vogue in Germany", in Modern Philology, Vol. 56, No. 1, Aug., 1958, pp. 24–37; T. A. Riley, "Anti-Statism in German Literature, as Exemplified by the Work of John Henry Mackay", in PMLA, Vol. 62, No. 3, Sep., 1947, pp. 828–843; Seth Taylor, Left Wing Nietzscheans, The Politics of German Expressionism 1910–1920, p144, 1990, Walter de Gruyter, Berlin/New York; Gilles Deleuze, Nietzsche et la Philosophy,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1962; R. C. Solomon & K. M. Higgins, The Age of German Idealism, p300, Routledge, 1993 ↑ While discussion of possible influence has never ceased entirely, the period of most intense discussion occurred between 1892 and 1900 in the German-speaking world. During this time, the most comprehensive account of Nietzsche's reception in the German language, the 4 volume work of Richard Frank Krummel: Nietzsche und der deutsche Geist indicates 83 entries discussing Stirner and Nietzsche. The only thinker more frequently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Nietzsche during this time is Schopenhauer, with about twice the number of entries. Discussion steadily declines thereafter, but is still significant. Nietzsche and Stirner show 58 entries between 1901 and 1918. From 1919 to 1945 there are 28 entries regarding Nietzsche and Stirner. ↑ "Apart from the information which can be gained from the annotations, the library (and the books Nietzsche read) shows us the extent, and the bias, of Nietzsche's knowledge of many fields, such as evolution and cosmology. Still more obvious, the library shows us the extent and the bias of Nietzsche's knowledge about many persons to whom he so often refers with ad hominem statements in his works. This includes not only such important figures as Mill, Kant, and Pascal but also such minor ones (for Nietzsche) as Max Stirner and William James who are both discussed in books Nietzsche read." T. H. Brobjer, "Nietzsche's Reading and Private Library", 1885–1889, in Journal of the History of Ideas, Vol. 58, No. 4, Oct., 1997, pp. 663–693; Stack believes it is doubtful that Nietzsche read Stirner, but notes "he was familiar with the summary of his theory he found in Lange's history." George J. Stack, Lange and Nietzsche, Walter de Gruyter, 1983, p 276 ↑ Albert Levy, Stirner and Nietzsche, Paris, 1904 ↑ Bernd A. Laska: Nietzsche's initial crisis. In: Germanic Notes and Reviews, vol. 33, n. 2, fall/Herbst 2002, pp. 109–133 ↑ Eduard von Hartmann, Nietzsches "neue Moral", in Preussische Jahrbücher, 67. Jg., Heft 5, Mai 1891, S. 501–521; augmented version with more express reproach of plagiarism in: Ethische Studien, Leipzig, Haacke 1898, pp. 34–69 ↑ This author believes that one should be careful in comparing the two men. However, he notes: "It is this intensive nuance of individualism that appeared to point from Nietzsche to Max Stirner, the author of the remarkable work Der Einzige und sein Eigentum. Stirner's influence in modern Germany has assumed astonishing proportions, and moves in general parallel with that of Nietzsche. The two thinkers are regarded as exponents of essentially the same philosophy." O. Ewald, "German Philosophy in 1907", in The Philosophical Review, Vol. 17, No. 4, Jul., 1908, pp. 400–426 ↑ [in the last years of the 19th century] "The question of whether Nietzsche had read Stirner was the subject of great debate" R.A. Nicholls, "Beginnings of the Nietzsche Vogue in Germany", in Modern Philology, Vol. 56, No. 1, Aug., 1958, pp. 29–30 ↑ Levy pointed out in 1904 that the similarities in the writing of the two men appeared superficial. Albert Levy, Stirner and Nietzsche, Paris, 1904 ↑ R.A. Nicholls, "Beginnings of the Nietzsche Vogue in Germany", in Modern Philology, Vol. 56, No. 1, Aug., 1958, pp. 24–37 ↑ "Stirner, like Nietzsche, who was clearly influenced by him, has been interpreted in many different ways", Saul Newman, From Bakunin to Lacan: Anti-authoritarianism and the Dislocation of Power, Lexington Books, 2001, p 56; "We do not even know for sure that Nietzsche had read Stirner. Yet, the similarities are too striking to be explained away." R. A. Samek, The Meta Phenomenon, p70, New York, 1981; Tom Goyens, (referring to Stirner's book The Ego and His Own) "The book influenced Friedrich Nietzsche, and even Marx and Engels devoted some attention to it." T. Goyens, Beer and Revolution: The German Anarchist Movement In New York City, p197, Illinois, 2007 ↑ "We have every reason to suppose that Nietzsche had a profound knowledge of the Hegelian movement, from Hegel to Stirner himself. The philosophical learning of an author is not assessed by the number of quotations, nor by the always fanciful and conjectural check lists of libraries, but by the apologetic or polemical directions of his work itself." Gilles Deleuze (translated by Hugh Tomlinson), Nietzsche and Philosophy, 1962 (2006 reprint, pp. 153–154) ↑ https://theanarchistlibrary.org/library/abissonichilista-the-unique-one-meets-the-overhuman ↑ Guido Giacomo Preparata, "Perishable Money in a Threefold Commonwealth: Rudolf Steiner and the Social Economics of an Anarchist Utopia". Review of Radical Economics 38/4 (Fall 2006). pp. 619–648 ↑ "Only the influence of the German philosopher of egoism, Max Stirner (né Johann Kaspar Schmidt, 1806–1856), as expressed through The Ego and His Own (Der Einzige und sein Eigentum) compared with that of Proudhon. In adopting Stirnerite egoism (1886), Tucker rejected natural rights which had long been considered the foundation of libertarianism. This rejection galvanized the movement into fierce debates, with the natural rights proponents accusing the egoists of destroying libertarianism itself. So bitter was the conflict that a number of natural rights proponents withdrew from the pages of Liberty in protest even though they had hitherto been among its frequent contributors. Thereafter, Liberty championed egoism although its general content did not change significantly."Wendy Mcelroy. "Benjamin Tucker, Individualism, & Liberty: Not the Daughter but the Mother of Order" ↑ Daniel Guérin,Anarchism: From Theory to Practice ↑ Four Ourselves, The Right To Be Greedy: Theses On The Practical Necessity Of Demanding Everything ↑ "What is Ideology?" by Jason McQuinn ↑ “BONANNO, Alfredo Maria”. 2009년 7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7월 10일에 확인함.  ↑ https://theanarchistlibrary.org/library/max-stirner-stirner-s-critics If Stirner had said: You are more than a living essence or animal, this would mean, you are still an animal, but animality does not exhaust what you are...... ↑ Karl Heinrich Ulrichs had begun a journal called Prometheus in 1870, but only one issue was published. (Kennedy, Hubert, Karl Heinrich Ulrichs: First Theorist of Homosexuality, In: 'Science and Homosexualities', ed. Vernon Rosario. New York: Routledge, 1997, pp. 26–45.) ↑ "La insumisión voluntaria. El anarquismo individualista español durante la dictadura y la Segunda República" by Xavier Díez 참고[편집] Stirner, Max: Der Einzige und sein Eigentum (1845 [October 1844]). Stuttgart: Reclam-Verlag, 1972ff; engl. trans. The Ego and Its Own (1907), ed. David Leopold, Cambridge/ New York: CUP 1995 Stirner, Max: "Recensenten Stirners" (September 1845). In: Parerga, Kritiken, Repliken, Bernd A. Laska, ed., Nürnberg: LSR-Verlag, 1986; engl. trans. Stirner's Critics (abridged), see below Max Stirner, Political Liberalism (1845) 더 읽을거리[편집] Max Stirner's 'Der Einzige und sein Eigentum' im Spiegel der zeitgenössischen deutschen Kritik. Eine Textauswahl (1844–1856). Hg. Kurt W. Fleming. Leipzig: Verlag Max-Stirner-Archiv 2001 (Stirneriana) Arena, Leonardo V., Note ai margini del nulla, ebook, 2013. Arvon, Henri, Aux Sources de l'existentialisme, Paris: P.U.F. 1954 Essbach, Wolfgang, Gegenzüge. Der Materialismus des Selbst. Eine Studie über die Kontroverse zwischen Max Stirner und Karl Marx. Frankfurt: Materialis 1982 Helms, Hans G, Die Ideologie der anonymen Gesellschaft. Max Stirner 'Einziger' und der Fortschritt des demokratischen Selbstbewusstseins vom Vormärz bis zur Bundesrepublik, Köln: Du Mont Schauberg, 1966 Koch, Andrew M., "Max Stirner: The Last Hegelian or the First Poststructuralist". In: Anarchist Studies, vol. 5 (1997) pp. 95–108 Laska, Bernd A., Ein dauerhafter Dissident. Eine Wirkungsgeschichte des Einzigen, Nürnberg: LSR-Verlag 1996 (TOC, index) Laska, Bernd A., Ein heimlicher Hit. Editionsgeschichte des "Einzigen". Nürnberg: LSR-Verlag 1994 (abstract) Marshall, Peter H. "Max Stirner" in "Demanding the Impossible: A History of Anarchism "(London: HarperCollins, 1992). Moggach, Douglas & De Ridder, Widukind, "Hegelianism in Restoration Prussia,1841–1848: Freedom, Humanism and ‘Anti-Humanism’ in Young Hegelian Thought". In: Herzog, Lisa (ed.): Hegel's Thought in Europe: Currents, Crosscurrents and Undercurrents. Basingstoke and New York, Palgrave Macmillan, 2013, pp. 71–92 (Google Books) Newman, Saul (ed.), Max Stirner (Critical Explorations in Contemporary Political Thought), Basingstoke and New York: Palgrave Macmillan, 2011 (full book) Newman, Saul, Power and Politics in Poststructural Thought.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005 Paterson, R.W.K., The Nihilistic Egoist: Max Stirner,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71 Stepelevich, Lawrence S., Max Stirner As Hegelian. In: Journal of the History of Ideas, Vol. 46, nr. 4, pp. 597–614 Stepelevich, Lawrence S., Ein Menschenleben. Hegel and Stirner". In: Moggach, Douglas (ed.): The New Hegelians. Philosophy and Politics in the Hegelian School.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pp. 166–176 Welsh, John F. Max Stirner's Dialectical Egoism: A New Interpretation. Lexington Books. 2010. Wilkinson, Will (2008). 〈Stirner, Max (1806–1856)〉. Hamowy, Ronald. 《The Encyclopedia of Libertarianism》. Thousand Oaks, CA: SAGE; Cato Institute. 493–5쪽. ISBN 978-1-4129-6580-4. LCCN 2008009151. OCLC 750831024.  Di Mascio, Carlo, Stirner Giuspositivista. Rileggendo l'Unico e la sua proprietà, 2 ed., Edizioni Del Faro, Trento, 2015, pp. 253, ISBN 978-88-6537-378-1 외부 링크[편집] 틀:Wikisource author-inline 위키인용집에 막스 슈티르너 관련 문서가 있습니다. 위키미디어 공용에 막스 슈티르너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일반[편집] (영어) 막스 슈티르너 -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 an extensive introduction Svein Olav Nybergs website on Max Stirner, with extensive links to texts and references Max Stirner within the LSR project (English section) Max Stirner Project by H. Ibrahim Türkdogan Archive of texts on Stirner at the Anarchist Library 다른 철학자들과의 관계[편집] Max Stirner, a durable dissident, 'How Marx and Nietzsche suppressed their colleague Max Stirner and why he has intellectually survived them' Stirner Delighted in His Construction – "loves miracles, but can only perform a logical miracle", by Karl Marx Nietzsche's initial crisis due to an encounter with Stirner's "The Ego", by Bernd A. Laska (2002) Max Stirner As Hegelian, By Lawrence S. Stepelevich "At the End of the Path of Doubt: Max Stirner", By Lawrence S. Stepelevich (Owl of Minerva 41:1–2 (2009–10) pp. 85–106) 텍스트[편집] Max Stirner의 작품 - 프로젝트 구텐베르크 작품 정보 막스 슈티르너 - 인터넷 아카이브 막스 슈티르너의 작품 - 리브리복스 (퍼블릭 도메인 오디오북) Online book Der Einzige und sein Eigentum The complete original text in German of Der Einzige und sein Eigentum The complete English edition of "The Ego and his Own", in the translation of Steven T. Byington. Some of Stirner's illuminating "Shorter Essays", translated into English Recensenten Stirners / Stirner's Critics bilingual: full text in German / abridged text in English (trans. Frederick M. Gordon) Archive of the 4 works of Stirner translated into English including a 2011 complete translation of Stirner´s Critics (translated by Wolfi Landstreicher at the Anarchist Library) 전거 통제 WorldCat VIAF: 51780445 LCCN: n79054586 ISNI: 0000 0001 2132 8572 GND: 118618261 SELIBR: 199381 SUDOC: 033430586 BNF: cb124296680 (데이터) NLA: 35481082 NDL: 00457765 NKC: skuk0001335 BNE: XX902233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막스_슈티르너&oldid=24409003" 분류: 1806년 태어남1856년 죽음독일의 철학자독일의 무신론자독일의 아나키스트무신론 철학자개인주의적 아나키스트종교 비평가허무주의자필명오버프랑켄 현 출신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동문동물 공격으로 죽은 사람19세기 독일 사람19세기 철학자서프로이센 출신숨은 분류: 구독이 필요한 링크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ragoné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Brezhoneg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Italiano日本語KurdîКыргызчаLatinaLatviešuMalagasyNederlandsNorskOccitan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TürkçeУкраїнськаVènetoWalonWinaray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1일 (화) 01:2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막스 슈티르너(독일어: Max Stirner, 본명: 요한 카스파어 슈미트·Johann Caspar Schmidt, 1806년 10월 25일 ~ 1856년 6월 26일)는 독일의 철학자로서 허무주의, 실존주의, 정신분석 이론, 포스트모더니즘,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에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슈티르너의 주요저서로는 《유일자와 그 소유(Der Einzige und sein Eigentum)》가 있으며, 이 책은 1845년 라이프치히에서 처음 출간된 이후 여러 판본으로 번역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막스 슈티르너는 철학에 대해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었을까? Assistant: 슈티르너는 철학은 종교처럼 대상을 귀찮게 하지도, 예술처럼 대상을 만들어 내지도 않다는 하며 신중히 변증법적 삼인조(예술-종교-철학)에서 철학을 빼내 왔다. 사실 슈티르너와 관련해서 철학이란 예술과 철학에 모두 무심한 것이였다. 이로서 슈티르너는 바우노의 종교 비판을 무시하고 그것을 급진화 하였다.[23] Human: 아래 고효율_비디오_코딩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고효율 비디오 코딩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효율 비디오 코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HEVC의 블록 다이어그램 비디오 성능 비교[1] 비디오코딩표준 평균 비트레이트 감소율(H.264/MPEG-4 AVC HP 대비) 480p 720p 1080p 2160p HEVC 52% 56% 62% 64% 고효율 비디오 코딩(HEVC/H265)(영어: High Efficiency Video Coding)는 H.264/MPEG-4 AVC의 성공에 힘입어 개발에 착수한 차세대 동영상 부호화 기술이다. 기존에 H.264/MPEG-4 AVC를 개발했던 ISO/IEC MPEG과 ITU-T의 영상 부호화 전문가 그룹(Video Coding Experts Group)이 Joint Collaborative Team on Video Coding (JCT-VC)[2]으로서 2010년 1월 팀을 결성하여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2013년 1월 25일, ITU는 스위스 제네바에서 HEVC를 차세대 최종 표준안으로 승인하였다.[3] ISO/IEC 표준 번호는 ISO/IEC 23008-2, ITU-T 표준 번호는 H.265이며, 2015년에 개정판이 발행되었다. 현재 이를 기반으로 한 다시점 부호화(Multi-view video coding)와 가변적 부호화(Scalable video coding), 3D 비디오 부호화 기술이 Annex로서 포함되어 있다. 목차 1 개요 1.1 명칭 1.2 성능 2 특징 2.1 프로파일, 티어 와 레벨 2.2 주요 기술 2.2.1 블록 구조 2.2.2 예측 모드 2.2.3 차영상 부호화 2.2.4 인루프 필터 2.2.5 병렬화 지원 3 같이 보기 4 각주 개요[편집] 명칭[편집] HEVC는 ISO/IEC 표준번호 23008 part 2의 명칭으로, MPEG측에서 사용하는 명칭이고, ITU-T는 H.265로 2013년 4월 13일에 표준번호를 승인하였다. H.26L에서 출발하여 ITU-T측의 이름을 우선적으로 사용하던 H.264와 달리, 팀 결성시부터 HEVC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왔다. 성능[편집] 중심이 되는 프로파일인 Main Profile은 H264/AVC 방식의 인코딩을 했을 때와 대비해 Full HD 이상의 해상도의 경우 동일 조건 하에서 같은 화질에 절반 이하의 용량만 차지한다. 실제 사용에서는 인코더와 디코더의 세팅,영상 소스,모니터,케이블에 따라 변수가 있지만 약간 나은 화질에 60~80% 정도의 용량을 차지한다. 또한 H.264보다 압축 알고리즘이 복잡하여 인코딩과 디코딩시 같은 PC사양 기준으로 H.264 대비 1.2~2배정도 PC의 리소스를 추가적으로 요구한다.[4]. 특징[편집] 프로파일, 티어 와 레벨[편집] HEVC에서는 H.264/AVC에서와 같이 프로파일과 레벨 구조를 사용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티어라는 명세를 더 가지고 있다. 프로파일은 사용되는 기술에 대한 제약 사항을 나타내며, 레벨과 티어는 복호화 시에 필요한 사양을 정의하고 있다. 프로파일은 H.264/AVC에서와 같이 사용 영역에 맞게 특정 기술들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 해 둔 명세이다. 현재는 Main 프로파일과 그에 맞추어 정의된 10비트용 Main 프로파일(Main 10), 정지 영상 부호화용 프로파일(Main Still Picture)있다. 티어는 새롭게 정의된 명세 사항으로, Main Tier 및 High Tier가 있다. High Tier는 고화질 영상을 부호화 할 수 있도록 조금 더 넉넉한 사양을 규정하고 있다. 레벨은 기존 H.264/AVC에서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화질 영상을 부호화 하는데 유리하도록 조금 더 여유있게 설정되었다. 1 ~ 6.2레벨까지 정의되어 있다. 1레벨은 QCIF(176x144)를 초당 15프레임 정도로 복호화 할 수 있는 사양을 이야기 하며, 레벨이 오를수록 사양이 높아져 가장 높은 레벨인 6.2에서는 8K영상을 초당 120프레임 재생 할 수 있도록 정의되어 있다. 주요 기술[편집] HEVC에서는 여러 방향에서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을 적용했다. 기존 압축 표준인 H.264와 비교하여 특징적인 기술들은 다음과 같다. 블록 구조[편집] 고해상도 영상을 잘 부호화 할 수 있도록 64x64크기의 블록을 기반으로 트리구조로 쪼개 내려가도록 하였으며, 예측 모드를 저장하는 단위와 차영상을 부호화 하는 단위를 분리하였다. 트리 구조에 따라 예측 모드는 최소 4x4에서 최대 64x64단위까지 부호화 할 수 있다. 예측 모드[편집] 화면 내 예측의 경우 35개의 모드 중 선택 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에 비하여 크게 늘렸다. 화면간 예측에서는 예상 움직임 벡터를 최대 5개 중에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소수점 단위 움직임 예측에 필요한 보간필터도 1/4 픽셀 단위까지 정의되었다(기존 H.264에서는 1/4 픽셀 단위에서는 선형보간을 사용했다.). 차영상 부호화[편집] 32x32부터 4x4까지 다양한 사이즈의 부호화를 지원한다. 화면내 부호화의 경우, 모드에 따라 4x4 단위에서는 DCT대신에 DST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인루프 필터[편집] 블록 경계에서 발생하는 계단 현상을 줄여주는 디블로킹 필터 뿐 아니라 오차 패턴을 보상 해 줄 수 있도록 Sample Adaptive Offset기술을 도입하였다. 병렬화 지원[편집] 하나의 화면을 가상의 슬라이스로 분할하여 병렬로 부호화/복호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추가되었다. 같이 보기[편집] 코덱 H.264 각주[편집] ↑ TK Tan; Marta Mrak; Vittorio Baroncini; Naeem Ramzan (2014년 5월 18일). “Report on HEVC compression performance verification testing”. JCT-VC. 2014년 5월 25일에 확인함.  ↑ JCT-VC. “JCT-VC official page”. www.itu.int. 2010년 5월 25일에 확인함.  ↑ 디지털타임스, 기 다리던 '초고화질 영상기술' 드디어... ↑ Ohm, J.; G.J. Sullivan, H. Schwarz, T.K. Tan, T. Wiegand (2012년 12월). “Comparison of the Coding Efficiency of Video Coding Standards—Including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 《Circuits and Systems for Video Technology, IEEE Transactions on》 22 (12): 1669–1684. ISSN 1051-8215. doi:10.1109/TCSVT.2012.2221192.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vdehMPEG MPEG-1 2 3 4 7 21 A B C D E H V M U MPEG-1 파트 파트 1: 시스템 (프로그램 스트림) 파트 2: 비디오 (H.261 기반) 파트 3: 오디오 (레이어 I 레이어 II 레이어 III) MPEG-2 파트 파트 1: 시스템 (H.222.0) (트랜스포트 스트림 프로그램 스트림) 파트 2: 비디오 (H.262) 파트 3: 오디오 (레이어 I 레이어 II 레이어 III MPEG 멀티채널) 파트 6: DSM CC 파트 7: 고급 오디오 부호화 MPEG-4 파트 파트 2: 비디오 (H.263 기반) 파트 3: 오디오 파트 6: DMIF 파트 10: 고급 비디호 부호화(H.264) 파트 11: 장면 기술 파트 12: ISO 기반 미디어 파일 포맷 파트 14: MP4 파일 포맷 파트 17: 스트리밍 텍스트 포맷 파트 20: LASeR MPEG-7 파트 파트 2: 기술 정의 언어 MPEG-21 파트 파트 2, 3, 9: 디지털 항목 파트 5: 권리 표현 언어 MPEG-D 파트 파트 1: MPEG 서라운드 파트 3: 음성 오디오 결합 부호화 MPEG-H 파트 파트 2: 고효율 비디오 부호화(H.265) 기타 MPEG-DASH vdeh멀티미디어 압축 형식영상 압축ISO/IEC 모션 JPEG 모션 JPEG 2000 MPEG-1 MPEG-2(파트 2) MPEG-4(파트 2/ASP 파트 10/AVC) HEVC ITU-T H.120 H.261 H.262 H.263 H.264 HEVC 기타 AMV AVS Bink Dirac DV Indeo 마이크로소프트 비디오1 Pixlet 리얼비디오 RTVideo SheerVideo 스매커 비디오 Theora VC-1 VP6 VP7 VP8 VP9 WMV Xvid 오디오 압축ISO/IEC MPEG-1 레이어 III (MP3) MPEG-1 레이어 II MPEG-1 레이어 I AAC HE-AAC ITU-T G.711 G.718 G.719 G.722 G.722.1 G.722.2 G.723 G.723.1 G.726 G.728 G.729 G.729.1 G.729a 기타 AC3 AMR 애플 무손실 ATRAC FLAC iLBC Monkey's Audio μ-law Musepack OptimFROG 리얼오디오 RTAudio SHN Siren Speex Vorbis WavPack WMA TAK TTA 이미지 압축ISO/IEC/ITU-T JPEG XR JPEG JPEG 2000 무손실 JPEG JBIG JBIG2 PNG WBMP 기타 APNG BMP EXR GIF ICER ILBM MNG PCX PGF TGA TIFF DNG SVG WebP 미디어 컨테이너일반 3GP ASF AVI Bink BXF DivX 미디어 포맷 DPX EVO FLV 마트료시카 MPEG-PS MPEG-TS MP4 MXF Ogg Ogg 미디어 퀵타임 리얼미디어 스매커 RIFF VOB WebM 오디오만 지원 AIFF AU WAV 방식에 대해서는 압축 방식을, 코덱에 대해서는 데이터 압축 구현을 참고하십시오. vdehISO 표준 목록: ISO 표준 목록 ISO 로마자 표기법 목록 IEC 표준 목록 분류: 분류:ISO 표준 분류:OSI 프로토콜 1~9999 1 2 3 4 5 6 7 9 16 31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28 216 217 226 228 233 259 269 302 306 428 518 519 639 -1 -2 -3 -5 -6 646 690 732 764 843 898 965 1000 1004 1007 1073-1 1413 1538 1745 1989 2014 2015 2022 2047 2108 2145 2146 2240 2281 2709 2711 2788 2848 2852 3029 3103 3166 -1 -2 -3 3297 3307 3602 3864 3901 3977 4031 4157 4217 4909 5218 5428 5775 5776 5800 5964 6166 6344 6346 6385 6425 6429 6438 6523 6709 7001 7002 7098 7185 7200 7498 7736 7810 7811 7812 7813 7816 8000 8178 8217 8571 8583 8601 8632 8652 8691 8807 8820-5 8859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8879 9000 9075 9126 9241 9293 9362 9407 9506 9529 9564 9594 9660 9897 9945 9984 9985 9995 10000~19999 10005 10006 10007 10116 10118-3 10160 10161 10165 10179 10206 10218 10303 -11 -21 -22 -28 -238 10383 10487 10585 10589 10646 10664 10746 10861 10957 10962 10967 11073 11170 11179 11404 11544 11783 11784 11785 11801 11898 11940 11941 11941 (TR) 11992 12006 12182:1998 12207 12234-2 13211 -1 -2 13216 13250 13399 13406-2 13407 13450 13485 13490 13567 13568 13584 13616 14000 14031 14224 14289 14396 14443 14496 -10 1-14 14644 -1 -2 -3 -4 -5 -6 -7 -8 -9 14649 14651 14698 14698-2 14750 14882 14971 15022 15189 15288 15291 15292 15408 15444 15445 15438 15504 15511 15686 15693 15706 15706-2 15707 15897 15919 15924 15926 15926 WIP 15930 16023 16262 16750 17024 17025 17369 17799 18000 18004 18014 18245 18629 18916 19005 19011 19092-1 19092-2 19114 19115 19125 19136 19439 19501:2005 19752 19757 19770 19775-1 19794-5 20000+ 20000 20022 21000 21047 21827:2002 22000 23008-2 23270 23360 24613 24707 25178 26000 26300 26324 27000 관련 27000 27001 27002 27003 27004 27005 27006 27007 27729 27799 28000 29110 29199-2 29500 31000 32000 38500 42010 80000 같이 보기: "ISO"로 시작하는 전체 문서 vdeh그래픽 파일 포맷래스터 ANI ANIM APNG ART BMP BPG BSAVE CAL CIN CPC CPT DDS DPX ECW EXR FITS FLIC FLIF FPX GIF HDRi HEVC ICER ICNS ICO / CUR ICS ILBM JBIG JBIG2 JNG JPEG JPEG 2000 JPEG-LS JPEG XR KRA MNG MIFF NRRD ORA PAM PBM / PGM / PPM / PNM PCX PGF PICtor PNG PSD / PSB PSP QTVR RAS RBE JPEG-HDR Logluv TIFF SGI TGA TIFF TIFF/EP TIFF/IT UFO/ UFP WBMP WebP XBM XCF XPM XWD Raw CIFF DNG 벡터 AI CDR CGM DXF EVA EMF 거버 HVIF IGES PGML SVG VML WMF Xar 복합 CDF DjVu EPS PDF PICT PS SWF (파일 형식) XAML 관련 항목 교환 이미지 파일 형식 (Exif) Extensible Metadata Platform (XMP) 분류 비교 이 글은 기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고효율_비디오_코딩&oldid=23967785" 분류: ISO 표준MPEG손실 압축 알고리즘영상 압축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기술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MagyarItaliano日本語NorskPolskiРусскийไทย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Yorùbá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4일 (목) 18:2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고효율 비디오 코딩(HEVC/H265)(영어: High Efficiency Video Coding)는 H.264/MPEG-4 AVC의 성공에 힘입어 개발에 착수한 차세대 동영상 부호화 기술이다. 기존에 H.264/MPEG-4 AVC를 개발했던 ISO/IEC MPEG과 ITU-T의 영상 부호화 전문가 그룹(Video Coding Experts Group)이 Joint Collaborative Team on Video Coding (JCT-VC)으로서 2010년 1월 팀을 결성하여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2013년 1월 25일, ITU는 스위스 제네바에서 HEVC를 차세대 최종 표준안으로 승인하였다. ISO/IEC 표준 번호는 ISO/IEC 23008-2, ITU-T 표준 번호는 H.265이며, 2015년에 개정판이 발행되었다. 현재 이를 기반으로 한 다시점 부호화(Multi-view video coding)와 가변적 부호화(Scalable video coding), 3D 비디오 부호화 기술이 Annex로서 포함되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고효율 비디오 코딩에서 고화질 영상을 암호화가 가능하기 위해 좀 더 충분한 사양을 정하고 있는 티어는 무엇일까? Assistant: High Tier
Human: 아래 사랑앵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사랑앵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랑앵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사랑앵무 사랑앵무 생물 분류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조강 목: 앵무목 과: 목도리앵무과 족: 사랑앵무족(Melopsittacini) 속: 사랑앵무속(Melopsittacus) 종: 사랑앵무(M. undulatus) 학명 Melopsittacus undulatusShaw, 1805 사랑앵무 또는 잉꼬(←일본어: 鸚哥 인코[*])는 앵무새의 일종이다. 오스트레일리아의 건조한 지역 원산이며, 몸길이는 18 cm, 몸무게는 30~40 g 가량 된다. 몸은 녹색, 꼬리는 푸른색, 머리는 노란색이며, 날개는 녹색을 띤 검은색 깃털과 검은색 칼깃으로 되어 있다. 다리는 분홍색이나 회색으로 된 대지족이다. 부리는 분홍빛을 띤 갈색이며 다 자란 수컷에게는 푸르스름한 납막이 있다. 하지만 흰색 등의 변종이 있다. 나무나 풀이 우거진 탁 트인 곳의 관목과 같은 곳에서 산다. 구멍이나 나무 위에 둥지를 짓고 4~7개의 알을 18일간 품는다. 깨어난 새끼가 30일 동안 자라면 독립한다. 새끼를 기를 때가 아니면 조건이 좋은 곳을 찾아 사는 곳을 옮겨다니는 편이다. 이 때문에 철새처럼 이주를 하기도 한다. 목차 1 사랑앵무의 구분 1.1 키우는 사랑앵무 1.2 대화하는 사랑앵무 2 사랑앵무 기르기 2.1 잉꼬 기르기 준비 2.1.1 새장 2.1.2 목욕 2.2 잉꼬 돌보기 2.3 잉꼬 모이 주기 2.4 잉꼬 길들이기 2.4.1 손타기잉꼬(손노리개) 길들이기 2.4.2 말하는잉꼬 길들이기 2.4.3 잉꼬의 알 2.5 잉꼬의 새끼 낳기 3 같이 보기 사랑앵무의 구분[편집] 키우는 사랑앵무[편집] 사랑앵무는 많이 선호하는 야생동물 중 하나이다. 1850년대부터 교배가 이루어져 색깔별로 품종이 있다. 과장된 머릿깃이 시야를 가려서 스트레스를 받거나 근친 교배 때문에 빨리 죽기도 한다. 키우는 사랑앵무의 수명은 품종과 건강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4년에서 15년 정도이다. 사랑앵무의 지능은 다른 앵무새와 비슷하며, 훈련을 시켜 말과 행동을 하는 방법 등을 가르칠 수 있다. 대화하는 사랑앵무[편집] 2001년 캐나다 온타리오 주에 사는 라이언 레드놀즈(Ryan B. Rednolds)는 2000년에 죽은 사랑앵무 빅터(Victor)가 자신의 생각과 일치하는 말을 할 줄 알았으며, 전 세계적으로 그러한 사랑앵무가 10 마리 가량 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지금의 과학으로서는 그의 주장을 증명도 반증도 할 수 없다. 사랑앵무 기르기[편집] 앵무새의 품종은 수백 종이 있는데, 그중 사랑앵무는 깃털이 화려하고 다양하며 사람의 말을 흉내낼 줄 알아 사람들에게 애완동물로서 인기가 있다. 잉꼬 기르기 준비[편집] 새장[편집] 넓은 방에서 기르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기는 하지만, 새장으로 기르는 경우라면 되도록 커다란 것을 준비한다. 적어도 양 날개를 펼쳐서 날 수 있을 정도의 넓이는 되어야 한다. 새장은 실내의 안정된 곳에 설치하고 모이 주는 기구와 새장 바닥을 까는 깔개, 새장 덮개 등이 필요하다. 새장망이 가로로 엮어져 있으면 오르락내리락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다. 지름 1cm 이상의 가지를 구해 홰(횃대)를 만들어 주면 편히 쉴 수 있어 좋다. 종이와 톱밥을 구입하여 새장 바닥에 깔아 주거나 새용 모래깔개나 모래를 깔아 주어도 괜찮다. 목욕[편집] 잉꼬는 놀기를 무척 좋아하기 때문에 장난감을 넣어 주고 건강을 체크하기 위해 몸무게를 측정할 저울을 준비해 두어야 한다. 새장이 크고 넓다면 여러 마리를 함께 키울 수 있다. 잉꼬는 목욕하기를 좋아하므로 물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덮개가 있는 욕조와 플라스틱 통 안에서 물을 뿌릴 수 있는 분무기도 준비해 둔다. 그리고 혹시나 있을 탈출에 대비하여 창문과 벽난로를 막을 수 있는 촘촘한 그물과 벽에 홰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무빨판을 구한다. 사랑앵무새는 건조한 지역에 살던 새로서 목욕을 좋아하지 않는다. 또한 사랑앵무를 억지로 목욕을 시켜서 귀에 물이 들어가게 하면 머리가 기우는 사경현상이 일어 날 수 있다. 잉꼬 돌보기[편집] 잉꼬는 깨끗한 것을 좋아하므로 일주일에 한 번씩 먹이통과 홰 등을 떼어낸 후 철망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뜨거운 비눗물로 잘 닦아 준다. 그리고 휴지로 잘 닦은 후 소독약제를 뿌리고 깔개를 넣기 전에 말린다. 먹이통에 남아 있는 씨앗은 버리고 깨끗이 닦아 신선한 먹이를 담아 준다. 마실 물, 푸성귀 등도 교환해 주며 굴껍질(석분)은 일주일에 한두 번 새것을 넣어 준다. 가루로 된 굴껍질은 좋아하지 않으므로 주의한다. 잉꼬는 일 년에 한 번씩 깃털을 가는데 이때 손상되거나 부러진 깃털은 새 깃털로 교환된다. 털갈이를 할 때는 병든 것처럼 보이나 건강에는 이상이 없다. 잉꼬를 기르다 보면 부리로 자신의 몸을 다듬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몸을 다듬는 동안 꼬리 밑에 있는 선에서 나오는 기름을 깃털에 얇게 바름으로써 방수 효과를 얻는다. 잉꼬 모이 주기[편집] 모이의 배합은 피 6, 좁쌀 3, 수수 1이 보통이다. 여름에는 피 6, 좁쌀 4와 같이 담백한 배합으로 해서 준다. 푸성귀 종류는 무엇이든 잘 먹는데 특히 줄기가 딱딱한 것을 좋아한다. 신선한 것으로 조금씩, 4-5일에 한 번 정도 주면 된다. 잉꼬는 이가 없기 때문에 굴껍질과 같은 석분을 섭취하여야 위에서 거친 씨앗을 소화할 수가 있다. 또 갑오징어뼈를 철사로 고정시켜 매달아 주면 갉아 먹는데 이것은 칼슘 보충을 위해 필요하다. 잉꼬 길들이기[편집] 손타기잉꼬(손노리개) 길들이기[편집] 잉꼬를 길들이려면 야생보다는 사람을 잘 따르는 손노리개가 더 편하며, 손노리개는 날개깃을 자르면 훈련시키기가 더 쉽다. 이것을 윙컷 또는 윙트리밍이라 하는데, 날개가 아니라 날개깃을 자르는 것이라 잉꼬한테는 아픔을 주지 않는다. 또 6개월 정도 자라면 다시 날개깃이 자라난다. 먼저 잉꼬에게 시킬 수 있는 가장 보편적인 훈련은 손가락에 앉도록 하는 것이다. 이 훈련은 반복과 인내심이 필요하다. 먼저 먹이를 자주 주면서 잉꼬와 친해진다. 잉꼬는 점차 주인의 손이 가까이 오는 것에 겁을 내지 않는다. 이때쯤 먹이가 달린 홰를 가까이 가져가 홰에 걸터앉아 먹이를 먹도록 한다. 다음으로 잉꼬가 홰 대신 손가락에 앉는 훈련으로 들어간다. 천천히 집게손가락을 새의 배로 가까이 접근시킨다. 올라오지 않을 경우에는 살살 문질러준다. 잉꼬는 곧 주인의 손가락에 앉는 것을 즐거워하게 된다. 주인의 손가락에 즐겁게 앉아 놀게 되면 이제는 그 상태 그대로 새장 밖으로 옮길 수도 있다. 잉꼬가 적응이 되면 어깨 위에 올려 놓아 본다. 잘 길들여진 잉꼬는 사람 어깨에 앉아 머리카락을 물며 장난을 치기도 한다. 잉꼬와 친밀해지는 방법 중 하나는 볼을 긁어주는 것이다. 볼을 긁어주는 것은 잉꼬 사이에서는 애정표현으로, 손가락을 볼 옆에 살짝 갖다대면 잉꼬가 털을 부풀린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잉꼬가 사람의 손가락을 무서워 하는 것으로 이것은 또 다른 훈련이 필요하다. 이 상태에서 살며시 긁어주면 금세 눈을 감으며 좋아한다. 또한 손에서 직접 먹이를 주는 것도 잉꼬를 길들이는 데에 좋은 방법이다. 잉꼬가 사람의 손가락을 무서워 할 경우에는 새가 무서워하지 않는 거리에서 천천히 다가간다. 오랫동안 반복하면 잉꼬는 손가락이 무섭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반대로 잉꼬를 손으로 잡거나 심한 장난을 칠 경우에는 스트레스를 받아 손가락을 무서워하기 때문에 조심하는 것이 좋다. 말하는잉꼬 길들이기[편집] 잉꼬에게 말을 가르치는 것은 힘든 기술이어서 끈기가 따라야 한다. 먼저 손가락 위에 올려 놓고 입을 가까이 대어 쉬운 말부터 가르친다. 말은 수컷이 좀 더 잘 하는 편인데, 처음에는 발음하기 쉬운 낱말부터 시작한다. 낱말 하나를 다 외울 때까지 계속해서 그 낱말을 중점적으로 가르친다. 완전하게 외운 뒤에 다음 낱말을 가르치도록 하고, 점점 긴 낱말도 가르친다. 이따금 전에 외운 낱말을 외우게 하여 복습을 시킨다. 되도록이면 계속 같은 사람이 가르치는 것이 좋다. 특히 음색이나 악센트도 그대로 외우기 때문에 듣기 좋은 낱말을 가르치도록 한다. 잉꼬의 알[편집] 잉꼬의 알은 연한 핑크색이다. 2,3일에 걸쳐 한마리씩 낳는다. 잉꼬의 새끼 낳기[편집] 잉꼬의 암컷은 하루나 이틀에 하나씩 4-6개의 알을 지속적으로 낳는다. 암컷은 이 알을 17-18일 동안 따뜻하게 품어 부화시킨다. 암컷이 알을 품고 있는데 사람이 이를 보거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경우에는 알을 포기해 버린다. 새끼는 부리 끝의 작은 끌처럼 생긴 난치를 이용하여 껍질을 깨고 나온다. 갓 나온 새끼는 아직 부화하지 않은 알 위에 머리를 얹고 쉰다. 이후 새끼는 어미가 소화된 먹이를 입으로 나누어 주는 것을 받아먹고 빠른 속도로 자란다. 부화된 새끼들은 몸을 따뜻하게 하기 위해 서로 얽혀서 붙어 있다. 17일 정도 지나면 새끼는 성숙한 새의 깃털을 갖기 시작하고 생후 21일이 되면 복실복실한 모습으로 단장을 한다. 생후 6주가 되면 보금자리를 떠나 새로운 집에 들어갈 채비를 하는데 이때 스스로 씨앗을 쪼아먹을 수 있으며 아직 완전한 비행은 할 수 없으나 홰에 불안한 자세로 설 수도 있다. 4개월이 되면 처음으로 깃털을 갈게 되는데 그 깃털은 끝이 뾰족하고 그 자리에 새로운 깃털이 생겨난다. 이때 잉꼬는 구부러진 깃털을 바로 펴기 위해 몸을 잘 다듬는다. 털갈이가 끝나면 완전히 성숙해지고 5개월 정도 지나면 스스로 알을 품을 줄도 알고 홰에서 불안해하며 서 있는 모습도 보여 준다. 같이 보기[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사랑앵무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집에서 키우는 사랑앵무 말하는 새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거 통제 LCCN: sh85017599 GND: 4065320-1 BNF: cb11946979w (데이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사랑앵무&oldid=22752829" 분류: 목도리앵무과애완조1805년 기재된 동물오스트레일리아의 새숨은 분류: 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다른 위키공용분류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생물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CatalàCebuanoČeštinaCymraeg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àidhligGalegoگیلکیעבריתHrvatskiMagyarInterlingua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atina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Кырык мары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Diné bizaadPolski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తెలుగు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inaray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10일 (수) 15: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사랑앵무(일본어: 背黄青鸚哥 (セキセイインコ) 세키세이잉꼬[*], 영어: Budgerigar)는 앵무새의 일종이다. 오스트레일리아의 건조한 지역에서 살고있다. 몸길이는 18 cm, 몸무게는 30~40 g가량 된다. 몸은 녹색, 꼬리는 푸른색, 머리는 노란색이며, 날개는 녹색을 띤 검은색 깃털과 검은색 칼깃으로 되어 있다. 다리는 분홍색이나 회색으로 된 대지족이다. 부리는 분홍빛을 띤 갈색이며 다 자란 수컷에게는 푸르스름 하거나 분홍빛,보라빛의 납막이 있지만 흰색 등의 변종이 있다. 다 자란암컷은 우유색, 갈색빛의 납막이다 나무나 풀이 우거진 탁 트인 곳의 관목과 같은 곳에서 산다. 구멍이나 나무 위에 둥지를 짓고 4~7개의 알을 18일간 품는다. 깨어난 새끼가 30일 동안 자라면 독립한다. 새끼를 기를 때가 아니면 조건이 좋은 곳을 찾아 사는 곳을 옮겨다니는 편이다. 이 때문에 철새처럼 이주를 하기도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사랑앵무를 강제로 목욕 시키면 어느 현상이 발생하는가? Assistant: 사경현상 Human: 아래 이케부쿠로_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케부쿠로 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케부쿠로 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케부쿠로 역사 동쪽 야마노테 선 6번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동일본 여객철도 소재지 일본 도쿄도 도시마 구 미나미이케부쿠로 1초메 28-2 좌표 북위 35° 43′ 44″ 동경 139° 42′ 37″ / 북위 35.728925° 동경 139.71038°  / 35.728925; 139.71038 개업일 1902년 5월 10일 승강장 구조 4면 8선 노선 ■ 야마노테 선 시나가와 기점 15.4 km ← 메지로 (1.2 km) 오쓰카 →(1.8 km) ■ 아카바네 선 (운행 계통상 사이쿄 선) 이케부쿠로 기점 0.0 km 이타바시 →(1.8 km) 이케부쿠로 세이부 이케부쿠로 선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세이부 철도 소재지 일본 도쿄도 도시마 구 미나미이케부쿠로 1초메 28-1 좌표 북위 35° 43′ 44″ 동경 139° 42′ 42″ / 북위 35.728838° 동경 139.711719°  / 35.728838; 139.711719 개업일 1915년 4월 15일 역 번호 SI 01 승강장 구조 4면 4선 노선 이케부쿠로 선 이케부쿠로 기점 0.0 km 시나마치 SI02 →(1.9 km) 이케부쿠로 도부 본선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도부 철도 소재지 일본 도쿄도 도시마 구 니시이케부쿠로 1초메 1-21 좌표 북위 35° 43′ 49″ 동경 139° 42′ 38″ / 북위 35.730332° 동경 139.710447°  / 35.730332; 139.710447 개업일 1914년 5월 1일 역 번호 ■ TJ-01 승강장 구조 3면 3선 노선 도조 본선 이케부쿠로 기점 0.0 km 기타이케부쿠로 TJ-02 →(1.2 km) 이케부쿠로 마루노우치 선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도쿄 메트로 소재지 일본 도쿄도 도시마 구 니시이케부쿠로 3초메 28-14 (후쿠토신 선) 미나미이케부쿠로 3초메 28-1 (마루노우치 선) 니시이케부쿠로 1초메 12-1 (유라쿠초 선) 좌표 북위 35° 43′ 49″ 동경 139° 42′ 41″ / 북위 35.730262° 동경 139.711365°  / 35.730262; 139.711365 (마루노우치 선) 북위 35° 43′ 46″ 동경 139° 42′ 38″ / 북위 35.729352° 동경 139.710512°  / 35.729352; 139.710512 (유라쿠초 선, 후쿠토신 선) 개업일 1954년 1월 20일 역 번호 M 25 (마루노우치 선) Y 09 (유라쿠초 선) F 09 (후쿠토신 선) 승강장 구조 3면 6선 노선 마루노우치 선 오기쿠보 기점 24.2 km ← M 24 신오쓰카 (1.8 km) 유라쿠초 선 와코시 기점 11.5 km ← Y 08 가나메초 (1.2 km) 히가시이케부쿠로 Y 10 →(0.9 km) 후쿠토신 선 와코시 기점 11.3 km ← F 08 가나메초 (0.9 km) 조시가야 F 10 →(1.8 km) 이케부쿠로 역(일본어: 池袋駅, いけぶくろえき)은 일본 도쿄도 도시마 구에 있는 철도역이다. 목차 1 운행 노선 2 타는 곳 2.1 동일본 여객철도 2.2 세이부 철도 2.3 도부 철도 2.4 도쿄 지하철 2.4.1 도쿄 지하철 마루노우치 선 2.4.2 도쿄 지하철 유라쿠초 선 2.4.3 후쿠토신 선 2.4.3.1 신선 이케부쿠로 역 3 출구 정보 4 역사 5 사진 6 인접 역 운행 노선[편집] JR 동일본 야마노테 선 사이쿄 선 쇼난 신주쿠 라인 세이부 철도 이케부쿠로 선 도부 철도 도조 본선 도쿄 지하철 주식회사 마루노우치 선 유라쿠초 선 후쿠토신 선 타는 곳[편집] 동일본 여객철도[편집] ↑ 신주쿠, 메지로 | 12 | | 34 | | 5 6 | | 7 8 | 이타바시, 아카바네, 오쓰카 ↓ 1 ■ 사이쿄 선 신주쿠·시부야·오사키·(린카이 선 직결)신키바 방면 2 ■ 쇼난 신주쿠 라인(도카이도 선 직통) 신주쿠·시부야·오사키·요코하마·오후나·오다와라 방면 ■ 쇼난 신주쿠 라인(요코스카 선 직통) 신주쿠·시부야·오사키·요코하마·오후나·즈시 방면 ■ 특급「나리타 익스프레스」 신주쿠·도쿄·나리타 공항 방면 ■ 특급「슈퍼 뷰 오도리코」 신주쿠·요코하마·오후나·오다와라·아타미·이즈큐시모다 방면 3 ■ 우츠노미야 선 아카바네·오미야·오야마·우츠노미야 방면 ■ 다카사키 선 아카바네·오미야·구마가야·다카사키 방면 ■ 특급 스페셜 닛코·기누가와·스페시아기메가와(도부 선직결) 도부닛코·기누가와 온천 방면 ■ 사이쿄 선 아카바네·무사시우라와·오미야·가와고에 방면(이른 아침·심야시간대에 출발) 4 ■ 사이쿄 선 아카바네·무사시우라와·오미야·가와고에 방면 5 ■ 야마노테 선 내선 순환 다카다노바바·신주쿠·시부야·오사키·시나가와 방면(당역 출발) 6 ■ 야마노테 선 내선 순환 다카다노바바·신주쿠·시부야·오사키·시나가와 방면 7 ■ 야마노테 선 외선 순환 다바타·우에노·도쿄 방면 8 ■ 야마노테 선 외선 순환 다바타·우에노·도쿄 방면(당역 출발) 세이부 철도[편집] | 7 6 | 5 4 | 3 2 | 1 시나마치 ↓ 네리마·샤쿠지이공원·히바리가오카·도코로자와·고테사시·이루마 시·한노·아가노·세이부 치치부·치치부 본선 미츠미네구치·나가토로 방면 1 하차전용 2 보통 3 주로보통·준급·통근준급·쾌속 4 하차전용 5 주로 급행·쾌속급행 6 하차전용 7 주로 보통·준급·급행·임시열차(출퇴근·야간)※특급열차 통과 선 특급 특급 타는 곳(7번 승강장과 선로가 이어져 있음. 도착하거나 출발할 때 7번 승강장을 통과). 도부 철도[편집] | 1 2 | 3 4 | 5 기타이케부쿠로 ↓ 나리마스·시키·가와고에·신린코엔·오가와마치 방면 1 ■ 도조 선 준급타는 곳 ※평일8:51출발은급행으로도 발차 2 ■ 도조 선 급행·특급타는 곳 ※평일8시대까지는하차전용 평일23:36출발、주말·휴일23:30출발부터는준급도 발차 3 ■ 도조 선 하차전용 ※평일8시대、주말·휴일6시대까지는보통도 발차 평일24:44발 준급、주말·휴일24:35발보통도 발차 4 ■ 도조 선 보통 타는 곳 5 ■ 도조 선 하차 전용 도쿄 지하철[편집] 도쿄 지하철 마루노우치 선[편집] ↑ 신오쓰카 | 2 1 | 1·2 마루노우치 선 긴자·신주쿠·오기쿠보 방면 도쿄 지하철 유라쿠초 선[편집] ↑ 가나메초 | 4 3 | 히가시이케부쿠로 ↓ 3 유라쿠초 선 이다바시·나가타초·신키바 방면 4 유라쿠초 선 고타케무카이하라·와코시·신린코엔·한노 방면 후쿠토신 선[편집] ↑ 가나메초 | 6 5 | 조시가야 ↓ 5 후쿠토신 선 시부야 방면 6 후쿠토신 선 고타케무카이하라·와코시·고테사시 방면 신선 이케부쿠로 역[편집] 후쿠토신 선이 개통되기 전인 1994년 12월 7일에 고타케무카이하라에서 이 역까지의 구간이 개통되었다. 개통 당시의 노선 이름은 도쿄 지하철 유라쿠초 신선(일본어: 東京地下鉄有楽町線新線, とうきょうちかてつゆうらくちょうせんしんせん)이었으며, 역 번호는 유라쿠초 선과 동일한 Y 09이었다. 정식 이름은 이케부쿠로 역이나, 유라쿠초 선(본선)의 이케부쿠로 역과 구별하기 위해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일문표기로는 新線池袋駅, (新線)池袋駅, 또는 池袋(新線)駅로 하였으며, 영문표기는 'NEW LINE IKEBUKURO', 또는 'IKEBUKURO (NEW LINE)'으로 하였다. 그러다가 2008년 6월 13일에 후쿠토신 선이 개통함으로써 이 노선의 이케부쿠로 역으로 운영되고 있다. 신선 이케부쿠로 역 당시의 타는 곳 구조는 다음과 같았다. 1・2 유라쿠초 신선 고타케무카이하라・와코 시・신린코엔・한노 방면 출구 정보[편집] 동쪽 출입구(東口) 도시마 구청 데이코쿠헤이세이 대학 세이부 백화점 본점 슈쿠토쿠 대학 빜 카메라 야마다 전기 LABI1 일본 종본사 선샤인시티 애니메이트 본점 서쪽 출입구(西口) 도부 백화점 본점(이케부쿠로 동부) 릿쿄 대학 도쿄 교통 단기 대학 남쪽 출입구(南口) 준쿠도 서점 본점 북쪽 출입구(北口) 도부 백화점 본점(본관) 역사[편집] 1902년 5월 10일 : 일본 철도 시나가와 선 이케부쿠로 신호소로 개업. 1903년 4월 1일 : 보통역으로 승격. 도시마 선(당역 - 다바타) 개통. 1906년 10월 23일 : 화물 영업 개시. 1906년 11월 1일 국유화. 1914년 5월 1일 : 도부 철도 소속역 개업. 1915년 4월 15일 : 무사시노 철도(현 세이부 철도) 소속역 개업. 1945년 4월 13일 : 태평양 전쟁중 공습으로 역사 및 차량 전소(전동차 151량, 객차 13량, 화차 12량, 기관차 2량). 1954년 1월 20일 : 영단 지하철 마루노우치 선 개통. 1963년 : 사설 철도 사상 최초로 10량 편성 열차 운행 개시.(세이부 철도) 1974년 10월 30일 : 영단 지하철 유라쿠초 선 개통. 1980년 5월 20일 : 일본 국유 철도 화물영업 중단. 세이부 철도 역사 증축. 1983년 : 일본 국유 철도 타는 곳 증설. 1985년 9월 30일 : 사이쿄 선 운행 개시. 1987년 4월 1일 : 일본 국유 철도 민영화(동일본 여객철도 출범) 1988년 3월 13일 : 도호쿠 본선, 다카사키 선 일부 열차 운행 실시. 동일본 여객 철도 타는 곳 증설. 1991년 3월 19일 : 나리타 익스프레스 운행 개시. 1994년 : 세이부 철도 특급 승강장 시공. 1994년 12월 7일 : 영단 지하철 유라쿠초 신선 개통(신선 이케부쿠로 역) 2001년 12월 1일 : 쇼난 신주쿠 라인 운행 개시. 2004년 4월 1일 : 영단 지하철 민영화(도쿄 지하철) 2004년 6월 : 사이쿄 선, 쇼난 신주쿠 라인 타는 곳 변경. B1, B4번 승강장이 사이쿄 선 승강장, B2, B3번 승강장이 쇼난 신주쿠 라인 승강장. 2005년 12월 1일 : 세이부철도 1,2번 타는 곳 증축. 2006년 : 마루노우치 선 타는 곳에 스크린도어 설치. 2006년 3월 18일 : 도부 철도 직결 특급 닛코 기누가와 호 운행 개시.(도부 도조 본선이 아닌 동일본 여객철도에만 해당.) 2007년 3월 18일 : 세이부 철도 PASMO 사용 개시. 2008년 4월 1일 : 신선이케부쿠로 역에 스크린도어 설치. 2008년 6월 14일 : 후쿠토신 선 개통으로 신선이케부쿠로 역에서 이케부쿠로 역으로 개칭. 2011년 1월 22일 : 유라쿠초 선 승강장의 스크린도어 가동 개시. 2011년 2월 25일 : 유라쿠초 선 승강장에서의 발차 멜로디 사용 개시. 2011년 3월 12일 : 역을 경유하는 2구간 정기권이 출시. 2013년 3월 2일 : 야마노테 선 B6, B7번 승강장에 스크린도어 가동 개시. B5, B8번 승강장은 열차 운행 횟수가 적기 때문에 미설치. 사진[편집] 신선 이케부쿠로 역이었을 당시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기 전에 찍은 사진. 2005년 12월 18일 촬영. 후쿠토신 선의 이케부쿠로 역 모습. 2008년 6월 18일 촬영. 유라쿠초 선 승강장 모습 후쿠토신 선 승강장 모습 인접 역[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이케부쿠로 역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노테 선 JY 14 메지로내선 순환 야마노테 선 JY 12 오쓰카외선 순환 동일본 여객철도 아카바네 선 · 야마노테 선 신주쿠오사키 방면 사이쿄 선 이타바시가와고에 방면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 · 야마노테 선 신주쿠오다와라 · 즈시 방면 쇼난 신주쿠 라인 아카바네다카사키 · 우쓰노미야 방면 세이부 철도 이케부쿠로 선 시·종착역 이케부쿠로 선쾌속급행 · 급행 · 통근급행 샤쿠지이 공원한노 · 세이부 지치부 방면 시·종착역 이케부쿠로 선쾌속 · 준급 · 통근준급 네리마한노 방면 시·종착역 이케부쿠로 선보통 시나마치한노 방면 도부 철도 도조 본선 시·종착역 도조 본선TJ 라이너 후지미노오가와마치 방면 시·종착역 도조 본선쾌속급행 와코시오가와마치 방면 시·종착역 도조 본선급행 · 통근급행 · 준급 나리마스오가와마치 방면 시·종착역 도조 본선보통 기타이케부쿠로오가와마치 방면 도쿄 메트로 4호선 M24 신오쓰카오기쿠보 방면 마루노우치 선 시·종착역 도쿄 메트로 8호선 Y06 고타케무카이하라와코시 방면 유라쿠초 선준급 Y10 히가시이케부쿠로신키바 방면 Y08 가나메초와코시 방면 유라쿠초 선보통 Y10 히가시이케부쿠로신키바 방면 도쿄 메트로 13호선 F06 고타케무카이하라와코시 방면 후쿠토신 선급행 · 통근급행 F13 신주쿠 3초메시부야 방면 F08 가나메초와코시 방면 후쿠토신 선보통 F10 조시가야시부야 방면 운행 노선 및 역 목록 vdeh 야마노테선시나가와 - 오사키 - 고탄다 - 메구로 - 에비스 - 시부야 - 하라주쿠 - 요요기 - 신주쿠 - 신오쿠보 - 다카다노바바 - 메지로 - 이케부쿠로 - 오쓰카 - 스가모 - 고마고메 - 다바타 - 니시닛포리 - 닛포리 - 우구이스다니 - 우에노 - 오카치마치 - 아키하바라 - 간다 - 도쿄 - 유라쿠초 - 신바시 - 하마마쓰초 - 다마치 - 시나가와 vdeh 사이쿄 선·가와고에 선(신키바 방면←) 오사키 - 에비스 - 시부야 - 신주쿠 - 이케부쿠로 - 이타바시 - 주조 - 아카바네 - 기타아카바네 - 우키마후나도 - 도다코엔 - 도다 - 기타토다 - 무사시우라와 - 나카우라와 - 미나미요노 - 요노혼마치 - 기타요노 - 오미야 - 닛신 - 니시오미야 - 사시오기 - 미나미후루야 - 가와고에 (→고마가와 방면) vdeh 쇼난 신주쿠 라인다카사키 선도카이도 선마에바시 - 신마에바시 - 이노 - 다카사키톤야마치 - 다카사키 - 구라가노 - 신마치 - 진보하라 - 혼조 - 오카베 - 후카야 - 가고하라 - 구마가야 - 교다 - 후키아게 - 기타코노스 - 고노스 - 기타모토 - 오케가와 - 기타아게오 - 아게오 - 미야하라 - 오미야 - 우라와 - 아카바네 - 이케부쿠로 - 신주쿠 - 시부야 - 에비스 - 오사키 - 무사시코스기 - 요코하마 - 도쓰카 - 오후나 - 후지사와 - 쓰지도 - 지가사키 - 히라쓰카 - 오이소 - 니노미야 - 고즈 - 가모노미야 - 오다와라우쓰노미야 선요코스카 선우쓰노미야 - 스즈메노미야 - 이시바시 - 지치이다이 - 고가네이 - 오야마 - 마마다 - 노기 - 고가 - 구리하시 - 히가시와시노미야 - 구키 - 신시라오카 - 시라오카 - 하스다 - 히가시오미야 - 도로 - 오미야 - 우라와 - 아카바네 - 이케부쿠로 - 신주쿠 - 시부야 - 에비스 - 오사키 - 니시오이 - 무사시코스기 - 신카와사키 - 요코하마 - 호도가야 - 히가시토쓰카 - 도쓰카 - 오후나 - 기타카마쿠라 - 가마쿠라 - 즈시 vdeh 세이부 철도 이케부쿠로선 · 지치부선 · 도시마선이케부쿠로 - 시나마치 - 히가시나가사키 - 에코다 - 사쿠라다이 - (고타케무카이하라,신키바,시부야 방면←) 네리마 (→도시마엔 방면) - 나카무라바시 - 후지미다이 - 네리마타카노다이 - 샤쿠지이코엔 - 오이즈미가쿠엔 - 호야 - 히바리가오카 - 히가시쿠루메 - 기요세 - 아키쓰 - 도코로자와 - 니시토코로자와 (→세이부 구장 방면) - 고테사시 - 사야마가오카 - 무사시후지사와 - 이나리야마코엔 - 이루마시 - 부시 - 모토카지 - 한노 - 히가시한노 - (기타한노 신호장) - (무사시가오카 신호장) - 고마 - 무사시요코테 - 히가시아가노 - 아가노 - 니시아가노 - 쇼마루 - (쇼마루 터널 신호장) - 아시가쿠보 - 요코제 (→나가토로 방면) - 세이부 지치부 (→가게모리·미쓰미네구치 방면) vdeh도부 철도 도조 본선이케부쿠로 - 기타이케부쿠로 - 시모이타바시 - 오야마 - 나카이타바시 - 도키와다이 - 가미이타바시 - 도부 네리마 - 시모아카쓰카 - 나리마스 - (신키바·시부야 방면←) 와코시 - 아사카 - 아사카다이 - 시키 - 야나세가와 - 미즈호다이 - 쓰루세 - 후지미노 - 가미후쿠오카 - 신가시 - 가와고에 - 가와고에시 - 가스미가세키 - 쓰루가시마 - 와카바 - 사카도 - 기타사카도 - 다카사카 - 히가시마쓰야마 - 신린코엔 - 쓰키노와 - 무사시란잔 - (란잔 신호장) - 오가와마치 - 도부 다케자와 - 오부스마 - 하치가타 - 다마요도 - 요리이 vdeh 도쿄 메트로 마루노우치 선 본선오기쿠보 - 미나미아사가야 - 신코엔지 - 히가시코엔지 - 신나카노 - 나카노사카우에 - 니시신주쿠 - 신주쿠 - 신주쿠 3초메 - 신주쿠교엔마에 - 요쓰야 3초메 - 요쓰야 - 아카사카미쓰케 - 곳카이기지도마에 - 가스미가세키 - 긴자 - 도쿄 - 오테마치 - 아와지초 - 오차노미즈 - 혼고 3초메 - 고라쿠엔 - 묘가다니 - 신오쓰카 - 이케부쿠로호난초 지선호난초 - 나카노후지미초 - 나카노신바시 - 나카노사카우에 vdeh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 선 (시키·가와고에 방면←) 와코시 - 지카테쓰나리마스 - 지카테쓰아카쓰카 - 헤이와다이 - 히카와다이 - (네리마 방면←)고타케무카이하라 - 센카와 - 가나메초 - 이케부쿠로 - 히가시이케부쿠로 - 고코쿠지 - 에도가와바시 - 이다바시 - 이치가야 - 고지마치 - 나가타초 - 사쿠라다몬 - 유라쿠초 - 긴자 1초메 - 신토미초 - 쓰키시마 - 도요스 - 다쓰미 - 신키바 vdeh 도쿄 메트로 후쿠토신 선 (시키·가와고에 방면 ←) 와코시 - 지카테쓰나리마스 - 지카테쓰아카쓰카 - 헤이와다이 - 히카와다이 - (네리마 방면 ←)고타케무카이하라 - 센카와 - 가나메초 - 이케부쿠로 - 조시가야 - 니시와세다 - 히가시신주쿠 - 신주쿠 3초메 - 기타산도 - 메이지진구마에 - 시부야(→ 요코하마 방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케부쿠로_역&oldid=22066271" 분류: 도쿄 메트로 마루노우치 선도쿄 지하철역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도부 철도의 철도역이케부쿠로도시마구의 철도역야마노테 선도쿄 메트로 유라쿠초 선1903년 개업한 철도역일본국유철도의 철도역세이부 철도의 철도역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Français贛語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မြန်မာဘာသာNederlandsРусскийไทย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8월 22일 (수) 12: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케부쿠로역(일본어: 池袋駅、いけぶくろえき)(영어: Ikebukuro Station)은 일본 도쿄도 도시마구에 있는 철도역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케부쿠로 역의 운행노선 중 사이쿄 선을 운영하는 철도회사의 이름은 무엇인가? Assistant: JR 동일본
Human: 아래 닛산_바네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닛산 바네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닛산 바네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닛산 바네트대우 바네트 (대한민국) 차종 트럭, 밴 제조사 닛산 자동차대우자동차 생산년도 1978년~2010년1986년~1992년 (대한민국) 조립 일본 닛산 자동차 (1978년~2010년) 대한민국 대우자동차(1986년~1992년) 차체형식 트럭원 박스 카 구동방식 후륜구동 차대 모노코크 연료 디젤 설계자 닛산 자동차 C22형 바네트 승합차. 대우 바네트 승합차의 원형이기도 하다. C22형 바네트 트럭. 대우 바네트 트럭의 원형이기도 하다. 대우 바네트의 경우 1989년에 전조등을 승합차 모델과 같은 것으로 바꾸었다. 닛산 바네트(Nissan Vanette, 日産・バネット)는 1978년부터 2010년까지 일본 닛산 자동차에서 * 생산된 트럭과 9인승 미니밴 중 하나로서, 또한 닛산-써니 바네트(Nissan Sunny-Vanette) 혹은 닛산 밴(Nissan Van)으로도 판매되었다. 나중에는 OEM 형식으로 생산된 마쓰다 봉고(혹은 E-시리즈)를 바네트로 판매하였다. 닛산 바네트의 후속 차종은 2009년에 발매된 NV200이다. 후속 차종이 발매되기 이전 경쟁 차종은 마쓰다 봉고 브로니(Mazda Bongo Brawny), 미쓰비시 델리카(Mitsubishi Delica), 스즈키 솔리오(Suzuki Solio) 등이 있었다. 1세대형 바네트는 C120형으로 1978년부터 1988년까지 생산되었고, 2세대형 바네트는 C22형으로 1985년부터 1994년까지 생산되었다. 3세대형은 S20형으로, 1994년부터 1999년까지 생산되었고, 4세대형은 S21형으로 1999년부터 2010년까지 생산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대우자동차가 2세대형인 C22형에서 운전석 위치만 바꾸고 들여와서 자동차공업 합리화 조치가 끝난 1986년부터 1992년까지 대우 바네트로 생산하였다. 다만, 차명 '바네트'는 1990년에 '슈퍼 X'라는 새로운 차명과 병행 사용하다가 1991년에는 차명이 '바네트'라는 네임이 사라지고 '슈퍼 X'만 남았다. 또, 일본 바네트와는 달리 대우 바네트에는 12인승 코치형 모델도 존재하였다. 일본 모델과의 차이점은 일본에서는 닛산 4기통 가솔린 엔진 및 LD20 디젤 엔진을 사용하였지만, 대한민국에서는 닛산 LD20 엔진 대신 대우중공업에서 이스즈의 C-223 엔진[1]을 면허 생산한 DC23 엔진을 사용하였다. 이 엔진은 1세대 코란도에서 1991년까지 사용한 엔진인데, 현대자동차에서 면허 생산한 미쓰비시 D4B 계열 엔진이나 기아자동차의 R2 계열 엔진에 비해 연비가 좋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에서 생산된 바네트의 경우 트럭 모델은 포터, 봉고와 달리 슈퍼캡 모델과 더블캡 모델이 없었고, 정비 효율이 떨어져서 소비자들로부터 인기를 얻지 못하였다. 코치 & 밴 모델 역시 그레이스, 베스타, 토픽에 비해 연비가 좋지 못하여서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았다. 변속기도 달랐는데, 타사 동급 모델에서는 일반적인 플로어식 기어(말뚝형 기어)를 채용한 것과 달리 유독 바네트만 칼럼식 기어를 채용[2]하였다. 결국 트럭 차종과 코치 / 밴 차종은 1992년에 후속 차종 없이 단종되어, 지금까지 구 대우자동차 및 한국 GM(쉐보레)의 라인업에는 없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바네트 코치 / 밴 모델은 거의 남아있지 않고, 트럭형 모델도 한국에서 2대밖에 남지 않았다고 한다. 목차 1 라인업 1.1 일본 1.2 대한민국 2 제원 2.1 일본 2.2 대한민국 2.2.1 승합형 3 1세대 4 2세대 5 3세대 6 4세대 7 경쟁 차종 8 각주 라인업[편집] 일본[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대한민국[편집] 덤프 트럭 (1986년 12월) 믹서 트럭 (1986년 12월) 2.5톤 고상 카고 트럭 (1986년 12월) 2.5톤 고상 더블켑 카고 트럭 (1986년 12월) 2톤 저상 카고트럭 (1986년 12월) 1.4톤 고상 카고 트럭 (1986년 12월) 1.4톤 고상 더블켑 카고 트럭 (1986년 12월) 1.4톤 저상 카고 트럭 (1986년 12월) 1톤 싱글캡 슈퍼(단축) 1톤 싱글캡 슈퍼X(장축) 3인승 밴(단축) 3인승 밴(장축 코치) 6인승 밴(장축 코치) 9인승 코치 12인승 코치 15인승 코치 제원[편집] 일본[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대한민국[편집] 승합형[편집] 전장(mm) : 4,050 전폭(mm) : 1,635 전고(mm) : 1,980 축거(mm) : 2,075 윤거(전, mm) : 윤거(후, mm) : 승차정원 : 3명(밴)/6명(밴)/9명(코치)/12명(코치) 변속기 : 5단 수동변속기 구동형식 : 후륜구동 구분 2.2ℓ 엔진 형식 DC23 연료 디젤 배기량(cc) 2,200 최고출력(ps/rpm) 최대토크(kg*m/rpm) 연비(km/l) 1세대[편집] 1세대 승합 모델(전면) 2세대[편집] 승합 모델 중기형(전면) 승합 모델 중기형(후면) 승합 모델 후기형(전면) 승합 모델 후기형(후면) 대한민국에서 생산된 바네트 승합 모델은 2세대 중기형과 비슷하다. 3세대[편집] 4세대[편집] 경쟁 차종[편집] 현대자동차 - 포터, 리베로, 그레이스, 스타렉스, 쏠라티 기아자동차 - 봉고, 프레지오, 베스타 아시아자동차공업 - 토픽 쌍용자동차 - 이스타나 각주[편집] ↑ 이스즈 트루퍼에 사용되었던 4기통 2,200cc 디젤 엔진이다. ↑ 1990년에 연식 변경과 함께 일반적인 플로어식 기어로 변경되었다. vdeh닛산 자동차승용차 블루버드 리프 세피로 마치 티아나 알티마 피가로 맥시마 큐브 센트라 오티 노트 스테이지아 스카이라인 푸가 시마 Be-1 프레지던트 세드릭 글로리아 로렐 베르사 티다 알메라 프리메라 펄사 써니 스탄자 실피 라티오 모코 SUV 무라노 로그 패스파인더 알마다 엑스테라 사파리 쥬크 패트롤 X-트레일 X-테라 캐시카이 테라노 아마다 스카이라인 크로스오버 스포츠카 240SX 200SX 180SX GT-R MID4 스카이라인 페어레이디 Z 실비아 픽업 타이탄 프론티어 써니 MPV/밴 퀘스트 라페스타 세레나 엘그란드 캐러밴 NV200 NV3500 리비나 바네트 클리버 프레리 윙로드 룩스 트럭 클리퍼 바네트 아틀라스 버스 시빌리언 기타 요코하마 F. 마리노스 vdeh신진자동차(1955~1972)/GM코리아(1972~1976)/새한자동차(1976~1983)/대우자동차(1983~2002)/대우중공업(대우국민차)승용차 마티즈 레간자 프린스 제미니 시보레 1700 레코드 카미나 캬라반 누비라 에스페로 레조 르망 아카디아 브로엄 로얄 매그너스 넥시아 씨에로 티코 맵시 맵시-나 슈퍼 살롱 칼로스 라노스 임페리얼 트럭/승합차 바네트 다마스 라보 엘프 차세대 트럭 새마을 트럭 맥스 대형트럭 버스 BM BR BS BC BV BH BF BU BL BD vdeh한국GM의 흐름, 1955년~ Type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5 6 7 8 9 0 1 2 3 4 5 6 7 8 9 0 1 2 3 4 5 6 7 8 9 0 1 2 3 4 5 6 7 8 9 0 1 2 3 4 5 6 7 8 9 0 1 2 3 4 5 6 7 8 9 0 1 2 3 4 5 6 7 8 9 0 1 2 3 4 5 6 7 8 9 경차 퍼블리카/퍼블리카 왜건 티코 마티즈/마티즈 Ⅱ 올 뉴 마티즈/마티즈 클래식 마티즈 크리에이티브/스파크/스파크 EV 더 넥스트 스파크/더 뉴 스파크 소형차 새나라/신성호 시보레 1700/카미나/캬라반 제미니/맵시/맵시-나 르망/씨에로/넥시아 라노스/라노스 Ⅱ 칼로스/젠트라 아베오 준중형차 로얄 디젤/로얄 XQ/로얄 듀크 에스페로 누비라/누비라 Ⅱ 라세티 라세티 프리미어/크루즈/어메이징 뉴 크루즈 올 뉴 크루즈 볼트 중형차 코로나 레코드/레코드 로얄 로얄 프린스/프린스/뉴 프린스 레간자 매그너스(이글&클래식)/토스카 말리부 올 뉴 말리부/더 뉴 말리부 준대형차 로얄 살롱/로얄 살롱 슈퍼/슈퍼 살롱/브로엄 알페온 임팔라 대형차 크라운 임페리얼 아카디아 체어맨 스테이츠맨 베리타스 스포츠카 G2X 카마로 카마로 콜벳 MPV 레조/뉴 레조 올란도 소형 SUV 시발 트랙스/더 뉴 트랙스 준중형 SUV 코란도 윈스톰 맥스 중형 SUV 뉴 무쏘 윈스톰/캡티바 승합차 에이스 미니버스 바네트 코치 이스타나 픽업트럭 랜드크루저 픽업 새마을 트럭 맥스 경상용차 다마스/라보 소형 트럭 에이스 트럭 바네트 트럭/슈퍼 X 준중형 트럭 시보레 2.5톤 트럭 엘프 엘프 Ⅱ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닛산_바네트&oldid=24534653" 분류: 닛산 자동차의 차종대우자동차의 차종후륜구동승합차화물자동차1970년대 자동차1980년대 자동차1990년대 자동차2000년대 자동차2010년대 자동차1978년 도입된 자동차숨은 분류: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Italiano日本語PortuguêsРусский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6일 (토) 19: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닛산 바네트(Nissan Vanette, 日産・バネット)는 1978년부터 2010년까지 일본 닛산 자동차에서 생산된 트럭및 승합차이다. 경쟁 차종은 마쓰다 봉고 브로니(Mazda Bongo Brawny), 미쓰비시 델리카(Mitsubishi Delica) 등이 있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한국에서의 닛산 바네트 라인업은 무엇이 있는가? Assistant: 덤프 트럭 (1986년 12월) 믹서 트럭 (1986년 12월) 2.5톤 고상 카고 트럭 (1986년 12월) 2.5톤 고상 더블켑 카고 트럭 (1986년 12월) 2톤 저상 카고트럭 (1986년 12월) 1.4톤 고상 카고 트럭 (1986년 12월) 1.4톤 고상 더블켑 카고 트럭 (1986년 12월) 1.4톤 저상 카고 트럭 (1986년 12월) 1톤 싱글캡 슈퍼(단축) 1톤 싱글캡 슈퍼X(장축) 3인승 밴(단축) 3인승 밴(장축 코치) 6인승 밴(장축 코치) 9인승 코치 12인승 코치 15인승 코치 Human: 아래 모두!_초능력자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모두! 초능력자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모두! 초능력자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모두! 초능력자야!みんな!エスパーだよ! 장르 SF 코미디 만화 출판사 고단샤 연재 잡지 주간 영 매거진 연재 기간 2009년 ~ 발매일 2010년 7월 29일 ~ 권수 6 틀 - 토론 《모두! 초능력자야!》 (みんな!エスパーだよ! 민나! 에스파다요![*])는 와카스기 기미노리의 일본 만화이다. 《플래닛 웨이브스》라는 제목으로 주간 영 매거진 2009년 33호부터 단기 집중 연재를 시작하였다. 2010년 34호 게재분부터 제목을 변경하였으며 같은 시기에 발행된 단행본 1권도 새로 바뀐 제목으로 발행되었다. 2013년에는 텔레비전 드라마로 만들어졌다. 목차 1 줄거리 2 텔레비전 프로그램 2.1 등장 인물 2.2 에피소드 2.3 스핀오프 드라마 3 웹드라마 4 외부 링크 줄거리[편집] 오이타현 노츠 정에 사는 고등학생 요시로는 어느 날 텔레파시 능력을 갖게 된다. '사회와 사람들을 위해' 초능력을 사용하겠다고 결심한 요시로는 마을에 자신 말고도 초능력을 가진 사람들이 있다는 걸 알게되지만, 다른 초능력자들은 '자신의 욕망'을 위해 사용하고 있었다... 텔레비전 프로그램[편집] 모두! 초능력자야! 장르 SF 코미디다크 코미디종말물 방송 국가 일본 방송 채널 TV 도쿄 방송 기간 2013년 4월 12일 ~ 7월 5일 방송 시간 오전 12시 12분 ~ 12시 52분 방송 분량 40분 방송 횟수 12 감독 소노 시온이리에 유 극본 다나카 신이치 출연자 소메타니 쇼타카호마노 에리나 여는 곡 《(Where's)THE SILENT MAJORITY?》(타카하시 유우) 음성 스테레오 자막 문자 다중 방송 데이터 방송 실시 외부 링크  공식 웹사이트 《모두! 초능력자야!》는 일본에서 텔레비전 드라마화 되었는데, 2013년 4월 12일부터 TV 도쿄의 드라마 24 시간대에 방송되었다. 무대가 원작의 오이타 현에서 아이치 현 히가시미카와로 변경되었으며 촬영도 이루어졌다. 등장 인물[편집] 카모카와 요시로 – 소메타니 쇼타 수업 중 갑자기 선생님 마음속의 소리가 들리게 된다. 히라노 미유키 – 카호 요시로의 소꿉친구로 요시로에게 폭력을 휘두른다. 아사미 사에 – 마노 에리나 한 달 전 도쿄에서 전학온 요시로의 같은 반 친구. 에노모토 요스케 – 후카미 모토키 야스 - 에모토 토키오 요시로의 친구. 카야마 – 나카오 아키요시 에자키 선배 – 타케다 코헤이 에피소드[편집] 각 화 방송일 부제 각본 감독 제1화 2013년 4월 12일 어째서 나에게 초능력이? 버스정류장의 바람, 대작전! 소노 시온다나카 신이치 소노 시온 제2화 2013년 4월 19일 마음의 소리를 들어! 러브 호텔에서 구출하라, 대작전! 이리에 유 제3화 2013년 4월 26일 알몸으로 다이빙? 휴대 전화를 구출하라, 대작전! 다나카 신이치 제4화 2013년 5월 03일 세상은 검정 아니면 핑크로 이루어져있어, 대작전! 스즈키 타이치 제5화 2013년 5월 10일 설마했던 통곡!? 어머니의 마음을 느껴라, 대작전! 제6화 2013년 5월 24일 초능력자 항쟁 발발? 묶인 그 아이를 구하라, 대작전! 소노 시온다나카 신이치 소노 시온 제7화 2013년 5월 31일 금단의 커피!? "섹시녀" 대량 생산을 막아라, 대작전! 소노 시온 제8화 2013년 6월 07일 진실한 사랑? 빼앗긴 에로의 등불을 끄지마, 대작전! 다나카 신이치 츠키카와 쇼 제9화 2013년 6월 14일 100만 번의 고백!? 각성의 키스, 대작전! 제10화 2013년 6월 21일 (최종장・서)사랑의 죄!? 모닝 커피는 당신과 함께! 소노 시온 제11화 2013년 6월 28일 (최종장・파)때가 왔다! 선과 악의 최종결전…팀 에스퍼 해산!? 제12화 2013년 7월 05일 (최종화・청춘의 꿈)내가 세계를 구하는 거야! 원원원(왕왕왕) 대작전!? 평균 시청률 2.8%(시청률은 간토 지구・비디오 리서치 조사) 2013년 5월 17일은세계탁구2013방송을 위해 결방. 스핀오프 드라마[편집] 스핀오프 드라마 《모두! 초능력자야! 번외편~에스퍼, 도시에 가다》가 2015년 4월 3일에 특집으로 방송됐다. 웹드라마[편집] 《모두! 초능력자야! ~욕망 투성이의 러브 워즈~》는 dTV에서 2015년 8월 19일부터 총 3회 배달. 외부 링크[편집] 모두! 초능력자야! - 트위터 vdehTV 도쿄 드라마 242000년대 《양왕》 《2nd 하우스》 《시모키타 GLORY DAYS》 《원한 해결 사무소》 《큐피트의 장난 홍옥》 《Xenos》 《엘리트 양키 사부로》 《BOYS 에스테》 《사화장사 엠바머 마미야 신쥬로》 《코스프레 유령 홍련녀》 《비서의 거울》 《워킹☆버터플라이》 《맨☆돌~잘나가는 아이돌~》 《세레브리 3》 《수증기 스나이퍼》 《원한 해결 사무소 REBOOT》 《양왕 Virgin》 2010년대 《마지스카 학원》 《트러블맨》 《모테키》 《양왕 3》 《카라의 이중생활》 《마지스카 학원 2》 《용사 요시히코와 마왕의 성》 《여기가 소문의 엘파라시오》 《찍지 말아 주세요!! 그라비아 아이돌 뒷이야기》 《클로버》 《마지스카 학원 3》 《용사 요시히코와 악령의 열쇠》 《마호로 역전 번외지》 《모두! 초능력자야!》 《리미트》 《살인 여왕벌》 《수수께끼의 전학생》 《리버스 에지 오카와바타 탐정사》 《아오이 호노오》 《타마가와 구청 OF THE DEAD》 《괴기 연애 작전》 《불편한 심부름센터》 《하츠모리 베머즈》 《고독한 미식가 Season5》 《도쿄 센티멘탈》 《나이트 히어로 NAOTO》 《협반 ~남자의 밥~》 《용사 요시히코와 인도하는 7인》 《바이플레이어즈~만약 6인의 명조연이 셰어하우스에서 산다면~》 《고독한 미식가 Season6》 《시모키타자와 다이하드》 《신주쿠 세븐》 《오 마이 점프! ~소년 점프가 지구를 구한다〜》 《고독한 미식가 Season7》 《GIVER 복수의 증여자》 《망각의 사치코》 《프루츠 택배》 《어제 뭐 먹었어?》 《I턴》 플래닛 웨이브스에 관한 분류: 일본의 만화모두! 초능력자야! 번외편~에스퍼, 도시에 가다~에 관한 분류: 2015년 드라마  |  도쿄를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  텔레비전 프로그램 파생작 모두! 초능력자야!~욕망 투성이의 러브 워즈~에 관한 분류: 일본의 웹드라마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모두!_초능력자야!&oldid=24151844" 분류: 주간 영 매거진 만화 작품코미디 만화고등학교를 배경으로 한 만화초능력을 소재로 한 만화초능력을 소재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2013년 드라마드라마 24만화의 텔레비전 드라마화 작품고등학교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아이치현을 배경으로 한 작품아이치현을 배경으로 한 영화코미디 드라마오이타현을 배경으로 한 작품심리 스릴러 영화TV 도쿄 제작 영화도호 제작의 영화 작품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영화화 작품고등학교를 배경으로 한 영화초능력을 소재로 한 영화일본의 코미디 영화일본의 SF 영화소노 시온 감독 영화가가 제작 영화갸오 영화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Tagalog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5일 (일) 16: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모두! 초능력자야!》(みんな!エスパーだよ! 민나! 에스파다요![*])는 와카스기 기미노리의 일본 만화이다. 《플래닛 웨이브스》라는 제목으로 주간 영 매거진 2009년 33호부터 단기 집중 연재를 시작하였다. 2010년 34호 게재분부터 제목을 변경하였으며 같은 시기에 발행된 단행본 1권도 새로 바뀐 제목으로 발행되었다. 2013년에는 텔레비전 드라마로 만들어졌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모두! 초능력자야!'의 제1화 방송일은 언제인가? Assistant: 2013년 4월 12일
Human: 아래 닌텐도_게임큐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닌텐도 게임큐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닌텐도 게임큐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Nintendo GameCube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6월) 닌텐도 게임큐브 개발사 닌텐도세대 6세대출시일 2001년 9월 14일[1] 2001년 11월 18일[2] 2002년 5월 3일[3] 2002년 5월 17일 2002년 2002년 2002년 2002년 2002년 2002년 많이 팔린 게임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DX, 슈퍼 마리오 선샤인이전 기종 닌텐도 64후속 기종 Wii 닌텐도 포털 닌텐도 게임큐브({영어: Nintendo GameCube, 일본어: ニンテンドーゲームキューブ 닌텐도 게무큐부[*])는 2001년 9월 14일에 닌텐도가 발매한 가정용 게임기이다. 줄여서 GC 또는 NGC라고 부르기도 하며 북미 및 유럽 지역에서는 GCN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대원씨아이가 발매하였다. 그라데이션 의지는 2001 만 그라디언트에 세가에 의해 발표되었다. 2007년에 개발이 중단되었다.[4] 목차 1 개요 1.1 컨트롤러 1.2 디스크 2 그 외 3 대표적인 게임 4 각주 5 외부 링크 개요[편집] 닌텐도의 게임기로서는 처음으로 게임 소프트웨어 매체로 광 디스크를 채용하였다. 닌텐도와 파나소닉이 DVD를 기반으로 공동 개발하였으며, 디스크의 직경은 8센티미터이다. CAV 방식으로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실현했다. CPU는 파워PC 750을 기반으로 IBM이 개발한 겍코를, 메모리는 1 T-SRAM을 채용해 고속의 접근 속도를 실현하고 있다. 그래픽 칩 플리퍼는 실리콘 그래픽스 사에서 닌텐도 64의 그래픽 칩을 담당한 엔지니어가 설립한 ArtX에서 개발하였다. ArtX가 ATI에 매수되어 플리퍼가 ATI제가 됨에 따라서 게임큐브에는 ATI 및 IBM의 로고가 인쇄되고 있다. 컨트롤러[편집] 닌텐도 64의 컨트롤러보다 작아졌고, 소니의 플레이 스테이션용 컨트롤러와 비슷한 모양이다. 왼쪽에는 십자 키와 측면의 L 트리거 버튼, 오른쪽에는 커다란 A 버튼을 중심으로 B·X·Y 버튼과 3D 스틱과 같은 구조의 C 스틱, 측면의 R 트리거 버튼, Z 트리거 버튼이, 중앙에는 스타트 버튼이 배치되어 있다. L·R 트리거 버튼은 압력을 감지하며, 모터가 내장되어 있어 컨트롤러가 진동을 한다. 디스크[편집] 게임 소프트웨어 디스크는 직격 8센티미터의 광 디스크로 파나소닉의 저작권 보호 기술이 사용됐으며 데이터 용량은 약 1.5기가바이트에 달한다. 게임큐브와 게임보이 어드밴스의 연동 그 외[편집] 일본에서의 판매량은 약 404만대, 일본 이외에서는 약 1,770만대, 전 세계 누적 판매량은 약 2,174만대이다. 닌텐도 64의 실패를 바탕으로 순간 최대 성능을 높이기보다는 안정적으로 높은 성능을 발휘하면서 게임을 만들기 쉬운 하드웨어로 만드는 것을 염두에 두고 개발되었다. 하드웨어의 설계 이념이 게임 개발사의 지지를 받았지만 발매 시점에서 플레이 스테이션 2를 앞지를 수 있었던 것이 영향을 주어 닌텐도 64와 같이 닌텐도 자사 게임이 매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황이 되었다. 일본에서는 저연령층을 중심으로 일정한 시장 점유율을 획득했지만, 세계적으로는 엑스박스에게도 밀리게 되었다. 초기의 플레이 스테이션 2는 소음으로 인해 소비자들 사이에서 악평을 들었지만, 게임큐브는 소음이 적고 매끄러운 그래픽이 특징이다. 전체적인 그래픽 성능은 엑스박스보다는 낮고 플레이 스테이션 2보다는 뛰어나며, 기본적인 성능보다는 게임보이 어드밴스와 연동이 가능하다는 점을 판매 전략으로 내세웠다. 멀티 플랫폼 전략을 취하는 코나미, 허드슨, 남코, 캡콤, EA 등의 대기업 게임 개발사가 있기 때문에 플레이 스테이션 2와 중복 발매되는 게임이 비교적 많다. 당초 게임큐브로만 발매를 결정한 게임이 매상 부진에 의한 방침 전환으로 플레이 스테이션 2로의 이식을 단행한 경우도 있다. 바이오 해저드 시리즈와 테일즈 오브 심포니아가 그 예이다. 게임큐브 메인메뉴 음악은 패미컴 디스크 시스템 시작음을 길게 늘린 것이다. 또 일본에서는 파나소닉에서 게임큐브에다가 DVD플레이어를 탑재한 파나소닉 Q가 출시된 적이 있었다. 대표적인 게임[편집] 슈퍼 마리오 선샤인 바이오 해저드 시리즈 소닉 시리즈 테일즈 오브 심포니아 젤다의 전설 시리즈 포켓몬 시리즈(본편 시리즈가 아님.DX, 박스-루비&사파이어, 콜로세움 등)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DX 메트로이드 프라임 이터널 다크니스 마리오 카트 더블 대시!! 뷰티풀 죠 루이지 맨션 스타워즈 로그 스쿼드론 시리즈 이카루가 피크민 시리즈 마리오 파티 시리즈 동키콩 시리즈 파이어 엠블렘 창염의 궤적 메탈 기어 솔리드 트윈 스네이크(메탈 기어 솔리드 1 리메이크) 슈퍼 로봇 대전 GC 동물의 숲 스타폭스 어썰트 각주[편집] ↑ Martyn Williams. “CNN.com – Nintendo unveils Gamecube launch plans – August 24, 2001”. Edition.cnn.com. 2013년 3월 16일에 확인함.  ↑ “Nintendo reports record GameCube launch – CNET News”. News.cnet.com. 2013년 3월 16일에 확인함.  ↑ “NEW MEDIA | GameCube price dropped”. BBC News. 2002년 4월 22일. 2013년 3월 16일에 확인함.  ↑ “Nintendo ends GameCube support”. 《Market for Home Computing and Video Games》. 2007년 2월 22일. 2016년 6월 1일에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1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닌텐도 게임큐브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닌텐도 게임큐브 - 공식 웹사이트 vdeh닌텐도 게임기가정용 게임기 컬러 TV 게임 패미컴/NES 디스크 시스템 슈퍼 패미컴 닌텐도 64 iQue 닌텐도 게임큐브 Wii Wii Mini Wii U 닌텐도 스위치 휴대용 게임기 게임 앤드 워치 게임보이/포켓/라이트 게임보이 컬러 버추얼 보이 게임보이 어드밴스/SP/미크로 포켓몬 미니 닌텐도 DS/DSL DSi/DSi XL 닌텐도 3DS/XL/닌텐도 2DS 뉴 닌텐도 3DS/XL/뉴 닌텐도 2DS XL 아케이드 닌텐도 클래식 닌텐도 Vs. 시스템 플레이초이스-10 닌텐도 슈퍼 시스템 트라이포스 주변기기 슈퍼 게임보이 사테라뷰 64DD e-Reader 게임보이 플레이어 플레이얀 와이파이 USB 커넥터 Wii 리모컨 조이콘 vdeh가정용 게임기의 역사1세대 마그나복스 오디세이 쉬어즈 홈 퐁 콜레코 텔스타 컬러 TV 게임 APF TV Fun 비디오 핀볼 테레비테니스 2세대 아타리 2600 인터턴 VC 4000 페어차일드 채널 F 오디세이² 인텔리비전 RCA 스튜디오 II 컬러 TV 게임 2.5세대 아타리 5200 콜레코비전 아카디아 2001 벡트렉스 카세트 비전 3세대 패밀리 컴퓨터 SG-1000/SG-1000 마크 II/세가 마크 III/세가 마스터 시스템 아타리 7800 슈퍼 카세트 비전 4세대 CD-i PC 엔진 메가 드라이브 네오지오 슈퍼 패미컴 4.5세대 아타리 재규어 애플 반다이 피핀 3DO PC-FX 아미가 CD32 카시오 루피 플레이디아 5세대 세가 새턴 플레이스테이션 닌텐도 64 6세대 플레이스테이션 2 닌텐도 게임큐브 엑스박스 드림캐스트 7세대 Wii 플레이스테이션 3 엑스박스 360 Zeebo OnLive FC Twin Retro Duo 8세대 Wii U 플레이스테이션 4 엑스박스 원 Ouya 넥서스 플레이어 Fire TV Stick vdeh비디오 게임 콘솔 (6세대)유형 가정용 게임기 목록 휴대용 게임기 목록 마이크로콘솔 목록 전용 콘솔 목록 세대 1세대 (1972-80) 2세대 (1976-92) 3세대 (1983-2003) 4세대 (1987-2004) 5세대 (1993-2005) 6세대 (1998-2013) 7세대 (2005-) 8세대 (2012-) 6세대가정용 DISCover 드림캐스트 닌텐도 게임큐브 파나소닉 Q 누온 플레이스테이션 2 V.Smile 엑스박스 핸드헬드 게임보이 어드밴스 계열 게임보이 어드밴스 어드밴스 SP 미크로 GP32 N-게이지 QD 네오지오 포켓 컬러 탭웨이브 조디악 원더스완 전용 포켓 드림 콘솔 ← 5세대 7세대 → 에뮬레이터 게임 목록 제조업체 타임라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닌텐도_게임큐브&oldid=22819661" 분류: 2001년 도입가정용 게임기닌텐도의 하드웨어파워 아키텍처닌텐도 게임큐브6세대 게임기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6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오래된 그림 구조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БеларускаяBosanski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atinaLumbaartLietuviųLatviešu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0일 (토) 09:4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닌텐도 게임큐브(영어: Nintendo GameCube, 일본어: ニンテンドーゲームキューブ, 닌텐도 게무큐부[*])는 2001년 9월 14일에 닌텐도가 발매한 가정용 게임기이다. 줄여서 GC 또는 NGC라고 부르기도 하며 북미 및 유럽 지역에서는 GCN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대원씨아이가 발매하였다. 그라데이션 의지는 2001만 그라디언트에 세가에 의해 발표되었다. 2007년에 개발이 중단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게임큐브를 판매할 때 내세웠던 판매전략은 무엇일까? Assistant: 게임보이 어드밴스와 연동이 가능하다 Human: 아래 Ms.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Ms.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Ms.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MS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Ms" 또는 "Ms." (보통 미즈 /ˈmɪz/, 그리고 강세를 받지 않을 때는 머즈 /məz/, 또는 머스 /məs/로 발음되기도 함[1][2])는 성과 함께 사용되거나 여성의 전체 이름과 함께 사용되는 영국식 호칭이다. 이 말은 여성의 결혼 여부와 상관없이 여성을 호칭하는 기본적인 형태를 의도로 한다.[3] "Miss"와 "Mrs."와 같이, "Ms."라는 말은 한때 모든 여성들에게 사용되었던 여성의 영국식 호칭인 그 기원을 “미스트리스”(Mistress)에서 가진다. 이 용어는 20세기에 들어 다시 고안되었고(재생되었고, 재창조되었다.[4][1] Mss.", "Mses.", 그리고 Mmes.과 같은 여러가지 복수형이 사용되고 있다.[5] 목차 1 용어의 시작 그리고 부활의 역사 2 사용법 3 노트 4 외부 링크 용어의 시작 그리고 부활의 역사[편집] "Ms."는 17세기에 벌써 당시 격식을 갖춘 ‘미스트리스’(Mistress)에서 파생된 호칭으로서 ‘미스’(Miss.)와 ‘미시즈’(Mrs.)와 함께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이것은 ‘미스터’(Mr.)와 같이 원래부터 결혼여부를 따지지 않는 것이었다.[6][7] 그러나 "Ms."는 다른 두 호칭의 선호로 인해 사용되지 않게 되었으며, 20세기까지 부활하지 못했다.[8][9] 호칭으로서 Ms.의 현대적 부활에 대해 알려진 최초의 제안은 매사추세츠 스프링필드의 《더 리퍼블리컨》(The Republican)에서 1901년 11월 10일 등장한다. 영어에는 우리가 조심스레 메꿔야할 틈이 있다. 일부 여성들의 지위를 모를 때 모든 사람이 당황하게 된다. 더 낮은 호칭인 Miss.로 홀로 된 부인을 부르는 것은 기혼여성을 모욕하는 것보다 더 나쁜 단지 그늘일 뿐이다. 그러나 항상 그러한 사실을 아는 것이 쉽지만은 않다....이제 명백히 필요한 것은 내부적 상황에 대해 어떠한 견해도 표출하지 않는, 그리고 두 의심스런 용어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억압보다 더 단순해질 수 있고, 보다 논리적이 될 수 있는 성에 대한 경의를 표하는 이해가 더 쉬운 용어이다. 약자 Ms는 단순하고, 쓰기 쉬우며, 관계자들은 상황에 따라 더 적절하게 번역할 수 있다. 말로 Mizz라고 표현하면, 이것은 많은 시골 지역에서 오랫동안 보편적인 관행이었으며, 그곳에서는 Mis’는 Miss와 Mrs 모두에게 유사한 존중의 표현이었다.[4] 이 용어는 다시 비즈니스 서식을 쓰는 이들에게 《미국 비즈니스 작문 협회 공보》(Bulletin of the American Business Writing Association, 1951)나 전국 사무 관리 협회가 1952년 출간한 《간략 서신》(The Simplified Letter)과 같은 출판물에 의해 편의상 제안되었다.[10] 1961년, 쉴라 마이클즈는 그녀의 룸메이트에게 배달된 한 부의 《뉴스 & 레터스》(News & Letters)의 주소란에 인쇄 오류라고 그녀가 생각했던 것을 보게 되었을 때, 이 용어를 사용하려고 시도를 하게 된다.[11][12] 마이클즈는 남성에게 귀속되지 않은 여성에 대한 호칭을 찾고 있었다.[13] 그녀는 현재는 흔한 용어인 Miss와 Mrs.의 구분이 Mistress에서 파생되어 나온 것을 알았지만, 이제는 평판이 나쁜 뜻을 내포한 원래의 호칭을 여성들이 사용하는 것을 누구도 제안하지 못했다.[14] 새로운 호칭 사용을 장려하려는 그녀의 노력은 처음에는 무시당했다.[15] 1971년경, 여성운동가 집단과 WBAI 라디오 인터뷰를 하는 동안 마이클즈는 Ms.의 사용을 제안했다. 글로리아 스타이넘의 한 친구가 그 인터뷰를 듣고서, 그녀의 새로운 잡지명으로 그 이름을 제안했다. 《미즈 매거진》의 인기는 마침내 그 용어를 널리 사용하게 만들었다.[16] 1972년 2월, 미국 정부 인쇄국은 정부 공문서에서 Ms.의 사용을 승인하였다.[17] 윌리엄 새파이어와 같이 성을 가지지 않은 말을 공공연히 반대하는 일부도 여성 상원의원 제럴딘 페라로의 사례와 같이 Ms.가 마침내 영어에서 자리를 잡았다고 확신하게 되었다. 1984년 미국 부통령 후보였던 페라로는 남편의 성(자카로, Zaccaro)를 사용하기보다는 그녀의 본래 성을 사용해 왔던 기혼여성이었다. 새파이어는 그녀를 ‘미스 페라로’(Miss Ferraro, 결혼을 했기 때문에)나 ‘미시즈 페라로’(Mrs. Ferraro, 그녀의 남편이 Mr. 페라로가 아니었기 때문에)로 호칭하는 것은 모두 잘못된 것이며, 게다가 그녀를 ‘미시즈 자카로’(Mrs. Zaccaro)로 부르는 것도 독자에게 혼란을 줄 것이라고 지적했다.[18] 사용법[편집] 《미국 헤리티지 영어 범례서》(The American Heritage Book of English Usage)에서는 Ms.를 사용한다는 것은 누군가를 Mrs.나 Miss로 불러야할 지를 알아내려고 고민할 필요를 없게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Ms.를 사용하게 되면 당신이 대화를 하려는 상대가 기혼인지, 미혼인지 또는 이름을 개명했는 지 여부를 틀릴이유가 없으며, Ms.는 항상 올바른 호칭이 된다.[19] 영국의 잡지 《더 타임즈》는 스타일 가이드를 통해, 오늘날 기혼인지, 미혼인지 확실히 알지 못할 때, Ms는 여성들을 그렇게 부르는데 흡족히 수용된다고 언급하고 있다.[20] 비중있는 글을 실을 때 호칭의 사용을 제한하는 《더 가디언》도 스타일 가이드를 통해 Miss나 Mrs라고 어느 쪽을 불리기를 원하는 지 말하지 않으면, 여성들에게는 Ms를 기본적으로 이용하라고 언급하고 있다.[21] 비즈니스 영역에서 Ms.는 상대방이 특별히 호칭해 달라는 말을 하지 않고 있다면, 성인여성을 부르는 표준적인 기본 호칭으로 여겨지고 있다. Ms.의 기본 이용은 주디스 마틴(a.k.a. "Miss Manners")을 비롯한 수 많은 에티켓 저자들에게 지지를 받고 있다.[22] 노트[편집] ↑ 가 나 옥스포드 영어 사전 온라인, Ms, n.2. 어원: An orthographic and phonetic blend of Mrs n.1 and miss n.2 Compare mizz n. 마지막의 /-z/ 발음은 이 단어와 미스(Miss)를 구분하기 위한 의도적 노력의 결과로서 대두된 것처럼 보인다. n.2; compare mizz n., and perhaps also Miz n.1 -- [mizz n.: 어원: Representing the spoken realization of Ms n.2 (see discussion at that entry).] Accessed 2012-07-25 ↑ Wells, John C. (1990). 《롱맨 발음 사전》. Harlow, England: 롱맨. 463쪽. ISBN 0-582-05383-8.  "Ms" 항목. 강세를 받으면, 슈와와 함께 발음되기도 한다. ↑ “Emily Post's Guide to Addressing Correspondence: Addressing a Woman”. The Emily Post Institute. 2010년 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12일에 확인함.  ↑ 가 나 Zimmer, Ben (2009년 6월 23일). “Hunting the Elusive First 'Ms.'”. 《Word Routes》. The Visual Thesaurus. 2009년 6월 23일에 확인함.  ↑ 전통적인 프랑스어 기반의 복수형인 Mesdames에서 파생되었으며, "Mrs."에 사용된 형태와 동일 ↑ Spender, Dale (1981). 《Man Made Language》.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ISBN 978-0-7100-0675-2.  ↑ Stannard, Una (1977). 《Mrs Man》. San Francisco: Germainbooks. ISBN 978-0-914142-02-7.  ↑ Martin, Judith (2009년 10월 11일). “What’s in a name?”. Miss Manners. 《Buffalo News》. 2009년 10월 14일에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12일에 확인함.  ↑ Martin, Judith. 《Miss Manners' Guide for the Turn of the Millennium》. 뉴욕: Simon & Schuster. 10쪽. ISBN 0-671-72228-X.  ↑ “Ms.”.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oughton Mifflin Company. 2009.  ↑ Jeffs, Angela (2000년 11월 5일). “Missing piece of puzzle in story of 'Ms.'”. 《The Japan Times Online》. 2012년 7월 13일에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12일에 확인함.  ↑ Michaels, Sheila (2008년 3월~4월). “Forty Years of Defying the Odds”. 《Solidarity Webzine》. Solidarity. 2009년 11월 9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Kay, Eve (2007년 6월 28일). “Call Me Ms”. 《The Guardian》. 2007년 8월 20일에 확인함.  ↑ Fishko, Sara (2012년 6월 28일). “Fishko Files: Ms.”. WNYC. 2013년 3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12일에 확인함.  ↑ Fishko, Sara (2012년 6월 28일). “Fishko Files: Ms.”. WNYC. 2013년 3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12일에 확인함.  ↑ Zimmer, Ben (2009년 10월 25일). “On Language: Ms.”. 《뉴욕 타임즈》. 2009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Frum, David (2000). 《How We Got Here: The '70s》. 뉴욕: Basic Books. 246쪽. ISBN 0-465-04195-7.  ↑ Safire, William. "On Language: Goodbye Sex, Hello Gender", 뉴욕 타임즈, 1984년 8월 5일, Section 6 p. 8. ↑ “The American Heritage Book of English Usage”. 2007년 10월 31일. 2008년 1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30일에 확인함.  ↑ “The Times Online Style Guide”. Timesonline.co.uk. 2011년 9월 24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12일에 확인함.  ↑ “가디언 스타일 가이드: Mr, Ms, Mrs, Miss”. 더 가디언. 2009년 8월. 2013년 3월 12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Martin, Judith. “Miss Manners: How and When To Use "Ms." in Business Correspondence”. 《Lifestyle》. MSN. 2012년 3월 15일에 보존된 문서. 2011년 4월 2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낱말사전에관련된 항목이 있습니다. Ms. 더 타임즈 스타일 가이드 더 가디언 스타일 가이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Ms.&oldid=24214870" 분류: 여성을 가리키는 용어경어숨은 분류: 인용 오류 - 날짜위키낱말사전과 연결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EestiFrançaisहिन्दीItaliano日本語РусскийSvenskaTürkçe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3일 (월) 16: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Ms" 또는 "Ms." (보통 미즈 /ˈmɪz/, 그리고 강세를 받지 않을 때는 머즈 /məz/, 또는 머스 /məs/로 발음되기도 함)는 성과 함께 사용되거나 여성의 전체 이름과 함께 사용되는 영어 경칭 표현이다. 이 말은 여성의 결혼 여부와 상관없이 여성을 호칭하는 기본적인 형태를 의도로 한다. "Miss"와 "Mrs."와 같이, "Ms."라는 말은 한때 모든 여성들에게 사용되었던 표현인 “미스트리스”(Mistress)에서 유래되었다. 미즈는 오랜 기간 널리 사용되지 않았다가 20세기에 들어 다시 고안되었다. 복수형으로는 "Mss.", "Mses.", 그리고 "Mmes."과 같은 여러 가지 단어가 사용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Ms.의 사용법은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미국 헤리티지 영어 범례서》(The American Heritage Book of English Usage)에서는 Ms.를 사용한다는 것은 누군가를 Mrs.나 Miss로 불러야할 지를 알아내려고 고민할 필요를 없게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Ms.를 사용하게 되면 당신이 대화를 하려는 상대가 기혼인지, 미혼인지 또는 이름을 개명했는 지 여부를 틀릴이유가 없으며, Ms.는 항상 올바른 호칭이 된다.[19] 영국의 잡지 《더 타임즈》는 스타일 가이드를 통해, 오늘날 기혼인지, 미혼인지 확실히 알지 못할 때, Ms는 여성들을 그렇게 부르는데 흡족히 수용된다고 언급하고 있다.[20] 비중있는 글을 실을 때 호칭의 사용을 제한하는 《더 가디언》도 스타일 가이드를 통해 Miss나 Mrs라고 어느 쪽을 불리기를 원하는 지 말하지 않으면, 여성들에게는 Ms를 기본적으로 이용하라고 언급하고 있다.[21] 비즈니스 영역에서 Ms.는 상대방이 특별히 호칭해 달라는 말을 하지 않고 있다면, 성인여성을 부르는 표준적인 기본 호칭으로 여겨지고 있다. Ms.의 기본 이용은 주디스 마틴(a.k.a. "Miss Manners")을 비롯한 수 많은 에티켓 저자들에게 지지를 받고 있다.[22]
Human: 아래 뱅_앤_올룹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뱅 앤 올룹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뱅 앤 올룹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뱅 앤 올룹슨Bang & Olufsen A/S 창립 1925년 창립자 피터 뱅, 스벤드 올룹슨 국가 덴마크 본사 소재지 덴마크스트루어 핵심 인물 덴마크어: Jørgen Worning 회장, 덴마크어: Kalle Hvidt Nielsen CEO 매출액 43억 7천 6백만 덴마크 크로네 (2006-07년) 순이익 5억 2천 4백만 덴마크 크로네 (2006-07년)[1] 종업원 2520명 (2007년) 웹사이트 bang-olufsen.com 뱅 앤 올룹슨 매장 피렌체의 뱅 앤 올룹슨 매장 베오리트 39. 1938년. B&O의 Beolit 39. 베이클라이트 소재의 B&O 최초의 라디오. 뱅 & 올룹슨(덴마크어: Bang & Olufsen, B&O)은 고가의 고급형 오디오 기기를 설계 및 제조하는 덴마크의 전자 회사이다. 이외에도 텔레비전, 전화기를 설계 및 제조한다. 목차 1 개요 2 기존 출시 제품들 3 현재 3.1 오디오 기기를 넘어 3.2 도전에 직면 4 같이 보기 5 각주 6 외부 링크 개요[편집] 1925년 피터 뱅(덴마크어: Peter Boas Bang)과 스벤드 올룹슨(덴마크어: Svend Olufsen)이 이 회사를 세웠다. 이 회사의 최초의 이노베이션은 교류에서 작동하는 라디오였다. 당시 대부분의 라디오는 축전지를 썼다. 그들은 라디오 및 라우드 스피커 분야에서 경험을 쌓은 뒤, 하나의 원칙을 세웠다. 그들의 제품들은 "정직한" 음악적 재현(reproduction)을 수행해야 한다는 원칙이다. 덴마크어로 이 원칙은 덴마크어: 'Ærlig musikgengivelse'라고 불린다. B&O의 세트와 스피커들에서 나오는 음악이 기술적 한계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고서 그대로 사용자에 귀에 들려야 한다는 이상이었다. 이런 점에서 제품의 설계 및 테스트 과정에 있어서, 기구적인 테스팅 대신, 제품의 인지 음향학적인 면이 강조되었다. 뱅 & 올룹슨은 제품 디자인 면에 있어서, 최신 산업 디자인 경향을 곧잘 반영하곤 한다. 뱅 & 올룹슨 회사 내에는 디자이너가 없다. 대신 디자이너로 하여금 회사로부터 독립적인 지위를 갖게 해 주는 편이었다. 1970년대 및 1980년대 디자이너 자콥 젠슨이 B&O의 제품들을 많이 디자인하였다.[2] 현재 B&O의 수석 디자이너는 David Lewis로 바뀌어 있다. 기존 출시 제품들[편집] 자세한 B&O의 기존 출시 제품 목록은 아래 외부 링크에 있는 웹페이지에 들어가면 볼 수 있다. 보통 B&O는 "베오"란 명칭을 제품명 앞에 붙인다. 베오코드(Beocord)는 카세트 덱 제품이다. 돌비 HX 프로 설계에도 관여하는 등 B&O는 카세트 기술 분야에 관여하기도 하였다. 베오마스터(Beomaster)는 리시버 제품이다. 5000 시리즈에서 7000 시리즈까지는 "마스터 콘트롤 패널"이라고 불리는 일종의 리모콘과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다. 베오그람(Beogram)은 축음기 제품이다. 훗날 CD 플레이어 제품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최근의 베오그람 턴테이블은 직선운동형 톤 암(tangential tone arm)을 자주 채택하곤 하였다. 베오랩(Beolab)은 앰프와 액티브 라우드스피커(앰프 내장형 라우드스피커) 제품을 일컫는 말이다. 베오복스(Beovox)는 패시브 라우드스피커를 일컫는 말이다. (내장 앰프가 없는 스피커) 베오리트(Beolit)는 휴대용 라디오 제품이다. 베오시스템(Beosystem)은 콤포넌트 묶음을 일컫는다. 예를 들면, 베오마스터, 베오그람, 베오코드를 조화시켜 함께 작동시킬 수 있게 묶어 놓은 것이다. 베오센터(Beocenter)는 원피스(one-piece) 오디오 시스템 제품이다. B&O는 한 때 리시버, 턴테이블, 카세트 덱 등을 조합시켜 놓은 베오센터라는 제품을 팔기도 하였다. 베오콤(Beocom)은 전화기 및 전화기 액세서리(자동응답기 등) 제품이다. 베오비전(Beovision)은 텔레비전 제품이다. 베오사운드(Beosound)은 오디오 기기 시스템을 일컫는다. 현재[편집] 1990년대 들어 뱅 & 올룹슨은 뱅 & 올룹슨 기기 전문점을 많이 열었다. 소매점을 통해 물건을 유통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소비자들에게 직접 물건을 파는 방식이었다. 미니 타입 오디오 시스템이 인기가 높아지자 오디오를 콤포넌트별로 파는 것을 중단하였다. 현재도 뱅 & 올룹슨은 그들 제품의 현대적인 디자인 요소를 강조하고 있다. 오디오를 콤포넌트 별로 파는 것은 중단했지만, 하이 퍼포먼스 라우드스피커 제조 부문에 있어서아직 B&O는 시장의 주요 업체로 남아 있다. 주력 스피커인, 베오랩 5(BeoLab 5)는 디지털 신호 처리 기술을 이용해 스피커가 설치된 방의 특성에 맞게 주파수 응답을 조절한다. 중간 대역과 높은 주파수 대역 드라이버들은 웨이브가이드를 채택하였다. 중간에서 높은 대역의 주파수가 천장이나 바닥에 부딪혀서 반사되어 사용자에 귀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였다. 이 기술은 1987년 Phönix Klangsäulen가 발명한 기존의 기술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3][4] 현재도 뱅 & 올룹슨은 비표준 기기를 고집하는 면이 남아 있다. 홈 시어터 기기로서 많이 쓰이고 있는 THX 인증기기들과는 달리 THX를 지원하지 않는다. 오디오 기기를 넘어[편집] 소비자용 제품 외에도, 초정밀 알루미늄 제조 시설을 뱅 & 올룹슨은 갖추고 있다.[5] 뱅 & 올룹슨도 또한 알루미늄 소재를 그들 제품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1999년 뱅 & 올룹슨과 Karsten Nielsen 박사가 모여, ICEpower A/S라는 회사를 차렸다. 이 회사는 클래스 D 앰플리파이어를 전문적으로 제조 개발하는 업체이다.[6] 클래스 D 앰플리파이어는, 클래스 A, AB, B 오디오 앰플리파이어에 비해 효율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들어, 뱅 & 올룹슨은 "A8" 이어폰을 성공시켰다. 이 이어폰은 앤더스 헤르만센이 디자인한 것이었다. 애플의 아이팟이 유행하던 때, 애플 스토어에서 팔기 시작하면서 인기를 얻었다. 최근에는, 여러 휴대전화 제조 업체와 손잡기도 하였다. 필립스, 에릭슨과 협력하기도 하였다. 삼성전자와 합작해 세린(Serene)이라는 휴대폰을 개발하였다. 2007년 12월에는 세레나타라는 휴대폰을 개발하였다. [7] 또한, 아우디의 최고급 승용차인 A8 및 아우디 S8의 전용오디오를 개발하였다. 아우디 A4, A5, A6, Q7, A8, R8 모델에 오디오를 공급하고 있다. [8] 도전에 직면[편집] 최근들어 MP3 플레이어들이 뱅 & 올룹슨을 어렵게 하고 있다. 뱅 & 올룹슨은 뒤늦게 베오사운드 2라는 플레이어를 갖고 MP3 플레이어 시장에 뛰어들었다.[9] 저명한 리뷰인 CNET 리뷰는 이 기기에 10점 만점에 겨우 4.3점을 주었다. 매우 비싸고, DRM으로 보호된 WMA를 플레이하지 못하고, LCD도 없으며, 내장 메모리도 없는 최악의 기기라고 평했다. 대신 음질은 꽤 괜찮으며, 케이스가 튼튼하다고 밝혔다. 같이 보기[편집] 베오사운드 2 베오사운드 4 베오링크 베오포트 각주[편집] ↑ “Bang & Olufsen A/S Koncernen; Årsrapport 2006/07” (PDF) (덴마크어). 2008년 4월 1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2월 18일에 확인함.  ↑ Jacob Jensen Web Site ↑ “보관 된 사본” (PDF). 2008년 4월 1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13일에 확인함.  ↑ “Phönix Klangsäulen”. 2008년 6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13일에 확인함.  ↑ “B&O webpage on aluminium”. 2006년 8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13일에 확인함.  ↑ “ICEpower partnership”. 2008년 6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13일에 확인함.  ↑ 탁상훈 기자 (2007년 6월 7일). “소렌슨 ‘뱅앤올룹슨’ CEO 인터뷰”. 《조선일보》 (chosun.com). 2007년 6월 17일에 확인함.  ↑ Bang & Olufsen (2008년 6월 13일). “Audi A8/S8”. 2008년 6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13일에 확인함.  ↑ CNET Review 외부 링크[편집] (영어) 공식 웹사이트 (영어) 베오월드 - B&O에 대한 비공식 웹사이트. (영어) 토거슨 - 한 수집가의 웹사이트. 수십 년간의 B&O 제품들을 다루고 있다. (영어) 베오센트럴 - B&O 장비에 대한 사진과 설명.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뱅_앤_올룹슨&oldid=24281229" 분류: 1925년 설립덴마크의 기업덴마크의 브랜드음향기기 제조 기업덴마크의 다국적 기업숨은 분류: CS1 - 덴마크어 인용 (da)오래된 그림 구조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덴마크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Magyar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6일 (일) 08: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뱅 & 올룹슨(덴마크어: Bang & Olufsen, B&O)은 고가의 고급형 오디오 기기를 설계 및 제조하는 덴마크 굴지의 전자 회사이다. 이외에도 텔레비전, 전화기를 설계 및 제조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지금 뱅 앤 올룹슨의 수석 디자이너는 누구야? Assistant: David Lewis Human: 아래 2011년_레바논_반정부_시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11년 레바논 반정부 시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1년 레바논 반정부 시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레바논 개혁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1년 레바논 반정부 시위는 아랍의 봄의 영향을 받은 시위이다. 주요 시위는 레바논 정치의 신조주의에 반하는 새로운 정치개혁을 요구한다. 목차 1 배경 1.1 정치적 체계 1.2 2011 신정부 2 각주 배경[편집] 정치적 체계[편집] 레바논은 의회를 구성한 공화국으로 신조주의에 입각하여 각 종교 지파의 대표자가 비례 대표로서 고위직을 모두 차지하는 형식을 취한다. 레바논 헌법은 정부에 대한 신임 권리를 국민에 인정하지만 1970년 중반부터 1992년 선거까지 레바논 내전으로 해당 권리를 시민들이 스스로 행사할 수 없었다. 헌법에 따르면 직접 선거는 의회 구성원 선거 목적으로 4년 만에 열려야 하며 2009년 선거가 가장 최근의 것이다.[1] 신임 정부 수립에는 6개월이 걸렸으며 의회는 임명되면 대통령을 6년 임기로, 즉 6년 마다 새로선출해 임명한다. 이 때 임명된 대통령은 연임이 애초에 불가능하며 2008년 레바논 선거에서 대통령과 의회는 후에 총리를 임명하며 3월 8일 연합이거나 3월 14일 연맹 둘 중의 하나에서 선출돼야 한다. 이는 진보사회당이 교섭권 상실로 3월 8일 연합 측에 기운 행태를 보이면서 굳어진 것이다. 레바논의 종교는 수니, 시아파 이슬람, 기독교로 나뉜다. 더군다나 통계치는 1932년 이후 산출된 적도 없어서 국가의 일촉즉발 상황에 대해서 예지하기도 힘들며 추산치만 내놓고 있는 상태다.[2] 2011 신정부[편집] 2011년 1월 12일 정부는 에너지 장관 게브란 바실의 발표에 따라 실각한다. 헤즈볼라가 더 이상 숨지 않고 활동을 재개할 것이며 전 국무총리 라픽 하리리의 암살에 대해 헤즈볼라에 대해 기소장을 지속적으로 요구할 시 공격을 감행할 것이라는 경고를 지속적으로 보내왔다. 이에 따라 에너지부 장관과 10명의 모든 야당 장관이 사퇴하면서 신정부에 큰 혼란이 야기된다.[3] 예비 기소장은 1월 17일 예상대로 발부됐으며[4]) 대통령 미쉘 술레이만은 국무 장관에 아드나 사이드 후세인을 발탁했으나[5] 후에 사임하면서 총 11명의 장관 퇴임으로 정부가 파국에 치닫는다. 뉴욕타임스는 시리아와 사우디아라비아가 중재한 레바논 평화협상에 진전이 없었기 때문에 정치적 불안이 더욱 촉발된 것으로 보고 있다. 장관들의 사임은 하리리 총리의 피살 이후 설립된 레바논 특별재판소와의 협조 철회 논의를 위한 긴급 내각 수립에 총리가 거부의사를 밝히면서 시작됐다.[6][7] 헌법상 새 정부 출범의 열쇠를 쥐고 있는 술레이만은 사임을 수용하면서 헌법 69항에 의거해 총 정부 내각의 1/3이상이 사퇴할 경우 남은 정부 구성원은 임시정부로서 역할하며 새 정부 출범 때까지 기능한다는 조항을 말했다.[8] 6월 13일 신정부가 발표돼 출범한 상태다. 각주[편집] ↑ Pro-Western coalition declares victory in Lebanon - The Globe and Mail ↑ http://www.country-studies.com/lebanon/population.html ↑ [http://www.bbc.co.uk/news/world-middle-east-12170608 Hezbollah and allies topple Lebanese unity government 2011-01-02 ↑ Hariri indictments set for Monday - Middle East - Al Jazeera English ↑ [http://www.nytimes.com/2011/01/13/world/middleeast/13lebanon.html?pagewanted=1&_r=1 Resignations Deepen Crisis for Lebanon 2011-01-02 ↑ Lebanese government falls 2011-01-14 ↑ US welcomes Hariri indictment - Middle East - Al Jazeera English ↑ "http://www.almanar.com.lb/newssite/NewsDetails.aspx?id=169956&language=en[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vdeh아랍의 봄“인민은 정권 타도를 원한다”국가별 사건 알제리 바레인 이집트 (혁명 · 과도기) 이라크 이란의 쿠제스탄 이스라엘의 국경 요르단 쿠웨이트 레바논 리비아 (내전 · 과도기) 모리타니 모로코 오만 사우디아라비아 수단 시리아 튀니지 서사하라 예멘 집단바레인 알 웨파크 2월 14일 연합 이집트 4월 6일 운동 키파야 무슬림 형제단 변혁을 위한 전국 협의회 국민민주당 혁명적 사회주의자 리비아 인민해방군 국가과도위원회 사우디아라비아 여성 운전 운동 CDHRAP 개발과 변화를 위한 사회 시리아 아랍 사회주의 바트당 (지역 사령부 · 국가 사령부) 자유 시리아군 시리아 혁명위원회 시리아 국가 위원회 전국민주혁명협조위원회 튀니지 입헌민주연합 서사하라 폴리사리오 전선 예멘 예멘 부족 연합 알이슬라 하시드 주요 인물알제리 압델라지즈 부테플리카 바레인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하산 무샤이마 알리 살만 알리 자와드 알셰이크 이집트 호스니 무바라크 우마르 술레이만 와엘 고님 칼레드 모하메드 사이드 기기 이브라힘 에삼 샤라프 무함마드 엘바라데이 요르단 압둘라 2세 마루프 알바히트 사미르 리파이 리비아 무아마르 알 카다피 사이프 이슬람 카다피 무스타파 압둘 잘릴 마무드 지브릴 모하메드 나부스 모로코 무함마드 6세 아바스 엘파시 사우디아라비아 할레드 알조하니 마날 알샤리프 수단 하산 알투라비 시리아 바샤르 알아사드 부르한 갈리운 함지 알리 알하티브 튀니지 제인 엘 아비디네 벤 알리 무함마드 부아지지 아랍에미리트 UAE Five 예멘 알리 압둘라 살레 압드 라부 만수르 알하디 타우왁쿨 카르만 압둘 마지드 알진다니 알리 모흐센 알아흐마르 사디크 알아흐마르 영향점거 운동 알바니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벨라루스 부르키나파소 크로아티아 지부티 조지아 그리스 인도 이란 이라크 쿠르디스탄 몰디브 멕시코 중화인민공화국 포르투갈 러시아 스페인 터키 영국 미국 (2011년 위스콘신 주 시위 월 가를 점거하라)국제 관계국제 연합 총회 결의 65/265호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70호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73호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009호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014호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016호 vdeh21세기의 반정부 시위 목록혁명 및 봉기아랍의 봄 알제리 2010-2012년 바레인 2011년 지부티 2011년 이집트 2011년 요르단 2011-2012년 이라크 2011년 레바논 2011년 리비아 2011년 모리타니 2011-2012년 모로코 2011-2012년 오만 2011년 사우디아라비아 2011-2012년 수단 2011-2013년 시리아 2011년 튀니지 2010-2011년 예멘 2011-2012년 웨스트 뱅크 2011-2012년 서사하라 2011년 색깔 혁명 조지아 장미 혁명, 2003년 키르기스스탄 튤립 혁명, 2005년 레바논 백향목 혁명, 2005년 우크라이나 오렌지 혁명, 2004-2005년 기타 압하지야 2014년 아르메니아 2018년 부르키나파소 2014년 키르기스스탄 2010년 팔레스타인 2000-2005년 필리핀 2001년 1월 2001년 4월 우크라이나 2013-2014년 사회 이슈 시위반긴축 운동 캐나다 2016년 그리스 아일랜드 이탈리아 2001년 2012년 2013년 포르투갈 에스파냐 2012년 영국 반전 운동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2014년 이라크 전쟁 2003-2011년 러시아 2014년 스리랑카 내전 2008-2009년 2009년 캐나다 아랍의 겨울 이집트 2012-2013년 2013-2014년 이라크 2012-2013년 2015-2018년 튀니지 2013-2014년 2018년 자치 및 독립 카탈루냐 2010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9월 2017년 10월 2017년 12월 2018년 이라크령 쿠르디스탄 2011년 이란 2005년 터키령 쿠르디스탄 2009년 2011-2012년 2014년 우크라이나 크림 반도 동남부 서사하라 2010년 부정선거 벨라루스 2006년 아르메니아 2003-2004년 2008년 2018년 이란 2009년 몰도바 2009년 러시아 2011-2013년 말레이시아 2013년 멕시코 2012년 세르비아 2017년 대한민국 2013-2017년 토고 2005년-현재 미국 2015년-현재 학생 시위 알바니아 2018년-현재 아르헨티나 2018년 오스트리아 2009년 방글라데시 2015년 2018년 브라질 2007년 캐나다 2005년 2012년 칠레 2006년 2008년 2011-2013년 콜롬비아 2011년 크로아티아 2009년 홍콩 2012년 2014년 이란 1999년 아일랜드 2010년 일본 2015-2016년 멕시코 2018년 네덜란드 2007년 푸에르토리코 2010-2011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5년 2015-2016년 등록금 타이완 2014년 2015년 영국 2010년 기타 시위국제적 시위 반일 시위 2005년 2012년 노동절 시위 2009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7년 점령 운동 Black Lives Matter 친난민 시위 도널드 트럼프 반대 시위 2017년 여성 행진 행정명령 13769호 반대 시위 2018년 여성 행진 페미니즘 시위 2016년 페루 기타 시위 알바니아 2011년 2017년 아르헨티나 2001년 2012년 9월 2012년 11월 2013년 2014년 2017년 2018년 아르메니아 2011년 2012년 2013년 2015년 아제르바이잔 2011년 방글라데시 2013년 벨라루스 2006년 2011년 2017년 볼리비아 2011년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2014년 브라질 2013년 2014년 2015-2016년 2017년 2018년 불가리아 2013년 2013-2014년 부르키나파소 2011년 부룬디 2015년-현재 캄보디아 2013-2014년 카메룬 2008년 캐나다 2010년 2012년 칠레 2011년 2012년 중국 2011년 콩고 민주 공화국 2015년 2016년 에콰도르 2012년 2015년 에스토니아 2007년 에티오피아 2016년 프랑스 2005년 2010년 2015년 2017-현재 2018년-현재 가봉 2016년 조지아 2007년 2009년 2011년 과테말라 2015년 홍콩 2003년 2005년 2009-2010년 2010, 2013년 2014년 2019년 헝가리 2006년 2014년 아이슬란드 2009년 2016년 인도 2011년 2016년 이란 2011-2012년 2017년-현재 이라크 2015년-현재 이스라엘 2006년 코티지 치즈 불매운동 2011년 요르단 2018년 카자흐스탄 2011년 레바논 2006-2008년 2015-2016년 마케도니아 2015년 2016년 말라위 2011년 마카오 2010년 말레이시아 2007년 BERSIH 2007년 HINDRAF 베르시 2.0 베르시 3.0 2013년 베르시 4.0 베르시 5.0 멕시코 2011년-현재 2017년 몰도바 2013년 2015-2016년 몬테네그로 2008년 2015-2016년 미얀마 2007-2008년 네팔 2006년 니카라과 2013-2018년 북아일랜드 2013년 파키스탄 2007-2009년 2013년 2014년 2014년 2017년 2014년-현재 파라과이 2017년 페루 2009년 2010년 2017-2019년 2018년 필리핀 2013년 2016-2017년 2016년-현재 폴란드 2016년 루마니아 2012-2015년 2012년 2012-2014년 2013년 2015년 2017-2018년 러시아 2005-2008년 전략-31 2011-2013년 2017-2018년 세르비아 2008년 2017년 대한민국 2008년 2016-2017년 2016년-현재 2018년-현재 슬로베니아 2012-2013년 수단 2018년-현재 타이완 2006년 태국 2010년 2013-2014년 토고 2017-2018년 튀니지 2016년 터키 2007년 2013년 2017년 우크라이나 2000-2001년 2013년 영국 2011년 미국 공무원 시위 티파티 시위 월 가를 점거하라 위스콘신주 총기 반대 우즈베키스탄 2005년 베네수엘라 2007년 2014년 2017년-현재 짐바브웨 2016-2017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1년_레바논_반정부_시위&oldid=24041325" 분류: 아랍의 봄레바논의 정치2011년 레바논레바논의 항의행동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EspañolFrançaisՀայերենItaliano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Tiếng Việt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6일 (화) 11: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11년 레바논 시위는 아랍의 봄의 영향을 받은 시위이다. 주요 시위는 레바논 정치의 신조주의에 반하는 새로운 정치개혁을 요구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레바논의 종교는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레바논의 종교는 수니, 시아파 이슬람, 기독교로 나뉜다. 더군다나 통계치는 1932년 이후 산출된 적도 없어서 국가의 일촉즉발 상황에 대해서 예지하기도 힘들며 추산치만 내놓고 있는 상태다.[2]
Human: 아래 디모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디모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디모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디모인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디모인 주도 Des Moines 시기 디모인북위 41° 35′ 27″ 서경 93° 37′ 15″ / 북위 41.59083° 서경 93.62083°  / 41.59083; -93.62083좌표: 북위 41° 35′ 27″ 서경 93° 37′ 15″ / 북위 41.59083° 서경 93.62083°  / 41.59083; -93.62083 행정 나라 미국 행정구역 아이오와주 자치구 포크 군, 워런 군 역사 설립 1843 인구 인구 2,010 명 (215,472년) 인구밀도 978.0 명/km2 광역인구 634,725 명 지리 면적 213.93 km2 세부면적 233.3 km2 해발 291 m 기타 시간대 UTC-6UTC-5 (서머) 우편번호 50301-50340-50310 지역번호 515 http://www.dmgov.org/ 디모인(Des Moines)은 미국 아이오와주 중부에 있는 아이오와 주의 주도이며, 포크 군의 군청 소재지이다. 워런 군까지 확장되는 작은 군으로[1], 1851년 9월 22일에 포트 디모인라는 이름으로 통합되었고, 1857년에 디모인으로 줄였다.[2] 도시의 이름은 디모인 강의 이름을 딴 것이다. 많은 역사가들은 강의 이름은 이 지역에 인디언들이 흙무더기를 쌓고 강을 모앙고나(흙무더기의 강)이라고 불렀던 것으로부터 나온 것이라고 믿고 있다. 어떤 역사가들은 수도사들이 강 어귀 근처에 살고 있었던 후에 무아느(프랑스어로 수도사의 뜻)란 뜻에서 이름이 나온 것으로 믿는 편이다. 황금 천장의 주 의사당이 동쪽으로부터 도시의 다운타운을 바라보고 있고, 다운타운에는 801 그랜드라고 불리는 아이오와 주에서 가장 큰 건물의 대지이다. 그 건물은 192 미터이다. 도시의 주요 건물로는 디모인 미술관, 관청, 집회소, 아이오와 과학 센터, 주립 역사 박물관, 주지사의 저택 테라스 힐과 농업의 역사를 설명하는 운영 농장인 생활 역사 농장 등이 있다. 매년 8월마다 열리는 아이오와 주 품평회가 많은 손님들을 맞아들이고 있다. 디모인의 교육 기관으로는 드레이크 대학교, 디모인 대학교, 그랜드 뷰 칼리지 등이 있다. 목차 1 경제 2 역사 3 지리 3.1 기후 4 자매 도시 5 각주 6 외부 링크 경제[편집] 디모인은 아이오와 주의 주요 상업의 중심지이면서, 세계에서 가장 큰 보험업의 중심지들 중의 하나이다. 50개가 넘는 보험회사들이 디모인에 본부를 가지고 있다. 주정부와 의료산업은 도시의 다른 큰 고용주들이다. 도시 지역에는 약 400개의 공장들이 있다. 식품 가공업이 제일 큰 산업이며, 금속, 농기구, 플라스틱과 고무 제품 등을 생산한다. 많은 수출입 회사들이 운영되기도 한다. 역사[편집] 백인 정착자들이 도착하기 전에는 소크와 폭스 인디언들이 이 지역에 살고 있었다. 1843년 미국 육군이 현재 도시가 뻗어있는 곳에 주둔지를 설립하였다. 군대는 인디언들로부터 사들인 땅에 포트 디모인을 지었다. 1845년에 인디언들이 그들의 지방 권리를 포기하였다. 1853년 요새를 둘러싼 정착은 포트 디모인을 읍으로 합병하였다. 1857년에는 현재와 같은 디모인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같은 해, 아이오와 주 정부는 주 안에서 중앙에 자리잡은 지역을 주도로 삼는 데, 디모인을 선택하였다. 그 후에 디모인은 번창하였고, 인구가 1860년 3,965명에서 1890년 50,093명으로 늘었다. 디모인은 후에 군사 훈련의 중심지로 발달하였다.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 중에 도시에는 국립 위병 기지가 있었다. 1902년 디모인 요새라고 불리는 기병지가 설립되었다. 그 지역은 제1차 세계대전, 제2차 세계대전 중에 훈련 기지로 쓰이기도 하였다. 1942년에는 여성 육군 부대가 설립되었고, 디모인 요새가 2차 대전이 끝날 즈음에 그 훈련지였다. 디모인의 인구는 1960년대에 많은 주민들이 외곽으로 빠져나가 감소하였다. 다운타운 지역의 비즈니스들이 고통을 겪었다. 1980년대 초반에 디모인은 도시의 중앙 비즈니스 구역을 재수리하였다. 주요 건설 프로젝트는 새로운 사무실 초고층 빌딩, 쇼핑 몰, 주택 단지, 유흥과 집회의 장소 등을 포함하였다. 수많은 주요 건물을 연결하는 데, 유리로 둘러싸인 높은 통로인 스카이워크가 지어지기도 하였다. 지리[편집] 디모인은 북위 41도 35 분 27초 서경 93도 37분 15초에 위치하고 있다. 도시는 아이오와주의 중심부에 위치한 시카고에서 서쪽으로 약 540km, 미니애폴리스 - 세인트폴에서 남쪽으로 약 390km, 캔자스 시티에서 북쪽으로 약 310km, 오마하에서 동쪽으로 약 220km에 위치하고 있다. 도시의 고도는 291m이다. 미국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디모인 시는 2000년 기준으로 총면적 200.1km²였다. 그 중 196.3km²이 육지이고, 3.8km²가 수역이었다. 수역은 총 면적의 1.88%를 차지하고 있었다. 2005년 11월, 디모인 시는 북동부, 남동부와 남부에 소한 미정 지역을 합병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합병은 2009년 6월 26일에 이뤄졌고, 그 결과 시역 면적은 약 20.9km² 넓어졌으며, 인구는 868명이 증가했다. 디모인은 시역 대부분이 속한 포크 카운티를 중심으로 워렌 카운티, 오클라호마 카운티, 댈러스 카운티, 그리고 소설 · 영화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로 알려진 매디슨 카운티의 5군으로 구성된 도시권을 형성하고 있다. 디모인 광역 도시권은 디모인 도시권 스토리 카운티, 재스퍼 카운티 및 분 카운티를 추가한 8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후[편집] 디모인의 기후 도표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5   -10 -1     33   -7 2     58   -1 9     99   5 17     119   11 22     125   17 28     114   19 30     104   18 29     79   13 25     66   6 17     56   -1 9     36   -8 1 기온 단위: 섭씨(℃) / 강수량 단위: 밀리미터(mm)출처: Weatherbase.com 디모인의 기후는 무더운 여름과 건조하고 추위가 심한 겨울이 온다는 특징이 있으며, 기온의 연교차가 큰 내륙형 기후이다. 여름날에는 종종 섭씨 30도 이상, 섭씨 35도에 달할 수 있다. 봄과 여름에는 습도가 높고, 오후가 되면 뇌우가 발생하기 쉽다. 가을은 비교적 쾌적한 계절이며, 단풍도 볼 수 있다. 겨울에는 영하까지 내려가는 날이 계속되고, 영하 15도를 밑돌기도 한다. 연간 강수량은 910mm 정도이지만, 봄 · 여름의 월평균 강수량은 겨울의 약 4-5배이다. 강설은 11월부터 4월까지 볼 수 있으며, 특히 12월에서 3월 사이에 강설량은 월간 13-22cm로, 연간 90cm에 달한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디모인은 냉대 습윤 기후(Dfa)에 속한다. Des Moines International Airport, Iowa (1981–2010 normals,[a] extremes 1878–present[b])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최고기온기록 °F (°C) 67 (19) 78 (26) 91 (33) 93 (34) 105 (41) 103 (39) 110 (43) 110 (43) 101 (38) 95 (35) 82 (28) 69 (21) 110 (43) 평균최대기온 °F (°C) 53.1 (11.7) 59.1 (15.1) 75.0 (23.9) 84.0 (28.9) 87.6 (30.9) 93.2 (34) 96.3 (35.7) 95.2 (35.1) 90.4 (32.4) 82.4 (28) 69.1 (20.6) 55.8 (13.2) 97.8 (36.6) 평균최고기온 °F (°C) 31.0 (−0.6) 36.1 (2.3) 49.0 (9.4) 62.3 (16.8) 72.4 (22.4) 81.6 (27.6) 85.7 (29.8) 83.8 (28.8) 76.1 (24.5) 63.1 (17.3) 47.9 (8.8) 34.0 (1.1) 60.4 (15.8) 평균최저기온 °F (°C) 14.3 (−9.8) 18.8 (−7.3) 29.7 (−1.3) 41.1 (5.1) 52.2 (11.2) 62.0 (16.7) 66.8 (19.3) 64.8 (18.2) 55.2 (12.9) 43.0 (6.1) 30.5 (−0.8) 18.0 (−7.8) 41.5 (5.3) 평균최소기온 °F (°C) −7.8 (−22.1) −4.1 (−20.1) 9.5 (−12.5) 23.7 (−4.6) 37.6 (3.1) 49.1 (9.5) 56.3 (13.5) 53.5 (11.9) 38.0 (3.3) 26.2 (−3.2) 12.4 (−10.9) −3.6 (−19.8) −12.8 (−24.9) 최저기온기록 °F (°C) −30 (−34) −26 (−32) −22 (−30) 9 (−13) 26 (−3) 37 (3) 47 (8) 40 (4) 26 (−3) 7 (−14) −10 (−23) −22 (−30) −30 (−34) 평균 강수량 인치 (mm) 1.00 (25) 1.28 (33) 2.30 (58) 3.86 (98) 4.74 (120) 4.94 (125) 4.47 (114) 4.13 (105) 3.05 (77) 2.64 (67) 2.19 (56) 1.42 (36) 36.02 (915) 평균 강설량 인치 (cm) 8.5 (22) 7.9 (20) 5.2 (13) 1.8 (5) 0 (0) 0 (0) 0 (0) 0 (0) 0 (0) 0.4 (1) 2.5 (6) 9.0 (23) 35.3 (90) 평균강수일수 (≥ 0.01 in) 7.5 7.8 9.7 11.2 12.5 11.5 10.1 9.1 8.4 8.9 8.3 8.4 113.4 평균강설일수 (≥ 0.1 in) 6.5 5.6 3.2 1.0 0 0 0 0 0 0.3 2.0 6.2 24.8 평균 상대 습도 (%) 71.0 71.3 67.9 63.2 63.0 64.8 67.7 70.0 70.9 66.5 71.0 74.6 68.5 평균 월간 일조시간 157.7 163.3 206.0 222.2 276.0 312.1 337.8 297.9 239.8 210.0 138.5 129.2 2,690.5 가능 일조율 53 55 56 56 61 69 73 70 64 61 47 45 60 출처: NOAA (relative humidity and sun 1961−1990)[3][4][5] 자매 도시[편집] 일본 고후 시 (1958년) 멕시코 나우칼판 (1972년) 프랑스 생테티엔 (1985년) 중국 스자좡 시 (1985년) 러시아 스타브로폴 (1992년) 이탈리아 카탄자로 주 (2006년) 각주[편집] ↑ “Subcounty population estimates: Iowa 2000–2006”. 미국 인구조사국, Population Division. 2007년 6월 28일. 2008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 (CSV)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8일에 확인함.  ↑ City of Des Moines. “City of Des Moines Action Center: City History”. 2006년 1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NowData - NOAA Online Weather Data”. 미국 해양대기청. 2012년 1월 6일에 확인함.  ↑ “Station Name: IA DES MOINES INTL AP”.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6년 9월 12일에 확인함.  ↑ “WMO Climate Normals for DES MOINES/MUNICIPAL, IA 1961–1990”.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4년 3월 10일에 확인함.  내용주 ↑ Mean monthly maxima and minima (i.e. the expected highest and lowest temperature readings at any point during the year or given month) calculated based on data at said location from 1981 to 2010. ↑ Official records for Des Moines kept August 1878 to August 1939 at downtown and at Des Moines Int'l since September 1939. For more information, see Threadex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Des Moines 위키문헌에 1911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글 Des Moines의 본문이 있습니다. 위키여행에 이 글과관련된 기사가 있습니다. Des Moines 디모인 - 공식 웹사이트 Greater Des Moines Convention & Visitors Bureau The Des Moines Register Des Moines weather (영어) 디모인 - Curlie (DMOZ 기반) City Data Comprehensive Statistical Data and more about Des Moines, Iowa Des Moines Featured on NPR's vdeh 미국의 주도    네바다주 - 카슨시티 네브래스카주 - 링컨 노스다코타주 - 비즈마크 노스캐롤라이나주 - 롤리 뉴멕시코주 - 샌타페이 뉴욕주 - 올버니 뉴저지주 - 트렌턴 뉴햄프셔주 - 콩코드 델라웨어주 - 도버 로드아일랜드주 - 프로비던스 루이지애나주 - 배턴루지 매사추세츠주 - 보스턴 메릴랜드주 - 아나폴리스 메인주 - 오거스타 몬태나주 - 헬레나 미네소타주 - 세인트폴 미시간주 - 랜싱 미시시피주 - 잭슨 미주리주 - 제퍼슨시티 버지니아주 - 리치먼드 버몬트주 - 몬트필리어 사우스캐롤라이나주 - 컬럼비아 사우스다코타주 - 피어 아이다호주 - 보이시 아이오와주 - 디모인 아칸소주 - 리틀록 알래스카주 - 주노 애리조나주 - 피닉스 앨라배마주 - 몽고메리 오리건주 - 세일럼 오클라호마주 - 오클라호마시티 오하이오주 - 콜럼버스 와이오밍주 - 샤이엔 워싱턴주 - 올림피아 웨스트버지니아주 - 찰스턴 위스콘신주 - 매디슨 유타주 - 솔트레이크시티 인디애나주 - 인디애나폴리스 일리노이주 - 스프링필드 조지아주 - 애틀랜타 캔자스주 - 토피카 캘리포니아주 - 새크라멘토 켄터키주 - 프랭크퍼트 코네티컷주 - 하트퍼드 콜로라도주- 덴버 테네시주 - 내슈빌 텍사스주 - 오스틴 펜실베이니아주 - 해리스버그 플로리다주 - 탤러해시 하와이주 - 호놀룰루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39010753 LCCN: n79081388 GND: 4294593-8 BNF: cb12036743q (데이터) NKC: xx011719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디모인&oldid=24373142" 분류: 디모인아이오와주의 도시미국의 주도아이오와주의 군청 소재지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አማርኛAragoné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ашҡортса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islamaBrezhonegBosanskiCatalàНохчийнCebuanoCorsu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eilgeGàidhlig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nterlingue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urdîKernowekКыргызчаLatinaLigureLumbaart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मराठीКырык марыBahasa MelayuMirandés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Diné bizaadOccitanИронKapampanganपालि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संस्कृतम्Sardu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Ślůnski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VolapükWinaray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4일 (화) 07:3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디모인(Des Moines)은 미국 아이오와주 중부에 있는 아이오와주의 주도이며, 포크군의 군청 소재지이다. 워런군까지 확장되는 작은 군으로, 1851년 9월 22일에 포트 디모인라는 이름으로 통합되었고, 1857년에 디모인으로 줄였다. 도시의 이름은 디모인 강의 이름을 딴 것이다. 많은 역사가들은 강의 이름은 이 지역에 인디언들이 흙무더기를 쌓고 강을 모앙고나(흙무더기의 강)이라고 불렀던 것으로부터 나온 것이라고 믿고 있다. 어떤 역사가들은 수도사들이 강 어귀 근처에 살고 있었던 후에 무아느(프랑스어로 수도사의 뜻)란 뜻에서 이름이 나온 것으로 믿는 편이다. 황금 천장의 주 의사당이 동쪽으로부터 도시의 다운타운을 바라보고 있고, 다운타운에는 801 그랜드라고 불리는 아이오와주에서 가장 큰 건물의 대지이다. 그 건물은 192 미터이다. 도시의 주요 건물로는 디모인 미술관, 관청, 집회소, 아이오와 과학 센터, 주립 역사 박물관, 주지사의 저택 테라스 힐과 농업의 역사를 설명하는 운영 농장인 생활 역사 농장 등이 있다. 매년 8월마다 열리는 아이오와주 품평회가 많은 손님들을 맞아들이고 있다. 디모인의 교육 기관으로는 드레이크 대학교, 디모인 대학교, 그랜드 뷰 칼리지 등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898년 미국과 스페인 전쟁 때 디모인에는 어떤 기지가 있었어? Assistant: 국립 위병 Human: 아래 국민대표회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국민대표회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국민대표회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국민대표회의는 1923년 중국 상하이 인민정부대례당에서 개최된 한국의 독립운동 계파간의 회의를 말한다. 이 회의에 모인 국내외 단체의 대표들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진로를 비롯한 독립운동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목차 1 배경 1.1 임시정부를 둘러싼 갈등 1.2 국민대표회의 개최 요구 2 경과 2.1 국민대표회준비회 2.2 국민대표회의 개최 2.3 국민대표회의 내 갈등 2.3.1 창조파와 개조파 2.3.2 조파의 탈퇴 3 국민대표회의 폐회 4 각주 배경[편집] 임시정부를 둘러싼 갈등[편집] 상하이에 세워진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이념과 출신지역에 따른 파벌로 인해 내부적으로 갈등을 겪고 있었다. 외교독립론을 주장한 이승만계, 무장독립론을 주장한 박용만계, 실력양성론을 내세운 안창호계로 대립되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은 또한 지역색에 따라 기호파와 서북파 등으로도 나뉘었다. 게다가 임시정부 자체의 대표성 또한 문제되고 있는 상황이었다. 특히 상하이 임시정부의 한성정부의 '승인'·'개조' 문제는 이후 임시정부의 분열과 함께 국민대표회의 개최를 야기한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1]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는 이승만·이동휘·박용만·문창범·안창호 등 각지의 명망가들을 각원으로 임명하였다. 그러나 신채호·김숙·박용만등은 이승만의 위임통치 청원 문제로,문창범은 한성정부의 '승인'·'개조' 문제로 임시정부에 참여하지 않음으로써 임시정부는 민족운동세력을 전부 포함하지 못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무장독립운동을 주장하던 이동휘가 1921년 탈퇴하고 뒤이어 안창호·남형우·김규식등도 탈퇴하여 임시정부는 사실상 '정부'의 역할과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다.[2] 국민대표회의 개최 요구[편집] 국민대표준비위원회 위원 명단[3] 이름 생몰년 본적 소속 대표 준비회직책 세력별 강구우 1885- 함북 북경군사통일회 북간도 특파원 고려공산당(상) 김위택 1883- 평북 천진기성회 함경 흥사단 김철 1886-1934 전남 상해기성회 전남 회계 임정 나용균 1895-1984 전북 상해기성회 전북 서기 임시의정원 남공선 1888-1924 함남 북경군사통일회 亞頒 대한국민의회 남형우 1875-1943 경북 상해기성회 경상 위원장 대한국민회,임정 송병조 1877-1942 평북 상해기성회 평안 조사원 임시의정원,흥사단 신숙 1885-1967 경기 북경군사통일회 충청 원세훈 1887-1959 함남 상해기성회 함경 회계 대한국민의회,고려공산당(이) 이탁 1889-1983 평남 상해기성회 평안 조사위원 흥사단,임정 최대갑 함남 동녕현기성회 남만주 교통원 1921년 2월 김창숙·박은식·원세훈 등 독립운동가 15인이 1921년 2월 <우리 동포에게 고함>이라는 격문을 발표했다. 이 격문에서는 무능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대한 비판과 함께 국민대표회의를 열어 무장투쟁세력을 포함한 통일적인 정부와 독립운동방향을 수립할 것을 주장하였다.[4] 이에 대해 김구를 비롯한 임시정부 각료들은 국민대표회의 소집운동을 정부패궤운동이라고 규정하고 반발하였다.[5] 한 편 임시정부의 외교노선에 반대하고 무장투쟁 노선을 주장하던 신채호·박용만·신숙 등을 비롯한 8개 단체 대표들은 1920년 9월 북경에서 군사통일회를 조직한다. 여기에 참가한 하와이 독립단 대표 권성근은 이승만의 위임통치 청원 사실을 폭로하고, 이로써 군사통일회는 이승만을 성토하고 임시정부 불신임을 결의하게 된다. 곧이어 이들은 임시정부 불신임에 따른 제반문제를 논의하고 국내외의 독립군을 망라하여 국민대표회의를 소집할 것을 주장하고 5명의 준비위원을 뽑았다. 이어 1921년 5월 6일에는 만주지역의 김동삼·이탁·여준등이 액목현(額穆縣) 회의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개혁안>을 작성하고 국민대표회의 소집을 추진한다. 이렇게 국외 각지에서 임시정부를 부인하고 개조하자는 요구가 이어지자 상하이에서도 여운형·안창호 등에 의해 국민대표회의 소집문제가 제기된 후 국민대표회의 기성회가 결성되었고, 이를 토대로 1921년 8월 '국민대표회준비회'가 성립되었다.[4] 경과[편집] 국민대표회준비회[편집] 그러나 국민대표회준비회의 활동은 김구 등 대한민국 임시정부옹호파의 반대, 대회경비에 따른 자금난 등으로 인해 부진하였다. 뿐만 아니라 여러 독립 운동 세력은 워싱턴에서 열린 태평양회의와 모스크바에서 열린 극동인민대표대회에 기대를 걸고 있었기 때문에 두 회의 개최 기간 중에는 일시 중단되었다.[6] 그러나 두 국제회의에서 예상과 달리 큰 성과를 얻지 못하게 되자 결국 국민대표회준비회는 1922년 다시 활동을 재개하였다. 국민대표회의 개최[편집] 임시의장 안창호 1922년 5월 국민대표회준비회는 소집 선언서를 발표하고 9월 1일에 국민대표회의를 개최한다고 공고하였다. 이후 각처에서 국민대표회의 촉성회가 조직되는 등 활발한 준비 작업 끝에 마침내 국민대표회의가 1923년 1월 3일에 개막하였다. 여기에는 국내·상하이·만주일대·북경·간도일대·노령·미주 등의 135개 독립운동단체, 158여 명의 대표들이 모였으며 최종적으로 125명의 대표가 확정되었다.[7] 먼저 안창호를 임시의장으로 한 예비 회의에서 본회의에 상정할 안건이 심의되고, 1월 31일부터 김동삼을 의장으로 본회의가 시작되었다.[8] 국민대표회 본회의에서는 먼저 주비위원장 남형우의 경과보고가 있었고, 곧이어 회의를 진행할 의장단 선출에 들어갔다. 의장단의 구성은 국민대표회의에 참가한 독립운동단체들의 지역적 기반을 고려하여 의장에 김동삼, 부의장에 윤해·안창호 등을 뽑았다. 본회의는 회의규정 및 일정을 마련하고 독립운동방침을 효율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군사·재무·외교·생계·교육·노동 등 6개 분과를 두었다. 회의는 분과를 중심으로 제반 문제를 구체적으로 토의하는 등 순조롭게 진행되었으나 시국문제, 즉 임시정부에 관한 의제가 논의되는 과정에서 의견대립이 나타나기 시작했다.[9] 국민대표회의 내 갈등[편집] 창조파와 개조파[편집] 시국문제 입장별 대표수[10] 그룹명칭 대표총수 그중 공산주의자 향후참가거부 그중 공산주의자 개조파 57 23 57 23 창조파 32 13 0 0 중립파 7 7 7 7 대회 중간 소환 19 6 19 6 대회분열 뒤 불참 4 2 4 2 국민위원회 조직 때 탈퇴 6 3 6 3 총계 125 54 93 41 1923년 3월 9일 본회의에 공포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개조 제의안(시국문제)에 대한 입장을 둘러싸고 회의는 크게 창조파(創造派), 개조파(改造派)로 분열되었다. 먼저 창조파는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대신할 새로운 주체를 설립하자는 입장으로 북경과 노령에 기반을 둔 신채호·문창범·윤해 등이 중심이었다. 무장독립론을 주장했던 이동휘도 개조론의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6] 반면 노선의 일치보다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중시하여 모인 개조파의 안창호•여운형·김동삼 등은 상하이와 만주를 기반으로 삼고 있었다. 개조파는 임정이 전 민족적 운동인 3.1운동의 결과물이며 현재도 국민의 지지를 받고 있다는 점과 성립 이후 민족해방운동을 지도해 왔다고 인식하였다. 따라서 이들은 창조파가 국민대표회의에서 새로운 최고기관을 만든다면 국민들이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11] 조파의 탈퇴[편집] 창조파는 1923년 3월 21일 의장이 개조안을 본회의에 상정하려 하자 이에 반대하여 본회의에서 탈퇴하였다. 창조파의 탈퇴로 본회의 개최가 불가능해지자 28일부터는 창조파와 개조파가 참여하는 비공식회의가 열리게 되었다. 여기에서는 시국문제 토론을 유보할 것과 개조파인 안창호, 김철수 등이 임시정부와 임시의정원을 국민대표회의에 참가하도록 설득할 것을 합의되었다. 4월 11일부터 다시 정식회의가 개회되었으나 '개조'와 '창조'를 둘러싼 시국문제에 있어서는 의견이 좁혀지지 않았다. 이 때 서로 군정서군과 한족회는 각각 대표소환을 지시하여 당시 만주대표로 활동하던 개조파의 김동삼·배천택·김형식·이진산 등이 결국 국민대표회의에서 탈퇴했다(1923년 5월 15일).[12] 국민대표회의 폐회[편집] 국민대표회의 개조파 성명서 이후 6월 3일 창조파만으로 진행된 회의에서는 새로운 기관을 세워 국호를 '한(韓)'으로 정하기로 결정하였다. 결국 창조파는 6월 7일 새로운 헌법 제정과 함께 국민위원회를 조직하고 국민대표회의 폐회를 선언하였다.[13] 이에 대해 개조파 위원 57명이 반대성명을 냈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또한 이에 반대하여 내무총장인 김구는 내무령 제1호로서 국민대표회의의 해산을 명령했다. 이에 일부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 중심의 창조파는 노령으로 돌아가 레닌 정부의 승인을 얻어 새 정부를 수립하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결국 '한'정부를 따라갔던 창조파 인사들은 1924년 2월말을 전후하여 중국지역의 각 단체에 복귀해 개별운동을 전개하게 되었다. 한편 국민대표회의 내에는 창조파와 개조파 이외에 중도파로서 통일적 대단합을 주장하던 인사가 있었으나 그 수가 극히 적었고, 이후 회의는 6개월간 개최되었으나 본격적인 안건을 처리하지 못한 채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막을 내리게 되었다.[6] 국민대표회의 결렬 후 임시정부는 자신의 법통성을 부인하고 새로운 통일기관의 결성을 지지하여 민족유일당운동이 전개되었다. 이것은 앞서 민족통일전선을 구축하려 시도했던 국민대표회의의 목표와 맥락을 같이하는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각주[편집] ↑ 조철행, 국민대표회 개최과정과 참가대표, «한국민족운동사연구 61», 2009, 24쪽 ↑ 조철행, 국민대표회 개최과정과 참가대표, «한국민족운동사연구 61», 2009, 25쪽 ↑ 조철행, 국민대표회 개최과정과 참가대표, «한국민족운동사연구 61», 2009, 47쪽 ↑ 가 나 강만길 외 173명, 국민대표회 개최과정, «한국사», 한길사 ↑ 곽지연, 국민대표회 반대세력 연구 (1921-1922),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8, 6쪽 ↑ 가 나 다 Hdic http://hdic.kr/wiki3/index.php/국민_대표_회의[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윤대원, 국민대표회의 이후 개조파의 정국쇄신운동과 국무령제의 성립, «역사연구 제7호», 76쪽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www.encykorea.com/encyweb.dll?TRX?str=13892&ty=2[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강만길 외 173명, 창조-개조파의 대립, «한국사», 한길사 ↑ 이동휘, 제3공산주의인터네셔널 집행위원회에 보내는 보고, 1923;조철행, 국민대표회 개최과정과 참가대표, «한국민족운동사연구 61», 2009, 56쪽 재인용 ↑ 박윤재, 1920년대 초 민족통일전선운동과 국민대표회의, «학림 제17호»,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1996년, 170쪽 ↑ 강만길 외 173명, 국민대표회의 결렬, «한국사», 한길사 ↑ 박윤재, 1920년대 초 민족통일전선운동과 국민대표회의, «학림 제17호»,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1996년, 177쪽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국민대표회의&oldid=24283028" 분류: 한국의 독립운동대한민국 임시 정부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26일 (일) 13: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국민대표회의는 1923년 중국 상하이 인민정부대례당에서 개최된 한국의 독립운동 계파간의 회의를 말한다. 이 회의에 모인 국내외 단체의 대표들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진로를 비롯한 독립운동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국민대표회의가 일어날때 임시정부 내무총장은 누구였어? Assistant: 김구
Human: 아래 한국의_불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한국의 불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의 불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한국의 불교 역사 삼국 고구려 백제 신라 남북국 고려 조선 현대 사상 이제합명 불국토 호국 일심 화쟁 무애 화엄 유식 정토 교관 정혜 무심 돈오점수 돈오돈수 인물 승랑 원광 자장 원효 의상 원측 제관 의천 지눌 나옹 휴정 경허 성철 숭산 종파 · 목록 5교9산 5교양종 선교양종 조계종 조동종 진각종 진언종 천태종 태고종 대장경 · 소의경전 고려대장경 금강경 법화경 화엄경 논서 · 주석서 간화결의 금강삼매 기신론소 직지심체 정혜결사 천태사교 해심밀경소 법계도 사찰 삼보사찰 오대총림 분황사 황룡사 v • d • e • h 한국의 불교는 기원후 4세기와 5세기경 삼국 시대(三國時代)에 동진 시대(317-420)와 남북조 시대(439-589)의 중국을 거쳐 들어온 종교로서 한국 민족과 더불어 자라온 중요한 종교 사상의 하나이다. 지금까지 1600여년의 시간이 흐르는 동안, 한국 불교는 토착화되면서 한국인에 맞는 한국적 특성을 지닌 종교 사상이 되었다. 목차 1 한국 불교의 특성 2 한국 불교의 역사 3 사찰 현황 3.1 대한민국 전통 사찰 현황 3.1.1 종단별 사찰 현황 4 한국의 불교 종단 5 같이 보기 6 각주 7 참고 문헌 한국 불교의 특성[원본 편집] 삼국 시대에 전래된 이후 오랜 시간이 흐르는 동안 한국불교는 토착화되면서 한국인에 맞는 한국적 특성을 지닌 종교 사상이 되었는데, 그 특성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한국 불교는 인도나 중국에서 분화되었던 사상을 융합하려는 통불교적 성격의 노력이 컸다. 이는 원효의 화쟁사상, 의천의 교관겸수, 지눌의 정혜쌍수의 사상 등에서 보듯이 교종에 속하더라도 선정 수행을 중시하고 선종에 속하더라도 교가의 공부를 경시하지 않았던 것에서 잘 나타난다. 둘째, 사상 체계를 요약하여 수행을 통해 자심(自心)을 밝히는 것을 중시하였다. 이는 원효의 일심사상, 신라말기와 고려초의 선종 구산, 고려 중기 이후의 오교 양종, 조선 시대의 선교 양종, 현대의 조계종의 출현, 성철의 돈오돈수 사상 등으로 이어지는 흐름 속에서 잘 나타난다. 셋째, 위태로운 때를 당하면 불교에 의지하려는 생각이 깊었는데 호국불교(護國佛敎)의 사상적 명맥을 거기에서 찾을 수 있다. 호국불교의 사상은 자장의 불국토 사상, 불국사와 석굴암의 건립, 팔만대장경의 성립, 임진왜란 때의 승병의 활동 등에서 잘 나타난다. 한국 불교의 역사[원본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한국 불교의 역사입니다. 한국의 불교는 1,600년 전인 삼국시대(三國時代)에 중국을 거쳐 들어온 사상으로서 한국민족과 자라온 중요한 종교사상의 하나가 되었다. 삼국시대에 육상 경로와 해상 경로를 통해 전해졌다. 기록 상 최초의 불교 전래는 고구려 소수림왕 때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소수림왕 전 시기에 불교가 상당 부분 고구려 각처에 퍼져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삼국시대의 나라들이 불교를 받아들인 것은 율령체제 정비와 그 궤를 같이한다. 불교는 도입된 이래 삼(사)국의 주요 통치 이념이었으며, 고려 시대에는 정치 이념이었던 유교와 함께 가장 강력한 통치 이념이었다. 고려 후기에는 불교 교리의 실천을 망각하고 권력화하여 타락함으로써 고려 왕조를 몰락으로 이끈 경향이 짙었고, 조선 초의 배불 숭유 정책을 초래하였다. 그러나 세조는 불교의 영적 가치를 재발견하고 김수온 등의 건의로 이를 부흥시켰다. 남북국시대 신라 말기에 중국의 선종이 전파되었으며 고려 시대 이후 한국 불교는 선종을 중심으로 한 통불교, 즉 선-교 양종의 통합 불교가 주축을 이루었다. 근세 이후 한국 불교의 주류는 선종이다. 해방이후 비구-대처분쟁이후 비구 종단은 대한불교조계종을 중심으로 정립되었고, 조계종은 현재까지 한국 불교의 대표 종단이다. 불교 대승 종단은 소의 경전을 중심으로 나눌 수 있다. 연표: 불교 전통의 성립과 발전 (기원전 450년경부터 기원후 1300년경까지) v • d • e • h   450 BCE 250 BCE 100 CE 500 CE 700 CE 800 CE 1200 CE   인도 원시불교       부파불교 대승불교 밀교·금강승           스리랑카 · 동남아시아   상좌부 불교             중앙아시아   그레코 불교   티베트 불교   비단길을 통한 불교 전파   동아시아 · 한·중·일   천태종 · 정토종 · 일련종 밀교 · 진언종       450 BCE 250 BCE 100 CE 500 CE 700 CE 800 CE 1200 CE   범례:   = 상좌부 불교 전통   = 대승불교 전통   = 밀교·금강승 전통 사찰 현황[원본 편집] 불영사 전경 대한민국 전통 사찰 현황[원본 편집] 문화체육관광부의 2014년 12월 자료[1]에 따르면, 대한민국에는 944개의 전통 사찰(대다수의 법당이 도심에 있는 진각종 등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천태종도 구인사만 집계되어 있다.)이 있으며 종단별 현황은 다음과 같다. 종단별 사찰 현황[원본 편집] 종단 사찰수 대한불교조계종 754 (80%) 한국불교태고종 100 (11%) 재단법인 선학원 28 (3%) 대한불교법화종 18 (2%) 대한불교원효종 3 (1%) 기타 41 (4%) 한국의 불교 종단[원본 편집] 한국의 불교 종단은 2008년 현재 총 106개이며, 그 이상일 수도 있다. vdeh 대한민국의 불교 종단 국제불교 일화종 국제불교 조계종 대승불교 관음종 대승불교 달마종 대승불교 법왕종 대중불교 조계종 대한불교 관음종 대한불교 교화선종 대한불교 달마선종 대한불교 대각종 대한불교 대명종 대한불교 대승연화종 대한불교 대승종 대한불교 대원종 대한불교 대한일월종 대한불교 무량종 대한불교 미륵대종 대한불교 미륵선종 대한불교 미륵용화종 대한불교 미륵종 대한불교 미타종 대한불교 법륜종 대한불교 법사종 대한불교 법상종 대한불교 법안종 대한불교 법천종 대한불교 법화본종 대한불교 법화종 대한불교 보문종 대한불교 본원종 대한불교 불입종 대한불교 삼론종 대한불교 선교종 대한불교 선화종 대한불교 성도종 대한불교 연화불종 대한불교 연화종 대한불교 열반종 대한불교 영산법화종 대한불교 용화미륵종 대한불교 용화종 대한불교 원각선교종 대한불교 원융종 대한불교 원효종 대한불교 일광종 대한불교 일붕선교종 대한불교 일승종 대한불교 자비종 대한불교 정토종 대한불교 조계선종 대한불교 조계종 대한불교 조동종 대한불교 진각종 대한불교 진언종 대한불교 천지종 대한불교 천태종 대한불교 초심교종 대한불교 총화종 대한불교 태선종 대한불교 해동달마종 대한불교 해동종 대한불교 해동평화종 대한불교 해인종 대한불교 해탈종 대한불교 화엄종 대한불법 안명산 묘법사 대한신불교 천우종 대한연합불교 조계종 도솔천 유마종 미주불교 법화종 보국불교 염불종 불교 총지종 불승종 선학원 세계불교 법륜종 세계불교 법왕종 세계불교 법왕청토속금강종 세계불교 일화종 세계불교 지장종 세계불교 평화종 용화불교 유법종 진언불교 지송종 천화불교 한국SGI 한국근본불교 조계종 한국대승불교 여래종 한국불교 금강종 한국불교 금강종 한국불교 달마종 한국불교 법화종 한국불교 원각종 한국불교 원효종 한국불교 일월무량종 한국불교 정토종 한국불교 조선종 한국불교 조화세계종 한국불교 천일종 한국불교 태고종 한국불교 토속금강종 한국토속불교 미타정토종 한민족불교 한세계인류 성도종 해동불교 정토종 해동불교 조계종 해동불교 평화종 같이 보기[원본 편집] 원불교 한국 불교의 사상 한국 불교의 역사 한국 불교의 종파 각주[원본 편집] ↑ http://www.mcst.go.kr/web/s_data/statistics/statView.jsp?pSeq=732 참고 문헌[원본 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의 불교〔서설〕"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한국의 불교 vdeh아시아의 불교독립국 네팔 대한민국 동티모르[* 1] 라오스 러시아[* 2] 레바논 말레이시아 몰디브 몽골 미얀마 바레인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스리랑카 시리아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아르메니아[* 3] 아제르바이잔[* 2] 아프가니스탄 예멘 오만 요르단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이란 이스라엘 이집트[* 4] 인도 인도네시아[* 5] 일본[* 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지아[* 2]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카자흐스탄[* 2] 카타르 캄보디아 쿠웨이트 키르기스스탄 키프로스[* 3] 타지키스탄 태국 터키[* 2]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필리핀 속령 마카오[* 6] 차고스 제도 [* 7] 티베트[* 8] 동튀르케스탄[* 8] 홍콩[* 6] 미승인 국가 아르차흐 공화국[* 3] 남오세티야[* 2] 북키프로스 압하지야[* 2] ↑ 오세아니아에 속하는 국가로 분류되는 경우도 있다.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일부 영토가 유럽에도 속한다. ↑ 가 나 다 지리적으로는 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문화적 이유로 종종 유럽으로 분류한다. ↑ 일부 영토가 아프리카에도 속한다. ↑ 가 나 일부 영토가 오세아니아에도 속한다. ↑ 가 나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역이다. ↑ 영국령 인도양 지역의 일부이다. ↑ 가 나 나라 목록 206개 국가에 포함되지 않는 나라이다. vdeh 불교 붓다 여래 탄생일 사문유관 삼십이상호 가족 《슈도다나(아버지) 마야 부인(어머니) 야소다라(부인) 라후라(아들)》 기본 사상 윤회 깨달음 《 해탈 열반 반야 보리 성불》 삼보 《 불 법 승》 사성제 팔정도 중도 세계관삼계 욕계 색계 무색계 십법계미계(迷界) 3계 내의 육도 윤회: 지옥도 축생도 아귀도 아수라도 인간도 천상도 오계(悟界) 성문계 연각계 보살계 불계 경전삼장 경장 율장 논장 대장경 팔리어 대장경 한역대장경 고려대장경 신수대장경 티베트 대장경 경장 금강경 능가경 반야경 법화경 화엄경 유마경 승만경 율장 사분율 논장 구사론 대비바사론 대승기신론 대지도론 중론 유가사지론 청정도론 부처님 당시붓다와* 십대제자 고타마 붓다 ① 가전연 ② 대가섭 ③ 나후라 ④ 목건련 ⑤ 부루나 ⑥ 사리불 ⑦ 수보리 ⑧ 아나률 ⑨ 아난타 ⑩ 우바리 부처 과거 칠불 《비바시불 시기불 비사부불 구류손불 구나함모니불 가섭불 연등불》 석가모니불 보살 관세음보살 문수보살 미륵보살 보현보살 지장보살 기타 인물 난타 마하파자파티 참마 우파라반나 부다고사 나가세나 종파 원시 불교 상좌부 부파 불교 대승 《일련종 정토종 중관파 유가행파 천태종》 선종 《임제종 조동종》 금강승 《티베트 불교 진언종》 수행수행 일반수행 귀의 신심 신행 공덕 진언 염불 참배 기도 삼십칠도품 사념처 사정근 사여의족 오근 오력 칠각지 팔정도 사무량심 자 비 희 사 삼학 계 정 혜 계율 오계 사홍서원 출가계율 소승 불교상좌부 불교 마음챙김 사마타 위빠사나 바와나 위빠사나 까마타나 수념(隨念) 안반수의 부파 불교 아비달마 십바라밀 보시 지계 출리 지혜 정진 인욕 진실 결의 자애 평온 대승 불교대승 불교 지관(止觀) 육바라밀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반야(지혜) 십바라밀 방편 원 역 지 최상승선 불교간화선 선(禪)수행 참선 간화선·화두 공안 좌선 그 외 묵조선 염불선 국가별 수행법티베트 불교 탄트라 만다라 스마라나 통렌 수행 계위각자(覺者) 성문불 연각불 보살 부처 사과 수다원 사다함 아나함 아라한 상가사부중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 칠부중 사미 식차마나 사미니 역사 연표 결집 인도불교사 인도 불교의 쇠퇴 아소카 대왕 간다라 불교 불교와 로마 제국 비단길을 통한 불교의 전파 불교 탄압 문화건축 사찰 사원(왓) 탑파 기념일 부처님 오신 날 마카부차 포살 미술 간다라 미술 불상 탱화 포대화상 상징 깃발 법륜 윤회의 바퀴 인 성지 룸비니(탄생) 부다가야(성도) 녹야원(설법) 쿠시나가르(열반) 마하보디 사원 보리수 수행과 생활 가사 기도통 달력 안거 염주 음식 《채식주의》 진언 《옴 마니 파드메 훔》 기타 시 음악 국가별 네팔 라오스 러시아 말레이시아 몽골 미얀마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스리랑카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인도 일본 중국 중동 《이란》 캄보디아 타이완 태국 티베트 파키스탄 한국 서양 《미국 영국 프랑스 호주》 철학 경제학 논리학 무정부주의 불학 사회주의 신 십사무기 실천불교 실재론 아비달마 윤리 원자론 인본주의 종말론 진화 기타 전등(傳燈) 범천 마라 경 의식용 언어 《팔리어 산스크리트어》 법구경 법문 겁 삼명 유루·무루 유위·무위 육신통 비교 종교 기독교 나스티시즘 동아시아 종교 신지학 자이나교 힌두교 과학 심리학 개념 갈애 공 견성 묘각 도리 마음 마음작용 무명 반열반 번뇌 범부와 성인 보리심 보살 불성 삼법인 《일체개고 제행무상 제법무아》 삼성《 선 악 무기》 삼신《 법신 보신 화신》 상속심 업 연기 열 가지 족쇄·10결 오개 오근 오온 유루와 무루 유위와 무위 윤회 족첸(대구경) 죄 지혜 진속이제 진여 행 환생 목록 부처 이십팔불 보살 인물 불경 도서 사찰 한국의 사찰 《가나다순 지역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국의_불교&oldid=24059269" 분류: 한국의 불교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불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བོད་ཡིགČeština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Français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Română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ไทยTürkçeاردو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02: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한국의 불교는 기원후 4세기와 5세기경 삼국 시대(三國時代)에 동진 시대(317-420)와 남북조 시대(439-589)의 중국을 거쳐 들어온 종교로서 한국 민족과 더불어 자라온 중요한 종교 사상의 하나이다. 지금까지 1700여년의 시간이 흐르는 동안, 한국 불교는 토착화되면서 한국인에 맞는 한국적 특성을 지닌 종교 사상이 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한국의 불교는 어떤 역사를 가지고 있을까? Assistant: 한국의 불교는 1,600년 전인 삼국시대(三國時代)에 중국을 거쳐 들어온 사상으로서 한국민족과 자라온 중요한 종교사상의 하나가 되었다. 삼국시대에 육상 경로와 해상 경로를 통해 전해졌다. 기록 상 최초의 불교 전래는 고구려 소수림왕 때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소수림왕 전 시기에 불교가 상당 부분 고구려 각처에 퍼져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삼국시대의 나라들이 불교를 받아들인 것은 율령체제 정비와 그 궤를 같이한다. 불교는 도입된 이래 삼(사)국의 주요 통치 이념이었으며, 고려 시대에는 정치 이념이었던 유교와 함께 가장 강력한 통치 이념이었다. 고려 후기에는 불교 교리의 실천을 망각하고 권력화하여 타락함으로써 고려 왕조를 몰락으로 이끈 경향이 짙었고, 조선 초의 배불 숭유 정책을 초래하였다. 그러나 세조는 불교의 영적 가치를 재발견하고 김수온 등의 건의로 이를 부흥시켰다. 남북국시대 신라 말기에 중국의 선종이 전파되었으며 고려 시대 이후 한국 불교는 선종을 중심으로 한 통불교, 즉 선-교 양종의 통합 불교가 주축을 이루었다. 근세 이후 한국 불교의 주류는 선종이다. 해방이후 비구-대처분쟁이후 비구 종단은 대한불교조계종을 중심으로 정립되었고, 조계종은 현재까지 한국 불교의 대표 종단이다. 불교 대승 종단은 소의 경전을 중심으로 나눌 수 있다. Human: 아래 김중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중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중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중권기본 정보국적 대한민국출생 1939년 3월 29일(1939-03-29) (80세)일제 강점기 강원도 울진군 후포면(現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면)본관 김해학력 단국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경력 청주지방법원 판사서울고등법원 판사새정치국민회의 선거대책위원회 위원장제21대 대통령비서실장새천년민주당 대표최고위원새천년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위원장새천년민주당 마포구 갑 지구당위원장열린우리당 법률행정특임고문대통합민주신당 법률행정특임고문민주통합당 상임고문명지대학교 법학과 겸임교수청주대학교 법학과 겸임교수 배우자 홍기명자녀 슬하 1남 2녀군복무 육군 대위 전역의원 선수 3의원 대수 11·12·13정당 무소속지역구 前 경북 울진군 김중권(金重權, 1939년 3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다. 목차 1 생애 2 학력 3 일화 3.1 민정계의 이론가 3.2 김대중과의 인연 3.3 신주류의 중심 4 역대 선거 결과 5 참고 자료 6 외부 링크 생애[편집] 김중권은 1939년 3월 29일에 경상북도 울진에서 태어났다. 1962년에 고려대 법대를 졸업한 뒤 고등고시 사법과에 합격하여 서울고등법원 판사로 재임하던 1981년에 민주정의당에 입당하여 3선을 재임하였다. 이후 청와대 정무수석을 역임하였으나 상도동계의 5공 청산을 명분으로 민자당에서 제명되었다. 1996년 1월에 새정치국민회의 총재 김대중의 권유에 따라 새정치국민회의에 입당하여 제15대 총선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이후 1997년에 실시된 제15대 대선에서 선대위원장을 맡으며 호남에 기반을 둔 새정치국민회의의 영남 정치인으로서 최초의 호남 출신 대통령의 당선에 기여하였다. 이로써 김중권은 동교동계가 되었고 김대중 정부의 초대 대통령비서실장에 발탁되었다. 이후 새천년민주당 대표최고위원에 임명되었다. 김대중 정부의 외환위기 극복에 크게 기여했으며 동교동계 주류의 정책 개입을 강력히 견제하여 측근들의 비리를 시전에 방지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김대중의 신임을 바탕으로 여권의 강력한 대권후보로 떠올라 "국민화합"과 "영남 후보론"을 내세우며 새천년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 출마하나 지역 기반이 비슷한 노무현에게 밀려 경선과정에서 사퇴한다. 2003년 말 다수의 당내 의원들이 열린우리당의 창당에 참여하며 분당 사태가 발생하였는데 김중권은 새천년민주당을 탈당하고 제17대 총선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이후 제18대 총선에서도 무소속으로, 제19대 총선에도 무소속으로 출마하였으나 연달아 낙선하자 정계를 은퇴하였다. 학력[편집] 1952년 평해국민학교 졸업 1955년 평해중학교 졸업 1958년 후포고등학교 졸업 1963년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LL.B. 1965년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10기 1969년 서울대학교 사법대학원 법학 석사 1988년 단국대학교 대학원 법학 박사 일화[편집] 민정계의 이론가[편집] 1980년에 전두환을 미화하는 논문과 칼럼들이 발행됐던 민정당보에 당시 민주정의당의 이론가였던 법조인 출신인 김중권의 글도 가끔 등장했다. 6공시절인 1989년 말 '민정논단'을 통해 제법 정연한 논리로 야당을 공박하기도 하는데, 3김이 이끄는 야당의 5공청산 투쟁을 "선명경쟁으로 '한풀이식' 억지주장을 펼치고 있다."고 비판한 바 있다. 김대중과의 인연[편집] 1992년에 노태우의 중립선거관리 선언 이후 김영삼과 김대중에게 선거 자금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정무수석이던 김중권이 김대중에게 이를 전달하게 되면서 처음으로 인연을 맺게 되었다. 이후 김대중 후보는 김중권이 여권의 사정에 밝고 기획, 실천력이 탁월한 점을 주목하게 되고, 김중권도 정치적 적대관계에 있는 김대중을 준비된 대통령 후보로 인지하고 지지하게 된다. 이후 1996년에 총선을 앞두고 김대중의 권유를 받아 영남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호남에 기반을 둔 새정치국민회의에 입당한다. 1997년에는 제15대 대선의 선대위원장을 맡아 대선을 주도하며 영남 지역의 지지를 받아내서 김대중을 대통령으로 만드는데 헌신한다. 신주류의 중심[편집] 김대중 정부 시절 김대중의 강력한 신임을 바탕으로 당시 집권당인 새정치국민회의의 김영배 총재권한대행, 한화갑 원내총무와 더불어 '3각 편대'로 불리며 정권의 신실세로 군림하며 동교동계 신주류의 중심으로 급부상했다. 반면 권노갑, 박지원 등을 비롯한 구주류와는 여러 차례 갈등을 빚기도 했으며, 여권의 대선후보 경선에서는 김대중 정부의 영남 지역의 대표성을 놓고 노무현과 경쟁관계에 있었다.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제11대 총선 국회의원(경북 청송군·영덕군·울진군) 11대 민주정의당 41.08% 49,144표 1위 제12대 총선 국회의원(경북 청송군·영덕군·울진군) 12대 민주정의당 42.89% 51,624표 1위 제13대 총선 국회의원(경북 울진군) 13대 민주정의당 54.78% 23,484표 1위 제14대 총선 국회의원(경북 울진군) 14대 민주자유당 38.50% 14,285표 2위 낙선 제15대 총선 국회의원(경북 영양군·봉화군·울진군) 15대 무당파국민연합 35.13% 19,182표 2위 낙선 제16대 총선 국회의원(경북 봉화군·울진군) 16대 새천년민주당 49.98% 28,702표 2위 낙선 제17대 총선 국회의원(경북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 17대 무소속 27.94% 23,824표 2위 낙선 제18대 총선 국회의원(경북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 18대 무소속 38.90% 31,592표 2위 낙선 제19대 총선 국회의원(경북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 19대 무소속 35.98% 28,171표 2위 낙선 참고 자료[편집] 김중권 - 대한민국헌정회 외부 링크[편집] 전임김용태 제21대 대통령비서실장1998년 2월 25일 ~ 1999년 11월 23일 후임한광옥 전임서영훈 제3대 새천년민주당 대표최고위원2000년 12월 20일 ~ 2001년 11월 8일 후임한광옥 전 임 문태준·황병우 제11대 국회의원(경북 청송군·영덕군·울진군)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민주정의당 김찬우 후 임 김중권·황병우 전 임 김중권·김찬우 제12대 국회의원(경북 청송군·영덕군·울진군)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민주정의당 황병우 후 임 (청송군·영덕군)황병우(울진군)김중권 전 임 (청송군·영덕군·울진군)김중권·황병우 제13대 국회의원(경북 울진군)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민주정의당 → 민주자유당 후 임 이학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중권&oldid=23826238" 분류: 대한민국의 제11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12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13대 국회의원1939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울진군 출신평해초등학교 동문평해중학교 동문후포고등학교 동문고려대학교 동문국방대학교 동문서울대학교 사법대학원 동문단국대학교 대학원 동문민주정의당민주자유당 당원새정치국민회의새천년민주당 당원김해 김씨열린우리당 당원대통합민주신당 당원민주당 (대한민국, 2011년) 당원동교동계대한민국 육군 대위대한민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 군인청주대학교 교수명지대학교 교수대한민국의 법조인대한민국의 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대한민국의 대통령비서실장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3월 8일 (금) 18: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중권(金重權, 1939년 3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중권은 김대중 정부 때에 어떤 직위에 박탈되었을까? Assistant: 초대 대통령비서실장
Human: 아래 항공자유화조약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항공자유화조약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항공자유화조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항공자유화조약 서명일 1992년 3월 24일서명장소 헬싱키서명자 34개국발효일 2002년 1월 1일 대리인 캐나다, 헝가리언어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미국 공군이 3대를 운용중인 146톤 OC-135B 오픈 스카이 항공자유화조약(Treaty on Open Skies)은 회원국간에 자유로운 비무장 공중 정찰 비행을 허용하는 다자조약이다. 1992년 3월 24일 체결되었으며, 2002년 1월 1일 발효되었다. 현재는 34개국이 가입했다. 항공자유화조약(open sky treaty)은 군사조약으로서, 민간의 항공자유화협정(open sky agreement)과는 다르다. 목차 1 회원국 2 영공 3 관측기 4 센서 5 정보 공유 6 쿼터 7 더 보기 회원국[편집] 항공자유화조약에는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중국은 가입하지 않았다. 현재 34개국이 회원국이다: 벨라루스, 벨기에, 보스니아, 불가리아, 캐나다, 크로아티아, 체코,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 조지아, 독일, 그리스, 헝가리, 아이슬란드, 이탈리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노르웨이, 폴란드, 포르투갈, 루마니아, 러시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페인, 스웨덴, 터키, 우크라이나, 영국, 미국. 카자흐스탄은 서명은 했으나 비준이 완료되지 않았다. 영공[편집] 동 조약은 회원국의 주권이 미치는 모든 영공에 대한 관측기(정찰기)의 관측을 허용한다. 관측 비행은 오직 비행 자체의 안정성에 대한 이유로만 제한될 수 있다. 국가 안보를 이유로 해서는 관측 비행이 제한될 수 없다. 미국의 OC-135B 오픈 스카이 정찰기는 4대의 카메라를 싣고 있는데, 3개는 900 m 저공비행용 카메라이며, 1개는 10,000 m 중고도 비행용 카메라이다. 관측기[편집] 스웨덴이 2004년 부터 오픈 스카이 관측기로 사용하는 13톤 사브 340 기종. 한국의 최신 정찰기인 18톤 팰콘정찰기 보다 저성능이다. 북한 고려항공의 Tu-204 여객기. 러시아는 Tu-204를 개조한 100톤 Tu-214ON 2대를 오픈 스카이 관측기로 2012년, 2013년에 인도받았다. 회원국의 관측기(Observation aircraft, 정찰기)는 타 회원국에 제공될 수 있다. 택시 옵션(1회용 사용을 의미?)도 가능하다. 모든 관측기와 관측장비는 개별 인증(specific certification)과 비행전 검사(pre-flight inspection)를 관련 기준에 따라 통과해야만 한다. 미국 공군은 OC-135B 오픈 스카이를 사용중이다. 조약의 이름(오픈 스카이 트리티)을 땄다. 캐나다는 C-130 허큘리스 수송기에 "SAMSON" 센서 포드를 장착했다.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캐나다, 프랑스, 그리스, 이탈리아, 포르투갈, 스페인이 샘슨 포드를 공유한다. 샘슨 포드 관측기의 유지비는 각 국가의 비행 쿼터와 실제 사용량에 비례해서 분담한다. 불가리아, 루마니아, 러시아, 우크라이나는 안토노프 An-30을 관측기로 사용한다. 체코도 사용했는데, 2003년 모두 퇴역했다. 러시아는 Tu-154M-ON Monitoring Aircraft를 사용한다. 독일도 1997년 사고로 추락하기 전 까지 이 기종을 공식적으로 사용했다. 스웨덴은 2004년 13톤 사브 340인 OS-100을 관측기로 인증받았다. 센서[편집] 오픈 스카이 비행기는 주간용인 비디오 카메라, 파노라마 카메라, 프레임 카메라, 주야간용인 적외선 카메라, 주야간과 악천후용인 합성개구레이다(SAR)를 장착할 수 있다. 사진 영상 품질은 군사용 품질까지 허용된다. 예를 들면, 탱크와 트럭을 식별할 수 있는 수준까지 허용된다. 이것은 회원국간 군사력 보유 현황과 군사 활동의 투명성을 보장해 준다. 센서 카테고리는 회원국들의 동의하에 추가될 수 있다. 모든 센서는 모든 회원국들에게 상업적으로 판매중이어야만 한다. 이미지 해상도는 30 cm 까지 허용된다. 사진의 1개의 점이 30 cm x 30 cm이다. 록히드 U-2, 글로벌 호크, 금강정찰기, 팰콘정찰기의 합성개구레이다(SAR) 해상도가 30 cm이다. 정보 공유[편집] 오픈 스카이 임무로 수집된 영상정보는 타 회원국에게 유료로 공유된다. 따라서 회원국이 사용가능한 데이터는 이 조약의 쿼터에 의한 할당량 보다 훨씬 많다. 쿼터[편집] 관측 비행은 무제한이 아니라 각 회원국에 부여된 일정한 쿼터량에 따라 비행할 수 있다. 더 보기[편집] 항공자유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항공자유화조약&oldid=24166472" 분류: 냉전기의 조약1990년 체결된 조약2002년 발효된 조약1990년 핀란드군사 조약항공 협정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ItalianoКыргызчаNorsk nynorskNorskPolskiРусский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8일 (수) 10:1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항공자유화조약(航空自由化條約, 영어: Treaty on Open Skies)은 회원국간에 자유로운 비무장 공중 정찰 비행을 허용하는 다자조약이다. 1992년 3월 24일 체결되었으며, 2002년 1월 1일 발효되었다. 현재는 34개국이 가입했다. 항공자유화조약(open sky treaty)은 군사조약으로서, 민간의 항공자유화협정(open sky agreement)과는 다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미공군의 관측기 이름은 어떤 조약에서 따와서 만들었어? Assistant: 오픈 스카이 트리티 Human: 아래 Sgt._Pepper's_Lonely_Hearts_Club_Band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노래에 대해서는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노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비틀즈의 정규 음반발매일 1967년 6월 1일 (1967-06-01)녹음 1966년 11월 24일 - 1967년 4월 21일EMI 스튜디오, 런던의 리전트 사운드 스튜디오장르 록 팝 사이키델릭 아트 록 바로크 팝 프로토-프로그레시브 길이 39:52레이블 팔로폰 (영국)캐피틀 (미국)프로듀서 조지 마틴비틀즈 연표 《A Collection of Beatles Oldies》(1966년)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1967년) 《The Beatles》(1968년) 비틀즈 북미 연표 《Revolver》(1966년)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1967년) 《Magical Mystery Tour》(1967년)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는 영국의 록 밴드 비틀즈의 여덟 번째 정규 음반이다. 1967년 5월 26일 영국에서, 1967년 6월 2일 미국에서 출시되었다. 그와 동시에 상업적 및 비평적으로 즉각적으로 성공해 영국 음반 차트에서 27주간 정상을, 미국에서는 15주간 정상을 차지했다. 발표 뒤로 거의 모든 평론가는 음반의 혁신적인 음악 프로덕션과 송라이팅, 대중음악과 고급예술 간 격차를 메운 시각 디자인과 동시대 반문화와 베이비 붐 세대를 음악적으로 표현한 점을 극찬했다. 음반은 1968년 개최된 그래미 어워드에서 록 음반으로서는 처음 수여되는 올해의 음반을 포함한 네 부문을 수상했다. 1966년 8월, 비틀즈는 투어와 영원히 결별하고 세 달의 기간 동안 녹음에서 멀어져 휴가를 보낸다. 11월, 런던으로 비행기를 타고 돌아오던 중 폴 매카트니는 에드워드 시대와 관계있는 군사 밴드라는 곡의 아이디어를 구상했고, 이는 최종적으로 《페퍼상사》 콘셉트의 촉매제 구실을 했다. 비틀즈의 여덟 번째 정규 음반의 세션이 열린 날짜와 장소는 11월 24일의 제2 애비 로드 스튜디오였으며, 이들 자신의 유년기에서 영감을 얻은 〈Strawberry Fields Forever〉와 〈Penny Lane〉라는 두 개의 작곡을 녹음했지만, EMI의 압박으로 인해 이 두 개의 곡은 더블 A 싱글로서 출시되었고 또한 음반에서는 미수록됐다. 1967년 2월, 노래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의 녹음 뒤 매카트니는 비틀즈에게 음반 전체를 가상의 밴드인 페퍼 상사의 밴드의 공연으로 묘사해 보는 것이 어떻겠냐고 제안했다. 이 다른 자아는 그룹에게 자유와 음악적 실험을 부여했다. 녹음 세션에서 밴드는 1966년도 음반 《Revolver》에서 보여준 기술적 실험에서 한 발 더 나아갔다. 이들은 자신들이 트랙을 라이브로 재현하지 않을 것임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작곡과 녹음에서는 실험적인 접근을 도입했다. 그런 실험이 적용된 예시로는 〈With a Little Help from My Friends〉, 〈Lucy in the Sky with Diamonds〉, 〈A Day in the Life〉 등이 있다. 프로듀서 조지 마틴과 엔지니어 제프 에머릭은 음의 형태를 변화하는 신호 처리를 자유롭게 통용하고 우연적인 크레센도를 연주하는 40인조 관현악단를 사용해 음반녹음에서 신기원을 이뤄냈다. 녹음은 1967년 4월 21일 마무리되었다. 비틀즈를 한 무리의 유명인 및 역사적 인물들의 정중앙에 배치한 광경을 묘사한 표지는 영국 팝 아티스트 피터 블레이크와 잰 하워스가 디자인했다. 음악학 연구가는 《페퍼상사》가 비틀즈의 이전 음반에서 보이는 예술적 성숙을 지속한 것이며, 대중 음악의 확장된 형태를 사용함으로써 이를 진보시켰고, 또한 콘셉트 음반의 초기 시도로도 간주했다. 음반은 극초기 아트 록 LP 중 하나이며 프로그레시브 록의 개발에 이바지했고, 음반 시대의 포문을 연 공헌이 있다고 평가된다. 또한 음반은 보드빌, 서커스, 뮤직 홀, 아방가르드, 웨스턴, 인도 고전 음악 등의 스타일의 영향을 통합한 영국 사이키델릭의 중요 작품 중 하나이다. 2003년, 미국 의회 도서관은 "문화적, 역사적 또는 미술적 중대성"이 있는 작품으로서 국립 녹음 등재목록에 포함시켰다.[1] 같은 해 《롤링 스톤》 지는 역대 가장 위대한 500개 음반에서 1위에 올려놓았다. 2011년이 되어서는 3,20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려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음반 중 하나로 남게 되었다. 케빈 J. 데트마 교수는 《영국 문화에 대한 옥스퍼드 사전》에서 음반을 "역사상 가장 위대하고 중대한 로큰롤 음반"이라고 썼다.[2] 목차 1 배경 2 콘셉트와 영감 3 녹음 및 제작 4 커버 삽화 5 곡 목록 6 차트 6.1 주간 차트 6.2 연말 차트 7 각주 8 참고 자료 9 외부 링크 배경[편집] 저흰 비틀즈로 사는 것에 진절머리가 났습니다. 그 빌어먹을 더벅머리 꼬맹이 네 명이서 재롱을 떠는 게 정말 싫었어요. 우린 어린애가 아니라, 어른이었어요... 그리고 자신을 공연인이 아닌 예술가로 생각했습니다.[3] – 폴 매카트니 1966년, 비틀즈는 라이브 공연에 염증을 느끼기 시작했다.[4] 존 레논은 "밀랍 인형 4개가 무대에 올라가면... 관중은 그걸로 만족하는 거야. 비틀즈 콘서트는 이제 음악과는 아무 관계가 없어. 그저 지독한 부족 의식일 뿐이지."[5]란 말을 남겼다. 6월, 음반 《Revolver》 작업을 마무리한 뒤 2일 후, 그룹은 투어를 시작하기 위해 독일로 출발했다.[6] 함부르크에 있을 때, 그들은 "도쿄에는 가지마. 네 목숨이 위험해."라는 내용의 익명 전보를 받는다.[7] 일본에서 투어 중, 비틀즈는 일본무도관에서의 공연을 반대하는 종교, 보수단체의 위협을 받는다.[7] 추가 예방 조치로, 35,000여명의 경찰이 호텔에서 콘서트 장소로 이동하는 비틀즈를 지키기 위해 동원되었다. 일본의 침착한 청중들에 의해 시끄러운 소리가 사라졌고, 밴드는 자신들의 좋지 못한 라이브 공연을 듣고 충격에 빠진다. [8] 게다가 필리핀에 도착해서는, 필리핀의 영부인 이멜다 마르코스를 방문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시민들에게 위협을 받았다. 비틀즈의 매니저 브라이언 엡스타인은 일정을 지키지 못했다며 기분이 좋지 못했다.[9] 런던으로 돌아온 후, 조지 해리슨은 비틀즈의 장기계획에 대한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저희는 2주 정도 회복할 시간을 가질 겁니다. 미국에 가서 미국인들에게 얻어 맞기 전에요."[10] 그의 말은 존 레논의 "예수보다 더 유명하다" 발언으로 현실이 되었다. 공식 사과로 긴장은 누그러졌지만, 1966년 9월 미국 투어는 절반만 찬 경기장과 수준 이하의 공연으로 끝났고 이것이 그들의 마지막 콘서트가 되었다.[11] 비틀즈가 영국으로 돌아오자, 그들이 해체를 결정했다는 소문이 돌기 시작했다.[12] 해리슨은 엡스타인에게 밴드를 떠난다는 말을 전하지만, 더 이상 투어는 없을 것이라고 설득하여 남게 되었다.[10] 그룹은 7주 동안 각자의 일에 집중하며 지냈다. 해리슨은 6주 동안 인도에 가서 라비 샹카르의 교육 하에 시타르를 배우기 시작했다.[13] 그와 더불어 힌두 철학에 대한 그의 관심도 증가했다.[14] 폴 매카트니는 조지 마틴과 《패밀리 웨이》의 사운드 트랙을 작업했다.[15] 레논은 영화 《하우 아이 원 더 워》에 출연했고, 런던의 인디카 갤러리에서 미래의 아내 오노 요코를 만나게 된다.[16] 링고 스타는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냈다.[17] 콘셉트와 영감[편집] 1966년 11월, 비틀즈의 투어 매니저 말 에반스와 폴 매카트니는 케냐에서 런던으로 돌아오던 중, "Sgt. Pepper" 콘셉트의 추동력이 되는 아이디어를 떠올린다.[13] 그의 아이디어는 에드워드 시대의 군악대와 관련되어 있었고, 이렇게 에반스가 만든 이름은 동시대의 샌프란시스코 소재 그룹인 빅 브라더 앤 더 홀딩 컴퍼니와 퀵실버 메신저 서비스와 같은 스타일이었다.[18] 1967년 4월, 매카트니는 비틀즈에게 음반 전체를 가공의 밴드의 공연으로 표현해 볼 것을 제안한다.[19] 이 또다른 밴드는 그들에게 자유와 음악적 실험을 가능케 했다. 매카트니가 설명하길 "전 생각했어요, 우리 자신이 되지 말고. 다른 자아를 개발하자."[20] 마틴은 이렇게 회고했다. “ "페퍼 상사" 자체는 앨범을 반쯤 제작할 때까지 나타나지 않았다. 그건 폴의 곡이었다. 평범한 록 음악이었다... 하지만 우리가 그걸 끝냈을 때, 폴이 말했다, "앨범을 페퍼가 정말 존재하는 것처럼, 페퍼 상사가 녹음한 것 처럼 만들어 보는 건 어때? 효과를 넣어서 말이야." 난 그 생각이 마음에 들었고, 그 순간부터 페퍼는 살아 숨쉬기 시작했다.[21] ” 1966년, 미국의 음악가이자 비치 보이스의 리더인 브라이언 윌슨은 녹음의 미학과 음반 프로듀서 필 스펙터의 월 오브 사운드, 그리고 비틀즈의 음반 《Rubber Soul》에게 관심을 가졌고, 그의 제작 실력과 완벽한 구성, 편곡을 보여주는 음반 《Pet Sounds》가 나오게끔 한다. 매카트니는 《Pet Sounds》를 듣자 큰 충격을 받았고, 음반에 부단한 영향을 주게 된다. 조지 마틴은 "펫 사운즈가 아니였다면, 페퍼 상사는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페퍼는 펫 사운즈와 견주기 위한 시도였다."라고 말한다.[22] 더 머더스 오브 인벤션의 음반 《Freak Out!》 또한 페퍼 상사에게 영향을 준 것으로 언급된다.[23] 저자 필립 노만에 따르면, 페퍼 상사의 녹음 세션 중 매카트니는 계속해서 "이건 우리의 《Freak Out!》이야"이라 말했다고 한다. 음악 저널리스트 쳇 플리포는 매카트니가 첫 콘셉트 앨범으로 여겨지는 《Freak Out!》을 들은 후, 콘셉트 앨범을 만들어 보자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고 말한다.[24] 녹음 및 제작[편집] 페퍼 상사의 대부분의 곡을 녹음했던 제2 애비 로드 스튜디오[25] 음악학 연구가 월터 에버렛은, 페퍼 상사가 비틀즈 내 매카트니의 창조적 힘을 우세하게 만들기 시작했다고 한다. 매카트니는 음반의 곡 반 이상을 작사했고, 그 곡의 녹음을 통제했다. 그는 이때부터 음반이 나아갈 예술적 방향을 제시한다.[26] 1966년 11월 24일,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9월 이후 처음으로 모인 비틀즈는 세션을 시작한다.[27] 거의 무제한에 가까운 녹음 예산 덕분에, 원하는 만큼 세션을 할 수 있었다.[28]EMI owned the Beatles' recordings and Abbey Road Studios, so they did not deduct fees for studio time from the band's royalty payments during the recording and production of Sgt. Pepper.[28]}} 음반 녹음에 앞서, 그들은 스스로의 어린 시절과 연결되어 있는 〈Strawberry Fields Forever〉, 〈When I'm Sixty-Four〉 그리고 〈Penny Lane〉의 녹음을 시작했다.[29] 첫 세션에서는 새로운 키보드 악기 멜로트론이 소개된다.[30] 이것은 다양한 악기의 소리를 테이프에 녹음한 후, 건반을 눌러 그 소리를 내게 하는게 가능했다.[31] 매카트니는 〈Strawberry Fields Forever〉의 도입부에 플루트 연주를 넣었다.[30] 트랙은 다른 템포와 높낮이가 녹음된 두 테이크를 이어붙이는 식으로 복잡하게 제작되었다.[32] 오디오 엔지니어 에머릭은 《Revolver》를 녹음할 때를 이렇게 기억했다. "우리는 불가능한 일을 하는 것에 익숙해져야 했고, 비틀즈의 사전에 '못해'라는 말은 존재하지 않았다."[33] 마틴은 페퍼 상사가 "리볼버에서 자연스럽게 생겼고", "거의 계속되는 기술적 실험의 기간에서" 만들어졌다고 말한다. 〈Strawberry Fields Forever〉와 〈Penny Lane〉은 본래 음반용으로 녹음되었으나 EMI와 엡스타인이 마틴을 압박하여 1967년 2월에 더블 A 싱글로 발매된다. 영국에서 1위에 오르지 못하자, 영국의 통신사는 "비틀즈가 정상에 오르지 못하다", "4년만에 처음 있는 일" 그리고 "거품이 붕괴되는가?" 등의 헤드라인을 걸어 그룹의 성공이 막을 내리는 것으로 점쳤다. 발매 이후 엠스타인은 싱글이 LP에 수록되지 않을 거라 고집했다. 마틴은 나중에 이 두 곡을 놓인 것에 대해 "내 프로로서의 삶에서 가장 큰 실수"라고 묘사했다. 그의 이러한 의견에도 불구하고, 그와 밴드는 〈Strawberry Fields Forever〉를 55시간 동안 스튜디오에서 녹음했고, 음반 전체에 대한 안건을 정했다. 그는 "라이브로 공연할 수 없을 곡을 녹음할 생각이였다. 그들은 제작사가 될 정도로 디자인했고 거기엔 차이가 있었다."고 설명한다. 매카트니의 목적은 아직까지 만들지 못한 최고의 비틀즈 음반을 만드는 것이였고, "이제 우리의 공연이 그 레코드야"라고 언명한다.[60] 1966년 11월 6일, 그룹은 음반에 수록될 〈When I'm Sixty-Four〉의 녹음을 시작한다. 페퍼 상사를 녹음할 때 쓰였던 스튜더 J37 포 트랙 머신.[34] 페퍼 상사는 포 트랙 녹음기를 이용하여 녹음했다. 에이트 트랙 테이프 녹음기가 미국에 있긴 했지만, 1967년 말까지 런던의 상업 스튜디오에서는 가동이 불가능했다. 이전의 비틀즈 음반처럼, 페퍼 상사는 하나에서 네 개까지의 트랙을 하나의 녹음기에서 믹스하고 더빙하는 포 트랙 녹음기로, 리덕션 믹싱이라고 알려진 기술을 범용했다. 이런 준 멀티 트랙 스튜디오는 애비 로드의 엔지니어 덕분에 가능한 일이었다. EMI의 스튜더 J37 포 트랙 머신은 제작 중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여 높은 품질의 레코딩을 할 수 있었기에, 리덕션 믹싱에 적합했다. 매카트니는 자신의 베이스 파트를 마지막에 오버더빙하는 것을 선호했고, 곡의 백 트랙을 녹음하고 있을 때, 다른 악기를 연주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그에게 곡의 최종 편곡을 보완하기 위해, 작사와 선율적 베이스라인을 녹음하는데 필요한 여분의 시간을 주었다. 〈A Day in the Life〉를 위해 오케스트라를 녹음할 때, 마틴은 비틀즈가 연주한 반주와 오케스트라 오버더빙 테이프를 동기했다. 엔지니어 켄 타운센드는 두 머신 사이의 50 Hz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이를 달성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페퍼 상사의 눈여겨 볼 점은 마틴과 에머릭이 다이나믹 레인지 컴프레서로 신호 처리를 사용해 자유자재로 곡의 소리 모양을 바꾸었다는 것이다. 비교적 새로운 모듈형 효과 유닛인, 레슬리 스피커와 같은 것으로, 음성과 악기를 통하게 하였다. 커버 삽화[편집] 페퍼 상사의 커버는 팝 아트 작가 피터 블레이크와 잔 하워스가 매카트니의 잉크 드로잉을 바탕으로 디자인했다. 아트 디렉터는 로버트 프레이저와 마이클 쿠퍼가 맡았다. LP의 앞면에는 비틀즈가 색색의 서전트 페퍼스 론리 하트 클럽 밴드 코스튬을 입고, 판지를 잘라 만든 실물 크기의 유명인들과 함께 서있다. 곡 목록[편집] 사이드 1 # 제목보컬 재생 시간 1.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폴 매카트니 2:02 2. With a Little Help from My Friends  링고 스타 2:44 3. Lucy in the Sky with Diamonds  존 레논 3:28 4. Getting Better  폴 매카트니 2:48 5. Fixing a Hole  매카트니 2:36 6. She's Leaving Home  폴 매카트니, 존 레논 3:35 7. Being for the Benefit of Mr. Kite!  존 레논 2:37 사이드 2 # 제목보컬 재생 시간 1. Within You Without You  조지 해리슨 5:04 2. When I'm Sixty-Four  폴 매카트니 2:37 3. Lovely Rita  폴 매카트니 2:42 4. Good Morning Good Morning  존 레논 2:41 5.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Reprise)  존 레논, 폴 매카트니, 조지 해리슨 1:19 6. A Day in the Life  존 레논, 폴 매카트니 5:39 차트[편집] 주간 차트[편집] 원 발매 차트 순위 Australian Kent Music Report[35] 1 Canadian RPM Top LPs[36] 1 Norwegian Albums Chart[37] 1 Swedish Kvällstoppen Chart[38] 1 UK Albums Chart[39][40] 1 US Billboard Top LPs[41] 1 West German Media Control Albums Chart[42] 1 1987년 재발매 차트 순위 Dutch Mega Albums Chart[43] 2 Japanese Albums Chart[44] 3 UK Albums Chart[45] 3 2009 재발매 차트 순위 Australian Albums Chart[46] 16 Belgian Albums Chart (Wallonia)[47] 22 Brazilian Albums Chart[48] 20 Danish Albums Chart[49] 20 Finnish Albums Chart[50] 9 Italian Albums Chart[51] 9 Japanese Albums Chart[52] 20 New Zealand Albums Chart[53] 12 Norwegian Albums Chart[54] 31 Portuguese Albums Chart[55] 4 Spanish Albums Chart[56] 22 Swedish Albums Chart[57] 8 UK Albums Chart[58] 5 연말 차트[편집] 차트 (1967) 순위 Australian Albums Chart[35] 1 UK Albums Chart[59] 1 US Billboard Year-End[60] 10 차트 (1968) 순위 Australian Albums Chart[35] 3 US Billboard Year-End[61] 6 각주[편집] ↑ "The National Recording Registry 2003". Library of Congress. 2003 ↑ Kastan 2006, 139쪽. ↑ Miles 1997, 303쪽. ↑ Lewisohn 1992, 210쪽. ↑ The Beatles 2000, 229쪽. ↑ MacDonald 2005, 212쪽. ↑ 가 나 Martin & Pearson 1994, 7쪽. ↑ Lewisohn 1992, 211쪽; Martin & Pearson 1994, 7쪽. ↑ MacDonald 2005, 212–213쪽. ↑ 가 나 MacDonald 2005, 213쪽. ↑ Lewisohn 1992, 210: the Beatles grew tired of touring, 230: the Beatles' final commercial performance쪽; MacDonald 2005, 213쪽 ↑ Julien 2008b, 1쪽. ↑ 가 나 Julien 2008b, 2쪽. ↑ Everett 1999, 71쪽. ↑ Blaney 2007, 8쪽. ↑ Womack 2007, 158, 160–161쪽. ↑ Harry 2000, 323, 333쪽; Julien 2008b, 2쪽. ↑ Womack 2007, 168쪽. ↑ Moore 1997, 20–21쪽. ↑ Miles 1997, 303–304쪽. ↑ Martin 1994, 202쪽. ↑ Crowe, Jerry (1997년 11월 1일). “'Pet Sounds Sessions': Body of Influence Put in a Box”. 《Los Angeles Times》. 2014년 4월 9일에 확인함.  ↑ Julien 2008c, 160쪽. ↑ Miles, Barry (2014). 《Frank Zappa》. Atlantic Books. 125쪽. ISBN 9781782396789.  ↑ Emerick & Massey 2006, 184, 190쪽. ↑ Everett 1999, 99쪽. ↑ Lewisohn 1992, 232쪽. ↑ 가 나 MacDonald 2005, 215쪽. ↑ Everett 1999, 99쪽; MacDonald 2005, 212–223쪽. ↑ 가 나 Emerick & Massey 2006, 135–136쪽. ↑ 멜로트론, 네이버 지식백과. ↑ MacDonald 2005, 217–220쪽. ↑ Emerick & Massey 2006, 139쪽. ↑ Martland, Peter (1997). 《Since Records Began: EMI, the First Hundred Years》. Amadeus Press. 250쪽. ISBN 978-1-57467-033-2.  ↑ 가 나 다 Kent, David (1993).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St Ives, NSW: Australian Chart Book. ISBN 0-646-11917-6.  ↑ “RPM Top Albums/CDs – Volume 7, No. 21, Jul 22, 1967”. Library and Archives Canada. 2015년 4월 8일에 확인함.  ↑ “VG Lista – Album Top 40”. Hung Medien. 2010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Swedish Charts 1966–1969/Kvällstoppen – Listresultaten vecka för vecka > Juni 1967 > 20 Juni” (PDF). 《hitsallertijden.nl》 (스웨덴어). 2014년 1월 31일에 확인함. Note: Kvällstoppen combined sales for albums and singles in the one chart;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peaked at the number-five on the list on 20 June 1967 ↑ “The Beatles - Full official Chart History”. 《Official Charts》. 2016년 5월 13일에 확인함.  ↑ Roberts 2005, 54쪽. ↑ “Billboard 200”. 《Billboard》. 2010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Album Search: The Beatles –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ASP) (독일어). Media Control. 2010년 5월 1일에 확인함.  ↑ “dutchcharts.nl The Beatles –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ASP). 《Hung Medien, dutchcharts.nl》 (네덜란드어). MegaCharts. 2010년 5월 1일에 확인함.  ↑ 《Oricon Album Chart Book: Complete Edition 1970–2005》. Roppongi, Tokyo: Oricon Entertainment. 2006. ISBN 4-87131-077-9.  ↑ “The Beatles > Artists > Official Charts”. 《UK Albums Chart》. 2013년 5월 1일에 확인함.  ↑ “Album Top 50”. Hung Medien. 2010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ultratop.be The Beatles –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ASP). 《Hung Medien》 (프랑스어). Ultratop. 2013년 5월 1일에 확인함.  ↑ “De 14 a 20 de Setembro 2009”. Associação Brasileira dos Produtores de Discos (in Portuguese). 2011년 9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danishcharts.com The Beatles –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ASP). 《danishcharts.com》. 2012년 10월 12일에 확인함.  ↑ “Album Top 50”. Hung Medien. 2010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Album Top 20”. Hung Medien. 2010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ザ・ビートルズ"リマスター"全16作トップ100入り「売上金額は23.1億円」 [All of the Beatles' "Remastered" Albums Enter the Top 100: Grossing 2,310 Million Yen In One Week]. 《oricon.co.jp》 (일본어). 《Oricon Style》. 2009년 9월 15일.  ↑ “Album Top 40”. Hung Medien. 2010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VG Lista – Album Top 40”. Hung Medien. 2010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Portuguese Charts: Albums – 38/2009”. Hung Medien. 2010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Album Top 100”. Hung Medien. 2010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swedishcharts.com The Beatles –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ASP) (스웨덴어). 2013년 5월 1일에 확인함.  ↑ “UK Albums Chart”. The Official Charts Company. 2010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The Official UK Charts Company : ALBUM CHART HISTORY”. 2007년 12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17일에 확인함.  ↑ 《빌보드 1967년 12월 30일 Top LP's-1967 42면》. 2013년 5월 3일에 확인함.  ↑ Stuart Rosenberg. 《Rock and Roll and the American Landscape: The Birth of an Industry and the Espansion of the Popular Cultyrem 1955-1969 230면 Billboard - Top Pop Albums of 1968》. 2013년 5월 3일에 확인함.  참고 자료[편집] Ashby, Arved Mark, 편집. (2004). 《The Pleasure of Modernist Music: Listening, Meaning, Intention, Ideology》. Boydell & Brewer. ISBN 978-1-58046-143-6.  Awde, Nick (2008).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Mellotron: The Machine and the Musicians that Revolutionised Rock》]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Desert Hearts. ISBN 978-1-898948-02-5.  Babiuk, Andy (2002). Bacon, Tony, 편집.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Beatles Gear: All the Fab Four's Instruments, from Stage to Studio》]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Revis판. Backbeat Books. ISBN 978-0-87930-731-8.  Bannister, Matthew (2007). 《White Boys, White Noise: Masculinities and 1980s Indie Guitar Rock》. Ashgate Publishing, Ltd. ISBN 978-0-7546-8803-7.  The Beatles (2000).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The Beatles Anthology》]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Weidenfeld & Nicolson. ISBN 978-0-304-35605-8.  Blaney, John (2007).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Lennon and McCartney: Together Alone》]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1판. Jawbone Press. ISBN 978-1-906002-02-2.  Christgau, Robert (2006) [December 1967]. 〈Robert Christgau: 'Secular Music', from Esquire magazine〉. Sawyers, June Skinner.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Read the Beatles: Classic and New Writings on the Beatles, Their Legacy, and Why They Still Matter》]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Penguin Books. ISBN 978-0-14-303732-3.  Covach, John (1997). 〈Progressive Rock and the Boundaries of Style〉. 《Understanding Rock: Essays in Musical Analysis》.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35662-5.  Cross, Craig (2005). 《The Beatles: Day-by-day, Song-by-song, Record-by-record》. ISBN 978-0-595-34663-9.  Crouse, Richard (2000).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Big Bang, Baby》]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Dundurn. ISBN 978-0-88882-219-2.  Davies, Hunter (2009) [1968].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The Beatles》]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Revis a updat판. W.W. Norton. ISBN 978-0-393-33874-4.  Elicker, Martina (2001). 〈Concept Albums: Song Cycles in Popular Music〉. Wolf, Werner; Bernhart, Walter.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Essays on the Song Cycle and on Defining the Field》]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Rodopi B.V. 227쪽. ISBN 978-90-420-1565-4.  Edmondson, Jacqueline, 편집. (2013). 《Music in American Life: An Encyclopedia of the Songs, Styles, Stars, and Stories that Shaped our Culture》. ABC-CLIO. ISBN 978-0-313-39348-8.  Emerick, Geoff; Massey, Howard (2006).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Here, There and Everywhere: My Life Recording the Music of the Beatles》]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Gotham. ISBN 978-1-59240-269-4.  Everett, Walter (1999).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The Beatles as Musicians: Revolver Through the Anthology》]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12941-0.  Glausser, Wayne (2011). 《Cultural Encyclopedia of LSD》. MacFarland. ISBN 978-0-7864-4785-5.  Goldstein, Richard (2006) [May 1967]. 〈We Still Need the Beatles, but ...〉. Sawyers, June Skinner.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Read the Beatles: Classic and New Writings on the Beatles, Their Legacy, and Why They Still Matter》]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Penguin Books. ISBN 978-0-14-303732-3.  Gould, Jonathan (2007).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Can't Buy Me Love: The Beatles, Britain and America》]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Fir Paperback판. Three Rivers Press. ISBN 978-0-307-35338-2.  Graff, Gary; Durchholz, Daniel (1999).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MusicHound Rock: The Essential Album Guide》]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Visible Ink Press. ISBN 978-1-57859-061-2.  Hannan, Michael (2008). 〈The sound design of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Julien, Olivier.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Sgt. Pepper and the Beatles: It Was Forty Years Ago Today》]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Ashgate. ISBN 978-0-7546-6708-7.  Harry, Bill (2000). 《The John Lennon Encyclopedia》. Virgin. ISBN 978-0-7535-0404-8.  Harry, Bill (2002). 《The Paul McCartney Encyclopedia》. Virgin. ISBN 978-0-7535-0716-2.  Holm-Hudson, Kevin (2008).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Genesis and The Lamb Lies Down on Broadway》]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Ashgate. ISBN 978-0-7546-6139-9.  Ingham, Chris (2006). 《The Rough Guide to the Beatles》 2판. London: Rough Guides/Penguin. ISBN 978-1-84836-525-4.  Inglis, Ian (2008). 〈Cover story: magic, myth, and music〉. Julien, Olivier.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Sgt. Pepper and the Beatles: It Was Forty Years Ago Today》]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Ashgate. ISBN 978-0-7546-6708-7.  Jones, Carys Wyn (2008).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The Rock Canon》]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Ashgate. ISBN 978-0-7546-6244-0.  Julien, Oliver (2008a). 〈Preface〉. Julien, Olivier.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Sgt. Pepper and the Beatles: It Was Forty Years Ago Today》]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Ashgate. ISBN 978-0-7546-6708-7.  Julien, Oliver (2008b). 〈'Their production will be second to none': an introduction to Sgt. Pepper〉. Julien, Olivier.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Sgt. Pepper and the Beatles: It Was Forty Years Ago Today》]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Ashgate. ISBN 978-0-7546-6708-7.  Julien, Oliver (2008c). 〈'A lucky man who made the grade': Sgt. Pepper and the rise of a phonographic tradition in twentieth-century popular music〉. Julien, Olivier.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Sgt. Pepper and the Beatles: It Was Forty Years Ago Today》]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Ashgate. ISBN 978-0-7546-6708-7.  Kastan, David Scott (2006).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Oxford Encyclopedia of British Literature》]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1.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16921-8.  Kimsey, John (2008). 〈The Whatchamucallit in the garden: Sgt. Pepper and fables of interference〉. Julien, Olivier.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Sgt. Pepper and the Beatles: It Was Forty Years Ago Today》]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Ashgate. ISBN 978-0-7546-6708-7.  Kimsey, John (2009). 〈The Beatles and Popular Music Studies〉. Womack; Kenneth.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Beatles》]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Cambridge Companions to Mus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68976-2.  Larkin, Colin (1994). 《Guinness Book of Top 1000 Albums》 1판. Gullane Children's Books. ISBN 978-0-85112-786-6.  Larkin, Colin (1998). 《Virgin All-time Top 1000 Albums》 2판. Virgin. ISBN 978-0-7535-0258-7.  Levy, Joe, 편집. (2005). 《Rolling Stone's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Fir Paperback판. Wenner Books. ISBN 978-1-932958-61-4.  Lewisohn, Mark (1988). 《The Beatles Recording Sessions》. Harmony Books. ISBN 978-0-517-57066-1.  Lewisohn, Mark (1992). 《The Complete Beatles Chronicle:The Definitive Day-By-Day Guide To The Beatles' Entire Career》 2010판. Chicago Review Press. ISBN 978-1-56976-534-0.  틀:Cite liner notes MacDonald, Ian (2005).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Revolution in the Head: The Beatles' Records and the Sixties》]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3판. Chicago Review Press. ISBN 978-1-55652-733-3.  MacFarlane, Thomas (2008). 〈Sgt. Pepper's quest for extended form〉. Julien, Olivier.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Sgt. Pepper and the Beatles: It Was Forty Years Ago Today》]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Ashgate. ISBN 978-0-7546-6708-7.  Marcus, Greil, 편집. (2007).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Stranded: Rock and Roll for a Desert Island》]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2판. Da Capo. ISBN 978-0-306-81532-4.  Martin, George (1994). 《All You Need is Ears》. St. Martin's Press. ISBN 978-0-312-11482-4.  Martin, George; Pearson, William (1994). 《Summer of Love: The making of Sgt. Pepper》. Macmillan. ISBN 978-0-333-60398-7.  Miles, Barry (1997).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Paul McCartney: Many Years From Now》]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1 Hacover판. Henry Holt & Company. ISBN 978-0-8050-5248-0.  Miles, Barry (2009년 10월 27일).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The Beatles Diary Volume 1: The Beatles Years》]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Omnibus Press. ISBN 978-0-85712-000-7.  Moore, Allan F. (1997).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The Beatles: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57484-6.  Moore, Alan F. (2002). 《Rock: The Primary Text: Developing a Musicology of Rock》 2판. Ashgate. ISBN 978-0-7546-0298-9.  Moore, Alan F. (2008). 〈The act you've known for all these years: a re-encounter with Sgt. Pepper〉. Julien, Olivier.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Sgt. Pepper and the Beatles: It Was Forty Years Ago Today》]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Ashgate. ISBN 978-0-7546-6708-7.  O'Grady, Terence (2008). 〈Sgt. Pepper and the diverging aesthetics of Lennon and McCartney〉. Julien, Olivier.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Sgt. Pepper and the Beatles: It Was Forty Years Ago Today》]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Ashgate. ISBN 978-0-7546-6708-7.  Riley, Tim (1988).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Tell Me Why: The Beatles: Album By Album, Song By Song, The Sixties And After》]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Alfred A. Knopf. ISBN 978-0-394-55061-9.  Roberts, David (editor) (2005). 《British Hit Singles & Albums》 18판. Guinness World Records Limited. ISBN 978-1-904994-00-8.  Rodriguez, Robert (2012).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Revolver: How the Beatles Reimagined Rock 'n' Roll》]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Milwaukee, WI: Backbeat Books. ISBN 978-1-61713-009-0.  Romano, Will (2010). 《Mountains Come Out of the Sky: The Illustrated History of Prog Rock》. Backbeat Books. ISBN 978-1-61713-375-6.  Rosen, Craig (1996). 《The Billboard Book of Number One Albums》. Billboard Books. ISBN 978-0-8230-7586-7.  Scapelliti, Christopher (June 2007). “The Making of Sgt. Pepper: Rock's Big Bang”. 《Guitar World》 28 (6).  Schaffner, Nicholas (1978). 《The Beatles Forever》. McGraw-Hill. ISBN 0-07-055087-5.  Sheff, David (1981). Golson, G. Barry, 편집.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All We Are Saying: The Last Major Interview with John Lennon and Yoko Ono》]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2000판. St Martin's Griffin. ISBN 978-0-312-25464-3.  Sounes, Howard (2010).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Fab: An Intimate Life of Paul McCartney》]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Da Capo Press. ISBN 978-0-306-81783-0.  Southall, Brian; Perry, Rupert (contributor) (2006).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Northern Songs: The True Story of the Beatles Song Publishing Empire》]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Omnibus. ISBN 978-1-84609-237-4.  Spitz, Bob (2005). 《The Beatles: The Biography》. Little, Brown and Company. ISBN 978-0-7394-6966-8.  Tillery, Gary (2011).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Working Class Mystic: A Spiritual Biography of George Harrison》]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Quest. ISBN 978-0-8356-0900-5.  Wagner, Naphtali (2008). 〈The Beatles' psycheclassical synthesis: psychedelic classicism and classical psychedelia in Sgt. Pepper〉. Julien, Olivier.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Sgt. Pepper and the Beatles: It Was Forty Years Ago Today》]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Ashgate. ISBN 978-0-7546-6708-7.  Whiteley, Sheila (2008). 〈'Tangerine trees and marmalade skies': cultural agendas or optimistic escapism?〉. Julien, Olivier.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구글 도서 《Sgt. Pepper and the Beatles: It Was Forty Years Ago Today》]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Ashgate. ISBN 978-0-7546-6708-7.  Womack, Kenneth (2007). 《Long and Winding Roads: The Evolving Artistry of the Beatles》. Continuum. ISBN 978-0-8264-1746-6.  히피 '사랑의 여름'의 음악적 완성.. 팝음반사상 최고의 명반, 임진모 스튜디오 실험의 궁극 『페퍼상사』 외부 링크[편집] vdeh《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수록곡1면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With a Little Help from My Friends〉 〈Lucy in the Sky with Diamonds〉 〈Getting Better〉 〈Fixing a Hole〉 〈She's Leaving Home〉 〈Being for the Benefit of Mr. Kite!〉 2면 〈Within You Without You〉 〈When I'm Sixty-Four〉 〈Lovely Rita〉 〈Good Morning Good Morning〉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Reprise)〉 〈A Day in the Life〉 아웃테이크 〈Strawberry Fields Forever〉 〈Penny Lane〉 〈Only a Northern Song〉 〈Carnival of Light〉 관련 문서 List of images on the cover of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표지의 사진 목록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영화)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사운드트랙)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on the Road》 옐로 섬머린 비틀즈의 음반 목록 《Their Satanic Majesties Request》 〈Tina in the Sky with Diamonds〉 《Please Please Me》 《With the Beatles》 《A Hard Day's Night》 《Beatles for Sale》 《Help!》 《Rubber Soul》 《Revolver》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Magical Mystery Tour》 《The Beatles (White Album)》 《Yellow Submarine》 《Abbey Road》 《Let It Be》 vdeh비틀즈의 음반 목록주요 음반은 볼드체로 표시.정규 음반 《Please Please Me》 《With the Beatles》 《A Hard Day's Night》 《Beatles for Sale》 《Help!》 《Rubber Soul》 《Revolver》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The Beatles (White Album)》 《Yellow Submarine》 《Abbey Road》 《Let It Be》 미국 음반 《Introducing... The Beatles》 《Meet the Beatles!》 《The Beatles' Second Album》 《A Hard Day's Night》 《Something New》 《The Beatles' Story》 《Beatles '65》 《The Early Beatles》 《Beatles VI》 《Help!》 《Rubber Soul》 《Yesterday and Today》 《Revolver》 《Magical Mystery Tour》 《Yellow Submarine》 《Hey Jude》 캐나다 음반 《Beatlemania! With the Beatles》 《Twist and Shout》 《The Beatles' Long Tall Sally》 EP 《Twist and Shout》 《The Beatles' Hits》 《The Beatles (No. 1)》 《All My Loving》 《Souvenir of Their Visit to America》 《Four by the Beatles》 《Long Tall Sally》 《Extracts from the Film A Hard Day's Night》 《Extracts from the Album A Hard Day's Night》 《4-by the Beatles》 《Beatles for Sale》 《Beatles for Sale (No. 2)》 《The Beatles' Million Sellers》 《Yesterday》 《Nowhere Man》 《Magical Mystery Tour》 라이브 음반 《Live! at the Star-Club in Hamburg, Germany; 1962》 《The Beatles at the Hollywood Bowl》 《First Live Recordings》 《Live at the BBC》 《On Air – Live at the BBC Volume 2》 컴필레이션 《From Then To You / The Beatles' Christmas Album》 《The Songs Lennon and McCartney Gave Away》 《1962–1966》 《1967–1970》 《Sessions》 《Past Masters》 《앤솔로지》 (1, 2, 3) 《I Saw Her Standing There》 《The Beatles Bootleg Recordings 1963》 리믹스 《Yellow Submarine Songtrack》 《Let It Be... Naked》 《Love》 박스 세트 《The Beatles Collection》 《The Beatles: The Collection》 《The Beatles Box》 《The Beatles Box Set》 《The Capitol Albums》 vol. 1 2 《The Beatles in Mono》 《The Beatles (The Original Studio Recordings)》 《The U.S. Albums》 《The Japan Box》 vdeh그래미상 올해의 앨범1959–1975 《The Music from Peter Gunn》 – 헨리 맨시니 (1959) 《Come Dance with Me!》 – 프랭크 시나트라 (1960) 《The Button-Down Mind of Bob Newhart》 – 밥 뉴하트 (1961) 《Judy at Carnegie Hall》 – 주디 갈런드 (1962) 《The First Family》 – 본 미더 (1963) 《The Barbra Streisand Album》 –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1964) 《Getz/Gilberto》 – 스탠 게츠, 주앙 지우베르투 (1965) 《September of My Years》 – 프랭크 시나트라 (1966) 《A Man and His Music》 – 프랭크 시나트라 (1967)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비틀즈 (1968) 《By the Time I Get to Phoenix》 – 글렌 캠벨 (1969) 《Blood, Sweat & Tears》 – 블러드, 스웻 & 티어스 (1970) 《Bridge over Troubled Water》 – 사이먼 & 가펑클 (1971) 《Tapestry》 – 캐럴 킹 (1972) 《The Concert for Bangladesh》 – 다양한 음악가들(1973) 《Innervisions》 – 스티비 원더 (1974) 《Fulfillingness' First Finale》 – 스티비 원더 (1975) 1976–2000 《Still Crazy After All These Years》 – 폴 사이먼 (1976) 《Songs in the Key of Life》 – 스티비 원더 (1977) 《Rumours》 – 플리트우드 맥 (1978) 《Saturday Night Fever》 – 다양한 음악가들 (1979) 《52nd Street》 – 빌리 조엘 (1980) 《Christopher Cross》 – 크리스토퍼 크로스 (1981) 《Double Fantasy》 – 존 레논 & 오노 요코 (1982) 《Toto IV》 – 토토 (1983) 《Thriller》 – 마이클 잭슨 (1984) 《Can't Slow Down》 – 라이어널 리치 (1985) 《No Jacket Required》 – 필 콜린스 (1986) 《Graceland》 – 폴 사이먼 (1987) 《The Joshua Tree》 – U2 (1988) 《Faith》 – 조지 마이클 (1989) 《Nick of Time》 – 보니 레잇 (1990) 《Back on the Block》 – 퀸시 존스 외 다양한 음악가 (1991) 《Unforgettable... with Love》 – 내털리 콜 (1992) 《Unplugged》 – 에릭 클랩튼 (1993) 《영화 《보디가드》 사운드트랙》 – 휘트니 휴스턴 (1994) 《MTV Unplugged》 – 토니 베넷 (1995) 《Jagged Little Pill》 – 앨러니스 모리세트 (1996) 《Falling into You》 – 셀린 디옹 (1997) 《Time Out of Mind》 – 밥 딜런 (1998) 《The Miseducation of Lauryn Hill》 – 로린 힐 (1999) 《Supernatural》 – 산타나 (2000) 2001–현재 《Two Against Nature》 – 스틸리 댄 (2001) 《O Brother, Where Art Thou? 사운드트랙》 (2002) 《Come Away with Me》 – 노라 존스 (2003) 《Speakerboxxx/The Love Below》 – 아웃캐스트 (2004) 《Genius Loves Company》 – 레이 찰스 외 다양한 음악가 (2005) 《How to Dismantle an Atomic Bomb》 – U2 (2006) 《Taking the Long Way》 – 딕시 칙스 (2007) 《River: The Joni Letters》 – 허비 행콕 (2008) 《Raising Sand》 – 로버트 플랜트 & 앨리슨 크라우스 (2009) 《Fearless》 – 테일러 스위프트 (2010) 《The Suburbs》 – 아케이드 파이어 (2011) 《21》 – 아델 (2012) 《Babel》 – 멈퍼드 & 선스 (2013) 《Random Access Memories》 – 다프트 펑크 (2014) 《Morning Phase》 – 벡 (2015) 《1989》 – 테일러 스위프트 (2016) 《25》 – 아델 (2017) 《24K Magic》 - 브루노 마스 (2018) 《Golden Hour》 - 케이시 머스그레이브스 (2019) vdeh올해의 브릿 어워드 영국 앨범상1977-1999 비틀즈 -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1977) 애덤 앤 디 앤츠 - Kings of the Wild Frontier (1982)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 Memories (1983) 마이클 잭슨 - Thriller (1984) 샤데이 - Diamond Life (1985) 필 콜린스 - No Jacket Required (1986) 다이어 스트레이츠 - Brothers in Arms (1987) 스팅 - ...Nothing Like the Sun (1988) 페어그라운드 어트랙션 - The First of a Million Kisses (1989) 파인 영 캐니벌스 - The Raw & the Cooked (1990) 조지 마이클 - Listen Without Prejudice Vol. 1 (1991) 씰 - Seal (1992) 애니 레녹스 - Diva (1993) 스테레오 MC's - Connected (1994) 블러 - Parklife (1995) 오아시스 - (What's the Story) Morning Glory? (1996) 매닉 스트리트 프리처스 - Everything Must Go (1997) 버브 - Urban Hymns (1998) 매닉 스트리트 프리처스 - This Is My Truth Tell Me Yours (1999) 2000-2020 트래비스 - The Man Who (2000) 콜드플레이 - Parachutes (2001) 다이도 - No Angel (2002) 콜드플레이 - A Rush of Blood to the Head (2003) 더 다크니스 - Permission to Land (2004) 킨 - Hopes and Fears (2005) 콜드플레이 - X&Y (2006) 악틱 몽키즈 -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 (2007) 악틱 몽키즈 - Favourite Worst Nightmare (2008) 더피 - Rockferry (2009) 플로렌스 앤 더 머신 - Lungs (2010) 멈퍼드 & 선스 - Sigh No More (2011) 아델 - 21 (2012) 에밀리 산데 - Our Version of Events (2013) 악틱 몽키즈 - AM (2014) 에드 시런 - x (2015) 아델 - 25 (2016) 데이비드 보위 - Blackstar (2017) 스톰지 - Gang Signs & Prayer (2018) The 1975 - A Brief Inquiry into Online Relationships (201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Sgt._Pepper%27s_Lonely_Hearts_Club_Band&oldid=24138430" 분류: 1967년 음반비틀즈의 음반캐피틀 레코드 음반팔로폰 음반콘셉트 음반조지 마틴이 프로듀싱한 음반그래미상 올해의 앨범상 수상작숨은 분류: CS1 - 스웨덴어 인용 (sv)CS1 - 독일어 인용 (de)CS1 - 네덜란드어 인용 (nl)CS1 - 프랑스어 인용 (fr)CS1 - 일본어 인용 (ja)인용 오류 - URL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GaeilgeGàidhlig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Latvieš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ardu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inaray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일 (목) 18: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는 영국의 록 밴드 비틀즈의 여덟 번째 정규 음반이다. 1967년 5월 26일 영국에서, 1967년 6월 2일 미국에서 출시되었다. 그와 동시에 상업적 및 비평적으로 즉각적으로 성공해 영국 음반 차트에서 27주간 정상을, 미국에서는 15주간 정상을 차지했다. 발표 뒤로 거의 모든 평론가는 음반의 혁신적인 음악 프로덕션과 송라이팅, 대중음악과 고급예술 간 격차를 메운 시각 디자인과 동시대 반문화와 베이비 붐 세대를 음악적으로 표현한 점을 극찬했다. 음반은 1968년 개최된 그래미 어워드에서 록 음반으로서는 처음 수여되는 올해의 음반을 포함한 네 부문을 수상했다. 1966년 8월, 비틀즈는 투어와 영원히 결별하고 세 달의 기간 동안 녹음에서 멀어져 휴가를 보낸다. 11월, 런던으로 비행기를 타고 돌아오던 중 폴 매카트니는 에드워드 시대와 관계있는 군사 밴드라는 곡의 아이디어를 구상했고, 이는 최종적으로 《Sgt. Pepper》 콘셉트의 촉매제 구실을 했다. 비틀즈의 여덟 번째 정규 음반의 세션이 열린 날짜와 장소는 11월 24일의 제2 애비 로드 스튜디오였으며, 이들 자신의 유년기에서 영감을 얻은 〈Strawberry Fields Forever〉와 〈Penny Lane〉라는 두 개의 작곡을 녹음했지만, EMI의 압박으로 인해 이 두 개의 곡은 더블 A 싱글로서 출시되었고 또한 음반에서는 미수록됐다. 1967년 2월, 노래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의 녹음 뒤 매카트니는 비틀즈에게 음반 전체를 가상의 밴드인 페퍼 상사의 밴드의 공연으로 묘사해 보는 것이 어떻겠냐고 제안했다. 이 다른 자아는 그룹에게 자유와 음악적 실험을 부여했다. 녹음 세션에서 밴드는 1966년도 음반 《Revolver》에서 보여준 기술적 실험에서 한 발 더 나아갔다. 이들은 자신들이 트랙을 라이브로 재현하지 않을 것임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작곡과 녹음에서는 실험적인 접근을 도입했다. 그런 실험이 적용된 예시로는 〈With a Little Help from My Friends〉, 〈Lucy in the Sky with Diamonds〉, 〈A Day in the Life〉 등이 있다. 프로듀서 조지 마틴과 엔지니어 제프 에머릭은 음의 형태를 변화하는 신호 처리를 자유롭게 통용하고 우연적인 크레센도를 연주하는 40인조 관현악단을 사용해 음반녹음에서 신기원을 이뤄냈다. 녹음은 1967년 4월 21일 마무리되었다. 비틀즈를 한 무리의 유명인 및 역사적 인물들의 정중앙에 배치한 광경을 묘사한 표지는 영국 팝 아티스트 피터 블레이크와 잰 하워스가 디자인했다. 음악학 연구가는 《Sgt. Pepper》가 비틀즈의 이전 음반에서 보이는 예술적 성숙을 지속한 것이며, 대중 음악의 확장된 형태를 사용함으로써 이를 진보시켰고, 또한 콘셉트 음반의 초기 시도로도 간주했다. 음반은 극초기 아트 록 LP 중 하나이며 프로그레시브 록의 개발에 이바지했고, 음반 시대의 포문을 연 공헌이 있다고 평가된다. 또한 음반은 보드빌, 서커스, 뮤직 홀, 아방가르드, 웨스턴, 인도 고전 음악 등의 스타일의 영향을 통합한 영국 사이키델릭의 중요 작품 중 하나이다. 2003년, 미국 의회 도서관은 "문화적, 역사적 또는 미술적 중대성"이 있는 작품으로서 국립 녹음 등재목록에 포함시켰다. 같은 해 《롤링 스톤》 지는 역대 가장 위대한 500개 음반에서 1위에 올려놓았다. 2011년이 되어서는 3,20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려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음반 중 하나로 남게 되었다. 케빈 J. 데트마 교수는 《영국 문화에 대한 옥스퍼드 사전》에서 음반을 "역사상 가장 위대하고 중대한 로큰롤 음반"이라고 썼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66년 미국 공연에서 귀국한 이후 비틀즈 멤버들은 각자 어떤 일을 하며 시간을 보냈는가? Assistant: 비틀즈가 영국으로 돌아오자, 그들이 해체를 결정했다는 소문이 돌기 시작했다.[12] 해리슨은 엡스타인에게 밴드를 떠난다는 말을 전하지만, 더 이상 투어는 없을 것이라고 설득하여 남게 되었다.[10] 그룹은 7주 동안 각자의 일에 집중하며 지냈다. 해리슨은 6주 동안 인도에 가서 라비 샹카르의 교육 하에 시타르를 배우기 시작했다.[13] 그와 더불어 힌두 철학에 대한 그의 관심도 증가했다.[14] 폴 매카트니는 조지 마틴과 《패밀리 웨이》의 사운드 트랙을 작업했다.[15] 레논은 영화 《하우 아이 원 더 워》에 출연했고, 런던의 인디카 갤러리에서 미래의 아내 오노 요코를 만나게 된다.[16] 링고 스타는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냈다.[17]
Human: 아래 화_(성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화 (성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화 (성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화(花, 化)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다. 목차 1 꽃 화 花 2 될 화 化 3 인물 4 각주 꽃 화 花[편집] 화(花)씨는 중국 백가성 제55위이다. 될 화 化[편집] 화(化)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915명으로 조사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화(化)씨는 전라도 나주목(羅州牧) 여황(艅艎)의 성으로 기록되어 있다.[1] 《조선씨족통보》에 복룡·여황 2본이 기록되어 있으나, 모두 전라도 나주목에 속해 있던 지명이다. 현재 조사되는 본관은 진양(晋陽), 나주(羅州), 복룡(伏龍), 여황(餘艎) 등 4본이 있다. 진양 화씨(晋陽化氏)의 시조 화명신(化明臣)은 중국 명(明)나라 낭야(瑯琊) 사람으로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조선에 귀화했다. 화명신의 본래의 성은 화(花)씨이며 본래의 이름은 화광신(花光新) 였다고 한다. 그는 명나라 중엽 이부상서(吏部尙書)를 지냈다. 만주의 여진족이 강성해지면서 북경을 점령한 청군(淸軍)이 낭야(瑯琊)에까지 밀려들자 화명신(化明臣)은 "어진 사람은 기회를 알고 행(行)한다"며 '예의의 나라' 조선으로 일가를 이끌고 망명하여 광주(廣州) 교외의 소영대(沼靈臺)에 터를 잡고 정착, 이름도 성도 숨기고 살았다고 한다. 조선 성종이 "중국의 화(花)씨가 조선에 귀화한 것은 향화(向化)의 의리"라며 화(化)씨를 성으로 내리고 경성군(慶城君)에 봉하였다고 한다. 그는 도승지(都承旨)에 기용됐다. 그러나 득성(得姓) 시조 화명신 이후 사성보첩(賜姓譜牒)을 잃었다. 헌종 때 후손들이 안동부(安東府)에 보존돼 있는 족보를 가까스로 찾아냈으나 원본이 크게 훼손돼 정확한 선계(先系)를 밝히지는 못하고 화명신(化明臣)의 6대손 화섭(化燮)을 1세조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화섭은 영월(寧越)에서 진주(晉州)로 이주하여 진양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1930년도 국세조사 당시 모두 39가구가 있었는데, 그 중 진주에 23가구, 의령에 3가구 등 모두 경상남도에만 살고 있었다. 1960년도 조사에서는 인구 246명이었고, 1985년 조사에서는 495가구, 1,990명으로 성씨 인구 144위였다. 2000년에는 진양 화씨 252가구, 824명, 나주 화씨 29가구, 101명, 복룡 화씨 4가구, 11명, 여황 화씨 7명 등 286가구, 945명이다. 인물[편집] 화강윤 : SBS 기자 각주[편집] ↑ 세종실록 151권, 지리지 전라도 나주목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화_(성씨)&oldid=20819112" 분류: 한국의 성씨중국의 성씨화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2월 25일 (일) 11: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위키데이터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5년 인구조사를 기준으로 화 씨 성을 가진 사람은 총 몇 명인가? Assistant: 915명 Human: 아래 스페인의_정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스페인의 정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페인의 정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스페인의 정치는 양원 의회로 구성되며 입헌군주제를 취한다. 스페인의 군주는 국가의 수반이며 총리가 내각의 수장으로서 양당제 하에 구성된다. 중앙 입법 기구는 양원으로 구성되며 내각이 견고해야 해당 정부도 지속될 수 있다. 목차 1 왕권 2 내각 권한 3 입법기구 4 사법부 5 행정구역 5.1 지역 6 국적 논쟁 7 에타와 그라포 8 이슬람 근본주의의 형태 9 각주 왕권[편집] 헌법 1항 3조에서는 스페인의 정치적 개혁은 양원 군주제의 개혁에 해당한 것으로 적었다.[1] 56항은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1. 국왕은 국가의 수장이자 최고통수권자이며 번영과 통합의 상징이다. 그는 조정자이자 여러 기구의 원만한 작업을 돕는 사람으로서 스페인의 가장 높은 지위를 국제 관계에서 대표하며 같은 역사적 맥락에 포함된 곳에도 해당한다. 헌법과 법률에 의거하여 그에게 여러 자격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2. 그의 직함은 스페인의 군주(왕)이며 그는 왕위에 부속단 다른 직함을 취할 수 있다. 3. 왕의 권한은 불가침 영역이며 책임이 부여되는 것이 아니다. 그의 행동은 64조에 명기된대로 반드시 부서를 거쳐야 한다. 부서 단계를 거치지 않은 조치는 유효하지 않으며 65조 2항만이 예외를 명기한다. 57항의 내용이다: 1. 스페인 국왕은 부르봉 왕가의 후안 카를로스 1세의 후손으로 역사적 정당성이 있는 왕가의 적통 후손을 따른다. 왕위로의 계승은 장자상속제와 그 순위에 따라 규정되며 다음과 같이 정해진다 ; 같은 서열의 경우 남성이 여성보다 우위에 있으며 동성일 경우 연장자가 연소자보다 우위에 있다 62항은 국왕의 재임에 대해 명기한다: a) 법령에 대한 규제 및 반포; b) 의회 소집 및 해산 및 선거 실시; c) 헌법 개정 발의; d) 내각 대표 후보 발의; 내각 임명 및 해임권; e) 정부 관료의 임명 및 해임; f) 내각회의에 따른 칙령 발의 및 치안과 군사 행동 발의권, 국장과 칭호 수여 g) 국가 내정에 대한 보고, 이런 목적으로 언제든지 내각회의에 주재할 권리; h) 국군의 최고 통수권자로서의 권리; i) 사면권 행사; j) 왕실 산하의 사관학교에 대한 지원 63조가 적고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국왕은 외국에 대사와 외교 사절단을 파견하도록 한다. 스페인의 외교사절단은 그로부터 임명된 자들이다. 2. 조약을 통한 국제적 협약 이행에 대한 문제는 국가의 승인이 왕이 서명한다. 3. 전쟁 선포와 강화조약에 있어 의회가 허가한 후에는 왕이 의무적으로 서명한다. 내각 권한[편집] 호세 루이스 로드리게스 사파테로 총리 내각의 권한은 내각 회의(Consejo de Ministros)에 기초한다. 국왕이 임명한 내각의 수장이 선도하며 일단 하원에서 선거를 거쳐 뽑은 뒤에 국왕이 임명하는 방식이다. 후보자가 지명되면 1차 투표에서 하원의 대다수의 표를 반드시 얻어야 한다. 실패할 경우 2차 투표에서는 과반의 표만 얻으면 된다. 총리는 다른 내각의 구성원을 임명하여 그 후에 왕이 이를 승인한다. 정부의 수장으로서 총리는 여러 부통령을 임명할 수 있으며 이는 의무 사항은 아니다. 또한 정부 기구의 고문 역할을 하는 국가위원회가 별도로 존재한다. 입법기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스페인의 의회입니다. 국가 수준에서 스페인은 직접적으로 의회의 대표를 선출하며 양원제로 구성되어 상원과 하원으로 나뉜다. 상하원은 거의 동일한 기간 동안 재직하며 최대 4년이다. 양원은 극명하게 다른 두 요인이 있다. 첫 번째는 선출 관행이다. 두 곳 모두 지역 단위로 선출한다. 인구에 따라 의석이 배분된다. 그러나 각 주의 의석에 따라 배분하는 것이 아니고 2석씩 일괄 배정이여서 인구가 적은 과소 지자체를 좀 더 대변하는 현상을 야기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이 지적되어 개헌에 대한 요구가 있다. 상하원의 큰 차이는 대부분의 법이 하원의 승인 하에 공표된다는 데 있기도 하다. 상원이 이를 거부할 수 있으나 모든 상원의 거부권을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권한이 강하다. 사법부[편집] 스페인 사법부는 재판관과 치안 판사가 권한을 행사하며 각 사법 절차에 따라 다른 법원의 구조를 갖고 있다. 최고 법원은 스페인 대법원이다. 사법부의 역할은 스페인 사법위원회가 결정하며 의장은 대법원장이 겸임한다. 위원회는 12명의 재판관과 8명의 배심원으로 이뤄지며 이들은 3/5 대다수가 선출한 의회 의원들에서 선출된 것이다. 행정구역[편집] 스페인은 17개의 지방; 안달루시아, 아라곤, 아스투리앗, 발레아레스 제도, 카나리아 제도, 카스티야라만차, 카스티야 이 레온, 카탈루냐, 발렌시아, 에스트레마두라, 갈리시아, 라리오하, 마드리드, 무르시아, 나바라, 바스크 지방;으로 나뉜다. 주의 모로코 근처에 스페인 령 5곳이 분포한다: 세우타와 멜리야는 자치 도시이며 다른 도시들보다 자치권이 더 강하지만 자치 지방보다는 그 권한이 약하다. 차파리나스 섬과 페뇽데벨레스데라고메라 섬, 페뇽 데 알우세마스 섬은 스페인 연방정부가 직접 관리한다. 지역[편집] 1978년 헌법은 지방의 분권화 탄생을 공식적으로 승인했다. 1985년경 17곳의 지방(카나리아 제도와 발레아레스 제도 포함)에 대한 의결이 지방자치제도 헌장에 의해 의결되었다. 1979년 최초의 지방자치단체 선거가 바스크와 카탈루냐에서 일어났으며 가장 극렬한 민족주의 및 지방주의 운동이 일어났던 곳에 해당한다. 이후로 여러 자치 정부는 각기의 정부를 꾸리고 있다. 중앙 정부는 지방 정부에 권력 이양을 지속적으로 행하려 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보건과 교육, 사회 프로그램 등에 대해서도 완전한 의결권 및 책임을 이양하려 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은 스페인 헌법 149항에 의해서 독점적인 연방정부의 권한으로 제한이 되기도 한다. 모든 자치 지방의 정부는 단원제 의회가 선출한 정부에 의해 구성된다. 스페인은 형식적으로 보았을 때 지방자치제를 운영하고 있고 또한 단일 국가이지만 사실상으로는 연방제 국가이다. 각 지방마다 갖고 있는 고유의 권한은 조금씩 다르며 연방정부와 함께 운용하는 건강보험과 교육제도가 있어 공용어를 설정하고 특별한 전통 문화를 보호하려는 움직임을 행하는 곳도 있다. 이러한 체계에는 특별히 정해진 것이 없으며 연방에서 각 말단 단위의 행정 자치 단체로 분권화가 이양된 것이라 각 지방이 균등하게 제정하거나 계획하는 것의 형태는 아니다. 법률도 이에 해당한다. 일부 지방 정부는 특별히 지역주의 이데올로기의 정당이 강할 경우 더욱 국가 대 국가의 형태로 지방 정부를 운용하려는 움직임을 연방 정부에 보내고 있다. 지방 분권화와 권력 이양화가 균등하게 이뤄지지 않는 것은 공동입헌주의(coconstitutionalism)라는 용어로 쓰이고 있으며 1997년 영국에서 도입된 권력 분권제와 흡사하다. 동시에 스페인은 유럽 연합으로 더 나아간 통합을 주도적으로 실현하려 하고 있어 연방정부 기관에서 유럽 연합의 공식 기관이나 단체에 연방 정부의 권한을 넘기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기도 하다. 국적 논쟁[편집] 정치적인 상황과 논쟁에 대해서 스페인의 상황을 이해하려면 두 가지 경우의 수를 고려해야 한다. 좌파이냐 우파이냐와 연방제 단일 국가인가와 다국적인가에 대한 주제이다. 정당들의 계획과 개개인의 시민이 가지고 있는 의견은 두 경우를 다 돌이켜봐야만 이해가 가능하다. 스페인 왕국의 헌법은 1)통합 국가이며 2) 여러 국적의 사람들과 지역이 합쳐진 것이다라 적고 있다. 이 서술은 정치 이론 상으로 Nationality와 Nation의 의미가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모순이다. 그러나 연방제를 지지하는 정당과 각 지역의 다국적 체제를 인정하는 정당과의 균형을 맞추려는 서술이라는 데 의견이 맞춰진다. 스페인의 자치 지방을 토대로 한 영토의 구성은 헌법적으로도 이러한 과거 역사와 각 지방주의의 상황을 적절히 배합해 안배한 결과이다. 역사적으로 연방제를 지지하는 정당들은 스페인이 단일 국가이며 지방 분권화를 추진하되 좀 더 강력한 연방 정부가 들어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카탈루냐와 바스크, 갈리시아 지역주의 정치이론가들은 그들 스스로 각가의 국가를 이루고 있으며 스페인 왕국의 일원으로 구성하기를 원치 않는다. 이러한 정당들은 스페인 왕국이 4개의 왕국-카탈루냐, 바스크, 갈리시아 그리고 카스티야스페인 왕국-이 합쳐져 전체 연방 국가를 이루게 되었다는 주장에 동조한다. 이들 중 일부는 독일인과 프랑스인, 이탈리아 국적자들이 사회를 구성하는 스위스를 하나의 모티프로 보아서 독립을 부추기기도 한다. 이러한 관념이 관개되어 있지는 하지만 현재의 행정 구역이 갖는 경계와는 관념이 다르다. 현재의 상황은 두 가지 역사적 실패가 결합되어 이뤄진 것이다; 1) 연방제 정당은 통합된 관념으로서 국가를 프랑스처럼 구성할 수 없었고 스페인의 정치, 영토의 구성과 기구들은 분화되어 나타났다. 2)카탈루냐와 바스크 지방을 중심으로 한 연방제 반발 운동에서 스페인이 자유롭지 못했던 탓이다. 에타와 그라포[편집] 스페인 정부는 바스크 분리독립운동인 ETA에 대한 오랜 반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1959년 설립되어 무장 투쟁을 하고 있는 에타는 프랑코에 반대하고자 설립되어 바스크의 독립을 폭력적인 수단으로라도 사용해 독립을 쟁취하려 한다. 게릴라전으로서 스스로를 규정하며 국제적으로는 테러리스트 지위에 올라 있다. 애초에 무력을 쓴 것은 아니었고 바스크 지방조차도 폭력과 유혈 사태 조장을 용인하고 있지 않으나 다른 접근법으로 독립을 추진하려는 움직임은 지방 정부 차원에서도 존재하고 있어 연방 정부와 대립각이 여전하다. 최초에 ETA는 스페인 안보세력과 군부, 고위 관료를 테러 대상으로 삼았다. 군부와 저명한 정치인들이 치안을 더욱 강화하려 하면서 에타는 점진적으로 관광객들이 많이 모이는 지역으로 눈을 돌려 관광객을 위협하는 것이 정부를 압박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보고 경제적인 피해를 주려는 움직임을 이어가고 있다. 이는 바스크 지방정부에 대한 경제적인 위기가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악용한 것이기도 하다. 스페인 정부 기관과 재계 건물들을 대상으로 하여 여러 공격이 있었으며 1995년 야당 지도자 아스나르에 대한 자동차 폭탄 테러를 포함하여 여러 사건이 일어났다. 아스나르는 이 사고로 VIP 자동차가 파괴되기는 했으나 크게 다치지 않았다. 에타의 테러 동안 800명 정도가 희생된 것으로 스페인 정부는 보고 있다. 2005년 5월 17일 모든 하원의 정당(PP 제외)은 연방정부의 평화교섭안을 통과시켰다. 정치적 교착상태를 더욱 악화시키지 않으려는 움직임임과 동시에 무기를 포기하라는 요구였다. 여러 정당과 연립 정당을 이루던 교섭단체들은 192표를 내어 찬성표를 던졌고 PP 의원들은 147표의 반대표를 냈다. 에타는 2006년 3월 24일부터 "영구적인 휴전"을 선언했지만 2006년 12월 30일 바하라스 T4 국제공항 폭탄테러가 일어나 전복됐다. 계속적으로 영구적인 휴전을 주장하고 있어 연방 정부는 사실상 통제에 상당한 힘을 얻게 되었으며 프랑스 당국과 협조하여 얻은 성과도 일부 포함되고 있다. 스페인은 막시즘 저항 단체인 그라포와도 대립 중이다. 10월 1일의 혁명 단체라고 스스로를 정의하는 그라포는 도시 지역에서 게릴라전을 시작하였고 그 장소는 갈리시아의 비고였다. 스페인 정부의 전복과 막시즘-레닌주의 정권을 세우려는 목표에서다. 나토와 미국의 스페인 등장을 극도로 경계하고 있으며 오랜 동안 폭탄 테러와 은행 강도, 암살, 납치를 하며 1970년대와 80년대 스페인의 국익과 배치되는 일을 저질렀다. 2000년 6월 바르셀로나에서 두 대의 소형차 폭파 사고가 있었고 그라포는 이 사건이 자신들이 행한 것이라며 이 사건 뿐 아니라 여러 사건에 대해 자신들의 행위임을 주장하고 나섰다. 이 사건으로는 두 건의 실패한 무장자동차 강도사건이 포함되었으며 1대에서는 1명의 치안보안관이 사망하고 1999-2000 선거전에서는 정당 건물에 4건의 폭파사건이 있었다. 2002년 스페인 정부는 대대적인 그라포 회원 숙청과 발본색원에 나서 일부 지도자급 인사를 포함한 여러 명을 체포했다. 현재에는 주요 인사이던 자들이 체포되거나 국외에 있어 예전만큼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고 있다. 이슬람 근본주의의 형태[편집] 알카에다는 스페인에서 여러 지부를 운용 중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다른 여타 국가들에서의 작전을 지원하는 한편 스페인 국내에서도 여러 공격을 자행할 가능성이 있다. 스페인 수사 당국과 사법 부서는 적극적으로 이들을 체포하고 수색하고자 하고 있으며 2003년 1월 바르셀로나에서 가장 특기할만한 전가를 올렸다. 그러한 노력으로 스페인 당국은 16명의 테러 용의범을 체포하는 한편 폭탄과 다른 화학전 사용 가능 물질을 압수했다. 스페인은 활동적으로 다른 국가의 정부와 함께 테러 위협을 없애려는 데 힘쓰고 있다. 스페인은 2004년 3월 11일 마드리드 공격으로 급작스런 공격을 당해 출근하던 무고한 시민 191명이 희생되었다. 알카에다가 주 용의자로 지목된 가운데 일부는 아스나르 정부의 폐단이 낳은 결과로 보기도 했다. 그의 정부가 실각하자 2004년 선거가 일어나기 단 4일 전에 일어난 사건이었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정부와 미디어가 에타가 저지를 일이라고 발표했다. 많은 유권자들의 아스나르 정부와 관영매체의 보도에 대해 비난을 퍼부었으며 이슬람 단체가 저지른 것으로 보이는 증거가 속속 드러났기 때문에 그러한 반응은 더욱 커졌다. 그 배경으로는 스페인이 이라크 전쟁을 지원하면서 국내에 테러가 일어날 빌미를 제공하게 되었다는 비난을 피하고자 아스나르 정부가 꾸몄다는 추측에서이며 많은 스페인인들이 정부의 속임수로 여기고 있다. 각주[편집] ↑ Article 1.3. of the Spanish Constitution of 1.978 lays down that "the political form of the Spanish State is that of a Parliamentary Monarchy"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스페인의_정치&oldid=24358410" 분류: 스페인의 정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Françaisעבריתहिन्दीItalianoLatviešu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venska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일 (토) 22:1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스페인의 정치는 양원 의회로 구성되며 입헌군주제를 취한다. 스페인의 군주는 국가의 수반이며 총리가 내각의 수장으로서 양당제 하에 구성된다. 중앙 입법 기구는 양원으로 구성되며 내각이 견고해야 해당 정부도 지속될 수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04년 스페인 마드리드 공격에 따른 정부의 발표와 실제 여론의 생각은 어때? Assistant: 스페인은 2004년 3월 11일 마드리드 공격으로 급작스런 공격을 당해 출근하던 무고한 시민 191명이 희생되었다. 알카에다가 주 용의자로 지목된 가운데 일부는 아스나르 정부의 폐단이 낳은 결과로 보기도 했다. 그의 정부가 실각하자 2004년 선거가 일어나기 단 4일 전에 일어난 사건이었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정부와 미디어가 에타가 저지를 일이라고 발표했다. 많은 유권자들의 아스나르 정부와 관영매체의 보도에 대해 비난을 퍼부었으며 이슬람 단체가 저지른 것으로 보이는 증거가 속속 드러났기 때문에 그러한 반응은 더욱 커졌다. 그 배경으로는 스페인이 이라크 전쟁을 지원하면서 국내에 테러가 일어날 빌미를 제공하게 되었다는 비난을 피하고자 아스나르 정부가 꾸몄다는 추측에서이며 많은 스페인인들이 정부의 속임수로 여기고 있다.
Human: 아래 소련의_경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소련의 경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련의 경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소련의 경제 1932년 완공된 드네프르 수력 발전소는 소련 경제력의 상징이었다.순위 2위 (명목) / 2위 (PPP) (1938년 ~ 1990년)통화 소련 루블 (SUR)회계 년도 역년무역 기구 경제상호원조회의, 아시아 태평양 경제 사회 위원회[1]통계GDP 명목: 2조 2000억 $ (1985년)PPP: 2조 7985억 $ (1990년)GDP 성장률 +1.5% (1989년)[2]+1.4% (1990년)[3]-2.4% (1991년)1인당 GDP 명목: 7,211$ (1990년, 30위)[4]PPP: 9,300$ (1990년, 28위)[5] 인플레이션 (CPI) 5% (1989년)6% (1990년)[6]14% (1991년)빈곤선 미만 인구 1.5% (1989년)1.7% (1990년)14.4% (1991년)[7][8]지니 계수 0.21 (매우 낮음, 1985년)0.238 (매우 낮음, 1988년)0.26 (낮음, 1989년)0.24 (매우 낮음, 1990년)[9]0.289 (낮음, 1991년)[10]노동인구 1억 5230만 명1차산업:20%2차산업:47%3차산업:33% (1990년)[11]실업률 1% 미만 (1982년 ~ 1990년)[12][13]1.2% (1991년)주요 산업 석유 산업, 군수 산업, 중공업, 자동차 산업, 항공우주 산업, 화학 산업, 철강 산업, 식품 산업, 가구 산업, 전자·전기 산업무역수출 1,107억 $(9위, 1989년)[14]수출 품목 공장 부품, 석유 및 석유제품, 천연가스, 광물 및 금속 장비, 가구, 특산 농작물, 무기주요 수출국가 동구권 49%, 미국 및 제3세계 21%, 서유럽 14%, 기타 공산권 11%, 쿠바 5% (1988년)수입 1,147억 $ (10위, 1989년)[15]수입 품목 농작물, 광물, 소비재, 경공업 공산품주요 수입국가 동구권 54%, 기타 공산권 20%, 서유럽 11%, 미국 및 제3세계 15% (1988년)총 외채 273억 $ (1990년 평균)[16]국가 재정국가 부채 250억 $, GDP의 1% (1990년)800억 $, GDP의 3.1% (1991년)[17]수익 4,226억 $ (5위, 1990년)[18]지출 5,210억 $ (2위, 1990년)[19]경제 원조 1,476억 $ (1988년)[20] 주요 내용 출처:CIA World Fact Book모든 값은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미국 달러입니다 이 문서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의 경제에 관한 것이다. 소련은 1989년 3월까지 국유화, 사회주의 계획 경제로 경제를 운영했다. 소련 경제의 특징은 국가의 투자 통제와 산업 자산에 대한 직접적인 소유였다. 목차 1 개요 1.1 역사 1.1.1 초기(1918년 ~ 1921년) 1.1.2 신경제정책 및 국가자본주의 시기(1921년 ~ 1928년) 1.1.3 소비에트 계획 경제 시기(1928년 ~ 1965년) 1.1.4 코시긴 개혁 및 브레즈네프 시기(1965년 ~ 1986년) 1.1.5 페레스트로이카 시기(1986년 ~ 1989년) 1.1.6 자본주의 시장 경제 전환 시기(1989년 ~ 1991년) 2 각주 3 참고 자료 개요[편집] 소련은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이었다. 1980년대 말 고르바초프가 시장 경제를 받아들이기 이전까지 소련의 경제는 정부의 통제를 받는 계획 경제였다. 소련의 경제는 고스플란이 통제하였다. 농민들은 콜호스에서 일을 했다. 1920년대 계획 경제의 문제점이 크게 부각되자, 레닌이 부분적으로 시장요소를 도입하여 "신경제정책"을 실시하였다. 소련은 1930년대 스탈린이 추진한 5개년 계획이 성공하면서 거대한 경제 발전을 이룩했다. 1930년대에 대공황으로 자본주의 국가들은 심각한 불황에 시달렸지만 소련은 대공황의 영향을 받지 않았고 아주 높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여 1938년에는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에도 소련의 경제는 크게 발전했다. 소련은 1950년대에도 아주 높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했고 1960년대까지 소련은 높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했지만 1970년대부터 소련의 경제는 침체되기 시작했다. 소련 말기 경제 침체는 계획 경제의 비효율성으로 인한 것이었다. 경제 침체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으나, 대개 1970년대 초로 생각되고 있다. 1986년 서기장 미하일 고르바초프(소련의 마지막 서기장이자 소련의 초대 대통령)는 관료적 비효율이 날로 커지는 것을 보고 시장 경제를 받아들였다.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권력을 잡은 뒤, 경제적 자유화가 계속되어 소련의 경제는 시장지향적 사회주의 경제로 이행했으나, 시장 경제 개혁은 오히려 소련 경제에 악영향을 줬다. 하지만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오히려 1989년, 급진적인 자본주의 경제 정책을 시행했으며, 결과적으로 이 모든 것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1991년 소련은 붕괴했다. 국가 전체의 경제 방침은 1928년부터 시작된 일련의 5개년 계획들로 결정되었다. 소련은 농업 국가에서 산업 강국으로 탈바꿈했다.[21] 소련의 신속한 변화 능력(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는 이것을 두고 “후진국을 신속하게 근대화와 산업화의 위기를 거치게 할 수 있는 검증된 능력”이라고 했다)은 아시아의 개발도상국들의 지식인들이 공산주의에 매력을 느끼게 만들었다.[22] 특히 제1차에서 제3차에 이르는 5개년 계획(1928년 ~ 1940년)이 서방의 대공황 시기와 거의 일치했기 때문에 이런 기대는 더욱 심화되었다.[23] 독소전쟁 발발 당시에도 소련인들은 빈곤했다는 주장도 있다.[24] 스탈린 시대부터 브레즈네프 시대 초기까지 소련은 고도성장을 하였다. 1950년 당시 GDP 수준은(단위: 1십억 1990년 달러) 소련이 510 (100%), 일본이 161 (100%), 미국이 1465 (100%)였다. 1965년이 되면 수치는 다시 소련, 일본, 미국이 각각 1011 (198%), 587 (365%), 그리고 2607 (179%)였다.[25] 주요 산업 생산품은 석유, 철강, 자동차, 항공우주, 통신, 화학, 전자, 식품가공, 벌목, 채광, 방위산업 등이었다. 1978년 소련은 총 1280만 대의 자동차를 보유했으며, 이중에 승용차는 660만 대, 트럭과 버스는 620만 대였다. 당시 미국은 총 1억4880만 대의 자동차를 보유했으며, 승용차는 1억 1660만 대, 버스와 트럭은 3220만 대였다. 인구비로 비교하면 소련의 승용차 보급 사정은 더욱 열악하여, 1978년 소련인 40명당 승용차1대를 보유한데 비해 미국은 1.9명당 1대, 프랑스는 3명당 1대, 헝가리는 14명당 1대로써 소련의 승용차 보급이 자본주의 선진국들에 비해 월등히 뒤져 있었다. 소련의 승용차 보급 수준은 과테말라, 칠레, 이란, 요르단, 코트디부아르 등 당시의 후진국들과 비슷했다.[26] 역사[편집] 소련 경제사는 크게 다섯 갈래로 구분된다고 알려져있으나 1989년, 몰타 회담 이후 소련은 1986년에 시행되었던 페레스트로이카 경제 정책에 비해 훨씬 급진적인 자본주의 정책을 받아들임으로 사실상 1989년에 새로운 경제 체체로 전환이 시작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여섯 갈래로 구분될 수 있다. 초기(1918년 ~ 1921년)[편집] 러시아 공화국이 10월 혁명으로 붕괴하고난 후인 1917년 말기에서 혁명이 끝나는 1921년까지 소비에트 러시아의 경제 사정은 매우 열악했다. 러시아 제국 시절 당시의 1차 대전 여파, 케렌스키 임시정부 시절에는 각종 혼란스러운 정치 투쟁과 끝나지 않은 전쟁의 부정적인 효과, 혁명 이후 러시아 내에 잔존한 반동주의자들과의 내전(러시아 내전) 등과 기존에 발달하지 못한 러시아의 산업 시스템, 동시에 문맹률과 빈곤율은 매우 높았으며, 도시화는 18%에 불과했다. 이 당시 소비에트 러시아 정부는 곧바로 시작된 내전에 전시공산주의라는 체제를 선포했는데, 이는 기존에 볼셰비키 공동체에서 행했던 계획 경제 정책을 더욱 급진적으로 실행하자는 취지에서 비롯되었다. 블라디미르 레닌은 내전 중에 체제 결속력과 더불어, 경제도 중요하다고 봤기 때문이다.[27] 볼셰비키의 계획 경제 정책은 '생산수단 공동체'라는 개념을 만들었는데, 이는 작업지와 탁아소, 거주지를 최대한 가깝게 해놓는 것과 근로시간을 대폭 줄여 주 48시간 근로제로 바꾸는 등 상당히 진보적인 경제 정책이 포함되었다. 1910년대 유럽 노동자들의 평균 근로시간은 주 70시간이 훨씬 넘었는데, 이는 매우 파격적인 정책이었다. 또한 근로에 있어서 여성과 남성을 차별하지 않았고, 급여는 공평했다. 농업의 경우는 토지를 지주로부터 모두 몰수하여 농민들에게 무상분배하였고, 생산된 작물은 중앙당국에서 모두 걷은 다음, 공평하게 분배했다. 물론, 농민들은 생산한 작물들에 대해서 자유롭게 처분할 수 없었다. 이러한 사회주의 계획 경제는 체제 결속력을 유지하는 데에 큰 도움을 줬지만, 전반적으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경제 체제였다. 특히, 농업의 부실화는 소비에트 러시아 정부에서 큰 문제였다. 강대국, 제국주의자들로부터 원조를 받던 러시아 백군과 달리 소비에트 러시아 정부는 후원국, 후원단체가 없었다. 내전으로 인해 아사자가 속출하자, 레닌은 농업 생산성의 극대화를 목표로 1921년에 니콜라이 부하린과 경제 정책 초안을 만들어, 신경제정책을 발표했다.[28] 신경제정책 및 국가자본주의 시기(1921년 ~ 1928년)[편집] 1921년에 벌어진 대기근은 소비에트 러시아 정부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이에 따라 1921년 초기에 계획되고 말기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된 신경제정책은 경작지에서 나온 일부의 작물을 농민이 스스로 처분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고, 국가 분배가 아닌 농업 시장을 장려하는 정책을 펼쳤다. 소비에트 러시아의 고질적인 문제였던 낮은 농업 생산력은 단번에 높여주었다. 신경제정책은 농업 정책에만 국한되어 시행된 정책은 아니었다. 그것은 기존 사회주의 계획 경제와는 다른 경영 시스템을 내포하고 있었다. 1917년 혁명 이후 소비에트 러시아에 기초적인 사회주의 경제 시스템이 도입되었을 때, 블라디미르 레닌은 마르크스주의 경제 운용 방식의 일종인 '노동자 자주 관리' 시스템을 도입했다. 하지만 이 당시 러시아 노동자들은 공동으로 경영체(생산수단)을 운영할 지식이 없었고, 그 결과는 처참했다. 1918년부터 블라디미르 레닌은 노동자 독재 시스템을 축소하고 중앙당에서 경영인을 파견하는, 자본주의적 경영 방식을 부활시켰다. 당시, 레프 트로츠키와 같은 극좌 그룹은 이에 대해 반대했었다. 이러한 반대로 인해 블라디미르 레닌은 트로츠키와 협의 끝에 고스플란이라는 경제 계획 중앙기구를 만들었으며, 이 기구는 신경제정책 시기 하에서 벌어지는 여러 경제 활동이 소비에트 지역을 자본주의화 하는 것을 막기 위해 여러 임무를 수행했다.[29] 하지만, 1918년에 저러한 파견경영인 위주의 경영 방식은 고착화되지 않았다. 오히려 아직도 당시 수많은 생산수단은 노동자들이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었다. 신경제정책은 파견경영인이 생산수단을 경영하는 것에 대해 좀더 유화적인 입장으로 일관했으며, 시장 경제적 요소를 대거 도입하여 농업을 포함한 기타 소비재 상품의 거래가 활발하도록 만들었다. 이것은 즉, 혁명 이후 주를 차지했던 노동자 독재 경영 시스템의 종말을 의미했다. 1921년부터 1928년을 거쳐 노동자 독재 경영 시스템은 서서히 줄어들었다. 이 당시에 다시 부유층이 된 계급이나 경영인들을 '네프맨'이라고 불렀으며, 농업 생산물에 대한 자유로운 처분을 허용하자 곧바로 부농계급이 발생했다.[30] 하지만 이러한 정책은 전시공산주의를 지지했던 볼셰비키 내 극좌파들에게 반대를 당했다. 블라디미르 레닌은 스스로 "국가자본주의 경제 체제는 공산주의 도달을 위해 필요한 과정이다."라고 주장했다. 러시아 경제사를 연구하는 경제학자들은 이러한 경제정책 끝에 러시아 내전을 비교적 안정적으로 승리할 수 있었다고 말한다. 1924년, 블라디미르 레닌 사후, 스탈린이 소련의 정권을 잡고 약 4년 간 신경제정책 기조는 유지되었다. 소비에트 계획 경제 시기(1928년 ~ 1965년)[편집] 1928년까지 진행된 신경제정책은 사실 프롤레타리아 독재에서 행해야 할 경제 정책과는 다소 거리가 멀었다. 블라디미르 레닌도 또한 신경제정책을 내전 시기에 경제 안정화를 위한 임시수단으로 여겼을 뿐, 무산계급 독재 체제에서 장기적이고 보편적으로 행해질 수 있는 정치·경제 체제라고는 생각하진 않았다. 이오시프 스탈린은 1928년에 국민경제발전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그는 내전 상태에서 벗어나 약 4년 간 경제적 회복기를 거쳤던 소련은, 체제 내부의 안정성만을 찾았을 뿐, 제국주의자들의 경제 공격에는 버티기 어려운(외부의 공격을 뜻함) 상태임을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는 그가 주장했던 일국사회주의의 정책 기조와는 맞는 것이었다. 내전에서 4년 간의 회복기를 거친 소련은 아직도 공업 생산력이 높지 못했으며, 기술력도 또한 없었다. 스탈린은 산업 발전 초기, 공업 생산력의 증대와 기술력의 발전은 철두철미한 계획 경제의 요소가 들어가야 실행될 수 있다고 보고 있었다.[31] 이오시프 스탈린은 1928년에 신경제정책을 폐지했다. 그가 주장한 5개년 경제 계획안은 주로 경제의 집산화와 거대 중공업의 발전, 계획 경제 하에서 농업 생산력 안정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았다. 1938년 당시 소련의 집단농장 그는 이 중에서 농업의 집단화를 중시했다. 신경제정책은 '부농계급'을 부활시켰고, 이러한 부농계급이 고착화된다면, 소비에트 정부의 정당성이 무효화 됨에 더불어, 스탈린의 경제 계획안이 성공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또한 정부의 관리가 이뤄지지 않는 '자유 시장'의 규모는 커지고, 그만큼 소비에트 정부가 제어할 수 있는 선이 낮아진다. 소비에트 정부가 제어할 수 없는 경제 선들이 많아진다는 것은, 곧 경제 발전에 필요한 자재들의 소비와 공급을 통제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스탈린에 있어서 매우 해로운 상태에 해당했다. 특히 농업은 식량공급의 원천이며, 이것이 소비에트 정부의 통제 아래 없으면 안된다는 의지가 확고했다. 그는 모든 경영 활동이 중앙 경제 계획 당국에서 이루어지길 바랐고, 모든 경제 활동을 정부가 통제해야 한다고 봤다.[32] 스탈린 정부는 경제를 집산화시키고 모든 자원 생산지를 국유화했다. 이는 직접 기간산업에도 예외가 없었다. 계획 경제로 도시화가 급진적으로 진행되자, 막 도시화가 된 곳은 노동력 부족 문제에 부딪혔다. 스탈린은 농업 종사자들을 강제로 도시에 이주시켰고, 그들을 공장의 생산 노동자로 변환시켰다. 그는 1930년대 초반에 들어서 농업 국유화도 매우 급진적으로 실행했는데, 이에 반발한 부농들은 자신들이 가진 모든 작물을 불태웠고, 자살을 기도하거나 도주를 시도했다. 작물이 불태워지고, 경작지가 내팽겨지자 소련의 농업 생산력은 매우 낮아지게 되었고 이는 1932년 대기근인 홀로도모르를 불러왔다. 이 당시 아사자는 약 200-300만 명에 달한다고 알려졌다.[33] 1930년대 소련의 트렉터 공장 1930년대 소비 정책으로는, 자국의 생산품의 소비를 장려했고, 수입품 억제와 함께 수출에 특화된 상품을 생산하는 공정을 대량 생산하여 수출 증대에 힘썼다. 스티하노프 운동을 통해서 개개인의 생산성을 중요시한 동시에 개개인의 사사로운 이해관계를 억압하고, 집단의 발전을 목표로 둔 상태에서 급진적인 국유화 산업투자를 통하여 거대한 경제지대를 형성했다. 하지만 수출을 경제의 목표로 둔 만큼 노동 계급의 생활 수준은 열악했던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이 당시 급진적인 산업화로 인해 산업재해가 심하게 발생했으며, 이는 곧 정치적 반대파를 만드는 원인이 되었다. 스탈린 정부는 어떠한 공정에서 문제가 생겨 비판받을 때 파견경영인들에게 모든 탓을 돌리는 방식으로 정치 권력을 유지했다. 그러나, 이러한 그의 경제 정책은 큰 효과를 거두었다. 제철산업의 규모와 생산력은 1928년에 비해 약 5배, 경공업은 약 3배, 전력 시스템은 약 10배, 기타 화학공업의 규모는 5배가 늘어났다. 또한 국가 정책 위주로 사회간접자본에 투자를 많이 한 끝에 운송수단에 있어서 큰 발전을 이루었다. 1938년에는 경제 발전에 힘입어 2차 경제 계획안을 계획하지만, 독소전쟁으로 인해 무산되었다. 2차 대전 당시 추축군은 소련 도시에 있던 공장 지역 수만, 수천곳과 농경작지를 파괴했지만 종전 이후 소련은 2년 안에 빠르게 전후복구를 마쳤다. 1947년에는 화폐 개혁을 실시했다. 스탈린 사망 이후 권력투쟁으로 권력에 오른 흐루쇼프는 스탈린 시대에 행해졌던 일부 계획 경제 시스템을 수정했는데, 제일 크게 평가받는 것이 중공업 생산 위주에서 경공업 생산 위주로 바꾸려는 시도를 했다는 점이다. 동시에 1955년부터 생산수단 지대에서 노동자들의 경영 운영 권리를 증대시켰으며, 동시에 파견경영인의 의사결정권도 강화했다. 이 시기에 소련 국민의 생활 수준은 상승했다. 특히, 193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된 도시화로 인해 도시에 고질적으로 주거가 부족했던 점을 흐루쇼프카로 해결했는데, 주택보급률이 1955년에서 1964년까지 약 40%가 증가했으며, 그 면적 또한 2.3배가 증가했다. 하지만 경공업 위주의 생산 방식을 전면에 내놓는 것은 1955년 소련 정치국위원회에서 통과되지 못했으므로, 근본적인 개혁은 진행되지 못했다. 고부가가치 산업을 활성화시켜서 경제 성장에 몰두하기보단 소비재, 경공업을 발전시켜 대중 계층의 삶을 안정화시키려고 노력했다. 스탈린 시대 당시에는 경제 성장률이 급상승했지만, 그만큼 노동자들의 삶 수준은 올라가지 않았기 때문이다. 경공업을 우대하는 정책을 일부 펼쳤으나, 중공업에 대한 투자는 줄지 않았기 때문에, 1964년은 1955년에 비해 중공업 부문 생산량이 85% 정도 증가했다.[34] 소비에트 계획 경제 개혁이 시작된 1928년에는 1917년 대비 1인당 국민 소득이 10%높은데 그쳤으나, 이후 성장이 가속화되었다. 1928년부터 1937년까지 공식 경제성장율은 연간 16.5%이나 실제로는 4.8%로 추정되고 있다.[35] 코시긴 개혁 및 브레즈네프 시기(1965년 ~ 1986년)[편집] 1980년대 소련의 수출 비중[36] 1960년대 초중반에 들어서 소련의 경제 성장률은 점점 낮아졌다. 니키타 흐루쇼프 시기에는 이 문제가 소련 내에서 공론화 될 정도로 문제시되지는 않았지만, 경제 전문가들에겐 큰 문제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 기존의 소비에트 계획 경제의 문제점을 지적한 대표적인 전문가가 바로 1964년부터 1980년까지 소련 총리를 지낸 알렉세이 코시긴이었다. 그는 1965년에 '1965년 소련 경제 개혁안'을 발표했는데 주 내용은 기업 내 문제에 대해 수지대응을 경영인이 쉽게 할 수 있도록 기업체의 독립채산권을 인정하는 것, 상품 공급량 증대, 노동 동기유발 방법론에 대한 다양화 등이었다.[37] 특히 기업 독립채산제의 시행은 사회주의 계획경제에서 폭넓은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비록 불완전하고 사회주의적인 독립채산제지만, 경제 계획을 중앙당국이 아닌 생산수단 내의 경영인에게 모두 맡긴다는 것은 그만큼 당의 영향력이 약해질 것이라고 봤던 것이다. 알렉세이 코시긴 총리는 과거 1920년대에서 1930년대처럼 경제 규모가 낮았던 상태에서는 집산주의 경제 정책이 잘 발휘될 수 있으나, 어느정도 규모가 커진 경제 상태에서 집산주의 경제 정책은 관료적 비효율성을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는 생산수단이 경제 계획을 담당하는 중앙당국에 보고되는 시간부터, 특정 생산수단이 어느 방향으로 생산방향을 바꿔야 할 지에 대해 결정되는 모든 과정까지 관료적 비효율화가 들어가지 않은 게 없다며 비판했다.[38] 코시긴의 정책은 시행된 초기에만 소련의 경제성장률을 약 1% 정도 상승시킨 것에 그쳤다. 그가 시행한 독립채산제 정책으로 계획 경제 특유의 비효율성은 감소했지만, 자본주의적 지령 경제 특유의 비효율성이 새로 생기게 되었다. 코시긴 개혁 이후 소비에트 정부는 기업 파견경영인들의 사업이 수익성이 있는 지 검토하고 그에 비례한 산업지원금을 지급했지만, 생산수단의 파견경영인들은 사적 이익을 위해서 자신이 관리하는 생산 수단에 관련된 사업의 수익성을 거짓으로 올려서 보고했고, 결과적으로 소비에트 정부는 수익성이 없는 사업에 높은 수준의 산업보조금을 지급했다. 또한 경영인의 지위가 높아져서 사회주의 국가임에도 노동 착취에 제대로 된 대처를 하기 어려운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물론 소련은 여전히 소비에트 사회주의 특유의 국유화 경제 틀은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완전히 자본주의 국가로 변했다고 할 수는 없다는 것이 정설이나, 하지만 앞서 언급된 문제는 오히려 소련 경제 성장률을 저해하는 결과를 보였다. 정책이 시행된 후 1966년에서 1970년까지의 GDP 성장률은 7.7%, 1971년에서 1975년까지의 성장률은 5.7%, 1975년에서 1979년 사이는 4.4%로 지속적으로 내려갔다. 생산력도 같은 수준이었다. 1960년의 총 수출 계수를 100이라고 했을 때, 정책이 완전히 시행되기 전인 1965년에는 총 수출 계수가 148, 본격적으로 시행된 지 오래인 1970년에는 163으로 올라갔지만, 1975년에는 오히려 137, 1979년에는 116으로 낮아졌으며, 고정생산자산도 오히려 낮아졌다. 하지만 동시에 실업률 해결은 큰 성과를 보였다. 1985년 소련의 전자상품가게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는 중동에 경제적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서 1979년부터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했지만, 예상 외의 장기전을 맞이했는데 이것은 소련 경제에 크나큰 악재를 가져왔다. 이미 아프가니스탄 침공 이전부터, 냉전 구도에서 전쟁 억지력을 갖추기 위해 소련은 1970년대 중후반부터 GDP의 약 12%를 군비에 투자했으며, 흐루쇼프의 국방 정책이었던 '비대칭무기 증대'를 폐기하고 T-72, BTR-70, MiG-25-7 등의 재래식 무기의 생산량을 대폭 늘리고, 병력의 총원을 지속적으로 늘렸다. 브레즈네프 시기에는 이렇다 할 경제 정책을 보여주지 못했으며, 경제 성장 동력은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는 시기였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생산, 그리고 소비 활동, 소련의 특유의 복지 체제로 인해서 소련 국민들은 별 다른 문제점을 느낄 수 없었으며, 이러한 분위기에 휩쓸린 소련 공산당 또한 개혁 의지를 상실한 상태였다.[39] 몇몇 경제학자는 1970년대부터 시작된 경제 위기를 코시긴 개혁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소련의 경제 인프라는 1960년대 중반에 확실히 완성되었는데, 인프라가 완성된 경제 하에서는 그 전에 인프라를 구축하던 시기의 경제 성장률을 능가할 수 없다는 게 일반적인 경제학 상식이다. 그러나 코시긴은 이러한 문제를 공통적인 문제점으로 보지 않았고, 제도의 문제라고 보았기 때문에, 무리하게 사회주의 경제 정책을 훼손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경제의 인프라가 해당 국가의 특성에 맞게 정비되었다는 것을 확인하는 길은 2차와 3차 산업 노동인력의 움직임이 몇년 간 지속적으로 큰 차이가 없고, 1차 산업의 노동인력이 적어질 때 알 수 있는데, 1965년 당시 1차 산업 종사자의 비율은 전체 노동자의 31%, 2차 산업의 경우는 44%, 3차 산업의 경우는 25%였다. 이것이 1970년에는 1차 산업은 25%, 2차 산업은 46%, 3차 산업은 29%로 변하는데, 차이가 크지 않다. 하지만 인프라가 완전히 구축되기 전인 1930년대에서 1940년대 사이에는 1차 산업에 종사하는 노동자의 비율이 50% 이상을 차지했으므로, 그 차이가 높았다. 2차 산업과 3차 산업 종사자의 증가는 곧 경제 인프라의 완성을 의미하며, 코시긴을 비판하는 학자들은 그가 사회주의 체제에 시장 경제적 요소를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사회주의 계획 경제를 비교적 쉽게 관리할 수 있는 수준높은 경제-기술 제도를 만들어야 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사회주의 경제 특성상의 문제라고 보는 학자들도 존재한다.[40] 페레스트로이카 시기(1986년 ~ 1989년)[편집] 1982년에 브레즈네프가 사망한 이후에 취임한 유리 안드로포프나 체르넨코같은 후임 서기장들은 각각 약 1년의 임기만 채운 뒤 병으로 사망했기 때문에 소련 공산당은 1985년에 개혁파에 속했던 미하일 고르바초프를 당의 서기장으로 앉혔다. 1986년에 있던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는 정치 지도층 뿐만이 아니라 소련 국민들에게도 관료주의 개혁의 필요성을 확인시켜주는 중대한 사건이었다. 그는 관료적 비효율성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1985년 4월부터 페레스트로이카 정책을 계획하고 1987년부터 본격적으로 실행했다. 1986년 초기에는 국유기업이 아닌 '민간개별기업'의 구성을 일부 허용했다. 하지만 이 정책은 1986년부터 시작된 국제유가 하락을 이기기엔 역부족이었다. 소련 경제에 있어서 개혁적인 성향을 보였던 고르바초프는 소련 사회에서 '개혁'과 동의어로 보였던 '자본주의' 또는 '자유주의' 정책을 하나씩 실행해나갔다. 미하일 고르바초프를 추천한 리가초프의 경우는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옐친과 달리 급진적인 정책을 쓰지 않을 거라고 믿었지만 고르바초프는 사회주의 체제 하에서 제공받는 사회적 배당, 사회주의적 복지 체계를 바꾸지는 않을뿐, 사적 소유권을 인정하는 법안을 통과시키고 국유기업이 아닌 개별기업이 창출한 이익을 국가가 대부분을 소유하는 것이 아닌, 흔히, 자본주의 제도 하에서 존재하는 '법인세'의 개념을 도입, 동시에 세금 정책 구도를 자본주의 국가와 거의 비슷하게 바꾸었다. 1987년 1월 1일부턴 1965년 당시의 독립채산제 시행에 비해 훨씬 급진적인 독립채산제를 실시했다. 경공업, 자동차공업, 기계공업 등 6개 부(部)의 산하 국유기업들 그리고 콜호스에 독립채산제가 실시된 것이다. 이와 더불어, 사회적 임금을 대폭 줄이는 한편, 직접 임금 개혁을 단행하여 노동자의 임금을 25%, 관리자의 임금을 30% 인상했다. 또한 합작기업법을 공포해 외국과의 합작 투자를 허용했다. 이어서 같은 해 5월부터는 소비재 가내 생산과 자동차 수리업 및 주택 수리업, 그리고 가구 제조업 등을 포함한 29개의 업종에 대해 경영, 법인자유화를 전면 선언했다. 이러한 개혁에 대해서 러시아 경제사를 연구하는 학자들에 의해 "고르바초프는 소련을 서구식 사회민주주의로 개혁하려고 했다."고 평가된다. 거래자유화, 경영자유화 정책을 펼쳤지만, 이 당시에는 아직 국유화 되어있는 경제 집단(은행, 분배위원회, 지역소비에트, 중앙 경제 계획기구)이 더 많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것들을 남겨둔 결과로 소련은 아직 사회주의 국가로 평가받고 있었으며, 경제·사회적 안전망이 해체되지 않은 상태였다. 이에 이어서 고르바초프는 소련 경제의 무역을 담당하던 중앙당국 기관을 폐지했으며, 소련 내 기업 문제를 관리·감독하던 계획 경제 기구들의 역할도 대거 축소했다. 이러한 리가초프는 이러한 급진적인 정책 기조에 대해 유감을 표시했고, 당 내에서 보수파를 자처했다.[41]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급진적인 정책은 1986년 후반과 1987년의 6분기 경제 성장률을 끌어올리는 데에 성공했지만, 이후부터 다시 문제가 확산되기 시작했다. 1987년에는 국가기업법을 새로 만들어서 기업의 독자적인 가격 결정을 허용했으나, 급진적인 자본주의 정책으로 인해서 빈부격차 문제가 생겼을 뿐만이 아니라, 정경유착 문제가 불거지기 시작했다. 기업의 사적소유권을 인정해주면서, 정치 권력 일부와 기업의 경영인이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는 것은 자본주의 시스템이 발전하지 못한 소련 경제에 있어서 매우 당연한 문제였다. 게다가 자본주의 강대국들과의 무역 자유화는 오히려 자본주의 강대국들의 산업권에 소련 경제를 맡기는 상태가 되었다. 평균 1.2% ~ 1.3%의 경제 성장률을 보여줬던 1986년과 1987년에 비해, 1988년 ~ 1989년에 들어서는 약 0.2% ~ 0.4%의 경제 성장률을 보이게 되었다. 동시에 고르바초프가 실시한 금주령으로 인해 포도주 산업과 포도 생산산업에 큰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다.[42] 자본주의 시장 경제 전환 시기(1989년 ~ 1991년)[편집] 또한 국가기업법으로 인해서 투자 자유도가 높아지고, 경영 자유화가 가속화되자, 고르바초프 정부는 자금 흐름 및 창출에 유동성을 더하기 위해서 대량의 통화를 풀었다. 하지만, 이는 극심한 인플레를 가져왔으며, 오히려 증가한 통화량에 비해서 투자율, 기업자금유동성이 증가하지 않았다. 따라서 유동성 함정으로 인한 사중손실 문제가 발생했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1989년 3월 정치국원(대의원) 선거에서 자본주의로의 개혁을 주장하는 급진파가 의회의 다수파를 차지하므로 자본주의 정책은 더욱 심화되었다. 공적 소유를 완전히 폐지하지는 않았지만, 대부분의 사적 소유를 허용해줬기 때문에 소련 사회엔 그 동안 볼 수 없었던 양극화가 뿌리내렸으며, 심지어 실업률이 1%대로 올라갔다. 동시에 다당제를 허용하고 '글라스노스트'라는 개방 정책을 실행함으로 정치적 혼란에 대응하기 어려운 기조로 바뀌었고, 이러한 정치적 혼란은 반공주의 또는 분리주의 성향의 시위대가 지역 노동자와 파업을 실행하는 것을 쉽게 만드는 등, 신-경영인의 생산수단(또는 기업체) 내 권한이 강력해진 동시에 사적 소유가 일부 허용됨에 따라, 지역 소비에트에 포함된 노동자들이 생산수단의 운영 방향에 참가할 수 있는 권한이 사실상 사라지면서, 이로 인한 불만으로도 파업이 생기게 되었다.[43] 오랫동안 페레스트로이카가 소련의 경제를 개혁한 결과로 1990년에 올리가르히(페레스트로이카 기간에 발생한 독점자본계급)라는 새로운 계급이 나타났다. 심지어, 1990년부터는 모스크바에서는 노숙자가 발견되기도 했는데, 노숙자, 실업자는 자본주의 국가에서만 나온다는 당시 소련인들에게는 충격을 주었다. 1989년 중후반부터 소비에트주의의 틀이 파괴되면서, 밀거래와 불법거래 등을 소련 정부가 제대로 제어할 수 없는 상황에 이렀다. 파업과, 정치적 혼란, 정경유착, 비윤리적인 경제 활동의 갑작스러운 증가는 소련 경제에 큰 악영향을 주었다. 소련 생산품은 1940년대에서 1988년까지 세계 시장 점유율이 약 20%였지만, 1989년에는 4분의 3 수준인 13%에 그쳤다. 1990년 당시의 GDP 성장률은 1.4%, 경제 성장률은 0.2%를 기록함으로 저성장을 보였다. 1991년에는 정치적 혼란이 극에 달함으로 경제도 사실상 마비되었다. 소련 경제에 있어서 재정 건전성은 강력한 무기로 떠올랐으나, 1991년 여러 분기에 걸쳐, 재정 적자를 겪어야했다. 페레스트로이카가 급진적으로 진행되기 이전에는 소비에트 정부가 일정 기간에 발생한 수익을 모두 소유하고 그것을 적당하게 분배했기 때문에 재정 적자를 면할 수 있었지만, 경영인의 사적 소유권을 일부 인정하면서, 수익으로 인해 생긴 자본을 정부가 제어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복리증진 사업에 관해서 투자의지가 전혀 없는 법인에게 수익이 몰리게 된 구조는, 정부 주도의 복지(마르크스주의적 복지)가 진행되었던 소련에게는 큰 치명타가 되었다. 이로인해 정부에서 제공한 무상의료, 무상교육, 무상주거, 지역공동체 활동지원금 등은 모두 적자를 맞았으며, 특히 의료의 경우는 적자가 심해서 의료물품 배급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의료 서비스의 질을 떨어뜨렸다. 이렇듯, 소련의 자본주의 개혁으로 인한 경제 위기는 이러한 사회적 안전망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왔다.[44] 각주[편집] ↑ 소련 경제 무역기구 정보 ↑ 1989년 GDP 성장률 정보 ↑ 1990년 - 1991년 GDP 성장률 정보 ↑ Martin Myant 저 《Transition Economies: Political Economy in Russia, Eastern Europe, and Central Asia》 p. 185 참조 ↑ ppp GDP 정보 ↑ 소련 인플레 정보 ↑ 임금이 205 루블 이하인 국민을 기준으로 한다. ↑ 빈곤율 정보 ↑ 동구권 지니계수 ↑ http://data.worldbank.org/indicator/SI.POV.GINI?page=5&order=wbapi_data_value_1990%20wbapi_data_value&sort=asc ↑ 소련 노동력 정보 ↑ 소련 경제 실업률 정보1 ↑ 소련 경제 실업률 정보2 ↑ 소련 1989년 수출액 정보 ↑ 소련 1989년 수입액 정보 ↑ 소련 외채 정보 ↑ 소련 국가 부채 정보1 ↑ 소련 수출 수익 정보 ↑ 소련 지출 정보 ↑ 소련 경제원조 지출액 정보 ↑ Davies 1998, p. 1, 3. ↑ Peck 2006, p. 47.여기에 있어 대표적인 사람이 자와할랄 네루이다. 그는 “1920년대 말에 소련을 방문하고 소비에트의 산업 진보에 강한 인상을 받았다." Bradley 2010, pp. 475–6. 참조. ↑ Allen 2003, p. 153. ↑ Harrison 1996, p. 123 ↑ Angus Maddison, The World Economy: A Millennial Perspective (2001) pp 274, 275, 298 ↑ The Contemporary Soviet City edited by Henry W. Morton, Robert C. Stuart, M.E. Sharpe, 1984, pp.194 ↑ 알렉 노브 저, 《소련경제사》 p. 25 ~ p. 68 참조 ↑ 알렉 노브 저, 《소련경제사》 p. 71 ~ p. 73 참조 ↑ 알렉 노브 저, 《소련경제사》 p. 74 ~ p. 92 참조 ↑ 알렉 노브 저, 《소련경제사》 p. 94 ~ p. 121 참조 ↑ 알렉 노브 저, 《소련경제사》 p. 130 ~ p. 172 참조 ↑ 알렉 노브 저, 《소련경제사》 p. 173 ~ p. 193 참조 ↑ 알렉 노브 저, 《소련경제사》 p. 194 ~ p. 217 참조 ↑ 알렉 노브 저, 《소련경제사》 p. 218 ~ p. 264 참조 ↑ Bergson A., Kuznets S., eds. Economic Trends in the Soviet Union. Cambr.,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63, p. 36, 155, 208 참조 ↑ “80년대 소련 수출 비중 정보” (PDF). 2018년 10월 2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24일에 확인함.  ↑ 알렉 노브 저, 《소련경제사》 p. 286 ~ p. 310 참조 ↑ 알렉 노브 저, 《소련경제사》 p. 311 ~ p. 333 참조 ↑ 브레즈네프 시대의 경제 정보 ↑ Churchwood, L. G. 저 《Soviet Socialism: Social and Political Essays. London: Routledge》 p. 30 참조 ↑ 알렉 노브 저, 《소련경제사》 p. 337 ~ p. 342 참조 ↑ 알렉 노브 저, 《소련경제사》 p. 343 ~ p. 367 참조 ↑ 알렉 노브 저, 《소련경제사》 p. 368 ~ p. 405 참조 ↑ 알렉 노브 저, 《소련경제사》 p. 406 ~ p. 430 참조 참고 자료[편집] Allen, Robert C. (2003). Farm to Factory: A Reinterpretation of the Soviet Industrial Revolution.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Bradley, Mark Philip (2010). "Decolonization, the global South, and the Cold War, 1919–1962". In Melvyn P. Leffler and Odd Arne Westad, eds.,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Cold War, Volume 1: Origins (pp. 464–485).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83719-4. Daniels, Robert Vince (1993). The End of the Communist Revolution. London: Routledge. Davies, R.W. (1998). Soviet Economic Development from Lenin to Khrushchev.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vies, R. W. ed. From Tsarism to the New Economic Policy: Continuity and Change in the Economy of the USSR (London, 1990) Davies, R. W. ed. The Economic Transformation of the Soviet Union, 1913–1945 (Cambridge, 1994) Goldman, Marshall (1991). What Went Wrong With Perestroika. New York: W. W. Norton. Goldman, Marshall (1994). Lost Opportunity: Why Economic Reforms in Russia Have Not Worked. New York: W. W. Norton. Gregory, Paul; Stuart, Robert (2001). Soviet and Post Soviet Economic Structure and Performance (7th ed.). Boston: Addison Wesley. Harrison, Mark (1996). Accounting for War: Soviet Production, Employment, and the Defense Burden, 1940–1945.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Harrison, Mark. "The Soviet Union after 1945: Economic Recovery and Political Repression," Past & Present (2011 Supplement 6) Vol. 210 Issue suppl_6, p103-120. Moss, Walter Gerald (2004). A History Of Russia, Volume 2: Since 1855 (2nd ed.). London: Anthem Press. Kennedy, Paul. The Rise and Fall of the Great Powers (New York: Random House, 1987). Peck, James (2006). Washington's China: The National Security World, the Cold War, and the Origins of Globalism. Amherst, MA: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Pravda, Alex (2010).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1990–1991". In Leffler, Melvyn P.; Westad, Odd Arne.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Cold War, Volume 3: Finding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356–377. Rutland, Robert (1985). The Myth of the Plan: Lessons of Soviet Planning Experience. London: Hutchinson. Сергей Кара-Мурза(2004). Советская цивилизация. От начала до Великой Победы. ISBN 5-699-07590-9. Сергей Кара-Мурза(2004). Советская цивилизация. От Великой Победы до наших дней. ISBN 5-699-07591-7.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소련의_경제&oldid=24498905" 분류: 소련의 경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Català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atviešuNederlands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9일 (토) 13:5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 문서는 소련의 경제에 관한 것이다. 소련은 1989년 3월까지 국유화와 사회주의 계획 경제로 경제를 운영했다. 소련 경제의 특징은 국가의 투자 통제와 산업 자산에 대한 직접적인 소유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노동자 독재 운영 시스템이 조금씩 잦아지는 해는 언제부터 언제까지일까? Assistant: 1921년부터 1928년 Human: 아래 소닉_어드벤처_2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소닉 어드벤처 2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닉 어드벤처 2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소닉 어드벤처 2개발사 소닉 팀배급사 세가디자이너 나카 유지(프로듀서)이이즈카 타카시(감독/레벨 디자이너)작곡가 세노우에 준 (음악 감독) 케니치 토코이 쿠마타니 푸미 오타니 토마야 엔진 카나토 테슈 (메인 프로그래머)플랫폼 드림캐스트, 닌텐도 게임큐브, 플레이스테이션 네트워크, 엑스박스 라이브, PC출시일 드림캐스트 2001년 6월 19일 2001년 6월 23일 2001년 6월 23일닌텐도 게임큐브 2001년 12월 20일 2002년 2월 11일 2002년 5월 3일플레이스테이션 네트워크 2012년 10월 2일 2012년 10월 3일 2012년 10월 4일엑스박스 라이브 2012년 10월 5일PC 다운로드 2012년 11월 19일장르 플랫폼모드 싱글플레이, 멀티플레이 (2인 플레이)미디어 GD-ROM, 닌텐도 옵티컬 드라이브입력장치 게임 컨트롤러이전작 소닉 어드벤처후속작 소닉 히어로즈 소닉 어드벤처 2(일본어: ソニックアドベンチャー2,영어: Sonic Adventure 2)는 2001년 6월 23일에 세가의 간판 게임 시리즈인 소닉의 10주년을 기념하여 제작된 게임이다. 세가에서 발매하였고 제작은 소닉팀이 담당하였다. 이 게임은 드림캐스트 게임으로 발매되었다. 목차 1 개요 2 줄거리 2.1 히어로 사이드 2.2 다크 사이드 2.3 라스트 사이드 3 캐릭터 3.1 히어로 사이드 3.2 다크 사이드 4 게임 시스템 4.1 싱글플레이 4.2 멀티플레이 4.3 챠오 월드 5 스테이지 6 소닉 어드벤처 2 : 배틀 7 Origianal Sound Track 8 각주 9 외부 링크 개요[편집] 소닉 어드벤처의 속편이나, 전작과의 내용상 관련은 거의 없다. (대사 중에 전작과 연관되어 있는 내용이 단편적으로 언급되는 정도고 스테이지 중간중간에 빅이 재미거리로 나온다.) 플레이어 캐릭터는 전작과 마찬가지로 6명이지만, 2p 플레이에서는 좀 더 늘어난다. 어드벤처 필드는 삭제되었다. 또한 새로운 캐릭터로 섀도우 더 헤지호그와 루즈 더 벳이 등장하였다. 줄거리[편집] 히어로 사이드[편집] 소닉은 길을 걸어가다 영문을 모른 채 G.U.N(Guardian Units of Nation)에게 헬기로 감옥으로 수송되던 도중, 간신히 헬기를 탈출하게 된다. 그리고 도망치다, 자신과 닮아서 감옥에 갇히게 만든 범인 섀도우 더 헤지호그를 만나게 된다. 그는 소닉에게 자기 소개를 하다 G.U.N이 오자, 카오스 컨트롤로 도망치게 되고, 결국 소닉은 다시 잡혀서 감옥에 수감되게 된다. 그러나 테일즈가 감옥 바깥의 에그맨을 무찌르고, 에이미가 감옥에 쳐들어와서 소닉을 탈옥시킨다. 감옥이 있는 그 섬을 도망치다가, 섀도 더 헤지호그를 만나게 되었고, 둘이 겨루다 에그맨의 호출로 인해 섬을 폭발시킬 것임을 알아냈다. 그래서 그들은 섬을 탈출하였고, 에그맨의 위협 방송을 듣고, 저지하러 ARK로 간다.[1] 다크 사이드[편집] 에그맨은 G.U.N.의 네트워크를 해킹한 이후, G.U.N에게 비밀 병기가 있음을 알아챘다. 그래서 G.U.N.의 기지로 쳐들어가서 비밀 병기 캡슐의 봉인을 해제했으나, 소닉인 줄 알고 착각하였지만, 그것이 아님(말하자면 섀도우)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섀도우는 에그맨을 생포하려는 로봇을 부수고 별을 파괴하는 기계인 ARK가 존재함을 알려주었다. 그래서 에그맨은 별을 부술 수 있을 정도의 카오스 에메랄드를 모아 사막의 발사 기지로 가서 ARK로 이동해간다. 그리고는 ARK에서는 달을 반쯤 부수는 내용을 포함한 방송을 지구 상에 내보내 위협을 한다. 그리고 에그맨은 지상으로 내려와 GUN의 기지인 프리즌 아일랜드를 파괴하고 ARK로 카오스 에메랄드를 가져온다.[2][3] 라스트 사이드[편집] 에그맨은 자신이 모은 모든 카오스 에메랄드를 ARK에 넣는다. 그러자마자, ARK가 지구를 향해 발사 준비를 하기 시작한다. 자신의 할아버지인 제럴드 교수가 카오스 에메랄드를 모두 모으면 ARK가 지구를 부수도록 설계했던 것을 알아차버린 에그맨은 소닉과 함께 캐논즈 코어에 가서 막기 시작한다. 그러나, 섀도우는 캐논즈 코어에 가서 그 일에 동참하지 않았다. 하지만 에이미가 섀도우를 설득해서, 결국 섀도우는 함께 바이오리자드를 공격해 바이오리자드를 막기 시작한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자, 바이오리자드가 바이오하자드로 진화하기 시작했고, 섀도우는 소닉과 함께 슈퍼 섀도우와 슈퍼 소닉으로 변신해 바이오하자드를 사망시켜, 지구를 파괴시키는 것을 막았다. 그리고 섀도우는 소닉과 함께 카오스 컨트롤로 추락하는 ARK를 이동시킨다. 그 뒤, 섀도우는 기력이 다해 지구로 떨어졌다(정황상으로 봐서 낙사했을 가능성이 높음).[4][5] 캐릭터[편집] 히어로 사이드[편집] 소닉 더 헤지호그 성우 - 카네마루 준이치/라이언 드러먼드 마일즈 "테일즈" 파우어 성우 - 무라타 아츠키/코너 브링거스 너클즈 디 에키드나 성우 - 칸나 노부토시/스콧 드리어 다크 사이드[편집] 섀도 더 헤지호그 성우 - 유사 코지/데이비드 험프리 닥터 에그맨 성우 - 오오츠카 치카오/딤 브리스토 루즈 더 뱃 성우 - 오치아이 루미/레니 미넬라 게임 시스템[편집] 싱글플레이[편집] 스토리 모드에서는 히어로 사이드와 다크 사이드의 어느 한 진영을 선택하여 진행해 나가게 된다. 히어로 사이드에는 소닉, 테일즈, 너클즈가, 다크 사이드에서는 섀도, Dr.에그맨, 루즈가 각각 소속되어 있으며, 게임 진행에 따라 조작 캐릭터는 자동으로 바뀐다. 소닉과 섀도는 전형적인 소닉 시리즈의 진행방식이며, 테일즈, 에그맨은 록온을 하며 스테이지를 클리어 해가는 전작의 감마와 비슷한 형식이다. 하지만, 시간 제한은 없다. 너클즈와 루즈는 전작과 같이 너클즈가 깨버린 에메랄드를 모으는 식으로 스테이지를 클리어 해간다. 소닉 어드벤처2에 있는 모든 엠블럼을 모으면 스페셜 스테이지인 그린 힐(영어: Green Hill)이 열린다.[6] 그리고 다크 진영과 히어로 진영을 모두 클리어하면 라스트 진영이 열린다. 멀티플레이[편집] 멀티플레이는 2인 플레이만 지원된다. 각 캐릭터마다 승부를 겨루는 방식이 다른 데, 닥터 에그맨과 테일즈는 누가 먼저 쓰러뜨리느냐에 따라 승패가 결정된다. 루즈와 너클즈는 누가 먼저 카오스 에메랄드를 모두 찾아내는지에 따라 승패가 결정된다. 또한 소닉과 섀도는 누가 먼저 골에 도착하는지에 따라 승패가 결정된다.[7] 멀티플레이 시에만 사용 가능한 캐릭터[8] 또한 존재한데, 성능은 같으나 소닉 어드벤처 2 : 배틀에서는 성능이 바뀐다. 챠오 월드[편집] 소닉 어드벤쳐 1와 DX는 타운에서 챠오 가든으로 가야 챠오를 키울수 있는데 이 게임에서는 스테이지에서 키를 얻어야만 한다. 키는 챠오박스에 있다. 스테이지[편집] 히어로 사이드- City Escape(소닉) Wild Canyon(너클즈) Prison Lane(테일즈) Metal Harbor(소닉) Green Forest(소닉) Pumpkin Hill(너클즈) Mission Street(테일즈) Aquatic Mine(너클즈) Route 101(테일즈) Hidden Base(테일즈) Pyramid Cave(소닉) Death Chamber(너클즈) Eternal Engine(테일즈) Meteor Herd(너클즈) Crazy Gadget(소닉) Final Rush(소닉) 다크 사이드- Iron Gate(에그맨) Dry Laggon(루즈) Sand Ocean(에그맨) Radical Highway(섀도) Egg Quarter(루즈) Lost Colony(에그맨) Weapons Bed(에그맨) Security Hall(루즈) White Jungle(섀도) Route 280(루즈) Sky rail(섀도) Mad Space(루즈) Cosmic Wall(에그맨) Fianl Chase(섀도) 소닉 어드벤처 2 : 배틀[편집] 소닉 어드벤처 2: 배틀은 게임큐브판으로 리메이크한 게임이다. 전작과 차이점이 있다면 배틀 기능 강화, 스테이지 부분 수정, 그래픽 성능 향상 등이 있다. 또한 GBA로 발매된 소닉 어드밴스와 연동하면 챠오 월드에 있는 챠오를 데리고 갈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다. Origianal Sound Track[편집] 1.It Doesn't Matter 2.Let's Make it! 3.Escape From The City 4.Vengence Is Mine 5.Lovely Gate 3 6.Unknown From M.E. 7.This Way Out 8.I'm A Spy 9.That's The Way I Like it 10.Rhythm And Balance 11.Won't Stop, Just Go! 12.E.G.G.M.A.N 13.Dive Into The Mellow 14.Rumbling HWY 15.Fly In The Freedom 16.SA2 17.Space Trip Steps 18.Soarin' Over The Space 19.Believe In Myself 20.Highway In The Sky 21.Throw It All Away 22.Deep Inside Of... 23.Supporting Me 24.The Last Scene 25.Live&Learn 26.Chao Race Extended Remix 평가통합 점수통합사점수메타크리틱89/100[9]평론 점수평론사점수에지7/10[10]게임프로4.5/5[11]게임 레볼루션B[12]게임스팟8.6/10[13]IGN9.4/10[14] 각주[편집] ↑ “Sonic Retro, Sonic Adventure 2 Hero Journal”. 2010년 2월 23일에 확인함.  ↑ “Sonic Retro, Sonic Adventure 2 Dark Journal”. 2010년 2월 23일에 확인함.  ↑ “Sonic Adventure 2: Battle [Dark Story] - Part 1”. 2010년 2월 23일에 확인함.  ↑ “Sonic Retro, Sonic Adventure 2 Last Journal”. 2010년 2월 23일에 확인함.  ↑ “Youtube, Sonic Adventure 2 Last Story Part 1”. 2010년 2월 23일에 확인함.  ↑ 그린 힐은 소닉으로만 플레이 가능하다. ↑ “Sonic Adventure 2 - 2-Player Mode”. 2010년 3월 19일 (금)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도움말) ↑ 에이미 로즈, 메탈 소닉, 챠오 워커, 다크 챠오 워커, 티칼 더 에키드나, 카오스 ↑ “Sonic Adventure 2 for Dreamcast Reviews”. Metacritic. 2014년 11월 25일.  ↑ “Sonic Adventure 2”. Edge. February 8, 2002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December 28, 2014에 확인함.  ↑ Four-Eyed Dragon (June 19, 2001). “Sonic Adventure 2”. GamePro. January 2, 200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February 9, 2014에 확인함.  ↑ Liu, Johnny (2001년 7월 1일). “Sonic Adventure 2 Review”. Game Revolution. 2014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Ahmed, Shahed (2001년 6월 19일). “Sonic Adventure 2 Review”. GameSpot. 2013년 5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Chau, Anthony (2001년 6월 22일). “Sonic Adventure 2 Review”. IGN. 2014년 11월 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소닉 어드벤처 2 공식 홈페이지 소닉 어드벤처 2: 배틀 공식 홈페이지 vdeh소닉 더 헤지호그메인 게임콘솔용 소닉 더 헤지호그 (1991) 소닉 2 소닉 CD 소닉 3 소닉 & 너클즈 3D 블래스트 어드벤처 어드벤처 2 히어로즈 소닉 더 헤지호그 (2006) 언리쉬드 소닉 4: 에피소드 1 컬러즈 제너레이션즈 소닉 4: 에피소드 2 로스트 월드 포시즈 매니아 휴대용 소닉 1 소닉 2 카오스 트리플 트러블 블래스트 포켓 어드벤처 어드밴스 어드밴스 2 어드밴스 3 러시 라이벌즈 러시 어드벤처 라이벌즈 2 컬러즈 제너레이션즈 로스트 월드 외전플랫포머소닉 붐 라이즈 오브 리릭 새터드 크리스털 파이어 & 아이스 기타 너클즈 카오틱스 래버린스 테일즈 스카이패트롤 테일즈 어드벤처 섀도 더 헤지호그 비밀의 링 암흑의 기사 레이싱 드리프트 드리프트 2 소닉 R 라이더즈 라이더즈: 제로 그래비티 세가 올스타즈 레이싱 프리 라이더즈 올스타즈 레이싱 트랜스폼드 모바일 점프 (피버) 대시 러너즈 대시 2 아케이드 코스모 파이터즈 소닉 패트롤 카 세가소닉 더 헤지호그 팝콘 숍 파이터즈 애틸릭스 대시 익스트림 마리오와소닉 베이징 올림픽 밴쿠버 동계올림픽 런던 올림픽 소치 동계올림픽 리우 올림픽 기타 이레이저 스핀볼 민 빈 머신 창조적 스튜디오 게임월드 테일즈 앤 뮤직 메이커 스쿨하우스 셔플 핀볼 파티 배틀 크로니클즈 합본 소닉 잼 소닉 컬렉션 소닉 앤 너클즈 컬렉션 메가 컬렉션 젬즈 컬렉션 얼티밋 제네시스 컬렉션 취소된 게임 크래커스 엑스트림 익스트림 등장인물 소닉 더 헤지호그 마일즈 "테일즈" 파우어 너클즈 디 에키드나 에이미 로즈 닥터 에그맨 섀도우 더 헤지호그 애니메이션 바람돌이 소닉 고슴도치 소닉 OVA 언더그라운드 소닉 X 소닉 툰 영화 관련 게임 플리키 리스타 기타 세가 소닉 팀 그린 힐 존 인물 나카 유지 오오시마 나오토 나카무라 마사토 마이크 폴록 세가타 산시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소닉_어드벤처_2&oldid=24186206" 분류: 액션 게임드림캐스트 게임게임큐브 게임2001년 비디오 게임달을 배경으로 한 작품플레이스테이션 3 게임플레이스테이션 네트워크 게임윈도우 게임엑스박스 360 라이브 아케이드 게임3차원 플랫폼 게임숨은 분류: 인용 오류 - 날짜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단일 플랫폼 모드로 비디오 게임 평점 틀을 사용하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Հայերեն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venskaУкраїнська吴语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4:2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소닉 어드벤처 2(일본어: ソニックアドベンチャー2,영어: Sonic Adventure 2)는 2001년 6월 23일에 세가의 간판 게임 시리즈인 소닉의 10주년을 기념하여 제작된 게임이다. 세가에서 발매하였고 제작은 소닉팀이 담당하였다. 이 게임은 드림캐스트 게임으로 발매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소닉 어드벤처 2에서 ARK가 발사되어 파괴 될뻔한 행성은? Assistant: 지구
Human: 아래 월요기획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월요기획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월요기획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월요기획 장르 DO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KBS 1TV 방송 기간 아래 참조 방송 시간 아래 참조 방송 분량 아래 참조 음성 1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자막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 방송중 HD 방송 여부 HD 외부 링크  KBS 월요기획 공식 홈페이지 《월요기획》은 KBS 1TV에서 매주 월요일에 방송된 다큐멘터리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목차 1 기획 의도 2 방송 시간 3 방송 회차 3.1 1기 (1980~1986년) 3.2 2기 (2017~2018년) 4 같이 보기 5 외부 링크 기획 의도[편집] 우리 사회의 곳곳에는 우리가 미처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수많은 현상과 삶의 모습들이 있다. 일반 대중의 삶에서부터 다양한 사회적인 이슈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의 시각으로 우리의 삶을 들여다본다. 방송 시간[편집]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시리즈 구성 KBS 1TV 1981년 ~ 1985년 7월 1기 1985년 7월 ~ 1987년 2월 23일 매주 월요일 저녁 7:40 ~ 8:35 2017년 6월 5일 ~ 2017년 8월 28일 매주 월요일 밤 11:40 ~ 12:30 2기 2018년 2월 12일 2018년 4월 9일 ~ 2018년 4월 30일 2017년 9월 11일 매주 월요일 밤 10:40 ~ 11:30 2017년 10월 30일 2017년 9월 25일 ~ 10월 23일 매주 월요일 밤 11:10 ~ 12:00 2017년 11월 6일 2017년 11월 20일 ~ 12월 4일 2017년 12월 18일 2017년 11월 13일 매주 월요일 밤 11:25 ~ 12:15 2017년 12월 11일 매주 월요일 밤 11:15 ~ 12:05 2018년 2월 5일 매주 월요일 밤 11:30 ~ 12:20 2018년 3월 26일 ~ 4월 2일 2018년 3월 12일 매주 월요일 밤 11:05 ~ 11:55 방송 회차[편집] 1기 (1980~1986년)[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2기 (2017~2018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부제 시청률 1회 2017년 6월 5일 이상의 밥, 학교급식의 변신 2.2% 2회 2017년 6월 12일 <한국 - 부탄 수교 30주년 특집다큐> 변화하는 부탄, 그곳에 가다 3.5% 3회 2017년 6월 19일 치명적 유혹, 마약 - 1편 가까이 다가온 마약 2.7% 4회 2017년 6월 26일 치명적 유혹, 마약 - 2편 마약국가에서 길을 찾다 2.6% 5회 2017년 7월 3일 무역전쟁, 최전선(最前線)의 사람들 2.6% 6회 2017년 7월 10일 치킨산업, 세계시장을 겨냥하다 2.7% 7회 2017년 7월 17일 더불어 숲, 행복으로 길을 내다 2.9% 8회 2017년 7월 24일 영상포엠, 아시아의 소리 - 1부 산, 생명의 소리를 품다 2.2% 9회 2017년 7월 31일 영상포엠, 아시아의 소리 - 2부 강으로 흐르는 영혼의 소리 2.3% 10회 2017년 8월 7일 영상포엠, 아시아의 소리 - 3부 땅이 빚어낸 풍요의 소리 2.3% 11회 2017년 9월 11일 파워농촌, 6차 산업이 뜬다 6.4% 12회 2017년 9월 25일 바다, 황금밭이 되다 3.2% 13회 2017년 10월 16일 댐의 재발견 3.1% 14회 2017년 10월 23일 행복한 나눔의 밥상, 푸드뱅크 3.1% 15회 2017년 10월 30일 루터, 시민정신에 날개를 달다 2.1% 16회 2017년 11월 6일 인삼, 세계를 매혹시키다 3.4% 17회 2017년 11월 13일 우리는 오늘도 김포공항에 간다 3.8% 18회 2017년 11월 20일 미래세대 제언 시민을 키우고 정치를 배운다 2.3% 19회 2017년 11월 27일 숲, 우리를 키우다 4.1% 20회 2017년 12월 4일 공공의 적, 보험사기 2.6% 21회 2017년 12월 11일 태권도, 다시 세계를 품다 1부 - 태권한류 미래를 심다! 2.6% 22회 2017년 12월 18일 태권도, 다시 세계를 품다 2부 - 무예를 넘어 문화가 되다! 3.0% 23회 2018년 1월 8일 자율주행차, 꿈을 달리다 미집계 24회 2018년 1월 22일 아름다운 8년, 에너지 한류가 되다 3.3% 25회 2018년 1월 29일 물, 첨단기술을 만나다 2.3% 26회 2018년 2월 5일 공항경쟁 시대, 세계의 하늘을 품어라 2.7% 27회 2018년 2월 12일 G-프렌즈 청춘의 꿈을 응원하다 2.6% 28회 2018년 2월 19일 어촌의 진화, 새길을 찾다 2.4% 29회 2018년 3월 12일 어촌의 진화, 새길을 찾다 2.4% 30회 2018년 3월 26일 엄마는 전쟁 중, 게임의 해법을 찾아라 3.0% 31회 2018년 4월 2일 노화를 막는 열쇠, 뿌리 미집계 32회 2018년 4월 9일 현장기록, 사회복지사가 만나는 세상 2.0% 33회 2018년 4월 16일 치매,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2.2% 34회 2018년 4월 23일 지진의 경고 - 1부 지진, 우리는 너무 몰랐다 2.2% 35회 2018년 4월 30일 지진의 경고 - 2부 지진 이후,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2.7% 같이 보기[편집] 수요기획 목요기획 금요기획 외부 링크[편집] KBS 월요기획 공식 홈페이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월요기획&oldid=24364293" 분류: 한국방송공사의 시사교양 프로그램월요일숨은 분류: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3일 (월) 01:3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월요기획》은 매주 월요일에 방송되었던 KBS 1TV에서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월요기획 1기는 언제 방송을 시작했을까? Assistant: 1981년 Human: 아래 2014년_아시안_게임_축구_여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4년 아시안 게임 여자 축구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는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의 세부 종목이다. 2014년 9월 14일부터 2014년 10월 1일까지 진행되었다. 개최국 대한민국 개최 도시 인천 개최 기간 2014년 9월 14일 - 10월 1일 경기장 인천축구전용경기장인천문학경기장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 참가국 11팀개국 메달리스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번째 우승)  일본  대한민국 «  2010 광저우 2018 자카르타 » 2014년 아시안 게임축구   남자     여자 목차 1 경기장 2 조별 리그 2.1 A조 2.2 B조 2.3 C조 2.4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3 결선 토너먼트 3.1 8강전 3.2 준결승전 3.3 3,4위전 3.4 결승전 4 우승국 5 최종 순위 6 메달리스트 7 각주 경기장[편집] 도시 경기장 원어명 로마자 수용 인원 경기 주석 인천 인천축구전용경기장 준결승전 동메달 결정전 고양 고양종합운동장 8강전 인천 인천문학경기장 여자 A조 여자 B조 결승전 안산 안산와스타디움 8강전 화성 화성종합경기타운 8강전 인천 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 여자 A조여자 B조여자 C조 조별 리그[편집] A조[편집]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대한민국 3 3 0 0 28 0 +28 9 태국 3 2 0 1 20 5 +15 6 인도 3 1 0 2 15 20 -5 3 몰디브 3 0 0 3 0 38 -38 0 9월 14일 14:00 인도 15 : 0 몰디브 남동 아시아드 럭비장, 인천 심판: 나미 이마이즈미 말리크  5'  21'  26'  80'  88'윰남  18'  23'  31'  45+2'  65' 은간곰  20'  45+1'로이통밤  53' 벰벰  55' 이롬  90+4' 9월 14일 20:00 대한민국 5 : 0 태국 남동 아시아드 럭비장, 인천 심판: 왕 지아 정설빈  11'박희영  24'유영아  59'전가을  80'최유리  90+3' 9월 17일 14:00 태국 10 : 0 몰디브 남동 아시아드 럭비장, 인천 심판: JACEWICZ Kathertine Margaret 손사이  23',  40',  45+2',  77' 롬옌  12',  24',  42' 브뚜앙  33' 스리마니  58' 시스라움  63' 9월 17일 20:00 대한민국 10 : 0 인도 남동 아시아드 럭비장, 인천 심판: K. 후지코 유영아  9',  45',  63',  65' 전가을  7',  40',  61' 정설빈  49',  79' 박희영  36' 9월 21일 17:00 몰디브 0 : 13 대한민국 인천 문학 경기장, 인천 심판: L. 주안 정설빈  8' 아미나스리자  22' (자책골) 이소담  32' 송수란  35' 박희영  37' 신담영  60' 전가을  62' 권하늘  65',  83' 유영아  68',  81' 조소현  74' 최유리  87' 9월 21일 17:00 태국 10 : 0 인도 남동 아시아드 럭비장, 인천 심판: MAI Hoang Trang Romyen Nisa  8',  9',  16',  39' Sung Ngoen Kanjana  24',  27',  28',  35' Sornsai Pitsamai  47' Seesraum Naphat  90+2' B조[편집]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일본 3 2 1 0 15 0 +15 7 중국 3 2 1 0 9 0 +9 7 중화 타이베이 3 0 1 2 2 9 -7 1 요르단 3 0 1 2 2 19 -17 1 9월 15일 14:00 요르단 2 : 2 중화 타이베이 남동 아시아드 럭비장, 인천 심판: 야리 시바 알나베르 45+7'즈바라 49' 린야한 19'왕 후에이 26' 9월 15일 20:00 일본 0 : 0 중국 남동 아시아드 럭비장, 인천 심판: 김숙희 9월 18일 14:00 중국 4 : 0 중화 타이베이 남동 아시아드 럭비장, 인천 심판: 리베로 마리아 피에다데 한펑  6' 양리  12' 장루이  37' 마쥔  46' 9월 18일 20:00 일본 12 : 0 요르단 남동 아시아드 럭비장, 인천 심판: 마이 호앙 트랑 스가사와 유이카  12',  39',  41' 사카구치 미즈호  20',  22',  71' 가와스미 나호미  5',  81' 키라 치나츠  44',  49'미야마 아야  60' A. 다오드  36' (자책골) 9월 22일 20:00 중화 타이베이 0 : 3 일본 인천 문학 경기장, 인천 심판: Jacewicz Kathertine Margaret Sakaguchi Mizuho  3' Kira Chinatsu  32' Kawasumi Nahomi  85' 9월 22일 20:00 중국 5 : 0 요르단 남동 아시아드 럭비장, 인천 심판: 김숙희 Yang Li  10',  13',  26',  42' Li Dongna  36' C조[편집]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 2 0 0 10 0 +10 6 베트남 2 1 0 1 5 5 0 3 홍콩 2 0 0 2 0 10 -10 0 9월 16일 17:0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5 : 0 베트남 남동 아시아드 럭비장, 인천 심판: L.주안 김연미  5',  10' 김언주  21' 리예경  41' 정유리  84' 9월 20일 17:00 홍콩 0 : 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남동 아시아드 럭비장, 인천 심판: JACEWICZ Kathertine Margaret 위종심  8' 리예경  57',  64' 허은별  67' 리은심  83' 9월 23일 17:00 베트남 5 : 0 홍콩 남동 아시아드 럭비장, 인천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편집] A, B조는 각 조의 최하위 팀과의 성적을 제외한 두 경기의 성적으로 각 조의 세 팀의 성적을 비교하여 두 팀이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중화 타이베이 2 0 0 2 0 7 -7 0 홍콩 2 0 0 2 0 10 -10 0 인도 2 0 0 2 0 20 -20 0 결선 토너먼트[편집] 8강전 준결승전 결승전                     9월 26일 - 인천           대한민국  1 9월 29일 - 인천   중화 타이베이  0     대한민국  1 9월 26일 - 안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10월 1일 - 인천   중국  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 9월 26일 - 화성     일본  1   일본  9 9월 29일 - 인천   홍콩  0     일본  3 3·4위전 9월 26일 - 고양     베트남  0     태국  1   대한민국  3   베트남  2     베트남  0 10월 1일 - 인천 8강전[편집] 9월 26일 16:00 태국 1 : 2 베트남 고양종합운동장, 고양 9월 26일 16:0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 0 중국 안산와스타디움, 안산 9월 26일 20:00 일본 9 : 0 홍콩 화성종합경기타운, 화성 9월 26일 20:00 대한민국 1 : 0 중화 타이베이 인천문학경기장, 인천 준결승전[편집] 9월 29일 17:00 일본 3 : 0 베트남 인천축구전용경기장, 인천 9월 29일 20:00 대한민국 1 :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천문학경기장, 인천 3,4위전[편집] 10월 1일 17:00 대한민국 3 : 0 베트남 인천축구전용경기장, 인천 결승전[편집] 10월 1일 20:0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 : 1 일본 인천문학경기장, 인천 우승국[편집]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우승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번째 우승 최종 순위[편집] 순위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승점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5 5 0 0 16 3 +13 15 2 일본 6 4 1 1 28 3 +25 13 3 대한민국 6 5 0 1 33 2 +31 15 4 베트남 5 2 0 3 7 12 -5 6 5 중국 4 2 1 1 9 1 +8 7 6 태국 4 2 0 2 21 7 +14 6 7 중화 타이베이 4 0 1 3 2 10 -8 1 8 홍콩 3 0 0 3 0 19 -19 0 9 인도 3 1 0 2 15 20 -5 3 10 요르단 3 0 1 2 2 19 -17 1 11 몰디브 3 0 0 3 0 38 -38 0 메달리스트[편집] 종목 금 은 동 여자 축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대한민국 각주[편집] vdeh2014년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골프 공수도 근대5종 농구 다이빙 럭비 레슬링 배구 배드민턴 복싱 볼링 비치발리볼 사격 사이클 세팍타크로 소프트볼 수구 수영 스쿼시 승마 싱크로나이즈 야구 양궁 역도 요트 우슈 유도 육상 정구 조정 체조 축구 카누 카바디 크리켓 탁구 태권도 테니스 트라이애슬론 펜싱 하키 핸드볼 vdeh아시안 게임 축구 1951 1954 1958 1962 1966 1970 1974 1978 1982 1986 1990 (남・여) 1994 (남・여) 1998 (남・여) 2002 (남・여) 2006 (남・여) 2010 (남・여) 2014 (남・여) 2018 (남・여) 메달리스트 목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4년_아시안_게임_축구_여자&oldid=24353222" 분류: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РусскийTiếng Việt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31일 (금) 16:0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는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의 세부 종목이다. 2014년 9월 14일부터 2014년 10월 1일까지 진행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조별 리그에서 A조의 경기결과는 어떠한가? Assistant: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대한민국 3 3 0 0 28 0 +28 9 태국 3 2 0 1 20 5 +15 6 인도 3 1 0 2 15 20 -5 3 몰디브 3 0 0 3 0 38 -38 0
Human: 아래 성수대교_붕괴_사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성수대교 붕괴 사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성수대교 붕괴 사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성수대교 붕괴 참사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성수대교 붕괴 사고 성수대교 붕괴 사고 현장날짜 1994년 10월 21일시간 아침 7시 38분 (KST)[1]위치 서울특별시 성동구 옥수동최초 보고자 서울성동소방서참여자 동아건설, 서울특별시청원인 부실공사 피해사망자 32명부상자 17명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성수대교 붕괴 사고 성수대교 붕괴 사고(聖水大橋崩壞事故)는 1994년 10월 21일 서울특별시의 한강에 위치한 성수대교의 상부 트러스가 무너져내려 일어난 사고다. 이 사고로 17명이 다치고 32명이 사망하여 총 49명의 사상자를 냈다. 목차 1 사고 내용 2 붕괴 원인 2.1 점검 부실 2.2 내부 결함 2.3 과적차량의 통과 3 피해 사항 4 사고 이후 4.1 서울특별시 대책본부 설치 4.2 구조 활동 4.3 교통 정리 4.4 서울특별시장의 경질 4.5 재건설 5 관련 작품 5.1 노래 5.2 영화 5.3 텔레비전 드라마 6 같이 보기 7 사진 8 각주 사고 내용[편집] 1994년 10월 21일 오전 7시 38분경에 제5·6번 교각 사이 상부 트러스 약 50m가 붕괴해 무너지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사고부분을 달리던 승합차 1대와 승용차 2대는 현수 트러스와 함께 한강으로 추락했고, 붕괴되는 지점에 걸쳐 있던 승용차 2대는 물속으로 빠졌다. 지나가던 한성운수 소속 16번 시내버스는 통과 도중 뒷바퀴가 붕괴 지점에 걸쳐있다가 차체가 뒤집혀 추락한 후, 떨어진 상판에 박혀 찌그러지는 바람에 등교길의 학생들을 비롯한 승객들이 사고를 당하였다. 버스 추락으로 사망한 사람은 29명이다.[2] 사고 차량 중 승합차에는 제49주년 경찰의 날[3]을 맞아 우수 중대로 선정되어 표창을 받기 위해 본대로 가던 의경들이 타고 있었는데, 이들은 사고 발생후 전원 무사하여 헌신적으로 피해자들을 구조했다.[4] 붕괴 원인[편집] 점검 부실[편집] 성수대교는 건설될 당시, 트러스식 다리로 건설되었다. 하지만 트러스식 공법은 이음새가 잘못되면 무너지기 쉬운 공법이었다. 뿐만 아니라 안정 시공인 이음새 핀 등의 세부 요소들을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하는데, 이러한 안전점검 조치를 소홀히 하였다.[5] 내부 결함[편집] 성수대교 건설 당시 다리 밑 부분을 이루고 있는 트러스가 제대로 연결되지 않았으며, 연결 부분도 심하게 녹슬었을 뿐만 아니라 다리 위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키는 이음새에도 결함이 있었다.[6] 공사 도중 볼트 삽입 과정에도 문제가 있었다. 볼트를 무리하게 집어넣다가 구멍의 모양이 변형되어 볼트의 강도가 약해졌다.[7] 과적차량의 통과[편집] 붕괴 전의 성수대교 설계 하중은 DB-18(총중량 32.1t)이었지만, 이를 초과하는 과적 차량들이 자주 통과하였다. 이로써 성수대교는 40t이 넘는 차량들의 압력을 받았기에 붕괴는 예견되어 있었다.[8] 특히, 붕괴되기 전 해였던 1993년 서울 동부간선도로(성수대교~의정부 구간)가 개통되면서 교통량은 더욱 폭증했으나, 서울시에서는 이렇다할 대책을 내놓지 않았다. 피해 사항[편집] 32명(남 16명, 여 16명)이 숨지고, 17명이 부상을 입어 총 49명의 사상자를 낸 사고였다. 이 사고는 해외에도 크게 보도되어 건설업계에 큰 타격을 입혔을 뿐만 아니라 국가 이미지도 크게 훼손되었다. 사망자 중에 무학여자고등학교 학생 8명과 무학여자중학교 학생 1명,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생 1명, 필리핀인 아델 아이다 등으로 이 중 외국인 1명이 포함되어 있었다.[9] 사망자 중 한 명인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생은 장기를 의대생 실습용으로 기증하였다.[10] 사상자 현황 사망자 부상자 국적 인원 인원 대한민국 31 17 필리핀 1 - 합계 32 17 사고 이후[편집] 서울특별시 대책본부 설치[편집] 사고 발생 직후 서울특별시는 대책본부를 설치한 후 서울특별시장을 본부장으로 8개반을 편성 후 활동을 시작하였다.[11][12] 구조 활동[편집] 경찰에 의해 교통이 통제되고, 소방대와 119구조대는 구급차를 출동해 사상자를 구조하였다. 해난구조대는 잠수요원을 출동해 시신을 인양하고, 15개의 병원에 사망자를 안치, 6개의 병원에 부상자를 후송하였다.[13][14] [9] 교통 정리[편집] 성수대교 붕괴 이후 교통량 분산을 검토한 후 우회도로 안내판을 설치하여 영동대교, 동호대교로 교통량을 분산하고, 교통신호 주기를 조정하였다.[15][16][17] 또한, 성수대교를 통과하던 시내버스 노선도 변경되었다.[18] 서울특별시장의 경질[편집] 사고 당일 오후 7시에 사고의 책임을 물어 이원종 서울특별시장이 경질되었고, 우명규 시장을 거쳐 11월 3일 최병렬이 시장으로 부임했다.[19] 또한 개원 중이던 국회가 일체 중지되었고, 24일 김영삼 대통령이 대국민 특별담화문을 전국 TV를 통해 발표하고 국민에게 사과하였다.[20] 재건설[편집] 붕괴 이후 토목학계는 무너지지 않은 부분을 그대로 수리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의견을 냈으나, 시민들의 정서를 감안해 새로 건설하는 방향으로 결정되어 1995년 4월 26일부터 현대건설이 새로 건설하기 시작해, 1997년 7월 3일에 직선 차선만 완성되었으며 이후 확장공사가 예정되어 있기 때문에 램프를 건설하지 못하였다.확장공사는 1998년 12월 31일 폭과 길이 확장공사 진입램프 신설을 하고 2004년 9월 최종 완성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21][22] 한편, 성수대교 붕괴 사고 여파로 인해 같은 트러스식 공법으로 시공된 당산철교도 안전 점검 후폭풍이 일게 되어 1997년 1월 1일부터 철거 및 재건설에 들어갔고, 1999년 11월 22일에 다시 개통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관련 작품[편집] 노래[편집] 〈성수대교〉 (1995년 5월) 가수 : DJ DOC 앨범 : 《2집 머피의 법칙》 영화[편집] 《청포도 사탕: 17년 전의 약속》 (2012년 9월) 감독 : 김희정 텔레비전 드라마[편집] 드라마 스페셜 《딸기 아이스크림》 (2011년, KBS 2TV) 《감자별 2013QR3》 (2013년, tvN) 극중 나진아(하연수 분)는 이 사건으로 아버지(강남길 분)를 잃어 밤을 무서워하는 역으로 출연한다. 《시그널》 (2016년, tvN) 제5회에서 한영대교라는 이름으로 성수대교 붕괴 사건이 연상되는 신이 등장한다. 같이 보기[편집] 성수대교 당산철교 신행주대교 붕괴 사건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사진[편집] 각주[편집] ↑ “성수대교 붕괴”. 경향신문. 1994년 10월 21일. 2014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꽝'소리와함께 떨어진 출근길 날벼락 : 네이버 뉴스, 1994-10-21 (2012-06-01 확인) ↑ 제49회 경찰의 날 기념식 Archived 2016년 3월 5일 - 웨이백 머신 : MBC뉴스, 1994-10-21 (2012-06-10 확인) ↑ 다리와 함께 떨어진 의경들, 목숨건 구조활동 벌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MBC뉴스, 1994-10-21 (2012-05-15 확인) ↑ 성수대교 건설 공법과 붕괴사고 원인은 Archived 2016년 3월 5일 - 웨이백 머신 : MBC뉴스, 1994-10-21 (2012-06-02 확인)성수대교, 정밀 안전점검 한번도 받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나[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MBC뉴스, 1994-10-21 (2012-06-02 확인) ↑ 검찰, 성수대교에 대한 현장검증 실시결과 이미 내정된 붕괴 Archived 2013년 11월 12일 - 웨이백 머신 : MBC뉴스, 1994-10-22 (2012-06-02 확인) ↑ 성수대교 붕괴원인, 상판 이음새의 연결핀 파손으로 추정 Archived 2013년 11월 12일 - 웨이백 머신 : MBC뉴스, 1994-10-22 (2012-06-02 확인) ↑ 성수대교, 설계통과하중 18t 이상 차량 통과 : 네이버 뉴스, 1994-10-21 (2012-06-13 확인)〈緊急診斷〉성수대교 붕괴사고 전문가 진단(3) : 네이버 뉴스, 1994-10-21 (2012-06-13 확인) ↑ 가 나 성수대교 붕괴사고 사망자 32명 명단 : MBC뉴스, 1994-10-21 (2012-05-15 확인) ↑ 성수대교 붕괴사고로 숨진 딸의 장기 의대생실습용으로 기증 Archived 2014년 10월 18일 - 웨이백 머신 : MBC뉴스, 1994-10-22 (2012-06-02 확인) ↑ 서울시, 사고대책본부 구성 : 네이버 뉴스, 1994-10-21 (2012-06-01 확인) ↑ 국회조사반 조사활동 착수 : 네이버 뉴스, 1994-10-21 (2012-06-01 확인) ↑ 출근길 날벼락, 성수대교 붕괴사고 현장 늦장 구조활동 Archived 2014년 4월 19일 - 웨이백 머신 : MBC뉴스, 1994-10-21 (2012-05-15 확인) ↑ 李국방, 성수대교 사고 구조 작업 특별지시 : 네이버 뉴스, 1994-10-21 (2012-06-01 확인) ↑ 영동대교.동호대교로 교통량 분산 : 네이버 뉴스, 1994-10-21 (2012-06-01 확인) ↑ 성수대교 붕괴와 한강 다리 보수공사로 인한 연말 교통 대란 Archived 2014년 3월 14일 - 웨이백 머신 : MBC뉴스, 1994-12-02 (2012-06-01 확인) ↑ 서울 경찰청,서울시의 교통난 해소책 내놔 Archived 2014년 3월 14일 - 웨이백 머신 : MBC뉴스, 1994-12-15 (2012-06-01 확인) ↑ 성수대교 통과하던 시내버스 노선 변경 Archived 2016년 3월 5일 - 웨이백 머신 : MBC뉴스, 1994-10-22 (2012-06-01 확인) ↑ 이원종 서울시장 경질 Archived 2014년 10월 18일 - 웨이백 머신 : MBC뉴스, 1994-10-21 (2012-05-15 확인) ↑ 김영삼대통령, 성수대교 참사와 관련한 대국민 사과문 발표 Archived 2014년 10월 18일 - 웨이백 머신 : MBC뉴스, 1994-10-23 (2012-05-15 확인) ↑ 성수대교 복구공사 착공 Archived 2014년 10월 18일 - 웨이백 머신 : MBC뉴스, 1995-04-26 (2012-05-15 확인) ↑ 한강 성수대교 붕괴된지 2년8개월만에 22일 재개통, 2등교에서 1등교로 탈바꿈 : MBC뉴스, 1997-06-21 (2012-05-15 확인) vdeh 대한민국의 도로 사고1950년대 오산 건널목 군용트럭 사고 (1954년) 1970년대 추풍령 고속버스 추락 참사 (1970년) 광진교 버스 추락 (1973년) 1980년대 천호대교 버스 추락 (1988년) 1990년대 섬강교 버스 추락 (1990년) 소양호 버스 추락 (1990년) 성수대교 붕괴 (1994년) 2000년대 진주 관광버스 추락 (2001년) 서해대교 연쇄 추돌 (2006년) 2010년대 인천대교 시외버스 추락 (2010년) 서울 시내버스 폭발 (2010년) 창원 시내버스 추락 (2014년) 레이디스 코드 교통 사고 (2014년) 청주 크림빵 뺑소니 사건 (2015년) 중앙고속도로 연쇄 추돌 사고 (2015년) 영종대교 연쇄 추돌 사고 (2015년) 지안 버스 추락 사고¹ (2015년) 남해고속도로 연쇄 추돌 사고 (2016년) 경부고속도로 관광버스 사고 (2016년) 윤창호 사건 (2018년) 고양시 온수배관 파열사고 (2018년) 살인 사건 철도 사고 항공 사고 해양 사고 도로 사고 화재 사고 군사 사건 성범죄 사건 아동 학대 사건 폭발 사고 방송 사고 붕괴 사고 ¹: 대한민국 외 지역에서 발생한, 2인 이상 한국인이 연관된 사고 vdeh 대한민국의 붕괴 사고1960년대 대구 청구대 붕괴 사고 (1967년) 1970년대 와우아파트 붕괴 참사 (1970년) 1980년대 서울 3호선 지하철 공사 현장 붕괴 사고 (1982년) 1990년대 우암상가아파트 붕괴 사고 (1993년) 성수대교 붕괴 사고 (1994년)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1995년) 2000년대 대구 신남네거리 지하철 공사 현장 붕괴 사고 (2000년) 이천 물류창고 붕괴 사고 (2005년) 나산백화점 붕괴 사고 (2008년) 2010년대 노량진 배수지 수몰 사고 (2013년) 경주 마우나오션리조트 체육관 붕괴 사고 (2014년) 판교 공연장 환풍구 붕괴 사고 (2014년) 사당종합체육관 공사장 붕괴 사고 (2015년) 용산 상가 붕괴 사고 (2018년) 살인 사건 철도 사고 항공 사고 해양 사고 도로 사고 화재 사고 군사 사건 성범죄 사건 아동 학대 사건 폭발 사고 붕괴 사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성수대교_붕괴_사고&oldid=24232658" 분류: 1994년 재난교량 사고1994년 대한민국서울 성동구의 역사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7일 (금) 03: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성수대교 붕괴 사고(聖水大橋崩壞事故)는 1994년 10월 21일 서울특별시의 한강에 위치한 성수대교의 상부 트러스가 무너져내려 일어난 사고로 이 사고로 인해 32명이 사망하고 17명이 부상당하는 등 총 49명의 사상자를 낸 대한민국 역사상 최악의 참사 가운데 하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성수대교 붕괴로 입은 피해는 어느정도였어? Assistant: 1994년 10월 21일 오전 7시 38분경에 제5·6번 교각 사이 상부 트러스 약 50m가 붕괴해 무너지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사고부분을 달리던 승합차 1대와 승용차 2대는 현수 트러스와 함께 한강으로 추락했고, 붕괴되는 지점에 걸쳐 있던 승용차 2대는 물속으로 빠졌다. 지나가던 한성운수 소속 16번 시내버스는 통과 도중 뒷바퀴가 붕괴 지점에 걸쳐있다가 차체가 뒤집혀 추락한 후, 떨어진 상판에 박혀 찌그러지는 바람에 등교길의 학생들을 비롯한 승객들이 사고를 당하였다. 버스 추락으로 사망한 사람은 29명이다.[2] Human: 아래 창녕_관룡사_약사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창녕 관룡사 약사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창녕 관룡사 약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창녕관룡사약사전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창녕 관룡사 약사전(昌寧 觀龍寺 藥師殿) 대한민국의 보물 종목 보물 제146호 (1963년 1월 21일 지정)수량 1동시대 조선시대소유 관룡사위치 창녕 관룡사 약사전주소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화왕산관룡사길 171, 관룡사좌표 북위 35° 31′ 54.74″ 동경 128° 33′ 14.14″ / 북위 35.5318722° 동경 128.5539278°  / 35.5318722; 128.5539278좌표: 북위 35° 31′ 54.74″ 동경 128° 33′ 14.14″ / 북위 35.5318722° 동경 128.5539278°  / 35.5318722; 128.5539278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창녕 관룡사 약사전(昌寧 觀龍寺 藥師殿)은 경상남도 창녕군, 관룡사 사찰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46호로 지정되었다. 목차 1 개요 2 특징 3 사진 4 같이 보기 5 참고 자료 개요[편집] 관룡사는 신라시대 8대 사찰 중 하나로 절의 역사에 관한 뚜렷한 기록은 없다. 임진왜란 때 약사전만 남기고 다른 건물들은 모두 불에 타버렸다고 한다. 약사전은 조선 전기의 건물로 추정하며, 건물 안에는 중생의 병을 고쳐 준다는 약사여래를 모시고 있다. 규모는 앞면 1칸·옆면 1칸으로 매우 작은 불당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으로,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은 간결한 형태는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이다. 이와 비슷한 구성을 가진 《영암 도갑사 해탈문》(국보 제50호), 《순천 송광사 국사전》(국보 제56호)과 좋은 비교가 된다. 옆면 지붕이 크기에 비해 길게 뻗어 나왔는데도 무게와 균형을 잘 이루고 있어 건물에 안정감을 주고 있다. 몇 안되는 조선 전기 건축 양식의 특징을 잘 보존하고 있는 건물로, 작은 규모에도 짜임새가 훌륭하여 건축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특징[편집] 관룡사는 '약사전 상량문'에 따르면 영화9년(353)으로 기록되어 그 연대가 확실하지 않지만 별지 연혁기록과 같이 조선시대 말까지 계속하여 수리가 된 절이다. 이 건물은 위 '약사전 상량문'에 따르면 "영화9년 계축2일로 되었고, 대명정덕 2년 정묘(1507)에 중창하고 만력 37년(1609)에 또 중창하였다"하여 전기 사적기에서는 이 건물만이 임진왜란의 피해를 입지 않고 남았었다고 했다. 그러므로 이 건물의 건축연대는 후술하는 가구의 특징 등을 종합하여 볼때 1507년인 조선초기의 것으로 짐작된다. 그 후 중수와 수리에 대한 기록은 다음과 같다. 재창 1507(중종 2년) 삼창 1609(광해군 1년) 단청 1713(숙종 39년) 수선 숙종연간 단청 1729(영조 5년) 사창 1821(순조 21년) 사찰의 남서편에 위치한 이 건물은 남측에서 보아 높이 마련된 자연석축 기단 위에 전면, 측면 공히 단칸으로 된 소규모의 주심포 맞배집으로 한눈으로 보아 측면의 박공이 주심에서 길게 나와 있음이 그 특징이다. 건축의 양식적인 측면에서 대체적으로 원형에 가까운 형태로 만든 초석위에 세운 기둥에는 고식의 배흘림을 갖고 있으며 건물의 전면은 궁창판 있는 정자살 사분합문을 하고 있고, 그 외의 벽체는 모두 심벽을 치고 있다. 내부 바닥은 변귀틀을 돌리고 동면 장귀틀을 하나 걸쳐 짠 우물마루이고 천장은 연등천장으로 가구가 잘 보이게 했으며 후면 중안에 좀 둔하게 느껴지는 좌대위에 석불좌상을 봉안하고 있다. 집의 가구는 전후 출목을 제외한 5량집이며 보는 한칸집으로 양측벽에서만 걸리는데 대량 위 양쪽 중간부에 판대공으로 된 동자주를 세우고 중종보를 걸치게 하였다. 이 중보는 그 양 끝이 주심도리 내측으로 우미량 처럼 휘어져 내려서 대량위에 닿았고 이 중종보 위에 종보가 얺혔는데 중종보 양측 상부에 소로를 2개씩 놓고 화반형 용마루도리 받침 대공을 올려 놓았다. 또 각 동자주와 대공에서는 첨차를 직각으로 올려 놓을 수 있게 소로를 놓고 그 위에서 우미량과 직각되게 쌍s형 첨차를 놓고 이 위에 다시 소로를 놓아 장여 또는 중도리를 받치고 있다. 특히 도리는 굴도리(원통형)인데 양측의 중도리만 납도리(사각방주)를 하고 있다. 기둥 위에는 주두를 올려놓고 그 밑에 기둥을 꿰뚫고 나온 창방 뺄목이 마치 헛첨차와 같은 모양을 하여 출목을 받치며 제공을 받고 있다. 제1살미는 외단이 익공과 같이 뾰족하며 내부로는 첨차형 단을 이루어 대량을 받는다. 또 대량의 뺄목 끝은 주심에서부터 수장폭으로 줄어 익공부리와 같은 조각이 되어 있다. 주심도리에서도 같은 방법으로 뺄목을 두고있다. 또 측면 벽쪽에는 첨차와 장여 끝이 장식을 이루어 도리를 받치고 있다. 지붕 서까래는 장재를 써를 전후 장연을 한 번에 내리고 있고 그 끝에는 부연을 달고 있다. 이 건물은 공포의 짜임과 첨차의 쌍s형 단조각, 살미의 부리, 우미량 납도리와 중도리, 배흘림을 한 기둥 등 조선초기의 기법을 보여 준다. 사진[편집] 약사전 내부 벽화 같이 보기[편집] 관룡사 창녕 관룡사 약사전 삼층석탑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1호) 참고 자료[편집] 창녕 관룡사 약사전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이 문서에는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한 국가문화유산포털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창녕_관룡사_약사전&oldid=21615020" 분류: 경상남도의 보물창녕군의 문화재창녕군의 건축물조선의 건축물약사전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공공누리 제1유형 저작물을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6월 22일 (금) 07: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창녕 관룡사 약사전(昌寧 觀龍寺 藥師殿)은 경상남도 창녕군, 관룡사 사찰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46호로 지정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관룡사 중 임진왜란 때 불타지 않은 건물의 이름은 뭐야? Assistant: 약사전
Human: 아래 알자지라_클럽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알자지라 클럽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알자지라 클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알자지라 클럽 전체 이름 Al-Jazira Sports & Culture Club 리그 UAE 아라비안 걸프 리그 창단 연도 1974년 3월 19일 회장 만수르 빈 자이드 알나하얀 감독 헹크 텐 카터 경기장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알자지라 모하메드 빈 자이드 경기장 수용 인원 40,000 2018–19 5위 홈 어웨이 알자지라 클럽(아랍어: نادي الجزيرة, 영어: Al Jazira Club)은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의 축구 클럽으로, 현재 UAE 1부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 알자지라 클럽은 축구 팀 외에도 핸드볼, 배구, 수영, 볼링 팀도 운영하고 있다. 목차 1 역사 2 선수단 2.1 현재 선수 명단 3 클럽 기록 4 성적 5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74년 칼리디야 축구단과 알바틴 축구단의 합병으로 탄생했다. 선수단[편집] 현재 선수 명단[편집] 2017년 1월 7일 기준 번호 포지션 이름 1 GK 모하메드 알누크비 2 DF 모하메드 파우지 5 DF 무살렘 파예즈 6 DF 사이프 칼판 7 FW 알리 맙쿠트 9 FW 아이우통 10 MF 므바르크 부수파 11 FW 아흐메드 라비 12 MF 살렘 라시드 오바이드 13 DF 술탄 알샴시 14 DF 에이사 알오타이바 15 MF 칼판 무바라크 16 DF 누하얀 하렙 18 DF 압둘라 무사 20 FW 에이사 와힙 21 MF 야쿱 알 호사니 22 DF 사이드 알라와히 번호 포지션 이름 23 DF 술탄 알소와이디 25 DF 모하메드 알하마디 26 DF 아흐메드 자밀 27 MF 살렘 압둘라 28 MF 후마이드 아흐메드 30 DF 주앙 카를루스 36 GK 칼레드 알세나니 37 MF 모하메드 알압둘리 39 FW 모하메드 라비 44 DF 파레스 주마 45 DF 사이드 히잠 50 MF 모하메드 자말 55 GK 알리 카시프 56 GK 압두라만 알암리 70 FW 아흐메드 알아타스 77 MF 술탄 바르가쉬 80 MF 살렘 알리 이브라힘 클럽 기록[편집] 2015년 2월 24일 기준 번호 이름 재임기간 ? 빈칸 빈칸 2 아흐메드 힐미 알나왈 1984-97 3 니콜라이 키셀리오프 1989-93, 1994-95 4 제말루딘 무쇼비치 1997-98 5 리누스 이스라엘 1998-99 ? 빈칸 빈칸 7 얀 페르스라이옌 2001-03 8 안드레 베첼 2004 9 세프 페르구센 2004-05 10 발테르 메위스 2005-06 11 얀 페르스라이옌 2006-97 12 라슬로 뵐뢰니 2007-08 13 아베우 브라가 2008-11 14 프랑키 페르카우터런 2011-12 15 카이우 주니오르 2012 16 파울루 보나미구 2012-13 17 루이스 미야 2013 18 발테르 젱가 2013-14 19 에릭 헤러츠 2014-15 20 아베우 브라가 2015 21 알리 알루나이미 2015-16 22 헹크 텐 카터 2016- 성적[편집] UAE 아라비안 걸프 리그 우승 1회: 2010-11 UAE 연방컵 우승 1회: 2007 UAE 리그컵 우승 1회: 2010 준우승 1회: 2013 UAE 프레지던트컵 우승 3회: 2011, 2012, 2016 GCC 챔피언스리그 우승 1회: 2007 외부 링크[편집] 공식 웹사이트 vdeh UAE 아라비안 걸프 리그 (2016-17) 디바 알푸자이라 바니야스 알나스르 알다프라 알샤르자 알샤바브 알아인 알아흘리 알이티하드 칼바 알 와슬 알와흐다 알자지라 에미리트 하타 클럽 AFC 챔피언스리그vdehAFC 챔피언스리그 2009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우승 포항 스틸러스준우승 알이티하드4강 움살랄 · 나고야 그램퍼스8강 부뇨드코르 · 파흐타코르 · FC 서울 · 가와사키 프론탈레16강 알힐랄 · 알샤바브 · 알이티파크 · 페르세폴리스 · 감바 오사카 · 가시마 앤틀러스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뉴캐슬 제츠조별 예선 알아흘리 · 알샤르자 † · 알자지라 · 알샤바브 · 사바 배터리 · 에스테글랄 · 세파한 · 알가라파 · 울산 현대 · 베이징 궈안 · 산둥 루넝 · 상하이 선화 · 톈진 터다 · 스리위자야 · 싱가포르 암드 포스 ·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알샤르자는 4경기를 치른 이후에 기권했다.플레이오프 PSMS 메단 · 부리람 PEA · 뎀포 SC실격 빈즈엉 · 무하라크 클럽 · 사파 베이루트 vdehAFC 챔피언스리그 2010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우승 성남 일화 천마준우승 조브 아한4강 알힐랄 · 알샤바브8강 알가라파 · 전북 현대 모터스 · 포항 스틸러스 · 수원 삼성 블루윙즈16강 에스테글랄 · 메스 케르만 · 부뇨드코르 · 파흐타코르 ·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 가시마 앤틀러스 · 감바 오사카 · 베이징 궈안조별 예선 세파한 · 알아흘리 · 알이티하드 · 알자지라 · 알와흐다 · 알아인 · 알아흘리 · 알사드 · 싱가포르 암드 포스 · 멜버른 빅토리 · 페르시푸라 · 산프레체 히로시마 · 가와사키 프론탈레 · 창춘 야타이 · 허난 젠예 · 산둥 루넝플레이오프 처칠 브라더스 · 알카라마 · 스리위자야 • 다낭 FC • 무앙통 유나이티드실격 쿠웨이트 SC vdehAFC 챔피언스리그 2011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우승 알사드 준우승 전북 현대 모터스 4강 알이티하드 수원 삼성 블루윙즈 8강 조브 아한 세파한 FC 서울 세레소 오사카 16강 부뇨드코르 알힐랄 알샤바브 알나스르 감바 오사카 가시마 앤틀러스 나고야 그램퍼스 톈진 터다 조별 예선 에스테글랄 페르세폴리스 알자지라 알와흐다 알아인 에미리트 알가라파 알라이얀 파흐타코르 제주 유나이티드 멜버른 빅토리 시드니 FC 아레마 말랑 항저우 뤼청 상하이 선화 산둥 루넝 플레이오프 뎀포 알이티하드 스리위자야 무앙통 유나이티드 vdehAFC 챔피언스리그 2012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17 | 2018 | 2019우승 울산 현대준우승 알아흘리4강 알이티하드 · 부뇨드코르8강 알힐랄 ·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 세파한 · 광저우 헝다16강 성남 일화 천마 · 바니야스 · 알자지라 · 에스테글랄 · 페르세폴리스 · 가시와 레이솔 · 나고야 그램퍼스 · FC 도쿄조별 예선 전북 현대 모터스 · 포항 스틸러스 · 알나스르 · 알샤바브 · 브리즈번 로어 ·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 나사프 카르시 · 파흐타코르 · 감바 오사카 · 베이징 궈안 · 톈진 터다 · 레크위야 · 알가라파 · 알라이얀 · 알아라비 · 부리람 유나이티드플레이오프 알이티파크 · 네프치 페르가나 · 조브 아한 · 페르시푸라 자야푸라 · 촌부리 FC vdehAFC 챔피언스리그 2013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우승 광저우 헝다준우승 FC 서울4강 에스테글랄 · 가시와 레이솔8강 알샤바브 · 알아흘리 · 레크위야 · 부리람 유나이티드16강 전북 현대 모터스 · 알힐랄 · 알샤바브 ·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 부뇨드코르 · 베이징 궈안 · 알가라파 · 엘자이시조별 예선 수원 삼성 블루윙즈 · 포항 스틸러스 · 알이티파크 · 알나스르 · 알아인 · 알자지라 ·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 세파한 · 트락토르 사지 · 베갈타 센다이 · 산프레체 히로시마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드 · 구이저우 런허 · 장쑤 순톈 · 알라이얀 · 무앙통 유나이티드플레이오프 브리즈번 로어 ·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 사바 쿰 vdehAFC 챔피언스리그 2014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우승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준우승 알힐랄4강 FC 서울 · 알아인8강 포항 스틸러스 · 이티하드 FC · 광저우 헝다 · 알사드16강 전북 현대 모터스 · 알샤바브 · 알자지라 · 부뇨드코르 · 풀라드 · 가와사키 프론탈레 · 산프레체 히로시마 · 세레소 오사카조별 예선 울산 현대 · 알파테흐 · 알아흘리 · 멜버른 빅토리 ·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 세파한 · 에스테글랄 · 트락토르 사지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 구이저우 런허 · 베이징 궈안 · 산둥 루넝 · 레크위야 · 알라이얀 · 엘자이시 · 부리람 유나이티드플레이오프 알히드 · 하노이 T&T · 탬피니스 로버스 · 바니야스 · 알수와이크 · 샤바브 알오르돈 · 나사프 카르시  ·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 알쇼르타 · 푸네 · 카디시야 · 쿠웨이트 SC · 무앙통 유나이티드 · 촌부리 · 사우스 차이나 vdehAFC 챔피언스리그 2015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우승 광저우 헝다준우승 알아흘리4강 알힐랄 · 감바 오사카8강 전북 현대 모터스 · 나프트 테헤란 · 가시와 레이솔 · 레크위야16강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성남 FC · FC 서울 · 알아흘리 · 페르세폴리스 · 알아인 · 베이징 궈안 · 알사드조별 예선 알나스르 · 알샤바브 · 풀라드 · 트락토르 사지 · 우라와 레즈 · 가시마 앤틀러스 ·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 나사프 카르시 · 부뇨드코르 · 브리즈번 로어 ·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 산둥 루넝 · 광저우 푸리 · 부리람 유나이티드 · 빈즈엉 FC플레이오프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 알자지라 · 알와흐다 · 엘자이시 · 카디시야 · 알웨흐다트 · 촌부리 · 방콕 글라스 · 알나흐다 · 하노이 T&T · 리파 · 페르십 반둥 · 킷치 · 야다나본 · 조호르 다룰 탁짐 · 벵갈루루 · 워리어스 vdehAFC 챔피언스리그 2016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우승 전북 현대 모터스준우승 알아인 FC4강 FC 서울 · 엘자이시 SC8강 상하이 상강 · 산둥 루넝 ·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 알나스르16강 멜버른 빅토리 FC · 시드니 FC · FC 도쿄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알힐랄 · 트락토르 사지 · 조브 아한 · 레크위야조별 예선 파흐타코르 · 나사프 카르시 · 부뇨드코르 · 이티하드 · 알아흘리 · 알나스르 · 장쑤 쑤닝 · 광저우 헝다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포항 스틸러스 · 산프레체 히로시마 · 감바 오사카 · 빈즈엉 · 세파한 · 알자지라 · 부리람 유나이티드플레이오프 알웨흐다트 · 나프트 테헤란 · 알샤바브 · 알사드 · 모훈 바간 · 탬피니스 로버스 · 킷치 · 양곤 유나이티드 · 조호르 다룰 탁짐 · 하노이 T&T · 촌부리 · 무앙통 유나이티드 ·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이 글은 축구단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알자지라_클럽&oldid=24377558" 분류: 1974년 설립된 축구단알자지라 클럽아랍에미리트의 축구단숨은 분류: 아랍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축구단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ietuviųМонгол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4일 (화) 17: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알자지라 클럽(아랍어: نادي الجزيرة, 영어: Al Jazira Club)은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의 축구 클럽으로, 현재 UAE 1부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 알자지라 클럽은 축구 팀 외에도 핸드볼, 배구, 수영, 볼링 팀도 운영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알자지라 클럽이 세 번 이상 우승한 대회의 이름은? Assistant: UAE 프레지던트컵 Human: 아래 2012년_유럽_그랑프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12년 유럽 그랑프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2년 유럽 그랑프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2년유럽그랑프리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발렌시아 스트리트 서킷 2012년 유럽 그랑프리(2012 European Grand Prix)는 2012년 6월 24일에 스페인 발렌시아 스트리트 서킷에서 열린 포뮬러 원 2012 시즌 여덟 번째 대회이다. 목차 1 대회 결과 1.1 예선 1.2 결승 1.3 순위 2 각주 대회 결과[편집] 예선[편집] 순위 번호 운전자 팀 1차 2차 3차 출발 순서 1 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르노 1:39.626 1:38.530 1:38.086 1 2 4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메르세데스 1:39.169 1:38.616 1:38.410 2 3 18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르노 1:38.825 1:38.570 1:38.475 3 4 10 로만 그로장 로터스-르노 1:39.530 1:38.489 1:38.505 4 5 9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르노 1:39.464 1:38.531 1:38.513 5 6 8 니코 로스베르크 메르세데스 1:39.061 1:38.504 1:38.623 6 7 14 고바야시 가무이 자우버-페라리 1:39.651 1:38.703 1:38.741 7 8 12 니코 휠켄베르크 포스 인디아-메르세데스 1:39.009 1:38.689 1:38.752 8 9 3 젠슨 버튼 맥라렌-메르세데스 1:39.622 1:38.563 1:38.801 9 10 11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메르세데스 1:38.858 1:38.519 1:38.992 10 11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1:39.409 1:38.707 11 12 7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1:39.447 1:38.770 12 13 6 펠리피 마사 페라리 1:39.388 1:38.780 13 14 19 브루노 세나 윌리엄스-르노 1:39.449 1:39.207 14 15 15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페라리 1:39.353 1:39.358 15 16 20 헤이키 코발라이넨 케이터햄-르노 1:40.087 1:40.295 16 17 16 다니엘 리카르도 토로 로소-페라리 1:39.924 1:40.358 17 18 17 장에릭 베르뉴 토로 로소-페라리 1:40.203 18 19 2 마크 웨버 레드불-르노 1:40.395 19 20 21 비탈리 페트로프 케이터햄-르노 1:40.457 20 21 22 페드로 데 라 로사 HRT-코스워스 1:42.171 21 22 23 나레인 카티케얀 HRT-코스워스 1:42.527 22 23 25 샤를 픽 마루시아-코스워스 1:42.675 23 예선 통과 시간 : 1:45.742 (107% 규정) DNS1 24 티모 글록 마루시아-코스워스 no time — 출처[1] 참고 ^1 — 글록은 질병으로 예선에 참여하지 못하였다.[2] 또한 글록은 경주에 참여할 수 있는 의료 허가를 거부하였다.[3] 결승[편집] 순위 번호 운전자 팀 랩 시간 · 리타이어 출발 순서 획득 점수 1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57 1:44:16.649 11 25 2 9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르노 57 +6.421 5 18 3 7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57 +12.639 12 15 4 2 마크 웨버 레드불-르노 57 +13.628 19 12 5 12 니코 휠켄베르크 포스 인디아-메르세데스 57 +19.993 8 10 6 8 니코 로스베르크 메르세데스 57 +21.176 6 8 7 11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메르세데스 57 +22.866 10 6 8 3 젠슨 버튼 맥라렌-메르세데스 57 +24.653 9 4 9 15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페라리 57 +27.777 15 2 10 19 브루노 세나 윌리엄스-르노 57 +35.961 14 1 11 16 다니엘 리카르도 토로 로소-페라리 57 +37.041 17 12 18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르노 57 +54.6301 3 13 21 비탈리 페트로프 케이터햄-르노 57 +1:15.871 20 14 20 헤이키 코발라이넨 케이터햄-르노 57 +1:34.654 16 15 25 샤를 픽 마루시아-코스워스 57 +1:36.551 23 16 6 펠리피 마사 페라리 56 +1 Lap 13 17 22 페드로 데 라 로사 HRT-코스워스 56 +1 Lap 21 18 23 나레인 카티케얀 HRT-코스워스 56 +1 Lap 22 19 4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메르세데스 55 충돌 2 Ret 10 로만 그로장 로터스-르노 40 교류 발전기 4 Ret 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르노 33 교류 발전기 1 Ret 14 고바야시 가무이 자우버-페라리 33 충돌 7 Ret 17 장에릭 베르뉴 토로 로소-페라리 26 충돌 18 DNS 24 티모 글록 마루시아-코스워스 0 병가 출처[4] 참고 ^1 — 끝에서 두 번째 랩에서 해밀턴과의 충돌로 말도나도는 20초 추가 패널티를 받았다.[5] 순위[편집]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 순위 운전자 점수 1 1 페르난도 알론소 111 2 2 마크 웨버 91 2 3 루이스 해밀턴 88 1 4 제바스티안 페텔 85 5 니코 로스베르크 75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순위 컨스트럭터 점수 1 레드불-르노 176 2 맥라렌-메르세데스 137 3 로터스-르노 126 4 페라리 122 5 메르세데스 92 각주[편집] ↑ “2012 Formula 1 Grand Prix of Europe”. ESPN F1. 2014년 1월 24일에 확인함.  ↑ Noble, Jonathan (2012년 6월 23일). “Glock allowed to race by European GP stewards, but awaits medical clearance”. 《Autosport》 (Haymarket Publications). 2014년 1월 24일에 확인함.  ↑ Noble, Jonathan (2012년 6월 24일). “Timo Glock withdrawn from European Grand Prix because of intestinal infection”. 《Autosport》 (Haymarket Publications). 2014년 1월 24일에 확인함.  ↑ “Alonso becomes first double winner in 2012 with superb European GP victory”. 《Autosport》. 2012년 6월 24일. 2014년 1월 24일에 확인함.  ↑ “Maldonado penalised over Hamilton clash”. Formula One Management. 2014년 1월 24일에 확인함.  이 전 캐나다 그랑프리 포뮬러 원 월드 챔피언십 2012 시즌 다 음  영국 그랑프리  vdeh« 이전 포뮬러 원 그랑프리 (2010–14)2014 오스트레일리아 말레이시아 바레인 중국 스페인 모나코 캐나다 오스트리아 영국 독일 헝가리 벨기에 이탈리아 싱가포르 일본 러시아 미국 브라질 아부다비 2013 오스트레일리아 말레이시아 중국 바레인 스페인 모나코 캐나다 영국 독일 헝가리 벨기에 이탈리아 싱가포르 대한민국 일본 인도 아부다비 미국 브라질 2012 오스트레일리아 말레이시아 중국 바레인 스페인 모나코 캐나다 유럽 영국 독일 헝가리 벨기에 이탈리아 싱가포르 일본 대한민국 인도 아부다비 미국 브라질 2011 바레인 오스트레일리아 말레이시아 중국 터키 스페인 모나코 캐나다 유럽 영국 독일 헝가리 벨기에 이탈리아 싱가포르 일본 대한민국 인도 아부다비 브라질 2010 바레인 오스트레일리아 말레이시아 중국 스페인 모나코 터키 캐나다 유럽 영국 독일 헝가리 벨기에 이탈리아 싱가포르 일본 대한민국 브라질 아부다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2년_유럽_그랑프리&oldid=22363199" 분류: 2012년 포뮬러 원 시즌유럽 그랑프리2012년 6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Galego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Latviešu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lovenčinaSlovenščinaSvensk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2일 (수) 17: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12년 유럽 그랑프리(2012 European Grand Prix)는 2012년 6월 24일에 스페인 발렌시아 스트리트 서킷에서 열린 포뮬러 원 2012 시즌 여덟 번째 대회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2년 유럽 그랑프리 결승 결과는? Assistant: 순위 번호 운전자 팀 랩 시간 · 리타이어 출발 순서 획득 점수 1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57 1:44:16.649 11 25 2 9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르노 57 +6.421 5 18 3 7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57 +12.639 12 15 4 2 마크 웨버 레드불-르노 57 +13.628 19 12 5 12 니코 휠켄베르크 포스 인디아-메르세데스 57 +19.993 8 10 6 8 니코 로스베르크 메르세데스 57 +21.176 6 8 7 11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메르세데스 57 +22.866 10 6 8 3 젠슨 버튼 맥라렌-메르세데스 57 +24.653 9 4 9 15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페라리 57 +27.777 15 2 10 19 브루노 세나 윌리엄스-르노 57 +35.961 14 1 11 16 다니엘 리카르도 토로 로소-페라리 57 +37.041 17 12 18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르노 57 +54.6301 3 13 21 비탈리 페트로프 케이터햄-르노 57 +1:15.871 20 14 20 헤이키 코발라이넨 케이터햄-르노 57 +1:34.654 16 15 25 샤를 픽 마루시아-코스워스 57 +1:36.551 23 16 6 펠리피 마사 페라리 56 +1 Lap 13 17 22 페드로 데 라 로사 HRT-코스워스 56 +1 Lap 21 18 23 나레인 카티케얀 HRT-코스워스 56 +1 Lap 22 19 4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메르세데스 55 충돌 2 Ret 10 로만 그로장 로터스-르노 40 교류 발전기 4 Ret 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르노 33 교류 발전기 1 Ret 14 고바야시 가무이 자우버-페라리 33 충돌 7 Ret 17 장에릭 베르뉴 토로 로소-페라리 26 충돌 18 DNS 24 티모 글록 마루시아-코스워스 0 병가 출처[4]
Human: 아래 정소공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정소공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소공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정소공주 지위 공주 이름 별호 정혜공주 신상정보 출생일 1412년 사망일 1424년 음력 2월 25일 사망지 조선 능묘 왕자‧공주 묘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201-85 왕조 조선 왕조 부친 세종 모친 소헌왕후 청송 심씨 정소공주(貞昭公主, 1412년 ~ 1424년 음력 2월 25일)는 조선시대 초기의 공주로, 조선의 제4대 왕인 세종대왕과 소헌왕후 심씨의 장녀이며 문종과 세조의 누나이다. 아명은 알려진 바가 없다. 목차 1 생애 2 일화 3 가족 관계 4 관련 작품 4.1 드라마 5 각주 6 참고 자료 생애[편집] 충녕대군(후의 세종)과 경숙옹주(후의 소헌왕후)사이의 첫째이자 장녀로서 태종 12년(1412년)에 태어났다. 그 이후 1418년 세자(양녕대군)가 폐위되고 아버지인 충녕대군이 왕세자로 책봉되자, 왕녀 아기씨[1] 로 신분이 격상되었다. 또한 같은 해에 아버지인 충녕대군이 보위에 오르자 다시 공주의 지위로 격상되었다. 그러나 관례를 치르기 전 해인 세종 6년(1424년) 완두창(마마)에 걸려 13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본래의 시호는 정혜(貞惠)였으나 태종의 딸 정혜옹주와 같아서 정소(貞昭)로 고쳤다.[2] 묘소는 고양현에 있다. 일화[편집] 그녀는 태종의 첫 손녀였기 때문에 태종과 원경왕후는 물론이고 다른 왕실어른들의 총애를 한몸에 받으며 성장하였다. 세종은 유독 첫딸인 정소공주를 아꼈기 때문에, 세종이 바쁜 업무중에도 그녀를 찾아가 친히 학문을 가르쳤다. 그녀가 죽은 후 세종은 정사를 돌보지 못할 정도로 큰 상심에 빠졌으며, 그녀의 장례는 세명의 공신(功臣)과 육조의 당상관들이 성문 밖에까지 장송할 정도로 크게 대우해 주었다. 가족 관계[편집] 본가 전주 이씨(全州 李氏) 조부 : 제3대 태종대왕(太宗大王, 1367~1422, 재위: 1400~1418) 조모 : 원경왕후 여흥 민씨(元敬王后 驪興 閔氏, 1365~ 1420) 아버지 : 제4대 세종대왕(世宗大王, 1397~1450, 재위: 1418~1450) 외조부 : 영의정부사 청천부원군 심온(領議政府事 靑川府院君 沈溫, 1375~1418) 외조모 : 영돈녕 소의공 안천보(領敦寧 昭懿公 安天保, 1339~1425)의 딸 삼한국대부인 순흥 안씨(三韓國大夫人 順興 安氏, ?~1444) 어머니 : 소헌왕후 청송 심씨(昭憲王后 靑松 沈氏, 1395~1446) 동생 : 제5대 문종대왕(文宗大王, 1414~1452, 재위: 1450~1452) 조카 : 경혜공주(敬惠公主, 1436~1474) 조카 : 제6대 단종대왕(端宗大王, 1441~1457, 재위: 1452~1455) 동생 : 정의공주(貞懿公主, 1415~1477) 동생 : 제7대 세조대왕(世祖大王, 1417~1468, 재위: 1455~1468) 조카 : 추존 덕종대왕(德宗大王, 1438~1457) 조카 : 제8대 예종대왕(睿宗大王, 1450~1469, 재위: 1468~1469) 동생 : 장소공 안평대군 용(章昭公 安平大君 瑢, 1418~1453) 동생 : 정간공 임영대군 구(貞簡公 臨瀛大君 璆, 1420~1469) 조카 : 귀성군 준(龜城君 浚, 1441~1479) 조카 : 중모현주 이씨(中牟縣主 李氏) - 신수근과 거창군부인 신씨의 어머니 질서 : 영의정 거창부원군 장성공 신승선(領議政 居昌府院君 章成公 愼承善, 1436~1502) 동생 : 장의공 광평대군 여(章懿公 廣平大君 璵, 1425~1444) 동생 : 정민공 금성대군 유(貞愍公 錦城大君 瑜, 1426~1457) 동생 : 정헌공 평원대군 임(定憲公 平原大君 琳, 1427~1445) 동생 : 경효공 영응대군 염(敬孝公 永膺大君 琰, 1434~1467) 관련 작품[편집] 드라마[편집] 《대왕 세종》(KBS, 2008년, 배우:주다영, 김지원) 각주[편집] ↑ 조선에서 세자의 적녀에게는 군주라는 칭호가 내려졌으나 위에 옹주라는 단어와 마찬가지로 법제의 제정이 완벽하지 못하였기때문에 단순히 왕녀아기씨라는 단어를 이용했다 ↑ 《세종실록》6년(1424) 4월 4일 4번째 기사 참고 자료[편집] 정소공주 - 한국학중앙연구원 vdeh조선과 대한제국의 왕녀/황녀 목록추존왕 목조 소생-추존왕 익조 소생 안의공주 -추존왕 도조 소생 문혜공주 문숙공주 문의공주 -추존왕 환조 소생 정화공주 -태조 소생 경신공주 경선공주 경순공주 숙신옹주 의령옹주 정종 소생- 함양옹주 숙신옹주 상원옹주 인천옹주 덕천옹주 고성옹주 전산옹주 함안옹주 태종 소생 정순공주 경정공주 경안공주 정선공주 정신옹주 정정옹주 숙정옹주 숙녕옹주 숙경옹주 숙근옹주 소신옹주 소숙옹주 경신옹주 정혜옹주 숙혜옹주 숙안옹주 숙순옹주 세종 소생 정소공주 정의공주 정안옹주 정현옹주 문종 소생 경혜공주 경숙옹주 단종 소생--세조 소생 의숙공주 -추존왕 덕종 소생 명숙공주 -예종 소생 현숙공주 혜순공주 -성종 소생 순숙공주 신숙공주 휘숙옹주 경숙옹주 휘정옹주 정혜옹주 공신옹주 혜숙옹주 정순옹주 정숙옹주 경순옹주 숙혜옹주 경휘옹주 연산군 소생 휘신공주 이복억 이영수 이함금 이복합 이정수 옹주 이씨 중종 소생 효혜공주 의혜공주 효순공주 경현공주 인순공주 혜순옹주 혜정옹주 정신옹주 숙정옹주 정순옹주 효정옹주 인종 소생--명종 소생--선조 소생 정명공주 공주 정신옹주 정혜옹주 정숙옹주 정안옹주 정휘옹주 정인옹주 정선옹주 정근옹주 정정옹주 정화옹주 광해군 소생- 폐 옹주(단인 이씨) 추존왕 원종 소생--인조 소생 공주 효명옹주 효종 소생 숙신공주 숙안공주 숙명공주 숙휘공주 숙정공주 숙경공주 의순공주(양녀) 숙녕옹주 현종 소생 명선공주 명혜공주 명안공주 -숙종 소생 공주 공주 -경종 소생--영조 소생- 화억옹주 화순옹주 화평옹주 화덕옹주 화협옹주 화완옹주 화유옹주 화길옹주 화령옹주 추존왕 진종 소생--추존왕 장조 소생 청연공주 청선공주 청근옹주 정조 소생- 옹주 숙선옹주 순조 소생 명온공주 복온공주 덕온공주 영온옹주 헌종 소생 옹주 철종 소생- 영혜옹주 고종 소생 공주 덕혜옹주 순종 소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정소공주&oldid=21617947" 분류: 조선의 왕족1412년 태어남1424년 죽음조선의 공주조선 세종전주 이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6월 22일 (금) 19: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정소공주(貞昭公主, 1412년 ~ 1424년 4월 3일(음력 2월 25일))는 조선의 공주로, 제4대 국왕인 세종의 장녀이자 적장녀이며 어머니는 소헌왕후이다. 문종과 세조의 큰누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정소공주의 가족 관계는 어떻게 이루어져 있어? Assistant: 조부 : 제3대 태종대왕(太宗大王, 1367~1422, 재위: 1400~1418) 조모 : 원경왕후 여흥 민씨(元敬王后 驪興 閔氏, 1365~ 1420) 아버지 : 제4대 세종대왕(世宗大王, 1397~1450, 재위: 1418~1450) 외조부 : 영의정부사 청천부원군 심온(領議政府事 靑川府院君 沈溫, 1375~1418) 외조모 : 영돈녕 소의공 안천보(領敦寧 昭懿公 安天保, 1339~1425)의 딸 삼한국대부인 순흥 안씨(三韓國大夫人 順興 安氏, ?~1444) 어머니 : 소헌왕후 청송 심씨(昭憲王后 靑松 沈氏, 1395~1446) 동생 : 제5대 문종대왕(文宗大王, 1414~1452, 재위: 1450~1452) 조카 : 경혜공주(敬惠公主, 1436~1474) 조카 : 제6대 단종대왕(端宗大王, 1441~1457, 재위: 1452~1455) 동생 : 정의공주(貞懿公主, 1415~1477) 동생 : 제7대 세조대왕(世祖大王, 1417~1468, 재위: 1455~1468) 조카 : 추존 덕종대왕(德宗大王, 1438~1457) 조카 : 제8대 예종대왕(睿宗大王, 1450~1469, 재위: 1468~1469) 동생 : 장소공 안평대군 용(章昭公 安平大君 瑢, 1418~1453) 동생 : 정간공 임영대군 구(貞簡公 臨瀛大君 璆, 1420~1469) 조카 : 귀성군 준(龜城君 浚, 1441~1479) 조카 : 중모현주 이씨(中牟縣主 李氏) - 신수근과 거창군부인 신씨의 어머니 질서 : 영의정 거창부원군 장성공 신승선(領議政 居昌府院君 章成公 愼承善, 1436~1502) 동생 : 장의공 광평대군 여(章懿公 廣平大君 璵, 1425~1444) 동생 : 정민공 금성대군 유(貞愍公 錦城大君 瑜, 1426~1457) 동생 : 정헌공 평원대군 임(定憲公 平原大君 琳, 1427~1445) 동생 : 경효공 영응대군 염(敬孝公 永膺大君 琰, 1434~1467) Human: 아래 모토마치_역_(효고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모토마치 역 (효고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모토마치 역 (효고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모토마치 개괄 관할 기관 서일본 여객철도(JR 서일본)한신 전기 철도고베 고속 철도 소재지 일본 효고현 고베 시 주오 구 모토마치 역(일본어: 元町駅, もとまちえき)은 일본 효고현 고베 시 주오 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JR 서일본), 한신 전기 철도, 고베 고속 철도의 역이다. 고베 시영 지하철 카이간 선의 미나토모토마치 역은 인근에 위치한 다른 역이다. 목차 1 개요 2 이용 가능한 철도 노선 3 역 구조 3.1 JR 서일본 3.2 한신 전기 철도·고베 고속 철도 4 인접역 정보 개요[편집] 한신 전기 철도와 고베 고속 철도는 당역에서 상호 직통 운전을 시행하고 있으며, 같은 역을 공유하고 있다. 한신 본선은 당역이 종점이다. 당역 이서 구간은 고베 고속 철도 도자이 선이다. 지상의 JR 모토마치 역과 지하의 한신-고베 고속 철도의 모토마치 역은 통로로 연결되어있으나, 환승 개찰구나 환승 연락 취급이 없어 사실상 별도의 역이다. 다만, 고베역 이서에서 산노미야 경유로의 연락 운수에 관해서는 당역에서의 승계도 인정하는 경우가 있다. 일찍이 한신 전철에서는 고베 시에 있어서 터미널 역인 것을 강조하기 위해 「고베 모토마치 역」이라고 부른 적도 있었다. 매년 12월에 주최하는 고베 루미나리에 축제가 열릴 때, 가장 가까운 역으로 안내되고 있다. 이용 가능한 철도 노선[편집] 서일본 여객철도 (JR 서일본) 도카이도 본선 (JR 고베 선) 한신 전기 철도 본선 고베 고속 철도 도자이 선 JR 서일본의 역은 어번 네트워크 구역에 속해 있다. 또한, 산노미야 역, 고베 역, 신나가타 역과 같이 산요 신칸센 신코베 역과의 연락 취급을 하고 있다. 역 구조[편집] JR 서일본[편집] 모토마치 플랫폼 개괄 관할 기관 서일본 여객철도 소재지 일본 효고현 고베 시 주오 구 모토마치코카도리 1-100 좌표 북위 34° 24′ 44″ 동경 135° 06′ 41″ / 북위 34.412244° 동경 135.111454°  / 34.412244; 135.111454 개업일 1934년 7월 20일 승강장 구조 섬식 2면 4선 비고 미도리노마도구치 있음. 노선 ■ 도카이도 본선 (JR 고베 선) 도쿄 기점 587.8km 오사카에서 31.4km ← 산노미야 (0.8 km) 고베 →(1.7 km)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이 있는 고가역이다. 개찰구는 동쪽과 서쪽에 2개소가 있다. 미도리노마도구치는 히가시구치에 있다. 타는 곳 1 ■ JR 고베 선 (상행 외측선) ■ 쾌속 (일부) 산노미야·아마가사키·오사카 방면 2 ■ JR 고베 선 (상행 내측선) ■ 보통·■ 쾌속 산노미야·아마가사키·오사카 방면 3 ■ JR 고베 선 (하행 내측선) ■ 보통·■ 쾌속 니시아카시·가코가와·히메지 방면 4 ■ JR 고베 선 (하행 외측선) ■ 쾌속 (일부) 니시아카시·가코가와·히메지 방면 정차하지 않는 신쾌속·특급과 영업 시간대의 화물열차는 1·4번 선으로 통과한다. 정차 열차는 후술의 열차를 제외하고는 2·3번선에 들어간다. 1·4번선은 기본적으로 로프로 막혀 있다. 1번 선 타는 곳에 정차하는 상행 열차는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의 모든 쾌속과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7 ~ 8시 대의 일부 쾌속이다. 4번 선 타는 곳에 정차하는 하행선 열차는 평일 아침 8시 대와 저녁 17 ~ 18시 대에 운행되는 쾌속 (저녁의 열차는 외측선·열차선 주행 때문에 스마·다루미·마이코는 통과. 덧붙여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에 4번선 타는 곳에 정차하는 열차는 아님)이다. 이전에는 중앙의 내측선 사이에 섬식 1면 2선의 홈이, 외측선에는 상대식 홈이 1면씩 설치되어 있는 혼합식이었지만, 1960년대에 현재의 형식으로 개조되었다.(상행 외측선의 홈은 고베 고속 철도 건설을 시작하면서 시가지 개개발로 인해 철거된 한편 하행 외측선의 홈은 JR이 출범한 이후 철거되었지만 뼈대의 일부는 히가시구치 남측 등에 현재에도 존재한다). 한신 전기 철도·고베 고속 철도[편집] 모토마치 플랫폼 개괄 관할 기관 한신 전기 철도고베 고속 철도 소재지 일본 효고현 고베 시 주오 구 모토마치도리 2초메 10-2 좌표 북위 34° 24′ 44″ 동경 135° 06′ 41″ / 북위 34.412202° 동경 135.111342°  / 34.412202; 135.111342 개업일 1936년 3월 18일 승강장 구조 섬식 1면 2선 비고 공동사용역. (관리 주체는 한신) *노선은 상호 직통 운전 실시 노선 한신 전기 철도 본선 고베 고속 철도 도자이 선* 우메다 기점 32.1km ← 산노미야 (0.9 km) 니시모토마치 →(0.8 km)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으로, 개찰구는 동쪽과 서쪽에 2개소가 있다. 공동 사용역으로, 역 관리는 한신 전기 철도가 담당하며, 역 주체는 고베 고속 철도로 되어있다. 인근의 산노미야 역에는 상행 열차의 승강 홈이 분리 되어있는 관계 상 직통 특급 등의 경우 각역정차 열차로의 환승을 당역에서 실시하도록 차장이 안내방송 한다. 이전에는 한신의 대부분의 보통 열차는 당역에서 오리카에시 했지만 (대부분이 2번 선 승강장에서 오리카에시하여 발차), 현재는 조조 시간대 1편성·심야 시간대 2편성을 제외하고 고속 고베 역 (일부는 산요 전기 철도 히가시스마 역) 까지 운행되고 있다 또, 이전의 한신 막차 중에는 당역에 서는 특급이나 급행의 설정이 있었지만,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미카게 역 종착). 역은 일본 중앙 경마회 윈즈 고베 A관의 바로 밑에 있다. 덧붙여 한신 모토마치 - 한신 산노미야 간은 한신 본선(한신 전철의 관할 구간)이지만, 병행하는 고베 고속 철도의 하나쿠마 역 - 한큐 산노미야 역과의 정합을 도모하기 위해 특정 운임이 적용되고 있어 최초 승차 구간 운임은 고베 고속 철도와 같은 120엔이다. 또, 니시모토마치 이서로부터의 경우, 고베 고속 철도 - 한신 간 상호 연락운임은 당역이 아닌 한신 산노미야 역이 경계가 된다 (덧붙여, 가스가노미치 역 이동으로부터의 경우는 이 역이 경계). 타는 곳 1 ■■ 한신 전철 본선 산노미야·고시엔·아마가사키·오사카 (우메다) 방면 2 ■■ 고베 고속 철도 도자이 선 (산요 전기 철도 본선 직통) 신카이치·스마·아카시·히메지 방면 인접역 정보[편집] 서일본 여객철도 도카이도 본선 산노미야교토·오사카 방면 ● JR 고베 선■ 쾌속·■ 보통 고베히메지 방면 ● 한신 전기 철도 본선·● 고베 고속 철도 도자이 선 산노미야우메다 방면 ■ 직통 특급·■ S특급 고속 고베산요 히메지 방면 산노미야우메다 방면 ■직통 특급 (산노미야 - 산요 스마간 각역정차)·■ 산요 특급·■ 한신 특급·■■ 보통 니시모토마치산요 히메지 방면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모토마치 역 vdeh JR 고베 선 (도카이도 본선 · 산요 본선)(교토 방면 ←) 오사카 - 쓰카모토 - (교바시 방면 ←) 아마가사키 (→ 다카라즈카·후쿠치야마 방면) - 다치바나 - 고시엔구치 - 니시노미야 - 사쿠라슈쿠가와 - 아시야 - 고난야마테 - 셋쓰모토야마 - 스미요시 - 롯코미치 - 마야 - 나다 - 산노미야 - 모토마치 - 고베 - 효고 - 신나가타 - 다카토리·고베 화물 터미널 - 스마카이힌코엔 - 스마 - 시오야 - 다루미 - 마이코 - 아사기리 - 아카시 - 니시아카시 - 오쿠보 - 우오즈미 - 쓰치야마 - 히가시카코가와 - 가코가와 - 호덴 - 소네 - 히메지벳쇼·히메지 화물 - 고차쿠 - 히가시히메지 - 히메지 (→ 가미고리·오카야마·반슈아코 방면)와다미사키 선: 효고 - 와다미사키홋포 화물선: (스이타 신호장 - ) 스이타 - 미야하라 조차장 - 아마가사키화물지선 (1980년 폐지 구간) : 아마가사키 - (화물) 아마가사키시조 / 화물지선 (1979년 폐지 구간) : 히메지 - (화물) 히메지시조 vdeh 한신 전기 철도 본선우메다 - 후쿠시마 - 노다 - 요도가와 - 히메지마 - 지부네 - (지부네 신호장) - 구이세 - 다이모쓰 - (니시쿠조·오사카 난바·오사카우에혼마치·긴테쓰나라 방면) - 아마가사키 - 데야시키 - 아마가사키 센터풀마에 - 무코가와 - (무코가와 신호장) - 나루오 - 고시엔 - 구스가와 - 이마즈 - (니시노미야히가시구치) - 니시노미야 - 고로엔 - (호리키리 신호장) - 우치데 - 아시야 - 후카에 - 오기 - 우오자키 - 스미요시 - 미카게 - 이시야가와 - 신자이케 - 오이시 - 니시나다 - 이와야 - 가스가노미치 - 산노미야 - 모토마치(→고속 고베·스마우라 공원 방면) vdeh고베 고속 철도 도자이 선한신 전기 철도 및 산요 전기 철도 방면(한신 우메다 방면 ←)모토마치 - 니시모토마치 - 고속 고베 - 신카이치 - 다이카이 - 고속 나가타 - 니시다이(→ 산요 히메지 방면)한큐 전철 방면(한큐 우메다 방면 ←)한큐 산노미야 - 하나쿠마 - 고속 고베( - 신카이치 → 니시다이·스마우라 공원 방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모토마치_역_(효고현)&oldid=22078595" 분류: 한신 전기 철도고베 고속 철도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고베시의 철도역1905년 개업한 철도역1934년 개업한 철도역일본국유철도의 철도역한신 전기 철도의 철도역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erantoFrançaisItaliano日本語Nederlands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8월 23일 (목) 12: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모토마치역(일본어: 元町駅, もとまちえき)은 일본 효고현 고베시 주오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JR 서일본), 한신 전기 철도, 고베 고속 철도의 역이다. 고베 시영 지하철 카이간 선의 미나토모토마치 역은 인근에 위치한 다른 역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고베시에서 열리는 고베 루미나리에 축제는 언제 개최되는가? Assistant: 매년 12월
Human: 아래 올림피아코스_FC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올림피아코스 FC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올림피아코스 FC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본 클럽의 모태 종합클럽에 대해서는 올림피아코스 CFP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올림피아코스 전체 이름 ΠΑΕ ΟΛΥΜΠΙΑΚΟΣ Σύνδεσμος Φιλάθλων Πειπαιώς 별칭 Θπύλος (전설) Επυθπόλευκοι (적백) Δαφνοστεφανωμένος (월계관을 씌운) 리그 수페르리가 엘라다 창단 연도 1925년 [3월 10일 구단주 에반겔로스 마리나키스 회장 에반겔로스 마리나키스 감독 페드루 마르팅스 경기장 그리스 피레아스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 수용 인원 32,115[1] 웹사이트 http://www.olympiacos.org/ 2018-19 2위 홈 어웨이 서드 최근 시즌 PAE 올림피아코스 (그리스어: ΠΑΕ Ολυμπιακός) 는 흔히 줄여서 올림피아코스, (Ολυμπιακός) 올림피아코스 피레아스 (Ολυμπιακός Πειραιάς) 로 알려져 있으며, 공식명칭이 올림피아코스 신데스모스 필라틀로스 피레아스 (그리스어: Oλυμπιακός Σύνδεσμος Φιλάθλων Πειραιώς, "피레아스 팬들의 올림피아코스 클럽") 인 그리스의 프로 축구 클럽이자, 아테네 도시권인 피레아스를 연고로 하는 종합 스포츠 클럽 올림피아코스 CFP의 축구부이다. 올림피아코스는 그리스 축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클럽으로,[2] 그리스 리그를 41번,[3] 그리스 컵을 26번[4] 우승해 더블을 16번 달성했고,[5] 그리스 슈퍼컵도 4번 우승해 국내대회에서 총 71회의 우승을 거두었고, 모든 부문에서 최다 기록을 내고 있다. 올림피아코스의 압도적인 성공은 다른 그리스 클럽들의 리그 우승 횟수를 합치면 총 37회밖에 되지 못한다는 것으로 증명될 수 있다.[6] 올림피아코스는 그리스 리그 최다 연속 우승 기록을 지니고 있는데, 리그 7연패 (알파 에트니키 1996-97 시즌부터 2002-03 시즌) 로 종전의 6연패 (1953-54 시즌부터 1958-59 시즌) 기록을 경신했다.[7] 더 나아가서 파나티나이코스, PAOK와 더불어 그리스 축구 1부리그에서 강등 경험이 없는 세 구단들 중 하나이다. 유럽대항전에서 올림피아코스는 UEFA 챔피언스리그 1998-99[8] 와 유러피언 컵위너스컵 1992-93[9] 에서 8강에 진출했었다. 또한, 올림피아코스는 유럽 클럽 협회의 창립 멤버이다.[10] 올림피아코스의 홈구장은 피레아스의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이다.[11] 올림피아코스는 그리스에서 가장 인기있는 클럽으로,[12][13][14][15][16] 국내에 250만명이, 전세계 그리스계 해외 거주민들 중 100만명이 지지하고 있다.[17][18][19][20][21][22] 올림피아코스는 2006년에 4월 기준으로 83,000명의 유료 회원이 등록 되어 유료 회원 수에 따른 클럽 목록에서 9위에 랭크되었다.[23] 2014년, 유료 회원수는 98,000명으로 증가되었다.[24] 올림피아코스는 파나티나이코스와 오랜 기간 라이벌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두 클럽간의 경기는 영원한 적들의 더비로 불린다. 목차 1 역사 1.1 초창기와 국내 무대에서의 성공 1.2 간간한 성공과 굴란드리스 시대 1.3 성공기 1.4 2010년대 2 문양과 유니폼 3 스폰서와 유니폼 제작사 4 홈구장 5 7번 출입구 참사 6 서포터 6.1 연계 구단 7 응원가 7.1 원문 7.2 발음 7.3 해석 8 라이벌전 9 통계 9.1 유럽대항전 기록 9.1.1 최고 성적 9.1.2 최다 점수차 승리 9.2 리그 기록 10 역대 성적 10.1 국내 대회 10.2 유럽대항전 11 선수 11.1 현재 선수 명단 11.2 임대 선수 명단 11.3 U-20팀 선수 명단 11.4 과거 선수 12 스태프 12.1 보드진 12.2 코칭스태프 및 의료진 13 역대 감독 14 올림피아코스 역대 회장 15 각주 16 외부 링크 역사[편집] 초창기와 국내 무대에서의 성공[편집] 1925년 초창기 팀 노티스 캄페로스는 클럽의 명칭과 문양에 영감을 주었다 올림피아코스는 1925년 3월 10일, 피레아스 항에서 창단되었는데, "피레아코스 축구 클럽" (Πειραιάκός Ποδοσφαιρικός Όμιλος) 의 회원과 "피레아스 팬들의 클럽" (Σύνδεσμος Φιλάθλων Πειραιώς) 회원들의 병합 결정에 의해 일어났고,[25] 통합된 새 클럽은 고대 올림픽 우승자를 나타내는 문양을 도입했다. 노티스 캄페로스가 올림피아코스 (Ολυμπιακός) 라는 명칭을 제안했고, 미할리스 마누스코스가 현재의 명칭 피레아스 팬들의 올림피아코스 클럽 (Oλυμπιακός Σύνδεσμος Φιλάθλων Πειραιώς) 으로 개칭했다. 그러나, 클럽의 명성을 쌓게 해 주고, 현재의 영광으로 이끈건 안드리아노풀로스 형제들로,[26] 상류층 가문의 일원이었던 그들은 그리스 전국에 올림피아코스라는 이름을 알렸다. 안드리아노풀로스 형제들 중 얀니스, 디노스, 요르고스, 그리고 바실리스가 초창기에 이 클럽에서 활동했다. 5형제들 중 막내였던 레오니다스는 나중에 합류하여 클럽에서 장기간 활동했다. (1927-1935) 클럽의 초창기 공격진은 5형제로 이루어졌고, 이후 전설의 반열에 올랐다. 올림피아코스는 즉시 지역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당시, 팀의 팬은 홈구장인 네오 팔리론 벨로드롬 인근의 노동층을 기반으로 되어 있었고, 이 곳은 현재 홈구장인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으로 옮기기 전까지 사용되었다. 올림피아코스는 1925년, 1926년, 1927년에 피레아스 지역 리그 우승을 거두었다.[27] 안드레아스 무라티스는 올림피아코스의 상징적인 주장으로 1945년과 1955년 사이 295번의 경기에 출전했다 1926년, 그리스 축구 협회가 창립되었고, 1927-28 시즌에 범그리스 리그가 출범했다. 이 리그가 국내 최초의 전국 리그로, EPSA 리그, (아테네) EPSP 리그, (피레아스) 그리고 EPSM 리그 (테살로니키) 의 지역 우승팀들이 플레이오프에서 국가 리그 타이틀을 걸고 경쟁하였고, 아리스가 초대 우승팀이 되었다. 범그리스 리그는 이 형식으로 1958-59 시즌까지 지속되었다. 그러나, 두번째 시즌인 1928-29 시즌, 올림피아코스는 그리스 축구 협회와의 불화로 인해 불참을 결정했고, 파나티나이코스와 AEK도 올림피아코스의 결정을 따랐다. 같은 시즌, 이 클럽들간 친선전을 치렀고, 중부 그리스 축구 구단 (Ποδοσφαιρικές Ομάδες Κέντρου, Π. Ο. Κ.) 을 조직했다. 범그리스 리그의 4번째 시즌이 1930-31 시즌에 열렸고, 올림피아코스는 이 시즌에 역사상 최초의 그리스 리그 우승을 거두었다. 이 우승을 계기로 올림피아코스는 성공기의 개막을 알렸다. 1940년대에 들어, 올림피아코스는 11시즌동안 무려 6번 우승을 거두었고,[26] 1960년대에 들어서는 23시즌 안에 15번의 리그는 물론 그리스 컵도 9번 거미쥐었다. 1950년대 전설적인 올림피아코스 팀은 안드레아스 무라티스, 일리아스 로시디스, 코스타스 폴리흐로니우, 타나시스 베비스, 일리아스 이판티스, 바비스 코트리디스, 요르고스 다리바스, 바비스 드로소스, 그리고 사바스 테오도리디스로 구성되었고, 1953-54 시즌과 1958-59 시즌까지 리그 6연패를 달성한 것은 물론, 1956-57 시즌, 1957-58 시즌, 그리고 1958-59 시즌에는 컵도 들어올려 그리스 축구에 전례 없는 업적을 달성했다. 올림피아코스가 수많은 우승을 거둔 1950년대를 기점으로, 클럽은 "전설" (Θρύλος, 트릴로스로 발음) 이라는 별칭을 획득했다.[26][28] 간간한 성공과 굴란드리스 시대[편집] 전설적인 안드리아노풀로스 형제들: (왼쪽부터) 얀니스, 디노스, 요르고스, 바실리스, 그리고 레오니다스 안드리아노풀로스 1928년 올림피아코스 선수단 국내 1부 리그인 알파 에트니키 (Α΄ Εθνική) 가 출범했고, 1959-60 시즌에 처음으로 시작되었으나, 60년대와 70년대는 올림피아코스가 그리 많은 성공을 거두지 못한 시대로, 리그를 2회, 컵을 6회 우승하는데 그쳤다. 1972년, 니코스 굴란드리스가 회장으로 취임하면서 새로운 시대가 개막했다. 그는 라키스 페트로풀로스를 감독으로 내정하고, 게오르요스 델리카리스, 이브 트리안타필로스, 훌리오 로사다, 밀톤 비에라, 미할리스 크리티코풀로스, 로맹 알지루대, 마이크 갈라코스, 라키스 글레조스, 코스타스 다불리스, 이오아니스 키라스타스, 그리고 페터 페르시디스와 같은 톱클래스 선수들을 영입했다. 굴란드리스 회장의 임기에, 올림피아코스는 1972-73 시즌부터 1974-75 시즌까지 리그 3연패를 달성했고, 같은 시기에 컵도 3연패를 달성했다.[26] 이 시기에 최고의 해는 1973-74 시즌으로 손꼽히는데, 올림피아코스는 이 시즌에 최다 승점 (59점) 과 최다 득점 (102골) 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1975년, 굴란드리스가 회장직에서 사임한 후, 팀은 1970년대말에 상대적으로 많은 우승을 거두지 못했다. 그러나, 80년대 초, 리그가 프로 리그로 전향되자, 올림피아코스는 또다시 그리스 축구에서 압도적인 존재로 부상했는데, 리그 4연패 (1979-80 시즌, 1980-81 시즌, 1981-82 시즌, 1982-83 시즌) 를 거두었다. 이 시기의 주요 선수로는 공격수 니코스 아나스토풀로스, 미드필더 타소스 미트로풀로스, 그리고 니코스 사르가니스 수문장이 있었다. 그리스 국가대표팀과 미국 국가대표팀 감독이었던 알케타스 파나굴리아스는 팀을 1981년과 1983년 사이와 1986-87 시즌에 지휘하여 1981-82 시즌, 1982-83 시즌, 그리고 1986-87 시즌에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다.[26] 올림피아코스는 1980년대말에서 90년대 중반까지 암흑기를 보냈다. 80년대 중반, 올림피아코스는 그리스 사업가 게오르게 코스코타스가 휘어잡았으나, 나중에 횡령 혐의로 고발되고 유죄 선고가 내려졌으며, 올림피아코스는 큰 빚을 지게 되었다. 그라운드에서, 팀은, 세심한 경영 없이 1987-88 시즌부터 1995-96 시즌까지 9시즌을 리그 무관으로 보냈다. 이 시기는 올림피아코스의 암흑기로 불리며,[29] 이중 1987-88 시즌은 올림피아코스 최악의 시즌으로, 팀은 리그를 8위로 마감했다. 성공기[편집] 올림피아코스의 성공기는 국제 무대의 거물 선수들인 즐라트코 자호비치, 지우바니, 그리고 FIFA 월드컵 챔피언 히바우두와 크리스티앙 카랑뵈 등의 선수들을 영입하면서 시작되었다. 올림피아코스는 리그 7연패를 달성하며, 종전에 선배들이 달성한 6연패의 기록을 넘었으며, 1998-99 시즌에는 두샨 바예비치 감독의 지도 하에 더블을 달성하고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유럽대항전 최고 성적인 8강 진출로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 그러나, 바예비치가 1999년에 경질 당했고, 이어지는 시기 (1999년에서 2004년) 동안, 올림피아코스는 무려 8명의 감독을 교체했다. 이들 중에는 이오아니스 마추라키스, 타키스 레모니스, 트론 솔리에, 올레흐 프로타소우, 그리고 시니샤 고기치가 있었다. 잦은 감독 교체와 수뇌부의 불안정함에도 불구하고, 올림피아코스는 감독을 세번 교체해 준우승을 거두었던 2003-04 시즌을 제외하고 계속해서 우승을 거두었다. 2004년, 올림피아코스는 두샨 바예비치를 다시 감독으로 재선임하였고, 1999년 올해의 선수로 선정된 히바우두를 영입했다. 시즌 종료 후, 올림피아코스는 국내 더블을 거두었으나, 바예비치는 사임했다. 그의 자리는 노르웨이의 트론 솔리에가 재선임되면서 대체되었다.[30] 클럽은 라이벌 구단 파나티나이코스에서 키프로스 스트라이커 미할리스 콘스탄티누를 영입했다. 2005-06 시즌, 올림피아코스는 1972-73 시즌 이래 처음으로 주 라이벌인 파나티나이코스와 AEK와의 주요 라이벌 경기에서 모두 이겼다. 올림피아코스는 이 4번의 경기에서 11득점 3실점을 기록했다. 이후, 그리스 컵 결승전에서는 AEK를 3-0으로 꺾으면서 2시즌 연속 더블을 달성했고, 리그 16연승 기록을 세워, 클럽 선배들이 세웠던 종전 기록을 경신했다. 기록을 경신한 시즌 후, 2006년 여름 이적시장에서, 트론 솔리에는 7명의 선수들을 영입했다. 그러나, 솔리에는 UEFA 챔피언스리그 2006-07에서 부진한 성적을 거두면서 2006년 말에 타키스 레모니스에게 지휘봉을 내 주었다. 레모니스는 영건 바실리스 토로시디스를 클럽으로 데려 왔고, 비록 레모니스가 올림피아코스의 리그 3연패를 달성하게 했으나, 그리스 컵에서 PAS 얀니나에게 충격패를 당해 탈락하면서 컵대회 우승에 실패했다. 프레드라그 조르제비치는 올림피아코스에서 12차례 그리스 리그 우승을 거두는 기록을 세웠고, 344경기에 출전해 126골을 득점해 클럽의 외국인 최다 득점 기록을 가지고 있다. 히바우두 2007년 여름, 올림피아코스는 다르코 코바체비치와 루시아노 가예티를 고액에 영입하였고, 스트라이커 겸 미드필더인 네리 카스티요를 우크라이나 클럽 샤흐타르 도네츠크에 €20M에 매각해 그리스 축구 역사상 최고액 이적료 기록을 세웠다.[31] 카스티요의 계약 조항에 따라, 올림피아코스는 €15M을 받았고, 나머지 €5M은 선수에게 즉시 주어졌다.[32] 더 나아가, 올림피아코스 성공에 히바우두가 국내 및 국제 무대에서 크게 관여했음에도 불구하고, 올림피아코스가 선수와의 재계약을 원치 않으나, 히바우두와 클럽 사이에 논란이 불거졌다. 일리야 이비치 클럽의 전 선수가 팀의 축구 디렉터로 취임했다. 팀은 그리스 리그에서 실망적인 시작을 했으나, 놀라운 성과를 거두었는데, UEFA 챔피언스리그 2007-08에서 조 1위를 차지한 레알 마드리드와 승점에서 11점으로 동률을 이르며 조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33] 그러나, 팀은 리그에서 기대 이하의 성적을 거두었는데, 스탬퍼드 브리지에서 첼시에게 패한 것과 엮여서 소크라티스 코칼리스 구단주가 타키스 레모니스 감독을 경질하게 이르었고, 팀의 수석코치였던 호세 세구라가 시즌 잔여 기간동안 감독직을 대행했다. 비록 올림피아코스가 리그와 컵 더블을 달성했으나, 세구라는 본래 지위인 수석 코치직으로 복귀했다. 2008년 여름, 올림피아코스는 지오구 루이스 산투, 아브람 파파도풀로스, 그리고 두두 세아렌세를 영입하고, 에르네스토 발베르데와 €6M짜리 3년 계약을 체결하고 새 감독으로 내정했다.[34] 2008-09 시즌, 올림피아코스는 부진하게 시즌을 시작했는데, 초반의 공식경기 몇경기를 패하였는데, 아노르토시스 파마구스타와의 UEFA 챔피언스리그 3차 예선전에서 패해 UEFA컵 1라운드로 내려앉았는데, 여기서 올림피아코스는 노르셸란을 꺾고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올림피아코스는 수페르리가 엘라다 2008-09에서의 우수한 활약을 바탕으로 홈경기에서 매번 승리했으나, 원정 경기에서 고전했다. 홈경기에서 UEFA컵 경기를 훌륭히 치른 후, 팀은 32강에 진출해 프랑스의 생테티엔을 상대했다. 2009년 여름, 올림피아코스는 유벤투스의 올로프 멜베리를 €2.5M에,[35] 잉글랜드 스트라이커 맷 더비셔를 블랙번 로버스에서, 미드필더 자우아드 자이리를 아스테라스 트리폴리스에서, 그리고 엔초 마레스카를 세비야에서 영입했다. 많은 선수들이 임대에서 복귀했는데, 예를 들어 게오르요스 카치코얀니스, 전 레알 마드리드 수비수 라울 브라보, 그리고 아르헨티나 미드필더 크리스티안 라울 레데스마가 있었다. 올림피아코스는 브라질 전설 지쿠를 감독으로 내정해 2009-10 시즌을 성공적으로 시작했으며, 다수의 1군 선수들을 부상으로 잃고 임했으나, H조에서 조 선두 아스널에 승점 3점을 밀려 2위로 UEFA 챔피언스리그 16강행에 성공했다.[36] 팀은 16강에서 보르도를 상대해 홈에서 열린 1차전에서 0-1로 패했다. 2차전에서, 보르도가 초반에 선제골을 내주었으나, 올림피아코스는 동점골을 넣었고, 추가골 찬스를 번번히 놓치나가, 막판 실점으로 패했다. (1-2) 국내 무대에서, 올림피아코스는 라이벌 구단 파나티나이코스와의 더비전에서 콘스탄티노스 미트로글루의 2골에 힘입어 2-0으로 이겼다.[37] 2010년대[편집] 미첼은 2013-14 시즌에 리그 역대 최단기간 우승을 달성했다. 케빈 미라야스 2010년, 운송업의 거물 에반겔로스 마리나키스가 소크라티스 코칼리스로부터 팀을 인수했다. 마리나키스는 회장 임기 원년에 팬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에르네스토 발베르데를 감독으로 재선임했고, (발베르데는 1기에서처럼 2기에도 성공을 거두었다) 국제적으로 큰 영향을 끼치는 선수들인 알베르트 리에라, 아리엘 이바가사, 케빈 미라야스, 마르코 판텔리치, 그리고 프랑수아 모데스토를 영입했다. 그 결과 올림피아코스는 2위 파나티나이코스를 무려 13점차로 제치고 수페르리가 통산 38회 우승을 거두었다. 2011-12 시즌, 장 마쿤, 파블로 오르바이스, 이반 마르카노, 라피크 제부르, 그리고 자멜 압둔 등의 선수로 선수단을 강화했고, 에르네스토 발베르데가 2년 사령탑을 맡으면서, 올림피아코스는 국내 및 국제 무대에서 모두 성공을 거두었다. 올림피아코스는 수페르리가와 그리스 컵을 모두 우승하면서 통산 15번째 국내 더블을 달성했다. 유럽대항전에서, 올림피아코스는 챔피언스리그에서 아스널, 마르세유, 그리고 도르트문트로 구성된 F조에 편성되어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아스널과 도르트문트를 상대로 홈에서 승리 (각각 3-1의 점수로 승리) 를 거두어 F조에서 9점을 차지했음에도 불구하고, 마르세유가 도르트문트 적지에서 펼친 6라운드 경기에서 0-2로 밀렸다가 막판 5분에 2골로 논란의 2-3 역전승을 거두면서 16강 진출이 안타깝게 좌절되었다. 올림피아코스는 UEFA 유로파리그에 계속 출전하여 루빈 카잔을 상대했다. 그리스 챔피언은 러시아 클럽을 상대로 2연승 (카잔과 피레아스에서 모두 1-0으로 승리) 을 거두고 메탈리스트 하르키우와 16강에서 붙었다. 올림피아코스는 우크라이나에서 열린 1차전에서 다비드 푸스테르의 결승골에 힘입어 1-0으로 이겼으나, 2차전에서 초반 선제골을 넣고도 수 차례 골찬스를 날리면서 (전반전에 골대를 두번 맞추었다) 막판 9분에 2골을 실점하고 8강 진출에 실패했다. 올로프 멜베리 시즌 종료 후, 에르네스토 발베르데는 스페인 복귀 결정을 내려, 올림피아코스에서의 성공적인 2시즌을 마무리했다. 클럽은 포르투갈의 리우나르두 자르딩을 신임 감독으로 앉혔다. 팀은 그리스 리그에서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고, 챔피언스리그에서도 B조에서 아스널전 (2-1 홈) 및 몽펠리에전 (2-1 원정) 승리로 9점을 모으면서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우수한 성적에도 불구하고, 리우나르두 자르딩은 스페인 국적의 감독이자 레알 마드리드 전설 미첼에게 지휘봉을 내주어야 했다. 팀은 2위 PAOK를 15점 차로 제치고 40번째 그리스 리그 우승을 거두고, 아스테라스 트리폴리스와의 결승전에서 승리로 26번째 그리스 컵 우승을 거두면서 16번째 더블을 이룩했다. 올림피아코스는 40번째 그리스 리그 우승으로 클럽, 특히 팬들의 목표였던 4번째 별을 클럽 문양 위에 달게 되었다. 조엘 캠벨, 로베르토, 알레한드로 도밍게스, 블라디미르 베이스, 델빈 은딩가, 레안드루 살리누, 그리고 아르헨티나의 월드클래스 스트라이커 하비에르 사비올라를 영입하면서 2013-14 시즌의 기대치는 매우 높았다. 올림피아코스는 국내 및 국제 무대에서 대성공을 거두었다. 유럽대항전에서 올림피아코스는 벤피카, 파리 생제르맹, 안데를레흐트와 함께 UEFA 챔피언스리그 2013-14에서 C조에 편성되었다. 조별 리그가 끝난 후, 올림피아코스는 승점 10점을 적립해 벤피카 (피레아스에서 1-0 승리, 리스본에서 1-1 무승부) 와 안데를레흐트 (브뤼셀에서 3-0 승리, 피레아스에서 3-1 승리) 를 너머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 올림피아코스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 격돌했다. 올림피아코스는 인상적인 활약으로 1차전에서 2-0으로 편안한 승리 (도밍게스 38분, 캠벨 55분) 를 거두었는데, 같은 경기에서 분위기를 지배하고 골찬스를 놓치고도 두골차 리드를 가졌다. 이 2골의 이점을 지키지 못하고 올드 트래퍼드에서 열린 2차전에서 0-3으로 패했고, 40분에 골찬스를 또 놓치면서 1999년 이래 사상 최초의 8강행을 앞두고 문턱에서 주저앉았다. 그리스 챔피언은 막판 10분에 원정골을 기록하기 위해 악전고투를 벌였으나, 별 무효과였다. 비록 8강 진출권을 손앞에서 놓쳤으나, 올림피아코스는 시즌 내내 우수한 활약을 펼치며 6년 안에 챔피언스리그 토너먼트전 (16강) 진출을 3번 (2007-08 시즌, 2009-10 시즌, 2013-14 시즌) 달성해, 유럽 무대에서 성공했다. 국내 무대에서, 올림피아코스는 2위 PAOK를 17점차로 제치고 역사적인 41번째 리그 우승을 거두었다. 문양과 유니폼[편집] 2008-09 시즌의 올림피아코스 유니폼 1925년, 피레아스의 두 클럽인 피레아코스 축구 클럽과 피레아스 팬들의 클럽이 합병되었을 때, 고대 그리스 올림픽의 도덕성, 경쟁심, 그리고 광채로부터 영감을 받아 피레아스 팬들의 올림피아코스 클럽으로 명명되었다. 그 결과 ,클럽은 월계관을 쓴 청소년을 문양으로 도입했고, 이는 올림픽 우승자를 상징하며,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차례의 작은 변화를 거쳤다. 적색과 백색은 문양의 색상으로 사용된다. 적색은 열정을, 백색은 도덕성을 상징한다.[38][39] 팀의 유니폼은 흔히 적색과 백색의 세로 줄무늬로 되어 있으며, 적색 하의와 백색 양말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유니폼은 시대를 거치면서 변화했는데, 주로 유니폼의 줄무늬 두께에 변화가 있었다. 그 다음 흔하게 사용된 유니폼은 올 적색이나 올 백색의 유니폼이었다. 올림피아코스는 세월을 거쳐 원정 유니폼과 써드킷에 다른 색상들을 사용해 왔고, 가장 인상적으로 꼽히는 유니폼은 흑색이나 은색 유니폼이다. 가장 흔했던 올림피아코스의 당시 유니폼은 아래와 같다. (하단의 연도는 해당 유니폼이 사용된 연도를 의미한다) 1950 1978 1979 1985 2000–01 2008–09 2009–10 2010–11 2013–14 스폰서와 유니폼 제작사[편집] 그리스에서 축구가 프로화된 1979년을 기점으로, 올림피아코스는 1982년 이래 특정 유니폼 제작사와 계약을 시작했고, 다음과 같은 유니폼 제작사를 두었다. 다음 차트는 유니폼 제작사와 스폰서의 역대 변천사를 나타낸다: 유니폼 제작사 연도 제작사 1979 엄브로 1980 푸마 1980–1984 아식스 타이거 1984–1992 푸마 1992–1993 엄브로 1993–1994 로토 1994–1995 아디다스 1995–2000 푸마 2000–2005 엄브로 2005–2015 푸마 2015– 아디다스 스폰서 연도 스폰서 1982–1983 피아트 1984 트래블 플랜 1984–1988 시티즌 홀딩스 1988 도요타 1989 크레타 은행 1989–1990 아테네 '96 1990–1994 디아나 1994–1997 에트노카르타 마스터카드 1997–2000 아스피스 프로노이아 2000–2005 지멘스 모바일 2005–2006 지멘스 2006–2009 보다폰 2009–2010 씨티 은행 2010–2013 파메 스토익시마 2013– 유니세프 홈구장[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입니다. 올림피아코스와 아스널간의 UEFA 챔피언스리그 2009-10 경기 (1-0) 를 앞둔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 (그리스어: Γήπεδο Γεώργιος Καραϊσκάκης) 은, 그리스 피레아스의 팔리로 구에 위치해 있으며, 올림피아코스의 전통적인 홈구장이자 현재 홈구장이다. 그리스 독립 전쟁 영웅인 게오르요스 카라이스카키스의 이름을 땄으며, 올림피아코스의 대부분 홈경기를 유치했다.[40] 1895년, 이 경기장은 아테네에서 열린 1896년 하계 올림픽의 사이클 경기를 열기 위한 경륜장으로 개장되었다. 공식 경기장 명칭은 네오 팔리론 벨로드롬 (그리스어: Ποδηλατοδρόμιο Νέου Φαλήρου) 으로, 피치가 자전거 경륜트랙으로 둘러쌓였다. 올림피아코스는 1925년 창립할때를 기점으로 이 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했다. 1964년, 경기장이 리모델링 된 후, 현재의 명칭으로 개칭되었고, 2003년까지 그라운드 주변에 육상 / 경륜 트랙으로 둘러 쌓여 있었다.[41] 그리스에서 가장 중요한 경기장으로, 1969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와 첼시와 레알 마드리드 간의 1971 유러피언 컵위너스컵 결승전 경기를 주최했다.[42] 올림피아코스는 1984년에 잠시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을 떠나, 홈경기를 새로 지어진 스피로스 루이스에서 치르기도 했다. 5년동안 그리스 최대 구장에서 홈경기를 치른 클럽은 전통적인 홈구장으로 복귀해 1997년까지 사용했다. 그 후, 올림피아코스는 스피로스 루이스로 다시 돌아가 또다시 그곳에 5년을 머물렀다. 2002년, 스피로스 루이스가 2004년 하계 올림픽을 위해 리모델링을 목적으로 폐장됨에 따라 올림피아코스는 아폴론 스미르니의 홈구장인 아테네 리주폴리 구의 게오르요스 카마라스 경기장으로 이전해 2년을 머물렀다.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은 황폐해진채 2003년 4월에 올림피아코스에 넘겨졌다. 클럽은 그 자리에 축구 전용 구장을 지을 권한을 가지게 되었고, 이 구장은 2004년 하계 올림픽의 축구 경기를 주최했다.[43] 그에 대한 보상으로, 올림피아코스는 2052년까지 경기장의 전적인 사용 권한을 가지게 되었고, 보수비를 모두 충당하며 주 정부에 수익의 15%를 지불하게 되었다. 구 홈구장은 2003년 봄에 철거되었고, 새 구장을 건설하는 프로젝트는 14개월이라는 기록적인 기간이 소요되었다. 경기장은 €60M의 가격을 들여 2004년 6월 30일에 완공되었다.[44] 현재,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은 유럽에서 가장 현대적인 구장들 중 하나로, 올림피아코스 박물관[45] 과 여러 시설을 운영한다. 7번 출입구 참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 참사입니다.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과 올림피아코스는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 참사로 그리스 스포츠 역사상 최악의 비극을 경험했다. 1981년 2월 8일, 올림피아코스는 AEK와의 리그 홈경기를 치러, 전례 없는 피레아스 연고 홈팀의 6-0 대승으로 끝냈다. 경기 막판, 7번 출입구 인근의 올림피아코스 팬들 수천명이 경기장 정문으로 가 선수들과 승리를 자축하기 위해 출입구를 향해 썰물같이 빠져나갔는데, 문은 거의 폐쇄된 구조의 회전문이 놓여 출구로 나가기 어려운 형태였다.[46] 사람들이 빠른 속도로 스탠드에서 계속 내려오는 와중에, 위에서는 아래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확인할 수 없어서, 결국 7번 출입구는 죽음의 함정이 되었다. 아래쪽의 사람들이 눌리고, 수십명의 사람들이 중상을 당했으며, 21명의 젊은이들이 사망했는데, 이들의 사망 주 원인은 질식이었다.[47] 서포터[편집] 7번 출입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올림피아코스 팬들은 홈경기는 물론이고 원정 경기에서도 극도의 열정을 불어넣는다. 이 사진은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 홈에서 첼시를 상대한 UEFA 챔피언스리그 2007-08의 토너먼트전 당시 촬영되었다. 베오그라드 스타디온 츠르베나 즈베즈다에서 촬영된 벽화로, 올림피아코스와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간의 형제같은 우애를 상징한다. 올림피아코스의 전통적인 팬층은 클럽의 연고지인 피레아스 시를 연고로 하며, 아테네의 일부 지역도 포함한다. 클럽의 인기는 1950년대에 여러번 연거푸 우승하며 다수의 기록을 깨면서 인기가 치솟았고, 국내에서 가장 많은 지지를 받는 축구 클럽으로 떠오르게 했다. 전통적으로, 올림피아코스는 본래 노동층을 대표했으나, 클럽은 모든 사회 계층으로부터 팬을 불러 모았으며, 현재 팬층은 특정 사회 계층을 기반으로 두지 않는다.[48][49] UEFA에 따르면 올림피아코스는 가장 인기있는 그리스 클럽이며,[12] 다수의 설문조사와 연구 결과가 이를 뒷받침한다.[50][51] 몇몇 신문과 잡지에서 주최한 설문 조사에서 올림피아코스는 그리스 최고의 인기 클럽이라는 결과를 냈고, 백분율로 전체 팬들의 29%에서 37%를 오고가며, 전체 인구의 20.3%에서 29.3%를 오고 가는데, 이 자료를 토대로 올림피아코스의 그리스 국내 팬들 수는 약 250만명으로 추산된다.[14][52] 이 클럽은 피레아스에서 압도적으로 인기가 있으며, 시 인구의 절반이 올림피아코스를 지지하며,[53] 한편 아테네 전체에서도 지지하는 팬의 비율이 45.1%에 육박하는데, 그에 따라 올림피아코스는 그리스 수도권에서 가장 인기있는 클럽이다.[54] 올림피아코스는 노동층에서 가장 인기있는 클럽이기도 하며, 모든 연령대를 통틀어 37%가 지지하고,[53] 대부분의 남성과 여성 팬들 사이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55] 대부분의 팬들이 중도좌파이거나 중도우파의 정치성향을 나타낸다.[53] 아테네 수도권 외에서도, 올림피아코스는 중부 그리스의 펠로폰네소스 반도, 테살리아, 에게 해 제도, 그리고 이오니아 제도에서도 가장 인기 있는 클럽이다.[56] 더 나아가서, 올림피아코스는 그리스 축구에서 역대 최다 평균 관중수 기록을 지니고 있는데, 수페르리가 엘라다의 역대 시즌들 중 대부분 올림피아코스가 이 부문에서 최고를 찍었다.[57] 2006년, 올림피아코스는 전세계에 최다 유료 회원수를 보유한 상위 10개 클럽들 중에 하나로 이름을 올렸고, 이 부문에서 9위로, 레알 마드리드보다 한 순위 높았다.[58] 2006년 4월 기준, 클럽의 등록된 유료 회원 수는 83,000명이었다.[59] 올림피아코스와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 팬들은 깊은 친선 관계를 지니고 있는데, 서로를 정교회 형제라고 부른다. 대개, 몇몇의 올림피아코스 팬클럽의 팬들은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 경기를 참관하기도 하는데, 특히 파르티잔과의 경기를 참관하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최근에, 정교회 형제들은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의 팬들을 동맹으로 합류시키려 한다. 올림피아코스 팬들은 팀에 대해 열정적이고 강렬한 지지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홈 경기의 분위기는 적대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UEFA컵 2004-05에서 뉴캐슬 유나이티드를 상대할 때, 영국 방송 채널 5에서 중계할때, 객원 해설가이자 전 잉글랜드 국가대표 토니 코티는 지속적으로 분위기가 어떤지에 대해 언급했다. 경기에서 그는 이 경기장이 가장 분위기가 있는 경기장인가에 대해 질문을 받았고 다음과 같이 답했다: "저는 그렇다고 말해야 한다 생각합니다. 당신은 다양한 곳에 대해 들어보고 그곳의 분위기는 실제로 가보면 실감하는 것만이 아닙니다... 그러나 이 곳은 진짜 [분위기를 느끼는 것 이상을 체감하는] 그곳입니다."[60] 경험많은 체코 국가대표 윙어인 야로슬라프 플라실은 보르도가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 원정을 앞두었을때 올림피아코스 팬들이 홈경기 팬들이 조성하는 적대적인 분위기에 대해 한번 더 증명했는데, 모나코 시절의 경기를 짚으며 다음과 같의 표의했다: "이곳에서 저는 경기장에서 경험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인상을 주는 분위기를 경험했고, 이곳은 우리에게 지옥과 같을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그들의 응원은 홈팀에게 매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61] 파리 생제르맹의 간판 스트라이커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는 2013년 9월 17일자 올림피아코스-파리 생제르맹 경기 후, 올림피아코스 팬들에 대한 경의를 표했다: 그들은 환상적인 관중들 앞에서 활약합니다. 올림피아코스 팬들은 놀라웠습니다. 제 동료 올로프 멜베리가 여기서 활약했었고, 그는 서포터에 대해 이야기한적 있습니다. 저는 실감하지 못했으나, 이제 이해합니다. 놀랍습니다. 이는 올림피아코스에게 홈경기에서 크게 유리한 점입니다.[62][63] 파리 생제르맹의 억만장자 구단주 나세르 알-켈라이피는 다음과 같이 표의했다: 저는 이곳 팬들에게 큰 존경심을 표합니다. 저는 올림피아코스 팬들과 같은 팬들을 인생에서 만나본 적이 없습니다.[64] 연계 구단[편집]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65][66]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응원가[편집] 올림피아코스의 공식 응원가는 "경기장의 전설" (그리스어: Θρύλε των γηπέδων) 이라고도 불리며, 피레아스 연고의 종합 스포츠 클럽 올림피아코스 CFP의 많은 부서에서 불린다.[67] 작사는 그리스 작곡가인 코스타스 킬리만초스가 했고, 작곡은 스피로스 발사마키스가 했다.[68] 이 응원가를 처음 부른 사람은 흐리스타키스 볼리오티스이다. 역사적으로, 올림피아코스의 첫 응원가는 1931년 미미스 바실리아디스가 작사하고 얀고스 라우타리스가 작곡했다. 이 곡은 행진곡 형식이며 축구 경기 형식에 더 가깝개 유래되었다. 원문[편집] Θρύλε των γηπέδων Ολυμπιακέ δαφνοστεφανωμένε μεγάλε και τρανέ έχεις δύναμή σου Ολυμπιακέ τον πύρινό σου κόσμο που δε λυγά ποτέ Ολυμπί- Ολυμπί- Ολυμπιακέ ομάδα ομαδάρα μου, μεγάλη μου αγάπη, Ολυμπιακάρα μου. Ολυμπί- Ολυμπί- Ολυμπιακέ ομάδα ομαδάρα μου, μεγάλη μου αγάπη, Ολυμπιακάρα μου. Δόξα στα παιδιά σου Ολυμπιακέ χιλιοτραγουδισμένε, στον κόσμο ξακουστέ. Τρέμουν στ' άκουσμά σου Ολυμπιακέ κι ακόμα σε θυμούνται η Σάντος κι ο Πελέ. Ολυμπί- Ολυμπί- Ολυμπιακέ ομάδα ομαδάρα μου, μεγάλη μου αγάπη, Ολυμπιακάρα μου. Ολυμπί- Ολυμπί- Ολυμπιακέ ομάδα ομαδάρα μου, μεγάλη μου αγάπη, Ολυμπιακάρα μου. 발음[편집] Thýle ton gipédon Olympiaké dafnostefanoméne megále kai trané écheis dýnamí sou Olympiaké ton pýrinó sou kósmo pou de lygá poté Olympí- Olympí- Olympiaké omáda omadára mou, megáli mou agápi, Olympiakára mou. Olympí- Olympí- Olympiaké omáda omadára mou, megáli mou agápi, Olympiakára mou. Dóxa sta paidiá sou Olympiaké chiliotragoudisméne, ston kósmo xakousté. Trémoun st' ákousmá sou Olympiaké ki akóma se thymoúntai i Sántos ki o Pelé. Olympí- Olympí- Olympiaké omáda omadára mou, megáli mou agápi, Olympiakára mou. Olympí- Olympí- Olympiaké omáda omadára mou, megáli mou agápi, Olympiakára mou. 해석[편집] 경기장의 전설 올림피아코스 월계관을 쓰고, 영광스럽고 위대하며, 당신의 힘은 당신의 열광적인 팬들 한치 양보없는, 항복하지 않는. 올림피- 올림피- 올림피아코스 나의 최고이자 가장 큰 팀, 내가 가장 사랑하는건, 나의 위대한 올림피아코스. 올림피- 올림피- 올림피아코스 나의 최고이자 가장 큰 팀, 내가 가장 사랑하는건, 나의 위대한 올림피아코스. 당신의 자식들에게 영광을, 올림피아코스 당신에게 천곡을 불렀네, 당신은 전세계에서 유명하네. 모두가 당신의 이름에 벌벌 떠네 펠레와 산투스도 당신의 이름을 아직 기억하네. 올림피- 올림피- 올림피아코스 나의 최고이자 가장 큰 팀, 내가 가장 사랑하는건, 나의 위대한 올림피아코스. 올림피- 올림피- 올림피아코스 나의 최고이자 가장 큰 팀, 내가 가장 사랑하는건, 나의 위대한 올림피아코스. 라이벌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영원한 적들의 더비 및 올림피아코스-PAOK 경쟁입니다. 라이벌 파나티나이코스와의 경기에서의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 내의 올림피아코스 팬들 전통적으로, 올림피아코스의 주 라이벌은 파나티나이코스이며, 이들을 상대하는 경기는 영원한 적들의 더비로 불리며, 아테네 수도권 지역과 그리스 축구의 대표적인 고전 라이벌전이다.[69] 두 팀은 그리스 축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클럽들이자 그리스에서 가장 인기있는 클럽들로, 이 라이벌전은 사회적, 문화적, 그리고 지역적 차이의 지표이다. 현재 두 클럽들간의 차이가 옅어지고 팬층이 비슷하게 되었으나, 올림피아코스는 전통적으로 항구 도시인 피레아스의 노동층을 대표하는 반면, 파나티나이코스는 아테네의 상류층 사회를 대표했다.[48][49] 두 팀은 그리스에서 가장 성공적인 클럽들로 도합하여 61번의 우승을 거두었으며, 그에 따라 이들간의 라이벌전은 자연적으로 발생한 것이다.[70] 두 팀간의 증오가 매우 강렬해서, 아테네 수도권 지역에서 폭력 사태가 발생하곤 했는데, 특히 더비전 전후로 경향이 두드러졌다. 2007년 3월 29일, 22세의 파나티나이코스의 팬이 올림피아코스와 파나티나이코스간의 여자 배구 경기가 당일 예정되었던 아테네 인근의 마을인 파이아니아에서 두 훌리건 단체간의 경기전에 계획된 패싸움으로 인해 찔려 숨진채 발견되었다. 이 사태는 그리스 전국의 분노를 샀고, 대규모 서포터 현장에서 대대적인 경찰 수사를 착수하게 했으며, 그리스의 모든 스포츠 활동이 2주간 중단되었다.[71][72][73] 2012년 더비전은 휘발 폭탄, 홍염, 그리고 미사일이 스피로스 루이스의 팬들과 경찰에게 투척되어 일부가 불에 붙어 경기를 중단하기에 이르기도 했다. 올림피아코스의 주요 라이벌로는 AEK도 있는데, 근접성과 그라운드에서의 팽팽한 경쟁으로부터 유발되었다.[74] 올림피아코스와 PAOK간의 경쟁은 19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올림피아코스가 PAOK의 상징적인 선수인 요르고스 쿠다스를 영입하려는 데에서 야기되었다. 두 클럽간의 라이벌 관계는 그리스의 가장 큰 두 개의 도시 권역인 아테네 수도권과 테살로니키권 간의 경쟁에서도 유발되었다.[75] 올림피아코스의 라이벌로는 피레아스의 제 2구단으로 불리는 에트니코스 피레아스가 있으나, 에트니코스 피레아스가 그리스 축구 1부리그에서 강등당한 이래 둘 간의 맞대결이 열리지 않았다. 통계[편집] 유럽대항전 기록[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유럽의 올림피아코스 FC입니다. 스탬퍼드 브리지에서 첼시와의 UEFA 챔피언스리그 2007-08 16강 2차전을 앞두고 도열한 올림피아코스 선수들. 올림피아코스는 UEFA 주관 대회에 오랫동안 출전한 기록이 있으며, 1959년 9월 13일, 밀란과의 유러피언컵 1959-60 경기에서 데뷔했다. 그러나, 올림피아코스는 유러피언컵 1958-59의 예선 라운드에서 베식타시를 상대할 예정이었으나, 기권했다.[76] 2010년 2월 23일, 보르도와의 UEFA 챔피언스리그 2009-10 16강 1차전 경기에서 200번째 유럽대항전 경기를 자축했다. 올림피아코스는 유럽대항전 2라운드에 진출한 최초의 그리스 클럽으로, 유러피언 컵위너스컵 1963-64에서 폴란드의 자그웽비에 소스노비에크를 제압했다. 클럽의 유럽대항전 최고 성적은 UEFA 챔피언스리그 1998-99의 8강으로, 유벤투스에 패해 탈락했고, 유러피언 컵위너스컵 1992-93에서도 8강에 진출했으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 패하였다. 유럽대항전에서, 올림피아코스는 홈경기에서 강한 경향을 보인다. 이는 최다경기 무패 행진에서 증명되는데, 특히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격파해 올림피아코스는 홈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잡은 첫 그리스 클럽이 되었고, 같은 대회에서 현재 형식 도입후로는 5연속 챔피언스리그 본선 진출 기록도 세웠다. 더 나아가서, 올림피아코스는 홈에서의 인상적인 승리를 거두기도 했는데, UEFA 챔피언스리그 2002-03에서 전 시즌 준우승팀 레버쿠젠을 상대로 6-2의 충격적인 대승을 거두었으며, UEFA컵 2008-09에서는 노르셸란전 5-0 승리, 벤피카전 5-1 승리, 그리고 헤르타 BSC전 4-0 승리로 3연속 4점차 이상 대승을 거두기도 했다. 최고 성적[편집] 시즌 업적 비고 유러피언컵 / UEFA 챔피언스리그 1998–99 8강 유벤투스에 패해 탈락, 토리노에서 1-2, 아테네에서 1-1 유러피언 컵위너스컵 1992–93 8강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 패해 탈락, 피레아스에서 1-1, 마드리드에서 1-3 UEFA컵 / UEFA 유로파리그 1989–90 16강 오세르에 원정 다득점 원칙으로 탈락, 피레아스에서 1-1, 오세르에서 0-0 2004–05 16강 뉴캐슬 유나이티드에 패해 탈락, 피레아스에서 1-3, 뉴캐슬에서 0-4 2011–12 16강 메탈리스트 하르키우에 원정 다득점 원칙으로 탈락, 하르키우에서 1-0, 피레아스에서 1-2 최다 점수차 승리[편집] 시즌 경기 점수 유러피언컵 / UEFA 챔피언스리그 2002–03 올림피아코스 – 레버쿠젠 6–2 유러피언 컵위너스컵 1968–69 올림피아코스 – 던펌린 애슬레틱 3–0 1986–87 올림피아코스 – 우니온 룩셈부르크 3–0 1986–87 우니온 룩셈부르크 – 올림피아코스 0–3 1992–93 초르노모레츠 오데사 – 올림피아코스 0–3 UEFA컵 / UEFA 유로파리그 2008–09 올림피아코스 – 노르셸란 5–0 2010–11 베사 카바여 – 올림피아코스 0–5 2010–11 올림피아코스 – 베사 카바여 6–1 리그 기록[편집] 부문 기록 최다 점수차 승리 11–0 (포스티라스전, 1973–74 시즌) 한 시즌 최다승 30승 (1999–2000 시즌) 한 시즌 최다골 102골 (1973–74 시즌) 한 시즌 최소실점 13실점 (1972–73 시즌) 최다 연승 기록 16연승 (2005–06 시즌 8라운드 – 2005–06 시즌 23라운드) 최다 경기 무패 기록 58경기 (1972–73 시즌 3라운드 – 1973–74 시즌 27라운드) 역대 성적[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올림피아코스 FC의 수상 실적입니다. 국내 대회[편집] 범그리스 리그 / 알파 에트니키 / 수페르리가 엘라다 우승 44회 (기록) 우승: 1930-31, 1932-33, 1933-34, 1935-36, 1936-37, 1937-38, 1946-47, 1947-48, 1950-51, 1953-54, 1954-55, 1955-56, 1956-57, 1957-58, 1958-59, 1965-66, 1966-67, 1972-73, 1973-74, 1974-75, 1979-80, 1980-81, 1981-82, 1982-83, 1986-87, 1996-97, 1997-98, 1998-99, 1999-2000, 2000-01, 2001-02, 2002-03, 2004-05, 2005-06, 2006-07, 2007-08, 2008-09,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4- 15]], [[2015-16]], [[2016-17]] 그리스 컵 우승 27회 (기록) 우승: 1946-47, 1950-51, 1951-52, 1952-53, 1953-54, 1956-57, 1957-58, 1958-59, 1959-60, 1960-61, 1962-63, 1964-65, 1967-68, 1970-71, 1972-73, 1974-75, 1980-81, 1989-90, 1991-92, 1998-99, 2004-05, 2005-06, 2007-08, 2008-09, 2011-12, 2012-13, [[2014-15]] 더블 달성 17회 (비공식 기록) 1946-47, 1950-51, 1953-54, 1956-57, 1957-58, 1958-59, 1972-73, 1974-75, 1980-81, 1998-99, 2004-05, 2005-06, 2007-08, 2008-09, 2011-12, 2012-13, 2014-15 그리스 슈퍼컵 우승 4회 (기록) 우승: [[1980]], 1987, 1992, 2007 대그리스 컵 3회 우승 (기록) 우승: 1969, 1972, 1976 유럽대항전[편집] 발칸컵 1회 우승 우승: 1963 선수[편집] 현재 선수 명단[편집] 2015년 1월 28일 기준[77] 번호 포지션 이름 2 MF 이오아니스 마니아티스 (주장) 3 DF 알베르토 보티아 5 MF 루카 밀리보예비치 (안데를레흐트에서 임대) 6 MF 이브라힘 아펠라이 (바르셀로나에서 임대) 8 MF 델빈 은딩가 (모나코에서 임대) 9 MF 지미 두르마즈 10 MF 알레한드로 도밍게스 11 MF 파이팀 카사미 12 FW 프랑코 하라 14 DF 오마르 엘랍델라위 16 GK 로베르토 (삼주장) 17 FW 디미트리스 디아만타코스 18 MF 안드레아스 부할라키스 19 MF 다비드 푸스테르 (부주장) 20 DF 코스타스 얀눌리스 22 GK 안드레아스 얀뇨티스 23 DF 디미트리스 시오바스 번호 포지션 이름 24 DF 타소스 아블로니티스 25 MF 코스타스 포르투니스 26 DF 아르튀르 마쉬아퀴 27 FW 호르헤 베니테스 28 FW 니코스 베르고스 29 DF 프락시텔리스 부로스 30 DF 레안드루 살리누 33 GK 엘레프테리오스 후테시오티스 34 MF 마놀리스 살리아카스 42 GK 메제리 벌라주 45 DF 펠리피 산타나 (샬케 04에서 임대) 60 MF 압디살람 이브라힘 67 DF 안토니스 바투시아디스 72 GK 게오르요스 스트레조스 77 MF 마티외 도세비 MF 야야 투레 임대 선수 명단[편집] 2015년 1월 8일 기준[78] 번호 포지션 이름 DF 바실리오스 카라구니스 (→ 레지나) DF 마놀리스 차나카키스 (→ 에르고텔리스) DF 하랄람보스 리코얀니스 (→ 에르고텔리스) DF 콘스탄티노스 블라호스 (→ 포스티라스) DF 레안드루 (→ 라미아) MF 상부 야타바레 (→ 갱강) MF 알렉산다르 카타이 (→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 MF 사샤 즈뎰라 (→ OFK) MF 마르코 얀코비치 (→ OFK) MF 펠레 (→ 레바디아코스) MF 니코스 카타리오스 (→ 파니오니오스) 번호 포지션 이름 MF 디미트리스 콜로보스 (→ 파니오니오스) MF 콘스탄티노스 플레가스 (→ 파나하이키) MF 디미트리스 시오피스 (→ 포스티라스) MF 네일로스-아겔로스 시호요스 (→ 함부르크 II) MF 파나요티스 블라호디모스 (→ 님 올랭피크) FW 아나스타시오스 카라마노스 (→ 아트로미토스) FW 니콜라오스 이오안니디스 (→ 도르트문트 II) FW 마이클 올라이탄 (→ 에르고텔리스) FW 다비트 헤넌 (→ 에버턴 B) FW 마르코 슈체포비치 (→ 마요르카) U-20팀 선수 명단[편집] 올림피아코스 U-20은 올림피아코스의 유소년팀이다. 이 팀은 U-20 수페르리가에 소속되어 있으며[79] UEFA 유스리그 참가 자격을 가지고 있다. U-20팀의 홈구장은 3,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렌티 훈련장으로, 피레아스의 렌티에 위치해 있다.[80] 번호 포지션 이름 GK 아리스 블라호스 GK 미할리스 일리아디스 GK 요르고스 스트레조스 DF 아나스타시스 부요우코스 DF 디미트리스 쿠치오스 DF 요르고스 마크로스테르요스 DF 얀니스 소티라코스 DF 아르기리스 투파스 DF 안토니스 바투시아디스 DF 프락시텔리스 부로스 DF 파나요티스 볼로나키스 MF 요르고스 리라스 MF 이오안니스 파이다키스 번호 포지션 이름 MF 디미트리오스 부치오티스 MF 요르고스 카나베타스 MF 얀니 라지 MF 보반 라지치 MF 알렉산드로스 마르가리티스 MF 아힐레아스 나시아코풀로스 MF 안토니스 파파사바스 MF 흐리스토포로스 파살리디스 MF 하랄람보스 렌치스 MF 마놀리스 살리아카스 FW 코스타스 가레팔라키스 FW 일리아스 이그나티디스 FW 니코스 베르고스 과거 선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분류:올림피아코스 FC의 축구 선수입니다. 스태프[편집] 보드진[편집] 올림피아코스의 전 중원사령관이자 현 전술 조언가인 크리스티앙 카랑뵈 지위 성명 회장[81] 에반겔로스 마리나키스 총 책임자 얀니스 브렌초스 대표 이사 디미트리스 아그라피오티스 제1 부회장 사바스 테오도리디스 제2 부회장 소크라티스 S. 코칼리스 제3 부회장 게오르게 루바리스 제4 부회장 얀니스 모랄리스 기술 컨설팅 후안 호세 로렌소 전술 조언가 크리스티앙 카랑뵈 스포르팅 디렉터 피에르 이사 팀 매니저 키리아코스 두레카스 코칭스태프 및 의료진[편집] 코칭스태프[82] 감독[83] 비토르 페레이라 수석 코치 필리프 알메이다 루이스 다 실바 안토니오스 니코폴리디스 분석가 요르고스 마르타코스 안토니스 레모나키스 페드루 히베이루 골키퍼 코치 알레코스 란토스 체력 코치 흐리스토스 무리키스 마노스 슴포코스 유소년팀 감독 바실리스 부자스 유소년팀 골키퍼 코치 바실리스 알렉수디스 스카우터[84] 수석 스카우터 후안 호세 로렌소 스카우터 니코스 밤바쿨라스 게오르요스 아마나티디스 디미트리오스 바르발리아스 요르고스 코콜라키스 지우바니 루시아노 가예티 의료진[85] 수석 의료진 흐리스토스 테오스 의료진 니코스 리쿠레시스 알렉시스 카페타나키스 니콜라오스 쿨로풀로스 영양사 마리아 리코미트루 역대 감독[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올림피아코스 FC 감독 목록입니다. 올림피아코스 역대 회장[편집]   성명 국적 연도 미할리스 마누스코스 1925–1928, 1937–1939, 1945–1950 타나시스 메르미가스 1929–1931, 1953–1954 타키스 자카스 1931, 1936 얀니스 안드리아노풀로스 1932, 1933–1935 얀니스 바르바레소스 1946 요르고스 안드리아노풀로스 1954–1967 코스타스 부자키스 1967–1969 타소스 오이코노무 1969–1970 에우틱시오스 구마스 1970–1971 아리스티데스 스킬리치스 1971 디미트리스 바다니스 1971–1972   성명 국적 연도 니코스 굴란드리스 1972–1975 코스타스 타노풀로스 1975, 1976–1978 페리클리스 라나라스 1975 이라클리스 치찰리스 1978–1979 스타우로스 다이파스 1979–1985, 1986, 1992–1994 니코스 에우티미우 1986 게오르게 코스코타스 1987–1988 아르기리스 살리아렐리스 1988–1992 요르고스 바나사키스 1992–1993 소크라티스 코칼리스 1993–2011 에반겔로스 마리나키스 2011– 창립자이자 올림피아코스의 초대 회장, 미할리스 마누스코스 올림피아코스의 전설적인 선수이자, 초기 일원 겸 전 회장 (1954-1967) 이었던 요르고스 안드리아노풀로스 각주[편집] ↑ http://www.uefa.com/MultimediaFiles/Download/StatDoc/competitions/UCL/01/67/63/79/1676379_DOWNLOAD.pdf ↑ “Their full name is Olympiacos Club of Fans of Piraeus. For the sake of sanity, however, you can just call them Olympiacos. Or "Thrylos" once you get to know them. Presentation of Olympiacos F.C. in International Champions Cup's official website: "Olympiacos: The most successful club in Greek football history"”. gazzetta.gr from internationalchampionscup.com. 2014년 2월 22일에 확인함.  ↑ “Olympiacos clinch 40th Greek title”. UEFA.com. 2013년 5월 27일에 확인함.  ↑ “Final win completes double for Olympiacos”. UEFA.com. 2013년 8월 24일에 확인함.  ↑ “Final win completes double for Olympiacos”. UEFA.com. 2013년 5월 27일에 확인함.  ↑ “Ελληνικό Πρωτάθλημα, Οι Πρωταθλητές Ελλάδας από το 1928 μέχρι σήμερα (그리스 리그 우승팀 목록 1928–2013)” (그리스어). 그리스 축구 협회, epo.gr. 2013년 8월 29일에 확인함.  ↑ “Olympiacos trophies”. Olympiacos.org. 2013년 10월 5일에 확인함.  ↑ “1998–99 Champions League quarter-finals”. UEFA.com. 2013년 8월 27일에 확인함.  ↑ “Olympiacos FC”. UEFA.com. 2013년 5월 27일에 확인함.  ↑ “New era in European game”. UEFA.com. 2013년 5월 29일에 확인함.  ↑ “Karaiskakis Stadium History”. olympiacos.org. 2013년 8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25일에 확인함.  ↑ 가 나 “Concentration of people supporting the most popular club (page 41), Greece: Olympiacos 26%” (pdf). 《UEFA sixth club licensing benchmarking report on European club football》. UEFA. 2014년 4월 17일. 2014년 4월 20일에 확인함.  ↑ “ΒΑΜΜΕΝΑ ΚΟΚΚΙΝΑ...ΜΥΑΛΑ - ΑΠΙΣΤΕΥΤΗ Η ΥΠΟΣΤΗΡΙΞΗ ΤΟΥ ΟΛΥΜΠΙΑΚΟΥ ΕΝΤΟΣ ΕΛΛΗΝΙΚΩΝ ΣΥΝΟΡΩΝ, ΚΑΘΩΣ ΟΙ "ΕΡΥΘΡΟΛΕΥΚΟΙ" ΒΡΙΣΚΟΝΤΑΙ ΣΤΗΝ ΕΝΤΕΚΑΤΗ ΘΕΣΗ ΣΕ ΟΛΟΚΛΗΡΗ ΤΗΝ ΕΥΡΩΠΗ ΑΠΟ ΠΛΕΥΡΑΣ ΔΗΜΟΦΙΛΙΑΣ ΕΝΟΣ ΣΥΛΛΟΓΟΥ ΣΤΗ ΧΩΡΑ ΤΟΥ” (그리스어). "GOAL" newspaper. 2014년 4월 19일.  ↑ 가 나 Περισσότερους οπαδούς ο Ολυμπιακός. Σε πρόσφατη έρευνα σχετικά με τους περισσότερους οπαδούς, ο ΟΣΦΠ είναι 1ος, 30/06/2009 SPORT24, 15ετής έρευνα του Παντελή Κυπριανού (in Greek) ↑ [1] Archived 2013년 7월 27일 - 웨이백 머신, το 36% (2.016.000) δηλώνουν Ολυμπιακοί, το 30% (1.680.000) Παναθηναϊκοί, Έρευνα της Focus, Οκτώβριος 2005 –Φεβρουάριος 2006, SPORT24, επίσημο blog του sport24 και του αθλητικού συντάκτη Στέλιου Μαρκάκη (그리스어) ↑ H πιο πρόσφατη... «απογραφή»: 36% Oλυμπιακοί (1,677 εκατομμύρια), 30,2% Παναθηναϊκοί Archived 2014년 11월 29일 - 웨이백 머신, Sentragoal, Βαγγέλης Μπραουδάκης (그리스어) ↑ "Red and White" Olympiacos moments in New York, Greek Reporter USA (usa.greekreporter.com), 2011년 6월 4일 ↑ Greek diaspora supports Olympiacos CFP Archived 2013년 10월 29일 - 웨이백 머신, redplanet.gr (그리스어) ↑ Greek side Olympiakos looking forward to playing Melbourne Victory at Etihad Stadium in May. There are thousands of Olympiakos fans in Australia waiting to see our team in action., foxsports.com, 2012년 3월 21일 ↑ "Our Greek fans in Brazil were amazing". Olympiacos won the Intercontinental Cup in Brazil with Spanoulis, Printezis and Mantzaris praising Olympiacos fans from the Greek community in Brazil and thanking them for their support, gazzetta.gr, 2013년 10월 8일 (그리스어) ↑ Olympiacos supporters of the Greek community in Sao Paulo, provided passionate support to Olympiacos basketball team, as they won the Intercontinental Cup, onsports.gr, 2013년 10월 5일 (그리스어) ↑ Olympiacos Club of New York and Greek diaspora honours Olympiacos President Evangelos Marinakis, The National Herald (thenationalherald.com) (그리스어) ↑ Αυτοί είναι οι οπαδοί στην Ελλάδα – Ο Ολυμπιακός έχει τους περισσότερους φιλάθλους στην Ελλάδα, 2012년 6월 26일 Gazzetta (그리스어) ↑ “History of Olympiacos”. 2014년 10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21일에 확인함.  ↑ “Η Ιστορία του Ολυμπιακού” (그리스어). olympiacos.org. 2012년 9월 30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Olympiacos FC History”. olympiacos.org. 2013년 4월 30일에 확인함.  ↑ “Peiraias Regional Championship”. 2009년 3월에 확인함.  ↑ “Olympiakos (Greece)”. Soccer Anthems. 2012년 1월 24일에 확인함.  ↑ Graham Wood (2011년 1월 8일). “End of an era as Kokkalis retires”. Athens News. 2011년 12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24일에 확인함.  ↑ “Greek champions Olympiacos name Sollied as coach”. BBC.co.uk. 2013년 4월 6일에 확인함.  ↑ “Big spending Shakhtar eager to make splash in Europe”. reuters.com. 2013년 3월 25일에 확인함.  ↑ “El mexicano Nery Castillo, del Olympiakos, al Shakhtar Donetsk” (스페인어). Soccerway.com. 2014년 11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9일에 확인함.  ↑ “Real Madrid finish top of Champions League Group C, Olympiacos also go through after cruising past Werder Bremen 3–0”. CNN.com. 2013년 5월 5일에 확인함.  ↑ “Lemonis leaves Olympiacos post”. UEFA.com. 2008년 3월 12일에 확인함.  ↑ “Mellberg joins Olympiakos from Juventus”. goal.com. 2013년 8월 22일에 확인함.  ↑ “Olympiacos–Arsenal 1–0”. BBC.co.uk. 2013년 1월 2일에 확인함.  ↑ “Olympiacos–Panathinaikos 2–0: Mitroglou Double Takes Thrylos Top”. goal.com. 2013년 3월 5일에 확인함.  ↑ “Olympiacos team”. olympiacos.org. 2013년 5월 29일에 확인함.  ↑ “Find out more about Olympiacos”. arsenal.com. 2014년 9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29일에 확인함.  ↑ “G.Karaiskakis Stadium – History”. olympiacos.org. 2013년 6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20일에 확인함.  ↑ “Karaiskaki Stadium & Velodrome (1895–1964–2003)”. stadia.gr. 2013년 8월 26일에 확인함.  ↑ “1970/71: Replay joy for Chelsea”. UEFA.com. 2010년 5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29일에 확인함.  ↑ “New Karaiskaki Stadium”. stadia.gr/. 2013년 8월 18일에 확인함.  ↑ “Georgios Karaiskakis Stadium”. stadia.gr. 2009년 1월 4일에 확인함.  ↑ “The museum of Olympiacos”. Olympiacos.org. 2013년 8월 4일에 확인함.  ↑ “Gate 7”. Olympiacos.org. 2014년 2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25일에 확인함.  ↑ “Velodrome and Karaiskakis Stadium (1895–1964–2003)”. www.stadia.gr. 2009년 1월 3일에 확인함.  ↑ 가 나 “Football First 11: Do or die derbies”. CNN. 2008년 10월 22일. 2009년 2월 7일에 확인함.  ↑ 가 나 “Olympiacos Piraeus vs. Panathinaikos”. Footballderbies.com. 2009년 11월 19일에 확인함.  ↑ Έλαβον: ΟΣΦΠ 39%, ΠΑΟ 30%, ΑΕΚ 15%, ΠΑΟΚ 11%, Άρης 5%. Ύστερα από 15ετή έρευνα δύο πανεπιστημιακοί στο βιβλίο τους καταγράφουν την ιστορία και γεωγραφία του ελληνικού ποδοσφαίρου, 2009년 6월 30일, ΤΑ ΝΕΑ – tanea.gr (그리스어) ↑ Πιο πολλοί είναι οι Ολυμπιακοί!, 2012년 6월 26일 sportdog από έρευνα του ΣΚΑΙ (그리스어) ↑ Περισσότερους φιλάθλους η Μπαρτσελόνα, πρώτη ελληνική ομάδα ο Ολυμπιακός Archived 2011년 4월 27일 - 웨이백 머신, (그리스어) ↑ 가 나 다 “Γήπεδο είσαι κοινωνία και σου μοιάζω” (그리스어). Eleftherotypia. 2004년 5월 23일. 2008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21일에 확인함.  ↑ “H πιο πρόσφατη... "απογραφή"!” (그리스어). Goalday. 2006년 5월 31일. 2009년 5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21일에 확인함.  ↑ “Προτίμηση ποδοσφαιρικής ομάδας” (그리스어). AEK Empire. 2005. 2009년 2월 4일에 확인함.  ↑ “Results of popularity research” (PDF). 수페르리가 엘라다 웹사이트. 2007년 5월. 2007년 9월 2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4일에 확인함.  ↑ “Ellas attendances”. EFS Attendances. 2009년 2월 4일에 확인함.  ↑ “Portugal celebrates as Benfica smashes world record”. AIPS website. 2006. 2009년 2월 5일에 확인함.  ↑ “"Σπόντες"... δημοσίου” (그리스어). www.sport24.gr. 2006년 4월 14일. 2007년 8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5일에 확인함.  ↑ 토니 코티. "채널 5의 올림피아코스와 뉴캐슬간 UEFA컵 생방송 중계 내용에서" 2005년 3월 10일 ↑ “Away Game Against Olympiacos Will Be A Bit Like Hell – Bordeaux Midfielder Jaroslav Plasil”. www.goal.com. 2010년 1월 28일. 2010년 2월 26일에 확인함.  ↑ “Ιμπραΐμοβιτς: "Δεν αρκούσε ο κόσμος του Ολυμπιακού"” (그리스어). onsports.gr. 2013년 9월 18일에 확인함.  ↑ 노바스포르트 TV 네트워크, 올림피아코스-파리 생제르맹 경기 이후의 인터뷰 내용, 2013년 9월 17일 ↑ 그리스 공영 TV 네트워크, 나세르 알-켈라이피의 올림피아코스-파리 생제르맹 경기 이후의 인터뷰 내용, 2013년 9월 17일 ↑ “Red Star Belgrade – Olympiacos Piraeus Orthodox Brothers”. gate7europe.com. 2014년 5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27일에 확인함.  ↑ “The friendly match between Red Star and Olympiacos in 1994, Welcome Orthodox Brothers” (그리스어). 1925.gr. 2012년 11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27일에 확인함.  ↑ Olympiacos anthem, soccer-anthems.com ↑ “Olympiacos anthem”. 2013년 10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Barney Spender (2006년 1월 13일). “It's Derby Day”. Athens News. 2012년 7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24일에 확인함.  ↑ “As Panathinaikos meet Olimpiacos in Europe's fiercest derby on El Clasico weekend, expect a battle of epic proportions”. 2014년 10월 25일. 2014년 11월 21일에 확인함.  ↑ “Team sports suspended after injuries, death”. ESPN.com. 2007년 3월 30일. 2008년 12월 7일에 확인함.  ↑ “Soccer: Greece wrestles with fan violence”.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007년 4월 19일. 2008년 12월 7일에 확인함.  ↑ “Fan’s Death Shocks Greece”. Goal.com. 2007년 3월 30일. 2008년 3월 12일에 확인함.  ↑ “AEK Athens vs. Olympiacos Piraeus”. Footballderbies.com. 2009년 2월 7일에 확인함.  ↑ “PAOK Saloniki vs. Olympiacos Piraeus”. Footballderbies.com. 2009년 11월 19일에 확인함.  ↑ “Galatasaray AŞ-Olympiacos CFP, match press kit” (PDF). www.uefa.com. 2008년 10월 21일. 1쪽. 2009년 11월 19일에 확인함.  "그들은 본래 1958-59 시즌의 유럽 챔피언 클럽 컵 예선전에서 베식타시를 상대할 예정이었으나, 대회에서 기권했다." ↑ “Σύνθεση Ομάδας: ΟΛΥΜΠΙΑΚΟΣ Σ.Φ.Π.”. 2014년 9월 4일에 확인함.  ↑ “ON LOAN”. olympiacos.org. 2015년 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18일에 확인함.  ↑ “Αγωνιστικό Τμήμα Ακαδημίας Ποδοσφαίρου Κ-20 (축구 U-20 부서)” (그리스어). olympiacos.org. 2012년 7월 26일에 확인함.  ↑ “RENTI TRAINING CENTRE, Information”. olympiacos.org. 2018년 4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7월 26일에 확인함.  ↑ “Olympiacos President”. Olympiacos. 2013년 9월 2일에 확인함.  ↑ “Olympiacos Assistants to coach”. Olympiacos. 2018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9월 2일에 확인함.  ↑ “Olympiacos Head Coach”. Olympiacos. 2013년 9월 2일에 확인함.  ↑ “Olympiacos Scouting staff”. Olympiacos. 2013년 9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9월 2일에 확인함.  ↑ “Olympiacos Medical staff”. Olympiacos. 2018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9월 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올림피아코스 FC (그리스어/영어/스페인어/포르투갈어) (러시아어/중국어/아랍어/한국어) 공식 웹사이트 (그리스어) 공식 트위터 페이지 (그리스어) 공식 서포터 웹사이트 RSSSF vdeh올림피아코스 FC 선수 감독 시즌 수상 현재 시즌 역사 유럽의 올림피아코스 FC 7번 출입구 참사 홈구장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 훈련장 렌티 훈련장 서포터 7번 출입구 라이벌전 영원한 적들의 더비 AEK 경쟁 PAOK 경쟁 모태 구단: 올림피아코스 CFP vdeh올림피아코스 FC – 현재 명단 2 마니아티스 (주장) 3 보티아 5 밀리보예비치 6 아펠라이 7 미트로글루 8 은딩가 9 두르마즈 10 도밍게스 11 카사미 12 하라 14 엘랍델라위 16 로베르토 17 디아만타코스 18 부할라키스 19 푸스테르 20 얀눌리스 22 얀뇨티스 23 시오바스 24 아블로니티스 25 포르투니스 26 마쉬아퀴 27 베니테스 28 베르고스 29 부로스 30 살리누 33 후테시오티스 34 살리아카스 42 메제리 45 산타나 60 이브라힘 62 바투시아디스 72 스트레조스 77 도세비  투레 감독: 페레이라 vdeh 수페르리가 엘라다2018-19 시즌 AEK 아테네 AEL 아폴론 스미르니 이라클리스 테살로니키 아스테라스 트리폴리스 아트로미토스 라미아 레바디아코스 OFI 올림피아코스 파나티나이코스 파네톨리코스 파니오니오스 PAOK PAS 야니나 스코다 크산티 과거 참가 구단 구디 아테네 독사 드라마 디아고라스 로도스 마케도니코스 메가스 알렉산드로스 비자스 아리스 아스피다 크산티 아크라티토스 아트로미토스 피레아스 아티나이코스 아폴론 칼라마리아 에갈레오 에데사이코스 에트니코스 아스테라스 에트니코스 피레아스 이오니코스 카발라 카스토리아 칼라마타 칼리테아 코린토스 테르마이코스 테살로니키 트라시불로스 트리칼라 포스티라스 프로오데프티키 피에리코스 할키다 니키 볼로스 베리아 에르고텔리스 칼로니 케르키라 PAS 야니나 판트라키코스 플라타니아스 과거 참가 구단 (키프로스) 라르나카 AEL APOEL 오모니아 올림피아코스 니코시아 vdeh유럽 클럽 협회 창립 멤버 아약스 안데를레흐트 바르셀로나 바이에른 뮌헨 비르키르카라 첼시 코펜하겐 디나모 자그레브 유벤투스 올랭피크 리옹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AC 밀란 올림피아코스 포르투 레인저스 레알 마드리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올림피아코스_FC&oldid=24472370" 분류: 그리스의 축구단올림피아코스 FC강등된 적이 없는 축구단1925년 설립된 축구단숨은 분류: CS1 - 그리스어 인용 (el)CS1 - 스페인어 인용 (es)그리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مصرى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KurdîLietuviųLatviešu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ਪੰਜਾਬੀ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4일 (월) 03:5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PAE 올림피아코스(그리스어: ΠΑΕ Ολυμπιακός)는 흔히 줄여서 올림피아코스, (Ολυμπιακός) 올림피아코스 피레아스(Ολυμπιακός Πειραιάς) 로 알려져 있으며, 공식명칭이 올림피아코스 신데스모스 필라틀로스 피레아스(그리스어: Oλυμπιακός Σύνδεσμος Φιλάθλων Πειραιώς, "피레아스 팬들의 올림피아코스 클럽") 인 그리스의 프로 축구 클럽이자, 아테네 도시권인 피레아스를 연고로 하는 종합 스포츠 클럽 올림피아코스 CFP의 축구부이다. 올림피아코스는 그리스 축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클럽으로, 그리스 리그를 46번, 그리스 컵을 28번 우승해 더블을 18번 달성했고, 그리스 슈퍼컵도 4번 우승해 국내대회에서 총 78회의 우승을 거두었고, 모든 부문에서 최다 기록을 내고 있다. 올림피아코스의 압도적인 성공은 다른 그리스 클럽들의 리그 우승 횟수를 합치면 총 39회밖에 되지 못한다는 것으로 증명될 수 있다. 올림피아코스는 그리스 리그 최다 연속 우승 기록을 지니고 있는데, 리그 7연패 (알파 에트니키 1996-97 시즌부터 2002-03 시즌) 로 종전의 6연패 (1953-54 시즌부터 1958-59 시즌) 기록을 경신했다. 더 나아가서 파나티나이코스, PAOK와 더불어 그리스 축구 1부리그에서 강등 경험이 없는 세 구단들 중 하나이다. 유럽대항전에서 올림피아코스는 UEFA 챔피언스리그 1998-99와 유러피언 컵위너스컵 1992-93에서 8강에 진출했었다. 또한, 올림피아코스는 유럽 클럽 협회의 창립 멤버이다.올림피아코스의 홈구장은 피레아스의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이다. 올림피아코스는 그리스에서 가장 인기있는 클럽으로, 국내에 250만명이, 전세계 그리스계 해외 거주민들 중 100만명이 지지하고 있다. 올림피아코스는 2006년에 4월 기준으로 83,000명의 유료 회원이 등록 되어 유료 회원 수에 따른 클럽 목록에서 9위에 랭크되었다. 2014년, 유료 회원수는 98,000명으로 증가되었다. 올림피아코스는 파나티나이코스와 오랜 기간 라이벌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두 클럽간의 경기는 영원한 적들의 더비로 불린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올림피아코스 FC의 문양과 유니폼은 어떻게 변화했을까? Assistant: 1925년, 피레아스의 두 클럽인 피레아코스 축구 클럽과 피레아스 팬들의 클럽이 합병되었을 때, 고대 그리스 올림픽의 도덕성, 경쟁심, 그리고 광채로부터 영감을 받아 피레아스 팬들의 올림피아코스 클럽으로 명명되었다. 그 결과 ,클럽은 월계관을 쓴 청소년을 문양으로 도입했고, 이는 올림픽 우승자를 상징하며,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차례의 작은 변화를 거쳤다. 적색과 백색은 문양의 색상으로 사용된다. 적색은 열정을, 백색은 도덕성을 상징한다.[38][39] 팀의 유니폼은 흔히 적색과 백색의 세로 줄무늬로 되어 있으며, 적색 하의와 백색 양말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유니폼은 시대를 거치면서 변화했는데, 주로 유니폼의 줄무늬 두께에 변화가 있었다. 그 다음 흔하게 사용된 유니폼은 올 적색이나 올 백색의 유니폼이었다. 올림피아코스는 세월을 거쳐 원정 유니폼과 써드킷에 다른 색상들을 사용해 왔고, 가장 인상적으로 꼽히는 유니폼은 흑색이나 은색 유니폼이다. 가장 흔했던 올림피아코스의 당시 유니폼은 아래와 같다. (하단의 연도는 해당 유니폼이 사용된 연도를 의미한다) Human: 아래 교향곡_7번_(베토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교향곡 7번 (베토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교향곡 7번 (베토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베토벤 교향곡 제7번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교향곡 7번 가장조 Op.92 "대곡"》 은 1811년에 보헤미아의 휴양지 테플리스에서 작곡하기 시작하여 1812년에 완성하였다. 빈에서 베토벤 자신의 지휘로 초연했으며, 모리츠 폰 프리스 백작(Moritz Reichsgraf von Fries 1777~1826)에게 헌정했다. (정식 표제는 대교향곡이다.) 8번과 동시작곡된 7번 교향곡은 경쾌한 장단과 리듬을 앞세운 무곡 스타일 형태를 뛰우고 있는 곡이다. 목차 1 개요 2 초연 3 구성 4 평가 개요[편집] II. Allegretto Both performed by John Michel IV. Allegro con brio Both performed by John Michel 듣기에 문제가 있으면 미디어 도움말을 참조하세요. 베토벤의 7번째 교향곡. '투쟁과 패배' 라는 도식의 5번이나 '자연에 대한 찬미' 가 중심 주제인 6번과 달리, 7번에서는 경괘한 장단과 리듬을 앞에 내세우는 무곡 스타일의 아이디어를 보여주고 있다. 당대건 후대던 이 곡을 평한 사람들은 하나같이 춤이나 춤곡, 축제 등의 흥분되고 들뜬 모습을 연상케 한다고 한 바 있다. 후속작인 8번과 거의 비슷한 시기에 작업했는데, 대략 1811년 말에 착수해서 1812년 4월(혹은 5월)에 완성했다고 되어 있다. 이 시기 동안 베토벤은 빈이 아닌 보헤미아 지방의 테플리츠(현 체코 테플리체)에서 요양하고 있었는데, 불멸의 연인도 여기서 마지막으로 던져졌기 때문에 이 곡들과 모종의 연관 관계가 있다고 주장하는 연구가들도 있다. 헌정은 베토벤의 후원자 중 한 사람이었던 은행가 모리츠 폰 프리스 백작에게 행해졌다. 초연[편집] 1813년 12월 8일에 빈에서 열린 자선 음악회에서 처음 연주되었는데, 하나우 전투에서 부상당한 오스트리아 병사들을 지원하기 위해 개최된 공연이었다. 베토벤 자신도 그렇고 공연을 기획한 사람들도 그렇고 꽤 공을 많이 들였는데, 이 때 관현악단에서 연주한 이들 중에는 후기 현악 4중주 보급에 크게 이바지한 바이올리니스트 이그나츠 슈판치히 등의 명연주가들 외에 당대 혹은 이후의 유명 작곡가들까지 있어서 꽤 흥미롭다. 하지만 청각장애가 한층 심해진 데다가, 당대 악기로는 자신이 원하는 만큼의 힘과 스피드를 얻기 힘들자 리허설 때 꽤 짜증을 낸 모양이었다. 바이올린 연주자로 참여했던 루이 슈포어의 증언에 따르면, '약하게 연주해야 하는 부분에서는 아예 보면대 밑으로 기어들어갔고, 강한 부분에서는 펄쩍 뛰어올라 고함을 치기까지 했다' 고 한다. 베토벤이 지휘대에서 지휘한 음악회는 한층 고양된 애국주의 열풍과 승리감도 있어서였는지 크게 성공했다. 특히 2악장은 유별나게 인기를 얻어서 여러 형태로 편곡되었고, 초연 무대에서도 앵콜로 연주되었다. 하지만 이 7번이 유독 인기를 많이 얻어 후속작인 8번을 압도하게 되자, 베토벤은 오히려 짜증을 내며 '8번이 7번보다 더 훌륭한 작품' 이라고 출판사에 편지까지 보내 항의했다. 구성[편집] 1악장(Poco sostenuto-Vivace)은 가장조의 목가풍 서주로 시작한다. 3분 남짓 서주가 연주되고 이어 꾀꼬리 소리를 연상케 하는 경쾌한 리듬의 1악장 제시부가 이어진다. 이 주제에 나타나는 특유의 리듬은 이후 1악장 전체에 걸쳐 반복된다. 서주를 제외한 1악장은 전형적인 소나타 형식이다. 2악장(Allegretto)은 '알레그레토(조금 빠르게)'라고 써 있지만 이 교향곡에서 가장 느린 악장이다. 가단조의 멜랑콜리한 주제가 제시되고, 대위법적으로 전개된다. 3악장(Presto)은 바장조의 스케르초이다. 전형적인 겹세도막 형식(A-B-A)을 확장한 A-B-A-B-A 구조로 되어 있다. 4악장(Allegro con brio)은 이 교향곡을 통틀어 가장 빠르고 힘이 넘치는 악장으로, '바커스(술의 신)의 향연'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약박에 있는 액센트가 특징 평가[편집] 로맹 롤랑이 지은 베토벤 전기에서 이 곡을 일컬어 '리듬의 대향연'이라 하였듯이, 이 곡은 각 악장마다 독특하고 인상적인 리듬과 경쾌한 장단이 악장 전체를 지배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 곡은 베토벤 교향곡 중에서 인기가 높은 곡으로 손꼽히며, 연주 시간은 약 40분이다. vdeh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교향곡초기 1번 다장조 2번 라장조 중기 3번 내림마장조 〈영웅〉 4번 내림나장조 〈낭만적〉 5번 다단조 〈운명〉 6번 바장조 〈전원〉 7번 가장조 〈대곡〉 8번 바장조 〈소곡〉 후기 9번 라단조 〈합창〉 가상: 10번 내림마장조 〈미완성〉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교향곡_7번_(베토벤)&oldid=24270061" 분류: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교향곡가장조 작품헌정곡숨은 분류: 오디오가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Magyar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ไทย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4일 (금) 11: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교향곡 7번 가장조, 작품번호 92》는 루트비히 판 베토벤이 작곡한 교향곡이다. 리듬 위주의 곡상으로 인해 현대에도 인기가 높고 연주되는 기회가 많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베토벤이 자신의 교향곡 7번을 만들때 머물던 도시의 이름은 무엇일까? Assistant: 테플리츠
Human: 아래 루르드의_성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루르드의 성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루르드의 성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루르드의 성모상 루르드의 성모 대성당 루르드의 성모(프랑스어: Notre Dame de Lourdes)는 18회에 걸쳐 나타났다고 보고된 성모 마리아를 가리키는 말이다. 루르드의 성모 발현은 1858년 2월 11일 목요일에 시작되었다. 당시 14살의 가난한 소작농 소녀였던 베르나데트 수비루의 보고에 따르면, 여동생과 친구와 같이 땔나무를 모으던 중 마을에서 멀리 떨어진 마사비엘 동굴까지 가게 되었는데, 그곳에서 정체불명의 ‘부인’을 만났다고 전해진다. 베르나데트 수비루는 사후 성녀로 시성되었으며, 많은 가톨릭 신자들은 당시 그녀가 성모 마리아를 본 것이라고 믿고 있다. 1862년 교황 비오 9세는 그 지역 주교에게 권한을 부여하여 루르드의 성모를 공경해도 좋다는 허락을 내렸다. 목차 1 역사 2 루르드 샘물 3 성모 순례지 4 같이 보기 5 각주 역사[원본 편집] 1858년 2월 11일, 베르나데트 수비루는 빵과 물물교환을 하려고 투아네트, 잔 아바디 등 또래의 다른 두 소녀와 함께 약간의 땔나무와 수프 재료로 쓰일 살이 조금 붙은 뼈 등을 채집하러 돌아다녔다. 마사비엘 동굴 근처에 있는 가브 강을 건넌 두 소녀를 따라 베르나데트도 강을 건너려고 신발을 벗었을 때, 폭풍우 같은 바람 소리를 들었다. 그러나 강변의 나무와 수풀은 조금도 흔들리지 않았다. 그런데 동굴에서 갑자기 빛이 뿜어져 나왔다. 그리고 발끝까지 내려온 하얀 드레스에 하늘색 허리띠를 두르고, 하얀 베일로 머리와 어깨를 덮었으며 팔에는 묵주를 두르고 있고 발아래에는 노란 장미가 있는 모습을 한 여인이 나타났다. 베르나데트는 그 여인의 아름다운 모습에 도취하여 자기도 모르게 묵주를 꺼내 기도를 바쳤다. 베르나데트가 묵주 기도를 끝마치자, 여인은 베르나데트에게 머리를 숙여 인사한 다음 순식간에 사라졌다. 베르나데트는 이 일을 자기만이 아는 비밀로 유지하려고 노력했지만, 귀가하던 도중에 비밀을 지킨다는 조건으로 여동생에게 그 이야기를 해주었으나 그 비밀은 오래가지 못하고 결국 그녀의 부모에게 알려지고 말았다. 부모의 힐문을 받고서 그녀와 그녀의 누이는 말도 안 되는 이야기를 했다는 이유로 체벌을 받았다. 3일 후, 베르나데트는 다른 두 명의 소녀와 같이 동굴을 다시 찾았는데, 전하는 바에 따르면 베르나데트가 탈혼 상태에 빠진 것에 놀라 두 소녀가 몹시 두려워했다고 한다. 그녀들이 마을로 돌아왔을 때 베르나데트는 아직도 황홀경이 없어지지 않은 채 남아 있었다. 2월 18일, 그녀는 부인에게서 “너는 앞으로 2주 동안 매일 이 동굴에 오너라.”라는 말을 들었다. 부인은 이어서 “나는 너에게 이 세상의 행복은 약속하지 못하지만 다음 세상의 행복은 약속 하마.”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 이후 경찰과 시 당국까지 포함한 지역 전체의 관심이 이곳에 집중되었다. 부모와 경찰은 베르나데트가 더는 마사비엘레 동굴로 가지 못하도록 조치했지만, 그녀는 아랑곳하지 않고 온갖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서 계속 동굴을 찾았다. 2월 25일, 부인은 작은 흙탕물을 가리키며 베르나데트에게 가서 마신 다음에 씻으라고 지시했다. 베르나데트는 부인이 지시한 대로 손으로 땅을 깊이 파헤친 후 그 물을 마시고 목욕하였다. 그러자 깨끗한 샘물이 갑자기 엄청난 양으로 나왔다. 이 소식이 방방곡곡에 알려지면서, 온갖 종류의 병을 앓는 환자들이 대거 몰려와 이 샘물을 마시거나 몸에 뿌렸다. 그 후, 많은 기적 치료가 보고되었다. 그들 가운데 7명은 1860년 베르게 교수에 의해 어떠한 의학적 설명도 불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샘물을 통해 기적적으로 치유된 것으로 인정받은 첫 번째 환자는 사고 후 오른손이 기형으로 변한 여성이었다. 군중의 수가 점점 많아지자 프랑스 정부는 루르드를 점차 불안한 눈초리로 지켜보기 시작했다. 결국, 정부는 동굴을 울타리로 막고 출입 금지 구역으로 지정한 다음 누구라도 이곳에 접근하는 자는 엄중하게 처벌한다는 결정을 내렸다. 그 과정에서 루르드는 어느새 프랑스의 큰 화젯거리가 되었다. 동굴은 나폴레옹 3세 황제의 개입으로 1858년 10월 4일에 다시 일반에 개장되었다. 이와 같은 논쟁에서 교회는 전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기로 하였다. 3월 25일, 밤중에 베르나데트는 어둠을 틈타 동굴에 겨우 도착하였다. 동굴 주위에는 울타리가 쳐져 있어 안으로 들어갈 수는 없었기에 그녀는 가브 강가에 무릎을 꿇고 동굴을 바라보았다. 잠시 후 베르나데트는 부인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녀는 세 번이나 되풀이하여 부인에게 이름을 물었으나 부인은 미소만 지을 뿐 대답이 없었다. 마침내 네 번째 물음에 그녀는 “나는 원죄 없는 잉태이다.”라는 부인의 대답을 들었다. 4월 7일 일요일 부활절 날, 베르나데트를 관찰한 의사는 그녀가 탈혼 상태에 빠졌을 때, 촛불에 손을 뻗었는데도 화상을 전혀 입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 7월 16일, 베르나데트는 동굴에 마지막으로 찾아갔다. 부인의 미소를 보고 감탄한 그녀는 나중에 “그렇게 아름다운 모습은 한 번도 본 적이 없었어요.”라고 회고했다. 지금까지 모든 과정 동안, 매우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던 교회는 전국적인 질문들에 직면하자, 1858년 11월 17일에 루르드에 대한 조사위원회를 발족하기로 하였다. 1860년 1월 18일, 지역 교구장은 “동정 마리아께서는 참으로 베르나데트 수비루에게 나타나셨다.”라고 발표하였다. 오늘날 루르드는 파티마와 더불어 성모 공경의 근거지로서, 매년 세계 각국에서 4-600만 명의 순례자가 성모 마리아와 관련된 순례지 가운데 한 곳으로 자주 찾아오는 장소가 되었다. 근래의 교황들 역시 루르드를 자주 방문하였다. 베네딕토 15세, 비오 11세, 요한 23세는 주교 시절에 루르드를 찾아왔으며, 비오 12세는 교황 사절 때 루르드를 찾았다. 비오 12세는 또한 루르드의 성모 발현 100주년을 기념해 회칙 《루르드의 성지 순례》(Le Pelerinage de Lourdes)를 발표하였다. 요한 바오로 2세는 루르드를 총 세 번 방문하였다. 베네딕토 16세는 2008년 9월 15일 루르드의 성모 발현 150주년을 맞아 루르드를 찾아 미사를 거행하였다. 루르드 샘물[원본 편집] 2008년 9월 12일 토요일, 프랑스 순방 중 루르드의 성모 순례지를 방문한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마사비엘 동굴로 찾아가서 19세기식 옷차림을 한 소녀가 건네준 루르드의 샘물을 한 잔 마셨다. 1858년 2월 25일 베르나데트 수비루는 이 장소에 루르드의 성모가 나타나 샘물이 솟아났다고 설명하였다. 그날 이후 루르드에는 연간 500만 명이나 되는 순례자들이 방문하여 루르드의 성모가 베르나데트에게 “샘에 가서 그 물을 마시고 몸을 씻어라.”라고 한 명령을 따라 행하고 있다. 비록 교회가 공식적으로 장려하고 있지는 않지만, 루르드 샘물은 기적의 샘물로 불리며 루르드에서 성모 마리아에 대한 신심을 고취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발현 이후, 난치병을 앓는 많은 사람이 이곳에 와서 자신들의 치유를 갈망하며 그 물을 마시거나 몸을 씻고 있다. 그리고 루르드 당국은 루르드 샘물을 마시거나 목욕하러 찾아오는 사람 모두에게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매년 순례자들이 마시거나 떠가는 샘물의 양은 1만m3나 된다. 1858년 루르드의 시장 앙셀름의 의뢰에 따라 루르드 샘물에 대한 성분 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일은 툴루즈에 사는 교수가 맡았는데, 조사 결과 샘물을 마셔도 몸에 아무런 문제가 없으며, 산소, 질소, 탄산 석회, 마그네시아, 극소량의 탄산철, 알칼리성 탄산염 또는 규산염, 칼륨과 나트륨의 염화물, 극소량의 칼륨과 소다의 황산염, 극소량의 암모니아, 극소량의 아이오딘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질상, 수질은 매우 깨끗하며 특별한 화학 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결론을 지었다. 성모 발현 이후 루르드에서는 지금까지 7천여 건의 기적 치유 사례가 보고됐다. 그러나 현재 교회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기적은 총 67건이다. 루르드 샘물의 기적 치유 심사는 1882년 설립된 루르드 의무국에서 실시한다. 이 의무국은 전 세계 모든 의사들에게 열려있으며, 의사들은 기적으로 병이 나은 사람들을 조사하거나 의무국 내 문서를 살펴볼 수 있다. 루르드 의무국에서는 이전에 불치병 판정을 받은 이들이 치유된 사례를 조사하고 완치 확인서를 발급하지만 결코 기적이라고 표현하지는 않는다. 또 이곳에서는 정신적 원인일 가능성이 있는 질병이 아닌 오직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고 의학적으로 입증된 기질적 질병의 치유 사례만을 제한적으로 조사한다. 기적 치유로 인정받으려면 매우 심각하고 치료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질병으로, 회복단계가 아니며, 효과적인 약물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점 등을 충족해야 한다. 또 치유는 즉각, 완전하게, 영구적으로 이뤄져야 한다.[1] 성모 순례지[원본 편집] 루르드의 성모 대성당 프랑스의 루르드 마을에서 성모 마리아가 발현한 성지(동굴) 부근 지역을 일컬어 루르드의 성모 순례지라고 부른다. 이 지역은 교회 측에서 직접 관리하고 있으며, 병을 앓는 순례자들과 그들을 거드는 봉사자들을 위해 마련한 진료실과 숙박시설을 운영하는 등 헌신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 성지는 동굴을 포함해서 동굴과 연결한 근처 수도꼭지를 통해 사람들에게 루르드 샘물을 나누어주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루르드 의무국을 포함해 성모 마리아가 발현한 동굴 위에 대성당과 2채의 부속 성당을 세웠다. 루르드의 세 성당은 51헥타르에 달하는 땅을 차지하고 있으며, 스물두 개의 분리된 전례 공간을 갖고 있다. 순례지에서는 공식적으로 프랑스어, 영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네덜란드어, 독일어 등 총 6개국의 언어로 기도를 바친다. 같이 보기[원본 편집] 루르드 성모 발현 각주[원본 편집] ↑ 주정아 (2008년 1월 6일). “[루르드 성모발현 150주년 희년] ②‘회개하라, 회개하라, 회개하라’”. 가톨릭신문. 2008년 12월 18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루르드의_성모&oldid=24427636" 분류: 성모 발현프랑스의 로마 가톨릭교회1858년 프랑스1858년 기독교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FrançaisGaeilgeBahasa Indonesia日本語മലയാളംPolskiShqipதமிழ்Tiếng Việt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4일 (금) 19: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루르드의 성모(프랑스어: Notre Dame de Lourdes)는 18회에 걸쳐 나타났다고 보고된 성모 마리아를 가리키는 말이다. 루르드의 성모 발현은 1858년 2월 11일 목요일에 시작되었다. 당시 14살의 가난한 소작농 소녀였던 베르나데트 수비루의 보고에 따르면, 여동생과 친구와 같이 땔나무를 모으던 중 마을에서 멀리 떨어진 마사비엘 동굴까지 가게 되었는데, 그곳에서 정체불명의 ‘부인’을 만났다고 전해진다. 베르나데트 수비루는 사후 성녀로 시성되었으며, 많은 가톨릭 신자들은 당시 그녀가 성모 마리아를 본 것이라고 믿고 있다. 1862년 교황 비오 9세는 그 지역 주교에게 권한을 부여하여 루르드의 성모를 공경해도 좋다는 허락을 내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루르드 샘물의 성분 분석은 언제 이루어졌을까? Assistant: 1858년 Human: 아래 람보르기니_쿤타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람보르기니 쿤타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람보르기니 쿤타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람보르기니 쿤타치 람보르기니 쿤타치 LP500S 차종 스포츠카 제조사 람보르기니 생산년도 1974년 - 1990년2,042대 제작 선행차량 람보르기니 미우라 후속차량 람보르기니 디아블로 차체형식 2도어 쿠페 구동방식 미드 엔진, 후륜구동 엔진 4.0L V12 엔진5.0L V12 엔진5.2L V12 엔진 변속기 5단 수동 람보르기니 쿤타치(Lamborghini Countach)는 이탈리아의 자동차 제조업체 람보르기니가 1974년부터 1990년까지 16년 동안 제작한 스포츠카이다. 미드십 엔진을 기반으로 한 후륜구동 자동차이다. 쐐기 모양의 디자인을 개척해 대중화시켰으며, 많은 고성능 스포츠카들이 쿤타치의 날카로운 각도에서 영향을 받았다. 쿤타치는 운전석과 조수석을 앞쪽으로 한참 밀어냄으로써 뒤쪽에 거대한 엔진의 공간을 확보했다. 이런 독특한 생김새를 한 쿤타치 덕분에 앞으로 향한 운전석과 조수석 디자인의 컨셉트(cabin-forward design concept)는 많은 대중화가 이루어졌다. 2004년, 미국의 스포츠카 전문 잡지 세계의 스포츠 카(Sports Car International)는 "가장 위대한 1970년대의 스포츠카" 10대 중 3위에 쿤타치를 등재시켰으며, 이어 "가장 위대한 1980년대의 스포츠카" 10대 중 10위에도 쿤타치를 등재시켰다. 목차 1 이름 2 스타일링 3 엔진 4 구조 5 쿤타치의 모델 5.1 쿤타치 프로토타입 LP500 5.2 쿤타치 LP400 5.3 쿤타치 LP400S 5.4 쿤타치 LP500S 5.5 쿤타치 LP5000QV 5.6 람보르기니 25주년 기념 쿤타치 5.7 월터 울프의 쿤타치 6 쿤타치 에볼루치오네 7 생산량 8 쿤타치의 복제품(Replicas) 9 각주 10 외부 링크 이름[편집] 쿤타치의 뜻은 피에몬테(이탈리아 북서부의 주(州))에서 깜짝 놀랄 때 사용하는 감탄사이다. 피에몬테 주의 지역 방언인 셈인데, 대체적으로 남자들이 정말 아름다운 여성을 봤을 때의 감탄사로 자주 사용한다.[1] 대한민국에서는 쿤타치 대신 카운타크로 흔히 부르는데, 이것은 Countach의 영국식 발음(영어: Countach 카운탁[*])이 일본어(일본어: カウンタック)를 거쳐 와전된 말로써, 정확한 명칭은 "쿤타치"(kunˈtɑʃ)[1]이다[2]. 람보르기니는 새로운 자동차를 위해 한참 전부터 투우와 관련된 이름을 연구 중에 있었는데, 쿤타치라는 이름이 붙은 것에 다른 가설이 있다. 누치오 베르토네(Nuccio Bertone)가 자신의 스튜디오에서 "프로젝트 112"를 계획하며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최초의 프로토타입은 1971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공개됐다. 스타일링[편집] 쿤타치 LP500을 위에서 봤을 때 볼 수 있는 초현대적인 스타일링 쿤타치는 베르토네 디자인 스튜디오에서 마르첼로 간디니가 디자인했다. 마르첼로는 미우라를 디자인한 자동차 디자이너이다. 마르첼로 간디니는 젊었을 시절 경험이 부족한 디자이너였다. 실제로 경험이 부족한 것은 아니었지만, 이와 동시에 그는 다른 디자이너들이나 자동차 제조업체의 직원들로부터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는다는 유리한 조건이 있어서 조용하지만 굉장히 눈에 띄는 디자인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 쿤타치의 모양은 넓고 낮았지만 앞뒤로 길지는 않았다. 쐐기의 각도는 42.1 인치였고, 부등변 사각형(사다리꼴) 모양의 판으로 덮혀져 있어 각이 진 쐐기 모양의 몸체가 대체적으로 평평하기 그지없었다. 특히 스포일러(날개) 라인은 코카콜라 병의 곡선처럼 부드럽게 처리되었으나 전체적인 모습은 어쩔 수 없이 뾰족하고 날카로웠다. 쿤타치의 트레이드마크는 바로 시저 도어이다. 입체 뼈대로 만들어진 섀시를 사용했는데, 실제 자동차를 만들 때는 좌우 폭이 너무 넓어진 것과 반대로 차의 몸통 자체가 너무 비좁고 사방이 막힌 형태라 일반적인 문을 사용할 수가 없게 됐다. 때문에 수평으로 만들어진 경첩을 붙임으로 문을 연결하게 됐다. 그 결과, 문틀은 굉장히 넓어졌고 문이 매우 높이 위로 올라가서 앞으로 젖혀지는 시저 도어를 장착하게 됐다. 시저 도어를 장착한 후에는 또 다른 문제가 생겼다. 바로 지붕이 너무 낮다는 것이었다. 문을 열자마자 사람의 머리 위에 곧바로 지붕이 위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후방 시야가 형편없었기 때문에 운전자가 후진(또는 후진 주차)를 하려면 운전자가 문을 열고 고개를 밖으로 내밀어야 했으나, 문틀이 너무 넓어 그럴 수도 없다는 황당한 문제점까지 생겼다. 그러나 후진에 대해 다른 의견이 제시되었는데, 문을 연 상태로 운전자가 문틀에 앉아서 밖으로 고개를 내밀고 뒤를 살피면 후진이 가능하다는 의견이었다. 실제로 문틀이 매우 넓어서 사람이 앉을 공간이 있으며, 문틀에 앉아서 뒤를 보며 운전이 가능하다.[2] 프로토타입의 온전한 스타일은 계속해서 향상되기도 했고, 계속해서 어수선해지기도 했다. 역시 가장 큰 문제는 운전자의 시야였다. 물론 자동차의 성능도 계속해서 개선됐는데, 운전자의 조건에 따르긴 했으나 조향 성능 등이 다루기 쉬워졌다. 이후 최초 생산 모델의 경우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해 충분한 양의 공기 흡입구가 꼭 필요했다. 결국 미국 항공 자문 위원회(NACA)에 조언을 구해 비행기에 사용되는 수많은 공기 흡입구가 자동차의 양 옆과 뒷쪽 펜더, 그리고 문 근처에 생겼다.(후에 많은 스포츠 자동차들이 이런 공기 흡입구를 채용했는데, 대표적으로 페라리 F40이 쿤타치와 비슷한 공기 흡입구를 갖게 됐다.) 이후, 자동차의 마무리 디자인에서 커다란 엔진의 흡입구가 곧장 운전자의 뒤에 위치하게 되어 후방 시야는 더 좁아졌다. 후에 몇 가지가 더 첨가됐는데, 펜더 부분의 조명등과 스포일러, 카뷰레이터의 덮개와 범퍼 등, 계속해서 자동차에 미적인 가치를 높여주는 것들이 추가됐다. 쿤타치의 스타일링과 인상적인 비주얼이 원인이 되어 거의 모든 사람들은 쿤타치를 가장 우수한 디자인의 표본으로 삼게 됐다. 물론 자동차 엔지니어들을 제외하고 말이다. 당시까지 쿤타치의 우월한 성능은 후에 람보르기니 모델(디아블로나 무르시엘라고 등의 후속세대)들은 물론이고 수많은 고성능 자동차 운전자들과 엔지니어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 반대로 쿤타치만의 차별점, 특히 쿤타치만이 소유할 수 있는 별난 독창성은 남기지 못했다. 후에 많은 람보르기니 모델이 만들어졌을 때는 앞서 설명한 사람들 사이에서 현대적인 람보르기니 모델들과 쿤타치를 비교하며, 쿤타치에 대해 "고전적이다(다른 표현:"현재의 람보르기니 디자인이 우수하다")"와 "(쿤타치가)람보르기니 사상 가장 위대한 디자인이다"로 심한 의견 충돌을 보여주어 많은 논란을 남겼다. 대체적으로 충돌한 의견의 주장은, "우아하게 보이는 스타일" vs "기술과 엔지니어링의 우월성"이다. 엔진[편집] 쿤타치의 엔진 람보르기니의 전통적인 V12 엔진을 세로로 돌려서 후륜구동 축과 함께 중앙에 배치했다. 무게 중심을 배열하는 것은 좋아졌는데 엔진을 세로로 배치하는 바람에 "퇴보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토크 밸런스를 결정짓는 자동차의 출력 축은 앞쪽으로 쏠렸으며, 엔진의 바로 앞에 기어박스가 설치됐다. 차동장치가 엔진의 바로 뒤에 설치됐으며 맞은편에 구동축이 자리를 잡았다. 최초로 생산된 자동차는 미우라의 4리터 엔진이 장착되어 있었지만 원래 계획은 5리터의 엔진을 사용하는 것이었다. 후에 배기량이 5리터로 늘어난 엔진과 5.2리터 4밸브(Quattrovalvole) 엔진이 장착됐다. 5000QV 모델까지만 모든 람보르기니 쿤타치가 6개의 웨버(Weber) 카뷰레이터를 구비한 채 미국에서도 판매됐다. 유럽에서 판매된 모델은 쿤타치로 유명해진 카뷰레이터를 후속세대인 람보르기니 디아블로까지 사용했을 정도였다. 5000QV가 사용한 엔진에는 보쉬(Bosch)가 만든 K-제트로닉 연료 분사장치가 구비되어 있었다. 구조[편집] 쿤타치는 튜브 모양의 입체 뼈대를 사용했다. 입체 뼈대에 사용된 재질은 차체 강성을 높이기 위해 레이싱 자동차나 항공기가 사용하는 알루미늄이었다. 이 알루미늄을 사용하면 차의 내구성이 높아지며, 무게를 거의 1,400 kg까지 줄일 수 있어 차가 가벼워지는 효과도 동반됐지만 생산값이 너무 비싸졌다. 차체의 몸체 아랫쪽에 섬유 유리(피버 글라스)를 사용했다. 쿤타치의 모델[편집] 쿤타치 프로토타입 LP500[편집] 딱 한 대의 쿤타치 LP500 프로토타입이 만들어졌다. 배기량이 5리터로 늘어난 엔진을 사용하겠다는 의미로 500이라는 숫자를 붙인 것이다. LP는 Longitudinale Posteriore의 약자로, 한글로 직역하면 "후방 세로 배치"라는 뜻이다. 엔진을 뒷쪽에 새로로 배치했다는 뜻이며, 가야르도나 무르시엘라고 시리즈의 상위 모델인 LPxxx 모델에 이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1971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노란색 해바라기 색상이 칠해진 LP500이 충격적인 데뷔를 가졌다. 마르첼로만의 역동적인 디자인 컨셉트로 많은 사람들의 눈길을 사로잡았으나, 실제로 그가 디자인한 LP500의 디자인 그대로 생산을 하려면 포괄적인 수정이 필요했다. 엔진의 냉각을 위해 자동차의 뒷쪽 어깨에 설치된 작은 공기 흡입구 구멍이 너무 부족했고, 커다란 '공기 박스' 통풍구도 있어야 했다. 더 많은 공기를 흡입하려고 NACA의 더 큰 흡입구가 양 옆에 설치됐다. 실험적인 자동차였으나, 실제 생산을 위해선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져서 차체나 흡입구 등을 연결시켜주는 벌집 모양을 한 낙차공도 있어야 했다. 현재 이 자동차는 지구상에 존재하지 않는 자동차이다. 유럽의 신차 안전 검사(충돌 테스트)에서 승인을 받기 위해 희생됐기 때문이다. 실제로 생산된 쿤타치와는 엄청나게 다른 생김새를 하고 있었다.[3] 쿤타치 LP400[편집] 앞쪽(3/4 위치)뒷쪽(3/4 위치)쿤타치 LP400 1974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첫 생산된 쿤타치가 인도됐다. 4리터 엔진을 사용한 쿤타치였다. LP500 프로토타입에서 외향적으로 작은 변화가 있었는데, 극히 평범했던 후미등이 초현대적이게 모여있었다. 자동차를 과열로부터 해방시켜주는 거대한 공기 통풍구와 흡입구가 부착되며 마르첼로의 원래 구상과 다르게 오히려 디자인 자체가 매우 공격적이게 변해있었다. 그러나 전체적인 모양이 굉장히 날렵한 것은 변함없었다. 원본 쿤타치와 다르게 아주 좁은 타이어가 달려 있었다. 하지만 협소하기 짝이 없는 매끄러운 스타일링은 항력 계수를 낮추는 것에 일조하여 쿤타치가 최고 속도를 최대한 높이는 것에도 도움을 줬다. 많은 사람들이 쿤타치의 여러 파생 모델들 중에서도 원본 모델처럼 깔끔하고, 정말로 평범하지만 매끈한 선과 적은 장식들로 이루어진 LP400의 외모에 호감을 표시했다. 차의 뒷쪽에는 "람보르기니"와 "쿤타치"라는 것을 곧바로 알 수 있는 간단한 엠블렘만 있었는데, 엔진 배기량이나 밸브 배열의 표기가 없었다는 것은 현대의 많은 차들도 표방한 것이었다. 쿤타치 LP400S[편집] 1978년, 새로운 쿤타치 LP400S가 만들어졌다. 엔진은 LP400보다 조금 더 강해졌고, 외관은 더 과격하게 변했다. 휠 아치가 커지면서 타이어도 피렐리 P7 초광폭 타이어로 변경된 채 생산됐다. 옵션으로 V 모양의 스포일러가 제공돼서 뒷쪽 덱(Deck)에 부착되었다. 덕분에 고속 주행에서의 안전성이 좋아졌고, 최고 속도도 10 마일 (약 16 km/h)가 늘어났다. 스포일러는 자동차의 주인이 직접 주문해야 달아줬다. LP400S의 핸들링은 타이어가 넓어지며 코너링에서 더 안전해졌다. 미적으로 몇몇 부분이 더 좋아졌는데, 매끄러운 선이 이전 모델보다 훨씬 공격적이게 변했다. 기본 엠블렘("람보르기니"와 "쿤타치" 엠블렘)은 변함이 없었지만 각이 진 "S"가 쿤타치의 오른쪽에 붙었다. LP400S와는 다른 별개의 세 대가 존재한다. 시리즈 1 — 자전거 부품 제조업체 캄파놀로(Campagnolo)가 1978년과 1979년에 만든 "브라보" 휠을 장착한 50대의 LP400S 시리즈1이 한정판으로 제작됐다. 1978년 전에는 LP400의 원래 운전대를 만들던 곳이었다. 시리즈1이라는 것을 기념하기 위해 트레이드마크로 세팅한 더 낮은 서스펜션(차체도 낮아졌다.)과 45 밀리미터의 카뷰레이터, "스몰 스튜어트 워너 계기판"(Small Stewart Warner gauges) 등이 특징이다. 차를 만들던 직원들과 심각한 문제가 생겨 1979년 중반기에 생산이 끝났다. 50대의 차가 있으며 마지막 차의 차대번호는 1121100*이다. 시리즈 2 — 시리즈1의 낮은 차체를 유지하며 움푹 들어간/오목한 모양의 휠이 부착됐다. 시리즈1의 완성 버전이나 다름없다. 총 105대의 차가 만들어졌고, 마지막 차의 차대번호는 1121310*이다. 시리즈 3 — 차대번호 1321312를 바탕으로 개조된 것이며, 실제 존재한다고 한다. 운전석 공간은 3 센티미터 정도 높아졌고, 서스펜션 역시 조금 더 높아졌다. 82대를 만들었으며 마지막 차의 차대번호는 1121468*이다. 쿤타치 LP500S[편집] 쿤타치 500S 1982년에 성능이 개선된 모델이 등장하는데, 비로소 5리터 배기량의 엔진을 장착했다. 차체는 바뀐 것이 하나도 없다. 가끔 LP5000S(배기량이 5000이라)이라고 부르는데, 파생 모델인 5000QV와 혼동하기 쉽다.(다음 부분에서 5000QV가 나옴) 1985년, 유명한 TV 시리즈 트랜스포머에 등장하는 사이드스와이프가 바로 람보르기니 쿤타치 LP500S이다. 영화에서는 시보레 콜벳 스팅레이/컨티넨탈 컨셉트 카로 등장한다. 쿤타치 LP5000QV[편집] 1985년, 5.2리터 엔진에 4개의 실린더 밸브(이탈리아어:quattrovalvole, 콰트로-발보레)가 장착되어 출력이 더 높아진 LP500S의 파생 모델이 등장했다. 더 나은 흡배기를 위해 엔진 위에 있던 카뷰레이터가 양옆으로 옮겨졌다. 불행하게도 엔진 덱에 혹처럼 튀어나와있던 카뷰레이터가 좌우로 옮겨지며 생김새 자체가 못 생겨졌다.(이 외에도 범퍼와 관련된 외관 문제는 아래에서 더 언급한다.) 차체의 몇몇 판때기를 케블러(Kevlar) 재질로 수정했고, 조금 더 후에 나온 버전은 카뷰레이터가 연료 직분사를 할 수 있도록 수정돼서 엔진에 부착됐다. 처음에 출시된 모델은 미국 버전의 성능과 함께 미국 안전법에 표준화된 범퍼로 바뀌었다. 이 범퍼는 기존 쿤타치의 것보다 훨씬 큰 것이었는데, 사람들은 쿤타치만의 매끈한 선이 폐허가 됐다고 비난했다. 범퍼 때문에 외관이 많이 변했다. 쿤타치들 중 유일하게 보쉬(Bosch)의 K-제트로닉 연료 직분사 장치를 설치됐다. 유럽에서 판매된 모델에는 제트로닉 연료 직분사 장치가 없는 대신 6개의 웨버 카뷰레이터가 장착되어 있다. 1985년식 미국에서 판매된 5000QV의 가격은 무려 99,500달러였다. 딱 두 개의 옵션만 선택할 수 있었는데, 하나는 공기 역학 스포일러(5,500달러 짜리)이며, 다른 하나는 음향 장비(7,500달러)였다. 많은 모델들이 풀옵션으로 팔려나갔다. 람보르기니 25주년 기념 쿤타치[편집] 람보르기니 25주년 기념 쿤타치 후속차량 람보르기니 쿤타치 5000QV 차체형식 2도어 쿠페, 스포츠카 구동방식 미드쉽, 후륜구동 엔진 5.2L (5167 cc) V12 엔진 변속기 5단 수동 변속기 전장 4,140 밀리미터 전폭 2,000 밀리미터 전고 1,070 밀리미터 전비중량 1,490 킬로그램 1988년, 람보르기니 창립 25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명예로운 이름을 사용한 쿤타치가 발매됐다. 람보르기니 25주년 기념 쿤타치는 기계적으로 5000QV와 비슷한 종류였으나 스타일링은 훨씬 더 역동적이게 변한 자동차였다. 뒷쪽에 '공기 박스'가 더 큰 크기로 다시 만들어졌고, 운전자가 엔진 과열에 신경을 쓸 필요가 없도록 통풍구 뒷쪽의 앞과 뒤가 바뀌었고(뒤집힌 것이 아닌 부품 교체), 좌우가 검은색으로 칠해졌다. 여기에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고 주행 안정성을 높여주는 에어 댐과 사이드 스커트, 공기 흡입구 등의 장비가 갖춰졌다. 후미등은 더 좁고 빽빽하게 바뀌었는데, 후미등의 위와 아래쪽에 차체의 색과 똑같은 색으로 칠해진 금속판이 덮혀서 후미등이 더 좁고 빽빽해졌다.(후미등의 조명 자체는 그대로였고, 단지 위아래로 작은 판이 덮혀졌을 뿐이다.) 전체적인 디자인이 바뀌었지만 너무나 인기가 없었다. 특히 흡입구의 뱃전판(쭉쭉 갈라진 형체)은 마치 페라리 테스타로사를 흉내낸 것 같았다. 하지만 엔진의 냉각 시스템이 더 개선됐으며, 쿤타치의 가장 큰 문제였던 힘겨운 가속력도 개선됐다. 345/35R15 크기를 가진, 더 넓어진 타이어를 가진 채 생산됐다. 25주년 기념 쿤타치는 1990년까지 생산된 후 단종됐으며 후속세대 람보르기니 디아블로에게 V12 자리를 물려줬다. 월터 울프의 쿤타치[편집] 쿤타치 LP400을 소유하고 있던 캐나다의 기업인이자 기업 소유주인 월터 울프가 1970년대에 울프 F1 레이싱팀을 창단했다. 그는 쿤타치 LP400을 소유하고 있었지만, LP400을 마음에 들어한 것은 아니었다. 때문에 1980년대 중반에 이탈리아의 F1 레이싱팀인 스쿠데리아 이탈리아(Scuderia Italia)를 설립한 람보르기니의 수석 엔지니어인 달라라(Dallara)에게 고성능 버전의 특별한 쿤타치를 만들어 달라고 요청하게 됐고, 실제로 월터 울프만을 위한 차가 만들어졌다. 차대번호는 "1120148"이고, 쿤타치 LP400에 울프가 요청했던 쿤타치의 원래 엔진인 5리터 배기량의 엔진을 장착하였다. 엔진의 출력은 447 마력 @ 7,900 RPM이었고, 최고 속도는 315 km/h (201.1 mph)였다. 피렐리 P7 타이어를 장착했고, 펜더의 큰 조명등과 함께 LP400S의 앞뒤에 있던 스포일러가 부착됐다. 차체는 빨간색으로 칠해졌으며, 펜더의 조명등은 검은색으로 칠해져서 흡사 1980년대의 "LP500S"와 비슷한 생김새를 하고 있었다. LP500S보다 훨씬 빨리 등장한 자동차였기 때문에, LP500S에게 영향을 끼친 부분이 꽤 많은 특별 주문제작 모델이었다. 월터 울프의 이 차는 현재 일본에 있다. 총 2대의 울프 쿤타치가 만들어졌는데, 차대번호 "1120202"를 부여받은 한 대는 파란색으로 제작되어 현재 독일에 있다. 다른 한 대는 차대번호 "1121210"을 부여받았으며 감청색(Navy blue)이 칠해져 있다. 오랫동안 울프가 소유하고 있었지만 단 한 번도 판매된 적이 없는 모델이다. 월터 울프가 주문제작한 차와, 그가 람보르기니로부터 받은 다른 두 대의 쿤타치의 모습은 [3]에서 볼 수 있다. 쿤타치 에볼루치오네[편집] 람보르기니는 비공식적으로 1984년과 1987년 사이에 쿤타치 5000QV를 기반으로 '에어로디나미코'(이탈리아 표기:Aerodinamico, 영어 표기:aerodynamic)라는 자동차를 만들었다. 쿤타치 에볼루치오네(이탈리아 표기:Evoluzione, 영어 표기:Evolution)라는 이름도 있다. 이 차와 관련된 사진이나 정보가 거의 없는데, 패트릭 밈란이 람보르기니를 소유하자마자 만들다가 중단했기 때문이다. 주로 디자인이 많이 변경되어서 다른 쿤타치들보다 항력 계수가 많이 낮아졌다. 차대번호 0150번의 쿤타치 에볼루치오네는 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해 양옆이 부드럽게 변했고, 앞과 뒤는 기류 저항으로 인해 더 매끈하게 변했다. 결과적으로 재앙에 가까운 디자인이 되어버렸다. 더 이상하게 변해버린 문틀과 비대해진 스포일러 등, 처음부터 좋은 것은 모두 다 쿤타치 레플리카에 줘버리고 나쁜 것만 갖게 됐다. 쿤타치의 마지막 생산이 진행되던 5년 동안 (크라이슬러가 인수한 후) 람보르기니 미우라 조타의 후속차량으로 꽤 많은 양이 생산됐으나 제대로 공개된 적도 없고, 판매된 적도 없다.[4][5] 생산량[편집] 쿤타치는 16년 동안 총 2,042대가 제작됐다. 프로토타입은 1대가 제작됐고, LP400은 157대, LP400S는 237대, LP500S와 LP5000QV는 각각 321대, 676대를 제작했고 람보르기니 25주년 기념 모델은 650대 한정판으로 제작됐다. 프로토타입 LP400 LP400S LP500S LP5000QV 25 Anniversary 1 157 237 321 676 650 마지막 5년 동안 엄청나게 많은 양을 만들었는데, 람보르기니를 인수한 크라이슬러가 일부러 생산량을 늘린 것이었다. 쿤타치의 복제품(Replicas)[편집] 1984년, 로드 라드렛의 라드렛 디자인 스튜디오(Rod Ladret of Ladret Design Studio)가 위치한 캐나다 앨버타 주에서 쿤타치의 복제품(레플리카)이 만들어져 마케팅에 들어갔다. 실제 쿤타치는 아니며, 쿤타치를 본뜬 석고 반죽과 섬유 유리 주조를 통해 만들어진 키트 카(주인이 될 주문자가 부품을 받아 직접 조립을 하는 자동차이다. 영국의 TVR이 유명하다.) 종류이다. 라드렛 디자인 스튜디오가 직접 만든 튜브 프레임 섀시와 미국산 V8 엔진을 제공했으며, 기본적인 키트와 자동차의 틀도 제공해줬다. 라드렛 디자인 스튜디오는 총 141대의 쿤타치 레플리카를 제작했다. 고객의 주문에 따라 산업용 섬유 유리로 만든 쿤타치의 복제품 섀시를 만들어서 팔기도 했는데, 10년 동안 수천 개를 넘게 판매했다. 1993년, 라드렛은 쿤타치 레플리카의 제작을 중단하고 다른 일을 시작했지만, 1984년에 만들었던 것과 비슷한 키트를 다시 만들어서 2007년부터 판매하고 있다. 1985년 막바지부터 1990년대까지 그의 회사가 복제한 쿤타치는 가지각색의 차로 만들어져 성공 가능성을 보여줬다. 1985년에는 개리 톰슨(Gary Thompson)과 피터 잭슨(Pete Jackson)이 실제 쿤타치를 빌려서 섬유 유리 주조(라드렛이 사용한 주조 기술)를 통해 실제와 똑같은 쿤타치를 만들었고, 이것을 가정용 면제품 값에 상류층 사람들에게 빌려주는 사업을 하기도 했다. 실제로 그들은 영국 회사를 차리고 같은 공법으로 쿤타치 레플리카를 만들어서 판매하기도 했다. 쿤타치의 레플리카 회사들 중, 정말 극소수의 회사들이 실제 쿤타치와 큰 차이가 없는 놀라운 완성도를 자랑한 쿤타치 레플리카를 선보여 화제를 얻기도 했는데, 대표적으로 폴 로렌슨의 프로바 자동차(Paul Lawrenson of Prova Cars), 앨런 부스의 시에나 자동차(Alan Booth of Sienna Cars), 필 캐터햄의 미라지 레플리카(Phil Cheetham of Mirage Replicas, 신기한 복제품 회사), 브라이트휠 레플리카(Brightwheel Replicas) 등이 있다. 람보르기니 디아블로의 레플리카를 만들기도 한 DC 슈퍼카(DC Supercars)는 오래전, 쿤타치의 레플리카를 만들었던 필 캐터햄의 미라지 레플리카이다.[6][7] 쿤타치의 초현대주의적 디자인은 많은 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때문에 단순한 복제만 하지 않고 쿤타치의 차체를 유지한 채 길이를 리무진을 만드는 사람도 있다.[8] 각주[편집] ↑ Countach LP500 ↑ 쿤타치는 미국식 발음이며, 이탈리아 현지 발음은 '쿤타쉬'에 가깝다. ↑ Lamborghini Countach Prototyp ↑ http://www.countach.ch/History/Evo/index.html | 쿤타치 에볼루치오네의 사진 ↑ http://www.qv500.com/lamborghinicountachp6.php Archived 2010년 7월 31일 - 웨이백 머신 | 쿤타치 에볼루치오네의 자세한 정보 ↑ http://www.dcsupercars.com/ | 실제로 람보르기니 레플리카를 만드는 DC 슈퍼카의 사이트 주소 ↑ tour d horizon des repliques de countach ↑ Lamborghini Countach Limousine Replica - Top Speed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람보르기니 쿤타치 Countach 25th Anniversary vdeh람보르기니스포츠카 350GT 400GT 미우라 에스파다 이슬레로 자라마 우라코 쿤타치 실루엣 잘파 디아블로 무르시엘라고 가야르도 레벤톤 아벤타도르 베네노 세스토 엘레멘토 우라칸 SUV LM002 우루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람보르기니_쿤타치&oldid=23486874" 분류: 람보르기니의 차종슈퍼카쿠페1970년대 자동차1980년대 자동차1990년대 자동차대형 승용차1974년 도입된 자동차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오래된 그림 구조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Bosanski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18일 (금) 16: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람보르기니 쿤타치(Lamborghini Countach)(/ˈkuːntɑːʃ/)는 이탈리아의 자동차 제조업체 람보르기니가 1974년부터 1990년까지 16년 동안 제작한 스포츠카이다. 미드십 엔진을 기반으로 한 후륜구동 자동차이다. 쐐기 모양의 디자인을 개척해 대중화시켰으며, 많은 고성능 스포츠카들이 쿤타치의 날카로운 각도에서 영향을 받았다. 쿤타치는 운전석과 조수석을 앞쪽으로 한참 밀어냄으로써 뒤쪽에 거대한 엔진의 공간을 확보했다. 이런 독특한 생김새를 한 쿤타치 덕분에 앞으로 향한 운전석과 조수석 디자인의 컨셉트(cabin-forward design concept)는 많은 대중화가 이루어졌다. 2004년, 미국의 스포츠카 전문 잡지 세계의 스포츠 카(Sports Car International)는 "가장 위대한 1970년대의 스포츠카" 10대 중 3위에 쿤타치를 등재시켰으며, 이어 "가장 위대한 1980년대의 스포츠카" 10대 중 10위에도 쿤타치를 등재시켰다.그리고 2022년에레고에서 쿤타치레고만들었다.번호는76908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람보르기니가 에어로디나미코를 제작한 것은 언제일까? Assistant: 1984년과 1987년 사이
Human: 아래 전도봉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전도봉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도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전도봉全道奉 출생일 1942년 10월 10일(1942-10-10) (76세) 출생지 일제 강점기 경상남도 통영군 일운면 구조라리 별명 아호(雅號)는 산남(山南)· 해송(海松)· 해봉(海峯) 닉네임은 해병대의 살아있는 전설, 영원한 해병대 사나이 종교 개신교(예장통합)[1] 정당 무소속 배우자 류명자(柳明子) 자녀 슬하 3남 학력 연세대 행정대학원 복무 대한민국 해병대 복무 기간 1966년 ~ 1998년 최종 계급 해병 중장 지휘 해병대 청룡부대 1소대장 해병대 연평부대 21중대장 해병대 2사단 51대대장 해병대 1사단 3연대장 해병대 사령부 참모장 해병대 교육훈련단장 해병대 1사단장 해병대 부사령관 해병대 사령관 주요 참전 베트남 전쟁 서훈 내역 1998년 미국 정부 공로훈장2009년 글로벌녹색경영대상 기타 이력 한전KDN 사장 한국그린피플연맹 총재 자유민주연합 시민행정특임고문 웹사이트 전도봉 전도봉(全道奉, 1942년 10월 10일 ~ )은 대한민국의 군인, 공기업인이자 사회운동가이다. 그의 현재 주요 거주지는 대한민국 서울 성북구 보문동이다. 그는 제22대 대한민국 해병대 사령관과 제9대 한전KDN 사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한국그린피플연맹 총재로 재직중이다. 목차 1 생애 2 학력 3 가족 관계 4 별칭 5 논란 6 상훈 7 각주 8 외부 링크 생애[편집] 1942년 10월 10일 경상남도 통영군 일운면(현 거제시 일운면) 구조라리에서 8남매의 막내로 태어나 부산진국민학교, 개성중학교, 경남고등학교와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나온 그는 해병대 간부후보생(해간) 35기 소위로 임관하였다. 그러나 1966년 해병대 공군비행학교 습격사건을 주동한 혐의로 제적되었다가 이후 사면되어 해간 38기로 재임관하였다. 1968년 해병대 청룡부대 소대장으로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였으며, 1976년에는 미국 해병대상륙전학교를, 1982년에는 미국 해군상륙전학교를 수료하였다. 1987년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을 수료하였고, 1996년 대한민국 해병대 부사령관을 거쳐 제22대 대한민국 해병대 사령관에 임명되었다. 해병대 사령관으로 재직 중이던 1998년 해병대 진급·인사청탁 비리와 뇌물 수수 혐의로 강제 예편 및 구속되었으며, 2002년 대법원 최종심에서 유죄 확정판결을 받았다[2]. 2008년 10월 한전KDN 제9대 사장으로 취임하여[3] 2011년 10월까지 재임하였다. 한편 그는 1996년 오제도 변호사가 조직하여 이끌어오던 '신문고 환경살리기 운동본부'를 개편, 2000년 11월 한국그린피플연맹을 발족시키고 현재까지 총재로 재임하며 환경운동을 이끌어오고 있다. 학력[편집] 경남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사(1965년) 해병병과학교 초등군사반 수료 육군보병학교 위탁교육과정 수료 미국 해병대상륙전학교 초등군사반 수료 미국 해군상륙전학교 위탁교육과정 수료 미국 미주리 종합군사학원 졸업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24기(1978년)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1987년) 가족 관계[편집] 부인 류명자(柳明子)와의 사이에 아들 3명을 두고 있으며 세 아들도 모두 해병대로 군복무를 하였다[4][5]. 별칭[편집] 대한민국 해병대에서는 드물게 해군사관학교 출신이 아닌 해병대 사관후보생 출신으로 해병대 사령관에 올라[4] "해병대의 살아있는 전설"로 불리며, 또한 해병대에 대한 남다른 애착 때문에 "영원한 해병대 사나이"라는 별칭도 가지고 있다[6]. 논란[편집] 자신의 일대기에서 1966년 8월 해병대의 공군기지 습격사건의 사실 조작을 통해 해병대를 미화하는 등 왜곡을 하여 국가중요범죄행위에 대한 옹호를 하여 논란이 된 바 있다.[출처 필요] 상훈[편집] 화랑무공훈장(1968년) 보국포장(1980년) 보국훈장 삼일장(1987년) 보국훈장 천수장(1995년) 미국 정부 공로훈장(1998년) 각주[편집] ↑ 장로 명단 - 영암교회(서울 성북구 안암동) ↑ 전도봉 前해병사령관 유죄확정 ↑ 한전KDN, 전도봉 신임 사장 취임 ↑ 가 나 全道奉 해병사령관 내정자 ↑ "우리는 전우" 해병 4父子 탄생 ↑ KTV, 현빈 해병대 훈련 모습 최초 공개 Archived 2013년 12월 24일 - 웨이백 머신, 정책브리핑 외부 링크[편집] 전도봉 홈페이지 한국그린피플연맹 홈페이지 전임이상무 제22대 해병대 사령관1996년 6월 29일 ~ 1998년 4월 8일 후임이갑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전도봉&oldid=24359775" 분류: 194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참전유공자거제시 출신대한민국의 해병대사령관대한민국 해병 중장대한민국의 기업인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자유민주연합 당원대한민국의 장로교도대한민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 군인경남고등학교 동문부산진초등학교 동문부산개성중학교 동문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동문해병병과학교 동문육군보병학교 동문미국 미주리 종합군사학원 동문국방대학교 동문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동문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9년 4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일 (일) 08: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전도봉(全道奉, 1942년 10월 10일(1942-10-10) ~ )은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으로 공기업인이자 사회운동가이다. 그의 현재 주요 거주지는 대한민국 서울 성북구 보문동이다. 그는 제22대 대한민국 해병대 사령관과 제9대 한전KDN 사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한국그린피플연맹 총재로 재직중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전도봉은 어느 고등학교를 졸업했을까? Assistant: 경남고등학교 Human: 아래 박한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박한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한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같은 이름을 가진 대한민국의 수영 선수에 대해서는 박한별 (수영 선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박한별 박한별(2019년)출생 1984년 11월 17일(1984-11-17) (34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국적 대한민국직업 배우활동 기간 2002년 ~ 현재소속사 플라이업엔터테인먼트 학력 건국대학교 영화예술학과 학사 (졸업)부모 박채화 (부)배우자 유인석자녀 유아준 (2018년 4월 30일)웹사이트 플라이업엔터테인먼트 박한별박한별 - 트위터박한별 - 인스타그램박한별 미니홈피 - 싸이월드 박한별(朴韓별, 1984년 11월 17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모델이다. 2002년 패션잡지 "Ceci"의 모델로 시작하여 2003년 영화 《여고괴담 3: 여우계단》에 출연하면서 배우로 데뷔했으며, 같은 해 SBS 드라마 《요조숙녀》로 SBS 연기대상에서 뉴스타상을 수상했다. 이후 《환상의 커플》(2006), 《다 함께 차차차》(2009), 《잘 키운 딸 하나》(2013), 《애인 있어요》(2015) 등의 작품에 출연했다. 인터넷 얼짱 출신이며, 2009년부터는 '스탈리'라는 의류브랜드를 런칭해 자신이 디자인한 의류로 직접 운영하고 있다. 목차 1 학력 2 경력 3 필모그래피 3.1 드라마 3.2 영화 4 그 외 활동 4.1 뮤직 비디오 4.2 예능 5 인간관계 6 음반 7 저서 8 수상 및 후보 9 각주 10 외부 링크 학력[편집] 경복초등학교 (졸업) 선화예술중학교 무용과 한국무용 (졸업) 선화예술고등학교 무용과 한국무용 (전학) 안양예술고등학교 연극영화과 (졸업)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연극영화학과 (중퇴)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영화예술학과 (졸업) 경력[편집] 2003년 제7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홍보대사 2005년 건국대학교 홍보대사 2009년 건국대학교 홍보대사 2010년 제13회 보령머드축제 홍보대사 2010년 구강암·얼굴기형 환자를 위한 스마일마라톤대회 홍보대사 2011년 제1회 설악영화제 홍보대사 2011년 평화운동연합 평화 홍보대사 2011년 국제공익광고제 홍보대사 필모그래피[편집] 드라마[편집] 연도* 제목 배역 방송사 비고 2003 요조숙녀 최수연 SBS 2004 한강수타령 미애 MBC 2006 환상의 커플 오유경 MBC 프리즈 김지우 채널CGV 5부작 2007 푸른 물고기 강윤정 SBS 커플 브레이킹 한여경 채널CGV 4부작 2009 다 함께 차차차 한진경 KBS1 2010 오! 마이 레이디 홍유라 SBS 2011 갈수록 기세등등 이한별 MBN 2013 잘 키운 딸 하나 장하나/장은성 SBS 2015 냄새를 보는 소녀 주마리 SBS 특별출연 애인 있어요 강설리 SBS 2016 안투라지 tvN 특별출연 2017 보그맘 보그맘 MBC 2019 슬플 때 사랑한다 윤마리/우하경 MBC *첫 방영일 순이며, 다년간 방영된 작품의 경우 작품이 방영되기 시작한 연도를 가리킨다. 영화[편집] 연도 제목 배역 비고 2008 숙명 정은영 2009 요가학원 연주 2011 마이 블랙 미니드레스 윤혜지 2012 두 개의 달 소희 2014 분신사바 2 송치엔 중국 영화 그 외 활동[편집] 뮤직 비디오[편집] 연도 가수 제목 비고 2002 신승훈 널 위한 이별 휘성 안 되나요 2003 1TYM Without You 2007 최정철 사랑은 왜 해 2010 소야앤썬 웃으며 안녕 세븐 I'm Going Crazy 2012 울랄라세션 아름다운 밤 예능[편집] 올리브쇼 박한별의 핑크 프로포즈 SBS 인기가요 MC 시크릿 아시아 박한별 홍콩을 사다 박한별의 키스 더 스노우 SBS 정글의 법칙 in 얍 - 게스트 출연 박한별의 말괄량이 길들이기 인간관계[편집] 가수 세븐과 오랫동안 사귀었으나, 2014년에 결별했다.[1] 배우 황정음과는 중학교 동창이자 리틀엔젤스 예술단에서 함께하여 현재도 오랫동안 친분을 유지해 오고 있다.[2] 2017년 11월 MBC TV 드라마 '보그맘' 촬영을 마친 후 "임신 4개월"이라고 밝히면서 '예비 아빠'와 혼인신고도 이미 마쳤다고 직접 발표했으며, 2018년 4월 30일 오후 3시 30분에 제왕절개로 첫 아들을 출산했다.[3] 음반[편집] 2010년 〈Coffee〉 2011년 〈Luv U〉 2011년 마이 블랙 미니드레스 OST 〈마.블.미〉 저서[편집] 2011: 《박한별's 팁스토리》 (페이퍼북 ISBN 9788997148042)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03 SBS 연기대상 뉴스타상[4] 요조숙녀 수상 2009 KBS 연기대상 여자 신인연기상 다 함께 차차차 후보 2010 제5회 아시아 모델상 시상식 패셔니스타부문 모델특별상 빈칸 수상 2014 제7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여자 우수연기상 잘 키운 딸 하나 후보 SBS 연기대상 장편드라마부문 여자 우수연기상 잘 키운 딸 하나 후보 2015 SBS 연예대상 베스트 엔터테이너상 정글의 법칙 수상 SBS 연기대상 장편드라마부문 여자 특별연기상 애인 있어요 수상 2017년 MBC 방송연예대상 쇼 시트콤부문 여자 우수상 보그맘 수상 각주[편집] ↑ 박한별, 세븐 결별 소식과 함께 ‘정은우와 열애?’ - 스포츠동아 ↑ 황정음, 중1때 리틀엔젤스에서 활동…"박한별보다 내가 훨씬 예뻤다." 모태미녀 자신감? - 조선비즈 ↑ 박한별 측 "오늘(30일) 제왕절개로 득남...산모와 아이 건강" (공식입장) - TV리포트 ↑ 이병헌, SBS '연기대상 수상'《뉴시스》2004.1.1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박한별 박한별 - 인스타그램 박한별 - 트위터 박한별 미니홈피 - 싸이월드 박한별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박한별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박한별 - 한시네마 vdehYG 엔터테인먼트경영진 양현석 (회장·총괄 프로듀서) 황보경 (대표이사·사장) 가수현재 소속 그룹 지누션 지누 션 원타임 테디 오진환 송백경 태빈 빅뱅 G-Dragon T.O.P. 태양 대성 악동뮤지션 이찬혁 이수현 WINNER 강승윤 김진우 이승훈 송민호 iKON 김진환 송윤형 BOBBY 김동혁 구준회 정찬우 젝스키스 은지원 이재진 김재덕 강성훈 장수원 블랙핑크 지수 제니 로제 리사 트레저 13 방예담 최현석 김준규 윤재혁 하루토 박정우 소정환 하윤빈 마시호 김도영 요시노리 박지훈 아사히 현재 소속 솔로 이은주 페리 이하이 원 CL 박산다라 과거 소속 그룹 킵식스 박동호 심영호 이새영 스위티 안내영 성미현 빅마마 이영현 이지영 신연아 박민혜 XO 전승우 강성민 바운스 강진우 김우근 원티드 김재석 전상환 하동균 서재호 비바소울 Jood Samuel D'low 소울스타 이창근 이승우 이규훈 45RPM 이현배 J-Kwondo 에시리 G.R. 스토니 스컹크 스컬 쿠시 YMGA 마스타 우 디지털 마스터 에픽하이 타블로 DJ 투컷 미쓰라 진 과거 소속 솔로 휘성 거미 렉시 세븐 프라임 레드락 JC지은 공민지 박봄 남태현 싸이 승리 B.I 유닛 · 프로젝트 그룹 무가당 GD&TOP GD X TAEYANG 하이 수현 BOM&HI CL&민지 수펄스 MOBB 배우현재 소속 이수혁 임예진 차승원 정혜영 최지우 장현성 유인나 남주혁 손호준 이성경 갈소원 강동원 김희애 김희정 김새론 황승언 과거 소속 구혜선 박한별 임아람 정성일 허이재 강혜정 양경모 양현모 이종석 프로듀서현재 소속 FUTURE BOUNCE (최필강 a.k.a PK·DEE.P) BIGTONE 강규용 a.k.a Q Rovin 함승천 강욱진 Choice37 Lydia Paek 장석준 a.k.a AiRPLAY 조성확 민연재 과거 소속 용감한 형제 강동철 강흑철 DJ Murf 방송인현재 소속 안영미 과거 소속 유병재 오상진 하이그라운드 타블로(대표) 검정치마 조휴일 밀릭 인크레더블 8 코드쿤스트 이디오테잎 디구루 제제 디알 펀치넬로 오프온오프 영채널 콜드 혁오 오혁 임동건 임현제 이인우 더블랙레이블 테디(대표) 쿠시 자이언티 R.Tee DRESS 서원진 전소미 Joe Rhee 24 Peejay 재규어중사 Bryan Cha$e 오케이션 Seoppoem DJ BOID YGX 승리 (대표) 안다 권현빈 Blue.D PSYG 싸이(대표) 연습생 장한나 조미연 문수아 이채영 지니 박 임수아 박서영 최래성 김종섭 YG케이플러스현재 소속여성 모델 허보미 한혜연 이루영 오혜지 강승현 박예운 지호진 김현희 이승미 정지영 이수진 최영지 김예지 신하영 이성경 최소라 황소희 유은비 정한솔 신해남 이송이 이호정 신현지 지이수 김효정 주희정 이정현 이재이 엄유정 박수진 정유정 이하은 송현민 여연희 황현주 김혜아 현지은 홍효 엄예진 배윤영 엘리스 나딘 박선하 이다정 김수빈 김은선 정소현 윤선아 권지야 최하림 신예민 이연주 김예림 박세진 신혜진 박정민 최정인 전민옥 김세인 윤은화 심소영 안예원 박효린 김설희 최세희 고은비 남성 모델 송재희 김영 최창욱 박병민 이현욱 김필수 박형섭 장기용 변우석 남주혁 주우재 정성중 김보헌 임후석 김종훈 이봄찬 조환 서홍석 맹주호 이후림 김태완 김기범 김태우 이석찬 정용수 강희 박기태 서수원 이규호 박보성 신재혁 이현준 김학수 김성욱 신용국 최한빈 데이비드 권현빈 정의성 김정식 김민종 최연규 방주호 김현진 조효인 강성진 이지석 조성훈 휘황 야마토 코타 칸슈지 타모츠 관련 문서 YG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YG PLUS 하이그라운드의 음반 더블랙레이블의 음반 YGX의 음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박한별&oldid=24226614" 분류: 1984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대한민국의 여자 모델2003년 데뷔YG 엔터테인먼트 소속서울특별시 출신 배우밀양 박씨경복초등학교 동문선화예술중학교 동문안양예술고등학교 동문건국대학교 동문숨은 분류: 중복된 인수를 사용한 틀의 호출을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Հայերեն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МонголRomânăРусскийBasa SundaTagalog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5일 (수) 17: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박한별(朴韓별, 1984년 11월 17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 모델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박한별은 2006년 드라마 환상의 커플에 출연했을때 배역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Assistant: 오유경
Human: 아래 송지영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송지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송지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송지영(宋志英, 1916년 12월 13일 평안북도 박천~1989년 4월 24일)은 대한민국의 언론인, 번역문학가이다. 본관은 여산(礪山)이다.[1] 호는 우인(雨人)이다. 일제 강점기에 《동아일보》 기자로 언론계에 입문, 중국 난징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연계해 활동하다가 1944년 체포되었다. 징역 2년형을 선고 받고 일본 나가사키 형무소에서 복역 중 일본이 태평양 전쟁에 패하면서 풀려났다. 1961년 민족일보 사건에 연루되어 조용수, 안신수와 함께 사형 선고를 받았고, 8년이 넘게 복역한 뒤 결국 감형으로 풀려났다. 1980년 신군부가 국가보위입법회의를 설치했을 때 입법의원으로 참가해 언론기본법을 제정했고, 민주정의당 소속으로 제11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송지영은 일제 말기 항일 운동으로 옥살이를 한데다 5·16 군사 정변 주체인 군부의 언론 탄압으로 사형수가 되었던 진보 언론계의 대표적인 인물이었기에, 12·12 군사 반란을 일으킨 신군부에 협조하면서 언론 통제에 가담한 일로 비판적인 평가도 있다.[2] 목차 1 약력 2 참고 자료 3 각주 4 외부 링크 약력[편집] 중국 남경중앙대학(南京中央大學) 수학 조선일보 논설위원 한국번역가협회 회장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고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원장 국토통일원 고문 숙명학원 이사 민족문화추진위 이사 1980년 :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1981년 ~ 1984년 : 제11대 국회 의원 (민주정의당) 한국방송공사 이사장 참고 자료[편집] 송지영 - 대한민국헌정회 박용규 (2007년 3월 1일). “‘격정시대’를 살다간 풍운의 언론인” (PDF). 신문과방송. 68~73면. 2008년 5월 23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송지영 : 독립유공자 공훈록국가보훈처 각주[편집] ↑ 시조 송유익 고려때 공 세우며 기틀 마련… 조선 들어 명문가로, 《세계일보》, 2014년 3월 25일 ↑ 박용규 (2007년 3월 1일). “‘격정시대’를 살다간 풍운의 언론인” (PDF). 신문과방송. 73면. 2007년 11월 27일에 확인함. 항일 운동과 진보언론 활동 관련자로 10년의 옥고를 치른 그가 말년에 보여준 행태에 대해서는 비판적 시각이 많을 수밖에 없다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편집] vdeh1980년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총 81명)정계 정래혁 박명근 남재희 정석모 장승태 채문식 한영수 고재청 유한열 오세응 손세일 권중돈 유옥우 김윤환 신상초 이종률 김철 이태구 조종호 진의종 경제계 정수창 유기정 박태준 학계 김상협 정의숙 권이혁 서명원 안세희 박봉식 박승재 김대환 나창주 김만제 한기춘 박일경 윤근식 법조계 정희택 이태청 이진우 윤길중 김사용 이병호 이범렬 임영득 종교계 강신명 이병주 이영복 서경보 조향록 전달출 김봉학 이종흥 여성계 김정례 김행자 안목단 이경숙 노동계 정한주 문화·사회계 이호 송지영 정범석 박인각 김준 권정달 박윤종 이정식 이종찬 언론계 방우영 이원경 이진희 향군대표 이맹기 이형근 국보위 대표 이광노 이기백 심유선 조영길 이우재 김영균 노재원 박종문 정태수 서동렬 vdeh민주정의당 제11대 국회의원 전국구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1번 이재형 7번 정희택² 13번 최상업 19번 이우재² 25번 이건호 31번 박현태 37번 지갑종 43번 최낙철 49번 김종인 55번 김행자¹ 61번 전병우 67번 김지호† 2번 나길조 8번 박동진 14번 황병준 20번 이춘구 26번 신상초 32번 이양우 38번 허청일 44번 김모임 50번 박원탁 56번 이낙훈 62번 정창화† 68번 이성재³ 3번 김종경¹ 9번 정원민 15번 류근환 21번 김현자 27번 오제도 33번 박종관 39번 이상선 45번 이헌기² 51번 이상희 57번 김영구 63번 문용주† 69번 강창희† 4번 이용훈 10번 김정호 16번 김용수 22번 정순덕² 28번 김윤환 34번 고귀남 40번 손춘호 46번 이윤자 52번 이영일 58번 황설 64번 김유상† 70번 이성배† 5번 김기철 11번 윤석순 17번 박태준 23번 배성동 29번 정희채 35번 나웅배² 41번 정시채 47번 이민섭 53번 이경숙 59번 하순봉 65번 장경우† 6번 송지영² 12번 김종호 18번 박경석 24번 김사용 30번 김춘수 36번 김집 42번 안교덕 48번 이영희 54번 조남조 60번 곽정현 66번 류수환† ¹임기 중 사망      ²사퇴      ³승계 전 사퇴      †승계 vdeh혁명재판 주요 기결수교수형 정치깡패사건 이정재 경무대 앞 발포사건 곽영주 홍진기 고대생 습격사건 임화수 유지광 동양극장 앞 학생살해사건 신정식 부정선거사건 최인규 특수밀수사건 한필국 민족일보사건 조용수 사회당 반국가행위사건 최백근 무기징역 부정선거사건 한희석 이강학 박용익 민족일보사건 안신규 송지영 30사단 반혁명사건 이갑영 경남북유족회사건 이원식 마산 발포사건 박종표 대구2대법반대데모사건 김문심 동대문시장 깡패사건 조열승 유기금고 대한반공청년단 고대생 습격사건 신도환 경무대 앞 발포사건 유충렬 이 글은 작가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정치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송지영&oldid=22879848" 분류: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대한민국의 제11대 국회의원혁명재판 기결수1916년 태어남1989년 죽음여산 송씨일제 강점기의 언론인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대한민국의 언론인대한민국의 번역가박천군 출신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작가에 관한 토막글정치인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0월 30일 (화) 15: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송지영(宋志英, 1916년 12월 13일 평안북도 박천~1989년 4월 24일)은 대한민국의 언론인, 번역문학가이다. 본관은 여산(礪山)이다. 호는 우인(雨人)이다. 일제강점기에 《동아일보》 기자로 언론계에 입문, 중국 난징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연계해 활동하다가 1944년 체포되었다. 징역 2년형을 선고 받고 일본 나가사키 형무소에서 복역 중 일본이 태평양 전쟁에 패하면서 풀려났다. 1961년 민족일보 사건에 연루되어 조용수, 안신수와 함께 사형 선고를 받았고, 8년이 넘게 복역한 뒤 결국 감형으로 풀려났다. 1980년 신군부가 국가보위입법회의를 설치했을 때 입법의원으로 참가해 언론기본법을 제정했고, 민주정의당 소속으로 제11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송지영은 일제 말기 항일 운동으로 옥살이를 한데다 5·16 군사 정변 주체인 군부의 언론 탄압으로 사형수가 되었던 진보 언론계의 대표적인 인물이었기에, 12·12 군사 반란을 일으킨 신군부에 협조하면서 언론 통제에 가담한 일로 비판적인 평가도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송지영은 언제 제11대 국회 의원을 했을까? Assistant: 1981년 ~ 1984년 Human: 아래 현영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현영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현영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현영민 개인 정보로마자 표기 Hyun Young Min출생일 1979년 12월 25일(1979-12-25) (39세)출생지 대한민국 전라남도 구례군키 178cm포지션 은퇴 (과거 풀백)청소년 클럽 기록1998-2001 건국대학교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2002-20052006 2007-2009 2010-201320132014-2017 울산 현대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울산 현대 FC 서울 성남 FC 전남 드래곤즈 0960(3)0100(0)0710(0) 0690(3)0300(1)1210(1)국가대표팀 기록‡20022001-2004 대한민국 U-23대한민국 030(0)150(0) 메달 기록 대한민국의 선수 남자 축구 아시안 게임 동 2002 부산 단체전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16년 12월 3일 기준이다.‡ 국가대표팀의 출장수와 골은 2011년 8월 15일 기준이다. 현영민(玄泳民, 1979년 12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현역 시절 포지션은 왼쪽 풀백이다. 목차 1 개요 2 축구인 생활 2.1 선수 생활 2.2 국가 대표 생활 3 플레이 스타일 4 그 외 5 경력 5.1 선수 경력 5.2 국가 대표 경력 6 수상 6.1 개인 6.2 클럽 6.2.1 울산현대 6.2.2 FC 서울 6.3 국가 대표팀 7 각주 8 외부 링크 개요[편집]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출생으로 서울광희초등학교, 경희중학교, 경희고등학교, 건국대학교를 졸업하였다. 외모가 축구 선수 이민성을 닮았다고 하여 '민성이 형'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이민성의 별명을 본따 '하산 2'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축구인 생활[편집] 선수 생활[편집] 2002년 울산 현대에서 데뷔하여, 팀의 K리그 1회 우승 (2005년), K리그 2회 준우승 (2002년, 2003년)에 공헌하였다. 2006년 1월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팀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적하여 활약하였고,[1] 2005-06시즌 UEFA컵 본선 무대에 진출하여 로센보르그 BK와의 32강전 2차전에서 데뷔하였다.[2] 세비야 FC와의 8강전 2차전에서 1골을 기록하는 등 좋은 활약을 펼쳤지만,[3] 통역 과정에서 오해가 발생하여 교체되기도 하였다.[4] 하지만 자신에게 계속 러브콜을 보냈던 블라스티밀 페트르옐라 감독이 성적 부진으로 경질된 뒤 아드보카트 감독이 새로 부임하자 거의 출전하지 못하였고,[5] 2007년 친정 팀 울산 현대로 복귀하였다.[6] 울산 현대로 복귀한 뒤 2007년 하우젠 컵 우승 등에 공헌하였으며 2010년 김치곤을 상대로 FC 서울로 트레이드되었다. 2013년 성남 FC로 이적하였다가, 시즌 후 다시 전남 드래곤즈로 이적했다. 2017 시즌 종료 후 은퇴를 선언하였고 은퇴 후에는 축구 해설가로 활동 중이다. 국가 대표 생활[편집] 2001년 11월 8일 세네갈과의 친선경기에서 데뷔하여, 2002년 FIFA 월드컵, 2004년 AFC 아시안컵 등에 참가하였다. 2002년 FIFA 월드컵에 최종 엔트리에 포함되었지만 본선 경기에서 기용되지는 않았다. 플레이 스타일[편집] 좌우 모두 가능하며 공격 가담시 파괴력 또한 상당하다. 재기 넘치는 발동작과 과감한 돌파, 슈팅 등으로 상대 수비를 무력화시키며, 강하고 정확한 롱스로인으로 팀의 또 하나의 득점 루트를 제공한다. 경운기 드리블과 같은 예능감 넘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7] 그 외[편집] 2006년 12월, 미스코리아 출신 안춘영과 결혼하였다. 경력[편집] 선수 경력[편집] 2002년 ~ 2005년 울산 현대 2006년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2007년 ~ 2009년 울산 현대 2010년 ~ 2013년 FC 서울 2013년 성남 일화 천마 2014년 ~ 2017년 전남 드래곤즈 국가 대표 경력[편집] 2002년 FIFA 월드컵 대표 2004년 AFC 아시안컵 대표 수상[편집] 개인[편집] 2002년 자황컵 체육대상 남자 최우수상 수상 2002년 체육훈장 맹호장 클럽[편집] 울산현대[편집] K리그 우승 1회 (2005) 리그컵 우승 1회 (2007) K리그 준우승 3회 (2002, 2003, 2008) 리그컵 준우승 2회 (2002, 2005) FC 서울[편집] K리그 우승 2회 (2010, 2012) 리그컵 우승 1회 (2010) 국가 대표팀[편집] 2002년 FIFA 월드컵 4위 2002년 아시안 게임 동메달 각주[편집] ↑ 현영민, 연봉 100만달러에 러시아행 확정···유럽 무대로 '첫 발' ↑ 현영민, UEFA컵 출장…소속 팀 16강 진출 ↑ 현영민, UEFA컵 득점포…소속 팀은 4강 좌절 ↑ 현영민 “통역 미워할 거야~” ↑ 현영민, 아드보카트 부임 후 줄곧 벤치 신세 - 쿠키뉴스 ↑ 울산, 오장은-현영민 영입 마무리 - OSEN ↑ 현영민의 롱 스로인 ‘EPL 델랍 못지않아’ 외부 링크[편집] 현영민 K리그 기록 - 한국프로축구연맹 현영민 - 대한축구협회 vdehFC 서울 - 2010년 K리그 우승 (4회) & 2010년 포스코컵 우승 (2회)← 이전 2006년 삼성 하우젠컵 우승2012년 K리그 우승 다음 → 1 김용대 2 최효진 3 이규로 4 윤홍창 5 천제훈 6 김진규 (부주장) 7 김치우 8 아디 9 정조국 10 데얀 11 방승환 13 현영민 14 김한윤 15 박용호 (주장) 16 하대성 17 이종민 18 고요한 19 이정열 20 한태유 21 최원권 22 고명진 25 이윤표 26 문기한 27 배해민 28 이승렬 29 이현승 30 정다훤 31 강재욱 32 강정훈 33 최태욱 34 조수혁 35 최현태 36 김동우 37 최현빈 38 최종환 39 김태환 40 한일구 42 최원욱 43 이윤호 44 윤동민 45 박영준 46 이광진 47 정승용 48 송승주 49 전호연 50 정상호 88 제파로프 감독: 넬루 빙가다 수석 코치: 안익수 코치: 최용수, 최진한, 김성재 골키퍼 코치: 카르발류 피지컬 코치: 코스타 스카우트: 최기봉 vdehFC 서울 - 2012년 K리그 우승 (5회)← 이전 2010년 K리그 우승 & 2010년 포스코컵 우승2015년 대한민국 FA컵 우승 다음 → 1 김용대 2 윤시호 3 김동우 4 김주영 5 최현태 6 김진규 (부주장) 7 고요한 8 아디 9 정조국 10 데얀 11 몰리나 13 현영민 14 문기한 15 강정훈 16 하대성 (주장) 17 이종민 18 김치우 19 이재권 20 한태유 21 조수혁 22 고명진 23 한일구 24 유상훈 26 에스쿠데로 27 고광민 29 김태환 30 박희도 31 이승규 32 정승용 33 최태욱 35 김용찬 36 이택기 37 김원식 38 장현우 39 송승주 40 윤성우 41 황인성 42 곽중근 43 조호연 44 주익성 45 조민우 46 이재일 47 정동연 48 유상희 77 최효진 감독: 최용수 수석 코치: 박태하 코치: 김성재, 김성남, 이기형 골키퍼 코치: 레안드로 피지컬 코치: 간노 아쓰시 스카우트: 최기봉, 이원준, 김상문, 정재윤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02년 CONCACAF 골드컵 4위 1 김병지 2 최성용 3 현영민 4 김태영 5 김남일 6 이민성 7 송종국 8 김도훈 9 최용수 10 황선홍 11 이천수 12 이운재 13 이을용 14 김도근 15 최진철 16 박지성 17 이영표 18 유상철 19 최태욱 20 차두리 21 안효연 22 이동국 23 김용대 24 김상식 29 권정혁 감독: 히딩크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02년 FIFA 월드컵 4위 1 이운재 2 현영민 3 최성용 4 최진철 5 김남일 6 유상철 7 김태영 8 최태욱 9 설기현 10 이영표 11 최용수 12 김병지 13 이을용 14 이천수 15 이민성 16 차두리 17 윤정환 18 황선홍 19 안정환 20 홍명보 (주장) 21 박지성 22 송종국 23 최은성 감독: 히딩크 vdeh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02년 아시안 게임 동메달 1 이운재 2 조병국 3 현영민 4 박요셉 5 김영철 6 박용호 7 변성환 8 김두현 9 이천수 10 박지성 11 최태욱 12 이영표 13 김동진 14 박규선 15 조성환 16 김용대 17 최성국 18 김은중 19 박동혁 20 이동국 (주장) 감독: 박항서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04년 AFC 아시안컵 1 이운재 2 박진섭 3 박재홍 4 최진철 5 김남일 7 김태영 9 설기현 10 현영민 12 이영표 13 이을용 14 정경호 15 이민성 16 차두리 17 김정겸 18 김은중 19 안정환 20 이동국 21 박지성 22 김용대 25 박요셉 28 김진규 30 차기석 감독: 본프레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현영민&oldid=24238907" 분류: 1979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대한민국 국적의 축구 해설가축구 수비수축구 풀백울산 현대 축구단의 축구 선수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축구 선수FC 서울의 축구 선수성남 FC의 축구 선수전남 드래곤즈의 축구 선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K리그1의 축구 선수러시아 프리미어리그의 축구 선수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대한민국의 러시아 진출 축구 선수러시아의 외국인 축구 선수2002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2002년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2004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동메달리스트아시안 게임 축구 메달리스트2002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체육훈장 맹호장 수훈자구례군 출신서울광희초등학교 동문경희중학교 동문경희고등학교 동문건국대학교 동문대한민국의 개신교도러시아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تۆرکجهEnglishفارسیFrançaisItaliano日本語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8일 (토) 11: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현영민(玄泳民, 1979년 12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현역 시절 포지션은 왼쪽 풀백이었으며 현재 현대고등학교 감독을 맡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현영민이 데뷔한 연도는 언제인가? Assistant: 2002년
Human: 아래 달랏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달랏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달랏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달랏시Thành phố Đà Lạt 쑤언흐엉 호수 달랏시의 위치 현황 국가 베트남 지방 중부 고원 지방 성 럼동성 설립 1893년 예르생 박사가 럼비엔 고원에 도착1916년 후에 법원이 달랏시 설립을 반포 면적 394.64 km² 총인구 406,105 명 (2018) 인구밀도 637 명/km² 방 12개 사 4개 소재지 쩐푸 거리 36번지 관리코드 99D1 우편번호 66100 전화번호 +84-240 차량번호 51 홈페이지 http://www.dalat.gov.vn/ 달랏시(영어: Da Lat, 베트남어: Thành phố Đà Lạt타인포다랏)는 베트남의 럼동성의 성도로 럼비엔(Lâm Viên) 고원에 자리하고 있다. 해발 1,500m 고도에 넓이는 393.29km2, 인구는 2009년 기준 206,895명(1999년을 기준 12만명)이다. 호찌민 시에서 약 300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버스로 6시간 30분에서 8시간 정도 소요된다. 달랏이라는 이름은 라틴어: Dat Aliis Laetitiam Aliis Temperiem→"어떤 이에게는 즐거움을, 어떤 이에게는 신선함을"에서 왔으며, 프랑스 식민지 정부가 달랏(Đà Lạt)이라는 이름을 정식으로 사용하였다. 베트남에서 달랏은 인기있는 관광 목적지이며, 노보텔 달랏과 소피텔 달랏이 자리잡고 있는 곳이다. 소피텔 달랏은 본래 1922년에 지어진 달랏 왕궁이었다. 달랏의 특징적인 광경은 우거진 소나무 숲과 그 사이로 난 오솔길이며, 겨울에는 트리메리골드가 피어난다. 일년 내내 잦은 안개도 이 도시의 특징 중의 하나이다. 달랏은 생명공학과 핵물리학 분야의 과학 연구 지역으로도 명성이 높다. 고원 지대답게 서늘한 날씨가 일년 내내 이어지며, 배추류나 화훼류, 고구마, 장미 등이 경작된다. 목차 1 역사 2 행정구역 2.1 방 2.2 사 3 기후 4 관광 5 교통 5.1 항공 5.2 버스 5.3 철도 6 갤러리 7 자매도시 8 각주 9 외부 링크 역사[편집] 1890년대 이 지역을 탐사한 박테리아 학자 알렉산드르 예르산과 프랑스 화학자 루이 파스퇴르가 코친차이나의 영토였던 이곳을 보고, 프랑스 식민정부 총독인 폴 두메르에게 고원에 리조트를 만들어 달라고 요청한다. 이후 프랑스의 대통령이 되는 두메르는 흔쾌히 동의를 했다. 1907년 첫 번째 호텔이 지어지고, 도시계획이 어니스트 에브라(프랑스어: Ernest Hébrard)에 의해 실행되었다. 프랑스 식민정부는 이곳에 빌라와 기지 등을 제공하였다. 이것은 오늘날에도 남아 있다. 행정구역[편집] 달랏 달랏 파노라마 달랏은 다음 12개의 방(坊)과 4개의 사(社)로 구성된다. 방[편집] 1방 (Phường 1) 2방 (Phường 2) 3방 (Phường 3) 4방 (Phường 4) 5방 (Phường 5) 6방 (Phường 6) 7방 (Phường 7) 8방 (Phường 8) 9방 (Phường 9) 10방 (Phường 10) 11방 (Phường 11) 12방 (Phường 12) 사[편집] 따눙사 (Tà Nung /耶農) 짬하인사 (Trạm Hành /站行) 쑤언토사 ( Xuân Thọ / 春壽) 쑤언쯔엉사 (Xuân Trường / 春長) 기후[편집] 열대 지역인 베트남 남부에 위치한 달랏이지만 일년 내내 아주 시원한 도시이다. 가장 더운 4월에도 최고 기온 25 ℃ 전후이며, 아침 저녁이되면 겉옷이 필요한 정도로 기온이 떨어진다. 장마는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비가 4월에서 11월 초 정도까지 계속된다. 달랏시 (1964–1998)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최고기온기록 °C (°F) 30.0 (86) 31.0 (87.8) 31.5 (88.7) 31.2 (88.2) 30.6 (87.1) 30.0 (86) 29.2 (84.6) 29.3 (84.7) 29.7 (85.5) 30.0 (86) 29.2 (84.6) 29.4 (84.9) 31.5 (88.7) 평균최고기온 °C (°F) 22.3 (72.1) 24.0 (75.2) 25.0 (77) 25.2 (77.4) 24.5 (76.1) 23.4 (74.1) 22.8 (73) 22.5 (72.5) 22.8 (73) 22.5 (72.5) 21.7 (71.1) 21.4 (70.5) 23.2 (73.8) 일평균기온 °C (°F) 15.8 (60.4) 16.7 (62.1) 17.8 (64) 18.9 (66) 19.3 (66.7) 19.0 (66.2) 18.6 (65.5) 18.5 (65.3) 18.4 (65.1) 18.1 (64.6) 17.3 (63.1) 16.2 (61.2) 17.9 (64.2) 평균최저기온 °C (°F) 11.3 (52.3) 11.7 (53.1) 12.6 (54.7) 14.4 (57.9) 16.0 (60.8) 16.3 (61.3) 16.0 (60.8) 16.1 (61) 15.8 (60.4) 15.1 (59.2) 14.3 (57.7) 12.8 (55) 14.3 (57.7) 최저기온기록 °C (°F) −0.1 (31.8) −0.6 (30.9) 4.2 (39.6) 4.0 (39.2) 10.0 (50) 10.9 (51.6) 10.4 (50.7) 10.6 (51.1) 10.0 (50) 8.1 (46.6) 4.4 (39.9) 2.6 (36.7) −0.6 (30.9) 평균 강수량 mm (인치) 11 (0.4) 24 (0.9) 62 (2.4) 170 (6.7) 191 (7.5) 213 (8.4) 229 (9) 214 (8.4) 282 (11.1) 239 (9.4) 97 (3.8) 36 (1.4) 1,739 (68.5) 평균강우일수 2 2 5 11 18 20 23 22 23 19 10 5 161 평균 상대 습도 (%) 82 78 77 84 87 88 90 91 90 89 85 84 85 평균 월간 일조시간 255 234 255 202 190 147 157 136 133 140 172 215 2,238 출처 #1: 달랏 지리지 (extremes 1918–1940, and 1964–1998)[1] 출처 #2: 베트남 과학 기술 육성 연구소(sun)[2] 관광[편집] 린선 사원 달랏 중앙 시장 쑤언흐엉 호수 - 시 중앙에 있는 호수 뚜옌럼 호수 (터널 클레이 지역) 항응아 게스트하우스 (크레이지 하우스) 달랏 대성당 몽모 언덕 바오다이 황제의 별장 교통[편집] 항공[편집] 리엔크엉 국제공항이 시내에 있다. 베트남 항공, 비엣제트 항공, 젯스타 항공, 바스코, 타이 베트 제트가 운행하고 있다. 운항 도시는 하노이, 호치민, 다낭, 빈, 후에, 방콕, 우한이다. 버스[편집] 호찌민에서 신카페 , 김카페 등 여행사 버스를 이용하면 약 7시간, 냐짱에서 약 3시간 정도 소요된다. 철도[편집] 달랏역 갤러리[편집] 사진을 찍는 허니무너 항응아 게스트하우스 항응아 게스트하우스 항응아 게스트하우스로 가는 홀 2005년 달랏 꽃축제 항응아 게스트하우스 달랏의 수국 커피 테라스 허니문 여행지로 인기높은 달랏 자매도시[편집] 캐나다 미시소가 일본 삿포로시 태국 치앙마이 영국 맨체스터 미국 로스앤젤레스 각주[편집] ↑ “KHÍ HẬU” (베트남어). 달랏시. 2013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26일에 확인함.  ↑ “Vietnam Building Code Natural Physical & Climatic Data for Construction” (PDF) (베트남어). 베트남 과학 기술 육성 연구소. 2018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2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달랏 2005 Vietnam Travel Guide - Đà Lạt Columbia Encyclopedia article about Đà Lạt vdeh럼동성의 행정 구역시 달랏시 바오록시 현 깟띠엔현 다떼현 다후오아이현 담롱현 던즈엉현 득쫑현 락즈엉현 럼하현 바오럼현 지린현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33829822 LCCN: n91076786 GND: 7618636-2 BNF: cb125072414 (데이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달랏&oldid=24435415" 분류: 달랏베트남의 도시럼동성베트남의 성도럼동성의 지형숨은 분류: CS1 - 베트남어 인용 (vi)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베트남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cèhAkanالعربيةAymar aruBoarischБеларускаяBislamaBahasa BanjarBamanankanBrezhonegCatalàCebuano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miliàn e rumagnòl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NordfriiskFurlanGàidhligGalego客家語/Hak-kâ-ngîעבריתKreyòl ayisyenMagyarInterlinguaBahasa IndonesiaInterlingueItaliano日本語TaqbaylitKongoKalaallisutRipoarischKurdî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igureLumbaartLietuviųLatviešuMalagasy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NedersaksiesNederlandsNorskDeitschPolskiPiemontèis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ŚlůnskiไทยTagalogSetswana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inaray吴语Zeêuws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6일 (일) 10: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달랏시(영어: Da Lat, 베트남어: Thành phố Đà Lạt타인포 달랏 / 城舖多樂)는 베트남의 럼동성의 성도로 랑비앙 고원에 자리하고 있다. 해발 1,500m 고도에 넓이는 393.29km2, 인구는 2009년 기준 206,895명(1999년을 기준 12만명)이다. 호찌민 시에서 약 300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버스로 6시간 30분에서 8시간 정도 소요된다. 달랏이라는 이름은 라틴어: Dat Aliis Laetitiam Aliis Temperiem→"어떤 이에게는 즐거움을, 어떤 이에게는 신선함을"에서 왔다는 설이 있으며, 프랑스 식민지 정부가 달랏(Đà Lạt)이라는 이름을 정식으로 사용하였으나 실제로는 현지 소수민족인 랏족이 부르던 이름이다. 베트남에서 달랏은 인기있는 관광 목적지이며, 노보텔 달랏과 소피텔 달랏이 자리잡고 있는 곳이다. 소피텔 달랏은 본래 1922년에 지어진 달랏 왕궁이었다. 달랏의 특징적인 광경은 우거진 소나무 숲과 그 사이로 난 오솔길이며, 겨울에는 트리메리골드가 피어난다. 일년 내내 잦은 안개도 이 도시의 특징 중의 하나이다. 달랏은 생명공학과 핵물리학 분야의 과학 연구 지역으로도 명성이 높다. 고원 지대답게 서늘한 날씨가 일년 내내 이어지며, 배추류나 화훼류, 고구마, 장미 등이 경작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달랏은 행정구역이 몇 방까지 있는가? Assistant: 12방 Human: 아래 혈액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혈액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혈액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밝은 쪽이 동맥혈, 어두운 쪽이 정맥혈이다. 혈액(血液) 또는 피는 몸 안의 세포에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고 세포의 신진대사에 의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회수하여 운반하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하는 체액이다. 보통은 피라고 부른다. 혈액은 결합 조직의 한 종류로 액체 성분인 혈장과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과 같은 각종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사람의 경우 혈액 속의 세포 용적은 여성의 경우 약 38%, 남성의 경우 약 46% 정도이다[1]. 사람과 같은 척추동물의 피가 붉은 색인 것은 적혈구 안의 철분이 산소와 결합하여 붉은 색을 띠기 때문이다. 목차 1 역할 2 조성 2.1 혈장 단백질 2.2 혈구 3 순환계통 3.1 개방 혈관계 3.2 폐쇄 혈관계 4 혈색소 4.1 헤모글로빈 4.2 헤모시아닌 4.3 기타 5 혈액과 건강 5.1 혈액과 관련이 있는 질병 6 혈액형 7 같이 보기 8 주해 9 각주 10 외부 링크 역할[편집] 혈액이 하는 역할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2]. 체조직으로 영양소를 운반한다. 허파나 아가미에서 호흡을 통해 산소를 받아들이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몸의 여러 조직에서 나오는 노폐물을 신장으로 운반한다. 내분비계통에서 만들어진 호르몬을 목표 기관까지 운반한다. 온혈동물의 경우 몸 안에서 발생하는 열을 운반하여 체온을 유지한다. 질병에 대항하는 면역 인자를 가지고 있다. 체내 삼투압과 수분 평형에 관여한다. 몸의 수소 이온 농도를 유지한다. 조성[편집] 혈세포의 전자현미경 사진.왼쪽부터 적혈구, 혈소판, 백혈구 동물의 혈액은 혈장과 혈구로 구성된다. 척추동물의 경우 혈구는 혈액의 약 45%, 혈장은 혈액의 약 55% 정도를 차지한다. 혈장의 91%는 물이다[3]. 다음 표는 사람의 혈액 조성이다.[1] 혈장 조성 물 염류 혈장단백질 성분 물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염화물, 중탄산염 등 알부민, 피브리노겐, 면역 글로불린 등 기능 용매 삼투압 평형, pH 조절, 막 전압 조절 등 삼투압 평형, pH 조절, 응고, 면역 반응 등 혈구 조성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1ml당 개수 500 - 600 백만 5 - 6 천 25 - 40 만 기능 산소와 이산화탄소 수송 외래 세포 파괴 및 항체 생산[주해 1] 혈액 응고 혈구에는 적혈구·백혈구·혈소판이 있으나, 무척추동물에서는 일반적으로 백혈구만 볼 수 있다. 적혈구는 호흡 색소(혈색소)인 헤모글로빈을 포함하고 있는 혈구로서, 낙타·라마를 제외한 일반적인 포유류의 적혈구는 한가운데가 들어간 원반 모양이며 핵이 없다. 이에 비하여, 낙타·라마 류의 동물의 적혈구는 타원형이고, 한가운데에 핵이 있다. 척추동물의 혈색소는 어느 것이나 적혈구 속에 헤모글로빈으로 함유되어 있으나, 무척추동물의 혈색소는 주로 혈장에 들어 있다. 백혈구는 혈색소를 갖지 않는 혈액 속의 세포를 통틀어 일컫는 것으로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혈액을 가진 모든 동물에서 볼 수 있다. 혈소판은 모양이 일정하지 않은 부정형으로서, 핵은 없고 혈액 응고 작용에 관계한다. 이러한 혈구, 특히 적혈구를 만드는 기관을 조혈 기관이라고 한다. 양서류 가운데 무미류와 파충류·조류 및 포유류에서는 골수가 대표적인 조혈 기관이다. 양서류 가운데 유미류에서는 지라와 몸 속에 흩어져 있는 특정한 종류의 조직이 조혈 기관의 일을 맡아 하고 있다. 한편, 조류나 포유류에서는 발생 단계에 따라 조혈 기관이 변한다. 즉, 배(胚)의 시기에는 간, 배의 후기에는 지라나 골수에서 혈액이 생성된다. 한편, 오래 된 혈구는 주로 지라나 간 및 골수에서 파괴된다. 백혈구는 배의 시기에는 간·지라 및 골수에서 만들어져 지라에서 파괴된다[4]. 혈장 단백질[편집] 혈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이 부분의 본문은 혈장 단백질입니다. 혈장의 약 91%는 물이고 혈장 단백질은 혈장 가운데 약 7%를 차지한다. 일부 항체와 단백질 형태의 호르몬을 제외한 대부분의 혈장 단백질은 간에서 생성된다. 혈장 단백질은 수소 이온을 흡수하거나 배출할 수 있어 혈액의 pH를 7.4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5]. 글로불린은 알파, 베타, 감마의 세 종류가 있으며 이 가운데 알파와 베타는 간에서 합성되고 감마글로불린은 림프계통에서 합성된다. 림프계통에서 합성되는 감마글루블린은 면역 항체로서 중요한 기능을 한다[6]. 혈장 단백질은 알부민, 글로불린, 피브리노겐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약 80여 종에 이른다[7]. 알부민은 가용성 단백질 가운데 황산암모늄으로는 침전되지 않는 단순 단백질을 총칭하는 것이고, 글로불린은 물에 녹지 않으며 약한 염기성또는 중성 염류 용액에 녹는 단순 단백질이다. 한편, 피브리노겐은 수용성 단백질로 혈액 응고에 관여하여 혈소판의 침전 속도와 혈액의 점성에 영향을 미친다[7]. 혈장 단백질은 거대 유기 분자와 결합하여 운반 작용을 하는데, 알부민은 헤모글로빈의 분해 산물인 빌리루빈을 운반하고, 글로불린을 포함하고 있는 지단백질은 콜레스테롤을 운반한다[5]. 혈구[편집] 혈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혈구에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 있다. 적혈구는 혈색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한다. 적혈구는 척추동물의 경우 낙타와 같은 특이한 경우를 제외하면 가운데가 움푹한 원반 모양을 하고 있으며, 크기는 지름 약 7.5µm 두께 약 1.5µm이다. 적혈구에 있는 혈색소는 철분을 함유하고 있는 포르피린과 구상 단백질인 글로빈의 복합체이다. 혈액은 혈색소 덕분에 동일한 양의 물보다 약 60배 많은 산소를 수용할 수 있다[8]. 백혈구는 적혈구와 달리 자체적으로 세포핵을 지니고 있으며 독자적인 운동을 할 수 있다. 염색하였을 때 세포내에 알갱이가 염색되는 과립성 백혈구와 알갱이가 염색되지 않는 무과립성 백혈구로 구분된다. 과립성 백혈구로는 염색 특징에 따라 호산성 백혈구, 호염기성 백혈구, 호중성 백혈구가 있고, 무과립성 백혈구로는 림프구와 단백구가 있다[1][9]. 백혈구는 골수에 있는 공통 조상 세포인 조혈모세포에서 증식된 뒤 혈액 속으로 유입된다[10]. 혈소판은 골수의 거핵 세포에서 분리되어 나오는 부정형의 조직으로 크기는 약 3-4µm이다. 주된 역할은 손상된 혈관에서 응고 작용을 일으켜 혈액의 손실을 막고 혈관의 재생을 돕는 것이다[10]. 600배로 확대한 혈액 사진 사람 개구리 어류 순환계통[편집] 인간의 순환계통 이 부분의 본문은 순환계통입니다. 동물의 혈관계는 개방 혈관계와 폐쇄 혈관계로 나뉜다[11]. 개방 혈관계[편집] 절지동물인 새우의 경우, 개방 혈관계에서 산소가 포함된 혈액은 심장으로부터 혈관을 통해 몸의 중요한 부분까지 운반되는데, 혈관은 그다지 길지 않고 단순하다. 더구나 모세 혈관이 없으므로, 혈액은 혈관의 말단으로부터 직접 조직 속으로 흘러들어가, 세포 사이에 있는 체강액(체액)과 섞이게 된다. 이렇게 하여 조직 세포에 산소를 공급한 혈액은, 정맥에 해당되는 단순한 혈관에 모인 후 아가미를 거치면서 산소를 많이 함유하여 심장으로 다시 돌아온다. 이러한 순환계를 개방 혈관계라고 하며, 무척추동물에서 널리 볼 수 있다. 폐쇄 혈관계[편집] 환형동물[주해 2], 원색동물[주해 3] 및 척추동물[주해 4] 의 경우, 심장에서 나간 혈액은 허파나 아가미에서 가스 교환이 이루어지고, 대동맥을 통하여 몸의 세부에까지 산소를 운반하는데, 동맥과 정맥은 모세 혈관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서, 개방 혈관계와는 달리 혈액이 조직 속으로 직접 흘러드는 일이 없다. 가스 교환은 모세 혈관의 얇은 막을 통하여 혈액과 조직 세포와의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또, 수분이나 영양분·노폐물 등도 모세 혈관의 벽을 통하여 조직 세포에 공급되거나 혈액 속으로 들어간다. 모세 혈관은 마침내 정맥으로 이어져, 혈액은 다시 심장으로 돌아온다. 이와 같은 순환계를 폐쇄 혈관계라고 한다. 혈색소[편집] 인간의 피가 붉게 보이는 것은 적혈구에 포함된 헤모글로빈 때문이다. 혈액에는 여러 가지 물질이 녹아 있어서 무색인 경우는 드물다. 척추동물의 혈액이 붉은색을 띠는 것은 주로 적혈구 속에 포함되어 있는 헤모글로빈 때문이다. 무척추동물 중에도 혈액이 붉은색을 띠고 있는 것이 있으나, 이것은 혈장 속에 붉은색의 혈색소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혈액 속에 직접 녹아 있는 산소의 양만으로는 생명 활동에 충분하지 못하므로, 산소와 능동적으로 결합하여 보다 많은 산소를 운반하는 혈색소의 존재가 중요하게 된다. 이들 혈색소는 모두 금속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단백질로서, 산소 분압이 높은 호흡 기관에서 산소와 결합하며, 분압이 낮은 조직 세포에서는 산소를 해리하여 조직 세포에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혈색소는 산소 분자를 주고받는 일을 하므로 보통 '호흡 색소'라고도 한다. 척추동물의 혈색소는 적혈구 속에 헤모글로빈으로 함유되어 있으나, 무척추동물의 다른 종류의 혈색소는 혈장에 들어 있다. 동물의 혈색소에는 헤모글로빈·헤모시아닌·클로로크루오린·헤모에리드린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갑각류 등의 피가 녹색으로 보이는 까닭은 헤모시아닌에 함유된 구리때문이다.[10] 헤모글로빈[편집] 헤모글로빈의 구조. 그림에서 녹색이 색소인 햄, 붉은 색과 파란 색은 단백질 구조이다. 헤모글로빈은 네 개의 햄 색소와 각각 알파와 베타로 불리는 두 개의 단백질 사슬로 이루어져 있다. 헤모글로빈은 철을 포함하여 산소와 가역적인 방법으로 결합한다. 헤모글로빈은 세포에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와도 결합하여 세포 조직으로 산소를 해리하고 이산화탄소를 체외로 내보내게 된다. 이때, 이산화탄소는 산소와 달리 햄 구조의 다른 부분에 결합하여 헤모글로빈은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체내의 이산화탄소는 약 8%가 혈장에 녹아들고 20%는 헤모글로빈과 결합하며 나머지 70%는 적혈구의 다른 부분에 스며들게 된다. 이산화탄소가 적혈구로부터 농도가 낮은 혈장으로 녹아드는 것을 막기 위해 적혈구는 물과 효소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탄산으로 변화시키고 이를 다시 중탄산이온과 수소이온으로 분리시킨 다음 중탄산이온은 혈장으로 내보내고 수소이온 만을 헤모글로빈과 결합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염화물 전환이라고 하며, 그 결과 혈장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낮추고 주변 조직들로부터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12] 헤모시아닌[편집] 두족류, 복족류와 같은 연체동물이나 대다수의 절지동물의 경우 혈색소는 헤모시아닌으로 이루어져 있다. 헤모시아닌은 두 개의 구리와 산소가 결합하여 체내에 산소를 운반한다. 산소를 얻게 되면 산화구리의 색인 푸르스름한 빛을 지니게 되고 산소를 잃으면 무색이 된다.[13] 대부분의 연체동물은 헤모시아닌을 혈색소로 갖고 있으나 일부 종류는 헤모글로빈과 헤모시아닌을 모두 갖고 있는 경우도 있고 어린 때에는 헤모글로빈이 있다가 성체가 되면 헤모시아닌을 혈색소로 갖고 있는 경우도 있다. 한편 연체동물 중에서도 혈색소가 헤모글로빈인 경우도 있는데, 피조개, 꼬막과 같은 것이 대표적이다.[14] 기타[편집] 갯지렁이는 클로로크로우린을 혈색소로 사용하는데, 이 혈색소는 헤모글로빈과 같이 철을 산소와 결합하는 매개체로 사용하지만 헤모글로빈보다는 산소 결합력이 떨어진다. 혈중에 클로로크로우린의 농도가 높을 경우 붉은 색을 띄며 옅으면 녹색을 띈다.[14] 혈액과 건강[편집] 출혈: 건강한 성인 남성의 경우 외상을 입어 출혈이 있더라도 전체 혈액의 약 20%(1L)까지는 신체에 큰 무리가 오지 않는다. 그러나 40%에 해당하는 2L 가량의 혈액을 잃었을 경우 쇼크에 빠질 수 있고 뼈가 부러지는 것과 같은 부상을 입었을 때에는 내출혈이 일어날 수 있다. 혈액에는 혈소판과 같은 응고 인자가 있어 더이상 출혈이 일어나지 않도록 손상된 혈관을 막는다.[15] 혈액과 관련이 있는 질병[편집] 백혈병 - 백혈구가 이상 증식하는 질병이다. 당뇨병 - 인슐린 작용이 부족하여 혈액 내에 당분이 과도하게 분포하는 것이 주요 원인인 질병이다. 빈혈 - 혈액 내에 헤모글로빈의 농도가 부족한 질병이다. 겸형 적혈구 빈혈증은 적혈구의 모양이 변형된 유전성 질환이다. 혈우병 - 혈액을 응고하는 인자가 부족하여 출혈이 멈추지 않는 유전성 질환이다.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 -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에 의해 백혈구가 감염되어 면역 체계가 작동하지 않는 감염성 질환이다. 혈액형[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혈액형입니다. 혈액형은 적혈구의 세포막에 있는 당단백질의 항원 기능에 따라 혈액의 종류를 구분한 것이다. 1901년 오스트리아의 카를 란트슈타이너(Karl Landsteiner)에 의해 구분된 ABO식 혈액형이 유명하나 사람의 경우 이 외에도 RH식, MNSs, Lewis Duffy, Kidd 등 500여 가지 항원이 존재한다. 이 가운데 ABO식과 RH식이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것은 수혈을 하였을 때 항원항체 반응으로 서로 다른 혈액형의 적혈구를 파괴하기 때문이다. ABO식에도 많은 돌연변이가 있어 약(弱)A형이나 약B형의 경우 O형으로 오진될 수 있고, AB인자가 결합되어 O형의 배우자와 만나 낳은 자식이 AB형이 되는 시스-AB형, A인자와 B인자가 함께 있는 혈액 키메라 등이 생길 수 있다. 인간 이외의 다른 동물도 혈액형이 구분되는데 개와 같은 경우 11가지의 혈액형이 알려져 있다.[16] 한편, 일본, 대한민국 등에서 유행하는 ABO식 혈액형에 따른 성격 구분은 과학적 근거가 없는 것으로 일종의 사이비과학이다.[17] 2006년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김범준은 대한민국에서 성격과 혈액형에는 실제로 아무런 연관이 없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18] 같이 보기[편집] 출혈 헌혈 혈압 대체 혈액 혈액 검사 헤모포비아 주해[편집] ↑ 과민반응을 일으킬 경우 알레르기가 생길 수 있다. ↑ 대표적인 환형동물로는 지렁이가 있다 ↑ . 대표적인 원색동물로는 히드라, 해파리 등이 있다 ↑ 척추동물로는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 등이 있다. 각주[편집] ↑ 가 나 다 Pulves 외, 이광웅 외 역, 생명 생물의 과학, 2006, 교보문고, ISBN 89-7085-516-5, 919쪽 ↑ 김상균, 동물해부생리학, 유한문화사, 2006, ISBN 89-7722-627-9, 137쪽 ↑ The Franklin Institute Inc.. "Blood – The Human Heart" Archived 2009년 3월 5일 - 웨이백 머신. Retrieved 19 March 2009.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 가 나 강성구 외, 인체생물학, 아카데미서적, ISBN 89-7616-248-X, 98쪽 ↑ 강정부 외, 수의임상병리, 기전연구사, 2000, ISBN 89-336-0181-3, 273쪽 ↑ 가 나 화학용어사전, 일진사, 2006 ISBN 89-429-0903-5 ↑ 김상균, 동물해부생리학, 유한문화사, 2006, ISBN 89-7722-627-9, 138쪽 ↑ 김상균, 동물해부생리학, 유한문화사, 2006, ISBN 89-7722-627-9, 147쪽 ↑ 가 나 다 생명과학사전, 아카데미서적, 2003, ISBN 89-7616-270-6 ↑ 이하 별도의 출처가 없는 것은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 조지 B 존슨, 전병학 역, 생명 과학, 동화기술, 2007, ISBN 89-425-1186-4, 476쪽 ↑ Shuster, Carl N (2004). "Chapter 11: A blue blood: the circulatory system". In Shuster, Carl N, Jr; Barlow, Robert B; Brockmann, H. Jane. The American Horseshoe Crab. Harvard University Press. pp. 276–7. ISBN 0-674-01159-7. ↑ 가 나 권오길, 달과 팽이, 지성사, 2005, ISBN 89-7889-120-9, 223-224쪽 ↑ "Blood - The Human heart" Archived 2009년 3월 5일 - 웨이백 머신. The Franklin Institute. Retrieved 19 March 2009. ↑ 이성주, 인체의 신비, 살림, 2003, ISBN 89-522-0119-1 , 60쪽 ↑ 혈액형이 성격 결정? 새빨간 거짓말, 한겨레신문, 2008년 5월 26일 ↑ 김범준, 〈복잡계로서의 사회와 사회물리학〉, 《복잡계 워크샵》, 삼성경제연구소, 2006, ISBN 89-7633-310-1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혈액 위키낱말사전에관련된 항목이 있습니다. 피 대한혈액학회 vdeh순환계통심장겉구조 심장바닥 심장끝 고랑(방실사이, 심방사이, 앞심실사이, 뒤심실사이) 속구조 심방(심방사이막, 빗살근, 분계고랑) 심실(심실사이막, 힘줄끈, 꼭지근) 심장판막 판막첨판 방실사이막심장뼈대정맥사이결절 우심(대정맥, 관상정맥동) → 우심방 → 삼첨판 → 우심실 → 폐동맥판 → (폐동맥)좌심(폐정맥) → 좌심방 → 승모판 → 좌심실 → 대동맥판 → (대동맥)온몸순환(심장, 좌심실) → 대동맥 → 동맥 → 세동맥 → 모세혈관 → 세정맥 → 정맥 → 대정맥 → (심장, 우심방)폐순환(심장, 우심실) → 폐동맥 → (폐) → 폐정맥 → (심장, 좌심방)혈관 혈관내피 혈관속막 혈관중간막 혈관바깥막 동맥 관상동맥 영양동맥 정맥 동반정맥 이끌정맥 정맥얼기 림프계통 림프 림프관 모세림프관 림프절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거 통제 LCCN: sh85014927 GND: 4007259-9 BNF: cb11934902m (데이터) NDL: 0056567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혈액&oldid=24059694" 분류: 혈액숨은 분류: 위키낱말사전과 연결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ܐܪܡܝܐمصرىঅসমীয়াAsturianuAtikamekwАвар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Boarisch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བོད་ཡིག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Chavacano de ZamboangaMìng-dĕ̤ng-ngṳ̄CebuanoᏣᎳᎩکوردی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Zazakiދިވެހިބަސް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VõroFøroysktFrançaisFurlanFryskGaeilgeGàidhligGalegoAvañe'ẽगोंयची कोंकणी / Gõychi Konknniગુજરાતી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nterlingue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ភាសាខ្មែរಕನ್ನಡKurdî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ЛаккуЛезгиLimburgsLumbaartLingálaLietuviųLatviešuMalagasyОлык марий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Maltiမြန်မာဘာသာNāhuatlPlattdüütsch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Oromooଓଡ଼ିଆਪੰਜਾਬੀKapampanganPolskiپنجابیپښتوPortuguêsRuna SimiRomânăArmãneashti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संस्कृतम्Саха тылаᱥᱟᱱᱛᱟᱲᱤSicilianuScotsسنڌي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ChiSho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Vepsän kel’Tiếng ViệtWest-VlamsVolapükWinarayWolof吴语IsiXhosa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Vahcuengh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03: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혈액(血液) 또는 피는 몸 안의 세포에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고 세포의 신진대사에 의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회수하여 운반하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하는 체액이다. 보통은 피라고 부른다. 혈액은 결합 조직의 한 종류로 액체 성분인 혈장과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과 같은 각종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사람의 경우 혈액 속의 세포 용적은 여성의 경우 약 38%, 남성의 경우 약 46% 정도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혈액이 하는 일들은 뭐가 있지? Assistant: 체조직으로 영양소를 운반한다. 허파나 아가미에서 호흡을 통해 산소를 받아들이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몸의 여러 조직에서 나오는 노폐물을 신장으로 운반한다. 내분비계통에서 만들어진 호르몬을 목표 기관까지 운반한다. 온혈동물의 경우 몸 안에서 발생하는 열을 운반하여 체온을 유지한다. 질병에 대항하는 면역 인자를 가지고 있다. 체내 삼투압과 수분 평형에 관여한다. 몸의 수소 이온 농도를 유지한다.
Human: 아래 안동_도산서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안동 도산서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안동 도산서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산서원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도산서원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도산서원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안동 도산서원(安東 陶山書院) 대한민국의 사적 종목 사적 제170호 (1969년 5월 28일 지정)면적 323,110m2시대 조선 시대위치 안동 도산서원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도산서원길 154 (토계리)좌표 북위 36° 43′ 38″ 동경 128° 50′ 16″ / 북위 36.72722° 동경 128.83778°  / 36.72722; 128.83778좌표: 북위 36° 43′ 38″ 동경 128° 50′ 16″ / 북위 36.72722° 동경 128.83778°  / 36.72722; 128.83778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안동 도산서원은 퇴계 이황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서원이다. 1969년 5월 28일 사적 제170호에 지정되고, 2019년 7월 6일 '한국의 서원'의 일부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목차 1 개요 2 관련 문화재 3 유네스코 세계유산 4 사진 5 사건 5.1 서자 출입 허락 사건 6 같이 보기 7 각주 8 참고 자료 9 외부 링크 개요[편집] 안동 도산서원은 퇴계 이황 선생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 이황이 사망한 지 4년 후인 1574년에 설립되었다. 영남학파와 한국 유학을 대표하는 이황을 모신만큼 영남학파의 선구자인 이언적을 모신 경주 옥산서원과 함께 한국의 양대 서원으로 꼽힌다. 퇴계 이황은 1501년(연산군 7년) 11월 25일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현 노송정 종택 태실)에서 태어났기에 이곳이 생가이면서 태실이 모셔져 있다. 참고로 퇴계 이황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 추모하기 위해 1574년(선조 7년)에 시작하여 1576년 완공하였다. 1570년 퇴계 이황이 작고하자, 1572년에 위패를 상덕사에 모시기 위해 공사가 시작되었다. 1575년에 선조가 명필 한석봉으로 하여금 쓰게한 편액을 하사함으로써 영남 유림의 본산이 되었다. 1615년(광해군 7) 사림이 조목(趙穆)을 종향(從享)했다. 1969년 사적 제170호로 지정되었고, 1970년부터 대통령령으로 보수되어, 1977년 관리사무소가 설치되고 오늘날에 이르렀다.[1] 관련 문화재[편집] 안동 도산서원 전교당 - 보물 제210호 유생들의 자기 수양과 자제들의 교육을 하기 위한 강당이다. 전교당의 맢 마당 좌우에는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가 있다. 1574년(선조 7년)에 지었고, 1969년에 수리를 하였다. 팔작지붕과 온돌방, 대청마루로 이루어져 있다. 현판 글씨는 명필 한석봉이 선조의 앞에서 쓴 글씨라고 전해진다. 안동 도산서원 상덕사 및 삼문 - 보물 제211호 도산서원 가장 뒷쪽에 이황 선생의 신주를 모신 사당이다. 1574년(선조 7년)에 지었고, 1969년에 수리를 하였다. 강세황필 도산서원도 - 보물 제522호 안동 도산서원 - 사적 제170호 유네스코 세계유산[편집] 문화재청은 2018년 1월 이곳 안동 도산서원을 비롯한 한국의 대표서원 9곳을 「한국의 서원」으로 지정하여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 신청하여, 2019년 7월 6일 제43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였다. 사진[편집] 정선이 그린 도산서원도 도산서원 전경 도산서원 경내 도산서원 경내 전교당 농운정사 도산서원 경내 도산서원 경내 도산서원 경내 도산서원 경내 도산서원 경내 도산서원 경내 도산서원 경내 도산서원 경내 도산서원 경내 도산서원 경내 도산서원 경내 도산서원 경내 도산서원 경내 도산서원 경내 도산서원 경내 도산서원 경내 도산서원 경내 시사단(試士壇) 사건[편집] 서자 출입 허락 사건[편집] 도산서원은 교육기관으로 학문을 연마하는 기관이었지만, 영남 안동과 주변지역 사림들의 모임 장소이기도 했다. 1884년 서얼들이 도산서원 출입을 허락해달라고 요청했지만 서원에서는 끝까지 허락할수 없다고 거절했고, 서얼들과 서원 유사(有司) 사이에 충돌이 발생했다. 조정에서는 서자들의 서원 출입 허락 상소가 계속되자 1884년(고종 21년) 조정에서는 서얼들도 서원 출입을 허용하라는 공문인 관문(關文)을 각 관아와 서원에 하달하였다. 1884년 11월 조정에서 하달한 관문에서 "서원에 서류들의 출입을 허용하라"고 하였다. 그러자 경주 옥산서원은 곧 서얼의 서원 출입을 허락하였다. 하지만 도산서원은 서자출입을 허용하는 것은 옥산서원의 사정이지 도산서원은 적용할수 없다며 거절했다. 분개한 서얼들이 단체로 도산서원을 찾아와 드디어 물리적 폭력을 행사했다. 서얼들은 "하늘에는 두 개의 태양이 없고 백성에게는 두 임금이 없는데 어찌 예안의 하늘이 경주의 하늘과 다르단 말인가"라고 했다. 서얼들에게 서원의 수노(首奴)들은 몰매를 맞고 "피가 흘러 땅에 가득했고", 유사 등 임원은 서얼들에게 잡혀 "옷이 찢어지고 머리카락이 떨어지며 강물에 패댕이쳐지기도" 하는 등 갖은 수모를 입었다. 이를 두고 서원 측에서는 "서원이 창건된 이래 다시없는 극변"이라 했다. 사태가 진정된 후 도산서원에서는 이 사실을 기록해 놓았으며, 이를 《도산서원서류사변일기 陶山書院庶類事變日記》라 부른다. 서자들이 출입을 요구하면서 폭력을 행사하자, 결국 관망하던 군청이 개입했다. 1885년 2월 10일 최대의 폭력 사건이 발생하여 "임원 모두 수모를 당했고, 심지어 종손에게 욕하고 종택을 파괴하려 한다"며 관아에서 조사를 시작했다. 관아가 개입하자 서얼들 무리 사이에에 분열이 일어나 일부는 도망치고, 일부는 남아 있다가 붙잡혀 구금되고 일부는 자기 집안에 끌려가 문벌(門罰)을 받았다. 문벌을 받은 서얼들은 관아의 판결에 불복하고, 이후 안동권 곳곳의 다른 서얼들과 연합하여 대립했다. 결국 서자들과 도산서원의 갈등, 대립은 4년 1개월간 계속되었고, 결국 1888년 12월 서자들의 출입 요구가 관철되었다. 같이 보기[편집] 서원 이황 이언적 경주 옥산서원 병산서원 임천서원 각주[편집] ↑ “도산서원/사원 소개”. 도산서원. 2008년 11월 26일에 확인함.  참고 자료[편집] 안동 도산서원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이 문서에는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한 국가문화유산포털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도산서원(陶山書院) - 한국서원연합회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안동 도산서원 도산서원 누리집 도산서원(공식) 안동시 vdeh고종 때 서원 철폐에서 제외된 47개 서원경기도 개성 숭양서원 김포 우저서원 용인 심곡서원 양성 덕봉서원 파주 파산서원 고양 기공사 여주 강한사 과천 사충서원, 노강서원 강화 충렬사 광주 현절사 포천 용연서원 충청도 연산 돈암서원 홍산 창렬사 노성 노강서원 청주 표충사 충주 충렬사 경상도 동래 충렬사 순흥 소수서원 선산 금오서원 현풍 도동서원 상주 옥동서원 함양 남계서원 안동 병산서원 예안 도산서원 상주 흥암서원 진주 창렬사 경주 서악서원, 옥산서원 고성 충렬사 거창 포충사 전라도 태인 무성서원 장성 필암서원 광주 포충사 강원도 김화 충렬서원 영월 창절서원 철원 포충사 황해도 배천 문회서원 장연 봉양서원 평산 태사사 해주 청성묘 평안도 영유 삼충사 안주 충민사 영변 수충사 평양 무열사 정주 표절사 함경도 북청 노덕서원 vdeh 경상북도의 서원공원 | 교통 | 도로 | 도서관 | 동굴 | 박물관 | 산 | 서원 | 섬 | 성 | 온천 | 저수지 | 종합병원 | 축제 | 하천 | 해수욕장경산시 관란서원 구계서원 금호서원 남호서원 동산서원 백곡서원 용계서원 원계서원 임호서원 경주시 경산서원 구강서원 귀산서원 단구서원 동강서원 서악서원 옥산서원 용산서원 운곡서원 인산서원 장산서원 직천서원 고령군 낙산서원 노강서원 도암서원 매림서원 문연서원 반암서원 봉양서원 영연서원 구미시 경락서원 금오서원 낙봉서원 동락서원 문산서원 오산서원 군위군 남계서원 문양서원 봉강서원 북산서원 송호서원 양산서원 양천서원 화계서원 김천시 경양서원 덕림서원 도동서원 섬계서원 원계서원 일신서원 자동서원 춘천서원 하로서원 문경시 근암서원 소양서원 웅연서원 의산서원 한천서원 봉화군 구만서원 구양서원 단계서원 도계서원 봉산서원 봉산서원 삼계서원 송록서원 행계서원 상주시 낙암서원 도남서원 봉강서원 봉산서원 옥동서원 연악서원 옥성서원 임호서원 청암서원 효곡서원 흥암서원 성주군 덕암서원 덕천서원 문곡서원 암포서원 오암서원 옥천서원 운양서원 천곡서원 청천서원 회연서원 안동시 경광서원 고산서원 근성서원 기양서원 노림서원 도계서원 도산서원 동산서원 명호서원 묵계서원 벽계서원 병산서원 봉암서원 분강서원 사빈서원 서산서원 역동서원 용강서원 용계서원 우계서원 유암서원 임천서원 임호서원 창렬서원 청성서원 타양서원 호계서원 화천서원 영덕군 구봉서원 운계서원 운산서원 인산서원 영양군 봉람서원 여남서원 영산서원 운곡서원 영주시 구고서원 구호서원 귀강서원 노계서원 덕산서원 도고서원 방산서원 백산서원 사계서원 산천서원 삼봉서원 소수서원 오계서원 오산서원 용연서원 욱양서원 운곡서원 의산서원 이산서원 장암서원 한천서원 영천시 고천서원 구천서원 덕강서원 도계서원 도잠서원 무원서원 백학서원 성남서원 송곡서원 연계서원 용계서원 임고서원 창대서원 회계서원 횡계서원 예천군 금곡서원 기천서원 노봉서원 도정서원 물계서원 소천서원 신천서원 옥천서원 완담서원 인산서원 울진군 고산서원 노동서원 명계서원 옥계서원 옥동서원 운암서원 월계서원 의성군 금산서원 단구서원 덕양서원 매강서원 명곡서원 빙계서원 속수서원 우곡서원 장대서원 화산서원 청도군 금호서원 선암서원 용강서원 임호서원 자계서원 지산서원 학남서원 황강서원 훈령서원 청송군 병암서원 사양서원 송학서원 칠곡군 곤산서원 사양서원 소암서원 자강서원 포항시 광남서원 금산서원 덕림서원 라곡서원 봉덕서원 삼명서원 서산서원 수성서원 안산서원 오천서원 입암서원 죽림서원 중양서원 학산서원 학삼서원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안동_도산서원&oldid=24548964" 분류: 경상북도의 서원경상북도의 사적안동시의 문화재이황한국의 서원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공공누리 제1유형 저작물을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9일 (화) 16:0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안동 도산서원(陶山書院)은 퇴계 이황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서원이다. 1969년 5월 28일 사적 제170호에 지정되고, 2019년 7월 10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도산서원의 역사는? Assistant: 안동 도산서원은 퇴계 이황 선생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 이황이 사망한 지 4년 후인 1574년에 설립되었다. 영남학파와 한국 유학을 대표하는 이황을 모신만큼 영남학파의 선구자인 이언적을 모신 경주 옥산서원과 함께 한국의 양대 서원으로 꼽힌다. 퇴계 이황은 1501년(연산군 7년) 11월 25일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현 노송정 종택 태실)에서 태어났기에 이곳이 생가이면서 태실이 모셔져 있다. 참고로 퇴계 이황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 추모하기 위해 1574년(선조 7년)에 시작하여 1576년 완공하였다. 1570년 퇴계 이황이 작고하자, 1572년에 위패를 상덕사에 모시기 위해 공사가 시작되었다. 1575년에 선조가 명필 한석봉으로 하여금 쓰게한 편액을 하사함으로써 영남 유림의 본산이 되었다. 1615년(광해군 7) 사림이 조목(趙穆)을 종향(從享)했다. 1969년 사적 제170호로 지정되었고, 1970년부터 대통령령으로 보수되어, 1977년 관리사무소가 설치되고 오늘날에 이르렀다.[1] Human: 아래 네_무덤에_침을_뱉어라_2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네 무덤에 침을 뱉어라 2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네 무덤에 침을 뱉어라 2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네 무덤에 침을 뱉어라 2I Spit on Your Grave 2 감독 스티븐 R. 먼로 배급사 앵커 보이 필름스 개봉일 2013년 8월 25일 시간 106분 국가 미국 언어 영어 《네 무덤에 침을 뱉어라 2》(영어: I Spit on Your Grave 2)는 2013년 공개된 미국의 공포 영화이다. 목차 1 출연 1.1 주연 1.2 조연 2 기타 3 외부 링크 출연[편집] 주연[편집] 젬마 달렌더 조 앱솔롬 알렉산다 알렉시브 야보르 바하로프 조연[편집] 메리 스토클리 피터 실버리프 캐시 반필드 디모 알렉시예프 이반 이바노브-바노 메리 스토클리 마이클 딕슨 발렌틴 펠카 조지 즈라타레브 크라지미르 오타치브 기타[편집] 공동제작: 빌 베리 공동제작: 아담 드리스콜 공동제작: 닐 엘만 공동제작: 다니엘 길보이 조감독: 페트야 이브티모바 조감독: 리사 M. 핸슨 세트: 로즌 스테파노브 분장: 야나 스토야노바 헤어: 페트야 시메오노바 의상: 데실라바 안도노바 섭외: 질리언 하우저 프로덕션매니저: 발렌틴 디미트로브 프로덕션매니저: 리사 M. 핸슨 외부 링크[편집] (영어) 네 무덤에 침을 뱉어라 2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vdeh네 무덤에 침을 뱉어라영화 《네 무덤에 침을 뱉어라》 (1978) 리메이크 시리즈 《네 무덤에 침을 뱉어라》 (2010) 《네 무덤에 침을 뱉어라 2》 (2013) 《네 무덤에 침을 뱉어라 3》 (2015) 캐릭터 제니퍼 힐스 기타 《잔인한 복수》 (비공식적인 속편) 이 글은 공포 영화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네_무덤에_침을_뱉어라_2&oldid=24030779" 분류: 영어 영화 작품2013년 영화미국의 공포 영화미국의 범죄 스릴러 영화뉴욕을 배경으로 한 영화불가리아를 배경으로 한 영화불가리아에서 촬영한 영화뉴욕에서 촬영한 영화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공포 영화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zərbaycanca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ՀայերենItaliano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venskaதமிழ்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4일 (일) 18: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네 무덤에 침을 뱉어라 2》(영어: I Spit on Your Grave 2)는 2013년 공개된 미국의 공포 영화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네 무덤에 침을 뱉어라 2의 세트 책임자는 누구일까? Assistant: 로즌 스테파노브
Human: 아래 속도_결정_단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속도 결정 단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속도 결정 단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화학 속도론에서, 종종 전체 반응 속도는 대략적으로 가장 느린 단계인 속도 결정 단계(영어: Rate-determining step,RDS)나 속도 제한 단계(영어: rate-limiting step)에 의해 결정된다. 어떤 반응 메커니즘에서, 대응하는 반응 속도식 예측(실험적 반응 속도 법칙과 비교하기 위한 것)은 종종 속도 결정 단계로 근사하여 단순화 시킨다. 원칙적으로, 반응물과 생성물 농도의 시간 변화는 메커니즘의 각 반응에 대응하는 반응 속도식들로부터 결정된다. 하지만, 이 미분방정식들의 해석적 해를 구하는 것은 항상 쉽지만은 않고, 어떤 경우는 수치적분이 필요할 수 있다.[1] 속도 결정 단계가 하나만 있다는 가정은 수학적 계산을 크게 단순화시킨다. 가장 간단한 경우는 첫 단계가 가장 느릴때로, 전체 속도는 첫 번째 단계의 속도이다. 또한, 속도 결정 단계가 하나 뿐인 메커니즘의 반응 속도식은 메커니즘과의 관계와 속도 결정 단계가 명백한 단순한 수학적 형태를 가진다. 올바른 속도 결정 단계는 아래의 NO2와 CO의 예시처럼 각 단계를 지정해 반응 속도 법칙을 예측하고 실험적 법칙의 다른 예측과 비교해서 확인할 수 있다. 속도 결정 단계의 개념은 촉매나 연소와 같은 화학 반응의 최적화와 이해에서 매우 중요하다. 목차 1 반응 예: NO2 + CO 1.1 속도 결정 단계는 첫 번째 1.2 사전 평형: 만약 두 번째 단계가 속도 결정 단계라면 2 친핵성 치환 반응 3 전이 상태의 구성 4 반응 좌표 5 연쇄 반응 6 확산 지배 반응 7 같이 보기 8 각주 9 외부 링크 반응 예: NO2 + CO[편집] 그 예시로 기체 상태 반응 NO2 + CO → NO + CO2을 다루고자 한다. 만약 이 반응이 한 단계 만에 일어난다면, 그 반응 속도식(r)은 NO2와 CO 분자의 충돌에 비례한다: r = k[NO2][CO]. 여기서 k는 속도상수이고 대괄호는 몰 농도를 나타낸다. 다른 전형적인 예시는 젤도비치 메커니즘이다. 속도 결정 단계는 첫 번째[편집] 하지만, 사실 관측된 반응 속도는 NO2에 대해서는 2차이고 CO에 대해서는 0차로,[2] 반응 속도식은 r = k[NO2]2이다. 이는 반응 속도가 NO2 두 분자가 반응하는 단계에서 결정되고, 그 뒤에 CO 분자가 더 빠르게 결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능한 메커니즘은 반응 속도를 설명할 수 있는 기초적인 두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NO2 + NO2 → NO + NO3 (느린 단계, 속도 결정 단계) NO3 + CO → NO2 + CO2 (빠른 단계) 이 메커니즘에서 반응성 중간체 NO3 가 첫 번째 단계에서 r1의 속도로 생성되고 두 번째 단계에서 r2의 속도로 CO와 반응한다. 하지만 NO3는 첫 번째 반응이 속도 r−1로 역방향 (NO + NO3 → 2 NO2)으로 일어난다면, NO와도 반응할 수 있다. 이 때, 속도에서 마이너스 기호는 역반응의 속도를 나타낸다. [NO3]와 같은 반응성 중간체의 농도는 계속 낮으며 거의 상수에 가깝다. 따라서 생성되는 속도와 소모되는 속도가 같다고 가정하는 정상 상태 근사로 추정할 수 있다. 이 예시에서 NO3는 한 단계에서 생성되고 두 단계에서 소모된다: d [ NO 3 ] d t = r 1 − r 2 − r − 1 ≈ 0. {\displaystyle {\frac {d{\ce {[NO3]}}}{dt}}=r_{1}-r_{2}-r_{-1}\approx 0.} 첫번째 단계가 느리다는 말은 실제로는 첫번째 단계의 역방향이 두 번째 단계의 정방향 보다 느리다는 의미로, 거의 모든 NO3가 NO가 아닌 CO와 반응해서 소모된다. 즉, r−1 ≪ r2, 따라서 r1 − r2 ≈ 0이다. 하지만 전체 반응 속도는 최종 생성물(여기서는 CO2)의 생성 속도이므로, r = r2 ≈ r1이다. 즉, 전체 속도는 첫 번째 단계의 속도에 의해 결정되며, 첫 번째 단계에서 반응한 (거의) 모든 분자는 빠른 두 번째 단계로 텀어간다. 사전 평형: 만약 두 번째 단계가 속도 결정 단계라면[편집] 가능한 다른 경우는 두 번째 단계가 느리고 속도 결정 단계인 경우로, 첫 번째 단계의 역방향 보다 느린 것을 의미한다: r2 ≪ r−1. 이 가정에서는, r1 − r−1 ≈ 0, 따라서 첫 번째 단계가 (거의) 평형 상태에 있다. 전체 반응 속도는 첫 번째 단계에서 반응한 분자의 극히 일부만이 더 느린 두 번째 단계로 넘어가기 때문에 두 번째 단계에 의해 결정된다: r = r2 ≪ r1. 이런 중간체(여기서는 NO3)가 속도 결정 단계 이전에 평형 상태에 이르는 상태를 사전 평형(영어: pre-equilibrium)이라고 부른다[3] NO2와 CO의 반응에서, 이 가정은 실험에서 나온 반응 속도식과 맞지 않기 때문에 기각된다. 만약 첫 번째 단계가 평형 상태에 있다면, 그 평형 상수 식을 이용하여 중간체 NO3의 농도를 더 안정한(그리고 더 쉽게 측정되는) 반응물과 생성물 관계로 계산할 수 있다: K 1 = [ NO ] [ NO 3 ] [ NO 2 ] 2 , {\displaystyle K_{1}={\frac {{\ce {[NO][NO3]}}}{{\ce {[NO2]^2}}}},} [ NO 3 ] = K 1 [ NO 2 ] 2 [ NO ] . {\displaystyle [{\ce {NO3}}]=K_{1}{\frac {{\ce {[NO2]^2}}}{{\ce {[NO]}}}}.} 그러면 전체 반응 속도는 다음과 같다: r = r 2 = k 2 [ NO 3 ] [ CO ] = k 2 K 1 [ NO 2 ] 2 [ CO ] [ NO ] , {\displaystyle r=r_{2}=k_{2}{\ce {[NO3][CO]}}=k_{2}K_{1}{\frac {{\ce {[NO2]^2 [CO]}}}{{\ce {[NO]}}}},} 이 결과는 위에서 주어진 실험적 반응 속도 법칙과 맞지 않다. 따아서 두 번째 단계가 속도 결정 단계라는 가정이 반증되었다. 하지만, 일부 다른 반응은 아래에서 나타낸 것 처럼 빠른 사전 평형이 속도 결정 단계 이전에 관여된다고 믿어진다. 친핵성 치환 반응[편집] 다른 예시는 유기화학의 단일분자 친핵성 치환 반응 (SN1)으로, 첫 번째 단계가 1차인 속도 결정 단계이다. 특수한 경우는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에 의한 브로민화 tert-뷰틸 (t-C4H9Br)의 염기성 가수 분해이다. 이 메커니즘은 두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여기서 R은 tert-뷰틸 라디컬t-C4H9을 나타낸다): 탄소 양이온의 생성 R−Br → R+ + Br-. 물 분자의 친핵체 공격 R+ + OH- → ROH. 이 반응은 일차 반응이다: r = k[R−Br]. 즉, 첫 번째 단계가 느리며 전체 속도를 결정한다. OH−가 나오는 두 번째 단계는 훨씬 빨라서 전체 속도는 OH−의 농도와는 무관하다. 반면에, 브로민화 메틸(CH3Br)의 알칼리 가수 분해는 이분자성 친핵성 치환 반응 (SN2)으로 한 2차 단계로 일어난다. 이 반응 속도 법칙은 이차이다: r = k[R−Br][OH-]. 전이 상태의 구성[편집] 메커니즘의 결정에 있어서 유용한 규칙은 반응 속도 법칙에서 농도 인자는 활성화 착물의 구성과 전하나 전이 상태를 가리킨다.[4] 위의 NO2-CO 반응에서, 반응 속도는 [NO2]2에 의존해서, 활성화 착물은 N2O4의 구성으로, NO2 두 분자가 전이 상태로 가기 전에 반응에 들어가며, 전이 상태 이후 CO가 반응한다. 여러 단계를 갖는 예시는 수용액에서 옥살산와 염소의 반응이다: H2C2O4 + Cl2 → 2 CO2 + 2 H+ + 2 Cl-.[4] 관측된 반응 속도 법칙은 다음과 같다: v = k [ Cl 2 ] [ H 2 C 2 O 4 ] [ H + ] 2 [ Cl − ] , {\displaystyle v=k{\frac {{\ce {[Cl2][H2C2O4]}}}{[{\ce {H+}}]^{2}[{\ce {Cl^-}}]}},} 이 결과는 활성화 착물이 속도 결정 단계 이전에 2H+ + Cl-를 잃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활성화 착물의 공식은 Cl2 + H2C2O4 − 2 H+ − Cl- + x  H2O, 또는 C2O4Cl(H2O)x–이다( H2O에 관한 반응 속도의 의존성이 연구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기에는 알 수 없는 개수의 물 분자를 추가했다. 그 이유는 데이터를 얻는 곳이 다량으로 존재하며 농도가 본질적으로 변하지 않는 물 용매 안이기 때문이다). 가능한 한 메커니즘은 전이 상태 이전의 예비 상태가 빠르게 사전 평형에 도달하는 것으로 가정되는 것으로 다음과 같다:[4] Cl2 +  H2O HOCl + Cl- + H+ H2C2O4 H+ + HC2O4- HOCl + HC2O4- →  H2O + Cl- + 2 CO2 반응 좌표[편집] 다단계 반응에서, 속도 결정 단계는 반응 좌표에서 깁스 자유 에너지가 가장 높을 필요는 없다.[5][3] 만약 초기 반응물보다 에너지가 낮은 반응 중간체가 있다면, 후속 전이 상태를 지나야 하는 활성화 에너지는 저에너지 중간체의 깁스 자유 에너지에 따른다. 그러면 속도 결정 단계는 시작 물질이나 어떤 이전 중간체와의 깁스 자유 에너지 차이가 가장 큰 단계이다.[5][6] 또한 일차 반응이 아닌 단계에서는, 속도 결정 단계를 결정할 때 농도를 고려해야 한다.[5][3] 연쇄 반응[편집] 모든 반응이 속도 결정 단계가 하나만 있는 것은 아니다. 특히, 연쇄 반응의 속도는 보통 한 단계에서만 결정되지 않는다.[5] 확산 지배 반응[편집] 이전 예시에서 속도 결정 단계는 생성물이 생성되어가는 순차적인 화학 반응들 중 하나였다. 그러나 속도 결정 단계는 반응해서 생성물을 생성하기 위한 반응물의 수송이 될 수 있다. 이 경우는 확산 지배 반응이라 일컬으며 일반적으로 반응 중간체에서 생성물의 형성이 매우 빠르게 일어날 때, 반응물의 공급이 속도 결정 단계가 된다. 같이 보기[편집] 생성물 결정 단계 각주[편집] ↑ Steinfeld J. I., Francisco J. S., Hase W. L. Chemical Kinetics and Dynamics (2nd ed., Prentice-Hall 1999) ch. 2. ↑ Whitten K. W., Galley K. D., Davis R. E. General Chemistry (4th edition, Saunders 1992), p. 638–639. ↑ 가 나 다 Peter Atkins and Julio de Paula, Physical Chemistry (8th ed., W. H. Freeman 2006) p. 814–815. ISBN 0-7167-8759-8. ↑ 가 나 다 Espenson, J. H. (2002). 《Chemical Kinetics and Reaction Mechanisms》 2판. McGraw-Hill. 127–132쪽. ISBN 0072883626.  ↑ 가 나 다 라 Keith J. Laidler. Chemical Kinetics (3rd ed., Harper and Row 1987) p. 283–285. ISBN 0-06-043862-2. ↑ Murdoch, Joseph R. (1981). “What is the rate-limiting step of a multistep reaction?”.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58 (1): 32–36. Bibcode:1981JChEd..58...32M. doi:10.1021/ed058p32.  Zumdahl, Steven S. (2005). 《Chemical Principles》 5판. Houghton Mifflin. 727–8쪽. ISBN 0618372067.  외부 링크[편집] The Rate-Limiting Enzyme regulation database (RLEdb) vdeh기본 반응 메커니즘친핵성 치환 반응 단일분자 친핵성 치환 반응 (SN1) 이분자성 친핵성 치환 반응 (SN2) 친전자성 방향족 치환 반응 (SNAr) 자유 라디컬 치환 반응 (SNi) 친핵성 아실 치환 반응 제거 반응 단일분자 제거 반응 (E1) E1cB 제거 반응 이분자성 제거 반응 (E2) 첨가 반응 친전자성 첨가 반응 친핵성 첨가 반응 자유 라디칼 첨가 반응 고리화 첨가 반응 관련 분야 단일 단계 반응 분자도 입체화학 촉매 충돌모형 Solvent effects Arrow pushing 반응속도론 반응 속도식 속도 결정 단계 전거 통제 NDL: 0056441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속도_결정_단계&oldid=24064994" 분류: 화학 반응화학반응속도론유기화학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کوردیDansk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PortuguêsRomânăSimple English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11:3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화학 속도론에서, 종종 전체 반응 속도는 대략적으로 가장 느린 단계인 속도 결정 단계(영어: Rate-determining step, RDS)나 속도 제한 단계(영어: rate-limiting step)에 의해 결정된다. 어떤 반응 메커니즘에서, 대응하는 반응 속도식 예측(실험적 반응 속도 법칙과 비교하기 위한 것)은 종종 속도 결정 단계로 근사하여 단순화 시킨다. 원칙적으로, 반응물과 생성물 농도의 시간 변화는 메커니즘의 각 반응에 대응하는 반응 속도식들로부터 결정된다. 하지만, 이 미분방정식들의 해석적 해를 구하는 것은 항상 쉽지만은 않고, 어떤 경우는 수치적분이 필요할 수 있다. 속도 결정 단계가 하나만 있다는 가정은 수학적 계산을 크게 단순화시킨다. 가장 간단한 경우는 첫 단계가 가장 느릴 때로, 전체 속도는 첫 번째 단계의 속도이다. 또한 속도 결정 단계가 하나 뿐인 메커니즘의 반응 속도식은 메커니즘과의 관계와 속도 결정 단계가 명백한 단순한 수학적 형태를 가진다. 올바른 속도 결정 단계는 아래의 NO2와 CO의 예시처럼 각 단계를 지정해 반응 속도 법칙을 예측하고 실험적 법칙의 다른 예측과 비교해서 확인할 수 있다. 속도 결정 단계의 개념은 촉매나 연소와 같은 화학 반응의 최적화와 이해에서 매우 중요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반응 속도 법칙에서 전이상태 후에 반응하는 물질이 무엇인가요? Assistant: CO Human: 아래 1880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1880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880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해1877년 1878년 1879년 - 1880년 - 1881년 1882년 1883년 연대1860년대 1870년대 - 1880년대 - 1890년대 1900년대 세기17세기 18세기 - 19세기 - 20세기 21세기 서기 1880년의 다른 기년법 간지 기묘년~경진년 단기 4213년 그레고리력 1880년 MDCCCLXXX 불기 2424년 이슬람력 1297~1298 일본 메이지(明治) 13년 황기 2540년 히브리력 5640~5641 아시리아력 6630년 에티오피아력 1874~1875 포덕(천도교) 21년 188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다. 목차 1 연호 2 기년 3 사건 4 탄생 5 사망 6 달력 6.1 음양력 대조 일람 연호[편집] 청(淸) 광서(光緖) 6년 일본(日本) 메이지(明治) 13년 기년[편집] 청(淸) 덕종 광서제(德宗 光緖帝) 6년 조선(朝鮮) 고종(高宗) 17년 사건[편집] 10월 15일 - 멕시코 군인들이 아파치 족 군사 전략가 빅토리오를 죽이다. 조선, 제2차 수신사(김홍집)를 일본에 파견. 영국의 축구 클럽 맨체스터 시티 FC 창단. 탄생[편집] 1월 26일 - 더글러스 맥아더 2월 22일 - 한국의 독립운동가 신규식. 2월 28일 - 마리아 올리비아 다 실바, 3번째로 오래 산 사람 3월 22일 - 고이소 구니아키, 조선 총독을 지낸 일본의 군인, 정치인 6월 27일 - 헬렌 켈러, 미국의 작가, 교육자 6월 29일 - 루드비히 베크, 독일의 군인 8월 26일 - 기욤 아폴리네르, 프랑스의 시인 . 10월 7일 - 파울 하우서,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군인 11월 1일 - 알프레트 베게너, 독일 지질학자 12월 3일 - 페도르 폰 보크,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군인 12월 8일 - 신채호,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역사학자 사망[편집] 3월 31일 - 폴란드의 작곡가, 바이올리니스트 헨리크 비에니아프스키 5월 8일 - 프랑스의 소설가, 귀스타브 플로베르 10월 5일 - 프랑스의 작곡가 자크 오펜바흐 10월 5일 - 영국의 천문학자 윌리엄 라셀 달력[편집] 1월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2월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월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4월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5월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6월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7월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8월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9월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10월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11월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12월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음양력 대조 일람[편집] 음력월 월건 대소 음력 1일의양력 월일 음력 1일간지 1월 무인 대 2월 10일 기사 2월 기묘 소 3월 11일 기해 3월 경진 대 4월 9일 무진 4월 신사 대 5월 9일 무술 5월 임오 소 6월 8일 무진 6월 계미 대 7월 7일 정유 7월 갑신 대 8월 6일 정묘 8월 을유 소 9월 5일 정유 9월 병술 대 10월 4일 병인 10월 정해 소 11월 3일 병신 11월 무자 소 12월 2일 을축 12월 기축 대 12월 31일 갑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1880년&oldid=21282915" 분류: 1880년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Аҧсшәа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Boarisch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বিষ্ণুপ্রিয়া মণিপুরীBrezhonegBosanskiCatalàMìng-dĕ̤ng-ngṳ̄НохчийнCebuanoکوردیQırımtatarcaČeštinaKaszëbsczi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miliàn e rumagnòl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VõroFøroysktFrançaisArpetanNordfriiskFryskGaeilge贛語GàidhligGalegoAvañe'ẽ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Hornjoserbsce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ಕನ್ನಡКъарачай-малкъарRipoarischКоми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ЛезгиLimburgsLigureLumbaartLietuviųLatviešuमैथिलीBasa BanyumasanМокшеньMalagasyОлык марийMāoriBaso Minangkaba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मराठीКырык марыBahasa Melayuမြန်မာဘာသာЭрзяньNāhuatlNapulitanoPlattdüütsch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uormandSesotho sa LeboaOccitanLivvinkarjalaଓଡ଼ିଆИронਪੰਜਾਬੀपालिPolski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संस्कृतम्Саха тылаSarduSicilianuScotsسنڌي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ၽႃႇသႃႇတႆး 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eelterskBasa Sunda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TetunТоҷикӣไทยTürkmençe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дмурт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est-VlamsVolapükWalonWinaray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Zeêuws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5월 17일 (목) 17: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188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880년 출생의 한국 독립운동가이면서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무총리 겸 외무총장을 역임한 이 사람은 누구인가? Assistant: 신규식
Human: 아래 프리슈티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프리슈티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프리슈티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프리슈티나 Priština 프리슈티나의 모습 프리슈티나북위 42° 40′ 00″ 동경 21° 10′ 00″ / 북위 42.666667° 동경 21.166667°  / 42.666667; 21.166667좌표: 북위 42° 40′ 00″ 동경 21° 10′ 00″ / 북위 42.666667° 동경 21.166667°  / 42.666667; 21.166667 행정 나라 코소보 행정구역 프리슈티나 구 인구 인구 211,129 명 (2013년) 인구밀도 370 명/km2 광역인구 504,165 명 지리 면적 572 km2 기타 시간대 CET (UTC+1) 지역번호 +381 https://kk.rks-gov.net/prishtina/ 프리슈티나의 위치 프리슈티나(알바니아어: Prishtina / Prishtinë, 세르비아어: Приштина, Priština)는 코소보의 수도이다. 근처의 도시로는 약 95km 북동쪽의 니시와 약 80km 남쪽의 스코페(북마케도니아의 수도) 등이 있다. 1999년 코소보 전쟁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어 현재 재건 중에 있으며 국제 연합의 관리를 받고 있다. 목차 1 인구 2 역사 2.1 중세~근대 2.2 세계대전과 코소보 전쟁 3 기후 4 문화 5 관광 6 각주 7 외부 링크 인구[편집] 2007년 현재 인구는 50만~60만 정도로 추산된다. 주민의 대부분은 알바니아계이다. 그러나 코소보 전쟁 당시에 많은 알바니아계 주민이 살해되었다. 그 외의 민족으로는 세르비아인, 보스니아인, 루마니아 등이다. 거리의 중심 광장에는 중세 알바니아의 민족 영웅인 스컨데르베우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역사[편집] 중세~근대[편집] 중세 시대에는 세르비아 왕국의 수도로서 발칸 반도의 교역 거점이라고 할 정도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1389년의 코소보 전투에서 세르비아가 오스만 제국에게 패배함에 따라서 이 이후에는 이슬람 세력의 통치하에 들어갔다. 비록 전투에서는 패배하였지만 이때 오스만 제국의 무라드 1세를 죽였고, 결국에는 오스만 제국이 물러나게 됨으로써, 코소보 전투는 근대에 접어들면서 세르비아 민족주의자에 의해서 신화가 되었다. 그 결과 근대가 되어 세르비아 민족주의가 고양되면서 프리슈티나를 포함한 코소보는 세르비아 민족의 역사에 있어서 상징적인 지역이 되어 버렸다.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서 발칸 반도의 기독교 신앙은 일정한 범위내에서 존중받았다. 그러나 17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서 주로 종교적인 이유에서 이 땅의 세르비아인들이 오스트리아령으로 이주하였고, 인구가 희박하게된 이 지역에 이슬람교 계통의 알바니아인들이 이주하였다. 그 때문에 중세 역사에서는 세르비아와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 거주하고 있는 민족구성 면에서는 알바니아인들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구조가 형성되었다. 19세기말보다 프리슈티나 등 여러 곳에서 알바니아인들의 민족운동도 고양되었다. 그 때문에 알바니아인들에게 있어서도 이 지역은 민족운동의 상징이 되었다. 이런 이유들은 나중에 코소보전쟁의 발단이 되었다. 세계대전과 코소보 전쟁[편집] 공산당 시대에 세워진 호텔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오스트리아군에게 점령되었지만 전쟁 이후에는 다시 세르비아의 지배로 되돌아갔다. 다만 세르비아 자체가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전간기에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은 유고슬라비아 왕국이라고 개칭하였고 프리슈티나도 유고슬라비아의 지배하에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이탈리아군 그리고 독일군에 점령되었지만 1944년에 파르티잔에 의해서 해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유고슬라비아를 이끈 티토가 1980년에 사망하면서 세르비아 내에서 민족주의가 고양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코소보의 자치 또는 알바니아와의 통일 등을 내거는 운동이 대두되었다. 이에 대하여 세르비아 정부는 강경책으로 임하였고 무력진압도 불사했다. 알바니아어의 사용을 금지하기도 하는 등의 민족 억압 정책은 구(舊)유고슬라비아 해체 후에 한층 격화되었고, 1999년의 코소보 전쟁에서는 세르비아의 군사 개입에 의해 많은 알바니아인이 학살되었으며, 다수의 공공기관도 파괴되는 등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이에 대한 군사제재 조치로서 NATO의 공중 폭격을 당하여 프리슈티나 내의 세르비아 군사시설 등이 공격을 받았다. 그 다음에는 국제 연합 코소보 잠정 통치 기구(UNMIK)가 주둔하고 있다. 기후[편집] Pristina (1961–1990)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최고기온기록 °C (°F) 15.8 (60.4) 20.2 (68.4) 26.0 (78.8) 29.0 (84.2) 32.3 (90.1) 36.3 (97.3) 39.2 (102.6) 36.8 (98.2) 34.4 (93.9) 29.3 (84.7) 22.0 (71.6) 15.6 (60.1) 39.2 (102.6) 평균최고기온 °C (°F) 2.4 (36.3) 5.5 (41.9) 10.5 (50.9) 15.7 (60.3) 20.7 (69.3) 23.9 (75) 26.4 (79.5) 26.7 (80.1) 23.1 (73.6) 17.1 (62.8) 10.1 (50.2) 4.1 (39.4) 15.5 (59.9) 일평균기온 °C (°F) −1.3 (29.7) 1.1 (34) 5.0 (41) 9.9 (49.8) 14.7 (58.5) 17.8 (64) 19.7 (67.5) 19.5 (67.1) 15.9 (60.6) 10.6 (51.1) 5.1 (41.2) 0.4 (32.7) 9.8 (49.6) 평균최저기온 °C (°F) −4.9 (23.2) −2.8 (27) 0.2 (32.4) 4.2 (39.6) 8.5 (47.3) 11.4 (52.5) 12.5 (54.5) 12.3 (54.1) 9.4 (48.9) 5.0 (41) 0.9 (33.6) −3.1 (26.4) 4.4 (39.9) 최저기온기록 °C (°F) −27.2 (−17) −24.5 (−12.1) −14.2 (6.4) −5.3 (22.5) −1.8 (28.8) 0.5 (32.9) 3.9 (39) 4.4 (39.9) −4.0 (24.8) −8.0 (17.6) −17.6 (0.3) −20.6 (−5.1) −27.2 (−17) 평균 강수량 mm (인치) 38.9 (1.53) 36.1 (1.42) 38.8 (1.53) 48.8 (1.92) 68.2 (2.69) 60.3 (2.37) 51.6 (2.03) 44.0 (1.73) 42.1 (1.66) 45.4 (1.79) 68.2 (2.69) 55.5 (2.19) 597.9 (23.54) 평균강수일수 (≥ 0.1 mm) 13.6 12.3 11.4 12.1 12.8 11.9 8.3 7.9 7.5 8.6 12.3 14.5 133.2 평균강설일수 10.2 8.3 6.2 1.5 0.0 0.0 0.0 0.0 0.0 0.5 3.4 8.1 38.2 평균 상대 습도 (%) 83 77 70 65 67 67 63 62 68 74 80 83 71 평균 월간 일조시간 70.8 96.0 143.0 184.0 227.9 246.3 299.3 289.6 225.8 173.5 96.9 70.2 2,123.3 출처: Republic Hydrometeorological Service of Serbia[1] 문화[편집] 국립 공공 도서관 프리슈티나 대학 관광[편집] 그라차니차 수도원 (14세기 전반기에 건설되었다.) 각주[편집] ↑ “Monthly and annual means,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meteorological elements for the period 1961–1990” (Serbian). Republic Hydrometeorological Service of Serbia. 2017년 2월 25일에 확인함.  CS1 관리 - 인식할 수 없는 언어 (링크)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프리슈티나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지워진 역사: 코소보의 민족 말살 프리슈티나의 공식 웹페이지 프리슈티나 대학 프리슈티나 공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프리슈티나&oldid=24260500" 분류: 코소보의 도시프리슈티나숨은 분류: CS1 관리 - 인식할 수 없는 언어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알바니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세르비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བོད་ཡིགBrezhonegBosanskiCatalàMìng-dĕ̤ng-ngṳ̄НохчийнČeštinaCymraegDanskDeutschDolnoserbs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NordfriiskFryskGaeilgeGàidhligGalegoGaelgעבריתHrvatskiHornjoserbsce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nterlingue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TaqbaylitҚазақшаKernowekLëtzebuergeschLimburgsلۊری شومالی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MaltiNāhuatlPlattdüütsch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vialOccitanИронਪੰਜਾਬੀPapiamentuNorfuk / Pitkern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аха тылаSardu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Gagana SamoaChiSho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Ślůnskiதமிழ்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дмурт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epsän kel’Tiếng ViệtVolapükWinaray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2일 (수) 17: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프리슈티나(알바니아어: Prishtina / Prishtinë, 세르비아어: Приштина, Priština)는 코소보의 수도이다. 근처의 도시로는 약 95km 북동쪽의 니시와 약 80km 남쪽의 스코페(북마케도니아의 수도) 등이 있다. 1999년 코소보 전쟁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어 현재 재건 중에 있으며 국제 연합의 관리를 받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제2차 세계 대전 후에 세르비아의 상황은 어땠어? Assistant: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유고슬라비아를 이끈 티토가 1980년에 사망하면서 세르비아 내에서 민족주의가 고양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코소보의 자치 또는 알바니아와의 통일 등을 내거는 운동이 대두되었다. 이에 대하여 세르비아 정부는 강경책으로 임하였고 무력진압도 불사했다. 알바니아어의 사용을 금지하기도 하는 등의 민족 억압 정책은 구(舊)유고슬라비아 해체 후에 한층 격화되었고, 1999년의 코소보 전쟁에서는 세르비아의 군사 개입에 의해 많은 알바니아인이 학살되었으며, 다수의 공공기관도 파괴되는 등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이에 대한 군사제재 조치로서 NATO의 공중 폭격을 당하여 프리슈티나 내의 세르비아 군사시설 등이 공격을 받았다. 그 다음에는 국제 연합 코소보 잠정 통치 기구(UNMIK)가 주둔하고 있다. Human: 아래 진영시외버스정류장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진영시외버스정류장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진영시외버스정류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진영시외버스정류장 공식명칭 김해 진영시외버스터미널 종류 시외버스 터미널 국가 대한민국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진영로 215 (여래리) 행선지표기 진영 고속버스 운행 미운행 시외버스 운행 운행 시내버스 운행 운행 웹사이트 http://bus.gimhae.go.kr/index2.html 진영시외버스터미널은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진영로 215(여래리 711-1)에 위치한 버스터미널이다. 과거 진영시외버스 정류장 또는 진영시외버스주차장(옛날에는 터미널을 주차장이라 명칭하였음)으로 불리다 진영시외버스터미널로 지명변경하였다. 목차 1 운행 노선 1.1 시외버스 1.2 시내버스 1.2.1 창원시내버스 1.2.2 김해시내버스 2 특이 사항 3 외부 링크 4 각주 운행 노선[편집] 2018년 4월 30일 동서울행 노선이 신설되었다. 시외버스[편집] 운행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시간표 진영 ↔ 동서울 고려여객천일여객 진영 ↔ 동서울 무정차 2회 08:05, 12:35 진영 ↔ 밀양 밀성여객 김해 ↔ 밀양 가술, 수산 3회 11:25, 18:00, 19:50 진영 ↔ 부곡 밀성여객 진영 ↔ 부곡 가술, 수산, 초동, 인교 1회 07:55 진영 ↔ 부산서부 김해여객 진영 ↔ 부산서부 장유, 진례 30분간격 첫차:06:30(진영 기준)막차:21:00(진영 기준) 진영 ↔ 수산 밀성여객 김해 ↔ 수산 가술 2회 11:45, 16:50 시내버스[편집] 진영시외버스터미널에는 시내버스도 운행한다. 주로 김해시를 운행하는 편이며, 창원, 마산 방면으로 가는 시내버스 노선도 경유한다. 창원시내버스[편집] 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35 동양교통,대운교통,창원버스 대방동 ↔ 진영(설창사거리) 창원시청, 창원문성대, 창원공고, 덕산, 자여 5회 첫차:05:50(대방동),07:10(진영)막차:20:00(대방동),21:30(진영) 45 대운교통,마창여객,신양여객,마인버스,제일교통,대중교통 경남대학 ↔ 진영(설창사거리) 어시장, 마산터미널, 창원역, 덕산, 자여 5회 첫차:05:30(경남대),06:50(진영)막차:19:40(경남대),21:00(진영) 김해시내버스[편집] 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10 김해BUS 진영역 ↔ 봉하마을 한서병원, 진영시외버스터미널, 진영중학교, 중흥S클래스2단지, 주호, 본산 22회 (30~60분) 첫차:06:20(진영역),06:45(봉하)막차:21:30(진영역),21:00(봉하) 11 김해BUS 상룡 ↔ 동산 신용삼거리, 한서병원, 진영역, 진영 시외버스터미널, 삼성아파트, 부곡, 좌곤, 금산초교, 동산, 우동, 하계 9회 첫차:06:40(상룡),07:10(하계)막차:20:50(상룡),21:25(하계) 14-1 가야IBS 외동터미널 ↔ 금산초등학교 구산동, 부영6차, 망천1구, 빙그레, 설창, 진영역, 진영시외버스터미널, 삼성아파트, 부곡, 좌곤 15 첫차:05:00(외동),05:40(금산초)막차:22:20(외동),23:05(금산초) 44 동부교통 외동차고지(신세계백화점) ↔ 진영공설운동장 수로왕릉, 김해세무서, 김해여객터미널, 내덕, 부영13차, 냉정, 신안마을, 진례면사무소, 세일아파트, 한서병원, 진영터미널 30 첫차:05:30(외동),06:00(진영)막차:22:00(외동),21:25(진영) 56 동부교통 풍유동공영차고지 ↔ 진영시외버스터미널 외동터미널, 김해세무서, 김해여고, 부영6차, 망천1구, 한림면사무소, 한림정역, 가동, 가산, 주호 60 첫차:06:20(풍유동),06:30(진영)막차:21:50(풍유동),21:30(진영) 57 김해BUS 진영시외버스터미널 → 진영시외버스터미널 금병초등학교 → 봉하 → 장방 → 한림정역 → (장재[1]) → 외오서 → 내오서 → 금곡 → 정촌 → 모정(회차 지점) → 시전 → 부평 → 한림정역 → 장방 → 봉하 → 금병초등학교 8회 첫차:06:30(모정),07:20(진영)막차:20:40(모정),21:30(진영) 13 김해BUS 진영시외버스터미널 ↔ 진례파출소 진영역, 고모, 담안, 김해테크노밸리산업단지, 진례역, 진례백조아파트 9회 첫차:06:30(진례),07:20(진영)막차:21:15(진례),20:30(진영) 15 김해BUS 진영시외버스터미널 ↔ 진례파출소 진영역, (퇴은[2]), 고모, 담안, 송현, 진례백조아파트 17회 첫차:07:00(진례),08:00(진영)막차:20:40(진례),21:30(진영) 140 태영고속 김해터미널 ↔ 마산터미널 금강병원, 구산백조A, 명동, 진영역, 동읍, 의창동, 창원역 20~25 구. 김해-마산 완행시외버스, 14번 통합 특이 사항[편집] 태영고속에서 운행하는 진영신도시 노선은 이곳에 정차하지 않으며, 그 대신 도보 5분 거리의 "진영농협" 정류장에서 승차할 수 있다. 외부 링크[편집] 진영정류장 시간표 -> 시간표가 맞지 않습니다. 진영터미널 공식 블로그 : https://blog.naver.com/jbbjbb/221550958682 - 블로그에 오셔서 시간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각주[편집] ↑ 모정 방향에 한하여 1일 3회 경유한다. ↑ 1일 2회 경유한다. vdeh대한민국의 시외·고속버스터미널서울특별시 서울경부 서울호남 동서울 서울서부 서울남부 상봉 가락시장 김포공항 동대문 마장동 수유리 신촌 잠실 장지역 인천광역시 강화 외포리 화도 인천 인천공항 부평역 송도 용현동 경기도 가평 목동 설악 청평 현리 고양 고양화정 광명 철산 광주 곤지암 구리 군포 김포 도농 · 금곡 · 평내 · 마석 동두천 부천 송내역 부천역·소사동·송내사거리 수원 광교중앙역 서수원 수원역 아주대 영통입구 우만동 성남 가천대 시흥 하늘휴게소 안산 상록수역 안성 공도 대림동산 양성 일죽 주은풍림 죽산 중앙대입구 안양역 · 안양 · 범계 · 호계동 · 비산동 양주역 양평 용문 여주 능서 대신 태평 전곡 오산 용인 백암 신갈 양지 유방동 의정부 의왕고천 의왕TG 이천 장호원 문산 금촌 운정 파주적성 평택 평택시외 송탄 안중 서정리·용이동·청북 평택대 해군기지 포천 송우 신북 운천 일동 하남 서신 동탄 조암 향남 강원도 강릉 강릉시외 주문진 간성 거진 대진 동해 동해시외 삼척 삼척시외 도계 임원 호산 속초 속초시외 양구 남면 양양 낙산 영월 상동 원주 원주시외 문막 인제 백담입구 신남 원통 현리 정선 고한사북 북평 임계 동송 신철원 와수 육단 춘천 춘천시외 강촌 태백 평창 대화 장평 진부 횡계 홍천 내면 서석 양덕원 화천 사창리 횡성 둔내 충청북도 괴산 연풍 단양 매포 보은 보은고속 속리산 영동 추풍령 황간 옥천 안내 청산 음성 감곡 대소 무극 삼성 생극 충북혁신도시 제천 제천시외 백운 증평 진천 광혜원 이월 청주 청주시외 청주공항 북청주 남청주 미원 오창 충주 목계 수안보 주덕 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충청남도 대전 서대전 유성 유성시외 대전청사 대전도룡 관저·건양대병원 용두동 도마동 부사동 신흥동 북대전 자운대 조치원 세종 세종청사 고대홍대 전의 금암 · 신도안 · 양정 · 엄사 공주 공암 동학사 산성 유구 금산 논산 논산시외 강경 연무 연무시외 당진 기지시 삽교천 신평 합덕 보령 대천해수욕장 부여 홍산 서산 고북 해미 서천 장항 아산 아산시외 신창 예산 신례원 천안 병천 성환 쌍용 한기대 청양 정산 태안 만리포 안면도 홍성 광천 내포 전라북도 고창 대산공용 무장 상하 선운사 해리 흥덕 군산 군산시외 대야 김제 만경 원평 남원 남원시외 덕과 반선 인월 무주 구천동 안성 부안 격포 줄포 순창 적성 고산 대둔산 봉동 삼례 운주 익산 익산시외 금마 여산 함열 임실 관촌 강진공용 오수 장수 번암 장계 전주 전주시외 정읍 신태인 태인 진안 백운 안천 광주광역시전라남도 광주 문화동 소태역 송정역 진월동 강진 마량 성전 고흥 과역 나로도 녹동 곡성 옥과 광양 광영 동광양 태인 구례 나주 영산포 영삼거리 다시 담양 목포 남악 무안 보성 벌교 예당 조성 순천 순북 점암 지도 여수 여천 영광 법성포 홍농 영암 독천 삼호 신북 완도 고금 당목 장성 장성사거리 장흥 노력항 회진 진도 녹진 함평 문장 학교 해남 땅끝 화순 능주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동대구 서대구 대구북부 · 대구서부 · 현풍 용계 경산 영남대 자인 하양 경주 경주시외 건천 산내 아화 안강 입실 고령 구미 구미공단 선산 군위 우보 김천 문경 점촌 가은 봉화 춘양 상주 함창 성주 안동 경북도청 안동역 길안 풍산 영덕 강구 병곡 영해 장사 영양 영주 풍기 풍기IC 꽃동산 영천 임포 예천 용궁 울진 기성 부구 온정 죽변 평해 후포 의성 단촌 도리원 안계 탑리 청도 운문사 청송 월정 주왕산 진보 왜관 약목 포항 포항시외 송라 청하 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경상남도 부산 부산서부 김해공항 동래 신평 하단 해운대 울산 울산시외 신복 방어진 언양 봉계·공업탑·남창·무거·옥동·웅촌·태화·호계·효문 고현 장승포 거창 고성 배둔 김해 장유 진영 남해 밀양 유천 표충사 사천 곤양 삼천포 산청 생초 원지 양산 통도사 의령 신반 진주 진주시외 개양 반성 창녕 남지 부곡 영산 창원 내서 남산 창원역 마산 마산시외 남마산 진해 통영 하동 진교 화개 함안 함양 백무동 서상 안의 합천 가야 삼가 초계 해인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 · 서귀포 고속도로 환승정류장 낙동강휴게소 선산휴게소 섬진강휴게소 인삼랜드휴게소 정안알밤휴게소 횡성휴게소  :현재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하지 않거나 없어진 터미널 굵은 글씨는 고속버스가 운행하는 터미널 vdeh김해시의 교통철도노선 경전선 부산신항선 (화물전용) 부산-김해 경전철 부전-마산선 역 진영역 한림정역 진례역 장유역¹ ¹ : 여객취급을 하지 않는 역 고속도로노선 남해 (10) 중앙 (55) 남해제2지선 (104) 남해제3지선 (105) 중앙지선 (551) 부산외곽순환 (600) 나들목·분기점 광재 김해가야 남진례 대동 대청 동김해 상동 서김해 장유 진례 진영 초정 한림 김해 분기점 냉정 분기점 대감 분기점 대동 분기점 진례 분기점 진영 분기점 일반도로국도 14호 25호 58호 국지도 60호 69호 지방도 1020호 1030호 1042호 주요 간선도로간선도로 금관대로 김해대로 동서대로 공항로 해원로(동읍우회도로) 호계로 교량 삼랑진교 대동화명대교 터널 불모산터널 창원터널 버스시내 김해 시내버스 고속·시외 김해 장유 진영 항공공항 김해국제공항 기타시내 마이비카드 캐시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진영시외버스정류장&oldid=24431034" 분류: 대한민국의 버스 터미널김해시의 교통경상남도의 버스 교통김해시의 건축물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15일 (토) 10:5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진영시외버스터미널은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진영로 215(여래리 711-1)에 위치한 버스터미널이다. 과거 진영시외버스 정류장 또는 진영시외버스주차장(옛날에는 터미널을 주차장이라 명칭하였음)으로 불리다 진영시외버스터미널로 지명변경하였다. 2021년 5월 31일부로 폐업하였으며, 매표소 운행이 중지되었다. 따라서, 차량에 탑승 후 현금 또는 교통카드로만 결제해야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해시내버스의 운행정보는? Assistant: 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10 김해BUS 진영역 ↔ 봉하마을 한서병원, 진영시외버스터미널, 진영중학교, 중흥S클래스2단지, 주호, 본산 22회 (30~60분) 첫차:06:20(진영역),06:45(봉하)막차:21:30(진영역),21:00(봉하) 11 김해BUS 상룡 ↔ 동산 신용삼거리, 한서병원, 진영역, 진영 시외버스터미널, 삼성아파트, 부곡, 좌곤, 금산초교, 동산, 우동, 하계 9회 첫차:06:40(상룡),07:10(하계)막차:20:50(상룡),21:25(하계) 14-1 가야IBS 외동터미널 ↔ 금산초등학교 구산동, 부영6차, 망천1구, 빙그레, 설창, 진영역, 진영시외버스터미널, 삼성아파트, 부곡, 좌곤 15 첫차:05:00(외동),05:40(금산초)막차:22:20(외동),23:05(금산초) 44 동부교통 외동차고지(신세계백화점) ↔ 진영공설운동장 수로왕릉, 김해세무서, 김해여객터미널, 내덕, 부영13차, 냉정, 신안마을, 진례면사무소, 세일아파트, 한서병원, 진영터미널 30 첫차:05:30(외동),06:00(진영)막차:22:00(외동),21:25(진영) 56 동부교통 풍유동공영차고지 ↔ 진영시외버스터미널 외동터미널, 김해세무서, 김해여고, 부영6차, 망천1구, 한림면사무소, 한림정역, 가동, 가산, 주호 60 첫차:06:20(풍유동),06:30(진영)막차:21:50(풍유동),21:30(진영) 57 김해BUS 진영시외버스터미널 → 진영시외버스터미널 금병초등학교 → 봉하 → 장방 → 한림정역 → (장재[1]) → 외오서 → 내오서 → 금곡 → 정촌 → 모정(회차 지점) → 시전 → 부평 → 한림정역 → 장방 → 봉하 → 금병초등학교 8회 첫차:06:30(모정),07:20(진영)막차:20:40(모정),21:30(진영) 13 김해BUS 진영시외버스터미널 ↔ 진례파출소 진영역, 고모, 담안, 김해테크노밸리산업단지, 진례역, 진례백조아파트 9회 첫차:06:30(진례),07:20(진영)막차:21:15(진례),20:30(진영) 15 김해BUS 진영시외버스터미널 ↔ 진례파출소 진영역, (퇴은[2]), 고모, 담안, 송현, 진례백조아파트 17회 첫차:07:00(진례),08:00(진영)막차:20:40(진례),21:30(진영) 140 태영고속 김해터미널 ↔ 마산터미널 금강병원, 구산백조A, 명동, 진영역, 동읍, 의창동, 창원역 20~25 구. 김해-마산 완행시외버스, 14번 통합
Human: 아래 에스토니아_축구_국가대표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에스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에스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에스토니아 별칭 Sinisärgid (파란 티셔츠) 연맹 에스토니아 축구 협회 대륙 유럽 축구 연맹 감독 마르틴 레임 주장 라그나르 클라반 최다 출전자 마르틴 레임 (157) 최다 득점자 안드레스 오페르 (38) 홈 구장 A. 레 코크 아레나 FIFA 코드 EST FIFA 랭킹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최고 순위: 47위 (2012년 3월)최저 순위: 137위 (2008년 10월) 첫 국제경기 출전 에스토니아 0 - 6 핀란드 (핀란드 헬싱키; 1920년 10월 17일) 최다 점수차승리 리투아니아 0 - 6 에스토니아 (리투아니아 카우나스; 1923년 6월 24일) 에스토니아 6 - 0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 탈린; 1928년 7월 26일) 지브롤터 0 - 6 에스토니아 (포르투갈 파루/롤레; 2017년 10월 7일, 2018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최다 점수차패배 핀란드 10 - 2 에스토니아 (핀란드 헬싱키; 1922년 8월 11일) 독일 8 - 0 에스토니아 (독일 마인츠; 2019년 6월 11일, UEFA 유로 2020 예선) 유니폼 홈 원정 에스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에스토니아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이다. 1920년 10월 17일 핀란드와의 A매치 데뷔전에서 0-6으로 대패했다. '파란 티셔츠(Sinisärgid)'라는 별칭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A. 레 코크 아레나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목차 1 개요 2 FIFA 월드컵 (본선) 3 FIFA 월드컵 (예선) 4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5 하계 올림픽 6 주목할 만한 선수 7 각주 개요[편집] 에스토니아의 국제 대회 출전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1924년 하계 올림픽과 발트 3국이 모여 치르는 친선 대회인 발틱컵이 유이하며 FIFA 월드컵과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 출전 기록은 전무하다. 승점과 득실차를 놓고 봤을 때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국제 대회 예선은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으로 12경기에서 5승 2무 5패를 기록했고 득실차에서도 -1(16득점·17실점)을 기록했다. 그 다음으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국제 대회 예선은 UEFA 유로 2012 예선으로 역시 12경기에서 5승 2무 5패에 득실차 -3(16득점·19실점)을 기록했다. 또한 발틱컵에서는 3번의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준우승도 6번 차지했다. 그러나 UEFA 네이션스리그 2018-19 리그 C 2조 6경기에서 1승 1무 4패·조 최하위를 기록하면서 차기 시즌 리그 D로 강등되었다. FIFA 월드컵 (본선)[편집]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불참 1934년 예선 탈락 1938년 1950년 소련에 강제 병합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예선 탈락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합계 FIFA 월드컵 (예선)[편집] 년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불참 1934년 1 0 0 1 2 6 0 1938년 3 1 0 2 4 11 3 1950년 소련에 강제 병합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10 0 1 9 1 27 1 1998년 10 1 1 8 4 16 4 2002년 10 2 2 6 10 26 8 2006년 12 5 2 5 16 17 17 2010년 10 2 2 6 9 24 8 2014년 10 2 1 7 6 20 7 2018년 10 3 2 5 13 19 11 합계 76 16 11 49 65 166 59 순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111위 (유럽 39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1960년 ~ 1992년 - 소련에 강제 병합 1996년 ~ 2016년 - 예선 탈락 UEFA 유로컵 예선 기록 년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60년 소련에 강제 병합 1964년 1968년 1972년 1976년 1980년 1984년 1988년 1992년 없음[1] 1996년 10 0 0 10 3 31 0 2000년 10 3 2 5 15 17 11 2004년 8 2 2 4 4 6 8 2008년 12 2 1 9 5 21 7 2012년 12 5 2 5 16 19 17 2016년 10 3 1 6 4 9 10 합계 62 15 8 39 47 103 53 순위 유로 예선 승점 순위 : 42위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20년 없음[2] 1924년 예비라운드 17위 1 0 0 1 0 1 0 1928년 불참 1936년 1992년[3] 없음[2] 1996년[3] 진출 실패 2000년[3] 2004년[3] 2008년[3] 2012년[3] 2016년[3] 합계 1회 진출(1/9[4]) 예비라운드(1회) 1 0 0 1 0 1 0 주목할 만한 선수[편집] 마르트 폼 안드레스 오페르 마르틴 레임 인드레크 젤린스키 마르코 크리스탈 라이오 피로야 콘스탄틴 바실리예브 타르모 킹크 헨리크 오야마 세르게이 파레이코 이고르 모로조프 라그나르 클라반 각주[편집] ↑ 에스토니아 축구협회 창립 이전 ↑ 가 나 에스토니아 축구협회 창립 이전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본선 진출 횟수. 독립 이후로 계산 vdeh국제 축구 FIFA FIFA 월드컵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올림픽 FIFA U-20 월드컵 FIFA U-17 월드컵 청소년 올림픽 FIFA 클럽 월드컵 FIFA 풋살 월드컵 FIFA 비치사커 월드컵 FIFA e월드컵 유니버시아드 풋볼 어워드 남자 대표팀 목록 FIFA 코드 FIFA 랭킹 남미 CONMEBOL – 코파 아메리카 U-20 U-17 U-15 북중미카리브 CONCACAF – CONCACAF 골드컵 CONCACAF 네이션스리그 U-20 U-17 U-15 지역별 UNCAF 아시아 AFC – AFC 아시안컵 U-23 U-19 U-16 U-14 지역별 AFF CAFA EAFF SAFF WAFF 아프리카 CAF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오세아니아 OFC – OFC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유럽 UEFA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네이션스리그 U-21 U-19 U-17 FIFA 비회원국 NF-보드 – VIVA 월드컵 CONIFA – CONIFA 축구 선수권 대회 IGA – 아일랜드 게임 종합 대회 아시안 게임 올아프리카 게임 팬아메리칸 게임 동아시아 경기 대회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남아시아 경기 대회 지중해 경기 대회 카리브 게임 퍼시픽 게임 유러피언 게임 인도해 아일랜드 게임 팬아랍 게임 프랑코포니 경기 대회 루소포니아 경기 대회 vdehUEFA 소속 축구 국가대표팀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라트비아 러시아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몬테네그로 몰도바 몰타 벨기에 벨라루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북아일랜드 불가리아 산마리노 세르비아 스웨덴 스위스 스코틀랜드 스페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아르메니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안도라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 웨일스 이스라엘 이탈리아 잉글랜드 조지아 지브롤터 체코 카자흐스탄 코소보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터키 페로 제도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남미 북중미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FIFA 월드컵 예선 참가국vdeh1934년 FIFA 월드컵 예선 참가국남아메리카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페루 북아메리카 멕시코 미국 아이티 쿠바 아시아·아프리카 이스라엘 이집트 터키 유럽 그리스 네덜란드 독일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벨기에 불가리아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아일랜드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체코슬로바키아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헝가리 vdeh1938년 FIFA 월드컵 예선 참가국남아메리카 브라질 아르헨티나 북아메리카 네덜란드령 가이아나 멕시코 미국 아이티 엘살바도르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쿠바 아시아 네덜란드령 동인도 일본 유럽·아프리카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독일 라트비아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벨기에 불가리아 스웨덴 스위스 아일랜드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유고슬라비아 이스라엘 이집트 체코슬로바키아 포르투갈 폴란드 핀란드 헝가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에스토니아_축구_국가대표팀&oldid=24423764" 분류: 에스토니아의 축구축구 국가대표팀유럽의 축구 국가대표팀에스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ietuviųLatviešuमराठीMaltiनेपाली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4일 (금) 00:4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에스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에스토니아어: Eesti jalgpallikoondis)은 에스토니아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에스토니아 축구 협회에서 관리하고 있다. 유럽 축구 최약체로 평가받는 팀들 가운데 하나로 1920년 10월 17일 핀란드와의 A매치 데뷔전에서 0-6으로 대패했다. '파란 티셔츠(Sinisärgid)'라는 별칭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A. 레 코크 아레나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에스토니아의 국제 대회 예선 성적 중에 최고 기록은 승패가 어떻게 돼? Assistant: 5승 2무 5패 Human: 아래 자의왕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자의왕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자의왕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자의왕후 김씨(慈儀王后 金氏, ? ~ 681년[1])는 신라의 제30대 왕인 문무왕의 왕비이다. 아들은 신문왕이며, 아버지는 파진찬 김선품이다. 자눌왕후(慈訥王后)라고도 한다. 진흥왕의 증손녀이다. 목차 1 생애 2 가족 관계 2.1 선대 2.2 형제, 자매 2.3 인척 3 자의왕후가 등장한 작품 4 각주 생애[편집] 자의왕후는 파진찬 김선품의 딸이다. 김선품은 진흥왕과 사도왕후의 아들인 구륜공과 진평왕과 미실의 딸인 보화공주의 소생이다. 자의왕후의 어머니는 이화랑과 숙명공주의 아들인 보리공과 정숙태자와 만호태후의 딸인 만룡낭주의 소생인 보룡궁주이다. 어렸을 때 부친 김선품이 사망하여 어머니인 보룡궁주가 김춘추 집안의 유모가 되었다. 이에 김춘추의 장남인 법민과 인연을 맺어 김춘추가 왕위에 오르고 김법민이 태자로 책봉 될 때 그녀 또한 태자비로 책봉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자의왕후의 동생인 야명부인도 문무왕의 후궁으로 입궐하여 인명전군을 낳았다. 자의왕후는 문무왕과의 사이에서 소명태자와 훗날 신문왕이 되는 정명태자를 낳았다. 문무왕 말기에 정명태자의 장인인 김흠돌(金欽突)이 정권을 장악하여 대립하였다. 신문왕 원년(681년)에 김흠돌이 야명궁주 소생인 인명전군을 앞세워 반란을 일으키자 이를 진압하여 김흠돌을 비롯하여 흥원(興元), 진공(眞功 - 제26대 풍월주), 흠돌의 아들인 흠언(金欽言, 제31대 풍월주), 진공의 아들인 신공(信功 - 제32대 풍월주)와 군관공, 인명전군을 처형하였다. 이들이 대부분 화랑도 출신이므로 그녀는 화랑도를 일시 폐지 시키고 이에 소속된 자들을 병부에 소속시키나, 지방까지는 미치지 못하자 다시 부활시켜 풍월주와 국선 이원체제가 아닌 국선 일원체제로 운영하였다. 그러나 그녀는 김흠돌 세력의 반란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병을 얻어 문무왕이 붕어한 지 몇 달도 안 되어 서거하였다. 가족 관계[편집] 선대[편집] 조부 : 김구륜 (金仇輪) - 진흥왕(眞興王)과 사도왕후(思道王后)의 아들 조모 : 보화공주 김씨(寶華公主 金氏) - 진평왕(眞平王)과 미실궁주(美室宮主)의 딸 아버지 : 김선품(金善品) - 제 21대 풍월주 어머니 : 보룡궁주 김씨(寶龍宮主 金氏) - 선품공이 사망하자 김춘추의 집안의 유모로 들어갔다. 외조부 : 보리공 (菩利公) - 이화랑(二花郞)과 숙명공주 김씨(叔明公主 金氏)의 아들이자 제 12대 풍월주 외조모 : 만룡낭주 김씨(萬龍娘主 金氏) - 정숙태자(貞肅太子)와 만호태후 김씨(萬呼太后 金氏)의 딸 외숙부 : 예원공(禮元公) - 제 20대 풍월주 형제, 자매[편집] 남매 : 김순원(金順元) - 성덕왕과 효성왕의 장인 여동생 : 김운명(金雲明) - 28대 풍월주 오기공에게 출가 조카 : 김대문(金大門) - 화랑세기 2대 저자 여동생 : 야명궁주 김씨(夜明宮主 金氏) - 문무왕의 후궁 조카 : 인명전군(仁明殿君) 인척[편집] 시아버지 :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 신라 제 29대 왕 시어머니 : 문명왕후(文明王后) -김서현의 차녀 남편 : 문무왕 - 신라 제 30대 왕 아들 : 소명태자(昭明太子) - 일찍 사망 아들 : 신문왕 - 신라 제 31대 왕 며느리 : 폐비김씨 며느리 :신목왕후 손자 : 효소왕,성덕왕 시이모 : 영창부인(永昌夫人) - 김서현의 장녀 자의왕후가 등장한 작품[편집] 《대왕의 꿈》 (KBS, 2012년~2013년, 배우: 최규현) 각주[편집] ↑ 박영규 저, 한권으로 읽는 신라왕조실록,웅진지식하우스 이 글은 한국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한국 사람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자의왕후&oldid=20868690" 분류: 생몰년 미상신라의 왕비경주 김씨숨은 분류: 한국사에 관한 토막글한국 사람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3월 5일 (월) 18:3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자의왕후 김씨(慈儀王后 金氏, ? ~ 681년)는 신라의 제30대 왕인 문무왕의 왕비이다. 아들은 신문왕이며, 아버지는 파진찬 김선품이다. 자눌왕후(慈訥王后)라고도 한다. 진흥왕의 증손녀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자의왕후의 부친의 이름은 뭐야? Assistant: 김선품
Human: 아래 해를_품은_달_(드라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해를 품은 달 (드라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해를 품은 달 (드라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해를 품은 달 장르 드라마 [로맨틱]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MBC 방송 기간 2012년 1월 4일 ~ 2012년 3월 15일 방송 시간 수, 목 밤 9시 55분 ~ 밤 11시 15분 방송 분량 1시간 10분 방송 횟수 20부작 + 스페셜 4부작 추가 채널 MBC 드라마넷, MBC 에브리원, MBC 라이프[1], 올'리브, 스토리온, 스카이 드라마, QTV, 드라마큐브(케이블방송) 원작 정은궐 - 해를 품은 달 기획 오경훈 프로듀서 이경식 제작자 팬엔터테인먼트문정수 연출 김도훈, 이성준 조연출 박지현, 현솔잎 극본 진수완 출연자 한가인, 김수현, 정일우, 김민서, 송재희, 송재림, 윤승아, 남보라, 김영애, 전미선 외 닫는 곡 OST Part 1 (달빛이 지고 - 해오라) OST Part 2 (시간을 거슬러 - 린) OST Part 5 (아니기를 - 이기찬) 음성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아날로그)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자막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해를 품은 달 홈페이지 《해를 품은 달》은 소설가 정은궐이 집필한 동명의 장편 소설[2] 을 원작으로 한 MBC의 수목 미니시리즈이다. 이 드라마를 마지막으로 주중 드라마에서 시청률이 40%를 돌파한 작품은 하나도 없을 정도로 MBC의 역대 수목드라마 중 독보적인 드라마라고 할 수 있다. 목차 1 등장 인물 1.1 주요 인물 1.2 허영재 (연우, 염의 부친) 일가 1.3 훤 일가 1.4 윤대형 (윤보경의 부친) 일가 1.5 성수청 사람들 1.6 궁궐 사람들 2 시청률 3 OST 3.1 Part.1 3.2 Part.2 3.3 Part.3 3.4 Part.4 3.5 Part.5 3.6 Part.6 3.7 정규앨범 4 수상 5 일화 6 동시간대 드라마 7 각주 8 외부 링크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한가인 : 해를 머금은 달 - 허연우(煙雨), 월(月) 役 (아역 김유정) 홍문관 대제학 허영재의 딸, 염의 누이동생, 훤의 첫사랑 과거 : 세자빈 - 현재 : 왕의 액받이 무녀(왕에게 일어날 흉한 일[액 : 厄]을 대신 받는 무녀) 연우(煙雨), 아버지가 붙여준 이름, 안개비 또는 보슬비라는 뜻. 하지만 그녀의 성격은 오히려 뜨거운 태양 아래 시원하게 쏟아지는 소나기처럼 청량하고 신선하고 쾌활하다. 홍문관 대제학의 여식(딸)답게 영리하고 똘똘하기까지 하다. 우연히 입궐, 그 곳에서 훤과 마주친다. 그리고 가슴 속에 품고 있던 설렘은 마침내 첫사랑이 되었다. 이제 훤의 반쪽이 되어 세자빈으로서 행복한 날들이 이어질 줄 알았는데... 원인을 알 수 없는 병이 들어 국혼을 얼마 안 남겨두고 사가(私家)로 돌려 보내진다. 그리고 아버지의 품에서 조용히 눈을 감는다. 내 이름은 액받이 무녀, 월(月) 그녀는 8년 전 자신에게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전혀 모르는데... 후에 모든 것이 해결되고 중전 윤씨가 자결을 하자, 훤의 정비가 된다. 김수현 : 달을 그리는 해 - 이훤(暄) 역 (아역 여진구) 조선의 왕, 중전 한씨의 소생, 민화공주의 오라버니, 연우의 첫사랑 과거 : 세자 - 현재 : 왕 나는 이나라의 왕세자다.(세자시절) 다소 히스테리컬한 청년국왕이다. 잘생겼다. 영리하다. 근자감(근거없는 자신감) 죽여준다. 그래서 '존재 자체가 위협' 인 양명 앞에서 언제나 티없이 맑게 웃는다. 염을 통해 학문의 즐거움과 군왕의 도리를 배웠다면, 연우를 통해서는 자신이 다스려야 할 궐 너머의 세상과 첫사랑의 설렘을 배웠다. 연우가 세자빈에 간택되었을 때 첫사랑은 결실을 맺는 듯이 보였다. 그런데 그녀가 갑작스럽게 죽고, 외척가문의 보경이 대신 세자빈의 자리에 올랐다. 이제 훤은 더 이상 철없는 왕세자가 아니었다. 과인은 조선의 왕이다.(현재) 차갑다. 시니컬하다. 별로 웃지 않는다. 후궁은커녕 중전도 품지 않는다. 내의원의 권고로 우연히 피병(병을 피하여 거처를 옮김)을 갔다가 음산한 무녀의 집에서 비를 피하게 된다. 그리고 그녀를 만났다... 정일우 : 해에 가려진 슬픈 빛 - 양명군(陽明) 역 (아역 김진성, 이태리) 전왕의 서장자, 희빈 박씨의 소생, 왕위 계승 서열 1순위의 왕자 유유자적, 풍류남아. 겉으로는 허허실실, 내면은 오리무중의 자유로운 영혼. 아니, 이 자유를 얻기 위해 그가 얼마나 용을 쓰고 있는지 아무도 모른다. 왕위 계승 서열 1순위. 그 허울 좋은 명분 때문에 양명의 저택에는 늘 권력에 뒷줄을 대려는 도포자락들로 넘쳐난다. 어린 시절 훤의 그늘에 가려 부왕으로 부터 많은 냉대를 받았으나, 홍문관 대제학의 사가에 드나들며 치유 받았다. 그리고 그곳에서 연우를 만나 애타는 그리움과 연모를 배웠지만, 그녀의 세자빈 간택과 연이은 죽음에 그 또한 절망에 빠졌었다. 오랜 세월이 지난 지금, 그러나 운명은 그를 또다시 훤과 맞부딪치게 만드는데... 김민서 : 달을 꿈꾸는 거울 - 윤보경(寶鏡) 역 (아역 김소현) 중전, 훤의 정비(正妃), 윤대형의 딸 착하고 따뜻한 성품을 지닌 다소곳하고 얌전한 여인. 어질고 온화한 성품으로 궁인들 사이에 떠도는 여론 또한 모두 중전의 편이다. 그러나 그녀는 용종 잉태를 외면하는 훤을 단 한번도 원망하지 않는다. 괜찮다는 듯 조용히 미소 지을 뿐. 자, 여기까지가 대외적인 그녀의 모습이다. 어른들의 사랑, 아랫사람들의 흠앙(공경하여 우러러 사모함), 왕친들의 동정, 조정의 여론형성... 이 모든 것이 그녀의 전략에 의해 만들어진 작품이다. 어린 시절 평범한 아이였던 보경을 지금의 야심가로 키워낸 건 아버지 윤대형이었다. 세자빈이 되어 훤의 곁에 있고 싶다는 그녀의 바람은, 연우의 부고로 현실이 되었다. 행운의 여신은 보경의 편이었다. 아니 그런줄로만 알았다. 월이 나타나기 전까지는... 모든 것이 밝혀지고 아버지 윤대형이 반란을 일으키자 괴로워하던 보경은 조용히 목을 맨다. 송재희 : 날개 꺾인 불꽃 - 허염(炎) 역 (아역 임시완) 민화공주의 남편이 되어 의빈(왕의 사위)봉작을 받았다. 유록대부 양천위, 연우의 오라버니, 훤의 스승이며 매제 초(超)절정 미모의 소유자로 성균관 시절 모든 유생들의 우상이었다. 게다가 수재다. 세기에 한 번 나올까 말까 한 초(超)천재.(공부가 제일 쉬웠어요!) 물론 단점도 있다. 고지식하고 융통성없으며 남녀의 감정에 둔한 천하에 없는 유생 그 자체. 그 최대 피해자가 바로 민화공주다. 열일곱에 장원 급제하고 그 해 세자시강원의 문학에 재수되어 겨우 두살 아래인 왕세자 훤의 스승이 되었다. 그리고 훤과 사제의 정을, 군신의 정을, 그리고 동년배의 우정을 나누었다. 그러나... 연우의 죽음 이후 비극이 시작점이 되어버린 그 시절... 지금도 염은 몇 번이고 몇 번이고 훤과 연우를 연결해준 자신을 책망하고 후회한다. 송재림 : 비를 품은 구름 - 운(雲) 역 (아역 이원근) 본명 김제운, 23세의 젊은 무사, 조선 최고의 운검으로 훤의 최 측근에서 호위 뭘 해도 그림이 된다. 날카로운 눈매에 서늘한 콧날. 육척이 넘는 훤칠한 키와 긴 팔다리로 언제나 훤 뒤에 그림자처럼 묵묵히 서 있다. 한마디로 미친 존재감. 게다가 조선 팔도 최고의 무예실력과 뛰어난 지적수양으로 완벽한 스펙을 갖췄다. 양명군, 허염과 삼총사이다. 서자출신이라 본인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허염을 존대한다. 그리고.. 운을 남자로 만들어준 한 명의 여인. 연우.. 아니, 무녀 월(月)... 그는 주군에 대한 충심(忠心), 사내의 연심(戀心) 사이에서 갈등한다. 허영재 (연우, 염의 부친) 일가[편집] 선우재덕 : 허영재 역 (특별출연) 연우와 염의 부친, 홍문관 대제학. 청렴 결백한 성정과 높은 학문으로 만인의 존경을 받는다. 충직한 성품 덕에 선대왕의 총애를 받지만 바로 그 올곧은 성정 때문에 윤대형을 적으로 만들어버린다. 아들인 염과 양명을 운에게 소개해주어 친구의 정을 알게 해주었다. 연우의 갑작스런 죽음 이후 마음의 병을 얻는다. 양미경 : 정경부인 신씨 역 연우와 염의 모친, 민화공주의 시어머니. ‘대제학 집의 곳간은 도성 사람 모두의 것이요, 그 집 마나님은 여자 일지매다’ 라는 소문이 무성한 따뜻한 성정의 소유자. 그러나 하나 뿐인 딸과 남편의 연이은 죽음으로 시든 꽃처럼 활기를 잃어버렸다. 그런 그녀에게 다시 웃음을 찾아준 것이 바로 민화공주다. 윤승아 : 불꽃을 품은 눈 - 설(雪) 역 (아역 서지희) 과거 허씨 가문의 노비. 본명은 이 년. 현재 이름은 설(雪). 연우를 호위하는 보이시한 느낌의 소녀 검객. 우연한 계기로 도무녀 장씨와 얽히게 되면서 연우의 죽음에 대한 비밀을 공유하게 된다. ‘설’ 이라는 예쁜 이름을 지어준 도련님 ‘허염’을 오랫동안 짝사랑하고 있다. 후에 궐내에서 마주친 운과 짝사랑의 아픔에 대한 찐한 동지애를 나눈다. 훤 일가[편집] 김영애 : 대왕대비 윤씨 역 외척세력의 대지주, 성조대왕의 어머니이자 훤의 할머니. 윤대형의 친척이자 정치적 연대관계. 3년 간 수렴청정을 하였으나, 현재는 영리한 훤에 의해 결국 철정을 선언, 뒷방으로 물러나 있다. 그러나 여전히 친정 가문의 건세를 도모하기 위한 정치를 포기하지 않는다. 세자빈 죽음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 인물. 안내상 : 성조대왕[3] 역 (특별출연) 훤, 양명, 민화의 아버지. 문무를 겸비한 왕. 과거 아끼던 이복동생 의성군이 역모에 연루돼 윤대형에게 참살된 일을 묵인한 아픈 기억이 있다. 하여 서자인 양명을 마음으로는 아끼나 겉으로는 유독 싸늘하게 대한다. 세자인 훤이 강력한 군주가 되어 바른 정치를 펼칠 수 있도록 지지한다. 김선경 : 대비 한씨 역 훤의 어머니. 온화하고 지고 지순한 조선시대 여인의 전형. 세도가 출신이 아니며 정치색이 없어 윤대형의 견제를 덜 받는다. 내심 연우를 세자빈으로 점 찍어두나 뜻을 이루지 못한다. 훗날 훤의 건강 악화가 죽은 연우의 원혼 때문이라 여겨 위령제를 제안한다. 김명수 : 의성군 역 (특별출연) 성조대왕의 이복동생. 간언한다고 하지만 그것이 모두 외척을 겨냥한다는 이유로 윤대형에 의해 살해당한다. 남보라 : 불꽃이 되지 못한 꽃 - 민화공주(旼花) 역 (아역 진지희) 훤과 양명의 동생, 염의 최강동안 어린 신부. 귀엽고 천진난만한 한마디로 타고난 공주로, 어렸을 적부터 그녀 주변의 모든 사람은 민화를 중심으로 움직였다. 그런 민화가 처음으로 욕심을 낸 사람이 바로 첫 눈에 반한 염이었다. 연우의 죽음 이후 기적처럼 염과의 혼인에 성공하나, 가끔씩 자신이 염의 날개를 꺾어버린 것만 같아 문득 죄책감이 들 때가 있다. 하지만 그녀, 결코 후회하지 않는다. 윤대형 (윤보경의 부친) 일가[편집] 김응수 : 윤대형 역 훤의 국구, 보경의 부친, 외척세력의 수장이자 노회한 정치 9단. 국모가 된 딸과 대왕대비 윤씨를 뒷배로, 마침내 영의정의 자리에까지 오르지만, 그는 아직도 목이 마르다. 권력에의 질주를 멈추지 못하는 냉정하고 탐욕적인 인물. 사위인 훤과 끊임없이 대립하며 결국 그는 마지막 카드를 꺼내 드는데…. 장희수 : 김씨부인 역 윤대형의 처, 보경의 모친 김승욱 : 윤수찬 역 호조 참판에서 추후 판서, 대비 윤씨와 일문으로 윤대형의 육촌 동생뻘, 든든한 가문 덕에 음서로 조정에 출사한 인물로, 학문의 깊이가 얇고 가방 끈이 짧다는 데에 약간의 열등감이 있다. 훗날 인사권을 장악하고 뇌물과 비리의 온상이 된다. 성수청 사람들[편집] 전미선 : 해와 달을 섬기는 무녀(巫女) - 도무녀 장씨(녹영) 역 성수청 국무(國巫), 조선팔도 최고의 신력을 가진 무당. 세자빈 시해 사건에 대한 모든 비밀의 열쇠를 쥐고 있는 인물. 으뜸 주술 실력을 가지고 있기에 알만한 사람들은 그녀와 눈을 마주치는 것조차 두려워한다. 유학자들의 끊임없는 요구로 존폐위기에 놓인 성수청을 구하고자, 대비 윤씨의 사주를 받아들이기로 결심하는데… 김익태 : 혜각도사 역 소격서의 도사. 우연한 기회에 대비 윤씨와 도무녀 장씨가 결탁하는 장면을 목격하여 본의 아니게 ‘세자빈 시해사건’ 에 연루된다. 처음에 도무녀 장씨를 오해하나 이내 그녀의 계획을 눈치 채고 목숨을 건 공범자(?)가 되어준다. 배누리 : 잔실 역 (아역 조민아) 무노비(巫奴婢), 도무녀 장씨의 신딸. 약간의 신력이 있으나 워낙 겁이 많아 오히려 자신의 신기에 휘둘리는 스타일. 평소에 어리바리 하지만 문득 그녀가 어딘가를 뚫어져라 노려보고 있으면 긴장해야 한다. 장영남 : 아리 역 (특별출연) 과거 녹영과 절친한 우정을 나눈 뛰어난 신력(神力)의 소유자이다. 윤대형이 의성군을 살해하는 현장을 보게 되면서 쫓기게 된다. 홍경연 : 국무 역 (특별출연) 궁궐 사람들[편집] 정은표 : 형선 역 대전 상선 내관. 세자 시절부터 훤을 보필해오던 인물. 영화 ‘시네마천국’ 에 알프레도와 토토처럼 그렇게 우정을 쌓아왔다. 훤의 첫사랑과 성장과정을 누구보다 가까이에서 지켜본 인물로, 연우의 죽음 이후 냉랭하게 변모한 훤의 모습에 안타까워한다. 윤희석 : 홍규태 역 의금부 도사. 행동도 말투도 외모도 하여튼 여러 면에서 튄다. 한마디로 조선시대의 이단아! 의금부 내의 비리를 발고하는 상소를 올려 왕따를 당한다. 후에 훤의 눈에 들어 특별한(?)밀지를 받는다. 변복을 하고 칡뿌리를 씹고 다니며 탐문수사를 벌이는 그의 모습은, 마치 조선의 셜록홈즈를 연상시킨다. 김예령 : 희빈 박씨 역 양명군의 어머니. 선대왕의 후궁. 대비 한씨와 마찬가지로 정치적 야심이 없는, 조용하고 온화한 성품을 지녔다. 늘 역모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양명이 안쓰럽고, 위험을 피하기 위해 실없는 사람처럼 위장하고 사는 아들의 모습이 가슴 아프다. 이승형 : 한재길 역 한성부 판윤에서 후에 병조 판서. 윤대형, 심산과는 동방으로 윤대형파 인물 중 가장 점잖은 인물. 겉으로는 유학자인척, 군자인척, 고상한 척 하지만, 결국 뼛속까지 속물에 처세술에 능한 야심가일 뿐이다. 서현철 : 심산 역 이조 참의에서 추후 도승지, 윤대형 파의 2인자이자 브레인이다. 윤대형의 오른팔로서 정치적 행보를 함께 해왔다. 윤대형과는 가장 말이 통하는 인물로 절대적 신임을 받는다. 추귀정 : 조상궁 역 보경이 세자빈으로 입궐할 때 친정에서 데리고 온 본방내인. 입이 무겁고 머리 회전이 빨라 보경의 수족이 되어 움직인다. 보경이 유일하게 자신의 속내를 말하는 인물. 김민경 : 민상궁 역 북촌 염의 사가에서 민화 공주를 모시는 상궁. 매사 철없고 고집불통인 공주 자가를 모시느라 알게 모르게 고생이 많은 인물. 밤마다 어여삐 치장하는 (떡 줄 사람은 생각도 않는데!) 민화 공주 덕에 화장술과 미용술이 일취월장한다. 이정훈 : 오혜성 역 관상감의 천문학 교수, 천문 관측이나 측후, 역서(달력) 제작을 담당하는 천문학 분야의 일인자 박길수 : 문지방 역 관상감의 지리학 교수, 풍수학을 토대로 왕궁, 왕릉 등의 명당 터를 잡는 일을 하는 지리학 분야의 일인자 김명국 : 나대길 역 관상감의 명과학 교수, 왕실의 합궁일이나 길일 택일, 길흉화복의 점복을 담당하는 명과학 분야의 일인자 시청률[편집] 최저 시청률과 최고 시청률은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2년 회차 방송일 부제 TNmS 시청률[4] AGB 시청률[5]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제1회 1월 4일 두 개의 태양과 하나의 달 15.0% 16.9% 18.0% 19.7% 제2회 1월 5일 두 개의 달과 하나의 태양 17.3% 20.8% 19.9% 22.2% 제3회 1월 11일 꽃잎처럼, 불꽃처럼 19.4% 22.3% 23.2% 26.1% 제4회 1월 12일 하나의 태양, 하나의 달 20.6% 25.1% 23.4% 26.0% 제5회 1월 18일 달이 지다 22.9% 24.9% 24.9% 28.3% 제6회 1월 19일 숨은 달 25.9% 28.6% 29.3% 32.9% 제7회 1월 25일 무녀 월(月) 25.5% 28.8% 29.7% 33.8% 제8회 1월 26일 액받이 무녀 26.2% 29.4% 31.7% 35.3% 제9회 2월 1일 태양 옆에 숨은 달 28.4% 32.3% 34.5% 38.9% 제10회 2월 2일 사자전서(死者傳書) 30.5% 35.1% 37.1% 40.5% 제11회 2월 8일 밀애(密愛) 34.3% 38.6% 37.1% 41.7% 제12회 2월 9일 눈물길 33.7% 37.8% 37.1% 40.8% 제13회 2월 15일 마녀사냥 34.6% 39.3% 38.4% 42.9% 제14회 2월 16일 나는 왜 죽었는가 37.2% 42.0% 37.6% 42.1% 제15회 2월 22일 다시 두 개의 태양, 두 개의 달 37.7% 42.6% 39.1% 43.1% 제16회 2월 23일 달의 정체 39.8% 45.5% 41.3% 46.1% 제17회 2월 29일 달을 품은 해 33.3% 36.1% 36.0% 39.7% 제18회 3월 1일 핏빛 전조(前兆) 40.7% 47.0% 41.2% 45.8% 제19회 3월 14일 반역(反逆) 38.9% 42.9% 38.7% 41.8% 제20회 3월 15일 해를 품은 달 42.3% 46.5% 42.2% 45.8% 평균 시청률 30.2% 34.1% 33.0% 36.7% 스페셜 제1회 3월 7일 명장면 릴레이 24.7% 26.0% 24.5% 26.9% 제2회 3월 8일 명장면&명대사 19.8% 21.7% 19.2% 20.9% 제3회 3월 10일 명장면&명대사 정리본~★ 5.1% 5.8% 5.4% 6.1% 제4회 명장면&명대사 정리본~★ 5.5% 5.9% 6.0% 6.8% OST[편집] 해를 품은 달 OST Part.1 해오라의 사운드트랙 음반발매일 2012년 1월 11일장르 드라마레이블 한국음원제작자협회 해를 품은 달 OST Part.2 린의 사운드트랙 음반발매일 2012년 1월 17일장르 드라마레이블 한국음원제작자협회 해를 품은 달 OST Part.3 휘성의 사운드트랙 음반발매일 2012년 1월 26일장르 드라마레이블 한국음원제작자협회 해를 품은 달 OST Part.4 먼데이 키즈의 사운드트랙 음반발매일 2012년 2월 9일장르 드라마레이블 한국음원제작자협회 해를 품은 달 OST Part.5 이기찬의 사운드트랙 음반발매일 2012년 2월 23일장르 드라마레이블 한국음원제작자협회 해를 품은 달 OST Part.6 김수현의 사운드트랙 음반발매일 2012년 3월 13일장르 드라마레이블 한국음원제작자협회 해를 품은 달 OST Various Artists의 사운드트랙 음반발매일 2012년 2월 15일장르 드라마레이블 한국음원제작자협회 Part.1[편집] # 제목작사작곡 재생 시간 1. 달빛이 지고 (해오라)반형문, 한상원반형문, 한상원 03:40 2. 달빛이 지고 (inst.) (해오라) 반형문, 한상원 03:39 Part.2[편집] # 제목작사작곡 재생 시간 1. 시간을 거슬러 (린)김박사김박사, Meng이 03:31 2. 시간을 거슬러 (inst.) (린) 김박사, Meng이 03:31 Part.3[편집] # 제목작사작곡 재생 시간 1. 눈물길 (휘성)휘성문하, 휘성 03:50 2. 눈물길 (inst.) (휘성) 문하, 휘성 03:50 Part.4[편집] # 제목작사작곡 재생 시간 1. 그림자 (먼데이 키즈)반형문, 한상원반형문, 한상원 03:56 2. 그림자 (inst.) (먼데이 키즈) 반형문, 한상원 03:56 Part.5[편집] # 제목작사작곡 재생 시간 1. 아니기를 (이기찬)민연재KingMing, The Name 03:47 Part.6[편집] # 제목작사작곡 재생 시간 1. 그대 한 사람 (김수현)김창락김창락 03:53 2. 그대 한 사람 (inst.) (김수현) 김창락 03:53 정규앨범[편집] # 제목 재생 시간 1. 시간을 거슬러 (린) 03:31 2. 달빛이 지고 (해오라) 03:39 3. 눈물길 (휘성) 03:50 4. 그림자 (먼데이 키즈) 03:56 5. 해를 품은 달   02:05 6. 숨은 달   03:01 7. 꽃잎처럼, 불꽃처럼   04:05 8. 애지애가(愛之哀歌)   02:38 9. 궐   02:28 10. 장명루   02:46 11. 저자거리   01:55 12. 위령제   03:01 13. 두개의 태양과 하나의 달   02:10 14. 은월각   02:20 15. 연우 내리다   03:24 16. 태양의 눈물   02:26 17. 궁의 아침   02:51 18. 달빛의 노래   01:43 19. 흑주술   01:45 20. 나비의 춤   02:14 수상[편집] 2012년 제25회 한국촬영감독협회 그리메상 드라마 부문 최우수작품상 2012년 MBC 연기대상 남자 최우수상, 남자 인기상 - 김수현 2012년 MBC 연기대상 여자 최우수상 - 한가인 2012년 MBC 연기대상 여자 아역상 - 김유정 2012년 MBC 연기대상 남자 아역상 - 여진구 2012년 MBC 연기대상 여자 아역상 - 김소현 2012년 MBC 연기대상 여자 황금연기상 - 양미경 2012년 MBC 연기대상 올해의 작가상 - 진수완 2012년 MBC 연기대상 올해의 드라마상 2012년 제48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김수현 2012년 제48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작품상 일화[편집] 주원 양명군 역에 캐스팅 되었으나, 드라마 《오작교 형제들》의 연장방송으로 하차. 주원 대신 정일우 교체.[6] 한가인이 12월 21일 소속사를 통해 갑작스럽게 불거진 하차설과 관련해 입장을 밝힘, 이날 한가인 측에선 하차설에 대해 하차할 의사가 절대 없다는 식의 글을 게재하며 하차설을 일축했다.[7] 기자회의 취재, 제작거부로 MBC 뉴스 프로그램 제작에 차질이 빚어진 가운데 1월 25일에는 9시 50분 방송, 80분으로 확대 편성되었다.[8] MBC가 1월 25일 방송분을 80분으로 확대편성 한다고 밝혔으나 실제 런닝타임은 63분[9], 전 보다 더 짧은 분량으로 논란이 되었다.[10] KBS 드라마《동안미녀》에서 김민서와 친분을 쌓았던 가수 겸 배우 장나라가 《해를 품은달》제작진에게 150인분의 삼계탕을 보냈다.[11] 수도권 시청률 40% 돌파 기념으로 한가인은 해를 품은 달 제작진에게 갈비 150인분을 대접했다.[12] 2월 2일 김수현은 제작진에게 피자 150인분을 대접했다.[13] 2월 20일 ‘킹투허츠’ 공홈 D-23 예고 ‘해품달’ 연장 없다.[14] 3월 6일]《해를 품은 달》 스페셜 방송으로 대체.[15] 3월 7일 김도훈 PD 《해를 품은 달》현장 다시 복귀.[16] 동시간대 드라마[편집] 부탁해요 캡틴 (SBS) 난폭한 로맨스 (KBS 2TV) 각주[편집] ↑ MBC 라이프는 MBC 퀸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1] 해를 품은 달 상(정은궐 장편소설)]. ↑ 이민지 기자 (2012년 1월 5일). “‘해를품은달’ 성조대왕 누구? 역사왜곡 논란 사전차단 노림수”. newsen.  ↑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 ↑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 ↑ 김진아 기자 (2011년 12월 6일). “정일우, 주원 하차로 '해를 품은 달' 양명군으로 캐스팅”. 한강타임즈.  ↑ 전선하 기자 (2011년 12월 21일). “한가인 ‘해품달’ 하차설에 화들짝 “전혀 사실무근””. tvreport.  ↑ 강민정 기자 (2012년 1월 25일). “MBC 기자회 제작거부로 뉴스 차질… '해를 품은 달' 확대 편성”. 스포츠한국.  ↑ 이민지 기자 (2012년 1월 26일). “‘해품달’ 80분 확대편성 맞아? ‘런닝타임 오히려 줄었다’”. newsen.  ↑ 안현희 기자 (2012년 1월 26일). “‘해품달’ 확대편성 논란 “이게 80분 방송? 시청자 우롱””. 파이낸셜뉴스 스타엔.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최재윤 기자 (2012년 2월 2일). “장나라, 김민서 위해 ‘해품달’ 150인분 삼계탕 선물! '의리녀' 등극”. tvdaily.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강민정 기자 (2012년 2월 6일). “한가인 '시청률 40% 회식' 지켰다”. 스포츠 한국. 2012년 2월 9일에 확인함.  ↑ 이지영 기자 (2012년 2월 7일). “'해품달' 김수현, 촬영장에 피자 150인분 선사 '왕다운 배포'”. OSEN. 2012년 2월 9일에 확인함.  ↑ 이민지 기자 (2012년 2월 20일). “‘킹투허츠’ 공홈 D-23 예고 ‘해품달’ 연장 없다”. 뉴스N. 2012년 2월 20일에 확인함.  ↑ 한여울 기자 (2012년 3월 6일). “<해를 품은 달>, 이번 주 스페셜 방송으로 대체”. 10 아시아. 2012년 3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3월 6일에 확인함.  ↑ 유지윤 기자 (2012년 3월 7일). “김도훈 PD ‘해를 품은 달’ 현장 다시 복귀”. 헤럴드 경제. 2012년 3월 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MBC 해를 품은 달 홈페이지 MBC 해를 품은 달 공식 트위터 MBC 해를 품은 달 네이버 공식 블로그 문화방송 수목 미니시리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나도, 꽃! (2011년 11월 9일 ~ 2011년 12월 28일) 해를 품은 달 (2012년 1월 4일 ~ 2012년 3월 15일) 더킹 투하츠 (2012년 3월 21일 ~ 2012년 5월 24일)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작품상 (드라마)》 2011년 2012년해를 품은 달 2013년 시크릿 가든 추적자 THE CHASER vdeh백상예술대상 TV부문 작품상1970년대드라마 수상작 없음 (1974) 수사반장 (1975) 집념 (1976) KBS 무대 - 한국 단편 문학 순례 시리즈 (1977) 부부 (1978) 6.25 (1979) 1980년대드라마 한국인 (1980) TV문학관 - 을화 (1981) TV문학관 - 등신불 (1982) 풍운 (1983) 베스트셀러극장, 불타는 바다 (1984) 전원일기 (1985) 억새풀 (1986) 생인손 (1987) 사랑과 야망 (1988) 사로잡힌 영혼 (1989) 교양 수상작 없음(1980 ~ 1984) 한국의 나비 (1985) 사람과 사람 (1986) 장애인 도심 정복 훈련 - 이제는 파란불이다 (1987) 천적의 세계 (1988) 한국의 자생 약초 (1989) 1990년대드라마 사랑이 꽃피는 나무 (1990) 제2공화국 (1991) 여명의 눈동자 (1992) 억새 바람 (1993) 엄마의 바다 (1994) 모래시계 (1995) 연애의 기초 (1996)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 (1997) 달팽이 (1998) 흐르는 것이 세월뿐이랴 (1999) 교양† 평화, 멀지만 가야할 길 (1990) 러시아 동구의 문학과 예술 (1991) 백로와 소년 (1992) 잊혀진 전쟁,종군위안부, 베트남전쟁 그후 17년, 그것이 알고 싶다 (1993) PD수첩, 독도 365일 (1994) 신인간시대 (1995) 한국의 파충류 (1996) 자연다큐멘터리 게 (1997) 일요스페셜 (1998) 21세기 위원회 (1999) 예능† 가요무대 (1990) 일요일 일요일 밤에 (1991) 토요대행진,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 (1992) 노영심의 작은 음악회 (1993) 열린음악회 (1994) 일요일 일요일 밤에 (1995) 샘이 깊은 물 (1996) 테마게임 (1997) 이홍렬쇼 (1998) 21세기 위원회 (1999) 2000년대드라마 국희 (2000) 아줌마 (2001) 피아노 (2002) 네 멋대로 해라 (2003) 꽃보다 아름다워 (2004) 미안하다, 사랑한다 (2005) 토지 (2006) 서울 1945 (2007) 쩐의 전쟁 (2008) 엄마가 뿔났다 (2009) 교양 역사스페셜 (2000) 영상기록 병원 24시 (2001) MBC 스페셜 - 이슬람 (2002) 야생의 초원, 세렝게티 (2003) 환경의 역습 (2004) 지금도 마로니에는 (2005) 나는 가요, 도쿄 제2의 여름학교 (2006) 긴급출동 SOS 24 (2007) 차마고도 (2008) 그것이 알고 싶다 (2009) 예능 개그콘서트 (2000) 진실게임, 코미디 하우스 (2001) 일요일 일요일 밤에 (2002) 느낌표 (2003) 코미디하우스 (2004) 안녕, 프란체스카 (2005) 상상플러스 (2006) 미녀들의 수다 (2007) 무한도전 (2008) 개그콘서트 (2009) 2010년대드라마 아이리스 (2010) 시크릿 가든 (2011) 해를 품은 달 (2012) 추적자 THE CHASER (2013) 굿 닥터 (2014) 풍문으로 들었소 (2015) 시그널 (2016) 디어 마이 프렌즈 (2017) 마더 (2018) 나의 아저씨 (2019) 교양 아마존의 눈물 (2010) 학교란 무엇인가 (2011) 다큐프라임 - 문명과 수학 (2012) 한국인의 밥상 (2013) 그것이 알고싶다 (2014) 요리인류키친 (2015) 다큐프라임 - 시험 (2016) 썰전 (2017) 땐뽀걸즈 (2018) 저널리즘 토크쇼 J (2019) 예능 지붕뚫고 하이킥! (2010) 놀러와 - 쎄시봉 콘서트 (2011) 개그콘서트 (2012) 런닝맨, 정글의 법칙, 일밤 - 아빠! 어디가?(2013) 꽃보다 할배 (2014) 비정상회담 (2015)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2016) 미운 우리 새끼 (2017) 효리네 민박 (2018) 전지적 참견 시점 (2019) †교양과 예능 부문의 작품상은 1999년부터 정식으로 시상함. 대상 | 작품상 | 남자최우수연기 | 여자최우수연기 | 남자조연 | 여자조연 | 남자예능 | 여자예능 | 남자신인연기 | 여자신인연기 vdeh 수목 미니시리즈1980년대 전반 《겨울 해바라기》 《물보라》 1980년대 후반 《엄마의 방》 《억새풀》 《첫사랑》 《겨울꽃》 《도시의 얼굴》 《인현왕후》 《한중록》 《파문》 《당신의 축배》 1990년대 전반 《사랑의 종말》 《그 여자》 《까치 며느리》 《여명의 눈동자》 《일출봉》 《여자의 방》 《폭풍의 계절》 《야망》 《아들의 여자》 1990년대 후반1995년 《숙희》 《제4공화국》 1996년 《이혼하지 않는 이유》 《사과꽃 향기》 《강가에 앉아서 울다》 《미망》 1997년 《내가 사는 이유》 《영웅신화》 1998년 《육남매》 《대왕의 길》 《적과의 동거》 《수줍은 연인》 《해바라기》 1999년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눈물이 보일까봐》 《안녕 내 사랑》 《햇빛속으로》 2000년대 전반2000년 《진실》 《나쁜 친구들》 《이브의 모든 것》 《신 귀공자》 《비밀》 《에어포스》(단막) 《황금시대》 2001년 《맛있는 청혼》 《호텔리어》 《네 자매 이야기》 《반달곰 내 사랑》 《가을에 만난 남자》 《소풍》(단막) 2002년 《그 햇살이 나에게》 《선물》 《난 왜 아빠랑 성이 달라?》(단막) 《로망스》 《네 멋대로 해라》 《링링》(단막) 《리멤버》 《삼총사》 2003년 《눈사람》 《위풍당당 그녀》 《남자의 향기》 《앞집 여자》 《좋은사람》 《나는 달린다》 《사막의 샘》(단막) 《아르곤》(단막) 2004년 《천생연분》 《사랑한다 말해줘》 《결혼하고 싶은 여자》 《황태자의 첫사랑》 《아일랜드》 《12월의 열대야》 2000년대 후반2005년 《슬픈 연가》 《신입사원》 《내 이름은 김삼순》 《이별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가을 소나기》 《영재의 전성시대》 2006년 《궁》 《닥터 깽》 《어느 멋진 날》 《오버 더 레인보우》 《여우야 뭐하니》 《90일, 사랑할 시간》 2007년 《궁S》 《고맙습니다》 《메리대구 공방전》 《그라운드 제로》(단막) 《개와 늑대의 시간》 《태왕사신기》 《뉴하트》 2008년 《누구세요?》 《우리들의 해피엔딩》(단막) 《스포트라이트》 《대한민국 변호사》 《베토벤 바이러스》 《종합병원 2》 2009년 《돌아온 일지매》 《신데렐라 맨》 《트리플》 《혼》 《맨땅에 헤딩》 《히어로》 2010년대 전반2010년 《아직도 결혼하고 싶은 여자》 《개인의 취향》 《나는 별 일 없이 산다》(단막) 《런닝, 구》(단막) 《로드 넘버원》 《장난스런 키스》 《즐거운 나의 집》 2011년 《마이 프린세스》 《로열 패밀리》 《최고의 사랑》 《넌 내게 반했어》 《지고는 못살아》 《나도, 꽃!》 2012년 《해를 품은 달》 《더킹 투하츠》 《아이두 아이두》 《아랑사또전》 《못난이 송편》(단막) 《보고싶다》 2013년 《7급 공무원》 《남자가 사랑할 때》 《여왕의 교실》 《투윅스》 《메디컬 탑팀》 《미스코리아》 2014년 《앙큼한 돌싱녀》 《개과천선》 《운명처럼 널 사랑해》 《내 생애 봄날》 《미스터 백》 2010년대 후반2015년 《킬미힐미》 《앵그리맘》 《맨도롱 또똣》 《밤을 걷는 선비》 《그녀는 예뻤다》 《달콤살벌 패밀리》 2016년 《한 번 더 해피엔딩》 《굿바이 미스터 블랙》 《운빨로맨스》 《W》 《쇼핑왕 루이》 《역도요정 김복주》 2017년 《미씽9》 《자체발광 오피스》 《군주 - 가면의 주인》 《죽어야 사는 남자》 《병원선》 《로봇이 아니야》 2018년 《손 꼭 잡고, 지는 석양을 바라보자》 《이리와 안아줘》 《시간》 《내 뒤에 테리우스》 《붉은 달 푸른 해》 2019년 《봄이 오나 봄》 《더 뱅커》 《봄밤》 《신입사관 구해령》 《어쩌다 발견한 하루》 아침 | 일일 (일일  · 특별기획) | 월화 | 수목 | 금 | 예능 | 주말 (특별기획  · 연속극) | 시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해를_품은_달_(드라마)&oldid=24485735" 분류: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작품상문화방송 수목 미니시리즈2012년 드라마201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대한민국의 로맨틱 판타지 드라마조선을 배경으로 한 작품대한민국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왕자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팬 엔터테인먼트 텔레비전 프로그램진수완 시나리오 작품정은궐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МонголBahasa MelayuPortuguêsසිංහලதமிழ்ไทยTagalogTiếng Việt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6일 (수) 12: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해를 품은 달》은 소설가 정은궐이 집필한 동명의 장편 소설을 원작으로 극화한 MBC의 수목 미니시리즈이다. 본 작품을 마지막으로 주중 드라마에서 40%의 압도적인 시청률을 기록한 작품은 하나도 없을 정도로 MBC의 역대 수목드라마 중 독보적인 작품으로 꼽힌다. 2012년 1월 4일부터 2012년 3월 15일까지 방영된 드라마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드라마 해를 품은 달에서 혜각도사 역을 맡은 배우는 누구인가? Assistant: 김익태 Human: 아래 스픽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스픽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픽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스픽스 확장자 .spx 개발 Xiph.Org 재단, Jean-Marc Valin 파일 포맷 종류 오디오 포맷 표준 RFC 5574 웹사이트 www.speex.org libspeex 개발자 Xiph.Org 재단, Jean-Marc Valin[1] 발표일 1.0 / 2003년 3월 최근 버전 1.1.12[2] / 2006년 2월 19일 (13년 전)(2006-02-19) 미리보기 버전 1.2rc1 / 2008년 7월 23일 (10년 전)(2008-07-23) 운영 체제 크로스 플랫폼 종류 오디오 코덱, 참조 구현 라이선스 BSD 스타일 라이선스[3][4] 웹사이트 Xiph.org 다운로드 스픽스(Speex)는 음성을 위해 개발된 무특허 오디오 압축 포맷이며 VoIP 소프트웨어 및 팟캐스트에 사용되는 프리웨어 음성 코덱이다.[5]CELP 음성 코딩 알고리즘에 기초하고 있다.[6] 스픽스는 모든 특허 제한으로 부터 자유로움을 추구하며, 개정된 (3절) BSD 라이선스 하에 허가를 받았다. Ogg 컨테이너 포맷과 함께 사용되거나 UDP/RTP를 통해 전송되기도 한다. 스픽스 개발자들은 이 프로젝트를 Vorbis 범용 오디오 압축 프로젝트와 상호 보완적인 것으로 본다. 스픽스는 파일 크기를 줄이기위해 영구적으로 품질을 떨어뜨리는 손실 압축 포맷이다. 스픽스 프로젝트는 2002년 2월 13일에 시작되었다.[7] 스픽스의 첫 개발 버전은 LGPL 라이선스 하에 공개되었으나, 1.0 베타 버전과 마찬가지로 스픽스는 Xiph 재단의 개정 BSD 라이선스 하에 공개되었다.[8] 스픽스 1.0은 2003년 3월 24일에 공지되었다. 스픽스의 최종 버전 인코더와 디코더는 1.1.12이다.[2] Xiph.Org 재단은 스픽스를 이전 버전으로 보고 있으며, 오푸스가 그것을 계승하고 있다고 본다. 목차 1 설명 1.1 기능 2 같이 보기 3 참조 4 외부 링크 설명[편집] 스픽스는 VoIP와 파일 기반 압축에 사용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개발 목표는 높은 품질의 음성과 낮은 비트레이트에 최적화된 코덱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스픽스는 다중 비트레이트를 사용하며, 초광대역(32 kHz 샘플링 레이트), 광대역(16 kHz 샘플링 레이트), 협대역(전화 품질, 8 kHz 샘플링 레이트)을 지원한다. 스픽스는 휴대폰용이 아닌 VoIP용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스픽스는 손실된 패킷에 강해야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CELP가 스픽스를 위해 사용할 인코딩 기술로 채택되었다.[6]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CELP가 낮은 비트레이트와 높은 비트레이트에서 작업을 잘 수행하고 크기를 잘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이 오랫동안 증명됐다는 것이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프리웨어/오픈 소스, 무특허, 무로열티 동일한 비트스트림에서 협대역과 광대역의 통합 광범위한 사용가능 비트레이트(2 kbit/s에서 44kbit/s) 동적 비트레이트 전환과 가변 비트레이트(VBR) 음성 활동 감지(Voice Activity Detection, VBR과 통합)(1.2 버전에서는 지원하지 않음) 가변 복잡성 32 kHz에서 초광대역 모드(48 kHz까지) 인텐시티 스테레오 인코딩 옵션 기능[편집] 샘플링 레이트  스픽스는 주로 3 가지 샘플링 레이트로 개발되었다. 8 kHz(전화용 샘플링 레이트와 같다), 16 kHz, 32 kHz. 이것들은 각각 협대역, 광대역, 초광대역을 가리킨다. 품질  스픽스 인코딩은 0부터 10까지 범위의 품질 매개변수에 대부분의 시간을 통제받는다. 고정 비트레이트(CBR) 작동에서는 품질 매개변수가 정수이며, 가변 비트레이트(VBR) 작동에서는 품질 매개변수가 실수(부동 소수점)이다. 복잡도(가변)  스픽스로, 인코더에 허용된 복잡도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gzip 압축의 -1에서 -9까지의 옵션과 비슷하게 1에서 10까지의 범위의 정수로 수행되는 검색 방식으로 조작된다. 일반적인 용도에서는 복잡도 1의 노이즈 레벨이 복잡도 10보다 1에서 2 dB 정도 높지만 복잡도 10의 CPU 요구조건은 복잡도 1보다 5배 높다. 실제적으로 최적의 균형은 2와 4 사이이다.[9] 가변 비트레이트(VBR) 가변 비트레이트(VBR)는 오디오를 인코딩하는 데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조절하기 위해 비트레이트를 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스픽스의 예를 살펴보면 모음 혹은 '높은 진폭과 짧은 지속시간을 갖는 음(high-energy transient)'은 좋은 품질을 가지기 위해 높은 비트레이트가 필요하지만, 마찰음은 더 낮은 비트레이트로도 충분하다. 이 때문에 VBR은 동일한 품질을 더 낮은 비트레이트에서 얻거나 어떤 비트레이트에서는 더 좋은 품질을 얻을 수도 있다. 이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VBR은 세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로 품질을 정해놓기 때문에 최종 평균 비트레이트에 대한 보장이 없다. 둘째로 음성 인터넷 프로토콜(VoIP) 같은 몇몇 실시간 소프트웨어에서는 통신 채널의 특성상 최대 비트레이트가 낮아야 하지만 그렇지 못하다. 셋째로 VBR로 인코딩한 음성을 암호화하는 것은 완전한 보안성을 유지하지 못한다. 평균 비트레이트(ABR) 평균 비트레이트는 특정 목표 비트레이트에 맞추기 위해 품질을 동적으로 조절하는 VBR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품질과 비트레이트의 비율이 실시간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전체 품질이, 정확한 품질 설정을 한 VBR로 인코딩한 것보다 약간 낮다. 음성 활동 감지(VAD) 음성 활동 감지가 동작하면 오디오가 음성을 인코딩하고 있는지 혹은 무음이나 배경음을 인코딩하고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VAD는 VBR로 인코딩할 경우에 무조건적으로 활성화되므로 비VBR 작업에서만 작동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기능이 활성화 됐을 경우 스픽스는 비음성 부분을 감지하고 배경음을 재구성하기 위해 충분한 비트로 그것들을 인코딩한다. 이것을 '안정 소음 발생'(CNG)라고 한다. VAD를 지원했던 마지막 버전은 1.1.12이며, v 1.2부터 Any Activity Detection으로 대체되었다. 불연속 전송(DTX) 불연속 전송은 VAD 및 VBR에 추가된 기능이다. 배경음이 정지 상태일 때 전송을 완전히 멈출 수 있게 한다. 한 파일에서 5비트는 사라진 각 프레임에 이용된다.(250 bit/s와 일치) 인식 강화(Perceptual enhancement) 인식 강화는 코딩/디코딩 과정에서 발생한 소음을 감소시키는 디코더의 한 부분이다. 많은 경우에 인식강화는 객관적으로 원음과의 차이를 발생시키지만 최종적으로는 여전히 괜찮은 소리이다. 알고리즘적 지연 모든 코덱은 전송할 때 지연이 발생한다. 스픽스는 이러한 지연이 프레임 크기와 같다. 협대역(8kHz)에서 지연 시간은 30ms, 광대역(16kHz)에서는 34ms이다. 이 값들은 프레임들을 인코딩하거나 디코딩하는데 걸리는 CPU시간을 차지하지 않는다. 같이 보기[편집] CELT 오푸스 참조[편집] ↑ Jean-Marc Valin (2009). “people.xiph.org - personal webspace of the xiphs - Jean-Marc Valin”. Xiph.Org. 2009년 9월 11일에 확인함.  ↑ 가 나 “Speex News”. Xiph.Org Foundation. 2009년 9월 1일에 확인함.  ↑ “The Speex Codec Manual - Speex License”. Xiph.Org Foundation. 2009년 9월 1일에 확인함.  ↑ “Sample Xiph.Org Variant of the BSD License”. Xiph.Org Foundation. 2009년 8월 29일에 확인함.  ↑ Xiph.Org Speex: A Free Codec For Free Speech, 2009-09-01에 확인 ↑ 가 나 Xiph.Org Introduction to CELP Coding, 2009년 09월 01일에 확인 ↑ Xiph.org Speex releases - pre-1.0 - NEWS and ChangeLog in speex-0.0.1.tar.gz, 2009년 09월 1일에 확인 ↑ Xiph.Org (2003-03-24) Speex reaches 1.0; Xiph.Org now a 501(c)(3) Non-Profit Organization, 2009년 09월 1일에 확인 ↑ Codec Description 외부 링크[편집] 공식 홈페이지 vdehXiph.Org 재단Ogg 프로젝트 Vorbis Theora FLAC Opus CELT Speex Tremor OggUVS OggPCM Ogg Writ 기타 프로젝트 XSPF Annodex Xiph 퀵타임 컴포넌츠 cdparanoia Icecast 기타 주제 크리스 몽고메리 CMML Ogg 페이지 Ogg 스퀴시 HTML5에서의 Ogg 포맷 사용 Vorbis 코멘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스픽스&oldid=24182974" 분류: Xiph.Org 프로젝트오디오 코덱오픈 포맷숨은 분류: RFC 매직 링크를 사용하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RomânăРусскийSvenskaYorùbá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22:3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스픽스(영어: Speex)는 Xiph에서 개발된 무특허 오디오 압축 포맷이며 VoIP 소프트웨어 및 팟캐스트에 사용되는 프리웨어 음성 코덱이다.CELP 음성 코딩 알고리즘에 기초하고 있다. 스픽스는 모든 특허 제한으로부터 자유로움을 추구하며, 개정된 (3절) BSD 라이선스 하에 허가를 받았다. Ogg 컨테이너 포맷과 함께 사용되거나 UDP/RTP를 통해 전송되기도 한다. 스픽스 개발자들은 이 프로젝트를 Vorbis 범용 오디오 압축 프로젝트와 상호 보완적인 것으로 본다. 스픽스는 파일 크기를 줄이기 위해 영구적으로 품질을 떨어뜨리는 손실 압축 포맷이다. 스픽스 프로젝트는 2002년 2월 13일에 시작되었다. 스픽스의 첫 개발 버전은 LGPL 라이선스 하에 공개되었으나, 1.0 베타 버전과 마찬가지로 스픽스는 Xiph 재단의 개정 BSD 라이선스 하에 공개되었다. 스픽스 1.0은 2003년 3월 24일에 공지되었다. 스픽스의 최종 버전 인코더와 디코더는 1.1.12이다. Xiph.Org 재단은 스픽스를 이전 버전으로 보고 있으며, 오푸스가 그것을 계승하고 있다고 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스픽스의 특징은 무엇일까? Assistant: 프리웨어/오픈 소스, 무특허, 무로열티 동일한 비트스트림에서 협대역과 광대역의 통합 광범위한 사용가능 비트레이트(2 kbit/s에서 44kbit/s) 동적 비트레이트 전환과 가변 비트레이트(VBR) 음성 활동 감지(Voice Activity Detection, VBR과 통합)(1.2 버전에서는 지원하지 않음) 가변 복잡성 32 kHz에서 초광대역 모드(48 kHz까지) 인텐시티 스테레오 인코딩 옵션
Human: 아래 카플란_인터내셔널_컬리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카플란 인터내셔널 컬리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플란 인터내셔널 컬리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카플란 인터내셔널 잉글리쉬(Kaplan International English, KIE)는 1967년 설립되어 런던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교육기관인 카플란 주식회사의 부서이다. KIE는 전 세계 42곳에서 영어강좌, 대학교 및 시험 준비과정과 대학예비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강좌는 도시 중심가에 위치한 영어 학교와 대학캠퍼스 그리고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진다. KIE는 the Washington Post Company의 전액 출자 자회사이다. 카플란 인터내셔널 잉글리쉬(Kaplan International English) 산업 분야 교육, 유학 창립 1967년 국가 런던 웹사이트 http://www.kaplaninternational.com/kor 목차 1 역사 2 어학원 3 영어과정 3.1 어학연수 3.2 장기어학연수과정 3.3 해외자격증과정 3.4 시험준비과정 3.5 대학 진로 프로그램 3.6 인턴쉽 3.7 주니어과정 4 그 외 언어 5 숙소 6 승인서 7 각주 8 외부 링크 역사[편집] 2007년 카플란 주식회사는 1967년 설립된 영국 회사인 어스팩 교육을 인수했다.어스팩은 영어시험준비와 대학예비과정을 제공하였다. 어스팩은 카플란의 기존 영어교육 부서와 결합하여 2007년 9월 카플란 어스팩이 출범하였다. 2010년, 카플란 어스팩과 영국대학 진학을 위해 국제학생들을 준비시키는 것을 전문으로 하던 카플란의 부서인 카플란 인터내셔널 잉글리쉬는 카플란 인터내셔널 잉글리쉬라는 이름으로 결합되었다. 어학원[편집] 카플란 인터내셔널 잉글리쉬는 8개국에서 42개의 EFL(외국어로서의 영어)와 EAP(학문을 위한 영어교수법) 영어 학교를 소유하고 운영하고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지역에 위치해있다. 호주: 브리즈번, 케언즈, 맨리, 퍼스, 시드니 캐나다: 토론토, 벤쿠버 영국: 바스 본머스, 캠브리지, 런던 코벤트 가든 과 레스터 스퀘어, 맨체스터, 옥스퍼드, 솔즈버리, 토키 뉴질랜드: 오클랜드, 크라이스트처치 아일랜드: 더블린 스코틀랜드: 에딘버러 미국: 버클리, 보스톤, 보스톤 하버드 스퀘어 과 노스이스턴 대학, 시카고 와 시카고 일리노이 공대 캠퍼스, 로스앤젤레스 웨스트우드, 위티어 잉글리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마이애미, 맨하튼 미드타운, 맨하튼 이스트 빌리지, 뉴욕엠파이어 스테이트, 필라델피아, 오리건, 포틀랜드, 샌디에고, 샌프란시스코, 샌타바버라, 시애틀, 시애틀 하이라인 컬리지 와 워싱턴 DC 영어과정[편집] 카플란 인터내셔널 잉글리쉬는 다양한 기간과 강도의 광범위한 영어과정을 제공한다. KIC는TOEFL, IELTS, FCE, CPE, CAE, GMAT, GRE와 같은 영어시험준비과정 또한 제공한다. 학생들은 해외(유급)인턴쉽과 영어과정을 병합하여 진행할 수도 있다. 어학연수[편집] 어학연수과정은 2주부터 자유로운 기간을 선택할 수 있으며 , 영어레슨 외 보충수업과 다양한 Activity등이 포함되어 있다. 단기 어학연수 과정, 집중 영어 과정, 비즈니스 영어 과정, 방학영어 과정, 혼합영어 과정, 온라인 영어 과정 을 제공한다. 장기어학연수과정[편집] 장기어학연수 프로그램은 20주에서 32주까지 기간에 따라 Academic Year 와 Academic Semester 과정으로, 또한 일반과정과 집중과정으로 나뉘는데, 일반과정은 장기 어학연수에 초첨이 맞추어져 있으며, 집중과정은 영어연수와 더불어 비지니스, 토플 혹은 아이엘츠와 같은 프로그램 등을 추가로 선택하실 수 있다. 장기 어학연수 일반 Academic Semester 과정, 장기 어학연수 집중 Academic Semester 과정, 장기 어학연수 일반 Academic Year과정, 장기 어학연수 집중 Academic Year과정 을 제공한다. 해외자격증과정[편집] 비즈니스 과정은 마케팅, 광고, 인적자원, 경영학, 금융,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등의 핵심 분야에 대한 교육과정이다. Association of Chartered Certified Accountants (ACCA)가 인증하는회계, 금융, 매니지먼트 등의 분야의 전문 자격증과정과 ACCA 코스를 준비하는 국제 학생을 위한 프리세션(Pre-session) 과정을 제공한다. 비즈니스 자격증 과정으로는 비즈니스 4급 자격증 과정, 비즈니스 디플로마 과정, 고급 비즈니스 디플로마 과정, 패키지 과정 1: 비즈니스 4급 자격증, 비즈니스 디플로마, 패키지 과정 2: 비즈니스 4급 자격증, 비즈니스 디플로마, 고급 비즈니스 디플로마를, 영어교사 자격증 과정으로는 CELTA 와 캠브리지 TKT 과정을 제공한다. 시험준비과정[편집] 독자적으로 개발한 교과서와 모의시험과 함께 다양한 영어시험에 대비시키는 과정이다. TOEFL 및 대학 진학 영어 과정, IELTS 집중 과정, IELTS 보충과정, 캠브리지 집중 12주 과정(FCE, CAE, CPE), 국제 학생을 위한 GMAT과정, 국제 학생을 위한 GRE 과정 을 제공한다. 대학 진로 프로그램[편집] 카플란 인터내셔널 잉글리쉬는 학생들이 영국 대학과정에 진학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한 제공하고 있다. 필수 수준에 도달하기만 한다면 다음과 같은 제휴 대학교에서 1000개 가 넘는 학위 과정에 진학하는 것을 보장한다. 본머스 대학 런던시티대학 크랜필드 대학 노팅엄 트렌트 대학 브라이튼 대학 글래스고 대학 리버풀 대학 셰필드 대학 웨스트민스터 대학 인턴쉽[편집] 4주간의 영어 어학연수 과정과 함께 다양한 분야에서의 전문 해외 인턴쉽 과정을 제공한다. 이력서와 인터뷰 준비 및 비지니스 영어 프로그램 또한 제공한다. 풀타임 인턴쉽 프로그램은 호주, 뉴질랜드, 영국, 스코틀랜드 및 아일랜드에서 가능하며, 파트타임 인턴쉽 프로그램은 미국에서 할 수 있다. 주니어과정[편집] 이 영어 과정은 6세에서 18세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숙소와 식사 및 여가활동 프로그램도 이루어진다. 유학중인 자녀와 함께 지내는 학부모를 위해 Kaplan 영어학교 근처의 시설에 성인 영어 학습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숙소 또한 제공하고 있다. 일반 및 집중 주니어 영어과정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지역에서 현재 주니어 영어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영국 주니어 영어학교 아딩리 칼리지(10-14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본머스(14-17세) 바스(12-17세) 런던 부쉬(14-17세) 런던 킹스턴(14-17세) 솔즈베리(6-17세) 토키(14-17세) 미국 주니어 영어학교 하이라인 커뮤니티 칼리지(12-18세) 로스앤젤레스-위티어 칼리지(12-18세) 노스이스턴 대학교(14-18세) 새크라멘토(14-18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샌디에고(14-18세) 호주 및 뉴질랜드 주니어 영어학교 케언즈(8-15세) 호주 및 뉴질랜드 스터디 투어(10-18세) 그 외 언어[편집] KIC는 중국, 도미니카 공화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몰타, 멕시코, 러시아, 스페인에서 제휴 학교를 통해 단기,중기, 단기의 해외거주 언어과정을 제공한다. 숙소[편집] 카플란 인터내셔널 잉글리쉬는 학생들에게 홈스테이, 아파트, 그리고 기숙사를 제공한다. 승인서[편집] 카플란 인터내셔널 잉글리쉬는 전 세계에서 영어교육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 호주: NEAS[1] 캐나다: CAPLS[2] 아일랜드: ACELS[3] 뉴질랜드: NZQA[4] 영국: British Council[5] BAC accreditation for foundation, pre-masters and diploma programs 미국: ACCET[6] 각주[편집] ↑ “NEAS”. 2011년 6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5월 23일에 확인함.  ↑ “CAPLS”. 2011년 5월 23일에 확인함.  ↑ “ACELS”. 2011년 5월 23일에 확인함.  ↑ “NZQA”. 2011년 5월 23일에 확인함.  ↑ “British Council”. 2011년 5월 23일에 확인함.  ↑ “ACCET”. 2011년 5월 2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카플란 인터내셔널 잉글리쉬(한국) 웹사이트 카플란 인터내셔널 잉글리쉬 웹사이트 카플란 네이버 블로그 카플란한국공식트위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카플란_인터내셔널_컬리지&oldid=22911891" 분류: 교육 기업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ČeštinaEnglishFrançais日本語PolskiTürkçe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2일 (금) 16: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카플란 인터내셔널 잉글리쉬(Kaplan International English, KIE)는 1967년 설립되어 런던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교육기관인 카플란 주식회사의 부서이다. KIE는 전 세계 42곳에서 영어강좌, 대학교 및 시험 준비과정과 대학예비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강좌는 도시 중심가에 위치한 영어 학교와 대학캠퍼스 그리고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진다. KIE는 the Washington Post Company의 전액 출자 자회사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카플란 인터내셔널 컬리지의 제휴 대학교는 어떤 곳이 있나요? Assistant: 본머스 대학 런던시티대학 크랜필드 대학 노팅엄 트렌트 대학 브라이튼 대학 글래스고 대학 리버풀 대학 셰필드 대학 웨스트민스터 대학 Human: 아래 대한민국_헌법위원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한민국 헌법위원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헌법위원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헌법위원회憲法委員會 설립일 1972년 12월 27일 전신 탄핵심판위원회 대법원 해산일 1988년 8월 후신 헌법재판소 ' 설립일 1945년 6월 5일[1] 전신 제헌 헌법 제정 전 국회에 의해 수립 해산일 1961년 5월 2일 후신 헌법재판소 헌법위원회(憲法委員會, Constitutional Council of Korea)는 대한민국의 위헌법률심사, 위헌정당해산심판, 탄핵심판 등 헌법에 관한 분쟁을 담당하는 헌법기관이었다. 역사상 1945년 7월 17일에서 1961년 4월, 그리고, 1972년 12월 27일부터 1988년 8월까지 두번 설치되었다가 폐지되었다. 첫 번째 설치 시에는 탄핵심판 권한이 없었고, 탄핵재판소가 그 업무를 담당하였다. 목차 1 제헌헌법상 헌법위원회 2 3차 개헌과 헌법재판소 3 대법원과 탄핵심판위원회의 위헌, 탄핵 심사 3.1 법원조직법, 국가배상법 판결 논란 4 유신헌법 이후의 헌법위원회 5 제9차 개정헌법으로 헌법재판소 설치 및 헌법위원회 폐지 6 역대 헌법위원회 위원장 7 결정 8 같이 읽기 9 각주 제헌헌법상 헌법위원회[편집] 대한민국의 제헌국회(制憲國會)의 헌법기초위원회에서는 법률의 위헌 여부의 심사제도에서 미국식을 따르느냐, 또는 유럽식을 따르느냐로 크게 문제가 되었다. 헌법기초위원회에서 심의의 모안(母案)으로 채택하였던 유진오(兪鎭午)안은 유럽식의 헌법재판소제도를 규정하고 있었고, 참고안으로 채택하였던 권승렬(權承烈)안은 미국식 제도를 규정하고 있었다. 결국은 양자의 타협으로서 채택된 것이 1948년 7월에 제헌 국회를 통과한 제헌헌법상의 헌법위원회제도이다. 제헌헌법상의 헌법위원회는 보통법원(普通法院)이 아닌 헌법재판소의 일종이고, 그 구성은 부통령이 위원장이 되고 국회가 선출하는 국회의원 5인의 의원(양원제 국회가 채택된 후에는 민의원 의원 3인과 참의원 의원 2인의 위원)과 대법원장이 추천한 대법관 5인의 위원으로 구성되었고, 이 점에서 유럽식을 따랐지만, 그 심사절차는 미국식을 따랐다. 즉 헌법위원회는 법률의 위헌(違憲) 여부의 심사권을 가지지만, 독자적으로는 심사를 하지 못하고, 반드시 법원의 제청에 의해서만 심사를 하고, 또 법원은 법률의 위헌 여부가 재판의 전제가 된 때에 한하여 당해 사건의 담당판사 또는 소송당사자의 신청에 의하여 판사 3인으로서 구성되는 합의부(合議部)의 결정에 의하여 헌법위원회에 법률의 위헌 여부의 심사를 제청할 수 있었다. 헌법위원회의 위헌결정은 현재의 헌법재판소 결정과 같이 '장래에 향하여 효력을 발생하되 형벌 조항은 소급하여 그 효력을 상실'하도록 하였는데, 이는 유럽 대륙식으로 미국식과 달랐다. 제1공화국 당시 헌법위원회의 위헌심사 건수는 총 10건도 되지 않았고, 위헌결정은 1952년 9월 9일의 2건에 불과했다.[2] 1952년 7월의 제1차 개헌으로 국회의 양원제가 채택되었지만, 이승만의 자유당 정권은 붕괴될 때까지 참의원(상원) 선거의 실시 요구를 묵살하였다. 심지어 자유당 정권은 참의원이 구성되지 않았음을 빙자해 헌법위원회의 구성에 협조하지 않았고, 이 때문에 헌법위원회의 기능은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정지되었다. 한편, 탄핵(彈劾)재판의 결정을 위해 탄핵재판소를 설치하였다. 탄핵재판소의 심판관은 대법관 5인과 국회의원 5인이었으며, 부통령이 탄핵재판장이 되었다. 다만, 대통령과 부통령 탄핵의 경우에는 대법원장이 재판장이 되었다. 3차 개헌과 헌법재판소[편집] 1960년 6월에 실시된 제3차 개헌으로 헌법위원회 제도가 폐지되고 제2공화국 헌법에 따른 상설 헌법기관으로서, 대통령·참의원·대법원이 각각 3인씩 임명하는 심판관으로 구성되는 헌법재판소를 설치하여 법률의 위헌 여부의 심사뿐만 아니라, 정당의 해산, 탄핵재판 등과 같은 여러 정치재판권(政治裁判權)까지도 담당하게 하였다. 그러나, 해당 헌법재판소는 구성되기 전에 5·16 군사 정변이 일어나 실제로는 존재한 적이 없다. 대법원과 탄핵심판위원회의 위헌, 탄핵 심사[편집] 1962년 실시된 제5차 개헌을 통해 헌법재판소가 폐지되고 완전히 미국식을 채용하여 위헌심사권을 보통법원(普通法院)에 부여하고 심사절차에 있어서 구체적 규범통제만을 채택하였다. 한편 탄핵재판을 위해서 탄핵심판위원회가 설치되었다. 이때 1971년 6월 22일 대법원에서는 법원조직법 제59조제1항 단서(1970년 8월 7일 개정)와 국가배상법 제2조제1항 단서(1967년 3월 3일 개정) 등 2개 규정에 대해 위헌 결정을 내렸다. 이후 이 위헌 결정에 따라 국가가 배상하도록 판결한 이범렬 당시 부장판사와 최공웅 판사가 향응을 받았다는 이유로 구속 영장이 청구되었고, 여기에 반발한 법원의 영장 기각, 검찰의 2차 청구, 판사들의 집단 사표 등 소위 사법 파동이 일어났다. 법원조직법, 국가배상법 판결 논란[편집] 법원의 합의는 헌법에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과반수로 결정하는 것이 원칙이다. 제3공화국 헌법에는 "정당해산을 명하는 판결은 대법원 법관 정수의 5분의 3 이상의 찬성을 얻어야 한다."(제103조)는 규정이 있었으나, 법률의 위헌 결정에 관하여는 특별한 규정이 없었기 때문에 대법원은 '대법원 판사 3분의 2 이상의 출석과 출석판사 과반수의 찬성'으로 위헌결정을 할 수 있다고 해석하였다. 그런데, 1970년 8월 7일 국회에서는 법원조직법을 개정하여 대법원이 위헌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대법원 판사 3분의 2 이상의 출석과 출석판사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필요한 것으로 법원조직법에 단서 규정을 신설하였다. 당시 박정희 정부의 집권당인 공화당에서는 이 법의 개정 취지를 "위헌 심사를 신중하게 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지만, 실은 징발보상금배상법 등의 입법에 대한 법원의 위헌 결정을 사전에 막기 위한 것이었다. 1971년 6월 22일 대법원은 국가배상법 제2조제1항 단서(1967년 3월 3일 개정)와 법원조직법 제59조제1항 단서(1970년 8월 7일 개정)에 대하여 위헌 결정을 내렸다. 법원조직법의 경우, 16명의 판사 중 대법원장을 비롯한 5명을 제외한 11명이 찬성함으로써 위헌 판결을 얻을 수 있었다. 위헌 결정이 내려진 또 다른 조항인 국가배상법 2조의 경우, 군인이나 군속 등이 타인의 과실로 인해 전사, 순직 등을 한 경우 일시금이나 유족연금 이외에 국가에 손해배상을 청구하지 못하도록 한 것이었으나, 이 결정으로 인해 국가에 손해배상을 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되었다. 하지만 결정 이후에 이 위헌 결정에 따라 국가가 배상하도록 판결한 이범렬 부장판사와 최공웅 판사가 향응을 받았다는 이유로 구속 영장이 청구되었고, 여기에 반발한 법원의 영장 기각, 검찰의 2차 영장 청구, 판사들의 집단 사표 등 이른바 '사법 파동'이 일어났다. 이는 1년 뒤 설치된 헌법위원회의 유명무실한 운영과 2년 뒤의 대법원 판사 재임용탈락 사건에 큰 영향을 미쳤다. 유신헌법 이후의 헌법위원회[편집] 1972년 12월 27일 공포된 유신헌법에 의해 대법원의 위헌심판권과 탄핵심판위원회가 폐지되고, 헌법위원회가 설치되었다. 특히, 법률의 위헌심판을 유명무실하게 만들기 위해 대법원에 합헌결정권을 부여해 '하급법원(고등법원이나 지방법원)의 위헌여부 제청에 대하여 대법원 합의부에서 불필요하다고 인정할 경우 위헌법률심판을 제기하지 않도록' 규정했다. 또, 1971년 6월 22일 위헌 판결을 낳은 국가배상법 제2조제1항 단서의 위헌 시비를 막기 위해 아예 헌법 조문에 군인과 경찰 등에 대한 배상 제한 규정(현행 헌법 제29조제2항과 같은 규정)을 신설했다. 유신헌법에 따라 전국 법관들의 인사권을 틀어쥔 대통령 박정희는 1973년 3월 24일에 1971년 당시 위헌 판결을 내렸던 판사 9명(방순원, 손동욱, 김치걸, 사광욱, 양회경, 나향윤, 홍남표, 한봉세, 유재방)을 모두 재임용에서 탈락시켰다. 이에 위축된 대법원은 이후 위헌심판을 단 한건도 제기하지 않았다. 1980년에 개정된 헌법에 의해 설치된 헌법위원회도 1973년의 헌법위원회와 마찬가지로 대법원에 합헌결정권을 부여해, 결과적으로 1987년 헌법 개정이 되기 전까지 존재한 제4공화국과 제5공화국의 헌법위원회는 유명무실한 휴면기관에 불과했다. 제9차 개정헌법으로 헌법재판소 설치 및 헌법위원회 폐지[편집] 헌법위원회는 제9차 개정헌법으로 폐지되고, 헌법재판소가 새로 설치되었다. 헌법재판소는 ① 법원의 제청에 의한 법률의 위헌여부심판, ② 탄핵의 심판, ③ 정당의 해산심판, ④ 국가기관의 상호간,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간 및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의 권한쟁의에 관한 심판, ⑤ 법률이 정하는 헌법소원(訴願)에 관한 심판 등의 사항을 관장한다. 특히 헌법에 의거 대법원과 동위의 사법기관으로 그 위상이 강화됨은 물론, 위헌여부심판 또한 일반 개인이 법원을 거치거나, 아니면 헌법소원 형식으로 제청할 수 있어, 한건도 위헌심판을 하지 못한 1972년 이후의 헌법위원회와 비교해 막강한 권한을 가지게 되었다. 역대 헌법위원회 위원장[편집] 대수 이름 임기 출신지 출신학교 비고 1대 서상일(徐相日) 1948년 6월 5일[3] ~ 1948년 7월 23일 2대 이시영(李始榮) 1948년 7월 24일[4] ~ 1952년 7월 6일 경기 경성(현 서울) 권한대행 허정(許政) 1951년 5월 10일 ~ 1951년 5월 16일 경남 동래 보성전문(현. 고려대) 3대 김성수 1951년 5월 17일 ~ 1952년 5월 29일 전북 부안 와세다대학 권한대행 장택상 1952년 7월 7일 ~ 1952년 8월 14일 경북 칠곡 에딘버러 대학 수도경찰청장&경기도경찰청장&외무부 장관&3대 총리&부통령 대행 4대 함태영(咸台永) 1952년 8월 15일 ~ 1956년 8월 14일 심계원장&부통령 5대 장면(張勉) 1956년 8월 15일 ~ 1960년 4월 25일 경기 경성(현 서울특별시) 경성농고 주한미국대사&2대 총리&부통령&6대 총리 6대 정헌주(鄭憲柱) 1960년 4월 26일 ~ 1961년 5월 20일 대수 이름 임기 출신지 출신학교 비고 1대 김현철(金顯哲) 1973년 3월 19일[5] ~ 1979년 3월 25일[6] 2대 이호(李澔) 1979년 3월 26일[7] ~ 1981년 4월 21일 3대 주재황(朱宰璜) 1981년 4월 22일[8][9] ~ 1987년 5월 15일 4대 주재황(朱宰璜) 1987년 5월 16일[10] ~ 1988년 8월 31일 결정[편집] 헌법에 의거 법률의 위헌결정, 탄핵의 결정, 정당해산의 결정 또는 헌법소원에 관한 인용결정을 할 때에는 위원회 위원 총원 9명 중 6인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는 현재 헌법재판소의 결정 정족수와 동일하다. 같이 읽기[편집] 헌법재판소 탄핵재판소 탄핵심판위원회 대법원 대한민국의 부통령 참의원 (대한민국) 각주[편집] ↑ [1] ↑ 인권옹호에 서광! 동아일보, 1952.9.11. 1952년 9월 9일 당시 헌법위원회는 재판의 심급을 제한한 아래 규정들을 위헌결정하였다.: 농지개혁법 제18조제2항 및 제24조 본문 후단, 비상사태하의범죄처벌에관한특별조치령 제9조 ↑ [2] ↑ [3] ↑ [4] ↑ [5] ↑ [6] ↑ [7] ↑ [8] ↑ [9] vdeh 대한민국의 폐지된 중앙행정기관원 경제기획원 국무원 국토통일원 심계원 재정경제원 통일원 부 건설교통부 건설부 공보부 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적자원부 교통부 국가안전기획부 국토해양부 내무부 노동부 농림부 농림수산부 농림수산식품부 농수산부 동력자원부 문교부 문화공보부 문화관광부 문화부 문화체육부 미래창조과학부 보건복지가족부 보건부 보건사회부 부흥부 사회부 산업자원부 상공부 상공자원부 안전행정부 여성부 외교통상부 외무부 재무부 재정경제부 정보통신부 중앙정보부 지식경제부 체신부 체육부 체육청소년부 통상산업부 행정자치부 실 공보실 국무총리실 기획조정실 내각수반비서실 대통령경호실 대통령실 무임소장관실 정무장관(제3)실 정무장관(제2)실 정무장관(제1)실 제2무임소장관실 제1무임소장관실 특임장관실 행정조정실 위원회 감찰위원회 경제위원회 고시위원회 공안위원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국가비상기획위원회 국가청렴위원회 국가청소년위원회 국민고충처리위원회 군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금융감독위원회 금융개혁위원회 기획예산위원회 노사정위원회 대일항쟁기피해조사 및 지원위원회 방송위원회 부패방지위원회 부흥위원회 비상기획위원회 사정위원회 사회정화위원회 언론윤리위원회 여성특별위원회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정부혁신추진위원회 제2의건국범국민추진위원회 종합유선방송위원회 중소기업특별위원회 중앙경제위원회 중앙인사위원회 중앙정보연구위원회 중화학공업추진위원회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청소년보호위원회 청소년위원회 청소년육성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탄핵심판위원회 해외협력위원회 행정개혁위원회 행정개혁조사위원회 행정쇄신위원회 헌법위원회 처 과학기술처 국민안전처 국정홍보처 기획예산처 기획처 내각사무처 외자구매처 원호처 환경처 공보처 총무처 청 공업단지관리청 공업진흥청 관재청 국토건설청 군사원호청 노동청 소방방재청 수산청 식품의약품안전청 예산청 외자청 원자력청 임시외자관리청 전매청 중소기업청 철도청 항만청 해무청 해운항만청 환경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한민국_헌법위원회&oldid=21487374" 분류: 대한민국의 헌법재판소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6월 1일 (금) 04: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헌법위원회(憲法委員會, 영어: Constitutional Committee)는 대한민국의 위헌법률심사, 위헌정당해산심판, 탄핵심판 등 헌법에 관한 분쟁을 담당하는 헌법기관이었다. 역사상 1945년 7월 17일에서 1961년 4월, 그리고, 1972년 12월 27일부터 1988년 8월까지 두번 설치되었다가 폐지되었다. 첫 번째 설치 시에는 탄핵심판 권한이 없었고, 탄핵재판소가 그 업무를 담당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헌법은 어떻게 결정하는 것일까? Assistant: 과반수로 결정하는 것이 원칙이다
Human: 아래 장형_(1889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장형 (1889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형 (1889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장형(張炯, 1889년 1월 18일 ~ 1964년 12월 30일)은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이다. 본관은 결성(結城)이며, 평안북도 용천 출신이다. 호는 범은(梵隱) 또는 범정(梵亭)이고 항일독립운동 시에는 장세담(張世淡)으로 활동하였다. [주 1] 목차 1 생애 1.1 출생 1.2 독립투쟁 1.3 종교활동 1.4 광복 후 1.5 최후 2 신익희와 토지 5만평 3 건국실천원양성소 활동 4 단국대학 설립 5 가족 6 같이 보기 7 주해 8 각주 생애[편집] 출생[편집] 장형은 1889년(고종 26) 평안북도 용천[주 2]에서 태어났다. 부친 장창익(張昌翼)은 진사시를 거친 유학자였으나 일찍이 기독교로 개종하여 신학문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조선이 패망하자 한의사로 전업을 하였다. 장형은 1905년 사서삼경을 마치고 그해 고향의 동명중학교(東明中學校)를 입학, 1908년 중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로 유학, 민족의식이 강한 보성전문학교(普成專門學校)에 입학하였다.[1] 보성전문학교(고려대학교 전신, 2년제 전문부)에 재학하던 중 1910년 경술국치로 국권이 피탈되자 1911년 학업을 중단하고 만주로 건너가 독립운동에 투신하였다. 독립투쟁[편집] 처음 맡은 임무는 독립운동자금 조달을 위해 국내에 잠입하여 민족 자본가들과 접촉, 모금활동을 펼치는 일이었고 그때 민족주의적 항일 인사들을 비롯하여 뜻있는 많은 유지들과 교분을 쌓았다. 1914년 구국제민을 기치로 생겨난 대종교(大倧敎)에 입교, 이듬해 원로원참의(元老院參議)에 이르렀다. 본관은 결성(結城)으로 같은 집안의 독립운동가로 이름을 알리며 광복후 교육자와 역사학자로 활동하였던 산운(汕耘) 장도빈(張道斌, 1888~1963)과는 할아버지가 다른 6촌 형제간이다. 1919년 3·1운동 후에는 북로군정서군(北路軍政署軍)에 속하여 독립운동자금 조달에 힘써 이극·안창하·이진산·전덕명 등에게 군자금을 조달하기도 하였다. 또한 범정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에도 관여했다. 대표적으로 임시정부는 1921년 워싱턴에서 개최된 태평양회의에 한국의 문제를 상정하고자 다양하게 노력했다. 이 때 태평양회의에 한국 문제 상정을 촉구하기 위해 국내의 단체 대표 101명이 서명해 ‘한국인민치 태평양회의서(韓國人民致 太平洋會議書)’를 제출했고 범정도 이에 참여했다.[주 3] 2009년 12월 30일 항일투쟁에 헌신한 범정 장형 선생의 어록비가 천안의 독립기념관에 세워졌다. 가로 3.15m, 세로 3.1m 크기의 장형 선생 어록비에는 "독립은 남이 갖다 주는 것이 아니고 오직 우리 자신의 힘으로 쟁취해야 한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3] 종교활동[편집] 만주에서 도산 안창호 등을 만나게 되었다. 입학동기생으로 알게된 김두봉(金枓奉), 장도빈(張道斌)과 함께 당시 보성전문 2대 교주였던 의암(義菴) 손병희(孫秉熙)가 세운 천도교에 적극 가담하기도 하였지만 민족의식이 강하였던 장형은 1914년 대종교(大倧敎)에 입교, 이듬해 원로원참의(元老院參議)에 이르렀다.[4] 민족종교운동으로 1909년 1월 15일 단군대황조신위(檀君大皇祖神位)를 모시고 제천의식을 거행하고 교단의 중흥을 선포한 단군교는 1910년 8월 교명을 대종교로 바꾸고 1914년 5월 백두산 북쪽 산밑에 있는 청파호(靑坡湖) 근방으로 총본사를 이전하여 만주를 무대로 교세확장에 주력, 30만 명의 교인을 확보하였는데 그중에 장형이 있었다. 광복 후[편집] 광복이후 1946년 국민동지회 회장으로 선출되었으나 사임하고, 인재양성에 뜻을 두고 교육계에 투신하여 임시정부 주도의 국민대학설립기성회 참여, 건국실천원양성소 설립 및 이사장 활동, 단국대학교 설립 등 교육계 전반에 열정적으로 활동을 전개하였다.[5][4] 1947년 11월 1일 정부로부터 학교인가를 받아 같은해 11월 3일 단국대학교를 설립하였으며, 1958년 백남학원(白南學院,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 단국공업고등학교 전신)을 인수하였다. 1963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국민장(건국훈장독립장)을 받았다.[6][7](참고문헌, 獨立有功者功勳錄 4(國家報勳處, 1987) 최후[편집] 1963년 3.1절에 이러한 항일독립운동의 공로가 인정되어 대한민국 건국훈장 국민장이 수여되었다. 1964년 74세로 별세하였다. 장지는 한남동 서울캠퍼스내에 마련되었지만 2007년 단국대학교 이전시 경기도 용인시 단국대학교내로 새롭게 조성하였다. 고은의 장편시 만인보에 등장인물로 수록되어 있다.[1][5].[주 4] 신익희와 토지 5만평[편집] 현재 한국에는 2백개가 넘는 4년제 대학들이 있다. 각 대학들마다 설립자가 다르고, 설립한 정신이나 취지도 다르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대학들이 자신의 대학이 어떠한 대학인지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이 글은 단국대학은 어떠한 대학인지를 살펴보려는데 목적이 있다. 단국대학은 독립운동과 밀접한 관련속에서 설립되었다. 우선 설립자인 범정 장형은 독립운동가였다. 장형은 일제식민지시기에 서간도와 국내를 중심으로 독립운동 자금을 모집하는 한편,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만주지역의 독립군과 연계되어 활동한 인물이다. 단국대학을 설립한 것도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백범 김구의 독립정신과 관련이 있다. 장형은 해방 후 환국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추진하는 대학설립에 참여하여 국민대학을 설립하고, 임시정부 내무부장 신익희와 함께 이사장으로 국민대학을 운영하였다. 이후 1947년 신익희가 임시정부를 떠나자 국민대학과 결별하였다. 신익희의 행동을 임시정부와 김구에 대한 배신으로 여겼던 것이다. 그리고 임시정부와 김구의 독립정신을 계승하는 대학의 설립을 추진, 1947년 11월 단국대학을 설립하였다. 단국대학은 설립주체나 과정으로 보면, 그 설립정신은 독립정신이었다. 설립자가 독립운동가였고, 또 임시정부와 김구의 독립정신을 계승하는 대학으로 설립되었다는 점에서 그렇다. 단국대학은 다른 대학에서 찾아볼 수 없는, 단국대학만이 갖고 있는 정체성이 있다. 첫째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김구의 독립정신을 계승한 대학이라는 점이다. 설립자 장형은 독립운동가였고, 임시정부가 추진하는 대학설립에 참여하여 국민대학을 설립하였다. 그리고 김구가 설립한 건국실천원양성소에서 이사장을 맡는 등 김구와 각별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이후 신익희가 임시정부를 떠난 것을 계기로, 임시정부와 김구의 독립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국민대학과 결별하고 단국대학을 설립한 것이다. 둘째는 독립운동가가 세운 대학으로, 독립정신을 이어가고 있는 유일한 대학이라는 점이다. 독립운동과 관련하여 국민대학·국학대학·신흥대학 등이 설립되었지만, 이들 대학은 모두 없어지거나 재단이 바뀌었다. 독립운동가에 의해 설립되고 독립정신을 이어가고 있는 대학은 단국대학이 유일하다. 셋째는 민족통일을 대비하는 대학이라는 점이다. 장형은 대학을 설립하면서 남북통일과 통일정부 수립에 기여하기를 염원하였고, 학교의 이름에 그 뜻을 담고자 하였다. ‘통일국가를 수립하려면 민족의 동질성을 찾아야 하는데, 우리 민족은 단군의 자손이 아니냐’라는 생각에서 교명을 ‘단국’으로 결정하였다. ‘단국’이란 교명은 남북통일과 통일정부 수립을 염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8] 위키문헌에 이 글과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단국대학 설립취지서 민립대학설립운동(民立大學設立運動)이라고 하여 1922년 일제가 공포한 조선교육령에 따라 관립 경성제국대학 설립에 대응하여 이상재(李商在)를 비롯한 민족주의자들이 민족교육과 민족간부 양성을 목적으로 민립대학을 설립하려고 한 운동도 있었지만 광복 후 대학을 설립한 주체의 하나는 독립운동 세력이었다. 대한민국임시정부도 환국 후, 국내에서 대학을 설립하고자 하였다. 실제로 1922년 11월 이상재, 현상윤, 한용운, 이승훈, 허헌, 송진우, 장덕수, 이갑성, 남궁훈, 홍덕유 등 각계 인사들은 민립대학기성준비회를 조직하고, 1923년 3월 29일 발기인 1,170명 중 460여 명의 대표가 한 민족의 지식욕을 충족시킬 만한 대학이 하나도 없다는 것은 민족의 수치이므로 민립대학을 설립하지 않을 수 없다는 취지에 따라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관에서 발기총회를 개최하고 사업계획을 통과시켰다. 이후 안동, 논산 등에서 구체적인 계획까지 세웠지만 일제의 집요한 방해로 광복이 되기까지 끝내 이루지 못하였다. 광복후 임시정부는 환국 직후 내무부 산하에 정치공작대와 행정연구위원회를 설치하면서, 행정연구회에 대학설립을 맡겼다. 신익희가 내무부장으로 그 책임을 맡았고 임시정부 요인들과 협의하여 '국민의 대학'을 설립한다는 취지아래 대학 설립기성회를 조직, 기성회는 주석 김구와 부주석 김규식을 고문, 외무부장 조소앙을 명예회장으로 하고, 회장은 신익희가 맡았다. 또한 국내의 교육, 법조, 행정, 언론 등 각계 인사 40명으로 이사진을 구성하였다. 구성한 이사 중 한 사람이 장형이었다. 장형은 독립운동계 인사로 참여하였다. 기성회가 중심이 되어 대학설립을 추진하였다. 기성회에서 실무를 주도한 것은 회장 신익희와 이사 장형이었다. 장형은 군자금을 모집하며 서간도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독립운동가로 귀국하여 기성회에 참여하였다. 기성회는 5천만원의 대학설립 기금을 모집한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여의치 않았다. 이때 장형이 독립운동시절 동지였던 박기홍의 미망인 조희재로부터 5만평의 토지를 기증받았고 이를 기본 재산으로 하여 1946년 9월 1일 임시 기성회가 발족(發足)할 수가 있었다. 전후 사정이 이러했음에도 불구하고 국민대학의 기성회 측에서는 이후 조희재가 제공하려 했던 토지 5만평에 대한 문제와 장형의 재단 설립에 기여된 활동 및 경위에 대해서는 어떤 자료도 남아 있지않아 이때의 기록을 찾을 수 없다. 이로써 차후에 발생한 일로 받았던 충격과 서로간에 느꼈던 감정의 차이가 상당히 컸음을 알 수가 있다. 여기서 장형이 '단국대학'을 설립한 계기와 의도를 분명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장형은 임시정부에서 추진한 대학 설립에 참여하여 신익희와 함께 대학을 설립하였으나 신익희가 임시정부와 한국독립당을 떠나 이승만측과 한국민주당에 참여하자, 이를 임시정부와 김구에 대한 '배신'이라 여겼고, 이제 더 이상 임시정부의 정신을 이을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이것이 국민대학과 결별하고, 임시정부와 김구의 독립정신을 계승하는 대학으로 '단국대학'을 설립하게 된 연유이다. 끝내 장형은 맡고 있는 재단의 이사장을 사임하였고 임시정부와 김구의 독립정신을 계승하는 대학을 별도로 설립키로 했다. 범정 장형과 뜻을 함께 한 인물은 범정 선생을 통해 독립 운동 자금을 지원했던 경기도 화성의 자산가, 박기홍 선생의 부인인 혜당 조희재 여사였다. 조희재 여사는 광복 후 부군이었던 고 박기홍 선생의 유지를 받들어 장형의 대학 설립에 적극 찬성하며 자신이 소유하고 있던 264만m2(약 80만평 )의 토지를 내놓았다.[9] 장형은 이를 기반으로 대학설립을 추진, 1947년 9월 15일 재단법인 단국대학 설립준비위원회를 결성하였고 재단법인의 설립을 정식 신청하여 1947년 11월 1일 정부의 정식 인가와 승인으로 광복후 최초 정규 4년제 대학의 단국대학을 설립하였다. 사실 단국대학 설립은 김구와 관계가 깊다. 장형은 '국내에 들어가 김구를 도우라'는 김홍일의 조언을 듣고, 귀국, 임시정부가 추진하는 대학설립기성회에 참여하는 등 장형은 김구과 각별한 관계를 맺었고, 김구의 통일정부수립 노선을 지지하고 있었다. 이후 김구가 건국실천원양성소를 설립하자 이사장으로 재정적 지원을 하며, 소장 김구의 뜻에 정성으로 도왔다. 장형은 건국실천원양성소의 인연으로 김정실과 엄항섭, 양주동과 함께 인재교육에 뜻을 두었다. '단국'이란 교명도 임시정부와 김구가 추진하고 있는 통일국가수립을 지지한 데서 나왔다. 장형은 대학설립을 추진할 때 뜻을 함께하는 여러 인사들에게 교명에 대한 의견을 구하면서, '지금 임시정부와 김구가 나서서 통일정부수립을 주장하고 있는데, 학교 이름은 남북통일에 기여하고 그것을 상징하는 의미를 담았으면 좋겠다.'고 하였다. 이에 대해 장도빈, 안호상, 안재홍 등이 '통일국가를 수립하려면 민족의 동질성을 찾아야 한다. 우리 민족은 단군의 자손이 아니냐, 남북을 막론하고 단군의 건국정신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이에 단군의 건국정신을 고취한다는 뜻에서 교명을 '단국'으로 결정하였다. 이렇듯이 '단국'이란 교명은 단군에 뿌리를 두자는 데서 나온 것이 아니라, 남북통일, 통일국가수립을 열망한 데서 나온 것이다. 즉, '단군'의 건국정신과 나라를 사랑한다는 마음의 '단군'과 '애국'이라는 글자를 합하여 단국대학교라는 이름으로 지어지게 되었다.[10] 건국실천원양성소 활동[편집] 건국실천원양성소 1기 수업식 기념사진서울 용산구 원효로 원효사(1947년 3월 9일) 건국실천원양성소(建國實踐員養成所)는 1947년 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한 단체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이었던 김구(金九)가 귀국한 뒤 국가 건설에 따른 인재의 필요성을 느껴 서울시 용산구 원효로에 있던 원효사를 본부로 설립하였다. 이 단체는 김구의 자주정부 수립을 위한 준비의 일환으로, 임시정부가 1940년 9월 충칭(重慶)에서 제정, 공포한 <대한민국건국강령>을 기초로 하였다. 건국강령은 제1장 총칙, 제2장 복국(復國), 제3장 건국으로 구성되었고, 그 내용은 정치·경제·교육의 균등한 발전을 통하여 복국(復國), 건국(建國), 치국(治國), 더 나아가서는 구세(救世)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한 삼균주의(三均主義)를 바탕으로 하였다. 독립운동 과정 중 복국의 단계에서 광복군(光復軍)이 필요했던 것처럼, 건국의 단계에서는 건국의 동량이 필요했고, 이 필요에 의하여 1947년 3월 양성소가 설립되었다. 명예소장에 이승만, 소장에 김구, 이사장에는 장형으로 출발한 이 양성소는 전국 각지의 우수한 애국청년들을 선발하여 건국운동의 중견 일꾼으로 양성하고자 교육을 시켰다. 이러한 인재 양성의 발상은 청년들이 국가를 건설하는 데 매우 중요한 구실을 한다는 김구 개인의 신념에서 나왔다. 당시 교육계에 투신하고 있었던 장형은 김구과 각별한 관계로 김구의 통일정부수립 노선을 지지하고 있었던 차에 김구가 건국실천원양성소를 설립하자 이사장으로 재정적 지원을 하며, 소장 김구와 함께 운영까지 하기에 이르렀다. 양성소의 매기 교육 인원은 100명 내외였다. 교육기간은 제1기가 2개월이었고, 제2기부터 마지막 교육을 받은 제9기까지는 1개월이었다. 교육내용은 독립운동사·정치·경제·법률·헌법·역사·선전·민족문화·국민운동·철학·약소민족문제·농촌문제·협동조합·사회학·공산주의 비판·여성문제 등과 특별강의였다. 강사는 조소앙(趙素昻)·조완구(趙琬九)·신익희(申翼熙)·지청천(池靑天)·나재하(羅在夏)·김성주(金成柱)·김경수(金敬洙)·최호진(崔虎鎭)·김정실(金正實)·양주동(梁柱東)·민영규(閔泳珪)·엄상섭(嚴詳燮)·엄항섭(嚴恒燮)·김학규(金學奎)·설의식(薛義植)·김기석(金基錫)·이상조(李相助)·주석균(朱碩均)·홍병선(洪秉璇)·김하선(金昰善)·김석길(金錫吉)·안재홍(安在鴻)·정인보(鄭寅普)·황기성(黃基成)·이인(李仁)·김활란(金活蘭)·김법린(金法麟)·박순천(朴順天)·이은상(李殷相) 등 각계의 인사들이었다. 한편 1946년 초 신익희는 미소공동위원회에 참가할 것을 한국독립당 중앙당에 건의하기도 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946년 6월 23일, 신익희는 한국독립당 서울시 지구당 위원장 직을 사퇴하고 탈당하였다. 1947년 7월 이후에는 임시정부 측과 노선을 달리하였으며, 임시정부를 이탈, 이승만을 총재로 하는 독립촉성국민회로 갔다. 그리고 1947년 7월 신익희는 독립촉성국민회 부총재가 되었다. 즉, 신익희가 임시정부와 한국독립당을 떠나 이승만측과 연합하자, 이를 임시정부와 김구에 대한 '배신'이라 여겼던 장형은 신익희와는 더 이상 임시정부의 정신을 함께 이을 수 있는 동지가 아니라고 생각하였다.[주 5] 당시 장형은 국민대학의 이사장까지 겸임하고 있었는데, 이사장 직함을 내던지고 신익희와 결별을 선언하였다. 결국 장형은 임시정부와 김구의 독립정신을 계승하는 대학을 별도로 설립키로 했다. 당시 박기홍(朴基鴻, 장훈보통학교(長薰普通學校) 전 이사장)의 미망인였던 조희재 여사가 이에 적극 찬동하고, 80만평의 토지를 기증하였다. 장형은 이를 기반으로 대학설립을 추진, 1947년 11월 1일 정식 설립인가를 받고 단국대학을 설립하였다. 건국실천원양성소 설립에 참여한 장형은 경험 등이 광복후 최초 정규4년제 대학으로 기록된 단국대학의 정신적 모태가 되었다. 이러던 차에 1949년 6월 26일 한국독립당 당수 김구가 육군포병소위 안두희(安斗熙)에게 권총으로 살해된 김구암살사건(金九暗殺事件)이 발생하여 김구가 암살된 후, 1949년 8월 23일 건국실천원양성소는 해체되고 건물 원효사는 1949년 9월 홍익대학교에 인수됐다.[11][12][13] 김구의 건국실천원양성소에 대해서는 건국실천원양성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단국대학 설립[편집] 단국대학 설립 시 모습. 앞줄 김구(흰옷)와 설립자 장형, 뒷줄 장도빈(右)과 설립자 조희재의 장녀 박정숙 (개교일 : 1947.11.3)1945년 8월 15일 광복이 된 후 1946년 8월 서북인을 중심으로 하는 국민동지회(國民同志會)의 회장에 피선이 되고, 1947년 11월 1일 정부에 정식 인가를 받아 1947년 11월 3일 단국대학(檀國大學)을 설립, 육영사업에 힘썼으며, 1941년 5월 25일 조선공업기술학원으로 개교하여 1947년 2월 8일 백남중학교 6년제로 변경되고 1950년 6월 1일 백남중학교와 백남공업고등학교로 분리되어 운영되던 학교법인 백남학원(白南學院)이 경영난에 봉착한 것을 알고 1958년 10월 20일 경영권을 인수하여 같은해 11월 12일 전격 병합하고 이사장이 되었다.[14][15](단국대학교 홈페이지 참조) 장형은 독립운동자금 조달을 위해 국내에 잠입하여 민족 자본가들과 접촉, 모금활동을 펼치면서 많은 사람들과 교분을 쌓았는데 단국대학교 설립자인 혜당(惠堂) 조희재(趙喜在, 1892.2.12 - 1947.11.3) 여사의 부군인 박기홍(朴基鴻)과의 오랜 친구로 친분관계를 떠나 지사적(志士的) 신의를 바탕으로 육영사업에 남다른 애정을 가진 조희재 여사의 뜻이 합하여 여사의 사재와 뜻있는 독지가들의 자산을 기부 받아 대학 설립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단국대학교의 창학정신은 설립자 장형의 민족애와 조국애를 근본으로 한다. 빼앗긴 나라를 다시 찾기 위하여 독립운동에 헌신한 범정 장형 선생이나 독립자금을 지원했던 박기홍 선생의 유지를 성심껏 받든 혜당 조희재 여사는 대학을 세우면서 그 기본 정신을 민족애와 조국애에 두었다. 일제하에서 독립운동을 주도했던 많은 애국지사들은 조국 광복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민족의 정통성을 지키는 것이 소중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그 정통성의 한 가운데 단군의 홍익인간 정신이 자리하고 있었다. 범정도 일찍이 대종교(大倧敎)의 정신을 지키는데 힘썼는데 이는 종교적인 의미보다는 민족의 얼을 지키겠다는 신념에서였다. 광복은 되었으나 열강에 의하여 민족이 분단되는 비극을 지켜본 장형은 젊은이에게 민족의 동질성을 끝까지 지켜가도록 교육하지 않으면 안되겠다는 신념에서 교명을 "단군(檀君)과 애국(愛國)"에서 글자를 가져와 "단국(檀國)"으로 하고 단군의 "홍익인간(弘益人間)" 정신을 바탕으로 하는 대학을 설립하게 된 것이다. 그 정신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 정신으로 구국, 자주, 자립(救國, 自主, 自立)을 내세웠다. 어떠한 경우라도 민족정통성에 의한 나라를 세우고 지켜가겠다는 신념을 가지며, 스스로가 투철한 주인정신을 가지고 행동하고, 남에게 의지하지 않고 굳건히 서는 인물을 육성하는 일이 긴요하다고 보았던 것이다. (단국대학교 홈페이지 설립자 소개 참조) 따라서 단국대학교의 창학 정신은 홍익인간 정신을 바탕으로 한 구국, 자주, 자립이다. 구국은 국가관을, 자주는 민족관을, 자립은 세계관을 표상하고 있다. 장형은 단국대학교의 설립일을 1947년 11월 3일, 학생독립운동기념일로 정하였다. 가족[편집] 아들 : 장충식(張忠植) 중국 천진(天津)에서 출생, 호 중재(中齊), 단국대학교 학장, 총장, 이사장 역임) 손자 : 장호성, 단국대학교 총장 같이 보기[편집] 조희재 박기홍 장충식 주해[편집] ↑ 독립운동가 장형(張炯)은 평북 용천 사람이다. 1909년부터 양기탁(梁起鐸)·유동열(柳東說) 등에게 독립운동자금을 제공하였으며, 1919년 3·1독립운동이 일어나자 만주로 가서 이극(李極)·안창하(安昌夏)·이진산(李震山)·전덕명(全德明) 등에게도 군자금을 조달하였다. 그리고 이극을 통하여 전덕원(全德元)·오동진(吳東振)·오광선(吳光鮮) 등에게도 군자금을 전달하다가 수차 투옥되었다. 그후에도 현금과 패물 등을 모집하여 송병조(宋秉祚)목사를 통해 임시정부의 이시영(李始榮)에게 전달하게 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63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하였다.(註·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252면, 출처 : 국가보훈처) ↑ 용천은 신의주와 이웃하며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맞닿아 있는 국경지역으로 민족의식과 자주의식이 강했다. 이러한 특수성으로 일제강점기동안에 끊이지 않고 항일운동이 이어졌다. ↑ 박성순 단국대 교양기초교육원 교수는 “독립운동 시기 범정은 ‘바람의 독립군’이었다”면서 “조국의 독립을 위해 온갖 간난(艱難, 괴롭고 고생스러움)을 무릅쓰고 만주와 국내를 제 집처럼 드나들던 범정의 애국심은 이제 우리가 제대로 선양(宣揚, 명성이나 권위 따위를 널리 떨치게 함)해야 할 위대한 유산”이라고 강조했다.[2] ↑ 건국훈장(建國勳章)은 전체 5등급으로 구분되어 있다.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정부가 수립되면서 조국의 독립과 건국에 공로가 있는 선열들의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대통령령 제82호에 의하여 1949년 4월 「건국공로훈장령」이 제정, 공포되면서 상훈제도가 실시되었다. 1963년 12월 법률 제1519호로 지금까지 개별규정으로 시행되어온 각종 훈·포장령(勳·褒章令)을 통폐합한 「상훈법」을 제정하였으며, 1967년 2월에는 대통령령 제2929호로 「상훈법시행령」을 공포하게 되었다. 이 「상훈법시행령」에서는 기존 건국공로훈장의 등급별 명칭을 개정하였는데, 건국공로훈장중장(建國功勞勳章重章)을 건국훈장대한민국장(建國勳章大韓民國章)으로, 건국공로훈장복장(建國功勞勳章複章)을 건국훈장대통령장(建國勳章大統領章)으로, 건국공로훈장단장(建國功勞勳章單章)을 건국훈장국민장(建國勳章國民章)으로 칭하게 되었다.그 뒤 「상훈법」은 1971년 1월 법률 제2282호로 또다시 개정된 바 있으며, 현행법은 1973년 1월 법률 제2447호로 전문이 개정되었다가 1990년 1월 13일 상훈법을 개정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 내용은 건국훈장대한민국장·건국훈장대통령장·건국훈장독립장·건국훈장애국장·건국훈장애족장 등 5등급으로 되어 있다. 범은 장형선생이 받은 '건국훈장국민장'은 1963년에 받을 당시에는 '건국훈장국민장'이었지만 현재는 '건국훈장독립장'으로 되어 있다.(네이버 지식사전 참조) ↑ 대한독립촉성국민회(독촉국민회)는 1946년 2월 8일 독립촉성중앙협의회(독촉협의회)와 신탁통치반대국민총동원위원회의 통합으로 이뤄진 단체지만 완전한 이승만의 사조직으로 자리 잡게 되는데 '조직의 달인' 신익희가 김구 쪽에서 이승만 쪽으로 줄을 바꾼 것이 큰 작용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후에 신익희가 이승만과 결별하며 유림측에 합작을 청했을 때 유림측에서 "자네는 이승만 앞에서 기생첩 노릇을 했던 사람이 아닌가!" 호통을 들은 일이나(1946년 8월 4일 일기) 신익희가 자유신문 사장이 되어 김구를 고문으로 내세운 것을 김구가 정면 반박한 일이(1946년 11월 23일 일기) 모두 이 '변절' 때문이었다고 전해지고 있다.(해방일기, 김기협, 너머북스 439p 참조) 각주[편집] ↑ 가 나 “단국대, 개교 65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대학신문. 2012년 10월 30일. 2013년 8월 1일에 확인함.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성명= (도움말) ↑ 독립운동가가 세운 국내 유일의 민족사학 자부심 대학저널(2012-12-03) 기사참조 ↑ 독립기념관에 장형 선생 어록비 Archived 2014년 2월 19일 - 웨이백 머신 이준호기자, 한국일보(2009/12/29) 기사내용 참조 ↑ 가 나 “중앙일보 칼럼-도올 고함(孤喊), 미션 임파서블 《한한대사전》”. 중앙일보. 2008년 12월 24일. 2010년 6월 1일에 확인함.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성명= (도움말) ↑ 가 나 “백범과 나의 아버지”. 경제풍월. 2013년 7월 30일. 2013년 8월 1일에 확인함.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성명= (도움말) ↑ “장형(張炯)”. 한국역대인물종합시스템. 2005년 11월 30일. 2011년 5월 15일에 확인함.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성명= (도움말) ↑ 결성장씨(結城張氏) 카페 장형에 관한 내용참조 ↑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단국대학교(한시준 학술논문 동양학 제47집 2010년 pp.303-328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참조 ↑ 1953년 화폐개혁 당시의 가치로 1억환이며, 넓이 단위로는 264만 제곱미터로 79.86만 평, 약 80만 평을 의미함(네이버 단위변환) ↑ ““독립정신 계승한 단국대, 명문사학의 길을 걸어오다””. 대학저널. 2012년 12월 3일. 2013년 8월 5일에 확인함.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성명= (도움말) ↑ 「建實(건실)」解散(해산), 1949.08.25, 경향신문2면 사회 기사(뉴스), 建國實踐員(건국실천원) 養成所解散(양성소해산), 1949.08.25, 동아일보2면 사회 기사(뉴스) 참조 ↑ 建國實踐員養成所(건국실천원양성소) 弘益大財團(홍익대재단)서 經營(경영), 1949.09.25, 경향신문2면 사회 기사(뉴스) 참조 ↑ 서울대 법대 학장 지낸 민법학자 진승록 대한변협신문 기사(2015.02.09) 참조 ↑ 백남(白南)은 한양대 설립자, 김연준 박사(1914~2008)의 아호이다. ↑ 한양대, 백남 김연준 탄생 100주년 기념전 개최 아시아투데이(2014.10.20.) 기사참조 vdeh학교법인 단국대학학교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 단국공업고등학교 기관 단국대학교병원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부속치과병원 석주선기념박물관 이사장 1~4,6대 장형 5,7~13대 박정숙 14대 이용우 15대 장병규 16~17, 23~24대 김학준 18~20, 25대 장충식 21대 박석무 22대 박유철 총/학장단과대학기(학장) 1 장도빈 2 김정실 3 이선근 (학장서리 이종흡) 4 이훈구 5 윤택중 6 고병국 7 김기석 8 김용진 9 장충식 종합대학기(총장) 1~7 장충식 8 윤홍로 9 조장환 10 김도수 11 김승국 12 이용우 13 김승국 14 권기홍 15 장호성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장형_(1889년)&oldid=24249653" 분류: 단국대학교1889년 태어남1964년 죽음한국의 독립운동가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북로군정서대한민국의 교육인대한민국의 대종교인대학 설립자결성 장씨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20일 (월) 13: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장형(張炯, 1889년 1월 18일 ~ 1964년 12월 30일)은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이다. 본관은 결성(結城)이며, 평안북도 용천 출신이다. 호는 범은(梵隱) 또는 범정(梵亭)이고 항일독립운동 시에는 장세담(張世淡)으로 활동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장형은 어떻게 독립투쟁을 했을까? Assistant: 처음 맡은 임무는 독립운동자금 조달을 위해 국내에 잠입하여 민족 자본가들과 접촉, 모금활동을 펼치는 일이었고 그때 민족주의적 항일 인사들을 비롯하여 뜻있는 많은 유지들과 교분을 쌓았다. 1914년 구국제민을 기치로 생겨난 대종교(大倧敎)에 입교, 이듬해 원로원참의(元老院參議)에 이르렀다. 본관은 결성(結城)으로 같은 집안의 독립운동가로 이름을 알리며 광복후 교육자와 역사학자로 활동하였던 산운(汕耘) 장도빈(張道斌, 1888~1963)과는 할아버지가 다른 6촌 형제간이다. 1919년 3·1운동 후에는 북로군정서군(北路軍政署軍)에 속하여 독립운동자금 조달에 힘써 이극·안창하·이진산·전덕명 등에게 군자금을 조달하기도 하였다. 또한 범정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에도 관여했다. 대표적으로 임시정부는 1921년 워싱턴에서 개최된 태평양회의에 한국의 문제를 상정하고자 다양하게 노력했다. 이 때 태평양회의에 한국 문제 상정을 촉구하기 위해 국내의 단체 대표 101명이 서명해 ‘한국인민치 태평양회의서(韓國人民致 太平洋會議書)’를 제출했고 범정도 이에 참여했다.[주 3] 2009년 12월 30일 항일투쟁에 헌신한 범정 장형 선생의 어록비가 천안의 독립기념관에 세워졌다. 가로 3.15m, 세로 3.1m 크기의 장형 선생 어록비에는 "독립은 남이 갖다 주는 것이 아니고 오직 우리 자신의 힘으로 쟁취해야 한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3] Human: 아래 F-35_라이트닝_II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F-35 라이트닝 II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F-35 라이트닝 II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F-35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F-35 라이트닝 II 수직이착륙기인 F-35B 라이트닝 II가 2006년 12월 15일에 비행을 위해 텍사스주 포트워스에서 이륙 중이다종류 다목적 전투기, 스텔스 전투기설계자 스컹크 웍스첫 비행 2006년 12월 15일도입 시기 F-35B: 2015년 7월 31일 미 해병대에 도입F-35A: 2016년 8월 2일 미 공군에 도입F-35C: 2018년 미 해군에 도입 예정현황 운용 중 (in service)생산 시기 2003년 ~ 생산 대수 133+(3080대)개발 원형 록히드 마틴 X-35 F-35의 조종석 F-35 라이트닝 II(영어: Lockheed Martin F-35 Lightning II)는 3군 통합 전투기(JSF: Joint Strike Fighter)로 불렸던 미국과 영국이 설계한 스텔스 전투기이다. 이 전투기는 현재 세대의 전폭기들과 미국의 High-Low 전술에 의한 F-22의 로우급을 위한, 특히 해리어 수직이착륙기를 교체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F-35는 멀티롤 전폭기(공대공 전투 또한 가능하면서도, 근접항공지원(Close Air Support, CAS)와 전술 폭격 기능이 특히 강조된 비행기로 계획되었다. 현재 록히드 마틴에서 생산중이며, 파트너로서 노스럽 그러먼과 BAE 시스템즈가 참여하고 있다. 스텔스기를 탐지한다는 베라 레이다에는 500 km 거리에서 포착된다고 알려져 있다. 2016년 7월 11일 록히드마틴에 따르면 F-35 적정 생산가를 위한 청사진은 2019년까지 기체 가격을 대당 8,500만 달러 (당해년도 달러 기준)로 낮추는 목표를 갖고 생산비 절감 구상안들을 장려함으로써 대당 순환 가격을 낮추기 위한 정부와 업계의 공동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대한민국 공군이 FMS(대외군사판매)형태로 도입되는 F-35의 대당 가격도 1,000억 원 대 미만으로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1] 목차 1 설계 1.1 스텔스 1.2 소음 1.3 조종석 1.4 전자전 1.5 정비 2 교체기종 3 파생형 3.1 F-35A 3.2 F-35B 3.3 F-35C 4 국제적 참여 4.1 영국의 F-35B 관련 4.2 고급 무기 4.3 비용/중량의 논쟁들 4.4 호주의 참여 5 대한민국 6 트럼프 행정부 7 F-35 핵전폭기 8 한계 8.1 L 밴드 레이다 8.2 IRST 8.3 모의공중전 9 제원 10 같이 보기 11 참고 11.1 각주 11.2 문헌 12 외부 링크 설계[원본 편집] 스텔스[원본 편집] 스텔스 성능이 발휘되도록 설계된 동체와 레이다 흡수 재료를 통해, F-35 전투기의 레이다 반사면적은 매우 작은 수준이다. F-35 전투기는 스텔스 성능은 레이다에 대한, 저 탐지성에만 머물지는 않는다. F-35 전투기는 독특한 설계를 통해 적외선 탐지율을 낮추었다. 또한 F-35 전투기에 장착되는 AN/APG-81 레이다는 저피탐성 전파를 발산해, 적의 전자정찰에도 잘 잡히지 않는다. 다양한 스텔스 기술이 접목된 F-35 전투기는, ‘먼저 보고 먼저 쏘는’ 스텔스 전투기의 기능에 충실한 전투기로 알려져 있다. F-35 전투기는 개전 초기에는 적의 레이다에 탐지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무장과 연료를 동체 내부에 탑재하고, 적진 깊숙이 침투하여 타격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표준 무장으로는 AIM-120C 암람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과 제이담(JDAM) 폭탄을, 각각 2발씩 동체 내부 폭탄창에 탑재한다. 다른 구성으로 4발의 AIM-120C 또는 8발의 소구경 폭탄 (Small Diameter Bomb)을 내부에 장착할 수도 있다. F-14, F-15, F-16, F/A-18 등 기존의 미국 전투기들은 대형 외부연료탱크를 장착해야만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었다. 대형 외부연료탱크는 레이다 반사면적을 크게 높인다. 반면에 F-35는 내부연료탱크만으로 대부분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설계했다. 따라서 최대이륙중량이 31.8톤으로 매우 덩치가 커졌지만, 레이다 반사면적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었다. 미국 공군 마이클 호스티지 대장에 따르면, F-22와 비슷한 수준의 스텔스 성능을 보여준다. 물론 L 밴드 등 낮은 주파수의 레이다에는 F-22와 마찬가지로 F-35도 스텔스 성능이 떨어진다. 그러나, 이들 낮은 주파수 대역 레이다들은, 매우 부정확하며, 교란이 쉽다. 무엇보다도 전투기를 락온하여 요격하는데는 높은 주파수의 X 밴드 레이다가 사용되는데, F-22, F-35의 스텔스 페인트는 이 X 밴드를 주로 교란시킨다. 따라서, L 밴드 레이다에 쉽게 탐지가 되더라도, 원거리에서 요격을 할 수가 없다. 반드시 근거리로 접근해야지만 적외선 유도 단거리 미사일 등으로 요격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불시에 전혀 뜻하지 않은 위치에 나타난 F-35 전투기를 요격하기 위해, 스크램블로 출격해서, 고속으로 접근해, 근거리에서 적외선 유도 공대공 미사일을 쏘아야 한다는 것은, 사실상 요격이 불가능하다는 의미이다. L 밴드 등 낮은 주파수 레이다는 전자전 장비로 교란이 쉽다. F-35는 매우 강력한 전자전 장비를 탑재해, 저주파 레이다들을 교란한다. 소음[원본 편집] 2008년, F-35의 이륙소음이 F-15 보다 2배이며, 착륙소음은 4배라는 미국 공군의 정보가 일반에 알려졌다. 2009년 테스트에서는, F-35의 소음은 프랫 앤 휘트니 F100-PW-200 엔진을 장착한 F-16 정도였다. F-22나 F/A-18E/F 슈퍼호넷 보다는 조용했다. 록히드 마틴의 연구로는, F-35의 소음이 F-22, F/A-18E/F 슈퍼호넷과 비슷하다고 한다. 미국 공군의 환경영향평가에서는, F-16 전투기를 F-35로 교체하자, 공항 주변의 시민들에게 21배 높은 소음의 피해가 있었다. 미국 해군은 항공모함용 F-35의 152 데시벨 천둥소리급 소음 문제로, 비행갑판의 요원들의 헤드폰을 새로 개발했다. 조종석[원본 편집] F-35 전투기는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멀티-롤 스텔스 전투기로 개발 되었다. F-35 전투기는 공대공, 공대지, 그리고 정찰 임무까지 수행한다. 이러한 임무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F-35 전투기는 전투기의 두뇌라 할 수 있는 조종석에 대변화를 주었다. 전투기 조종석에 설치된 기계식 계기판과 다기능 디스플레이(MFD)를 없애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위해 최초로 파노라믹 디스플레이(Panoramic Display) 방식을 채용했다. 즉 하나의 대형 디스플레이가 기계식 계기판과 다기능 디스플레이를 대체한 것이다. 또한 터치 스크린 방식이 적용되어, 다양한 기능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전투기 조종석이라면 반드시 있어야 된다고 생각했던 전방 시현 장비(HUD)도 없어졌고, 이들 기능은 통합 헬멧 시현기로 옮겨 졌다. 전자전[원본 편집] 스티브 오버 록히드마틴 국제사업개발 담당이사는 2014년 9월 말 F-35를 제작하는 미국 텍사스주 포스워스 공장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F-35의 EMP탄 방호 능력을 묻는 질문에 “기밀사항”이라고 전제한 뒤 “하지만 EMP탄 방호 능력은 낙뢰시험과 유사한데 F-35는 낙뢰시험을 통과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군사전문가들은 “F-35가 EMP탄에 대비한 최소한의 방호 능력을 갖추고 있거나 이미 보유하고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고 말했다.[2] 정비[원본 편집] 플로리다주 올랜도, 2017년 5월 2일 – 록히드마틴 F-35 프로그램의 차기 자율군수정보 시스템 (Autonomic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이하 ALIS)이 미 공군 및 해군의 F-35 시설에 설치되도록 승인되었다. 특히 이번 업데이트 버전은 수 차례 개량 작업을 통해 체계 기준치가 향상 되었고 전진 작전 및 지속성 관리를 위한 중요 능력을 제공한다. 록히드마틴 F-35 군수시스템 담당 리브스 발렌타인(Reeves Valentine) 부사장은 “F-35 운용자들은 이번 ALIS 업그레이드를 통해 시스템 내부에서 ‘만약의’ 시나리오를 예측할 수 있으며 오늘날 수동으로 수행되는 대부분의 작업을 대체할 수 있게 된다”며, “ALIS 2.0.2를 사용해 예측 및 판단을 내릴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전투기 수명주기 동안 최상의 전투기, 지원 장비, 예비 부품, 정비 인력을 배정 및 관리를 할 수 있으며, 축적된 데이터는 궁극적으로 전투기 효용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고 전했다.[3] 교체기종[원본 편집] F-35로 교체될 기종은 다음과 같다. AV-8B 해리어 II (미국) 해리어 GR7/9 (영국) 시 해리어 (영국) A-10 선더볼트 II F/A-18 F-16 파생형[원본 편집] USS 아메리카 (LHA-6)에 F-35B 10대, 공격헬기 1대, 수송헬기 2대, 오스프리 2대가 보인다. 일본이 이즈모형 호위함 2척에 F-35B를 배치할 계획이다. F-35 라이트닝Ⅱ(F-35 LightningⅡ)는 미국 군수 업체인 록히드마틴이 중심이 되어 개발해온 전투기다. 이 기종에는 다양한 특징이 있지만 가장 눈길을 끄는 건 기체 하나로 3가지 파생형 모델이 만들어진다는 것이다.[4] F-35A[원본 편집] F-35 시리즈 중 기본형이다. 2016년 8월 2일 IOC를 획득했다. 정상적으로 활주로로 이착륙하는 유형인 CTOL(conventional take-off and landing). 이 기체는 미 공군이 운용할 예정이다. 파생 기종 중 기체 중량은 가장 가볍지만 무장이나 연료를 가득 채우면 무게는 35톤에 이른다. 제트엔진 1개만으로 비행 가능한 단발기로는 상당한 무게다. F-35B[원본 편집] 기본형인 F-35A를 기반으로 엔진 추력을 더하고 조준 장치를 더한 단거리 이륙 수직 착륙기. STOVL(short take off and vertical landing) 모델이다. 이 모델은 미국 해병대가 사용한다. 짧은 활주로만 있으면 이착륙이 가능하지만 복잡한 노즐기구, 기체 정면에 추가한 이착륙용 리프트팬, 이를 구동하는 샤프트 등으로 중량이 늘어나 운동 성능이나 항속거리 심지어 무장 탑재량도 20% 가량 줄어든다. F-35B는 2015년 7월 IOC를 획득한 바 있다. 수직이착륙 버전은 내부무장창에 2천파운드 폭탄 2발을 장착할 수 없다. 천파운드 2발만 장착할 수 있다. 그래도 사실상 유일한 미국 전투기용 핵폭탄인 700파운드 B61 핵폭탄은 장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F-35C[원본 편집] 미 해군 운용을 위해 개발 중인 모델이다. 항공모함에서 이착륙하는 함재기(CATOBAR)에 요구되는 성능을 위해 주 날개와 수직 꼬리 날개, 수평 꼬리 날개를 대형화하고 양력장치를 강화하는 한편 기체 구조와 착륙 장치(어레스팅 후크), 착함용 와이어 스팅후크, 날개 접는 기구 등을 추가해 F-35B와 비슷한 무게를 지녔다. 날개를 대형화하고 장비를 단순화해 연료 용량을 늘렸기 때문에 표준형인 F-35A보다 항속거리가 길다는 것도 특징 가운데 하나다. F-35C는 미국 해군이 사용할 것이다. 호넷을 교체하기 위해 480대를 계획하고 있다. F-35C는 슈퍼호넷과 함께 항모에 배치될 것이며, 스텔스가 필요한 때에 사용될 것이다.[5] 2010년 10월, 영국은 수직이착륙기 F-35B의 계약을 전면 취소하고, 대신 F-35C를 도입하기로 하였다. 록히드 마틴의 신기술인 리프트 팬의 개발 지연으로 인한 문제 때문이다. F-35C는 영국 공군과 영국 해군이 병행하여 사용할 것이다.[6] 처음 계획한 150대 보다 적게 도입할 것이다. 영국 신형 항모인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은 만재배수량 65,000톤으로서, 보통 12대의 F-35C를 탑재하며, 최대 36대까지 탑재할 수 있다.[6][7] 2011년 7월 27일, F-35C의 시제기 CF-3는 래이크허스트 지상시험설비에서 처음으로 캐터펄트 이륙을 하였다.[8] 2011년 8월 13일, F-35C는 래이크허스트 시설에서 제트화염반사판(JBD) 테스트를 완료했다. 2013년 최초로 항공모함에서 캐터펄트 이륙시험을 할 계획이다(2013년 7월 테스트 완료). [9] 국제적 참여[원본 편집] F-35 리프트팬(lift fan); VTOL 추진 시스템은 영국 롤스로이스가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F-35의 내부도 주된 고객은 미군(USAF, USN, USMC)과 영국군(RAF, RN)이다. 8개국을 위한 세가지 레벨의 국제적 참여가 존재한다. 영국은 유일한 레벨 I 파트너이다. 20억 달러 이상을 투자했다. 레벨 II 파트너는 대략 10억 달러를 투자한 이탈리아와 8억 달러 정도를 투자한 네덜란드다. 레벨 III 파트너는 다음과 같다: 터키 : 1억 9500만 달러 오스트레일리아 : 1억 4천400만 달러 노르웨이 : 1억 2천2백만 달러 덴마크 : 1억 1천만 달러 캐나다 : 1억 6000만 달러 영국의 F-35B 관련[원본 편집] 영국은 유일한 레벨 I 파트너이다. 25억 달러fmf 투자했다. 영국 해군은 해리어 GR7/9, 시 해리어를 퇴역시켰다. 향후에 STOVL 방식의 수직이착륙기 F-35B 138대를 구매해, 미국 다음으로 수직이착륙기를 많이 구매하려고 했으나, F-35B의 리프트 팬 개발 지연이 알려진 이후, 전량 구매계획을 취소하고, CATOBAR 방식인 F-35C를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에 사용하기로 했다. F-35의 개발지연은 수직이착륙기 F-35B의 리프트 팬 개발 지연 때문이라고 보도되었다. 이로써 영국 해군은 1977년 건조된 인빈시블급 항공모함이래 40여년간의 수직이착륙기 시대를 마치고 다시 CATOBAR 방식으로 복귀했다. 그러나 영국은 곧있으면 현재 자국이 유일하게 보유중인 인빈시블급 항공모함이 퇴역예정이라 근 10년여간 항공모함 없이 해군을 이끌어야 하는 실정에 처해있다. 2012년 원안으로 회귀했다. 이미 갑판의 공사가 어느정도 이루어진데다 SVTOL에 맞춰서 설계했기 때문에 캐터펄트와 어레스팅 와이어를 설치하기 힘든 구조이다. 거기에다 캐터펄트 설치에 추가비용이 들고 결정적으로 1978년 어데셔스급 항공모함 아크 로열이 퇴역한 이래 영국은 CATOBAR 항공모함을 운용하지 않아 처음부터 다시 조종사들을 훈련시켜야 한다. 결국 F-35B형을 들여오는 것이 여러모로 C형을 들여와서 여러 부분을 보완하는 것보다 가격이 저렴해 STOVL로 돌아왔다. 고급 무기[원본 편집] 단거리 이륙과 수직착륙용의 리프트 팬을 설치하지 않으면 대략 100 ft3의 공간이 남게 된다.[10] 또한 27,000 hp 이상의 출력이 여유있게 되어, 20 MW의 전기출력을 생산할 수 있다.[11] 즉, F-35에 directed-energy weapon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무기로서, 고출력 레이저(solid state laser)와 고출력 마이크로웨이브 빔(high-power microwave beam)이 구상되고 있으며, 현재 실전배치가 가능한 상태까지 개발되었다.[12] 비용/중량의 논쟁들[원본 편집] 2004년을 지나면서 JSF의 총 프로젝트 비용은 23% 증가하여 2,440억 달러가 되었다. 주요 기술적 문제는 2200파운드(목표치의 8%) 초과했다고 알려진 F-35B 기종의 무게 문제였다. 이것은 STOVL 비행기가 요구된 성능을 만족시키지 못할 정도이다. 록히드 마틴은 엔진 추력을 증가시키고 비행기 표면을 얇게 하였으며, F-35B 무기 베이가 축소되었고, 수직꼬리날개가 작아지도록 하는 등 1톤 이상의 무게를 줄이는 방법으로 무게 문제를 점차적으로 풀어나갔다.[13] 보다 작아진 무기 베이는 F-35B가 2 x 1000 lb (450 kg) 무기들만을 내부에 장착할 수 있게 할 것이다.(이것은 최초설계 내용이며, 후에 2 x 2000 lb 요구사항이 추가되었다.) 이것은 적 방공망이 제압된 후에 주어지는 CAS 임무를 수행하기에도 부적당한 용량이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F-35B는 A형 C형에 비해 문제가 많으며, 가격 급상승의 요인이 되고 있다. F-35 1호기는 당초 2005년 10월에서 연기되어, 2006년 8월에 첫 비행을 할 것으로 보이며, 단거리 이륙 및 수직착륙 버전인 F-35B는 2007년 초에 첫 비행을 할 예정이다. F-35B의 경우 1,300 kg(3,000 lb)가량의 감량이 필요하고 F-35A과 F-35C의 경우는 600 kg 이상의 감량이 필요하다.[14] 호주의 참여[원본 편집] 2005년 5월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당초 2006년에 결정하기로 했던 JSF 사업 참여결정을 2008년까지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따라서 현재 임기가 지난 후에 결정을 하겠다고 한다. 호주의 로비단체, 정치인들, 언론들 사이에서는 F-35가 호주 공군의 F-111과 F/A-18 전투기들을 적시에 교체할 수 있도록 생산될 수 있을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것들은 비용대 효과의 문제, 도그 파이팅 능력, 항속거리의 짧음, 그리고 슈퍼크루즈 기능의 부재에 대한 것들이다. 호주정부는 또한, 완성된 F-22를 구입하는 비용이 JSF 사업에 투자하는 비용보다 별로 많이 안든다고 이의제기를 한다.[15] 2005년자 Jane’s Defence weekly는 F-22의 가격을 1억5천1백만 달러(약 1천5백10억원)로 본다. 이는 현재의 F-22 공중전 전용기에 JSF와 같은 공대지 타겟팅 성능을 위한 업그레이드를 할 경우에 대당 2억 달러(약 2천억원)정도일 것이라고 한다. 호주정부는 이러한 정보를 고려하여 그러한 이의제기를 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F-35 도입 프로그램은 F-22 도입보다 더 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 호주 국방장관은 F-35 프로그램이 계속지연되자 슈퍼호넷을 도입을 이르렀다. 기종은 내년에 결정되고 슈퍼호넷을 선택하면 F-35 프로그램을 포기한다고 밝혔다. 대한민국[원본 편집] 대한민국 방위사업청은 3차 FX 사업으로 준 스텔스 성능을 가진 4.5세대 전투기인 F-15SE를 선정하였으나, 이후 일부 공군 장성출신들의 반대와 정부 내 록히드 마틴 옹호세력에 의해 F-35A를 FMS(수의계약)으로 40대를 7조 4천억원에 도입하기로 했다. 대당 1850억원 정도이다. 최초 록히드마틴은 대한민국 예산안에서 60대와 절충교역의 내용으로 제시했지만, F-35의 가격상승으로 계약은 40대로 하게 되었다. 2018년 3월에 대한민국 공군 소속 F-35 1호기가 공장에서 출고되었다.[16] 변동이 없다면 17 전투비행단에 퇴역이 임박한 F-4E를 교체하면서 총 40대가 우선 인도되고 높은 확률로 20대가 추가 도입될 계획이다.[17] 별도의 사업으로 대한민국은 한국항공우주산업을 중심으로 록히드 마틴, 인도네시아와 함께 KFX를 개발중이다. KFX는 F-35 라이트닝 II와 길이, 무게, 외양이 모두 비슷한데, 엔진만 2개를 탑재했다. 물론 KFX 쌍발엔진의 출력은 F-35 단발엔진 출력과 비슷하다. 2018년 3월 29일, F-35A 1호기가 미국에서 출고되었다. 북한의 반발을 고려해 국방부 장관과 차관이 출고식에 불참했다. 공군참모총장 대신 참모차장이 참석하고 방위사업청장도 불참했다. 2019년 3월 29일, 오후 2시 30분에 F-35A 2대가 청주공군기지에 도착했다. 22일 F-35A 5호기와 6호기는 미국 애리조나주의 루크 공군기지에서 출발해 하와이에 중간 기착했으며, KC-135의 공중급유를 받으며 총거리 13,800 km를 비행했다. 5호기와 6호기는 5월에 실전배치될 계획이다. 매달 2대씩 청주공군기지의 제17전투비행단 (대한민국)에 배치되어, 2019년에 모두 10대가 배치될 계획이다. 1~4호기는 미국에서 성능 검사 및 조종사 전환 교육에 투입되고 있다. 2021년까지 F-35A 40대가 배치된다. 한국은 아시아에서 3번째, 세계 8번째 스텔스 전투기 보유국이 되었다. F-35A는 스텔스 기능이 강점으로 꼽힌다. 레이더에 포착되는 크기가 F-15K의 100분의 1 수준이다. 즉 스텔스 성능이 100배 높다. 레이더에 얼마나 잘 포착되는지를 나타내는 기준 척도가 RCS라는 개념인데 북한이 운용하는 미그 29가 5㎡, 한국 공군의 주력기종 F-16이 1㎡인 반면 F-35A는 0.0001㎡에 불과하다. 유사시 백두산 까지 F-35A로 핵시설이나 미사일 기지를 야간 정찰하면, 북한이 영공을 침입했는지 여부 조차 알 수 없다는 의미일 수 있다. 중국이 F-35는 물론 F-22도 포착할 수 있다고 큰소리쳤던 신형 레이더 JY-27이 시리아에 배치되었는데, 최근 이스라엘 공군의 F-35A에 공습당해 파괴되었다. 스텔스 기능으로 적의 지대공 레이더와 적기의 레이더에 탑지되지 않으면서, AN/APG-81 레이더는 가동하더라도 적에게 잘 탐지되지 않는 전파를 발산해 적 전자정찰 장비에 쉽게 포착되지 않는데, 150 km 전방에 있는 23개 공중 표적 중에서 3초 안에 19개를 찾았낸다. 2017년 9월 23일, 10월 10일 2차례 괌의 앤더슨 공군기지에서 이륙한 B-1B 전략폭격기 2대가 야간에 북한에 매우 근접해 위협비행을 했는데, 북한은 2번 모두 야간에 지대공 레이더를 켜지 않았다. 아무런 레이더 신호도 없었고, 미그 전투기의 스크램블 (전투기) 비상출격도 없었다. B-1B 전략폭격기에 비하면 F-35A 스텔스 성능은 수십만배 높다. 트럼프 행정부[원본 편집] 2016년 12월 12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는 트위터에서 "F-35 구매계획과 비용은 통제 불능이다. 수십억 달러가 절약될 수 있고 그렇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 국방부는 록히드 마틴으로부터 1조 4000억달러(1642조원)를 들여 F-35 스텔스 전투기 2443대를 도입할 계획이었다. 전투기 구매비용은 전투기 본체 구매비용에 부수비용을 포함한다. 부수비용은 전체 사업비의 30%를 차지한다. 군수지원, 예비 부품, 수리보수, 훈련프로그램, 시뮬레이션 센터, 운용 부대 창설과 기지 구축비용 등을 말한다.[18] 2016년 12월 22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는 트위터에 "록히드 마틴 F-35의 엄청난 비용으로 경비가 초과하는 점에 근거해 보잉에 F-18 슈퍼 호넷의 가격 견적을 요청했다"고 적었다. 2010년 보잉은 미국에 대당 4990만 달러(한화 약 531억 원)에 F-18 슈퍼 호넷을 판매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는 2000년의 6800만 달러보다(약 722억 원)는 크게 낮은 것이다.[19] 대당 4990만 달러에 2457대면 1226억 달러(144조원)이다. 2017년 1월 27일, 제임스 매티스 미국 국방장관이 F-35 차세대 스텔스 전투기 구매계획에 대한 재검토를 공식 지시했다.[20] F-35 핵전폭기[원본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B61 핵폭탄입니다. B61 핵폭탄의 최신버전인 B61-12가 10조원의 비용으로 개발되어, F-35의 내부무장창에 탑재될 계획이다. F-35는 현재의 F-16 핵전폭기의 임무를 대체하게 된다. 기존의 B-61-3/4/710 버전이 100 m의 CEP를 갖는데 비해, B61-12는 30 m의 CEP로 향상될 것이다. 현재 네덜란드, 벨기에, 터키의 F-16, 독일, 이탈리아의 파나비어 토네이도에 미국 공군의 B61 핵폭탄이 장착되어 있다. 네덜란드 JSM 미사일은 F-35 내부무장창에 탑재가능한 장거리 공대지 순항미사일이다. 사거리 560 km, 탄두중량 230 kg이다. 프랑스와 이스라엘은 탄두중량 200 kg 300 kt 수소폭탄을 공대지 순항미사일에 장착한다. JSM에 프랑스와 이스라엘 처럼 300 kt 수소폭탄을 장착하면, F-35 전투기가 장거리 핵미사일을 갖게 된다. 일본이 JSM 도입을 추진중이다. 한계[원본 편집] L 밴드 레이다[원본 편집] F-22, F-35에 사용된 스텔스 도료는 X 밴드 레이다에 대한 저탐지 도료이다. X 밴드는 7.0-11.2 기가헤르츠 주파수 대역을 말한다. 따라서, 파장이 긴 S 밴드(2-4 기가헤르츠) 레이다에는 저탐지성이 제한적이다. 보다 파장이 긴 L 밴드(1-2 기가헤르츠) 레이다에서는 더욱 탐지되기 쉽다.동시에 rwr같은 경보장치에 l밴드 레이다가 기존 x밴드레이다 보다 더 취약하고 탐지시 정밀도가 떨어져 고속으로 이동하는 전투기를 상대로는 오차가 크게나 교전시 미사일 유도용으로 쓸수가 없기에 활용도는 제한적이다[21] 따라서, 러시아 스텔스기인 수호이 T-50 PAK FA은 적 스텔스기 요격을 위해 L 밴드 AESA 레이다를 장착했다. 독도함에서도 L 밴드 AESA 레이다인 SMART-L 레이다를 사용한다. 모스크바 에어쇼 2009에서, 러시아 회사는 Tikhomirov NIIP L-band AESA 레이다를 전시했다. Su-27에 장착할 수 있다. IRST[원본 편집] IRST는 적외선 열탐지 장치를 말한다. F-35에는 노드롭이 개발한 EO-DAS와 록히드가 개발한 EOTS, 두 종류의 IRST가 탑재되며 EO-DAS는 근거리 탐지용 360도 구형으로 전방향 감시가 가능하고 EOTS는 장거리 탐지 및 지상공격용으로 사용된다. 러시아 스텔스기인 수호이 T-50 PAK FA에 탑재된, 360도 전방향 탐지가 가능한 OLS-50 IRST 시스템의 경우, 전술기를 70 km 거리에서 포착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스텔스기는 추진 기관에 바이패스 냉각 같은 적외선 감소처리를 하기에 그보다는 훨씬 줄어든다. 모의공중전[원본 편집] 레드 플래그 – 알래스카 2012에서 F-22는 IRST를 장착한 독일 공군의 유로파이터에게 근접전에서 격추되었다. EADS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전투에서는 조기경보기의 도움을 받은 4대의 유로파이터가 8대의 F-35에 승리했다.[22] 2015년 1월 미국 캘리포니아 에드워드 공군기지 1만~3만 피트 상공에서 31톤 5세대 F-35와 20톤 4세대 F-16D 블록 40 전투기가 17회의 근접전(Dogfight)을 벌였다. 실제 무장은 하지 않고 시뮬레이션 공격만 했다. F-35의 기동성이 훨씬 나빠서, 대패했다. 2인승인 F-16D는 보조연료탱크를 두 개나 단 무거운 상태였다. F-35의 시제기 AF-2 2호기는 임무체계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지 않아 적기가 F-35를 발견하기 전에 F-35가 먼저 적을 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할 수 없었다. 또한 스텔스 특수코팅이 적용되지 않았고, 조종사가 항공기의 방향을 움직이지 않고도 헬멧으로 무장을 조준, 발사하도록 하는 무장이나 소프트웨어가 탑재돼 있지 않았다. 순수한 기관총 근접전(Dogfight)의 기동성능 테스트였다. 완전한 버전의 F-35A 4대와 F-16D 블록 40 4대의 편대간 공중전에서는 F-35가 완승했다.[23] F-35 전투기가 원래의 기능과 성능을 갖춘 상태에서 공중전을 펼친다면, F-16D는 격추될 때까지 F-35의 존재도 파악할 수 없다.[24] F-35는 선회 중 기체의 속도를 낮추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독파이팅에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엄청난 자동화가 이루어진 F-35를 이전 기체들처럼 움직이려다 보니 되려 조종을 할 후 없는 상태에 빠지고들 한다. 많은 부분이 자동화 제어가 되어있는 바람에 한계까지 몰아붙이지 못한 까딱이다. 엔지니어들은 자동 제어 이상의 기동이 불필요하다고 생각했지만, 두 손을 묶고 싸우는 것 같다는 조종사들의 의견을 수렴해 기체의 시스템을 수정하였고, 이젠 근접전마저 F-35가 재패하게 되었다. 2015 모의전 이후부터 좋은 성적을 쌓으며, 2015 레드 플래그 훈련에서는 20 대 1이라는 격추비를 보여주었다. [25] 제원[원본 편집] AN/APG-81. F-35 전투기의 레이다다. 일반 특성 조종사 : 1 길이 : 51.4 ft (15.67 m) 폭 : 35 ft (10.67m) 높이 : 14.2 ft (4.57 m) 날개면적 : 460 ft(42.74 m^2) 공 중량 : 29,300 lb (13,170kg) 무장시 중량 : 49,540 lb (22,470 kg) 최대이륙중량 : 70,000 lb (31,800 kg) 레이다 : AN/APG-81 엔진 : 1× 프랫 앤 휘트니 F135 후기연소기가 장착된 터보팬엔진, 추력 : 43,000 lbf (178kN) Secondary (High Performance), 현재 예산안에는 중단된[26]: 1x General Electric/Rolls-Royce F136 afterburning turbofan 178 kN thrust Lift fan (STOVL): 1x Rolls-Royce Lift System in conjunction with either F135 or F136 power plant 18,000 lbf (80 kN) thrust) 성능 최대속도 : Mach 1.6 (~1,200 mph, 1930 km/h) 순항속도 : Mach (mph, km/h) 전투행동반경 (내부연료)[27] F-35A: 1,093km F-35B: 833km F-35C: 1,100km 항속거리반경 (내부연료) F-35A: 2,222km F-35B: 1,667km F-35C: 2,593km (F-35A보다 길다.) 운용고도 : 48,000 ft (15,000 m) 상승률 : 40,000 ft/min[13] (200 m/s) Wing loading : 91.4 lb/ft² (446 kg/m²) 추력대중량비 : 100% 연료:0.968, 50% 연료 : 1.22 무장 1x GAU-12/U 25 mm 기관포. F-35A에 탑재 공대공 미사일 : AIM-120 AMRAAM, AIM-9 사이드와인더 폭탄 : JDAM, JSOW, SDB 공대지 미사일: HARM, AGM-158 JASSM, 스톰 섀도 기타 F-35A . F-35B . F-35C. 가격: F-35A: 1.53억 달러(약 1700억원) 최초 비행 - X-35 시제기기: 2000년 F-35A 최초 비행 예정일 - 2006년 8월 실전배치: 2016년에서 2018년 사이.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A will be brought into service first followed by the B. 함재기 버전은 2017년에 실전배치될 것이다. 생산자 록히드 마틴 항공(Lockheed Martin Aeronautics): 주사업자 최종 조립 전체적인 시스템 인티그레이션 Mission system 전방 동체(Forward fuselage) 날개 노스럽 그루만 AESA(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레이다 가운데 동체(Center fuselage) Weapons bay Arrestor gear BAE Systems 측면 동체(Aft fuselage), empennages 수직, 수평 꼬리날개 조종석 전자전 시스템 F-35는 최신 기체답게 전자전에도 강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북한의 방공망을 무력화할 수 있는 수준이다. 그러나 더 업그레이드될 수 있다. 미 안보 전문매체 더 내셔널 인터레스트(TNI)에 따르면 미 해군은 러시아와 중국의 최신예 지대공 미사일 망에 탐지되지 않고 상대 레이다망에 방해전파를 발사해 무력화하는 차세대 전자전체계(NGJ)를 오는 2021년까지 실전 배치할 계획이다. 미 해군은 또 통상의 레이다 경보 수신기가 방어만 가능한 것을 보완하려고 F-35 스텔스기나 F/A-18 슈퍼 호넷 등 주력 전투기에도 NGJ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해 전자전 공격 능력을 향상한다는 계획이다. 미 해군은 EA-18G기용 NGJ 135세트를 도입한 후 다시 이를 다른 기종에도 확대하기로 했다. 레이시온 고위 관계자는 "NGJ가 전자전 역사에 중요한 이정표를 마련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미 해군이 러시아와 중국의 대공망을 무력화해 전력 우위를 가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28] 연료 시스템 무장 제어 소프트웨어(FCS1: Flight Control Software) 같이 보기[원본 편집] 스텔스 5세대 전투기 미쓰비시 ATD-X 대한민국 차세대전투기 사업(KFX) 관련 개발 록히드 마틴 X-35 F-22 랩터 유사 항공기 수호이 PAK FA 관련 목록 전투기 목록 헬멧 마운티드 디스플레이(en:Helmet mounted display) 참고[원본 편집] 각주[원본 편집] ↑ 韓공군 F-35 가격 낮아질 듯‥LM, 원가절감시행, 뉴데일리, 2016. 7. 15 ↑ F-35A, EMP탄 방호 능력도 갖춘 듯, 문화일보, 2014. 10. 10 ↑ 록히드마틴, F-35 전투기의 군수 시스템 신규 능력 지원, 유용원의 군사세계, 2017. 5. 4 ↑ 스텔스 전투기 F-35…15년 고난의 개발사, 테크홀릭, 2016. 8. 8 ↑ "F-35C Carrier Variant Joint Strike Fighter (JSF)." GlobalSecurity.org. Retrieved: 16 June 2010. ↑ 가 나 "Securing Britain in an Age of Uncertainty: The Strategic Defence and Security Review." Archived [날짜 없음], - 영국 정부 웹 아카이브 HM Government, 19 October 2010. Retrieved: 19 October 2010. ↑ "CDS on the SDSR." Ministry of Defence (United Kingdom), 24 November 2010. ↑ "Catapult launches F-35C for the first time." Naval Air Systems Command, 27 July 2011. Retrieved: 29 July 2009}} ↑ “F-35C completes jet blast deflector testing” (보도 자료). NAVAIR. 2011년 8월 22일. 2011년 8월 23일에 확인함.  ↑ Morris, Jefferson (26 September 2002). Keeping Cool A Big Challenge For JSF Laser, Lockheed Martin Says. Aerospace Daily Retrieved Feb. 08, 2006. ↑ Fulghum, David A. (July 8 2002). Lasers Being Developed for F-35 and AC-130. Aviation Week and Space Technology Retrieved Feb. 08, 2006. ↑ Fulghum, David A. (July 22 2002). Lasers, HPM Weapons Near Operational Status. Aviation Week and Space Technology Retrieved Feb. 08, 2006. ↑ Fulghum, David A.; Wall, Robert (19 September 2004). USAF Plans for Fighters Change Archived 2006년 6월 29일 - 웨이백 머신. Aviation Week and Space Technology Retrieved Feb. 08, 2006. ↑ 항공우주분야 소식 2004. 10호 ↑ Related discussions and analyzes on Air Power Australia web site. ↑ 공군 F-35A 초도기 도착인수 약간 지연될 듯, 유용원의 군사세계, 2016. 12. 6 ↑ 韓 F-35 조종사, 2018년 미국서 교육…기체 2대 이양, 이데일리, 2014. 10. 10 ↑ 록히드마틴 "F-35A 가격, 2019년이면 900억원 될 것", 뉴시스, 2014-03-21 ↑ F-35와 F-18수퍼호넷, 타이푼 일본 상공서 공중전, 아시아경제, 2011-09-02 ↑ 美국방, F-35기·에어포스원 구매계획 재검토 공식 지시, KBS, 2017-01-28 ↑ http://www.ausairpower.net/APA-NOTAM-140909-1.html ↑ [F-X 3차 사업 어디로] 유로파이터 '타이푼' 세계최강 '랩터'에도 우세, 세계일보, 2013-08-15 ↑ “F-35 근접전 패배는 단순 비행시험일 뿐”, 국방일보, 2015. 7. 5 ↑ F-16 전투기, F-35와 대결하니 "전멸"‥왜?, 뉴데일리, 2015. 7. 3 ↑ Here's why the F-35 once lost to F-16s, and how it made a stunning comeback, 비즈니스 인사이더, 2017. 4. 18 ↑ Watson, Ian (22 January 2006). Bush rejects Blair’s pleas to save F-35 contract for Rolls-Royce[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Business Online, UK Retrieved Feb. 08, 2006. ↑ 하늘의 포르쉐 911 GT3 RS, `록히드마틴 F-35 라이트닝 II 조인트 스트라이크 파이터`, 매일경제, 2015. 12. 11 ↑ 美, 러'ㆍ中 방공망 뚫는 차세대 전자전체계 배치 서둘러, 연합뉴스, 2016. 10. 6 문헌[원본 편집] Borgu, Aldo. A Big Deal: Australia's Future Air Combat Capability. Canberra: Australian Strategic Policy Institute, 2004. ISBN 1-920722-25-4. Gunston, Bill. Yakovlev Aircraft since 1924. London: Putnam Aeronautical Books, 1997. ISBN 1-55750-978-6. Keijsper, Gerald. Lockheed F-35 Joint Strike Fighter. London: Pen & Sword Aviation, 2007. ISBN 978-1-84415-631-3. Kopp, Carlo and Peter Goon. "Joint Strike Fighter." Air Power Australia. Retrieved: 15 July 2007. Spick, Mike. The Illustrated Directory of Fighters. London: Salamander, 2002. ISBN 1-84065-384-1. Winchester, Jim. "Lockheed Martin X-35/F-35 JSF." Concept Aircraft: Prototypes, X-Planes and Experimental Aircraft. Thunder Bay Press, 2005. ISBN 1-59223-480-1. Spick, Mike (2002), The Illustrated Directory of Fighters. Salamander ISBN 1-84065-384-1 Kopp, Carlo; Goon, Peter, Australian Aviation, JSF related articles. 외부 링크[원본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F-35 라이트닝 II Official JSF web site Official Team JSF industry web site [깨진 링크([http://web.archive.org/web/*/http://www.jsf.org.uk/ 과거 내용 찾기)] JSF UK Team][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F-35 - Royal Air Force US Navy Research, Development & Acquisition, F-35 page F-35 - Global Security F-35 profile and F-35 weapons carriage on Aerospaceweb.org F-35 Lightning II News on f-35jsf.net F-35B Roll out pictures F-35 Article - Armed Forces F-35 photo gallery Data on the F-35 Joint Strike Fighter (JSF) by the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Global Security on the F-35 JSF Program [1] vdeh록히드 마틴제품 이지스 AN/SPY-1 ASROC ATACMS 아틀라스 미사일 C-5 C-130 우주왕복선 외부연료탱크 밀스타 M270 MLRS F-16 F-22 랩터 F-35 F-117 JASSM 재블린 JCM 헬파이어 P-3 프레데터 SBIRS THAAD T-50 트라이던트 미사일 트라이던트 II VH-71/US101 U-2 AN/FPS-117 KH-11 KH-12 KH-13 MEADS 회사 정보 웹사이트 연간 매출액: $35.5 billion USD (FY2004) 종업원수: 135,000명 종목명칭: NYSE: LMT vdeh사용 중인 미국의 군용기전투기 AV-8B 해리어 II F-15 F-15E F-16 F/A-18 호넷 F/A-18E/F 슈퍼 호넷 F-22 랩터 F-35 라이트닝 II 폭격기 B-52 스트래토포트리스 B-1 랜서 B-2 스피릿 정찰기 GNAT-750 MQ-1 프레데터 RQ-2 파이오니어 RQ-4 글로벌 호크 RQ-7 섀도 MQ-9 리퍼 록히드 U-2 MQ-1C 워리어 수송기 C-2 그레이하운드 C-5 갤럭시 C-9 스카이트레인II C-17 글로브마스터III C-20 걸프스트림III C-21 리어젯 보잉 C-22 보잉 C-32 C-37 걸프스트림V C-40 클리퍼 C-130 허큘리스 C-130J 슈퍼 허큘리스 C-135 스트래토리프터 조기경보기 E-2 호크아이 E-3 센트리 E-8 조인트스타스 훈련기 T-1 제이호크 T-37 트윗 T-38 탤론 보잉 T-43 T-6 텍산 II T-34 멘터 T-39 사브렐라이너 T-2 버크아이 T-44 페가수스 T-45 고스호크 헬기 SH-3 시킹 SH-60B/F 시호크 AH-1 코브라 AH-6J 리틀버드 AH-64 아파치 CH-46 시나이트 CH-47D/F 치누크 CH-53E 슈퍼스탤리온 MH-6J/M 리틀버드 MH-47G 스페셜 오퍼레이션 치누크 MH-53J/M 페이브로우 III/IV MH-60K/L/M 블랙호크 MH-60S 시호크 OH-58A/C/D HH-60G 페이브호크 HH-60H 시호크 MH-68A 스팅레이 VH-3A/D 시킹/마린원 VH-53D 시스탤리온/마린원 VH-60L 블랙호크 VH-60N 나이트호크/마린원 UH-1 이로쿼이 UH-3H 시킹 UH-60A/L 블랙호크 V-22 오스프리 공격기 A-10 썬더볼트 II A-37 드래곤플라이 공중급유기 KC-135 스트래토탱커 보잉 KC-767 KC-45 KC-10 익스텐더 KCS-3 바이킹 기타 S-3 바이킹 보잉 VC-25A 에어포스원 EP-3E 에어리즈II 보잉 E-4B 나이트워치 E-6 머큐리 EA-6B 프라울러 TH-57A 시레인저 TH-67A 크리크 P-3 오라이온 보잉 YAL-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F-35_라이트닝_II&oldid=24435974" 분류: 미국의 전투기공격기함재기스텔스기수직 이착륙 항공기록히드 마틴 항공기2006년 첫 비행한 항공기단발 제트기숨은 분류: 웹아카이브 틀 경고웹아카이브 틀 기타 아카이브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BrezhonegCatalàکوردی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Latviešu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ייִדיש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6일 (일) 12:4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F-35 라이트닝 II(영어: Lockheed Martin F-35 Lightning II)는 미국과 영국이 공동으로 설계한 3군 통합 전투기(JSF: Joint Strike Fighter)이자 스텔스 다목적 전투기다. 제공권 우위 확보와 공격 임무 수행을 위한 전투기로 개발되었다. 대한민국 공군의 전투기는 F-35A 프리덤 나이트라고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F-35가 승인되고 오늘날까지 사용된 과정은 무엇인가? Assistant: 플로리다주 올랜도, 2017년 5월 2일 – 록히드마틴 F-35 프로그램의 차기 자율군수정보 시스템 (Autonomic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이하 ALIS)이 미 공군 및 해군의 F-35 시설에 설치되도록 승인되었다. 특히 이번 업데이트 버전은 수 차례 개량 작업을 통해 체계 기준치가 향상 되었고 전진 작전 및 지속성 관리를 위한 중요 능력을 제공한다. 록히드마틴 F-35 군수시스템 담당 리브스 발렌타인(Reeves Valentine) 부사장은 “F-35 운용자들은 이번 ALIS 업그레이드를 통해 시스템 내부에서 ‘만약의’ 시나리오를 예측할 수 있으며 오늘날 수동으로 수행되는 대부분의 작업을 대체할 수 있게 된다”며, “ALIS 2.0.2를 사용해 예측 및 판단을 내릴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전투기 수명주기 동안 최상의 전투기, 지원 장비, 예비 부품, 정비 인력을 배정 및 관리를 할 수 있으며, 축적된 데이터는 궁극적으로 전투기 효용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고 전했다.[3]
Human: 아래 근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근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근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근세(近世, early modern period)는 서양의 중세와 근대 사이의 시기이다. 이를 다시 근세와 근대로 나누기도 하며, 근대는 대개 프랑스 혁명 이후부터 20세기 초엽(주로 제1차 세계대전 발발 직전)까지를 가리키며, 근세는 그 이전을 일컫는다. 목차 1 개요 2 유럽의 근세 2.1 프랑스와 영국의 왕권 강화 2.2 르네상스 2.3 종교 개혁 2.4 지리상의 발견 2.5 신대륙 식민 3 한국의 근세 4 같이 보기 5 참고 문헌 개요[편집] 서구의 중세 봉건사회는 로마 교회의 교황을 정점으로 하는 강력한 정신적 공동체로 그 명맥을 이어왔으나 수차에 걸쳐서 감행된 십자군 원정 이래 로마 교회의 권위와 위신은 땅에 떨어지고 말았다. 또한 십자군 운동은 직접 혹은 간접으로 상업의 부활과 도시의 발달을 촉진시키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상업의 발달은 화폐의 통용을 가져왔고 화폐경제의 대두는 필연적으로 농업을 주로 하는 봉건사회 내부에 변화를 일으켰다. 즉 봉건 지대(地代)의 금납화(金納化) 과정이 도처에서 실시됨으로써 장원제를 서서히 해체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한편 정치적인 측면에서 15 16세기 유럽을 개관해 보면 소위 근대적 국민국가가 탄생한 시기이기도 하다. 영국은 프랑스와의 백년전쟁을 하는 동안 싹이 튼 강렬한 민족의식을 바탕으로 국민들의 의지를 하나로 묶을 수가 있었으며, 봉건제후(封建諸侯) 사이에 벌어졌던 장미 전쟁을 계기로 왕권을 강화시키는 데 좋은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하여 튜더 왕조가 성립되었던 것이다. 15-16세기는 정치·경제면만의 변혁기가 아니었고, 정신적으로도 커다란 혁명을 일으킨 시기이기도 하다. 서양 근대문화의 모체가 된 문예 부흥 운동은 인간의 정신활동 모든 분야에서 전개되었지만 그 중심 사상은 특히 미술과 문학에서 찾아볼 수 있다. 르네상스의 근본정신은 현세를 존중하는 인간중심적인 사고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탈리아는 십자군 운동 이래 동방무역의 중심지가 되어 부의 축적과 병행하여 외부로부터 정신적인 영향을 어느 국가보다 먼저 받았으며, 14세기 중엽 이탈리아에서 르네상스 운동이 발흥하였고, 16세기 중엽까지 전성기를 구가하였다. 한편 16세기 초엽 독일에서는 인문주의자와 신학자들이 중심이 되어 중세 로마 교회의 미신적 교리와 교권에 항거하고 초대 교회의 정신으로 복귀하기 위한 개혁 운동을 전개했다. 이와 같은 개혁운동은 보헤미아의 후스, 영국의 위클리프를 거쳐 마침내 루터에 이르러 실현을 보게 되었다. 그리하여 제네바의 칼뱅과 스위스의 츠빙글리 등은 각각 타당한 명분을 내걸고 로마 교회와 대결하여 개혁운동을 촉진시켰다. 이 개혁 운동은 단순히 로마 교회에 대한 항거라는 차원에서 끝나 버린 것이 아니고 정치·경제·사회 각 방면의 개혁에도 적지 않은 공헌을 하였다 서아시아에서는 티무르(Timur)가 나타나 차가타이 한국·일 한국과 오스만 투르크를 정복한 다음 강대한 국가를 수립하였으나 얼마 안 가서 티무르는 죽고 말았다. 그의 제국도 분열되고 티무르 제국에서 벗어난 오스만 투르크는 소아시아 방면에서 강력한 신흥국가로 등장하여 소아시아 지역을 휩쓸었다. 1453년 모하메드 2세 때에는 동로마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을 공략하였다. 1000여 년간 지속되어 오던 비잔틴 제국도 종말을 고하고 말았다. 오스만 투르크는 세력을 계속 신장시켜 16세기 초에는 발칸반도 전역을 복속시켰다. 그래서 1517년 오스만 투르크의 술탄(Sultan, 황제)이 이슬람 세계의 칼리프로 군림하던 무렵에는 그 막강한 세력으로 서유럽을 위협함으로써 새로운 위기를 조성시켰다. 이 무렵 인도에서는 티무르 제국이 성립한 후 토후국(土侯國)으로 분열상태를 계속해 오다가 티무르의 후계인 바벨(Babel)이 델리 정권을 타도한 다음 무굴 제국을 건설하였다. 14세기 중엽부터 원조(元朝)의 정치세력이 쇠약해진 틈을 타서, 오랫동안 그 압제하에서 신음하던 한족(漢族)은 반란을 일으켜 몽골족을 다시 사막으로 추방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명(明)은 중앙집권 국가를 수립하자 즉시 한민족(漢民族)의 중흥과 한문화의 재건에 착수하였다. 영락제(永樂帝)는 북원(北元)의 잔존세력을 소탕하고 남방에는 정화(鄭和)를 파견, 명의 국위를 널리 선양하였다. 그러나 명조(明朝)도 중기에 이르자 대외적으로는 소위 북로남왜(北虜南倭)로 곤경에 빠지게 되고 대내적으로 환관(宦官)의 횡포와 당파싸움에 국세는 차츰 기울어지기 시작하여 만주에서 일어난 여진족에 의해서 멸망하였다. 유럽의 근세[편집] 프랑스와 영국의 왕권 강화[편집] 백년전쟁은 그것이 단순히 왕위 계승이나 플랑드르 쟁탈을 에워싼 100년 간의 전쟁이라기보다는 오히려 프랑스 출신 영국 왕실이 프랑스 국내에 갖고 있는 봉토에 대한 지배권(知行權)을 둘러싸고 되풀이된 영국·프랑스 사이의 고질적인 분쟁의 계속에 불과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양국이 봉건제도를 극복하고 국가의 민족적 통일을 성취하는 때에 해당하며 영국·프랑스의 봉건적 제세력을 많이 동원함으로써, 특히 프랑스에 있어서는 국내 봉건 제후 내부의 투쟁이기도 하였으며, 제후의 몰락과 왕권의 신장, 국민 의식의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하였다. 프랑스에서는 샤를 7세, 루이 11세, 샤를 8세에 의한 전후 재건을 통해서 왕권이 정비되었다. 영국에서 전후 또다시 제후, 기사들을 휘말아버린 30년에 걸친 내전인 장미전쟁이 일어났으며, 그 결과 등장하는 튜더 왕조의 헨리 7세에 의해 영국 절대주의가 등장하였다. 르네상스[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르네상스입니다. 영국, 프랑스에 왕권이 신장되고 있던 시대에 독일과 함께 이탈리아는 분열 상태가 계속되었고 남부에서 나폴리 왕국, 중부에서 로마 교황령, 북부에서는 십자군 이후 동방 무역으로 이익을 거둔 도시가 주변 농촌까지도 지배하에 두고 도시 국가로 번영하고 있었다. 베네치아 공화국, 제노바 공화국, 피렌체 공화국 등 북부 이탈리아의 도시 공화국을 무대로 부유한 상인층을 기수로 하여 이탈리아 르네상스가 전개되었다. 이탈리아는 당시 동방 무역을 통해서 이슬람의 문화나 고대와 고전의 학문·예술 등이 유입되고 있었으며, 고대 로마의 옛 영토로서 유적과 유물에 접하는 기회가 풍부하였다. 유럽 중세의 신에 대해 고대 그리스·로마의 인간이 대치되어 피안적(彼岸的)이 아니고 차안적(此岸的)·개인주의적이며 현실주의적인 생의 약동에 찬 문화가 시민 계급에 의해 이 곳에서 창조되기에 이르렀다. 단테는 《신곡》을 써 르네상스의 선구가 되었고, 페트라르카, 조반니 보카치오가 문학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 한편 르네상스 예술은 조토 디 본도네에서 시작해 보티첼리를 거쳐 레오나르도, 라파엘로, 미켈란젤로가 출현하여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이즈음 마키아벨리는 《군주론》을 써서 분열하고 있던 이탈리아의 통일을 호소하였다. 이탈리아 르네상스는 알프스를 넘어 북방 서구 여러 나라에 파급되고, 제각기 나라별로 독자적인 형태를 취하면서 16세기에 전성기를 맞이한다. 그러나 그것은 이탈리아의 단순한 모방 따위는 아니다. 네덜란드나 남독일과 같이 도시를 기반으로 하면서 때로는 프랑스·에스파냐·영국처럼 왕권에 의한 국가 통일을 배경으로 르네상스는 싹터 가고 있었다. 예를 들면 네덜란드의 경우와 같이 벌써 15세기 초에 반 에이크 형제에 의한 사실적인 풍경화·초상화가 뒤의 플랑드르파의 기초를 만들고 있었으며, 반대로 형제에 의해 발명되었다는 유화법은 베네치아의 화가를 통하여 이탈리아로 전해졌다. 영국에서는 위클리프의 성서 영역, 초서의 《캔터베리 이야기》를 통해서 영국 국민 문학의 토대가 마련되어 있었다. 더욱이 서구 여러 나라의 르네상스는 깊은 종교성 속에서 전개되었고, 특히 그 휴머니즘은 그리스어, 헤브라이어 원전(原典)에 의한 성서 연구를 통해서 종교개혁 운동으로 연결되었다. 남북 유럽을 연결시키는 상업의 중심지이며 모직물 공업이 왕성한 네덜란드에서는 농민의 생활을 밝게 묘사한 브뤼헐이나 시민의 세계를 묘사한 루벤스, 렘브란트 등이 활동하였다. 16세기 최대의 휴머니스트라고 불린 에라스무스는 신약성서를 그리스어 원전으로 연구하고 《치우신 예찬》에서 교회의 부패를 풍자했다. 독일에서 르네상스는 종교성으로 짙게 채색된다. 로이힐린, 멜란히톤의 인문주의적인 성서 연구, 뒤러의 회화가 그렇다. 프랑스에서는 궁정의 보호 아래 라블레의 《가르강튀아 이야기》나 몽테뉴의 《수상록》 등 예리한 풍자 정신으로 일관된 작품이 만들어졌다. 국가 통일과 해외의 발전을 추진하고 있었던 에스파냐에서는 세르반테스가 《돈 키호테》에서 몰락해 가는 기사계급을 풍자하며 인간을 추구한다. 절대주의 체제하의 영국에서는 토머스 모어가 《유토피아》를 썼으며, 프랜시스 베이컨이 경험론 철학의 기초를 만들어 놓았으며, 셰익스피어가 많은 걸작을 남겼다. 종교 개혁[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종교 개혁입니다. 독일에서는 13,14세기 이래 영방국가 체제가 더욱 진전되고 성속(聖俗)의 제후나 도시는 자립했으며 국내의 분열은 점점 심해져 갔다. 쇠퇴해 가고 있던 교황권은 국가적 통일의 약한 부분에 기생할 수밖에 없었다. 교황 레오 10세에 의한 면죄부의 판매가 독일을 목표로 한 것도 그와 같은 사정에 의한다. 이 면죄부 판매에 반대한 루터의 95개 조항의 논제 발표(1517)와 함께 종교개혁(Reformation)이 시작되었다. 봉건사회의 해체가 늦어진 독일에서도 농민의 계층 분화가 진행되고 해방을 요구하는 농민들은 15세기 이래 농민 폭동으로 번지기 시작하였으며, 루터의 개혁에서 그들의 사회적 해방을 기대하였다. 1524년과 1525년 뮌처의 민중적인 설교를 신봉한 서남 독일의 농민들은 격렬한 농민전쟁을 전개했다. 그러나 루터에게 격려되어 태세를 정비한 제후들은 이 반란을 잔혹하게 진압하였고, 더욱이 이들은 종교개혁을 정치 대립에 이용했다. 1529년의 슈바이엘 국회에서 황제에게 항의한 루터파의 제후들은 이듬해 동맹을 맺어 황제와의 대립을 더욱 심화시켰고 슈말칼덴 전쟁을 벌였다. 1555년 아우크스부르크 화의는 제후나 도시에게 루터파 신앙을 인정함으로써 영방 지배 체제를 종교면에서 확인한 것에 불과하였으며, 독일은 결국 영방국가 체제의 강화, 따라서 국가의 분열은 더욱 심화되었다. 지리상의 발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항해 시대입니다. 12,13세기에 봉건사회의 완성과 더불어 유럽 세계는 밖으로 향해서 팽창·확대를 시작했다. 동남방으로 향해서 십자군이, 서남방에는 이베리아 반도의 국토 회복이, 동방에는 동독일 식민이 있었다. 이 유럽의 팽창·확대의 전개로서, 15세기 말의 지리상의 발견을 볼 수 있다. 동방에 대한 동경에 곁들여 십자군 이래 이슬람 상인을 매개체로 한 동방 무역의 유리함에 눈뜬 유럽 여러 나라는 오스만 투르크의 발전으로 무역이 방해를 받았으므로 인도에 이르는 항로의 개발을 기도하였다. 14,15세기에 동방 무역으로 번영한 북이탈리아 도시가 아니라 이슬람과의 국토 회복 전쟁을 통해서 강력한 왕권하에 통일국가를 형성해 가고 있던 이베리아 반도의 국가인 에스파냐, 포르투갈이 지리적 위치를 이용하여 그 선두에 섰다. 헨리 항해왕 밑에서 착실하게 아프리카 서해안의 탐험을 해 나가던 포르투갈에서는 바르톨로뮤 디아스가 희망봉에 도달하였으며(1488), 그 후 1498년에 바스코 다 가마에 의해 마침내 인도에 도달했다. 에스파냐에서는 이슬람 최후의 거점인 그라나다를 함락시킨 1492년 콜럼버스가 단번에 신대륙 아메리카를 발견했다. 신대륙 식민[편집] 신대륙의 식민 활동은 15세기 말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을 계기로 유럽의 여러 민족이 건너가, 원주민 인디언의 문명을 멸망시키고 유럽 문명과 사회를 이식(移植)시킴으로써 비롯되었다. 에스파냐는 16세기 말까지 브라질을 제외한 모든 라틴아메리카를 점령했다. 에스파냐가 식민지를 경영한 목적은 금·은의 채굴이었으며, 국왕의 직할 지배 아래 영위(營爲)되었다. 네덜란드는 서인도제도, 기아나에 식민지를 건설하고 다시 맨해턴섬과 허드슨 강변에 뉴네덜란드 식민지를 건설했다. 1621년에 서인도회사를 설립하여 무역 활동을 했다. 프랑스는 17세기에 캐나다에 진출하여 루이 14세 시대에 미시시피강 일대에 광대한 루이지애나 식민지를 건설했다. 프랑스의 식민 활동은 모피 무역과 가톨릭의 포교(布敎)를 주로 한 것으로, 인구도 적은데다, 국왕의 직접 지배하에 두고 있었다. 영국의 식민 활동은 1497년 존 카보트의 북아메리카 동안(東岸), 체사피크만(灣) 부근의 탐험으로 시작되었는데, 실제의 식민 활동은 엘리자베스 1세 시대였다. 1606년 제임스 1세는 버지니아 회사(런던 회사)와 플리머스 회사에 특허장을 주어 식민과 무역에 관한 독점권을 인정했다. 버지니아 식민지가 1707년에 제임스 하구(河口)에 건설되어 태평양으로 나가는 방향이 탐색되었다. 제임스 1세의 국교 강제를 피하여, 청교도들이 종교나 정치의 자유를 찾아 북아메리카에 이주하여 뉴잉글랜드 식민지의 건설이나 가톨릭 교도의 메릴랜드나 찰스 2세의 특허장에 의한 영주 식민지(領主植民地)인 캐롤라이나 식민지 등 1732년까지 13식민지가 건설되었다. 이들 영국 식민지는 견실한 농업 식민이 주이며, 인구도 많고 건전한 발달을 했다. 한국의 근세[편집] 한국사의 시대 구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한국의 경우 조선의 건국인 1392년에서 흥선대원군 집권기 1863년까지로 보는 견해가 있다. 같이 보기[편집] 고대 고대 후기 중세 근대 현대 참고 문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전 고전후 시대 다 음  근대  vdeh시대 구분 고대 중세 근세 근대 현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근세&oldid=23824757" 분류: 근세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ragonésالعربيةAsturianuBoarischБеларускаяBrezhonegCatalà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MagyarBahasa IndonesiaIdoItaliano日本語KabɩyɛLëtzebuergeschLingua Franca NovaLimburgsLumbaart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NederlandsNorskOccitanPicardPolskiPortuguêsRumantsch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venska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est-Vlamsייִדיש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8일 (금) 12:1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근세(近世, early modern period)는 서양의 중세와 근대 사이의 시기이다. 이를 다시 근세와 근대로 나누기도 하며, 근대는 대개 영국 산업 혁명 이후부터 20세기 초반(주로 제1차 세계대전)까지를 가리키며, 근세는 그 이전을 일컫는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네덜란드가 1621년에 무역을 하기 위해 세운 것은 뭐야? Assistant: 서인도회사 Human: 아래 우분투_스튜디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우분투 스튜디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우분투 스튜디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우분투 스튜디오 Ubuntu Studio Ubuntu Studio 15.04 Vivid Vervet회사 / 개발자 캐노니컬우분투 재단OS 계열 리눅스상태 개발중소스 형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최초 버전 출시일 2007년 4월 19일(2007-04-19)마지막 버전 17.10 Artful Aardvark / 2017년 10월 19일 (19달 전)(2017-10-19) 업데이트 방식 어드밴스트 패키징 툴(APT)패키지관리자 dpkg지원되는 플랫폼 x86-64, ARM커널형태 모노리딕 커널기본 UI 그놈라이선스 여러가지웹사이트 http://ubuntustudio.org 우분투 스튜디오 (Ubuntu Studio)는 리눅스 배포판 가운데 하나로 우분투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이 운영체제는 그래픽 및 멀티미디어에 대한 작업을 하는 사람들을 위해 최적화되었다. 목차 1 구성 1.1 그래픽 1.2 멀티 미디어 1.3 커널 1.4 테마 2 릴리스 3 한국어 지원에 대한 문제 구성[편집] 라이브 기능이 없는 설치 디스크 ISO 파일(약 1.2GB, 1장짜리) 형태로 배포되며 기본 GUI는 GNOME이고 설치 소프트웨어는 ubuntu Alternative판 디스크와 같다. 설치시 사용자가 필요한 부분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설치되는 주요 소프트웨어는 다음과 같다. 그래픽[편집] Agave Blender FontForge F-Spot 김프 Hugin 잉크스케이프 Scribus Specimen Stopmotion Synfig XSane 멀티 미디어[편집] Aconnectgui Aeolus Ardour Audacity BEAST Bitscope Creox c Echomixer Envy24 contral Freebirth Freqtweak Genpo Gtick HDSPConf HDSPMixer Hexter Hydrogen JACK Control JACK Rack Jack Timemachine JAMin JackEQ Jackbeat Meterbridge Mixxx MusE MuseScore Patchage PureData QAMix QSynth Rmedigicontrol Seq24 SooperLooper Virtual MIDI Keybord ZynAddSubFX Software Synthesizer terminatorX 녹음기(gnome-recorder) Audacious PulseAudio Device Chooser Swami Kino Open Movie Editor Stopmotion Totem 커널[편집] 우분투 스튜디오용 리얼타임 커널 테마[편집] 우분투 스튜디오용 아이콘 테마 및 gdm테마 , usplash 테마 설치하기 위해서는 대략 4GB를 비워 두어야 하며 우분투와 달리 OpenOffice.org, Evolution 등 그림, 소리, 동영상과 관계없는 일부 소프트웨어들은 빠져 있다 릴리스[편집] 버전 번호 코드명 배포일 지원 기간 커널 버전 7.04 Feisty Fawn 2007년 04월 19일 2008년 10월 19일 2.6.20 7.10 Gutsy Gibbon 2007년 10월 18일 2009년 04월 18일 2.6.22 8.04 LTS Hardy Heron 2008년 04월 24일 2011년 05월 12일 2.6.24 8.10 Intrepid Ibex 2008년 10월 30일 2010년 04월 30일 2.6.27 9.04 Jaunty Jackalope 2009년 04월 23일 2010년 10월 23일 2.6.28 9.10 Karmic Koala 2009년 10월 29일 2011년 04월 30일 2.6.31 10.04 LTS Lucid Lynx 2010년 04월 29일 2013년 05월 09일 2.6.32 10.10 Maverick Meerkat 2010년 10월 10일 2012년 04월 10일 2.6.35 11.04 Natty Narwhal 2011년 04월 28일 2012년 10월 28일 2.6.38 11.10 Oneiric Ocelot 2011년 10월 13일 2013년 05월 09일 3.0.0 12.04 LTS Precise Pangolin 2012년 04월 26일 2017년 04월 26일 3.2.0 12.10 Quantal Quetzal 2012월 10월 18일 2014년 05월 16일 3.5.0 13.04 Raring Ringtail 2013년 04월 25일 2014년 01월 27일 3.8.0 13.10 Saucy Salamander 2013년 10월 17일 2014년 07월 17일 3.11.0 14.04 LTS Trusty Tahr 2014년 04월 17일 2019년 04월 3.13.0 14.10 Utopic Unicorn 2014년 10월 23일 2015년 07월 23일 3.16.0 15.04 Vivid Vervet 2015년 04월 23일 2016년 02월 04일 3.19.3 15.10 Wily Werewolf 2015년 10월 22일 2016년 7월 4.2.0 16.04 LTS Xenial Xerus 2016년 4월 21일 2021년 4월 4.4.0 지원 상황: 지원 종료 지원 중 최신 버전 출시 예정 한국어 지원에 대한 문제[편집] 부팅 화면이나 설치 소프트웨어에서 한국어를 선택할 수 있으나 이 부분의 한글화가 완전히 되어 있지 않아 대부분 영어로 나온다. 일반적으로 한국어 출력은 문제가 없으며, 한국어 입력의 경우 운영체제를 설치할때 SCIM이 함께 설치되지만 한국어 플러그인(scim-hangul)은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추가로 scim-hangul 패키지를 설치해야 한다. vdeh우분투일반 캐노니컬 우분투 버전 역사 우분투 (사상) 우분투 재단 관련 인물 조노 베이컨 벤 콜린스 벤자민 마코 힐 이안 잭슨 마크 셔틀워스 스콧 제임스 렘넌트 공식 배포판 우분투 쿠분투 주분투 루분투 우분투 그놈 우분투 마테 에듀분투 미스분투 우분투 기린 우분투 스튜디오 우분투 모바일 우분투 터치 우분투 서버 안드로이드용 우분투 비공식 배포판 코분투 이지피지 플럭스분투 gOS 그뉴센스 리눅스 민트 넥센타 OS 슈퍼 OS 소프트웨어 및 지원 Ask 우분투 Bazaar GetDeb GDebi 런치패드 메디분투 노틸러스 오픈CD PPA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 유비퀴티 우분투 원 유니티 업데이트 매니저 업스타트 우비 엑스플래시 관련 소프트웨어 데비안 deb dpkg Advanced Packaging Tool 앱티튜드 vdeh리눅스 배포판안드로이드 안드로이드-IA 안드로이드-x86 리니지OS 사이애노젠모드 리믹스 OS 아치 Antergos 아치뱅 아치레비 차크라 만자로 리눅스 파라볼 GNU/리눅스 리브레 데비안 안티X 아스타 리눅스 바라트 운영 체제 솔루션 엘이브 데번 그뉴센스 핸디 리눅스 칼리 리눅스 크노픽스 펠롯 시큐어리 OS 스파이크리눅스 스팀OS 테일스 우분투 에듀분투 쿠분투 루분투 우분투 버디 우분투 그놈 우분투 기린 우분투 마테 우분투 스튜디오 주분투 아스투릭스 보디 리눅스 엘리멘트리 OS 리눅스 민트 피구 OS 트리스퀠 페도라 BLAG 리눅스 앤드 GNU 코로라 레드햇 CentOS 클라OS 린퍼스 리눅스 오라클 리눅스 큐브 OS 록스 클러스터 데블루션 사이언티픽 리눅스 SME 서버 붉은별 젠투 칼라투 리눅스 크로미엄 OS 크롬 OS 펀투 리눅스 사바욘 리눅스 맨드리바 ALT 리눅스 마제야 오픈맨드리바 Lx PCLinuxOS ROSA 리눅스 슬랙웨어 아스트리늄 리눅스 델리 리눅스 DNA리눅스 콩고니 님블X 플레이퓨스 포르투스 삭스 OS SLAX 토핑글리눅스 벡터리눅스 젠워크 리눅스 기타 알파인 리눅스 CRUX 프루갈웨어 리눅스 고보리눅스 직스SD 칼OS 루나 리눅스 닉스OS 오픈수세 수세 리눅스 엔터프라이즈 서버 퍼피 리눅스 소스 메이지 솔루 보디 리눅스 우루크 GNU/Linux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우분투_스튜디오&oldid=21706623" 분류: 데비안 기반 배포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বাংলা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Magyar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čina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7월 8일 (일) 15: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우분투 스튜디오(Ubuntu Studio)는 리눅스 배포판 가운데 하나로 우분투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이 운영체제는 그래픽 및 멀티미디어에 대한 작업을 하는 사람들을 위해 최적화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우분투 스튜디오의 릴리스 10.10버전은 언제 배포 시작했을까? Assistant: 2010년 10월 10일
Human: 아래 존_히컨루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존 히컨루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존 히컨루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존 히컨루퍼John Hickenlooper 콜로라도주의 42대 주지사 임기 2011년 1월 11일~2019년 1월 8일 전임 빌 리터 신상정보 출생일 1952년 2월 7일(1952-02-07) (67세) 출생지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나베스 학력 웨슬리언 대학교 정당 민주당 배우자 헬렌 소프 (2010-2012, 이혼)로빈 프링글 (2016-) 자녀 1명 종교 퀘이커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 존 라이트 히컨루퍼 주니어 (영어: John Wright Hickenlooper, Jr., 1952년 2월 7일~)는 미국의 정치가로 2011년부터 콜로라도주의 주지사를 역임하고 있다. 2010년에 헌법당 소속 후보와 경쟁 속에서 당선됐으며, 2014년에는 공화당 소속 후보와 접전 끝에 당선되면서 재선에 성공하였다. 목차 1 생애 2 정책 3 사생활 4 각주 5 외부 링크 생애[편집] 1952년 2월 7일에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근교의 나베스에서 노동자였던 아버지 존 라이트 히컨루퍼와 어머니 앤 히컨루퍼 사이에서 태어났다.[1][2] 유년 시절 아버지가 일찍 사망함으로써 어머니 밑에서 자랐으며 1974년 웨슬리언 대학교를 입학하여 1980년에 지리학과를 졸업하였다. 1980년대 동안 콜로라도주에서 지리학자로 근무했으며 1988년에 콜로라도 주에서 호프집 경영을 시작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3][4] 사업 성공을 바탕으로 2003년에 덴버 시장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시장 재직 시절에 시 채무 상환과 조직 개혁, 예술 산업 지지와 교통 문제 해결 등 여러 업적을 남겼으며[4], 2005년에 《타임》은 그를 5대 주요 시장으로 꼽았으며[5], 2007년에는 88%의 압도적인 지지율로 당선되었다. 2008년 버락 오바마가 대통령에 취임하면서 콜로라도 주를 지역구로 하는 상원의원이 내무장관으로 임명되면서 후임 상원의원에 지명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빌 리터 주지사가 마이클 베넷을 선출하면서 상원의원이 되지는 못하였다.[6] 2006년 선거에서 출마 후보로 공공연히 거론되던 그는 2010년에 콜로라도 주지사 선거에 출마하였다. 선거 초반 공화당 후보 댄 매스와 경합을 벌였지만 중반으로 넘어오면서 보수주의 성향의 헌법당에서 전 연방 하원의원이던 톰 텐크레도를 공천하면서 지지층이 분열, 쉬운 선거전을 진행하였다. 선거 결과 51%를 얻어 36%를 텐크레도와 11%를 얻은 매스를 제치고 당선되었다.[7] 2011년 1월 11일에 취임한 히컨루퍼는 2014년 선거에서는 전 연방 하원의원이었던 밥 뷰프레즈를 49%대 46%로 접전[8] 끝에 승리, 재선하게 되었다. 정책[편집] 히컨루퍼는 총기 규제에 적극 찬성하고 있다. 2015년 11월 27일에 총기 난사 사건이 발생하자 즉시 기자회견을 열고 연달아 일어나는 총기 사건에 대비한 총기규제법에 서명하였다.[9] 2014년 재선 선거에서 전미 총기 협회는 낙선 운동을 전개하였고 히컨루퍼는 상대 후보와 접전 끝에 승리하였다.[10] 한편 히컨루퍼는 시리아 난민을 지속적으로 수용하기로 결정하기도 하였다.[11] 사생활[편집] 히컨루퍼의 아내 헬렌 소프는 작가로 더 뉴요커 등 여러 잡지에 기고하였다. 히컨루퍼와 소프는 2000년에 결혼해 2002년에 아들을 낳았다. 2012년 7월 31일에 히컨루퍼는 기자회견에서 아내와 결혼한 후 10년 만에 별거하게 되었다고 발표하였다. 둘의 이혼 이후로 히컨루퍼는 가족과 같이 살던 덴버의 주택에서 콜로라도 주지사 공관으로 이주하였다.[12] 한편 히컨루퍼는 2010년에 필라델피아 인콰이어러와 가진 인터뷰에서 자신이 퀘이커 모임에서 소프와 만나게 되었다고 밝혔다.[13] 각주[편집] ↑ “The Happy Shrewdness of John W. Hickenlooper”. 2016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1월 7일에 확인함.  ↑ “Mrs. Anne Kennedy Engaged”. 《뉴욕 타임스》. 1948년 5월 9일.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폴리티코 (2011년). “Arena Profile: Gov. John Hickenlooper”. 《politico.com》.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가 나 이하린 (2010년 1월 14일). “잔 히컨루퍼 덴버 시장 콜로라도 주지사 출마 선언”. 《주간포커스》. 2015년 12월 12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Gibbs, Nancy (2005년 4월 17일). “The 5 Best Big City Mayors”. 《타임》.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Parnes, Amie (2009년 1월 3일). “Bennet pick shocks some in Colorado”. 《덴버포스트》.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2010 선거, 뉴욕 타임스, 2010년 11월. ↑ 한미희 (2014년 11월 4일). “<미국 중간선거 격전지 콜로라도주를 가다>”. 《연합뉴스》. 2016년 1월 25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김종우 (2015년 11월 30일). “美 콜로라도, 또 총기난사 악몽…총기규제 여론 부상”. 《연합뉴스》. 2016년 2월 11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송철복 (2015년 12월 9일). “미국 총기난사 빈발해도 규제법률 못 만드는 이유”. 《포커스뉴스》. 2015년 1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11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김세진 (2015년 11월 18일). “<파리 테러> 미 콜로라도주 "우리는 난민 수용하겠다"”. 《연합뉴스》. 2016년 2월 11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Bartels, Lynn (2012년 7월 31일). “Colorado governor and wife to separate, political future still looks bright”. 《덴버 포스트》. 2012년 8월 5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Timpane, John (2010년 10월 27일). “On campaign trail with John Hickenlooper, Pennsylvania native running for Colorado governor”. 《Inquirer》. 2011년 8월 10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존 히컨루퍼 주지사 공식 홈페이지 (영어) 존 히컨루퍼 - Curlie (DMOZ 기반) 공직 이전 빌 리터 제42대 콜로라도 주의 주지사2011년 1월 11일~ 이후현직 이전 웰링턴 웹 제43대 덴버의 시장2003년 7월 21일~2011년 1월 11일 이후빌 비달 vdeh미국의 현직 주지사주 샌도벌 (NV) 리키츠 (NE) 버검 (ND) 마르티네스 (NM) 쿠오모 (NY) 크리스티 (NJ) 서누누 (NH) 카니| (DE) 레이몬도 (RI) 에드워즈 (LA) 베이커 (MA) 호건 (MD) 러페이지 (ME) 불럭 (MT) 데이턴 (MN) 위트머 (MI) 브라이언트 (MS) 닉슨 (MO) P. 스콧 (VT) 매콜리프 (VA) 두가드 (SD) 맥마스터 (SC) 오터 (ID) 테리 브랜스태드 (IA) 허친슨 (AR) B. 워커 (AK) 듀시 (AZ) 벤틀리 (AL) K. 브라운 (OR) 폴린 (OK) 케이식 (OH) 미드 (WY) 인즐리 (WA) 저스티스 (WV) S. 워커 (WI) 허버트 (UT) 홀컴 (IN) 라우너 (IL) 딜 (GA) 브라운백 (KS) 뉴섬 (CA) 베빈 (KY) 멀로이 (CT) 히컨루퍼 (CO) 해즐럼 (TN) 애벗 (TX) 울프 (PA) 드샌티스 (FL) 이게 (HI)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70799609 LCCN: no2011073271 ISNI: 0000 0001 1981 7457 GND: 117730837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존_히컨루퍼&oldid=24340364" 분류: 1952년 태어남미국의 기업인미국의 시장 (행정가)미국의 지질학자민주당 (미국)의 정치인살아있는 사람식당 경영자웨슬리언 대학교 동문콜로라도주지사펜실베이니아주 출신 정치인네덜란드계 미국인숨은 분류: 인용 오류 - 날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BosanskiCatalà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ItalianoLatinaमराठी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venska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30일 (목) 20:1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존 라이트 히컨루퍼 주니어(영어: John Wright Hickenlooper, Jr., 1952년 2월 7일 ~ )는 미국의 정치인으로 2011년부터 콜로라도주의 주지사를 역임하고 있다. 2010년에 헌법당 소속 후보와 경쟁 속에서 당선됐으며, 2014년에는 공화당 소속 후보와 접전 끝에 당선되면서 재선에 성공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존 히컨루퍼가 태어난 연도는 언제인가? Assistant: 1952년 Human: 아래 규슈_자동차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규슈 자동차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규슈 자동차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고속자동차국도(유료) 규슈 자동차도 노선도 총연장 346.3km 개통년 1971년 ~ 1995년 기점 모지 나들목 (후쿠오카 현 기타큐슈 시 모지 구) 주요경유국가 일본 주요경유지 후쿠오카 현 후쿠오카 시, 구루메 시 사가 현 도스 시 구마모토 현 구마모토 시, 야쓰시로 시 미야자키 현 에비노 시 가고시마 현 기리시마 시 종점 가고시마 나들목 (가고시마 현 가고시마 시) 주요교차도로 간몬 자동차도 (간몬 교) 기타큐슈 고속도로 4호선 기타큐슈 고속도로 1호선 히가시큐슈 자동차도 후쿠오카 고속도로 4호 가스야 선 후쿠오카 고속도로 2호 다자이후 선 나가사키 자동차도 오이타 자동차도 규슈 추오 자동차도 미나미큐슈 서쪽 우회 자동차도 미야자키 자동차도 히가시큐슈 자동차도 (하야토 도로) 규슈 자동차도(일본어: 九州自動車道)는 일본 후쿠오카 현 기타큐슈 시 모지 구의 모지 나들목부터 사가 현, 다시 후쿠오카 현에 들어와, 구마모토 현, 미야자키 현을 경유해서 가고시마 현 가고시마 시에 이르는, 총 연장 346.3km에 달하는 일본의 고속도로이다. 국토 개발 간선 자동차로서의 예정 노선명 및 고속 자동차 국도법에 준하는 법정 노선명은 규슈 종관 자동차도 가고시마 선이다. 전 노선에 걸쳐서, 고속도로 번호에 의한 노선 번호로서 「E3」가 부여받았고, 모지 나들목 - 후쿠오카 나들목 구간은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으로도 지정되어 있다. 목차 1 개요 2 통과하는 지자체 3 주요 접속 도로 4 나들목 · 분기점 5 같이 보기 개요[편집] 고속 자동차 국도 법정 노선명인 「규슈 종관 자동차도 가고시마 선」의 전 구간에 해당해, 영업 노선명으로서 「규슈 자동차도」의 도로명으로 공용되고 있는 고속도로이다. 미야자키 현 에비노 시 이북에서는 법정 노선명 「규슈 종관 자동차도 미야자키 선」과의 중복구간으로도 있어, 가지키 분기점 이남에서는 히가시큐슈 자동차도 과의 중복구간으로도 있다. 규슈의 중앙부보다 약간 서쪽을, 남쪽으로 대부분 직선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건설되어 있어, 대부분 국도 제3호선이나 규슈 여객철도 가고시마 본선등과 병행한다. 다만, 구마모토 현 야쓰시로 시의 야쓰시로 나들목 이남은 야쓰시로 해 연안을 통과하는 국도 제3호선이나, 규슈 신칸센과는 떨어져(미나미 큐슈 서쪽 우회 자동차도가 병행), 규슈 자동차도는 규슈 산지, 야타케 고원, 기리시마 연산 구리노 봉 아래를 장대 터널로 관통하는 단연 경로로 되어있다. 규슈를 남북으로 연결하는 고속교통망으로서 기능하고 있어, 더해서 나가사키 자동차도, 오이타 자동차도, 미야자키 자동차도와 접속하는 것으로 규슈 본토의 각 주요 도시를 상호로 연결하는 고속교통망으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또한, 기타큐슈·후쿠오카 대도시권의 기간도로로 되어 있는 고쿠라미나미 나들목 - 기쿠스이 나들목 간은 전 구간에서 교통량이 4만대 이상으로, 장소에 의해서는 10만대를 넘는다. 규슈 자동차도를 보완하는 목적으로 규슈의 동부 연안으로 히가시큐슈 자동차도, 야쓰시로 해 연안으로 미나미큐슈 자동차도, 규슈 산지의 중앙부를 규슈 추오 자동차도의 건설이 진행되고 있다. 통과하는 지자체[편집] 후쿠오카현 기타큐슈 시 (모지 구 - 고쿠라미나미 구 - 야하타히가시 구 - 야하타니시 구) - 노가타 시 - 구라테 군 구라테 정 - 미야와카 시 - 고가 시 - 가스야 군 (신구 정 - 히사야마 정) - 후쿠오카 시 (히가시 구) - 가스야 군 (가스야 정 - 스에 정 - 우미 정) - 오노조 시 - 다자이후 시 - 지쿠시노 시 사가현 미야키 군 기야마 정 - 도스 시 후쿠오카현 오고리 시 - 구루메 시 - 야메 군 히로카와 정 - 야메 시 - 지쿠고 시 - 미야마 시 - 오무타 시 구마모토현 다마나 군 (난칸 정 - 나고미 정) - 야마가 시 - 구마모토 시 (기타 구) - 고시 시 - 기쿠치 군 기쿠요 정 - 구마모토 시 (기타 구 - 히가시 구) - 가미마시키 군 (마시키 정 - 가시마 정 - 미후네 정 - 고사 정) - 구마모토 시 (미나미 구) - 우키 시 - 야쓰시로 군 히카와 정 - 야쓰시로 시 - 구마 군 야마에 촌 - 히토요시 시 미야자키현 에비노 시 가고시마현 아이라 군 유스이 정 - 기리시마 시 - 아이라 시 - 가고시마 시 주요 접속 도로[편집] 간몬 자동차도 (간몬교) (모지 나들목)에서 직결) 기타큐슈 고속도로 4호선 (모지 나들목에서 접속) 기타큐슈 고속도로 1호선 (고쿠라히가시 나들목에서 접속) 히가시큐슈 자동차도 (기타큐슈 분기점에서 접속) 기타큐슈 고속도로 4호선 (야하타 나들목에서 접속) 후쿠오카 고속도로 4호 가스야 선 (후쿠오카 나들목에서 접속) 후쿠오카 고속도로 2호 다자이후 선 (다자이후 나들목에서 접속) 나가사키 자동차도 (도스 분기점에서 접속) 오이타 자동차도 (도스 분기점에서 접속) 규슈 추오 자동차도 (가시마 분기점에서 접속) 미나미큐슈 서쪽 우회 자동차도 (야쓰시로 분기점에서 접속) 미야자키 자동차도 (에비노 분기점에서 접속) 히가시큐슈 자동차도 (하야토 도로) (가지키 분기점에서 접속) 미나미큐슈 서쪽 우회 자동차도 (가고시마 나들목에서 접속) 나들목 · 분기점[편집] 나들목번호 시설 이름 일본어 이름 거리(km) BS 접속 노선 소재지 간몬 교 (간몬 자동차도) 시모노세키 · 주고쿠 자동차도 야마구치 · 히로시마 · 오사카 방면 1 모지 나들목 門司 0.0 기타큐슈 고속도로 4호선 후쿠오카 현도 72호 구로카와시라노에히가시혼마치 선 후쿠오카현 기타큐슈 시 모지 구 - 하타 BS 畑 4.1 ◆ 1-1 신모지 나들목 新門司 4.4 후쿠오카 현도 71호 신모지코다이리 선 - 기시 PA 吉志 6.2 - 구즈하라 BS 葛原 11.2 ◆ 고쿠라미나미 구 2 고쿠라히가시 나들목 小倉東 13.4 기타큐슈 고속도로 1호선 국도 제10호선 (소네 바이패스) 2-1 기타큐슈 분기점 北九州 16.5 - 히가시큐슈 자동차도 3 고쿠라미나미 나들목 20.2 ○ 국도 제322호선 4 야하타 나들목 八幡 31.4 ○ 기타큐슈 고속도로 4호선 국도 제200호선 (노가타 바이패스) 야하타니시 구 - 노가타 PA 直方 34.9 ○ 노가타 시 4-1 구라테 나들목 鞍手 36.1 후쿠오카 현도 472호 노가타쿠라테 선 구라테 군 구라테 정 - 구라테 PA 鞍手 36.3 4-2 미야타 스마트 나들목 宮田 42.1 후쿠오카 현도 9호 무로키시모아루키와카미야 선 (시도 경유) 미야와카 시 5 와카미야 나들목 若宮 45.2 ○ 후쿠오카 현도 9호 무로키시모아루키와카미야 선 - 고가 SA 古賀 54.5 고가 시 6 고가 나들목 古賀 57.7 국도 제3호선 (가시 바이패스) 후쿠오카 현도 35호 지쿠시노코가 선 - 아오야기 BS 青柳 58.7 ○ - 다치바나야마 BS 立花山 62.9 ○ 가스야 군 신구 정 히사야마 정 7 후쿠오카 나들목 福岡 68.3 ◆ 후쿠오카 고속도로 4호 가스야 선 국도 제201호선 후쿠오카 시 히가시 구 가스야 군 가스야 정 7-1 스에 PA / SIC 須恵 73.4 ◆ 후쿠오카 현도 91호 시메스에 선 스에 정 - 우미 BS 宇美 75.4 ○ 우미 정 8 다자이후 나들목 太宰府 80.1 ◆ 국도 제3호선 (후쿠오카미나미 바이패스) 후쿠오카 고속도로 2호 다자이후 선 다자이후 시 - 지쿠시노 BS 筑紫野 84.9 ○ 지쿠시노 시 8-1 지쿠시노 나들목 筑紫野 86.9 후쿠오카 현도 7호 지쿠시노인터 선 - 기야마 PA 基山 90.8 ○ 사가현 미야키 군 기야마 정 9 도스 분기점 鳥栖 96.1 - 나가사키 자동차도 오이타 자동차도 도스 시 - 아지사카 SIC 味坂 - 미야노진 BS 宮の陣 102.5 ○ 후쿠오카현 구루메 시 10 구루메 나들목 久留米 105.4 ○ 후쿠오카 현도 3호 도스 쿠루메도로 국도 제322호선 10-1 히로카와 나들목 広川 113.2 ○ 후쿠오카 현도 84호 미즈마조요 선 (바이패스) 야메 군 히로카와 정 - 히로카와 SA 広川 113.6 ○ 11 야메 나들목 八女 118.4 ○ 국도 제442호선 (야메치쿠고 바이패스) 야메 시 지쿠고 시 - 세타카 BS 瀬高 122.4 ○ 미야마 시 11-1 미야마야나가와 나들목 みやま柳川 125.6 후쿠오카 현도 775호 모토요시오가와 선 - 야마카와 PA 山川 128.0 ○ 12 난칸 나들목 南関 135.0 구마모토 현도 5호 오무타난칸 선 구마모토 현도 10호 난칸오무타키타 선 구마모토현 다마나 군 난칸 정 - 고바루 BS 小原 138.8 ○ - 다마나 PA 玉名 142.7 13 기쿠스이 나들목 菊水 146.6 ○ 구마모토 현도 16호 다마나야마가 선 나고미 정 - 가오 BS 鹿央 153.6 ○ 야마가 시 14 우에키 나들목 植木 157.3 ○ 국도 제3호선 구마모토 시 기타 구 - 기타쿠마모토 스마트 나들목 北熊本 구마모토 현도 30호 오즈우에키 선 - 기타쿠마모토 SA 北熊本 162.2 - 니시고시 BS 西合志 165.7 ○ 고시 시 - 무사시가오카 BS 武蔵ヶ丘 169.0 ○ 구마모토 시 기타 구 15 구마모토 나들목 熊本 171.2 국도 제57호선 (구마모토히가시 바이패스) 히가시 구 - 다쿠마 PA 託麻 174.3 15-1 마시키쿠마모토쿠코 나들목 益城熊本空港 176.4 구마모토 현도 36호 구마모토마시키오즈 선 가미마시키 군 마시키 정 - 마시키 BS 益城 177.5 ○ 15-2 가시마 분기점 嘉島 180.7 - 규슈 추오 자동차도 가시마 정 16 미후네 나들목 御船 183.1 ◆ 국도 제445호선 미후네 정 - 미도리카와 PA 緑川 186.7 구마모토 시 미나미 구 가미마시키 군 고사 정 16-1 조난 BS / SIC 城南 189.0 ○ 구마모토 현도 38호 우토코사 선 구마모토 시 미나미 구 17 마쓰바세 나들목 松橋 195.1 ◆ 국도 제218호선 우키 시 17-1 우키히카와 스마트 나들목 히카와타카쓰카 BS 宇城氷川 氷川高塚 204.0 ○ 국도 제3호선 (정도 경유) 야쓰시로 군 히카와 정 - 미야하라 SA 宮原 208.8 ○ 18 야쓰시로 나들목 八代 213.5 ○ 국도 제3호선 야쓰시로 시 18-1 야쓰시로 분기점 八代 214.6 - 미나미큐슈 자동차도 - 사카모토 PA 坂本 222.1 ◆ - 아유가에리 BS 鮎帰 230.2 ◆ - 히고 터널 肥後 - 구마 군 야마에 촌 - 오즈루 BS 小鶴 242.4 ◆ - 야마에 SA 山江 248.0 ◆ 19 히토요시 나들목 人吉 252.0 ○ 구마모토 현도 54호 히토요시인터 선 - 히토요시 본선 요금소 人吉 252.1 - 히토요시 시 - 히토요시쿠마 스마트 나들목 人吉球磨 국도 제219호선 - 히토요시 가출입구 人吉仮出入口 256.2 국도 제219호선 - 히토요시미나미 BS 人吉南 256.4 ◆ - 가쿠토 터널 加久藤 - - - 미야자키현 에비노 시 - 에비노 PA えびの 271.9 20 에비노 나들목 えびの 274.3 ○ 국도 제268호선 21 에비노 분기점 えびの 276.4 - 미야자키 자동차도 - 요시마쓰 PA 吉松 281.6 ○ 가고시마현 아이라 군 유스이 정 22 구리노 나들목 栗野 290.0 가고시마 현도 55호 구리노카지키 선 23 요코가와 나들목 横川 296.0 가고시마 현도 55호 구리노카지키 선 기리시마 시 - 미조베 PA 溝辺 302.7 - 가고시마쿠코미나미 BS 鹿児島空港南 308.6 ○ 24 미조베카고시마쿠코 나들목 溝辺鹿児島空港 309.8 국도 제504호선 호쿠사쓰 횡단 도로 25 가지키 분기점 가지키 나들목 加治木 317.5 - 히가시큐슈 자동차도 (하야토 도로) 국도 제10호선 (가지키 바이패스) 가고시마 현도 55호 구리토카지키 선 아이라 시 - 조사 BS 帖佐 322.2 ○ - 사쿠라지마 SA / SIC 桜島 323.6 26 아이라 나들목 姶良 326.2 가고시마 현도 57호 후모토시게토미테이류조 선 - 혼조 BS 本城 330.6 ◆ 가고시마 시 27 사쓰마요시다 나들목 薩摩吉田 334.8 가고시마 현도 16호 가고시마요시다 선 - 가고시마 본선 요금소 鹿児島 336.7 - 28 가고시마키타 나들목 鹿児島北 341.9 국도 제3호선 가고시마 현도 18호 가고시마키타인터 선 - 이시키 BS 伊敷 342.0 ○ 29 가고시마 나들목 鹿児島 346.2 미나미 큐슈 서쪽 우회 자동차도 국도 제3호선 (가고시마 바이패스, 가고시마 동서 간선 도로) 이부스키 스카이 라인 (가고시마 현도 17호 이부스키카고시마인터 선) 같이 보기[편집] (일본어) 서일본 고속도로 vdeh일본의 고속도로 동일본 고속도로 가마이시 자동차도 간에쓰 자동차도 기타칸토 자동차도 나가노 자동차도 니혼카이 도호쿠 자동차도 다테야마 자동차도 도오 자동차도 도쿄 가이칸 자동차도 도토 자동차도 도호쿠 자동차도 도호쿠 주오 자동차도 반에쓰 자동차도 삿손 자동차도 신공항 자동차도 아오모리 자동차도 아키타 자동차도 야마가타 자동차도 조반 자동차도 조신에쓰 자동차도 하치노에 자동차도 히가시칸토 자동차도 호쿠리쿠 자동차도 중일본 고속도로 기세이 자동차도 나가노 자동차도 나고야 제2환상 자동차도 도메이 고속도로 신토메이 고속도로 도카이 호쿠리쿠 자동차도 메이신 고속도로 신메이신 고속도로 이세 자동차도 이세 완간 자동차도 주부 횡단 자동차도 주오 자동차도 히가시메이한 자동차도 서일본 고속도로 간몬 교 간사이 공항 자동차도 고치 자동차도 규슈 자동차도 긴키 자동차도 나가사키 자동차도 니시메이한 자동차도 다카마쓰 자동차도 도쿠시마 자동차도 마쓰야마 자동차도 마쓰에 자동차도 마이즈루 와카사 자동차도 메이신 고속도로 미야자키 자동차도 산요 자동차도 산인 자동차도 신메이신 고속도로 오이타 자동차도 오카야마 자동차도 오키나와 자동차도 요나고 자동차도 주고쿠 자동차도 하마다 자동차도 한와 자동차도 히가시큐슈 자동차도 히로시마 자동차도 혼슈 시코쿠 연락 고속도로 고베 아와지 나루토 자동차도 니시세토 자동차도 세토 주오 자동차도 도시고속도로 기타큐슈 고속도로 나고야 고속도로 도쿄 고속도로 수도고속도로 한신 고속도로 히로시마 고속도로 후쿠오카 고속도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규슈_자동차도&oldid=21472006" 분류: 일본의 고속도로서일본 고속도로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규슈 지방의 교통후쿠오카현의 교통사가현의 교통구마모토현의 교통미야자키현의 교통가고시마현의 교통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5월 29일 (화) 15: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규슈 자동차도(일본어: 九州自動車道(きゅうしゅうじどうしゃどう))는 일본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모지구의 모지 나들목부터 사가현, 다시 후쿠오카 현에 들어와, 구마모토현, 미야자키현을 경유해서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에 이르는, 총 연장 346.3km에 달하는 일본의 고속도로이다. 국토 개발 간선 자동차로서의 예정 노선명 및 고속 자동차 국도법에 준하는 법정 노선명은 규슈 종관 자동차도 가고시마 선이다. 전 노선에 걸쳐서, 고속도로 번호에 의한 노선 번호로서 「E3」가 부여받았고, 모지 나들목 - 후쿠오카 나들목 구간은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으로도 지정되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규슈 자동차도가 장대터널로 통과하는 지역은 어디야? Assistant: 규슈 산지, 야타케 고원, 기리시마 연산 구리노 봉 아래
Human: 아래 소닉_매니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소닉 매니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닉 매니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자연스럽지 않게 번역되었으며, 기계 번역에 의해 작성되었을 수도 있습니다.자연스럽지 않은 문장을 한국어 어법에 맞게 고쳐 주세요. (2018년 4월) 소닉 매니아Sonic Mania 소닉 매니아의 로고개발사 소닉 팀, 해드 캐넌, 파고다 웨스트 게임즈발행사 세가프로그래머 크리스천 화이트헤드, 사이먼 톰리아티스트 톰 프라이 플랫폼 PC, 엑스박스 원, 플레이스테이션 4, 닌텐도 스위치출시일 2017년 8월 15일콜렉터즈 한정 2017년 8월 31일장르 플랫포머 소닉 매니아(Sonic Mania)는 2017년 8월, 세가에서 발매한 2D 플랫폼 게임이다. 플레이스테이션 4와 XBOX ONE, 닌텐도 스위치, PC(Windows) 용으로 발매되었다. 2016년에 이이즈카 타카시에 의해 존재가 알려진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의 프로젝트이다.[1] 7월 23일 오후 1시경에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파티에서 첫 트레일러 영상이 공개되었고, 게임 제작은 소닉 컬러즈와 소닉 제너레이션즈를 만든 소닉 팀과 소닉 1과 소닉 2의 리마스터링 게임을 만든 크리스천 화이트헤드, 헤드캐넌, 파고다웨스트 게임스가 담당하고 플레이스테이션 4와 PC, XBOX ONE으로 2017년 5월 21일에는 콜렉터즈가 북미 한정으로 나올 계획이었는데 8월말로 연기되었다. 유럽에서는 판매되지 않음을 밝혔다. 일본에서는 도쿄 게임 쇼에서 아시아 최초로 공개되어 일본 발매일은 봄에 출시될 예정이라고 발표하였지만 똑같은 사정으로 8월말로 연기되었다. 또한 1월 12일에는 세가측은 닌텐도 스위치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추가로 발매하겠다고 발표하였다. 또한 애니메이션 형태의 새로운 트레일러 영상이 공개되어 새로운 존과 발매일이 8월 15일로 확정되었다. 그러나 PC(스팀) 버전은 30일로 연기되었다. 목차 1 캐릭터 2 그래픽 2.1 아이템 목록 3 스테이지 3.1 그린 힐 존 3.2 미라지 살롱 존 3.3 스튜디오폴리스 존 3.4 플라잉 배터리 존 3.5 스타더스트 스피드웨이 존 3.6 케미컬 플랜트 존 3.7 스페셜 스테이지 3.8 보너스 스테이지 4 여담 4.1 컬렉터즈 에디션 5 소닉 매니아 플러스 6 소닉 매니아 어드벤처스 7 각주 8 외부 링크 8.1 플레이 영상들 8.2 팬 게임 데모 버전 캐릭터[편집] 캐릭터로는 소닉 더 헤지호그, 마일즈 "테일즈" 프라우어, 너클즈 디 에키드나로 플레이가 가능하다. 효과음은 소닉 더 헤지호그 (1991년 비디오 게임)을, 일부 BGM은 소닉 더 헤지호그 3을 사용하였다. 깨져나간 유리조각들과 많은 링이 빠져 나가는 연출은 너클즈 카오틱스와 동일하며, 가시가 가득 찬 크랙이나 갭에 빠졌을 경우 이전작과는 다르게 링이 다시 되돌아온다. 버튼을 눌러 순식간에 앞으로 나아가는 '드롭 대시'가 추가되었다. 각 액트를 달성하였을 때의 승리 포즈가 다르게 설정되었다. 그래픽[편집] 여러 채널에 의해 '스튜디오폴리스 존'과 '그린 힐 존'이 나온 상태이고 10월 26일에는 다른 채널에서는 '미러지 살롱 존'이 추가된 사실이 공개되었다. 1년 후, 2017년 3월 16일에는 소닉&너클즈에 등장한 클래식 스테이지인 '플라잉 배터리 존'이 추가되었고 5월 30일에는 소닉 CD에서 등장한 클래식 스테이지인 '스타더스트 스피드웨이 존'이 추가되었고, 6월 8일에는 소닉 2에서 등장한 클래식 스테이지인 '케미컬 플랜트 존'까지 추가되었다. 소닉의 스프라이트가 초기 프로토타입과 동일한 하늘색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경사로를 진행할 때의 표현 방식이 어드밴스 형식으로 변했으며, 대미지를 입었을 때 링이 흩어지는 모습이 다소 입체적으로 바뀌었는데 이 입체적 연출은 너클즈 카오틱스에 사용된 것이다. 또한 소닉 더 헤지호그 시리즈의 게임기어 버전과 같이 링 여러개가 10개의 링을 상징하는 것과 같이 튀어나오는 연출이 생겼다. 액트 클리어 후 결과 화면에서의 연출은 소닉 3과 프로토타입 소닉 1을[2] 계승했으며 패널을 계속 띄울 수 있고 일정 조건을 만족할 시 배리어가 나온다. 그 외에 소닉 1과 소닉 3에서 입수할 수 있는 4종의 배리어가 전부 등장하는데, 이 점은 소닉 1과 소닉 2의 스마트폰 이식판과 동일하다. 모든 액트마다 보스전이 출현한다. 또한 위로 드러나는 섬은 소닉의 얼굴 형상을 하고 있으며 오프닝은 샌디에이고의 25주년 기념 파티 참가자들의 합창을 녹음해서 만든 것이라고 한다. 닌텐도 DS 와 3DS용 게임 개발자 레네게이드 키드가 7월 22일날 올라온 소닉 매니아 공개 트윗에, 닌텐도 3DS에 이식 할 의향이 있다면 연락을 달라고 말을 남기기도 했다. 아이템 목록[편집] 아래의 목록은 게임 내 등장이 확인된 아이템 박스의 목록이다. 슈퍼 링 링 카운트가 10 증가한다. 콤바인 링 파란색 링 모양을 하고 있으며 대미지를 입고 난 뒤 큰 링을 다시 입수할 경우 링 카운트가 13 증가한다. 너클즈 카오틱스에서 처음 차용되었다. 스피드 부스트 제한시간동안 스피드가 증가한다. 소닉 1에서 처음 차용되었다. 또한 전용 BGM까지 흐르는데 그것은 소닉 CD와 동일하다. 배리어 방어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아무 점프 효과는 없다. 이 배리어는 소닉 1에서 처음 차용되었다. 플레임 배리어 점프 중에 불덩이 대시를 사용할 수 있다. 가시나무길을 불태울 수 있으나 수중 내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썬더 배리어 점프 중에 2단 점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주위의 링을 끌어모을 수 있다. 아쿠아 배리어 점프 중에 연속 바운드를 사용할 수 있다. 3개의 배리어는 소닉 3에서 처음 차용되었다. 무적 박스 모니터를 격파하면 20초 동안 무적이 된다.[3] 에그맨 박스 모니터를 격파하면 대미지를 입으며 이는 소닉 3에서 처음 차용되었다. 스테이지[편집] 그린 힐 존[편집] 소닉 3과 같이 윗 부분과 아랫 부분을 나타낸 것이 기존의 소닉 1의 것과는 다르다. 지형이 부분적으로 바뀌었으며 아랫 부분에서는 원경이 바뀐다. 또한 움직이는 발판 위에 스프링이 설치된 곳도 찾아볼 수 있다. 그 외에 소닉 제너레이션즈의 그린 힐과 마찬가지로, 소닉 2에서 볼 수 있었던 코르크스크류 형태의 길도 생겼다. 공개된 액트 1의 보스는 두 대의 둥근 로봇이 체인으로 연결된 형태로, 둘 다 격파하고 나면 액트를 마치는 골 플레이트가 나타난다. 두 대가 모두 남아있을 때는 두 가지 공격 패턴을 번갈아 사용하는데, 처음에는 원작의 보스처럼 한 대가 다른 한 대의 아래에 매달려서 흔들린다. 이 때 두 메카 중 하나는 주황색으로 변하고 가시를 꺼내는데, 이럴 경우 무적 상태일 때만 안전하게 타격할 수 있다. 그 다음에는 두 메카가 화면의 중앙으로 이동하고, 체인의 중앙을 축으로 삼아 빠르게 회전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두 메카 중 하나를 격파하면 나머지 하나가 플레이어 캐릭터를 향해 돌격하지만 쉽게 피할 수 있다. 2017년 3월 11일에는 소닉 더 헤지혹 공식 유튜브 계정에서 액트2가 공개되었다. 이 액트에서는 플레임 배리어를 사용하여 가시통나무길을 불태울 수 있으며, 소닉 3의 앤젤 아일랜드 존과 유사하게끔 집라인과 토템폴을 설치해 두었다. 첫 번째 다리를 태워서 밑으로 내려가면 원작 액트 3와 동일하게 아이템 박스 5개를 통해 링 50개와 1UP을 얻을 수 있다. 6월 8일에는 SNS에서 공개되었던 액트 2 게임플레이 일부에 보스 사진이 공개되었다. 보스 캐릭터로는 소닉 2에 등장한 마지막 스테이지인 데스 에그 존에 등장한것이다. 그것과는 달리 새롭게 구성되었고, 위치는 오른쪽이 아닌 왼쪽이다. 공격하려면 전작과 동일하지만 긴 드릴팔이 그를 향해 올리는 사이 위로 올라서 스핀대시(드롭 대시)를 해야 한다. 허나 멀리 있는 경우 에그 폭탄을 투화한다. 미라지 살롱 존[편집] 10월 26일에 유튜브 계정인 "Kinda Funny Games"에서 공개된 두번째로 추가된 스테이지이다. 소닉 2에 삭제되었던 스테이지인 "더스트 힐 존"과 소닉 CD에서 삭제되었던 스테이지인 "데저트 데즐 존"을 미국의 서부 개척시대를 모티브로 새롭게 제작한것이다. 스테이지 중간에 현상수배 전단지 내용들 중에 소닉 파이터즈의 캐릭터 팡 더 스나이퍼, 빈 더 다이너마이트, 바크 더 폴라베어가 카메오로 출연한다. 또한 소닉 CD의 컬리전 카오스 존의 핀볼 구조와 와키 워크벤치 존에서 등장한 360도 회전하는 원통형 발판과 동일한 회전 의자로 구조물이 나타나고 게다가 소닉 1의 스프링 야드 존에서 등장한 배드닉인 롤러가 다시 등장하였고, 피아노 건반 스프링이 보이는데 그것은 소닉 어드밴스 2의 뮤직 플랜트의 구조와 유사하다. 또, 소닉&너클즈에 등장했던 에그 로보의 액자가 보이는데 캐릭터가 이동하면 눈동자도 따라 움직이게 나타나며, 에그로보가 쓴 건총을 거대화 구조로 바뀐다. 또한 모래로 된 회전구 구조물이 보이는데 회전해서 통과하거나, 멈추거나, 위에 올라서 대기하면 모래로 사라지게 된다. 그 구조물은 샌드폴리스 존의 모래벽과 동일하다. 그리고, 전구까지 보이는데 소닉 CD에 나온 구조물과 동일하다. 또한 풍선까지 보이는데 소닉 3의 카니발 나이트 존에 등장하지만 그것과는 달리 별모양이다. 스튜디오폴리스 존[편집] 스테이지 중간중간에 페이지 모양 영사기에서 닥터 에그맨이 앉았다 섰다하는 모습이 보인다. 스테이지 내에서는 세가소닉 팝콘 숍이 들어서 있으며 베어 너클 1의 상점인 'Pink Pot'이 'Pine Bot'으로 개칭되어 일부 배경으로 나오고 데이토나 USA의 홀넷, 과거 광고에 나온 세가의 반대어 AGES와 클럽 세가의 패러디인 CLUB SPIN으로 알려졌다. 또, 소닉 1의 스프링 야드 존에서 나온 COPE와 CPU가 인근의 고속 철도로 나온다. 런치 베이스와 데스에그 존에서의 유사한 구조의 루프를 찾아볼 수 있다. 스튜디오폴리스 존은 과거 2010년대의 소닉 게임들의 성우들이 녹음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또, 슬레이트의 아래를 보면 세가 게임즈의 로고가 붙어있고 CW(Christian Whitehead), HC(HeadCannon), 그리고 PWG(PagodaWest Games)가 적혀 있다. 또한 LED 전광판에는 BY THE MANIA라는 내용이 쓰여져있다. 이 존은 소닉 2의 메트로폴리스와 소닉&너클즈의 샌드폴리스와 같이 이름이 한 단어인 것을 유의하자. 이 존의 미니 보스는 2017년 3월 10일에 공식 SNS에서 발표된 '헤비 거너'라는 새로운 보스다. 이 보스는 헬기에 탄 채로 로켓 런처를 발사하므로, 이 보스전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날아오는 포탄을 받아쳐야 한다. 액트 2에서는 방송 스튜디오와 유사한 구조물과 로또 구조물이 추가되었다. 구조물로 들어가면 숫자와 곱하기, 에그맨이 나오는데 에그맨이 나오지 않거나 같은 숫자와 나오면 링들을 얻을수 있다. 그리고 주변에 카드를 지나가면 글자가 보이는데 이것은 미국의 인기 TV게임쇼인 휠 오브 포츈을 오마주 했었다. 그리고 LOCK ON은 소닉 & 너클즈에 나오는 기술장치이고, EGGMAN PIRATE TV은 영국의 세가 캠페인 광고였던 SEGA PIRATE TV를 패러디로 쓰인것이다. GENESIS DONE은 미국의 세가 제네시스 CM광고에 쓰인것이다. 액트 2 보스에서는 TV화면의 3가지 날씨 상황으로 변환하는 형태이다. 쓸어뜨리면 화면에서 정지화면이 나오고 오류음이 들리는데 우연하게도 1년전 미국에서 열린 소닉 25주년 기념 파티 인터넷 방송에서 나온 출력오류음과 동일하여 그대로 쓴것이다. 플라잉 배터리 존[편집] 3월 16일 소닉 더 헤지혹 공식 유튜브 계정과 미국 텍사스 주에서 열린 SXSW에서 공개된 27초의 짧은 시간으로 네번째 신규 스테이지이자 기존 클래식 스테이지를 수록된건 두번째이다. 소닉 2의 "윙 포트리스 존" 에서 보였던 팬 과 배드닉, 골 플레이트, 모니터 등이 대량으로 쌓여있는 쓰레기 더미가 추가되었다. 스타더스트 스피드웨이 존[편집] 5월 30일에 트레일러 영상에서 공개되었던 다섯번째 신규 스테이지이자 클래식 기존 스테이지를 수록된건 세번째다. 기존 스테이지와 달리 아래쪽 달리는 구간에 회전하며 달리는 모습은 소닉 3의 "마블 가든 존"과 같은 구조로 되어있다. 유사한 구조물을 포함한 신규 구조물도 추가된것으로 확인되었다. 액트 1 미니보스는 소닉 CD에 등장한 반딧불이봇을 거대화로 등장하는데 가끔 조금 일반적으로 등장하지만 어느때는 둘과 같이 등장할때는 떨어진 상태에서 전기를 흐르게 한다. 케미컬 플랜트 존[편집] 6월 8일에 일부 유튜브 채널에서 등장한 여섯번째 신규 스테이지이자 클래식 스테이지로는 네번째다. 스테이지와 달리 케미컬 점프대의 효과음과 점프대 구조는 소닉&너클즈의 머쉬룸 힐 존에 등장한 머쉬룸 점프대와 소닉 CD의 와키 워크벤치 바닥으로 사용되었는데 더 높이 점프하려면 왼쪽에 있는 갈색 주사대를 올려만 한다. 또한 튜브가 돌아가는 구간과 갈라지는 구간 구조물은 소닉 CD의 와키 워크벤치와 메탈릭 매드니스에 사용된것이다. 그리고 신규 구조물로는 액체로 벽을 타거나 붙기도 한다. 액트 2 보스는 시간제한이 없지만 놀랍게도 미니게임 형식인 뿌요뿌요로 되어 있다. 관계적으로 소닉 시리즈의 외전작인 닥터 로보트닉의 민 빈 머신이 있었다. 만일 쌓여지게 되면 밑으로 떨어지게 되니 조심해야한다. 스페셜 스테이지[편집] 기존 작품들에게 있어 필수적인 요소인 카오스 에메랄드의 유무가 나오지 않고 있다. 다만 소닉 더 헤지혹 SNS 팀에 의하면 스페셜 스테이지는 존재하며, 지금까지 공개된 액트들은 거대한 선으로 이루어진 링이 숨겨져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7월 24일에는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코믹스콘 2017에서 스페셜 스테이지의 실태와 음원이 공개되었다. 이번 스페셜 스테이지는 3D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조 방식은 세가 새턴버전의 소닉 3D 블래스트와 소닉 CD, 소닉 3, 너클즈 카오틱스로 되어있다. 카오스 에메랄드를 얻으려면 날아오는 UFO를 쫓아가 쳐야하는데 제한시간이 있다. 시간을 추가하려면 링을 얻어야하고, 속도를 높이려면 주변 스피어들이 있어야 한다. 기존은 파랑색으로 되어 있다가 기어가 올라갈수록 노랑색으로 바뀔수 있다. 보너스 스테이지[편집] 공식 유튜브 계정에서 공개된 보너스 스테이지 모습이 공개되었다. 보너스 스테이지를 진입하려면 50개 이상의 링을 얻은후 체크 포인트로 가면 번쩍거리는 곳으로 들어가야 한다. 그 방식은 소닉 2, 소닉 3와 유사하다. 이번 스테이지는 소닉 3에서 등장한 블루 스피어다. 방식은 똑같지만 모든 블루 스피어만 없애면 은색 소닉 코인과 링까지 모두 얻어 퍼펙트를 받으면 황금색 소닉 코인을 받게 된다. 소닉 코인은 소닉 R에서 채용되어 있다. 코인들을 모으면 엑스트라에서 특정 모드를 해제할수 있다. 여담[편집] 5월 27일 한국시간 약 새벽 1시에 유럽용 스팀 발매 날짜가 8월 15일에 발매된다는 것이 스팀사이트에 의해 유출되었다.[4] 컬렉터즈 에디션[편집] 2016년 9월 한 달 동안 두 종류의 '소닉 매니아 리미티드 에디션 티셔츠'가 판매되었으며 컬렉터즈 에디션을 사전 주문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올해 3월에 개최되는 사우스 바이 사우스웨스트에서 관련 정보가 생중계로 공개되었으며 본래 2017년 5월 31일에 발매될 예정이었으나 게임 제작의 지연으로 인해 8월 31일로 연기되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하여 세가측은 아시아지역의 한국과 일본까지 포함하기로 결정되었다. 이 에디션에는 메가드라이브 스타일 컬렉터즈 박스가 증정되며 아래의 내용물을 넣어두었다. 게임을 내려받을 수 있는 금속형 컬렉터즈 카드, 클래식 소닉 12인치 피규어 + 메가드라이브 받침(받침의 스위치를 켜면 음성이 재생된다.), 금속제 링이 하나 들어있는 카트리지 형태의 틀(진짜 금속 제질은 아니다.). 평가통합 점수통합사점수메타크리틱PS4: 86/100[5]NS: 86/100[6]PC: 84/100[7]XONE: 83/100[8]평론 점수평론사점수디스트럭토이드8/10[9]EGM9/10[10]유로게이머Essential[11]게임 인포머8.5/10[12]게임 레볼루션[13]게임스팟9/10[14]IGN8.7/10[15]닌텐도 라이프9/10[16]닌텐도 월드 리포트9/10[17]PC 게이머 (영국)82/100[18]폴리곤7/10[19]VideoGamer.com7/10[20] 소닉 매니아 플러스[편집] 2018년 3월 17일 사우스 바이 사우스웨스트에서 소닉 매니아의 확장팩 소닉 매니아 플러스가 공개되었다. 미국 기준 가격은 $29.99이며, 다수 국가에서는 예정이다. 또한 판매방식은 패키지와 DL로 동시에 판매되어 2018년 7월 17일 발매 예정이다. 또한 기존 소닉 매니아 보유자는 좀 더 저렴한 가격의 유료 DLC 방식으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변경점은 아케이드 게임 세가소닉 더 헤지호그에 등장했던 케릭터 마이티 디 아르마딜로와 레이 더 플라잉 스쿼럴이 플레이어블로 추가된다. 또한 앙코르 모드를 신규로 추가되었고, 경쟁 모드가 2P을 4P로 플레이를 지원한다. 한정판으로 발매될 패키지 구성은 아래와 같다. 홀로그램 슬립 커버(미국과 유럽 한정)와 세가 제네시스/메가 드라이브 양면 표지, OST(일본과 한국 한정), 32페이지 분량으로 수록된 아트북이 동봉된다. 소닉 매니아 어드벤처스[편집] 2018년 3월 17일 SXSW에서 소닉 매니아 플러스 공개와 동시에 유튜브에서만 볼수 있는 세가의 공식 애니메이션 소닉 매니아 어드벤처스가 공개되었다. 본 애니메이션은 에피소드 형태로 연재되는 방식이다. 스토리는 소닉 포시즈에서 에그맨 군단으로 부터 승리하고 클래식 소닉은 팬텀루비 에너지로 레지스탕스와 헤어져 엔젤 아일랜드로 다시 돌아왔는데 그곳에 아수라장이 되었다. 그때 에그맨이 납치된 동물친구들이 구조물에 갇힌채로 들고 달아났다. 그것을 본 소닉은 다시 한번 모험을 펼치는 이야기이다. 각주[편집] ↑ Destructoid사의 보도:https://www.destructoid.com/sonic-the-hedgehog-is-heading-back-to-his-retro-roots-in-sonic-mania-376578.phtml?utm_source=dlvr.it&utm_medium=twitter ↑ 소닉이 손을 들고 뛰어다니는 것. ↑ https://www.youtube.com/watch?v=fEfKC4sxTG8의 6:42에서 7:02까지 지속되는 것이 보인다. ↑ https://www.gamespot.com/articles/sonic-mania-release-date-potentially-revealed-by-s/1100-6450366/ ↑ “Sonic Mania for PlayStation 4 Reviews”. Metacritic. October 25, 2017에 보존된 문서. October 25, 2017에 확인함.  ↑ “Sonic Mania for Nintendo Switch Reviews”. Metacritic. October 25, 2017에 보존된 문서. October 25, 2017에 확인함.  ↑ “Sonic Mania for PC Reviews”. Metacritic. October 25, 2017에 보존된 문서. October 25, 2017에 확인함.  ↑ “Sonic Mania for Xbox One Reviews”. Metacritic. October 25, 2017에 보존된 문서. October 25, 2017에 확인함.  ↑ Carter, Chris (August 14, 2017). “Review: Sonic Mania”. Destructoid. August 21, 2017에 보존된 문서. August 14, 2017에 확인함.  ↑ L Patterson, Mollie (August 15, 2017). “Sonic Mania review”. 《EGMNow》. August 16, 2017에 보존된 문서. August 15, 2017에 확인함.  ↑ Evans-Thirlwell, Edwin (August 14, 2017). “Sonic Mania review · Eurogamer.net”. 《Eurogamer》. August 23, 2017에 보존된 문서. August 23, 2017에 확인함.  ↑ Shea, Brian (August 14, 2017). “A Joyous Leap Back In Time - Sonic Mania - Xbox One”. Game Informer. August 14, 2017에 보존된 문서. August 14, 2017에 확인함.  ↑ Utley, Matthew (August 14, 2017). “Sonic Mania Review – A Faster, Masterful Remaster”. Game Revolution. August 15, 2017에 보존된 문서. August 14, 2017에 확인함.  ↑ Espineli, Matt (August 14, 2017). “Sonic Mania Review”. GameSpot. August 14, 2017에 보존된 문서. August 14, 2017에 확인함.  ↑ Kemps, Heidi (August 14, 2017). “Sonic Mania Review”. IGN. August 15, 2017에 보존된 문서. August 14, 2017에 확인함.  ↑ Whitehead, Thomas (August 16, 2017). “Sonic Mania Review - Switch eShop”. Nintendo Life. August 18, 2017에 보존된 문서. August 16, 2017에 확인함.  ↑ Rosenberg, Jared (August 14, 2017). “Sonic Mania Review”. Nintendo World Report. August 16, 2017에 보존된 문서. August 14, 2017에 확인함.  ↑ Kelly, Andy (2017년 9월 1일). “Sonic Mania Review”. 《PC Gamer》. 2017년 9월 2일에 확인함.  ↑ Gies, Arthur (August 14, 2017). “Sonic Mania review”. Polygon. August 15, 2017에 보존된 문서. August 14, 2017에 확인함.  ↑ Ahern, Colm (August 14, 2017). “Sonic Mania review”. VideoGamer.com. August 15, 2017에 보존된 문서. August 14, 2017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플레이 영상들[편집] 게임스팟 사의 게임 플레이 GameXplain의 게임플레이 폴리곤의 게임플레이 Kinda Funny Games의 게임플레이 공식 계정에 올려진 액트 2의 게임플레이 팬 게임 데모 버전[편집] 다운로드 링크 vdeh소닉 더 헤지호그메인 게임콘솔용 소닉 더 헤지호그 (1991) 소닉 2 소닉 CD 소닉 3 소닉 & 너클즈 3D 블래스트 어드벤처 어드벤처 2 히어로즈 소닉 더 헤지호그 (2006) 언리쉬드 소닉 4: 에피소드 1 컬러즈 제너레이션즈 소닉 4: 에피소드 2 로스트 월드 포시즈 매니아 휴대용 소닉 1 소닉 2 카오스 트리플 트러블 블래스트 포켓 어드벤처 어드밴스 어드밴스 2 어드밴스 3 러시 라이벌즈 러시 어드벤처 라이벌즈 2 컬러즈 제너레이션즈 로스트 월드 외전플랫포머소닉 붐 라이즈 오브 리릭 새터드 크리스털 파이어 & 아이스 기타 너클즈 카오틱스 래버린스 테일즈 스카이패트롤 테일즈 어드벤처 섀도 더 헤지호그 비밀의 링 암흑의 기사 레이싱 드리프트 드리프트 2 소닉 R 라이더즈 라이더즈: 제로 그래비티 세가 올스타즈 레이싱 프리 라이더즈 올스타즈 레이싱 트랜스폼드 모바일 점프 (피버) 대시 러너즈 대시 2 아케이드 코스모 파이터즈 소닉 패트롤 카 세가소닉 더 헤지호그 팝콘 숍 파이터즈 애틸릭스 대시 익스트림 마리오와소닉 베이징 올림픽 밴쿠버 동계올림픽 런던 올림픽 소치 동계올림픽 리우 올림픽 기타 이레이저 스핀볼 민 빈 머신 창조적 스튜디오 게임월드 테일즈 앤 뮤직 메이커 스쿨하우스 셔플 핀볼 파티 배틀 크로니클즈 합본 소닉 잼 소닉 컬렉션 소닉 앤 너클즈 컬렉션 메가 컬렉션 젬즈 컬렉션 얼티밋 제네시스 컬렉션 취소된 게임 크래커스 엑스트림 익스트림 등장인물 소닉 더 헤지호그 마일즈 "테일즈" 파우어 너클즈 디 에키드나 에이미 로즈 닥터 에그맨 섀도우 더 헤지호그 애니메이션 바람돌이 소닉 고슴도치 소닉 OVA 언더그라운드 소닉 X 소닉 툰 영화 관련 게임 플리키 리스타 기타 세가 소닉 팀 그린 힐 존 인물 나카 유지 오오시마 나오토 나카무라 마사토 마이크 폴록 세가타 산시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소닉_매니아&oldid=23349511" 분류: 세가의 게임2017년 비디오 게임소닉 시리즈닌텐도 스위치 게임플레이스테이션 4 게임윈도우 게임엑스박스 원 게임플랫폼 게임숨은 분류: 기계 번역 의심 문서/2018년 4월모든 기계 번역 의심 문서기계 번역 의심 문서 - 전체단일 플랫폼 모드로 비디오 게임 평점 틀을 사용하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Italiano日本語LietuviųNederlandsNorskPortuguêsРусскийScotsSvensk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26일 (수) 15: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소닉 매니아(Sonic Mania)는 2017년 8월, 세가에서 발매한 2D 플랫폼 게임이다. 플레이스테이션 4와 XBOX ONE, 닌텐도 스위치, PC(윈도우) 용으로 발매되었다. 2016년에 이이즈카 타카시에 의해 존재가 알려진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의 프로젝트이다. 7월 23일 오후1시에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파티에서 첫 트레일러 영상이 공개되었고, 게임 제작은 소닉 컬러즈와 소닉 제너레이션즈를 만든 소닉 팀과 소닉 1과 소닉 2의 리마스터링 게임을 만든 크리스천 화이트헤드, 헤드캐넌, 파고다웨스트 게임스가 담당하고 플레이스테이션 4와 PC, XBOX ONE으로 2017년 5월 21일에는 콜렉터즈가 북미 한정으로 나올 계획이었는데 8월말로 연기되었다. 유럽에서는 판매되지 않음을 밝혔다. 일본에서는 도쿄 게임 쇼에서 아시아 최초로 공개되어 일본 발매일은 봄에 출시될 예정이라고 발표하였지만 똑같은 사정으로 8월말로 연기되었다. 또한 1월 12일에는 세가측은 닌텐도 스위치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추가로 발매하겠다고 발표하였다. 애니메이션 형태의 새로운 트레일러 영상이 공개되어 새로운 존과 발매일이 8월 15일로 확정되었다. 그러나 PC(스팀) 버전은 30일로 연기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케미컬 플랜트존은 어떤 게임방식을 가지고 있을까? Assistant: 6월 8일에 일부 유튜브 채널에서 등장한 여섯번째 신규 스테이지이자 클래식 스테이지로는 네번째다. 스테이지와 달리 케미컬 점프대의 효과음과 점프대 구조는 소닉&너클즈의 머쉬룸 힐 존에 등장한 머쉬룸 점프대와 소닉 CD의 와키 워크벤치 바닥으로 사용되었는데 더 높이 점프하려면 왼쪽에 있는 갈색 주사대를 올려만 한다. 또한 튜브가 돌아가는 구간과 갈라지는 구간 구조물은 소닉 CD의 와키 워크벤치와 메탈릭 매드니스에 사용된것이다. 그리고 신규 구조물로는 액체로 벽을 타거나 붙기도 한다. 액트 2 보스는 시간제한이 없지만 놀랍게도 미니게임 형식인 뿌요뿌요로 되어 있다. 관계적으로 소닉 시리즈의 외전작인 닥터 로보트닉의 민 빈 머신이 있었다. 만일 쌓여지게 되면 밑으로 떨어지게 되니 조심해야한다. Human: 아래 서인천고등학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서인천고등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인천고등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7° 33′ 36″ 동경 126° 40′ 33″ / 북위 37.5600753° 동경 126.6759283°  / 37.5600753; 126.6759283 서인천고등학교西仁川高等學校Seoincheon High School 교훈 정직, 성실 개교 1985년 설립형태 사립 교장 우경옥 교감 우종민 국가 대한민국 위치 인천광역시 서구 서곶로 475 (검암동) 학생 수 1,314명 (2018년 5월 1일 기준) 교직원 수 90명 (2018년 5월 1일 기준) 상징 교목: 소나무 / 교화: 장미 학교법인 정파학원 관할관청 인천광역시교육청 웹사이트 서인천고등학교 홈페이지 서인천고등학교(西仁川高等學校)는 인천광역시 서구 검암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다. 목차 1 학교 연혁 2 학교 동문 3 참고 자료 4 외부 링크 학교 연혁[편집] 1958년   7월   3일 : 수원 고려중학교 인수 1967년   9월 29일 : 정관 변경 인가, 인광학원 인광중학교 1984년   2월 25일 : 이사장 홍범식 선생 취임 1984년 11월 30일 : 학교법인 정파학원으로 정관 변경 인가 1984년 12월   1일 : 신축 교사 30교실 준공 1985년   3월   1일 : 초대 교장 이형기 선생 취임 1985년   3월   4일 : 신입생 407명 입학 (남:174명, 여:233명) 1985년   8월   5일 : 별관 250평 준공(도서실) 1985년   9월 30일 : 별관 150평 준공(특별실) 1986년 12월   1일 : 본관 증축 500평 (지하 3교실, 지상 12교실) 1987년   2월 13일 : 인광중학교 제30회 졸업, 폐교(총 3,018명) 1987년 8월 31일 : 초대교장 이형기 선생 정년 퇴임 1987년 9월 1일 : 2대 교장 홍성한 선생 취임 1987년 11월 10일 : 생활관 준공(200평) 1988년   2월 15일 : 제1회 384명 졸업 1988년 10월 18일 : 초대 이사장 홍범식 선생 서거 1988년 11월 10일 : 2대 이사장 이초금 선생 취임 1990년 10월 10일 : 학생 식당 시설 확장(300석) 2000년 10월 15일 : 교내 학내망 Network 시설 준공 2001년   2월 22일 : 학생급식소 774.62m2, 본관 5층 27.00m2 증축 2002년   9월 23일 : 서일관 준공(지상3층 3,722.85m2) 2003년   9월   6일 : 디지털도서관 '서한재' 개관 서일관 1층 259m2, 장서 6,500권 2005년   3월 15일 : 다목적실 준공(서일관 4층 증축:대강당 915.75m2, 체육장 499.5m2) 2010년   11월 24일 : 2대 교장 홍성한 선생 서거 2011년   3월   1일 : 제3대 교장 장용현 선생 취임 2015년   2월 12일 : 제28회 548명 졸업(졸업생 누계 16,310명) 2015년   3월 1일 : 제4대 교장 우경옥 선생 취임 2016년   2월 4일 : 제29회 561명 졸업 (총 16,871명 졸업) 2017년   2월 10일 : 제30회 552명 졸업 (총 17,423명 졸업) 이 목록은 아직 미완성입니다. 여러분이 편집하여 채워 주세요. 학교 동문[편집] 분류:서인천고등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참고 자료[편집] 서인천고등학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교알리미 외부 링크[편집] 서인천고등학교 - 공식 웹사이트 vdeh 인천광역시의 고등학교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강화군 강남영상미디어고 강화고 강화여고 교동고 덕신고 산마을고 삼량고 서도고 계양구 계산고 계산공고 계산여고 계양고 서운고 안남고 인천세원고 인천예일고 인천효성고 작전고 작전여고 남동구 도림고 동인천고 문일여고 미추홀외고 석정여고 숭덕여고 신명여고 인제고 인천고잔고 인천금융고 인천남고 인천남동고 인천논현고 인천만수고 인천송천고 인천예고 동구 동산고 영화관광경영고 재능고 미추홀구 도화기계공고 문학정보고 선인고 인명여고 인천고 인천기계공고 인천비즈니스고 인천전자마이스터고 인천하이텍고 인하사대부고 인항고 인화여고 정석항공과학고 학익고 학익여고 부평구 명신여고 부개고 부개여고 부광고 부광여고 부평고 부평공고 부평여고 삼산고 세일고 인천미래생활고 인천부흥고 인천산곡고 인천상정고 인천영선고 인천외고 인천진산과고 인평자동차고 제일고 서구 가림고 가정고 가좌고 검단고 대인고 백석고 서인천고 인천디자인고 인천마전고 인천보건고 인천세무고 인천신현고 인천원당고 인천청라고 인천체고 인천초은고 인천해원고 한국주얼리고 연수구 박문여고 송도고 신송고 연수고 연수여고 옥련여고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인천대건고 인천뷰티예술고 인천생활과학고 인천여고 인천연송고 인천포스코고 인천해송고 인천해양과학고 청학공고 옹진군 대청고 덕적고 백령고 연평고 인천영흥고 중구 광성고 영종국제물류고 인성여고 인일여고 인천공항고 인천과고 인천국제고 인천여상 인천영종고 인천정보산업고 인천중앙여상 인천하늘고 인천해사고 제물포고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서인천고등학교&oldid=23686233" 분류: 인천 서구의 고등학교인천광역시의 사립 고등학교남녀공학 고등학교일반계 고등학교1985년 개교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2월 12일 (화) 06:1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서인천고등학교(西仁川高等學校)는 인천광역시 서구 검암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서인천 고등학교의 1985년 3월 신입생은 몇명이었는가? Assistant: 년
Human: 아래 1808년_미국_대통령_선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1808년 미국 대통령 선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808년 미국 대통령 선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808년 미국 대통령 선거 1804년 ← 1808년 → 1812년   후보 제임스 매디슨 찰스 코츠워스 핑크니 정당 민주공화당 연방당 선거인단 122 47 승리한 주 12 5 득표수 124,732 62,431 득표율 64.7% 32.4% 주별 우세지역 선거전 대통령 토마스 제퍼슨 민주공화당 대통령 당선자 제임스 매디슨 민주공화당 1808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1808년 미국에서 치러진 대통령 선거로, 민주공화당 제임스 매디슨이 당선되었다 목차 1 후보선출 1.1 민주공화당 1.2 연방당 2 선거 결과 후보선출[편집] 민주공화당[편집] 득표순위 이름 득표수 득표율 비고 1011 제임스 매디슨 83 93.3% 대통령 후보 1022 제임스 먼로 3 3.4% 1033 조지 클린턴 3 3.4% 총투표수 89 득표순위 이름 득표수 득표율 비고 1011 조지 클린턴 79 89.8% 부통령 후보 1022 존 랭던 5 5.7% 1033 헨리 디어본 3 3.4% 1044 존 퀸시 애덤스 1 1.1% 총투표수 88 민주공화당은 당원대회를 통해 제임스 매디슨 국무장관을 대통령후보로, 조지 클린턴 부통령을 부통령후보로 선출하였다. 연방당[편집] 연방당은 당원대회를 통해 프랑스 대사 찰스 핑크니를 다시 대통령 선거 후보로 선출하였다 선거 결과[편집] 대통령 후보 정당 근거지 전체유권자 선거인단 득표 러닝메이트 러닝메이트 근거지 득표수 지지율 제임스 매디슨 민주공화당 버지니아 124,732 64.7% 122 조지 클린턴 뉴욕 찰스 코츠워스 핑크니 연방당 사우스캐롤라이나 62,431 32.4% 47 루퍼스 킹 뉴욕 조지 클린턴 민주공화당 뉴욕 - - 6 제임스 매디슨 버지니아 제임스 먼로 민주공화당 버지니아 4,848 2.5% 0 계 192,691 100.00 % 175 대통령 토마스 제퍼슨의 인기를 등에 업고, 여당인 민주공화당의 제임스 매디슨 후보가 당선되었다 vdeh 미국의 선거대통령 선거 1789 1792 1796 1800 1804 1808 1812 1816 1820 1824 1828 1832 1836 1840 1844 1848 1852 1856 1860 1864 1868 1872 1876 1880 1884 1888 1892 1896 1900 1904 1908 1912 1916 1920 1924 1928 1932 1936 1940 1944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2024 상원의원 선거 1788 1790 1792 1794 1796 1798 1800 1802 1804 1806 1808 1810 1812 1814 1816 1818 1820 1822 1824 1826 1828 1830 1832 1834 1836 1838 1840 1842 1844 1846 1848 1850 1852 1854 1856 1858 1860 1862 1864 1866 1868 1870 1872 1874 1876 1878 1880 1882 1884 1886 1888 1890 1892 1894 1896 1898 1900 1902 1904 1906 1908 1910 1912 1914 1916 1918 1920 1922 1924 1926 1928 1930 1932 1934 1936 1938 1940 1942 1944 1946 1948 1950 1952 1954 1956 1958 1960 1962 1964 1966 1968 1970 1972 1974 1976 1978 1980 1982 1984 1986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하원의원 선거 1789 1792 1794 1796 1798 1800 1802 1804 1806 1808 1810 1812 1814 1816 1818 1820 1822 1824 1826 1828 1830 1832 1834 1836 1838 1840 1842 1844 1846 1848 1850 1852 1854 1856 1858 1860 1862 1864 1866 1868 1870 1872 1874 1876 1878 1880 1882 1884 1886 1888 1890 1892 1894 1896 1898 1900 1902 1904 1906 1908 1910 1912 1914 1916 1918 1920 1922 1924 1926 1928 1930 1932 1934 1936 1938 1940 1942 1944 1946 1948 1950 1952 1954 1956 1958 1960 1962 1964 1966 1968 1970 1972 1974 1976 1978 1980 1982 1984 1986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1808년_미국_대통령_선거&oldid=24102171" 분류: 1808년 미국 대통령 선거미국의 대통령 선거1808년 미국1808년 선거제임스 매디슨 행정부숨은 분류: 오래된 그림 구조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Македонски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5일 (목) 23:1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1808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1808년 미국에서 치러진 대통령 선거로, 민주공화당 제임스 매디슨이 당선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808년 미국 대통령 선거 중 후보선출에서 가장 많은 득표수를 얻어 대통령 후보가 된 사람은 누구인가? Assistant: 제임스 매디슨 Human: 아래 현대제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현대제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현대제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천중공업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현대제철 주식회사Hyundai Steel Company 형태 주식회사 창립 1952년 (강원탄광)1953년 6월 10일 (대한중공업공사)1962년 11월 10일 (인천중공업)1964년 9월 1일 (인천제철)1966년 (강원산업)2001년 7월 23일 (INI스틸)2006년 3월 10일 (현대제철) 해체 1962년 11월 9일 (대한중공업공사)1966년 (강원탄광)1970년 4월 1일 (인천중공업 합병)2000년 3월 15일 (강원산업 합병)2001년 7월 22일 (인천제철)2006년 3월 9일 (INI스틸)2015년 7월 1일 (현대하이스코 합병) 시장 정보 한국: 004020 상장일 1987년 5월 23일 국가 대한민국 본사 소재지 대한민국인천광역시 동구 중봉대로 63 (송현동) 핵심 인물 안동일 (대표이사) 사업 내용 제철업철강 압연, 압출, 연신제품 제조업기타 제철 및 제강업열간 압연 및 압출 제품 제조업냉간 압연 및 압출 제품 제조업철강선 제조업강관제조업 제품 형강, 봉강, 철근, 주단강, 롤, 스테인리스, 원형강 자본금 667,228,925,000원 (2018.12) 매출액 20,780,381,550,301원 (2018) 영업이익 1,026,089,374,644원 (2018) 순이익 407,959,435,202원 (2018) 자산총액 33,304,917,422,605원 (2018.12) 주요 주주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외 특수관계인: 35.99%국민연금: 8.39% 모기업 현대자동차그룹 자회사 현대종합특수강주식회사현대비앤지스틸주식회사HSMC 종업원 11,563명 (2018.12) 웹사이트 현대제철 현대제철은 대한민국의 철강 기업으로, 현대자동차그룹의 계열사이다. 목차 1 역사 2 사건, 사고 및 논란 2.1 산업재해 문제 2.2 용광로 추락 사망 사건 3 사업장 현황 4 각주 5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53년 6월 현대제철의 전신인 대한중공업공사가 설립. 1970년 4월 대한중공업공사(인천중공업으로 상호 변경)흡수 합병 1972년 5월 철근공장 조업 시작. 1973년 7월 전기제강공장 조업 시작. 1975년 5월 소형공장의 조업 시작. 1978년 6월 현대그룹에 편입. 1979년 한국 최초 24인치 외경 강관공장 연산 100만톤 울산공장 준공 1982년 H형강공장(연산 30만 톤 규모 최초로 H형강 국산화 현재 연산 200만톤 세계계1위) 준공. 1985년 인천합금철을 흡수 합병. 1987년 5월 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 2000년 3월 강원산업 주식회사를 인수 연산 180만톤 포항 전기로제강소와 레일공장 편입. 2000년 12월 특수강 스텐레스 냉연강판 업체인 창원 삼미특수강 스테인리스 냉연강판공장을 인수. 2001년 4월 현대자동차그룹에 편입. 2001년 7월 INI스틸 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 2004년 한보철강 전기로 제강소와 당진 철근 공장을 인수 합병. 2006년 3월 현대제철 주식회사로 상호 변경. 2010년 연산 400만톤 급 고로 2기를 완공 2013년 제3기 고로를 완공 2014년 1월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의 냉연강판 제조 및 판매부문 분할합병. 2015년 7월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합병. 사건, 사고 및 논란[편집] 산업재해 문제[편집] 2012년 9월부터 2014년 1월까지 1년여의 기간 동안 모두 13명의 근로자가 현대제철에서 사고로 사망하여 현대제철의 안전 의식과 대책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2013년 5월, 전로제강공장에서 보수작업을 하던 하청업체 직원 5명이 아르곤가스에 질식해 숨지는 사고가 발생한 직후 고용노동부는 당진제철소를 특별 점검했는데, 이때 현대제철 898건, 협력업체 156건, 건설업체 69건 등 총 1천123건의 산업안전법 위반 사항이 적발되기도 했다. 같은 해 11월에도 제철소 내 그린파워발전소에서 가스가 누출돼 1명이 숨지고 8명이 다쳤는데, 이들 사고 당시 근로자들은 산소마스크와 가스누출 경보기 등 기본장비도 착용하지 않은 채 공장시설에 들어갔던 것으로 드러나서 안전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잇따른 사고로 여론의 질타를 받은 현대제철은 2013년 12월 5일 안전 확보를 위해 1200억 원을 투자하고 전담 인력을 50명 늘린다는 내용의 종합 대책을 발표했으며, 일련의 사고에 대한 책임을 물어 임원 3명의 사표를 수리했다. 하지만 그 이후인 2014년 1월 19일에 또 다시 협력업체 직원이 고온의 냉각수 웅덩이에 빠져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해 다시 비판을 받았다. 방하남 고용노동부 장관은 유감 표명과 함께 특단의 대책과 그에 대한 실천을 촉구했으며, 금속노조는 현실성 없는 안전계획이 노동자들만 잡아먹은 '죽음의 공장'으로 만들고 있다고 비판했다. 2014년에 다시 발생한 사고로 인해 현대제철의 수장인 박승하 부회장과 그룹 회장인 정몽구에 대한 책임론도 제기되었다. 박승하 부회장은 2013년 6월 철의 날 기념행사와 12월 5일 대국민 사과 등 안전사고 예방을 두 번씩이나 약속했지만 모두 지키지 못했다는 점이 지적되었다.[1][2][3][4][5][6] 용광로 추락 사망 사건[편집] 2015년 4월 3일, 현대제철 인천공장에서 근로자가 용광로에 추락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경찰은 1500도가 넘는 고온의 쇳물에 빠져 죽은 탓에 시신도 수습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당시 사고 직후 현장을 촬영한 사진에 의하면 현장에는 난간조차 없었으며 바닥에는 미끄러운 쇳가루가 쌓여 있었고, 조명도 어두웠다고 한다. 당국은 이를 안전규정 위반으로 보고 조사 중이다.[7][8][9] 사업장 현황[편집] 본점: 인천광역시 동구 중봉대로 63 (송현동) 인천 제철소 전기로 롱프로덕트 생산공장 한국 최대 H-형강공장 소재지 당진 제철소 연산400만톤 고로3기 한국 최초 4,000㎡급 초대형고로 제철소 당진 제강소는 전기로 철근및 형강공장 보유 구 현대하이스코 냉연,아연도 강판공장 순천 연산120만톤 냉연공장 울산 연산 100만톤 24인치 외경 강관공장 포항 제강소: 구 강원산업 연산 200여만톤 전기로,철근및 형강,레일공장 후판공장은 당진제철소내 보유 서울지점: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길 50 (중학동, 더케이트윈타워) 제주지점: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원님로399번길 319 각주[편집] ↑ “방하남 "현대제철 사망사고 유감"… 23일 사망자 또 발생”. 국민일보. 2014년 1월 27일.  ↑ “안전대책 무색, 또 사망사고…현대제철 왜 이러나”. 연합뉴스. 2014년 1월 27일.  ↑ “'또 사망사고' 현대제철 왜 이러나”. MBN. 2014년 1월 28일.  ↑ “안전대책 무색, 또 사망사고…'현대제철 왜 이러나'”. SBS. 2014년 1월 27일.  ↑ “'또 사망 사고' 현대제철, 1년새 10명 'CEO 박승하' 책임론 확산”. 스포츠서울. 2014년 1월 27일. 2014년 2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3월 2일에 확인함.  ↑ “당진 현대제철 또 死亡사고… 1년5개월 사이에 13명 숨져”. 조선일보,. 2014년 1월 27일.  ↑ 현대제철 용광로서 추락사고…직원 1명 사망 머니위크, 2015년 4월 5일 ↑ 현대제철 인천공장, 직원 쇳물에 추락해 사망 아시아투데이, 2015년 4월 4일 ↑ 1500도 끊는 쇳물에 빠진 근로자…안타까운 사고 SBS 8시 뉴스, 2015년 4월 14일 외부 링크[편집] 현대제철 - 공식 웹사이트 vdeh KRX 100 지수 구성 종목 코스피 지수 코스닥 지수 유가증권 BNK금융지주 CJ CJ CGV CJ대한통운 CJ제일제당 GKL GS GS리테일 KB금융 KB손해보험 KCC KT KT&G LG LG디스플레이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LG전자 LG화학 NAVER POSCO SK SK머티리얼즈 SK이노베이션 SK텔레콤 SK하이닉스 S-Oil 강원랜드 고려아연 금호석유 기아차 기업은행 녹십자 농심 대한유화 DB손해보험 롯데쇼핑 롯데제과 롯데칠성 롯데케미칼 미래에셋대우 미래에셋증권 삼성SDI 삼성물산 삼성생명 삼성에스디에스 삼성전기 삼성전자 삼성증권 삼성카드 삼성화재 신세계 신한지주 아모레G 아모레퍼시픽 아이에스동서 에스에프에이 에스원 엔씨소프트 영원무역 오뚜기 오리온 오리온홀딩스 우리금융지주 유한양행 이마트 제일기획 코스맥스 코웨이 포스코대우 하나금융지주 하나투어 한국가스공사 한국금융지주 한국전력 한국콜마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한국토지신탁 한국항공우주 한미사이언스 한미약품 한샘 한세실업 한온시스템 한전KPS 현대건설 현대글로비스 현대모비스 현대백화점 현대위아 현대제철 현대중공업 현대차 현대해상 호텔신라 효성 코스닥 CJ ENM 메디톡스 셀트리온 오스템임플란트 이오테크닉스 카카오 컴투스 vdeh 코스피200 지수 구성 종목 (가나다 순) 코스피 지수 한국거래소 건설 대림산업 대우건설 동양 삼성엔지니어링 쌍용양회 아이에스동서 한일홀딩스 한전기술 현대건설 GS건설 HDC HDC현대산업개발 KCC LG하우시스 금융 기업은행 메리츠종금증권 미래에셋대우 삼성생명 삼성증권 삼성카드 삼성화재 신한지주 우리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한국금융지주 한화생명 현대해상 BNK금융지주 DB손해보험 KB금융 NH투자증권 경기소비재 강원랜드 금호타이어 기아차 넥센타이어 대교 롯데쇼핑 롯데하이마트 만도 삼성물산 세방전지 신세계 쌍용차 에스엘 영원무역 코웨이 쿠쿠홀딩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한국테크놀로지그룹 한라홀딩스 한샘 한섬 한세실업 한온시스템 현대리바트 현대모비스 현대백화점 현대위아 현대차 현대홈쇼핑 호텔신라 GKL LF S&T모티브 SK네트웍스 산업재 대한항공 두산 에스원 팬오션 포스코대우 한국단자 한국항공우주 한전KPS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글로비스 CJ대한통운 LG상사 LIG넥스원 LS LS산전 생활소비재 남양유업 농심 대상 동서 동원F&B 락앤락 롯데지주 롯데칠성 롯데푸드 무학 빙그레 삼양사 삼양홀딩스 아모레G 아모레퍼시픽 오뚜기 오리온 오리온홀딩스 이마트 코스맥스 팜스코 하이트진로 한국가스공사 한국전력 한국콜마 현대그린푸드 BGF BGF리테일 CJ CJ제일제당 GS리테일 KT&G LG생활건강 SPC삼립 에너지/화학 금호석유 남해화학 대한유화 롯데케미칼 롯데정밀화학 유니드 코오롱인더 태광산업 한국쉘석유 한솔케미칼 한화 한화케미칼 효성 효성중공업 후성 휴켐스 AK홀딩스 GS LG화학 OCI S-Oil SK SKC SK디스커버리 SK이노베이션 SK케미칼 정보기술 대덕전자 삼성SDI 삼성SDS 삼성전기 삼성전자 일진머티리얼즈 DB하이텍 LG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SK하이닉스 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두산인프라코어 두산밥캣 두산중공업 삼성중공업 한진중공업 현대로템 현대미포조선 현대엘리베이터 현대중공업 현대중공업지주 철강/소재 고려아연 고려제강 동국제강 동원시스템즈 세아베스틸 영풍 풍산 현대제철 POSCO 커뮤니케이션서비스 넷마블 엔씨소프트 이노션 제일기획 카카오 CJ CGV KT LG유플러스 NAVER SBS SK텔레콤 헬스케어 녹십자 녹십자홀딩스 대웅제약 동아쏘시오홀딩스 동아에스티 보령제약 부광약품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영진약품 유한양행 일양약품 종근당 한미사이언스 한미약품 한올바이오파마 JW중외제약 JW홀딩스 vdeh현대그룹관광 현대아산 에이블현대호텔앤리조트 현대종합연수원 제조업 현대엘리베이터 연구원· 자원 현대경제연구원 현대인재개발원 현대투자네트워크 이전 계열사 현대건설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 현대자원개발 현대상선 인천제철 현대미포조선 현대엔지니어링 현대해상화재보험 현대종합상사 현대정공 현투증권 현대투자신탁운용 현대캐피탈 현대오토넷 현대정유 금강 금강개발산업 기아자동차 동서산업 고려산업개발 하이닉스반도체 한국프랜지 한라건설 이미지퀘스트 문화일보 현대방송 현대로지스틱스 현대코스코로지스틱스 현대증권 현대저축은행 현대자산운용 동해해운 해영선박 현대부산신항만 대한알루미늄공업 현대시멘트 현대양행 방계기업 현대자동차그룹 현대중공업그룹 현대백화점그룹 HDC그룹 현대해상화재보험그룹 KCC그룹 한라그룹 서한그룹 기타 현대고등학교 현대차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 현대차 컨벤션 호텔 관련 항목 현대자동차그룹 현대중공업그룹 왕자의난 vdeh현대자동차그룹완성차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철강 현대제철 (현대비앤지스틸) 현대글로비스 현대종합특수강 건설 현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 현대스틸산업 현대종합설계 현대도시개발 희망세움 미래세움제2차 울산하버브릿지 화성도시고속도로 서부광역철도 진주청천 울산청천 서산청천 울주청천 IT 이노션 월드와이드 현대오토에버 모젠 부품 현대모비스 현대위아 현대트랜시스 현대케피코 현대오트론 현대엠엔소프트 현대엠시트 현대IHL 현대파텍스 위아마그나파워트레인 금융 현대캐피탈 현대카드(다이너스 클럽코리아) 현대커머셜 현대차증권 관광 해비치호텔앤드리조트 (해비치컨트리클럽) 에너지 HL그린파워 현대에너지 부산정관에너지 기타 현대차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 현대NGV 현대로템 현대서산농장 현대머티리얼 서림환경기술 서림개발 현대건설인재개발원 경인운하 하떠ER&C삼우 메인트란스 그린에어 부산파이낸스센터AMC 스포츠 전북 현대 모터스 KIA 타이거즈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 수원 현대건설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현대제철 남자양궁단 현대모비스 여자양궁단 이전 계열사 현대엠코 현대파워텍 서울시메트로9호선 현대C&I 제2영동고속도로 종로학평 현대위스코 푸본현대생명보험 현대메티아 현대하이스코 삼표제작소 아이아 관련항목 현대그룹 현대중공업그룹 왕자의난 웹사이트: hyundai.co.kr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현대제철&oldid=24550660" 분류: 한국거래소 상장 기업대한민국의 철강생산업체1953년 설립된 기업현대그룹의 이전 자회사현대자동차그룹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تۆرکجهDeutschEnglishفارسیFrançais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9일 (화) 23:1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현대제철은 대한민국의 철강 기업으로, 현대자동차그룹의 계열사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현대제철의 현재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사업장들의 구성상황은? Assistant: 본점: 인천광역시 동구 중봉대로 63 (송현동) 인천 제철소 전기로 롱프로덕트 생산공장 한국 최대 H-형강공장 소재지 당진 제철소 연산400만톤 고로3기 한국 최초 4,000㎡급 초대형고로 제철소 당진 제강소는 전기로 철근및 형강공장 보유 구 현대하이스코 냉연,아연도 강판공장 순천 연산120만톤 냉연공장 울산 연산 100만톤 24인치 외경 강관공장 포항 제강소: 구 강원산업 연산 200여만톤 전기로,철근및 형강,레일공장 후판공장은 당진제철소내 보유
Human: 아래 오윤_(화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오윤 (화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윤 (화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오윤(吳潤)출생 1946년 4월 13일(1946-04-13) 대한민국 경상남도 동래군 동래읍 낙민리 (現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동래구 낙민동)사망 1986년 7월 5일 (40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국적 대한민국분야 판화 (목판화), 부조학력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졸업직업 화가소속 현실과 발언 사조 민중 미술 (사회비판적 표현주의)대표작 칼노래수상 2005년 옥관문화훈장영향받음 김윤수, 김지하, 최민배우자 박명자(이혼)부모 오영수(부), 김정선(모) 오윤(吳潤, 1946년 4월 13일 ~ 1986년 7월 5일)은 대한민국 화가다. 1980년대 신군부 정권과 자본주의 체제가 드러낸 모순이 격화된 대한민국 사회에 등장한 민중 미술의 대표적인 작가였다. 목차 1 생애 2 작품 3 수상 4 저서 5 각주 생애[원본 편집] 1946년 부산 동래구 낙민동에서 소설가인 오영수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유년기는 경남여고 미술과 교사를 지내던 아버지를 따라 바다가 보이는 동구 수정동 경남여자고등학교 관사에서 살았다. 전후 혼란기인 1952년 수정국민학교에 입학했으나, 피난민으로 인한 인구의 증가로 1953년 흙바닥에 책걸상을 놓고 수업하던 수성국민학교로 분교한다. 국민학교 4학년을 마친 1955년 서울 돈암동 신흥사 입구 배밭골로 이사와서, 돈암국민학교로 전학왔다. 내성적인 조용한 성격으로 중고등학교 시절을 보내던 중 누나 오숙희와 친분이 있던 김지하와 알게된다.[1] 1965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에 입학했다. 1968년 휴학하면서 한국 무전여행을 했다. 1969년 대학 복학 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선후배 사이던 오경환, 임세택 등과 함께 현실 동인을 결성하여 리얼리즘 미술운동을 제창하고, 김지하 등과 함께 “현실동인 제1 선언문”을 발표했다. 1970년 8월에 대학교를 졸업한 후 1971년 군대에 입대했으나, 위장병이 악화되어 수술을 받고 1972년 의병제대 했다. 제대 후 경주에서 윤광주, 오경환과 같이 전돌 공장에서 일하면서 신라시대에서 부터 내려오는 전통 흙을 다루는 기술을 공부한다. 이후에는 일산에서 임진택이 운영하는 전돌공장에서 조건영과 함께 일하기도 했다. 1976년 한윤수가 운영하는 청년사가 설립되어 삽화도 제작하고, 지리산, 한탄강 등 현장 답사를 다니기도 했다. 1977년 박명자와 결혼하고 수유리에 방을 얻어, 1977년 3월 선화예술고등학교 미술과 교사가 되었다. 1979년 5월에 부친 오영수가 작고하고, 그해 11월 19일 젊은 작가들이 모인 “현실과 발언” 창립회원으로 동인 활동에 적극 참여하면서, 1980년대 민중미술운동의 상징적인 존재가 된다.[1] 김지하의 시집 《오적(五賊)》과 이원수의 전래 동화집 《땅속나라 도둑귀신》의 판화 삽화와 표지화를 비롯하여 정치적 민주화 운동 및 투쟁을 지원한 포스터와 대형 걸개그림 제작 등을 제작하기도 했다. 1980년부터 1983년까지 현실과 발언 동인전에 계속 참여하면서, 1982년 석형산, 김호득 등과 함께 서대문 미술학원을 설립하여 조소를 지도한다. 이후 잦은 음주와 흡연, 성격과 가치관의 차이로 부인과 불화하고 건강이 악화된다. 1983년 7월 간경화로 고려병원에 입원했다가, 8월에 퇴원하여 민간요법으로 치유를 했으나, 1984년 10월 다시 건강이 악화되어 진도로 요양을 떠난다. 1985년 3월 서울로와서 1986년 5월 3일 처음이자 마지막 개인전을 개최했다. 1986년 5월 22일 별거상태였던 아내와 합의이혼했다. 판화집 칼노래를 출간하고, 화실을 준비하는 등 바쁘게 생활하다가 갑자기 1986년 7월 5일 마흔한 살 나이로 짧은 생을 마쳤다.[1] 현대 판화 선구자로 평가받았으며, 미술의 사회적 역할에 관심을 가지고 민화, 무속화, 불화, 탈춤, 굿 등 한국 전통의 민중 문화를 연구하고 이를 민족 예술로 승화시키는 작업을 했다. 해학과 민중적 신명, 한이 날카로운 칼맛을 통한 표현적인 선을 통해 형식과 내용의 탁월한 통일을 보여준다. 한국 민화나 풍속화 같은 전통 미술의 형식을 빌러 강렬한 선과 형태로 민중의 삶과 애환, 분노를 표현을 표했던 오윤의 목판화는 민중 판화의 전형이 되었다.[2] 작품[원본 편집] 판화를 비롯하여 수채화, 유화, 삽화, 조각, 탈 등으로 된 작품을 만들었으며, 걸개그림이나 책 등으로 세상에 선보였다. 조각 작품으로 1974년 제작한 상업은행 구의동 지점에 내외벽 벽화와 동대문 지점에 외벽 장식 테라코타가 있다.[3] <세상사람들>, 아이를 지키는 어머니를 그린 <대지>연작, 노동자의 헛헛한 뒷모습을 새긴 <노동의 새벽>, 노동자와 서민들의 곤한 삶을 컬컬한 흑백 선묘의 얼굴과 땅땅한 인체구도로 포착한 <칼노래> <북춤> <앵적가>등의 전통춤 몸놀림의 신명과 배경 칼선의 오밀조밀한 리듬감으로 표현하는 등 1983년까지 대부분 흑백 목판화를 만들었다. 1984년부터는 간결한 장식적 색상을 도입한 작품으로 새로 변화시키기 시작했다. <마케팅>연작은 감로탱 불화, 콜라주, 키치 모자이크 등이 뒤얽힌 파격적 작업으로 서구의 모더니즘, 팝아트와 맛닿아 있다. 해골 병사와 사지 잘린 군상이 우리 현대사를 상징하는 <원귀도>, 머리 위로 기가 모락모락 피어오르는 <도깨비> <칼노래> 등 신명과 주술이 지배하는 영역까지 표현했다.[4] 마지막 시기의 대형 유화로 《통일대원도》가 있다. 수상[원본 편집] 2005년 옥관문화훈장 저서[원본 편집] 오윤 (2010). 《오윤: 칼을 쥔 도깨비》. 현실 문화 연구. ISBN 9788992214919.  오윤 (2010). 《오윤: 3115, 날 것 그대로 의 오 윤》. 현실 문화 연구. ISBN 9788992214926.  김문주, 오윤 (2007). 《오윤: 한(恨)을 생명의 춤으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ISBN 9788991057326.  오윤 (2006). 《오윤: 낮도깨비 신명마당》. 컬처북스. ISBN 9788992074155.  성완경, 허진무 (2005). 《오윤: 희망을새긴판화가 (어린이 미술관)》. 나무숲. ISBN 898900425X.  (사후기념) 편집부 (1996). 《오윤 동네사람 세상사람》. 학고재. ISBN 9788985846172.  (오윤 10주기 추모 판화전각집) 오윤 (1986). 《칼 노래: 吳潤 版畵集》. 그림마당·민.  각주[원본 편집] ↑ 가 나 다 허진무 (1991). “吳潤에 關한 批評的 硏究”. 《東國大學校 敎育大學院 : 美術敎育專攻》 (학위논문(석사))|format=은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민중미술가' 오윤 회고전 18일까지 열려”. 민중의소리. 2002년 12월 14일. 2011년 5월 4일에 확인함.  ↑ “오윤”. 한국민속문화대백과사전.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노형석기자 (2006년 9월 26일). “‘오윤’ 찢어진 눈 불같은 기운 생생”. 2011년 5월 4일에 확인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오윤_(화가)&oldid=24425323" 분류: 1946년 태어남1986년 죽음대한민국의 화가대한민국의 판화가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부산광역시 출신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문간 질환으로 죽은 사람해주 오씨20세기 화가대한민국의 민주주의 운동가숨은 분류: 인용 오류 - URL 없이 형식을 사용함인용 오류 - URL 없이 확인날짜를 사용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4일 (금) 10: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오윤(吳潤, 1946년 4월 13일 ~ 1986년 7월 5일)은 대한민국 화가다. 1980년대 신군부 정권과 자본주의 체제가 드러낸 모순이 격화된 대한민국 사회에 등장한 민중 미술의 대표적인 작가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상업은행 구의동 지점에 제작된 내외벽 벽화는 몇년도에 제작되었는가? Assistant: 1974년 Human: 아래 궐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궐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궐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개비 필터 담배 궐련(卷煙, 문화어: 마라초; 프랑스어: cigarette [sigaʀεt][*])은 담배 잎을 썰어서 종이로 말아 만든 작은 담배이다. 궐련 한쪽 끝에 불을 붙이면 연기가 원통 모양을 타고 올라가 다른 쪽 끝으로 나와 입으로 흡입된다. 궐련 물부리가 사용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파이프 담배 등과 달리 별도의 도구는 필요로 하지 않으며, 라이터나 성냥 등의 점화 도구만 있으면 피울 수 있도록 가공되어 있기 때문에 널리 보급되어 있다.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담배라 함은 궐련 담배를 지칭한다. 목차 1 구조와 재질 2 각주 2.1 내용주 2.2 참조주 구조와 재질[편집] 형태는 잘게 썬 담뱃잎을 종이에 싸 원통 모양으로 만 것으로 굵기는 7밀리미터[A] 정도에 길이는 85밀리미터에서 100밀리미터가 일반적이나[2], 굵기가 5.4밀리미터 정도인 담배나[2] 9밀리미터에 가까운 담배도 있고[1] 길이도 짧은 것은 65밀리미터 정도인 담배도 있다.[2] 궐련을 마는데 쓰는 궐련 용지는 시가렛 페이퍼 혹은 라이스 페이퍼라고 불리는데[2], 라이스 페이퍼라고 해도 원료는 벼가 아니며, 주 재료는 일반적으로 삼[1]과 펄프이다.[2] 담배가 탈때 나는 악취를 막고 담뱃잎이 타는 속도와 맞추기 위해 시가렛 페이퍼에는 탄산 칼슘이 첨가되어 있고, 또한 국가에 따라서는 암모늄, 인산, 염화 마그네슘, 타르타르산 칼륨, 타르타르산 나트륨 등이 첨가되는 경우도 있다.[1] 담뱃잎에는 향을 좋게 하기 위해 향료가 첨가되는 경우가 많으며 주로 사용되는 향료로는 당류(糖類), 코코아, 감초, 멘톨, 럼, 바닐라 등이 있다.[2] 각주[편집] 내용주[편집] ↑ 궐련 담배의 굵기는 직경이 아닌 원둘레로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 참조주[편집] ↑ 가 나 다 라 《たばこの話あれこれ》. 日本専売公社. 1976. 100쪽.  ↑ 가 나 다 라 마 바 “たばこができるまで”. たばこワールド. 2013년 12월 21일에 확인함.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궐련 전거 통제 LCCN: sh85025966 GND: 4190811-9 BNF: cb12066152n (데이터) 이 글은 생활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궐련&oldid=22415114" 분류: 궐련숨은 분류: 문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생활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cèhAfrikaan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Boarisch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বাংলাབོད་ཡིགBosanskiCatalàMìng-dĕ̤ng-ngṳ̄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ArpetanGaeilgeGalegoگیلکیGaelg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ಕನ್ನಡKurdî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umbaartLietuviųLatviešuBaso Minangkaba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Bahasa Melayuမြန်မာဘာသာ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Armãneashti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oomaaliga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KiswahiliŚlůnskiతెలుగు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est-VlamsWinarayייִדיש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6일 (일) 02: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궐련(卷煙, 문화어: 마라초; 프랑스어: cigarette [sigaʀεt][*])은 담배 잎을 썰어서 종이로 말아 만든 작은 담배이다. 궐련 한쪽 끝에 불을 붙이면 연기가 원통 모양을 타고 올라가 다른 쪽 끝으로 나와 입으로 흡입된다. 궐련 물부리가 사용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파이프 담배 등과 달리 별도의 도구는 필요로 하지 않으며, 라이터나 성냥 등의 점화 도구만 있으면 피울 수 있도록 가공되어 있기 때문에 널리 보급되어 있다.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담배라 함은 궐련 담배를 지칭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궐련은 어떤 잎을 원통처럼 만 거야? Assistant: 담뱃잎
Human: 아래 백승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백승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백승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백승환출생 1998년 4월 17일(1998-04-17) (21세)국적 대한민국직업 배우소속사 HB엔터테인먼트 웹사이트 HB엔터테인먼트 백승환백승환 - 인스타그램 백승환(白承煥;1998년 4월 17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목차 1 학력 2 연기 활동 2.1 드라마 2.2 영화 2.3 뮤직비디오 3 수상 및 후보 학력[편집] 은행고등학교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연기 활동[편집] 드라마[편집] 2008년 평화방송 창립 20주년 기념 특별기획 드라마 《땀의 순교자 탁덕 최양업》 ... 개똥이 아들 역 2011년 SBS 미니시리즈 《뿌리깊은 나무》 ... 어린 윤평 역(이수혁 아역) 2011년 MBC 미니시리즈 《나도, 꽃》 ... 어린 서재희 역(윤시윤 아역) 2011년 JTBC 대하드라마 《인수대비》 ... 송이의 오빠, 어린 윤구 역(반상윤 아역) 2012년 tvN 미니시리즈 《아이 러브 이태리》 ... 어린 금은동 역(김기범 아역) 2013년 SBS 미니시리즈 《장옥정, 사랑에 살다》 ... 어린 현치수 역(재희 아역) 2015년 KBS1 대하드라마 《징비록》 ... 어린 선조 역(김태우 아역) 2015년 KBS2 미니시리즈 《블러드》 ... 어린 박지상 (안재현 아역) 2015년 SBS 미니시리즈 《육룡이 나르샤》 ... 어린 무휼 역(윤균상 아역) 2016년 KBS2 미니시리즈 《뷰티풀 마인드》 ... 어린 이영오 역(장혁 아역) 2017년 KBS2 미니시리즈 《7일의 왕비》 ... 어린 이역 역 (연우진 아역) 2018년 OCN 수목드라마 《신의 퀴즈: 리부트》 ... 임도윤 역 2019년 MBC 주말특별기획 《이몽》 ... 마자르 역 영화[편집] 2007년 《리턴》 ... 나상우 역 2009년 《애자》 ... 어린 민석 역 2011년 《도가니》 ... 전민수 역 2013년 《남쪽으로 튀어》 ... 최나라 역 2014년 《좋은 친구들》 ... 어린 임현태 역 뮤직비디오[편집] 2012년 하이니 - 전설같은 이야기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16 KBS 연기대상 남자 청소년연기상 뷰티풀 마인드 후보 2017 KBS 연기대상 남자 청소년연기상 7일의 왕비 후보 이 글은 한국 배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백승환&oldid=24406310" 분류: 1998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은행고등학교 동문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어린이 배우숨은 분류: 한국 배우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Bahasa Indonesia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0일 (월) 16: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백수호(본명: 백승환; 1998년 4월 17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백승환이 2018년 출연한 OCN 드라마의 제목은 무엇인가? Assistant: 신의 퀴즈: 리부트 Human: 아래 김상기_(법조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상기 (법조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상기 (법조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상기金相基 대한민국의 서울행정법원장 임기 2003년 2월 12일 ~ 2004년 2월 10일 전임 이근웅 후임 김인수 대한민국의 제40대 청주지방법원장 임기 2002년 2월 8일 ~ 2003년 2월 11일 전임 황인행 후임 김재진 신상정보 출생일 1945년 (73–74세) 출생지 대한민국 전라남도 담양군 학력 서울대학교 법학과 졸업 경력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제주지방법원장 부모 민경숙 배우자 3녀 김상기(金相基, 1945년 ~)는 청주지방법원과 서울행정법원에서 법원장을 역임한 법조인이다. 목차 1 생애 2 경력 3 주요 판결 4 각주 생애[편집] 1945년 전라남도 담양군에서 태어난 김상기는 1963년 2월 광주제일고등학교, 1967년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1970년 제12회 사법시험에서 합격하여 1972년 사법연수원과 군 법무관을 마치고 1973년 광주지방법원 판사에 임용되었다. '양도담보에 관한 문제점'등 다수의 논문을 저술했으며 초임 법관 시절부터 테니스를 즐겼다. 서울행정법원 법원장으로 재직하던 2003년 9월 22일에 있었던 국정감사에서 홍준표 의원이 "국가정보원 직원의 증인출석 제한이 헌법 불합치로 결정됐는데도 재판부가 피고인측이 주장한 전직 국가정보원장 등을 증인으로 소환하지도 않고 서둘러 재판을 끝냈다"며 "이는 사건의 유·무죄를 떠나 절차적으로 중대한 하자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면서 "대통령이 가장 어려운 시기에 이번 판결이 내려진 것은 대통령의 신당 창당을 도와주기 위한 정치적 고려가 작용한 것 아니었느냐"고 묻자 "판결의 실체적인 부분을 제외하고 절차적인 부분에 대해 잘못이 있었다는 점은 법원장 개인으로서 충분히 공감한다"고 답변했다.[1] 이에 대해 논란이 있자 "증인도 받아주고 사실조회도 받아줘야 한다"며 "재판내용은 모른 채 홍준표 의원 말씀이 사실이라면 나같으면 그렇게 재판하지 않겠다는 이야기였다 재판의 실체적인 부분과 정치적 재판을 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절차적 문제에서 잘못됐다고 한다면 충분히 잘못됐다고 생각하고 의원들의 흥분도 이해한다"고 말했다.[2] 경력[편집] 1973년 광주지방법원 판사 1974년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원 판사 1977년 광주지방법원 판사 1979년 광주지방법원 순천지원 판사 1981년 광주지방법원 판사 1982년 광주고등법원 판사 1985년 대법원 재판연구관 1986년 마산지방법원 부장판사 1989년 춘천지방법원 강릉지원 지원장 1991년 인천지방법원 부장판사 1991년 광주고등법원 부장판사 1992년 서울지방법원 서부지원 부장판사 1996년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1999년 서울지방법원 서부지원장(직무대리) 2000년 제주지방법원 법원장 겸 광주고등법원 제주부 부장판사 2002년 청주지방법원 법원장 2003년 서울행정법원 법원장 2004년 변호사 개업 주요 판결[편집] 서울고등법원 민사8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1996년 2월 27일에 김현철이 한겨레신문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청구소송 1심판결에서의 정정보도를 가집행할 수 있도록 한 것에 대해 한겨레신문이 제기한 강제집행 정지 신청에 대해 "이유있다"며 "항소심 판결까지 이를 정지한다"고 했다.[3] 서울고등법원 형사2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1997년 4월 11일에 경전투 헬기사업 관련하여 업체로부터 뇌물을 받아 구속된 전 국방부 장관 이양호에게 원심대로 징역4년과 1억5천만원 몰수형을 선고했다.[4] 12월 26일에 아랍계 교수 무하마드 깐수로 위장해 12년동안 국내에서 간첩활동을 하여 구속되어 1,2심에서 징역15년이 선고받은 정수일에 대한 파기환송심에서 국가기밀 탐지, 수집, 전달 혐의는 무죄라고 판단하면서 징역12년을 선고했다.[5] 서울고등법원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1999년 9월에 폐암으로 숨진 광산노동자에게 폐암을 진폐증의 합병증으로 보아 업무상재해를 인정하는 판결을 처음으로 선고했다.[6] 각주[편집] ↑ [1] ↑ [2] ↑ 한겨레 1996년 2월 28일자 ↑ 경향신문 1997년 4월 12일 ↑ 한겨레 경향신문 1997년 12월 27일자 ↑ [3]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상기_(법조인)&oldid=21061813" 분류: 1945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담양군광주제일고등학교 동문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문대한민국의 판사대한민국의 지방법원장대한민국의 변호사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4월 7일 (토) 10: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상기(金相基, 1945년 ~)는 청주지방법원과 서울행정법원에서 법원장을 역임한 법조인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법조인 김상기의 생애는 어떠한가? Assistant: 1945년 전라남도 담양군에서 태어난 김상기는 1963년 2월 광주제일고등학교, 1967년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1970년 제12회 사법시험에서 합격하여 1972년 사법연수원과 군 법무관을 마치고 1973년 광주지방법원 판사에 임용되었다. '양도담보에 관한 문제점'등 다수의 논문을 저술했으며 초임 법관 시절부터 테니스를 즐겼다. 서울행정법원 법원장으로 재직하던 2003년 9월 22일에 있었던 국정감사에서 홍준표 의원이 "국가정보원 직원의 증인출석 제한이 헌법 불합치로 결정됐는데도 재판부가 피고인측이 주장한 전직 국가정보원장 등을 증인으로 소환하지도 않고 서둘러 재판을 끝냈다"며 "이는 사건의 유·무죄를 떠나 절차적으로 중대한 하자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면서 "대통령이 가장 어려운 시기에 이번 판결이 내려진 것은 대통령의 신당 창당을 도와주기 위한 정치적 고려가 작용한 것 아니었느냐"고 묻자 "판결의 실체적인 부분을 제외하고 절차적인 부분에 대해 잘못이 있었다는 점은 법원장 개인으로서 충분히 공감한다"고 답변했다.[1] 이에 대해 논란이 있자 "증인도 받아주고 사실조회도 받아줘야 한다"며 "재판내용은 모른 채 홍준표 의원 말씀이 사실이라면 나같으면 그렇게 재판하지 않겠다는 이야기였다 재판의 실체적인 부분과 정치적 재판을 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절차적 문제에서 잘못됐다고 한다면 충분히 잘못됐다고 생각하고 의원들의 흥분도 이해한다"고 말했다.[2]
Human: 아래 초과이익공유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초과이익공유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초과이익공유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익공유제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초과이익공유제(超過利益共有制, 영어: profit sharing, PS)는 대기업이 해마다 설정한 목표 이익치를 초과하는 이익이 발생했을 때 협력 중소기업에게 초과이윤의 일부를 나누어 주는 제도이다.[1] 목차 1 발단 2 논란 2.1 찬성 측 입장 2.2 반대 측 입장 3 현재 상황 4 출처 5 각주 6 같이 보기 발단[편집]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 정운찬은 2011년 2월 24일 "초과 이익이 나는 것은 대기업의 노력도 있겠지만 중소기업의 노력도 있다"면서 "대기업 이익을 주주-임직원뿐 아니라 협력기업까지도 공유하게 만들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리고 그 내용으로 "(공유의 범위는) 대기업이 자율적으로 결정할 문제"라면서도 "(공유 노력의) 결과를 동반성장지수 평가에 반영해 세제 혜택이나 공공기관 발주 우선권 등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2] 취지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협력, 동반 성장이다. 논란[편집] 정운찬 위원장의 발언 이후 정부에서도 찬반이 갈리고 정치인은 물론 재계에서도 다양한 견해가 쏟아졌다. 찬성 측 입장[편집] 정 위원장은 "이익분을 모든 기업들이 다 같이 나누는 것이 아니"라면서 "기술협력 기금이나 고용안정 기금 마련 등을 통해 중소기업을 더욱 경쟁력 있게 만들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여도 산정 방식에 대해서는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협력업체와 성과를 나눌 기준이 있을 것이다. 종업원을 평가하는 방식처럼 협력업체를 평가하는 방식을 찾으면 된다"고 말했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도 찬성하는 입장이다. 그는 대기업의 불공정 관행을 지적하면서 "초과이익을 어떻게 정의하고 공유를 어떤 방식으로 할 것인지에 대한 기술적인 문제가 있지만, 취지는 살리는 게 좋겠다"고 밝혔다.[3] 김동선 중소기업청장도 "이념적인 문제를 떠나 기본적 취지에 공감한다"면서 "대기업들이 성과 발표를 하면 협력업체들은 '중소기업의 수익이 너무 떨어진다'는 불만이 많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서 "이익의 혜택은 대기업과 협력업체 등 참여한 모든 주체에게 돌아가야 한다"고 말했다.[4] 외국의 사례를 들며 이익공유제가 합당하다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다. 롤스로이스와 협력사들은 ‘위험 및 판매수입 공유 파트너 계약’(이하 판매수입공유제·Revenue Sharing)을 맺었다. 항공기 엔진 개발에 공동 투자해서 성공하면 투자 비율에 비례해 판매 수입을 나누기로 해 큰 이익을 거두었다. 비디오 대여체인사업자인 블록버스터는 이익공유제를 유통서비스업에 확대 적용했다. 블록버스터는 비디오 대여점에 판매하는 가격을 8분의 1 수준인 8달러로 대폭 낮추었다. 이에 따라 블록버스터가 손익분기점에 도달할 수 있는 대여 횟수가 22회에서 6회로 줄었다. 블록버스터는 비디오 출시 초기 더 많은 물량을 확보해 소비자에게 대여할 수 있게 되자 수입이 급증했다. 미국 영화산업 태동기인 1920년대 할리우드는 영화배우와 제작사, 배급사 간 협력을 촉진하고자 이익공유제를 도입했다.[5] 반대 측 입장[편집] 한편 홍준표 한나라당 최고위원은 반대 의사를 나타냈다. 홍 최고위원은 "총리를 지내신 분이 대기업 이익을 서민에 할당하자는 급진 좌파 주장을 한다."고 말했다. 김황식 국무총리는 "너무 파격적인 내용이라서 사회적 합의와 신중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며 신중론을 폈다.[6]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은 "사회주의 용어인지 공산주의 용어인지 도무지 들어본 적이 없는 말"이라며 "경제학에서 배우지도 못한, 누가 만들어낸 말인지도 모르겠다"고 꼬집었다.[7] 조동근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연초에) 이익 추정치를 공개하라고 하면 기업 대부분이 달성이 어려운 목표치를 내놓을 것"이라며 "반강제적으로 이익을 빼앗기는 상황에서 적정 이익을 발표할 기업은 없다"고 꼬집었고 서승환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한마디로 시장경제와는 거리가 먼 포퓰리즘적 정책"이라고 평가했다. 중소기업간 공정한 게임의 규칙이 무너진다는 반론도 있다. 이미 대기업에 납품하던 중소기업이 보호막을 얻으면서 새로 납품권을 얻으려는 타 기업이 설 자리를 잃는다는 것이다.[8]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은 "애초에 틀린 개념"이라며 반대를 표시했다. 그는 "연초에 대기업을 다 모아서 올해 얼마 이익이 예상되냐고 물어본 후 연말에 그 이익을 넘어가면 그 초과이익이라는 것들을 협력업체에 나눠줘야 한다. 그러면 기업 경영활동에 국가가 일일이 개입을 해야 하고 그렇게 되면 마치 계획경제 같이 된다."고 비판했다.[9] 현재 상황[편집] 한편 2011년 5월 17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한국선진화포럼 월례토론회에서 동반성장위원회 정운찬 총재는 "위원회 내 실무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이익공유제 또는 협력업체 이익공유 플랜에 대해 연구를 맡겼으며 이번 주 안에 결과가 나올 것"이라며 초과이익공유제를 재추진하겠다고 밝혔다.[10] 2011년 9월 15일 발표된 전국경제인연합회의 설문조사 결과, 국내 기업들은 초과이익공유제보다 성과공유제를 선호한다고 한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중소기업협력센터가 대기업(62개)과 협력중소업체(79개)에게 물은 결과, 이들은 이익공유제보다는 기존의 성과공유제를 더 선호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들 기업들은 대부분 초과이익공유제가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고 생각했다.[11] 또한 대기업들 절반 가까이(42.8%)가 현금보상만을 인정하는 분위기가 성과공유제의 애로사항으로 꼽혔다. 상당수 협력사들이 현금보상보다는 물량확대나 신규사업 기회제공 등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적인 거래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 그 이유다.[12] 출처[편집] ↑ 초과이익공유제 - 두산세계대백과사전 ↑ 조선일보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2/24/2011022400212.html ↑ 연합뉴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4958893 ↑ 연합뉴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4959594 ↑ 시사인 2011년 6월 이건희 회장이 경제학을 다시 공부해야 하는 이유 ↑ 아이뉴스 http://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553300&g_menu=050220&rrf=nv ↑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3/all/20110311/35479365/1 ↑ 한국경제신문 생글생글 ↑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3/all/20110412/36368694/1 ↑ 한국경제신문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1051706761 ↑ 전자신문 http://www.etnews.com/201109150243 ↑ 이데일리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DC21&newsid=02233686596380448&DCD=&OutLnkChk=Y 각주[편집] 같이 보기[편집] 공유가치창출(CSV)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경제민주주의(경제민주화) 민주자본주의 사회 양극화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초과이익공유제&oldid=24202944" 분류: 경제학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Lietuvių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11:1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초과이익공유제(超過利益共有制)는 대기업이 해마다 설정한 목표 이익치를 초과하는 이익이 발생했을 때 협력 중소기업에게 초과이윤의 일부를 나누어 주는 제도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초과이익공유제 논란 당시의 지식경제부 장관은 누구야? Assistant: 최중경 Human: 아래 필터_(사진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필터 (사진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필터 (사진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62 mm 자외선, 편광, 형광 필터. 필터(filter, 속칭 렌즈 필터)는 사진술 분야에서 사진기의 광학적 경로(path)에 삽입되는 필터 액세서리를 말한다. 사진기 필터는 홀더 액세서리에 끼울 수 있는 네모 모양인 것도 있으나 보통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의 둘레 틀 안쪽에 끼운 유리나 플라스틱 원반 모양이다. 보통 렌즈 앞에서 나사로 조여 조립된다. 사진을 찍는 사람은 필터를 사용해서 찍히는 이미지를 부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때때로 찍히는 이미지에 아주 약간의 변화를 주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반면에 특별한 경우에는 사진기 필터 없이는 사진을 아예 찍을 수 없는 경우도 있다.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야기되는 단점으로는 지저분하거나 긁힌 자국이 있는 필터에 의한 이미지 품질과 해상도 손실을 꼽을 수 있다. 또한 광량을 충분히 받아들여야 하기 때문에 노출이 많이 필요할 수 있다. 앞서 말한 단점은 필터를 매우 조심스럽게 사용하고 유지보수함로써 예방할 수 있다. 두 번째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테크닉이 필요하다. 처음부터 계획적으로 필터를 잘 사용하였으면 문제가 안 되지만, 어떤 상황에서는 필터를 아예 사용하지 않는 것이 나을 수 있다. 대부분의 필터는 래튼 수에 의해 식별된다. 목차 1 사진술 분야에서의 필터의 사용 2 클리어 필터 3 자외선 필터 4 편광 필터 5 같이 보기 6 각주 사진술 분야에서의 필터의 사용[편집] 사진술 분야에서 필터는 그 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클리어 필터 자외선 필터 색상 보정 - 컬러 커렉션 필터, 컬러 컨퍼젼 필터, 화이트 밸런스 필터라고도 불린다. 색상 분리, 색상 서브트랙션 대비 향상 자외선 뉴트럴 덴시티 - 그라듀에이티드 ND 필터 및 솔라 필터 포함. 편광 다양한 종류의 특수 효과 필터 - 다음과 같은 것들을 포함: 그라듀에이티드 컬러, 컬러 그래드 크로스 스크린 및 스타 디플랙터 디퓨전 및 콘트라스트 감소 세피아 톤 스팟 클로즈-업, 다른 말로 매크로 디옵터즈(diopters) 및 스플릿 디옵터즈(split diopters), 다른 말로 스플릿 포커스(split focus) 클리어 필터[편집] 클리어 필터, 다른 말로 윈도 글래스 필터(window glass), 옵티컬 플랫츠(optical flats)라고도 하는 것은, 완전히 투명한 필터이다. 들어오는 빛을 (이상적으로는) 전혀 필터링 하지 않는다. 다만 단지 렌즈의 앞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한다. 자외선 필터[편집] 자외선 필터는, 다른 말로 UV 필터, 자외선 차단 필터라고도 하는데, 자외선 광에 의해 발생되는 흐릿함을 없애기 위해 사용한다. UV 필터는 보통 가시 광선에 대해서는 높은 정도로 투과시켜 주므로, 대부분의 사진 촬영 시 그냥 끼워 두고 써도 무방하다. 이 필터는 값도 싸므로, 클리어 필터와 마찬가지로, 사람들은 사진 찍을 때 렌즈 보호용으로 쓰기도 한다.[1] Haze-2A나 UV17과 같은 강한 UV 필터는 광 스펙트럼 상에서 보라색쪽 부분을 조금 깎아먹기도 한다. 사진은 약간 노란색 기운이 돌게 된다. 이러한 강한 UV 필터는 흐릿함(haziness)를 줄이는 데 더 효과적이다.[2][3] 또한 디지털 카메라의 퍼플 프링잉(purple fringing)을 줄이는 데 쓰인다.[4] 강한 종류의 UV 필터는 때때로 해가 뜬 날(daylight-type) 응달에서 찍은 사진에 따뜻한 색조를 더하기 위해서도 쓰이기도 한다. 편광 필터[편집] 편광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편광 필터는 컬러 사진 및 흑백 사진 모두에 쓰인다. 지나치게 밝은 하늘을 어둡게 하거나 하는데 쓰인다. 보통 구름의 색상은 이 필터를 써도 변하지 않기 때문에, 결국 사진에서는 하늘과 구름과의 대비(contrast)가 증가하게 된다. 아지랑이(atmospheric haze)나 반사된 햇빛(reflected sunlight) 또한 줄어든다. 또한 컬러 사진에서는 전체적인 색상 채도(color saturation)가 증가한다. 편광 필터는 반사(reflection)과 관련 있는 상황을 적절히 처리하기 위해 자주 쓰인다. 예를 들면, 물의 반사, 유리의 반사에 적절히 대응하거나 유리창을 통해 사진을 찍을 때 사용된다. (유리창을 통해 사진을 찍을 때는, 브루스터 각이라는 현상을 이용한다.) 컬러 사진에 대한 편광 필터의 효과. 오른쪽은 편광 필터를 적용한 것이다. 첫 번째 그림에서는 필터의 효과(effect)를 최소화하도록 편광 필터가 회전되어 있다. 두 번째 그림에서는 효과를 최대화하도록 편광 필터가 90°회전되어 있다. 이로써 반사된 햇빛이 대부분 제거되었다. 편광 필터에는 두 종류가 있다. 선형 편광 필터(linear polarizer filter, 다른 말로 직선 편광 필터)는 선형적으로 편광된 광원(직선편광)의 한 편광 성분만을 투과시킨다. 원형 편광 필터(circular polarizer, 원평광 필터, 흔히 CPL 필터라고 함.)은 한 개의 편광 성분만을 투과시키지만, 그것을 원편광(circularly polarized)된 광으로 바꾸어준다. 선형 편광 필터에다가 복굴절 층(보통 파장판)을 더해줌으로써 처리된다. 일부 사진기들의 자동 초점 센서 및 계측 센서, 대부분의 일안 반사식 카메라들은 선형 편광 필터를 가지고는 제대로 쓸 수 없다. 초점 작용과 계측 작용에 쓰이는 반사 거울과 빔-스플릿터들 때문이다. 반면, 원형 편광 필터는 모든 종류의 사진기에 쓰일 수 있다. 같이 보기[편집] 필터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필터 ↑ “필터”. 2007년 11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12일에 확인함.  ↑ Joseph Meehan (1998). 《The Photographer's Guide to Using Filters》. Watson-Guptill. ISBN 0817454527.  ↑ Tiffen Inc. “Protection & UV Absorbing Filters”.  ↑ Gary Nugent. “Photoshop Technique: Remove Purple Fringing”. 《great-landscape-photography.com》.  vdeh사진술개념 · 원리 화각 조리개 색온도 피사계 심도(DOF) 초점 심도 노출 F 값 필름 포맷 필름 감도 초점 거리 다중 노출 왜곡 사진 인화 현상 적목 현상 사진술과 과학 셔터 속도 존 시스템 종류 항공 상업 사진 운경 다큐멘터리 에로 사진 패션 예술 사진 법의학 사진 글래머 사진 자연 사진 누드 사진 파노라마 포토저널리즘 포르노그래피 포트레이트 기념 촬영 정물 사진 스톡 사진 거리 사진 수중 촬영 웨딩 촬영 야생 사진 장비 카메라 일안 반사식 카메라 이안 반사식 카메라 거리계연동카메라 토이 카메라 일회용 카메라 뷰 카메라 뷰파인더 카메라 암실 (사진 확대기 암등) 사진 필름 필터 플래시 카메라 렌즈 (줌 렌즈 광각 렌즈 망원 렌즈) 영사기 삼각대 디지털 디지털 카메라 (DSLR 미러리스 카메라 디지털백) 고체 촬상 소자 (3CCD 포베온 X3) 화소 필름 스캔 필르마이징 DOF 어댑터 사진가 작품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필터_(사진술)&oldid=24497925" 분류: 사진술사진 장비광학 필터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PortuguêsසිංහලSimple EnglishSvenska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9일 (토) 09: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필터(filter, 속칭 렌즈 필터)는 사진술 분야에서 사진기의 광학적 경로(path)에 삽입되는 필터 액세서리를 말한다. 사진기 필터는 홀더 액세서리에 끼울 수 있는 네모 모양인 것도 있으나 보통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의 둘레 틀 안쪽에 끼운 유리나 플라스틱 원반 모양이다. 보통 렌즈 앞에서 나사로 조여 조립된다. 사진을 찍는 사람은 필터를 사용해서 찍히는 이미지를 부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때때로 찍히는 이미지에 아주 약간의 변화를 주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반면에 특별한 경우에는 사진기 필터 없이는 사진을 아예 찍을 수 없는 경우도 있다.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야기되는 단점으로는 지저분하거나 긁힌 자국이 있는 필터에 의한 이미지 품질과 해상도 손실을 꼽을 수 있다. 또한 광량을 충분히 받아들여야 하기 때문에 노출이 많이 필요할 수 있다. 앞서 말한 단점은 필터를 매우 조심스럽게 사용하고 유지보수함로써 예방할 수 있다. 두 번째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테크닉이 필요하다. 처음부터 계획적으로 필터를 잘 사용하였으면 문제가 안 되지만, 어떤 상황에서는 필터를 아예 사용하지 않는 것이 나을 수 있다. 대부분의 필터는 래튼 수에 의해 식별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사진술에서 필터의 용도에 따른 분류는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클리어 필터 자외선 필터 색상 보정 - 컬러 커렉션 필터, 컬러 컨퍼젼 필터, 화이트 밸런스 필터라고도 불린다. 색상 분리, 색상 서브트랙션 대비 향상 자외선 뉴트럴 덴시티 - 그라듀에이티드 ND 필터 및 솔라 필터 포함. 편광 다양한 종류의 특수 효과 필터 - 다음과 같은 것들을 포함: 그라듀에이티드 컬러, 컬러 그래드 크로스 스크린 및 스타 디플랙터 디퓨전 및 콘트라스트 감소 세피아 톤 스팟 클로즈-업, 다른 말로 매크로 디옵터즈(diopters) 및 스플릿 디옵터즈(split diopters), 다른 말로 스플릿 포커스(split focus)
Human: 아래 박진_(1560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박진 (1560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진 (1560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박진(朴晉) 박진 장군 묘비출생 1560년 8월 25일조선 경상남도 밀양부 밀양읍 내일동(현 밀양시 내일동)사망 1596년 3월조선 한성부사인 폭행치사(구타 후유증)거주지 조선 경상남도 밀양국적 조선 별칭 자는 명보(明甫), 명부(明夫), 여회(汝晦), 시호는 의열(毅烈), 작위는 응천군(凝川君)학력 한학 수학직업 무신, 군인종교 유교(성리학)부모 박인수(부) / 강릉김씨(모)배우자 파평윤씨, 안동김씨친척 할아버지 박언, 외조부 김자달 박진 (朴晉, 朴晋) 생애 1560년 8월 25일 ~ 1597년 3월 출생지 조선 경상남도 밀양부 밀양읍 내일동 사망지 조선 한성부 별명 자는 명보(明甫) 또는 명부(明夫), 여회(汝晦), 시호는 의열(毅烈) 복무 조선 육군 복무 기간 ? ~ 1597년 3월 최종 계급 경상우도병마절도사, 황해도병마절도사, 전라도병마절도사, 독포사, 병조참판(종2품) 지휘 경상우도, 황해도 전라도병영 주요 참전 동래성 전투, 밀양성 전투, 작원관 전투, 영천성 전투, 제1차 경주성 전투, 제2차 경주성 전투 기타 이력 1583년 과거 급제. 증 병조판서 응천군, 가증 좌찬성 박진(朴晉[1], 1560년 8월 25일 ~ 1597년 3월)은 무신, 군인으로, 여러 전투에 참가해 공을 세워 벼슬을 지냈다. 초기의 밀양성 전투에서는 패배하였으나 영천성에서 의병 주도로 벌어진 영천성 전투를 지원하여 승전을 거두었고 이후 왜적 111명의 수급을 베어 왕에게 올렸으며, 제2차 경주성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이후 동지중추부사, 1594년 경상우도병마절도사, 순천부사, 그 뒤 전라도병마절도사 등을 거쳐 1596년 황해도병마절도사 겸 황주목사를 지냈다. 일본군 장수 사야가는 그를 만나 조선으로 귀순하였다. 사후 증 병조판서에 증직되고 응천군(凝川君)에 추봉되었으며, 후에 다시 의정부좌찬성에 추증되었다. 본관은 밀양, 자는 명보(明甫) 또는 명부(明夫), 여회(汝晦), 시호는 의열(毅烈)이다. 정유길(鄭惟吉)의 문인이다. 경상남도 출신 목차 1 생애 1.1 생애 초기 1.1.1 출생과 가계 1.1.2 과거 급제와 군인 1.2 임진왜란 1.2.1 전란 초기 1.2.2 밀양성 전투 패전 1.2.3 작원관 전투 1.2.4 영천성 전투 1.2.5 항왜 사야가 귀순 1.2.6 제1차, 제2차 경주성 전투 1.3 생애 후반 1.3.1 한성부 상경과 재출정 1.3.2 구타 치사 사건 1.4 사후 2 평가와 비판 3 기타 4 관련 항목 5 각주 6 참고 문헌 7 외부 링크 생애[편집] 생애 초기[편집] 출생과 가계[편집] 박진은 1560년(명종 15년) 8월 25일 경상남도 밀양부 밀양읍 내일동에서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가 다시 증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되고 밀흥부원군(密興府院君)에 추봉된 박인수(朴麟壽)와 김자달(金自達)의 딸 증 정경부인 강릉김씨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 박인수는 절충장군(折衝將軍) 행의흥위부호군(行義興衛副護軍)과 병마절도사를 지냈은아 후일 그의 공적으로 여러번 추증되어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가 다시 의정부영의정으로 추증되고 밀흥부원군에 추봉되었다. 규정공 박현의 후손으로, 충정공 청재 박심문의 5대손이다. 증조부 박백령은 사헌부감찰을 지냈고, 할아버지 박언은 세자익위사부솔을 지냈다. 어려서부터 글을 잘 지었고, 후일 정승을 지낸 임당(林塘) 정유길(鄭惟吉)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과거 급제와 군인[편집] 자는 여회(汝晦[2]), 명보(明甫) 또는 명부(明夫)였다. 일찍이 윤화달의 딸 파평윤씨와 결혼했으나 상처하고 계배인 김시회의 딸 안동김씨와 재혼하였다. 무관가문 출신으로 일찍이 음직으로 군관이 되었다. 여절교위(厲節校尉)로 재직 중 1583년(선조 16년) 24세에 별시무과(別試武科)에 병과로 급제(及第)하였다.[3] 이후 비변사(備邊司)에서 무신으로 있다가 1589년(선조 22년) 무인을 불차채용할 때 심수경(沈守慶)의 추천으로 등용되어 선전관을 거쳐 1592년 밀양 부사(密陽府使)가 되었다. 임진왜란[편집] 전란 초기[편집] 동래성 전투장면을 그린 동래부순절도 임진왜란, 동래성 전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그해 4월 동래성을 함락시키고 올라오는 왜군을 맞아 우병사 학봉 김성일(金誠一)과 함께 진주(晉州)에서 왜군과 맞서 싸웠다. 이후 부사 박진은 군(郡) 내 병사 3백여 명을 이끌고 동래성으로 지원 나갔다.[4] 당시 성을 빠져 나온 경상좌병사 이각과 함께 동래성 북쪽의 소산역에 방어진을 구축하였다. 박진의 군사는 제1선에, 이각의 병사는 제2선에 배치했다.[4] 밀양성 전투 패전[편집] 밀양성 전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일본군이 부산진을 함락시키고 동래성을 점령하자 놀란 조선군 병사들은 전의를 상실하고 뿔뿔이 흩어져버렸다. 박진은 소산역에서 퇴각하여 밀양성으로 되돌아갔다.[4] 4월 16일 밀양성으로 복귀한 박진은 남은 병력의 수습도 여의치 않았다. 박진이 병사를 모병하는 동안 일본군 선발대가 밀양 근처까지 진격하였다는 첩보를 접했다.[4] 이후 경상좌병사 이각 등과 함께 소산을 지키다 패배하고 왜군이 성안으로 몰려오자 성안에서 싸우다 포위되었으며, 탈출하여 밀양부를 불을 지르고 후퇴했다. 이때 경상우도 방어사 조준(趙俊)의 종사관 이수광(李睟光[5])은“박진(朴晉)이 밀양 부사로서 왜적이 크게 쳐들어온다는 소식을 듣고는 성을 지키다가는 반드시 빠져나가지 못할 것으로 여겨 도망갈 계책을 내어 황산(黃山)으로 잔도(棧道)에서 왜적들을 방어하겠다고 핑계하고서 군사를 거느리고 성을 나가 그대로 도망갔다.”며 비판하였다.[6] 작원관 전투[편집] 작원관 전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박진은 밀양에서 동쪽으로 40리 떨어진 작원관에 방어선을 구축하였다. 작원관은 부산에서 양산, 밀양, 청도, 대구를 거쳐 서울로 가려면 꼭 통과해 가는 교통의 요충지였다.[4] 일본의 제1군 고니시는 동래성을 함락시킨 다음 날인 16일 본국으로 전황 보고서를 보냈다. 그리고 양산 군수 조영규가 동래성에서 전사하여 방어 병력이 전무한 양산으로 곧장 진격한 일본 제1군의 선발대는 17일 양산에 무혈 입성했다. 4월 18일 동래성에 주둔한 일본 주력군까지 양산으로 진격했다. 그들은 다시 밀양성 방면으로 선발 부대를 급파시켰다. 여러 곳에서 승리하여 기세가 하늘처럼 높아진 일본군은 파죽지세로 낙동강을 따라 밀양성으로 달렸다. 일본군은 저항하는 군사도 없는 무인지경에 빠져 무풍지대나 다름없는 낙동강을 따라 북진하였다.[4] 고니시가 주력군의 선두에 서고 소오 요시토시 등 여섯 장수가 일본군 병력 1만8700명을 이끌고 밀양성의 병력을 만났는데, 조선군의 시선을 자신에게로 집중시킴과 동시에 별동대를 내륙의 산악 지형으로 우회시켰다.[4] 이때 박진은 험한 산이 낙동강과 맞닿아 있는 양산에서 밀양으로 향하는 좁은 길과 강의 벼랑 사이에 적은 군사들로 길목을 지켰다.[4] 작원관 전투 무렵 경상감사 김수의 독려로 전라도와 경상우도의 인근 군현에서 소규모 조선군이 지원을 오고 있었다. 이 조선군들은 박진의 선발대와 마주쳤다. 이들을 일본군의 주력으로 오인하여 급히 퇴각하다가 수많은 병사들이 낙동강에 빠져 죽었다.[4] 박진은 일본군의 우회 사실을 뒤늦게 알아차렸다. 박진은 군관 이대수와 김효우 등의 직속 군사 수십 명을 거느리고 우회 부대를 공격하였다. 조선군은 앞에는 절벽이요, 뒤와 옆은 적이었다. 그들은 죽느냐 죽이느냐하는 배수진을 치고 격전을 벌였다. 화살이 다 떨어지자 돌과 바위를 굴러 항전하다 조총에 총격을 당해도 일본군을 끌어안고 강물에 뛰어들었다. 정면으로 들어오는 일본 주력군도 앞면과 옆면으로부터 공격해 왔고, 최후의 일각까지 밀양 관군은 치열한 육박전을 벌였지만 일본군의 대병력을 이기지 못했다. 군관 이대수, 김효우 등 3백여 군사가 거의 전멸당하고, 부사 박진과 부하 몇 명만 후퇴했다.[4] 박진은 작원관 방어선이 무너지자 성 안의 각종 시설과 군량 창고를 불태우고 도주했다.[4] 영천성 전투[편집] 영천성 전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이후 동년 5월 경상좌도병마절도사가 되어 남은 병사를 수습해 소규모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동년 8월 영천성 전투 당시 영천성(永川城)은 함락되었으나 영천 백성들이 자발적으로 정세아, 조희익 등을 중심으로 의병을 결성하고 영천성을 근거지로 하여 안동 주둔 왜군과 상응하고 있었던 왜적을 격파하려 하자 이 소식을 접하고 별장 권응수(權應銖)에게 군사를 딸려 파견, 의병을 돕게 하여 영천성을 탈환했다. 권응수의 지휘로 조선군은 대승을 거두고 말 200 여필, 총통과 창검 900 여개를 노획하였고 일본군의 포로로 끌려간 조선 백성 1천 90여명을 구출하였다. 이때 박진은 경주 안강에 본진을 두고 영천성 전투를 배후에서 지원하였는데, 사실은 의병을 자신의 휘하에 두지 못하는 것에 대하여 불만이 있었다. 그러나 전투가 시작되기 전 부관인 별장 권응수를 보내 이들을 지원하게 했고, 전투가 본격적인 시작되기 전에는 군관 변응규를 보내 치사(致辭)를 하고 군기(軍器)와 화약류 등을 보내주고 지원, 격려하는 등 장수로서 넓은 도량을 보였다. 항왜 사야가 귀순[편집] 항왜, 김충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임진왜란 초기 일본군인 사야가(김충선으로 개명)가 그에게 귀순하였다. 사야카는 선조에게 김해 김씨[7] 성을 하사받고 이름을 충선(忠善)이라 지었다.[8] 그는 임진왜란이 발발했을 때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의 좌선봉장으로 조선을 침략하였다. 하지만 사야가는 한 차례의 전투도 하지 않은 채 경상도 병마절도사 박진에게 귀순한다.[8] “ 이번에 명분 없는 전쟁을 당하여 본의 아니게 선봉이 되어 삼천 명의 병사를 이끌고 조선으로 왔습니다. … 인의의 나라를 도저히 공격할 수 없어 저는 전의를 잃고 말았습니다. … 다만 저의 소원은 이 나라의 예의문물과 의관풍속을 아름답게 여겨 예의의 나라에서 성인나라 조선의 백성이 되고자 할 따름입니다.[8] ”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일으킨 전쟁의 대의명분을 찾을 길 없던 사야카는 항왜의 길에 들어서 조선장수가 되어 경상도 여러 전투에서 공훈을 세운다.[8] 제1차, 제2차 경주성 전투[편집] 임진왜란 때 사용된 비격진천뢰 이어서 안강(安康)에서 장군 회의를 열어 16읍의 군사를 이끌고 경주성(慶州城)을 탈환하기 위해 병력을 편성하여 권응수(權應銖), 경주 판관(判官) 박의장(朴毅長) 등을 선봉으로 군사 수만을 거느리고 경주를 공격, 제1차 경주 전투를 치렀으나 복병의 기습으로 500명의 군사만 잃고 후퇴했다. 그러나 흉흉해진 군사들의 사기를 돋운 뒤 한달 후 군사를 재정비하여 다시 제2차 경주 전투를 치렀다. 이때 신예무기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 등을 사용해 경주성을 탈환하는 데 성공하고 영남 지역의 왜군들을 해안 쪽으로 압박했다. 일본군은 상주나 서생포로 퇴각하여 영남 지역 중심부 수십개의 읍의 함락을 면할 수 있었다. 이 공으로 9월 선조로부터 양가죽 옷을 특별히 하사받았다. 1592년 9월 가선대부(嘉善大夫, 종2품)로 승진했다.[9] 1593년(선조 26년) 2월 체직되어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가 되었다. 그해 2월 일본군과 교전하여 승리하고, 일본군 수급 1백 11개를 베어 왕이 있는 의주 행재소에 보냈다.[10] 대소신려들이 그가 보내온 수급 1백 11개를 보았으며, 이는 왕조실록에 기록되었다. 4월 12일 왕명으로 한 자급 특진[11]하여 가의대부가 되었다. 생애 후반[편집] 한성부 상경과 재출정[편집] 그해 4월 별장(別將)에 임명되어 한성부로 소환되었다.[12] 이때 그는 오랫동안 습증(濕證)을 앓아 활을 당길 수가 없었다. 그러나 전처럼 칼날을 무릅쓰고 싸울수는 없었으나 위엄과 명성이 이미 드러나 있어 아군들도 그를 신뢰하였다.[12] 4월 20일 왕명으로 명나라의 유총병을 만나 군사에 대한 일을 논의하고 명나라 이 제독의 파병을 왕에게 보고하였다. 당시 피난중 행재소(行在所)의 호위문제를 고민하던 선조는 박진의 전과와 명성을 감안하여 그를 불러올려 부원수로 임명해서 여러 장수들을 독전시키려고 계획하였다. 그러나 조신들은 그가 각 도와 읍에서 활동하며 두드러진 전과를 거두고 있고, 영남 지역을 회복한 것도 그의 공이므로 민심을 고려해야 된다며 반대하였다. 1593년 독포사(督捕使)로 내려가 밀양과 울산 등지에서 왜군과 교전하여 전과를 올렸다. 그해 7월 명나라 장수 관유격(毌遊擊)은 심유경(沈惟敬)의 말을 듣고 왜적을 비호하여 박진 등 네 장군을 묶어다가 곤장을 치고 욕을 보여 왕이 분개하였다.[13] 그러나 흔들리지 않고 출정하여 일본군과 교전하였다. 11월 동지중추부사[14], 1594년 2월 경상우도병마절도사와 10월 순천 부사(順天府使), 그 뒤 전라도병마절도사, 1596년 11월 황해도병마절도사 겸 황주 목사(黃州牧使)를 지내고 병조참판에 올랐다. 구타 치사 사건[편집] 1597년 1월 원균이 이순신의 군관을 내쫓은 것을 보고하였다.[15] 2월 황주(黃州)에서 중국 사신을 전별(餞別)하였으나 병으로 참석하지 못했다. 이때 그는 병으로 공무를 보지 못하여 군사 훈련 등의 일을 하지 못하고 있었다.[16] 1597년(선조 30년) 3월 정유재란 중 명나라 장수 누승선(婁承先)에게 구타당하여 후유증으로 사망하였다.[17] 누승선에게 구타당한 뒤 그는 병으로 사직하고자 하였으나 남쪽 지방으로 내려가는 것을 피하려 한다는 혐의가 있으므로 감히 신병을 참고 있다가 사망에 이르렀다.[17] 그러나 그를 구타한 명나라 장수는 처벌받지도 않았고, 기록에 나타나지도 않는다. 죽은 뒤에 그의 시신을 윤경립이 보자 가슴뼈가 부러져 있었다.[17] 한준겸 역시 뼈가 부러진 것을 목격하였다.[17] 사후[편집] 박진장군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박진장군묘(경기도 기념물 제110호) 경기도 적성군 두일리(현 연천군 백학면 두일리) 산149-2 홍의로(洪義老)의 묘소 위편에 안장되었으며[18], 그의 사후 모친은 그의 묘소 근처에서 살았다.[17] 사후 윤성립과 한준겸[19]의 건의로 조정에서 유족을 구휼하였다. 그의 구타 사망 사실은 바로 사간(司諫) 윤경립(尹敬立)이 경연에서 언급함으로써 알려졌다. 1597년 5월 사간(司諫) 윤경립(尹敬立)이 경연장에서 그가 중국인 장수에게 구타당하여 죽었으며, 그의 노모를 구휼할 것을 청하였다.[17] 바로 병조판서(兵曺判書)에 증직되었다가 후일 응천군(凝川君)에 추봉되었고, 다시 숭정대부 의정부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되었다. 그의 묘소는 한때 민간인출입통제구역 내에 위치해있었으나 후에 공개되었다. 묘소의 오른쪽에는 1987년에 후손이 건립한 묘비가 세워져 있다. 묘소는 1987년 2월 12일 경기도 기념물 제110호로 지정되었다. 1736년(영조 12년) 12월 의열(毅烈)의 시호를 받았다. 평가와 비판[편집] 임진 왜란에 여러 고을들이 바람에 쓰러지듯 도망쳐 숨기에 여념이 없었는데, 박진은 밀양 부사(密陽府使)로 혼자서 외로운 군대를 이끌고 대적을 막으려 하였으니, 그의 충성과 의기는 여러 장수들에 비하여 탁월한 것이었다.[17] 또한 지략이 뛰어났다는 평가도 있다. 강적이 저돌적으로 쳐들어오자 여러 고을은 달아나기에 바빠서 바람에 쓸리듯이 성을 비우고 진지를 버렸다. 그런데 박진은 외롭고 약한 군졸을 데리고 강적 사이에 홀로 서서 죽기를 작정하고 항거하여 여러번 참획하는 성과를 올렸다. 비록 남로(南路)를 차단하여 적의 기세를 저지하지는 못했으나 그의 담력과 지략은 훌륭한 점이 있었다.[20] 기타[편집] 임진왜란 당시 박진은 색깔이 있는 말을 탔었는데 처음에는 적이 알아볼까 염려하여 진흙으로 발라 말의 색깔을 없앴으나 여러번 승전하여 명성이 적들에게까지 났기 때문에 일부러 말의 색깔을 내보여 적이 보기만 하여도 놀라게 했다[21]한다. 관련 항목[편집] 임진왜란 정발 송상현 정문부 김덕령 김천일 최경회 고경명 고인후 고종후 이복남 정기원 정기룡 영천성 전투 제1차 경주성 전투 제2차 경주성 전투 연천 박진장군 묘역 홍달손 홍의로 서원 염씨 각주[편집] ↑ 晋으로도 쓰인다. ↑ 박진 ↑ 박진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작원관에서 장렬히 전사한 300명의 군사 오마이뉴스 2004.09.17일자 ↑ 실학자이자 지봉유설의 저자이다. ↑ 선조실록 27권, 선조 25년(1592 임진 / 명 만력(萬曆) 20년) 6월 28일(병진) 4번째기사 "경상우도 초유사 김성일이 의병이 일어난 일과 경상도 지역의 전투 상황을 보고하다" ↑ 김수로계 김해 김씨와 구별하여 우록 김씨로도 부른다. ↑ 가 나 다 라 항왜(降倭) 김충선을 아십니까? 오마이뉴스 2005.04.29일자 ↑ 선조수정실록 26권, 선조 25년(1592 임진 / 명 만력(萬曆) 20년) 9월 1일(정사) 9번째기사 "박진이 경주를 수복하다" ↑ 선조실록 35권, 선조 26년(1593 계사 / 명 만력(萬曆) 21년) 2월 16일(신축) 12번째기사 "영남좌도 절도사 박진이 왜적을 베어 행재소에 보내오다" ↑ 선조실록 37권, 선조 26년(1593 계사 / 명 만력(萬曆) 21년) 4월 12일(병신) 8번째기사 "박진과 승장 유정을 가자하라고 분부하다" ↑ 가 나 선조실록 37권, 선조 26년(1593 계사 / 명 만력(萬曆) 21년) 4월 12일(병신) 2번째기사 "박진을 서울에 주둔하게 하고 별시 무과를 보아 군사와 군량을 주라고 분부하다" ↑ 선조실록 40권, 선조 26년(1593 계사 / 명 만력(萬曆) 21년) 7월 18일(경오) 3번째기사 "박진 등에게 곤장을 친 관 유격의 일로 경략에게 게첩을 보내라 전교하다" ↑ 선조실록 44권, 선조 26년(1593 계사 / 명 만력(萬曆) 21년) 11월 5일(을묘) 1번째기사 "임금이 편전에 나아가 대신들에게 각자의 의견을 말하게 하다" ↑ 선조실록 84권, 선조 30년(1597 정유 / 명 만력(萬曆) 25년) 1월 27일(무오) 3번째기사 "수군의 작전 통제권을 가지고 대신들과 논의하다" ↑ 선조실록 85권, 선조 30년(1597 정유 / 명 만력(萬曆) 25년) 2월 25일(병술) 1번째기사 "대신들이 황정욱의 일과 무과 출신자를 선발하는 것 등을 건의하다"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선조실록 88권, 선조 30년(1597 정유 / 명 만력(萬曆) 25년) 5월 29일(기미) 1번째기사 "《주역》을 진강하고 김응남이 서계초를 올리고 군량·축성 문제 등을 의논하다" ↑ 그의 묘소 바로 아래 17m 지점에 홍의로의 묘가 있고, 홍의로 묘에서 12m 아래는 홍의로의 부인 서원염씨 묘소가 있다. ↑ 인조비 인열왕후 한씨의 친정아버지 ↑ 선조실록 37권, 선조 26년(1593 계사 / 명 만력(萬曆) 21년) 4월 12일(병신) 2번째기사 "박진을 서울에 주둔하게 하고 별시 무과를 보아 군사와 군량을 주라고 분부하다" ↑ 선조실록 30권, 선조 25년(1592 임진 / 명 만력(萬曆) 20년) 9월 14일(신미) 2번째기사 "전사한 훈련 봉사 김호를 추증하고 대신을 인견하여 심유경의 강화회담 등을 논하다" 참고 문헌[편집] 선조실록 선조수정실록 대동야승 《촉영도선생안》(矗營道先生案) 《비변사선생안》(備邊司先生案) 외부 링크[편집] 작원관에서 장렬히 전사한 300명의 군사 오마이뉴스 2004.09.17일자 항왜(降倭) 김충선을 아십니까? 오마이뉴스 2005.04.29일자 박진의 작원관 전투 '임진왜란과 밀양의 의병 항쟁 학술회의' 밀양문화원 주최:군관민 합세 대항 전국의 의병 창의 계기 밀양시민신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박진_(1560년)&oldid=23879912" 분류: 1560년 태어남1597년 죽음임진왜란음서과거 급제자조선의 무신조선의 군인조선의 정치인조선의 성리학자조선의 철학자조선의 공신조선의 임진왜란 관련자맞아 죽은 사람밀양시 출신밀양 박씨16세기 한국 사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Français贛語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8일 (월) 14:3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박진(朴晉, 1560년 8월 25일 ~ 1597년 3월)은 무신, 군인으로, 여러 전투에 참가해 공을 세워 벼슬을 지냈다. 초기의 밀양성 전투에서는 패배하였으나 영천성에서 의병 주도로 벌어진 영천성 전투를 지원하여 승전을 거두었고 이후 왜적 111명의 수급을 베어 왕에게 올렸으며, 제2차 경주성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이후 동지중추부사, 1594년 경상우도병마절도사, 순천부사, 그 뒤 전라도병마절도사 등을 거쳐 1596년 황해도병마절도사 겸 황주목사를 지냈다. 일본군 장수 사야가는 그를 만나 조선으로 귀순하였다. 사후 증 병조판서에 증직되고 응천군(凝川君)에 추봉되었으며, 후에 다시 의정부좌찬성에 추증되었다. 본관은 밀양, 자는 명보(明甫) 또는 명부(明夫), 여회(汝晦), 시호는 의열(毅烈)이다. 정유길(鄭惟吉)의 문인이다. 경상남도 출신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임진왜란의 영천성 전투 당시 박진은 어떤 활약을 했을까? Assistant: 이후 동년 5월 경상좌도병마절도사가 되어 남은 병사를 수습해 소규모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동년 8월 영천성 전투 당시 영천성(永川城)은 함락되었으나 영천 백성들이 자발적으로 정세아, 조희익 등을 중심으로 의병을 결성하고 영천성을 근거지로 하여 안동 주둔 왜군과 상응하고 있었던 왜적을 격파하려 하자 이 소식을 접하고 별장 권응수(權應銖)에게 군사를 딸려 파견, 의병을 돕게 하여 영천성을 탈환했다. 권응수의 지휘로 조선군은 대승을 거두고 말 200 여필, 총통과 창검 900 여개를 노획하였고 일본군의 포로로 끌려간 조선 백성 1천 90여명을 구출하였다. 이때 박진은 경주 안강에 본진을 두고 영천성 전투를 배후에서 지원하였는데, 사실은 의병을 자신의 휘하에 두지 못하는 것에 대하여 불만이 있었다. 그러나 전투가 시작되기 전 부관인 별장 권응수를 보내 이들을 지원하게 했고, 전투가 본격적인 시작되기 전에는 군관 변응규를 보내 치사(致辭)를 하고 군기(軍器)와 화약류 등을 보내주고 지원, 격려하는 등 장수로서 넓은 도량을 보였다. Human: 아래 통영_케이블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통영 케이블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통영 케이블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통영 케이블카 통영 케이블카(Tongyeong Ropeway)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통영시 통영관광개발공사가 해발 461m 미륵산에서 운영하는 관광용 케이블카이다. 대한민국 내에서 가장 긴 1,975m의 케이블카로 정식 명칭은 《한려수도 조망 케이블카》이다. 목차 1 개요 2 케이블카 3 운영 3.1 주요 시설 3.2 요금 및 시간 4 교통 5 사고 일지 6 관련 항목 7 화보 8 각주 9 외부 링크 개요[편집] 미륵산에 설치된 케이블카 미륵산 (경상남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한려수도 조망 케이블카는 해발 461m 미륵산(한국 100대 명산)에 위치하고 있으며, 《통영관광개발공사》가 운영하는 케이블카이다. 통영시와 통영관광개발공사가 남해안 관광벨트사업의 일환으로 사업비 173억 원을 들여 추진한 것이다.[1] 1996년 이 사업은 지난 최초 시설 결정 이후, 2000년 4월 통영도시계획시설 조성계획 결정 등을 거치고, 2002년 12월 주민투표를 통해 12월 30일 착공하였다. 시공사는 (주)효성이며, 케이블카 장비는 스위스 가라반타사(Garaventa Lift Manufacturer of Swiss)의 제품을 사용하였다.[2] 2008년 1월 시험운행을 거쳐, 3월 1일 상업 운행을 시작 하였고, 4월 18일 케이블카 준공식과 개통행사를 진행하였다. 2009년 통영관광개발공사가 케이블카로만 벌어들인 매출은 90억원, 당기순이익 25억원을 거두었다. 2010년 2월 26일 오전 11시에 <향수>의 작가 정지용 시인의 시비가 설치돼 제막식을 열었다. 시인 정지용은 8·15 해방 후 정지용 시인이 청마 유치환 선생의 안내로 통영을 방문하여, 미륵산에 올라 '나는 통영포구와 한산도 일대의 아름다운 풍경을 내 문필로는 표현할 능력이 없다'는 요지의 기행문을 썼다.[3] 2010년 3월 14일 200만명의 탑승객을 기록했다. 2011년 6월 9일에는 하루 입장객수 10,209명을 최초로 돌파했다.[4] 2011년 8월 20일에는 3년 4개월만에 탑승객 400만명을 돌파하였다.[5] 애초에는 수익성 저조와 환경파괴에 대한 지적이 있었지만, 2010년 12월 부산과 거제를 잇는 거가대로 개통 이후에는 탑승객이 30% 증가했다. 2010년을 기준으로 약 1천200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이것은 인구 14만여명의 통영시가 시민들로부터 1년간 거둬들이는 세수 1천100억원과 맞먹는 수준이다.[6] 케이블카[편집] 통영 케이블카 상부 역사 케이블카 장비는 스위스 가라반타사(Garaventa Lift Manufacturer of Swiss)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케이블 형식은 자동순환 2선식 곤돌라이며, 선로거리는 1,975m로 국내에서 가장 길다. 최대 속도는 초속 6m로 약 10분이 소요된다. 곤돌라는 총 48대를 운행하며, 순환식 8인승으로 시간당 최대 1,000명의 관광객이 이용할 수 있다.[7] 운영[편집] 주요 시설[편집] 역사 맞은 편의 거북선 모형 하부역사 : 매표소, 케이블카 승·하차장, 식당, 매점, 주차장, 상부역사 : 케이블카 승·하차장, 스넥바, 전망대, 산책용 데크 주차장 : 전 주차장 무료 이용 요금 및 시간[편집] 2017년 9월 현재 요금은 개인 대인을 기준으로 왕복 11,000원이며, 소인은 7,000원이다. 단체(25인)나 65세 이상 경로우대자, 통영 시민은 할인이 가능하며, 국가유공자나 장애인도 할인을 받을 수 있다. 할인 시에는 반드시 증을 제시해야 한다. 자세한 요금은 통영케이블카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매월 2주, 4주차 월요일 또는 공휴일 다음날 쉬며, 하절기(4~8월)을 기준으로 9:30 ~19:00까지 운행하지만, 하부 역사에서는 마감 한 시간 전인 18:00까지 탑승을 완료해야 한다. 자세한 운행시간은 통영케이블카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2011년 2월 7일을 기준으로 1일 50명 한정이던 인터넷 예매은 중단되었으며, 현장 발권만 가능하다.[8] 교통[편집] 시외버스터미널에서 도남동행 버스(100번대)를 이용하면 근방에 하차가 가능하며, 141번 버스를 이용할 경우 케이블카주차장이나 케이블카하부역사 정류장에서 하차가 가능하다. 사고 일지[편집] 2007년 6월 25일 하부역사내 공사현장에서 케이블에 와이어로프를 걸어 팽팽하게 당기던 작업을 하던 중 와이어로프가 갑자기 끊어져서 1명이 숨지고, 4명이 중경상을 입었다.[9] 2008년 4월 19일 개통 하루만에 원인불명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 탑승객 150여명과 정상 정류장에서 탑승을 기다리고 있던 관광객 300여명 등이 30여분간 공중에 정지된 상태에서 공포에 떨었다.[10] 2008년 5월 4일 컴퓨터 제어시스템 장애로 30여분간 운행 중단되었다. 2008년 5월 9일 세 번째 정지되는 사고가 일어나자 상업운전을 중단한 채 정밀점검과 설비보완을 벌여 6월 17일 재개통했다.[11] 2008년 7월 6일 오후 3시 운행 도중 멈춰서 100여 명이 공중에서 2시간여 동안 발이 묶였다.[11] 이후로 2016년까지 뚜렷한 사고는 없다. 매월 2주, 4주 월요일을 '정비의 날'을 정해 각종 장비를 철저히 점검했고 고장 가능성이 있는 부품은 내구연한이 남았어도 교체하는 쪽으로 안전과 운영 노하우를 강화하였고, 상반기 하반기 대정비를 실시 시설관리에 힘을 쓰고 있다. [12] 관련 항목[편집] 미륵산 화보[편집] 미륵산 한산대첩 전망대 미륵산 신선대 전망대 당포해전 전망대 통영 미륵산 등반로 미륵산 정상 각주[편집] ↑ 박현철 기자 (2008년 8월 1일). “총 1975m 국내 최장으로 한려수도 한눈에”. 국제신문.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김진택 기자 (2008년 3월 27일). “통영 한려수도 케이블카 4월 18일 개통”. 통영인터넷뉴스.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최현식 기자 (2010년 2월 19일). “통영케이블카 전망대에 작가 정지용 시비 설치”. 경남도민일보.  ↑ http://v.daum.net/link/17479947[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미륵산케이블카 탑승객 400만명 돌파, 한남일보, 최현식 기자, 8월 22일자 ↑ 통영케이블카 개통 3년..효자상품으로 우뚝, 연합뉴스, 김재홍 기자, 2011년 4월 17일 ↑ 한려수도조망케이블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인터넷 예매 중단 안내 Archived 2010년 12월 28일 - 웨이백 머신, 확인일자 2011년 6월 14일 ↑ 이정훈 기자 (2007년 6월 25일). “통영 케이블카 와이어 끊어져 5명 사상”. 한겨레신문.  ↑ 뉴시스 (2008년 4월 19일). “통영케이블카 상업운행 첫날 '사고'”. 경남도민일보.  ↑ 가 나 YTN (2008년 7월 6일). “통영 케이블카 또 운행 중 멈춰”. YTN.  ↑ 연합뉴스 (2008년 8월 7일). “애물단지 통영 케이블카 환골탈태”. 동아일보.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편집] 통영관광개발공사 케이블카 UCC[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통영 케이블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통영_케이블카&oldid=24121439" 분류: 통영시의 교통대한민국의 삭도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위키데이터에 링크가 없는 위키공용분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29일 (월) 20: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통영 케이블카(Tongyeong Ropeway)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통영시 통영관광개발공사가 해발 461m 미륵산에서 운영하는 관광용 케이블카이다. 대한민국 내에서 가장 긴 1,975m의 케이블카로 정식 명칭은 《한려수도 조망 케이블카》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통영에 위치한 미륵산의 높이는 몇 미터인가? Assistant: 461m
Human: 아래 삼성전기_배드민턴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삼성전기 배드민턴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삼성전기 배드민턴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삼성스포츠 축구 야구 배구 남자 농구 여자 농구 럭비 탁구 테니스 배드민턴 육상 태권도 레슬링 승마 E스포츠 삼성스포츠 삼성전기 배드민턴단은 대한민국의 배드민턴단이다. 목차 1 연혁 2 주요 성적 3 선수단 3.1 선수 3.2 코칭 스탭 4 시설 5 지원 현황 6 같이 보기 7 외부 링크 연혁[편집] 1996년 4월 삼성전기 배드민턴단 창단 1998년 3월 12일 중국 광둥 성 삼성 배드민턴팀 창단 2006년 3월 삼성전기 전국 장애인 배드민턴 대회 신설 2009년 2월 중국 광둥 성 삼성 배드민턴단 해체 2009년 4월 유소년팀(남녀 초등부) 창단 2009년 9월 유소년팀(남 중등부) 창단 2011년 6월 유소년팀(여 중등부) 창단 2013년 5월 유소년팀(남 고등부) 창단 주요 성적[편집] 1996년 7월 애틀란타올림픽 혼합복식 金(길영아), 여자복식 銀(길영아) 2000년 8월 시드니올림픽 남자복식 銀(이동수, 유용성), 남자복식 銅(김동문, 하태권) 2004년 8월 아테네올림픽 남자복식 金(하태권, 김동문), 남자복식 銀(유용성, 이동수), 여자복식 銅(이경원) 2008년 8월 베이징올림픽 혼합복식 金(이용대, 이효정), 여자복식 銀(이경원, 이효정) 2012년 8월 런던올림픽 남자복식 銀(정재성, 이용대) 2016년 8월 리우올림픽 여자복식 銅(신승찬) 선수단[편집] 선수[편집] 남자팀 황종수 김기정 허광희 하영웅 전봉찬 노예욱 정재욱 강민혁 김원호 여자팀 김하나 신승찬 채유정 이선민 김나영 김가은 성나영 코칭 스탭[편집] 감독 : 길영아 코치 : 정훈민 물리치료사 : 고혜민 역대 선수단 현황 지도자 남자 여자 최일현, 한성귀, 권승택, 김문수, 하태권, 정재성, 황혜연 진영근, 석근오, 곽창용, 박용제, 유용성, 이동수, 최지태, 황선호, 김동문, 이덕준, 고재희, 임방언, 박태상, 권순형, 강우겸, 박계양, 김준수, 조건우, 한상훈, 이용대, 황정운, 김동민, 안세성, 최현호, 김사랑 박애란, 이영숙, 강복승, 곽경희, 정은화, 김지현, 박수연, 정재희, 임경진, 박소연, 이경원, 이효정, 최영은, 이종분, 정연경, 황은진, 서윤희, 박희정, 홍수정, 박소리, 고현정, 강해원, 김민서, 임호현, 장수영, 이임정, 류영서, 기보현, 장나라 시설[편집] 삼성전기 수원사업장 내에 있는 배드민턴 전용 체육관인 한울림 체육관을 훈련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지원 현황[편집] 삼성전기배 전국 장애인 배드민턴 대회 같이 보기[편집] 삼성전기 삼성스포츠단 외부 링크[편집] 삼성전기 배드민턴단 소개 vdeh삼성 창립: 1938년 창립자: 이병철 계열사전자 삼성전자 삼성전자판매 삼성전자서비스 삼성전자로지텍 삼성메디슨 세메스 스테코 하만 인터내셔널 레드벤드소프트웨어코리아 삼성전기 스템코 (30%) 삼성SDI STM (100%) SD플렉스 삼성SDS 크레듀 미라콤아이앤씨 에스코어 오픈핸즈 시큐아이 삼성디스플레이 SU머티리얼스 삼성코닝어드밴스드글라스 글로벌텍 중공업·건설 삼성물산 건설부문 씨브이네트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삼성중공업 대정해상풍력발전 정암풍력발전 삼성엔지니어링 금융 삼성생명 삼성생명서비스손해사정 삼성SRA자산운용 생보부동산신탁 삼성자산운용 삼성액티브자산운용 삼성헤지자산운용 생보제일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삼성화재 삼성화재서비스손해사정 삼성화재애니카손해사정 삼성카드 삼성카드고객서비스 삼성증권 삼성선물 삼성벤처투자 서비스 삼성물산 상사부문 삼성물산 패션부문 제일패션리테일 빈폴 에잇세컨즈 삼성물산 리조트부문 에버랜드 에버랜드 리조트 캐리비안 베이 서울레이크사이드 삼성웰스토리 호텔신라 신라면세점 HDC신라면세점 신라스테이 SBTM 제일기획 하쿠호도제일 삼성스포츠 에스원 에스원CRM 휴먼TSS 삼성경제연구소 삼성의료원 삼성서울병원 강북삼성병원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 멀티캠퍼스 기타 삼성타운 삼성SDS타워 향군타워 삼성디지털시티 삼성인력개발원 삼성종합기술원 삼성 시너지 타워 이전 계열사 구 삼성물산 동양화재해상보험 넥스소프트 삼성정밀화학 삼성BP화학 동남증권 삼성토탈 삼성테크윈 삼성항공/삼성톰슨CSF/삼성탈레스 삼성종합화학 (삼성SGL탄소소재) 삼성토탈 삼성건설 삼성물산 유통부문/삼성테스코 삼성시계 삼성상용차 삼성디지털이미징 삼성캐피탈 삼성영상사업단 캐치원 삼성네트웍스 삼성LED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 S-LCD 삼성광주전자 신공항하이웨이 SB리모티브 올앳 아이마켓코리아 웨스틴 조선호텔 제일제당 제일제당건설 제일C&C 제일냉동식품 제일선물 제일합섬 신세계백화점 전주제지 중앙일보 보광 동양방송 삼성HTH택배 삼성코닝정밀소재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TSST) 구 제일모직 아이비클럽 삼성석유화학 삼성SNS 대도제약 365홈케어 오픈타이드차이나 에스엠피 제일보젤 월드사이버게임즈 에스에스엘엠 케어캠프 가치네트 방계기업 CJ그룹 신세계그룹 한솔그룹 새한그룹 효성그룹 중앙미디어네트워크 BGF그룹 르노삼성자동차 스포츠 수원 삼성 블루윙즈 삼성 라이온즈 서울 삼성 썬더스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삼성 갤럭시 삼성전기 배드민턴단 삼성증권 테니스단 삼성생명 탁구단 삼성생명 레슬링단 삼성중공업 럭비단 삼성에스원 태권도단 삼성전자 육상단 삼성전자 승마단 삼성 트레이닝 센터 사회공헌 삼성복지재단 삼성언론재단 삼성생명공익재단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삼성사회봉사단 삼성법률봉사단 삼성안전환경연구소 마이독 & 삼성 삼성화재안내견학교 삼성생명탐지견센터 문화예술 삼성문화재단 호암재단 호암미술관 호암상 호암아트홀 리움 플라토 삼성화재교통박물관 삼성아동교육문화센터 삼성어린이박물관 교육·장학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 충남삼성학원 충남삼성고등학교 삼성장학회 중동학원 중동중학교 중동고등학교 관련 항목인물 이병철 박두을 이건희 홍라희 이재용 이부진 이서현 이수빈 이윤형 이인희 이맹희 이창희 이명희 김재열 임우재 손복남 이미경 이재현 손경식 홍진기 홍석현 홍석조 홍석준 홍석규 홍라영 조홍제 조운해 조동길 정상희 정재은 정용진 정유경 장경작 이병각 박정희 정일권 신현확 윤종용 이학수 차인혁 안지홍 강석진 양향자 진기주 윤준원 사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삼성에버랜드 전환사채 저가 배정 사건 삼성 비자금 관련 폭로 삼성 비자금 의혹 관련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 삼성 경영권 불법 승계 등에 대한 재판 삼성 경영 쇄신안 삼성 X파일 사건 영훈국제중학교 부정 입학 비리 사건 국회 오물투척사건 사카린 밀수 사건 구포역 열차 전복 사고 삼성1호-허베이 스피릿 호 원유 유출 사고 용산4구역 남일당 화재 사건 1980년 언론 통폐합 삼성 갤럭시 노트 7 리콜 사태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 글은 배드민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삼성전기_배드민턴단&oldid=23104549" 분류: 1996년 설립대한민국의 배드민턴단삼성스포츠삼성전기숨은 분류: 배드민턴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1월 27일 (화) 11: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삼성생명 배드민턴단은 대한민국의 배드민턴단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삼성전기 배드민턴단은 언제 만들어진거야? Assistant: 1996년 Human: 아래 엄지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엄지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엄지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엄지원 2010 메트로시티 패션쇼 & 파티에서의 엄지원출생 1977년 12월 25일(1977-12-25) (41세)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시[주 1]직업 배우활동 기간 1998년 ~ 현재종교 개신교[1][2]소속사 씨제스엔터테인먼트 부모 엄이웅(부)형제자매 언니 1명배우자 오영욱웹사이트 엄지원 - 인스타그램엄지원 - 트위터엄지원 미니홈피 - 싸이월드 엄지원(嚴志媛[3], 1977년 12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98년 텔레비전 출연을 시작했고, 2000년에는 영화 무대에도 데뷔했다. 2002년 MBC 아침드라마 《황금마차》에 출연하였고, 2003년 영화 《똥개》에 출연하였다. 2006년 영화 《가을로》로 춘사대상영화제에서 여우조연상을 수상했고, 2013년 영화 《소원》으로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목차 1 학력 2 생애와 경력 2.1 데뷔전 삶과 초기 활동 2.2 2002–2009년 2.3 2010년–현재 3 개인 생활 4 연기 활동 4.1 텔레비전 4.2 영화 4.3 뮤지컬 4.4 뮤직 비디오 5 그 밖의 활동 5.1 방송진행 5.2 홍보대사 6 수상 및 후보 7 각주 7.1 내용주 7.2 참조주 8 외부 링크 학력[편집] 경화여자중학교 졸업 효성여자고등학교 졸업 경북대학교 지리학과 생애와 경력[편집] 데뷔전 삶과 초기 활동[편집] 엄지원은 1977년 12월 25일 경상북도 대구시(현 대구광역시)에서 2녀 중 둘째로 태어났다.[4][5] 그녀의 아버지 엄이웅(嚴二雄)은 공군사관학교를 졸업한 공군 소령 출신의 공직자로, 2003년 경상북도 정무부지사를 끝으로 퇴임하였다.[6][7][주 2] 엄지원은 효성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경북대학교에서 지리학을 전공하였다.[8] 엄지원은 대학교 1학년 때 서울에서 대학을 다니던 언니에게 놀러갔다가 압구정동에서 찍힌 사진이 패션 잡지에 실리면서 잡지 모델로서 연예계와 인연을 맺게 되었다. 1998년에는 대구방송(TBC) 리포터로 뽑히기도 했으나 활동하지는 않았다.[9] 엄지원은 1998년 5월부터 KBS 시트콤 《행복을 만들어 드립니다》 등에 단역으로 출연하기 시작했고, 같은 해 말부터 방송된 MBC 시트콤 《아니 벌써》에서 처음으로 고정배역을 맡았다.[10] 그녀는 1999년 KBS 《지구용사 벡터맨》(2기), 2000년 MBC 시트콤 《세 친구》에도 출연했다.[9] 엄지원은 1999년 10월부터 MBC 《사랑의 스튜디오》의 〈러브러브 쉐이크〉 코너 진행자를 시작으로, 이후 예능 프로그램인 KBS 《자유선언 오늘은 토요일》의 〈서바이벌 정글미팅〉, SBS 《좋은 친구들》의 〈모여라 2000〉에서 코너 진행자로도 활동하였다.[11] 엄지원은 코너 진행자로 활동하던 2000년 첫 영화인 《찍히면 죽는다》에 이영호(성욱 역)의 누나 역으로 출연하기도 하였다.[8][11][주 3] 이후 엄지원은 KBS 《시사터치 코미디 파일》, SBS 《토요 스토리랜드》, iTV 《연예세상》 등에 출연하며 방송 활동을 계속하는 한편 연기학원에 등록해서 연기를 배우기 시작했다.[12] 2002–2009년[편집] 2009년 2월 영화 《그림자 살인》 제작보고회에 참석한 엄지원. 2002년 엄지원은 5월 개봉한 영화 《오버 더 레인보우》에 작은 역할인 장진영(강연희 역)의 직장 동료 김은송 역으로 출연한 후, 같은 해 7월부터 방송된 MBC 아침드라마 《황금마차》에 임지은과 함께 주연으로 캐스팅되어 이복 언니인 임지은(황유정 역)이 낳은 아들(황두리)을 키우는 마음씨 착한 동생 황순정을 연기하며 처음으로 주요 배역을 맡게 되었다.[13] 《황금마차》는 최고 20%가 넘는 시청률을 기록하며 배우 엄지원을 알리는 데 도움이 되었다.[14] 이후 엄지원은 곽경택 감독이 신작 《똥개》에 정우성(차철민 역)의 상대역으로 출연할 신인 여배우를 뽑는다는 소식을 듣고 응모해 3차까지 오디션을 거쳐서 해당 배역에 선발되었다.[15] 그녀가 맡은 역할은 소매치기 출신의 ‘날라리’ 아가씨 김정애 역이었다.[16] 2003년 7월 개봉한 《똥개》는 전국 관객 139만 명을 동원하는 데 그쳐 상업적으로 성공하지는 못했으나,[17][18] 이 작품에서 엄지원의 연기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고, 그녀는 그해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 후보에 올랐다.[19][20][21] 엄지원은 《똥개》를 통해 배우로서 입지를 다지게 되었는데, 이후 인터뷰에서 그녀도 《똥개》를 “내 인생에서 진짜 데뷔작이자 중요한 작품”, “전환점이 된 작품”이라고 평가하였다.[22][23] 한편 엄지원은 《똥개》 개봉을 앞두고 있던 시기 한 매니저에게 “내가 ... 너를 지켜봤는데 ... 너무 방치돼 있었”다, “너를 심은하로 내가 만들어 주겠”다, “회사(소속사)가 해 준 게 뭐 있냐”는 말을 듣고 혹했다가 전속계약 해지 문제로 소속사(싸이클론)와 분쟁을 겪게 되었다.[19][24][주 4] 이듬해인 2004년 엄지원은 SBS 드라마 《폭풍 속으로》, 《매직》에 출연했고,[25][26] 10월 개봉한 영화 《주홍글씨》에 한석규, 이은주, 성현아와 같이 캐스팅되어 한석규(이기훈 역)의 아내인 첼리스트 한수현을 연기했다.[27] 엄지원은 《주홍글씨》로 같은 해 청룡영화상 여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28] 2005년에는 홍상수 감독의 영화 《극장전》에 김상경(김동수 역), 이기우(전상원 역)의 상대역인 최영실로 출연하였는데, 이 작품은 제58회 칸 영화제 경쟁부문에 초청되었다.[29][30] 2006년 유지태, 김지수와 함께 출연한 멜로 영화 《가을로》에서는 여행 중인 유지태(최현우 역)와 마주치는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의 생존자 윤세진을 연기해서 그해 청룡영화상 여우조연상 후보에 올랐고, 이듬해 춘사대상영화제에서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31][32][33] 《가을로》는 제11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으로 선정되며 주목을 받기도 했으나,[34] 개봉 후 흥행에 성공하지 못하고 전국 관객 약 70만 명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17][35] 2007년에는 《스카우트》에 출연하여 선동열을 스카우트하러 광주에 온 대학시절 연인 임창정(이호창 역)과 재회하는 시민운동가 김세영을 연기했는데, 이 작품도 31만5천 명의 관객을 기록하며 저조한 성적을 거뒀다.[17][36] 한편 엄지원은 《야수》(2006년)에 권상우(장도영 역)의 연인인 강주희 역으로 우정출연했고,[37] 《기담》(2007년)과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2008년)에도 특별출연 형식으로 얼굴을 내비쳤다.[38][39] 또한 엄지원은 2008년 9월부터 SBS의 연예정보 프로그램 《한밤의 TV연예》의 MC로 서경석과 함께 이후 2010년 4월까지 진행을 맡았다.[40] 2009년 엄지원은 4월 개봉한 영화 《그림자 살인》에 황정민, 류덕환과 함께 캐스팅되어 사대부가의 여인이자 발명가 순덕 역으로 출연했다.[41][42] 5월 개봉한 홍상수 감독의 영화 《잘 알지도 못하면서》에는 영화제 프로그래머 공현희 역으로 출연했다.[43] 엄지원은 같은 해인 2009년 배창호 감독의 영화 《기쁜 우리 젊은 날》을 원작으로 한 동명 뮤지컬 《기쁜 우리 젊은 날》에 출연하며 뮤지컬 무대에 데뷔하였고,[44][45] 단편 영화인 백현진 감독의 《THE END》와 유지태 감독의 《초대》에도 출연하였다.[46][47] 2010년–현재[편집] 2013년 11월 청룡영화상 시상식장에 입장하는 엄지원. 엄지원은 2010년 1월부터 방송된 MBC 수목드라마 《아직도 결혼하고 싶은 여자》에 박진희, 왕빛나와 함께 캐스팅되어 한영 동시통역사 정다정 역을 맡으며 2004년 《매직》 이후 5년여 만에 텔레비전 드라마에 출연하였다.[48][주 5] 그러나 《아직도 결혼하고 싶은 여자》는 같은 시간대에 방송된 KBS의 《추노》, SBS의 《산부인과》에 밀려 방송내내 한자리대의 저조한 시청률을 기록하며 종영하였다.[49] 엄지원은 같은 해 두 편의 코미디 영화에도 출연했다. 《스카우트》 이후 다시 임창정과 같이 캐스팅되어 출연한 로맨틱 코미디 《불량남녀》에는 카드사 채권팀 직원 김무령으로 출연했고,[50] 성을 소재로 한 코미디 《페스티발》에는 신하균, 심혜진, 성동일, 류승범, 백진희, 오달수와 같이 캐스팅되어 신하균(곽장배 역)의 애인인 영어학원 강사 지수 역으로 출연했다.[51] 두 작품은 각각 49만 명과 20만 명의 관객을 기록했다.[17] 2011년 1월부터 3월까지는 SBS 수목드라마 《싸인》에 출연했다. 박신양, 김아중, 전광렬 등이 출연한 이 작품에서 엄지원은 여검사 정우진 역을 맡았다. 《싸인》은 극 초기 MBC의 《마이 프린세스》에 시청률이 밀리기도 했으나 이내 ‘명품 드라마’로 호평을 받으며 수목극 시청률 1위에 올랐다.[52][53] 엄지원의 연기는 무리한 설정과 목소리로 극 초반 비판을 받기도 했는데 이후 극이 진행되면서 호평을 받았다.[54][55] 2012년에는 종합편성채널 MBN의 드라마 《사랑도 돈이 되나요》에 연정훈(마인탁 역)의 상대역으로 돈 때문에 재력가와 결혼을 꿈꾸는 ‘된장녀’ 윤다란 역으로 출연했고,[56] 종합편성채널인 JTBC의 주말연속극으로 극작가 김수현이 극본을 쓴 가족극 《무자식 상팔자》에는 지방법원 판사를 그만두고 미혼모가 되는 집안의 큰손녀 안소영 역으로 출연했다.[57] 2013년 1월 개봉한 《박수건달》에는 박신양, 김정태, 정혜영 등과 같이 출연해 무당 명보살을 연기했다.[58] 이 작품은 전국 관객 약 390만 명을 동원하며 흥행에 성공하였다.[59] 10월 개봉한 아동성폭력을 다룬 영화 《소원》에서는 딸이 성폭력을 당하는 어머니 미희를 연기했다.[60] 《소원》은 270만 명의 관객을 동원했다.[17] 엄지원은 이 작품으로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여우주연상을 받으며 데뷔 후 첫 여우주연상을 수상했고,[61]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 후보와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후보 및 대종상 여우주연상 후보에도 올랐다.[62][63][64] 다음 출연작으로 2013년 11월부터 방송된 김수현 극본의 SBS 주말드라마 《세 번 결혼하는 여자》에는 애견용품 디자이너인 첫째 딸 오현수 역으로 출연했다.[65] 개인 생활[편집] 엄지원은 2012년 말 지인의 소개로 건축가이자 에세이 작가 오영욱을 만나 교제를 시작했다. 필명인 ‘오기사’로도 알려진 오영욱은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건축사무소 ‘오기사 디자인’을 운영하고 있다. 둘은 2014년 5월 27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결혼식을 올렸다.[66] 연기 활동[편집] 텔레비전[편집] 연도* 제목 역할 방송사 비고 1998 공포의 눈동자 단역(학생) SBS 납량특집드라마[67] 아니 벌써 엄지원 MBC 1999 지구용사 벡터맨 2기 라디아 공주[주 6] KBS2 2000 세 친구 엄지원[주 7] MBC 2002 황금마차 황순정 MBC 2004 폭풍 속으로 오정희 SBS 매직 하연진 SBS 2008 온에어 엄지원 SBS 5회에 카메오 출연[68] 2010 아직도 결혼하고 싶은 여자 정다정 MBC 2011 싸인 정우진 SBS 2012 사랑도 돈이 되나요 윤다란 MBN 무자식 상팔자 안소영 JTBC 2013 세 번 결혼하는 여자 오현수 SBS 2017 조작 권소라 SBS 2019 봄이 오나 봄 이봄 MBC *다년간 방송된 프로그램의 경우, 엄지원이 출연한 연도 또는 출연하기 시작한 연도를 가리킨다.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00 찍히면 죽는다 누나 2002 오버 더 레인보우 김은송 2003 똥개 김정애 2004 주홍글씨 한수현 제9회 부산국제영화제 폐막작[69] 2005 극장전 최영실 2006 야수 강주희 우정출연 가을로 윤세진 제11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 2007 기담 박 교수의 딸 특별출연 스카우트 김세영 2008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나연 특별출연 2009 THE END 단편영화 그림자 살인 순덕 잘 알지도 못하면서 공현희 초대 여자 단편영화 2010 불량남녀 김무령 페스티발 지수 2013 박수건달 명보살 소원 미희 2015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 교장 더 폰 조연수 2016 미씽: 사라진 여자 지선 마스터 신젬마 2019 기묘한 가족 남주 *개봉일(공개일) 순. 뮤지컬[편집] 2009년 《기쁜 우리 젊은 날》 - 혜린 뮤직 비디오[편집] 2007년 《안녕》 KCM 그 밖의 활동[편집] 방송진행[편집] 2008년~2010년 《한밤의 TV연예》 (SBS) 2012년 《오페라스타 2012》 (tvN)[70] 2017년 《이집 사람들》 (O tvN) 홍보대사[편집] 2008년 제16회 춘사대상영화제 홍보대사(하정우와 함께)[71] 2011년 열린의사회 홍보대사[72]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출처 2003 제24회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 똥개 후보 [1] 2004 제25회 청룡영화상 여우조연상 주홍글씨 후보 [2] 2006 제27회 청룡영화상 여우조연상 가을로 후보 [3] 2007 제15회 이천 춘사대상영화제 여우조연상 가을로 수상 [4] 2008 제5회 맥스무비 최고의 영화상 최고의 여자조연배우상 스카우트 수상 [5] 2010 제18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영화배우부문 우수상 불량남녀 수상 [6] 2011 제3회 아시아 주얼리 어워드 배우부문 사파이어상 빈칸 수상 [7] SBS 연기대상 드라마스페셜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싸인 후보 [8] 2013 제22회 부일영화상 여우조연상 박수건달 후보 [9] 제50회 대종상 여우조연상 박수건달 후보 [10] 제34회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 소원 후보 [11] 제33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여우주연상 소원 수상 [12] 한국영화배우협회 스타의 밤 시상식 스타상 소원 수상 [13] 2014 제50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소원 후보 [14] 제51회 대종상 여우주연상 소원 후보 [15] SBS 연기대상 장편드라마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세 번 결혼하는 여자 후보 [16] 2016 제21회 춘사영화상 여우조연상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 수상 [17] 제36회 황금촬영상 최우수 주연여우상 더 폰 수상 [18] 제52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조연상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 후보 [19] 2017 제18회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연기상 미씽: 사라진 여자 수상 SBS 연기대상 월화드라마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조작 후보 2018 제8회 마리끌레르 영화제 마리끌레르상 미씽: 사라진 여자 수상 각주[편집] 내용주[편집] ↑ 현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엄이웅은 이후 경상북도 개발공사 사장(제4대), 한도엔지니어링 회장을 지냈다. (출처). ↑ 이후 엄지원은 《찍히면 죽는다》를 “배우로서 생각이 정립되기 전이었고, 제가 무얼 하고 있는지도 잘 몰랐지요. 어리석은 시기였기 때문에 제 필모그래피의 스타트에서 지우고 싶습니다.”라고 밝히며 출연을 후회하는 작품으로 꼽기도 했다.[12] ↑ 결국 엄지원은 계약 기간이 끝난 후 계약시 받은 계약금 500만원의 6배인 3000만원을 소속사에 물어주어야 했다. (출처). ↑ 《아직도 결혼하고 싶은 여자》는 2004년 방송된 《결혼하고 싶은 여자》의 후속편이다. (출처). ↑ 언론에서 라디아, 리디아, 레디아, 레디어 등 표기가 분분하나, 《지구용사 벡터맨 2기》에서 엄지원이 맡은 역할은 ‘레디아 공주’의 동생인 ‘라디아 공주’이다. ↑ 윤다훈이 매니저(실장)로 있는 헬스클럽의 직원(코치)이다. 참조주[편집] ↑ 정미희 (2009-5.6). “치열하게 한 사람을 살아내다”. 《오늘》 (51). ISSN 2005-7350. 2015년 1월 28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기독교 문화 잡지 ‘오늘’ 5·6월호… 가톨릭에서 기독교로 개종 배우 인터뷰”. 국민일보. 2009년 5월 10일. 2013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엄지원. “严志媛的微博_微博”. 《웨이보》. 시나. 2016년 2월 4일에 확인함.  ↑ 네이버. “네이버 인물정보 (엄지원)”. 2013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김소연 (2004년 10월 28일). “청순가련 깜찍발랄 엄지원”. 서울신문. 23면. 2013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새의자]경북도 정무부지사 엄이웅씨”. 동아일보. 2002년 7월 23일. 2013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정근재 (2003년 9월 2일). “[동정] 엄이웅 정무부지사 퇴임식”. 영남일보. 2013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가 나 씨네21. “씨네21 DB - 엄지원 (Uhm Ji-won)”. 2014년 3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박주연 (2004년 5월 27일). “‘폭풍속으로‘ 엄지원”. 《뉴스메이커(현 주간경향)》 (575). 2013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김호영 (1999년 1월 20일). “[엄지원] "이룰수 없는 반쪽사랑이지만…"”. 《스포츠조선》. 2005년 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16일에 확인함.  ↑ 가 나 맹경환 (2000년 8월 3일). “[인터뷰] 코너 MC서 영화주연까지…엄지원”. 국민일보. 2013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가 나 김지수, 손우창 (2007년 12월). “도도한 순수”. 《보그》. 2014년 5월 10일에 확인함.  ↑ 정명진 (2002년 7월 9일). “[인터뷰] MBC ‘황금마차’ 주인공 엄지원”. 파이낸셜뉴스. 2013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정명진 (2003년 2월 18일). “SBS 새 아침드라마 ‘당신 곁으로’”. 파이낸셜뉴스. 2014년 5월 10일에 확인함.  ↑ 《힐링캠프》 (텔레비전 프로그램). 서울, 대한민국: SBS. 2011년 8월 8일. 2014년 5월 22일에 확인함.  ↑ 문화부 (2003년 7월 30일). “영화 “똥개”서 야무진 비행소녀 엄지원”. 세계일보. 2014년 3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영화진흥위원회. “KOFIC 영화관 입장권 통합전산망”. 2014년 4월 26일에 확인함.  ↑ 김미영 (2007년 9월 20일). “곽경택 감독 “‘친구’ 이후 줄줄이 흥행 실패, 후회 없지만 섭섭””. 뉴스엔. 2014년 5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5월 6일에 확인함.  ↑ 가 나 정명화 (2006년 10월 12일). “엄지원, "'똥개' 이후 인생이 달라졌다!"”. 조이뉴스24. 2014년 3월 27일에 확인함.  ↑ 김병규 (2003년 7월 8일). “<새 영화> '똥개'”. 연합뉴스. 2014년 3월 27일에 확인함.  ↑ 전상희, 정현석 (2003년 11월 27일). “[청룡영화상] 최우수작품-감독상등 사상 최고 치열한 경합”. 스포츠조선. 2014년 3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3월 27일에 확인함.  ↑ 고규대 (2007년 7월 20일). “엄지원, 와인같은 연기 꿈꾼다”. 스포츠한국. 2014년 5월 6일에 확인함.  ↑ 송주연 (2006년 1월 17일). “토크2.1 엄지원의 배우 수업”. 《필름2.0》.  ↑ 《힐링캠프》 (텔레비전 프로그램). 서울, 대한민국: SBS. 2011년 8월 8일. 2014년 3월 27일에 확인함.  ↑ 임정식 (2004년 5월 2일). “엄지원, SBS '폭풍 속으로'서 김민준과 가혹한 사랑”. 스포츠조선. 2014년 4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7일에 확인함.  ↑ 임정식 (2004년 7월 23일). “엄지원, '파리의 연인' 후속작 '매직'에 캐스팅”. 스포츠조선. 2014년 4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7일에 확인함.  ↑ 최윤정 (2004년 7월 22일). “섹시·신비·우아…‘주홍글씨’ 삼색미녀”. 스포츠투데이. 2014년 4월 7일에 확인함.  ↑ 전상희 (2004년 11월 11일). “[제25회 청룡영화상] 여우조연상 후보”. 스포츠조선. 2014년 3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3월 27일에 확인함.  ↑ 김관명 (2005년 5월 12일). “'극장전', 중독성 강한 홍상수식 유머”. 스타뉴스. 2014년 4월 12일에 확인함.  ↑ 김은형 (2005년 5월 4일). “홍상수감독 ‘극장전’ 칸영화제 막차 합류”. 한겨레. 2014년 4월 12일에 확인함.  ↑ 김성원, 김인구 (2006년 10월 24일). “['가을로' 주연배우 3색 인터뷰] 유지태-김지수-엄지원”. 스포츠조선. 2014년 4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26일에 확인함.  ↑ 김성원 (2006년 12월 13일). “[제27회 청룡영화상] 청룡상 판세 분석”. 스포츠조선. 2014년 3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26일에 확인함.  ↑ 홍기원 (2007년 9월 14일). “[★포토]엄지원, 여우조연상 받았어요”. 스타뉴스. 2014년 4월 26일에 확인함.  ↑ 이다혜 (2006년 9월 14일).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 <가을로>”. 《씨네21》. 2014년 4월 26일에 확인함.  ↑ 권재현 (2007년 1월 27일). “[Life Style]눈물 흘리는 ‘멜로’… 잇단 흥행참패”. 동아일보. 2014년 4월 26일에 확인함.  ↑ 안길수 (2007년 11월 11일). “[영화 스카우트] 선동렬 영입 미션 받고 광주로 간 대학 체육부 직원”. 서울경제. 2014년 4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28일에 확인함.  ↑ 이은식 (2005년 7월 11일). “엄지원, '야수' 권상우와 애틋한 사랑”. 경제투데이. 2014년 9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28일에 확인함.  ↑ 이희진 (2007년 7월 14일). “엄지원, 특별출연 '기담'에서 비밀 인도”. 스포츠조선. 2014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28일에 확인함.  ↑ 이경호 (2008년 7월 23일). “‘칸’에서 살아난 여인, 엄지원”. 동아일보. 2014년 4월 28일에 확인함.  ↑ 김건우 (2010년 4월 21일). “엄지원, '한밤' MC 하차..후임 송지효 발탁”. 스타뉴스. 2014년 4월 30일에 확인함.  ↑ 모신정 (2009년 4월 2일). “'그림자 살인' 캐릭터 신선하지만 짜임새가 왠지…”. 한국일보. 2014년 4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30일에 확인함.  ↑ 최재욱 (2009년 5월 14일). “‘마더’ ‘해운대’ ‘국가대표’, 한국 영화 흥행 이어갈까”. 스포츠경향. 2014년 7월 3일에 확인함. ‘그림자 살인’은 손익분기점을 넘기며 전국 괸객 192만명을 기록했다.  ↑ 온라인뉴스팀 (2009년 5월 11일). “[영화세상]‘잘 알지도 못하면서‘ 엄지원 짱!”. 스포츠경향. 2014년 4월 30일에 확인함.  ↑ 김희선 (2009년 4월 9일). “영화 '기쁜 우리 젊은 날' 뮤지컬로”. 연합뉴스. 2014년 4월 30일에 확인함.  ↑ 두경아 (2009년 6월). “영화로 이미지 변신하고 뮤지컬 무대에 도전장 낸 엄지원”. 《레이디경향》. 2014년 4월 30일에 확인함.  ↑ 김희연 (2009년 3월 9일). “퍼포먼스·무용·영화… 경계 허물고 뒤섞여 하나로”. 경향신문. 2014년 4월 30일에 확인함.  ↑ 박세연 (2009년 4월 3일). “엄지원, 유지태 신작단편 ‘초대’ 출연”. 뉴스엔. 2014년 4월 30일에 확인함.  ↑ 정유진 (2010년 1월 14일). “[포토엔]서른넷 세 여자 엄지원-박진희-왕빛나 ‘셋이 합해 102살’”. 뉴스엔. 2014년 4월 30일에 확인함.  ↑ 장서윤 (2010년 3월 12일). “'아결여' 한자리수대 시청률로 아쉬운 종영”. 이데일리. 2014년 4월 30일에 확인함.  ↑ 김구철 (2010년 10월 6일). “[AM7] 백수건달서 경찰로 신분상승 “근데 왜 불쌍해 보이냐고요””. 문화일보. 2014년 5월 1일에 확인함.  ↑ 김지영 (2010년 11월 15일). “[영화] 페스티발…야하지만 야하지 않은 블랙 코미디”. 매일경제. 2014년 5월 1일에 확인함.  ↑ 서은혜 (2011년 3월 10일). “[굿바이 싸인] 수목극 1위 '질주'…성공요인과 남긴 것”. TV리포트. 2014년 5월 2일에 확인함.  ↑ 표재민 (2011년 3월 10일). “[특집] <싸인> 그들의 죽음이 남긴 것 ① - 한국형 법의학 드라마 기틀 마련”. 맥스무비. 2014년 5월 3일에 확인함.  ↑ 황인혜 (2011년 1월 6일). “'싸인' 엄지원, 호평 속 유일한 혹평…여검사 아닌 여전사?”. TV리포트. 2014년 5월 3일에 확인함.  ↑ 제상민 (2011년 3월 2일). “'최강용자' 검사된 엄지원, 이런면도 있었네”. 오마이뉴스. 2014년 5월 2일에 확인함.  ↑ 박세연 (2012년 2월 15일). “[MBN] `사랑도 돈이 되나요` 차도남 연정훈 & 된장녀 엄지원…사랑, 얼마면 되겠니?”. 매일경제. 2014년 5월 2일에 확인함.  ↑ 이수아 (2012년 10월 22일). “'무자식 상팔자' 엄지원, "미혼모역 매니저가 싫어했다"”. TV리포트. 2014년 5월 2일에 확인함.  ↑ 진현철 (2012년 12월 27일). “[리뷰]당신이 알던 박신양은 잊어라 ‘박수건달’”. 스타투데이. 2014년 5월 3일에 확인함.  ↑ 김현록 (2013년 11월 20일). “몰라봐서 죄송~ 2013 뒷통수 친 흥행작들②”. 스타뉴스. 2014년 5월 3일에 확인함.  ↑ 김가연 (2013년 9월 26일). “[김가연의 어떤씨네] '소원', 벼랑 끝이라도 한 줄기 빛은 있다(리뷰)”. 스포츠서울. 2014년 5월 4일에 확인함.  ↑ 온라인뉴스팀 (2013년 11월 29일). “엄지원, 영평상 여우주연상 수상 "연기 11년 만에 첫 여우주연상"”. 스포츠경향. 2014년 5월 3일에 확인함.  ↑ 특별취배반 (2013년 11월 23일). “[청룡영화상 말말말] 여우주연상 한효주 "무겁고 무섭다"”. 스포츠조선. 2014년 5월 3일에 확인함.  ↑ 김연지 (2014년 4월 28일). “제50회 백상예술대상 TV·영화부문 후보 공개 ‘공식 발표’”. 일간스포츠. 2014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이정현 (2014년 11월 11일). “제51회 대종상영화제 노미네이트 확정, ‘변호인’ 11개 부문 후보”. 스포츠한국미디어. 2014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윤기백 (2013년 10월 28일). “'세 번 결혼하는 여자' 엄지원, 털털한 애견용품 디자이너 파격 변신”. 스포츠월드. 2014년 5월 3일에 확인함.  ↑ 전아람 (2014년 5월 27일). ““엄지원 결혼, 축사 읽을 때 눈물..영화같은 결혼식””. 뉴스엔. 2014년 5월 27일에 확인함.  ↑ SBS. “납량특선 8부작”. 2013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김지연 (2008년 3월 19일). “'온에어', 캐스팅 과정 흥미있게 묘사 '눈길'”. 스타뉴스. 2014년 4월 30일에 확인함.  ↑ 박창수 (2004년 9월 13일). “<부산영화제 개.폐막 작품>”. 연합뉴스. 2014년 5월 6일에 확인함.  ↑ 연예뉴스팀 (2012년 3월 17일). “‘오페라 스타’ 엄지원, MC 가능성 무한 발휘 ‘빛냈다’”. 세계일보. 2014년 5월 3일에 확인함.  ↑ 김예나 (2008년 8월 19일). “하정우-엄지원, 춘사 대상영화제 홍보대사 동반낙점”. 뉴스엔. 2014년 4월 30일에 확인함.  ↑ 서병기 (2011년 2월 11일). “‘싸인’ 엄지원, 열린의사회 홍보대사로 위촉”. 헤럴드경제. 2014년 4월 3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엄지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엄지원 - 인스타그램 엄지원 - 트위터 엄지원 미니홈피 - 싸이월드 (중국어) 엄지원 - 시나 웨이보 (영어) 엄지원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엄지원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엄지원 - 한시네마 vdeh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여우주연1980년대 장미희 (1980) 우연정 (1981) 나영희 (1983) 원미경 (1984) 이미숙 (1985) 이미숙 (1986) 김지미 (1987) 이보희 (1988) 강수연 (1989) 1990년대 강수연 (1990) 이혜숙 (1991) 윤정희 (1992) 심혜진 (1993) 김서라 (1994) 최명길 (1995) 방은진 (1996) 김선재 (1997) 심은하 (1998) 이미숙 (1999) 2000년대 전도연 (2000) 배두나 (2001) 문소리 (2002) 이미숙 (2003) 염정아 (2004) 전도연 (2005) 장진영 (2006) 전도연 (2007) 수애 (2008) 김혜자 (2009) 2010년대 서영희 (2010) 탕웨이 (2011) 조민수 (2012) 엄지원 (2013) 천우희 (2014) 김혜수 (2015) 손예진 (2016) 나문희 (2017) 한지민 (2018) 최우수작품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남우 | 신인여우 vdeh춘사영화상 여우조연1990년대 - (1990) 김보연 (1991) 김보연 (1992) 문미봉 (1993) 정경순 (1994) 김보연 (1995) - (1999) 2000년대 김성녀 (2000) - (2001) 예지원 (2002) 송윤아 (2003) 고두심 (2004) 오미희 (2005) 김수미 (2006) 엄지원 (2007) 김지영 (2008) 김해숙, 이혜숙 (2009) 2010년대 윤여정 (2010) - (2014) - (2015) 엄지원 (2016) 유인영 (2017) 김선영 (2018) 최우수작품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남우 | 신인여우 vdeh황금촬영상 여우주연1990년대 전도연 (1999) 2000년대 심은하 (2000) 하지원 (2001) 이영애 (2002) 최지우 (2003) 김선아 (2004) 고두심 (2005) 문근영 (2006) 장진영 (2007) 박진희 (2008) 한은정 (2009) 2010년대 정유미 (2011) 김선아 (2014) 김혜수 (2015) 엄지원 (2016) 공효진 (2017) 최희서 (2018) 작품상 | 감독 | 연기대상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남우 | 신인여우 vdeh맥스무비 최고의 영화상 최고의 여자 조연배우2000년대 - (2004) - (2005) 김수미 (2006) 나문희 (2007) 엄지원 (2008) 김해숙 (2009) 2010년대 김영애 (2010) 윤여정 (2011) 김영애 (2014) 나문희 (2015) 라미란 (2016) 작품 | 감독 | 남자배우 | 여자배우 | 남자조연배우 | 여자조연배우 | 남자신인배우 | 여자신인배우 vdeh제이와이드컴퍼니경영진 정덕균 (대표이사) 소속 배우남성 이상윤 최다니엘 오민석 천호진 김태우 조달환 김진우 민성욱 신재하 전재형 진현빈 홍경 유수빈 여성 엄지원 김소연 강예원 백진희 김태리 정혜성 이보영 이영은 손여은 배종옥 김희정 배해선 이미도 김사희 전여빈 임지현 한지선 최수인 허정은 과거 소속 배우남성 박형수 여성 한승연 박민하 최윤소 전거 통제 VIAF: 24905613 ISNI: 0000 0000 7847 4354 SUDOC: 11370383X BNF: cb15502173p (데이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엄지원&oldid=24423862" 분류: 1977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영월 엄씨대구광역시 출신경암중학교 동문효성여자고등학교 동문경북대학교 동문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1998년 데뷔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비디오 자키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대한민국의 개신교도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수상자춘사영화상 수상자황금촬영상 수상자맥스무비 최고의 영화상 수상자숨은 분류: 인용 오류 - 날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GalegoBahasa Indonesia日本語Bahasa MelayuSimple English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4일 (금) 01: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엄지원(嚴志媛, 1977년 12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98년부터 연기 활동을 시작해 2002년 MBC 아침드라마 《황금마차》에 주연급으로 출연하였고, 2003년 영화 《똥개》에 출연하였다. 2006년 영화 《가을로》로 춘사대상영화제에서 여우조연상을 수상했고, 2013년 영화 《소원》으로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바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엄지원은 어떤 영화들에 출연했을까? Assistant: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00 찍히면 죽는다 누나 2002 오버 더 레인보우 김은송 2003 똥개 김정애 2004 주홍글씨 한수현 제9회 부산국제영화제 폐막작[69] 2005 극장전 최영실 2006 야수 강주희 우정출연 가을로 윤세진 제11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 2007 기담 박 교수의 딸 특별출연 스카우트 김세영 2008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나연 특별출연 2009 THE END 단편영화 그림자 살인 순덕 잘 알지도 못하면서 공현희 초대 여자 단편영화 2010 불량남녀 김무령 페스티발 지수 2013 박수건달 명보살 소원 미희 2015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 교장 더 폰 조연수 2016 미씽: 사라진 여자 지선 마스터 신젬마 2019 기묘한 가족 남주
Human: 아래 삼국_시대의_문학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삼국 시대의 문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삼국 시대의 문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한국 문학 상고시대의 문학 삼국 시대의 문학 남북국시대의 문학 고려 시대의 문학 조선 전기의 문학 조선 후기의 문학 현대 전기 문학 현대 후기 문학 향가 시조 가사 세계의 문학 문학상 삼국 시대의 문학은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이 성립된 시기와 후삼국 시대까지 대개 서기 1세기부터 10세기에 이르는 기간에 형성되었다. 목차 1 특징 2 삼국 시대 문학의 전개 3 삼국 시대의 한문 문학 4 문학 분야별 분류 4.1 시가 문학 4.2 설화 문학 4.2.1 설화 문학의 특징 4.2.2 온달 설화 4.2.3 도미전 5 화랑 문학 6 중국과의 교류 7 함께 보기 8 외부 링크 특징[편집] 삼국 시대 이전의 원시 문학을 집단 가무 시대라 한다면 삼국 문학은 개성 자각의 문학 시대라고 집약해서 말할 수 있다. 이 시대의 문학은 어떠한 부족이나 국가를 대표하는 영웅에 대한 이야기와 노래를 하는 것이 아니라 같은 영웅일지라도 개인으로서의 영웅의 부귀와 영화, 그리고 평범한 필부나 촌녀의 기쁨이나 슬픔을 노래하였다. 이 시대의 문학은 집단적·객관적·영웅적인 것에서 개인적·주관적·서정적인 것으로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 그러나 이 시대 문학은 전대(前代)보다 발전된 것은 사실이나 아직도 가요와 설화가 확연히 구분되지 않고, 가요의 유래에 대한 설화가 반드시 수반되어서야 겨우 그 생명을 유지한 사실로 보아 아직도 전대 문학의 잔영을 그대로 물려받고 있다. 고구려는 서사 문학이 특히 발달하여 많은 설화 문학을 후세에 전하고 있다. 또 한반도의 동남과 서남쪽에 위치한 신라와 백제는 서정적인 가요 문학이 발달했다. 이 시대의 주요 문학인으로는 〈신집〉을 집필한 이문진, 일본에 학문을 전한 왕인, 백제의 역사서를 편찬한 고흥, 신라의 역사서를 편찬한 거칠부 등이 있다. 삼국 시대 문학의 전개[편집] 삼국 시대에 있어 문화 교류의 중요한 기틀이 된 학자는 유교 문화뿐 아니라 불교 문화의 큰 힘을 입게 되었는데, 불교의 전래는 그 중요한 의의를 갖게 되었다. 고구려는 제19대 소수림왕 2년(372년)에 전진의 왕 부견이 보낸 승려 순도를 받아들임으로써 한국 최초의 불교가 전래되었다. 백제는 제15대 침류왕 원년(384년)에 동진으로부터 들어온 인도의 승려 마라난타가 불교를 전래하였고, 신라는 눌지왕 때 고구려의 승려 묵호자가 민간에 전래하고, 법흥왕 때 이차돈의 죽음으로 전파되기 시작했다. 이후 불교는 거의 천 년간 한민족의 신앙을 지배하여 찬란한 불교문화를 이룩했고, 이때부터 한문과 같이 들어온 유교와 고구려 말에 들어온 도교(道敎)의 사상과 더불어 한국의 정신적·사회적 생활을 지배하게 되었다. 삼국 시대의 한문 문학[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한문 § 한국의 한문 문학입니다. 한민족은 전래된 한자의 사용으로 이제까지 구송된 역사·문학을 정착시켰다. 유·불·선의 교리에 영향을 받은 문학이 성행하였다. 또한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솟구치는 시정을 서술하는 데 한문학은 한문자와 아울러 삼국의 귀족을 매료시키고 여기에서 문학으로서의 한문학이 꽃피게 되었다. 문학 분야별 분류[편집] 시가 문학[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한국의 삼국시대 시가입니다. 삼국은 각기 부족 연맹으로부터 세력을 키워 고대 국가로 성장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자체의 문학을 발전시켰던 것으로 보인다. 삼국이 초창기에는 아직 문화적으로 제의와 밀접히 관련된 원시의 치졸한 단계에 머물러 있던 것이 삼국 시대에 이르러서는 이러한 집단적·제의적 성격을 탈피하여 개인적인 문학예술이 발달을 보게 된 것이다. 향가는 세련된 개인 창작시로서 남북국 시대의 문학을 대표하고 있다. 신라 유리왕 연대에 지어진 〈도솔가〉, 〈회소곡〉 등은 농업 국가를 형성한 신라 민족의 제신적인 성격에서 벗어난 비종교적인 시가이다. 향가는 신라의 삼국 통일 이후 본격적으로 발달한 시가 양식이다. 이것은 특히 경주 지방을 중심으로 한 화랑·승려 등 신라의 중앙 귀족층에 의해서 발달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제의적·민요적인 것과는 달리 개인 창작 예술로서 어디까지나 귀족 문학인 것이다. 이 향가의 완성형은 10구체이며, 그 과도기적인 형태로서 4구체와 8구체가 있다. 내용 면에서 보면, 주로 생사(生死) 등 인생의 심각한 문제를 높은 종교적인 차원으로까지 끌어올려 우아한 언어로 표현한 고상한 서정시이다. 현재 전통적인 신라 향가 14수와 균여의 불교찬가로 지어진 11수가 전하고 있다. 신라 말기에 위홍과 대구화상에 의해 향가집 〈삼대목〉이 편찬되었다고는 하나 현재는 전하지 않는다. 설화 문학[편집] 삼국 시대의 설화가 《삼국사기》, 《삼국유사》 등 고려 시대에 성립된 역사서에 풍부하게 수록되어 있다. 그런데 그 전부를 삼국 시대의 문학에 포함시키는 것은 무리이지만, 그 중 상당 부분은 삼국 시대부터 전승되어 오던 것을 채록했다고 보아 삼국 시대의 현실을 반영한 삼국 시대의 문학으로 취급하게 되는 것이다. 동명왕 건국 설화나 혁거세 건국 신화, 탈해 전승 등은 부족 연맹 간의 투쟁을 통해서 승리를 획득하여 고대 국가를 건설한 영웅의 위업을 그린 민족적인 서사 문학이다. 그리고 이민족과의 강력한 투쟁을 통해서 동북아시아에 강대한 고대 제국을 건설한 광개토왕의 비문은 그의 민족적인 위대한 업적과 고구려 민족의 긍지를 표현한 것으로 역시 한 편의 민족 서사시로 보아야 할 것이다. 《삼국유사》에 수록된 김유신 설화 역시 신라의 삼국 통일을 완수하는 과정에서 한 인물의 영웅적인 인간상과 활동을 형상화한 것이다. 궁예와 견훤의 설화의 경우는 신라 말기 사회에 있어서 중앙 귀족의 지배 체제에 반기를 들고 일어선 지방 호족 세력의 투쟁을 나타낸 것으로 주목된다. 이 밖에 《삼국사기》에 수록된 〈온달 설화〉, 〈호동왕자〉, 《삼국유사》에 수록된 〈호원〉, 〈노힐부득〉, 〈달달박박〉 등 우수한 설화 문학 작품이 많이 있다. 설화 문학의 특징[편집] 고구려의 시가는 〈황조가〉 외에 〈내원성가〉, 〈연양가〉, 〈명주가〉 등이 문헌 가운데 전하고 있으나, 그 가사는 전하지 않고 줄거리만이 《고려사》 삼국속악조에 적혀 있을 뿐이다. 또한 그 외에도 질투를 하다 가죽주머니에 담겨 죽은 〈관나부인 설화〉, 나랏돼지를 잡으러 갔다가 도읍지를 발견하고 주통촌녀를 발견하고 혈통을 이을 왕자를 낳았다는 〈교축일 설화〉, 낙랑왕 최리의 딸과 결혼하여 그 나라의 수호적인 자명고를 파괴케 하고 마침내 싸움에 이긴 〈왕자호동 설화〉, 활을 잘 쏘며 주춧돌 밑에 감추었던 단검을 발견하고 부왕을 찾아보았다는 〈유리태자 설화〉 등은 모두 고구려의 설화 문학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백제의 대표적 설화로는 〈도미전〉이 전해 오고 있다. 온달 설화[편집] 온달 설화는 고구려의 대표적인 설화이다. 《삼국사기》에 전하며 뒤에 민간설화로 전승되었다. 이 설화에는 유교의 삼강의리가 가미된 색채를 발견할 수 있고, 유교적인 열과 효와 충을 보게 된다. 줄거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고구려의 평강왕 때 얼굴이 못생기고 가난하고 어리석어 바보 온달이라 불리는 마음씨 좋은 사나이가 있었다. 왕이 울기만 잘하는 그의 딸, 평강공주에게 울려거든 바보 온달에게나 시집가라고 입버릇처럼 말해 왔다. 그 후 공주는 커서 가난하고 어리석은 온달에게 시집가기를 청하니 이에 아버지의 노여움을 사서 쫓겨나게 되었다. 공주는 온달과 부부가 되어 왕궁에서 가지고 나온 금붙이로 살림을 장만하고 온달로 하여금 용맹과 지혜를 갖도록 내조를 한 끝에 온달은 용맹한 장군이 되었고, 드디어 후주 무제의 군사를 맞아 예산에서 싸워 큰 공을 세우고, 임금의 칭찬을 받아 부마가 되었다. 그러나 그는 뒤에 신라 군사와 싸우다가 공을 세운 후 전사하였다. 도미전[편집] 도미전(都彌傳)은 백제의 대표적 설화로서,《삼국사기》 및 〈오륜 행실도〉 권3 열녀조에 실려 전한다. 주제는 정절로 백제 여인의 결백한 생활을 반영한 것이다. 《삼국사기》 열전 제8 도미조에 다음과 같은 내용의 이야기가 실려 전한다. 도미는 백제 사람인데 그 아내가 매우 아름답고 정절이 있었다. 개루왕이 그 소문을 듣고 시험해 보고자 신하에게 거짓왕의 차림을 시켜 도미의 처에게 보내니 도미의 처가 꾀를 써서 속였다. 뒤에 속은 줄 알고 도미를 잡아 눈을 뺀 후 배에 실어 강에 흘려버리고 그의 처를 겁탈하려고 하니, 처가 다시 지금 월경(月經)이 있는 중이라 속이고 도망쳐서 강에 이르러 통곡했다. 그러자 갑자기 배가 이르기에 그것을 타고 천성도(泉城道)에 이르러 우연히 아직 살아 있는 남편을 만나 함께 고구려로 도망하여 거기서 한평생을 마쳤다는 이야기다. 화랑 문학[편집] 처음 신라는 경주 지역의 6부를 근거로 일어났으며, 진한·마한·가락·가야 등을 통합하여 부족국가로서의 기반을 닦았다. 고구려와 백제로부터 잦은 침략을 받아 오다가 뒤에 태종무열왕과 문무왕 때 비로소 삼국 통일의 대업을 이룩하게 되었다. 특히 삼국 통일을 이룩하기까지에는 화랑제도와 화백과 같은 제도적 운영의 효과가 큰 힘을 발휘했다. 법흥왕과 진흥왕은 그때 들어온 불교를 정치와 문화 방면에 이용하여 유·불·도 3교의 결정체인 원화(源花)와 화랑을 신봉하게 되었다. “ 37년 비로소 원화를 받들어 선랑을 삼았다. 처음에 군신이 사람을 알 도리가 없어 모여 함께 놀게 하고 그 행위를 보아 들어 쓰고자 하여 드디어 미녀 두 사람을 골랐으니 하나는 남무요, 하나는 준정이다. 3백여 인을 모았더니 그 두 여자가 서로 시새워하여 준정이 남무를 유인, 억지로 술을 권하여 취하게 한 후에 강물에 던져 죽였다. 그 무리들은 싸우고 흩어지매 그 후로는 남자를 뽑아 단장을 시켜 받들어 화랑을 삼았다. 이에 무리들이 구름처럼 모여 혹은 도의로써 서로 닦고, 혹은 가악으로써 서로 기꺼워하고, 산수에 놀아 멀어도 아니 미치는 곳이 없었다. 이로 인하여 사람의 옳고 그름을 알고 그 옳은 이를 뽑아 조정에 천거했다. 그러므로 김대문의 《화랑세기》에는 현좌 충신이 이로 좇아 뛰어나고, 양장 맹졸이 이로 말미암아 생겼다 하고, 최치원의 《난랑비서》에는 나라에 현묘한 도가 있으니 이르되 풍류라, 실은 3교를 포함하여 군생을 접화하였으니, 말하자면 들어서는 집에 효하고, 나서는 나라에 충함은 노사구의 뜻이요, 하염없는 일에 처하여 말이 없는 교를 행함은 주주사의 종이요, 모든 악을 짓지 말고 모든 선을 받들어 행함은 축건태자의 화라 하고, 또 영호징의 〈신라국기〉에는 귀인의 아름다운 이를 골라 단장을 시켜 받들어 이름을 화랑이라 하여 나라 사람이 다 높이 섬겼으니 이는 대개 왕화의 방편이라 했다. 원랑으로부터 나말까지 무릇 3백여 인인데 그중 사선이 가장 어질고 또한 세기중과 같다. ”   — 각훈(覺訓),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 법운조(法雲條) 또한 《삼국사기》 진흥왕조와 사다함조 등의 기록을 통해 볼 때 화랑제도는 진흥왕 때부터 비롯하여 신라 통일 때 그 무리가 큰 활약을 했고, 통일 후에는 한 풍류적 존재로 변모한 듯하다. 그들은 도의와 가락과 자연을 통하여 단결을 도모하였고, 이들 화랑의 생활은 풍류의 도를 이룩하고 이것은 곧 신라 향가 문학의 바탕이 되었다. 중국과의 교류[편집] 삼국은 일찍부터 중국과의 문화적인 접촉이 있었으며, 한문을 수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선진 고구려는 국가 교육 기관에서 한자 및 중국 고전을 교육했다. 일찍이 자기의 역사를 기록한 유기(留記)가 있었는데, 이를 뒤에 태학박사 이문진이 〈신집〉으로 개찬하였다. 그리고 을지문덕이 지은 〈여수장우중문시〉는 한시로서 한국 최초의 것이다. 백제 역시 육조의 문물에 빈번히 접하였으며, 한문학의 수준이 높았던 것으로 보이니 고흥이 지은 〈서기〉라는 역사서가 있었으며, 한문을 일본에 전한 것도 백제였다. 신라는 강수, 설총 등의 한문학자들이 배출되었는데, 이들은 최고 귀족층인 성골·진골에 대하여 육두품 출신 귀족으로 신라 사회에서 새로운 지식 계층을 형성해 가고 있었다. 신라 말기에 접어들어 당나라에 유학하고 돌아온 신진 지식 계급층의 최치원, 최광유, 박인범, 최승우 등의 활약으로 한문학이 크게 일어났다. 육두품 이하 출신인 그들은 정치적으로 신라적인 골품제를 개혁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더러는 현실을 도피해 신선사상에 귀의하고 더러는 왕건에 협력하여 뒤에 고려의 문신층을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당시 한문학은 외교 문서의 작성, 비문, 역사 서술, 불교적인 저술 등 실제적인 데 필요했으며, 자연히 형식에 치중한 변려문이 발달하였다. 이들 견당 유학생에 의해서 한시도 본격적으로 발달되는데, 당시 한시는 최고 귀족층의 향가 문학에 대립하여 선진 지식층의 문학으로 성장했으며, 당시의 영향을 받아 율어, 절구 등 금체시가 위주였다. 변려문과 한시로 삼국 시대를 대표하는 한문학가는 최치원이었다. 함께 보기[편집] 한국의 고대 시가 삼국 시대의 문화 외부 링크[편집]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삼국시대의 문학〔개설〕〉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삼국시대 문학의 특성〉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삼국_시대의_문학&oldid=21906114" 분류: 삼국 시대한국 문학삼국 시대의 문화온달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7월 30일 (월) 21: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삼국 시대의 문학은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이 성립된 시기와 후삼국 시대까지 대개 서기 1세기부터 10세기에 이르는 기간에 형성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삼국 시대에 문학은 어떻게 전래되었을까? Assistant: 삼국 시대에 있어 문화 교류의 중요한 기틀이 된 학자는 유교 문화뿐 아니라 불교 문화의 큰 힘을 입게 되었는데, 불교의 전래는 그 중요한 의의를 갖게 되었다. 고구려는 제19대 소수림왕 2년(372년)에 전진의 왕 부견이 보낸 승려 순도를 받아들임으로써 한국 최초의 불교가 전래되었다. 백제는 제15대 침류왕 원년(384년)에 동진으로부터 들어온 인도의 승려 마라난타가 불교를 전래하였고, 신라는 눌지왕 때 고구려의 승려 묵호자가 민간에 전래하고, 법흥왕 때 이차돈의 죽음으로 전파되기 시작했다. 이후 불교는 거의 천 년간 한민족의 신앙을 지배하여 찬란한 불교문화를 이룩했고, 이때부터 한문과 같이 들어온 유교와 고구려 말에 들어온 도교(道敎)의 사상과 더불어 한국의 정신적·사회적 생활을 지배하게 되었다. Human: 아래 파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파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파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가톨릭 용어에 관한 것입니다. 같은 이름의 작품에 대해서는 파문 (드라마)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기독교 예수 그리스도 탄생 죽음 부활 승천 역사적 예수 기초 교회 신약성경 사도 천국 복음 연표 베드로 바울로 경전 구약성경 신약성경 성경 목록 정경 외경 다양한 기독교의 정경 기독교 신학 구원 세례 성찬·성체성사 삼위일체 성부 성자 성령 가톨릭주의 그리스도론 마리아론 변증론 종말론 기독교의 역사와 전통 초대교회 콘스탄티누스 공의회 사도신경 성전 전도 동서 교회의 분열 십자군 종교 개혁 반종교 개혁 교파 가톨릭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가톨릭교회 정교회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아시리아 동방교회 개신교 성공회 루터교 침례교 칼뱅주의 감리교 오순절운동 복음주의 재림주의 신사도운동 성경복귀운동 재세례파 후스파 플리머스 형제단 퀘이커 회복 기독교 예수 그리스도 후기성도 교회 여호와의 증인 단일오순절교 유니테리언주의 기독교 관련 설화 창조주의 노아의 방주 기타 일반 강론·설교 기도 전례 교회력 성화상 음악 미술 에큐메니즘 유신진화론 타종교 관계 비판 기독교 포털 v • d • e • h 파문(破門, 영어: excommunication)은 기독교 특히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리나 윤리상 중대한 잘못을 저지른 기독교인을 공동체로부터 축출하는 조처를 뜻한다.[1] 보통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바깥을 뜻하는 Ex와 모든 성인의 통공(사도신경 참조)를 뜻하는 Communion이 더해진 말이다. 개신교에서의 권징과 비슷하다. 파문을 당한 사람은 공동체에서 쫓겨나, 하느님의 은혜가 전달되는 성사에 참석할 권리를 빼앗기지만, 세례의 효력이 없어지는 일은 없으므로 기독교인이 아니게 되는 것은 아니다. 이 가운데 몇 가지 방식은 모든 기독교 교회·교단, 그리고 더나아가 모든 신앙공동체의 권징 대상에 속한다. 목차 1 파문의 조건 2 역사적 사례 3 기독교 공동체에 따른 치리 3.1 로마 가톨릭 3.1.1 자동 파문 3.2 개신교 3.2.1 성공회 3.2.2 개혁교회(Reformed) 3.2.3 루터교회 3.2.4 그외 설명 4 각주 파문의 조건[편집] 세례를 받았고 파문에 해당하는 교회법의 조항(1321조)을 형식적, 도덕적으로 비난받을 만큼 위반했으며 교회의 가르침에 반항한 신자여야 한다. 역사적 사례[편집] 카노사의 굴욕 마르틴 루터의 파문. 1521년 1월 3일 로마에서 공포된 교황 레오 10세의 교서 《Decet Romanum Pontificem》(로마 교황은 이렇게 말한다)에 따라 루터는 로마 가톨릭 교회로부터 파문당한다. 장홍빈 알로이시오 前 신부 파문. 2008년 1월 21일 마리아의 구원방주 사건과 관련하여 이단을 추종한 사유로 파문됨. 기독교 공동체에 따른 치리[편집] 로마 가톨릭[편집] 로마 가톨릭교회는 파문을 2가지로 구분했다. 그중 하나는 '톨레라투스'(관용을 베푸는 것), 다른 하나는 '비탄두스'(상대하지 못할 사람으로 간주해버리는 것)이다. 2번째에 해당하는 가혹한 파문을 내리려면 이런 파문을 내리게 되는 특정 범죄를 제외하고는 먼저 범죄자를 대중 앞에서 '비탄두스'라는 이름으로 공포해야 하는데, 대부분의 경우 교황청이 직접 이러한 파문을 내렸다. 이 파문은 대단히 큰 범죄에 한정되었다. 두 종류의 파문 모두 교회의 성사들뿐만 아니라 기독교 장례식에도 참여하지 못하게 했다. 교회법전에는 파문받을 행위가 상세히 나열되어 있다. 1983년 1월 교황 요한네스 파울루스(요한 바오로) 2세는 이 목록을 개정하여 낙태, 고해의 비밀약속을 깨는 일, 사제의 도움을 받아 죄를 지은 사람을 그 사제가 사면하는 일, 영성체 집행자로 축성된 사람을 모독하는 일, 바티칸의 승인 없이 주교를 임명하는 일, 교황에게 물리적인 타격을 가하는 일, 이단, '신앙을 버리는 일' 등을 포함시켰다. 만일 파문을 당한 사람이 자기 죄를 고백하고 그 죄에 해당하는 고행을 하면 사면받았다. 어떤 경우에는 사제가 파문을 사면해주기도 하지만, '죽을 위험에 처해 있는 경우'(in periculo mortis)를 제외하고는 사면은 통상 주교 또는 교황만의 권한이다. 파문은 정직제재(停職制裁) 및 금지제재라는 2개의 관련징계 방식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정직제재는 성직자에게만 해당되며, 그들의 권리 일부나 전부를 박탈한다. 금지제재는 신자를 신앙공동체에서 축출하지는 않지만 특정 성사, 성무, 때로는 성사나 성무 전체를 금지한다. 자동 파문[편집]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부정적인 의미로서 특정행위를 했다는 사실이 알려졌을 경우 굳이 교황청에 알리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파문 조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자동파문은 '비탄두스'에 해당되는 파문으로 질이 엄청나게 좋지 않기 때문에 승인 없이 파문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사유는 지극히 간단하다. 이단 종파를 추종하거나 사이비 종교에 심취하면 그렇게 된다. 현재 공식적으로 자동파문 사유가 되는 것에는 다음과 같다. 마리아의 구원방주와 접촉하면 자동 파문된다. 개신교[편집] 개신교에서는 파문대신 권징 곧 교회에서 죄를 지적하고 처벌하는 일이라고 한다. 성공회[편집] 성공회에서는 교구를 지도하는 주교가 성직자에 대한 면직(성직자의 권리를 박탈함)등으로 처벌할 권리를 갖고 있으며, 교회를 지도하는 사제도 교인이 신자로서의 의무를 소홀히 했거나 도덕적인 문제를 일으킨 경우 처벌할 권리가 있다. 개혁교회(Reformed)[편집] 파문이라는 말보다는 교회 징계라는 말을 쓴다. 개혁교회는 교회에서 잘못된 일이 생겨서 징계를 행하고 필요할 경우에 출교를 선언할 권위를 목사와 장로들로 구성되는 협의체에 부여한다. 1646년에 제정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제30항은 징계의 공정한 단계를 '잘못을 지적하는 훈계, 일정 기간의 성만찬 참여금지 즉, 그리스도의 몸과 보혈을 모시지 못하게 하는 처벌,교회에서 추방하는 출교'로 규정한다. 한국 장로교회에서도 예장 통합의 경우 양심수를 제외하고 실정법에 의해 처벌된 자, 이단적 교설을 주장한 자, 도덕적으로 죄를 지은 자등에 대해 처벌할 수 있다. 루터교회[편집] 루터교 전통은 마르틴 루터의 교리문답을 따른다. 그 교리문답은 '열쇠의 권위'에 대해서 말하며, 징계를 공공연하고 완고한 죄인의 성찬 참여를 거부하는 것으로 규정한다. 성직자와 회중이 모두 그러한 징계를 행사할 권리를 갖는다. 그외 설명[편집] 참고로 교회와 정치간의 소모적 대립을 막기 위해 정치와 종교가 분리된 민주주의 전통에 따라 자유교회 전통을 지닌 미국의 개신교 교회에서는 죄인에게 '교회가 책임을 묻는다. 회중적인 정책과 '신자의 세례' 원칙을 갖고 있는 교파에서는 징계가 매우 엄격할 때가 종종 있다. '(churching)라는 말이 출교를 가리킨다. 각주[편집] ↑ 가톨릭 대사전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거 통제 GND: 4153322-7 HDS: 9625 NDL: 0057664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문&oldid=23648578" 분류: 파문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Brezhoneg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Interlingua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LëtzebuergeschLimburgsLumbaartLietuviųLatviešu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Sicilianu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VènetoTiếng ViệtWalon吴语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6일 (수) 22:0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파문(破門, 영어: excommunication)은 기독교 특히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리나 윤리상 중대한 잘못을 저지른 기독교인을 공동체로부터 쫓아내는 처벌을 뜻한다. 보통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바깥을 뜻하는 Ex와 모든 성인의 통공(사도신경 참조)를 뜻하는 Communion이 더해진 말이다. 개신교에서의 권징과 비슷하다. 파문을 당한 사람은 공동체에서 쫓겨나, 하느님의 은혜가 전달되는 성사에 참석할 권리를 빼앗기지만, 세례의 효력이 없어지는 일은 없으므로 기독교인이 아니게 되는 것은 아니다. 이 가운데 몇 가지 방식은 모든 기독교 교회·교단, 그리고 더나아가 모든 신앙공동체의 권징 대상에 속한다. 교회 말고도 학교에서의 출학, 강제전학, 퇴학, 학원에서의 강제퇴원도 해당되며, 족보ㆍ묘지 훼손, 장례식ㆍ결혼식ㆍ제사방해 등 가문을 더럽히는 짓을 해도 파문당하므로 절대 해서는 안된다. 물론 학교폭력ㆍ성폭력ㆍ가정폭력ㆍ음주운전 등을 저질러도 마찬가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파문을 몇 가지로 분류했을까? Assistant: 2가지
Human: 아래 제프_마이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제프 마이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프 마이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프 마이어 개인 정보전체 이름 Josef Dieter "Sepp" Maier출생일 1944년 2월 28일(1944-02-28) (75세)출생지 서독 메텐키 183cm포지션 은퇴 (과거 골키퍼)청소년 클럽 기록1959-1962 바이에른 뮌헨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1962-1979 바이에른 뮌헨 5360(0)국가대표팀 기록1961-1962 1963 1966-1979 서독 청소년 서독 아마추어 서독 110(0) 40(0) 950(0)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요제프 디터 "제프" 마이어 (독일어: Josef Dieter "Sepp" Maier, 1944년 2월 28일, 바이에른주 메텐 ~ )는 독일의 전직 축구 선수로, 선수 시절 포지션은 골키퍼였다.[1] 그의 별명인 "안칭의 고양이"(Die Katze von Anzing)는 그의 빠른 반사신경에서 유래하였다. 목차 1 선수 경력 1.1 FC 바이에른 뮌헨 1.2 국가대표팀 2 은퇴 이후 3 사생활 4 수상 4.1 클럽 4.2 국가대표팀 4.3 개인 5 각주 선수 경력[편집] FC 바이에른 뮌헨[편집] 바이에른주 메텐 출신으로, 그는 프로선수 시절 FC 바이에른 뮌헨에서만 활약하였다. 1958년에 그는 바이에른 청소년팀에 합류하였다.[2] 1970년대, 그는 프란츠 베켄바워, 한스게오르크 슈바르첸베크, 울리 회네스, 게르트 뮐러와 더불어 바이에른 전성기때의 일원으로 독일팀으로는 현재까지 유일하게 유러피언컵 3연패를 거두었다. 1966년과 1979년 사이, 그는 분데스리가 경기에 442번 연속 출장하였고, 이는 현재까지 독일 최다연속 출장기록이다. 국가대표팀[편집] 마이어는 4차례 FIFA 월드컵의 서독 국가대표팀 최종 엔트리에 이름을 올렸다. 잉글랜드에서 열린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그는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의 한스 틸코프스키에 밀려 한 경기도 출장하지 못하였다. 멕시코에서 열린 1970년 FIFA 월드컵에서 그는 논란이 없는 주전으로, 우루과이와의 3위 결정전을 제외한 모든 경기에 출장하였다.[3] (3-4로 패한 이탈리아와의 준결승 희대의 명승부를 포함하여) 홈 안방에서 열린 1974년 FIFA 월드컵에서 그는 능력의 정점을 보였고, 프란츠 베켄바워, 베르티 포크츠, 게르트 뮐러, 파울 브라이트너와 더불어 전설적인 서독 국가대표팀의 수비 중추를 담당하였고 서독을 결승전까지 이끌어냈다. 마이어에게 제2의 고향으로 여겨진 뮌헨에서 열린 요한 크라위프가 이끄는 네덜란드와의 결승전에서, 서독은 2-1 승리를 거두고, 홈 안방에서 월드컵 우승을 거두었다. 4년 후, 아르헨티나에서 열린 월드컵에서, 그는 기량이 하락하였으나, 여전히 노쇠하지 않았음을 보였다. 그러나 서독은 이 대회에서 2라운드에 탈락하였다. 그 전에, 마이어는 UEFA 유로 1972를 우승하였고, UEFA 유로 1976에서 체코슬로바키아와의 결승전에 상대하였으나, 승부차기에서 패하였다. 그는 서독 국가대표팀 일원으로 95경기를 출전하였다. 은퇴 이후[편집] 마이어는 클럽과 국가대표팀 코치직을 역임하였고, 올리버 칸의 멘토로도 활약하였다. 2004년 10월, 그는 독일 대표팀 주전 골키퍼 자리로는 아스널 소속으로 뛰고 있던 옌스 레만보다 바이에른 뮌헨 소속으로 뛰고 있던 올리버 칸을 중용하여야 한다고 주장하며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과 언쟁을 벌인 뒤, 골키퍼 코치직에서 해임당하였다.[4] 그는 이후에 바이에른 뮌헨에서 골키퍼 코치로 활동하다 2008년에 은퇴하였다.[5] 사생활[편집] 그는 골키핑에서의 기량 외에도, 기다란 반바지와 비대한 장갑, 그리고 유머 감각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는 뮌헨 올림픽 스타디움에서의 경기에서 상대팀이 그의 골대를 위협할 가능성이 있음에도 지루함을 느꼈다. 그때, 오리가 피치에 난입하였고 마이어는 그 오리를 잡으려고 했었다.[6] 2009년 6월, 그는 바이에른주 정부로부터 인생 달성상을 받았다.[7] 클럽 경력 리그 컵 합계 시즌 클럽 리그 출장 골 출장 골 출장 골 독일 리그 DFB-포칼 합계 1962–63 FC 바이에른 뮌헨 레기오날리가 4 0 1963–64 23 0 1964–65 36 0 1965-66 푸스볼-분데스리가 31 0 1966-67 34 0 1967-68 34 0 1968-69 34 0 1969-70 34 0 1970-71 34 0 1971-72 34 0 1972-73 34 0 1973-74 34 0 1974-75 34 0 1975-76 34 0 1976-77 34 0 1977-78 34 0 1978-79 34 0 1979-80 0 0 합계 독일 536 0 경력 합계 536 0 수상[편집] 클럽[편집] 분데스리가: 1968-69, 1971-72, 1972-73, 1973-74 DFB-포칼: 1965-66, 1966-67, 1968-69, 1970-71 유러피언컵: 1973-74, 1974-75, 1975-76 UEFA 컵위너스컵: 1966-67 인터콘티넨털컵: 1976 국가대표팀[편집] FIFA 월드컵: 우승: 1974 준우승: 1966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1972 준우승: 1976 개인[편집] 독일 올해의 축구 선수: 1975, 1977, 1978 각주[편집] ↑ fussballdaten.de. “Sepp Maier” (독일어). 2010년 2월 6일에 확인함.  ↑ fcbayern.de. “Bayern Hall of Fame: Sepp Maier”.  ↑ 제프 마이어 FIFA 주관 대회 기록 - 국제축구연맹 (영어) ↑ Süddeutsche Zeitung (2004년 10월 7일). “Letzte Warnung für Sepp Maier” (독일어).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fcbayern.de (2008년 5월 17일). “Bayern board honours Hitzfield, Kahn and co.”.  ↑ FIFA (2010년 1월 29일). “Bring in the clowns”.  ↑ Süddeutsche Zeitung (2009년 6월 29일). “Höchstleistung auf dem Rasen” (독일어).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서독 축구 국가대표팀vdeh서독 축구 국가대표팀 – 1966년 FIFA 월드컵 준우승 1 틸코프스키 2 회트게스 3 슈넬링거 4 베켄바워 5 슐츠 6 베버 7 브륄스 8 할러 9 젤러 (주장) 10 헬트 11 에메리히 12 오베라트 13 호르니크 14 루츠 15 파츠케 16 로렌츠 17 파울 18 질로프 19 크레머 20 그라보프스키 21 베르나르트 22 마이어 감독: 쇤 vdeh서독 축구 국가대표팀 – 1970년 FIFA 월드컵 3위 1 마이어 2 회트게스 3 슈넬링거 4 베켄바워 5 슐츠 6 베버 7 포크츠 8 할러 9 젤러 (주장) 10 헬트 11 피히텔 12 오베라트 13 뮐러 14 리부다 15 파츠케 16 로렌츠 17 뢰어 18 질로프 19 디트리히 20 그라보프스키 21 만글리츠 22 볼터 감독: 쇤 vdeh서독 축구 국가대표팀 – UEFA 유로 1972 우승 (1회) 1 마이어 2 회트게스 3 브라이트너 4 슈바르첸베크 5 베켄바워 (주장) 6 비머 7 그라보브스키 8 회네스 9 하인케스 10 네처 11 크레머스 12 클레프 13 뮐러 14 포크츠 15 본호프 16 벨라 17 뢰어 18 쾨펠 감독: 쇤 vdeh서독 축구 국가대표팀 – 1974년 FIFA 월드컵 우승 (2회) 1 마이어 2 포크츠 3 브라이트너 4 슈바르첸베크 5 베켄바워 (주장) 6 회트게스 7 비머 8 쿨만 9 그라보프스키 10 네처 11 하인케스 12 오베라트 13 뮐러 14 회네스 15 플로헤 16 본호프 17 횔첸바인 18 헤어초크 19 카펠만 20 H. 크레머스 21 니크부어 22 클레프 감독: 쇤 vdeh서독 축구 국가대표팀 – UEFA 유로 1976 준우승 1 마이어 2 포크츠 3 디츠 4 슈바르첸베크 5 베켄바워 (주장) 6 비머 7 본호프 8 회네스 9 뮐러 10 베어 11 횔첸바인 12 보름 13 다너 14 봉가르츠 15 플로헤 16 노클리 17 칼츠 18 카르구스 감독: 쇤 vdeh서독 축구 국가대표팀 – 1978년 FIFA 월드컵 1 마이어 2 포크츠 (주장) 3 디츠 4 뤼스만 5 칼츠 6 본호프 7 아브람치크 8 치머만 9 피셔 10 플로헤 11 루메니게 12 슈바르첸베크 13 크노프카 14 D. 뮐러 15 베어 16 쿨만 17 횔첸바인 18 체베 19 보름 20 H. 뮐러 21 카르구스 22 부르덴스키 감독: 쇤 vdeh독일 올해의 축구 선수 1960: 젤러 1961: 모어로크 1962: 슈넬링어 1963: 셰퍼 1964: 젤러 1965: 틸코브스키 1966: 베켄바워 1967: 뮐러 1968: 베켄바워 1969: 뮐러 1970: 젤러 1971: 포크츠 1972: 네처 1973: 네처 1974: 베켄바워 1975: 마이어 1976: 베켄바워 1977: 마이어 1978: 마이어 1979: 포크츠 1980: 루메니게 1981: 브라이트너 1982: 푀어슈터 1983: 푈러 1984: 슈마허 1985: 브리겔 1986: 슈마허 1987: 란 1988: 클린스만 1989: 헤슬러 1990: 마테우스 1991: 쿤츠 1992: 헤슬러 1993: 쾨프케 1994: 클린스만 1995: 자머 1996: 자머 1997: 콜러 1998: 비어호프 1999: 마테우스 2000: 칸 2001: 칸 2002: 발라크 2003: 발라크 2004: 아이우통 2005: 발라크 2006: 클로제 2007: 고메스 2008: 리베리 2009: 그라피치 2010: 로번 2011: 노이어 2012: 로이스 2013: 슈바인슈타이거 2014: 노이어 2015: 더 브라위너 2016: 보아텡 2017: 람 vdehFIFA 100UEFA 네드베트 네스타 네이스컨스 다비츠 다사예프 달글리시 데샹 델 피에로 드사이 라울 레네 판 더 케르크호프 레이카르트 레츠베르 렌센브링크 로시 루메니게 루이스 엔리케 리네커 리베라 마소푸스트 마이어 마테우스 말디니 뮐러 미카엘 라우드루프 바레시 바조 발라크 뱅크스 베르고미 베르흐캄프 베스트 베컴 베켄바워 보니에크 보니페르티 부트라게뇨 부폰 브라이트너 브리안 라우드루프 비에라 비에리 빌리 판 더 케르크호프 세이도르프 솁첸코 슈마이켈 슈케르 스토이치코프 시어러 앙리 에우제비우 엠레 오언 젤러 지단 찰턴 초프 칸 캉토나 코파 쾰레만스 크라위프 클라위버르트 클린스만 키건 킨 토티 튀람 트레소르 트레제게 파케티 파팽 파프 판 니스텔로이 판 데르 엘스트 판 바스턴 퐁텐 푸슈카시 플라티니 피구 피레스 하지 후이 코스타 휠릿 CONMEBOL 니우통 산투스 디 스테파노 로메리토 마라도나 바티스투타 발데라마 베론 사네티 사모라노 사비올라 소크라치스 시보리 자우마 산투스 주니오르 지쿠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카푸 켐페스 쿠비야스 크레스포 파사레야 파우캉 펠레 프란체스콜리 피게로아 호나우두 호나우지뉴 호마리우 호베르투 카를로스 히바우두 히벨리누 CAF 디우프 밀라 아베디 펠레 오코차 웨아 CONCACAF 산체스 에이커스 햄 AFC 나카타 홍명보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19215182 LCCN: n86860794 ISNI: 0000 0001 1007 8133 GND: 118576429 뮤직브레인즈: 7320db7b-6f56-4531-97ee-a49aafcb8721 NKC: xx001120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제프_마이어&oldid=23526302" 분류: 1944년 태어남독일의 축구 선수FC 바이에른 뮌헨의 축구 선수1966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1970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1974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1978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FIFA 월드컵 우승팀 선수FIFA 100살아있는 사람축구 골키퍼UEFA 유로 1972 참가 선수UEFA 유로 1976 참가 선수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독일 청소년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연방공로십자소수장 수훈자분데스리가의 축구 선수독일 스포츠 명예의 전당 헌액자숨은 분류: CS1 - 독일어 인용 (de)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Boarisch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atviešuMalagasy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24일 (목) 10: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요제프 디터 "제프" 마이어(독일어: Josef Dieter "Sepp" Maier, 1944년 2월 28일, 바이에른주 메텐 ~ )는 독일의 전직 축구 선수로, 선수 시절 포지션은 골키퍼였다. 그의 별명인 "안칭의 고양이"(Die Katze von Anzing)는 그의 빠른 반사신경에서 유래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66년에 열린 FIFA 월드컵은 어떤 곳에서 개최했을까요? Assistant: 잉글랜드 Human: 아래 한량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한량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량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한량무 서울특별시의 무형문화재종목 무형문화재 제45호 (2014년 5월 15일 지정)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한량춤(한량무, 김무철) 전라북도의 무형문화재종목 무형문화재 제44호 (2011년 9월 30일 지정) 주소 전라북도 전주시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한량무(閑良舞) 경상남도의 무형문화재종목 무형문화재 제3호 (1979년 5월 2일 지정)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판문동 산171-1, 진주전통예술회관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한량무(閑良舞)는 관아의 행사 때 여흥으로 추어진 것으로 일종의 풍자 춤극이다. 한량(閑良)이란 벼슬 못한 호반(虎班)의 이름으로, 풍류를 알고 호협한 사나이의 별명이다. 춤의 내용은 한량과 별감(別監)이 기생(妓生)을 데리고 즐겁게 노는 자리에 승려가 나타나 이를 보고 기생에게 혹하여 멋진 춤으로 기생의 환심을 사니, 기생은 마침내 한량과 별감을 배반하고 승려에게로 가는 남녀의 관계를 그린 춤이다. 그 뒤 한량무는 광무대(光武臺)·연흥사(延興社)와 가설무대에서 연출하여 성행했었다.[1] 목차 1 개요 1.1 유래 1.2 내용 1.3 장단 2 전승 3 같이 보기 4 각주 5 참고 자료 6 외부 링크 개요[편집] 유래[편집] 원래는 남사당패에서 행해지던 놀이춤으로, 사당패가 그 기원을 조선 후기로 발생된 것으로 보아 조선 후기로 추측한다. 원래의 4~5인이 추던 남사당패의 한량무는 사라지고, 진주의 교방에서 전해오는 7인의 한량무만 남아 있다. 진주의 한량무는 고종 때 진주목사 정현석의 《교방가요》에 한량무에 있는 승무가 기록되어 있고, 교방에서 유행하던 춤극으로 보인다. 내용[편집] 한량이란 양반이면서 벼슬도 못하고 놀고 있는 사람으로, 보통 학문은 뒷전이고 주색잡기에 빠져서 놀고먹는 사람을 말한다. 한량무에는 이런 한량과, 탐관오리 별감, 여자를 밝히는 타락한 승려, 지조없이 파계승과 함부로 놀아나는 색시가 등장한다. 이들을 중심으로 이들을 관찰하며, 비꼬는 상좌와 마당쇠 그리고 주모가 양념을 더 하듯 맛을 낸다. 한량과 색시가 무대에 등장하여 어우러져 춤을 추면 상좌가 중을 모시고 무대에 등장한다. 상좌가 엎드려 있는 승려에게 즐겁게 춤추고 있는 색시를 유혹하라고 유도하여 한량이 색시에게 꽃신을 사주려고 퇴장하자 중이 색시를 유혹하여 둘이 함께 춤춘다. 이때 한량이 다시 등장하여 꽃신을 색시에게 신기고 중은 퇴장한다. 중이 다시 등장하여 꽃신을 벗기고 자기가 사온 꽃신을 신기는데, 색시의 태도에 화가 난 한량이 어쩔 줄 모른다. 상좌가 이를 보고 술상을 마련하여 한량에게 대접하고 사과하지만 상좌를 때리려고 하여 상좌가 도망 다닌다. 중과 상좌가 술을 마시다가 한량에게 다가가 사과한다. 그 틈에 한 구석에서 색시가 서성거리고 있음을 알아챈 중이 일어나 색시를 업고 도망가려고 하지만 색시가 이를 뿌리치고 한량에게 달려가 품에 안긴다. 한량은 이를 뿌리치고 발길로 걷어차 색시가 엎드려 운다. 이 광경을 본 한량은 다가가서 색시를 안아 일으키고 춤추기 시작하여 상좌와 중도 어울려 춤으로 마무리한다.[2] 그 춤사위와 몸짓을 보면, 한량은 우아함과 기품이 있고, 바람난 색시는 현란하면서도 절제된 교태가 있다. 별감은 우직스러우면서도 부드러움을 갈무리했고 승려는 일탈(逸脫)하면서도 고요함이 숨어 있다. 주모는 경망스러움과 해학(諧謔)을 춤추고, 상좌는 혼돈 속에서도 믿음을 나타내고, 마당쇠는 순종 속에서도 자기주장을 웃음으로 표출하는 재치를 보인다. 이 일곱 사람의 어울림으로 생기는 묘한 불협화음 속에서 조화를 찾아내는 반시간 정도의 몸 사위는 참으로 절묘하다. 기원은 남사당패에서 남자들이 추던 무용이지만 교방계의 무용으로 옮겨오면서도 남성적인 춤의 대명사라고도 할 수 있을 정도로 역동성과 다양성을 잃지않고 있다. 장단[편집] 장단은 북, 장구, 피리, 대금, 아쟁 등을 사용해서 맞춘다. 전승[편집] 경남 진주시 판문동 산171-1번지 전통예술문화회관 진주 한량무보존회에 소재지가 있다. 같이 보기[편집] 진주논개제 진주삼천포농악 각주[편집] ↑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 디지털진주문화대전, 이수덕. “진주한량무”.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년 12월 20일에 확인함.  참고 자료[편집] 한량무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이 문서에는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한 국가문화유산포털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한량춤(한량무, 김무철) (金武喆)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이 문서에는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한 국가문화유산포털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한량무 (閑良舞)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이 문서에는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한 국가문화유산포털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편집] 진주논개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의암별제) vdeh한국 무용궁중무용 가인전목단 검무 곡파무 공막무 근천정무 경풍도무 도솔가무 동동무 무고 무애무 문덕곡무 몽금척무 봉래의무 수명명무 수보록무 수연장무 선유락 성택무 아박무 오양선 연백복지무 연화대무 육화대무 장생보연지무 진주검무 진주포구락무 처용무 첨수무 첩승무 춘앵전 초무 최화무 포구락 하성명무 하황은무 학무 항장무 헌선도무 향발무 민속무용 강강술래 남무 농악무 무무 무동춤 살풀이춤 소고춤 승무 입춤 장고춤 태평무 한량무 의식무용 나비춤 바라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량무&oldid=22981596" 분류: 서울특별시의 무형문화재전라북도의 무형문화재경상남도의 무형문화재서울 성북구의 문화재전주시의 문화재진주시의 문화재조선의 무용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공공누리 제1유형 저작물을 인용한 문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Bahasa Indonesia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1일 (일) 19: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한량무(閑良舞)는 관아의 행사 때 여흥으로 추어진 것으로 일종의 풍자 춤극이다. 한량(閑良)이란 벼슬 못한 호반(虎班)의 이름으로, 풍류를 알고 호협한 사나이의 별명이다. 춤의 내용은 한량과 별감(別監)이 기생(妓生)을 데리고 즐겁게 노는 자리에 승려가 나타나 이를 보고 기생에게 혹하여 멋진 춤으로 기생의 환심을 사니, 기생은 마침내 한량과 별감을 배반하고 승려에게로 가는 남녀의 관계를 그린 춤이다. 그 뒤 한량무는 광무대(光武臺)·연흥사(延興社)와 가설무대에서 연출하여 성행했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양반이지만 벼슬 자리에 오르지 못하고 놀고 있는 사람을 일컬어 무엇이라고 합니까? Assistant: 한량
Human: 아래 다몬_산성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다몬 산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몬 산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몬산성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7월) 다몬 산성의 항공사진, 1985년 촬영〈일본국토교통성〉 다몬 산성(일본어: 多聞山城 다몬야마조[*])은 나라현 나라 시 호렌 정에 있던 평산성이다. 다몬 성(多聞城)이라고도 한다. 목차 1 개요 2 역사 2.1 센고쿠 시대 2.2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에도 시대 2.3 현재 3 성곽 3.1 현재의 성곽 터 3.2 발굴조사 4 각주 5 같이 보기 개요[편집] 도다이지의 다문천왕 마쓰나가 히사히데가 미켄지 산에 축성했다. 산의 높이 115m 비고 30m의 나지막한 산이다. 성에서 사천왕중 하나인 다문천왕의 제를 지냈기 때문에 미켄지 산은 다몬 산이라고 불렸다. 현재에도 성터가 있는 산을 다몬 산이라고 부르고 있다. 성의 동쪽에는 나라의 입구라는 나라사카가 있고, 남동쪽에는 도다이지(東大寺), 남쪽에는 고후쿠지(興福寺)가 있으며, 이를 두루 볼 수 있는 곳에 성이 위치하고 있어 야마토 국의 지배 거점이 되었다. 성안에는 어전 등 건물이 들어졌지만, 그 중에서도 4층 천수 혹은 4층 망루가 지어져 근세성곽에 있어서의 천수의 모습이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말할 수 있다. 그 모습은 선교사 루이스 프로이스에 의해 유럽에도 전해졌다. 에도 시대에 기록된《화훈간》에서는 천수의 시작은 아즈치 성이라고 기록하고 있지만, 일설에서는 다문 산성의 것을 거론하기도 한다. 벽은 흰색이며, 지붕은 기와로 되어 있으며, 석벽도 사용된 것으로 추측된다. 석벽위에는 건물이 길게 늘어선 나가야 형태의 망루를 세웠고, 이것이 다몬 망루의 시초였다. 이후, 전국의 성에서 이 다몬 망루를 채택해 짓기 시작했다. 이와 같이 선도적 역할을 한 다몬 산성인 까닭에 중세 성곽의 형태를 벗어나 근세 성곽으로의 이행 과정의 과도기적 성으로 볼 수 있으며 성곽발달사에 있어서도 중요한 성이다. 안타깝게도 다몬 산성은 1576년 야마토 국 슈고로 부임한 쓰쓰이 준케이가 오다 노부나가의 명을 받아 성을 파각하였고, 성의 부재는 쓰쓰이 성을 축조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그 중 몇몇은 고리야마 산성에 사용되었다. 현재 성터에는 나라 시립 와카쿠사 중학교가 지어져있다. 주변에는 다몬 산성의 석벽으로 추정되는 돌로 만들어진 석불이 몇 기 남아있다. 역사[편집] 센고쿠 시대[편집] 마쓰나가 히사히데 센고쿠 시대에 마쓰나가 히사히데는 미요시 나가요시의 가신으로 나가요시가 기나이의 대세력으로 성장했을 때 야마토 국을 다스렸다. 1559년 음력 8월 당시 실질적 야마토 국의 지배자였던 쓰쓰이 준케이를 포함 야마토의 호족들을 내쫓고 시기 산성에 입성하여 성을 대폭 수리하였다. 이후 마쓰나가 히사히데는 야마토 국의 실력자로 부상하였다. 1560년 다몬 산성이 축성되었다는 설이 유력하지만, 불분명하다. 다몬 산성이 축성되기 전에는 묘지였음이 발굴조사에서 확인되었다. 다몬 산성을 축성하는 도중인 1561년 성은 사용되기 시작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몬 산성의 역할은 시기 산성과 양분되어 야마토 국의 정청 및 교토로의 출병시 요새로써 사용되었다. 1564년 음력 7월 이모리 산성에서 미요시 나가요시가 병사하자, 미요시 가문내에서 마쓰나가 히사히데의 권력이 강화되었고, 1565년 음력 8월 에이로쿠의 변에서 미요시 3인방과 함께 제13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테루를 암살하였다. 그러나 동년 음력 11월 미요시 3인방과의 사이가 벌어졌고, 미요시 3인방은 쓰쓰이 준케이와 연합해 히사히데를 공격하였다. 1566년 음력 6월 쓰쓰이 성을 탈환하여 야마토 국에서 마쓰나가 히사히데를 내몰았다. 1567년 음력 4월에는 난토를 대부분 제압하여 히사히데를 궁지에 몰았다. 하지만, 동년 음력 10월 10일 마쓰나가 히사히데는 도다이지로 진격해 온 쓰쓰이 준케이, 미요시 3인방의 연합군을 기습해 승리했다. 그 후에도 전투는 계속되었고, 1568년 음력 6월 시기 산성 전투에서 시기 산성이 함락되어 재차 위기에 바지게 된다. 그러던 중 간논지 성 전투에서 승리한 오다 노부나가가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쇼군에 봉하기 위해 음력 9월 상경하였고, 궁지에 몰린 마쓰나가 히사히데는 아쿠타가와 산성에서 오다 노부나가를 만나 도움을 청하였다. 이로써 얻은 원군 2만으로 시기 산성을 공략하여 4개월 만에 성을 재탈환하였고, 마쓰나가 히사히데는 쓰쓰이, 미요시 연합군을 야마토에서 몰아내기 시작했다. 1571년 음력 8월 다쓰이치 성 전투에서 쓰쓰이 군이 승리하자, 오다 노부나가는 쓰쓰이 준케이를 무시할 수 없음을 깨닫고 아케치 미쓰히데를 파견해 쓰쓰이 준케이를 복속시켰다. 쓰쓰이 준케이와 마쓰나가 히사히데는 오다 가문내에서 동격인 지위에 올랐고, 점차 히사히데의 세력은 쇠퇴해 갔다.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에도 시대[편집]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서는, 1572년 다케다 신겐이 상경군을 이끌고 출진하자, 마쓰나가 히사히데는 미요시 요시쓰구와 함께 오다 노부나가에게 반기를 들지만, 1573년 음력 4월 신겐이 병사하고, 동년 음력 11월 와카에 성 전투에서 미요시 요시쓰구도 죽자, 승산이 없음을 깨닫고 오다 노부나가에게 항복하였다. 그 후, 다몬 산성은 오다 노부나가에게 넘어가, 아케치 미쓰히데, 시바타 가쓰이에가 성주로 부임하였다. 1574년 음력 11월 오다 노부나가는 도다이지의 쇼소인에서 명향《란사대》를 잘라 오는 길에 다몬 산성을 들렀고, 이때 노부나가는 다몬 산성의 4층 천수를 눈에 두었다. 이 다몬 산성의 천수는 노부나가가 아즈치 성을 축조할 때의 그 모델이 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1575년 야모토 국의 슈고로 반 나오마사가 부임해 다몬 산성의 성주가 되었지만, 1576년 음력 5월 3일 이시야마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그 후 야마토 국의 슈고에 임명된 것은 마쓰나가 히사히데의 앙숙 쓰쓰이 준케이였고, 쓰쓰이 준케이는 다몬 산성에 입성하지 않고 동년 음력 7월 무라이 사다카쓰를 감독으로 해 성을 해체하기 시작했다. 1577년 음력 6월경 4층의 천수도 해체되었고, 이는 중세 성곽과 근세 성곽의 지표인 다몬 산성이 16년만 존재한 채 사라지는 순간이었다. 동년 8월 마쓰나가 히사히데는 재차 오다 노부나가에 반기를 들었고, 시기 산성 전투에서 최후를 맞이하였다. 이 무렵 다몬 산성의 해체는 거의 완료되었고, 성의 부재는 쓰쓰이 성과 고리야마 성의 부재로 활용되었다. 와카쿠사 중학교의 정문 에도 시대에는 다몬 산성터에 관청건물이 들어섰고, 에도 시대 말기에는 연병장으로 활용되었다. 현재[편집] 1948년(쇼와 23년) 성터에 와카쿠사 중학교가 건립되었고, 1978년(쇼와 53년) 교사 신축공사를 위해 북쪽에 남아있던 성루 터가 파괴되었다. 성곽[편집] 다몬 산성의 입지,1985년 촬영〈일본국토교통성〉 다몬 산성의 주요부는 와카쿠사 중학교에 있고, 서쪽으로는 닌쇼 황태후릉과 쇼무 천황릉이 있으며 남쪽으로는 사호 강이 흐르고 있다. 동쪽으로는 빈 해자를 사이에 두고 젠쇼지 산(현 와카쿠사 중학교 운동장)이, 그 동쪽의 길은 차후 나라 가도(奈良街道)가 되는 교통의 요지에 다몬 산성이 입지해 있다. 원래 다몬 산성이 있는 산은 미켄지 산이지만, 마쓰나가 히사히데가 다몬 산으로 개칭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미켄지 산에 있는 성의 이름이 다몬 산성, 또는 다몬 성으로 불렸다. 마쓰나가 히사히데는 기독교와 관련이 있음을 지적하는 의견도 있지만, 일설에는 마쓰나가 히사히데가 다문천왕의 제를 지냈기 때문에 다몬 산이라는 명칭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흥복사일기(興福寺旧記)》와《형록천문지기(享禄天文之記)》에 따르면 1562년 음력 8월 12일 오전 8시경 다몬 산성의 4층 망루의 상량식이 있었고, 이 행사에 나라의 주민을 초대하였다고 한다.《다몬 성과 마쓰나가 히사히데(多聞城と松永久秀)》에서는 이 일이 야마토 국 지배에 반하는 세력에 보이는 일종의 무력시위이며 지배를 상징하는 천수의 상량식은 지키는 성이 아닌 보여주는 성으로의 의미도 있어 이런한 인식에서 기존의 중세성곽을 탈피해 근세성곽으로 진일보했다고 해설하고 있다. 선교사 루이스 데 알메이다의 1565년 음력 10월 25일자 서간이 루이스 프로이스의《일본사》에 부분적으로 인용되어 기재되어있다. 이 서간은 루이스 데 알메이다가 마쓰나가 히사히데의 가신의 초대에 응해 견학한 후, 기록한 것이다. 루이스 데 알메이다의 서간 벽은 기독교국에서 본 적이 없는 흰색으로 칠해져 있다. 벽이 그와 같이 흰 것은 석회와 모래를 섞지 않고 특수한 백색 종이를 섞은 것이기 때문이다. 집과 탑은 본 것 중 가장 좋은 기와로 올렸고, 각각의 형태 또, 2 손가락 두께로 된 새카만 기와로 덮었다. 이 같은 기와는 한번 씌우면 4,5백 년은 거뜬하다. 나는 6,7백 년 된 사찰 다수를 본 적이 있다. 이 별장지에 들어서 도로를 걷노라면, 그 청량한 백색으로 된 것이 마치 오늘 완성된 것과 같고, 천국을 거닌 것 같다. 밖으로부터 성을 보노라면 기분이 심히 상쾌하고, 세계 대부분에 그와 같이 미려한 것이 어디있으랴. 성에 들러 궁전을 보고 있노라면, 사람이 만든 것처럼 생각되지 않고, 이를 부기에 적을려면 종이 2장이 있어야 한다. 궁전은 모두 삼나무로 만들어져 그 향은 안에 있는 사람을 즐겁게 하고, 또, 폭 1프라자(plaza)의 녹색은 모두 1장의 판자로 되어 있다. 벽은 모두 옛 역사를 그리고 있으며 그림이 그려있지 않는 곳은 모두 금으로 되어 있다. 기둥 상하 약 1파레모를 놋쇠로 감고 있으며 모두 금칠과 조각을 해 금같이 보인다. 기둥 중앙에는 미려한 큰 장미가 있고, 방 내부는 1장의 판자와 같이 되어 있어 접근하더라도 방 둘을 연결한 흔적을 찾을 수 없다. 또, 땅을 매우 기묘하게 사용하여 나는 이것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모르겠다. 이들 궁전의 내부는 다른 곳과 비교해서 더더욱 정교한 방을 가지고 있다. 안쪽 통로 및 폭 4프라자(plaza) 반은 황금색 목재를 사용하였고, 모두 미려한 파문양으로 장식되어 있다. 이 목재는 흡사 가공이 잘된 맑은 거울과 같다고는 하나 이는 목재의 광택이 아니라 일종의 옻칠로 보인다. 정원 및 궁전의 수목은 모두 미려한 것으로 밖에서는 볼 수 없는 것이다. 나는 교토에서 이와 같이 미려한 것을 많이 보아왔지만, 대부분 이들에 비할 바가 아니다. 세계 중 이 성과 같이 선하고 또한 아름다운 것이 어디 있으랴. 이런 까닭에 일본 전국에서 이를 보러 오는 자가 많구나. 야마토 국 다몬 성 제국고성지도아사노 문고 소장 이 서간에 있어〈탑〉이란 천수 혹은 망루를 뜻하고,〈궁전〉이라는 것은 혼마루에 있었던 어전을 가리키지 않나 추측해 본다. 또,"일본에 있어서 가장 미려한 것 중 하나","세계 안에 이 성과 같이 선하고 또한 아름다운 것이 어디 있으랴"라는 문장이 눈에 띈다. 궁전 내부는 일본과 중국의 역사물을 제재로 한 장벽화이고, 기둥은 조각과 금제품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큰 장미로 꽃꽂이 되어 내부를 꾸미고 있거나, 천정은 겹천정으로 장식되어 있고, 정원은 정갈히 해두는 등, 전쟁을 대비하여 지어진 성에서는 볼 수 없는 어전이 있었다고 사료된다. 마쓰나가 히사히데는 몇 번인가 성을 축조하거나 개수하였지만,〈근세식 성곽 건축의 시조〉라고 불리면 전해져 오는 것은 주로 다몬 산성을 두고 하는 말임을 이 서간을 토대로 알 수 있다. 이 루이스 데 알메이다의 서간은 과장됨과 외국인의 시각으로 본 찬사, 무엇을 잘못 보아 착각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겸우향기(兼右卿記)》에도 "화려함에 눈을 빼앗겼다"라는 기술이 있고, 사쓰마 국 시마즈 이에히사의 일기《가구군상경일기(家久君上京日記)》에도 "다몬 성안에서 야마토가 한눈에 보인다" 등, 다른 견문과 평가 등으로 추측해볼 때, 당대 기재된 자료로서 신빙성이 높다. 또, 이 서간의 말미에 "일본 전국에서 이를 보러 오는 자가 많구나"라는 문장이 있어, 기밀사항인 성의 배치를 타인이 볼 우려가 있음에도 성을 보여주었다는 것은 보여주는 성으로서, 즉 권위의 상징으로서 일반에 적극적으로 공개한 것 같다. 후에 축성되는 아즈치 성도 인접 주민에게 공개된 점을 볼 때, 다몬 산성은 근세성곽으로의 진일보한 일면을 갖추어 있다고 말할 수 있겠다. 왜 마쓰나가 히사히데가 이와 같은 장려한 성의 축성이 가능했는 가에 대해서는 마쓰나가 히사히데 자신이 축성에 관해 지대한 관심이 있지 않나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일본의 성(日本の城)》에 따르면, 이외에도 나라의 대사원건축 노하우가 이 같은 성을 축성하게 한 요소라고 해설하고 있다. 또, 마쓰나가 히사히데는 다도인이라는 명성대로 야마토 국과 사카이, 교토의 호상과 저명인을 두루 초대하였고, 다몬 산성에는 몇 번의 다도회가 열린 일이《다회기(茶会記)》에 기재되어 있다. 이 다회기에 따르면, 다몬 산성은 6첩(283.5cm×382cm)과 4첩반(283.5cm×283.5cm)의 두개의 다실(茶室) 혹은 다정(茶亭)이 있었다고 한다. 후에 오다 노부나가에 헌상되는 다호(茶壺)인 쓰쿠모 나스(九十九髪茄子)와 시기 산성이 함락될 때 행방불명이 된 찻솥(茶釜) 히라구모(平蜘蛛窯)의 이름도 찾을 수 있다. 다몬 산성에는 성하 마을이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다몬 산부터 사호 강까지 무가저택이 조성되었고, 사호 강부터 그 남쪽으로 성하 마을이 널게 자리잡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현재 택지개발에 의해 어디라 단언할 수 없지만,《일본성곽대계(日本城郭大系)》에서는 이치조 대로(一条通)부터 호렌 대로(法連通)까지였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로 유추하건데 다몬 산성은 외성을 갖춘 평산성이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당대기(当代記)》에 따르면, 이해, 다몬 산성의 저택을 망가뜨려, 노부나가에 의해 교토 니조 성 축조에 쓰였다. 로 적혀있어 폐성 후, 많은 자재가 니조 성 축조에 사용된 것 같다. 또,《센고쿠의 성(戦国の城)》에 따르면, 이 기술을 토대로"아마 4층 망루도 니조 성으로 이축되지 않았나"라고 해설하고 있다. 현재의 성곽 터[편집] 현재 다몬 산성 터에는 장려한 성이 있었다고는 생각할 수 있는 그 어느 것도 남아있지 않고, 혼마루 부분에는 와카쿠사 중학교가 들어서 있다. 혼마루의 길이는 140m, 최대폭 110m이고, 발굴조사 결과 다몬 산은 평단하여 대규모 삭평공사가 없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 주변으로부터 석재를 채굴한 곳도 찾았으며 혼마루 사면을 석벽으로 쌓아 고정시킨 것으로 추측된다. 후에 이들 석벽은 쓰쓰이 성의 부재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또, 교사와 와카쿠사 중학교 운동장 사이에는 해자의 일종인 큰 호리키리(堀切)[1]가 나 있어 다몬 산과 젠쇼지 산을 가르고 있다. 와카쿠사 중학교 서쪽에는 학교 건물이 들어서지 않았기 때문에 비교적 눈으로 알 수 있는 구루와 면이 남아있다. 이 북서쪽에서 서쪽에 걸쳐 높이 1.5m의 성루가 있으며, 모퉁이는 높이 3m, 폭은 2m 인 단상의 형태를 띠로 있다. 아마 여기에 천수 혹은 망루가 지어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닌쇼 황태후릉은 다몬 산의 남쪽에 돌출되어 있고, 현재 쇼무 천황릉과 함께 능묘로의 출입이 금지되어 있다.《일본성곽대계(日本城郭大系)》에서는〈조정지형도〉를 통해 닌쇼 황태후릉 남서쪽 구석에 성루 또는 망루대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그 서쪽에 호리키리[1]를 조성하여 혼마루와 분단시켰다. 더욱이 서쪽에는 쇼무 천황릉이 있어 다랑논 형태인 단상의 오비쿠루와가 있을 것으로 추측되고, 별성인 데쿠루와의 역할도 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양쪽 능묘는 다몬 산성의 일부에 속했다고 사료된다. 발굴조사[편집] 다몬 산성은 2회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이는 와카쿠사 중학교 건설공사 겸 보수공사에 따른 것이다. 발굴조사 발굴조사기간 보고서 제1차 발굴조사 1947년 11월 ~ 1950년 10월 나라 현 사적 명승 천연기념물 조사 초보 제10집 제2차 발굴조사 1978년 7월 ~ 8월 다몬 산성터 발굴조사 개요보고 각주[편집] ↑ 가 나 산이나 언덕을 절단하여 낸 수로 같이 보기[편집] 미요시 정권 오다 정권 노부나가 포위망 좌표: 북위 34° 41′ 39.98″ 동경 135° 49′ 53.191″ / 북위 34.6944389° 동경 135.83144194°  / 34.6944389; 135.8314419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다몬_산성&oldid=22148322" 분류: 나라현의 성나라시의 건축물마쓰나가씨시바타씨야마토국일본의 폐성나라시의 역사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7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فارسی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8월 30일 (목) 11:4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다몬산성(일본어: 多聞山城 다몬야마조[*])은 일본 나라현 나라시 호렌 정에 있던 평산성이다. 다몬성(多聞城)이라고도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다모 산성에 있는 천수 또는 망루는 몇층이야? Assistant: 4층 Human: 아래 산개성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산개성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산개성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쌍둥이 성단 산개성단(散開星團, open cluster, 문화어: 널린별떼)[1]은 같은 분자구름에서 태어났으며 나이가 거의 같은 수천개의 항성이 모인 집단이다. 우리 은하에만 1,100개가 넘는 산개 성단이 발견되었으며 그보다 훨씬 많은 산개 성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2] 성단의 별들은 서로 중력적으로 느슨하게 묶여 있으며 은하 중심을 돌면서 다른 성단이나 가스 구름과 만나면 해당 천체의 중력 때문에 종전의 궤도가 망가지거나 성단에 있던 일부 항성이 이탈하기도 한다.[3] 산개성단이 형태를 유지하는 기간은 보통 몇억 년 정도이다. 대조적으로, 구상 성단은 훨씬 강하게 중력적으로 묶여 있어 수십억 년은 유지된다. 산개성단은 나선은하와 불규칙 은하에서만 발견되는데, 둘 다 활발하게 항성이 태어나는 곳이다.[4] 젊은 산개성단들은 자신이 형성된 분자 구름 속에 포함 되어 있는데, 이것이 H II 영역을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5]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단에서 방출되는 방사압이 분자 구름을 흩어놓는다. 방사압이 구름을 흩어 놓기 전에 약 10%의 가스 구름만이 항성의 일부로 합쳐지게 된다. 산개성단은 항성 진화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항성들은 매우 유사한 시기에 형성되었으며, 비슷한 화학적 조성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항성들이 독립적으로 존재할 때 보다 여러가지 미묘한 특징적인 차이점들을 관측할 수 있다. 플레이아데스 성단이나 히아데스 성단, 페르세우스자리 알파 성단 등 많은 수의 성단들은 육안으로도 관측할 수 있다. 하지만 반면에 쌍둥이 성단 같은 것들은 기구 없이는 거의 관측할 수 없으며, 쌍안경이나 망원경을 이용해야 볼 수 있다.[6] 목차 1 역사적 관측들 2 산개성단의 형성 3 형태적 분류 4 산개성단의 수와 분포 5 천문학적 구성 6 최후의 운명 7 항성 진화 연구 8 산개성단과 천문학적 거리 스케일 9 함께 보기 10 참고 11 참고 도서 역사적 관측들[편집] 가장 유명한 산개성단 중 플레이아데스 성단은 고대부터 항성들의 집단이라고 알려져 왔다. 망원경이 발명되어 항성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지기 전엔 플레이아데스를 제외한 다른 성단들은 희미하게 빛나는 하늘의 한 부분일 뿐이라고 생각되었다. 사람들은 망원경을 이용한 관측을 통해 두 종류의 특징적인 성단을 밝혀내었다. 하나는 은하수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에서 발견되는 수천 개의 항성이 모인 구형의 집단이고, 하나는 전 하늘에서 발견되는 불규칙한 모양을 띤 듬성듬성한 항성들의 집단이었다. 천문학자들은 전자를 구상 성단으로, 후자를 산개성단이라고 칭하였다. 산개성단들은 아래에 언급되듯이 대부분 은하수 면에 있어서 은하 성단이라고도 불린다.[7] 산개성단 내의 항성들은 물리적으로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 일찍이 밝혀졌다. Reverend John Michell은 1767년 플레이아데스 같은 한개의 항성 집단이 지구에서 관측될 수 있는 우연한 위치에 있게 된 일이 단지 1/496000의 확률이라는 사실을 계산했다.[8] 천문학이 더 발전하여 정확해지면서 스펙트럼 분석을 통하여 성단의 항성들은 우주공간에서 비슷한 운동을 하고 공통의 방사상의 속도를 가지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성단의 항성들이 같은 시기에 탄생하고 집단 속에 있는 서로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이다.[2] 산개성단과 구상성단이 꽤 다른 두 집단이긴 하지만, 항성들이 듬성듬성 존재하는 구상성단과 항성들이 빽빽이 모여 있는 산개성단사이의 모양 차는 거의 없다. 몇몇 과학자들은 두 종류의 성단이 유사한 기본 방식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한다. 구상성단의 경우 우리 은하에서 더 이상 지배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는 수천 수백 개의 항성들이 빽빽이 모여 있는 상태라는 것이 차이점이다.[9] 산개성단의 형성[편집] 적외선은 오리온자리의 중심부에 형성된 빽빽한 산개성단을 보여준다 대부분의 항성들은 보통 다중계에서 형성된다.[10] 가스 구름은 자체 중력으로 붕괴될 수 있을 정도로 태양의 몇 배가 되는 질량을 가지고 있지만, 그러한 무거운 구름은 하나의 항성으로는 붕괴될 수는 없기 때문이다.[11] 거대 분자 구름(태양의 수천 배의 질량의 가스를 가지고 있는 차갑고 빽빽한 구름)의 붕괴로 산개성단의 군락이 생성되었다. 많은 요인들이 거대 분자 구름(혹은 그의 일부)의 붕괴를 촉진 하고, 또한 항성 집단의 폭발이 산개성단 탄생의 원인이 되었을 것이다. 근처의 초신성과 중력 섭동에 의해서 발생한 충격파 또한 이에 영향을 미친다. 일단 거대 분자 구름이 붕괴되면, 구름의 부분들이 점차 점차 작은 무리가 되면서 몇 천개의 항성이 모인 군락이 형성된다. 우리 은하의 경우 몇천년에 한번 정도의 비율로 산개성단이 형성된다.[12] 일단 항성의 형성이 시작되면, 가장 뜨겁고 큰 질량을 가진 항성들이 방대한 양의 자외선을 방출할 것이다. 이 방사성은 재빨리 거대 분자 구름의 가스를 이온화하여 H II 영역을 형성하고, 거대한 항성들과 방사압이 만들어낸 형성된 항성풍이 가스를 흩어지게 한다. 몇 백 만년 후에 성단은 역시 가스를 방출하는 첫 번째 초신성의 단계가 된다. 수천만년 후에 성단을 둘러싼 가스는 없어지고, 항성의 형성 또한 더 이상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일반적인 경우 성단에 원래부터 존재했던 10% 이하의 가스는 사라지기 전에 항성을 형성한다.[12] 성단의 형성에 대한 다른 견해도 있다. 분자 구름 핵이 빠른 속도로 수축하고, 일단 큰 질량을 가진 항성들이 빛나기 시작하면 그들은 뜨겁게 이온화된 잔여 가스를 바른 속도로 배출한다. 구름핵 수축이 시작되면서 가스 분출이 일어나는 순간은 백에서 삼백만년을 넘지 않는다. 구름핵에 있는 오직 30-40 퍼센트의 가스만이 항성들을 형성하며, 남은 가스 분출과정은 성운이 대부분의 혹은 모든 항성을 유실할 정도로 큰 영향을 미친다.[13] 모든 성단은 생성된 지 얼마 되지 않아 많은 부분이 붕괴될 정도의 큰 손실을 겪는다. 성단에서 방출된 젊은 항성들은 우주 공간의 일부가 된다. 모든 항성들이 성단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성단들은 은하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토대 역할을 하는 것처럼 여겨진다. 탄생시의 많은 성단들을 구성하기도 하고 파괴하기도 하는 격렬한 가스 분출은 또한 은하의 구조에 형태학적, 운동학적인 영향을 미친다. 두개 혹은 그 이상의 흩어져 있는 산개성단들이 같은 분자 구름에서 형성되는 것은 흔한 일이다. 거대 마젤란 구름에서 Hodge 301과 R136은 둘 다 독거미 성운에서 형성되었다. 또한 우리 은하에서 잘 알려진 두 성단인 히아데스와 프레세페 성단의 움직임을 추적해 보면 둘 모두 6억 년 전에 동일한 구름에서 생성된 것을 알 수 있다.[14] 때때로 동시에 형성된 두 성단은 쌍둥이 성단을 이루기도 한다. 가장 잘 알려진 예로, 은하수에 있는 쌍둥이 성단인 NGC 869와 NGC 884가 존재하며 적어도 10개 이상의 쌍둥이 성단이 더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15] 많은 것들은 대마젤란, 소마젤란 은하에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 성단들은 외부 관측이 우리 은하 내에서의 관측보다 쉬운데 그 이유는 은하수 내에 있을 경우 관측 과정에서 무관한 성단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형태적 분류[편집] 산개성단은 구성하는 항성의 수가 적고 흩어진 형태의 성단에서부터 수천 개의 항성으로 구성된 매우 거대한 항성의 집합체 형태의 성단까지 그 형태가 다양하다. 그들은 보통 꽤나 다른 밀집된 핵을 가지고 있는데, 이 성단은 구성하는 항성으로부터 방출된 ‘코로나’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다. 핵은 보통 3-4광년 정도의 크기이며 코로나는 성단의 중심으로부터 무려 20광년 정도씩이나 펼쳐져 있다. 성단의 중심부에 있는 항성들의 밀집도는 1 cubic 광년에 1.5개 정도씩 분포되어 있는 정도이다. (태양 근처 항성의 밀집도는 1 세제곱 광년에 0.003개 정도이다.)[16] 산개성단들은 1930년 로버트 트럼플러(Robert Trumpler)에 의해 개발된 방법에 의해서 분류된다. 트럼플러 방법은 성단을 세 부분으로 분류하였고, I-IV까지의 로마 숫자로 강하게 연관된 것부터 약하게 연관된 것까지 주위 항성들과의 밀집도와 분산정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아라비아 숫자 1~3을 성단 구성원인 항성들의 밝기를 표시하는 척도로 사용했다. 그리고 p, m, r은 성단을 구성하는 항성이 적은지, 보통인지 혹은 많은지를 표시했다. 덧붙여 ‘n’은 성단이 성운에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었다.[17] 트럼플러 방법에 의해 플레이아데스 성단은 I3rn(성운 내에 위치하며 강하게 밀집되어 있고 항성의 수가 많음)으로 분류되고, 히아데스 성단은 II3m(약간 분산되어 있고 항성들의 수가 썩 많지는 않은 편)으로 분류된다. 산개성단의 수와 분포[편집] NGC 346은 소마젤란 은하에 있는 산개성단이다. 우리 은하에는 1000개 이상의 산개성단이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 모든 산개성단의 수를 계산한다면 사실 10000개보다 많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18] 나선 은하에서, 산개성단들은 주로 가스가 가장 많이 밀집되어 있어 항성들이 가장 많이 생성되는 나선팔에서 주로 발견된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성단들은 나선팔을 벗어나기 전에 분산되어 버린다. 산개성단은 은하면에 강한 영향을 받고 있다.(우리 은하의 스케일 높이는 180광년 정도이고 은하의 반지름은 대략 100,000광년 정도이다)[19] 불규칙 은하의 경우 산개성단은 은하 전체에서 발견되며, 그 중에서도 가스는 농도가 가장 높은 곳에 많이 밀집되어 있다.[20] 산개성단은 타원은하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데, 타원은하의 경우에는 항성의 생성이 몇 백만 년 전에 이미 중단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미 존재해 있던 산개성단은 이미 오래전에 흩어져버렸을 것이다.[21] 우리 은하의 경우 성단의 분포는 성단의 연령에 영향을 받는데 늙은 성단의 경우 주로 은하핵에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많이 발견된다. 기조력의 경우 은하 중심 주변부에서 더 강력하기 때문에 성단들을 흩어 놓는다. 그리고 성단들을 흩어 놓는 거대 분자 구름이 은하 중심부로 몰리기 때문에 은하 중심 지역에 있는 은하들은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 바깥쪽으로 분산되게 된다.[22] 천문학적 구성[편집] 대마젤란 은하에 있는 독거미 성운 산개성단들은 항성들이 죽기 전 대부분 흩어지기 때문에, 그들에게서 방출 되는 빛은 젊고 뜨거운 푸른 항성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이런 항성들은 보통 무겁고 수만 수백만 년 정도의 짧은 일생을 가진다. 늙은 산개성단들의 경우 노란 빛을 띠는 항성들이 더 포함되어 있다.[출처 필요] 어떤 산개성단들은 나머지 성단에 있는 어떤 것 보다 유달리 젊은 뜨거운 파란 항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런 청색 낙오성들은 또한 아주 밀집되어 있는 구상 성단의 핵에서도 관측되는데, 이는 항성들이 충돌하면서 더욱 더 뜨겁고 무거워지는 과정에서 생성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산개성단은 구상 성단에 비해 훨씬 더 밀집도가 낮은데다가 천문학적 충돌이 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가정을 통해서는 많은 수의 청색 낙오성들을 설명할 수 없다. 이의 경우 다른 항성들 사이의 역학적 상호작용에 의해서 연성계를 형성하여 하나의 항성으로 합쳐지면서 청색 낙오성이 생성되었다고 받아들여지고 있다.[23] 질량이 크지 않은 항성들은 일단 핵융합에 의해 수소를 방출하면, 그들의 바깥 쪽 층으로 행성상 성운을 만들어 백색왜성으로 진화한다. 반면에 대부분의 성단들은 구성성분인 항성들이 대부분 백색왜성의 단계가 되기 전에 흩어진다. 그래서 구상성단의 백색왜성의 수는 추측되는 것보다 훨씬 적으며 이를 통해 성단의 연령과 항성들의 초기 질량 분포를 알 수 있다. 적색 거성이 행성상 성운이 되기 위해 바깥층을 방출할 때, 물질의 비대칭적으로 손실되고 이때문에 항성들이 성단으로 배출되기에 충분할 만큼 초당 몇 km씩 움직이게 한다는 것이 백색왜성의 수가 적은 것에 대한 하나의 가능한 설명이다.[24] 최후의 운명[편집] 삼각형자리 은하에 있는 NGC 604는 H II 영역 에 둘러싸인 질량이 아주 큰 산개성단이다. 산개성단 내의 항성들은 충분히 질량이 작아서 탈출 속도가 일반적으로 구성하는 항성들의 속도의 평균보다 훨씬 느리기 때문에 많은 산개성단들은 선천적으로 불안정하다. 이러한 성단들은 몇 백만 년 안에 빠르게 흩어질 것이다. 많은 경우, 젊고 뜨거운 젊은 항성들이 내는 방사압때문에 형성된 성단들에 의해 형성된 가스가 없어지는 현상은 성단이 빠르게 흩어질 수 있을 정도로 질량을 감소시킨다.[25] 충분한 질량을 가지고 있어서 주위 성운이 발산할 때도 중력적 결합을 할 수 있는 성단들은 수십 수백만년 동안 유지될 수 있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내부적, 외부적 과정이 또한 그들을 흩어놓는다. 내부적으로 성단의 항성들이 서로 가까이 위치하게 되면서 성단을 벗어날 수 있을 정도의 속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성단 구성원들 사이의 점진적 발산이 일어나게 된다.[26] 또한 대략 5억년 정도마다 한번 씩 산개성단은 분자 구름 근처를 지나가거나 통과하면서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서 흩어지게 된다. 이처럼 우연히 근처를 지나가면서 생성되게 되는 중력적인 기조력은 성단을 흩어놓는다. 결과적으로 성단은 성류(천구 상에서 항성이 일정한 방향을 향하는 현상)로 변하여 성단처럼 가깝지는 않지만 비슷한 속도로 유사한 방향으로 운동할 정도로는 영향을 미치게 된다. 성단이 흩어지는 시간의 척도는 초기의 천문학적 항성의 밀집도에 따라 달려있다. 더 단단하게 결속된 성단들은 좀 더 오랜 시간동안 지속된다. 성단이 일생의 반 정도를 살았다고 가정 한다면 처음의 밀집도에 따라 남은 반 동안 15억에서 80억 광년의 범위에 걸쳐 구성 항성들이 사라질 것이다.[26] 성단이 중력적 영향에서 완전히 벗어나게 되더라도 많은 구성 항성들은 유사한 궤적을 따라 이동할 것이다. 이것이 성협 혹은 운동성단이라고 알려진 것이다. 큰 곰자리에 있는 북두칠성 중 가장 밝은 항성들 몇 개는 과거 산개성단의 구성 요소였으며 현재 큰 곰 자리의 운동 성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27] 결과적으로 그들의 상대적으로 미세한 속력차가 그것들을 은하의 여러 곳으로 흩어지게 한다. 만약 우리가 비슷한 속도와 연령을 가졌지만 연관되지 않은 항성들을 발견한다면 거대 성단은 성류로 밝혀지게 되는 것이다.[28][29] 항성 진화 연구[편집] 두 산개성단을 나타낸 H-R 다이어그램. 산개성단을 위한 도표인 H-R다이어그램(헤르츠스프룽-러셀 다이어그램, Hertzsprung-Russell diagram)이 만들어졌을 때, 대부분의 항성들은 주계열에 포함되어 있었다.[30] 가장 질량이 무거운 항성들은 주계열에서부터 진화하기 시작하여 적색거성이 된다. 주계열에서 갈라지는 분기점을 통해 성단의 나이를 추정할 수 있다. 산개성단내의 항성들은 모두 지구에서부터 대략적으로 비슷한 거리에 있다. 또한 이들은 비슷한 시기에, 유사한 물질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구성 항성들 사이의 차이점인 눈에 띄는 밝기는 질량에 의해 기인한 것이다.[30] 항성들을 서로서로 비교해보면 다양한 매개변수들을 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산개성단은 항성진화를 연구하기에 매우 유용하다. 산개성단 내에서 리튬과 베릴륨의 양을 연구하는 것은 항성들의 진화와 내부 구조를 파악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1천만K의 온도에 도달하기 전까지, 수소핵이 헬륨으로 융합되지 못할 때 리튬과 베릴륨은 각각 250만K, 350만K의 온도에서 파괴된다. 이것은 그들의 풍부한 정도가 항성 내부에서 얼마의 양의 혼합이 일어났느냐에 따라 크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산개성단 내 항성들 속의 리튬, 베릴륨의 양을 연구하면 연령이나 화학조성 등 다양한 사실들을 알 수 있게 된다.[31] 연구를 통해 이러한 빛 구성 물질들이 항성 진화에서 예상되었던 것 보다 훨씬 적은 양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핍의 이유는 아직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하나의 가설은 항성 내부의 대류가 방사선이 에너지 수송과정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지역으로 벗어나게 만든다는 것이다.[31] 산개성단과 천문학적 거리 스케일[편집] M11, Wild Duck 성단은 은하수 중심을 향하고 있는 매우 빽빽한 성단이다. 천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은 그들은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한 사안이지만 대부분의 물체들은 너무나 멀리 떨어져 있어서 직접적으로 거리를 측정하기가 어렵다. 천문학적인 거리 스케일을 측정하는 연구는 간접적으로, 때때로는 연관되어 있는 가장 가까운 물체(좀 더 먼 물체들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거리가 직접적으로 측정된)를 측정하는 부정확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32] 가장 가까운 산개성단은 둘 중 하나의 방법으로 거리가 직접적으로 측정되었다. 첫째로 가까운 산개성단 내에 있는 항성들 사이의 시차는 다른 독립적인 항성들처럼 측정될 수 있다. 500광년 이하의 거리에 있는 플레이아데스나 히아데스 혹은 다른 성단의 경우는 가깝기 때문에 이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히파르코스(Hipparcos, 위치 측정 위성)의 측정 결과로부터 몇몇 성단들의 정확한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33][34] 다른 직접적인 방법은 운동성단방법이라 불리는 것이다. 이것은 같은 성단 내에 있는 항성들은 우주에서 비슷한 운동을 한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한다. 성단 구성원들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우주를 가로지르는 그들의 운동을 나타내면 소실점으로 모여든다는 것을 보여준다. 성단 내의 항성들의 각속도는 이들의 스펙트럼으로부터 도플러 이동을 측정하면 구할 수 있고 성단으로부터 소실점까지의 고유운동과 각거리 간단한 삼각법으로 성단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다. 히아데스 성단은 이 방법을 응용하여 계산된 가장 잘 알려진 예이다.(거리는 46.3 파섹이다)[35] 일단 근처 성단들까지의 거리가 측정되면, 응용된 기술을 이용하여 먼 거리에 있는 성단들의 거리도 측정할 수 있다. 거리가 이미 알려져 있는 성단을 H-R 다이어그램을 통해 더 먼 거리의 성단과 비교해 보면 더 먼 거리에 있는 성단까지의 거리가 측정될 수 있다. 가장 가까운 산개성단은 히아데스이다. 반면에 북두칠성에 있는 항성들을 포함한 성협까지의 거리는 히아데스까지의 절반정도이지만 성협의 항성들은 산개성단내의 항성처럼 중력적으로 결합되어 있지 않다. 우리 은하에서 가장 먼 산개성단으로 알려진 것은 Berkeley 29이고, 약 15,000파섹 떨어져있다.[36] 산개성단은 또한 국부 은하군에 있는 은하들에서도 쉽게 관측된다. 산개성단의 거리에 대해 정확한 지식은 표준촉광으로 사용되는 세페이드나 거문고자리 RR 항성같은 다양한 항성들에 의해 보이는 주기광도관계를 측정하는데 필수적이다. 이런 선명한 항성들은 아주 먼 거리에 있어도 측정될 수 있고 또한 국부 은하군 근처의 먼 은하까지의 거리도 측정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37] 함께 보기[편집] 성협 천체 운동학 성단 참고[편집] ↑ 한국천문학회 편, 《천문학용어집》 254쪽 좌단 34째줄 ↑ 가 나 Frommert, Hartmut; Kronberg, Christine (2007년 8월 27일). “Open Star Clusters”. 《SEDS》. University of Arizona, Lunar and Planetary Lab. 2008년 1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월 2일에 확인함.  ↑ Karttunen, Hannu; 외. (2003). 《Fundamental astronomy》. Physics and Astronomy Online Library 4판. Springer. 321쪽. ISBN 3540001794.  ↑ Payne-Gaposchkin, C. (1979). 《Stars and clusters》.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Bibcode:1979stcl.book.....P. ISBN 0-674-83440-2.  ↑ 이것의 좋은 예는 장미 성운안의 NGC 2244이다. 또한, Johnson, Harold L. (1962년 11월). “The Galactic Cluster, NGC 2244”. 《Astrophysical Journal》 136: 1135. Bibcode:1962ApJ...136.1135J. doi:10.1086/147466. 을 볼것. ↑ Neata, Emil. “Open Star Clusters: Information and Observations”. 《Night Sky Info》. 2009년 1월 2일에 확인함.  ↑ Basu, Baidyanath (2003). 《An Introduction to Astrophysics》. PHI Learning Pvt. Ltd. 218쪽. ISBN 8120311213.  ↑ Michell, J. (1767). “An Inquiry into the probable Parallax, and Magnitude, of the Fixed Stars, from the Quantity of Light which they afford us, and the particular Circumstances of their Situation”. 《Philosophical Transactions》 57: 234–264. Bibcode:1767RSPT...57..234M. doi:10.1098/rstl.1767.0028.  ↑ Elmegreen, Bruce G.; Efremov, Yuri N. (1997). “A Universal Formation Mechanism for Open and Globular Clusters in Turbulent Gas”. 《The Astrophysical Journal》 480: 235–245. doi:10.1086/303966. 2009년 1월 2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Mathieu, R. D. (1994). “Pre-Main-Sequence Binary Stars”. 《Annual Reviews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 32: 465–530. doi:10.1146/annurev.aa.32.090194.002341.  ↑ Boss, A. P. (1998). “The Jeans Mass Constraint and the Fragmentation of Molecular Cloud Cores”.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501: L77–L81. doi:10.1086/311447.  ↑ 가 나 Battinelli, P.; Capuzzo-Dolcetta, R. (1991). “Formation and evolutionary properties of the Galactic open cluster system”.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249: 76–83.  ↑ Kroupa, P.; Aarseth, S. J.; Hurley, J. (2001). “The formation of a bound star cluster: from the Orion nebula cluster to the Pleiade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21: 699–712. doi:10.1046/j.1365-8711.2001.04050.x.  ↑ Eggen, O. J. (1960). “Stellar groups, VII. The structure of the Hyades group”.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120: 540–562.  ↑ Subramaniam, A.; Gorti, U.; Sagar, R.; Bhatt, H. C. (1995). “Probable binary open star clusters in the Galaxy”. 《Astronomy and Astrophysics》 302: 86–89.  ↑ Nilakshi, S.R.; Pandey, A.K.; Mohan, V. (2002). “A study of spatial structure of galactic open star cluste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383: 153–162. Bibcode:2002A&A...383..153N. doi:10.1051/0004-6361:20011719.  ↑ Trumpler, R.J. (1930). “Preliminary results on the distances, dimensions and space distribution of open star clusters”. 《Lick Observatory bulletin》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20): 154–188. Bibcode:1930LicOB..14..154T.  ↑ Dias, W.S.; Alessi, B.S.; Moitinho, A.; Lépine, J.R.D. (2002). “New catalogue of optically visible open clusters and candidates”. 《Astronomy and Astrophysics》 389: 871–873. Bibcode:2002A&A...389..871D. doi:10.1051/0004-6361:20020668.  ↑ Janes, K.A.; Phelps, R.L. (1980). “The galactic system of old star clusters: The development of the galactic disk”. 《The Astronomical Journal》 108: 1773–1785. Bibcode:1994AJ....108.1773J. doi:10.1086/117192.  ↑ Hunter, D. (1997). “Star Formation in Irregular Galaxies: A Review of Several Key Questions”.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109: 937–950. Bibcode:1997PASP..109..937H. doi:10.1086/133965.  ↑ Binney; Merrifield, M. (1998). 《Galactic Astronom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025650. OCLC 39108765.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name= (도움말) ↑ van den Bergh, S.; McClure, R.D. (1980). “Galactic distribution of the oldest open clusters”. 《Astronomy & Astrophysics》 88: 360. Bibcode:1980A&A....88..360V.  ↑ Andronov, N.; Pinsonneault, M.; Terndrup, D. (2003). “Formation of Blue Stragglers in Open Clusters”. 《Bulletin of the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35: 1343. Bibcode:2003AAS...203.8504A.  ↑ Fellhauer, M.; Lin, D.N.C.; Bolte, M.; Aarseth, S.J.; Williams K.A. (2003). “The White Dwarf Deficit in Open Clusters: Dynamical Processes”. 《The Astrophysical Journal》 595: L53–L56. Bibcode:2003ApJ...595L..53F. doi:10.1086/379005.  ↑ Hills, J. G. (1980년 2월 1일). “The effect of mass loss on the dynamical evolution of a stellar system - Analytic approximations”. 《Astrophysical Journal》 235 (1): 986–991. Bibcode:1980ApJ...235..986H. doi:10.1086/157703.  ↑ 가 나 de La Fuente, M.R. (1998). “Dynamical Evolution of Open Star Clusters”.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110: 1117–1117. doi:10.1086/316220.  ↑ Soderblom, David R.; Mayor, Michel (1993). “Stellar kinematic groups. I - The Ursa Major group”. 《Astronomical Journal》 105 (1): 226–249. Bibcode:1993AJ....105..226S. doi:10.1086/116422. ISSN 0004-6256.  ↑ Majewski, S. R.; Hawley, S. L.; Munn, J. A. (1996). “Moving Groups, Stellar Streams and Phase Space Substructure in the Galactic Halo”. 《ASP Conference Series》 92: 119. Bibcode:1996ASPC...92..119M.  ↑ Sick, Jonathan; de Jong, R. S. (2006). “A New Method for Detecting Stellar Streams in the Halos of Galaxies”. 《Bulletin of the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38: 1191. Bibcode:2006AAS...20921105S.  ↑ 가 나 “Diagrammi degli ammassi ed evoluzione stellare” (이탈리아어). O.R.S.A. - Organizzazione Ricerche e Studi di Astronomia. 2009년 1월 6일에 확인함.  ↑ 가 나 VandenBerg, D.A.; Stetson, P.B. (2004). “On the Old Open Clusters M67 and NGC 188: Convective Core Overshooting, Color-Temperature Relations, Distances, and Ages”.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116 (825): 997–1011. Bibcode:2004PASP..116..997V. doi:10.1086/426340.  ↑ Keel, Bill. “The Extragalactic Distance Scale”. Department of Physics and Astronomy - University of Alabama. 2009년 1월 9일에 확인함.  ↑ Brown, A.G.A. (2001). “Open clusters and OB associations: a review”. 《Revista Mexicana de Astronomía y Astrofísica》 11: 89–96. Bibcode:2001RMxAC..11...89B.  ↑ Percival, S. M.; Salaris, M.; Kilkenny, D. (2003). “The open cluster distance scale - A new empirical approach”. 《Astronomy & Astrophysics》 400: 541–552. Bibcode:2003A&A...400..541P. doi:10.1051/0004-6361:20030092.  ↑ Hanson, R.B. (1975). “A study of the motion, membership, and distance of the Hyades cluster”. 《Astronomical Journal》 80: 379–401. Bibcode:1975AJ.....80..379H. doi:10.1086/111753.  ↑ Bragaglia, A.; Held, E.V.; Tosi M. (2005). “Radial velocities and membership of stars in the old, distant open cluster Berkeley 29”. 《Astronomy and Astrophysics》 429: 881–886. Bibcode:2005A&A...429..881B. doi:10.1051/0004-6361:20041049.  ↑ Rowan-Robinson, Michael (1988년 3월). “The extragalactic distance scale”. 《Space Science Reviews》 48 (1-2): 1–71. Bibcode:1988SSRv...48....1R. doi:10.1007/BF00183129. ISSN 0038-6308.  참고 도서[편집] W.J. Kaufmann (1994). Universe. W H Freeman. ISBN 0-7167-2379-4. E.V.P. Smith, K.C. Jacobs, M. Zeilik, S.A. Gregory (1997). Introductory Astronomy and Astrophysics. Thomson Learning. ISBN 0-03-006228-4. vdeh항성계구속 은하 왜소은하 성단(구상성단 산개성단 초성단) 쌍성 다중성계 비구속 성류 성협 운동성군 다중성 성군 폭주성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산개성단&oldid=23539010" 분류: 성단산개성단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인용 오류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CS1 - 이탈리아어 인용 (it)문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0년 11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atinaLëtzebuergesch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NederlandsNorsk nynorskNorsk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inaray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25일 (금) 21: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산개성단(散開星團, open cluster, 문화어: 널린별떼)은 같은 분자구름에서 태어났으며 나이가 거의 같은 수천개의 항성이 모인 집단이다. 우리 은하에만 1,100개가 넘는 산개 성단이 발견되었으며 그보다 훨씬 많은 산개 성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성단의 별들은 서로 중력적으로 느슨하게 묶여 있으며 은하 중심을 돌면서 다른 성단이나 가스 구름과 만나면 해당 천체의 중력 때문에 종전의 궤도가 망가지거나 성단에 있던 일부 항성이 이탈하기도 한다. 산개성단이 형태를 유지하는 기간은 보통 몇억 년 정도이다. 대조적으로, 구상 성단은 훨씬 강하게 중력적으로 묶여 있어 수십억 년은 유지된다. 산개성단은 나선은하와 불규칙 은하에서만 발견되는데, 둘 다 활발하게 항성이 태어나는 곳이다.젊은 산개성단들은 자신이 형성된 분자 구름 속에 포함되어 있는데, 이것이 H II 영역을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단에서 방출되는 방사압이 분자 구름을 흩어놓는다. 방사압이 구름을 흩어 놓기 전에 약 10%의 가스 구름만이 항성의 일부로 합쳐지게 된다. 산개성단은 항성 진화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항성들은 매우 유사한 시기에 형성되었으며, 비슷한 화학적 조성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항성들이 독립적으로 존재할 때 보다 여러 가지 미묘한 특징적인 차이점들을 관측할 수 있다. 플레이아데스 성단이나 히아데스 성단, 페르세우스자리 알파 성단 등 많은 수의 성단들은 육안으로도 관측할 수 있다. 하지만 반면에 쌍둥이 성단 같은 것들은 기구 없이는 거의 관측할 수 없으며, 쌍안경이나 망원경을 이용해야 볼 수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나선 은하에서 산개성단이 자주 발견되는 곳은 어디일까? Assistant: 나선팔
Human: 아래 엑소시스트_(영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엑소시스트 (영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엑소시스트 (영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엑소시스트The Exorcist 감독 윌리엄 프리드킨 제작 윌리엄 피터 블래티 각본 윌리엄 피터 블래티 원작 윌리엄 피터 블래티의 소설,엑소시스트 출연 앨런 버스틴막스 폰 쉬도브리 J. 콥키티 윈잭 맥고런제이슨 밀러린다 블레어 촬영 오웬 로이즈만 편집 노만 게이 음악 마이크 올드필드 제작사 호야 프로덕션 배급사 워너 브라더스 개봉일 1973년 12월 26일 (1973-12-26) (미국)2000년 9월 22일 (2000-09-22) (재공개) 시간 121분[1]133분(디렉터스 컷) 국가 미국 언어 영어이탈리아어라틴어 제작비 미화 $1,200만[2] 수익 미화 $4억 270만 ~ 4억 4,413만[2][3] 《 엑소시스트 》(원제:The Exorcist)는 윌리엄 프리드킨 감독, 린다 블레어 주연의 영화이다. 1973년에 제작되었다.[4] 동명의 베스트셀러 소설을 영화화하였다.[5] 대한민국에는 《무당》으로 소개되기도 하였다.[6] 목차 1 줄거리 2 출연 2.1 주연 2.2 조연 3 기타 4 감상 및 평가 5 수상 6 각주 7 외부 링크 8 참고 자료 줄거리[편집] 북부 이라크의 고대 유적을 발굴에 참가한 노신부 메린(맥스 폰 시도우)은 앗시리아의 마신상이 발견되자 악령 부활의 무서운 예감에 사로잡혀 미국으로 돌아온다. 한편, 미국의 대학도시 조지 타운에서는 남편과 별거중인 여배우 크리스 마크닐(엘렌 버스틴)이 외동딸 리건(린다 블레어)을 데리고 아담한 집에 살며 촬영에 분주했다. 그런데, 어느날 갑자기 리건이 악령에 씌이게 된다. 리건의 침대가 진동하고 리건의 몸은 꺾일듯이 휘어질 뿐만 아니라 입에서 거품이 아니라 퍼런 독즙을 내뿜고 성대도 변하여 음산한 목소리가 된다. 현대 의학으로는 어쩔 수 없는 이 불가사의한 현상으로 가까이에 사는 젊은 신부 칼라스의 도움에 청하지만, 젊은 칼라스 신부는 혼신의 노력도 소용이 없자 예수회의 고위 신부에게 청원, 악마 추방령의 허가를 받은 메린 신부가 찾아온다. 고대의 마신상을 발견하고 공포로 온몸을 떨었던 그 노신부이다. 메린과 칼라스 두 신부가 리건의 악령과 처절한 대결을 꾀하나 순식간에 불가사의한 차가운 기운이 온 방안을 휘감으며 온갖 괴기현상이 잇따른다. 메린 노신부는 기력이 진하여 악령추방의 의식을 진행하던 중에 숨을 거둔다. 마지막 수단으로 젊은 칼라스 신부는 최후의 염력으로 악령을 자신의 몸 안에 불러들여 창에서 몸을 던짐으로써 자신과 함께 악령을 죽인다. 칼라스 신부의 희생으로 겨우 악령의 세계에서 탈출한 리건은 그때까지의 일이 전혀 기억에 없는 채 그 맑고도 청순한 옛 모습의 소녀로 돌아간다.[4] 출연[편집] 주연[편집] 엘렌 버스틴 막스 폰 시도우 린다 블레어 리J.콥 키티 윈 잭 맥고런 제이슨 밀러 조연[편집] 레버런드 윌리엄 오말리 바튼 헤이먼 피터 매스터슨 루돌프 션들러 지나 페트러쉬카 로버트 시먼즈 아서 스토치 레버런드 토머스 버밍햄 바시리키 마리아로스 티토스 반디스 월레스 루니 론 파버 도나 미첼 로이 쿠퍼 로버트 게링거 멀시데스 맥캠브릿지 기타[편집] 원작자: 윌리엄 피터 블래티 협력프로듀서: 데이빗 샐븐 조감독: 테렌스 A. 도넬리 미술: 빌 멀리 세트: 제리 운더리치 특수분장: 딕 스미스 감상 및 평가[편집] 공포영화의 걸작으로 평가된다. 4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이 작품과 비교될 만한 공포영화는 몇 나오지 않았다.[5] 수상[편집] 1974년 아카데미 각본·음향상을 수상하였다.[5] 1974년 골든 글러브 최우수작품·최우수감독·최우수각본·여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6] 각주[편집] ↑ “THE EXORCIST”. 영국 영화 등급 분류 위원회. 1974년 1월 28일. 2016년 6월 16일에 확인함.  ↑ 가 나 “The Exorcist (1973)”. The Numbers. 2016년 6월 16일에 확인함.  ↑ “The Exorcist”. Box Office Mojo. 2016년 6월 16일에 확인함.  ↑ 가 나 예술·스포츠·취미/영화/영화의 감상/미국영화의 감상/엑소시스트, 《글로벌 세계 대백과》 ↑ 가 나 다 '엑소시스트'(KBS1 오후11:00), 《경향신문》, 1999.7.17 ↑ 가 나 「무당」네部門賞휩쓸어, 《동아일보》, 1974.1.29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엑소시스트 엑소시스트 - 공식 웹사이트 (영어) The Exorcist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The Exorcist – 올무비 (영어) The Exorcist – 박스 오피스 모조 (영어) The Exorcist – 로튼 토마토 (영어) The Exorcist – 메타크리틱 참고 자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거 통제 VIAF: 195060060 GND: 4321704-7 SUDOC: 112607004 BNF: cb13751432s (데이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엑소시스트_(영화)&oldid=24190956" 분류: 1973년 영화영어 영화 작품미국의 영화 작품이탈리아의 영화 작품미국의 공포 영화미국의 스릴러 영화윌리엄 프리드킨 감독 영화배우를 소재로 한 영화워싱턴 D.C.를 배경으로 한 영화아카데미 음향효과상 수상작아카데미 각색상 수상작심리 스릴러 영화워너브라더스 영화악마를 소재로 한 영화종교 공포 영화구마를 소재로 한 영화이라크에서 촬영한 영화워싱턴 D.C.에서 촬영한 영화뉴욕에서 촬영한 영화골든 글로브상 드라마 작품상(영화) 수상작미국의 드라마 영화미국 국립영화등기부 등재 영화로마 가톨릭 신부를 소재로 한 영화염력을 소재로 한 영화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miliàn e rumagnòl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àidhlig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Монгол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Тоҷикӣ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4: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엑소시스트》(영어: The Exorcist)는 윌리엄 프리드킨 감독, 린다 블레어 주연의 영화이다. 1973년에 제작되었다. 동명의 베스트셀러 소설을 영화화하였다. 대한민국에는 《무당》으로 소개되기도 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엑소시스트는 사람이 무엇에 씌였을 때 하는 의식이야? Assistant: 악령 Human: 아래 오자와_이치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오자와 이치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자와 이치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오자와 이치로 (2001년 7월 18일) 오자와 이치로(일본어: 小沢 一郎, 1942년 5월 24일 ~ )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17선 중의원 의원이다. 제34대 자치대신, 제44대 국가공안위원장, 자유민주당 간사장, 신생당 대표간사, 신진당 당수, 자유당 당수, 민주당 대표, 민주당 간사장 등을 역임하였다. 목차 1 생애 1.1 성장기 1.2 정치 입문 이후 1.3 자민당 탈당과 신생당 시대 1.4 신진당 시대 1.5 자유당 시대 1.6 민주당 시대 1.6.1 민주당 대표 1.7 민주당 탈당 이후 1.8 일본 미래당 탈당 이후 1.8.1 제주도 망언 1.9 국민대학교 강연 2 인물 2.1 평가 3 역대 선거 결과 4 각주 5 같이 보기 6 외부 링크 생애[편집] 성장기[편집] 도쿄 시(현 도쿄도 다이토 구)에서 변호사이자 도쿄 부의회 의원이었던 아버지 오자와 사에키와 어머니 오자와 미치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도쿄 도립 고이시카와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변호사가 되기 위해 도쿄 대학을 목표로 2년간 공부했지만, 아버지의 급사로 단념하고 게이오기주쿠 대학 경제학부에 입학했다. 니혼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밟았으나 중퇴하였으며, 대한민국의 국민대학교에서 명예정치학 박사학위를 수여받았다. 정치 입문 이후[편집] 아버지가 급서한 후 사법시험 공부를 위해 입학한 니혼 대학 대학원에 재학하던 중인 1969년, 중의원 선거에서 당시 이와테 2구에 자유민주당의 공천으로 입후보하여 27세의 젊은 나이로 당선되었다. 당시 선거를 지휘하던 사람이 간사장이던 다나카 가쿠에이로, 이후 오자와는 다나카의 파벌에 들어가 그의 지도를 받는다. 총무국장과 중의원 의원운영위원장을 지내고, 제2차 나카소네 내각 제2차 개조내각에서는 자치대신 겸 국가공안위원장을 지낸다. 그러나 록히드 사건으로 당적을 이탈했음에도 불구하고 파벌의 영수로 영향력을 유지하려고 하던 다나카 가쿠에이에게 반기를 들고 다케시타 노보루, 가네마루 신 등과 함께 연구회 ‘소세이카이’(創政会)를 결성하고 이후 다케시타의 파벌로 독립한다. 다케시타 내각 발족 이후 오자와는 당과 정부의 요직을 지내 다케시타 파의 주요한 인물이 된다. 제1차 가이후 내각에서는 당 간사장에 취임하고, 자유주의 체제의 유지를 명목으로 경제단체연합회 산하의 기업에서 선거자금으로 3백억 엔을 모으고 제39회 중의원 선거에서 승리하는 등의 실적을 올렸다. 걸프 전쟁 당시에 자위대를 파견하는 데 대해 국회에서 공명당의 협력을 위해 도쿄도지사 선거에서 신인을 공천했지만, 후보가 낙선하는 바람에 그 책임을 지고 간사장을 사임했다. 그러나 이후에도 파벌의 2인자 자리를 차지하고, 가네마루(金丸)와 다케시타(竹下)와 함께 ‘곤치쿠쇼’(金竹小)라고 불리게 된다. 그러나 이후 가네마루가 오자와에게 파벌의 흐름을 옮기려는 시도를 하면서 다케시타와의 마찰이 깊어지게 되었다. 1991년에는 정치개혁 법안이 국회에서 폐안이 된 것을 두고 가이후 도시키 수상이 중의원 해산의 뜻을 담은 발언을 하였다가 당내의 반발을 초래해 총사직하게 되었다(이른바 가이후 오로시). 이후 가네마루가 오자와를 후임 총리로 취임하도록 설득하고, 여러 의원들도 그를 총리로 옹립하고자 하였지만 당시 49세였던 오자와는 지나치게 젊다는 이유로 이를 고사하였다. 또 6월에는 협심증으로 쓰러지면서 건강불안설도 나왔다. 1992년에 도쿄사가와큐빈 사건을 두고 가네마루가 여론으로부터 강력한 비판을 받으면서 파벌회장과 의원직을 사임했다. 오자와는 그 후임으로 가네마루와 가까웠던 의원들과 함께 하다 쓰토무를 옹립하면서, 다케시타 직계의 오부치 게이조를 추대하려던 하시모토 류타로 등과 대립하게 된다. 당초 중립이었던 다케시타는 스스로 오부치의 지지를 결정하는 등의 영향으로, 파벌의 후임 회장은 오부치로 내정되었다. 이에 오자와는 일부 의원들과 ‘개혁포럼 21’을 결성해 하다 파로 독립하게 되었다. 미야자와 내각 개조내각에서 하다 파는 경제기획청 장관과 과학기술청 장관의 두 자리만이 배정되었고, 간사장마저 오부치 파의 가지야마 세이로쿠가 취임하면서 하네다 파는 비주류로 전락하였다. 이에 대해 오자와는 주류 파벌을 ‘수구파’로, 자신을 ‘개혁파’로 칭하고 지론이었던 정치개혁의 실현을 전면에 내세웠다. 자민당 탈당과 신생당 시대[편집] 야당에서 미야자와 내각에 대한 불신임안이 상정되자, 1993년 6월 18일 하다 파와 오자와 파의 의원 39명이 찬성표를 던지고, 16명이 결석하는 이른바 반역이 일어나면서 불신임안이 255 대 220으로 가결되었다. 이에 따라 미야자와 내각이 해산하게 되었다. 6월 21일에는 다케무라 마사요시 등이 자민당을 탈당하고 신당 사키가케를 결성했으며, 이는 하다 파와 오자와 파의 의원들이 탈당을 결단하는 한 요인이자 55년 체제 붕괴의 서장이 되었다. 6월 23일에는 하다 파와 오자와 파가 탈당해 신생당을 결성하고, 오자와는 대표간사로 취임했다. 7월 18일의 중의원 총선거에서 자민당의 과반수가 무너지고, 신생당과 일본신당, 신당 사키가케가 약진했다. 자민당의 미야자와 총재의 후임으로는 고노 요헤이가 선출되었다. 오자와는 총선거 직후부터 일본신당의 대표 호소카와 모리히로와 비공식회담을 가지고, 이후 8월 9일에는 8당 연립의 호소카와 내각이 출범하게 되었다. 호소카와 정권에서 오자와는 내각과는 별도로 여당의 기관인 ‘연립여당 대표자회의’를 가져 공명당 서기장 이치카와 유이치와 정권의 주도권을 잡고자 하였고, 내각관방장관으로 관저 주도의 정치를 구상하던 신당 사키가케의 대표 다케무라 마사요시와 격렬하게 대립하게 되었다. 1994년 2월 3일, 호소카와 총리는 부가세를 폐지하고 7퍼센트의 ‘국민복지세’를 창설하려는 구상을 발표했다가 여론의 극심한 반발에 부딪혔다. 호소카와 총리는 국민복지세 구상을 철회했지만, 이후 연립여당간의 대립이 첨예화되면서 4월에 사의를 표명하게 되었다. 갑작스런 호소카와 총리의 사직에, 오자와는 자민당의 와타나베 미치오의 탈당을 유도하며 제휴를 시도했지만, 와타나베가 탈당을 거부하면서 구상이 좌절되었고 연립여당은 하다 쓰토무를 후임 수반으로 내정하는 데 합의하였다. 그러나 1994년 4월 25일에 신생당과 일본신당, 민사당 등이 사회당을 배제한 형태로 통일 회파(교섭단체) ‘가이신’(改新)을 결성하면서 사회당의 반발을 초래하였다. 결국 사회당은 4월 26일에 연립 정권에서 이탈하고, 4월 28일에는 소수여당 내각인 하다 내각이 출범하게 되었다. 이 시기부터 오자와와 하다 간에 미묘한 마찰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하다 내각은 1994년도 예산을 성립시켰지만, 소수여당의 해소를 노린 연립여당과 사회당 사이의 정책합의가 결렬되고, 자민당은 내각 불신임안을 중의원에 제출하였다. 당초는 중의원을 해산하는 방향으로 구상되었지만, 결국 총선거를 단념하고 6월 25일에 내각이 총사직하게 되면서 하다 내각은 총64일간의 단명 정권의 막을 내리게 되었다. 가이후 도시키는 이후 하다의 후임을 노렸지만, 1994년 6월 29일의 수반지명선거에서 자민당은 사회당 위원장 무라야마 도미이치에게 투표하기로 결정하면서 가이후는 자민당을 탈당해 ‘자유개혁연합’을 결성하고 연립여당의 총리 후보가 되었다. 그러나 결선투표에서 261 대 214로 무라야마 위원장이 당선되면서, 오자와는 처음으로 야당으로 전락하게 되었다. 신생당 내에서는 오자와의 책임을 추궁하는 움직임도 있었지만, 구 연립여당을 규합해 새로운 세력의 결성을 위해서는 오자와의 힘을 필요로 했으므로 행동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같은 해 9월 28일에는 일본공산당을 제외한 야당 187명의 의원이 모여 중의원 회파 ‘가이카쿠’(改革)를 결성했다. 같은 날 중의원 의원 186명과 참의원 의원 39명, 총 225명의 국회의원으로 구성된 ‘신당준비회’가 정식으로 발족하고, 실행위원장으로 오자와가 선출되었다. 신진당 시대[편집] 오자와를 중심으로 하는 신당 결성의 움직임은 12월 10일의 신진당의 창당으로 결실을 맺었다. 오자와는 당수로 가이후를 옹립하고, 자신은 간사장으로 취임했다. 신진당은 1995년 7월의 참의원 통상선거에서는 개선하는 의석 19석을 크게 넘은 40석을 획득하였다. 같은 해 12월의 당수 선거에 스스로 입후보하기로 한 오자와는 오래된 맹우인 하다와 격돌하게 되었으며, 하다를 꺾고 오자와가 후임 당수로 당선되었다. 그러나 선거 직후 투표자 명부가 파기되는 등 선거 결과가 불명확해 당내에서 균열이 생기게 되었다. 1996년 10월 20일의 중의원 총선거에서 신진당은 부가세율의 유지와 18조 엔의 감세를 공약으로 내걸었지만, 4석이 감소한 156석을 획득하면서 사실상 패배하였다. 총선거의 패배로 당 내의 반발이 격심해지면서 탈당자가 속출했고, 하다 쓰토무와 호소카와 모리히로 등은 비주류파를 구성하였다. 1996년 12월 26일에는 하다를 비롯한 국회의원 13명이 탈당해 태양당을 결성했다. 오자와는 당시 자민당의 가메이 시즈카 등과 제휴하여 이른바 ‘보보 연합’(保保連合) 노선을 구상했지만, 신진당 내에서 이러한 노선을 두고 반대파가 나타나게 되어 가노 미치히코는 당 내에서 연구회 ‘개혁회의’(改革会議)를 결성했다. 1997년 12월 18일의 당수 선거에서 가노를 꺾고 오자와가 당선되었지만, 선거 전에 공명당이 차기 참의원 선거에서 독자적으로 싸울 방침을 결정하면서 양 당의 관계가 끊어지게 되었다. 오자와는 이후 당내 세력에 해산을 요구하고, 12월 25일에는 신진당의 해산과 신당 결성을 발표했다. 해산이 결정된 신진당은 이후 격렬한 혼란에 빠지게 되었다. 자유당 시대[편집] 1998년 1월 6일에는 자유당을 결성하고, 오자와가 당수에 취임하였다. 당초에는 100명 이상의 국회의원이 모일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막상 결성이 되자 중의원 의원 42명과 참의원 의원 12명의 총 54명이 참가하는 데 머무르면서 제1야당의 자리를 민주당에 내주게 되었다. 7월 12일의 제18회 참의원 통상선거에서 고전할 것이라고 전망되었던 자유당은, 오자와의 인기를 몰아 비례대표에서 514만 표를 얻는 등 총 6석을 획득해 선전했다는 평을 받았다. 참의원 선거 이후의 임시국회에서는 민주당의 대표 간 나오토를 야당 통일 후보로 정하고, 참의원에서 자민당의 오부치 게이조를 꺾고 간 나오토가 총리로 지명되었다. 다만 중의원 우월의 원칙에 따라 간 나오토 대신 오부치가 수상으로 취임했다. 오자와는 참의원에서 야당의 연대를 통해 정부를 공격하고자 했지만, 실현되지는 않았다. 1998년 10월에는 내각관방장관이던 노나카 히로무와 회담을 가지고 연립 교섭을 시작했다. 11월 19일에는 오부치 수상과 양 당간의 연립 정권에 합의하고, 199년 1월 14일 정식으로 연립 정권이 성립하면서 오자와는 5년 만에 여당으로 복귀하게 되었다. 1999년 7월, 공명당이 연립 정권에 참여하면서, 자민당과 공명당만으로도 참의원의 과반수를 차지하게 되었으므로 자유당의 존재감은 저하되었다. 자민당과 자유당의 선거 협력도 좀처럼 진행되지 않았고, 오자와는 자민당의 오부치 총리에게 양 당의 해산과 새로운 보수 정당의 결성을 요구했다. 2000년 4월 1일에는 회담을 가졌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결국 연립이 무너지게 되었다. 이 직후 오부치는 뇌경색으로 쓰러지게 된다. 자유당은 오자와를 지지하는 연립 이탈파와, 연립 잔류파로 분열되고 잔류파 국회의원 26명은 보수당을 결성하게 된다. 분리된 보수당은 자유당측에 정당보조금의 분할을 위해 분당 처리를 요구했지만, 자유당이 거부하면서 탈당한 것이 된 보수당은 보조금 없이 총선거를 맞이하게 되었다. 2000년 6월 25일의 중의원 총선거에서도 고전이 예상되었지만, 비례대표에서 약 660만 표를 얻으면서 총 22석을 획득하게 되었다. 보수당은 7석으로 대패했다는 평을 받았다. 같은 해 7월 29일의 참의원 통상선거에서는 고이즈미 준이치로의 높은 인기로 자민당에는 순풍이 불고, 오자와 왕국으로 불리던 참의원 이와테 선거구에서도 근소한 차로 이기는 고전을 겪게 된다. 의석수는 전과 같은 6석이었지만, 비례대표는 420만 표까지 감소했다. 민주당 시대[편집] 2002년, 당시 민주당의 대표였던 하토야마 유키오는 당내의 구심력을 강화하기 위해 야당의 결집을 필요로 하면서 오자와에게 접근했다. 당시 오자와 또한 자유당의 지지층 약화 등으로 독자 선거에서의 한계를 느끼고 있었으므로, 두 사람의 결합은 예정된 수순이었다. 하토야마는 민주당과 자유당의 합병을 위한 협의를 진행하기로 발표했지만, 당 내에서 조정이 불충분했고 오자와에 대한 거부반응도 있어 협의는 좌절되고 하토야마 또한 사임하게 되었다. 그러나 후임으로 선출된 간 나오토 또한 하토야마의 노선을 이어 양 당의 합병을 추진했고, 당명과 강령·임원을 민주당의 체제 대로 유지하는 선에서 합당이 결정되었다. 2003년 9월 26일, 자유당이 민주당과 정식으로 합치고 오자와는 당대표 대행으로 취임하게 되었다. 2003년 11월 9일의 중의원 총선거에서는 민주당이 정권교체의 열망을 안고 40석이 증가한 177석을 획득했다. 합병 이후 오자와가 처음으로 손을 잡은 사람은 구 일본사회당 계열의 요코미치 다카히로였다. 두 사람은 안전보장 정책에서 견해가 일치하면서 두 세력의 행동은 가까워졌다. 또한 오자와는 야당 결집을 위해 사민당이 민주당에 합류할 것을 호소했지만 실패로 끝났다. 2004년 5월, 연금미납 문제로 인한 혼란의 책임을 지고 간 나오토가 사임하면서 후임 대표로 내정되었다. 그러나 직후에 오자와 또한 국민연금이 강제 가입 제도가 된 1986년 이전에 미가입이었다는 이유로 취임을 사퇴하면서, 간사장이던 오카다 가쓰야가 대표로 취임했다. 같은 해 7월 11일의 참의원 통상선거에서는 정부와 여당의 연금 법안이 쟁점이 되고, 이에 반대한 민주당에 순풍이 불어 선거구와 비례대표에서 50석을 획득해 자민당의 획득 의석보다 1석 많은 승리를 얻었다. 오자와는 선거 이후 오카다의 요청에 따라 당 부대표에 취임한다. 2005년 9월 11일, 우정민영화를 쟁점으로 하는 중의원 총선거에서 민주당은 60석 이상을 잃는 참패를 당하면서 오카다 대표 또한 사의를 표명했다. 이후 당 대표 선거에서 마에하라 세이지가 선출되었고, 오자와는 대표 대행에 취임할 것을 요청받았지만, 오카다 집행부의 부대표이자 총선거 참패의 책임을 지고 이를 고사했다. 민주당 대표[편집] 오자와 이치로 선거 벽보 2006년 3월 31일에 마에하라 대표가 호리에 메일 문제의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하자 오자와는 기자회견에서 “앞장서서 당을 재생해 정권 교체의 횃불을 밝히는 결의”라며 후임 대표 선거에 출마할 것을 표명했다. 오자와의 선출을 예상한 여러 여론조사의 결과와 마찬가지고, 4월 7일의 대표 선거에서 오자와는 상대 후보였던 간 나오토를 큰 차이로 따돌리고 대표로 당선되었다. 오자와는 당 안팎에 당의 결집을 어필하기 위해 선거의 상대 후보였던 간 나오토를 대표 대행으로, 하토야마 유키오를 간사장으로 선임하는 트로이카 체제를 구축했다. 오자와가 대표로 취임한 직후에 치러진 4월 24일의 중의원 지바 7구 보궐선거에서는 메일 문제의 역풍으로 민주당 후보의 당선이 힘들다는 예상이 있었지만, 근소한 차이로 승리했다. 5월 9일에 회견을 가지고 중의원 본회의를 자주 결석하는 데 대해 ‘(의사의 충고를 지켜) 식후에 바로 일을 하는 등의 일은 삼가고 있다’며 자신의 몸 관리를 이유로 든 일로 ‘의회 경시’라는 강한 비판을 받았다. 또한 건강 상태를 이야기한 것을 두고 여러가지 추측이 나돌았다. 9월 25일에는 임시 당대회에서 정식으로 대표로 재선된 후 협심증 발작 징후를 느끼고 입원해 검사하기도 했다. 10월 5일에 퇴원한 오자와는 동맥경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 핵실험 직후 동북아 정세를 두고 일본이 군사 행동을 취할 수 있는지, 이른바 〈주변사태법〉을 적용할 수 있는지를 둘러싸고 오자와 이치로를 중심으로 하는 트로이카 체제는 적용할 수 없다는 견해를 발표했다. 그러나 마에하라 전 대표를 비롯한 당내 일각에서 적용할 수 있다는 주장이 있었고, 또한 민주당의 외교·방위 부문은 ‘오자와 대표의 트로이카 체제의 견해는 민주당의 공식견해가 아니다’라고 발표해 이를 둘러싼 민주당 내의 대립이 표면화되었다. 오자와는 “핵무장 논의를 용인하면 ‘(핵무기의 보유, 제조, 수입을 하지 않기로 한) 비핵3원칙을 지킨다’는 말도 국민이나 국제 사회에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일부 보수층은 2002년 당시 자유당 당수로 있던 오자와가 일본의 핵보유능력을 두고 “일본은 하루아침에 몇천 발의 핵탄두를 가질 수 있다”고 발언한 것과 비교하여 비판했다. 오자와는 자유당 시대부터 방위청이 ‘성’(省)으로 승격할 것을 주장했으며, 실제로 승격시에도 “국방의 소임을 맡은 기관이 내각부의 한 외국(外局)으로만 있는 상태는 좋은 것이 아니다”라고 진술했다. 민주당 내에서는 여전히 이를 반대하는 목소리가 있었으므로 중의원 안전보장위원회에서 이를 심의할 때는 결석했지만, 최종적으로는 오자와 대표의 최종 결단에 따라 법안에 찬성으로 선회했다. 11월의 후쿠시마현지사 선거에서는 사민당, 오키나와현지사 선거에서는 공산당 및 사민당과 공동으로 투쟁했다. 후쿠시마 현지사 선거에서는 여당의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지만, 오키나와 현지사 선거에서는 패배하면서 민주당과 다른 정책과 지지층을 가진 정당과 연합했음에도 진 것을 두고 야당 공동 투쟁의 목적에 대해 다시 검토하는 계기가 되었다. 2007년 참의원 선거의 전초전이라고 불린 2007년 2월 4일의 아이치현지사 선거와 기타큐슈 시장 선거가 시행되었다. 아이치 현지사 선거에서는 아쉽게 패했지만, 기타큐슈 시장 선거에서는 야당의 후보가 승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야나기사와 하쿠오 후생노동상이 “여성은 애낳는 기계”라고 발언한 것을 두고 오자와 대표가 야나기사와 후생노동상이 사임하기 전에는 법안을 심의할 수 없다는 전술을 주도하고, 사임을 유도하는데에는 실패했지만 이를 쟁점화하는데 성공한 것이 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4월 8일의 통일지방선거에서는 이와테현지사 선거에서 ‘오자와 칠드런’의 대표로 불리는 닷소 타쿠야가 출마해 2위 후보와 3배 가까운 차이를 벌리며 압승하여 오자와 왕국의 건재를 과시했다. 제21회 참의원 통상선거에서 민주당이 승리할 것이라고 전망한 오자와는 7월 8일, 선거에서 과반수를 획득하지 못할 때에는 “야당의 대표를 언제까지 맡고 있어도 어쩔 수 없다”며 대표직을 사임하고 정계를 은퇴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자신의 책임을 명확히 하고, 참의원 선거에서 패하더라도 사직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향을 비친 아베 신조 총리에 대한 비판과 차별화에 성공하면서 민주당의 승리가 강고해졌다. 7월 29일에 시행된 참의원 통상선거에서 민주당은 60석을 획득하면서 참의원 제1당으로 부상하고, 야당 전체는 과반수를 획득했다. 이 선거에서 오자와의 비서 30명 이상이 1인구를 중심으로 격전지에서 선거의 전술을 지도하였고, 오자와의 탁월한 선거 전술을 유감없이 발휘한 선거가 되었다. 아베 신조 총리가 사의를 표명하자 자민당은 후임 총재로 후쿠다 야스오를 선출했다. 9월 25일의 내각총리대신 지명선거에서 중의원은 후쿠다를, 참의원은 오자와를 지명하면서 양 원의 지명이 엇갈리게 되었다. 이후 타협점을 찾지 못해 중의원의 의결이 우월하다고 규정한 헌법에 따라 후쿠다가 총리로 취임하게 되었다. 양원의 지명이 다른 것은 오부치 게이조 내각에서 민주당의 간 나오토가 총리로 지명된 이래 9년 만이며, 역대 4번째이다. 다나카 가쿠에이 계열이었던 오자와 이치로와 후쿠다 야스오의 대결은 ‘제2의 가쿠후쿠 전쟁’이라고도 불리지만, 본인들은 그런 생각을 전혀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 않아 오자와 대신 후쿠다를 날카롭게 비판하는 다나카 마키코 쪽을 지적하는 견해도 있다. 2007년 11월 2일, 오자와 민주당 대표는 자민당의 후쿠다 야스오 총재와 회담하였고, 이때 연립정권에 대한 제안이 있었으므로 당으로 돌아와 임시임원회에 상의했다. 그러나 임원회에서 대연립정권에 대한 강한 반대에 부딪히면서 2시간 후에 연립을 거절하였다. 이때 아사히 신문과 닛케이를 제외한 여러 언론에서 오자와가 후쿠다 총리에게 대연정을 제안했다는 보도가 있었지만, 오자와는 이에 대해 “일부 언론에 의한 민주당에 대한 이유없는 중상모략 보도로, 여론 조작”이라고 비판하며, “나는 대연립 제안을 일체 하지 않았다”고 발언해 이 건에 대해 부정하고 있다[1]. 오자와 대표는 2007년 11월 4일에 이 대연립 구상을 둘러싼 당내의 반발의 목소리를 수렴해, 이에 책임을 지고 대표직을 사임하는 의사를 표명했다[2]. 그러나 정계에서 대표직 유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대두되면서, 오자와는 11월 6일에 “창피한 일이지만, 여러분의 뜻에 따라 부디 한 번 더 열심히 하고 싶다”며 대표직 속투를 표명하였다. 민주당 탈당 이후[편집] 2012년 7월 12일, 노다 요시히코 총리가 소비세 증세를 밀어붙여 통과되자 이에 반발해 자신을 포함한 계파 의원 51명과 함께 민주당을 탈당했다. 그 후 '국민 생활이 제일당'이란 이름으로 신당을 창당하였으나, 이내 일본 미래당으로 당명을 변경하였다. 그후 2012년 12월 16일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일본 미래당의 62석의 의석이 9석으로 줄어드는 참패를 맞았다. 오자와 자신은 지역구 수성에 성공했으나, 총선 참패의 책임을 지고 자진 탈당하였다. 일본 미래당 탈당 이후[편집] 민주당 복당이 불허되자, 오자와는 다시 일본 미래당에 복당, 일본 생활당으로 당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 2월 25일 박근혜 대한민국 대통령 취임식 참석이나, 2014년 9월 4일 자신의 국민대학교 명예 정치학박사 학위 수여식 등에 참여하며[3], 꾸준히 대한민국에 방문하는 일본 정치인 중 하나이다. 제주도 망언[편집] 2009년 3월 오자와 이치로가 엔화가 강세일때를 이용해서 제주도를 매입해야 한다는 망언을 쏟아내 한국인들의 반발을 샀으며, 이러한 망언 등으로 인해 한일간의 새로운 갈등을 낳았다.[4][5][6] 국민대학교 강연[편집] 2009년 12월 12일 토요일 오전 10시 오자와 이치로 민주당 간사장은 서울 국민대학교를 방문, 300여명의 학생들과 학교 관계자 한일양국 보도진을 대상으로,‘새로운 한·일 관계와 그 역할을 담당할 지도자 육성’이란 주제로 강연을 하였다. 일본인정치가가 한국의 대학에서 강연을 한 첫 사례였으며,[7] 2시간에 걸쳐 강연은 진행되었다. 강연내용중, '식민지지배와 관련 과거사에 대한 사죄'와 '천황가와 한국인과의 연관성', '외국인 참정권'에 대한 발언 을 주요내용으로 다루었으며, 역사학 공부를 즐겨했다는 이야기, 어머니의 엄격했던 가정교육,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일본역사인물 3명 등을 이야기 하는 등 개인적인 이야기도 오고갔다. 또한, 국민대학생들에게 학업에 매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학업과 관련없는 일이라도 자신이 나아갈 분야에 도움이 되는 일이라면 시간을 투자하라는 조언도 하였다. 강연에 앞서 한국어 번역본인 오자와 간사장의 저서가 학생등 참석자들에게 무료로 나누어 주었다. 이어서 강연이 끝난 후 조훈현 9단과 바둑을 둔 후, 이명박 대통령과 만나 저녁만찬을 가졌다.[8] 인물[편집] 평가[편집] 다나카 가쿠에이의 장남 - 1942년에 태어난 오자와가 5세로 죽은 다나카의 장남과 동갑이었으므로, 다나카는 오자와를 아들처럼 귀여워했다. 가네마루 신은 오자와와 하타 쓰토무, 가지야마 세이로쿠 세 사람을 두고 “평시의 하다, 난세의 오자와, 대난세의 가지야마”라고 평했다. 이시하라 신타로는 “나는 그(오자와)를 평가하지 않습니다. 저 사람처럼 미국이 하라는 대로 한 사람은 없다.”고 평했다. 주위에서는 오자와가 도호쿠 지방 출신의 기질을 가지고 있어 순진하고 말재주 없는 사람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때문에 설명하려는 노력이 부족하여 측근이 떨어져나가는 요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오자와는 이를 두고 “떠나는 이 잡지 않고, 오는 이 막지 않고”라고 말한 바 있다. 당 내외의 오자와 알레르기는 오래된 의원에게서 강하다. ‘독단적이고, 측근정치에 얼굴이 보이지 않는다’거나 자민당의 분열과 이후의 분열 공작, 신진당의 분열과 해산 등이 주 비판 대상이 된다. 자민당 간사장 시절에 숙취로 전국간사장회의에 불참하거나, 선거에서 질 것 같으면 선거 지휘를 포기하고 외유에 나가기도 했으므로 ‘워스트1간사장’이라는 평가도 있다.[9]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 대수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총선거 32회 중의원 의원 이와테현 제2구 자유민주당 71,520표 24.8% 1위 중선거구제 총선거 33회 중의원 의원 이와테현 제2구 자유민주당 60,675표 19.2% 2위 중선거구제 총선거 34회 중의원 의원 이와테현 제2구 자유민주당 71,449표 22.0% 1위 중선거구제 총선거 35회 중의원 의원 이와테현 제2구 자유민주당 70,813표 21.7% 1위 중선거구제 총선거 36회 중의원 의원 이와테현 제2구 자유민주당 72,838표 22.3% 1위 중선거구제 총선거 37회 중의원 의원 이와테현 제2구 자유민주당 63,212표 18.9% 4위 중선거구제 총선거 38회 중의원 의원 이와테현 제2구 자유민주당 95,208표 26.7% 1위 중선거구제 총선거 39회 중의원 의원 이와테현 제2구 자유민주당 89,449표 24.1% 1위 중선거구제 총선거 40회 중의원 의원 이와테현 제2구 신생당 142,451표 40.8% 1위 중선거구제 총선거 41회 중의원 의원 이와테현 제4구 신진당 125,619표 64.7% 1위 총선거 42회 중의원 의원 이와테현 제4구 자유당 119,099표 59.7% 1위 총선거 43회 중의원 의원 이와테현 제4구 민주당 128,458표 65.1% 1위 총선거 44회 중의원 의원 이와테현 제4구 민주당 124,578표 59.9% 1위 총선거 45회 중의원 의원 이와테현 제4구 민주당 133,978표 62.6% 1위 총선거 46회 중의원 의원 이와테현 제4구 일본미래당 78,057표 45.5% 1위 총선거 47회 중의원 의원 이와테현 제4구 생활의 당 75,293표 47.8% 1위 총선거 48회 중의원 의원 이와테현 제3구 무소속 130,229표 57.4% 1위 각주[편집] ↑ 오자와 이치로 중상보도에 엄중히 항의하다, 민주당, 2007년 11월 4일; 오자와씨 ‘혼란에 매듭’ ‘보도에 분노’라고도 회견 전문, 아사히 신문, 2007년 11월 4일자. ↑ 오자와 대표가 사직서를 제출, 집행부에 진퇴를 일임 Archived 2007년 11월 6일 - 웨이백 머신, 민주당, 2007년 11월 4일; 오자와씨가 대표사임의 의향표명 “정치적 혼란의 매듭”, 아사히 신문, 2007년 11월 4일. ↑ 국민대, 오자와 이치로 일본 생활당 대표에 명예박사 학위수여 ↑ 오자와 `제주도` 망언에 제주도민들 강력 반발 ↑ 日 오자와 민주당대표 “제주도를 사버리자”망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제주도 사겠다고?..가치를 알아나 봤나”. 2009년 3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13일에 확인함.  ↑ 일본민주당 공식사이트 관련기사 중반부 참조 ↑ 국민대학교 관련기사 참조 ↑ 奥島貞雄, 《自民党幹事長室の30年》, 주오코론신샤, 2002년. 같이 보기[편집] 자유당 (일본, 2016년) 국민 생활이 제일 오자와 그룹 이치류 전쟁 다케시타 와타루 다케시타 노보루 다나카 가쿠에이 다나카 마키코 가네마루 신 노나카 히로무 오사노 겐지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오자와 이치로 공식 홈페이지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11700520 LCCN: nr91010519 ISNI: 0000 0000 8305 8339 GND: 1015363296 SUDOC: 153445718 NDL: 0021256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오자와_이치로&oldid=24510892" 분류: 194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중의원 의원일본의 각료역임자도쿄도 출신게이오기주쿠 대학 동문니혼 대학 동문자유민주당 (일본)의 정치인민주당 (일본, 1998년)의 정치인일본의 자치대신도쿄도 구부 출신일본의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NederlandsNorskPolski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ไทยTiếng Việt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21: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오자와 이치로(일본어: 小沢 一郎, 1942년 5월 24일 ~ )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입헌민주당 소속 18선 중의원 의원이다. 제34대 자치대신, 제44대 국가공안위원장, 자유민주당 간사장, 신생당 대표간사, 신진당 당수, 자유당 당수, 민주당 대표, 민주당 간사장 등을 역임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오자와 이치로씨는 몇년 몇월 며칠에 서울 국민대학교를 방문하였는가? Assistant: 2009년 12월 12일
Human: 아래 은영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은영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은영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은영선 국적 대한민국 출생 1972년 5월 10일(1972-05-10) (47세)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활동 기간 1995년 ~ (KBS 25기) 1998년 ~ (프리랜서) 소속 한국방송 성우극회 (프리랜서) 은영선(1972년 5월 10일 ~ )은 대한민국의 성우이다. 1995년 KBS 25기 공채 성우로 데뷔하였다. 목차 1 출연 작품 1.1 TV 애니메이션 1.2 극장용 애니메이션 1.3 외화 1.3.1 전담배우 1.3.2 드라마 1.3.3 영화 1.4 게임 1.5 나레이션 1.6 광고 1.7 홍보멘트 1.8 안내방송 1.9 라디오 드라마 1.10 라디오 프로그램(진행) 2 수상 경력 3 외부 링크 출연 작품[편집] 굵은 글씨는 메인 캐릭터이다. TV 애니메이션[편집] AIR (애니맥스) - 카미오 미스즈, 칸나비노 미코토 TV동화 행복한 세상 (KBS) - 여성 및 아이(전기) 고미의 만화 호기심 천국 (SBS) - 엄마 꼬꼬마 꿈동산 (KBS) - 뚜뚜데이지 꼬잉꼬잉 이솝극장 (SBS) - 프리시 다오배찌 붐힐대소동 (KBS) - 마리드, 케피 뚝딱박사 핌 (KBS) 디지몬 어드벤처 (KBS) - 신나리 / 피노키몬 / 피콜몬 파워 디지몬 (KBS) - 신나리 / 꼬마몬-브이몬-엑스브이몬-파일드라몬-황제드라몬 / 매그너몬 로봇용사 다그온 (SBS) - 건키드, 마리아 리틀 아인슈타인 (KBS) - 애니 마스크맨 (KBS) - 왕세리 미키의 클럽하우스 -미니 마우스 베이브 마이 러브 (애니맥스) - 사카시타 유즈유 비스트워 네오 (SBS) - 나비 쁘띠쁘띠 뮤즈(KBS) - 송아리 스콜피언 (KBS) 스트라토스4 (애니맥스) - 혼조 미카제 스페이스 힙합덕 (KBS) - 소행성R, 메가폰 꽃, 미쓰리 아버지의 이름으로 아쥐르와 아스마르 (KBS) - 샴수사바 공주 알록달록 크레용 (KBS) - 크레용 애플캔디걸 (KBS) - 피피 에일리언9 (애니맥스) - 오오타니 유리 오! 나의 여신님 (애니맥스) - 스쿨드 오! 나의 여신님 : 각자의 날개 (애니맥스) - 스쿨드 요랑아 노래하자(KBS) - 피노키오 요리킹 조리킹 (KBS) - 반디 우리반 짱돌이 (애니원) - 나혜미 원피스 (KBS) - 네펠타리 비비 윙스 프렌즈/윙스 클럽 (SBS, 니켈로디언) - 플로라, 바네사 쥬로링 동물탐정 (KBS) - 키키(미코가미 나기사) 추리게임 -뫼비우스의 띠- (애니원) - 은아리(유이자키 히요노) 탐정학원 Q (투니버스) - 이치노세 카오루 태극천자문 (KBS) - 하크, 자하라 탱구와 울라숑 (KBS) - 엘리 크리스탈 요정 지스쿼드 (SBS) - 혜미 킴 파서블 (KBS) - 킴 파서블 핌블핌블 (KBS) - 뽀나 Piwi짱! 3D애니메이션 시리즈 (EBS) - 리틀 젤라토스 하우스 오브 마우스 (KBS) (미니 마우스) 우당탕탕 두디두디 (MBC 무비스) - 초롱이, 초롱이 엄마 명탐정 코난 (투니버스) - 주노 강철수염과 게으른 동네 (EBS) - 스테파니 구두신고 꼬까꼬까 (EBS) - 꼬까 꼬마버스 타요 (EBS) - 라니, 해설, 캐리 늘코의 참 큰 세상 (EBS) - 치치 마법의 책과 역사 탐험대 (EBS) - 조디 빠삐에 친구 (EBS) - 아바 슈퍼와이 (EBS) - '라푼젤'편 라푼젤 / '작은 머펫 아가씨'편 미스 머펫 / '열두 명의 춤추는 공주님'편 공주님1 / '공주와 완두콩'편 프리실라 공주 / '마법의 냄비'편 소녀 은하축구 챔피언 (EBS) - 티아 극장용 애니메이션[편집] 곰이 되고 싶어요 (KBS) - 에스키모 소년 디즈니 삼총사 (MOVIE) - 미니 공주,전화녹음 목소리 뮬란 2 - 메이 공주 애니메이션 미안하다 사랑한다 (MOVIE) - 송은채 미키의 크리스마스 선물 (MOVIE) - 미니 마우스, 맥스의 여자친구 붉은 돼지 (MOVIE) 원더풀 데이즈 (KBS) - 제이 이웃집 야마다군 (MOVIE) - 노노코 킴 파서블 소 더 드라마 - 킴 파서블 바다소년 오대양 (KBS) - 오대양 늑대아이 (MOVIE) - 하나 유니코 (애니박스) - 유니코 유니코2 (애니박스) - 유니코 오즈의 마법사 (애니박스) - 도로시 외화[편집] 전담배우[편집] 리브 타일러 닥터 T (KBS) - 메릴린 댓 싱 유 두 (KBS) - 페이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KBS) - 아르웬 아마게돈 (KBS, SBS) - 그레이스 엠파이어 레코드 (KBS) - 코리 앤 해서웨이 천국의 맞은편 (KBS) - 진 사빈 프린세스 다이어리 (KBS) - 미아 장쯔이 게이샤의 추억 (KBS) - 사유리 야연 (SBS) - 황후 완 와호장룡 (KBS) - 옥교룡 집으로 가는 길 (KBS) - 초제 드라마[편집] 그레이 아나토미 (KBS) - 이지 스티븐슨 (캐서린 헤이글) 데미지 (KBS) - 엘렌 (로즈 번) 메디컬 인베스티게이션 (PSB) - 에바 로씨 (애나 벨냅) 사브리나 (KBS) - 사브리나(나중) (멀리사 조앤 하트) 울트라맨 티가 (MBC 무비스) - 레나 테일러는 12살 (EBS) - 테일러 프라이 영화[편집] 10일안에 남자친구에게 차이는 법 (KBS) - 앤디 (케이트 허드슨) 3000 마일 (SBS) 34번가의 기적 (KBS) 게놈 프로젝트 (KBS) - 알렉스 (사라 윈터) 겟 오버 잇 (SBS) - 켈리 우드 (커스틴 던스트) 나 홀로 집에 (SBS) - 리니 (앤절라 고덜즈) 내 남자친구의 결혼식 (KBS) - 결혼식 하객(셜리 캐리) 다운 투 유 (SBS) - 사이러스 (셀마 블레어) 더 원 (KBS) - 티케이 (칼라 구기노) 데드라인 (KBS) 데이비드를 찾아서 (EBS) - 다시 디턴 (대니엘 패너베이커) 디트로이트 락 시티 (KBS) 로미오와 줄리엣 [2000년 더빙판] (KBS) 마지막 지하철 (SBS) 마크 오브 엔젤 (KBS) - 제레미 (자차리 샤세로) 머니 트레인 (KBS) 메트로 (KBS) 몰랫츠 (KBS) - 브렌디 (클레어 클라라) 못 말리는 첩보원 (KBS) 뮤직 오브 하트 (KBS) - 소년 닉 (마이클 안가라노) 미녀 삼총사 (SBS) 복수의 실락원 (KBS) - 헬레나 (브랜다 바키) 봉쥬르 무슈 슐로미 (KBS) - 로나 블라인드 가이 (KBS) - 리자 (안잘리 자이) 블랙 호크 다운 (KBS) - 스테파니(지아니나 파시오) 블레이드 (SBS) 비포 선셋 (SBS) - 셀린(줄리 델피) 비욘드 랭군 (KBS) 빨간 머리 앤 (EBS) - 앤 (메건 팔로스)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SBS) - 샬롯(스칼릿 조핸슨) 산타클로스 (KBS) 샤인 (KBS) - 소년 데이빗(알렉스 라파로위즈) 슈퍼 볼케이노 (KBS) - 매기(제인 맥클린) 세븐 (SBS) - 트레이시(귀네스 팰트로) 스타워즈 에피소드 1: 보이지 않는 위험 (KBS) - 아나킨 (제이크 로이드) 스네이크 아이 (KBS) 스몰 솔저 (KBS) 스페셜리스트 (SBS) 스페이스 잼 (SBS) - 조던의 딸 썬더볼트 (SBS) 아문센 (KBS) - 아네 (레아 쿠르카) 아이들의 훈장 (KBS) - 난미 에주케이터 (SBS) - 율 (율리아 옌치) 여왕 마고 (SBS) 오페라의 유령 (KBS) - 크리스틴 (에미 로섬) 우리들만의 집 (KBS) 워터 디바이너(KBS) - 아이셰 (올가 쿠릴렌코) 원시소년 바타의 모험 (EBS) - 소피 (율리아 크롬바흐) 일곱가지 유혹 (SBS) - 앨리슨 가드너 (프랜시스 오코너) 잉글리시 브라이드 (KBS) - 실비아 (몰리 파커) 잠수종과 나비 (KBS) - 끌로드 (안 콩시니) 진주만 (SBS) - 에블린 존슨 (케이트 베킨세일) 차스키 차스키 (KBS) - 마리아(이사 잉스트롬) 처음 만나는 자유 (SBS) - 수잔나 (위노나 라이더) 천국의 속삭임 (KBS) - 프란체스카 (프란체스코 캄포바소) 캣우먼 (SBS) - 페이션스 필립스 (할리 베리) 톰과 허크 (KBS) 트리거 이펙트 (SBS) 포스트 임팩트 (KBS) - 애나 (베티나 지머먼) 하와이, 오슬로 (KBS) - 오사 (에비 카세스 로스텐) 호랑이와 눈 (KBS) - 낸시 (에밀리아 폭스), 에밀리아 (치아라 피리) 인사이더 (KBS) 줄리아 로버츠의 사랑 게임 (SBS) 분노의 질주: 더 오리지널 (KBS) - 미아 토레토 (조다나 브루스터) 분노의 질주: 언리미티드 (KBS) - 미아 토레토 (조다나 브루스터) 워터 디바이너 (KBS) - 아이셰 (올가 쿠릴렌코) 페이스 오프 (KBS) - 제이미 아처 (도미니크 스웨인) 게임[편집] 은하자양강장 무타쥬스 - 미로 파랜드택틱스5 - 라비, JP 나레이션[편집] KBS 1라디오 안녕하십니까 봉두완입니다 (NEWS) KBS 1라디오 일요일을 달린다 KBS 1라디오 토요 와이드 KBS 라디오 드라마 KBS 제1라디오 음악이있는 세상 KBS 제3라디오 시사매거진 KBS 제3라디오 오늘의 신문 사랑의 리퀘스트(KBS) 비디오 챔피언(KBS) 풍물기행 KBS 위성 TV Event in Korea 카메라 리포트(MBC) TV로 보는 세계(MBC) [국악 fm] 행복한 하루 [kbs world] 다큐 이사람 인간극장 (KBS) 해설 TV동화 행복한 세상 (KBS) 주.판.알 (MBC) 가족오락관 (KBS) 2007년 1월 20일 출연 세계로 간 한국의 맛 (SBS) 해피타임 (MBC) 광고[편집] LG유플러스 듀오백 클리니크 결혼식장 사비 (여성지) 기아자동차 맥도날드 CJ제일제당 한화생명보험 단월드 아모레퍼시픽 코카콜라 예지미인 롯데제과 KCC건설 대상 동양생명 남양유업 KCC LF 락앤락 공익광고협의회 LG전자 한국네슬레 유니레버코리아 농협목우촌 동원F&B 삼성전자 KB국민은행 존슨앤드존슨 롯데백화점 미샤 홍보멘트[편집] ARS - SK telecom 011 고객센터 ARS - LG telecom Main 과 고객센터 ARS - 다이너스 카드 ARS - 한국 PSINet 영어교재, 영어만화, 영어 나레이션 다수 녹음 사랑의 소리 방송 사랑의 응접실 진행 주택은행 사내방송 영화음악실 진행 안내방송[편집] 대전도시철도1호선 전철 안내방송 (2006년 ~ 2018년) 서울교통공사 5~8호선 전철 안내방송 (2012년 ~ 2018년) SK텔레콤 고객센터 음성 ARS SK브로드밴드 고객센터 음성 ARS 라디오 드라마[편집] 소설극장 (KBS 3라디오) 2010.08.27 ~ 2010.10.05 F.스콧 피츠제럴드 <벤자민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해설) 연속낭독 (KBS 3라디오) 2008.07.23 ~ 2008.08.17 이영미 <광화문 연가> (낭독) 라디오 극장 (KBS 한민족 방송) 2010.05.01 ~ 2010.05.31 유재용 <사로잡힌 영혼> (해설) 2010.09.01 ~ 2010.09.30 오현종 <거룩한 속물들> (해설) 2011.04.01 ~ 2011.04.30 류영국 <소울음> (해설) 2013.06.01 ~ 2013.06.30 이도우 <사서함 110호의 우편물> (해설) 라디오 독서실 (KBS 2라디오) 2006.06.18 추민주 <빨래> (서나영) KBS 무대 (KBS 한민족 방송) 내게도 사랑이 빈가지 위에 눈꽃이 피다 라디오 프로그램(진행)[편집] 홍서범, 은영선의 가로수를 누비며 (KBS 2라디오) 맛있는 라디오 991, 은영선입니다! (국악방송) 은영선의 창호에 드린 햇살 (국악방송) 수상 경력[편집] 2010년 KBS 성우 연기대상 최우수 여자 연기상 외부 링크[편집] 한국방송 성우극회 은영선 소개 페이지 성우 은영선 다음 팬카페 <포에버§은영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은영선&oldid=24087849" 분류: 대한민국의 여자 성우197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1995년 데뷔행주 은씨광주광역시 출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2일 (월) 22:3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은영선(1972년 5월 10일 ~ )은 대한민국의 성우이다. 1995년 KBS 25기 공채 성우로 데뷔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은영선은 어떤 기업의 사내방송 영화음악실을 진행하고 있을까? Assistant: 주택은행 Human: 아래 공익광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공익광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공익광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공익 광고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공익광고(公益廣告)는 특정 상품의 선전이나 기업의 이미지 등을 나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공공의 이득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만들어지는 광고들의 총칭이다. 주로 사회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휴머니즘, 범국민성, 비영리성, 비정치성을 지향하고 있어, 직간접적으로 광고주의 이익을 도모하는 '공익성 광고'와 구별된다.[1] 상업광고와는 다르게 수신료로 운영되는 공영방송에서 편성할수 있다. 목차 1 각국의 공익광고 1.1 대한민국 1.2 일본 2 각주 3 외부 링크 각국의 공익광고[편집]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의 공익광고는 1981년 1월 22일 발족된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 코바코) 산하 기구인 공익광고협의회에서 제작을 담당하고 있으며, 법령[2]에 의거하여 일정 이상의 공익광고가 방송을 통해 편성되고 있다. 1년간 한국 국내에서 방송되는 공익광고의 주제 선정 및 홍보 대책 수립 및 전략의 모색 등의 자문 역할은, 방송광고진흥공사 내에 구성되는 기구인 공익광고협의회가 담당하고 있다. 이 모임은 1981년 8월 18일 구성된 '방송광고향상 자문위원회'에서 유래하며, 1983년 2월 7일 '공익광고향상 자문위원회'를 거쳐, 1988년 7월 1일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대외 광고의 명의로는 '방송광고향상협의회', '공익광고협의회' 등을 사용하여 왔다. 공익광고협의회는 광고학계, 방송계, 광고계, 시민 단체 등에서 지명되는 15명 내외의 인사로 구성되는 기구이다. 2002년 말 현재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에서 제작한 방송공익광고는 총 258편이며, 1981년 8월 18일 한국방송광고공사가 ‘방송광고향상자문위원회’를 구성하고 같은 해 12월 5일 '저축으로 풍요로운 내일을'이라는 내용의 광고를 낸 것이 그 시초이다.[1] 일본[편집] 일본에서는 민간 기구인 AC 재팬(AC, 일본광고기구라고 부른다)[3]이나 정부 광보, 일본 광고 심사기구(JARO), 방송윤리·프로그램향상기구(BPO) 등에서 나오는 CM 및 신문광고가 있다. 이런 광고들은 기업 광고를 내보내지 않는 NHK에서도 나오는 경우가 있다. AC 재팬에서 캠페인 주제를 선정하는 기준은 일곱 가지 이다. 첫째, 인간 존중의 정신을 제일로 생각한다. 둘째, 모든 시민에 관계된 중요한 공공적 과제여야 한다. 셋째, 실태를 파악할 수 있고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넷째, 비영리적, 비당파적, 비종교적으로 입법에 직접 영향을 미칠 의도가 없어야 한다. 다섯째, 광고라는 수단이 목적 달성에 유효해야 한다. 여섯째, 시민의 자발적인 운동을 촉진해야 한다. 일곱째, 구체적으로 표현이 가능하고 해결의 지침을 제시해야 한다. 각주[편집] ↑ 가 나 한국방송광고공사 홈페이지의 '공익광고' 부분에서에서 ↑ 방송법 제73조 4항: ④ 방송사업자 및 전광판방송사업자는 공공의 이익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제작된 비상업적 공익광고를 대통령령이 정하는 비율이상 편성하여야 한다. 방송법 시행령 제59조 2항의 1: ② 방송사업자 및 전광판방송사업자는 법 제73조제4항의 규정에 의하여 비상업적공익광고를 다음 각호에서 정하는 비율이상 편성하여야 한다. 1. 방송사업자 : 매주 전체방송시간의 100분의 1 이내에서 방송위원회가 고시하는 비율 ※ 2003년 방송위원회 고시 비상업적 공익광고의 의무편성비율 : 매주 전체 방송시간의 100분의 0.2이상 ↑ 원래는 '공공광고기구'였으나 '공공광고기구'라는 정부 기관을 연상시키는 이름에서 생겨나는 '공공광고기구는 정부 기관이다'라는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서 AC 재팬으로 개칭했다. 2009년, 명칭변경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공공광고기구'는 'AC 재팬'으로 (일본어) 외부 링크[편집] KOBACO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영어) Ad Council (미국) (일본어) AC 재팬 (일본) 전거 통제 LCCN: sh85001190 NDL: 00577258 이 글은 방송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공익광고&oldid=24196122" 분류: 공익광고광고숨은 분류: 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방송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فارسیעברית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PolskiRomânăРусский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21: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공익광고(公益廣告)는 특정 상품의 선전이나 기업의 이미지 등을 나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공공의 이득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만들어지는 광고들의 총칭이다. 주로 사회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휴머니즘, 범국민성, 비영리성, 비정치성을 지향하고 있어, 직간접적으로 광고주의 이익을 도모하는 '공익성 광고'와 구별된다. 상업광고와는 다르게 수신료로 운영되는 공영방송에서 편성할 수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AC 재팬에서 주제를 정하는 기준은 무엇일까? Assistant: AC 재팬에서 캠페인 주제를 선정하는 기준은 일곱 가지 이다. 첫째, 인간 존중의 정신을 제일로 생각한다. 둘째, 모든 시민에 관계된 중요한 공공적 과제여야 한다. 셋째, 실태를 파악할 수 있고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넷째, 비영리적, 비당파적, 비종교적으로 입법에 직접 영향을 미칠 의도가 없어야 한다. 다섯째, 광고라는 수단이 목적 달성에 유효해야 한다. 여섯째, 시민의 자발적인 운동을 촉진해야 한다. 일곱째, 구체적으로 표현이 가능하고 해결의 지침을 제시해야 한다.
Human: 아래 박성중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박성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성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박성중기본 정보국적 대한민국출생 1958년 8월 1일(1958-08-01) (60세)대한민국 경상남도 남해군 서면거주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학력 성균관대학교 도시행정학전공 행정학 박사경력 서울특별시 서초구청장 동국대 행정학과 겸임교수 군복무 육군 중위 전역종교 불교소속위원회 행정안전위원회의원 선수 1의원 대수 20정당 자유한국당지역구 서울 서초구 을 박성중(朴成重, 1958년 8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2016년 12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를 계기로 새누리당을 탈당하여[1] 바른정당에 입당했으나, '보수단일화를 통해 정권창출을 하기 위해' 2017년 5월 바른정당을 탈당했다.[2] 5월 12일 동반 탈당한 11명의 바른정당 탈당파 의원들과 함께 복당 절차가 완료되었다. 목차 1 학력 1.1 비학위 수료 2 경력 3 사건과 논란 3.1 사건 3.2 논란 3.2.1 교통경찰관에 대한 갑질 3.2.2 삼성전자 특혜 의혹 4 역대 선거 결과 5 각주 6 외부 링크 학력[편집] 중현초등학교 졸업 남해중학교 졸업 경남고등학교 졸업 성균관대학교 행정학 학사 육군보병학교 수료 육군포병학교 수료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성균관대학교 행정대학원 도시행정학과 박사 비학위 수료[편집] 일본 와세다 대학교 정치학연구소 연구원 연구과정 수료 경력[편집] 1979년: 제23회 행정고시 합격 1993년: 대통령 민정수석비서실 행정관 서울특별시 행정과장 대통령 행정비서실 행정관 1999년 ~ 2000년: 서울특별시 공보관 2003년: 서초구 부구청장 2004년: 서울디지털대학교 법무행정학부 겸임교수 2006년 7월 ~ 2010년 6월: 서초구청장 2011년 1월 ~ 2012년 1월: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랑의열매 사무총장 동국대학교 행정학과 겸임교수 대한민국 육군 학사장교 총동문회 회장 2012년 12월 ~: 미래도시연구소 소장 2016년 5월: 제20대 국회의원 (서울 서초구을/새누리당) 2016년 6월: 제20대 국회 전반기 안전행정위원회 위원 2016년 6월 ~ 2018년 5월: 제20대 국회 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2016년 7월 ~ 2018년 5월: 제20대 국회 저출산고령화대책특별위원회 위원 2016년 12월: 새누리당 원내부대표 2016년 12월 ~ 2018년 5월: 제20대 국회 국회운영위원회 위원 2017년 1월: 제20대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간사 2017년 1월 ~ 2017년 5월: 제20대 국회의원 (서울 서초구을/바른정당) 2017년 1월: 바른정당 원내부대표 2017년 5월 ~: 제20대 국회의원 (서울 서초구을/자유한국당) 2017년 7월 ~ 2018년 6월: 자유한국당 홍보본부장 2017년 7월 ~ 2018년 5월: 제20대 국회 전반기 행정안전위원회 위원 2017년 12월 ~ 2018년 2월: 자유한국당 지방선거기획위원회 위원 2018년 2월 ~ 2018년 5월: 자유한국당 지방선거총괄기획단 지방선거기획본부 홍보소위 위원 2018년 7월 ~ : 제20대 국회 후반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 2018년 12월 ~ : 제20대 국회 공공부문 채용비리 의혹과 관련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위원 2019년 7월 ~ : 자유한국당 미디어특별위원회 공동위원장 사건과 논란[편집] 사건[편집] 박성중은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이성규 부장검사)에 의해 2016년 치러진 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2016년 1∼2월 새누리당 경선과 관련해 선거구민 5명에게 전화를 걸어 실제로는 여론조사 2위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1위라는 취지의 발언을 하고 2∼4월 예비후보자 홍보물과 선거공보에 서초구청장 재직 시절 "우면동 연구개발(R&D)센터에 삼성전자 연구소를 유치했다"는 허위사실을 적시한 혐의로 불구속기소되었다. 박성중이 구청장으로 재직하던 2006년부터 2010년 기간 동안 연구개발센터는 용적률 240%, 건물높이 4~5층으로 개발이 제한되어 있어서 기업들의 연구소 건립을 유치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으면서도 삼성전자와 연구소 건립과 관련하여 투자에 관한 양해각서를 작성하거나 사전 협의 등 구체적 절차를 진행한 사실이 없었고 구청장에서 물러나고 1년이 훨씬 지난 2011년 8월 22일 국토교통부의 지구 실시계획 변경 승인으로 용적률 360% 건물 높이 10층이하로 규제가 완화되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1부(김도형 부장판사)는 선고공판에서 "피고인이 구청장 재직 중 삼성전자의 사장단과 협의를 실제 진행했던 점이 인정된다 구체적인 역할을 하지 않았다고 단정할 수 있는지 의문"이라고 하면서 허위의 여론조사 결과를 공표한 것에 대해서는 "통화한 당원들이 '통화 내용이 잘 기억나지 않지만, 박 의원이 여론조사 순위를 언급한 부분은 기억한다'는 등 모순되는 진술을 했던 점, 이들이 경쟁 상대였던 예비후보를 지지했던 점"을 근거로 하여 "피고인이 1∼2월 새누리당 서초을 후보 경선 과정에서 선거구 내 당원들에게 전화 통화를 했지만, 이 과정에서 여론조사 결과를 공표했다고 볼 만한 증거가 부족하다"며 무죄를 선고했다.[3] 서울고등법원 형사7부(김대웅 부장판사)는 항소심 선고공판에서 허위의 여론조사 결과 공표에 대해 "관련 증거를 모두 종합해도 피고인이 사인과 전화 통화를 하면서 여론조사 결과를 왜곡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하면서 삼성전자 연구소 유치에 대해서도 "피고인이 허위 사실을 공표했다거나 허위성이 있었다는 것이 합리적 의심 없이 해소됐다고 보기 어렵다"며 1심과 같은 무죄를 선고했고 대법원도 검사의 상고를 기각해 무죄를 확정했다.[4][5] 논란[편집] 교통경찰관에 대한 갑질[편집] 신호위반을 단속한 경찰관에게 이름을 물어보고는 경찰청 정보관에게 함정단속이라며 반발한 사건으로 인해 논란이 일고 있다.[6][7] 삼성전자 특혜 의혹[편집] 삼성전자 연구소 건립과 관련하여 허위사실공표로 기소되었으나 판결문에 의하면 "서초동 우면동에 삼성전자 연구소를 유치하는데 모종의 역할을 하지 않았다고 단정할 수 없다"는 이유로 무죄가 선고되었는데 그 노력에 의해 용적률을 완화하는 것이라면 삼성전자에 대한 특혜 일 수 밖에 없다.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 대수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지방 선거 6대 구청장 서울 서초구 한나라당 121,297 표 74.57% 1위 초선, 민선 4기 총선 20대 국회의원 서울 서초구 을 새누리당 55,666 표 46.82% 1위 초선 각주[편집]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2/21/2016122100789.html?Dep0=twitter&d=2016122100789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05020948001 ↑ 서울중앙지방법원2016고합957 ↑ 서울고등법원2016노3828 ↑ 대법원2017도13212 ↑ “불법 우회전 단속하다 '국회' 신분증 본 교통경찰이 한 말”. 《중앙일보》. 2017년 3월 30일. 2017년 3월 31일에 확인함.  ↑ '갑질'논란, 바른정당 박성중 의원, 교통신호 위반 단속 경찰관에 (2017년 3월 30일). “바른정당 박성중 의원, 교통신호 위반 단속 경찰관에 '갑질'논란”. 《서울경제》. 2017년 3월 3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박성중 - 대한민국헌정회 전임조남호 제6대 서울특별시 서초구청장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후임진익철 전 임 (서초구 갑)김회선(서초구 을)강석훈 제20대 국회의원(서울 서초구 을) 2016년 5월 30일 ~ 새누리당 → 무소속 → 바른정당 → 무소속 → 자유한국당 (서초구 갑)이혜훈 후 임 (현직)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박성중&oldid=24510445" 분류: 대한민국의 제20대 국회의원육군 학사장교 동문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대한민국 육군 중위홍준표동국대학교 교수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바른정당 당원자유한국당 당원1958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남해군 출신성균관대학교 동문육군보병학교 동문육군포병학교 동문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동문성균관대학교 행정대학원 동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20: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박성중(朴成重, 1958년 8월 1일~)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서초구청장에 당선되었다. 2016년 20대 총선에서 서초구 을 선거구에 당선되면서 원내에 진입했다. 2016년 12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를 계기로 새누리당을 탈당하여 바른정당에 입당했으나, '보수단일화를 통해 정권창출을 하기 위해' 2017년 5월 바른정당을 탈당했다. 5월 12일 동반 탈당한 11명의 바른정당 탈당파 의원들과 함께 복당 절차가 완료되었다. 2020년 21대 총선에서 재선에 성공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6년 새누리당 경선에서 여론조사 결과 2위였는데 1위라는 발언을 했던 정치인은 누구야? Assistant: 박성중 Human: 아래 시안_셴양_국제공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시안 셴양 국제공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시안 셴양 국제공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시안 셴양 국제공항西安咸阳国际机场Xi'an Xianyang International Airport 시안 셴양 국제공항 전경 IATA: XIY – ICAO: ZLXY 개요 지역 시안 위치 중화인민공화국 산시 성 시안 거점 항공사 중국동방항공 조이 에어 해발고도 1,895 m / 6,217 ft 좌표 북위 34° 26′ 49″ 동경 108° 45′ 05″ / 북위 34.44694° 동경 108.75139°  / 34.44694; 108.75139 웹사이트 http://www.xxia.com.cn/[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지도 XIY 활주로 방향 면적(m*m) ILS 표면 길이 폭 05R/23R 3,000 콘크리트 05L/23L 3,800 콘크리트 통계 (2011) 승객 21,163,130 시안 셴양 국제공항(중국어: 西安咸阳国际机场 Xī'ān Xiányáng Guójì Jīchǎng, IATA: XIY, ICAO: ZLXY)은 중화인민공화국 산시 성 시안 시 서북부의 셴양 시에 있는 공항이다. 면적 5km2로 중국 서북 지방에서 가장 큰 공항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서부 대개발로 여객 및 화물 수송이 급속이 증가하고 있다. 2002년에 중국서북항공이 중국동방항공에 합병되기 전까지 중국서북항공의 허브 공항에 속했다. 현재 국내선과 국제선 노선을 통틀어 79개 노선이 운항 중이다. 시안공항은 여객터미널의 경우 2터미널과 3터미널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으며 터미널에 따라 항공사 체크인 카운터가 달리 있으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목차 1 역사 2 운항 노선 2.1 국제선 2.2 국내선 3 각주 4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84년 국무원과 중앙 군사 위원회에서 공군의 함양 비행장 김병지에 대형 민간 공항 건설을 결정한다. 1987년 8월 : 제1기 공사 착공. 1991년 9월 : 하루 제1기 공사 완공, 개항, 동시에 시안 서관 공항은 폐쇄된다. 2000년 8월 : 제2기 공사 착공. 공사 비용의 일부는 엔화 차관으로 조달됐다. 2003년 9월 : 16일 제2기 공사 완성. 2007년 9월 : 12일 3년 가까이 폐쇄한 구 터미널이 제1터미널로 이용 재개. 중국 남방 항공 계열사(중국남방항공, 샤먼 항공, 쓰촨 항공, 충칭 항공)의 카운터는 제1터미널에 이전. 기타 항공사가 운행하는 국내선 및 국제선은 모두 제2터미널에서의 수속이 된다. 계획 단계에서는 연간 이착륙 횟수 10만회 연간 여객량 1000만명, 화물 물동량 13만톤을 전망한다. 2004년 연간 이착륙 횟수 77,655회(중국 국내 제9위)연간 여객량 6,362,409명(중국 국내 제9위), 물동량 73,368.8톤(중국 국내 제15위).(출처 참조) 운항 노선[편집] 국제선[편집] 항공사 도착지 중국동방항공 서울(인천)[1], 도쿄(나리타)[2], 오사카(간사이)[3], 나고야(주부)[4], 오키나와, 홍콩, 타이페이(도원), 방콕(수완나품)[5], 델리[6], 시드니[7], 싱가포르[8], 프랑크푸르트[9], 파리(샤를 드 골)[10], 하이난 항공 타이페이(도원), 로마(피우미치노), 도쿄(나리타), 파리(샤를 드 골), 시애틀[11] 쓰촨 항공 오사카(간사이) 심천항공 방콕(수완나품) 샤먼항공 싱가포르[12] 스프링 항공 오사카(간사이) 오케이 항공 방콕(수완나품) 대한항공 서울(인천) 아시아나항공 서울(인천) 에어부산 부산(김해) 진에어 제주 중화항공 타이페이(도원) 유니 항공 타이페이(도원) 캐세이 드래곤 항공 홍콩 일본항공 도쿄(나리타) 오리엔트 타이 항공 푸껫 타이 에어아시아 방콕(돈므앙) 에어아시아 X 쿠알라룸푸르 비엣제트 항공 냐짱 몰디브 항공 말레[13] 국내선[편집] 항공사 도착지 중국국제항공 베이징(서우두), 청두, 구이린, 항저우, 상하이(푸둥), 우루무치, 인촨 중국동방항공 베이징(서우두), 청두, 충칭, 다용, 구이린, 하이커우, 항저우, 쿤밍, 란저우, 라싸, 난창, 난징, 칭다오, 싼야, 상하이(푸둥), 선전, 우루무치, 우한, 우시, 인촨, 위린 중국남방항공 창사, 청두, 다롄, 광저우, 충칭, 항저우, 하얼빈, 지난, 칭다오, 싼야, 상하이(푸둥), 선양, 선전, 타이위안, 우루무치, 우한, 시닝, 인촨, 우이 쓰촨 항공 청두 샤먼 항공 창사, 충칭, 푸저우, 항저우, 난창, 톈진, 우한, 우이산, 인촨 하이난 항공 베이징(서우두), 창사, 청두, 충칭, 푸저우, 광저우, 구이양, 하이커우, 항저우, 쿤밍, 란저우, 난징, 칭다오, 싼야, 상하이(푸둥), 선전, 우루무치, 우한, 샤먼, 인촨 베이징 캐피탈 항공 싼야 군요 항공 상하이(훙차오) 럭키 항공 쿤밍, 우루무치 산둥 항공 지난 상하이 항공 자위관, 란저우, 상하이(푸둥), 시닝 선전 항공 광저우, 란저우, 난징, 선전, 시닝, 인촨 스프링 항공 상하이(푸둥), 선양 조이 에어 베이징(서우두), 광저우, 상하이(푸둥) 쿤팡 항공 창춘, 둔황, 푸저우, 하이라얼, 하이페이, 후허하오터, 황염, 자위관, 란저우, 린이, 만저우리, 난징, 난닝, 친황다오, 스좌장, 타이위안, 톈진, 우한, 우저우, 샹판, 옌타이, 인촨, 위린 각주[편집] ↑ 칭다오 류팅 국제공항 경유 ↑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 경유 ↑ 칭다오 류팅 국제공항 경유 ↑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 경유 ↑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 경유 ↑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 경유 ↑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 경유 ↑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 경유 ↑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 경유 ↑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 경유 ↑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 경유 ↑ 항저우 샤오산 국제공항경유 ↑ 돈므앙 국제공항경유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시안 셴양 국제공항 (중국어/영어) 공식 홈페이지 (영어) 시안 셴양 국제공항 기상 정보 - NOAA / NWS (영어) XIY / ZLXY 사고 역사 - 에비에이션 세이프티 네트워크 vdeh 중화인민공화국의 공항북부 지방 베이징 난위안 베이징 수도 스자좡 정딩 타이위안 우수 톈진 빈하이 후허하오터 바이타 북동 지방 다롄 저우수이쯔 무단장 하이랑 선양 타오셴 옌지 차오양촨 지시 싱카이 창춘 룽자 하얼빈 타이핑 동부 지방 난징 루커우 난창 창베이 닝보 리서 상하이 푸둥 상하이 훙차오 샤먼 가오치 수난 수우팡 양저우 타이저우 옌청 옌타이 펑라이 우이산 원저우 영창 웨이하이 다슈이보 이우 지난 야오창 창저우 번뉴 취안저우 진장 칭다오 류팅 푸저우 창러 항저우 샤오산 허페이 신차오 남부 중앙 지방 광저우 바이윈 구이린 량장 난닝 우수 마카오 선전 바오안 싼야 펑황 우한 톈허 이창 산시야 장자제 허화 정저우 신정 주하이 진완 지에양 창순 창사 황화 포산 사디 하이커우 메이란 헝양 난웨 홍콩 츠례자오 후이저우 핑탄 남서 지방 구이양 룽둥바오 라싸 공가 리장 싼야 시솽반나타 가사 아리 구사 주자이 황룡 청두 솽류 충칭 장베이 쿤밍 창수이 북서 지방 란자우 자오좡 시닝 차오자바오 시안 셴양 우루무치 디워푸 인촨 히동 카슈가르 계획공항 간난 샤허 나취 다그링 다롄 싱타이 다오청 야딩 더링허 런화이 마오타이 루구호 루이양 린펀 치얼리 베이징 다싱 사오관 구이투우 상라오 싼칭산 선눙자린 시옌 무당산 신양 밍간 싼밍 싼시안 오대산 우한 씬팡그 이춘 밍양시안 자거다치 자싱 장자커우 쭌이 신저우 청더 츠저우 주화산 친황다오 베이다이허 카이리 황핑 퉁화 싼야푼 푸윈 한중 청구 허츠 비제 헝양 난유 홍위안 후타구우 폐쇄된 공항 광저우 바이윈 파얀 시안 시구안 옌타이 라이산 창춘 다팡선 쿤밍 우자바 허페이 뤄강 홍콩 치더 중화민국의 공항은 제외., 굵은 글씨로 표기된 것은 국제공항이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시안_셴양_국제공항&oldid=24030291" 분류: 산시성 (섬서성)의 공항시안시의 건축물셴양시의 건축물시안시의 교통셴양시의 교통1991년 개항한 공항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ebuano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Bahasa Indonesia日本語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SvenskaไทยTürkçeاردو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4일 (일) 16:4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시안 셴양 국제공항(중국어: 西安咸阳国际机场, 병음: Xī'ān Xiányáng Guójì Jīchǎng, IATA: XIY, ICAO: ZLXY)은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 시안시 서북부의 셴양시에 있는 공항이다. 면적 5km2로 중국 서북 지방에서 가장 큰 공항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서부 대개발로 여객 및 화물 수송이 급속이 증가하고 있다. 2002년에 중국서북항공이 중국동방항공에 합병되기 전까지 중국서북항공의 허브 공항에 속했다. 현재 국내선과 국제선 노선을 통틀어 79개 노선이 운항 중이다. 시안공항은 여객터미널의 경우 2터미널과 3터미널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으며 터미널에 따라 항공사 체크인 카운터가 달리 있으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시안 셴양 국제공항의 연혁은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1984년 국무원과 중앙 군사 위원회에서 공군의 함양 비행장 김병지에 대형 민간 공항 건설을 결정한다. 1987년 8월 : 제1기 공사 착공. 1991년 9월 : 하루 제1기 공사 완공, 개항, 동시에 시안 서관 공항은 폐쇄된다. 2000년 8월 : 제2기 공사 착공. 공사 비용의 일부는 엔화 차관으로 조달됐다. 2003년 9월 : 16일 제2기 공사 완성. 2007년 9월 : 12일 3년 가까이 폐쇄한 구 터미널이 제1터미널로 이용 재개. 중국 남방 항공 계열사(중국남방항공, 샤먼 항공, 쓰촨 항공, 충칭 항공)의 카운터는 제1터미널에 이전. 기타 항공사가 운행하는 국내선 및 국제선은 모두 제2터미널에서의 수속이 된다.
Human: 아래 호구의_사랑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호구의 사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호구의 사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호구의 사랑hogoo of love 장르 코미디, 로맨스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tvN 방송 기간 2015년 2월 9일 ~ 2015년 3월 31일 방송 시간 월요일, 화요일 밤 11시 방송 횟수 16부작 원작 유현숙의 웹툰 《호구의 사랑》 기획 tvN 감독 표민수 제작자 엠아이㈜, 이정희 연출 표민수, 박찬율 극본 윤난중 출연자 유이, 최우식, 임슬옹, 이수경 외 음악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 언어 한국어 자막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호구의 사랑 공식 홈페이지 《호구의 사랑》은 2015년 2월 9일부터 2015년 3월 31일까지 tvN에서 방송된 코믹 로맨스 청춘 드라마이다.[1] 목차 1 줄거리 2 등장 인물 2.1 주요 인물 2.2 도도희의 주변인물 2.3 강호구의 주변인물 2.4 변강철의 주변인물 2.5 그외 인물들 2.6 특별출연 3 시청률 4 같이 보기 5 각주 6 외부 링크 줄거리[편집] 밀리고 당하는 대한민국 대표 호구 '강호구', 걸쭉한 입담의 국가대표 수영 여신 '도도희', 무패 신화의 에이스 잘난 놈 '변강철', 남자인 듯 여자 같은 밀당고수 '강호경'. 이들 4명의 호구남녀가 펼치는 갑을 로맨스 드라마.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최우식 : 강호구 역 유이 : 도도희 역 임슬옹 : 변강철 역 이수경 : 강호경 역 도도희의 주변인물[편집] 최덕문 : 소시민 역 강호구의 주변인물[편집] 정원중 : 강용무 역 박순천 : 김옥령 역 최재환 : 김태희 역 이시언 : 신청재 역 변강철의 주변인물[편집] 오영실 : 목경진 역 박지일 : 변강세 역 송지인 : 인공미 역 그외 인물들[편집] 김현준 : 노경우 역 하지영 : 리포터 역 한근섭 오희중 백민현 : 강호경에게 차이는 남자 역 이진권 : 만화책들고 도망가는 학생 역 강준 : 불량고교생 커플 남 역 원웅재 안수호 신영일 : 아나운서 역 노민상 : 감독 역 권병길 이윤상 장태민 김혜화 한여울 문제영 : 양이사 역 이주우 : 민지 역 이도연 : 한성실 역 홍승범 정강희 박지연 하다영 특별출연[편집] 이성민 : 오상식 역 장영남 : 아기엄마 역 도희 : 불량고교생 커플 여 역 시청률[편집] 최저 시청률과 최고 시청률은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5년 회차 방송일자 AGB 닐슨 시청률[2] 시청률 순위 종 합 드라마 제1회 2월 9일 1.076% 20 8 제2회 2월 10일 1.262% 9 5 제3회 2월 16일 0.780% 46 12 제4회 2월 17일 1.270% 7 4 제5회 2월 23일 0.772% 41 14 제6회 2월 24일 1.326% 8 5 제7회 3월 2일 0.889% 21 7 제8회 3월 3일 1.179% 15 제9회 3월 9일 1.029% 12 4 제10회 3월 10일 1.336% 11 7 제11회 3월 16일 0.840% 20 10 제12회 3월 17일 1.175% 10 6 제13회 3월 23일 0.914% 24 13 제14회 3월 24일 1.418% 4 3 제15회 3월 30일 0.858% 23 11 제16회 3월 31일 1.405% 6 3 평균 시청률 1.096% - - 같이 보기[편집] 웹툰을 원작으로 삼은 드라마 목록 각주[편집] ↑ 유이·최우식·박정민·이수경, '호구의 사랑' 확정..웹툰열풍 잇나 ↑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포털사이트 다음 외부 링크[편집] 호구의 사랑 - 공식 웹사이트 tvN 월화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일리있는 사랑(2014년 12월 1일 ~ 2015년 2월 3일) 호구의 사랑(2015년 2월 9일 ~ 2015년 3월 31일) 식샤를 합시다 2(2015년 4월 6일 ~ 2015년 6월 2일) vdeh 월화드라마2010년대 전반2011년 《로맨스가 필요해》 《버디버디》 《꽃미남 라면가게》 2012년 《닥치고 꽃미남 밴드》 《결혼의 꼼수》 《아이 러브 이태리》 《응답하라 1997》 2013년 《이웃집 꽃미남》 《나인: 아홉 번의 시간여행》 《연애조작단; 시라노》 《후아유》 《빠스껫 볼》 2014년 《스무살》 《로맨스가 필요해 3》 《마녀의 연애》 《고교처세왕》 《마이 시크릿 호텔》 《라이어 게임》 《일리있는 사랑》 2010년대 후반2015년 《호구의 사랑》 《식샤를 합시다 2》 《신분을 숨겨라》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14》 《풍선껌》 2016년 《치즈인더트랩》 《피리부는 사나이》 《또! 오해영》 《싸우자귀신아》 《혼술남녀》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15》 2017년 《내성적인 보스》 《그녀는 거짓말을 너무 사랑해》 《써클: 이어진 두 세계》 《하백의 신부 2017》 《아르곤》 《이번 생은 처음이라》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16》 2018년 《크로스》 《시를 잊은 그대에게》 《멈추고 싶은 순간 : 어바웃 타임》 《식샤를 합시다 3》 《백일의 낭군님》 《계룡선녀전》 2019년 《왕이 된 남자》 《사이코메트리 그녀석》 《어비스》 《60일, 지정생존자》 《유령을 잡아라!》 아침 | 월화 | 수목 | 금토 | 토일 | 불금불토 vdeh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현재와 예정)스케치 코미디 및인포테인먼트 《코미디빅리그》 《프리한 19》 리얼리티 쇼 《강식당2》 《고교급식왕》 《놀라운 토요일》 《서울메이트3》 《슈퍼히어러》 《신서유기7》 《씬의 퀴즈》 《유 퀴즈 온 더 블럭》 《짠내투어》 《플레이어》 《현지에서 먹힐까? - 미국 편》 토크 쇼 《곽승준의 쿨까당》 《문제적 남자》 《쇼! 오디오자키》 《수미네 반찬》 《어쩌다 어른》 드라마 월화 《60일, 지정생존자》 수목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www》 불금 《쌉니다 천리마마트》 토일 《아스달 연대기》 《드라마 스테이지》 다큐멘터리 《tvN 스페셜》 《리틀빅 히어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호구의_사랑&oldid=23678502" 분류: TvN 월화드라마2015년 드라마대한민국의 웹 만화의 텔레비전 드라마화 작품201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윤난중 시나리오 작품TvN의 심야 드라마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Bahasa IndonesiaItalianoBahasa Melayu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0일 (일) 19: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호구의 사랑》은 2015년 2월 9일부터 2015년 3월 31일까지 tvN에서 방송된 코믹 로맨스 청춘 드라마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5년 2월 9일에 방송된 호구의 사랑 1화는 시청률 조사에서 종합 몇 위를 하였는가? Assistant: 20 Human: 아래 성선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성선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성선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닌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성선임기본 정보본명 成膳任예명 ソニン출생 1983년 3월 10일(1983-03-10) (36세) 일본 고치현국적 대한민국직업 가수, 배우장르 J-Pop 웹사이트 선임 공식 웹사이트 성선임(成膳任, 일본어: ソニン 소닌[*],Sonim, 1983년 3월 10일~ )은 일본에서 활동하는 가수이자 배우이다. 일본 고치현 출신으로, 재일 한국인 3세이며 국적은 대한민국, 본적은 경상남도 거창이다.[1] 2000년 일본에서 연예계에 데뷔한 이후 현재까지 가수, 드라마, 영화, 연극, 뮤지컬, 버라이어티, 방송사회자등의 광범위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2006년부터는 한국 드라마 천국의 나무에 출연하고, 같은해 9월, 디지털싱글 후애(後愛)로 한국에 가수로 데뷔하였다. 최근에는 일본에서 뮤지컬 미스 사이공, 뮤지컬 렌트 등의 캐스팅으로 무대배우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다. 부모님이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는 사람이 되었으면' 하는 뜻으로 그녀에게 '선임'(膳任)이라는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일본에서 사용하는 예명 '소닌'(ソニン)은 '선임'이란 이름의 가타카나 표기이며, 일본 연예계에서 처음으로 자신의 한국이름 그대로 데뷔했다. 사진찍기와 과자만들기가 취미이며, 환경문제나 성소수자, 3세계 빈곤아동 문제에 관심이 많아 관련 행사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목차 1 출신학교 2 약력 2.1 EE JUMP 2.2 SONIM 3 음악 3.1 싱글 (EE JUMP) 3.2 싱글 (SONIM) 3.3 앨범 3.4 그외 음반 3.5 DVD 4 출연작품 4.1 연속극 드라마 4.2 단편 드라마 4.3 영화  4.4 연극/뮤지컬 4.5 TV(고정출연) 4.6 CF 5 수상,기록 6 각주 7 외부 링크 출신학교[편집] 시코쿠 조선초중급학교(四國朝鮮初中級學校) 고베 조선초중급학교(神戸朝鮮初中級学校) 고베 조선고급학교(神戸朝鮮高級学校) 도쿄 도립 신주쿠 야마부키 고등학교(東京都立新宿山吹高等学校) 편입 약력[편집] EE JUMP[편집] 1999년 업프론트사에 오디션을 받아 합격하지 못했지만,당시 심사위원이자 모닝구무스메의 매니저였던 와다 카오루(和田薫)가 그녀를 발탁, 와다 카오루가 업프론트에서 독립, 새로 만든 회사 Harmony Promotion에 소속되어 가수 트레이닝을 받았다. 2000년 10월18일 고토 마키(모닝구무스메 멤버)의 남동생 유우키와 함께 EE JUMP로 데뷔, 타이틀 곡은 「Love is Energy!」 2001년 3번째 싱글 「おっととっと夏だぜ!」는 오리콘 순위 5위를 기록, 다음 전개가 기대되었지만, 그 다음 싱글 발매 시기에 유우키가 무단실종 사건을 일으킨 뒤 근신하게 되고, EE JUMP의 활동도 잠시 쉰다. 이 사건을 계기로 잠시 「EE JUMP feauturing Sonim」 으로 솔로 활동을 했다. 2002년 2월 유우키가 복귀한 뒤, EE JUMP로서 활동을 재개, 싱글을 발표하며 EE JUMP의 첫 번째 앨범이 발표될 예정이었으나 4월, 유우키가 캬바쿠라(성인클럽)에 출입하는 것이 잡지에 발각되며, 이로 인해 유키는 탈퇴하며 EE JUMP의 첫 앨범은 발매 중지되고, 듀엣은 해체되었다. SONIM[편집] 2002년 8월 「카레라이스의 여자」로 솔로로 활동을 재개, 이듬해 2월, 제40회 골든애로우상 음악 신인상을 수상한다. 그 시기, TBS 「우타방」의 기획으로 솔로 1,2 싱글 출시와 맞물려「코우치~한국마라톤」「5만6천 개의 도미노 혼자 쌓기」등의 힘든 도전을 수행. 2003년 1월 TBS 드라마 「고교교사」를 통해 배우로서도 활동을 개시, 연기자로도 주목을 받기 시작. 6월6일~7월13일 선임 퍼스트 콘서트 투어「華」(전국 8개소 공연),같은 시기, 드라마 「元カレ」출연 2004년 1월 6,10,18일 선임 콘서트 투어 2004「ALIVE」(토쿄,아이치,오사카). 같은 시기, 메이저 음반사 토이즈팩토리와의 계약이 끝난 선임은 인디즈 레이블로 CD 발매를 위해 전국 100개소 게릴라 라이브를 같이 감행,「우타방」에서 해당 투어를 방송. 2월 인디즈레이블 첫 싱글,「ほんとはね。」발표. 같은 소속사 요리코의 커버곡. 이 싱글을 기점으로 EEJUMP 시절부터 함께해왔던 프로듀서 층쿠와도 결별을 하게 됨. 6~7월 선임 콘서트 투어 2004「うた」,같은시기, 드라마 TBS「동경만경」에서 재일교포 「이기향(노리카)」역으로 출연 7월「한일음악페스티벌」에서 한국에서 첫 공연. 데뷔할 때부터 한국에서 공연하고 싶다고 생각했던 꿈을 처음으로 실현. 9월 솔로 6번째 싱글,「직소퍼즐」에서 한국어로 포지션의 I LOVE YOU(원곡:오자키유타카)를 커버. 선임의 첫 번째 정식 한국어 곡 11월「8인의 여자들」로 연극 무대에 첫 데뷔. 2005년 1월 솔로7번째 싱글「あすなろ銀河」 발표, 5월 라이브에서 자신의 첫 작사작곡 노래를 발표. 7월 Tv Tokyo 드라마 「가장 어두운 것은 동 트기 전」에 주연으로 출연. 드라마 엔딩에 자신의 곡「小さな夜旅」사용 일본 웹사이트 JOCOSO 에 미니홈피를 개설하여 매일 사진과 함께 일기를 작성해오고 있음.(현재는 ameblo 블로그로 이전.) 당시, 소식을 듣고 많은 한국팬들이 방문하자 선임은 서툰 한국어로 한국팬들에게 인사글을 작성하기도 했다 영어교육방송 「GoGoEigo」에 레귤러 출연. 학생시절 전일본 학생 영어 스피치 경연대회에서 우승한 경력을 살림. 드라마 「여자의 일생」,「電車男 Special」출연 예능방송의 기획으로 일본 예능인 치어댄스부 주장으로 발탁. 2006년 1월 한국 드라마 SBS「천국의 나무」에 「미카」역으로 박신혜, 이완과 함께 출연, 일본 올로케로 나가노, 도쿄 등지에서 촬영했으며 드라마 공식 페이지의 메이킹필름에서 한국어로 팬들에게 인사를 건네기도 함. 크랭크 업 파티에서 많은 눈물을 흘렸다고 함. 3월 DVD영상집 「digi+KISHIN 선임」발매. 한복을 입고 동경시내를 달리는 장면이 화제가 됨. 6월 2003년 일본에서 발매되었던 만화책「소닌이야기」의 번역판이 한국에서 정식 출간. 9월 영화「백댄서즈!」가 공개, 4명의 주연 중 한 명으로 미혼모 댄서역할을 하며 연기력에서 호평. 9월 한국에서 처음으로 가수 데뷔. 타이틀 곡은 「후애(後愛)」-「카레라이스의 여자」 한국어 버전, 디지털 싱글로 발매. m.net mcountdown 무대로 라이브를 불렀고, 짧은 기간 한국에 방문해 잡지와 케이블방송등의 매체로 홍보활동을 함. 예능방송의 기획으로 일본 예능인 치어댄스부 주장 재임. 칸사이권 치어리더 대회 3위 입상. NHK 복지방송 「하트를 잇자」의 사회자로 출연 시작. 관련 방송에서 한글과 한문이 섞인 "人類다같해(다같아)"라는 문장을 붓글씨로 써서 보여줌. 2007년 1월 브로드웨이 뮤지컬 「스위니 토드」뮤지컬 첫 출연, 죠안나 역 5월 연극 「피의혼례」주연 , 「스위니 토드」와 「피의혼례」를 통해 매스컴에 무대 연기자로서 확실한 인정을 받기 시작. 9월 한국에서 HowL과의 듀엣곡 「사랑이야기」디지털 싱글 발표, 「사랑이야기」는 Glen Medeilos & Elsa의「Friends you give me a reason」을 커버한 곡. 11월 오사와 아카네(大沢あかね)와 스페셜유닛 「Tomboy」결성, 한국그룹 쥬얼리의 「SuperStar」를 커버한 싱글 발표 2008년 1월~2월 브로드웨이 뮤지컬 Dirty Rotten Scoundrels에 크리스틴 역으로 출연 7월~8월 세계 4대 뮤지컬 중 하나 「미스 사이공」에 주인공 킴 역으로 출연. 2009년 4월 Miss Sigon 종연 후, 기존 소속사 Harmony Promotion에서 NASA ENTERTAINMENT 로 이적. 10월~11월 연극「헨리-6세」에 잔다르크 역으로 출연. 3부작. 2010년 1월 영화「골든슬럼버」출연. 3월 5년만의 LIVE 콘서트「SONIM Cafe Vol.1」 4월 Japanese musical「戯伝写楽」출연. 6월 연극「away in the live」출연. 같은시기, 자신의 고향 코치현의 요사코이 마츠리에 자신이 직접 프로듀스한 팀으로 참가. 10월~12월 뮤지컬「RENT」출연 2011년 9월 24일 BS후지 드라마「P&G 판텐드라마스페셜2011・포르티시모 다시 만나는 날을 위하여」에서 오오니시 사츠키역으로 출연 5월~7월 연극「스위니 토드」출연 2012년 5월11일~13일「브로드 웨이 뮤지컬 라이브2012」출연 5월22일~7월10일 NHK 드라마10「첫사랑」에서 아오야마 치카역으로 출연중 가을 영화 「綱引いちゃった!」출연예정 10월~12월 뮤지컬「RENT」출연예정 음악[편집] 싱글 (EE JUMP)[편집] [LOVE IS ENERGY] (2000/10/18) - 오리콘 18위 2000년, EE JUMP라는 그룹의 일원으로 성선임은 첫 가수 데뷔를 하게 된다. [LOVE IS ENERGY]는 EE JUMP의 데뷔곡. 처음 데뷔했을 때부터 재일코리안임을 일본매스컴에 숨기지 않고 데뷔했다는 데 의의가 있는 싱글. 데뷔 초기에는 같은 그룹의 멤버 "고토유우키"가 "모닝구무스메"의 인기 아이돌 "고토마키"의 동생이라는 것이 화제가 되었다. [Hello!新しい私 / Hello!새로운 나] (2001/1/24) - 오리콘 17위 EE JUMP는 고토유우키로 화제가 되긴 했으나, CD자켓에 사진 비율로 그녀가 EE JUMP의 리더임을 전면적으로 부각시킨 싱글. 실질적으로 노래의 80%는 선임이 부르고 있으며, 유우키는 랩파트를 맡고 있었다. [おっととっと夏だぜ! / 아차차차 여름이다!] (2001/5/16) - 오리콘 5위 그녀가 EE JUMP로 낸 싱글 중 최고의 힛트곡, 발라드, 랩, 댄스, 엔카, 오페라의 장르를 불문하는 특이한 곡에, 코믹한 안무, 그리고 아크로바틱한 선임의 백점프(일본의 여자 가수 중 최초) 등이 화제가 되어 상위권에 랭크한다. JPOP의 기둥이라 할 수 있는 Southern all stars의 리더, 쿠와타 케이스케가 자신의 CF에서 응원해 준 곡이기도 하다. [イキナリズム / 이키나리즘] (2001/8/29) - 오리콘 14위 전작의 분위기와 인기를 이어서, 랩만 하던 유우키도 노래를 같이 하면서 특이한 안무와 분위기로 승부하려던 곡이었다. 유우키가 이벤트 전 무단 이탈로 유우키는 휴업을 하게 되고, 선임은 홀로 활동하게 되며 곡은 전작의 인기를 이어가지 못한 비운의 곡. 이키나리즘의 PV에는 선임이 한국 축구 대표 유니폼을 입고 출연하는 장면이 나온다. [WINTER~寒い季節の物語~ / WINTER~추운 계절의 이야기~](2001/11/28) - 오리콘 10위 EE JUMP유우키의 휴업 중 EE JUMP Featuring Sonim이라는 이름으로 낸 첫 솔로곡. PV는 -20도의 냉동고에서 촬영되었다고 한다. [青春のSUNRISE / 청춘의 SUNRISE] (2001/3/6) - 오리콘 12위 EE JUMP의 마지막 싱글, 유우키가 복귀하고 나서 의욕적으로 다시 낸 싱글이었지만, 싱글 발표 직후 얼마 후 유우키가 캬바쿠라를 출입하는 것이 파파라치 잡지, 프라이데이에 실려서 유우키는 스스로 탈퇴하고 EE JUMP는 공중분해 된다. 이 시기, EE JUMP의 첫 앨범,[EE JUMP COLLECTION 1]을 출시 준비 중이었으나 그것도 출시하지 못하게 되고 그 이전의 EE JUMP 싱글들도 모두 폐반이 되고 만다. 싱글 (SONIM)[편집] [カレーライスの女 / 카레라이스의 여자](2002/8/21) - 오리콘 8위 EE JUMP 해산 후의 첫 싱글, 이 싱글을 발표하기 전, 동료 멤버 유우키의 오명으로 TV 출연이 희미해지고, 음반을 준비하면서도 낼 수 있을지 잘 모르는 상태에서 그녀의 기획사는 두 가지 초강수를 두게 된다. 첫 번째는 가수를 지속하려는 의지를 보여 달라는 우타방의 기획 아래 자신의 고향 코우치에서 할아버지의 고향 한국 거창까지 570 킬로미터를 달리게 된 것이다. 두 번째는 당시 화제가 되었던 알몸에 에이프런 쟈켓과 프로모션 비디오. 보통의 여자 가수라면 손을 내저었을 두 가지 상황을 그녀는 다시 노래하기 위해 모두 하게 된다. c/w에는 미발매 앨범 [EE JUMP COLLECTION 1]에 수록될 곡이었던 선임의 솔로 악곡 “愛はもっとそうじゃなくて / 사랑은 좀 더 그렇지 않아서”가 수록되고 있다. [津輕海峽の女 / 츠가루 해협의 여자] (2002/11/20) - 오리콘 9위 c/w에는 미발매 앨범 「EE JUMP COLLECTION 1」에 수록될 곡이었던 「MISSING YOU」가 선임 Version으로 수록되고 있다. MISSING YOU의 랩은 츤쿠♂가, 코러스는 요리코(당시 같은 사무소였음)가 참가하고 있다. [東京ミッドナイトロンリネス / 동경 미드나잇 론리네스] (2003/4/16) - 오리콘 7위 마이크 스탠드 퍼포먼스로 화제가 된 곡. 프로모션 비디오로 타케후지의 유명한 CM(레오타드 모습의 여성 댄서가 춤춘다)을 패러디. c.w에는 [夏が來ない / 여름이 오지 않아] 수록 [合コン後のファミレスにて / 미팅후의 패밀리 레스토랑에서] (2003/10/8) - 오리콘 9위 토이즈 팩토리에서의 마지막 곡이자 포크송에 처음 도전한 곡, 아이돌에서 아티스트로 변화하는 느낌을 주고 있었다. c/w에는 미발매 앨범 「EE JUMP COLLECTION 1」에 수록될 곡이었던 [ADA BOY & DA GIRL]이 선임 Version으로 수록되고 있다. 이 시점에서 미발매 앨범 「EE JUMP COLLECTION 1」수록곡은 유우키의 솔로 악곡 [下町育ちの僕だから / 변두리 태생의 나이니까] 이 밖에는 모두 발표한 것이 된다. [ほんとはね。/ 사실은요] (2004/2/11) - 오리콘 12위 토이즈 팩토리에서 EE JUMP의 미발표곡 모두를 싱글로 낸 이후, 계약 연장이 이루어지지 않은 선임은 이 곡을 인디즈로 내놓게 된다. 우타방 기획의 일본 전국 100개소 라이브를 통해 곡을 홍보한 것이 화제가 되었다. ほんとはね。의 DVD를 수록. [ジグソ-パズル(직소퍼즐) / I LOVE YOU] (2004/9/15) - 오리콘 9위 싱글로서는 최초로 자켓에 c/w 곡의 제목을 동시에 표기해 발표한 음반 (I LOVE YOU 한국어 버전은 인디즈 데뷔 전부터 라이브에서 선을 보인 것이 팬들의 많은 요청에 의해 음반화 되었다고 한다.) 같은 사무소의 그룹, THETA가 만들고 선임 자신의 연주로는 처음으로 음반 기타 믹싱에 참여한 [직소퍼즐]과 오자키유타카가 만들고 포지션이 그것을 한국어로 리메이크한 [I LOVE YOU]를 Two top으로 발표. 특히 초저예산으로 장소의 변화 없이 기타 하나만 들고 찍은 I LOVE YOU의 PV는 그녀의 조국, 한국에서 커다란 가치로 받아들여졌다. 이 음반으로 아티스트적으로도 더욱 성숙한 모습을 보여줬으며, 팬들은 일본과 한국 양쪽에서 글로벌한 가수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 명반 중의 하나로 평가한다. [あすなろ銀河 / 아스나로 은하] (2005/1/13) - 오리콘 18위 스키마스잇치가 작사 작곡한 슬로우 발라드 곡, 아스나로 은하의 "아스나로"의 뜻은 "明日にはなろうだろー아스니와 나로우다로"의 줄임말로 "내일에는 이루어진다"라는 의미. 애니메이션 "피치걸"의 엔딩 테마로 쓰였다. 이 곡의 믹싱에서 그녀는 기타와 드럼을 직접 연주했다. 아스나로 은하의 프로모션 비디오는 총 러닝타임이 9분에 달하는 한국의 영화식 뮤비스타일을 채용. c/w 곡은 古内東子의 [誰より好きなのに / 누구보다 좋아하는데]를 커버. [小さな夜旅 / 작은 밤의 여행] (2005/9/14) 선임이 주역 중 하나로 출연한 Tv Tokyo의 심야 드라마, [가장 어두운 것은 새벽전]의 엔딩 테마로 쓰인 곡, 다운로드 한정 판매 형식의 디지털 싱글로 발매되었다. 작사 작곡은 스키마스잇치. [後愛 / 후애] (2006/9/25) 성선임의 한국 가수 데뷔 싱글, 일본에서 발표한 '카레라이스의 여자'를 한국어로 개사한 곡, CJmusic에서 다운로드 판매 형식의 디지털 싱글로 발매되었다. 이전에 한국 매스컴에서는 카타카나 표기 ソニン을 그대로 읽은 '소닌'으로 불리고 있었으나 데뷔 후 인터뷰에서 그녀는 기자의 '소닌씨' 라는 호칭에 "선임, 선임이에요." 라고 하며 자신의 정확한 이름을 말해주었다고 한다. 단 하나의 곡과, M.net의 Mcountdown의 단 한 번의 데뷔 무대 이후 다시 일본으로 돌아가야 했지만, 곡의 "날 잊지마"라는 가사는 언젠가 그녀가 또 다시 돌아올 날을 기약하는 듯한 느낌과 오버랩이 되고 있었다. 이 곡으로 그녀는 Jpop아티스트만이 아닌 Kpop아티스트의 범위까지 들어서게 된다. 앨범[편집] [華/하나] (2003/5/14) 츤쿠♂프로듀스에 의한 첫 앨범. EE JUMP 시대의 노래도 두 곡 포함. "팔리지 않으면 곤란합니다"라고 하는 충격적인 TV-CM도 화제가 되었다. 타이틀 「華」는 일본어로 "華"의 훈독이 '하나'이고 한국어로 "1"을 의미하는 "하나"와 음이 같다는 점에서 착안했다. "미팅 후의 패밀리 레스토랑에서" 전까지의 히트곡을 모은 Best격의 앨범. 앨범만의 수록곡으로는 好きな人だから, 國領, 奮起せよ!, 平凡的女子な条件, SEE YOU ! 그외 음반[편집] [Tribute to Avril Lavigne](2006/10/25) 일본의 가수들이 모여 만든 에이브릴 라빈의 트리뷰트 앨범 선임은「Anything but ordinary」를 노래했다. [HowL / 우리가 사랑했다면] (2007/9/19) HowL과 듀엣곡「사랑이야기」가 커플링곡으로 수록 녹음은 일본에서 진행되었다. 디지털 싱글로 발매. [tomboy / Superstar] (2007/11/14) 2007년 가을 오오사와 아카네와 스페셜유닛 tomboy를 결성, 한국의 쥬얼리가 부른 Superstar를 일본에서 리메이크하였다. 오오사와 아카네와 선임은 연예인 치어리더부에서 만난 뒤, 나중에 아카네로부터 "선임이 굉장히 열정적인 사람이기에, 같이 하고 싶다"라는 이야기를 들어, tomboy를 결성하게 되었다고 한다. tomboy라고 이름 짓게 된 것은 두 사람 다 성격이 "말괄량이" 같은 면이 있어 그것을 영어로 tomboy라고 짓게 되었다고. 노래에서 주목되는 것은 쥬얼리와는 다른 섹시한 분위기의 노래와 안무, 그리고 중간에 한국어로 선임이 나레이션을 하는 부분이 있다. DVD[편집] [ソニンコレクション / Sonim Collection] (2004/3/17) 토이즈팩토리 시절(EE JUMP 포함)의 프로모션 비디오 모음집 [digi+Kishin ソニン / digi+Kishin Sonim] (2006/3/1) 유명 사진 작가 "시노야마 키신"이 담아낸 선임의 2006년 영상화보집 "오로지 달린다"라는 것을 주제로 DVD 전체에 흐르는 내용은 은유적으로 그녀가 지내온 날들과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내용을 담아내고 있는 듯이 보인다. 치마저고리를 입고 동경시내를 달리는 장면이 유명. DVD에는 CD 등에서는 발표하지 않았던 선임의 곡이 두곡 수록되어 있다. 수록곡 [FRIENDS(한국어)], [あなたがくれた日び / 당신이 준 날들] 출연작품[편집] *표시는 DVD 발매 완료 연속극 드라마[편집] 고교교사*(高校敎師)(2003년, TBS) 옛 남자친구*(2003년,TBS) 동경만경*(2004년, 후지TV) 가장 어두운 것은 동트기 전*(2005년, 테레비 도쿄) 천국의 나무*(2006년, sbs) 사랑은 친가에서 싹틀 수 없어* (2006년, NETCINEMA 웹 드라마) Judge ~섬 재판관의 분투기~ (2007년, NHK) 4화 (게스트 출연) 고대소녀 도그짱 (2009년, MBS) 첫사랑 (2012년, NHK) 단편 드라마[편집] 천국에의 응원가 치어즈~치어리딩에 건 청춘~]*(2004년, 니혼테레비) 별에 소원을(2004년, NHK) 전차남 ~ 또 하나의 최종회 스페셜~* (2005년, 후지테레비) 3일 연속드라마・마지막편 악녀의 일생~연기와 결혼한 악녀 杉村春子의 생애~(2005년, 후지테레비) 전차남 디럭스 ~최후의 성전~ (2006년, 후지테레비) P&G 판텐드라마스페셜2011・포르티시모 다시 만나는 날을 위하여(2006년, BS후지) 영화 [편집] 아아!단독주택 프로레슬링*(2004년, 유바리국제 환타스틱 영화제 초대작품) 공중정원*(2005년 10월, 키네마순보 선정 올해의 영화 베스트10) 백댄서즈!*(2006년 9월, 개봉 첫주 일본 박스오피스 7위) 염신전대고온쟈(2008년 8월) 뱀에게 피어싱(2008년 9월) 골든슬럼버 (2010년 1월) 綱引いちゃった!(2012년 가을공개) 연극/뮤지컬[편집] 8인의 여자들(2004년) 스위니 토드(2007년) 피의 혼례(2007년) 나쁜녀석들(2008년) 미스사이공(2008년~2009년) 헨리 6세 (2009년) 戯伝写楽 (2010년) away in the live (2010년) RENT (2010년) 스위니 토드(2011년) 브로드웨이 뮤지컬 라이브2012(2012년) RENT (2012년 겨울예정) TV(고정출연)[편집] 笑う犬の冒険 -SILLY GO LUCKY!-(후지테레비) (2000년~2001년) GO!GO!EIGO!(BS후지) (2005년) 타케야마선생(테레비토쿄) (2006년~2007년) 하트를 잇자(NHK 교육 텔레비전) 사회자 (2006년~) 드림프레스사(TBS) (2006년~) こうたろ(요미우리 TV 방송) (2007년) Shibuya Deep A(NHK 위성 제2텔레비전) (2007년~2008년 3월) CF[편집] 코나미의 플레이스테이션2용 게임 '캐슬베니아' 일본롯데 서플리먼트 껌 'TE-A-TE' ECC 쥬니어 / 외국어 학원 에리에르 UFU 티슈 수상,기록[편집] 제13회 전국 고교생 영어 스피치 콘테스트 우승 제40회 골든애로우상 음악신인상 제36회 일본 TV 드라마 아카데미 신인배우상 1인도미노 일본신기록달성 칸사이권 단체치어리더 대회 3위 입상 각주[편집] ↑ “고국서 본격 활동 나선 재일교포 3세 가수 소닌”. 2014년 8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8월 2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SONIM 공식 웹사이트 (일본어) Ameblo 선임 블로그(2007.11.1 JOCOSO홈피에서 이전) (일본어) 선임 공식 트위터 한국 팬 카페 - 네이버 '선임이야기' 전거 통제 뮤직브레인즈: 6ca634bb-0f35-4dd8-b34b-e6f0500184c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성선임&oldid=23029289" 분류: 일본의 여자 가수일본의 여자 배우재일 한국인고치현 출신조선학교 출신198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창녕 성씨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FrançaisItaliano日本語Tagalog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5일 (목) 23: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성선임(成膳任, 일본어: ソニン 소닌[*],Sonim, 1983년 3월 10일~ )은 일본에서 활동하는 가수이자 배우이다. 일본 고치현 출신으로, 재일 한국인 3세이며 국적은 대한민국, 본적은 경상남도 거창이다.2000년 일본에서 연예계에 데뷔한 이후 현재까지 가수, 드라마, 영화, 연극, 뮤지컬, 버라이어티, 방송사회자등의 광범위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2006년부터는 한국 드라마 천국의 나무에 출연하고, 같은해 9월, 디지털싱글 후애(後愛)로 한국에 가수로 데뷔하였다. 최근에는 일본에서 뮤지컬 미스 사이공, 뮤지컬 렌트 등의 캐스팅으로 무대배우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다. 부모님이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는 사람이 되었으면' 하는 뜻으로 그녀에게 '선임'(膳任)이라는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일본에서 사용하는 예명 '소닌'(ソニン)은 '선임'이란 이름의 가타카나 표기이며, 일본 연예계에서 처음으로 자신의 한국 이름 그대로 데뷔했다. 사진 찍기와 과자 만들기가 취미이며, 환경문제나 성소수자, 3세계 빈곤아동 문제에 관심이 많아 관련 행사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재일한국인 성선임이 2006년 출연한 영화로 개봉 첫주 일본 박스 오피스 7위를 차지한 작품의 제목은 무엇일까? Assistant: 백댄서즈!
Human: 아래 쿠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쿠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쿠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쿠푸 지위 제2대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 재위 기원전 2589년 ~ 기원전 2566년 전임자 스네프루 후임자 제데프레 신상정보 배우자 헤누첸, 메리타테스 쿠푸(Khufu, 재위:기원전 2589년 ~ 기원전 2566년)는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이다.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유일하게 남아 있는 기자의 대피라미드의 건설자이다. 하지만 이런 거대한 유물을 남긴 쿠푸 자신의 유물로는 7.6cm의 작은 상 하나만 전해져 내려온다. 이름의 뜻은 "크눔으로부터 보호받다"이며, 그리스어로는 Χέωψ, 케오프스라고도 한다. 마네토의 연대기에는 수피스 1세로 되어있다. 목차 1 치세 2 대피라미드 2.1 대피라미드에 얽힌 전설 2.2 대피라미드 근처의 유적들 3 기타 유적 4 가족관계 5 참고문헌 6 외부 링크 치세[편집] 쿠푸는 선왕인 스네프루와 마찬가지로 시나이 반도 원정에 나섰다. 와디 마가라의 유적에는 쿠푸의 군대가 주둔하였다고 한다. 또한 남쪽 아스완에 있는 엘레판티네 섬에도 쿠푸 왕의 흔적을 보여주는 비석이 남아 있다. 대피라미드[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쿠푸의 대피라미드입니다. 기자에는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대피라미드가 서 있다. 이것은 바로 쿠푸의 작품이라는게 학계의 정설이다. 높이가 137.5m에 달해(건설 당시에는 146.6m) 지금까지 4천년 이상 세계에서 가장 높은 인공 건조물이었다. 쿠푸의 피라미드는 기자에 처음으로 위치한 피라미드이다. 그 이전의 파라오들은 다슈르와 사카라 등지에 피라미드를 조성했다. 쿠푸 이후 기자에 거대한 피라미드 단지가 조성된다. 대피라미드 대피라미드의 공사를 담당한 것은 건축가이자 쿠푸의 사촌인 헤몬이었다. 헤몬의 무덤도 대피라미드 근처에서 발견되었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건설기간은 20년이 걸렸다고 한다. 현대 기술로도 이 대피라미드의 건축방법을 정확히 알지 못한다. 경사로를 이용해 지었다는 가설이 있으나 현실성이 떨어지며, 헤로도토스가 설명한 것처럼 특별한 장치를 이용하여 네 면에서 동시에 블록을 쌓아 올리는 방식이 그나마 제일 신빙성이 있다. 쿠푸 파라오의 석관은 거대한 회랑을 따라 올라가면 피라미드의 핵심에 있는 방에 있다. 이 석관은 거대한 한 개의 화강암을 깎아 만든 것이다. 이미 선왕 스네프루의 시절에 한꺼번에 세 개의 피라미드를 만들 정도로 갖춰진 왕국의 강력한 경제력, 이집트 제 3왕조부터 이어진 평화, 이집트 북부와 남부에 걸친 쿠푸 왕의 활동, 수십만 이집트인들의 노력이 이러한 거대한 유적을 완성해 내었다. 이러한 이유로 쿠푸왕의 피라미드가 성립된 시기를 이집트 역사상 가장 평화로운 시기라고도 한다. 대피라미드에 얽힌 전설[편집] 발굴 된 나무 배 대피라미드의 규모가 워낙 거대하기에 이에 관한 전설도 전해져 내려온다. 대피라미드의 공사가 계속되자 쿠푸는 더 많은 자금을 모으기 위해 자신의 딸 한명(누구인지는 알려지지 않음)을 성매매를 하도록 하여 그 돈을 피라미드 공사비에 보탰다고 한다. 이때 이 공주는 화대 이외에 손님들에게 돌 한토막씩을 더 낼 것을 요구했고, 이것을 모아 자기 자신의 피라미드도 만들었다고 한다. 대피라미드 근처의 유적들[편집] 피라미드 근처에는 여러가지 추가적인 유적들이 발굴되었다. 동쪽 통로 근처에는 쿠푸의 어머니인 헤테프-헤레스 1세의 무덤이 발견되었고, 그 외에 왕비들의 피라미드 세 기가 발견되었다. 1954년에는 남쪽 면 근처에서 수천년 세월을 견딘 나무로 된 온전한 배 한척이 발견되었다. 기타 유적[편집] 대피라미드의 남쪽 면에서 발견된 배는 나무로 만들어진 것으로, 길이가 43m에 달했다. 30.8m의 구멍 안에 들어있던 것이 발굴되었는데, 옆에서도 유사한 배가 한 척 더(두 번째 배는 온전하지는 못하다) 발견되었다. 수천년의 시간을 지나면서도 배는 온전한 모습을 유지하여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고, 오랜 복원작업 끝에 1982년부터는 발견장소 바로 위에 세운 박물관에 전시하고 있다. 하지만 어떻게 수천년 세월동안 나무로 만들어진 배가 온전하게 남아있을 수 있는지, 이후에는 어떻게 보관할 것인지에 대해서 아직까지 명확한 해답은 없다. 가족관계[편집] 쿠푸의 이름이 찍혀진 장식품 부모 : 스네프루, 헤테프-헤레스 1세 생모를 알 수 없는 왕자들 왕자 제데프레 (제3대 파라오) 왕자 바네프레 공주 카메레르네브티 1세 왕비 헤누첸 왕자 카프레 (제4대 파라오) 왕자 쿠푸카에프 왕비 메리타테스 왕자 카와브 왕자 제데프호르 공주 메레산크 2세 공주 헤테프-헤레스 2세 해가 질 때의 피라미드 쿠푸의 또 다른 석상 쿠푸의 상형문자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쿠푸 참고문헌[편집] 피터 클레이턴(Peter Clayton) 저, 정영목 역, 《파라오의 역사》, 까치, 2004 외부 링크[편집] 네이버 캐스트 : 오늘의 인물 - 쿠푸 전임스네프루 제2대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기원전 2589년 ~ 기원전 2566년 후임제데프레 vdeh역대 고대 이집트의 군주이집트 원왕조 군주 티우 트헤쉬 흐세큐 와즈너 전갈왕 1세 이리-호르 세켐-카 전갈왕 2세 초기왕조 시대 군주 나르메르(메네스) 호르-아하 제르 카세켐위 고왕국 시대 군주 조세르 스네프루 쿠푸 카프레 멘카우레 사후레 페피 2세 중왕국 시대 군주 멘투호테프 2세 아메넴하트 1세 세누스레트 1세 세누스레트 3세 아메넴하트 3세 소벡네페루 신왕국 시대 군주 아흐모세 1세 하트솁수트 투트모세 3세 아멘호테프 3세 아크나톤 스멘크카레 네페르티티 투탕카멘 아이 호렘헤브 람세스 1세 세티 1세 람세스 2세 람세스 3세 기타 군주 카모세 셰숑크 1세 샤바카 프삼메티코스 1세 아흐모세 2세 넥타네보 1세 클레오파트라 7세 프톨레마이오스 13세 왕비 테티세리 아르모세 네페르타리 아흐모세 여왕 티예 네페르티티 안케세나멘 네페르타리 궁의 사무관 임호텝 웨니 에바나의 아흐모세 이네니 세네무트 레크미레 유야 마야 유니 마네토 포티누스 전거 통제 WorldCat VIAF: 79976596 LCCN: n80020531 ISNI: 0000 0004 4888 1660 GND: 118746227 NKC: ola200210066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쿠푸&oldid=24375677" 분류: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기원전 26세기 파라오숨은 분류: 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مصرى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ಕನ್ನಡ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Bahasa MelayuNederlandsNorsk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Тоҷикӣ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inarayYorùbá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4일 (화) 11:1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쿠푸(Khufu, 재위: 기원전 2589년 ~ 기원전 2566년)는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이다.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유일하게 남아 있는 기자의 대피라미드를 건설했지만 정작 이런 거대한 유물을 남긴 쿠푸 자신의 유물로는 7.6cm의 작은 상 하나만 전해져 내려온다. 이름의 뜻은 "크눔으로부터 보호받다"이며, 그리스어로는 Χέωψ, 케오프스라고도 한다. 마네토의 연대기에는 수피스 1세로 되어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쿠푸의 피라미드 이전에는 주로 어디에 피라미드를 세웠는가? Assistant: 다슈르와 사카라 등지 Human: 아래 비명을_찾아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비명을 찾아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비명을 찾아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비명을 찾아서. 경성, 쇼우와 62년 상권 표지작가 복거일원제 碑銘을 찾아서. 京城, 쇼우와 62년국가 대한민국언어 한국어장르 대체 역사출판사 문학과지성사 세이코 서점 출판일 1987년 3월 1일 1987년 10월미디어 유형 도서 《비명을 찾아서 : 경성, 쇼우와 62년(碑銘을 찾아서 : 京城, 쇼우와 62년)》은 대한민국의 소설가 복거일이 1987년에 발표한 장편 대체 역사 소설이다. 이 소설은 일본 제국 추밀원 의장이었던 이토 히로부미가 1909년 10월 26일 하얼빈에서 있었던 안중근 의사의 저격에서 부상만을 입었다는 가정으로부터 출발해,[1] 대체 역사 속 1980년대의 일본 제국을 배경으로 한다. 각 장의 앞에는 여러 매채들을 발췌한 형식으로 이루어진 문단이 있는데, 주제를 강화해 주는 격언들과 세계관을 설명해 주는 가상의 글들이 포함되어 있다. 작가는 본문과 가상의 글들을 통해 배경을 천천히 서술해 나간다. 또한 이 소설에는 국한문 병용과 작가 고유의 외국어 표기가 적용되어 있다. 목차 1 줄거리 2 등장 인물 2.1 언급된 인물 2.2 언급된 실존 인물 3 배경 3.1 대체 역사 3.2 조선 3.3 일본 3.4 세계 4 《2009 로스트 메모리즈》와의 설정 논란 5 각주 6 같이 보기 줄거리[편집] 기노시다 히데요(木下英世)는 노구찌(野口) 그룹 산하 한도우(半島) 경금속 주식회사 과장이자 시집도 낸 적이 있는 무명 시인이다. 히데요는 부장 승진에서 내지인에게 밀려 탈락된 이후, 조선인이 내지인에 비해 차별받는 것을 부당하게 여기게 된다. 히데요는 안중근의 이토 히로부미 사살과 그로 인한 조선의 독립을 가정한 대체 역사 소설 <도우꾜우, 쇼우와 61년의 겨울>을 접하며 일본에 대한 반감을 떠올리고, 일본의 금서 <독사수필>을 읽고 공식 역사에 의구심을 품게 된다. 마침 세이슈우의 큰아버지 댁을 방문하다 우연히 큰아버지로부터 죽산 박씨 족보를 보게 되고, 조선의 언어와 역사에 대해 듣게 되면서 조선인은 스사노오 노미꼬도의 자손이며 수천 년 전 일본의 징꼬우 황후가 조선을 정복했다는 공식 역사는 거짓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히데요는 집으로 오던 길에 세이슈우의 고서점에서 <조선 고시가선(朝鮮 古詩歌選)>을 구입하게 되고, 그 책에 실린 사이찌엥과 조우지조우의 시들을 읽고 조선의 언어와 역사에 대해 더 알아보기 시작한다. 조우다이(城大)의 도서관에서 <한불(韓佛) 사전>을 복사하고 1971년판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서 조선의 역사를 찾게 된다. 모또야마에 살던 장모가 사망하여 장례를 위해 안삥의 샤꾸오우지를 찾은 히데요는 절의 주지 소우고우(소공, 小空) 스님을 만나고 조선어를 아직까지도 기억하고 있던 소공 스님은 히데요에게 한용운의 <님의 침묵>을 조선어로 낭독한다. 소공 스님은 얼마 지나지 않아 열반하지만, 히데요는 한용운의 의발을 언젠가 다른 누군가에게 전해야 한다는 사명감을 가지게 된다. 회사에서 내지로 출장을 가게 된 히데요는 교토제국대학 도서관에서 삼국유사, 삼국사기 등의 조선의 옛 역사책들을 찾아내 복사하고 조선으로 돌아오나 그사이 일본에서 일어난 정변 이후 강화된 보안검색 때문에 가네우라 공항에서 입국 도중 발각되어 경찰에 체포된다. 고문과 심문을 번갈아 받던 그는 '전선사상보국연맹'의 하꾸야마에게 교육을 받고 연맹에 참가하게 된다. 그에게서 변절한 가야마 미쯔로우 선생의 이야기를 들은 히데요는 혼란을 느끼게 된다. 그렇지만 히데요는 석방 이후 조선 독립의 필연적 이유를 깨닫고, 언젠가 올 독립의 그 날을 위해 다음 사람이 올 때까지 기다리기로 결심한다. 하지만 그는 아내가 자신의 석방을 위해 아오끼 소좌에게 몸을 허락한 것을 알게 된다. 히데요는 아내의 생일에 그가 집으로 초대한 아오끼가 술에 취해 히데요의 중학생 딸 게이꼬를 성희롱하는 것을 보고 마침내 그를 낚싯줄로 교살한다. 결국 히데요는 집을 나와 명맥만 유지되는 상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찾아 떠난다. 등장 인물[편집] 기노시다 히데요(木下英世/박영세, 朴英世). 1987년 기준 39세. 게이조우 데이고꾸 대학 상학과 출신으로 만주에서 소좌로 전역한 후 노구찌 그룹 산하 한도우 경금속 주식회사의 과장으로 일하고 있다. 고향은 세이슈우이다. 부인 세쯔꼬와는 선을 통해 결혼했으며, 이 때문에 소설 내에서는 세쯔꼬보다 부하직원 도끼에에게 마음을 둔다. 기노시다 세쯔꼬(木下節子). 히데요의 부인으로, 모또야마의 명가 출신이다. 결혼 전 성은 리노이에(李家)이다. 기노시다 게이꼬(木下惠子). 히데요와 세쯔꼬의 외동딸로, 중학교 3학년이다. 기노시다 헤이따로우(木下平太郞/박원신, 朴元信). 히데요의 큰아버지로, 세이슈우에 거주한다. 세이슈우로 내려온 히데요에게 조선의 언어와 역사에 대해 들려준다. 시마즈 도끼에(島津時技). 한도우 경금속 직원. 히데요의 직속 부하로, 시마즈 요시히로의 직계 후손인 화족이다. 히데요를 짝사랑하나 에릭 앤더슨과 결혼한다. 에릭 앤더슨. 스웨덴계 미국인. 한도우 경금속과의 합작 투자 대상인 미국 기업 '유사라무'의 직원. 도끼에와의 결혼 이후 유럽으로 부임한다. 야마시다 소우따로우(山下曾太郞). 한도우 경금속 과장으로, 히데요의 경쟁자이다. 오사카 대학 출신으로 입사도 늦었으나, 내지인이라는 이점과 군부 요직의 외삼촌 덕분에 히데요 대신 부장으로 진급한다. 아오끼 류우사부로우(靑木龍三郞) 소좌. 보안대 소속의 헌병 소좌. 세쯔꼬의 후배인 아오끼 리에(靑木李技)의 남편으로, 세쯔꼬를 농락하고 게이꼬를 성희롱하다 히데요에게 살해당한다. 소우고우(소공, 小共) 스님. 샤꾸오우지의 주지. 한용운의 의발의 두 번째 계승자로, 한시에 능하며 히데요에게 <님의 침묵>을 조선어로 낭독해 주고 한용운의 의발을 전수한다. 하꾸야마 마사오미(白山正臣). 조선 평론가 협회 간사이자 전선사상보국연맹 회원이자, 히데요의 '갱생교육' 강사이다. 본래 촉망받던 평론가이나, 일본에서 열린 학회에서 가야마 미쯔로우의 소설 원본을 발견하여 처음 조선의 존재를 알게 된 후 독립운동을 시도하고, 고문을 받고 전향한다. 언급된 인물[편집] 사노 히사이찌(佐藤久一). 도쿄제국대학 교수이자 <독사수필>의 저자. 1987년 쿠데타 이후 체포된다. 도우고우 노부오(東郷展男). 해군 출신의 조선 총독. 아베 하루노리(阿部治憲). 소설의 시작 시점의 일본 수상.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전쟁 실패와 민주화 운동 진압 실패의 책임을 물어 사퇴한다. 사또우 게이스께(佐藤圭介). 아베 총리 후임으로 들어선 공군 예비역 대장 출신 수상. 공군이 조각한 내각이나 결국 육군의 쿠데타에 무너진다. 이후 연금된 것으로 추정된다. 아라끼 마사야스(荒木昌保) 중장. 사또우 내각을 뒤엎은 쿠데타의 주역인 육군 중장으로 쿠데타 당시 보직은 수도군단장. 처음에는 히또쯔바시 대장을 내세우나 자신이 전면에 나서 수상이 된다. 히또쯔바시 히로모또(一橋廣元) 대장. 육군 참모차장으로서 아라끼의 쿠데타를 묵인하는 대가로 호국군사위원회 위원장이 되나 아라끼에 의해 제거된다. 언급된 실존 인물[편집] 이또우 히로부미. 안중근의 암살 미수 이후 16년을 더 생존하며, 자서전으로 <북정(北政)>을 저술한다. 암살 미수 이후 대륙 진출 이전에 조선에 대한 통치를 강화해야 한다고 판단하고 초대 조선 총독으로서 '조선의 내지화 정책'을 추진한다. 1925년로 사망. 야마모또 이소로꾸. 회고록 <해풍(海風)>을 저술한다.[2][3] 도우조우 히데끼. 1941년 쿠데타로 집권한 이후, 1950년대~1960년대의 '쇼우와 유신'으로 18년간 군부 통치를 행한다. 웬델 윌키. 1940년에 미국 대통령에 당선된다. 존 피츠제럴드 케네디. 1970년 당시 미국 대통령으로서 일본 의회에서 연설한다. 미시마 유끼오. 1986년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다.[4][5] 가야마 미쯔로우. 조선의 대문호. <흙>, <단종애사>, <마의태자> 등을 17세기 몽골의 가상의 왕조인 항해왕조 연작으로 개작한다.[6] 오까모또 미노루. 조선인 출신으로는 유일하게 육군 대장 직위에 오르며, 대장 진급 직후 퇴역한다.[7] 빅토르 그리신. 소설 후반 시점의 소련 서기장. 이 목록은 아직 미완성입니다. 여러분이 편집하여 채워 주세요. 배경[편집] 비명을 찾아서에서의 1987년(쇼와 62년)의 아시아 지도      소련      몽골      만주국 (일본 제국의 괴뢰국)      일본 제국      중화인민공화국 (소련의 괴뢰국)      중화민국 (일본 제국의 괴뢰국)      대한민국 임시정부 (상해)      필리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태국      인도 제국      네팔      부탄 시간적 배경은 책이 집필된 것과 같은 시기인 1987년(쇼와 62년)이다. 소설은 이토 히로부미가 안중근의 암살 기도에서 부상만을 입었고, 그 뒤에도 16년을 더 생존했다는 대체 역사적 가정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토 히로부미는 일본 정계에 있어 온건파의 구심점이었고, 군국주의 세력을 억제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그의 생존은 다이쇼 시대의 일본 정국과 동북아시아의 정세, 전 세계 역사의 전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대체 역사[편집] 1910년 한국을 합병한 일본은 조선에 대한 통치를 강화해 1920년대 초반까지 조선을 대륙 진출의 전진 기지로 만든다. 1920년대 후반부터 1930년대 초반까지는 내각과 군부 사이 협조 속에서 국제 여론을 무마해가면서 만주를 세력권 안에 넣는다. 1940년대 초반에는 미국으로부터 '만주국 문제'에 대한 양해를 얻는 데 성공해 동북아시아에서 지도적 위치를 구축하고,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미국과 영국에 우호적인 중립을 지켜 큰 번영을 누린다.[8] 조선[편집] 조선은 조선총독부에 의해 통치된다. 조선 총독은 현역 또는 예비역 육군, 해군, 공군 대장만이 될 수 있으며, 일본 내에서 수상 다음의 지위를 차지하여 수상으로 가는 정치적 능력의 시험대로 여겨진다.[9] 총독 관저는 지신다이(慈信臺)라 불린다. 이토 히로부미 초대 총독에 의해 추진된 '조선의 내지화 정책'은 역대 총독들에 의해 계승되어, 조선은 일본에 완전히 동화된다. 조선총독부에 의해 강력히 추진된 '국어 상용 운동'으로 조선어는 1940년대 말까지 한반도에서 완전히 사라진다. 조선 역사 왜곡 작업과 '비국어 서적 폐기 정책'에 의해 조선의 역사도 말살된다. 1980년대의 조선인들은 대부분 충량한 황국 신민이 되고, 압제와 모멸에도 불구하고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라는 사실조차 모르고 있다.[10] 역사책에서도 징꼬우 황후의 조선 정벌 이후로 조선에 대한 언급은 없으며, 조선인의 기원은 스사노오 노미꼬도라고 교육된다. 조선사에 대한 책들은 모두 교토제국대학으로 옮겨지며, 족보의 제작과 소유 또한 출판사업법과 치안유지법에 저촉된다. 조선의 인구는 약 5천만 명이며, 빈부 격차는 대단히 크다. 조선총독부는 내지의 공해산업을 조선으로 유치하고, '조선 환경 보전 공사'를 통해 헤이안호꾸도우 산지나 가이바 고원 등의 오지에 매립지를 만들며, '신생활 운동'으로 재개발이 이루어지고, 도우요우 다꾸쇼꾸(東洋拓殖)가 센스이왕 간척 사업을 주도한다. 조선 최대의 도시 게이조우는 인구 약 3백만 명, 면적은 도쿄의 1/4이며, 1992년 하계 올림픽이 게이조우에서 열릴 예정이다. 후요에는 징고우, 게이조우에는 야스꾸니 진자(靖國神社)가 지어져 있다.[11] 1956년의 제국의원법 개정 이후 조선에서 15인의 칙선 귀족원 의원과 각 도부군협의회에서 3인씩 선출되는 45인의 중의원 의원을 선출하고 있다.[12] 상해에 위치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17년 고종 승하와 '정사년 만세 운동' 이후 설립된다. 하지만 일본과 미국이 '만주국 문제'에 대해 타협점을 찾은 이후 몰락하여 테러리즘으로 명맥을 유지하다가 1973년 상해 중산 국제공항에서 '일본 제국 항공사' 여객기에 대한 공격으로 수뇌들이 체포되고, 현재는 소속 인원도 중국 태생의 조선인들뿐이다.[13] 현실 비명을 찾아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안변 (Anbyŏn) 안삥(安邊) (Anpin) 장진 (Changjin) 나가즈(長津) (Nagazu) 추가령 (Chugaryong) 슈우카레이(楸哥嶺) (Shukarei) 해주 (Haeju) 까이슈(海州) (Kaishu) 함흥 (Hamhŭng) 교우난(興南) (Kyonan) 함경남도 (Hamgyŏngnam-do) 강꾜우난도우(咸鏡南道) (Kankyonan-do) 허천 (Hŏchŏn) 고가와(虚川) (Kogawa) 정주 (Jŏngju) 조우슈우(定州) (Joshu) 개마고원 (Kaema Plateau) 가이바 고원(蓋馬高原) (Kaiba Plateau) 길주 (Kilju) 기쯔슈우(吉州) (Kitsushu) 고원 (Kowŏn) 다카하라(高原) (Takahara) 금야 (Kŭmya) 에이교우(英興) (Eigyo) 온성 (Onsŏng) 낭요우(南陽) (Nanyo) 백두산 (Paektu-san) 하쿠도우상(白頭山) (Hakudo-san) 평양 (Pyongyang) 헤이조우(平壌) (Heijo) 평안북도 (P'yŏng'anbuk-do) 헤이안호꾸도우(平安北道) (Heianhoku-do) 낭림산맥 (Rangrim Mountains) 로우링 산맥 狼林山脈) (Rorin Mountains) 삼방협 (Sambang-yong) 산보우교우(三防峽) (Sanbokyo) 신의주 (Sinŭiju) 신기슈우(新義州) (Shingishu) 석왕사 (Sogwangsa) 샤꾸오우지(釋王寺) (Shakuohji) 원산 (Wŏnsan) 모토야마(元山) (Motoyama) 대한민국 안동 (Andong) 안도우(安東) (Ando) 봉황산 (Bonghwang-san) 호우오우상(鳳凰山) (Houou-san) 북악산 (Bugak-san) 게이호쿠상(京北山) (Keihoku-san) 부산 (Busan) 가마야마(釜山) (Kamayama) 부여 (Buyeo) 후요(扶餘) (Fuyo) 청주 (Cheongju) 세이슈우(清州) (Seishu) 천수만 (Cheonsuman) 센스이왕(淺水灣) (Sensuiwan) 충청북도 (Chungcheongbuk-do) 쭈우쇼우호쿠도우(忠清北道) (Choshohoku-do) 충청남도 (Chungcheongnam-do) 쭈우쇼우난도우(忠清南道) (Chushonan-do) 충주 (Chungju) 쭈우슈우(忠州) (Chushu) 충무로 (Chungmuro) 혼마찌(本町) (Hon-machi) 도화동 (Dohwa-dong) 도우카마찌(桃花町) (Toka-machi) 동두천 (Dongducheon) 토우도우가와(東豆川) (Todogawa) 김포국제공항 (Gimpo International Airport) 가네우라 공항(金浦空港) (Kaneura Airport) 광흥창 (Gwangheung-chang) 오오꾸라마찌(大倉町) (Okura-machi) 경부선 (Gyeongbu Line) 게이가마 선(京釜線) (Keigama Line) 경원선 (Gyeongwon Line) 게이모또 선(京元線) (Keimoto Line) 한강 (Hangang) 강가와(漢川) (Kangawa) 한남동 (Hannam-dong) 간남마치(漢南町) (Kannan-machi) 흥인지문 (Heunginjimun) 도우다이몬(東大門) (Todaimon) 홍성 (Hongseong) 고우조우(洪城) (Kojo) 전라도 (Jeolla-do) 젤라도우(全羅道) (Zenra-do) 전주 (Jeonju) 젠슈우(全州) (Zenshu) 진해 (Jinhae) 찡까이(鎮海) (Chinkai) 조치원 (Jochiwon) 조우치엥(鳥致院) (Chochiin) 중림동 (Jungnim-dong) 만리마찌(萬里町) (Manri-machi) 마포구 (Mapo-gu) 아사우라구(麻浦區) (Asaura-ku) 마산 (Masan) 우마야마(馬山) (Umayama) 목포 (Mokpo) 보쿠우라(木浦) (Bokuura) 명동 (Myeong-dong) 메이지마찌(明治町) (Meiji-machi) 남산 (Namsan) 게이난상(京南山) (Keinansan) 사당동 (Sadang-dong) 도우자꾸마찌(銅雀町) (Dozaku-machi) 삼청동 (Samcheong-dong) 미기요마찌(三淸町) (Migiyo-machi) 서울 (Seoul) 게이조우(京城) (Keijo) 서울역 (Seoul Station) 게이조우 역(京城驛) (Keijo Station) 소요산 (Soyo-san) 쇼우요우상(逍遥山) (Shoyo-san) 숭례문 (Sungnyemun) 난다이몬(南大門) (Nandaimon) 수원 (Suwon) 미즈하라(水原) (Mizuhara) 원남동 (Wonnam-dong) 엔난마찌(苑南町) (Ennan-machi) 양화대교 (Yanghwa Bridge) 다이니강가와바시(第二漢川橋) (Dai-ni-kangawa-bashi) 영등포구 (Yeongdeungpo-gu) 에이도우라구(永登浦區) (Eidoura-ku) 용산구 (Yongsan-gu) 류우야마구(龍山區) (Ryuyama-ku) 일본[편집] 일본 제국은 모든 면에서 미국과 소련에 이어 세계 제3위의 강대국 지위를 누린다. 일본의 영토는 만주 사변 직후의 판도와 흡사하다. 가라후토와 치시마 열도를 포함하는 일본 본토와 함께 조선총독부와 대만총독부를 통치하고 있고, 요동 반도의 관동주, 산동 반도의 교주만을 조차지로 가지며, 국제연맹에 의해 남양 군도를 위임통치하고 있다. 만주국은 일본의 괴뢰국이며, 일본에 의해 국제 사회에서 인정받는다. 일본은 내지의 고급 인력과 자본, 조선의 노동력, 만주국의 자원을 결합하여 아우타르키를 형성하고 있으며, 일본과 만주국을 합하면 경제적으로는 소련을 앞서고 있다. 일본은 국내적으로 온건파 정권 이후 도우조우 히데끼가 1950~1960년대에 18년 동안 집권하고 쇼우와 유신 체제를 수립하며, 이후 육군, 해군, 공군 대장이 수상을 역임하는 통제 사회가 유지되고 있다. 국가보위법, 치안유지법, 방공법 등을 통해 국민들의 자유는 제한되어 있다. 황국신민증과 신민 번호를 전 국민에게 발급한다. 극장에서는 국가 연주와 제국 소식 상영이 이루어진다.[14] 수상 직속의 국가보안처와 황군특무사령부는 사회 각계에 영향력이 있다. 일본의 총 병력 규모는 약 240만이며, 자국산 탄도미사일과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다. 육군, 해군, 공군이 군부의 세 축을 이루며, 공군은 해군 항공대 중심으로 발달해 1947년에 해군에서 분리된다. 1951년 4월 '군부대신 현역 무관제' 부활으로 육군대신, 해군대신, 공군대신 자리에는 현역 중장 또는 대장을 임명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를 이용해 군부가 내각을 붕괴시킬 수 있다. 군부의 정치적 영향력이 커 1973년에는 '8·15 사건', 1987년에는 '7·31 궐기'가 발생하며, 부패가 심해 해군이나 공군의 수뇌들이 뇌물을 받기도 한다. 정치적 야심을 가진 젊은이들은 육군사관학교나 해군병학교로 가고 있으며, 정부에서는 퇴역 군인들에게 고위 경찰직이나 기업 요직을 알선해 주고 있다. 1932년 만주 사변이 발생하고 1933년 만주국이 수립된 이후에도 일본은 중국과 분쟁을 겪고 있다. 62사단 120만 병력을 보유한 관동군은 만주 일대에서 중화인민공화국, 몽골인민공화국, 소련과 대치하고 있지만, 중화인민공화국의 유격전에 고전하고 있다. 일본은 1938년에 중화민국과의 전투, 1939년에 노몬한 전투, 1960년대에 소련과의 '흑하 사건'과 '기건 사건', 1985년부터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찰합이성 전투에 처한다. 전시 체제가 유지되고 있어 연간 120시간의 예비군 훈련, 달마다 방공 훈련이 이루어진다. 국민정신총력연맹, 신생활운동본부, 국민의용대, 청년특별연성대, 애국반상회, 그리고 위안부로서의 데이신다이가 운영되고 있다. 만주국은 선통제 이후 제2대 후강희제가 왕조를 계승하고 있으며, 일본, 독일, 교황청, 이탈리아, 미국 등 53개국으로부터 승인받는다. 하지만 국내적으로는 '중국 해방 통일 전선' 등의 지하 조직들이 뻗어나가 경찰서와 일본 영사관에 테러 공격이 발생하고 있으며, 만주국의 대학생들에게서는 신경대학교를 중심으로 하여 좌익 계열의 중국 통일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세계[편집] 세계는 미국과 소련 중심의 냉전 체제이나, 일본, 영국, 프랑스 등의 식민 제국들은 아직도 건재하다. 국제 연맹이 유지되고 있으며, 일본은 1940년에 미국과 함께 국제 연맹에 재가입하고, 소련도 재가입하게 된다. 상임이사국에는 미국, 소련, 영국, 프랑스, 일본이 올라 있다. 미일 관계는 항상 우호적이며, 도우조우 히데끼가 미국 의회에서, 존 F. 케네디가 일본 의회에서 연설하기도 한다. 미국은 일본 - 만주국 - 중화민국 -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연결하여 소련과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항하는 전략을 위해 중화민국과 일본의 화해를 종용하며 미국, 일본, 중화민국의 연합을 추진하고 있다.[15] 이에 따라 중화민국은 만주국을 승인하게 된다. 소련은 식민 제국들에게 강경한 입장을 보이며 중화인민공화국과 연합하고, 현재는 빅토르 그리신이 소련 서기장에 올라 있다. 국제 연맹의 확대로 인해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침공과 독일의 오스트리아 병합, 스페인 내전 종결은 1940년으로 늦춰지게 되며, 194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웬델 윌키가 당선된다.[16] 독일은 1942년에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키나 1947년 미국의 드레스덴, 브레멘 원자폭탄 투하와 함께 패전한 후 점령국 미국의 도움으로 전후 복구에 성공해 강대국으로 부상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이 분할 점령한 폴란드와 수도 바르샤바는 동서로 분단된다.[17] 스페인은 군사 독재가 유지되고 있다. 식민 제국들의 식민 지배가 계속되면서 일부 식민지들은 종주국에 너무 동화되거나 경제적, 문화적으로 종속되어, 식민지 주민들이 자신들의 독립을 원하지 않는 지경에 이른다. 이러한 식민지들로는 영국의 로디지아와 나이지리아, 프랑스의 코친차이나와 세네갈, 벨기에의 콩고, 포르투갈의 동아프리카, 소련의 리투아니아·라트비아·에스토니아, 일본의 조선 등이 있다.[18]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북부에서는 베트민과 프랑스 간의 전투가 벌어지고 있으며, 국제 연맹의 중재로 프랑스와 베트민이 제네바에서 휴전 협상을 진행한다. 중국에서는 제2차 국공 합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국민당의 공산당 토벌로 1936년 모택동, 주은래, 주덕 등 핵심 간부진이 연안에서 전사해 공산당은 와해되나, 1940년 유소기가 다시 공산당을 재건하여 소련의 지원을 받아 1950년 11월 신강성을 거점으로 '신강 소비에트'를 수립하여 화북 지역으로 세력을 확대하기 시작하여 1952년에는 신강성의 태반과 감숙성 북부를 차지하게 되고, 1953년 4월 내란을 선언한 국민당 정부는 장개석의 실정으로 인해 몰락한다. 공산당의 '토지 개혁 선언'으로 전세는 반전되어 1956년 2월 공산당이 북경과 천진을 점령하고 3월에는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하지만, 황하 남쪽에서 전쟁이 벌어지면 일본군이 개입하겠다고 선언한 일본의 '도우조우 선언'이 발표되자, 1956년 7월 정주에서 이종인과 팽덕회가 양국 대표로서 휴전 협정을 맺어 황하를 경계로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이 대치하게 된다.[19] 현재 중국 대륙에는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만주국 세 나라가 들어서 있다. 중화민국과 접한 상해는 국제 연맹의 감독 하에 자유시로 지정되며, 각국의 조계 및 명맥만 유지되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위치해 있다.[20] 《2009 로스트 메모리즈》와의 설정 논란[편집] 2002년작 영화 《2009 로스트 메모리즈》와 설정이 비슷하여 논란이 되었으나 영화 제작사에서 판권을 사는 것으로 정리되었다. 각주[편집] ↑ 복거일, 《비명을 찾아서》 상, ISBN 89-320-0979-1, 문학과지성사, 2010, p. 9. ↑ 복거일, 《비명을 찾아서》 하, ISBN 89-320-0980-5, 문학과지성사, 2010, p. 52. ↑ 현실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해군을 지휘하다가 미 해군의 공격으로 전사했다. ↑ 《비명을 찾아서》 상, p. 70. ↑ 현실에서는 1970년에 자살하여 원로출판인 와시오 켄야 선생이 청년시절인 1970년대의 큰 사건으로 요요기계와 비요요기계의 학생운동과 함께 미시마 유키오의 자살을 《편집이란 어떤 일인가》에서 다루기도 했다. ↑ 《비명을 찾아서》 하, p. 226. ↑ 《비명을 찾아서》 하, p. 47. ↑ 《비명을 찾아서》 상, p. 10. ↑ 《비명을 찾아서》 상, p. 43. ↑ 《비명을 찾아서》 상, p. 11. ↑ 《비명을 찾아서》 상, p. 25. ↑ 《비명을 찾아서》 하, p. 41. ↑ 《비명을 찾아서》 상, p. 251. ↑ 《비명을 찾아서》 상, p. 69. ↑ 《비명을 찾아서》 하, p. 139. ↑ 《비명을 찾아서》 상, p. 89. ↑ 《비명을 찾아서》 하, p. 242. ↑ 《비명을 찾아서》 상, p. 248. ↑ 《비명을 찾아서》 상, p. 77. ↑ 《비명을 찾아서》 상, p. 250. 같이 보기[편집] 대체 역사 《2009 로스트 메모리즈》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비명을_찾아서&oldid=24543949" 분류: 대체 역사 소설1987년 소설대한민국 소설이토 히로부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Русский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8일 (월) 15:3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비명을 찾아서 : 경성, 쇼우와 62년(碑銘을 찾아서 : 京城, 쇼우와 62년)》은 대한민국의 소설가 복거일이 1987년에 발표한 장편 대체 역사 소설이다. 이 소설은 일본 제국 추밀원 의장이었던 이토 히로부미가 1909년 (메이지 42년) 10월 26일 하얼빈(만주국)에서 있었던 안중근의 저격에서 부상만을 입었다는 가정으로부터 출발해, 대체 역사 속 1980년대의 일본 제국을 배경으로 한다. 각 장의 앞에는 여러 매채들을 발췌한 형식으로 이루어진 문단이 있는데, 주제를 강화해 주는 격언들과 세계관을 설명해 주는 가상의 글들이 포함되어 있다. 작가는 본문과 가상의 글들을 통해 배경을 천천히 서술해 나간다. 또한 이 소설에는 국한문 병용과 작가 고유의 외국어 표기가 적용되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히또쯔바시 대장을 앞세워 쿠데타를 일으킨 아라끼 마사야스 중장의 보직은 무엇이었을까? Assistant: 수도군단장
Human: 아래 송백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송백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송백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송백헌宋百憲 출생 1935년 9월 1일(1935-09-01) (83세)일제 강점기 충청북도 영동군 심천면 초강리 필명 호(號)는 초강(草江) 직업 문학평론가 대학 교수 前 시인 前 중등학교 국어교사 언어 한국어 국적 대한민국 소속 충남대학교 명예교수 학력 단국대 대학원 활동기간 1967년 ~ 현재 장르 문학평론, 시문학 배우자 김용희(前 중등학교 교장, 前 연구원 원장.) 자녀 슬하 3남 종교 유교(성리학) 송백헌(宋百憲, 1935년 9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이자 대학 교수(국문학)이다. 목차 1 생애 1.1 관향과 아호, 그리고 어린 시절 1.2 문학 활동 1.3 학력 1.4 경력 2 저서 3 상훈 4 함께 보기 5 외부 링크 생애[편집] 관향과 아호, 그리고 어린 시절[편집] 그의 본관(관향)은 은진(恩津)이고 아호(雅號)는 초강(草江)이며 조선시대 큰선비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10대 직계 후손이다. 충청북도 영동군 심천면 초강리에서 출생하였고 한때 충청북도 옥천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이후 충청남도 대전에서 성장하여 그 후 일평생토록 현재까지 대전에서 살고 있다. 문학 활동[편집] 비단강(금강)가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면서 자연스럽게 문학적 정서가 싹텄으나 부모님들의 뜻에 따라 중등학교를 실업학교에 진학하면서 시문학에의 꿈을 잠시 접을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철이 들면서 적성에 맞는 학과를 찾아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에 진학을 하면서 훌륭하신 교수님들 밑에서 국어학과 고전문학과 현대문학, 철학, 역사와 심리학 등을 두로 섭렵함으로써 문학적 기초를 다져나가면서 학문의 연구방법론을 터득하였다. 대학 졸업 후 충청남도, 대전시에서 고등학교 교사로 재직하는 10년 동안 졸업반을 담당함으로써 많은 제자들을 길렀으나, 한 때 문학 관련에서의 길이 점차 멀어지는 슬럼프에 빠지기도 하였다. 재직 중 다시 용기를 내어 1967년 「현대문학」지에 조연현 교수의 추천으로 평론가로 등단하고 대학교에 진출하여 비평론, 소설론, 수필론 등을 강의하였다. 그 과정에서 다시 대학원에 진학하여 백철 교수의 지도로 문학석사, 전광용 교수의 지도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자신이 재직하고 있는 충남대학교에서 대학원 지도는 물론 경향 각지의 대학원에서 80여 명에 이르는 문학박사를 심사 배출하였다. 한편 문단 활동도 활발히 하여 많은 연구논문과 비평문을 발표하여 1980년 제1회 대전직할시(現 대전광역시) 문화상(문학부문)을 수상하고, 이어 한성기문학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그동안 간행된 업적으로는 평론집을 비롯한 수필집 등 30권에 이르고 있다. 한국문인총연합회가 창립되면서 초대 회장으로 15년간 재임하면서 회지 「문학시대」를 창간하였다. 2016년 6월 현재 「문학시대」(계간)는 45호에 이른다. 그 동안 길러낸 문인들은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데 그 중에서 도종환 시인(현 국회의원), 최문자 ․ 손종호 시인, 정효구 ․ 정순진 등의 평론가와 김현종 소설가들이 전국적으로 명성을 떨치고 있다. 1990년대 초반에는 교육부 건인정 교과서 『문학』의 저자(공저)로 활약하였는데 이후 지방사(地方史)와 문중사(門中史)에도 관심을 집중하여 「대전학」의 개척자로 그와 관련된 서적과 문중 관련 서적 20여권을 간행 하고 있다. 따라서 그는 지역의 원로 문인으로 활동하는 한편 충남대학교 명예교수로 있으면서 대전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연구위원(계약직 가급 공무원)으로 근무 중에 있다. 학력[편집] 1954년 충청남도 대전공업고등학교 졸업 1958년 경북대학교 국어교육학과 학사 1970년 충북대 대학원 전기공학과 공학석사 수료 1972년 중앙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석사 1977년 단국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 경력[편집] 1958. 04. 18 - 1968. 04. 30 강경상고 대전사범, 충남고. 대전고 교사 1868. 05. 01 - 1973. 03, 09 대전공업고등전문학교 부교수 1973. 03. 10 - 1980. 10. 17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조교수 1980. 10. 18 - 2001. 02. 28 충남대학교 문과대학 교수 2001. 05. 10 - 현재 충남대학교 명예교수 2008. 02. 09 - 2016. 06. 03 대전광역시시사편찬위원회 연구위원(시간제 계약직 가급 공무원) 저서[편집] 진실과 허구 (민음사) 우리문학과 그 현장 (국학자료원) 한국근대역사소설연구 (삼지원) 서포가문행장 (형설출판사) 계용문작품집 (형설출판사) 한국문학사조론 (새문사. 공저)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옥천군, 공저) 행복은 별자리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청동거울) 유니버시티와 멀티버시티 (충남대 출판부) 고등학교 검인정 교과서 문학 (문교부) 천년고을 회덕이야기 (대덕문화원) 선비고을 유성이야기 (유성문화원) 은진송씨세적사 (은진송씨대종회) 은진송씨우암문정공파세적록 (은진송씨송자각하종친회) 광산김씨 허주공파 세적록 (광산김씨허주공파종종) 교주 해설 한글 송씨가전 (은진송씨송자각하종친회) 등 30여 권 상훈[편집] 1988. 12. 30 서울올림픽 기장(대회장) 제020897호 체육부장관 1989. 09. 17 제1회 대전광역시(직할시) 문화상(문학부문) 제3호 대전직할시장 1991. 05. 25 표창장(10년 근속) 제1684호 충남대학교 총장 1992. 05. 15 표창장(연공상) 제2926호 교육부장관 1992. 05. 15 표창장(연공상) 제43557호 한국교원단체 총연합회 회장 2000. 05. 31 표창장(대전광역시 행정서비스헌장 제도개선을 위한 공로) 제375호 행정자치부장관 2001. 02. 20 황조근정훈장 제 003510호 대통령 2002. 11. 08 한성기문학상 문학상 운영위원회 위원장 2011. 12. 30 표창장 대전광역시장 함께 보기[편집] 원종린 김희수 김우종 손기섭 박경석 박헌오 백승탁 외부 링크[편집] 조인스 데이터 - 송백헌 충남대학교 명예교수 Daum 데이터 사전 - 文學博士 송백헌 충남대학교 명예교수 한국현대문학대사전 - 문학박사 초강 송백헌 충남대학교 명예교수 네이버 예전 신문 보도 기사 - 초강 송백헌 충남대학교 명예교수 네이버 데이터 - 송백헌 충남대학교 명예교수 이 글은 작가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교육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송백헌&oldid=23897061" 분류: 1935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대한민국의 시사 평론가대한민국의 역사 평론가대한민국의 과학 평론가대한민국의 교육 평론가대한민국의 건축 평론가대한민국의 교통 평론가대한민국의 교사영동군 출신은진 송씨대한민국의 시인유교 신자충남대학교 교수한밭대학교 교수20세기 대한민국 사람타이완에 거주한 대한민국인21세기 대한민국 사람건양대학교 교수배재대학교 교수구 대전공업고등학교 동문경북대학교 동문충북대학교 대학원 동문중앙대학교 대학원 동문단국대학교 대학원 동문숨은 분류: 작가에 관한 토막글교육인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3월 22일 (금) 06: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송백헌(宋百憲, 1935년 9월 1일 ~2021년 1월 9일 )은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이자 대학 교수(국문학)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송백헌이 한국문인총연합회 초대 회장으로서 활동하며 창간한 회지는 무엇인가요? Assistant: 문학시대 Human: 아래 춘천고속버스터미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춘천고속버스터미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춘천고속버스터미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춘천고속버스터미널 춘천고속버스터미널 전경 공식명칭 춘천고속버스터미널 종류 터미널 국가 대한민국 주소 강원도 춘천시 터미널길14번길 15(온의동) 개장 1989년 이전 2007년 7월 10일 운영기관 동부고속 터미널코드 250 행선지표기 춘천 고속버스 운행 운행 시외버스 운행 미운행 시내버스 운행 미운행 춘천고속버스터미널은 강원도 춘천시 터미널길14번길 15(온의동 111-2)에 있는 고속버스 터미널이다. 동부고속에서 운영하며 고속버스 전산망상의 터미널 번호는 250이다. 인근에 춘천시외버스터미널이 인접되어 있다. 목차 1 이전 과정 2 운행 노선 3 같이 보기 4 각주 5 외부 링크 이전 과정[편집] 춘천고속버스터미널은 1989년에 춘천시 온의동 지금의 시외버스터미널 부지에 임시정류장으로 인가받아 운영되기 시작하였다.[1] 즉, 운영을 시작할 때부터 본래 터미널 건물은 없었다는 말인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1999년에 온의동에 건립될 춘천시외버스터미널이 2002년에 완공되면 공동으로 사용하기로 했었다. 그런데 시외버스를 운영하는 업체들이 동대구 노선을 자신들도 운영하게 해야한다는 주장을 하여[2] 결국 2002년 10월 23일에 춘천시외버스터미널이 완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고속버스터미널은 이전을 하지 못하게 되었다.[3] 결국 갈 곳이 없어진 고속버스터미널은 궁여지책으로 2002년 4월에 춘천시의 중재로 퇴계동의 향토공예관[4] 인근 공터에 컨터이너박스를 두고 임시터미널을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당시에 고속버스터미널은 하루에 평균 380여명, 연간 13만여명이 이용하고 있어 이용객의 불편은 가중되었고 결국 현재 운영하고 있는 임시터미널의 행태가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상의 시설 기준을 갖추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오자 춘천시에서는 뒤늦게 이전개선명령 및 과태료를 부과하였다. 이렇게 납부한 과태료는 무려 1,200만원이 넘었다.[5] 하지만 춘천시에서 추진하던 동내면 고은리 일대에 종합버스터미널 건립 계획이 무산되고[6], 운영업체들도 이렇다 할 계획을 내지 못하자 2006년 11월에는 춘천시에서 터미널 면허를 취소하겠다고 으름장을 놓는 지경까지 이르렀다.[7] 그러다 2007년 4월 17일, 고속버스 운영업체가 춘천시외버스터미널 옆 부지 2000m2 규모에 터미널 건물을 설치하기로 결정하고[8] 그 해 5월에 바로 착공하여 6월에 완공하였다. 터미널 이전은 같은 해 7월 10일이 되어서야 이루어졌다.[9] 운행 노선[편집] 운행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시간표 춘천 ↔ 광주 금호고속대원고속 춘천 ↔ 광주 무정차 4회 08:10, 11:10, 14:10, 17:10 춘천 ↔ 대구 대원고속중앙고속한일고속 춘천 ↔ 동대구 서대구 60~90 첫차:07:00(춘천 기준)막차:19:00(춘천 기준) 한때 경기고속 단독으로 춘천고속버스터미널 착발 홍천, 원주 경유 순천행이 있었으나, 2016년 5월 1일에 춘천시외버스터미널로 변경됐다. 같이 보기[편집] 춘천시외버스터미널 각주[편집] ↑ "컨테이너가 고속터미널” , 세계일보, 2007년 3월 14일 작성. ↑ [로컬이슈]춘천, 터미널없는 고속버스운행 10년째, 강원일보, 2006년 8월 31일 작성. ↑ 춘천 새 시외버스터미널 오늘 문열어, 문화일보, 2002년 10월 23일 작성. ↑ 춘천 KBS 건너편에 위치하고 있다. ↑ ‘시민 불만’고속버스 터미널, 경향신문, 2004년 2월 23일 작성. ↑ [로컬이슈]춘천 동내면 종합터미널 조성 계획 무산, 강원일보, 2006년 11월 9일 작성. ↑ 춘천고속버스터미널 내년 면허취소 검토, 강원일보, 2006년 11월 10일 작성. ↑ [춘천]고속버스터미널 제모습 갖춘다, 강원일보, 2007년 4월 18일 작성. ↑ 춘천고속버스 컨테이너 정류장서 이사, 뉴시스, 2007년 7월 10일 작성. 외부 링크[편집] 춘천고속버스터미널시간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코버스 홈페이지 vdeh대한민국의 시외·고속버스터미널서울특별시 서울경부 서울호남 동서울 서울서부 서울남부 상봉 가락시장 김포공항 동대문 마장동 수유리 신촌 잠실 장지역 인천광역시 강화 외포리 화도 인천 인천공항 부평역 송도 용현동 경기도 가평 목동 설악 청평 현리 고양 고양화정 광명 철산 광주 곤지암 구리 군포 김포 도농 · 금곡 · 평내 · 마석 동두천 부천 송내역 부천역·소사동·송내사거리 수원 광교중앙역 서수원 수원역 아주대 영통입구 우만동 성남 가천대 시흥 하늘휴게소 안산 상록수역 안성 공도 대림동산 양성 일죽 주은풍림 죽산 중앙대입구 안양역 · 안양 · 범계 · 호계동 · 비산동 양주역 양평 용문 여주 능서 대신 태평 전곡 오산 용인 백암 신갈 양지 유방동 의정부 의왕고천 의왕TG 이천 장호원 문산 금촌 운정 파주적성 평택 평택시외 송탄 안중 서정리·용이동·청북 평택대 해군기지 포천 송우 신북 운천 일동 하남 서신 동탄 조암 향남 강원도 강릉 강릉시외 주문진 간성 거진 대진 동해 동해시외 삼척 삼척시외 도계 임원 호산 속초 속초시외 양구 남면 양양 낙산 영월 상동 원주 원주시외 문막 인제 백담입구 신남 원통 현리 정선 고한사북 북평 임계 동송 신철원 와수 육단 춘천 춘천시외 강촌 태백 평창 대화 장평 진부 횡계 홍천 내면 서석 양덕원 화천 사창리 횡성 둔내 충청북도 괴산 연풍 단양 매포 보은 보은고속 속리산 영동 추풍령 황간 옥천 안내 청산 음성 감곡 대소 무극 삼성 생극 충북혁신도시 제천 제천시외 백운 증평 진천 광혜원 이월 청주 청주시외 청주공항 북청주 남청주 미원 오창 충주 목계 수안보 주덕 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충청남도 대전 서대전 유성 유성시외 대전청사 대전도룡 관저·건양대병원 용두동 도마동 부사동 신흥동 북대전 자운대 조치원 세종 세종청사 고대홍대 전의 금암 · 신도안 · 양정 · 엄사 공주 공암 동학사 산성 유구 금산 논산 논산시외 강경 연무 연무시외 당진 기지시 삽교천 신평 합덕 보령 대천해수욕장 부여 홍산 서산 고북 해미 서천 장항 아산 아산시외 신창 예산 신례원 천안 병천 성환 쌍용 한기대 청양 정산 태안 만리포 안면도 홍성 광천 내포 전라북도 고창 대산공용 무장 상하 선운사 해리 흥덕 군산 군산시외 대야 김제 만경 원평 남원 남원시외 덕과 반선 인월 무주 구천동 안성 부안 격포 줄포 순창 적성 고산 대둔산 봉동 삼례 운주 익산 익산시외 금마 여산 함열 임실 관촌 강진공용 오수 장수 번암 장계 전주 전주시외 정읍 신태인 태인 진안 백운 안천 광주광역시전라남도 광주 문화동 소태역 송정역 진월동 강진 마량 성전 고흥 과역 나로도 녹동 곡성 옥과 광양 광영 동광양 태인 구례 나주 영산포 영삼거리 다시 담양 목포 남악 무안 보성 벌교 예당 조성 순천 순북 점암 지도 여수 여천 영광 법성포 홍농 영암 독천 삼호 신북 완도 고금 당목 장성 장성사거리 장흥 노력항 회진 진도 녹진 함평 문장 학교 해남 땅끝 화순 능주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동대구 서대구 대구북부 · 대구서부 · 현풍 용계 경산 영남대 자인 하양 경주 경주시외 건천 산내 아화 안강 입실 고령 구미 구미공단 선산 군위 우보 김천 문경 점촌 가은 봉화 춘양 상주 함창 성주 안동 경북도청 안동역 길안 풍산 영덕 강구 병곡 영해 장사 영양 영주 풍기 풍기IC 꽃동산 영천 임포 예천 용궁 울진 기성 부구 온정 죽변 평해 후포 의성 단촌 도리원 안계 탑리 청도 운문사 청송 월정 주왕산 진보 왜관 약목 포항 포항시외 송라 청하 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경상남도 부산 부산서부 김해공항 동래 신평 하단 해운대 울산 울산시외 신복 방어진 언양 봉계·공업탑·남창·무거·옥동·웅촌·태화·호계·효문 고현 장승포 거창 고성 배둔 김해 장유 진영 남해 밀양 유천 표충사 사천 곤양 삼천포 산청 생초 원지 양산 통도사 의령 신반 진주 진주시외 개양 반성 창녕 남지 부곡 영산 창원 내서 남산 창원역 마산 마산시외 남마산 진해 통영 하동 진교 화개 함안 함양 백무동 서상 안의 합천 가야 삼가 초계 해인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 · 서귀포 고속도로 환승정류장 낙동강휴게소 선산휴게소 섬진강휴게소 인삼랜드휴게소 정안알밤휴게소 횡성휴게소  :현재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하지 않거나 없어진 터미널 굵은 글씨는 고속버스가 운행하는 터미널 vdeh춘천시의 교통철도노선 경춘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 역 ● 경춘선 : (경기도 가평군) ← 굴봉산역 백양리역 강촌역 김유정역 남춘천역 춘천역 고속도로노선 중앙 (55) 서울양양 (60) 나들목·분기점 조양 나들목 강촌 나들목 남춘천 나들목 춘천 나들목 춘천 분기점 일반도로국도 5호 46호 56호 국지도 56호 70호 86호 지방도 403호 407호 주요 간선도로자동차전용 순환대로(구.잼버리도로) 간선도로 가락재로 경춘로 공지로 금강로 박사로 사내천로 삭주로 소양강로 서부대성로 세실로 신샘밭로 영서로 옛경춘로 중앙로 지내고탄로 춘양로 춘천로 춘천순환로 춘화로 충열로 퇴계로 후만로 후석로 교량 강촌교 경강교 가평철교 신매대교 신연교 의암교 춘성대교 터널 배후령터널 버스시내 춘천 시내버스 조교마을버스 고속·시외 춘천 춘천시외 강촌 기타시내 마이비 캐시비 티머니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춘천고속버스터미널&oldid=23090661" 분류: 1989년 설립2007년 설립강원도의 버스 교통춘천시의 교통대한민국의 버스 터미널춘천시의 건축물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1월 24일 (토) 21:4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춘천고속버스터미널은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터미널길14번길 15(온의동 111-2)에 있는 고속버스 터미널이다. 동부고속에서 운영하며 고속버스 전산망상의 터미널 번호는 250이다. 인근에 춘천시외버스터미널이 인접되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춘천의 고속버스터미널이 이전된 것은 몇 년도일까? Assistant: 2007
Human: 아래 앰버_허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앰버 허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앰버 허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앰버 허드Amber Heard 2018년 샌디에이고 코믹콘 인터내셔널에서 허드본명 앰버 로라 허드Amber Laura Heard출생 1986년 4월 22일(1986-04-22) (33세)미국 텍사스주 오스틴국적 미국직업 배우활동 기간 2004년 ~ 현재 형제자매 2녀 중 첫째배우자 조니 뎁 (결혼 2015; 이혼 2017)웹사이트 amberheardofficial.com 앰버 로라 허드(영어: Amber Laura Heard, 1986년 4월 22일[1] ~ )는 간단히 앰버 허드(영어: Amber Heard)로 잘 알려진 미국의 배우이다. 허드는 2004년 스포츠 드라마 영화 《프라이데이 나잇 라이츠》로 데뷔했다. 이후 《노스 컨츄리》와 《알파 독》에서 작은 역할을 거친 후, 허드는 《모든 소년들은 맨디 레인을 사랑해》(2006)에서 첫 주연 역할을 맡았으며 The CW의 《히든 팜스》(2007)에 출연했다. 허드는 2008년 《겟 썸》과 《파인애플 익스프레스》의 역할로 주목 받기 시작했다. 그녀는 영 할리우드 어워드에서 신인상을 수상했다. 《인포머스》, 《스텝파더》, 《좀비랜드》, 《수상한 가족》와 같은 영화에서의 출연은 그녀를 더욱 주목 시켰다. 그녀는 다음 작품으로 존 카펜터 감독의 《더 워드》, 니콜라스 케이지의 상대 역할을 연기한 《드라이브 앵그리 3D》와, 조니 뎁의 상대 역할을 연기한 《럼 다이어리》에 출연하였으며, 할리우드 영화제에서 스포트라이트상을 수상했다. 2014년에는 《쓰리데이즈 투 킬》, 2015년에는 《매직 마이크 XXL》과 《대니쉬 걸》에 출연했다. 그녀는 슈퍼 히어로 영화 《저스티스 리그》(2017)와 《아쿠아맨》(2018)에서 메라 역할을 연기했다. 목차 1 성장 과정 2 경력 2.1 초기 경력 2.2 2009년-현재 3 사생활 4 자선 활동 5 필모그래피 5.1 영화 5.2 텔레비전 6 수상 및 후보 7 각주 8 외부 링크 성장 과정[편집] 허드는 1986년 4월 22일,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패트리샤 페이지(결혼전 성씨는 파슨스)는 국가소속 인터넷 연구원이며, 아버지 데이비드 클린턴 허드는 건축청부업자로 일했다.[1][2] 그녀에게는 휘트니라는 여동생이있다.[1] 허드는 오스틴에 위치한 세인트 마이클 가톨릭 고등학교를 다녔지만 배우가 되기 위해 그만 두고 결국 홈스쿨링을 통해 졸업장을 받았다.[3] 허드가 16세 때, 그녀의 가장 친한 친구는 자동차 사고로 사망했고, 그 후 가톨릭 신자였던 그녀는 남자친구로부터 아인 랜드의 작품을 소개 받았고, 무신론자라고 선언했다.[3] 그녀는 "나는 랜드의 책을 모두 읽었고, 다 읽은 후 랜드의 이상에 사로 잡혔다. 모두 나 스스로를 위해 꼭 필요한 것들이다."라고 말했다.[3] 경력[편집] 초기 경력[편집] 허드의 초기 연기 작품으로는 케니 체스니의 "There Goes My Life"와 아이슬리의 "I Was Not Prepared"의 두 편의 뮤직 비디오와, The CW의 단편 시리즈인 《잭 & 바비》(2004)와 《더 마운틴》(2004)의 조연 역할과 10대 드라마 시리즈 《The O.C.》(2005)에서 판매원으로 출연하는 게스트 역할이었다. 그녀는 빌리 밥 손튼 주연의 스포츠 드라마 영화 《프라이데이 나잇 라이츠》로 스크린 데뷔를 했으며 상업적으로 중요한 성공을 거두었다.[4] 다음 2년 동안, 그녀는 《데드 섹시》(2005), 《프리스 투 페이》(2006), 《더 프린스》(2006)과 《알파 독》(2006)과 같은 몇 편의 장편 영화에서 작은 역할을 담당했으며, 《크리미널 마인드》에서 주인공인 스펜서 리드의 사랑에 관심을 갖는 역할로 에피소드에 출연했다. 그녀는 독립 공포 영화 《Side FX》(2005)와 니키 카로 감독의 드라마 영화 《노스 컨츄리》(2005)에서 샤를리즈 테론이 연기한 주인공의 10대 역할로 더욱 주목 받았다.[5] 또한 《모든 소년들은 맨디 레인을 사랑해》(2006)는 그녀의 첫 주연 역할 중 하나였던 슬래셔 영화이다. 감독인 조나단 레빈은 제목에 대해 관객을 선택했다고 말하면서 "어떤 유형의 아름다움과 허드가 가져온 일종의 타고난 정보가 당신이 매일 발견하는 것이 아니다. 확실히, 당신은 누군가 그녀의 나이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녀가 생각한 프로젝트는 꽤 놀랍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6] 이 영화 는 2006년 토론토 국제 영화제에서 초연 되었으며, 처음에는 와인스틴 컴퍼니가 배급사로 선정되었다.[7][8] 부정적인 테스트 상영회를 거친 후 와인스틴 컴퍼니는 이 영화를 권리를 포기했으며, 2008년 다른 배급 회사와 계약으로 영국에서 개봉 되었다.[9] 2013년까지 미국에서 영화는 공개되지 않았다.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허드가 2013년까지 가장 확실한 성과를 거뒀으며,[10] 〈워싱턴 포스트〉는 심리학적으로 흥미로운 성과를 냈다고 밝혔다.[11] 허드는 다음 작품으로 The CW의 십대 드라마 《히든 팜스》에 주인공의 사랑에 관심을 가지는 역할에 캐스팅되었다. 방송사는 10대 시청자를 겨냥한 다른 시리즈의 여름 재방송을 대체하기를 원했다.[3] 이 시리즈는 2007년 5월 30일 미국에서 초연 되어 다소 찬반이 갈리는 평가를 받았다. TV 시청자들에게는 외면를 받으면서 결국 CW는 계획된 12편 중 8편만 방송했다.[12][13] 2007년 허드는 또한 단편 영화 《Day 73 with Sarah》,[14] 평단의 혹평을 받은 독립 드라마 영화 《리멤버 더 데이즈》와, 쇼타임 시리즈 《켈리포니케이션》의 에피소드에 출연했다.[15] 허드는 주드 아패토우가 제작한 스토너 코미디 영화 《파인애플 익스프레스》와[16] 무술 영화 《겟 썸》 에 출연한 2008년에 더 많은 주목을 받았으며, 두 작품 모두 흥행에 성공했다. 그녀는 할리우드 영화제에서 신인상을 수상했다. 그녀의 또 다른 2008년 영화는 그녀가 앙상블 캐스트의 일부였던 브렛 이스턴 엘리스의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인포머스》로[17] 2009년 선댄스 영화제에서 초연 되었고, 평단으로부터 혹평을 받았다. 2009년-현재[편집] 2009년 토론토 국제 영화제에서 허드 2009년 허드는 공포 영화 《스텝파더》, 세 편의 코미디 영화 《엑스터미네이터스》, 《좀비랜드》, 《수상한 가족》에 출연했다. 후자에 대한 리뷰에서, 〈버라이어티〉는 영화의 가장 유명한 스타인 데미 무어에서 "그녀는 쇼를 훔친다"고 썼다.[18] 비평가 제임스 버라디넬리는 영화에 전반적인 부정적 리뷰를 썼지만 허드의 연기를 호평했다.[19] 2010년 그녀는 로맨틱 드라마 영화 《더 리버 와이》에 출연했으며 존 카펜터 감독의 영화 《더 워드》와 같은 호러 장르에서 그녀의 작업을 계속했다. 카펜터는 허드에 대해 "매우 똑똑하고, 매우 주도하며, 재능이있다"고 묘사했다.[20] 그녀는 또한 독립 스릴러 영화 《다크니스》를 공동 제작하고 주연했다.[21] 2010년 토론토 국제 영화제에서 허드 2011년, 허드는 헌터 S. 톰슨의 동명의 소설을 기반으로 한 영화 《럼 다이어리》에서 상대 역할의 조니 뎁과는 정반대의 여성 리더로 등장했다. 이 영화는 혼합적인 리뷰를 받았으며,[22][23]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24][25] 허드의 다른 2011년 영화는 《드라이브 앵그리 3D》로 니콜라스 케이지의 상대 역할로 출연했다.[26] 영화 평론가 로저 에버트는 그녀의 역할, 즉 그녀의 딸을 컬트에서 구하기 위한 언데드 인간의 임무에 얽혀있는 웨이트리스와 "할 수있는 모든 일을 한다"고 썼다.[27] 2011년 2월에는 영국 TV 프로그램 《탑기어》에 출연했다.[28] 허드는 그녀가 스릴러 영화 《파라노이아》, 액션 코미디 영화 《마셰티 킬스》와 풍자 드라마 《시럽》에 출연한 2013년까지 새로운 영화에 출연하지 않았다. 후자는 맥스 배리의 소설을 기반으로 했으며, 허드를 "놀랍다"고 불렀고 그녀가 "그 역할을 전멸했다. 좋은 방법이었다"고 말했다.[29] 그녀의 유일한 2014년 영화인 액션 스릴러 《쓰리 데이즈 투 킬》은 흥행에 성공했다. 허드는 영국 신문 〈인디펜던트〉의 제임스 모트람이 자신의 경력에서 "분수령의 해"라고 부른 2015년에 발표 된 네 편의 영화에 출연했다.[30] 그녀는 채닝 테이텀이 연기하는 주인공과 어울리는 사진 작가로서 코미디 드라마 《매직 마이크 XXL》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전작인 《매직 마이크》(2012)와 마찬가지로 이 영화는 큰 흥행 성공작이었다.[31] 〈Digital Spy〉는 "옆집에 설득력 있는 아가씨"라고 썼다.[32] 허드는 톰 후퍼 감독의 드라마 영화 《대니쉬 걸》(2015)에서 발레 댄서로서의 조연 역할을 맡았는데, 이는 제72회 베네치아 영화제에서 초연 되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33][34] 그녀는 또한 제임스 프랭코, 크리스찬 슬레이터, 에드 해리스와 함께 독립 범죄 스릴러 영화 《애더럴 다이어리》에 출연했다. 〈인디와이어〉는 영화에 복합적인 리뷰를 남겼는데, 허드는 "불평" 했지만 "많은 잠재력을 보이고 더 심각하게 받아 들여지는데 성공했다"고 말했다.[35] 그녀의 네 번째 역할은 2015년 뮤지컬 드라마 영화 《원 모어 타임》에서 크리스토퍼 월켄의 상대 역할이었다. 이 역할을 위해 그녀는 노래 수업을 듣고 피아노와 기타 레슨을 받았다.[36] 〈인터내셔널 비지니스 타임스〉는 허드에 대해 "방어력이 있는 역할로 진심 어린 순간을 나누기에 충분한 재능"이라고 설명했다.[37]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그녀의 연기에 "최고"와 "영화 무대"는 허드가 "존경할만한 직업"을 했다고 말했다.[38][39] 또한, 허드는 마틴 에이미스의 소설을 기반으로 한 영화 《런던 필드》에서 여주인공을 연기했다. 당초 이 영화는 2015년 토론토 국제 영화제에서 초연 예정이었다.[40] 매튜 컬린 감독이 제작자를 상대로 사기 혐의와 자신의 이름을 사용하여 자신이 지지하지 않은 영화를 홍보하려는 소송을 제기한 이후 영화제 명단에서 뽑혔다.[41] 허드를 비롯한 영화에 출연한 배우들은 토론자의 언론과 산업 상영에 나오는 상영을 반대하면서 제작자에게도 글을 남겼다.[42] 이 영화에서 허드의 연기는 매우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43][44][45] 그녀는 "영화는 가장 어려운 영화 중 하나였으며 계속해서 어려움을 겪었다...나는 그녀 [역할] 정의를 했다."고 말한다.[30] 허드는 DC 코믹스의 슈퍼 히어로 영화 《저스티스 리그》(2017)에서 아틀란티안 여왕 메라 역할을 연기했다. 그녀는 《아쿠아맨》(2018)에서 이전보다 큰 비중으로 역할을 되풀이했다.[46][47] 사생활[편집] 2009년 허드 허드는 2010년 GLAAD의 25주년 기념 행사에서 공개적으로 커밍아웃을 했으며,[48] "나는 남성과 성공적인 연연 관계를 맺었지만 현재는 여성와의 관계에 있다. 커밍아웃한 것을 부끄럽게 여긴 적이 단 한 번도 없었고 지금도 그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단지 성이 아니라 어떤 사람인지가 중요하다"고 자신의 성정체성에 대해 말했다.[49] 그녀의 결정에 대해 그녀는 "언론에서의 역할에 대해 알게 되었을 때 나는 중요한 질문을 던져야했다. 나는 문제의 일부분인가? 그리고 수 백만명의 열심히 일하는 납세자 미국인들이 권리를 포기하고 자신의 평등을 부정했을 때 유행병 문제가 무엇인지 물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이 문제이다."라고 말했다.[48] 허드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 동성의 사진 작가 타샤 반 리와 연인 관계였다.[48][50] 그녀는 2011년 영화 《럼 다이어리》를 촬영하면서 배우 조니 뎁을 만났고 다음 해 함께 동거를 시작했다.[50][51] 그들은 2015년 2월 3일에 로스 앤젤레스에 있는 그들의 저택에서 비밀 예식으로 결혼식을 올렸다.[51][52] 2015년 4월, 허드와 뎁은 그의 영화 《캐리비안의 해적: 죽은 자는 말이 없다》의 촬영으로 퀸즈랜드로 민간 제트기를 타고 함께 이동했을 때 오스트레일리아 세관에 요크셔테리어 두 마리를 신고하지 않아 호주의 애완동물 검역법을 위반했다. 호주 동물 검역법상 동물이 호주에 입국하기 위해선 반드시 신고를 해야하며 약 10일 간 격리돼있어야 하는데 호주 당국은 광견병 예방을 위해 엄격하게 생물 안전 규칙을 적용하고 있다.[53][54] 그녀가 수면 부족으로 인해 실수를 저질렀다고 진술을 한 검역 문서를 위조한 것에 유죄를 인정했다.[55] 그녀는 1,000 달러의 벌금을 냈다.[56][57] 허드와 뎁은 또한 자신의 행동에 대해 사과하고 사람들에게 생물 보안법을 ​​준수 할 것을 촉구하는 비디오를 공개했다.[56] 〈가디언〉은 이 사건을 호주 역사상 최고의 범죄 검역 사건으로 규정했다.[56] 2016년 5 월 23일 허드는 뎁과의 이혼 소송을 제기했다.[58][59] 5일 후, 그녀는 자신의 관계에 대해 "구두로 그리고 육체적으로 학대했다"는 법원의 선언문에서 이혼 신청을 하기 2일 전에 발생한 폭력 사태와 관련하여 임시 금지 명령을 받았다.[60][61][62][63][64][65] 이에 대해 뎁의 변호사들은 그녀가 "학대 혐의로 조기 재정적 해결을 확보하려고 시도했다"고 주장했다.[60][66] 다음 3개월 동안 허드의 변호사들은 그 관계에서 다른 혐의 사건에 대한 정보를 언론에 제공했으며,[66] 한 사건에서 부상자의 이미지가 〈피플〉에 의해 발표되었다.[60] 합의는 2016년 8월 16일에 이루어졌고,[67] 이혼은 2017년 1월에 최종 완료되었다.[68] 청문회는 이 금지 명령을 기각하고, "관계가 격렬한 열정과 때때로 휘발성이지만 항상 사랑에 묶여있다"는 공동 성명서를 발표했다. 어느 당사자도 금전적 이익을 위해 거짓 비난을 하지 않았다. "육체적 또는 정서적인 해를 끼칠 의도는 전혀 없었다."라고 말했다.[67] 그녀는 뎁으로부터 위자료로 700만 달러를 받았으며, 그녀는 미국 시민 자유 연맹과 로스엔젤레스 아동 병원에 기부 할 계획을 밝혔다.[67][69] 2018년 4월, 로스앤젤레스 아동 병원은 허드가 2017년에 재단에 100만 달러에서 500만 달러를 기부했다고 밝혔다.[70] 허드는 2017년 8월까지 미국의 CEO 엘론 머스크와 데이트했다.[71] 자선 활동[편집] 허드는 북미 내에서 성폭력에 대한 인식을 높여 왔다. 배우 가보리 시디베와 프리다 핀토와 함께 그녀는 2016년 〈글래머〉의 올해의 여성 어워드에서 상을 수상한 성폭력 피해자 에밀리 도를 대신하여 연설을 읽었다.[72] 같은 해 허드는 #GirlGaze Project에 대한 가정 폭력에 대한 공공 서비스 발표했고,[73] 조니 뎁과의 경험에 대한 공개 서한을 포터 매거진의 2016년 12월호에 썼다.[74] 필모그래피[편집] 영화[편집] Key 아직 개봉하지 않은 영화를 나타낸다. 년도 제목 역할 참고 2004 프라이데이 나잇 라잇츠Friday Night Lights 마리아 2005 Side FX 샤이 2005 데드 섹시Drop Dead Sexy 캔디 2005 노스 컨츄리North Country 어린 조시 에이미스 2006 프리스 투 페이Price to Pay 트리시 2006 더 프린스The Prince 세레나 2006 알파 독Alpha Dog 알마 2006 모든 소년들은 맨디 레인을 사랑해All the Boys Love Mandy Lane 맨디 레인 2007 스핀Spin 앰버 2007 Day 73 with Sarah 마리 단편 영화 2007 리멤버 더 데이즈Remember the Daze 줄리아 포드 2008 겟 썸Never Back Down 바자 밀러 2008 인포머스The Informers 크리스티 2008 파인애플 익스프레스Pineapple Express 앤지 앤더슨 2009 엑스터미네이터스ExTerminators 니키 2009 수상한 가족The Joneses 젠 존스 2009 좀비랜드Zombieland 406 2009 스텝파더The Stepfather 켈리 포터 2010 다크니스And Soon the Darkness 스테파니 또한 공동 프로듀서 2010 더 리버 와이The River Why 에디 2010 더 워드The Ward 크리스틴 2011 드라이브 앵그리 3DDrive Angry 피퍼 2011 럼 다이어리The Rum Diary 체놀트 2013 시럽Syrup 식스 또한 총괄 프로듀서 2013 파라노이아Paranoia 에마 제닝스 2013 마셰티 킬스Machete Kills 미스 샌 안토니오 2014 쓰리 데이즈 투 킬3 Days to Kill 비비 요원 2015 애더럴 다이어리The Adderall Diaries 라나 에드몬드 2015 원 모어 타임One More Time 주드 2015 매직 마이크 XXLMagic Mike XXL 조 2015 대니쉬 걸The Danish Girl 울라 폴슨 2017 아이 두... 언틸 아이 돈트I Do... Until I Don't 패니 2017 저스티스 리그Justice League 메라 2018 허 스멜Her Smell 젤다 2018 런던 필드London Fields 니콜라 식스 2013년 촬영 2018 아쿠아맨Aquaman 메라 [75] 2019 걸리Gully 조이스 제작 후반 텔레비전[편집] 년도 제목 역할 참고 2004 잭 & 바비Jack & Bobby 리즈 에피소드: "Pilot" 2004 더 마운틴The Mountain 라일리 에피소드: "A Piece of the Rock" 2005 The O.C. 판매원 에피소드: "Mallpisode" 2006 크리미널 마인드Criminal Minds 릴라 아처 에피소드: "Somebody's Watching" 2007 켈리포니케이션Californication 앰버 에피소드: "California Son" 2007 히든 팜스Hidden Palms 그레타 매슈스 시리즈 주연; 8 에피소드 2011 탑기어Top Gear 자신 에피소드: "Episode #16.5" 2011 더 플레이보이 클럽The Playboy Club 버니 모린 시리즈 주연; 7 에피소드 2015 오버홀린Overhaulin' 자신 에피소드: "In Too Depp" 수상 및 후보[편집] 년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08 영 할리우드 어워드 올해의 주목할만한 상 빈칸 수상 2009 디트로이트 영화 비평가 협회 최우수 앙상블상 좀비랜드 후보 2010 스크림 어워드 최우수 앙상블상 수상 댈러스 국제 영화제 댈러스 스타상 빈칸 수상 2011 할리우드 영화제 스포트라이트상 럼 다이어리 수상 2014 Texas Film Hall of Fame Inductee 빈칸 수상 2018 골든 래즈베리상 최악의 여우주연상 런던 필드 미결정 각주[편집] ↑ 가 나 다 “Amber Heard”. 《TV Guide》. 2015년 2월 1일에 확인함.  ↑ “Five things you need to know about Amber Heard”. 《NewsComAu》. 2016년 4월 18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Keck, William (2007년 5월 30일). “Amber Heard will be heard”. 《USA Today》 (Mclean, Virginia: Gannett Company).  ↑ "FRIDAY NIGHT FRIGHTS." The Miami Herald. March 29, 2004. 2D Sports. Retrieved September 3, 2011. ↑ “Amber Heard Talks Her Life Motivations”. 《FemaleFirst》. 2013년 8월 25일에 확인함.  ↑ Tinnin, Drew (2013년 8월 23일). “Jonathan Levine interview”. 《Film School Rejects》. 2013년 8월 25일에 확인함.  ↑ “After Seven Years, All the Boys Love Mandy Lane is Coming to US Theaters”. 《ComingSoon.net》. CraveOnline. 2013년 3월 8일. 2013년 3월 8일에 확인함.  ↑ “All the Boys Love Mandy Lane finally set for release date”. 《Slash Film》. 2013년 8월 25일에 확인함.  ↑ Wilson, Samantha (2013년 8월 23일). “'All the Boys Love Mandy Lane' Trailer Finally Debuts After Seven Years”. 《Film School Rejects》. 2013년 8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25일에 확인함.  ↑ Olsen, Mark (2013년 10월 10일). “Movie review: 'All the Boys Love Mandy Lane' a spellbinding thriller”. 《Los Angeles Times》. 2013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O'Sullivan, Michael (2013년 11월 21일). “'All the Boys Love Mandy Lane' movie review”. 《The Washington Post》. 2013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Hidden Palms”.  ↑ "Hidden Palms" Accelerates Its Final Episodes[깨진 링크], The City Paper, June 18, 2007 ↑ “Day 73 With Sarah (2007)”. 《The New York Times》. 2014. 2014년 10월 11일에 확인함.  ↑ Debruge, Pete (2007년 7월 5일). “Review: 'Remember the Daze'”. 《Variety》. Los Angeles, California: Penske Media Corporation. 2014년 10월 11일에 확인함.  ↑ “Amber Heard: The interview”. 《FHM》. 2008년 10월 7일. 2014년 10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11일에 확인함.  ↑ Frosty (2008년 3월 10일). “Amber Heard Exclusive Video Interview – NEVER BACK DOWN”. 《Collider.com》. Collider.com. 2014년 10월 11일에 확인함.  ↑ “The Joneses Review”. 《Variety》. 2012년 2월 6일에 확인함.  ↑ James Berardinelli. “Joneses, The – Reelviews Movie Reviews”. 《Reelviews Movie Reviews》. 2016년 4월 18일에 확인함.  ↑ “IndieLondon: The Ward – John Carpenter interview – Your London Reviews”. 2016년 4월 18일에 확인함.  ↑ “Amber Heard: In STEP With the Horror Genre”.  ↑ “The Rum Diary (2011)”. 《Rotten Tomatoes》. Flixster. 2011년 11월 7일에 확인함.  ↑ “The Rum Diary Reviews”. Metacritic. 2011년 11월 7일에 확인함.  ↑ “The Rum Diary (2011)”. 《Box Office Mojo》. 2011년 11월 1일에 확인함.  ↑ Kaufman, Amy (2011년 10월 27일). “Movie Projector: 'Puss in Boots' to stomp on competition”. 《Los Angeles Times》. 2011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William Fichtner and Amber Heard Ready to Drive Angry?”. Dreadcentral.com. 2010년 2월 5일. 2012년 2월 6일에 확인함.  ↑ Ebert, Roger (2011년 2월 24일). “Drive Angry Movie Review”. 2014년 12월 8일에 확인함.  ↑ “Amber Heard”. tatler.com. 2013년 6월 5일에 확인함.  ↑ “Syrup”. maxbarry.com. 2015년 3월 25일에 확인함.  ↑ 가 나 Mottram, James (2015년 1월 1일). “Amber Heard Interview:The Danish Girl star on sexism, transgenderism and marriage to Johnny Depp”. 《The Independent》. 2015년 4월 18일에 확인함.  ↑ “Amber Heard To Co-Star In 'Magic Mike 2'”. deadline.com. 2014년 9월 19일. 2014년 9월 20일에 확인함.  ↑ Stella Papamichael (2015년 6월 29일). “Magic Mike XXL review”. 《Digital Spy》. 2016년 4월 18일에 확인함.  ↑ Kiang, Jessica (2015년 9월 5일). “Venice Review: Tom Hooper's 'The Danish Girl' With Eddie Redmayne & Alicia”. 《Indiewire》. 2015년 9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9월 12일에 확인함.  ↑ McNary, Dave (2015년 3월 4일). “Eddie Redmayne's 'Danish Girl' Set for Nov. 27”. 《Variety》. 2015년 3월 21일에 확인함.  ↑ “The Adderall Diaries review”. Indiewire. 2015년 4월 18일에 확인함.  ↑ “Christopher Walken, Amber Heard Sing and Strum in 'When I Live My Life Over Again'”. 《The Hollywood Reporter》. 2015년 4월 21일에 확인함.  ↑ Monica Castillo. “'When I Live My Life Over Again' Tribeca Film Festival Review: Amber Heard And Christopher Walken Can't Hit The Right Notes”. 《International Business Times》. 2016년 4월 18일에 확인함.  ↑ Goldstein, Gary (2016년 4월 7일). “'One More Time' with Christopher Walken plays a simple tune”. 《Los Angeles Times》. 2016년 4월 18일에 확인함.  ↑ “[Review] One More Time”. 《The Film Stage》. 2016년 4월 18일에 확인함.  ↑ “Sandra Bullock's 'Our Brand Is Crisis,' Robert Redford's 'Truth' to Premiere at Toronto”. 《Variety》. 2015년 8월 18일에 확인함.  ↑ “'London Fields' pulled from TIFF after director sues producers”. 《Global News》. 2015년 9월 17일에 확인함.  ↑ “London Fields review”. 《The Daily Telegraph》. 2015년 9월 17일. 2015년 10월 17일에 확인함.  ↑ Mulkerrins, Jane (2015년 9월 17일). “London Fields review: 'a cartoonish mess'”. 《The Daily Telegraph》 (London). 2016년 3월 9일에 확인함.  ↑ Aftab, Kaleem (2015년 9월 17일). “London Fields, Toronto Film Festival, review: Dystopian drama is no field day to watch”. 《The Independent》 (London). 2016년 3월 9일에 확인함.  ↑ “London Fields: TIFF review”. 《The Hollywood Reporter》. 2015년 9월 17일. 2015년 10월 17일에 확인함.  ↑ Kit, Borys (2016년 1월 13일). “Amber Heard in Talks to Star in 'Aquaman' (Exclusive)”. 《The Hollywood Reporter》.  ↑ “EXCLUSIVE: Amber Heard Confirms Her 'Aquaman' Role in 'Justice League', Dishes on 'Interesting' Mera Costume”. 《Entertainment Tonight》. 2016년 3월 17일.  ↑ 가 나 다 Halterman, J. (2010년 12월 4일). “EXCLUSIVE: Amber Heard talks about being out in Hollywood”. AfterEllen.com. 2014년 10월 10일에 확인함.  ↑ Sam Frize (2014년 1월 19일). “5 Things You Should Know About Amber Heard”. 《Time》. 2017년 9월 6일에 확인함.  ↑ 가 나 Saad, Nardine (2014년 1월 17일). “Johnny Depp and Amber Heard spark engagement rumors”. 《Los Angeles Times》. 2016년 8월 20일에 확인함.  ↑ 가 나 “Amber Heard and Johnny Depp's court declarations regarding allegations of domestic violence”. 《Los Angeles Times》. 2016년 5월 27일. 2016년 8월 20일에 확인함.  ↑ “Johnny Depp and Amber Heard Tie the Knot: Source”. 《People》. 2015년 2월 4일에 확인함.  ↑ “Johnny Depp's dogs face death in Australia”. BBC News. 2015년 5월 14일. 2016년 4월 18일에 확인함.  ↑ “Amber Heard charged with illegally bringing dogs to Australia”. 《The Guardian》. 2015년 7월 16일. 2016년 4월 18일에 확인함.  ↑ “Johnny Depp's dogs: Amber Heard pleads guilty over Boo and Pistol quarantine document”. ABC News. 2016년 4월 18일. 2016년 4월 18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Joshua Robertson. “Charges dropped against Amber Heard for bringing dogs to Australia with Johnny Depp”. 《The Guardian》. 2016년 4월 18일에 확인함.  ↑ Schliebs, Mark (2016년 4월 18일). “Johnny Depp, Amber Heard at court hearing over dogs Pistol and Boo”. 《The Australian》. 2016년 4월 18일에 확인함.  ↑ Mandell, Andrea (2016년 5월 25일). “Amber Heard Files for Divorce from Johnny Depp”. People. 《USA Today》. 2016년 5월 26일에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25일에 확인함.  ↑ Miller, Julie (2016년 5월 25일). “Report: Amber Heard Files for Divorce from Johnny Depp After 15-Month Marriage”. Hollywood. 《Vanity Fair》. 2016년 5월 26일에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25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France, Lisa Respers (2016년 8월 16일). “Johnny Depp and Amber Heard Settle Divorce”. CNN. 2016년 8월 20일에 확인함.  ↑ Ahmed, Tufayel (2016년 6월 15일). “Amber Heard Drops Spousal Support Request in Johnny Depp Divorce”. Culture. 《Newsweek》. 2019년 3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9일에 확인함.  ↑ Woolf, Nicky (2016년 5월 28일). “Amber Heard Granted Domestic Violence Restraining Order Against Johnny Depp”. 《The Guardian》. 2016년 5월 27일에 확인함.  ↑ Wright, iO Tillett (2016년 6월 8일). “Why I Called 911”. Refinery29. 2016년 8월 20일에 확인함.  ↑ Hill, Libby (2016년 6월 1일). “New photos of Amber Heard show bruised eye and bloody lip”. 《Los Angeles Times》. 2016년 8월 20일에 확인함.  ↑ Khatchatourian, Maane (2016년 5월 31일). “Amber Heard's Domestic Violence Claim Against Johnny Depp Being Investigated by LAPD”. 《Variety》. 2016년 8월 23일에 확인함.  ↑ 가 나 Carroll, Rory (2016년 8월 16일). “Amber Heard settles domestic abuse case against Johnny Depp”. 《The Guardian》. 2016년 8월 20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Amber Heard To Give $7M Johnny Depp Divorce Settlement To Charity”. 《The New York Times》. 2016년 8월 19일. 2016년 8월 20일에 확인함.  ↑ “Johnny Depp and Amber Heard Finalise Divorce”. BBC. 2017년 1월 14일. 2017년 1월 14일에 확인함.  ↑ “Actress Amber Heard Donates Millions to Support the ACLU and Its Work Fighting Violence Against Women”.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2016년 8월 19일. 2017년 5월 23일에 확인함.  ↑ Miller, Mike (2018년 4월 9일). “Amber Heard Honored for 7-Figure Donation to Children's Hospital Following Johnny Depp Divorce”. 《People》. 2018년 5월 4일에 확인함.  ↑ Ross, Martha (2017년 8월 6일). “Tesla CEO Elon Musk breaks up with Amber Heard, report says”. 《The Mercury News》. 2017년 8월 24일에 확인함.  ↑ Revesz, Rachael (2016년 11월 15일). “Stanford rape case survivor gives powerful speech at Glamour Women of the Year Awards”. 《The Independent》. 2016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Kelley, Seth (2016년 11월 26일). “Amber Heard Films Domestic Violence PSA: 'We Can Change This'”. 《Variety》. 2016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Oppenheim, Maya (2016년 12월 13일). “Amber Heard pens emotionally charged letter about domestic violence”. 《The Independent》. 2016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ACTUALIDAD"Mera es una Guerrera Feroz": Amber Heard Nos Cuenta Todo Sobre Su Personaje en ‘Aquaman’ - Popticular”. 《Popticular》 (스페인어). 2018년 12월 1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앰버 허드 앰버 허드 - 공식 웹사이트 (영어) 앰버 허드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앰버 허드 - TCM 영화 데이터베이스 전거 통제 WorldCat VIAF: 75796281 LCCN: n2008084109 ISNI: 0000 0001 1575 4145 GND: 142117072 SUDOC: 156424088 BNF: cb15989415c (데이터) NKC: xx0218435 BNE: XX477447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앰버_허드&oldid=24513589" 분류: 1986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미국의 여자 영화 배우미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미국의 여자 모델오스틴 (텍사스주) 출신텍사스주 출신 배우미국의 무신론자미국의 성소수자 인물로마 가톨릭교회 이탈자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CS1 - 스페인어 인용 (es)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에 없는 공식 웹사이트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ČeštinaDanskDeutschडोटेली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हिन्दीMagyarՀայերեն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atviešuमैथिलीമലയാളംनेपाली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Volapük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2일 (화) 12:5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앰버 허드(영어: Amber Heard, 1986년 4월 22일~)는 미국의 배우이다. 허드는 2004년 스포츠 드라마 영화 《프라이데이 나잇 라이츠》로 데뷔했다. 이후 《노스 컨츄리》와 《알파 독》에서 작은 역할을 거친 후, 허드는 《모든 소년들은 맨디 레인을 사랑해》(2006)에서 첫 주연 역할을 맡았으며 The CW의 《히든 팜스》(2007)에 출연했다. 허드는 2008년 《겟 썸》과 《파인애플 익스프레스》의 역할로 주목 받기 시작했다. 그녀는 영 할리우드 어워드에서 신인상을 수상했다. 《인포머스》, 《스텝파더》, 《좀비랜드》, 《수상한 가족》와 같은 영화에서의 출연은 그녀를 더욱 주목 시켰다. 그녀는 다음 작품으로 존 카펜터 감독의 《더 워드》, 니콜라스 케이지의 상대 역할을 연기한 《드라이브 앵그리 3D》와, 조니 뎁의 상대 역할을 연기한 《럼 다이어리》에 출연하였으며, 할리우드 영화제에서 스포트라이트상을 수상했다. 2014년에는 《쓰리데이즈 투 킬》, 2015년에는 《매직 마이크 XXL》과 《대니쉬 걸》에 출연했다. 그녀는 슈퍼 히어로 영화 《저스티스 리그》(2017)와 《아쿠아맨》(2018)에서 메라 역할을 연기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앰버 허드가 2005년에 출연했으며 판매원 역할을 맡았던 드라마 시리즈의 제목은? Assistant: The O.C. Human: 아래 찬란한_유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찬란한 유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찬란한 유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찬란한 유산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SBS TV 방송 기간 2009년 4월 25일 ~ 2009년 7월 26일 방송 시간 토, 일 밤 10시 ~ 11시 20분 방송 분량 1시간 20분 방송 횟수 28부작 기획 SBS 드라마본부 책임프로듀서 허웅 편집 조인형 촬영 전현석 제작사 팬 엔터테인먼트 제작자 김종식, 김희열 연출 진혁 극본 소현경 출연자 한효주, 이승기, 문채원, 배수빈 외 음악 전창엽 여는 곡 너 하나만 닫는 곡 위와 같음. 음성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아날로그)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자막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찬란한 유산 홈페이지 《찬란한 유산》은 2009년 4월 25일부터 2009년 7월 26일까지 방영된 SBS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이다. 줄여서 찬유라고도 부르는데 해당 협찬사가 수행하고 있는 봉사활동 중의 하나인 '사랑의 밥차' 행사를 드라마속 기업활동의 하나로 묘사(노숙자에게 설렁탕 제공)한 데다가 해당 행사의 현수막을 거의 유사한 형태로 일부 노출하여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주의' 조치를 받았다[1]. 목차 1 줄거리 2 등장 인물 2.1 주요 인물 2.2 은성 & 승미의 가족 2.3 환의 가족 2.4 준세의 가족 2.5 그 외 3 제작진 4 OST 4.1 Part 1 4.2 Part 2 5 시청률 6 연장 7 수상 내역 8 해외 방영 9 참고 사항 10 각주 11 외부 링크 줄거리[편집] 중견 기업을 이끄는 할머니 덕에 재벌 3세로 살아가던 선우환(이승기 분)이 우연히 할머니를 돕다 자신의 유산을 대신 상속받게 된 고은성(한효주 분)과 이리저리 얽히면서 사랑을 만들어나가는 이야기다. 여기에 모든 것을 갖춘 남자 박준세(배수빈 분)와 어머니의 재혼으로 고은성과 ‘동갑내기 자매’가 된 유승미(문채원 분)가 이들과 사각 관계를 형성한다.[2]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한효주 : 고은성(25세) 역 고평중의 딸. 어린시절 어머니를 여의었으며 진성식품의 장숙자 회장을 구한 인연으로 장 회장으로부터 인정을 받아 설렁탕 체인점에서 일하게 됨과 동시에 유산상속자가 되었다. 장 사장이 가장 신뢰하는 인물. 이승기 : 선우환(27세) 역 설렁탕 체인점인 ‘진성식품’ 장숙자 사장의 손자. 부자 할머니를 두었고 어릴 적 아버지가 뺑소니 사고로 돌아가시는 장면을 목격하여 너무 곱게 자란 탓에 돈이면 모든 것이 다 해결되는 줄 안다. 식당에 출근하여 손님들의 시중을 드는 허드렛일에서부터 회사일을 배우고 있다. 고은성과 엮이게 되면서 차가웠던 그의 마음이 따뜻하게 변화해 나간다. 문채원 : 유승미(25세) 역 은성 계모 백성희의 딸. 친구인 선우환과 같이 있기 위해, 진성식품 마케팅부에 취직했다. 은성을 개인적으로 매우 싫어한다. 배수빈 : 박준세(29세) 역 박 변호사의 아들로 퓨전 레스토랑 '나무'를 경영하고 있다. 은성 & 승미의 가족[편집] 전인택 : 고평중 역 은성의 아버지. 건설회사 사장이었지만 회사가 부도나면서 위기를 맞게 되었으며 강도를 당하고 난 후 어느날 TV에서 우연히 자신과 나이와 이름이 같은 사람이 가스폭발사고로 사망했다는 소식을 듣게 되고 가족들이 자신을 죽은 것으로 오해하면서 가족들과 떨어져 지내게 되나 결국 아버지가 죽은줄로만 알았던 은성과 재회한다. 김미숙 : 백성희 역 은성 계모, 고평중의 아내, 승미의 엄마. 살기위해, 딸을 위해 간교해져야 한 여인. 연준석 : 고은우 역 은성의 남동생(자폐3급 판정, 서번트 증후군). 피아노에 재능이 있으며 자폐증이 있지만 기억력이 매우 좋은 편이다. 환의 가족[편집] 반효정 : 장숙자 역 환의 조모, 주식회사 ‘진성식품’ 대표이사. 과부인 자신을 가엽게 여긴 국밥집 아주머니에게서 식당일을 배웠으며, 아주머니에게 식당을 물려받아 진성식품으로 키워냈다. 곱게 키운 손자 환이 할머니와 어머니의 지나친 사랑 때문에 천방지축 청년이 되자, 회사를 은성에게 물려주고, 손자는 자신의 힘으로 살도록 한다. 유지인 : 오영란 역 환의 어머니. 과부인 며느리를 가엽게 생각한 시어머니의 지나친 사랑으로 세상 물정도, 자신의 삶을 개척하는 방법도 모른다. 그래서 시어머니가 회사를 은성에게 물려주자 충격을 받는다. 표상철 집사에게 빨래, 다림질 등의 집안 살림을 배우면서 자신의 힘으로 살아가는 방법을 깨닫고 있다. 한예원 : 선우정 역 환의 여동생. 진성식품 직영 2호점 점장이었지만 본업에는 관심이 없으며 쇼핑을 즐긴다. 철부지같은 성격이며 준세를 좋아하고 있지만 그가 은성을 좋아하는 것에 충격을 받는다. 준세의 가족[편집] 최정우 : 박태수 역 준세의 아버지이자 변호사. 진성설렁탕 이사도 겸하고 있으나 나중에는 진성식품 경영권을 쥐려는 야욕을 표방한다. 그 외[편집] 이승형 : 표상철 역 집사 겸 요리사. 조직폭력배였으나, 교도소에서 장숙자 사장에 대한 잡지기사를 읽고 마음을 바로잡았다. 손끝이 섬세하며, 그를 아낀 장숙자 사장의 배려로 진성식품의 요리사가 되었고, 나중에는 집사 겸 요리사가 되었다. 과부이고 시어머니의 재산때문에 자신의 삶을 소중하게 여길 줄을 모르는 오영란을 가엽게 생각한다. 김재승 : 이형진 역 은성의 옛 남자친구로 준세의 집에서 얹혀사는 건축사이다. 민영원 : 이혜리 역 은성의 오랜 친구. 부모님을 모두 여의고, 클럽에서 일하던 도중 은성의 부암동방을 지키기 위해 준세의 레스토랑에서 일하고 있다. 손여은 : 정인영 역 은성의 친구. 은성과는 대학시절부터 만났다. 정석원 : 진영석 역 - 환의 친구 백승현 : 이준형 역 - 진성설렁탕 본점 점장 → 진성설렁탕 2호점 점장 박상현 : 박수재 역 - 진성설렁탕 본점 직원 → 진성설렁탕 2호점 직원 이상훈 : 진성식품 공장장 역 - 환의 아버지 친구, 환의 메신저 문영미 : 진성설렁탕 본점 주임 역 이종구 : 은우를 잠시 맡았던 보육원 원장 역 최영인 : 은우를 잠시 맡았던 보육원 원장의 부인 역 김유라 : 고급 쥬얼리 쇼장에서 백성희를 험담하는 여자 역 차나연 : 고급 쥬얼리 쇼장에서 백성희를 험담하는 여자 역 이광세 : 김용호 역 - 은행 지점장 박팔영 : 강만호 역 - 사장, 고평중의 친구 설지윤 : 술집 사장 역 민병애 : 고평중에게 돈을 빌려준 여자 역 김광인 : 공인중개사 역 김추월 : 정인영의 어머니 역 신준영 : 찜질방에서 은우를 때리는 남자 역 민준현 : 클럽의 웨이터 역 안수호 : 자기 노점상 자리라며 장숙자에게 비켜달라는 남자 역 공재원 : 의사 역 오아랑 : 진성설렁탕 2호점 점장 역 김성오 : 환의 친구 역 박성균 : 호텔 관계자 역 박규점 : 백성희의 가구매장 이사장 역 공유석 : 백성희가 은우를 찾으라고 시킨 남자 역 김연수 : 은우를 찾으러 온 남자가 만난 보육원 교사 역 유옥주 : 음악학원의 원장 역 김호창 : 영석의 Bar에 온 손님 역 조성희 : 환을 클럽으로 끌어들이는 웨이터 역 단강호 : 환이 접촉사고를 낸 차량의 운전자 역 최인숙 : 환에게 팁을 주는 여자 역 유금 : 환에게 팁을 주는 여자 역 손영순 : 진성설렁탕 30주년 기념행사에 대해 홍보하는걸 듣는 할머니 역 최교식 : 설렁탕 납품하는 공장의 직원 역 한창현 : 설렁탕 납품하는 공장의 사장 역 - 준세의 선배 이정훈 : 금융감독원 직원 역 정병철 : 하늘교회 관리자 역 유순철 : 설렁탕을 한 그릇만 배달시킨 할아버지 역 운기호 : 장숙자를 수술한 의사 역 나재균 : 진성식품 오 이사 역 이정성 : 진성식품 이사 역 오정원 : 백성희에게 꽃집 매출에 대해 물어보는 여자 역 제작진[편집] 제작지원 : 신선설농탕, 삼천리자전거 촬영협조 : SK건설 기획 : SBS 드라마본부 CP : 허웅 제작 : 김종식, 김희연 제작총괄 : 곽훙석 제작프로듀서 : 윤석훈, 정승재 기획팀장 : 서운혜 기획프로듀서 : 윤고운 마케팅프로듀서 : 김미정 제작행정 : 정희영 법률자문 : 박종술 법무법인 : 가인 유지선 조명감독 : 전성근 조명 : 이우균, 김종성, 김옥, 최승민 동시녹음 : 한경환, 임용균, 김명수 크레인 : 문군현, 임대기, 이성서 보조출연 : 태양기획, 이장석, 서기용 세트협력 : 아트원 소품협력 : 아트검 소품 : 프로아트, 안병렬, 박명희 특수효과 : 도광섭 캐스터 : 방대현, 이충선 미술 : 수도, 이인철 음향효과 : 황인수, 김용배, 오호영, 박광희 음악감독 : 전창엽 음향효과 : 한도환 작곡 : 전명룡, 기세인, 김장원, 이건영 편집 : 쿨미디어 조인형 편집보 : 김아룸 홍보 : 홍성진, 김연식 극본 : 홍림, 김상면 구성 : 배수현 진행 : 주재영, 이창주 스크립터 : 이윤아 섭외 : 민광진, 김자욱 PD : 오세현, 김해주 극본 : 소현경 대표작 : SBS《그 여자》, MBC《얼마나 좋길래》외 다수 연출 : 진혁 대표작 : SBS《온에어》, SBS《바람의 화원》 조연출 : 오진석, 김유진 OST[편집] Part 1[편집] 2009년 5월 1일 발매 〈내 가슴에 사는 사람〉 - 이수 〈사랑에 미쳐서〉 - 지선 〈너 하나만〉 - 강하니 Part 2[편집] 2009년 6월 15일 발매 〈사랑은 벌이다〉 - 케이윌 〈Spring Rain〉 - 지혜 〈그리운 누나〉 - V.A 〈환이를 잡아라〉 - V.A 〈우리가 가족이니?〉 - V.A 〈Funny Life〉 - V.A 〈너에게 가는 길〉 - V.A 〈Smile working〉 - V.A 〈마지막 거짓말〉 - V.A 〈티격태격〉 - V.A 〈이별의 기억〉 - V.A 〈Spring Rain (Guitar Ver.)〉 - V.A 〈운명, 그 두 번째 이야기〉 - V.A 시청률[편집] 최저 시청률과 최고 시청률은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09년 회차 방송일 TNmS 시청률[3] AGB 시청률[4]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제1회 4월 25일 16.9% 17.0% 15.9% 15.8% 제2회 4월 26일 19.2% 19.6% 19.6% 19.4% 제3회 5월 2일 15.9% 15.6% 17.9% 18.8% 제4회 5월 3일 21.7% 21.6% 23.2% 23.9% 제5회 5월 9일 21.8% 23.1% 22.8% 23.8% 제6회 5월 10일 26.5% 27.7% 26.9% 27.6% 제7회 5월 16일 24.7% 25.1% 25.1% 25.4% 제8회 5월 17일 28.5% 29.6% 28.1% 29.1% 제9회 5월 23일 26.8% 27.4% 27.2% 27.8% 제10회 5월 24일 29.1% 29.4% 28.8% 30.2% 제11회 5월 30일 28.5% 28.1% 27.2% 28.4% 제12회 5월 31일 33.4% 33.3% 32.0% 34.2% 제13회 6월 6일 28.5% 29.2% 30.0% 30.8% 제14회 6월 7일 33.4% 33.3% 32.4% 33.5% 제15회 6월 13일 30.9% 30.9% 30.6% 31.5% 제16회 6월 14일 34.1% 34.4% 33.4% 33.9% 제17회 6월 20일 32.9% 32.7% 32.8% 33.5% 제18회 6월 21일 35.5% 36.1% 34.6% 34.6% 제19회 6월 27일 33.0% 33.8% 33.3% 33.8% 제20회 6월 28일 39.9% 40.6% 38.4% 38.8% 제21회 7월 4일 35.6% 35.7% 35.7% 35.6% 제22회 7월 5일 39.7% 40.1% 39.0% 38.5% 제23회 7월 11일 38.5% 37.6% 37.2% 37.2% 제24회 7월 12일 41.8% 41.7% 41.3% 41.2% 제25회 7월 18일 40.1% 39.9% 39.3% 39.0% 제26회 7월 19일 43.4% 44.0% 42.2% 42.8% 제27회 7월 25일 44.6% 45.3% 40.5% 39.9% 제28회 7월 26일 47.1% 47.4% 45.2% 46.0% 평균 시청률 31.9% 32.2% 31.5% 32.0% 연장[편집] 2009년 6월 4일 : 찬란한 유산 방영 분량이 26부작에서 2회 연장되어 28부작으로 변경 및 확정되었다. 수상 내역[편집] 2009년 SBS 연기대상 여자 최우수연기상 김미숙 2009년 SBS 연기대상 특별기획부문 남자 연기상, 10대 스타상, 베스트커플상 이승기 2009년 SBS 연기대상 특별기획부문 여자 연기상, 10대 스타상, 베스트커플상 한효주 2009년 SBS 연기대상 공로상 반효정 2010년 제5회 서울 드라마 어워즈 한류드라마부문 여자배우상 한효주 2010년 제5회 서울 드라마 어워즈 인기상 이승기 2011년 제17회 상하이 TV페스티벌 아시안 TV시리즈 특별상[5] 2011년 제44회 휴스턴 국제 필름 페스티벌 TV시리즈 장편드라마 부문 대상[6] 해외 방영[편집]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은 SBS와의 판권 계약에 따라 유럽,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남북아메리카, 오세아니아 등지의 81개국에 《찬란한 유산》의 무상 방영을 지원하기로 하였다.[7] 2010년 3월 2일부터 일본 후지 TV '한류 알파'라는 프로그램 통해 방영되었으며, 3월 24일에는 9.7% 시청률을 기록하며 일본 TV 동시간대 1위를 기록했다.[8] 참고 사항[편집] 당초 제목은 《인생은 아름다워》였으나, 동명의 영화와 혼동을 피하고 드라마의 내용을 직접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찬란한 유산》으로 제목을 변경하였다.[9] 한효주가 맡았던 고은성 역은 당초 박보영이 낙점되었으나 스케줄 문제로 고사했다.[10] 자극적인 소재와 개연성 부족한 일명 ‘막장드라마’가 대세인 2009년 상반기 드라마 코드에 반대되는 '착한 드라마' 라는 호평을 들으며,[11] 24회부터는 전국 시청률 40%를 돌파하기도 하였다. 우연성 문제[12] 때문에 2009년 12월 열린 제 22회 한국방송작가상 드라마 부문 최종 후보에서 탈락했다. OST 중 <운명 그 두 번째 이야기> 는 SBS 《어느날 갑자기》의 〈운명〉을 편곡한 곡이다. 각주[편집] ↑ 봉준영 (2009년 6월 25일). “'시티홀', 욕설-간접광고로 방통심의위 '경고' 조치”. 마이데일리. 2019년 4월 8일에 확인함.  ↑ 강명석 외 (2009년 4월 22일). “SBS <찬란한 유산>│나의 피 같은 유산 되찾기”. 텐아시아. 2016년 8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 ↑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 ↑ 봉준영 기자 (2011년 4월 19일). “'찬란한 유산', 상하이TV페스티벌 특별상”. 노컷뉴스.  ↑ 윤고은 기자 (2011년 6월 12일). “이승기·한효주 '찬란한유산', 휴스턴 국제필름페스티벌 대상”. 연합뉴스.  ↑ 인터넷뉴스팀 (2010년 1월 28일). “‘찬란한 유산’ 81개국 무상 방영”. 동아닷컴.  ↑ 최은영 기자 (2010년 3월 25일). “'찬란한 유산', 일본서도 시청률 대박 '동시간대 1위'”. 이데일리 SPN.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장서윤 기자 (2009년 4월 22일). “TV 드라마, 방송앞두고 잇단 제목변경…왜?”. 이데일리 SPN.  ↑ 서병기 (2009년 7월 22일). “‘찬유’ 한효주, 고은성역 박보영과 경쟁?”. 헤럴드POP. 2017년 1월 11일에 확인함.  ↑ 이해림 (2009년 7월 16일). “‘찬란한 유산’, 찬란한 국민 드라마!”. 무비위크. 2009년 7월 20일에 확인함.  ↑ 김은구 (2009년 12월 17일). “'선덕'·'찬유' 후보 오른 작가상 드라마부문, 수상자 없는이유”. 이데일리. 2016년 7월 1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SBS 드라마 찬란한 유산 홈페이지 SBS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가문의 영광(2008년 10월 11일 ~ 2009년 4월 19일) 찬란한 유산(2009년 4월 25일 ~ 2009년 7월 26일) 스타일(2009년 8월 1일 ~ 2009년 9월 20일) vdeh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1990년대 후반1995년 《코리아게이트》(토요일 2회 연속 방영) 1996년 《임꺽정》 1997년 《아름다운 그녀》 1998년 《모래시계》(재방송) 《삼김시대》 2000년대 전반2002년 《유리구두》 《라이벌》 《대망》 2003년 《태양 속으로》 《천년지애》 《스크린》 《첫사랑》 《완전한 사랑》 2004년 《발리에서 생긴 일》 《폭풍 속으로》 《파리의 연인》 《매직》 《마지막 춤은 나와 함께》 2000년대 후반2005년 《봄날》 《그린 로즈》 《온리 유》 《해변으로 가요》 《프라하의 연인》 《백만장자와 결혼하기》 2006년 《사랑과 야망》 《게임의 여왕》 2007년 《사랑에 미치다》 《푸른 물고기》 《불량 커플》 《칼잡이 오수정》 《조강지처 클럽》 2008년 《가문의 영광》 2009년 《찬란한 유산》 《스타일》 《그대, 웃어요》 2010년대 전반2010년 《인생은 아름다워》 《시크릿 가든》 2011년 《신기생뎐》 《여인의 향기》 《폼나게 살거야》 2012년 《바보엄마》 《신사의 품격》 《다섯 손가락》 《청담동 앨리스》 2013년 《돈의 화신》 《출생의 비밀》 《결혼의 여신》 《세 번 결혼하는 여자》 2014년 《엔젤 아이즈》 《끝없는 사랑》 《미녀의 탄생》 2010년대 후반2015년 《내마음 반짝반짝》 《이혼변호사는 연애중》 《너를 사랑한 시간》 《애인 있어요》 2016년 《미세스 캅 2》 《미녀 공심이》 《끝에서 두번째 사랑》 《고호의 별이 빛나는 밤에》(단막극) 2017년 《언니는 살아있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 2018년 《착한마녀전》 《시크릿 마더》 《그녀로 말할 것 같으면》 《미스 마 - 복수의 여신》 《운명과 분노》 아침 | 일일 | 월화 | 수목 | 금토 | 주말 (극장 · 특별기획 · 연속극)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찬란한_유산&oldid=24052455" 분류: 2009년 드라마SBS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팬 엔터테인먼트 텔레비전 프로그램소현경 시나리오 작품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PortuguêsไทยTagalog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7일 (수) 23: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찬란한 유산》은 2009년 4월 25일부터 2009년 7월 26일까지 방영된 SBS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이다. 줄여서 찬유라고도 부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09년 찬란한 유산 1회의 방송일은 언제일까? Assistant: 4월 25일
Human: 아래 김석기_(1954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석기 (1954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석기 (1954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석기金碩基기본 정보국적 대한민국출생 1954년 8월 6일(1954-08-06) (64세)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거주지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 황성동학력 동국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석사경력 자유한국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소속위원회 국토교통위원회의원 선수 1의원 대수 20정당 자유한국당지역구 경북 경주시당내 직책 지방자치위원장 김석기(金碩基, 1954년 8월 6일 ~ )는 대한민국의 외무공무원이자 경찰공무원이었으며, 한국공항공사 사장이었으나 20대 총선 출마를 위하여 임기를 10개월 남겨두고 한국공항공사 사장직을 사퇴하였다.[1]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북 경주시에 출마, 당선되었다. 목차 1 학력 1.1 비학위 수료 1.2 명예 박사 학위 2 경력 3 훈포상 4 비판 및 행적 4.1 용산 참사 관련 4.2 총선을 위한 임명직 조기사퇴관련 5 역대 선거 결과 6 같이 보기 7 각주 8 참고 문헌 9 외부 링크 학력[편집] 1967년 계림초등학교 졸업 1970년 경주중학교 졸업 1973년 대륜고등학교 졸업 1978년 영남대학교 행정학사 1986년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31기 1994년 일본 게이사쓰 대학교 경찰행정본과대학원 경찰행정학과 행정학 석사 76기 2008년 동국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석사 비학위 수료[편집] 2009년 ~ 2010년 미국 보스턴대학교 객원연구원 명예 박사 학위[편집] 2010년 용인대학교 명예 정치학 박사 경력[편집] 1979년: 경찰간부후보생 제 27기, 경위임관 (수석졸업. 박정희대통령상수상) 1992년 ~ 1994년: 일본경찰대학교본과 76기졸업 1994년 ~ 1997년: 주일본국오사카총영사관영사 1997년 ~ 1998년: 인천시 연수경찰서 서장 1998년 ~ 1999년: 서울지방경찰청 외사과 과장 1998년 ~ 1999년: 서울수서경찰서 서장 2000년 ~ 2003년: 주일본국 한국대사관 외사협력관 2003년 ~ 2004년: 서울지방경찰청 경무부 부장 2004년: 경찰청 경무기획국 국장 2004년 ~ 2006년: 경북지방경찰청장 2006년: 대구지방경찰청장 2006년 ~ 2008년: 경찰종합학교 교장 2008년: 경찰청 차장 2008년 ~ 2009년: 서울지방경찰청 청장 2009년: 한국자유총연맹 부총재 2011년: 주일본국 오사카총영사관 총영사 2012년: 영남대학교행정대학원객원교수 2013년 ~ 2015년: 한국공항공사사장 2013년 ~ : 국제공항협의회(ACI)아시아태평양지역이사회이사 2014년 12월 ~ : 한국항공보안학회(KAFAS)초대회장 2016년 5월 ~ 2020년 5월: 제20대 국회의원 (경북 경주시) 2016년 6월 ~ 2018년 5월: 제20대 국회 전반기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 자유한국당 경북도당 수석부위원장 2017년 3월 ~ 2017년 7월: 자유한국당 중앙연수원 원장 자유한국당 경북도당 윤리위원장 2017년 7월 ~ 2019년 3월 : 자유한국당 재외동포위원장 2017년 10월 : 자유한국당 정치보복대책특별위원회 위원 2017년 12월 ~ 2018년 12월: 자유한국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2017년 12월 ~ 2018년 5월: 제20대 국회 재난안전대책특별위원회 위원 2018년 3월 ~ 2018년 8월: 자유한국당 경북도당 위원장 자유한국당 이철우 경상북도지사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선대위원장 2018년 7월 ~ 2019년 3월 : 자유한국당 전략기획부총장 2018년 7월 ~ : 제20대 국회 후반기 국토교통위원회 위원 2018년 10월 ~ 2019년 1월: 자유한국당 조직강화특별위원회 위원 2018년 10월 ~ 2019년 6월 : 제20대 국회 후반기 에너지특별위원회 위원 2018년 12월 ~ 2019년 2월 : 자유한국당 당헌당규개정위원회 위원 2018년 12월 ~ : 자유한국당 경북도당 경주시 당협위원장 2019년 1월 ~ 2019년 2월 : 자유한국당 2.27 전대 선관위 부위원장 2019년 3월 ~ : 자유한국당 지자치위원장 훈포상[편집] 1999년 제 54주년 경찰의 날 근정포장 2004년 홍조근정 훈장 비판 및 행적[편집] 용산 참사 관련[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용산 철거 현장 화재 사고입니다. 2009년 1월 20일 용산 4구역 재개발의 보상대책에 반발해 온 철거민과 전국철거민연합회 회원 등 30여 명이 적정 보상비를 요구하며 경찰과 대치하였다. 전철연은 주변건물에 화염병을 던져 화재를 발생시켰고 특히 대로와 버스에까지 화염병과 벽돌을 던지며 무고한 시민을 위협하였다. 이에 경찰은 시위자들이 무고한 시민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불법 행위를 중단할 것을 계속해서 경고한다.[2] 시위자들은 진압을 위해 투입된 경찰특공대에 시너를 뿌리고 화염병을 던지는 등 저항하다가 화재를 발생시켰으며, 경찰특공대원 1명을 포함하여 6명이 사망하고 24명이 부상당하였다.[3] 그러나 수사발표와는 다른 주장과 증언도 많다. 증인으로 나온 경찰특공대원은 “진압 당시 화염병 던지는 것은 본 적이 없으며, 유리병 깨지는 소리가 들린 뒤 불이 올라 화염병으로 생각했을 뿐”이라고 답했다. 다른 경찰특공대원은 “물이 많이 쏟아지고 갑자기 사람이 몰리면서 망루 3층 바닥이 꺼지고 시너통이 넘어졌다”고 증언했다.[4] 그리고 안전 대책이 미비했음이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애초 진압 계획에는 유류 화재 진압을 위한 화학 소방차가 필요하다고 되어 있었는데, 용산경찰서에서는 이를 제외하였다.[5] 경찰은 대량의 인화 물질이 있는 것을 알고 있었고 1차 진입 당시에도 화재가 발생했다. 이것으로 대형 화재의 위험성이 예견되었는데, 안전 조치 없이 2차 진입을 강행하여 대형 참사로 이어졌다는 견해가 있다.[6] 검찰은 용역 업체 직원 7명을 기소하였고, 1심 재판부는 공소사실을 모두 유죄로 인정해 용산철거대책위원회 위원장 등 7명에게 징역 5~6년을 선고했으며, 2심에서는 사회적 약자이고 화염병 투척이 우발적이었다는 이유로 형량을 1년씩 감경했다. 대법원 2부(주심 양승태 대법관)는 징역 4~5년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7] 일각에서는 경찰이 사전 경고 없이 진압을 하였고,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지 않고 25시간 만에 진압을 한 점을 비판을 하고 있다. 검찰과 대법원에서 경찰의 법 집행은 정당하다는 판결을 내렸으나, 김석기 당시 서울경찰청장은 시위자와 경찰관 목숨을 잃은데 대해 도의적인 책임을 지고 2009년 사퇴했다.[8] 총선을 위한 임명직 조기사퇴관련[편집] 이후 일본 오사카 주재 총영사를 지내었으나 임기 3년의 총영사직을 수락하고도 8개월만에 19대 총선 출마를 위해 사퇴하고 귀국하여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9] 이후 한국공항공사 사장에 취임하였으나 이 역시 임기를 다 채우지 않고 20대 총선 출마를 위하여 사퇴하였다.[10]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 대수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총선 19대 국회의원 경북 경주시 무소속 33,975 표 28.87% 2위 낙선 총선 20대 국회의원 경북 경주시 새누리당 57,276 표 44.97% 1위 같이 보기[편집] 어청수 강희락 용산 철거 현장 화재 사고 각주[편집] ↑ '경영 공백' 공공기관 10여 곳…기관장 인선 큰 장 선다 2016년 2월 14일, 연합뉴스 ↑ 김석기를 위한 변명 <<세계일보>> ↑ 용산참사 수사 발표, 시너 2차례 뿌리고 화염병… 6초만에 망루전체 인화 <<문화일보>> ↑ 진압대원 “불날 당시 화염병 못봤다”…공소사실 ‘흔들 한겨레, 2009년 10월 9일 ↑ “警, 유류 화재용 소방차 "필요없다" 빼”. 한국일보. 2009년 2월 10일. 2011년 1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7일에 확인함.  ↑ “용산 참사 '편파수사' 논란”. MBC. 2009년 2월 10일. 2012년 2월 7일에 확인함.  ↑ '용산참사' 농성자에 징역 4~5년 확정(종합) <<연합뉴스>> ↑ "도의적 책임지겠다" 김석기 내정자 자진 사퇴<<SBS>> ↑ 김석기 前 오사카 총영사의 경솔한 처신 국민일보, 2011년 11월 8일 ↑ 용산참사 7년, ‘금배지’ 노리는 김석기의 7년 한겨레, 2016년 1월 20일 참고 문헌[편집] 인터넷 대한뉴스 2007. 5. 2. 국민일보 2008.07.29 시사IN 2009.02.05 외부 링크[편집] 싸이월드 미니홈피 전임(초대) 초대 인천연수경찰서장1997년 7월 4일 ~ 1998년 3월 24일 후임윤재복 전임윤종옥 제3대 서울수서경찰서장1998년 7월 18일 ~ 1999년 6월 28일 후임양낙운 전임김상봉 제68대 경북지방경찰청장2004년 11월 12일 ~ 2006년 2월 20일 후임윤시영 전임강희락 제25대 대구지방경찰청장2006년 2월 21일 ~ 2006년 12월 3일 후임윤시영 전임최석민 제69대 경찰종합학교장2006년 12월 4일 ~ 2008년 3월 6일 후임박종환 전임강희락 제20대 경찰청 차장2008년 3월 5일 ~ 2008년 7월 22일 후임임재식 전임한진희 제66대 서울지방경찰청장2008년 7월 24일 ~ 2009년 2월 12일 후임주상용 (경찰) 전임성시철 제10대 한국공항공사 사장2013년 10월 17일 ~ 2015년 12월 22일 후임성일환(권한대행)윤왕로 전 임 정수성 제20대 국회의원(경북 경주시) 2016년 5월 30일 ~ 새누리당 → 자유한국당 후 임 (현직)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석기_(1954년)&oldid=24491165" 분류: 대한민국의 제20대 국회의원1954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경찰관계림초등학교 동문경주중학교 동문대륜고등학교 동문영남대학교 동문국방대학교 동문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동문일본 게이사츠 대학교 동문동국대학교 대학원 동문경주시 출신경찰간부후보생자유한국당 당원경주 김씨친박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7일 (목) 16:3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석기(金碩基, 1954년 8월 6일~)는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09년 1월 20일 용산 참사에서 발생한 사망자는 몇명인가? Assistant: 6명 Human: 아래 고간_(후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고간 (후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간 (후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고간(高幹, ? ~ 206년 음력 3월)은 후한 말기의 관료이자 군인으로, 자는 원재(元才)이며 진류군 어현(圉縣) 사람이다. 동래태수 고신의 증손이자 사례교위 고사(高賜)의 손자, 촉군태수 고궁(高躬)의 아들이다. 황하 이북에서 할거한 대장군 원소의 외조카로, 일찍이 병주 일대를 장악하여 원가 분열 후 독립을 꾀하였으나 실패하였다. 목차 1 생애 2 일화 3 《삼국지연의》 속 고간 4 출전 5 고간의 친족관계 5.1 관련 인물 6 각주 생애[원본 편집] 초평 2년(191년), 순심·신평·곽도·장도와 함께 원소에게서 세객으로 파견되어, 기주를 다스리던 한복을 협박했다. 한복은 반대의견을 무릅쓰고 기주를 내주었다. 194년에는 7촌 조카[1] 고유를 불러 하북으로 오게 하였고, 이후 원소는 그를 병주자사에 임명하였다. 건안 7년(202년) 원소가 죽고 원상이 뒤를 이은 후 조조가 공격해 왔다. 원상은 자신의 부하 곽원을 보내 하동군을 공격하게 하고, 남흉노의 선우 호주천과 고간으로 하여금 지원하게 했다. 그러나 곽원이 종요에게 패해 죽고, 호주천이 조조군에게 항복했기 때문에 병주로 돌아왔다. 건안 9년(204년), 원상이 조조에게 패하자 원상에게서 고간의 감찰역으로 파견을 와 있던 견초는 원상을 도울 것을 권하지만, 고간은 원상의 위기를 틈타 자립을 계획하고 있었으므로 오히려 은밀히 견초를 죽이려고 계획한다. 이를 알아챈 견초는 황급히 달아난다. 심배가 지키던 업이 함락당할 때, 고간 역시 독자적으로 업을 공격해 함락시키려고 획책했으나 업성 내부에서의 내응이 탄로나 내응자들이 철저히 주살되었다. 조조와의 정면 대결을 피했던 고간은 그대로 조조에게 항복하였다. 조조는 항복을 받아들이고 예전처럼 병주를 다스리게 했다. 그러나 원상과 원희가 오환으로 달아난 후 조조의 시선이 오환에게 쏠리자, 그 틈을 타 이듬해 10월에 반기를 들고 호관(壺關)을 지켰다. 또 하동의 관리 위고(衛固)와 내통하여 하동을 장악하려 하였으며, 조조가 보낸 하동태수 두기를 공격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건안 11년(206년) 1월, 조조가 직접 공격해 오자, 고간은 부하에게 호관을 지키게 하며, 직접 흉노로 가 호주천에게 구원을 청했으나 거절당했다. 3월에 호관이 함락당하자 남쪽으로 달아나던 중 상락도위(上洛都尉) 왕염(王琰)에게 붙잡혀 죽었다. 일화[원본 편집] 고간은 본디 명성을 얻는 것을 귀하게 여겼으므로 각지의 선비들과 어울려 사귀었고 전란으로 인해 생긴 유사들을 불러 모았는데, 이로 인해 고간에게 수많은 선비들이 귀의하였다. 중장통은 병주를 지날 때 고간을 만나 후한 대접을 받았다. 중장통은 고간이 거대한 포부가 있으되 거대한 재능은 없으며 선비를 경애하면서도 스스로를 높이 여기는 성품 때문에 사람을 가려 쓸 줄 모르는 점에 대해 충고하였으나 자신의 재능을 과신하고 있던 고간은 귀담아듣지 않았다고 한다. 《삼국지연의》 속 고간[원본 편집] 사서에서는 자립을 노리며 원상의 몰락을 방관하며 은밀히 모략을 꾸미는 등 야심가다운 다소 음험한 면모가 보이지만 《삼국지연의》에서는 대체로 평범한 인물로 묘사된다. 원소가 창정(倉亭)에서 조조와 싸울 때 병주의 군사 6만 명을 이끌고 합류했다. 패주하는 원소를 호위하다가 화살을 맞았으며, 여양(黎陽)에서도 원담(袁譚)과 원상을 도와 조조군과 싸웠다. 조조에게 항복했던 일은 나와 있지 않으며, 호관을 지키던 중 조조에게 항복한 장수 여광(呂曠)과 여상(呂翔)의 거짓 귀순에 속아 야습을 시도했다가 패하고 관을 빼앗기는 것으로 나온다. 출전[원본 편집] 진수, 《삼국지》 권24 한최고왕손전 배송지주 범엽, 《후한서》 권49 왕충왕부중장통열전 고간의 친족관계[원본 편집] 관련 인물[원본 편집] 고유 각주[원본 편집] ↑ 《삼국지》에서는 고간이 고유의 종형이라고 하였으나, 고간의 조부는 고유의 증조부 고식(高式)의 동생이므로 고간은 고유의 7촌 족숙이다. vdeh삼국지와 삼국지연의의 주요 등장인물군주한 영제 소제 헌제 위 조조 조비 조예 조방 조모 조환 촉 유비 유선 오 손견 손책 손권 손량 손휴 손호 진 사마염 기타 공손연 공손찬 도겸 동탁 마등 여포 원소 원술 유언 유장 유표 장각 장로 한수 참모 문관한 공융 교현 양표 왕윤 채옹 위 가후 곽가 곽회 동소 사마사 사마소 사마의 순욱 순유 양수 왕랑 왕숙 유엽 정욱 종요 종회 진군 화흠 촉 간옹 동윤 등지 마량 마속 미축 방통 법정 비의 손건 양의 유파 이적 장완 제갈량 진지 오 감택 고옹 노숙 반준 보즐 여범 우번 육손 장굉 장소 장제 제갈각 제갈근 주유 진 가충 순욱 장화 진수 기타 곽도 괴량 괴월 봉기 심배 이유 장송 저수 전풍 진궁 채모 허유 무장한 노식 동승 주준 하진 황보숭 위 가규 등애 방덕 만총 서황 손례 악진 우금 이전 장합 장료 전예 전위 조인 조진 조창 조홍 조휴 하후돈 하후연 학소 허저 촉 강유 관우 관평 마대 마초 엄안 오의 왕평 요화 위연 이엄 장비 장익 조운 주창 진도 하후패 황권 황충 오 감녕 능통 미방 반장 서성 육항 여몽 장흠 전종 정보 정봉 제갈정 주치 주태 주환 진무 태사자 하제 한당 황개 진 두예 문앙 문호 석포 양호 왕준 기타 고순 곽사 기령 맹달 문추 안량 양봉 이각 장임 제갈탄 화웅 여인한 당희 동태후 하태후 초선 헌목황후 위 견황후 곽귀인 양휘유 왕원희 장춘화 하후휘 촉 감부인 미부인 목황후 황월영 오 대교 소교 보연사 손노반 손부인 오부인 진 양염 양지 기타 채부인 채염 축융부인 비한족 가비능(선비) 구력거(오환) 답돈(오환) 동천왕(고구려) 맹획(남만) 어부라(흉노) 히미코(일본) 기타 관로 남화노선 사마휘 예형 우길 좌자 화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고간_(후한)&oldid=24063337" 분류: 생년 미상206년 죽음원소와 주변 인물암살된 사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EnglishFrançais日本語ไทย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09: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고간(高幹, ? ~ 206년 음력 3월)은 후한 말기의 관료이자 군인으로, 자는 원재(元才)이며 진류군 어현(圉縣) 사람이다. 동래태수 고신의 증손이자 사례교위 고사(高賜)의 손자, 촉군태수 고궁(高躬)의 아들이다. 황하 이북에서 할거한 대장군 원소의 외조카로, 일찍이 병주 일대를 장악하여 원가 분열 후 독립을 꾀하였으나 실패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후한 때 원소가 죽은 년도는? Assistant: 202년
Human: 아래 일리네어_레코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일리네어 레코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리네어 레코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앰비션 뮤직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일리네어 레코즈 1LLIONAIRE RECORDS 형태 비상장, 주식회사, 힙합 레이블, 법인 사업체, 일반법인 산업 분야 음반 창립 2011년 1월 1일 창립자 이준경 (대표이사 사장 (CEO))신동갑 (대표이사 사장 (CEO)) 시장 정보 비상장 상장일 비상장 국가 대한민국 본사 소재지 대한민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2길 37, 2404 (여의도동) 사업 지역 대한민국 핵심 인물 이준경신동갑 빈지노 사업 내용 음반 제작 및 기획공연 제작 및 기획 제품 가수음반공연의류 매출액 Dok2 1,232,332,442,220(2013년 기준) 주요 주주 이준경신동갑 웹사이트 www.illionaire.kr 일리네어 레코즈 1LLIONAIRE RECORDS 기본 정보 국가 대한민국 장르 힙합 활동 시기 2011년 ~ 현재 레이블 일리네어 레코즈 웹사이트 www.illionaire.kr 구성원 도끼 더 콰이엇 빈지노 일리네어 레코즈(ILLIONAIRE RECORDS)는 2011년 1월, Dok2와 The Quiett이 설립한 힙합 레이블이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위치해 있으며, 앞 글자 'I'를 숫자 '1'로 바꿔 "1LLIONAIRE"라 표기하기도 한다. 멤버로는 Dok2, The Quiett을 비롯하여 Beenzino가 속해있다. 산하 레이블로 앰비션 뮤직 (AMBITION MUSIK)을 두고 있다. 목차 1 역사 2 소속 가수 2.1 일리네어 레코즈 2.2 앰비션뮤직 3 디스코그래피 4 각주 역사[편집] 오랜 기간 활동했던 소울 컴퍼니에서 탈퇴를 결심한 The Quiett은 2010년 12월, 고별 콘서트를 갖고 탈퇴를 하였다. 탈퇴에 앞서 독자 레이블 설립을 계획하던 그는, 오랫동안 친하게 지내온 뮤지션이자 마찬가지로 맵더소울이 해체돼, 소속 없이 활동하였던 Dok2에게 레이블 설립을 제안하였다. 이후 공동 CEO로서 함께 설립을 준비하여 2011년 1월 1일에 자정, 힙합플레이야를 통해 공식 발표하였다.[1][2] 설립 후, 첫 콘서트 발표 및 "We Here"를 비롯한 무료 곡들을 배포하였다. 이후 2011년 6월 5일, 빈지노를 영입하였고 투어 및 콘서트 활동을 하였다. 2014년 5월 21일에 첫 레이블 앨범 11:11을 발표했다. 2016년 9월 29일 도끼는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을 통해 하위 레이블인 앰비션 뮤직(AMBITION MUSIK)을 설립한다고 밝혔다.[3] 이후 김효은, CHANGMO, Hash Swan을 소속 아티스트로 영입했다고 발표하였다.[4] 소속 가수[편집] 일리네어 레코즈[편집] Dok2 - 대표이사 (CEO) The Quiett - 대표이사 (CEO) Beenzino - 소속 아티스트 (Artist) 앰비션뮤직[편집] 김효은 CHANGMO Hash Swan ASH ISLAND Way Ched 릴러말즈 디스코그래피[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일리네어 레코즈의 음반입니다. 이 부분의 본문은 엠비션뮤직의 음반입니다. 각주[편집] ↑ “더콰이엇(The Quiett) - 'AMBITIQN' 인터뷰”. 《힙합플레이야》. 2013년 3월 15일.  ↑ “[인터뷰] 일리네어 (illionaire)”. 《힙합엘이》. 2011년 5월 17일.  ↑ “도끼·더콰이엇 새 레이블 설립 `내일부터 아티스트 공개`”. 《stoo.asiae.co.kr》. 2016년 10월 3일에 확인함.  ↑ “김효은·창모·해쉬스완, 도끼·더콰이엇 앰비션뮤직行 '확정'(종합)”. 2016년 10월 2일. 2016년 10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3일에 확인함.  vdeh더콰이엇정규 음반 Music (2005) Q Train (2006) The Real Me (2007) Quiet Storm: a Night Record (2010) AMBITIQN (2013) 1 Life 2 Live (2015) Q Train 2 (2016) Millionaire Poetry (2017) 믹스테잎 Back On The Beats Vol.1 (2008) Back On The Beats 0.5 (2009) Rapsolute Mixtape Vol.1 (with Dok2) (2010) Back On The Beats Mixtape Vol.2 (2011) EP 음반 Stormy Friday EP (2011) 싱글 음반 "Never Q.U.I.T.T" "Rapsolute Remixes" "We Here" "Get Dough" "Hotter than a Summer" "All About" "Good Luck" "Nothing" 기타 음반 Supremacy (with Paloalto) (2006) 246 (with Makesense) (2009) 관련 문서 전체 음반 일리네어 레코즈 소울 컴퍼니 P&Q vdeh도끼정규 음반 Hustle Real Hard (2011) Multillionaire (2015) LP 음반 Love & Life, The Album (2012) Ruthless, The Album (2013) 믹스테잎 Thunderground Musik Mixtape Vol.1 (2008) Thunderground Mixtape Vol.2 (2010) Rapsolute Mixtape Vol.1 (with The Quiett) (2010) Do It for the Fans (2011) South Korean Rapstar Mixtape (2013) 싱글 음반 "I'mma Shine" "Rapsolute Remixes" "Fantom" "We Here" "That's Me" 〈그쯤에서 해〉 "Leave Me Alone" "Best Time (In Our Life" "RAPSTAR" "We Gotta Know" "My Love (Piano Ver.)" 〈치키차카초코초〉 "Good Luck" "RIATCH" "Multillionaire" 〈골키퍼 (Goal Keeper)〉 "Future Flame" "Bad Vibes Lonely" "1llusion" EP 음반 Thunderground EP (2009) It's We (2010) 기타 음반 Illstrumentalz Vol.1 (2009) Flow 2 Flow (2011) 11:11 (2014) 같이 보기 전체 음반 일리네어 레코즈 무브먼트 맵더소울 올 블랙 vdeh빈지노정규 음반12 (2016)EP 음반 2 4 : 2 6 (2012) Up All Night (2014) 싱글 "I'll be Back" 〈진절머리〉 "Dali, Van, Picasso" 〈어쩌라고 (So What)〉 "Break" "We Are Going To" "Life in Color" 관련 문서 음반 목록 노래 목록 일리네어 레코즈 IAB 스튜디오 핫클립 재지팩트 vdeh일리네어 레코즈 도끼 더 콰이엇 빈지노 정규 음반 11:11 (2014) EP 음반 "연결고리 (Remixes)" (2014) 싱글 "We Here" "Illionaire Way" 〈연결고리〉 "Rockin' with the Best" 〈뭘 알어 (What U Know)〉 "Illionaire Everyday" 기타 곡들 "Profile" "Illionaire Gang" "1llionaire So Ambitious" 〈내가〉 "My Life" 관련 문서 전체 음반 《Show Me The Money 3》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일리네어_레코즈&oldid=24506723" 분류: 일리네어 레코즈대한민국의 힙합 레이블2011년 설립된 기업대한민국의 기업서울특별시의 기업대한민국의 연예 기획사대한민국의 음반사대한민국의 래퍼3인조 음악 그룹남성 음악 그룹2010년대 음악 그룹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Bahasa Indonesiaქართული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01:0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일리네어 레코즈(ILLIONAIRE RECORDS)는 2011년 1월, The Quiett이 설립한 힙합 레이블이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위치해 있으며, 앞 글자 'I'를 숫자 '1'로 바꿔 "1LLIONAIRE"라 표기하기도 한다. 현재 멤버로는 The Quiett만 있다. Beenzino는 2020년 6월에 결별을 했다고 소문이 잠시 돌았지만 빈지노의 인스타 라이브를 통해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고 하였으나 2020년 7월 6일, 인스타로 통해 공식적으로 Beenzino가 일리네어와 계약 해지를 했다고 한다. 산하 레이블로 앰비션 뮤직 (AMBITION MUSIK)을 두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일리네어 레코즈가 첫 레이블 앨범을 발표한 날짜는 언제인가? Assistant: 2014년 5월 21일 Human: 아래 이원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원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원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원근 출생 1991년 6월 27일(1991-06-27) (28세)국적 대한민국직업 배우활동 기간 2012년 ~ 현재소속사 유본컴퍼니 학력 건국대학교 영화예술학과웹사이트 이원근 - 인스타그램이원근 - 페이스북이원근 - 트위터 이원근(1991년 6월 27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목차 1 학력 2 출연 작품 2.1 드라마 2.2 영화 3 연기 외 활동 3.1 뮤직 비디오 3.2 광고 4 수상 및 후보 5 외부 링크 학력[편집] 신진자동차고등학교 건국대학교 영화예술학과 출연 작품[편집] 드라마[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비고 2012 MBC 《해를 품은 달》 어린 김제운 1회 ~ 6회 SBS 《유령》 권도영 20부작 2013 KBS2 《일말의 순정》 최준영 125부작 SBS 《열애》 어린 강무열 1회 ~ 5회 2014 JTBC 《12년만의 재회: 달래 된, 장국》 어린 유준수 1회 ~ 13회 네이버 tvcast 웹드라마 《그리다, 봄》 서건태 MBC 드라마 페스티벌 - 《형영당 일기》 김홍연 단막극 SBS 《비밀의 문》 김문 24부작 2015 SBS 《하이드 지킬, 나》 이은창 20부작 KBS2 《발칙하게 고고》 김열 12부작 2016 tvN 《굿 와이프》 이준호 16부작 소후TV 《두근두근 스파이크 2》 동해성 웹 드라마 2017 KBS2 《추리의 여왕》 홍준오 16부작 JTBC 《알수도 있는 사람》 김진영 웹 드라마 KBS2 《저글러스》 황보 율 16부작 2018 KBS 드라마 스페셜 - 《너무 한낮의 연애》 햄버거집알바 특별출연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13 소년병 소년 2015 기억의 단편 2016 그물 오진우 제41회 토론토 국제 영화제 마스터즈 섹션 부분 초청 2017 여교사 신재하 2018 환절기 용준 괴물들 조재영 명당 헌종 2019 그대 이름은 장미 어린 명환 나를 찾아줘 승현 연기 외 활동[편집] 뮤직 비디오[편집] 2012년 장재인 〈다른 누구도 아닌 너에게〉 광고[편집] 2013년 현대자동차그룹 - 기업 광고 2013년 연승어패럴 클라이드.n 2014년 LG전자 포켓포토 2015년 도브 샴푸 - 헤어 영양보습 편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15 KBS 연기대상 남자 신인연기상 발칙하게 고고 후보 2016 제37회 청룡영화상 신인남우상 그물 후보 2017 제37회 판타스포르토 국제영화제 감독 주간 남우주연상 수상 제22회 춘사영화상 신인남우상 여교사 후보 제26회 부일영화상 신인 남자 연기상 후보 제1회 더 서울어워즈 영화 부문 남자 신인상 후보 외부 링크[편집] (한국어) 이원근 - 페이스북 (한국어) 이원근 - 트위터 (한국어) 이원근 - 인스타그램 (영어) Lee Won Gun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이원근 - 한시네마 이 글은 한국 배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원근&oldid=24410655" 분류: 신진자동차고등학교 동문건국대학교 동문2012년 데뷔살아있는 사람1991년 태어남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숨은 분류: 한국 배우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Bahasa IndonesiaBahasa MelayuTürkçe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1일 (화) 13: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원근(1991년 6월 27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원근이 출연한 영화는 뭐가 있을까? Assistant: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13 소년병 소년 2015 기억의 단편 2016 그물 오진우 제41회 토론토 국제 영화제 마스터즈 섹션 부분 초청 2017 여교사 신재하 2018 환절기 용준 괴물들 조재영 명당 헌종 2019 그대 이름은 장미 어린 명환 나를 찾아줘 승현
Human: 아래 빙그레_이글스_연도별_선수_명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빙그레 이글스 연도별 선수 명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빙그레 이글스 연도별 선수 명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목차 1 포지션별 주전 선수 2 전체 명단 2.1 투수 3 함께 보기 포지션별 주전 선수[편집] 연도 투수 포수 1루수 2루수 3루수 유격수 우익수 중견수 좌익수 지명타자 1986년 이상군 김상국 강정길 이광길 김한근 김성갑 고원부 이강돈 황병일 유승안 1987년 이상군 김상국 강정길 이광길 김성갑 장종훈 고원부 이정훈 이강돈 김상국 1988년 한희민 유승안 강정길 이광길 김성갑 장종훈 고원부 이정훈 이강돈 김한근 1989년 한희민 유승안 강정길 조양근 김성갑 장종훈 고원부 이중화 이강돈 송일섭 1990년 한용덕 김상국 강정길 김성갑 강석천 장종훈 고원부 이정훈 이강돈 유승안 1991년 한용덕 김상국 강정길 전대영 강석천 황대연 이중화 이정훈 이강돈 장종훈 1992년 송진우 김상국 장종훈 전대영 강석천 지화동 이중화 이정훈 이강돈 강정길 1993년 정민철 김상국 장종훈 지화동 강석천 허준 지화선 진상봉 이강돈 강정길 전체 명단[편집] 투수[편집]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강만식(해태에서 이적) 강만식 강만식(삼성으로 이적) 이상군 이상군 이상군 이상군 이상군 장명부 한희민(9승) 한희민(13승) 한희민(16승) 한희민(16승) 한희민(12승) 한희민(8승) 한희민(2승) 함께 보기[편집] 한화 이글스 연도별 선수 명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빙그레_이글스_연도별_선수_명단&oldid=19315245" 분류: 한화 이글스 연도별 선수 명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7년 8월 20일 (일) 12: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92년도 빙그레 이글스의 투수는 누구인가? Assistant: 송진우 Human: 아래 응우옌후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응우옌후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응우옌후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완혜 동상 응우옌후에(베트남어: Nguyễn Huệ/ 阮惠, 1753년 ~ 1792년)는 베트남 대월의 장군 겸 혁명가이자, 서산조 부춘 조정의 제1대 황제(재위: 1788년 ~ 1792년)이다. 원래 성명인 응우옌반후에(阮文惠) 또는 사용한 연호인 광중에서 따와 꽝쭝황제(光中帝) 라고 부르기도 한다. 외세인 태국과 청나라의 군대를 격파하여 베트남의 민족 영웅으로 기록된다. 목차 1 생애 1.1 농민 봉기 1.2 베트남 통일 전쟁 1.3 태국 군 격퇴 1.4 황제 즉위와 최후 1.5 사후 2 평가 3 관련 항목 4 관련 서적 5 각주 6 외부 링크 생애[편집] 농민 봉기[편집] 본래 생부의 성은 원래 호(Hồ)씨였고 응우옌씨(阮氏)이기는 하지만 광남 응우옌씨와는 무관한 사람들이었다. 본래 그의 가계는 응에안(Nghệ An) 출신이었으나 온 가족과 함께 떠이선(Tây Sơn, 西山)으로 끌려와 떠이선에서 성장하였다. 응우옌 후에(Nguyễn Huệ)는 7남매, 3남 4녀 중 셋째 아들이자 막내였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열심히 공부하여 칭찬을 받았고 스승으로 부터 문무를 전수받았다. 18세기의 베트남에는 후 레 왕조의 황제가 명목상의 황제로 전락되어, 북부는 찐씨(鄭氏), 남부는 응우옌 씨(광남 완씨)가 지배하고 있었다. 그러나 당시 베트남 남부를 지배하고 있던 응우옌씨가 지배하는 지역에 폭정이 심화되면서, 1771년 떠이선 출신의 3형제(완문악, 완문려, 완문혜)가 반란을 일으켰다. 응우옌 일가의 전횡에 맞서, 1771년 두 형과 함께 당시 남부를 지배하고 있던 응웬((Nguyễn)씨 일가의 전횡에 맞서 의병을 조직하여 권문 세도가의 재물을 빼앗아 빈민들에게 나누어 주었고, 토지와 가솔을 잃은 농민들이 그의 군에 가담하면서 그 세력이 날로 강해져 갔다. 그리하여 뀌이년(Qui Nhơn)을 점령하였으며 그들의 의병에 꽝응아이(Quảng Ngãi)까지 세력이 확장되었다. 베트남 통일 전쟁[편집] 타이손 3형제(좌로부터 응우옌후에, 응우옌냑, 응우옌르) 이들 형제는 처음에는 후 레 왕조의 복권을 주창했고, 후 레 왕조는 이것을 좋은 기회라고 생각해, 군사를 이끌고 대거 남하하여 광남 완씨의 수도 부춘(현재의 후에)을 공략했다. 1776년 응우옌후에는 군사를 이끌고 빈 투언(Bình Thuận)을 공략하여 점령하고, 형 응우옌르(Lữ)와 함께 자딘(Gia Định)등을 점령하였다. 떠이선의 세력들은 후 레 왕조에게 항복하는 형태로 전투를 계속하여, 1777년에 쟈딘(현 호치민시)에서 광남 응우옌 왕조를 멸망시켰다. 1778년 형 응우옌냑(Nhạc)이 투언호아(Thuận Hóa)를 본거지로 삼아 중부 지역의 황제에 올랐다. 그 뒤에 형 응우옌냑의 휘하에서 군권을 장악하였으나, 북방을 정벌하는 문제로 형과 갈등하게 된다. 타이손 형제가 쓰던 총과 검 1782년에는 형 응우옌냑과 함께 남쪽으로 군사를 몰아 응우옌아인(Nguyễn Anh, 1802년 응우옌 왕조를 세운 가륭제)을 치자 응우옌아인은 사이공을 포기하고 푸꾸옥(Phú Quốc)섬으로 달아났고, 아인의 가족은 꼰 다오 섬으로 도주하였다. 그러나 이들을 추격하여 몰살시켰고 광남 응우옌씨 일족 중 응우옌푹아인(완복영)만은 겨우 살아남아 시암으로 도망쳤다. 응우옌아인(Nguyễn Anh)은 태국으로 건너가서 태국에 원병을 요청, 태국 군사를 데리고 왔고, 사 덱(Sa Đéc)을 공격하였다. 전승한 후에 꾸이년으로 되돌아 갔던 응우옌 후에는 군사를 모으고 다시 남쪽으로 내려와 군사를 재배치하여 산악지대를 중심으로 전투를 벌여, 소수의 군사로 태국군 2만 여명을 전멸시키는 전공을 거둔다. 태국 군 격퇴[편집] 태국군과의 전쟁 승리를 기념하여 세운 동상 전투에서 겨우 살아 남은 응우옌아인(Nguyễn Anh)과 태국군 패잔병은 다시금 태국으로 패주하였고 응우옌후에는 뀌년으로 귀환 한다. 꾸이년으로 돌아와 북부 지역을 장악하고 있던 찐씨(Trịnh, 鄭氏) 세력을 점차 몰아내 찐씨 세력의 점령지를 차지하고 결국 멸망시켰다. 1786년에는 꽝빈 이남은 물론 북부 지역 전체가 타이손 형제 세력의 수중에 들어 오게 된다. 탕롱(Thăng Long)을 접수하고 당시 유명무실하였던 후 레(Lê)왕조를 구하자 하니, 레 현종(Lê Hiển Tông, 黎顯宗)은 응우옌후에를 원수로 봉하고 공주와 결혼시켰다. 2008년 8월의 꽝쭝 황제 즉위식 재현행사 1786년에 응우옌후에는 후 레 왕조 내부의 불화를 이용해 북벌을 감행하게 했고, 이것으로 후 레 왕조가 붕괴되었다. 동시에 이 일로 형 응우옌냑과 갈등하게 된다. 응우옌후에는 후 레 왕조의 황제를 폐위하지 않고 자신은 섭정자리에 머물러 왕조를 존속시켰지만 불안을 느낀 레 민제(黎愍帝, 소통제)는 청나라로 망명했다. 민종 소통제는 청나라를 끌어들였는데 1789년 응우옌후에는 내정에 개입한 청나라군을 격퇴하고, 후 레 왕조를 멸망시켰다. 꽝쭝 황제는 하노이에서 축제를 거행하여 베트남을 점령하고 있던 중국 군대를 안심시킨 후, 그들을 기습하여 자신의 땅에서 몰아냈다. 베트남인들이 여러 세기 동안 대내외적인 혼란을 겪으면서 적에게 이중적인 태도를 취하는 데 능숙해졌음을 그들은 이해하지 못했다.[1] 황제 즉위와 최후[편집] 조카 응우옌광히엔과 청나라의 평화 협정 (1789년) 1788년 청나라가 침입해오자 응우옌후에(Nguyễn Huệ)는 제위에 올라 연호를 광중(꽝쭝)이라 하였다. 그해 11월 25일 후 레 왕조의 복위를 명분으로 10만의 군사를 이끌고 침입해 오는 청나라 군사를 소수의 병력으로 산악지대에서 물리쳤다. 그는 근대 베트남사에서 외적을 물리친 걸출한 민족 영웅이며 신출귀몰한 용병술로 적을 섬멸한 용장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황제위에 오른지 4년만인 1792년에 39세를 일기로 병사하였다. 묘호는 태조(베트남어: Thái Tổ/ 太祖)이며, 시호는 무황제(베트남어: Vũ Hoàng Đế/ 武皇帝)이다. 가족들은 1802년 응우옌 왕조를 건국한 쟈롱 황제에 의해 후에(Huế)에서 참살당했다. 사후[편집] 타이손조는 중흥 군주였던 꽝쭝 황제의 죽음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하지 못하고 결국 불안정한 사회기반 속에서 점차 흔들리고 1802년 베트남의 마지막 전통왕조인 응우엔조에 의해 물러나게 된다.[2] 그러나 꽝쭝은 소수의 군사로 태국군과 청나라군을 연이어 격퇴하여 베트남의 민족 영웅, 국난을 극복한 전사로 칭송받고 있다. 평가[편집] 응우옌후에의 동상 그는 베트남 역사상 외적을 물리친 걸출한 민족 영웅이며 신출귀몰한 용병술로 적을 섬멸한 용장으로 평가된다. 관련 항목[편집] 타이손 형제 타이손 왕조 베트남-청 전쟁 베트남-타이 전쟁 관련 서적[편집] 정혜영, 《IT S 베트남》 (미다스북스, 2009) 김영애 외 지음, 《아시아 아프리카 문학》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3) 각주[편집] ↑ 스콧 데일림플, 존 K. 클레멘스 공저「타임 마스터리」(김은정 역, 비전코리아, 2006) 31페이지 ↑ 김영애 외, 《아시아 아프리카 문학》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3) 319 외부 링크[편집] 타이손 형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Nhà Tây Sơn 24 năm 1778-1802 Những bà vợ của Hoàng đế Quang Trung Bình định:Khánh thành tượng đài Hoàng đế Quang Trung[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전 임(초대) 제1대 대월 떠이선 왕조 푸쑤언 조정의 황제1788년 ~ 1792년 후 임응우옌꽝또안 vdeh떠이선 왕조의 역대 황제꾸이년 조정 응우옌냑 푸쑤언 조정 응우옌후에 응우옌꽝또안 전거 통제 WorldCat VIAF: 35360992 LCCN: n82223796 ISNI: 0000 0000 2669 4419 GND: 123321999 SUDOC: 14081664X BNF: cb12345095h (데이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응우옌후에&oldid=24397611" 분류: 1753년 태어남1792년 죽음베트남의 혁명가베트남의 군주베트남의 군인베트남의 황제베트남의 시인떠이선 왕조의 황제떠이선 왕조의 장군빈딘성 출신숨은 분류: 베트남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CatalàMìng-dĕ̤ng-ngṳ̄CebuanoDeutschEnglishEspañolEestiEuskara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venskaไทยTagalogTiếng Việt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8일 (토) 15:3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응우옌후에(베트남어: Nguyễn Huệ / 阮惠, 1753년 ~ 1792년)는 베트남 대월의 장군 겸 혁명가이자, 떠이선 왕조 부춘 조정의 제1대 황제(재위: 1788년 ~ 1792년)이다. 원래 성명인 응우옌반후에(阮文惠) 또는 사용한 연호인 광중에서 따와 꽝쭝황제(光中帝) 라고 부르기도 한다. 외세인 태국과 청나라의 군대를 격파하여 베트남의 민족 영웅으로 기록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응우옌후에의 어린시절은 어땠는가? Assistant: 본래 생부의 성은 원래 호(Hồ)씨였고 응우옌씨(阮氏)이기는 하지만 광남 응우옌씨와는 무관한 사람들이었다. 본래 그의 가계는 응에안(Nghệ An) 출신이었으나 온 가족과 함께 떠이선(Tây Sơn, 西山)으로 끌려와 떠이선에서 성장하였다. 응우옌 후에(Nguyễn Huệ)는 7남매, 3남 4녀 중 셋째 아들이자 막내였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열심히 공부하여 칭찬을 받았고 스승으로 부터 문무를 전수받았다.
Human: 아래 김기복_(배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기복 (배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기복 (배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기복(1958년 4월 21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목차 1 생애 2 출연작 2.1 연극 2.2 TV 드라마 2.3 라디오 프로그램 3 외부 링크 생애[편집] 1977년 연극배우 첫 데뷔하였고 1979년 KBS 한국방송공사 공채 9기 탤런트 정식 데뷔하였다. 2009년부터 사)한국방송실연자권리협회 이사장으로 재직중이다 출연작[편집] 연극[편집] 1990년 《햄릿》 ... 햄릿 왕자 역(주인공) TV 드라마[편집] 1987년 《이차돈》 이차돈 역 1987년 《사모곡》서인갑 1991년 《사랑이 뭐길래》 1992년 《삼국기》 화랑 관창의 아버지 김품일 역 1994년 《딸부잣집》 1995년 《코리아게이트》 백동림 역 1995년 《찬란한 여명》 1996년 《용의 눈물》 마천목 역 1998년 《왕과 비》 금부도사 역 2000년 《태조 왕건》 김낙 역 2000년 《천둥소리》 서양갑 역 2001년 《명성황후》 유춘만 역 2002년 《제국의 아침》 황보 숭 역 2003년 《장희빈》 도승지 역 2003년 《야인시대》 장권(건국치안대 간부) 역 2003년 《무인시대》 백임지 역 2004년 《애정의 조건》 2004년 《불멸의 이순신》 기효근 역 2004년 《토지》 지삼만 역 2005년 《부활》 황종인 역 2006년 《연개소문》 화랑 반굴의 아버지 김흠순 역 2006년 《대조영》 소정방 역 2011년 《근초고왕》 해녕(해건의 아버지) 역 2012년 《발효가족》 형사 철석 역 2014년 《플루토 비밀결사대》 2018년 《같이 살래요》 한태중 역 라디오 프로그램[편집] 2015년 EBS 《EBS 책 읽는 라디오 낭독 시리즈》 외부 링크[편집] 김기복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기복_(배우)&oldid=24505753" 분류: 1958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1977년 데뷔중앙대학교 동문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30일 (일) 21: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기복(1958년 4월 21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01년 5월 9일부터 2002년 7월 18일까지 한국방송공사에서 방영한 특별기획 드라마이며, 김기복이 유춘만 역을 맡은 드라마의 제목은 무엇인가? Assistant: 명성황후 Human: 아래 로그_나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로그 나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로그 나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로그 나선(Logarithmic spiral), 대수 나선(형), 등각 나선형 또는 성장 나선형은 종종 자연에 나타나는 나선형 곡선을 표현하는데 유용하다. 로그 나선형은 데카르트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나중에는 야콥 베르누이컹스가 "스피라 미라빌리스(Spira mirabilis)"로 불리는 놀라운 나선형 (the marvelous spiral)현상을 광범위하게 조사했다.[1] 목차 1 정의 2 자연에 나타나는 나선형 곡선을 표현하는 로그 나선의 응용 3 스피라 미라빌리스(Spira mirabilis) 와 야콥 베르누이컹스(Jacob Bernoullikeox) 4 로그 나선과 아르키메데스의 나선 5 같이 보기 6 각주 정의[편집] 극좌표에서 ( r , θ {\displaystyle r,\theta } ) 로그 나선형 곡선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2] r = a e b θ {\displaystyle r=ae^{b\theta }\,} 또는, θ = 1 b ln ( r a ) {\displaystyle \theta ={{1} \over {b}}\ln ^{\left({r \over a}\right)}} 자연 대수의 기초가되는 e {\displaystyle e} 그리고 a {\displaystyle a} 와 b {\displaystyle b} 는 임의의 양의 실수 상수이다. 좌표상의 매개변수 형태에서 곡선은, x ( t ) = r ( t ) cos ⁡ ( t ) = a e b t cos ⁡ ( t ) {\displaystyle x(t)=r(t)\cos(t)=ae^{bt}\cos(t)\,} y ( t ) = r ( t ) sin ⁡ ( t ) = a e b t sin ⁡ ( t ) {\displaystyle y(t)=r(t)\sin(t)=ae^{bt}\sin(t)\,} a {\displaystyle a} 와 b {\displaystyle b} 는 실수 나선형은 임의의 점에서 접선과 반지름 ( r , θ ) {\displaystyle (r,\theta )} 간의 각도 ϕ {\displaystyle \phi } 가 일정하다. 이 특성은 다음과 같이 미분 기하학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arccos ⁡ ⟨ r ( θ ) , r ′ ( θ ) ⟩ ‖ r ( θ ) ‖ ‖ r ′ ( θ ) ‖ = arctan ⁡ 1 b = ϕ {\displaystyle \arccos {\frac {\langle \mathbf {r} (\theta ),\mathbf {r} '(\theta )\rangle }{\|\mathbf {r} (\theta )\|\|\mathbf {r} '(\theta )\|}}=\arctan {\frac {1}{b}}=\phi } 나선형 r ( θ ) {\displaystyle r(\theta )} 은 매개변수 b {\displaystyle b} 에 비례 한다. 즉, b {\displaystyle b} 가 나선형을 특정한 나선형이게 결정하며 그리고 어느 방향으로 움직이는지를 제어하게 된다. 극단적인 경우에는 b = 0 ( ϕ = π 2 ) {\displaystyle b=0\left(\phi ={{\pi } \over {2}}\right)} 이고 a = 1 , ( ϕ = π 2 → π ) {\displaystyle a=1,\left(\phi ={{\pi } \over {2}}\to \pi \right)} 나선형은 반경 1 {\displaystyle 1} 의 원이 된다. a = 1 {\displaystyle a=1} 와 b = 0 {\displaystyle b=0} 에서, 무한히 ϕ → 0 {\displaystyle \phi \to 0} 접근하는 나선형은 직선에 접근하는 성질을 갖게된다. 여기서 보완적인 개념의 ϕ {\displaystyle \phi } 매개변수를 피치(축경사,pitch)라고한다. 자연에 나타나는 나선형 곡선을 표현하는 로그 나선의 응용[편집] 로그 나선 , 축경사10° 노틸러스 껍질의 단면,파란색점선은 성장률 매개 변수 b = 0.1759 {\displaystyle b=0.1759} 를 기반으로한다 스피라 미라빌리스(Spira mirabilis) 와 야콥 베르누이컹스(Jacob Bernoullikeox)[편집] 스피라 미라빌리스, 직역하면 "기적 나선"에 대한 라틴어는 로그 나선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이 곡선은 다른 수학자들에 의해 "등각 나선형"등등으로 명명되었지만 이와 상관없이, 베르누이는 이 독특한 곡선의 특성 이름인 "나선형"의 고유한 수학적 속성에 매료되었기 때문에 특별한 표현으로 "기적"또는 "놀라운"을 수식어로 하는 놀라운 나선형(Spira mirabilis)이라는 명칭을 이 곡선에 부여했다. 이 곡선은 곡선의 연장선상에서 축경사의 크기가 증가하지만 그 모양은 각각의 연속적인 곡선, 즉 자기 유사성 (self-similarity)으로 알려진 속성만큼은 변경되지 않는다. 이 고유 한 특성의 결과로,스피라 미라빌리스는 자연에서 진화하여 노틸러스 껍질 및 해바라기 머리와 같은 고유한 특정 성장 형태로 나타난것을 확인할수있다. 야콥 베르누이(Jacob Bernoulli)는 "Eadem mutata resurgo"라는 문구와 함께 그의 비석에 새겨진 이러한 나선형을 원했지만 ("몇몇 변수에의해 변형될수는 있지만 여전히 자기유사성으로 인해 수학적으로 표현되는 속성을 갖는 그러한 의미에서의 놀라운 나선형"), 실수로 아르키메데스의 나선이 대신 배치되었다고 한다.[3][4] 로그 나선과 아르키메데스의 나선[편집] 로그 나선은 기하학적 진행에서 나선의 선회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는 반면에, 아르키메데스 나선에서는 이러한 거리가 일정하다는 사실에 의해 아르키메데스 나선과 구별 될 수 있다. 로그 나선 아르키메데스의 나선 같이 보기[편집] 아르키메데스 나선 피보나치 수 각주[편집] ↑ (Spira mirabilis)http://jwilson.coe.uga.edu/EMT668/EMAT6680.F99/Erbas/KURSATgeometrypro/golden[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spiral/logspiral-history.html ↑ Priya Hemenway (2005). 《Divine Proportion: Φ Phi in Art, Nature, and Science》. Sterling Publishing Co. ISBN 1-4027-3522-7.  ↑ Livio, Mario (2002). 《The Golden Ratio: The Story of Phi, The World's Most Astonishing Number》. New York: Broadway Books. ISBN 0-7679-0815-5.  ↑ Yates, R. C.: A Handbook on Curves and Their Properties, J. W. Edwards (1952), "Evolutes." p. 20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로그_나선&oldid=24206146" 분류: 와선로그곡선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Magyar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atina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15:3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로그 나선(Logarithmic spiral), 대수 나선(형), 등각 나선형 또는 성장 나선형은 종종 자연에 나타나는 나선형 곡선을 표현하는데 유용하다. 로그 나선형은 데카르트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나중에는 야콥 베르누이가 "스피라 미라빌리스(Spira mirabilis)"로 불리는 놀라운 나선형 (the marvelous spiral)현상을 광범위하게 조사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베르누이는 로그나선을 뭐라고 불렀어? Assistant: 는 놀라운 나선형(Spira mirabili
Human: 아래 토성의_고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토성의 고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토성의 고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토성의 테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3년 7월 19일, 1,200,000 km 거리의 카시니 탐사선의 위치에서 토성이 태양을 가릴 때 촬영된 토성의 고리의 총집합(밝기가 과장되었다)이다. G 고리와 E 고리 외곽 사이에서 약 4시 방향 위치에서 지구가 창백한 푸른 점의 형태로 보인다. 라디오파 엄폐를 통해 색을 입혀 만들어진 사진이다. 0.94, 3.6, 13 cm 파장의 라디오 신호가 카시니로부터 고리를 통해 지구로 전송되었다. 신호의 파장과 비슷하거나 큰 크기의 수많은 입자들이 반사하여 각 신호의 감쇠가 일어난다. 보라색(B 고리와 A 고리 내부)은 5 cm 보다 작은 입자가 얼마 존재하지 않는 것을 보여준다. 다시 말하면 모든 신호의 감쇠와 비슷하다. 초록색과 파란색(C 고리와 A 고리 외곽)은 5 cm에서 1 cm보다 작은 입자가 각각 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B 고리의 하얀 영역은 가장 밀도가 높고 크기 추정 용도의 작은 신호를 매우 잘 반사한다. 또다른 증거는 세 고리 모두 미터 단위를 넘나드는 넓은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보이저 2호가 본 고리에 드리운 토성의 그림자. 네 개의 위성과 고리의 테가 보인다. 토성의 고리(영어: Rings of Saturn)는 태양계에서 어떤 행성의 고리보다도 가장 큰 행성 고리계이다. 이 고리는 수 마이크로미터에서 수 미터에 이르는 작은 입자들로 아주 많이 구성되어 있으며, 토성을 공전하고 있다.[1] 고리 입자는 거의 대부분이 얼음으로 구성되어 있고, 소량의 구성성분은 암석 물질이다. 토성의 고리의 형성 과정에 관해서는 아직까지도 결론이 나지 않았다. 고리의 일부 특징들은 고리가 비교적 최근에 기원했음을 시사하지만, 이론적인 모형은 태양계의 역사 초기에 형성되었을 것이라고 알려주고 있다.[2] 고리는 햇빛을 반사하여 토성의 밝기를 증가시키지만, 지구에서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1610년에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망원경으로 토성의 고리를 발견했지만, 그는 망원경의 성능이 좋지 못해고리를 귀나 컵의 손잡이라고 생각했어도 최초로 토성의 고리를 관측한 사람이 되었다. 1655년, 크리스티안 하위헌스는 그것을 토성을 둘러싸는 고리로써 최초로 묘사한 사람이 되었다.[3] 많은 사람들이 토성의 고리가 아주 작은 고리들로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라플라스 이후의 개념),[3] 실제로는 몇 개의 간극이 존재한다. 동심원 모양으로 밀도와 밝기의 최대와 최소가 존재하는 고리 원반이 고리에 대한 더 정확한 생각이다.[2] 고리 내에서도 덩어리의 규모에 비해 텅빈 공간이 많다. 고리는 입자의 밀도가 급격히 줄어드는 다양한 간극을 가지고 있다. 이중에 둘은 고리 내에 위치한 것으로 알려진 토성의 위성에 의해 열려있고, 그 외 토성의 위성의 불안정한 궤도공명을 받는 곳으로 알려진 위치의 많은 것들이 있다. 일부 간극은 아직 설명되지 못한 채로 남아있다. 반면 안정된 궤도공명은 타이탄 미세고리나 G 고리와 같이 몇몇 고리의 긴 지속시간에 원인이 있다. 주요 고리의 범위 밖에 있는 포에베 고리는 포에베와 같이 다른 고리에 비해 27도 기울어져 있고, 역행 방식으로 토성을 공전한다. 목차 1 역사 1.1 갈릴레오의 관측 1.2 고리 이론과 관측 2 물리적 특징 3 주요 고리의 형성 4 고리 내의 세분 및 구조 4.1 데이터 표 4.1.1 고리의 주요 세분 4.1.2 C 고리 내의 구조 4.1.3 카시니 간극 내의 구조 4.1.4 A 고리 내의 구조 5 D 고리 6 C 고리 6.1 콜롬보 간극과 타이탄 미세고리 6.2 맥스웰 간극과 미세고리 7 B 고리 7.1 테 7.2 소위성 8 카시니 간극 8.1 하위헌스 간극 9 A 고리 9.1 엥케 간극 9.2 킬러 간극 9.3 소위성 10 로슈 간극 11 F 고리 12 외곽 고리 12.1 야누스/에피메테우스 고리 12.2 G 고리 12.3 메토네 고리 호 12.4 안테 고리 호 12.5 팔레네 고리 12.6 E 고리 12.7 포에베 고리 13 레아의 고리계 존재 가능성 14 갤러리 15 같이 보기 16 각주 17 외부 링크 역사[편집] 갈릴레오의 관측[편집]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1610년에 최초로 토성의 고리를 관측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1610년에 자신의 망원경을 이용하여 최초로 토성의 고리를 관측했지만, 고리의 정체를 확인하지는 못했다. 그는 토스카나 대공에게 "행성 토성은 혼자가 아니고, 서로 거의 접촉해 있으며 절대 움직이지 않고 서로에 대해서 변하지도 않는 셋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황도와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고, 중간의 것(토성)은 나머지 것들(고리의 가장자리)의 크기의 약 세 배정도 입니다"라고 편지를 썼다. 또한 그는 토성이 "귀"를 가지고 있다고 묘사했다. 1612년, 고리면이 지구 쪽으로 향하고 있어 고리가 없어진 것처럼 보인 때가 있었다. 이에 혼란스러워진 갈릴레오는 신화 속의 사투르누스가 그의 아이들이 자신을 신들의 왕좌에서 끌어내릴 것을 막기 위해 그들을 집어삼킨 것을 참고하여, "토성이 그의 자식을 집어삼킨 것인가?" 라고 궁금해 하기도 했다.[4] 1613년 고리가 다시 나타났을 때, 갈릴레오는 더욱 혼란스러워 했다.[5] 초기의 천문학자들은 자신의 연구 결과 발표를 준비하기 전에 새로운 발견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애너그램을 사용했다. 갈릴레오는 토성의 고리의 발견에 관해 Altissimum planetam tergeminum(나는 가장 먼 행성이 세가지 모습을 가지고 있는 것을 관측했다)을 smaismrmilmepoetaleumibunenugttauiras으로 표현했다.[6] 고리 이론과 관측[편집] 로버트 훅은 1666년에 그린 토성의 그림에서 구체에 의해 고리에 비치는 그림자(a와 b)에 주목했다. 1655년, 크리스티안 하위헌스는 토성이 고리로 둘러싸여 있다고 최초로 주장한 사람이 되었다. 하위헌스는 갈릴레오가 사용했던 망원경보다 더 우수했던 손수 제작한 50배율 굴절 망원경을 이용하여 토성을 관측했고 "그것(토성)은 얇고, 평평하고, 어떤 곳과도 접촉해있지 않으며, 황도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고리로 둘러싸여 있다"[5]라고 기록했다.[7] 1675년,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는 간극을 통해 토성의 고리가 작고 다양한 고리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아내었다. 이들 간극 중 가장 큰 것은 후에 카시니 간극이라고 명명되었다. 이 간극은 A 고리와 B 고리 사이에 있는 폭 4,800 km의 영역이다.[8] 1787년, 피에르시몽 라플라스는 고리가 아주 많고 작은 고체 고리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했다.[3] 1859년,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은 고리가 고체로 되어 있거나 불안정하고 분해되어 있지 않음을 밝혀내었다. 그는 고리가, 셀 수 없이 많으며 모두 독립적으로 토성을 공전하고 있는 작은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9] 후에, 소피야 코발렙스카야는 토성의 고리가 고리 모양의 유체가 될 수 없음을 밝혔다.[10] 1895년, 앨러게니 천문대의 제임스 킬러와 풀코보 천문대의 아리스타크 벨로폴스키에 의해 이루어진 고리의 분광학적 연구를 통해서 맥스웰의 이론의 타당함이 입증되었다. 고리는 발견된 순서대로 알파벳 순으로 명명되었다.[11] 주요 고리는 행성에서 바깥쪽으로 C, B, A 순으로, 가장 큰 간극인 카시니 간극은 B 고리와 A 고리 사이에 있다. 몇몇 희미한 고리들은 그보다 더 최근에 발견되었다. D 고리는 매우 희미하고 행성과 가장 가깝다. 좁은 F 고리는 A 고리의 바깥에 있다. 그 이상으로는 아주 희미한 두개의 고리, G 고리와 E 고리가 있다. 전반적인 규모 면에서 고리는 엄청나게 많은 구조를 보여준다. 일부는 토성의 위성들에 의한 섭동과 관계되어 있지만, 설명할 수 없는 것들도 많다.[11] 물리적 특징[편집] 허블 우주 망원경의 탐사용 고성능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2004년 3월 22일)에서 어두운 카시니 간극은 안쪽의 B 고리와 바깥쪽의 A 고리가 넓게 분리되어 있다. 눈에 덜 뜨이는 C 고리는 B 고리의 안쪽에 있다. 밀도가 높은 주요 고리는 토성의 적도 위로 7,000 km에서 80,000 km 까지 뻗어있다.(고리의 주요 세분 참고, 토성의 적도 반지름은 60,300 km) 추정되는 부분적인 두께가 10 미터[12]만큼 작거나 1 킬로미터만큼 큰[13] 고리들은 99.9%가 순수한 물로 구성되어 있고, 나머지 부분은 톨린이나 규산염과 같은 약간의 불순물로 구성되어 있다.[14] 주요 고리는 주로 1 센티미터에서 10 미터 범위의 크기를 가진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다.[15] 보이저의 관측에 근거하면, 고리의 총 질량은 약 3 x 1019 kg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토성의 총 질량의 아주 작은 한 부분(약 50 ppb)이고 토성의 위성 미마스보다도 작다.[16] 더 최근의 관측과 카시니의 관측에 근거한 컴퓨터 모형은 이 측정값이 고리 내의 군집 때문에 너무 작게 측정되었고 실제 질량은 이 값보다 세 배는 클 것임을 보여주었다.[17] 카시니 간극과 엥케 간극과 같이 고리에서 가장 큰 간극들은 지구에서도 관측될 수 있지만, 아주 작은 것들은 관측하기가 힘들다. 그래서 보이저 우주선을 통해서야 고리가 수천 개의 좁은 간극과 작은 고리로 구성된 복잡한 구조를 갖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보이저가 발견한 고리의 구조는 토성의 많은 위성들의 중력적 끌어당김과 같이 각각 다른 방법을 통해 발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부 간극들은 판과 같은 아주 작은 위성의 통행에 의해 청소되기도 한다.[18] 일부 작은 고리들은 작은 양치기 위성의 중력적 효과에 의해 유지되는 것으로 보인다.[출처 필요](프로메테우스와 판도라에 의해 F 고리가 유지되는 것과 유사하다) 또다른 간극들은 간극에 위치하는 입자의 공전주기와 그보다 훨씬 밖에 있는 아주 무거운 위성의 공전주기 사이의 공명에 의해 발달한다. 미마스는 이러한 방식으로 카시니 간극을 유지한다.[19] 고리의 많은 구조는 안쪽 위성의 주기적 중력섭동에 의해 발생하여 공명에 약간 지장을 주는 나선파를 포함하고 있다.[출처 필요] 카시니 우주 탐사선이 본 토성의 고리의 어두운 면(2007년 5월 9일). 카시니 우주 탐사선의 데이터는 토성의 고리 무리가 스스로 행성의 독립적인 대기임을 시사한다. 대기는 태양으로부터 오는 자외선이 고리 내의 얼음과 상호작용할 때 만들어지는 산소 분자(O2) 기체로 구성되어 있다. 얼음 파편의 물분자와 자외선에 의한 화학적인 반응은 여러가지 중에서 O2를 형성하고 방출한다. 이 대기 모형에 따르면, 수소 분자(H2) 또한 존재한다. O2와 H2로 구성된 대기는 굉장히 희박하다. 이것이 어떻게든 고리에 응결된다면, 대기는 원자 하나의 두께가 될 것이다.[20] 고리는 또한 희박한 수산화물(OH) 대기와의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O2와 같이, 이 대기는 물분자의 분해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이 경우에서의 분해는 토성의 위성 엔셀라두스에서 방출된 물분자에 퍼부어지는 고에너지 이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극단적으로 희박하더라도, 이 대기는 허블 우주 망원경을 통해 지구에서 관측될 수 있다.[21] 2009년 8월 12일, 분점 다음 날 카시니에 의해 촬영된 토성의 고리의 모자이크 사진. 태양을 향하고 있는 고리의 빛은 얇거나 F 고리와 같이 고리면 바깥에 있는 부분을 제외하면 토성에 의해 반사되어 보이는 것이다. 토성은 복잡한 패턴의 밝기 변화를 보여준다.[22] 가장 큰 변동은 고리의 면이 향하는 방향의 변화 때문이고,[23][24] 이는 매번 공전할 때마다 2회의 주기로 진행된다. 그러나 상을 중첩시켜(superimose) 보면 이것은 충에 있는 행성이, 남반구에서 보다 북반구에서 더 밝게 보이게 만드는 행성의 공전궤도의 이심률에 기인한 변동이다.[25] 1980년, 보이저 1호는 토성을 근접통과하면서 서로 꼬여 복잡한 구조를 한 것처럼 보이는 세 개의 좁은 고리로 구성된 F 고리를 보여주었다. 이는 현재 안쪽에 어두운 세번째 고리가 위치하여 서로 꼬인 것처럼 착시를 보여주는, 덩어리와 꼬임으로 구성된 바깥의 두 개의 고리로 알려져 있다.[출처 필요] 2007년에 표현된 토성의 고리 일부분을 구성하는 얼음 입자 응집체. 이러한 길게 늘어진 군집들은 계속해서 결집과 해산을 반복한다. 가장 큰 입자는 수 미터에 이른다. 토성의 분점인 2009년 8월 11일, NASA의 카시니 탐사선에 의해 촬영된 새로운 고리 사진은 얼마 되지 않는 고리면 밖으로 몇 군데에서 고리가 상당한 크기로 뻗어있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변위는 간극을 형성하는 위성, 다프니스의 궤도가 고리면에서 벗어나 있기 때문에 킬러 간극의 가장자리에서 4 km에 이를만큼 크다.[26] 주요 고리의 형성[편집] 토성의 고리는 토성의 형성 시기를 측정함에 따라 매우 오래되었을 것이다. 토성의 안쪽 고리의 기원에 관한 두가지 주요 이론이 있다. 원래 19세기에 에두아르 로슈에 의해 주장된 한 이론은, 과거에 기조력(로슈한계 참고)에 의해 산산조각 날 만큼 가까워질 때까지 토성을 공전하다가 파괴된 (로마 신화의 여신, 베리타스로 이름 붙여진)토성의 위성이라는 것이다.[27] 변형된 이 이론은 고리가 나중에 거대한 혜성이나 소행성과 충돌하여 위성이 분해된 것이라는 것이다.[28] 두번째 이론은 고리가 위성의 파편이 아닌 대신에, 토성을 형성했던 성운 물질들의 잔재라는 것이다.[출처 필요] 좀 더 고전적인 분쇄된 위성 이론은 고리가 미마스보다 약간 큰, 지름 400~600 km의 위성의 파편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약 40억 년 전, 후기 운석 대충돌기 동안에 위성을 충분히 분쇄할 수 있을만한 거대한 천체와의 충돌이 있었을 것이다.[29] 최근 R. M. 캐넙에 의해 변형된 이 이론은 고리가 토성이 아직 가스 성운에 둘러싸여 있던 형성기에 행성 쪽으로 나선을 그리며 떨어지다 외부층이 벗겨진, 타이탄 크기로 매우 큰 위성의 얼음 맨틀의 잔해의 일부에 해당한다고 한다.[30][31] 이는 고리 내의 암석물질의 부족을 설명할 것이다. 고리는 초기에 지금보다 훨씬 무겁고(~1000배) 넓었을 것이다. 고리의 외곽 부분의 물질은 합쳐져 테티스와 같은 토성의 위성이 되었다. 이러한 대부분의 위성들의 구성 요소 또한 암석물질의 부족을 설명할 수 있다.[31] 증가하고 있는 엔셀라두스의 밀도는 현재 1.61 g/cm3 로, 1.15 g/cm3 인 미마스나 0.97 g/cm3 인 테티스와 비교해보면, 이후 엔셀라두스의 충돌적 또는 저온화산활동적(cryovolcanic) 진화가 위성의 까다로운 얼음 손실로부터 야기되었음을 알 수 있다.[31] 초기의 무거운 고리에 관한 아이디어는 나중에 레아와 같은 토성의 위성들의 형성에 관한 설명까지 확장된다.[32] 초기의 무거운 고리가 얼음 뿐만 아니라 암석물질 덩어리(>100 km 반경)도 포함하고 있었다면, 이러한 규산염 천체들은 얼음을 더 많이 흡수하여 고리의 중력 상호작용과 토성의 조석 상호작용으로 인해 계속해서 넓은 궤도로 전이하여 고리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로슈한계 내의 암석 천체들은 추가적인 물질을 흡수하기 충분할 정도로 밀도가 높지만, 얼음 천체와 같은 것들은 밀도가 낮아 그렇지 못하다. 고리 바깥쪽에 새로 형성된 위성들은 무작위 병합을 통해 진화하기 시작할 것이다. 이 과정은 레아와 같은 토성의 위성의 규산염 물질의 변화와 토성과 가까울수록 규산염 물질이 적어지는 경향도 설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아는 원시 고리에서 형성된 위성 중 가장 늙은 것이 될 것이고, 토성과 가까운 위성일수록 젊을 것이다.[32] 유성체 먼지의 유입으로 시간에 따라 고리가 점점 검은색으로 변색되어야 할 것을 고려하면, 토성의 고리를 구성하는 얼음의 밝기와 순도는 고리의 연령이 약 1억 년 정도로, 토성보다 훨씬 어리다는 증거로 들어왔었다. 그러나, 새로운 연구는 B 고리가 유입되는 물질을 희석시킬 정도로 충분히 무겁기 때문에 태양계의 연령 이상의 기간 동안 흑색화를 방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고리 물질은 고리 내의 군집을 형성하여 후에 충돌로 분해됨으로써 순환되고 있을지도 모른다. 이는 젊게 보이는 고리 내의 일부 물질을 설명할 것이다.[33] 래리 에스포지토가 이끄는 카시니 UVIS 연구팀은 항성엄폐를 이용하여 F 고리 내에서 27 미터에서 10 킬로미터까지 이르는 13 개의 천체를 발견하였다. 이것들은 반투명했는데, 이들이 수 미터에 이르는 얼음 바위의 일시적인 응집물임을 암시한다. 에스포지토는 이것이 토성의 고리의 기본 구조로, 서로 뭉치고 후에 산산조각 나는 입자라고 여겼다.[34][35] 고리 내의 세분 및 구조[편집] 토성의 고리계에서 가장 밀도가 높은 부분은 카시니 간극(1675년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에 의해 발견됨) 에 의해 분리된 A 고리와 B 고리이다. 마찬가지로 1850년에 발견된 C 고리도 카시니 간극과 특징에 있어서 유사한데, 이러한 영역들은 주요 고리를 구성한다. 주요 고리는 밀도가 높고 미세먼지 고리보다는 큰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미세먼지로 구성된 경우는 토성의 최상층 구름 쪽까지 뻗어있는 D 고리와 G 고리, E 고리, 그 외 주요 고리계 뒤에 있는 다른 것들이 있다. 이렇게 희미한 고리들은 구성 입자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거의 먼지로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의 화학적 조성은 주요 고리와 유사한데, 거의 대부분 얼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A 고리의 가장자리 바로 바깥에 있는 좁은 F 고리는 구성 부분이 매우 밀도가 높지만, 먼지크기 입자 또한 많은 양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분류하기가 매우 어렵다. 2007년 5월 5일, 카시니의 협각 카메라로 빛이 비추어지지 않고 있는 토성의 D, C, B, A, F 고리(왼쪽에서 오른쪽으로)를 촬영한 자연색상 모자이크 사진이다. 빛이 비추어지고 있는 토성의 고리 부분으로 세분화된 주요 고리의 이름이 붙여져 있다. 데이터 표[편집] 주: (1) 거리는 간극, 고리, 1,000 km 보다 좁은 미세고리(ringlet)의 중심까지 잰 것 (2) 비공식적인 명칭 (3) 유명한 이름이 아닌 한 국제천문연맹에서 지명한 이름을 사용함. 넓은 간극은 경계(division)라 일컫고, 좁은 간극은 틈(gap)이라고 일컬음 (4) 데이터는 대부분 행성의 지명 명명법 사전, NASA 정보보고서와 일부 논문에서 가져온 것[36][37][38] 고리의 주요 세분[편집] 이름(3) 토성으로부터의 거리(km)(4) 폭 (km)(4) 이름 주인 D 고리 66,900   –  74,510 7,500   C 고리 74,658   –   92,000 17,500   B 고리 92,000   –  117,580 25,500   카시니 간극 117,580   –   122,170 4,700 조반니 카시니 A 고리 122,170   –   136,775 14,600   로슈 간극 136,775   –   139,380 2,600 에두아르 로슈 F 고리 140,180 (1) 30   –  500   야누스/에피메테우스 고리(2) 149,000   –  154,000 5,000 야누스와 에피메테우스 G 고리 166,000   –  175,000 9,000   메토네 고리 호(2) 194,230 ? 메토네 안테 고리 호(2) 197,665 ? 안테 팔레네 고리(2) 211,000   –  213,500 2,500 팔레네 E 고리 180,000   –  480,000 300,000   포에베 고리 ~4,000,000 – >13,000,000 포에베   C 고리 내의 구조[편집] 이름(3) 토성으로부터의 거리(km)(4) 폭 (km)(4) 이름 주인 콜롬보 간극 77,870 (1) 150 주세페 "베피" 콜롬보 타이탄 미세고리 77,870 (1) 25 타이탄, 토성의 위성 맥스웰 간극 87,491 (1) 270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맥스웰 미세고리 87,491 (1) 64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본드 간극 88,700 (1) 30 윌리엄 크랜치 본드와 조지 필립스 본드 1.470RS 미세고리 88,716 (1) 16 토성의 반지름 1.495RS 미세고리 90,171 (1) 62 토성의 반지름 도스 간극 90,210 (1) 20 윌리엄 루터 도스 카시니 간극 내의 구조[편집] 출처:[39] 이름(3) 토성으로부터의 거리(km)(4) 폭 (km)(4) 이름 주인 하위헌스 간극 117,680 (1) 285–400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하위헌스 미세고리 117,848 (1) ~17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허셜 간극 118,234 (1) 102 윌리엄 허셜 러셀 간극 118,614 (1) 33 헨리 노리스 러셀 제프리스 간극 118,950 (1) 38 해럴드 제프리스 카이퍼 간극 119,405 (1) 3 제라드 카이퍼 라플라스 간극 119,967 (1) 238 피에르-시몽 라플라스 베셀 간극 120,241 (1) 10 프리드리히 베셀 바너드 간극 120,312 (1) 13 에드워드 에머슨 바너드 A 고리 내의 구조[편집] 이름(3) 토성으로부터의 거리(km)(4) 폭 (km)(4) 이름 주인 엥케 간극 133,589 (1) 325 요한 엥케 킬러 간극 136,505 (1) 35 제임스 킬러 위 사진은 2004년 12월 12일에 카시니의 협각 카메라로 햇빛이 비추어지는 고리 부분을 비스듬하게(4도 정도) 촬영한 자연색상 모자이크 사진이다. 아래사진은 2005년 5월 3일에 행해진 라디오파 엄폐 관측으로 그려진 가상사진이다. 낮은 사진에서의 색은 고리 입자 크기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데 이용된다.(맨 위에서 두번째 사진의 설명 참고) D 고리[편집] 안쪽의 희미한 파문을 보여주도록 처리된 카시니의 토성의 D 고리 사진, 좌측상단에서 매우 밝은 C 고리가 보인다. D 고리(D Ring)는 가장 안쪽의 고리로, 매우 희미하다. 1980년, 보이저 1호가 이 고리 내에서 D73, D72, 그리고 토성과 가장 가까운 별개의 미세고리 D68로 명명된 미세고리 세 개를 발견했다. 약 25년 후, 카시니가 촬영한 사진은 D72가 상당히 폭이 넓고 더 희미하게 된데다, 행성 방향으로 200 km 이동한 것을 보여주었다.[40] D 고리에서 보이는 것은 30 킬로미터 간격의 미세규모 파동 구조이다. C 고리와 D73 사이의 간극에서 처음 본 이 구조는,[40] 2009년 토성의 분점 동안에 D 고리에서 B 고리의 안쪽 끝까지 반경거리 19,000 km까지 뻗은 채로 발견되었다.[41][42] 이 파동은 진동수가 2 m에서 20 m인 수직 파상 주름의 나선 패턴으로,[43] 파동의 주기는 시간에 따라 감소하고 있다.(1995년에는 60 km, 2006년에는 30 km) 이로부터 파동이 1983년 말에 고리 적도면에 대해 기울어진채로 분쇄된 혜성의 잔해 구름(질량이 ~1012 kg)의 충돌로 기원되었을 수도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40][41][44] 이와 유사한 목성의 주요 고리에서의 나선 패턴은 1994년 슈메이커-레비 제9혜성에서 온 물질과의 충돌로 인해 야기된 섭동의 결과로 판단되었다.[41][45][46] C 고리[편집] C 고리 외곽에서의 관점. 사진의 오른편, 가장 어두운 간극이 맥스웰 간극이고, 그 중심에 맥스웰 미세고리가 있다. 본드 간극은 밝은 띠의 위쪽, 우측상단 방향에 있고, 도스 간극은 우측상단 모퉁이 바로 아래의 어두운 띠 안에 있다. C 고리(C Ring)는 폭이 넓지만 희미한 고리이다. B 고리의 안쪽에 위치해 있다. 이 고리는 1850년 윌리엄 본드와 조지 본드에 의해 발견되었다. 윌리엄 R. 도스와 요한 갈레 또한 그들과 별개로 고리를 관측했다. 윌리엄 라셀은 이 고리를 밝은 A 고리와 B 고리에 비해 어두운 물질로 구성된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크레이프 고리"(Crepe Ring)라고 이름 붙였다.[47] C 고리의 수직 두께는 5 미터이고, 질량은 1.1×1018 kg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고리의 광학적 깊이가 0.05에서 0.12까지 달라진다.[출처 필요] 이는 고리가 가려지면서 5 퍼센트에서 12 퍼센트 사이의 빛만 수평으로 비추어지고 있기 때문에 그 결과로 위에서 관측할 때, 고리는 거의 투명하게 된다. D 고리에서 최초로 보인 30 킬로미터 파장의 나선 파상 주름은 2009년 토성의 분점 동안 C 고리까지 뻗은 채로 관측되었다.(위 참고) 콜롬보 간극과 타이탄 미세고리[편집] 콜롬보 간극(Colombo Gap)은 C 고리의 안쪽에 위치해 있는 간극이다. 간극 내에는 토성의 중심부로부터 77,883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중심을 둔 밝고 좁은 콜롬보 미세고리가 위치해있다. 이 미세고리는 위성 타이탄과의 궤도공명에 지배를 받기 때문에 타이탄 미세고리(Titan Ringlet) 로도 불린다.[48] 고리 내의 이 위치에서, 고리 입자의 근일점 세차운동 거리는 타이탄의 궤도운동 거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 특이한 미세고리의 바깥쪽 끝부분은 항상 타이탄 쪽을 향하고 있다.[48] 맥스웰 간극과 미세고리[편집] 맥스웰 간극(Maxwell Gap)은 C 고리의 바깥 부분 내에 위치해 있는 간극이다. 또한 간극은 밀도가 높은 비원형 미세고리인 맥스웰 미세고리(Maxwell Ringlet)를 포함하고 있다. 많은 점에서 이 미세고리는 천왕성의 엡실론 고리와 유사하다. 두 고리의 중심에는 파동과 유사한 구조가 있다. 엡실론 고리의 파동이 천왕성의 위성인 코델리아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맥스웰 간극의 경우 현재까지 그러한 구조를 야기한 것으로 추정되는 위성이 발견되지 않았다.[34] B 고리[편집] 분점 직전에 본 B 고리의 바깥쪽 끝 부분으로, 아마 관측되지 않은 소위성에 의해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높이 2.5 km까지의 수직 구조에 의해 드리운 그림자가 있는 위치이다. 맨 위에 카시니 간극이 보인다. B 고리(B Ring)는 고리 중에서 가장 거대하고, 밝으며, 가장 무겁다. 고리의 두께는 5 미터에서 15 미터 정도로 추정되고, 질량은 2.8×1019 kg이며, 광학적 깊이는 0.4에서 2.5까지 달라진다. 이는 B 고리의 일부분이 가려지면서 91%의 햇빛이 통과한다는 뜻이다.[출처 필요] B 고리는 밀도와 밝기의 다양한 변화를 수반하고 있다. 이는 거의 모두 설명되지 않고 있으며, B 고리가 어떠한 간극을 포함하고 있지 않더라도 원모양의 좁은 미세고리로써 보이게 만든다.[출처 필요] B 고리의 바깥 부분에서는 주요 고리면에서 2.5 킬로미터까지 벗어난 수직 구조가 포함되어 있다. 테[편집] 미디어 재생 카시니가 촬영한 낮은 위상각에 있는 B 고리의 밝은 부분에 나타난 어두운 테 사진. 이는 낮은 비트레이트 영상이다. 최대 크기 영상,GIF 사진 (400×400 픽셀, 파일 용량: 2.21 MB) 1980년 까지, 토성의 고리의 구조는 오로지 중력에 의한 반응에 의해서만 야기된 것으로 설명되어 왔다. 그런데 보이저 우주선에서 온 사진은 테(spoke)로 알려져 있는,[49] B 고리의 반경에 따른 특징을 보여주었다. 테는 고리의 지속성과 회전이 중력 궤도역학의 설명과 일치하지 않아, 이런 원리로는 설명할 수가 없다.[50] 또 테는 후방산란광에서 어둡게, 전방산란광에서 밝게 보인다.(갤러리 사진 참고) 이 변화는 약 60˚에 가까운 위상각에서 발생한다. 테의 구성에 관한 기성 이론은, 테가 아주 미세한 먼지입자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이 먼지입자들은 토성의 자기권 내에서 거의 동시에 회전함으로써 일어난 정전기적 반발에 의해 주요 고리에서 날아와 정체했다. 전기적 섭동이 토성의 대기나 고리에 미소 유성체가 충돌하면서 일어난 번개에 의해 테가 발생했을지도 모른다고 주장되어 왔지만, 이를 만들어내는 정확한 메커니즘은 아직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51] 테는 카시니 탐사선이 관측할 때까지 약 25년 동안 다시 관측되지 않았다. 2004년 초에 카시니가 토성에 도착했을 때 이 테는 보이지 않았다. 일부 과학자들은 테의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시도로 모형에 근거하여, 2007년까지 테가 관측되지 않을 것이라 추측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시니 영상 팀은 계속해서 고리 사진에서 테가 촬영되길 기대했다. 이들은 다음 해, 2005년 9월 5일에 촬영된 사진에서 그것을 볼 수 있었다.[52] 테는 토성이 분점에 가까워질 때인 토성의 한겨울에 사라지고, 한여름에 다시 나타나는 계절적인 현상으로 보인다. 테가 29.7년 주기로 토성이 공전함에 따라 달라지는 계절적인 효과라는 주장은 카시니 임무 후년에 이들이 점진적으로 재출현함으로써 뒷받침되었다.[53] 소위성[편집] 2009년, 분점 동안에 B 고리에 박혀있는 소위성이 주변에 그림자를 드리우면서 발견되었다. 크기는 직경 400 미터(1,300 ft)로 추정된다.[54] 소위성에게는 S/2009 S 1이라는 임시명칭이 주어졌다. 카시니 간극[편집] 카시니 탐사선에 의해 촬영된 카시니 간극. 하위헌스 간극은 카시니 간극의 오른쪽 둘레에 위치해 있고, 라플라스 간극은 사진 중앙에 위치해 있다. 카시니 간극(Cassini Division)은 A 고리와 B 고리 사이에 있는 4,800 km 폭의 영역으로, 1675년 파리 천문대의 2.5인치 대물렌즈에 20 피트 초점길이, 90배율 굴절망원경을 이용한 조반니 카시니에 의해 발견되었다.[55][56] 지구에서 이 간극은 고리의 얇고 검은 공백으로 보인다. 그러나, 보이저는 이 간극이 C 고리와 많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는 고리 물질들을 포함하고 있음을 발견했다.[34]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의 물질들이 고리의 두께를 통해 빛을 더 많이 투과시키기 때문에, 고리의 빛이 비춰지지 않는 쪽에서 보면 간극은 밝게 보인다.(갤러리의 두번째 사진 참고)[출처 필요] 카시니 간극의 안쪽 가장자리는 강력한 궤도공명에 의해 통제된다. 이 위치에서의 고리 입자의 궤도는 항상 미마스의 궤도의 두 배이다.[57] 공명은 미마스가 이 위치에서의 고리 입자를 뭉치게 하고, 입자의 궤도를 불안정하게 만들어서 고리 밀도의 예리한 절단을 초래하도록 끌어당기게 만든다. 그러나, 카시니 간극 내의 미세고리 사이에 있는 다른 많은 간극들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출처 필요] 하위헌스 간극[편집] 하위헌스 간극(Huygens Gap)은 카시니 간극의 안쪽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다. 이 간극은 중간에 밀도가 높고, 둥근 하위헌스 미세고리(Huygens Ringlet)를 포함하고 있다. 이 미세고리는 미마스와의 2:1에 가까운 공명과 B 고리의 바깥쪽 원형 가장자리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기하학적 폭과 광학적 깊이의 불규칙한 방위 변화를 보이고 있다. 하위헌스 미세고리 바로 바깥에는 좁은 미세고리가 하나 더 있다.[34] A 고리[편집] A 고리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글자에 대해서는 Å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A 고리 내의 판의 궤도와 일치하는 엥케 간극의 중심 미세고리, 말발굽 궤도에 있는 미세고리 입자의 진동을 암시하고 있다. A 고리(A Ring)는 가장 바깥쪽에 있는 크고 밝은 고리이다. 고리의 안쪽 경계는 카시니 간극이고, 뚜렷한 바깥쪽 경계는 작은 위성 아틀라스의 궤도와 가깝다. A 고리는 엥케 간극에 의해 바깥쪽 가장자리의 폭의 22%에 해당하는 폭이 끊겨있다. 바깥쪽 가장자리의 폭의 2%에 해당하는 더 좁은 간극은 킬러 간극이라 불린다. A 고리의 두께는 10 미터에서 30 미터로 추정되고, 질량은 6.2×1018 kg(대략 히페리온의 질량)이며, 광학적 깊이는 0.4에서 1.0까지 달라진다.[출처 필요] B 고리와 유사하게, A 고리의 바깥쪽 가장자리는 궤도공명에 의해 유지되는데, 이 경우는 야누스와 에피메테우스의 7:6 공명이다.[출처 필요] 또한 A 고리의 구조 대부분을 설명하는 다른 궤도공명은, 고리 내의 다양한 나선 밀도파(위성에 의한 것보다는 덜한 정도, 다른 고리도 마찬가지)에 의해 유발된다. 이러한 밀도파는 은하의 나선팔을 설명하는 것과 동일한 물리과정에 의해 설명된다. 또 동일한 이론에 의해 기술되는 A 고리의 나선 굴곡 파동은, 압축파이기 보다는 고리의 수직적 파상 주름이다.[출처 필요] 2014년 4월, NASA의 과학자들은 A 고리의 바깥쪽 가장자리 근처가 새로운 위성의 형성 단계에 있을 수도 있다고 발표했다.[58][59] 엥케 간극[편집] 다프니스의 통과에 의해 발생하는 킬러 간극 가장자리의 요동. 토성의 분점에 가까울 때, 다프니스와 A 고리에 그림자를 드리운 요동. 엥케 간극(Encke Gap)은 A 고리 내의 폭 325 킬로미터의 간극이다. 토성의 중심으로부터 133,590 킬로미터 떨어진 곳을 중심으로 두고 있다.[60] 엥케 간극은 간극 내에서 공전하고 있는 작은 위성인 판에 의해 형성되었다.[61] 카시니 탐사선이 촬영한 사진은 간극에 적어도 세개의 얽힌 얇은 미세고리가 있음을 보여주었다.[34] 판이 나선을 그리는 물결흔적을 추가적으로 유발하는 동안, 간극의 양쪽에서 보이는 나선 밀도파는 고리 근처 외부에 있는 위성과의 공명에 의해 유발된다.(갤러리 참고)[34] 요한 엥케 그 자신은 이 간극을 관측하지 못했고, 나중에 그의 고리의 관측을 기리기 위해서 이름 붙여졌다. 간극은 1888년에 제임스 에드워드 킬러에 의해 발견되었다.[47] A 고리에서 두번째로 크고, 보이저에 의해 발견된 간극은 킬러를 기리기 위해 킬러 간극으로 이름 붙여졌다.[62] 엥케 간극은 완전히 A 고리 내에 있기 때문에 틈(gap)이다. 2008년 국제천문연맹에서 명확한 정의를 내릴 때까지, 틈(gap)과 경계(division)라는 용어 사이의 몇가지 애매성이 있었다. 그전까지만 해도 간극은 "엥케 경계"(Encke Division)라고 불렸었다.[63] 킬러 간극[편집] 킬러 간극(Keeler Gap)은 A 고리 내의 폭이 42 킬로미터인 간극이다. 고리의 바깥쪽 가장자리에서 대략 250 킬로미터 떨어져 있다. 간극 내에서 공전하면서 간극을 청소하는 작은 위성인 다프니스가 2005년 5월 1일에 발견되었다.[64] 위성은 간극의 가장자리에 요동을 유발한다.[34] 다프니스의 공전은 고리면 쪽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그것으로부터 유발되는 요동은 고리면에 대해 위쪽으로 1.5 km (0.93 마일) 거리에 이르는 수직 요소를 가지고 있다.[65][66] 킬러 간극은 보이저에 의해 발견되었고, 천문학자 제임스 에드워드 킬러를 기리기 위해 그의 이름이 간극의 명칭에 붙여졌다. 또 킬러는 엥케 간극을 발견하여 요한 엥케를 기리기 위해 그의 이름을 간극의 명칭으로 붙였다.[47] 소위성[편집] 소위성 블레리오 A 고리에서 처음 발견된 네 개의 소위성의 위치. 2006년, 네 개의 작은 "소위성"(moonlet)이 카시니가 촬영한 A 고리의 사진에서 발견되었다.[67] 소위성은 직경이 고작 약 100 미터 정도로, 직접 관측하기에는 매우 작다. 카시니가 실제로 관측한 것은 소위성이 일으킨 수백 킬로미터에 이르는 프로펠러 모양의 섭동이다. 이러한 천체들은 A 고리 내에 수백 개 정도 포함되어 있다고 추정되었다. 2007년, 여덟 개의 소위성이 더 발견되었다. 이들은 주로 토성의 중심으로부터 약 130,000 km 떨어져 있는, 3000 km 대에 갇혀 있었고,[68] 2008년까지 150개 이상의 프로펠러 소위성이 관측되었다.[69] 몇년 동안 추적해온 것은 블레리오(Bleriot)라고 이름 붙여졌다.[70] 로슈 간극[편집] A 고리와 좁은 F 고리 사이의 로슈 간극(사진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거대한 간극). 아틀라스가 사진에서 보인다. 또 엥케 간극과 킬러 간극도 보인다. A 고리와 F 고리 사이의 간극은 프랑스의 물리학자 에두아르 로슈를 기리기 위해 로슈 간극(Roche Division)으로 붙여졌다.[71] 로슈 간극은 거대한 천체가 (토성과 같은)행성과 매우 가까이 있을 때 행성의 기조력에 의해 산산조각나는 물리학적 개념인 로슈 한계와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72] 주요 고리계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는 로슈 간극은 사실 고리가 위성으로 흡수될 수 없는 이유인 토성의 로슈 한계와 가장 가까이에 있다.[73] 카시니 간극과 같이, 로슈 간극은 텅 비어있지 않고 물질 덩어리를 포함하고 있다. 이 물질의 특징은 빈약하고 먼지투성이의 D 고리, E 고리, G 고리와 유사하다.[출처 필요] 로슈 간극 내의 두 위치에서는 다른 위치보다 먼지의 집중이 크다. 이것들은 카시니 탐사선 영상 팀에 의해 발견되었고, 임시 명칭이 주어졌다. R/2004 S 1은 위성 아틀라스의 궤도를 따라 놓여있고, R/2004 S 2는 프로메테우스의 궤도의 안쪽, 토성의 중심으로부터 138,900 km 떨어진 곳에 중심을 두고 있다.[출처 필요] F 고리[편집] 미디어 재생 F 고리의 양쪽을 공전하는 양치기 위성 판도라(왼쪽)와 프로메테우스(오른쪽). 고리의 안쪽에 새겨진 검은 홈이 프로메테우스를 뒤쫓고 있다. F 고리(F Ring)는 토성의 가장 바깥쪽에 있는 별개의 고리이고 시간 단위의 시간규모로 특징이 변하고 있는, 아마도 태양계에서 가장 활동적인 고리일 것이다.[74] 고리는 A 고리의 바깥쪽 가장자리에서 3,000 km 뒤에 위치해 있다.[75] F 고리는 1979년 파이오니어 11호 영상 팀에 의해 발견되었다.[76] 매우 얇고, 폭이 고작 수백 킬로미터로, 안쪽과 바깥에서 공전하고 있는 양치기 위성인 프로메테우스와 판도라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61] 최근 카시니 탐사선이 촬영한 근접 촬영 사진은 F 고리가 한개의 고리 핵과 그 주변의 나선 가닥을 포함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77] 또한 프로메테우스가 최원점에서 고리와 근접할 때, 위성의 중력이 F 고리의 안쪽 부분에 어두운 홈(channel)을 두어, 고리의 물질을 '훔쳐감'으로써 고리의 구부러짐과 꼬임을 유발한다.(갤러리에 있는 F 고리 사진의 비디오 링크 참고) F 고리 내의 물질보다 토성을 더 빨리 공전하는 프로메테우스로 인해, 새로운 홈들은 각각 이전의 것보다 약 3.2도 앞쪽에 형성된다.[74] 2008년, F 고리 내에서 공전 중인 미관측된 작은 위성이 프로메테우스의 섭동으로 인해 계속해서 고리의 좁은 핵을 통과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요동 원인이 더 발견되었다. 작은 위성 중 하나는 S/2004 S 6 일 것이라고 잠정적으로 확인되었다.[74] F 고리의 255˚(약 70%)를 보여주는 107장의 사진을 합성하여 만든 모자이크 사진. 반경 폭(꼭대기에서 바닥까지)은 1,500 km이다. 외곽 고리[편집] 태양에 의해 후방에 빛이 비추어짐으로써 보이는 외곽 고리 안테 고리 호. 밝은 점은 안테이다. 후방에 빛이 비추어지는 E 고리. 고리를 배경으로, 엔셀라두스의 실루엣과 그 아래에서 엔셀라두스의 남극에서 방출되는 제트가 밝게 보인다. 야누스/에피메테우스 고리[편집] 2006년 카시니 탐사선이 촬영한 전방산란광 사진에 드러난 것과 같이, 야누스와 에피메테우스의 궤도가 위치한 영역 근처에는 희미한 먼지 고리가 있다. 이 고리는 반경 폭이 약 5,000 km이다.[78] 이것의 근원은 위성의 표면과 유성체와의 충돌로 인해 솟아올라, 궤도 경로를 둘러싸는 희미한 고리를 형성한 입자이다.[79] G 고리[편집] G 고리(G Ring)는 F 고리와 E 고리의 시작점 사이의 중간에 있는 매우 얇고, 희미한 고리이다.(갤러리의 마지막 사진 참고) 고리의 안쪽 가장자리는 미마스의 궤도 안쪽으로 약 15,000 km 떨어져 있다. G 고리는 고리의 안쪽 가장자리 근처에 뚜렷하고 밝은 호(해왕성의 고리의 호와 유사하다)를 하나 포함하고 있다. 호는 G 고리의 둘레의 약 6분의 1배만큼 뻗어있고, 미마스와 7:6 궤도공명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되는 0.5 km 직경의 소위성 아이가이온에 중심을 두고 있다.[80][81] 호는 직경이 수 미터 까지의 얼음 입자로 구성되어 있고, G 고리의 일부분은 이 호에서 방출된 먼지로 구성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9,000 km 폭의 G 고리 전체에 비해, 호의 반경 폭은 약 250 km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80] 호는 직경이 약 100 미터의 작은 얼음 소위성에 해당하는 물질을 포함하고 있을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80] 유성진과의 충돌로 인해 아이가이온과 다른 근원 천체에서 방출된 먼지는, 토성의 자기권(G 고리의 궤도 운동보다 훨씬 빠르게 회전하는, 토성의 자기장과 동시에 회전하는 플라스마)과의 상호작용 때문에 호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러한 작은 입자들은 계속해서 유성진과의 많은 충돌로 인해 침식되고, 플라스마의 인력에 의해 흩어진다. 수천 년 동안 고리는 서서히 질량을 잃게 되지만,[82] 아이가이온과 유성진의 계속되는 충돌로 다시 보충된다. 메토네 고리 호[편집] 2006년 9월에 처음으로 관측된, 세로 방향으로 약 10도 가량 걸쳐 있는 희미한 고리 호는 위성 메토네와 연관되어 있다. 호의 물질은 유성진과의 충돌에 의해 메토네에서 방출된 먼지에 해당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호 내의 먼지의 분산은 (G 고리 내의 호의 분산 메커니즘과 유사한)미마스와의 14:15 궤도공명에 기인한 것이다.[83][84] 동일한 궤도공명의 영향을 받아, 메토네는 자신의 궤도에서 경도 5˚의 진폭을 가진 채 전후로 진동을 한다. 안테 고리 호[편집] 2007년 6월에 처음 관측된, 세로 방향으로 약 20도 가량 걸쳐 있는 희미한 고리 호는 위성 안테와 연관되어 있다. 호의 물질은 유성진과의 충돌에 의해 안테에서 방출된 먼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호 내의 먼지의 분산은 미마스와의 10:11 공명에 기인한 것이다. 동일한 공명의 영향으로, 안테는 자신의 궤도에서 경도 14도 이상으로 전후로 운동하게 된다.[83][84] 팔레네 고리[편집] 2006년 카시니 탐사선에 의해 촬영된 전방산란광 사진에서, 팔레네의 궤도를 공유하는 희미한 먼지 고리가 드러났다.[78] 이 고리는 반경 폭이 약 2,500 km이다. 고리의 근원은 유성체와의 충돌로 팔레네의 표면에서 방출되어, 자신의 궤도 경로를 둘러싸는 희미한 고리를 형성한 입자이다.[79][84] E 고리[편집] E 고리(E Ring)는 두번째로 가장 바깥에 있는 고리이고, 매우 폭이 넓다. 규산염,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및 얼음으로 구성된 매우 작은(마이크로미터 이하) 입자로 구성되어 있다.[85] E 고리는 미마스와 타이탄의 궤도 사이에 분포해 있다.[86] 다른 고리와는 달리, 눈에 보일 정도의 얼음덩어리 보다는 아주 미세한 입자로 구성되어 있다. 2005년, E 고리의 물질의 근원은 위성 엔셀라두스의 남극 영역에 있는 "타이거 스트라이프"(tiger stripe)에서 나오는 얼음화산의(cryovolcanic) 분출물[87][88]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주요 고리와는 달리, E 고리는 2,000 km 이상 두껍고, 엔셀라두스와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두께가 증가한다.[86] E 고리의 입자는 고리 내에서 공전하는 위성에 뭉치려는 경향이 있다. 테티스의 순행 반구(leading hemisphere, 위성의 공전 방향의 반구)의 적도는 거기서 유입된 물질에 의해 약간 파란색을 띤다.[89] 텔레스토, 칼립소, 헬레네, 폴리데우케스와 같은 트로이 위성들은 특히 고리의 면의 아래 위로 궤도 운동을 함으로써 영향을 많이 받는다. 그 결과로, 위성들의 표면은 밝은 물질로 뒤덮여 있어 주름 없이 매끄러운 것이 특징이다.[90] 포에베 고리[편집] 주요 고리를 왜소해 보이게 만드는 포에베 고리의 거대한 정도. 삽입된 사진은 고리의 일부를 담은 24 마이크로미터 스피처 사진이다. 2009년 10월, 포에베의 궤도 바로 안에 희미한 물질 원반의 발견이 발표되었다. 발견 당시에, 원반은 모서리가 지구를 향해 있었다. 이 원반은 다른 고리들 처럼 대략적으로 설명된다. 매우 거대하긴(겉보기 크기가 지구에서 보이는 보름달의 두배) 해도, 고리는 사실 보이지 않는다. 고리는 NASA의 스피처 우주 망원경을 이용해서 발견되었고,[91] 관측 전체 범위에서 보였는데, 토성의 반지름의 128~207배 만큼 뻗어있었다.[92] 계산은 59 토성 반지름의 이아페투스의 궤도를 안쪽으로, 바깥쪽으로는 300 토성 반지름까지 뻗어있을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93] 고리는 나중에 WISE, 허셜우주망원경과 카시니 탐사선을 이용하여 연구되었다.[94] 포에베는 토성으로부터 평균 215 토성 반지름 거리에서 공전한다. 포에베 고리(Phoebe Ring)는 두께가 행성의 직경보다 약 20배만큼 두껍다.[95] 고리의 입자가 포에베와 유성진 이상의 천체와의 충돌에서 기원된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이들은 안쪽의 위성 이아페투스의 궤도 운동과 반대 방향의 역행 궤도를 공유해야 한다.[93] 포에베 고리는 토성의 궤도면에 위치해 있고, 거의 타원이다. 따라서 토성의 적도면과, 다른 고리에 대해 27도 기울어져 있다. 포에베는 토성의 궤도 측면에 대해 5˚정도 기울어져 있고(포에베의 역행 공전 운동 때문에 종종 175˚로 쓰인다), 고리면 상하의 수직적 이탈은 포에베 고리의 40 토성 반지름에 육박하는 관측된 두께와 일치한다. 포에베 고리의 존재는 1970년대 스티븐 소터에 의해 제기되었다.[93] 발견은 버지니아 대학교의 앤 J. 버비서(Anne J. Verbiscer) 및 마이클 F. 스크루츠키(Michael F. Skrutskie)와 메릴랜드 대학 칼리지 파크 캠퍼스의 더글라스 P. 해밀턴에 의해 이루어졌다.[92][96] 세 명은 대학원생으로써 코넬 대학교에서 함께 연구했다.[97] 고리 물질은 태양 복사의 재방출 때문에 안쪽으로 이동하게 되고,[92] 따라서 이아페투스의 순행 반구와 충돌하게 된다. 이 물질의 유입은 이아페투스의 순행 반구를 약간씩 어둡고 붉게 만들고 있지만(천왕성의 위성인 오베론과 티타니아에서 보이는 것과 비슷하다), 위성의 극적인 두가지 색을 곧바로 만들지는 못한다.[98] 유입되는 물질은 따뜻한 영역에서의 얼음 승화로 인한 열적인 자체 분해 과정 뒤에 차가운 영역에서의 수증기의 응결이 뒤따르면서 양의 피드백이 일어난다. 이는 북극 영역과 역행 반구(trailing hemisphere)의 대부분을 덮고 있는 밝은 얼음 퇴적물과 대조를 이루는, 이아페투스의 순행 반구의 적도 영역 대부분을 덮고 있는 어두운 잔여물질을 남긴다.[99][100][101] 레아의 고리계 존재 가능성[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레아의 고리입니다. 토성의 두번째로 큰 위성 레아는 고체 입자로 구성된 원반 내에 세 개의 좁은 띠를 포함하는 매우 작은 고리계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가설화 되었다.[102][103] 이러한 가설상의 고리는 발견되지는 못했지만, 2005년 11월 카시니의 관측에서, 레아 근처에서의 토성의 자기권의 고에너지 전자의 부족으로부터 그 존재가 추정되었다. 자기권 영상 기구(Magnetospheric Imaging Instrument, MIMI)는 위성의 양면의 플라스마 흐름에서 세 개의 급격한 감소가 간간이 끼어드는, 거의 대칭적인 패턴을 보이는 부드러운 변화를 관측했다. 플라스마가 아마 수 데시미터에서 약 1미터 직경의 입자로 구성된 고밀도 고리 또는 고리 호를 포함하는 적도의 원반 모양의 고체 물질에 의해 흡수된 것이라면, 이를 설명할 수 있게 된다. 레아의 고리의 존재를 드러내는 더 최근의 증거 일부는 위성의 적도 2도 이내의 둘레 근처에 4분의 3 만큼 뻗어 있는, 일사불란하게 분포된 자외선상의 작고 밝은 점들의 집합이다. 이 점들은 궤도에서 벗어난 고리 물질의 충돌 지점으로써 설명된다.[104] 그러나, 카시니의 목표가 된 가설상의 고리 면의 여러 각도에서의 관측에서는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그러한 불가사의한 특징에 대한 또다른 설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105] 갤러리[편집] 토성의 분점 가까이에서 B 고리(꼭대기)의 빛이 비추어지지 않은 안쪽과 C 고리(바닥)의 바깥쪽을 촬영한 카시니의 모자이크 사진. 미마스의 그림자가 많이 보인다. 그림자는 빽빽한 B 고리에 의해 희미해졌다. 맥스웰 간극이 중심부 아래에 보인다. 해가 비추어지지 않은 B 고리의 일부분을 촬영한 카시니의 사진에서 낮은 위상각의 어두운 테가 보인다. 중심부 왼쪽에, 두 개의 어두운 간극(큰 쪽은 하위헌스 간극)과 왼쪽의 카시니 간극을 구성하는 밝은 미세고리가 있다. 2009년에 카시니에 의해 144˚의 위상각에서 촬영된, 밝은 B 고리의 테와 함께 햇빛이 비춰지는 고리 부분이 담긴 사진. A 고리의 엥케 간극을 통한 판의 운동은 가장자리의 요동과 (스스로 전파되지 않는)그 앞과 안쪽에 나선을 그리는 물결흔적을 유발한다. 다른 더 빽빽한 물결대는 나선 밀도파이다. (오른쪽의 오래된 홈과 함께)F 고리 내의 어두운 홈을 형성하고 있는 궤도 최원점 근처의 프로메테우스. 이 과정에 대한 영상은 카시니 영상 팀 웹사이트[106] 또는 유투브[107]에서 볼 수 있다. 프로메테우스(중앙)와 판도라는 F 고리의 양쪽에 있는 양치기 위성이다. 아마 F 고리의 핵을 통과하거나 가까이서 공전하고 있는 작은 소위성의 섭동 효과 때문으로 추정되는 F 고리의 요동 원인. G 고리의 일부를 가린 토성의 그림자. 호의 궤도 운동을 보여주는 영상은 유투브[108] 또는 카시니 영상 팀 웹사이트[109]에서 볼 수 있다. 같이 보기[편집] 갈릴레오 갈릴레이 - 1610년, 토성의 고리를 최초로 관측한 사람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 1655년, 토성의 고리를 토성을 둘러싼 고리라고 최초로 묘사한 사람 조반니 카시니 - 1675년, A 고리와 B 고리 사이의 간극(카시니 간극)을 발견한 사람 에두아르 로슈 - 토성의 로슈 한계 내에서 위성이 어떻게 파괴되어 고리를 형성하는지 설명한 프랑스의 천문학자 천왕성의 고리 - 태양계의 행성 중 고리가 있는 행성 중 하나인 천왕성의 고리에 대한 설명이다. 각주[편집] ↑ Porco, Carolyn. “Questions about Saturn's rings”. 《CICLOPS web site》. 2012년 10월 5일에 확인함.  |work=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가 나 Tiscareno, M. S. (2012년 7월 4일 preprint). 〈Planetary Rings〉. Kalas, P.; French, L. 《Planets, Stars and Stellar Systems》. Springer. 61–63쪽. ISBN 978-94-007-5605-2. doi:10.1007/978-94-007-5606-9_7. 2012년 10월 5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가 나 다 “Historical Background of Saturn's Rings”. 2006년 3월 8일에 확인함.  ↑ Rao, Joe (2003). “NightSky Friday: See Saturn closest to Earth in 30 Years”. 《space.com》. 2007년 7월 28일에 확인함.  ↑ 가 나 Baalke, Ron. “Historical Background of Saturn's Rings”. 《Saturn Ring Plane Crossings of 1995–1996》. Jet Propulsion Laboratory. 2009년 3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5월 23일에 확인함.  ↑ Miner, Ellis D.; Wessen, Randii R.; Cuzzi, Jeffrey N. (2007). 〈The scientific significance of planetary ring systems〉. 《Planetary Ring Systems》. Springer Praxis Books in Space Exploration. Praxis. 1–16쪽. ISBN 978-0-387-34177-4. doi:10.1007/978-0-387-73981-6_1.  ↑ Alexander, A. F. O'D. (1962). 《The Planet Saturn》. London: Faber and Faber Limited. 108–109쪽. ISBN 0-486-23927-6. doi:10.1002/qj.49708837730.  ↑ “Saturn's Cassini Division”. StarChild. 2007년 7월 6일에 확인함.  ↑ “James Clerk Maxwell on the nature of Saturn's rings”. JOC/EFR. March 2006. 2007년 7월 8일에 확인함.  ↑ “Kovalevsky, Sonya (or Kovalevskaya, Sofya Vasilyevna). Entry from Complete Dictionary of Scientific Biography”. 2013.  ↑ 가 나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Saturn: Rings”. 2010년 5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8월 30일에 확인함.  ↑ Cornell University News Service (2005년 11월 10일). “Researchers Find Gravitational Wakes In Saturn's Rings”. ScienceDaily. 2008년 12월 24일에 확인함.  ↑ “Saturn: Rings”. NASA. 2010년 5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8월 30일에 확인함.  ↑ Nicholson, P.D.; and 16 co-authors (2008). “A close look at Saturn's rings with Cassini VIMS”. 《Icarus》 193 (1): 182–212. Bibcode:2008Icar..193..182N. doi:10.1016/j.icarus.2007.08.036.  ↑ Zebker, H.A.; Marouf, E.A.; Tyler, G.L. (1985). “Saturn's rings – Particle size distributions for thin layer model”. 《Icarus》 64 (3): 531–548. Bibcode:1985Icar...64..531Z. doi:10.1016/0019-1035(85)90074-0.  ↑ Jerome Brainerd, "Saturn's Rings", The Astrophysics Spectator, Issue 1.8, 24 November 2004, retrieved 27 May 2009. ↑ Stewart, Glen R.; Robbins, S. J.; Colwell, J. E. (October 2007). “Evidence for a Primordial Origin of Saturn's Rings”. 《Bulletin of the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DPS meeting #39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39: 420. Bibcode:2007DPS....39.0706S. 2009년 6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5월 27일에 확인함.  ↑ Burns, J.A.; Hamilton, D.P.; Showalter, M.R. (2001). 〈Dusty Rings and Circumplanetary Dust: Observations and Simple Physics〉 (PDF). Grun, E.; Gustafson, B. A. S.; Dermott, S. T.; Fechtig H. 《Interplanetary Dust》. Berlin: Springer. 641–725쪽. Bibcode:2001indu.book..641B. ISBN 3-540-42067-3.  ↑ Goldreich, Peter; Tremaine, Scott (1978). “The formation of the Cassini division in Saturn's rings”. 《Icarus》 34 (2): 240–253. Bibcode:1978Icar...34..240G. doi:10.1016/0019-1035(78)90165-3.  ↑ Rincon, Paul (2005년 7월 1일). “Saturn rings have own atmosphere”.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07년 7월 6일에 확인함.  ↑ Johnson, R. E.; Smith, H. T.; Tucker, O. J.; Liu, M.; Burger, M. H.; Sittler, E. C.; Tokar, R. L. (2006). “The Enceladus and OH Tori at Saturn”. 《The Astrophysical Journal》 (The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644 (2): L137. Bibcode:2006ApJ...644L.137J. doi:10.1086/505750.  ↑ Schmude, Richard W Junior (2001). “Wideband photoelectric magnitude measurements of Saturn in 2000”. Georgia Journal of Science. 2007년 10월 14일에 확인함.  ↑ Schmude, Richard, Jr. (2006년 9월 22일). “Wideband photometric magnitude measurements of Saturn made during the 2005–06 Apparition”. Georgia Journal of Science. 2007년 10월 14일에 확인함.  ↑ Schmude, Richard W Jr (2003). “Saturn in 2002–03”. Georgia Journal of Science. 2007년 10월 14일에 확인함.  ↑ “The Journal of the British Astronomical Association”. British Astronomical Association. February 2003. 2007년 9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7월 7일에 확인함.  ↑ “Surprising, Huge Peaks Discovered in Saturn's Rings”. 《SPACE.com Staff》. space.com. 2009년 9월 21일. 2009년 9월 26일에 확인함.  ↑ Baalke, Ron. “Historical Background of Saturn's Rings”. 《1849 Roche Proposes Tidal Break-up》. Jet Propulsion Laboratory. 2009년 3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9월 13일에 확인함.  ↑ “The Real Lord of the Rings”. 2008년 9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12일에 확인함.  ↑ Kerr, Richard A (2008). “Saturn's Rings Look Ancient Again”. 《Science》 319 (5859): 21. doi:10.1126/science.319.5859.21a.  ↑ Choi, C. Q. (2010년 12월 13일). “Saturn's Rings Made by Giant "Lost" Moon, Study Hints”. National Geographic. 2012년 11월 5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Canup, R. M. (2010년 12월 12일). “Origin of Saturn’s rings and inner moons by mass removal from a lost Titan-sized satellite”. 《Nature》 468 (7326): 943–926. Bibcode:2010Natur.468..943C. PMID 21151108. doi:10.1038/nature09661. 2012년 11월 4일에 확인함.  ↑ 가 나 Charnoz, S.; Crida, A.; Castillo-Rogez, J. C.; Lainey, V.; Dones, L.; Karatekin, Ö.; Tobie, G.; Mathis, S.; Le Poncin-Lafitte, C.; Salmon, J. (December 2011). “Accretion of Saturn’s mid-sized moons during the viscous spreading of young massive rings: Solving the paradox of silicate-poor rings versus silicate-rich moons”. 《Icarus》 216 (2): 535–550. Bibcode:2011Icar..216..535C. arXiv:1109.3360. doi:10.1016/j.icarus.2011.09.017. 2012-10-105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도움말) ↑ “Saturn's Rings May Be Old Timers”. 《NASA/JPL and University of Colorado》. 2007년 12월 12일. 2007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24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Porco, C.C.; Baker, E.; 외. (2005). “Cassini Imaging Science: Initial Results on Saturn'sRings and Small Satellites” (PDF). 《Science》 307 (5713): 1226–1236. Bibcode:2005Sci...307.1226P. PMID 15731439. doi:10.1126/science.1108056.  ↑ Esposito, L.W.; Albers, N.; Meinke, B.K.; Screcevic, M.; Madhusudhanan, P.; Colwell first6=J.E.; Jerousek, R.G. (January 2012). “A predator–prey model for moon-triggered clumping in Saturn’s rings”. 《Icarus》 217 (1): 103–114. Bibcode:2012Icar..217..103E. doi:10.1016/j.icarus.2011.09.029.  CS1 관리 - 수직선 없음 (링크) CS1 관리 - 날짜와 연도 (링크) ↑ Porco, C.; Nicholson, P. D.; Borderies, N.; Danielson, G. E.; Goldreich, P.; Holberg, J. B.; Lane, A. L. (October 1984). “The Eccentric Saturnian Ringlets at 1.29RS and 1.45RS”. 《Icarus》 (Elsevier Science) 60 (1): 1–16. Bibcode:1984Icar...60....1P. doi:10.1016/0019-1035(84)90134-9.  ↑ Porco, C. C.; Nicholson, P. D. (November 1987). “Eccentric features in Saturn's outer C ring”. 《Icarus》 (Elsevier Science) 72 (2): 437–467. Bibcode:1987Icar...72..437P. doi:10.1016/0019-1035(87)90185-0.  ↑ Flynn, B. C.; Cuzzi, J. N. (November 1989). “Regular Structure in the Inner Cassini Division of Saturn's Rings”. 《Icarus》 (Elsevier Science) 82 (1): 180–199. Bibcode:1989Icar...82..180F. doi:10.1016/0019-1035(89)90030-4.  ↑ Lakdawalla, E. (2009년 2월 9일). “New names for gaps in the Cassini Division within Saturn's rings”. 《New names for gaps in Saturn's rings – The Planetary Society Blog》. Planetary Society. 2009년 1월 11일에 확인함.  |work=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가 나 다 Hedman, Matthew M.; Burns, Joseph A,; Showalter, Mark R.; 외. (2007). “Saturn's dynamic D ring” (PDF). 《Icarus》 188 (1): 89–107. Bibcode:2007Icar..188...89H. doi:10.1016/j.icarus.2006.11.017.  CS1 관리 - et al.의 직접적인 사용 (링크) ↑ 가 나 다 Mason, J.; Cook, J.-R. C. (2011년 3월 31일). “Forensic sleuthing ties ring ripples to impacts”. 《CICLOPS press release》. Cassini Imaging Central Laboratory for Operations. 2011년 4월 4일에 확인함.  ↑ “Extensive spiral corrugations”. 《PIA 11664 caption》. NASA / Jet Propulsion Laboratory / Space Science Institute. 2011년 3월 31일. 2011년 4월 4일에 확인함.  ↑ “Tilting Saturn's rings”. 《PIA 12820 caption》. NASA / Jet Propulsion Laboratory / Space Science Institute. 2011년 3월 31일. 2011년 4월 4일에 확인함.  ↑ Hedman, M. M.; Burns, J. A.; Evans, M. W.; Tiscareno, M. S.; Porco, C. C. (2011년 3월 31일). “Saturn's curiously corrugated C Ring”. 《Science》 (AAAS) 332 (6030): 708. Bibcode:2011Sci...332..708H. doi:10.1126/science.1202238. 2011년 4월 5일에 확인함.  ↑ “Subtle Ripples in Jupiter's Ring”. 《PIA 13893 caption》. NASA / Jet Propulsion Laboratory-Caltech / SETI. 2011년 3월 31일. 2011년 4월 4일에 확인함.  ↑ Showalter, M. R.; Hedman, M. M.; Burns, J. A. (2011년 3월 31일). “The impact of comet Shoemaker-Levy 9 sends ripples through the rings of Jupiter”. 《Science》 (AAAS) 332 (6030): 711. Bibcode:2011Sci...332..711S. doi:10.1126/science.1202241. 2011년 4월 5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Harland, David M., Mission to Saturn: Cassini and the Huygens Probe, Chichester: Praxis Publishing, 2002. ↑ 가 나 Porco, C.; Nicholson, P. D.; Borderies, N.; Danielson, G. E.; Goldreich, P.; Holdberg, J. B.; Lane, A. L. (1984년 10월). “The eccentric Saturnian ringlets at 1.29Rs and 1.45Rs”. 《Icarus》 60 (1): 1–16. Bibcode:1984Icar...60....1P. doi:10.1016/0019-1035(84)90134-9. 2014년 1월 9일에 확인함.  ↑ Smith, B. A.; Soderblom, L.; Batson, R.; Bridges, P.; Inge, J.; Masursky, H.; Shoemaker, E.; Beebe, R.; Boyce, J.; Briggs, G.; Bunker, A.; Collins, S. A.; Hansen, C. J.; Johnson, T. V.; Mitchell, J. L.; Terrile, R. J.; Cook Af, A. F.; Cuzzi, J.; Pollack, J. B.; Danielson, G. E.; Ingersoll, A. P.; Davies, M. E.; Hunt, G. E.; Morrison, D.; Owen, T.; Sagan, C.; Veverka, J.; Strom, R.; Suomi, V. E. (1982). “A New Look at the Saturn System: The Voyager 2 Images”. 《Science》 215 (4532): 504–537. PMID 17771273. doi:10.1126/science.215.4532.504.  ↑ “The Alphabet Soup of Saturn's Rings”. The Planetary Society. 2007. 200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Hamilton, Calvin (2004). “Saturn's Magnificent Rings”. 2007년 7월 25일에 확인함.  ↑ Malik, Tarig (2005년 9월 15일). “Cassini Probe Spies Spokes in Saturn's Rings”. Imaginova Corp. 2007년 7월 6일에 확인함.  ↑ Mitchell, C.J.; Horanyi, M.; Havnes, O.; Porco, C.C. (2006). “Saturn's Spokes: Lost and Found” (PDF). 《Science》 311 (5767): 1587–1589. Bibcode:2006Sci...311.1587M. PMID 16543455. doi:10.1126/science.1123783.  ↑ “Saturn.jpl.nasa.gov”. 2009년 10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15일에 확인함.  ↑ Thomas William Webb, Celestial objects for common telescopes, page 130 ↑ Archie Frederick Collins, The greatest eye in the world: astronomical telescopes and their stories, page 8 ↑ Astronomy.ohio-state.edu ↑ Platt, Jane; Brown, Dwayne (2014년 4월 14일). “NASA Cassini Images May Reveal Birth of a Saturn Moon”. 《NASA》.  ↑ Murray, C. D.; Cooper, N. J.; Williams, G. A.; Attree, N. O.; Boyer, J. S. (2014년 3월 28일). “The discovery and dynamical evolution of an object at the outer edge of Saturn's a ring”. 《Icarus》. doi:10.1016/j.icarus.2014.03.024.  ↑ Williams, David R. “Saturnian Rings Fact Sheet”. NASA. 2008년 7월 22일에 확인함.  ↑ 가 나 Esposito, L. W. (2002). “Planetary rings” (PDF). 《Reports on Progress in Physics》 65 (12): 1741–1783. Bibcode:2002RPPh...65.1741E. doi:10.1088/0034-4885/65/12/201.  ↑ Osterbrock, D. E.; Cruikshank, D. P. (1983). “J.E. Keeler's discovery of a gap in the outer part of the a ring”. 《Icarus》 53 (2): 165. Bibcode:1983Icar...53..165O. doi:10.1016/0019-1035(83)90139-2.  ↑ Blue, J. (2008년 2월 6일). “Encke Division Changed to Encke Gap”. 《USGS Astrogeology Science Center》. USGS. 2010년 5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9월 2일에 확인함.  |work=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Porco, C.C.; Thomas, P.C.; Weiss, J.W.; Richardson, D.C. (2007). “Saturn's Small Inner Satellites: Clues to Their Origins” (PDF). 《Science》 318 (5856): 1602–1607. Bibcode:2007Sci...318.1602P. PMID 18063794. doi:10.1126/science.1143977.  ↑ Mason, Joe (2009년 6월 11일). “Saturn's Approach To Equinox Reveals Never-before-seen Vertical Structures In Planet's Rings”. 《CICLOPS web site》. 2009년 6월 13일에 확인함.  |work=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Weiss, J. W.; Porco, C. C.; Tiscareno, M. S. (2009년 6월 11일). “Ring Edge Waves and the Masses of Nearby Satellites”. 《The Astronomical Journal》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138 (1): 272–286. Bibcode:2009AJ....138..272W. doi:10.1088/0004-6256/138/1/272. 2009년 6월 15일에 확인함.  ↑ Tiscareno, Matthew S.; 외. (2006). “100-metre-diameter moonlets in Saturn's A ring from observations of 'propeller' structures”. 《Nature》 440 (7084): 648–650. Bibcode:2006Natur.440..648T. PMID 16572165. doi:10.1038/nature04581.  ↑ Sremčević, Miodrag; 외. (2007). “A belt of moonlets in Saturn's A ring”. 《Nature》 449 (7165): 1019–1021. Bibcode:2007Natur.449.1019S. PMID 17960236. doi:10.1038/nature06224.  ↑ Tiscareno, Matthew S.; 외. (2008). “The population of propellers in Saturn's A Ring”. 《Astronomical Journal》 135 (3): 1083–1091. Bibcode:2008AJ....135.1083T. arXiv:0710.4547. doi:10.1088/0004-6256/135/3/1083.  ↑ Porco, C. (2013년 2월 25일). “Bleriot Recaptured”. 《CICLOPS web site》. NASA/JPL-Caltech/Space Science Institute. 2013년 2월 27일에 확인함.  |work=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Planetarynames.wr.usgs.gov ↑ Weisstein, Eric W. (2007). “Eric Weisstein's World of Physics – Roche Limit”. scienceworld.wolfram.com. 2007년 9월 5일에 확인함.  ↑ NASA. “What is the Roche limit?”. NASA–JPL. 2007년 9월 5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Murray, C. D.; Beurle, K.; Cooper, N. J.; Evans, M. W.; Williams, G. A.; Charnoz, S. (2008년 6월 5일). “The determination of the structure of Saturn's F ring by nearby moonlets”. 《Nature》 (Nature Publishing Group) 453 (7196): 739–744. Bibcode:2008Natur.453..739M. PMID 18528389. doi:10.1038/nature06999.  ↑ Karttunen, H.; Kröger, P.; Oja, H.; Donner, K. J.; Poutanen, M. (2007). 《Fundamental Astronomy》.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ISBN 978-3-540-34144-4. OCLC 804078150. 2013년 5월 25일에 확인함.  ↑ Gehrels, T.; Baker, L. R.; Beshore, E.; Blenman, C.; Burke, J. J.; Castillo, N. D.; Dacosta, B.; Degewij, J.; Doose, L. R.; Fountain, J. W.; Gotobed, J.; Kenknight, C. E.; Kingston, R.; McLaughlin, G.; McMillan, R.; Murphy, R.; Smith, P. H.; Stoll, C. P.; Strickland, R. N.; Tomasko, M. G.; Wijesinghe, M. P.; Coffeen, D. L.; Esposito, L. (1980). “Imaging Photopolarimeter on Pioneer Saturn”. 《Science》 207 (4429): 434–439. Bibcode:1980Sci...207..434G. PMID 17833555. doi:10.1126/science.207.4429.434.  ↑ Charnoz, S.; Porco, C.C .; 외. (2005). “Cassini Discovers a Kinematic Spiral Ring Around Saturn” (PDF). 《Science》 310 (5752): 1300–1304. Bibcode:2005Sci...310.1300C. PMID 16311328. doi:10.1126/science.1119387.  ↑ 가 나 NASA Planetary Photojournal PIA08328: Moon-Made Rings ↑ 가 나 Cassini–Huygens press release NASA Finds Saturn's Moons May Be Creating New Rings Archived 2006년 10월 16일 - 웨이백 머신, 11 October 2006. ↑ 가 나 다 Hedman, M. M.; Burns, J. A.; Tiscareno, M. S.; Porco, C. C.; Jones, G. H.; Roussos, E.; Krupp, N.; Paranicas, C.; Kempf, S. (2007). “The Source of Saturn's G Ring” (PDF). 《Science》 317 (5838): 653–656. Bibcode:2007Sci...317..653H. PMID 17673659. doi:10.1126/science.1143964.  ↑ IAU Circular No. 9023 ↑ Davison, Anna (2007년 8월 2일). “Saturn ring created by remains of long-dead moon”. NewScientist.com news service. 2008년 7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18일에 확인함.  ↑ 가 나 Porco C. C., et al. (2008년 9월 5일). “More Ring Arcs for Saturn”. 《Cassini Imaging Central Laboratory for Operations web site》. 2008년 9월 5일에 확인함.  |work=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가 나 다 Hedman, M. M.; Murray, C. D.; Cooper, N. J.; Tiscareno, M. S.; Beurle, K.; Evans, M. W.; Burns, J. A. (2008년 11월 25일). “Three tenuous rings/arcs for three tiny moons”. 《Icarus》 199 (2): 378–386. Bibcode:2009Icar..199..378H. doi:10.1016/j.icarus.2008.11.001.  ↑ Hillier, JK; Green, SF; McBride, N.; Schwanethal, J. P.; Postberg, F.; Srama, R.; Kempf, S.; Moragas-Klostermeyer, G.; 외. (June 2007). “The composition of Saturn's E ring”.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77 (4): 1588–1596. Bibcode:2007MNRAS.377.1588H. doi:10.1111/j.1365-2966.2007.11710.x.  ↑ 가 나 Hedman, M. M.; Burns, J. A.; Hamilton, D. P.; Showalter, M. R. (2012).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Saturn's E ring”. 《Icarus》 217: 322–338. Bibcode:2012Icar..217..322H. arXiv:1111.2568. doi:10.1016/j.icarus.2011.11.006.  ↑ Spahn, F.; 외. (2006년 3월 10일). “Cassini Dust Measurements at Enceladus and Implications for the Origin of the E Ring”. 《Science》 (AAAS) 311 (5766): 1416–8. Bibcode:2006Sci...311.1416S. PMID 16527969. doi:10.1126/science.1121375. 2008년 9월 13일에 확인함.  ↑ Porco, C. C.; Helfenstein, P.; Thomas, P. C.; Ingersoll, A. P.; Wisdom, J.; West, R.; Neukum, G.; Denk, T.; Wagner, R. (2006년 3월 10일). “Cassini Observes the Active South Pole of Enceladus”. 《Science》 311 (5766): 1393–1401. Bibcode:2006Sci...311.1393P. PMID 16527964. doi:10.1126/science.1123013.  CS1 관리 - 저자표시 (링크) ↑ Schenk Hamilton et al. 2011, 751–53쪽. ↑ Mason 2010. ↑ NASA Space Telescope Discovers Largest Ring Around Saturn ↑ 가 나 다 Verbiscer, Anne; Skrutskie, Michael; Hamilton, Douglas (published online 2009-10-07). “Saturn's largest ring”. 《Nature》 461 (7267): 1098–100. Bibcode:2009Natur.461.1098V. PMID 19812546. doi:10.1038/nature08515.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가 나 다 Cowen, Rob (2009년 10월 6일). “Largest known planetary ring discovered”. 《Science News》.  ↑ Tamayo, D.; Hedman, M. M.; Burns, J. A. (2014년 1월 23일). “First observations of the Phoebe ring in optical light”. 《Icarus》. arXiv:1401.6166.  ↑ “The King of Rings”. NASA, Spitzer Space Telescope center. 2009년 10월 7일. 2009년 10월 7일에 확인함.  ↑ Grayson, Michelle (2009년 10월 7일). “Huge 'ghost' ring discovered around Saturn”. 《Nature News》. doi:10.1038/news.2009.979.  ↑ Weil, Martin (2009년 10월 25일). “U-Va., U-Md. astronomers find another Saturn ring”. 《Washington Post》. 4C면. 2012년 9월 2일에 확인함.  ↑ Denk, T.; 외. (2009년 12월 10일). “Iapetus: Unique Surface Properties and a Global Color Dichotomy from Cassini Imaging”. 《Science》 (AAAS) 326 (5964): 435–9. Bibcode:2010Sci...327..435D. PMID 20007863. doi:10.1126/science.1177088. 2009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Cassini Is on the Trail of a Runaway Mystery”. 《NASA Mission News》. NASA. 2007년 10월 8일. 2009년 10월 8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Mason, J.; Martinez, M.; Balthasar, H. (2009년 12월 10일). “Cassini Closes In On The Centuries-old Mystery Of Saturn's Moon Iapetus”. 《CICLOPS website newsroom》. Space Science Institute. 2009년 12월 22일에 확인함.  |work=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Spencer, J. R.; Denk, T. (2009년 12월 10일). “Formation of Iapetus' Extreme Albedo Dichotomy by Exogenically Triggered Thermal Ice Migration”. 《Science》 (AAAS) 326 (5964): 432–5. Bibcode:2010Sci...327..432S. PMID 20007862. doi:10.1126/science.1177132. 2009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Jones, Geraint H.; 외. (2008년 3월 7일). “The Dust Halo of Saturn's Largest Icy Moon, Rhea”. 《Science》 (AAAS) 319 (5868): 1380–1384. Bibcode:2008Sci...319.1380J. PMID 18323452. doi:10.1126/science.1151524.  ↑ Lakdawalla, E. (2008년 3월 6일). “A Ringed Moon of Saturn? Cassini Discovers Possible Rings at Rhea”. 《The Planetary Society web site》. Planetary Society. 2008년 3월 9일에 확인함.  |work=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Lakdawalla, E. (2009년 10월 5일). “Another possible piece of evidence for a Rhea ring”. 《The Planetary Society Blog》. Planetary Society. 2009년 10월 6일에 확인함.  |work=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Kerr, Richard A. (2010년 6월 25일). “The Moon Rings That Never Were”. ScienceNow. 2010년 8월 5일에 확인함.  ↑ Ciclops.org ↑ Youtube.com ↑ Youtube.com ↑ Ciclops.org 외부 링크[편집] 행성의 고리 마디: 토성의 고리계 NASA의 태양계 탐사의 토성의 고리 USGS 행성 명명법 페이지에서의 토성의 고리 명명법 NASA 토성의 거대한 고리 발견 – Yahoo 7 news (2009-10-07 검색) vdeh토성지질학적 특징 대기 용의 폭풍 대백반 육각형 자기장 고리 주요 위성 디오네 엔셀라두스 히페리온 이아페투스 미마스 포에베 레아 테티스 타이탄 천문학 팔분의자리 델타 토성 횡단 소행성 탐사 카시니-하위헌스 엔셀라두스 탐사선 파이어니어 11호 보이저 계획 기타 픽션 토성 토성의 위성 vdeh행성의 고리행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외계 행성 기타 레아 커리클로 키론 태양 소행성대 카이퍼 대 관련 내용 기체 토러스 vdeh태양계태양 · 태양권계면행성 위성 고리지구형 행성 수성 금성 지구 (달) 화성 (위성) 목성형 행성 목성 위성 고리 토성 위성 고리 천왕성 위성 고리 해왕성 위성 고리 왜행성 명왕성형 천체 세레스 명왕성 (위성) 하우메아 (위성) 마케마케 에리스 (위성) 소천체소행성 벌컨군 지구 근접 소행성 소행성대 소행성족 목성 트로이군 센타우루스 소행성군 해왕성 트로이군 소행성 위성 유성체 해왕성 바깥 천체 카이퍼 대 명왕성족 고전적 카이퍼 대 천체 산란원반 분리천체 혜성 주기 혜성 비주기 혜성 다모클레스군 힐스 구름 오르트 구름 코르딜레프스키 구름 참고태양계 천체 목록 (반지름순, 질량순, 중력적으로 둥근 천체), 소행성체 목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토성의_고리&oldid=24186055" 분류: 행성 고리토성1655년 발견한 천체1610년 발견한 천체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외부 링크인용 오류 - 날짜CS1 관리 - 수직선 없음CS1 관리 - 날짜와 연도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CS1 관리 - et al.의 직접적인 사용CS1 관리 - 저자표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4년 8월출처가 필요한 글/2014년 9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བོད་ཡིག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Avañe'ẽעבריתहिन्दीHrvatski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ëtzebuergeschLietuviųLatviešuBahasa MelayuNorsk nynorskNorsk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eeltersk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吴语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4:1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토성의 고리(영어: Rings of Saturn)는 태양계에서 어떤 행성의 고리보다도 가장 큰 행성 고리계이다. 이 고리는 수 마이크로미터에서 수 미터에 이르는 작은 입자들로 아주 많이 구성되어 있으며, 토성을 공전하고 있다. 고리 입자는 거의 대부분이 얼음으로 구성되어 있고, 소량의 구성성분은 암석 물질이다. 토성의 고리의 형성 과정에 관해서는 아직까지도 결론이 나지 않았다. 고리의 일부 특징들은 고리가 비교적 최근에 기원했음을 시사하지만, 이론적인 모형은 태양계의 역사 초기에 형성되었을 것이라고 알려주고 있다.고리는 햇빛을 반사하여 토성의 밝기를 증가시키지만, 지구에서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1610년에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망원경으로 토성의 고리를 발견했지만, 그는 망원경의 성능이 좋지 못해 고리를 귀나 컵의 손잡이라고 생각했어도 최초로 토성의 고리를 관측한 사람이 되었다. 1655년, 크리스티안 하위헌스는 그것을 토성을 둘러싸는 고리로써 최초로 묘사한 사람이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토성의 고리가 아주 작은 고리들로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라플라스 이후의 개념), 실제로는 몇 개의 간극이 존재한다. 동심원 모양으로 밀도와 밝기의 최대와 최소가 존재하는 고리 원반이 고리에 대한 더 정확한 생각이다. 고리 내에서도 덩어리의 규모에 비해 텅빈 공간이 많다. 고리는 입자의 밀도가 급격히 줄어드는 다양한 간극을 가지고 있다. 이중에 둘은 고리 내에 위치한 것으로 알려진 토성의 위성에 의해 열려있고, 그 외 토성의 위성의 불안정한 궤도공명을 받는 곳으로 알려진 위치의 많은 것들이 있다. 일부 간극은 아직 설명되지 못한 채로 남아있다. 반면 안정된 궤도공명은 타이탄 미세고리나 G 고리와 같이 몇몇 고리의 긴 지속시간에 원인이 있다. 주요 고리의 범위 밖에 있는 포에베 고리는 포에베와 같이 다른 고리에 비해 27도 기울어져 있고, 역행 방식으로 토성을 공전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카시니 간극은 누구에 의해 발견되었을까? Assistant: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 Human: 아래 2015년_아프리카_네이션스컵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대회 개요개최국 적도 기니개최 기간 1월 17일 ~ 2월 8일예선 참가국 47개국참가국 16개국경기장 4 (4개 도시) 최종 순위● 우승국 코트디부아르 (2번째 우승)● 준우승국 가나● 3위 콩고 민주 공화국● 4위 적도 기니통계총 경기수 32경기득점 총합 68골 (경기당 2.13골)최다 득점 선수 아흐메드 아카치 앙드레 아유 하비에르 발보아 티에비 비푸마 디외메르시 음보카니 (3골)최우수 선수 크리스티안 아츠이전 대회 / 다음 대회 ← 2013 2017 → v • d • e • h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영어: 2015 Africa Cup of Nations)은 2015년 1월 17일부터 2월 8일까지 적도 기니에서 개최된 대회인 30번째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이다.[1] 이 대회는 당초 모로코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2014년 10월 모로코가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에 따른 우려로 아프리카 축구 연맹에 대회 개최 연기를 요청했다. 이에 따라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11월 2일 집행위원회를 소집하여 이 문제에 대해 한 차례 논의를 거쳤다.[2]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이 대회의 개최를 2016년으로 연기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밝히며 11월 8일까지 모로코 축구 협회에 2015년 개최 의사를 전달할 것을 요청하였으나 모로코 축구 협회가 이에 응하지 않아 11월 11일에 이사회를 소집하여 이 문제에 대해 다시 논의하였다. 이에 따라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모로코 축구 협회에 이 대회의 개최권을 박탈함과 동시에 출전 정지 징계를 내렸음을 통보하는 한편 모로코를 대신하여 이 대회를 개최할 국가를 선정하는 작업에 들어갔다. 그리고 11월 14일, 적도 기니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하였다. 목차 1 개최를 희망했던 국가 1.1 대체 개최국으로 거론되었던 국가 2 개최 도시 및 경기장 3 예선 3.1 본선 진출 팀 4 시드 배정 4.1 조 추첨 결과 5 선수 명단 6 조별 리그 6.1 A조 6.2 B조 6.3 C조 6.4 D조 7 결선 토너먼트 7.1 8강전 7.2 준결승전 7.3 3·4위전 7.4 결승전 8 우승국 9 수상 9.1 올스타 팀 10 최종 순위 11 득점 선수 12 각주 개최를 희망했던 국가[편집] 보츠와나 카메룬 콩고 민주 공화국 기니 모로코 남아프리카 공화국 잠비아 짐바브웨 여기에서 모로코가 개최 국가로 결정되었으나 모로코가 에볼라 유행을 이유로 개최를 연기하기를 원하자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모로코의 개최권을 박탈하고 다른 국가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대체 개최국으로 거론되었던 국가[편집]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몇 개 회원국을 선정하여 모로코를 대신하여 이 대회를 개최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사전에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다음 5개국은 개최 불가 의사를 전달하였다. 가나 남아프리카 공화국 수단 알제리 이집트 다음 1개국은 명확한 답변을 하지 않았다. 나이지리아 다음 3개국은 아프리카 축구 연맹에서 협상되었던 국가이다. 가봉 앙골라 적도 기니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적도 기니에서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을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개최 도시 및 경기장[편집]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개최 도시와 경기장은 다음과 같다. 바타 - 데 바타 경기장 (수용인원: 35,700) 말라보 - 데 누에보 말라보 경기장 (수용인원: 15,250) 몽고모 - 데 몽고모 경기장 (수용인원: 10,000) 에베비인 - 데 누에보 에베비인 경기장 (수용인원: 35,700) 예선[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입니다. 본선 진출 팀[편집] 팀 예선 결과 본선 진출 결정일 과거 본선 기록 적도 기니 개최국 2014년 11월 14일 1011회 (2012) 남아프리카 공화국 A조 1위 2014년 11월 15일 1098회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3) 알제리 B조 1위 2014년 10월 15일 11515회 (1968, 1980, 1982, 1984, 1986, 1988, 1990, 1992, 1996, 1998, 2000, 2002, 2004, 2010, 2013) 가봉 C조 1위 2014년 11월 15일 1055회 (1994, 1996, 2000, 2010, 2012) 카메룬 D조 1위 2014년 11월 15일 11616회 (1970, 1972, 1982, 1984, 1986, 1988, 1990, 1992,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가나 E조 1위 2014년 11월 19일 11919회 (1963, 1965, 1968, 1970, 1987, 1980, 1982, 1984,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6, 2008, 2010, 2012, 2013) 카보베르데 F조 1위 2014년 10월 15일 1011회 (2013) 튀니지 G조 1위 2014년 11월 14일 11616회 (1962, 1963, 1965, 1978, 198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2, 2013) 콩고 공화국 A조 2위 2014년 11월 19일 1066회 (1968, 1972, 1974, 1978, 1992, 2000) 말리 B조 2위 2014년 11월 19일 1088회 (1972, 1994, 2002, 2004, 2008, 2010, 2012, 2013) 부르키나파소 C조 2위 2014년 11월 15일 1099회 (1978, 1996, 1998, 2000, 2002, 2004, 2010, 2012, 2013) 코트디부아르 D조 2위 2014년 11월 19일 12020회 (1965, 1968, 1970, 1974, 1980, 1984, 1986,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6, 2008, 2010, 2012, 2013) 기니 E조 2위 2014년 11월 19일 11010회 (1970, 1974, 1976, 1980, 1994, 1998, 2004, 2006, 2008, 2012) 잠비아 F조 2위 2014년 11월 15일 11616회 (1974, 1978, 1982, 1986,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6, 2008, 2010, 2012, 2013) 세네갈 G조 2위 2014년 11월 15일 11212회 (1965, 1968, 1986, 1990, 1992, 1994, 2000, 2002, 2004, 2006, 2008, 2012) 콩고 민주 공화국 D조 3위 2014년 11월 19일 11616회 (1965, 1968, 1970, 1972, 1974, 1976, 1988,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13) 굵은 글씨는 우승한 대회를 의미한다. 시드 배정[편집] 이번 시드 배정은 2013년 대회와는 다르게 지난 3개 대회의 전적, 2012년 예선(0.5배의 가중치), 2013년 예선, 2015년 예선(2배의 가중치),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의 점수를 합산하여 시드를 배정했다.[3] 그 결과, 15년 만에 본선에 진출한 콩고 공화국은 최하위 시드를 배정받았다. 이 기준에 근거한 시드 배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드 1 시드 2 시드 3 시드 4 적도 기니 (개최국, A조 배정) 가나 (48점) 코트디부아르 (44점) 잠비아 (41점) 부르키나파소 (40점) 말리 (38점) 튀니지 (32.5점) 알제리 (28점) 카보베르데 (26.5점) 남아프리카 공화국 (23.5점) 카메룬 (23.5점) 가봉 (22점) 기니 (19점) 세네갈 (19점) 콩고 민주 공화국 (18점) 콩고 공화국 (13점) 조 추첨은 2014년 12월 3일, 적도 기니 말라보에서 열렸다. 조 추첨 결과[편집] 조 1시드 2시드 3시드 4시드 A 적도 기니 부르키나파소 가봉 콩고 공화국 B 잠비아 튀니지 카보베르데 콩고 민주 공화국 C 가나 알제리 남아프리카 공화국 세네갈 D 코트디부아르 말리 카메룬 기니 선수 명단[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선수 명단입니다. 조별 리그[편집] 모든 경기는 현지 시간(UTC+01)을 따름. A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콩고 공화국 3 2 1 0 4 2 +2 7 적도 기니 3 1 2 0 3 1 +2 5 가봉 3 1 0 2 2 3 -1 3 부르키나파소 3 0 1 2 1 4 -3 1 2015년 1월 17일 17:00 적도 기니 1 : 1 콩고 공화국 데 바타 경기장, 바타 관중수: 40,245 심판: 바카리 가사마 은수에  16' 리포트 비푸마  87' 2015년 1월 17일 20:00 부르키나파소 0 : 2 가봉 데 바타 경기장, 바타 관중수: 40,245 심판: 라진드라파르사드 시추른 리포트 오바메양  19' 에부나  72' 2015년 1월 21일 17:00 적도 기니 0 : 0 부르키나파소 데 바타 경기장, 바타 관중수: 39,867 심판: 네앙 알리움 리포트 2015년 1월 21일 20:00 가봉 0 : 1 콩고 공화국 데 바타 경기장, 바타 관중수: 34,782 심판: 빅터 고메스 리포트 오니앤구에  48' 2015년 1월 25일 19:00 가봉 0 : 2 적도 기니 데 바타 경기장, 바타 관중수: 39.230 심판: 누망디에즈 두에 리포트 발보아  55' (페널티골) 이반  86' 2015년 1월 25일 19:00 콩고 공화국 2 : 1 부르키나파소 데 누에보 에베비인 경기장, 에베비인 관중수: 7.945 심판: 조지프 램프티 비푸마  51' 온다마  87' 리포트 반체  86' B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튀니지 3 1 2 0 4 3 +1 5 콩고 민주 공화국 3 0 3 0 2 2 0 3 카보베르데 3 0 3 0 1 1 0 3 잠비아 3 0 2 1 2 3 -1 2 2015년 1월 18일 17:00 잠비아 1 : 1 콩고 민주 공화국 데 누에보 에베비인 경기장, 에베비인 관중수: 7,319 심판: 게하드 그리샤 싱굴루마  2' 리포트 볼라시  65' 2015년 1월 18일 20:00 튀니지 1 : 1 카보베르데 데 누에보 에베비인 경기장, 에베비인 관중수: 7,479 심판: 에릭 오투고 카스타네 망세  70' 리포트 헬돈  78' (페널티골) 2015년 1월 22일 17:00 잠비아 1 : 2 튀니지 데 누에보 에베비인 경기장, 에베비인 관중수: 8,000 심판: 아부바카 방구라 마유카  60' 리포트 아카치  70' 치하우이  89' 2015년 1월 22일 20:00 카보베르데 0 : 0 콩고 민주 공화국 데 누에보 에베비인 경기장, 에베비인 관중수: 7,680 심판: 말랑 디에히오 리포트 2015년 1월 26일 19:00 카보베르데 0 : 0 잠비아 데 누에보 에베비인 경기장, 에베비인 관중수: 7.950 심판: 네앙 알리움 리포트 2015년 1월 26일 19:00 콩고 민주 공화국 1 : 1 튀니지 데 바타 경기장, 바타 관중수: 11.463 심판: 바카리 가사마 보킬라  66' 리포트 아카치  31' C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가나 3 2 0 1 4 3 +1 6 알제리 3 2 0 1 5 2 +3 6 세네갈 3 1 1 1 3 4 -1 4 남아프리카 공화국 3 0 1 2 3 6 -3 1 가나와 알제리는 승점이 동률을 이루어 승자승 원칙에 따른 동률 팀간 전적에 따라 가나가 1위, 알제리가 2위가 되었다. (가나 1 : 0 알제리) 2015년 1월 19일 17:00 가나 1 : 2 세네갈 데 몽고모 경기장, 몽고모 관중수: 13,569 심판: 베르나르 카미유 아유  14' (페널티골) 리포트 디우프  58' 소우  90+3' 2015년 1월 19일 20:00 알제리 3 : 1 남아프리카 공화국 데 몽고모 경기장, 몽고모 관중수: 12,788 심판: 누망디에즈 두에 훌라짜요  67' (자책골) 굴람  72' 슬리마니  83' 리포트 팔라  50' 2015년 1월 23일 17:00 가나 1 : 0 알제리 데 몽고모 경기장, 몽고모 관중수: 12,387 심판: 코만 쿨리발리 잔  90+2' 리포트 2015년 1월 23일 20:00 남아프리카 공화국 1 : 1 세네갈 데 몽고모 경기장, 몽고모 관중수: 13,674 심판: 알리 렘가이프리 마니사  47' 리포트 음보지  60' 2015년 1월 27일 19:00 남아프리카 공화국 1 : 2 가나 데 몽고모 경기장, 몽고모 관중수: 13.670 심판: 하마다 엘 무사 남피안드라자 마상고  17' 리포트 보예  73' 아유  83' 2015년 1월 27일 19:00 세네갈 0 : 2 알제리 데 누에보 말라보 경기장, 말라보 관중수: 14.549 심판: 라진드라파르사드 시추른 리포트 마레즈  11' 벤탈렙  82' D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코트디부아르 3 1 2 0 3 2 +1 5 기니 3 0 3 0 3 3 0 3 말리 3 0 3 0 3 3 0 3 카메룬 3 0 2 1 2 3 -1 2 기니와 말리는 승점을 비롯하여 상대 전적에 따른 골 득실, 상대 전적에 따른 득점, 전체 골 득실, 전체 득점이 모두 동률을 이루어 추첨으로 8강 진출이 결정된다. 추첨 결과, 기니가 8강에 진출하게 되었다. 2015년 1월 20일 17:00 코트디부아르 1 : 1 기니 데 누에보 말라보 경기장, 말라보 관중수: 14,875 심판: 메흐디 아비드-차레프 둠비아  72' 리포트 야타라  36' 2015년 1월 20일 20:00 말리 1 : 1 카메룬 데 누에보 말라보 경기장, 말라보 심판: 재니 시카즈웨 야타바레  71' 리포트 오용고  83' 2015년 1월 24일 17:00 코트디부아르 1 : 1 말리 데 누에보 말라보 경기장, 말라보 관중수: 14,890 심판: 보샤이브 엘 아라치 그라델  85' 리포트 사코  7' 2015년 1월 24일 20:00 카메룬 1 : 1 기니 데 누에보 말라보 경기장, 말라보 관중수: 15,000 심판: 테세마 밤라크 무칸조  13' 리포트 트라오레  42' 2015년 1월 28일 19:00 카메룬 0 : 1 코트디부아르 데 누에보 말라보 경기장, 말라보 관중수: 15,230 심판: 에릭 오투고 카스타네 리포트 그라델  35' 2015년 1월 28일 19:00 기니 1 : 1 말리 데 몽고모 경기장, 몽고모 관중수: 13,470 심판: 메드 코르디 콘스탄트  15' (페널티골) 리포트 마이가  47' 결선 토너먼트[편집] 8강전 준결승전 결승전                     1월 31일 - 바타           콩고 공화국  2 2월 4일 - 바타   콩고 민주 공화국  4     콩고 민주 공화국  1 2월 1일 - 말라보     코트디부아르  3     코트디부아르  3 2월 8일 - 바타   알제리  1     코트디부아르 (PSO)  0(9) 2월 1일 - 말라보     가나  0(8)   가나  3 2월 5일 - 말라보   기니  0     가나  3 3·4위전 1월 31일 - 바타     적도 기니  0     튀니지  1   콩고 민주 공화국 (PSO)  0(4)   적도 기니 (AET)  2     적도 기니  0(2) 2월 7일 - 말라보 8강전[편집] 2015년 1월 31일 17:00 콩고 공화국 2 : 4 콩고 민주 공화국 데 바타 경기장, 바타 관중수: 31,670 심판: 베르나르 카미유 도레  55' 비푸마  62' 리포트 음보카니  65', 90+1' 보킬라  75' 킴와키  81' 2015년 1월 31일 20:30 튀니지 1 : 2 (연장전) 적도 기니 데 바타 경기장, 바타 관중수: 41,000 심판: 라진드라파르사드 시추른 아카치  70' 리포트 발보아  90+2' (페널티골), 102' 2015년 2월 1일 17:00 가나 3 : 0 기니 데 누에보 말라보 경기장, 말라보 관중수: 14,500 심판: 재니 시카즈웨 아츠  4', 61' 아피아  44' 리포트 2015년 2월 1일 20:30 코트디부아르 3 : 1 알제리 데 누에보 말라보 경기장, 말라보 관중수: 15,000 심판: 바카리 가사마 보니  26', 68' 제르비뉴  90+4' 리포트 수다니  51' 준결승전[편집] 2015년 2월 4일 20:00 콩고 민주 공화국 1 : 3 코트디부아르 데 바타 경기장, 바타 관중수: 30,000 심판: 네앙 알리움 음보카니  24' (페널티골) 리포트 투레  21' 제르비뉴  41' 카논  68' 2015년 2월 5일 20:00 가나 3 : 0 적도 기니 데 누에보 말라보 경기장, 말라보 관중수: 15,250 심판: 에릭 오투고 카스타네 아유  42' (페널티골) 무바라크  45+1' 아유  75' 리포트 3·4위전[편집] 2015년 2월 7일 17:00 콩고 민주 공화국 0 : 0 (연장전) 적도 기니 데 누에보 말라보 경기장, 말라보 심판: 게하드 그리샤 리포트     승부차기   마브와티 마비디 망우루 몽공구 4 : 2 발보아 파비아니 주브날 엘옹   결승전[편집] 2015년 2월 8일 20:00 코트디부아르 0 : 0 (연장전) 가나 데 바타 경기장, 바타 관중수: 38,000 심판: 바카리 가사마 리포트     승부차기   보니 가지 오리에 둠비아 투레 칼루 투레 카논 베일리 디에 바리 9 : 8 무바라크 아유 아콰 아체암퐁 아유 멘사 아제망바두 애풀 라흐만 보예 라작   우승국[편집]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코트디부아르 2번째 우승 수상[편집] 최고 득점자 최우수 선수 최고의 골 선수 페어플레이 페어플레이 앙드레 아유 크리스티안 아츠 크리스티안 아츠 vs 기니 전 크웨시 아피아 콩고 민주 공화국 올스타 팀[편집] 골키퍼 수비수 미드필더 공격수 실뱅 지보우오 로버트 키디아바 세르주 오리에 해리슨 애풀 콜로 투레 앙드레 아유 야야 투레 막스 그라델 야니크 볼라시 제르비뉴 크리스티안 아츠 윌프리드 보니 최종 순위[편집]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순위      우승      준우승      3위      4위      8강      조별 리그 순위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승점 1 코트디부아르 6 3 3 0 9 4 +5 12 2 가나 6 4 1 1 10 3 +7 13 3 콩고 민주 공화국 6 1 4 1 7 7 0 7 4 적도 기니 6 2 3 1 5 5 0 9 5 콩고 공화국 4 2 1 1 6 6 0 7 6 알제리 4 2 0 2 6 5 +1 6 7 튀니지 4 1 2 1 5 5 0 5 8 기니 4 0 3 1 3 6 -3 3 9 세네갈 3 1 1 1 3 4 +1 4 10 말리 3 0 3 0 3 3 0 3 11 카보베르데 3 0 3 0 1 1 0 3 12 가봉 3 1 0 2 2 3 -1 3 13 카메룬 3 0 2 1 2 3 -1 2 13 잠비아 3 0 2 1 2 3 -1 2 15 남아프리카 공화국 3 0 1 2 3 6 -3 1 16 부르키나파소 3 0 1 2 1 4 -3 1 우승에서 4위까지는 준결승, 3, 4위전 및 결승전 결과로 순위를 가린다. 이전 단계에서 탈락한 팀들의 순위는 조별 리그와 동일하게 승점-골득실차-다득점순으로 가리며 모두 같을 경우 공동 순위로 한다. 8강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 5위에서 최하 8위까지이다.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 9위에서 최하 16위까지이다. 토너먼트에서 승부차기로 경기가 가려진 경우에는 FIFA의 규정에 따라 무승부로 기재한다. 득점 선수[편집] 3골 티에비 비푸마 디외메르시 음보카니 하비에르 발보아 앙드레 아유 아흐메드 아카치 2골 예레미 보킬라 크리스티안 아츠 윌프리드 보니 제르비뉴 막스 그라델 1골 나빌 벤탈렙 파우지 굴람 리야드 마레즈 이슬람 슬리마니 엘 아르비 힐렐 수다니 아리스티데 반체 벵자맹 무칸조 앙브루아즈 오용고 헬돈 라모스 페레보리 도레 파브리스 온다마 프린스 오니앤구에 야니크 볼라시 조엘 킴와키 에밀리오 은수에 이반 에듀 피에르에메리크 오바메양 말리크 에부나 크웨시 아피아 조르당 아유 존 보예 아사모아 잔 와카소 무바라크 케빈 콘스탄트 이브라히마 트라오레 모하메드 야타라 세이두 둠비아 윌프리드 카논 야야 투레 바카리 사코 모디보 마이가 삼부 야타바레 맘 비람 디우프 카라 음보지 무사 소우 오우파 마니사 만들라 마상고 투소 팔라 야시네 치하우이 모하메드 알리 망세 이매뉴얼 마유카 기븐 싱굴루마 자책골 툴라니 훌라짜요 (알제리 전) 각주[편집] ↑ 정성래 기자 (2014년 11월 14일). “적도기니, 모로코 대신해 아프리카네이션스컵 개최”. 스포탈코리아. 2014년 11월 14일에 확인함.  ↑ “CAF Reaction on the Request of Morocco”. Confederation of African Football. 2014년 10월 11일.  ↑ “2015 Africa Cup of Nations Draw” (PDF). Confederation of African Football. 2014년 12월 2일.  vdeh국제 축구 FIFA FIFA 월드컵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올림픽 FIFA U-20 월드컵 FIFA U-17 월드컵 청소년 올림픽 FIFA 클럽 월드컵 FIFA 풋살 월드컵 FIFA 비치사커 월드컵 FIFA e월드컵 유니버시아드 풋볼 어워드 남자 대표팀 목록 FIFA 코드 FIFA 랭킹 남미 CONMEBOL – 코파 아메리카 U-20 U-17 U-15 북중미카리브 CONCACAF – CONCACAF 골드컵 CONCACAF 네이션스리그 U-20 U-17 U-15 지역별 UNCAF 아시아 AFC – AFC 아시안컵 U-23 U-19 U-16 U-14 지역별 AFF CAFA EAFF SAFF WAFF 아프리카 CAF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오세아니아 OFC – OFC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유럽 UEFA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네이션스리그 U-21 U-19 U-17 FIFA 비회원국 NF-보드 – VIVA 월드컵 CONIFA – CONIFA 축구 선수권 대회 IGA – 아일랜드 게임 종합 대회 아시안 게임 올아프리카 게임 팬아메리칸 게임 동아시아 경기 대회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남아시아 경기 대회 지중해 경기 대회 카리브 게임 퍼시픽 게임 유러피언 게임 인도해 아일랜드 게임 팬아랍 게임 프랑코포니 경기 대회 루소포니아 경기 대회 vdeh아프리카 네이션스컵본선 수단 1957년 아랍 연합 공화국 1959년 에티오피아 1962년 가나 1963년 튀니지 1965년 에티오피아 1968년 수단 1970년 카메룬 1972년 이집트 1974년 에티오피아 1976년 가나 1978년 나이지리아 1980년 리비아 1982년 코트디부아르 1984년 이집트 1986년 모로코 1988년 알제리 1990년 세네갈 1992년 튀니지 199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1996년 부르키나파소 1998년 가나/나이지리아 2000년 말리 2002년 튀니지 2004년 이집트 2006년 가나 2008년 앙골라 2010년 가봉/적도 기니 2012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3년 적도 기니 2015년 가봉 2017년 이집트 2019년 카메룬 2021년 코트디부아르 2023년 기니 2025년 예선 1957년 1959년 1962년 1963년 1965년 1968년 1970년 1972년 1974년 1976년 1978년 1980년 1982년 1984년 1986년 1988년 1990년 1992년 1994년 1996년 1998년 2000년 2002년 2004년 2006년 2008년 2010년 2012년 2013년 2015년 2017년 2019년 결승전 1957년 1959년 1962년 1963년 1965년 1968년 1970년 1972년 1974년 1976년 1978년 1980년 1982년 1984년 1986년 1988년 1990년 1992년 1994년 1996년 1998년 2000년 2002년 2004년 2006년 2008년 2010년 2012년 2013년 2015년 2017년 2019년 선수 명단 1957년 1959년 1962년 1963년 1965년 1968년 1970년 1972년 1974년 1976년 1978년 1980년 1982년 1984년 1986년 1988년 1990년 1992년 1994년 1996년 1998년 2000년 2002년 2004년 2006년 2008년 2010년 2012년 2013년 2015년 2017년 2019년 1957년과 1959년 대회에는 예선이 없었고 1959년과 1976년 대회에는 우승국이 로빈 라운드 형식으로 정해졌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5년_아프리카_네이션스컵&oldid=23951769" 분류: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아프리카 네이션스컵2015년 축구2015년 적도 기니2015년 1월2015년 2월적도 기니에서 개최된 축구 대회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नेपाली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일 (화) 06: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영어: 2015 Africa Cup of Nations)은 2015년 1월 17일부터 2월 8일까지 적도 기니에서 개최된 대회인 30번째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이다.이 대회는 당초 모로코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2014년 10월 모로코가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에 따른 우려로 아프리카 축구 연맹에 대회 개최 연기를 요청했다. 이에 따라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11월 2일 집행위원회를 소집하여 이 문제에 대해 한 차례 논의를 거쳤다.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이 대회의 개최를 2016년으로 연기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밝히며 11월 8일까지 모로코 축구 협회에 2015년 개최 의사를 전달할 것을 요청하였으나 모로코 축구 협회가 이에 응하지 않아 11월 11일에 이사회를 소집하여 이 문제에 대해 다시 논의하였다. 이에 따라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모로코 축구 협회에 이 대회의 개최권을 박탈함과 동시에 출전 정지 징계를 내렸음을 통보하는 한편 모로코를 대신하여 이 대회를 개최할 국가를 선정하는 작업에 들어갔다. 그리고 11월 14일, 적도 기니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시드 1,2번 배정 결과는 어떻게 될까 Assistant: 시드 1 시드 2 시드 3 시드 4 적도 기니 (개최국, A조 배정) 가나 (48점) 코트디부아르 (44점) 잠비아 (41점) 부르키나파소 (40점) 말리 (38점) 튀니지 (32.5점) 알제리 (28점) 카보베르데 (26.5점) 남아프리카 공화국 (23.5점) 카메룬 (23.5점) 가봉 (22점) 기니 (19점) 세네갈 (19점) 콩고 민주 공화국 (18점) 콩고 공화국 (13점)
Human: 아래 윤봉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윤봉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윤봉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같은 이름을 가진 배우에 대해서는 윤봉길 (배우)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윤봉길尹奉吉 왼 손에 폭탄, 오른손에 권총을 들고 태극기 앞에서 절명사를 가슴에 붙인 채 촬영한 윤봉길 前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총수상 예하 행정특보비서관 직무대리 임기 1931년 12월 6일 ~ 1931년 12월 11일 주석 이동녕 (대한 임정 주석) 총리 김구 (대한 임정 국무총리) 전임 강계대 후임 이봉창 신상정보 출생일 1908년 6월 21일(1908-06-21) 출생지 대한제국 충청남도 덕산군 현내면 조량리 (現 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 사망일 1932년 12월 19일 (24세) 사망지 일본 이시카와 현 가나자와 미쓰코지야마 서북골짜기에서 사형(총살형) 집행[1] 본관 파평(坡平) 학력 1991년 충청남도 예산 덕산초등학교에서 명예 졸업장 추서 경력 前 한국독립당 초급청년행정위원 前 한국독립당 민족행정특보위원 前 한인애국단 단원 정당 한인애국단 부모 윤황(부), 김원상(모) 형제 윤성의(친아우) 윤영의(친아우) 윤영석(친아우) 배우자 배용순 자녀 윤종(장남), 윤담(차남) 친인척 윤용(조카) 윤주(조카) 윤홍(조카) 윤주경(친손녀) 별명 아명은 윤우의(尹禹儀) 아호는 매헌(梅軒) 종교 유교(성리학) → 개신교(장로회) 서훈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추서 1991년 충청남도 예산 덕산초등학교에서 명예 졸업장 추서 앙(尹奉吉, 1908년 6월 21일 ~ 1932년 12월 19일)은 조선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시인 겸 저술가이다.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아명은 윤우의(尹禹儀), 호는 매헌(梅軒)이고, 충청남도 덕산은 1908년 6월 21일 충청남도 덕산군 현내면 조량리(현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 178번지 목바리마을) 광현당에서 출생하였고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예산리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고려 시대의 명장이었던 윤관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윤황(尹墴)이며, 어머니는 경주 김씨 김원상(金元祥)이다. 1911년 3월 4세 때 광현당에서 저한당으로 옮겨와 23세까지 생활하였다.[2] 1918년 덕산보통학교(德山普通學校)에 입학하였으나 다음해에 3·1운동이 일어나자 이에 자극받아 식민지 노예교육을 배격하면서 학교를 자퇴하였다. 이어 최병대(崔秉大) 문하에서 동생 윤성의(尹聖儀)와 한학을 공부하였으며, 1921년 유학자인 매곡 성주록(成周錄)의 서당 오치서숙(烏峙書塾)에 들어가 그의 문하생이 되었다. 오치서숙에서 윤봉길은 사서삼경 등 중국 고전을 두루 익혔다.[2] 1922년 15세에 성주 배씨 배용순(裵用順)과 결혼하였다. 학업 성적이 우수하여 1923년 16세에 오치서숙 춘추 시회에서 장원하기도 했다. 1926년 윤봉길은 매헌(梅軒)이라는 아호를 얻었다.[2] 1928년 18세 되던 해에는 시집 <오추>(嗚推), <옥수>(玉睡), <임추>(壬椎) 등을 발간하였다. 1929년 오치서숙을 졸업, 한학수업을 마쳤다. 목차 1 농촌 계몽 활동 2 홍커우 공원 폭탄투척 사건 3 최후 4 유언 5 사후 5.1 기념사업 5.2 기념관 6 평가 7 논란 7.1 당시 사진의 조작 논란 7.2 조작으로 밝혀짐 8 저서 9 가족 관계 10 유품 11 함께 보기 12 윤봉길을 연기한 배우 12.1 연극 12.2 TV 드라마 13 각주 14 외부 링크 농촌 계몽 활동[편집] 청년 시절에는 농민 운동에 관심이 많았다. 1929년 오치서숙을 졸업한 윤봉길은 농촌계몽활동, 농촌부흥운동, 야학 활동, 독서회운동 등을 시작하였다. 1927년 농민독본 3권을 저술하였다. 1928년 부흥원 설립을 기념하는 공연인 우화 「토끼와 여우」의 공연과 월례강연회를 개최하였으며 <기사년 일기>(己巳年 日記)를 지었다. 이어 위친계(爲親契) 조직, 월진회, 수암 체육회 등을 조직하였다.[2] 1930년 "장부가 뜻을 품고 집을 나서면 살아 돌아오지 않는다(丈夫出家生不還)"이라는 글귀를 남기고 집을 떠나 중국으로 건너갔다. 그리고 후에 이 정보를 일본 경찰이 입수하여 미행, 평안도 선천에서 체포되어 45일간의 옥고를 치렀다. 그리고 출옥 후에 만주로 망명하였다. 홍커우 공원 폭탄투척 사건[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홍커우 공원 폭탄투척 사건입니다. 김구와 윤봉길 일본 가나자와에 있는 윤봉길 선생 위령비 중국 상하이에서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채소 장사를 하던 그는 1931년 겨울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무령인 김구를 찾아, 독립운동에 몸바칠 각오임을 호소해 그가 주도하는 한인애국단에 가입했다. 김구는 1932년 4월 29일 상하이의 홍커우 공원에서 열리는 일본 천황의 생일연(천장절)과 상하이 점령 전승 기념 행사를 폭탄으로 공격할 계획을 세웠으며[3], 협의 끝에 투척하기로 결의하였다. 당시 폭탄은 도시락 모양과 물통 모양으로 제작되었는데, 이는 폭탄을 도시락 및 물통으로 위장하려는 데에 목적이 있었다. 당시 천장절과 상하이 점령 전승 기념 행사에서 식사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일본측에서 이 행사에 참여하는 사람들에게 각자 도시락을 지참시켰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삼엄한 경계를 뚫고 공원에 입장한 후 11시가 되자 중국주둔 일본군(천진군) 총사령관인 시라카와 요시노리 대장이 등장했고 상하이에 있는 외교관과 내빈들이 자리를 잡았다. 군악이 울려퍼지고 열병식이 이어졌다. 천장절 행사가 끝나자 외교관과 내빈은 돌아가고, 일본인들만 남아 일본 상하이교민회가 준비한 축하연을 열었다. 11시 50분 일본 국가가 울려퍼지는 순간 윤봉길은 물통 폭탄을 단상으로 힘차게 던졌다.[4] 경축대 위에 폭탄이 명중한 것을 확인한 윤봉길이 자결하기 위해 도시락 폭탄을 떨어뜨렸으나 불발하였다. 도시락 폭탄이 불발하자 일본 헌병들이 윤봉길을 덮쳐 구타하였다. 윤봉길은 구타를 당하면서 "일본제국주의를 타도하자"고 외쳤다.[5] 홍커우공원에서의 폭탄 투척을 실행한 윤봉길은 상하이 파견군 총사령관 시라카와 요시노리[3], 상하이 일본거류민단장 가와바타 사다지 등을 죽이고, 총영사 무라이는 중상, 제3함대 사령관 노무라 기치사부로 중장은 실명되었고, 제9사단장 우에다 겐키치 중장은 다리 절단 중상을 당했으며, 주 중국 공사 시게미쓰 마모루는 절름발이가 되었다. 최후[편집] 처형 직전의 윤봉길 폭탄 투척 직후 체포, 곧바로 헌병으로 넘겨지면서 보다 가혹한 심문과 고문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6] 1932년 5월 28일 상해파견 일본 군법회의에서 사형을 선고 받고 1932년 11월 18일 일제 대양환 편으로 일본 오사카로 후송되어 20일 오사카 육군형무소에 수감되었다. 1932년 12월 18일 가나자와 육군구금소로 이감되었다.[2] 1932년 12월 19일, 일본 가나자와에서 총살형을 당했다.[2] 1932년 12월 19일 새벽 7시 27분 일본 이시카와현 가나자와 시 미쓰코지야마 서북골짜기에서 십자가 모양의 형틀에 묶인 사형수(윤봉길)는 미간에 총알을 맞고 13분 뒤에 순국했다. 시신은 아무렇게나 수습되어 가나자와 노다산 공동묘지 관리소로 가는 길 밑에 표식도 없이 매장되었다. 사형 집행 전에 미리 파 놓은 2미터 깊이의 구덩이에 시신을 봉분(封墳)도 없이 평평하게 묻어놓은 것으로, 사람들이 밟고 지나가도록 했다. 윤봉길 의사가 수뇌부를 섬멸시킨 데 대한 일제 군부의 복수였다.[1] 유언[편집] 2005년 12월 18일 매헌 윤봉길의사기념사업회는 순국 73주기를 맞아 유언 친필 사본을 공개했다. 윤 의사는 거사 이틀 전인 1932년 4월 27일 공원을 답사한 직후 홍커우 숙소인 동방공우(東方公寓)에 돌아와 백범 김구 선생의 요청에 의해 유언을 작성했다. 이 자리에서 윤의사는 거사가, 조선청년단에 대한 당부의 시, 김구 선생에 대한 존경의 시, 두 아들에게 남기는 유언 등 4편의 시를 2시간여 만에 썼다. "너희도 피가 있고 뼈가 있다면 반드시 조선을 위하여 용감한 투사가 되어라. 태극 깃발을 높이 드날리고 나의 빈 무덤 앞에 한잔 술을 부어 놓으라. 그리고 아비 없음을 슬퍼하지 말라. 사랑하는 어머니가 있으니……[7]" 두 아들 종과 담에게 남긴 시에는 거사를 앞둔 비장한 심경과 자식과의 이별을 아쉬워하는 마음이 담겨 있다고 평가된다. 사후[편집] 효창공원 삼의사의 묘 서울시민의 숲 매헌 기념관에 서있는 그의 동상 국민회의 부주석 김구는 일본에 있던 박열에게 3의사(윤봉길, 이봉창, 백정기)의 유해 발굴을 부탁하였다. 유해봉안 추진위원장을 맡은 박열은 재일동포들과 1946년 3월 6일 사형장에서 남쪽으로 3km 떨어진 가나자와(金沢)시 노다(野田)산 시영공동묘지 북측 통행로에서 윤봉길의 유해를 발굴하였다. 같은 해 6월 16일 서울에 도착하여 6월 30일 국민장으로 안장되었으며 장지는 효창공원이다. 1962년 대한민국 정부는 윤봉길에게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기념사업[편집] 노신 공원에 있는 기념비(2008년 ) 1965년 윤봉길의사 기념사업회 준비위가 구성되고 같은해 6월 29일 기념사업회가 설립되었으며 1965년 12월 19일 매헌 윤봉길의사 기념사업회준위를 서울 조계사에서 발족되었다.[8] 2012년 그의 일본 순국 기념비에 모욕적인 문구가 담긴 말뚝을 박는 사건이 벌어져 논란이 되었다.[9] 기념관[편집] 1987년 윤봉길 의거 55주년을 기념하여 대한민국 정부는 성금을 모아 서울 서초구 양재동 “양재 시민의 숲”에 매헌기념관 - 윤봉길의사 기념관을 세웠다. 현재 양재시민의숲역의 부역명도 그의 호를 딴 '매헌'이다. 1963년 윤봉길의 고향인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충의사가 세워졌고, 1972년 생가와 고택 및 충의사 경역이 사적 제229호로 지정되었다. 1978년 사당과 삼문을 전면 증축하고 충의사 정화사업이 준공되었다. 충의사는 4개 구역으로 나뉘는데, 본전 지역은 의사의 영정을 모신 사당과 충의문, 홍살문 등이 있고, 기념관 지역은 윤봉길의사기념관, 어록탑, 보부상 전시관이 있다. 성장가 지역은 윤봉길이 4세 때부터 망명전 23세까지 살던 저한당과 의거 기념탑, 윤봉길의 동상이 있다. 생가 지역에는 도중도, 광현당, 부흥원 등이 있다.[10] 훙커우 공원 폭탄투척 사건의 장소였던 중국 상하이 훙커우 공원(지금은 루쉰 공원)에도 기념관 매정(梅亭)이 있다. 평가[편집] 만보산 사건으로 일본 제국에 대해 큰 자존심의 상처를 입고 있던 당시 중화민국의 장제스는 훙커우 공원에서 윤봉길이 폭탄 투척을 했다는 소식을 전해 듣고 "중국의 100만이 넘는 대군도 해내지 못한 일을 조선인 청년이 해내다니 정말 대단하다."라며 감탄하였고, 이는 그 동안 장제스가 별다른 관심을 갖고 있지 않았던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전폭적으로 지원해주는 계기가 되었다고 전해진다.[6] 초대 대통령 이승만은 1943년 카이로 회담에서 장개석이 한국의 독립을 제안하고 그 선언문에 명문화한 원인은 윤봉길 의거에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11]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장건상의 증언에 의하면 윤봉길의 의거가 임시정부 지원을 이끌어 내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임시정부 얘기가 나왔으니 하는 말인데, 1932년 이봉창, 윤봉길의 의거, 특히 윤봉길의 의거가 있기 전에 임시정부는 참 외로웠다. 장개석이 임시정부를 아무것도 아닌 것으로 알고 동전 한푼도 도우지 않았으며, 윤봉길 의거를 보고서야 장개석이 전적으로 도왔던 것이다”라고 회고하였다.[6] 반면, 박헌영과 이승만은 윤봉길 의사의 의거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절하하였다. 박헌영은 '민중의 계급적 각성과 연대가 없는 극소수의 활동'이라며 윤봉길 의거를 부정적으로 평가하였고,[12][13] 이승만은 '이런(의거)행동은 어리석은 짓이며, 일본의 선전내용만 강화시켜줄 뿐 한국의 독립을 가져다 주지 못할 것이다.'라고 비판하였다.[14] 논란[편집] 1932년 5월 1일 아사히 신문 기사에 실린 조작사진 최초 사진[15] 당시 사진의 조작 논란[편집] 1999년, 강효백 경희대학교 국제법무대학원 교수는 현재 널리 알려진 훙커우 의거 이후 체포사진(오른쪽 사진)이 가짜라는 주장을 제기하였다. 오른쪽 사진과 표제 사진의 인물 모습이 확연하게 다른 것은 물론, 윤봉길은 중절모를 쓴 적이 없으며, 트렌치 코트를 입지 않았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이에 관해 대한민국 정부는 오랫동안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그러던 2008년 10월 8일, 국가보훈처는 독립기념관의 주장에 근거하여 이 사진 속 인물이 윤봉길이 확실하다고 답변하였으며, 강효백 교수는 이에 대해 재반박을 하는 한편, SBS스페셜에서 이와 관련한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고 있다고 밝혔다.[16] 윤봉길의 유족들 중 6촌 동생인 윤명의는 "윤 의사가 생전에 입지 않았던 바바리코트를 입고 있다"며 윤봉길의 실제 모습과 닮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윤봉길의 부인 배용순과 동생 윤남의는 1976년에 위 사진의 인물이 윤봉길이 맞다고 증언한 바 있다.[17] 조작으로 밝혀짐[편집] 2011년 3월 1일 SBS 스페셜 특집다큐 '일본이 찍은 체포사진 속 인물 그는 윤봉길인가' 방송에서 윤봉길의 사진은 조작으로 밝혀졌다. 상해 총영사관의 외무성 경찰사에서는 "윤봉길은 두들겨 맞고 기절해 군인과 헌병의 힘에 의해 끌려갔다."고 기록하고 있다. 한편, 아사히 신문 기사에 실린 사진 두 장 또한 컴퓨터 그래픽 판독 결과 각각 동일인물이 아닌 것으로 판명되었다.[18] 저서[편집] 《오추》(嗚推) 《옥수》(玉睡) 《임추》(壬椎) 《농민독본》3권 《기사년 일기》(己巳年日記) 가족 관계[편집] 8.15 광복이듬해인 1946년 백범 김구와 윤봉길의 가족. 왼쪽부터 김구, 부친 윤황, 모친 김원상, 윤봉길의 부인 배용순, 아들 윤종 백부: 윤경(尹坰) 아버지: 윤황 (尹墴~1950년) 어머니: 김원상 (~1952년) 동생: 윤남의(尹南儀, 1915년 12월 28일 ~ 2003년 1월 15일) 동생: 윤성의(尹成儀) 동생: 윤영의(尹英儀) 동생: 윤준의(尹俊義) 동생: 윤순례(尹順禮) 동생: 윤임의(尹任義) 부인: 배용순(1907년 8월 15일 ~ 1988년 7월 10일) 장남: 윤종(尹淙, 1927년 ~ 1984년) 차남: 윤담(尹淡, 2살때 사망 장녀: 윤안순(尹安順) 1929년 사망 자부: 김옥남(1936~) 손녀: 윤주경(尹柱敬, 1959년 5월 3일 ~ ) 손자: 윤주웅(尹柱雄, 1974~) 유품[편집] 윤봉길 의사 유품 함께 보기[편집] 배용순 김구 이봉창 안중근 백정기 한인애국단 훙커우 공원 폭탄투척 사건 윤봉길의사 기념관 독립유공자로 대한민국장을 수여받은 사람 윤봉길을 연기한 배우[편집] 연극[편집] 은희진 - 1986년 (윤봉길 의사) 연극 TV 드라마[편집] 김상중 - 1992년 (님이여) MBC 드라마 각주[편집] ↑ 가 나 재일민단 "윤봉길 의사 순국 골짜기 확인", 연합뉴스, 2010년 12월 19일 ↑ 가 나 다 라 마 바 Untitled Document ↑ 가 나 donga.com[뉴스]-“숭고한 정신, 모두에게 교훈”…윤봉길 의사 상하이 의거 75주년 ↑ 윤의사 기념사업회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것과는 달리, 물통 폭탄이 저격용, 도시락 폭탄이 자결용이었다고 한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윤봉길은 스프링코트를 ~: 이이화, 《한국사이야기21. 해방 그날이 오면》,한길사, 2004년, 190쪽 ↑ 가 나 다 뉴스한국 - 대한독립 신호탄 된 4·29 상해의거 재구성 목숨 걸고 던진 ‘물통폭탄’이 나라 살리다 ↑ 백승찬기자 (1995년 12월 18일). “윤봉길의사 “아들아, 조선의 투사가 돼라””. 경향신문. 2010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Untitled Document ↑ 윤봉길 의사 순국기념비에 또 말뚝 YTN 2012년 9월 27일 ↑ “예산 충의사”. 2010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의열투쟁과 한국독립운동(한국민족운동사학회 | 국학자료원 | 2003.02.03) 40페이지 ↑ ‘정당한 폭력’은 정당한가 : 박노자의 우리가 몰랐던 동아시아 : 칼럼 : 한겨레21 ↑ 1932년 7월에 박헌영은 '상해폭탄 사건은 무엇을 의미하느냐?'는 제목으로 이 사건을 다루었는데, 그는 여기서 '윤봉길의 의거는 결코 살인이 아니며 일제의 대표들을 죽이고 '병신'을 만들었다는 것은 참으로 통쾌한 기분'이라고 전제하면서도 '개인적인 테러와 공산주의와는 무관하다.'고 못박았다. 즉, 박헌영은 '개인적인 테러는 군중의 조직적이고 대중적인 투쟁에 장해가 되며 그들에게 비조직적이고 개인적인 투쟁의 환상을 심어 결과적으로는 적에게 유리한 무기가 되고 만다.'고 보았던 것이다. ↑ KBS 한국사傳 이승만 2부 ↑ “ 사건이 터졌을때, 다른 신문사들은 아직 행사장에 오지 않았다. 나는 최초의 사진 1장을 찍은 뒤 공원 부근 지국장의 사택으로 가서 전화로 지국에 제1보를 보냈다. 그래서 그 후의 상황은 찍을 수가 없었다. 나중에 어떤 사진가로부터 받은 사진을 냈다. - 황천 기자 ” ↑ "정권 바뀌었다고 가짜 사진이 진짜 사진 되나" , 미디어오늘, 2008년 10월 20일 ↑ "끝나지 않은 윤봉길 의사 사진 진위 논란", 오마이뉴스, 2008년 10월 31일 ↑ 윤봉길 의사 연행 사진 논란 '일제에 의해 조작된 것' 아츠뉴스 2011년 3월 1일 외부 링크[편집] (사) 매헌 윤봉길 기념사업회 “매헌의 헌신-염원 되새겨야” 윤봉길 의사 탄생 100주년 (동아일보) 2008-06-23자 윤봉길, 항일투쟁의 결정적 하루 역덕이슈 오늘 vdeh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 이승만 이시영 제임스 밴 플리트 장제스 하일레 셀라시에 1세 응오딘지엠 아드난 멘데레스 허위 김좌진 오동진 조병세 안중근 윤봉길 이준 강우규 김구 안창호 신익희 김창숙 손병희 이승훈 한용운 최익현 이강년 민영환 더글러스 맥아더 해리 S. 트루먼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프랑수아 톰발바예 다비드 다코 수루 미강 아피디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레온 음바 아마두 아히조 하마니 디오리 조모 케냐타 무테사 2세 필리베르트 치라나나 퉁쿠 압둘 라흐만 푸트라 알 하즈 타놈 키티카초른 쑹메이링 천궈푸 쑨원 천치메이 피델 산체스 에르난데스 조만식 임병직 서재필 박정희 최규하 시리낏 끼띠야꼰 푸미폰 아둔야뎃 전두환 김규식 조소앙 유관순 vdeh1992년 선정 이 달의 독립운동가 1월 김상옥 2월 편강렬 3월 손병희 4월 윤봉길 5월 이상룡 6월 지청천 7월 이상재 8월 서일 9월 신규식 10월 이봉창 11월 이회영 12월 나석주 vdeh2019년 선정 이 달의 독립운동가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유관순 김마리아 손병희 안창호 김규식·김순애 한용운 이동휘 김구 지청천 안중근 박은식 윤봉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윤봉길&oldid=24470543" 분류: 윤봉길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1908년 태어남1932년 죽음예산군 출신일제 강점기의 교사일제 강점기의 시인한국독립당 (1930년)대한민국 임시 정부 사람일제 강점기의 저술가파평 윤씨장로교 독립운동가덕산초등학교 (충남) 동문한국의 사형된 사람총살형된 사람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Português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3일 (일) 17: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윤봉길(尹奉吉, 1908년 6월 21일 ~ 1932년 12월 19일)은 일제강점기 조선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시인 겸 저술가이다.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아명은 윤우의(尹禹儀), 호는 매헌(梅軒)이고, 충청남도 덕산(현 예산군) 출생이다. 홍커우 공원에 폭탄을 던진 독립운동가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홍커우 의거 직후의 체포 장면을 담은 사진 속의 인물이 윤봉길이 아님을 주장한 교수의 이름은 무엇인가? Assistant: 강효백 Human: 아래 김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백범 김구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백범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백범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김구金九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제9·10대 국무령 임기 1926년 12월 14일 ~ 1927년 8월 부통령 이인성 전임: 홍진(제8대)후임: 이동녕(제11대)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제18·19·20대 주석 임기 1940년 3월 13일 ~ 1947년 3월 3일 국가 부주석 김규식 전임: 이동녕(제17대)후임: 이승만(제21대) 신상정보 국적 조선 (1876년 - 1897년)대한제국 (1897년 - 1910년)일제강점기 조선 (1910년 - 1919년)대한민국 임시 정부 (1919년 - 1948년)대한민국 (1948년 - 1949년) 출생일 1876년 8월 29일(1876-08-29) 출생지 황해도 해주군 백운방 텃골(現 벽성군 운산면 오담리 (대한민국 기준))(現 태탄군 지촌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기준)) 사망일 1949년 6월 26일 (72세) 사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평동 경교장 2층 거실에서 암살됨. 본관 안동 정당 한국독립당 (1930년, 상하이) 한국국민당 (1935년, 항저우)통합 한국독립당 (1940년, 충칭) 배우자 최준례 종교 유교(성리학) → 동학 → 불교 → 개신교(감리회) 서훈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독립운동가 김구의 필체 김구(金九, 1876년 8월 29일 (1876년 음력 7월 11일) - 1949년 6월 26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통일운동가, 정치인이다. 의열단체 한인애국단을 이끌었고 대한민국 임시 정부 주석을 역임하였으며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몰락 양반가의 후손[1] 으로 태어나 과거에 응시하였으나 실패, 이후 동학농민운동에 참가하였고, 한때 불교 승려로 활동했으며 자(字)는 연하(蓮下), 처음 이름은 창암(昌巖)이고, 호(號)는 백범(白凡), 연상(蓮上)이다. 호는 미천한 백성을 상징하는 백정의 ‘백(白)’과 보통 사람이라는 범부의 ‘범(凡)’ 자를 따서 지었다.[2][3] 19세 때 이름을 창수(昌洙)로 바꾸었다가, 37세(1912년)에 거북 '구'(龜)였던 이름을 아홉 '구'(九)로 바꾸었다. 그 밖에 환속 이후의 이름인 두래(斗來), 피난 시기에 사용한 가명인 장진(張震), 장진구(張震球)도 있었다. 젊어서 동학교도 였고, 불교에 귀의해서 법명 원종(圓宗)을 얻은 승려였으며[4], 신민회에서 활동하면서 기독교 신자가 되었다.[5] 양산학교, 보강학교 등에서 교육자로 교편을 잡기도 했고, 해서교육총회 학무총감으로도 활동했다. 교육·계몽 운동 중 일본 제국 경찰에 연행되어 수감되기도 하였다. 김방경의 25대손으로 본관은 구 안동이며, 황해도 해주 출신이다. 1919년 이후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참여하여, 의정원 의원, 경무국장, 내무총장, 국무총리 대리, 내무총장 겸 노동국 총판 등을 지냈다. 외교 중심의 독립운동이 성과를 얻지 못하자 1921년 임시 정부 내 노선 갈등 이후 일부 독립운동가들이 임시 정부를 이탈하고, 만주 사변 이후에 일본의 중국 침략이 본격화되면서 중국 관내 여러 지역으로 임시 정부를 옮겨다녔으며, 1924년에는 만주 대한통의부 박희광(朴喜光) 등을 통한 친일파 암살 및 주요공관 파괴, 군자금 모집 등을 비밀리에 지휘하였고, 이후 한인애국단을 조직하여 이봉창의 동경 의거, 윤봉길의 훙커우 공원 사건 등을 지휘하였다. 1926년 12월부터 1927년까지 1930년부터 1933년까지 임시정부 국무령을, 이후 국무위원, 내무장, 재무장 등을 거쳐 1940년 3월부터 1947년 3월 3일까지 임시정부 국무위원회 주석을 지냈다. 1945년 광복 이후에는 임시정부 법통 운동과, 이승만, 김성수 등과 함께 신탁 통치 반대 운동과 미소 공동위원회 반대 운동을 추진하였으며, 1948년 1월부터 남북 협상에 참여했다. 목차 1 생애 1.1 생애 초기 1.1.1 출생과 가계 (1876 ~ 1949) 1.1.2 유년기 (1880 ~ 1888) 1.1.3 청소년기 (1888 ~ 1892) 1.2 청년기 1.2.1 동학농민운동 참가 (1893 ~ 1895) 1.2.2 산채 은신과 고능선의 가르침 (1895~1896) 1.2.3 만주 의병부대 활동 실패와 귀국 1.2.4 치하포 사건과 은신 생활 1.2.4.1 치하포 사건과 수감 생활 (1896 ~ 1897) 1.2.4.2 개화와 죄수 교육 (1897 ~1899) 1.2.4.3 승려 활동 (1898 ~ 1899) 1.2.5 애국계몽운동과 수감 생활 1.2.5.1 애국계몽운동 (1900 ~ 1910) 1.2.5.2 수감 생활과 망명 준비 (1910 ~ 1919) 1.3 독립운동과 임시정부 활동 1.3.1 임정 수립 초기 1.3.1.1 임시의정원 의원과 경무국장 (1919) 1.3.1.2 의정원 의원 재선과 내무총장 시절 (1920 ~ 1921) 1.3.2 국무총리 대리 시절 1.3.3 임시정부 국무령·국무위원 (1926~1929) 1.3.4 임정의 재정난 1.3.5 항일의거와 군사단체 조직 노력 1.3.5.1 일본 요인 암살 활동(1924~1930) 1.3.5.1.1 친일파 제거와 일본영사관 폭파 미수 1.3.5.2 일본 요인 암살 활동(1930~1932) 1.3.5.2.1 이봉창 의거와 이즈모호 폭파 미수 1.3.5.2.2 윤봉길 의거 1.3.5.2.3 조선 총독 암살 미수 1.3.5.2.4 만주철도 폭파미수 1.3.5.3 수배, 피신 생활 (1932~1933) 1.3.5.4 옥관빈 암살(1933) 1.3.5.5 광복군 조직 노력 (1933~1937) 1.3.6 안공근과 결별 1.3.7 중일 전쟁 중의 활동 (1937~1939) 1.3.8 임시정부 주석 재임 시 1.3.8.1 임시정부 주석에 취임(1940~1944) 1.3.8.2 주석 재선 (1944~1945) 1.3.9 귀국 직전 1.4 광복 이후 1.4.1 광복초기 정치활동(1945~1946) 1.4.1.1 귀국 직후 1.4.1.2 정치 자금 조달 1.4.1.3 국내 정치 활동 준비기간 중 1.4.1.4 반탁 결의와 송진우와의 공방전 1.4.1.5 반탁운동 개시와 총파업 1.5 하지의 임정요인 추방 사태 1.5.1 신탁통치 반대 운동 (1946) 1.5.2 비상국민회의와 민주의원 1.5.3 정치 활동 1.5.3.1 미소공위 반대 운동 (1946) 1.5.3.2 임정 정치공작대와 백의사 폭탄투척 1.5.3.3 이승만과의 경쟁 1.5.3.3.1 화교 무역 시도와 실패 1.5.3.4 임정법통과 임시정부의 재편성 (1947) 1.5.3.5 반탁, 임정 법통 운동 (1947) 1.5.3.6 우익 진영 단결 노력 1.5.4 이승만, 한민당과의 합작 실패 1.5.4.1 건국실천원양성소 설립 1.6 생애 후반 1.6.1 이승만과의 결별 1.6.2 재판정 출두 1.6.3 남북 협상으로 선회 (1948) 1.6.4 남북협상 참여 1.6.4.1 남북협상의 실패 1.6.5 여순 사건 관련 공방전 1.6.6 칩거 생활 1.7 반민특위 재개와 부활 1.8 암살 1.8.1 암살의 배후 1.8.2 추도사 1.8.3 암살 직후 1.9 사후 2 기타 약력 2.1 1910년대 이전 2.2 임시정부 활동 2.3 광복 이후 3 의혹과 논란 3.1 반(反) 이승만 쿠데타 기도 의혹 3.2 안준생 암살 사주 3.3 안공근 암살 의혹 3.4 김립 암살, 무고 의혹 3.5 장덕수 암살 의혹 3.6 만주 폭격 계획 의혹 3.7 김성수 암살 기도 의혹 3.8 민간인 살해 논란 3.9 이승만과의 결별 과정 3.10 도덕성 논란 3.11 주애보와의 관계 4 평가와 비판 4.1 당대의 여론 4.2 미국의 시각 4.3 평가 4.4 비판 4.4.1 테러리즘 논란 4.4.2 권위주의적인 행동 4.4.3 정치적 실패에 대한 비판 5 이승만과 김구의 비교 6 일화 6.1 백범일지 윤문 7 저서 7.1 《백범일지》(1947, 국사원) 7.1.1 〈나의 소원〉 7.2 그 외 8 사상과 신념 8.1 남북협상 참여 목적 8.2 외교 문제 8.3 애국가에 대한 관점 8.4 공산주의, 사회주의에 대한 비판 8.5 여순 사건에 대한 관점 9 가족 관계 10 김구를 연기한 배우들 10.1 텔레비전 드라마 10.2 라디오 드라마 10.3 연극 영화 11 같이 보기 12 역대 선거 결과 13 각주 14 참고 자료 15 참고 자료 16 외부 링크 생애[편집] 생애 초기[편집] 출생과 가계 (1876 ~ 1949)[편집] 김구는 1876년 황해도 해주군 백운방 텃골(基洞)[6][7][8][9] 에서 (구)안동 김씨 김순영(金淳永, 당시 24세), 현풍곽씨 곽양식(郭陽植)의 딸 곽낙원(당시 17세) 부부의 외동 아들로 태어났다. 7대 독자로 알려져 왔으나 그의 아버지 김순영은 4형제였고 할아버지 김만묵, 증조부 김영원에게도 각각 형제가 있었다. 신라 경순왕의 후예로, 충렬공 김방경의 25대손이며, 익원공 김사형의 21대손이었다. 김자점의 11대 방계 후손으로, 김자점의 옥 당시 그의 11대조로 사과(司果)를 지낸 김대충(金大忠)이 화를 피하여 가족을 이끌고 개성으로 이주했다가 다시 해주로 피신해 왔다. 해주군 서쪽 80리에 있는 백운방 텃골, 팔봉산(八峰山) 양가봉(楊哥峰) 아래에 정착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김구의 선조들은 멸문지화를 피하기 위하여 양반의 신분을 숨기고 상민으로 행세하여 연명해왔다. 생계를 위해 군역전(軍役田)을 짓게 되었고, 그의 회고에 의하면 이때부터 ‘상놈’의 패를 차게 되었다 한다. 이렇게 되자 텃골 근방의 양반이던 덕수 이씨와 진주 강씨 일족에게 대대로 천대를 받게 되었다. 김구의 회고에 의하면 '우리 집안의 처녀가 강씨, 이씨 문중으로 출가하는 것은 영광이지만 두 문중의 처녀가 우리 집안으로 시집오는 것을 보지 못했으니[10]'라 하였다. 그러나 김구의 7대조 할아버지인 김언함(金彦喊)의 부인이 진주강씨인 경우도 더러 있었다. 상민이었던 가계는 김구에게 굴욕감을 안겨주었고 이를 탈피하기 위해 소년기의 창수로 하여금 과거시험에 응시하게 하는 계기를 만들어 준다. 광복 이후의 김구의 가계를 소개한 것은 경순왕의 후손임을 강조했는데, 1947년 도왜실기의 한국어 번역판의 서문을 쓴 이승만은 그가 명문의 후손 임을 강조했고, 안재홍(安在鴻)도 김구가 암살된 직후인 1949년 8월에 쓴 백범김구선생약사(白凡金九先生略史)의 서두에서 선생의 본관은 안동이니 그 선조는 신라 마지막 임금 경순왕의 후예라고 기술하였다. 김만묵(金萬默)의 둘째 아들로 24세의 미혼이었던 아버지 김순영은 그의 누이동생의 시누이(매제의 자매)가 되는 장연군 목감방(牧甘坊) 문산촌(文山村) 출신 현풍곽씨의 딸을 삼각혼이라는 방법으로 결혼하여 아내로 맞이했다 한다. 태어날 무렵 난산이었던 탓에 일가의 권유로 그가 태어나던날 밤 그의 아버지는 지붕위로 올라가 소울음 소리를 흉내낸 끝에 순산하였다고 한다. 한편 그가 태어나던 날은 그의 조모가 사망한 날이었다. 그의 초명은 김창암(金昌巖)이었다. 아버지 김순영은 학식은 없었으나 이씨, 강씨들을 닥치는 대로 때려눕혔기에 해주감영을 제집 드나들 듯 하였다. 그를 두려워한 양반들은 그를 존위로 천거했다가 도존위로 승진시켰으나, 가난한 자들에게는 잘하고 양반들에게는 엄하게 대하였다. 하위 감투를 썼음에도 양반들에게 굴하지 않자 양반들은 아버지 김순영에게 공금흠포죄(公金欠逋罪)를 씌워 바로 해고해 버렸다. 유년기 (1880 ~ 1888)[편집] 유년기에 그는 천연두를 앓았다. 이때 그의 모친이 예사 부스럼을 다스리듯이 죽침으로 고름을 짜 얼굴에 얽은 자국이 생겼다고 한다. 4세 때 백부 김백영(金伯永)의 상을 당하였고 5세 때 그의 집안은 강령으로 이사하였다가 그가 7세 때 본향으로 되돌아왔다. 아버지 숟가락을 부러뜨려 엿을 사 먹는 등 개구쟁이 행동으로 부모님의 꾸중을 들었다.[11][12] 문중에 할아버지뻘 되는 친척 중 새로 혼인한 집이 있었는데, 이 친척 대부가 서울에 다녀오던 길에 자녀 결혼식에 쓸 갓을 샀다가 양반에게 빼앗기고 강제로 찢김을 당했다. 이 일로 몹시 충격을 받은 소년 창암은 과거 시험에 몰입하게 된다. 가난한 집안이었지만, 9세 때부터 한글과 한문을 배웠으므로 책을 읽을 수 있었고, 서당에서 한학을 배워 통감과 사략 등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13] 통감, 사략, 병서, 대학, 당시(唐詩) 등을 두루 습득하였다. 이러한 학문실력은 김구 선생의 어머니 곽낙원 여사가 배움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베를 짜서 번 돈으로 김구를 가르친 덕분이었다.[14] 황해도 산골에 숨어살던 그의 집안은 양반들의 학대를 참아가며 빈곤한 생활을 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자란 김구는 평생의 한이던 상민의 껍질을 벗고 평등하기보다는 월등한 양반이 되어 양반에게 당해온 오랜 원한을 갚고자 노력하였다.[15] 한 번은 양반집의 아들들에게 심한 매질을 당하자 어린 창암 은 집에서 큰 부엌칼을 들고 그들을 찔러 죽이려다가 실패하기도 하였다.[15] 청소년기 (1888 ~ 1892)[편집] 1888년 4월 할아버지 김만묵(金萬默)이 사망했다. 이 무렵 김구의 아버지 김순영은 뇌졸중으로 몸을 움직이지 못하는 지체장애인이 되었다. 그의 부모는 문전걸식하면서 아버지의 병치료를 위한 고명한 의원을 찾아 전국을 떠돌아다녔는데 이때 그는 큰어머니 댁·장연 재종조 누이 댁 등을 전전하였다.[11] 이때 목동 노릇도 했지만 그는 학업에 대한 의지를 포기하지 않았다. 아버지의 병은 차도를 보여 좀 불편하기는 해도 혼자서 걸을 수 있을 만큼 서서히 좋아졌고, 부모가 돌아오면서 그의 학업은 계속되었다. 그러나 집안이 가난하여 이름있는 스승을 모실 수 없어, 큰어머니 정씨의 친정 6촌인 정문재의 서당에 부탁하여 무료로 통학하면서 글을 배우게 되었다. 17세에는 정문재의 권고로 임진년 경과 과거에 응시했으나 낙방하였다.[14] 소년 김구는 과거 시험에 응시하며 자신의 이름 대신 아버지 김순영의 이름으로 응시하였다. 이는 아버지가 과거에 합격하여 상민의 신분에서 벗어나기를 바랐던 것이다. 그러나 과거 시험 중 양반이나 부자들이 돈을 주고 대신 다른 사람을 들여보내 대신 과거를 보게 하는 시험부정을 보고 분개하여 벼슬길을 단념하게 되었다. 과거 시험 당시 매관 매직의 타락상, 즉 뇌물을 받고 관직을 파는 관리들의 비리를 보고 분노한 그는 서당 공부를 그만두고 3개월간 집안에서 두문불출하고 관상 공부를 하였는데, 당시 자신이 타고난 복은 없지만, 스스로 인생을 개척할 수는 있다는 신념을 가졌다고 한다.[14] 이후 병서를 탐독하며 집안과 동리 아이들을 모아 1년간 훈장도 하였다.[14] 청년기[편집] 동학농민운동 참가 (1893 ~ 1895)[편집] 천도교, 동학 농민 운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893년 1월초 그는 포동의 동학교도 오응선(吳膺善)을 찾아가 동학에 입도하였다. 동학에 입도한 후 이름을 김창암(金昌巖)에서 김창수(金昌洙)로 개명하였고 입도 수개월 후 그의 휘하 신도(信徒)가 수천 명이 되어 '아기 접주'라는 별명을 얻었다.[11] 입교한 지 1년도 안돼 연비(신도)를 수백 명을 포덕하였으므로 이름이 알려져, 접주에 추천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중상비방하는 사람들도 많아졌다. 1894년초 김구가 거느리던 연비의 조직이 급속하게 커져감에 따라 그는 18세의 나이로 수백 명의 수하를 거느리는 팔봉 접주로 임명되었다. 1893년 해월 최시형으로부터 연비의 명부를 보고하라는 연락이 왔기 때문에 황해도에서 황해도 동학을 대표하여 직접 대도주를 찾아갈 접주 대표를 선발할 때 황해도 대표자로 선발되었다. 1894년 가을 최시형을 찾아가는 황해도 동학 대표자로 선발되어 연비 명단 보고차 충북 보은에 찾아가서 최시형을 만나고 접주 첩지를 받아왔다. 귀향길에 한성에서 동학농민군 거병소식을 접하였고, 같은해 동학 농민 운동이 일어나자 그는 해주 팔봉에서 거병하여 동학군을 지휘했다. 지도자 최시형의 지시를 받고 황해도 동학군의 선봉장으로 해주성을 습격하였으나 끝내는 관군에게 패퇴하였다.[14] 그의 부하는 700여 명이었으나 일본 제국의 군부대가 쏘는 총 소리에 놀라서 모두 혼비백산하여 흩어지고 말았다고 한다.[15] 이후 김창수의 부대는 조직 내 세력싸움에서 같은 동학군인 이동엽의 공격을 받게 되었다. 그해 12월 홍역을 치르는 와중에 이동엽 일파의 기습공격으로 김창수의 포수 부대는 패하고, 고열과 함께 홍역을 앓던 그는 몽금포로 피신하여 몽금포에서 하은당 스님의 치료를 받으며 3개월간 잠적해 있었다.[11] 한편 김창수의 부대를 접수하려고 이동엽은 그의 최측근 영장 이종선(李鍾善)을 잡아 처형하였다. 아끼는 부하를 잃은 뒤 그는 이종선을 묻어주고 안태훈을 찾아가게 되었다. 동학군 장수로 있을 때 안태훈(안중근의 부친)으로부터 귀순을 권유하는 편지를 받기도 했다. 이후 그는 1895년(19세), 동학농민운동을 토벌하기 위해 의려소(義旅所)를 세워 경성의 김홍집 내각에 참여한 김종한의 원조와 황해 감사의 지도 아래 군대를 조직해 1894년 12월 접주 원용일의 부대 2,000여 명을 크게 이긴 적이 있을 정도로 동학농민운동 진압에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던 지역 유력자 안태훈에게 몸을 의탁한다. 안태훈이 김구의 인품을 사랑하여, 동학이 패멸당하게 되면 인재가 아깝다고 생각하여 비밀리에 밀사를 보내 불가침협정과 공동원조계획을 세웠는데, 동학농민운동이 실패하자 안태훈에게 의탁하게 된 것이다.[16] 산채 은신과 고능선의 가르침 (1895~1896)[편집] 스승 후조 고능선 1895년 2월부터 안태훈의 배려로 안태훈의 신천군 청계동 산채에 몸을 의탁하였다. 안태훈은 그를 배려하여 1895년 2월 그의 부모까지 모셔다가 산채에 함께 살게 했으며, 무례하게 대하는 측근들을 혼내기도 하였다. 이 시기 안태훈의 장남 안중근을 처음 만났으나 친밀한 사이는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안태훈의 사랑에 들다 성리학자이자 화서학파의 학맥을 계승한 유학자 후조 고능선(高能善)을 만나 감화받았는데, 그로부터 공맹의 학문, 성리학적 대의명분과 의리, 위정척사적 가르침을 받고 춘추대의와 의리에 눈뜨게 되었다. 고능선은 청년 김창수에게 나라가 제국주의 열강들로 인해 큰 위기에 처해있음을 말해주었다. 김구는 그 뒤에도 고능선 선생의 가르침을 추억하기도 하였다. 고능선은 화서학파로 이항로의 문인인 유중교의 제자이자 의병장 유인석의 동문이었으며 노론 계열이었다. 고능선은 청나라와 손잡고 왜적을 몰아내야 한다 하며 청나라로 갈 것을 권하였다. 20세에 청나라행을 결심, 청나라로 가기 전 안태훈의 사랑채에서 참빗장수를 만났다. 연령은 김구보다 8~9세 위로 전라북도 남원 출신 김형진(金亨鎭)으로 그를 만나 백두산까지 기행하였다. 청년 김창수는 김형진을 길동무로 삼아 청나라로 건너갈 계획을 세웠고, 백두산을 관람하고 만주를 돌아서 북경으로 간다는 것이었다. 만주 의병부대 활동 실패와 귀국[편집] 신천을 떠나 평양 을밀대와 모란봉에서 휴식하다가 강동 양덕 맹산을 거쳐 함경도로 넘어서 고원, 정평, 함흥에 도착했다. 함흥에 도착해서 함경도의 교육제도가 황해도나 평안도보다 발전된 것에 탄복하였다. 단천, 혜산진을 지나 백두산 참배는 위험하다 하여 중단하고 만주 통화(通化)로 갔다. 김이언을 만나기 전 청나라 장교를 만났는데, 중국어를 모르던 그는 종이에 한자로 써서 대화를 시도하였다. 그는 청일전쟁 당시 평양에서 전사한 청나라 장수 서옥생(徐玉生)의 아들로 아버지의 시신을 찾으러 왔다가 실패하고 귀국하는 길이었다. 그는 임진왜란 이후부터 계속 불구대천의 원수임을 알리자 청나라 장수는 자신은 금주(錦州) 출신으로 집안에 5백명의 가병이 있으며, 청나라로 동행할 것을 권하였으나, 김이언을 찾는 것이 목적이라 정중히 사양하였다. 압록강 근방에서 만난 청나라 사람 김이언(金利彦)의 의병단에 가입하여 김이언의 부대가 강계성을 습격할 때는 포수를 모으는 일과 강계성에 들어가 화약을 사 오는 일을 하였다. 화약을 사오던 길에 압록강에 얼음에 빠져 동사할 위기에 처했으나 동민들의 구조로 살아났다. 강계성 습격 시는 11월 압록강이 완전히 얼어붙을 때로 정하고 공략하기로 결정, 그와 함께 청나라군의 원조를 받아 강계성의 관군을 공격하려 하였으나 역시 실패하고 몸을 숨겼다. 강계성 아래에 몸을 숨겼다가 신천군으로 되돌아갔다. 이후 귀향하였는데 스승 고능선의 장남 고원명 내외가 병으로 요절하였으므로, 고능선은 김창수를 손녀사위로 삼아 의지하려 하였던 것이다. 그의 스승인 고능선의 장손녀와 약혼을 결정하였으나, 김치경의 훼방으로 파혼하고 말았다. 1896년 2월 22일 안태훈은 해주군의 집사로 추정되는 인사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순검들이 산포를 모아 청계동을 습격하려던 김창수(김구)를 추적했으나 김창수는 도망하고 말았으니, 자신도 김창수의 발자취를 사방으로 추적하고 있다”라고 보고하였다. 오영섭은 안태훈 자신이 청계동에서 김구를 일시적으로 보호했던 사실이 세상에 알려져 논란이 일어나자 신천군수의 징계를 피하기 위한 보신적 조치로 보았다.[17] 치하포 사건과 은신 생활[편집] 치하포 사건과 수감 생활 (1896 ~ 1897)[편집] 을미사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1세였던 1896년 2월 청나라로 향했다가 단발 정지령 시행과 삼남 의병 봉기 소식을 듣고 1896년 2월 하순 평안북도 안주에서 길을 돌려 고향으로 귀환하던 중 김구는 황해도 치하포에서 진남포로 가는 배를 타고 가다 빙산을 만나면 그는 사람들과 함께 내려 빙산을 의지하여 작은 빙산을 떠미는 방법으로 배를 빼낸 뒤 우여곡절 끝에 치하포 인근 5리 밖의 강 어귀에 정박하였다. 치하포구의 한 여관방에 머무르고 있었다. 여관방에는 한복을 입고 성이 정씨이고 장연에 산다는 사람도 있었다. 김구는 그 사람이 진남포로 간다고 하였으며, 장연 출신이라면서도 서울말을 쓰고 흰 두루마기 밑에 칼집이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인으로 위장한 일본인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일본인이 조선인으로 위장한 것은 평범한 상인이나 기술자가 아니라 을미사변의 공범이라 도피 중이기 때문이라고 판단했다. 한국인으로 변복한 것을 수상히 여긴 그는 미우라 고로(三浦梧樓)이거나 그의 일당으로 단정하였다. 김구는 아침 식사 시간에 밥값을 치르던 중 그를 습격하여 칼을 빼앗고 발로 차는 등 폭행한 뒤 살해했다. 그의 이름은 쓰치다 조스케(土田讓亮)였다.[18] 김구는 자신의 저서 백범일지에서 쓰치다 조스케를 일본 군인이자 일본 육군 중위 신분으로써 조선에 밀파된 군사간첩이라고 기술하였으나[18], 일본 외무성 자료엔 쓰치다는 대마도 이즈하라 출신의 상인이라고 기록되어 있다.[19]. 한때 김완섭이 김구가 민간인을 살해했다 주장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으며[20] 창원대학교 교수 도진순은 자신이 찾아낸 일본 외무성 자료에 의하면 쓰치다 조스케는 계림장업단(鷄林奬業團) 소속 상인이었다고 주장했다.[21] 이는 백범일지 도진순 주해 1997년판에도 실려있는 내용이나 2002년도판에는 도진순 스스로 이 주장을 철회하여 계림장업단 관련 내용을 삭제하였으며 현재 쓰치다 조스케가 상인이었다는 것 외에 계림장업단 소속이었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없다. 더불어 계림장업단이 치하포 사건 이후인 1896년 5월에 조직되어 시기상으로 맞지 않는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출처 필요] 그리고 언론인이자 전 국회의원 손세일도 자신의 저서 이승만과 김구 신판에서 쓰치다라는 이름의 그 일본인은 쓰시마 섬(대마도) 출신의 민간인에 불과했다는 의견을 피력했다.[22] 김구는 현장에서 살인 이유로 국모인 명성황후의 원수를 갚기 위한 것이라고 밝히고, 식당 주인이자 동장(洞長)인 이화보(李化甫)를 시켜 자신의 거처를 적은 포고문을 길거리 벽에 붙이고 집으로 돌아가 체포되기를 기다렸다.[18] 쓰치다가 소지하고 있던 엽전 8백전 중 선주들에게 선가를 떼어주고 나머지는 방장인 이화보를 시켜 동리 주민들에게 나누어주게 하였다. 석달 후 자택에서 체포된 김구는 해주 감옥에 수감되었다가 이감되어 인천으로 압송되었다. 해주 감영에서 고문당하다가 인천 감리영으로 이감, 경무관 김윤정(金潤晶)은 그에게 일본인을 살해여부를 묻고, 이어 재물을 강탈할 목적이냐고 추궁하였다. 사태가 큰 사안이라 본 경무관 김윤정은 인천부윤 겸 감리사 이재정(李在正)에게 보고하였고, 이재정의 추국 때 군부의 원수를 갚기 전에는 몽백(상복)을 입지 않는 것인데, 국모의 원수도 갚지 못하고도 몽백을 입는 것의 염치없음을 질타하였다. 추국하던 관리들은 부끄러워하여 이후로 그에게 반말을 하지 않고 공대하였다. 김구는 사형선고를 받고 인천감옥에서 사형 집행을 기다리고 있었으나, 고종의 지시로 사형 집행이 중지되었다. 1896년 덕수궁에 자석식 전화기가 설치되었는데, 이 전화는 주요 관아는 물론 나중에 인천까지 개통되었다. 대궐에 있던 승지 한 명이 김구의 죄명이 '국모보수'라고 적힌 것을 보고 고종에게 보고했고, 고종은 일단 사형 집행을 중지시키라는 어명을 내렸다. 이 때가 전화가 개통된지 사흘째 되는 날이었다. 고종의 어명은 인천감리서의 이재정 감리사에게 신속히 전달되었고 사형 집행을 멈출 수 있었다. 훗날 김구는 자서전인 《백범일지》에서 "만약 전화 개통이 사흘만 지체됐어도 나는 스물한 살 나이로 형장의 이슬이 돼 사라지고 말았을 운명이었다"라고 썼다. 이에 대해 학계에서는 전화가 처음 개통된 시기가 1896년인 것은 맞지만, 서울에서 인천까지 장거리 전화가 개통된 시기는 1902년이었으므로, 고종이 직접 인천감옥으로 전화를 건 것이 아니라, 궁궐에서 전화로 하명을 하고 이것을 인천에 전보로 전달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23] 개화와 죄수 교육 (1897 ~1899)[편집] 김구는 감옥 속에서 간수가 준 <대학>, <세계역사>, <태서신사>, <세계지리>를 읽고 개화사상과 신학문에도 눈을 뜨게 되었으며, 감옥안의 재소자들에게 글을 가르쳐 감옥을 학교로 만들었다. 1897년 강화 사람 김주경(金周卿)은 그의 딱한 소식을 접하고, 동료 상인, 객주들과 함께 그의 구명운동을 벌이지만 실패하였는데, 가산을 탕진한 그는 블라디보스토크 방면으로 잠복하였다.[24] 뒤에 김구는 김주경의 동생 김진경을 찾아 그의 형 김주경의 행방을 수소문하였지만 끝내 만나지 못하였다. 감옥에서 김구는 재소자들에게 글을 가르쳤다. 김창수가 재소자에게 옥에서 글을 가르치면서 감옥이 서당이 되었다는 평을 듣기도 했다. 일부는 김창수에게 밥을 얻어먹을 목적으로 글을 배우기 시작하였으나, 나중에는 자발적으로 글공부에 참여하였다. 재소자들에게 글을 가르쳐주면서, 재소자들은 물론 억울한 일을 당한 간수들을 위한 대서(글을 대신 써줌)를 해주었고 또한 동료 재소자들로부터 민담과 노래를 배웠다. 이때 김구는 그의 재주를 안타깝게 여긴 간수의 소개로 서양의 책인 세계역사와 세계지리 등 중국에서 발간된 서적을 읽으면서 서양인들이 원숭이에서 얼마 멀지 않은 오랑캐라는 사고를 버리게 되었다.[25] 그러나 중국서적을 통해 서양 문물을 접하였고, 향후에도 영어에 관해서는 문맹이었다 한다.[26] 승려 활동 (1898 ~ 1899)[편집] 공주 마곡사 1898년 3월 동료죄수들과 탈옥에 성공한다. 그가 탈옥하자 그 대신 부모가 붙잡혀 투옥되었다. 탈옥 후 풀밭과 걸식, 민가에 숨어 생활하다가 삼남지방에서 도피하던 중 1898년 가을께에 출가자인 공주 출신 이서방 이라는 남자를 따라 공주 마곡사에 도착했다. 먼저 삭발한 공주의 이서방이 찾아와 마곡사에 식객으로 유숙하던 그를 찾아와 "하은당은 이 절 안에 갑부인 보경(寶境)대사의 상좌이니 내가 하은당의 상좌만 되면 내가 공후하기에 학비 걱정은 없을 것이라고 어서 삭발하기"를 권하였다. 이후 출가하여 승려가 되고 하은당을 은사로 하고, 법명을 원종(圓宗)이라 하였다. 출가 초기부터 불경을 외우는 일과 법당의 허드렛일 도중 실수로 스승인 하은당과 다른 선임 승려들에게 질타를 당하였다. 다른 승려들은 보경당이나 하은당이 다 고령이라 이 분들이 작고하면 마곡사 법당의 재산을 물려받을 것이라며 위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본인의 확고한 결심에 의한 출가도 아니며 승려의 길에 뜻이 없었던 백범은 산사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승려들과의 마찰 등으로 후회하던 중 이듬해인 1899년 봄 금강산으로 공부하러 간다며 마곡사를 떠났다. 주지인 하은당은 뜻이 그러하다면 보내주겠다 하고 여비로 쓸 곡식을 주어 보내주었다. 이후 이곳저곳 방랑하며 동료 승려를 따라 평양부에 도착, 1899년 4월 동료 승려를 비밀리에 고향에 보냈다가 그를 따라온 부모와 상봉하였다. 식솔들을 이끌고 방랑중 5월 평양 영천암에 방장이 되어 방장으로 장발승려 생활을 하다가 환속한다.[24] 그가 환속하자 실망한 동료 승려는 그를 떠났고, 1899년 가을 황해도 해주 본향으로 돌아왔다. 그의 작은아버지 김준영은 성실하게 농업에 종사하면 혼처를 마련해주겠노라며[27] 농사일을 권유하였다.[24] 그러나 김구는 이를 거절하고 얼마뒤 본향을 떠난다. 애국계몽운동과 수감 생활[편집] 애국계몽운동 (1900 ~ 1910)[편집] 1900년 지인을 찾아 내려갔던 강화도에서 3개월간 훈장일을 한 것을 계기로, 고향인 황해도 각지에 학교를 설립하는 등 교육 및 계몽 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1901년 뇌졸증으로 반신불수가되 투병중이던 아버지 사망. 1902년 1월 할머니뻘 되는 일가 대부인의 소개로 그의 친정조카뻘인 최여옥(如玉)을 만나 맞선을 보고 약혼하였다. 이때 만난 우종서의 권유로 그는 탈상 후 자신의 일지에서 '예수의 도'로 묘사한 예수교를 믿기로 결심하였다. 1903년 1월 약혼녀 여옥이 병사하였다. 김구는 홀로된 장모를 위로하고 예수교에 입교시켜 그리스도 신앙에 귀의케 하고 돌아왔다. 2월에는 부친상 3년상을 탈상하고 장로교와 더불어 한국 개신교의 상징적인 교회인 감리교에 입교하였으며, 평양 예수교 주최 사범강습소에서 최광옥(崔光玉)을 만났다. 그의 권유로 안신호(安信浩, 안창호의 누이)와 약혼했으나 곧 파혼하였다.[24] 1903년 황해도 장연에 봉양학교(鳳陽學校)를 설립하고 교육에 힘을 기울이다가, 백남훈(白南薰)에게 학교를 인계하고, 김구는 공립학교 교원이 되었다.[28] 1903년 여름에는 농상공부 종상위원(種桑委員)에 임명되었다. 이는 공립학교 교원직과 함께 그가 대한제국에서 맡은 유일한 관직이었다. 1905년에는 을사조약 무효투쟁을 벌이는 등 국권회복운동을 전개하였다. 일본제국주의자들이 을사조약을 강제로 체결하자 진남포 예수교회 에버트청년회 총무로 서울 상동교회(尙洞敎會)에서 열린 을사조약반대전국대회에 참석했다. 이동녕(李東寧)·이준(李儁)·전덕기(全德基) 등을 만나 을사조약 철회를 주장하는 상소를 결의하고, 대한문 앞에 모여 읍소를 하고, 종로에서 을사조약 반대에 대한 가두연설을 했다.[28] 그러나 정부의 강제진압으로 저지당하였고, 이 방법으로는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국민들 또한 지식이 없고 애국심이 박약하여 나라를 건질 수 없다고 판단하여 교육사업 등 계몽활동에 전념하기로 결정하고 돌아왔다.[28] 1906년 황해도 문화군 초리면 종산리의 서명의숙(西明義塾)에서 교원(敎員)이 되었으며, 1907년에는 국권회복운동의 국내 최대 조직이자 비밀결사조직이었던 신민회에 가입하여 신민회 황해도지부 총감(摠監)으로 활동하였다. 1909년 황해도 안악의 양산학교 교사를 맡았고, 재령 보강학교(保強學交) 학교장에 초빙되어 학교장직을 겸임하였다. 1904년 29세 때 최준례(崔遵禮)와 혼인하였다.[13] 그는 최준례를 곧 경성 경신여학교에 입학시켰다. 수감 생활과 망명 준비 (1910 ~ 1919)[편집] 신민회, 안악 사건, 105인 사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10년 경성의 양기탁(梁起鐸)의 집에서 신민회 회의가 열릴 때, 그는 신민회 황해도지부의 대표자 자격으로 회의에 참석하였다. 1910년 12월 그를 방문한 안정근을 만났다가 1911년 안악사건에 연루, 조선총독부 경찰에 체포되어 형문을 받았고, 재판에서 징역 15년 선고 받고 수감되었다. 이때 서대문형무소에서 1911년 일제의 피체되어 2년 6개월의 형을 받은 김좌진과 조우하였다.[29] 1912년에는 일본의 호적에서 벗어날 생각으로 이름을 김창수에서 김구로 재개명하고 호를 백범이라 정하였다. "구(龜)를 구(九)로 고친 것은 왜의 민적(호적)에서 벗어나고자 함이요, 호를 백범으로 고친 것은 감옥에서 여러 해 연구에 의해 우리나라 하등사회, 곧 백정(白丁) 범부(凡夫)들이라도 애국심이 현재의 나 정도는 되어야 완전한 독립국민이 되겠다는 바람 때문이었다."라고 《백범일지》에서 술회했다.[30] 1914년 인천 감옥으로 이감되었으며, 죄수번호는 55호였다.[31] 이어 서대문 감옥에 수감 도중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15년 형을 받고 복역하다가 1915년 8월에 특별 가출옥하였다. 가출옥 직전 둘째딸 화경이 병으로 죽었는데, 출옥후 어머니 곽씨로부터 소식을 접했다. 가출옥후 그는 아내가 교원으로 있는 안신학교(安新學校)로 갔다. 1916년 문화 궁궁농장 간검(看檢)에 취임했고, 셋째딸 은경(恩慶)이 태어났다.[32] 1917년 2월 동산평 농장 농감(農監)이 되어 소작인들을 계몽하고 학교를 세우는 등 농민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33] 독립운동과 임시정부 활동[편집] 임정 수립 초기[편집] 임시의정원 의원과 경무국장 (1919)[편집] 1919년 9월 17일 제6차 임시의정원 폐원식 기념 사진. 경무국장 시절 카이저 콧수염으로 단장한 김구 (1920년)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상하이 임시정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18년 상하이에서 여운형을 당수로 하여 조직된 신한청년당에 참여하였다.[34]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3·1운동 직후 김구는 경의선 열차편을 타고 압록강을 건넜다. 이어 안동(지금의 단둥)에서 이륭양행(怡隆洋行) 소속의 선박을 타고 1919년 4월 중순경 상하이에 도착하였다.[30] 이후 상하이로 망명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 4월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참여하였다. 9월에는 내무총장 안창호를 찾아가 자신의 소원을 말하며 문지기가 되기를 청하자 안창호는 그에게 경무국장(警務局長)을 천거하였다. 자신의 학식이 낮음을 이유로 경무국장직에 대한 사의를 표하였으나 안창호는 거절하면 젊은 사람들 아래에서 일하기 싫다는 것으로 간주하겠다고 하므로 그는 안창호의 임명을 받아들인다. 9월 통합 임시정부가 구성되자 김구는 임정 내무부 경무국장(警務局長)에 취임하여 정보 및 감찰, 경찰 업무를 담당하였고, 일제의 밀정 검거 활동을 하였다. 경호부장으로 여순근을 임명하고 한인 청년들을 고용하여 경찰, 정보감찰 업무, 밀정색출 업무를 분담시켰으며 동시에 재판소가 없는 임시정부에서 재판장으로서 재판을 행사하였다. 1920년 국무총리 이동휘로부터 공산주의 혁명에 참가하자는 제안이 들어오자 김구는 제3국 공산당의 지시를 받는다는 것을 들어 거절하였다.[35][36] 일본 영사관 경찰은 임정 요인 체포를 위해 경무국장인 그를 사살하려 했다. 일제의 사주를 받은 스파이 선우갑(鮮于甲)·강린우(康麟佑)가 왔으나 자발적으로 그에게 이실직고하자 추방하였다. 일본 영사관의 첩자로 독립운동가를 따라 상하이에 나타났던 17세 소년 김도순을 총살하였고, 이후 일본 영사관과 조선총독부의 납치, 암살기도에 시달렸다. 황학선(黃鶴善)은 병원을 차리고 독립운동가들과 친분을 쌓은 뒤 한번에 독립운동가들을 잡아서 약물로 독살하려 했다. 김구는 황학선을 체포하여 처형했다. 의정원 의원 재선과 내무총장 시절 (1920 ~ 1921)[편집] 부인 최준례(오른쪽)와 장남 김인(가운데 있는 이)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민대표자대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20년 8월 아내 최준례가 아들 김인을 데리고 상하이로 건너왔다.[37] 1921년 5월 경무국장직에서 물러났고[38], 후임은 김용원이 임명되었다.[38] 경무국장에서 물러남에 따라 임시의정원 의원으로만 활동하게 되었다. 1921년 1월 1일 신년하례회. 첫 번째 줄 오른쪽에서 세 번째 앉은 이가 김구 1922년에는 어머니 곽낙원 여사도 조선총독부의 감시를 피해 상하이로 건너왔고, 그해 2월 임시의정원 보궐선거에서 재당선되어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재선출되었다.[37] 1922년 7월 신익희, 안창호, 이시영(李始榮), 여운형, 조소앙, 이유필 등 50여 명과 함께 시사책진회(時事策進會)를 조직하는데 참여하였다. 9월 임시정부 내무부 총장에 취임하였으며, 차남 김신(金信)이 출생하였다. 10월 여운형·조동호·이유필 등과 함께 한국노병회(韓國勞兵會)를 조직하고 한국노병회 초대 이사장에 취임하였다.[37] 국민대표자대회 소집의 주요 인물이기도 한 박은식을 규탄, 성토하였고 그의 아들 박시창이 찾아와 항의하자 구타하기도 했다. 1921년 이후 임시정부가 임시정부를 새로 창조하자는 창조파와 구조만 수정하자는 개조파의 논쟁장으로 변하자 김구는 내무부령 제1호를 내려 국민대표회의를 해산시킨다.[39] 1922년 2월 소련의 레닌에게서 받은 200만 루블 중 40만불을 지불받은 한형권과 김립에 대한 사살령을 내린다. 노면직, 오종균 등은 상하이에서 김립을 사살하였다. 그는 백범일지에 김립이 광둥 여자를 사서 축첩하고 호화생활을 하였다고 하였으나 김립이 호화생활을 한 근거는 제시하지 못했다. 후일 박노자는 "1922년 초기에 상하이 임시정부가 한인사회당의 간부인 김립(1880~1922)을 “레닌이 보낸 독립운동 자금을 유용했다”고 성토한 데 이어 김구 부하인 오면직, 노종균 두 청년이 1922년 2월11일에 상하이의 거리에서 김립을 사살했다. 이 암살을 ‘정당한 응징’으로 묘사한 <백범일지>의 권위가 절대적이기에 김립이 '응분의 대가를 받았다'는 통설을 의심한 이들이 여태까지 거의 없었지만, 반병률 교수(한국외대)의 연구에 의하면 김립의 ‘횡령 행위’가 사실이라기보다는 정적이 유포한 뜬소문이었다.[40]"는 것이다. 박노자에 의하면 김립의 암살 원인은 "레닌 정부의 바람대로 김립과 그 동지들이 세 차례에 걸쳐 수만루블의 자금을 한인사회당에 어렵게 운반해주어 한·중·일 좌파 혁명가들의 사업비로 쓰게 했지만, 그 자금이 김구 등 임시정부의 우파적 지도자들의 손에 들어가지 않았던 것이 화근이 됐다."고 분석했다.[40] 국무총리 대리 시절[편집] 임정 요인들(뒷쪽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차이석, 김구, 조성환, 송병조, (앞줄) 조완구, 이동녕, 이시영 1923년 4월 9일 내무총장에 재임되고, 임시정부 국무총리 대리에 임명되었다. 이후 임정은 개조론과 창조론이 계속 대립하였으나 그는 임정 고수파가 된다. 그러나 임정의 해체와 개조를 놓고 국민대표자 대회에서 결론을 내리지 못하자 김구는 1923년 6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내무총장 자격으로 국민대표회의 해산령을 내렸다. 또한 임정을 거부하는 세력에 대한 상하이 추방령을 선언한다. 23년 12월 상해 교민단에서 자발적인 자율방범대인 교민단 의경대를 설치할 때, 의경대 고문에 추대됐다. 1924년 1월 아내 최준례가 상하이 홍구 폐병원에 입원하였으나 사망하여 불란서 조계의 숭산로 공동묘지에 장사하였다.[41] 최준례는 상해 홍구 폐병원에서 사망했으나, 수배중이라 아내의 임종을 지킬 수 없었다. 최준례는 뒤에 불란서 조계 숭산로 공동묘지에 매장되었고, 임정에서는 다른 요인의 부인들과는 다르게 불평불만이나 파란 없이 남편 김구를 내조한 최준례의 공로를 높이 평가하여, 성대한 장례식을 치렀다. 최준례의 비석은 한글학자인 김두봉이 직접 지어 주었다. 1923년 그는 청년 오면직, 노종균 등을 파견하여 러시아의 레닌에게 지원받은 독립운동 자금을 임시정부에 제출하지 않은 고려공산당원 김립 등을 추격, 제거하도록 지시하였다. 1922년 2월 11일 오면직, 노종균 등 을 파견해 상하이의 거리에서 김립 등을 사살했다.[39][42] 그러나 자금을 횡령했다는 주장은 공산당을 적대시하던 정적들의 모함이라는 견해도 있다. 백범일지에는 정당한 응징으로 묘사되었으나 김립의 ‘횡령 행위’가 사실이라기보다는 정적이 유포한 뜬소문이었다는 견해도 있다. 레닌 정부의 바람대로 김립과 그 동지들이 세 차례에 걸쳐 수만루블의 자금을 한인사회당에 어렵게 운반해주어 한·중·일 좌파 혁명가들의 사업비로 쓰게 했지만, 그 자금이 김구 등 임시정부의 우파적 지도자들의 손에 들어가지 않았던 것이 화근이 됐다.[43] 1920년대의 임시정부는 자금난에 시달렸다. 1923년 이후 구미위원부 소속 허정 등은 구미위원부 통보를 통해 임정으로의 송금을 촉구했고 구미의 각 동포들은 각자의 여유에 따라서 10달러, 또는 20달러 등을 구미위원부로 보내주어 얼마 되지 않아 몇천 달러의 돈이 모였다.[44] 허정은 이 돈을 즉시 당시의 임시정부 재정부장 이시영(李始榮)에게 보냈다. 허정은 그때는 미국에서 상하이로 쉽게 송금했다고 한다.[44] 이 돈을 받자 김구와 이시영은 곧 감사와 격려의 편지를 허정에게 보냈고[44], 김구는 자신이 독특한 붓글씨로 쓴 친필 자서전 백범일지(친필)를 허정에게 선물로 보내주었다.[44] 미주 동포들이 후원금과 성금을 보내면 그는 친필로 쓴 붓글씨와 백범일지의 사본을 선물로 보내기도 했다. 1923년 12월 상해 한인교민단에서 치안조직인 의경대(義警隊)를 설치하였고, 김구는 상해 한인의경대 고문에 추대되었다. 1924년 4월 23일 국무총리 대리에서 면직되었고, 6월 임시정부 내무총장으로 노동국 총판을 겸임하였다. 1925년 이승만이 사임한 후, 박은식, 이상룡 등 잇단 사퇴와 사망 등으로 임시정부는 내각 구성에 실패하였다. 8월 29일 나석주 의사가 자신의 옷을 저당잡혀 생일상을 차려주었다. 어머니의 환갑 잔치를 못한 것을 죄스러워하던 김구는 이후 자신의 생일잔치는 하지 않았다 한다. 임시정부의 활동이 어려워지면서 1925년 11월 어머니 곽낙원 여사는 아들의 활동에 방해가 될까 염려하여 차남 김신을 데리고 고국으로 돌아갔다.[32] 1926년 5월 임시의정원에서 양기탁의 후임으로 안창호를 국무령에 선임하자, 기호파의 중심인 안공근, 김규식, 김구, 김보윤(金甫潤) 등은 서북파인 안창호가 국무령이 되는 것을 반대하였다.[45] 결국 안창호는 국무령에 선출된지 13일만에 사퇴하여 사태를 수습하였다. 임시정부 국무령·국무위원 (1926~1929)[편집] 1926년 9월 말 임시의정원 의장 이동녕으로부터 국무령에 취임할 것을 권고하였으나, 그는 자신이 '김존위의 아들'이라는 미천한 출신 배경을 이유로 사양했다.[30] 임시정부도 정부인데 한미한 가계에서 태어난 자신이 수반이 되는 것은 정부의 위신을 격하시킬수 있을 것, 이상룡, 안창호, 홍면희은 실력을 갖추었으나 독립운동가들이 입각 제의를 받아들이지 않았는데 이렇다할 배경이 없는 자신이 수상이 되면 다른 실력과 배경을 갖춘 독립운동가들이 더욱 호응하지 않을 것을 염려했다. 그러나 이동녕과 임정 요인들의 거듭된 요구로 김구는 국무령직을 수락한다. 임시정부는 1926년 12월 14일 김구를 국무령에 선출하였다. 국무령이 된 김구는 국무령제를 폐지하고 국무위원제로 제도를 고치고 주석을 맡았다. 1927년 4월 10일 후계내각 발표로 국무령에서 총사퇴하고, 국무위원회의 초대 주석에 선임되었다. 1927년 8월 19일 이동녕 내각이 구성되면서 김구는 임시정부 내무부장에 임명되었다.[46] 이어 각 정당사회단체를 통합하는 움직임에 참여하여 한국유일독립당 상해촉성회 조직 집행위원이 되었다.[47] 1930년 1월 상하이 불조계에서 이시영(李始榮), 이동녕 등과 함께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을 조직, 당무이사에 선출되었다. 1927년 9월에는 장남 김인도 고국으로 돌려보냈다.[47] 임정의 재정난[편집] 1928년 11월 20일 김구가 이승만에게 보낸 편지 (추운 겨울에 털옷 조차 입지 못하는 임시정부의 어려운 자금 사정을 호소하였다.) 1930년대 초의 김구 1920년대 후반 임시정부는 자금난에 시달렸고, 자금을 마련할 수 없었던 김구는 고민하게 되었다. 임시정부는 일본 경찰의 감시와 침투를 피해 프랑스조계(프랑스 대사관 관할구역)와 영국 조계, 중국 국민당의 영향력이 미치는 곳의 건물에 월세를 주고 입주했다. 그러나 청사 임대료 30원을 내지 못해 건물주, 토지주로부터 고발당하였고, 청사의 각부 직원과 잡일을 하는 급사, 경무국 직원들의 월급도 제때 주지 못하였다. 일부 급사들은 임정을 떠나거나 임정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고, 경무국에서 일하던 청년들은 모두 뿔뿔이 흩어졌다. 직원들이 뿔뿔이 흩어지면서 일부는 생계를 위해 다른 곳에 취직했다. 김구는 임시정부 운영 자금의 대부분을 재중국 한국인 교민단체와 교포들의 자발적인 성금과 모금, 중국인 기업체에 근무하는 한인, 중국의 군인·공무원으로 취직한 한인, 시장 상인, 아편장사 등이 내는 돈에 의존했으며, 일부는 3인조 암살단등 비밀조직을 움직여 일본군의 군자금 탈취하여 조달하기도 하였다.[48] 자금을 걷을 인력이 부족해 김구 자신과 임정 직원들이 직접 성금과 자금을 걷으러 다녔다. 이재에 밝지 못했고 장사수완이 부족했던 김구는 사업이나 장사에 종사할 수도 없었다. '두상'(頭相), '수상'(首相)이라는 별명도 있었는데, 임시정부의 국무령에 취임한 이후, 한인 교포들은 그에게 '두상','수상'이라 불렀다. 망명정부의 수반이라는 위치 역시 그를 장사나 공업, 상업에 종사할 수 없었던 원인이 되었다. 변변하지 못한 임정 청사의 월세도 대지 못해 김구는 늘 쩔쩔맸다. 정화암의 증언에 의하면 그런 와중에도 임시정부를 떠나지 않고 임정의 충복인 중국인 하인이 하나 있었다 한다. '그때 임정에는 삥천이라는 중국인 하인이 하나 있었는데 그렇게 충성스러운 하인이 없었다.[49]'는 것이다. 이런 충복에게 몇 푼 안되는 월급을 몇년 동안 주지 못하였다. 삥천의 부인이 해산할 때 돈이 없어 밀린 월급의 일부만이라도 달라는 호소 조차 들어주지 못할 정도였다.[49] 임시정부의 이승만 탄핵 후, 이승만은 미주지역의 성금을 독식했고 임정으로의 직접 송금도 가로막았다. 김구는 1928년 이후 이승만에게 서신을 보내 지원을 요청했다. 이승만은 자신도 경제적으로 어렵다는 이유로 요청을 거절하였으나, 자금의 일부를 임정으로 보내주었다. 1932년 5월 이봉창, 윤봉길 의거의 배후가 임시정부의 김구 라는 것이 알려지면서 임정에 흘러오는 자금에 활기를 띄었다. 1925년,26년 무렵 국내의 임정 연락망인 연통제가 완전히 와해되면서 김구는 독립운동의 자금 중 상당부분을 미국의 이승만, 안창호 등과 미국 교민들의 성금에 의존하였다. 1929년 8월 상해 한인교민단장에 선출되었고[47], 1930년 다시 국무령에 선출되었다.[50] 자금난과 독립운동가들의 이탈, 변절 등으로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굴하지 않고 임시정부의 간판을 지키고 임정의 법통을 수호해 나갔다. 1930년 1월 한국독립당의 창당 작업에 참여하였다. 항일의거와 군사단체 조직 노력[편집] 일본 요인 암살 활동(1924~1930)[편집] 대한통의부, 박희광, 김광추, 김병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친일파 제거와 일본영사관 폭파 미수[편집] 1924년에는 임시정부 무장독립운동단체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오동진 선생에게 만철연선(萬鐵沿線)의 친일파를 토벌 하라는 특명을 내려, 박희광(朴喜光), 김광추(金光秋), 김병현으로 3인조 암살특공대가 조직되었다. 이들은 친일파인 보민회괴수(保民會魁首) 최창규(崔晶奎)의 가족을 백주(白晝)대낮에 토벌했다. 이 사건은 1924년 7월26일자 독립신문에 크게 게재되었으며, 이후 이들은 여순조선인회(旅順朝鮮人會)서기인 악질 친일파 정갑주(鄭甲周),이등박문의 수양녀이자 매국녀인 배정자(裵貞子), 일진회 회장 이용구등을 암살 하라는 지령으로 암살을 시도하였다. 같은해 7월에는 일본 주요관계자 및 요인제거를 목적으로 박희광(朴喜光)등이 봉천성 일본영사관 폭파를 시도했으나, 불발로 실패했다.[51] 이들은 같은날 군자금 모집을 위해 당시 일본군 장성이 드나들던 고급요정인 금정관에 침입하여, 거액 군자금을 탈취, 탈출하는 과정에서 일본경찰과 총격전 끝에, 김광추는 현장에서 순국하고 박희광, 김병현은 현장에서 체포되었다. 당시 김구는 이외에도 친일파 척결작업과 부족한 자금조달을 위한 군자금 모집, 독립운동활동을 배후에서 비밀리에 지휘 또는 지원을 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일본 요인 암살 활동(1930~1932)[편집] 1932년 4월 윤봉길과 함께 한인애국단, 이봉창, 윤봉길, 유상근, 최흥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이봉창 의거와 이즈모호 폭파 미수[편집] 1930년 8월 4일 국무령에 임명되었고, 1930년 11월 8일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위원 겸 재무부장(財務部長)에 선출되었다.[46] 이때 김구는 1927년 신약헌에 의한 국무 위원제의 국무위원회가 채택된 이후 그간 4년간의 정부 예산 집행의 결산서(決算書)를 무더기로 의정원 의장 앞으로 제출하였다.[52] 1931년에는 일본 정부 및 요인 암살을 목적으로 1922년 만주에서 결성한 대한통의부 산하 암살 비밀조직[53] 을 강화해 임시정부 내에 한인애국단을 결성하였다.[54] 김구는 홍보를 통해 청년 단원을 모집하였고 1931년말 일본어에 능한 이봉창(李奉昌)이 찾아왔다. 처음에는 일본어를 잘 구사하던 이봉창을 의심하였으나 같이 지내면서 점점 신뢰하게 되었다.[55] 이봉창이 왜 천황을 죽이지 못하느냐고 힐난하자, 김구는 자극을 받아 이봉창이 묵던 숙소로 찾아갔고, 이어 히로히토 천황이 도쿄 교외에서 관병식(觀兵式)에 참가한다는 정보를 입수, 1932년 1월 8일 이봉창을 일본 도쿄에 파견하여 일본 천황에게 수류탄을 투척하였으나 미수에 그쳤다. 한편 2월 12일에는 중국인 잠수부들을 고용, 상하이 주둔 일본군사령부의 신형 잠수정 이즈모 호(出雲号) 폭파 계획을 세웠으나 배 밑에 폭탄을 장착하는 과정에서 머뭇거리다가 발각되어 실패하였다. 윤봉길 의거[편집] 2월에는 윤봉길이 입단하자 중화민국 정부 요인인 왕백수, 진과부 등과 중국군에 복무하던 김홍일의 도움으로 폭탄을 입수, 3월 3일 윤봉길을 상하이로 파견, 상하이 훙커우 공원 부두 근처 비행장 격납고 폭파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상해사변에서 중화민국이 패전하여 비행장 접근이 어려워 실패하였다. 4월초, 4월 29일 훙커우 공원에서 천장절 기념식 및 상해사변 전승축하연이 있다는 정보를 입수, 윤봉길을 상하이 훙커우 공원에 파견하여 훙커우공원 폭탄 투척 의거를 지휘하였다. 윤봉길의 의거로 시라카와 요시노리 등이 현장에서 즉사하고, 행사 참석자들이 여러 명 부상을 입었다. 임시정부에 대한 중국 정부의 지원의 계기가 된 이 의거 직후 김구는 상하이를 빠져나가지 못하였으며, 안중근 의사의 동생인 안공근, 비서 엄항섭, 김철과 함께 미국인 장로교회 선교사 조지 애쉬모어 피치(George Ashmore Fitch. 2018년 1월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국가보훈처에서 선정함)의 집에서 20여 일간 숨어 지내야 했다.[56][57]4월 중화민국 정부는 일본의 만주사변을 규탄한 뒤 국제연맹에 일본을 제소했고 국제연맹은 만주에 진상조사단을 파견키로 했다.[58] 조선 총독 암살 미수[편집] 1932년 4월 윤봉길의 2차 거사를 보내기 직전 김구는 유진식과 이덕주를 상하이에서 배편으로, 조선에 보내 조선총독 우카키 가즈시게 암살을 지시하였다. 김구는 이봉창의 동경의거를 계획하고 이를 실행할 준비를 진행하는 한편으로 윤봉길의 의거를 준비하기에 앞서 두 명의 한인애국단원을 국내로 파견하였다.[59] 국내로 파견된 대원은 이덕주와 유진식이며, 이들에게 김구가 내린 임무는 조선총독의 처단이었다.[59] 이덕주(李德柱), 유진식(兪鎭植)은 왜총독 암살을 명하여 선파(先派) 입국하고 유상근(柳相根), 최흥식(崔興植)은 만주에 본장번(本藏番) 등 암살을 명하여 상기 진행코자 할 즈음에 4월 24일 김구는 이덕주와 유진식 두 명의 한인애국단원에게 조선총독 우원일성(宇垣一成)을 처단할 것을 명하고 국내로 파견하였다. “ 한인청년당원은 김구 일미가 계획한 흉폭행위실행의 역할을 감당하고 이와 가장 밀접한 관계에 있는 자이나 그 간부 중 이미 이덕주라 칭하는 서리균(徐利均)과 유진식이라 칭하는 유진만(兪鎭萬)은 황해도에서, 주천현朱天懸이라 칭하는 유상근과 최흥식은 대련에서, 또 송진표(宋鎭杓)라 칭하는 장현근(張鉉瑾)과 김덕근(金德根)은 당관에 체포당했음으로...홍구공원폭탄사건의 하수인 윤봉길에 수교한 90불, 최흥식에게 지급한 580불전후 3회에 걸쳐, 유상근에 지급한 1,000불전후 2회, 이덕주에 지급한 120원, 유진만에 수교한 60불, 김긍호(金兢鎬)에 지급한 50불 합계 1,900불의 흉폭행위자금이 어디서 나온 것인가는 직후 알 자료가 없어 명료하지 않으나 본년 3월 20일 불계에서 한인측 김구, 김철, 조소앙 등이 상의하고 중국측 광동파 호용청(胡用淸) 등과 더불어 중한민족항일대동맹(中韓民族抗日大同盟)을 조직한 사실에서 추찰하여 아마 우 동맹의 중국측 간부를 통해 혹은 광동파 내지 19로군 간부로부터 지출을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60] ”   — 조선총독부 경무국의 보고서 4월 24일과 28일 사이에 조선총독을 처단할 임무를 띄고 국내로 파견된 유진식이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61] 이후 이덕주도 해주에서 체포됨으로써 조선총독 암살 계획은 수포로 돌아간다. 만주철도 폭파미수[편집] 1932년 5월에는 임시정부의 군무부장(軍務部長)에 임명되었다. 5월 일본의 만철(滿鐵) 사장 등 인사들이 국제연맹 대표단 방문에 참석한다는 정보를 입수, 김구는 한인애국단원 유상근(柳相根), 최흥식을 3월말과 4월 27일 각각 만주 다롄으로 파견하였다. 유상근은 상해를 출발하기 2~3일 전인 4월 25일 임시정부 청사가 위치해 있는 보경리 4호 문 앞에서 윤봉길 의사가 홍구공원 의거에 사용한 것과 같은 모양의 수통형과 도시락 모양의 폭탄 2개를 받았다. 2개의 폭탄 중 도시락 형태의 폭탄은 김구에게 돌려주고 수통형 형태의 폭탄 1개를 받아 자신의 거주지인 살파새로 188호 3층에 보관하였다. 그리고 이 폭탄을 갖고 4월 27일 상해를 출발하여 5월 4일 대련에 도착하였다.[62] 유상근보다 한 달 먼저 배편으로 상해를 출발하여 대련에 도착해 있던 최흥식은 북대산통(北大山通) 5호 한인어부조합 내 김정순(金正順)의 집에서 거주하며, 대련의 상황을 알아보고 있었다. 최흥식은 상해를 출발할 때 김구에게 먼저 대련의 상황을 확인하고 폭탄이나 권총을 사용하여 본장번(本庄繁) 일본 관동군사령관, 내전강재(內田康哉) 남만철도 총재, 산강만지조(山岡萬之助) 관동청장관 등을 처단하라는 비밀지령을 받았다.[62] 5월 26일 오후 7시40분 리튼 단장이 이끄는 국제연맹(League of Nations) 조사단이 다롄역에 도착할 때 유상근, 최흥식은 혼조 시게루(本庄繁) 일본 관동군 사령관 등에게 폭탄투척을 계획하였으나 의거를 며칠 앞두고 다롄 우체국을 통해 보낸 비밀 전문이 일본군 정보망에 걸려 유상근과 정보원 최흥식, 폭탄 운반책인 이성원ㆍ이성발 등이 모두 체포됐다.[58] 이봉창의 동경 일본궁성 폭탄투척사건과 윤봉길의 상하이 홍구공원 폭탄투척사건의 영향으로 중국 정부는 김구에게 생활비와 공작활동비를 제공해 주었다.[63] 수배, 피신 생활 (1932~1933)[편집] 중화민국 총통 장제스 5월 상해 각 신문에 상해폭탄 의거의 주모자가 김구 본인임을 발표하고 상하이에서 탈출했다. 그 뒤 임시정부, 상해에서 항주로 옮길 때 군무부장에 취임하였으나, 6월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사퇴하였다. 이후 가흥·해염 등으로 피신하여 광동인 '장진구'(長震球, 張震球) 또는 '장진'(長震, 張震)으로 행세하며 숨어지냈다. 김구의 친할머니가 장씨(張氏)였기 때문에 성을 장씨로 바꾼 것이다. 가흥에서 김구는 주애보라는 처녀 뱃사공과 위장결혼하여 일경을 피해다녔는데, 김구는 주애보와 부부 비슷한 관계도 부지중에 생겼다고 회고하였다. 하련생의 소설 '선월'은 김구의 가흥에서의 도피생활을 소재로 삼았다. 한편 김구는 이때 주애보와의 관계를 회고하면서 ]두고두고 후회되는 것은 그때 그녀에게 여비로 겨우 100위안을 준 일이다. 그녀는 근 5년 동안 나를 광저우 사람인 줄 알고 섬겨왔고 나를 보살핀 공로가 적지 않았다. 당시 나는 다시 만날 기약이 있을거라고 생각했는데 노자 외에 돈을 넉넉하게 주지 못한 것을 참으로 유감스럽게 생각한다.[64]'라고 하였다. 이후 김구의 후손들은 주애보의 행방을 수소문했으나 끝내 찾지 못했다.[65] 옥관빈 암살(1933)[편집] 옥관빈 한편 1930년대 초부터 임정 창립 초기의 멤버였으나 임정을 이탈, 어느정도 거리를 두던 옥관빈이 일부 독립운동가들을 비난, 조소하였다. 그리고 이는 그대로 김구의 귀에도 들어오게 되었다. “ 인성학교에 돈을 준 옥관빈은 우리나라 신문을 이용하여 자기를 과대선전하고 독립운동가를 비방하기 시작했다. 독립운동한다고 떠돌아 다니는 사람들, 먹고 살 길도 없고 무식하여 내가 쌀가마나 나눠[66] 주고 돈 몇푼 던져주면 모두 내 밑에 와서 아부나 할 사람들이라고 멸시를 했다.[67] ” 일부 독립운동가들의 자랑과 허영을 못마땅하게 봤던 그는 독립운동한다고 떠돌아 다니는 사람들, 먹고 살 길도 없고 무식하여 내가 쌀가마나 나눠[66] 주고 돈 몇푼 던져주면 모두 내 밑에 와서 아부나 할 사람들이라고 멸시했다.[67] 이는 그대로 김구나 임시정부, 의열단, 아나키스트들의 귀에도 그대로 들어갔다. 임정에서 탈퇴한 뒤로 옥관빈은 흥사단 활동 등 일부를 빼고는 독립운동에 소극적이었고 때로는 일본 기업인들과도 교류를 했다. 더구나 옥관빈의 형 한명은 불조계에서 형사로 취직하기도 했다. 옥관빈은 독립운동 대열에서 이탈한 대신 공장을 운영하며 매상을 올려 부자가 되었다. 옥관빈은 상하이에서 유명 인사로 알려져 있었다. 더욱이 수백 명의 제약회사 노동자를 거느리고 있고, 많은 돈을 써서 신문사를 포섭하여 상하이의 고급 관리는 물론 재계와 종교단체까지 잡고 있었기 때문이었다.[67] 호화스러운 저택과 고급 승용차에 거만한 언동 등 그의 위세는 너무나 당당했다.[67] 어느 날 이를 보다못한 김구가 정화암을 찾아갔다.[67] 김구는 즉석에서 정화암에게 옥관빈을 죽이자고 제의하였다. 독립운동가들을 모욕한 그 언동만으로도 용서할 수 없다는 것이다.[67] 정화암은 동의하였고, 백범하고 정화암과 안공근 셋이서 이야기를 했다.[67] 이어 옥관빈 암살을 지원하였다. 옥관빈은 그해 8월 1일 불조계에 살던 다른 흥사단원 이모의 처를 만나 몰래 간통하고 나오던 길에 남화한인동맹원 엄형순 등의 총격을 받고 절명했다.[68] 광복군 조직 노력 (1933~1937)[편집] 광복군 성립전례식에 참석한 김구 (우측) 이 부분의 본문은 한국 광복군입니다. 1933년 장쑤 성 자싱(가흥)에서 일본 경찰에 의해 추격당하였다. 이때 현상금 60만원이 걸렸다. 그러나 상하이 법대총장 저보성의 도움으로 위기를 모면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자싱으로 옮겼다. 1933년 5월 박찬익을 통해 장개석과 면담을 추진하였는데 중국 측에서는 진과부, 김구와 장개석의 면담을 주선하였다.[56] 5월 장개석과 만났으며, 면담에서 낙양군관학교(洛陽軍官學校)에 한인훈련반 설치에 합의하여 한국인 92명을 입교시켜 훈련에 들어갔다. 이듬해 2월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낙양분교(洛陽分校)에도 한인특별반을 설치하게 하였다. 4월, 강소성 가흥에서 어머니와 아들 김인, 김신을 다시 만났다. 1934년 12월 난징에서 중앙군관학교 소속 한인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특무대독립군(韓國特務隊獨立軍)을 조직했다.[69] 의거와 피신 이후 한인애국단의 조직이 어렵게 되자 한인애국단은 자연스럽게 해체되고 한국특무대독립군으로 흡수, 개편된다. 1930년대 중반부터 중국 국민당 정권은 김구, 조소앙, 김규식, 김원봉 등 한국인 지도자들에게 단체 통합을 주문한다. 그러나 의견의 대립으로 성사되지 못하였다. 1935년 5월 임시정부 해산론이 나오자 김구는 임정 해산의 부당성을 지적한 임시의정원 제공 경고문을 발표했다. 7월 조소앙·김두봉 등은 대한민국임시정부 해체와 단일신당결성을 주장하여 한국독립당의 해체를 선언하였다.[70] 10월 김구는 가흥 남호의 선상에서 열린 임시의정원 의원의 비상회의에서 국무위원으로 보선되었다. 10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외무부장에 선출되었다.[71] 김구는 남경중앙정부와의 관계와 명망으로 중국 국민당정부와 더욱 긴밀한 협조관계를 이루어 같이 항일운동에 힘쓰도록 협의하였다.[71] 11월 이동녕, 이시영, 조완구, 엄항섭, 안공근 등과 함께 임시정부를 옹호하기 위하여 임시정부의 여당격인 한국국민당을 창당하였다.[69] 그리고 김구는 곧 한국국민당 이사장에 추대되었다. 이후 유명무실화된 임시정부에 대한 해산 주장이 일부 독립운동가들 중심으로 다시 제기되자, 김구는 이에 반대하고 임시정부의 유지를 천명하였다. 임시정부의 유지를 주장한 김구 등은 1936년 10월 임시의정원 회의를 열었다. 회의에서 김구는 임시정부를 강화할 것을 다짐하였다.[72] 8월 27일 환갑을 맞이하여 이순신의 陣中吟 [誓海魚龍動], [盟山艸木知]를 휘호로 썼다. 1937년 안공근을 상하이에 파견하여 안중근의 유족을 모셔오게 했으나 성사되지 못하였다. 이 일로 김구는 종가부터 챙기는 것이 도리라며 안공근을 질타하였고, 사이가 멀어지게 되었다.[73] 그 뒤 안공근은 김구의 대가족에서 이탈하였다. 1937년 김구는 비교적 안락한 생활을 누릴 수 있었다. 조선총독부 정탐이 파악한 동향은 일본의 정보기관에 그대로 보고되었는데 당시 보고에 의하면 김구는 자신의 자동차를 갖고 있었으며, 김구는 국민당 정권으로부터 재정지원을 받고 있었고, 김원봉은 장쉐량 일파에게 더 많은 자금을 받고 있었다고 보고하였다.[74][75] 1937년 7월 10일 중화민국 정부의 초청으로 피서지이자 중국 고관들의 회의장소인 난징 서쪽의 루산(蘆山)에 초대되었다. 중화민국 정부측 대표자는 일본을 상대로 통일전선을 결성해야 한다고 설득하였다. 귀환하기 전 중국 정부 대표자로부터 사명을 완수하는 데 필요한 거액의 자금을 지원받았다.[76] 이후 김구는 한국독립당의 당의 무력조직인 한국독립당군의 조직을 준비하여, 1940년 9월 한국광복군의 창설을 보게 된다. 안공근과 결별[편집] 안공근과 김구가 갈라선 이유에 대해 중일전쟁 이후 안공근이 자신의 큰형 안중근의 가족을 상해에서 탈출시키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설이 널리 퍼져 있다.[77] 백범일지에 의하면, 1937년 10월 일본군이 상하이를 공격해 오자, 안공근은 자신의 가족들을 제쳐두고 김구의 어머니 곽낙원만을 모시고 난징으로 나왔다.[77] 당시 김구의 어머니 곽낙원은 안공근의 집에 머무르고 있었는데, 안공근은 자신의 가족들보다 곽낙원의 안위를 중시한 셈이었다.[45][78] 그런데 김구는 안중근의 부인과 가족들을 데려오지 못했다고 분개하였다. 이를 두고 사학자 오영섭은 이로 보아 안공근의 김구에 대한 절대적 충성심을 익히 짐작할 수 있다.[45] 고 평가했다. 그러나 김구는 안중근의 가족을 데려오지 못했다며 안공근을 질타하고 꾸중하였다. 이후 김구는 다시 안공근에게 상해로 들어가 그의 가솔과 안중근 의사의 부인을 모셔오도록 거듭 당부했으나, 안공근은 자기 가솔만을 데리고 나왔다.[45] “ 나는 안공근을 상해로 파견하자 자기 가솔과 안중근 의사의 부인인 큰형수를 기어이 모셔오라고 거듭 부탁하였다. 그런데 안공근은 자기의 가속들만 거느리고 왔을 뿐 큰 형수를 데려오지 않았다. 나는 크게 꾸짖었다. 양반의 집에 화재가 나면 사당에 가서 신주(神主)부터 안고 나오거늘, 혁명가가 피난하면서 국가를 위하여 살신성인한 의사의 부인을 왜구의 점령구에 버리고 오는 것은, 안군 가문의 도덕에는 물론이고 혁명가의 도덕으로도 용인할 수 없는 일이다. 또한 군의 가족도 단체생활 범위내에 들어오는 것이 생사고락을 같이하는 본의에 합당하지 않겠는가? 그러나 공근은 자기 식구만 중경으로 이주케 하고 단체 편입을 원치 않으므로 본인의 뜻에 맡겼다.[79][80] ”   — 백범일지 중에서 백범일지의 기록과는 달리 안공근은 '자기 식구만 충칭으로 이주하게 한 것'이 아니라 중일전쟁 발발 직전의 상황에서 '김구의 어머니 곽낙원을 자신의 가족들보다 먼저 피신[45]'시켰다. 안공근은 자신의 가족들보다 곽낙원의 안위를 중시한 셈이었다.[45] 오영섭에 의하면 '안공근이 김구로부터 호된 꾸지람을 듣고 김구로부터 신망을 잃었으며 그로 인해 김구의 단체에 편입되기를 원치 않았다고 하는 위의 기록을 입증할 만한 다른 자료는 남아있지 않다.[81] 큰형의 가족을 데려오지 못하면 온갖 비난이 안공근 자신에게 쏟아질 것임을 누구보다 안공근이 잘 알고 있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그가 큰 형의 가족을 함께 피신시키지 못한 것은 이미 일제의 수중에 떨어진 상하이의 현지상황이 여의치 못했기 때문으로 보인다.[81]'라는 결론을 내렸다. 다만 명분과 도덕과 의리를 중시하는 김구는 그러한 상황을 고려치 않고 원칙론에 입각해서 안공근의 형수와 조카들을 데려오지 못한 일만을 일방적으로 꾸짖는 말을 '백범일지'에 남겼다.[81] 중일 전쟁 중의 활동 (1937~1939)[편집] 총탄을 맞고 수술 후 회복한 김구 (1938년) 중일 전쟁 발발 직후 김구는 이승만, 미주국민회와 연락을 취했다. 1937년 8월 김구의 애국단, 이승만의 동지회, 로스앤젤레스에 본부를 둔 국민회, 그리고 한국독립당, 조선혁명당(대표 지청천) 등의 공동명의로 중일전쟁에 대한 한국 광복운동단체연합회 선언문을 발표했다.[82] 중일전쟁을 계기로 조소앙, 지청천이 김구를 지지하며 그와 제휴하였고, 미국에 있는 이승만 및 국민회와도 연대하게 되었다.[82] 1938년 5월 후난성 창사 남목청에서 지청천 등과 회합을 갖고 민족주의 진영 3당의 통합 문제로 논의하던중 조선혁명당 당원 이운한의 총격을 받았다. 현익철(玄益哲)은 현장에서 즉사하고 유동렬, 지청천 등은 치료를 받아야 했다. 김구는 심장 옆에 총탄을 맞고 쓰러졌는데 의사들은 가망이 없다고 생각하여 절명하기를 기다리고 있었다.[83] 타고난 체력으로 그는 과다출혈을 하고도 오래 버틸 수 있었다. 총격 직후 백범일지에 의하면 네시간 이상 방치되었다가 김구는 병원으로 실려가 입원시켰다. 병원에 가서 치료후 퇴원하였으나 이후 가슴에 남아있는 총알로 인해 움직임에 불편을 느끼게 되었다. 이후 그의 글씨체는 떨려서 구부러진 글씨를 썼는데 이를 일명 총알체라 한다. 김구는 이운한의 공범으로 강창제(姜昌濟), 박창세(朴昌世)를 지목하였다.[83] 1938년이후 민족정당의 통합을 역설하였으나 민족혁명당 대부분은 1920년대 초반의 임시정부에 대한 창조론, 개조론, 임정고수론 논쟁 당시 개조파와 창조파에 참가하거나 기울었던 인사들이므로 유명무실해진 임시정부를 무시하는 태도를 공공연히 취하였다. 그러나 김구 등 소수인사들은 임시정부가 3.1운동의 결정체이며 민족의 대표기관이므로 해체되어서는 안 된다는 소신을 갖고 있었고 협상은 결렬되었다.[84] 한편 임시정부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 사회주의자, 공산주의자, 진보적 민족주의자와 임정의 보수주의자들을 경멸하는 청년층의 비난도 받게 되었다. 1939년 4월 모친 곽낙원여사가 인후증(咽喉症)과 폐렴 등의 합병증으로 82세로 사망하였다. 아들이 일본군 타살사건으로 체포된 뒤에도 아들을 신뢰하였고, 아들이 독립운동에 참여한 뒤에도 늘 정신적으로 후원해주었다. 곽낙원은 사망하며 자신과 며느리의 유해를 반드시 고국으로 데려가라는 유언을 남겼고 김구는 노가산 공동묘지에 매장하였다가 광복뒤 서울로 운구, 이장하였다. 1939년말 충칭에서 김구는 각 단체의 통일을 추진하였지만 실패하였다. 이때 이승만은 '김원봉, 김규식 등의 공산주의자들과 단합하는 것을 반대한다[85]'는 내용의 편지를 보냈고, 민족혁명당에서는 각 단체들의 연합단체 구성에는 찬동하지만 기왕의 조직을 해체하고 하나의 당을 만드는 데는 찬동할 수 없다[85] 고 하여 대동단합은 성사되지 못하였다. 1939년 김규식, 이상정 등과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에 재선되었다.[86] 임시정부 주석 재임 시[편집] 임시정부 주석에 취임(1940~1944)[편집] 충칭 임시정부 청사. 한국 광복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40년 3월 임시정부 주석 이동녕이 병사하자 김구는 임시정부 국무위원회에서 주석(主席)에 선출되었다. 그해 승인거부되었던 구미외교위원부를 다시 승인하고 이승만을 구미외교위원장으로 임명했다. 9월 임시정부 주석에 재선임되었고, 그해 9월에 중국 국민당 정부에 자금지원을 요청하여 임시정부 최초의 정식군대인 대한민국 광복군을 조직하고, 충칭의 가릉빈관에서 한국 광복군 성립전례식을 개최하였다. 한국독립당군(1939.1)을 확대 개편하여 한국광복군(1940.9)을 창설하였다. 그러나 중화민국 국가 주석 장제스는 광복군의 통수권을 인정하지 않았고, 한국 광복군은 중화민국군의 예하대로서 그 통수권은 중화민국 국민당군에 예속되었다. 4월 치장(朞江)에서 한국국민당, 한국독립당, 조선혁명당 등이 통합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여당으로서 (통합)한국독립당을 창당하였고, 김구는 한국독립당 중앙집행위원장에 선출되었다.[70] 맨 앞줄 좌로부터 (박찬익, 조완구, 김구, 이시영, 차이석두 번째 줄 맨 왼쪽 성주식, 오른쪽 김붕준맨 뒷줄 왼쪽부터 조성환, 조소앙, 이청천, 이범석, 이름 미상 1940년 9월 김구는 중화민국 정부에 한국 광복군을 창설하게 된 경위를 설명하면서 중국으로부터 생활비 이상의 원조는 기대할 수 없으므로 미국에서 활동할 의향을 밝히고 중국정부에 여행증서를 발급해줄 것을 요구하였다.[85] 중국정부는 이곳에서 무엇인가 업적을 남기는 것이 좋지 않겠느냐고 충고하자 김구는 미국행을 단념하고 활동 계획서를 작성하여 중국정부에 제출하였다.[87]1940년 9월 워싱턴의 구미외교위원부 위원장에 이승만을 임명하였다.[85] 이후 구미위교위원부위원장 이승만 등 재미인사들과 연락하여 미국 국방성과 접촉, 광복 직전에는 미군 특수사령부(OSS)와 합동 훈련으로 조선에 잠수함으로 광복군을 침투시킬 계획을 세우기도 한다. 1941년 10월 반파쇼 통일전선 결성을 위해 연안에서 개최된 동방각민족 반파쇼대표대회에서 임시정부 주석 김구는 대회의 명예주석단의 1인으로 선출되었다.[88] 1940년 민족혁명당 인사들과 무정부주의자들이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참여했다. 1941년 6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의 자격으로 미국 대통령 루스벨트에게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승인을 요청하는 서신을 발송했다. 그해 10월 임시정부의 승인에 관련된 문제로 중화민국 외교총장과 회동하였다. 그해 11월 대한민국 건국강령을 제정 공표하는 한편, 12월 일본에 선전포고를 발표하였다.[73] 1942년 2월에는 김성숙, 김원봉, 장건상 등 좌파[모호한 표현]들이 임시 의정원에 참여하였다. 5월에는 김원봉을 군무부장에 임명했다. 그러나 중국내 독립운동은 사회주의계 독립운동가들과 민족주의계 독립운동가, 무정부주의자 등으로 분열된 이념 및 파벌 대립으로 인해 내부적 갈등이 많았다. 당시 임정 내부 좌·우파의 갈등은 1943년 민혁당측이 한독당의 김구(金九) 등 국무위원 5명을 암살제거하고 민혁당의 김원봉 등이 대신 입각(入閣)하겠다는 미수로 끝난 모의문서도 발견되었다.[89] 미국에 체류중인 이승만은 김구에게 항의하며, 이들을 받아들이지 말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주석 재선 (1944~1945)[편집] 1945년 8월 미국 육군 소장 도노번과 면담한 김구 1943년 7월 중화민국 장개석 총통과 회담하여 전후 한국독립의 지원을 요청하였다. 8월 민혁당과의 갈등으로 주석직 사임을 발표하였다가, 9월 다시 주석에 복직하였다.[73] 1944년 4월 임시정부에서 제5차 개헌을 단행하여 주석의 권한을 강화하자 김구는 임시정부 주석으로 재선출되어 취임하였다. 8월 중화민국으로부터 한국 광복군 통수권을 되돌려 받았다. 8월 한국 광복군 통수부를 설치하고 통수부 주석에 취임하였다. 임시정부 주석 겸 광복군 통수부 주석으로 광복군의 통수권을 행사하게 되었다. 따라서 그는 한국독립당의 중앙집행위원장이요 임시정부의 주석이었던 그는 광복군 통수부의 주석도 겸하여 당권, 정권, 군권을 모두 장악, 당·정·군의 삼위일체의 지도체제를 확입하고 광복군을 이끌며 그 확대, 발전을 도모하였다.[90] 9월 그는 중화민국 주석 장개석을 만나서 면담하고 임시정부의 승인을 요구하였다. 그는 독자적으로라도 한국 광복군의 한반도 진주를 추진하고자 하였으나, 중국 내에서 활동하는 군사집단에 대한 관할, 감독, 지도권은 중화민국 정부에 있다는 국민당 정권의 경고로 실패하고 만다. 그는 미국에 체류중이던 이승만에게 수시로 연락하여 한국 광복군과 미국 육군, 공군과의 OSS 합동훈련 계획 진행 상황을 수시로 독촉하였다. 1945년 4월에는 광복군의 OSS 훈련을 승인하였고, 미육군 중국전구 사령관 웨드마이어 중장을 방문하였다. 같은해 초, 장남 김인(金仁)이 폐질환으로 중국 쓰촨 성에서 병사하였다. 7월 한국독립당 대표대회에서 한독당 중앙집행위원장에 재선출되었다. 8월 서안에 가서 미군 도노반 장군을 만나 광복군의 국내진입작전에 합의하였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항복하자 8월 15일 섬서성에서 섬서성 주석 축소주(祝紹周)로부터 광복 소식을 접하였다. 외국의 힘으로 해방된 것을 통탄해하였다고 한다. 귀국 직전[편집] 이승만의 소개로 하지와 면담 (1945년 11월) 이승만의 소개로 하지와 면담 (1945년 11월) 8월 18일 김구는 중경 임시정부로 귀환하였다.[91] 1945년 9월 3일 김구는 임정 국무회의 명의로 발표된 ‘당면정책 14개조’를 발표하였다. 당면과제에 의하면 ‘임정 입국→각계각층 대표자회의 소집→과도정부 수립→전국적 보통선거 실시→정식정부 수립’등 임시정부에서 정규 정부수립 방안을 제시하였다.[30] 김구는 임시정부 자격으로 귀국을 원하였으나 김구는 대한민국 임시정부로의 환국을 추진했으나 미군정은 정부자격의 귀국을 반대, 존 하지 미군정청 사령관은 개인 자격의 환국을 주장하였다. 11월초 국민당의 송별식에 초대되었고, 중국공산당의 송별연에도 참석하였다. 11월 3일 상하이 비행장에 도착한 뒤 임시정부 환국 제1진과 함께 개인자격으로 중국을 출국했다. 당시 임시정부는 귀국을 놓고 서로 먼저 가겠다고 하였으나 민족혁명당계 김원봉의 양보로 김구와 한국독립당 계열이 먼저 귀국하게 되었다. 귀국 시 민족혁명당의 당수였던 김규식도 한국독립당계와 함께 귀국했다. 귀국 무렵 김구 일행은 미국 헌병의 보호를 받았으며 김구의 개인경호원들도 무기를 소지하도록 허용되었다.[92] 김구는 11월 3일 임시정부 1진으로 귀국, 상하이 비행장에서 중국 국민당 인사들의 환송을 받고 출발하였다. 광복 이후[편집] 광복초기 정치활동(1945~1946)[편집] 귀국 직후[편집] 상해 비행장에 내린 임정요인들이 공항에서 환영나온 교민들과 기념사진 1945년 12월 3일. 임시정부요인 귀국기념 사진. 미군정청 사령장관 존 하지, 김구는 이후 그와 수시로 마찰을 빚는다. 11월 3일 오후 비행기편으로 김포비행장에 착륙하였다. 임시 숙소는 조선호텔로 정했고 지주 최창학 자신의 별장인 죽첨장을 그에게 기증했다. 이후 지주 최창학이 기부한 죽첨정(경교장)에서 정치활동을 시작하였다. 개인 자격으로 귀국하였으나 김구는 '내가 귀국할 때 한국의 정부도 돌아오는 것이다' 라고[93] 선언하였다. 11월 4일 장제스(蔣介石) 중국 총통은 해방을 맞아 귀국하는 김구 주석 등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을 위한 전별식을 베풀었다. 이 자리에서 그는 국민당 사무장 우티에청(吳鐵城)에게 명하여 미화 20만 달러(현시가 20억여 원)의 금액을 김구에게 전달했다.[94] 수십년간 대일항전의 동지로 지내온 김구에 대한 최후의, 가장 파격적인 지원이었다.[94] 장제스가 고국으로 돌아가는 김구에게 20만달러라는 거액을 쥐어준 데는 단순한 우정을 넘어 향후 일종의 ‘보은’을 다짐받는 의미가 들어있었다.[94] 그러나 김구는 이 돈을 국내로 들여오는 데 실패했다.[94] 당시 김구·김규식 등은 임정 대표 자격이 아니라 개인 자격으로 입국했다. 해방과 함께 정권을 인수한 미군정이 또다른 권력을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94] 그러나 미군정은 여운형, 박헌영과 인공 내각의 견제를 위해 임시정부가 정부 의 명칭을 쓰는 것을 허용한다. 그리고 미군정은 김구의 개인경호원과 광복군에게 무기를 소지하도록 허용[92] 하였으나 장제스가 준 돈 20만 달러는 끝내 허락하지 않았다. 그가 귀국하자 윤치호(尹致昊)는 그와 만나자는 연락을 취했지만 그는 친일파의 거두로 지탄받고 있었다. 윤치호의 영향력과 일제 강점기 당시 그로부터 받은 지원금 등 윤치호의 요구를 거절할 수 없었던 김구는 거절하는 대신 만남을 차일피일 미루었다. 정치 자금 조달[편집] 1945년 11월 5일 아침 김구 일행이 서울에 입경한 그 다음날, 송진우는 낭산 김준연을 대동하고 백범의 숙소로 마련된 서울 서대문의 경교장(京橋莊)으로 예방해 불굴의 노애국자에 대한 경의를 표시했고, 같은 날 낮 이번에는 국민대표준비회의 대표 자격으로 장택상을 대동하고 예방해 후원회 기금을 전달했다.[95] 얼마 뒤에 임정 요인들은 그 후원금 가운데 깨끗하지 못한 돈이 들어있다 하여 국민대표준비회 사무실로 들고와 처리 문제를 논란했다.[95] 대화는 자연히 거칠어지면서 주먹과 흥분의 수라장이 벌어졌다. 조용히 듣고만 있던 고하 송진우는 참다못해 “정부가 받는 세금 속에는 양민의 돈도 들었고 죄인의 돈도 들어 있는 것이요. 이런 큰일에 그것을 가지고 왈가왈부할 필요가 없을 줄아오”라고 설득함으로써 겨우 수습하기도 했다.[95] 11월 중순, 중화민국의 장제스는 20만 달러의 자금을 보내준다고 연락하였다.[94] 정치자금이 필요했던 김구는 중화민국의 의 정치자금을 수용하였다. 중국과 경쟁하기를 원치 않았던 미군은 중국측이 제공한 정치자금을 허용하지 않았다. 장제스가 돈과 함께 보내준 3명의 무전사와 무전기에 대해서도 무전사를 추방하고 무전기는 압수했다. 다급해진 김구는 뉴욕의 주미 중국대사관을 통해 서울로 송금해줄 것을 부탁했으나 결국 돈은 중국은행에 보관된다.[94] 11월 한민당 인사들이 찾아왔고, 최창학·방응모 등이 그를 찾아왔다. 그러나 귀국 직후 이광수가 한동안 그를 방문하지 않자 대노하여 이광수를 찾았다. 김구의 불호령을 듣고 경교장에 불려간 뒤 이광수는 종종 경교장을 찾았으며 1947년 이후 김구의 7촌 조가 김흥두와 함께 백범 일지 한글판 번역작업에 동참한다.[96] 국내 정치 활동 준비기간 중[편집] 임정요인 환영식에 이승만과 김구 (1945.12.01) 1945년 12월 19일 임시정부요인 환국기념회에서 (단상 첫줄 왼쪽 끝에 앉은 이가 김구) 45년 11월 23일 김구는 바쁜 와중에도 조선일보의 복간을 축하하는 축하 휘호를 작성하여 헌정하였다.[97] 복간축하 휘호의 내용은 '유지자 사경성'(有志者 事竟成)으로 '뜻이 있으면 끝내 성취할 수 있다'는 뜻이었다.[97] 11월 24일 내외신 방송과의 기자 회견을 하였다. 여기서 김구는 '내가 이박사보다 더 나은 수단을 갖고 왔다고 생각해서는 잘못이오. 다만 근 30년 동안 해외에 있다가 돌아온 터이므로, 현 정세에 어둡고 정세를 모르고 판단을 내리기는 어렵소.[98]'라고 답변하였다. 1945년 12월 1일 이승만으로부터 초대받았다. 김구와 김규식은 이승만의 초대를 받고 12월 2일 돈암장을 방문, 2시간 동안 회담하였다.[99] 1945년 12월 서울운동장에서 열린 임시정부 환영회 참석하였다. 서울그라운드에서 윤보선의 사회로 임시정부 봉영식이 시작되었다. 이어 오세창의 개회사, 이인의 봉영문 낭독, 권동진의 만세삼창으로 이어진 뒤 봉영문은 권동진, 김성수, 이인을 통해 김구에게 전달되었다.[100] 하오 2시 20분경 조선생명회사 2층에서 김구를 중심으로 좌우에 이승만, 이시영, 김규식, 류동렬 등이 창을 열고 환영행렬을 맞이하였다.[100] 1945년 12월 23일 오후 2시 김구는 순국선열추념대회를 조직, 주관하였다.[101] 순국선열추념대회 총재로 선출되었다.[101] 12월 25일 돈암장의 이승만을 방문하던 길에, 전속 주치의 류진동을 대동하고 돈암장 산기슭 판자촌을 찾아 세민을 위문하였다. 12월말 신탁통치가 발표되자 모스크바 3상회의 결정에 반대하여 신탁통치 반대운동을 주관하고 신탁통치반대국민총동원위원회를 조직했다.[73] 반탁 결의와 송진우와의 공방전[편집] 송진우 피살 사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송진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5년 12월 28일 모스크바 삼상회의 결과 신탁통치가 결정되자 김구는 이승만과 함께 신탁통치 반대를 결의하였다. 그러나 김규식은 신탁통치 결의문을 입수해 검토한 뒤, 곧 반탁 대열에서 이탈하였다. 이어 안재홍, 여운형 역시 반탁에서 이탈하였다. 그러나 김구는 신탁통치 반대의사를 강력히 관철하려 하였다. 12월 29일 임정 주최로 경교장에서 각 정당 사회단체 대표자 대회가 열렸다. 강원룡의 증언에 의하면 당시 회의에 정당 대표들, 좌익, 우익, 중간파 할 것 없이 다 모였고, 남로당(조선공산당의 오류로 생각된다.) 사람들까지 다 나왔다. 다들 아주 격해 있었다.[102] 송진우 이때 석상에서 김구는 “우리가 왜 서양 사람 구두를 신느냐. 짚신을 신자. 양복도 벗어버리자”면서 흥분했다. 강원룡에 의하면 당시 그 자리에 모인 사람들 대부분이 그런 입장이었다.[102] 한다. 김구는 눈물을 흘리면서 목멘 소리로 "우리 민족은 다 죽는 한이 있더라도 신탁통치만은 받을 수 없으며 우리들은 피를 흘려서라도 자주 독립정부를 우리들 손으로 세워야 한다" 고 절규하였다.[103] 김구는 신탁통치에 찬성하는 자는 매국노라고 규정하였다. 그런데 송진우만은 “침착하고 신중하게 대처하자”고 했다.[102] 송진우는 미국을 적으로 돌리면 공산당이 어부지리를 얻는다는 생각에서 김구와 맞섰다.[104] 송진우는 김구의 중경 임시정부의 통치권 주장을 미 군정에서 도저히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던 것이다.[105] 12월 29일 저녁 송진우가 경교장을 찾아와 김구와 만났다. 송진우의 전기작가는 그가 김구로 하여금 신탁통치 문제에 관하여 미군정과 정면대결을 피하게 하려고 시도했다고 말하였다.[106][107] 브루스 커밍스에 의하면 김구는 경교장을 방문한 송진우가 반탁운동에 가담하도록 설득시키는 데 실패한 것이 분명하며 송진우가 여진히 미국치하의 후견기간을 주장하고 있다는 확신을 받은 것 같다고 보았다.[106][107] 송진우의 이러한 주장이 신탁통치를 찬성하는 것이라고 착각한 김구의 추종자들은 1945년 12월 30일, 그를 자택에서 저격, 사살했다.[104] 송진우와의 면담은 12월 30일 새벽 4시에 끝났으며 두 시간 후 송진우는 종로구 원서동 자택에서 청년단의 저격을 받고 암살당했다.[108] 송진우를 암살한 암살범중의 한 사람인 한현우는 후에 송진우가 미국의 후견을 지지한 것이 자신의 저격 동기였다고 말했다. 다른 증거는 한현우를 김구와 연결시켰고, 브루스 커밍스는 한현우의 배후를 김구라고 보았다.[108] 조병옥도 김구를 암살 배후로 지목한다. 훗날, 국립경찰의 책임자였던 조병옥은 미국인들과의 술자리를 함께 하면서 술에 취해 말하기를, 송진우가 우파 내에서의 중도적인 입장을 견지하면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꺼려한 김구가[109] 암살자를 고용하여 그를 죽였다는 사실을 자기는 알고 있다고 털어놓았다고 한다.[110] 반탁운동 개시와 총파업[편집] 1945년 12월 30일 신탁통치를 반대하는 성명서를 하지에게 보냈다. 12월 30일 하지는 신탁통치에 반대하는 김구의 성명서를 맥아더에게 송신하였으며, 미국이 이것을 모스크바 협정에 언급된 3개국에 전달해줄 것을 강조하였다.[111] 모스크바 3상회의에서 신탁통치안이 결정되자 신탁통치반대위원회는 반탁시위를 주관하였고, 12월 31일 오전 그는 국자(國子)를 발표한다. 그 날, 임정 내무부장 신익희의 포고령이 떨어지자 미군정청의 한국인 직원들이 파업을 선언하는 사태에 이르렀다. 1946년 1월 1일 김구는 미군정 사령관 존 하지에 의해 호출되었다. 이시영, 신익희, 조소앙, 엄항섭 등 다른 임정요인도 함께 군정청으로 불려갔다. 이때 김구는 하지로부터 명령을 거역하면 죽이겠다는 경고를 들었고, 김구는 하지의 융단에 올라 이자리에서 죽겠다고 대들었다 한다. 송남헌은 그가 하지로부터 추방시키겠다고 위협당하였다고 증언했다.[112] 불려갔다 온 김구는 파업을 철회할 것을 주장하였고[113] 엄항섭 대독을 통해 군정청 한국인 직원의 복귀를 촉구했다. 송진우 암살 사건이 전해지자 하지 사령관은 송진우 암살의 배후로 김구를 지목하고 1946년 1월 1일 다시 김구를 미군정청으로 소환하여 경고를 주었다.[114] 1946년 1월 2일 갑자기 조선공산당이 모스크바 3상회의 결과의 지지로 돌변했다.[115] 신탁통치에 반대하였다가 좌익세력이 신탁통치 찬성으로 돌아서자 김구는 조공의 표변을 들며 '조선공산당은 반민족적 집단이고 신 사대주의자'라고 낙인찍고 맹비난을 퍼부었다.[116] 김구는 김성수, 조소앙과 함께 신탁통치 반대운동을 주도해 나갔다. 한편 우파 내에서도 신탁통치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정부수립이 우선이라고 본 김규식, 안재홍은 반탁의 입장을 철회한다. 하지의 임정요인 추방 사태[편집] 임정 주최의 반탁 운동이 극치에 달한 1945년 12월 31일 하오 하지 중장은 조병옥에게 연락관을 보내 사령관실에서 요담할 것을 요청해 왔으므로 즉시 하지를 만나러 갔다. 하지 중장은 말하기를 군정을 접수하려는 임시정부 요인들을 즉시 처치해야 되겠다고 말하면서 그날 저녁 임정 요인 처치에 대한 방송을 하겠다고 조병옥에게 원고 전문을 보여주었다.[117] “ 원래 중경에 있었던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 33명은 한국에 입국할 때 미군정의 법과 질서유지에 복종하겠다는 맹약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신탁통치 반대운동을 빙자하여 미군정을 접수하고 미군들을 축출하려고 획책하고 있었으며 그러한 획책과 군정 접수운동의 여파로써 공공 안녕질서를 유지하기가 불가능하므로 오늘밤 0시를 기하여 인천 소재 전 일본 포로수용소에 수용하였다가 중국으로 추방하겠다.[118] ”   — 원고 내용 하지는 김구에 대한 물리적인 대응도 불사하겠다고 했다. 조병옥은 즉시 이 원고를 다 읽고 난 뒤 경악하면서 하지중장에게 말하기를 임정 요인들은 우리 민족사에 찬연히 빛나는 3.1 운동 이래 자유독립의 혁혁한 경력을 가진 분으로 민족의 자유전치운동의 봉화를 든 민족운동의 투사이므로 이 애국자들의 국외추방은 미군정에 협조하는 한국인의 민심을 이탈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는 동시에 미군정은 한국에 있어서 실패로 끝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니 그런 조치는 중지하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다.[118] 하지 중장은 조병옥의 말을 듣고 있다가 그러면 방송을 중지하겠다고 하였다. 조병옥은 즉석에서 김구와 하지의 면담을 약속받았다. 조병옥은 하지 중장에게 "나에게 김구 주석과 협상할 전권을 맡겨 달라."고 요청하였다. 하지 중장은 이를 쾌히 승낙하였다.[118] 12월 31일 저녁 조병옥은 서대문에 있는 경교장을 방문하여 김구의 숙소를 방문하게 되었다.[118] 조병옥은 김구와 여러 시간 면담하였다. 조병옥은 김구에게 진언하기를 “ 주석께서 입국하실 때에 독립군 한 명도 대동하지 못하고 정치자금도 한 푼도 없이 미군정에 협력하겠다고 맹약한 이상 현재의 입정이 계획하고 있는 미군정 접수 운동은 포기하여야 할 것입니다. 지금 북한은 공산주의 치하에 붉은 물이 들어가고 그에 따라 한반도는 전역에 걸쳐 공산주의 철제에 휩쓸려 갈지도 모르는 이 역사적 단계에 있어서 우리 민족은 미군정의 단계를 통과하지 않고는 도저히 자유독립을 완수하지 못할 것이오니 주석께서는 그 점 신중히 심사숙고하시어 한번 하지 장군과 만나 기탄없는 의견을 교환해 보심이 어떻습니까?[118] ” 조병옥의 말에 김구는 하지 중장을 만나 보겠다고 수락, 그의 진언을 들어주었다. 신탁통치 반대 운동 (1946)[편집] 1946년 제1차 미소공위. 왼쪽부터 이승만, 김구, 스티코프, 안재홍. 한국 방문 중 경교장을 찾아온 피치 박사 부부와 함께 (1946년)앞줄 가운데가 김구, 앞줄 오른쪽이 피치 박사 부부, 앞줄 왼쪽은 조완구, 프란체스카 도너 순, 뒷줄 왼쪽 첫 번째는 엄항섭, 세 번째는 이기붕, 네 번째는 안우생, 가운데는 안미생, 오른쪽 첫 번째는 선우진, 네 번째는 서영해 1946년 1월에는 미소공동위원회가 결정되었다. 김구와 이승만은 미소공위 반대와 공위 불참을 선언했다. 그러나 김규식은 공위 찬성의 입장에 서게 됐다. 한국민주당의 장덕수가 찾아와 김구에게 미소공위 참가를 설득했으나, 김구는 이를 거절하였다. 그는 미소공동위원회가 신탁통치를 추진시킨다고 이를 극력 반대하였다. 장덕수는 미소공동위원회가 신탁통치를 추진시킨다고 이를 반대하는 이승만이나 김구와는 달리 미소공위에 참석하여 한국인의 견해를 당당히 표명하기 위해서는 미소공동위원회와 협의해야 하다고 주장했다.[104] 1월 이승만이 미국에 갈 때, 김구와 조소앙은 '이승만의 민족 외교'를 위해 '외교사절 후원회'를 조직했다.[119] '이승만 박사 외교사절 후원회'의 부위원장은 조소앙이 맡았고, 김구와 배은희 등은 반탁총동원위원회나 비상국민회의에서 이승만의 외교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돈을 거뒀다.[119] 그리고 김구와 조소앙은 이승만의 국내 책임자로 적극적으로 도미 외교를 지지하였다.[119] 1946년 5월의 미소공위 회의장에서 열린 신탁통치 반대 운동 1월 16일부터 2월 6일까지 미소공위 예비회담이 열렸다. 한편 미국에서는 이승만과 김구를 정치적으로 제거할 계획을 세우기도 했다. 조병옥에 의하면 '한편 미군정은 비밀리에 이승만을 정치적으로 거세할 계획을 세우기도 했다. 이승만은 1945년 11월 3일 이래 좌익 우익 합작의 독립촉성중앙협의회의 실패로 말미암아 그 역량이 박헌영을 따를 수 없다는 평을 받았으며 또 이승만은 완강한 정치인이라고 해서 한국 정치계에서 제가되리라고 하였던 것이다.[120] 김구 주석은 극렬한 반탁운동을 하였기 때문에 미국의 신망을 얻지 못하였다.[120]'는 것이다. 이에 이승만과 김구는 정국반전을 꾀한다. 비상국민회의와 민주의원[편집] 1946년 2월 1일 대한민국 비상국민회의가 개최되었는데 김구는 김규식, 이승만, 조만식, 권동진, 김창숙, 오세창, 홍명희 등과 함께 비상국민회의 대의원에 선출되었다.[121] 2월 반탁독립투쟁위원회를 구성하고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122] 1946년 2월 12일 비상국민회의를 소집하고 비상국민회의 의장에 선출되었다. 1946년 2월 13일 비상국민회의 최고정무위원회 최고정무위원직으로 선출되었다. 이 자리에서 비상국민회의 최고정무위원회 설치를 결의하고 비상국민회의는 이승만, 김구에게 최고정무위원 선임권을 주었다. 이승만과 김구는 28인의 비상국민회의 최고정무위원을 선발했다.[121] 이어 남조선국민대표민주의원 총리에 선임되었다.[123] 2월 14일 아침 미군정청 1회의실에서 민주의원이 개소된다는 보도를 접한 김창숙은 이승만·김구가 민족을 파는 반역자가 되었다'고 비판하였다.[121] 민주의원 지도부 구성은 김구와 이승만에 의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좌익은 배제되었다.[124] 2월 14일부터 2월 17일 김구는 비상국민회의를 개최하여 민족통일총본부, 비상국민회의, 독립촉성국민회 등을 통합하여 '국민의회'를 결성하였다.[125] 반탁운동을 수단으로 해서 국민의회로 하여금 과도정부를 수립케 하려는 것이었다.[125] 원래 김구는 이승만이 빠른 시일내에 미국으로부터 정부수립에 대한 확약을 받지 못한다면 자신의 계획을 실천에 옮길 것을 전제하에 이승만의 도미에 찬성하였다.[125][126] 그러나 김구와 임정 계열 일부 인사들이 이승만의 생각과는 달리 3.1절을 전후하여 정부수립을 추진하려던 계획이 알려지고 말았다.[127] 신문에서는 아이들 장난으로 조소하였고 이승만, 한국민주당 등은 국제정세를 모르는 미숙한 자살행위라고 비판했다.[127] 3월 5일과 3월 6일 미군정에 의해 이시영, 조완구, 유림, 조소앙 등과 함께 주한미군 사령관실로 불려가 잡아넣겠다는 협박을 받고 굴복, 계획은 불발로 끝나게 됐다.[125] 1946년 3월 5일 문봉제(文鳳濟) 등 월남 청년들이 주도한 집회가 성공하고, 이에 힘입어 평남동지회가 조직되고, 다시 평남동지회는 평남북 조직을 합친 평안청년회로 확대되었다.[128] 결성대회에는 북한 지역 연고자(이윤영, 김병연, 강기덕)는 물론 김구도 참석했다.[128] 그해 4월 한독당·국민당·신한민족당 등이 한독당으로 통합되자 한국독립당 중앙집행위원장에 선출됐다.[129] 정치 활동[편집] 미소공위 반대 운동 (1946)[편집] 덕수궁 석조전. 이곳에서 미소공위가 개최되어 좌우합작위원회 회담이 열리곤 했었다. 미소공동위원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월 20일에 열린 미, 소 공동위원회에서 소련측은 미국측이 예상했던 대로 모스크바결정을 지지하지 않는 반탁세력은 임시정부 구성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난항을 거듭하던 미, 소공위는 소련측이 양보하여 반탁투쟁을 했더라도 이후에 그러한 활동을 하지 않겠다고 서약하면[130] 임시정부에 참가할 수 있다는 방안을 제시했고 이것에 토대를 두어 공동성명 5호가 발표되었다.[131] 김구는 미소공위 공동성명 5호에 서명하지 않았다. 하지와 민주의원 의장대리 김규식은 김구가 공동성명 5호에 서명하려 하지 않자 그것에 서명할 것을 종용하면서, 서명이 곧 신탁문제에 언질을 준 것은 아니라는 특별성명 등을 발표했다.[131] 그리하여 이승만, 한민당 측에 이어 김구가 서명에 동의하자 소련측이 그것에 이의를 제기하였고, 5월 초 미·소 공동위원회는 결렬되었다.[131] 46년 3월 22일 우파정당 통합에 나선 한독당은 국민당과 통합을 선언하였으며, 이때 김구는 이승만에게 한독당의 중앙집행위원장을 맡아 줄 것을 요청하였다. 그러나 이승만은 '초당적인 국민운동'을 내세워 이를 거부하였다.[132][133] 1946년 4월 이승만과 김구는 밀사 김욱을 조만식에게 파견하였다. 밀사로 파견된 김욱을 접견한 조만식은 자신의 이름을 사용하는 것은 방임하면서도 직접 문서에 서명하지 않았다.[134] 대신 밀사는 조만식의 유고시 그를 대행하는 이윤영의 서명을 받아서 이승만과 김구에게 제출했고, 소련 측에 대한 반박자료로 미·소공위에 제출되었다.[134] 1946년 5월 25일 이봉창, 윤봉길, 백정기의 유해 서울역에서 (오른쪽 두 번째가 김구) 제1차 미소 공위가 결렬되면서 반탁운동은 더욱 고조되었으며, 이승만과 김구는 반탁 운동에서 공동 보조를 취하였다.[135] 1946년 5월 경제보국회로부터 정치자금을 제공받았다. 경제보국회는 이승만, 김구, 김규식 등 우익 정치인들에게 정치자금을 제공하였는데, 이들 중 가장 큰 혜택을 받은 것은 이승만이었다.[136] 6월 이승만이 전라북도 정읍에서 단독정부론을 말할 때 김구는 탈장증으로 용산 성모병원에 입원중이었다. 김구의 제자인 상공회의소 강익하가 찾아와 김구에게 3백만원의 수표를 정치자금으로 건넸으나 그는 국사에 쓰일 돈이라면 이박사(이승만)에게 드려서 쓰게 하라며 돈이 필요하면 이박사에게 얻어쓸 것이라며 사양하였다.[137] 6월 11일 독립촉성중앙회 국민회가 정동교회에서 개최될 때 참석하여 이승만의 연설에 대하여 답사를 발표하였다.[138] 이승만은 이날 연설에서 "소련 사람을 내보내고 공산당을 이 땅에 발 못 붙이게 하자"고 역설하면서, "최고사령부라 할까, 최고의 명령을 내리는 기구를 조직할 터이니 이 명령에 복종함을 맹세"할 것을 요구했다.[138] [139] 이승만의 연설에 이어 김구는 이 대회에서 "우리는 죽음으로써 이승만 박사께 복종하기를 맹세합시다."라고 외쳤다.[138][140][141] 1946년 6월 15일 오후 5시 40분 서울역에 마중나가 서울역에 도착한 삼의사 유골을 영접하였다. 이어 태고사(太古寺)에 마련된 빈소에 참석하였다. 6월 29일 민족통일총본부가 설치되자 김구는 부총재에 선출됐다.[138] 이승만은 국민운동의 총본부 조직으로 민족통일총본부(민총)의 설치를 발표하였고, 이후 본격적인 단독정부 수립운동을 전개해 나갔다. 민총의 총재는 이승만, 부총재는 김구였다.[138] 46년 8월 15일 미 군정청에서 열린 8·15 해방 1주년 기념식에 참석하여 하지 중장, 이승만에 이어 인사말을 했다.[142]10월 좌우합작 7원칙에 대한 지지성명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1947년 미국과 소련의 신탁통치에 반대하는 반탁독립투쟁위원회를 조직하였다. 1946년 11월 우익단체들이 통합하여 서북청년단이 결성되자 김구는 이승만·한민당과 함께 서북청년단에 자금을 지원해 주었다.[143] 임정 정치공작대와 백의사 폭탄투척[편집] 1946년 2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치공작대와 염동진의 백의사는 3월 1일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는 평양역 앞에서 '3.1 운동 27주년 기념식'을 열었는데, 백의사 청년단원들은 김일성에 대한 폭탄을 던졌다. 집회가 진행되는 도중 연단을 향해 수류탄이 던져졌는데, 집회의 경비를 담당한 소련군 부대장 노비첸코 소위가 수류탄을 되잡아 던지려다가 그의 손에서 폭발한 것이다. 노비첸코는 이 폭발로 오른팔이 잘려나가고 한쪽 눈을 다치는 중상을 입었지만, 김일성은 무사했다.[144][145][14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삼일절 행사장에 폭탄을 던진 사람은 남한에서 올라간 열여덟 살 소년 김형집이었다.[144][147][148] 나머지 요원들은 최용건과 김책의 집에도 습격·폭탄을 던졌으나 성공하지 못했고, 강양욱의 집에 던진 폭탄은 강량욱의 아들과 딸을 죽게 만들었다.[144][147][148] 청년단원 중 한명이 임시정부 내무부장 신익희의 명의로 2월 15일에 발급된 무임승차권[149] 을 분실했고[144][148][150] 이는 북한측에 의해 입수되었다. 이 테러가 임시정부의 지시에 따른 것이라는 증거를 확보한 북한은 김구와 이승만을 격렬히 비난하였다.[151] 북한은 김구와 이승만을 “봉건 잔재세력과 외국 팟쇼세력과 제국주의 잔재세력과 친일파의 삼위일체”이자, “이완용을 배운 조선의 매국노”로 규정짓는 강한 적개심을 드러냈다. 조선공산당은 김구의 귀국시 그들의 기관지를 통해 '김구를 민족혁명의 지사', '반제에 일생을 바친 고결한 지사'로 예찬했었지만. 이 테러사건 이후 김구는 북한에서 불구대천의 원수로 낙인찍히고 말았다.[151] 이런 연유로 당시 북한의 출판물에서는 그의 이름으로 '개 구자', '김구'(金狗)로 부르며 매도하였다.[152] 1946년 11월 북한에서는 인민위원회 위원 선거가 있었다. 이때 월남했던 반공세력이 일부다시 월북하여 선거방해를 도모하였다.[153] 김일성은 이를 이승만과 김구가 배후에서 조종한 짓이라고 선언했다. 심지어 이들의 방해로 선전대원 몇 명이 사망한 경우도 있었다. 이들은 “선거가 비민주적이다”, “승려들과 목사들은 선거하지 말라”, “공동후보가 아니라 자유경쟁” 등으로 선거에 비판적이었고, 유권자들에게 선거에서 찬성하면 흑함에 넣으라는 흑함운동을 하기도 하였다.[153] 이들에 대하여 김일성은 인민의 원수이며 반동파들에게 매수되어 그들의 간첩배가 된 세력으로 몰았다. 김일성은 선거기간에 생산기관의 방화, 운수부분에서 충돌사건, 주요 인사의 암살미수사건 등이 반동세력의 반대운동의 일환으로 파악하였고, 나아가서 북한에서 일어난 방화를 이승만과 김구가 파견한 방화단으로 규정하였다.[153] 이승만과의 경쟁[편집] 이승만, 해방 직후 정치적으로 경쟁하던 중, 장덕수 암살 사건을 계기로 결별한다. 김구는 평소 이승만에게 우남 형님, 우남장(雩南丈) 이라며 존대했다. 그러나 반공주의우익 진영의 주도권을 놓고 그와 경쟁관계에 있었다. 미국의 한인 교포 노동자들과, 청년층 지식인들이 정치자금과 후원금을 송금한 이승만과 비교할 때 그에게는 정치자금이 부족했다. 정치자금이 부족했던 그는 화교 무역으로 정치자금 마련[94] 을 모색한다. 이승만은 장제스가 김구에게 지원하려던 거금의 존재를 알게 된다. 그는 정치자금에 관한 한 일찌감치 유리한 위치를 차지했다. 미군정의 후원아래 친일 경제인들이 조직한 대한경제보국회가 1946년 초 2천만원의 정치자금을 모았는데 이중 1천만원이 이승만에게 전달될 정도였다. 이즈음 20만달러의 반입을 포기한 김구는 이승만에게 이 돈을 주기로 약속한다. 임정 시절 이승만과 재미교포 사회에서 받은 지원에 대한 보답 성격이었다.[94] 이때부터 돈을 손에 넣기 위한 이승만의 집요한 노력이 시작된다. 그는 1946년 2월 장제스 총통에게 전보를 보낸다. “20만달러를 미국 안전신탁공사(American Security and Trust Company)에 예치시킨 뒤 워싱턴의 임병직 대령(이승만의 심복)에게 지불해달라”는 것이었다. 전보를 접수한 국민당 우티에청 사무장은 잠시 난감했지만 곧바로 장제스에게 “이 돈은 이승만이 아닌 김구가 수령하는 것이 마땅하다”는 의견을 제출한다.[94] 방응모, 조선일보의 사주였던 방응모는 귀국 이후 그의 정치적, 경제적 후견인이었다. 이승만은 1946년 2월 전보를 시작으로 47년 말까지 4~5차례에 걸쳐 장제스에게 이 자금을 자신에게 달라고 요청한다. 미군정과의 관계악화로 46년 말 도미했던 그는 이듬해 4월 한국으로 돌아오면서 일부러 상하이·난징을 거쳐서 돌아온다. 이때 장제스와 처음 대면한 그는 20만달러 이야기를 꺼내지만 신통한 답변을 듣지 못한다.[94] 이때 장제스는 서울의 김구에게 전화했고, 김구는 이승만이 귀국길에 상하이에 들렀음을 접하고 자금 일부를 국내로 보내줄 것을 요청한다. 그로부터 두달 뒤인 47년 6월 김구는 주한 중국영사관에 부탁해서 10만달러를 임시정부 주화(중)대사관의 운영자금으로 지원토록 한다.[94] 국내정치에서 이승만과 긴장관계가 조성된 만큼 돈을 자기몫으로 챙긴 것이다.[94] 그러나 이승만은 이 돈을 포기하지 않은 채 그해 8월 프란체스카와 함께 주한 중국영사관을 찾아가 나머지 10만달러를 달라고 사정하지만 실패한다. 이 일 직후 10만달러는 김구의 아들 김신이 들여와 경교장 생활비와 ‘백범일지’ 출간비용 등에 충당했다.[94] 정치자금이 부족했던 김구는 일단 한민당이 보낸 자금과 경방에서 보낸 7백만 달러를 받아들인다. 조선일보의 방응모와도 연대하여 경제적 후견인으로 삼는다. 방응모는 곧 한국독립당의 중앙상무위원과 재정부장을 지냈다. 방응모는 1945년 12월 23일 오후 2시 김구가 주관하는 순국선열추념대회에 참여[101], 순국선열추념대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101] 김구가 모스크바 3상회담에 반발, 강력한 반탁운동을 추진하자 12월 30일 결성된 신탁통치반대 국민총동원위원회 중앙위원[154], 1946년 2월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부회장, 6월 29일 민족통일총본부(民族統一總本部) 10인협의회 위원 등으로 참여하였다. 1946년 8월 한국독립당 중앙집행위원으로도 활약하였다. 1946년 이봉창·윤봉길·백정기 3의사 유해봉환에도 적극 참여하였고, 방응모는 김구가 남북협상 노선에 서자 그와 결별하기 전까지 그가 주관하는 행사에 참여하거나 지원하였다. 1945년 말 그는 1천 5백만~2천만 원의 '애국금'을 기부받았다.[155] 정병준에 의하면 '김구가 받은 1천 5백만~2천만 원의 '애국금' 중 상당액이 이승만에게 넘어갔을 가능성이 있다.[155]'고 한다. 정치 자금의 부족은 그의 활동에 제약을 가져왔다. 화교 무역 시도와 실패[편집] 김구는 다른 편으로는 중국 화교무역을 통한 정치자금 조달을 계획한다. 20만 달러의 '해프닝' 이후에도 김구의 한국독립당과 중국국민당 사이에는 모종의 계획이 추진됐다. 1947년 말 임시정부 주화(주중국)대표단에서 국민당과 김구의 연락을 맡고 있던 민석린은 ‘중한동제실업공사 조직요강 초안’을 작성, 국민당 사무장 우티에청을 통해 장제스에게 올린다.[94] 중국 국민당과 한국독립당은 각 당의 경제기초 건설을 위해 중한동제실업공사(中韓同濟實業公司)를 조직한다. 업무범위는 무역·운수·어업·부동산·공장·은행·농장 등으로 정한다. 자금은 우선 1백억원을 중국국민당과 한국독립당이 절반씩 출자하고 장래 업무발전 상황에 맞춰 증자한다. 해방 이후 가장 비중이 컸던 대일무역을 비롯해 대외교역이 거의 끊어진 상태에서 유일한 것이 타이완·홍콩·마카오 등지와 이뤄졌던 화교무역이었다. “타이완산 소금이 한국에 수입됐는데 반응이 좋았고 빈 배로 돌아가기 아까워서 인삼을 실어갔다”는 등의 기록이 있다. 이같은 한·중간 경제활동을 관장함으로써 양당의 정치자금으로 쓰고자 했던 것이다.[94] 민석린과 우티에청 간에 비밀스러운 대화가 오고 갔다. 국내에서 정치자금 조달이 어려운 김구나 장기간의 대일전과 국공내전으로 자금이 소진된 장제스, 양측의 이해가 맞는 제안이 아닐 수 없었다. 오랜 세월동안 임시 정부와 중국 국민당의 연결고리였던 우티에청은 바람직한 내용으로 판단하고 장제스에게 보고한다. 그러나 이 계획은 불발로 끝나고 만다.[94] 1948년은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가 결정적 국면에 다다른 시기였다. 남북한이 각자 단독정부를 수립하면서 김구의 입지는 좁아졌고 결국 이승만에게 정치적으로 패배한다. 중국 국민당 역시 국공 내전이 심화되면서 베이징을 마오쩌둥(毛澤東)에게 내주는 등 수세에 몰리게 되었다.[94] 결국 중화민국은 대부분의 영토를 중국 공산당에게 뺏기게 되었고, 이로써 화교무역을 통한 김구의 정치자금 조달 역시 실패로 돌아가고 만다. 임정법통과 임시정부의 재편성 (1947)[편집] 8.15 광복이듬해인 1946년 백범 김구와 윤봉길의 가족. 왼쪽부터 김구, 부친 윤황, 모친 김원상, 윤봉길의 부인 배용순, 아들 윤종 1947년 보스턴 마라톤 대회이후 경교장에서 기념사진. 왼쪽부터 손기정, 서윤복, 본인, 남승룡 1947년 1월초 이승만의 도미 외교 목적의 출국시 김포 비행장에 나가 환송하였다. 1947년 1월 이승만이 미국을 떠나기 전에 우익세력과 함께 반탁운동을 추진하되 김구가 체포되어 투옥될 정도로 격렬하게 하도록 사전에 말을 맞추었다.[156] 그러나 계획은 미군정 첩보망에 걸렸고 이승만은 1월 16일 미국 워싱턴에서 국내에 전문을 보내 김구에게 과격 시위를 중단할 것을 요청하게 되었다.[156] 존 하지 중장으로부터도 다시 경고를 받았다. 결국 김구는 학생들에게 과격시위를 자제해줄 것을 요청했다. 1947년 1월 18일 김성수, 조소앙, 이철승 등과 함께 매국노 소탕대회 및 탁치반대 투쟁사 발표대회에 참석하였다. 1월 18일 하오 2시 매국노 소탕대회 및 탁치반대 투쟁사 발표대회가 경성 천도교 강당에서 각급학교 맹원 2천여 명이 모인 가운데 거행되었다. 김구는 김성수와 함께 이 대회에 격려사를 하였다.[157] 한편 이승만, 김구 등은 서북청년단 등에도 종종 경제적 지원을 해주곤 했는데 이는 대부분 일회성이었다.[158] 원래 우익진영은 김구의 주도로 1947년 1월 18일 김구의 주도로 우익진영은 전국반탁학련 반탁궐기 1주년을 기념, 대대적인 반탁데모를 계획하였다. 몇사람의 희생도 불사하는 소요를 일으키겠다는 것이었으나 이승만의 만류와 주한미군 사령관 하지의 경고로 김구는 반탁시위를 보류하였다.[156] 1월 18일 우익진영의 반탁행사는 천도교당에서 열린 학생들 주도의 매국노소탕대회 및 탁치반대투쟁사 발표대회로 축소되었고, 김구는 오늘만은 과격한 행동을 삼가고 조용히 해산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156] 이승만을 중심으로 하는 독립촉성중앙회가 김규식의 좌우합작위원회를 '독립운동'의 반역집단으로 규정하고 이들의 회색행동을 철저히 소탕한다고 결의하자, 김구가 위원장으로 있는 반탁투쟁위원회에서는 합작위원회를 유령집단으로 공격했다.[159], 1947년 1월 26일 경교장에서 열린 반탁독립투쟁회 결성에 참여하고 반탁투쟁회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47년 2월 14일~2월 17일 김구는 비상국민회의를 소집하여 민족통일총본부, 비상국민회의, 독립촉성국민회 등을 통합하여 국민의회를 결성하였다. 김구는 만약 이승만이 조속히 미국측으로부터 확약을 받지 못한다면 자신의 계획에 따라 실천에 옮길 것을 전제로 하여 이승만의 도미를 찬성하였기 때문에 이젠 자기 길을 걷겠다고 나선 셈이었다.[125] 김구는 임정 계열과 함께 이승만의 계획과는 무관하게 3.1절 전후로 정부 수립을 계획하였다. 그러나 김구와 임정 계열의 3.1절을 전후하여 정부를 수립하겠다는 계획은 기밀이 누설되어 널리 알려지고 말았다. 신문에서조차 '아이들 장난'으로 조롱하였고 이승만과 한민당은 '국제정세를 모르는 자살행위'라며 비판했다.[127] 미군정은 김구와 이시영, 조완구, 유림, 조소앙 등을 호출하였고, 군정의 호출을 받고 3월 5일 임정 요인들을 데리고 주한미군사령관실을 방문하였다. 군정청은 그들을 잡아넣겠다고 협박했고 이들은 이에 굴복하여 정부수립 계획은 불발로 끝나고 말았다. 정해구는 김구의 이같은 시도에는 '이승만 부재시 정국의 주도권을 쥐기 의한 김구의 의도도 작용하고 있었다, 결국 국민회의를 통해 과도정부를 수립하려던 김구의 이같은 시도는 미군정의 적극적인 대처와 여타 세력의 지원부족으로 제대로 성공할 수 없었다'고 평가했다.[127] 한편 김구의 반탁노선에 반발한 한독당 내의 안재홍, 박용희, 조헌식, 이의식, 이승복, 장지필, 엄우룡 등 구 국민당 세력은 반탁노선에 반기를 들고 미소공위의 성공을 위해 한독당을 이탈하기도 했다.[160] 1947년 3월 3일 임시정부 국무위원을 보선할 때 이승만을 임시정부 주석, 김구는 부주석으로 추대되었다.[161] 김규식.장건상.김붕준(金朋濬) 등 중도파 국무위원은 보선에서 배제되었다.[161] 그리고 1947년 9월 5일의 국무위원 보선에서 재선되었다.[162] 반탁, 임정 법통 운동 (1947)[편집] 김구 (1947년) 4월 21일 이승만이 귀국하는 날, 김포에 마중을 나가 단정론 연설만은 그만두도록 충고하였다.[163] 단정론 연설이 자칫 국민들의 감정을 자극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이승만은 그의 의견을 받아들여 연설을 취소하였다. 1947년 5월 미소공동위원회가 열리자 김구는 이승만과 반탁 투쟁을 전개했다.[131] 6월 19일 미소공위 참석 문제를 놓고 여러 단체간 이견이 존재하자 한민당은 '참여하여 반대한다'는 명분을 내세우며 공위 협의에 참가할 것을 주장하면서 6월 19일 74개 정당 사회단체로 구성된 '임시정부수립대책협의회'를 구성했다. 한국독립당에서도 미소 공위의 참석에 찬성하는 혁신파와 민주파는 한독당을 이탈하여 신한민족당과 민주한독당을 결성하였다. 이로 인해 이승만과 김구만 고립되었고, 한민당의 변화에 분노한 이승만과 김구는 공위 협의 청원서 제출 마감일인 1947년 6월 23일 여러 곳에서 반탁 시위가 벌어지게끔 주도하였다.[164][165] 서울 시위를 주도한 전국학련의 반탁시위대는 소련측 공위 대표단에게 돌을 던지는 등의 맹활약을 하였으며[166] 6월 23일 이철승과 전국학련 주도로 반탁궐기대회가 열렸다. 김구는 6.23 반탁데모를 격려하였다. 김구는 친필로 6.23 반탁데모에 장군 남이가 지은 '남아 이십세에 나라를 평정하지 못한다면/후에 누가 대장부라 이르리'라는 시를 선사하여 격려하였다.[167][168] 그러나 그러나 김구와 이승만의 격려와 지원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군중동원에 실패하고 말았다. 6.23 반탁시위는 10만명을 동원했다는 우익신문들의 보도와 달리 3,4천명에 불과해 대규모 군중을 동원하는 데는 실패했다. 9월 17일 미군정은 한국 문제를 UN으로 이관한다고 밝혔다. '미소공위를 통해 한반도에 민주적 독립국가를 설립한다'는 계획을 포기한다는 선언이었다. 소련은 반발하였고 김구는 이승만, 한민당과 함께 이를 크게 환영하였다.[169] 1947년 7월 28일 서울에서 열린 기독교청년연합회 주최 강연회에 김구, 김규식은 연사로 참여하였다. 김구가 연설을 마치고 내려왔다. 다음 연사인 김규식이 장내에 소개되었다. 장내의 열띤 청중들은 김규식의 예정된 연설을 들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두고 논란을 벌였다. 마침내 한 청년이 나와서 김규식과 같은 유물론자의 연설을 들어서는 안 된다고 하면서 그 대안으로 모두가 귀를 막자고 제안했다. 청중들은 이 문제를 표결에 붙여버렸다.[170] 김규식의 연설을 듣지 말자는 주장은 바로 가결시켰고, 이어 김규식은 조용히 퇴장해버렸다.[171] 김구는 이를 보고 말리지도 않았다. 우익 진영 단결 노력[편집] 덕수궁에서 이승만과 함께 (1947년) 반탁운동, 임정 법통 운동과 함께 김구는 우익진영 단결, 통일을 추진했다. 그는 우선 반공, 우익진영 정당 통합을 추진했고, 다수의 우익인사들은 그의 단결 노력에 동조했다. 안재홍은 광복 직후 조선국민당을 창당하고, 권동진은 신한민족당을 창당하여 각각 독자적으로 활동하였으나, 김구의 우익진영 단결운동에 동조하여 한국독립당에 통합을 시도한다. 그러나 미소공위 참가 여부를 놓고 꾸준히 충돌하다가 국민당계는 탈당하게 된다. 미소공위에 긍정적 의사를 보였던 신한민족당 계열 역시 축출당했다. 김구, 조완구, 조경한 등은 한독당 내 국내파가 정치이념의 차이 등의 이유를 내세워 반대했는데도 불구하고 한민당과의 합당을 추진하였고[172], 김구는 47년 2월 26일 3.1절까지 한민당과 한독당의 합당이 거부될 때에는 한독당위원장직을 사퇴하겠다는 초강경자세로 나왔다.[172] 한민당에서도 김구의 우익진영 단결 노력에 반응하였다. 한민당의 김성수는 한독당과의 통합을 찬성하였으나 장덕수는 한독당과의 통합은 당을 임정 요인들에게 헌납하는 것이라며 주장하였다.[173] 이는 장덕수에 대한 김구의 감정이 악화되는 하나의 요인이 된다. 1947년 11월 김구는 이승만의 노선에 협조하는 대신 김구의 국민의회 중심으로 우익이 단결하는 데 이승만의 동의를 얻어내었다.[174] 1947년 11월 24일 남한 단독선거는 국토 양분의 비극을 가져올 것이라고 경고하는 성명서를 발표하였다.[175] 그러나 1주일 후인 11월 30일에는 전혀 다른 태도를 취했다.[176] 김구는 11월 30일 이화장의 이승만을 방문하여 한시간을 회동, 자신과 이승만의 근본의사의 차이를 보지 못하였다고 성명을 번복하여 발표하였다.[175] 성명서 발표후 이승만과 함께 서북청년회 창립 1주년 기념식에 참석하여 훈화를 하였다.[175][177][178] 1947년 12월 1일 김구는 소련의 방해가 제거되기까지 북한의 의석을 남겨놓고 선거를 하는 조건이라면, 이승만 박사의 단독 정부론과 내 의견은 같은 것이다 라고 하였다.[179] 김구가 반탁운동이 시작되면서부터 우익단체를 통합하기 위해 집요하게 노력하고, 이승만측과의 계속 갈등, 대립한 이유는 중경임시정부의 현실화에 그 목적이 있었다.[172] 이승만, 한민당과의 합작 실패[편집] 장덕수. 재령 보강학교 당시 그의 제자이기도 했다. 1947년 12월 2일 장덕수가 자택에서 피살되자 김구는 그 배후로 지목되었다. 장덕수는 1947년 12월 2일 저녁 6시15분 서울 동대문구 제기동 자택에서 현직 경찰이던 박광옥(朴光玉)과 초등학교 교사였던 배희범 등 5명이 쏜 총격을 받고 사망했다. 12월 4일 미군정 경찰은 박광옥과 배희범을 체포하였다. 용의자 6명은 장덕수를 암살할 목적으로 1947년 8월 창단된 대한혁명단을 조직하였는데 이들은 임정을 절대지지하는 대한학생총연맹의 간부 또는 맹원들이기도 했다. 대한학생총연맹은 47년 6월 운현궁에서 발족되었는데 김구를 총재, 조소앙과 엄항섭을 명예위원장으로 추대하였다.[173] 박광옥은 종로경찰서의 경사로 근무하는 경찰관이었고, 배희범은 초등학교 교사로 모두 한독당 당원이었다. 장덕수가 암살되자 장택상은 김구를 체포하려 했다. 장택상에 의하면 '설산 장덕수 암살 사건이 일어났을 때의 일이다. 수사가 진전됨에 따라 암살의 배후에 김구 씨가 직접 관련된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백범의 지지파 내지는임정측이 관련된 혐의가 있다는 것이 포착되었다. 그러므로 나는 경교장에 대한 수색 영장을 내려고 하였다.[180]'는 것이다. 장택상은 여차하면 김구의 소환까지도 검토하고 있었다. 이를 눈치챈 하지 중장이 이를 저지시키고 말았다.[180] 미군정청 경찰은 김구가 이끄는 국민회의 간부 10여명을 연행하는 등 김구를 배후로 지목하였다. 우파정당 통합에서 한민당은 빠졌는데 그 중 한국독립당과의 통합을 가장 반대하던 사람이 장덕수였다. 이 점이 김구를 배후로 지목하는 시각에 무게를 더해주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한민당의 김성수는 한독당과의 통합을 찬성하였으나 장덕수는 한독당과의 통합은 당을 임정 요인들에게 헌납하는 것이라며 주장하였다.[173][181][182] 미소공위 참여에 대해서도 공위참가에 반대하던 김구와 찬성하던 장덕수 사이에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173] 용의자들은 재판에서 장덕수가 정권을 잡기 위해서 신탁을 시인하는 미소공위에 참가할것과 해방전 공산당은 민족주의자들로 조직되었는데 장덕수는 그때 공산당의 이론가였다는 것, 일본헌병대의 촉탁인 국민총연맹의 고문으로 학생들을 격려하여 학병을 장려하는 등 친일적 행동을 한 것이 암살 동기라고 주장하였다.[182][183] 건국실천원양성소 설립[편집] 단국대학 설립시 격려차 방문 1948년 1월 18일 낙원동앞줄:김구 장형, 뒷줄:장도빈, 엄항섭, 양주동, 김정실, 박정숙건국실천원양성소(建國實踐員養成所)는 1947년 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한 단체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이었던 김구(金九)가 귀국한 뒤 국가 건설에 따른 인재의 필요성을 느껴 서울시 용산구 원효로에 있던 원효사를 본부로 설립하였다. 이 단체는 김구의 자주정부 수립을 위한 준비의 일환으로, 임시정부가 1940년 9월 충칭(重慶)에서 제정, 공포한 <대한민국건국강령>을 기초로 하였다. 건국강령은 제1장 총칙, 제2장 복국(復國), 제3장 건국으로 구성되었고, 그 내용은 정치·경제·교육의 균등한 발전을 통하여 복국(復國), 건국(建國), 치국(治國), 더 나아가서는 구세(救世)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한 삼균주의(三均主義)를 바탕으로 하였다. 독립운동 과정 중 복국의 단계에서 광복군(光復軍)이 필요했던 것처럼, 건국의 단계에서는 건국의 동량이 필요했고, 이 필요에 의하여 1947년 3월 이 양성소가 설립되었다. 명예소장에 이승만, 소장에 김구, 이사장에는 장형(張炯)으로 출발한 이 양성소는 전국 각지의 우수한 애국청년들을 선발하여 건국운동의 중견 일꾼으로 양성하고자 교육을 시켰다. 이러한 인재 양성의 발상은 청년들이 국가를 건설하는 데 매우 중요한 구실을 한다는 김구 개인의 신념에서 나왔다. 양성소의 매기 교육 인원은 100명 내외였다. 교육기간은 제1기가 2개월이었고, 제2기부터 마지막 교육을 받은 제9기까지는 1개월이었다. 교육내용은 독립운동사·정치·경제·법률·헌법·역사·선전·민족문화·국민운동·철학·약소민족문제·농촌문제·협동조합·사회학·공산주의 비판·여성문제 등과 특별강의였다. 강사는 조소앙(趙素昻)·조완구(趙琬九)·신익희(申翼熙)·지청천(池靑天)·나재하(羅在夏)·김성주(金成柱)·김경수(金敬洙)·최호진(崔虎鎭)·김정실(金正實)·양주동(梁柱東)·민영규(閔泳珪)·엄상섭(嚴詳燮)·엄항섭(嚴恒燮)·김학규(金學奎)·설의식(薛義植)·김기석(金基錫)·이상조(李相助)·주석균(朱碩均)·홍병선(洪秉璇)·김하선(金昰善)·김석길(金錫吉)·안재홍(安在鴻)·정인보(鄭寅普)·황기성(黃基成)·이인(李仁)·김활란(金活蘭)·김법린(金法麟)·박순천(朴順天)·이은상(李殷相) 등 각계의 인사들이었다. 1949년 6월 26일 한국독립당 당수 김구가 육군포병소위 안두희(安斗熙)에게 권총으로 저격된 김구암살사건(金九暗殺事件)이 발생하였다. 건국실천원양성소의 본부였던 원효사는 김구가 암살된 후, 1949년 8월 23일 건국실천원양성소는 해체되고 건물은 1949년 9월 홍익대학교에 인수됐다.[184][185][186][187] 김구의 건국실천원양성소에 대해서는 건국실천원양성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생애 후반[편집] 이승만과의 결별[편집] 김구는 장덕수 암살사건 관련자로 당국의 조사를 받으면서 받은 모욕감때문에 이승만과 결정적으로 결별[188] 하였다. 김구는 한살 위인 이승만을 깎듯이 형님이라고 부르고 이승만이 나가던 교회에까지 따라 나갈 정도로 형님에게 극진한 대접을 하였다.[189] 강준만에 의하면 '어찌됐건, 피를 나눈 형제 못지 않게 정을 주고받았던 의형제 사이의 애증관계가 아니라면, 김구의 행동은 달리 이해하기가 어렵다.[189]"고 했다. 미군 군사법정에서 증인 자격으로 심문중인 김구 김구는 자신이 법정에 서지 않게 해달라고 이승만의 도움을 요청했지만 이승만은 그럴 마음이 없었다. 이승만은 응답을 회피했고, 이승만이 장덕수 암살사건으로 위기에 처한 국민회의를 뒷짐 지고 방관하면서 따로 한민당과 연대하며 독자적으로 '한국민족대표단'을 구성하자 김구는 크게 분노하였다.[182] 이승만은 "김 주석이 고의로 이런 일에 관련되었으리라고는 믿을수 없다."며 사실상 김구 관련설을 강하게 암시하였다.[190] 1947년 12월 22일 김구는 단독정부 절대반대와 '한국민족대표단'의 해산을 주장하였다.[182] 이승만과 김구의 연대에 비판적이던 한민당은 이 사건을 정치적인 호재로 이용하고자 하였다.[191] 김구의 항의로 한국민족대표자회와의 합동작업이 재개되었지만 한민당의 강한 반대에 부딪혀 무산되었다. 한민당은 김구와 임정계를 일제 시대 악명 높은 사교 집단인 백백교에 비유하면서 "살인마의 조직과 명령 계통을 근절하라"고 촉구하였다.[191] 장덕수가 암살되었을 때 이승만은 김구를 배후로 지목했고 그 후 김구는 검찰에 연행되어 수모를 당한 후로 이승만과의 결별을 결심했다.[191] 사학자 신복룡은 "장덕수 암살 사건이 일어남으로써 김구가 이끄는 국민회의와 이승만이 이끌던 한국민족대표자대회의 통합이 무산되었고, 결과적으로 이승만에 대한 김구의 배신감이 배가되었다."라고 했다.[191] 1947년 백야 김좌진의 추모회에 참석한 김구는 김좌진의 추도사를 했다. "당신도 총에 맞고 나도 총에 맞았는데, 왜 나 혼자 살아서 오늘날 이 꼴을 본단 말이오. 당신은 영혼이 되시어 우리 동포를 이끌어가는 나를 보호해 주시오. 그리고 땅 밑에서 당신과 만날 때 우리 둘이서 그 옛날 서대문감옥에서 하던 말 다시 말해 봅시다."[192] 1948년 1월 UN 한국위원단에 통일정부 수립을 요구하는 의견서를 발송하였다. 1948년 1월 12일 UN한국위원회가 서울에 도착하자 회의에 참관하였다. 1월 28일 유엔위원단에게 단독정부를 반대하고 남북지도자회의를 소집할 것을 요구하는 의견서를 보냈다. 재판정 출두[편집] 김구의 군정청 법정 출두 장면 (1948. 03. 13) 1948년 2월 초 미국 대통령 해리 트루먼 명의로 군정청 재판정 소환 출두서와 여비가 경교장에 도착되었다. 2월 10일 통일정부 수립을 절규하는 《삼천만 동포에게 읍소함》 이란 제목으로 남한 단독정부의 수립반대 성명을 발표하였다. 이어 김규식과 공동으로 남북협상을 제안하는 서신을 북한에 보냈다. 3월 김규식, 김창숙, 조소앙, 조성환, 조완구, 홍명희 등과 함께 7인 공동성명을 발표하여 남한총선거 불참을 표명하였다.[193] 1948년 3월 김구가 장덕수 암살사건의 배후 혐의로 미군정의 재판을 받게 되자, 건국실천원양성소 소원 50여 명은 혈서를 써서 군정청에 항의하였다.[194] 3월 13일 미군 군사법정에 증인 자격으로 출두하였다. 김구는 증인 자격으로 재판정에 섰지만 미군정청 군법무관들로부터 추궁당했다. 김구를 심문한 미군정청 군법무관들은 대위, 소령, 중령급이었다. 내가 지시했다고 하는 것은 나를 모략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나는 왜놈 이외에는 죽일 놈이라고 말한 적이 없다. 설산이 죽은 것만도 분한데 왜 나한테 자꾸 이러느냐?[195] 암살범인 박광옥은 김구의 증인 신문 때 법무장교와 김구 사이에 격렬한 논쟁이 벌어지자 피고석에서 김구 선생을 모욕한다고 고함을 지르며 혁대를 풀어들고 횡포를 벌여 미군 헌병의 제지를 받기도 했다.[195] 1948년 3월 8일 이승만은 언론에 장덕수의 사건에 김구가 연루되었다는 것은 믿을 수 없다. 부하 몇사람 행동이 김구에게 누가 끼친 것은 유감이라는 담화문을 발표하였다. "고 장덕수씨 사건에 김구가 관련되었다는 말은 얼마 전에 들었으나 근일 항간에 허무한 풍설이 많이 유포되고 있는 때이므로 나는 별로 신뢰치 않았던 것인데 지금에 와서는 신문에까지 보도되고 있는 때이므로 나로는 사실을 모르고 좌우간 단언할 수 없으나 김 주석이 고의로 이런 일에 관련되었으리라고는 믿을 수 없다. 김주석 부하 몇 사람의 무지망동한 죄범으로 김 주석에게 누가 미치게 한 것은 참으로 통탄할 일이다. 앞으로 법정의 공정한 판결이 있을 줄 믿는다."[196] 그러나 이승만은 장덕수의 암살범을 김구라고 확신했고, 경교장 측에서 지원, 구명 요청이 왔으나 모두 거절한다. 3월 4일 미군 검찰은 권총·사진 등과 함께 김구가 관련되어 있다는 내용의 '피고인 진술서'를 증거로 제출 하였다. 피고인들은 진술서가 고문과 강압에 의한 것이라 주장하였지만, 미국 군율재판 위원회 에서는 트루만 미국 대통령 명의로 3월 12일 법정에 출두하라는 「소환장」을 김구에게 발부 하였다.[197] 장덕수 암살 사건에 대한 재판은 3월 한달 동안 21회에 걸쳐 계속 되었다.[197] 남북 협상으로 선회 (1948)[편집] 38선에서 모습 김규식 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48년 1월 김구가 남북협상에 참여할 뜻을 굳히자 신익희, 조소앙이 찾아와서 그를 만류하였고 이철승 역시 그를 찾아가 만류하였으나 듣지 않았다. 당시 김구의 현실적인 처지는 더욱 어려웠다. 김구는 한편 으로 선거 참여를 권유 받으면서, 다른 한편으로 장덕수 암살 사건에 관한 군율 재판으로 곤욕을 치러야 할 형편이었다.[197] 김구가 남북협상론으로 노선을 바꾸자 측근의 한사람이던 김학규도 반대하였다.[198] 그리고 김학규는 안두희를 김구에게 소개하고[198], 그를 한국독립당에 입당시켰다. 1948년 3월 1일 남로당 중앙위원회로부터 "제국주의자의 앞잡이가 되어 조국의 분할 침략계획을 지지하고 나라를 팔아먹는 이승만, 김구, 김규식, 김성수 등의 정체를 폭로하고 인민으로부터 고립·매장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는 비판을 받았다.[199] 한편 한민당으로부터 김구와 김규식의 주장이 남로당 주장을 대변하고 있는 것 같다느니, 그들이 "크렘린 궁의 사자"라느니 하며 비난을 받았다.[199] 한민당은 총선거에 임하여 만천하 동포에게 고함 에서 김규식은 한 때 공산당원이었으니 그 태도가 공산당과 동일할 것은 필연의 귀결로 볼 수 있고, 김구도 토지국유정책 등을 볼때 공산당과 통할 가능성이 있다.[199] 는 공격을 당했다. 남북협상 참여 당시 그는 대통령이 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졌다고 한다. 북행 직전 장건상은 김구를 찾아 방북할 의향이 있는가를 물었다. 그러나 김구는 방북할 의향이 없다는 의사를 밝혀왔다.[200] 1948년 4월 김구는 김규식 등과 함께 북행을 결정하고 4월 19일 북행길에 올랐다. 김구가 방북할 뜻을 표현하자 수백 명의 청년들이 경교장 앞에 와서 못가십니다 를 외치며 가로막았다. 김구는 학생들에게 호통을 쳤지만 학생들이 물러나려 하지 않자, 아들 김신, 비서 선우진에게 북행길을 포기한다 하고 발표하고는 담을 넘어서 차를 타고 출발하였다. 김구의 출발 소식이 알려지자 북행길을 주저하던 김규식 역시 출발한다. 4월 김구 북행을 결행하려 하자 이철승을 비롯한 전국학련 일행들은 '이승만 박사와 노선이 분열되면 안 된다'며 경교장에 드러누워 김구의 북행을 저지했다[201] 못 가십니다. 가시려면 우리의 배를 지프차로 넘고 가십시오. 그러나 김구는 자신이 체포되어 법정에 섰을 때는 도와주지 않고 이제와서 북행길은 반대하느냐며 학생들을 향해 실랑이를 벌였다. 그 뒤 경교장에서 사람이 나와 김구는 북행을 하지 않을 것이라 설명하자 이철승 등 청년들은 해산했다. 그러나 김구 일행은 이들을 피해 담벼락을 넘어 경교장을 나갔다. 청년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김구 일행은 남북협상에 참여하러 북한으로 갔다. 남북협상 참여[편집] 김구와 김규식이 평양에 나타나자 장건상은 놀랐다고 회고하였다.[202] 이어 남북 연석회의에 참여하고 공동성명서를 발표하였다.[193] 남한의 주요 정치인사들은 북행하였으나 연석회의에는 불참하였다. 이는 철저히 소련 군정청의 민정청장 레베데프가 세운 각본대로 진행되었던 것이다. 이를 눈치챈 김구는 4월 22일 회의에만 참석해 형식적인 인사말만 하였다.[203] 1948년 4월 평양 을밀대에서왼쪽부터 선우진, 김규식, 김구, 원세훈 순 1948년 3월 21일 김구는 "근일에 김두한 군의 사건을 보아도 우리가 얻는 바 교훈이 많다. 김 군이 자기범행에 대해서 법적 제재를 받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할 수 있으나, 그 범행이 애국적 동기에서 나왔다고 간주할 수 있으며, 또 그가 위대한 애국자 김좌진 장군의 영사(令嗣)라는 점에서 보면, 그에 대한 구명운동이 그토록 열렬하지 못하다고 아니할 수 없다. 그러면 우리는 과연 어떻게 할 것인가"라고 말하였다.[204] 1948년 4월 7일 압록강 동지회에서 열린 YMCA임시회의에 연사로 참석한 윤치영으로부터 임정을 팔아먹은 사람이라는 비난을 받았다.[205] 4월 30일 평양의 김두봉의 집에서 김규식, 김일성, 김두봉과 함께 열린 '4김 회동'에 참석하였다. 이 자리에서 김구와 김규식은 이승만의 단선·단정 반대를 주장하면서도 김일성 등에게도 북한의 단독정부 건설을 중단해 줄 것을 부탁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남측만의 단독선거를 주장하는 이승만에 반대하면서 북측의 공산주의에도 비판적인 입장을 보여 김일성의 단독정부 수립에도 역시 반대하였다. 조국분단의 위기를 만구하기위하여 남북의 열렬한 애국자들이 일당에 회집한 것은 실로 감격스러운 일이며 ...(이하 중략)... 1948년 5월 다시 돌아왔다. 남북협상을 마치고 돌아가는 김구는 김일성에게 조만식을 데리고 내려가게 해줄것을 부탁하였으나 김일성은 자신에게는 권한이 없다며 주둔군 당국의 양해가 있어야 된다며 거절하였다.[206] 장건상의 증언에 의하면 '연석회의 당시 대부분의 인사들은 김일성 만세를 불렀고, 그러면 누군가 술을 따라주고 밴드가 울린다. 그러나 김구 선생은 전혀 김일성 만세 라는 말을 안했다.'고 증언하였다.[202] 남북협상의 실패[편집] 김구의 남북협상 참가 배경에 대해, 남북 통일정부가 수립되면 대통령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도 가졌다고 한다. 김구가 남북협상을 다녀온 후, 한독당 중앙 간부에게 북한방문 보고서를 제출했다. 그 일부가 남로당에 유출되었는데, 이를 목격한 남로당원 출신 박갑동에 의하면 김구의 생각이 나와있다고 한다. "통일정부가 수립되면 '이북사람들이 전부 김구를 지지한다.' 그래서 자기가 대통령이 된다.", "만일 단독정부를 하면 남한에서는 이승만, 북한에서는 김일성이 되는데, 통일적으로 하면 자기가 대통령이 된다." 고 확신했다는 것이다.[207] 1948년 4월 26일 김구는 송태산장을 찾아 도산 안창호의 형인 안치호, 여동생 안신호를 만나고 내려왔다. 5월 10일 3.8선을 넘어 귀환하였다. 남북협상에 다녀와서 나 없는 동안에 총선거니 뭐니 해서 거기 입후보한 사람은 다 탈당해라[208] 고 했다. 그러자 김선(1910~) 등 총선거에 출마한 당원들은 '할 수 없이 탈당[208]'하였다. 김선 등은 '그래도 다 같이 애국운동 하던 사람인데(이승만) 이젠 나라 세운다니까 여기서 일하자.' '말이 당수지 나가랄때 나가자 우리가 아쉬울 것이 있냐[208]' 하며 한독당을 탈당했다. 김구와 이승만의 감정의 골은 깊어졌다. 한독당의 당원이던 김선의 회고에 의하면 남북협상에 다녀온 뒤 '날 보고 하는 얘기가 이승만 박사 욕을 하더라[208]'는 것이었다. 우리가 중국서 뻣뻣한 빵 한 조각으로 며칠씩 끼니 할 때 이승만이 반역자 자금 걷으러 미국 간다 하고선 돈커녕 미국 여자 하나 얻어서 침대서 잠자고 이제 와서 지가 애국자라고 나와?[208] 그러면서 말도 꺼내기 싫다는 것이다. 이승만은 이승만 대로 김선에게 '거 뭣하러 가서 만나느냐[208]'고 대응했다. 이승만은 '김구는 혁명가는 될 수 있어도 정치가는 못 되고, 그저 곡괭이 들고 나가서 부수라면 하겠지만 정치 다독거리는 건 못해[208]'라며 조롱하였다. 김구는 남북협상에서 김일성에게 이용당한 것을 알고 침울하게 보냈다. 김일성이 2차 회의를 제의해 왔을 때는 완전히 거절해 버렸다.[209] 1948년 7월 21일 김규식과 함께 통일독립자 촉진회를 결성하였다. 김구는 통일독립자촉진회 주석에 추대되었다. 김구는 반공주의자였고[210] 김규식 또한 반공적이어서 두 사람은 통일독립촉진회에 친북인사들이 들어오는 것을 크게 경계하고 북의 정부수립을 배신행위로 단죄하고 북한·좌익과 선을 긋고자 끊임없이 노력하였다.[210] 여순 사건 관련 공방전[편집] 1948년 10월 9일 서울 운동장에서 열린 민족청년단 창단 2주년 기념식에 참석하여 축사를 낭독하였다. 10월중순 여수·순천 반란 사건 당시 국무총리 이범석은 배후를 김구로 지목했다. 이범석 국무총리 겸 국방장관은 10월 21일 기자회견에서 "이 사건은 정권욕에 눈이 어두운 몰락한 극우정객이 공산당과 결탁해 벌인 정치적 음모"라며 사실상 김구를 지목한다.[211] 이번 국군이 일으킨 반란의 주요 원인과 폭동 성질은 수식 전에 공산주의자가 극우의 정객들과 결탁해서 반국가적 반란을 일으키자는 책동이었다.[212]-서울신문 1948. 10. 22일자 기사 천인공노할 공산주의 도당의 패악은 물론 여기에 국가와 민족을 표방하는 극우파가 가담하여 죄악적 행위를 조장시키고 사리를 위해 합한 것은 가증한 일이다.[212]-자유신문 1948. 10. 22일자 기사 10월 21일 오전 11시 이범석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여순사건을 '공산주의자가 극우정객들과 결탁해 일으킨 반국가적 반란'이라고 규정했다.[212] 그에 의하면 "공산주의자가 극우의 정객들과 결탁해서 반국가적 반란을 일으키는 책동[213]"이며 국군 내의 "주모자는 여수 연대장이었던 오동기(吳東起)[213]"라고 밝혔다. 이범석은 또 "국가, 민족을 표방하는 극우파가 가담[213]"했다고 발표했다. 다음 날 이범석은 포고문을 발표한다. 이범석 총리는 10월 22일 '반란군에 고한다'는 제목의 포고문에서 '반란군이 일부 그릇된 공산주의자와 음모정치가의 모략적 이상물이 되었다.(서울신문 1948. 10. 24)'고 언급하며, 이 반란사건에서 '극우정객'의 역할이 매우 컸음을 은근히 부각시켰다.[212] 이날 김태선 수도경찰청장도 장단을 맞추었다. 10월 1일 발생한 '혁명의용군사건'에 대한 수사발표를 통해 여론몰이를 거들고 나선 것이다. 이범석, 김태선 등이 자신을 극우파로 지적하자 김구는 분개하였다. 그러자 김구는 극우정객이 반란에 참여했다는 근거가 없다며 반박하였다. 이후 김구는 10월 27일 여순사건 진압 직후 공식 기자회견을 열어 "나는 극우분자가 금번 반란에 참여했다는 말을 이해할 수 없다"며 관련 사실을 극구 부인했다.[211][214] 김구의 반박 보도문은 조선일보와 한성일보를 통해 보도되었다. 나는 극우분자가 금번 반란에 참여했다는 말을 이해할 수 없다. 그들은 극우라는 용어에 관하여 다른 해석을 내리는 자신만의 사전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214] 급히 열린 임시국회에서 국회의원 정광호는 극우가 참가했다는 국방부 장관의 발표 때문에 인심이 나쁘다며 극우가 참가했다는 발표에는 정정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윤치영은 극우가 참가한 것만은 사실[215] 이라고 계속 주장하였다. 이에 김구는 그 극우가 대체 누구냐며 윤치영에게 따졌고, 윤치영은 누군지는 알수 없지만 극우 인사인 것은 분명하다며 응대하였다. 칩거 생활[편집] 김구 (1949년) 한편 김구는 분명 남한만의 단독정부수립이 조국을 영원히 분단시킬 것이며, 결국은 군사대결로 치닫을 것이라고 확신했었다.[216] 비록 정치도덕가는 아닌 김구였지만 그러한 조선 민족의 희생은 너무나 엄청난 것이었으므로, 그는 김규식과 함께 타협하여 민족통일을 이룩하려고 시도했던 것이다. 리처드 로빈슨에 의하면 '두 김씨의 입장은 이승만에 대한 두려움, 개인적 혐오감, 애국심이 복합된 것이었다.[216]' 한다. 1948년 8월 김구는 어머니 곽낙원의 시신을 중국에서 운구하여 서울특별시 정릉에 안장했다.[217][218] 이어 차남 김신을 시켜 상하이와 쓰촨성 충칭에 있는 부인 최준례, 맏아들 김인의 시신을 발굴하여 천장식을 기독교회 연합장으로 거행하고 정릉 가족묘지에 안장했다.[217][218] 어머니 곽 여사의 유골을 정릉 뒷산에 안장할 때 기수들이 기마의 장대 역할을 맡아 운구차를 호송해주었다.[219] 경마 경주를 좋아하였으나 이때 운구를 호송해 준 기수들에게 고마운 마음을 표현하고 싶었던 그는 이후 주말이면 거의 빠지지 않고 경마장을 찾기도 했다.[219] 이승만도 경마장을 자주 찾았고, 이때부터 경마대회 시상 중 이승만상, 김구상이 즉석에서 생겨났다고 한다.[219] 반민특위 재개와 부활[편집] 김구는 민족과 조국의 미래를 위해 민족의 반역자인 친일파들은 반드시 처단해야한다며 반민특위를 다시 일으켜야 한다고 했다. 그일로 악랄한 친일파였던 장경근, 김창룡, 김종원, 안두희, 등의 모든 친일파들의 입장에선 김구는 신경이 거슬렸던 존재였다. 이일로 인해 암살할 명분이 생기기도 했다. 암살[편집] 1948년 11월 미·소 양군 철퇴 후 통일정부 수립이 가능하다는 담화를 발표하였다.[193] 1949년 1월 한독당 중앙집행위원회 회의석상에서 남북협상에 대해서 일부 인사들이 부정적 태도를 보이는 것도 무리가 아니라고 피력하면서 북한의 공산주의자들에 의한 맹약 파괴에 동요하지 말 것을 당부하고[220] 서울에서 조국의 통일을 위한 남북협상을 희망한다고 발언하였다. 같은달 서울 금호동에 '백범학원'을 세웠고, 3월 마포구 염리동에 창암학교를 세웠다.[193] 한편 김구는 암살 음모가 꾸며지고 있다는 제보를 접하였다. 그러나 일본인도 살해하지 못했는데 동포가 어떻게 위해를 가하겠느냐며 대수롭지 않게 넘겼다. 경교장에 안치된 김구 1949년 6월 26일, 12시 36분, 김구는 서울의 자택인 경교장에서 육군포병 소위 안두희에게 총격당하였다. 곧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74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명동성모병원 원장 박병래는 정모 수녀 등 몇몇 간호수녀들을 대동하고 경교장으로 찾아가 천주교 예식대로 세례를 주었고[221] 베드로 라는 세례명을 받았다.[221] 생전에 성모병원에 입원하였고[221] 당시 수녀들의 권고로 언제든 천주교에 입교할 것을 언약하였다.[222] 며느리인 안미생의 권고도 있었다 한다.[222] 6월 26일 사망하자 성모병원 간호수녀들이 시신을 염하였다.[222] 안두희가 한국전쟁 이후 사면을 받고 군납업체를 운영했기 때문에 권력층의 보호를 받았을 것이라고 추정만 될 뿐, 그 배후가 누구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일설에는 신성모 국방장관, 채병덕 육군총참모장, 장은산 포병사령관, 김창룡 소령, 김병삼 대위, 김태선 서울시 경찰국장, 김성주 서북청년단 부단장, 정치브로커 김지웅 등이 가담하고, 홍종만, 안두희 등이 하수인이었다는 견해가 있으나 배후는 미궁이다. 암살의 배후[편집] 김구의 묘 김구의 암살 배후는 미궁이다. 한때 백의사의 소행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정병준 박사, 재미사학자 방선주 교수는 안두희가 미군 방첩대(CIC) 정보원이자 정식 요원이었으며, 우익청년 단체였던 백의사 특공대원으로 활동한 사실이라는 점을 미 국립공문서 보존기록관리청 문서를 통해 밝혔다.[223] 그러나 백의사 단원들은 어떠한 연관성도 없다고 강력하게 부인하며 백의사 단원이자 백관옥의 동생인 백찬옥에 의하면 염동진은 백범 김구의 암살 소식을 듣자 노발대발했다고 한다. 김구의 비서로 지냈던 선우진은 김구의 암살에 백의사의 연관이 없다고 말했다. 창원대학교 도진순 교수는 염동진은 백범에 대해 적대적이라기보다는 상호의존적이었으며 염동진이 안두희에게 김구 암살을 지시했다는 언급은 문서 어디에도 없으며 명백한 오보라며 반론하였다.[224][225][226] 실제로 설령 그렇다고 해도 당시 정황상 염동진이 지시했다는 가능성은 전무하다. 한편 안두희는 초기 진술에서 자신의 동료로부터 김구가 '자신의 목적'을 위해 군대를 이용하려 한다는 말을 듣고 행동을 강행하였다[216] 고 진술하였다. 한편 안두희가 자신의 군 동료로부터 '김구가 자신의 목적을 위해 군대를 동원하려 했다'는 정보를 접한 것은 외부에는 공개되지 않았다. 추도사[편집] 위키문헌에 이 글과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대통령 이승만 추도사 전문 위키문헌에 이 글과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국무총리 이범석 추도사 전문 위키문헌에 이 글과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전 임정 부주석 김규식 추도사 전문 위키문헌에 이 글과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한국독립당 대표 엄항섭 추도사 전문 암살 직후[편집] 경찰은 암살자가 자신의 동료로부터 김구가 '자신의 목적'을 위해 군대를 이용하려 한다는 말을 듣고 행동을 강행하였다고 밝혔다. 그러나 대한민국 경찰은 암살의 목적이 무엇이었는지 외부에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216] 6월 27일 이승만은 김구의 죽음이 그의 한국독립당 내에서의 의견 분열 때문이었다고 비판했다.[216] 그러나 정부의 한 고위 인사는 김구의 쿠데타 미수를 발설하였다. 뉴욕 타임즈는 한국 '정부고위소식통'을 인용하여 김구의 죽음은 이승만 정부를 전복하려 했던 군사쿠데타 음모가 발각된 결과라고 보도했다.[216] 김구의 장례는 국장이 결정되었으나 한독당 측에서는 민족장을 고집했다. 정부에서 이범석과 신성모, 허정 등을 경교장에 파견하자 조완구, 조소앙 등은 너희가 죽여놓고 너희가 국장을 하느냐며 흥분했고 실랑이와 몸싸움, 언쟁을 벌이기도 했다. 정부측이 보낸 사절단과 한독당 인사 간에 마찰이 빚어졌고, 김규식의 중재로 국가와 민족을 합한 국민장이 결정되었다. 김구의 국민장은 10일간 거행되었다.[227] 김구의 국민장은 1948년 8월 정부수립 이후 대한민국 최초의 국민장이었고, 조가(弔歌)는 시인 이은상이 지었다. 행진곡은 쇼팽의 장송행진곡을 다단조로 연주하였다. 같은해 7월 5일 국민장으로 효창공원에 안장되었다. 사후[편집]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중장(뒤에 대한민국장)에 추서됐다. 저서로 《백범일지》《도왜실기》· 《백범어록》 등이 있다. 그의 사후에도 둘째 아들 김신은 계속 대한민국 공군으로 복무하였고, 한국 전쟁에 참전하였으며 공군 중장으로 퇴역한다. 한편 미국으로 떠난 맏며느리 안미생은 미국인과 재혼했다는 추측만 있을 뿐, 행방은 미상이다. 안미생과 함께 미국으로 출국한 손녀딸 김효자 역시 생존 여부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백범김구기념사업회가 조직되었고, 1960년 고정훈 등에 의해 한민당과 이승만 계열에 의한 암살의혹이 제기되었다. 김창숙 등에 의해 백범 김구 시해진상규명위원회가 구성되어 암살범 안두희(安斗熙)의 출국을 막고 시해 진상규명운동을 꾸준히 벌여 왔다. 1963년 서울특별시 남산에 동상이 세워졌다. 1990년 8월 1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조국통일상이 추서되었다.[228] 1998년 백범기념관이 준공되어 2002년 10월 22일에 건립되었다. 2007년 11월 5일, 2009년 상반기 중 발행될 10만원권의 도안 인물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이명박 대통령 집권 후 이승만이 또 다른 후보로 등록되어 논란이 일어나자 10만원권 지폐의 발행은 전면 취소되었다.[229][230] 기타 약력[편집] 1910년대 이전[편집] 1880년 백부 김백영 사망 1888년 조부 김만묵 사망 1892년 임진년 경과에 응시하였으나 낙방, 매관매직의 타락상을 보고 서당 공부를 그만두었다. 석 달 동안 두문불출하고 마의상서로 관상 공부. 그외 서적들을 두루 탐독하고 집안 아이들을 모아 1년간 훈장을 하였다.[231] 1901년 부친 김순영 사망 1902년 여옥과 약혼 1903년 약혼녀 여옥 사망[232] 1904년 12월 최준례(崔遵禮)와 결혼, 장련 읍내로 이사. 1905년 11월 대한매일신보 황해도 장연지사장[233] 1907년 2월 대한매일신보 황해도 장연지사장 사퇴 1907년 신민회에 참가 1911년 안악사건에 연루돼 15년 형을 받고 수감 1915년 가석방 1919년 4월 10일 대한민국 임시 의정원 의원 1919년 8월 12일 대한민국 임시 정부 내무부 경무국장 취임 1924년 대한통의부, 참의부 김명봉,박희광등과 군자금 모집과 친일파 암살계획 협력 임시정부 활동[편집] 1926년 12월 임시정부 국무령에 선출됨. 1929년 5월 백범일지 상권 탈고, 8월 상해 교민단 단장에 선출.[69] 1930년 8월 4일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령 1931년 10월 결사단체인 한인애국단을 조직하여 항일무력활동을 시작, 1932년 1월 일본 쇼와 천황 살해를 노린 사쿠라다몬(桜田門) 폭탄투척 사건 1932년 2월 상하이에 정박중인 이즈모 호 폭파에 윤봉길을 파견했으나 미수. 1932년 4월 상하이 훙커우 공원 쇼와 천황 생일축하식장의 폭탄투척사건 등 지휘. 1932년 5월 한인애국단원 이덕주·유진식, 조선총독 암살을 위해 국내에파견했으나 체포됨.[234] 1932년 5월 한인애국단원 유상근, 최흥식 등을 관동군 사령관 본장결을 암살하기 위하여 만주로 파견하였으나 체포됨.[234] 1935년 한국국민당 조직. 1939년 5월 30일 측근이었다가 결별한 안공근이 암살되었다. 김구의 최측근 인사인 모 독립지사의 수하들이 안공근을 제거했다는 의혹을 받았다.[235] 1940년 3월 대한민국임시정부 주석에 선임. 1940년 9월 대한민국임시정부 충칭(重慶)으로 이전. 한국 광복군 성립전례식을 갖고 광복군 총사령부를 설치. 1944년 4월 대한민국임시정부 주석에 재선임. 1945년 대한민국의 이름으로 대일선전포고(對日宣戰布告). 광복군 침투부대를 편성하여 본국 상륙훈련을 실시. 광복 이후[편집] 1945년 9월 8일 조선인민공화국 내각의 내무부장으로 선임되었다.[236] 그러나 뒤에 김구는 취임을 거절했다. 1945년 11월 김구는 임시정부를 정부의 자격으로 귀국을 시도한다. 그러나 미군정의 반대로 정부 자격으로 귀국 좌절. 중국 공산당과 중국 국민당, 각각 임시정부 송별연을 베풀어 줌.[237] 1945년 11월 2일, 존 하지 중장, 주한미군 사령부 참모회의 석상에서 "김구는 스튜(고깃국)에 필요한 소금이 될 것이고, 그의 출현은 우리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236]"라고 말함. 8.15광복 후 1945년 11월 3일 미군 수송기 편으로 임정요인 환국 제1진으로 귀국. 1945년 11월 24일 존 하지 중장, 김구를 "조선을 극히 사랑하는 위대한 영도자"로 묘사. 한국독립당 위원장으로서 삼상회의 결정서를 반박하고 신탁통치 반대운동을 주도. 1945년 12월 24일 한국소년군 총본부 총재에 추대되기도 하였다.[238] 1945년 12월 27일 김구는 삼천만동포에게 고함 이라는 주제의 방송담화(엄항섭 대독)에서 강력한 국방군의 건설을 주장하기도 했다.[239] 1946년 1월 18일, 반탁전국학생연명(반탁학련) 데모대가 김구에게 반탁학생대회의 경과를 보고하기 위해 김구가 주도하는 반탁국민총동원위원회가 있는 서대문 서교장으로 향했다. 신문로에 이르렀을 때 좌익성격의 학병동맹원들과 충돌하였다. 같은 날 천도교 교당에서 열린 학생들 주도의 매국노소탕대회 및 탁치반대투쟁사 발표대회로 행사를 축소 개최하였다. 이 자리에서 김구는 오늘만은 과격한 행동을 삼가고 조용히 해산해줄 것을 당부하였다.[156][240] 1946년 2월 13일 비상국민회의의 최고정무위원직으로 선출된 데 이어,[241] 1946년 2월 14일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민주의원) 부의장이 되었다.[241] 1946년 3월 1일 이승만과 함께 3.1절 기미독립선언기념전국대회를 주관하였다. 1946년 6월 일본에 사람을 파견하여 이봉창, 윤봉길, 백정기 3의사 유골을 찾아, 국민장으로 효창원에 안장하였다.[193] 한편 방응모등의 재정적 후원을 얻었다.[출처 필요] 1946년 6월 이승만이 단독정부수립을 발표하다. 그러나 이때 김구는 탈장증세로 성모병원에 입원중이었다.[242] 1946년 6월 29일 민족통일총본부 결성식에 참석, 민족통일총본부 부총재에 추대되었다. 1946년 11월 우익단체들이 통합하여 서북청년단이 결성되자 김구는 이승만·한민당과 함께 서북청년단에 자금을 지원해 주었다.[143] 1947년 1월 반탁독립투쟁위원회를 조직하고 제2차 반탁운동을 전개하였다.[193] 1947년 1월 전국반탁학련 반탁 궐기대회 1주년을 기념하여 46년과 같은 몇사람의 희생도 불사하는 대대적 반탁데모를 계획하였다. 그러나 이승만의 만류와 존 하지의 경고로 보류하였다.[243] 1947년 1월 18일 우익진영의 반탁행사인 '매국노소탕대회' 및 '탁치반대투쟁사 발표대회'에서 참석하여 과격한 행동을 삼가고 조용히 해산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244] 1947년 1월 24일 반탁독립투쟁위원회의 위원장 맡음. 1947년 3월 12일 미국의 트루먼 대통령이 '트루먼 독트린'을 발표하자, 김구는 '트루먼이 전 세계 자유애호 인민에게 희망을 주었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보냈다. 1947년 9월 17일 미군정이 조선문제를 유엔으로 이관하겠다고 발표하자 소련은 강력 반발하였다. 이때 김구는 이승만, 한민당과 함께 이를 크게 환영하였다.[245] 1947년 12월 국사원에서 백범일지 출간.[193] 1948년 1월 28일 유엔위원단에게 단독정부를 반대하고 남북지도자회의를 소집할 것을 요구하는 의견서를 보냈다. 1948년 2월 10일 <삼천만 동포에게 읍소함>이란 제목으로 남한 단독정부 수립반대 성명 발표 남한만의 단독 총선거를 실시한다는 국제 연합의 결의에 반대하여 통일정부수립을 위한 남북협상을 제창하여, 1948년 4월 19일, 북행길에 올랐다. 1948년 3월 장덕수 암살사건의 증인 자격으로 미군정청 재판정에 출두하였다.[246] 1948년 4월 30일 평양의 김두봉의 집에서 김규식, 김일성, 김두봉과 함께 '4김 회동'이 열렸다. 이 자리에서 김구와 김규식은 이승만의 단선·단정 반대를 주장하면서 김일성에게도 북한의 단독정부 건설을 중단해 줄 것을 요청하였으나, 실패하였다. 1948년 8월 어머니 곽낙원 여사, 장남 김인의 유골을 봉환하고, 9월 이동녕·차이석 선생의 유골을 국내로 봉환 천장식을 하고 사회장으로 효창원에 안장하다.[193] 1949년 1월 서울특별시 금호동에 백범학원을 세움. 1949년 3월 서울특별시 마포구 염리동에 창암학원 세움.[193] 1949년 6월 26일 경교장에서 육군 포병 소위 안두희에게 암살당함. 국민장으로 효창공원에 안장됨. 향년 74세.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추서. 2009년 6월 26일 소지품인 회중 시계, 유묵 작품 3점, 인장(印章) 3점 및 피살 당시 착용한 혈의(血衣)가 등록문화재 439호~442호로 등록 의혹과 논란[편집] 반(反) 이승만 쿠데타 기도 의혹[편집]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전후하여 그가 쿠데타를 계획하였다는 의혹이 제기되어 왔다. 1948년 8월 대한민국 제1공화국 정부 수립 이후 김구는 이승만 정권을 전복시킬 쿠데타를 기도하였다는 의혹이 여러 번 제기되었다. 이범석은 그가 극좌파와 손잡고 정부 전복을 기도한다고 주장했다.[211] 그리고 직접적인 언급은 피하고 여순 사건 당시 극우 정객이 극좌파와 손을 잡고 정부 전복을 기도한다고 하여 그를 사건의 배후로 지목했다.[212] 그러자 김구는 조선일보에 사설을 발표, 여순 사건에 극우 관련운은 이해난(이해하기 어렵다.)이다고 맞받아쳤다.[212] 그러나 이후에도 김구의 쿠데타 준비설은 계속 나타났다. 국군 내에는 이승만을 축출하고 김구를 추대하려는 세력들도 존재하고 있었다. 미국 정보기관 CIC는 김구가 정부 전복 쿠데타를 기도한다는 정보를 입수했다. 미국의 첩보기관 CIC의 보고에 의하면 1949년 그는 염동진과 손잡고 이승만 정부를 전복할 쿠데타를 기도하였다고 보고하였다. 그에 의하면 '북한의 황해도, 평안남도, 평안북도에서 소요와 폭동이 있은 직후 우익 군사파벌이 쿠데타를 일으켜 이승만 정부를 전복하려는 음모의형성 단계에 김구와 염동진이 개입한 증거[247]' 가 미군 방첩대에 입수되었다. 한편 창원대학교 교수 도진순은 '염동진이 김구를 추종하는 우익 장교들의 내부 동향을 CIC 요원에게 제공하였다는 것'으로 보기도 했다.[225] 한편 대한민국 국군 창군 주역 중 제4연대 소속 장교들은 정부에 불만을 품고 김구를 수반으로 하는 정부를 세울 계획을 짜기도 한다. '제4연대 장교들의 참모회의 과정에서 김구를 수반으로 하는 보다 군사적 유형의 정부가 수립되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여러 차례 토로되었으며, 그럴 가능성이 존재한다.[247] 이에 따르면 이 정부는 김구의 파시스트형 정부에 합류할 북한군 내부의모든 친소장교들에 대하여 즉각적인 배척을 야기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많은 장교들과 경찰관리들과의 대화를 통해서 그 요원은 이승만 배후에 미국의 세력, 권력과 위신 때문에 비록 현재는 이승만 정부가 요구되지만, 이러한 유형의 정부는 결코 한국의 통일문제를 해결하거나, 한국이 재건하고 군사적 기반을 통하여 국가들 중의 국가가 되도록 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247]'는 것이다. 북한의 황해도, 평안남도, 평안북도에서 소요와 폭동이 있은 직후 우익 군사파벌이 쿠데타를 일으켜 이승만 정부를 전복하려는 음모의 형성 단계에 김구와 염동진이 같이 관여[225] 하였다. 염동진과의 쿠데타 기도는 곧 미군 방첩대와 당시 대한민국 총리인 이범석의 귀에도 들어가게 됐고, 염동진과 김구의 쿠데타 시도 관련 문건이 미국 방첩대에 전달되면서 그 내용이 외부로 알려지기도 했다. 염동진은 김구와 비밀 연락과 접촉관계를 갖고 있었다. 염동진은 한국군 내부에 존재하는 우익 반대파(Rightist dissidents)의 통신을 김구씨에게 전달해주는 매개자역할을 해왔다.[247] 그런데 염동진이 국군내 자료를 김구에게 전달하고, 군내 불만세력과 김구의 사이를 연결 목적으로 작성한 서신이 미군정 방첩대로 빼돌려지기도 했다. 이 군대내 파벌은 고급 장교로 구성되어 있었다. 한국 내 CIC 사령부에 제출되는 보고서들은 비밀로 분류되었다. 한번은 제출되는 정보들을 보호하기위한 보안장치들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한국인 요원들을 매개로 해서 내 자신이 점검을 해본 일이 있었다.[247] 한 건의 비밀보고서가 실질적으로 한국경비대(국군) 정보참모부(G-2)에 뿌려졌고 김구에게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247] 이후 이 문서는 미군정 방첩대 수중에 들어간다. 그 후에 문서화된 보고서들이 전달되지는 않았으나, 구두 보고들이 한국주재 CIC 사령부 정탐과 책임장교와 전라남도 지구 CIC 사무소 광주 책임장교에게 이루어졌다.[247] 그러나 한편으로 염동진이나 백의사는 광복 이후 백범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독자적으로 활동하였으며[225], “염동진이 김구씨에 대해서는 때때로 격렬한 비난을 가하면서도 동시에 군사적 견지에서 김구의 장점과 가능성을 격찬한다”는 구절에서 알 수 있듯이 염동진은 때때로 김구에 대해 비판적이기는 했으나, “염동진의 김구에 대한 비판은 중국에서 그의 독립운동을 인정하지 않는 이승만 정부 인사들에 대한 증오에 미치지는 않는다”는 바로 다음 구절을 보면 당시 염동진은 적어도 이승만 정부측보다는 김구측을 더 선호하였던 것은 분명하다.[225] 염동진은 김구-우익의 A급 정보를 미군 CIC에 전달하는 주요 정보원으로 등장한다. 그의 의도는 우익 쿠데타의 당위성을 설명하는 것이었는지 모르지만, 미군은 그것을 반대로 활용하였다.[248] 한편 김구가 암살된 직후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김구의 암살 배경에 대해 철저히 함구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 정부의 어느 고위층이 외국 언론에 김구의 쿠데타 미수 계획을 발설하였다.[216] 이 익명의 고위인사는 외신 기자들에게 김구의 쿠데타 미수를 밝혔고, 바로 뉴욕 타임즈는 한국 '정부고위소식통'을 인용하여 김구의 죽음은 이승만 정부를 전복하려 했던 군사쿠데타 음모가 발각된 결과[216] 라고 보도한다. 안준생 암살 사주[편집] 1945년 8월 귀국 직전 그는 안중근의 차남 안준생을 암살하라는 부탁을 하기도 했다. 그에 의하면 '민족반역자로 변절한 안준생을 체포하여 교수형에 처하라 중국 관헌에게 부탁하였으나 관원들이 실행치 않았다.[249]'는 것이다. 변절한 안준생을 체포하여 교수형에 처하라[249] 고 부탁했고, 부탁의 사유로는 '안준생은 왜놈을 따라 본국에 돌아와 왜적 이등박문(伊藤博文)에게 부친 의사의 죄를 사하고, 미나미 지로 총독을 애비라 칭하였다.[249]'고 했다. 안중근 사후 생계의 곤란을 겪던 안준생은 조선총독부에 사과를 한 일이 있었다. 그러나 미나미를 아버지라 했다는 근거는 불확실했다. 그러나 그의 안준생 암살 부탁은 중국 관원으로부터 거절당했다. 안공근 암살 의혹[편집] 안공근 피살 사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39년에 실종, 암살된 안공근의 살해의 배후로 지목되기도 했다. 실제로 해방 뒤에도 독립운동가의 후손들 중에는 김구의 측근이었던 모 독립운동가가 안공근을 납치, 살해하고 시신을 유기했다는 의혹이 널리 언급되었다. 1932년 이후 김구는 그의 최측근 중 한사람이었던 안공근과 여러 번 마찰을 빚었는데, 그 뒤 안공근은 1939년 5월 30일 상하이에서 실종, 피살되었다. 안공근은 한때 김구의 측근이었으나 일본군이 점령한 난징에서 형수(안중근의 처)를 모셔오지 못했다는 이유로 김구로부터 심히 질책받았고, 임정의 자금 중 일부를 개인적으로 쓴 일과, 도박으로 자금을 탕진한 일이 있었다. 안공근은 김구의 심한 질책을 받고 임정 이동 대열에서 이탈하였다. 그밖에 안공근은 임정의 자금을 유용했다는 의혹을 받기도했다. 김구는 안공근에게 부여된 임시정부 및 한인애국단의 대외 연락업무를 박찬익에게 맡겼다. 이후 안공근은 독자적으로 활동하던 중 상하이의 한 부두에서 사라졌었다. 안공근은 의문의 실종을 당했고, 이후 김구의 최측근 인사인 모 독립지사의 후하들이 안공근을 제거했다는 의혹[235] 이 독립운동가 후손들 사이에서 널리 언급되고 있다.[235] 김립 암살, 무고 의혹[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김립 암살 사건입니다. 1922년 초기에 상하이 임시정부가 한인사회당의 간부인 김립(1880~1922)을 “레닌이 보낸 독립운동 자금을 유용했다”고 성토한 데 이어 김구의 부하인 오면직, 노종균 두 청년이 1922년 2월 11일에 상하이의 거리에서 김립을 사살했다.[250] 그는 백범일지에서 김립이 레닌에게서 지급받은 금괴로,'북간도 자기 식구들을 위하여 토지를 매입하였고,[251] 이른바 공산주의자라는 한국인, 중국인, 인도인에게 얼마씩 지급하였다.[251] 그러고서 자기는 상하이에 비밀리에 잠복하여 광동여자를 첩으로 삼아 향락하는 것이었다.[251] 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레닌이 준 자금을 김립이 김구 등 임시정부의 우파적 지도자들의 손에 들어가지 않았던 것이 화근이 됐다.[250] 는 반론도 있으며, 그가 중국 여자를 첩으로 삼고 향락을 즐겼는가 여부는 뜬소문이라는 반론도 있다. 레닌이 한형권, 김립 등에게 준 자금은 한인사회당 내지는 사회주의 정당 건설의 공작금으로 지급된 자금이었다. 이들은 자금을 실제 활동비와 한국인 사회주의자들에게만 분배하였고 임정 측에는 내놓지 않았다. 노르웨이 오슬로 대학 한국학 교수 박노자에 의하면 이 암살을 ‘정당한 응징’으로 묘사한 <백범일지>의 권위가 절대적이기에 김립이 “응분의 대가를 받았다”는 통설을 의심한 이들이 여태까지 거의 없었다 한다.[250] 그러나 박노자는 한국외대 반병률의 주장을 인용해 사실이 아닐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한국외대 반병률 교수의 연구에 의하면 김립의 ‘횡령 행위’가 사실이라기보다는 정적이 유포한 뜬소문이었다. 레닌 정부의 바람대로 김립과 그 동지들이 세 차례에 걸쳐 수만루블의 자금을 한인사회당에 어렵게 운반해주어 한·중·일 좌파 혁명가들의 사업비로 쓰게 했지만, 그 자금이 김구 등 임시정부의 우파적 지도자들의 손에 들어가지 않았던 것이 화근이 됐다.[250] 박노자는 이를 두고 '동족 테러'라고 비판했다.[250] 그에 의하면 자금 문제를 놓고 그 뒤에도 우파 민족주의자들에게 '동족 테러' 가 빈번히 이용됐다는 사실은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무장 독립운동의 비극적인 이면[250] 이라는 것이다. 김구는 자신의 저서 백범일지에서 김립이 사치, 향락을 하고 광동인 첩을 사서 즐겼다고 하였으나, 김립이 축첩을 했다는 근거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장덕수 암살 의혹[편집] 1947년 12월 장덕수가 암살당하자 한독당을 용의자로 의심되었고, 그는 용의선상에 오르게 된다. 허정은 장덕수 암살이 임정 짓이라고 확신하였다. 그러나 차마 김구 주석에게는 가서 따지지 못하고 소년시절부터 친하게 지내던 조소앙을 찾아가서 따졌다. 장덕수가 암살당하자 허정은 조소앙을 찾아가서 "왜 설산을 죽였소"라며 따졌다.[252] 구미위원부에 10년간 근무했던 허정은 한인애국단과 이봉창, 윤봉길 거사를 준비하는데 조소앙이 기여한 점을 근거로 조소앙을 찾아갔던 것이다. 허정은 격렬하게 항의하였다. 그러나 조소앙은 너털웃음을 터뜨리며 말을 피했다. 허정은 "너털웃음으로 숨길 수 있을 줄 아시오? 끝내 속이지는 못합니다.[252]"라고 외치고는 뛰쳐나왔다. 장덕수가 암살되자 장택상(당시 수도경찰청장 겸 경기도경찰청장)은 김구를 체포하려 했다. 장택상에 의하면 '설산 장덕수 암살 사건이 일어났을 때의 일이다. 수사가 진전됨에 따라 암살의 배후에 김구 씨가 직접 관련된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백범의 지지파 내지는임정측이 관련된 혐의가 있다는 것이 포착되었다. 그러므로 나는 경교장에 대한 수색 영장을 내려고 하였다.[180]'고 했다. 장택상은 여차하면 김구의 소환까지도 검토하고 있었다. 이를 눈치챈 하지 중장이 이를 저지시키고 말았다. 장택상에 의하면 '그리고 이 사건을 군정 재판에 넘기고 말아서 우리(군정청 경찰)는 끝내 손을 못 대고 말았다. 평소 모든 사건을 매서웁게 처리하는 나의 성질을 잘 알고 있던 하지 중장은 혹 김구 씨에게 무슨 화가 가지 않을까 염려가 된 나머지 이와 같은 조처를 취하였던 것이다.[180]'라고 했다. 결국 장덕수 암살 사건의 배후로 임정과 한독당, 민주의원에 모두 간부로 몸담던 김석황, 조상항이 체포되면서 김구까지 법정에 서게 되었다. 만주 폭격 계획 의혹[편집] 해방 직후 그는 만주 폭격 계획을 추진하였으나 실패하였다. 미국 제1군사령부 정보장교인 조지 실리 소령의 보고서는 김구와 염동진은 만주 지역의 폭격을 계획한 만주계획을 세웠다 한다.[253] 만주 폭격 계획은 1947년 말 ~ 1948년 초에 여러 차례 김구가 강조한 만주에서의 군사계획이었다. 이때 김구, 이청천, 이범석[253] 등은 북한을 폭격할 계획을 세운다. 김구 등은 '중국 국민당 지역에서 활동했던 우익 민족주의자들은 북을 무력공격할 뿐만 아니라 중국 내전에서 장졔스의 중국 군대와 동맹해 한·중의 공산주의 세력을 소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구상은 종국적으로 동북아에서 공산주의 세력을 격멸한다.[253]'는 것이었다. 즉 남·북·만주가 포함된 이 계획은 한국·중국·미국의 동아시아 삼각 반공 군사 동맹 체제의 수립[253] 계획이었다. 그러나 김구가 남북협상에 참여하면서 조직원들이 떨어져나가면서 타격을 받았고, 인력과 장비의 부족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이후 김구의 암살로 만주 폭격 계획은 실패, 백지화된다. 김성수 암살 기도 의혹[편집] 송진우, 장덕수 등의 암살 배후 의혹 외에도 김성수 암살 미수의 배후로도 지목되었다. 미 군정의 보고서[254] 에 의하면 김구는 김성수의 암살을 기도[255] 해왔다 한다. 그는 한민당과 한독당의 통합에 찬성하였지만 김구측에 의한 김성수 암살 기도[255] 가 미수로 끝나면서 한민당측은 임정을 노골적으로 증오하게 되었다. 김성수는 불쾌감을 드러내지는 않았으나 내심 분개했고, 김구에 대한 한민당과 그 후신들의 시선 역시 곱지 않게 되었다. 민간인 살해 논란[편집] 김구는 자신의 저서 백범일지에서 쓰치다 조스케를 일본 군인이라고 기술하였으나[18], 계속 민간인이라는 의혹이 제기되어 왔다. 또한 당시 일본의 기록이나 조선의 기록에서도 쓰치다 조스케가 군인이라는 내용은 없다. 2003년 11월 말 김완섭은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을 방문, 국회 과거사진상규명특위 공청회에서 “김구 선생은 ‘민비’의 원수를 갚기 위해 무고한 일본인을 살해한 뒤 중국으로 도피한 조선 왕조의 충견(忠犬)”이라는 내용의 문건을 배포[256] 하였다. 또한 그는 "김구가 무고한 일본인을 살해했다"[257] 는 내용의 인쇄물도 배부하였다. 문건을 받아 본 일부 국회의원과 시민들은 즉석에서 그에게 비난을 퍼부었고, 일부는 이를 근거로 검찰에 들고가 그를 고소했다. 2004년 7월 검찰은 공소장에서 “김구 선생이 1896년 10월 황해도 안악군 치하포항에서 살해한 ‘쓰치다’는 당시 조선인으로 위장한 일본군이라는 사실이 밝혀졌고 김구 선생이 쓰치다를 처단한 뒤 체포돼 사형 선고까지 받았다가 1919년 중국으로 망명했는데도 도주한 것처럼 허위 사실을 적시했다”고 밝혔다.[256] 이어 그는 서울고검으로부터 불구속 기소 처분을 받았다. 서울고검 정현태(鄭現太) 검사는 7월 27일 그를 백범 김구(金九) 선생의 명예를 훼손한 혐의(사자명예훼손)로 소설 ‘친일파를 위한 변명’의 작가 김완섭씨를 불구속 기소했다고 언론에 밝혔다.[256] 또한 서울고검은 "김구가 무고한 일본인을 살해했다"고 주장한 문건을 배포한 친일작가 김완섭씨를 허위사실로 인한 명예훼손으로 직권 기소한 바 있다. 서울고검의 검사 정현태는 김완섭에 대한 기소는 국사편찬위원회와 국가보훈처 자료를 면밀히 검토하고 나서 내린 결정이었다[257] 고 밝혔다. 그러나 1997년 창원대학교 교수 도진순은 자신이 찾아낸 일본 외무성 자료에 의하면 쓰치다 조스케는 계림장업단(鷄林奬業團) 소속 상인[21] 이었다고 주장했다. 이는 백범일지 도진순 주해 1997년판에도 실려있는 내용이나 2002년도판에는 도진순 스스로 이 주장을 철회하여 계림장업단 부분을 삭제하였으며 현재 쓰치다 조스케가 상인이었다는 것외에 계림장업단 소속이었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없다. 더불어 계림장업단이 치하포 사건 이후인 1896년 5월에 조직되어 시기상으로 맞지 않는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그리고 언론인이자 전 국회의원 손세일도 자신의 저서 이승만과 김구 신판에서 쓰치다라는 이름의 그 일본인은 대마도 출신의 민간인에 불과했다는 의견을 피력했다.[22] 이승만과의 결별 과정[편집] 1947년 11월 24일 김구는 남한 단독선거는 국토 양분의 비극을 가져올 것이라고 경고했으나, 1주일 후인 11월 30일에는 전혀 다른 태도를 취했다. 그날 김구는 이승만을 방문해 한 시간 정도 요담한 후, 자신과 이승만은 조금도 근본 의사의 차이를 보지 못했다고 말하면서 사실상 단독정부 참여 의사를 밝히는 성명서를 발표했다.[176] 그러나 12월 2일에 일어난 장덕수 암살 사건은 두 사람의 협력관계를 끝장내는 동시에 파국으로 끌고 가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김구는 자신이 배후로 의심받자 이승만에게 도움을 요청했는데, 이승만은 “김 주석(김구)가 고의로 이런 일에 관련되었으리라고는 믿을 수 없다”며 사실상 김구 관련설을 강하게 암시하는 등 딴전을 피웠다.[176] 이승만은 자신을 재판정에 서지 않게 해달라는 김구의 도움 요청을 회피하고 수수방관하였다. 평소 김구는 이승만과 서로 매우 친분이 두터웠다. 공석에서도 김구는 이승만한테 '형님'이라 했을 만큼[182] 그와 친밀하였다. 그러나 장덕수 사건을 계기로 양자의 관계는 악화되고 파국에 이른다. 이승만은 김구의 도움 요청을 거절하였다. 분노한 김구는 이승만과 완전히 결별했다.[176] 김구가 단정론의 철회와 남북협상론을 들고 나온 것도 바로 그런 인간관계의 파탄 직후였다.[176] 이승만과 김구의 결별 과정에는 어느정도 인간적인 감정도 작용하였다. 도덕성 논란[편집] 김구의 정치적 도덕성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리처드 로빈슨은 김구가 정치적 도덕가는 아니라고 평하였다.[216] 미군정 외에도 브루스 커밍스는 김구가 송진우의 암살범이라고 지목했다. 한편 김성수의 암살을 공작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었다. 주애보와의 관계[편집] 김구는 이봉창 의거와 홍구공원 사건을 계기로 피신해 있었다. 이 피신기간 중 중국 국민당 관계자가 소개시킨 미혼의 뱃사공 주아이바오(주애보)와 부부와 같은 생활을 했다고 회고한 바 있다. 그러나 주아이바오와의 사이에서 자녀의 존재 여부는 알 수 없다. 평가와 비판[편집] 당대의 여론[편집] 1945년 10월 10일부터 11월 9일까지 선구회(先毆會)라는 단체에서 가장 뛰어난 지도자를 지목하는 설문조사 결과에 18%의 득표로 33%의 여운형, 21%의 이승만에 이어 3위에 기록되었다.[258] 그 뒤 11월 선구회에서 다시 대통령에 적합한 인물을 설문조사했을 때는 1957명 중 293명이 김구를 지목하여 2위로 집계되었다.[258] 한편 최고의 혁명가를 꼽는 설문에서는 978명 중 156표를 얻어 4위였다.[258] 1946년 7월 조선 여론협회가 서울에서 누가 초대대통령에 적합한가를 조사한 설문결과에는 702표로 전체의 10.5%를 확보했다 한다.[258] 1948년 6월 23일 조선여론협회에서 다시 조사한 결과(누가 초대대통령이 되기를 바라는가?)에서는 568표로 2위를 하였다.[258] 미국의 시각[편집] 미국에서는 그를 부정적으로 바라보았다. 미국은 그를 파시스트[259] 로 보고 있었다. 미군정은 무자비하고(ruthless), 파렴치한(unscrupulous[260]) 인물이라고 비난했다. 또한 미국은 그를 기회주의자(opportunist)로도 묘사하였다.[260] 미군정은 1945년 송진우 암살 당시 그를 송진우의 암살배후로 봤고[114], 미군정 외에도 미국에서는 그를 송진우의 암살 용의자로 봤다.[108] 1947년 12월 8일 장덕수가 암살당했을 때 현장에서 검거된 박광옥과 배희범은 각각 현직 군정청 경찰관과 현직 초등학교 교사였지만, 한독당의 당원이기도 했다. 미국 제1군사령부 정보장교인 조지 실리 소령의 보고서는 염동진은 김구에 대해 격렬한 비난을 가하며 동시에 군사적 견지에서 김구의 장점과 가능성을 격찬한다는 점이다.[247] 그 민간인은 김구가 한국의 지도자가 되면 일본과 미국이 훈련시킨 200만의 한국군을 갖게될 것이며, 필요한 경우 이 한국 군인들은 그를 따라 38선을 넘을 것이라고 했다.[247] 평가[편집] 일제 강점기 당시 이봉창, 윤봉길 거사를 성사시켜 한국의 독립운동을 세계에 알린 것을 높이 평가된다. 김구는 이념을 내세워 분열시키는 냉전세력을 비판함과 함께 민족통합을 통한 완전독립국가를 모색했다는 점, 민족과 인류의 현실을 고려하여 문화국가가 되기를 주장했다는 점 등에서 높이 평가받는다.[261] 그러나 이는 반탁투쟁과 반공주의 확산에 기여한 뒤에, 뒤늦은 행동이었다는 부정적인 시각들도 존재한다. 1999년 한겨레21이 실시한 '20세기 정신사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인물'이라는 설문조사에서 백범은 가장 많은 사람이 꼽은 인물이었다. "사상가라기보다 정치지도자에 가까운 백범은 역사 속에서 민족자주를 위한 실천을 치열하게 전개한 점에서, 많은 응답자들로부터 한국 민족주의의 정화"라는 평가를 받았다.[262] 1946년 초 김일성을 살해하려 할 만큼 극단적이었다는 평가도 있다.[263][264] 지나치게 고평가되었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단국대 사학과 교수 한시준은 "1919년 임시정부 수립 이후 많은 지도자가 있었고 군대 편성 계획도 여러 차례 있었지만 실현시킨 이는 김구 뿐"[265] 이라며 "조선에서 멀리 떨어진 충칭(重慶)에서 한국광복군을 만들어 낸 일은 무에서 유를 창조한 것"이라고 평가했다.[265] 중국 푸단(復旦)대 교수 쑨커즈(孫科志)는 "혼란스러웠던 중국에서 정치적 난민에 가까웠던 한인 사회를 유지하고 임시정부 등 독립 운동의 기반을 갖춘 것은 김구의 면모를 보여 주는 사례"라고 보았다.[265] 2006년 9월 22일 서울 용산구 효창동 백범기념관에서 ‘백범 김구 선생 탄생 130주년 국제학술회의’를 열었다.[265] 이 학술대회에 참가한 한국과 중국의 학자 12명은 김구에 대해 “탁월한 지도자였다”고 평가했다.[265] 권오영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백범은 민족의 독립만을 생각한 지도자”라며 “청년시절부터 동학, 불교, 기독교에 차례대로 귀의한 것은 모두 독립을 위한 힘을 모으려고 했기 때문[265]”이라고 봤다. 대학교수 리영희는 김구의 장례식때 울려 퍼진 추도곡을 반세기 넘게 기억하며 추모하기도 했다. 박용만은 이승만과 김구는 민족의 쌍벽이었고 민족진영 인사들은 두 영도자를 모시고 반석위에 놓인 것과 같은 안도감과 신뢰감을 가지고 무조건 두 분이 영도하는 대로 마음놓고 따랐던 것이다라고 평가하였다.[266] 비판[편집] 전북대 교수 강준만과 창원대 교수 도진순은 각각 김구가 이데올로기에 대한 자기 정체감이 약하였으며, 유학·동학·불교·기독교 등을 두루 편력하는 사상적 방황을 경험하긴 했지만 전통적 가치인 유학적 또는 의병적 신의를 중시하는 완고함을 지닌 행동지향형의 인물이었다고 평가하였다.[267][268] 또, 강준만은 그가 무분별한 반공주의 확산에 기여했다고 보았다. 1945년의 4개월 동안 해방 국면에서의 반공주의는 한국의 대중들에게 아직 깊이 침투되지 못하였다. 김구의 격렬한 반탁은 모든 반대세력에게 의도하지 않았지만 국수주의적 민족주의라는 예기치 않은 정당성을 얹어주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평가했다.[269] 최상천은 김구가 점령국가의 상황을 제대로 읽지 못한 채 대책없이 반탁운동에 뛰어들었다가 허송세월을 했다고 비판하였다.[270] 뉴라이트 대안교과서를 지은 이영훈은 “김구는 독립운동에 족적을 남겼지만 ‘민족’만 주창했을 뿐 건국에 대한 비전은 없었다”고 하면서 그가 건국에 반대한 것을 비판하기도 했다.[271] 이승만의 양자 이인수는 박정희 정부가 이승만의 권위를 약화시키려는 목적으로 추앙했으며 김구는 '해방 정국에서 미아가 된 저항민족주의자'일 뿐이라고 주장하였다.[272] 14대 대통령 김영삼은 그가 이루지 못한 일을 상상한 정치감각이 떨어지는 지도자였다고 평가했다.[273] 한편 5·10 선거를 반대하던 4·3 항쟁에 침묵한 것을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출처 필요] 모스크바 삼상회의 결정을 ‘신탁통치’로 이해하고 격렬한 반탁투쟁을 선도해 이른바 ‘반탁 쿠데타’까지 나아갔다. 반탁투쟁은 해방공간 좌우대립구도 성립에 결정적 역할을 하였으며 결국 남북 분단으로까지 연결되었다고 할 수 있다.[274] 는 비판도 있다. 강준만은 '김구가 50대까지 어머니로부터 '사랑의 매'를 맞았다는 건 미담(美談)일 수도 있지만, 그걸 뒤집으면 그만큼 고전적인 인물이었다는 걸 의미하기도 했다.[275]'고 보았다. 테러리즘 논란[편집] 2008년 5월 출간된 비한국사 전공자로 구성된 뉴라이트교과서포럼의 대안교과서에서 그를 테러리스트로 규정하여 물의를 빚었다. 한양대 석좌교수 신용하는 김구 테러리즘 논란에 대해 윤봉길과 이봉창의 의거를 주도한 한인애국단을 ‘테러리스트’로 평가하는 국내 일부 학자의 시각에 대해 “상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반박했다[265] 신용하에 의하면 "백범이 한인애국단을 이끌었던 1930년대는 ‘완바오산 사건’으로 중국 내 ‘반한(反韓) 감정’이 고조됐고, 만주사변으로 일본이 중국 각지를 점령하면서 중국에서도 독립운동을 펼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는 것. 신 교수는 “임시정부는 열세적 상황을 만회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한인애국단을 운용했을 뿐"이라는 것이다.[265] 7개월에 불과한 한인애국단 활동 기간 중 백범이 중국 국민당에서 독립군 장교 양성 지원 약속을 받아낸 것도 백범의 치밀한 지략을 보여 주는 증거라고 강조했다. 신 교수는 한인애국단의 활동은 임시정부의 지시가 있었으므로 테러가 아니라 정부 차원의 ‘특공작전’으로 봐야 한다[265] 고 평하였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민간인을 상대로 하여 사망 혹은 중상을 입히거나 인질로 잡는 등의 위해를 가하여 대중 혹은 어떤 집단의 사람 혹은 어떤 특정한 사람의 공포를 야기함으로써 어떤 사람, 대중, 정부, 국제 조직 등으로 하여금 특정 행위를 강요하거나 혹은 하지 못하도록 막고자 하는 의도를 가진 범죄행위"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대한민국의 역사학계에서는 일본의 침략기관, 일본의 침략행위에 참여한 군인이나 관료등을 상대로 진행된 항일운동을 테러로 보지 않는다. 윤봉길과 이봉창등은 일본 천황, 일본 고위 군인등을 상대로 한 암살을 시도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김구가 해방 이후 한국인 정치가들에 대해 대해 암살을 시도한 백색 테러를 저질렀다는 의혹 또한 존재한다. 김구는 소군정기 북한의 지도자 및 관료에 대한 암살을 시도했으며 송진우, 여운형, 장덕수 등 별다른 직위 없이 남한에서 정치 운동을 이끌던 사람을 암살했다는 의혹이 있다. 백의사가 북한의 관료였던 강량욱을 암살하고자 할 때 죄없는 아들, 딸, 친구 목사까지 죽게 만들었다.[276] 강량욱은 고위관료여서 민간인이 아닌 것으로 볼 수 있지만 희생당한 강량욱의 가족, 친구는 민간인이므로 강량욱의 집에 폭탄을 투척한 사건은 백색테러라 볼 수 있다. 그 외에 미국의 브루스 커밍스는 그를 송진우의 암살배후로 봤다.[108] 또한 커밍스는 김구는 테러리스트와 암살문제에 정통한 사람으로 정평이 나 있었다.[277] 고 평하기도 했다. 38선 이북 조선에서는 1946년 3·1절 기념식 때의 폭탄투척 사건 이후 그를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미군정의 보고서[254] 에 의하면 김구는 김성수의 암살을 기도[255] 해왔다 한다. 권위주의적인 행동[편집] 권위주의적인 행동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남로당원 출신 박갑동은 "경교장에 가서 만나면 언제나 김구 선생은 한복차림으로 있었다. 내가 김구선생과 얘기하고 있을 때 비서가 와서 외출하자고 하니까, 바지저고리 차림의 김구 선생이 일어섰다. 그러면 비서가 두루마기도 입혀 주고, 모자도 씌워 주면서 문도 열어주는데, 손 하나 움직이지 않는다. 그의 비서가 구두도 신겨 주고, 손에다 지팡이를 쥐어 주는 모습이 영락없는 조선왕과 다를 것이 없었다."고 주장하였다.[275][278] 당시 박갑동은 해방일보 기자 자격으로 경교장, 한국독립당, 한민당, 수도경찰청 등에 출입하고 있었다. 1948년 4월 방북시에도[275][279] 숙소에서 여자 접대원들에게 "야!"라고 불렀더니 그들이 못들은 체 한 것이다. 김구가 화가 나서 "왜 부르는데 대답을 안하나?"라고 묻자 접대원들은 "저희는 그렇게 습관되어 있지 않아서 잘 몰랐습니다."라고 답했다.[275][279] “둘 이상이 합하여서 하나가 되자면 하나는 높고 하나는 낮아서, 하나는 위에 있어서 명령하고 하나는 밑에 있어서 복종하는 것이 근본 문제”라는 위계서열적 인식이 전제되어 있었기 때문이다.[274] 그에게 사물의 질서는 위에서 아래로 정연하게 배열돼야 했고 이것을 거스른다는 것은 자연에 반하는 것이었다. 김구는 순종과 직분을 통해 조화로운 세상의 구현을 추구했으며 그에게 좌파의 평등주의는 이 조화를 해치고자 하는 일시적 풍파일 뿐이었다.[274] 정치적 실패에 대한 비판[편집] 광복군 참모장이자 초대 국무총리를 지낸 이범석은 그가 '끝까지 대의명분론을 주장하면서 민족통일을 관철하고자 하여 국제정세를 외면하다시피 오직 소신대로 나간 분이 백범 선생이다. 그런 까닭에 이박사는 마침내 현실의 정치가로 일어섰고, 백범 선생은 이상의 정치가로 주저앉게 됐다.'고 비판했다.[280] 제1대 내무부 장관과 13대 서울특별시장을 지낸 동산 윤치영은 그는 김구 단정 수립 반대를 호되게 비판했다.[281] “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을 반대한다는 백범의 명분은 옳았지만 이것은 우리 가슴에 칼을 내지르는 소리요. 결과적으로는 백범 망신에 그치고 만 것이 다행이지, 만약 그때 남북합작(南北合作)을 한다고 덤볐다가는 나라가 망했을 것입니다.[281] ” 윤치영은 '백범 선생이 국제정치적 감각이 없었기 때문에 그런 어리석은 판단을 했던 것[281]'이라고 분석했다. 윤치영은 또 김구 생전에 그가 임정의 이름을 팔아먹었다고 비난하기도 했다. 1948년 4월 7일 압록강 동지회에서 YMCA에서 임시회의를 개최하였다. 이때 윤치영은 연단에서 단선단정을 반대하고 평양 일방 남북회담을 적극추진하고 있는 김구를 지적, 중국으로부터 귀국 시에 임시정부를 해체하고 개인 자격으로 돌아오라는 하지 중장의 명령에 도장을 찍고 돌아왔으니 그는 임정을 팔아먹은 사람이다 라며 성토하였다.[205] 16대 대통령 노무현은 그를 '실패한 정치인'이라 비판하였다. 2003년 6월 일본 순방 중, 6월 8일 도쿄에서 가진 공개 인터뷰에서 "김구는 실패한 정치인" 이라고 평가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282] 그는 도쿄방송(TBS)이 일본 전역에 방영한 '한국 노무현 대통령 솔직하게 직접 대화'라는 주제의 90분짜리 토론에 참석해 "가장 존경하는 사람이 누구냐"는 일본 여성 방청객의 질문에 "과거에는 김구 선생이었으나 정치적으로 성공을 못해 그 뒤 링컨으로 바꿨다"고 밝혔다.[282] 이승만과 김구의 비교[편집] 이승만과 김구 모두 구한말에 과거에 응시해 낙방한 쓰라린 경험을 갖고 있었다. 이승만은 친미국 노선으로 갔고, 김구는 친중화민국 노선으로 갔다.[283] 훗날 국민당 장제스의 중화민국은 국공내전에서 패퇴하여 몰락한 반면, 미국의 세계적 패권은 더욱 강화되어 갔다. 미국은 비교적 다원체제 였던 만큼 이승만과 미국의 갈등은 미국의 어느 한 부분과의 갈등이었을 뿐, 큰 흐름은 친미노선을 선택한 이승만에게 유리하였다.[283] 강준만은 미국의 패권장악과 중화민국의 몰락을 이승만의 승리와 김구의 패배 요인으로 보았다.[283] 이승만에 비교해서 웅변력이 떨어졌던 김구는 대중 선동에 있어서 매우 불리한 위치에 놓여 있었다.[284] 이점 역시 김구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다. 김구는 경마장을 즐겨 찾았는데, 1946년 모친 곽낙원여사의 시신을 중국에서 운구하여 정릉뒷편으로 이장할 때 기마단이 운구를 호송했기 때문이다. 운구 호송을 고마워한 김구는 계속 경마장을 찾았다고 한다.[219] 이승만도 부인 프란체스카여사와 함께 수시로 경마장에 들렀다. 경마가 있는 날이면 3층 귀빈실은 항상 북적거렸다. 마사회에서는 이들을 극진히 예우했으며, 예정에 없던 상장이나 상배를 마련하여 레이스를 하기도 했다.[219] 한편 이승만과 김구가 자주 찾는 것에서 '이승만상', '김구상'이 유래했다고 한다.[219] 김구는 이승만과 서로 매우 친분이 두터웠다. 공석에서도 김구는 이승만한테 '형님'이라는 소리했을 정도로 사이가 매우 좋았다.[182] 그러나 김구가 장덕수 암살사건의 배후로 지목되었을 때 이승만이 도움을 거절한 일로 이승만과 김구의 관계는 악화되었다. 장덕수 암살의 배후로 지목되어 법정에 증인 자격으로 서게 된 김구는 자신이 법정에 서지 않게 해달라고 이승만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이승만은 그럴 마음이 없었다.[182] 이승만이 장덕수 암살사건으로 위기에 처한 국민회의는 방관하면서 한민당과 연대하며 독자적으로 '한국민족대표단'을 구성하자 김구는 크게 분노하였다. 1947년 12월 22일 김구는 단독정부 절대반대와 '한국민족대표단'의 해산을 주장하였다. 이승만과 김구의 연대에 비판적이던 한민당은 이 사건을 정치적인 호재로 이용하고자 하였다.[182] 김구의 항의로 한국민족대표자회와의 합동작업이 재개되었지만 한민당의 강한 반대에 부딪혀 무산되었다. 장덕수가 암살되었을 때 이승만은 김구를 배후로 지목했고 그 후 김구는 검찰에 연행되어 수모를 당한 후로 이승만과의 결별을 결심했다.[182] 윤경빈에 의하면 훗날 '단독 정부 수립 운동'이냐 '남북 통일 정부 운동'이냐 노선을 두면서 거리가 멀어지게 되었다고 증언하였다.[285] 일화[편집] 선우진의 증언으로는 경교장 생활은 전혀 풍족하지 못했다고 한다. 선우진은 정기적으로 얼마씩 들어오는 형편이 아니어서 재정적으로 어려웠으며, 돈과 관련된 일에는 적극적이지 않았던 탓에 자연 선생을 모시는 이들의 생활도 여유롭지 못했다고 한다. 한번은 1946년에 상공회의소 부회장 강익하가 300만 원 수표를 정치자금으로 전달하였다. 그러나 김구는 그 돈을 받지 않고, 이승만에게 갖다주라고 했다. 이승만에게는 이미 500만 원을 보냈고, 상공회의소 공의(公議)라고 말씀드렸지만, 그래도 김구는 이승만에게 전달하라고 했다.[267][286][287] 한미호텔에 있던 임시정부 요인들의 형편이 어려워 점심을 굶는 일이 많게 되자, 주위에서 김구에게 재정적으로 여유가 있던 이승만에게 돈을 부탁해 보라고 했다고 한다. 김구가 마지못해 돈을 부탁하러 돈암장을 찾았는데, 이 박사가 난색을 표해서 그냥 돌아왔다는 의견도 있다. 조완구 선생과 엄항섭이 다시 김구에게 어려운 형편을 말하자 김구는 이 박사를 다시 찾아가 30만원을 얻어 한미호텔에 있던 요인들의 경비로 사용했다. 선우진에행하여 돈암장을 방문했었는데, 이승만은 “남들은 모두 내게 돈을 주는데, 백범은 내게서 돈을 가져가는구먼”하며 입을 실룩거렸다고 하며, 김구는 아무 표정 없이 돈암장을 나섰다고 한다.[267][286] 한편 재정적으로 어렵지 않았다는 견해도 있다. 상해 시절에 대한 증언으로 안공근과 감정이 있었던 백찬기는 “김구파의 간부들은 호화로운 생활을 하고 있으면서 나와 같이 병으로 쓰러진 사람에 대해서는 의료원으로 가라고 여비정도만 주어 쫓아버리는 식”이라며 비판하였다.[286][288] 백범일지 윤문[편집] 김구의 저서 백범일지의 교열과 윤문은 이광수가 하였다. 1945년 11월 김구가 자서전인 백범일지를 출간할 때 이광수가 윤문을 자청했다[289] 한다. 백범일지의 윤문을 허락한 사람이 백범 자신인지, 아니면 백범 비서 등 주변 사람이었는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290] 문제는 춘원이 윤문 과정에서 친필본에 없는 문장을 임의로 첨삭해 원전의 텍스트적 가치를 크게 훼손했다[290] 는 의견이 있다. 그런데 이광수가 백범일지 편찬에 참여한 것을 김구가 알았다는 주장도 있다. 그에 따르면 “(이광수가) 속죄하는 심정으로 맡겠다고 하니 시켜보라고 주위에서 백범께 말했다. 김구는 그의 행실(일제 후반에 변절한 것) 때문에 망설였다”[289] 고 한다. 그러나 곧 이광수에게 백범일지 윤문을 맡긴다. 둘째 아들 김신의 회고에 따르면, “아버님은 그의 행실 때문에 망설였는데 누군가가 글 솜씨도 있는 사람이고 속죄하는 기분으로 맡겠다니 시켜보라고 했대요. 그가 윤문을 한 건 사실이나 아버님이 그걸 알고 맡기셨는지는 의문입니다.”(김신 씨의 대담, <신동아>, 1986년 8월, 347쪽.[289])라고 대답하기도 했다. 저서[편집] 《백범일지》(1947, 국사원)[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백범일지입니다. 〈나의 소원〉[편집] 〈나의 소원〉은 백범일지의 본문 뒤에 실려있는 글로 동포에게 호소하는 글이다. 위키문헌에 이 글과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백범일지 민족 국가 "네 소원이 무엇이냐?" 하고 하느님이 물으시면, 나는 서슴지 않고 "내 소원은 대한 독립이오" 하고, 대답할 것이다. "그 다음 소원은 무엇이냐?" 하면, 나는 또 "우리나라의 독립이오" 할 것이요, 또 "그 다음 소원이 무엇이냐?" 하는 셋째번 물음에도, 나는 더욱 소리를 높여서 "나의 소원은 우리나라 대한의 완전한 자주독립이오" 하고 대답할 것이다. …(중략)… 내가 원하는 우리 민족의 사업은 결코 세계를 무력으로 정복하거나 경제력으로 지배하려는 것이 아니다. 오직 사랑의 문화, 평화의 문화로 우리 스스로 잘 살고 인류 전체가 의좋게 즐겁게 살도록 하는 일을 하자는 것이다. 어느 민족도 일찍이 그러한 일을 한 이가 없었으니 그것은 공상이라고 하지 말라. 일찍이 아무도 한 자가 없길래 우리가 하자는 것이다. 이 큰 일은 하늘이 우리를 위하여 남겨놓으신 것임을 깨달을 때에 우리 민족은 비로소 제 길을 찾고 제 일을 알아본 것이다. 나는 우리나라의 청년남녀가 모두 과거의 조그맣고 좁다란 생각을 버리고, 우리 민족의 큰 사명에 눈을 떠서 제 마음을 닦고 제 힘을 기르기로 낙을 삼기를 바란다. 젊은 사람들이 모두 이 정신을 가지고 이 방향으로 힘을 쓸진대 30년이 못하여 우리 민족은 괄목상대(刮目相對)하게 될 것을 나는 확신하는 바이다. 내가 원하는 우리나라 : 나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가장 부강한 나라가 되기를 원하는 것은 아니다. 내가 남의 침략에 가슴이 아팠으니 내 나라가 남을 침략하는 것을 원치 아니한다. 우리의 부력(富力)은 우리의 생활을 풍족히 할 만하고, 우리의 강력(強力)은 남의 침략을 막을 만하면 족하다.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 행복을 주겠기 때문이다...(하략)...백범[291] 그 외[편집] 《도왜실기》(1932, 엄항섭 정리) 《백범어록》(2008, 도진순 주해) 사상과 신념[편집] 남북협상 참여 목적[편집] 1970년대 이후 김구의 남북협상 참여는 통일과 조국애의 상징처럼 여겨져 왔다. 그러나 김구의 남북협상 참여 과정이 정치적 전술이라는 시각도 있다.[274] 이승만과의 경쟁에서 패배해 모든 정치적 전망이 사라진[274] 시점에서 새로운 정국 반전을 노린 것이라는 것이다. 모스크바 삼상회의 결정을 ‘신탁통치’로 이해하고 격렬한 반탁투쟁을 선도해 이른바 ‘반탁 쿠데타’까지 나아갔다. 반탁투쟁은 해방공간 좌우대립구도 성립에 결정적 역할을 하였으며 결국 남북 분단으로까지 연결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후에도 김구는 ‘백의사’ 등을 통해 대북 타격정책을 일관되게 수행했다.[274] 백의사 단원들이 소지한 무임승차권이 북한측에 입수되면서 그는 엄청난 비판과 성토의 대상이 되기도 했었다. 3.1절 경축식 폭탄 투척사건 이후 김구는 북한에서 불구대천의 원수로 낙인찍혔[151] 고, 북한은 이후 그의 이름으로 풍자삼아 '개 구자', '김구'(金狗)로 부르며 매도하였다.[152] 해방공간 내내 반공, 반소로 일관한 김구의 남북연석회의 참가는 이승만과의 경쟁에서 패배해 모든 정치적 전망이 사라진 조건에서 취해진 정치전술일 가능성이 농후했다.[274] 외교 문제[편집] 외교 문제에 소홀했다는 평가도 있다. 전 서울교육대 총장 이택휘는 “중국 공산당과의 협력 부재나 당시 강대국인 소련에 대해 배타 정책을 쓴 것은 외교적 투박함”이라고 지적했다.[265] 김구의 외교력 미숙에 대해 한양대학교 석좌교수 신용하는 “중국 국민당과 군사 협력 관계에 있었던 상황에서 백범이 공산당과 공식 관계를 모색하기는 어려웠다”며 “당시 장제스(蔣介石)를 설득해 카이로회담에서 한국의 독립을 명문화한 것은 백범 외교의 진가”라고 반박하였고[265] 단국대 교수 한시준도 “백범이 광복군의 연합군 OSS부대 참가를 주도한 것은 승전 후 연합국의 지위를 획득하려 한 것”이라며 “이는 백범이 외교에서 상당한 전략을 구사했음을 보여 준다”고 반론을 제기하였다.[265] 그러나 이승만을 통해 미국과도 외교관계를 형성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는 반론도 있다. 중화민국 장제스 정부에서 임정에 대한 지원을 줄이자 그는 이승만과 함께 임정을 미국으로 천도하려는 계획을 수립하기도 했다. 애국가에 대한 관점[편집] 애국가가 윤치호가 짓고 안창호가 일부 개사했다는 소문은 1920년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도 돌고 있었다. 이 때문에 애국가의 채택을 놓고 임정에서도 논란이 많았다. 이에 김구는 상하이 임시정부 시절 한 동지에게 '우리가 3.1 운동을 태극기와 애국가로 했는데 누가 지었는가가 왜 문제인가[292]'라며 '작사ㆍ작곡가의 성향보다 애국가 안에 담긴 정신이 더 중요하다[292]'고 반박하였다. 공산주의, 사회주의에 대한 비판[편집] 그는 공산주의, 사회주의를 일종의 독재체제로 이해하였다. 1947년 발표한 ‘나의 소원’이란 글에서 김구는 “독재 중에서 가장 무서운 독재는 어떤 주의, 즉 철학을 기초로 하는 계급독재다.[274] ...(이하 중략)... 공산당이 주장하는 소련식 민주주의란 것은 이러한 독재정치 중에서 가장 철저한 것이어서, 독재정치의 모든 특징을 극단으로 발휘하고 있다”며 공산주의를 극단적으로 비판하고 있었다.[274] 또한“일부 소위 좌익의 무리는 혈통의 조국을 부인하고 소위 사상의 조국을 운위하며, 혈족의 동포를 무시하고 소위 사상의 동무와 프롤레타리아트의 국제적 계급을 주장”한다는 인식을 갖고 있었기에 좌파와의 연대는 극히 곤란할 수밖에 없었다.[274] 임시정부의 존재를 좌파에서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 역시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아나키즘을 부정적으로 보는 원인이 됐다. 1938년 이후 장졔스가 국공합작 분위기에 편승하기 위해 김구와 김규식, 김원봉을 소환하여 합작, 협력하라고 하자 좌파의 임정입각을 수용하게 된다. 1922년 초 소련의 블라디미르 레닌으로부터 200만 루블을 한국인 공산주의자들을 위해 지원받았으나 임시정부에는 상납하지 않은 김립을 사살한 것도 그였다. 그는 “레닌이 보낸 독립운동 자금을 유용했다”고 성토한 데 이어 오면직, 노종균 두 청년을 보내 1922년 2월11일에 상하이의 거리에서 김립을 사살했다.[250] 또한 김립은 레닌으로부터 매각하면 현금으로 바꿀수 있는 귀금속인 금괴를 일부 전달받았는데 이것 역시 임시정부에게 내놓지 않았다. 백범일지에서 그는 김립이 레닌에게서 지급받은 금괴를 사적으로 유용했다며 북간도 자기 식구들을 위하여 토지를 매입하고 이른바 공산주의자라는 한인·중국인 인도인에게 얼마씩 지급하였[251] 으며, 자기는 상하이에 비밀리에 잠복하여 광동여자를 첩으로 삼아 향락하는 것[251] 이라며 비판을 하였다. 공산주의, 사회주의를 외세지향적인 사고방식으로도 생각했다. 1919년 임시정부 경무국장 당시 이동휘로부터 공산주의혁명에 동참해달라는 권고를 받았을 때는 소련 등 외국 세력에 기대는 것이라며 참여할 수 없다고 거절하였다. 여순 사건에 대한 관점[편집] 김구는 여순 사건을 반란, 테러로 규정했다. 10월 28일의 공개 담화에서 김구는 '순진한 청년들이 용서할 수 없는 죄를 범하였으며[214]', '반도(공산주의자)들의 목적은 북한 정권을 남한에 연장시키는 것[214]'으로 보인다고 규정했다. 우리는 일찍부터 폭력으로써 살인·방화·약탈 등 테러를 행하는 것을 배격하자고 주장하였다. 금번 여수·순천 등지의 반란은 대규모적 집단테러 행동인 바, 부녀 유아까지 참살하였다는 보도를 들을 때에 그 야만적 소행에 몸서리 처지지 아니할 수 없다. 멀리서 듣고도 그러하니 현지에서 목격하는 자는 비참 격앙함이 그 극에 달할 것이다. 남과 남의 부모처자를 살해하면, 남도 나의 부모처자를 살해하기 쉬우니 그 결과는 첫째, 우리 동족이 수없이 죽을 것이오 둘째, 외군에게 계속 주둔하는 구실을 줄 뿐이다. 이것은 우리의 자주독립을 좀먹는 행동이니 이로써 우리는 망국노의 치욕을 면하는 날이 없을 것이니, 반란을 일으킨 군인과 군중은 이 때에 있어서 마땅히 勵動된 감정을 억제하고 재삼숙고하여 용감히 悔悟하고 正軌로 돌아갈 것이어니와 현명한 동포들도 마땅히 객관적 입장에서 그 반란을 냉정히 비판하면서 이것의 만연을 공동방지 할지언정 허무한 유언에 유혹되거나 혹은 이에 부화뇌동하지 아니하여야 할 것이다.[293] 여러분의 기대와 託付와 애국의 만분의 일도 보답하지 못하는 나로서 무슨 면목으로 여러분께 왈가왈부를 말하랴마는 금번 반란이 너무도 중대하므로 인하여 국가 민족에 미치는 손해가 또한 중대한 까닭에 그대로 함구만 할 수 없어서 피눈물로써 이와 같이 하소연하는 바이다. 동지 동포는 우리의 고충을 깊이 양해하고 동족상잔에서 동족상애의 길로 공동매진하기를 간절히 바란다.[293] 10월 30일 여순 사건 관련 담화에서 김구는 '여수, 순천 등지의 반란을 '집단 테러 활동[293]'으로 규정하고 "부녀와 유아까지 참살하였다는 보도를 들을 때에 그 야만적 소행에 몸서리처지지 않을수 없다[293]"고 발표하였다. 가족 관계[편집] 김구의 자서전《백범일지》에 따르면 김자점의 후손인 아버지 김순영은 중풍으로 몸이 불편했으며, 잘못을 저지르면 엄하게 교육하는 아버지였다고 한다. 어머니 곽낙원은 중국 중경 거주시, 아들이 독립운동가로 활동할 때 권총을 구입하여 줄 만큼 열심히 아들을 지원했다. 또한 군인 출신 정치인 이후락과도 사돈관계이기도 하다. 증조부 : 김영원(金榮元[294], ? ~ ?) 조부 : 김만묵 (金萬默, ? ~ 1888년) 조모 : 장씨(張氏, ? ~ ?) 아버지 : 김순영 (金淳永, 1848년 ~ 1901년 2월) 어머니 : 곽낙원 (郭樂園, 1858년 2월 26일 ~ 1939년 4월 26일) 부인: 최준례(崔遵禮, 1889년 ~ 1924년 1월 1일) 장남: 입언 김인(立言 金仁, 1917년 11월 12일 ~ 1945년 3월 29일) 대한민국임시정부 광복군 장교, 중화민국 육군 소령 자부 :안미생(安美生, 1914년 ~ 2007년, 안중근의 조카) 손녀 : 김효자(金孝子, 1941년 ~ ), 장자 김인의 딸 차남 : 서언 김신(瑞言 金信, 1922년 9월 21일 ~ 2016년 5월 19일) 대한민국 6대 공군참모총장, 교통부장관, 주중국 대사, 국회의원 역임, 前 백범기념관 관장 자부: 임윤연(林胤嬿, 1929년 ~ 1971년 12월 11일), 독립운동가 임학준의 딸, 위암으로 사망 손자 : 김진(金振, 1949년 10월 30일 ~ ) 대한주택공사 사장 역임 손자 : 김양(金揚, 1953년 2월 24일 ~ ) 주상하이 총영사, 국가보훈처장 역임 손부 : 이정희(1959년 ~ ) 손자 : 김휘(金揮, 1955년 ~, 나라기획 이사 역임)[295] 손녀 : 김미(金美, 한화 그룹 회장인 김승연의 동생 김호연과 결혼[296] 손녀사위 : 김호연(金昊淵, 기업인) 손자 : 김윤 장녀: 미상(1906년 ~ 1907년)-가마를 타고가다 찬바람을 너무 많이 쐬서 사망했다. 차녀: 김화경(金化慶, 1910년 ~ 1915년) 삼녀: 김은경(金恩慶, 1916년 ~ 1917년 2월) 삼종조카(9촌) : 김흥두(金興斗[297]) 사돈 : 이후락, 정치인 사돈 : 김승연(金升淵, 1952년 2월 7일 ~ ) 기업인 김구를 연기한 배우들[편집] 텔레비전 드라마[편집] 이영후 - 1981년 《제1공화국》 MBC 이영후 - 1984년 《거부실록 시리즈 - 백산 안희제》 MBC 안대용 - 1984년 《독립문》 KBS 2 이영후 - 1984년 《조선총독부》 MBC 이영후 - 1984년 《그의 아내》 MBC 이치우 - 1985년 《새벽》 KBS 1 김진태 - 1989년 《백범일지》 MBC 김진태 - 1990년 《반민특위》 MBC 이영후 - 1991년 《여명의 그날》KBS 1 정욱 - 1992년 《님이여》 MBC 김상중 - 1995년 《김구》, 청년 김구 KBS 조상건 - 1995년 《김구》, 장년 김구 KBS 이영후 - 1998년 《삼김시대》 SBS 이영후 - 2003년 《야인시대》 SBS 이영후 - 2006년 《서울 1945》 KBS 이영후 - 2010년 《자유인 이회영》 KBS 유하복 - 2019년 《이몽》 MBC 라디오 드라마[편집] 이치우 - 1966년 《광복 20년》 TBS 다큐멘터리 이치우 - 《이승만과 김구》 이치우 - 1981년 《8·15 특집 그여름의 이틀》 KBS 라디오 연극 영화[편집] 전창근 - 1960년 《아! 백범김구선생》[298] 영화 전창근 - 1967년 《춘원 이광수 (1967년 영화)》, 영화 박암 - 1969년 《춘원 이광수 (1969년 영화)》, 영화 박암 - 1973년 《광복 20년과 백범 김구》, 영화 조통달 - 1986년 《윤봉길 의사》, 연극 이영후 - 1998년 《천년의 수인》, 연극 임동진 - 2005년 《청년 장준하》, 뮤지컬 왕기석 - 2010년 《판소리 백범 김구》 판소리, (청년 김구 역) 왕기철 - 2010년 《판소리 백범 김구》 판소리, (장년 김구 역) 임진택 - 2010년 《판소리 백범 김구》 판소리, (노년 김구 역) 김홍파 - 2015년 《암살》, 영화 조진웅 - 2017년 《대장 김창수》, 영화 같이 보기[편집] 한국독립당 한국노병회 백범일지 백범기념관 동학농민운동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위원부 신탁통치반대운동 송진우 피살 사건 제1공화국 김규식 박찬익 이승만 장제스 안창호 안공근 105인 사건 이봉창 윤봉길 유상근 이동녕 이시영 윤치영 김좌진 김두한 광복군 미군정 안공근 피살 사건 민주의원 고능선 김창숙 민필호 송병조 안미생 안재홍 안정근 안중근 양기탁 윤치호 장제스 중화민국 조성환 한국국민당 한인애국단 허정 홍진 하지 미 군정 송진우 경교장 삼청장 반공주의 장덕수 피살 사건 김홍일 안공근 장덕수 김석황 안두희 엄항섭 이유필 조소앙 김학규 안창호 여운형 여운홍 조만식 조완구 차이석 김신 임정 각료 선우진 신익희 이청천 독립촉성중앙회 한국국민당 백의사 염동진 김성수 김인 김준엽 김일성 김철 박헌영 신규식 이범석 이철승 장면 장건상 장택상 장준하 조봉암 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독립유공자로 대한민국장을 수여받은 사람 김구선생 암각문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제1대 대선 대통령 1대 한국독립당 6.63% 13표 2위 낙선 제1대 부통령 선거 부통령 1대 한국독립당 31.47% 62표 2위 낙선 각주[편집] ↑ 백범 발자국 따라 걸으면 큰길 되지요 ↑ 김구는 자신의 호인 백범의 유래에 대해서 "독립국을 이루기 위해서는 가장 천하다는 백정과 무식한 범부까지 전부가 적어도 나만한 애국심은 가진 사람이 되게 하자는 원(願)을 표한 것"이라고 풀이하였다. ↑ 백범 김구선생 기념사업회 ↑ 김삼웅《백범김구평전》시대의창,132쪽 ↑ 경교장복원범민족추진위원회, 비운의 역사 현장 아! 경교장(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2003) p.514 ↑ 대한민국의 이북5도 행정구역 기준 벽성군 운산면 오담리 ↑ 올바르게 풀어쓴 백범일지, 37P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황해남도 태탄군 지촌리에 해당한다. ↑ 조선향토대백과 오담리 ↑ 김구, 《백범일지》(도진순 주해, 돌베개, 2006) 22페이지 ↑ 가 나 다 라 백범김구기념사업회 - 연보 ↑ 계몽사에서 발간한 어린이위인전기 《김구》편에도 김구선생이 어릴적 개구장이여서, 아버지에게 호되게 꾸중을 들었는데, 장난의 정도가 지나쳐서 친척 할아버지가 집에 데려가 며칠간 돌보아주면서 위로할 만큼 호되게 혼났다는 이야기가 있다. ↑ 가 나 “대한민국 건국의 영웅들 (8) - 김구 그는 누구인가”. 주간조선. 2006년 10월 2일. 2011년 11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가 나 다 라 마 백범일지 상권 참조 ↑ 가 나 다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249쪽 참조. ↑ 김구 (초판 1997-7-25, 개정판 2002-8-1). 《백범일지》. 경기도 파주: 돌베개. 50~51쪽쪽. ISBN 89-7199-148-8.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오영섭 《한국 근현대사를 수놓은 인물들(1)》(오영섭 저, 한영희 발행, 2007.4, 경인문화사) 238쪽. ↑ 가 나 다 라 김구 (초판 1997-7-25, 개정판 2002-8-1). 《백범일지》. 경기도 파주: 돌베개. 90~101쪽쪽. ISBN 89-7199-148-8.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김구 (초판 1997-7-25, 개정판 2002-8-1). 《백범일지》. 경기도 파주 피카츄: 돌베개. 98쪽 각주59쪽. ISBN 89-7199-148-8.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뉴라이트와 현 정부에 조롱당하는 김구 주석 - 오마이뉴스 2009년 1월 17일 ↑ 가 나 경향신문 1997년 8월 13일자, 19면 ↑ 가 나 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_contentA.asp?nNewsNumb=200811100050&ctcd=&cPage=1 ↑ 구자홍 기자, 〈치하포 의거로 발현된 청년 김구의 피 끓는 애국심〉, 《주간동아》, 2019년 3월 4일 ↑ 가 나 다 라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250~251쪽 참조. ↑ 도진순, 《분단의 내일 통일의 역사(당대총서 15)》 (당대, 2008) 265페이지 ↑ 백범일지 참조 ↑ 가 나 다 김구 - Daum 백과사전 ↑ 백범일지 ↑ 가 나 다 라 김구 (초판 1997-7-25, 개정판 2002-8-1). 《백범일지》. 경기도 파주: 돌베개. 267쪽쪽. ISBN 89-7199-148-8.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김구 (초판 1997-7-25, 개정판 2002-8-1). 《백범일지》. 경기도 파주: 돌베개. 440쪽쪽. ISBN 89-7199-148-8.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가 나 백범김구기념사업회 ↑ 김구 (초판 1997-7-25, 개정판 2002-8-1). 《백범일지》. 경기도 파주: 돌베개. 440~441쪽쪽. ISBN 89-7199-148-8.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1918년 ~: 이이화, 《한국사이야기21. 해방 그 날이 오면》(한길사, 2004) 23쪽. ↑ 《백범일지(쉽게 읽는)》 (김구, 도진순 옮김, 돌베개, 2005.11) 211~212쪽. ↑ 《대한민국의 기원》 (이정식, 일조각, 2006) 407쪽. ↑ 가 나 다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회 ↑ 가 나 “보관 된 사본”. 2016년 4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신우철 (2005년 10월 24일). “‘연석회의’ 주장이 못미더운 이유”. 동아일보.  ↑ 가 나 http://www.hani.co.kr/section-021109000/2007/04/021109000200704120655080.html ↑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 박노자 (2007년 4월 12일). “‘정당한 폭력’은 정당한가”. 한겨레21.  ↑ ‘정당한 폭력’은 정당한가 : 박노자의 우리가 몰랐던 동아시아 : 칼럼 : 한겨레21 ↑ 가 나 다 라 허정, 《내일을 위한 증언》(샘터사, 1979) 76 ↑ 가 나 다 라 마 바 오영섭 《한국 근현대사를 수놓은 인물들(1)》(오영섭 저, 한영희 발행, 2007.4, 경인문화사) 288페이지 ↑ 가 나 《한민족독립운동사연구》 (이연복 지음, 국학자료원, 2006) 119페이지 ↑ 가 나 다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 논픽션 龜尾史 .12 박희광, 온몸을 던져 구국의 꽃이 되다 ↑ 가 나 김학준,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민음사, 2005) 399페이지 ↑ http://www.kimgu.or.kr/menu_2/index.html ↑ 매일신문 2011년2월28일자 애국지사 박희광 항일 암살단 활약상, 독립신문서 보도 ↑ 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독립운동사 제4권 : 임시정부사》 (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2) 576페이지 ↑ 애국지사 박희광 선생 생가 복원 올해 넘기나? ↑ 한인애국단 조직시기는 1928년설도 있다. ↑ 백범 김구의 전기영화인 아!백범에서도 이봉창이 찾아왔을 때 임정관계자들이 의심하는 내용이 나온다. ↑ 가 나 중국항일전쟁과 한국독립운동 (편집부 지음 | 김승일 번역 | 시대의창출판사 | 2006-04-22) 399 ↑ “2018년 1월의 독립운동가 조지 애쉬모어 피치 선생 공훈내용”.  ↑ 가 나 <광복 60주년 특집> ③무명의 독립운동가들 연합뉴스 2005-08-10일자 ↑ 가 나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한국 독립운동의 역사 27 : 의열투쟁 2》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2009) 253 ↑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한국 독립운동의 역사 27 : 의열투쟁 2》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2009) 255 ↑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한국 독립운동의 역사 27 : 의열투쟁 2》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2009) 254 ↑ 가 나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한국 독립운동의 역사 27 : 의열투쟁 2》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2009) 265 ↑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63페이지 ↑ [백범과 망명지의 세 여인] ③처녀 뱃사공 주아이빠오(朱愛寶) 국민일보 2008년 08월 13일자 ↑ [레저] 일제에 맞서 韓·中 애국지사들 사랑과 우정 꽃피웠다 남도일보 2009년 10월 16일자 ↑ 가 나 김학준,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민음사, 2005) 404페이지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김학준,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민음사, 2005) 405페이지 ↑ 김학준,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민음사, 2005) 408페이지 ↑ 가 나 다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5쪽. ↑ 가 나 이근호, 《한국사 사전》 (이근호 편 지음, 청아출판사, 2006) 517쪽 ↑ 가 나 하련생, 《선월》 (하련생 지음, 강영매 번역, 범우사, 2007) 521페이지 ↑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64페이지 ↑ 가 나 다 라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6쪽. ↑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71페이지 ↑ 사상휘보 제14호(1938.3)(조선총독부고등법원사상부, 1938) 219~222 ↑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70페이지 ↑ 가 나 오영섭 《한국 근현대사를 수놓은 인물들(1)》(오영섭 저, 한영희 발행, 2007.4, 경인문화사) 300페이지 ↑ 한시준, 《안공근의 생애와 독립운동》 138쪽 ↑ 오영섭 《한국 근현대사를 수놓은 인물들(1)》(오영섭 저, 한영희 발행, 2007.4, 경인문화사) 300~301페이지 ↑ 김구, 백범일지 (도진순 엮음) 361~362페이지 ↑ 가 나 다 오영섭 《한국 근현대사를 수놓은 인물들(1)》(오영섭 저, 한영희 발행, 2007.4, 경인문화사) 301페이지 ↑ 가 나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72페이지 ↑ 가 나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74페이지 ↑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65페이지 ↑ 가 나 다 라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75페이지 ↑ “보관 된 사본”. 2007년 3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76페이지 ↑ 통일운동시대의 역사인식(강만길 저, 서해문집, 2008) 279, 330 ↑ “::: 독립기념관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 2012년 1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0월 9일에 확인함.  ↑ 백범학술원, 《백범과 민족운동연구 제1집 2003년》 (백범학술원, 2003) 195페이지 ↑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 가 나 일월총서 71 한국전쟁의 기원(브루스 커밍스, 김자동옮김, 최옥자펴냄, 일월서각) 2001년판 253~254쪽 ↑ 브루스커밍스 한국전쟁의 기원(김자동역, 일월서각, 1986) 237페이지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다시쓰는 한반도100년] (25)정치자금으로 본 해방정국-돈줄막힌 김구 화교무역으로 활로 모색- 경향신문 2002년 2월 1일자 ↑ 가 나 다 김학준 《고하 송진우 평전:민족민주주의 언론인․정치가의 생애》(김학준, 동아일보사, 1990) 179페이지 ↑ 순한문체였던 백범일지 원본은 일반 국민들이 읽을 수 없었고, 김흥두, 이광수 등이 한글 번안작업을 하였다. ↑ 가 나 [격동의 역사와 함께한 조선일보 90년 ] 해방공간 지도자들, 이념 떠나 '복간 축하' 메시지 조선일보 2010.02.08일자 ↑ 허정, 《내일을 위한 증언》 (도서출판 샘터사, 1979) 120페이지 ↑ 아 비운의 역사현장 경교장(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1993), 146 ↑ 가 나 아 비운의 역사현장 경교장(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1993), 145 ↑ 가 나 다 라 아! 비운의 역사현장 경교장(1993, 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213 ↑ 가 나 다 (강원용 목사의 체험 한국 현대사①)‘찬탁론자’ 의심받던 이승만, 세력구축 위해 돌연 반탁운동 나서 ↑ 박용만, 《경무대 비화》 (내외신서, 1986년 중판) 43페이지 ↑ 가 나 다 나영균, 《일제시대 우리 가족은》 (황소자리, 2004) 224페이지 ↑ 역사문제연구소, 《한국현대사의 라이벌》(역사비평사, 2006) 82페이지 ↑ 가 나 브루스 커밍스, 《한국전쟁의 기원》(김자동 옮김, 최옥자펴냄, 일월서각) 2001년판 286피이지 ↑ 가 나 고하 송진우 선생전 69 ↑ 가 나 다 라 브루스 커밍스, 《한국전쟁의 기원》(김자동 옮김, 최옥자펴냄, 일월서각) 2001년판 287페이지 ↑ 리처드 로빈슨, 미국의 배반:미군정과 남조선 (정미옥 역, 과학과 사상, 1988) 77페이지 ↑ 리처드 로빈슨, 미국의 배반:미군정과 남조선 (정미옥 역, 과학과 사상, 1988) 78페이지 ↑ 브루스커밍스 한국전쟁의 기원(김자동역, 일월서각, 1986) 287페이지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민족문화연구소, 《내가 겪은 해방과 분단》(선인, 2001) 31페이지 ↑ 논쟁으로 본 한국사회 100년(편집부 지음, 역사비평사, 2007) 166~170페이지 ↑ 가 나 백범어록(김구, 도진순 엮고 보탬, 돌베게, 2007.11)의 67페이지 ↑ 대한민국의 기원(이정식, 일조각, 2006) 142페이지 ↑ 대한민국의 기원(이정식, 일조각, 2006) 143페이지 ↑ 조병옥, 《나의 회고록》 (도서출판 해동, 1986) 157페이지 ↑ 가 나 다 라 마 조병옥, 《나의 회고록》 (도서출판 해동, 1986) 158페이지 ↑ 가 나 다 이철승·박갑동, 《건국50년 대한민국 이렇게 세웠다》 (계명사, 1998) 238페이지 ↑ 가 나 조병옥, 《나의 회고록》 (도서출판 해동, 1986) 174페이지 ↑ 가 나 다 이승만의 정치 이데올로기(서중석, 역사비평사, 2006) 362페이지 ↑ 인촌 김성수/김학준 정치학박사·현 동아일보회장(해방공간의 주역:9) - 동아일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서울 상동교회의 고 전덕기 목사 추도회 - Daum 전문자료”. 2011년 11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1일에 확인함.  ↑ 강준만의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1권(인물과사상사, 2006) 225 ↑ 가 나 다 라 마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14쪽. ↑ 역사비평사, 《역사비평》 제30호(1995년 가을) (역사비평사, 1995) 319~320, 328쪽 ↑ 가 나 다 라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15쪽. ↑ 가 나 역사문제연구소, 《제주 4.3 연구》 (역사비평사, 1999) 209페이지 ↑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 《논쟁으로 본 한국사회 100년》(편집부 지음, 역사비평사, 2007) 168페이지 ↑ 가 나 다 라 《논쟁으로 본 한국사회 100년》(편집부 지음, 역사비평사, 2007) 169페이지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235쪽. ↑ 역사비평 제32호 (1996년 봄) (역사비평사, 1996) 267쪽 ↑ 가 나 “위클리조선 - 1등 인터넷뉴스 조선닷컴”. 2011년 11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월 5일에 확인함.  ↑ 허정,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129페이지 ↑ 강준만의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1권(인물과사상사, 2006) 223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255쪽. ↑ 가 나 다 라 마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257쪽. ↑ 김정원, 한국분단사 (동녘, 1985) 86 ↑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해방후 민족국가 건설운동과 통일전선》 (역사비평사, 1991) 492쪽 ↑ 한국근현대사연구회 편, 《한국근현대사연구 1996년 제5집》 (한국근현대사연구회, 1996) 212쪽 ↑ ▒ 경인일보 창간 50주년 '도약! 2010'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가 나 역사문제연구소 《제주 4.3 연구》 (역사문제연구소 지음, 역사비평사, 2006) 213페이지 ↑ 가 나 다 라 강준만의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1권(인물과사상사, 2006) 230 ↑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II:기원과 원인(박명림, 나남, 1996) 157~158 ↑ 북한 50년사:우리가 떠안아야 할 반쪽의 우리 역사(김학준, 동아출판사, 1995) 110 ↑ 가 나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II:기원과 원인(박명림, 나남, 1996) 157 ↑ 가 나 다 북한 50년사:우리가 떠안아야 할 반쪽의 우리 역사(김학준, 동아출판사, 1995) 107 ↑ 승차편의 공여에 관한 의뢰장과 임정 신임장 ↑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II:기원과 원인(박명림, 나남, 1996) 158 ↑ 가 나 다 강준만의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1권(인물과사상사, 2006) 231 ↑ 가 나 김삼웅, 《백범평전》 (시대의 창, 2004) 531페이지 ↑ 가 나 다 한국민족운동사연구회, 《한국민족운동과 민족문제》(국학자료원, 1999) 466페이지 ↑ 아! 비운의 역사현장 경교장(1993, 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255 ↑ 가 나 정병준, 《우남 이승만 연구》(역사비평사, 2005) 606페이지 ↑ 가 나 다 라 마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13쪽. ↑ 이철승·박갑동 건국 50년! 대한민국 이렇게 세웠다. (이철승, 박갑동 공저, 계명사, 1998) 311 ↑ 역사문제연구소, 《제주 4.3 연구》 (역사비평사, 2006) 213페이지 ↑ 역사비평편집위원회, 《역사용어 바로쓰기》 (역사비평사, 2006) 171페이지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30쪽. ↑ 가 나 이승만의 정치 이데올로기(서중석, 역사비평사, 2006) pp 360 ↑ 이승만의 정치 이데올로기(서중석, 역사비평사, 2006) pp 360~361 ↑ 정경모, 찢겨진 산하 (기획출판 거름, 1986) 51페이지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32쪽 ↑ 정해구, 《분단과 이승만:1945~1948》〈역사비평〉제32호 (1996년봄) 276쪽.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32~33쪽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34쪽 ↑ 도진순, 《한국민족주의와 남북관계:이승만, 김구 시대의 정치사》(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154쪽에서 재인용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61쪽 ↑ 리처드 로빈슨, 《미국의 배반:미군정과 남조선》 (정미옥 역, 과학과 사상, 1986) 200페이지 ↑ 리처드 로빈슨, 《미국의 배반:미군정과 남조선》 (정미옥 역, 과학과 사상, 1986) 201페이지 ↑ 가 나 다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해방후 민족국가 건설운동과 통일전선 (역사비평사, 1996) 529 ↑ 가 나 다 라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66쪽. ↑ 서중석, 《한국현대사》(웅진지식하우스, 2006) 57쪽 ↑ 가 나 다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65쪽. ↑ 가 나 다 라 마 교보문고, 《사람과 책 2007년 8월호》 (교보문고, 2007) 86페이지 ↑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해방후 민족국가 건설운동과 통일전선》(역사비평사, 1991) 545쪽 ↑ 도진순, 《한국 민족주의와 남북관계:이승만˙김구시대의 정치사》(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158쪽. ↑ 이철승·박갑동 건국 50년! 대한민국 이렇게 세웠다. (이철승, 박갑동 공저, 계명사, 1998) 360페이지 ↑ 가 나 다 라 장택상, 《대한민국 건국과 나》 (창랑장택상 기념사업회, 1993) 73페이지 ↑ 박태균, 《현대사를 베고 쓰러진 거인들: 해방정국과 4인의 요인 암살, 배경과 진상》(지성사, 1994) 123~124쪽.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67쪽. ↑ 박태균, 《현대사를 베고 쓰러진 거인들: 해방정국과 4인의 요인 암살, 배경과 진상》(지성사, 1994) 126쪽. ↑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건국실천원양성소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제공한 텍스트가 없습니다 ↑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김구와장형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제공한 텍스트가 없습니다 ↑ 「建實(건실)」解散(해산), 1949.08.25, 경향신문2면 사회 기사(뉴스), 建國實踐員(건국실천원) 養成所解散(양성소해산), 1949.08.25, 동아일보2면 사회 기사(뉴스) 참조 ↑ 建國實踐員養成所(건국실천원양성소) 弘益大財團(홍익대재단)서 經營(경영), 1949.09.25, 경향신문2면 사회 기사(뉴스) 참조 ↑ (책마을) “같은 편끼리 대립이 한반도 분단 초래” 조선일보 2001.09.14 ↑ 가 나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258쪽. ↑ 도진순, 한국민족주의와 남북관계:이승만, 김구 시대의 정치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161 ↑ 가 나 다 라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68쪽. ↑ 도진순 《백범어록》 돌베개 2007년 11월 12일 ISBN 978-89-7199-294-4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7쪽.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295쪽 ↑ 가 나 허정,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144페이지 ↑ 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아! 비운의 역사현장 경교장(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1993) 331페이지 ↑ 가 나 다 도진순, 《한국 민족주의와 남북관계:이승만・김구시대의 정치사》(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 가 나 김희선 의원, 의성김씨 본관 찾다 실패 동아일보 2004-08-17일자 ↑ 가 나 다 역사비평편집위원회, 《역사용어 바로쓰기》 (역사비평편집위원회, 역사비평사, 2006) 172페이지 ↑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김학준 지음| 민음사 펴냄 | 2007-10-08) p288 ↑ 한국 현대사증언 TV자서전:이철승 2부 - 건국과 6.25 ↑ 가 나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김학준 지음| 민음사 펴냄 | 2007-10-08) p289 ↑ (동아광장/윤평중)민족은 主義를 초월하는가 동아일보 2007년 10월 03일자 ↑ 김구 (1948년 3월 21일). “조국 흥망의 관두(關頭)에 임하여 남하한 이북 동포에게 기(奇)함”.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회.  ↑ 가 나 아! 비운의 역사현장 경교장(1993, 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376 ↑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112페이지 ↑ 이철승·박갑동 건국 50년! 대한민국 이렇게 세웠다. (이철승, 박갑동 공저, 계명사, 1998) 369페이지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민족문화연구소, 《내가 겪은 해방과 분단》 (선인, 2001) 48페이지 ↑ 이철승·박갑동 건국 50년! 대한민국 이렇게 세웠다. (이철승, 박갑동 공저, 계명사, 1998) 367페이지 ↑ 가 나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역사비평사, 1996) 23페이지 ↑ 가 나 다 <볼록거울> 국가보안법 제정 60돌[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연합뉴스 2008년 8월 29일자 ↑ 가 나 다 라 마 바 김구, 여순반란 '수괴' 될 뻔했다 - 오마이뉴스 2001년 10월 26일자 ↑ 가 나 다 서울신문 1948년 10월 22일자 ↑ 가 나 다 라 한성일보 1948년 10월 28일자 ↑ 국회속기록 제1회 90호 (대한민국 국회, 1948) 678~679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리처드 로빈슨, 《미국의 배반》 (정미옥 역, 과학과 사상, 1988) 275페이지 ↑ 가 나 기념사업회 연보7 ↑ 가 나 사진연보 ↑ 가 나 다 라 마 바 [경마 이야기] 김구-이승만 이후 정치인 발길 끊겨 조선일보 1999.06.02 ↑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역사비평사, 1996) 60페이지 ↑ 가 나 다 경교장복원범민족추진위원회, 비운의 역사 현장 아!경교장(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2003) 514페이지 ↑ 가 나 다 경교장복원범민족추진위원회, 비운의 역사 현장 아!경교장(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2003) 515페이지 ↑ "안두희는 美 방첩대요원...白衣社 단장이 암살 지시" 한국경제 2001년 9월 5일 작성 ↑ 이제는 말할 수 있다 비밀결사 백의사 문화방송 2002년 1월 20일 작성 ↑ 가 나 다 라 마 “핵심은 金九쿠데타 기도설, 염동진 배후설은 근거없다” <백범 암살관련 美발굴문서 완전분석> - 신동아 2001 년 10 월 01 일 (통권 505 호) ↑ "염동진 백범암살 사주한 근거 없다"도진순 교수 반박문 기고 동아일보 2001년 9월 20일 작성 ↑ 국민장, 어떻게 치러지나 머니투데이 2009년 5월 24일자 ↑ 북한,조국통일상에 임양ㆍ운동권 학생도, 한국일보 1990-08-17자, 02면 ↑ 1등신문 대전일보 59년 정통언론 ↑ 한은 10만원권 발행 백지화 디지털타임스 2009-01-22자 ↑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 한화(2)-동생 김호연 빙그레회장家 서울신문 2005-08-29 14면 ↑ 가 나 신용하, 《백범 김구의 사상과 독립운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312페이지 ↑ 가 나 다 오영섭, 《한국근현대사를 수놓은 인물들》 (경인문화사, 2007) 302페이지 ↑ 가 나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1권〉(인물과사상사, 2004) 60쪽. ↑ 김구, 《백범일지》 (도진순 주해, 2002 개정판) 446 ↑ 아 비운의 역사현장 경교장(1993, 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221 ↑ 백범어록 도진순 63페이지 ↑ 도진순, 《한국민족주의와 남북관계:이승만,김구시대의 정치사》(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146~147쪽. ↑ 가 나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1권〉(인물과사상사, 2004) 206쪽.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1권〉(인물과사상사, 2004) 254~255쪽.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13쪽. ↑ 도진순, 《한국민족주의와 남북관계:이승만·김구 시대의 정치사》(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146~147쪽.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60~61쪽 ↑ 《아! 비운의 역사현장 경교장》 (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1993)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김구 암살 관련 美 정보문건 전문 Archived 2013년 12월 13일 - 웨이백 머신 동아일보 2001년 09월 04일자 ↑ “핵심은 金九쿠데타 기도설, 염동진 배후설은 근거없다” <백범 암살관련 美발굴문서 완전분석> - 신동아 2001 년 10 월 01 일 (통권 505 호) ↑ 가 나 다 김구 (초판 1997-7-25, 개정판 2002-8-1). 《백범일지》. 경기도 파주: 돌베개. 408쪽쪽. ISBN 89-7199-148-8.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정당한 폭력’은 정당한가 한겨레 21 2007년04월12일 제655호 ↑ 가 나 다 라 마 김구 (초판 1997-7-25, 개정판 2002-8-1). 《백범일지》. 경기도 파주: 돌베개. 311쪽쪽. ISBN 89-7199-148-8.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가 나 허정, <<내일을 위한 증언>>(샘터사, 1979) 145페이지 ↑ 가 나 다 라 “보관 된 사본”. 2015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해방후 민족국가 건설운동과 통일전선》 (역사비평사, 1996) 532 ↑ 가 나 다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해방후 민족국가 건설운동과 통일전선》 (역사비평사, 1991) 535 ↑ 가 나 다 ‘김구선생 명예훼손’ 작가 김완섭씨 기소 동아일보 2004년 7월 27일자 ↑ 가 나 뉴라이트와 현 정부에 조롱당하는 김구 주석 - 오마이뉴스 ↑ 가 나 다 라 마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226~228쪽 참조. ↑ 김구 암살 관련 美 정보문건 전문 Archived 2013년 12월 13일 - 웨이백 머신 동아일보 ↑ 가 나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2:1948~1950 민주주의·민족주의 그리고 반공주의》 (역사비평사,1996) 249페이지 ↑ 선진문화를 이끄는 힘 ‘장비의 발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김구, 안창호, 신채호…김일성! 전국의 인문·사회계열 교수가 뽑은 ‘20세기 한국의 정신사에 영향을 낀친 인물 10인’, 한겨레21 1999년 03월 25일 제250호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강준만, 인물과사상사, 2004) 257쪽 ↑ 박명림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II:기원과 원인》(나남, 1996) 149쪽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백범 김구 탄생130주년… “나라가 혼란할때 필요한 지도자” 동아일보 2006년 9월 23일자 ↑ 박용만, 《경무대 비화》 (내외신서, 1986년 중판) 35페이지 ↑ 가 나 다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강준만, 인물과사상사, 2004) 268쪽 ↑ 도진순 《분단의 내일 통일의 역사》(도진순, 당대, 2001) 262~263쪽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강준만, 인물과사상사, 2004) 35쪽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58쪽 ↑ 뉴라이트 ‘대안교과서’ 책임편집 이영훈 교수 인터뷰. ↑ <연합초대석> 이승만 초대대통령 아들 이인수 박사 Archived 2008년 3월 29일 - 웨이백 머신. ↑ 주간한국 : 팔순 맞은 YS는 좌파의 숙주인가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좌우구도 굳힌 반탁운동에 반공·반소로 일관한 김구 한겨레 2004.05.10 ↑ 가 나 다 라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 268페이지 ↑ 강양욱목사집 폭탄투척사건(비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46) ↑ 브루스커밍스, 김주환 옮김, 『한국전쟁의 기원 上』 (靑史, 1986) 161쪽 ↑ 이철승·박갑동 《건국 50년 대한민국, 이렇게 세웠다.》(계명사, 1998) 148쪽 ↑ 가 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내가 겪은 해방과 분단》 (선인, 2001) 268페이지 ↑ [깨진 링크([http://web.archive.org/web/*/http://www.donga.com/fbin/output?sfrm=2&n=199511290300 과거 내용 찾기)] donga.com[뉴스]-철기 이범석/김학준(해방공간의 주역들:16)][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가 나 다 경향신문, 1972년 04월 08일자 4면, 사회면 ↑ 가 나 노무현 대통령, 김구 평가 발언 논란 - 오마이뉴스 2003년 06월 11일자 ↑ 가 나 다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강준만, 인물과사상사, 2004) 271쪽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강준만, 인물과사상사, 2004) 289쪽 ↑ KBS 1TV <<한국사 傳>> -이승만(2부)편-, 김구의 비서를 지냈던 윤경빈의 증언 ↑ 가 나 다 백범 김구 비서 선우진 《백범 선생과 함께한 나날들》(푸른역사, 2008) 74쪽. ↑ 백범 수행비서의 절절한 추모와 회한 서울신문 2009년 01월 02일자, 17면. ↑ 오영섭 《한국 근현대사를 수놓은 인물들(1)》(오영섭 저, 한영희 발행, 2007.4, 경인문화사) 299~300쪽. ↑ 가 나 다 통큰 인물 '벽초와 백범' 한겨레 2005년 08월 25일자. ↑ 가 나 (책과 길) 출간 60년된 백범일지 감춰진 얼굴 국민일보 쿠키뉴스 2008년 07월 25일자. ↑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 가 나 "애국가 수정·교체 주장은 부당"[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YTN 2006년 04월 7일자 ↑ 가 나 다 라 서울신문 1948년 10월 30일 ↑ 백범일지에 의하면 가짜 어사노릇을 하다가 체포되었으나, 한성의 지인의 주선으로 석방되었다 한다. ↑ 안중근 청년아카데미 ↑ 백범의 혜안으로 '문화국가' 이룰터...[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기독교타임즈 ↑ 백범일지 간행에 참여하였다. ↑ “[한국영화박물관 전시품 기증 릴레이 66] 《불사조의 언덕》 전단지 : 기사 : 씨네21”. 2016년 4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4월 16일에 확인함.  참고 자료[편집] 김구, 《백범일지》(국사원, 1947) 재상해일본총영사관 경찰부 제2과 편, 《조선민족운동연감》 (東文社書店, 1946) 채근식, 《무장독립운동사》(대한민국공보처, 1949) 백범김구선생전집편찬위원회 편, 《백범김구전집 1권~13권》(대한매일신보사, 1999)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1권〉(인물과사상사, 2004)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비운의 역사 현장 아! 경교장》(경교장복원범민족추진위원회 편,2003) 김제방, 《이승만과 김구의 대좌》 (한솜, 2005년) 《백범어록(평화통일의 첫걸음, 백범의 마지막 말과 글)》(도진순 역, 돌베개, 2007) 브루스 커밍스, 《일월총서 71 한국전쟁의 기원》 (브루스 커밍스, 김자동옮김, 최옥자펴냄, 일월서각, 2001년판) 김삼웅, 《백범 김구 평전》(시대의창, 2004) 이현희, 《대한민국 임시정부사 연구》 (혜안, 2001) 손세일, 《이승만과 김구》 (일조각, 1970) 고하선생전기편찬위원회, 《고하송진우선생전》(동아일보출판국, 1964) 김구, 《백범 김구선생의 편지- 백범학술원총서》(나남출판 편집부 지음, 나남출판, 2005) 김구, 《도왜실기》(엄항섭 역, 범우사, 2002) 이현희,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석오 이동녕과 백범 김구》 (동방도서, 2002) 이철승·박갑동, 《건국50년 대한민국 이렇게 세웠다》 (이철승·박갑동, 계명사, 1998) 신복룡, 《한국정치사》 (박영사, 1997) 이현희, 《석오 이동녕과 백범 김구》 (일조각, 1999) 이현희, 《3·1독립운동과 임시정부의 법통성》 (동방도서, 1987) 이현희, 《대한민국임시정부사》 (집문당, 1982) 선우진, 《위대한 한국인 제9권 김구 편》(휘문출판사, 1976) 허정, 《위대한 한국인 제11권 이승만 편》(휘문출판사, 1976) 신용하, 《백범 김구의 사상과 독립운동》(신용하 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정경환, 《백범김구의정치사상》(정경환 저, 이경, 2008.02.28) 한태수, 《한국정당사》(한태수, 신태양사, 1965) 정경환, 《백범 평전》(정경환 저, 이경, 2007)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사 1∼5》 (국사편찬위원회, 1965∼1970) 교문사, 《백범 김구:생애와 사상》(편집부 저, 교문사, 1982.08.01) 연시중, 《한국 정당정치 실록 1권》(항일 독립운동부터 김일성의 집권까지)(지와사랑, 2001.01.20) 박태균, 《현대사를 베고 쓰러진 거인들》(지성사, 1996.11.01) 이현희, 《이야기 인물한국사(2005)》 (이현희, 청아출판사, 2007) 김학준, 《해방공간의 주역들》(동아일보사, 1996) 김구, 《백범 김구선생 언론집 상, 하》(나남출판, 2004) 문용린 외, 《백범 김구의 지적 계발과정 탐색-한 위인의 다중지능 분석보고서》 (문용린 외, 집문당. 2005) 전정일, 《백범 김구 선생 살해범 안두희 그는 누구인가》(전정일 편저, 삼성서적, 1994) 홍우출판사, 정계야화 (전2권) (홍우출판사, 1966) 한국사학회, 한국현대인물론 1,2(을유문화사, 1987) 국가보훈처, 《대한민국독립유공자인물록》 (국가보훈처, 1992) 윤명숙, 《대한영웅전 1》 (국가보훈처, 1995) 역사문제연구소, 《제주 4.3 연구》 (역사비평사, 1999) 배경식, 《기노시타 쇼조 천황에게 폭탄을 던지다》 (너머북스, 2008) 정용욱, 《존 하지와 미군 점령통치 3년》 (중심, 2003) 서중석, 《비극의 현대지도자》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2) 강원룡, 《역사의 언덕에서 2:전쟁의 땅 혁명의 땅》 (한길사, 2003) 김삼웅, 《김구 평전》 (시대의 창, 2004) 참고 자료[편집] 위키문헌에 이 글과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김구 위키인용집에 이 문서와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김구 김구 : 독립유공자 공훈록국가보훈처 새 지폐 인물선호도 김구·신사임당·유관순·정약용 順 경향신문 2007.08.10 백범의 "죽여도 되는" 반민족 '칠가살(七可殺)' 프레시안 2004.10.01 좌우구도 굳힌 반탁운동에 반공·반소로 일관한 김구 한겨레신문 2004.05.10 외부 링크[편집] 백범 김구 기념관 백범김구선생 기념사업협회 백범학술원 전임노백린 제10대 대한민국 임시 정부 국무총리(대리)1923년 4월 9일 - 1924년 4월 23일 후임이동녕 전임홍진 제9대 대한민국 임시 정부 국무령1926년 12월 14일 - 1927년 8월 후임김구 전임김구 제10대 대한민국 임시 정부 주석1927년 4월 10일 - 1927년 8월 후임이동녕 대한민국 임시 정부 국무령1930년 8월 4일 - 1933년 10월 후임양기탁 전임이동녕 제18대 대한민국 임시 정부 국무위원회 주석1940년 3월 13일 - 1940년 10월 후임김구 전임김구 제19대 대한민국 임시 정부 국무위원회 주석1940년 10월 8일 - 1944년 4월 6일 후임김구 전임김구 제20대 대한민국 임시 정부 국무위원회 주석1944년 4월 6일 - 1947년 3월 3일 후임이승만 전임김규식 제3대 대한민국 임시 정부 국무위원회 부주석1947년 3월 3일 - 1947년 9월 5일 후임김구 전임김구 제4대 대한민국 임시 정부 국무위원회 부주석1947년 9월 5일 - 1948년 8월 15일 후임이시영(대한민국 정부 수립) 전임? 대한민국 임시 정부 경무국장1919년 9월 - 1921년 5월 후임김용원 한국 광복군 통수부 주석(광복군 최고사령관)1944년 10월 - 1946년 1월 15일 후임원용덕(남조선국방경비대 수립) vdeh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반대통령 (1919년 ~ 1925년) 이승만 박은식 국무령 (1925년 ~ 1940년) 이상룡 양기탁 이동녕 안창호 이동녕 홍진 김구 주석 (1940년 ~ 1948년) 이동녕 김구 이승만 고조선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발해 후삼국 고려 조선 대한제국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vdeh신민회 창건위원 양기탁 전덕기 이동휘 이동녕 이갑 이회영 윤치호 류동렬 안창호 이경희 김홍량 김구 vdeh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 이승만 이시영 제임스 밴 플리트 장제스 하일레 셀라시에 1세 응오딘지엠 아드난 멘데레스 허위 김좌진 오동진 조병세 안중근 윤봉길 이준 강우규 김구 안창호 신익희 김창숙 손병희 이승훈 한용운 최익현 이강년 민영환 더글러스 맥아더 해리 S. 트루먼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프랑수아 톰발바예 다비드 다코 수루 미강 아피디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레온 음바 아마두 아히조 하마니 디오리 조모 케냐타 무테사 2세 필리베르트 치라나나 퉁쿠 압둘 라흐만 푸트라 알 하즈 타놈 키티카초른 쑹메이링 천궈푸 쑨원 천치메이 피델 산체스 에르난데스 조만식 임병직 서재필 박정희 최규하 시리낏 끼띠야꼰 푸미폰 아둔야뎃 전두환 김규식 조소앙 유관순 vdeh1995년 선정 이 달의 독립운동가 1월 김지섭 2월 최팔용 3월 이종일 4월 민필호 5월 이진무 6월 장진홍 7월 전수용 8월 김구 9월 차이석 10월 이강년 11월 이진룡 12월 조병세 vdeh1995년 선정 이 달의 문화 인물 1월 강세황 2월 조식 3월 정월터 (월터 정) 4월 최무선 5월 이원수 6월 김병로 7월 이육사 8월 김구 9월 채동선 10월 김윤경 11월 이수광 12월 곽재우 vdeh2019년 선정 이 달의 독립운동가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유관순 김마리아 손병희 안창호 김규식·김순애 한용운 이동휘 김구 지청천 안중근 박은식 윤봉길 전거 통제 WorldCat VIAF: 64909377 LCCN: n81017839 ISNI: 0000 0000 8389 4118 GND: 123233933 SUDOC: 107977966 BNF: cb170015989 (데이터) BIBSYS: 4063026 NDL: 00622698 NKC: jo2015865757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구&oldid=24523797" 분류: 김구1876년 태어남1949년 죽음화기에 죽은 사람한국의 암살된 정치인대한민국의 반공주의자반일 감정대한민국의 반일 감정조선의 정치인조선의 살인자대한제국의 정치인대한제국의 승려대한제국의 교육인동학농민운동 관련자일제 강점기의 정치인일제 강점기의 교육인범죄 피해자테러 피해자한국의 범죄인대한민국의 정치인한국의 통일운동가민족주의자천도교 이탈자불교 이탈자대한민국의 감리교도6성장군대한민국 임시 정부 시대 육군 대원수대한민국 임시 정부 시대 육군 원수대한민국 임시 정부 시대 육군 대장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경찰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반대한민국의 보수주의자대한민국 제1공화국한국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국통일상 수상자한국의 독립운동가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한국의 통일운동김구 가신민회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비상국민회의백색 테러한국노병회한국독립당 (1930년)한국독립당의 당원신한청년당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후보안동 김씨 (구)태탄군 출신숨은 분류: 참조 오류가 있는 문서인용 오류 - 날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9년 6월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모호한 표현이 구체적으로 지적된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2009년 4월출처가 필요한 글/2010년 6월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인용집위키문헌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تۆرکجهBosanskiČeština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Français贛語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atinaМонгол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venskaไทย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4일 (목) 16: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백범 김구(한국 한자: 金九, 1876년 8월 29일 (음력 7월 11일) ~ 1949년 6월 26일)는 일제 강점기 독립 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통일운동가, 정치인이다. 1949년 6월 26일 안두희에게 총살당하여 사망하였다. 대일 의열단체 한인애국단을 이끌었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을 역임하였으며,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양반가의 후손으로 태어나 과거에 응시했으나 낙방, 이후 동학농민혁명에 참가했고, 한때 불교 승려로 활동했다. 자(字)는 연하(蓮下), 처음 이름은 창암(昌巖)이고, 호(號)는 백범(白凡), 연상(蓮上)이다. 호는 미천한 백성을 상징하는 백정의 ‘백(白)’과 보통 사람이라는 범부의 ‘범(凡)’ 자를 따서 지었다. 19세 때 이름을 창수(昌洙)로 바꾸었다가, 36세(1912년)에 거북 '구'(龜)였던 이름을 아홉 '구'(九)로 바꾸었다. 그 밖에 환속 이후의 이름인 두래(斗來), 피난 시기에 사용한 가명인 장진(張震), 장진구(張震球)도 있었다. 젊어서 동학교도였고, 불교에 귀의해서 법명 원종(圓宗)을 얻은 승려였으며, 28세 때 부친 탈상 후 기독교에 입문하였다. 양산학교, 보강학교 등에서 교육자로 교편을 잡기도 했고, 해서교육총회 학무총감으로도 활동했다. 교육·계몽 운동 중 일본 제국 경찰에 연행되어 수감되기도 하였다. 김방경의 25대손으로 본관은 구 안동이며, 황해도 해주 출신이다. 1919년 이후 상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여, 의정원 의원, 경무국장, 내무총장, 국무총리 대리, 내무총장 겸 노동국 총판 등을 지냈다. 외교 중심의 독립 운동 성과를 얻지 못하자 1921년 임시 정부 내 노선 갈등 이후 일부 독립 운동가가 임시 정부를 이탈하고, 만주사변 이후에 일본의 중국 침략이 본격화되면서 중국 관내 여러 지역으로 임시 정부를 옮겨다녔으며, 1924년에는 만주 대한통의부 박희광 등을 통한 친일파 암살 및 주요공관 파괴, 군자금 모집 등을 비밀리에 지휘하였고, 1931년에 독립 운동 단체인 한인애국단을 조직하여 이봉창의 동경 의거, 윤봉길의 훙커우 공원 사건 등을 지휘하였다. 1926년 12월부터 1927년까지 1930년부터 1933년까지 임시정부 국무령을, 이후 국무위원, 내무장, 재무장 등을 거쳐 1940년 3월부터 1947년 3월 3일까지 임시정부 국무위원회 주석을 지냈다. 1945년 광복 이후에는 임시정부 법통 운동과, 이승만, 김성수 등과 함께 신탁 통치 반대 운동과 미소 공동위원회 반대 운동을 추진하였으며, 1948년 1월부터 남북 협상에 참여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구 선생의 회고 내용은 무엇일까? Assistant: 한편 김구는 이때 주애보와의 관계를 회고하면서 ]두고두고 후회되는 것은 그때 그녀에게 여비로 겨우 100위안을 준 일이다. 그녀는 근 5년 동안 나를 광저우 사람인 줄 알고 섬겨왔고 나를 보살핀 공로가 적지 않았다. 당시 나는 다시 만날 기약이 있을거라고 생각했는데 노자 외에 돈을 넉넉하게 주지 못한 것을 참으로 유감스럽게 생각한다.[64]'라고 하였다. 이후 김구의 후손들은 주애보의 행방을 수소문했으나 끝내 찾지 못했다.[65]
Human: 아래 공병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공병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공병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공병우公炳禹 출생 1907년 1월 24일(1907-01-24)대한제국 평안북도 벽동군 사망 1995년 3월 7일 (88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직업 안과 의사 국어국문학자 저술가 수필가 사진가 언어 한국어 국적 대한민국 소속 前 공안과 원장 前 한글학회 이사장 前 한글문화원 원장前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겸임교수前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겸임교수 학력 일본 나고야 제국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활동기간 1938년 ~ 1995년 장르 수필, 저술, 사진 수상내역 대통령상(1958) 외솔문화상(1974) 금관문화훈장(1995) 배우자 이용희 자녀 슬하 3남 6녀 종교 개신교 웹사이트 아래아 한글 탄생과 공병우 박사 공병우 타자기와 관련 있는 세벌식 카페 공병우(公炳禹, 1907년 1월 24일(1906년 음력 12월 30일) ~ 1995년 3월 7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안과 의사이자 국어국문학자이다. 한글 전용과 한글 기계화 및 전산화에 공헌하였다. '공병우 타자기'가 유명하다.[1] 목차 1 생애 2 약력 3 학력 4 디지털 시대의 업적 5 노년 6 출연작 7 지은 책 8 사후 발간 9 수상 10 각주 11 외부 링크 생애[편집] 한글학회 이사장(1959~1977)을 지냈으며 이후 한글문화원을 개설(1988)하여 원장을 지낸 그의 본관은 김포(金浦)이며 평안북도 벽동에 유복한 집안에서 팔삭동이로 태어났다. 1938년 한국인 최초로 안과 전문 의원인 공안과를 개원한 의학박사였으며 일제 강점기 말기에는 강압적인 창씨개명 정책에 대한 반발로 스스로 '금일(오늘) 공병우 사망'이라고 선언하기도 했다. 해방 이후부터는 사재를 털어 한글기계화운동에 주력하면서 세벌식 글자판 개발과 보급에 더욱 전념했고 1949년 최초로 개량형 기계식 타자기를 개발했다. 그 이전에는 다섯벌식, 네벌식, 세벌식 글자판 타자기가 나와 있었으나 모두 개량하는데 실패했기 때문에 공병우 타자기가 개량하는데 성공하면서 일반에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1960년대 말 박정희 정부에서 타자기에 네벌식 글자판이 표준으로 채택되었고 1983년 전두환 정부에서 컴퓨터에 두벌식 자판이 표준으로 채택하면서 글자판의 통일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1995년 3월 7일, 노환으로 인하여 8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타계 후, 후진들의 의학 교육을 위하는 유지에 따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 몸소 해부학 실습을 위해 시신을 기증하였다. 약력[편집] 1906년 평안북도 벽동군에서 태어남. 1926년 조선 의사 검정 시험 합격. 1936년 일본 나고야 제국 대학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 1938년 공안과 의원 개설. (한국 최초의 안과 전문 의원 개설) 1949년 최초로 "실용적인" 한글 타자기 개발. 초성, 중성, 종성의 세벌식 글자판. 1958년 최초로 콘택트렌즈 도입 시술. 1959년 2월 재단법인 한글학회 이사 (1971년 2월까지) 1968년 기계식 한영 겸용 타자기 발명. 1970년대 한글 네벌식 자판 반대 운동. 1971년 기계식 한글 점자 타자기 개발. 1980년대 세벌식 글자판 미국 교포 사회에 보급. 1988년 한글문화원 개설. 1995년 사망. 금관문화훈장에 추서됨. 학력[편집] 평안남도 평양의학강습소 학사 일본 나고야 제국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석사·의학박사 디지털 시대의 업적[편집] 공병우는 90대였던 1990년대에도 한글과학화와 발전을 위한 평생의 꿈을 추구했다. 그가 만든 한글문화원은 80년대 중반부터 매킨토시 컴퓨터를 직접 활용하여 직결식 한글 세벌식 글자꼴을 개발하였다. 그는 세벌식이 가장 빠르고 편리하게 한글을 기계와 컴퓨터에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주장하였다. 한글문화원에서 훗날 아래아한글의 개발을 함께한 박흥호와 함께 세벌식자판배열을 완성했으며, 세벌식입력기 소프트웨어를 만들었다. 공병우박사는 그 무렵의 고령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재야에서 실력을 떨치던 젊은 프로그래머였던 강태진, 정내권, 이찬진, 안대혁 등과 교류하였고, 이들을 지원했다. 이들은 한글문화원에서의 인연으로 훗날 한글과컴퓨터를 창업했으며, 국산워드프로세스인 아래아한글을 개발하였다. 그는 군사정권하에서 세벌식자판과 조합형코드가 IT 표준으로 정착되지 못한 현실을 안타까워 했으며 과학적으로 한글을 모두 표현하지 못하는 완성형 코드를 비판하고 조합형 코드를 지지하였으며 한글의 창제원리에 맞지 않는 네모 글자꼴의 한글 글꼴들의 획일화를 비판하였다. 노년[편집] 1990년대 PC 통신(하이텔)에 세벌식의 우수성에 대해 글을 올리고, 키보드에 붙이는 세벌식 자판을 무료로 보내주는 등 세벌식을 널리 알리는 일을 계속했다.[2] “ 나의 죽음을 세상에 알리지 말고, 장례식도 치르지 말라. 쓸 만한 장기는 모두 기증하고 남은 시신도 해부용으로 기증하라. 죽어서 땅 한 평을 차지하느니 차라리 그 자리에서 콩을 심는 게 낫다. 유산은 맹인 복지를 위해 써라. ”   — 공병우의 유언 1995년 3월 7일 출연작[편집] 1988년 12월 7일 KBS 《11시에 만납시다》 한글타자기에 바친 의학박사 공병우 지은 책[편집] 공병우 (1989년 9월 1일). 《나는 내식대로 살아왔다》. 대원사. ISBN 9788936907501.  (자서전) 공병우 (1980). 《공병우사진集》. 삼화인쇄(주)출판부.  공병우 (1939). 《新小眼科學》 (일본어). 京城: 柳韓洋行學術部.  사후 발간[편집] 김은식; (그림)이상규 (2012. 8. 27.). 《공병우(한겨레 인물탐구 9)(》. 한겨레아이들. ISBN 9788984316140.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송현 (2008). 《공병우: 한글기계화의아버지》. 작은씨앗. ISBN 9788990787675.  공병우; (그림)신현영 (2006. 4. 26.). 《공병우(우리 위인 동화 6)》. 기탄동화. ISBN 9788959502103.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수상[편집] 1949년 10월: 국회의장상 (전국 과학 전람회에 한글 타자기 출품) 1958년 10월: 대통령 표창 (한글 타자기 발명 공로) 1962년 8월: 대통령 표창 (건국 공로 식산) 1968년 10월: 문화공보부 장관상 (한글 전용 공로자) 1970년 7월: 평택 군수 감사장 (평택군 관내 안과 환자 1개월 간 무료 진료) 1974년 3월: 외솔 문화상 (한글 문화 개발 공로) 1975년 10월: 은장 박애장 (대한 적십자사 70주년 기념) 1978년 9월: 여군단장 감사패 (여군 창설 제28주년 기념 여군 한글 타자 기술 향상에 기여) 1979년 3월: 서울 적십자사 총재 표창 (모범 납세자) 1979년 10월: 대한 적십자사 총재 표창 (적십자 사업 발전 기여) 1980년 2월: 종로구청장 표창 (새마을 저축 증대 기여) 1980년 5월: 평안북도 첫 문화상 수상 (평안북도 도민의 날) 1981년 4월: 국민훈장 석류장 (장애자의 날) 1983년 7월: 사회복지법인 우성원 및 구화학교 공동명의 감사패 (우성원 및 구화 학교 준공) 1984년 10월: 한국 교회 100주년 기념 맹인 선교회에서 공로패 (맹인 개안 및 맹인 재활 사업에 기여) 1987년 1월: 제1회 서재필 상 (서재필 기념재단에서 한글 타자기 발명 및 한글 컴퓨터 개발 등 한글 기계화 공로) 각주[편집] ↑ 박돈규. 정전협정문 작성한 '공병우 타자기' 아시나요. 조선일보. 2018년 7월 21일. ↑ 이민우 (2005년 3월 8일). “공병우 박사 10주기 '세벌식' 불씨 살린다”. 오마이뉴스. 2013년 9월 1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아래아 한글 탄생과 공 병우 박사 공병우 타자기와 관련 있는 세벌식 카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공병우&oldid=24133115" 분류: 1907년 태어남1995년 죽음일제 강점기의 의사대한민국의 의사대한민국의 저술가대한민국의 수필가대한민국의 사진가벽동군 출신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연세대학교 교수고려대학교 교수대한민국의 개신교도한글김포 공씨나고야 대학 동문대한민국의 자서전 작가대한민국의 발명가숨은 분류: CS1 - 일본어 인용 (ja)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인용 오류 - 날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일 (수) 20:0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공병우(公炳禹, 1907년 1월 24일~1995년 3월 7일)는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안과 의사이자 국어학자이다. 한글 전용과 한글 기계화 및 전산화에 공헌하였다. '공병우 타자기'가 유명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공병우는 무슨 이유로 스스로 사망했다고 선언했어? Assistant: 창씨개명 Human: 아래 김은성_(아나운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은성 (아나운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은성 (아나운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은성출생 1971년 12월 8일(1971-12-08) (47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거주지 서울특별시국적 대한민국 학력 경희대학교 철학과 학사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부 대학원 저널리즘 석사,스피치 커뮤니케이션 박사직업 아나운서소속 KBS 아나운서실 김은성 (1971년 12월 8일 ~ )은 대한민국의 KBS 아나운서이다. 1997년 공채 24기 아나운서로 입사하였다.KBS광주방송총국 지역근무하여 현재 KBS 아나운서실에서 근무하고 있다. 경희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부 대학원에서 〈저널리즘〉석사, 〈스피치 커뮤니케이션〉박사 학위를 받았다. 목차 1 학력 2 경력 3 진행 3.1 TV 3.2 라디오 4 저서 5 기타 경력 6 참고 7 외부 링크 학력[편집] 경희대학교 철학과 학사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부 대학원 저널리즘 석사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스피치 커뮤니케이션 박사 경력[편집] 1997년 KBS 공채 24기 아나운서(KBS광주방송총국 지역근무) 진행[편집] TV[편집] KBS 광주 1TV《KBS 뉴스 광주 · 전남권 》 KBS 1TV《KBS 뉴스 (1050)》 KBS 1TV《KBS 뉴스 네트워크》(2009년 10월 19일 ~ 2010년 12월 31일) KBS 1TV《KBS 뉴스광장》토요일 (2007년 5월 5일 ~ 2009년 10월 17일) KBS 1TV《KBS 뉴스 12》(2014년 7월 7일 ~ 2016년 4월 22일) KBS 1TV《KBS 오전 5시 뉴스》토요일 (2013년 8월 24일 ~ 2014년 4월 5일) KBS 1TV《KBS 뉴스 5》(2002년 3월 25일 ~ 2007년 4월 27일) KBS 1TV《KBS 뉴스 7》(2018년 2월 12일 ~ 2018년 4월 20일) KBS 2TV《건강 TV, 안녕하십니까》 KBS 2TV《TV클리닉 당신의 건강은》 KBS 1TV 《KBS 뉴스 930》(2018년 9월 10일 ~ 현재) 라디오[편집] KBS 1FM《출발 FM과 함께》 KBS 1라디오 《세상의 모든 지식》 KBS 1라디오《퀴즈가 좋다》[1] 저서[편집] 지저스 코칭파워 프레젠테이션이 남자가 말하는법리더의 7가지 언어예수님께 소통을 배워라인류의 최고의 설득술,프렙(Prep) 기타 경력[편집] 2007년 《미래주간 홍보대사》 《방송진행자의 스피치 구성 요인과 공신력 평가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2] 《마음을 사로잡는 파워스피치》저술 ISBN 10-8960860107 참고[편집] ↑ 종전 '시사 퀴즈왕'에서 이름과 시간대만 변경 ↑ 김현덕 (2006년 7월 3일). “손석희·유재석 말 잘하는 방송인… KBS 김은성 아나운서 박사 논문”. 쿠키뉴스. 2010년 2월 2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KBS 아나운서 소개 중 김은성 페이지 김은성 - 트위터 이 글은 방송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은성_(아나운서)&oldid=24000509" 분류: 1971년 태어남경희대학교 동문한국방송공사의 아나운서대한민국의 아나운서살아있는 사람숨은 분류: 방송인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9일 (화) 18: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은성(개명 이전 이름: 김운성, 1971년 12월 8일 ~ )은 대한민국의 KBS 아나운서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은성 아나운서가 2018년부터 지금까지 진행하는 뉴스 프로그램은? Assistant: KBS 뉴스 930
Human: 아래 사첼_페이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사첼 페이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첼 페이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사첼 페이지 Satchel Paige 기본 정보 국적 미국 생년월일 1906년 7월 7일 출신지 미국 앨라배마주 모빌 사망일 1982년 6월 8일 (75세) 사망지 미국 미주리주 캔자스시티 신장 190 cm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우타 수비 위치 투수 프로 입단 연도 1948년 드래프트 순위 우선순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1] 첫 출장 MLB / 1948년 7월 9일 구장명 대 시카고 화이트삭스전 마지막 경기 1965년 9월 25일 구장명 대 보스턴 레드삭스전 경력 니그로 리그 베이스볼 멕시칸 리그 메이저 리그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1948년 ~ 1949년) 메이저 리그 세인트 루이스 브라운스(1951년 ~ 1953년) 메이저 리그 캔자스시티 어슬레틱스(1965년) 미국 야구 전당 전당 헌액자 선출년 1971년 선출방법 니그로 리그 협회 르로이 로버트 "사첼" 페이지 (Leroy Robert "Satchel" Paige, 1906년 7월 7일 ~ 1982년 6월 8일)는 전 니그로 리그 베이스볼, 멕시칸 리그, 메이저 리그 선수이다. 니그로 리그 베이스볼,멕시칸 리그 등 각종 독립리그에서 활약했으며, 1948년 42살의 나이에 메이저 리그에 6번째로 진출한 흑인선수이자, 메이저 리그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소속으로 아메리칸 리그 최초의 흑인투수, 최고령 신인 선수가 되었다.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에서 활약하고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現 볼티모어 오리올스)로 이적, 활약하여 1953년 은퇴했으며 12년후, 1965년에 58세의 나이에 캔자스시티 어슬레틱스(오늘날 오클랜드 어슬레틱스)의 선수로 등록되어 보스턴 레드삭스와의 경기에서 3이닝 선발 등판하여 모든 이들을 놀라게 하며 메이저 리그 최고령 선수로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게 된다. 1971년,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였다. 목차 1 생애 2 선수생활 2.1 니그로리그 & 중남미리그등 각종 독립리그 2.2 메이저 리그 시절 3 은퇴 이후 4 통산 성적 4.1 니그로 리그 4.2 노스다코타 4.3 도미니칸 리그 4.4 멕시칸 리그 4.5 쿠바 리그 (윈터 리그) 4.6 캘리포니아 윈터리그 4.7 푸에르토 리그 (윈터 리그) 4.8 메이저 리그 4.9 마이너리그 5 같이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생애[편집] 1906년[2] 11명의 형제중 7번째로 태어났다. 사첼 페이지는 본래 이름이 르로이 페이지(LeRoy Paige)였다. 페이지의 출생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는데, 그가 1906년생인지에 대해서는 지금도 의견이 분분하다. 일설에는 1900년생이라는 주장도 있으며, 그를 옆에서 직접 본 선수들은 그보다 10살 이상 많았을 거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는 1959년, 페이지 어머니의 증언으로 일단락됐다.[3] 13남매를 뒀던 페이지의 어머니는 성경책에 자녀들의 생일을 모두 기록해 뒀다. 하지만 어느날 집에 들어온 염소가 일부를 뜯어먹었고, 이후 출생신고를 하는 과정에서 페이지의 출생연도가 1904년에서 1906년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한편, 어린 시절 도둑질을 하다 붙잡힌 페이지가 교도소에 가지 않기 위해 두 살을 속이면서 1906년생이 됐다는 주장도 있다. 정원사 일을 하던 아버지와 가정부로 살림을 꾸려나간 어머니 밑에서 성장하였는데, 그의 어머니가 여행용가방(Satchel)에 7살이였던 그를 넣어놓고 기차를 이용한 일이 있어 그 때부터 '르로이'(LeRoy)라는 이름 대신 '사첼'(Satchel)이라고 불렸으며[4], 넉넉지 못한 형편으로 고향 프로팀의 잔심부름을 시작으로 10살부터 야구와 인연을 맺게 되었다. 고등학교 졸업 후 1924년 세미프로팀에서 한경기당 1$을 받는 조건으로 본격적인 프로생활을 하게 된 그는 1926년부터 니그로 리그 베이스볼 선수생활을 시작하게 되었다. 선수생활[편집] 니그로리그 & 중남미리그등 각종 독립리그[편집] 선수생활하면서 니그로 리그의 전설을 쓰기 시작하였다 . 이후 1930년대 니그로리그의 여러 팀에서 활약을 하면서 그는 긴 팔다리를 최대한 이용, 엄청난 강속구를 뿌렸다고 한다. 정확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지만 페이지는 20여 년 이상 니그로 리그 베이스볼, 멕시칸 리그, 각종 독립리그를 순회하며 2000경기 이상에 등판했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첼 페이지의 기록은 너무나도 놀라워 지금까지도 여러 팬들에게 회자되고 있는데, 일설에는 승리만 2000승이라고도 한다. 그 외에도 50타자 연속 삼진, 수비수들을 모두 덕아웃으로 불러 놓고 공 9개로 이닝 종료, 워밍업 때 성냥갑을 홈플레이트 삼아 스트라이크 던지기 등 확인되지 않은 전설이 퍼져나갈 정도로 확실하게 경기를 압도하는 투수였다고 알려질 정도였다.[5] 하지만 문제는 그 누구도 정확한 기록을 알지 못해서 과장된 것이 아니냐는 의문인것인데, 1920년대부터 니그로 리그에서 활약한 그의 기록이 제대로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다.[6] 니그로리그 선수들에 대한 근거있는 정확한 자료가 없어서 많이 부풀려진 면이 있겠지만, 1930년 이벤트로 치러진 메이저 리그와 니그로 리그 대표팀 간의 경기에서 사첼 페이지는 메이저리거들 상대로 위력적인 공을 구사했다.[7] 당시 메이저리거들 상대로 22개의 탈삼진을 잡아냈었다고 알려진 것, 1932년 이벤트로 치러진 메이저 리그와 니그로리그 대표팀 간의 경기에서 사첼 페이지는 메이저리거들 상대로 위력적인 공을 구사했었다. 당시 메이저 리그 강속구 투수로 유명했던 디지 딘을 비롯해 메이저 리그에서 활약했던 슈퍼스타들은 그를 '역사상 가장 뛰어난 투수'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조 디마지오는 자신이 페이지에게 4타수 1안타를 친 사실을 자랑하고 다녔다고 한다. 그리고, 뒷날 1948년 메이저 리그에 데뷔하여 나이 40이 넘어서도 145km이상의 직구를 뿌린 것을 감안하면 신빙성이 있는 주장일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그의 기량은 많은 메이저 리그 선수들도 인정하고 있었고, 그가 당시 최고의 투수였음은 확실한 것으로 보인다. 그외에 사첼 페이지는 구단주에게도 인기가 많았고, 선수들에게는 만담꾼으로 인기가 많았으며 관객들에게는 쇼맨쉽으로 인기가 많았던 선수였다. 그는 상상하기 힘든 강속구를 지녔으며 오버핸드, 언더핸드 등 변칙투구로 타자들을 농락하였다고 한다. 메이저 리그 시절[편집] 그는 뛰어난 기량을 가지고 있음에도 흑인이라는 이유로 메이저 리그 입성은 이루어질수 없었고, 1947년 재키 로빈슨이 메이저 리그 데뷔를 이룬 이듬해 42살의 나이가 돼서야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의 호출을 받았다. 그러나 사첼 페이지 자신은 나이가 40을 넘었다는 것을 감안하여 처음엔 이를 거절하였다. 하지만, 40이 넘어서도 145 km 이상 뿌릴 수 있는 강속구를 가지고 있는 그에게 섣불리 물러날 구단장이 아니었고, 같은 흑인 선수인 래리 도비가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유니폼을 입으면서 AL리그 첫 번째 흑인선수로 데뷔하자, 사첼 페이지는 결국에 1948년 42살의 나이로 메이저 리그에 6번째로 진출한 흑인선수라는 타이틀과 함께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의 최초 흑인투수가 되었으며, 42세 나이에 최고령 신인 기록을 하면서 메이저 리그 데뷔하게 되었다. 전성기가 지나가버린 그였지만, 불펜과 선발을 오가며 1948년 시즌 6승 1패 방어율 2.47을 기록한 첫해 그의 첫 3경기 등판 동안 무려 20만명이라는 엄청난 야구팬이 각 구장마다 몰려들었고[8], 그가 불펜에서 몸을 푸는 모습을 보이기라도 하면 모든 사람들이 기립하여 환호를 질렀다고 한다. 1950년 독립리그로 잠시 외도를 하였다가 1951년 다시 세인트 루이스 브라운스(현재, 볼티모어 오리올스이다.)로 메이저리거로 복귀하여 45살 나이였던 1952년 12승 10패 방어율 3.07을 기록하였는데, 1952년시즌에 역사상 최고령 완봉, 완투승을 이뤄냈을때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다. 당시, 그는 인터뷰에서 이런말을 남겼다. “ 내가 100살이 되어도, 그 녀석들(상대 타자들)은 삼진시킬 수 있을거야. ” 그리고 이듬해 1953년 입단 3년 만에 은퇴를 선언하였다. 그러나 이것이 끝이 아니었다. 글러브를 벗은 지 12여 년이 지난 1965년, 연금법이 개정되어 페이지가 3이닝이 모자라 연금을 받지 못하게 되었다는 사실을 안 캔자스시티 어슬래틱스는 59세의 그를 영입해 보스턴 레드삭스전에 선발 등판시켰고, 페이지는 3이닝을 1안타 무실점으로 막아내는 기염을 토했다. 당시 유일했던 1안타는 보스턴 레드삭스의 간판타자 칼 야스트렘스키가 뽑아낸 2루타였고, 페이지는 모든 이들을 놀라게 하며 메이저 리그 최고령 선수로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면서 은퇴를 하게 되었다.[3][9] 은퇴 이후[편집] 그가 기록한 메이저 리그 통산기록은 5시즌 동안, 28승 31패 4세이브 방어율 3.29를 기록했다. 은퇴 이후 밀워키 브레이브스(현재, 아틀란타 브레이브스)의 투수코치로 2년간 활약했고, 1971년, 니그로리그에서의 업적을 인정받아 니그로 리그 협회(Committee on Negro Leagues)를 통해 헌액되어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입성 당시, 보스턴 레드삭스에서 활약했던 백인 선수 테드 윌리엄스는 사첼 페이지의 명예의 전당 입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발언했다. “ 페이지와 깁슨 같은 선수는 니그로리그의 상징으로 언젠가는 명예의 전당에 오를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들에겐 단지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을 뿐이다.(I hope some day Satchel Paige and Josh Gibson will be voted into the Hall of Fame as symbols of the great Negro players who are not here only because they weren't given the chance.) ”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을 당시 65세였던 페이지는 "현재는 물론이고 10년 뒤에 등판해도 승리할 수 있다."며 끝없는 자신감을 표출했지만, 약 10년 뒤인 1982년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통산 성적[편집] 니그로 리그를 비롯한 중남미 리그등 그의 성적이 일부 기록되어있으나, 이는 정확하다. 그 이유는 1920년대부터 니그로 리그에서 활약한 그의 기록이 제대로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다. 니그로 리그[편집] 연도 팀 리그 승리 패전 승률 등판 완투 이닝 피안타 볼넷 삼진 RA 방어율 1927 Birmingham NNL (first) 7 1 .875 18 5 89.3 69 26 69 3.32 2.12 1928 Birmingham NNL 12 5 .706 26 11 134.3 109 21 112 2.95 2.01 1929 Birmingham NNL 10 9 .526 30 15 188.3 188 31 176 4.92 3.73 1930 Baltimore Independent 3 1 .750 4 3 31.0 35 6 17 3.48 2.32 1930 Birmingham NNL 7 4 .636 14 9 96.3 74 9 69 3.27 2.62 1931 Cleveland NNL 1 2 .333 6 1 32.7 26 4 18 3.31 2.48 1931 Pittsburgh Independent 0 1 .000 1 1 8.0 5 1 0 3.38 2.25 1932 Pittsburgh Independent 10 4 .714 22 12 132.7 92 35 92 3.19 1.70 1933 Pittsburgh p NNL (second) 5 7 .417 13 8 95.0 54 12 55 3.69 1.89 1934 Pittsburgh NNL 14 2 .875 22 15 154.0 103 26 144 2.16 1.40 1935 Kansas City Independent 0 0 .000 2 1 9.0 5 1 11 0.00 0.00 1936 Pittsburgh p NNL 5 0 1.000 7 5 47.7 41 9 47 3.21 2.08 1937 Trujillo All-Stars Independent 0 1 .000 2 1 11.0 16 1 11 4.09 4.09 1940 Kansas City p NAL 1 0 1.000 2 1 11.0 6 0 8 0.82 0.00 1941 Kansas City p NAL 4 0 1.000 12 2 55.0 42 6 42 3.44 1.64 1941 뉴욕 NNL 1 0 1.000 1 1 9.0 5 0 8 3.00 0.00 1942 Kansas City c NAL 4 5 .444 18 5 95.0 68 11 79 2.84 1.80 1943 Kansas City NAL 6 8 .429 23 3 102.0 90 22 74 4.59 2.65 1943 Memphis NAL 1 0 1.000 1 0 5.0 0 2 7 0.00 0.00 1944 Kansas City NAL 4 5 .444 14 5 82.7 51 13 76 1.96 0.54 1945 Kansas City NAL 2 4 .333 11 2 51.7 48 14 54 5.05 1.05 1946 Kansas City p NAL 5 1 .833 11 2 47.0 40 3 45 2.11 1.15 1947 Kansas City NAL 1 1 .500 3 2 19.0 7 0 17 0.95 0.47 Total 19 seasons 103 61 .628 263 110 1506.7 1174 253 1231 3.31 2.02     p = pennant; c = Negro League World Series championship. 노스다코타[편집] 연도 팀 승리 패전 승률 완투 이닝 볼넷 삼진 RA 1933 Bismarck 6 0 1.000 7 72.0 11 119 1.25 1935 Bismarck 29 2 .935 18 229.7 16 321 1.96 Total 2 seasons 35 2 .946 25 301.7 27 440 1.79 도미니칸 리그[편집] 연도 팀 리그 승 패 승률 1937 Ciudad Trujillo Dominican League 8 2 .800 멕시칸 리그[편집] 연도 팀 리그 승리 패전 승률 등판 완투 이닝 피안타 볼넷 삼진 방어율 1938 Agrario de México Mexican League 1 1 .500 3 0 19.3 28 12 7 5.12 쿠바 리그 (윈터 리그)[편집] 연도 팀 리그 승리 패전 승률 등판 완투 1929–30 Santa Clara Cuban League 6 5 .545 15 8 캘리포니아 윈터리그[편집] 연도 팀 리그 승리 패전 승률 완투 이닝 볼넷 삼진 1931–32 Philadelphia Giants California Winter 6 0 1.000 6 58 — 70 1932–33 Tom Wilson's Elite Giants California Winter 7 0 1.000 7 63 — 91 1933–34 Wilson's Elite Giants California Winter 16 2 .889 18 172 47 244 1934–35 Wilson's Elite Giants California Winter 8 0 1.000 7 69 20 104 1935–36 Wilson's Elite Giants California Winter 13 0 1.000 6 94 28 113 1943–44 Baltimore Elite Giants California Winter 3 1 .750 1 36 10 39 1945 Kansas City Royals California Winter 1 1 .500 1 27 12 27 1946 Kansas City Royals California Winter 0 2 .000 0 15 7 21 1947 Kansas City Royals California Winter 2 1 .667 1 35 14 60 Total 9 seasons 56 7 .889 47 569 — 769 푸에르토 리그 (윈터 리그)[편집] 연도 팀 리그 승리 패전 승률 이닝 볼넷 삼진 방어율 1939–40* Guayama p Puerto Rico 19† 3 .864 205 54 208† 1.93 1940–41 Guayama Puerto Rico 4 5 .444 — 26 70 3.89 1947–48 Santurce Puerto Rico 0 3 .000 34 13 26 2.91 Total 3 seasons 23 11 .676 — 93 304 —    * – league MVP; † – single-season league record; p = pennant. 메이저 리그[편집] 사첼페이지 메이저 리그 통산 성적 참조. 마이너리그[편집] 사첼페이지 마이너리그 통산 성적 참조. 같이 보기[편집] 조시 깁슨 재키 로빈슨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각주[편집] ↑ 정확히 말하면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단장이 입단 제의를 표했고, 사첼 페이지는 이를 받아들여서 입단. ↑ 정확히 몇 년 생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 가 나 '시대를 잘못 태어난 에이스' 새철 페이지 ↑ 이에 대해선 설이 분분하다. 7세 때 돈벌이를 위해 기차역에서 짐꾼으로 일하는데 그 낑낑거리는 모습을 보고 누군가 '여행가방나무(Satchel tree) 같다'고 해서 붙여졌다는 설도, 어렸을 때 남의 가방을 훔치다가 붙잡혀서 그런 별명이 붙여졌다는 설도 있다. ↑ 네이버 스포츠 ↑ 일부 기록된 것은 있으나, 이는 불정확하다. ↑ 당시, 이 경기에서 베이브 루스는 불참했다. 그 이유는 베이브 루스가 '흑인하고는 같이 경기 할 수 없다.'고 하였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일설에는 베이브 루스가 사첼 페이지한테 삼진을 당할까봐 두려워해서 벤치를 지켰다는 말이 전해질 정도였다. ↑ 당시, 클리블랜드 홈구장은 '클리블랜드 뮤니시펄 스타디움'이었다. 관중수요 규모는 75000석. ↑ 페이지는 이후 연금법이 또 개정되면서 또 대상에서 제외되자 다시 공을 던지려 했지만 노령이라 무슨 일이 벌어질 지 모른다는 커미셔너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그 후 연금법이 다시 바뀌면서 페이지는 다시 연금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외부 링크[편집] 공식 웹사이트 (영어) 경력 통계와 선수 정보 - Baseball-Reference.com,  Fangraphs (영어) 사첼 페이지 -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영어) 사첼 페이지 - 파인드 어 그레이브 '시대를 잘못 만난' 새철 페이지 ML '전설의 특급투수' 사첼 페이지 사첼 페이지 메이저 리그 통산 기록 '전설의 투수' 사첼 페이지, 탄생 100주년 맞아 사첼 페이지 투구 모션 vdeh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1948년 월드 시리즈 우승 3 에디 로빈슨 4 조 고든 5 루 부드로 6 켄 켈트너 7 알 로센 10 짐 헤건 11 레이 분 12 조 팁턴 14 래리 도비 16 에드 클리에먼 18 루스 크리스토퍼 19 밥 펠러 21 밥 레몬 24 밥 케네디 25 밥 먼크리프 27 스티브 그로멕 29 사첼 페이지 30 진 비어든 31 앨리 클라크 34 데일 미첼 35 월리 주드니치 36 할 펙 38 서먼 터커 감독 5 루 부드로 코치 41 빌 맥케시니 42 머디 루엘 43 멜 하더 스키 메릴로 조지 수스 vdeh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의 헌액자투수 갤빈 고메즈 고시지 그라임스 그로브 글래빈 깁슨 뉴하우저 니콜스 니크로 데이 드라이스데일 디히고 딘 라이언 라이온스 래드번 러핑 레몬 로간 로버츠 루시 릭시 마르티네스 마리첼 마쿼드 매덕스 매슈슨 맥기니티 멘데스 반스 버닝 벤더 M. 브라운 R. 브라운 블라일레븐 서턴 수터 스몰츠 스미스 스판 시버 알렉산더 에커슬리 영 워델 월시 웰치 윈 윌리스 윌리엄스 윌헬름 젱킨스 조스 R. 존슨 W. 존슨 체스브로 칼턴 커밍스 코벨레스키 쿠퍼 쿠팩스 클락슨 키프 파머 페리 페이지 페노크 페이버 펠러 포드 B. 포스터 R. 포스터 플랭크 핑거스 허벨 헌터 헤인스 호이트 포수 깁슨 디키 롬바디 매키 베라 벤치 브레스나한 산토프 쇼크 유잉 카터 캄파넬라 코크런 페럴 피스크 피아자 하넷 화이트 1루수 게릭 그린버그 레너드 마이즈 맥코비 머레이 바텀리 베클리 브루서스 서틀스 세페다 시슬러 앤슨 챈스 켈리 코너 킬브루 테리 테일러 페레스 폭스 2루수 게링거 고든 그랜트 도에르 라제리 라조이 로빈슨 매저로스키 모건 맥피 비지오 샌드버그 쇼인딘스트 알로마 에버스 커루 콜린스 폭스 프리슈 허먼 혼즈비 3루수 댄드리지 로빈슨 린드스톰 매슈스 베이커 보그스 브렛 슈미트 윌슨 존슨 켈 콜린스 트레이너 유격수 데이비스 라킨 로이드 리주토 리즈 립켄 매런빌 밴크로프트 뱅크스 본 부드로 슈얼 스미스 아파리시오 애플링 와그너 욘트 워드 월리스 웰스 잭슨 제닝스 크로닌 트래멜 팅커 외야수 고슬린 그리피 그윈 더피 델라한트 도비 도슨 J. 라이스 S. 라이스 레인스 로빈슨 루스 루시 디마지오 마누시 매카시 맨틀 메드윅 메이스 뮤지얼 버켓 벨 브라운 브록 스나이더 스타젤 스턴스 스피커 슬로터 시먼스 애시번 야스트렘스키 어빈 에런 에이버릴 영스 오루케 오트 와그너 워너 윈필드 B. 윌리엄스 T. 윌리엄스 윌슨 잭슨 찰스턴 칼라인 커레이 커일러 J. 켈리 K. 켈리 콤스 콥 크로퍼드 키너 킬러 클라크 클레멘테 클레인 토리엔테 톰프슨 퍼켓 플릭 하피 해밀턴 헤일먼 헨더슨 후퍼 휘트 힐 감독 더로셔 라 루사 라소다 로빈슨 로페스 매카시 맥 맥그로 맥케시니 사우스워스 셀리 스텡걸 올스턴 앤더슨 위버 윌리엄스 콕스 토리 포스터 해리스 허긴스 허조그 핸런 운영 / 공로 그리피스 드레이퍼스 J. 라이트 H. 라이트 랜디스 리키 La. 맥파일 Le. 맥파일 맨리 배로 벌커리 빅 스팰딩 오맬리 요키 웨이스 윌킨슨 자일스 존슨 채드윅 챈들러 카트라이트 코미스키 쿤 포시 폼페스 프릭 해리지 헐버트 화이트 심판 맥가원 발릭 에번스 차일락 코널리 콘런 클렘 하비 허버드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191449 LCCN: n86039039 ISNI: 0000 0003 5385 9831 GND: 133065545 NDL: 0051539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사첼_페이지&oldid=23746806" 분류: 1906년 태어남1982년 죽음앨라배마주 출신 야구 선수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선수볼티모어 오리올스 선수아프리카계 미국인 야구 선수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투수니그로 리그 베이스볼 선수캔자스시티 모나크스 선수아메리칸 리그 올스타숨은 분류: 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Italiano日本語PolskiPortuguêsSvenskaTagalog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21일 (목) 16: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르로이 로버트 "사첼" 페이지(Leroy Robert "Satchel" Paige, 1906년 7월 7일 ~ 1982년 6월 8일)는 전 니그로 리그 베이스볼, 멕시칸 리그, 메이저 리그 선수이다. 니그로 리그 베이스볼, 멕시칸 리그 등 각종 독립리그에서 활약했으며, 1948년 42살의 나이에 메이저 리그에 6번째로 진출한 흑인선수이자, 메이저 리그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소속으로 아메리칸 리그 최초의 흑인투수, 최고령 신인 선수가 되었다.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에서 활약하고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現 볼티모어 오리올스)로 이적, 활약하여 1953년 은퇴했으며 12년후, 1965년에 58세의 나이에 캔자스시티 어슬레틱스(오늘날 오클랜드 어슬레틱스)의 선수로 등록되어 보스턴 레드삭스와의 경기에서 3이닝 선발 등판하여 모든 이들을 놀라게 하며 메이저 리그 최고령 선수로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게 된다. 1971년,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사첼 페이지의 본래 이름은 무엇입니까? Assistant: 르로이 페이지 Human: 아래 빨간_맛_(Red_Flavor)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빨간 맛 (Red Flavor)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빨간 맛 (Red Flavor)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빨간 맛 (Red Flavor)레드벨벳의 싱글수록 음반 The Red Summer포맷 디지털 다운로드장르 댄스 팝길이 3:11레이블 SM 엔터테인먼트, 지니 뮤직 작사·작곡 켄지, 다니엘 카이저, 루드비히 린델프로듀서 카이저 & 루이레드벨벳 싱글 연표 Would U 빨간 맛 (Red Flavor) 환생 (Rebirth) "빨간 맛 (Red Flavor)"은 대한민국 걸 그룹 레드벨벳의 5번째 EP인 The Red Summer의 타이틀곡이다. SM 엔터테인먼트의 작사가인 켄지가 가사를 맡았고, 대니얼 카이사르와 루드비치 린델이 프로듀싱한 "빨간 맛"은 여름 풍의 바이브가 가미된 댄스 팝 곡이다. 2017년 7월 9일 "The Red Summer"에 수록되어 발매되었으며, 뮤직비디오도 같이 공개되었다. 초기 발매 이후 "빨간 맛"은 훅 부분과 여름 가사에 대한 각인성을 칭찬한 음악 비평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왔고, 비평가들의 몇몇 연간 목록에 등장하기도 했다. 대한민국에서도 큰 상업적 성공을 거두어 "빨간 맛"은 가온 디지털 차트에서 처음으로 1위에 진입했고, 빌보드의 Kpop 핫 100에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으며, 레드벨벳의 음반 중 5번째로 100만 장 이상 팔린 음반이 되었다. 본국뿐만 아니라 빌보드의 세계 디지털 곡에서 4위를 달성하였고, 필리핀과 일본의 빌보드 차트에서도 처음으로 순위권에 진입했다. 목차 1 배경과 발매 2 구성 3 프로모션 4 비평 5 차트 6 각주 배경과 발매[편집] 레드벨벳의 네번째 EP인 Rookie가 2월에 나온 이후, SM 엔터테인먼트는 2017년 6월 23일 레드벨벳이 첫 번째 여름 음반을 발매하고 뮤직비디오 촬영을 최근에 마쳤음을 확인시켰다.[1] 6월 30일, 티저 이미지의 첫 묶음이 레드벨벳의 공식 소셜 미디어 계정에 올라왔다. "빨간 맛" 앨범의 제목과 모든 수록곡도 같은 날 공개되었다.[2] 7월 7일 19초의 "빨간 맛" 티저 비디오가 공식 SMTOWN 채널에 올라왔고, 이틀 후 공식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었다.[3] 2017년 7월 9일 EP와 함께 레드벨벳의 공식 디지털 음반이 발매되기 시작했다. 구성[편집] "빨간 맛"은 대니얼 카이사르와 루드비히 린델이 프로듀싱했다. 원래 빨간 맛은 영국 걸그룹 Little Mix에게 "Dance With Nobody"라는 제목으로 이 곡을 만들었음을 인터뷰에서 밝혔다. Kpop 시장에서도 노래가 통할 것이라 결정한 이후 합창 이전 부분의 배경 음으로 들을 수 있는 이야 딤베르크의 목소리와 함께 듀오는 데모를 녹음했다. 노래에 녹음된 "빨간 맛"의 가사를 부르는 왜곡된 목소리는 린델 그 스스로가 녹음했다.[4] SM에서 오랫동안 작사가로 일한 켄지가 가사를 맡았다. 가사는 과일들을 언급하며 여름의 사랑에 빠진 소녀를 주제로 담고 있다. 음악적으로, 빌보드의 타마르 헤르만은 이 곡을 드라마틱한 신시사이저와 타악기 멜로디가 어우러진 일렉트로팝으로 분류하며 레드벨벳의 6번째 "Red" 컨셉의 곡으로 분류했다. "빨간 맛"은 분당 125비트의 템포를 가지고 있으며, 가장조의 키로 작곡되었다.[5][6][7] 추가적으로 The 405의 체이스 맥멀렌은 이 곡이 박수에 맞춘 그루브와 호른 같은 악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독특한 여름 바이브를 준다고 언급했다.[8] 초기에 한국어판으로 발매된 이후 이 곡은 일본어판으로 녹음되기도 했다.[9] 프로모션[편집] 2014년부터 레드벨벳의 타이틀곡의 안무를 맡은 카일 하나가미가 안무를 담당했다. 성창원 감독이 촬영을 맡은 과일 특성의 뮤직비디오는 레드벨벳 멤버 전원이 사랑에 대해 노래하며 다채로운 여름 주제를 보여주고 있다. 뮤직비디오에서는 멤버들이 홈파티를 하는 모습과 거대한 과일과 인터뷰하는 모습도 보여준다.[10][11] 레드벨벳 멤버인 조이는 저녁 만찬에서 SM 엔터테인먼트 설립자 이수만과의 회동에 참석해 그에게 제목, 가사, 멜로디, 리듬, 안무에 직접 개입했음을 들었다[12] 디지털 발매 이전까지, "빨간 맛"은 비공식적인 발매로 여겨지는 서울 SMTOWN 콘서트에서 곡을 생방송으로 공연했다.[13] 7월 9일 발매 이후 1시간 뒤 레드벨벳은 인기가요에서 "You Better Know"와 함께 처음으로 공식적인 생방송 공연을 했다.[14] 그들은 더 쇼, 뮤직뱅크, 엠카운트다운, 쇼 챔피언 등에서 지속적으로 공연했고, 2017년 7월 20일 처음으로 "빨간 맛"으로 트로피를 수상했다.[15] 2017년 8월 레드벨벳의 첫 단독 콘서트인 Red Room에서 "빨간 맛"은 전체 곡의 일부로 등장했다. "빨간 맛"은 레드벨벳의 노래 중 처음으로 일본어로 녹음된 곡으로, 2017년 11월 6일 일본에서의 데뷔 공연에서 일본어판 곡을 선보였다.[16] 비평[편집] 초기의 발매 이후 "빨간 맛"은 음악 비평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빌보드의 타마 헤르만은 노래가 "몹시 붐비며 과대하지 않은 프로덕션을 통한 역동적인" 곡이라고 평가했으며, 여름 Kpop의 인상깊은 곡 중 하나가 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결론내렸다.[5] 퓨즈의 제프 벤자민은 노래를 이해하기 매우 쉬운 팝으로 묘사하며 쾌활하고 단순한 멜로디라는 평가를 주며 레드벨벳의 가장 다가가기 쉬운 음악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11] 체이스 맥멀런은 "수월해보이는 팝글라이드"라고 칭찬했고, IZM의 이기선은 레드벨벳의 통합성이 노래 전반에 나타나있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반응했다.[8][17] 더 스타의 체스터 친은 면전의 여름 잼이라고 이를 붙이며 가차없이 마음을 사로잡는 곡이라고 평가했다.[18] 데이즈드 디지털의 테일러 그래스비는 이 곡이 단순히 변덕스러운 해결책이 아니라고 언급했다. 그녀는 합창 부분의 강력한 한 방으로 인해 이 곡이 완벽하게 여름을 이겼다고 주장했다.[19] "빨간 맛"은 IZM의 올해의 싱글 앨범 10에 포함되었으며 2017년 GQ 코리아 11월 호에서 올해의 노래로 선정되었다.[20][21] 12월, Osen의 선미경 기자는 2017년 기억에 남은 노래의 목록에 "빨간 맛"을 선정하며 노래의 중독성과 차트에 오래 남은 기록을 강조하며, 곡의 훅 부분이 음악 산업계에서 큰 히트를 쳤다고 말했다.[22] 데이즈드 또한 2017년 최고의 K-pop 노래 20에서 이 곡을 2위로 선정했고, YouTube 한국의 2017년 가장 인기있는 뮤직비디오에서 "빨간 맛"은 1위로 선정되었다.[19][23] 빌보드의 2017년 최고의 K-pop 노래 20에서 "빨간 맛"은 4위를 차지했다.[24] 차트[편집] 발매된지 하루 만에 "빨간 맛"은 대한민국 디지털 음원차트 7개와 8개국의 아이튠 디지털 차트에서 정상을 차지했다.[25] 2017년 7월 셋째 주에 가온 디지털 차트에서 가장 높은 순위에 오른 빨간 맛은 레드벨벳의 디지털 음반 히트곡 1순위가 되었다. 가온 디지털 차트에서 291,463회의 다운로드를 기록한 "빨간 맛"은 첫 주에 레드벨벳의 다장 많이 팔린 음반이 되었다.[26] 2017년 12월, "빨간 맛"은 100만 번 이상 다운로드되었으며, 레드벨벳의 5번째 밀리언셀러 음반이 되었다. 현재 이 곡은 러시안 룰렛 (Russian Roulette)의 뒤를 이어 2번째로 히트를 친 곡이다. 빌보드의 Kpop 핫 100에서는 2위에 달성했는데, 이로 인해 레드벨벳은 처음으로 상위 5위권에 진입했고, 새로 작성된 차트 목록에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27] 대한민국 이외의 국가에서, 미국의 빌보드 세계 디지털 곡에서 "빨간 맛"은 데뷔 이후 "행복 (Happiness)"과 "Rookie"에 뒤이어 세번째로 4위를 기록했다.[28] 한국어판의 노래 역시 빌보드 필리핀 핫 100에서 24위를 기록했고 일본 핫 100에서는 25위를 기록했으며, 이는 처음으로 레드벨벳의 노래가 순위권에 오른 사례이다.[29][30] 각주[편집] ↑ “Red Velvet confirm their comeback in July!”. 《naver》. 2017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Jung, Hee-yeon (2017년 6월 30일). “'컴백' 레드벨벳, 타이틀곡 '빨간 맛'…7월 9일 공개”. 《naver》. 2017년 11월 15일에 확인함.  ↑ “Red Velvet Offers a Taste of Summer With 'Red Flavor' Song & Video: Watch”. 《Billboard》. 2017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Korean Flavors: An Interview with Songwriting/Production Duo Caesar & Loui”. 《toneglow》. Tone Glow. 2017년 8월 8일. 2017년 11월 15일에 확인함.  ↑ 가 나 Herman, Tamar (2017년 7월 9일). “Red Velvet Offers a Taste of Summer With 'Red Flavor' Song & Video: Watch”. 《Billboard》. 2017년 7월 11일에 확인함.  ↑ LLC, Blendist. “BPM for Red Velvet - 빨간 맛 Red Flavor on songbpm” (영어). 2017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빨간 맛 Red Flavor - Red Velvet - Spot On Track”. 《www.spotontrack.com》 (영어). 2017년 11월 12일에 확인함.  ↑ 가 나 http://thefourohfive.com. “Album Review: Red Velvet - Red Summer”. 《The 405》 (영어). 2017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Going global! Red Velvet are making waves in Japan”. 《SBS PopAsia》 (영어). 2017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Yoon, Joon-pil. “美 퓨즈TV, 레드벨벳 집중 조명…'보는 맛'도 잡은 '빨간 맛'”. 10asia. 2017년 11월 15일에 확인함.  ↑ 가 나 “Red Velvet Capture the Taste of Summer With 'Red Flavor': Watch the Video”. 《Fuse》. 2017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이수만이 적극 추천한 SM 타이틀곡 3”. 《dispatch》. Dispatch. 2017년 10월 25일. 2017년 11월 15일에 확인함.  ↑ “레드벨벳, SM타운 콘서트서 신곡 '빨간 맛' 최초 공개···조이 티저 오픈”. 2017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이효리, '인기가요'로 음방 피날레…레드벨벳 신곡 첫 공개 : 스포츠조선”. 《sports.chosun.com》. 2017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Red Velvet receives their first music trophy for Red Flavor”.  ↑ “"열도도 빨간맛"…레드벨벳, 日 첫 쇼케이스로 본격 진출 활동”. 2017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Neo Music Communication IZM”. 《izm.co.kr》. 2017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The Red Summer': K-pop girl group Red Velvet's sizzling affair”. 《star2》. The Star. 2017년 11월 15일에 확인함.  ↑ 가 나 Glasby, Taylor (2017년 12월 7일). “The 20 best K-Pop songs of 2017”. 《Dazed》. 2017년 12월 8일에 확인함.  ↑ “2017 올해의 가요 싱글”. 《IZM》. IZM. 2017년 12월 4일에 확인함.  ↑ “2017 GQ Awards”. 《GQ Korea》 (GQ Korea). November 2017.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Sun, Mi-kyung (2017년 12월 7일). “[Oh!쎈 초점] "빨간맛→나야 나"..올해의 한 소절”. 《siminsori》. 2017년 12월 8일에 확인함.  ↑ Hicap, Jonathan (2017년 12월 8일). “2017's top K-pop music videos on YouTube in Korea revealed”. 《Manila Bulletin》. 2017년 12월 9일에 확인함.  ↑ Benjamin, Jeff (2017년 12월 14일). “The Best K-pop Songs of 2017: Critics' Picks”. Billboard. 2017년 12월 16일에 확인함.  ↑ “Red Velvet Tops 7 Korean Digital Music Charts With New Title Track "Red Flavor" | Soompi”. 《www.soompi.com》 (영어). 2017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국내 대표 음악 차트 가온차트!”. 《gaonchart.co.kr》. 2017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Billboard K-pop Hot 100 - July 17-23, 2017”.  ↑ “World Digital Song Sales : Jul 29, 2017 | Billboard Chart Archive”. 《Billboard》 (영어). 2017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Staff, BillboardPH (2017년 7월 31일). “BillboardPH Hot 100 - July 31 - Billboard Philippines”. 《Billboard Philippines》 (영어). 2017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Japanese Music: Top Japanese Songs Chart”. 《Billboard》. 2017년 12월 4일에 확인함.  vdeh레드벨벳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정규 음반 The Red (2015) Perfect Velvet (2017) 리패키지 음반 The Perfect Red Velvet (2018) EP 음반대한민국 Ice Cream Cake (2015) The Velvet (2016) Russian Roulette (2016) Rookie (2017) The Red Summer (2017) Summer Magic (2018) RBB (2018) The ReVe Festival: Day 1 (2019) 일본 #Cookie Jar (2018) Sappy (2019) 싱글 및 노래 행복 (Happiness) Be Natural Ice Cream Cake Dumb Dumb 세가지 소원 (Wish Tree) 7월 7일 러시안 룰렛 (Russian Roulette) Rookie Would U 빨간 맛 (Red Flavor) 환생 (Rebirth) 피카부 (Peek-A-Boo) Bad Boy #Cookie Jar Power Up RBB Zimzalabim 리얼리티 쇼레벨업 프로젝트콘서트 Red Room (2017/2018) REDMARE (2018/2019) 관련 문서 SM 엔터테인먼트 이수만 음반 목록 · 음반 외 활동 목록 · 수상 목록 · 콘서트 목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빨간_맛_(Red_Flavor)&oldid=24528322" 분류: 레드벨벳의 노래2017년 노래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인용 오류 - URL 없이 확인날짜를 사용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Português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5일 (금) 15: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빨간 맛 (Red Flavor)"은 대한민국 걸 그룹 레드벨벳의 5번째 EP인 The Red Summer의 타이틀곡이다. SM 엔터테인먼트의 작사가인 켄지가 가사를 맡았고, 대니얼 카이사르와 루드비치 린델이 프로듀싱한 "빨간 맛"은 여름 풍의 바이브가 가미된 댄스 팝 곡이다. 2017년 7월 9일 "The Red Summer"에 수록되어 발매되었으며, 뮤직비디오도 같이 공개되었다. 초기 발매 이후 "빨간 맛"은 훅 부분과 여름 가사에 대한 각인성을 칭찬한 음악 비평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왔고, 비평가들의 몇몇 연간 목록에 등장하기도 했다. 대한민국에서도 큰 상업적 성공을 거두어 "빨간 맛"은 가온 디지털 차트에서 처음으로 1위에 진입했고, 빌보드의 Kpop 핫 100에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으며, 레드벨벳의 음반 중 5번째로 100만 장 이상 팔린 음반이 되었다. 본국뿐만 아니라 빌보드의 세계 디지털 곡에서 4위를 달성하였고, 필리핀과 일본의 빌보드 차트에서도 처음으로 순위권에 진입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빨간맛 이라는 곡은 어떤내용과 음악적기술이 담겨져있을까? Assistant: "빨간 맛"은 대니얼 카이사르와 루드비히 린델이 프로듀싱했다. 원래 빨간 맛은 영국 걸그룹 Little Mix에게 "Dance With Nobody"라는 제목으로 이 곡을 만들었음을 인터뷰에서 밝혔다. Kpop 시장에서도 노래가 통할 것이라 결정한 이후 합창 이전 부분의 배경 음으로 들을 수 있는 이야 딤베르크의 목소리와 함께 듀오는 데모를 녹음했다. 노래에 녹음된 "빨간 맛"의 가사를 부르는 왜곡된 목소리는 린델 그 스스로가 녹음했다.[4] SM에서 오랫동안 작사가로 일한 켄지가 가사를 맡았다. 가사는 과일들을 언급하며 여름의 사랑에 빠진 소녀를 주제로 담고 있다. 음악적으로, 빌보드의 타마르 헤르만은 이 곡을 드라마틱한 신시사이저와 타악기 멜로디가 어우러진 일렉트로팝으로 분류하며 레드벨벳의 6번째 "Red" 컨셉의 곡으로 분류했다. "빨간 맛"은 분당 125비트의 템포를 가지고 있으며, 가장조의 키로 작곡되었다.[5][6][7] 추가적으로 The 405의 체이스 맥멀렌은 이 곡이 박수에 맞춘 그루브와 호른 같은 악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독특한 여름 바이브를 준다고 언급했다.[8] 초기에 한국어판으로 발매된 이후 이 곡은 일본어판으로 녹음되기도 했다.[9]
Human: 아래 김훈_(소설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훈 (소설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훈 (소설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훈 출생 1948년 5월 5일(1948-05-05) (71세)서울특별시 종로구 운암동 직업 소설가, 문학평론가 언어 한국어 국적 대한민국 시민권 서울특별시 학력 휘문고등학교고려대학교 영문과 중퇴 장르 소설, 평론, 수필 사조 모더니즘 대표작 칼의 노래(2001년), 현의 노래(2004년), 화장, 남한산성(2007년) 수상내역 동인문학상, 이상문학상 부모 김광주(부), 정무순(모) 친지 형 2명, 남동생 1명, 여동생 1명 종교 천주교(세례명 : 아우구스티노) 김훈(金薰, 1948년 5월 5일 - )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문학평론가이며 한때 기자를 지낸 자전거 레이서이다.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김훈 목차 1 학력 2 약력 3 연보 4 작품 경향 5 수상 6 일화 7 저서 8 가족 9 각주 학력[편집] 돈암초등학교 졸업 휘문중학교 졸업 휘문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영문과 중퇴 약력[편집] 1948년 5월 5일, 서울 종로구 운암동에서 김광주(金光洲)와 정무순(鄭戊順) 사이에서 4형제의 셋째로 태어났다. 아버지 김광주는 광복 뒤 『경향신문(京鄕新聞)』 문화부장과 편집부국장을 지낸 바 있는 언론인으로, 김구(金九)나 윤봉길(尹奉吉)과도 친교가 있었다. 아버지가 병상에 있는 동안 그의 대필을 맡기도 하는 등 김훈은 아버지 아래서 자연스럽게 소설 수양을 해나갔다. 1966년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 입학하였는데, 대학 2학년 때 우연히 바이런이나 메리 셸리 등을 읽고 영문학의 낭만주의에 빠져 대학을 중퇴하고 집에서 영시를 읽으며 다시 영문과로 들어갔다(동기생들이 4학년이 되었을 때 그는 영문과 2학년생이었다). 1973년에 군대에 입대하였고, 제대하고 아버지 김광주가 사망하면서 경제적인 곤란에 빠졌다. 이때 마침 여동생도 고려대학교 영문과에 입학하였는데, 김훈 자신이 「넌 대학을 안 다니면 인간이 못 될 것 같다」며 스스로 대학을 중퇴하고, 한국일보에 입사하여 기자 생활을 했다(~1989년). 신문기자 시절에 김훈은 「문학기행(文學紀行)」이라는 제목의 평론을 『한국일보』에 연재하는 등 문학자로서의 소질을 닦아나갔다. 그러나 1989년 돌연히 한국일보사를 퇴사하고 2년간 특별히 고정된 직업 없이 지냈는데, 그 기간 동안 『선택과 옹호』, 『풍경과 상처』라는 두 편의 에세이를 발표하기도 했다. 1994년 겨울 『문학동네』 창간호에 『빗살무늬토기의 추억』(전2권)을 발표하면서 문단에 데뷔하였다. 이때 김훈의 나이는 47세였다. 작가로서 데뷔한 뒤로도 김훈은 『시사저널』의 사회부장, 편집국장, 심의위원 이사를 지내는 등 언론인으로서의 활동을 병행했다. 그러나 2000년 9월 27일자 『한겨레21』에 실린 인터뷰가 세간에 문제시되자 김훈은 『시사저널』을 그만두었다. 그 후, 대표작 『칼의 노래』의 집필에 착수해 2001년에 발표하였다. 『칼의 노래』는 곧 한국문단의 주목을 받았고, 김훈은 이 소설로 동인문학상을 수상했다. 이후로도 국민일보 부국장 및 출판국장, 한국일보 편집위원, 한겨레신문 사회부 부국장급으로 재직하였으며 2004년 이래로 전업작가로 활동하며 소설이나 에세이를 집필하고 있다. 연보[편집] 1948년 5월 5일, 서울시 종로구 운암동에서 태어남 1960년, 돈암초등학교(敦岩初等學校) 졸업 1963년, 휘문중학교(徽文中學校) 졸업 1966년, 휘문고등학교(徽文高等學校) 졸업 1966년,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입학 1968년, 고려대학교 영문과로 편입 1970년, 군 입대 1973년, 고려대학교 중퇴 1974년, 지금의 부인 이연화(李燕和)와 결혼 1995년, 『시사저널』 편집국장 대리(후에 편집국장) 1995년, 문단에 등단 1996년, 『TV저널』 편집국장 1998년, 『국민일보』 출판국 국장 2000년, 『시사저널』 퇴사 2002년, 한겨레신문사 입사 작품 경향[편집] 1986년 『한국일보』 재직 당시 3년 동안 『한국일보』에 매주 연재한 것을 묶어 낸 『문학기행』(박래부 공저)으로 해박한 문학적 지식과 유려한 문체로 빼어난 여행 산문집이라는 평가를 받은 바 있으며 한국일보에 연재하였던 독서 산문집 『내가 읽은 책과 세상』(1989) 등의 저서가 있다. 1999∼2000년 전국의 산천을 자전거로 여행하며 쓴 에세이 『자전거여행』(2000)도 생태·지리·역사를 횡과 종으로 연결한 수작으로 평가받았다. 김훈이 언어로 붙잡고자 하는 세상과 삶은 거창한 것이 아니다. 선상에서 밧줄을 잡아당기는 선원들이기도 하고, 자전거의 페달을 밟고 있는 자기 자신이기도 하고, 심지어는 민망하게도 혹은 선정주의의 혐의를 지울 수 없게도 미인의 기준이기도 하다. 그는 현미경처럼 자신과 바깥 사물들을 관찰하고 이를 언어로 어떻게든 풀어내려고 하며, 무엇보다도 어떤 행위를 하고 그 행위를 하면서 변화하는 자신의 몸과 느낌을 메타적으로 보고 언어로 표현해낸다. 시인이자 문학평론가인 남진우는 그를 일러 '문장가라는 예스러운 명칭이 어색하지 않은 우리 세대의 몇 안되는 글쟁이 중의 하나'라고 평하고 있기도 하다. 한편 김훈은 『월간조선』과의 인터뷰에서 자신의 생각을 이렇게 피력하기도 했다. 나는 문학이 인간을 구원하고, 문학이 인간의 영혼을 인도한다고 하는, 이런 개소리를 하는 놈은 다 죽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문학이 무슨 지순하고 지고한 가치가 있어 가지고 인간의 의식주 생활보다 높은 곳에 있어서 현실을 관리하고 지도한다는 소리를 믿을 수가 없어요. 나는 문학이란 걸 하찮은 거라고 생각하는 거예요. 이 세상에 문제가 참 많잖아요. 우선 나라를 지켜야죠, 국방! 또 밥을 먹어야 하고, 도시와 교통문제를 해결해야 하고, 애들 가르쳐야 하고, 집 없는 놈한테 집을 지어줘야 하고…. 또 이런 저런 공동체의 문제가 있잖아요. 이런 여러 문제 중에서 맨 하위에 있는 문제가 문학이라고 난 생각하는 겁니다. 문학뿐 아니라 인간의 모든 언어행위가 난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펜을 쥔 사람은 펜은 칼보다 강하다고 생각해 가지고 꼭대기에 있는 줄 착각하고 있는데, 이게 다 미친 사람들이지요. 이건 참 위태롭고 어리석은 생각이거든요. 사실 칼을 잡은 사람은 칼이 펜보다 강하다고 얘기를 안 하잖아요. 왜냐하면 사실이 칼이 더 강하니까 말할 필요가 없는 거지요. 그런데 펜 쥔 사람이 현실의 꼭대기에서 야단치고 호령할려고 하는데 이건 안 되죠. 문학은 뭐 초월적 존재로 인간을 구원한다, 이런 어리석은 언동을 하면 안 되죠. 문학이 현실 속에서의 자리가 어딘지를 알고, 문학하는 사람들이 정확하게 자기 자리에 가 있어야 하는 거죠.[1] 김훈은 자신이 글을 쓰는 이유를 「나를 표현해 내기 위해서」, 「우연하게도 내 생애의 훈련이 글 써먹게 돼 있으니까」라고 밝혔다. 그의 희망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첫 번째가 음풍농월하는 것이라 한다. 또 음풍농월 하면서도 당대의 현실을 말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수상[편집] 2001년 - 장편 『칼의 노래』로 제32회 동인문학상 수상 2002년 - 제18회 서울 언론인클럽 언론상 기획취재상 수상 2004년 - 단편 『화장』으로 제28회 이상문학상 수상 2005년 - 단편 『언니의 폐경』으로 제5회 황순원문학상 수상 2007년 - 장편 『남한산성』으로 제15회 대산문학상 수상 일화[편집] 휘문중학교와 고등학교를 다니던 시절 산악부에 들어가서 등산을 많이 다녔다. 인왕산 치마바위에서 바위타기를 처음 배웠다 한다. 황석영이 한국일보에 대하소설 『장길산』을 연재할 당시 황석영의 담당 기자였다. 소설을 쓰다 구상이 막히면 잠적해버리곤 했던 황석영을 잡는 것이 당시 기자 김훈의 주요 임무였고, 결국 연재가 지연되면 지면을 메우기 위한 「지난 줄거리」 요약을 맡아 쓰기도 했다. 술만 취하면 이때 황석영과의 일을 두고 「그때 잡아서 죽여버리는 건데」라고 주정을 부린다며 황석영이 「무릎팍도사」 방송에서 밝힌 바 있다. 조정래의 『황홀한 글감옥』에는 『태백산맥』 관련 국가보안법 위반 소송에 휘말렸을 때, 검찰에서 요구한 관련자료를 제출하러 가는 조정래를 따라 검사실 문 앞까지 동행한 유일한 사람이었다고 밝히고 있다. 자신의 자전거에 「풍륜(風輪)」이라는 애칭을 붙였다. 이 「풍륜」을 타고 1999년 가을부터 2000년 여름까지 한국 곳곳을 여행하고 쓴 것이 에세이 『자전거 여행』이다. 당시 김훈은 『자전거 여행』의 인세로 「풍륜」의 월부값 500만원을 갚겠다고 했고, 『자전거 여행』은 1000만원짜리 새 자전거를 사고도 한참 남을 두둑한 인세를 거두었다.[2] 오영환 등 소방공무원들과 함께 평소 소방공무원에 대한 애정을 인터뷰와 글에서 표현한 바 있다. 유년 시절의 기억에 대한 글에서 6·25 전쟁 이후 잿더미가 된 가난한 서울에서 홀로 높게 솟아있던 소방서 망루와 그 망루가 줬던 안도감에 대해 서술하였다. 유년시절 장래희망을 적는 신상조사서에 '소방수'라고 적었다고 한다.[3] 1995년에 쓴 첫 장편소설 '빗살무늬 토기의 추억'의 주인공은 소방관이며, 2008년에는 경기도 119소방대원들 103명의 현장체험기를 모은 소방관 문집 '기다려라, 우리가 간다'(출판도시문화재단 출간)의 편집도 맡았다. 서울시 소방공무원인 오영환의 유년 시절과 의무소방원 시절의 이야기를 담은 수필인 「한 의무소방원의 꿈」 은 그가 문학동네 겨울호에 발표한 단편소설 ‘손’의 모티브가 되었다.[4] 김훈은 '인간에게 다가오는 인기척'이란 제목의 이책 서문에서 아래와 같이 소방공무원을 높게 평가하였다. 재난에 처한 인간을 향하여, 그 재난의 한복판으로 달려드는 건장한 젊은이들이 저렇게 사이렌을 울리며 달려가고 있다는 사실은 인간의 아름다움이 아직도 남아있고, 정부와 국가의 기능이 정확하고도 아름답게 작동되고 있다는 신뢰감을 느끼게 한다. 인간만이 인간을 구할 수 있고, 인간만이 인간에게 다가갈 수 있으며, 인간만이 인간을 위로할 수 있다는 그 단순명료한 진실을 나는 질주하는 소방차를 보면서 확인한다. 대학 2학년 2학기 방학하던 무렵 도서관에서 우연히 《난중일기》(이은상 역)를 읽고, 사실에 입각하는 그의 리얼리스트 정신에 매료되었다고 술회하고 있다. 이순신이 감당해야 했던 절망뿐인 현실, 절망의 시대에 헛된 희망을 설치하고 그것을 꿈이라고 말하지 않고 절망을 절망 그 자체로 받아들이면서 통과해 나가는 한 인간이라 이순신을 평가하고, 이순신의 문장을 무인이 아니면 쓸 수 없는, 사실만을 가지런히 챙기며 사실에 정확하게 입각한 언어라면서 "한국의 신문이나 저널에서 사용하는 사회적 담론이라는 것은 의견과 사실을 구별하는 능력을 상실한지 오래"라고 비판하고, 의견을 사실처럼 말하고 사실을 의견처럼 말해버리는 이런 언어가 횡행할 수록 인간 사이에는 소통이 아니라 단절만 심화될 뿐이며, 이런 단절은 이미 거의 다 완성되어 있는 듯 하다며 자신의 한국어의 현실에 대한 인식을 드러냈다.[5] 저서[편집] 단편 * 『화장』(2004) * 『언니의 폐경』 (2005) 단편집 * 『강산무진』 (2006) 장편 * 『빗살무늬토기의 추억』 (1994) * 『칼의 노래』 (2001) * 『현의 노래』 (2004) * 『개』 (2005) * 『남한산성』 (2007) * 『공무도하』 (2009) * 『내 젊은 날의 숲』 (2010) * 『흑산』 (2011) 에세이 * 『선택과 옹호』(1991) * 『풍경과 상처』 (1994) * 『내가 읽은 책과 세상』 (1996) * 『자전거 여행』 (2000) * 『원형의 섬 진도』(2001) * 『너는 어느 쪽이냐고 묻는 말들에 대하여』 (2002) * 『아들아, 다시는 평발을 내밀지 마라』(2002) * 『밥벌이의 지겨움』 (2003) * 『자전거 여행2』 (2004) * 『바다의 기별』 (2008) * 『라면을 끓이며』 (2015) 가족[편집] 아버지 : 김광주(1910~1973), 소설가 겸 언론인, 경향신문 기자 등으로 근무 딸 : 김지연 이든픽쳐스 대표 각주[편집] ↑ 『월간조선』 2002년 2월호 ↑ 머니투데이 2013년 3월 7일자 ↑ “"소방관은 거룩한 직업… 살려서, 살아서 돌아오라"”. 조선일보. 2012년 12월 6일. 2015년 1월 3일에 확인함.  ↑ “서울소방 119특수구조단 산악구조대 소방사 오영환입니다.”. 2015년 11월 3일에 확인함.  ↑ 김훈, '회상' 《바다의 기별》 생각의 나무, 2008 전거 통제 WorldCat VIAF: 44200459 LCCN: nr96040993 ISNI: 0000 0000 8122 3011 GND: 135912474 SUDOC: 098545078 BNF: cb15051906p (데이터) NDL: 00999441 BNE: XX173338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훈_(소설가)&oldid=23860349" 분류: 1948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서울특별시 출신휘문중학교 동문휘문고등학교 동문대한민국의 언론인20세기 대한민국 사람21세기 대한민국 사람대한민국의 저술가서울예술대학교 교수대한민국의 소설가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대한민국의 수필가동인문학상 수상자이상문학상 수상자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대산문학상 수상자황순원문학상 수상자숨은 분류: 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5일 (금) 10: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훈(金薰, 1948년 5월 5일 - )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수필가, 문학평론가, 언론인이다.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훈이 1986년 재직하고 있던 신문사는 어디인가? Assistant: 한국일보 Human: 아래 2018년_화롄_지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18년 화롄 지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8년 화롄 지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8년 화롄 지진 타이베이 시 화롄 시 본진 발생일 2018년 2월 6일 좌표 북위 24° 10′ 26″ 동경 121° 39′ 11″ / 북위 24.174° 동경 121.653°  / 24.174; 121.653좌표: 북위 24° 10′ 26″ 동경 121° 39′ 11″ / 북위 24.174° 동경 121.653°  / 24.174; 121.653 진원 깊이 10.6km 규모    모멘트 규모 6.4 [1] 최대 진도    중앙기상국 진도 7 : 이란 현 난아오 향, 화롄 현 화롄 시 피해 인명피해 최소 2명 사망, 약 200명 부상[2] 피해지역 타이완 2018년 화롄 지진은 2월 6일 15시 50분 42초(UTC) 중화민국 화롄 시에서 북북동 22km 지점[A]에서 발생한 모멘트 규모 6.4의 지진이다. 지난 3일 부터 규모 4.5 이상의 지진이 19 차례에 걸쳐 발생한 가운데 이번 지진이 발생하였다.[1] 지진으로 인하여 화롄 시 소재의 마샬 호텔 등이 무너지고, 여러 건물이 기울어지는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2] 최소 2명이 숨지고, 중상자 수십 명을 포함하여 200여 명 이상의 부상자가 발생하였으며, 붕괴된 건물에 매몰된 인원도 최소 29명인 것으로 알려졌다.[2][3] 현지 기상 당국은 2~3주간 지진이 계속될 것으로 예보하였으며, 화롄 지역의 모든 학교에는 휴교령이 내려졌다.[3] 목차 1 개요 1.1 각지의 진도 2 전진 3 피해 4 각주 5 외부 링크 개요[편집] 2018년 화롄 지진의 릭터 규모. 중화민국 중앙기상국. 각지의 진도[편집] 중화민국에서 쓰이는 중앙기상국진도계급(中央氣象局震度階級)에 따른 각지의 진도는 다음과 같다.[4] 최대진도 현시지구 7급 화롄현, 이란현 5급 난터우현 4급 타이중시, 윈린현 3급 타오위안시, 신주현, 타이둥현, 타이베이시, 신베이시, 난터우현, 자이현, 자이시, 장화현, 윈린현, 먀오리현, 타이난시 2급 신주시, 타이중시, 지룽시, 가오슝시, 타이난시, 핑둥현, 펑후현 전진[편집] 2018년 2월 4일 3시 30분 Mw4.8의 지진[5]을 시작으로, 같은 지역에서 연속해서 지진이 발생했다.[1] 2월 4일 21시 56분에는 Mw6.1의 지진이 발생했다.[6][1] 피해[편집] 윈먼추이티(雲門翠堤) 빌딩. 지진 후 심각하게 기울어있다. 화롄시 안에서는 7층 건물인 마샬호텔(총사대반점)과 12층 건물인 윈먼추이티(雲門翠堤) 빌딩, 그 외에 민가 41동이 무너지는 피해가 발생했다.[7][8] 또한, 정전 1,336가구, 단수 100가구의 피해가 발생했다.[9] 큰 피해는 화롄시에 있는 미룬단층(중국어판)을 부근에서 많이 발생했다.[10] 각주[편집] 내용 ↑ 수도 타이베이 시에서 남남동 약 96km 지점 출처 ↑ 가 나 다 라 USGS (2018년 2월 6일). “M 6.4 - 22km NNE of Hualian, Taiwan”. 《미국지질조사국(USGS)》. 2018년 2월 6일에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7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류정엽 (2018년 2월 7일). “대만서 6.4 강진…호텔 등 일부 붕괴…"2명 사망·200여명 부상"(종합2보)”. 《연합뉴스》 (타이베이). 2018년 2월 6일에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7일에 확인함.  ↑ 가 나 정성엽 (2018년 2월 7일). “건물 붕괴로 최소 29명 매몰…"최소 2주 이상 지진 계속"”. 《SBS 뉴스》. 2018년 2월 6일에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7일에 확인함.  ↑ “中央氣象局地震報告 編號第107008號” (중국어). 中央氣象局. 2018년 2월 4일. 2018년 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7일에 확인함.  ↑ “M 4.8 - 22km NNE of Hualian, Taiwan”. 미국지질조사국. 2018년 2월 3일. 2018년 2월 10일에 확인함.  ↑ “M 6.1 - 21km NNE of Hualian, Taiwan”. 미국지질조사국. 2018년 2월 4일. 2018년 2월 10일에 확인함.  ↑ “【不斷更新】花蓮強震多人受困1無生命跡象 今天全縣停班課” (중국어). 빈과일보. 2016년 2월 7일. 2018년 2월 7일에 확인함.  ↑ “花蓮強震釀多樓塌 雲門翠堤大樓已知2死20重傷” (중국어). 자유시보(自由時報). 2016년 2월 7일. 2018년 2월 7일에 확인함.  ↑ “花蓮強震 中央災害應變中心:已造成2死202傷” (중국어). 자유시보(自由時報). 2016년 2월 7일. 2018년 2월 7일에 확인함.  ↑ “台湾のM6地震、断層原因か…建物倒壊集中”. 《読売新聞》 (중국어). 2018년 2월 13일. 2018년 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영어) M 6.4 - 22km NNE of Hualian, Taiwan - 미국 지질조사국(USGS) vdeh← 2018년 지진 →1월 온두라스 스완 제도(9일, M7.6) 페루 아레키파주(14일, M7.1) 인도네시아 반텐주(23일, M5.9) 미국 알래스카주(23일, M7.9) 2월 타이완 화롄시(6일, M6.4) 대한민국 포항(11일, M4.7) 멕시코 오아하카주(16일, M7.2) 파푸아뉴기니 서던하일랜즈주(25일, M7.5) † 4월 일본 시마네현(9일, M6.1) 5월 미국 하와이주(4일, M6.9) 중국 지린성(28일, M5.7) 6월 일본 오사카부(18일, M6.1) 7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바랏주(21일, M5.3) 인도네시아 롬복섬(28일, M6.4) 8월 인도네시아 롬복섬(5일, M6.9) † 중국 윈난성(13일+14일, M5.0+M5.0) 미국 알래스카주(15일, M6.6) 인도네시아 롬복섬(19일, M6.9) 피지 해역(19일, M8.2) 베네수엘라 수크레주(21일, M7.3) 프랑스 누벨칼레도니(29일, M7.1) 9월 일본 홋카이도(6일, M6.7)† 중국 윈난성(9일, M5.9)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28일,M7.5)† ‡ 10월 아이티 포르드페(7일, M5.9) 인도네시아 자와섬(11일, M6.0) 파푸아뉴기니 뉴브리튼섬(11일, M7.0) 그리스 이오니아해(25일, M6.8) 11월 이라크-이란 국경(25일, M6.3) 미국 알래스카주(30일, M7.0) 12월 프랑스 누벨칼레도니(5일, M7.5) 중국 쓰촨성(16일, M5.4) 베네수엘라 카라보보주(27일, M5.5) † 30명 이상 사망한 지진  · ‡ 이 해 사망자가 가장 많은 지진  · 지진 규모는 모멘트 규모  · 지진 발생일시는 UTC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8년_화롄_지진&oldid=24193100" 분류: 2018년 지진타이완의 지진화롄현2018년 2월2018년 타이완숨은 분류: CS1 - 중국어 인용 (zh)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MagyarBahasa Indonesia日本語မြန်မာဘာသာPolskiSimple Englishதமிழ்ไทยTürkçe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7:3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18년 화롄 지진은 2월 6일 15시 50분 42초(UTC) 중화민국 화롄 시에서 북북동 22km 지점에서 발생한 모멘트 규모 6.4의 지진이다. 지난 3일부터 규모 4.5 이상의 지진이 19 차례에 걸쳐 발생한 가운데 이번 지진이 발생하였다.지진으로 인하여 화롄 시 소재의 마샬 호텔 등이 무너지고, 여러 건물이 기울어지는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최소 2명이 숨지고, 중상자 수십 명을 포함하여 200여 명 이상의 부상자가 발생하였으며, 붕괴된 건물에 매몰된 인원도 최소 29명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기상 당국은 2~3주간 지진이 계속될 것으로 예보하였으며, 화롄 지역의 모든 학교에는 휴교령이 내려졌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8년 화롄 지진이 일어났을 때 최대 진도가 4급이었던 지역은 어디인가? Assistant: 타이중시, 윈린현
Human: 아래 청권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청권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청권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효령대군이보묘역(孝寧大君 李補 墓域)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종목 유형문화재 제12호 (1972년 8월 30일 지정)수량 사당 2동 및 묘 1기시대 조선시대위치 청권사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 135 (방배동)좌표 북위 37° 28′ 55″ 동경 126° 59′ 57″ / 북위 37.48194° 동경 126.99917°  / 37.48194; 126.99917좌표: 북위 37° 28′ 55″ 동경 126° 59′ 57″ / 북위 37.48194° 동경 126.99917°  / 37.48194; 126.99917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청권사(淸權祠)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에 있는 조선 태종의 둘째 아들이자 세종의 형인 효령대군(孝寧大君) 보(補)의 사당과 묘소로 정식 명칭은 청권사부묘소(淸權祠附墓所)이다. 묘역 18,736평에 사당 건평 12평을 비롯한 2동의 건물과 묘 1기를 포함해 1972년 8월 30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되어 사단법인 청권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목차 1 전해오는 이야기 2 교통 3 각주 4 참고 자료 5 외부 링크 전해오는 이야기[편집] 청권(淸權)이란 중국 주(周)나라 때 태왕(太王)이 맏아들 태백과 둘째아들 우중을 건너뛰어 셋째아들 계력에게 왕위를 물려할 때 태백과 우중 두 형제는 부왕의 뜻을 헤아려 삭발하고 은거하며 왕위를 사양했다. 훗날 공자(孔子)가 태백은 지덕, 우중은 청권이라고 칭송하였다. 이러한 고사를 바탕으로 효령대군을 모시는 사당을 청권사(淸權祠), 양녕대군을 모시는 사당을 지덕사(至德祠)라 하였다.[1] 《청권집유》(淸權輯遺)은 조선 후기의 문신 이돈영(李敦榮)이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사적(事蹟)을 모아 기록한 책이고 《청건사소》(請建祠疏)는 청권사(淸權祠)를 지어 대군의 위패를 봉향하도록 허락해줄 것을 요청하는 글이다. 《연설》(筵說)은 경연(經筵)에서 강의 도중 청권사의 건설을 건의한 내용이다. 《청권집유》에는 상하로 나누어 대군제영시(大君題詠詩) 2수를 비롯하여 자설(字說)·원파기(源派記) 등 잡문 49편이 수록되어 있다. 그중 《원파기》는 전주이씨(全州李氏)의 계보를 기록한 것으로, 전주이씨의 시조는 신라시대의 사공(司空) 한(翰)이라고 말한 뒤 자기들의 중조(中祖)는 효령대군으로 삼는다고 하였다. 교통[편집] 지하철 2호선에서 방배역 4번출구로 나오면 50미터 거리에 세워져 있다. 각주[편집] ↑ 이정근 (2005년 9월 18일). “세종대왕의 '형님'으로 세상 살아가기”. 오마이뉴스. 2012년 11월 30일에 확인함.  참고 자료[편집] 효령대군이보묘역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이 문서에는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한 국가문화유산포털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편집] (한국어) 청권사 - 공식 웹사이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청권사&oldid=22162326" 분류: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서울 서초구의 건축물조선의 무덤사당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공공누리 제1유형 저작물을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8월 31일 (금) 00:1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효령대군 이보 묘역(孝寧大君 李補 墓域)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에 있는 조선 태종의 둘째 아들이자 세종의 형인 효령대군(孝寧大君) 보(補)의 사당과 묘소이다. 사단법인 청권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묘역 18,736평에 사당 건평 12평을 비롯한 2동의 건물과 묘 1기를 포함해 1972년 8월 30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조선시대 전기의 왕자, 서예가, 정치가로 조선3대 국왕 태종의 둘째 아들이었으며 조선의 억불 정책으로부터 불교를 옹호, 보호하는 역할을 했던 이 사람은? Assistant: 효령대군 Human: 아래 대한민국_제10대_국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한민국 제10대 국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제10대 국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한민국 제10대 국회 大韓民國 第10待 國會 4년 의회 체제의회 체제 단원제조직의장 백두진 (유신정우회) 구성정원 154+77석 (231석)의원임기 4년 정당구성 여당 (145)      유신정우회 (77)      민주공화당 (68) 야당 (86)      신민당 (61)      민주통일당 (3)      무소속 (22) (1978년 12월 기준) 선거이전 선거 1978년 12월 12일의사당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1(여의도동) 제10대 대한민국 국회는 1979년 3월 17일에 개원하였으며 1980년 5월 17일 하나회(신군부)가 주도한 5·17 쿠데타를 계기로 해산되었다. 목차 1 원구성 1.1 의장·부의장 1.2 정당별 구성 1.3 상임위원회 2 의석 변동 3 더 읽어보기 원구성[편집] 의장·부의장[편집] 1979년 3월 17일 ~ 1980년 5월 17일 국회의장 백두진 국회부의장 민관식 고흥문 정당별 구성[편집] 대한민국 국회 정당별 의석수 교섭단체명 정당명 1979년 총선 당시 5.17 쿠데타 당시 유신정우회 유신정우회 77석 77석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68석 76석 신민당 신민당 61석 67석 비교섭단체 민주통일당 3석 2석 무소속 22석 6석 계 231석 228석      교섭단체      비교섭단체      무소속      해체된 정당 상임위원회[편집] 10대 국회 상임위원회 위원장 명단 위원회 이름 소속정당 국회운영위원회 현오봉 민주공화당 법제사법위원회 서상린 민주공화당 외무위원회 이동원 유신정우회 내무위원회 양찬우 민주공화당 재무위원회 장승태 민주공화당 경제과학위원회 최재구 민주공화당 국방위원회 문형태 민주공화당 문교공보위원회 강병규 민주공화당 농수산위원회 신범식 유신정우회 상공위원회 유기정 민주공화당 보건사회위원회 함명수 민주공화당 교통체신위원회 이종근 민주공화당 건설위원회 이영근 민주공화당 의석 변동[편집] 10대 의원 및 당적 변동 사항 날짜 이름 소속정당 선거구 사유 정당별 증감 의석 수 1979년 6월 4일 예춘호 무소속 → 신민당 부산 중구·영도구 입당 ±7 민주공화당 68석신민당 68석민주통일당 3석무소속 15석유신정우회 77석 오세응 경기 성남시·광주군·여주군·이천군 박찬 충남 공주군·논산군 손주항 전북 임실군·남원군·순창군 한병채 경북 대구시 중구·서구·북구 김현규 경북 구미시·선산군·군위군·성주군·칠곡군 이상민 경남 진주시·진양군·삼천포시·사천군 1979년 6월 7일 홍성우 무소속 → 민주공화당 서울 도봉구 입당 ±15 민주공화당 83석신민당 68석민주통일당 3석유신정우회 77석 김진만 강원 강릉시·명주군·삼척군 함종빈 강원 속초시·양양군·인제군·고성군 임호 충남 대전시 동구·중구 박용기 전남 고창군·부안군 한갑수 전남 광산군·나주군 김수 전남 고흥군·보성군 윤재명 전남 장흥군·강진군·영암군·완도군 임영득 전남 해남군·진도군 권오태 경북 포항시·영일군·울릉군·영천군 박정수 경북 김천시·금릉군·상주군 정휘동 이후락 경남 울산시·울주군 최치환 경남 남해군·하동군 변정일 제주도 1979년 10월 4일 김영삼 신민당 부산 서구·동구 김영삼 의원 제명 파동 -1 민주공화당 83석신민당 67석민주통일당 3석유신정우회 77석 1979년 10월 8일 김성환 → 고귀남 유신정우회 김성환 사망 고귀남 승계 1979년 12월 12일 신현확 민주공화당 경북 구미시·선산군·군위군·성주군·칠곡군 총리 임명으로 사퇴 -1 민주공화당 82석신민당 67석민주통일당 3석유신정우회 77석 1980년 3월 21일 김진만 민주공화당 → 무소속 강원 강릉시·명주군·삼척군 탈당 ±1 민주공화당 81석신민당 67석민주통일당 3석무소속 1석유신정우회 77석 1980년 4월 1일 양일동 민주통일당 서울 성동구 사망 -1 민주공화당 81석신민당 67석민주통일당 2석무소속 1석유신정우회 77석 1980년 4월 7일 오유방 민주공화당 → 무소속 서울 서대문구 제명 ±4 민주공화당 77석신민당 67석민주통일당 2석무소속 5석유신정우회 77석 박찬종 부산 서구·동구 임호 충남 대전시 동구·중구 이후락 경남 울산시·울주군 1980년 5월 13일 박종규 경남 마산시·진해시·창원군 탈당 ±1 민주공화당 76석신민당 67석민주통일당 2석무소속 6석유신정우회 77석 1980년 5월 22일 이승윤 → 남재한 유신정우회 이승윤 재무장관 임명 남재한 승계 1980년 7월 4일 예춘호 신민당 부산 중구·영도구 신군부의 협박으로 사퇴 -4 민주공화당 74석신민당 63석민주통일당 1석무소속 3석유신정우회 77석 이택돈 경기 부천시·안양시·시흥군·옹진군 이철승 전북 전주시·완주군 손주항 전북 임실군·남원군·순창군 이병희 민주공화당 경기 수원시·화성군 -2 김종필 충남 부여군·서천군·보령군 김진만 무소속 강원 강릉시·명주군·삼척군 -3 박종규 경남 마산시·진해시·창원군 이후락 경남 울산시·울주군 김녹영 민주통일당 전남 광주시 동구·서구 -1 1980년 8월 6일 이택희 신민당 충북 충주시·충원군·제천군·단양군 -1 민주공화당 74석신민당 62석민주통일당 1석무소속 3석유신정우회 77석 1980년 8월 13일 최경록 → 이호동 유신정우회 최경록 주일대사 임명 이호동 승계 1980년 8월 27일 송원영 신민당 서울 동대문구 신군부의 협박으로 사퇴 -8 민주공화당 68석신민당 55석민주통일당 1석무소속 3석유신정우회 77석 고흥문 서울 도봉구 김수한 서울 관악구 정해영 부산 부산진구·북구 박영록 강원 원주시·원성군·홍천군·횡성군 박해충 경북 안동시·안동군·의성군 최형우 경남 울산시·울주군 김동영 경남 산청군·함양군·거창군 김용태 민주공화당 충남 대전시 동구·중구 -6 장영순 충남 청양군·홍성군·예산군 신형식 전남 고흥군·보성군 길전식 전남 장흥군·강진군·영암군·완도군 구태회 경남 진주시·진양군·삼천포시·사천군 현오봉 제주도 최태호 → 김유복 유신정우회 최태호 사퇴 김유복 승계 1980년 10월 4일 유기정 민주공화당 전북 전주시·완주군 신군부의 협박으로 사퇴 -1 민주공화당 67석신민당 55석민주통일당 1석무소속 3석유신정우회 77석 더 읽어보기[편집] 대한민국 제10대 총선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목록 vdeh 대한민국 국회 제1공화국 제2공화국 제3공화국 1948 초대 1950 제2대 1954 제3대 1958 제4대 1960 제5대 1961 국가재건최고회의 1963 제6대 1967 제7대 1971 제8대 1972 비상국무회의 의원명부(선거구별 / 정당별) 의원명부(선거구별) 의원명부(선거구별) 의원명부(선거구별) 의원명부(선거구별) 위원명부 의원명부(선거구별) 의원명부(선거구별) 의원명부(선거구별) 위원명부 제4공화국 제5공화국 제6공화국 1973 제9대 1979 제10대 1980 국가보위입법회의 1981 제11대 1985 제12대 1988 제13대 1992 제14대 1996 제15대 2000 제16대 2004 제17대 의원명부(선거구별) 의원명부(선거구별) 의원명부 의원명부(선거구별) 의원명부(선거구별) 의원명부(선거구별) 의원명부(선거구별) 의원명부(선거구별) 의원명부(선거구별) 의원명부(선거구별 / 정당별) 제6공화국 2008 제18대 2012 제19대 2016 제20대 2020 제21대 2024 의원명부(선거구별 / 정당별) 의원명부(선거구별 / 정당별) 의원명부(선거구별 / 정당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한민국_제10대_국회&oldid=23588374" 분류: 대한민국 제10대 국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1월 30일 (수) 19:0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제10대 대한민국 국회는 1979년 3월 17일에 개원하였으며 1980년 5월 17일 하나회(신군부)가 주도한 5·17 쿠데타를 계기로 해산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5.17 쿠데타 때 가장 적은 구성을 이룬 정당의 이름은? Assistant: 민주통일당
Human: 아래 비디오_블로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비디오 블로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비디오 블로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비디오 블로그(video blog, video log, vlog[1])는 비디오의 형식으로 인터넷에 올려지는 블로그이다. 보통 블로그와 같이 시간의 역순으로 보이며 어떠한 메시지나 사건등의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인터넷에 올려져 공개된다. 텍스트, 이미지나 다른 데이터 형식과 같이 제공된다. RSS나 ATOM과 같은 인터넷 구독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독의 형식으로 자동 다운로드 받아서 보거나 그때그때마다 접속하여 볼 수 있다. 대부분 길이는 10분미만으로 짧은 편이며 PC뿐만 아니라 휴대용 비디오 재생기인 iPod나 PMP같은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볼 수도 있으며 최근에는 Apple iTV와 같은 셋톱박스기기에서도 지원하고 있다. 많은 경우 일반인들에 의해 간단하고 저렴한 비디오 기기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최근에는 대형 방송국에서도 이러한 형식과 방법으로 영상물을 배포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목차 1 역사 1.1 기네스 세계 기록 1.2 비드콘 2 종류 2.1 개인로그 2.2 라이브 방송 vlog 3 유튜브의 현재 4 기타 5 기타 이벤트 6 같이 보기 7 각주 역사[편집] 비디오 블로그는 블로그의 일종으로서 비디오로 만드는 일기나 게시판에서 발전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이러한 형태는 1980년대 개인용 비디오 촬영기의 등장부터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영국의 BBC같은 방송에서는 1993년 "비디오 네이션"이라는 시리즈 물에서 시청자로부터 비디오로 된 투고물을 받아 그들의 일상을 찍은 영상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격적으로 비디오 블로그가 인터넷에 등장하게 된 것은 2000년대 후반 인터넷의 속도가 빨라지고 PC의 용량이 늘어나게 되는 때부터이다. 특히 2005년에는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으며 이후 유튜브와 같은 UCC 비디오를 지원하는 사이트의 등장과 발달을 자극하였다. 또한 2005년 5월에는 애플의 전 회장 스티브 잡스에 의해 iTunes에서 비디오 블로그를 쉽게 구독하고 볼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어 발달에 큰 기여를 하게 되었다. 뉴욕 예술가 넬슨 설리번은 1980년대에 뉴욕시와 사우스 캐롤라이나 주 주변에서 볼록한 스타일로 비디오를 녹음한 것으로 유명했다. 2000년 1월 2일, 아담 콘트라스는 자신의 친구들과 가족들에게 쇼 비즈니스 수행을 위해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하는 것을 알리기 위한 블로그 글과 함께 비디오를 게시했다. 이것은 훗날 가장 오랫동안 운영되던 비디오 블로그가 될 것에 대한 첫 번째 글이다.[2][3][4]그 해 11월, Adrian Miles는 그의 비디오 블로그를 지칭하기 위해 vog라는 용어를 묶으면서 정적인 이미지에 텍스트를 바꾸는 동영상을 올렸다.[5][6] 영화제작자이자 음악가인 루크 부우먼은 2002년에 대학 졸업 후 여행 비디오 일기로 지금은 없어진 Tropisms.org 사이트를 시작했다.[7][8] 2004년에 스티브 가필드는 자신의 비디오 블로그를 개설하고 그 해 "비디오 블로그의 해"를 선언했다.[9][10] 야후! 비디오로깅 그룹은 2005년 8월까지 회원 수가 급격히 증가했다.[11][12]현재까지 가장 인기 있는 동영상 공유 사이트인 유튜브가 2005년 2월에 설립되었다. 이 사이트의 공동 창시자인 자위드 카림은 2005년 4월 자신의 채널인 "Jawed"에 최초의 YouTube vlog 클립을 동물원에 업로드했다.[13] 2006년 7월까지 유투브는 매일 1억 개의 동영상을 보고 6만 5천 개의 새로운 업로드를 기록하며 5번째로 인기 있는 웹 사이트가 되었다.[14] 많은 오픈 소스 콘텐츠 관리 시스템은 블로거들이 자신의 비디오 블로그 사이트를 호스팅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게 하였다. 게다가, 휴대 전화와 디지털 카메라의 융합은 거의 녹화되는 대로 비디오 컨텐츠를 웹에 게시할 수 있게 한다.[15]라디오 및 TV 방송국은 청취자 및 시청자와 더 많은 상호 작용을 돕는 방법으로 비디오 블로그를 사용할 수 있다. 기네스 세계 기록[편집] 인터넷 킬링 TV 유튜브 채널 아래의 찰스 트리피는 현재 3,000개 이상의 연속 비디오를 가지고 "유투브에 올려진 가장 연속적인 일일 개인 비디오 블로그"로 기네스북을 보유하고 있다[16] 비드콘[편집]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최되는 VidCon은 유튜브 콘텐츠 제작자와 시청자가 콘텐츠 아이디어와 비즈니스 연락처를 공유하기 위해 함께 모일 수 있도록 하는 연례 컨벤션이다.[17] 2010년 7월 10일과 11일에 첫 VidCon 행사가 열렸으며, 현재는 인터넷 창작자, 시청자, 대표자들이 가장 많이 모이는 인트로모임이 되었다.[18]이 협약은 사회가 오락, 교육, 공유 및 소통하는 방식이 혁명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깨닫고집회 및 회의 참석자에게 주어지는 대화를 통해 이 사실을 강조하기로 선택한다.[17] 종류[편집] 개인로그[편집] 개인로그는 개인이 사람들에게 소개하고자 하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녹음하는 온라인 동영상이다. 청중은 기업이나 조직만큼 다양하지 않다. 라이브 방송 vlog[편집] 유튜브는 2008년에 유튜브 라이브라는 생방송 기능을 발표했다. 이 기능은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과 같은 다른 소셜 플랫폼에서도 구축되었다. 유튜브의 현재[편집] 유튜브는 현재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방문하는 사이트 3위에 올라 있다.[19] 비디오 블로거 또는 vlogger를 위한 교통량이 많은 지역인 YouTube는 이러한 참가자들이 자신의 개인 비디오를 보여줄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었다.[20] YouTube 커뮤니티에서 vlog의 인기는 지난 몇 년 동안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해 왔다.[21] 가장 많이 구독하는 YouTube 채널 상위 100개 중 17개가 vlog를 주요 영상 스타일로 제공한다.[20] 이러한 많은 블로거들은 YouTube Partner Program의 일부인데, 이 프로그램은 업계를 전문화하고 비디오 제작으로 인한 금전적 이득을 제공한다.[22] 이러한 전문화는 다양한 채널에 대한 노출을 증가시키고 현장 내 안정감을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이러한 전문화를 통해 콘텐츠 작성자들은 시청자들에 의해 신뢰할 수 있는 출처로 간주될 수 있다. 게다가, 많은 블로거들은 그들의 채널을 지속 가능한 직업으로 바꿀 수 있었다; 2013년에 가장 많은 돈을 지불한 블로거는 그 해 최소 72만 달러를 벌어들였다.[23] 할리우드는 이 떠오르는 매체를 주목하고 있으며, 최근 디즈니 사가 인수한 마블과 같은 다른 엔터테인먼트 회사들보다 그 가치가 더 높다.[24] 기타[편집] 오토바이를 타는 동안 생성된 비디오 로그는 모토블로그(이륜자동차 비디오 블로그의 약어)로 알려져 있다. 기타 이벤트[편집] 2005년 1월 – 최초의 블로거 컨퍼런스인 Vloggercon이 뉴욕에서 열린다.[25] 2006년 11월 – Irina Slutsky는 최초의 연간 비디오 블로그 상인 The Vloggies를 만들고 주최했다.[26] 2007년 5월과 8월 – 월스트리트 저널은 개인 저널 섹션의 1면에 할머니[27]를 올린다.[28] 2007년 8월, 그녀는 ABC 월드 뉴스 투나잇 코너에 출연하여 현재 온라인 비디오 세계에 관여하고 있는 노인들을 보여 주었다. ; 같이 보기[편집] 블로그 UCC 로켓붐 각주[편집] ↑ Pilkington, Ed (2009년 7월 9일). “Merriam-Webster releases list of new words to be included in dictionary”. 《The Guardian》 (London).  ↑ “"Talk about moving in the 21st Century..."”. 2001년 1월 27일. 2018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Kontras, Adam (2010). 《Naked Lens: Video Blogging & Video Journaling to Reclaim the YOU in YouTube™.》. 2018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Kapuso Mo, Jessica Soho”. 2009년 2월 7일. 2018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Miles, Adrian (2000년 11월 27일). “Welcome”. 2018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Miles, Adrian. “vog”. 2018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vlogging: collaborative online video blogging at tropisms.org”. 2018년 2월 8일. 2018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Forget the bloggers, it's the vloggers showing the way on the internet".”. 《The Guardian》. 2018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Garfield, Steve”. 2018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2004: The Year of the Video Blog”. 《Steve Garfield's Video Blog》. 2018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Wayback Machine.”. 2007년 7월 17일. 2018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Blogging + Video = Vlogging”.  ↑ “"YouTube created a FOMO viewing culture over the past 13 years”. 《Polygon》. 2018년 4월 23일.  ↑ “YouTube serves up 100 million videos a day online”. 2006년 7월 16일.  ↑ “Mobile blogging for journalists”. 《Journalism.co.uk.》. 2008년 1월 15일. 2018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Most consecutive daily personal video blogs posted on YouTube”. 《Guinness World Record》. 2014년 11월 17일.  ↑ 가 나 “Vidcon”. 2014년 12월 3일. 2018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VidCon Returns To Anaheim August 1–3, Anticipates 10,000 Attendees”. 《New Media Rockstars》. 2013년 6월 14일.  ↑ “Alexa Top 500 Global Sites”. 2015년 3월 2일. 2018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가 나 Stefanone, Michael A.; Lackaff, Derek. “Reality Television as a Model for Online Behavior: Blogging, Photo, and Video Sharing”.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2018년 12월 18일에 확인함.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R. Hovden (2013). “Bibliometrics for Internet media: Applying the h-index to YouTube”.  ↑ “"What is the YouTube Partner Program?"”. 2014년 9월 16일. 2018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How Much Do YouTubers Make? The Top 25 Earning Creators' Adsense Salaries Revealed [Infographic]”. 《New Media Rockstars》. 2014년 12월 18일. 2018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Why is YouTube brand Maker Studios worth more than Marvel to Disney?"”. 《the Guardian》. 2014년 7월 15일. 2018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Watch me@Vlog”. 2007년 10월 14일. 2018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A Night at the Vloggies”.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Archived copy”. 2017년 8월 9일. 2018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Jessica E., Vascellaro (2007년 5월 10일). “Using YouTube for Posterity”. 《Wall Street Journal》.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비디오_블로그&oldid=24198334" 분류: 비디오 블로그숨은 분류: CS1 관리 - 여러 이름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Lietuviųമലയാളം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lovenčinaSlovenščinaSvenskaKiswahili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00: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브이로그(순화어: 영상 일기, 영어: vlog), 비디오 로그(video log) 또는 비디오 블로그(video blog)는 비디오의 형식으로 인터넷에 올려지는 블로그이다. 보통 블로그와 같이 시간의 역순으로 보이며 어떠한 메시지나 사건등의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인터넷에 올려져 공개된다. 텍스트, 이미지나 다른 데이터 형식과 같이 제공된다. RSS나 ATOM과 같은 인터넷 구독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독의 형식으로 자동 다운로드 받아서 보거나 그때그때마다 접속하여 볼 수 있다. 대부분 길이는 10분미만으로 짧은 편이며 PC뿐만 아니라 휴대용 비디오 재생기인 iPod나 PMP같은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볼 수도 있으며 최근에는 Apple iTV와 같은 셋톱박스기기에서도 지원하고 있다. 많은 경우 일반인들에 의해 간단하고 저렴한 비디오 기기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최근에는 대형 방송국에서도 이러한 형식과 방법으로 영상물을 배포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비디오 블로그»는 무엇일까? Assistant: 블로그의 일종으로서 비디오로 만드는 일기나 게시판에서 발전되어 만들어진 것 Human: 아래 된장_군과_낫토_짱의_결혼_전쟁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된장 군과 낫토 짱의 결혼 전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된장 군과 낫토 짱의 결혼 전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된장 군과 낫토 짱의 결혼 전쟁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MBC 방송 기간 2010년 2월 27일 ~ 2010년 2월 28일 방송 시간 토, 일 밤 9시 45분 ~ 10시 55분 방송 분량 1시간 10분 방송 횟수 2부작 기획 윤재문 책임프로듀서 황인창 프로듀서 문경욱 제작자 천재원, 도어스픽쳐스 연출 주성우 조연출 정지인, 남성우 출연자 임주환, 아키바 리에 외 여는 곡 어니스트 - 못잊어 음성 2채널 스테레오(아날로그)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자막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된장 군과 낫토 짱의 결혼 전쟁 홈페이지 《된장 군과 낫토 짱의 결혼 전쟁》은 2010년 2월 27일부터 2010년 2월 28일까지 MBC에서 방영된 특집드라마이다. 목차 1 등장 인물 1.1 주요 인물 1.2 주변 인물 2 시청률 3 각주 4 외부 링크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임주환 : 김대천(28세) 역 아키바 리에 : 스즈키 다카코(26세) 역 주변 인물[편집] 백일섭 : 김달만(70세) 역 - 김대천의 아버지, 어선 선장 정경순 : 김득남 역 - 김대천의 큰 누나 이미은 : 김순남 역 - 김대천의 둘째 누나 손화령 : 김귀남 역 - 김대천의 셋째 누나 하쿠류 : 스즈키 마사오(66세) 역 - 다카코의 아버지, 후쿠오카 어시장 조합장 나라 후지코 : 하루코(60세) 역 - 다카코의 어머니 박충선 : 마 교수(58세) 역 - 문화대 연구실 책임자 시청률[편집] 최저 시청률과 최고 시청률은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회차 방송일 TNmS 시청률[1] AGB 시청률[2]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제1회 2010년 2월 27일 11.3% 11.6% 10.4% 11.0% 제2회 2010년 2월 28일 10.0% 9.9% 10.2% 10.1% 평균 시청률 10.7% 10.8% 10.3% 10.6% 각주[편집] ↑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 ↑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 외부 링크[편집] 된장 군과 낫토 짱의 결혼 전쟁 - 공식 웹사이트 문화방송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보석비빔밥(2009년 9월 5일 ~ 2010년 2월 21일) 된장 군과 낫토 짱의 결혼 전쟁(2010년 2월 27일 ~ 2010년 2월 28일) 신이라 불리운 사나이(2010년 3월 6일 ~ 2010년 5월 23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된장_군과_낫토_짱의_결혼_전쟁&oldid=20242451" 분류: 2010년 드라마문화방송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문화방송 특집드라마일본-한국 관계가족 드라마코미디 드라마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Tagalog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7년 12월 15일 (금) 12: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된장 군과 낫토 짱의 결혼 전쟁》은 2010년 2월 27일부터 2010년 2월 28일까지 MBC에서 방영된 특집드라마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된장 군과 낫토 짱의 결혼 전쟁 1회는 언제 방송했을까? Assistant: 2010년 2월 27일
Human: 아래 오송생명과학단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오송생명과학단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송생명과학단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오송생명과학단지(五松生命科學團地)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에 조성된 생명과학단지이다. 국내 최초로 기업체와 대학, 연구소, 국책기관이 연계되어 인력양성 및 연구개발, 인·허가, 제조, 판매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지원하도록 집적되었으며, 바이오 산업 전문 단지로서 대한민국 정부가 보건의료 및 생명과학기술 분야를 국가전략사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추진한 것이다.[1] 2009년 8월 대구 신서 혁신도시와 함께 첨단의료복합단지로 지정됨에 따라, 향후 30년간 총 5조6000억원이라는 천문학적인 정부 예산이 투입되어 세계적인 보건의료산업지역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2] 첨단의료복합단지 지정에 따라 신약 개발지원센터 및 의료기기 개발센터, 임상시험센터 등 의료사업에 필수적인 기간시설들이 갖춰지게 되며 혁신신약과 첨단의료기기 개발등이 중점 육성될 예정이다.[3] 목차 1 개요 1.1 사업 개요 2 특성 2.1 국책 기관 2.2 입지 여건과 교통 시설 3 행정 지원 4 같이 보기 5 각주 6 외부 링크 개요[편집] 사업 개요[편집] 전체적인 생명과학단지 조성 사업은 1997년에 시작하여 2010년에 완성되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청과 질병관리본부를 비롯한 6개 국책기관의 이전 공사는 2007년 착공되어 조성 사업이 끝나는 2010년 완료되었다. 기업의 연구개발과 산업화를 지원할 국립인체자원중앙은행, 전임상·임상시설 등 연구지원시설을 유치 또는 건립되었다. 그리고 KTX 경부고속선 오송역이 건설되었다. 호남고속선 분리역 지정과 오송제2단지 건립도 추진된다.[4] 또한 단지에는 4,574세대 약 14,200명이 주거할 아파트와 단독주택이 건설 중이며, 이후 초·중·고등학교와 공공시설까지 들어서 주거형 첨단 복합단지로 자리매김 하게 된다.[5] 첨단의료복합단지 지정과 함께 대한민국 정부는 이 지역을 조속한 시일 내 지정·고시한 뒤 연내 단지별 세부 조성계획 및 재원조달 방안 등을 마련, 2012년까지 단지가 완공되도록 할 계획이다.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위원회는 기본설계를 거쳐 내년이면 첨복단지 주요 시설의 건축공사가 착공될 수 있어 머지않아 대한민국 보건의료산업의 수준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 올리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를 모으고 있으며,[6] 충청북도는 오송 단지에 첨단의료복합단지를 유치하게 돼 앞으로 제약 회사나 바이오 업체들의 자발적인 투자가 예상된다고 밝혔다.[7] 이 단지 내에 공장을 둔 많은 제약 회사 관계자들은 내년 입주할 식품의약품안전청을 비롯한 국책기관과 대학 및 연구기관 등과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8] 첨단의료복합단지가 조성 사업 완료시 의료산업과 여타산업의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이고, 많은 인원의 고용창출이 전망되고 있다.[9] 특성[편집] 국책 기관[편집] 6대 국책기관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생명2로 187 오송보건의료행정타운 내에 위치한다. 입주기관 관할 기관 기관 형태 이전 사유 구 청사 식품의약품안전처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산하 외청 오송생명과학산업단지 서울특별시 은평구 녹번동 5 국립보건연구원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소속 기관 질병관리본부 보건복지부 소속 기관 혁신도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복지부 산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2동 311-27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보건복지부 산하 기타공공기관 서울특별시 은평구 녹번동 5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소속 기관 입지 여건과 교통 시설[편집] 경부선과 호남선의 KTX 환승역인 오송역을 포함하고 있다. 청주국제공항이 약 17 km 거리에 위치해 있다.[10] 행정 지원[편집] 오송생명과학단지를 지원하기 위해 2011년 12월 30일 보건복지부 소속기관으로 오송생명과학단지지원센터가 설립되었다. 같이 보기[편집] 인천종합환경연구단지 각주[편집] ↑ 조고은 (2008년 10월 14일). “8000억원 사업비 투입된 오송생명과학단지 '준공'”. 메디컬투데이.  ↑ 충북도 사진공동취재단 (2009년 8월 10일). “첨복단지 들어설 충북 오송”. 연합뉴스 보도자료.  ↑ 강성일 (2009년 8월 10일). “충북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 '선정'”. 충청일보.  ↑ 박재천 (2009년 8월 10일). “충북 오송 '의료산업 메카'로 뜬다”. 연합뉴스.  ↑ “사업개요”. 2009년 8월 13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유광준 (2009년 8월 12일). “첨복단지 오송, 이제 시작이다”. 충청일보.  ↑ 전영신 (2009년 8월 11일). “충북도 오송 첨복단지 연관업체 유치에 나서”. 불교방송. 2016년 3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3일에 확인함.  ↑ 박형수 (2009년 8월 11일). “대구서 오창까지…첨단의료단지 수혜 '함박웃음'”. 아시아경제.  ↑ 신진호 (2009년 8월 10일). “첨단의료복합단지 후보지 충북 오송·대구 신서 확정”. 세계일보.  ↑ 오송 첨복 공식 홈페이지 외부 링크[편집] 오송 첨복 공식 홈페이지 vdeh대한민국의 국가산업단지국가산업단지서울특별시 한국수출산업국가산업단지(서울디지털국가산업단지) 부산광역시 명지녹산국가산업단지 인천광역시 남동국가산업단지 한국수출산업국가산업단지(부평주안국가산업단지) 대구광역시 대구국가과학산업단지 광주광역시 광주첨단과학산업단지 대전광역시 대덕연구개발특구 울산광역시 온산국가산업단지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경기도 반월특수지역(반월지구) 반월특수지역(시화지구) 파주출판문화정보산업단지 파주탄현중소기업전용국가산업단지 강원도 북평국가산업단지 충청북도 보은국가산업단지 오송생명과학산업단지 충청남도 고정국가산업단지 대죽자원비축산업단지 석문국가산업단지 아산국가산업단지-고대, 부곡지구 장항국가산업단지 전라북도 군산국가산업단지 군산2국가산업단지 익산국가산업단지 전라남도 광양국가산업단지 대불국가산업단지 삼일자원비축단지 여수국가산업단지 경상북도 구미국가산업단지 월성전원단지 포항국가산업단지 경상남도 안정국가산업단지 옥포국가산업단지 죽도국가산업단지 지세포자원비축단지 진해국가산업단지 창원국가산업단지 제주도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오송생명과학단지&oldid=24105214" 분류: 대한민국의 신도시충청북도의 경제청주시의 건축물대한민국의 산업단지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26일 (금) 18: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오송생명과학단지(五松生命科學團地)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에 2010년 조성된 생명과학단지이다. 국내 최초로 기업체와 대학, 연구소, 국책기관이 연계되어 인력양성 및 연구개발, 인·허가, 제조, 판매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지원하도록 집적되었으며, 바이오 산업 전문 단지로서 대한민국 정부가 보건의료 및 생명과학기술 분야를 국가전략사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추진한 것이다.2009년 8월 대구 신서 혁신도시와 함께 첨단의료복합단지로 지정됨에 따라, 향후 30년간 총 5조6000억원이라는 천문학적인 정부 예산이 투입되어 세계적인 보건의료산업지역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첨단의료복합단지 지정에 따라 신약 개발지원센터 및 의료기기 개발센터, 임상시험센터 등 의료사업에 필수적인 기간시설들이 갖춰지게 되며 혁신신약과 첨단의료기기 개발등이 중점 육성될 예정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오송생명과학단지의 예정된 완공 연도는? Assistant: 2012년 Human: 아래 중국_인민해방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중국 인민해방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국 인민해방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4년 11월) 중국 인민해방군 中国人民解放军 중국 인민해방군 휘장 중국 인민해방군 군기 창립일 1927년 8월 1일 국적 중화인민공화국 편제 인민해방군 육군 인민해방군 해군 인민해방군 공군 인민해방군 로켓군 인민해방군 전략지원부대 인민무장경찰부대 충원방식 모병제(전시 징병제) 상비군 2,255,000 (2013) 지휘체계 본부 베이징 통수권자 시진핑 국방장관 창완취안 연합참모장 팡펑후이 군사비 예산 6,031억 위안 (2013) GDP 대비 1.65% (2013) 정부재정 대비 14.3% (2014) 방위산업 국내 공급 중국병기공업그룹(북부공업회사)중국병기장비그룹(남부공업회사)중국 CSSC중국선박중공업그룹중국항공공업그룹중국항천과학공업그룹중국기계장비그룹중국우주과학기술그룹중국원자력공사중국전자과학기술그룹 해외 공급 러시아 우크라이나 함께 읽기 중국 인민해방군(중국어 간체자: 中国人民解放军, 정체자: 中國人民解放軍, 영어: People's Liberation Army, PLA)은 중국 공산당 중앙 군사 위원회의 지휘하에 있는 당의 군대이며 통합군체제로 중앙군사위에 인민해방군 4총부장(총참모장, 총정치부장, 총장비부장, 총후근부장)과 육군사령관, 해군사령관 및 공군사령관과 로켓군사령관이 참여한다. 각 군구사령관과 육군, 해군 및 공군사령관과 로켓군사령관. 무장경찰사령관으로 연결된다. 군구사령관, 육군, 해군 및 공군사령관은 원칙적으로 당중앙위원 또는 중앙위원 후보의 지위에 있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줄여서 인민해방군(人民解放军) 또는 해방군(解放军)라고도 부른다. 1989년 천안문 사태 진압으로 의미가 어느 정도 퇴색되었다고는 하지만, 중국인민해방군의 복무 목적은 인민의 해방과 복지에 있다. 1927년 8월 1일에 창군한 후 1946년 6월까지는 적군(赤軍) 또는 홍군(紅軍)으로 불렸었다. 225만 여 명을 거느린 세계 최대의 상비군 체제(준 군사조직인 인민무장 경찰부대 포함)그 대부분 병력이 북구전구,동부전구,중부전구 등 수도권쪽에 집중 주둔하고 있다. 헌법상 중화인민공화국의 군대는 국가(정부)의 군대가 아닌 중국 공산당의 군대이다. 따라서 군대의 정식 명칭은 ‘중국군’이 아닌 ‘중국 인민해방군’이다.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은 중국 공산당이 일당제로 집권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나라의 군대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과거에는 징병제였으나, 현재는 경제발전과 인력의 고급화로 인하여 실질적인 모병제로 운용하고 있다. 현역병이 230만여 명, 예비군이 80만여 명이다. 기갑/전술 차량 7,470대, 군용기 4,092대, 군함 562척을 보유하고 있다. T-72 차체에 서구권 전차 포탑을 장착하여 개량한 99식 전차(ZTZ-99)전차를 주력 전차로 운용 중인데 러시아 2A46M-1(125mm,55구경)를 카피한 ZPT98 활강포이다. 99식 전차는 5가지의 업그레이드형이 있다. A2버전부터 능동방어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다. KM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거대한 기갑전력을 보유하고 있다. 스텔스기 탐지 레이다가 배치되어 있다. 공격헬기와 방공 레이다 기술력이 증가하는 등 기술을 축적 중이다. 막대한 국방예산으로 군사력을 증강시키고 있다. 2013년 국방예산 약 130조원(7천406억2천200만 위안)이다. 2012년 실제 집행된 국방비 6천691억2천800만 위안보다 10.7% 증가한 것이다. 아시아 1위, 세계 2위의 국방비 지출국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의 국방비는 일본을 제외한 인도, 대한민국, 오스트레일리아, 중화민국,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및 태평양 대부분 국가의 국방예산을 합친 것보다 많다. 해군은 3개 항모전단을 계획하여 첫 항모인 랴오닝호가 실전배치를 앞두고 있고 2척의 항모를 건조 중이다. 해군의 차세대 핵심전력으로 평가받는 052D급 구역방공 구축함이 실전배치를 앞두고 있다. J-17 전폭기를 실전배치했다. 지하에 핵탄두들을 보관하는 거대한 길이의 지하기지를 건설하였다. 공군은 4종류의 제5세대 스텔스 전투기를 보유하고 있다. J-20,F-60/J-31 Shen Fei은 시험 비행을 시행중이고 선양비행기공업집단이 개발한 J-18는 테스트중이다. J-18는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고 단거리에서도 이착륙 할 수 있어 J-15와 함께 항모 함재기로 사용된다. 공군이 제 5세대 전투기 now Owl Jet 개발 프로젝트를 AVIC Shenyang Aircaft Corporation에서 진행중이며 현재 풍동시험 단계다.Show Owl Jet는 고성능 다목적 전천후 전투기를 개발하는 것으로 고강도의 임무수행이 가능한 기체를 구현하면서 생산단가를 최대한 낮추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다고 한다. 목차 1 개요 2 현대화 3 편성 4 장비 5 인민해방군 계급제도 5.1 사관 계급 5.2 부사관 및 병 6 갤러리 7 관련 항목 8 참고 자료 9 각주 10 외부 링크 개요[편집]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할 수 있었던 배경은 무장력에 의한 군사적 승리였기 때문에 중화인민공화국 내에서의 군의 정치적 위상은 지대하다. 마오쩌둥은 '정치권력은 무장력으로부터 나온다'고 선언함과 동시에 '당이 무장력을 지도한다'는 그들의 대원칙을 수립, 과거 내부적인 권력투쟁의 결과에 따라 통수권자의 변동은 있었지만 중국 공산당에의 전속은 변함없었다. 1970년대 인민해방군 여군 병사 1927년 '홍농군(紅農軍)'으로 창설되어 중일전쟁 당시에는 8로군·신4군으로 나뉘었다가 1947년 인민해방군으로 통합·개칭되었다. 마오쩌둥 헌법 당시에는 국가주석에게, 1975년 수정헌법에서는 당중앙위 주석에게 통수권이 귀속되었으나, 1982년 수정헌법에서는 국가가 무장력을 감독하도록 '국가 중앙군사위원회'를 신설하였다. 그러나 당중앙군사위가 계속 정치사상 공작을 전담하고, 국가중앙군사위 역시 당의 세력권 안에 놓음으로써 그 원칙에는 변함이 없다. 현대화[편집] 1980년대부터 1990년대에 걸쳐 대폭적인 병력 삭감, 계급제 부활, 군현대화를 시행했는데, 현재도 군간부의 4화(연소화, 지식화, 전문화, 혁명화)를 통한 군현대화를 진행중이다. 총병력 225만 명, 예비역 2억 명, 그 밖에 인민 무장 경찰 50만 명이다.[1] 편성[편집] 군종별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PLA Ground Force)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PLA Navy)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PLA Air Force) 중국 인민해방군 로켓군(PLA Rocket Forces) 중국 인민해방군 전략지원부대(PLA Strategic Support Force)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PAP) 지역 전구 북부전구北部战区 중부전구中部战区 동부전구东部战区 남부전구南部战区 서부전구西部战区 장비[편집] Lanzhou (DDG170) is a Type 052C destroyer of the PLAN A Chengdu J-20 5th generation stealth fighter currently under development for the PLAAF. 인민해방군 지역전구 · 중국의 정찰 위성 IMINT - JSSW, FSW-0, FSW-1, FSW-2, FSW-3, JianBing CBERS-2 SIGINT - JSSW-3, SJ-2, DQ-1 COMM - Feng Huo-1, ShenTong-1 · 중국 군용기 중국 소형전투기 : J-7 471 J-8 180 중국 중형전투기 : JH-7B 192 JH-17 J-10 222 중국 대형전투기 : Su-27 69, Su-30MKK, Su-30MK2 100, J-10B, J-10C, J-11B 200,J-16, J-18, J-15, J-20, F-60/J-31 Shen Fei , J-17 중국 폭격기 : H-8, H-6, H-5 중국 공격기 : Q-5 500,Q-6 중국 조기경보기 : Y-8 ELINT, KJ2000, KJ-200, Y-8J 중국 공중급유기 : Y-8 Tanker, H-6, IL-78 중국 정찰기 : JZ-8, JZ-7, JZ-6, JZ-5, HZ-5, Tu-154M 중국 전략수송기 : Y-20 Airborne Laser, Y-20, Y-8 Gunship, Y-9, Y-8 II-76 중국 전술수송기 : Y-12, Y-11, Y-9, Y-8, Y-7, Y-5, 보잉737, CL 601 Tu-154 중국 훈련기 : L-15, JL-9, JL-8, JL-7 Baby Eagle, CJ-6, CJ-5 중국 공격용 헬리콥터 : WZ-12, WZ-10, WZ-19, WZ-9, WZ-11 중국 다목적 헬리콥터 : Z-15, Z-11, Z-9, Z-8, Z-6, Z-5 , Mi-171E 중국 ASW 헬리콥터 : Z-9C, Z-8, Ka-28 중국 UAV : Shenyang Darksword, 청두 샹룽, Combat Eagle UAV, Long Haul Eagle UAV, Thunderbolt UAV, Yilong UAV, CH-3 UAV, CH-1 UAV, Xianglong UAV, WZ-2000, WnZhen-5, ASN-206, Changkong-2, ChangKong-1 인민해방군 계급제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중국인민해방군의 계급입니다. 인민해방군의 계급제도(人民解放军階級制度)는 1955년대에 설정되어 사용되었다. 1965년에 사용이 중지되었다가 1988년에 부활, 재설정하여 시행되고 있다. 사관 계급[편집] 장성급(將星級)[2] 상장(上将) - 한국군의 대장 중장(中将) - 한국군의 중장 소장(少将) - 한국군의 소장 교관급(校官級)[3] 대교(大校) - 한국군의 준장 상교(上校) - 한국군의 대령 중교(中校) - 한국군의 중령 소교(少校) - 한국군의 소령 위관급(尉官級)[4] 상위(上尉) - 한국군의 대위 중위(中尉) - 한국군의 중위 소위(少尉) - 한국군의 소위 후보생급(後輔生級)[5] 학원(学员) - 사관후보생 부사관 및 병[편집] 부사관급(副士官級)[6][7] 고급부사관: 1급군사장 - 한국군의 주임원사 , 2급군사장 - 한국군의 원사, 3급군사장 - 한국군의 상사 중급부사관: 4급군사장 - 한국군의 중사 , 상사 - 한국군의 하사 하급부사관: 중사 - 한국군의 병장 , 하사 - 한국군의 상병 병급(兵級)[8] 상등병(上等兵) - 한국군의 일병 열병(列兵) - 한국군의 이등병 갤러리[편집] 중국 인민해방군 DF-5B 戰略導彈 DF-21D反艦彈道導彈 관련 항목[편집] 중화인민공화국 국방부 조선인민군(KPA) 미국의 군사 대한민국 국군 주한 미군(USFK) 주일 미군(USFJ) 일본의 군사 중화민국의 군사 인해전술(en:Human wave attack) 참고 자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주[편집] ↑ '종이호랑이에서 진정한 군사강국으로', 오마이뉴스 모종혁 기자의 기사 ↑ http://www.china.com.cn/chinese/zhuanti/xian/439649.htm ↑ http://www.china.com.cn/chinese/zhuanti/xian/441409.htm ↑ http://www.china.com.cn/chinese/zhuanti/xian/442446.htm ↑ http://www.china.com.cn/chinese/zhuanti/xian/442449.htm ↑ http://www.gov.cn/zwgk/2010-07/28/content_1665547.htm ↑ “07式军衔标志”. 2012년 9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1월 5일에 확인함.  ↑ http://www.china.com.cn/chinese/zhuanti/xian/491611.htm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중국인민해방군 (영어) China Military Guide (globalsecurity.org) '종이호랑이에서 진정한 군사강국으로', 오마이뉴스 모종혁 기자의 기사 vdeh중화인민공화국 인민해방군지휘부 주석 중앙군사위원회 연합참모부 정치공작부 후근보장부 장비발전부 군구/전구 중부 동부 서부 남부 북부 함대 남해 동해 북해 군종예속 육군 해군 항공대 육전대 공군 제15공항병군 독립 로켓군 무장경찰부대 우주군 전략지원부대 그 외 역사 vdeh중국공산당 조직도 전국대표회의(전대) 중앙위원회(당중앙)중앙기율검사위원회(중기위) 중기위 서기,중기위 부서기,중기위 서기장 상무위원회 중앙군사위원회(중군위)중앙위 총서기 중군위 주석,중군위 부주석중앙정치국(정치국)중앙판공청(중판)중앙조직부(중조부) 중앙선전부(중선부) 중앙통일전선공작부(통전부) 중앙대외관계부(중관부)중앙당교 사화문헌연구원 중앙정책연구실(정연실) 당중앙 상무위원회중앙서기처(서기처) 중앙국가안전위원회(국안위)영도소조들지역당들중앙정치법률위원회(정법위) 중앙정신문명건설지도위원회(문명위) 망락안전화신식화위원회 중앙궤구편제위원회(중앙편위) 인민해방군중군위 정치공작부 vdeh중화인민공화국의 국방과 치안국가 전체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중화인민공화국 국방부 중국 인민해방군 본토 성시관리행정집법국 중국 해경 중화인민공화국 해관총서 중앙보밀위원회판공실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중화인민공화국 공안부 중화인민공화국 국가안전부 특별행정구 중국인민해방군 주홍콩부대 홍콩의 경찰 마카오 경찰 중국인민해방군 주마카오부대 vdeh동아시아의 군사 대한민국 국군 몽골군 일본 자위대[* 1] 조선인민군 중국 인민해방군 중화민국 국군 러시아 연방군 ↑ 자위대는 일본국의 국방만을 담당하는 국방 조직으로 군대가 아니지만 실질적인 군대 역할을 하고 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중국_인민해방군&oldid=23527139" 분류: 1927년 설립중화인민공화국의 군사당군숨은 분류: 중복된 인수를 사용한 틀의 호출을 포함한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2014년 11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정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간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rezhonegCatalàMìng-dĕ̤ng-ngṳ̄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ietuvi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吴语Vahcuengh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24일 (목) 10: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중국 인민해방군(中國人民解放軍, 중국어 간체자: 中国人民解放军, 정체자: 中國人民解放軍, 병음: Zhōngguó Rénmín Jiěfàngjūn 중궈 런민제팡쥔[*], 영어: People's Liberation Army, PLA)은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의 지휘하에 있는 당의 군대이며 통합군체제로 중앙군사위에 인민해방군 4총부장(총참모장, 총정치부장, 총장비부장, 총후근부장)과 육군사령관, 해군사령관 및 공군사령관과 로켓군사령관이 참여한다. 전구사령관과 육군, 해군 및 공군사령관과 로켓군사령관, 무장경찰사령관으로 연결된다. 전구사령관, 육군, 해군 및 공군사령관은 원칙적으로 당중앙위원 또는 중앙위원 후보의 지위에 있다. 중국 인민해방군의 복무 목적은 인민의 해방과 복지에 있었으나 1989년 천안문 사태 진압으로 의미가 퇴색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중국 훈련기에는 어떤 것들이 있어? Assistant: L-15, JL-9, JL-8, JL-7 Baby Eagle, CJ-6, CJ-5
Human: 아래 태산군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태산군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태산군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BJ명 태산군주 신체 188cm 찬물에서 30cm[1] 방송 장르 리니지 1 - 군주 케릭터[2] 아프리카 방송국 http://afreecatv.com/gksqkd 유튜브 채널 태산군주TV Youtube 트위치 채널 태산군주_리니지 공식 카카오톡 ID KingAfreeca 목차 1 소개 2 수상 경력 3 방송 특징 4 플레이 스타일 5 태산군주 장비 6 유행어 리스트 7 극성팬 문제 7.1 7.0.1. 극성 여성팬들과의 문제점 7.2 7.0.2. 극성 열혈팬들 문제점 8 사건 사고 9 여담 소개[편집] 아프리카TV 리니지 BJ. 전형적인 린저씨의 거울, 목소리로 승부, 리니지 안습의 최약체 군주 캐릭터로 명실상부 "전투 군주 = 태산군주" 라는 공식을 각인시킨 얼굴 없는 방송인 아프리카, 유튜브에서 활동하는 인터넷 방송인이며 아프리카에서 인정한 공식 프로게이머이다. 아프리카 방송은 2015년 4월 5일에, 유튜브 영상 업로드는 2016년 8월 10일에 시작했다. 얼굴이 공개되지 않은 몇 안 되는 아프리카BJ, 목소리로 일하자로 승부하는 BJ이다. 2016년 리니지 파이팅 토너먼트(LFC) 군주 부문에서 우승하여 이름이 알려졌다. 리니지 최고의 안습 캐릭터인 군주 캐릭터를 육성하여 2017년 리니지 1 최초 군주 90레벨을 달성하였다. 2019년 4월 현재 태산군주의 레벨은 92 현존하는 최고레벨 군주케릭터이다. 수상 경력[편집] * 2016년 NCsoft 리니지 파이팅 토너먼트 Lineage Fighting Tournament (LFC) 군주 부문 개인전 우승 * 2018년 리니지 지배의 탑 전투 영상 공모전 우수상 ID:BeautyMaster 순위확인 방송 특징[편집] 중저음의 목소리로 섭섭합니다를 시전하며, 캠을 절대로 켜지 않고, 자극적인 발언을 거의 하지 않는다. 저녁방송이고 대부분 시청자가 30~40대로 주류를 이루어서 채팅이 매우 느리고, 어그로극딜을 시전하는 시청자가 여타 리니지 방송보다는 확연히 적다. 방에 들어올 때부터 수많은 고인물 시청자들이 미리 정리해주는 점도 있지만 태산군주 본인이 어그로꾼들을 상당히 싫어한다. 싫어하는 티를낸다. 여타 캠이 있는 방송과는 달리 리액션은 오직 목소리로만 확인할 수 있는데, 신기하게도 이것이 가능하다. 여성 팬들이 나타나면 대놓고 환영하며 이로 인해 본인이 낭패를 보거나 몇몇 여성 팬들끼리 서로 패를 나눌 때가 종종 있다. 목소리 하나만으로도 수많은 여성 팬들을 확보하고 있다는것이 대단하지만, 여기서 참고할 점은 대부분의 여성팬들이 30대 초중반에서 40대 후반이라는 것. 리니지계의 나훈아 본인이 돌싱이라고 하거나, 아들이 군대에 갔다거나, 딸이 대학교 졸업 예정이라고 한 것은 매일 써먹는 단골 멘트. 방송 시작 및 종료시에, 채팅창에 있는 모든 인사에 대한 답변을 한다. 방송 시작부터 1시간 20분동안 지속적으로 인사만 한적도 있다. 영문 아이디는 영어님이라 읽는다. 개인신상을 철저하게 비공개로 한다. 개인적인 신상 공개를 방송에서 한 적이 없다. 플레이 스타일[편집] 가장 약한 군주 캐릭터로 선봉에 서다, 리니지의 주인공은 군주 일명 '몸빵' 및 캐릭터 자체 데미지가 가장 낮은 군주 캐릭터임에도 불구, 전장에서 선봉을 뛰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이점은 공성전에서 가장 두각을 보이며, 혼자서 3줄 4줄 겹겹으로 막혀있는 고기방패를 뚫고 내성 안의 왕관을 클릭하는데, 경험에 따른 것인지, 물 흐르듯 자연스럽다. 캐릭터의 특징상 아무리 장비로 덮는다고 하여도 공격력이나 방어력이 여타 캐릭터에게 밀리는 것은 사실. 환레기는 가끔 열외 2015년 방송 시작부터 2018 초반까지 커츠의 검으로 일명 커츠검빠임을 확인하였지만, 현재 2019년, 리니지에 현존하는 단검류 최고의 무기인 +3 바람칼날의 단검을 사용하며 방패는 +9반역자의 방패 및 +9파푸리온의 예지력과 군주 스킬 마제스티를 사용, 몸빵 최고의 세팅으로 군주스턴 엠파이어를 사용하여 타 캐릭터들을 압도하며 다닌다...하고 싶지만, 본인도 인정하길 아직까지도 상위 1% 기사,전사,요정들에게는 밀리고 있는 것이 현실. 하지만 노련하게 플레이하여 방송상으로는 여타 캐릭터들을 압도하는 전투력을 보여준다. 하지만... 정작 전투에서 캐릭터가 자주 사망하며 (가호 기부 천사) 같은 날 연속 12번 캐릭터가 사망한 적이 있다.[3] 2018년, 군주스턴 "엠파이어"의 등장으로 (약간 길게 느껴지는 스턴) +3 바람칼날의 단검의 데미지로 킬샷이 많이 나오고 있다. 88, 89, 90레벨의 초고랩 군주들, 바칼군주들, 혹은 폭딜을 넣을 수 있는 군주세팅의 유저들은 엠파이어 업데이트 후 말 그대로 날아다닌다. 초고랩 군주들은 충분히 만족하는 업데이트.[4] 2018년 연말, 추가로 군주방어기술 마제스티, 샤이닝 아머가 업데이트 되었다. 군주기술 목록 팬입니다 이 한마디면 태산군주와 싸움을 피할 수 있다.[5] 태산군주 장비[편집] 성별:  여군주 혈맹:  아이고 서버: 사이하 (2019년 6월 기준) 케릭터명: 아이고데페 무기 화령:5단의 +3 바람칼날의 단검  화령:5단의 +10 커츠의 검 수령:5단의 +10 신묘한 장궁  화령:3단의 +0 앨리스  화령:5단의 +10 혹한의 창 방어구 +9 파푸리온의 예지력  +7 린드비오르의 예지력  +5 발라카스의 예지력 +9 반역자의 방패  +7 수령의 가더 +7 투사의 수호 휘장  +8 은기사의 견갑 +9 신성한 마법 방어 투구  +9 기마용 투구  +7 지휘관의 투구  +7 머미로드의 왕관 +9 군주의 위엄  +7 거대 여왕 개미의 금빛 날개  +5 발록의 핏빛 망토 +9 수호성의 파워 글로브  +0 혼돈의 손길 +7 실프의 티셔츠  +8 축복받은 화룡의 티셔츠  +8 축복받은 지룡의 티셔츠 +9 유니콘의 완력 각반 +7 마법 방어 각반 +9 완력의 부츠  +7 타라스의 부츠 반지 귀걸이 목걸이 벨트 기타장비 +9 라이아의 반지 (2) +8 제니스의 반지 +7 축복받은 스냅퍼의 용사 반지 (2) +6 축복받은 스냅퍼의 체력 반지 +6 축복받은 스냅퍼의 마법 반지 순간이동 지배 반지 +9 지령의 귀걸이 +9 화령의 귀걸이 +7 룸티스의 푸른빛 귀걸이 +6 룸티스의 붉은빛 귀걸이 +6 룸티스의 검은빛 귀걸이 +9 투사의 목걸이 +9 신성한 영생의 목걸이 +6 고뇌의 목걸이 +6 빛나는 호박 목걸이 +9 오우거 킹의 벨트 +9 크로노스의 벨트 +8 신성한 지혜의 벨트 +5 빛나는 호박 벨트 변신 지배 반지 축복받은 마법인형 (데몬) 마법인형 (발라카스) 마법인형 (안타라스) 힘의 엘릭서 룬 (90 군주) 유행어 리스트[편집] • 섭섭합니다 • 화 많이 나셨네요 • 어디가시죠 • 제가 몹은 다 등 져주겠습니다. 키180 넘고 몸집이 있는체격 • 스터언~~ • 아이고 아프다[6] • 자 끝내겠습니다[7] • 아이고 데페, 아이고 스턴, 아이고 디스 • 적에게 꿈과 용기를 심어주고 • 가호, 감사합니다 • 감사함다, 고맙슴다 극성팬 문제[편집] 태산군주의 방송은 20대 후반에서 50대 초반의 높은 연령층때문에 안정적인 방송분위기 한다. 하지만 몇몇 여성팬들 및 열혈팬들(남녀 구분 없음)의 방송깽판으로 난처한 상황이 벌어질때가 많다. 또한 인기가 높아질 수록 민폐를 끼치는 극성팬들이 많아지고 있는 상황. 7.0.1. 극성 여성팬들과의 문제점[편집] 2015년 4월, 방송시작때부터 태산군주는 여성팬들 문제로 항상 시끄러웠다. 문제는 태산군주의 우유부단한 처사다. 여성팬들이라면 사죽을 못쓰는 모습을 방송에서 자주보인다. 방송 초창기때에는 시청자수가 적고, 방송을 시청해주는 여성팬들이 고마워서 매니저를 달아주는 일이 허다하였다. 여성팬이 들어오면 여성분이면 만나러 간다, 여성분이면 사진을 보내라 등의 멘트를 치며 해당 여성팬들에게 관심이 많다는것을 일부러 보이는 부분들이 많았으며 태산군주 본인이 방송컨텐츠의 한 방향으로 잡고했던 이러한 멘트들은 나중에 자신에게 독이되어 돌아온적도 많다. 그중 자주 일어나는 몇가지를 아래 서술한다. • 술먹고 들어와서 자신을 달래달라는 식의 채팅창 깽판 • 치열한 전투중 갑자기 우울한 노래요청, 시청자가 1/3이 빠져나감 • 별풍선을 1개씩 쏘면서 채팅도우미 테러 • 리니지 게시판에 루머성 게시글을 연속 계시 • 관심 받기 위해 게임과는 전혀 관련없는 발언을 길게하여 채팅창을 도배함 극성팬 문제에 대해 태산군주는 "관심을 주지 않는다"라는 입장이다. 일각에서는 이런 태산군주의 태도를 '책임회피'로 보아 비판하기도 했다. 무책임하다는 비판을 들어도 자신의 방식으로 팬과 대화하겠다는 논란의 여지가 충분히 있는 발언도 문제. 현재는 자체 컨텐츠를 많이 늘려나가며 몇몇 극성팬들의 채팅 자체를 무시하여 이러한 행태가 조금 준 상태지만, 재발 가능성이 아직 남아있는 만큼, 앞으로도 극성여성팬들의 행태를 계속해서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겠다. 7.0.2. 극성 열혈팬들 문제점[편집] 아프리카 방송의 별풍선 즉, 별풍선 열혈팬 순위가 정해지는 시스템 자체의 등급지정으로 인한 순위가 감투로 작용되어 몇몇 열혈팬들이 채팅창에서 행패를 부린다. 자주 일어나는 몇가지를 아래 서술한다. • 아무런 이유 없이 매니저권한 요구 • 무분별한 욕설 • 루머 생성 • 관심병성 채팅 태산군주는 열혈팬들을 블랙리스트에 추가하지 않는다는점을 악용하여 몰지각한짓을 하는 몇몇 열혈팬들이 무슨 행동을 하던 제제하지 않았지만, 최근 태산군주의 방송관리자들 태산아주봉, 태산여우, 태산술찌의 적절한 조치 및 방패막이 활약으로 많이 좋아지고 있다. 사건 사고[편집] 2015년, 어벤져스 혈맹 구성 맴버로 참가. 2015년 말. 기란 감옥 전투 중 카오다이로 10커검 증발. 몇 주 뒤에 복구는 하였으나 금전적으로 손해를 많이 봄. 2016년 초. 역시 기란 감옥 전투 중, 카오다이로 사망. 이번 건은 카오가 된 뒤, 계속 전투 중에 컴퓨터가 튕겨서 사망하였다. 안습 결국 10커검 또다시 증발. 10데불검, 10포르세의 검도 이 시기에 각각 착용하였다. 10포르세의 검을 700만원에 구입하고 그 성능이 군주 캐릭터에 맞지 않음을 느끼고 300만원에 되판것은 유명한 일화 포르세눈탱이 2016년 중순, LFC 군주 부문에서 우승. 같이 참여한 원큐, 남양주형은 LFC 시작 전 자신들의 우승을 장담하면서, 태산군주라고 우승이 가능하겠냐며 비꼬았지만, 정작 본인들은 준우승에 그치고, 개인방송을 켜지도 않고 참여하였다. 태산군주는 자신의 BJ로서 생명을 걸고 예선부터 결승까지 생방송으로 송출. 이때 유명한 말은 "자, 끝내겠습니다" 이후 상대편 군주 KO. 유튜브 LFC 2016 "자, 끝내겠습니다"영상확인 2016년 말, 리니지방송 최초 16:9 게임 풀 영상 방송시작 이때 리니지M은 발표되기도 전이다. 2017년 초, 유튜브를 정식으로 시작한다. 이미 2016년부터 영상이 올라왔지만, 수익을 목표로 정식적으로 올린 것은 이때부터. 2017년 초, 태산군주가 창변신의 칼질 속도 버그 발견. 엔씨, 태산군주 유튜브에 관련 동영상 업로드 후 그다음 날 패치 영상확인 2017년 초, 방송 시작 후 처음으로 라인결성. 당시 서버는 카스파서버(현 발센서버), 혈맹군주는 태산아주봉. 2017년 중반, 군주 최초 90레벨 달성 2017년 중반, 아프리카 베스트비제이 획득. 유튜브 동시송출 종료 2018년 초반, 태산군주가 소문으로만 무성하던 그랑카인 시스템을 확인. 사회적으로도 파장이 컸으며 NC소프트의 세무조사 이유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하단 관련 기사 참조** 리니지 유저들은 격분했고 게시판에는 관련 글이 도배가 되었다. (현재 대부분 삭제됨) 태산군주 유튜브 관련영상 업로드 후 3일 뒤 서버 긴급 패치가 있었지만 아무런 말이나 공지 없이 버프 동상하나 새워주었고, 기사화가 되고 난 후, 정식 공지로 그랑카인관련 시스템이 존재함을 인정, 공식 사과하였다. 영상확인1 영상확인2 - 그랑카인 관련기사 NC소프트 세무조사 관련 기사 2018년 초반, 주 무기인 10커츠의 검을 3바람칼날의 단검으로 교체. 2018년 중반, 아프리카TV 프로게이머 태그 획득 2018년 후반, 아프리카TV 베스트 BJ 포기 및 유튜브 이원방송 시작 2019년 초, 변신지배반지 구입 완료 여담[편집] * 5라는 숫자를 좋아한다. ~~연속 5번 가능~~ * 게임을 할 때 키보드 소리 등 잡음에 되게 민감하다. * 커츠의 검에서 바람칼날의 단검으로 주 무기를 바꾸면서 그에 대한 설명을 방송에서 자주 언급하지만 정작 본인은 설명하는 것을 매우 귀찮아한다. * NCsoft에서 군주 최초 90레벨을 달성을 축하하는 동상을 세워주었다. * 2015년도 어벤져스(원큐, 남양주형 등등과 함께) 이후 어벤져스에서 함께한 BJ에게 많이 시달렸는지 어벤져스 해체 후 방송 내 타 리니지 BJ 발언을 극도로 싫어한다. * 태산군주 Youtube 영상편집자는 "태산아주봉", "일본유학생" 그리고 이름을 밝히지 않은 한 명이 더 있다. * 편집자 태산아주봉은 방송에서도 많은 언급이 있으며, 태산군주의 방송 세팅을 담당하였다. 유튜브 태산군주 채널에서 따로 방송할 정도로[[1]] 태산군주와 친분이 있으며, 팬중에서 유일하게 태산군주를 실제로 본 사람이다. 그리고 열혈팬. ~~별풍 노예~~ * 아프리카TV에서 베스트BJ 자격 획득 후, 정책상의 이유로 유튜브 동시송출을 포기하였다. 대신 최근에 유튜브에는 매일 1개씩 꼬박꼬박 영상을 올리고 있다. * 태산군주 자신의 손을 캠으로 보여준 적이 있다. ~~손캠~~ * 팬들이 팬닉을 바꾸는 것을 싫어한다. * 영어 울렁증이 심하다. 아이디가 영어면 무조건 “영어님”이라 칭한다. ↑ 진짜 키 및 몸무게는 공개된 적이 없다. ↑ 가끔 공포게임 및 똥게임을 한다. GTA의 광적인 팬이다. ↑ 게임 자체의 팅김도 포함하고 있지만 죽은 것은 엄연히 죽은 것으로 친다. ↑ 기술기가 하나도 없는 군주 캐릭터에게는 단비같은 업데이트 ↑ 타 유저들이 실제로 방송에서 싸우다 도망갈 때 많이 애용하는 멘트 ↑ 적에게 아픈척하고 뒤로 빠져 유인할때 쓰는 말 ↑ 2016 LFC 결승전때 마지막 2:0 상황에서 끝내겠다고 이야기하고 상대편 군주를 KO 시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태산군주&oldid=24397206" 분류: 인터넷 방송유튜버아프리카TV BJ리니지 BJ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8일 (토) 13: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태산진(중국어: 泰山震)은 인류 역사상 최초로 기록된 지진이다. 현재의 중국 산둥성의 태산에서 일어난 지진으로 기록되고 있다. 하나라의 16대 군주인 발의 재위 17년경에 일어난 지진으로 서기로 따질 경우 기원전 2205년에서 1600년 사이에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죽서기년에서 간략하게 "태산에 지진이 일어났다"고 기록되어 있다. 현대 연구에서는 본 지진이 기원전 1831년에서 1731년 사이에 일어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태산군주는 극성팬들의 문제에 대해서 어떤 입장을 보였을까? Assistant: 관심을 주지 않는다 Human: 아래 2010년_동계_올림픽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10년 동계 올림픽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0년 동계 올림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0년 벤쿠버 올림픽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0년 올림픽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하계 청소년 올림픽에 대해서는 2010년 하계 청소년 올림픽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2010년 동계 올림픽 대회 제21회 동계 올림픽 경기 대회개최국 캐나다개최 도시 밴쿠버모토 뜨거운 가슴으로영어: With glowing hearts프랑스어: Des plus brillants exploits참가국 82개국참가 선수 2,566명(남자: 1,533명, 여자: 1,033명)경기 종목 15개 종목, 86개 세부 종목개막식 2010년 2월 12일폐막식 2010년 2월 28일 개회 선언 미카엘 장 총독선수 선서 헤일리 위켄하이저심판 선서 미셸 베롤성화 점화 카트리오나 르메이 동, 스티브 내쉬, 낸시 그린, 웨인 그레츠키주경기장 BC 플레이스 스타디움겨울 <  토리노 2006 소치 2014  > 2010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 선정 경기장 마스코트 성화 봉송 메달 집계 (메달리스트) 개막식 (기수) 폐막식 패럴림픽 IOC · COC · VANOC 2010년 동계 올림픽(영어: 2010 Winter Olympics, XXI Olympic Winter Games, 프랑스어: Jeux olympiques d'hiver de 2010)은 2010년 2월 12일부터 2010년 2월 28일까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밴쿠버와 휘슬러에서 개최된 동계 올림픽이다. 동계 올림픽으로는 21번째로 열린 대회이다. 2010년 동계 올림픽과 2010년 동계 패럴림픽은 밴쿠버올림픽조직위원회(VANOC)에서 주관하였다. 2010년 동계 올림픽은 캐나다가 세 번째로 올림픽을 개최하는 대회이며, 브리티시컬럼비아에서는 첫 번째로 열렸다. 그 전에 캐나다에서는 1976년 하계 올림픽을 몬트리올에서, 1988년 동계 올림픽을 캘거리에서 열었다. 이 대회는 또한 NHL 리그가 선수들로 하여금 1998년 동계 올림픽을 출전할 수 있도록 한 이래로 NHL 리그가 있는 곳에서 열린 최초의 대회가 되었다. 관례상 밴쿠버의 시장인 샘 설리반이 2006년 동계 올림픽 폐막식 때 올림픽기를 받았다. 이 기는 2006년 2월 28일 특별한 행사를 통해서 올림픽 개최식 전까지 밴쿠버 시청에 전시됐다. 이 행사는 캐나다 총독인 미카엘 장에 의해 공식적으로 거행되었다. 목차 1 개최 도시 선정 1.1 캐나다의 후보 도시 선정 1.2 대한민국의 후보 도시 선정 1.3 최종 개최지 선정 2 준비 과정 2.1 공사 2.2 시설 2.3 마케팅 2.4 방송 3 성화 4 대회 진행 4.1 개막식 4.2 폐막식 4.3 참가국 4.4 정식 종목 4.5 일정 4.6 메달 집계 5 사건 및 사고 5.1 노다르 쿠마리타슈빌리의 죽음 6 논란 6.1 SBS 올림픽 독점 중계 6.2 CNN, 로이터통신의 오표기 7 같이 보기 8 각주 9 외부 링크 개최 도시 선정[편집] 역대 올림픽 개최지 투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캐나다의 후보 도시 선정[편집] 캐나다올림픽위원회(COA)는 밴쿠버, 퀘벡(2002년 동계 올림픽개최 실패후 재도전), 캘거리(1988년 동계 올림픽개최지) 중 밴쿠버를 후보지로 선정하였다.[1] 1차 선거는 1998년 11월 21일에 열렸으며 밴쿠버-휘슬러가 26표를 얻었으며 퀘벡은 25표, 캘거리는 21표를 얻었다. 1998년 12월 3일에는 최종선거를 실시했으며 세 도시 중 가장 많은 표를 얻은 상위 두 도시가 후보에 올랐다. 그 결과 밴쿠버는 40표, 퀘벡은 32표를 얻어서 밴쿠버가 후보지로 선정되었다. 2010년 동계 올림픽 캐나다 국내 후보지 선정 후보 도시 1차 2차 밴쿠버 26 40 퀘벡 25 32 캘거리 21 - 대한민국의 후보 도시 선정[편집] 대한올림픽위원회(KOC)는 무주와 평창의 개최 후보 도시 중 평창을 개최 후보 도시로 선정하였다.[2] 두 도시의 개최 후보 도시 경쟁은 2000년 10월부터 시작되었다.[3] 강원도가 평창을 후보지로 앞세워 2010년 동계 올림픽 유치를 선언하자, 전라북도에서도 1997년 동계 유니버시아드의 개최지인 무주를 후보지로 앞세워 유치를 선언하였다.[3] 지역적 대립 양상을 보이던 유지 후보 선정 과정이[3] 2001년 11월 16일에 대한올림픽위원회에서 두 후보지를 공동 개최지로 결정하여 대립이 마무리 되는 듯 하였으나,[2] 국제스키연맹이 무주에 대해 실사하여 부적격 판정을 하자[4] 두 지역간의 대립 끝에 결국 2002년 1월 9일 대한올림픽위원회 임시위원회에서 평창을 주 개최지로 선정하였다.[3] 그 후, 전라북도와 강원도, 그리고 대한올림픽위원회가 2014년 동계 올림픽 후보지 선정 과정까지 무주가 국제 시설기준을 충족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2010년 동계올림픽 유치 도시는 무주가 평창에 양보하고, 그 대신 2014년 단독 유치 신청은 우선권을 갖는다는 합의문을 작성하여, 이 내용을 바탕으로 2010년 5월 25일에 대한올림픽위원회 제7차 상임위원회에서 평창의 단독 유치안을 통과하면서 2010년 동계 올림픽의 대한민국의 후보 도시는 평창으로 선정되었고, 2014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무주의 단독 유치 우선권을 인정하였다.[3][4] 최종 개최지 선정[편집] 2002년 동계 올림픽 유치에서 이른바, 솔트레이크 뇌물 파동이 일어난 후에(그로 인해, 퀘벡은 개최 실패로 인한 보상금으로 800만 캐나다 달러를 요구함.)[5] 1999년에 올림픽 개최지 선정 방식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IOC는 2002년 10월 24일에 평가단을 만들었다. 2008년 하계 올림픽을 개최지 선정 이전에는 후보 도시가 평가단을 직접 맞이하고, 그 도시에 대한 관광을 하며, 선물 또한 제공하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태만함과 투명성의 부족은 종종 투표에 있어서 돈을 요구 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그 후, 올림픽 개최지 선정은 더욱 엄격히 실시하게 했으며, 후보지의 기술적인 측면을 더욱 면밀히 보게되었다. 평가단은 후보지에 대해서 조사하며 IOC에게 정보를 제공해야한다. 세 후보도시로부터 입후보파일을 2003년 1월에 받았으며 최종리포트가 제출된 2003년 3월 이전에 면밀히 관찰했다. 밴쿠버 주민들은 투표를 요청했으며 비록 밴쿠버 전 지역에 걸쳐서 기본 시설을 재설치해야 했지만, 64%가 지지했다. 투표는 벤쿠버에서만 열렸다. 밴쿠버는 2003년 7월 2일, 체코의 프라하에서 열린 제115차 IOC 총회에서 개최지로 선정되었다. 투표 결과는 IOC 위원장인 자크 로게가 발표했다.[6] 밴쿠버의 경쟁 도시는 평창과 잘츠부르크였다. 1차투표에서는 평창이 가장 많은 표를 받았으나, 과반수 이상의 표를 받지 못했으며, 가장 적은 표를 받은 잘츠부르크는 떨어졌다. 결선 투표에서 밴쿠버는 56표를 받으며 1차 투표(51표)보다 2표 더 많은 53표를 받은 평창을 제치고 개최지로 선정되었다.[7] 밴쿠버의 승리는 토론토가 베이징에 2008년 하계 올림픽 투표에서 완패를 당한 지 불과 2년 후이다. “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has the honor of the announcing that the 21st Olympic Winter Games in 2010 are awarded to the city of 'Vancouver'. (국제올림픽위원회는 2010년에 열리는 제 21회 동계 올림픽 개최지로 '밴쿠버'를 발표해서 영광입니다.) ”   — 자크 로게, 제115차 IOC총회 개최지 투표 결과 후보 도시 NOC 1차 투표 2차 투표 밴쿠버 캐나다 40 56 평창 대한민국 51 53 잘츠부르크 오스트리아 16 준비 과정[편집] 자원봉사자 신청은 2008년 2월 12일부터 시작됐으며 25,000명이 자원봉사자로 뽑혔다.[8] 티켓 발매는 2008년 10월 3일부터 시작되었다.[9] 2009년 2월 12일, 올림픽 개막 D-365 카운트다운 행사가 열렸다. 이 날 성화 점화 행사가 열렸고 성화 봉송자의 유니폼이 세간에 공개됐다. 자크 로게 IOC 위원장은 이 날 연설에서 "지구상의 모든 국가가 이번 올림픽에 참가해서 밴쿠버에 와줬으면 합니다."라고 했다.[10] 보안쪽 예산은 당초 예상했던 1억 7500만달러보다 높은 9억달러가 책정되었다.[11] 공사[편집] 밴쿠버시 광장에서 펄럭이는 올림픽기. 밴쿠버가 동계 올림픽 개최권을 따낸뒤 처음으로 부딪힌 일은 시설 건설을 위한 기금 조성이었다. VANOC는 우선 시설 건설을 위해 연방정부와 주정부로부터 50 대 50의 지원을 받아냈다. 뒤늦게 기업이나 시설로부터 기부와 스폰서를 따내기 시작했다. 몇몇 지원은 세계적인 시설을 갖출만큼 열정적이기도 했고 밴쿠버의 부동산붐이 시작되기 이전에 이미 1986년 엑스포 유치 도시의 자격으로 얻기도 했다. 이 확장은 주정부에 책임이 있지 VANOC에 책임이 있는것은 아니었다. 밴쿠버 시내에서 리치먼드와 밴쿠버 국제공항쪽으로 가는 캐나다 라인의 연장선 공사가 2009년 여름에 끝났고 동년 8월 17일에 정식으로 개통했다. 주정부는 Sea-to-Sky Highway고속도로가 개선된 지 10년이 지났고 인구 밀집 지대를 지나치지도 않지만 밴쿠버와 휘슬러 쪽의 통행개선을 위해 6억달러를 지원했다. 5억 8000만달러나 들었던 세 주요 시설의 공사도 이제 거의 끝나갔다. 컬링경기가 열릴 Hillcrest공원에는 4000만달러를 들어 완공되었다. VANOC는 프리스타일 경기(에어리얼, 모굴, 스키 크로스)와 스노우보드 경기가 열릴 사이프레스 산에 1660만달러를 책정했다. 휘슬러에 선수촌을 건설하였고, 마찬가지로 휘슬러에 미디어센터도 건설하였다.[12] 2004년부터 2010년 동계 올림픽에 들어갈 돈은 약 13억 5400만달러로 예상되었다. 2009년 중반부터는 17억 6000만달러가 들것으로 예상되었다.[13] 이 자금은 대체로 스폰서와 중계권료에서 얻었으며 일부는 비정부조직에서 받은 것이다. 5억 8000만달러는 성금, 혹은 납세자에게서 받은 것으로, 밴쿠버와 휘슬러에 위치한 시설들의 신축이나 재건축에 이용된다. 2억달러는 보안에 책정될 예정이며 캐나다 왕립 기마 경찰(RCMP)이 주도한다. 이 수치는 약 10억달러로 예상되는데 원래 예상했던것보다 5배나 높은 수치이다.[14] 시설[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0년 동계 올림픽 경기장 및 주요 시설입니다. 리치먼드 올림픽 오벌을 포함한 몇몇 시설은 해수면에 위치해있는데 동계 올림픽에서 극히 드문 예이다. 또한 2010년 경기는 동/하계 올림픽을 통틀어서 최초로 실내에서 개막식이 개최된다. 역대 동계 올림픽 개최지중 가장 유명한 도시인 밴쿠버는 그중 가장 따뜻한 도시이기도 하다. 올림픽이 열리는 2월의 평균기온이 4.8 °C (40.6 °F)이다.[15] 개막식과 폐막식은 BC 플레이스 경기장에서 열린다. 밴쿠버에서는 퍼시픽 콜리세움, 밴쿠버 올림픽/패럴림픽 센터, UBC 윈터 스포츠 센터, 리치먼드 올림픽 오벌, 사이프레스 산에서 경기가 개최된다. GM 플레이스에서는 아이스 하키가 열릴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스폰서에서 이 곳을 올림픽 경기장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이곳은 올림픽이 열리는 동안 캐나다 하키 플레이스로 명칭이 변경된다.[16] 휘슬러에서는 휘슬러 블랙콤, 휘슬러 올림픽 공원, 휘슬러 슬라이딩 센터에서 경기가 개최된다. 마케팅[편집] 휘슬러산에 위치한 일라낙(밴쿠버 올림픽의 로고) 2010년 동계 올림픽 마스코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10년 동계 올림픽 로고는 2005년 3월 23일 공개되었으며 명칭은 이눅슈크인 일라낙으로 결정되었다. 일라낙은 이누이트어로 '친구'를 의미한다. 로고는 이눅슈크(경계표나 이정표가 되는 바위)가 토대가 되었으며 1986년 엑스포의 북서지역전시관에 지어졌으며 끝난후에 밴쿠버시에 기부되었다. 이제는 잉글리시 베이 비치의 상징물이 되었다. 2010년 동계 올림픽과 패럴림픽의 마스코트는 2007년 11월 27일에 공개되었다.[17] 공개후에 많은 사람들이 마스코트에 대해서 불쾌해했는데 왜냐하면 이것들은 밴쿠버의 소수 주민을 나타냈기 때문이다.[18] 인디언들의 신화에서 유래되었는데 마스코트들은 다음과 같다. 미가 - 북극곰이며, 반은 범고래 반은 커모드 곰이다. 콰치 - 빅풋(bigfoot)이다. 수미 - 동물들의 수호정령으로 천둥새의 날개를 가지고, 아메리카흑곰의 다리를 가졌으며 범고래 모자를 썼다. 묵묵 - 밴쿠버 섬에서 사는 마멋이다. 미가와 콰치는 올림픽 공식 마스코트이고 수미는 패럴림픽 공식 마스코트이다. 또한 묵묵은 비공식 마스코트이다. 캐나다 왕립 조폐국은 2010년 올림픽을 기념하기 위해 2010년 동계 올림픽 기념주화를 발행한다.[19][20][21] 또한 CTV와 연합해서 시청자들에게 '캐나다 영광의 동계 올림픽 순간 Top10'을 투표하게 한다. 이 중 득표수가 많은 상위 3명은 기념주화에 들어갈 것이다.[22] 방송[편집] 2010년 동계 올림픽은 수많은 방송국이 전 세계로 중계하였으며, 2010년 동계 올림픽의 중계권을 가진 방송사는 2012년 하계 올림픽 중계권까지 가지게 되었다. 중계권을 가진 방송사는 IOC가 구성한 OBSV(Olympic Broadcasting Services Vancouver,올림픽방송서비스 벤쿠버)이다. IOC가 새로 만든 '올림픽방송서비스'의 보조적으로 되었다. 2010년 동계 올림픽은 방송시설이 올림픽방송서비스(OBS, Olympic Broadcasting Services)가 처음으로 제공하는 대회이기도 했다.[23] 2010년 동계 올림픽과 2012년 런던 올림픽 독점 중계료로 20억 달러 낸 미국 NBC는 중계 화면을 독자 제작하였다. SBS는 이번 올림픽에서 2월 20일 이후 열리는 쇼트트랙 경기와 김연아 선수의 피겨 스케이팅 경기에 소형 중계차 하나를 동원하였다. 경기 장면은 IOC가 제공하는 것을 쓰지만 객석의 응원단 모습, 경기를 마친 선수들 인터뷰 등을 전하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그러나 KBS와 MBC는 중계방송을 하지 않았고 뉴스 보도만 전하였다. [24] 밴쿠버올림픽방송서비스위원회장은 프로듀서였으며 CBS 스포츠의 임원이었던 낸시 리(Nancy Lee)였다.[25] 성화[편집] 밴쿠버 시내에 있는 시계가 올림픽 개막 카운트다운을 하고 있는 모습. 올림픽 성화는 수천년전에 고대 올림픽 경기가 열렸던 그리스, 올림피아에서 성화가 채화되어서 올림픽 경기가 열리는 도시로 봉송된다. 성화는 개막식에 딱 맞춰서 경기장 내에 도착한다.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의 경우에는 성화를 2009년 10월 22일에 채화했다.[26] 그리스에서 시작된 성화봉송은 캐나다 북쪽 지방의 북극을 지나서 서해안을 지난다음 밴쿠버에 도착하였다. 성화봉송은 브리티시컬럼비아의 주도인 빅토리아에서 긴 여정을 시작했다. 성화는 인종, 문화, 성별, 나이에 관계없이 수많은 캐나다인들에게서 도보, 개썰매, 스노우모빌, 말, 비행기, 이외에 캐나다인이라면 알만한 교통수단을 총동원해서 이동되었다.[27] 이 성화봉송은 역대 동계 올림픽 성화 봉송 거리중 가장 길었으며, 밴쿠버까지의 도착을 위해 캐나다의 방방곡곡을 여행하였다. 2008년 5월 16일, 1억 5000만달러가 넘는 경기장 중축안이 발표되었다. 이 중축안에는 좌석교체, 화장실, 양도물과 새 지붕의 신축자재인 합성수지인 테플론의 교체가 포함되었다. 이 주요 중축은 두 번에 걸쳐서 진행되었다. 처음에는 좌석, 화장실, 양도물, VIP룸의 교체가 2010년 올림픽이 열리기 전에 마무리 되었다. 새 지붕의 교체는 2011년 후에 하는 것으로 제의되어 있다. 대회 진행[편집] 개막식[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0년 동계 올림픽 개막식입니다. 개막식은 2010년 2월 12일에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에 있는 BC 플레이스에서 열렸다. 폐막식[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0년 동계 올림픽 폐막식입니다. 폐막식은 2010년 2월 28일에 개막식과 마찬가지로 BC 플레이스에서 열렸다. 참가국[편집] 2010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국가는 총 82개국이었다.[28] 이 대회에는 가나, 케이맨 제도, 콜롬비아, 몬테네그로, 파키스탄, 페루, 세르비아 7개국이 동계 올림픽에 처음으로 참가했다. 조지아 선수단은 개막식에서 연습 도중에 사망한 루지 선수인 노다르 쿠마리타슈빌리를 추모하기 위해 조지아의 국기에 검은 리본을 달고 입장했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08년 하계 올림픽에 이어 이 대회에서도 남과 북이 따로 입장했다. 참가국이 표시된 지도 참가국 목록 알바니아 (1) 알제리 (1) 안도라 (6) 아르헨티나 (7) 아르메니아 (4) 오스트레일리아 (40) 아제르바이잔 (2) 벨라루스 (51) 벨기에 (8) 버뮤다 (1)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5) 브라질 (5) 캐나다 (206) (개최국) 칠레 (3) 중국 (90) 콜롬비아 (1) 크로아티아 (19) 키프로스 (2) 체코 (92) 덴마크 (18) 에스토니아 (30) 에티오피아 (1) 핀란드 (95) 프랑스 (108) 조지아 (8) 독일 (153) 가나 (1) 영국 (52) 그리스 (7) 홍콩 (1) 헝가리 (16) 아이슬란드 (4) 인도 (3) 이란 (4) 아일랜드 (7) 이스라엘 (3) 이탈리아 (109) 자메이카 (1) 일본 (94) 카자흐스탄 (3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 대한민국 (46) 키르기스스탄 (2) 라트비아 (59) 레바논 (3) 리히텐슈타인 (7) 리투아니아 (8) 마케도니아 공화국 (3) 멕시코 (1) 몰도바 (7) 모나코 (3) 몽골 (2) 몬테네그로 (1) 모로코 (1) 네팔 (1) 네덜란드 (34) 뉴질랜드 (16) 노르웨이 (99) 파키스탄 (1) 페루 (3) 폴란드 (50) 포르투갈 (1) 루마니아 (29) 러시아 (177) 산마리노 (1) 세네갈 (1) 세르비아 (10) 슬로바키아 (73) 슬로베니아 (50) 남아프리카 공화국 (2) 스페인 (18) 스웨덴 (106) 스위스 (146) 중화 타이베이 (1) 타지키스탄 (1) 터키 (5) 우크라이나 (47) 미국 (215) 우즈베키스탄 (3) 정식 종목[편집] 86개의 세부 종목이 이번 올림픽의 정식 종목으로 확정되었다. 빙상종목: 봅슬레이, 루지, 스켈레톤, 아이스하키, 피겨스케이팅, 스피드 스케이팅, 쇼트트랙, 컬링 알파인 종목: 알파인 스키 스키 종목: 프리스타일 스키 스노우보드 종목: 스노우보드 노르딕 종목: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점프, 노르딕 복합 노르딕 복합 (3) 루지 (3) 바이애슬론 (10) 봅슬레이 (3) 쇼트트랙 (8) 스노보드 (6) 스켈레톤 (2) 스키점프 (3) 스피드 스케이팅 (12) 아이스하키 (2) 알파인 스키 (10) 컬링 (2) 크로스컨트리 스키 (12) 프리스타일 스키 (6) 피겨스케이팅 (4) 개막식과 폐막식, 빙상 경기 종목은 밴쿠버와 인근 리치먼드에서 열렸다. 노르딕 경기 종목은 휘슬러 서쪽의 캘러한벨리에서 열린다. 모든 알파인스키경기는 휘슬러산(크릭사이드)에서 열리며 썰매 경기 종목(봅슬레이, 루지, 스켈레톤)은 블랙콤산에서 경기가 열린다. 사이프레스 산(웨스트밴쿠버의 사이프레스 공원에 위치.)에서는 프리스타일 스키 경기(에어리얼, 모굴, 스키크로스)와 스노우보드 경기(하프파이프, 평행대회전, 스노우보드 크로스)가 열린다. 또한 이번 대회 아이스하키 경기는 국제규격-200 ft × 98.5 ft (61 m × 30 m)- 대신에 NHL규격-200 ft × 85 ft (61 m × 26 m)-의 경기장에서 진행된다. 아이스하키경기는 NHL리그 팀인 밴쿠버 캐넉스(Vancouver Canucks)의 홈구장인 제너럴 모터스 플레이스(General Motors Place)에서 열린다. 이로 인해 100만 캐나다 달러의 예산 절감 효과를 볼 수 있었으며, 35,000명 이상의 관객이 모여들것으로 예상된다.[29] 정식종목 편입을 희망했던 종목들도 다수 있었으나, 추가된 것은 몇 개 되지 않는다.[30] 2006년 11월 28일에 쿠웨이트에서 IOC상임이사회를 열고 스키크로스를 정식종목에 포함시키는것에 대한 투표를 했다.[31] VANOC는 그 후에 이 종목을 정식종목으로 인정했다.[32]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지 않은 종목은 아래와 같다.[33] 바이애슬론 혼합 계주 컬링 혼합 복식 팀 알파인스키 팀 봅슬레이 팀 스켈레톤 팀 루지 여자 스키점프 그 중에서도 여자 스키점프를 정식 종목으로 추가하는 것이 가장 논란이 되었다. 여자 스키점프에 대한 논란은 2009년 4월 21일 ~ 24일 사이에 밴쿠버에 위치한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대법원에서 열린 공판에서 불허 판결이 나오고 그 해 7월 10일, 2010년 동계 올림픽 이후로도 정식 종목으로 포함될 수 없다는 결정이 나온 후 더욱 커졌다. 이에 따라 여자 스키 점프의 올림픽 정식 종목 채택에 대해 찬성하는 사람들은 러시아의 소치에서 열리는 2014년 동계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추가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34] 이 판결에 대한 불만을 완화하기위해 VANOC에서는 캐나다 전국의 여성들을 휘슬러 올림픽 공원에서 열리는(2009년 1월에 열리는 대륙간 컵 포함)것에 초대했다.[34] 일정[편집] 다음의 2010년 동계 올림픽 일정표에서 파란색상자는 당일 치르는 예선경기를 나타낸다. 노란색상자는 그 스포츠의 순위결정전이 당일날 펼쳐진다는것을 나타낸다. 이 상자들 안에 찍혀있는 점은 결승전을 나타내며 점의 개수가 그 종목의 세부경기의 순위결정전의 개수를 나타낸다.[35]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을 기준으로 합니다.  •  개회식     예선경기  •  순위결정전     갈라쇼  •  폐회식 2월 12금 13토 14일 15월 16화 17수 18목 19금 20토 21일 22월 23화 24수 25목 26금 27토 28일 금메달 수 알파인 스키 • • • • • • • • • • 10 바이애슬론 • • •• •• •• • • 10 봅슬레이 • • • 3 크로스컨트리 •• •• • • •• • • • • 12 컬링 • • 2 피겨 스케이팅 • • • • 4 프리스타일 스키 • • • • • • 6 아이스하키 • • 2 루지 • • • 3 노르딕 복합 • • • 3 쇼트트랙 • • •• • ••• 8 스켈레톤 •• 2 스키 점프 • • • 3 스노보드 • • • • • • 6 스피드 스케이팅 • • • • • • • • • • •• 12 총 금메달 수 6 6 5 6 7 5 4 6 6 4 4 6 5 7 7 2 86 행사 • • 2월 12금 13토 14일 15월 16화 17수 18목 19금 20토 21일 22월 23화 24수 25목 26금 27토 28일 메달 집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0년 동계 올림픽 메달 집계입니다. 다음은 금-은-동 순으로 상위 10개국의 메달 집계를 표시한 것이다. 2010년 동계 올림픽 메달 집계 순위 국가         합계 1 캐나다 14 7 5 26 2 독일 10 13 7 30 3 미국 9 15 13 37 4 노르웨이 9 8 6 23 5 대한민국 6 6 2 14 6 스위스 6 0 3 9 7 중국 5 2 4 11 7 스웨덴 5 2 4 11 9 오스트리아 4 6 6 16 10 네덜란드 4 1 3 8 사건 및 사고[편집] 노다르 쿠마리타슈빌리의 죽음[편집] 개막식 당시 국기에 검은 리본을 매고 입장하고 있는 조지아 선수단 이 부분의 본문은 노다르 쿠마리타슈빌리입니다. 개막식이 시작하기 몇 시간전에 조지아의 루지 선수인 노다르 쿠마리타슈빌리가 훈련 도중 썰매에서 튕겨나가 철기둥에 부딪혀 사망했다.[36][37] 국제 루지 연맹은 사고 후에 긴급 회합을 열었으며 이 날 다른 선수들의 모든 훈련은 취소되었다.[38] 이 사고로 인해 밴쿠버 올림픽 개막식 때 조지아 국기를 향해 노다르 쿠마리타슈빌리 선수에 대한 묵념의식이 있었으며, 개회사 때도 그의 명복(冥福)을 빈다는 대목이 포함되었다.[39] 또 1972년 검은 9월단 테러 사건으로 이스라엘 선수단이 사망한 참사 사건이 일어난 뮌헨 올림픽 이후 38년 만에 올림픽기가 조기(弔旗)로 내려졌으며 캐나다의 국기도 함께 조기로 게양되었다.[40][41] 논란[편집] SBS 올림픽 독점 중계[편집] 한편 대한민국 내 방송사로는 유일하게 SBS에서 단독으로 밴쿠버 올림픽 개·폐회식 및 경기 등을 생중계하였다. SBS를 제외한 나머지 지상파 방송사들은 아예 밴쿠버 현지에 취재진 등을 파견하거나 올림픽에 관한 방송을 하지 않기로 방침을 정했으나, 시청자들의 항의로 SBS에서 제공한 2분분량의 영상으로 관련보도를 하는데 합의하였다.[42] SBS는 IOC와의 올림픽 중계 독점계약 절차에 따라 향후 2012년 영국 런던과 2016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개최되는 하계 올림픽과 2014년 러시아 소치에서 열리는 동계 올림픽에서도 올림픽 단독중계를 하게 될 예정이었다. 이에 KBS와 MBC 등 방송사들이 방송통신위원회에 공동 중계요청을 제안했으나 SBS측이 IOC와의 독점계약상에 위반된다는 이유로 이를 거부하여 결국 SBS 단독으로 올림픽 중계를 하게 되었다. 그러나 방송통신위원회의 징계로 SBS가 과징금을 물게 되어 2012년 영국 런던과 2016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개최되는 하계 올림픽과 2014년 러시아 소치에서 열리는 동계 올림픽 부터 독점중계를 깨고 지상파 3사가 공동 중계하게 되었다.[43] 한편 SBS는 올림픽 생중계 도중 스피드 스케이팅 중계 때 대한민국의 박도영 선수를 소개하는 자막에서 태극기와 대한민국(KOR)이 아닌 일본의 일장기와 일본(JPN) 국적으로 오표기를 하여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이에 SBS 게시판에는 항의의 글들이 쇄도했으며 SBS는 이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와 해명을 하였다.[44] 2월 24일 스피드 스케이팅 10000m 경기에서 스벤 크라머르 선수가 주로교차를 하지 않아 실격처리된 사실을 끝까지 확인하지 못한, 비전문적인 SBS의 해설과 제갈성렬 해설위원이 이승훈 선수의 금메달 소식을 전하면서 "우리 주님께서 허락하셨다."고 말해 누리꾼들과 불교계가 항의하는 등 논란이 일었다.[45] 제갈성렬은 해명을 하였으나 변명이라는 비난을 받았고, 결국 사과하며 올림픽 기간 중 해설진에서 하차하였다.[46] CNN, 로이터통신의 오표기[편집] 2010년 동계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선수단이 22일 당시 총 메달 9개로 5위를 였음에도 CNN이 올림픽 특집 홈페이지에 대한민국이 메달을 한 개도 따지 못한 것으로 오보를 내보냈다. CNN은 인터넷에 밴쿠버 특집 을 마련하고 세계 지도 그래픽에 해당 국가가 획득한 메달 수에 따라 색깔을 달리하여 표시했다.(붉은색 계통) 그런데 22일 오후 현재 모두 9개의 메달을 따낸 대한민국은 메달을 하나도 못 땄음을 뜻하는 회색으로 그려져 있었다.[47] 한편 영국 로이터 통신도 이날 현재 웹사이트에서 대한민국 봅슬레이 선수단의 연습사진을 공개하면서 사진 설명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로 보도한 후,[48] 이를 뒤늦게 시정하였다.[49] 이 사진기사가 미국 야후 사이트로도 퍼져나갔다.[50] 같이 보기[편집] 2010년 동계 패럴림픽 각주[편집] ↑ “加2개市 2010올림픽 후보로”. 경향신문. 1998년 12월 3일.  ↑ 가 나 이종성 기자 (2003년 7월 3일). “퀘벡, 밴쿠버 동계올림픽개최 비난 - 평창-무주간 갈등과 비교돼”. 프레시안.  ↑ 가 나 다 라 마 김중동 기자 (2004년 12월 23일). “KOC,동계올림픽 후보지 평창결정 안팎…2라운드 접전 끝 무주와 빅딜?”. 국민일보.  ↑ 가 나 김준동 기자 (2004년 12월 15일). “‘동계올림픽 유치’ 무주 대신 평창?”. 국민일보.  ↑ 김용윤 기자 (1999년 1월 9일). “국제스포츠계, 뇌물거래 천태만상”. 연합뉴스.  ↑ “Vancouver to host 2010 Winter Olympics”. CBBC Newsround. 2003년 7월 2일. 2009년 1월 7일에 확인함.  ↑ 천병혁 기자 (2003년 7월 3일). “평창, 2010년동계올림픽 유치 무산(종합)”. 연합뉴스.  ↑ “Search on for 25,000 volunteers for 2010 Olympics” (영어). CTV News. 2008년 2월 12일. 2008년 2월 12일에 확인함.  ↑ “2010 Olympic tickets go on sale next month” (영어). CTV News. 2008년 9월 10일.  ↑ “ROgge invites athletes to Vancouver for 2010 games” (영어). TSN. 2009년 2월 12일. 2009년 7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Security for 2010 Olympic games is $725 million higher than original estimate” (영어). The Canadian Press/구글 뉴스. 2009년 2월 19일.  ↑ “Construction of Olympic Venues” (영어). VANOC}. 2010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2010 bid book an Etch-A-Sketch” (영어). The Tyee. 2009년 7월 2일.  ↑ “Olympic security estimated to cost $900M” (영어). CBC News. 2009년 2월 19일. 2009년 2월 21일에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25일에 확인함.  ↑ 《Winter Olympics all wet?: Vancouver has the mildest climate of any Winter Games host city》 (영어). Vancouver Sun. 2003년 7월 9일.  ↑ “GM Place to get new name for 2010” (영어). CTV News.  ↑ “2010 Vancouver Olympics' mascots inspired by First Nations creatures” (영어). CBC Sports. 2007년 11월 27일.  ↑ “What do you think of Sumi, Quatchi, and Miga?” (영어). CBC News. 2007년 11월 27일. 2007년 11월 28일에 보존된 문서. 2009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2010 동계올림픽 기념주화 선봬”. 노컷뉴스.  ↑ “벤쿠버 올림픽 기념주화”. 한국일보. 2009년 11월 11일.  ↑ “14 circulating coins included in 2010 Olympic program”, Bret Evans, Canadian Coin News, January 23 to February 5, 2007 issue of Canadian Coin News ↑ “What's Your Olympic Moment?” (영어). The National Post. 2009년 2월 20일.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OBSV Introduction”. 2010년 1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월 10일에 확인함.  ↑ 모태범이 금메달 땄는데 왜 일본선수가 더 오래 TV에 나왔나 ↑ “Nancy Lee leaving CBC Sports” (영어). cbc.ca. 2006년 10월 10일.  ↑ “Olympic flame lit for Vancouver Games” (영어). Russia Today. 2009년 10월 22일. 2009년 10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Vancouver 2010 - Torch Relays” (영어). 2008년 6월 19일에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9일에 확인함.  ↑ “Quick Facts about the Vancouver 2010 Winter Games”. VANOC. 2008년 9월 12일에 보존된 문서. 2009년 8월 14일에 확인함.  ↑ “VANOC shrinks Olympic ice” (영어). Slam! Sports. 2006년 6월 8일.  ↑ “Ski-cross aims for Vancouver 2010” (영어). BBC Sport. 2006년 6월 12일.  ↑ “Ski-cross gets approved for 2010” (영어). BBC Sport. 2006년 11월 28일.  ↑ “Vancouver 2010: In good shape with positive progress on media accommodation” (영어).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07년 3월 9일.  ↑ “Olympic programme updates” (영어).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06년 11월 28일.  ↑ 가 나 “Vancouver 2010 Statement of BC Supreme Court Decision on Women's Ski Jumping at the 2010 Olympic Winter Games” (영어). VANOC. 2009년 7월 10일. 2009년 11월 17일에 보존된 문서. 2009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Vancouver 2010 Olympic Competition Schedule” (PDF) (영어). 밴쿠버올림픽위원회. 2008년 9월 10일에 보존된 문서 (PDF). 2008년 8월 9일에 확인함.  ↑ 그루지야 루지 선수, 동계올림픽 현지 훈련중 전복사고 사망 ↑ BBC Sport - Vancouver 2010 - Olympic luger Nodar Kumaritashvili dies after crash ↑ “Olympic luger Nodar Kumaritashvili dies after crash”. BBC Sport. 2010년 2월 12일.  ↑ 김현태 기자 (2010년 2월 13일). “묵념하는 개막식 참석자들”. 연합뉴스.  ↑ 천병혁 기자 (2010년 2월 28일). “부실 준비 캐나다, 절반의 성공”. 연합뉴스.  ↑ 이영호 기자 (2010년 2월 13일). “조명쇼-연출력 돋보인 '볼거리 개막식'”. 연합뉴스.  ↑ KBS·MBC, SBS 제공 올림픽 영상 사용하기로 , YTN ↑ SBS, 동계올림픽 단독중계, 경향신문 ↑ "태극기 대신 일장기라니…" SBS 동계올림픽 방송사고, 부산일보 ↑ 제갈성렬 '주님해설'에 불교계 반발, 조선일보 ↑ “제갈성렬 부적절한 발언에 사과, SBS 중계 하차”. 매일경제. 2010년 2월 25일. 2010년 2월 26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조광형 기자 (2010년 2월 23일). “CNN "한국 노메달 국가" 황당 표기 물의”. 뉴데일리.  ↑ 로이터 통신의 보도 내용[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노창현 기자 (2010년 2월 23일). “로이터, 한국선수 北선수로 둔갑…CNN도 한국오류 뒤늦게 시정”. 뉴시스.  ↑ http://news.donga.com/Vancouver/3/050108/20100222/26360721/1&top=1 관련 기사. 동아일보.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2010년 동계 올림픽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영어/프랑스어) 2010년 동계올림픽 공식 홈페이지 (영어) 올림픽방송서비스 벤쿠버 공식 홈페이지 동계 올림픽 이전 대회 2010년 동계 올림픽밴쿠버 2010 다음 대회 토리노 2006 소치 2014 vdeh올림픽 경기 종목 경기장 메달 메달 집계 메달리스트 의식 상징 개최지 선정 IOC IOC 총회 NOC 하계 올림픽 1896 1900 1904 (1906) 1908 1912 1916 1920 1924 1928 1932 1936 1940 1944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2024 2028 2032 동계 올림픽 1924 1928 1932 1936 1940 1944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2 2026 2030 취소선 : 취소된 올림픽, () : 중간 올림픽 vdeh2010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노르딕복합 루지 바이애슬론 봅슬레이 쇼트트랙 스노보드 스켈레톤 스키 점프 스피드스케이팅 아이스 하키 알파인스키 컬링 크로스컨트리 프리스타일 스키 피겨 스케이팅 vdeh2010년 동계 올림픽 선수단 아메리카 멕시코 미국 버뮤다 브라질 아르헨티나 자메이카 칠레 캐나다 케이맨 제도 콜롬비아 페루 아시아 네팔 대한민국 레바논 몽골 우즈베키스탄 이란 인도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중화 타이베이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파키스탄 홍콩 아프리카 가나 남아프리카 공화국 모로코 세네갈 알제리 에티오피아 오세아니아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유럽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라트비아 러시아 루마니아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마케도니아 공화국 모나코 몬테네그로 몰도바 벨기에 벨라루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불가리아 산마리노 세르비아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아르메니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안도라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영국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 이스라엘 이탈리아 조지아 체코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터키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vdeh2010년 동계 올림픽 경기장 및 주요 장소밴쿠버 및 메트로 밴쿠버 지역에 위치한 경기장 캐나다 하키 플레이스 사이프러스 볼 스키 구역 UBC 윈터 스포츠 센터 리치먼드 올림픽 오벌 밴쿠버 올림픽/패럴림픽 센터 퍼시픽 콜리시엄 밴쿠버 외곽에 위치한 경기장 휘슬러 크릭사이드 휘슬러 올림픽 공원 휘슬러 슬라이딩 센터 경기장 외 시설 및 장소 BC 플레이스 밴쿠버 컨벤션 센터 올림픽 선수촌 휘슬러 미디어 센터 휘슬러 올림픽/패럴림픽 선수촌 휘슬러 올림픽 기념 쇼핑센터 vdeh 캐나다에서 개최된 국제 스포츠 경기 대회국가급종합경기대회올림픽 1976년 하계 올림픽 1988년 동계 올림픽 2010년 동계 올림픽 패럴림픽 1976년 하계 패럴림픽 2010년 동계 패럴림픽 유니버시아드 198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팬아메리칸 게임 1967년 팬아메리칸 게임 1999년 팬아메리칸 게임 2015년 팬아메리칸 게임 코먼웰스 게임 1930년 브리티시 엠파이어 게임 1954년 브리티시 엠파이어 앤 코먼웰스 게임 1978년 코먼웰스 게임 1994년 코먼웰스 게임 개별경기대회동계스포츠 1990년 세계 여자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1997년 세계 여자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2000년 세계 여자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2002년 세계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2004년 세계 여자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2007년 세계 여자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챔피언십 2008년 세계 남자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챔피언십 2009년 4대륙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2009년 세계 종목별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2013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2013년 세계 여자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챔피언십 2014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2014년 세계 여자 컬링 선수권 대회 캐나다컵 2016년 세계 야자 컬링 선수권 대회 2016년 세계 여자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챔피언십 2016년 아이스하키 월드컵 2017년 U20 세계 남자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챔피언십 2018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2020년 세계 여자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챔피언십 럭비 2006년 여자 럭비 월드컵 육상 1988년 세계 주니어 육상 선수권 대회 1993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200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2003년 세계 청소년 육상 선수권 대회 2010년 세계 주니어 육상 선수권 대회 수영 2005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2016년 세계 쇼트 코스 수영 선수권 대회 야구 2004년 여자 야구 월드컵 2012년 여자 야구 월드컵 2017년 18세 이하 청소년 야구 월드컵 축구 1974년 CONCACAF U-20 축구 선수권 대회 1987년 FIFA U-16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1992년 CONCACAF U-20 축구 선수권 대회 1994년 CONCACAF 여자 골드컵 1998년 CONCACAF 여자 골드컵 2001년 CONCACAF U-20 축구 선수권 대회 2002년 CONCACAF 여자 골드컵 2002년 FIFA U-19 세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04년 CONCACAF U-20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07년 FIFA U-20 월드컵 2014년 FIFA U-20 여자 월드컵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2015년 CONCACAF 골드컵 2026년 FIFA 월드컵 필드하키 1985년 주니어 하키 월드컵 1989년 여자 주니어 하키 월드컵 체조 2017년 세계 기계 체조 선수권 대회 핸드볼 2006년 세계 여자 청소년 핸드볼 선수권 대회 프로급테니스 캐나다 마스터스 그리스 | 노르웨이 | 러시아 | 독일 | 스위스 | 영국 | 이탈리아 | 프랑스 | 폴란드 | 스페인 | 터키 | 크로아티아 대한민국 | 아랍에미리트 | 인도 | 일본 | 중화인민공화국 | 카자흐스탄 | 카타르 | 태국 |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 캐나다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칠레 | 콜롬비아 | 멕시코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68703351 LCCN: n2006017550 GND: 6529747-7 NKC: kn20090923007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0년_동계_올림픽&oldid=24249548" 분류: 2010년 동계 올림픽캐나다에서 개최된 스포츠 대회2010년 2월2010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좋은 글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АҧсшәаAfrikaansAragoné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eilgeGalegoAvañe'ẽ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nterlingue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alaallisut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ietuviųLatviešuМокшеньMalagasyОлык марий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MaltiЭрзяньNāhuatl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Ирон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аха тыла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ТоҷикӣไทยTürkmençe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дмурт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吴语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0일 (월) 13:4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10년 동계 올림픽(영어: 2010 Winter Olympics, XXI Olympic Winter Games, 프랑스어: Jeux olympiques d'hiver de 2010)은 2010년 2월 12일부터 2010년 2월 28일까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밴쿠버와 휘슬러에서 개최된 동계 올림픽이다. 동계 올림픽으로는 21번째로 열린 대회이다. 2010년 동계 올림픽과 2010년 동계 패럴림픽은 밴쿠버올림픽조직위원회(VANOC)에서 주관하였다. 2010년 동계 올림픽은 캐나다가 세 번째로 올림픽을 개최하는 대회이며, 브리티시컬럼비아에서는 첫 번째로 열렸다. 그 전에 캐나다에서는 1976년 하계 올림픽을 몬트리올에서, 1988년 동계 올림픽을 캘거리에서 열었다. 이 대회는 또한 NHL 리그가 선수들로 하여금 1998년 동계 올림픽을 출전할 수 있도록 한 이래로 NHL 리그가 있는 곳에서 열린 최초의 대회가 되었다. 관례상 밴쿠버의 시장인 샘 설리반이 2006년 동계 올림픽 폐막식 때 올림픽기를 받았다. 이 기는 2006년 2월 28일 특별한 행사를 통해서 올림픽 개최식 전까지 밴쿠버 시청에 전시됐다. 이 행사는 캐나다 총독인 미카엘 장에 의해 공식적으로 거행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0년 동계 올림픽의 성화가 채화된 것은 언제인가? Assistant: 2009년 10월 22일
Human: 아래 스쿨럼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스쿨럼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쿨럼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스쿨럼블School Rumbleスクールランブル 장르 학원, 코미디, 로맨스 만화: 스쿨럼블 작가 고바야시 진 작화 고바야시 진 출판사 고단샤 학산문화사 연재 잡지 주간 소년 매거진 레이블 KC 코믹스 학산코믹스 연재 기간 2002년 10월 22일 ~ 2008년 7월 23일 권수 22권 만화: 스쿨럼블 Z 고바야시 진 작가 고바야시 진 출판사 고단샤 연재 잡지 주간 소년 매거진 연재 기간 2008년 8월 20일 ~ 연재중 권수 6 챕터 TV 애니메이션 감독 다카마쓰 신지 제작 스튜디오 컴메트 방송사 TV 도쿄 챔프 TV, 애니원, 애니박스 방영 기간 2004년 10월 10일 ~ 2005년 4월 5일 화수 26화 OVA: 1학기 복습 감독 다카마쓰 신지 제작사 스튜디오 컴메트 방송사 TV 도쿄 애니원TV, 챔프TV, 애니박스 발표 기간 2005년 12월 22일 2006년 ~ 화수 2화 TV 애니메이션: 2학기 감독 가나사키 다카오미 제작 스튜디오 컴메트 방송사 TV 도쿄 챔프 TV, 애니원, 애니박스 방영 기간 2006년 4월 2일 ~ 9월 24일 화수 26화 OVA: 3학기 감독 다카마쓰 신지 제작사 스튜디오 컴메트 발표 기간 2008년 7월 17일 (1화) ~ 9월 17일 (2화) 화수 2화 틀 - 토론 《스쿨럼블》(スクールランブル 스쿠루란부루[*])은 고바야시 진이 그리고 《주간 소년 매거진》에 연재되고 있는 만화이다. 2004년에 애니메이션화 되어 TV 도쿄에서 방송되었고 2005년에는 두 편의 에피소드를 담은 《스쿨럼블 OVA 1학기 보충수업》이 만들어졌다. 후속작인 《스쿨럼블 2학기》는 2006년 4월 2일에 방영이 시작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만화는 학산문화사에서 출판하고 있으며, 애니메이션(1학기)은 2005년에 챔프TV에서, OVA는 2006년에 애니원TV에서 방송되었다. 약칭은 스크럼(スクラン) 2008년 7월 완결되었고, 같은 해 8월 20일부터 주간 소년 매거진에 《스쿨럼블 Z》란 제목으로 후속편이 연재중이다. 목차 1 줄거리와 구성 1.1 완결 2 캐릭터들 2.1 2학년 C반 2.2 1학년 D반 2.3 2학년 D반 2.4 교직원 2.5 기타 캐릭터들 2.6 동물 3 관련 4 성우진 5 주제가 5.1 오프닝 테마 5.2 엔딩 테마 6 라디오 7 외부 링크 줄거리와 구성[편집] 스쿨럼블은 고등학교 2학년생인 츠카모토 텐마를 중심으로 주변 사람들의 일상사와 그들의 성공하지 못한 연애를 다룬다. 초반의 스토리는 츠카모토 텐마와, 텐마가 좋아하는 카라스마 오오지, 그리고 몰래 텐마를 좋아하는 하리마 켄지의 삼각 관계를 중심으로 다뤘으나, 만화 6권과 7권부터 스토리가 하리마 켄지, 사와치카 에리, 그리고 텐마의 동생인 츠카모토 야쿠모의 삼각 관계를 중심으로 다루기 시작했다. 이는 계속된 인기 투표에서 이 세 캐릭터가 작품 전체에서 가장 표를 많이 받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만화에서 주요 줄거리는 번호표(#) 대신 올림표가 붙은 장(♯1, ♯2, …)에서 다루고, 《주간 소년 매거진》에서 연재된 것도 이들이다. 하지만 줄거리 상 중요한 내용을 다루는 내림표가 붙은 장(♭1, ♭2, …)이 있으며, 제자리표가 붙은 장(♮1이 유일하며 7권에 포함됨)도 있다. 내림표가 붙은 장들은 원래 줄거리에서 주요 캐릭터가 아닌 다른 캐릭터에 초점을 맞추거나 다른 시각에서 본 내용을 담고 있고, 현재 제자리표가 붙은 유일한 장은 원래 줄거리와 관계가 없는 새로운 내용이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올림표가 붙은 장들을 중심으로 내림표/제자리표가 붙은 장들을 일부 덧붙였으며, OVA에서는 내림표가 붙은 나머지 장들과 전혀 새로운 내용을 합쳤다. 완결[편집] 스쿨럼블은 2008년 7월 283화를 끝으로 완결되었다. 하지만 그 동안 전개된 등장인물간의 복잡한 상관관계와 해결되지 않은 내용들을 얼버무린 채 급하게 결말지어버렸다는 비판이 많다. 작가 고바야시 진은 다음 내용을 2008년 8월 20일부터 《스쿨럼블 Z》이라는 제목으로 개제하고 있다. 캐릭터들[편집] 2학년 C반[편집] 2학년 C반은 대부분의 캐릭터들이 속하는 반이다. 츠카모토 텐마 (塚本 天満): 여자 주인공(한국성우 문선희) 하리마 켄지 (播磨 拳児): 남자 주인공(한국성우 성완경) 카라스마 오오지 (烏丸 大路)(한국성우 변현우) 사와치카 에리 (沢近 愛理)(한국성우 배정민) 스오우 미코토 (周防 美琴)(한국성우 이선 (1기), 이명선(현 이계윤) (2기)) 타카노 아키라 (高野 晶)(한국성우 오길경) 하나이 하루키 (花井 春樹)(한국성우 전광주) 이마도리 쿄스케 (今鳥 恭介)(한국성우 엄상현) 나라 켄타로 (奈良 健太郎)(한국성우 이원찬) 이치죠 카렌 (一条 かれん)(한국성우 박선영) 니시모토 간지 (西本 願司)(한국성우 최석필) 유키 츠무기 (結城 つむぎ)(한국성우 문남숙) 오오츠카 마이 (大塚 舞)(한국성우 문남숙) 1학년 D반[편집] 츠카모토 야쿠모 (塚本 八雲): 텐마의 동생(한국성우 박소라) 사라 아디에머스 (Sarah Adiemus, サラ・アディエマス)(한국성우 한수림) 2학년 D반[편집] 2학년 C반과 앙숙이다. 해리 멕켄지 (Harry Mackenzie, ハリー・マッケンジー)(한국성우 전태열) 토고 마사카즈 (東郷 雅一)(한국성우 최석필) 라라 곤잘레스 (Lala Gonzalez, ララ・ゴンザレス)(한국성우 전숙경) 텐노지 노보루 (天王寺 昇)(한국성우 최석필) 교직원[편집] 오사카베 이토코 (刑部 絃子): 켄지의 사촌 누나. 물리선생.(한국성우 전숙경) 아네가사키 타에 (姉ヶ崎 妙): 現 야가미고교 양호선생이나, 이전에는 켄지의 동거인으로 출연했음.(한국성우 문남숙) 사사쿠라 요코 (笹倉 葉子): 야가미고교의 미술 선생. 이토코와 친하다. 기타 캐릭터들[편집] 하리마 슈지 (播磨 修治): 켄지의 동생(한국성우 한수림) 나카무라 (中村): 사와치카 가의 집사(한국성우 최석필) 동물[편집] 이오리 (伊織): 야쿠모가 기르는 고양이(한국성우 한수림) 표토르: 하리마가 길렀던 기린(한국성우 하미경) 나폴레옹 : 하리마가 기르는 돼지 알렉산더 : 하리마가 기르는 개구리 관련[편집] 대부분의 캐릭터 이름은 일본의 철도 역 이름이나 거리 이름에서 따왔다. 예를 들어 텐마(天満)는 오사카-오사카 순환선에 위치한 역 이름이고, 하리마(播磨)는 효고현의 하리마 구니에서 왔다. 하리마의 얼굴은 원작자 고바야시 진과 많이 닮았다(실제로도 하리마 캐릭터의 30% 정도는 원작자 자신의 모습을 집어넣었다고 한다). 또한 1기 25편에서는 고바야시 진이 카메오로 출연하기도 했으며 OVA 2편에서는 나레이션으로 출연했다. 그리고 2기 21, 23편에도 출연했다. 원작의 제목은 영화 제목으로 되어 있고 영어지만 애니메이션에는 일본어로 되어 있다. 1기 25편의 제목은 발음이 불가능한 세 개의 그림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통 이 편은 "배, 열차, 기타"라고 불린다. 1기 26편의 제목은 일본어로 187글자이며, 일본 애니메이션에서 가장 긴 소제목으로 추정된다. 갑작스러운 〈이별〉… 잘못 들어온 미궁… 당신은 누구? …가르쳐줘. 〈엇갈림〉 〈짝사랑〉 전해줘, 내 마음을. 전해줘, 내 기분을. 다시는 오지 않는 계절, 청춘의 한페이지. 이게 마지막 찬스, 확인하고 싶어… 너의 마음을. 전해지는 말, 전해지지 않는 마음. 그 날의 고백, 영원한 하루, 하지만… 언제나 계속되는, 우리의 〈지금〉 그리고 내일로… 〈스쿨럼블 포에버〉 突然の〈さよなら〉…迷い込んだラビリンス…あなたはだれ?…教えて。〈すれちがい〉〈片想い〉とどけ、ボクの気持ち。とどけ、ワタシの想い。たぶん一度しかない季節、青春の1ページ。これが最後のチャンス、確かめたい…キミの気持ち。伝わる言葉、伝わらない想い。あの日の告白、永遠の一日、だけど…いつまでも続いていく、わたしたちの〈いま〉。そして明日へ…〈スクールランブルフォーエバー〉 성우진[편집] 우리말(한국어판) 성우진(챔프TV) 문선희 - 츠카모토 텐마 성완경 - 하리마 켄지 役 박소라 - 츠카모토 야쿠모 役 변현우 - 카라스마 오오지 이선 (1기), 이명선(현 이계윤) (2기) - 스오우 미코토 役 오길경 - 타카노 아키라 / 키도 마도카 배정민 - 사와치카 에리 / 도지비론 레드 / 조르노 박선영 - 사사쿠라 요코 / 이치죠 카렌 사성웅 - 타니 하야토(2-C 담임) / 아소 히로요시 / 우메즈 시게오 / 이토 마타요시 최석필 - 텐노지 노보루 / 토고 마사카즈 / 고리야마 선생 엄상현 - 요시다야마 지로 / 이마도리 쿄스케 / 미츠키 마사아키 전태열 - 휴유키 타케이치 / 해리 매켄지 / 코즈 마사히로 전광주 - 하나이 하루키 이원찬 - 나라 켄타로 전숙경 - 오사카베 이토코 / 라라 곤잘레스 / 미하라 코즈에 한수림 - 사라 아디에머스 / 하리마 슈지 / 이치조 코스케 문남숙 - 아네가사키 타에 이장우 - 고토 겐카이 북미판 성우진(퍼니메이션) 루시 크리스천 - 텐마 브랜던 포터 - 하리마 에릭 베일 - 카라스마 리아 클라크 - 에리 브리나 펄렌시아 - 미코토 트리나 니시무라 - 아키라 케이틀린 글래스 - 야쿠모, 사가노 크리스 케이슨 - 하나이 데이비드 트로스코 - 이마도리 캐리 새비지 - 이치조 제이슨 리브렉트 - 해리 매켄지, 하리마 슈지 모니카 리얼 - 라라 트래비스 윌링햄 - 마사카즈 그웬덜린 라우 - 세라 오리언 피츠 - 후유키 토드 해버콘 - 나라 J. 마이클 테이텀 - 아소 셰러미 리 - 타와라야 하이메 리베라 - 니시모토 마이크 맥팔랜드 - 요시다야마 로버트 매컬럼 - 스가 로라 베일리 - 유키 케이트 옥슬리 - 오츠카 키라 빈센트데이비스 - 미하라 소니 스트레이트 - 텐노지 스테퍼니 영 - 오사카베 리디아 매케이 - 사사쿠라 콜린 클링컨비어드 - 아네가사키 켄트 윌리엄스 - 타니, 나카무라 짐 포론다 - 코리야마 주제가[편집] 오프닝 테마[편집] [원어판] 《스크램블》 (スクランブル) 작사·작곡 : 스즈키 다카유키 / 편곡 : UNSCANDAL / 노래 : 호리에 유이 with UNSCANDAL [우리말 더빙판] 《School Rumble》 노래 : 이정은, 방용석[예명:알렉스] 엔딩 테마[편집] [원어판] 《은하연선’05》 (♭1) (銀河沿線’05) 가사 : 해리 매켄지 / 작사·작곡 : 오오모리 도시유키 / 노래 : 다카하시 히로키 《여자애♡남자애》 (♭2) (オンナのコ♡オトコのコ) 작사·작곡·편곡 : 고니시 야스하루 / 노래 : 오구라 유코 [우리말 더빙판] 《은하철도 05》 (♭1) 노래 : 성완경(하리마 켄지 役) 《남자애♡여자애》 (♭2) 노래 : 김령희 라디오[편집] 스크란 차모임(スクラン☆お茶会!) (2005년 10월 - 2006년 3월) - 시미즈 카오리 진행. 라디오 오사카, 분카방송에서 방송. 스크란 2학기 위크엔드(スクラン二学期 ウィークエンド) (2006년 4월 - 2007년 2월) - 시미즈 카오리, 후쿠이 유카리 진행. 인터넷 라디오. School RumbleSleep Helps a Girl Grow평론 점수평론사점수패미츠6.8 / 8.0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스쿨럼블 공식 홈페이지 (일본어) 소년 매거진의 소개 페이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스쿨럼블&oldid=22795505" 분류: 스쿨럼블일본의 만화오리지널 비디오 애니메이션TV 도쿄 계열 애니메이션TV 도쿄 계열 심야 애니메이션라이트 노벨익스트림 노벨학원 만화2004년 애니메이션2005년 애니메이션2006년 애니메이션코미디 만화고등학교를 배경으로 한 애니메이션가나가와현을 배경으로 한 작품2005년 비디오 게임2006년 비디오 게임대원방송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오래된 그림 구조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단일 플랫폼 모드로 비디오 게임 평점 틀을 사용하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Brezhoneg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15일 (월) 15: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스쿨럼블》(スクールランブル 스쿠루란부루[*])은 고바야시 진이 그리고 《주간 소년 매거진》에 연재되고 있는 만화이다. 2004년에 애니메이션화되어 TV 도쿄에서 방송되었고 2005년에는 두 편의 에피소드를 담은 《스쿨럼블 OVA 1학기 보충수업》이 만들어졌다. 후속작인 《스쿨럼블 2학기》는 2006년 4월 2일에 방영이 시작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만화는 학산문화사에서 출판하고 있으며, 애니메이션(1학기)은 2005년에 챔프TV에서, OVA는 2006년에 애니원TV에서 방송되었다. 약칭은 스크럼(スクラン) 2008년 7월 완결되었고, 같은 해 8월 20일부터 주간 소년 매거진에 《스쿨럼블 Z》란 제목으로 후속편이 연재중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만화 스쿨럼블의 주요 줄거리는? Assistant: 스쿨럼블은 고등학교 2학년생인 츠카모토 텐마를 중심으로 주변 사람들의 일상사와 그들의 성공하지 못한 연애를 다룬다. 초반의 스토리는 츠카모토 텐마와, 텐마가 좋아하는 카라스마 오오지, 그리고 몰래 텐마를 좋아하는 하리마 켄지의 삼각 관계를 중심으로 다뤘으나, 만화 6권과 7권부터 스토리가 하리마 켄지, 사와치카 에리, 그리고 텐마의 동생인 츠카모토 야쿠모의 삼각 관계를 중심으로 다루기 시작했다. 이는 계속된 인기 투표에서 이 세 캐릭터가 작품 전체에서 가장 표를 많이 받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Human: 아래 트리니티_블러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트리니티 블러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트리니티 블러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트리니티 블러드일본어: トリニティ・ブラッド 장르 액션, 호러, 판타지 소설 저자 요시다 스나오 출판사 가도카와 서점 대원씨아이 레이블 가도카와 스니커 문고 권수 12권 10권 만화 작가 요시다 스나오 출판사 가도카와 서점 대원씨아이 연재 잡지 월간 아스카 권수 15권 14권 TV 애니메이션: 트리니티 블러드 원작 요시다 스나오 기획 사카와 노부히코, 이시카와 신이치로, 야스다 타케시 감독 히라타 토모히로 시리즈 구성 토미오카 아츠히로, 히라타 토모히로 프로듀서 나가이 오사무, 야스다 타케시, 타케치 츠네오 각본 토미오카 아츠히로 캐릭터 디자인 나카지마 아츠코, 토레스 시바모토 메카닉 디자인 스즈키 신고 음향 감독 아케타가와 진 음악 에구치 타카히토 미술 토쿠다 토시유키 애니메이션 제작 곤조 방송사 WOWOW 투니버스 방영 기간 2005년 4월 28일 ~ 2005년 10월 27일 화수 24화 틀 - 토론 《트리니티 블러드》(トリニティ·ブラッド)는 일본의 라이트 노벨. 작가는 故 요시다 스나오. 일러스트는 토레스 시바모토. 약어는‘트리브라(トリブラ)’. 목차 1 개요 2 스토리(Story) 3 등장인물 3.1 Ax (Arcanum Cella ex Dono Dei : 교황청 국무성성 특무분실) 3.2 교황청 교리성성 이단심문국 3.3 진 인류 제국 (眞 人類 帝國 / 츠아라 메투셀토) 3.4 로젠크로이츠 올덴(Rozen Creuz Orden : 장미십자 기사단) 3.5 알비온 왕국 3.6 그 외 4 세계관 4.1 교황청(바티칸) 4.1.1 교황청령 4.1.2 국무성성 4.1.3 교리성성 4.1.4 홍보성성 4.1.5 성보인정국 4.1.6 교회군 4.2 로젠크로이츠 올덴(장미십자 기사단) 4.3 진 인류 제국(眞 人類 帝國 / 츠아라 메투셀토) 4.4 세속제후국·독립도시국 4.4.1 알비온 왕국 4.4.2 게르마닉스 왕국 4.4.3 히스파니아 왕국 4.4.4 프랑크 왕국 4.4.5 보헤미아 공국 4.4.6 자유도시 이슈트반 4.4.7 자유도시 카르타고 4.4.8 4도시 동맹 5 용어 6 작품 리스트 6.1 트리니티 블러드 R.A.M. 6.2 트리니티 블러드 R.O.M. 6.3 설정집 7 외부 링크 개요[편집] 유럽의 교황청을 비롯한 봉건 제후의 역사와 흡혈귀 전설을 모티브로 만든 소설. 애니메이션 작업이 시작된 무렵인 2004년 7월 작가 요시다 스나오가 폐경색으로 사망하여 미완의 소설로 남게 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NT노벨에서 10권까지 출간했으나, 작가 요시다 스나오의 사망으로 인한 해외판권 문제로 발행이 중지되었다. 현재 일본 원서와 국내 정식 번역판은 종이서적 형태론 모두 절판 되었고, E-Book 형태로 볼 수 있다. 스토리(Story)[편집] 전 세계가 말려들어 핵병기와 세균병기 등이 난무했던 대재앙인 <아마겟돈> 이후, 인류의 생존권은 유럽 주변에 한정된 데다가 문명이 거의 파괴되어 문화나 생활수준이 중세까지 후퇴하고 만다. 게다가 홀연히 나타난 이종지성체 흡혈귀(뱀파이어)가 출현하여 교황청을 중심으로 한 인류는 가까스로 승리하였다. 그러나, 그들이 완전히 멸망한 것은 아니었다. 흡혈귀들은 진인류 제국을 세워 인류와 소규모 전투를 계속하고 있었다. 그로부터 천년 뒤, 교황청과 제국의 경계인 이슈트반에 한 명의 순회 신부가 도착했을 때, 세상은 다시금 혼돈에 빠지기 시작했다. 인류의 아득히 먼 미래를 그린 근미래 묵시록. 등장인물[편집] Ax (Arcanum Cella ex Dono Dei : 교황청 국무성성 특무분실)[편집] 아벨 나이트로드(Abel Nightroad) 성우 : 도치 히로키 / 구자형 본작의 주인공. Ax(교황청 국무성성 특무분실 )의 파견집행관. 코드네임은 '크레스니크(Kresnik : 십자가를 짊어진 자)'. 190cm를 훌쩍 넘는 장신에 차분하고 부드러운 긴 은발, 그리고 마치 겨울 호수를 보는 것 같은 푸른 눈동자를 지니고 있어서 가만히 보기만 하면 상당히 청초한 미남이지만, 본 성격은 덜렁대고 얼빠진데다가 식탐이 엄청난 팔푼이. 주위 사람들은 아벨을 보고 '식충 대마왕' 혹은 '얼간이 바퀴벌레', 소설 번역본에서는 '어리버리'등으로 부른다. 자신을 '바티칸에서 제일 가난한 신부'라고 소개한다. 월급은 매달 꼬박꼬박 챙겨받지만 그 월급을 닥치는 대로 기부 단체나 사회 복지 단체에 몽땅 기부해버리기 때문에 매달마다 늘 빈곤해 죽을 것 같은 상황에 처하곤 한다. 위급한 상황(돈이 다 떨어지거나, 배고파 죽을 것 같을 때, 혹은 엄청 곤란한 상황에 처했을 때) 자주 하느님에게 기도하며 자신의 불행을 한탄해 푸념을 많이 한다: 체내에 <나노 머신 크레스니크 02>라는 수수께끼의 존재가 이식되어 있다. 이 크레스니크 02를 발동시키면 아벨은 '흡혈귀의 피를 마시는 흡혈귀'인 '크레스니크'로 변신하며 안구전체가 붉은 핏빛으로 변하고 긴 은발은 하늘로 솟구치며, 검은 날개의 괴물로 변하게 된다. 아벨 본인은 이 형상을 '자신의 죄의 각인'이라고 부르고 있다. 10년 전의 사건으로 가족을 잃은 카테리나를 도와주어 이후 카테리나의 부하가 된다. 크레스니크의 기동율은 대체적으로 40%이지만, 강적과 조우할 경우에는 80%까지 올리기도 한다. 하지만 너무 기동률을 올리면 체내의 크레스니크가 아벨의 정신을 침식시키기 때문에 아벨은 되도록이면 절대로 크레스니크의 기동률을 함부로 올리진 않는다. 이름의 유래는 구약성서의 창세기에 등장하는 아담과 하와의 차남 아벨이다. 태생이나 경력 등은 모두 불명. ‘UN 우주 항공군 중령. <레드마스 프로젝트> 관리부 보안과 책임자’라는 ID로 대재앙 이전의 유실 기술 중추에 액세스 할 수 있는, 당시의 인물이나 사건을 마치 직접 면식이 있는 것 같은 언동을 취하는 등 대재앙이나 암흑 시대 혹은 그 이전부터 살아왔다는 것을 시사하는 묘사를 볼 수 있어 그 정체가 흡혈귀들에게 있어서는 전설적인 존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디트리히의 말에 의하면 나이트로드 3남매는 과거 '세계의 적'이었다고 한다. 무기 구식 6연발 퍼거션 리볼버 낫 : 크레스니크 02 상태에서 아벨이 사용하는 무기. 기술 메가볼트 급 생체 발전 : 체내의 세포 발전량을 극한까지 끌어올려 방전시키는 크레스니크 02의 힘, 본래 체내의 세포들은 스스로가 굉장히 미약하게 발전을 하고 있는데 크레스니크 02로 변신하면 그 세포 발전량이 엄청나게 비약적으로 상승, 신체에서 2억 볼트가 넘는 번개를 발산해 벼락을 날리는 것이 가능하다. 아벨이 '크레스니크 02'를 80% 정도 가동하면 등장하는 힘이다. 스파크 갭(Spark Gap : 방전 절단) : 2개의 전극 사이에 강력한 방전을 일으키면 이온화한 공기의 압력이 한정된 공간으로 모여든다. 그 때의 공기의 압력이 만들어내는 충격은 이론상이긴 하지만 대성당 하나는 한 방에 절단시켜버릴 정도의 위력이며, 정말 무시무시하게도 아벨은 이런 스파크 갭의 초점을 자유자재로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에스텔 블랑쉐(Estell Blanchett) 성우 : 노토 마미코 / 이현진 본 작품의 히로인. 홍차 같은 색조의 진홍색 빛깔의 붉은 머리카락과 청금석 빛깔의 눈동자를 한 수녀. 갓난아기였을 무렵, 이슈트반 교회에 맡겨져 견습 수녀로 자란다. 17세 때, 파견되어 온 아벨과 만난다. 이슈트반을 공포통치하고 어머니 같은 여주교를 살해한 흡혈귀 쥴라 카다르에게 복수할 생각을 갖지만, 그의 과거(아내가 인간들에게 살해당함)를 알고 흡혈귀(=장생종)와 인간(=단생종)의 대립에 의문을 갖는다. 그 후, 로마에 전속되어 교황청 국무성성 조사부에 배속되어 자주 아벨을 서포트한다. 탄식의 별 사건 이후, 장생종과 단생종들이 대립하는 상황을 타개하려는 이상을 가지게 된다. 사랑스러운 외모에 비해 야무지고 견실한 성격으로 가끔씩 아벨의 하나도 도움 안되는 도움에 애를 먹고 있다. 운전실력이 매우 난폭하다. 방향 전환을 한 번 할려면 주변 기물들의 희생이 절대적으로 필요할 만큼 거칠다. 참고로 성격도 180도 변해버린다.(동승하던 아벨과 이온이 정신차리지 못할 만큼). R.O.M의 《장미 옥좌》와 《가시 면류관》에서는 알비온 여왕 브리짓 2세의 손녀 에스더 블란쳇이라는 사실이 밝혀져 환속한 후 알비온 여왕으로 즉위한다. 본래 알비온의 여왕인 브리짓 2세의 아들 길버트 왕세자와 정실 빅토리아 왕세자빈 사이에서 태어난 왕녀로, 왕세자는 병사하고 왕세자빈은, 자신의 딸을 왕위에 앉히려고 획책한 길버트의 애인 핼리엇이 보낸 자객에 의해 살해되지만, 그 계획을 눈치챈 빅토리아가 에드워드 화이트경에게 부탁해 자신의 딸과 에드워드의 사산된 아이를 바꿔치기 한다. 그녀의 모델은 잉글랜드의 여왕 엘리자베스 1세이다. 이름은 파사 어로 '별' 이라는 이름을 론디니움 발음으로 바꾼 것, 구약성서 에스델기의 주인공으로부터 유래했다고 볼 수 있다. 무기 산탄 총(Shot Gun) : 총신과 총대를 절단하여 허벅지 길이로 분해해 스커트 아래에 착용하고 있다. 트레스 이쿠스(Tres Iqus / HC - Ⅲ. Ⅹ) 성우 : 나카이 카즈야 / 최한 Ax 파견집행관. 코드네임은 ‘건슬링거(Gunslinger : 총잡이)’. 짧게 깎은 갈색 머리카락에, 인형인 듯한 단정한 용모를 갖춘 몸집이 작은 청년. 기계로 만들어진 몸에 인간의 뇌를 이식한 '기계화 보병' 생체부품 중 하나인 뇌의 Human Factor가 억제되어있어 대부분의 상황에도 늘 일관성 있게 무표정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가끔씩 인간 다운 따스한 감정이 배어나오며 기계 답지 않게 다른 멤버들을 걱정해주는 면도 있다. 전투 중은 물론 일상 생활에서도 늘 계산식으로 행동하고 말을 한다. . 'x, yz초 느리다'(혹은 빠르다) . '포지티브'(긍정의 표현 - 네) . '네거티브'(부정의 표현 - 아니오) . '손해 평가 보고를'(누군가 사건을 당했을 때) . '난 인간이 아니다, 기계다.'(카테리나에게 거두어질 때 처음으로 한 대사. 가끔씩 자신의 존재를 부각시킬 때 많이 사용한다.) . '재 입력을 요구한다.'(말을 잘 못 알아들었을 때, 혹은 무슨 소린지 모를 때) . '전술 사고 모드를 Genoside Mode(섬멸 모드)로 변환, 컴뱃 오픈'(전투 돌입 시) . 'Clear, 전술 사고 모드를 Asult Mode(기습 모드)에서 Search&Destroy Mode(탐색 공격 모드)로 변환(전투 도중 작전을 바꿀 때) . 'Mission Complete'(임무 완수) 본래 그는 왕립 론디니움 대학의 3대 천재 중 하나인 '제페트 가리발디' 박사의 작품인 'Killing Dolls'(살인 인형) 시리즈 중 한 개체였다. 제페토 가리발디는 인간의 뇌를 기계몸에 이식한다는 혁신적인 생각을 해 낸다. 기존의 '강화인간'은 인간의 몸에 기계의 파츠를 이식하는 식이었는데 가리발디는 발상의 전환을 이용해 역이용한 것. 그는 수정란을 배양해 아이를 키워 인간의 두뇌를 얻고 그것을 기계에 이식하기로 계획을 짜지만 프로젝트가 '비 인간적이다'라는 이유로 어느날 갑자기 교황청에 의해 폐기처분을 당한다. 분노한 그는 완성한 Killing Dolls 10기를 이용해 교황청의 성 천사성(산탄젤로)을 점거함으로써 자신이 만든 연구물의 우수성을 증명하고는 그 자리에서 권총으로 자살한다. 반란의 진압후 망가진 10기의 기계화 보병 중 가장 경미하게 파손된 2호(듀오)와 3호(트레스)만이 다시 개조되어 살아남는다. 듀오는 이단심문국에서 수습하고 트레스는 Ax에서 수습하게 된다. 카테리나에 대한 충성심이 하늘을 찌를듯이 강하며, 그로 인해 '강철의 사냥개'라는 별명이 붙여졌다. Ax에서 가장 예산을 많이 잡아먹는 멤버, 본인의 수리비도 그렇지만 그것보다 트레스가 부순 건축물의 보상비가 가히 천문학적인 수준이라고 한다. 참고로 트레스 이쿠스는 이름이 아니라, 제조 넘버 ‘HC-ⅢⅩ(하케 트레스 이쿠스)’이다. 무기 대형 권총 M13 제리코 '디에스 에라이'(진노의 날) : 트레스의 주 무기, 전투 시에는 언제나 손에 들고 다니며 일상 생활 시에는 허리의 벨트의 장전하고 다닌다. 카테리나 스포르차(Katerina Sporcha) 성우 : 혼다 다카코 / 차명화 교황청 국무성성 장관을 맡고 있는 황금빛의 머리칼과 회색 눈동자를 한 미모의 추기경. Ax의 상사. 10년 전, 뱀파이어에 의해 자신의 의부모가 올덴에 의해 살해당하고 자신도 죽을 뻔한 것을 아벨이 구해주었다. 밀라노의 영주이기도 해, ‘밀라노 공’이라고도 불린다. 전임 교황 그레고리오 30세와 밀라노 공작부인 루크레치아 사이에서 태어난 사생아이며, 현 교황의 누나이기도 하다. 로젠크로이츠 올덴의 존재를 아는 얼마 안되는 인물로, 자신의 복수와 세계 파멸을 목적으로 움직이는 인류와 흡혈귀간의 싸움을 격화시키려 하는 야망의 저지를 위해 Ax를 결성, 또 평화 공작을 위해 제국 상층부와의 접촉을 시도한다. 정치계에서는 지적인 판단력과 어떤 상황에서도 절대로 평정심을 잃지 않는 포커페이스를 이용한 인맥과 친화력과 판단력을 이용해 아주 많은 공세를 펼치고 있으며, 그 냉철환 수환 덕분에 ‘철의 여인’, ‘밀라노의 암여우’라고 불리며 대내외에 공포의 대상이 되고 있다.(아벨은 '무서운 직장상사'라고 부른다.) 정치나 조직을 움직이는 일에는 탁월한 실력자이나, 그에 반해 가사일 전반은 완전히 무능하다. 교원병을 앓고 있어 선천적으로 몸이 굉장히 약하다, 그 때문인지는 몰라도 늘 여행을 하거나 어딘가로 이동할 때마다 시종 2명은 기본이고 짐을 싼 가방도 4개가 기본으로 따라다닌다. 아벨의 과거에 대해서 어느정도 알고 있으며, 아벨을 사랑하고 있다. 후에 에스텔이 알비온의 여왕이 되고 난 후, 에스텔이 소집한 국제 회의에서 올덴이 에스텔의 목숨을 노리고 테러를 일으켰을 때 에스텔을 지키다가 교황 알렉산드로 18세가 서거하자, 그 뒤를 이어 이복 오빠인 프란체스코가 교황을 선발되어 자신은 힘을 잃는다. 그 후 올덴의 계략으로 방주의 대포로 인해 로마가 괴멸하자(카테리나는 밀라노로 근신 겸 요양을 왔기에 무사), Ax를 해체하고 트레스 이쿠스와 함께 올덴을 쳐부수기 위해 올덴에 들어간다. 윌리엄 월터 워즈워스(William Walter Warzwars) 성우 : 오오카와 토오루 / 이종혁 Ax 파견집행관. 코드네임은 ‘프로페서(professor : 교수)’. 흑갈색의 머리카락, 푸른 눈, 약간 갸름한 얼굴이 특징. 알비온 출신의 귀족. 알비온의 수도인 론디니움의 출신이며, 과거에 왕립 론디니움 대학에서 3대 천재로 불렸었고 알비온의 가장 권한있는 조직 모임이자 왕국 안전 보장 협회인 '디오게네스 클럽'의 차기 간사장으로 여겨졌을 정도의 엄청난 명성을 얻어 출세의 탄탄대로가 갈고닦여져 있었지만, 19년 전(R.O.M 기준) 대학에서 '아이작 버틀러'라는 가명으로 활동하던 이자크에게 자신의 연인이자 약혼녀인 프란시스가 살해당한 후 시체 소생 실험을 당한 일을 자신이 뒤집어썼었다, 그 후 누명은 풀렸지만 윌리엄은 이 일을 계기로 이자크를 뼛속 깊이 증오하며 Ax에서 활동하면서도 이자크를 계속 추적하고 있다. 아주아주 전형적인 영국 신사. 설령 자신이 죽을 위기에 처해 있더라도 아주 태연하게 유서를 쓸 시간을 30년만 더 주면 후세에 길이 남을 글을 쓸 수 있을 것 같다는 농담을 할 정도로(나이트 호스피털 참조.) 포커 페이스이며, 오만불손하고 살짝 무신경한 이기적인 모습을 보이나 속은 따뜻하다. 현직 로마 대학 교수이기도 하며(때문에 아벨이나 케이트에게 교수로 불린다), 다른 멤버와 같은 특수능력은 없지만 기술자나 참모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뛰어나면서도 엉뚱한 발명가이기도 하다. Ax의 모든 기술적 무기 및 도구는 그의 손에서 탄생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공중전함 아이언 메이든, 위그의 의수, 트레스 이쿠스의 수많은 무기와 기능, 하늘을 나는 자동차(아직 개발 중) 등등 아주 획기적이고 기술적인 무기들을 많이 만들어냈지만, 가끔가다 전혀 도움 안 되는 이상한 물건들도 발명을 한다. 아벨의 말을 빌리자면 항상 요상한 잡동사니만 만들고 있는 것 같다고.... 발명만 하는 것은 아니고, 엄연히 파견집행관이기 때문에 그 역시 검술을 구사한다. 위그에게 검술을 가르친 것도 윌리엄 본인이다. 이름은 영국의 대표적인 낭만주의 시인 윌리엄 워즈워스에서 유래하였다. 무기 지팡이 : 윌리엄이 직접 개발한 검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지팡이, 수 백개의 단추가 달려 있는데 그 단추 하나하나에 아주 실용적인 기능이 들어 있으며 단추를 복합적으로 짜 맞춰 누르면 또 다시 새로운 기능이 나오기도 하는 만능 무기이다. 주로 화염 방사기, 초 점액질 끈끈이 밧줄, 지문 채취기 등등이 있다. 케이트 스코트(Kate Scott) 성우 : 나바타메 히토미 / 여민정 Ax 파견집행관. 코드네임은 ‘아이언 메이든(Iron Maiden : 강철의 처녀)’. 워즈워스처럼 알비온 출신인 수녀. 긴 금발과 눈초리가 늘어뜨려진 눈 및의 검은 사마귀가 특징인 우아하고 청초한 미녀. 공중전함 아이언 메이든(R.O.M에서는 아이언 메이든 II)호의 함장이며, 홀로그램 영상화하여 다른 멤버와 대화를 나눈다. 주로 다른 파견집행관들의 서포트를 하고, 또 카테리나의 비서격 역할도 겸하는 유능한 여성. 평상시엔 차분한 성격이지만, 동료 아벨의 뒤치닥꺼리나 레온의 단정치 못한 행위로 골치를 썩은 일이 많기 때문에 때때로 이성을 잃기도 한다. Ax에서 얼마 안되는 상식적인 인간이기 때문에, 항상 잔소리가 끊이질 않는다. 그러나 그런 만큼 동료들을 잘 염려하고 있다. 과거에 Ax 초기 멤버 중 한 명이었지만, 약 10년 전 카테리나를 사고로부터 구해주기 위해 그녀를 감싸다가 초 중상을 입고는 식물인간 상태에 빠진 것을 윌리엄 교수가 아이언 메이든을 만들어 그 전함의 브레인 유닛에 케이트의 뇌를 이식했다. 그래서 그녀는 늘 홀로그램 영상으로 나오는 것. 홍차를 타는 실력은 초 일류이며, 자주 상사 카테리나나 동료들에게 특제 레시피의 브렌드티를 대령한다. 가끔씩 고공비행을 할 때 밖의 구름 경치를 내다보면서 새로운 레시피를 짜는 것을 취미로 삼곤 한다. 레온 가르시아 디 아스튜리아스(Leon Garcia Di Asteurias) 성우 : 고야마 츠요시 / 성완경 Ax 파견집행관. 코드네임은 ‘댄디 라이온(Dandelion : 사자의 송곳니)’. 과거에 지브롤터 전쟁이 끝난 후 레온의 아내가 미쳐 교황청의 인물들을 죽이고 다니기 시작했는데, 결국 그가 직접 아내를 죽이고 아내의 죄를 대신 받아 사형을 선고받지만 카테리나의 도움으로 형기 1000년을 선고받는다. 그 후 카테리나와의 계약으로, 형무소에서 복역하면서 감형과 딸의 치료를 조건으로 파견집행관으로 일하고 있다. 아벨은 ‘돌팔이’, 트레스는 ‘총잡이’, 위그는 ‘사무라이’로 부르고 있다. 원래는 히스파니아 왕국군 대위로, 아프리카 방면 군 소속 제22강습정찰중대 ‘레온코트’라는 특수부대의 대장이었기 때문에 파괴공작이나 게릴라전에 능하다. 평상시엔 팔찌처럼 착용한 차크람을 애용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폭발물이나 화기도 사용한다. 여자에 약해 늘 지나가는 아름다운 여자만 보면 자연스럽게 얘기를 꺼내며 식사 및 데이트로 몰고간다. 전에 한 번 시스터 로레타에게도 접근한 적이 있었지만 순간 홀로그램으로 나타난 케이트가 레온을 막으면서 "조심하세요, 시스터 로레타. 이 사람의 3m 반경 내에 있음 말도 임신시킨다는 소문이 있어요."라는 말로 일침을 놓으면서 어떻게든 말린 적이 있다. 그런 식으로 여자를 좋아하지만 마음 속엔 항상 딸 생각뿐이다. 외관 모델은 안토니오 반데라스. 무기 차크람 위그 드 바토(Hweig D Vato) 성우 : 기타테 신야 / 박성태 Ax 파견집행관. 코드네임은 ‘소드 댄서(Sword Dancer : 춤추는 검사)’. 긴 연한 금발에, 비취색 눈동자를 한 조각같은 외모를 지닌 아름다운 청년. 네덜란드 브뤼헤 출신. 4도시 동맹에서 최고위 계급인 경시총감 직을 대대로 지낸 용병 귀족 집안 바토 家의 장남으로, 일찍이 흡혈귀에게 가족들이 살해당하고 자신도 양팔을 잃고 쫓겨다니던 중 워즈워스에게 구조받아 기계 의수를 달았다(이후 워즈워스를 ‘스승’이라고 부르고 있다). 흡혈귀에 대한 복수심이 굉장히 강하기 때문에, 그 복수심과 증오에 휘둘려 자주 명령을 위반, 독단 행동을 취하는 경우가 많다. Ax 내에서도 자타가 공인하는 '불행의 별'을 타고난 남자. 여동생을 잃은 충격이 큰 것인지, 여동생과 비슷한 나이또래를 보면 잘 챙겨주려고 애를 쓴다. 타인들은 그것을 시스터 콤플렉스로 보고 있다.(이온을 여자로 착각하고 이 행동을 취한 웃긴 경우도 있다.) 주 명대사는 "검으로 사는 자, 검으로 멸망하리라."(Omnes Enim Qui Aceferint Gradium Gradio Ferivunt) 동작의 최적화를 통해 흡혈귀에게 뒤지지 않는 민첩성을 보인다. 보통 사람이든 흡혈귀든 모든 생명체는 어떠한 동작을 행할 때 불필요한 동작이 있어서 전체 노동력의 20~30%를 낭비한다고 한다. 하지만 위그는 상대의 움직임을 알아챌 수 있을 정도로 통찰력과 순발력, 사고력을 기른 뒤 전체의 동작을 군더더기 없이 100%로 행해 인간보다 신경전달속도가 20~30배 빠른 흡혈귀의 '헤이스트'(가속)에 뒤지지 않는 움직임을 보인다. 무기 의수 : 윌리엄이 직접 만들어 달아 준 의수, 가끔씩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이 흠. 검 : 윌리엄이 직접 만들어 준 검, 의수와 상호 작용을 한다. 바츨라프 하벨(Vaclav Havel) 성우 : 다치키 후미히코 / 손종환 Ax 파견집행관. 코드네임은 ‘노우 페이스(Know Faith : 신앙을 아는 자)’. Ax 초기 멤버 중 한 명, 카테리나와 아벨이 로마에 막 도착했을 시 아벨과 같이 올덴의 부하들과 전투를 한 적이 있다. 본래는 이단 심문국의 이단 심문관이었지만 당시 국장이었던 임마누엘 단눈치오와의 심한 대립으로 인해 결국 이단 심문국을 탈퇴하고 Ax로 들어온다. 신앙심이 두텁고 온후한 성격의 소유자이지만 그 지나칠 정도로 두터운 신앙심에 휘둘려, 원작에서는 교황청의 정책이나 정쟁에 항상 카테리나에게 반발, Ax를 탈퇴해 신 교황청군에 참가, 최종적으로는 자신의 고향 시민들을 지키려고 하다가 시스터 바울라에게 목숨을 잃는다. 보헤미아 공국의 브르노의 목수의 아들로 태어났다. 이름의 유래는 옛 체코슬로바키아의 민주운동가이자 체코의 초대 대통령 바츨라프 하벨이며, 용모의 유래는 아르헨티나 축구팀의 대표 가브리엘 바티스투타이다. 하지만 작가인 요시다 스나오씨는 예수 그리스도를 모델로 했다고 밝혔다. 무기 광학성 전자 간섭장 - 불가시화 미채(不可示化 迷彩) : 하벨이 자신의 몸에 탑재한 로스트 테크놀로지. 주변의 광학성 미채들을 자유자재로 조종해 자신의 신체를 일시적으로 투명하게 만들 수 있다. 하지만 너무나도 어려운 운영과 비용 면에서도 채산이 맞지 않았던 탓에 연구가 중지되었다. 하벨은 이것을 탑재하고 있는 유일한 인물. 모니카 아르젠토(Monica Argento) Ax 파견집행관. 코드네임은 ‘블랙 위도우(Black Widow : 검은 과부거미)’. 짧은 웨이브의 칠흑같이 검은 머리와 언제나 날카롭게 빛나는 푸른 눈동자를 지닌 여성, 흑표범을 연상시키는 외모이다. 파견집행관이며 엄연히 말해 '수녀'이지만 신부나 사제들이 입는 제복을 착용하고 있다.(그것도 가슴이 터져나오는 요염한 스타일) 시칠리아 마피아(Cosa Nostra)중에서도 명문 중의 명문 가에서 태어나 철 들때부터 살인을 시작해왔다. 그녀에게 있어서 이제 살인은 자신의 명예이자 자신이 살아있다는 증표나 다름없는 셈. 과거 카테리나를 암살하려 했으나 실패한 과거가 있으며, 그로 인해 Ax 내에서도 늘 카테리나를 죽일 기회만을 노리고 있다. 하지만 그런 이유 때문에 카테리나의 반경 100km 내에서는 임무도 받지 못한다. (암살실패이후 목에 폭약이 내장된 목줄을 차고있다. ) Ax에 들어온 이유는 자세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카테리나와 어떤 계약을 맺은 것으로 추정. 카테리나를 아주 열렬히 증오하며 늘 그녀에 대한 험담만 늘어놓지만, 정작 카테리나 앞에선 아주 싹싹하고 건실한 태도로 변하며 정중하게 상사 대접을 하는 등, 아주 뛰어난 처세술과 연기를 보인다.(물론, 카테리나는 그게 연기라는 걸 처음부터 알고 있음) 살육 그 자체를 즐기는 잔인무도한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에, 동료인 트레스로부터도 위험 인물로 간주되고 있다. 유연성이나 융통성 없이 오직 명령만 수행하는 스타일이라서 같은 Ax 멤버라도 절대 사정 봐주는 일은 없다. 그래서 협력 임무에서 동행한 멤버가 조금이라도 귀찮아지면 무조건 전투. 돈이나 임무 완수 외엔 관심 자체가 없기 때문에 적군보다 아군과 전투를 많이 벌이는 편 무기 오지 검(五指 劍) : 모니카가 애용하는 단검, 폭이 굉장히 넓은 단검이다. 기술 페이싱(Facing) : 모니카가 지닌 특수한 초능력, 주변의 물질과 자신의 신체를 동화시키는 능력. 이 능력을 이용하면 어느 물체와도 일체화하는 것이 가능해 어느 장소든 드나들 수 있으며 모니카는 이 능력을 이용해 자신의 타깃을 죽일 때 타깃의 신체에 자신의 손을 동화시켜 침투시킨 다음 심장만을 빼내 죽인다. 굉장히 강력하긴 하지만 약점이 있다면 주변의 물질과 자신의 신체가 동화될 때 그 물질을 공격하면 자신의 신체도 같이 데미지를 입는다는 것. 카야 쇼카(Kaya Shoka) Ax 파견집행관. 코드네임은 ‘집시 퀸(Gipsy Queen : 유랑민들의 여왕)’. 거무스름한 피부와 인형같은 얼굴, 큰 눈동자가 특징. 집시 민족의 소녀로 Ax내에서 최연소 파견 집행관. 트레스 못지 않게 카테리나에 대한 충성심이 강하며, 신과 교황과 카테리나의 말밖에 듣지 않는다. 흡혈귀를 죽이면, 나중에 죽어서 천국에 간다고 굳게 믿고 있음. 커뮤니케이션 가능성이 0인 인물, 카테리나를 제외한 나머지 타인의 말은 들으려 하지도 않으며 협력이라든가 동료라고 하는 개념이 아예 없다. 그것 때문에 협동 임무에는 아예 투입되지를 않고 주로 조사 계열 임무를 하거나 카테리나와 동행하는 임무를 많이 한다. 어린 소녀만이 가질 수 있는 티 하나 없이 깨끗한 순수함과 무시무시할 정도로 천진난만한 잔인성을 지니고 있다. 필요 이상으로 적을 잔혹하게 죽이는 것을 좋아하며, 언젠가 카테리나가 '게으르고 말 지지리 안 듣는 신부들(ex : 아벨, 위그)'의 목을 자르고 심장을 뽑으라는 명령을 내리기를 학수고대하고 있다. 3인칭을 쓴다.(ex :쇼카는 ~야.) 말을 할 때도 자신이 직접 지은 노래를 섞어 한다. 하지만 노래 가사는 거의 섬뜩할 정도로 무섭거나 욕설 비슷한 인신공격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안 듣는 것이 이롭다.(ex : "병원, 병원, 즐거운 병원~! 들어올 땐 환자, 나갈 땐 시체~! 죽어버리면 아프지 않아요~!") 무기 대형부채 : 쇼카가 늘 지니고 있는 붉은색과 검은색으로 수놓인 화려한 부채. 노엘 보(Noelle Bor) 성우 : 오오하라 사야카 / 김보영 전(前) Ax 파견집행관. 현역 시절의 코드네임은 ‘미스트레스(Mistress : 여 주인)’. 은퇴하기 전에 맡은 임무에서 레온이 은근슬쩍 자신의 가슴을 만진 일에 대해 엄청나게 분노하고 있으며, 그 일로 인해 아직도 레온을 용서하지 않았다. 전직 파견집행관이며 은퇴하긴 했지만 Ax와의 연줄로 가끔씩 카테리나의 부탁을 받아 임무에 투입되기도 한다. 수녀답지 않게 굉장히 요염하고 아름다우며, 성격 역시 도발적이면서도 상냥하고 자애로운 성격. 아벨에게 강한 연정을 품고 있었지만, 그럴 때마다 늘 그의 마음 속에 있는 너무나도 슬프고 침침한 어둠을 봐야 했기 때문에 그의 어둠을 품어줄 만한 자신이 없어서 결국 아벨을 포기했다. 고향 카탈루니아에서, 이자크가 일으킨 '사일런트 노이즈' 사건을 조사하기 위해 아벨과 같이 임무에 파견되었으나 결국 '사일런트 노이즈'로 인한 도시 붕괴로 인해 건물이 무너져 그 안에서 안타깝게 사망함. 기술 엔파시(empathy) : 노엘이 지닌 특수 능력, 눈을 감고 정신을 집중하면 타인의 감정이나 정신 상태를 '색깔'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인간이 남기고 간 흔적을 빠짐없이 조사가 가능하며, 사람이 없는 사무실에서도 여기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 대강 알아낼 수 있는 신비한 능력, 노엘은 이 능력으로 인해 정탐이나 은신, 조사, 수색 계열 임무에서는 스페셜리스트로 통한다. 교황청 교리성성 이단심문국[편집] 프란체스코 디 메디치(Franchesco Di Medichi) 성우 : 코스기 쥬로타 / 정승욱 교황청 교리성성 장관. 추기경으로 피렌체 공. 교황청의 내정, 신앙, 국방을 사실상 관리하고 있는 인물이며, 전임 교황 그레고리오 30세와 하급 기사의 아내 사이에서 태어난 사생아로 알렉산데르와 카테리나의 이복 형(오빠)에 해당된다. 정의를 이상으로 여기고 있긴 하지만, 자신이 굳게 믿고 있는 것을 정의로 여기는 상당히 이기적인 면모를 보인다. 교황청에서 대표적인 강경파, 뱀파이어를 무조건 악으로 여기며 뱀파이어들은 전부 다 절멸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교황청의 권위의 실추를 통탄하며, 각국에 압력을 놓음과 동시에 진인류 제국과의 전쟁을 획책하고 있다. 후에 로젠크로이츠 올덴에 의해 교황 알렉산데르 18세가 암살당하자, 교황의 자리에 오르고 그와 동시에 핵 전쟁을 일으키고 진 인류 제국과의 전쟁을 선포하지만 카인의 계략에 의해 조종된 방주의 레이저 포에 의해 로마가 괴멸해 죽는다. 브라더 베드로(Brother Fetro) 성우 : 이나다 테츠 / 현경수 이단심문국 국장. 2m에 달하는 체구의 거인. 저돌적인 성격의 무인 기질을 타고났으며 정면 싸움을 좋아한다. 무투파로 유명한 명문 귀족 '오르시니 家'의 일원. 강화 인간이며 교황청 내에서도 손꼽히는 높은 전투력의 소유자. 제국에서 만든 대포를 정면으로 맞고도 일어나서 거동할 수 있는 것 자체가 거의 초인 수준, 전투 시에 악을 토벌하기 위해서라면 아군의 피해도 상관하지 않기에 ‘괴멸기사(IL Ruinante / 일 루이난테)’라 불리며 두려움의 대상이 되고 있다. 프란체스코에게 충성을 바치고 있으며, 따라서 Ax나 흡혈귀에 대한 적대심을 갖고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정의감과 의협심이 있는 사나이며 순박하기도 한다. 이온이 라드에 의해 죽을 뻔했을 때 일시적으로 이온을 도와주기도 하며 Ax와 협력하기도 했다. 상당히 과격하긴 하지만, 본 성격은 온후하고 의리파이기 때문에 부하들로부터 두터운 신망을 얻고 있으며, 자신이 지휘관 자리에 어울릴 만한 사람이 아니라는 것도 자각하고 있다. 회를 굉장히 좋아한다. 원래 조식을 선호했지만 어느 인물(?)이 추천해 먹어 본 회의 맛에 반한 이래로, 하루 세 끼 중 한 끼에는 절대적으로 회가 들어간 일본식 식사를 먹는다. 무기 스크리머(Screamer / 규환자) : 베드로가 사용하는 로스트 테크놀로지의 산물인 거대 메이스(창), 무게는 거의 500kg에 육박하며 그 파괴력 또한 가공할 만한 위력. 창날에 달린 고주파의 휠은 창날에 초진동을 가해 공격한 물체를 아예 분쇄시켜 산산조각 내는 굉장히 실용화 된 로스트 테크놀로지이다. 가브 오브 로드(Garb Of Lord / 성기사의 성의) : 베드로가 착용하는 은백의 갑옷. 자율식 전투보조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는 고성능의 갑옷이며, 갑옷의 각 부위에서 회전하는 정전 모터를 에너지로 그의 등 뒤에 장착된 4개의 가느다란 인공 팔(머니큘레이터)이 방패를 들고 적의 공격을 자유자재로 막아낸다. 부스터(Booster / 반응 촉진제) : 이단심문국에서 뱀파이어와 대적하기 위해 만든 무기. 특수한 약물로 인간의 신경 전달 속도로 극한까지 끌어올려 뱀파이어의 '헤이스트'(가속)에도 맞먹을 만한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시스터 바울라(Sister Paula) 성우 : 가이다 유코 / 김현심 이단심문국 부국장. 실무 능력이 부족한 베드로를 대신해 이단심문국을 실질적으로 지휘화는 도서관 사서처럼 조용한 분위기를 풍기는 수녀. 집무 능력이 초 엘리트이며 수없이 엄청난 속도로 들어오는 이단심문국의 모든 잡무와 서류를 혼자서도 처리하는 놀라운 업무 처리 능력을 보인다. 격투기나 암기를 다루는 실력이 뛰어난 암살가이기도 해 원작에서는 하벨, 애니메이션에서는 라드를 압도했다. 하느님과 신앙을 사회를 움직이기 위한 규범이라 생각하고 있어 그것을 위협하는 것은 주저없이 제거하는 냉혹한 성격을 갖고 있어, 그 전투력과 아울러 ‘죽음의 숙녀’라고 불리며 두려움의 대상이 되고 있다. 교황을 위해서 움직이기보다는 상사인 프란체스코를 위해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본인 스스로 말하길 "교황은 아무것도 아니다."라고 말하지만 무의식 중에 교황을 지키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상당히 차갑고 비정한 이미지이지만, 그녀가 자택으로 귀가해 꼭 하는 일은 자신의 애완동물인 햄스터와 놀아주기이다. 그녀는 베드로의 덕망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수 많은 암기를 다루는데 능숙하지만 그녀의 진짜 무기는 체술이다. 브라더 마태오(Brother Matthaios) 이단심문관. 온후한 인상에 반해, 전략가로서 굉장한 지략의 소유자. 본래 용병 출신으로 옛날에 잔인무도한 대량 학살을 저질러 '디아블로 마레코스'(모로코의 악마)라는 별명이 붙었다. 앞머리를 길러서 이마에 난 상처를 가리고 있다. 그 상처는 옛날에 레온과 싸워 얻은 상처이다. 용병 시절의 잔학성과 비정함에 이단심문관으로서의 광적인 신념이 더해져 위험한 가치관을 갖고 있다. 다른 이단심문관처럼 육체적인 격투 능력이 높기보다는, 전투 지휘나 지략에 능한 것으로 보인다. 무기 성 우리엘의 갑옷 : 마태오의 전용 동갑주. 4m 정도의 크기인 갈색의 동갑주. 마태오의 조종 실력이 더해지면 엄청난 위력을 선보인다. 브라더 필립보(Brother Philip) 이단심문관. 작고 뚱뚱한 남자로, 어딘지 모르게 뱀장어를 연상게 하는 추한 외모를 갖고 있다. 레온은 그를 ‘비만 뱀장어’라 부르고 있다. 간사하고 야비하며 음험한 성격을 지녔다. 인격적으로 굉장히 큰 결함을 지니고 있으며, 어떻게 이단심문관의 자리에 올랐는지 자체가 의문. 요상한 말투를 사용. 정말 놀랍게도 고전문학 박사 학위를 지니고 있다. 무기 와이어 픽 : 필립보의 무기, 적에게 와이어를 날려 적중시킨 뒤 생체 강화에 의해 전신에 발달한 수십만의 발전 세포로부터 최대 30만 볼트의 고압 전류를 상대에게 흘려보낸다. 브라더 안드레아(Brother Andreas) 이단심문관. 이단심문관 중 최연소로, 자존심이 높지만 아이같은 면모도 있다. 마치 멧돼지 같은 저돌적인 성격에 과도하다 못해 철철 넘치는 기사도 정신, 완전 꼬마 베드로다. 베드로를 너무 존경한 나머지, 말투 하나하나 마저 베드로를 똑 닮았다. 자칭 베드로의 뒤를 잇는 교황청 넘버 2(어디까지나 '자칭') 기계공학 박사 자격증을 지니고 있다. 무기 성 제오르지오의 창 : 악룡을 무찔렀다는 전설의 기사 성 제오르지오가 사용했다는 창, 정확한 정보는 불명. 성 미카엘의 갑옷 : 브라더 안드레아의 전용 동갑주, 역시 정확한 정보는 불명. 브라더 바르톨로메오(Brother Bartolomew) 이단심문관. 실명은 [HC - Ⅱ. X 듀오 이쿠스], 별명은 "이단심문국의 건슬링거" 트레스 이쿠스와는 같은 기종의 형제기체. 건메탈 하운드 편에서 잠깐 등장한다. 트레스와 같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카테리나와 아벨이 나서서 모두 제거하지만, 가장 경미하게 파손된 듀오와 트레스를 각각 Ax와 이단심문국에서 수거, 이단심문국으로 와서 수리를 받은 후 바르톨로뮤로 개명한 것으로 보인다. Human Factor의 억제가 트레스보다 살짝 느슨하게 설정되어 있어서 완벽한 인형처럼 행동하는 트레스와는 달리 어느정도의 감정을 가지고 있다. 건메탈 하운드와 이어지는 에피소드인 [네츄럴 본 킬러]와 [건 슬링거]편에 재등장하여 트레스와 대결을 벌일 예정이었다고한다. 브라더 야고보(Brother Jacob) 이단심문관. 자세한 것은 불명. 거대한 몸집에 머리에서부터 발끝까지 거대한 갑옷을 착용했다. 트레스 이쿠스와 교전한 적이 있다.(사일런트 노이즈 中) 무기 거대한 쌍검 시스터 시몬(Sister Simon) 이단심문관 자세한 것은 불명 탁한 금발을 길게 늘어뜨리고 있으며 이단심문국 문장이 새겨진 커다랗고 높은 모자를 썼다. 트레스 이쿠스와 교전한 적이 있다.(사일런트 노이즈 中) 무기 침 : 침으로 인간의 혈을 찔러 죽이거나 움직임을 봉쇄해버리는 용도로 쓰이는 듯. 그 외에도 시스터 요한나와 시스터 유디트, 브라더 토마스, 브라더 타대오 등등이 있다고 함......... 진 인류 제국 (眞 人類 帝國 / 츠아라 메투셀토)[편집] 세스 나이트로드(Seth Nightlord) 성우 : 마츠오카 유키 / 김선혜 진 인류 제국의 황제 <아우구스타. 블라디카>. 카인, 아벨과 같이 몸속에 나노머신 크레스니크가 이식되어 있기 때문에 <크레스니크 03>로도 불린다. 부스스하고 짧은 검정색 단발머리에 선명한 비취빛의 눈동자를 지닌 소녀. 참고로 제국에서는, 비취색은 황제에게만 허락된 고귀한 색으로 다른 장생종이나 일반 단생종들은 절대 걸쳐서도 안되는 색깔이라는 제도가 있다. 순수하고 극단적이고, 강한 이상론자이다. 시원시원한 마이 페이스에, 털털한 성격, 자신을 '그냥 지나가는 미소녀'라고 소개하곤 한다. 절대 본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내정(內庭)이라 불리는 깊숙한 곳에 숨어서 정치를 하고 있다. 몇 년에 한 번씩 열리는 어전 회의인 '디 원'에 모습을 드러낼 때도 두꺼운 장막에 음성 변조까지 사용해 자신의 정체를 철저히 숨기고 있으며 최측근을 제외한 모든 장생종 귀족들은 그녀의 얼굴을 전혀 모른다. 세스는 이걸 이용해 자주 단생종으로 변장해 사민으로써 제국의 여러 곳곳을 돌아다니곤 하며 단생종들이 어떻게 지내는가를 관찰한다. 제국의 백성들은 전부 다 하나같이 어렸을 적에 검은 단발머리에 비취색 눈동자를 한 소녀와 논 기억이 남아있다고 함. 하지만 이런 행동으로 인해 제국의 일부 대신들은 황제가 실제로 존재하는 가에 의문을 품고 '황제 심볼설'을 주장하기도 한다. 약 800년 전 '대 재앙'(아마겟돈) 이후, 장생종들을 괴물 취급하면서 박해하던 단생종들에게 크게 실망하고(본인 曰 - "수명이 짧은 저들은 그저 자기 눈앞에 닥친 일밖에 보지를 못하는구나......")인류권에서 박해당하던 장생족 무리들을 이끌고 비잔티움으로 건너와 진 인류 제국을 세운다. 제국의 장생종들은 세스에게 있어선 가족이자 친구, 그리고 자식과도 같은 존재이다. 단생종들이 이 지구에 어울리지 않다고는 생각하지만 단생종들을 없애버리는 짓은 야만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단생종들은 장생종에게 보호받으며 살아가야 한다는 것이 그녀의 생각, 실제로 귀족 제후들에게는 사민 계급의 수많은 단생종들이 있다. 후에 교황청과 제국의 전쟁을 어떻게든 중지시키기 위해, 성황궁에 봉인되어 있는 '방주'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해제해 교황청에게 위협을 줄 요량으로 위성 궤도에 있는 방주로부터 레이저를 발사하려 했으나, 카인의 명령을 받은 디트리히가 순식간에 방주의 프로그램을 해킹해 조종하여 로마가 괴멸하는 사태가 벌어진다. 후에 카인이 방주를 지상에 낙하시켜 지구 자체를 아예 괴멸시키려하자 자신의 목숨을 걸고 이 사태를 막아낸다. 결국 그녀는 카인에게 의해 목이 잘려 목숨을 잃는다. 무기 2개의 음차 : 세스가 사용하는 무기, 흑자색의 날카로운 가시가 달려 있는 거대한 2개의 음차이다. 기술 고에너지 초점식 초음파 - 소리의 불길 : 자신의 체내와 2개의 음차에서 발산되는 초음파를 이용한 크레스니크 03의 힘, 세스의 양손에 있는 2개의 음차가 인간은 감지할 수 없을 만큼 극히 미세한 고속 진동을 일으킨다. 이 음파 파장을 임의로 맞춰 조절해서 한 부위에 집중적으로 쏘면 그 부위는 엄청난 분자 진동의 열을 견디지 못하고 타들어가며, 탄 부위는 순식간에 소금으로 변해버린다. 소금으로 변하는 설정은 성서에 나온, 소돔과 고모라의 멸망 때 여호와의 계시를 어기고 뒤를 돌아본 롯의 아내가 소금 기둥으로 변해버린 것에서 따온 것이다. 아스타로셰 아슬란(Astharoshe Asran) 성우 : 네야 미치코 / 한채언 진 인류 제국의 귀족, 직위는 '오데사 자작'(R.A.M)에서 '키예프 후작'(R.O.M)으로 상승했다. 진 인류 제국의 '직할 감찰관'(카마라슈)을 맡고 있다. 호박색 눈동자와 앞머리의 한가닥 붉은 곳을 제외하고 전부 다 희미한 상아색으로 탈색해버린 머리카락이 특징이며, 머리카락이 탈색한 이유는 어머니가 돌아가신 것이 너무나도 커다란 충격이었기 때문, 탈색하기 전에는 머리카락 전체가 선명한 붉은색이었다. 황제인 세스의 명령으로, 제국을 떠나 잠시동안 '아우터'(바깥)의 인류권에서 생활하며 Ax와 연합 작전을 펼친 전적이 있음, 이 때 아벨과 만나게 되며 아벨과 동지(토바라슈)의 연을 맺게 된다. 그녀에게 있어서 아벨은 '바보'(도비토크)이자 '동지'(토바라슈), 그리고 좋아하는 존재이다. 직선적이고 무뚝뚝해서 어떻게 보면 차갑고 냉정한 이미지가 강하지만, 본심은 따뜻하고 배려심 깊으며 정도 많다. 하지만 소위 말하는 츤데레 성격이기 때문에 그걸 제대로 표현하는 것을 잘 못한다. 입버릇으로 '도비토크'(제국어로 바보)가 있다. 이보다 더 긴 명대사로, "도비토크, 네프틴타, 프로스토, 파리마, 타우 카프 도보리크하~!!!!"가 있다.(직역하자면 "바보, 무능한 놈, 멍청이, 얼간이, 네놈 목 위에 달려 있는 건 머리가 아니라 호박통이냐~!!!!!" 라는 뜻이다.) 무기 게이 보르그(Gae Bolg)의 창 : 아슬란 家의 당주에게만 대대로 계승되는 창, 자유자재로 신축이 가능하다. 창 끝에는 녹색으로 빛나는 커다란 유리 수정이 박혀 있다. 플라즈마 제트 생성 시스템을 이용해 Xe(크세논) 가스를 엄청난 위력을 지닌 레이저로 압축시켜 유리 수정(진공 챔버)에서 분사시킨다. 이 때 분사되는 레이저는 '고온고밀도 플라즈마'로, 모든 물질을 깨끗하게 도려내는 것이 가능한 궁극의 백병전용의 강력한 무기이다. 이 창의 모티브는 켈트 족 신화의 영웅으로 추앙받는 쿠 훌린의 창에서 유래되었으며, 전설에 따르면 자신의 능력을 감당할 만한 무기가 없어 전전긍긍하던 그에게 한 마녀가 나타나 바다 괴물의 뼈를 이용해 만들어준 창이며 이 창은 너무나도 단단해 그 어떤 것으로도 파괴할 수가 없었다고 한다. 이온 포르투나(Ion Fortuna) 성우 : 미나가와 쥰코 / 이명선 진 인류 제국의 귀족, 직위는 '멤피스 백작' 진 인류 제국의 제검어 지관(스파타르)을 맡고 있다. 진 인류 제국 귀족 중에서도 최고 명문가로 꼽히는 포르투나 家의 도련님, 포르투나 家 덕분에 그는 아직 어리지만 장래에 제국의 최고 직책인 '추밀사'(보르니크)의 직책을 약속 받았다. 남자라고는 생각치 못할 정도로 어리고 귀여운 중성적인 외모를 지녔다. 그래서 가끔(사실은 매일) 여자로 오해를 받으며, 본인은 그것을 콤플렉스로 여기고 있다. 황제인 세스의 명령으로, 제국과 교황청의 화친을 도모할 '칙사'로 파견되어 교황청과 접촉하기 위해 '아우터'(바깥)로 향한다. 교황청에서 음모에 휘말려 에스텔과 아벨을 만나서 산전수전을 전부 다 겪는다. 처음엔 단생종들을 천박하게 여기고 증오했지만, 이런 저런 사건에 휘말리면서 점점 단생종에 대한 생각을 고치게 되고, 결국엔 에스텔을 짝사랑하게 된다. 외모 때문인지, 아니면 다른 제후들이 너무 강한 건지는 몰라도 전투력은 조금 약한 듯 하다. 하지만 싸움 실력은 일반 장생종보다는 한수 위이며 실제로 디트리히가 조종하는 장생종 시체의 인형들을 단박에 쓰러뜨리는 저력을 보여주기도 한다.(바이바르스 말로는 100년만 더 수련하면 쓸만해지겠다는데........) R.O.M 후반에, 알비온의 여왕이 된 에스텔을 대신해 제국을 나와 아벨과 같이 로젠크로이츠 올덴을 쓰러뜨리러 동행한다. 라드 발본(Raud Barvon) 성우 : 고니시 카츠유키 / 김기흥 진 인류 제국의 귀족, 직위는 '룩소르 남작' 진 인류 제국의 제검어 지관(스파타르)을 맡고 있다. 로젠크로이츠 올덴의 간부 활동도 하고 있으며 위계 서열은 '아데프타스 마이너'(5=6 : 작은 달인) 올덴에서의 칭호는 '불의 검'(플랑베르그 / Flamberg) 제국의 귀족이면서 동시에 단생종 절멸을 추진하는 '강경파'의 일원, 황제가 교황청과 화친을 시도하자 그에 실망하고는 몰래 로젠크로이츠 올덴에 가입한다. 이후 이온과 같이 교황청에 '칙사'로 파견되면서 그 활동 중에 교황청과 제국간의 전쟁을 도모하기 위한 음모를 저지른다. 이온의 어렸을 적부터 친구(토바라슈)이며, 이번 음모 활동 때에도 강경파로써의 긍지와, 친구인 이온과의 우정 사이에서 갈등하며 심하게 괴로워한다. 결국 임무 종반에 트레스에 의해 죽음을 맞이했지만 그의 시체는 편히 잠들지 못한 채 디트리히의 인형으로 전락하게 된다. 그의 육체는 결국 세스에 의해 소멸을 맞이한다. 기술 이플리트(Ifrit : 화염 마인) : 손에서 화염을 뿜어내는 능력을 지닌 라드의 특수 능력 이름, 라드의 체내에는 땀샘이 없으며 대신 각질화한 그의 피부엔 글리세린과 나프타샘이라고 불리는 이중분비샘이 존재한다. 그곳에서 분비되는 체내의 글리세린과 높은 순도의 나프탠산의 안에는 각각 체내 미네랄인 염소산칼륨과 특수한 염기성 세균이 함유되어 있다. 체내에서 분비된 이 두 종류의 액체는 피부 위에서 혼합하는데 이 때 나프텐산의 안에 함유된 염기성 세균은 대기 중의 산소에 닿아 고열을 내면서 급속도로 사멸하게 되고, 이 때 발생한 고열에 의해 체내 미네랄인 염소산칼륨이 발화하면서 불길을 생성하게 된다. 이 발화한 염소산칼륨 주위엔 네이팜액의 80배에 달하는 강열성 나프탄 글리세린 혼합액이 존재한다. 미르카 포르투나(Milka Fortuna) 성우 : 아마노 유리 / 이소은 진 인류 제국의 귀족, 직위는 '모르도바 공작' 진 인류 제국의 가장 높은 직책인 재상, 즉 '수석 추밀사'를 맡고 있다. 이온의 할머니, 하지만 각성이 상당히 빨랐는지 외모는 이온보다 더 어리다.(10대 초반, 애니메이션에서는 20대 초반으로 이온보다 더 성숙해 보인다.) 황제인 세스의 측근이자, 유일하게 세스의 얼굴을 알고 있는 유일한 제후. 세스와 그녀는 임금과 신하 관계를 넘어선 일종의 친구(토바라슈)이며 그녀 역시 세스를 대할 때의 말투는 임금이 아닌 편한 친구와 말하는 말투이다. 이런 인연 관계로 인해 세스가 사민으로 변장해 거리에 나가 있을 때면 그녀는 언제나 황제로 변장해 세스의 빈자리를 지키곤 한다. 귀여운 외모와는 달리 대제후 중의 대제후 다운 위엄있는 포스도 갖추고 있으며, 평소에는 위압적인 태도를 보이는 이온도 그녀 앞에서만 있으면 꼼짝 못하고 황제 직속 부대인 금군부대(예니체리)의 대장인 바이바르스도 그녀 앞에서는 얌전한 아기고양이 신세가 된다. 실제로 그녀가 진지해지면 상당히 무서워진다. 이온의 귀국과 동시에 반역자들의 세력이 움직이는 것을 조기에 알아챈 세스가 다시 밖으로 나갔을 때, 그녀 역시 황제의 자리를 단단히 지키고 있었으며 이번 음모로 인해 살해당할 뻔했으나 세스의 계략덕분에 목숨을 부지하기도 한다. 슐레이만(Shuleiman) 성우 : 다케와카 다쿠마 / 최준영 진 인류 제국의 귀족, 직위는 티그리스 공작 진 인류 제국의 가장 높은 직책인 추밀사 계급에서 '차석 추밀사'를 맡고 있다. 겉으로는 온순하고 세련되고 상냥한 귀족이지만, 실제는 제국의 강경파들의 리더로 제국을 위해서라면 황제를 죽여서라도 단생종을 절멸시켜야 한다는 이념을 지니고 있다. 이온과 아벨, 에스텔의 귀국과 동시에 라드(실제는 디트리히)와 함께 반역 음모를 실행하며, 거의 성공에 다다랐지만 세스의 등장으로 모든 것이 물거품이 된다. 결국 그 자리에서 세스를 공격하지만 일부러 빗맞추었고, 결국 아스타로셰 아슬란의 게이 보르그 창에 의해 죽음을 맞이한다. 무기 솔로몬의 반지 : 티그리스 家에 대대로 전해지는 유산, 철과 놋쇠를 나선 모양으로 이어붙이고 중앙에 눈동자처럼 붉은 보석을 박아넣은 반지의 모습을 한, 냉각시킨 극소의 자계를 고속방출하는 기자계 개방형 디바이스이다. 자계 내에 묶인 공기의 단열팽창 현상을 이용하여 공격대상을 동결시키고, 분자간의 결합 성질을 약하게 하여 붕괴시킨다. 단단한 철도 미립자 형태로 붕괴시키는 위력을 지녔다. 바이바르스(Bybars) 성우 : 우치다 나오야 / 김영찬 진 인류 제국의 귀족, 직위는 '하르툼 남작' 진 인류 제국의 황제 직속 호위대인 <예니체리>(금군부대)의 대장인 '예니체리 아스'(금군부대 대장)을 맡고 있다. 제국 내에서도 손꼽힐 만큼 무예의 달인이다. 엄청나게 우락부락한 구릿빛 근육질 몸매와, 험상궂고 무시무시한 외모와는 달리 성격은 굉장히 상냥하고 온순한 인물. 무예의 달인이긴 하지만, 이온의 할머니인 미르카 포르투나 앞에선 정말로 벌벌 떠는 온순한 아기고양이 신세가 된다. 무기 즈 아르 피카즈(척추를 부수는 자) : 칠지도 형태의 거대한 검, 가지처럼 뻗어나온 7개의 칼날이 대 전자장을 만들어내 적에게 진공칼날을 만들어내 원거리의 적에게도 엄청난 위력의 참격을 날린다. 로젠크로이츠 올덴(Rozen Creuz Orden : 장미십자 기사단)[편집] 카인 나이트로드(Cain Knightlord) 성우 : 스와베 쥰이치 / 이주창 아벨의 쌍둥이 형이자 <크레스니크 01> 칭호는 '세계의 적' (콘트라 문디 / Contra Mundi) 위계 서열은 가장 높은 '이프시시마스'(10=1 : 궁극자) 크레스니크 01, 아벨의 형이자 트리니티 블러드의 최종 악역, 그야말로 순수한 악이라고 불리는 공포의 화신, 겉보기엔 아벨 이상으로 철이 없기 때문에 착한 것처럼 보임. 로젠크로이츠 올덴에서 '주군(마인 헤르/Mein Herr)', '그 분' 등으로 불리는 수령으로 불리는 자. 아벨이나 세스와는 달리 크레스니크의 정신면까지 완전히 융합한 상태여서 남매들 중 유일하게 크레스니크 기동률 100%를 사용이 가능하다. 그의 목적은 세계의 멸망,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해 아벨의 크레스니크 02와 세스의 크레스니크 03를 노리고 있다. 과거 아벨에 의해 산 채로 대기권 밖에다 버려졌다가 지상으로 떨어진 후 수백 년에 걸쳐 재생했다고 한다. 몸의 수복이 완전하지 않아서 장시간 활동하면 형태를 유지할 수 없으며, 칠흑같이 검은 액체가 담긴 재생 욕조에서 몸을 재생시키고 있다. 온화하게 웃는 얼굴이나 언동과는 정반대로, 내심 자신들의 출생 이유로 인해 인간을 포함하여 모든 생물을 증오하는 광기를 내포하고 있다. 피쉬 앤 칩스(생선을 튀긴 요리에다 프렌치 프라이를 곁들인 영국의 대표 간식)를 좋아함 스스로를 ‘아무것도 필요로 하지 않고, 그러므로 모든 것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라고 칭하고 있다. 이름은 아담과 하와의 장남인 카인에서 유래하고 있다. 교황청과 진인류제국과의 사소하고도 세밀한 관계성을 교묘히 이용하고 허물어뜨려서 전쟁을 부추기고, 올덴의 힘을 이용해 새롭게 교황으로 선출된 프란체스코를 교묘히 조종, 결국 교황청은 진인류제국과 전쟁을 선포하게 되었다. 본래 목적은 세스가 전쟁을 중지할 수단으로 방주의 데이터를 해제할 때 디트리히를 시켜 그 데이터를 해킹해 조종, 방주를 지상으로 떨어뜨리는 것. 그리고 마침 달려온 아벨과 다시 한 번 전투를 벌인다. 이자크 페르난도 폰 캠퍼(Issak Fernando Von Kamper) 성우 : 후지와라 케이지 / 송준석 칭호는 '기계 마도사' (판츠아 마기엘 / Panzer magier). 위계 서열은 '메이가스' (9=2 : 마술사) 로젠크로이츠 올덴에서 가장 강력한 힘을 지닌 간부이며, 카인에게 가장 총애받는 자. 카인과 가장 처음 만난 올덴의 간부이며, 카인은 그와 함께 베를린에 존재하던 이단 집단의 '로젠크로이츠 올덴'을 빼앗아 현재의 올덴으로 만들었다. 지금까지 버틀러, 캠퍼, 파라켈수스, 칼리오스트로, 생 제르맹, 슈 후....... 등등의 수많은 가명을 가지고 살아왔으며 그에 대한 것이 대부분 불명. 트리니티 블러드 내에서도 가장 비밀에 싸여 있는 인물이다. 19년 전(R.O.M 기준) 왕립 론디니움 대학에서 아이작 버틀러라는 가명으로 활동했으며, 윌리엄 월터 워즈워스의 약혼녀인 프란시스를 살해해 시체 소생 실험을 한 뒤 사라졌다, 윌리엄은 이 일을 계기로 이자크를 뼛속 깊이 증오하며 Ax에서 활동하면서도 이자크를 계속 추적하고 있다. 자신의 장갑에 새겨진 붉은 오망성(펜타그램)을 이용해 로스트 테크놀로지를 사용한다. 펜타그램과 로스트 테크놀로지가 유저인터페이스로 되어 있어서 몇 가지 제스처와 음성인식코드(주문)를 행하면 그야말로 마법같은 로스트 테크놀로지가 발동된다. 올덴 내에서 이자크를 미워하는 반대 세력이 꽤나 존재함. 집사, 혹은 마술사로도 많이 불린다. 와인을 굉장히 좋아하며 가히 와인 중독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님, 또 언제나 시거를 피우고 있다. 카테리나에게 "똑똑히 기억해 둬라, 여자는 수다스러운 남자를 싫어하는 법이다."라는 말을 들은 전적이 있다. 섀도우(Shadow - 그림자) - 웜홀을 이용해 어느 장소든 자유롭게 이동하는 이자크의 능력, 이것을 이용해 샤텐 코호르트나 인조 정령들도 소환 가능. 무기 샤텐 코호르트(影鬼) - 이자크가 만들어낸 인조 생명체. 이 생명체들은 인조 난쟁이(쿤스트리히 츠베르그)라고 불리며, 마치 양서류를 연상시키는 외모에 키가 작고 전신이 칠흑같이 검은색이다. 식탐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엄청나서 목표물을 뼈 하나도 남기지 않고 산채로 잡아 뜯어먹는다. 소환 주문 : 자자스 자자스 나사타나다 자자스(이것을 4번 반복), 열려라 열려라 지옥의 문이여. 인조 정령(쿤스트리히 가이스트) - 샤텐 코호르트와 마찬가지로 이자크가 만들어 낸 인조 생명체들, 이것들 역시 어떤 원리로 만들어지는지는 불명이며 조종 역시 초고밀도 마이크로 머신으로 조종된다. 이자크는 이것들을 귀여워하면서 애완동물이라고 소개하지만 그 본모습은 절대적으로 애완동물이라 불릴 수 없을 정도로 혐오스럽다. . 바람의 정령(風情) - 질피테 : 직경 30미터 정도 되는 거대한 갓과 무색투명한 몸을 지녔다. 모습은 마치 거대하고 징그러운 해파리를 연상시키며 갓에서는 무수한 촉수가 뻗어나온다. 촉수 정중앙에 달린 입에 달린 날카로운 이빨로 상대를 물어뜯어 피를 빨아먹는다. 촉수는 잘려나가도 30분동안이나 상대에게 달라붙으며 공격할 정도로 끈질기다. 모티브는 바람의 정령인 '실프' . 땅의 정령(地情) - 그놈 : 덩치 큰 사람과 비슷한 정도의 크기의 거대한 지렁이, 땅속에 잠복한채 고속 이동을 하며 순식간에 먹이를 낚아 채 땅속으로 끌고 들어간다. 모티브는 땅의 정령인 '노옴' . 불의 정령(火情) - 잘라멘데르 : 점액균 형태의 원형질을 기본으로 되어 있으며 그 형태는 마치 인간의 내장처럼 보인다. 길이는 직경 3 cm 정도이지만 살갗인지 젤라틴인지 알 수 없는, 강한 염산을 지닌 몸을 촉수처럼 늘려 상대를 잡아 흡수한 다음 몸을 급격하게 거대화시킨다. 이 인조 정령에 붙어 있는 점액균은 강한 산성으로 물체를 불태우며 이것으로 허족을 만들어 움직이거나 공격을 한다. 모티브는 불의 정령인 '살라맨더' . 물의 정령(水情) - 운디네 : 겉보기엔 보석처럼 빛나는 자그마하고 귀여운 물고기이지만, 보이는 것과는 정반대로 상당히 날카로운 송곳니를 가진 잔인성 넘치는 인조 정령들이다. 자신보다 더 큰 생명체에게 잡아먹혀도 엄청난 속도로 그 생명체를 몸속에서부터 갉아먹는다. 모티브는 물의 정령인 '운디네' 기술 벨제부브의 검 - 단분자 와이어(모노 카본파이버)로 탄소C60분자 다중쌍성입자를 소재로 한 가늘고 세계에서 가장 강한 탄소섬유. 열엔 약하지만 그 예리함은 다이아몬드조차 일격에 두 동강 낼 정도의 날카로움을 지녔다. 발동 주문 : 프로 마우 융게스, 오비코 마우 텔레타르카에, 에피 데크샤크시포스 에바리스테라 아에기스페토 엘 가르 페리 마우 오스테르 톤 펜타카르 엔티 스타레이 오 아스테프 톤 에크세테크.......... 와라, 벨제부브의 검~!(나의 옆에는 융게스, 나의 뒤에는 텔레타르카에, 오른손에 검, 왼손에 방패, 내 주위에 오망성이 빛나고 돌 속에는 육망성이 존재할지어니.......... 와라, 벨제부브의 검~!) 아스모데우스의 방패 - 강전자장을 이용해 상대의 기술을 방어하는 기술, 전류나 전파 계통은 완벽하게 차단시키고, 날아오는 탄환을 180도 돌려 반사시키거나 적이 가하는 공격을 막아내는 것이 가능하다. 배리얼의 화살 - 전자 가속포(양팔에 강력한 자기를 띤 자기철을 이용해 레일 건의 원리처럼 초가속상태로 들어간 하전입자탄환을 날리는 구 문명의 로스트 테크놀로지)를 발사하는 기술로, 거대 전함의 주포에 맞먹는 위력을 지녔다. 발동 주문 : 나 그대를 소환하노라, 무시무시한 불꽃의 왕이여, 적의를 띤 천사, 아무런 가치도 없는 자, 약한 자, 비겁한 자, 사악한 자, 령이 없는 곳에 살아가는 자여, 내 마음은 그대를 통해 세계를 아노라, 그대 스스로 태어나 스스로 자라난 어둠의 왕, 나에게 힘을 빌려주시오...... 와라, 배리얼의 화살~! 마몬의 철퇴 - 적의 주위로 압전소자의 미립자를 뿌리는 기술, 적의 주위로 뿌려진 이 기술은 적이 내뿜는 전격계 기술을 소밀파로 변환시켜 적에게 다시 반사시킨다. 이자크가 아벨의 크레스니크 02의 힘에게 대항하기 위해 만들어낸 기술. 발동 주문 : 발밑을 바라보는 자, 강대한 불멸의 화염과도 같은 자, 나는 그, 그리고 진리, 나는 그, 그리고 세계의 선(善)을 증오하는 자, 나는 그, 그리고 세계의 재앙, 뱀을 휘감은 심장이야말로 나의 이름, 그대여, 와서 나를 따르시오, 모든 령이여, 나에게 복종하라, 모든 하늘의 영지, 영인의 영, 그리고 신의 저주와 천벌마저도 내 뜻대로 움직일지어니, 이아오 사바오 반........ 와라, 마몬의 철퇴~! 디트리히 폰 로엔그린(Dietrich Von Lohengrin) 성우 : 스즈무라 겐이치 / 홍범기 칭호는 '인형술사' (마리오네트 텐슈비라 / Marionet Tenspieler). 위계 서열은 '마기스텔 템프리'(8=3 : 신전의 수령) 에스텔과 함께 이슈트반에서 레지스탕스 활동을 했던 게르마닉스 출신의 청년이지만, 그 정체는 로젠크로이츠 올덴의 일원으로 에스텔과 헝가리안 공 줄라를 이용해 '탄식의 별' 사건을 일으켜 교황청과 진인류제국과의 전쟁을 획책하였다. 하지만 아벨에 의해 저지당한다. 에스텔을 ‘이상론을 좋아하는 어리석은 계집애’라고 부르며 강한 집착을 보이고 있다. 또 아벨에 대해서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카인으로부터 자초지종을 들은 것 같고 “아벨의 태생이나 그도 세계의 적이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라는 말을 했다). 남자답지 않게 너무나도 아름다운 외모를 지녔다, 하지만 성격은 천사같은 외모와는 정반대로 사악하기 그지 없는 악마. 자신 이외의 모든 것들을 장난감 인형으로밖에 생각하지 않을 정도로 무자비하며 달콤한 말로 에스텔을 두 번이나 속였고, 남의 행복이나 희망을 철저하게 짓밟아버리는 것을 즐긴다. 게르마닉스 지방 귀족의 자제로 7살 때 자신의 아버지를 교묘하게 암살한 후, 자신의 영주 자리에 올랐었다. 올덴 내에서 이자크와 친함 전뇌조율사(프로그래머)로써의 실력이 엄청남, 올덴 내에선 최고의 실력이며 '탄식의 별' 시스템을 해킹해 싹 고쳐버리거나 교황청의 핵폭탄을 저지하기 위해 세스가 발동시킨 진인류제국의 '방주' 프로그램에 순식간에 침입해 주 정보를 해킹한 후 조종할 정도의 놀라운 실력을 지녔다. 후에 신학대전에서 카테리나와 트레스 이쿠스가 올덴에 허위로 입단한 것을 의심하나, 카테리나에게 카인에 대한 진의를 설득당한 후, 올덴에서 반란을 일으킨다. 헬가 폰 포겔바이데(Helga von Vorgelwiede) 칭호는 '얼음의 마녀' (아이스 헥셰 / Eis Hexe). 위계 서열은 '마기스텔 템프리'(8=3 : 신전의 수령) 실제 나이는 60대 후반이며 외견 상 나이는 20대 중후반으로 보임 지금은 게르마닉스 공국에 의해 병합되어 사라진 오스트마르크 공국의 과학자 출신. 그녀의 본거지인 '마녀의 탑'은 본래 구시대에 쓰이던 전파 중계 시설이었으며, 이것을 발견한 오스트마르크 공국이 수복작업을 착수한 직후 게르마닉스 공국의 침략을 받아 완전히 붕괴된다. 전후 혼란으로 인해 탑에 대한 모든 기록은 말소되었지만, 수복작업을 지휘했던 헬가는 올덴에 가입한 후 '얼음의 마녀' 의 칭호를 얻은 후 올덴의 힘과 권력을 빌어 탑을 완전히 복구시킨 뒤 자신의 거주지로 삼았다. 카인의 위험한 면의 매력에 홀려 카인을 광적으로 짝사랑하고 있으며, 그런 이유로 카인의 가장 큰 총애를 받는 이자크를 극도로 증오하여 그를 몰락시키기 위해 노이만 3형제와 손을 잡고 이자크를 궁지로 몰아가나 이자크는 이미 그들의 계략을 손바닥처럼 내려다보고 있었으며 도리어 그녀는 이자크의 샤텐 코호르트(影鬼 :영귀)에게 먹혀 죽임을 당한다. 표면적으로는 옛 오스트마르크 공국의 백작부인 행세를 하고 있으며 교황청 홍보부의 안토니오에게 접근한 적이 있다. 무기 맥스웰의 마법 지팡이 : 구 문명인 '로스트 테크놀로지'의 산물, 아름다운 푸른빛 크리스탈이 박힌 작은 지팡이의 모습을 한 일종의 '레이저 냉각기'이다. 전투방식으로는 '자기 냉각'과 '레이저 냉각'이 있으며, '자기 냉각'은 주위의 공기를 초밀도로 압축시켜 온도를 극한으로 낮춰 다이아몬드 이상의 경도를 지닌 얼음으로 바꾸는 것이고 '레이저 냉각'은 표적이 된 곳을 완전히 얼려 봉인시켜버리는 기술이다. 빈터 프라우(겨울의 아가씨) : 헬가가 부리는 인조정령(쿤스트리히 가이스트). 겉보기엔 그저 투명한 빛깔의 물처럼 보이지만, 빙핵 억제 단백질을 주입시켜 영하 120도까지 동결되지 않도록 만든 과냉각수에 분자 유도 극미소 기계(마이크로 머신)를 섞은 '살아 있는 물'이다. 인조정령은 이자크의 메인 무기이지만 헬가는 자신의 것이 훨씬 더 아름답다고 우기고 있다. 아벨과의 접전에서 아메바처럼 달려들어 아벨을 고전시켰다. 발타자르 폰 노이만(Balthasar Von Neumann) 칭호는 '독룡(毒龍)의 왕' (바실리스크 / Basilisk) 위계 서열은 아데프타스 에크젠타스(7=4 : 귀인) 로젠크로이츠 올덴의 간부 중, 유일한 형제 간부인 노이만 3형제의 장남. 인류권에서 태연하게 활동하고 있는 몇 안되는 뱀파이어 중 한 명. 올덴 내에서도 이자크가 인정할 정도로 계략에 능하며, 천재적인 솜씨로 늘 작전을 성공시킨다. 현재 인류권에선 꽤 유명한 지휘자로 활동 중이다. 헬가와는 꽤 오래전부터 아는 사이로 보임. 헬가와 똑같이 이자크를 증오함, 자신의 동생들과 같이 헬가와 손을 잡고 "버드 케이지" 계획을 발동, Ax와 이자크를 궁지로 몰아가나 결국 계획을 손바닥 뒤집듯 엎어버린 이자크에게 죽는다. 기술 바실리스크(Basilisk / 뱀의 왕) : 발타자르의 칭호이자 특수 능력. 발타자르의 손에는, 닿은 물체를 삽시간에 석화(石化)시켜 버리는 단백질 결정화 효소가 분비되고 있으며, 이 효소에 닿으면 차갑게 돌로 굳어 죽음을 맞이한다. 모티브는 신화에서 나온, 보기만 해도 사람을 죽일 수 있는 눈을 가졌다는 뱀들의 왕 '바실리스크'이다. 멜키오르 폰 노이만(Melchior von Neumann) 칭호는 '꼭두각시(傀儡)의 왕' (피그말리온 / Pygmailion) 위계 서열은 아데프타스 메이저(6=5 : 커다란 달인) 로젠크로이츠 올덴의 간부 중, 유일한 형제 간부인 노이만 3형제의 삼남. 짧게 자른 하늘색 빛깔의 머리, 도수 높아 보이는 동그란 안경, 자그마한 체구, 그리고 타인을 "댁"이라고 부르는 등, 전체적으로 굉장히 깐깐하고 삐뚤어진 인격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 역시 이자크를 몰아내기 위해 형제들과 같이 헬가와 손을 잡았으며, 이자크를 몰아내기 위한 계획의 초석으로 '버드 케이지'와 '퍼블릭 에너미' '아포칼립스 나우'에서 각각 레온 가르시아 디 아스튜리아스, 디트리히 폰 로엔그린, 트레스 이쿠스를 공격한다. 하지만 전투력이 얼마나 강한지는 불명. '아포칼립스 나우' 에서 레온, 트레스와 격렬한 전투를 벌이다가 결국 트레스에 의해 죽는다. 기술 그렘린(Gremlins / 장난꾸러기 요정) : 멜키오르의 특수 능력. 자신이 만들어낸 모든 기계들을 살아 움직이게 하는 신비한 능력이며 이 능력으로 만든 기계 메이드 군단인 '지클린테'는 멜키오르의 가장 큰 저력이다. 모티브는 도시 전설에 등장하는, 기계를 고장내 사람들을 골탕먹인다는 요정 '그렘린'이다. 무기 지클린테 : 멜키오르가 만들어낸 최강의 기계 메이드 인형 군단, 자기 키보다 훨씬 더 커다랗고 위협적인 대검과, 상대방에게 달라붙어 움직임을 봉해버리는 검은 머리카락을 무기로 지닌 아름답지만 무시무시한 인형들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더 무서운 장점은 몇번이고 쓰러져도 금세 회복되어 다시 전투에 임하는 무시무시한 내구성과 재생력. '버드 케이지'에서의 전투 때 괴력만큼은 자신 있는 레온조차 애를 먹었다. 카스파르 폰 노이만(Kaspar Von Neumann) 칭호는 '백면(百面)의 왕' (푼게르트 게쉬히트 / Hundert Gesicht) 위계 서열은 아데프타스 메이저(6=5 : 커다란 달인) 로젠크로이츠 올덴의 간부 중, 유일한 형제 간부인 노이만 3형제의 차남 대머리에 우락부락한 근육질의 몸매를 지닌 건장한 남성, 하지만 남성이면서 잘생긴 남자를 밝히고 여성스러움을 추구하는 하드 게이이다. 늘 여성의 모습으로 변신하고 다니는 것이 취미. 그 역시 이자크를 몰아내기 위해 형제들과 같이 헬가와 손을 잡았으며, 이자크를 몰아내기 위한 계획의 초석으로 교황청의 성천사성(케루빔)에 변신을 하고 잠입해 올덴의 비밀을 몇 가지 알고 있는 부패 사제인 알폰소. 데스테와 그의 정보관리 담당인 인조인간 '케루빔'을 제거하려 하나 위그 도 바토에게 격퇴당한다. 하지만 이 싸움에서 그는 알폰소를 살해하고 윌리엄 월터 워즈워스에게 초 중상을 입히는 성과를 낸다. 자신의 얼굴에 흠집 내는 것을 제일 싫어하며, 실제로 '나이트 호스피털'에서는 성천사성의 싸움에서 자신의 얼굴에 상처를 입힌 윌리엄에게 원한을 품고 있다가 윌리엄이 입원한 병원까지 찾아가서, 병문안 온 카테리나와 윌리엄을 무섭도록 추적하여 괴롭힌다. 하지만 결국 같이 병문안 온 카야 쇼카에게 죽임당한다. 기술 도플갱어(Poplheganger / 또 다른 자신) : 카스파르의 특수 능력. 자신의 체내에 있는 모든 세포의 형태를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는 능력, 이 능력을 사용하면 카스파르는 어린아이에서부터 성인, 학생, 노인 등 수 만가지의 모습으로 변신이 가능하다. 지문은 물론, 망막이나 기억, 성격까지 똑같이 변신할 수 있으며 아예 모르는 가상의 인물로 변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티브는 이 세계에 또 다른 자신이 존재한다는 설인 '도플갱어' 이다. 쉬잔느 폴 스콜체니(Suzanne Von Skorzeny) 칭호는 '붉은 남작부인'(로테 바로닌 / Rote Baronin) 위계 서열은 아데프타스 마이너(5=6 : 작은 달인) 작가의 사망으로 국내에 미발행된 [R.A.M - 라디오 헤드]에서 첫 등장한다. [R.O.M - 장미 옥좌 / 가시 면류관] 편에서도 등장한다. 올덴의 저공 특수 함정인 <붉은 남작>의 선장 Ax의 케이트 스코트처럼 컴퓨터에 뇌가 이식된 존재로 추정. 아이언 메이든보다 더 정교하고 강한 기능을 갖추고 있지만, 한 순간의 방심으로 인해 결국 아이언 메이든의 미사일에 맞아 격추당한다. 구데리안(Guderian) 칭호는 '송곳니의 권속'(라이스찬 / Reibzahn) 위계 서열은 불명 이자크의 개인 호위병, 이자크가 잠시 바깥에 돌아다닐 때마다 늘 그의 곁에 붙어서 그를 호위한다. 희미한 금색이 감도는 부스스한 은발에 음침한 눈을 언제나 내리깔고 있는 남성. 알비온 왕국[편집] 메리 스펜서 성우 : 박경혜 칼슬레 자작. 알비온 해군 해병대 대령. 알비온을 방문한 에스델과 알렉산데르 18세의 호위를 맡는다. ‘블러드 메리’라 불리는 냉혹한 군인으로, 길버트 왕세자의 애인 해리엇이 낳은 서자(에스텔과는 이복 자매)라는 이유만으로 알비온을 지배하는 ‘26공가’로부터 온갖 더러운 일이나 가혹한 임무를 떠맡고 있었다. 할머니인 여왕 브리짓 2세의 건강이 위독해지자 다음 왕위에 오르기 위해 교황청과 밀약을 맺고 26공가의 말살 등의 음모를 꾸미고 있었지만 실패, 기사단의 개입하에 ‘안개의 밤’ 사건을 일으키고, 최후엔 에스텔을 감싸려다 카인에게 살해당한다. 이름의 유래는 메리 1세이다. 덧붙여 그녀의 이복 여동생은 에스텔(에스더)의 모델인 엘리자베스 1세이다. 제인 주디스 조슬린 에린 공. 알비온 해군 중위. 국가 재정 부위원장. 자유당 원내 간사. 왕국 귀족원 종신 위원. 에린 최대의 복합 기업인 조슬린 콘체른의 총수. 알비온 여왕 브리짓 2세의 조카로 명실상부한 알비온 최고의 대귀족이자 대부호이다. ‘캐러미티 제인(재앙을 부르는 제인)’이라 불리는 여인으로, 교회를 싫어하기로 유명한 데다가 불순 이성 교제, 동성애, 난교 파티, 약물 복용 등 사생활 면에서도 스캔들이 많기로 유명하다. 그러나 눈부신 공적을 수없이 많이 쌓아올렸으며 문예 후원 사업으로도 유명하다. 에스텔을 보고 첫눈에 반하였으며 종종 그녀를 유혹하려고 드나 번번이 실패하고 만다. 버질 월시 성우 : 마츠모토 야스노리 / 김광국 맨체스터 백작. 지하도시 ‘게토(격리지구)’에 숨어 사는 흡혈귀들의 대표. 바네사 월시 성우 : 기무라 아키코 / 안영미 버질의 여동생. 게토의 독립을 주창하는 과격파의 리더격. 그 외[편집] 알렉산데르 18세 성우 : 후지타 요시노리 / 최승훈 제399대 교황. 전임 교황 그레고리오 30세와 로마 최고의 명문 집안 콜론나 가문의 딸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콘클라베에서 자신의 이복 남매인 프란체스코와 카테리나에 의해 옹립된 꼭두각시로, 인류권에서의 최고 권력자라는 자리에 있으면서도 겁이 많고 몸도 연약한 소년. 그렇지만, Ax나 에스텔과의 교류와 인간과 흡혈귀 간의 대립 양상을 보면서 조금씩 성장하고 있다. 알폰소 데스테 성우 : 다니구치 다카시 / 김태훈 쾰른 대주교→신(新) 교황청의 교황. 전임 교황 그레고리오 30세의 동생이자 측근이었지만 전임 교황 사후 열린 콘클라베에서 알렉산데르(를 옹립한 배다른 남매)에게 패하여 좌천되고 말았다. 현 교황청 상층부를 일소하고자 장미십자기사단의 지원을 받아 ‘침묵의 목소리’ 사건을 일으킨다. 그 후 스스로 교황을 참칭하며 신 교황청(노이에 바티칸)을 건국하기 위해 봉기를 일으키지만 실패, 도주 끝에 체포된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침묵의 목소리 사건 때 들통나 체포당한다. 안토니오 보르히아 《R.O.M》에서는 교황청 홍보성성 장관. 《R.A.M》 첫 등장시에는 대학생이었지만 불과 2, 3년 만에 추기경직에 오른다. 장발로 경박한 외모와 언동과는 반대로, 천재적인 두뇌를 지닌 책사. 히스파니아 왕국의 명문 귀족 출신이라고 하는 배경과 재능, 신 교황청 사건 해결로 공적을 쌓아 교황청 내에서 계속해서 승진을 거듭하고 있다. 정치적으로는 프란체스코와 가까운 위치에 있으면서도 카테리나와도 가까이 지내는 등 인간관계를 빈틈없이 하고 있다. 카렐 판 델 벨프 성우 : 가시이 쇼토 / 시영준 "네 백작 중 하나, 암스테르담 백작. 조작의 넘버 2로 무투 파인 흡혈귀. 암스테르담 시내의 구교회에서 일어났던 신부살해사건으로 다른 "네 백작"에게서 서툰 솜씨를 비난당해 명예회복을 위해 사건의 유일한 생존자인 시스터 아그네스를 납치하려 했다. 그때 동생 피텔을 살해한 위그도 잡아들이지만, 아그네스의 재빠른 상황판단과 움직임으로 역습을 당한다. 10년 전 바드가 습격사건에 대해서 위그의 심문을 받던 도중에 가면 쓴 인물이 쏜 화살에 목숨을 잃는다. 피텔 성우 : 김영찬 암스테르담 백작 카렐 판 델 벨프의 동생. 시내에서 일어났던 구교회 사건의 생존자이며 아그네스를 유괴하려 하다 위그에게 목이 잘리고 말았다. 형과는 다르게 일견, 도시 귀족풍의 멋쟁이지만, 아그네스에게 괴물이자 불리자 잔혹한 정체를 들어낸, 똑같은 성격이라 할 수 있다. 아그네스 성우 : 쿠와시마 호코 / 김현지 암스테르담의 수녀. 구교회 사건에서 살아남은 단 한명으로, 암스테르담 백작 카렐 판 델 베르프에게 납치당한다. 부친은 바트 가문에 있던 기사였지만, 그녀가 5세 때 바트 가문이 습격을 당했고 양친도 휩쓸려 사망했다. 그 후 구교회에 맡겨지지만 사건으로 인해 다시 천애고아가 되어버린 비극적인 소녀이다. 조사에 파견된 위그와 함께 네 백작을 쫓지만, 반격을 받아 결국 위그의 복수를 끝까지 지켜보게 된다. 쥴라 카다르 성우 : 노무라 겐지 / 시영준 제국과 인류권의 틈, 이슈트반을 지배한 장생종. 헝가리아 후작. 제국에 대한 예를 취하면서도 신하로서 따르지는 않은 어디까지나 독립된 국가의 군주였다. 원래 그는 헝가리아 공작가에 전해져 온 전력중계위성 ‘탄식의 별’을 복구시켜 마을을 도우려고 한 선의를 가지고 있었으나 전뇌조율사였던 아내가 살해당한 일로 교회와 마을 주민들에게 복수심을 품게 되었다. 그 때문에 기사단과 손을 잡고 그 협력을 얻어 ‘탄식의 별’을 공격 위성으로서 복구시켜 별을 으뜸패로 삼아 교황청에 도전했다. 하지만 협력자로 여기고 있던 디트리히의 배신으로 계획은 실패, 그 자신도 아벨과의 싸움으로 중상을 입는다. 그 후 복수를 원했던 에스텔에게 자신을 죽여달라고 하지만, 복수를 해도 아무도 살아돌아오지 않는다며 에스텔은 이를 거절한다. 노킨 라드칸의 화살로부터 에스텔을 감싸고 에스텔의 품 안에서 목숨을 잃는다. 릴리스 사르 성우 : 고바야시 미사 / 김현지 붉은 머리카락에 갈색 피부와 금색의 눈동자를 지닌 미녀. 아벨과는 깊은 관계를 가진 인물로 여겨지나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웬디 성우 : 타무라 유카리 / 이소은 네버랜드 섬에 사는 아이들의 리더인 소녀. 그 정체는, 섬의 주인인 제임스 베리에 의해 인공적으로 전향된 "요정"으로 실험작 중에서 가장 성공적인 케이스이다. 또한 "팅커벨 시스템"의 열쇠라 할 수 있는 존재로서 스스로를 의지를 이용해 다른 요정들을 움직일 수 있다. 레온에게 쓰러지게 되지만, 피터의 간청과 아벨의 지력으로 목숨을 구하고, "요정"인 아이들 전원과 함께 비밀리에 제국으로 보내진다. 피터 성우 : 구기미야 리에 / 여민정 네버랜드에 사는 아이들 중 하나. "인위적 전향"의 "실패작"이며, 자신을 도와 준 "성공예"인 웬디를 좋아하고 있다. 그녀를 지켜주기 위해 어른이 되는 것을 바라지만, 붙잡혔던 아벨을 도망치게 해 주려다가 웬디에게 공격당하고 말았다. 그럼에도 마지막까지 그녀를 감싸며, 그녀를 죽이려드는 레온에게 간원하여 목숨을 구했다. 안젤리카 성우 : 김현지 론디니움 격리지구(게토)에서 알렉산드로가 만났던 장생종 소녀. 원래는 보헤미아 근처의 숲에서 가족들과 함께 살았었지만, 눈 앞에서 가족들이 참살당한 이후 말을 잃어버렸다. 앨리스 워즈마이어 성우 : 카와카미 토모코 / 정선혜 아벨이 만난 인간 소녀, 텔레파시 능력으로 타인의 감정과 기억을 조작가능한 특수 능력자, 즉 '마녀'. 자신의 능력 때문에 부모가 자신을 죽이려 했으며 가는 곳마다 늘 능력 때문에 집단 학살이 일어나는 바람에, 이젠 세상 자체를 믿을 수 없게 되었다. 하지만 아벨과 트레스를 만나 사건에 휘말린 후 달라진다. 세계관[편집] 교황청(바티칸)[편집] 로마 교황청을 계승한 범인류기관. 암흑 시대에 흡혈귀에 대항해 저항한 유일한 조직이었던 덕분에 ‘인류의 수호자’로 자리 매김하였으며, 그 후 출현한 흑성녀 등의 성인들의 힘을 빌려 흡혈귀들을 동구 지역으로 쫓아버리는 데에 성공했으며, 그 후 인류 사회의 기수로서 초강대국적인 존재가 된다. 그러나 근래에는 흡혈귀의 위협이 희미해져가는 데다가 세속 제후로 불리는 각국이 국력을 향상시키고 있기 때문에 그 영향력은 약해져가고 있고, 또 내부에서도 부패나 구습의 경직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 때문에 젊은 성직자들 사이에서는 급진적인 주장이 터져나오고 있는 경우가 많다. 교회로서의 측면보다는 행정기관적인 성격이 강하고, 또 교황이나 추기경 등 고위 성직자의 설정은 성직자라기보다는 정치가에 가깝다. 작중에서는 가톨릭만이 정당한 종교로서 인류권전체에서 신앙되고있으며 이슬람교,유대교는 당연히, 프로테스탄트등의 그리스도교의 파들도 이단으로 취급되고있다. 중세시대, 십자군을 일으킬 무렵의 교황청을 본따서 설정한 듯. 교황청령[편집] 본작품의 교황청은 초국가적인 조직일 뿐 아니라 ‘성도(聖都)’라고 불리는 본거지 로마를 중심으로 한 광대한 지역을 지배하는 국가라는 성격도 가지고 있다. 교황청이 직접 통치하고 있는 지역은 오늘날의 이탈리아와 스위스,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R.O.M》 이후부터는 헝가리가 추가된다)이다. 국무성성[편집] 실제로 존재하는 국무원을 모델로 하고 있다. 외교와 각 교구의 연락을 담당하는 부서, 말하자면 교황청의 ‘국가’로서의 측면을 대표하고 있다. 세속제후국의 외무부에 해당하며, 뉘앙스적으로는 미국 국무부에 가깝다. 교리성성[편집] 실제로 존재하는 신앙교리성을 모델로 하고 있다. 종교 문제를 다루는 교리성에 교황청령의 내정을 담당하는 내무성으로서의 기능이 더해졌으며, 군사원, 이단심문국, 특무경찰 등을 산하에 두고 있다. 교황청의 ‘초국가 기관’으로서의 측면을 대표하고 있어, 국무성성과는 전통적으로 사이가 나쁘다. 홍보성성[편집] 실제로 존재하는 인류복음화성을 모델로 하고 있다. 교황청의 대내외적인 홍보와 정보 수집 및 선전을 담당하는 부서. 성보인정국[편집] 본래는 성유물의 감정을 실시하는 예부성의 부서 가운데 하나이지만, 본작품에서는 로스트 테크놀로지를 발굴 및 복원하는 최첨단 기술 연구소로 설정되어 있다. 교회군[편집] 교황청이 보유하고 있는 독자적인 군사력. 과거엔 가끔 제국을 향해 십자군을 일으켰으며, 지금도 교황청에 반항적인 세속 제후나 자유 도시에게는 이단심문이란 이름 아래 선전포고하기도 한다. 현재 총사령관은 교리성성 장관 프란체스코. (* 실제 중세의 교회군은 당시의 풍습에 따라 용병이 중심이었다. 현재도 실제의 교황청과 바티칸을 수비하는 것은 스위스 출신의 용병대.) 로젠크로이츠 올덴(장미십자 기사단)[편집] 통칭 ‘세계의 적(콘트라 문디)’이라고 불리는 비밀결사단체. 라틴어로 ‘우리들의 불꽃에 의해 세계를 갱신하리라(Igne natura renovatur integra)’라는 슬로건 아래에서 각지에서 테러 행위를 저지르고 있다. 본래는 게르마닉스의 작은 이단 결사였지만, 카인과 이자크에게 흡수당한 이후 테러 조직으로 급성장했다. 그러나, 범죄 네트워크의 관리자라는 성격을 띠고 있어 정식으로 자신들의 실체를 드러내지 않기 때문에, 그 존재를 아는 사람은 드물다. 테러 집단이긴 하지만, 일종의 조직이기 때문에 엄연히 위계 서열이 성립되어 있다. 위계 서열 10=1 - 이프시시마스(궁극자 ex) - 카인 나이트로드) 9=2 - 메이가스(마술사 ex) - 이자크 페르난도 폰 캠퍼) 8=3 - 마기스텔 템프리(신전의 수령 ex) - 디트리히 폰 로엔그린 / 헬가 폰 포겔바이데) 7=4 - 아데프타스 에크젠타스(귀인 ex) - 발타자르 폰 노이만) 6=5 - 아데프타스 메이저(커다란 달인 ex) - 멜키오르 폰 노이만 / 카스파르 폰 노이만) 5=6 - 아데프타스 마이너(작은 달인 ex) - 라드 발본 / 쉬잔느 폰 스콜체니) 4=7 - 필로소파스(철학자) 3=8 - 프라크티카스(실천하는 자) 2=9 - 제레타(신앙자) 1=10 - 니오파이트(침입자) 이름의 유래는 장미십자단(로젠 크로이츠). 진 인류 제국(眞 人類 帝國 / 츠아라 메투셀토)[편집] 동유럽 및 중동에 걸쳐 건국된 본작품 중 유일하게 흡혈귀(장생종)로 구성된 비(非) 인류권 국가. 작중의 지도를 보면 국토는 다른 나라들을 무색할 만큼 매우 광범위하여 현재의 터키를 중심으로 그리스, 불가리아, 루마니아, 몰도바, 우크라이나, 키프로스, 시리아, 레바논, 이집트, 이란, 이라크 등을 아우르고 있다. 수도는 비잔티움. '메투셀라'(뱀파이어 / 장생종)가 '테란'(인간 / 단생종)을 지배하고 있지만, 지배하는 메투셀라의 수는 전인구의 1할에도 미치지 못한다. 작중의 설명에 의하면, 황제의 절대적인 권위 아래 두 종족이 공존하는 사회라고 되어 있다(제국 영주 지배 아래 있는 백성인 단생종은 황제에게 종속되어 있기에 그 신하인 장생종과는 본질적으로 평등하다고 여겨진다). 기본적으로는 실력주의이며, 단생종도 본인의 능력과 노력의 대가로 사민(士民)으로 등용될 수 있으므로, 그 점에서는 봉건적 가치관이 횡행하는 인류권보다 근대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절대적 권위의 상징인 황제가 없이는 성립될 수 없는 불완전한 시스템인 데다가 어디까지나 장생종이 더 뛰어난 종이라는 전제 아래 있기 때문에 인류권의 표준적인 가치관으로 봤을 때는 결코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다. 교황청과는 불구대천의 관계이며(애니메이션판에서는 냉전기의 미국과 소련과 같은 분위기), 약 800년 전에는 건국 이래 교황청의 십자군이라는 군대와 교전했었지만, 작중의 시대까지의 200년 정도는 대외적으로 침묵을 유지하고 있다. 본작품에서는 제정사회를 갖고 있는 유일한 국가이기 때문에, 흔히 ‘제국’이라고 하면 진인류 제국을 가리키는 말이다. 또, 언어는 인류권과는 체계가 완전히 다른 제국어가 통용되고 있다(원형은 루마니아어). 문화나 위치 설정은 오스만 제국을 방불케 하지만, 사회구조나 정치 시스템은 정복왕조의 것을 모델로 하고 있다. 세속제후국·독립도시국[편집] 알비온 왕국[편집] 현재의 영국에 위치하는 북쪽의 섬나라. 교황청의 지원 없이 부흥을 이룬 역사나 지정학적 조건 등 덕분에 교황청이나 다른 나라에 대한 독립 지향이 강하다. 정치체제나 문화, 생활수준은 산업 혁명기의 대영제국을 방불케 한다. 또, 아일랜드는 알비온에 합병되었다. 수도는 론디니움. 격리지구(게토) 에린(옛 아일랜드) 네버랜드 섬 스코틀랜드 잉글랜드 웨일스 게르마닉스 왕국[편집] 현재의 독일에 위치하는 신흥군사국가. 최근 들어 급속히 공업화와 군비 증강을 추진하여 오스트마르크 공국을 침략해 병합하는 등 영토 확장 노선을 보이고 있어 각국으로부터 경계대상이 되고 있다. 수도는 유버 베를린. ‘로젠크로이츠 올덴’의 발상지로, 그 세력이 국가의 중추에 비집고 들어가 있어 국왕마저 함부로 손을 댈 수 없다. 게르마닉스 왕국 어딘가에 로젠크로이츠 올덴의 본거지인 '탑'이 존재한다. 모델은 독일 제국 및 나치 독일이라고 생각된다. 오스트마르크 공국 현재의 오스트리아에 위치하는 국가였으나, 작중 연대보다 수십 년 전에 게르마닉스에 병합되었다. 히스파니아 왕국[편집] 현재의 에스파냐, 포르투갈, 모로코를 아우르는 나라. 봉건적인 정책을 채택하고 있어 교황청과도 관계가 깊다. 수도는 세비야. 《R.O.M》에서는 ‘침묵의 소리’ 사건으로 멸망한 이웃나라 카탈루냐를 병합하였다. 카탈루냐 공국 프랑크 왕국[편집] 현재의 프랑스에 위치하는 농업국가. 알비온, 게르마니쿠스, 히스파니아와 더불어 ‘네 왕국’이라고 불리고 있지만, 브르타뉴 반도가 수몰하는 등 북부 지역은 황폐화된 상태다. 때문에 다른 세 나라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국력이 약한 편에 속한다. 수도는 마살리아. 보헤미아 공국[편집] 현재의 체코와 슬로바키아를 아우르는 나라. 수도 프라하를 비롯한 서부 지역은 나날이 발전해가고 있지만, 제국과 인접한 중부나 동부 지역은 궁핍하여 이단파나 무장 봉기가 자주 발생한다. 제1차 보헤미아 전쟁 제2차 보헤미아 전쟁 자유도시 이슈트반[편집] 현재의 헝가리에 위치한 독립 도시 국가. 공식적으로는 시의회가 정치를 맡고 있지만 실상은 흡혈귀인 헝가리아 후작 쥴라 카다르의 지배 아래 놓여있으며, 시경군 등 각 정부기관 역시 그의 꼭두각시가 되어 있었다. 지정학적으로 교황청령과 진인류 제국 간의 경계에 위치해 있어, 인류권에 있으면서도 흡혈귀가 지배하는 이중성 때문에 양국의 완충지대로 있어왔기 때문에 교황청도 그저 방관하기만 할 뿐이었다. 도나우 강을 끼고 서지구(부다)가 줄라의 영지, 동지구(페스트)가 인간들의 거주지로 되어 있었다. 명칭은 이슈트반 1세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작중에서는 암흑 시대에 이 마을을 부흥시킨 성인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되어 있다(아마도 쥴라의 선조). 피의 언덕 이슈트반 시경군 마차시 성당 자유도시 카르타고[편집] 현재의 튀니지에 위치하는 독립 도시 국가. 지중해 무역의 요충지이며, 제국과 인류권 간 삼각 무역의 거점으로 자리잡고 있다. 성녀 엘리사 4도시 동맹[편집] 현 베네룩스 3국(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에 위치하는 독립 도시 국가. 브뤼셀, 암스테르담, 안트베르펀, 브뤼헤를 중심으로 하는 상업도시의 연합체이며, 4도시의 귀족들로 구성된 정부와 그들을 지지하는 세습 관료 및 용병 귀족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경찰 조직을 지휘하던 용병 귀족 바토 가문이 멸족당한 이후로는, 암흑가를 지배하는 흡혈귀 씨족 4백작이 정치계에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다(애니메이션판에서는 완전하게 실효 지배되고 있다). *이 외에도 야기엘로 대공국, 마케도니아 후국, 발트 3국, 북부 제후국군이 존재한다. 용어[편집] 국무성성 특무분실 (Ax) ‘파견집행관’이라 불리는 에이전트를 파견하여 대외 문제 처리나 외교 공작을 실시하는 교황청 국무성성의 특무기관으로, 이단심문국의 관할지역에 접하지 않는 법위에서 흡혈귀에 의한 범죄나 반(反) 교황청 세력(이단파) 단속도 하고 있다. 그러나 그 실태는 카테리나가 기사단을 무너뜨리기 위해서 결성한 조직으로, 국무성성 장관 취임 이전부터 행동을 함께 해 온 아벨, 케이트, 워즈워스, 하벨이라는 ‘기사’들이 핵심을 담당하고 있다. 파견집행관 Ax의 특무 스탭. 각각의 능력이나 특징과 연관된 코드네임이 붙여져 있다. 공식적으로는 순회신부 등으로 가장하고 있기 때문에 라이벌인 이단심문관과 비교하면 공적인 입장은 낮다. 또 정식 성직자가 아닌 사람이 대부분이며, 카테리나의 사병이라는 측면이 강하다. 아이언 메이든호 Ax에 소속된 하얀 기체의 공중전함. 파견집행관의 이동이나 대함공격 등을 맡고 있다. 덧붙여 애니메이션판의 디자인은 십자가형이었다. 함장은 케이스 스코트. 교리성성 이단심문국 이단심문관이라 불리는 13명의 에이전트와 하부조직인 특무경찰국으로 구성된 교리성성의 실전 부대. 원래는 암흑 시대에 뛰어난 전투력과 깊은 신앙심을 갖춘 성직자들에게 흡혈귀 전문 전투 훈련을 실시한 것이 그 시초였지만 흡혈귀가 인류권에서 물러간 현재에는 교황청 영내의 치안 유지나 이단파의 숙청이 주된 임무가 되었다. 교황청의 전횡의 상징으로 세간으로부터 공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단심문관 이단심문국의 핵심을 담당하는 강화인간이나 기계화 보병 집단으로서, ‘교회의 송곳니’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흡혈귀(뱀파이어) 본작에서는 ‘대재앙’ 후에 갑자기 출현했다고 전해지는 이종지성체를 일컫는다. 고도의 문명을 갖고 있으며, 뛰어난 신체능력과 불로장수를 자랑하지만, ‘갈증’이라고 불리는 강한 흡혈 충동이 빈번하며, 햇빛(자외선)이나 은에 약한 것으로 알려져 인류에게는 괴물로서 두려움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 능력은 체내에 공생하는 바실루스 쿠드라크에서 나온다. 수명은 약 300세 정도로, 탄생시엔 아직 바실루스가 각성하지 않기 때문에 인간(단생종)과 똑같은 상태로, 나중에 성장하여 ‘각성’하게 된다(외관 연령은 각성시의 모습이며, 실제연령과는 다소 다른 경우가 많다). 기본적으로 야행성. 흡혈 충동은 바실루스의 영향으로 강한 빈혈 증상이 일어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인간의 피를 빤다’는 행위 자체는 어디까지나 철분 등을 보급하는 수단에 지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본작중의 연대에서는 ‘생명의 물’이라고 하는 혈액제재를 복용하는 방법이 일반화되어 있어, 특히 제국에서 흡혈은 야만스러운 행위로 간주되고 있다(물론, 혈액제재의 원료로서 인간의 혈액을 모으기는 한다). 바실루스 쿠드라크(용혈성간상세균군) 흡혈귀(장생종)의 체내에 생식하는 세균. 숙주에게 높은 신체 기능과 생명력, 송곳니 형성 등의 육체적 변화를 부여하는 대가로 혈액중의 적혈구를 파괴해 빈혈과 흡혈 충동을 가져온다. 또, 자외선을 받으면 폭주 증세를 보여 숙주의 몸을 파괴하며, 은 분자가 들어가면 활동이 정지되는 특징을 갖고 있어, 본작 중의 장생종을 흡혈귀로 불리게끔 하는 존재. 십자가나 성경, 마늘에는 약하지 않다. 또 바실루스가 인체에 적합한지 아닌지는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피를 빨린 인간이 전향(흡혈귀 화)하는 경우는 드물고, 또 흡혈귀의 태아도 적합하지 않은 경우 사산되기 때문에 출생률이 매우 낮다. 덧붙여서 쿠드라크란 슬라브 신화에 등장하는 흡혈귀로, 그 숙적이 크레스니크이다. 장생종(메투셀라) 흡혈귀들이 자기 종족을 일컫는 통칭. 작중에서 ‘흡혈귀’란 어디까지나 인류 측에서 붙인 명칭으로, 스스로를 뛰어난 신인류라고 생각하는 그들 자신이 자칭하는 경우는(인류권의 범죄자가 인간을 위압하기 위해 쓰는 경우 등을 제외하면) 거의 없다. ‘진인류’라는 뜻도 갖고 있으며, 암흑 시대에는 ‘귀환자’라고도 불리었다. 덧붙여서 메투셀라는 성서에 등장하는 ‘가장 장수한 인간’의 이름이다. 단생종(테란) 흡혈귀(장생종)들이 인류를 가리켜 일컫는 통칭. 자신들보다 단명하고, 무지한 존재라는 시각으로 붙여진 명칭으로 ‘열등종족’이라며 업신여기는 뜻이 담겨있는 경우가 많다. 테란을 직역하면 ‘지구인’으로, 암흑 시대에는 ‘잔류자’라고도 불리었다. 크레스니크 ‘흡혈귀의 피를 마시는 흡혈귀’라고 불리는 존재. 보통 쿠드라크가 기생하는 장생종들의 수명은 200~300년 정도지만 크레스니크의 수명은 영원불멸, 즉 죽지 않고 영원히 살며, 크레스니크는 흡혈귀조차 능가하는 뛰어난 전투력을 갖고 있다. 본 작품에 등장하는 크레스니크는 아벨, 세스, 카인 등 세 명이다. 나노머신 크레스니크 나이트로드 3남매의 체내에 들어 있지만(카인=01, 아벨=02, 세스=03), 카인은 다른 두 사람과는 달리 100% 융합되어 있다. 나노 머신으로, 흡혈귀(장생종)의 몸 속에 들어 있는 바실루스 쿠드라크를 섭취한다. 크레스니크 자체가 파괴적인 자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아벨은 자신도 카인처럼 될까 봐 두려워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갖고 있는 나노머신이 ‘대재앙’ 이전의 테크놀로지에서 개발되었다고는 보기 어렵고, 그 정체는 수수께끼이다. 마녀(Witch) 특수한 초능력을 지닌 단생종을 지칭하는 용어. 뱀파이어로서의 특수능력은 포함하지 않는다. 그 초능력은 셀 수도 없이 다양하며 이들이 이 능력을 가지게 된 이유는 대재앙 이전 스스로 유전자의 비밀을 해석하여 자유자재로 조종할 수 있었던 선조들의 피를 물려 받은 후손이기 때문. 이단 심문국의 무차별 사냥으로 인해 대외적으로는 거의 전멸했다고 보면 된다. 종류에 따라 물질투과 능력자인 '페이싱', 감정투시 능력자인 '엔파시', 의식조종 능력자인 '텔레파시' 등등 그 외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 심버 노토우 진 인류 제국에서 단생종 초능력자들을 지칭하는 말. 절멸지대(다크 랜드) ‘대 재앙’으로 생물이 사는 데에 적합하지 않게 된 지역. 본작에서는 유럽과 북아프리카 등을 제외한 지구상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강화인간(튠트) 강화병사라고도 한다. 본작에서는 약물 투여 등의 생체강화기술로 육체를 강화한 인간을 일컫는다. 베드로 등이 이것에 해당된다. 공중전함 무장을 갖춘 비행선. 탄식의 별 헝가리아 후작 가문에 전해져오는 로스트 테크놀로지. 본래 달 표면의 태양 발전 모듈에서 마이크로웨이브 형태로 전력을 수신하여 레이저광으로 지상으로 송전하는 전력 중계 인공위성이었지만, 쥴라와 디트리히에 의해 대출력 레이저로 지상을 공격하는 포격위성으로 전용된다. 사막의 천사(이블리스) 자유도시 카르타고의 ‘여왕의 묘소’ 지하에 설치되어 있던, 거대한 모래폭풍을 일으키는 기상 병기. 암흑 시대에 카르다고의 여왕 엘리사가 흡혈귀에 패해 카르타고가 점령당할 경우 적과 함께 도시 전체를 없애버리기 위해 만든 것이지만, 로젠크로이츠 올덴이 이온과 카테리나의 접촉을 저지하기 위해 복구시켰다. 호수의 검(엑스칼리버 시스템) 대기 중에 안개 형태의 미세한 콘덴서를 방출시켜 소립자를 병렬시킨 상태로 정광기를 충전해 필요한 양이 모인 순간, 그 모인 소립자들을 한 번에 직렬로 연결시켜 벼락 수준의 전압을 발사해, 목표 범위 내의 모든 것을 마이크로파로 태워버리는 다단식 충격 전압발생기로 만들어진 도시 공격 병기. 원작에서는 격리지구(게토) 내부의 유적 안에 잠들어 있던 것을 이자크가 작동시켜 그것을 메리에게 넘겨주고,‘안개의 밤’사건을 일으켜 론디니움에 막대한 피해를 안겨다주었다. 침묵의 소리(사일런트 노이즈) 로젠크로이츠 올덴이 개발한, 종소리와 건물간의 공진을 일으켜 목표 범위 내의 모든 건축물을 붕괴시키는 저주파 병기.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에 설치된 시험 제작기를 이자크가 작동시켜 바르셀로나가 괴멸, 또 바티칸 괴멸을 위해 알폰소 데스테의 도움으로 로마의 오벨리스크에 설치했지만 Ax가 이를 파괴하여 미수로 끝난다. 세계의 적(콘트라 문디) 본래는 성서나 신화에 나오는 ‘세계 파괴자’를 일컫는 말. 작중에서는 세계의 멸망을 도모하는 로젠크로이츠 올덴을 가리키는 말이지만, 디트리히나 이자크의 말을 빌리면 아벨 역시 이 이름으로 불리었다고 한다. 또, 에스텔은 카인의 힘이나 가치관을 보고‘이 세계의 모든 존재와 양립할 수 없는 세계의 적’이라는 것을 직감하였다. 작품 리스트[편집] 트리니티 블러드 R.A.M.[편집] 트리니티 블러드 Rage Against the Moons 1〈프롬 디 엠파이어〉 트리니티 블러드 Rage Against the Moons 2〈사일런트 노이즈〉 트리니티 블러드 Rage Against the Moons 3〈노 페이스〉 트리니티 블러드 Rage Against the Moons 4〈저지먼트 데이〉 트리니티 블러드 Rage Against the Moons 5〈버드 케이지〉 트리니티 블러드 Rage Against the Moons 6〈아포칼립스 나우〉(미완) 트리니티 블러드 R.O.M.[편집] 트리니티 블러드 Reborn on the Mars 1〈탄식의 별〉 트리니티 블러드 Reborn on the Mars 2〈열사의 천사〉 트리니티 블러드 Reborn on the Mars 3〈밤의 여제〉 트리니티 블러드 Reborn on the Mars 4〈성녀의 낙인〉 트리니티 블러드 Reborn on the Mars 5〈장미 옥좌〉 트리니티 블러드 Reborn on the Mars 6〈가시 면류관〉 트리니티 블러드 Reborn on the Mars 7〈오로라의 송곳니〉(미완) 설정집[편집] 트리니티 블러드 Canon 신학대전 외부 링크[편집] 공식 사이트 WOWOW 내 공식 사이트 반다이 채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트리니티_블러드&oldid=23755814" 분류: 가도카와 스니커 문고NT 노벨일본의 만화2005년 애니메이션일본의 애니메이션라이트 노벨의 애니메이션화 작품투니버스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PortuguêsРусскийTagalog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23일 (토) 07: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트리니티 블러드》(トリニティ·ブラッド)는 일본의 라이트 노벨. 작가는 故 요시다 스나오. 일러스트는 토레스 시바모토. 약어는 ‘트리브라(トリブラ)’.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트리니티 블러드 속의 교황청(바티칸)은 어떤 단체인가요? Assistant: 로마 교황청을 계승한 범인류기관. 암흑 시대에 흡혈귀에 대항해 저항한 유일한 조직이었던 덕분에 ‘인류의 수호자’로 자리 매김하였으며, 그 후 출현한 흑성녀 등의 성인들의 힘을 빌려 흡혈귀들을 동구 지역으로 쫓아버리는 데에 성공했으며, 그 후 인류 사회의 기수로서 초강대국적인 존재가 된다. 그러나 근래에는 흡혈귀의 위협이 희미해져가는 데다가 세속 제후로 불리는 각국이 국력을 향상시키고 있기 때문에 그 영향력은 약해져가고 있고, 또 내부에서도 부패나 구습의 경직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 때문에 젊은 성직자들 사이에서는 급진적인 주장이 터져나오고 있는 경우가 많다. 교회로서의 측면보다는 행정기관적인 성격이 강하고, 또 교황이나 추기경 등 고위 성직자의 설정은 성직자라기보다는 정치가에 가깝다.
Human: 아래 온에어_(드라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온에어 (드라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온에어 (드라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온에어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SBS 방송 기간 2008년 3월 5일 ~ 2008년 5월 15일 방송 시간 매주 수 · 목요일 밤 9시 55분 방송 분량 70분 방송 횟수 21부작 책임프로듀서 고흥식 프로듀서 윤하림 편집 박숭희 촬영 홍성길 제작자 김동경 연출 신우철, 진혁(15회 ~ ) 조연출 김가람, 최지영, 이우람 극본 김은숙 출연자 김하늘, 박용하, 이범수, 송윤아 외 음악 박세준 닫는 곡 FT아일랜드의 〈한가지 말〉 언어 한국어 외부 링크  온에어 공식 홈페이지 《온에어》 (On Air)는 드라마 PD와 작가, 연기자, 매니저 등 방송국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삶과 사랑 이야기를 다룬 SBS의 드라마이다. 목차 1 등장 인물 1.1 주요 인물 1.2 SW 엔터테인먼트 1.3 제작사 드림하우스 1.4 SBC 방송국 1.5 영은네 가족 1.6 경민네 가족 1.7 그 밖의 주변 인물 1.8 특별출연 1.9 그 밖의 인물 2 수상 3 시청률 4 결방 및 연장 5 이모저모 6 같이 보기 7 동시간대 경쟁작 8 각주 9 외부 링크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김하늘 : 오승아(26세) 역 - 톱스타 박용하 : 이경민(34세) 역 - 드라마 PD 이범수 : 장기준(36세) 역 - 張 엔터테인먼트 사장 송윤아 : 서영은(36세) 역 - 드라마 작가 SW 엔터테인먼트[편집] 이형철 : 진상우 역 - 사장 한예원 : 체리 역 - 신인배우 김성오 : 김성오 역 - 소속 매니저 제작사 드림하우스[편집] 홍지민 : 이혜경 역 - 사장 유서진 : 윤현수 역 - 제작 PD SBC 방송국[편집] 최상훈 : 강호상 역 - 제작부장 이원 : 권오석 역 - 조감독 이성민 : 송수철 역 - 드라마 PD 이달형 : 박봉식 역 - 조명감독 여호민 : 홍성규 역 - 촬영감독 김동균 : 노용철 역 - 드라마 PD 영은네 가족[편집] 박주아 : 박향자 역 - 영은의 어머니 신동우 : 김준희 역 - 영은의 아들 경민네 가족[편집] 이경진 : 곽옥심 역 - 경민의 어머니 성명 미상 : 이경호 역 - 경민의 형 성명 미상 : 이경미 역 - 경민의 여동생 그 밖의 주변 인물[편집] 이철민 : 김학선 역 - 학 엔터테인먼트 대표 강주형 : 안다정 역 - 영은의 보조작가 진성 : 이원 역 - 張 엔터테인먼트 소속 배우 지망생 임현성 : 김범래 역 - 張 엔터테인먼트 소속 배우 지망생 성우진 : 라석현 역 - 현수의 남편, 경민의 친구 리키 킴 : 에이든 리 - 모델이며 승아의 영어 선생 이채원 : 승아의 코디네이터 역 민서현 : 양소은 역 - 진사장 소속 자살한 여배우 강래연 : 임소영 역 - 관광청 부소장 장효진 : 추연우 역 - 승아와 연기대상 공동 수상한 배우 김도연 : 체리의 코디네이터 역 맹봉학 : 영화사 대표 역 특별출연[편집] FT아일랜드 : 1회, 본인들 역 - 시상식 입장 모습 서경석 : 1회, 본인 역 - 시상식 사회 윤현진 : 1회, 본인 역 - 시상식 사회 이효리 : 1회, 본인 역 - 시상식 공연 및 기준과 아는 사이 김기수 : 1회, 영은에게 춤을 가르치는 댄스강사 역 전도연 : 2회, 본인 역 윤기원 : 2회, 4회, 가짜 연예기획사 사기꾼 역 김희선 : 3회, 본인 역 (사진으로 등장) 박시연 : 3회, 영은의 작품 속 시연 역 이천희 : 3회, 영은의 작품 속 실장 역 전혜빈 : 3회, 영은의 작품 속 혜빈 역 김민준 : 4회, 본인 역 강혜정 : 5회, 12회, 본인 역 엄지원 : 5회, 엄지원 역 - 조금 무개념인 배우 이서진 : 9회, 본인 역 송창의 : 11회, 승아의 화장품 광고 상대배우 역 정찬우 : 13회, 점쟁이 역 신동욱 : 14회, ‘티켓 투 더 문’의 체리 동료의사 역 이동규 : 14회, 이동규 역 - 장애인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지적장애인 김제동 : 15회, 본인 역 - ‘티켓 투 더 문’ 제작발표회 사회자 김정은 : 16회, 본인 역 - 장대표가 영입하려는 배우, 초콜릿 녹화 현장 김성민 : 20회, 김성민 역 - 기준의 주도로 합병된 엔터테인먼트 공동대표 하인즈 워드 : 21회, 본인 역 - 에이든의 친구 윤세아 : 21회, 드라마 작가 역 - 경민이 함께 작품하려는 작가 그 밖의 인물[편집] 주성민 : 승아의 매니저 → 체리의 매니저 역 최영도 : 섭외 역 금호석 : 강해주 역 - FD 손화령 : 승아의 메이크업 아티스트 역 지일주 : 이효리의 매니저 역 서진욱 : 김대식 역 - SBC 감독, 승아 대신 대리수상할뻔한 감독 박팔영 : 이 감독 역 이승형 : 진사장이 승아에게 소개시킨 광고주 역 나재균 : 승아와 계약하려는 남자 역 정명준 : 승아와 계약하려는 남자 역 손선근 : S미디어 대표 역 - 승아와 계약하려는 남자 서지연 : 마스카라를 홍보하는 여자 역 김세인 : 차차 역 성인자 : 영은의 드라마가 재미없다는 여자 역 이정훈 : 기준을 인터뷰 하는 기자 역 민준현 : 빌려간 돈을 값지 않은 기준의 친구 역 오정원 : 승아의 헤어디자이너 역 기연호 : 극단 선생님 역 김선호 : 음식점 직원 역 최성조 : 승아의 헬스트레이너 역 반민정 : 은형 역 - 영은의 팬 설지윤 : 권 작가 역 - 드라마 '해녀 심청'의 작가 홍영자 : '티켓투더문' 속 은형의 할머니 역 김유라 : '티켓투더문' 속 은형의 고모 역 이영실 : '티켓투더문' 속 은형의 고모 역 홍승범 이승훈 : 강혜정의 매니저 역 정종렬 : 엄지원의 매니저 역 김태영 : 영은이 갔던 병원의 의사 역 이정성 : 승아와 기준이 만난 변호사 역 최윤준 : 노기성 역 - 카메라 감독 유해정 : 승아가 놀이터에서 만난 아이 역 차재돌 : 승아가 놀이터에서 만난 아이 역 유승민 : 화장품 광고의 관계자 역 신종훈 : 기준에게 에이든의 프로필사진을 건네는 남자 역 정종현 : 오승아의 팬인 형사 역 손윤상 : 승아의 화장품 광고 감독 역 이수완 : '티켓투더문'의 포스터 촬영 감독 역 김선은 : '티켓투더문'의 OST 감독 역 공재원 : 호텔 관계자 역 권영경 : 드라마 '티켓투더문'속 아이스크림 들고 있는 아이의 엄마 역 김민채 : 은형이 다니는 영어학원 선생님 역 양은용 : 전시회에서 영은을 인터뷰 하는 기자 역 이금주 : '티켓투더문' 속 은석의 엄마 역 신재도 : 진상우에게 자금을 빼겠다고 말하는 남자 역 조성희 : 승아의 비디오 파문에 대해 보도하는 기자 역 박영지 : SBC의 본부장 역 민병애 : 찜질방에서 티켓투더문을 보는 여자 역 하은설 이상은 수상[편집] 2008년 SBS 연기대상 10대스타상/ 여자 최우수상 - 김하늘 2008년 SBS 연기대상 10대스타상/ 여자 최우수상 - 송윤아 2008년 SBS 연기대상 10대스타상/ 드라마 스페셜 부문 남자연기상 - 박용하 2008년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여자 최우수연기상 - 김하늘 2009년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연출상 - 신우철 시청률[편집] 2008년 회차 방송일 TNmS 시청률[1] AGB 시청률[2] 수도권 지역 전국 지역 수도권 지역 전국 지역 제1회 3월 5일 13.4% 13.6% 11.4% 12.5% 제2회 3월 6일 15.2% 16.1% 14.4% 14.9% 제3회 3월 12일 14.7% 15.9% 14.1% 15.2% 제4회 3월 13일 18.9% 20.5% 16.6% 17.6% 제5회 3월 19일 16.7% 17.9% 15.8% 16.9% 제6회 3월 20일 18.1% 18.5% 16.9% 16.5% 제7회 3월 26일 20.1% 20.9% 18.3% 19.9% 제8회 3월 27일 21.2% 22.1% 20.2% 20.4% 제9회 4월 2일 21.6% 22.9% 20.5% 22.0% 제10회 4월 3일 22.8% 24.4% 21.1% 21.7% 제11회 4월 10일 19.4% 20.1% 19.5% 20.3% 제12회 4월 16일 21.1% 21.9% 20.7% 22.4% 제13회 4월 17일 22.2% 23.7% 20.9% 22.5% 제14회 4월 23일 22.9% 21.0% 21.5% 제15회 4월 24일 23.3% 24.1% 21.3% 22.2% 제16회 4월 30일 21.4% 21.9% 20.4% 21.5% 제17회 5월 1일 24.0% 25.6% 22.0% 23.0% 제18회 5월 7일 24.1% 23.5% 20.6% 20.2% 제19회 5월 8일 26.2% 25.6% 24.4% 23.4% 제20회 5월 14일 24.9% 23.5% 23.6% 23.7% 제21회 5월 15일 27.4% 25.8% 26.2% 25.4% 평균 시청률 20.9% 21.5% 19.5% 20.2% 위의 표는 TNmS[3] 와 AGB닐슨 미디어리서치[4] 가 자사의 홈페이지에 공개한 시청률을 바탕으로 작성된 것이다. 빨간색 수치는 최고 시청률, 파란색 수치는 최저 시청률을 나타낸다. 결방 및 연장[편집] 2008년 4월 9일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와 개표 방송으로 인해 결방하였다.[5] 2008년 5월 1일 : 온에어 방영 분량이 20부작에서 1회 연장되어 21부작으로 변경.확정되었다. 이모저모[편집] 1회 초반 연기대상 시상식 장면으로 많은 배우들의 입장 모습이나 객석에 앉아 있는 모습이 나온다. 김아중, 김규리, 오만석, 이선균, 현영, 다니엘 헤니, 이영은, 한채영, FT아일랜드 등이 입장하는 모습으로, 배종옥, 박진희, 박시연 등이 객석에 앉아 있는 모습이 나왔다. 김정은은 3회에서 《파리의 연인》의 한 장면으로, 11회에서 김옥빈은 《하노이 신부》의 한 장면으로, 엄정화와 오지호는 《칼잡이 오수정》의 한 장면으로 등장하였다. 이 드라마에서 방송사 연말 연기대상 시상식에서 나눠먹기식 상주기와 같은 방송가의 숨겨진 진실을 비판하기도 하였다. 작품의 특성상 유명 연예인이 카메오로 대거 등장하기도 하며 눈길을 끌기도 하였다. 종영이 가까워지자 드라마속 드라마인 《티켓 투 더 문》을 실제 드라마로 제작해달라는 시청자 의견도 있었다. 캐스팅 문제로 골치를 썩였는데 장기준(이범수 분) 역은 원래 이성재가 낙점됐지만[6] 스스로 고사하여 이범수가 대타로 들어갔으며 오승아(김하늘 분) 역에는 김희선이 낙점되는 듯 했으나 결혼생활 문제와 휴식을 취해야 한다는 이유 때문에[7] 거절해 버렸다. 스태프 임금을 지불하지 않아 논란을 빚어야 했다[8]. 같이 보기[편집] 그들이 사는 세상 드라마의 제왕 동시간대 경쟁작[편집] 쾌도 홍길동 누구세요? 각주[편집] ↑ TNmS 홈페이지:TNmS Media Korea ↑ AGB 홈페이지:AGB Nielsen Media ↑ TNmS 홈페이지 ↑ AGB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 김관명 (2008년 4월 8일). “9일 개표방송, '온에어' '황금어장' 인기프로 결방”. 머니투데이.  ↑ 손연지 (2008년 4월 21일). “<온에어> 장기준 역, 애초 이범수 아닌 '이성재의 것'”. 데일리안. 2016년 8월 5일에 확인함.  ↑ 정경희 (2008년 5월 13일). “[술술토크] (4) 이범수 "대학 다닐땐 예쁜 후배 엄청 따랐는데"”. 스포츠조선. 2016년 8월 5일에 확인함.  ↑ 이승호 (2009년 3월 6일). “잦은 출연료 지연 지급 왜…경영악화? '고질적 관행'”. 조이뉴스24. 2018년 1월 1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온에어 홈페이지 온에어 다시보기[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SBS 드라마 스페셜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불한당(2008년 1월 2일 ~ 2008년 2월 28일) 온에어(2008년 3월 5일 ~ 2008년 5월 15일) 일지매(2008년 5월 21일 ~ 2008년 7월 24일) vdeh 드라마 스페셜1990년대 후반1996년 《사랑의 이름으로》 《도둑》 《남자 대탐험》 《8월의 신부》 《형제의 강》 1997년 《모델》 《장미의 눈물》 《달팽이》 《화이트 크리스마스》 1998년 《모래시계》(재방송) 《옛사랑의 그림자》 《내 마음을 뺏어봐》 《미스터Q》 《홍길동》 《승부사》 《단단한 놈》 1999년 《파도위의 집》 《청춘의 덫》 《토마토》 《해피 투게더》 《퀸》 《크리스탈》 《TV 러브 스토리》 2000년대 전반2000년 《불꽃》 《팝콘》 《경찰 특공대》 《줄리엣의 남자》 《여자만세》 2001년 《순자》 《아름다운 날들》 《로펌》 《수호천사》 《신화》 《피아노》 2002년 《지금은 연애중》 《명랑소녀 성공기》 《나쁜 여자들》 《순수의 시대》 《정》 《별을 쏘다》 2003년 《올인》 《술의 나라》 《선녀와 사기꾼》 《요조숙녀》 《때려》 《천국의 계단》 2004년 《햇빛 쏟아지다》 《파란만장 미스김 10억 만들기》 《섬마을 선생님》 《형수님은 열아홉》 《남자가 사랑할 때》 《유리화》 2000년대 후반2005년 《홍콩 익스프레스》 《건빵선생과 별사탕》 《돌아온 싱글》 《루루공주》 《사랑은 기적이 필요해》 《마이걸》 2006년 《천국의 나무》 《불량 가족》 《스마일 어게인》 《돌아와요 순애씨》 《무적의 낙하산 요원》 《연인》 2007년 《외과의사 봉달희》 《마녀유희》 《쩐의 전쟁》 《완벽한 이웃을 만나는 법》 《로비스트》 2008년 《불한당》 《온에어》 《일지매》 《워킹맘》 《바람의 화원》 《스타의 연인》 2009년 《카인과 아벨》 《시티홀》 《태양을 삼켜라》 《미남이시네요》 《크리스마스에 눈이 올까요?》 2010년대 전반2010년 《산부인과》 《검사 프린세스》 《나쁜 남자》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 《대물》 2011년 《싸인》 《49일》 《시티헌터》 《보스를 지켜라》 《뿌리깊은 나무》 2012년 《부탁해요 캡틴》 《옥탑방 왕세자》 《유령》 《아름다운 그대에게》 《대풍수》 2013년 《그 겨울, 바람이 분다》 《내 연애의 모든 것》 《사건번호 113》(단막) 《너의 목소리가 들려》 《주군의 태양》 《상속자들》 《별에서 온 그대》 2014년 《쓰리 데이즈》 《너희들은 포위됐다》 《괜찮아, 사랑이야》 《내겐 너무 사랑스러운 그녀》 《피노키오》 2010년대 후반2015년 《하이드 지킬, 나》 《냄새를 보는 소녀》 《가면》 《용팔이》 《마을 - 아치아라의 비밀》 《리멤버 - 아들의 전쟁》 2016년 《돌아와요 아저씨》 《딴따라》 《원티드》 《질투의 화신》 《푸른 바다의 전설》 2017년 《사임당, 빛의 일기》 《수상한 파트너》 《다시 만난 세계》 《당신이 잠든 사이에》 《이판사판》 2018년 《리턴》 《스위치 - 세상을 바꿔라》 《훈남정음》 《친애하는 판사님께》 《흉부외과 - 심장을 훔친 의사들》 《황후의 품격》 2019년 《빅이슈》 《절대 그이》 《닥터 탐정》 《시크릿 부티크》 아침 | 일일 | 월화 | 수목 | 금토 | 주말 (극장 · 특별기획 · 연속극)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온에어_(드라마)&oldid=23851780" 분류: SBS 드라마 스페셜2008년 드라마연예계를 배경으로 한 작품방송국을 배경으로 한 작품김은숙 시나리오 작품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Tagalog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3일 (수) 14: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온에어》는 2008년 3월 5일부터 2008년 5월 15일까지 방송되었던 SBS 드라마 스페셜로 드라마 PD와 작가, 연기자, 매니저 등 방송국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삶과 사랑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드라마 온에어에서 모델이자 승아의 영어선생님으로 등장하는 에이든 리역을 맡은 배우는 누구인가요? Assistant: 리키 킴 Human: 아래 이재곤_(야구_선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재곤 (야구 선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재곤 (야구 선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재곤 Lee Jae-Kon 질롱 코리아 No.50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1988년 11월 24일(1988-11-24) (30세) 출신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신장 192 cm 체중 105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언더)투우타 수비 위치 투수 프로 입단 연도 2007년 드래프트 순위 2007년 1차 지명(롯데 자이언츠) 첫 출장 KBO / 2010년 5월 13일 사직 대 SK전 구원 ABL / 블랙타운 대 시드니전 선발 마지막 경기 KBO / 2015년 8월 17일 목동 대 넥센전 선발 ABL / 계약금 1억 7,000만원 연봉 2,700만원 (2018년) 경력 롯데 자이언츠 (2007년 ~ 2017년) 경찰 야구단 (2008년 ~ 2009년) kt 위즈 (2018년) 질롱 코리아 (2018년 ~ 현재) 이재곤(李宰坤, 1988년 11월 24일 ~ )은 오스트레일리안 베이스볼 리그 질롱 코리아의 언더핸드 투수이다. 투구 폼이 큰 탓에 주자 견제에는 약점이 있지만, 싱커를 잘 구사하여 땅볼 유도 능력이 뛰어나다. 실례로 2010년 6월 20일 한화 이글스전에서는 무려 19개의 땅볼을 유도해 내기도 했다. 목차 1 아마추어 시절 2 한국 프로야구 시절 2.1 롯데 자이언츠 시절 2.2 경찰 야구단 시절 2.3 롯데 자이언츠 복귀 2.4 kt 위즈 시절 3 호주 프로야구 시절 4 출신 학교 5 통산 기록 6 각주 7 외부 링크 아마추어 시절[편집] 경남고등학교 시절에는 이상화와 함께 원투 펀치로 활약했으며 2007년 1차 지명을 받아 입단하였다. 한국 프로야구 시절[편집] 롯데 자이언츠 시절[편집] 2007년에 입단하였다. 경찰 야구단 시절[편집] 2007년 시즌 후 입대하였다. 롯데 자이언츠 복귀[편집] 군 복무를 마치고 복귀한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1군에서 활동했다. 좀처럼 1군 출전 기회를 얻지 못하다가, 2010년에 팀의 에이스였던 조정훈이 부상으로 선발 엔트리에서 제외됨에 따라 선발 투수로서 출전할 기회를 얻었다. 2010년 5월 29일 SK전에서 7이닝 2자책으로 선발 투수로서의 성공 가능성을 내비쳤고, 2010년 6월 4일 삼성전에서 5이닝 3자책점으로 데뷔 첫 승을 기록했다. 특히 한화전에서는 전반기 가장 빼어난 피칭을 선보인 류현진을 상대로 2차례(6월 22일과 7월 21일)나 맞대결하였음에도 6월 22일에는 8이닝 동안 2자책점, 7월 21일에는 7과 ⅔이닝 동안 1자책점을 기록하는 등 결코 위축되지 않는 투구를 보여 주어 깊은 인상을 남겼다. 8월 3일 두산전에서는 불과 93개의 공으로 16개의 땅볼을 유도하는 1실점 완투를 보여주며 2010 시즌 최소 투구[1] 완투승을 기록하였고 두산 베어스전에 강한 모습을 보였다. 2010 시즌 8승 3패, 4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였다. 2015 시즌 퓨처스 리그 6월 14일 삼성전에서 퓨처스 리그 역대 4번째 노히트 노런을 달성하였다.[2] kt 위즈 시절[편집] 2018년에 입단하였다.[3] 호주 프로야구 시절[편집] 2018년에 10월 26일 질롱 코리아에 입단하였다.[4] 출신 학교[편집] 사직초등학교 사직중학교 경남고등학교 통산 기록[편집] 연도 팀명 평균자책점 경기 완투 완봉 승 패 세 홀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2010 롯데 4.14 22 1 0 8 3 0 0 124 126 11 31 10 44 63 57 2011 6.35 39 0 0 3 5 1 2 56.2 74 9 25 5 16 52 40 2012 9.39 8 0 0 0 0 0 0 7.2 12 1 7 1 4 8 8 2013 6.90 10 0 0 3 3 0 0 30 33 3 20 9 17 23 23 2015 6.23 5 0 0 0 2 0 0 13 15 1 18 4 9 10 9 통산 5시즌 5.33 84 1 0 14 13 1 2 231.1 260 25 101 29 90 156 137 각주[편집] ↑ - 이재곤 싱커에 두산 방망이‘침몰’: 경향신문 ↑ 롯데 이재곤, 퓨처스리그서 노히트노런 작성 - 스포츠서울 ↑ KT, 前 롯데 이재곤과 육성선수 계약…“대기만성형 기대” - 마이데일리 ↑ 롯데→KT→호주까지…이재곤의 야구인생은 계속된다 - 스포츠경향 외부 링크[편집] 이재곤 - KBO 투수별 기록 vdeh질롱 코리아 - 현재 명단감독 15 구대성 코치 79 하상은 (?) 86 유용목 (?) -- 안재백 (?) -- 정병수 (?) 투수 11 권휘 17 길나온 21 박지웅 22 이상학 37 허건엽 46 김진우 50 이재곤 52 류기훈 93 김병근 포수 23 한성구 26 신승원 44 임태준 내야수 1 박휘연 5 국대건 7 이주호 10 이용욱 16 조한결 24 임종혁 25 최준석 62 김승훈 외야수 8 노학준 9 장민도 34 서지호 47 권광민 51 최윤혁 54 우동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재곤_(야구_선수)&oldid=23764560" 분류: 1988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부산광역시 출신KBO 리그 투수롯데 자이언츠 선수KT 위즈 선수질롱 코리아 선수사직초등학교 (부산) 동문사직중학교 동문경남고등학교 동문전주 이씨경찰 야구단 선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2월 24일 (일) 22:1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재곤(李宰坤, 1988년 11월 24일 ~ )은 전 오스트레일리안 베이스볼 리그 질롱 코리아의 언더핸드 투수이다. 투구 폼이 큰 탓에 주자 견제에는 약점이 있지만, 싱커를 잘 구사해 땅볼 유도 능력이 뛰어나다. 실례로 2010년 6월 20일 한화 이글스전에서는 무려 19개의 땅볼을 유도해 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재곤이 1군으로 활동을 시작한 해는 언제야? Assistant: 2010년
Human: 아래 임재덕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임재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임재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임재덕 IM_Nestea 임재덕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출생 1982년 12월 12일(1982-12-12) (36세)대한민국 경기도 광명시 프로게이머 정보 랭킹 47 종족 저그 아이디 스타크래프트 : Zergbong스타크래프트 II : NesTea 별명 번개저그, 재덕신, 대마왕, 뼈그임마, 전지적 재덕시점 소속팀 - 키보드 삼성키보드(SEM_DT35) 마우스 로지텍 G1 임재덕(1982년 12월 12일 ~ )은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며, NesTea라는 아이디를 사용한다. 종족은 저그이다.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임단 KT 롤스터의 코치를 역임하기도 하였다. 목차 1 개요 1.1 스타크래프트 1.2 스타크래프트 II 2 수상 경력 2.1 스타크래프트 2.1.1 개인 경력 2.1.2 코치 경력 2.2 스타크래프트 II 3 각주 4 외부 링크 개요[편집] 스타크래프트[편집] 전국 스타크래프트 대회를 휩쓸고 다녀 상금사냥꾼이라고 불렸다.당시 일반인보다는 프로게이머들에게 더욱 유명했지만 프로게이머로서는 활동하지 않았다. 모든 구단에서 1순위로 입단제의가 있었지만 먼저 군대문제를 해결한 후 2006년 하반기 드래프트에서 KTF 매직엔스(현 KT 롤스터)의 추천선수로 입단하였다. 군대가 프로게이머들의 무덤이라고 생각했던 당시, 방송경기에서 유일한 예비역 프로게이머였으며 군 제대 후 더 큰 활약을 펼쳐 군대가 꼭 게이머에게 있어서 무덤 같은 존재가 아님을 몸소 보여준 인물. 박정석과 팀플로 호흡을 맞추며 8개 구단중 최고의 성적을 냈으며 팀플유저로서는 유일하게 개인리그 본선무대에 수차례 진출을 하며 KTF 매직엔스의 든든한 허리가 되어주기도 하였다. 2009년 KT 롤스터의 주장을 맡았다. 그러나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시즌에서 팀플제도가 사라진 이후 대다수의 팀플 선수들은 개인전 실력을 유지하지 못하고 은퇴를 했다.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가 끝난 후 사실상 프로게이머를 은퇴하고 KT 롤스터의 코치로 승격되었다.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위너스리그와 프로리그를 우승하는데 일조하였으며 2010년 코치생활을 은퇴하였다. 스타1 게이머 시절 개인리그 예선전은 여러번 통과했었으나, 본선전에서 탈락하여 개인리그 진출 기록이 없다. 스타크래프트 II[편집] 2010년 코치직을 사임하였고, IM 팀에 합류하여 현재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 . 2010년 11월 래더랭킹 1위를 기록. 4강에서 테란의 황제 임요환을 4:0으로 셧아웃 시키고 4강까지 13전 전승을 기록하며 무패로 Sony Ericsson STARCRAFT II OPEN Season 2 결승에 진출했다. 그리고 2010년 11월 13일 해병왕 이정훈을 꺾고 Sony Ericsson STARCRAFT II OPEN Season 2 우승을 차지했다. 2011년에도 꾸준한 활약을 보여주었으며 2011년 5월 LG 시네마 3D GSL May에서 팬들의 기대감에 부족함이 없었던 우승자간의 매치 16강전. 김원기는 오픈 시즌1 우승자, 임재덕은 오픈 시즌2 우승자다. GSL 역사의 첫 번째, 두 번째 우승자다. <스타크래프트 2> 초반을 저그 시대로 만든 장본인들이다. 실제로 이 시기에 저그는 종족 밸런스상 테란, 프로토스에게 밀려 암울한 시기를 보냈다. 그 덕분에 김원기, 임재덕 등 극소수의 저그는 ‘쩌그(쩌는저그)' 라는 제 4의 종족으로 불리기도 했다. 16강 김원기를 2-1로 꺾고 8강전 프로토스 이정환과의 1셋트에서 '가시촉수 러쉬' 일명 꿀밤러쉬 라는 새로운 전략의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저그 팬들은‘이 전략은 그야말로 혁명’이라며 임재덕의 위대함을 칭송했다. 이정환을 3:1로 꺾고 저그선수로서는 최초 GSL 통산 3번째 4강에 진출했다. 4강전 김승철과의 마지막 5셋트 2:2 동점인 상황에서 GSL 역사상 대역전 명경기를 펼치며 LG 시네마 3D GSL May결승티켓을 확보했으며 이 경기로 인해 임재덕선수의 아이디 NesTea가 트위터를 이용하는 전 세계 2억여명의 사용자들이 순간적으로 가장 많이 언급하는 WORLD WIDE Trend 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마침내 2011년 5월 14일 송준혁을 4:0으로 꺾고 LG 시네마 3D GSL May Code S 우승을 차지하며 저그 최초로 GSL 2회 우승을 차지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에 있었던 LG 시네마 3D 슈퍼 토너먼트에서는 16강에 그쳤지만 7월 30일, 연세대학교 대강당에서 열린 2011 펩시콜라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July Code S에서 파죽지세로 무패로 결승까지 올라와 팀 동료인 황강호를 상대로 4:0으로 꺾고 우승을 했다. 경기 직후 임재덕은 팬들의 뜨거운 관심으로 포털사이트 네이버와 네이트의 실시간 검색어 1위에 올라 포털사이트까지 장악했다. 이 우승으로 임재덕은 CODE S 18연승, GSL 3회 우승,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출시 이후 12년동안 전례가 없었던 최초의 전승우승, 최초 전 종족 상대로의 우승 달성(이정훈[T],송준혁[P],황강호[Z]), 블리자드컵 및 블리즈컨 2011 출전권 확보, 상금랭킹 1위, GSL 포인트 랭킹 1위 등 어마어마한 기록들을 달성하는데에 성공했다. GSL 오픈 시즌 2 결승전에서의 임재덕 2012년 6월 12일 10시즌 연속 GSL Code S 진출을 달성하면서 최초로 본인의 이름을 딴 GSL Code S 10회 연속 진출 기념상('임재덕 상')을 수상하였으며, 이날 GSL 공식전 3번째로 100승을 달성하는데도 성공하였다. 2012년 7월 스타2로 종목 전환한 스타리그에 처음으로 진출하며 최고령 진출자로 기록되었다. 2012년 10월 HOT6 GSL 시즌5 CODE A 1라운드에서 황의진을 상대로 1:2로 탈락하게 되면서 Code S 12회 연속 진출에 실패하게 되며 기록이 끊기게 되었다 (Code S 연속 11회 진출에서 마감) 2014년 3월 IM과의 계약을 해지, 무소속 신분이 되었다. 수상 경력[편집] 스타크래프트 II : 프리미어 개인리그 우승 3회, 준우승 2회 [1] 스타크래프트[편집] 개인 경력[편집] 2001년 5월 게임아이 주장원전 우승 2001년 6월 게임아이 주장원전 3위 2001년 10월 게임아이 이벤트 저그부분 3위 2002년 1월 게임아이 주장원전 4위 2002년 5월 게임아이 주장원전 우승 2002년 8월 wcg세계대회 국가대표선발전 본선진출 2002년 9월 두루넷 게임 페스티발 우승 2003년 4월 아이벤처 에버배 준우승 2003년 5월 에어워크배 4위 2003년 10월 대구게임패스티발 준우승 2003년 10월 마유이앤션배 준우승 2003년 11월 제주게임패스티발 본선진출 2004년 5월 삼성칸배 준우승 2004년 12월 강남 대치 파리점 사이버파크 준우승 2004년 12월 안산 원곡 파리점 사이버파크 우승 2005년 2월 메가웹 스타매치 우승 2005년 4월 유니넷배 준우승 2005년 5월 키주배틀리그 4회우승 2005년 5월 경향 게임스 전국 대학생 게임 패스티발 스타크래프트 우승 2005년 7월 스니커즈 올스타리그 3위 2005년 7월 이네이쳐배 우승 2005년 9월 용인게임패스티발 스타크래프트 전국대회 우승 2005년 10월 용산 상공회장배 스타크래프트 챔피언십 대회 우승 2009년 4월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3 32강 코치 경력[편집] 2010년 4월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 우승 2010년 8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우승 스타크래프트 II[편집] 2010년 9월 TG삼보-인텔 스타크래프트 II OPEN Season 1 Code S 64강 2010년 11월 소니 에릭슨 스타크래프트 II OPEN Season 2 Code S 우승 2010년 12월 소니 에릭슨 스타크래프트 II OPEN Season 3 Code S 8강 2011년 1월 소니 에릭슨 GSL Jan. Code S 4강 2011년 1월 게인워드배 스타크래프트 II 준우승 2011년 2월 2세대 인텔® 코어™ GSL Mar. Code S 32강 2011년 3월 LG 시네마 3D GSL 월드 챔피언쉽 서울 16강 2011년 5월 LG 시네마 3D GSL May Code S 우승 2011년 6월 LG 시네마 3D 슈퍼 토너먼트 16강 2011년 7월 펩시콜라 GSL July Code S 우승 2011년 8월 펩시콜라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August Code S 16강 2011년 9월 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October Code S 8강 2011년 10월 블리즈컨2011 스타크래프트 II 배틀넷 인비테이셔널 준우승 2011년 11월 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November Code S 16강 2011년 12월 2011 블리자드 컵 10강 2012년 2월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 Code S 16강 2012년 5월 Iron Squid/Chapter 1 3위 2012년 4월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 Code S 32강 2012년 4월 IPL 4 3위 2012년 6월 GSL Code S 10회 연속 진출 기념상('임재덕 상') 2012년 6월 3번째 GSL 공식전 100승 달성 2012년 6월 저그 최초의 GSL 공식전 100승 2012년 7월 무슈제이 GSL 시즌3 Code S 16강 2012년 8월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 16강 2012년 9월 HOT6 GSL 시즌4 Code S 16강 2012년 11월 핫식스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5 Code A 32강 2013년 1월 Iron Squid/Chapter 2 3위 2013년 2월 핫식스 2013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 Code S 32강 2013년 4월 제4회 인천 실내무도아시아경기대회 스타2 부문 국가대표 선발전 16강 2013년 4월 2013 WCS 아메리카 시즌 1 챌린저리그 8강 2013년 5월 2013 WCS 아메리카 시즌 1 프리미어리그 16강 2013년 7월 2013 WCS 아메리카 시즌 2 프리미어리그 32강 2013년 8월 2013 WCS 아메리카 시즌 2 챌린저리그 8강 2013년 10월 2013 WCS 아메리카 시즌 3 프리미어리그 16강 2013년 10월 2013 WCS 아메리카 시즌 3 챌린저리그 16강 2013년 11월 StarsWar League Season 3 8강 2014년 2월 2014 WCS 아메리카 시즌 1 프리미어리그 32강 2014년 6월 2014 WCS 아메리카 시즌 2 프리미어리그 16강 2014년 7월 2014 WCS 아메리카 시즌 3 프리미어리그 32강 각주[편집] ↑ GSL 코드 S 3회 우승. BlizzCon 1회 준우승. MLG 1회 준우승. 외부 링크[편집] 임재덕 GSL 프로필 역대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우승자 TG-인텔 GSL 오픈 시즌1 소니 에릭슨 GSL 오픈 시즌2 소니 에릭슨 GSL 오픈 시즌3 김원기 임재덕 장민철 LG 시네마 3D GSL 월드 챔피언십 서울 LG 시네마 3D GSL May LG 시네마 3D 슈퍼 토너먼트 정종현 임재덕 최성훈 LG 시네마 3D 슈퍼 토너먼트 펩시콜라 GSL July 펩시콜라 GSL Aug 최성훈 임재덕 정종현 vdeh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II 리그리그개인전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아프리카TV)) SSL 시리즈 (SPOTV 게임즈) 스타리그 (OGN, 폐지) 단체전 프로리그 (한국e스포츠협회, 폐지)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e스포츠 연맹, 폐지) 기타 KeSPA컵 조직종목사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관련 단체 한국e스포츠협회 e스포츠 연맹 (해체) 방송국 SPO TV 게임즈 아프리카TV(GSL 2016 시즌 1부터 주관중) OGN 곰eXP(GSL 2015 시즌 3까지 주관) 경기장 넥슨 아레나 프릭 업 스튜디오 신도림 TG e스타디움 게임단 진에어 그린윙스 MVP 아프리카 프릭스 ZeNEX oGs SlayerS 공군 ACE TSL NS호서 웅진 스타즈 fOu SouL AZUBU LongZhu 프라임 스베누 삼성 갤럭시 CJ 엔투스 KT 롤스터 SK텔레콤 T1 방송인SPOTV 게임즈 성승헌 채민준 김익근 유대현 고인규 안준영 정인호 아프리카TV 박상현 황영재 박진영 채정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임재덕&oldid=22401277" 분류: 살아있는 사람1982년 태어남광명시 출신대한민국의 e스포츠 선수대한민국의 e스포츠 코치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대한민국의 개신교도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우승자저그 선수KT 롤스터의 선수LongZhu의 선수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5일 (토) 13:5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임재덕(1982년 12월 12일 ~ )은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며, NesTea라는 아이디를 사용한다. 종족은 저그이다.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임단 KT 롤스터의 코치를 역임하기도 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프로게이머 임재덕의 군 제대 후 성적은 어땠을까? Assistant: 군대가 프로게이머들의 무덤이라고 생각했던 당시, 방송경기에서 유일한 예비역 프로게이머였으며 군 제대 후 더 큰 활약을 펼쳐 군대가 꼭 게이머에게 있어서 무덤 같은 존재가 아님을 몸소 보여준 인물. 박정석과 팀플로 호흡을 맞추며 8개 구단중 최고의 성적을 냈으며 팀플유저로서는 유일하게 개인리그 본선무대에 수차례 진출을 하며 KTF 매직엔스의 든든한 허리가 되어주기도 하였다. 2009년 KT 롤스터의 주장을 맡았다. 그러나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시즌에서 팀플제도가 사라진 이후 대다수의 팀플 선수들은 개인전 실력을 유지하지 못하고 은퇴를 했다.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가 끝난 후 사실상 프로게이머를 은퇴하고 KT 롤스터의 코치로 승격되었다.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위너스리그와 프로리그를 우승하는데 일조하였으며 2010년 코치생활을 은퇴하였다. 스타1 게이머 시절 개인리그 예선전은 여러번 통과했었으나, 본선전에서 탈락하여 개인리그 진출 기록이 없다. Human: 아래 2012년_하계_올림픽_유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12년 하계 올림픽 유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2년 하계 올림픽 유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2년 하계 올림픽유도 Judo at the London 2012 개최국 영국 개최 도시 런던 개최 기간 2012년 7월 28일 ~ 8월 3일 경기장 엑셀 런던 참가국 133개국 참가 선수 387명 세부 종목 14개 종목 (남자: 7개, 여자: 7개) « 20082016 » 2012년 하계 올림픽유도 남자 여자   56kg     48kg   62kg 53kg 69kg 58kg 77kg 63kg 85kg 69kg 94kg 75kg +100kg +78kg 제30회 하계 올림픽 유도 경기는 2012년 7월 28일부터 8월 3일까지 영국 런던의 엑셀 런던에서 열렸다. 목차 1 경기장 2 세부 종목 3 예선 4 메달리스트 4.1 남자 4.2 여자 5 메달 집계 5.1 최종 순위 6 각주 경기장[편집] 런던에 있는 엑셀 런던에서 경기가 열렸다. 도시 경기장 비고 런던(London) 엑셀 런던(ExCeL London) 전 경기 세부 종목[편집] 남녀 각 7종목씩 총 14종목이 진행되었으며, 세부 종목은 아래와 같다. 남자 종목 60kg급 66kg급 73kg급 81kg급 90kg급 100kg급 100kg 이상급 여자 종목 48kg급 52kg급 57kg급 63kg급 70kg급 78kg급 78kg 이상급 예선[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2년 하계 올림픽 유도 예선입니다. 2012년 5월 1일 기준으로, 국제 유도 연맹이 발표한 세계 랭킹을 일차적으로 적용하여 출전쿼터가 정해졌다.[1] 이에 따라 한 체급에는 한 나라에서 한 선수에게 세계 랭킹 순위권에 들 경우 출전권이 배부되었고, 와일드카드로 대륙별로 1~2개 국가에 추가적으로 출전권이 부여되었다. 개최국 영국에는 세계 랭킹에 관계없이 모든 체급에 출전권이 자동 부여되었다. 대한민국, 영국, 프랑스, 브라질, 일본의 5개 국가는 남녀 14개 모든 종목의 출전권을 얻었다. 메달리스트[편집] 남자[편집] 종목 금 은 동 남자 60kg급자세히 아르센 갈스티얀 러시아 히라오카 히로아키 일본 펠리피 키타다이 브라질 리쇼트 소비로프 우즈베키스탄 남자 66kg급자세히 라샤 샤브다투아시빌리 조지아 웅바리 미클로시 헝가리 에비누마 마사시 일본 조준호 대한민국 남자 73kg급자세히 만수르 이사예프 러시아 나카야 리키 일본 사인자르갈린 니암오치르 몽골 우고 르그랑 프랑스 남자 81kg급자세히 김재범 대한민국 올레 비쇼프 독일 이반 니폰토프 러시아 앙투안 발루아포르티에 캐나다 남자 90kg급자세히 송대남 대한민국 아슬레이 곤잘레스 쿠바 일리아스 일리아디스 그리스 니시야마 마사시 일본 남자 100kg급자세히 타기르 하이불라예프 러시아 나이단 튀브신바야르 몽골 디미트리 페터스 독일 헹크 그롤 네덜란드 남자 100kg이상급자세히 테디 리네르 프랑스 알렉산드르 미하일린 러시아 안드레아스 퇼처 독일 하파에우 시우바 브라질 여자[편집] 종목 금 은 동 여자 48kg급자세히 사라 메네제스 브라질 알리나 두미트루 루마니아 체르노비츠키 에바 헝가리 샤를린 판 스닉 벨기에 여자 52kg급자세히 안금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야네트 베르모이 쿠바 로살바 포르치니티 이탈리아 프리실라 녜토 프랑스 여자 57kg급자세히 마쓰모토 가오리 일본 코리나 카프리오리우 루마니아 마티 말로이 미국 오통 파비아 프랑스 여자 63kg급자세히 우르슈카 졸리니르 슬로베니아 쉬리리 중국 우에노 요시에 일본 제브리즈 에만 프랑스 여자 70kg급자세히 루시 드코스 프랑스 케르스틴 티엘레 독일 유리 알베아 콜롬비아 에디스 보쉬 네덜란드 여자 78kg급자세히 케일라 해리슨 미국 제마 기본스 영국 오드리 최메오 프랑스 마이라 아구이아르 브라질 여자 78kg이상급자세히 이달리스 오르티스 쿠바 스기모토 미카 일본 카리나 브라이언트 영국 퉁원 중국 메달 집계[편집] 최종 순위[편집] 2012년 하계 올림픽 유도 메달 집계 순위 국가         합계 1 러시아 (RUS) 3 1 1 5 2 프랑스 (FRA) 2 0 5 7 3 대한민국 (KOR) 2 0 1 3 4 일본 (JPN) 1 3 3 7 5 쿠바 (CUB) 1 2 0 3 6 브라질 (BRA) 1 0 3 4 7 미국 (USA) 1 0 1 2 8 슬로베니아 (SLO) 1 0 0 1 조지아 (GEO) 1 0 0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PRK) 1 0 0 1 11 독일 (GER) 0 2 2 4 12 루마니아 (ROU) 0 2 0 2 13 몽골 (MGL) 0 1 1 2 영국 (GBR) 0 1 1 2 중국 (CHN) 0 1 1 2 헝가리 (HUN) 0 1 1 2 17 네덜란드 (NED) 0 0 2 2 18 그리스 (GRE) 0 0 1 1 벨기에 (BEL) 0 0 1 1 우즈베키스탄 (UZB) 0 0 1 1 이탈리아 (ITA) 0 0 1 1 캐나다 (CAN) 0 0 1 1 콜롬비아 (COL) 0 0 1 1 합계 14 14 14 42 각주[편집] ↑ “London 2012 Olympics qualifying: Judo”. BBC. 2011년 1월 4일. 2011년 8월 1일에 확인함.  vdeh2012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근대5종 농구 다이빙 레슬링 배구 배드민턴 복싱 비치발리볼 사격 사이클 수구 수영 승마 싱크로나이즈 양궁 역도 요트 유도 육상 조정 체조 축구 카누 탁구 태권도 테니스 트라이애슬론 펜싱 하키 핸드볼 vdeh올림픽 유도하계 올림픽 1896 -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하계 청소년 올림픽 2010 2014 2018 메달리스트 목록 경기장 목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2년_하계_올림픽_유도&oldid=21839604" 분류: 2012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2012년 하계 올림픽 유도올림픽 유도2012년 유도영국에서 개최된 스포츠 대회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FryskHrvatskiMagyarItaliano日本語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7월 23일 (월) 04: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제30회 하계 올림픽 유도 경기는 2012년 7월 28일부터 8월 3일까지 영국 런던의 엑셀 런던에서 열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2년 올림픽 여자 유도 체급별 경기 결과는 어떻게 나왔어? Assistant: 종목 금 은 동 여자 48kg급자세히 사라 메네제스 브라질 알리나 두미트루 루마니아 체르노비츠키 에바 헝가리 샤를린 판 스닉 벨기에 여자 52kg급자세히 안금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야네트 베르모이 쿠바 로살바 포르치니티 이탈리아 프리실라 녜토 프랑스 여자 57kg급자세히 마쓰모토 가오리 일본 코리나 카프리오리우 루마니아 마티 말로이 미국 오통 파비아 프랑스 여자 63kg급자세히 우르슈카 졸리니르 슬로베니아 쉬리리 중국 우에노 요시에 일본 제브리즈 에만 프랑스 여자 70kg급자세히 루시 드코스 프랑스 케르스틴 티엘레 독일 유리 알베아 콜롬비아 에디스 보쉬 네덜란드 여자 78kg급자세히 케일라 해리슨 미국 제마 기본스 영국 오드리 최메오 프랑스 마이라 아구이아르 브라질 여자 78kg이상급자세히 이달리스 오르티스 쿠바 스기모토 미카 일본 카리나 브라이언트 영국 퉁원 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