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
stringlengths
3.39k
214k
Human: 아래 링_(스즈키_고지의_소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링 (스즈키 고지의 소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링 (스즈키 고지의 소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링リングRing저자 스즈키 고지국가 일본언어 일본어장르 미스테리, 호러 소설출판사 가도카와 쇼텐 발행일 1991년 6월페이지 330ISBN ISBN 4-04-188001-7다음 작품 라센 《링》 (リング)은 스즈키 고지(鈴木 光司)의 미스테리 공포 소설로, 1991년 6월 카도카와 서점에서 간행되었다. 본 사람은 저주에 걸려 일주일 후에 죽는 비디오의 공포와 그 내막을 쫓는 주인공을 그리고 있다. 《링》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으로, 속편으로 링 2 《라센》(螺旋)과 링 3 《루프》(Loop), 외전 《버스데이》(Birth Day)가 있다. 목차 1 개요 1.1 내역 1.2 작품의 특징 1.3 속편의 방향성 2 줄거리 3 다른 미디어 4 참고 문헌 개요[편집] 내역[편집] 본 작품의 집필은 1989년 무렵으로 저자 스즈키는 아이를 돌보며 집필을 시작했다. 그가 늘 묵고 있던 사이타마현 지치부 군 오가노 정의 온천여관 미야모토케에 드나들며 집필을 계속하여 1년에 걸쳐 완성을 하게 되었다. 1989년 8월에 미스테리 소설상인 요코미조세이시상에 응모하였다. 내용이 오컬트적 요소가 강한 황당무계한 설정이나 호러적 결말을 쓰면서도 전체적으론 미스테리나 서스펜스 요소가 강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는 좁은 의미로써의 미스테리의 정의에 들어가진 않았다. 그 때문에 최종심사까진 남아있었지만 추리소설을 위한 요코미조세이시상이었기에 입선되진 못했다. 당시 스즈키는 데뷔하기 전이었는데 링 이후에 집필한 「낙원」이 일본판타지노벨대상에서 우수상을 받으며 데뷔했고 나중에 링도 1991년에 하드커버 초판본이 나왔다. 처음엔 대단한 선전도 없었으며 엄청난 화제가 되지도 않았고 초판 발행부수도 적었지만 점점 입소문이 퍼지며 1993년에 문고판이 나오고 나서부턴 부수가 늘어났다. 본 작품은 시리즈 4부작으로 누계800만부의 매상을 올리며 일본소설계의 대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작품의 특징[편집] 희생자의 죽음에서 시작되는 도입부는 B급 호러물을 연상케도 한다. 한편 일주일이라고 하는 시간제한이 설정된 가운데, 희생자들에 의해 지워진 「저주를 푸는 주문」을 알아내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중반은 정통적인 서스펜스 요소의 줄거리를 보여준다. 이 때 주인공이 이야기 진행 상 엉뚱한 행동을 하지 않고 정보수집과 추론을 구사하여 저주받은 비디오의 내역을 쫓는 구성에선 논리적인 필연성이 나타나는데 이는 다른 흔한 호러작품과 비교하면 독보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엔 반전을 주어 독자를 놀라게 하는 구성으로 짜여있다. 속편의 방향성[편집] 본 작에서 행운의 편지로도 예를 들었던 「저주받은 비디오」와 그 정체는 속편 『라센』에선 인간에게 전염되는 바이러스의 소행으로 밝혀졌고, 그 속편 『루프』에선 컴퓨터 바이러스적인 것으로 바뀌는 등 점차 호러요소가 퇴색하고 SF요소가 나오는 내용으로 바뀌어간다. 또 『라센』은 전작 『링』을, 『루프』는 전작 『라센』을 각각 부정하며 작중의 내용 구도를 스스로 파괴하는 듯한 구상을 보여준다. 이를테면 평론가 오오모리 노조미는 『링』에서 그린 공포가 『라센』에서 과학적으로 해체되고, 대신하여 제시된 인류진화의 신화가 『루프』에서 비신격화가 되는 걸 지적한다. 이러한 특정 장르에 안주하지 않고 계속 독자의 예상을 깨는 모습은 전례없는 미지의 도착점에 계속 도전하려는 문맥으로 평가되는 한편, 『루프』에 사용된 수법이 대담한 터부(이전까지의 시리즈에 등장한 세계가 전부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가상현실이었다는 점)인 것이나 제1부작에 대한 "공포소설"로써의 평가를 부정하는 내용인 점을 지적받는다. 저자 스즈키에 의하면 1부작 『링』을 출판한 시점에서 이미 2부작 『라센』을 출판할 계획자체는 있었지만 실제 내용은 몇번이나 거듭 고쳐썼다고 한다. 또 『라센』의 집필 중엔 『루프』를 쓸 예정은 없었다고 한다. 줄거리[편집] 자신의 조카를 포함한 고등학생 그룹이 의문사한 사건을 조사하는 아사카와 카즈유키(淺川和行)는 이들이 일주일전에 간나미 정의 별장에 묵고 있던 것을 알아낸다. 별장을 찾은 아사카와는 거기서 기괴한 내용이 담긴 비디오테이프를 발견한다. 그 비디오에는 이해할 수 없는 영상의 단편들이 찍혀있었고 「이걸 본 자는 일주일 후 이 시간에 죽는다.」라는 소리를 듣게 된다. 하지만 계속 이어져야 할 내용인 죽음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은 이미 죽어버린 4명의 고등학생에 의해 지워져있었다. 아사카와는 고등학교 동창이자 대학교 철학과 강사인 친구 타카야마 류지(高山龍司)에게 상담한다. 타카야마도 아사카와가 복사를 해준 비디오를 보고 단순한 장난이 아님을 깨닫고 둘은 죽음이 찾아오기 전에 그 저주를 막기 위해 동분서주하게 된다. 그런 가운데 아사카와의 부인 시즈카(靜)와 딸 요코(陽子)도 비디오를 보고 만다. 저주를 풀기 위해 비디오를 찍은 자의 소원을 알아야만 했고 그를 위해선 비디오를 찍은 자를 찾아야만 했다. 타카야마는 비디오에 찍힌 몇 개의 특징에서 이게 보통 카메라로 촬영된 것이 아닌 초능력에 의한 수단을 쓴 염사(念寫)임을 밝혀낸다. 둘은 초능력에 관한 연구자의 기록이나 비디오 영상의 단편에 나오는 토지를 단서로 조사를 진행하여 이즈오 섬 출신의 「야마무라 사다코」(山村貞子)라는 인물과 맞닥뜨리게 된다. 사다코가 예지나 투시능력을 지닌 「야마무라 시즈코」(山村志津子)라는 여성과 시즈코의 신봉자이며 심리학자인 이유 헤이하치로(伊熊平八郞)의 사이에서 생긴 딸이라는 것, 모친의 죽음으로 세상에 대하여 원한을 갖게 된 것, 그리고 사다코가 이미 죽었으며 현재 그 칸나미쵸의 별장 밑에 있는 우물 속에 잠들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세상에 원한을 품고 죽은 야마무라 사다코의 시체를 건져올려 공양하면 저주가 풀릴 거라 생각한 둘은 물 속에서 사다코의 시체를 찾아낸다. 그 후 아사카와는 일주일이 지났지만 죽지 않았고 저주를 푸는데 성공한 것으로 보였다. 헌데 도쿄로 돌아온 타카야마는 비디오를 보고 딱 일주일이 되는 때 의문의 죽음을 맞이하고 만다. 타카야마에 대한 사다코의 저주는 아직 풀리지 않은 것이었다. 그럼 나는 왜 안 죽었을까? 그 이유를 「비디오를 복제하여 아직 안본 사람에게 보여준다.」라고 생각한 아사카와는 비디오를 본 부인과 딸을 살리기 위해 장인과 장모를 희생시키려한다. 아사카와는 이 비디오가 역병처럼 미친듯이 전 세계로 퍼지는 절망적인 미래를 떠올리며 먹구름이 짙게 깔린 하늘 밑에서 처자식을 지키기 위해 차를 몰아 집으로 향해간다. 다른 미디어[편집] 1995년과 1999년에 일본에서 드라마로 제작되었으며, 1996년엔 라디오드라마, 1998년엔 나카다 히데오 감독의 영화가 제작되었다. 특히 영화에선 사다코가 머리를 풀어헤치고 우물에서 나와 TV화면 밖으로 기어나오는 장면이 사람들에게 매우 강렬한 공포를 주었고, 이 장면은 수많은 패러디를 낳기도 하였다. 또 1999년엔 신은경 주연의 한국판이 제작되었다. 미국에서도 2002년 「The ring」으로 영화가 리메이크되었다. 기타 만화나 게임, 빠칭코도 있다. 참고 문헌[편집] 일본판 『링』하드커버판 1991년6월 발행、ISBN 4-04-872645-5. 『링』카도카와 호러문고판、1993년4월24일 발행、ISBN 4-04-188001-7. 한국판 『링』 윤덕주 譯 씨엔씨미디어 ISBN 89-87507-25-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링_(스즈키_고지의_소설)&oldid=21290403" 분류: 일본 소설유령을 소재로 한 작품링1991년 소설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Русский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5월 18일 (금) 05:4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링》(リング)은 스즈키 고지(鈴木 光司)의 미스테리 공포 소설로, 1991년 6월 카도카와 서점에서 간행되었다. 본 사람은 저주에 걸려 일주일 후에 죽는 비디오의 공포와 그 내막을 쫓는 주인공을 그리고 있다. 《링》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으로, 속편으로 링 2 《라센》(螺旋)과 링 3 《루프》(Loop), 외전 《버스데이》(Birth Day)가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소설 '링'의 하드커버본이 나온 것은 몇 년도의 일인가? Assistant: 1991년 Human: 아래 픽셀_셰이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픽셀 셰이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픽셀 셰이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픽셀 셰이더(pixel shader, 간단히 PS)는 그래픽 처리 장치가 수행하는 셰이더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목차 1 기능 2 프로그래밍 3 호환성 3.1 하드웨어 4 같이 보기 5 참조 기능[편집] 픽셀 셰이더는 렌더링 될 각각의 픽셀들의 색을 계산한다. 때문에 픽셀 셰이더는 최종적으로 픽셀이 어떻게 보일지를 결정한다. 픽셀 셰이더는 간단하게 언제나 같은 색을 출력하는 간단한 일에서부터, 텍스처로부터 색을 읽어오거나, 빛을 적용하는 것, 범프 매핑, 그림자, 반사광, 투명처리 등 복잡한 현상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픽셀 셰이더는 각각의 픽셀들이 렌더링될때 수행되기 때문에, 다른 픽셀들과 아무런 연관이 없다. 픽셀 셰이더는 오직 한 픽셀만을 연산하기 때문에, 주변의 픽셀이나, 그리는 도형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다. 이 때문에 픽셀 셰이더는 스스로 매우 복잡한 효과를 만들어 낼 수는 없다. 픽셀 셰이더는 픽셀의 색 말고도 깊이(Z버퍼에 쓰인다)나 또 다른 색(다른 렌더 목표물에 쓰인다)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편집] 픽셀 셰이더 프로그램은 주로 어셈블리어, Cg, GLSL, HLSL 등으로 짜인다. 호환성[편집] 하드웨어[편집] 아래의 표는 어떤 그래픽 카드나 칩이 어떤 DirectX 버전, 픽셀 셰이더 버전과 호환되는지 요약한 것이다. 그래픽 칩은 대개 하위호환성이 있다.(예를 들어 3.0 버전이 지원되면 2.0 버전, 1.1 버전 등이 모두 지원된다.) PS 버전 DirectX 버전 3D랩스 ATI 인텔 매트록스 엔비디아 S3 그래픽스 SiS XGI 1.0/1.1 8.0 - - - - 지포스 3 시리즈 - 샤브레 시리즈 - 1.2 8.0a 와일드캣 VP - - - - - - - 1.3 8.0a - - - 파헬리아 시리즈 지포스 4 Ti/Go 시리즈 - 미라지 2 - 1.4 8.1 - 레이디언 R200 (8500-9250) - - - - - 볼라리 V3 시리즈 (V3XT는 제외) 2.0 9.0 와일드캣 리얼리즘 레이디언 R300 (9500-9800, X300-X600) 인텔 GMA 900, 950, 3000, 3100 - - 델타크롬, 감마크롬, 크롬 S2x 시리즈 Mirage 3, Mirage 3+ 볼라리 V3XT, 볼라리 V5 시리즈, 볼라리 V8 시리즈, 볼라리 8300, 볼라리 XP10 2.0a 9.0a - - - - - - - - 2.0b 9.0b - 레이디언 R420 (X700-X850) - - 지포스 FX 시리즈 - - - 3.0 9.0c - 레이디언 R520 (X1300-X1950) 인텔 GMA X3000 - 지포스 6 시리즈, 지포스 7 시리즈 - - - 4.0 10 - 레이디언 R600 (HD 2400-HD 2900) 인텔 GMA X3100, X3500 - 지포스 8 시리즈, 지포스 9 시리즈, 지포스 2xx 시리즈 - 미라지 4 - 4.1 10.1 - 레이디언 R600 (HD 3xxx), 레이디언 R700 (HD 4xxx) - - - - - - (기울임체는 아직 상품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뜻한다.) 같이 보기[편집] Direct3D 지오메트리 셰이더 그래픽 파이프라인 OpenGL 버텍스 셰이더 참조[편집] OpenGL Shading Language – OpenGL 셰이더에 관한 문서 GLSL 강좌 (영어) GSLS 예제 픽셀 셰이더의 기본 Gamedev.net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픽셀_셰이더&oldid=22979218" 분류: 3차원 컴퓨터 그래픽스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spañolItaliano日本語NederlandsPortuguês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1일 (일) 15: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픽셀 셰이더(pixel shader, 간단히 PS)는 그래픽 처리 장치가 수행하는 셰이더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픽셀 셰이더가 다른 픽셀들과 어떠한 연관도 갖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Assistant: 각각의 픽셀들이 렌더링될때 수행되기 때문에
Human: 아래 대한민국_(연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한민국 (연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연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한민국(大韓民國)은 대한민국에서 사용한 연호(年號)로, 대한민국이 독립선언을 하고 임시정부를 수립한 서기 1919년이 대한민국 원년(元年)이며, 2019년 1월 1일부로 대한민국의 새로운 시대인 2세기가 시작됐다. 목차 1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의 사용 2 대한민국 정부에서의 사용 3 연대대조표 4 관련 항목 5 각주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의 사용[편집]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원 기념 사진(1919년 10월 11일). 상단에 "대한민국 원년 10월 11일"이라는 문구를 확인할 수 있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1919년 4월 11일, 날짜를 '대한민국 원년 4월 11일'로 표기한 대한민국 임시헌장을 제정·공포하면서부터 이 연호를 공식적인 기년법(紀年法)으로 채택하여 입법, 재정, 외교, 군사문서는 물론 한인애국단, 한국광복군 등 산하기관의 서류를 포함한 모든 공문서에 사용하였다. 대한민국 정부에서의 사용[편집] 1945년 광복 후 1948년 수립된 대한민국 정부에서도 국회가 1948년 9월 25일 법률 제4호로 '연호에관한법률'을 제정하여 단군기원을 공용 연호로 채택할 때까지 사용하여, 법률 공포문, 관보를 비롯한 모든 정부문서에 1948년을 '대한민국 30년'으로 표기하였다. 국회가 1948년 7월 12일 대한민국 헌법을 제정하면서 그 전문(前文)에 제정연도를 '단기 4281년'으로 표기하는 등 단군기원을 사용하려 하였던 것에 반하여, 이승만이 이끌던 새 행정부는 대한민국연호를 사용하였는데, 그것은 1948년 수립된 대한민국 정부가 3.1 독립선언으로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계승이라는 것을 표현하기 위한 이승만 등의 강력한 의지에 따른 것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국회는 논쟁 끝에 단군기원을 공용연호로 통일해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이승만은 이에 승복하였는데, 그는 이때 대한민국연호를 사용한 이유를 밝히면서 그것이 "우리나라의 민주정치제도가 남의 조력으로 된 것이 아니요, 30년 전에 민국정부를 수립·선포한 데서 이뤄졌다는 것과 기미년 독립선언이 미국의 독립선언보다 더 영광스럽다는 것을 드러내고자 함"이었다고 설파하였다. 대한민국 건국절 논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08년 이명박 정부가 대한민국의 건국을 대한민국 정부 수립이 선포된 1948년 8월 15일으로 보고 2008년(대한민국 90년) 8월 15일을 '대한민국 60년(건국 60주년)'으로 기념하는 행사를 치른 것은 이승만을 부각시킨다면서 오히려 이승만의 이러한 뜻을 외면한 것으로서 역사의식 결여의 산물이라는 비판이 있다.[1] 그러나 1998년 김대중 정부가 '대한민국 50년(제2의 건국)' 기념을 한 사례도 있기 때문에 정치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반론도 있다. 연대대조표[편집] 대한민국 원년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8년 9년 10년 서기 1919년 1920년 1921년 1922년 1923년 1924년 1925년 1926년 1927년 1928년 육십간지(六十干支) 기미(己未) 경신(庚申) 신유(辛酉) 임술(壬戌) 계해(癸亥) 갑자(甲子) 을축(乙丑) 병인(丙寅) 정묘(丁卯) 무진(戊辰) 대한민국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서력 1929년 1930년 1931년 1932년 1933년 1934년 1935년 1936년 1937년 1938년 육십간지(六十干支) 기사(己巳) 경오(庚午) 신미(辛未) 임신(壬申) 계유(癸酉) 갑술(甲戌) 을해(乙亥) 병자(丙子) 정축(丁丑) 무인(戊寅) 대한민국 21년 22년 23년 24년 25년 26년 27년 28년 29년 30년 서력 1939년 1940년 1941년 1942년 1943년 1944년 1945년 1946년 1947년 1948년 육십간지(六十干支) 기묘(己卯) 경진(庚辰) 신사(辛巳) 임오(壬午) 계미(癸未) 갑신(甲申) 을유(乙酉) 병술(丙戌) 정해(丁亥) 무자(戊子) 한국의 연호 이전연호: 다음연호: 융희(대한제국, 1907년~1910년) 단군기원(대한민국, 1948년~1961년) 관련 항목[편집] 연호 단군기원 서력기원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민국 건국절 논쟁 각주[편집] ↑ 이만열칼럼 - 대한민국 90년, 정부수립 60주년 경향신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한민국_(연호)&oldid=23394445" 분류: 한국의 역사한국의 연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中文文言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1일 (화) 01: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대한민국(大韓民國)은 대한민국에서 사용한 연호(年號)로, 대한민국이 독립선언을 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한 서기 1919년을 대한민국 원년(元年)으로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대한민국은 몇 년도에 광복했나요? Assistant: 1945년 Human: 아래 리젠시_엔터프라이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리젠시 엔터프라이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리젠시 엔터프라이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리젠시 엔터프라이즈Regency Enterprises 형태 비공개 회사 산업 분야 영화 및 텔레비전 프로그램 제작 창립 1991년 (28년 전)(1991) 창립자 아넌 밀천 전신 Embassy International Pictures N.V.Alcor Films 국가 미국 본사 소재지 미국캘리포니아주 웨스트할리우드 핵심 인물 아넌 밀천브레드 웨스톤 주요 주주 아넌 밀천 (80%)20세기 폭스 (20%)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계열사 뉴 리젠시 프로덕션 (80%) 리젠시 텔레비전 웹사이트 www.newregency.com 리젠시 엔터프라이즈(영어: Regency Enterprises)는 1982년에 만들어진 Embassy International Pictures의 전신으로 1991년에 Regency International Pictures 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미국의 영화 & TV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엔터테인먼트 회사이다. 목차 1 주요 작품 목록 1.1 1990s 1.2 2000s 1.3 2010s 2 같이 보기 3 외부 링크 주요 작품 목록[편집] As Regency International Pictures 캠퍼스 괴물 소동 (1989) (co-production with Vestron Pictures) 사랑과 슬픔의 맨하탄 (1990) (co-production with 트라이스타 픽처스) 1990s[편집] JFK (1991) 맘보 킹 (1992) 투명 인간의 사랑 (1992) 파워 오브 원 (1992) 터틀 비치 (1992) 언더 씨즈 (1992) 써머스비 (1993) 폴링 다운 (1993) 메이드 인 아프리카 (1993) 프리 윌리 (1993) 사랑과 우정 (1993) '호두까기 인형 (1993) 하늘과 땅 (1993) 5번가의 폴 포이티어 (1993) 의뢰인 (1994) 올리버 스톤의 킬러 (1994) 뉴에이지 (1994) 세컨드 베스트 (1994) 메이저리그의 전설 타이콥 (1994) 보이즈 온 더 사이드 (1995) 언더 씨즈 2 (1995) 프리 윌리 2 (1995) 엠파이어 레코드 (1995) 카피캣 (1995) 히트 (1995) 타임 투 킬 (1996) 틴 컵 (1996) 카풀 (1996) 보거스 (1996) 타슌가 (1996) 선체이서 (1996) 머더 1600 (1997) 프리 윌리 3 (1997) L.A. 컨피덴셜 (1997) 브레이킹 업 (1997) 데블스 에드버킷 (1997) 못말리는 첩보원 (1997) 베로니카: 사랑의 전설 (1998) 시티 오브 엔젤 (1998) 네고시에이터 (1998) (co-production with Mandeville Films) 굿바이 러버 (1998) 러브 이즈 매직 (1999) 에어 콘트롤 (1999) 엔트랩먼트 (1999) 파이트 클럽 (1999) 한여름 밤의 꿈 (1999) 2000s[편집] 빅 마마 하우스 (2000) 일곱가지 유혹 (2000) 타이거랜드 (2000) 흑기사 중세로 가다 (2001) 돈 세이 워드 (2001) (co-production with 빌리지 로드쇼 픽처스) 프레디 갓 핑거드 (2001) 캔디 케인 (2001) 브라보 대디 (2001) 하이 크라임 (2002) 어느날 그녀에게 생긴 일 (2002) (co-production with 데이비스 엔터테인먼트) 언페이스풀 (2002) 데어데블 (2003) (co-production with 마블 엔터프라이즈) 다운 위드 러브 (2003) 런어웨이 (2003년 영화) (2003) 데드 캠프 (2003) 대통령의 딸 (2004) (co-production with 데이비스 엔터테인먼트) 내겐 너무 아찔한 그녀 (2004) 맨 온 파이어 (2004) (co-production with 스콧 프리 프로덕션) 일렉트라 (2005) (co-production with 마블 엔터프라이즈) 게스 후? (2005) (Distributed by 콜럼비아 픽처스) 미스터 & 미세스 스미스 (2005) 리틀 맨하탄 (2005) 빅 마마 하우스 2: 근무중 이상무 (2006) 데이트 영화 (2006) 센티넬 (2006) 행운을 돌려줘 (2006) (co-production with Cheyenne Enterprises and Silvercup Studios) 겁나는 여친의 완벽한 비밀 (2006) 천년을 흐르는 사랑 (2006) (Distributed by 워너 브라더스) 내 생애 가장 징글징글한 크리스마스 (2006) 앨빈과 슈퍼밴드 (2007) 에픽 무비 (2007) 파이어하우스 독 (2007) 점퍼 (2008) 말리 와 나 (2008) 미트 데이브 (2008) 미트 더 스파르탄 (2008) 미러 (2008) 셔터 인 도쿄 (2008) 스트리트 킹 (2008) 라스베가스에서만 생길 수 있는 일 (2008) (co-production with 21 Laps Entertainment) 신부들의 전쟁 (2009) 다락방의 외계인 (2009) 판타스틱 Mr. 폭스 (2009) (co-production with Indian Paintbrush) 앨빈과 슈퍼밴드 2 (2009) 2010s[편집] 마마듀크 (2010) (co-production with 데이비스 엔터테인먼트) 나잇 & 데이 (2010) 뱀파이어 써커 (2010) 러브 & 드럭스 (2010) 빅 마마 하우스 3: 라이크 파더, 라이크 선 (2011) 몬테 카를로 (2011) 당신은 몇번째인가요? (2011) 인 타임 (2011) 다크 아워 (2011) 앨빈과 슈퍼밴드 3 (2011) 브로큰 시티 (2013) 인턴십 (2013) (co-production with 21 Laps Entertainment) 히든카드 (2013) 노예 12년 (2013) 노아 (2014) (Distributed by 파라마운트 픽쳐스) 캔디 케인 3 (2014) 나를 찾아줘 (2014) 버드맨 (2014) 데드 캠프 6 (2014) 언피니시드 비즈니스 (2015) 트루 스토리 (2015) (co-production with 플랜 B 엔터테인먼트) 알로하 (2015) (Distributed by 콜럼비아 픽처스) (co-production with 랫팩 엔터테인먼트) 빅쇼트 (2015) (Distributed by 파라마운트 픽쳐스) (co-production with 플랜 B 엔터테인먼트) 앨빈과 슈퍼밴드: 악동 어드벤처 (2015) 레버넌트: 죽음에서 돌아온 자 (2015) (co-production with 랫팩 엔터테인먼트) 룰스 돈 어플라이 (2016) 어쌔신 크리드 (2016) (co-production with 유비 소프트 모션 픽처스) 더 큐어 (2016) 같이 보기[편집] 20세기 폭스 워너 브라더스 외부 링크[편집] 리젠시 엔터프라이즈 - 공식 웹사이트 vdeh 미국의 주요 영화 배급 및 제작사할리우드 5대 메이저유나이티드 인터내셔널 픽처스컴캐스트 유니버설 스튜디오 (포커스 피처스 / 워킹 타이틀 필름스) 유니버설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드림웍스 애니메이션,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 Amblin Partners <협력관계> (앰블린 엔터테인먼트, 드림웍스, Participant Media) 바이어컴 파라마운트 픽쳐스 (파라마운트 애니메이션) Paramount Players (코미디 센트럴 필름스, 니켈로디언 무비스, MTV 필름스) CBS 코퍼레이션 CBS Films 워너 미디어 그룹Warner Bros. Entertainment 워너 브라더스 (뉴 라인 시네마, 캐슬 록 엔터테인먼트) DC 엔터테인먼트 Warner Bros. Family Entertainment (워너 브라더스 애니메이션) Turner Broadcasting System HBO Films 카툰 네트워크 스튜디오 월트 디즈니 컴퍼니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월트 디즈니 픽처스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마블 엔터테인먼트 (마블 스튜디오 外) 루카스 필름 터치스톤 픽처스 <해체> (할리우드 픽처스, 카라반 픽처스) Disney Nature ESPN Films, UTV Motion Pictures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스 모션 픽처스 20세기 폭스 (폭스 서치라이트 픽처스) 20세기 폭스 애니메이션 (블루 스카이 스튜디오)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소니 픽처스 모션 픽처스 그룹 컬럼비아 픽처스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 트라이스타 픽처스 (TriStar Productions) 스크린 젬스 소니 픽처스 클래식스 Sony Pictures Worldwide Acquisitions Triumph Films, Destination Films, Stage 6 Films, Affirm Films 할리우드 미니-메이저 영화사들MGM Holidings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유나이티드 아티스츠 <前:유나이티드 인터내셔널 픽처스> 오라이온 픽쳐스 Weinstein Family 미라맥스/디멘션 필름스 <前:월트 디즈니 컴퍼니, 現: beIN Media Group> 와인스타인 컴퍼니 -> Lantern Entertainment Lions Gate Entertainment 라이언스 게이트/서밋 엔터테인먼트 렐러티비티 미디어 로그 픽처스 Trigger Street Productions Millennium Entertainment Millennium Films 제작사 리젠시 엔터프라이즈 <前:워너 브라더스, 現:20세기 폭스> 빌리지 로드쇼 픽처스 <現:워너 브라더스> Revolution Studios <前: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레전더리 픽처스 <前:워너 브라더스, 現:컴캐스트> 스카이댄스 미디어 <現:바이어컴> 해즈브로 스튜디오 할리우드 영화 투자사 랫팩-듄 엔터테인먼트 <前:20세기 폭스, 現:워너 브라더스> TSG 엔터테인먼트 <現:20세기 폭스> 할리우드 영화 제작사 Kennedy Miller Mitchell Scott Free Productions 제리 브룩하이머 필름스 실버 픽처스 (다크 캐슬 엔터테인먼트) Centropolis Entertainment 이매진 엔터테인먼트 Morgan Creek Entertainment Group The Kennedy/Marshall Company 크루즈/와그너 프로덕션스 레이크쇼어 엔터테인먼트 One Race Films Bad Hat Harry Productions 1492 픽처스 오리지널 필름 ImageMovers The Playtone Company Happy Madison Productions 신카피 배드 로봇 프로덕션스 GK 필름스 월든 미디어 The Kerner Entertainment Company 플래티넘 듄스 플랜 B 엔터테인먼트 WingNut Films Marv Films Chernin Entertainment 사라진 헐리우드 영화사PolyGram Filmed Entertainment Propaganda Films Gramercy Pictures Interscope Communications 바이어컴 파라마운트 밴티지 타임 워너 Geffen Film Company 워너 인디펜던트 픽처스 퍼스트 내셔널 픽처스 RKO 픽처스 Carolco Pictures The Ladd Company Rysher Entertainment Overture Films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리젠시_엔터프라이즈&oldid=23895600" 분류: 로스앤젤레스의 기업미국의 영화 제작사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日本語КыргызчаLatviešuNederlandsPortuguêsРусский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1일 (목) 20: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리젠시 엔터프라이즈(영어: Regency Enterprises)는 1982년에 만들어진 Embassy International Pictures의 전신으로 1991년에 Regency International Pictures 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미국의 영화 & TV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엔터테인먼트 회사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리젠시 엔터프라이즈의 1990년대 작품들 중 가장 처음 작품은? Assistant: JFK
Human: 아래 편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편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편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편전(片箭) 또는 애기살은 조선의 주요 무기 가운데 하나이다. 보통 화살의 절반 정도 크기로 30cm 남짓한 짧은 화살을 대나무를 반으로 쪼갠 통아라는 기구를 이용해 발사하는 구조로, 일종의 총열인 통아를 통해 시위를 떠날 때 자세가 안정되어 정확성이 높아지며, 일반 화살보다 사거리와 살상력이 뛰어나다는 강점이 있다. 이수광의 《지봉유설》에서는 일본인들이 중국의 창술이나 일본의 조총과 함께 천하에 으뜸가는 무기로 꼽는다고 소개하고 있다. 목차 1 개설 2 참고 문헌 3 편전이 등장하는 매체 4 각주 개설[편집] 애기살의 유래에 대해서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덕무가 쓴 《청장관전서》에, 대몽항쟁 당시 고려의 중경유수(中京留守)였던 김강신(金强伸)이라는 인물이 몽골 병사에게 포위되어 무기가 다 떨어졌을 때 엽전으로 화살촉을 만들어 쓰다가 몽골 병사의 화살 하나를 얻으면 넷으로 잘라서 통편(筒鞭)에 넣어 쏘았고, 이것이 편전의 시초라고[1] 적고 있어, 고려 시대에 이미 한반도에 존재하고 있었던 무기임을 짐작할 수 있다. 한편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는 《자치통감》(資治通鑑)에서 당(唐) 말기 절서에서 반란을 일으킨 왕영(王郢)을 명주(明州) 진알(鎭遏)에서 죽인 유거용(劉巨容)이 당시 사용했다는 통사(筒射)에서 유래한 것으로 주장하였는데, 이는 측천무후(則天武后) 때 제작했다는 통사에서 애기살이 유래했다는[2] 《태종실록》의 설명과도 같다. 《고려사》, 《고려사절요》 및 《조선왕조실록》에서는 조선의 태조로 즉위하게 되는 이성계(李成桂)가 그의 전장에서 애기살을 주로 사용하였다는 기록을 전하고 있다. 공민왕(恭愍王) 19년(1370년)의 요동정벌을 지휘한 이성계가 압록강을 건너 원의 동녕부(東寧府)를 공격할 때, 우라산성(亐羅山城)에 웅거한 추장(酋長) 고안위(高安慰)를 치면서 옆에 있던 사람의 활을 빌려 애기살을 쏘아서 70여 번의 화살을 모두 얼굴에 맞혔다고 하며, 지리산 근처 운봉에서 아지발도가 이끄는 왜구를 진압할 때도, 전면전을 앞두고 고려군을 도발하는 왜장에게 이성계가 애기살을 쏘아 쓰러뜨리고 왜구의 기세를 꺾은 일화가 수록되어 있다. 편전의 사거리에 대해 《태종실록》에서는 애기살의 사거리가 200보(240미터)에 이른다고 하는가 하면, 《세종실록》 세종 27년의 기록에는 애기살의 사거리가 300보(360미터)가 된다는 기록이 있다.[3] 조선 중기의 문신 정탁(鄭琢)은 "편전은 멀리 쏘는데 장점이 있다"며 "30~40보 거리에서는 2명을 쓰러트릴 수 있고, 100보까지는 1명을 쓰러트릴 수 있으며, 200보까지도 중상을 입힐 수 있다.는 기록을 남겼다.[4] 화살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적에게 쏘아도 적이 그 화살을 다시 쏠 수 없으며, 통아에 숨겨진 작은 화살을 쏘는 구조 문제상 발사된 뒤에도 적은 그 애기살이 날아오는 것을 볼 수 없고 피하는 것도 어렵다. 통아에 작은 화살을 장전해 쏘는 것은 배우기 어려운 기술로, 연습 과정에서 잘못해 활잡이의 팔목을 꿰뚫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도 많았다. 임진왜란 시기 유성룡의 기록에 의하면 조선군이 일본과 전투할 시 애기살이 약 1천보(450m)까지 날아갔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 초기의 무과 제도에서 초장은 편전을 갖고 시험하게 되어 있었다. 애기살은 또한 중요한 군사기밀로 취급되어, 《세종실록》에는 세종 17년에 왕이 애기살 쏘는 기술이 변방의 여진족에게 새어나갈 경우 및 그것을 방지할 방법에 대해 의논하도록 상정소에 명을 내렸고, 19년에는 의정부에서 왜관의 일본인이 장난 삼아 편전 쏘는 시늉을 하고 있는 것이 조선 관인에게 포착되었는데, 부산포를 지키던 조선 군인으로부터 편전 쏘는 법을 배웠다는 진술에 따라 각 포구에서는 외국인이 있는 자리에서는 애기살 쏘는 훈련을 하지 않도록 건의하였다고 한다. 참고 문헌[편집] 민승기 《조선의 무기와 갑옷》 가람기획, 2004년 편전이 등장하는 매체[편집] 판타지소설 가우리 《강철의 열제》(2006년) 이영도 《피를 마시는 새》(2005년) - 작중 등장인물인 제국군 9014 독립중대장 니어엘 헨로 수교위가 애기살의 명수로 등장하며, 보통 활보다 사거리가길고 속도도 빠르다고 묘사되어 있다. 웹툰 (네이버) 고일권 《칼부림》(2013년) 드라마 KBS 수목드라마 《추노 - 도망노비를 쫓는 자》(천성일 극본 · 박진석 연출, 2010년) MBC 월화사극 《기황후》(이성준 연출 · 정경순 극본, 2014년) 영화 김유진 감독 《신기전》(2008년) 김한민 감독 《최종병기 활》(2011년) 이재규 감독 《역린》(2014년) 각주[편집] ↑ 《청장관전서》 권제55, 앙엽기제2, 편전 ↑ 《태종실록》 태종 13년(1413년) 7월 28일(을사)조. ↑ 최영진, ‘추노’ 등장 조선 병기 ‘애기살’이 뭐야?, 서울신문 ↑ 조선의 최종병기 - 편전(片箭) vdeh조선의 무기근접무기도검 장도 운검 참사검 창포검 환도 왜검 장병무기 장도 협도 언월도 기창 삼지창 당파 낭선 협도곤 장창 구창 겸창 요구창 삼아창 이두표 타격무기 편곤 철퇴 쇠도리깨 철편 철타 철척 차폭 부월 곤방 육모곤 유성추 사출무기궁시 합성궁 각궁 예궁 교자궁 고궁 복합궁 목궁 철궁 철태궁 쇠뇌 수노궁 궐장노 등자노 소노 화살 목전 철전 예전 편전 대우전 장군전 세전 유엽전 피령전 궁구 동개 시복 전통 촉도리 화기캐넌류 총통 천자총통 지자총통 현자총통 황자총통 완구 총통완구 대완구 중완구 소완구 호준포 대장군포 벽력포 서양 캐넌 불랑기포 홍이포 무적죽장군 화거 문종화거 변이중화거 융언필비 화거 목화수거 신경준화거 편상녹각거 검거 비거 구거 동거 불랑기동거 마반포거 쌍포양륜거 개인화기 캐넌류 승자총통 차승자총통 사전총통 사전장총통 세총통 정철총통 소총통 삼혈총 아쿼버스 조총 머스킷 천보총 탄약 폭탄류 진천뢰 비격진천뢰 질려포통 로켓류 신기전 방어구갑옷 군복 융복 구군복 엄심갑 찰갑 쇄자갑 경번갑 목면갑 두두미갑 두정갑 수은갑 방호갑 지갑 어린갑 식양갑 면제배갑 투구 원주 첨주 면주 간주형 투구 등두모 전립 방패 원방패 장방패 등패 삼엽팽배 총통연접팽배 생우미방패 죽패 군함 맹선 방패선 사후선 검선 전선 귀선 방선 비거도 병선 창선 해골선 협선 관련 항목: 한국의 군사사 - 조선의 군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편전&oldid=20176933" 분류: 궁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7년 12월 2일 (토) 22:5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편전(片箭) 또는 애기살은 조선의 주요 무기 가운데 하나이다. 보통 화살의 절반 정도 크기로 30cm 남짓한 짧은 화살을 대나무를 반으로 쪼갠 통아라는 기구를 이용해 발사하는 구조로, 일종의 총열인 통아를 통해 시위를 떠날 때 자세가 안정되어 정확성이 높아지며, 일반 화살보다 사거리와 살상력이 뛰어나다는 강점이 있다. 이수광의 《지봉유설》에서는 일본인들이 중국의 창술이나 일본의 총과 함께 천하에 으뜸가는 무기로 꼽는다고 소개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청장관전서의 저자는 누구일까? Assistant: 이덕무 Human: 아래 개구리_소년_사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개구리 소년 사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개구리 소년 사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개구리 소년 사건날짜 1991년 3월 26일위치 대한민국 대구직할시 달서구좌표 북위 35° 51′ 52″ 동경 128° 31′ 15″ / 북위 35.864341° 동경 128.520702°  / 35.864341; 128.520702좌표: 북위 35° 51′ 52″ 동경 128° 31′ 15″ / 북위 35.864341° 동경 128.520702°  / 35.864341; 128.520702최초 보고자 오우근참여자 미상원인 실종결과 2002년 9월 26일 와룡산 세방골 중턱에서 실종자의 유골 발견 사상자 5명 사망피해사망자 김종식, 박찬인, 김영규, 조호연, 우철원조사 2006년 3월 25일 공소시효 만료 개구리 소년 사건은 1991년 3월 26일에 대구직할시 달서구에 살던 다섯 명의 국민학교학생이 도룡뇽 알을 주우러 간다며 집을 나선 뒤 실종된 사건을 말한다.[1] 도롱뇽 알을 주우러 간다는 말이 개구리를 잡으러 간다고 왜곡된 것이 초기에 널리 퍼지면서 "개구리 소년"이라고 알려지게 되었다. 사건 발생일인 1991년 3월 26일은 5·16 군사 정변 이후 중단된 지방자치제가 30년 만에 부활하여 기초의회 의원을 뽑는 시·군·구의회 의원 선거일로 임시 공휴일이었다. 5명의 국민학교학생이 그것도 같은 날 동시에 실종된 이 사건은 당시 상당한 파장을 일으켰고, 사건 발생 2년 후인 1993년에는 KBS 1TV의 사건 25시와 SBS의 그것이 알고 싶다를 통해 심층적으로 방영되면서 전국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공중전화 카드, 엽서 등은 물론이고 심지어는 어린이 만화 비디오테이프 등까지 대대적으로 캠페인이 전개되면서 남녀노소 대부분이 이 사건에 대해 인지할 정도였다. 당시 정부는 경찰과 군을 대대적으로 투입하여 현장 주변을 샅샅이 뒤지고 전국적으로 수배 전단이 배포되었다. 하지만 뚜렷한 성과 없이 미제 사건으로 묻히는 듯하다가 사건 발생 11년 6개월만인 2002년 9월 26일에 성산고등학교 신축공사장 뒤쪽의 와룡산 중턱에서 아이들의 유골이 발견되어 전국이 충격에 빠졌다. 끝내 아이들의 사망 원인조차 제대로 규명하지 못한 채 2006년 3월 25일 24시에 공소시효 15년이 만료되면서 미제사건으로 남았다. 공소시효 만료 이후에도 범인을 찾기 위하여 7명의 형사들이 개구리 소년 사건을 담당하는 대구 성서경찰서에서 전담팀이 구성되어 있다. 목차 1 사건의 발단 2 사망 아동 명단 3 생존 아동 명단 4 사건에 대한 논란 4.1 유골 발견 4.2 총격에 의한 타살설 4.3 미흡한 수사 4.3.1 헛소문들 4.3.2 성급함 4.3.3 영구 미해결 사건 5 대중문화 · 미디어 6 같이 보기 7 각주 사건의 발단[편집] 대구성서초등학교(당시 국민학교라 불렸음)에 다니던 동네 아이 다섯 명은 1991년 기초의원선거로 인한 임시 공휴일이었던 1991년 3월 26일에 대구직할시(현 대구광역시) 달서구 와룡산에 도롱뇽 알을 주우러 간다며 집을 나갔다. 아이들은 결국 돌아오지 않았으며, 부모들은 경찰서에 실종 사건을 신고했다. 사망 아동 명단[편집] 다섯 아이들은 다음과 같다.(나이는 1991년 실종 당시의 나이이다.)[2][3] 우철원(13세, 6학년, 1979년생) 보호자 : 우종우, 장명자 조호연(12세, 5학년, 1980년생) 보호자 : 조남환, 김순녀 김영규(11세, 4학년, 1981년생) 보호자 : 김현도, 최경희 박찬인(10세, 3학년, 1982년생) 보호자 : 박건서, 김임자 김종식(10세, 3학년, 1983년생) 보호자 : 김철규, 허도선 생존 아동 명단[편집] 생존 아이는 다음과 같다.(나이는 1991년 당시의 나이이다.) 김태룡 (10세, 3학년, 1982년생) (그는 아침밥을 먹지 않았기 때문에 밥을 먹고 가겠다고 했고, 결국 유일무이한 생존자가 되어 버렸다.) 다만 개구리소년 관련 영상 프로그램 에서 그의 근황은 알 수 없다. 사건에 대한 논란[편집] 유골 발견[편집] 2002년 9월 26일에 와룡산에서 도토리를 줍던 한 시민이 유골을 발견하였고, 유골을 감정한 결과 소년들은 타살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4] 하지만 범인은 끝내 찾지 못하고 2006년 3월 25일자로 공소 시효가 만료되어 수사가 종결되었다. 이 사건은 오랫동안 전국민의 관심을 끌었으나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무성한 소문을 불러일으켰다. 1992년 11월에는 돌아오라 개구리소년이라는 영화를 제작하기도 할 정도였다. 그리고 2003년에 가수 MC 스나이퍼는 〈개구리소년〉이라는 노래를 내기도 했다. 2005년에는 아이들은 산에 가지 않았다라는 실화소설이 출간되기도 했다. 총격에 의한 타살설[편집] 국민일보에서 한 아무개씨(43·대구 달서구)가 2002년 9월 28일 대구경찰청에 2002년 7월에 30∼35세의 남자 1명이 구두를 닦으면서, "사격 중 5명의 소년이 갑자기 나타나 2명이 총에 맞아 이중 1명이 숨지고 1명은 다쳤으며, 이 사실을 은폐하기 위해 5명 모두를 다른 곳으로 옮겨 목을 조르고 총을 난사해 죽인 뒤 매장했다." 라는 말을 했다"고 제보했다는 기사를 보도했다.[5] 미흡한 수사[편집] 헛소문들[편집] 1992년 8월에 경찰에서는 한센병 환자들이 병을 고치기 위해 아이를 유괴해서 죽였다는 헛소문을 믿고 한센병 환자 정착촌을 강압적으로 수사하여, 한센병 환자들의 항의를 받았으며[6], 1996년 1월에는 김종식 군의 아버지가 아이들을 죽여 집에 묻었다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프로파일러인 김가원 씨의 고집센 주장이 있다면서[7] 김종식 군 아버지의 집 마당과 화장실, 구들장을 임의로 발굴해 물의를 일으키기도 했다. 성급함[편집] 아이들의 유골을 발굴할 때도 유골을 분석하여 사인을 밝혀낼 법의학자의 도움 없이 성급하게 작업을 진행하여 현장을 훼손[8]하는 등 실종과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놓쳤다는 비난도 받았었다. 특히 2002년에 유골이 발견되었을 당시 유골이 뒤엉켜있었고, 옷을 얼굴에 덮어놓은 상태였던 것에 대해 경찰은 5명의 아이들이 와룡산에서 길을 잃고 헤매다가 조난당해 추위를 피하기 위해 옷으로 온몸을 덮었을 것이라고 성급한 추측을 하였고, 심지어는 저체온증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주장까지 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피해자 부모들과 와룡산 기슭에 거주하는 할머니는 "와룡산은 마을에서 멀지 않은 야산이기 때문에 불빛이 다 보이므로 절대 조난당할 일이 없다."라고 항의하였고, 실제 1993년에 SBS의 《그것이 알고 싶다》에 출연한 당시 성서경찰서 주영철(가명) 경감도 "와룡산은 높은 산이 아니고 엄밀하게 말하면 야산이기 때문에 아이들이 조난당할 가능성은 없다."라고 말한 바 있다. 영구 미해결 사건[편집] 이 사건은 화성 연쇄 살인 사건, 이형호 군 유괴 살해사건과 함께 증거부족으로 영구 미해결 사건이 된 대표적인 사건 중 하나이다. 대중문화 · 미디어[편집] 유골 발견 이전 ( 1991년 3월 ~ 2002년 9월 24일) 1991년 ~1992년 광고 LG 슈퍼타이[9] 제품에 대구 개구리소년 찾기 광고, 슈퍼타이 세제 뒷면에 개구리소년 찾기 사진 기재된 제품 생산 1991년 5월 MBC 여론광장 개구리소년 찾기 방송 한국통신( 현재 KT) 공중전화 카드 뒷면 개구리소년 찾습니다 내용 기재된 카드 발급 오리온 초코파이 뒷면 개구리소년찾기 제품 출시 1991년 서진 꿈돌이 만화 비디오 1991년 5월 5일 한국담배인삼공사 (현재 KT&G) 출시 담배제품 88라이트 담배갑에 개구리소년 찾습니다 내용 기재된 담배갑 1천만갑 생산 개구리소년 찾는 사진 기재된 쥐포(현재 사라진 회사라 정확한 회사 사명 불분명함) 생산 1991년 대한생명 (현재 한화생명) 개구리소년 찾기 캠페인 , 고객 책자 DM에 개구리소년 찾기 사진 기재된 책자 발매 1991년 주택은행 (현재 KB 국민은행) 개구리소년 찾기 캠페인 1991년 KB 국민카드 개구리소년 찾기 캠페인 실시 , 카드대금 명세서 뒷면에 개구리소년 찾기 사진 기재 1991년 한진그룹 개구리소년 찾기 전단 배포 및 전국 영업 운송망 동원해 개구리소년 찾기 캠페인 전개 1991년 아모레 퍼시픽 미용전문사보 향장에 대구개구리소년 찾기운동 실시 보상금 1천만원 회사에서 기탁 1991년 KEB 하나은행 개구리소년 찾기 전단 배포 1991년 11월 3일 KBS 가요무대 - 개구리소년 찾는 사연 쇼 1992년 영화 《돌아오라 개구리 소년》 1992년 1월 동아생명(현재 KDB생명) 직원용 사보 동아생명 , 고객서비스 책자 파랑새에 개구리소년 찾기 사보 매달 개제 발매 1992년 2월 동원산업 동원 양반김에 대구 개구리소년 찾기 사진 개제된 제품 생산 출시 1992년 3월 대구시 교육청 에서 개구리소년 찾기 전단 22만부 제작 배포 1992년 5월 14일 주간조선 개구리소년 납북설 보도된 주간조선 발매 1993년 3월 21일 SBS 그것이 알고싶다 - 실종, 개구리 소년 1993년 3월 28일 SBS 그것이 알고싶다 - 대구 개구리 소년 1993년 4월 23일 SBS AM 트롯대행진 1993년 6월 26일 KBS 사건 25시 - 공개추적, 개구리 소년 실종 853일 1993년 9월 23일 개구리소년 5명 부모들 아이들 찾기 포기하고 생업 복귀한다고 선언 유골 발견 이후 ( 2002년 9월 26일 이후) 2002년 10월 5일 SBS 그것이 알고싶다 - 끝나지 않은 미스터리 / 주검으로 돌아온 개구리 소년 2003년 5월 14일 힙합 가수 MC 스나이퍼 2집 앨범 《초행》 중 〈개구리 소년〉 이라는 노래가 수록됨(3번 트랙). 2005년 9월 이 사건에 대해 전 카이스트 교수가 쓴 실화소설 《아이들은 산에 가지 않았다》 출간. 2011년 위 실화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아이들...》 개봉 (2011년 2월 17일 개봉, 이규만 감독) 2011년 5월 14일 SBS 그것이 알고싶다 - 살인 무기를 찾아라 - 개구리 소년 실종사건 같이 보기[편집] 공소시효 이형호 유괴 살해 사건 화성 연쇄 살인 사건 각주[편집] ↑ "아이들 살해된 이유라도 알고 싶다" :: 네이버 뉴스 ↑ 우리가 모방한 日法 ‘공소시효 15년’ :: 네이버 뉴스 ↑ "탄두 부식심해 91년 이전 사용 추정" :: 네이버 뉴스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248594 '개구리소년' 허위제보 잇따라 경찰 곤혹] ↑ "개구리 소년 총기살해" 제보2002-09-30《국민일보》 ↑ 브레이크 뉴스 기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개구리소년 사건 개요 ↑ “한국일보기사,대구 '개구리소년' 영구미제 되나?”. 2011년 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25일에 확인함.  ↑ 당시에 생산 · 판매된 슈퍼타이 제품 뒷면에 실종 어린이들의 사진이 실렸다. vdeh 대한민국의 살인 사건1940년대 송진우 피살 사건 (1945년) 윤명선 피습 사건 (1946년) 장덕수 피살 사건 (1947년) 1950년대 김창룡 저격 사건 (1956년) 1960년대 최영오 일병 사건 (1962년) 1970년대 정인숙 피살사건 (1970년) 춘천 강간살인 조작 사건(1972년) 육영수 저격 사건 (1974년) 김대두 연쇄 살인 사건 (1975년) 이팔국 아내 살인 사건 (1975년) 판문점 도끼 살인 사건 (1976년) 박흥숙 사건 (1977년) 골동품상 부부 납치 살해 사건 (1979년) 10·26 사건 (1979년) 1980년대 이윤상 유괴 살해 사건 (1980년) 우범곤 순경 총기 난사 사건 (1982년) 사진작가 죽음 연출 사건 (1982년)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1982년) 형제복지원 사건 (1975년 ~ 1987년)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 (1987년) 김훈 중위 사건 (1988년) 설인종 고문 치사 사건 (1989년) 화성 연쇄 살인 사건 (1986년 ~ 1991년) 1990년대 서울 노량진 살인 사건 (1990년) 부산 새마을금고 권총강도 살인 사건 (1990년) 양평 일가족 생매장 사건 (1990년) 김정수 거성관 방화 사건 (1991년) 여의도광장 차량질주 사건 (1991년) 이형호 유괴 살해 사건 (1991년) 김보은 김진관 사건 (1992년) 윤금이 피살 사건 (1992년) 원주 왕국회관 화재 (1992년) 혜화동 무장 탈영병 총격 난동사건 (1993년) 지존파 사건 (1993년 ~ 1994년) 온보현 택시 연쇄 살인 사건 (1994년) 박한상 부모 살해 사건 (1994년) 영생교 사건 (1994년) 양주 군부대 총기 난사 사건 (1994년) 치과의사 모녀 살인 사건 (1995년) 이종권 고문 치사 사건 (1996년) 이석 치사 사건 (1997년) 대구 이승수 연쇄살인 사건 (1997년) 이태원 햄버거 가게 살인 사건 (1997년) 박나리 유괴 살해 사건 (1997년) 대구 아동 황산테러 사건 (1999년) 완주 삼례 나라슈퍼 3인조 강도 사건 (1999년) 정두영 연쇄살인 사건 (1999년 ~ 2000년) 2000년대 김신혜 아버지 존속 살인 (2000년) 익산 약촌오거리 택시 기사 살인 사건 (2000년) 김해선 사건 (2000년) 김도룡의 나주 여고생 살인 사건 (2001년) 개구리 소년 사건 (1991년 ~ 2002년) 대구 지하철 방화 사건 (2003년) 포천 여중생 납치 피살 사건 (2003년) 유영철 연쇄 살인 사건 (2003년 ~ 2004년) 정남규 연쇄 살인 사건 (2004년 ~ 2006년) 정성현 군포 부녀자 살인 사건 (2004년) 연천 530GP 사건 (2005년) 부산개성중학교 폭행 치사 사건 (2005년) 신정동 연쇄살인사건 (2005년 ~ 2006년) 용산 초등학생 살해 사건 (2006년) 강호순 경기도 부녀자 연쇄살인 사건 (2006년 ~ 2008년) 제주 초등학생 성추행 살해 사건 (2007년) 버지니아 공대 총기 난사 사건 (2007년) 수원 노숙소녀 살인 사건 (2007년) 2007년 강화 총기 탈취 사건 (2007년) 안양 초등학생 납치 살해 사건 (2007년) SBS 외주작가 투신 자살 사건 (2008년) 마포 일가족 실종 사건 (2008년) 대구 어린이 납치 살해 사건 (2008년) 안양 관양동 존속 살해 사건 (2008년) 논현동 고시원 살인 사건 (2008년) 강화도 모녀 납치 살해 사건‎ (2008년) 제주 보육교사 살인 사건 (2009년) 2010년대 김길태 사건 (2010년) 만삭 의사 부인 사망 사건 (2011년) 울산 울주군 여아 학대 사망사건 (2011년 ~ 2013년) 강화도 해병대 총기 난사 사건 (2011년) 수원 토막 살인 사건 (2012년) 강남 술집 칼부림 사건 (2012년) 서울 신촌 대학생 피살 사건 (2012년) 제주도 올레길 살인 사건 (2012년) 통영 초등학생 살인 사건 (2012년) 울산 자매 살인 사건 (2012년) 2013년 대구 여대생 살인 사건 (2013년) 용인 엽기 살인 사건 (2013년) 칠곡 계모 아동학대 살인사건 (2013년) 강원도 고성 군부대 총기 난사 사건 (2014년) 울산 삼산동 묻지마 살인 사건 (2014년) 포천 빌라 고무통 변사 사건 (2014년) 김해 여고생 살인 사건 (2014년) 울산 입양아동 학대 사망사건 (2014년) 연천 후임병 구타사망 사건 (2014년) 수원 팔달산 토막 살인 사건 (2014년) 인천 가방 속 시신 사건 (2014년) 포천 농약 음독 사건 (2011년 ~ 2014년) 청주 크림빵 뺑소니 사건 (2015년) 시화호 토막살인 사건 (2015년) 서울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 총기 난사 사건 (2015년) 상주 농약 음료수 음독 사건 (2015년) 김일곤 트렁크 살인 사건 (2015년) 용인 벽돌 살인 사건 (2015년) 부천 초등학생 토막 살인 사건 (2012년 ~ 2015년) 부천 여중생 백골 살인 사건 (2015년 ~ 2016년) 평택 아동 살해 암매장 사건 (2013년 ~ 2016년) 청송 농약 소주 음독 사건 (2016년) 청주 아동학대 암매장 사건 (2011년 ~ 2016년) 대부도 토막시신 살인사건 (2016년) 강남역 화장실 살인사건 (2016년) 시흥 악귀 살인사건 (2016년) 김학봉 수락산 살인 사건 (2016년) 오패산터널 총격 사건 (2016년) 인천 초등학생 살해 사건 (2017년) 이영학의 중랑구 여중생 살인 사건 (2017년) 김성관의 용인 일가족 살인 사건 (2017년) 고준희 양 살인사건 (2017년) 종로 여관 방화 사건 (2018년) 제주 게스트하우스 살인 사건 (2018년) 정읍 존속살인 사건 (2018년) 봉화군 소천면 사무소 엽총 난사 사건 (2018년) 서울대공원 토막 살인 사건 (2018년) 부산 사하구 일가족 살인사건 (2018년) 거제 폭행 살인 사건 (2018년) 서울 강서구 PC방 살인 사건 (2018년) 서울 강서구 아파트 전처 살인 사건 (2018년) 인천 중학생 추락사 사건 (2018년) 강북삼성병원 정신과 의사 살인 사건 (2018년) 화성 동탄 원룸 살인사건 (2019년) 이희진 부모 피살 사건 (2019년) 진주 가좌주공아파트 방화 살인 사건 (2019년) 광주 의붓딸 살인 사건 (2019년) 전직 김포시의회 의장의 아내 살해 사건 (2019년) 고유정의 전 남편 토막 살인 사건 (2019년) 살인 사건 철도 사고 항공 사고 해양 사고 도로 사고 화재 사고 군사 사건 성범죄 사건 아동 학대 사건 폭발 사고 붕괴 사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개구리_소년_사건&oldid=24201030" 분류: 1991년 대한민국대구광역시의 역사대한민국의 미해결 살인 사건1991년 3월2002년 9월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Русский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06: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개구리 소년 사건은 1991년 3월 26일에 대구직할시 달서구에 살던 다섯 명의 국민학교 학생이 도롱뇽 알을 주우러 간다며 집을 나선 뒤 실종된 사건을 말한다. 이춘재 연쇄 살인 사건, 이형호 유괴 살해 사건과 함께 3대 미제 사건 중 하나이다. 도롱뇽 알을 주우러 간다는 말이 개구리를 잡으러 간다고 왜곡된 것이 초기에 널리 퍼지면서 "개구리 소년"이라고 알려지게 되었다. 사건 발생일인 1991년 3월 26일은 5·16 군사 정변 이후 중단된 지방자치제가 30년 만에 부활하여 기초의회 의원을 뽑는 시·군·구의회 의원 선거일로 임시 공휴일이었다.5명의 초등학교 학생이 그것도 같은 날 동시에 실종된 이 사건은 당시 상당한 파장을 일으켰고, 사건 발생 2년 후인 1993년에는 KBS 1TV의 사건 25시와 SBS의 그것이 알고 싶다를 통해 심층적으로 방영되면서 전국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공중전화 카드, 엽서 등은 물론이고 심지어는 어린이 만화 비디오테이프 등까지 대대적으로 캠페인이 전개되면서 남녀노소 대부분이 이 사건에 대해 인지할 정도였다. 당시 정부는 경찰과 군인 등을 35만명 투입하여 현장 주변을 샅샅이 뒤졌다. 하지만 뚜렷한 성과 없이 미제 사건으로 묻히는 듯하다가 사건 발생 11년 6개월만인 2002년 9월 26일에 성산고등학교 신축공사장 뒤쪽의 와룡산 중턱에서 아이들의 유골이 발견되었다. 끝내 아이들의 사망 원인조차 제대로 규명하지 못한 채 2006년 3월 25일 24시에 공소시효 15년이 만료되면서 미제사건으로 남았다. 당시수색한 경찰과 군인 등을 35만명은 확실하게 수색하지 않은것이다. 공소시효 만료 이후에도 범인을 찾기 위하여 형사들이 개구리 소년 사건을 담당하는 대구 성서 경찰서와 대구지방경찰청 미제사건수사팀이 구성되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개구리 소년 사건에 대한 논란은 무엇이었는가? Assistant: 아이들의 유골을 발굴할 때도 유골을 분석하여 사인을 밝혀낼 법의학자의 도움 없이 성급하게 작업을 진행하여 현장을 훼손[8]하는 등 실종과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놓쳤다는 비난도 받았었다. 특히 2002년에 유골이 발견되었을 당시 유골이 뒤엉켜있었고, 옷을 얼굴에 덮어놓은 상태였던 것에 대해 경찰은 5명의 아이들이 와룡산에서 길을 잃고 헤매다가 조난당해 추위를 피하기 위해 옷으로 온몸을 덮었을 것이라고 성급한 추측을 하였고, 심지어는 저체온증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주장까지 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피해자 부모들과 와룡산 기슭에 거주하는 할머니는 "와룡산은 마을에서 멀지 않은 야산이기 때문에 불빛이 다 보이므로 절대 조난당할 일이 없다."라고 항의하였고, 실제 1993년에 SBS의 《그것이 알고 싶다》에 출연한 당시 성서경찰서 주영철(가명) 경감도 "와룡산은 높은 산이 아니고 엄밀하게 말하면 야산이기 때문에 아이들이 조난당할 가능성은 없다."라고 말한 바 있다.
Human: 아래 펄빈_버르버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펄빈 버르버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펄빈 버르버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바바라 팔빈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사람의 이름은 헝가리 이름으로, 성이 앞에 오고 이름이 뒤에 옵니다. 따라서 성은 ‘펄빈’입니다. 펄빈 버르버러Palvin Barbara 2016년 칸 영화제에서 펄빈.출생 1993년 10월 8일(1993-10-08) (25세)헝가리 부다페스트[1]직업 모델, 배우활동 기간 2006년-현재키 1.71m[2] 모색 라이트 브라운눈 색깔 블루치수 (US) 31-23-35; (EU) 82-58-89드레스 사이즈 3 미국; 33 유럽신발 크기 (US) 7.5; (EU) 38에이전시 IMG Models (월드와이드) Uno Models (바르셀로나) Icon Model Management (부다페스트)[3] 펄빈 버르버러(헝가리어: Palvin Barbara, 1993년 10월 8일[4] ~ )는 바바라 팔빈(영어: Barbara Palvin)으로 잘 알려진 헝가리의 모델이다. 펄빈은 2016년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올해의 루키"에 선정 되었다. 2019년, 그녀는 빅토리아 시크릿 엔젤스에 발탁 되었다. 목차 1 성장 과정 2 경력 2.1 모델 2.2 연기 3 미디어 4 사생활 5 출연 작품 5.1 영화 6 각주 7 외부 링크 성장 과정[편집] 펄빈은 1993년 10월 8일,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태어났다. 형제로는 아니타라는 여자형제가 한 명 있다. 어린 시절 가장 좋아했던 취미로 축구와 노래 부르는 것을 꼽았다.[4] 경력[편집] 모델[편집] 펄빈은 13세때 부다페스트 거리에서 캐스팅 되어 2006년 〈스퍼 매거진〉에 첫 등장하였다. 펄빈은 이후 아시아로 이동하여 그녀는 모델 일을 꾸준히 유지해갔다.[5] 그 후 펄빈은 파리, 러시아, 터키, 태국, 싱가포르판 〈로파시엘〉, 포르투갈판 〈보그〉, 이탈리아, 헝가리판 〈마리끌레르〉, 헝가리판 〈글래머〉, 영국, 이탈리아, 한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스웨덴, 세르비아, 헝가리판 〈엘르〉, 〈얼루어〉, 〈하퍼스 바자〉와 〈젤러스 매거진〉의 잡지 표지를 장식했다. 펄빈은 아르마니 익스체인지, H&M, 빅토리아 시크릿과 핀코, 러브캣, 인티미시미, 샤넬, 아장프로보카퇴르, 빈폴, 캘빈 클라인, 디젤, 까르띠에, 펜디, 칼 라거펠트, 필그림, 니나 리치, 폴앤베어, 맘보, 리버아일랜드, 리플레이 진, GAS 진, 어반디케이, 로사 차, 메트로시티, 디우라(Djula), 칼제도니아의 캠페인에 출연했다.[6] 2012년 2월, 그녀는 로레알 파리의 새로운 앰버서더가 되었다.[7] 그녀의 2010년 2월 밀라노 패션 위크에서 프라다 쇼로 런웨이 데뷔하였다. 펄빈은 또한 루이비통, 미우미우, 니나리치, 에마뉘엘 웅가로, 크리스토퍼 케인, 줄리앙 맥도날드, 제러미 스콧, 자일스 디콘, 비비안 웨스트우드, 에트로, 돌체앤가바나의 런웨이 모델로 일했으며, pre-Fall 2011 샤넬 쇼에서 오프닝을 장식했다.[8] 2012년, 그녀는 빅토리아 시크릿 패션쇼에 섰다. 2016년, 펄빈은 2016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올해의 루키" 중 한 명으로 선정 되었다.[9] 그녀는 또한 아르마니의 시그니처 향수 "Acqua di Gioia"의 새로운 얼굴이 되었다. 펄빈은 아마존 패션의 얼굴이며, 익스프레스와 카오스 광고 캠페인에 출연했다. 펄빈은 2018년 빅토리아 시크릿 패션쇼에 6년 만에 다시 섰다.[10] 2019년에 그녀는 헝가리인 최초로 빅토리아 시크릿 엔젤스가 되었다.[11] 펄빈은 그녀의 롤 모델이자 좋아하는 모델로 케이트 모스와 나탈리야 보댜노바를 꼽고 있다.[12][13] 연기[편집] 펄빈은 2014년 영화 《허큘리스》에서 안티마케 역할로 출연하면서 배우 데뷔를 했다.[14][15] 미디어[편집] 2016년 기준, 펄빈은 models.com의 Money Girls 목록에서 14위를 차지했으며, 포브스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익을 거둔 모델 중 하나로 17위로 선정 되었다.[16] 그해 말, 그녀는 2016년 잡지 〈맥심〉의 "Maxim" Hot 100에서 4위를 차지했다.[17] 소셜 미디어 사이트 텀블러의 2017년 가장 인기있는 모델 목록 조사에서 두 번째로 인기있는 모델이라고 보도했다.[18] 사생활[편집] 펄빈은 미국 배우 딜런 스프라우스와 연인 관계로 2018년 여름부터 데이트를 시작했다.[19] 펄빈과 스프라우스는 뉴욕 브루클린에서 동거하고 있다.[20] 출연 작품[편집]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14 허큘리스Hercules 안티마케 각주[편집] ↑ “Who is Barbara Palvin and why is she the new it girl?”. 《Glamour México》. this it girl is originally from Albertirsa, Hungary  ↑ “IMG Models Barbara Palvin”. 《IMG Models》. CDS.  ↑ “Barbara Palvin - Model”. 《models.com》. 2018년 4월 4일에 확인함.  ↑ 가 나 Palvin Barbara's Hungarian biography ↑ “Barbara Palvin”. 《New York Magazine》. 2011년 1월 29일에 확인함.  ↑ “Fashion Model Directory”. 2013년 5월 17일에 확인함.  ↑ Niven, Lisa. “L'Oreal's New Girl”. 《Vogue》. Conde Nast. 2013년 5월 17일에 확인함.  ↑ “Rosa Clara Bridal collection 2014”. fabfashionfix.com. 2013년 11월 24일에 확인함.  ↑ Niven, Lisa. “SI Swimsuit 2016 Rookie Reveal: Barbara Palvin”. 《Sports Illustrated》. Sports Illustrated. 2016년 2월 10일에 확인함.  ↑ “Exclusive: Barbara Palvin's Victoria's Secret Fashion Show Photo Diary, Featuring Gigi Hadid, Candice Swanepoel, and Boyfriend Dylan Sprouse”. wmagazine.com. 2019년 2월 13일에 확인함.  ↑ Frey, Kaitlyn (2019년 3월 14일). “Barbara Palvin Is the Newest Victoria's Secret Angel: 'It's the Ultimate Career High'”. 《People》.  ↑ “Barbara Palvin model to watch”. Vogue UK. 2011년 1월 29일에 확인함.  ↑ “meet Hungarian model Barbara Palvin”. 10 July 2011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9 January 2011에 확인함.  ↑ Barbara Palvin (2013년 9월 16일). “Had an amazing day shooting #Hercules @BrettRatner @TheRock #Irina 😍”. 2018년 4월 4일에 확인함 – Twitter 경유.  ↑ Brett Ratner. “Tweets with replies by Brett Ratner (@BrettRatner) - Twitter”. 2018년 4월 4일에 확인함 – Twitter 경유. (가입 필요).  ↑ “Barbara Palvin - Model”. 《models.com》. 2018년 4월 4일에 확인함.  ↑ “Maxim Hot 100 - 2016 (Visual)”. 《www.listal.com》. 2016년 11월 3일에 확인함.  ↑ “Exclusive: Tumblr's List of 2017's Most Popular Models Includes Bella Hadid, Barbara Palvin, and Some Very Revealing Insights About Fashion's Super Fans”. wmagazine.com. 2019년 2월 13일에 확인함.  ↑ “Barbara Palvin Calls Boynnmmfriend Dylan Sprouse the 'Perfect Guy,' Reveals 'She's Very Much in Love'”. 《People》.  ↑ “Digital Cover: Dylan Sprouse & Barbara Palvin, a Modern Love Story”. 《W》.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펄빈 버르버러 (영어) 펄빈 버르버러 - 패션 모델 디렉터리 펄빈 버르버러 - Models.com 펄빈 버르버러 - 인스타그램 펄빈 버르버러 - 트위터 vdeh빅토리아 시크릿 엔젤스현재의 엔젤스 릴리 앨드리지 레오미 앤더슨 알렉시나 그레이엄 테일러 힐 엘사 호스크 그레이스 엘리자베스 마사 헌트 스텔라 맥스웰 펄빈 버르버러 베하티 프린슬루 라이스 히베이루 사라 삼파이우 조세핀 스크리베르 로메이 스트레이트 캔디스 스워너풀 재스민 툭스 과거의 엔젤스 아드리아나 리마 알레산드라 암브로지우 찬드라 노스 샤넬 이만 다니엘라 페스토바 다우천 크루스 에린 헤더턴 지젤 번천 하이디 클룸 헬레나 크리스텐센 이네스 리베로 이자베우 굴라르 카런 뮐더르 칼리 클로스 카롤리나 쿠르코바 케이트 그리고리예바 레티시아 카스타 린지 엘링슨 머리사 밀러 미란다 커 모니카 야가치아크 로지 헌팅턴화이틀리 셀리타 이뱅크스 스테퍼니 시모어 타이라 뱅크스 야스민 가우리 관련 항목 에드워드 라젝 리미티드 브랜드 빅토리아 시크릿 모델 목록 PINK 빅토리아 시크릿 빅토리아 시크릿 패션 쇼 빅토리아 시크릿 스윔 스폐셜 vdeh2010년대 빅토리아 시크릿 패션 쇼 모델 (첫 출연)2010년 그라시 카르발류 예카테리나 도만코바 릴리 도널드슨 마그달레나 프라츠코비아크 헤로이제 게랭 콩스탕스 자블롱스키 재클린 자블론스키 라이스 히베이루 파비아나 셈프레봉 마르타 스트렉 2011년 제시카 클라크 토니 가른 허쑤이 브레혀 헤이넌 엘사 호스크 칼리 클로스 이에바 라구나 아나이스 말리 카롤리네 브라슈 닐센 카르멘 페다루 캐머런 러셀 샤니나 샤이크 조앤 스몰스 2012년 카라 델레바인 샤란 디니즈 조던 던 바르바라 피알류 프리다 구스타프손 제시카 하트 바트 요르겐슨 바바라 팔빈 슈 페이 친 힐러리 로다 재스민 툭스 마우트 벨전 2013년 시그리드 아그렌 마리아 보르즈스 신디 브뤼나 말라이카 퍼스 켈리 게일 마사 헌트 모니카 야가치아크 사라 삼파이우 조세핀 스크리베르 카시아 스트러스 데번 윈저 밍시 2014년 다니엘라 브라가 케이트 그리고리예바 이만 하맘 테일러 힐 유미 랑베르 그레이스 마하리 스텔라 맥스웰 미헐리크 에니쾨 블랑카 파디야 이리나 샤리포바 로메이 스트레이트 2015년  레오미 앤더슨 지지 하디드 레이철 힐버트 폴린 오아로 켄달 제너 발레리 카우프만 브루나 리리오 브리짓 맬컴 레일라 엔다 메건 퓰러리 비타 시도르키나  사너 플룻 2016년 알난나 애링턴 딜론 그레이스 엘리자베스 조지아 파울러 라메카 폭스 루마 그로치 벨라 하디드 쥐샤오원 매기 레인 케케 린드가드 플라비아 루시니 라이스 올리베이라 헤리에스 폴 브룩 페리 주다나 필립스 카밀 로우 이리나 샤크 주리 티비 메간 윌리엄스 2017년 프리다 아센 자빌 버마넬리 그레이스 볼 에스텔 첸 에이든 커티스 로스마린 데 코크 아밀리나 에스테바오 알레시나 그레이엄 빅토리아 리 나딘 레오폴드 바네사 무디 알레시아 모라이스 이젤라 올리베이라 원 왕이 씬잉 2017년 미르테 볼트 조시 칸세코 샤이엔 마야 카티 마이아 코튼 윌로우 핸드 위니 할로우 아이샤 호지스 수바 코즈 켈시 메리트 이실다 모레이라 새디 뉴먼 마요와 니콜라스 로레나 래이 소피 로벤스틴 더키 토트 멜리 티아코 앨라나 월트 야스민 바이날둠 2018년 미르테 볼트 조시 칸세코 체이 카티 마이아 코튼 윌로우 핸드 위니 할로우 아이샤 호지스 사바 코이 켈시 메리트 이실다 모레이라 섀디 뉴먼 마요와 니콜라스 로레나 래 소피 로벤스틴 더키 도트 멜리 티아코 앨라나 월튼 야스민 바이날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펄빈_버르버러&oldid=24150202" 분류: 199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헝가리의 여자 모델헝가리의 여자 영화 배우부다페스트 출신숨은 분류: 가입이 필요한 링크를 포함한 문서헝가리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کوردی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5일 (일) 06: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펄빈 버르버러(헝가리어: Palvin Barbara, 1993년 10월 8일 ~ )는 바바라 팔빈(영어: Barbara Palvin)으로 잘 알려진 헝가리의 모델이다. 펄빈은 2016년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올해의 루키"에 선정되었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빅토리아 시크릿 엔젤스로 활동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펄빈 버르버러가 패션위크에서 런웨이 데뷔를 한 쇼의 이름은 무엇인가? Assistant: 프라다 쇼 Human: 아래 성_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성 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성 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성 킴Sung Kim 대한민국 주재 미국 대사관 대사 임기 2011년 11월 25일 ~ 2014년 10월 24일 대통령 버락 오바마 부통령 조 바이든 신상정보 국적 미국 출생일 1960년 (58–59세) 출생지 대한민국 서울 거주지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영국 런던 학력 미국 로욜라 메리마운트 대학교 대학원 경력 미국 시카고 대학교 법학과 겸임교수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법학과 겸임교수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 외교행정위원회 대한민국 외교과 과장 세르비아 주재 미국 대사관 대사 필리핀 주재 미국 대사관 대사 정당 무소속 부모 김재권(부), 임현자(모) 배우자 정재은 자녀 슬하 2녀 친인척 임택근(외숙부)임재범(외종제) 송남영(외종제수) 손지창(외종제) 오연수(외종제수) 종교 개신교(침례회) 성 용 김(Sung Yong Kim, 1960년 ~ )은 1980년 미국 시민권을 취득한 한국계 미국인으로, 한국명은 김성용(金星容)이다. 목차 1 주요 이력 2 가족 및 친족 관계 3 학력 4 함께 보기 5 각주 주요 이력[편집] 주한미국대사로 근무하고 있었던 그는 그의 후임으로 마크 리퍼트가 주한미국대사로 부임하기 전까지 대사직을 맡았었다. 서울 출신인 김 대사는 중학교 1학년 때까지 서울에서 살았다. 이후 펜실베이니아대를 나온 후 로욜라 로스쿨을 거쳐 검사 생활을 하다가 외교관이 됐다. 미국무부 동아시아부 중에서도 가장 많은 직원을 거느린 한국과의 과장을 역임했다. 빅터 차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아시아 담당 보좌관, 유리 김(한국명: 김유리) 북한 팀장과 함께 미국 행정부에서 한국 전문가로 통한다. 그뿐 아니라 성 김은 아직 주한 미국 대사관 대사 발령 이전에도 이미 주한 미국 대사관에서 참사관 근무한 경험이 있으며, 한국어에 능통하다.[1][2] 2008년 9월 상원 인준 청문회를 거쳐 '대사(大使)' 타이틀을 얻은 후, 6자회담 수석대표 겸 대북 특사로 일해왔다. 2011년 6월 27일 캐슬린 스티븐스 주한 미국 대사의 후임으로 내정이 되어, 10월 13일 상원의 인준을 통과하였다. 이는 한미 수교 121년만의 첫 한국계 주한 미국 대사이다.[3] 2012년 18대 대선 직후인 12월 20일에는 새누리당 당사에서 박근혜 당선인을 만나[4] 축하 메시지를 전달 가족 및 친족 관계[편집] 그의 아버지는 박정희 정권의 김대중 납치사건 당시 주일공사로 있던 김재권이다.[5] 아버지 김재권은 94년 6월 미국에서 사망하였고, 어머니 임현자는 미국에 거주하고 있다. 김씨의 어머니 임현자씨는 임택근 MBC 문화방송 전무이사의 누나이며, 임택근은 임재범(62년생)과 손지창(70년생)의 부친이다.[6] 그는 이화여대 미대 출신의 한국 여성 정재은씨와 결혼해 두 딸을 두고 있고, 임재범의 부인인 송남영은 뮤지컬 배우로 그의 사촌 제수이기도 한다. 학력[편집]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행정학과 학사 미국 로욜라 메리마운트 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석사 영국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정치경제대학원 정치학 석사 미국 로욜라 메리마운트 대학교 대학원 법학석사 미국 로욜라 메리마운트 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 함께 보기[편집] 존 무초 조지프 윤 각주[편집] ↑ <6자회담> 美대표단 '코메리칸 3인방' 주목, 통일뉴스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38&aid=0002474759 직접 방송에 출연해 한국어로 대화함 ↑ 수교 121년만의 첫 한국계 주한 美대사 Sung Kim - 서울신문 ↑ http://www.saenuriparty.kr/web/news/briefing/delegateBriefing/readDelegateBriefingView.do?bbsId=SPB_000000000411736[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일본은 김대중 납치사건에서 자유로운가?, 오마이뉴스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6052305495&code=100100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성 김 전임캐슬린 스티븐스 제22대 주한 미국 대사2011년 11월 ~ 2014년 10월 후임마크 리퍼트 전임스티븐 보즈워스 미국 국무부 대북 정책 특별대표2014년 ~ 2016년 후임조지프 윤 이 글은 교육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정치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성_김&oldid=24481722" 분류: 1960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미국의 외교관세르비아 주재 미국 대사20세기 미국 사람21세기 미국 사람대한민국 주재 미국 대사필리핀 주재 미국 대사한국계 미국인리라초등학교 동문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동문런던 정치경제대학교 동문로욜라 메리마운트 대학교 동문시카고 대학교 교수펜실베이니아 대학교 교수서울특별시 출신미국의 침례교도로스앤젤레스 출신미국의 검사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교육인에 관한 토막글정치인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Italiano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5일 (화) 17: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성 용 김(Sung Yong Kim, 1960년 ~ )은 미국의 외교관이다. 1980년에 미국 시민권을 취득한 한국계 미국인으로, 한국 이름은 김성용(金星容)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주한미국대사에 한국계 인물의 부임은 한미수교 이후 몇 년만이야? Assistant: 121년
Human: 아래 스베르들롭스크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스베르들롭스크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베르들롭스크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베르들롭스크 주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스베르들롭스크주(러시아어: Свердло́вская о́бласть, 문화어: 스웨르들로브 주)는 러시아의 주이다. 면적은 194,800 km²이고, 인구는 4,486,214명(2002년)이다. 중심지는 예카테린부르크 (129만3,000명, 예전에는 스베르들로프스크)이고, 다른 중요한 도시로는 니즈니타길(39만600명), 카멘스크우랄스키(18만6,000명), 페르보우랄스크(13만2,800명), 세로프(10만300명)이다. 목차 1 상징 2 지리 2.1 시간대 2.2 기후 3 행정 구역 4 주민 5 역사 6 경제와 교통 7 외부 링크 상징[편집] 스베르들롭스크 주의 기 스베르들롭스크 주의 문장 지리[편집] 동유럽의 가장 끝부분에 해당되는 곳에 위치해 있고, 중부 및 북부 우랄과 서시베리아 평원에 위치해 있다. 서쪽 끝은 우랄 산맥에 해당된다. 최고봉은 북부우랄의 콘자코프스키카멘 산(1569m)와 데네슈킨카멘 산(1492 m)이다. 중부 우랄은 대부분이 산악으로 되어 있고, 300-500m의 산봉우리가 많이 있다. 강은 타브다 강과 투라 강, 추소바야 강, 우파 강, 카마 강이다. 페름 지방, 코미 공화국, 한티만시 자치구, 튜멘주, 쿠르간주, 첼랴빈스크주와 바시키르 공화국과 접해 있다. 시간대[편집] 예카테린부르크 시간대 (YEKT)에 접해 있다. UTC와의 시차는 +0600 (YEKT)이다. 기후[편집] 이 지역은 겨울에는 - 15 ~ ` 20 C로 떨어진다. 여름에는 짧지만 약간의 비가 내린다. 여름 기후는 19 C이다. 행정 구역[편집] 아치츠키 군 (Ачитский) 알라파옙스키 군 (Алапаевский) 아르틴스키 군 (Артинский) 아르툐몹스키 군 (Артёмовский) 바이칼롭스키 군 (Байкаловский) 벨로야르스키 군 (Белоярский) 보그다노비치스키 군 (Богдановичский) 가린스키 군 (Гаринский) 이르비츠키 군 (Ирбитский) 카멘스키 군 (Каменский) 카미실롭스키 군 (Камышловский) 크라스노우핌스키 군 (Красоуфимский) 네비얀스키 군 (Невьянский) 니즈네세르게인스키 군 (Нижнесергеинский) 노볼랼린스키 군 (Новолялинский) 프리고로드니 군 (Пригородный) 피슈민스키 군 (Пышминский) 레젭스키 군 (Режевский) 세롭스키 군 (Серовский) 샬린스키 군 (Шалинский) 슬로보도투린스키 군 (Слободо-Туринский) 수홀로시스키 군 (Сухоложский) 시세르츠키 군 (Сысертский) 타보린스키 군 (Таборинский) 탈리츠키 군 (Талицкий) 타브딘스키 군 (Тавдинский) 투굴림스키 군 (Тугулымский) 투린스키 군 (Туринский) 베르흐네살딘스키 군 (Верхнесалдинский) 베르호투르스키 군 (Верхотурский) 주민[편집] 인구 (2002년): 448만6,214명 소수민족: 448만6,214명의 주민들중 400만2,974명이 러시아인 (89%), 16만8,143명이 타타르족 (3.75%), 5만5,478명이 우크라이나인 (1.2%), 3만7,296명이 바슈키르인 (0.8%), 2만7,863명이 마리인 (0.6%), 2만2,540명이 볼가독일인 (0.5%)과 기타가 거주한다. 역사[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경제와 교통[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스베르들롭스크주 (러시아어) 스베르들롭스크 주 공식홈페이지 (영어) 예카테린부르크 정보포털 vdeh 러시아의 행정 구역연방주체공화국 다게스탄 마리옐 모르도바 바시키르 부랴트 사하 세베로오세티야 아디게야 알타이 우드무르트 인구시 체첸 추바시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 카렐리야 카바르디노발카르 칼미크 코미 크림1 타타르 투바 하카스 지방 스타브로폴 알타이 자바이칼 캄차카 크라스노다르 크라스노야르스크 페름 프리모르스키 하바롭스크 주 노보시비르스크 노브고로드 니즈니노브고로드 랴잔 레닌그라드 로스토프 리페츠크 마가단 모스크바 무르만스크 벨고로드 보로네시 볼고그라드 볼로그다 브랸스크 블라디미르 사라토프 사마라 사할린 스몰렌스크 스베르들롭스크 아르한겔스크 아무르 아스트라한 야로슬라블 오렌부르크 오룔 옴스크 울리야놉스크 이르쿠츠크 이바노보 첼랴빈스크 칼루가 칼리닌그라드 케메로보 코스트로마 쿠르간 쿠르스크 키로프 탐보프 톰스크 툴라 튜멘 트베리 펜자 프스코프 연방시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세바스토폴1 자치주유대인 자치주자치구 네네츠 야말로네네츠 축치 한티만시 연방관구 극동 남부 북서 북캅카스 시베리아 우랄 중앙 프리볼시스키 1 국제 사회에서는 러시아의 크림 공화국과 세바스토폴 합병을 인정하지 않으며 우크라이나의 일부로 본다. 이 글은 러시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스베르들롭스크주&oldid=23026873" 분류: 스베르들롭스크주숨은 분류: 러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문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러시아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cèh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НохчийнCebuanoQırımtatarcaČeštinaСловѣньскъ / ⰔⰎⰑⰂⰡⰐⰠⰔⰍⰟ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HrvatskiHornjoserbsce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QaraqalpaqshaҚазақшаПерем КомиКомиLatinaلۊری شومالیLietuviųLatviešuОлык марийМакедонскиमराठीBahasa MelayuЭрзяньNederlandsNorsk nynorskNorskИронPolski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аха тылаScots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Тоҷикӣ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дмурт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epsän kel’Tiếng ViệtWinarayХальмг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5일 (목) 19: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스베르들롭스크주(러시아어: Свердло́вская о́бласть, 영어: Sverdlovsk, 문화어: 스웨르들롭스크주)는 러시아의 주이다. 면적은 194,800 km2이고, 인구는 4,486,214명(2002년)이다. 중심지는 예카테린부르크 (129만3,000명, 예전에는 스베르들로프스크)이고, 다른 중요한 도시로는 니즈니타길(39만600명), 카멘스크우랄스키(18만6,000명), 페르보우랄스크(13만2,800명), 세로프(10만300명)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스베르들롭스크주의 행정구역 중에서 가장 긴 이름 가진 군은 어디입니까? Assistant: 니즈네세르게인스키 군 Human: 아래 로빈_라이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로빈 라이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로빈 라이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로빈 라이트Robin Wright 2017년 칸 영화제에서 로빈 라이트본명 로빈 버지니아 게일 라이트Robin Virginia Gayle Wright출생 1966년 4월 8일(1966-04-08) (53세)미국 텍사스주 댈러스국적 미국직업 배우활동 기간 1983년 ~ 현재 배우자 데인 위더스푼 (1986년 ~ 1988년, 이혼)숀 펜 (1996년 ~ 2010년, 이혼)자녀 딜런 펜 (딸)호퍼 펜 (아들)수상 2014년 제71회 골든글로브 시상식 TV드라마부문 여우주연상 2005년 제58회 로카르노 영화제 청동표범상 로빈 버지니아 게일 라이트 (영어: Robin Virginia Gayle Wright, 1966년 4월 8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넷플릭스 드라마 《하우스 오브 카드》의 클레어 언더우드 역, 영화 《포레스트 검프》의 제니 역과 《프린세스 브라이드》의 버터컵 역으로 잘 알려져 있다. 목차 1 학력 2 초기 삶 3 출연 작품 3.1 영화 3.2 드라마 4 참고 5 외부 링크 학력[편집] 태프트 고등학교 초기 삶[편집] 로빈 라이트는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메리 케이 화장품 판매원이었던 게일과 제약 회사 직원이었던 프레드 라이트의 딸로 태어났다.[1] 그 후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서 성장했다. 출연 작품[편집] 영화[편집] 포레스트 검프 언브레이커블 나인 라이브즈 병 속에 든 편지 프린세스 브라이드 스테이트 오브 플레이 음모자 머니볼 램파트 밀레니엄: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 더 콩그레스 투 마더스 모스트 원티드 맨 에베레스트 원더우먼 블레이드 러너 2049 저스티스 리그 원더우먼 1984 드라마[편집] 하우스 오브 카드 시즌 5 (넷플릭스) 참고[편집] ↑ “Robin Wright Biography (1966-)”. 2010년 7월 1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로빈 라이트 (영어) 로빈 라이트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로빈 라이트 - 인스타그램 (영어) 로빈 라이트 - 트위터 (영어) 로빈 라이트 - 페이스북 vdeh골든 글로브상 여우주연상 - 텔레비전 드라마 시리즈1969-1979 린다 크리스털 (1969) 페기 립턴 (1970) 퍼트리샤 닐 (1971) 게일 피셔 (1972) 리 레믹 (1973) 앤지 디킨슨 (1974) 리 레믹 (1975) 수전 브레이클리 (1976) 레슬리 앤 워런 (1977) 로즈메리 해리스 (1978) 내털리 우드 (1979) 1980-1999 시마다 요코 (1980) 린다 에번스/바버라 벨 게디스 (1981) 조앤 콜린스 (1982) 제인 와이먼 (1983) 앤절라 랜즈베리 (1984) 샤론 글레스 (1985) 앤절라 랜즈베리 (1986) 수전 데이 (1987) 질 아이켄베리 (1988) 앤절라 랜즈베리 (1989) 샤론 글레스/퍼트리샤 웨티그 (1990) 앤절라 랜즈베리 (1991) 레지나 테일러 (1992) 케시 베이커 (1993) 클레어 데인스 (1994) 제인 시모어 (1995) 질리언 앤더슨 (1996) 크리스틴 라티 (1997) 케리 러셀 (1998) 이디 팰코 (1999) 2000-현재 셀라 워드 (2000) 제니퍼 가너 (2001) 이디 팰코 (2002) 프랜시스 콘로이 (2003) 마리슈카 하기테이 (2004) 지나 데이비스 (2005) 키라 세지윅 (2006) 글렌 클로스 (2007) 애나 패퀸 (2008) 줄리아나 마굴리스 (2009) 케이티 사갈 (2010) 클레어 데인스 (2011) 클레어 데인스 (2012) 로빈 라이트 (2013) 루스 윌슨 (2014) 타라지 P. 헨슨 (2015) 클레어 포이 (2016) 엘리자베스 모스 (2017) 샌드라 오 (2018) 전거 통제 WorldCat VIAF: 5130073 LCCN: n92090902 ISNI: 0000 0001 2020 1940 GND: 122405609 SUDOC: 069283176 BNF: cb14014561g (데이터) 뮤직브레인즈: 5c2c3d4c-17ad-42df-bbde-c9b371219123 NLA: 35088926 NKC: xx0150756 BNE: XX457957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로빈_라이트&oldid=24084176" 분류: 1966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미국의 여자 영화 배우미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댈러스 출신 배우골든 글로브상 드라마 여우주연상(텔레비전) 수상자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ragonésالعربيةAsturianu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CatalàCorsu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Кыргызча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Volapük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2일 (월) 01: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로빈 버지니아 게일 라이트(영어: Robin Virginia Gayle Wright, 1966년 4월 8일 ~ )는 미국의 배우, 영화 감독이다. 넷플릭스 드라마 《하우스 오브 카드》의 클레어 언더우드 역, 영화 《포레스트 검프》의 제니 역과 《프린세스 브라이드》의 버터컵 역으로 잘 알려져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로빈 라이트의 작품 중에서 장애인을 소재로한 영화는 무엇인가? Assistant: 포레스트 검프
Human: 아래 야코프_베르누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야코프 베르누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야코프 베르누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야코프 베르누이독일어: Jakob Bernoulli 출생 1655년 1월 6일(1655-01-06)스위스 바젤 사망 1705년 8월 16일 (50세)스위스 바젤 분야 수학 소속 바젤 대학교 출신 대학 바젤 대학교 지도 교수 페터 베렌펠스(독일어: Peter Werenfels) (신학박사) 니콜라 말브랑슈 (하빌리타치온) 지도 학생 요한 베르누이 니콜라우스 베르누이(Nikolaus I. Bernoulli) 야코프 헤르만(Jakob Hermann) 주요 업적 베르누이 수 베르누이 공식 베르누이 다항식 베르누이의 렘니스케이트 야코프 베르누이(독일어: Jakob Bernoulli, 1654년 12월 27일 ~ 1705년 8월 16일)는 스위스의 수학자이자 화학자이다. 니콜라우스의 아들인 야코프 베르누이는 니콜라스와요한 베르누이의 형이자 다니엘 베르누이의 삼촌이다.[1] 목차 1 생애 2 추측술 3 참고 문헌 4 각주 5 외부 링크 생애[편집] 스위스의 바젤에서 태어났다. 1676년 영국 여행 도중 로버트 보일과 로버트 후크를 만나, 그 후 과학과 수학의 연구에 일생을 바치게 되었다. 1682년부터는 바젤 대학교에서 교편을 잡았고, 1687년에는 같은 대학의 수학 교수가 되었다. 베르누이는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와 교류를 가지며 라이프니츠로부터 미적분을 배웠고, 동생 요한 베르누이와 공동연구를 하였다. 그의 초기의 업적인 초월곡선(1696)과 isoperimetry(1700, 1701)는 이 공동작업의 성과이다. 그는 사후 출판된 저서 《추측술》(推測術, 라틴어: Ars Conjectandi 아르스 코녝탄디[*])로 확률론에 크게 공헌하였다. 이 곳에 저술된 베르누이 시행과 베르누이 수는 그의 이름을 따 이름 붙여졌다. 또 '변분법'이라는 새로운 계산 방법을 만들어 내어 근대 수학에 큰 공헌을 하였다. 현수선·탄성 곡선의 문제를 해결하고, 확률론의 계통적 연구를 하였다. 추측술[편집] 오늘날 우리는 도박에서 경우의 수와 확률을 매우 밀접하게 생각한다. 하지만 18세기 초만 하더라도 그 둘은 멀리 떨어져 있었는데, 그 둘을 이어준 책이 바로 《추측술》이다. 1654년 블레즈 파스칼과 피에르 드 페르마가 도박 문제를 수학적으로 풀기 시작한 이후, 1657년 확률에 대한 최초의 출판물인 크리스티안 하위헌스의 글이 발표되었다. 그 뒤 한동안 뜸하던 연구는 18세기 초에 스위스의 야코프 베르누이, 프랑스의 피에르 레몽 드 몽모르(프랑스어: Pierre Raymond de Montmort), 영국의 아브라암 드무아브르의 중요한 연구들이 출판되면서 크게 도약했다. 이 세 사람의 연구 중에서 《추측술》이 가장 앞선 것으로 평가된다. 이 책은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댓값이나 조합에 대한 베르누이의 독창적인 연구와 해석뿐만 아니라, 이미 다른 사람이 발표한 결과와 그에 대한 설명 등이 실려 있다. 또한 ‘확률’의 분명한 정의와 도박, 경제, 도덕 등 여러 분야에서 확률 이용, 무엇보다 그때까지 볼 수 없었던 극한 정리를 확인할 수 있다. 제1부는 하위헌스가 쓴 《우연에 따르는 게임의 추론에 대하여》(1657)를 그대로 싣고 거기에 상세한 해설을 덧붙인 것이다. 하위헌스의 글에는 정리가 열네 개 실려 있고 문제가 다섯 개 실려 있는데, 베르누이는 하위헌스의 모든 정리에 상세한 해설을 붙였고 다섯 개의 문제도 독자적인 방법으로 상세히 풀었다. 제2부의 내용은 조합과 순열에 대한 설명이다. 제3부는 제1부의 기댓값과 제2부의 조합에 대한 내용을 실제 게임 문제에 적용하는 것들로서 모두 스물네 문제와 풀이로 이루어져 있다. 이 책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제4부다. 여기서 베르누이는 비로소 확률을 처음으로 정의하는데 그 정의에 따르면, 확률이란 ‘확실성이 어느 정도인가’를 말하는 것이다. 확률과 함께 제4부에서 중심이 되는 내용은 나중에 ‘약대수의 법칙(weak law of large numbers)’이라고 불리게 되는 중요한 정리와 그 증명이다. 이 정리는 확률 이론의 역사에서 최초로 등장한 극한 정리일 뿐 아니라 수학사 전체를 통틀어 보더라도 가장 먼저 등장한 극한 이론이었다. 이 정리를 베르누이가 어떻게 제시하고 증명했는지 베르누이 자신의 글을 통해 살펴보면 그가 생각한 정리는 여러 세부적인 면에서 오늘날 교과서에서 볼 수 있는 정리와 차이가 나며, 증명 또한 오늘날의 밋밋하고 단순한 증명과는 매우 다름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편집] 베르누이, 야코프 (2013). 《추측술》. 조재근 역. 지식을만드는지식. ISBN 978-89-6680-419-1.  각주[편집] ↑ ([시사] 서양수학사에 한 획을 그은 수학의 명가 베르누이 가문)http://dl.dongascience.com/magazine/view/M201412N011 외부 링크[편집] 본 문서에는 지식을만드는지식에서 CC-BY-SA 3.0으로 배포한 책 소개글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O’Connor, John J.; Edmund F. Robertson (1998년 9월). “야코프 베르누이”. 《MacTutor History of Mathematics Archive》 (영어).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야코프 베르누이”. 《수학 계보 프로젝트》 (영어). 미국 수학회.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4793931 LCCN: n83196756 ISNI: 0000 0001 1021 5046 GND: 118509950 SELIBR: 40504 SUDOC: 029042062 BNF: cb120751142 (데이터) BIBSYS: 90347227 HDS: 23988 MGP: 54440 NLA: 35516053 NKC: ola2002152851 ICCU: IT\ICCU\IEIV\029508 BNE: XX161250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야코프_베르누이&oldid=23907549" 분류: 1654년 태어남1705년 죽음스위스의 수학자17세기 수학자18세기 수학자베르누이 가17세기 스위스 사람바젤슈타트주 출신숨은 분류: 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지식을만드는지식 공개자료를 인용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CS1 - 영어 인용 (en)14 종류의 전거 통제 정보를 포함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B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КыргызчаLatina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मराठीMalti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PolskiPiemontèis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吴语ייִדישYorùbá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4일 (일) 11: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야코프 베르누이(독일어: Jakob Bernoulli, 1654년 12월 27일 ~ 1705년 8월 16일)는 스위스의 수학자이자 화학자이다. 니콜라우스의 아들인 야코프 베르누이는 니콜라스와요한 베르누이의 형이자 다니엘 베르누이의 삼촌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야코프 베르누이의 생애 중 야코프 베르누이가 바젤대학교에서 교편을 잡은 해는 언제인가? Assistant: 1682년 Human: 아래 세계무역기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세계무역기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세계무역기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TO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4년 9월) WTO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WTO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World Trade Organization Organisation mondiale du commerce Organización Mundial del Comercio 세계무역기구 : 회원국 : EU 동시 가입 회원국 : 참관국 : 미가입국 공용어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본부 소재지 제네바 창설 1995년 1월 1일 가맹국 수 161개국 (2015년 4월 26일 기준) 홈페이지 wto.org 스위스 제네바의 WTO 본부 세계무역기구(世界貿易機構,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Organisation mondiale du commerce, OMC) (Organización mundial del comercio, OMC) 는 회원국들간의 무역 관계를 정의하는 많은 수의 협정을 관리 감독하기 위한 기구이다. 세계무역기구는 1947년 시작된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 GATT) 체제를 대체하기 위해 등장했으며, 세계 무역 장벽을 감소시키거나 없애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는 국가 간의 무역을 보다 부드럽고, 자유롭게 보장해 준다. 세계무역기구의 본부는 스위스 제네바에 위치해 있다. 2005년 5월 13일, 파스칼 라미가 사무총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수파차이 파닛차팍 전 사무총장으로부터 2005년 9월 1일 사무총장의 직책을 건네받았다. 2017년 2월 일반의사회의 컨센서스로 호베르투 아제베도(Roberto Azevêdo)가 선출되어, 동년 9월에 임기가 시작되었다. 2013년 3월 현재 기준 159개의 회원국이 있으며, 대부분의 국가는 개발도상국이다. 모든 회원국은 "무조건 최혜국대우 공여원칙"을 지킬 것을 의무로 갖는데, 이는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하나의 회원국이 받는 특권이 모든 다른 국가에게도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1990년대 후반, 세계무역기구는 반세계화 운동의 주요한 공격 대상이 됐다. 목차 1 설립 2 조직 2.1 최고 단계: 각료회의 2.2 2차 단계: 일반이사회 2.3 3차 단계: 상품이사회 등 3 기본 원칙 4 임무 4.1 협상 4.2 분쟁 해결 5 회원국 현황 6 협정 6.1 농업협정 6.2 서비스무역에 관한 일반협정 6.3 무역관련 지적재산권에 관한 협정 6.4 위생 및 검역조치에 관한 협정 7 연표 8 비판 9 홍콩 각료회의 10 같이 보기 11 각주 12 외부 링크 12.1 반 세계무역기구 링크 설립[편집] 세계무역기구는 1995년 1월 1일, 제2차 세계 대전 후 자유 무역을 지향하기 위해 만들어졌던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 체제를 대체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세계무역기구는 GATT의 원칙과 협정을 수용하며, 나아가 이를 관리 감독, 확대하는 것 또한 목적으로 삼고 있다. 무형의 협정 체제였던 GATT와는 달리 세계무역기구는 실제로 기구가 존재한다. 세계무역기구는 실질적으로는, GATT 체제를 대체하기로 했었던 국제무역기구의 후임이다. 국제무역기구는, 1948년 3월 아바나에서 있었던, 유엔의 무역 및 고용에 관한 회의 결과 합의 되었지만, 미국 상원에 의해서 기각되었다. 일부 역사가들은 이 실패는 국제무역기구가 대형 사업을 자유롭게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규제하는 데 사용될 것이라는 미국 기업가들의 두려움에서 야기된 것이라고 한다(리사 윌킨스, 1997년). 조직[편집] 모든 회원국은 항소심, 분쟁해결기구, 다자간회의를 제외한 모든 이사회, 위원회 등에 참여할 수 있다. 세계무역기구는 여러 단계의 계층적 조직을 가진다. 최고 단계: 각료회의[편집] 세계무역기구의 최고의사결정기관은 각료회의이다. 이는 최소한 2년에 한 번은 개최되는 비상설 기관이다. 각료회의는 모든 회원국을 소집하며 모든 협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제1차 각료회의는 1996년 싱가포르에서 개최되었다. 2차 단계: 일반이사회[편집] 일상적인 문제는 일반이사회, 분쟁해결기구, 무역정책검사기구의 3기구에서 다루어진다. 일반이사회 - 일반이사회는 제네바에 위치한, 최고 수준의 의사결정기관이며, 세계무역기구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규칙적으로 소집된다. 이는 모든 회원국 정부가 파견한 대표(대개 대사나 동등한 직위)로 구성되며, 매 2년 개최되는 각료회의를 대신하여 직무를 행할 권리가 있다. 이사회는 세계무역기구의 모든 사무를 각료회의를 대신하여 이행한다. 현재 의장은 케냐의 아미나 모하메드이다. 분쟁해결기구 - 분쟁해결기구는 모든 회원국의 대표(대사나 동등한 직위)로 구성된다. 현재 의장은 노르웨이의 Eirik GLENNE이다. 무역정책검사기구 - 일반이사회는 회원국의 무역 정책을 검사하기 위해 무역정책검사기구를 구성한다. 그러므로 무역정책기구는 모든 회원국에게 열려있다. 현재 의장은 캐나다의 돈 스피븐슨이다. 3차 단계: 상품이사회 등[편집] 상품이사회는 일반이사회 하에 존재한다. 이는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상품이사회, 서비스이사회, 무역관련 지적재산권이사회의 3개 이사회로 구성된다. 이러한 3개의 이사회와는 별개로, 6개의 다른 기구가 있으며 이러한 기구에서는 일반이사회에 무역, 개발, 환경, 지역무역협정, 가입 등의 문제를 보고하는 역할을 한다. 상품이사회 - 상품의 국제 무역을 정의하는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의 역할은 현재 상품이사회 소관이다. 이는 모든 회원국의 대표로 구성된다. 현재 의장은 핀란드의 Vesa Tapani HIMANEN이다. 무역관련 지적재산권이사회 - 무역관련 지적재산권에 관한 모든 협정 및 이와 관련된 세계무역기구의 문제는 무역관련 지적재산권이사회의 소관이다. 현재 의장은 대한민국의 최혁이다. 서비스이사회 - 서비스이사회는 일반이사회의 규정하에서 서비스무역 관련 일반협정을 감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모든 회원국에 열려 있으며, 임의의 보조기구를 생성할 수 있다. 현재 의장은 콜롬비아의 Claudia URIBE이다. 기본 원칙[편집] 세계무역기구의 목표는 무역장벽을 낮추고 무역 협상의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원활하고 자유로운 무역을 지원하는 것이다. 또한, 회원국들간에 분쟁이 일어날 경우 이를 조정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주요한 목적은 상품 및 서비스 생산자, 수출입자 등을 돕는 것이다. 무역 체계의 원칙 세계무역기구의 심의는 다음과 같은 무역의 기본 원리를 따라야 한다. 무역 체계는 차별이 없어야 한다. 즉 국가는 다른 국가에 대해 우월적 권리를 행사하거나, 외국 상품이나 서비스를 차별해서는 안 된다. 그것은 두 가지 주요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둘 다 상품, 서비스, 지적 재산에 대한 주요 WTO 규정에 포함되지만, 그들의 정확한 범위와 성격은 이들 영역마다 다르다. 무역 체계는 자유로워야 한다. 즉 관세이든 비관세이든 최소한의 무역장벽을 유지해야 한다. 무역 체계는 예상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외국 기업이나 정부는 무역장벽이 갑작스럽게 높아지지 않으리라는 것과 시장은 그대로 열려 있을 것을 보장받아야 한다. 무역 체계는 보다 경쟁적이 되어야 한다. 무역 체계는 후진국들을 고려해야한다. 즉 유예기간, 유연성, 권리등을 보장해줘야 한다. 임무[편집] 1.세계무역기구는 (WTO는) 본 계약의 이행, 관리 및 운영을 촉진하고 다자간 무역협정(Multiple Trade Agreement)의 체결 및 운용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해한다. 2.계약 별첨의 계약에 따라 처리되는 문제에 있어 다자간 무역관계에 관한 회원국 간의 협상 포럼을 제공해야 한다 3.WTO는 분쟁 해결을 위한 규칙과 절차에 대한 이해를 관리한다. 4.WTO는 무역정책심의기구를 운영한다 5.세계적 경제정책 수립의 일관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WTO는 적절한 경우 국제통화기금 및 국제부흥개발은행(IBRD)과 협력하여야 한다 협상[편집] 대부분의 범국제 기구가 '일국 일표제'나 혹은 '비례 표수제'를 도입해 투표를 통해 의결하는 반면, 세계무역기관의 협정과 같은 대개의 결정은 컨센서스에 의해 정해진다. 이는 모든 회원국의 찬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하나의 회원국이라도 반대를 하지 않으면 되는 것이다. 투표는 특별한 경우에만 이용된다. 컨센서스의 장점은,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결론을 도출하기 위한 국가 간의 상호 노력을 장려하는 것이다. 반면 단점으로는, 오랜 시간 및 수많은 협상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리차드 스타인버그(2002년)에 따르면 세계무역기구의 협상 방식인 컨센서스는 법 기반의 협상을 의도하였음에도, 현재의 협상 과정을 보면 유럽이나 미국의 힘에 의한 협상으로 마무리되고, 파레토 개선을 이끌어내지 못한다고 비판하였다. 컨센서스에 실패한 최근의 가장 유명한 예로는, 1999년 시애틀과 2003년 캉쿤에서 있었던 각료회의인데, 일부 개발 도상국의 거부가 원인이었다. 세계무역기구는 2001년 11월 도하에서 제4차 각료회의의 협상을 시작하였다. 회담은 논쟁에 휘말려 있으며, 캉쿤, 제네바, 파리에서의 계속된 협상에도 불구하고 합의는 아직 도출되지 않았다. 제6차 각료회의는 2005년 12월 13일부터 12월 18일까지 홍콩에서 열렸다. 분쟁 해결[편집] 다른 범국제 기구와 달리, 세계무역기구는 어떤 회원국이 다른 회원국에 대해 불만을 표시할때 이를 중재하기 위해 내린 결정을 강제할 힘을 가지고 있다. 만약 WTO 분쟁해결기구가 내린 결정을 이행하지 않는다면, 이는 "보복 수단"을 허가할 근거는 되지만, 다른 강제 수단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경제적으로 강력한 미국과 같은 국가는 상대적으로 경제가 취약한 국가, 다시 말해 보복 수단을 통해 미국 무역에 손해를 입힐 힘이 없는 국가가 불만을 표시할때 이를 실질적으로 무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다. 예로, 2005년 3월 상고심 판결에서 미국의 목화 보조금이 불법이라고 선언한 DS 276 건을 들 수 있다. 회원국 현황[편집] 세계무역기구 회원국 지도. 파란색 - 회원국, 하늘색 - 참관국, 회색 - 비회원국 세계무역기구는 설립당시 76개 회원국을 가지고 있었다. 이후 10년간 73개 회원국이 추가로 가입하였으며, 그중 중화인민공화국과 타이완, 펑후, 진먼, 마쭈 개별관세영역(중화민국)이 2001년 가입하였으며, 2005년 각료회의를 이틀 앞둔 2005년 12월 11일 사우디 아라비아가 가입하였다. 2008년 7월 23일 카보베르데가 153번째로 가입했다. 2011년 12월 16일, 러시아가 18년간의 협상 끝에 가입 승인이 이루어졌다. 현재의 회원국 목록은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많은 수의 비회원국이 참관국으로 세계무역기구에 참가하고 있다. 총 30개 국으로, 안도라, 아제르바이잔, 바하마(2001년 가입 협상 중지), 벨라루스, 부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카보베르데, 적도기니(2007년이전에 회원국 가입을 시작할 것으로 예측), 에티오피아, 바티칸(가입 협상을 고려하지 않고 참관국으로 있도록 예외 적용), 이란, 이라크, 카자흐스탄, 라오스, 레바논, 리비아, 사모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상투메 프린시페, 세이셸(1998년 이후 협상 중지), 수단, 타지키스탄,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 바누아투(2001년 참관이 허용되었으나, 바누아투 스스로 인가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예멘이다. 이중 많은 수가 회원국 가입을 고려하고 있다. 이란은 세계무역기구에 1996년 처음으로 가입을 신청했다. 하지만, 미국이 국제적 테러에 대한 테헤란의 지원을 비난하면서, 이란의 가입을 22번 저지하였다. 하지만 2005년 3월 미국은 이란의 가입 협상에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힌바 있다. 이는 미국과의 핵협상의 일환으로 이란의 회원국 가입 의사를 미국이 더 이상 막지 않겠다는 것이다. 다음 16개국 및 2개령은 아직 세계무역기구와 어떠한 관계도 맺지 않고 있다. 이는 에리트레아, 소말리아, 라이베리아, 시리아, 투르크메니스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모나코, 산마리노, 동티모르, 코모로, 나우루, 투발루, 팔라우, 키리바시, 미크로네시아, 마셜 제도, 서사하라,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이다. 협정[편집] 세계무역기구는 현재 국제법 지위를 가지는 20개 이상의 협정을 지니고 있다. 회원국은 반드시 모든 협정을 서명/비준하여야 한다. 세계무역기구의 모든 협정의 목록은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몇몇 중요한 협정과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농업협정[편집] 농업협정(Agreement on Agriculture, AoA)은 1995년 초, 세계무역기구의 설립과 함께 효력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이 협정은 개발 도상국에게는 소규모 농가를 보호해주던 무역 보호를 줄이게 하며, 부유한 나라에게는 엄청난 보조금으로 자국의 농민을 지원해 주는 것을 합리화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농업협정은 3개의 중요한 개념을 가지고 있다. 이는 국내보조, 시장접근, 수출경쟁이다. 국내보조 농업협정체제의 국내보조(보조금)는 녹색상자, 황색상자, 청색상자의 3개 항목으로 나뉜다. 이는 신호등의 색과 같이 녹색상자는 허용, 황색상자는 지원감소이며, 청색상자는 특별한 경우로 조건부 녹색을 의미한다[2]. 녹색상자(허용 보조) - 시장을 왜곡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왜곡하는 한 국가 재정으로부터(소비자에게 떠 넘기지 않으며) 상한 없는 지원금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황색상자(감축대상 보조) - 정부가 보조금을 완전히 없애지는 않지만, 줄이기로 합의한 것을 의미한다. "de minimis"는 최소허용 보조를 의미하며, 선진국 5%, 개발도상국 10%의 수준이다. 청색상자(생산제한 아래 허용보조) - 보조금이 생산제한조치에 관련이 있는 한 상한 없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추가로 "S&D상자" 즉 개발도상국 특별 우대 조치라는 예외 조항도 존재한다. 농업협정의 국내보조는 현재 유럽과 미국이 매년 농업 지원금조로 3800억 달러를 사용하도록 허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원금은 소규모농가에게 가지 않고, 거의 대부분이 대규모 사업농가에게 간다. 미국에서는 70%의 지원금이 10%의 농가에게 가며, 유럽에서는 지원금의 절반이 1%의 농가에게 간다[3]. 이러한 지원금은 원가 이하의 농산물로 세계 시장을 넘치게 하며, 가난한 국가에서 가격을 억제하며, 저임금 노동을 유발한다. 보다 자세한 국내보조에 관한 문헌은 세계무역기구 국내보조 항목을 참조하기 바란다. 서비스무역에 관한 일반협정[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무역관련 지적재산권에 관한 협정[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위생 및 검역조치에 관한 협정[편집] 위생 및 검역조치(AGREEMENT ON THE APPLICATION OF SANITARY AND PHYTOSANITARY MEASURES,SPS Agreement)는 1995년 적용되기 시작했으며, 국제 무역의 자유로운 흐름을 달성할 수 있도록 검역기준의 적용을 제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위생 및 검역조치에 관한 협정 하에서, 세계무역기구는 동물 및 식물 보건(외산 해충 및 질병)과 마찬가지로 식품 안전(박테리아 오염, 살충제, 검사, 표식)에 관한 정부시책에 제한을 가할 수 있다. 검역기준은 사람 및 동식물의 보호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세계무역기구의 위생 및 검역조치에 관한 협정에 따르면 이러한 검역기준은 외국의 경쟁사들을 배척하기 위한 이른바 '기술적인 무역 장벽'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협정은 세계무역기구에 국가의 "예방 원칙"(즉, 사람이나 환경에 잠재적인 위협이 될 수 있는지에 관해 과학적인 확증이 없다면, 조심하는 편에서 행동하려는 원칙)을 무시할 수 있는 권한을 준다. 이 협정하에서는, 규제국 스스로가 해당 물품이 위험한지 과학적으로 증명하고 나서야 규제를 할 수 있다. 비록 과학자들이 해충 및 유해 식물이 유발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피해를 예상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말이다. 위생 및 검역조치에 관한 협정과 유전자 변형 농산물 세계 유전자 변형 농산물 생산량의 80%를 차지하는 미국은 위생 및 검역조치에 관한 협정을 언급하며 유전자 변형 농산물의 수입을 규제하는 유럽 연합의 법이 정당하지 않으며, 세계무역기구 하에서 불법이라며 공격하였다. 세계무역기구는 이 건을 2006년에 처리할 예정이다. 만약 유럽 연합의 법이 불법으로 간주되면, 예방 원칙을 기반하여 유전자 변형체를 국가 차원에서 거부할 권리를 주었던 최초의 범국가적 협정인, "바이오 안전성에 관한 카르타헤나 의정서" 역시 위험에 빠질 우려가 있다. 연표[편집] 1986년~1994년 -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의 우루과이 라운드에서 세계무역기구를 설립하는 마라케시 선언 채택. 1995년 1월 1일 - 세계무역기구 창설. 1995년 5월 1일 - 레나토 루지에로가 4년간의 임기로 사무총장에 취임. 1996년 12월 9일~12월 13일 - 싱가포르에서 제1차 각료회의 개최. 1998년 5월 18일~5월 20일 - 스위스 제네바에서 제2차 각료회의 개최. 1999년 9월 1일 - 마이크 무어가 사무총장에 취임. 사무총장 선거는 각축을 벌였으며, 마이크 무어와 수파차이 파닛차팍이 6년간의 임기를 반씩 하는 것으로 합의. 1999년 11월 30일~12월 3일 -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에서 제3차 각료회의 개최. 세계의 이목을 끈 수많은 반대 집회로 실패로 끝났다. 2001년 11월 9일~11월 13일 카타르 도하에서 제4차 각료회의 개최. 도하 라운드 시작. 도하 선언 채택. 2001년 12월 1일 - 15년간의 협상 끝에 중화인민공화국이 가입. 2002년 1월 1일 - 중화민국(타이완)이 타이완, 펑후, 진먼, 마쭈 개별관세영역 명의로 가입. 2002년 9월 1일 - 수파차이 파닛차팍이 사무총장에 취임. 2003년 9월 10일~9월 14일 - 멕시코 캉쿤에서 제5차 각료회의 개최. 2004년 8월 - 제네바 회담 결과 도하 라운드 뼈대 완성. 선진국은 농업보조금을 낮추며, 반면 개발도상국은 공산품에 대한 관세를 낮춤 2005년 5월 13일 - 파스칼 라미가 사무총장에 취임. 2005년 12월 11일 - 사우디아라비아가 가입. 2005년 12월 13일~12월 18일 - 홍콩에서 제6차 각료회의 개최. 2011년 12월 16일 - 18년간의 협상 끝에 러시아의 가입 승인. (최장 협상 기록) 비판[편집] WTO 홍콩 각료회의 당시 이경해를 추모하는 대한민국 민중투쟁단 세계무역기구의 목적은 이른바 자유 무역을 증진시키고, 경제 성장을 불러 일으키며, 이를 통해 사람들의 생활을 보다 윤택하게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경제 성장이 빠르고 불평등한 방식으로 진행된다면, 이는 구조적인 고용 저하를 일으키며 가난을 심화한다. 세계무역기구는 경제 세계화와 자유 무역을 조장하는데, 이를 반세계화 운동 단체에서는 문제라고 지적한다. 이들은 세계무역기구의 조약이 다국적 기업과 부유한 국가에게 편파적이며 불공정하게 치우쳐 있다고 비난하고 있다. 세계무역기구가 모든 국가에게 공평한 발언 기회를 제공하며, 로비로부터 정부를 보호하며, 유능한 정부를 장려한다고 하지만, 작은 나라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세계무역기구는 그 자체가 강력한 로비의 수단이 되었다고 비판을 받는다. 또한 가입은 자율적이지만, 비회원국을 사실상 무역봉쇄 함을 통해, 변화 및 실험적인 체제를 거부하는 강제적인 세계 경제 체제가 되었다는 비판이 있다. 비판 중에서는 "세계무역기구의 목적은 개발도상국을 지원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세계무역기구에서 영향력 있는 나라는 자신의 경제적 이득만 찾으려고 한다. 실제로 필요한 도움은 종종 무시되고는 한다. 또한, 건강, 안전, 환경에 관한 문제는 주요한 관심사가 아니다."고 하는 의견도 있다. 재그디시 바그와티(Jagdish Bhagwati)는 심지어 자유무역과 세계화를 옹호함에도, 무역관련 지적재산권에 관한 협정이 세계무역기구/GATT체제에 도입되는 것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가 생각한 문제점은 다른 무역 비관련 협정이 기구의 역할을 압도해 버릴지도 모른다는 것이었다. 세계 연방 운동과 같은 많은 비정부단체가 세계무역기구의 의사결정에 보다 민주적인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의회 감시기관을 만들도록 요구하고 있다.[1] 캐롤린 루카스 박사는 그러한 감시기관이 세계무역기구의 여러 절차 및 규정을 개혁하는 데 지대한 공헌을 할 것으로 주장했다.[2] 하지만 라울 마크 제나(Raoul Marc Jennar) 박사는 그러한 감시기관이 다음 이유로 효과적이지 못할 것으로 주장했다.[3] 즉, 가장 중요한 결정을 하는 "비공식 회담"을 해결하지 못하며, 국가 간에 실질적으로 존재하는 불평등을 감소시키지 못하며, 분쟁 해결 규약의 위반사항을 개선하지 못하리라는 것이다. 홍콩 각료회의[편집] 세계무역기구 홍콩 각료회의는 2005년 12월 13일부터 12월 18일까지 홍콩에서 열렸다. 이는 최고 의사 결정 기관으로서 2년마다 앞으로의 방향에 관해 논의하는 자리이다. 이번은 6차 회의이며, 4년 전에 시작한 도하 라운드 협상을 2006년에 결론 내리기 위한 중요한 자리이다. 시위자들의 주된 목적은 각국의 대표자들을 도로에서 막아서 회담장에 도착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회담 자체를 중단시키는 것이다. 정부는 이미 보도블록을 붙여버려서 무기로 사용되는 것을 막았다. 회담이 열리는 완 차이 지구 인근 상가는 철문 및 유리 창살과 같이 경비를 강화할 것을 요청받았다. 같이 보기[편집]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 자유 무역 반덤핑 긴급 수입제한 조치 정부보조 서비스무역에 관한 일반협정 국제 무역 무역관련 지적재산권에 관한 협정 무역권 반세계화 운동 각주[편집] ↑ “보관 된 사본”. 2005년 1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5년 12월 13일에 확인함.  ↑ [1] ↑ “보관 된 사본”. 2007년 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3월 2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영어/스페인어/프랑스어) WTO 홈페이지 WTO 협정 목록 WTO 10주년 — 10년간의 회고, 2005년 연간 보고서 116-166 페이지 6차 각료회의 정보 6차 각료회의 주최국 정보 BBC 뉴스 - WTO 소개 EUROPA - 유럽 연합과 WTO USInfo - 미국과 WTO 반 세계무역기구 링크[편집] WTO 패러디 사이트 WTOaction.org TradeObservatory.org www.globalexchange.org — WTO에 반대하는 이유 www.sfgate.com — 케빈 필립의 WTO은 축복인가 저주인가 www.foodfirst.org 반 WTO 세계 집회의 날 Oxfam: 공정한 무역을 요구 vdeh국제 기구정부간 기구 유엔 국제 의회 연맹 국제 통화 기금 국제 해저 기구 국제 형사 경찰 기구 국제 형사 재판소 세계 무역 기구 세계 은행 vdeh 유엔주요 기구 총회(→ 의장) 안전 보장 이사회(→ 이사국) 경제 사회 이사회 신탁 통치 이사회 국제사법재판소 사무국 사무총장 사무부총장 주요 본부 뉴욕 (본부) 나이로비 빈 제네바 기금 및 계획 유니세프(UNICEF) 유엔 개발 계획(UNDP) 유엔 난민 기구(UNHCR) 세계 식량 계획(WFP) 유엔 마약 범죄 사무소(UNODC) 유엔 인구 기금(UNFPA) 유엔 무역 개발 회의(UNCTAD) 유엔 환경 계획(UNEP) 유엔 팔레스타인 난민 구호 사업 기구(UNRWA) 유엔 여성기구(UN Women) 유엔 인간 주거 계획(UN-Habitat) 전문 기구 세계은행(World Bank) 국제 통화 기금(IMF) 세계 보건 기구(WHO) 유네스코(UNESCO) 국제 노동 기구(ILO) 식량 농업 기구(FAO) 국제 농업 개발 기금(IFAD) 국제 해사 기구(IMO) 세계 기상 기구(WMO) 세계 지식 재산권 기구(WIPO) 국제 민간 항공 기구(ICAO)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 유엔 산업 개발 기구(UNIDO) 만국 우편 연합(UPU) 세계 관광 기구(UNWTO) 기타 기구 유엔 에이즈 합동 계획(UNAIDS) 유엔 재해 경감 국제 전략(UNISDR) 유엔 프로젝트 조달 기구(UNOPS) 관련 기구 국제 원자력 기구(IAEA) 세계 무역 기구(WTO)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 기구(CTBTO) 화학 무기 금지 기구(OPCW) 국제 형사 재판소(ICC) 국제 무역 센터(ITC) 회원국 정회원 옵서버 역사 국제 연맹 대서양 헌장 연합국 공동 선언 유엔(UN) 회원국 확장의 역사 결의안 총회 결의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관련 항목 유엔 헌장 유엔기 유엔의 날 국제 기념일 유엔 글로벌 콤팩트 유엔 기념 공원 밀레니엄 개발 목표 지속가능 개발 목표 유엔 대학교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53400694 LCCN: no94018277 ISNI: 0000 0001 2296 2735 GND: 2145784-0 SELIBR: 135910 SUDOC: 032375824 BNF: cb12341756k (데이터) ULAN: 500292980 HDS: 13811 NLA: 35451455 NDL: 00577475 NKC: kn20010711437 BNE: XX457484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세계무역기구&oldid=24022051" 분류: 1995년 설립세계 무역 기구국제 무역제네바의 단체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4년 9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조사를 따로 지정한 문서한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ULA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অসমীয়াAsturianuAzərbaycancaБашҡортса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CatalàНохчийн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FryskGalegoગુજરાતી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Patois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ភាសាខ្មែរಕನ್ನಡКъарачай-малкъарКыргызчаLatinaLimburgsLietuviųLatviešuमैथिलीBaso Minangkaba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Mirandésမြန်မာဘာသာ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olskiPiemontèisپنجابیپښتوPortuguêsRumantsch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Саха тылаᱥᱟᱱᱛᱟᱲᱤScotsسنڌي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ürkmençe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inaray吴语ייִדיש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3일 (토) 10: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세계무역기구(世界貿易機構, 영어: World Trade Organization : WTO, 프랑스어: Organisation mondiale du commerce : OMC, 스페인어: Organización Mundial del Comercio : OMC)는 회원국들간의 무역 관계를 정의하는 많은 수의 협정을 관리 감독하기 위한 기구이다. 세계무역기구는 1947년 시작된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 GATT) 체제를 대체하기 위해 등장했으며, 세계 무역 장벽을 감소시키거나 없애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는 국가 간의 무역을 보다 부드럽고, 자유롭게 보장해 준다. 세계무역기구의 본부는 스위스 제네바에 위치해 있다. 2005년 5월 13일, 파스칼 라미가 사무총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수파차이 파닛차팍 전 사무총장으로부터 2005년 9월 1일 사무총장의 직책을 건네받았다. 2017년 2월 일반의사회의 컨센서스로 호베르투 아제베도(Roberto Azevêdo)가 선출되어, 동년 9월에 임기가 시작되었다. 2013년 3월 현재 기준 159개의 회원국이 있으며, 대부분의 국가는 개발도상국이다. 모든 회원국은 "무조건 최혜국대우 공여원칙"을 지킬 것을 의무로 갖는데, 이는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하나의 회원국이 받는 특권이 모든 다른 국가에게도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1990년대 후반, 세계무역기구는 반세계화 운동의 주요한 공격 대상이 됐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세계무역기구가 설립하게 된 목적은 무엇인가? Assistant: 세계무역기구는 1995년 1월 1일, 제2차 세계 대전 후 자유 무역을 지향하기 위해 만들어졌던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 체제를 대체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세계무역기구는 GATT의 원칙과 협정을 수용하며, 나아가 이를 관리 감독, 확대하는 것 또한 목적으로 삼고 있다. 무형의 협정 체제였던 GATT와는 달리 세계무역기구는 실제로 기구가 존재한다. 세계무역기구는 실질적으로는, GATT 체제를 대체하기로 했었던 국제무역기구의 후임이다. 국제무역기구는, 1948년 3월 아바나에서 있었던, 유엔의 무역 및 고용에 관한 회의 결과 합의 되었지만, 미국 상원에 의해서 기각되었다. 일부 역사가들은 이 실패는 국제무역기구가 대형 사업을 자유롭게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규제하는 데 사용될 것이라는 미국 기업가들의 두려움에서 야기된 것이라고 한다(리사 윌킨스, 1997년).
Human: 아래 야구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야구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야구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미디어 재생 2010년 8월, 마쓰야마 축제에서 공연된 야구권의 모습 야구권(일본어: 野球拳 야큐켄[*])은 일본 가위바위보의 한 장르이며, 연회의 흥을 돋구기 위한 기술로 발전했다. 최초의 야구권은 본가 야구권으로서, 1924년 10월경 에히메현 마쓰야마 시에서 처음 만들어졌다. 마에다 고켄이 고안하였으며, 시간이 흐르며 게임이 벌칙게임처럼 변모하자 스스로 야구권 종가의 당주를 자처했다. 2015년 현재 4대 당주로서 사와다 타카토시가 그 명맥을 잇고있다.[1] 한편, 야구권은 연회술로 퍼져나가 본가 야구권과 달리 1950 ~ 60년대에 이르러 패배한 쪽이 옷을 벗는 규칙이 정착되었다. 1969년 《콩트 55호의 라이벌 프로그램들을 날려버려!》에서 프로그램 코너로 야구권을 사용했고, 이때 규칙을 본가가 아닌, 술자리에서 옷을 벗기던 규칙을 채용해 야구권 규칙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널리 전파했다. 본가 야구권은 가위바위보가 작은 비중을 차지하며 춤과 노래, 연주를 즐기는 것이지만, 파생된 야구권은 가위바위보가 주가 되며 패배시 벌칙이 주어진다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 목차 1 역사 1.1 야구권 등장 이전 1.2 본가 야구권의 역사 2 성인 게임으로 변한 야구권 3 각주 3.1 주해 3.2 참조 4 함께 보기 역사[편집] 야구권 등장 이전[편집] 일본 가위바위보의 원형이 되는 놀이는 겐로쿠 시대 초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켄(拳, 권)은 두 사람이 마주보며 구호를 외치며 손과 손가락 동작으로 승부를 겨루던 놀이였는데, 겐로쿠 초기에 중국에서 나가사키현에 유비켄(拇拳)이라는 이름의 켄이 전해졌다. 유비켄은 손가락을 굽히는 방식과 구호에 따라 11개의 패턴이 있었다.[2] 한편, 야구권이 등장하기 이전에 그와 가장 비슷했다고 여겨지는 켄은 요코하마켄(横濱拳)이다. 늦어도 막부 말기 개항 무렵, 요코하마의 유곽에서 이미 널리 행해졌던 것으로 파악된다.[2] 본가 야구권의 역사[편집] 본가 야구권의 탄생은 1924년 10월에 이뤄졌다. 다카마쓰 시 북부에 야시마 그라운드가 완공된 기념으로, 마쓰야마 시에서 인근 지역 실업 야구팀들이 모여 야구 대회가 열렸는데, 대회에 참가한 이요 철도전기 팀은 다카마쓰 상업 고등학교 동문으로 조직된 다카마쓰 상고 클럽에 0대 8로 대패했다. 그날 밤, 다카마쓰 시내의 숙박시설에서 친목회가 열렸고, 팀마다 흥을 띄우기 시작했는데, 이마저도 다카마쓰 상고가 실력이 뛰어났다. 당시 이요 철도전기 야구팀의 매니저인 마에다 고켄은 즉흥적으로 자신이 생각한 노래와 안무를 팀원들에게 가르쳤다. 이것이 첫 야구권의 형태였으며, 이날 불렀던 가사는 "야구를 한다면 이렇게 하자, 던지면 이렇게 치고, 친것은 이렇게 받고~"였다. 노래와 샤미센에 맞춰 이요 철도전기 선수단 전원이 유니폼을 입고 춤을 춰 큰 호응을 얻었다.[1] 1954년 와카하라 이치로와 데루기쿠의 《야구켄》(킹 레코드), 쿠보 유키에와 타카쿠라 빈의 《야구권》(콜롬비아), 아오키 하루미의 《야구켄》(빅터)가 잇달아 발매되며 야구권 붐이 일어났다. 노래에는 야구권 가사가 삽입되어 있거나, 개사되어 있었다. 이와 겹쳐 구라시키 시가 야구권의 원조라는 소문이 생겨, 결국 저작권을 신청해 1955년 4월 저작권을 얻었다.[3] 1965년 마에다 고켄은 원조 야구권을 이어나가기 위해 당주 제도를 만들어, 스스로 초대 당주가 되었다. 2015년 현재, 일본의 북 연주자 사와다 타카토시가 4대 당주로서, 그 명맥을 이어나가고 있다.[1] 성인 게임으로 변한 야구권[편집] 창시자 마에다 고겐이 만든 야구권은 성적인 내용이 전혀 없는 유희였지만, 연회술의 하나였기 때문에 술자리를 통해 널리 퍼지게 된다. 쇼와 30년대(1955년 ~ 1964년)에 이르면, 현재와 같은 "가위바위보에서 지면 옷을 벗어야한다"는 규칙이 정착했다. 1969년, 니혼 TV의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인 《콩트 55호의 라이벌 프로그램들을 날려버려!》 에서 벌칙으로 소개되어 잘못된 룰이 전국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후에 《콩트55호의 야구권!!》이라는 프로그램까지 생겼으며, 프로그램에서는 여성 게스트가 패배해서 벗겨진 옷을 즉석에서 경매로 관객에게 낙찰시켜버렸다. 같은해 어린이 애니메이션 《재채기 대마왕》에서도 야구권이 탈의하는 게임으로 묘사되기도했다. 전자 오락으로서 최초의 야구권 게임은 1981년 허드슨 소프트에서 제작한 《야구권》이며,[4][주 1] 이후로도 탈의 야구권을 소재로한 많은 게임들이 제작되어왔다. 야구권 게임은 2007년에 한국으로 처음 수입되었다.[5] 각주[편집] 주해[편집] ↑ 최초의 성인용 비디오 게임이기도 하다. 참조[편집] ↑ 가 나 다 “本当は脱がない「野球拳」 松山発祥、90年の歴史” (일본어). 니혼케이자이 신문. 2014년 6월 30일. 2014년 7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9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清國南京人遊行横濱拳” (일본어). 고베 대학 부속 도서관. 2015년 9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9월 9일에 확인함.  ↑ “松山正統野球拳” (일본어). 에히메 신문. 1963년 2월 24일. 2007년 8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9월 9일에 확인함.  ↑ “ハドソンHuPACK・野球拳の世界” (일본어). OPENSPACE-FUKUOKA. 2016년 2월 5일에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5일에 확인함.  ↑ “AK커뮤니케이션즈, 성인용 PSP 게임 '올스타 야구권' 발매”. 동아일보. 2007년 4월 13일. 2015년 9월 9일에 확인함.  함께 보기[편집] 가위바위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야구권&oldid=23134486" 분류: 가위바위보일본의 게임에히메현의 문화마쓰야마시의 문화숨은 분류: CS1 - 일본어 인용 (ja)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2일 (일) 23:4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야구권(일본어: 野球拳 야큐켄[*])은 일본 가위바위보의 한 장르이며, 연회의 흥을 돋구기 위한 기술로 발전했다. 최초의 야구권은 본가 야구권으로서, 1924년 10월경 에히메현 마쓰야마시에서 처음 만들어졌다. 마에다 고켄이 고안하였으며, 시간이 흐르며 게임이 벌칙게임처럼 변모하자 스스로 야구권 종가의 당주를 자처했다. 2015년 현재 4대 당주로서 사와다 타카토시가 그 명맥을 잇고있다. 한편, 야구권은 연회술로 퍼져나가 본가 야구권과 달리 1950 ~ 60년대에 이르러 패배한 쪽이 옷을 벗는 규칙이 정착되었다. 1969년 《콩트 55호의 라이벌 프로그램들을 날려버려!》에서 프로그램 코너로 야구권을 사용했고, 이때 규칙을 본가가 아닌, 술자리에서 옷을 벗기던 규칙을 채용해 야구권 규칙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널리 전파했다. 본가 야구권은 가위바위보가 작은 비중을 차지하며 춤과 노래, 연주를 즐기는 것이지만, 파생된 야구권은 가위바위보가 주가 되며 패배시 벌칙이 주어진다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최초의 전자 오락 야구권 게임이 제작된 해는 언제야? Assistant: 1981년 Human: 아래 유_(성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유 (성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 (성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씨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유씨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UC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류(柳, 劉) 또는 유(兪, 庾)는 한국의 성씨이다. 목차 1 발음 표기 2 버들 류 柳 3 죽일 류 劉 4 그러할 유 兪 5 곳집 유 庾 6 각주 발음 표기[편집] 류(柳)씨는 본래 발음이 '류'이지만, 두음법칙을 적용한 '유'와 원음 '류'를 혼용하고 있다. 유(劉)씨도 본래 발음이 '류'이지만 대부분 두음법칙에 따라 '유'로 표기하고 있다. 유(兪)씨와 유(庾)씨는 두음법칙과 상관 없이 본래 발음이 '유'이다. 류(柳)씨는 공문서에서는 두음법칙에 따라 ‘유’로 표기해 왔으나, 2007년 8월 1일부터 '류'로도 쓸 수 있도록 허가하였다.[1][2] 류(柳)씨는 한글 표기를 할 때 원음 '류'와 두음법칙을 적용한 '유'를 선택할 수 있다. 버들 류 柳[편집] 류(柳)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서 642,693명(류 163,703명 + 유 478,990명)으로 조사되어, 대한민국 성씨 인구 19위이다. 본관은 문화(文化), 전주(全州), 진주(晉州), 고흥(高興), 서산(瑞山), 풍산(豊山), 영광(靈光), 선산(善山), 정주(貞州) 등 130여 본이 전한다. 전주 류씨(全州 柳氏)에 관한 기록으로 578년(백제 위덕왕 34) 성덕태자(聖德太子)의 요청으로 사천왕사(四天王寺)를 건축하러 백제에서 일본으로 건너간 류중광(柳重光)은 본관이 전주(全州)이다. 전주 승화현(承化縣) 출신의 류방헌(柳邦憲, 944년 ~ 1009년)이 972년(고려 광종 23년) 과거에 급제하여 1009년(현종 즉위년)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에 이르렀다.[3] 전주인(全州人) 류방헌(柳邦憲) 묘지명(墓誌銘)에는 증조부가 통일신라 때 각간(角干)을 지낸 류기휴(柳基休)이고, 할아버지 류법반(柳法攀)이 후백제의 우좌군(右將軍)을 역임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4] 따라서 전주류씨는 백제 때 창성(創姓)된 성씨이다.[5] 각 계파는 류혼(柳渾), 류습(柳濕), 류지(柳池)를 각각 시조로 한다. 2015년 인구는 78,690명이다. 문화 류씨(文化 柳氏)의 시조 류차달(柳車達)은 고려 개국공신으로 후삼국 통일 당시 유주(儒州 : 황해도 신천군 일대)의 호족이었다. 6세손 류공권(柳公權)이 1195년 동지추밀사(同知樞密事)에 올랐다. 2015년 인구는 327,624명이다. 정주 류씨(貞州 柳氏) 시조 류천궁(柳天弓)은 고려 초기 삼중대광(三重大匡)을 지냈으며, 그의 딸은 고려 태조의 제1왕후 신혜왕후이다. 중시조 류소(柳韶)는 1011년(현종 2)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 1016년에 어사잡단(御史雜端), 1019년 사헌중승(司憲中丞), 1022년 간의대부(諫議大夫) 등을 거쳐 덕종 때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가 되었다. 2015년 인구는 15명이다. 고흥 류씨(高興 柳氏) 시조 류영(柳英)이 고려 문종 때 호장(戶長)을 지냈다. 류영의 7세손 류청신(柳淸臣)이 고이부곡(高伊部曲) 출신으로 1310년(충선왕 2) 정승에 임명되고 고흥부원군(高興府院君)에 봉해졌다. 2015년 인구는 73,329명이다. 진주 류씨(晉州 柳氏)는 류정(柳挺)을 시조로 하는 토류계(土柳系)와 류차달(柳車達)의 9대손 류인비(柳仁庇)를 시조로 하는 이류계(移柳系)의 서로 다른 두 계통이 있다. 2000년 인구는 60,104명이다. 서산 류씨(瑞山 柳氏) 시조 류공기(柳公器)는 고려조에 관직이 합문지후(閤門祗候)에 이르렀으며, 사후에 증손 류숙(柳淑)이 귀해지자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수문전대학사(修文殿大學士)·감수국사(監修國士)·판전리사사(判典理司事)에 추증되었다. 서녕 유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9명을 배출하였다. 2000년 인구는 14,827명이다. 풍산 류씨(豊山 柳氏) 시조 류절(柳節)은 고려 초에 호장(戶長)을 지냈다. 류절의 증손 류백(柳伯)이 고려 충렬왕 때 은사(恩賜)로 급제하였고, 7세 류종혜(柳從惠)가 공조전서(工曹典書)를 역임하고 낙향해 하회동(河回洞)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풍산 류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2명을 배출하였다. 13세조 류성룡이 영의정에 오르고 풍원부원군(豊原府院君)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는 13,341명이다. 영광 류씨(靈光 柳氏) 시조 류언(柳漹)의 손자 류규(柳規)가 1426년(세종 8) 무과에 급제하여 예종 때 행첨지중추부사(行僉知中樞府事)를 지냈으며, 그의 아들 류자환(柳子煥)은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정난공신 3등에 오르고 도승지·대사헌·전라도관찰사를 지냈다. 류규의 서자인 류자광은 연산군 때 무오사화를 주도하며 공신의 지위에 올랐다. 2000년 인구는 1,475명이다. 죽일 류 劉[편집] 유(劉)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서 302,782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30위이다. 본관은 충주(忠州), 강릉(江陵), 거창(居昌), 배천(白川), 연안(延安) 등 47본이 전한다. 충주 유씨(忠州劉氏) 시조 유긍달(劉兢達)의 딸이 고려 태조(太祖)의 셋째 부인인 신명순성왕후(神明順成王后)가 되자 유긍달은 태사 내사령(太師 內史令)으로 추증되었다.[6] 2015년 인구는 2,544명이다. 거창 유씨(居昌劉氏) 시조 유전(劉荃)은 송나라에서 한림학사(翰林學士)와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냈다고 한다. 『을묘보(乙卯譜)』 서문에는 유전이 한태조(漢太祖) 고황제(高皇帝)의 40세손으로 왕안석(王安石)에게 간언하다가 1082년(문종 36) 고려로 들어와 영일군(迎日郡)에 터를 잡았다고 한다. 유전(劉筌)의 첫째 아들 유견규(劉堅規)가 거창군(居昌君)에 봉해져서 본관을 거창으로 했다고 한다. 2015년 인구는 27,756명이다. 배천 유씨(白川劉氏) 시조 유국추(劉國樞)는 유전(劉筌)의 8세손으로 고려에서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를 지냈다고 하며,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추증되어 배천군(白川君)에 추봉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족보에 앞서 유석(劉碩, 1094년 ~ 1155년)의 본관이 백주(白州)로 나타난다.[7] 2015년 인구는 8,773명이다. 강릉 유씨(江陵劉氏) 중시조 유창(劉敞)은 유전의 12세손이라고 한다. 유창은 1371년(공민왕 20) 문과에 급제하고, 조선의 개국공신 2등에 책록되어 대사성, 대제학 등을 지냈으며, 옥천부원군(玉川府院君)에 봉해졌다. 옥천은 강릉시 옥계면 일대 옛 지명이다. 강릉 유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8명을 배출하였다.[8] 2015년 인구는 236,871명이다. 연안 유씨(延安劉氏) 시조 유극량(劉克良)은 과거에 응시할 수 없는 노비 출신이었으나, 홍섬의 배려로 노비 신분을 면제받고, 무과에 급제하였다. 1591년(선조 24) 전라좌수사가 되었고, 조방장(助防將)으로 전임되어 임진왜란 때 활약하였다. 2015년 인구는 133명이다. 그러할 유 兪[편집] 유(兪)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서 167,927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47위이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 의하면 본관은 기계(杞溪)·강진(康津)·고령(高靈)·무안(務安)·인동(仁同)·창원(昌原)·천녕(川寧)·탐진(耽津) 등 98본으로 전한다. 기계 유씨(杞溪 兪氏)의 시조는 신라 6등급 아찬을 지낸 유삼재(兪三宰)이다. 후손 유의신(兪義臣)이 신라 멸망 후 고려 왕조에 불복하자, 고려 태조 왕건이 그를 기계현(杞溪縣) 호장(戶長)으로 강등시킨 이후로 후손들이 기계를 본관으로 정하였다. 기계 유씨는 고려시대에는 관직에 오르지 못했으나, 조선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90명을 배출하였다. 2015년 인구는 139,073명이다. 무안 유씨(務安 兪氏) 시조 유순직(兪舜稷)은 고려 때 삼중대광(三重大匡)으로 검교소부소감(檢校小府少監)을 역임하였다. 그의 증손 유천우(兪千遇)가 고려 고종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원종 때 지어사대사(知御史臺事)를 지낼 때 김인준(金仁俊) 등과 함께 무신정권의 최의(崔誼)를 주살(誅殺)하는 데 공을 세워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내고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에 올랐다. 충렬왕 때는 찬성사(贊成事)를 역임했다. 그가 죽은 후에 무안부원군(務安府院君)에 추봉되었다.[9] 2015년 인구는 5,896명이다. 강진 유씨(康津 兪氏)의 시조 유적(兪迪)은 강진(현 전라남도 강진군)에 살아온 사족(士族)의 후예로서 고려 말에 감문위(監門衛)로 도성 문을 경비하는 역할을 했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명을 배출하였다. 2000년 인구는 1,589명이다. 인동 유씨(仁同 兪氏) 시조 유승단(兪升旦, 1168년 ~ 1232년)이 1190년(고려 명종(明宗) 20년) 문과에 급제하고 고종조에 참지정사(參知政事)에 이르렀으며, 인동백(仁同伯)에 봉해졌다. 2015년 인구는 1,448명이다. 곳집 유 庾[편집] 유(庾)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13,868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103위이다. 본관은 평산, 무송 2본이다. 평산 유씨(平山 庾氏) 시조 유검필(庾黔弼)이 고려 태조 왕건을 도와 삼한통일에 공을 세워 삼중대광통합삼한익찬공신(三重大匡統合三韓翊贊公臣)에 봉해졌다. 2015년 인구는 617명이다. 무송 유씨(茂松 庾氏) 시조 유록숭(庾祿崇)이 1103년(고려 숙종 8년)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참지정사(參知政事)에 올랐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3명을 배출하였다.[10] 2015년 인구는 12,459명이다. 각주[편집] ↑ "잃어버린 姓 되찾는다" 환영 일색 - 2007년 연합뉴스 기사 ↑ 성씨 ‘柳ㆍ羅ㆍ李’→`류ㆍ라ㆍ리'로 쓸 수 있다, 한겨레, 2007-07-29 ↑ 《고려사》 권93, 열전6 ↑ “류방헌 묘지명”.  ↑ “전주류씨 대종중”. 2015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8일에 확인함.  ↑ 《고려사》 권88 열전 권제1 ↑ “유석 묘지명”.  ↑ 강릉 유씨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진우의 성씨이야기> 강진유씨, 고령유씨, 무안유씨 ↑ 무송 유씨 - 한국학중앙연구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유_(성씨)&oldid=24516548" 분류: 유씨한국의 성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3일 (수) 06:0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류(柳, 劉) 또는 유(兪, 庾)는 한국의 성씨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류씨의 본관에 따른 인구수와 시조와 자손의 업적은? Assistant: 전주 류씨(全州 柳氏)에 관한 기록으로 578년(백제 위덕왕 34) 성덕태자(聖德太子)의 요청으로 사천왕사(四天王寺)를 건축하러 백제에서 일본으로 건너간 류중광(柳重光)은 본관이 전주(全州)이다. 전주 승화현(承化縣) 출신의 류방헌(柳邦憲, 944년 ~ 1009년)이 972년(고려 광종 23년) 과거에 급제하여 1009년(현종 즉위년)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에 이르렀다.[3] 전주인(全州人) 류방헌(柳邦憲) 묘지명(墓誌銘)에는 증조부가 통일신라 때 각간(角干)을 지낸 류기휴(柳基休)이고, 할아버지 류법반(柳法攀)이 후백제의 우좌군(右將軍)을 역임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4] 따라서 전주류씨는 백제 때 창성(創姓)된 성씨이다.[5] 각 계파는 류혼(柳渾), 류습(柳濕), 류지(柳池)를 각각 시조로 한다. 2015년 인구는 78,690명이다. 문화 류씨(文化 柳氏)의 시조 류차달(柳車達)은 고려 개국공신으로 후삼국 통일 당시 유주(儒州 : 황해도 신천군 일대)의 호족이었다. 6세손 류공권(柳公權)이 1195년 동지추밀사(同知樞密事)에 올랐다. 2015년 인구는 327,624명이다. 정주 류씨(貞州 柳氏) 시조 류천궁(柳天弓)은 고려 초기 삼중대광(三重大匡)을 지냈으며, 그의 딸은 고려 태조의 제1왕후 신혜왕후이다. 중시조 류소(柳韶)는 1011년(현종 2)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 1016년에 어사잡단(御史雜端), 1019년 사헌중승(司憲中丞), 1022년 간의대부(諫議大夫) 등을 거쳐 덕종 때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가 되었다. 2015년 인구는 15명이다. 고흥 류씨(高興 柳氏) 시조 류영(柳英)이 고려 문종 때 호장(戶長)을 지냈다. 류영의 7세손 류청신(柳淸臣)이 고이부곡(高伊部曲) 출신으로 1310년(충선왕 2) 정승에 임명되고 고흥부원군(高興府院君)에 봉해졌다. 2015년 인구는 73,329명이다. 진주 류씨(晉州 柳氏)는 류정(柳挺)을 시조로 하는 토류계(土柳系)와 류차달(柳車達)의 9대손 류인비(柳仁庇)를 시조로 하는 이류계(移柳系)의 서로 다른 두 계통이 있다. 2000년 인구는 60,104명이다. 서산 류씨(瑞山 柳氏) 시조 류공기(柳公器)는 고려조에 관직이 합문지후(閤門祗候)에 이르렀으며, 사후에 증손 류숙(柳淑)이 귀해지자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수문전대학사(修文殿大學士)·감수국사(監修國士)·판전리사사(判典理司事)에 추증되었다. 서녕 유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9명을 배출하였다. 2000년 인구는 14,827명이다. 풍산 류씨(豊山 柳氏) 시조 류절(柳節)은 고려 초에 호장(戶長)을 지냈다. 류절의 증손 류백(柳伯)이 고려 충렬왕 때 은사(恩賜)로 급제하였고, 7세 류종혜(柳從惠)가 공조전서(工曹典書)를 역임하고 낙향해 하회동(河回洞)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풍산 류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2명을 배출하였다. 13세조 류성룡이 영의정에 오르고 풍원부원군(豊原府院君)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는 13,341명이다. 영광 류씨(靈光 柳氏) 시조 류언(柳漹)의 손자 류규(柳規)가 1426년(세종 8) 무과에 급제하여 예종 때 행첨지중추부사(行僉知中樞府事)를 지냈으며, 그의 아들 류자환(柳子煥)은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정난공신 3등에 오르고 도승지·대사헌·전라도관찰사를 지냈다. 류규의 서자인 류자광은 연산군 때 무오사화를 주도하며 공신의 지위에 올랐다. 2000년 인구는 1,475명이다.
Human: 아래 1파운드의_복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1파운드의 복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파운드의 복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파운드의 복음1ポンドの福音 장르 러브 코미디, 스포츠 만화: 1파운드의 복음 작가 타카하시 루미코 출판사 쇼가쿠칸 서울문화사 연재 잡지 주간 영 선데이 연재 기간 1987년 ~ 2007년 권수 4권 (단행본) 틀 - 토론 1파운드의 복음(일본어: 1ポンドの福音 이치폰도노후쿠인[*])은, "주간 영선데이" (쇼가쿠칸)에서 부정기적으로 연재되었던 타카하시 루미코에 의한 일본 만화이다. 복서 청년과 젊은 수녀를 중심으로 한 “인간극장”같은 작품으로, 동명의 제목으로 애니메이션화도 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2007년 3월, 4권째 단행본이 발간되어 완결되었다. 내용은 러브 코미디적 요소도, 스포츠물적 요소도 있어 어느 쪽이라고 말할 수 없는 작품이다. 목차 1 스토리 1.1 등장인물 2 애니메이션 3 텔레비전 드라마 3.1 개요 3.2 등장 인물 3.3 제작진 3.4 주제가 3.5 방송일 및 부제·시청률 4 외부 링크 스토리[편집] 스토리는 시합마다 한 편이 되어 있어 코사쿠가 대전상대와 그 주변의 인물과 접촉하거나 자신과 싸우든지 하면서 시합이 끝날 때까지를 한 스토리로 해서 그 스토리가 계속 반복되는 형식. 한 스토리마다 각각의 테마가 결정되어 있어 독자를 질리게 하지 않는다. 등장인물[편집] 하타나카 코사쿠 프로복서이지만 식욕이 왕성해 언제나 감량에 실패하는 근성이 약한 주인공 시스터 안젤라 (마리에) 식욕에 져 버리는 코사쿠를 언제나 참회시키기 위해 다니는 수녀 무코다 관장 코사쿠가 소속하는 무코다 권투 체육관의 관장이며 언제나 코사쿠를 걱정하고 있음 이시다 무코다 권투 체육관 소속, 코사쿠의 코치다. 슌페이 (한국판 준베) 무코다 권투 체육관 소속, 코사쿠의 후배다 원장 수녀 안젤라 수녀에게 접근하는 코사쿠를 방해한다, 엄격한 신앙심을 가지고 있으며, 할머니라 불리는걸 싫어한다. 미즈에 마리에의 이모, 마리에가 수녀원을 나와 결혼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굉장히 세속적인편. 애니메이션[편집] 애니메이션은 키티필름에서 루믹월드의 일환으로 OVA가 제작되어 있다. 텔레비전 드라마[편집] 1파운드의 복음 1ポンドの福音 장르 드라마, 스포츠 방송 국가 일본 방송 채널 NTV, CTV, ytv, HTV, FBS, STV, MMT, NNS 방송 기간 2008년 1월 12일 ~ 2008년 3월 8일 방송 시간 토요일 21:00-21:54 방송 횟수 9부작 프로듀서 카와노 히데히로 연출 사토 토야다나카 미네야사쿠마 노리요시카리야마 슌스케 극본 후쿠다 유이치 출연자 카메나시 카즈야쿠로키 메이사오카다 요시노리야마다 료스케 음악 이즈츠 아키오카와시마 카노우 외부 링크  공식 사이트 개요[편집] 2008년 1월 12일부터 3​​월 8일 까지 NTV, CTV, ytv, HTV, FBS, STV, MMT, NNS에서 방송. 첫회만 15분 확대. 전9화. 2008년 9월 3일 일본에서 DVD-BOX가 발매되었다. 평균 시청률은 10.6%, 최고 시청률 13%이다. 등장 인물[편집] 카메나시 카즈야 : 하타나카 코사쿠 역 쿠로키 메이사 : 시스터 안젤라 역 오카다 요시노리 야마다 료스케 : 무코다 카츠미 역 타카하시 잇세이 이시구로 히데오 나미오카 카즈키 미츠이시 켄 미나미사와 나오 스가와라 다이키치 나카무라 카오리 에구치 노리코 제작진[편집] 권투 협력 : 요네쿠라 복싱 체육관 권투지도 : 우메즈 마사히코 자동차 스턴트 : 타카하 레이싱 협력 프로듀서 : 코이즈미 마모루, 시타야마 쥰 프로듀서 : 카와노 히데히로 연출 : 사토 토야, 다나카 미네야, 사쿠마 노리요시, 카리야마 슌스케 각본 : 후쿠다 유이치 음악 : 이즈츠 아키오, 카와시마 카노우 음악 프로듀서 : 시다 히로히데 프로덕션 : 전체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저작권 : NTV 주제가[편집] KAT-TUN - "LIPS" 이미지 송 (드라마 시작 전 예고 CM에서 사용) : "We Will Rock You"- 노래 : Queen 방송일 및 부제·시청률[편집] 각화 방송일 부제 시청률 제1화 2008년 1월 12일 좋아해요! 수녀님! 13.0% 제2화 2008년 1월 19일 VS 겁쟁이 남자! 이기면 데이트 모두 대식이다! 11.4% 제3화 2008년 1월 26일 어머니의 일입니까? 울트라맨이 되는 방법 11.1% 제4화 2008년 2월 2일 연적은 천재 요리사! 세계 제일의 러브 레터 9.0% 제5화 2008년 2월 9일 어려운 때, 과거가 아닌 미래를 생각해 9.6% 제6화 2008년 2월 16일 굳세어라! 괴롭힘 당한 여자 복서 10.5% 제7화 2008년 2월 23일 악덕 호스트에 큰 빚을 진 사랑과 돈을 건 싸움 10.7% 제8화 2008년 3월 1일 안녕 수녀님!! 근성 없는 눈물의 펀치 8.8% 최종화 2008년 3월 8일 결혼!? 길 대작전 사랑과 구운 고구마로 여행 11.3% 평균 시청률: 10.6% (시청률은 간토 지방·비디오 리서치사 조사)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공식 사이트 NTV 토요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드림 어게인(2007.10.13 - 2007.12.15) 1파운드의 복음(2008.1.12 - 2008.3.8) 고쿠센 3(2008.4.19 - 2008.6.28) vdeh닛폰 TV 계열(NNS) 토요 그랜드 극장 (21시대·제2기)→토요드라마 (21시대·제1기→22시대·제2기)2000년대 전반2000년 《버추얼 걸》 《전설의 교사》 《푸드 파이트》 《신주쿠 폭주 구급대》 2001년 《무카이 아라타의 동물일기 ~애견 로시난테의 재난~》 《내일이 있잖아》 《킨다이치 소년의 사건부 (제3기)》 《환영! 단지키 고잇코 님》 2002년 《너스맨》 《골든볼》 《탐정 가족》 《리모트》 2003년 《착한 아이의 편 ~보육사 이야기》 《나의 마법사》 《수박》 《내일 날씨 맑음.》 2004년 《그녀가 죽어버렸다.》 《강아지의 왈츠》 《애정 한판!》 《너스맨이 간다》 2000년대 후반2005년 《고쿠센 (제2시리즈)》 《루리의 섬》 《여왕의 교실》 《노부타.를 프로듀스》 2006년 《식탐정》 《걸 서클》 《마이☆보스 마이☆히어로》 《단 하나의 사랑》 2007년 《엔카의 여왕》 《식탐정 2》 《수험의 신》 《드림 어게인》 2008년 《1파운드의 복음》 《고쿠센 (제3시리즈)》 《야스코와 켄지》 《스크랩 티처~교사 재생~》 2009년 《제니게바》 《더 퀴즈 쇼》 《화려한 스파이》 《사무라이 하이스쿨》 2010년대 전반2010년 《좌목탐정 EYE》 《괴물군》 《미오카-네가 있던 날들-》 《Q10》 2011년 《데카완코》 《고교생 레스토랑》 《돈★키호테》 《요괴인간 벰》 2012년 《이상의 아들》 《삼색털 고양이 홈즈의 추리》 《고스트 마마 수사선~나와 마마의 이상한 100일~》 《악몽짱》 2013년 《울지마, 하라 짱》 《35세의 고교생》 《사이토 씨 2》 《도쿄 밴드왜건~도시 대가족 이야기》 2014년 《전력 외 수사관》 《약해도 이길 수 있습니다~아오시 선생님과 풋내기 고교 야구 선수의 야망~》 《킨다이치 소년의 사건부 N(neo)》 《지옥 선생 누~베~》 2010년대 후반2015년 《학교의 계단》 《도S 형사》 《명랑 개구리 뽕키치》 《오키테가미 쿄코의 비망록》 2016년 《괴도 야마네코》 《저승사자입니다.》 《시간을 달리는 소녀》 《THE LAST COP/라스트 캅》 2017년 《슈퍼 샐러리맨 사에나이씨》 《저, 운명의 사람입니다.》 《우리 남편은 일을 못해》 《먼저 태어난 것 뿐인 나》 2018년 《무마시킨 겨울 ~우리집 문제는 없었던 일로~》 《Miss 데빌 인사의 악마 츠바키 마코》 《서바이벌 웨딩》 《도로케이 -경시청 수사 3과-》 2019년 《이노센스 원죄 변호사》 《내 스커트, 어디 갔어?》 《보이스 110 긴급 지령실》 vdeh타카하시 루미코연재 작품 시끌별 녀석들 메종일각 란마 ½ 1파운드의 복음 이누야샤 경계의 린네 시리즈 작품 인어 시리즈 다카하시 루미코 극장 단기 연재·단편 제멋대로 인 녀석들 배꼽 라 홀 노력 말세 황금의 빈곤신 더스트 스퍼트!! 더 슈퍼 걸 웃을! 도움말 맨 전국학생회 웃는 표적 불꽃 트리퍼 캐릭터 디자인 15소년 표류기 크러셔 죠 (극장판)(스페셜 디자인) 울프 가이(OVA)(논 크레딧) 기동신선조 모에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1파운드의_복음&oldid=20832744" 분류: 다카하시 루미코의 만화오리지널 비디오 애니메이션2008년 드라마만화의 텔레비전 드라마화 작품일본의 스포츠 드라마닛폰 TV 토요드라마후쿠다 유이치 각본 텔레비전 드라마권투 만화권투 애니메이션권투 드라마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PortuguêsไทยTagalogTiếng Việt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2월 27일 (화) 17: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1파운드의 복음(일본어: 1ポンドの福音 이치폰도노후쿠인[*])은 "주간 영선데이" (쇼가쿠칸)에서 부정기적으로 연재되었던 타카하시 루미코에 의한 일본 만화이다. 복서 청년과 젊은 수녀를 중심으로 한 “인간극장”같은 작품으로, 동명의 제목으로 애니메이션화도 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2007년 3월, 4권째 단행본이 발간되어 완결되었다. 내용은 러브 코미디적 요소도, 스포츠물적 요소도 있어 어느 쪽이라고 말할 수 없는 작품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파운드의 복음의 평균 시청률은 얼마인가? Assistant: 10.6% Human: 아래 유라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유라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라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유라실 일반적인 성질 IUPAC 이름 Pyrimidine-2,4(1H,3H)-dione 화학식 C4H4N2O2 별칭 U CAS 번호 66-22-8 PubChem 1174 ChemSpider 1141 물리적 성질 분자량 112.09 g/mol 녹는점 608.15 K335 °C635 °F 밀도 1.32 g/cm3 형태 무색 고체 열화학적 성질 안전성 유라실(영어: uracil, U)은 리보핵산(RNA)에서 발견되는 4가지 핵염기들 중 하나이다. 나머지 핵염기들은 아데닌(A), 사이토신(C), 구아닌(G)이다. RNA에서 유라실은 두 개의 수소 결합을 통해 아데닌과 염기쌍을 형성한다. DNA에서 유라실은 티민으로 대체된다. 유라실은 티민의 탈메틸화된 형태이다. 유라실은 자연에서 일반적으로 생성되는 피리미딘 유도체이다.[1] "유라실"이란 이름은 요산의 유도체를 합성하려고 시도한 독일의 화학자 로베르트 베렌트(Robert Behrend)에 의해 1885년에 처음 만들어졌다.[2] 유라실은 1900년에 알베르토 아스콜리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효모 핵산의 가수분해에 의해 분리되었다.[3] 또한 유라실은 소의 가슴샘(흉선)과 비장(지라), 청어의 정자, 밀의 싹에서도 발견되었다.[4] 유라실은 빛을 흡수하는 능력을 가진 평면 구조의 불포화 화합물이다.[5] 머치슨 운석(Murchison meteorite)에서 발견되는 유기 화합물의 12C/13C 동위원소의 비율을 근거로 하여 유라실, 잔틴 및 관련 분자들도 외계의 우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고 믿어지게 되었다.[6][7] 2012년에 토성을 중심으로 궤도를 도는 카니시 탐사선이 보낸 데이터의 분석은 타이탄의 표면 조성이 유라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8] 목차 1 특성 1.1 DNA에서 2 합성 3 반응 4 이용 5 같이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특성[편집] RNA에서 유라실은 아데닌과 염기쌍을 형성하고 전사 과정에서 DNA의 티민은 RNA에서 유라실로 대체된다. 유라실이 메틸화되면 티민이 생성된다.[9] DNA에서 유라실이 티민으로 대체된 것은 DNA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DNA 복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데닌과 염기쌍을 형성할 때, 유라실은 수소 결합 수용체 및 수소 결합 공여체로 둘 다 작용한다. RNA에서 유라실은 리보스와 결합하여 리보뉴클레오사이드인 유리딘을 형성한다. 유리딘에 인산이 결합하면, 유리딘 일인산(UMP)가 생성된다.[5] 유라실은 아마이드-이미드산의 호변 이성질체 전환을 겪는다. 왜냐하면 형식적인 방향족성의 결여로 인해 분자가 가질 수 있는 핵 불안정성이 고리형 아마이드의 안정성에 의해 보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4] 아마이드 호변 이성질체는 락탐 구조로 언급되고, 이미드산 호변 이성질체는 락팀 구조로 언급된다. 이들 호변 이성질체 형태는 pH 7에서 우세하다. 락탐 구조는 유라실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유라실의 호변 이성질체: 아마이드 또는 락탐 구조(왼쪽) 및 이미드 또는 락팀 구조(오른쪽). 또한 유라실은 일련의 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레이스 반응을 거쳐 뉴클레오타이드를 형성한다.[1] 유라실이 분해되면 아스파르트산, 이산화 탄소, 암모니아가 생성된다.[1] C4H4N2O2 → H3NCH2CH2COO− + NH4+ + CO2 유라실의 산화 분해는 과산화 수소(H2O2) 와 Fe2+의 존재 하에 또는 산소(O2)와 Fe2+의 존재 하에 요소와 말레산을 생성한다. 유라실은 약산이다. 유라실의 첫 번째 이온화 자리는 알려져 있지 않다.[10] 음전하는 산소 음이온에 위치하며, pKa 값은 12 이하이다. 기본 pKa = -3.4 이고, 산성 pKa = 9.389이다. 기체 상태에서 유라실은 물보다 산성인 4개의 부위를 갖는다.[11] DNA에서[편집] 유라실은 DNA에서 거의 발견되지 않는데, 이것은 유전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진화적인 변화였을 수도 있다. 이는 사이토신이 탈아미노화를 통해 자발적으로 유라실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DNA에 유라실을 사용하는 생명체가 있다면, 사이토신(구아닌과 염기쌍을 형성)의 탈아미노화는 DNA 합성 중에 유라실(아데닌과 염기쌍을 형성)의 형성을 초래할 것이다. 유라실-DNA 글리코실레이스는 이중 가닥 DNA에서 유라실 염기를 제거한다. 따라서 유라실-DNA 글리코실레이스는 자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유라실과 사이토신의 탈아미노화를 통해 생성된 유라실을 모두 인식하고 제거하여 불필요하고 부적절한 DNA 복구 과정을 유발시킬 수 있다.[12] 이러한 문제는 진화 과정에서 유라실의 메틸화에 의해 해결된 것으로 생각된다. 티민은 메틸화된 유라실이다. 따라서 유전 정보의 장기 저장을 위해 오랜 시간의 진화 과정동안 DNA의 유라실이 티민으로 대체되어, 티민이 유라실 대신에 DNA의 표준 염기가 되었다는 가설이다. 그래서 세포들은 DNA가 아닌 RNA에서 유라실을 계속 사용하는데, RNA는 DNA보다 수명이 짧고 어떠한 유라실과 관련된 오류도 영속적인 손상을 초래하지 않기 때문이다. 분명한 건, RNA에서 유라실을 보다 복잡한 티민으로 대체하도록 하는 진화적인 압력이 없었거나, 유라실은 티민이 가지지 못한 RNA에 유용한 화학적 특성을 가졌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지만 다음과 같이 유라실을 가지고 있는 DNA도 있다. 몇몇 파지의 DNA 내시류의 발생 과정 척추 동물의 항체 합성 과정 중 과돌연변이 합성[편집] 2009년 10월에 발표된 학술 논문에서 NASA의 과학자들은 우주와 같은 조건에서 자외선에 노출시킴으로써 피리미딘으로부터 유라실을 생성했다고 보고했다. 이것은 RNA 세계에서 유라실에 대한 하나의 가능한 유래가 판스페르미아설 일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13] 보다 최근인 2015년 3월에 NASA의 과학자들은 처음으로 운석에서 발견된 피리미딘과 같은 시작 화학물질을 사용하여 우주 공간과 비슷한 조건의 실험실에서 유라실, 사이토신, 티민을 포함한 DNA와 RNA의 복잡한 유기 화합물이 추가로 형성되었다고 보고했다. 과학자들에 따르면, 우주에서 발견되는 탄소가 가장 풍부한 화학물질인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처럼 피리미딘은 적색거성 또는 우주 먼지와 성간운에서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4] 실험실에서 유라실을 합성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사이토신에 물을 첨가하여 유라실과 암모니아를 생성하는 것이 가장 간단한 합성 반응이다.[1] C4H5N3O + H2O → C4H4N2O2 + NH3 유라실을 합성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발연 황산에서 요소와 말산을 축합시키는 것이다.[4] C4H4O4 + NH2CONH2 → C4H4N2O2 + 2 H2O + CO 유라실은 또한 클로로아세트산 수용액에서 티오유라실의 이중 분해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4] 요소와 베타-알라닌의 반응에 의해 합성된 5,6-다이유라실의 탈수소반응은 유라실을 생성시킨다.[15] 반응[편집] 유라실은 산화, 나이트로화, 알킬화를 포함하는 주기적인 반응을 쉽게 겪는다. 페놀과 차아염소산 나트륨(NaOCl)의 존재 하에서 유라실은 자외선으로 시각화시킬 수 있다.[4] 유라실은 또한 하나 이상의 강력한 전자공여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할로젠과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4] 유리딘의 화학 구조 유라실은 리보스와 인산과 쉽게 결합하여 체내의 합성 반응과 추가적인 반응들에 참여한다. 유라실은 유리딘, 유리딘 일인산(UMP), 유리딘 이인산(UDP), 유리딘 삼인산(UTP), 유리딘 이인산 포도당(UDP-포도당)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들 분자 각각은 체내에서 합성되며, 특정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유라실이 무수 하이드라진과 반응할 때, 1차 반응이 일어나고 유라실 고리가 열린다.[16] 반응의 pH가 10.5 이상으로 증가하면, 유라실 음이온이 형성되어 반응이 훨씬 더 느리게 진행된다. 하이드라진의 양성자화 때문에 pH가 감소하면 반응이 느려진다.[16] 유라실의 반응성은 온도가 바뀌어도 변하지 않는다.[16] 이용[편집] 유라실의 체내에서의 사용은 리보스와 인산과 결합함으로써 세포 기능에 필요한 많은 효소들의 합성을 돕는 것이다.[1] 유라실은 동물과 식물에서 반응에 대한 다른 자리 입체성 조절 인자와 조효소로 역할을 한다.[17] UMP는 식물에서 카르바모일 인산 합성효소 및 아스파르트산 카르바모일트랜스퍼레이스를 조절하고, UDP와 UTP는 동물에서 CPSase II 활성을 필요로 한다. UDP-포도당은 탄수화물 대사 과정에서 간과 다른 조직에서 포도당이 갈락토스로 전환되는 것을 조절한다.[17] 유라실은 또한 다당류의 생합성 및 알데하이드를 포함하고 있는 당의 운반에 관여한다.[17] 유라실은 담배 연기에서 발견되는 많은 발암물질의 해독에도 중요하다.[18] 유라실은 또한 칸나비노이드(THC)와[19] 모르핀(오피오이드)과 같은 많은 약물들을 해독하는데 필요하다.[20] 유라실은 또한 체내에 엽산이 극도로 부족한 비정상적인 경우에 암에 걸린 위험도를 약간 증가시킬 수 있다.[21] 엽산의 결핍은 디옥시유리딘 일인산(dUMP)/디옥시티미딘 일인산(dTMP)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DNA에 유라실의 잘못된 유입과 결국 DNA 생성의 감소로 이어진다.[21] 유라실은 약물 전달체 및 의약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플루오린이 유라실과 반응하면 5-플루오로유라실이 생성된다. 5-플루오로유라실은 핵산의 복제 과정에서 유라실로 인식되는 항암제(대사길항물질)이다.[1] 5-플루오로유라실은 유라실과 구조가 비슷하지만, 유라실과 동일한 화학 작용을 하지 않기 때문에, RNA 복제 효소를 억제하여 RNA 합성을 차단하고 암세포의 생장을 막는다.[1] 유라실은 또한 카페인의 합성에도 사용될 수 있다.[22] 유라실은 미생물에 의한 토마토의 오염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유라실의 존재는 과일의 젖산균에 의한 오염을 나타낸다.[23] 다이아진 고리를 가지고 있는 유라실 유도체는 농약에 사용된다.[24] 유라실 유도체들은 면화, 사탕무, 순무, 콩, 완두, 해바라기, 포도원, 베리 플랜테이션 및 과수원의 잡초를 파괴하여 항광합성 제초제로 자주 사용된다.[24] 효모에서 유라실의 농도는 유라실 투과효소에 반비례한다.[25] 유라실을 포함하고 있는 혼합물은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을 시험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유라실은 기본적으로 비극성 고정상에 의해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시스템의 체류 시간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같이 보기[편집] 유리딘 유리딘 일인산 (UMP) 유리딘 이인산 (UDP) 유리딘 삼인산 (UTP)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Garrett, Reginald H.; Grisham, Charles M. (1997). 《Principals of Biochemistry with a Human Focus》. United States: Brooks/Cole Thomson Learning.  ↑ Behrend, Robert (1885). “Versuche zur Synthese von Körpern der Harnsäurereihe” [Experiments on the synthesis of substances in the uric acid series]. 《Annalen der Chemie》 229 (1–2): 1–44. doi:10.1002/jlac.18852290102. Dasselbe stellt sich sonach als Methylderivat der Verbindung: welche ich willkürlich mit dem Namen Uracil belege, dar. [The same compound is therefore represented as the methyl derivative of the compound, which I will arbitrarily endow with the name ‘uracil’.] (From page 11.)  ↑ Ascoli, Alberto (1900). “Ueber ein neues Spaltungsprodukt des Hefenucleins” [On a new cleavage product of nucleic acid from yeast]. 《Zeitschrift für Physiologische Chemie》 31 (1–2): 161–164. doi:10.1515/bchm2.1901.31.1-2.161. 12 May 2018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가 나 다 라 마 바 Brown, D.J.; Evans, R.F.; Cowden, W.B.; Fenn, M.D. (1994). Taylor, Edward C., 편집. 《The Pyrimidines》. Heterocyclic Compounds 52. New York, NY: Wiley. ISBN 9780471506560. 12 May 2018에 보존된 문서.  ↑ 가 나 Horton, Robert H.; 외. (2002). 《Principles of Biochemistry》 3판.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 Martins, Zita; Botta, Oliver; Fogel, Marilyn L.; Sephton, Mark A.; Glavin, Daniel P.; Watson, Jonathan S.; Dworkin, Jason P.; Schwartz, Alan W.; Ehrenfreund, Pascale (2008년 6월 15일). “Extraterrestrial nucleobases in the Murchison meteorite”.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270 (1–2): 130–136. Bibcode:2008E&PSL.270..130M. arXiv:0806.2286. doi:10.1016/j.epsl.2008.03.026.  ↑ “We may all be space aliens: Study”. Agence France-Presse (AFP). 20 August 2009. 17 June 2008에 보존된 문서. 14 August 2011에 확인함.  ↑ Clark; Pearson, N.; Brown, R.H.; Cruikshank, D.P.; Barnes, J.; Jaumann, R.; Soderblom, L.; Griffith, C.; Rannou, P.; Rodriguez, S.; Le Mouelic, S.; Lunine, J.; Sotin, C.; Baines, K.H.; Buratti, B.J.; Nicholson, P.D.; Nelson, R.M.; Stephan, K.; 외. (2012). “The Surface Composition of Titan”.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44: 201.02. Bibcode:2012DPS....4420102C.  ↑ “MadSciNet: The 24-hour exploding laboratory”. 《www.madsci.org》. 18 July 2005에 보존된 문서.  ↑ Zorbach, W.W. (1973). 《Synthetic Procedures in Nucleic Acid Chemistry: Physical and physicochemical aids in determination of structure》 2. New York, NY: Wiley-Interscience.  ↑ Lee, J.K.; Kurinovich, M.A. (2005). “[no title cited]”. 《J. Am. Soc. Mass Spectrom.》 13 (8): 985–995.  ↑ Békési, Angéla; Vértessy, Beáta G. “Uracil in DNA: Error or signal?”. 《scienceinschool.org》. 23 March 2016에 보존된 문서.  ↑ Marlaire, Ruth ( 5 November 2009). “NASA reproduces a building block of life in laboratory”. NASA. 4 March 2016에 보존된 문서. 5 March 2015에 확인함.  ↑ Marlaire, Ruth ( 3 March 2015). “NASA Ames reproduces the building blocks of life in laboratory”. NASA. 5 March 2015에 보존된 문서. 5 March 2015에 확인함.  ↑ Chittenden, G.J.F.; Schwartz, Alan W. (1976). “[no title cited]”. 《Nature》 263 (5575): 350–351. doi:10.1038/263350a0.  ↑ 가 나 다 Kochetkov, N.K.; Budovskii, E.I. (1972). 《Organic Chemistry of Nucleic Acids》. Part B. New York, NY: Plenum Press.  ↑ 가 나 다 Brown, E.G. (1998). 《Ring Nitrogen and Key Biomolecules: The biochemistry of N-heterocycles》. Boston, MA: Lluwer Academic Publishers.  ↑ Olson, K.C.; 외. (2011). “[no title cited]”. 《Chem. Res. Toxicol.》 24 (9): 1549–1559. PMC 3177992. PMID 21780761. doi:10.1021/tx200178v.  ↑ Mazur, A.; 외. (2009). “[no title cited]”. 《Drug Metab. Dispos.》 37 (7): 1496–1504. PMC 2698943. PMID 19339377. doi:10.1124/dmd.109.026898.  ↑ DeGregori, S.; 외. (2012). “[no title cited]”. 《Metab. Brain Dis.》 27 (1): 1–5. PMC 3276770. PMID 22193538. doi:10.1007/s11011-011-9274-6.  ↑ 가 나 Mashiyama, S.T.; 외. (2004). “[no title cited]”. 《Anal. Biochem.》 330 (1): 58–69. PMID 15183762. doi:10.1016/j.ab.2004.03.065.  ↑ Zajac, Matthew A.; Zakrzewski, Anthony G.; Kowal, Mark G.; Narayan, Saraswathi (2003). “A novel method of caffeine synthesis from uracil”. 《Synthetic Communications》 33 (19): 3291–3297. doi:10.1081/SCC-120023986.  ↑ Hildalgo, A.; 외. (2005). “[no title cited]”. 《J. Agric. Food Chem.》 53 (2): 349–355.  ↑ 가 나 Pozharskii, A.F.; 외. (1997). 《Heterocycles in Life and Society: An introduction to heterocyclic chemistry and biochemistry and the role of heterocycles in science, technology, medicine, and agriculture》. New York, NY: John Wiley and Sons.  ↑ Séron, Karin; Blondel, Marie-Odile; Haguenauer-Tsapis, Rosine; Volland, Christiane (15 March 1999). “Uracil-induced down-regulation of the yeast uracil permease”. 《Journal of Bacteriology》 181 (6): 1793–1800. PMC 93577. PMID 10074071. 12 May 2018에 보존된 문서 – jb.asm.org 경유.  외부 링크[편집] Uracil MS Spectrum vdeh핵산의 구성 성분핵염기 푸린 아데닌 구아닌 하이포잔틴 잔틴 푸린 유사체 피리미딘 유라실 티민 사이토신 피리미딘 유사체 뉴클레오사이드리보뉴클레오사이드 아데노신 구아노신 5-메틸유리딘 유리딘 5-메틸사이티딘 사이티딘 슈도유리딘 이노신 N6-메틸아데노신 잔토신 위부토신 디옥시리보뉴클레오사이드 디옥시아데노신 디옥시구아노신 디옥시티미딘 (또는 티미딘) 디옥시유리딘 디옥시사이티딘 뉴클레오타이드 (뉴클레오사이드 일인산)리보뉴클레오타이드 아데노신 일인산 (AMP) 구아노신 일인산 (GMP) 유리딘 일인산 (UMP) 사이티딘 일인산 (CMP) 이노신 일인산 (IMP) 잔토신 일인산 (XMP) 디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 디옥시아데노신 일인산 (dAMP) 디옥시구아노신 일인산 (dGMP) 디옥시티미딘 일인산 (dTMP) 디옥시유리딘 일인산 (dUMP) 디옥시사이티딘 일인산 (dCMP) 디옥시이노신 일인산 (dIMP) 고리형 뉴클레오타이드 고리형 아데노신 일인산 (cAMP) 고리형 구아노신 일인산 (cGMP) 고리형 다이구아노신 일인산 (c-di-GMP) 고리형 다이아데노신 일인산 (c-di-AMP) 고리형 아데노신 이인산 리보스 (cADPR) 뉴클레오사이드 이인산 아데노신 이인산 (ADP) 구아노신 이인산 (GDP) 유리딘 이인산 (UDP) 사이티딘 이인산 (CDP) 디옥시아데노신 이인산 (dADP) 디옥시구아노신 이인산 (dGDP) 디옥시티미딘 이인산 (dTDP) 디옥시사이티딘 이인산 (dCDP) 뉴클레오사이드 삼인산 아데노신 삼인산 (ATP) 구아노신 삼인산 (GTP) 5-메틸유리딘 삼인산 (m5UTP) 유리딘 삼인산 (UTP) 사이티딘 삼인산 (CTP) 이노신 삼인산 (ITP) 잔토신 삼인산 (XTP) 디옥시아데노신 삼인산 (dATP) 디옥시구아노신 삼인산 (dGTP) 디옥시티미딘 삼인산 (dTTP) 디옥시사이티딘 삼인산 (dCTP) 생체분자: 탄수화물 알코올 당단백질 글리코사이드 지질 에이코사노이드 지방산 / 지방산 대사 중간생성물 인지질 스핑고지질 스테로이드 핵산 구성 성분 뉴클레오타이드 대사 중간생성물 단백질 표준 아미노산 / 아미노산 대사 중간생성물 테트라피롤 헴 대사 중간생성물 전거 통제 GND: 4187149-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유라실&oldid=24048271" 분류: 핵염기피리미딘다이온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umbaartLietuvių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NederlandsNorsk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7일 (수) 11:0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유라실(영어: uracil, U)은 리보핵산(RNA)에서 발견되는 4가지 핵염기들 중 하나이다. 나머지 핵염기들은 아데닌(A), 사이토신(C), 구아닌(G)이다. RNA에서 유라실은 두 개의 수소 결합을 통해 아데닌과 염기쌍을 형성한다. DNA에서 유라실은 티민으로 대체된다. 유라실은 티민의 탈메틸화된 형태이다. 유라실은 자연에서 일반적으로 생성되는 피리미딘 유도체이다. "유라실"이란 이름은 요산의 유도체를 합성하려고 시도한 독일의 화학자 로베르트 베렌트(Robert Behrend)에 의해 1885년에 처음 만들어졌다. 유라실은 1900년에 알베르토 아스콜리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효모 핵산의 가수분해에 의해 분리되었다. 또한 유라실은 소의 가슴샘(흉선)과 비장(지라), 청어의 정자, 밀의 싹에서도 발견되었다. 유라실은 빛을 흡수하는 능력을 가진 평면 구조의 불포화 화합물이다.머치슨 운석(Murchison meteorite)에서 발견되는 유기 화합물의 12C/13C 동위원소의 비율을 근거로 하여 유라실, 잔틴 및 관련 분자들도 외계의 우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고 믿어지게 되었다.2012년에 토성을 중심으로 궤도를 도는 카니시 탐사선이 보낸 데이터의 분석은 타이탄의 표면 조성이 유라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유라실이 할로젠과 반응 가능한 것은 무엇이 존재하기 때문이야? Assistant: 하나 이상의 강력한 전자공여기
Human: 아래 노블레스_오블리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노블레스 오블리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노블레스 오블리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현재 이 문서는 특정 국가나 지역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다른 국가·지역에 대한 내용을 보충하여 문서의 균형을 맞추어 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09년 12월) 노블레스 오블리주(프랑스어: noblesse oblige, IPA: /nɔblɛs ɔbliʒ/, 영어: nobility obliges)란 프랑스어로 "귀족은 의무를 갖는다"를 의미한다. 보통 부와 권력, 명성은 사회에 대한 책임과 함께 해야 한다는 의미로 쓰인다. 즉, 노블레스 오블리주는 사회지도층에게 사회에 대한 책임이나 국민의 의무를 모범적으로 실천하는 높은 도덕성을 요구하는 단어이다. 하지만 이 말은 사회지도층들이 국민의 의무를 실천하지 않는 문제를 비판하는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목차 1 어원 2 로마 2.1 병역의무의 모범 2.2 기부활동 2.3 사회통합 3 미국 4 영국 5 중국 6 대한민국 6.1 병역활동 6.2 기부활동 6.2.1 사례 6.2.2 유일한 7 기타 7.1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노블레스 오블리주 7.2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 8 미디어 9 참고자료 10 각주 11 외부 링크 어원[편집] 14세기 백년전쟁 당시 프랑스의 도시 ‘칼레’는 영국군에게 포위당한다. 1347년, 칼레는 영국의 거센 공격을 막아내지만, 더이상 원병을 기대할 수 없어 결국 항복을 하게 된다. 후에 영국 왕 에드워드 3세에게 자비를 구하는 칼레시의 항복 사절단이 파견된다. 그러나 점령자는 “모든 시민의 생명을 보장하는 조건으로 누군가가 그동안의 반항에 대해 책임을 져야한다”며 “이 도시의 대표 6명이 목을 매 처형을 받아야 한다”고 말한다. 칼레시민들은 혼란에 처했고 누가 처형을 당해야 하는지를 논의했다. 모두가 머뭇거리는 상황에서 칼레시에서 가장 부자인 ‘외스타슈 드 생 피에르(프랑스어: Eustache de St Pierre)’가 처형을 자청하였고 이어서 시장, 상인, 법률가 등의 귀족들도 처형에 동참한다. 그들은 다음날 처형을 받기 위해 교수대에 모였다. 그러나 임신한 왕비의 간청을 들은 영국 왕 에드워드 3세는 죽음을 자처했던 시민 여섯명의 희생정신에 감복하여 살려주게 된다. 이 이야기는 역사가에 의해 기록되고 높은 신분에 따른 도덕적 의무인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상징이 된다.[1] 로마[편집] “고귀하게 태어난 사람은 고귀하게 행동해야 한다.”라는 뜻의 노블레스 오블리주는 과거 로마제국 귀족들의 불문율이었다.로마제국의 귀족들은 자신들이 노예와 다른 점은 단순히 신분이 다르다는게 아니라, 사회적 의무를 실천할 수 있다는 사실이라고 생각했다. 노블레스 오블리주 실천을 실천한다는 자부심을 갖고 있었던 것이다.[2] 병역의무의 모범[편집] 초기 로마공화정의 귀족들은 솔선하여 명장 한니발이 지휘한 카르타고군대와 벌인 포에니 전쟁에 참여하였고, 16년 간의 제2차 포에니 전쟁 중에는 13명의 집정관(Consul)이 전사하였다. 집정관은 선거를 통해 선출된 고위공직자로 귀족계급을 대표하며, 로마공화정의 관리 중에서 가장 높은 관직이었다. 또한 로마에서는 병역의무를 실천하지 않은 사람은 호민관이나 집정관등의 고위공직자가 될 수 없었을 만큼 노블레스 오블리주 실천이 당연하게 여겨졌다.[3] 기부활동[편집] 고대 로마에서는 자신의 재산을 들여 공공시설을 신축하거나 개보수한 귀족에 대해서 "아무개 건물" "아무개가 이 도로를 보수하다" 이런 식으로 귀족의 이름을 붙여주었는데, 귀족들은 이를 최고의 영광으로 생각하였다. 또한 법을 제안한 정치인의 이름을 따서 법의 이름을 만들었다. 아피아 가도 (Via Appia): "아피우스의 길" 이라는 뜻이다. 기원전 312년, 재무관이었던 아피우스가 입안하고 원로원이 가결하고 아피우스 자신이 총감독을 맡아서 건설한 길이다. 라티나 가도 (Via Latina) 티부르티나 가도 (Via Tiburtina) 노멘타나 가도 (Via Nomentana) 셈프로니우스 도로법: 셈프로니우스가 제안한 도로법 율리우스 농지법: 율리우스가 제안한 농지법 고대 로마 공화정의 부자들은 자신의 재산을 군자금으로 기부하였는데,제1차 포에니 전쟁당시 로마에서는 군선 200척을 건조하여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또한 제1차 포에니 전쟁당시 강경론을 주장했던 집정관 대 카토는 검소함과 노동을 실천하는 사람이었다.[4] 사회통합[편집] 이렇듯 지배계급인 로마의 귀족들이 사회적인 의무를 충실하게 실천하는 전통은 로마사회의 통합을 이루었으며[2],나라에서도 장려책을 사용해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었다. 미국[편집] 고대 로마의 노블레스 오블리주 전통은 미국에도 전승되어, 미국 법령에 제안자의 이름이 들어가 “매케인-파인골드법”(McCain-Feingold Act) 같이 법률 명칭을 부른다던가, 철강왕 앤드류 카네기가 세운 카네기멜론 대학교, 은행가 존스 홉킨스가 세운 존스 홉킨스 대학교 식으로 설립자의 이름을 붙인 대학등이 현재 미국에 존재한다. 미국은 로마와 같이 상업주의를 추구하며, 법률이 매우 발달해 있으며, 영향력은 전 세계적인 점에서도 고대 로마와 매우 닮았다. 원로원과 민회로 구성된 고대 로마의 정치제도도 하원과 상원으로 모방하고 있다. 영국[편집] 영국은 영국 왕실 및 왕실에 속한 귀족들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징병제가 이에 해당된다. 반드시 영국 왕실 및 왕실에 속한 귀족들의 자녀들은 영국 병역법과 왕실 내부 규율에 따라 희망하는 일시에 장교의 신분으로 군복무를 마치도록 되어있다고 하며, 영국의 대표적인 노블레스 오블리주에 해당된다. 아르헨티나와 영국의 전쟁인 포클랜드 전쟁에도 앤드루 왕자가 헬리콥터 조종사로 참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영국 찰스 왕세자의 둘째 아들 해리 왕자는 아프가니스탄에서 군복무를 하였다.[5] 이진영 공군중령은 영국 왕실이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하기 때문에, 입헌군주제가 계속 될 수 있다고 보았다.[6] 중국[편집] 잉글랜드의 지리학자(여성)이사벨라 버드 비숍은 《한국과 그 이웃나라들》(이인화 옮김,살림)에서 죽을 쑤어서 빈곤층들이 굶어죽지 않도록 배려한 청나라 장군을 소개했다. 그가 청일전쟁에서 전사하자 기독교 선교사들은 진심으로 애석하게 여겼다.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에서 대표적인 인물은 독립운동가 이회영 선생과 그의 형제들이 있다. 그리고 조선시대 선비로서 의병활동한 분들이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사회 저명인사나 소위 상류계층의 병역기피가 매우 오래된 병폐로 잔존하고 있다. 정훈이라고 하여, 군인 정신교육에서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매우 강조하고 있으나 고대 로마와 로마를 따라하는 미국처럼, 법률 명칭이나 공공시설 명칭 등에 귀족의 이름을 붙여서 “혜택”을 부여하거나 해서, 귀족계층 내부의 유행을 일으키지는 못하고 있다. 병역활동[편집] 《마흔에 읽는 손자병법》(강상구 지음, 흐름출판)에 따르면, 김유신 장군(진골계급)등의 신라시대 지배계급들은 삼국통일을 위한 백제, 당나라와의 전쟁에 참여함으로써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했다. 그래서 피지배계급들에게 국가를 위한 헌신을 요구할 수 있었다. 기부활동[편집] 사례[편집] 한국에서도 조선 정조 당시 흉년으로 인한 기근으로 식량난에 허덕이던 제주도 사람들을 위해 전 재산으로 쌀을 사서 분배한 거상 김만덕, 군수업으로 번 막대한 재산을 독립운동에 대부분 사용한 최재형, 집안의 노비를 해방하고, 민족적 자립을 위한 무장투쟁을 이끌었으며, 국가의 미래를 위한 교육사업도 활발히 펼친 김좌진, 백리 안에 굶는 이가 없게 하라는 신념을 나눔으로써 실천하여 민중들의 생존권 투쟁이 치열했던 19세기에도 화를 입지 않은 경주 최부잣집처럼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역사적 사례가 있다. 유일한[편집] 유한양행 설립자 유일한도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사람이다. 그는 미국에서 숙주나물 통조림을 생산하는 라초이 회사를 운영할 당시 녹두를 공급하던 중국 상인이 탈세하는 것을 보고 충격받았다. 그래서 유한양행을 설립하자 도덕적 해이를 경계하여 정경유착, 탈세, 마약생산을 절대로 하지 않았으며, 주식회사 체제로 경영하여 사원들이 경영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번 돈으로 유일한은 유한공업고등학교를 설립하였다. 기타[편집]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노블레스 오블리주[편집] 영국의 전통있는 학교인 이튼 칼리지의 학생들은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참전하여 전사하였으며, 학교에서는 전사자들의 이름을 기록한 기념비를 제작하였다. 독일 귀족이 공군 조종사로 참전한 사례도 있는데, 비행기가 격추되어 탈출한 적은 사살하지 않아서 영국군 조종사들도 그의 전사를 애석하게 여겼다.[7] 즉, 유럽의 지식인들과 귀족들은 사회적 의무인 병역의무를 실천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겼다.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편집] 현재 영국의 여왕인 엘리자베스 2세는 1945년 조국을 위해 봉사하고 싶다며, 아버지 조지 6세의 허락을 얻어 또래 소녀들이 봉사하고 있는 영국 여자 국방군의 구호품 전달 서비스부서에서 군복무를 하였다.[8][9] 이것이 발단이 되어서 후에 영국 내에서 징병제를 폐지시켰다 하더라도, 영국 왕실 및 왕실에 속한 귀족들은 반드시 왕실 내부 규율과 영국 병역법에 따라 장교의 신분으로 군복무를 하도록 규정해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하도록 한다고 한다. 미디어[편집] EBS 《지식채널e》- 여섯명의 시민 참고자료[편집] 시오노 나나미 (2002). 《로마인 이야기: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한길사.  각주[편집] ↑ 정덕현 기자 (2009년 5월 12일). “칼레의 시민이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OSEN. 2009년 12월 15일에 확인함.  ↑ 가 나 살림지식총서《노블레스 오블리주》/예종석 지음/살림 ↑ 《예수 신화인가, 역사인가》/정승우 지음/책세상 ↑ 《과학으로 여는 세계불가사의 1 - 신과 미지의 수수께끼에 도전한 인간들의 이야기》2부 신화의 무대-8장 한니발과 카르타고의 비밀의식 /이종호 지음/문화유람 ↑ SBS 뉴스: 이것이 '노블리스 오블리주'! 해리왕자 군 복무 ↑ 국방일보: 사회지도층의 도덕적 의무 ↑ 《노블레스 오블리주》/예종석 지음/살림 ↑ 8 Things You May Not Know About Queen Elizabeth II ↑ Queen Elizabeth II's Time in WWII Makes Her the Most Hardcore Head of State 외부 링크[편집] 경주 최부잣집_“백리 안에 굶는 이가 없게 하라”-오귀환의 디지털 사기열전 한겨레 21 2004년 9월 16일 제527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노블레스_오블리주&oldid=23208277" 분류: 상류계급도덕프랑스어 낱말숨은 분류: 일부 지역만을 다루는 글/2009년 12월일부 지역만을 다루는 모든 글전체에 세계화가 필요한 글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EestiMagyar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7일 (금) 02: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노블레스 오블리주(프랑스어: noblesse oblige, IPA: /nɔblɛs ɔbliʒ/, 영어: nobility obliges)란 프랑스어로 "귀족은 의무를 갖는다"를 의미한다. 보통 부와 권력, 명성은 사회에 대한 책임과 함께 해야 한다는 의미로 쓰인다. 즉, 노블레스 오블리주는 사회지도층에게 사회에 대한 책임이나 국민의 의무를 모범적으로 실천하는 높은 도덕성을 요구하는 단어이다. 하지만 이 말은 사회지도층들이 국민의 의무를 실천하지 않는 문제를 비판하는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여섯 명의 시민에게 감동하여 그들을 사면시킨 왕의 이름은 무엇인가? Assistant: 에드워드 3세 Human: 아래 견자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견자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견자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견자단 甄子丹 Donnie Yen 2005년 영화 《칠검》에 대한 국제 홍보를 하기 위해 대한민국에서 기자회견을 가진 견자단출생 1963년 7월 27일(1963-07-27) (55세) 중화인민공화국 광둥 성 광저우국적 중화인민공화국 국적 홍콩 거주권직업 영화배우, 영화감독, 무예가활동 기간 1983년 ~ 현재 학력 전문대졸부모 아버지 전윈룽(견운룡) 어머니 마이바오찬(맥보선)배우자 왕스스(왕시시, 2003년 결혼)자녀 슬하 1남 2녀웹사이트 영화배우 겸 무예가 도니 옌 견자단(중국어: 甄子丹, 병음: Zhēn Zǐdān 전쯔단[*], 광둥어: Jan1 Zi2 daan1 얀지단, 영어: Donnie Yen 도니 엔[*], 1963년 7월 27일 ~ )은 중화인민공화국 홍콩 특별행정구의 영화배우, 무술가, 영화감독, 영화 무술감독이다. 목차 1 일생 2 생애 3 견자단의 무술 4 일화 5 출연 작품 5.1 영화 5.2 드라마 6 그외 참여 작품 7 수상 경력 8 각주 9 외부 링크 일생[편집] 중화인민공화국 광둥 성 광저우에서 출생한 그의 신장은 175cm이고 그는 중화인민공화국 영화배우 이연걸과 무예 동문이기도 하며 1984년 원화평 감독의 소태극으로 데뷔하였다. 어린 시절을 홍콩과 보스턴에서 보냈으며 영화 황비홍 2 - 남아당자강과 철마류로 스타 덤에 올랐다. 그 후 여러 영화를 찍었지만 이연걸의 그늘에 가려 주목받지 못하였으며 영화보다는 TV 시리즈에 주력하였다. 최근에 엽위신 감독과 함께 한 살파랑, 용호문, 도화선 등이 모두 흥행에 성공함으로써 비로소 이연걸의 그늘을 벗어나 흥행 스타가 되었다. 역시 엽위신 감독과 함께 찍은 최근 영화 엽문시리즈에서 브루스 리(이소룡)의 스승이자 영춘권의 대가인 엽문 역을 맡아 깔끔한 연기와 무술 실력을 선보여 대호평을 받았다. 현재 견자단은 홍콩 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마지막 쿵푸 스타이다. 생애[편집] 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지금 바로 이 문단을 편집하여, 참고하신 문헌이나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각주 등으로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1년 11월 11일에 문단의 출처가 요청되었습니다.) 견자단은 어릴 적부터 태극권의 고수였던 어머니 마이바오찬(맥보선)으로부터 무술을 배웠으며 2살 때 홍콩으로 건너와 11살까지 살다가 보스턴으로 건너가 10대를 보냈다. 그는 매일같이 뒷골목에서 벌어지는 패싸움에 끼어들었는데, 주로 인종 차별을 하는 백인들을 상대로 한 싸움이었으며 목숨의 위협을 받을 정도로 위험한 상황도 여럿 겪었다고 한다. 자라면서 매일 같이 차이나타운의 극장에서 이소룡의 영화를 보며 영화배우의 꿈을 키웠고 이소룡이 스크린 속에서 보여주는 무술을 자신의 것으로 소화하기 위해 부단하게 노력했다. 평소에 그의 재능을 눈여겨보던 원화평은 견자단에게 취권의 오디션을 보도록 했고 그로 인해 견자단은 영화계에 데뷔하게 되었다. 첫 출연작은 견자단의 나이 19세 때인 1984년에 제작된 원화평 감독의 <소태극>이었지만 이 영화는 그리 주목받지 못했으며 그는 다시 미국으로 건너갔다 수 년 뒤 홍콩으로 돌아와 TV와 영화 등에서 활약하게 된다. 견자단은 <황비홍 2>와 <철마류>에 출연하면서 스타덤에 올랐으며 대표작으로는 <철마류>, <칠검>, <살파랑>, <도화선>, <엽문> 등이 있다. 그는 영화에서 악역과 선역을 오가며 다양한 이력을 쌓았으며 2000년 하이랜더 시리즈인 <엔드 오브 게임>에 출연하면서 헐리우드에 진출했다. <블레이드 2>에서는 무술감독 겸 배우로 출연하기도 했다. 영화 엽문을 통하여 중화권 최고의 스타로 자리매김하였다. 견자단의 무술[편집] 견자단은 무술가였던 그의 어머니의 영향으로 어린 시절부터 혹독한 무술 수련을 받았다. 태극권의 고수였던 어머니 마이바오찬(맥보선)으로부터 태극권을 배웠던 견자단은 아침 6시부터 무술 연습을 시작하고 그것이 끝나야만 학교에 갈 수 있을 정도로 혹독하게 수련했다고 한다. 그는 성장하면서 태권도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무술을 접하며 그만의 독특한 스타일을 추구하게 된다. 주로 중국 남파 권술을 연마했는데 이 때 배운 홍가권은 후일 영화 철마류에서 황비홍의 아버지이자 홍가권의 고수인 황기영을 연기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또한 그가 주연을 맡은 TV 시리즈 소림의사홍희관에서도 홍가권의 창시자 홍희관 역할을 맡아 홍가권을 섬세하게 묘사했다는 평을 받는다. 견자단은 또한 이종격투기, 레슬링, 태권도, 유도 등 현대 MMA식 룰에 입각한 격투기에 관심이 많아 이를 섭렵하였는데 이는 역시 그의 깔끔한 무술 스타일의 창조에 큰 도움이 되었고 영화에서 크게 빛을 발휘하였다. 특히 견자단은 태권도가 공인 6단일 정도로 태권도에 대한 조예가 매우 깊다. 최근에 그는 영화 엽문에서 이소룡의 스승이자 영춘권의 고수인 엽문 역을 맡아 제대로 된 영춘권을 선보이기 위해 엽문 노사의 장남인 엽준에게서 9개월 간 영춘권을 전수받고 틈나는대로 열심히 연마하여 영화에서 영춘권을 제대로 묘사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그의 무술은 그가 무술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무술이 그를 따라가는 경지에 이를 정도이며 그의 스타일은 모든 무술을 자신의 것으로 소화하고 자신의 스타일로 재해석하여 영화 속에서 활용하는 것이다. 견자단의 싸움실력은 엄청나게 뛰어난데 특히 견자단의 발차기는 최고 수준으로 어느 각도에서 어떻게 차든 정확하고 파괴력 있는 발차기를 하며 특히 견자단의 특기 중 하나가 발을 높이 들어서 등 뒤에 있는 사람의 머리를 발로 차는 기술이다.[1] 일화[편집] 아내 왕스스는 견자단과 키가 똑같다. 견자단의 딸이 방탄소년단의 팬인데 딸을 위해 딸과 같이 방탄소년단의 공연을 관람했다. 그런데 되려 방탄소년단 멤버들이 견자단의 팬이라서 견자단은 방탄소년단의 멤버, 코디, 매니저 등 100명이 넘는 사람들과 일일이 기념사진을 촬영했다. 출연 작품[편집] 영화[편집] 연도 제목 원제 역할 비고 1983년 천사당사天師撞邪 스턴트맨 귀마천사鬼馬天師 스턴트맨 1984년 소태극笑太極[2] 진택 역 데뷔작품 1985년 정봉적수情逢敵手 에디 역 1988년 타이거 케이지特警屠龍 테리 역무술감독 1989년 예스마담 4:직격증인皇家師姐 4: 直擊證人 경찰관 단 역 1990년 타이거 케이지 2洗黑錢 유룡 역무술감독 마진겁魔唇劫 상검비 역 1991년 노화위룡怒火威龍 지량 역 1992년 엽표행동獵豹行動 로노 역 황비홍 2 - 남아당자강黃飛鴻之二男兒當自强 납란원술 역 신용문객잔新龍門客棧 조소흠 역 결전기병決戰奇兵 1993년 철마류少年黃飛鴻之鐵馬 황기영 역 신 유성호접검新流星胡蝶劍 엽상 역 소림사 강호영패蘇乞兒 소걸아(소찬) 역 1994년 첩혈남아亞洲警察之高壓線 장호화 역무술감독 영춘권詠春 양박도 역무술감독 비각칠 2馬戲小子 1995년 도성 2 - 가두도성賭聖 2 - 街頭賭聖 인터폴 수사관 용칠 역 1996년 철마류 2 가두 살수街頭殺手 철마류 역 전랑전설戰狼傳說 감독, 각본, 제작, 무술감독 감독데뷔작 마귀적여아666 魔鬼復活 무술감독 1997년 블랙 로즈黑玫瑰義結金蘭 1998년 메신저殺殺人, 跳跳舞 cat 역 감독, 프로듀서, 무술감독 니시무라 유키에가 음악을 담당함 신당산대형新 唐山大兄 당산 역 감독, 무술감독 2000년 하이랜더 4 - 엔드 오브 게임Highlander: Endgame 진 케 역무술감독 2001년 프린세스 블레이드修羅雪姫 액션감독 2002년 블레이드 2Blade II 스노우맨 역무술감독 영웅英雄 은모장천 역 2003년 상하이 나이츠Shanghai Knights 우찬 역 트윈 이펙트千機變 무술감독, 연출 미출연 2004년 연정고급戀情告急 빅터 우정출연 트윈 이펙트 2: 화도대전千機變2之 花都大戰 와호장룡 역 견습흑매괴見習黑玫瑰 감독 미출연 2005년 칠검七劍下天山 초소남 역 살파랑殺破狼 SPL 마군 역 2006년 용호문龍虎門 왕소룡 역공동제작, 무술감독 2007년 도화선導火線 형사반장 마준 역무술연출, 프로듀서 2008년 화피畵皮 방용 역무술연출 연의 황후江山美人 대장군 설호 역 엽문葉問[3] 엽문 역 2009년 가유희사 2009家有囍事 2009 카메오출연 8인: 최후의 결사단十月圍城 도박꾼 심중양 역 건국대업 建國大業 2010년 금의위錦衣衛 청룡 역 정무풍운 : 진진精武風雲:陳真 진진 역무술연출 엽문 2葉問2:宗師傳奇 엽문 역 2011년 무협武術 류진시(탕롱) 역 무술연출 관운장關雲長 관우 역무술감독 급선봉急先鋒 최강희사最強囍事 정우강 역 2012년 서유기大鬧天宮 손오공 역 무술감독 2013년 스페셜 ID 特殊身份 진자룡 역 계약연애 在一起 쿨 경관(천궈화) 역 2014년 일개인적무림 一个人的武林 2015년 엽문 3: 최후의 대결 3D叶问 엽문 역 누들맨 Noodle Man 신탐가도 神探驾到 2016년 로그 원: 스타워즈 스토리 Rogue One: A Star Wars Story 치루트 임웨 역 와호장룡 - 운명의 검 卧虎藏龙:青冥宝剑 2017년 트리플 엑스 리턴즈 xXx : The return of Xander Cage 시앙역 추룡 追龍 오세호 역 공수도 功守道 단편 영화 2018년 빅 브라더Taai si hing 드라마[편집] 연도 제목 원제 역할 비고 1988년 무면급선봉無冕急先鋒 1989년 비호군영飛虎群英 경찰본색刑警本色 1991년 명운미궁命運迷宮 정가준 역 건탐군영幹探群英 1994년 소림의사홍희관洪熙官 홍희관 역무술감독, 주제가 1995년 견자단의 정무문精武門 진진 역 1999년 코드네임: 퓨마La Puma - Kämpfer mit Herz 액션감독, 공동감독 독일 TV드라마 그외 참여 작품[편집] 연도 제목 원제 역할 비고 2004년 귀무자3鬼武者3 무술감독 플레이스테이션2 게임 2006년 생사진 (노래:Soler)生死陣 촬영감독 영화『용호문』주제가 프로모션비디오 수상 경력[편집] 1982년 인사이드 쿵푸 최고무술가 선정 2003년 제40회 대만금마장 액션감독상 - 트윈 이펙트 2004년 제23회 홍콩금상장영화제 무술감독상 - 트윈 이펙트 2006년 제25회 홍콩금상장영화제 무술감독상 - 살파랑 2007년 제44회 대만 금마장 액션감독상 - 도화선 2007년 제12회 홍콩 금자형장 무술감독상 - 용호문 2008년 세계스턴트어워드 외화부문 최고액션상 2008년 제27회 홍콩금상장영화제 액션감독상 - 도화선 2009년 제2회 상하이철상대상 남우주연상 - 엽문 2009년 제16회 베이징 대학생 영화제 최우수배우상 - 엽문 2009년 제28회 홍콩금상장영화제 최우수주연배우상 - 엽문 2010년 CMA 앤드아시안인플루엔셜어워드 아시아 최고 영향력상 각주[편집] ↑ 유튜브 특약. 견자단의 발차기 모음 ↑ 김종철 기자 영화를 사랑한 무술가, <칠검> 홍보차 한국 찾은 견자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씨네21》, 2005년 10월 3일 작성, 2011년 3월 11일 확인. ↑ 주성철 기자 ‘액션 기계’가 보여줄 새로운 율동에 대한 설렘 <엽문>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씨네21》, 2009년 4월 15일 작성, 2011년 3월 11일 확인.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견자단 견자단 - 공식 웹사이트 (영어) 견자단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중국어) 견자단의 시나트위터사이트 vdeh포브스 중국 셀러브리티 100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7년 야오밍 장쯔이 자오웨이 왕페이 궁리 장이머우 저우쉰 리밍 쑨난 이연걸 유가령 한훙 루이 위취안 쑨지하이 나잉 왕즈즈 자오번산 거유 리톄 야오밍 장쯔이 류샹 자오웨이 왕페이 장이머우 저우쉰 쑨난 유가령 판빙빙 루이 궁리 다오랑 천쿤 거유 톈량 궈징징 펑샤오강 자오번산 류예 야오밍 저우쉰 장쯔이 자오웨이 류샹 리위춘 판빙빙 천카이거 쑨난 리빙빙 유가령 펑샤오강 궁리 루이 자오번산 천쿤 천하오 쉬징레이 하경 궈징징 야오밍 류샹 장이머우 장쯔이 궁리 저우쉰 판빙빙 리위춘 쉬징레이 유가령 펑샤오강 정제, 옌쯔 리빙빙 자오번산 장량잉 후쥔 천쿤 천다오밍 천하오 거유 야오밍 류샹 이연걸 이젠롄 장쯔이 판빙빙 자오웨이 저우쉰 리빙빙 자오번산 궁리 쉬징레이 궈더강 장궈리 장량잉 황샤오밍 거유 린단 손려 황성이 야오밍 장쯔이 이젠롄 궈징징 류샹 이연걸 자오웨이 판빙빙 저우쉰 리빙빙 손려 궁리 거유 장이닝 자오번산 황샤오밍 린단 장이머우 장궈리 왕리친 성룡 저우제룬 유덕화 야오밍 장쯔이 자오번산 채의림 견자단 류샹 판빙빙 린즈링 천이쉰 류첸 사정봉 궈푸청 리위춘 쑨훙레이 저우쉰 황샤오밍 자오웨이 유덕화 저우제룬 왕페이 성룡 야오밍 견자단 장쯔이 이연걸 판빙빙 자오번산 황샤오밍 왕리훙 린즈링 펑샤오강 채의림 쉬시위안 장원 천이쉰 장학우 장이머우 저우제룬 유덕화 판빙빙 왕페이 리나 자오번산 채의림 야오밍 성룡 린즈링 천이쉰 사정봉 양미 장쯔이 장학우 왕리훙 뤄즈샹 견자단 서기 리빙빙 판빙빙 저우제룬 유덕화 성룡 장쯔이 천이쉰 양미 황샤오밍 채의림 린즈링 리나 왕리훙 자오번산 뤄즈샹 리위춘 모옌 서기 견자단 왕페이 오월천 판빙빙 유덕화 저우제룬 황샤오밍 장쯔이 양미 린즈링 리나 우치룽 성룡 천이쉰 오월천 뤄즈샹 왕리훙 저우쉰 사정봉 견자단 린즈잉 류카이웨이 채의림 판빙빙 저우제룬 사정봉 성룡 황샤오밍 손려 자오웨이 유덕화 리이펑 천이쉰 덩쯔치 안젤라베이비 리빙빙 왕봉 리나 채의림 저우쉰 유가령 리천 탕옌 판빙빙 루한 양미 자오리잉 양양 유도 성룡 안젤라베이비 저우제룬 크리스 리이펑 덩차오 손려 탕옌 천쿤 황샤오밍 TFBOYS 후거 유시시 레이 전거 통제 WorldCat VIAF: 73552384 LCCN: no2003108431 ISNI: 0000 0001 1447 8126 GND: 139118462 SUDOC: 067132642 BNF: cb140410672 (데이터) BIBSYS: 6047477 NDL: 01043802 NKC: xx0065793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견자단&oldid=24394843" 분류: 196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홍콩의 남자 영화 배우중국의 무술가광저우시 출신중국계 미국인미국으로 귀화한 사람중국의 남자 영화 배우중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홍콩의 스턴트 배우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광둥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2011년 11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문단에 출처가 필요한 글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বাংলাCatalàČeštinaDanskDeutschडोटेली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КыргызчаमैथिलीMalagasyBahasa MelayuनेपालीNederlandsਪੰਜਾਬੀ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hqipSvenskaKiswahili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Vepsän kel’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7일 (금) 22:0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견자단(중국어: 甄子丹, 병음: Zhēn Zǐdān 전쯔단[*], 광둥어: Jan1 Zi2 daan1 얀지단, 영어: Donnie Yen 도니 옌[*], 1963년 7월 27일 ~ )은 홍콩의 영화배우, 무술가, 영화감독, 영화 무술감독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견자단의 헐리우드 진출작으로 2000년에 출연한 영화의 제목은? Assistant: 엔드 오브 게임
Human: 아래 김영하_(만화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영하 (만화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영하 (만화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영하(金永河, 1947년 3월 22일 ~ 2014년 7월 3일)는 대한민국의 만화가다. 목차 1 생애 2 대표작 3 수상 경력 4 각주 5 외부 링크 생애[편집] 평안북도 박천에서 7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본명은 김영삼이다.[1][2] 한국전쟁 당시 부모와 함께 월남하였다. 전문적으로 미술을 배운 적은 없으나, 그가 그림을 그리면 고등학교 급우들이 낄낄거리며 웃었다고 한다.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3학년 때 서울 왕십리에 있는 어느 극장 간판을 그리다가 지나가던 사람의 그림체가 만화에 더 어울리겠다는 말을 듣고 만화가의 길을 걷기로 마음먹었다. 1963년 새싹문고에서 펴낸 그리운 눈동자로 데뷔하였으며, 당시에는 ‘이애나’라는 필명을 썼다. 만화가 문하생들과 만화를 함께 그리기 시작하여 1967~1968년쯤 그의 이름으로 그린 첫 작품은 ‘주머니대장’이다. 기백이란 가명으로 그리던 작품의 3권째부터 자신의 이름을 올렸다. 김영하는 이때부터 1997년 은퇴할 때까지 최소 2000권 이상의 작품을 그렸다.[1] 지병으로 1997년의 《요괴헌터》를 끝으로 작품활동을 중단하였다. 2014년 7월 3일 사망하였다. 향년 68세. 대표작[편집] 《주머니 동자》 - 《소년생활》 연재 《요술공주 보배》 - 《어깨동무》 연재 《짬보람보》 - 《아이큐점프》에 연재 《펭킹 라이킹》 - 《보물섬》에 연재. 만화영화로 제작되어 MBC에 방영되기도 하였다. 수상 경력[편집] 1979년 제7회 만화상(한국도서잡지윤리위원회 제정) 은상 수상 -《해바라기 형제》[3] 각주[편집] ↑ 가 나 최영훈 (2010년 5월 1일). “만화가 김영하 “내 작품만 2000권…복간은…””. 서울신문. 2012년 4월 2일에 확인함.  ↑ '최고봉' '펭킹 라이킹' 만화가 김영하 별세, 향년 67, 뉴시스 ↑ 金賞에 李元馥씨 漫畵賞수상자발표, 《매일경제》, 1979.10.30 외부 링크[편집] 김영하, 디지털 만화규장각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영하_(만화가)&oldid=22277063" 분류: 대한민국의 만화가박천군 출신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동문1947년 태어남2014년 죽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9월 8일 (토) 14:3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영하(金永河, 1947년 3월 22일 ~ 2014년 7월 3일)는 대한민국의 만화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만화가 김영하의 본명은 무엇입니까? Assistant: 김영삼 Human: 아래 제1대_에식스_백작_토머스_크롬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제1대 에식스 백작 토머스 크롬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1대 에식스 백작 토머스 크롬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토머스 크롬웰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5월) 토머스 크롬웰의 초상화 토머스 크롬웰 백작(Thomas Cromwell, 1st Earl of Essex, 1485년?~1540년 7월 28일)은 1532년부터 1540년까지 국왕 헨리 8세의 수석장관을 지낸 잉글랜드 왕국의 정치가이다. 후에 호국경을 지낸 올리버 크롬웰은 그의 누나 캐서린 크롬웰의 외증손자였다. 목차 1 초기 삶 2 왕의 수석장관 3 몰락 4 기타 초기 삶[편집] 월터 크롬웰(1463 ~ 1510)의 아들로 1485년 푸트니 출생이며 그의 아버지에 관해서는 대장장이, 선술집 관리인 등 여러 설이 있다. 크롬웰의 초기 삶에 대한 자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지지 않았다. 1512년 그는 네덜란드 미델뷔르흐에서 피렌체에서 명망 높은 장사꾼 집안인 프레스코발디 가에 고용되었다. 바티칸 시국에 보관되어 있던 공식 서류에 따르면 그는 레저널드 베인브리지 추기경의 대리인으로서 잉글랜드 교회의 직무를 다루었다고 한다. 크롬웰은 라틴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에 능통했다. 베인브리지 추기경이 죽은 1514년, 크롬웰은 그해 8월에 잉글랜드로 돌아와 토머스 울지 추기경에게 궁중에 고용되었다. 그곳에서 그는 평신도임에도 중요한 교회의 중요한 사무를 도맡았다. 1519년 그는 클로디어의 딸 엘리자베스 위키스(1489 ~ 1527)와 혼인하였다; 두 사람 사이에는 아들 그레고리 크롬웰이 있었다. 법학 공부를 끝마치고 난 후에 그는 1523년 잉글랜드 의회의 일원이 되었다. 1529년 헨리 8세는 아라곤의 캐서린과의 혼인 무효를 성사시키려고 의회를 소집하였다. 1520년 후반 또는 1531년 초반에 크롬웰은 의회에서 왕의 참사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리고 1531년이 끝나갈 즈음에 그는 헨리 8세의 신임을 얻게 되었다. 왕의 신뢰를 받은 크롬웰은 1531년 헨리 8세의 수석장관이 되었다. 왕의 수석장관[편집] 크롬웰은 영국 종교개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529년 ~ 1531년 의회 회기에서 그는 헨리 8세가 원하던 혼인 무효 선언을 하였다. 1532년 회기에서는 왕의 사자 -크롬웰이 첫 번째 수석장관이 되었음- 로서 정책 방향을 바꾸었다; 교황청 수입원의 원천을 차단하였으며 교회 법률 제정을 왕에게 양도하였다. 다음해 회기에서는 영국 종교개혁의 헌법을 제정하였다; 1533년 호소금지법을 통해 로마로의 호소를 금지하였다. 크롬웰은 잉글랜드 헨리 8세에게 왕 자신을 잉글랜드 교회의 우두머리가 될 것을 권하여 1534년 의회에 수장령을 통과시켰다. 1535년 헨리 8세는 크롬웰을 자신의 마지막 “영적 대리인”으로 임명하였다. 잉글랜드 교회의 두 관구(캔터베리와 요크) 위에 하나로 통합한 기관을 제공하여 교회 사건의 최고 판사로서의 힘을 그에게 주었다. 헨리 8세의 주교 대리 법무관으로서 그는 수도원 시찰과 함께 1535년에 수도원의 해산을 발표하여 1536년 겨울에 착수하였다. 1540년 4월 18일 그는 에식스 백작(Earl of Essex)의 작위를 받았다. 그는 또한 잉글랜드와 웨일스를 통일한 1535년 ~ 1542년 웨일스 법을 기획하기도 했다. 몰락[편집] 크롬웰은 앤 불린을 처리하고 제인 시무어로 그녀를 대신한 헨리 8세를 지지하였다. 수석장관으로 재임하는 동안 크롬웰은 자신에 대한 강력한 적대자를 많이 만들어냈다; 주로 당연히 해야 할 수도원들의 해체에서 나온 노획물을 나누는 것에 그는 지나칠 정도로 관용을 보였다. 그의 몰락은 제인이 일찍 죽은 이후 왕의 재혼을 서둘러 추진하기 시작한 때부터 시작되었다. 크롬웰이 헨리 8세를 설득하여 정치적 동맹을 위한 목적으로 클리브즈의 앤과 혼인시킨 것은 큰 실패였다. 기회를 포착한 크롬웰의 적수들, 그중에서도 노포크 공작 토머스 하워드는 크롬웰에게 책임을 물어 즉각 구속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1540년 6월 10일 추밀원 회의의 결정에 따라 크롬웰은 체포되어 런던 탑에 수용되었다. 크롬웰은 사권 박탈법에 따라 직위를 박탈당했으며 헨리 8세가 앤과 이혼할 때까지 목숨을 유지하였다. 그는 1540년 7월 28일 탑에서 비밀리에 처형되었는데 헨리 8세의 명령에 따라 그의 사형 집행인은 아직 미숙한 젊은 풋내기로 결정되었다고 한다. 그의 참수는 도끼로 무려 세 번의 내리침으로 고통스럽게 끝이 났다. 잘려진 그의 머리는 삶겨진 후 런던 브리지 위 대못에 내걸렸다. 기타[편집] 그의 누나 캐서린 크롬웰(1482 - ?)은 모건 압 윌리엄과 결혼했고 그들의 아들은 웨일스의 리처드 윌리엄스 압 예반이었다. 그의 아들 헨리 윌리암스 알리아스는 할머니쪽의 성을 따서 크롬웰이라는 성을 썼고, 헨리 윌리엄스 크롬웰의 차남 로버트 크롬웰이 올리버 크롬웰의 아버지가 된다.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9523928 LCCN: n50018371 ISNI: 0000 0001 2125 7583 GND: 118670611 SELIBR: 324974 SUDOC: 076315185 BNF: cb10522828h (데이터) BPN: 84577566 BIBSYS: 2035507 ULAN: 500316338 NLA: 35032266 NKC: xx012824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제1대_에식스_백작_토머스_크롬웰&oldid=23558225" 분류: 1480년 태어남1540년 죽음영국의 정치인영국의 백작사형된 사람참수된 사람런던탑 수감자대시종장경잉글랜드의 변호사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5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P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ULA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Hrvatski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atinaМакедонскиNederlandsNorskPolskiپښتوPortuguês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28일 (월) 11:5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토머스 크롬웰 백작(Thomas Cromwell, 1st Earl of Essex, 1485년?~1540년 7월 28일)은 1532년부터 1540년까지 국왕 헨리 8세의 수석장관을 지낸 잉글랜드 왕국의 정치가이다. 후에 호국경을 지낸 올리버 크롬웰은 그의 누나 캐서린 크롬웰의 외증손자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크롬웰이 체포된 년도는? Assistant: 1540
Human: 아래 이만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만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만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같은 이름을 가진 다른 사람에 대해서는 이만수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만수 Lee Man-Soo 삼성 라이온즈 No.22 (영구 결번)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1958년 9월 19일(1958-09-19) (60세) 출신지 강원도 철원군 신장 175 cm 체중 82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우타 수비 위치 포수, 1루수, 지명 타자 프로 입단 연도 1982년 드래프트 순위 프로 원년 멤버 첫 출장 KBO / 1982년 3월 27일 동대문 대 MBC전 마지막 경기 KBO / 1997년 10월 17일 잠실 대 LG전 획득 타이틀 KBO 리그 1호 안타, 홈런 수위 타자(1984년) 최다 홈런(1983년, 1984년, 1985년) 최다 타점(1983년, 1984년, 1985년, 1987년) 장타율 1위(1984년, 1987년) 1983년 ~ 1987년 골든 글러브 연봉 2억 5,000만 원 (2013년) 경력 선수 경력 삼성 라이온즈 (1982년 ~ 1997년) 코치 경력 킨스턴 인디언스 코치 (1998년) 샬롯 나이츠 1루수 코치 (1999년) 시카고 화이트삭스 불펜 포수코치(2000년 ~ 2006년) SK 와이번스 수석코치 (2007년 ~ 2010년) 감독 경력 SK 와이번스 2군 감독 (2010년 ~ 2011년) SK 와이번스 감독 대행 (2011년) SK 와이번스 감독 (2012년 ~ 2014년) 해설자 경력 MBC 스포츠+ 해설 (2015년 ~ 현재) MBC 해설(2016년 ~ 현재) 위원 경력 KBO 리그 육성위원회 부위원장 (2015년 ~ 현재) 이만수(李萬洙, 1958년 9월 19일 ~ )는 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포수 겸 1루수, 지명 타자이자, 전직 SK 와이번스의 감독이자 현 MBC 스포츠+ 해설위원이며, KBO 육성위원회 부위원장도 맡고 있다. KBO 리그의 간판 포수였으며, 삼성 라이온즈의 대표적인 포수 프랜차이즈이다. 종교는 개신교(예장백석)이다.[1] 목차 1 선수 시절 1.1 삼성 라이온즈 시절 2 은퇴 이후 2.1 지도자 경력 3 에피소드 3.1 삼성 라이온즈와의 관계 4 등번호 5 출신학교 6 주요 기록 7 통산 기록 8 참조 9 외부 링크 선수 시절[원본 편집] 삼성 라이온즈 시절[원본 편집] 대구중앙초등학교, 대구중학교, 대구상업고등학교를 거쳐 한양대학교 체육학과(78학번)를 졸업하고 1982년 당시 KBO 리그 원년 멤버로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하였다. 1982년 동대문에서 열렸던 MBC 청룡과의 개막 경기에서 프로 야구 1호 안타와 1호 홈런의 주인공이 되었으며, 1984년에는 타격, 홈런, 타점에서 1위를 차지하여 타자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하기도 하였고 이 과정에서 2연속 정규시즌 MVP가 유력했으나 막판 타격왕 레이스를 인위적으로 조작했던 탓에[2] 탈락했다. 또한, KBO 리그 통산 1호 100호 홈런과 200호 홈런의 주인공이 되었으며, 이 기록은 훗날 박경완에 의해 깨지기 전까지 프로 통산 포수 홈런 1위를 기록하였다. 1983년부터 1987년까지 포수 부문에서 5년 연속 골든 글러브를 수상하였다.[3] 하지만 삼성 라이온즈 구단과 코치 연수 지원 문제에서 의견 다툼이 있어, 결국 1997 시즌 후 방출되어 은퇴하였고 자비로 미국으로 연수를 떠나야 했다.[4] 아울러, 1994년부터 포수 대신 1루수 겸 지명타자로 뛰었으며 그 이후 삼성 라이온즈에서는 1999년 7월 31일 트레이드 마감일에 진갑용을 두산 베어스에서 현금 트레이드 하기로 하였는데 진갑용을 영입하기 전까지는 뚜렷한 실력을 갖춘 포수가 없어 삼성 라이온즈는 포수난에 시달려야 했다. 은퇴 이후[원본 편집] 지도자 경력[원본 편집] 은퇴한 뒤 1998년 미국으로 건너가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산하 싱글 A 팀인 킨스턴 인디언스로 지도자 연수를 떠났다. 이후 시카고 화이트삭스 산하 트리플 A 팀인 샬롯 나이츠로 옮기고 나서, 2000년 1월부터 시카고 화이트삭스의 불펜 포수(Bullpen Catcher)[5] 로 활약했다. 2005년 시카고 화이트삭스의 월드 시리즈 우승 후 귀국했다. 2006년 11월부터 김성근 감독 밑에서 SK 와이번스의 수석 코치를 맡았다. 2010년 6월 계형철 2군 감독과 보직을 맞바꾸었다가, 2010년 8월 다시 맞바꾸었다. 2011년 8월 18일 당시 김성근 감독의 전격 경질로 인해 SK 와이번스의 감독 대행을 맡게 되었다.[6]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서도 SK 와이번스가 2011년 한국시리즈에 진출하면서 KBO 리그 최초로 한국시리즈에 진출한 감독 대행이 되었다. 2011년 한국시리즈가 끝난 후 10월 29일 제4대 정식 감독으로 승격되었다. 2012년에 팀을 한국시리즈로 이끌었으나 2013년, 2014년에는 팀의 성적이 부진하면서 그에 대한 책임으로 2014 시즌 후 SK와의 계약 기간이 만료되어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SK 와이번스는 그의 후임으로 김용희를 제 5대 감독으로 선임하였다. SK를 떠난 이후에는 주로 라오스 야구의 보급에 힘쓰고 있다. 에피소드[원본 편집] 삼성 라이온즈와의 관계[원본 편집] 이만수는 명실상부한 삼성 라이온즈의 프랜차이즈 스타이며, 그의 등번호 22번은 삼성 라이온즈의 영구 결번이기도 하다.[7] 2003년 시즌 후 삼성 라이온즈는 선동열 수석코치, 한대화 타격코치를 영입하면서 그를 배터리 코치로 교섭하였으나, 도중에 이를 없었던 일로 영입 제의를 철회하였다. 이 때문에 그는 시카고 화이트삭스의 코치 제안을 거절했다가 다시 복귀하는 우여곡절을 겪어야 했다. 2006년 KBO 리그로 돌아왔으나 친정 팀이 아닌 SK 와이번스의 유니폼을 입게 되었다. 등번호[원본 편집] 22(1982년~1997년, 2007년~2014년) 삼성 라이온즈 영구 결번, SK 와이번스 코치, 감독대행, 감독 시절 59(2000년~2006년) 시카고 화이트 삭스 불펜 포수 코치 시절(불펜 캐쳐) 출신학교[원본 편집] 대구중앙초등학교 대구중학교 대구상업고등학교 한양대학교 체육학과 78학번 주요 기록[원본 편집] 굵은 글씨 항목은 KBO 리그 최초 기록임 기록 날짜 소속 구장 상대 팀 상대 투수 경기 결과 타석수 경기수 달성 당시 나이 각주 및 기타 첫 안타 1982. 3. 27 삼성 동대문 MBC 이길환 1 1 1회초 1타점 좌전 2루타 한국 프로 야구 최초 안타였음[8] 첫 홈런 1982. 3. 27 삼성 동대문 MBC 유종겸 1 23세 6개월 8일 5회초 1점한국 프로 야구 최초 홈런이었음2,3호 홈런도 처음으로 침[8] 시즌 27홈런 1983년 삼성 종전 : 82년 김봉연 22개 60홈런 1984. 8. 8 삼성 삼미 8회 3점, 시즌 20호[9] 시즌 80타점 1984년 삼성 시즌 87타점 1985년 삼성 당시 최고 기록. 9월 11일, 대구 OB 베어스 전 3회 2점 홈런으로 87타점 기록[10] 100홈런 1986. 9. 2 삼성 대구 빙그레 천창호 420 27세 11개월 14일 1회말 좌측 장외 홈런[11] 150홈런 1989. 7. 17 삼성 대구 MBC 예병준 655 30세 9개월 28일 [11] 500타점 1989. 7. 17 삼성 대구 MBC 655 30세 9개월 28일 [11] 600타점 1991. 4. 27 삼성 대구 LG 834 32세 7개월 8일 [11] 200홈런 1991. 9. 17 삼성 대구 해태 936 32세 11개월 29일 [11] 1000안타 1992.4.19 삼성 대구 OB 3764 952 33세 7개월 역대 3번째 700타점 1992. 7. 16 삼성 잠실 OB 898 33세 9개월 27일 [11] 2000루타 1994. 6. 14 삼성 사직 롯데 1157 35세 8개월 25일 역대 2번째 800타점 1995. 7. 1 삼성 잠실 LG 1265 36세 9개월 11일 [11] 250홈런 1996. 8. 24 삼성 대구 현대 1399 37세 11개월 5일 [11] 252홈런 1997. 9. 27 삼성 광주 해태 6:4 삼성 승 1447 39세 8일 마지막 홈런 은퇴시 KBO 기록임 통산 기록[원본 편집] 연도 소속 나이 출장 타석 타수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도루 도실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루타 병살타 몸맞 희타 희플 고4 1982 삼성 25 78 322 270 46 78 16 1 13 51 6 2 46 27 .289 .400 .500 .900 135 13 4 0 1 0 1983 26 98 410 357 53 105 12 0 27 74 0 3 41 51 .294 .379 .555 .934 198 11 8 2 2 2 1984 27 89 342 300 45 102 17 1 23 80 3 8 26 37 .340 .414 .633 1.048 190 10 12 0 4 3 1985 28 103 423 357 63 115 19 2 22 87 7 9 42 37 .322 .414 .571 .985 204 13 14 1 9 6 1986 29 59 239 212 31 68 8 0 16 39 1 0 21 20 .321 .398 .585 .982 124 7 6 0 0 2 1987 30 85 357 299 56 103 14 1 18 76 6 2 47 23 .344 .431 .579 1.010 173 16 4 0 7 4 1988 31 86 334 285 47 92 13 0 18 58 6 3 41 22 .323 .419 .558 .977 159 8 7 0 1 5 1989 32 110 413 359 55 102 11 0 20 64 4 5 42 48 .284 .373 .482 .855 173 12 10 0 2 0 1990 33 110 421 359 50 103 13 0 26 57 3 4 54 37 .287 .386 .540 .926 194 16 5 0 2 6 1991 34 118 446 378 51 120 18 0 17 74 6 2 56 27 .317 .414 .500 .914 189 7 8 0 3 12 1992 35 93 368 305 50 88 11 0 22 70 7 3 48 41 .289 .402 .541 .943 165 8 12 0 3 8 1993 36 78 219 193 21 40 3 1 5 20 0 2 21 23 .207 .294 .311 .605 60 8 3 0 1 0 1994 37 109 269 233 24 59 14 0 12 37 0 2 28 42 .253 .343 .468 .811 109 5 5 1 2 1 1995 38 97 192 158 17 34 10 0 5 27 1 0 24 20 .215 .344 .373 .717 59 1 8 0 2 3 1996 39 97 222 193 14 55 12 1 6 38 2 2 14 25 .285 .359 .451 .810 87 5 10 0 3 0 1997 40 39 57 52 2 12 2 0 2 9 0 0 3 10 .231 .298 .385 .683 20 0 2 0 0 0 KBO 통산 : 16년 1449 5034 4310 625 1276 193 7 252 861 52 47 554 490 .296 .388 .519 .907 2239 140 118 4 42 52 시즌 기록 중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참조[원본 편집] ↑ “한눈 실명, 준혁아 할 수 있어” 헐크 이만수의 감동 페북글 출처 - 국민일보 ↑ 장환수 (2002년 5월 13일). “[장환수기자의 장외홈런]올스타 투표의 ‘오차범위’”. 동아일보. 2019년 4월 1일에 확인함.  ↑ 일간 스포츠 - 2010년 4월 기사= "OB의 재구성 - 삼성 역대 최고 타선" ↑ 데일리안, 대구와 삼성, 그리고 이만수 ↑ 코치진의 일원이다. 대한민국 언론에서는 이를 '보조 코치'라고 표현해 왔다. ↑ SK 이만수 감독 대행 체제로. 김성근 감독 전격 경질 ↑ 양형진, '김성근, 이만수 그리고 SK 3회 우승 주역들', 《주간 오마이뉴스》, 제284호, 2007,11,2 -11 프레시안, '1회용 영구 결번' 행사, 이젠 그만 ↑ 가 나 '이종도(청룡) 굿바이 만루홈런', 《한국일보》1982,3,28 ↑ '김재박 9회말 결승타', 《경향신문》1989,8,9 ↑ '신기록 使者, 李萬洙 21호 홈런 81타점',《동아일보》1985,9,12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2010 Korean Baseball Record Book》,(사)한국야구위원회, 2010 외부 링크[원본 편집] 이만수 - 공식 웹사이트 이만수 - KBO 타자별 기록 이만수 - 스탯티즈 전임김성근 제4대 SK 와이번스 감독2011년 8월 18일 - 2011년 10월 31일 (감독대행)2011년 11월 1일 - 2014년 10월 19일 후임김용희 vdehKBO 리그 해설 위원MBC 스포츠+ 허구연 심재학 박재홍 양준혁 정민철 김선우 KBS N 스포츠 이용철 안치용 장성호 봉중근 SBS 스포츠 이순철 안경현 이종열 최원호 이승엽 SPOTV 민훈기 김경기 김재현 서용빈 IB 스포츠 이효봉 vdehKBO 전문위원회 - 현재 명단육성위원회 이광환 (위원장) 이만수(부위원장) 김건우(위원) 김용달(위원) 이종열(위원) 신현석(위원) 한경진(명예 트레이닝위원) 차명주(명예 트레이닝위원) 손용근 (명예 자문위원) 강정필(명예 자문위원) 이명섭(명예 자문위원) 경기운영위원회 유남호(위원장) 김재박(위원) 서정환(위원) 조종규(위원) 한대화(위원) 기술위원회 김인식(위원장 및 규칙위원장) 심판학교 김호인(교장) vdehSK 와이번스 역대 감독 강병철 (2000~2002) 조범현 (2003~2006) 김성근 (2007~2011) 이만수C (2011) 이만수 (2012~2014) 김용희 (2015~2016) 트레이 힐만 (2017~2018) 염경엽 (2019~) C: 감독 대행 vdehSK 와이번스 – 2010년 한국시리즈 우승 (정규시즌 1위)감독 38 김성근코치 22 이만수 | 70 김태균 | 71 이광길 | 80 가토 | 82 세리자와 | 77 최일언 | 84 김정준 | 88 세키카와투수 20 이승호 | 21 정대현 | 28 전병두 | 29 김광현 | 37 이승호 | 45 문광은 | 46 송은범 | 54 카도쿠라 | 55 엄정욱 | 57 정우람 | 59 글로버포수 26 박경완 | 42 정상호내야수 2 김연훈 | 3 나주환 | 6 박정환 | 8 정근우 | 14 최정 | 27 이호준 | 36 박정권외야수 0 김강민 | 1 박재상 | 7 김재현 (주장) | 10 조동화 | 35 안치용 | 62 박재홍다승왕, 최다 이닝 김광현 | 한국시리즈 MVP 박정권 vdehSK 와이번스 - 2008년 한국시리즈 우승 (정규시즌 1위)감독 38 김성근코치 22 이만수 | 70 김태균 | 71 이광길 | 80 가토 | 81 이세 | 87 후쿠하라투수 16 김원형 (주장) | 20 이승호 | 21 정대현 | 25 이영욱 | 29 김광현 | 30 가득염 | 41 조웅천 | 45 채병용 | 46 송은범 | 51 윤길현 | 57 정우람 | 68 레이번포수 12 이재원 | 26 박경완 | 42 정상호내야수 3 나주환 | 6 박정환 | 8 정근우 | 13 모창민 | 14 최정 | 35 이진영외야수 0 김강민 | 1 박재상 | 7 김재현 | 10 조동화 | 62 박재홍승률왕 채병용 | 최다 홀드 정우람 | 다승왕, 최다 탈삼진, 정규리그 MVP 김광현 | 한국시리즈 MVP 최정 vdehSK 와이번스 - 2007년 한국시리즈 우승 (정규시즌 1위)감독 38 김성근코치 00 김경기 | 22 이만수 | 71 이광길 | 80 가토 | 83 오타 | 87 후쿠하라투수 16 김원형 (주장) | 21 정대현 | 25 이영욱 | 29 김광현 | 30 가득염 | 41 조웅천 | 45 채병용 | 46 송은범 | 51 윤길현 | 60 레이번 | 68 로마노포수 26 박경완 | 42 정상호내야수 3 나주환 | 5 김동건 | 8 정근우 | 9 정경배 | 14 최정 | 27 이호준 | 36 박정권외야수 0 김강민 | 1 박재상 | 7 김재현 | 10 조동화 | 35 이진영 | 62 박재홍한국시리즈 MVP 김재현 vdeh시카고 화이트삭스 - 2005년 월드 시리즈 우승 1 윌리 해리스 5 후안 우리베 7 티모 페레즈 8 칼 에버렛 12 A. J. 피어진스키 14 폴 코너코 15 이구치 다다히토 18 클리프 폴리테 20 존 갈랜드 22 스콧 포드세드닉 23 저메인 다이 (월드 시리즈 MVP) 24 조 크리디 26 오를란도 에르난데스 27 제프 블럼 32 더스틴 허만슨 33 에런 로언드 34 프레디 가르시아 35 프랭크 토마스 36 크리스 위저 38 파블로 오즈나 43 다마소 마르테 45 바비 젠크스 46 닐 콧츠 51 루이스 비즈카이노 52 호세 콘트레라스 56 마크 벌리 감독 13 아지 기옌 벤치 코치 3 해럴드 베인스 1루 코치 30 팀 레인스 3루 코치 28 조이 코라 투수 코치 21 돈 쿠퍼 타격 코치 29 그렉 워커 불펜 코치 53 아트 커스니어 불펜 포수 59 이만수 단장 케니 윌리엄스 vdeh삼성 라이온즈 - 1985년 전 · 후기 통합 우승감독 70 김영덕투수 1 황규봉 | 9 양일환 | 13 진동한 | 14 성낙수 | 17 송진호 | 27 권영호 | 28 김일융 | 29 김시진 | 47 김준희 | 48 권기홍포수 22 이만수내야수 5 김성래 | 6 정진호 | 7 김용국 | 8 김성갑 | 12 함학수 | 15 김근석 | 16 오대석 | 21 박승호 | 67 천보성외야수 2 허규옥 | 4 장태수 | 10 장효조 | 11 이해창 | 20 정현발 | 38 홍승규 | 43 이종두프로 야구 역대 최고 팀 승률 기록: 0.706시즌 최다 승리: 김시진 • 김일융 | 최다 탈삼진: 김시진 | 최다 세이브 & 구원왕: 권영호 | 수위 타자, 최고 출루율: 장효조 | 최다 타점, 홈런: 이만수 한국프로야구 수상 및 영예vdehKBO 골든글러브 포수 1982년 김용운 1983년 이만수 1984년 이만수 1985년 이만수 1986년 이만수 1987년 이만수 1988년 장채근 1989년 유승안 1990년 김동수 1991년 장채근 1992년 장채근 1993년 김동수 1994년 김동수 1995년 김동수 1996년 박경완 1997년 김동수 1998년 박경완 1999년 김동수 2000년 박경완 2001년 홍성흔 2002년 진갑용 2003년 김동수 2004년 홍성흔 2005년 진갑용 2006년 진갑용 2007년 박경완 2008년 강민호 2009년 김상훈 2010년 조인성 2011년 강민호 2012년 강민호 2013년 강민호 2014년 양의지 2015년 양의지 2016년 양의지 2017년 강민호 2018년 양의지 최다 수상 김동수 (7회) | 최장 연속 이만수 (5년, 1983~1987) | 신인 수상 김동수 (1990) vdehKBO MVP 수상자 1982 박철순 1983 이만수 1984 최동원 1985 김성한 1986 선동열 1987 장효조 1988 김성한 1989 선동열 1990 선동열 1991 장종훈 1992 장종훈 1993 김성래 1994 이종범 1995 김상호 1996 구대성 1997 이승엽 1998 우즈 1999 이승엽 2000 박경완 2001 이승엽 2002 이승엽 2003 이승엽 2004 배영수 2005 손민한 2006 류현진 2007 리오스 2008 김광현 2009 김상현 2010 이대호 2011 윤석민 2012 박병호 2013 박병호 2014 서건창 2015 테임즈 2016 니퍼트 2017 양현종 2018 김재환 역대 최다 수상: 이승엽 (5회) | 연속 수상: 선동열 (1989~1990) 장종훈 (1991~1992) 박병호 (2012~2013) 이승엽 (2001~2003) vdehKBO 장타율상 수상자 1982 백인천 1983 장효조 1984 이만수 1985 김성한 1986 김봉연 1987 이만수 1988 김성한 1989 김성한 1990 장종훈 1991 장종훈 1992 장종훈 1993 양준혁 1994 김기태 1995 장종훈 1996 양준혁 1997 김기태 1998 이승엽 1999 이승엽 2000 송지만 2001 호세 2002 이승엽 2003 심정수 2004 브룸바 2005 서튼 2006 이대호 2007 이대호 2008 김태균 2009 김상현 2010 이대호 2011 최형우 2012 박병호 2013 박병호 2014 강정호 2015 테임즈 2016 테임즈 2017 최정 2018 박병호 최고 장타율 테임즈 (2015년, 0.790) | 최다 수상자 장종훈 (4회) vdehKBO 타율상 수상자 1982 백인천 1983 장효조 1984 이만수 1985 장효조 1986 장효조 1987 장효조 1988 김상훈 1989 고원부 1990 한대화 1991 이정훈 1992 이정훈 1993 양준혁 1994 이종범 1995 김광림 1996 양준혁 1997 김기태 1998 양준혁 1999 마해영 2000 박종호 2001 양준혁 2002 장성호 2003 김동주 2004 브룸바 2005 이병규 2006 이대호 2007 이현곤 2008 김현수 2009 박용택 2010 이대호 2011 이대호 2012 김태균 2013 이병규 2014 서건창 2015 테임즈 2016 최형우 2017 김선빈 2018 김현수 역대 최고 타율: 0.412 (1982년 백인천) | 최다 수상자: 장효조, 양준혁 (4회) | 스위치 히터 수상자: 박종호 (2000년) vdehKBO 타점상 수상자 1982 김성한 1983 이만수 1984 이만수 1985 이만수 1986 김봉연 1987 이만수 1988 김성한 1989 유승안 1990 장종훈 1991 장종훈 1992 장종훈 1993 김성래 1994 양준혁 1995 김상호 1996 박재홍 1997 이승엽 1998 우즈 1999 이승엽 2000 박재홍 2001 우즈 2002 이승엽 2003 이승엽 2004년 이호준 2005 서턴 2006 이대호 2007 심정수 2008 가르시아 2009 김상현 2010 이대호 2011 최형우 2012 박병호 2013 박병호 2014 박병호 2015 박병호 2016 최형우 2017 러프 2018 김재환 최다 타점: 박병호 (2015년, 146점) | 최다 수상: 이만수 이승엽 박병호 (4회) | 최다 연속 수상: 박병호 (4년 연속, 2012년~2015년) vdehKBO 홈런상 수상자 1982 김봉연 1983 이만수 1984 이만수 1985 이만수,김성한 1986 김봉연 1987 김성래 1988 김성한 1989 김성한 1990 장종훈 1991 장종훈 1992 장종훈 1993 김성래 1994 김기태 1995 김상호 1996 박재홍 1997 이승엽 1998 우즈 1999 이승엽 2000 박경완 2001 이승엽 2002 이승엽 2003 이승엽 2004 박경완 2005 서튼 2006 이대호 2007 심정수 2008 김태균 2009 김상현 2010 이대호 2011 최형우 2012 박병호 2013 박병호 2014 박병호 2015 박병호 2016 테임즈, 최정 2017 최정 2018 김재환 최다 홈런 개수 56개 (2003년, 이승엽) |최소 홈런 홈런왕 21개 (1986년, 김봉연) | 최다 홈런왕 이승엽, 5회 (1997년, 1999년, 2001년~2003년) vdehKBO 승리타점상 수상자 1982 양세종 1983 이만수 1984 김용철, 이광은 1985 이만수 1986 한대화 1987 김형석 1988 김성한 1989 김성한 최다 승리타점왕 이만수, 김성한 (2회) | 시즌 최다 승리타점 김성한 (17개, 1988년) | 최다승리타점상은 1989년을 마지막으로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vdeh한국 프로 야구 트리플 크라운투수 선동열 (1986, 1989~91) 류현진 (2006) 윤석민 (2011) 타자 이만수 (1984) 이대호 (2006, 2010) 투수 요건: 최다 승리 + 최우수 평균 자책점 + 최다 탈삼진 | 타자 요건: 최고 타율 + 최다 홈런 + 최다 타점 | 역대 최다 석권: 선동열 (4회) vdehKBO 리그 영구 결번투수 선동열 (KIA 타이거즈 #18) 김용수 (LG 트윈스 #41) 박철순 (두산 베어스 #21) 정민철 (한화 이글스 #23) 송진우 (한화 이글스 #21) 최동원 (롯데 자이언츠 #11) 타자 김영신 (두산 베어스 #54)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22) 장종훈 (한화 이글스 #35)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10) 이종범 (KIA 타이거즈 #7) 박경완 (SK 와이번스 #26) 이병규 (LG 트윈스 #9)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36) vdeh한국 프로 야구 30주년 레전드 올스타 KBO가 프로야구 출범 30주년 기념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괄호 안에 있는 숫자는 세 가지 투표를 합산한 점수) 투수 선동열(57.8) 포수 이만수(74.05) 1루수 장종훈(54.72) 2루수 박정태(51.71) 3루수 한대화(73.41) 유격수 김재박(62.99) 외야수 양준혁(66.39), 장효조(69.57), 이순철(42.54) 지명타자 김기태(32.0)선정방식 야구인 투표 40%, 언론인 투표 30%, 일반 팬 투표 30%의 비율로 합산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여 선출최고 점수 이만수(74.05) | 야구인 최다득표 한대화(126표) | 언론인 최다득표 이만수(195표) | 팬투표 최다득표 양준혁(132,674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만수&oldid=24419140" 분류: 한국 프로 야구 800타점 클럽한국 프로 야구 200홈런 클럽KBO 골든글러브 수상자KBO MVP 수상자KBO 장타율상 수상자KBO 타율상 수상자KBO 타점상 수상자KBO 홈런상 수상자KBO 승리타점상 수상자KBO 리그 포수KBO 리그 1루수KBO 리그 지명 타자이영민 타격상 수상자대한민국의 야구 감독대한민국의 야구 해설가한양대학교 동문대구상업고등학교 동문대구중학교 동문대구중앙초등학교 동문철원군 출신대한민국의 장로교도1958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경주 이씨SK 와이번스 감독KBO 리그 영구 결번삼성 라이온즈 선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3일 (목) 10: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만수(李萬洙, 1958년 9월 19일 ~ )는 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포수 겸 1루수, 지명 타자이자 전직 SK 와이번스의 감독이자 현 경영인으로 현재 MBC 스포츠+ 해설위원 겸 KBO 육성위원회 부위원장도 맡고 있으며 또한 라오스 야구 협회 부회장과 라오 J 브라더스 구단주, 육군사관학교 야구부 총감독도 동시에 겸하여 맡고 있다. KBO 리그의 간판 포수이자 삼성 라이온즈의 대표적인 포수 프랜차이즈 스타로 이름을 날렸으며 종교는 개신교(예장백석)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만수가 sk와이번스의 감독대행을 맡은 해는 언제인가? Assistant: 2011년 Human: 아래 천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천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천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천재(天災)에 대해서는 자연재해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다방면에서 활동한 천재 라이프니츠 20세기 과학적 천재의 상징 아인슈타인 천재(天才, genius)는 보통 사람에 비해 선천적으로 뛰어난 정신 능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일컫는다. 이들은 한 분야, 혹은 여러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낸다. 천재는 뛰어난 지적 능력으로 한 영역에서 대가가 되거나, 미지의 영역을 개척하면서 위대한 업적을 남긴다. 천재는 놀라운 이해력과 추론 능력을 가졌기 때문에 어린 시절부터 재능을 보이며 신동이라 불리는 경우가 많다. 천재라는 용어는 어떤 영역에서든지 우월한 능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지칭할 수 있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이 용어는 선천적으로 뛰어난 지적 능력을 가진 사람이나, 언어, 수학, 과학, 철학, 예술과 같은 영역에서 창조성을 발휘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목차 1 역사 2 지능 3 어원 4 같이 보기 5 각주 6 외부 링크 역사[편집] 지능에 대한 조사는 프랜시스 골턴(1822~1911년)과 제임스 맥킨 커텔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들은 신경적 효율성의 측정으로서 반응 시간과 감각적 예민함을, 지능의 측정으로서 감각적 예민함의 분석을 주장했다.[1] 지능[편집] 사람의 지능을 측정하는 가장 보편적인 수단은 지능 검사(IQ Test)이다. 1920년대 가장 영향력 있는 심리학자였던 루이스 터먼(Lewis M. Terman)과 레타 홀링워스(Leta Hollingworth)는 지능 지수(IQ)로 일반 사람과 천재를 구분했는데, 루이스 터먼은 IQ 140, 레타 홀링워스는 IQ 180을 그 기준으로 삼았다. 두 수치는 비율 지능(Ratio IQ)에서의 수치로, 현재 사용되는 편차 지능(Deviation IQ)에서는 각각 IQ 136(표준편차 16 기준, 상위 1.23%), IQ 162(표준편차 16 기준, 상위 0.006%)로 나타낼 수 있다. 최근에 지능 검사는 "문화적 편견"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모든 천재가 반드시 지능 검사에서 높은 수치를 기록한 사람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광범위한 인간의 지적 능력을 모두 수치화해서 나타낼 수는 없기 때문이다. 현재 대부분의 심리학자들이 IQ 130 이상에서는 지능 검사의 효용성이 떨어진다는 데 동의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1983년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 교수의 다중지능이론(The Multiple Inteligence Hypothesis)이 등장하였다. 하워드 가드너는 그의 책 Frames of Mind에서 인간의 지능은 △언어 △음악 △논리수학 △공간 △신체운동 △인간친화 △자기성찰 △자연친화라는 독립된 8개의 지능(각 1개씩으로 간주)과 △종교적 능력과 관련된 가설 단계의 실존 지능(2분의 1개로 간주)으로 구성된다고 언급하였다. 즉 각각의 능력 별로 천재가 있다는 것이다. 물론 8가지 전영역에서 두각을 나타낸 사람도 있는데, 괴테가 이 경우에 속한다. 어원[편집] 고대 로마에서 천재는 안내자나 수호신을 의미했는데, 신·신령이 천부의 재능을 내려 주는 것이라고 생각하여 천재를 보통사람과는 다른 존재로서 신격화하였다. 천재(genius)라는 용어 역시 라틴어에서 땅을 지키는 수호신을 의미하는 "Genius Loci"에서 유래한 것이다. 같이 보기[편집] 신동 지능 지능 지수 인종 간 지능 차이 웩슬러 성인 지능 검사 서번트 신드롬 멘사 각주[편집] ↑ Fancher, Raymond E (1998). Kimble, Gregory A; Wertheimer, Michael, 편집. 《Alfred Binet, General Psychologist》. Portraits of Pioneers in Psychology III.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67–84쪽. ISBN 978-1-55798-479-1.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천재 위키인용집에 이 문서와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천재 천재도 인간이다《사이언스타임즈》2005.12.27 Genius Hall - information on geniuses through time. Tests & Questionnaires by Members of the Cerebrals Society How Geniuses Work, from HowStuffWorks.com. Estimated IQs of famous geniuses. Quotations on genius. Wiktionary entry for 'genius'. Brainteaser: Scientists Dissect Mystery of Genius, an online article from CNN. Emery University 'ScienceNet' about 'genius.' 전거 통제 NDL: 0057285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천재&oldid=24047292" 분류: 지능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인용집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বাংলাCatalàکوردی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КыргызчаLëtzebuergeschLimburgsلۊری شومالیLietuviųLatvieš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سنڌي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Тыва дыл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ייִדיש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7일 (수) 06: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천재(天才, genius)는 범상한 사람에 비해 특별한 정신적 상태를 가지고 있는 사람을 일컫는다. 이들은 한 분야, 혹은 여러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낸다. 천재는 뛰어난 지적 능력으로 한 영역에서 대가가 되거나, 미지의 영역을 개척하면서 위대한 업적을 남긴다. 천재는 놀라운 이해력과 추론 능력을 가졌기 때문에 어린 시절부터 재능을 보이며 신동이라 불리는 경우도 있다. 정확히는 남이 생각하지 못하는 것을 생각해내는 사람 또는 남이 발휘하지 못하는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을 뜻한다. 때문에 단순히 공부를 비약적으로 잘한다고 해서 천재가 아니다. 일례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세계적인 천재로서 상대성 이론을 발표하는 등 다른 사람들이 생각하지 못하는 이론들을 고안할 정도의 천재이지만 정작 그의 학창시절 성적은 수학 이외에는 우수한 편이 아니었으며 특히 라틴어 과목은 낙제를 당하기도 했다. 천재라는 용어는 어떤 영역에서든지 우월한 능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지칭할 수 있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이 용어는 선천적으로 뛰어난 지적 능력을 가진 사람이나, 언어, 수학, 과학, 철학, 예술과 같은 영역에서 창조성을 발휘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천재의 지능을 하워드교수는 어떻게 구분하였나? Assistant: 이러한 맥락에서, 1983년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 교수의 다중지능이론(The Multiple Inteligence Hypothesis)이 등장하였다. 하워드 가드너는 그의 책 Frames of Mind에서 인간의 지능은 △언어 △음악 △논리수학 △공간 △신체운동 △인간친화 △자기성찰 △자연친화라는 독립된 8개의 지능(각 1개씩으로 간주)과 △종교적 능력과 관련된 가설 단계의 실존 지능(2분의 1개로 간주)으로 구성된다고 언급하였다. 즉 각각의 능력 별로 천재가 있다는 것이다. 물론 8가지 전영역에서 두각을 나타낸 사람도 있는데, 괴테가 이 경우에 속한다.
Human: 아래 불꽃놀이_(2006년_드라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불꽃놀이 (2006년 드라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불꽃놀이 (2006년 드라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불꽃놀이 Fireworks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MBC 방송 기간 2006년 5월 13일 ~ 2006년 7월 9일 방송 시간 매주 토, 일 밤 9시 40분 방송 분량 1시간 10분 방송 횟수 17부작 기획 이창섭 프로듀서 김승욱 제작자 초록뱀미디어, 김기범, 김광일 연출 정세호, 김홍선 조연출 권성창, 백승주 극본 김순덕 출연자 한채영, 강지환, 박은혜, 윤상현 외 음성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아날로그)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자막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 방송 HD 방송 여부 S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MBC 불꽃놀이 공식 홈페이지 《불꽃놀이》는 문화방송에서 2006년 5월 13일에서 2006년 7월 9일까지 토요일, 일요일 오후 9시 40분에 방영된 특별기획 주말 드라마인데 주인공이 다니는 회사 이름을 협찬사인 ‘더 페이스 샵’과 유사한 ‘페이스 스토리’로 설정해 방송법상 간접광고 관련 규정 위반 때문에 방송위원회로부터 권고 조치를 받았다[1]. 한편, 왕빛나가 캐스팅 물망에 거론되었으나[2] SBS 하늘이시여의 연장 때문에 포기했다. 목차 1 등장 인물 2 시청률 3 결방 4 각주 등장 인물[편집] 한채영 : 신나라 역 강지환 : 나인재 역 박은혜 : 차미래 역 윤상현 : 강승우 역 박정수 : 인재 모 박진화 역 김소연 : 나라의 동생 신나경 역 박근형 : 나라의 아빠 신호섭 역 김창숙 : 나라의 엄마 최순영 역 박소리 : 나라의 후배 임춘애 역 김주현 : 조아라 역 김석훈 : 인재의 형 나인창 역 이재영 : 인재의 친구 호성 역 심민 정은우 손민우 최영재 조재혁 시청률[편집] 회차 방송일 시청률(전국) 제1회 2006년 5월 13일 9.5% 제2회 2006년 5월 14일 8.9% 제3회 2006년 5월 20일 11.8% 제4회 2006년 5월 21일 9.9% 제5회 2006년 5월 27일 12.6% 제6회 2006년 5월 28일 12.9% 제7회 2006년 6월 3일 15.9% 제8회 2006년 6월 3일 15.9% 제9회 2006년 6월 11일 9.8% 제10회 2006년 6월 11일 10.1% 제11회 2006년 6월 17일 8.8% 제12회 2006년 6월 24일 7.9% 제13회 2006년 6월 25일 8.7% 제14회 2006년 7월 1일 9.6% 제15회 2006년 7월 2일 10% 제16회 2006년 7월 8일 9.2% 제17회 2006년 7월 9일 11.5% 결방[편집] 2006년 6월 4일 - 2006년 FIFA 월드컵 최종평가전 응원쇼 <감동!대한민국> 편성 2006년 6월 10일 - 2006년 FIFA 월드컵 B조 <잉글랜드 VS 파라과이> 중계 편성 2006년 6월 18일 - 2006년 FIFA 월드컵 F조 <일본 VS 크로아티아> 중계 편성 각주[편집] ↑ 이진영 (2006년 7월 12일). ““돈 되는데 방송위 지적쯤이야…””. 동아일보. 2018년 3월 28일에 확인함.  ↑ 이현아 (2006년 4월 11일). “'하늘이시여' 또 연장… "속앓이 많네"”. 스포츠한국. 2018년 11월 26일에 확인함.  문화방송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신돈(2005년 9월 24일 ~ 2006년 5월 7일) 불꽃놀이(2006년 5월 13일 ~ 2006년 7월 9일) 도로시를 찾아라(2006년 7월 15일 ~ 2006년 7월 23일) 이 글은 텔레비전 드라마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불꽃놀이_(2006년_드라마)&oldid=23279846" 분류: 2006년 드라마문화방송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초록뱀미디어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숨은 분류: 텔레비전 드라마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فارسیBahasa IndonesiaBahasa MelayuTagalog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17일 (월) 09: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불꽃놀이》는 문화방송에서 2006년 5월 13일에서 2006년 7월 9일까지 토요일, 일요일 오후 9시 40분에 방영된 특별기획 주말 드라마인데 주인공이 다니는 회사 이름을 협찬사인 ‘더 페이스 샵’과 유사한 ‘페이스 스토리’로 설정해 방송법상 간접광고 관련 규정 위반 때문에 방송위원회로부터 권고 조치를 받았다. 한편, 왕빛나가 캐스팅 물망에 거론되었으나 SBS 하늘이시여의 연장 때문에 포기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06년 드라마인 불꽃놀이의 1회 시청률(전국)은 몇 퍼센트 일까? Assistant: 9.5% Human: 아래 닉_매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닉 매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닉 매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닉 매슈(Nicholas "Nick" Matthew, OBE[1], 1980년 7월 25일 ~ )는 잉글랜드의 프로 스쿼시 선수이다. 스쿼시에서 가장 권위있는 두 대회로 여겨지는 브리티시 오픈과 월드 오픈에서 각각 3회씩 우승했다. 2010년 6월 생애 첫 세계 랭킹 1위에 올랐다.[2] 그의 홈 클럽은 셰필드에 위치한 할람셔 테니스 앤 스쿼시 클럽이며, 이 클럽은 스쿼시 코트에 그의 이름을 붙여 The Nick Matthew Showcourt를 만들었다.[3] 목차 1 선수 경력 2 서훈 3 같이 보기 4 각주 5 외부 링크 선수 경력[편집] 닉 매슈는 뛰어난 주니어 선수로 처음 세계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그는 1999년 브리티시 오픈 19세미만 부문 챔피언이었으며, 1998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4강 진출자였고, 1998년 세계 주니어 팀 타이틀을 차지한 영국대표팀 선수였고, 1999년 유럽 주니어 팀 선수권 대회 당시 우승한 영국 팀의 주장이었다. 그는 1998년 처음으로 프로 투어에 출전했다. 매슈는 2005년 세계 팀 선수권 대회와 2004년과 2005년 유럽 팀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한 영국 대표팀의 일원이었다. 2006년에 매슈는 국내파 영국인 선수로서는 1939년 이후 처음으로 브리티시 오픈 남자 타이틀을 거머쥔 선수가 되었다. 결승전에서, 프랑스의 티에리 랭쿠를 맞아 그는 마지막 5번째 게임에서 0-4의 스코어를 극복하고, 11-8, 5-11, 11-4, 9-11, 11-6의 스코어로 승리하였다. 그는 또한 2006년 브리티시 내셔널 선수권 대회에서 리 비칠을 11-9, 6-11, 11-9, 10-12, 12-10으로 물리치며 우승을 차지했다. 2007년에 매슈는 제임스 윌스트롭을 11-7, 11-4, 11-7로 물리치고 US 오픈 타이틀을 획득하였다. 서훈[편집] 2015년 대영 제국 훈장 4등급(OBE) 수훈[1] 같이 보기[편집] 스쿼시 선수 목록 각주[편집] ↑ 가 나 “Supplement No. 1: Birthday Honours List - United Kingdom”. 《The Gazette》 (영어) (런던) (61256): B13. 2015년 6월 13일. 2016년 10월 13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영어) “Nick Matthew Confirmed As New World Number One”. WSF. 2014년 4월 4일. 2014년 4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4일에 확인함.  ↑ (영어) “NICK MATTHEW”. Squash 2020. 2012년 3월 7일. 2014년 4월 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닉 매슈 (영어) 닉 매슈 - 공식 웹사이트 psa-squash.com의 프로필 squashinfo.com의 프로필 squashpics.com의 닉 매슈 페이지 전거 통제 WorldCat VIAF: 316390954 LCCN: no201506868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닉_매슈&oldid=24143363" 분류: 1980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영국의 스쿼시 선수대영제국 훈장 장교셰필드 출신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ČeštinaDeutschEnglishFrançaisBahasa Melayu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3일 (금) 19: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닉 매슈(Nicholas "Nick" Matthew, OBE, 1980년 7월 25일 ~ )는 잉글랜드의 프로 스쿼시 선수이다. 스쿼시에서 가장 권위있는 두 대회로 여겨지는 브리티시 오픈과 월드 오픈에서 각각 3회씩 우승했다. 2010년 6월 생애 첫 세계 랭킹 1위에 올랐다. 그의 홈 클럽은 셰필드에 위치한 할람셔 테니스 앤 스쿼시 클럽이며, 이 클럽은 스쿼시 코트에 그의 이름을 붙여 The Nick Matthew Showcourt를 만들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닉 매슈가 프로 투어에 처음 출전하게 된 해는 언제야? Assistant: 1998년
Human: 아래 슈뢰딩거의_고양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슈뢰딩거의 고양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슈뢰딩거의 고양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산 고양이와 죽은 고양이가 상자 안에 공존하고 있다? 양자역학 Δ x Δ p ≥ ℏ 2 {\displaystyle \Delta x\,\Delta p\geq {\frac {\hbar }{2}}} 불확정성 원리 개론 · 수학적 공식화 · 역사 기본 개념 양자 상태 (파동 함수  · 밀도 행렬  · 위그너 함수)  · 힐베르트 공간  · 브라-켓 표기법 확률 진폭  · 확률 흐름 양자 중첩  · 양자 얽힘 (얽힘 엔트로피) 상보성 · 파동-입자 이중성 불확정성 (양자 요동  · 가상 입자) 양자화 (기하학적 양자화)  · 양자수 시간 변화와 대칭 해밀토니언  · 바닥 상태 (영점 에너지)  · 들뜬 상태  · 에너지 준위  · 겹침 (물리학) 슈뢰딩거 묘사 (슈뢰딩거 방정식)  · 하이젠베르크 묘사  · 상호작용 묘사 에렌페스트 정리 · 터널 효과 (투과 계수) 경로 적분  · 초선택 규칙 위그너 정리  · 시간 역전 대칭 장난감 모형 상자 속 입자  · 유한 퍼텐셜 우물  · 퍼텐셜 단  · 중심 퍼텐셜 속 입자 양자 조화 진동자 (사다리 연산자  · 결맞는 상태  · 후시미 표현  · 글라우버-수다르샨 표현) 보스 기체  · 페르미 기체 (파울리 배타 원리)  · 교환 연산자 스핀과 전자기 상호작용 각운동량 연산자 (총 각운동량 양자수)  · 클렙슈-고르단 계수  · 스피너 아로노프-봄 효과  · 기하학적 위상  · 양자 홀 효과 (란다우 준위) 제이만 효과  · 슈타르크 효과 산란과 섭동 이론 산란 이론  · 산란 행렬 산란 진폭  · 산란 길이 위그너-에카르트 정리광학 정리  · 보른 근사 부분파 방법 리프먼-슈윙거 방정식 실험 이중 슬릿 · 데이비슨-거머 · 슈테른-게를라흐 · 벨 부등식 · 슈뢰딩거의 고양이 양자 측정과 해석 드브로이-봄 이론  · 정합적 역사 해석 · 코펜하겐 해석 · 앙상블 해석 · 숨은 변수 이론 · 다세계 해석 · 객관적 붕괴 해석 · 양자 논리 · 관계 양자 역학 · 추계적 해석 · 교류 해석 · 서울 해석 응용 양자 정보 과학  · 양자 컴퓨터  · 양자장론  · 응집물질물리학 과학자 드브로이  · 디랙  · 벨  · 보른  · 보스  · 보어  · 봄 · 빈  · 살람  · 슈뢰딩거  · 에렌페스트  · 에버렛  · 요르단  · 위그너 · 조머펠트  · 크라머르스  · 파울리  · 파인먼 · 폰 노이만  · 플랑크  · 하이젠베르크 v • d • e • h 슈뢰딩거의 고양이(Schrödingers Katze)는 1935년에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에르빈 슈뢰딩거가 양자역학의 불완전함을 보이기 위해서 고안한 사고 실험이다.[1] 목차 1 기원과 의의 2 사고실험 3 이해와 검증 3.1 이중 슬릿 실험 3.2 상상속의 고양이 4 실험의 해석 4.1 코펜하겐 해석 4.2 다중세계 해석 4.3 앙상블 해석 5 찾아보기 6 참고문헌 기원과 의의[편집] 자신이 만든 파동방정식의 해(파동함수)가 확률을 뜻한다고 막스 보른(Max Born)이 주장하자 물리학에 불확정성이 도입된 것에 대해 반발해 고안된 사고실험이다. 즉, 코펜하겐 해석의 비상식적인 면을 드러내어 비판하고자 하는 목적의 실험이다.[2] 본의는 아니었겠지만, 양자역학의 특징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예시로 흔히 사용된다. 양자역학에 의하면, 미시적인 세계에서 일어나는 사건은 그 사건이 관측되기 전까지는 확률적으로밖에 계산할 수가 없으며 가능한 서로 다른 상태가 공존하고 있다고 말한다. 슈뢰딩거가 제안한 이 사고 실험은 우연적으로 일어나는 미시적인 사건이 거시적 세계에 영향을 미칠 때 어떻게 되는가를 보여주는 것으로, 하나의 패러독스로서 거론된다.[3] 사고실험[편집] 사고실험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 사고실험에는 알파입자와 고양이 한 마리가 등장한다. 고양이는 외부 세계와 완전히 차단된 상자 속에 들어있고, 이 상자는 청산가리가 들어있는 유리병과 연결되어 있다. 청산가리는 유리병에 가로막혀 상자 속으로 들어갈 수 없으며, 청산가리가 든 병 역시 외부 세계와 완전히 차단되어 유리병이 깨지는지 볼 수 없다. 이 밸브는 방사능을 검출하는 가이거 계수기와 연결되어 있는데, 그 기계 장치는 라듐 등이 붕괴하며 방출한 알파입자를 검출하여 유리병을 깬다. 유리병이 깨진다면 고양이는 청산가리를 흡입해 죽게 된다. 그리고 처음에 라듐은 단위 시간 당 50%의 확률로 알파붕괴하도록 세팅되어 있다. 그렇다면 그 단위 시간이 흐른 후에 고양이는 50%의 확률로 살아 있거나 죽어 있을 것이다. 여기서 실험자는 외부에 있기 때문에 관찰이나 간섭을 절대 할 수 없는 상태에서 대답을 해야 한다.[4] 간단히 요약하자면 "1시간 후에 절반의 확률로 상자 안의 고양이가 죽는다. 당신은 그 상황을 전혀 볼 수 없다. 1시간 후 상자 속의 고양이는 어떻게 되어있을까?" 라는 것이다. 물론 어디까지나 역설을 제시하는 목적의 사고실험이며, 진짜로 실험을 할 수는 없다. 이해와 검증[편집] 양자역학에 따르면 관측하지 않은 핵은 '붕괴한 핵'과 '붕괴하지 않은 핵'의 중첩으로 설명되지만, 한 시간 후 상자를 열었을 때 관측자가 볼 수 있는 것은 "붕괴한 핵과 죽은 고양이" 또는 "붕괴하지 않은 핵과 죽지 않은 고양이"뿐이다. 그럼 언제 이 계의 중첩 상태가 끝나고 하나의 상태로 고정되는가. 일반적인 믿음과는 달리, 슈뢰딩거는 "죽기도 하고 살기도 한 고양이"가 진짜로 존재한다고 주장했던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는 양자역학은 불완전하며 현실적이지 않다고 생각했다. 고양이는 반드시 살아있거나 죽은 상태여야 하기 때문에, 그 둘 사이의 어디쯤이 아닌, 양성자 역시 붕괴했거나 붕괴하지 않았거나 둘 중 하나라는 것이다 이중 슬릿 실험[편집] 텅 빈 실험실 안에 손전등이 벽면을 비추고 있다. 손전등과 벽면 사이에 가림판을 설치하고 그 가림판에 가늘고 기다란 구멍을 뚫는다(A슬릿이라고 부른다). 그럼 가림판의 A슬릿을 빠져나온 빛은 벽면에 길다란 한줄의 빛줄기를 남길 것이다. 만약 그 구멍옆에 똑같은 구멍(B슬릿이라고 부른다)을 하나 더 뚫는다면, 벽면에는 여러 줄의 불빛이 생긴다. 이는 파동이 서로 간섭하는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A슬릿과 B슬릿을 동시에 통과한 불빛들이 서로 간섭을 하여, 그 결과로 벽면에 간섭 불빛이 남은 것이다. 즉, 벽면에 비치는 여러 줄의 간섭 불빛을 통해 빛이 파동임을 확실하게 증명할 수 있다. 만약 위의 실험에서 손전등으로 불빛을 비추는 대신 저 이중 슬릿을 향해 전자빔발사기로 전자빔을 쏜다면 위와 똑같은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을까. 일단 먼저 전자는 눈에 보이지 않으므로 전자가 도달한 위치 파악을 위해, 전자를 받으면 색이 변하는 도료를 벽면에 바른다. 혹은 널찍한 판대기를 구해다 거기다 도료를 바르고 벽에 설치해도 상관없다. 편의상 감광판이라고 부르도록 한다. 위의 불빛과 마찬가지로 전자빔발사기에서 발사된 전자빔은 이중 슬릿을 통과하여 선명한 간섭무늬를 감광판에 남기게 된다. 즉, 전자빔도 빛과 마찬가지로 파동이다. A슬릿과 B슬릿을 동시에 통과한 연속적인 전자의 흐름들은 파동이기 때문에 당연히 서로 간섭을 하여 감광판에 간섭 무늬를 남긴다. 위의 전자빔발사기에서 전자다발들이 아니라 전자를 한 번에 하나씩 불연속적으로 발사한다면, 어김없이 감광판엔 간섭 무늬가 남는다. 여기서 이를 통해 전자다발들 혹은 연속적인 전자들의 흐름만이 파동이 아니라, 애초에 각각의 전자 하나 하나가 그 자체로 입자이면서 동시에 파동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원래대로라면 감광판에 간섭 무늬가 남기 위해선 A슬릿을 통과한 파동과 B슬릿을 통과한 파동(전자)이 서로 간섭을 일으켜야 하고, 서로 간섭을 일으키기 위해선 각각의 슬릿을 최소한 하나 씩의 전자가 동시에 통과해야 한다. 동시에 하나씩의 전자만 발사해서는 결코 이 전자는 감광판에 간섭 무늬를 남겨서는 안 된다. 위의 의문을 정리해본다면, 감광판에 간섭 무늬가 남기 위해선 최소한 두 개 이상의 전자가 A와 B 각각의 슬릿을 따로 그리고 동시에 통과해야 한다. 하지만, 전자는 분명 한번에 하나씩만 발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광판엔 선명하게 간섭 무늬가 남아 있다. 그렇다면 하나의 결론에 도달할 수밖에 없다. 하나의 전자가 두 개의 슬릿을 동시에 모두 통과했다. 하나의 전자가 두 개의 슬릿을 동시에 통과했다는 것은 물론 하나의 전자가 동시에 두 곳에 존재한다는 뜻을 포함하며, 결론적으로 하나의 전자는 확률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모든 곳에 동시에 존재한다.[5][6] 이와 마찬가지로 슈뢰딩거의 고양이도 (파동함수를 따르는 한) 있을 수 있는 모든 상태로 동시에 존재하며, 슈뢰딩거의 고양이가 중첩된 상태로 존재한다는 것은 바로 이것을 말한다. 슈뢰딩거의 고양이, 더 나아가서 양자역학은 확률론과 인식론과는 하등 관련이 없다. 즉, 일반적인 확률의 개념과 양자역학에서의 확률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상상속의 고양이[편집] 슈뢰딩거의 고양이 실험은 실제로 재현할 수 없다. 즉, 현실 속의 고양이는 삶과 죽음이 확정된 상태에 있으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선 직접 뚜껑을 열어봐야 한다. 슈뢰딩거의 사고실험상에 논리상 허점은 없다. 하지만 이중 슬릿 실험을 통해 하나의 전자가 두개의 슬릿을 동시에 통과하는 것 역시 증명되었다. 비단 실험실에서 뿐만 아니라, 주위 곳곳에서 지금 당장도 셀 수도 없을 만큼 일어나고 있다. 그렇다면 거시세계에서도 한마리의 고양이가 두개의 슬릿을 동시에 통과하는 일이 벌어져야 마땅하겠으나, 우리는 그런 장면을 결코 목격할 수 없다. 이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거시세계와 미시세계의 경계를 들여다 보아야 한다. 풀러렌을 이용한 이중 슬릿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플러렌의 크기는 앞에서 실험한 전자와는 비교가 불가능할 정도로 크다. 원자핵과 전자의 크기 비가 100,000 : 1이고 탄소 원자들이 60개가 모여 입체적인 구 형태를 만든 풀러렌(C60)은 수소 원자보다 5만배는 더 크다. 미시적 세계에 속한다기에는 앞에 실험에 비해서는 무지막지하게 크고 거시적 세계에 속한다기에는 무지막지하게 작은 풀러렌으로 이중 슬릿 실험을 할 경우 간섭 무늬가 아닌 단지 2개의 띠를 만든다. 하지만 실험 환경을 진공에 가깝게 조성할수록 간섭무늬가 생긴다. 공기는 기체이기에 분자 자체가 많지도 않고 앞에서 말한 것처럼 전자의 크기가 분자의 크기에 비해 너무 작기 때문에 전자를 이용한 이중 슬릿 실험에서는 진공이 아니더라도 간섭 무늬를 만든다. 이번엔 풀러렌이 아닌 전자 실험으로 다시 넘어가 이번에는 A슬릿과 B슬릿에 관측 장비를 달아서 전자가 어떤 슬릿을 통과하는지 확인해보도록 하면, 놀랍게도 해당 실험에서는 전자는 A슬릿과 B슬릿 중 하나만 통과하며 간섭 무늬가 아닌 이중 띠를 만든다. 공기 중에서의 풀러렌 실험과 관측 장비를 단 전자 실험의 공통점은, 공기 중에서의 풀러렌 실험에서는 공기와 풀러렌이 서로 상호작용을 했고 관측 장비를 단 전자 실험에서는 관측 장비의 광자와 전자가 서로 상호작용을 했다는것이다. 즉 풀러렌 분자와 전자와 같은 입자들은 다른 입자들과 상호작용을 하기 전까지는 여러 개의 중첩된 상태를 가지고 있다가, 다른 입자들과 상호작용을 하는 순간 결어긋남 상태가 되어 더 이상 간섭을 일으킬 수 없으며, 파동성을 잃는 것(파동함수의 붕괴)과 같은 결과에 이른다. 슈뢰딩거의 고양이도 위의 풀러렌의 처지와 똑같다. 상자 안의 물체들이 각각 닫힌 계라면 외부 계는 그들의 상태를 관측할 수 없고 그들은 파동성을 잃지 않고 동시에 여러 상태를 갖게 될 것이다. 상자 안은 진공도 아니며 적외선과 같은 광자를 방출하고 있을 것이다. 즉, 이중 슬릿 실험에서의 전자와 진공에서의 풀러렌과는 다르게 상자 안의 고양이, 청산가리가 든 병, 가이거 계수기는 서로 의미있는 상호작용을 하는데다가 상자 안과 밖을 상자 자체가 연결해주기에 상자 자체부터가 완전한 고립계가 아니다. 다시 말해, 상자 밖과 안은 언제나 의미있는 상호작용을 하며 이는 언제나 상자 안이 관측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상자 속의 고양이는 상자를 열든 열지 않든 죽거나 살아있는 둘 중 하나의 분명한 상태를 가진다. 즉, 현대에서 다루는 슈뢰딩거 사고실험의 해석의의는 어디까지나 양자역학의 근본적인 개념을 다루기 위한 '사고실험' 이다.[7] 실험의 해석[편집] 코펜하겐 해석[편집] 가장 많이 받아들여지고 있는 설명. '상자를 열어보기 전에는 살아있는 상태와 죽어있는 상태가 '중첩' 되어 있었으나 관측하는 순간 하나의 상태로 확정된다' 라는 해석이다. 이것을 간단히 "파동함수가 붕괴된다"고 표현한다.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코펜하겐 해석에 따르면, 이 실험에서는 관측자가 상자를 여는 동시에 상태가 고정된다. 즉 대상에 대한 관측 행위가 대상의 상태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단, 코펜하겐 학파라고 해서 "파동함수가 붕괴하는 것"을 납득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중력에 의해 땅으로 떨어지는 사과가 지면에 도달하는 즉시 더 이상 진행하지 않고 멈추는 것은 중력의 인력보다 훨씬 더 큰 전자기력의 척력에 막혔기 때문이지, 사과가 지면에 도달하는 즉시 중력이 붕괴했기 때문이 아니다. 관측이 되면 그 즉시 파동함수가 붕괴한다는 것도 납득될 수 없는 문제다. 이유는 모르지만 외관상 그렇게 보이고 현재로는 도저히 그 이유를 알 길이 없으니 일단 그런 것으로 해두자는 게 코펜하겐 해석의 입장으로, 사실 코펜하겐 해석은 어떤 해석을 내놓는 것이라기 보단 해석을 유보하는 것으로 보는게 더 적절하다. 아인슈타인의 "신은 주사위 놀이를 하지 않는다"는 발언에 대한 보어의 "신에게 참견하지 말라"는 답변이 코펜하겐 해석의 입장을 함축한다고 할 수 있겠다.[8] 다중세계 해석[편집] 휴 에버렛 3세가 만든 해석으로, '상자를 열어보기 전에는 살아있는 세계와 죽어있는 세계가 모두 존재하며 관측하는 순간 어떤 한 쪽의 세계로 진입하게 된다' 라는 해석. 핵이 붕괴하는 순간이 분기점이 되어 고양이가 살아 있는 세계와 고양이가 죽은 세계가 분리되어 평행 우주가 되고 서로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해석한다. 이 이론에서 파동함수는 각각의 세계로 진입할 확률을 뜻하게 된다. 이 해석이 물리학자들의 지지를 받는 이유는 파동함수의 붕괴라는 납득하기 힘든 답을 피할 수 있음(이 관점에 따르면 파동함수는 관측 전이든 관측 후든 잘만 작동한다. 다만, 파동이 붕괴하는 대신 결어긋남 상태에 놓이게 된다.)과 동시에 외관상 파동함수가 붕괴되어 보이는 이유를 매끄럽게 설명하기 때문이다.[9] 코펜하겐 해석과 함께 파동함수의 붕괴를 설명하기 위해 경쟁하는 가장 중요한 이론으로, 전통적인 코펜하겐 해석 쪽이 정설이지만 다중세계 해석쪽도 지지하는 과학자가 많다. 앙상블 해석[편집] 앙상블 해석에서는 양자 물리학의 확률의 문제를 통계적으로 해석한다. 다시 말해 상자 속의 고양이가 살아있을 확률이 50%이고 죽어 있을 확률이 50%라는 것은, 한 마리의 고양이가 죽은 상태와 살아 있는 상태가 중첩된 상태에 있다는 것이 아니라, 많은 고양이가 같은 상태에 있을 때 그 중의 반은 죽어 있고 반은 살아 있다는 것을 뜻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방사성 원소와 고양이가 든 상자가 1억 개 있을 때, 한 시간 후에 그 중의 5,000만 상자의 고양이는 살아 있고 나머지 5,000만 상자 속의 고양이는 죽어 있다고 통계적으로 해석한다. 앙상블 해석을 전자와 같은 작은 입자들에도 적용하면 이해하기 어려웠던 많은 문제가 쉽게 이해되는 듯 보인다. 앙상블 해석을 적용하면 확률함수는 전자가 다른 에너지를 가지는 여러 가지 상태로 중첩되어 있다는 것이 아니라, 수없이 많은 전자가 여러 가지 다른 상태에 있을 확률을 나타낸다고 설명할 수 있다. 비슷한 예로, 광자가 두 개의 슬릿을 동시에 통과하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광자 중의 반(1/2)이 한 슬릿을 통과하고 다른 반(1/2)이 또 다른 슬릿을 통과한다고 설명할 수 있다. 아인슈타인은 앙상블이론을 발전시켜 숨은 변수이론을 제안했다. 양자 물리학에서 입자 하나하나가 어떤 상태에 있는지 알 수 없는 것은 입자의 상태를 결정하는 변수를 우리가 다 알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양자물리학이 확률을 포함하게 된 것은 입자 하나하나의 상태를 결정하는 숨은 변수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이런 숨은 변수를 알게 된다면 양자물리학도 확률에 의해서가 아니라 결정론적으로 서술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앙상블 해석을 받아들이면 양자물리학이 입자 하나의 물리적 상태를 수학적으로 기술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할 수 밖에 없 다. 따라서 코펜하겐 해석을 받아들인 과학자들은 양자물리학에는 파동함수 이외에 다른 변수가 존재하지 않으며, 물리적 실재가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고 이들의 주장을 반박했다.[10] 찾아보기[편집] 양자역학 결정론 참고문헌[편집] ↑ Schrödinger, Erwin (November 1935). “Die gegenwartige Situation in der Quantenmechanik (The present situation in quantum mechanics)”. 《Naturwissenschaften》 23 (49): 807–812. Bibcode:1935NW.....23..807S. doi:10.1007/BF01491891.  ↑ Gribbin, John (2011). 《In Search of Schrodinger's Cat: Quantum Physics And Reality》. Random House Publishing Group. 234쪽. ISBN 0307790444.  ↑ 브리기테, 뢰들라인 (2010). 《슈뢰딩거의 고양이: 양자 물리학 입문》. 번역 이상회. 서울: 자음과 모음.  ↑ “Schroedinger: "The Present Situation in Quantum Mechanics." 5. Are the Variables Really Blurred?”. 2012년 12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1월 3일에 확인함.  ↑ Schrodingers Cat Now Made of Light ↑ 김명식. "광학적 슈뢰딩거의 고양이 : 광학에서의 양자 중첩 상태". 한국광학회지 제4권 제2호, 1993.6, pp.233-241 (9 pages) ↑ 이중원. "측정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슈뢰딩거의 고양이: 스테른 겔락의 실험을 통한 정당화". 한국과학철학회 제12권 제1호, 2009, pp.1-24 (24 pages) ↑ Faye, J (2008년 1월 24일). “Copenhagen Interpretation of Quantum Mechanics”. The Metaphysics Research Lab Center for the Study of Language and Information, Stanford University.  ↑ Everett, Hugh (1957). “Relative State Formulation of Quantum Mechanics”. 《Reviews of Modern Physics》 29: 454–462.  ↑ Matthew F. Pusey, Jonathan Barrett, Terry Rudolph, "The quantum state cannot be interpreted statistically", http://arxiv.org/abs/1111.3328 (2011) vdeh양자역학배경 개론 역사 연표 고전역학 전기 양자론 용어집 근본 브라-켓 표기법 상보성 밀도 행렬 에너지 준위 바닥 상태 들뜬 상태 축퇴 수준 얽힘 해밀토니언 간섭 결어긋남 관측 비국소성 양자 상태 중첩 터널링 산란 이론 대칭 불확정성 파동 함수 붕괴 파동-입자 이중성 공식화 공식화 하이젠베르크 상호작용 행렬 역학 슈뢰딩거 경로 적분 공식화 위상 공간 방정식 디랙 클라인-고든 파울리 뤼드베리 슈뢰딩거 해석 해석 베이즈주의 일관된 역사 코펜하겐 드 브로이-봄 앙상블 숨은 변수 다세계 객관 붕괴 양자 논리 관계 확률론 교역 실험 아프샤르 벨의 부등식 차가운 원자 실험실 데이비슨-거머 지연된 선택 양자 지우개 이중 슬릿 프랑크-헤르츠 마흐-젠더 간섭계 엘리주르–바이드만 포퍼 양자 지우개 지연된 선택 슈뢰딩거의 고양이 슈테른-게를라흐 휠러의 지연된 선택 적용 양자 생물학 양자 화학 양자 카오스 양자 컴퓨터 연표 양자 암호 양자 전자공학 양자 기계 양자 심리 양자 광학 양자 정보 과학 양자 기술 확대 양자 통계 역학 상대 양자역학 양자장론 역사 양자 중력 분수 양자역학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슈뢰딩거의_고양이&oldid=24275182" 분류: 양자역학역설사고 실험가공의 고양이물리학의 기본 개념에르빈 슈뢰딩거양자역학에 관한 사고 실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বিষ্ণুপ্রিয়া মণিপুরীCatalàČeština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ietuviųLatviešuमराठीBahasa Melayu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olski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аха тыла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Ślůnskiதமிழ்తెలుగుไทยTürkmençe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VènetoTiếng ViệtWinaray中文文言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5일 (토) 08: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슈뢰딩거의 고양이(Schrödingers Katze)는 1935년에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에르빈 슈뢰딩거가 양자역학의 불완전함을 보이기 위해서 고안한 사고 실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휴 에버렛 3세는 분기점이 생기면 산 고양이와 죽은 고양이 세계가 분리되면서 무엇이 생긴다고 했나? Assistant: 평행 우주 Human: 아래 오사카시_고속_전기궤도_요쓰바시_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 요쓰바시 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 요쓰바시 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요쓰바시선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 요쓰바시 선기본 정보운행 국가 일본종류 도시 철도상태 영업 중기점 니시우메다 역(오사카부 오사카시 기타 구) 종점 스미노에코엔 역(오사카부 오사카시 스미노에 구)역 수 11개통일 1942년 5월 10일소유자 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운영자 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노선 제원영업 거리 11.8 km실거리 11.4 km궤간 1,435 mm(표준궤)선로 수 전 구간 복선임.전철화 전 구간 직류 750 볼트 제3궤조 방식신호 방식 WS-ATCv • d • e • h 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 요쓰바시 선(일본어: 大阪市高速電気軌道四つ橋線)은 일본의 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에서 운영하는 지하철 노선 이다.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 기타구에 있는 니시우메다 역과 오사카 시 스미노에 구에 있는 스미노에코엔 역을 잇는다. 노선 색은 파란색■이다. 목차 1 역사 2 운행 형태 3 차량 4 역 목록 5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42년 5월 10일: 다이코쿠초 ~ 하나조노초 구간 개통 1956년 6월 1일: 하나조노초 ~ 기시노사토 구간 연장 개통 1958년 5월 31일: 기시노사토 ~ 다마데 구간 연장 개통 1965년 10월 1일: 니시우메다 ~ 다이코쿠초 구간 연장 개통 1969년 12월 6일: 노선 애칭을 요쓰바시 선으로 결정 1972년 11월 9일: 다마데 ~ 스미노에코엔 구간 연장 개통 운행 형태[편집] 기본적으로 니시우메다 ~ 스미노에코엔 구간을 왕복운전 한다. 다른 노선으로 직결 운행을 하지 않는다. 차량[편집] 23계 23계 역 목록[편집] 역 번호 역 이름 일본어 이름 영업거리(km) 실제거리(km) 접속 노선 소재지 Y11 니시우메다 西梅田 0.0 0.0 다니마치 선(히가시우메다 역), 미도스지 선(우메다 역)한신 전기 철도 본선(우메다 역), 한큐 전철 고베 본선(우메다 역)한큐 전철 다카라즈카 본선(우메다 역), 한큐 전철 교토 본선(우메다 역)도카이도 본선(JR 교토 선, JR 고베 선, JR 다카라즈카 선: 오사카 역)오사카 순환선(오사카 역), JR 도자이 선(기타신치 역) 오사카부 오사카 시 기타 구 Y12 히고바시 肥後橋 1.3 0.9 니시 구 Y13 혼마치 本町 2.2 1.9 미도스지 선, 주오 선 Y14 요쓰바시 四ツ橋 3.2 2.9 미도스지 선(신사이바시 역), 나가호리쓰루미료쿠치 선(신사이바시 역) Y15 난바 難波 4.1 3.7 미도스지 선, 센니치마에 선난카이 전기 철도 난카이 본선, 난카이 전기 철도 고야 선긴키 닛폰 철도 난바 선(오사카난바 역)한신 전기 철도 한신 난바 선(오사카난바 역)간사이 본선(야마토지 선: JR 난바 역) 나니와 구 Y16 다이코쿠초 大国町 5.3 4.9 미도스지 선 Y17 하나조노초 花園町 6.6 6.2 니시나리 구 Y18 기시노사토 岸里 7.7 7.3 Y19 다마데 玉出 9.0 8.6 Y20 기타카가야 北加賀屋 10.1 9.7 스미노에 구 Y21 스미노에코엔 住之江公園 11.8 11.4 난코 포트타운 선 외부 링크[편집] vdeh 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의 철도 노선 미도스지 선(M) 다니마치 선(T) 요쓰바시 선(Y) 주오 선(C) 센니치마에 선(S) 사카이스지 선(K) 나가호리쓰루미료쿠치 선(N) 이마자토스지 선(I) 난코 포트타운 선(P)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오사카시_고속_전기궤도_요쓰바시_선&oldid=22972698" 분류: 오사카시 교통국긴키 지방의 철도 노선오사카부의 교통1942년 개통한 철도 노선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erantoEspañolFrançaisItaliano日本語NederlandsРусский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1일 (일) 04: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오사카 메트로 요쓰바시선(일본어: 四つ橋線)은 일본의 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에서 운영하는 지하철 노선이다.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 기타구에 있는 니시우메다 역과 오사카 시 스미노에구에 있는 스미노에코엔 역을 잇는다. 노선 색은 파란색■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스미노에코엔 역의 영업거리는 몇 km인가요? Assistant: 11.8
Human: 아래 이형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형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형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형택 2008년 US 오픈에서 경기 중인 이형택. 국가 대한민국 거주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출생일 1976년 1월 3일(1976-01-03) (43세) 출생지 대한민국 강원도 횡성군 신장 180 cm 체중 81 kg 프로 데뷔 1995년 은퇴 2009년 11월 1일(2013년 복귀)[1] 사용손 오른손잡이, 한손 백핸드 통산 상금 US$ 2,257,901 단식 통산 전적 156승 156패 통산 타이틀 1 최고 랭킹 36위 (2007년 8월 6일) 그랜드 슬램 호주 오픈 2회전 (2003, 2008) 프랑스 오픈 3회전 (2004, 2005) 윔블던 3회전 (2007) US 오픈 4회전 (2000, 2007) 기타 메이저 대회 복식 통산 전적 40승 69패 통산 타이틀 1 최고 랭킹 95위 (2006년 1월 16일) 기타 메이저 대회 혼합 복식 기타 메이저 대회 마지막 업데이트: 2013년 11월 13일 메달 기록 대한민국의 선수 남자 테니스 아시안 게임 은 1998 방콕 복식 금 1998 방콕 단체 은 2002 부산 단식 은 2002 부산 복식 은 2002 부산 단체 은 2006 도하 단식 금 2006 도하 단체 유니버시아드 금 1999 팔마 단식 금 1999 팔마 복식 이형택(李亨澤, 1976년 1월 3일 ~ )은 대한민국의 은퇴한 남자 프로 테니스 선수이다. 오른손잡이이며 한손 백핸드를 구사하고, 하드 코트에 강하다. 개인 최고 랭킹은 2007년 8월에 기록한 세계 랭킹 36위이다. 2009년 7월 데이비스컵을 마지막으로 국가대표 활동을 중단했으며, 같은 해 10월 열린 삼성증권 챌린저 대회 출전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하였다. 은퇴 이후에는 춘천에서 '이형택 테니스 아카데미'를 운영하며 지도자로 활동하고 있다.[2][3] 2010년 5월부터는 KBS N 스포츠의 테니스 해설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4]. 2014년 11월부터는 MBC 스포츠플러스의 테니스 해설위원으로 활동했다. 2015년, 2016년에도 MBC 스포츠플러스에서 중계방송된 국제 프리미어 테니스리그 대회에서 해설을 맡았으며, 2016년에 다시 KBS N 스포츠의 해설위원으로 복귀했다. 목차 1 학력 2 성장 과정 3 선수 경력 3.1 2000년 3.2 2003년 3.3 2006년 3.4 2007년 3.5 2009년 3.6 2013년 4 복식 5 플레이 스타일 6 통산 타이틀 6.1 단식 타이틀 6.1.1 ATP 투어 타이틀 (1) 6.1.2 챌린저 타이틀 (13) 6.2 그랜드 슬램 단식 성적 연대표 6.3 복식 타이틀 (1) 6.3.1 ATP 투어 타이틀 (1) 7 각주 8 외부 링크 학력[편집] 우천초등학교 (1988년 졸업) 원주중학교 (1991년 졸업) 봉의고등학교 (1994년 졸업) 건국대학교 (1998년 졸업) 성장 과정[편집] 이형택은 강원도 횡성에서 태어났다. 9세에 학교 선생님으로부터 테니스를 배우기 시작, 건국대 2학년이었던 1995년에 프로로 데뷔하였다. 선수 경력[편집] 2000년[편집] US 오픈에서 16강에 진출하여 이덕희가 1981년 메이저 대회인 프랑스오픈 대회 16강에 진출한 이후 대한민국 선수로는 두 번째로, 남자 선수로는 최초로 메이저 대회 16강 진출에 성공하였다. 16강전에서는 피트 샘프라스에게 패했다. 2003년[편집] 시드니에서 열린 아디다스 국제 대회에서 앤디 로딕을 꺾고 마라트 사핀을 상대로 부전승을 거두는 등 승승장구하여 결승전에서 후안 카를로스 페레로를 꺾고 대한민국 남자 테니스 사상 첫 ATP 투어 대회 우승을 기록하였다. 남녀를 통틀어서는 1982년 이덕희의 포트 마이어 대회 우승 이후 최초의 투어 대회 우승이었다. 같은 해 벨라루스의 블라디미르 볼치코프와 함께 캘리포니아 산호세에서 열린 SAP 오픈 복식에 참가하여 대한민국 최초의 ATP 투어 복식 우승도 기록하였다. 2006년[편집] 윔블던 2회전에서 과거 이 대회 우승자이자 4강에도 두 번 진출했던 오스트레일리아의 레이튼 휴이트를 만나 세 번의 타이브레이크를 포함, 5 세트 접전 끝에 패하였다. 이형택은 3세트 타이브레이크에서 세트 포인트를 따낼 수 있었으나 선심의 잘못된 라인콜로 인해 포인트를 잃은 뒤 결국 세트를 내주고 말았다. 이형택은 4세트를 따내 다시 2-2를 만드는데 성공했으나 마지막 세트에서 결국 패하고 말았다. 이 경기에서 승리한 휴이트는 8강까지 진출했다. 2006년 이형택은 선수 경력 중 가장 많은 한 해 3 개의 타이틀을 획득했다. 2007년[편집] US 오픈에서 4회전(16강)에 진출, 그의 그랜드 슬램 최고 성적을 기록하였다. 1회전에서는 도미니크 에르바티를 만나 5세트 접전 끝에 승리하였으며 2회전에서는 14번 시드였던 기예르모 카냐스를 3-0으로 꺾었다. 3회전에서는 9번 시드였던 앤디 머레이를 만나 첫 두 세트를 손쉽게 따내면서 유리하게 출발, 결국 3-1로 승리하며 기염을 토했다. 4회전에서 4번 시드의 니콜라이 다비덴코를 만나 0-3으로 패했다. US 오픈 16강 진출로서 이형택의 US 오픈 시리즈 참가는 매우 고무적인 성과를 거두며 마무리 되었다. 2007년 US 오픈 시리즈 중 그는 로스 앤젤레스에서 열린 컨츄리와이드 클래식에서 4강에, 그리고 인디애나폴리스 테니스 챔피언십과 랙 메이슨 테니스 클래식에서 8강에 진출하였다. 2007년은 대회 성적과 상금 등 많은 면에서 그의 선수 경력 중 최고의 성과를 올린 한 해였다. 그는 그의 선수 경력 중 가장 많은 시즌 25승을 거두었으며 386,230달러의 상금을 벌어들였다. 하드 코트에서 16승 15패, 클레이 코트에서 5승 5패, 잔디 코트에서 3승 3패, 그리고 카펫 코트에서 1승을 거두었다. 8월에는 그의 생애 최고인 세계 랭킹 36위를 기록하였다. 2009년[편집] 부상 등으로 인해 2008년 한 해 동안 부진한 성적을 보였던 이형택은, 2009년 들어 랭킹이 100위권 바깥으로 밀려나게 되었다. 그는 이 해 7월 10일부터 14일까지 열린 한국과 중국의 데이비스 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1그룹 플레이오프 2라운드 경기를 마지막으로 국가대표에서 은퇴하였으며, 10월 26일부터 시작되는 삼성증권배 국제남자챌린저대회를 마지막으로 모든 선수 활동을 마감하고 은퇴할 계획임을 발표하였다.[5] 이 대회 첫 경기에서 허벅지 통증으로 기권해 1회전에서 탈락한 이형택은, 이후 11월 1일 은퇴식을 갖고 선수생활을 마감하였다.[6] 2009년 9월 12일에는 춘천 송암스포츠타운 국제테니스장에서 '이형택 테니스 아카데미'를 오픈하였다.[2] 2013년[편집] 이형택은 2013년 5월 부산 오픈 챌린저 대회 복식에 임규태와 함께 와일드카드로 출전하여 현역 선수로 복귀하였다.[1] 1회전에서 이형택-임규태조는 오스발트(오스트리아)-안드레아스 실리에스트룀(스웨덴)조에 2-6, 2-6으로 패했다.[7] 이후 10월에는 삼성증권배 챌린저 대회 복식에 임규태와 한 조로 출전[8] 하여 1회전에서 대회 톱시드인 마린 드라가냐-마테 파비치(이상 크로아티아)조를 만나 5-7, 2-6으로 패했다.[9] 11월에 출전한 영월 챌린저 대회에서는 다나이 우돔촉과 짝을 이뤄 1회전에서 복귀 후 첫 승을 따내며 4강까지 진출했으나, 리신한-펑셴인(이상 대만) 팀에게 패하면서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10] 복식[편집] 이형택은 한국계 미국인 선수인 케빈 김과 종종 복식 경기에 출전하였다. 두 사람은 2005년 프랑스 오픈 복식에서 3회전에 진출하기도 했다. 플레이 스타일[편집] 오른손잡이이고 한손 백핸드를 구사하며, 공격적인 백핸드 다운더라인 샷을 자주 구사한다. 빠른 발로 코트 전체를 넓게 사용하면서 그라운드 스트로크를 주무기로 삼는 올라운드형 플레이어이다. 한국에서는 클레이 코트가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그가 좋아하는 코트는 하드 코트이다. 전 국가대표 테니스 선수였던 윤용일이 2006년 3월부터 은퇴시까지 그의 코치 역할을 담당했다. 통산 타이틀[편집] 단식 타이틀[편집] 대회 종류 그랜드 슬램 (0) 마스터스 컵 (0) ATP 마스터스 시리즈 (0) ATP 투어 (1) 챌린저 (13) ATP 투어 타이틀 (1)[편집] No. 일시 대회 코트 종류 결승 상대 스코어 1. 2003년 1월 6일 메디뱅크 인터내셔널, 시드니 하드 후안 카를로스 페레로 4–6, 7–6, 7–6 챌린저 타이틀 (13)[편집] No. 일시 대회 코트 종류 결승 상대 스코어 1. 1999년 11월 1일 일본 요코하마 하드 태국 파라돈 시차판 6-3, 6-0 2. 2000년 8월 14일 미국 브롱크스 하드 벨기에 레지날드 빌럼스 6-4, 6-1 3. 2000년 11월 일 대한민국 삼성증권배 챌린저, 서울 하드 체코 라덱 스테파넥 6-4, 6-4 4. 2001년 10월 22일 대한민국 삼성증권배 챌린저, 서울 하드 일본 모토무라 고이치 6-4, 6-4 5. 2002년 11월 25일 일본 요코하마 카펫 네덜란드 욘 판로튐 2-6, 7-6(2), 7-6(6) 6. 2003년 9월 15일 대한민국 삼성증권배 챌린저, 서울 하드 네덜란드 데니스 판스헤핑언 6-3, 6-3 7. 2004년 9월 6일 대한민국 삼성증권배 챌린저, 서울 하드 모나코 장르네 리즈나르 3-6, 7-5, 6-2 8. 2005년 10월 24일 대한민국 삼성증권배 챌린저, 서울 하드 프랑스 니콜라 토만 4-6, 6-1, 7-6(6) 9. 2006년 5월 29일 대한민국 부산 오픈, 부산 하드 태국 다나이 우돔촉 6-3, 6-2 10. 2006년 7월 24일 미국 렉싱턴 하드 미국 에이머 델릭 5-7, 6-2, 6-3 11. 2006년 10월 30일 대한민국 삼성증권배 챌린저 대회, 서울 하드 독일 비외른 파우 6-2, 6-2 12. 2008년 10월 20일 대한민국 삼성증권배 챌린저 대회, 서울 하드 체코 이보 미나르 6-4, 6-0 13. 2008년 11월 17일 일본 요코하마 하드 일본 소에다 고 7-5, 6-3 그랜드 슬램 단식 성적 연대표[편집] 대회 2008 2007 2006 2005 2004 2003 2002 2001 2000 호주 오픈 2R 1R 1R 1R 1R 2R - 1R - 프랑스 오픈 2R 1R - 3R 3R 1R 1R - - 윔블던 1R 3R 2R 2R - 1R 2R 1R - US 오픈 1R 4R 2R 1R 3R 2R 1R 1R 4R 복식 타이틀 (1)[편집] 대회 종류 그랜드 슬램 (0) 마스터스 컵 (0) ATP 마스터스 시리즈 (0) ATP 투어 (1) ATP 투어 타이틀 (1)[편집] No. 일시 대회 코트 종류 파트너 결승 상대 스코어 1. 2003년 2월 10일 SAP 오픈, 산 호세 하드 블라디미르 볼치코프 폴 골드스타인 로버트 켄드릭 7-5, 4-6, 6-3 각주[편집] ↑ 가 나 “이형택, 부산오픈 챌린저 복식 출전…현역 복귀”. 연합뉴스. 2013년 5월 14일. 2013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이형택 테니스 아카데미 지난 12일 문 열어”. icross 뉴스. 2009년 9월 14일. 2010년 1월 13일에 확인함.  ↑ “[본지 선정] 2009 강원체육 10대 뉴스”. 강원도민일보. 2009년 12월 24일. 2010년 1월 13일에 확인함.  ↑ “이형택, 테니스 TV해설가 됐다”. 뉴시스. 2010년 5월 13일. 2010년 5월 13일에 확인함.  ↑ “한국테니스 간판 이형택, 라켓 놓고 후배양성 길로”. 뉴시스. 2009년 7월 27일. 2009년 8월 9일에 확인함.  |출판사=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코트여 안녕!’ 이형택, 아쉬운 은퇴 무대”. 2009년 10월 28일. 2009년 10월 28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부산오픈테니스- 이형택, 복귀전서 0-2 패배(종합)”. 연합뉴스. 2013년 5월 15일. 2013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이형택, 삼성증권배 챌린저 테니스대회 복식에 출전”. 연합뉴스. 2013년 10월 27일. 2013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삼성증권테니스> 이형택 "임규태도 복귀 유혹 생길걸요"”. 연합뉴스. 2013년 10월 30일. 2013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테니스- 이형택, 영월 챌린저 복식 결승 진출 실패”. 연합뉴스. 2013년 11월 9일. 2013년 11월 1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이형택 테니스 아카데미 네이버캐스트 - 한국 남자 테니스 역사를 쓰다 이형택 (2009.01.23) 이형택 - 프로 테니스 협회 (영어) 이형택 - 국제 테니스 연맹 (영어) 이형택 - 데이비스 컵 (영어) Lee Recent Match Results (영어) Lee World Ranking History (영어) Korean Men Recent Match Results (영어) ATP interview[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형택&oldid=24249859" 분류: 1976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남자 테니스 선수횡성군 출신건국대학교 동문2000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2004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2008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대한민국의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1996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아시안 게임 테니스 메달리스트1998년 아시안 게임 테니스 참가 선수2002년 아시안 게임 테니스 참가 선수2006년 아시안 게임 테니스 참가 선수1998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2002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2006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은메달리스트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외부 링크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Italiano日本語मराठी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lovenčinaSvenskaไทย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0일 (월) 14: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형택(李亨澤, 1976년 1월 3일~)은 대한민국의 테니스 선수이다. 오른손잡이이며 한손 백핸드를 구사하고, 하드 코트에 강하다. 개인 최고 랭킹은 2007년 8월에 기록한 세계 랭킹 36위이다. 2009년 7월 데이비스컵을 마지막으로 국가대표 활동을 중단했으며, 같은 해 10월 열린 삼성증권 챌린저 대회 출전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하였다. 은퇴 이후에는 춘천에서 '이형택 테니스 아카데미'를 운영하며 지도자로 활동하고 있다. 2010년 5월부터는 KBS N 스포츠의 테니스 해설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14년 11월부터는 MBC 스포츠플러스의 테니스 해설위원으로 활동했다. 2015년, 2016년에도 MBC 스포츠플러스에서 중계방송된 국제 프리미어 테니스리그 대회에서 해설을 맡았으며, 2016년에 다시 KBS N 스포츠의 해설위원으로 복귀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형택은 2007년 얼마의 상금을 벌었을까? Assistant: 2007년은 대회 성적과 상금 등 많은 면에서 그의 선수 경력 중 최고의 성과를 올린 한 해였다. 그는 그의 선수 경력 중 가장 많은 시즌 25승을 거두었으며 386,230달러의 상금을 벌어들였다. Human: 아래 1차_도네츠크_국제공항_전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1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차 도네츠크 국제 공항 전투2014년 우크라이나 친러시아 분쟁 및 돈바스 전쟁의 일부날짜2014년 5월 26일 ~ 27일장소우크라이나 도네츠크 국제 공항결과 우크라이나군의 승리교전국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육군: 우크라이나 공군 우크라이나 공수군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친러시아 군사 및 지역 민병대 보스토크 대대[1][2] 러시아 정교회군[1][3] 러시아 자원군 체첸 준군사 (사바제 사단)[4][5][6]병력 알 수 없음 수호이 Su-25 밀 Mi-24 200명[7]피해 규모 모름[8] 33~50명 사망[9]43명 부상[7] 민간인 2명 사망[9] 1차 도네츠크 국제 공항 전투는 2014년 우크라이나 혁명의 여파로 일어난 2014년 우크라이나 친러시아 분쟁의 일부로, 2014년 5월 26일 도네츠크 국제 공항에서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과 우크라이나 육군 사이에서 일어난 전투이다. 목차 1 배경 2 전투 2.1 사상자 3 체첸군의 개입 4 각주 5 외부 링크 배경[편집] 우크라이나 정부는 4월 초부터 도네츠크 주에 있는 친러시아 군사를 상대로 "대테러 작전"을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친러시아 시위대, 군사,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 무장 세력들은 도네츠크 지역 내의 다수 지역청사 및 도시를 점령했다. 도네츠크 도시 뿐 아니라 다른 도시에서도 많은 건물이 분리 세력의 통제 하에 있었다. 도네츠크 국제 공항은 아직까지도 친러시아 군사가 점령하지 않은 채로 있었다. 전투[편집] 5월 26일 아침, 친러시아 반군 200명이[7] 도네츠크 국제 공항을 점령하고 그 지역의 정부군 철수를 요구했다.[10] 또한, 무장세력들은 공항으로 향하는 도로를 봉쇄했다. 곧, 우크라이나 국가방위군이 공항을 점령한 군사들에게 항복하라고 최후통첩을 했지만 거부했다. 이에 따라 낙하산병들이 공격을 시작하고, 반군들에 대한 공습이 시작되었다.[11][12] 저항세력이 가지고 있는 대공포를 공격핼기를 통해 공격했다.[13] 분리주의자들의 무기가 실린 트럭이 공항으로 향하는 것이 관측되었다.[14] 저녁이 다가오자 상황은 불확실해져[12] 정부군이 반군을 상대로 공세를 했지만[15] 저항세력의 반격으로 다시 후퇴했고[16] 국제 공항 곳곳에서 산발적인 총소리가 들리며 어느 한쪽이 확실히 공항을 장악했는지 불분명한 상황이 되었다.[15] 다음 날,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반정부군 두 세력 모두 공항이 자기 군의 통제하에 있다고 말했지만,[8] 오전 중에 공항과 공항 맞은편의 분리주의자들이 세운 바리케이드를 잇는 주요 도로에서 계속해서 기관총 사격이 이루어지고 있다.[17][18] 도네츠크 시장은 모든 주민들에게 실내에 머무르라고 요청했다.[19] 전투 중, 콘티넨탈 하키 리그의 HC 돈바스의 홈구장인 드루즈바 아레나에서 친러시아 군사들이 경기장에 난입하여 감시 장비를 파괴하고 약탈하였으며 불을 질렀다.[8][20] 이날 전투가 계속되면서 일부 친러시아 주민들은 우크라이나 정부에 대해 분노했다. 한 거주민에 따르면, 정부가 군사작전을 계속하면 많은 사람들이 저항세력에 합류할 것이라고 말했다.[21] 5월 29일까지 산발적인 전투가 계속되면서 적어도 반군 1명이 사망했으며, 5월 31일에는 동료 시체를 수습할려던 친러시아 군사 6명이 사망했다.[22] 사상자[편집] 도네츠크 시장 올렉산드르 루크얀쳰코는 이 충돌로 인해 약 40명이 사망했으며 대부분이 분리주의자였고, 민간인 2명도 있었다.[23] 도시 영안실에는 무장세력 33명 및 민간인 2명이 있었다.[9] 또한, 분리주의자 43명이 부상을 입었다.[7] 반군 지휘관 알렉산데르 보로다이와 데니스 푸슬린은 약 100명 정도의 사상자라고 발표했으며, 그중 절반은 저항세력이고 나머지 절반은 러시아가 개입하기 위해 시도한 민간인이라고 말했고[24][25][26] 이들은 즉각 확인되지는 않았다.[27] 우크라이나 정부는 사상자를 말하지 않았다.[8] 분리주의자 15~35명[24][28]이 두 트럭에 실려 공항으로 향하던 도중 공습으로 인해 사망하거나 로켓 추진형 유탄의 매복 공격에 사망했다고 말했다.[24][28] 사망한 병사 중 34명이 러시아인이었고 이들 시체는 러시아로 반환했다.[29] 친러시아 측에 있었던 사망한 사람 중 드니프르페테로우시크 출신인 세계 킥복싱 챔피언 니콜라이 레오노프가 있었다.[30] 체첸군의 개입[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입니다. 나중에 체첸 대통령 람잔 카디로프에 충성하는 군사들이 도네츠크 지역에서 반군과 함께 전투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4] 비록 카디로프는 도네츠크에 체첸 군사를 보냈다는 것을 부인했지만[31] 체첸 병사 1명이 카디로프가 우크라이나로 가서 작전을 수행하라고 명령했다고 말했다.[4] 각주[편집] ↑ 가 나 “Pro-Russian forces in Ukraine turn on each other with rebel militia arresting rival groups and removing their flags from check-points”. 《The Daily Mail》. 2014년 5월 29일. 2014년 6월 1일에 확인함.  ↑ “Volunteers or paid fighters? The Vostok Battalion looms large in war with Kiev”. 《The Guardian》. 2014년 6월 6일. 2014년 6월 8일에 확인함.  ↑ “Meet the Russian Orthodox Army, Ukrainian Separatists' Shock Troops”. NBC News. 2014년 5월 16일. 2014년 6월 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Courtney Weaver (2014년 5월 27일). “Chechens join pro-Russians in battle for east Ukraine”. 《The Financial Times》. 2014년 5월 31일에 확인함.  ↑ Andrew Roth; Sabrina Tavernisemay (2014년 5월 27일). “Russians Revealed Among Ukraine Fighters”. 《The New York Times》. 2014년 5월 28일에 확인함.  ↑ Jeremy Bender (2014년 5월 28일). “Chechen Militants Are Now Spreading Chaos in Ukraine”. 《Business Insider》. 2014년 5월 28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Shaun Walker (2014년 5월 27일). “Ukraine says it controls Donetsk airport after fighting leaves dozens dead”. 《The Guardian》. 2014년 5월 28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Fighting rages in eastern Ukraine city, dozens dead”. Reuters. 2014년 5월 27일.  ↑ 가 나 다 Jim Roberts; Christopher Miller (2014년 5월 28일). “Ukraine Government Claims Control of Airport; Up to 50 Separatists Are Killed”. Mashable. 2014년 6월 1일에 확인함.  ↑ “Ukraine crisis: pro-Russian rebels seize Donetsk airport”. 《The Daily Telegraph》. 2014년 5월 26일. 2014년 5월 28일에 확인함.  ↑ Alastair MacDonald; Yannis Behrakis (2014년 5월 27일). “Battle at Donetsk airport; new Ukraine leader says no talks with 'terrorists'”. Reuters. 2014년 6월 1일에 확인함.  ↑ 가 나 Lucy Crossley; Dan Bloom (2014년 5월 26일). “Ukraine launches air strike and sends in paratroopers after pro-Russian rebels seize Donetsk airport”. 《The Daily Mail》. 2014년 6월 1일에 확인함.  ↑ “Ukrainian army battles Kremlin-backed separatists in Donetsk; at least one civilian killed in crossfire”. 《Kyiv Post》. 2014년 5월 26일. 2014년 6월 1일에 확인함.  ↑ Nick Paton Walsh; Ralph Ellis (2014년 5월 26일). “Ukrainian troops, separatists battle at Donetsk airport”. CNN. 2014년 5월 28일에 확인함.  ↑ 가 나 Sabrina Tavernise; Andrew Roth (2014년 5월 26일). “Ukraine Forces Appear to Oust Rebels From Airport in East”. 《The New York Times》. 2014년 6월 1일에 확인함.  ↑ “Ukraine crisis: Stand-off amid fight for Donetsk airport”. BBC News. 2014년 5월 27일. 2014년 6월 1일에 확인함.  ↑ “East Ukraine city largely calm after battle, rebels seek Russian help”. Worldbulletin. 2014년 5월 28일. 2014년 6월 1일에 확인함.  ↑ Shaun Walker (2014년 5월 27일). “Ukraine says it controls Donetsk airport after fighting leaves dozens dead”. 《The Guardian》. 2014년 6월 1일에 확인함.  ↑ “Ukraine crisis: Dozens reported killed in eastern fighting”. CBC News. Associated Press. 2014년 5월 27일. 2014년 5월 28일에 확인함.  ↑ Mat Babiak (2014년 5월 27일). “Pro-Russian Gunmen Loot & Torch HC Donbass Arena”. 《Euromaidan PR》. 2014년 5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5일에 확인함.  ↑ Alec Luhn (2014년 5월 30일). “Poroshenko vows to punish rebels who shot down Ukraine helicopter”. 《The Guardian》. 2014년 6월 1일에 확인함.  ↑ Thomas Grove; Gabriela Baczynska (2014년 5월 31일). “Six Ukrainian separatists killed around Donetsk airport”. Reuters. 2014년 6월 1일에 확인함.  ↑ Sabina Zawadzki; Gabriela Baczynska (2014년 5월 27일). “Fighting rages in Ukraine eastern city, dozens dead”. Reuters. 2014년 6월 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Up to 100 killed in Kiev military op, Donetsk E. Ukraine - anti-govt forces”. RT. 2014년 5월 26일. 2014년 6월 1일에 확인함.  ↑ Vladimir Radyuhin (2014년 5월 27일). “Over 100 killed in fierce Kiev onslaught”. 《The Hindu》. 2014년 6월 1일에 확인함.  ↑ Peter Leonard (2014년 5월 27일). “Dozens dead, morgues overflowing after siege turns one of Ukraine's largest airports into a war zone”. 《National Post》. 2014년 6월 1일에 확인함.  ↑ Michael Burnbaum; Fredrick Kunkle (2014년 5월 27일). “Ukraine's military retakes airport seized by rebels in Donetsk”. 《워싱턴 포스트》. 2014년 6월 1일에 확인함.  ↑ 가 나 “Donetsk announces mobilization of medical personnel after at least 24 people were killed in attack”. Voice of Russia. 2014년 5월 27일. 2014년 6월 1일에 확인함.  ↑ “Donetsk militants send 34 pro-Russian separatists bodies to Russia – leader”. 《KyivPost》. 2014년 5월 30일. 2014년 6월 1일에 확인함.  ↑ “World champion in kick-boxing is among victims at Donetsk airport”. Voice of Russia. 2014년 5월 31일. 2014년 6월 1일에 확인함.  ↑ “'Chechens in Donetsk?! I didn't order it, tell me more' – Kadyrov on CNN report”. RT. 2014년 5월 26일. 2014년 5월 3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The Battle for Donetsk International Airport - 유튜브 vdeh우크라이나 위기돈바스 전쟁  · 도네츠크 반란  · 루한스크 반란주요 주제 2014년 우크라이나 친러시아 분쟁 돈바스 전쟁 연대기 2014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군사 개입 리틀 그린 맨 성 게오르기우스 리본 러시아 제품을 사지 말자! 푸틴 후일로! 올지노의 트롤 2014년 우크라이나 혁명 2014년 크림 위기 주요 사건 도네츠크 전투 2014년 슬로비얀스크 전투 2014년 크라마토르스크 전투 2014년 오데사 분쟁 2014년 5월 2일 오데사 충돌 2014년 12월 오데사 폭탄 테러 제1차 마리우폴 전투 우크라이나-유럽 연합-미국-러시아 제네바 회의 우크라이나 제네바 성명 볼노바하 체크포인트 공격 1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 루한스크 국경 초소 포위전 루한스크 지역청사 공습 우크라이나 공군 일류신 Il-76 격추 러시아 도네츠크 포격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국제연합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2166 샤크타르스크 구 전투 이즈바린스키 고립지대 제레노폴렘 로켓 공격 루한스크 난민 수송대 공격 호를리우카 전투 일로바이스크 전투 노보아조우스크 전투 제2차 마리우폴 전투 민스크 협정 행복을 위한 전투 제2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 바흐무크투 전투 피스키 전투 스탄치아 루한스카 전투 부하스 버스 공격 도네츠크 버스 포격 사건 데발체베 전투 3차 마리우폴 전투 2차 민스크 휴전 시로키네 전투 2015년 하르키우 폭탄 테러 마린카 전투 도쿠차예우스크 기습 주요 투표 2014년 도네츠크 주 주민 투표 (5월 11일) 2014년 루한스크 주 주민 투표 (5월 11일) 2014년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주 주민 투표 (5월 11일) 독립 선언 국가 크림 공화국 (3월 11일 ~ 18일)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4월 7일 ~ ) 하리코프 인민공화국 (4월 7일 ~ 8일) 루간스크 의회 공화국 (4월 8일~10일)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4월 27일 ~ ) 오데사 인민공화국 (4월 16일) 노보로시야 연방국 (2014년 5월 24일 ~ 2015년 5월 20일) 주요 장소 아르테미우스크 드루주키우카 도네츠크 하르키우 호를리우카 크라마토르스크 루한스크 마키이우카 마리우폴 슬로비얀스크 예나키예베 노보아조우스크 배경 1918년 이전 신러시아 1918년 도네츠크-크리보이로크 소비에트 공화국 2012년 우크라이나 언어법 2013~14년 유로마이단 친러시아 세력조직 도네츠크 공화국 노보로시야 연방 육군 루간스크 남동군 루간스크 방위군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공산당 자유 루한스크 러시아 정교회군 보스토크 대대 러시안 블록 신러시아당 보로트바 우크라이나의 선택 우크라이나 반파시스트 위원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다른 러시아당 스파르타 대대 아플로트 대대 주요 인물 블라디미르 안튜페예프 이고리 베즐레르 발레리 볼로토프 알렉산드르 보로다이 미하일 추마셴코 이고리 스트렐코프 파벨 구바레프 에카테리나 구바레바 이고리 카키자노프 알렉산드르 호다콥스키 아르센 클린체프 블라디미르 코노노프 이호르 플로티니스키 뱌체슬라프 포노마료프 데니스 푸실린 올레그 차료프 알렉산드르 자하르첸코 아이조 베네스 친우크라이나 세력조직 야체뉴크 정부 우크라이나 내무부 우크라이나 내무군 우크라이나군 우크라이나 육군 우크라이나 공군 우크라이나 공수군 우크라이나 국가방위군 우크라이나 보안원 SBU 알파 그룹 우크라이나 국경방위청 우익 섹터 우크라이나 국토 방위 대대 아이다르 대대 아조프 대대 드니프로 대대 돈바스 대대 하르키우 대대 성 니콜라우스 대대 주요 인물 페트로 포로셴코 올렉산드르 투르치노프 아르세니 야체뉴크 안드리 파루비 아르센 아바코프 발렌틴 날리바이첸코 발레리 헬레테이 미하일로 코발 미하일로 쿠신 올레흐 마흐니츠키 빅토르 무젠코 발레리 야레마 올레흐 랴슈코 드미트로 야로시 이호르 콜로모이스키 세르히 타루타 이호르 발루타 세멘 세멘셴코 나디야 사브첸코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1차_도네츠크_국제공항_전투&oldid=23034752" 분류: 2014년 우크라이나도네츠크주의 역사2014년 분쟁2014년 우크라이나 친러시아 분쟁돈바스 전쟁2014년 5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تۆرکجهČeštinaDeutschEnglishEestiFrançais日本語PolskiRomânăTagalog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6일 (금) 22:1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1차 도네츠크 국제 공항 전투는 2014년 우크라이나 혁명의 여파로 일어난 2014년 우크라이나 친러시아 분쟁의 일부로, 2014년 5월 26일 도네츠크 국제공항에서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과 우크라이나 육군 사이에서 일어난 전투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의 사상자는 얼마나 되는가? Assistant: 도네츠크 시장 올렉산드르 루크얀쳰코는 이 충돌로 인해 약 40명이 사망했으며 대부분이 분리주의자였고, 민간인 2명도 있었다.[23] 도시 영안실에는 무장세력 33명 및 민간인 2명이 있었다.[9] 또한, 분리주의자 43명이 부상을 입었다.[7] 반군 지휘관 알렉산데르 보로다이와 데니스 푸슬린은 약 100명 정도의 사상자라고 발표했으며, 그중 절반은 저항세력이고 나머지 절반은 러시아가 개입하기 위해 시도한 민간인이라고 말했고[24][25][26] 이들은 즉각 확인되지는 않았다.[27] 우크라이나 정부는 사상자를 말하지 않았다.[8] 분리주의자 15~35명[24][28]이 두 트럭에 실려 공항으로 향하던 도중 공습으로 인해 사망하거나 로켓 추진형 유탄의 매복 공격에 사망했다고 말했다.[24][28] 사망한 병사 중 34명이 러시아인이었고 이들 시체는 러시아로 반환했다.[29] 친러시아 측에 있었던 사망한 사람 중 드니프르페테로우시크 출신인 세계 킥복싱 챔피언 니콜라이 레오노프가 있었다.[30]
Human: 아래 가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가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가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중화민국의 도시 가의(嘉義)에 대해서는 자이 시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불교 용어인 가의(可意)에 대해서는 가의와 불가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가의(賈誼, 기원전 200년 ~ 기원전 168년)는 중국 전한 초기의 사상가로, 하남군 낙양현(雒陽縣) 사람이다. 목차 1 생애 2 사상 3 저서 3.1 《신서》 4 가계 4.1 관련 인물 생애[편집] 18세에 이미 수재라는 평판이 높았고, 22세 때에 박사관(博士官)에 임명되었으며 다시 태중대부(太中大夫)에 발탁되었다. 그는 그때 전한의 제도와 역법을 개정할 것을 문제에게 진언하였지만 주발 등의 수구파 대신의 반대를 받아 25세 때에 장사왕의 태부로 전출되고 말았다. 그러나 1년 남짓하여 중앙에 소환되고, 문제의 막내 아들인 양회왕의 태부가 되어 국사에 관하여 누누이 의견을 상주하곤 하였지만 그 치안책은 문제에 의하여 실현되었다고는 할 수 없다. 얼마 후 양회왕의 낙마로 인한 죽음을 슬퍼한 나머지 병들어 이듬해 33세로 죽었다. 사상[편집] 그의 주장은 문제를 중심으로 하는 한 왕조의 권력을 내외로 향하여 강화하는 일에 중심을 두었다. 따라서 국내에서는 한의 황제와 대등하게 행세하는 제 왕국을 분할하여 그의 세력을 삭감하고, 밖으로는 흉노를 회유하여 한의 위세를 높이고자 하였던 것이다. 그것을 가의는 유가적인 이상 밑에서 전개하였다. 그러나 장사(長沙)로 좌천되었을 때 지은 〈굴원을 조위(弔慰)하는 부(賦)〉나, 〈복조의 부(賦)〉에는 세상의 인사에 얽매이지 않고자 하는 도가적 심경이 보인다. 저서[편집] 《신서》[편집] 지금 전해오는 《신서》(新書)는 10권 56편으로 되었는데 이것이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에 있는 〈가의〉(賈誼) 58편과 동일한 것인지의 여부는 의문이다. 그러나 지금의 《신서》(특히 그 전반 부분)를 《한서》 〈가의전〉(賈誼傳)에 실려 있는 문제에 대한 상주(치안책)와 대비하여 보면 이 시기의 유교적 관료였던 가의의 사고방식을 대개 찾아볼 수가 있다. 여씨(呂氏)의 난 후에 문제는 대(代)나라의 왕에서 중앙으로 영접되어 황제가 되었으나, 이복 형제인 회남왕(淮南王) 등은 광대한 영토를 소유하고 문제에 대하여 군신의 예를 행하지 않았다. 이 사태에 대하여 가의는 강대한 제후 왕국의 영토를 자손에게 분할 상속시키는 일견 온정적인 방법(분국책)을 제창하였다. 이 계책은 문제 시대에는 일부만 실행된 데 불과하였으나 무제(武帝) 시대가 되어 강력하게 추진하게 된다. 가의의 주장은 그와 같은 한 왕조의 중앙집권화 정책과 일맥상통하는 것이었지만 그 때문에 그는 수구파 관료한테 배척됐다. 그는 그것을 법률이나 형벌과 같은 강압적인 방법으로 단행하려고 하지는 않았다. 예컨대 그는 〈과진편〉(過秦篇)에서 진(秦)이 2세(世)로 멸망한 원인을 자세히 논하여 인의(仁義)를 돌보지 않고 획득한 천하를 안정시키는 도리를 심득(心得)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라고 했다. 결국 어디까지나 인의를 정치의 근본에 놓고 법(法)이나 형(刑)은 보조적 수단에 머무르게 하려고 했다. 이 〈과진편〉은 《사기》(史記)>의 〈진시황 본기(秦始皇 本紀)〉의 말미에서 사마천(司馬遷)도 전문을 인용하여 가의의 견식을 칭찬하고 있다. 기타 경제·정치의 구체적인 대책도 이와 같은 유가적 예교론(禮敎論)에 바탕을 두고 있다. 예컨대 주전권(鑄錢權)을 일반으로부터 정부가 회수하는 것은 백성을 본래의 농업에 힘쓰게 함으로써 백성이 주조 성분의 속임수로 죄에 빠지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하며, 대신을 일반의 관리나 서민보다도 형벌면에서 우대하는 일은 그들의 명예를 존중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 등을 논하고 있다. 북방 유목국가 흉노에 대해서도 천자의 덕에 의하여 중국에 귀복시키라고 말하지만 그것을 논한 〈흉노편〉(匈奴篇)에 보이는 <삼표오>(三表五餌)의 계책이라는 것은 《한서》 〈가의전〉에서는 다만 그 명칭만이 보일 뿐으로 그 상세한 내용은 오늘날의 《신서》에 의하는 길밖에 달리 알 수가 없다. 가계[편집] 관련 인물[편집] 가규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가의&oldid=23608422" 분류: 기원전 200년 태어남기원전 168년 죽음전한의 정치인전한의 유학자한나라의 철학자중국의 수필가중국의 사상가중국의 문장가뤄양시 출신병사한 사람기원전 2세기 중국 사람기원전 2세기 시인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HrvatskiMagyar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文言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일 (금) 04: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No good Wikipedia Search Result was found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현재 전해지는 신서는 총 몇 권으로 되어있을까? Assistant: 10권 Human: 아래 앉은뱅이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앉은뱅이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앉은뱅이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앉은뱅이밀 종속 밀속종 밀학명 Triticum aestivum재배품종재배품종 앉은뱅이밀원산지 한국 앉은뱅이밀은 한국의 재배종 밀이다.[1] 목차 1 이름 2 역사 3 특징 4 재배 5 사진 갤러리 6 각주 이름[편집] 다른 밀보다 키가 작아 "앉은뱅이밀"로 불린다.[2][3] 역사[편집] 한국 토종 밀로, 기원전 300년부터 재배했다.[4] 수확량이 많고 병해에 강한 앉은뱅이 밀은 일제강점기 때 '농림10호'로 개량되었다가 미국의 농학자 노먼 볼로그가 다시 '소노라 64호'로 개량해 멕시코 등에 보급했으며, 멕시코는 밀 수입국에서 밀 수출국이 되었다.[3] 볼로그는 세계적인 식량 증산에 기여하여 녹색 혁명을 이끈 공로로 1970년에 노벨 평화상을 받았다.[3] 대한민국에서는 60년대부터 값싼 수입 밀이 들어오고, 1982년에 밀 수입 자유화가 이루어지고, 1984년에 정부가 밀 수매를 중단하면서 국내 밀 생산 기반이 급격히 무너지고 밀 농사를 거의 짓지 않게 되었다.[3][4][5] 1990년대부터 우리밀살리기운동으로 개량종 경질 밀인 금강밀과 조경밀이 확산하면서, 한국산 밀은 맛이 없다는 인식이 퍼져 연질 밀인 앉은뱅이밀까지 함께 영향을 받기도 했다.[4] 택배가 보급되기 전, 90년대 말까지는 부산에서 90% 이상 소비되었다.[5] 2012년 <토종 곡식>의 저자 김석기가 자료조사 과정에서 백관실 진주 금곡정미소 대표를 만나 앉은뱅이 밀을 보존하고 있다는 걸 발견하고, 안완식 전 농촌진흥청 연구관에게 알리면서 대중화 계기가 마련됐다.[4] 2013년 슬로 푸드 "맛의 방주"에 등재된 후 언론의 주목을 받으며 생산량이 2013년 90t에서 2017년 300t까지 늘었다.[3] 특징[편집] 키는 50~80cm로 다른 밀보다 작다.[4][3][6] 다른 밀보다 색이 붉고, 낱알이 작으며, 껍질이 얇아 제분량이 많고 가루가 부드럽다.[3][6] 단백질 성분인 글루텐 함량이 적어, 쉽게 바스러지고 점성이 적다.[2][3][7] 지방 함량은 낮고 당류 함량은 높으며, 열량이 낮다.[3][7][5] 재배[편집] 10월 말에서 11월 초에 심고, 이듬해 6월 중순에 수확한다.[5] 생육 기간이 짧아 한국에서 콩과 함께 이모작이 가능하며,[2][7] 병충해에 강해 유기농 재배에 적합하다.[3][4][6] 사진 갤러리[편집] 앉은뱅이밀가루 앉은뱅이밀가루 각주[편집] ↑ “[보유자원] IT166469 Triticum aestivum subsp. aestivum”. 《국립농업과학원》. 농촌진흥청. 1989년 1월 1일. 2018년 2월 16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송태엽 (2017년 10월 5일). “3대가 지킨 진주 '앉은뱅이 밀'”. 《YTN》. 2018년 2월 16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김종덕 (2017년 8월 30일). “앉은뱅이밀로 농가소득과 밀 자급률을 올리자- 김종덕(국제슬로푸드 한국협회 회장)”. 《경남신문》. 2018년 2월 16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김유영 (2016년 11월 2일). “백관실 진주 금곡정미소 대표 “토종 ‘앉은뱅이 밀’ 지키는 게 내 운명””. 《동아일보》. 2018년 2월 16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김은영 (2013년 6월 17일). “[함께 살다-대안적 삶을 꿈꾸다] ⑭ 앉은뱅이 토종 우리 밀”. 《부산일보》. 2018년 2월 16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박미향 (2013년 10월 9일). “100년 된 기계가 빻은 고소한 우리 밀 맛보세요”. 《한겨레》. 2018년 2월 16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권민철 (2017년 12월 12일). “농산물에 '스토리' 입히니 서울-지방이 상생”. 《노컷뉴스》. 2018년 2월 16일에 확인함.  이 글은 식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음식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앉은뱅이밀&oldid=23608145" 분류: 밀한국의 식물상숨은 분류: 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식물에 관한 토막글음식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2월 1일 (금) 02: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앉은뱅이밀은 한국의 재배종 밀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대한민국에서 밀 수입이 자유화가 된 년도는? Assistant: 1982년
Human: 아래 인삼랜드휴게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인삼랜드휴게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삼랜드휴게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금산인삼랜드휴게소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인삼랜드휴게소 인삼랜드휴게소 상행선 공식명칭 인삼랜드휴게소 고속버스 환승정류소 종류 정류장 국가 대한민국 주소 상행 :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대암길 34-30하행 :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어필각로 300 개장 2011년 10월 31일 운영기관 한국도로공사 터미널코드 상행 : 325하행 : 324 행선지표기 인삼랜드휴게소 고속버스 운행 운행 시외버스 운행 미운행 시내버스 운행 미운행 인삼랜드휴게소는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외부리, 금성면 대암리에 위치한 통영대전고속도로의 고속도로 휴게소이다. 상, 하행선 모두 운영되며, 2011년 10월 31일부터 고속버스 환승이 가능해졌다. 목차 1 개요 2 시설물 2.1 쇼핑 2.2 식당 3 환승 구간 4 상행 환승정류장 5 하행 환승정류장 6 각주 7 외부 링크 개요[편집] 대지면적 43,936m2 건축면적 3,196m2 연면적 4,363m2 시설물[편집] 인삼랜드 휴식 공간 (하행선) 인삼랜드 휴게소 플랫폼 (하행선) 종합안내소 주유소, LPG 충전소 (상행 GS칼텍스, 하행 S-OIL) 현금지급기 (나이스) 쇼핑[편집] 편의점 인삼 홍삼 전문판매점 식당[편집] 한식, 중식, 스낵, 커피전문점 인삼견학장 (하행) 대표음식 : 인삼가마솥비빔밥(통영방향), 인삼갈비탕(대전방향) 환승 구간[편집] 다음과 같이 총 11개 노선을 이용할 수 있다.[1] 버스 터미널식으로 고속버스 환승 정차장이 설치되어 있다. 11개 고속버스 노선 중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회원사들이 운행하는 8개 노선은 코버스 [1] 에서 예약이 가능하고, 회원사 외의 시외버스 회사에서 운행하는 3개 고속버스 노선은 버스터미널 [2] 에서 예약이 가능하다. 상행 환승정류장[편집] 상행 환승정류장은 휴게소 건물 왼쪽에 매표소 및 승차장이 있다. 고속버스 전산망상의 터미널 번호는 325이다. 운행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시간표 인삼랜드휴게소 ↔ 서울경부 고려여객동양고속중앙고속천일여객 인삼랜드휴게소 ↔ 서울경부 무정차 5~10 첫차:08:30(인삼랜드 기준)막차:22:00(인삼랜드 기준) 인삼랜드휴게소 ↔ 동서울 동양고속중앙고속 인삼랜드휴게소 ↔ 동서울 무정차 5회 09:00, 11:50, 14:20, 17:10, 19:50 인삼랜드휴게소 ↔ 서울남부 경원여객 인삼랜드휴게소 ↔ 서울남부 무정차 30~50 첫차:08:30(인삼랜드 기준)막차:22:00(인삼랜드 기준) 인삼랜드휴게소 ↔ 고양[2] 동양고속중앙고속 인삼랜드휴게소 ↔ 고양 고양화정 4회 09:40, 13:10, 16:40, 20:10 인삼랜드휴게소 ↔ 부천 대원고속 인삼랜드휴게소 ↔ 부천 무정차 4회 10:10, 12:00, 17:00, 19:00 인삼랜드휴게소 ↔ 성남 고려여객동양고속금호속리산고속중앙고속 인삼랜드휴게소 ↔ 성남 무정차 7회 09:20, 11:40, 12:45, 14:50, 17:20, 19:45, 20:20 인삼랜드휴게소 ↔ 용인 중앙고속동부익스프레스 인삼랜드휴게소 ↔ 용인 신갈 5회 08:50, 11:50, 14:50, 17:50, 20:50 인삼랜드휴게소 ↔ 수원 동양고속 인삼랜드휴게소 ↔ 수원 무정차 13회[3]15회[4] 첫차:08:30(인삼랜드 기준)막차:21:10(인삼랜드 기준) 인삼랜드휴게소 ↔ 인천 동양고속중앙고속 인삼랜드휴게소 ↔ 인천 무정차 7회 08:50, 10:50, 12:50, 14:20, 16:20, 18:20, 19:50 인삼랜드휴게소 ↔ 대전 경원여객 인삼랜드휴게소 ↔ 대전 무정차 20 첫차:09:00(인삼랜드 기준)막차:22:00(인삼랜드 기준) 하행 환승정류장[편집] 하행 환승정류장은 휴게소 건물 왼쪽에 매표소 및 승차장이 위치하고 있다. 고속버스 전산망상의 터미널 번호는 324이다. 운행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시간표 인삼랜드휴게소 ↔ 진주 금호고속동양고속중앙고속동부익스프레스 인삼랜드휴게소 ↔ 진주 개양 5~15 첫차:08:15(인삼랜드 기준)막차:20:40(인삼랜드 기준) 인삼랜드휴게소 ↔ 통영 경원여객고려여객대원고속금호속리산고속천일여객 인삼랜드휴게소 ↔ 통영 무정차 10~50 첫차:09:20(인삼랜드 기준)막차:21:40(인삼랜드 기준) 인삼랜드휴게소 ↔ 고현 경원여객 인삼랜드휴게소 ↔ 고현 무정차 50 첫차:08:45(인삼랜드 기준)막차:21:35(인삼랜드 기준) 각주[편집] ↑ 인삼랜드 휴게소 고속버스 환승, 충청투데이, 2011년 11월 1일자, 김호열 기자 ↑ 2014년 12월 23일 신설. ↑ 평일에 해당. ↑ 주말에 해당. 외부 링크[편집] 코버스 홈페이지 (인삼랜드휴게소 출발 고속버스 노선 예매) vdeh대한민국의 시외·고속버스터미널서울특별시 서울경부 서울호남 동서울 서울서부 서울남부 상봉 가락시장 김포공항 동대문 마장동 수유리 신촌 잠실 장지역 인천광역시 강화 외포리 화도 인천 인천공항 부평역 송도 용현동 경기도 가평 목동 설악 청평 현리 고양 고양화정 광명 철산 광주 곤지암 구리 군포 김포 도농 · 금곡 · 평내 · 마석 동두천 부천 송내역 부천역·소사동·송내사거리 수원 광교중앙역 서수원 수원역 아주대 영통입구 우만동 성남 가천대 시흥 하늘휴게소 안산 상록수역 안성 공도 대림동산 양성 일죽 주은풍림 죽산 중앙대입구 안양역 · 안양 · 범계 · 호계동 · 비산동 양주역 양평 용문 여주 능서 대신 태평 전곡 오산 용인 백암 신갈 양지 유방동 의정부 의왕고천 의왕TG 이천 장호원 문산 금촌 운정 파주적성 평택 평택시외 송탄 안중 서정리·용이동·청북 평택대 해군기지 포천 송우 신북 운천 일동 하남 서신 동탄 조암 향남 강원도 강릉 강릉시외 주문진 간성 거진 대진 동해 동해시외 삼척 삼척시외 도계 임원 호산 속초 속초시외 양구 남면 양양 낙산 영월 상동 원주 원주시외 문막 인제 백담입구 신남 원통 현리 정선 고한사북 북평 임계 동송 신철원 와수 육단 춘천 춘천시외 강촌 태백 평창 대화 장평 진부 횡계 홍천 내면 서석 양덕원 화천 사창리 횡성 둔내 충청북도 괴산 연풍 단양 매포 보은 보은고속 속리산 영동 추풍령 황간 옥천 안내 청산 음성 감곡 대소 무극 삼성 생극 충북혁신도시 제천 제천시외 백운 증평 진천 광혜원 이월 청주 청주시외 청주공항 북청주 남청주 미원 오창 충주 목계 수안보 주덕 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충청남도 대전 서대전 유성 유성시외 대전청사 대전도룡 관저·건양대병원 용두동 도마동 부사동 신흥동 북대전 자운대 조치원 세종 세종청사 고대홍대 전의 금암 · 신도안 · 양정 · 엄사 공주 공암 동학사 산성 유구 금산 논산 논산시외 강경 연무 연무시외 당진 기지시 삽교천 신평 합덕 보령 대천해수욕장 부여 홍산 서산 고북 해미 서천 장항 아산 아산시외 신창 예산 신례원 천안 병천 성환 쌍용 한기대 청양 정산 태안 만리포 안면도 홍성 광천 내포 전라북도 고창 대산공용 무장 상하 선운사 해리 흥덕 군산 군산시외 대야 김제 만경 원평 남원 남원시외 덕과 반선 인월 무주 구천동 안성 부안 격포 줄포 순창 적성 고산 대둔산 봉동 삼례 운주 익산 익산시외 금마 여산 함열 임실 관촌 강진공용 오수 장수 번암 장계 전주 전주시외 정읍 신태인 태인 진안 백운 안천 광주광역시전라남도 광주 문화동 소태역 송정역 진월동 강진 마량 성전 고흥 과역 나로도 녹동 곡성 옥과 광양 광영 동광양 태인 구례 나주 영산포 영삼거리 다시 담양 목포 남악 무안 보성 벌교 예당 조성 순천 순북 점암 지도 여수 여천 영광 법성포 홍농 영암 독천 삼호 신북 완도 고금 당목 장성 장성사거리 장흥 노력항 회진 진도 녹진 함평 문장 학교 해남 땅끝 화순 능주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동대구 서대구 대구북부 · 대구서부 · 현풍 용계 경산 영남대 자인 하양 경주 경주시외 건천 산내 아화 안강 입실 고령 구미 구미공단 선산 군위 우보 김천 문경 점촌 가은 봉화 춘양 상주 함창 성주 안동 경북도청 안동역 길안 풍산 영덕 강구 병곡 영해 장사 영양 영주 풍기 풍기IC 꽃동산 영천 임포 예천 용궁 울진 기성 부구 온정 죽변 평해 후포 의성 단촌 도리원 안계 탑리 청도 운문사 청송 월정 주왕산 진보 왜관 약목 포항 포항시외 송라 청하 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경상남도 부산 부산서부 김해공항 동래 신평 하단 해운대 울산 울산시외 신복 방어진 언양 봉계·공업탑·남창·무거·옥동·웅촌·태화·호계·효문 고현 장승포 거창 고성 배둔 김해 장유 진영 남해 밀양 유천 표충사 사천 곤양 삼천포 산청 생초 원지 양산 통도사 의령 신반 진주 진주시외 개양 반성 창녕 남지 부곡 영산 창원 내서 남산 창원역 마산 마산시외 남마산 진해 통영 하동 진교 화개 함안 함양 백무동 서상 안의 합천 가야 삼가 초계 해인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 · 서귀포 고속도로 환승정류장 낙동강휴게소 선산휴게소 섬진강휴게소 인삼랜드휴게소 정안알밤휴게소 횡성휴게소  :현재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하지 않거나 없어진 터미널 굵은 글씨는 고속버스가 운행하는 터미널 vdeh금산군의 교통고속도로노선 통영대전 (35) 나들목 금산 나들목 추부 나들목 일반도로국도 13호 17호 37호 국지도 55호 68호 지방도 601호 635호 주요 간선도로간선도로 금산로 대둔산로 대청로 무금로 군북로 금강로 대흥로 보석사로 복수로 산내로 인삼로 진산로 태고사로 휴양림로 교량 제원대교 터널 금산터널 마달터널 샛고개굴길 신평터널 추부터널 버스농어촌 금산 농어촌버스 고속·시외 금산 인삼랜드휴게소 기타농어촌 마이비 캐시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인삼랜드휴게소&oldid=24047806" 분류: 고속도로 휴게소대한민국의 버스 터미널통영대전고속도로금산군의 건축물금산군의 교통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17일 (수) 09:3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금산인삼랜드휴게소(錦山人蔘랜드休憩所, Geumsan Insam Land Service Area)는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외부리, 금성면 대암리에 위치한 통영대전고속도로의 고속도로 휴게소이다. 양방향 모두 휴게소가 존재하며, 2011년 10월 31일부터 고속버스 환승이 가능해졌다. 개통 당시 명칭은 인삼랜드휴게소였으나, 2020년 9월 25일에 현재의 금산인삼랜드휴게소로 변경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인삼랜드휴게소에서 하행 고속버스운행 스케쥴은 어떻게 되지? Assistant: 운행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시간표 인삼랜드휴게소 ↔ 진주 금호고속동양고속중앙고속동부익스프레스 인삼랜드휴게소 ↔ 진주 개양 5~15 첫차:08:15(인삼랜드 기준)막차:20:40(인삼랜드 기준) 인삼랜드휴게소 ↔ 통영 경원여객고려여객대원고속금호속리산고속천일여객 인삼랜드휴게소 ↔ 통영 무정차 10~50 첫차:09:20(인삼랜드 기준)막차:21:40(인삼랜드 기준) 인삼랜드휴게소 ↔ 고현 경원여객 인삼랜드휴게소 ↔ 고현 무정차 50 첫차:08:45(인삼랜드 기준)막차:21:35(인삼랜드 기준) Human: 아래 2016년_9월_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_핵_실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16년 9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6년 9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5차 핵 실험 지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대량 살상 무기 사건 중장거리 미사일 실험 로동 1호 - 1993년 대포동 1호(광명성 1호 탑재) - 1998년 대포동 2호 - 2006년 은하 2호(광명성 2호 탑재) - 2009년 은하 3호(광명성 3호 탑재) - 2012년 4월 은하 3호(광명성 3호 2호기 탑재) - 2012년 12월 광명성호(광명성 4호 탑재) - 2016년 핵 실험 2006년 2009년 2013년 2016년 1월 2016년 9월 2017년 같이 보기 무수단리 풍계리 핵 실험장 량강도 폭발 사고 녕변 원자력 연구소 조선인민군 선군정치 2017~201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위기 v • d • e • h 2016년 9월 9일 오전 9시 30분 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정권 수립일에 맞춰 2016년 1월 핵 실험에 이어 8개월만에 풍계리 핵 실험장에서 핵 실험을 감행하였다. 조선중앙통신은 공식 성명을 통해 5차 핵 실험이 성공적이었고, 핵탄두를 탄도 미사일에 장착할 수 있는 단계에 도달했음을 최종적으로 검토 확인했다고 밝혔다.[1] 목차 1 폭발력 2 핵 운반체 개발과의 연계 2.1 대응조치 3 반응 3.1 대한민국 3.2 미국 3.3 중국 3.4 일본 4 각주 폭발력[편집] 대한민국 국방부는 본 핵 실험은 진도 5.0 규모의 인공 지진을 일으켰다고 파악되며, 추정 핵출력은 10kt 정도로 현재까지 핵 실험 중 가장 큰 규모라고 밝혔다.[2] 미국 미들버리 국제학연구소의 제프리 루이스는 "핵 실험 위력이 최소 20∼30kt(킬로톤)으로 지금까지 북한의 핵 실험 가운데 최고"라고 말했다.[3] 2013년 함형필 국방연구원(KIDA) 연구위원은 "진도 4.7~4.8 정도면 TNT폭약 15kt 위력을 보인 히로시마급에 해당한다"고 밝혔다.[4] 2013년 대한민국 기상청은 "진도 4.9면 20kt 정도로 추정되며, 진도 규모가 0.2가 상승한 5.1이면 50kt, 5.3이면 100kt까지 커진다"고 본다.[5] 모멘트매그니튜드(Mw)가 0.1 증가하면 지진에너지는 약 1.4배가 된다.[6] 유럽지진센터는 최초 속보에서 5.5라고 판단했다가 5.3으로 수정했다.[7] 진도 5.5면 200 kt 핵출력이다. 미국 지질조사소(USGS), 유럽지진센터, 일본 기상청은 진도 5.3으로 본다. 즉 2016년 1월의 4차 핵 실험 당시 진도 5.1 보다 폭발력이 2배 증가했다고 본다. 대한민국 기상청도 4차 핵 실험보다 폭발력이 2배 증가했다고 본다. 그런데, 4차 핵 실험 당시 한국은 미국 일본 유럽과 동일하게 진도 5.1로 보았는데, 이번 5차 핵 실험은 폭발력이 2배라면서 진도 5.0이라고 발표했다. 4차 핵 실험 당시 한국 기상청은 처음엔 5.1이라고 했다가, 4.8이라고 수정했었다. 2013년 대한민국 기상청은 진도 5.3이면 100 kt 핵출력이라고 말했다. 국방연구원은 통상적인 기상조건 하에서, 서울을 대상으로, 100kt 핵무기가, 지면폭발 방식으로 사용된다면 24시간 이내 서울 인구의 절반인 580만 명이 사망하거나 다친다고 본다.[8] 2015년 2월 데이비드 올브라이트 ISIS 소장은 북한 전문 웹사이트인 38노스에 "2020년까지 북한이 많게는 100개의 핵무기를 만들 수 있다"는 보고서를 올렸다. 2015년 12월 16일, 38노스 운영자인 조엘 위트 존스홉킨스대 방문연구원은 2020년까지 100 kt급 수소폭탄을 제조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1962년 미국 네바다 핵 실험장의 세단 핵 실험은 핵출력 TNT 104 kt의 수소폭탄을 터뜨려, 리히터 규모 4.75의 인공지진이 발생했다. 4.95면 208 kt, 5.15면 416 kt이라는 의미이다. 핵 운반체 개발과의 연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KN-11입니다. 201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일어난 두 차례의 핵 실험은 모두 잠수함발사 탄도유도탄 KN-11 실험 직후 이루어져, 잦은 핵 실험이 SLBM에 장착할 핵탄두 소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었다.[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16년 8월 24일 KN-11 시험발사에 최초로 성공했다. 북극성(KN-11)의 개발원형이라고도 보도되는 러시아 R-27U는 200 kt 수소폭탄 3발이 탑재된다. 북한의 북극성과 이름이 같은 미국 UGM-27C 폴라리스 A-3도 무게 117 kg, 핵출력 200 kt인 W58 수소폭탄 3발이 탑재된다. 미국 폴라리스 미사일은 1959년 6월 9일 진수된 세계 최초의 SLBM 잠수함 USS 조지 워싱턴 (SSBN-598)에 탑재된 SLBM이다. 즉, 세계 최초로 실전배치된 SLBM이다. 대응조치[편집] 2016년 8월 24일 북한이 북극성 발사에 최초로 성공하자, 이에 대한 대응조치로, 미국 공군은 2016년 9월 5일 미니트맨 미사일을 시험발사해 무력시위를 했다.[9] 북한 14톤 북극성(Polaris)의 참조모델인 미국 폴라리스 미사일, 러시아 R-27은 핵출력 200 kt 수소폭탄 3발을 탑재한다. 미국 공군이 대응조치로 발사한 35톤 미니트맨 미사일도 170 kt 수소폭탄 3발을 탑재한다. 최근에 475 kt으로 개량했다. 즉, 미니트맨은 연료량이 2배 이상 많아 사거리가 길고 무게가 무겁지만, 탑재하는 핵탄두 3발의 폭발력은 서로 비슷하다. 2016년 9월 9일 북한은 5차 핵 실험을 단행했는데, 일부에서는 핵출력 20 kt의 진도 5.5의 인공지진이 관측되었다. 반응[편집] 대한민국[편집] 핵 실험 직후 대한민국 정부는 황교안 국무총리의 주재로 긴급 안전보장회의(NSC)를 소집하였다.[10] 회의 후 조태용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장은 청와대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핵 실험을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중대한 도발"로 규정하고 "정부는 이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10] 또한 핵무기와 미사일 프로그램을 폐기할 것을 촉구하고, "유엔 안보리 및 양자 차원에서 더욱 강력한 제재 조치를 강구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노력을 기울여 갈 것"이라고 말했다.[10] 라오스를 공식 방문 중이던 박근혜 대통령은 5차 핵 실험 사태에 대한 보고를 받은 뒤, 당초 예정됐던 오후 일정을 취소하고 약 4시간 앞당겨 귀국했다.[11] 또 오전 15분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여 핵 실험 관련 공동 대응 방안 등을 논의했다.[11] 황교안 국무총리는 5차 핵 실험과 관련해 "각 부처는 소관 상황을 빈틈없이 점검하고, 이번 사태로 인해 국민 생활과 안전, 그리고 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하라"고 지시했다. 또 "모든 공무원은 유사시에 비상근무체제 전환에 대비하라"고 주문했다.[12] 한편 윤병세 외교부장관은 기시다 일본 외무상,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과 전화통화를 하여 긴밀한 협조와 대응에 협의했다.[13] 미국[편집]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박근혜 대통령과의 15분간 전화 통화에서 "미국은 북한의 도발 위협으로부터 한국을 보호하기 위해 '핵우산'을 포함한 '확장억제'를 비롯해 한미상호방위조약에 입각한 모든 조치를 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14] 2016년 9월 11일 한미 군사당국은 북한의 군사적 도발을 억제하기 위해, 다음달인 10월 미 해군이 USS 로널드 레이건 항공모함 타격단을 한반도로 파견해 한미 합동 군사훈련에 참가할 것이라고 밝혔다.[15] 중국[편집]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는 북조선의 핵 실험에 결연히 반대한다고 밝히며, 한반도 비핵화와 핵확산 반대에 대한 중국의 입장은 확고하다고 강조하였다.[16] 일본[편집]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기자회견에서 북조선의 핵 실험은 용납할 수 없다고 밝히며, 오바마 미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 긴급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를 소집할 것을 촉구했다.[17] 각주[편집] ↑ “AP THE LATEST: N. KOREA CONFIRMS 'SUCCESSFUL' NUCLEAR TEST”. 《Associated Press》. 2016년 9월 9일.  ↑ 가 나 “北, 정권수립일에 5.0 규모 5차 핵실험…軍 "10kt 위력 추정"(종합)”. 《연합뉴스》. 2016년 9월 9일.  ↑ 美전문가 "위력 역대 최고수준…최소 20∼30킬로톤", SBS, 2016-09-09 ↑ 정부 ‘북 핵실험 위력’ 축소 논란, 내일신문, 2013.02.13 ↑ 정부 ‘북 핵실험 위력’ 축소 논란, 내일신문, 2013-02-13 ↑ 구마모토 지진 파괴력, 고베 대지진의 '1.4배', 한국경제, 2016-04-17 ↑ [속보] 유럽지진센터 "북한에서 규모 5.5 지진 발생", 이투데이, 2016년 9월 9일 ↑ 북 미사일 발사엔 "쏘나보다" 무인기는 "그럴수가", 데일리안, 2014-04-09 ↑ 美, 오바마 순방 중 '미니트맨-III' 발사…숨은 뜻, SBS, 2016-09-08 ↑ 가 나 다 유기림 (2016년 9월 9일). “정부 성명 "北핵실험, 중대 도발로 강력 규탄…자멸의 길"(상보)”. 서울: 뉴스원. 2016년 9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이상배 (2016년 9월 9일). “朴대통령, '北 5차 핵실험'에 4시간 당겨 급거 귀국”. 비엔티안: 뉴스원. 2016년 9월 9일에 확인함.  ↑ 강건택 (2016년 9월 9일). “황총리 "北핵실험으로 경제에 부정적 영향 없도록 관리"”. 연합뉴스. 2016년 9월 9일에 확인함.  ↑ 홍기삼 (2016년 9월 9일). “윤병세, 美日 외교장관과 통화..'北 추가 제재' 논의(상보)”. 뉴스원. 2016년 9월 9일에 확인함.  ↑ 이상배 (2016년 9월 9일). “한미 정상 '北 5차 핵실험' 통화…오바마, '핵우산' 약속”. 비엔티안: 머니투데이. 2016년 9월 9일에 확인함.  ↑ “[단독]핵항모 로널드 레이건호 내달 한반도 출동…北핵실험 무력시위”. 《연합뉴스》. 2016년 9월 11일.  ↑ “<北 핵실험> 중국 외교부 "결연히 반대" 성명 발표”. 《연합뉴스》. 2016년 9월 9일.  ↑ Sang-Hun, Choe; Perlez, Jane (2016년 9월 8일). “North Korea Claims Success in Latest Nuclear Test”. 《The New York Times》. 2016년 9월 9일에 확인함.  vdeh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량살상무기미사일 실험 1993년 2006년 2009년 2013년 2014년 2017년 8월 29일 2019년 핵 실험 2006년(1차) 2009년(2차) 2013년(3차) 2016년 1월(4차) 2016년 9월(5차) 2017년(6차) 관련 주제 연표 원자력 발전 제네바 합의 6자 회담 조일평양선언 대북 제재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2017~201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위기 유엔 대북 해상제재 시설 풍계리 핵 실험장 녕변 원자력 연구소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 UN 안보리 결의안 제825호 제1695호 제1718호 제1874호 제1928호 제1985호 제2087호 제2094호 제2270호 제2321호 제2371호 제2375호 제2397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6년_9월_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_핵_실험&oldid=22367854" 분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 실험201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2016년 남북 관계2016년 9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Português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2일 (수) 21: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16년 9월 9일 오전 9시 30분 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정권 수립일에 맞춰 2016년 1월 핵 실험에 이어 8개월만에 풍계리 핵 실험장에서 핵 실험을 감행하였다. 조선중앙통신은 공식 성명을 통해 5차 핵 실험이 성공적이었고, 핵탄두를 탄도 미사일에 장착할 수 있는 단계에 도달했음을 최종적으로 검토 확인했다고 밝혔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6년 9월 북한의 핵실험으로 인해 발생한 인공 지진은 규모가 진도 몇이었습니까? Assistant: 5.0
Human: 아래 전계대원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전계대원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계대원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전계군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전계군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1785년 4월 29일(음력 3월 21일) ~ 1841년 12월 14일(음력 11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농민이며, 철종의 생부이다. 장조의 서자인 은언군의 서자였다. 이복 형 상계군과 아버지 은언군에 연루되어 강화도로 추방되어 빈농으로 생애를 마쳤으며, 한때 노비로 전락하기도 했다. 1820년과 1822년, 1826년 일시 석방되고 1830년 석방되어 도성에서 살 수 있었다. 은언군의 서자라 평생 품계와 작위가 내려지지 않았다. 철종 즉위 후 순원왕후의 명으로 은언군, 상계군 관련 일성록, 승정원일기, 조선왕조실록 등을 대량으로 세초, 인멸해버렸기 때문에 그의 초기 삶의 행적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홍국영이 상계군을 세자로 삼으려던 일로 이복 형 상계군이 역적으로 몰리면서 연좌되어 강화도로 가게 되었다. 천극죄인 신분으로 거주지에 가시울타리가 쳐지고 계속 감시당했으며, 이후 강화도에서 빈농으로 생활하였다. 이복 형 이성득이 고문치사한 일을 계기로 순조는 1822년 은언군의 자녀들을 일시적으로 석방하였고, 이때 성인식인 관례를 올렸다. 그러나 다시 강화도로 끌려갔고 1826년 노비 신분으로 격하되어 충청도 온양에 정속되었다가 그해 임시 석방되었다. 1830년 최종 석방되면서 한성부로 와서 생활하다 이유를 알수 없는 병에 걸려 사망하였다. 소실 중 한명인 염씨에게서 얻은 셋째 서자 원범이 1849년 순조의 양자 자격으로 왕위에 오르면서 군호를 의망하여 전계군(全溪君)의 작호가 내려졌다가, 다시 대원군으로 추봉되어 전계대원군이 되었다. 경기도 강화군 출신으로 본관은 전주, 휘는 이광(李㼅), 자는 창강(昌康), 초명은 이쾌득(李快得), 이해동(李海東)이다. 강화군 출신. 목차 1 생애 1.1 출생과 가계 1.2 강화도 살이 1.3 생애 후반 1.4 사후 2 묘소 3 가족 관계 4 기타 5 각주 6 관련 항목 생애[편집] 출생과 가계[편집] 1785년(정조 9) 4월 29일(음력 3월 21일) 은언군의 9남 1녀 중 6남이자 서자(庶子)로 탄생하였다. 원래 이름은 쾌득(快得)이었고, 뒤에 풀려난 뒤에 해동(海東)으로 고쳤으며, 뒤에 창강으로 이름을 고쳤다가 다시 광으로 개명하였다. 적모에게서 태어난 적자인 이복 형 상계군 담, 풍계군 당, 그밖에 이복 서형들인 이성득, 이철득 등 아버지의 또다른 서자들이 있었다. 사도세자의 서손자이며, 정조의 서조카이고, 순조의 서 사촌형이며, 철종의 사친이다. 아버지는 사도세자의 서장남 은언군(恩彦君)이며, 어머니는 그의 소실인 전주인(全州人) 이덕희(李德喜)의 딸로 전산군부인 이씨(全山郡夫人 李氏)이다. 그의 위로 동복 친형이 한명 있었지만, 일찍 요절했다.[1] 아버지 은언군, 삼촌 은신군이 소년시절 상인들에게 진 부채가 증조부 영조에게 알려져 1771년(영조 47) 직산에 유배되고, 다시 제주도 대정현에 안치되었다가 1774년에 은신군이 죽으면서 풀려났다. 전산군부인 이씨의 존재는 1970년대 이후에 알려지게 되었고, 일부 역사서는 그를 상산군부인 송씨의 자녀인 것으로 오해하였다. 또한 그의 묘비문이 국사편찬위원회 등에 의해 판독된 것도 1970년대 무렵이었다. 훗날 김문근이 쓴 그의 어머니 전산군부인 이씨의 묘지명을 통해 전산군부인은 그가 태어나기 전에 아들 하나를 낳았지만 일찍 사망했고, 그가 전산군부인 이씨에게는 둘째 아들인 것이 확인되었다. 이복 형제들 중 풍계군으로 추정되었던 이철득이 풍계군과 생년이 달라 다른 인물인데, 이철득이 전산군부인 이씨의 일찍 죽은 첫 아들인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광은 왕족이었으나 아버지 은언군이 상계군 사건과 송씨, 신씨 사건 그리고 계속된 탄핵으로 유배당한데다가, 이광은 다시 은언군의 서자였으므로 작위가 내려지지 않았다.[2] 1797년 아버지 은언군이 울화병이 치밀어 형 혹은 이복형인 이철득과 함께 강화도를 탈출하려다가 교동도가 보이는 해변에서 체포되었다. 강화도 내에서 다시 아버지 은언군이 체포된 그 곳으로 일가족이 모두 옮겨졌다. 강화도 살이[편집] 유소년 시절과 혹은 서당을 다녔는가, 독선생을 초빙했는가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철종 즉위 후 순원왕후의 명으로 은언군, 상계군 관련 일성록, 승정원일기, 조선왕조실록 등을 대량으로 세초, 인멸하여 그의 초기 행적에 대한 내용은 알 길이 없다. 1805년 8월 27일 강화도에 이철득, 이성득, 이쾌득이 감금당한 집에 불이 나 강화부유수 오재소(吳載紹)가 조정에 장계를 올려 보고하였다.[3] 본부인은 전주인(全州人) 학생 증 의정부영의정(領議政) 최수창(崔秀昌)의 딸로 완양부대부인 최씨(完陽府大夫人 崔氏)이고, 첩으로 용담인(龍潭人) 학생 증 의정부영의정(領議政) 염성화(廉成化)의 딸로 용성부대부인 염씨(龍城府大夫人 廉氏)가 있었다. 용성부대부인은 완양부대부인이 살아있을 때 들인 상태이다. 또한 그에게는 첩실인 이씨(李氏)가 있었다. 한편, 이복 백형(伯兄) 상계군 이담(常溪君 李湛)은 1786년에 홍국영 등의 추대를 받았다는 이유로 음독사했으며, 적모 상산군부인 송씨(宋氏)와 형수 신씨(申氏: 상계군 담의 처)는 1801년(순조 1)에 천주교신자인 것이 당국에 적발되어 사사되면서, 아버지 은언군도 사사되었다. 이와같이 그는 부모와 적형·적형수의 죄로 연좌되어 강화부 교동으로 쫓겨나 불우한 일생을 빈농으로 생활하였다. 아버지 은언군 사사 후에는 천극죄를 받고, 강화도 내 그의 거주지에 가시울타리가 쳐지게 되었다. 이후 그는 강화도 내 위리안치된 집과 움막 등에 거주하며 남의 집 머슴살이에서 일일 잡역부 등으로 생계를 유지해나갔다. 1812년(순조 12) 8월 사옹원봉사 박종일(朴鍾一)과 한광우(韓光友), 이진채(李振采) 등의 모역사건이 적발되자, 은언군의 아들들 중 한명을 추대하려 했다 하여 양사로부터 탄핵을 받았지만 순조가 사건을 무마시켜 이당, 이성득, 이철득 등 다른 이복형제들과 함께 사형 위기를 모면하였다. 그뒤 강화도 내로의 이주가 허용되어 이광은 강화군 강화읍내로 이주하였다. 이주한 철종의 가족은 강화도에 살았는데, 철종의 잠저는 현재의 강화군 강화읍 관청리 441번지에 있다.[4][5] 원래는 초가였으나, 철종 4년(1853)에 강화 유수 정기세가 현재와 같은 기와집을 세우고 용흥궁이라 하였다.[5] 이광의 가족은 부임해오는 강화부 유수의 감시 및 주민들의 멸시를 당하기도 했다. 철종실록의 철종 행장에 의하면 그가 강화도에 있을 당시, 한번은 그가 살던 동리에 완악하고 패려한 자가 술에 취해 그의 집 문밖에서 소란을 부리며 오만한 말과 모욕을 가했지만, 후일 아들 철종이 왕위에 오른 후에도 그를 문제삼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강화부 유수로 부임한 어떤 유수가 방어 및 지킴(방수)를 목적으로 그의 일가를 감시하는 것이 너무 가혹하므로 집사람들이 이를 고통스럽게 여겼지만, 왕위에 오른 아들 철종은 그 유수를 오히려 승정원승지에 임명하였다한다. 1817년(순조 17) 3월 홍경래와 기맥이 닿던 채수영이 은언군 인의 아들 중 한 명(이철득)을 추대하기로 하고 채수영의 난을 일으켰다. 그는 이때에도 죽을 고비를 넘겼다. 1820년(순조 20) 순조는 은언군의 생존한 아들들을 모두 석방시켜주었다. 이때 그는 한성으로 갔지만 어떤 이유인지 알 수 없는 이유로 다시 강화도로 보내졌다. 철종 즉위 이후, 철종 때와 고종 때 은언군과 은언군 일가, 상계군 일가 등에 관련된 자료는 대부분 세초, 각자, 먹칠, 인멸해버려 전계대원군의 생애에 대한 자세한 상황은 확인하기 힘들다. 곧 강화도로 보내졌지만 그는 1822년(순조 22) 2월 다시 석방되었다. 전계대원군의 묘비문과 신도비문에 의하면 1822년 2월의 어느 시점에 순조는 임오년을 다시 맞이했다는 이유로 그를 풀어주었는데, 그해 음력 윤 3월 그는 그때에 비로소 그는 성인식인 관례를 올렸다 한다. 이후 이름을 개명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가 이름을 쾌득에서 해동으로 바꾼 시점, 해동에서 다시 창강으로 바꾼 시점, 창강에서 광으로 이름을 바꾼 시점은 알려져있지 않다. 생애 후반[편집] 그러나 그는 알 수 없는 이유로 다시 수감되고 노비가 되었다. 1826년(순조 26) 그는 갑자기 노비가 되어 충청남도 온양으로 옮겨졌다.[6] 1826년 5월 2일 형조의 건의로 죄수들을 석방할 때 그도 석방되었다.[6] 1830년(순조 30) 순조의 특명으로 은언군의 자손들을 강화도에서 일시 방면, 도성에서 거주했고 서자 철종은 1831년 한성 경행방 향교동 사제에서 출생할 수 있었다. 왕족으로서의 예우와 작호, 관직 등은 받지 못했으나 만년에는 첩도 두는 등 어느정도 여유있는 생활을 하게 되었다. 1836년 한때 경기도 여주로 내려가서 생활하였으나, 어느 시점에 다시 한성부 경행방 사저로 되돌아왔다. 1841년(헌종 7) 12월 14일(음력 11월 2일) 한성부 경행방 향교동 사저에서 원인모를 병에 걸려 향년 57세로 사망하였다. 1844년(헌종 10) 8월 몰락한 노론가문 출신인 민진용(閔晉鏞)이 중인 이원덕(李遠德), 이종락(李鍾樂) 등과 모의, 이광의 장남 이원경(李元慶)을 왕위에 추대하려는 모반을 꾀하다 사전에 발각되어 능지처참당하는 일이 벌어졌다. 생전에 그와 가깝게 지냈던 이원덕과 이원덕의 또다른 지인으로 노론 정승 민응수(閔應洙)의 4대손이지만 몰락한 민진용 등은 불만세력을 규합했고, 그의 아들 원경을 택군 대상으로 내정해두었다. 이해 원경(元慶)도 역시 사사되고 그의 남은 가솔들은 다시 강화도로 유배되었다. 죽은 지 8년만에 첩이었던 염씨에게서 얻은 아들 원범이, 순원왕후에 의해 순조의 양자로 지명되어 왕으로 즉위하게 된다. 사후[편집] 가까운 왕족이 사망했을 때 하사되는 예장 등에 대한 기록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시신은 경기도 양주군 신혈면 진관리(현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은언군의 묘 아래인 해좌원에 예장하였다가 다시 강화군으로 이장되었으며, 선원보략에 의하면 이후 또다시 여주(廳州)로 이장되었다고 한다. 후에 다시 1856년(철종 7년) 3월 26일 경기도 포천군 주내면 선단리(현, 포천시 선단동) 산11-13번지 해룡산 임좌에 이장하였다. 이때 본부인 완양부대부인의 묘소도 이장하여 합장하였고, 새로 이장된 묘소 동쪽 100m 지점에는 장남 이원경의 묘소도 이장되어 왔다. 현재 묘역과 신도비는 1986년 4월 이후 포천시 향토유적 제1호로 지정보호되고 있다. 1849년 헌종이 후사없이 승하하자, 그의 셋째 아들 원범이 순원왕후에 의해 낙점되어 순조의 양자 자격으로 철종으로 등극하였다. 이때 그는 작위가 없어서 1849년 6월 17일 먼저 의정부좌의정 김도희(金道喜) 등의 건의로 상계군, 풍계군의 계자 돌림을 고려하고, 충청남도 전의의 지역명에서 따서 전계군(全溪君)에 피봉되었다가, 축호와 사식을 송나라 복황(濮皇)과 수왕(秀王) 및 본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정원대원군(定遠大院君)의 전례에 따라 다시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으로 추봉하고, 묘(墓)도 다시 정비하고, 묘 앞에 신도비를 세우게 하고, 가묘(家廟, 전계궁)를 중건하여 신주는 불천지위로 정하고 영평군과 그 후손으로 봉사[7]하게 하였다. 한편 숙종 때의 왕족 중에도 같은 작호인 전계군(全溪君)의 작위를 받은 이박(李溥)이라는 왕족이 있었다. 처음 그의 장인과 처조, 처증조부를 증 영의정, 증 좌찬성, 증 판서로 각각 추증하는 일을 놓고도 이름있던 가문인 그의 본처 전주최씨의 친정만 증직하자는 논의가 나왔다가, 생가도 추증해야 한다는 반론이 나와 첩 용성염씨의 친정 3대도 증직이 내려졌다. 묘소[편집] 묘소는 포천시 선단동에 있으며, 본부인인 완양부대부인 전주최씨와 합장하였고, 묘소 옆에는 부실이자 철종의 생모인 용성부대부인의 묘소, 회평군 묘, 영평군 묘가 인근에 소재해 있다. 1986년 4월 9일 포천시의 향토유적 제1호 《전계대원군 묘 및 신도비》로 지정되었다. 가족 관계[편집] 조부 : 사도세자 부 : 은언군(恩彦君, 1754년 5월 29일 ~ 1801년 6월 13일) 적모 : 상산군부인 송씨(常山郡夫人 宋氏, , 1753년 10월 15일 - 1801년 3월 17일), 진천인(鎭川人) 참봉 송낙휴(宋樂休)의 딸. 이복 형 : 상계군 담(常溪君 湛, 1769년 ~ 1786년 11월 20일) 이복 형 : 이창순(李昌順) 이복 형 : 이창덕(李昌德) 이복 형 : 풍계군 당(豐溪君 瑭, 1783년 2월 1일 - 1826년 5월 8일), 숙부(淑父) 은전군 이찬(恩全君 李禶, 1759년 - 1778년)에게 출계. 이복 여동생 혹은 이복 누나 : 이씨(? ~ 1872년), 참봉(參奉) 한각신(韓覺新)에게 출가. 이복 외조카 : 한응국 이복 외조카 : 한응필 서모 : 이름 미상(? - 1821년 12월 16일[8]) 이복 서형 : 이성득(李成得, 1775년 ~ 1817년 11월 27일[9]) 이복 서형 또는 친 형 : 이철득(李鐵得, 1780년 ~ ?, 1801년 5월, 초 아버지 은언군과 함께 강화도를 탈출, 도주하려다 실패했다.) 생모 : 전산군부인 이씨(全山郡夫人 李氏, 1764년 12월 19일 - 1819년 6월 4일), 전주인(全州人) 이덕희(李德喜)의 딸. 친 형 : 어려서 요절 정실 : 완양부대부인 최씨(完陽府大夫人 崔氏, 1804년 2월 19일 - 1840년 2월 19일), 학생 증 의정부영의정 최수창의 딸, 좌참찬 유경의 후손. 장남(적자) : 회평군 명(懷平君 明, 다른 이름은 원경(元慶), 1827년 9월 11일 - 1844년 9월 6일) 측실 : 용성부대부인 염씨(龍城府大夫人 廉氏, 1793년 7월 20일 - 1834년, 아들 원범이 철종이 되면서 부대부인으로 추증되었다.), 영의정에 추증된 염성화(成化)의 딸. 다른 칭호는 영원부대부인(鈴元府大夫人) 서자 : 덕완군 변(德完君 昪, 1831년 - 1863년) - 철종(哲宗) 측실 : 이씨(李氏) 2남(서자) : 영평군 경응(永平君 景應, 1828년 7월 20일 ~ 1902년 2월 1일/1901년 음력 12월 23일) 서며느리 : 정경부인 평산신씨(1832년 7월 22일 - 1857년 5월 8일), 신재준(申在準)의 딸 서며느리 : 정경부인 청도김씨(貞敬夫人 淸道金氏, 1839년 3월 23일 - 1921년), 김재협(金在協)의 딸 서손녀 : 숙부인 이씨(淑夫人 李氏), 창원인 군수(郡守) 황연수(黃演秀)에게 출가. 양 손자 : 청안군 이재순(淸安君 李載純, 1851년 - 1904년), 선조의 9남 경창군(慶昌君)의 9대손 이휘응(李徽應)의 아들. 기타[편집] 조선말의 성리학자 화서 이항로(李恒老)의 본명은 이광로(李光老)였다. 그러나 최익현에 의하면, 철종의 생부 전계대원군의 휘(諱) 광(㼅)자와, 이항로의 본명인 광로(光老)의 광자가 음이 서로 같다는 이유로, 이름을 광로에서 항로로 고쳐야 했다.[10] 각주[편집] ↑ 전산군부인 묘비명, 경기도 김포시 통진읍 마송리 산 13-48 소재 ↑ 뒤에 그의 작위인 전계군과 대원군직은 철종 즉위후 추가로 추증된 것이다. ↑ 승정원일기 1898권 1805년(순조 5년, 청 가경 10년) 8월 29일 기유 19번째 기사 ↑ 강화경찰서 왼쪽 담옆 길을 따라 70m 정도 서쪽으로 들어가면 오른편으로 보이는 기와집으로 강화도령 철종(1831-1864)이 왕위에 오르기 전 19세 까지 살던 곳(잠저)이다. ↑ 가 나 강화도령 철종의 잠저 용흥궁 ↑ 가 나 승정원일기 2203권 (탈초본 112책) 1826년(순조 26년, 청 도광 6년) 5월 2일 계미 22번째 기사 ↑ 제사를 받듦 ↑ 승정원일기 2148권 1821년(순조 21년, 청 도광 1년) 12월 17일 계사 27번째 기사 ↑ 순조실록 20권, 17년(1817 정축 / 청 가경(嘉慶) 22년) 11월 27일(병인) 1번째기사, 의금부에서 강화 죄인 성득이 물고되었으니, 금부 도사를 보내 검험하라고 하다 ↑ 화서 이항로 신도비명, 면암 최익현 지음 관련 항목[편집] 철종 익종 순조 강화도 은언군 영평군 회평군 상계군 풍계군 민진용 송낙휴 은신군 은전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전계대원군&oldid=24215669" 분류: 1785년 태어남1841년 죽음조선 사람농업인조선의 왕족대원군연좌제대한제국의 황족유교 신자자유 연애전주 이씨병사한 사람운현궁경기도 출신인천광역시 출신조선 철종포천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Simple Englishไทย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3일 (월) 18:5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1785년 4월 29일(음력 3월 21일) ~ 1841년 12월 14일(음력 11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농민이며, 철종의 생부이다. 장조의 서자인 은언군의 서자였다. 이복 형 상계군과 아버지 은언군에 연루되어 강화도로 추방되어 빈농으로 생애를 마쳤으며, 한때 노비로 전락하기도 했다. 1820년과 1822년, 1826년 일시 석방되고 1830년 석방되어 도성에서 살 수 있었다. 은언군의 서자라 평생 품계와 작위가 내려지지 않았다. 철종 즉위 후 순원왕후의 명으로 은언군, 상계군 관련 일성록, 승정원일기, 조선왕조실록 등을 대량으로 세초, 인멸해버렸기 때문에 그의 젊은 시절의 행적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홍국영이 상계군을 세자로 삼으려던 일로 이복 형 상계군이 역적으로 몰리면서 연좌되어 강화도로 가게 되었다. 천극죄인 신분으로 거주지에 가시울타리가 쳐지고 계속 감시당했으며, 이후 강화도에서 빈농으로 생활하였다. 이복 형 이성득이 고문치사한 일을 계기로 순조는 1822년 은언군의 자녀들을 일시적으로 석방하였고, 이때 성인식인 관례를 올렸다. 그러나 다시 강화도로 끌려갔고 1826년 노비 신분으로 격하되어 충청도 온양에 정속되었다가 그해 임시 석방되었다. 1830년 최종 석방되면서 한성부로 와서 생활하다 이유를 알 수 없는 병에 걸려 사망하였다. 소실 중 한명인 염씨에게서 얻은 셋째 서자 원범이 1849년 순조의 양자 자격으로 왕위에 오르면서 군호를 의망하여 전계군(全溪君)의 작호가 내려졌다가, 다시 대원군으로 추봉되어 전계대원군이 되었다. 경기도 강화군 출신으로 본관은 전주, 휘는 이광(李㼅), 자는 창강(昌康), 초명은 이쾌득(李快得), 이해동(李海東)이다. 강화군 출신.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전계대원군의 묘는 어디에 있을까? Assistant: 포천시 선단동) 산11-13번지 Human: 아래 금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금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금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터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터부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타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불교 용어인 타부(他部)에 대해서는 변행인#변행수면·비변행수면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현재 이 문서는 주로 대한민국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다른 국가·지역에 대한 내용을 보충하여 문서의 균형을 맞추어 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8년 1월) 금기(禁忌) 또는 터부(taboo)는 사회적인 관습이나 미신적인 관념에 의거하여 특정 행위를 엄격히 금하는 것이다. 미신적 금기로는 민간신앙에 의해 신성하거나 더러운 것에 접촉하지 않게 하는 금기가 있고, 개인이나 사회에게 해를 끼친다는 인식 하에 터부시되는 것도 있다. 목차 1 한국에서 1.1 이사 1.2 결혼 1.3 상례(喪禮) 1.4 임신·출산 1.5 발제 2 참고 자료 한국에서[편집] 정진결재(精進潔霽), 재계목욕(齋戒沐浴) 등이 금기의 중심인데 죄를 씻고 심신을 깨끗한 상태로 보존하려는 것이며 기휘하고 근신하는 생활상태이다. 부정(不淨)이나 더러운 것에 접하지 않고 가까이 하지 않으려고 마음을 쓰며 나쁜 결과가 되지 않도록 행동을 제약하는 금제적(禁制的) 요소가 금기에 있다. 단군신화에 나오는 마늘과 쑥을 먹고 햇빛을 백일 동안 보지 말라는 것은 하나의 금기이고, 동예(東濊)에서는 질병자나 사망자가 있으면 바로 옛 집을 버리고 새 집으로 옮겨야 했다. 또한 산천의 어떤 지역에는 들어가지 못했고 동성끼리의 결혼은 금지되는 등 많은 기휘(忌諱)가 있었다. 신라에서는 유부녀는 두 남자를 섬기지 못했다. 고려조에서는 공적이거나 사적이거나 제(祭)를 올릴 때에는 도살(屠殺)과 육선(肉膳)이 금지되었고 제물에 암컷을 사용하지 못했다. 조선조는 칠살기일(七殺忌日)에 군대를 동원하지 않는다고 한다. 구기(拘忌)를 지키는 일도 하나의 액땜이고 금기 행위이며, 모든 일을 삼감으로써 화를 면하자는 것이다. 이사[편집] 민간신앙이 두터운 사람들은 아직도 이사하거나 집을 사는 날을 정하고 행동한다. 여러 가지로 꺼리는 날이 정해져 있어서 신일(愼日)로서 지켜진다. 새로운 집에 들어가는 날은 갑자·을축·경자·계축·경인·무진·계사·경오·계유의 날짜들이 좋고 낡은 집에 이사하는 날도 별도로 정해져 있어서 함부로 이사하지 않는다. 산제(山祭)·지신제(地神祭)의 제사 날짜도 정해져 있다. 그 외의 날에 제를 올리면 다른 귀신들이 요동하기 때문에 화를 입게 된다고 한다. 결혼[편집] 남녀의 결혼에도 궁합을 보는 외에 결혼하는 날짜가 정해져 있다. 혼례에 대한 금기 몇 가지를 들면 다음과 같다. 즉, 음력 6월에 결혼하지 않는다. 혼례 날에 신랑이 나가는데 상주가 보면 부정을 탄다. 혼례날에 신랑이 들어오는데 길을 가로지르면 안 된다. 상제는 혼례에 참가하지 않는다. 혼례날 신랑·신부가 눈물을 흘리면 재앙을 몰고 온다. 신부상에 복중인 여인이 참여하지 않는다는 등등의 금기가 있다. 상례(喪禮)[편집] 오늘날 초상중에 있는 집에 기중(忌中)이란 종이가 붙어 있다. 이것은 "이 집에 죽음의 부정이 있으니 함부로 출입하여 부정에 접하지 않도록 주의하여 달라"는 뜻으로서 상가의 무단 출입을 금기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관이 발인(發靷)되면 고인이 있던 방의 물건이나 생전에 쓰던 물건을 뜰에서 불로 태워 버린다. 또 상가에 다녀온 사람이 자기 집 대문에 들어서기 전에 부인을 불러 소금을 뿌리게 한 다음 대문 안에 들어서기도 하였다. 오늘날 거의 없어졌으나 종래에는 상을 입은 사람은 3년 동안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였는데 이는 부정을 다른 사람에게 전파하지 않기 위함이었으며 이러한 습관이 잔존하여 상자(喪者)에게는 직장으로부터 휴가가 제공되었다. 초상에 대한 금기를 몇 가지 예를 들어 보면, 별세한 바로 뒤에 아궁이를 잘 막아야 한다. 고양이가 들어가면 관이 일어선다. 외출하다 별세한 시체를 집안에 들여 놓지 않는다. 삼년상이 끝날 때까지 머리에 빗질하지 않는다. 출구(出柩)할 때에 관을 문이나 문지방에 부딪치지 않아야 한다. 상가는 장례를 마칠 때까지 비질하지 않는다. 어린아이들이 시체를 보아서는 안 된다. 임신부는 시체를 보지 말아야 한다. 관 위에 칼을 넘기면 시체가 살아난다. 혼례를 치른 집에서 같은 해에 장례를 치르지 않는다는 등이다. 임신·출산[편집] 임신부와 산후(産後)에 대한 금기도 있다. 임신부는 시체를 보지 않는다. 새끼줄을 넘지 않는다. 살생하는 것을 보아서는 안 된다. 집을 수선하거나 개축하지 않는다. 산후 7일 동안 돼지고기를 먹지 않는다. 미역국을 뜯어서 먹어서는 안 된다. 부정한 사람은 산실(産室)에 들어가지 못하는 것 등이다. 발제[편집] 발제(拔除)는 금기를 어겼을 때 어긴 자가 파기(破忌)로부터 오는 어떤 재앙을 면하고자 행하는 행위이다. 이에는 무당을 불러다 살풀이를 하는 경우가 있고, 자신이 스스로 목욕재계하는 경우가 있다. 살풀이는 제물을 바치고 신령에게 속죄하여 용서를 비는 것이고, 후자에서는 물로 몸과 마음을 씻고 금기에서 오는 모든 부정을 떨어 버리자는 것이다. 그 방법에도 여러가지가 있는데 한국의 역대 왕은 자기 잘못을 깨닫고 온정을 국민에게 베풀었다 금기시하는 인간의 발을 결코 발견하지 못한다. 참고 자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거 통제 LCCN: sh85131822 GND: 4058861-0 SUDOC: 02782084X BNF: cb13319099c (데이터) NDL: 00572489 BNE: XX52640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금기&oldid=20935191" 분류: 문화인류학프로이트 심리학숨은 분류: 일부 지역만을 다루는 글/2018년 1월일부 지역만을 다루는 모든 글전체에 세계화가 필요한 글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བོད་ཡིགCatalàᏣᎳᎩČeštinaCymraeg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Frysk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KurdîКыргызчаLëtzebuergesch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3월 16일 (금) 19: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금기(禁忌) 또는 터부(taboo)는 사회적인 관습이나 미신적인 관념에 의거하여 특정 행위를 엄격히 금하는 것이다. 미신적 금기로는 민간신앙에 의해 신성하거나 더러운 것에 접촉하지 않게 하는 금기가 있고, 개인이나 사회에게 해를 끼친다는 인식 하에 터부시되는 것도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한국에서의 상례 중 금지된 것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Assistant: 오늘날 초상중에 있는 집에 기중(忌中)이란 종이가 붙어 있다. 이것은 "이 집에 죽음의 부정이 있으니 함부로 출입하여 부정에 접하지 않도록 주의하여 달라"는 뜻으로서 상가의 무단 출입을 금기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관이 발인(發靷)되면 고인이 있던 방의 물건이나 생전에 쓰던 물건을 뜰에서 불로 태워 버린다. 또 상가에 다녀온 사람이 자기 집 대문에 들어서기 전에 부인을 불러 소금을 뿌리게 한 다음 대문 안에 들어서기도 하였다. 오늘날 거의 없어졌으나 종래에는 상을 입은 사람은 3년 동안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였는데 이는 부정을 다른 사람에게 전파하지 않기 위함이었으며 이러한 습관이 잔존하여 상자(喪者)에게는 직장으로부터 휴가가 제공되었다. 초상에 대한 금기를 몇 가지 예를 들어 보면, 별세한 바로 뒤에 아궁이를 잘 막아야 한다. 고양이가 들어가면 관이 일어선다. 외출하다 별세한 시체를 집안에 들여 놓지 않는다. 삼년상이 끝날 때까지 머리에 빗질하지 않는다. 출구(出柩)할 때에 관을 문이나 문지방에 부딪치지 않아야 한다. 상가는 장례를 마칠 때까지 비질하지 않는다. 어린아이들이 시체를 보아서는 안 된다. 임신부는 시체를 보지 말아야 한다. 관 위에 칼을 넘기면 시체가 살아난다. 혼례를 치른 집에서 같은 해에 장례를 치르지 않는다는 등이다.
Human: 아래 윤수현_(1988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윤수현 (1988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윤수현 (1988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윤수현 기본 정보본명 윤지연출생 1988년 12월 24일(1988-12-24) (30세)서울특별시국적 대한민국직업 가수장르 트로트활동 시기 2014년 ~ 현재 학력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보건학과레이블 NHN벅스소속사 iw엔터테인먼트웹사이트 윤수현 - 인스타그램 윤수현(본명: 윤지연[1], 1988년 12월 24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목차 1 학력 2 음반 3 수상 4 방송 5 각주 6 외부 링크 학력[편집] 차의과학대학교 보건학과 음반[편집] 발매 제목 비고 2013년 8월 1일 디스코 윤수현 정규 2014년 3월 5일 1집 윤수현 정규 1집 정규 2014년 6월 9일 박현빈, 윤수현 `Bring It On` 한판붙자 싱글 2015년 4월 14일 광복 70주년 기념음반 정규 2016년 5월 26일 윤수현 중국 Original Album(YOONSOOHYUN 尹秀贤 中国 Original Album) 정규 2016년 7월 26일 윤수현 스페셜 앨범 `꽃길` 정규 2016년 8월 9일 사치기 사치기 싱글 수상[편집] 2007년 MBC 대학생 트로트 가요제 대상 2016년 MBC 가요베스트 대제전 신인상 2017년 제15회 대한민국 전통가요대상 인기상 방송[편집] 2019년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레 아를 낳아도! 내아공주 (참가자) 각주[편집] ↑ [| 대학생트로트가요제 참가자명단] 외부 링크[편집] 윤수현 - 인스타그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윤수현_(1988년)&oldid=24452650" 분류: 1988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차의과학대학교 동문2007년 데뷔서울특별시 출신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파평 윤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19일 (수) 23: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윤수현(본명: 윤지연, 1988년 12월 24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윤수현의 음반에서 2016년 8월 9일에 발매한 앨범의 이름은 무엇인가? Assistant: 사치기 사치기 Human: 아래 2014년_카리브컵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14년 카리브컵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4년 카리브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4년카리브컵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4년 카리브컵2014 Caribbean Cup대회 개요개최국 자메이카개최 기간 11월 11일 ~ 11월 18일참가국 8개국경기장 1개 (1개 도시) 최종 순위● 우승국 자메이카 (6번째 우승)● 준우승국 트리니다드 토바고● 3위 아이티● 4위 쿠바통계총 경기수 14경기이전 대회 / 다음 대회 ← 2012 2017 → v • d • e • h 2014년 카리브컵(2014 Caribbean Cup)은 카리브 축구 연맹에서 주최한 18번째 카리브컵 대회로 2014년 11월 11일부터 11월 18일까지 자메이카에서 개최되었다. 이 대회는 2015년 CONCACAF 골드컵의 카리브 제도 예선을 겸한다. 우승 팀부터 4위 팀까지는 CONCACAF 골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5위를 한 팀은 2014년 코파 센트로아메리카나 5위 팀과 플레이오프를 치러 CONCACAF 골드컵에 진출한다. 또한 대회 우승팀에게는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의 출전 자격이 주어진다. 목차 1 예선 2 조별 리그 2.1 A조 2.2 B조 2.3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3 결선 라운드 3.1 3·4위전 3.2 결승전 4 우승 예선[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4년 카리브컵 예선입니다. 다음 8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자메이카 쿠바 트리니다드 토바고 앤티가 바부다 아이티 프랑스령 기아나 마르티니크 퀴라소 조별 리그[편집] 범례     결승전 진출팀     3,4위전 진출팀     대회 5위로 CONCACAF 골드컵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팀     조별 예선 탈락팀 A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트리니다드 토바고 3 2 1 0 7 4 +3 7 쿠바 3 1 2 0 4 3 +1 5 프랑스령 기아나 3 1 1 1 7 6 +1 4 퀴라소 3 0 0 3 5 10 -5 0 2014년 11월 11일 17:30 퀴라소 2 : 3 트리니다드 토바고 몬테고베이 2014년 11월 11일 20:00 쿠바 1 : 1 프랑스령 기아나 몬테고베이 2014년 11월 13일 17:30 트리니다드 토바고 4 : 2 프랑스령 기아나 몬테고베이 2014년 11월 13일 20:00 퀴라소 2 : 3 쿠바 몬테고베이 2014년 11월 15일 17:30 프랑스령 기아나 4 : 1 퀴라소 몬테고베이 2014년 11월 15일 20:00 쿠바 0 : 0 트리니다드 토바고 몬테고베이 B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자메이카 3 2 1 0 6 1 +5 7 아이티 3 1 1 1 5 4 +1 4 마르티니크 3 1 1 1 3 4 -1 4 앤티가 바부다 3 0 1 2 2 7 -5 1 2014년 11월 12일 17:30 아이티 2 : 2 앤티가 바부다 몬테고베이 2014년 11월 12일 20:00 자메이카 1 : 1 마르티니크 몬테고베이 2014년 11월 14일 17:30 마르티니크 0 : 3 아이티 몬테고베이 2014년 11월 14일 20:00 자메이카 3 : 0 앤티가 바부다 몬테고베이 2014년 11월 16일 17:30 앤티가 바부다 0 : 2 마르티니크 몬테고베이 2014년 11월 16일 20:00 자메이카 2 : 0 아이티 몬테고베이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편집] 조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A 프랑스령 기아나 3 1 1 1 7 6 +1 4 B 마르티니크 3 1 1 1 3 4 -1 4 결선 라운드[편집] 3·4위전[편집] 2014년 11월 18일 17:00 쿠바 1 : 2 아이티 몬테고베이 결승전[편집] 2014년 11월 18일 20:00 트리니다드 토바고 0 : 0 (연장) 자메이카 몬테고베이     승부차기   3 : 4   우승[편집] 2014년 카리브컵 자메이카6번째 우승 vdeh카리브컵본선 바베이도스 1989년 트리니다드 토바고 1990년 자메이카 1991년 트리니다드 토바고 1992년 자메이카 1993년 트리니다드 토바고 1994년 케이맨 제도 / 자메이카 1995년 트리니다드 토바고 1996년 앤티가 바부다 / 세인트키츠 네비스 1997년 자메이카 / 트리니다드 토바고 1998년 트리니다드 토바고 1999년 트리니다드 토바고 2001년 바베이도스 2005년 트리니다드 토바고 2007년 자메이카 2008년 마르티니크 2010년 앤티가 바부다 2012년 자메이카 2014년 마르티니크 2017년 예선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1년 2005년 2007년 2008년 2010년 2012년 2014년 2017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4년_카리브컵&oldid=22825023" 분류: 카리브컵2014년 축구2014년 자메이카2015년 CONCACAF 골드컵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자메이카에서 개최된 축구 대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SuomiFrançaisMagyar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1일 (일) 10: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14년 카리브컵(2014 Caribbean Cup)은 카리브 축구 연맹에서 주최한 18번째 카리브컵 대회로 2014년 11월 11일부터 11월 18일까지 자메이카에서 개최되었다. 이 대회는 2015년 CONCACAF 골드컵의 카리브 제도 예선을 겸한다. 우승 팀부터 4위 팀까지는 CONCACAF 골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5위를 한 팀은 2014년 코파 센트로아메리카나 5위 팀과 플레이오프를 치러 CONCACAF 골드컵에 진출한다. 또한 대회 우승팀에게는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의 출전 자격이 주어진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4년 카리브컵 A조 경기에서 트리니다드 토바고 팀이 획득한 승점은 몇 점일까요? Assistant: 7
Human: 아래 초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초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초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불교의 초선(初禪)에 대해서는 지 (불교)#이생희락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초선 초선(貂蟬, 175년~199년(소설상 나이))은 서시, 왕소군, 양귀비와 함께 중국의 4대 미인 가운데 한 사람이다. 《삼국지연의》에서 왕윤의 수양딸로 등장해 동탁과 여포 사이를 이간질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는 여포가 동탁의 이름 없는 시녀와 염문을 가졌다는 정사의 기록과 왕윤이 여포를 부추겨 동탁을 죽이게 했다는 사실을 연의에서 각색한 것이다. 목차 1 《삼국지》에서 초선의 모델 2 초선이라는 명칭 3 초선의 무덤 4 《삼국지연의》 이전의 초선 5 《삼국지연의》의 초선 5.1 충의지사 5.2 남편의 대사를 그르치는 여인 6 다른 작품의 초선 7 역사 속의 초선 8 각주 《삼국지》에서 초선의 모델[편집] 초선은 비록 삼국지 상에서는 가공의 인물이지만 이에 해당되는 실존인물은 있었다. 정사 후한서 여포전에 의하면 여포는 동탁의 시녀와 밀통을 하고 있는데 계속 밀통하다가 동탁이 이를 알자 여포에게 수극을 던지며 둘의 연애를 반대했다고 나온다. 이를 이용하여 왕윤이 여포를 적극적으로 설득하여 결국 동탁을 죽이도록 만든다. 정사 후한서 여포전에 의하면 여포와 밀애를 한 이 동탁의 시녀는 이름이 알려진 바 없으며 왕윤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다만 나관중은 이 사실에 대해 삼국지연의를 집필할 때 동탁의 시녀 대신 왕윤의 양녀라는 설정으로 변경하고 초선이라는 이름을 부여했다. 초선이라는 명칭[편집] 초선관 초선은 비록 삼국지 상에서는 가공의 인물이지만 이에 해당되는 실존인물은 있었다. 정사 후한서 여포전에 의하면 궁중에서는 초선관[1]이라는 관(冠)을 관리하는 시녀가 있었는데 이 시녀의 관직 이름이 초선이였다. 여포는 동탁의 초선관을 관리하는 초선과 밀통을 하고 있는데 계속 밀통하다가 동탁이 이를 알자 여포에게 수극을 던지며 둘의 연애를 반대했다고 나온다. 이를 이용하여 왕윤이 여포를 적극적으로 설득하여 결국 동탁을 죽이도록 만든다. 정사 후한서 여포전에 의하면 여포와 밀애를 한 이 동탁의 시녀는 직책이 초선이였으며 이름이 알려진 바 없으며 왕윤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다만 나관중은 이 사실에 대해 삼국지연의를 집필할 때 동탁의 시녀 대신 왕윤의 양녀라는 설정으로 변경하고 초선이라는 관직 이름을 이 양녀의 개인 이름으로 고쳐서 묘사했다. 초선의 무덤[편집] 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지금 바로 이 문단을 편집하여, 참고하신 문헌이나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각주 등으로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4년 3월 28일에 문단의 출처가 요청되었습니다.) 2000년 6월 서천(西川)기자역 근처에서 한나라 시대의 무덤이 발굴되었는데 그안에 사람의 다리뼈와 머리카락 외에 '여인은 초선의 장녀로 어미를 따라 촉으로 들어갔다 라는 글과 `초선은 왕윤의 가기(노래와 연주를 하는 종)로 염제를따라 촉으로 들어왔다' 라는 글이 새겨진 묘비가 발굴되었고 고고학자들은 이 무덤이 초선의 것인지 아직 밝혀내지 못하고 있지만 묘비에 새겨진 글을 통해 사람들은 이 무덤의 주인공은 초선이며 그녀가 실제로 존재한다고 믿고 있다. 《삼국지연의》 이전의 초선[편집] 초선은 《삼국지연의》에 처음 등장하는 인물이 아니며, 그 이전에도 다른 작품에서 등장하였다. 원나라 때의 잡극인 《연환계》에서 초선은 흔주 목이촌 임앙의 딸인 임홍창(林紅昌)으로 영제 때 궁녀로 선발되었다가 정건양(丁建陽 = 정원.)에게 하사되었다고 나온다. 그때 여포를 만나 그 아내가 되었고, 황건적의 난이 일어나 헤어졌다가 나중에 왕윤으로 말미암아 여포와 재회한다. 또한 이 잡극에서는 초선의 뜻을 “담비의 꼬리와 매미의 날개”라고 풀고 있다. 원나라 때의 소설인 《삼국지평화》에서 초선은 본래 임씨이고, 어릴 때의 이름이 초선이며, 남편은 여포라고 하였다. 임조부에 있을 때부터 여포와 떨어지게 되었다고 나온다. 이 소설에서는 왕윤이 동탁을 청해 초선을 바치겠다고 한 뒤 여포를 초대하여 부부를 만나게 하여 갈등을 일으킨다. 대체로 《삼국지연의》 이전의 작품에서는 초선은 동탁이나 왕윤을 만나기 이전부터 이미 여포의 아내였다는 설정이 주류를 이룬다. 《삼국지연의》의 초선[편집] 초선과 관련하여 《삼국지연의》에서는 다음과 같이 나온다. 사도(司徒) 왕윤(王允)의 가기이다. 일설에는 양녀라고도 한다. 동탁(童卓)이 폭정을 잡을 당시 왕윤은 조조(曹操)에게 칠성검(七星劍)을 주며 동탁 암살을 꾀했지만 실패를 하였고, 초선의 제의로, 또는 왕윤의 명으로 동탁과 여포(呂布)를 이간질시키는 연환계를 펼쳐 동탁을 죽인다. 이 《삼국지연의》에 나타나는 초선의 모습은 크게 두 모습인데, 하나는 대의명분을 위해 목숨까지 바치는 충의지사이며, 다른 하나는 남편의 앞길을 가로막는 여인(또는 여자의 치마폭에 싸여 대사를 그르치는 남편의 아내)라는 모습이다. 삼국지 연의에서 초선은 여포와 정을 통한 동탁의 개인 시녀를 기본 베이스로 만들어진 인물로 나관중은 이 여인에게 초선이라는 이름을 부여한 후 동탁의 시녀가 아닌 왕윤의 양녀로 묘사했다. 충의지사[편집] 충의지사인 초선의 모습에는 유약한 여인이 모습과 마음이 강직한 지사의 모습을 함께 가지고 있다. 왕윤이 동탁을 제거하지 못해 애를 태울 때 “소용이 된다면 만 번 죽어도 사양하지 않겠다”라는 요지의 말을 한다. 왕윤이 초선의 말에 답하자 초선은 다시 말하기를 “어찌 대감의 일을 위해 죽음을 두려워 하겠느냐?”라는 요지의 말을 한다. 동탁이 죽은 뒤 여포가 미오성을 공격하고 초선을 찾기에 혈안이 되었다는 이야기로 《삼국지연의》에서 이유가 여포에게 작은 칼을 던져 죽이려 했으나, 결국 초선이 죽었다고 한다. 남편의 대사를 그르치는 여인[편집] 초선은 남편의 대사를 그르치는 여인으로 등장하는데, 이에 대해 초선보다는 여포가 여자의 치마폭에 싸여 대사를 그르치는 사람임을 나타내는 문학적 장치라고 해석하는 사람이 많다. 한편으로는 초선이 실존 인물이 아니기에 서로 상반된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보기도 한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초선은 철저히 연약하고 이기적인 여자로서 그려진다. 이 때문에 일부 삼국지의 저자들은 이 부분의 초선이 여포가 동탁을 죽일 무렵에 등장한 초선과 별개의 인물이며 '가짜 초선'이라고 묘사하기까지도 한다.[2] 여포가 조조의 공격을 받고 성에 고립되었을 때 성을 사수할 것을 고집하자, 진궁이 나서서 고립되면 더욱 위험하니 성 밖에 나가서 지친 조조군을 공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일을 여포가 엄씨와 초선에게 말하자, 초선이 “우리를 버리고 함부로 군사를 일으키는 일이 없도록 해달라.”라고 애원한다. 다른 작품의 초선[편집] 초선은 가상 인물이기 때문에 여러 작품과 야사에서 새롭게 다루어지고 있다. 동탁이 죽은 직후, 곧바로 자살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 때문에 연의에서는 초선이라는 이름도, 외모도 똑같은 다른 여인을 여포의 부인으로 다시 나타나게 해야만 했다. 여포 사후, 비구니가 되었다가 이전에 본 관우에게 반하여 관우를 끝까지 모셨다는 얘기도 있다. 관우를 처음 봤을 때 서로 반했다. 고우영 삼국지에서는 여포를 최대한 좋지 않은 쪽으로 몰고 가기 위해 여포가 아닌 왕윤과 사랑하는 사이로 묘사되며 자결한 후 그 시체가 여포에 의해 강간당한 것으로 묘사했다. 관우의 연인이 되었지만 관우의 손에 죽었다고 하기도 한다. 역사 속의 초선[편집] 정사 《삼국지》에는 초선이라는 이름은 나오지 않고, 그저 동탁의 “시비”라고만 하고 있다. 원문 : 布與卓侍婢私通 해석 : 여포가 (동탁의) 시비와 사사로이 정을 통했다. 원래 초선이라는 이름 역시 각색된(나관중 또는 다른 사람에 의해) 것이고 그 본명을 아는 이는 아무도 없다.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초선 ↑ 이 모자는 삼공(승상, 태위, 사도), 대장군, 대사마, 왕, 공, 상국, 황제에 해당되는 관직을 가진 자만 머리에 쓸 수 있는 당상관 전용 관모로 담비의 꼬리와 매미의 날개로 만들었기 때문에 관리가 매우 까다로워서 해당 관직에 종사하는 관리는 이 관만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시녀를 두었다. ↑ 고우영의 삼국지에는 왕윤의 양녀와 얼굴과 이름이 같은 가짜 초선이라고 묘사된다. vdeh삼국지와 삼국지연의의 주요 등장인물군주한 영제 소제 헌제 위 조조 조비 조예 조방 조모 조환 촉 유비 유선 오 손견 손책 손권 손량 손휴 손호 진 사마염 기타 공손연 공손찬 도겸 동탁 마등 여포 원소 원술 유언 유장 유표 장각 장로 한수 참모 문관한 공융 교현 양표 왕윤 채옹 위 가후 곽가 곽회 동소 사마사 사마소 사마의 순욱 순유 양수 왕랑 왕숙 유엽 정욱 종요 종회 진군 화흠 촉 간옹 동윤 등지 마량 마속 미축 방통 법정 비의 손건 양의 유파 이적 장완 제갈량 진지 오 감택 고옹 노숙 반준 보즐 여범 우번 육손 장굉 장소 장제 제갈각 제갈근 주유 진 가충 순욱 장화 진수 기타 곽도 괴량 괴월 봉기 심배 이유 장송 저수 전풍 진궁 채모 허유 무장한 노식 동승 주준 하진 황보숭 위 가규 등애 방덕 만총 서황 손례 악진 우금 이전 장합 장료 전예 전위 조인 조진 조창 조홍 조휴 하후돈 하후연 학소 허저 촉 강유 관우 관평 마대 마초 엄안 오의 왕평 요화 위연 이엄 장비 장익 조운 주창 진도 하후패 황권 황충 오 감녕 능통 미방 반장 서성 육항 여몽 장흠 전종 정보 정봉 제갈정 주치 주태 주환 진무 태사자 하제 한당 황개 진 두예 문앙 문호 석포 양호 왕준 기타 고순 곽사 기령 맹달 문추 안량 양봉 이각 장임 제갈탄 화웅 여인한 당희 동태후 하태후 초선 헌목황후 위 견황후 곽귀인 양휘유 왕원희 장춘화 하후휘 촉 감부인 미부인 목황후 황월영 오 대교 소교 보연사 손노반 손부인 오부인 진 양염 양지 기타 채부인 채염 축융부인 비한족 가비능(선비) 구력거(오환) 답돈(오환) 동천왕(고구려) 맹획(남만) 어부라(흉노) 히미코(일본) 기타 관로 남화노선 사마휘 예형 우길 좌자 화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초선&oldid=22734525" 분류: 175년 태어남199년 죽음삼국지의 가공 인물가공의 중국 사람가공의 여자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4년 3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문단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BrezhonegDansk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ҚазақшаNederlandsNorsk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ไทยTiếng Việt吴语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9일 (화) 13:4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No good Wikipedia Search Result was found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초선은 삼국지연의에서 어떤 여자로 표현 될까? Assistant: 초선은 남편의 대사를 그르치는 여인으로 등장하는데, 이에 대해 초선보다는 여포가 여자의 치마폭에 싸여 대사를 그르치는 사람임을 나타내는 문학적 장치라고 해석하는 사람이 많다. 한편으로는 초선이 실존 인물이 아니기에 서로 상반된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보기도 한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초선은 철저히 연약하고 이기적인 여자로서 그려진다. 이 때문에 일부 삼국지의 저자들은 이 부분의 초선이 여포가 동탁을 죽일 무렵에 등장한 초선과 별개의 인물이며 '가짜 초선'이라고 묘사하기까지도 한다.[2] 여포가 조조의 공격을 받고 성에 고립되었을 때 성을 사수할 것을 고집하자, 진궁이 나서서 고립되면 더욱 위험하니 성 밖에 나가서 지친 조조군을 공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일을 여포가 엄씨와 초선에게 말하자, 초선이 “우리를 버리고 함부로 군사를 일으키는 일이 없도록 해달라.”라고 애원한다. Human: 아래 대한민국_과학기술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한민국 과학기술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과학기술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과학기술처科學技術處 설립일 1969년 3월 30일 전신 (없음) 해산일 1998년 2월 27일 후신 과학기술부 산하기관 원자력청 (69.03 ~ 73.01) 기상청 (90.12 ~ 98.02) 과학기술처(科學技術處)는 과학 기술 진흥을 위한 종합적 기본 정책의 수립·계획의 종합과 조정, 기술 협력과 기초 과학 기술 발전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었다. 1967년 3월 30일 발족하였으며 1998년 2월 27일 과학기술부로 개편되면서 폐지되었다. 기관장은 장관급 정무직 공무원으로 임명되었다. 목차 1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2 연혁 3 조직 3.1 외청 4 역대 장·차관 4.1 과학기술처 장관 4.2 과학기술처 차관 5 논란 5.1 명칭 및 지위 논란 6 각주 7 외부 링크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편집] 정부조직법 [법률 제1947호, 1967.03.30 일부개정] 제20조의2[1] 과학기술처직제 [대통령령 제2996호, 1967.04.12 제정] 제1조[2] 연혁[편집] 1967년 3월 30일 - 과학기술처를 신설. 중앙관상대를 교통부에서 옮김. 외청으로 원자력청을 설치. 1973년 1월 15일 - 원자력청을 폐지하고 외국으로 원자력국을 설치. 1982년 1월 1일 - 중앙관상대를 중앙기상대로 개편. 1990년 12월 27일 - 중앙기상대를 폐지하고 외청으로 기상청을 설치. 1998년 2월 27일 - 과학기술처를 폐지하고 과학기술부로 개편. 조직[편집] 감사관 ( 1981.07 ~ 98.02 ) 공보관 ( 1973.03 ~ 98.02 ) 과학기술심의실 ( 1981.07 ~ 85.08 ) 국립과학관 ( 1969.04 ~ 90.04 ) 국립중앙과학관 ( 1990.04 ~ 98.02 ) 국제협력국 ( 1968.12 ~ 73.02 ) 기술개발관 ( 1976.12 ~ 85.08 ) 기술개발국 ( 1991.04 ~ 94.12 ) 기술인력국 ( 1994.12 ~ 98.02 ) 기술정책국 ( 1995.11 ~ 98.02 ) 기술정책실 ( 1985.03 ~ 91.03 ) 기술진흥국 ( 1991.04 ~ 95.11 ) 기술협력국 ( 1973.02 ~ 85.08 ) 기획관리실 ( 1967.04 ~ 70.04 ) 대덕단지관리사무소 ( 1979.03 ~ 85.08 ) 대덕단지관리소 ( 1979.03 ~ 98.02 ) 비상계획관 ( 1970.04 ~ 98.02 ) 안전심사관 ( 1976.05 ~ 79.03 ) 연구개발조정실 ( 1985.08 ~ 98.02 ) 연구조정실 ( 1967.04 ~ 73.02 ) 원자력개발국 ( 1979.03 ~ 81.11 ) 원자력국 ( 1973.02 ~ 91.03 ) 원자력실 ( 1991.03 ~ 98.02 ) 원자력안전국 ( 1979.03 ~ 81.11 ) 인력계획관 ( 1976.12 ~ 83.11 ) 인력정책관 ( 1991.04 ~ 94.12 ) 정보산업기술국 ( 1983.11 ~ 85.08 ) 종합계획관 ( 1976.12 ~ 81.07 ) 종합기획실 ( 1973.02 ~ 76.12 ) 주재관 ( 1978.04 ~ 98.02 ) 중앙관상대 ( 1963.02 ~ 81.12 ) 중앙기상대 ( 1982.01 ~ 90.12 ) 중앙전자계산소 ( 1970.04 ~ 74.05 ) 진흥국 ( 1967.03 ~ 83.11 ) 총무과 ( 1967.04 ~ 98.02 ) 외청[편집] 기상청 역대 장·차관[편집] 과학기술처 장관[편집] 정부 대수 이름 임기 출신지 출신학교 비고 제 3 공화국 초대 김기형(金基衡) 1967년 4월 12일 ~ 1971년 6월 3일 경기 경성(현 서울) 서울대 경제과학심의위원회 상임위원&제9대 국회의원&한국과학기술원 이사장&한국표준과학연구원 이사장&한국과학기술진흥재단 이사장 2대 최형섭(崔亨燮) 1971년 6월 15일 ~ 1978년 12월 22일 경남 진주 일본 와세다대 한국과학기술원장 제 4 공화국 3대 최종완(崔鍾浣) 1978년 12월 23일 ~ 1979년 12월 13일 강원 명주(현 강원 강릉) 서울대 육사 교수&서울특별시 제2부시장&강원도지사&공업진흥청장&건설부 장관 4대 성좌경(成佐慶) 1979년 12월 14일 ~ 1980년 8월 31일 경기 양평 일본 도쿄공대 인하대 총장&원자력청장&한국화학연구원장&원자력연구소장 5대 이정오(李正五) 1980년 9월 1일 ~ 1985년 2월 18일 경북 의성 육사&서울대 한국과학기술원 교수&한국과학기술원장&과학기술연구소장&세종연구소 이사장 제 5 공화국 6대 김성진(金聖鎭) 1985년 2월 19일 ~ 1986년 1월 7일 경기 인천(현 경기와 분리) 육사 체신부 장관&한국과학재단 이사장&한국전산원장 7대 전학제(全學濟) 1986년 1월 8일 ~ 1986년 8월 26일 경기 경성(현 서울) 서울대 한국과학원 교수&국립과학관장&한국과학기술원장 8대 이태섭(李台燮) 1986년 8월 27일 ~ 1987년 7월 13일 경기 화성 서울대 정무 제1장관&제10·11·13·15대 국회의원&국회 상공위원회 위원장&한국원자력문화재단 이사장&한국원자력의학원 이사장 9대 박긍식(朴肯植) 1987년 7월 14일 ~ 1988년 2월 24일 평남 평양(현 평남과 분리) 서울대 과학기술처 원자력개발국장&한국과학문화연구원장&한국표준연구소장&한국동력자원연구소장 노태우 정부 10대 이관(李寬) 1988년 2월 25일 ~ 1988년 12월 4일 경기 인천(현 경기와 분리) 서울대 울산대 총장&한국원자력기술협회장 11대 이상희(李祥羲) 1988년 12월 5일 ~ 1990년 3월 18일 경북 청도 서울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장&제11·12·15·16대 국회의원&국회 정보통신과학기술위원회 위원장&국립과천과학관장&한국발명진흥회장 12대 정근모(鄭根謨)[3] 1990년 3월 19일 ~ 1990년 11월 9일 경기 경성(현 서울) 서울대 한국과학기술원 교수&한국과학재단 이사장&한국과학기술한림원장&한국전력기술주식회사 사장 13대 김진현(金鎭炫) 1990년 11월 10일 ~ 1993년 2월 25일 경기 안성 서울대 서울시립대 총장&강원대 교수&한국경제신문 회장&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이사장 문민 정부 14대 김시중(金始中) 1993년 2월 26일 ~ 1994년 12월 23일 충남 논산 서울대 고려대 교수&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장 15대 정근모(鄭根謨) 1994년 12월 24일 ~ 1996년 8월 7일 경기 경성(현 서울) 서울대 한국과학기술원 교수&한국과학재단 이사장&한국과학기술한림원장&한국전력기술주식회사 사장 16대 구본영(具本英) 1996년 8월 8일 ~ 1996년 12월 19일 경기 개성 서울대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교통부 차관&과학기술처 차관&주 OECD 대사&한국개발연구원 수석연구원 17대 김용진(金容鎭) 1996년 12월 20일 ~ 1997년 3월 5일 경북 상주 서울대 행정조정실장&관세청장&재무부 차관 18대 권숙일(權肅一) 1997년 3월 6일 ~ 1998년 2월 28일 경기 경성(현 서울) 서울대 서울대 교수&교육개혁위원회 위원&한국물리학회장&한국과학재단 위원장 과학기술처 차관[편집] 정부 대수 이름 임기 출신지 출신학교 비고 제 3 공화국 초대 이재철(李在澈) 1967년 4월 17일 ~ 1971년 6월 14일 경북 대구(현 경북과 분리) 서울대 인하대 총장&교통부 차관 2대 이창석(李昌錫) 1971년 6월 15일 ~ 1979년 3월 14일 평남 평양(현 평남과 분리) 평양사범학교 문교부 기획관리실장&교통부 차관 제 4 공화국 3대 이응선(李應善) 1979년 3월 15일 ~ 1982년 1월 4일 강원 홍천 서울대 경제기획원 국제협력국장·진흥국장·연구조정실장·기획관리실장&제13·15대 국회의원&한국산업인력공단 이사장 제 5 공화국 4대 김용한(金容瀚)[4] 1982년 1월 5일 ~ 1983년 10월 9일 전북 남원 서울대 경제기획원 예산실장 5대 조경목(趙庚穆) 1983년 10월 17일 ~ 1985년 7월 10일 경기 경성(현 서울) 서울대 과학기술처 원자력안전국장&제12·13대 국회의원 6대 권원기(權原基) 1985년 7월 11일 ~ 1988년 3월 4일 경북 봉화 연세대 한국기술교육대 총장&과학기술처 과학기술심의관·기획관리실장·과학기술심의실장&국립과학관장 노태우 정부 7대 신만교(辛萬敎) 1988년 3월 5일 ~ 1988년 12월 12일 충남 금산 서울대 과학기술처 정보산업국장·기획관리실장&국립과학관장 8대 최영환(崔永煥) 1988년 12월 13일 ~ 1990년 12월 27일 경북 대구(현 경북과 분리) 경북대 과학기술처 정보산업국장·진흥국장·기술정책실장 9대 서정욱(徐廷旭) 1990년 12월 28일 ~ 1992년 6월 29일 경기 경성(현 서울) 서울대 공사 교수&과학기술부 장관&국방과학연구소장&한국과학기술연구원장 10대 박진호(朴辰好) 1992년 6월 30일 ~ 1993년 3월 3일 경남 함안 국제대 과학기술처 기획관리실장 문민 정부 11대 한영성(韓榮成) 1993년 3월 4일 ~ 1994년 12월 25일 경남 사천 서울대 과학기술처 원자력실장&국립중앙과학관장&한국원자력연구소 고문&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이사장 12대 구본영(具本英) 1994년 12월 26일 ~ 1995년 12월 21일 경기 개성 서울대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교통부 차관&과학기술처 장관&주 OECD 대사&한국개발연구원 수석연구원 13대 임창열(林昌烈) 1995년 12월 26일 ~ 1996년 8월 12일 경기 경성(현 서울) 서울대 경기도지사&조달청장&해양수산부 차관&재정경제원 차관&통상산업부 장관&경제부총리 14대 이부식(李富植) 1996년 8월 13일 ~ 1998년 3월 8일 경기 경성(현 서울) 서울대 대통령비서실 건설교통비서관&해운항만청장&건설부 기획관리실장 논란[편집] 명칭 및 지위 논란[편집] 과학기술 부처 설치는 1967년 1월 11일 박정희 대통령이 문교부를 연두 순시 할 당시 과학기술 전담 행정기구 설치를 지시한 것으로 시작되었다. 이에 무임소 장관은 곧 경제기획원과 협력, 과학기술 행정기구 설치안을 만들기 시작했다. 무임소장관실의 자문 요청을 받은 경제기획원 기술관리국은 자체적인 논의를 거쳐 ‘(가칭) 과학기술원’ 기구(안)을 작성하였다. 하지만 경제기획원에서 이 기구를 원으로 설치하자고 주장하면서 논란이 일었다. 경제기획원에서는 과학기술 전담 행정기구를 ‘원(院)’으로 하자는 데는 특별한 이유가 있었는데 과학기술 행정은 상공부나 내무부와 같이 고유 집행업무가 없기 때문에 부로 하는 것은 적당하지 않고 원이나 ‘처(處)’로 해야 하는데, 국가적인 차원에서 과학기술을 진흥하자면 부총리 수준의 권위를 가져야 하기 때문에 ‘과학기술원’으로 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이에 경제기획원으로부터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기구(안)을 넘겨받은 무임소장관실에서는 추가로 과학기술계 중진학자들,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한 후 2월 8일 대통령에게 제출한다. 신설 과학기술 행정기구를 경제기획원 기술관리국 주축으로 조직, 경제기획원과 같이 (집행부서가 아닌) 참모와 계획부서의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며, 국무총리 직속으로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과학기술 행정기관들의 업무를 흡수한다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과학기술원 업무와 관련해 조건을 달았다. 각 부처의 반발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계부처 고유 업무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연구소·시험소만을 흡수하고, 원자력원은 청으로 격하해 과학기술원 장관 밑에 둔다는 내용이었다. 청와대는 기구(안)을 검토한 후 정부 행정조직과 기구 설치 주무부처인 총무처로 보낸다. 자료를 넘겨받은 총무처는 내부적인 조사, 외부 자문을 받으면서 과학기술원 설치안을 확정하는데, 확정안에는 ‘과학기술원’으로 돼 있던 기구 명칭이 ‘과학기술처’로 바뀌어 있었다. 개정법률안에서는 명칭 변경과 관련, “참모 조정 기능을 갖는 ‘원’과 ‘처’는 국무총리 직속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과학기술 종합 행정기구를 설치할 경우 국무총리 소속 기관으로 함이 적당하지만, 당시 정부의 기구 조정방침에 따라 ‘원’이란 명칭은 교육원, 연구원, 보건원 등에 적용하고 있고, ‘처’란 명칭은 참모조정기관에 적용하고 있어 과학기술원이 아닌 ‘과학기술처’가 타당하다”는 내용이었다. 사실 명칭 문제는 법률안을 작성하면서 가장 쟁점이 된 사항이었다. 경제기획원 기술관리국이나 과학기술계 인사 대부분은 ‘과학기술 진흥’을 힘있게 이끌고 가기 위해 부총리급의 과학기술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정부 내 반대가 너무 심했다. 당시 정부는 위헌 논란에도 불구하고 경제발전을 주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경제기획원 장관을 헌법에 명시되지 않은 부총리급으로 임명했는데, 과학기술 분야에 별도의 부총리를 둔다는 것은 또 다른 부처들과의 갈등을 불러올 위험성이 있었기 때문에 과학기술부도 검토되었지만 행정조정권이 없어 처로 조정되었다. 각주[편집] ↑ ①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종합적 기본정책의 수립·계획의 종합과 조정·기술협력과 기타 과학기술진흥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게 하기 위하여 국무총리소속하에 과학기술처를 둔다. ③ 과학기술처장관은 과학기술진흥의 기획·운영에 관하여 국무총리의 명을 받아 관계각부를 통괄·조정한다. ↑ 과학기술처는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종합적 기본정책의 수립·계획의 종합과 조정, 기술협력과 기타 과학기술발전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 안면도 핵폐기시설 설치 계획에 대한 주민들의 반대시위로 사임. ↑ 아웅산 테러 사건으로 순국. 외부 링크[편집] 과학기술처와그소속기관직제 vdeh 대한민국의 폐지된 중앙행정기관원 경제기획원 국무원 국토통일원 심계원 재정경제원 통일원 부 건설교통부 건설부 공보부 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적자원부 교통부 국가안전기획부 국토해양부 내무부 노동부 농림부 농림수산부 농림수산식품부 농수산부 동력자원부 문교부 문화공보부 문화관광부 문화부 문화체육부 미래창조과학부 보건복지가족부 보건부 보건사회부 부흥부 사회부 산업자원부 상공부 상공자원부 안전행정부 여성부 외교통상부 외무부 재무부 재정경제부 정보통신부 중앙정보부 지식경제부 체신부 체육부 체육청소년부 통상산업부 행정자치부 실 공보실 국무총리실 기획조정실 내각수반비서실 대통령경호실 대통령실 무임소장관실 정무장관(제3)실 정무장관(제2)실 정무장관(제1)실 제2무임소장관실 제1무임소장관실 특임장관실 행정조정실 위원회 감찰위원회 경제위원회 고시위원회 공안위원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국가비상기획위원회 국가청렴위원회 국가청소년위원회 국민고충처리위원회 군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금융감독위원회 금융개혁위원회 기획예산위원회 노사정위원회 대일항쟁기피해조사 및 지원위원회 방송위원회 부패방지위원회 부흥위원회 비상기획위원회 사정위원회 사회정화위원회 언론윤리위원회 여성특별위원회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정부혁신추진위원회 제2의건국범국민추진위원회 종합유선방송위원회 중소기업특별위원회 중앙경제위원회 중앙인사위원회 중앙정보연구위원회 중화학공업추진위원회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청소년보호위원회 청소년위원회 청소년육성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탄핵심판위원회 해외협력위원회 행정개혁위원회 행정개혁조사위원회 행정쇄신위원회 헌법위원회 처 과학기술처 국민안전처 국정홍보처 기획예산처 기획처 내각사무처 외자구매처 원호처 환경처 공보처 총무처 청 공업단지관리청 공업진흥청 관재청 국토건설청 군사원호청 노동청 소방방재청 수산청 식품의약품안전청 예산청 외자청 원자력청 임시외자관리청 전매청 중소기업청 철도청 항만청 해무청 해운항만청 환경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한민국_과학기술처&oldid=23457156" 분류: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대한민국의 폐지된 중앙행정기관1967년 설립1998년 폐지대한민국의 과학과 기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1월 12일 (토) 17: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과학기술처(科學技術處)는 과학 기술 진흥을 위한 종합적 기본 정책의 수립·계획의 종합과 조정, 기술 협력과 기초 과학 기술 발전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었다. 1967년 3월 30일 발족하였으며 1998년 2월 27일 과학기술부로 개편되면서 폐지되었다. 기관장은 장관급 정무직 공무원으로 임명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박정희 대통령이 과학기술을 전담하는 행정기구의 설치를 지시한 연도는 몇년도인가? Assistant: 1967년
Human: 아래 허버트_소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허버트 소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허버트 소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허버트소블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허버트 M. 소블Herbert M. Sobel 출생일 1912년 1월 26일(1912-01-26) 출생지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사망일 1987년 9월 30일 (75세) 사망지 미국 일리노이주 워키건 국적 미국 복무 미국 육군 복무 기간 1941년 ~ 1946년, 복귀1950년 ~ 1953년 최종 계급 중령 근무 제101공수사단 제506낙하산보병연대 제2대대 E중대 주요 참전 제2차 세계대전한국 전쟁 서훈 내역 동성 훈장미국 종군 기장유럽 아프리카 중동 전역 종군 기장제2차 세계대전 승전 기장 기타 이력 회계사 허버트 M. 소블(Herbert M. Sobel, 1912년 1월 26일 ~ 1987년 9월 30일)은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미국 육군 장교이다. 소블은 스티븐 앰브로즈가 쓴 책을 바탕으로 BBC/HBO가 제작한 미니시리즈 밴드 오브 브라더스에서 다루어졌던 미국 육군 101 공수 사단 506 공수 연대 2대대 이지 중대의 초기 지휘관이었다. 이 미니시리즈에서 미국 배우 데이비드 슈위머가 소블 대위 역할을 하였다. 목차 1 초기 생애 2 제2차 세계대전 3 제2차 세계대전 이후 4 같이 보기 초기 생애[편집] 뉴욕 주 웨스트포인트에 있는 미국 육군 사관학교를 다녔다고 알려진 것과는 달리, 소블은 컬버 군사 학교를 다닌 뒤 의류 외판원 일을 하였다. 소블은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공수부대에 자원했다. 리처드 윈터스의 자서전에 기록된 윈터스와 소블의 대화를 통해 소블은 “시카고에서 거칠게 자란” 것 같으며, 이것이 소블의 이지 중대를 지휘할 때의 변덕스러운 태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제2차 세계대전[편집] 소블은 중위로 진급한 뒤, 토코아 부대에서 이지 중대의 기초 군사 훈련을 지휘하였고, 이지 중대는 연대 내에서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소블은 훈련교관으로서의 능력을 인정받고 대위로 진급하였다. 스티븐 앰브로즈가 쓴 책 밴드 오브 브라더스에 의하면, 토코아 부대에서의 극도로 엄격한 지휘로 인해 소블은 이지 중대의 장병들에게 미움을 받았다고 한다. 한편, 소블은 정신력이 강했음에도 불구하고, 군사 훈련 등에서 종종 체력이 부족한 모습을 보였다. 전투 지휘관으로서의 소블의 숙련도는 어딘가 치명적인 문제를 보였는데, 예를 들어서 소블은 지도를 읽는데 어려움을 보였다. 또한 소블은 군사 전술에 대한 이해력도 명백하게 형편없었다. 노르망디 상륙작전 전의 영국에서의 훈련 기간 중에, 소블 대위는 부대의 하사관들의 하극상에 의해 이지 중대의 지휘관 자리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부대의 하사관들은 소블이 실제 전투에서 많은 부하 장병들을 전사시킬 부적절한 전투 지휘를 할지도 모른다고 믿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소블은 칠튼 폴리앗의 낙하 훈련소를 지휘하기 위해 전출되었다. 리처드 윈터스를 포함한 몇몇 장교들이 전쟁이 끝날 때까지 소블의 자리를 맡았는데, 가장 먼저 중대 지휘관 직책을 후계한 장교는 토머스 미헌 3세 중위였다. 노르망디 상륙작전 이후 소블은 전투 부대로 다시 배속되었는데, 여기서 소블은 적의 기관총 사격에 의해 부상당했다. 이지 중대가 마켓가든 작전을 맡기 조금 전, 소블은 연대 보급 장교로 다시 한번 506 공수 연대로 배속되었다. 소블은 우수한 전투 지휘관은 아니었지만, 이지 중대의 많은 퇴역 장병들은 토코아 부대에서의 소블의 혹독한 훈련이 없었으면 그들은 살아남지 못했을 것이라고 술회한다. 소블이 낙하 훈련소나 연대 보급 장교로서 능력을 보여줬다고 간주할 만한 공식적인 기록은 없다. 소블은 보병 부대를 지휘하는 것과는 판이하게 다른 능력이 필요한 이들 직책을 수행하면서 안도감을 느꼈을 것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편집] 전쟁이 끝난 후 소블은 미국으로 돌아와서 한국 전쟁에 다시 참전하기 위해 재소집되기 전까지 회계사로 일했다. 소블이 한국에 파병되었는지 아니면 미국에 남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소블은 미국 일리노이주 주방위군에 남아있었으며, 그가 갑작스레 군대를 떠날 때의 계급은 중령이었다. 시카고로 돌아온 소블은 전기 관련 회사에서 회계사로 일했다. 소블은 결혼 후 이혼할 때까지 2명의 아들을 두었지만. 그 2명의 자녀마저 이혼으로 양육권을 상실한다. 1971년 자살시도를 하지만 실패하고 이후 1987년 미국 보훈병원에서 생을 마감한다 이후 텔레비전 시리즈 밴드 오브 브라더스에서 소블이 '소심한 폭군'으로 묘사되자 소블의 아들인 마이클 소블은 자신의 아버지인 소블에 대한 대중적인 평가에 언짢아했으며 2002년 있었던 이지 중대의 모임에서 단상에 나가 허버트 소블은 좋은 아버지였다고 회상하였다. 이 연설은 청중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었다. 같이 보기[편집] 미국 506 낙하산 보병 연대 E 중대 《밴드 오브 브라더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허버트_소블&oldid=23354891" 분류: 1912년 태어남1987년 죽음밴드 오브 브라더스 등장인물미국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미국 육군 중령일리노이 대학교 동문미국 육군공수학교 동문미국 육군보병학교 동문미국 육군포병학교 동문시카고 출신유대계 미국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FrançaisItaliano日本語PolskiPortuguês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26일 (수) 22:1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허버트 M. 소블(Herbert M. Sobel, 1912년 1월 26일 ~ 1987년 9월 30일)은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미국 육군 장교이다. 소블은 스티븐 앰브로즈가 쓴 책을 바탕으로 BBC/HBO가 제작한 미니시리즈 밴드 오브 브라더스에서 다루어졌던 미국 육군 101 공수 사단 506 공수 연대 2대대 이지 중대의 초기 지휘관이었다. 이 미니시리즈에서 미국 배우 데이비드 슈위머가 소블 대위 역할을 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허버트 소블은 어떤 활동을 했을까? Assistant: 전쟁이 끝난 후 소블은 미국으로 돌아와서 한국 전쟁에 다시 참전하기 위해 재소집되기 전까지 회계사로 일했다. 소블이 한국에 파병되었는지 아니면 미국에 남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소블은 미국 일리노이주 주방위군에 남아있었으며, 그가 갑작스레 군대를 떠날 때의 계급은 중령이었다. 시카고로 돌아온 소블은 전기 관련 회사에서 회계사로 일했다. 소블은 결혼 후 이혼할 때까지 2명의 아들을 두었지만. 그 2명의 자녀마저 이혼으로 양육권을 상실한다. 1971년 자살시도를 하지만 실패하고 이후 1987년 미국 보훈병원에서 생을 마감한다 이후 텔레비전 시리즈 밴드 오브 브라더스에서 소블이 '소심한 폭군'으로 묘사되자 소블의 아들인 마이클 소블은 자신의 아버지인 소블에 대한 대중적인 평가에 언짢아했으며 2002년 있었던 이지 중대의 모임에서 단상에 나가 허버트 소블은 좋은 아버지였다고 회상하였다. 이 연설은 청중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었다. Human: 아래 Kalafina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Kalafina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alafina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Kalafina 기본 정보 국가 일본 활동 시기 2008년 - 현재 레이블 SME Records SACRA MUSIC 소속사 스페이스 크래프트 프로듀스 웹사이트 공식사이트 구성원 카지우라 유키 Kalafina(카라피나, 칼라피나)는 작곡가 카지우라 유키가 프로듀싱한 일본의 그룹이다. 극장판 애니메이션 《공의 경계》 7부작의 주제가를 위해 결성되었으며, SME Records 소속의 음악유닛이다. 목차 1 개요 2 멤버 2.1 보컬 2.2 전멤버 3 음반 목록 3.1 싱글 3.2 정규앨범 3.3 미니앨범 3.4 라이브앨범 3.5 베스트앨범 3.6 기타 3.7 DVD/Blu-ray 3.8 서적 4 LIVE 4.1 단독라이브 4.2 morph-tokyo 2009 5 활동 5.1 영화 5.2 라디오 5.3 TV 5.4 잡지연재 6 각주 7 외부 링크 개요[편집] 극장판 애니메이션「공의 경계」주제곡 프로젝트로써 카지우라 유키의 프로듀스에 의해 탄생한 그룹. 첫 번째 싱글인 〈oblivious〉를 발매하면서 멤버를 발표하지 않았으나 2008년 4월부터 5월까지 행해졌던 라이브 이벤트《Revo&카지우라 유키 Presents Dream Port 2008》에서 처음으로 Wakana와 Keiko의 참가가 공표되었다. 이벤트에서 발매되었던 팜플렛의 카지우라상의 인터뷰에 Kalafina는 정원이 없는 유동적인 유닛이라고 발언. 두 번째 싱글인〈sprinter/ARIA〉에서는 Hikaru와 Maya가 더해져 4명 구성이 되었으나, 세 번째 싱글인〈fairytale〉에서는 Maya가 불참가. 첫 번째 앨범인《Seventh Heaven》를 발매하며 공식홈페이지에서 Maya의 탈퇴사실이 전해졌다. 당초는 극장판〈공의 경계〉의 주제가를 위한 유닛이였으므로 프로젝트가 끝나면 그룹도 해산되지 않을까 생각되고 있었지만 같은 날 네 번째 싱글인 〈Lacrimosa〉가 동시발매되면서 제2의 스타트를 알렸다. 현재는 멤버 변동 없이 Wakana, Keiko, Hikaru에 의한 3명의 여성보컬유닛으로 활동 중이다. Kalafina라는 그룹이름에는 별다른 의미는 없으며 발음하기가 예뻐서 만들었다는 카지우라어의 일종이다. 2017년 4월 1일, 소니산하의 새로운 레이블 SACRA MUSIC으로 이적. 2017년 4월 14일, Kalafina 공식팬클럽 <Harmony>가 개설. 기존 팬클럽이였던 FictionJunction CLUB(일명 FJC) 에서 독립된 형태이다. 2018년 2월 21일, 프로듀서인 카지우라 유키가 소속사 스페이스 크래프트 프로듀스의 퇴소 및 독립을 발표하면서 그룹활동 역시 휴지(休止)상태가 되었다고 미디어에서 보도.[1] 2018년 3월 13일, 미디어를 통해 이번달말로 일부멤버가 그룹탈퇴 및 소속사를 퇴소하며 그로 인해 정규라디오였던 <Kalafina 구락부> 역시 이번달말로 종료, 3월 11일에 열린 라이브(~つなげよう、感動。つながろう、東北の笑顔。~)가 3명의 마지막라이브라고 보도.[2] Kalafina 팬클럽사이트인 Kalafina Harmony를 통해(팬클럽에 유료로 가입된 회원만 열람가능) 보도되었던것처럼 멤버1명이 탈퇴 및 퇴사를 희망하였고, 남은 멤버2명은 앞으로도 계속 활동한다고 발표. 2018년 3월 14일, 미디어를 통해 탈퇴 및 퇴소하는 멤버는 Keiko이며, 이로 인해 가을에 예정되었던 CD릴리즈와 투어계획은 백지상태가 되었다고 보도.[3] 2018년 4월 13일, 공식라인블로그를 통해 Keiko가 직접 4월1일을 기점으로 소속사와 원만하게 계약종료가 되었다고 공표 및 인사. 남은 Wakana와 Hikaru는 음악활동을 계속 이어간다고 발표. 3월 30일에 TOHO히비야에서 열린 영화의 무대인사가 3명의 마지막 공식활동이 되었다.[4] 멤버[편집] 보컬[편집] Wakana (1번째싱글~) Hikaru (2번째싱글~) 전멤버[편집] 프로듀서 카지우라 유키 (1번째싱글~21번째싱글) Maya (2번째싱글) Keiko (1번째싱글~21번째싱글) 음반 목록[편집] 음반 목록은 다음과 같다.[5] 싱글[편집] oblivious (2008년 01월 23일) 극장판 공의 경계 제1장「부감풍경」엔딩주제가 극장판 공의 경계 제2장「살인고찰(전)」엔딩주제가 극장판 공의 경계 제3장「통각잔류」엔딩주제가 오리콘 위클리 8위 등장횟수 24회, 총판매량 38,695장 sprinter/ARIA (2008년 07월 30일) 극장판 공의 경계 제5장「모순나선」엔딩주제가 극장판 공의 경계 제4장「가람의 동」엔딩주제가 오리콘 위클리 10위 등장횟수 8회, 총판매량 23,309장 fairytale (2008년 12월 24일) 극장판 공의 경계 제6장「망각녹음」엔딩주제가 오리콘 위클리 9위 등장횟수 6회, 총판매량 20,252장 Lacrimosa (2009년 03월 4일) MBS, TBS계열전10국 애니메이션 흑집사 2기 엔딩주제가 오리콘 위클리 14위 등장횟수 7회, 총판매량 17,676장 storia (2009년 07열 01일) NHK「역사 비화 스토리」오프닝테마 오리콘 위클리 15위 등장횟수 4회, 총판매량 7,093장 progressive (2009년 10월 28일) 오리콘 위클리 14위 등장횟수 2회, 총판매량 6,189장 光の旋律(빛의 선율) (2010년 01월 20일) 테레비도쿄계 애니메이션 소라노오토(하늘의 소리)오프닝 주제가 오리콘 위클리 7위 등장횟수 3회, 총판매량 13,842장 輝く空の静寂には(빛나는 하늘의 침묵에는) (2010년 09월 15일) MBS, TBS계열전10국 애니메이션 흑집사2 삽입곡 오리콘 위클리 14위 등장횟수 5회, 총판매량 11,769장 Magia (2011년 02월 16일) 애니메이션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엔딩 주제가 오리콘 위클리 7위 등장횟수 21회, 총판매량 48,679장 to the beginning (2012년 4월 18일) 애니메이션 Fate/Zero 오프닝 주제가 오리콘 위클리 11위 등장횟수 17회, 총판매량 52,413장 moonfesta~문페스타~ *(2012년 7월 18일) NHK 민나노우타(모두의노래) 6,7월 방송곡 오리콘 위클리 11위 등장횟수 4회, 판매량 10,023장 ひかりふる(빛이 내리다) (2012년 10월 24일) 극장판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후편 영원의 이야기 주제곡 극장판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전편 시작의 이야기 주제곡 오리콘 위클리 4위 등장횟수 16회, 판매량 58,379장 アレルヤ(알렐루야) (2013년 10월 2일) 극장판 공의경계 미래복음 주제곡 극장판 공의경계 미래복음 삽입곡 오리콘 위클리 10위 등장횟수 7회, 판매량 18,980장 君の銀の庭(그대의 은빛정원) (2013년 11월 6일) 극장판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신편 반역의 이야기 주제곡 극장판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신편 반역의 이야기 삽입곡 오리콘 위클리 4위 등장횟수 16회, 판매량 60,922장 heavenly blue (2014년 8월 6일 발매) TOKYO MX 애니메이션 알드노아 제로 오프닝 주제가 believe (2014년 11월 19일 발매) 애니메이션 페이트/스테이 나이트 (UBW) 1기 엔딩 주제가 ring your bell (2015년 5월 13일) 애니메이션 페이트/스테이 나이트 (UBW) 2기 엔딩 주제가 아날로그판(LP)을 새로이 발매 One Light (2015년 8월 12일 발매예정) 애니메이션 아스란 전기 2기 엔딩 주제가 정규앨범[편집] Seventh Heaven (2009년 03월 04일) 공의 경계 제7장「살인고찰(후)」엔딩주제가 오리콘 위클리 8위 등장횟수 19회, 총판매량 38,087장 Red Moon (2010년 03월 17일) 이브의 시간 주제곡 노부나가의 야망 Online 이미지송 오리콘 위클리 5위 등장횟수 9회, 총판매량 27,818장 After Eden (2011년 9월 21일) NHK 역사비화 히스토리아 1번째 엔딩테마 오리콘 위클리 3위 등장횟수 11회, 총판매량 34,034장 Consolation (2013년 3월 20일) NHK 역사비화 히스토리아 2번째 엔딩테마 오리콘 위클리 3위 등장횟수 15회, 총판매량 33,096장 far on the water (2015년 9월 16일/2015년 9월 30일 발매예정)[6] NHK 역사비화 히스토리아 3번째 엔딩테마 미니앨범[편집] Re/oblivious (2008년 04월 23일) 오리콘 위클리 37위 등장횟수 6회, 총판매량 10,076장 라이브앨범[편집] Kalafina 5th Anniversary LIVE SELECTION 2009-2012 (2013년 1월 23일) 오리콘 위클리 6위 등장횟수 11회, 총판매량 11,860장 베스트앨범[편집] Kalafina THE BEST "RED"(2014년 7월 16일) 오리콘 위클리 4위 2014년 8월 7일 현재 판매량 34,695장 Kalafina THE BEST "BLUE"(2014년 7월 16일) 오리콘 위클리 3위 2014년 8월 7일 현재 판매량 37,654장 기타[편집] DVD/Blu-ray[편집] Kalafina LIVE 2010 "Red Moon" at JCB HALL~Kajiura Produce 3rd Anniversary LIVE TOUR~ (2010년 12월 01일) “After Eden” Special LIVE 2011 at TOKYO DOME CITY HALL (2012년 3월 21일) TYPE-MOON Fes. 10th Anniversary Event (2013년 1월 16일) Kalafina LIVE TOUR 2013“Consolation”Special Final (2013년 12월 11일) Kalafina LIVE THE BEST 2015“Red Day” at 日本武道館 (2015년 7월 15일) Kalafina LIVE THE BEST 2015“Blue Day” at 日本武道館 (2015년 7월 15일) 서적[편집] Kalafina photo album progressive (2010년 2월 2일) Kalafina photoalbum Magia (2011년 4월 6일) Kalafina Record (2011년 9월 6일) Kalafina 캘린더 2012 (2011년 9월 28일) Kalafina 캘린더 2013 (2012년 10월 24일) Kalafina History 5th (2013년 1월 23일) Kalafina LIVE PHOTO BOOK -LIVE TOUR 2013 Consolation- (2013년) Kalafina 캘린더 2014 (2013년 10월 30일) Kalafina 캘린더 2015 (2014년 10월 11일) 別冊カドカワ 総力特集 Kalafina (2015년 2월 28일) Kalafina LIVE THE BEST 2015 “Red Day”&“Blue Day”in武道館 LIVE PHOTO BOOK (2015년 7월 15일)[7] LIVE[편집] 단독라이브[편집] 2009년 Kalafina Closed Premium Mini Live 5월 19일 도쿄 Shibuya O-East 2009년 Kalafina Live 2009“storia” 8월 26일 도쿄 Shibuya O-East 2009년 Bright Christmas 2009 Kalafina Special Mini LIVE 12월 23일 도쿄 丸の内オアゾ1F ○○広場 2009년 Kalafina LIVE 2009 “progressive” 12월 27일 요코하마 BLITZ 2010년 Kalafina LIVE TOUR 2010 〜progressive +〜 2월 2일 오사카 Umeda AKASO 2월 3일 나고야 ボトムライン名古屋 2월 9일 도쿄 Shibuya O-East 2010년 Kalafina LIVE TOUR 2010 in Asia 2월 26일 대만 1710 Live Studio 2월 28일 상해 MAO Livehouse SHANGHAI 3월 7일 홍콩 HITEC Auditorium 2010년 Kajiura Produce 3rd Anniversary LIVE TOUR〜Kalafina LIVE 2010“Red Moon”〜 5월 15일 오사카 なんばHatch 5월 29일 요코하마 BLITZ 6월 5일 나고야 DIAMOND HALL 6월 12일 도쿄 JCB HALL 2010년 Kalafina LIVE 2010“Red Moon”in Hong Kong 8월 6일 홍콩 HITEC 2010년 Kalafina LIVE 2010 “輝く空の静寂には” 12월 10일 도쿄 渋谷C.C.Lemonホール (추가공연) 12월 11일 도쿄 渋谷C.C.Lemonホール 2010년 Kalafina LIVE 2010“Red Moon”in Taipei 12월 17일 대만 Legacy Taipei 2011년 Kalafina LIVE Spring TOUR 2011 “Magia” 3월 27일 오사카 NHK오사카홀 4월 2일 토야마 富山県民会館 4월 8일 나고야 市芸術創造センター 4월 15일 도쿄 NHK홀 2011년 “After Eden”Special LIVE 2011 11월 25일 도쿄 TOKYO DOME CITY HALL 2011년 X'mas Premium Acoustic LIVE 12월 24일 요코하마 横浜ランドマークホール 2012년 Kalafina LIVE TOUR 2012 “After Eden” 1월 7일 오사카 NHK오사카홀 1월 8일 오사카 NHK오사카홀 1월 9일 히로시마 CLUB QUATTRO 1월 20일 나고야 中京大学文化市民会館プルニエホール 1월 21일 나고야 中京大学文化市民会館プルニエホール 1월 22일 후쿠오카 DRUM LOGOS 1월 28일 도쿄 中野サンプラザ 1월 29일 도쿄 中野サンプラザ 2월 2일 도쿄 Shibuya O-East 2월 4일 도쿄 渋谷公会堂 2012년 Kalafina LIVE 2012 “to the beginning” 7월 16일 도쿄 NHK홀 2012년 X’mas Premium LIVE 2012 “Kalafina with Strings” 12월 19일 도쿄 かつしかシンフォニーヒルズ モーツァルトホール 12월 21일 오사카 サンケイホールブリーゼ 12월 22일 도쿄 かつしかシンフォニーヒルズ モーツァルトホール 2013년 Kalafina 5th Anniversary LIVE “oblivious” 1월 23일 도쿄 Shibuya O-East 2013년 Kalafina “Consolation” Special LIVE 2013 4월 6일 도쿄 TOKYO DOME CITY HALL 2013년 Kalafina “Consolation” Special LIVE TOUR 2013 6월 8일 도쿄 中野サンプラザ 6월 9일 도쿄 中野サンプラザ 6월 22일 나고야 THE BOTOM LINE NAGOYA 6월 23일 나고야 THE BOTOM LINE NAGOYA 7월 4일 도쿄 AKASAKA BLITZ 7월 13일 센다이 Rensa 7월 15일 삿포로 PENNY LANE24 7월 20일 히로시마 HIROSHIMA CLUB QUATTRO 7월 21일 히로시마 HIROSHIMA CLUB QUATTRO 7월 27일 토야마 高岡市民会館 7월 28일 니가타 NIIGATA LOTS 8월 3일 오사카 グランキューブ大阪 2013년 Kalafina LIVE TOUR 2013 “Consolation” Special Final 8월 4일 도쿄 東京国際フォーラムホールA 2013년 Christmas Premium LIVE 2013 “Kalafina with Strings” 12월 20일 도쿄 Bunkamuraオーチャードホール 12월 22일 오사카 サンケイホールブリーゼ 12월 23일 도쿄 Bunkamuraオーチャードホール 2014년 ~FictionJunction CLUB회원한정~「Kalafina 6th Anniversary LIVE 2014」 1월 23일 도쿄 Shibuya O-East 2014년 Kalafina “君の銀の庭” Special LIVE 2014 6월 26일 도쿄 TOKYO DOME CITY HALL 2014년 Kalafina LIVE TOUR 2014 10월 18일 오사카 グランキューブ大阪 11월 1일 도쿄 東京国際フォーラムホールA 2015년 ~FictionJunction CLUB회원한정~「Kalafina 7th Anniversary LIVE 2015」 1월 23일 도쿄 Shibuya O-East 2015년 ~Kalafina LIVE THE BEST 2015 “Red day” & “Blue Day”~ 2월 28일 “Red Day” 도쿄 일본무도관 3월 1일 “Blue Day” 도쿄 일본무도관 2015년 Kalafina LIVE TOUR 2015 “far on the water” 10월 10일 도쿄 東京国際フォーラムホールA 10월 11일 도쿄 東京国際フォーラムホールA 10월 24일 오사카 グランキューブ大阪 10월 25일 오사카 グランキューブ大阪 11월 15일 아이치 日本特殊陶業市民会館 フォレストホール 11월 28일 토야마 オーバード・ホール 12월 12일 후쿠오카 福岡市民会館 2016년 Kalafina LIVE TOUR 2015~2016 “far on the water 1월 11일 오사카 グランキューブ大阪 2016년 Kalafina LIVE TOUR 2015~2016 “far on the water” Special FINAL 1월 30일 도쿄 東京国際フォーラムホールA 1월 31일 도쿄 東京国際フォーラムホールA morph-tokyo 2009[편집] 4월 16일 「オンナノコノウタ @ morph-tokyo」Supported by Tsukuba TV 5월 7일 夢想の楽園 6월 17일 オンナノコノウタ @ morph-tokyo 7월 22일 Storia 9월 15일 Heaven&Earth 10월 15일 fairytale 11월 18일 progressive 한달에 한번 총7회참가 활동[편집] 영화[편집] 라디오[편집] Kalafinaの私たち計画広場 Kalafina의 우리들의 계획광장 (スカパーSTAR digio 400ch. 2010년 1월 5일 ~ 2012년 3월 29일, 총117회) Kalafina倶楽部 Kalafina CLUB (BayFM 2010년 7월 6일 ~ 현재) TV[편집] 잡지연재[편집] B-PASS「Kalafina My Code」。1회 (2015년 6월 27일) 각주[편집] ↑ https://www.sponichi.co.jp/entertainment/news/2017/12/23/kiji/20171222s00041000445000c.html ↑ http://www.hochi.co.jp/entertainment/20180312-OHT1T50277.html ↑ http://www.hochi.co.jp/entertainment/20180314-OHT1T50059.html ↑ https://lineblog.me/kalafina/archives/67145201.html ↑ 오리콘 차트 최고 순위 및 차트 등장 횟수, 총판매량 등의 출처는 http://anisonsinger.blogspot.jp/2013/09/kalafina.html ↑ 아날로그판(LP)은 9월 30일에 따로발매 ↑ 애니메이트에서만 판매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공식 홈페이지 (일본어) 공식 블로그 (일본어) Kalafina 스탭 공식 트위터 - 트위터 vdehKalafina 가지우라 유키 Wakana Keiko Hikaru 가이다 유리코 도마루 하나에 싱글 oblivious sprinter/ARIA fairytale Lacrimosa storia -progressive 빛의 선율 눈부신 하늘의 침묵에는 Magia to the beginning moonfesta ~문 페스타~ 히카리후루 그대의 은의 정원 앨범 Seventh Heaven Red Moon After Eden Consolation 미니 앨범 Re/oblivious 영상 작품 Kalafina LIVE 2010“Red Moon” at JCB HALL 〜Kajiura Produce 3rd Anniversary LIVE TOUR〜 관련 작품 SME Records Maya 공의 경계 vdeh스페이스 크래프트 사장 : 오오니시 카즈오키 남성 배우 와타베 고타 시노야마 아키노부 아카츠카 아츠노리 성하 오오야마 마사시 이데 타쿠야 테루마 카토 가이야 후지와라 카오루 여성 배우 아리모리 나리미 미키 타카코 칸다 우노 쿠로타니 토모카 쿠리야마 치아키 콘노 아야카 모리 호사치 미즈타니 유리 이와타 사유리 야마구치 미사 우에무라 치카 히즈키 하나 니시다 마이 미우라 유이 오오우라 이쿠코 타카다 아유미 히가시 미키 이치키 미사토 여성 아티스트 카지우라 유키 난리 유카 오다 카오리 캬나리클럽 오가와 마나 니와 미키호 오오타키 와카나 쿠보타 케이코 마사이 히카루 픽션정크션 픽션정크션 유우카 유키 아이라 산토스 안나 우우라 사에카 하루나 루나 칼리지 코스모스  공식 사이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Kalafina&oldid=24192767" 분류: 스페이스 크래프트일본의 팝 음악 그룹애니메이션 가수2007년 결성된 음악 그룹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Dansk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7: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Kalafina(카라피나, 칼라피나)는 작곡가 카지우라 유키가 프로듀싱한 일본의 그룹이다. 극장판 애니메이션 《공의 경계》 7부작의 주제가를 위해 결성되었으며, SME Records 소속의 음악유닛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Kalifina가 처음으로 발표한 싱글 앨범의 제목은? Assistant: oblivio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