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
stringlengths
3.39k
214k
Human: 아래 천안시의_시내버스_노선_목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천안시의 시내버스 노선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천안시의 시내버스 노선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천안시의 시내버스 노선 목록 페이지는 충청남도 천안시 면허의 각 시내버스 노선의 운행 구간과 이들 노선의 간략한 특징을 담고 있다. 가독성을 위해 각 노선의 선형을 파악할 수 있는 최소한의 경유지만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폐선된 노선은 기입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천안시 면허의 시내버스 노선과 천안시 경유 시내버스 노선의 노선의 운행 구간과 이들 노선의 간략한 특징을 담고 있다. 가독성을 위해 각 노선의 선형을 파악할 수 있는 최소한의 경유지만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노선은 현재 운영중인 노선만을 적으며 폐지된 노선은 적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목차 1 천안시의 시내버스 1.1 시내순환 1.2 시내권 노선 1.3 직산, 성환, 평택 노선 1.4 입장, 성거, 안성 노선 1.5 목천, 북면 노선 1.6 목천, 병천, 동면, 진천 노선 1.7 성남, 수신, 병천 방면 1.8 풍세, 광덕 방면 1.9 소정, 전의, 정안 방면 1.10 탕정, 음봉 방면 1.11 온양, 배방 방면 1.12 학생수송노선 1.13 급행노선 1.14 타 지역의 차적 노선 1.15 아산시의 시내버스 1.16 평택시의 시내버스 1.17 세종특별자치시의 시내버스 1.18 청주시의 시내버스 1.19 진천군의 농어촌버스 2 각주 천안시의 시내버스[편집] 시내순환[편집] 기점에서 기점으로 돌아오는 순환형태의 노선이다.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1 백석농공단지 ↔ 천안시청 백석농공단지, 종합운동장, 천안시청, 백석11단지, 성정동가구거리, 종합터미널, 교보사거리, 남부오거리, 쌍용역, 쌍용고입구, 충남북부상공회의소, 갤러리아, 불당동일 10~15 저상버스 운행 2 남부고가교 → 청담웨딩홀 새샘중학교, 신방푸르지오A, 이마트, 순천향대병원, 천안여상입구, 성정현대A, 두정고등학교, 두정역, 대림한숲A, 종합터미널, 복자여중고, 천안역, 청과시장, 청수현대A, 청수극동A, 버들마을, 새샘중학교 11 시계방향 편도순환(↔ 7) 7 남부고가교 → 청담웨딩홀 새샘중학교, 버들마을, 청수극동A, 청수현대A, 청과시장, 천안역, 복자여중고, 종합터미널, 대림한숲A, 두정역, 두정고등학교, 성정현대A, 천안여상입구, 순천향대병원, 이마트, 신방푸르지오A, 새샘중학교 10~15 반시계방향 편도순환(↔ 2) 3 천안역 서부광장 ↔ 고속터미널 봉정사거리,대우목화A,천안세관,신라스테이(인쇄창),성정공원,두정도서관,이마트서북점,백석푸루지오아파트,천안시청,불당신도시,불당이안아파트,불당지웰더샾,천안불당고,불당대동108동,뜨린채아파트 15 주로 중형 차량으로 운행하는 순환 노선이다. 시내권 노선[편집]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9 종합터미널 ↔ 방아다리공원 천안역.동부광장,봉명동행정복지센터,만수사,현대6차아파트,쌍용역 16 11 두정우성A ↔ 두정우남A 두정고등학교, 성정동롯데마트, 천안역.서부광장, 남부오거리, 동남구청, 천안역, 종합터미널, 단국대학교, 두정역 10 12 방아다리공원 ↔ 목천부영A 나사렛대학교, 쌍용동사거리, 천안여상입구 , 주공5단지A, 종합터미널, 천안중학교, 교보사거리, 구성신성A, 천안여자고등학교, 선문대학교 6~10 13 단대병원 ↔ 천안아산역 백석대입구, 상명대학교, 종합터미널, 중앙도서관, 청과시장, 다가동신성A, 충무병원후문, 성지새말2단지, 신방초원A후문, 장재마을, 아산역 11~15 14 방아다리공원 ↔ 백석대학교(운동장) 나사렛대학교, 쌍용3동행정복지센터 , 시청보건소, 백석11단지, 두정고등학교, 두정역, 종합터미널, 천안TG, 상명대학교 8~10 19 직산대림A ↔ 천안아산역 코스트코사거리, 브라운스톤A, 종합운동장, 시청보건소, 갤러리아, 펜타포트 *9회 20 단대병원 ↔ 천안아산역 상명대학교,종합터미널,두정역, 성정중,광혜당약국,용암마을,펜타포트,문화카페거리,불당풍림아이원,충남북부상공회의소 15~20 21 백석농공단지 ↔ 청당벽산A 천안시청, 월봉고교, 용암마을, 이마트, 신방초원A, 용곡아이파크, 동남경찰서 20 천안아산역 경유 800 태헌장미A ↔ 종합터미널 호서대학교, 종합터미널, 천안역, 남부오거리, 구성신성A, 고려신학대학원, 응원리 15~20 24 각원사 ↔ 동우A 호서대(천안) - 종합터미널 - 천안역 - 남부오거리 - 삼거리공원 15~20 30 방아다리공원 ↔ 충남예고 롯데마트, 천안여상입구, 주공5단지입구, 성정현대A, 두정대우1차A, 부성동행정복지센터 , 공주대학교공과대학, 직산역입구, 서북구청, 성거읍사무소 *9회 통합 50~60분 간격저상버스 운행 31 방아다리공원 ↔ 천흥리 *3회 51 종합터미널 ↔ 리각미술관 복자여중고, 천안역, 천안제일고, 동남구선거관리위원회, 향교앞, (장애인체육관51), 천성중학교, 중앙소방학교후문 100 통합 40~60분 간격저상버스 운행51번 토.일.공휴일 장애인체육관 미경유 52 90~110 62 남부고과교 ↔ 천안의료원.고려신학대학원 천안역, 남산공원, 남양유업, 청수경남A, 청당지하차도, 현대까치A, 새마을금고, 현대향촌A, 봉명1교, 천안역동부광장, 천안동중 *3회 63 *7회 70 안서동(문암) ↔ 구룡동 백석대학교, 상명대학교, 종합터미널, 복자여중고, 천안역, 남산중앙시장, 구성신성A, 구성5통 *4회 71 종합터미널 ↔ 청당벽산 천안역, 청과시장, 구성초등학교, 청수고교, 중흥S클래스, 동남경찰서, 한양수자인아파트 20~25 81 각원사 ↔ 차암2통 호서대, 종합터미널,두정역, 두정도서관, 백석아이파크, 스마일시티 20 82 고속터미널 ↔ 첨단산업단지 신부우방A, 동아태조A, 두정역입구, 공주대공과대학, 신당2통종점, 서북경찰서, 마정공단 *7회 83 고속터미널 ↔ 성성자이아파트 역말오거리, 두정역, 성성동입구 90 90 천안아산역 ↔ 고속터미널 호반더퍼스트,천안불당고,불당지웰시티4블럭, LH천년나무7단지,LH행복단지,불당리더힐스 15~20 91 구성신성A ↔ 천성중학교 청수극동1차아파트,청수공원,경남아너스빌,주공4단지 1회 용곡동마을버스 남산중앙시장(중앙동주민센터) ↔ 신방초원A 용곡아이파크, 용곡동일하이빌, [편도▶] 두레현대A, 신방초원A, 향촌현대A, 성지새말, 용곡동일하이빌 [▶ 이후 역순] 30~90 07:30~19:00[1] 직산, 성환, 평택 노선[편집] 간선 노선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100 남서울대학교 ↔ 천안역 성환역, 성환터미널, 동성중, 직산사거리, 신당동, 공주대공과대학, 두정역입구, 동아태조A, 복자여중고, [편도▶] 천안역, 천안제일고, 교보사거리, 우성VIP A, 버들육거리, 천안역 [▶이후 역순] 16~24 101 천안시청 ↔ 성환터미널 백석11단지, 종합운동장, 산업단지공단입구, 서북경찰서, 직산역입구, 서북구청, 충남테크노파크, 구직산(군동2리), 성환부영A, [편도▶] 성환역, 성신초교, 성환터미널, 한국통신 [▶이후 역순] *7회*6회 [천안시청 출발][성환터미널 출발] 103 천안시청 ↔ 성환터미널 백석11단지, 종합운동장, 산업단지공단입구, 서북경찰서, 직산역입구, 서북구청, 충남테크노파크, 구직산(군동2리), 상덕리, 성환부영A, [편도▶] 성환역, 성신초교, 성환터미널,[▶이후 역순] *4회 104 성환터미널 → 천안시청 성환부영A, 구직산(군동2리), 충남테크노파크, 서북구청, 직산역(주차장), 서북경찰서, 산업단지공단입구, 종합운동장, 백석11단지 *1회 편도운행, 17:50 105 천안시청 ↔ 성환터미널 성환부영A, 구직산(군동2리), 충남테크노파크, 서북구청, 직산역(주차장), 서북경찰서, 산업단지공단입구, 종합운동장, 백석11단지 *1회 편도운행, 17:50 110 남서울대학교 ↔ 천안역 성환역, 성환터미널, 성환부영, 직산사거리, 직산역입구신당동, 공주대공과대학, 두정역입구, 동아태조A, 복자여중고, [편도▶] 천안역, 천안제일고, 교보사거리, 우성VIP A, 버들육거리, 천안역 [▶이후 역순] 16~20 112 고속터미널 ↔ 구직산(군동2리) 신부청광, 두정역입구, 공주대공과대학, 직산역입구, 서북구청, 군서2리 50~60 저상버스 운행 113 종합터미널 ↔ 소우리 신부우방A, 동아태조A, 두정역입구, 공주대공과대학, 메가마트, 직산역입구, 신월저수지 *3회 122 종합터미널 ↔ 삼곡리(종점) 신부청광A, 두정역입구, 공주대공과대학, 메가마트, 삼은리, 서북구청, 전경대, 남산1리 *3회 130 남서울대학교 ↔ 평택터미널 문예회관, 성환리, 안궁4리, 안성천교, 유천3동, [편도▶] 평택역, 박애병원, 평택터미널 [▶이후 역순] 20~190 평택 110번과 공동배차통합 25분배차 131 남서울대학교 ↔ 평택시청 문예회관, 성환리, 안궁4리, 안성천교, 유천2리, 평택터미널, 성동초교, 주공3단지, 신한고등학교, 평택고등학교 *3회 135 성환터미널 ↔ 양령2리 성환역,성환10리,대홍리,안궁2길 *6회 순환 노선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120 고속터미널 → 고속터미널 [편도▶] 신부청광A, 두정역입구, 공주대공과대학, 직산역입구, 서북구청, 성거초교, 망향의동산, 단대병원,도솔광장 20 시계방향 편도순환 121 종합터미널 → 종합터미널 [편도▶] 천안TG, 단대병원, 망향의동산, 성거초교, 서북구청, 직산역입구, 공주대공과대학, 두정역입구, 신부청광A 20 반시계방향 편도순환 140 고속터미널 → 종합터미널 동아태조A,두정역입구,공주대공과대학 [편도▶] 메가마트, 업성고교140 142/서북경찰서144, 차암동, 직산대림A, (서북소방서144, 신갈리144), 우성8차A, (양당초교142), 자은가리, 직산역입구, 메가마트 [▶이후 역순] 26 메가마트~메가마트시계방향 편도순환 142 *2회 144 *5회 150 고속터미널 → 종합터미널 [편도▶] 메가마트, 업성고교150/서북경찰서152, 차암동, 직산대림A, 우성8차A, (양당초교152), 홍익주유소, 상덕리, (산호아파트150), 자은가리, 직산역입구, 메가마트 [▶이후 역순] *9회 152 *1회 141 고속터미널 → 종합터미널 [편도▶] 메가마트, 직산역입구, 자은가리, (양당초교143), 우성8차A, (신갈리145, 서북소방서145), 직산대림A, 차암동, 서북경찰서, 메가마트 [▶이후 역순] 20~140 메가마트~메가마트반시계방향 편도순환 143 *4회 145 *5회 151 고속터미널 → 종합터미널 [편도▶] 메가마트, 직산역입구, 자은가리, 상덕리, 홍익주유소, 우성8차A, 직산대림A, 차암동, 서북경찰서, 메가마트 [▶이후 역순] *13회 160 성환터미널 → 성환터미널 [편도▶] 성환10리, 성환역, 한국통신앞, 남서울대학교, 군동리, 입장, 연곡1리, (양령리162), 도하1리,(수향저수지164), 대홍초등학교, 대홍4리, 장로교회, 성환10리, 성환역, 삼풍A 30~90 반시계방향 편도순환 162 *3회 164 60~120 161 성환터미널 → 성환터미널 [편도▶] 삼풍A, 성환역, 성환10리, 장로교회, 대홍4리, 대홍초등학교, (수향저수지165),도하1리, (양령리163), 연곡1리, 입장, 군동리, 남서울대학교, 한국통신앞, 성환역, 성환10리 30~90 시계방향 편도순환161 06:30 입장출발 163 *2회 165 60~120 지선 노선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114 성환터미널 ↔ 석곡리 성환10리, 성신초교, 성환역, 매주리, 대명아파트 *1회 115 성환터미널 ↔ 두진아파트 성환10리, 성신초교, 성환역, 매주리, 율금리, 이화아파트 10~50 ※두진A 출발07:35, 07:45, 07:55→동성중 경유(주말·공휴일·방학동성중 미경유, 07:45 운행X) 116 성환터미널 ↔ 왕림리(종점) 성환역, 성신초교, 성환고교, 성환종축장입구 *3회 117 성환터미널 ↔ 신방리 성환역, 성신초교, 성환고교, 성환종축장입구, 신방초교, 신방1리 *6회 118 성환터미널 ↔ 와룡리(종점) 성환역, 성신초교, 우신1리, 복모리, 신가초교, 와룡1리 *6회 119 성환터미널 ↔ 추팔리 성환역, 성신초교, 우신1리, 복모리, 신가초교, 와룡1리, 와룡2리 *1회*2회 [성환터미널 출발][추팔리 출발] 입장, 성거, 안성 노선[편집] 간선 노선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200 입장회차지 ↔ 천안역 입장면행정복지센터, 성거초교, 단대병원, 고속터미널, 복자여중고, [편도▶] 천안역, 버들육거리, 우성VIP A, 교보사거리, 천안제일고, 천안역 [▶이후 역순] 5~20 201 종합터미널 ↔ 안성(봉산로타리) 고속터미널, 단대병원, 성거초교, 입장면행정복지센터 , 양변리입구, 미양농공단지, 안성제2공단, 인지사거리, 안성시민회관 20 종합터미널행[06:20, 06:45 입장출발] 221 종합터미널 ↔ 송남리 단대병원, 요방1리입구, 요방1리,망향휴게소, 석교1리, 문덕1리, 성거하늘빛A, 성거읍행정복지센터 *3회 지선 노선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230 입장회차지 ↔ 성거초교 신두2리, 모전리, 정촌리, 저리2리(모시울), 성거읍행정복지센터 *9회 231 입장회차지 ↔ 삼곡리 신두2리, 거봉포도마을, 모전리, 판정리 *2회 232 입장 ↔ 청룡 기로1리, 한성아파트, 도림리 30~95 233 입장 ↔ 한성아파트 기로1리 *5회 234 입장 ↔ 양대리 기로1리, 한성아파트, 주성레이크빌A, (한국생산기술연구원235), 양대리입구 *7회 235 입장 ↔ 양대리 *3회 236 입장 ↔ 호당리 홍천리입구, 호계리, 호당2리(당곡), 시장1리(도장골) *10회 237 입장회차지 ↔ 성환터미널 신두리, 용정도하길, (연곡1리(연봉입구)238), 도하1리, 수향저수지, 학정리, 성월리 *6회 238 입장회차지 ↔ 성환터미널 *1회 251 입장 ↔ 청룡(종점) 기로1리(기로), 한성아파트 *1회 270 입장 ↔ 남창저수지 신두2리,오색당리,성거읍행정복지센터 *3회 목천, 북면 노선[편집] 간선 노선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310 종합터미널 ↔ 지산리(한국가스안전교육원) 복자여중고, 천안역, 남산중앙시장, 구성신성A, 천안삼거리, 신계초, 국학원 *6회 380 종합터미널 ↔ 지산리(한국가스안전교육원) 복자여중고, 천안역, 남산중앙시장, 홈플러스, 독립기념관, 연춘리 *1회 381 종합터미널 ↔ 곡대 복자여중고, 천안역, 남산중앙시장, 홈플러스, 독립기념관, 연춘리, (명덕리382,) (오곡리(종점)381,) 북면행정복지센터 , 양곡리입구, (새텃말381,) 전곡리, 납안리, 대평1리 *4회 ※독립기념관 미경유곡대 출발 07:00터미널 출발 19:35 382 종합터미널 ↔ 곡대 *3회 ※독립기념관 미경유터미널 출발 06:45 383 종합터미널 ↔ 곡대 복자여중고, 천안역, 남산중앙시장, 구성신성A, 독립기념관, 연춘리, 북면행정복지센터 , 양곡리입구, 전곡리, 납안리, 납안2리, 운용리, 대평1리 *6회 ※독립기념관 미경유곡대 출발 06:10, 19:55터미널 출발 20:35 390 종합터미널 ↔ 석천(석천리종점) 복자여중고, 천안역, 남산중앙시장, 홈플러스, 도리티고개, (신도브래뉴1차A390,) 독립기념관, 서흥2리, (덕전1리391,) 송전리 *6회 ※독립기념관 미경유터미널 출발 06:35, 20:35석천 출발 07:40, 21:35 391 종합터미널 ↔ 석천(석천리종점) *2회*3회  [터미널 출발][석천 출발]※독립기념관 미경유석천 출발 06:45 지선 노선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371 곡대 → 서리(목천읍행정복지센터) 대평1리, 운용리, 납안리, 전곡리, 양곡리, 사담리, 북면행정복지센터, 오곡리, 명덕리, 매송1리, 용암리, 연춘리, 동리 *1회 서리행 편도운행 373 곡대 → 서리(목천읍행정복지센터) 대평1리, 운용리, 납안2리, 전곡리, 사담리, 북면행정복지센터, 명덕리, 매송1리, 용암리, 연춘리, 동리 *1회 서리행 편도운행 목천, 병천, 동면, 진천 노선[편집] 간선 노선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400 천안터미널 ↔ 병천 복자여중고, 천안역, 남산중앙시장, 구성신성A, 독립기념관, 연춘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병천우체국 8~20 ※400 독립기념관 내부주차장 경유-터미널출발 08:00~19:00-병천출발 08:03~18:55※400·401 병천고 연장운행(주말·공휴일·방학 제외)-터미널출발 06:40~08:10, 11:00~20:50-병천고출발 07:41~09:15, 12:05~21:55 401 천안터미널 ↔ 유관순열사유적지 복자여중고, 천안역, 남산중앙시장, 구성신성A, 천안예술의전당, 연춘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병천우체국 30~40 402 천안터미널 ↔ 황사동(동면) 복자여중고, 천안역, 남산중앙시장, 구성신성A, 독립기념관, 연춘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병천우체국, 병천중고 *2회 ※독립기념관 미경유-터미널 출발 06:05,-황사동 출발 07:10 지선 노선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410 천 ↔ 진천(미호두내장) 병천중고, 동면행정복지센터, 덕성2리, 사석 *3회 411 병천 ↔ 사석 병천중고,동면행정복지센터, 덕성2리 *2회 412 병천 ↔ 바타니 병천중고, 동면행정복지센터, 덕성2리, 동산식물원 *5회 413 병천 ↔ 덕성2리 병천중고, 동면행정복지센터 *8회 414 병천 ↔ 황사동 *3회 420 병천우체국 ↔ 행암2리 병천중고, 동면행정복지센터, 동산리 *6회*7회 [병천우체국 출발][행암리 출발] 421 병천우체국 ↔ 광덕2리 병천중고, (황사동, 동면행정복지센터,) 화계2리마을회관 *7회 광덕2리행만 황사동, 동면사무소 경유 430 병천우체국 ↔ 가좌리 병천중고등학교, 용두3리, 송정2리, 두릉교 *7회 431 병천 ↔ 용두2리(유관순생가앞) 용두리 *1회 450 병천우체국 ↔ 화덕2리 병천중고, 동면행정복지센터, 수남1리(차여), 장송2리 *6회*7회 [병천우체국 출발][화덕2리 출발] 451 병천우체국 ↔ 죽계2리 병천중고, 동면행정복지센터, [편도▶] 삽다리, 송연2리(수리골), 장송1리, 죽계1리, 죽계2리, 동산3리, 삽다리 [▶이후 역순] *6회 452 병천우체국 ↔ 화덕3리 병천중고, 동면행정복지센터, 수남1리(차여), 장송2리, 화덕1리 *1회 453 병천우체국 ↔ 화덕 병천중고, 동면행정복지센터, 수남1리(차여), 장송2리, 화덕1리, (화덕3리) *2회 병천우체국행만 화덕3리 경유 460 병천 ↔ 봉항3리 복지회관, 신세계아파트, 매성3리(매당마을), (관성1리461), 작성마을, 관성3리, 관성리(종점), 관성3리, 외관동, 봉항1리 *9회 461 병천 ↔ 봉항3리 *4회 462 병천 ↔ 서원리 복지회관, 신세계아파트 *4회 성남, 수신, 병천 방면[편집] 간선 노선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500 신부동회차지 ↔ 병천 단국대삼거리,하늘공원장례식장,종합터미널,복자여중고, 천안역, 중앙시장, 구성신성A, 천안삼거리, 성남우체국, 수신농협, 상록리조트 25 저상버스 운행 512 종합터미널 ↔ 백자3리 복자여중고, 천안역, 남산중앙시장, 천안삼거리, 천정1리, 용원1리, 성남우체국, 수신농협, 해정1리 *2회 530 종합터미널 ↔ 봉양1리 복자여중고, 천안역, 중앙시장, 구성신성A, 천안삼거리, [편도▶] 석곡리, 대흥1리, 성남초교, 봉양3리, 봉양1리, 봉양2리, 천남중, 성남우체국, 석곡리 [▶이후 역순] *5회 531 종합터미널 ↔ 봉양1리 복자여중고, 천안역, 중앙시장, 구성신성A, 천안삼거리, [편도▶] 석곡리, 성남우체국, 천남중, 봉양2리, 봉양1리, 봉양3리, 성남초교, 대흥1리, 석곡리 [▶이후 역순] *1회 540 종합터미널 ↔ 병천 복자여중고, 천안역, 중앙시장, 구성신성A, 천안삼거리, 석곡리, 대정리, 태영A, 성남우체국, 화성2리, 가전2리 *5회 ※터미널 출발 06:20병천고까지 연장운행 지선 노선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510 병천 ↔ 백자3리 상록리조트, 수신면행정복지센터 , 해정1리(백자3리행)/발산리(병천행) *6회*7회  [병천 출발][백자3리 출발]※백자3리 출발 07:35병천고까지 연장운행 511 백자3리 → 병천 백자1리, 발산리, 신풍1리(감절), 수신면행정복지센터 , 상록리조트 *1회 병천행 편도운행 520 병천 ↔ 발산리 홍대용과학관, 수신면행정복지센터 , 발산리입구 *4회*5회 [병천 출발][발산리 출발] 560 병천 ↔ 신풍1리(감절) 홍대용과학관, 수신면행정복지센터 *6회 570 병천 ↔ 목천농협 장산5리, 홍대용과학관, 남산,수신초등학 교, 수신면행정복지센터, 신풍1리(감절) *3회 590 수신면행정복지센터 ↔ 목천중고등학교 수신삼거리,신풍2리,대화리,성남농협,운전리 *1회 풍세, 광덕 방면[편집]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600 신부동회차지 ↔ 광덕사 복자여중고, 천안역, 남산중앙시장, 우미린A, 새샘중학교, 남관리, 풍세, 광덕면행정복지센터 25 601 신부동회차지 ↔ 해수부락 복자여중고, 천안역, 남산중앙시장, 우미린A, 새샘중학교, 남관리, 풍세, 매당2리, 광덕사 25 ※7,8월 주말·공휴일광덕사까지만 단축운행 603 신부동회차지 ↔ 광덕사 복자여중고, 천안역, 남산중앙시장, 버들마을, 청당마을, 새샘중학교, 신방도서관.푸르지오, 남관리, 풍세, 광덕면행정복지센터 40~100 614 종합터미널 ↔ 휴대2리[순환] 복자여중고, 천안역, 남산중앙시장, 쌍용역, [편도▶] 배방농협, 휴대2리, 세교2리(안골), 세교1리, 남관2리, 남관리(농협), 남관리, 휴대한성A, 휴대1리, 신흥마을, 배방농협 [▶이후 역순] *8회 620 종합터미널 ↔ 풍서4리 복자여중고, 천안역, 남산중앙시장, 청당2통(새텃마을), 남관리, 두남리 *5회 621 종합터미널 ↔ 풍서4리 복자여중고, 천안역, 남산중앙시장, 청당2통(새텃마을), 남관리, 두남리, 미죽1리 *3회 640 종합터미널 ↔ 석지골(지장리) 복자여중고, 천안역, 남산중앙시장, 청당2통(새텃마을), 남관리, 풍세, 광덕면사무소, 보산원, 영성마을, 지장2리 *6회 ※석지골 출발 22:10보산원 미경유 641 광덕면행정복지센터 ↔ 석지골(지장리) 매당1리,대덕교차로,보산원4리,보산원1리 *3회 642 광덕면행정복지센터 ↔ 광덕면4리마을회관 매당2리,매당리종점,대덕교차로,보산원1리 *3회 650 종합터미널 ↔ 삼태리 복자여중고, 천안역, 남산중앙시장, 청당2통(새텃마을), 남관리, 풍세, 광풍중학교, 풍세,용정2리마을회관, 용정새마을금고, 삼태1리, 태학산자연휴양림 *7회 651 종합터미널 ↔ 풍세산업단지 복자여중고, 천안역, 남산중앙시장, 청당2통(새텃마을), 남관리 *2회 660 광덕면행정복지센터 ↔ 행정리 복자여중고, 천안역, 남산중앙시장, 구성신성A, 천안여고, 삼성1리, 도장리, 소사리,가송1리, 풍서4리, 광풍중학교, 광덕면 행정복지센터 , 무학리 *5회 661 광덕면행정복지센터 ↔ 행정리 복자여중고, 천안역, 남산중앙시장, 청당2통(새텃마을), 남관리, 풍세, 풍서4리, 광덕면사무소, 무학리 *4회 662 광덕면행정복지센터 ↔ 쌍령리(무학리버스종점) 복자여중고, 천안역, 남산중앙시장, 청당2통(새텃마을), 남관리, 풍세, 풍서4리, 광덕면행정복지센터 *5회 663 풍세면행정복지센터 ↔ 소정면행정복지센터 호정,풍서4리,가송1리,가송3리,송정1길, 송정1길.청운케이블,송정1길가송교,송정리 *5회 670 종합터미널 ↔ 남관리(남관리농협) 복자여중고, 천안역, 남산중앙시장, 청당2통(새텃마을) *8회 소정, 전의, 정안 방면[편집] 공통경유구간은 통합 5~20분의 배차간격으로 운행된다.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700 안서동(문암) ↔ 전의(읍내리) 백석대학교, 상명대학교, 종합터미널, 복자여중고, 천안역, 남산중앙시장,구성신성A, 천안여고, 삼성1리, 도장리 소사리, 대곡리, 소정리역, 운당리, 행정리, 유천리 10~40 701 안서동(문암) ↔ 전의(읍내리) 소사리, 소정3리, 운당리, 행정리, 유천리 *9회 702 안서동(문암) ↔ 전의(읍내리) 소사리, 소정3리, 운당리, 행정리 *9회 703 종합터미널 ↔ 추모공원 삼룡교,원삼거리,삼성1리,도장리,소정면행정복지센터,소정리,대평2리 *9회 710 안서동(문암) ↔ 광정 소사리, 대곡리, 소정리역, 대평1리(대평원), 원덕1리,추모공원, 밤나무골, 인풍, 사현2리 *10회 ※광정 출발 20:45추모공원 미경유 720 종합터미널 ↔ 진주골 삼도상가,천안역동부광장,남산중앙시장,남부오거리,우성VIP아파트,구성초등학교 *8회 [안서동 출발][도장리 출발] 730 안서동(문암) ↔ 미죽리 대우자동차앞, 미죽리, 미죽1리 *5회 탕정, 음봉 방면[편집]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830 백석농공단지 ↔ 월랑1리 봉정사거리, 성정동롯데마트, 성정현대A,백석현대A, 종합운동장, 삼일아파트, 태헌장미A 덕지리, 월랑2리 *7회 840 백석농공단지 ↔ 용혈리 산동2리, 밤개울 *7회 850 백석농공단지 ↔ 밭덕지(동산2리) *3회 [밭덕지 출발] 860 백석농공 ↔ 매곡리 동산(구루미마을), 동덕초, 호산3리 *8회 870 종합터미널 ↔ 선문대학교 호산리(홍익아파트) *2회 온양, 배방 방면[편집] 21번국도를 이용해 천안~온양을 왕복하는 시내버스로, 통합 5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아산시내버스와 공동배차하고 있다.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900 천안터미널 ↔ 온양터미널 천안역, 남부오거리, 쌍용역, 세교리, 배방읍, 온양온천역 5~10분 910 천안터미널 ↔ 온양터미널 롯데마트 성정점, 쌍용역, 세교리, 배방읍, 온양온천역 15분 학생수송노선[편집] 중·고등학생 통학을 편리하게 하고자 운행하는 노선으로, 97번을 제외하고[2] 보통 1일 1~2회 편도노선으로 운행된다.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운행횟수 기점출발시간 91 구성신성A → 천성중학교 구성초등학교, 주공4단지, 청수현대A, (구)청과시장, 천안제일고, 상공회의소, 원동교, 1회 07:35 92 신방초원A → 북일고·북일여고 현대향촌A, 쌍용역, 쌍용고입구, 나사렛대학교, 한라동백A, 천안여상입구, 계광중학교, 주공5단지입구, 성정동롯데마트 2회 06:30, 06:50 93 주공4단지 → 중앙고등학교 청수초등학교, 청수극동A, 청수LG,SKA, 천안여중입구, 원성극동A, 교보사거리 1회 07:30 94 청당마을A → 천안상고 신라한라동백A, 쌍용역, 쌍용고입구, 나사렛대학교, 한라동백A, 천안여상입구, 계광중학교, 주공5단지입구, 성정현대A, 성정중학교, 두정역, 부성1동행정복지센터 , 공주대학교공과대학 3회 07:10, 07:20, 07:30 95 월봉벽산A → 병천고등학교 한라동백A, 이마트, 천안일봉초등학교, 남부오거리, 구성초등학교, 천안동중, 고려신학대학원, 동우아파트, 신도브래뉴1차 아파트, 목천중학교, 목천고등학교, 서리(목천읍행정복지센터), 동평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유관순사우, 병천고등학교 1회 07:10 97 신방초원A ↔ 업성고등학교 쌍용역, 쌍용고입구, 나사렛대학교, 한라동백A, 천안여상입구, 계광중학교, 주공5단지입구, 성정현대A, 성정중학교, 두정역, 2공단입구, 서북경찰서 왕복1회 98 청당벽산A → 천안동중학교 우미린아파트,중흥S클래스,구성신성A 1회 07:50 99 사라리 → 두정우성A 이마트서북점, 천안시장애인종합복지관 1회 07:20 102 천안역 → 성환고등학교 복자여중고, 신부청광A, 두정역입구, 공주대학교공과대학, 직산역, 매곡리, 동성중, 성환터미널, 송덕 2회 07:12, 07:28※주말·공휴일·방학에는성환터미널까지만 단축운행 105 천안시청 → 성환고등학교 백석11단지, 벽산블루밍A, 산업단지공단입구, 업성고교, 신당동(신당고교), 직산역(주차장), 서북구청, 충남테크노밸리, 직산부영아파트, 성환역, 성신초교 1회 07:20 166 성환터미널 → 성환고등학교 성환역, 성신초교, 대흥초교, 수향3리, 천안연암대학, 가산리, 입장중학교, 모전리, 등대의집, 남서울대학교 1회 07:15 급행노선[편집]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493 병천 ↔️ 천안아산역 코리아택,연춘리,목천읍행정복지센터.국립청소년수련원,신계초교,남산중앙시장 4회 타 지역의 차적 노선[편집] 아산시의 시내버스[편집] 탕정, 음봉, 배방, 장재 방면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770 명암3리 ↔ 천안아산역 [순환] 삼성LCD,트라팰리스 [편도▶] 선문대학교, 연화마을, 용연마을, 천안아산역, 불당현대아이파크, 천안종합운동장, 삼일아파트, 동산리, 선문대학교 [▶이후 역순] 50~120 선문대~선문대반시계방향 편도순환 771 [편도▶] 선문대학교, 동산리, 삼일아파트, 천안종합운동장, 불당현대아이파크, 천안아산역, 용연마을, 연화마을, 선문대학교 [▶ 이후 역순] 80~220 선문대~선문대시계방향 편도순환 777 포스코A후문 ↔ 천안아산역 음봉중, 삼성LCD, 트라팰리스, 연화마을, 용연마을, 갤러리아 35~75 970 생활관(용화동) ↔ 종합터미널 온양온천역, 온양터미널, 트라팰리스, 선문대, 삼일아파트, 종합운동장, 봉정사거리, 남부오거리, 천안역, 복자여중고 30 980 생활관(용화동) ↔ 종합터미널 온양온천역, 온양터미널, 엑스포A, 아산온천, 음봉초교, 포스코A, 삼일아파트, 종합운동장, 봉정사거리, 남부오거리, 천안역, 복자여중고 60 981 포스코A후문 ↔ 종합터미널 삼일아파트, 종합운동장, 봉정사거리, 남부오거리, 천안역, 복자여중고 60 982 아산온천 → 종합터미널 초원그린A, 삼일아파트, 종합운동장, 봉정사거리, 남부오거리, 천안역, 복자여중고 990 한성A ↔ 종합터미널 온양터미널, 온양온천역, 배방, 연화마을, 천안아산역, 천안시청, 종합운동장, 그린필병원 20~40 991 한성A ↔ 천안아산역 온양터미널, 온양온천역, 배방, 연화마을, 장재마을 10~50 10마중버스 와이시티A → 서당초등학교 *2회 편도운행08:00, 08:15 둔포 방면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200 둔포농협 ↔ 성환터미널 운용2리, 왕림3리, 성환고등학교, 성환역 35~120[3] [둔포농협 출발 18회][성환터미널 출발 14회] 201 신항1리 ↔ 성환터미널 신영모닝빌아파트, 송용1리, 둔포, 운용2리, 왕림3리, 성환고, 성환역 1회 5회 [신항1리 출발][성환터미널 출발] 210 둔포농협 ↔ 성환터미널 남부빌라, 백남아파트, 엘림가든, 염작초등학교, 신방리, 성환고, 성환역 4회 220 둔포농협 ↔ 성환터미널 비둘기아파트, 둔포중, 석곡2리, 신휴1리 신부엉골, 쌍룡초교, 쌍암리, 율금리, 매주3리, 성환역 4회 221 신휴3리 ↔ 성환터미널 신휴1리구부엉골, 신휴2리, 쌍룡초교, 쌍암리, 율금리, 매주3리, 성환역 1회 230 성환터미널 ↔ 신휴리 성환역, 율금교, 의식리 2회 231 성환터미널 ↔ 쌍룡초등학교 성환역, 율금리, 쌍암리 3회 240 생활관(용화동) ↔ 성환터미널 온양온천역, 온양터미널, 엑스포A, 음봉농협, 원남1리, 소동2리, 쌍룡1리, 쌍룡초교, 쌍암리, 석곡리, 율금리, 매주3리, 성환역, 성신초등학교 60~100 11회 평택시의 시내버스[편집] 노선번호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3-2 서울고속 월곡동차고지 ↔ 신가2리 죽백동, 평택대학교, 시청앞, 평택역, 통복시장앞, 원평동행정복지센터.평택초교, 성두아파트, 공군아파트.객사6리, 추팔공단, 노와2리, 와룡3리, 와룡1리 1회 06:55 3-3 서울고속 월곡동차고지 ↔ 신가2리 죽백동, 평택대학교, 시청앞, 평택역, 통복시장앞, 원평동행정복지센터.평택초교.평택초교, 공군아파트.객사6리, 추팔공단, 노와2리, 와룡3리, 와룡1리 2회 06:00, 21:50 110 서울고속 평택터미널 ↔ 성환터미널 유천3리, 안성천교, 안궁3리, 대홍4리 60 11회천안 130번과 공동배차 세종특별자치시의 시내버스[편집] 노선번호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850 세종교통 전의역 ↔ 고등리 민석아파트, 행정리, 유천리, 운당리, 소정면행정복지센터 , 대곡리 *7회 910 세종교통 조치원역 ↔ 병천면 세종고등학교,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조형아파트, 전동삼거리, 노장농공단지, 봉대리, 상록리조트, 병천시장 *3회 청주시의 시내버스[편집] 노선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718 비하종점 ↔ 송정2리 사창사거리, 상당공원, 청주대학교, 오근장역, 오창 *5회 721 청주역 ↔ 병천 사창사거리, 상당공원, 청주대학교, 오근장역, 오창 *2회 진천군의 농어촌버스[편집] 노선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진천 ↔ 입장 진천터미널 ↔ 입장 백곡, 갈월 *2회 각주[편집] ↑ 천안시 새올전자민원창구 15456번글 ↑ 97번만 양방향 모두 운행되는 왕복노선이다. (각각 1회) ↑ 성환 방면:35~35분, 둔포 방면:40~120분 vdeh 대한민국의 시내버스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서울특별시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인천광역시 강화 옹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고양 과천 광명 광주 이천 여주 구리 김포 남양주 동두천 부천 성남 수원 시흥 안산 안성 안양·군포(의왕) 양주 오산 용인 의정부 파주 평택 포천 하남 화성 강원도 강릉 동해 삼척 속초 원주 춘천 태백 충청남도 계룡 공주 논산 당진 보령 서산 아산 천안 충청북도 제천 청주 충주 전라북도 군산 김제 남원 익산 전주 정읍 전라남도 광양 나주 목포 순천 여수 경상북도 경산 경주 구미 김천 문경 상주 안동 영주(봉화) 영천 포항 경상남도 거제 김해 밀양 사천 양산 진주 창원 통영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제주·서귀포)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농어촌버스· 마을버스 vdeh천안시의 교통철도노선 경부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장항선(●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고속선 역 천안아산역 천안역 성환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 (평택시) ← 성환역 직산역 두정역 천안역 봉명역 쌍용역 → (아산시) 고속도로노선 1호선 경부고속도로 () 25호선 논산천안고속도로 32호선 아산청주고속도로 나들목·분기점 천안 분기점 천안 나들목 목천 나들목 남천안 나들목 북천안 나들목 남풍세 나들목 서천안 나들목 일반도로국도 1호 21호 23호 34호 43호 국지도 23호 57호 70호 지방도 618호 623호 624호 629호 691호 693호 696호 주요 간선도로간선도로 남부대로 동서대로 불당대로 삼성대로 서부대로 쌍용대로 천안대로 대흥로 두정로 만남로 백석로 버들로 번영로 삼사로 망향로 세종로 세종평택로 시청로 중앙로 차령로 충무로 충절로 차돌길 교량 천안대교 고개 차령 터널 천안터널 버스시내 천안시의 시내버스 고속·시외 천안 병천 성환 쌍용 기타시내 티머니 이비카드 캐시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천안시의_시내버스_노선_목록&oldid=23962589" 분류: 천안시의 교통충청남도의 버스 교통대한민국의 버스 노선대한민국의 버스 교통에 관한 목록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3일 (수) 21: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천안시의 시내버스는 천안시에서 운영하는 시내버스로 새천안교통, 보성여객, 삼안여객 등이 운영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천안 버스 노선 중 400번과 401번 버스가 병천고 연장운행을 하지 않는 때는 언제일까? Assistant: 휴일·방학 제외)-터미널 Human: 아래 태평공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태평공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태평공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태평공주(太平公主, 665년 ~ 713년)는 당나라의 황족으로, 고종과 측천무후의 딸이다. 성은 이씨, 이름은 영월. 측천 무후의 비호 하에 강력한 정치 세력을 형성했으며 예종의 복위로 정권을 장악했으나 뒤이어 즉위한 현종과의 대립 끝에 몰락하여 자결했다. 위에 어머니 측천무후에게 살해당한 언니 안정공주(安定公主)가 있다. 목차 1 생애 1.1 무측천이 가장 아낀 딸 1.2 무주의 공주 1.3 무위의 화 1.4 황태자 융기와의 대립 그리고 죽음 2 각주 생애[편집] 무측천이 가장 아낀 딸[편집] 인덕(麟徳) 2년(665년) 고종과 측천무후의 막내딸로 태어났다. 8세 때 한 번 출가해서 태평(太平)이라는 호를 받았다. 어머니 무측천은 자신과 용모나 성격이 가장 많이 닮은[1] 막내딸 태평공주를 총애했고, 토번이 화친을 목적으로 공주의 출가를 청했을 때 측천무후는 딸을 먼 곳에 시집보내는 것이 싫어 도교 사원을 짓고 공주가 도사가 되었다고 속여 거절하기도 했다.[2] 고종 또한 막내딸인 태평공주를 사랑해 그녀가 내미는 문서는 읽지도 않고 서명을 해 주었다. 681년 공주는 설소(薛紹)[3]와 혼인해서 그와의 사이에서 2남 2녀를 얻었으나 그는 낭야왕 충의 모반죄에 연루되어 옥중에서 굶어죽었고, 690년 공주는 무유기(武攸曁)와 재혼해(무유의의 전처는 측천무후에 의해 처형되었다) 그와의 사이에서 다시 2남 2녀를 낳았다. 무주의 공주[편집] 병이 깊어진 고종을 대신해 어머니 무측천이 수렴정치를 시작했을 때 태평공주는 그 상대역으로써 무측천의 정권에서 일익을 맡았다. 690년 드디어 무측천이 황제로 즉위하고 무주(武周)를 선포하자 공주도 모황(母皇)의 측근으로써 은연중에 세력을 지니게 되었다. 공주는 모친의 취향에 들어맞는 젊은 남자를 측천무후에게 소개하기도 했고,[4] 그 가운데 측천무후의 세력을 등에 업고 권력을 남용하던 설회의(薛懷義)를 측근에게 살해하게 하는 등 남다른 행동력으로 모친의 총애를 받았다.[5] 무측천이 병으로 쓰러진 뒤 그 애인이었던 장역지(張易之) ・ 장창종(張昌宗) 형제가 전횡을 휘두르는 것이 극에 달하자 신룡 원년(705년) 재상 장간지(張柬之) 등과 함께 이들 형제를 죽이고 측천무후를 퇴위, 오빠 중종을 복위시키는 정변에 동참한다. 중종이 즉위한 뒤 황족 가운데 중요인물로써 이름을 높이게 되었고, 안국상왕(安國相王)으로 불리게 된 예왕 단과 함께 진국태평공주(鎮国太平公主)라 불리게 되었다. 무위의 화[편집] 무측천의 퇴위로 천하는 다시 당 왕조로 복귀하였으나, 장씨 형제와 결탁하던 종형제 무삼사(武三思)가 장간지를 실각시키고 사촌누이인 안락공주(安楽公主)와 짜고 710년 불륜이 폭로될 것을 두려워한 안락공주가 어머니 위황후와 짜고 중종을 독살하였다. 「제2의 무측천」이 되고자 했던 위황후는 온왕(温王) 중무(重茂)를 옹립하고 그를 내세워 자신이 실권을 잡고자 했지만, 태평공주는 이때에 조카 융기(隆基, 훗날의 당 현종)과 모의해서 위황후 모녀 및 그 일족을 모조리 주살하고 융기의 아버지이자 자신의 친오빠인 안국상왕 단을 즉위시킨다. 이로써 황제의 누이동생이 된 태평공주의 권세는 정점에 달했고, 예종은 위황후 일파를 축출한 공신인 공주에게 1만 호의 봉토를 내리고 태평공주의 아들 설숭간을 절군왕(節郡王)으로 봉했다. 또한 예종은 누이를 의지하여 무슨 일이든 그녀와 상의했으며, 조회에 태평공주가 나오지 않으면 재상을 공주의 집으로 보내 자문을 받기도 했다.[6] 한편 재상 요숭(姚崇) ・ 장열(張説)을 좌천시키는 등 태평공주의 실권은 극에 달했지만, 이로 인해서 황태자 융기와의 대립이 차츰 깊어갔다. 공주는 셋째아들인 이융기를 태자로 책봉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으나 예종의 맏아들인 송왕(宋王) 이헌(李憲)이 태자가 되기를 사양하여 결국 이융기가 태자로 책봉되었다. 공주는 태자가 파당을 형성하고 있다고 예종에게 고하거나 재상들을 불러모아 폐태자를 건의할 것을 종용하는 등 이융기를 제거하려 했다. 그러나 사전에 이를 알아차린 이융기의 세력들은 예종에게 태평공주를 도성에서 내보내라고 간했다. 예종은 처음에는 이를 반대하였으나 결국 공주를 포주(蒲州)로 이주시켰다. 황태자 융기와의 대립 그리고 죽음[편집] 712년 혜성이 출몰하자 공주는 이를 빌미로 예종과 태자 사이를 이간질하려 하였으나 예종은 오히려 태자에게 제위를 양위하고 태상황으로 물러났다.[7] 새로 황제가 된 현종과 태평공주의 대립은 격화되었다. 현종은 7명의 재상 중 5명이 태평공주의 사람인 조정에서 정권을 장악하지 못했고[7] 공주는 영명한 현종을 폐위시킬 것을 모의하였지만 그 음모는 누설되었다. 이듬해인 713년 태평공주가 좌우림군의 군사를 동원해 현종을 제거하고 정변을 일으키려 하였다는 이유를 들어 현종 자신이 3백 명의 병사를 거느리고 태평공주 일당을 쳐서 쓰러뜨렸다. 공주는 남산사로 피신했지만 사흘 뒤, 현종의 심복인 환관 고력사에게 자살을 강요당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8](평생 금고형에 처해졌다는 설도 있다). 태평공주의 죽음으로 현종의 독재체제는 확립되었으며, 「개원의 치」라 불리게 될 당 왕조의 중흥과 최전성기를 이끌었다. 각주[편집] ↑ 시앙쓰, 《황제를 지배한 여인들》, 강성애 역, 미다스북스, 2012, p.306, ISBN 9788966370245 ↑ 허청웨이, 《중국을 말한다 9》, 김동휘 역, 신원문화사, 2008, p.219, ISBN 9788935914487 ↑ 성양공주(城陽公主) 소생으로 태평공주에게는 종형제에 해당하였다. ↑ 자오량, 《광기의 제왕학》, 김태성, 이은주 역, 한스미디어, 2006, p.168, ISBN 8959750468 ↑ 이나미 리츠코, 《배신자의 중국사》, 김석희 역, 작가정신, 2002, p.182, ISBN 8972881651 ↑ 허청웨이, p.220 ↑ 가 나 허청웨이, p.222 ↑ 이나미, p.183 이 글은 중국 사람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중국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태평공주&oldid=24159909" 분류: 665년 태어남713년 죽음당 고종의 황녀강제로 자살한 중국 사람숨은 분류: 중국 사람에 관한 토막글중국사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venskaไทย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文言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7일 (화) 03: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태평공주(太平公主, 665년 ~ 713년)는 당나라의 황족으로, 고종과 측천무후의 딸이다. 성은 이씨, 이름은 영월. 측천 무후의 비호 하에 강력한 정치 세력을 형성했으며 예종의 복위로 정권을 장악했으나 뒤이어 즉위한 현종과의 대립 끝에 몰락하여 자결했다. 위에 어머니 측천무후에게 살해당한 언니 안정공주(安定公主)가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현종과의 대립에서 패배하며 태평공주가 맞이한 결말은 무엇입니까? Assistant: 712년 혜성이 출몰하자 공주는 이를 빌미로 예종과 태자 사이를 이간질하려 하였으나 예종은 오히려 태자에게 제위를 양위하고 태상황으로 물러났다.[7] 새로 황제가 된 현종과 태평공주의 대립은 격화되었다. 현종은 7명의 재상 중 5명이 태평공주의 사람인 조정에서 정권을 장악하지 못했고[7] 공주는 영명한 현종을 폐위시킬 것을 모의하였지만 그 음모는 누설되었다. 이듬해인 713년 태평공주가 좌우림군의 군사를 동원해 현종을 제거하고 정변을 일으키려 하였다는 이유를 들어 현종 자신이 3백 명의 병사를 거느리고 태평공주 일당을 쳐서 쓰러뜨렸다. 공주는 남산사로 피신했지만 사흘 뒤, 현종의 심복인 환관 고력사에게 자살을 강요당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8](평생 금고형에 처해졌다는 설도 있다).
Human: 아래 로자_파크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로자 파크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로자 파크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6년 3월) Rosa Parks 출생 1913년 2월 4일(1913-02-04)사망 2005년 10월 24일 (92세) 직업 운동가 로자 루이스 미카울리 파크스 (영어: Rosa Louise McCauley Parks, 1913년 2월 4일 ~ 2005년 10월 24일)는 미국의 민권 운동가이다. 이후 미국 의회에 의해 그녀는 “현대 인권 운동의 어머니”라고 칭송되었다. 1955년 12월 1일,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에서 백인 승객에게 자리를 양보하라는 버스 운전사의 지시를 거부하였고, 결국 이것 때문에 경찰에 체포되었다. 이 사건은 382일 동안 계속된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으로 이어졌고 인종 분리에 저항하는 큰 규모로 번져 나아갔다. 이때 마틴 루터 킹 목사가 여기에 참여하게 되고 결국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인권과 권익을 개선하고자 하는 미국 인권 운동의 시초가 되었다. 목차 1 초기의 생애 1.1 공부 1.2 인종차별 1.3 결혼 2 민권 운동 활동 2.1 버스 안의 불평등 2.2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3 이후의 생애와 죽음 4 같이 보기 초기의 생애[편집] 공부[편집] 로자 파크스의 결혼 이전 원래 이름은 로자 루이즈 맥콜리(Rosa Louise McCauley)이고 1913년 2월 4일에 앨라배마 주 터스키지에서 목수인 아버지와 교사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부모가 갈라지게 되자 어머니와 함께 앨라배마주 몽고메리 근처의 파인 레벨로 이사를 오게 되었다. 11살이 될 때까지는 집에서 어머니에게 교육을 받았으며, 이후에 몽고메리에 있는 여자 산업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앨라배마 주 흑인교원대학교에 입학하여 학교 선생님이 되려고 공부했으나 할머니와 어머니를 돌보기 위해 중퇴하였다. 인종차별[편집] 당시의 미국 남부에서는 인종차별악법인, 사람을 똑같이 대하는 것이 아니라 차별하는 나쁜 법인 짐 크로우법에 의해 흑인과 백인은 거의 모든 일상생활에서 분리되어 생활하였다. 버스와 기차 같은 대중 교통수단도 마찬가지였는데, 겉으로는 나눠있지 않으나 앉는 자리를 분리하도록 강제하였다. 또한 흑인 어린이들에게는 학교버스가 아예 제공되지 않아 걸어다녀야만 했다. 흑인들은 흑인을 백인보다 못한 사람이라고 여기는 차별을 매일 겪으면서 살았던 것이다. 로자의 회고담에 따르면 "나는 매일 같이 그 버스들이 지나가는 것을 봤어요...그러나 내게는 우리가 선택할 수 없는 그런 인생이었고 이것은 당연하게 받아들여야만 했지요. 그 버스는 내게 세상이 검은 세상과 하얀 세상으로 나뉘어 있다는것을 실감하게된 계기였습니다."라고 한다. 결혼[편집] 1932년 로자는 레이먼드 파크스와 결혼하였다. 레이먼드는 유색인의 향상을 위한 국가 협회(NAACP,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olored People)에 참여하고 있었다. 결혼 후 여러 가지 직업을 전전하면서 생활을 꾸려 나갔으며, 그러던 중 남편의 외조로 1933년에 고등학교 교육을 마칠 수 있었다. 당시에는 약 7%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만이 고등학교 이상의 학력이었다. 또한 ‘짐크로우 법’에 의해 흑인들의 정치 참여를 방해하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었지만 3번의 도전 끝에 투표권을 등록하는데 성공하였다. 1943년 12월에 민권운동에 참여하기 시작하여 NAACP의 몽고메리 지부에 가입하였고 1957년까지 서기로 활동했다. 민권 운동 활동[편집] 버스 안의 불평등[편집] 1944년에도 흑인 운동선수 재키 로빈슨이 비슷한 사건으로 제소된 적이 있었다. 또한 10년 전에도 아이린 모건이 비슷한 사건에 연루되었지만 미국 고등법원에서 승소하였다. 이러한 승리로 각 주를 연결하는 버스에서의 분리 좌석은 철폐되었다. 1955년 3월 2일, Claudette Colvin은 하교길 버스에서 백인 남자에게 좌석을 양보하지 않았다고 수갑이 채워져 체포되어 버스에서 쫒겨난 사건이 일어났다. 그녀는 헌법적 권리가 침해되었다고 주장하였다. 당시 몽고메리에서는 버스 앞 네 줄은 백인전용으로 설정되어 있었으며 흑인들은 주로 뒤쪽에 있는 그들만의 유색 칸에 앉을 수 있었다. 그런데 버스 이용 인구의 약 99.9%는 흑인들이었다고 했으며 버스가 만원이 되면 내려야만 했다. 수년동안 흑인 사회는 이러한 불평등에 대해 불만을 표시해 왔다.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편집] 1955년 12월 1일 목요일, 몽고메리 페어 백화점에서 하루일을 마친후 로자는 오후 6시쯤 클리블랜드 거리에서 버스를 탔다. 요금을 내고 유색칸으로 표시된 좌석들 중 가장 첫 줄의 빈 자리에 앉았다. 버스가 정류장을 계속 지나는 동안 앞에 있는 백인 전용칸의 좌석들이 점차 차게 되었고 엠파이어 극장 앞의 세 번째 정거장에서 몇 명의 백인들이 승차하였다. 버스 운전기사인 제임스 F. 블레이크는 두세 명의 백인 승객들이 서 있게 되자 유색 칸의 표시를 로자가 앉은 자리 뒤로 밀어내고 중간에 앉은 네 명의 흑인들에게 일어나라고 요구하였다. 세 명의 다른 흑인들은 움직였으나 로자는 움직이지 않았다. 운전기사가 왜 일어나지 않냐고 묻자, 로자 파크스는 "일어나야 할 이유가 없다고 보는데요."라고 대답하였다. 버스운전기사인 블레이크는 경찰을 불러서 로자 파크스를 체포하도록 하였다. 그녀는 몽고베리 시 조례 6장 11절의 분리에 관한 법을 위반한 혐의로 기소되었다. 그러나 원래 그녀가 앉을 때에는 유색 칸이었으므로 혐의가 풀려 저녁때에는 풀려나올 수 있었다. 이 조례는 1900년에 제정된 것이었다. 그날 저녁 로자 파크스의 친구인 E.D. 닉슨은 앨라배마 주립 대학 교수인 조 안 로빈슨에게 이 사건에 대해 문의하였다. 그리고 밤을 새워 3만 5천여 장의 버스 보이콧을 선언하는 유인물을 만들었다. 또한 여성 정치 위원회(WPC, Women's Political Council)는 이 운동을 지지하였다. 12월 4일 일요일,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운동에 각지의 흑인 교회가 동참한다고 발표하였다. 버스 안에서 흑인이 충분히 평등하게 존중되고 흑인 운전사가 고용되며 먼저 탄 사람이 중간 자리를 차지할 수 있을 때까지 투쟁하기로 하였다. 4일 후에 로자 파크스는 질서를 어지럽힌 행동을 한 혐의로 기소되었으며 유죄를 선고 받아 10달러의 벌금과 4달러의 법정비용을 물게 되었다. 그녀는 이에 항소하여 무죄와 인종 분리 법에 정식으로 도전하게 되었다. 1955년 12월 5일 월요일, 성공적으로 하루 동안의 보이콧 운동을 마친 후 지온 교회에 모여 향후 전략을 논의하였다. 이 모임에서 "몽고메리 진보 협회"를 만들어 운동을 계속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때 이 모임의 회장으로 젊고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았던 덱스터 애비뉴의 침례교회 목사인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박사가 선출되었다. 이후의 생애와 죽음[편집] 로자 파크스는 이후 여러 고초를 겪었지만 인권운동의 상징적 인물이 되었다. 백화점에서의 직장을 잃었으며 남편 또한 직장을 그만두어야 하였다. 1957년부터는 이 사건을 알리기 위해 각지를 돌며 연설하였다. 재봉사 일을 계속하였으나 1965년에 아프리카계인 미국 하원의원인 존 콘이어가 그녀를 비서로 고용하여 디트로이트의 사무실에서 일하게 하였다. 그녀는 1988년에 은퇴할 때까지 이 일을 계속하였다. 1997년 자서전인 《로자 파크스: 나의 이야기》를 출간하였으며 1995년에는 회고록인 《조용한 힘》을 내놓았다. 2005년 10월 24일 92세로 운명하였다. 그는 31번째로 캐피톨 힐에 안장되었는데, 여성으로서는 첫 번째이고 흑인으로서는 두 번째 인물이다. 장례식에서는 콘돌리사 라이스 장관이 참석하였는데, 그녀는 로자 파크스가 없었다면 자신이 국무장관이 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같이 보기[편집] 짐크로 법 vdeh전미여성 명예의 전당 헌액자1970년대1973년 제인 애덤스 매리언 앤더슨 수잔 B. 앤서니 클라라 바턴 메리 맥러드 베툰 엘리자베스 블랙웰 펄 벅 레이철 카슨 메리 카샛 에밀리 디킨슨 아멜리아 에어하트 앨리스 해밀턴 헬렌 헤이스 헬렌 켈러 엘레노어 루스벨트 플로렌스 사빈 마거짓 체이스 스미스 엘리자베스 케이디 스탠턴 헬렌 브루크 타우시그 해리엇 터브먼 1976년 애비게일 애덤스 마거릿 미드 베이브 디드릭슨 1979년 도로시아 딕스 줄리엣 고든 로우 앨리스 폴 엘리자베스 앤 세턴 1980년대1981년 마거릿 생어 소저너 트루스 1982년 캐리 채프먼 카트 프란세스 퍼킨스 1983년 벨바 앤 록우드 루크레티아 모트 1984년 메리 해리스 "마더" 존스 베시 스미스 1986년 바버라 맥클린톡 루시 스톤 해리엇 비처 스토 1988년 그웬돌린 브룩스 윌라 카서 샐리 라이드 아이다 벨 웰스 1990년대1990년 마거릿 버크화이트 바버라 조던 빌리 진 킹 플로렌스 바보라 세이버트 1991년 거트루드 벨 엘리언 1993년 에셀 퍼시 앤드루스 앤터니에트 브라운 블랙웰 에밀리 블랙웰 셜리 치스홀름 재클린 코츠란 루스 존슨 콜빈 매리언 라이트 에델먼 앨리스 캐서린 에번스 베티 프리댄 엘라 그라소 마사 그리피스 패니 로 해머 도로시 하이트 돌로레스 우에르타 메리 코리나 퍼트넘 제이커비 메이 제임슨 메리 라이언 메리 엘리자 마호니 윌마 맨킬러 콘스탄스 베이커 모틀리 조지아 오키프 애니 오클리 로자 파크스 에스더 피터슨 자넷 랭킨 엘렌 스왈로 리처즈 엘라인 룰렛 캐서린 시바 사우벨 글로리아 스타이넘 헬렌 스티븐스 릴리언 왈드 마담 C. J. 워커 페이 워틀턴 로잘린 수스먼 얄로 글로리아 예르코비치 1994년 벨라 앱저그 엘라 베이커 미라 브래드웰 애니 점프 캐넌 제인 커닝엄 크롤리 캐서린 샤이프 이스트 제럴딘 페라로 샬럿 퍼킨스 길먼 그레이스 호퍼 헬렌 라켈리 헌트 조라 닐 허스턴 애니 허친슨 프란세스 와이즈바트 제이컵스 수제트 라 플레셰 루이즈 맥마누스 마리아 미첼 안토니아 노벨로 린다 리처즈 윌마 루돌프 베티 본 쉬스 뮤리엘 시버트 네티 스티븐스 오프라 윈프리 사라 위너머카 프란세스 라이트 1995년 버지니아 아프가 앤 반크로프트 아멜리아 블루머 메리 카슨 브레킨리지 에일린 콜린스 엘리자베스 돌 엔 댈러스 더들리 메리 베이커 에디 엘라 피츠제럴드 마거릿 풀러 마틸다 조슬린 게이지 릴리언 몰러 길브레스 나넬 오버홀저 코헤인 매기 쿤 산드라 데이 오코너 조제핀 생피에르 뤼팽 팻 슈뢰더 한나 그린바움 솔로몬 1996년 루이자 메이 올컷 샬럿 번치 프란세스 자비에 카브리니 메리 핼러렌 오베타 컬프 하비 윌헬미나 홀라데이 앤 모로 린드버그 마리아 괴퍼트 메이어 에른스틴 로즈 마리아 톨치프 에디스 워턴 1998년 매들린 올브라이트 마야 앙겔로 넬리 블리 리디아 모스 브래들리 메리 칼데론 메리 앤 샤드 조안 간츠 쿠니 게르티 코리 사라 무어 그림케 줄리아 워드 하우 셜리 앤 잭슨 새년 루시드 캐서린 맥코믹 로잔 L. 리지웨이 에디스 너스 로저스 펠리체 슈바르츠 유니스 케네디 슈라이버 비벌리 실즈 플로렌스 왈드 안젤리나 그림케 젠슝 우 2000년대2000년 페이 글렌 압델라 에마 스미스 데보 마저리 스톤먼 더글러스 메리 다이어 실비아 얼 크리스털 이스트먼 잔 홀름 레온틴 켈리 프란세스 올덤 켈시 케이트 뮤라니 재닛 레노 애나 하워드 쇼 소피아 스미스 아이다 타르벨 윌마 보그트 메리 에드워즈 워커 애니 다지 와우네카 유도라 웰티 프란세스 윌러드 2001년 도로시 한사인 안데르센 루실 볼 로잘린 카터 리디아 마리아 차일드 베시 콜먼 도로시 데이 매리언 드 포레스트 앨시아 깁슨 베아트리스 힉스 바버라 홀드리지 해리엇 윌리엄스 러셀 스트롱 에밀리 하웰 워너 빅토리아 우드헐 2002년 폴리나 켈로그 라이트 데이비스 루스 배저 긴스버그 캐서린 그레이엄 버사 홀트 메리 엥글 페닝턴 머시 오티스 워런 2003년 린다 G. 알바라도 도나 드 바로나 거트루드 에델리 마사 마틸다 하퍼 패트리셔 로버츠 해리스 스테파니 콜렉 도로시아 랑게 밀드레드 로빈스 리트 패치 타케모토 밍크 새커거위아 앤 설리번 셰일라 위드널 2005년 플로렌스 엘린우드 앨런 루스 베네딕트 베티 범퍼스 힐러리 클린턴 리타 로시 콜웰 매리언 코프 마야 린 패트리셔 로크 블랜치 스콧 메리 버넷 탤버트 2007년 엘레노어 바움 줄리아 차일드 마사 커핀 라이트 스와니 헌트 위노나 라듀크 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 주디스 파이퍼 캐서린 필렌 파일렌 샤우스 헨리에타 졸드 2009년 루이즈 부르주아 밀드레드 콘 카렌 드크로우 수잔 켈리드레이스 앨리 B. 라티머 에마 라자루스 루스 패트릭 레베카 탤벗 퍼킨스 수잔 솔로몬 케이트 스톤먼 2010년대2011년 캐서린 드렉셀 도로시 해리슨 유스티스 로레타 포드 애비 켈리 포스터 헬린 머레이 프리 빌리 홀리데이 코레타 스콧 킹 릴리 레드베터 바버라 미쿨스키 도너 샬랄라 캐서린 슈바이처 2013년 베티 포드 아이나 메이 가스킨 줄리 크론 케이트 밀렛 낸시 펠로시 멤리 조지프 로저스 버니 샌들러 애나 슈바르츠 에마 윌러드 2015년 테늘리 올브라이트 낸시 브링커 마사 그레이엄 마르셔 그린버거 바버라 이글레프스키 잔 킬본 샬로타 월스 라니어 필리파 마락 메리 해리먼 럼지 렐레노어 스밀 2017년 마틸다 쿠오모 템플 그란딘 로레인 한스베리 빅토리아 잭슨 셰리 란싱 클레어 부스 루스 에이미 뮬린스 캐롤 무터 재닛 롤리 앨리스 워터스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8032665 LCCN: n87927953 ISNI: 0000 0001 2122 7464 GND: 119472678 SELIBR: 360011 SUDOC: 079443117 BNF: cb15080425z (데이터) 뮤직브레인즈: 4417592c-2221-488b-b945-a1d021679bfd NDL: 00472759 BNE: XX4892747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로자_파크스&oldid=24198948" 분류: 1913년 태어남2005년 죽음아프리카계 미국인 민권운동가미국의 활동가체로키족미국의 감리교도비폭력 지지자디트로이트 출신터스키기 출신앨라배마 주립 대학교 동문공동체 조직화의회 명예 훈장 수훈자대통령 자유 훈장 수상자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6년 3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አማርኛAragonésالعربيةAsturianu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Frysk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LatinaLadinoLëtzebuergeschLimburgsLumbaartLingála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Plattdüütsch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ਪੰਜਾਬੀPolski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संस्कृतम्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inaray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01:1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로자 루이즈 매콜리 파크스(영어: Rosa Louise McCauley Parks, 1913년 2월 4일 ~ 2005년 10월 24일)는 미국의 민권 운동가이다. 이후 미국 의회에 의해 "현대 인권 운동의 어머니”라고 명명되었다. 1955년 12월 1일,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에서 백인 승객에게 자리를 양보하라는 버스 운전사의 지시를 거부하였고, 결국 이 일 때문에 경찰에 체포되었다. 이 사건은 382일 동안 계속된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으로 이어졌고 인종 분리에 저항하는 큰 규모로 번져 나아갔다. 이때 마틴 루터 킹 목사가 여기에 참여하게 되고 결국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인권과 권익을 개선하고자 하는 미국 인권 운동의 시초가 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세기 중반, 흑인들이 대중교통 이용시 가진 불만의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Assistant: 당시 몽고메리에서는 버스 앞 네 줄은 백인전용으로 설정되어 있었으며 흑인들은 주로 뒤쪽에 있는 그들만의 유색 칸에 앉을 수 있었다. 그런데 버스 이용 인구의 약 99.9%는 흑인들이었다고 했으며 버스가 만원이 되면 내려야만 했다. 수년동안 흑인 사회는 이러한 불평등에 대해 불만을 표시해 왔다. Human: 아래 AAA_전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AAA 전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AAA 전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AAA 전지 D, C, AA, AAA, AAAA, 9V 전지 AAA 전지(영어: AAA battery) 또는 트리플 A 전지(영어: triple-A battery)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많이 쓰이는 고체 전지이다. 1947년 ANSI가 AAA 전지 형태를 표준화하였다. 목차 1 크기 2 전압 및 용량 3 다른 통용 이름 4 각주 5 외부 링크 크기[편집] ANSI에서 사용된 용어로써, AAA는 직경x높이, 10.5(10+-0.5)mm x 44.5(44+-0.5)mm가 된다. 보통 전문가들은 AAA를 10440, AA를 14500라고 부르기도 한다.. 물론 IEC에서 표준화 시킨 용어는 따로 있다. AA, AAA의 특별한 뜻은 없으며, ANSI에서 배터리의 표준을 결정하기위해 사용했던 용어이다. 그리고, AA는 AAA보다 크고, A는 AA보다 크다. 실제 건전지를 분류하는 기준은 따로 있다. D, C, AA, AAA로 나누는데, 크기의 등급을 나타내는 것으로 큰 의미가 있다고 보긴 어렵다. AAA, AA, C, D 사이즈는 미국의 건전지 구분 단위 이다. 크게보면 건전지의 크기 구분은 국제표준, 미국식, 그리고 일본식 기준이다. 대한민국은 국제 기준단위를 따른다.   아연-탄소 알카라인 리튬 니켈-카드뮴 니켈-수소 IEC 이름 R03 LR03 FR03 KR03 HR03 ANSI/NEDA 이름 24D 24A 24LF 대표 용량 540 mAh 860–1,200 mAh[1] 1,200 mAh 300–500 mAh 150–1,250[2] mAh 공칭 전압 1.50 V 1.50 V 1.50 V 1.25 V 1.25 V 재충전 가능 불가 일부만 가능 불가 가능 가능 [3] 전압 및 용량[편집] 공식적인 AAA 전지의 전압은 1.5 볼트이다. 니켈-카드뮴 전지 및 니켈-수소 충전 가능한 전지의 전압은 1.2 볼트이다. 특수한 화학물질을 쓴 일부 전지는 부하가 걸린 상태에서 최고 1.6 V의 전압을 내기도 한다. AAA 전지의 전압은 AAA 전지, C 전지, D 전지의 전압값과 같다. 일반적으로 AA 전지는 AAA 전지보다 오래 간다. AA 전지가 AAA 전지보다 크므로, 전력 생성에 필요한 이온과 같은 화학 물질들을 AA 전지가 AAA 전지보다 더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C, D 전지도 마찬가지로 AA 전지보다 크므로 AA 전지보다 오래 간다. 즉 전지의 크기가 클수록 그 용량도 증가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1차전지 알카라인 AAA 전지는 1.5V, 1000~1500 mAh 의 용량을 갖고, 2차 (충전가) 니켈카드뮴 AAA 전지는 1.2V, 200-300 mAh의 용량을 갖고, 니켈수소 AAA 전지는 1.2V, 150-1000 mAh 정도의 용량, 리튬이온 AAA 전지는 3.7V, 300-1000 mAh 정도의 용량을 갖는다. 다른 통용 이름[편집] U16 (영국에서 1980년대 까지 사용) Micro Micro light MN2400 MX2400 Palito (브라질) Type 286 (소련/러시아) UM 4 (JIS)[4] #7 (중국) 6135-99-117-3143 (NSN)[5] AAA 전지 R3 (폴란드) 각주[편집] ↑ VARTA V4903 datasheet ↑ “Your guide to types of household batteries”. michaelbluejay.com. 2014년 11월 15일에 확인함.  ↑ [1] ↑ Heinz Albert Keighne , Battery technology handbook ,CRC Press, 2003 ISBN 0-8247-4249-4, page 374 ↑ Defence Standards: 61 Series - Electrical Wire and Power 외부 링크[편집] Specifications for Energizer alkaline AAA battery (E92) Brand Neutral Drawing Of Alkaline AAA Battery based on ANSI specifications Brand Neutral Drawing Of NICAD AAA Battery based on ANSI Specifications Brand Neutral Drawing Of NiMH AAA Battery based on ANSI Specifications Brand Neutral Drawing Of Rechargeable AAA Battery based on ANSI Specifications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AAA_전지&oldid=21284097" 분류: 전지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Bahasa Indonesiaਪੰਜਾਬੀ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lovenčina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5월 17일 (목) 21:4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AAA 전지(영어: AAA Battery) 또는 트리플 A 전지(영어: Triple-A Battery)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많이 쓰이는 고체 전지이다. 1947년 ANSI가 AAA 전지 형태를 표준화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AAA전지중 재충전이 일부만 가능한 제품은 무엇인가? Assistant: 알카라인
Human: 아래 장석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장석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석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장석화(張石和, 1945년 11월 10일 ~ 2018년 11월 14일)는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이다. 제13, 14대 국회의원을 지냈다.[1][2] 목차 1 학력 2 경력 3 역대 선거 결과 4 각주 5 참고 문헌 학력[원본 편집] 덕명초등학교 졸업 광천중학교 졸업 서울사대부고 졸업 서울대 법대졸업 경력[원본 편집] 사법시험(10회)합격 서울대사법대학원졸(석사) 영등포지원ㆍ서울민사지방법원판사 속초지원장 변호사개업 통일민주당원내부총무 민주당정무위원ㆍ대변인 국회사법ㆍ노동위원 역대 선거 결과[원본 편집]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제13대 총선 국회의원(서울 영등포구 갑) 13대 통일민주당 30.64% 29,825표 1위 제14대 총선 국회의원(서울 영등포구 갑) 14대 민주당 41.74% 39,408표 1위 제15대 총선 국회의원(서울 영등포구 갑) 15대 새정치국민회의 34.69% 27,774표 2위 낙선 각주[원본 편집] ↑ 설승은 (2018년 11월 15일). “장석화 전 국회의원 별세…13·14대 의원 지내”. 《연합뉴스》 (서울). 2018년 1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박영주 (2018년 11월 15일). “장석화 전 국회의원 별세…향년 73세”. 《연합뉴스》. 2018년 1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16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원본 편집] 대한민국 헌정회 전 임 (영등포구)박한상,이찬혁 제13대 국회의원(서울 영등포구 갑)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통일민주당 → 민주당 → 민주당 (영등포구 을)김명섭 → 나웅배 후 임 (영등포구 갑)장석화(영등포구 을)나웅배 전 임 (영등포구 갑)장석화(영등포구 을)나웅배 제14대 국회의원(서울 영등포구 갑)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민주당 → 새정치국민회의 (영등포구 을)나웅배 후 임 (영등포구 갑)김명섭(영등포구 을)김민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장석화&oldid=23029549" 분류: 대한민국의 제13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14대 국회의원1945년 태어남2018년 죽음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동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6일 (금) 00:3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장석화(張石和, 1945년 11월 10일~2018년 11월 14일)는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이다. 제13·14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장석화는 제 13대 총선에서 몇 표를 받았을까? Assistant: 29,825표 Human: 아래 국방FM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국방FM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국방FM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국군방송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텔레비전 채널에 대해서는 국방TV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국방FM 방송국 국방부 국방홍보원 방송위치 서울특별시 용산구 두텁바위로 54-99 방송지역 본문 참조 주파수 본문 참조 개국일 1954년 9월 1일 방송부문 관영(FM 라디오) 방송언어 한국어 호출부호 본문 참조 외부 링크 국방FM 국방FM(國防FM)은 대한민국 국방부에서 관할하고 있는 라디오 방송국이다. 목차 1 방송 현황 1.1 방송 송출 시설망 2 프로그램 3 같이 보기 4 각주 5 외부 링크 방송 현황[편집] 방송 시간 : 매일 오전 6시부터 자정까지 하루 18시간 방송[1] 방송 송출 시설망[편집] 라디오 방송은 양평을 포함한 전방 지역과 수도권 일부, 경상북도 포항시를 포함한 경북 동해안 일부, 제주, 계룡대, 광주광역시 지역에서만 수신이 가능하고 기타 후방지역에서는 수신이 불가능하다.[2] 송신소 주파수 출력 호출 부호 송신소 위치 남산 송신소 FM 96.7㎒ 2㎾ HLSF-FM 서울 용산구 용산동2가 산1-3 용문산 중계소 FM 101.1㎒ 3㎾ 경기 양평군 옥천면 용천리 산2-1 감악산 중계소 FM 96.3㎒ 100W 경기 파주시 적성면 객현리 산182 백령 중계소 FM 89.5㎒ 500W 인천 옹진군 백령면 진촌리 산75-1 화악산 송신소 FM 96.7㎒ 5㎾ 경기 가평군 북면 화악2리 산218-2 대암산 중계소 FM 101.5㎒ 100W 강원 인제군 서화면 서흥리 산170 대성산 중계소 FM 103.3㎒ 20W 강원 화천군 상서면 봉오리 산224-1 기린 중계소 FM 93.3㎒ 20W 강원 인제군 상남면 하남리 산2 괘방산 송신소 FM 92.5㎒ 3㎾ 강원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산19-1 향적산 송신소 FM 100.1㎒ 200W 충남 계룡시 엄사면 향한리 산50-1 무등산 송신소 FM 96.5㎒ 500W 광주 동구 용연동 산354-4 조항산 송신소 FM 92.7㎒ 경북 포항시 남구 동해면 석리 산94-1 한라산 송신소 진행예정 3㎾ 제주 제주시 아라1동 산62-3 (KT) 미악산 송신소 FM 94.1㎒ 3㎾ 제주 서귀포시 동홍동 산7 프로그램[편집] 방송 시각 프로그램 6:00(매일) 병영의 아침 6:55(매일) 이달의 독립운동가 7:00(평일) 국방광장 7:00(주말) 주말의 클팝 09:00(매일) 조갑경의 오늘도 좋은 날 10:55(평일) 사랑하는 내 아들 딸 11:00(평일) 국방FM이 좋다 11:00(토) 국방포커스 11:00(일) 위문열차 12:00(평일) 국방TV뉴스 12:15(평일) 동엽, 미자의 행복한 국군 12:00(주말) 동엽, 미자의 행복한 국군 14:00(평일) 국방FM 2시 뉴스 14:05(평일) 너를 사랑하기에 전유나입니다 15:55(평일) 부모님 전상서 14:00(주말) 남복희의 노래가 있는 풍경 16:00(평일) 국방FM 4시 뉴스 16:05(평일) 국민과 함께 국군과 함께 16:00(주말) 국방FM 파워가요 18:00(매일) 건빵과 별사탕 20:00(평일) 이익선의 달콤한 음악여행 20:00(주말) 당신의 음악실, 김세원입니다 21:55(매일) 이달의 독립운동가 (재) 22:00(매일) 명상의 시간 22:05(매일) 송기철의 스토리가 있는 힐링뮤직 같이 보기[편집] 국방홍보원 국방TV 각주[편집] ↑ 자정부터 아침 6시까지는 KBS 제1라디오의 프로그램을 재전송한다. ↑ 기타 후방지역은 스마트폰 국방FM 앱으로 청취할수 있다. 외부 링크[편집] 국방FM - 공식 웹사이트 vdeh 대한민국 국방부 기재부 교육부 과기정통부 외교부 통일부 법무부 국방부 행안부 문체부 농식품부 산업부 복지부 환경부 고용부 여가부 국토부 해수부 중기부 본부 소속 장관 차관 국립서울현충원 국방홍보원 국방전산정보원 국방부조사본부 국방시설본부 국군간호사관학교 계룡대근무지원단 군사안보지원사령부 국군복지단 국군사이버사령부 국군수송사령부 국군심리전단 국군인쇄창 국군재정관리단 국군지휘통신사령부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국방부 군비통제검증단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국방부근무지원단 국방전비태세검열단 국방정신전력원 국방통합데이터센터 국방부검찰단 유해발굴감식단 (대한민국의 국방부 소속 위원회 목록) 국방정보본부 정보사령부 777사령부 국방지형정보단 국군의무사령부 국군의무학교 의학연구소 국군병원 국군강릉병원 국군고양병원 국군대구병원 국군대전병원 국군부산병원 국군서울지구병원 국군수도병원 국군양주병원 국군원주병원 국군일동병원 국군청평병원 국군춘천병원 국군홍천병원 국군함평병원 국군체육부대 국군대표운동선수단(남자 축구 농구 핸드볼 야구 배구 여자 축구 아이스하키)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도서관 합동군사대학교 국방어학원 산하 공공기관 국방전직교육원 전쟁기념사업회 한국국방연구원 소관기관 군인공제회 향토예비군 (소관 사단법인 소관 재단법인) 관련 항목 합동참모본부 의장 차장 육군본부 해군본부 해병대사령부 공군본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장군급 장교 중 대장은 장관급, 중장은 차관급 예우를 받는다. 대장은 최선임인 합동참모의장과 육군·해군·공군참모총장,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제1·2·3군사령관 등 총 8명이 있다. 합동참모차장[1]은 편제상 대장 보직이나 군조직 비대화를 방지하기 위해 중장이 임명되고 있다. 중장[2]은 최선임인 해병대사령관, 육군·해군·공군참모차장 등 총 34명이 있다. 한미연합군사령부 사령관은 미합중국 군인으로 보한다. 국방부 소속 국립서울현충원과 달리 국립대전현충원은 국가보훈처 소속이다. vdeh대한민국의 라디오 방송국종합 KBS 1라디오 2라디오(해피FM) 3라디오(사랑의 소리방송) 1FM(클래식FM) 2FM(쿨FM) 한민족 월드(해외) 지역 EBS(라디오·i-Radio) MBC 라디오 FM4U 지역 SBS 러브FM 파워FM 지역민방 종교 CBS 라디오 음악FM JOY4U 강원 강원영동 청주 대전 전북 광주 전남 대구 포항 부산 울산 경남 제주 극동방송 제주 대전 창원 목포 영동 포항 울산 부산 대구 광주 전남동부 전북 불교방송 부산 광주 대구 청주 춘천 울산 제주 전북 원음방송 전북 부산 광주 대구 가톨릭평화방송 광주 대구 부산 대전 지역지역국 라디오 경인방송 iFM KFM 경기방송 KNN 러브FM 파워FM TBC Dream FM TJB POWER FM kbc My FM ubc Green FM JTV MAGIC FM CJB JOY FM G1 Fresh FM JIBS New Power FM 공동체 라디오 관악FM 마포FM 성남FM 금강FM 성서공동체FM 광주시민방송 영주FM 기타 YTN NEWS FM Arirang Radio(DMB) 영어 라디오 방송 서울 부산 광주 국악방송 부산 광주 대구 대전 충주 영동 남원 강릉 전주 남도 경주 제주 tbs 교통방송(서울) TBN 한국교통방송 부산 광주 대구 대전 경인 강원 전북 울산 경남 경북 제주 국방FM AFN The Eagle AFN Thunder AM 폐국 동아방송 동양FM 동양라디오 전일방송 서해방송 한국FM 구 KBS 3라디오 나주방송 TBN(DMB) tbs world(DMB Radio) KDMB vdeh수도권의 지상파 방송사 수도권 강원권 충북권 충남권 전북권 전남권 경북권 경남권 제주권 TV방송국 SBS 6 KBS 2TV 7 OBS 8 KBS 1TV 9 KBS 1TV경인 9 EBS1 10-1 EBS2 10-2 MBC 11 AM라디오 방송국 KBS 제1라디오1 KBS 제2라디오(해피FM)1 KBS 제3라디오(사랑의 소리방송)1 MBC 표준FM1 SBS 러브FM1 CBS 표준FM1 극동방송1 KBS 한민족방송 AFN Thunder AM FM라디오 방송국종합/종교 라디오 KBS 제1FM(클래식FM) KBS 제2FM(쿨FM) EBS FM MBC FM4U SBS 파워FM CBS 음악FM CPBC 가톨릭평화방송 BBS 불교방송 WBS 원음방송 지역/기타 라디오 경인방송 iFM KFM 경기방송 국악방송 YTN NEWS FM tbs 교통방송 tbs eFM TBN경인교통방송 국방FM Arirang Radio(DMB) AFN The Eagle 공동체 라디오 방송국 관악FM 마포FM 성남FM 지상파DMBU1 DMBTV U1(MBN) WOW-TV Home&Shopping HD U1(MBN) YTN DMBTV mYTN LOTTE Homeshop HD mYTN TPEGDTSQBSTV QBS JTBC CJ O SHOPPING HD QBS JTBC HD CJ OSHOPPING MBC DMBTV my MBC HD my MBC V-Radio MBC RADIO TPEGDMB DriveU-KBSTV KBS STAR KBS HEART HD KBS STAR V-Radio KBS MUSIC TPEGKBS MOZEN TPEGSBS uTV SBS u TV HD SBS u TV HYUNDAI Home V-Radio SBS V-Radio Arirang Radio TPEGDTS송신 중단 · 폐국 TBN(DMB) #Love tbs(DMB TV) tbs world(DMB Radio) KDMB iTV 경인방송 4 동양방송 7 KBS TV 9 KBS 3TV 13 AFN prime PACIFIC 2, 34 2 1. AM·FM 동시방송이다. 극동방송의 경우 오전5시부터 오후7시까지만 동시 방송된다. 오후7시부터 익일 오전5시까지 AM라디오는 외국어방송과 미국의 소리 한국어 방송, 자유아시아방송을 송출하며 FM으로는 찬양 선교방송을 한다. 2. 2012년 5월 1일부터 아날로그 송신이 중단되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국방FM&oldid=23682884" 분류: 1954년 개국대한민국의 군사 대중 매체대한민국의 라디오 방송국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2월 11일 (월) 15: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국방FM(國防FM)은 대한민국 국방부에서 관할하고 있는 라디오 방송국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국방FM에서 방송하는 프로그램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Assistant: 방송 시각 프로그램 6:00(매일) 병영의 아침 6:55(매일) 이달의 독립운동가 7:00(평일) 국방광장 7:00(주말) 주말의 클팝 09:00(매일) 조갑경의 오늘도 좋은 날 10:55(평일) 사랑하는 내 아들 딸 11:00(평일) 국방FM이 좋다 11:00(토) 국방포커스 11:00(일) 위문열차 12:00(평일) 국방TV뉴스 12:15(평일) 동엽, 미자의 행복한 국군 12:00(주말) 동엽, 미자의 행복한 국군 14:00(평일) 국방FM 2시 뉴스 14:05(평일) 너를 사랑하기에 전유나입니다 15:55(평일) 부모님 전상서 14:00(주말) 남복희의 노래가 있는 풍경 16:00(평일) 국방FM 4시 뉴스 16:05(평일) 국민과 함께 국군과 함께 16:00(주말) 국방FM 파워가요 18:00(매일) 건빵과 별사탕 20:00(평일) 이익선의 달콤한 음악여행 20:00(주말) 당신의 음악실, 김세원입니다 21:55(매일) 이달의 독립운동가 (재) 22:00(매일) 명상의 시간 22:05(매일) 송기철의 스토리가 있는 힐링뮤직
Human: 아래 MUST_밴드의_시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MUST 밴드의 시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MUST 밴드의 시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MUST 밴드의 시대 장르 게임, 음악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Mnet 방송 기간 2013년 5월 21일 ~ 2013년 7월 16일 방송 시간 매주 화요일 오후11:00 ~ 밤12:20 방송 분량 1시간 20분 방송 횟수 8부작 연출 최효진 출연자 YB (진행) 음성 한국어 HD 방송 여부 HD 외부 링크  MUST 밴드의 시대 공식 홈페이지 《MUST 밴드의 시대》는 Mnet에서 2013년 5월 21일부터 2013년 7월 16일까지 방송한 밴드 서바이벌 프로그램이다. 목차 1 개요 2 경연곡 3 방영 목록 4 각주 5 같이 보기 6 외부 링크 개요[편집] 매회 6팀이 출연해 1대1 배틀을 펼치고 밴드피플 (방청객) 500명의 투표로 승패팀이 결정된다. 매회 라운드 대결을 한 후 라운드 승자 중에서 세미파이널에 진출할 최종 1팀을 선정한다. 그런 방식으로 세미파이널에 진출하게 될 6팀을 선정한 후 파이널에서 최종 우승팀이 선정된다. 데이브레이크 (1대 밴드), 로맨틱펀치 (2대 밴드), 갤럭시 익스프레스 (3대 밴드), 장미여관 (4대 밴드), 3호선 버터플라이 (5대 밴드), 브로큰 발렌타인 (6대 밴드)이 세미파이널에 진출하였다. 데이브레이크, 로맨틱펀치 , 갤럭시 익스프레스가 결승에 진출하여 대결을 펼쳤고 갤럭시 익스프레스가 최종 우승하였다. 하지만 갤럭시 익스프레스 멤버의 대마초 혐의로 인하여 우승이 무효화 되었다.[1] 또한 방송에서 갤럭시 익스프레스의 무대는 편집되어 방송되지 않았다. 경연곡[편집] 굵은글씨로 표시한 밴드는 세미파이널에 진출한 각회 우승팀이다. 01화 Mnet 레전드 100 아티스트의 노래 1라운드 : 윈디시티 - 오늘 밤 (원곡:김완선) VS 제이레빗 - 세가지 소원 (원곡:이승환) (243점) : 제이레빗 승 2라운드 : 피아 - Hello (원곡:조용필) VS 데이브레이크 - 슬픈 마네킹 (원곡:현진영과 와와) (262점) : 데이브레이크 승 3라운드 : 크라잉넛 - 정신차려 (원곡:김수철) (234점) VS 델리 스파이스 - 초생달 (원곡:어떤날) (244점) : 델리 스파이스 승 02화 금기에 관한 모든 것 1라운드 : 피터팬 컴플렉스 - 보이네 (원곡:나미) (249점) VS 델리 스파이스 - 행복의 나라로 (원곡:한대수) : 피터팬 컴플렉스 2라운드 : 쏜애플 - 피노키오 (Danger) (원곡:f(x)) VS 로맨틱펀치 - 주문 (MIROTIC) (원곡:동방신기) (274점) : 로맨틱펀치 승 3라운드 : 갤럭시 익스프레스 - 바람 (원곡:김정미) (252점) VS 구남과여라이딩스텔라 - 주저하지 말아요 (원곡:김현식) (209점) : 갤럭시 익스프레스 승 03화 미션! <9010 아이돌> 밴드의 스타일로 표현하라! 1라운드 : 구남과여라이딩스텔라 - Bad Girl Good Girl (원곡:미쓰에이) VS 솔루션스 - Oh Yeah (원곡:GD&T.O.P) (251점) : 솔루션스 승 2라운드 : 갤럭시 익스프레스 - BE my baby (원곡:원더걸스) (248점) VS 3호선 버터플라이 - I love you (원곡:2NE1)+필승 (원곡:서태지와 아이들) : 갤럭시 익스프레스 승 3라운드 : 델리 스파이스 - 캔디 (원곡:H.O.T.) VS 노브레인 - 여름안에서 (원곡:듀스) (232점) : 노브레인 승 04화 장르 파괴! 1라운드 : 갤럭시 익스프레스 - 참아주세요 (원곡:김혜연) VS 디어 클라우드 - 백만송이 장미 (원곡:심수봉) (257점) :디어 클라우드 승 2라운드 : 장미여관 - 빈대떡신사 (원곡:한복남) (261점) VS 솔루션스 - 지금 이순간 (원곡:조승우) : 장미여관 승 3라운드 : 구남과여라이딩스텔라 - 서울 탱고 (원곡:방실이) (234점) VS 몽니 - 바보처럼 살았군요 (원곡:김도향) (254점) : 몽니 승 05화 최정상 밴드들이 선사하는 청.춘.지.침.서! 1라운드 : 몽니 - 이 밤을 다시 한번 (원곡:조하문) (235점) VS 옥상달빛 - 걸어가자 (원곡:루시드 폴) (250점) : 옥상달빛 2라운드 : 로큰롤라디오 - D.I.S.C.O (원곡:엄정화) VS 3호선 버터플라이 - 내가 고백을 하면 깜짝 놀랄 거야 (원곡:산울림) (274점) : 3호선 버터플라이 승 3라운드 : 윈디시티 - 나도야 간다 (원곡:김수철) + 치키치키 차카차카 (원곡:김수철) VS 브로콜리 너마저 - 세상에 뿌려진 사랑만큼 (원곡:이승환) (251점) : 브로콜리 너마저 승 06화 Festival in 밴드의 시대, "한 여름밤의 축제" 1라운드 : 디어 클라우드 - 하늘을 달리다 (원곡:이적) VS 노브레인 - 아리랑 목동 (원곡:하춘화) : 디어 클라우드 승 2라운드 : 구남과여라이딩스텔라 - 우리는 (원곡:송창식) VS 쏜애플 - 우리의 밤은 당신의 낮보다 아름답다 (원곡:코나) : 3라운드 : 피터팬 컴플렉스 - 해변으로 가요 (원곡:키보이스) VS 브로큰 발렌타인 - 상승 (원곡:시나위) : 브로큰 발렌타인 승 07화 자작곡으로 세미파이널 Top3를 결정하는 1대1 대결! 1라운드 : 로맨틱펀치 - 몽유병 VS 브로큰 발렌타인 - Answer Me : 로맨틱펀치 승 2라운드 : 3호선 버터플라이 - 헤어지는날 바로 오늘 VS 갤럭시 익스프레스 (밴드)갤럭시 익스프레스 - 호롱불 : 갤럭시 익스프레스 승 3라운드 : 데이브레이크 - 좋다 VS 장미여관 - 부비부비 : 데이브레이크 승 08화 파이널스테이지 공개 JUMP! INDIE! 최종우승팀 : 갤럭시 익스프레스 커버곡 대결 : 갤럭시 익스프레스 - 고백 (원곡:델리 스파이스) VS 데이브레이크 - 하드코어 인생아 (원곡:옥상달빛) VS 로맨틱펀치 - 일탈 (원곡:자우림) 자작곡 대결 : 갤럭시 익스프레스 - 정글 더 블랙 + 바이바이플래닛 VS 데이브레이크 - 범퍼카 VS 로맨틱펀치 - 토요일 밤이 좋아 스페셜 스테이지 : 손에 손잡고 (원곡:코리아나) (옥상달빛, 디어클라우드, 솔루션스, 피터팬 컴플렉스, 구남과여라이딩스텔라, 피아) 방영 목록[편집] 각 화 방송일 출연자 01화 2013년 5월 21일 윈디시티,제이레빗, 피아, 데이브레이크, 크라잉넛, 델리 스파이스 02화 2013년 5월 28일 피터팬 컴플렉스, 델리 스파이스, 쏜애플, 로맨틱펀치, 갤럭시 익스프레스, 구남과여라이딩스텔라 03화 2013년 6월 5일 구남과여라이딩스텔라, 솔루션스, 갤럭시 익스프레스, 3호선 버터플라이, 델리 스파이스, 노브레인 04화 2013년 6월 12일 갤럭시 익스프레스, 디어 클라우드, 장미여관, 솔루션스, 구남과여라이딩스텔라, 몽니 05화 2013년 6월 18일 몽니, 옥상달빛, 로큰롤라디오, 3호선 버터플라이, 윈디시티, 브로콜리 너마저 06화 2013년 6월 25일 디어 클라우드 , 노브레인, 구남과여라이딩스텔라, 쏜애플, 피터팬 컴플렉스, 브로큰 발렌타인 07화 2013년 7월 3일 로맨틱펀치, 브로큰 발렌타인 , 3호선 버터플라이 , 갤럭시 익스프레스, 데이브레이크, 장미여관 08화 2013년 7월 16일 갤럭시 익스프레스, 데이브레이크, 로맨틱펀치 각주[편집] ↑ 밴드의 시대, "갤럭시익스프레스 우승 무효…상금은 기부" 2013년 7월 16일 TV리포트 같이 보기[편집] TOP밴드 TOP밴드 2 외부 링크[편집] 공식 홈페이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MUST_밴드의_시대&oldid=19884354" 분류: 엠넷에서 방영하는 프로그램대한민국의 음악 텔레비전 프로그램대한민국의 텔레비전 게임 쇼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7년 10월 30일 (월) 00:2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MUST 밴드의 시대》는 Mnet에서 2013년 5월 21일부터 2013년 7월 16일까지 방송된 밴드 서바이벌 프로그램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MUST밴드의 시대의 방청객은 몇 명일까? Assistant: 500명 Human: 아래 아시안_클럽_챔피언십_1985-86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85-86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85-86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85-861985-86 Asian Club Championship대회 개요개최국 사우디아라비아개최기간 (예선) 1985년 (지역별 예선) (본선) 1986년 1월 19일 ~ 1월 29일참가클럽 25 (본선진출 6)경기장 지다최종 순위● 우승 팀 대우 로얄즈 (1번째 우승)● 준우승 팀 알아흘리 SFC● 3위 KYTB 팔렘방 ● 4위 알이티하드 알레포통계총 경기수 10경기득점 총합 23 (경기당 2.3골) ← 1971 1986 → v • d • e • h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85-86은 아시아 국가의 최정상 팀이 참가하는 5번째 대회이다. 1972년 아시안 챔피언 클럽 토너먼트 대회가 무산되고 개최가 중지되었다가, 14년 만에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이라는 이름으로 복귀하였다.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으로서의 첫 대회인 1985 대회에서는 대한민국의 대우 로얄즈가 사우디아라비아의 알아흘리 SFC를 누르고 첫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목차 1 예선 라운드 1.1 1조 1.1.1 1라운드 1.1.2 2라운드 1.2 2조 1.2.1 결승전 1.3 3조 1.4 4조 1.4.1 플레이오프 1.5 5조 1.6 6조 2 조별 예선 2.1 A조 2.2 B조 3 준결승전 4 3, 4위전 5 결승전 예선 라운드[편집] 1조[편집] 1라운드[편집] 팀 1 결과 팀 2 알라시드 1-0 암만 클럽 알이티하드 알레포 부전승 알슈르타와 알아흘리는 기권하였다. 2라운드[편집] 팀 1 결과 팀 2 알이티하드 알레포 점수 미상 알라시드 2조[편집] 이 경기는 걸프 클럽 챔피언스컵의 경기이기도 하다. 모든 경기는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토너먼트 형식으로 열렸다. 참가 클럽 : 알아흘리 SFC, 알아라비, 판자 FC, 무하라크 클럽, 알라얀, 알아인 결승전[편집] 팀 1 결과 팀 2 알아흘리 SFC 2-1 알아라비 두 팀 모두 진출하였지만 알아라비는 기권하였다. 3조[편집] 팀 승점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이스트 벵골 축구단 10 5 5 0 0 20 0 +20 아바하니 KC 8 5 4 0 1 17 4 +13 손더스 SC 5 5 2 1 2 12 8 +4 파키스탄 국제항공 FC 4 5 1 2 2 8 8 0 뉴 로드 팀 3 5 1 1 3 8 11 -3 클럽 발렌시아 0 5 0 0 5 2 36 -34 모든 경기는 스리랑카 콜롬보에서 열렸다. 아프가니스탄과 이란의 우승팀은 기권하였다. 팀 1 결과 팀 2 이스트 벵골 축구단 1-0 아바하니 KC 이스트 벵골 축구단 1-0 손더스 SC 이스트 벵골 축구단 2-0 파키스탄 국제항공 FC 이스트 벵골 축구단 7-0 뉴 로드 팀 이스트 벵골 축구단 9-0 클럽 발렌시아 아바하니 KC 4-1 손더스 SC 아바하니 KC 3-0 파키스탄 국제항공 FC 아바하니 KC 2-1 뉴 로드 팀 아바하니 KC 8-1 클럽 발렌시아 손더스 SC 2-2 파키스탄 국제항공 FC 손더스 SC 2-1 뉴 로드 팀 손더스 SC 7-0 클럽 발렌시아 파키스탄 국제항공 FC 0-0 뉴 로드 팀 파키스탄 국제항공 FC 6-1 클럽 발렌시아 뉴 로드 팀 6-0 클럽 발렌시아 4조[편집] 팀 승점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KYTB 팔렘방 7 4 3 1 0 15 1 +14 방콕은행 FC 7 4 3 1 0 10 2 +8 티옹 바흐루 CSC 3 4 1 1 2 2 7 -5 믈라카 FA 3 4 1 1 2 2 7 -5 앙카타 페르센자탓 디라자 0 4 0 0 4 0 12 -12 모든 경기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와 반둥에서 열렸다. 버마와 필리핀의 우승팀은 기권하였다. 1984년 12월 20일 팀 1 결과 팀 2 KYTB 팔렘방 5-0 티옹 바흐루 CSC 1984년 12월 21일 팀 1 결과 팀 2 믈라카 FA 1-0 앙카타 페르센자탓 디라자 방콕은행 FC 2-0 티옹 바흐루 CSC 1984년 12월 22일 팀 1 결과 팀 2 KYTB 팔렘방 7-0 앙카타 페르센자탓 디라자 1984년 12월 23일 팀 1 결과 팀 2 티옹 바흐루 CSC 0-0 믈라카 FA 1984년 12월 24일 팀 1 결과 팀 2 KYTB 팔렘방 1-1 방콕은행 FC 1984년 12월 26일 팀 1 결과 팀 2 방콕은행 FC 5-1 믈라카 FA 티옹 바흐루 CSC 2-0 앙카타 페르센자탓 디라자 1984년 12월 27일 팀 1 결과 팀 2 방콕은행 FC 2-01 앙카타 페르센자탓 디라자 KYTB 팔렘방 2-0 믈라카 FA 1 1-0으로 된 기록도 존재한다. 플레이오프[편집] 1984년 12월 29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팀 1 결과 팀 2 KYTB 팔렘방 0-1 방콕은행 FC 5조[편집] 팀 승점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세이코 SA 6 4 3 0 1 6 6 0 4.25체육단 5 4 2 1 1 8 4 +4 랴오닝 FC 1 4 0 1 3 2 6 -4 모든 경기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렸다. 팀 1 결과 팀 2 세이코 SA 2-1 4.25체육단 세이코 SA 2-1 랴오닝 FC 4.25체육단 4-1 세이코 SA 4.25체육단 3-1 랴오닝 FC 랴오닝 FC 0-1 세이코 SA 랴오닝 FC 0-0 4.25체육단 세이코 SA가 진출하였으나 기권하였다. 6조[편집] 팀 승점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대우 로얄즈 4 2 2 0 0 14 1 +13 와 셍 0 2 0 0 2 1 14 -13 요미우리 FC 기권 모든 경기는 대한민국 부산 구덕운동장에서 열렸다. 팀 1 결과 팀 2 대우 로얄즈 9-0 와 셍 대우 로얄즈 5-1 와 셍 조별 예선[편집] 세이코 SA가 기권하여 예선라운드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한 KYTB 팔렘방이 진출하였다. 모든 경기는 사우디아라비아 지다에서 열렸다. A조[편집] 팀 승점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알아흘리 SFC 4 2 2 0 0 3 1 +2 KYTB 팔렘방 2 2 1 0 1 3 2 +1 이스트 벵골 클럽 0 2 0 0 2 1 4 -3 팀 1 결과 팀 2 알아흘리 SFC 1-0 KYTB 팔렘방 알아흘리 SFC 2-1 이스트 벵골 클럽 KYTB 팔렘방 2-0 이스트 벵골 클럽 B조[편집] 팀 승점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대우 로얄즈 4 2 2 0 0 4 1 +3 알이티하드 알레포 2 2 1 0 1 3 1 +2 방콕 은행 FC 0 2 0 0 2 1 6 -5 1986년 1월 21일 팀 1 결과 팀 2 대우 로얄즈 3-1 방콕 은행 FC 1986년 1월 23일 팀 1 결과 팀 2 알이티하드 알레포 3-0 방콕 은행 FC 1986년 1월 25일 팀 1 결과 팀 2 대우 로얄즈 1-0 알이티하드 알레포 준결승전[편집] 준결승전은 1986년 1월 26일 사우디아라비아 지다에서 열렸다. 팀 1 결과 팀 2 대우 로얄즈 3-0 KYTB 팔렘방 알아흘리 SFC 1-0 알이티하드 알레포 3, 4위전[편집] 3, 4위전은 사우디아라비아 지다에서 열렸다. 팀 1 결과 팀 2 KYTB 팔렘방 1-0 알이티하드 알레포 결승전[편집] 결승전은 1986년 1월 29일 사우디아라비아 지다에서 열렸다. 팀 1 결과 팀 2 알아흘리 SFC 1-3(연장전) 대우 로얄즈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85-86 우승 대우 로얄즈1번째 우승 vdehAFC 챔피언스리그 시즌아시안 챔피언 클럽 토너먼트(1967-1971)시즌 1967 1969 1970 1971 결승전 1967 1969 1970 1971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1985-2002)시즌 1985-86 1986 1987 1988-89 1989-90 1990-91 1991 1992-93 1993-94 1994-95 1995 1996-97 1997-98 1998-99 1999-2000 2000-01 2001-02 결승전 1985-86 1986 1987 1988-89 1989-90 1990-91 1991 1992-93 1993-94 1994-95 1995 1996-97 1997-98 1998-99 1999-2000 2000-01 2001-02 AFC 챔피언스리그(2002-현재)시즌 2002-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결승전 2002-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시안_클럽_챔피언십_1985-86&oldid=21845161" 분류: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시즌1985년 축구1986년 축구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Русский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7월 23일 (월) 18:0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1985-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은 아시아 국가의 최정상 팀이 참가하는 5번째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현재의 AFC 챔피언스리그) 대회이다. 1972년 아시안 챔피언 클럽 토너먼트 대회가 취소되고 한동안 열리지 않다가, 14년 만에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이라는 이름으로 복귀하였다.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으로서의 첫 대회인 1985 대회에서는 대한민국의 대우 로얄즈가 사우디아라비아의 알아흘리 SFC를 누르고 첫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85-86 예선 라운드 5조에 세이코 SA팀의 승점은 몇 점 일까? Assistant: 6
Human: 아래 천안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천안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천안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경부선 및 장항선의 철도역에 관한 것입니다. 고속철도(KTX) 정차역에 대해서는 천안아산역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천안 역 전경(동부) 서부 승강장(용산 방향) 개괄 관할 기관 한국철도공사 대전충남본부 천안관리역 소재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대흥로 239 좌표 북위 36° 48′ 36.43″ 동경 127° 8′ 48.57″ / 북위 36.8101194° 동경 127.1468250°  / 36.8101194; 127.1468250좌표: 북위 36° 48′ 36.43″ 동경 127° 8′ 48.57″ / 북위 36.8101194° 동경 127.1468250°  / 36.8101194; 127.1468250 개업일 1905년 1월 1일 역 번호 P169 종별 관리역 등급 1급 승강장 구조 4면 8선 비고 수도권 전철: 경부선-장항선 직통운행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노선 경부선 서울 기점 96.6 km ■ 수도권 전철 1호선 ← 두정 (3.0 km) 소정리 →(10.8 km) 천안직결선 두정 기점 3.1 km ■ 수도권 전철 1호선 ← 두정 (3.1 km) 장항선 천안 기점 0.0 km ■ 수도권 전철 1호선 봉명 →(1.3 km) 천안역(天安驛)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대흥동과 서북구 와촌동에 걸쳐 있는 경부선과 장항선의 철도역이다. 동부역사는 경부선 열차가, 서부역사는 장항선 열차가 운행된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심야에 7편성이 주박한다. 목차 1 역사 2 개요 3 역 구조 3.1 승강장 4 역 주변 5 사진 6 승차량 변동 6.1 수도권 전철 6.2 일반열차 7 사건·사고 8 인접한 역 9 각주 10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05년 1월 1일 : 영업 개시 1958년 12월 28일 : 역사 준공 1971년 9월 10일 : 무연탄 도착화물 취급역 지정[1] 1978년 5월 10일 : 무연탄 도착화물취급역 지정취소[2] 1986년 11월 15일 : 역사 증개축 1989년 1월 1일 : 안성선 폐선(천안~안성) 2000년 1월 1일 : 지역관리역으로 승격 2005년 1월 20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개통 2006년 5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 2006년 7월 1일 : 조직개편으로 충남지사 관할역이 됨. 2007년 11월 1일 : 화물 취급 중지[3] 2008년 12월 15일 : 장항선 천안~신창간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2009년 6월 1일 : (서울~신창 간) 누리로 운행 개시 2013년 5월 15일 :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 개시 2014년 5월 12일 ITX-새마을 운행 개시 2014년 6월 1일 : 남도해양관광열차 운행 개시 2014년 8월 18일 :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 중단 2015년 4월 2일 : 모든 새마을호 정차 2015년 6월 1일 :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 재개 2016년 12월 9일 : 수서고속철도 개통에 따른 열차 시간표 개정으로(서울~신창 간) 누리로 운행 중지와 함께 이 역까지만 운행하는 일부 급행열차가 신창역 까지 연장 운행 2017년 2월 28일 누리로 운행재개(서울~신창) 2017년 5월 1일 : (용산-대전 간) ITX-청춘 운행 개시 2018년 3월 23일 : 경부선 ITX-청춘 운행 중지 개요[편집] 서해금빛열차와 KTX를 제외한 모든 새마을호, 무궁화호, ITX-새마을, 누리로, 남도해양관광열차, 중부내륙순환열차,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정차하며, 전철의 경우 일부 열차는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동부 역사(경부선)와 서부 역사(장항선)로 역사가 나뉘어 있으며, 동부 역사에서는 경부선·호남선·전라선 일반 열차를, 서부 역사에서는 장항선 일반열차와 수도권 전철 1호선을 탑승할 수 있다. 현재의 역사는 임시 역사이며,[4] 민자역사 계획을 한국철도공사와 천안역민자역사㈜가 공동으로 추진하여 향후 민자역사로 전환돼 역사가 하나로 통합할 계획이었으나 노량진역 사태처럼 민자역사 계획이 파기된 상태이다. 2006년 7월 한국철도공사 지사제 발족 당시 충남지사의 지사 소재역으로 지정되었다. 2009년 9월 업무 효율과 핵심 사업 실행, 현장 중심의 경영 체제 확립을 위한 조직 개편으로 각 지사가 지역 본부로 축소되면서, 충남지사와 대전지사가 합병되어 대전충남본부가 되면서, 대전지사가 소재한 대전역이 지정되면서 지역 본부 대표역의 역할을 위임하였다. 2013년 5월 15일부터 수원역을 출발하는 중부내륙순환열차가 운행을 개시하여 이 역에 정차하였으나 2014년 7월 22일 발생한 태백선 열차 충돌 사고로 같은 해 8월 18일부터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정선아리랑열차 노선 중복 문제로 2015년 6월 2일부터 이 역에 다시 정차하고 있다. 역 구조[편집] 4면 8선의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전체적인 구조와 기능은 경부선 열차를 취급하는 동부와 장항선 열차와 수도권 전철을 취급하는 서부로 분리되어 있으며, 통로를 통해 서로를 연결해주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장항선의 운임 구역과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운임 구역이 중첩되어 있다. 수도권 전철 개통 당시에는 수도권 전철의 운임 구역이 분리(5·8번 승강장)되어 있었으나, 한 쪽 승강장으로만 열차가 진입하여 생기는 회차 문제로 인하여 양쪽 승강장 어느 쪽으로도 열차가 도착하여 회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운임구역을 합쳤다. 이 과정에서 중간에 있는 6·7번 승강장과 운임구역이 중첩되었다. 역 서쪽에는 천안기관차승무사업소가 있다. 2016년 12월 9일 일부 급행열차가 신창역 까지 연장되었다. 5·8번 승강장에 스크린도어 공사가 진행하다가 현재는 중단되었다. 출구는 2개다. 1번 출구는 대흥동에 있고, 2번 출구는 와촌동에 있다. 승강장[편집] ↑두정(1호선)/↑성환(경부선) ↑성환(경부선) | | | | 87 | | 65 | | | | | | | | 43 | | 21 | 봉명(1호선)↓/아산(장항선)↓ 전의(경부선)↓ 동부 1 경부선 사용안함 2 경부선 ITX-새마을무궁화호누리로 부산 · 진주 · 신해운대 · 제천 방면 호남선 목포 · 광주 · 순천 · 여수엑스포 방면 3 경부선 사용안함 4 경부선 ITX-새마을무궁화호누리로 평택 · 수원 · 안양 · 영등포 · 용산 · 서울 방면 서부 5 ■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열차 · 일반열차 봉명 · 아산 · 온양온천 · 신창 방면 6 장항선 새마을호무궁화호 · 누리로 신창 · 홍성 · 대천 · 장항 · 군산 · 익산 방면 7 평택 · 수원 · 안양 · 영등포 · 용산 · 서울 방면 8 ■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열차 · 일반열차 두정 · 수원 · 구로 · 청량리 방면 역 주변[편집] 동남구청 중앙도서관 천안제일고등학교 천안중앙초등학교 천안남산초등학교 천안초등학교 복자여자고등학교 천안북중학교 천안고등학교 계광중학교 천안종합터미널 사진[편집] 신창 방향 역명판 장항선 역명판(익산 방향) 8번 승강장(청량리 방향) 7번 승강장(용산 방향) 2번 승강장 장항선 대합실 경부선 대합실 승차량 변동[편집] 수도권 전철[편집] 노선 승차 인원 주석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장항선 11209 11231 11811 12161 10429 10164 10272 9813 9994 11311 9664 9127 8466 7918 [5] 일반열차[편집] 연도와 승·하차 방향 이용 인원[6] 경부선 장항선 새마을 무궁화 통일 누리로 청춘 총계 총계 2001년 하행 승차 113658 1099925 15873 미개통 미개통 1229456 402198 하차 77497 2041059 30711 2149267 경부선합산 상행 승차 128993 1936331 28680 2094004 경부선합산 하차 143417 1047456 23845 1214718 342880 2002년 하행 승차 113382 1022725 15207 1151314 370871 하차 77367 2046440 42674 2166481 경부선합산 상행 승차 130069 1978195 27649 2135913 경부선합산 하차 148821 983225 4778 1136824 330512 2003년 하행 승차 117045 1026876 16856 1160777 349758 하차 76990 2091202 34622 2202814 경부선합산 상행 승차 125457 2059092 25394 2209943 경부선합산 하차 157491 984603 22587 1164681 320472 2004년 하행 승차 174581 1012835 4149 1191565 392027 하차 215002 2400613 9081 2624696 경부선합산 상행 승차 287628 2343771 6510 2637909 경부선합산 하차 198162 981818 6394 1186374 373559 2005년 하행 승차 192248 1263657 폐지 1455905 528879 하차 198196 1209019 1407215 경부선합산 상행 승차 229843 1131516 1361359 경부선합산 하차 202005 1248983 1450988 529295 …… 2012년 하행 승차 폐지 하차 경부선합산 상행 승차 경부선합산 하차 2013년 승차 미정차 620516 2966424 221068 6420 3811428 하차 621687 3046602 200128 3420 3871837 사건·사고[편집] KTX 천안역 정차 2011년 2월 11일 광명역 인근 일직터널에서 KTX 열차 탈선 사고가 발생하여 천안아산역에 정차해야 할 KTX 열차가 기존선으로 우회하여 천안역에 정차한 적이 있다.[7] 천안역 전동차 탈선사고 2012년 6월 3일 오후 4시 50분경, 운행이 종료된 후 승객이 없는 전동차를 다른 선로로 옮기는 과정에서 객차 2량의 일부 차륜이 선로를 이탈하여 약 9시간동안 천안역~신창역 간 열차의 통행이 전면 중단되는 사고가 벌어졌다.[8] 인접한 역[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천안역 경부본선 평택서울 방면용산 방면 ITX-새마을경부선 · 경전선호남선 · 동해선 조치원부산 · 진주  · 신해운대방면목포 · 광주 방면 성환서울 방면 무궁화호경부선 전의부산 방면 평택서울 방면용산 방면 무궁화호경부선 · 경전선경전선 조치원신해운대 · 진주 방면순천 방면 평택용산 방면 무궁화호호남선 전의목포 방면 경부본선 · 충북선 평택서울 방면 누리로충북선 전의제천 방면 수원서울 방면 중부내륙순환열차 오송철암 방면 경부본선 · 호남본선 평택용산 방면 ITX-새마을전라선 서대전여수엑스포 방면 성환용산 방면 무궁화호전라선 전의여수엑스포 방면 성환용산 방면 무궁화호호남선 조치원광주 방면 성환용산 방면 누리로호남선 조치원광주 방면 수원서울 방면 남도해양열차 서대전여수엑스포 방면 경부본선 · 천안직결선 · 장항선 평택용산 방면 새마을호장항선 아산익산 방면 평택용산 방면 무궁화호장항선 아산익산 방면 평택서울 방면 누리로장항선 아산신창 방면 경부선 · 장항선 P168 두정광운대 방면 ■ 수도권 전철 1호선경부선 완행 · 경부선 급행 P170 봉명신창 방면 각주[편집] ↑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37호, 1971년 9월 9일, 1975년 12월 29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43호에서 무연탄 취급 승계 ↑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9호, 1978년 4월 25일 ↑ 대한민국관보 건설교통부 고시 제2007-392호, 2007년 9월 28일 ↑ 2003년 10월 24일부터 임시역사를 사용하고 있다. [1][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 Archived 2004년 11월 15일 - 웨이백 머신 ↑ 정보공개 공개자료실, 코레일(2009년은 철도정보 일반자료실 Archived 2011년 1월 8일 - 웨이백 머신) ↑ “월별 일반철도 역간 이용인원”. 2007년 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7월 7일에 확인함.  ↑ KTX탈선, 코레일, 일반선으로 우회운행 ↑ 천안역 전동차 탈선…장항선·수도권 운행 차질 외부 링크[편집] 한국철도공사 천안역 천안역vdehITX-새마을경부선 계통서울 ~ 부산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대전 - 영동 - 김천 - 구미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밀양 - 물금 - 구포 - 부산서울 ~ 신해운대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대전 - 영동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밀양 - 삼랑진 - 물금 - 구포 - 부전 - 신해운대호남선 계통용산 ~ 목포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일로 - 목포용산 ~ 광주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장성 - 광주경전선 계통서울 ~ 진주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대전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함안 - 진주전라선 계통용산 ~ 여수엑스포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중앙선 계통청량리 ~ 영주청량리 - 양평 - 용문 - 원주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 vdeh새마을호장항선 계통용산 ~ 익산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신례원 - 예산 - 삽교 - 홍성 - 광천 - 대천 - 웅천 - 서천 - 장항 - 군산 - 익산 vdeh무궁화호경부선 계통서울 ~ 부산서울 -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대전 - 옥천 - 이원 - 지탄 - 심천 - 영동 - 황간 - 추풍령 - 김천 - 구미 - 사곡 - 약목 - 왜관 - 신동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남성현 - 청도 - 상동 - 밀양 - 삼랑진 - 원동 - 물금 - 화명 - 구포 - 사상 - 부산호남선 계통용산 ~ 목포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서정리 - 평택 - 천안 - 전의 - 조치원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목포용산 ~ 광주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평택 - 성환 - 천안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극락강 - 광주광주 ~ 목포광주 - 극락강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임성리 - 목포충북선 계통동대구 ~ 영주동대구 - 대구 - 신동 - 왜관 - 사곡 - 구미 - 김천 - 추풍령 - 황간 - 영동 - 각계 - 심천 - 지탄 - 이원 - 옥천 - 대전 - 신탄진 - 부강 - 조치원 - 오송 - 청주 - 오근장 - 청주공항 - 증평 - 음성 - 주덕 - 충주 - 삼탄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경전선 계통부전 ~ 목포부전 - 사상 - 구포 - 화명 - 물금 - 원동 - 삼랑진 - 한림정 - 진영 - 진례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 완사 - 북천 - 횡천 - 하동 - 진상 - 광양 - 순천 - 벌교 - 조성 - 예당 - 득량 - 보성 - 명봉 - 이양 - 능주 - 화순 - 효천 - 서광주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임성리 - 목포서울 ~ 진주서울 - 영등포 - 안양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대전 - 옥천 - 영동 - 황간 - 추풍령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남성현 - 청도 - 상동 - 밀양 - 한림정 - 진영 - 진례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용산 ~ 순천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서광주 - 효천 - 화순 - 능주 - 이양 - 보성 - 득량 - 예당 - 조성 - 벌교 - 순천순천 ~ 광주순천 - 벌교 - 조성 - 예당 - 득량 - 보성 - 명봉 - 이양 - 능주 - 화순 - 효천 - 서광주 - 광주송정 - 광주장항선 계통용산 ~ 익산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평택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도고온천 - 신례원 - 예산 - 삽교 - 홍성 - 광천 - 청소 - 대천 - 웅천 - 판교 - 서천 - 장항 - 군산 - 대야 - 익산전라선 계통용산 ~ 여수엑스포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삼례 - 전주 - 임실 - 오수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동해선 계통포항 ~ 순천포항 - 안강 - 경주 - 불국사 - 호계 - 태화강 - 덕하 - 남창 - 월내 - 좌천 - 기장 - 송정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 사상 - 구포 - 화명 - 물금 - 원동 - 삼랑진 - 한림정 - 진영 - 진례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 완사 - 북천 - 횡천 - 하동 - 진상 - 광양 - 순천포항 ~ 영덕포항 - 월포 - 장사 - 강구 - 영덕동대구 ~ 포항동대구 - 하양 - 영천 - 건천 - 서경주 - 경주 - 안강 - 포항동대구 ~ 부전동대구 - 하양 - 영천 - 서경주 - 경주 - 불국사 - 호계 - 태화강 - 덕하 - 남창 - 월내 - 좌천 - 기장 - 송정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중앙선 계통청량리 ~ 부전청량리 - 덕소 - 양평 - 용문 - 지평 - 석불 - 일신 - 매곡 - 양동 - 삼산 - 동화 - 만종 - 원주 - 반곡 - 신림 - 제천 - 단양 - 희방사 - 풍기 - 영주 - 안동 - 의성 - 탑리 - 화본 - 신녕 - 영천 - 서경주 - 경주 - 불국사 - 호계 - 태화강 - 덕하 - 남창 - 월내 - 좌천 - 기장 - 송정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영동선 계통강릉 ~ 부전강릉 - 정동진 - 묵호 - 동해 - 신기 - 도계 - 동백산 - 철암 - 석포 - 승부 - 분천 - 현동 - 춘양 - 봉화 - 영주 - 안동 - 의성 - 영천 - 경주 - 호계 - 태화강 - 남창 - 좌천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강릉 ~ 동대구강릉 - 정동진 - 묵호 - 동해 - 도계 - 동백산 - 철암 - 석포 - 승부 - 양원 - 분천 - 현동 - 임기 - 춘양 - 봉화 - 영주 - 안동 - 의성 - 탑리 - 화본 - 신녕 - 북영천 - 하양 - 동대구경북선 계통강릉 ~ 부산강릉 - 정동진 - 묵호 - 동해 - 도계 - 철암 - 석포 - 춘양 - 봉화 - 영주 - 예천 - 개포 - 용궁 - 점촌 - 함창 - 상주 - 청리 - 옥산 - 김천 - 구미 - 약목 - 왜관 - 신동 - 대구 - 동대구 - 경산 - 청도 - 상동 - 밀양 - 삼랑진 - 원동 - 물금 - 구포 - 사상 - 부산태백선 계통청량리 ~ 강릉청량리 - 덕소 - 양평 - 용문 - 지평 - 석불 - 일신 - 매곡 - 양동 - 삼산 - 동화 - 만종 - 원주 - 반곡 - 신림 - 제천 - 쌍룡 - 영월 - 예미 - 민둥산 - 사북 - 고한 - 태백 - 동백산 - 도계 - 신기 - 동해 - 묵호 - 정동진 - 강릉 vdeh누리로호남선 계통용산 ~ 광주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평택 - 성환 - 천안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극락강 - 광주충북선 계통대전 ~ 제천대전 - 신탄진 - 조치원 - 오송 - 청주 - 오근장 - 청주공항 - 증평 - 음성 - 주덕 - 충주 - 삼탄 - 제천서울 ~ 제천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전의 - 오송 - 청주 - 오근장 - 청주공항 - 증평 - 음성 - 주덕 - 충주 - 제천장항선 계통서울 ~ 신창서울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 평택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신창 vdeh중부내륙순환열차 (O-train)서울 ~ 철암서울 - 영등포 - 수원 - 천안 - 오송 - 청주 - 충주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 - 봉화 - 춘양 - 분천 - 양원 - 승부 - 철암 vdeh남도해양열차 (S-train)부산 ~ 보성부산 - 구포 - 물금 - 삼랑진 - 진영 - 창원중앙 - 마산 - 진주 - 북천 - 하동 - 순천 - 벌교 - 득량 - 보성서울 ~ 여수엑스포서울 - 영등포 - 수원 - 천안 - 서대전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수엑스포 vdeh한국철도공사 경부본선서대문 - 서울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박람회) - 독산 - 금천구청 - 석수 - 관악(안양풀장)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당정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 소정리* - 전의 - 전동* - 서창* - 조치원 - 내판* - 부강 - 매포* - 신탄진 - 회덕* - 대전조차장*(오정) - 대전 - 세천* - 증약 - 옥천 - 가풍 - 이원 - 지탄 - 심천 - 각계 - 영동 - 미륵 - 황간 - 추풍령 - 신암* - 직지사* - 김천 - 금오산 - 대신* - 아포* - 구미 - 사곡 - 약목 - 왜관 - 연화* - 신동 - 지천* - (서대구화물)1 - 대구 - 동대구 - 고모* - 가천* - 경산 - 삼성* - 남성현 - 청도 - 신거* - 상동 - 대성 - 밀양 - 미전* - 삼랑진 - 원동 - 물금 - 화명 - 구포 - 사상 - 부산진* - 초량 - 부산 - 부산잔교* : 정기 여객 영업 없음,   : 폐역, 1. 미개통역. 영업거리표 미등재. vdeh한국철도공사 장항선천안 - 봉명 - 쌍용(나사렛대) - 아산(세교) - 배방 - 온양온천 - 신창(순천향대) - 학성 - 선장 - 도고온천 - 신례원 - 예산 - 오가 - 삽교 - 화양* - 홍성 - 신성* - 신곡 - 광천 - 원죽* - 청소 - 주포* - 주교 - 대천 - 남포* - 옥서 - 웅천 - 간치* - 주산 - 온동 - 판교 - 기동 - 서천 - 삼산 - 구절 - 장항 - 군산 - 대야 - 임피* - 오산리* - 익산* : 정기 여객 영업 없음.   : 폐역. vdeh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선소요산 - 동두천 - 보산 - 동두천중앙 - 지행 - 덕정 - 덕계 - 양주 - 녹양 - 가능 - 의정부 - 회룡 - 망월사 - 도봉산 - 도봉 - 방학 - 창동 - 녹천 - 월계 - 광운대 - 석계 - 신이문 - 외대앞 - 회기 -서울 지하철 1호선-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로3가 - 종각 - 시청 - 서울역 -경부―장항선서울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금천구청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당정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 봉명 - 쌍용 - 아산 - 배방 - 온양온천 - 신창경인선-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인천병점기지선- 병점 - 서동탄경부고속선- 금천구청 - 광명 vdeh한국철도 안성선천안 - 신부 - 석교 - 성거 - 입장 - 고지 - 미양 - 안성 - 안성읍내 - 마전 - 삼죽 - 용월 - 죽산 - 죽산읍내 - 매산 - 주천 - 행죽 - 대서 - 장호원 천안 - 안성 간은 1989년 1월 1일에, 안성 - 장호원 간은 1944년 12월 1일에 각각 폐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천안역&oldid=24465959" 분류: 경부선장항선수도권 전철 1호선안성선천안시의 전철역충청남도의 철도역1905년 개업한 철도역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Magyar日本語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2일 (토) 19: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천안역(Cheonan station, 天安驛)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대흥동과 서북구 와촌동에 걸쳐 있는 경부선과 장항선의 철도역이다. 동부역사는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열차가, 서부역사는 장항선 열차가 운행된다. 장항선은 이 역부터 익산역까지 모두 지상 구간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심야에 5편성이 주박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천안역에 정차하지 않는 열차들은 무엇일까? Assistant: 서해금빛열차와 KTX Human: 아래 하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하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하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하늘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공중에서 본 하늘 노을 진 하늘 맑은 하늘 파란 하늘 하늘은 종종 사람이 땅에서 위로 올려다볼 때 보이는 곳으로 정의된다. 비록 거의 모든 사람들이 하늘을 봐 왔지만, 하늘은 정확하게 정의되기 어렵다. '하늘'의 개념은 지구의 땅 위에서 적용되기 때문에, 지평선 위의 대기, 또는 행성과 행성 위에 붙어있는 물체들의 보이는 표면 위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하늘은 행성의 표면에서 위로 볼 때도 보인다 (다른 천체들의 하늘을 보라). 하늘은 또한 가끔은 행성의 대기의 더 짙은 기체 영역으로 정의되기도 한다. 하늘의 색은 확산 일사의 결과이다. 양지 바른 날에 지구의 하늘은 보통 파란색의 그래디언트 - (레일리 산란으로 인해) 천정(天頂)에서는 어둡고, 지평선 근처에서는 밝은 - 로 보인다. 하늘의 색은 일출과 일몰 동안에는 주황색과 붉은색으로 바뀌고, 밤에는 검은색이 된다. 낮 동안에는 하늘에 해가 보이고, 그렇지 않으면 구름으로 덮여있다. 밤 (그리고 어느 정도는 낮 동안까지) 동안에는 하늘에 달과 별들이 보인다. 하늘에 보이는 몇몇 자연적인 현상들에는 구름, 무지개, 오로라가 있다. 번개도 폭풍이 치는 동안 하늘에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인간 활동의 결과로, 낮에는 스모그와 밤에는 밝은 빛이 큰 도시 위에서 종종 보인다 (광공해를 보라). 사람들은 새, 비행기, 연도 하늘에서 난다고 말하기도 한다. 천문학의 영역에서, 하늘은 또한 천구(天球)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것은 태양, 별들, 행성들, 달이 여행하는 것처럼 보이는 가상의 돔이다. 천구는 별자리라고 불리는 구역으로 나뉜다. 태양계에 있는 다양한 행성들과 위성들의 하늘에 대한 설명을 보려면 다른 행성들의 하늘을 보라. 목차 1 종교에서의 하늘 2 하늘에 관한 표현 3 같이 보기 4 외부 링크 종교에서의 하늘[편집] 많은 문화권에서 하늘을 천국과 다양한 신들의 보금자리 라고 믿으면서 지구의 하늘에 강한 종교적인 특성을 부여했다. 몇몇 종교와 미술사가들, 특히 기독교를 믿는 사람들은, 천국과 하늘 사이의 연관은 떨어져 있는 비슷한 그림들에 그려진 다른 장소들이 있는 중세의 미술로 인해 발생했다. 별천지인 천국은 보통 (더 중요한 존재로) 지상 세계의 위에 그려지고 구름을 이용해 분리된다. 미 "평행한" 세계라는 의미는 천국이 말 그대로 구름 위에 있을 거라고 생각한 보통 사람들에게 덜 애매하다. 우라노스(Ouranos/Uranos), 제우스/주피터(Zeus/Jupiter) (그리스/로마 신화) 슈(Shu), 누트(Nuit), 호루스(Horus) (이집트 신화) 카바구일(Cabaguil) (마야 신화) 토릉가소악(Torgasoak) (이누이트 신화) 아누(Anu) (게일족 신화) 아샨티(Ashanti) (아샨티 신화) 뎅카(Denka) (딩카족 신화) 알티지라(Altijira), 바이아메(Baiame) (어보리진족 신화) 신(Sin) (하이다족 신화) 샹가(Shanga) (요루바족 신화) 가마브(Gamab) (코이코이족 신화) 하늘에 관한 표현[편집] 본 문서는 위키책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안되었습니다. (토론)위키백과는 책의 내용 전체를 수록하는 곳이 아닙니다. 어떤 주제에 대한 책을 쓰고 싶다면 위키책에 해당하는 내용을 담은 책이 있는지 확인해 보시고, 필요하다면 이동해 주세요. 만약 본 문서를 편집해서 백과사전의 형식을 갖추게 되면, 이 틀은 제거해도 좋습니다. '마른하늘에 날벼락'은 맑은 하늘에서 벼락이라도 친 것처럼, 뜻하지 않게 큰 재앙을 당했을 때 사용하는 말이다.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기'는,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면 제 눈에는 하늘이 안 보이겠지만 하늘은 여전히 거기에 있듯이, 문제의 본질은 해결하지 못한 채 임시방편으로 일을 해결할 때 쓰는 말이다. '하늘이 노랗다'는 순간적으로 아찔하거나 막막한 기분을 느낄 때 쓰는 말로, 머리의 허혈 상태로 인해 실제로 그렇게 보이기도 한다. '하늘 높은 줄은 모르고 땅 넓은 줄만 안다.'는 키가 작고 뚱뚱한 사람을 놀릴 때 쓰는 말이다. '하늘의 별 따기'는 높은 하늘의 별을 따는 일 만큼 매우 어려운 일을 이르는 말이다. '하늘이 무너진다.'는 마치 하늘이 무너져 내리듯이 몹시 절망적인 상황을 이르는 말이다. 반면,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은 있다.'는 아무리 절망적인 상황이라도, 그 상황을 헤쳐나갈 방법은 있다는 말이다. '천하'(天下)는 중국인의 세계관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세상을 뜻한다.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는 성실하게 자존적으로 일하는 사람에게 행운도 찾아온다는 말로써 새뮤얼 스마일스가 남긴 말이다.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음'은 '신과 같은 절대자에게 떳떳할 수 있음'의 뜻으로 쓰인다. 윤동주의 시 '서시'의 한 구절이기도 하다. 같이 보기[편집] 대기 날씨 우주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하늘 위키낱말사전에관련된 항목이 있습니다. 하늘 낮 하늘 심상 밤 하늘 심상 하늘 사진 화랑 하늘 색깔은 왜 파란가? 전거 통제 GND: 4132524-2 NDL: 0056693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하늘&oldid=24487466" 분류: 위키책으로 이동 필요 문서기상학천문학종교적 존재하늘숨은 분류: 다른 위키미디어 프로젝트로의 이동이 권장되는 문서위키낱말사전과 연결된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Адыгабзэአማርኛ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বাংলা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НохчийнᏣᎳᎩCorsuČeštinaDanskDeutschZazakiडोटेली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àidhligGalegoAvañe'ẽעבריתहिन्दी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ГӀалгӀайIdoÍslenskaItalianoᐃᓄᒃᑎᑐᑦ/inuktitut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TaqbaylitҚазақшаಕನ್ನಡKurdîLatinaLëtzebuergeschLumbaartLingála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मराठीКырык марыBahasa MelayuMirandésမြန်မာဘာသာNāhuatl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uormandOccitanਪੰਜਾਬੀपालिPolskiپښتوPortuguêsRuna SimiRomani čhibRomânăArmãneashtiРусскийSicilianuScotsسنڌي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epsän kel’Tiếng ViệtVolapükWinarayWolofIsiXhosa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Vahcuengh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6일 (수) 19: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하늘은, 종종 사람이 땅에서 위로 올려다볼 때 보이는 곳으로 정의된다. 비록 거의 모든 사람들이 하늘을 봐 왔지만, 하늘은 정확하게 정의되기 어렵다. '하늘'의 개념은 지구의 땅 위에서 적용되기 때문에, 지평선 위의 대기, 또는 행성과 행성 위에 붙어있는 물체들의 보이는 표면 위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하늘은 행성의 표면에서 위로 볼 때도 보인다. 하늘은 또한 가끔은 행성의 대기의 더 짙은 기체 영역으로 정의되기도 한다. 하늘의 색은 확산 일사의 결과이다. 양지 바른 날에 지구의 하늘은 보통 파란색의 그래디언트 - (레일리 산란으로 인해) 천정(天頂)에서는 어둡고, 지평선 근처에서는 밝은 - 로 보인다. 하늘의 색은 일출과 일몰 동안에는 주황색과 붉은색으로 바뀌고, 밤에는 검은색이 된다. 낮 동안에는 하늘에 해가 보이고, 그렇지 않으면 구름으로 덮여있다. 밤 (그리고 어느 정도는 낮 동안까지) 동안에는 하늘에 달과 별들이 보인다. 하늘에 보이는 몇몇 자연적인 현상들에는 구름, 무지개, 오로라가 있다. 번개도 폭풍이 치는 동안 하늘에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인간 활동의 결과로, 낮에는 스모그와 밤에는 밝은 빛이 큰 도시 위에서 종종 보인다 (광공해). 사람들은 새, 비행기, 연도 하늘에서 난다고 말하기도 한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바로 빛의 산란 때문이다 태양빛이 대기 중을 통과하면서 짧은 파장의 빛이 더 많이 산란되는데 푸른색을 띠는 바로 이 짧은 파장의 빛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이다. 천문학의 영역에서, 하늘은 또한 천구(天球)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것은 태양, 별들, 행성들, 달이 여행하는 것처럼 보이는 가상의 돔이다. 천구는 별자리라고 불리는 구역으로 나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각 문화권마다 종교에서의 하늘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Assistant: 많은 문화권에서 하늘을 천국과 다양한 신들의 보금자리 라고 믿으면서 지구의 하늘에 강한 종교적인 특성을 부여했다. 몇몇 종교와 미술사가들, 특히 기독교를 믿는 사람들은, 천국과 하늘 사이의 연관은 떨어져 있는 비슷한 그림들에 그려진 다른 장소들이 있는 중세의 미술로 인해 발생했다. 별천지인 천국은 보통 (더 중요한 존재로) 지상 세계의 위에 그려지고 구름을 이용해 분리된다. 미 "평행한" 세계라는 의미는 천국이 말 그대로 구름 위에 있을 거라고 생각한 보통 사람들에게 덜 애매하다. 우라노스(Ouranos/Uranos), 제우스/주피터(Zeus/Jupiter) (그리스/로마 신화) 슈(Shu), 누트(Nuit), 호루스(Horus) (이집트 신화) 카바구일(Cabaguil) (마야 신화) 토릉가소악(Torgasoak) (이누이트 신화) 아누(Anu) (게일족 신화) 아샨티(Ashanti) (아샨티 신화) 뎅카(Denka) (딩카족 신화) 알티지라(Altijira), 바이아메(Baiame) (어보리진족 신화) 신(Sin) (하이다족 신화) 샹가(Shanga) (요루바족 신화) 가마브(Gamab) (코이코이족 신화)
Human: 아래 조반니_보카치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조반니 보카치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반니 보카치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반니 보카치오 다른 뜻에 대해서는 보카치오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조반니 보카치오(Giovanni Boccaccio, 1313년 ~ 1375년)는 이탈리아의 소설가·시인이다. 목차 1 생애 2 작품 3 참고 자료 4 외부 링크 생애[편집] 그의 아버지는 상인으로서 환전상을 경영하였으며 그는 사생아로 체르탈도라는 고장에서 출생하였다. 피렌체에서 아버지의 업을 익히는 한편 초보적인 교육을 받았다. 14세 때에 장사를 배우기 위해 나폴리로 보내졌는데 보카치오는 "그 6년간은 시간 낭비 외에 얻은 바가 없었다"고 말하고 있다. 새로 6년간을 법학 연구에 보냈으나 별로 공부는 하지 않았다. 그러나 문학에 대해서는 깊은 감격과 의욕을 가져 열심히 독학을 하였다. 당시 문예 부흥 운동이 한창이던 나폴리에서 그는 유쾌한 사교 모임에도 참여하고 친구도 사귀며 인문학자에 의해 고전 문학에 눈을 뜨게 되었다. 그런 가운데 한 여성에 대한 열렬한 연애 경험은 그의 청년기 문학 창조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그럴 즈음 아버지의 파산과 죽음을 맞아 백방으로 직업을 구하다 피렌체 시 정부의 일자리를 얻게 되었다. 다행히도 그의 학식과 재능, 능변으로 교황이나 그 밖의 여러 영주에게 사절로 파견되는 행운이 있었다. 이 즈음 그에게 있어서 가장 뜻있고 줄거운 사건은 청년 시대로부터 만나고자 소원했던 페트라르카를 만나게 된 일이었다(1350년). 그의 만족과 기쁨은 비길 데가 없었으며 친교는 더욱더 두터워져 죽을 때까지 계속되었다. 1362년 점쟁이가 말한 죽음의 예언을 믿은 그는 은둔 생활로 들어가 모처럼의 고전 연구를 그만두려 하였으나 페트라르카의 권유로 연구를 계속하였다. 그러나 노령과 빈곤, 질병에 시달린 나머지 나폴리에도 피렌체에도 흥미를 잃어 고국에 돌아가 숨어 살며 고전 연구에 몰두하였다. 특히 페트라르카의 죽음(1374)에 크게 충격을 받아 전년에 피렌체 정부의 요청에 의해 맡았던 <신곡>의 강의도 중단하였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생애를 마감하였다. 작품[편집] Genealogia deorum gentilium, 1532 그의 작품은 많으나 그 중 여러 가지의 시형(詩型)을 갖는 서정시는 사랑을 주제로 하며 단테나 페트라르카의 영향을 받은 바가 현저하다. 다음으로는 그 시절에 널리 유행되었던 로맨스 문학의 범주에 포함시켜야 할 작품의 대부분은 연애의 여러 가지 중세 모습을 서술했지만, 소재로는 고전 속의 신화 전설이나 문학에서 취하였다. 그러나 그 중 핵은 자신의 경험과 감상을 토대로 한 것이었다. 필로콜로(Filocolo, 1336) 로마 전설에서 취재한 나폴리 시대 최초의 작품으로 프로리오와 비안코피오레의 사랑을 주제로 한 모험 이야기이다. 문체는 산문 형식으로 되어 있다. 필로스트라토(Filostrato, 1338) 트로이의 왕자와 적측의 그리스 처녀 그리세이다 사이의 비련을 그린 연애시로 9장으로 엮어져 있다. 테세이데(Teseide, 테세오의 노래) 그리스 전설에서 소재를 얻어 쓴 12장의 장시. 아존 여왕의 동생 에밀리아에 대한 사랑 때문에 일어나는 알치테, 파레모네 두 청년 간의 사랑 싸움을 묘사하고 있다. 난팔레 다메토(Ninfale d'Ameto; 아메토 요정의 희곡)(1342-1343) 한 목동의 요정(妖精)에 대한 순정을 그린 이야기로 시와 산문을 한데 엮어놓은 형식을 취하고 있다. 아모로사 비시오네(Amorosa visione; 사랑의 환영, 1342-1343) 비유와 교훈을 담은 장시 50장. <닌팔레 다메토>와 같은 취향의 것이다. 환영에 이끌려 넓은 광장에 이르고 거기서 학문·영광·부유·연애로 고명한 고금의 사람들과 이와는 반대로 운명의 희생이 된 사람들의 명화상을 보고 깨닫고, 좁은 문으로 찾아들어 선덕(善德)을 구하며 낙원에 이르러 피암메타를 만나 무한의 축복을 얻는다는 내용이다. 피암메타(Elegia di Madonna Fiammetta, 1343-1344) 깊이 사랑하는 남자 판피로에게 배신당하여 괴로운 나머지 죽음까지도 택하려 한다. 심리 해부의 명작으로 산문 50장으로 이루어진다. 닌팔레 피에소라노(Ninfale fiesolano; 페조레의 요정, 1344-1345) 젊은 목동과 요정의 깊은 사랑이 신의 계율로 막혀 이뤄지지 못하자 둘은 아르노 강에 투신해 죽는다는 비련의 목가로서 신화에서 취재한 것이다. 데카메론(Decameron, 1348-1353) 이 주제의 자세한 내용은 데카메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이 제명은 그리스어의 '10일'이란 뜻으로 보카치오의 걸작이다. 참고 자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와 분류가 있습니다. 조반니 보카치오 (분류) 위키인용집에 이 문서와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조반니 보카치오 조반니 보카치오 - 두산세계대백과사전 조반니 보카치오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다음백과 미러) 전거 통제 WorldCat VIAF: 64002165 LCCN: n78087605 ISNI: 0000 0001 2101 8590 GND: 11851217X SELIBR: 208053 SUDOC: 026734141 BNF: cb11892479d (데이터) BIBSYS: 90060061 ULAN: 500314560 뮤직브레인즈: 2c9491c4-b842-4ff6-bb86-97fdf2d435f0 NLA: 35019743 NDL: 00433647 NKC: jn19990000867 ICCU: IT\ICCU\CFIV\008443 RLS: 000084879 BNE: XX895770 CiNii: DA00705797 RKD: 943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반니_보카치오&oldid=23895410" 분류: 1313년 태어남1375년 죽음이탈리아의 시인이탈리아의 소설가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교도14세기 이탈리아 사람14세기 시인르네상스 인문주의자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18 종류의 전거 통제 정보를 포함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ULA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B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RKDartist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인용집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Aragoné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བོད་ཡིག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Corsu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urdîКыргызчаLatinaLigureLumbaart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Кырык марыPlattdüütsch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ИронਪੰਜਾਬੀPicardPolskiPiemontèis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est-VlamsWinaray吴语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1일 (목) 19: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조반니 보카치오(Giovanni Boccaccio, 1313년 6월 16일 ~ 1375년 12월 21일)는 이탈리아의 소설가·시인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조반니 보카치오의 생애는 어땠을까? Assistant: 그의 아버지는 상인으로서 환전상을 경영하였으며 그는 사생아로 체르탈도라는 고장에서 출생하였다. 피렌체에서 아버지의 업을 익히는 한편 초보적인 교육을 받았다. 14세 때에 장사를 배우기 위해 나폴리로 보내졌는데 보카치오는 "그 6년간은 시간 낭비 외에 얻은 바가 없었다"고 말하고 있다. 새로 6년간을 법학 연구에 보냈으나 별로 공부는 하지 않았다. 그러나 문학에 대해서는 깊은 감격과 의욕을 가져 열심히 독학을 하였다. 당시 문예 부흥 운동이 한창이던 나폴리에서 그는 유쾌한 사교 모임에도 참여하고 친구도 사귀며 인문학자에 의해 고전 문학에 눈을 뜨게 되었다. 그런 가운데 한 여성에 대한 열렬한 연애 경험은 그의 청년기 문학 창조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그럴 즈음 아버지의 파산과 죽음을 맞아 백방으로 직업을 구하다 피렌체 시 정부의 일자리를 얻게 되었다. 다행히도 그의 학식과 재능, 능변으로 교황이나 그 밖의 여러 영주에게 사절로 파견되는 행운이 있었다. 이 즈음 그에게 있어서 가장 뜻있고 줄거운 사건은 청년 시대로부터 만나고자 소원했던 페트라르카를 만나게 된 일이었다(1350년). 그의 만족과 기쁨은 비길 데가 없었으며 친교는 더욱더 두터워져 죽을 때까지 계속되었다. 1362년 점쟁이가 말한 죽음의 예언을 믿은 그는 은둔 생활로 들어가 모처럼의 고전 연구를 그만두려 하였으나 페트라르카의 권유로 연구를 계속하였다. 그러나 노령과 빈곤, 질병에 시달린 나머지 나폴리에도 피렌체에도 흥미를 잃어 고국에 돌아가 숨어 살며 고전 연구에 몰두하였다. 특히 페트라르카의 죽음(1374)에 크게 충격을 받아 전년에 피렌체 정부의 요청에 의해 맡았던 <신곡>의 강의도 중단하였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생애를 마감하였다. Human: 아래 우금치_전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우금치 전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우금치 전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9년 3월) 우금치 전투동학 농민 운동의 일부날짜1894년 11월 20일(음력 10월 23일) ~ 12월 10일(음력 11월 14일)장소공주 우금치 일대결과 동학 농민군의 대패 동학 농민 운동의 진압교전국 동학 농민군 북접 남접 조선 일본 제국지휘관 전봉준 손병희 신정희 허진 이두황 이규태 이기동 조병완 미나미 고시로 모리오 마사이치병력 농민군 남접 1만여 명 북접 1만여 명 총병력 2만여 명 조선군 3,200여명 일본군 200여명 총병력 3,400여명 우금치 전투(牛禁峙戰鬪)는 동학 농민 운동 때 일어난 대전투로 이 전투에서 농민군이 결정적으로 패배하여 농민군 해산과 진압의 원인이 되었다. 목차 1 배경 1.1 우금치 전투 1.2 패배요인 2 함께 보기 배경[편집] 조선 조정은 농민군이 밀고 들어오자 일본과 청나라에 도움을 요청하였고, 이에 전봉준, 김개남, 차치구, 손화중, 손병희 등이 다시 2차 봉기를 일으켰다. 일본은 1894년 6월에 경복궁 쿠데타를 일으켜 친일 정권을 세우고 이노우에 가오루를 새 공사로 임명했다. 그해 9월에 전봉준이 4,000여명의 농민군을 이끌고 삼례에서 일본군을 몰아낸 뒤 남접과 북접의 연합을 시작했다. 전봉준은 공주-수원-서울 북상로를 선택하고 남원에 주둔한 김개남과 합류할 것을 요구했으나 거절당했다. 이에 김개남 대신 10월에 북접의 손병희가 논산에서 합류하여 2만 명의 군세가 되었고 남접 1만 명, 북접 1만 명 등 총 2만 명의 농민군을 이끌고 공주를 총공격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조선 조정과 일본군은 신정희, 허진, 이규태, 이두황 등에게 3,200여명의 관군과 일본군은 미나미가 이끄는 200여명의 일본군을 이끌고 맞섰다. 농민군과 조일 연합군은 11월 20일(음력 10월 23일)부터 11월 23일(음력 10월 26일)까지 공주 이인과 포효 등지에서 제1차 접전을 벌였고, 성하영과 윤성영의 공격으로 농민군은 크게 패배해 후퇴했다. 전봉준은 김개남에게 도움을 요청했으나 김개남은 청주 전투에서 크게 패한 뒤에 도움을 주지 않았다. 농민군은 곰티와 검상 마을, 곰내, 하고개, 주미산 방면을 공격했다. 금강 건너 유구 쪽에서 맞섰으나 홍성 농민군은 세성산 전투에서 패배해 후퇴했다. 농민군은 다시 진열을 정비하고, 12월 5일(음력 11월 9일) 남접과 북접 연합군 2만 명이 공주 우금치를 향해 돌진하면서 전투가 시작되었다. 우금치 전투[편집] 농민군은 무너미 고개와 이인 쪽에서 맞서 관군을 밀어붙치고 조일 연합군은 모리오 마사이치 대위가 지휘하는 관군을 우금치 옆 벱세울 앞산에 주둔하고 우금치, 금학동, 곰티, 효포 봉수대에 관군을 배치했다. 농민군은 이 곳을 집중 공격했으나 고갯마루 150m 앞까지 조일 연합군의 우세한 무기의 포탄과 총탄이 비오듯 쏟아져 내려 더이상 진격하지 못했다. 그리고 이기동과 조병완이 농민군의 좌측과 우측을 공격해 농민군은 큰 사상자를 내고 공주 동남쪽 봉우리로 후퇴했다. 농민군 1대가 봉황산으로 진격해 공주감영을 공격하려 했으나 하고개와 금학골 골짜기에서 관군의 공격으로 실패했다. 이로써 농민군은 4일 간의 제2차 접전에서도 패배했고 전봉준은 군인, 이서, 상인들에게 지지를 크게 얻지 못했다. 조일 연합군은 12월 10일(음력 11월 14일)에 노성 주둔 농민군을 공격해 농민군은 대촌 뒷산과 소토산으로 계속 후퇴해 사기까지 떨어져 음력 12월에 전봉준은 체포되고, 이후 조일 연합군의 호남 일대의 농민군 대학살전이 일어났다. 패배요인[편집] 일본이 보유했던 미국제 기관총. 패배 요인으로 주목된다. 동학농민전쟁의 가장 큰 전투이자 승패의 분수령이 된 결전이었던 우금치 전투에서 패배한 원인으로는, 크게 1) 보유 무기의 심각한 열세, 2) 연합전선 실패로 인한 병력 분산, 3) 훈련받지 못한 농민군과 지휘 부족 등을 들 수 있다. 첫 번째로 무엇보다 보유 무기 면에서 관군·일본 연합군이 갖고 있던 무기의 화력이 동학 농민군에 비해 월등했다. 농민군의 총은 심지에 불을 붙여 쓰는 화승총으로 사정거리가 불과 100보에 분당 2발을 발사하는 수준인데다 그마저도 갖지 못한 사람은 죽창으로 싸워야 했다. 그에 반해 일본군은 사정거리가 400-500보를 넘고 분당 12발을 쏠수 있는 신형 소총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막강한 화력을 지닌 미국제 개틀링 기관총을 갖추었기 때문에 동학 농민군을 손쉽게 소탕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는, 동학 농민군은 모든 힘을 한곳에 모으지 못하고 분산됐다는 점이다. 손화중, 김개남, 최경선 등의 농민군 정예부대들이 여러 가지 이유로 공주 전투에 함께하지 못했고 결국 농민군은 병력면에서라도 확실한 우위를 가질수 없었다. 셋째, 훈련받지 못한 농민군과 지도자들의 전투를 지휘하는 기술이 부족했다. 일본군이나 관군에 비해 훈련되어있지 않고 무기도 보잘 것 없는 농민군에 불과했다는 점과, 미리 공주를 점령하지 못한채 결국 일본군과 관군을 상대로 불리한 지형적 조건에서 싸웠다는 점도 패배의 한 원인이 되었다. 함께 보기[편집] 동학 농민 운동 공주 우금치 전적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우금치_전투&oldid=24530207" 분류: 1894년 분쟁1894년 한국조선의 전투일본의 전투동학 농민 운동공주시의 역사청일 전쟁의 전투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9년 3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5일 (금) 22:3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우금치 전투(牛禁峙戰鬪)는 동학 농민 운동 때 일어난 대전투로 이 전투에서 농민군이 결정적으로 패배하여 농민군 해산과 진압의 원인이 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우금치 전투의 전개양상과 결과는 어땠을까? Assistant: 농민군은 무너미 고개와 이인 쪽에서 맞서 관군을 밀어붙치고 조일 연합군은 모리오 마사이치 대위가 지휘하는 관군을 우금치 옆 벱세울 앞산에 주둔하고 우금치, 금학동, 곰티, 효포 봉수대에 관군을 배치했다. 농민군은 이 곳을 집중 공격했으나 고갯마루 150m 앞까지 조일 연합군의 우세한 무기의 포탄과 총탄이 비오듯 쏟아져 내려 더이상 진격하지 못했다. 그리고 이기동과 조병완이 농민군의 좌측과 우측을 공격해 농민군은 큰 사상자를 내고 공주 동남쪽 봉우리로 후퇴했다. 농민군 1대가 봉황산으로 진격해 공주감영을 공격하려 했으나 하고개와 금학골 골짜기에서 관군의 공격으로 실패했다. 이로써 농민군은 4일 간의 제2차 접전에서도 패배했고 전봉준은 군인, 이서, 상인들에게 지지를 크게 얻지 못했다. 조일 연합군은 12월 10일(음력 11월 14일)에 노성 주둔 농민군을 공격해 농민군은 대촌 뒷산과 소토산으로 계속 후퇴해 사기까지 떨어져 음력 12월에 전봉준은 체포되고, 이후 조일 연합군의 호남 일대의 농민군 대학살전이 일어났다.
Human: 아래 여수경찰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여수경찰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여수경찰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4° 44′ 27″ 동경 127° 44′ 26″ / 북위 34.7409524° 동경 127.7404675°  / 34.7409524; 127.7404675 여수경찰서 여수경찰서 본서 기본정보 주소 전라남도 여수시 하멜로 2(고소동 343번지) 지휘체계 국가 대한민국 상급기관 전라남도지방경찰청 관할구역 전라남도 여수시 일원[1] 지구대파출소 광무파출소, 남면파출소, 남산파출소, 동문파출소, 돌산파출소, 미평파출소, 만흥파출소, 봉산파출소, 삼일파출소, 삼산파출소, 소라파출소, 신기파출소, 쌍봉파출소, 여문파출소, 율촌파출소, 중앙파출소, 화양파출소, 화정파출소 함께 읽기 웹사이트 여수경찰서 - 공식 웹사이트 지도 여수경찰서(麗水警察署, Yeosu Police Station)는 전라남도지방경찰청이 관할하는 경찰서 중 하나이다. 전라남도 여수시 하멜로 2(고소동 343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서장은 총경으로 보한다.[2] 목차 1 기본 정보 2 관할 파출소 및 지구대 3 같이 보기 4 각주 5 외부 링크 기본 정보[편집] 주소: 전라남도 여수시 하멜로 2(고소동 343번지) 우편번호: 550-050 관할 파출소 및 지구대[편집] 여수경찰서는 18개의 파출소를 산하에 두고 있다.[3] 명칭 사진 치안센터 사진 주소 관할구역 치안센터 광무파출소 좌수영로 150 남면파출소 남면 금오로 870 남면 남산파출소 남산북10길 2 동문파출소 종화로 102-3 돌산파출소 돌산읍 돌산로 253-8 돌산읍 미평파출소 좌수영로 431 만흥파출소 만덕로 269 봉산파출소 어항로 43 국동치안센터 삼일파출소 흥국사옛길 32 삼산파출소 삼산면 거문길 26-6 삼산면 소라파출소 소라면 덕양로 93 소라면 신기파출소 새터로 31 쌍봉파출소 흥국로 19 무선치안센터안산치안센터 여문파출소 여서동5길 22 율촌파출소 율촌로 103 중앙파출소 수정동2길 14 화양파출소 화양면 나진길 144-12 화양면 화정파출소 화정면 백야2길 9 화정면 같이 보기[편집] 전라남도지방경찰청 각주[편집] ↑ 대한민국 경찰청 (2016년 12월 5일). “경찰서의 명칭·위치 및 관할구역”.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6년 12월 22일에 확인함.  ↑ 대한민국 국회 (2014년 5월 20일). “경찰법 제17조 제1항”. 2014년 6월 22일에 확인함.  ↑ 전라남도지방경찰청과 경찰서의 조직 및 사무분장규칙 별표4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여수경찰서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여수경찰서 공식 웹사이트 vdeh 대한민국 경찰청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 검찰청 병무청 방사청 경찰청 소방청 문화재청 농진청 산림청 특허청 기상청 행복청 새만금청 해경청 본청 소속 청장 차장 경찰병원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도서관 경찰교육훈련기관 경찰인재개발원 중앙경찰학교 경찰수사연수원 지방경찰청서울지방경찰청 중부 종로 남대문 서대문 혜화 용산 성북 동대문 마포 영등포 성동 동작 광진 서부 강북 금천 중랑 강남 관악 강서 강동 종암 구로 서초 양천 송파 노원 방배 은평 도봉 수서 직할대 101경비단 기동단 22경찰경호대 국회경비대 서울청사경비대 김포공항경찰대 경찰특공대 202경비대 부산지방경찰청 중부 동래 영도 동부 부산진 서부 남부 해운대 사상 금정 사하 연제 강서 북부 기장 대구지방경찰청 중부 동부 서부 남부 북부 수성 달서 성서 달성 강북 인천지방경찰청 중부 미추홀 남동 논현 부평 삼산 서부 계양 연수 강화 직할대 인천공항경찰대 광주지방경찰청 동부 서부 남부 북부 광산 대전지방경찰청 중부 동부 서부 대덕 둔산 유성 직할대 대전청사경비대 울산지방경찰청 중부 남부 동부 울주 경기남부지방경찰청 수원중부 수원남부 수원서부 안양동안 안양만안 과천 군포 성남수정 성남중원 분당 부천소사 부천원미 부천오정 광명 안산단원 안산상록 시흥 평택 오산 화성서부 화성동탄 용인동부 용인서부 광주 의왕 하남 이천 김포 안성 여주 양평 직할대 과천청사경비대 경기남부기동대 경기북부지방경찰청 의정부 양주 고양 일산동부 일산서부 남양주 구리 동두천 파주 포천 가평 연천 강원지방경찰청 춘천 강릉 원주 동해 태백 속초 삼척 영월 정선 홍천 평창 횡성 고성 인제 철원 화천 양구 충북지방경찰청 청주흥덕 청주상당 청주청원 충주 제천 영동 괴산 단양 보은 옥천 음성 진천 충남지방경찰청 천안서북 천안동남 서산 논산 아산 공주 보령 당진 홍성 예산 부여 서천 금산 청양 태안 세종지방경찰청 세종 직할대 세종청사경비대 전북지방경찰청 전주완산 전주덕진 군산 익산 정읍 남원 김제 완주 고창 부안 임실 순창 진안 장수 무주 전남지방경찰청 목포 여수 순천 나주 광양 고흥 해남 장흥 보성 영광 화순 함평 영암 장성 강진 담양 곡성 완도 무안 진도 구례 경북지방경찰청 경주 포항북부 포항남부 구미 경산 안동 김천 영주 영천 상주 문경 칠곡 의성 청도 영덕 울진 봉화 예천 성주 청송 영양 군위 고령 울릉 경남지방경찰청 창원중부 창원서부 마산중부 마산동부 진주 김해중부 김해서부 진해 통영 사천 거제 밀양 양산 거창 합천 창녕 고성 하동 남해 함양 산청 함안 의령 제주지방경찰청 제주동부 제주서부 서귀포 직할대 해안경비단 산하 공공기관 도로교통공단 소관기관 제주자치경찰단 경찰공제회 재향경우회 총포화약안전기술협회 관련 항목 대한민국의 경찰 대한민국의 경찰관 계급 101경비단 및 202경비대는 서울지방경찰청 소속이지만 대통령경호처가 작전지휘권을 행사한다.[1] 중심경찰서제도[2] 도입으로 서울송파경찰서, 대구성서경찰서, 수원남부경찰서, 분당경찰서, 부천원미경찰서, 청주흥덕경찰서, 전주완산경찰서, 창원중부경찰서 등 7개 경찰서는 경무관(3급 상당)이 경찰서장으로 임용된다. 이 글은 경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여수경찰서&oldid=24417264" 분류: 여수시 소재의 관공서전라남도의 경찰서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경찰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2일 (수) 20:0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여수경찰서(麗水警察署, Yeosu Police Station)는 전라남도경찰청이 관할하는 경찰서 중 하나이다. 전라남도 여수시 하멜로 2(고소동 343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서장은 총경으로 보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여수 화정면은 어느 파출소 관할 구역인가? Assistant: 화정파출소 Human: 아래 일하는_세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일하는 세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하는 세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일하는 세포》 (はたらく細胞)는 시미즈 아카네가 원작한 일본의 만화이다. 코단샤의 월간 소년 시리우스에서 2013년 3월호부터 연재 중. 제27회 소년 시리우스 신인상의 대상을 수상한 작품에서 연재화되었다. 2018년 7월부터 TV 애니메이션화로 방영 중이다. 감독은 스즈키 켄이치로 죠죠의 기묘한 모험 애니판 제작에 참여한 인물이다. 사람의 몸속에 사는 세포들을 의인화한 만화다. 목차 1 줄거리 2 등장인물 2.1 주인공 2.2 백혈구 2.2.1 호산구 2.2.2 호염기구 3 설정 4 외부 링크 줄거리[편집] 여기는 어떤 "사람"의 체내. 신참의 적혈구 'AE3803'은 폐에 이산화 탄소를 운반해야 했지만, 미아가 된다. 거기에 바닥(혈관내피세포)을 뚫고 폐렴 구균이 출현한다. 거리(체내)을 덮치기 시작한 균에 백혈구가 달려가는 구제하다. 그런 세포들의 일상을 그려냈다. 등장인물[편집] 주인공[편집] 적혈구 AE3803 호중구 U-1146 백혈구[편집] 호산구[편집] 분홍색 경비복을 입은 여성이다. 사용하는 무기는 이지창이다. 2권의 식중독 편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호중구와는 같은 백혈구라 서로 면식이 있는 사이이다. 호중구에 비해 탐식 작용이 약해 단독으로 균을 물리치는 데에는 약한 편이며, 본인도 이를 자각하고 있어 은근히 콤플렉스에 시달리는 중이다. 그래서 일반적인 균들을 상대할땐 짐덩어리 취급인데, 그녀가 진정한 힘을 발휘하는 경우는 바로 기생충에게 저항하는 것이다. 식중독 편에서 장염 비브리오 균에 이어 고래회충이 위벽을 뚫고 침입하자 이를 가볍게 물리쳐 모두의 환호와 격려를 받는다.칭찬보단 비난을 많이 받아왔기 때문인지 칭찬을 듣자 굉장히 부끄러워 했다. 호염기구[편집] 복면 & 비니 조합에 청록색 레인코트를 입은 남성으로 묘사된다. 알레르겐을 잡아먹는 세포이다. 2권 식중독편에서 처음 등장했다. 호중구와 호산구와 같은 백혈구이지만 가장 비중이 없다. 그리고 복면과 비니를 벗은 적이 없기에 어떤 모습인지도 드러나지 않았다. 게다가 말을 중2병 섞인 듯한 낯간지러운 단어로 빗대어서 대화하기 때문에 다른 세포들은 호염기구가 하는 말을 잘 알아듣지 못해서 주로 호산구가 호염기구의 말을 해석해주곤 한다. 여러모로 미스터리속성 이었지만, 최근 나온 27화에서 간상핵구 시절의 모습이 공개되었다. 특유의 말투는 간상핵구 시절 때에도 여전했다. 덤으로 이 시절에 읽고있던 시집 '세와 포의 시 NO. 14'을 호염기구가 된 이후까지도 읽고 있는데 이 때에는 '세와 포의 시 NO.310'으로 되어있고 메모장 포함에다 무려 본인인 호염기구의 이름을 붙여두고 있다. 누군지 모를 원작자로부터 물려받아서 쓰는 듯하다. 의외로 간상핵구 시절에는 얼굴이 다른 세포 못지 않은 미소년이었던 것으로 봐선 복면을 벗으면 꽤나 잘생긴 미중년일 것이라 추정되긴 한다. 식중독 편에서 호산구와 호중구가 위기에 처하자 백혈구 측에 지원 요청을 한 것이나 뎅기열 바이러스 편에서 실의에 빠져 있던 비만세포앞에 나타나 각성하게 한 것을 보면 결정적인 순간에 활약하기도 하는 편. 하지만 각성시켜준 직후 바이러스때문에 멀리 날아가 버렸다. 그 후엔 어찌저찌해서 무사한 듯 하다. 설정[편집] 외부 링크[편집] 일하는 세포 | 월간 소년 시리우스 | 코단샤 코믹 플러스 『일하는 세포』 공식 - 트위터 TV 애니메 「일하는 세포」 공식 사이트 체내활극 「일하는 세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일하는_세포&oldid=23797036" 분류: 일본의 만화월간 소년 시리우스인간 체내를 소재로 한 작품의인화 캐릭터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시트콤일본의 애니메이션2018년 애니메이션UHF 애니메이션진행 중인 작품애니맥스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Bahasa MelayuРусскийTagalog吴语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일 (토) 20: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일하는 세포》(일본어: はたらく細胞 영어: Cells at Work)는 일본의 만화가 시미즈 아카네(清水 茜)가 출판사 코단샤의 월간 소년 시리우스에서 2013년 3월호부터 2018년 9월호까지 연재한 만화이다. 사람의 몸속에 존재하는 세포들을 의인화해 그 세포들의 활동을 다루는데, 현직 의료인들이 인정할 정도로 내용이 정확하다. 단행본으로 전 6권으로 나왔고. 대한민국에서도 학산문화사에서 우리말로 6권 모두 나왔다. 파생작으로는 《일하는 세포 BLACK》, 《일하는 세포 프렌드》, 《일하는 혈소판》, 《일하지 않는 세포》, 《일하는 세균 Neo》, 《일하는 세포 BABY》, 《일하는 세포 LADY》 가 있다. 파생작 중 《일하는 세포 BLACK》과 《일하는 세포 프렌드》, 《일하는 세포 LADY》, 《일하는 혈소판짱》은 학산출판사에서 우리말로 나왔다. 《일하는 세포 BABY》는 전자책으로만 나왔다. TV 애니메이션은 2018년 7월 8일부터 9월 30일까지 1기로 방영, 특별판은 동년 12월 26일에 방영, 2021년 1월 9일부터 2월 27일까지 2기가 방영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애니맥스에서 2019년 8월 4일부터 9월 15일까지 매주 일요일 밤 10시에 우리말 더빙판으로 방영되었다. 또, 같은 TV 애니메이션 파생작인 《일하는 세포 BLACK》은 2021년 1월 10일부터 3월 21일까지 방영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일하는 세포의 호염기구는 무엇을 섭취하는 세포인가? Assistant: 알레르겐
Human: 아래 헌인릉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헌인릉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헌인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서울 헌릉과 인릉(서울 獻陵과 仁陵) 대한민국의 사적 인릉종목 사적 제194호 (1970년 5월 26일 지정)면적 1,193,071m2시대 조선시대소유 문화재청위치 서울 헌릉과 인릉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헌인릉길 42(산13-1)좌표 북위 37° 27′ 57″ 동경 127° 4′ 33″ / 북위 37.46583° 동경 127.07583°  / 37.46583; 127.07583좌표: 북위 37° 27′ 57″ 동경 127° 4′ 33″ / 북위 37.46583° 동경 127.07583°  / 37.46583; 127.07583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헌인릉의 오리나무 숲 헌인릉(獻仁陵, 사적 194호)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에 있는 조선조 왕릉이다. 이 곳에는 조선 3대 임금 태종과 원경왕후 민씨의 능인 헌릉, 23대 임금 순조와 순원왕후 김씨의 능인 인릉이 있다. 1970년 5월 26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194호로 지정되었다. 목차 1 개요 1.1 헌릉 1.2 인릉 2 같이 보기 3 각주 4 참고 자료 5 외부 링크 개요[편집] 헌릉[편집] 헌릉(獻陵)은 태종과 원경왕후를 같은 언덕에 봉분을 달리하여 안장한 쌍릉으로 두 봉분 모두 아래 부분을 병풍석(屛風石)을 둘러 세웠으며, 그 밖으로 각 봉분에 12간의 난간석으로 서로 연결하였다. 양석(羊石)과 호석(虎石) 각 4쌍, 상석(床石) 2좌, 망주석(望柱石) 1쌍을 3면의 곡장(曲墻)으로 감싸 안으며 봉분 위의 한 층이 이루어졌다. 그 아래로 한 단 낮추어 중간 층에는 문인석(文人石) 2쌍, 마석(馬石) 2쌍, 팔각형 명등석(明燈石) 2좌가 각 무덤에 설치되었고, 그 한 단 아래에 무인석(武人石), 마석 각 4좌가 아래 층을 이루고 있다. 웅장한 규모로 조선 왕릉중에 가장 크다고 전해진다. 특히 세종의 효심을 읽을 수 있는 배려가 곳곳에 숨어 있다. 승하 후 세종의 묘역도 유언대로 한동안 이곳 지역에 조성되어 있었다. 이렇듯이 헌릉의 석물은 고려시대 현릉·정릉(玄陵·正陵), 조선시대의 후릉(厚陵)과 같은 형태지만 망주석 이외는 각각 하나씩을 더 갖추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셋째 아들이었던 세종은 부친의 능지에 각별한 정성을 보였으며 난간석을 만들만큼 부모님의 화해를 원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세종은 죽어서도 부모곁에 묻히기를 바랄만큼 애틋한 사랑을 갖고 있었다. 승하하여 18년간 이곳 헌릉의 서쪽편에 모셨다가 예종(睿宗) 원년(1469년)에 지금 경기도 여주의 영릉으로 모셨다. 헌릉에는 쌍봉으로 있는 봉분 언덕 아래에 정자각(丁字閣), 2기의 신도비가 있는 비각(碑閣), 그리고 입구에 홍살문(紅箭門)이 있다. 문화재청은 2013년 7월 16일 '서울 태종 헌릉 신도비'를 국가지정문화재인 보물로 지정했다. ‘서울 태종 헌릉 신도비(보물 제1805호)’는 조선 태조의 다섯 째 아들로 조선왕조 국기를 튼튼히 다졌던 제3대 임금 태종 이방원의 생애와 업적을 기리기 위해 비문을 새겨 세운 것으로 1422년(조선 세종 4년)에 세웠다. 이 신도비는 태종의 생애와 업적을 기리기 위해 그의 일대기를 담아 세운 비이다. 비문은 변계량(1369~1430)이 지었다.[1][2] 인릉[편집] 인릉 홍살문 인릉은 순조와 순원왕후를 같은 언덕에 합장한 봉분으로서 무덤 아래에 병풍석은 없이 12간의 난간석을 둘렀으며, 그 주위로 양석과 마석 각 2쌍, 상석 1좌, 망주석 1쌍을 3면의 곡장으로 에워쌌다. 한 단 아래에 문인석과 마석 1쌍, 명등석 1좌를 설치하고, 그 아래에 무인석과 마석 각 1쌍을 배치하였다. 문인석과 무인석의 조각은 사실적으로 새겨져 섬세하고 아름답다. 무덤 언덕 아래에 정자각, 2기의 비석이 있는 비각, 그리고 입구에 홍살문이 있다. 홍살문 남쪽 도로변에 있는 재실은 당초에는 능역 안에 있었으나, 그 중간 부분이 6·25 이후 농지로 개간되어 서로 떨어져 위치하게 되었다. 같이 보기[편집] 조선의 왕릉 조선 태종 헌릉 신도비 각주[편집] ↑ '서울 태종 헌릉 신도비' 보물 지정 Archived 2014년 2월 23일 - 웨이백 머신 뉴스1(2013.07.16) ↑ 조선초기의 왕릉 신도비 3기 보물로 지정 경향신문(24면 3단, 2013.07.16) 기사내용 참조 참고 자료[편집] 헌인릉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이 문서에는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한 국가문화유산포털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태종의 가족들, 박영규 저, 웅진닷컴(2004년, 47~70p) 「세종의 수성 리더십」, 천하를 다스리는 것은 배움에서, 박현모 저, 삼성경제연구소(2006년, 38~45p) 「풍수지리 교과서」, 음택·토지 길흉 판단의 실전, 고제희 저, 문예마당(2009년, 257~304p)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헌릉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인릉 문화재청 조선왕릉 - 서울 헌릉과 인릉 vdeh조선왕릉서울특별시 정릉 (신덕왕후) 헌릉(태종) 선릉 (성종) 연산군묘 정릉 (중종) 태릉 (문정왕후) 강릉 (명종) 의릉 (경종) 인릉 (순조) 구리시 건원릉 (태조) 현릉 (문종) 목릉 (선조) 휘릉 (장렬왕후) 숭릉 (현종) 혜릉 (경종) 원릉 (영조) 수릉 (문조) 경릉 (헌종) 남양주시 사릉 (정순왕후) 광릉 (세조) 광해군묘 홍릉 (고종) 유릉 (순종) 고양시 경릉 (덕종) 창릉 (예종) 희릉 (장경왕후) 효릉 (인종) 명릉 (숙종) 익릉 (인경왕후) 홍릉 (정성왕후) 예릉 (철종) 파주시 공릉 (장순왕후) 순릉 (공혜왕후) 장릉 (인조) 영릉 (진종) 양주시 온릉 (단경왕후) 김포시 장릉 (원종) 화성시 융릉 (장조) 건릉 (정조) 여주시 영릉 (세종) 영릉 (효종) 강원 영월군 장릉 (단종) 황해 개풍군 제릉 (신의왕후) 후릉 (정종) 함남 신흥군 덕릉 (목조) 안릉 (효공왕후) 함남 안변군 지릉 (익조) 함남 문천시 숙릉 (정숙왕후) 함남 함흥시 의릉 (도조) 순릉 (경순왕후) 함남 함주군 정릉 (환조) 화릉 (의혜왕후) 동구릉 서삼릉 서오릉 파주 삼릉 대한민국의 세계유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헌인릉&oldid=24062414" 분류: 서울특별시의 사적서울 서초구의 문화재조선의 왕릉조선 태종서울 서초구의 무덤조선 순조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공공누리 제1유형 저작물을 인용한 문서위키데이터에 링크가 없는 위키공용분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Magyarไทย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07: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헌인릉(獻仁陵, 사적 194호)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에 있는 조선조 왕릉이다. 이 곳에는 조선 3대 임금 태종과 원경왕후 민씨의 능인 헌릉, 23대 임금 순조와 순원왕후 김씨의 능인 인릉이 있다. 1970년 5월 26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194호로 지정되었다. 원래는 태종과 세종이 합장된 왕릉이었으나 7대 임금이자 세종의 둘째 아들인 세조가 세종의 능을 이장하자는 추진에 따라 예종 1년이 현재의 경기도 여주시로 이장하여서 태종의 능만 남았다가 후에 23대 임금인 순조가 안장되면서 현재의 헌인릉이 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헌릉에는 누가 묻혀 있을까? Assistant: 태종과 원경왕후 Human: 아래 대한민국_형법_제228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한민국 형법 제228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형법 제228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위키문헌에 이 글과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대한민국 형법 대한민국 형법 제228조는 공정증서원본 등의 부실기재에 대한 형법각칙의 조문이다. 목차 1 조문 2 판례 3 각주 4 같이 보기 조문[편집] 제228조(공정증서원본 등의 부실기재) ① 공무원에 대하여 허위신고를 하여 공정증서원본 또는 이와 동일한 전자기록등 특수매체기록에 부실의 사실을 기재 또는 기록하게 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②공무원에 대하여 허위신고를 하여 면허증, 허가증, 등록증 또는 여권에 부실의 사실을 기재하게 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7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판례[편집] 협의상 이혼의 의사표시가 기망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일지라도 그것이 취소되기까지는 유효하게 존재하는 것이므로, 협의상 이혼의사의 합치에 따라 이혼신고를 하여 호적에 그 협의상 이혼사실이 기재되었다면, 이는 공정증서원본불실기재죄에 정한 불실의 사실에 해당하지 않는다[1] 피고인들이 중국 국적의 조선족 여자들과 참다운 부부관계를 설정할 의사 없이 단지 그들의 국내 취업을 위한 입국을 가능하게 할 목적으로 형식상 혼인하기로 한 것이라면, 피고인들과 조선족 여자들 사이에는 혼인의 계출에 관하여는 의사의 합치가 있었으나 참다운 부부관계의 설정을 바라는 효과의사는 없었다고 인정되므로 피고인들의 혼인은 우리 나라의 법에 의하여 혼인으로서의 실질적 성립요건을 갖추지 못하여 그 효력이 없고, 따라서 피고인들이 중국에서 중국의 방식에 따라 혼인식을 거행하였다고 하더라도 우리 나라의 법에 비추어 그 효력이 없는 혼인의 신고를 한 이상 피고인들의 행위는 공정증서원본불실기재 및 동행사 죄의 죄책을 면할 수 없다[2] 각주[편집] ↑ 95도448 ↑ 96도2049 같이 보기[편집] 공정증서원본불실기재죄 vdeh대한민국 형법제1편 총칙제1장 형법의 적용범위제1조 · 제2조 · 제3조 · 제4조 · 제5조 · 제6조 · 제7조 · 제8조제2장 죄제1절 죄의 성립과 형의 감면제9조 · 제10조 · 제11조 · 제12조 · 제13조 · 제14조 · 제15조 · 제16조 · 제17조 · 제18조 · 제19조 · 제20조 · 제21조 · 제22조 · 제23조 · 제24조제2절 미수범제25조 · 제26조 · 제27조 · 제28조 · 제29조제3절 공범제30조 · 제31조 · 제32조 · 제33조 · 제34조제4절 누범제35조 · 제36조제5절 경합범제37조 · 제38조 · 제39조 · 제40조제3장 형제1절 형의 종류와 경중제41조 · 제42조 · 제43조 · 제44조 · 제45조 · 제46조 · 제47조 · 제48조 · 제49조 · 제50조제2절 형의 양정제51조 · 제52조 · 제53조 · 제54조 · 제55조 · 제56조 · 제57조 · 제58조제3절 형의 선고유예제59조 · 제59조의2 · 제60조 · 제61조제4절 형의 집행유예제62조 · 제62조의2 · 제63조 · 제64조 · 제65조제5절 형의 집행제66조 · 제67조 · 제68조 · 제69조 · 제70조 · 제71조제6절 가석방제72조 · 제73조 · 제73조의2 · 제74조 · 제75조 · 제76조제7절 형의 시효제77조 · 제78조 · 제79조 · 제80조제8절 형의 소멸제81조 · 제82조제4장 기간제83조 · 제84조 · 제85조 · 제86조제2편 각칙제1장 내란의 죄제87조 · 제88조 · 제89조 · 제90조 · 제91조제2장 외환의 죄제92조 · 제93조 · 제94조 · 제95조 · 제96조 · 제97조 · 제98조 · 제99조 · 제100조 · 제101조 · 제102조 · 제103조 · 제104조 · 제104조의2제3장 국기에 관한 죄제105조 · 제106조제4장 국교에 관한 죄제107조 · 제108조 · 제109조 · 제110조 · 제111조 · 제112조 · 제113조제5장 공안을 해하는 죄제114조 · 제115조 · 제116조 · 제117조 · 제118조제6장 폭발물에 관한 죄제119조 · 제120조 · 제121조제7장 공무원의 직무에 관한 죄제122조 · 제123조 · 제124조 · 제125조 · 제126조 · 제127조 · 제128조 · 제129조 · 제130조 · 제131조 · 제132조 · 제133조 · 제134조 · 제135조제8장 공무방해에 관한 죄제136조 · 제137조 · 제138조 · 제139조 · 제140조 · 제140조의2 · 제141조 · 제142조 · 제143조 · 제144조제9장 도주와 범인은닉의 죄제145조 · 제146조 · 제147조 · 제148조 · 제149조 · 제150조 · 제151조제10장 위증과 증거인멸의 죄제152조 · 제153조 · 제154조 · 제155조제11장 무고의 죄제156조 · 제157조제12장 신앙에 관한 죄제158조 · 제159조 · 제160조 · 제161조 · 제162조 · 제163조제13장 방화와 실화의 죄제164조 · 제165조 · 제166조 · 제167조 · 제168조 · 제169조 · 제170조 · 제171조 · 제172조 · 제172조의2 · 제173조 · 제173조의2 · 제174조 · 제175조 · 제176조제14장 일수와 수리에 관한 죄제177조 · 제178조 · 제179조 · 제180조 · 제181조 · 제182조 · 제183조 · 제184조제15장 교통방해의 죄제185조 · 제186조 · 제187조 · 제188조 · 제189조 · 제190조 · 제191조제16장 음용수에 관한 죄제192조 · 제193조 · 제194조 · 제195조 · 제196조 · 제197조제17장 아편에 관한 죄제198조 · 제199조 · 제200조 · 제201조 · 제202조 · 제203조 · 제204조 · 제205조 · 제206조제18장 통화에 관한 죄제207조 · 제208조 · 제209조 · 제210조 · 제211조 · 제212조 · 제213조제19장 유가증권, 우표와 인지에 관한 죄제214조 · 제215조 · 제216조 · 제217조 · 제218조 · 제219조 · 제220조 · 제221조 · 제222조 · 제223조 · 제224조제20장 문서에 관한 죄제225조 · 제226조 · 제227조 · 제227조의2 · 제228조 · 제229조 · 제230조 · 제231조 · 제232조 · 제232조의2 · 제234조 · 제235조 · 제236조 · 제237조 · 제237조의2제21장 인장에 관한 죄제238조 · 제239조 · 제240조제22장 성풍속에 관한 죄제241조 · 제242조 · 제243조 · 제244조 · 제245조제23장 도박과 복표에 관한 죄제246조 · 제247조 · 제248조 · 제249조제24장 살인의 죄제250조 · 제251조 · 제252조 · 제253조 · 제254조 · 제255조 · 제256조제25장 상해와 폭행의 죄제257조 · 제258조 · 제258조의2 · 제259조 · 제260조 · 제261조 · 제262조 · 제263조 · 제264조 · 제265조제26장 과실치사상의 죄제266조 · 제267조 · 제268조제27장 낙태의 죄제269조 · 제270조제28장 유기와 학대의 죄제271조 · 제272조 · 제273조 · 제274조 · 제275조제29장 체포와 감금의 죄제276조 · 제277조 · 제278조 · 제279조 · 제280조 · 제281조 · 제282조제30장 협박의 죄제283조 · 제284조 · 제285조 · 제286조제31장 약취, 유인 및 인신매매의 죄제287조 · 제288조 · 제289조 · 제290조 · 제291조 · 제292조 · 제293조 · 제294조 · 제295조 · 제295조의2 · 제296조 · 제296조의2제32장 강간과 추행의 죄제297조 · 제297조의2 · 제298조 · 제299조 · 제300조 · 제301조 · 제301조의2 · 제302조 · 제303조 · 제304조 · 제305조 · 제305조의2 · 제306조제33장 명예에 관한 죄제307조 · 제308조 · 제309조 · 제310조 · 제311조 · 제312조제34장 신용, 업무와 경매에 관한 죄제313조 · 제314조 · 제315조제35장 비밀침해의 죄제316조 · 제317조 · 제318조제36장 주거침입의 죄제319조 · 제320조 · 제321조 · 제322조제37장 권리행사를 방해하는 죄제323조 · 제324조 · 제324조의2 · 제324조의3 · 제324조의4 · 제324조의5 · 제324조의6 · 제325조 · 제326조 · 제327조 · 제328조제38장 절도와 강도의 죄제329조 · 제330조 · 제331조 · 제331조의2 · 제332조 · 제333조 · 제334조 · 제335조 · 제336조 · 제337조 · 제338조 · 제339조 · 제340조 · 제341조 · 제342조 · 제343조 · 제344조 · 제345조 · 제346조제39장 사기와 공갈의 죄제347조 · 제347조의2 · 제348조 · 제348조의2 · 제349조 · 제350조 · 제350조의2 · 제351조 · 제352조 · 제353조 · 제354조제40장 횡령과 배임의 죄제355조 · 제356조 · 제357조 · 제358조 · 제359조 · 제360조 · 제361조제41장 장물에 관한 죄제362조 · 제363조 · 제364조 · 제365조제42장 손괴의 죄제366조 · 제367조 · 제368조 · 제369조 · 제370조 · 제371조 · 제372조군형법 · 국가보안법 · 5·18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 ·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 부정수표단속법 · 도로교통법 ·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 관한 법률 · 교통사고처리특례법 · 형사소송법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한민국_형법_제228조&oldid=19614398" 분류: 사회적 법익에 관한 죄대한민국의 형법 조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7년 9월 17일 (일) 13: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대한민국 형법 제228조는 공정증서원본 등의 부실기재에 대한 형법각칙의 조문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조선족 여자들과 형식적으로 혼인을 하기위해 그들이 입국하는 목적은 무엇일까? Assistant: 국내 취업
Human: 아래 칸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칸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칸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칸국(Khanate) 또는 카간국(Khaganate)은 튀르크와 몽골 문화권에서 유래한 단어로, 칸 또는 카간에 의해 통치되는 정치적 독립체를 말한다. 이 형태의 국가들은 대개 유라시아 대초원 지역에서부터 발흥했으며 서방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일개 군장국가에서부터 공국, 왕국, 심지어 제국에 상당하는 것까지 그 규모와 격이 다양했다. 목차 1 용어 2 튀르크 계통 3 몽골 계통 3.1 4칸국(四汗國) 4 몽골 이후 5 같이 보기 용어[편집] 과거에는 왕국, 제국 등과 같은 표현으로 칸의 한자의 차음 발음인 한(汗)에서 유래한 한국(汗國)이라는 용어도 사용되었으며 실제 튀르크와 몽골 문화권에서 발음이 한국과 칸국 병용된다. 한국(韓國, Korea)과 혼동되는 경우도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한국, 칸국 등의 표기를 사용하고 있다. 튀르크 계통[편집] 돌궐 제1카간국 오노크 카간국 동돌궐 돌궐 제2카간국 위구르 카간국 카라한 칸국 하자르 카간국 튀뤼게시 카간국 몽골 계통[편집] 대칸국 4칸국(四汗國)[편집] 킵차크 칸국 차가타이 칸국 일 칸국 우구데이 칸국 몽골 이후[편집] 카잔 칸국 시비르 칸국 아스트라한 칸국 크림 칸국 코슈트 칸국 카심 칸국 카자흐 칸국 히바 칸국 코칸트 칸국 중가르 칸국 히바 칸국 코칸트 칸국 복드 칸국 같이 보기[편집] 군주 베크칸 (Beg Khan) 건물 오르도 나라 루스 카간국 사파비 왕조 아프샤르 왕조 티무르 왕조 (Timurid dynasty) 정부 형태 아랍 제국 토후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칸국&oldid=24222377" 분류: 칸국돌궐몽골 제국정부 형태정치 제도유형별 이슬람 국가인류학후국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zərbaycancaŽemaitėškaবাংলা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FrançaisGalegoעבריתहिन्दी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atinaМонголBahasa MelayuNederlands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தமிழ்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4일 (화) 21: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칸국(Khanate) 또는 카간국(Khaganate)은 튀르크-몽골 문화권에서 유래한 단어로 칸 또는 카간에 의해 통치되는 정치적 독립체를 말한다. 이 형태의 국가들은 대개 중앙아시아, 만주, 유라시아 지역에서부터 발흥했으며 서방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군장국가에서부터 왕국, 제국 등 그 규모와 격이 다양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제1카간국의 명칭은 무엇인가? Assistant: 돌궐 Human: 아래 DVD+R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DVD+R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DVD+R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광 디스크 일반 광 디스크 광 디스크 드라이브 광 디스크 저작 저작 소프트웨어 기록 기술 기록 방식 패킷 기록 광 매체 종류 블루레이 디스크 (BD): BD-R, BD-RE DVD: DVD-R, DVD+R, DVD-R DL, DVD+R DL, DVD-R DS, DVD+R DS, DVD-RW, DVD+RW, DVD-RAM, DVD-D, HVD, 에코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CD): CD-DA(레드북), CD-ROM, CD-R, CD-RW, 5.1 음악 디스크, SACD, 포토CD, CD 비디오 (CDV), 비디오 CD (VCD), SVCD, CD+G, CD 텍스트, CD-ROM XA, CD-i 유니버설 미디어 디스크 (UMD) 강화 다기능 디스크 (EVDA) 전방 다기능 디스크 (FVD) 홀로그래피 디스크 (HVD) CBHD (중국식 고선명 DVD) HD DVD: HD DVD-R, HD DVD-RW, HD DVD-RAM 고선명 다기능 다중 레이어 디스크 (HD VMD) VCDHD GD-ROM 미니디스크 (MD) (Hi-MD) 레이저디스크 (LD) 비디오 싱글 디스크 (VSD) 초밀집 광 디스크 (UDO) SVOD 5D DVD 닌텐도 광 디스크 (NOD) 표준 레인보 북 파일 시스템 ISO 9660 Joliet 록 릿지 / SUSP 엘 토리토 애플 ISO 9660 확장 유니버설 디스크 포맷 (UDF) 마운트 레이니어 같이 보기 광 기억 매체의 역사 고선명 광 디스크 포맷 전쟁 v • d • e • h DVD+R 디스크의 앞면과 뒷면 DVD+R은 한 번 기록할 수 있는 광 디스크로 4.7 GB(4.377 GiB)의 기억 용량을 갖는다. (더 정확하게, 각각 2,048 바이트의 2,295,104 섹터) 4.832 GiB를 지원하는 DVD-R보다 기억 용량이 조금 작다. 이 포맷은 2002년 중반에 DVD+RW 얼라이언스가 개발하였다. DVD+R 포맷이 DVD 포럼에서 개발한 DVD-R 포맷과 경쟁하는 포맷이므로 DVD+R 포맷이 공식 DVD 포맷이 아니라는 이유로 DVD 포럼에 승인을 받지 못하고 있다. 다른 플러스(+) 매체와 마찬가지로, 북 타입을 변경하여 DVD+R 매체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목차 1 속도 2 같이 보기 3 각주 4 외부 링크 속도[편집] 드라이브 속도 데이터 속도 (MB/초) 데이터 속도 (Mbit/초) 싱글 레이어 DVD+R의 쓰기 속도 1X 1.32 MB/s 10.56 Mbit/초 60 분 2X 2.64 MB/s 21.12 Mbit/초 30 분 4X 5.28 MB/s 42.24 Mbit/초 15 분 8X 10.56 MB/s 84.48 Mbit/초 7.5 분 16X 21.12 MB/s 168.96 Mbit/초 3.75 분 20x 26.40 MB/s 211.20 Mbit/초 3.00 분 22x 29.04 MB/s 232.32 Mbit/초 2.73 분 24x[1] 31.68 MB/s 253.44 Mbit/초 2.50 분 같이 보기[편집] DVD-R DVD DVD+R DL DVD+RW, DVD-RW DVD-RAM 미니DVD 각주[편집] ↑ “Sony's 'miracle' DVD writer hits 24x write speed”. 2010년 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2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DVD+RW 얼라이언스 DVD+R(W)가 DVD-R(W) 보다 우위인 까닭 vdeh저장 매체자기 매체 와이어 기록 (1898) 자기 테이프 (1928) 드럼 메모리(1932) 자기 코어 메모리 (1949) 하드 디스크 (1956) 자기 카드 (1956) 자기 잉크 문자 인식 (1956) 콤팩트 카세트 (1962) 박막 (1962) NCR CRAM (1962) 트위스터 메모리 (1968) 플로피 디스크 (1969) 버블 메모리 (~1970) 비디오테이프 (1976) MRAM (2003) 광 매체 LD (1978) CD-DA (1981) CD (1982) CD-ROM(1985) MOD (1988) MD DCC CD+G(1992) Video CD(1993) CD-R PD(1995) DVD(1996) CD-RW DVD Video DVD-R(1997) DVD-RAM(1998) DVR(1999) PRAM (2004) UMD (2005) HD-DVD BD BD-R(2006) 오디오 포맷 목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DVD%2BR&oldid=23123231" 분류: DVD소리 저장 매체영상 저장 매체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EnglishEspañolSuomiItalianoLietuviųNederlandsPolski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1일 (토) 10: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DVD+R은 한 번 기록할 수 있는 광 디스크로 4.7 GB(4.377 GiB)의 기억 용량을 갖는다. (더 정확하게, 각각 2,048 바이트의 2,295,104 섹터) 4.832 GiB를 지원하는 DVD-R보다 기억 용량이 조금 작다. 이 포맷은 2002년 중반에 DVD+RW 얼라이언스가 개발하였다. DVD+R 포맷이 DVD 포럼에서 개발한 DVD-R 포맷과 경쟁하는 포맷이므로 DVD+R 포맷이 공식 DVD 포맷이 아니라는 이유로 DVD 포럼에 승인을 받지 못하고 있다. 다른 플러스(+) 매체와 마찬가지로, 북 타입을 변경하여 DVD+R 매체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0.56MB/s의 데이터 속도를 가지고 있는 드라이브의 속도는 얼마인가? Assistant: 8X
Human: 아래 TOEFL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TOEFL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TOEFL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토플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TOEFL은 대학생 수준의 표준 미국식 영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Test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의 약자이며, 토플이라고 읽는다. 이 시험은 비영어권 국가의 학생들이 영어권 국가의 대학을 지원을 하는데 필요하다. 또한, 정부 기관이나 자격증, 기업, 장학금 등에도 이 시험의 점수가 필요하며 시험 점수의 유효기간은 2년이다. 이 시험은 미국 ETS의 등록 상표이며, 전 세계적으로 관리한다. 원래는 언어학자인 찰스 A 퍼거슨의 주도하에 응용언어학 센터(en:Center for Applied Linguistics)에서 개발[1]되었는데, 1964년에 처음 실시한 이래 3000만명[2] 이상의 수험생들이 응시하였다. 이 시험에 관한 정책은 16명의 이사진들의 조언에서 결정된다. 이들은 학부/대학원 및 2년제 교육기관, 국제 교육에 관심이 많은 공공 또는 민간 기관과 관련된 이들로 구성된다. 다른 구성원들은 제 2언어로의 영어 전문가들로 구성된다. 이 시험의 심사위원회는 12명의 전문가들로 구성된다. 이들은 언어학, 언어 교수법, 교수 및 연구와 관련된 전문가들이며 이 시험의 내용에 대한 조언을 주로 한다. 시험은 일반적으로 컴퓨터로 본다. 목차 1 구성 2 시험 유형 2.1 인터넷 기반 시험(iBT) 2.1.1 읽기 2.1.2 듣기 2.1.3 말하기 2.1.4 쓰기 2.2 컴퓨터 기반 시험(CBT) 2.3 종이 기반 시험(PBT) 3 시험 점수 3.1 iBT 3.2 PBT 3.3 점수 상관관계 3.4 TOEFL - IELTS 점수 비교표[9] 4 공식 시험 준비 자료 4.1 무료 자료 4.2 유료 자료 5 비판 6 주요 국가의 토플 응시 비용[12] 7 주요 국가의 토플 평균 점수 8 각주 9 외부 링크 구성[편집] 토플은 보통 다음과 같이 네 개의 섹션[3]으로 구성되어 있다. 섹션 I: 듣기 평가 섹션 II: 구조 및 쓰기 표현 섹션 III: 읽기 평가 및 어휘 섹션 IV: 작문 시험 유형[편집] 인터넷 기반 시험(iBT)[편집] iBT는 말하기 테스트와 통합형 에세이가 추가된 차세대 토플 시험이며, Internet-Based Testing의 준말이다. 일부 아시아계 학생들이 토플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도 실제 의사 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자, 문법 영역을 폐지하고, 말하기 능력과 읽기/듣기/쓰기가 결합된 통합형 에세이가 새로 시험에 반영되었다. 2005년 9월부터 미국에서 처음 시행되었고, 점차 다른 나라에도 시행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2006년 5월부터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응시 지원자가 응시 가용인원보다 많았기 때문에 응시하려면 접수 후 한달정도를 기다려야 했던 적도 있었으나, 현재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매달 1~4회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4][5]. 아래 4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4시간 30분동안 풀어야 한다. 각 영역은 기본적인 언어 능력 및 고등 교육 환경에서 일어나는 언어 구사를 측정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시험을 보는 동안 필기를 하는 것이 허용되며, 12일 이후에 재응시를 할 수 있다[6]. 노트 테이킹 용지는 시험이 끝난 뒤에는 모두 회수한다. 토플은 대한민국에서 볼 수 있는 3대 공인영어시험인 토익, 토플, 텝스 중에서 가장 난이도가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읽기와 듣기 영역에서는 더미(Dummy)도 나온다. 영역 iBT 소요시간 읽기 (Reading) 3–5개의 지문, 지문당 12–14개 문제 60–100분 듣기 (Listening) 6–9개의 지문, 지문당 5–6개 문제 60–90분 휴식 (Break) 10분[7] 말하기 (Speaking) 6개 과제, 6문제 20분 쓰기 (Writing) 2개 과제, 2문제 55분 읽기[편집] 읽기 영역은 3~4개의 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문은 약 700단어 분량의 본문과 관련 문제들이 출제된다. 지문 내용은 학구적인 주제인데, 대체로 학부에서 사용되는 교재에서 찾을 수 있는 내용이다. 지문은 원인 - 결과, 비교 -대조, 그리고 논증과 같은 수사적인 기능에 대한 이해를 요구한다. 수험생들은 지문의 주제, 세부사항, 추론, 필수 정보, 문장 삽입, 어휘력, 수사적 목적과 전체 내용에 대한 문제를 푼다. 이전 방식에 없던 문제유형은 표를 채우거나 요약을 완성하는 유형이다. 주제와 관련된 사전 지식이나 지문에서 언급되지 않는 것은 정답과 직결되지 않는다. 현재 토플 리딩은 상대평가 방식으로 진행된다. 지문 당 12개 내지 14개가 출제되기 때문에, 총 문항 수는 최소 36문항에서 최대 42문항이다. 읽기가 4세트인 경우 1세트는 무조건 더미이다. 듣기[편집] 듣기 영역은 6~9개의 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문은 3~5분 분량의 본문과 관련 문제들이 출제된다. 이러한 지문들은 2개의 대화와 4개의 대학 강의 및 토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국식 발음, 영국식 발음, 호주식 발음이 섞여서 나온다. 대화 (Conversation)는 2명의 성우들의 목소리로 녹음이 되어 있으며, 대화 주체는 대체로 교수/교직원과 학생, 혹은 학생과 학생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학 강의 (Lecture)는 학술적인 내용을 혼자서 강의하거나 학생들과의 토론을 곁들인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해당 주제에 관한 전문적인 배경 지식이 없다고 가정하는 부분까지 포함된다. 각각의 대화나 대학 강의는 한 번만 들려준다. 대화나 강의가 나가는 동안 수험생들은 이와 관련된 내용을 종이에다가 필기하여 이를 바탕으로 문제를 풀 수 있다. (즉, 대화나 강의가 나갈 때 문제를 풀 수 없다는 소리) 대화 지문은 지문당 5개의 문제가, 대학 강의는 지문당 6개의 문제가 출제된다. 즉, 총 34문제가 출제되는 셈이다. 문제유형은 본문 주제, 중요한 세부사항, 암시, 지식과의 관계, 정보의 구성, 화자의 목적과 태도에 대한 이해를 측정하는 유형이다. 현재 토플 리스닝은 절대평가 방식으로 진행한다. 출제되는 문제 수는 최소 34문제에서 최대 51문제 사이이다. 시간은 지문 하나에 10분씩 주어진다. 듣기가 3세트인 경우 한 세트는 무조건 더미이다. 말하기[편집] 말하기 영역은 6개의 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2개의 독립형(independent task)과 4개의 통합형(integrated task)으로 나눌 수 있다. 다만, 실제로 응시자가 말을 하는 시간은 최대 5분 30초이며 나머지 최소 14분 30초는 지시사항을 듣는 시간, 답변을 준비하는 시간, 지문을 읽는 시간이다. 2개의 독립형 (1번과 2번)은 응시자들에게 친숙한 주제에 관한 개인적인 의견을 답하는 유형이다. 이 유형은 응시자들의 자발적이고 명확한 생각을 말하는 능력을 측정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4개의 통합형 중 앞의 두 가지 유형 (3번과 4번)은 짧은 지문을 읽고 강의나 대화를 들은 다음 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 및 요약하는 방식이며, 뒤의 두 가지 유형 (5번과 6번)은 강의나 대화를 듣기만 한 후 이와 관련된 내용을 요약하는 방식이다. 통합형은 응시자들이 읽거나 들은 내용을 잘 정리하여 말하거나 들은 내용을 잘 요약하여 말하는 능력을 측정한다. 지문을 읽거나 듣는 동안에 수험생들은 이와 관련된 내용을 종이에다가 필기하여 이를 바탕으로 답변을 할 수 있다. 또한 본격적으로 답변하기 전에 짧은 대기 시간 (독립형은 15초, 통합형은 20초)이 주어진다. 답변 시간은 독립형이 45초, 통합형이 1분이다. 쓰기[편집] 쓰기 영역은 학구적인 내용에 대한 영작능력을 측정하는 것이며, 2개의 유형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통합형과 독립형이 각각 하나씩 출제된다. 통합형에서는 학구적인 내용과 관련된 지문을 3분 동안 읽고, 같은 내용의 강의를 2분 동안 들은 후에 강의가 어떤 식으로 지문을 깠는지[8] 요약을 하는 방식이다. 응시자들은 내용을 주된 내용으로 하여 읽은 부분에서의 핵심적인 내용과 관련지어서 요약하는 방식으로 글을 써야 한다. 독립형은 단순히 응시자들의 개인적인 선호를 나열한다기보다는 응시자들의 의견과 선택을 진술하고 설명하고 받쳐주는 것을 내용으로 하여 에세이를 쓰는 유형이다. 시간은 독립형이 25분, 통합형이 30분이다. 컴퓨터 기반 시험(CBT)[편집] CBT는 Computer-Based Test의 준말로, 2006년 9월 30일에 철폐되었다. 듣기 평가 구조 (문법) 읽기 평가 및 어휘 작문 총 점수: 0~300점 (각 항목 0~30점) 쓰기는 0~6점으로 매겨진다. 2008년 9월 30일 이후 모든 CBT 성적은 무효가 되었다. 종이 기반 시험(PBT)[편집] PBT는 paper-based test의 준말로 종이로 시험을 치는 방식을 가리킨다. iBT가 불가능한 일부 지역 (주로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지역의 개발도상국)에 한해서 실시되고 있다. 응시자들은 온라인을 통해 지원하거나 등록양식을 작성하여 지원해야 한다. 시험장의 좌석수가 한정되어 있고 일찍 마감되기 때문에 등록을 일찍 해야 한다. 시험은 3시간 정도 소요되며, 모든 영역은 같은날 응시한다. 응시자들은 원하는 만큼 시험에 여러 차례 응시할 수 있으나 대학들은 대체로 가장 최근의 점수를 요구한다. 듣기(30~40분): 3개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파트는 짧은 대화와 관련된 30문항이며, 두 번째 파트는 긴 대화내용의 8문항, 마지막 파트는 강의나 토론과 관련된 12문항이다. iBT와는 달리 듣기 음원이 나가는 동안에도 문제를 풀 수 있다. 구조 및 쓰기 표현(25분): 빈 칸을 채우는 문제가 15개, 그리고 오류를 찾는 문제가 25개이다. 읽기 평가 및 어휘: 독해지문과 관련된 50개의 문제가 출제된다. 작문: 평균 250~300단어 분량의 에세이를 작성한다. 시험 점수[편집] 대부분의 대학들은 TOEFL 점수를 입학 사정 때 활용한다. 대체로 학부에 지원할 경우 74.2점, 대학원에 지원할 경우 82.6점 이상이 요구된다. 한국에서는 카투사나 통역병 지원 시 TOEFL 성적을 제출할 수 있다. 한때 대한민국의 외국어 고등학교 입학 전형에 TOEFL 성적을 반영하기도 하였다. iBT[편집] 총 점수: 0~120점 (각 항목 0~30점) 말하기는 0~4점으로 매겨지고, 쓰기는 0~5점으로 매겨진다. PBT[편집] 총 점수: 310~677점 듣기(31–68점), 구조(31–68점), 읽기(31–67점) 작문은 최종점수에 포함되지 않으며 별도로 0~6점이 부과된다. 점수 상관관계[편집] 다음은 ETS에서 발표한 시험 점수 비교표이다. CBT 시험은 더이상 제공되고 있지 않다. iBT PBT 120 677 120 673 119 670 118 667 117 660-663 116 657 114-115 650-653 113 647 111-112 640-643 110 637 109 630-633 106-108 623-627 105 617-620 103-104 613 101-102 607-610 100 600-603 98-99 597 96-97 590-593 94-95 587 92-93 580-583 90-91 577 88-89 570-573 86-87 567 84-85 563 83 557-560 81-82 553 79-80 550 77-78 547 76 540-543 74-75 537 72-73 533 71 527-530 69-70 523 68 520 66-67 517 65 513 64 507-510 62-63 503 61 500 59-60 497 58 493 57 487-490 56 483 54-55 480 53 477 52 470-473 51 467 49-50 463 48 460 47 457 45-46 450-453 44 447 43 443 41-42 437-440 40 433 39 430 38 423-427 36-37 420 35 417 34 410-413 33 407 32 400-403 30-31 397 29 390-393 28 387 26-27 380-383 25 377 24 370-373 23 363-367 22 357-360 21 353 19-20 347-350 18 340-343 17 333-337 TOEFL - IELTS 점수 비교표[9][편집] IELTS Score TOEFL iBT Score 9 118-120 8.5 115-117 8 110-114 7.5 102-109 7 94-101 6.5 79-93 6 60-78 5.5 46-59 5 35-45 4.5 32-34 0-4 0-31 공식 시험 준비 자료[편집] 무료 자료[편집] TOEFL iBT® 대화형 샘플 추출기: 4개 영역의 모든 시험에서 TOEFL iBT 문제에 대한 무료 무제한 액세스를 제공합니다. 여기에는 Speaking 및 Writing 문제에 대한 샘플 답변과 더불어 대화형 Reading 및 Listening 문제를 포함 TOEFL iBT® 시험 문제 (영어): 예전 시험에서 사용된 TOEFL iBT 문제의 무료 세트를 제공 TOEFL iBT® Quick Prep: 과거 시험에 나왔던 TOEFL iBT 문제를 무료 연습 도구를 사용하여 준비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제공 TOEFL iBT® 시험 준비 계획서: TOEFL® 시험 준비를 위한 8주 계획을 제공 유료 자료[편집] TOEFL® 시험 공식 안내서, 제4판 (영어) 공식 TOEFL iBT® 시험, 제2권 – 신판! (영어) 토플 프랙티스 온라인 TOEFL Practice Online (TPO): 실제 TOEFL iBT 시험을 연습할 수 있는 유일한 공식 모의고사 비판[편집] ETS가 공개한 쓰기 평가 기준은 모호한 표현으로 가득찬 상투적인 내용이 대다수이며, 수험생에게 전달된 채점 점수에 대한 설명과 평가 역시 제공되지 않는 탓에 객관성과 공정성에 의문을 낳고 있다.[출처 필요] 또한, 대한민국에서는 CBT에서 iBT로의 변경이 진행되던 2005년 6월부터 수년동안 응시자들의 폭주로 접수 사이트가 다운[10]되자, 시험시간을 긴급히 늘리고, 응시자들은 토플시험을 여러 번 미리 예약해 놓은 뒤, 인터넷을 통해 비싼 값에 양도하는 등의 일명 토플대란이 벌어졌다. 이에 ETS는 한국지사 설립, 서버 및 시험장 확충, 그리고 PBT시험의 확대를 약속했으나 지지부진하였기 때문에 수험생들이 일본 등 다른 나라에 가서 시험에 응시하는 일도 있었다.[11] 주요 국가의 토플 응시 비용[12][편집] 2019년 5월 현재 한국 내 토플 응시 비용은 200달러이다. 베트남 170달러 미국 캘리포니아주 195달러 영국 200달러 일본 235 달러 스웨덴 260달러 주요 국가의 토플 평균 점수[편집] 2011년 기사 기준.[13] 은 아래와 같으며 2015년 자료는 Test and score report data for TOEFL iBT Tests 에서 볼 수 있다. 1위 - 네덜란드 (100점) 2위 - 덴마크 (99점) 2위 - 싱가포르 (99점) 4위 - 벨기에 (98점) 4위 - 오스트리아 (98점) 21위 - 인도 (92점) 36위 - 말레이시아 (89점) 40위 - 필리핀 (88점) 70위 - 대한민국 (82점[14]) 70위 - 홍콩 (82점) 88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78점) 92위 - 중화인민공화국 (77점) 124위 - 일본 (69점) 각주[편집] ↑ Stanford University, Memorial Resolution: Charles A. Ferguson (1921-1998), May 1999 ↑ “TOEFL iBT: About the Test”. 《www.ets.org》. 2017년 1월 5일에 확인함.  ↑ “TOEFL iBT: Test Content”. 《www.ets.org》. 2017년 1월 5일에 확인함.  ↑ “TOEFL iBT: Frequently Asked Questions”. 《www.ets.org》. 2017년 1월 5일에 확인함.  ↑ TOEFL iBT Locations and Dates ↑ “TOEFL iBT: Frequently Asked Questions”. 《www.ets.org》. 2017년 1월 5일에 확인함.  ↑ 일부 시험장에서는 5분 동안 나가 있다가 5분 동안 앉아서 준비하는 것을 허락한다. ↑ 예외적으로 강의가 지문에 동의하거나 강의가 지문에서 제기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경우도 있다. ↑ “TOEFL: For Academic Institutions: Compare Scores”. 《www.ets.org》. 2017년 1월 5일에 확인함.  ↑ YTN 뉴스 - 2007년 6월 6일 ↑ 토플대란 그 후…'족집게 과외+해외 원정 시험' 패키지 불티 - 노컷뉴스 2007년 6월 13일 ↑ “The TOEFL Test: Find Your Format”. 《www.ets.org》. 2017년 1월 5일에 확인함.  ↑ ““최근 6년간 토플 점수, 한국이 최대폭 상승””. 2016년 10월 1일에 확인함.  ↑ 최근 6년간 토플 점수, 한국이 최대폭 상승 Archived 2012년 7월 28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7월 26일 확인, 김연정 기자 외부 링크[편집] ETS TOEFL 공식 홈페이지 한국 TOEFL 홈페이지 한미교육위원단 토플 관련 홈페이지 - 한서 토플시험의 등록등을 주관하는 곳이 바뀌었다. 연락처는 1566-0990. Prometric Korea Test Simulator vdeh공인 영어 시험 TOEFL G-TELP TOEIC IELTS TEPS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TOEFL&oldid=24281221" 분류: 영어 시험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09년 9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CatalàکوردیDeutsch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ҚазақшаKurdîLietuviųമലയാളംNederlandsPolskiPiemontèis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аха тыла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ТоҷикӣไทยTürkmençe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6일 (일) 08:2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TOEFL은 대학생 수준의 표준 영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Test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의 약자이며, 토플이라고 읽는다. 이 시험은 비영어권 국가의 학생들이 영어권 국가의 대학을 지원을 하는데 필요하다. 또한, 정부 기관이나 자격증, 기업, 장학금 등에도 이 시험의 점수가 필요하며 시험 점수의 유효기간은 2년이다. 이 시험은 미국 ETS의 등록 상표이며, 전 세계적으로 관리한다. 원래는 언어학자인 찰스 A 퍼거슨의 주도하에 응용언어학 센터(en:Center for Applied Linguistics)에서 개발되었는데, 1964년에 처음 실시한 이래 3000만명 이상의 수험생들이 응시하였다. 이 시험에 관한 정책은 16명의 이사진들의 조언에서 결정된다. 이들은 학부/대학원 및 2년제 교육기관, 국제 교육에 관심이 많은 공공 또는 민간 기관과 관련된 이들로 구성된다. 다른 구성원들은 제 2언어로의 영어 전문가들로 구성된다. 이 시험의 심사위원회는 12명의 전문가들로 구성된다. 이들은 언어학, 언어 교수법, 교수 및 연구와 관련된 전문가들이며 이 시험의 내용에 대한 조언을 주로 한다. 시험은 일반적으로 컴퓨터로 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TOEFL은 몇개의 듣기 지문이 있는가? Assistant: 6~9개 Human: 아래 건담_NT-1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건담 NT-1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건담 NT-1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건담 NT-1(GUNDAM NT-1)은 OVA 《기동전사 건담 0080 주머니 속의 전쟁》에 등장하는 가공의 병기이며, 지구연방군의 뉴타입 전용 병기로 제작된 시작 모빌슈트이다. 작중에서의 애칭은 “알렉스”(ALEX)로, 팬 사이에서는 알기 쉽게 “건담 알렉스”(GUNDAM ALEX) 혹은 단순히 “NT-1”으로 불린다. (형식번호: RX-78NT-1) 목차 1 기체 해설 1.1 초밤 아머 2 극중에서의 활약 3 설정에 관해 기체 해설[편집] 기체 제원 건담 NT-1 형식번호 RX-78NT-1 소속 지구연방군 건조 지구연방군 오거스타 기지 생산형태 시작기 전고 18.0m 두정고 18.0m 본체중량 40.0t 전비중량 72.5t 제너레이터 출력 1,420kW 스러스터 추력 35,000kg×27,000kg×28,000kg×6계132,000kg(174,000kg 설 존재) 센서 유효반경 5,900m 장갑재질 루나 티타늄 합금 무장 60mm 발칸포×290mm 개틀링건×2빔 사벨×2빔 라이플실드 주 탑승자 크리스티나 맥켄지 일년전쟁 당시, 지구연방군은 RX계획으로 개발된 기체의 반응성을 향상시킬 필요성을 느끼고, 우주세기 0079년 8월에 관련 기체 개발에 착수했다. 한편, 실전에서 제13 독립부대 소속 아무로 레이 소위의 뉴타입 능력에 RX-78-2 건담의 반응성이 쫓아가질 못할 정도가 되었고, 그에 따라 본기가 가진 기체 추종 성능 목표치를 뉴타입에 적합한 높은 수치로 설정하는 방향으로 뉴타입 전용기를 설계하게 되었다. 일설에 따르면 G4계획의 일환으로서 개발되었다고 하며, 더 나아가 건담 세컨드 로드 시리즈 경합기였다는 설까지 존재한다. 당시 지구연방군에서는 뉴타입의 존재에 관해서 의문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지온 공국의 사이코뮤 병기 같은 기술은 가지고 있지 않았다. 그 때문에 파일럿의 조작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위해 관절부에 마그넷 코팅 처리를 실시했으며, 기체 각부(各部)에 자세제어 버니어를 증설해 운동성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이는 일반적인 파일럿에게는 너무 민감할 정도라서 조종에 어려움이 발생했다(기술자 사이에서도「이 기체를 조종할 수 있는 사람은 일종의 괴물」이라는 이야기가 오고갔다). 그리고 코어 블록 시스템을 제거하고, 모빌슈트 역사상 처음으로 전천주위 모니터・리니어 시트가 장비되었다. 단 이를 수평 및 수직 360도 모든 방위를 망라하지 못하는 불완전한 것으로, 완전한 상태로 채용이 이루어진 것은 건담 시작 3호기에서였다. 애칭 알렉스(ALEX)는 RX의 발음 및 발음장갑적층시험(Armor Layered EXamination)의 약칭에서 따왔다고 한다. 기체 각소에 새겨진 U.N.T. SPACY는 지구연방군의 비밀계획 코드로 각각 Under Normal Tactics (비통상전술)과 SPecial Assortment Construction Yard (특별분류건조장)을 의미한다. 개발은 지구 상에 위치한 오거스타 기지에서 이루어졌으며, 배치를 위해 북극 기지에서 사이드6로 이송되었다. 그 와중에 지온 공국 특수임무부대의 2번에 이루어진 강습에 의해 중파(中破), 화이트 베이스에 전달되지 못하고 종전을 맞이했다. 기체 견부(肩部) 에어 인테이크 및 백팩 등의 의장은 그 후에 개발된 짐 커스텀 및 짐改 등 오거스타 계열 기체에 계승되었다. 무장은 두부(頭部)에 60mm 발칸포를 2문, 백팩에 빔 사벨(형식번호: Blash・XB-B-09)를 2기 장비하고 있다. 또한 빔 라이플(형식번호: Bauva・Norfolk XBR-L Type-3), 실드(형식번호: RX・C-Sh-05 UBC/S-0003)를 기본적인 무장으로 장비한다. 이 실드는 후술하는 초밤 아머 구조를 유용했으며, 빔 코팅 처리도 되어 있었다. 추가로 완부(腕部)에 90mm 개틀링건 2기가 장비되어 있다. 이 개틀링건은 보통 커버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적기의 의표를 찌르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건담 NT-1은 당시 연방군 기체로서는 이색적인 존재가 되었다. 한편, 진동 및 장탄수 면에서 문제를 안고 있었다. 이 병장의 채용이 가능했던 것은 필드 모터 기술의 향상에 의한 관절부의 소형화로 여유 공간 확보가 가능했기 때문이었다. 단, 초밤 아머를 장착한 경우에는 팔에 증가 장갑이 덧씌워지기 때문에 당연히 90mm 개틀링건은 사용이 불가능하다. 초밤 아머[편집] 기체제원 건담 NT-1 초밤 아머 장비 형식번호 RX-78NT-1FA 본체중량 95.0t 스러스터 총추력 35,000kg×27,000kg×28,000kg×67,000kg×2계 146,000kg(216,000kg 설 존재) 또한, 일년전쟁 말기에 지구연방군이 진행한 풀아머 오퍼레이션의 일환으로 복합장갑 초밤 아머(CHOBAM: Ceramics Hybrid Outer-shelled Blowup Act-on Materials, 세라믹스 복합 외장에 의한 폭발 반응 재질, 구세기에 만들어진 초밤 아머와는 다르다)를 장비하고 있다(건담 NT-1 풀아머, 형식번호: RX-78 NT-1 FA). 이는 나이론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마이크로 메시와 티탄늄 합금 실드를 적층한 하이브리드 아머로, 장갑 자체가 파괴되면서 충격을 흡수해 기체 본체에 가해지는 피해를 최소하기 위한 소위 리액티브 아머류로 생각된다. 중립지대 사이드6에서 극비리에 조정을 하기 위한 위장으로도 이용되었다. 초밤 아머 장비로 인해 전비 중량이 95톤으로 대폭 증가되었기 때문에 이에 따른 기동성의 저하를 보충하기 위해서 견부(肩部)에 보조 버니어, 요부(腰部)에 스러스터가 증설되었다. 이 장갑은 후에 등장하는 짐 캐논Ⅱ 및 건담 TR-1 [헤이즐] 등에도 채용되었다. 또한, 초밤 아머가 실용화에 실패할 경우에 대비한 또다른 안으로 FSWS계획에 따른 풀아머 구상(형식번호는 FA-78-X라는 설이 존재)도 있었던 듯하다. 극중에서의 활약[편집] 사이클롭스대의 표적이 된 연방군 신형 모빌슈트로서 OVA 제1화에서부터 등장. 북극 기지에서 부품 상태로 컨테이너에 담겨 있었으며, 동기지에서 사이드6로 수송용 대형 셔틀을 통해 운송되었다. 사이드6에서는 지구연방군이 마련한 극비 공장 내부에서 조립 및 크리스티나 맥켄지 중위에 의한 최종 조정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건담 NT-1을 추적해 온 사이클롭스대의 습격에 대항하기 위해 맥켄지 중위가 건담 NT-1 풀아머를 가동시켰고,적에의해 초밤 아머가 파괴당한 상태에서 습격해 온 적 모빌슈트 켐퍼를 격파한다. 그 후, 사이클롭스대 잔존병인 버나드 와이즈먼이 탑승한 자쿠改와 교전, 다행히 격파는 모면했지만 상당한 손상을 입고 만다. 기체가 중파된 결과, 본래 목적대로 아무로 레이에게 전달되지 못했다는 설정이 되었다. 파일럿을 가리긴 하지만 압도적인 운동성 및 기동성을 자랑하는 일년전쟁 최강의 건담이라는 점에서는 반론의 여지가 없다. 설정에 관해[편집] 건담 NT-1 풀아머 구상은 몇 가지 모형 잡지에서 입체화되었으며, 본래 모습이 어땠는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하비 매거진이 발행하는 잡지「하비 재팬」별책『GUNDAM WEAPONS』에 따르면 형식번호는 FA-78-X이나 정확한 형번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 (단, 구판「1/144 건담 NT-1」조립설명서에 기재된 일러스트는 어디까지나 0080판 FA-78-1로, 본래대로 한다면 알렉스 풀아머라고는 할 수 없다.) 건프라인 SD건담 BB전사 알렉스는 두부(頭部)에도 초밤 아머가 부착되어 있으며, 개틀링건에까지 초밤 아머가 부착되어 있다. B클럽에는 지구연방군의 RX-78NT-2 건담 NT-2와 RX-78NT-3 건담 NT-3도 존재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건담_NT-1&oldid=17629790" 분류: 건담 시리즈의 기동병기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6년 11월 21일 (월) 16: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건담 NT-1(GUNDAM NT-1)은 OVA 《기동전사 건담 0080 주머니 속의 전쟁》에 등장하는 가공의 병기이며, 지구연방군의 뉴타입 전용 병기로 제작된 시작 모빌슈트이다. 작중에서의 애칭은 “알렉스”(ALEX)로, 팬 사이에서는 알기 쉽게 “건담 알렉스”(GUNDAM ALEX) 혹은 단순히 “NT-1”으로 불린다. (형식번호: RX-78NT-1)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건담 NT - 1에 대한 설정은 어떤 내용이야? Assistant: 사이클롭스대의 표적이 된 연방군 신형 모빌슈트로서 OVA 제1화에서부터 등장. 북극 기지에서 부품 상태로 컨테이너에 담겨 있었으며, 동기지에서 사이드6로 수송용 대형 셔틀을 통해 운송되었다. 사이드6에서는 지구연방군이 마련한 극비 공장 내부에서 조립 및 크리스티나 맥켄지 중위에 의한 최종 조정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건담 NT-1을 추적해 온 사이클롭스대의 습격에 대항하기 위해 맥켄지 중위가 건담 NT-1 풀아머를 가동시켰고,적에의해 초밤 아머가 파괴당한 상태에서 습격해 온 적 모빌슈트 켐퍼를 격파한다. 그 후, 사이클롭스대 잔존병인 버나드 와이즈먼이 탑승한 자쿠改와 교전, 다행히 격파는 모면했지만 상당한 손상을 입고 만다. 기체가 중파된 결과, 본래 목적대로 아무로 레이에게 전달되지 못했다는 설정이 되었다. 파일럿을 가리긴 하지만 압도적인 운동성 및 기동성을 자랑하는 일년전쟁 최강의 건담이라는 점에서는 반론의 여지가 없다.
Human: 아래 진에어_그린윙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진에어 그린윙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진에어 그린윙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진에어 그린윙스JIN AIR GREENWINGS 창단기업 진에어 대표이사 조만수 스폰서 <메인 스폰서>진에어<서브 스폰서>대한항공, 비아모노, MAXTILL, S-OIL, 한진관광, L.Point, eHANEX, DOUYU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임팀 감독 차지훈 코치 하태준 테란 김도욱 조성주 저그 이병렬 프로토스 김유진 조성호 장현우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팀 감독 한상용 코치 최병철 김지환 탑 Lindarang 허만흥TaNa 이상욱 정글 Malrang 김근성Seize 김찬희 미드 Grace 이찬주Cheongo 최현우 AD 캐리 Stitch 이승주Route 문검수 서포터 Nova 박찬호 Kellin 김형규 외부 링크 http://greenwings.jinair.com/ 진에어 그린윙스(JIN AIR GREENWINGS)는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이다. 목차 1 역사 1.1 게임단 창단의 의의 1.2 2012년 시즌 1.3 12-13 시즌 이후 2 게임단 연혁 2.1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3 제8프로게임단 입단 당시 선수 지명 결과 4 역대 성적 4.1 프로리그 4.2 리그 오브 레전드 4.2.1 진에어 그린윙스 스텔스 4.2.2 진에어 그린윙스 팰컨스 4.2.3 진에어 그린윙스 5 역대 팀 감독 6 소속 선수 6.1 스타크래프트 2 6.2 리그 오브 레전드 7 역대 팀 명칭 8 주요 종목 9 우승 기록 9.1 스타크래프트 II 9.2 리그 오브 레전드 10 각주 11 외부 링크 역사[편집] 게임단 창단의 의의[편집] 10-11시즌을 끝으로 3개 프로게임단(위메이드 폭스, 화승 OZ, MBC게임 히어로)이 해체되면서 당시 해체 게임단의 주력 선수들로 구성된 제8프로게임단이 창단되었다. 이후 제8프로게임단은 협회가 위탁운영하기로 결정하였다. 위탁 운영을 결정한 이유는 보다 많은 선수들이 계속해서 프로게이머로서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하기 위한 대의적 목적과 아울러 프로리그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끌어나가기 위해서다. 2012년 시즌[편집] 2012 시즌을 앞두고 CJ 엔투스의 프로토스 진영화와 전 MBC게임 히어로 소속이었던 저그 김민규를 영입하였으며, SK텔레콤 T1의 코치인 차지훈을 영입해 전력을 보강하였다. 한편으로는 전 시즌에 활약이 다소 미흡했던 박준오가 프로게이머를 은퇴하여 팀을 떠났으며,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STX SouL에서 저그 조일장을 영입했다.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시즌 1에서는 정규 시즌 7위에 그치며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다. 2012년 7월 31일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2에서는 1위를 기록 중이었다. 2012년 8월 20일 CJ를 상대로 승리하며, 포스트시즌 진출을 확정지었다. 전 시즌에 다소 부진하였던, 염보성과 전태양, CJ에서 이적한 진영화의 활약으로 이루어냈다. 2012년 8월 25일 경기 후 결과에서 CJ와 승점이 같았으나, 하필 그 경기 당일날 지각을 하는 바람에 벌점 1점을 받아 3위를 하여 준플레이오프부터 치르게 되었다. 그러나 준플레이오프에서 스타1의 정명훈과 스타2의 정윤종을 상대로 승리하고도 SK텔레콤 T1에게 2:0으로 패배하며 플레이오프엔 진출하지 못했다. 12-13 시즌 이후[편집] 제8프로게임단은 창단 첫해 전체적으로 나름 선전하였지만, 프로토스 라인의 아쉬운 성적과 염보성의 프로토스전 부진으로 인해 포스트시즌 진출에는 아쉽게 실패하였다. 2012 시즌 이후 진영화와 박수범이 개인방송을 시작하면서 사실상 은퇴하였고, 염보성이 해외 프로게임단 팀 리퀴드로 이적했다.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2012년 11월 1일 SK텔레콤 T1 소속이던 방태수를 영입했다. 2012년 12월, 이제동이 1년간 임대하는 조건으로 이블 지니어스로 이적하면서 결국 전력의 손실을 극복하지 못하고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에서는 8개팀 가운데 7위에 그치며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지 못했다. 이후 2013년 7월 10일 진에어와 프로게임단 네이밍 라이트(명명권) 후원식을 체결했다. 후원식 당시에는 1년간 진에어 그린윙스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로 되어 있었지만 이후로도 지금까지 계속 이 명칭이 사용되고 있다.[1] 또한 핫식스 리그오브레전드 챔피언스 서머 2013에서 활동 중인 HGD 팀과 ESG 팀을 영입,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을 신설하였다. (스텔스, 팰컨스) 웅진 스타즈의 해체로 김유진을 영입하였으며, 프라임 소속에 있던 조성주도 영입하여, 전력보강을 다시 하였다. 참고로 이 둘은 모두 우승자 출신이기도 하다. 2014 시즌에서는 준우승을 기록했고 2015 시즌에서는 4위에 머물렀지만 2016 시즌에서는 마지막 프로리그에서 드디어 팀 역사상 처음으로 통합 우승을 차지했다. 게임단 연혁[편집]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편집] 2011년 11월 4일 주훈을 감독으로, 한상용을 코칭스태프로 임명하고 종족별 상위랭커를 포함한 9명의 선수 지명. 제8프로게임단 창단. 2012년 9월 2일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Ⅱ 프로리그 시즌2 3위. 2013년 7월 10일 진에어와 프로게임단 네이밍 라이트 후원식 체결, 진에어 그린윙스 출범. 2014년 2월 9일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1라운드 4위 2014년 4월 1일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2라운드 우승 2014년 5월 17일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3라운드 4위 2014년 7월 8일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4라운드 우승 2014년 7월 29일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통합 공동 3위 2015년 2월 14일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1라운드 준우승 2015년 4월 25일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2라운드 준우승 2015년 7월 4일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3라운드 준우승 2015년 10월 10일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통합 준우승 2016년 3월 26일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6 1라운드 준우승 2016년 5월 21일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6 2라운드 우승 2016년 7월 31일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6 3라운드 우승 2016년 9월 3일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6 통합 우승[2] 제8프로게임단 입단 당시 선수 지명 결과[편집] 해체된 팀 기준 선수 이름 종족 이전 팀 스타크래프트 1군 소속 이제동 Zerg 화승 OZ 염보성 Terran MBC게임 히어로 전태양 Terran 위메이드 폭스 박준오 Zerg 화승 OZ 김재훈 Protoss MBC게임 히어로 박수범 Protoss MBC게임 히어로 하재상 Protoss MBC게임 히어로 김도욱 Terran 화승 OZ 이병렬 Zerg 화승 OZ 역대 성적[편집] 프로리그[편집]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 7위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시즌 2 3위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 7위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준우승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4위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6 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편집] 진에어 그린윙스 스텔스[편집] 2013 인천 실내무도아시아경기대회 국가대표 선발전 준우승 올림푸스 챔피언스 스프링 2013 12강 조별리그 이엠텍 NLB 스프링 2013 8강 LoL AMD 프로팀 최강전 조별리그 핫식스 챔피언스 서머 2013 16강 기가바이트 NLB 서머 8강 판도라TV 챔피언스 윈터 2013-2014 16강 ZOTAC NLB 윈터 2013-2014 12강 빅파일 NLB 스프링 2014 12강 핫식스 챔피언스 서머 2014 8강 아이티엔조이 NLB 서머 2014 4위 진에어 그린윙스 팰컨스[편집] IEM 시즌 7 쾰른 한국대표 선발전 우승 IEM 시즌 7 쾰른 우승 IEM 시즌 7 카토비체 한국대표 선발전 4위 IEM 시즌 7 상파울루 한국대표 선발전 준우승 MLG 2013 윈터 시즌 챔피언십 한국대표 선발전 준우승 IEM 시즌 7 월드 챔피언십 4강 기가바이트 스타스 워 리그 시즌 2 12강 2013 인천 실내무도아시아경기대회 한국대표 선발전 8강 올림푸스 챔피언스 스프링 2013 8강 이엠텍 NLB 스프링 4위 핫식스 챔피언스 서머 2013 8강 기가바이트 NLB 서머 2013 4위 판도라TV 챔피언스 윈터 2013-2014 16강 ZOTAC NLB 윈터 2013-2014 8강 빅파일 NLB 스프링 2014 12강 아이티엔조이 NLB 서머 2014 8강 진에어 그린윙스[편집] 2015년 4월 17일 스베누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5 4위 2015년 8월 5일 스베누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2015 6위 2015년 8월 18일 2015 네네치킨 리그 오브 레전드 챌린저스 코리아 리그 2 우승 2015년 11월 9일 네이버 2015 LoL KeSPA컵 8강 2016년 4월 15일 롯데 꼬깔콘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6 4위 2016년 8월 6일 코카콜라 제로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2016 7위 2016년 11월 14일 2016 LoL KeSPA컵 8강 2017년 3월 28일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7 9위 2017년 8월 5일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2017 6위 2017년 11월 29일 2017 LoL KeSPA컵 8강 2018년 3월 21일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8 7위 2018년 8월 9일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2018 8위 2018년 12월 24일 2018 LoL KeSPA컵 10위 2019년 3월 31일 2019 스무살우리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10위 역대 팀 감독[편집]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1대 감독 : 주훈 (재임 기간 : 2011년 11월 ~ 2012년 5월) 임시 : 한상용 (재임기간 : 2012년 5월 ~ 2013년 7월)[3] 2대 감독 : 한상용 (재임기간 : 2013년 7월 ~2013년 12월 12일 ) 3대 감독 : 차지훈(재임기간 : 2013년 12월 13일~ ) 리그 오브 레전드 1대 감독 : 한상용 (재임기간 : 2013년 12월 13일 ~) 소속 선수[편집] 스타크래프트 2[편집] 이름 아이디 생년월일 종족 장현우 Creator 1997년 2월 23일(1997-02-23) (22세) 프로토스 이병렬 Rogue 1994년 1월 13일(1994-01-13) (25세) 저그 김도욱 Cure 1994년 11월 25일(1994-11-25) (24세) 테란 김유진 sOs 1993년 10월 16일(1993-10-16) (25세) 프로토스 조성주 Maru 1997년 7월 28일(1997-07-28) (21세) 테란 조성호 Trap 1994년 3월 24일(1994-03-24) (25세) 프로토스 리그 오브 레전드[편집] 이름 소환사명 포지션 허만흥 Lindarang 탑 이상욱 TaNa 탑 김근성 Malrang 정글 김찬희 Seize 정글 이찬주 Grace 미드 최현우 Cheongo 미드 이승주 Stitch 원딜 문검수 Route 원딜 박찬호 Nova 서포터 김형규 Kellin 서포터 역대 팀 명칭[편집] 스타크래프트 제8프로게임단(8게임단) → 진에어 그린윙스 리그 오브 레전드 ahq Korea → 훈수좋은날(HGD) → 진에어 그린윙스 스텔스 → 진에어 그린윙스 (1팀 통합) Eat Sleep Gaming(ESG) → Eat Sleep Gaming → 진에어 그린윙스 팰컨스 → 진에어 그린윙스 (1팀 통합) 주요 종목[편집]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오브 레전드 우승 기록[편집] 스타크래프트 II[편집]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2라운드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4라운드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6 2라운드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6 3라운드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6 리그 오브 레전드[편집] 2015 네네치킨 리그 오브 레전드 챌린저스 코리아 리그 2 IEM 시즌 7 쾰른 각주[편집] ↑ 진에어, e스포츠 세 번째 네이밍 후원 <데일리e스포츠> ↑ 마지막 프로리그 우승팀이다. ↑ 주훈감독은 2012년 5월부터 제8게임단 재창단시까지 운영팀장으로 활동하게 되면서 임시적으로 한상용 수석코치가 감독역할을 대신하였다. 외부 링크[편집] 진에어 그린윙스 다음 공식카페 진에어 그린윙스 페이스북 공식 팬페이지 진에어 그린윙스 홈페이지 이 전 SK텔레콤 T1 제26대 프로리그 우승 팀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6 다 음  리그 폐지  vdeh진에어 그린윙스코칭 스태프감독 스타크래프트 II : 차지훈 리그 오브 레전드 : 한상용 코치 스타크래프트 II : 하태준 리그 오브 레전드 : 천정희 스타크래프트테란 김도욱 조성주 프로토스 김유진 조성호 장현우 저그 이병렬 고석현 리그 오브 레전드선수 전익수 김준영 엄성현 이성혁 박진성 노회종 오지환 vdeh 프로리그참가팀 KT 롤스터 삼성 갤럭시 CJ 엔투스 SK텔레콤 T1 진에어 그린윙스 아프리카 프릭스 MVP 관련리그 위너스리그 경남 - STX컵 마스터즈 KeSPA컵 KeSPA 드림리그 올스타전 수상 대한민국 e스포츠대상 vdeh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리그리그개인전 스타리그 MBC게임 스타리그 곰TV 클래식 소닉 스타리그1 아프리카TV 스타리그1 SSL 시리즈1 단체전 프로리그 (1군) 드림리그 (2군) MBC게임 팀리그 위너스리그 경남 - STX컵 마스터즈 조직협회 한국e스포츠협회 게임 개발사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게임 배급사 한빛소프트 방송국 OGN MBC 게임 곰TV 아프리카TV SPOTV GAMES 경기장 용산 e-Sports 스타디움 (온게임넷→OGN, 철거됨) 히어로센터 (MBC 게임, 철거됨) 곰TV 목동 스튜디오 (곰TV, 철거됨) ITV 랭킹전 iTV 스튜디오/인천 종합문화예술회관 야외 특설무대(iTV 경인방송, 철거됨) 프릭 업 스튜디오 (아프리카TV) 넥슨 아레나 (SPOTV GAMES) 방송인OGN 정소림 엄재경 김정민 아프리카TV 박상현 이승원 임성춘 SPOTV GAMES 김철민 한승엽 이성은 과거 게임단 KT 롤스터 STX SouL 웅진 스타즈 SK텔레콤 T1 CJ 엔투스 삼성 칸 제8프로게임단 공군 ACE 이스트로 위메이드 폭스 온게임넷 스파키즈 MBC게임 히어로 화승 OZ 기타 e스포츠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명예의 전당 골든 마우스 MSL 금배지 KeSPA컵 1KeSPA 비공인 리그2012년 9월 22일부로 대한민국의 모든 KeSPA 공인 스타크래프트 리그가 완전히 종료됨. 단, KeSPA 비공인 리그는 열리고 있음. vdeh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II 리그리그개인전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아프리카TV)) SSL 시리즈 (SPOTV 게임즈) 스타리그 (OGN, 폐지) 단체전 프로리그 (한국e스포츠협회, 폐지)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e스포츠 연맹, 폐지) 기타 KeSPA컵 조직종목사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관련 단체 한국e스포츠협회 e스포츠 연맹 (해체) 방송국 SPO TV 게임즈 아프리카TV(GSL 2016 시즌 1부터 주관중) OGN 곰eXP(GSL 2015 시즌 3까지 주관) 경기장 넥슨 아레나 프릭 업 스튜디오 신도림 TG e스타디움 게임단 진에어 그린윙스 MVP 아프리카 프릭스 ZeNEX oGs SlayerS 공군 ACE TSL NS호서 웅진 스타즈 fOu SouL AZUBU LongZhu 프라임 스베누 삼성 갤럭시 CJ 엔투스 KT 롤스터 SK텔레콤 T1 방송인SPOTV 게임즈 성승헌 채민준 김익근 유대현 고인규 안준영 정인호 아프리카TV 박상현 황영재 박진영 채정원 vdeh 대한민국 리그 오브 레전드 리그대회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리그 오브 레전드 챌린저스 코리아 KeSPA컵 조직협회한국e스포츠협회종목사라이엇 게임즈방송국 OGN SPOTV GAMES 나이스 게임 TV 경기장 LoL Park 참가 게임단챔피언스 참가팀 KSV e스포츠 아프리카 프릭스 진에어 그린윙스 팀 배틀코믹스 담원 게이밍 KT 롤스터 킹존 드래곤X 한화생명 e스포츠 SK텔레콤 T1 그리핀 챌린저스 참가팀 MVP BBQ 올리버스 콩두 몬스터 방송인OGN 전용준 김의중 김동준 이현우 SPOTV GAMES 성승헌 이기민 신동진 하광석 강승현 고인규 나이스게임TV 정진호 김의중 하광석 강승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진에어_그린윙스&oldid=24179977" 분류: 2011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진에어 그린윙스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17:0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진에어 그린윙스(JIN AIR GREENWINGS)는 대한민국의 전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으로 2011년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임단 창단을 시작으로 2012년에는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이 창단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2년 시즌에 진에어 그린윙스가 CJ와 승점이 같았는데 왜 3위로 밀려났나? Assistant: 경기 당일날 지각을 하는 바람에 벌점 1점을 받아 Human: 아래 세골렌_루아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세골렌 루아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세골렌 루아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세골렌 루아얄Ségolène Royal 프랑스의 푸아투샤랑트 주지사 임기 2004년 3월 30일 ~ 신상정보 정당 사회당 마리-세골렌 루아얄(프랑스어: Marie-Ségolène Royal 1953년 9월 22일~)는 프랑스의 정치인으로, 중도좌파성향의 프랑스 사회당 소속이며, 현재는 '푸아투샤랑트' 지역의 주지사(2004년 3월 30일~)이다. 목차 1 성장 과정 2 2007년 프랑스 공화국 대통령 선거 3 주요 정책 4 각주 및 참고자료 5 외부 링크 성장 과정[편집] 출생 당시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세네갈 다카르에서 자랐고, 식민 통치를 책임졌던 장군 출신의 아버지와 훗날 레인보우 워리어 테러사건에 개입한 남동생과 현재 극우민족주의정당인 프랑스 국민전선 소속의 여동생과 함께 자랐으며, 이러한 매우 보수적인 가정환경에 대해 불만이 많았다. 청년 시절에 여성운동에 적극적이었고, 주변의 멸시를 딛고 프랑스 명문 국립행정학교(ENA)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다. 그 직후의 판사생활을 거쳐 프랑수아 미테랑행정부에서 환경부 장관을 지냈다. 리오넬 조스팽 총리의 좌우동거(1998~2002)당시에는 교육부 차관을 역임했다. 자크 시라크대통령의 재선(2002년) 이후에는 프랑스 중서부 '뿌아뚜 샤랑뜨' 지역의 주지사(2004년~)로서, 사회민주주의 정신에 입각한 정책을 추진하는 동시에 낙후된 지역경제를 회생시키고자 노력했으며, 일정부분 성공을 거두었다. 이 지역에서의 눈부신 성공으로 전국적 정치인으로 거듭났으며, 2007년 6월 18일에 세골렌 루아얄은 연합뉴스에서 내용은 "올랑드-루아얄 커플 결별"이라는 제목이 실제로는 결별을 했다. 2007년 프랑스 공화국 대통령 선거[편집] 성공한 주지사로서의 자신감을 바탕으로 출마한 2006년의 당 경선에서, 중진들을 물리치고 60%이상의 득표로 프랑스 사회당의 대통령 후보가 되었다. 이 당시에만 해도 대통령 당선이 거의 확실시(2007년 초반까지 여론조사에서 줄곧 중도 우파인 니콜라 사르코지후보에 앞섰음)되었다. 그러나, 기나긴 선거과정에서 나타난 후보 자신의 잦은 말실수, 사회당에서부터 녹색당, 반(反)신자유주의연대, 프랑스 공산당 등 다양한 범진보개혁세력의 대통합에 실패하였고, 사회당 내 정책대안의 부재 및 토니 블레어식 영국노선의 추종 등, 우파에 비해 그다지 매력적인 캠페인과 공약을 내놓지 못하였다. 주류 보수언론들의 사르코지-친화적인 보도 및 홍보 또한 패배의 원인이었다. 2007년 프랑스 공화국 대통령 선거에서 우파인 니콜라 사르코지와 함께 유력후보로 출마하여, 전통적 좌우대결 및 성별대결로 관심을 모았으나, 4월 1차투표에서 25.8%득표로 결승에는 진출하였으나, 5월 결선투표에서 47%의 득표율(득표수 약 1700만여표, 200만여표차)을 기록하여 패하였다. (사르코지는 1차 31.1%, 2차 53%로 당선) 1982년~2007년 프랑수아 올랑드과 동거했으며 슬하에 4명의 자녀를 두었다.[1] 주요 정책[편집] 그와 그의 팀이 내놓은 대부분의 정책들은 주지사시절에 지역에서 크게 성공한 정책들이며, 국민참여의 활성화를 기치로 3개월간 인터넷을 통해 민의(정책제안)를 수렴하여 2007년 2월에 '100대 정책'으로 내놓았다.[2] 주 35시간 근무제의 철저한 준수 최저임금 월 1250유로(약 152만원)에서 1500유로로 20% 인상 저가 국민임대주택 매년 12만채씩 건설 극빈층에게 국민연금지급액 5% 인상 무료 치료(건강보험 보장성)확대 및 25살 이하 여성에 피임약 무료 제공 비행청소년 계몽을 위한 군대형 교육캠프 창설, 수료 지원 시민 배심원의 전국 및 지방 의회 평가 2020년까지 대체 에너지 20%이상 이용 및 교토 의정서의 철저한 이행 유럽헌법 초안을 2009년까지 제시, 이를 국민투표에 붙여 추진(유럽 연합의 권한 및 역내 통합 강화). 신규창업시 1만 유로의 회사 설립자금 지원 50만개의 보조 일자리 마련 생애 첫 주택 구매자에 무이자 대출 등이다. 반대자(주로 사르코지 지지자)들은 정책의 실현가능성과 그 구체적 재원마련계획의 부족, 그리고 많은 추진비용을 문제삼았다. 특히 사르코지 (당시)후보를 비롯한 극우 및 보수층은 '35시간 근무제'로 인해 국가경쟁력이 크게 약화되었다며 선거기간 내내 파상공세를 펼쳤다.[3] 각주 및 참고자료[편집] ↑ "프랑스사회당 루아얄-올랑드 커플 결국 결별" Archived 2004년 10월 12일 - 웨이백 머신, 연합뉴스, 2007년 6월 18일 ↑ "루아얄 ‘약자 강조’ 100대 공약", 한겨레, 2007년 2월 12일 ↑ "프랑스 대선 진단", YTN, 2007년 5월 2일 외부 링크[편집] (프랑스어) 공식 홈페이지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4798422 LCCN: n88677062 ISNI: 0000 0001 2121 5017 GND: 131452525 SUDOC: 029303737 BNF: cb12095851m (데이터) NKC: xx004085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세골렌_루아얄&oldid=23029607" 분류: 195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프랑스의 정치인프랑수아 올랑드사회당 (프랑스)의 정치인다카르 출신사회민주주의자프랑스의 사회주의자프랑스계 세네갈인파리 정치 대학 동문숨은 분류: 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Gaeilgeעבריתहिन्दीHornjoserbsce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TaqbaylitKurdîLatinaLëtzebuergeschLietuviųLatviešuNederlandsNorsk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VènetoTiếng ViệtWinaray吴语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6일 (금) 00:4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마리-세골렌 루아얄(프랑스어: Marie-Ségolène Royal 1953년 9월 22일~)는 프랑스의 정치인으로, 중도좌파성향의 프랑스 사회당 소속이며, 현재는 '푸아투샤랑트' 지역의 주지사(2004년 3월 30일~)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07년 프랑스 대선 결선 투표에서 세골렌 루아얄은 몇 퍼센트의 득표율을 얻었습니까? Assistant: 47%
Human: 아래 오메가-6_지방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오메가-6 지방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메가-6 지방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오메가-6 지방산(영어: omega-6 fatty acids, ω-6 fatty acids, n-6 fatty acids) 또는 ω−6 지방산은 탄소 사슬의 끝에서 여섯번째 탄소에서부터 이중 결합(C=C)이 시작되는 필수 불포화 지방산이다. 보통 성장에 필요하고, 피부 및 모발 생성, 콜레스테롤 대사, 생식 기능 유지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오메가-6-지방산의 생물학적인 효과들은 성장 촉진의 목적의 신체 활동 중 및 후에 많이 일어나고 또 몸의 여러 조직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수용체들에 붙기 위해 오메가-6-에이코사노이드들을 변형하여 세포 복원을 촉진하기 위한 염증성 연쇄 반응동안 많이 일어난다. 목차 1 생화학 2 약학 3 건강에 부정적인 의견 4 소비 5 종류 6 함유 식품 7 같이 보기 8 각주 생화학[편집] 리놀레산(18:2, n-6),가장 짧은 사슬의 오메가-6 지방산은,여러 필수 지방산중 하나이다. 사람은 이 지방산을 합성할 수 가 없기 때문에 필수 지방산으로 분류 된다. 포유류의 세포들은 오메가-3 불포화효소(영어: omega-3 desaturase)가 없어서 오메가-6 지방산 ↔ 오메가-3 지방산으로 양방향으로 전환시킬수가 없다. 긴밀히 연관된 오메가-3 과 오메가-6 지방산은 같은 효소에 경쟁적 기질로 작용한다. 이 점이 식이요법에서 오메가-3 대 오메가-6 비율의 중요성을 약술한다. 오메가-6 지방산은 endocannabinoids, lipoxins 와 특정 eicosanoids의 전구체다. 사람 대상 의학적 연구에서 식물성 기름에서 오메가-6 지방산의 과도한 섭취와 사람의 질병 사이에 상관관계(인과관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를 찾았다. 그러나, 생화학 연구에서 아래와 같은 사실들을 발견했다. 대기 오염, 흡연, 간접 흡연, 리포다당류, 지질 과산화 생성물((영어: lipid peroxidation products)주로 식물성 기름과 볶은 견과류와 볶은 기름진 씨앗류에서 발견됨)과 기타 외인성 독소들이 세포 내에 COX-2 효소의 발현을 일으킨 후, 세포 손상을 면역계에 경고하게끔 아르키돈산으로부터 프로스타글란딘 생산을 촉진한뒤 결과적으로 세포 손상이 복원된 후 염증 단계의 해소 중에 lipoxins과 prostacyclin과 같은 항염증 분자들을 염증 시기의 복구 단계에서 염증성 반응들을 개시하는 것을 발견 했다. 약학[편집] 세포막에 녹아있는 아라키돈산(영어:arachidonic acid (20:4 n-6)은 염증성 연쇄반응이 일어나는 동안 오메가-6 프로스타글란딘(영어:prostaglandin)과 오메가-6 류코트리엔 에이코사노이드(영어:leukotriene eicosanoids)로 전환되는데, 이 과정이 죽상 경화증, 천식, 관절염, 혈관 질환, 혈전증, 면역 염증 반응 및 종양 증식에 염증 과정을 억제하기 위한 약물 조제의 타겟이 된다. 건강에 부정적인 의견[편집] 몇몇 의학 연구에선 특정 오메가-3 지방산과 관련 된 특정 오메가-6 지방산의 비율이 과도하면 많은 질병 발병을 증가 시킬 수도 있다고 한다. 현대 서구 식단은 오메가-6 : 오메가 3의 비율이 일반적으로 10 : 1을 초과한다. 평균적으로 15:1-16.7:1이다. (참고: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ω-6 지방산 : ω-3 지방산 섭취 비율을 3:1~4:1로 권장하고 있으며, 한국영양학회의 권장비율은 4:1~10:1이다. 현대인의 섭취 비율은 10:1~25:1로서 ω-6 지방산의 섭취량이 과도하게 많다. 이는 대부분의 식용유가 ω-6 지방산을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메가-6 에이코사노이드의 만성적 과다 생산은 관절염, 염증 및 암과 연관성이 있다. 많은 약물들이 COX-2 효소의 효과를 막음으로써 위의 질병을 치료하고 관리한다. 식물성 기름의 대부분의 유형에서 발견되는, 산화된 다중불포화산을 많이 섭취하면 폐경이 온 여성에게 유방암이 발생할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소비[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종류[편집] 한국어 이름 영어 이름 Lipid name Chemical name 리놀레산 Linoleic acid (LA) 18:2 (n−6) all-cis-9,12-octadecadienoic acid 감마-리놀렌산 γ-Linolenic acid (GLA) 18:3 (n−6) all-cis-6,9,12-octadecatrienoic acid 칼렌드산 Calendic acid 18:3 (n−6) 8E,10E,12Z-octadecatrienoic acid 이코사디엔산 Eicosadienoic acid 20:2 (n−6) all-cis-11,14-eicosadienoic acid 다이호모-감마-리놀렌산 Dihomo-gamma-linolenic acid (DGLA) 20:3 (n−6) all-cis-8,11,14-eicosatrienoic acid 아라키돈산 Arachidonic acid (AA) 20:4 (n−6) all-cis-5,8,11,14-eicosatetraenoic acid 도코사디에노인산 Docosadienoic acid 22:2 (n−6) all-cis-13,16-docosadienoic acid 도코사테트라엔산(아드렌산) Docosatetraenoic acid (Adrenic acid) 22:4 (n−6) all-cis-7,10,13,16-docosatetraenoic acid 도코사펜타엔산 Docosapentaenoic acid 22:5 (n−6) all-cis-4,7,10,13,16-docosapentaenoic acid 테트라코사테트라엔산 Tetracosatetraenoic acid 24:4 (n−6) all-cis-9,12,15,18-tetracosatetraenoic acid 테트라코사펜타엔산 Tetracosapentaenoic acid 24:5 (n−6) all-cis-6,9,12,15,18-tetracosapentaenoic acid 함유 식품[편집] 저녁 앵초 꽃 (O. biennis)은 오메가-6 지방산인,감마-리놀레산(γ-linolenic acid)을 많이 함유한 기름을 제공한다. 오메가-6를 함유하는 식품들 include:[1] 가금류 달걀 아보카도 견과류 시리얼 듀럼 밀 통 곡물빵 같이 보기[편집] 옥수수의 습격 마블링 (축산) 각주[편집] ↑ “Food sources of total omega 6 fatty acids”. 2011년 9월 4일에 확인함.  vdeh지질: 지방산포화 지방산 뷰티르산 (C4) 발레르산 (C5) 카프로산 (C6) 에난트산 (C7) 카프릴산 (C8) 펠라르곤산 (C9) 카프르산 (C10) 운데실산 (C11) 라우르산 (C12) 트라이데실산 (C13) 미리스트산 (C14) 펜타데칸산 (C15) 팔미트산 (C16) 마르가르산 (C17) 스테아르산 (C18) 노나데실산 (C19) 아라키드산 (C20) 헨에이코실산 (C21) 베헨산 (C22) 트라이코실산 (C23) 리그노세르산 (C24) 펜타코실산 (C25) 세로트산 (C26) 헵타코실산 (C27) 몬탄산 (C28) 노나코실산 (C29) 멜리스산 (C30) 헨트라이아콘틸산 (C31) 라세로산 (C32) 프실산 (C33) 게드산 (C34) 세로플라스트산 (C35) 헥사트라이아콘탄산 (C36) 헵타트라이아콘탄산 (C37) 불포화 지방산ω-3 지방산 α-리놀렌산 (18:3) 스테아리돈산 (18:4) 에이코사펜타엔산 (EPA, 20:5) 도코사헥사엔산 (DHA, 22:6) ω-6 지방산 리놀레산 (18:2) γ-리놀렌산 (18:3) 디호모-γ-리놀렌산 (20:3) 아라키돈산 (20:4) 아드렌산 (22:4) ω-7 지방산 팔미톨레산 (16:1) 박센산 (18:1) 파울린산 (20:1) ω-9 지방산 올레산 (18:1) 엘라이드산 (트랜스-18:1) 곤도산 (20:1) 에루크산 (22:1) 네르본산 (24:1) 미드산 (20:3) 생체분자: 탄수화물 알코올 당단백질 글리코사이드 지질 에이코사노이드 지방산 / 지방산 대사 중간생성물 인지질 스핑고지질 스테로이드 핵산 구성 성분 뉴클레오타이드 대사 중간생성물 단백질 표준 아미노산 / 아미노산 대사 중간생성물 테트라피롤 헴 대사 중간생성물 vdeh지질일반적인 분류 포화 지방산 불포화 지방산 단가불포화 지방 다가불포화 지방 기하학적 분류 트랜스지방 오메가-3 지방산 오메가-6 지방산 오메가-9 지방산 지방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로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아라키드산 베헨산 리그노세르산 인지질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리노시톨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카르디올리핀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스테로이드 콜레스테롤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성 호르몬 세코스테로이드 스핑고지질 세라미드 에이코사노이드 아라키돈산 프로스타글란딘 프로스타사이클린 트롬복산 루코트리엔 생체분자: 탄수화물 알코올 당단백질 글리코사이드 지질 에이코사노이드 지방산 / 지방산 대사 중간생성물 인지질 스핑고지질 스테로이드 핵산 구성 성분 뉴클레오타이드 대사 중간생성물 단백질 표준 아미노산 / 아미노산 대사 중간생성물 테트라피롤 헴 대사 중간생성물 이 글은 화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오메가-6_지방산&oldid=22368029" 분류: 지방산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화학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Dansk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SuomiFrançaisहिन्दी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2일 (수) 21:2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오메가-6 지방산(영어: omega-6 fatty acid) 또는 ω−6 지방산(영어: ω−6 fatty acid) 또는 n−6 지방산(영어: n−6 fatty acid)은 공통적으로 n-6 위치에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즉 메틸 말단으로부터 6번째 탄소에 이중 결합을 가지고 있는 불포화 지방산 및 다불포화 지방산들의 분자군(群)이다. 오메가-6 지방산은 전염증(pro-inflammatory) 또는 항염증 효과를 가질 수 있다.오메가-6 지방산의 생물학적 효과는 생장을 촉진하기 위한 목적과 염증성 캐스케이드 동안 세포 손상을 중지시키고 신체의 모든 조직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수용체에 결합하는 오메가-6 에이코사노이드로의 전환에 의해 세포 복구를 촉진하기 위해 신체 활동 동안 및 신체 활동 후에 주로 생성되는 것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미 월경이 끝난 여성이 산화된 다중불포화산을 많이 섭취할 경우 어떤 병에 걸릴 수 있는가? Assistant: 유방암 Human: 아래 유희왕_태그포스_시리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유희왕 태그포스 시리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희왕 태그포스 시리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유희왕 태그포스 시리즈는 코나미 디지털 엔터테인먼트에서 발매된 TV 애니메이션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혹은 유희왕 5D's를 주제로 한 대전형 카드게임 시리즈이다. 줄여서 태그포스 혹은 TF라고 한다. 목차 1 개요 2 시리즈 타이틀 일람 2.1 넘버링 타이틀 2.2 리메이크 타이틀 3 출처 개요[편집] 컴퓨터게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시리즈 중 처음으로 태그듀얼을 내세운 시리즈이다. 3D 애니메이션 등장인물에 목소리는 애니메이션 성우를 써서 애니 못지않은 연출을 즐길수 있다.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카드를 여러개 등록하는 등, 캐릭터적 요소가 강한 게임이다. 게임의 퀄리티도 높고, 발매당시까지의 대부분의 카드가 등록되어 있다.카드 업데이트나 복잡한 룰 해석, 체인을 자동계산하는 기능도 탑재하고 있다. 그렇기에 통신대전은 실제 카드게임과 견주어도 손색없는 게임이 되었다. TCG게임과 캐릭터게임 두가지를 합한 이색적인 게임이다. 반년에 한번 개정되는 제한리스트를 다운 받을수 있지만, CPU가 사용하는 덱은 다운로드한 제한 리스트에 대응시키는 게 불가능하다. 1~3까지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GX를 무대로 했지만 4이후로는 다음 애니메이션인 유희왕5D's를 무대로 한 시리즈를 발매하고있다.[1] 시리즈 타이틀 일람[편집] 넘버링 타이틀[편집] 유희왕 듀얼 몬스터즈GX 태그포스(PSP) - 2006년 9월 14일 유희왕 듀얼 몬스터즈GX 태그포스2(PSP) - 2007년 9월 27일 유희왕 듀얼 몬스터즈GX 태그포스3(PSP) - 2008년 11월 27일 유희왕 듀얼 몬스터즈 태그포스4(PSP) - 2009년 9월 17일 유희왕5D's 태그포스5(PSP) - 2010년 9월 16일 유희왕5D's 태그포스6(PSP) - 2011년 9월 22일 유희왕 ARC-V 태그포스 스페셜 - 2015년 1월 22일 리메이크 타이틀[편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GX 태그포스 에볼루션(PS2) - 2007년 12월 6일 출처[편집] ↑ “태그포스 시리즈 최신작 『유희왕 파이브디즈 태그포스 4』시동!”. 2009년 5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5월 26일에 확인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유희왕_태그포스_시리즈&oldid=23109338" 분류: 유희왕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28일 (수) 15: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유희왕 태그포스 시리즈는 코나미 디지털 엔터테인먼트에서 발매된 TV 애니메이션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혹은 유희왕 5D's를 주제로 한 대전형 카드게임 시리즈이다. 줄여서 태그포스 혹은 TF라고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유희왕 태그포스 시리즈의 특징은 무엇이야? Assistant: 컴퓨터게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시리즈 중 처음으로 태그듀얼을 내세운 시리즈이다. 3D 애니메이션 등장인물에 목소리는 애니메이션 성우를 써서 애니 못지않은 연출을 즐길수 있다.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카드를 여러개 등록하는 등, 캐릭터적 요소가 강한 게임이다. 게임의 퀄리티도 높고, 발매당시까지의 대부분의 카드가 등록되어 있다.카드 업데이트나 복잡한 룰 해석, 체인을 자동계산하는 기능도 탑재하고 있다. 그렇기에 통신대전은 실제 카드게임과 견주어도 손색없는 게임이 되었다. TCG게임과 캐릭터게임 두가지를 합한 이색적인 게임이다. 반년에 한번 개정되는 제한리스트를 다운 받을수 있지만, CPU가 사용하는 덱은 다운로드한 제한 리스트에 대응시키는 게 불가능하다. 1~3까지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GX를 무대로 했지만 4이후로는 다음 애니메이션인 유희왕5D's를 무대로 한 시리즈를 발매하고있다.[1]
Human: 아래 S-3_바이킹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S-3 바이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S-3 바이킹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5년 9월) S-3 바이킹 S-3B 바이킹이 항공모함에서 이륙중이다.종류 대잠기퇴역 시기 2009년현황 퇴역주요 사용자 미국 해군생산 시기 1974년-1978년 생산 대수 187단가 2700만 달러(1974년 기준), 원화: 약324억원 항공모함 니미츠호(CVN-68)에서 이륙중인 S-3 MAD 센서를 늘여 뜨린 S-3 항공모함 니미츠호(CVN-68)의 캐터펄트에서 이륙중인 S-3 S-3 바이킹(S-3 Viking)은 미 해군에서 대잠수함전용으로 사용되었던 4인승 쌍발 엔진 터보팬 추진 제트기이다. S-2 트래커의 뒤를 잇는 비행기로, 록히드 마틴사와 LTV사의 기술협력으로 개발한 세계 최초의 항공모함 탑재용 제트엔진 대잠기이다. 1990년대 후반, S-3 바이킹의 주요 임무는 수상전과 공중 급유였다. S-3 바이킹은 또한 항공모함의 앞에 전자전과 지상 정찰이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아음속, 전천후, 다용도, 원거리의 함상기로, 자동화된 무기 체계를 탑재하고 있으며, 공중 급유로 연료를 보충할 수 있다. S-3 바이킹의 엔진이 진공 청소기와 비슷한 소리를 내어 진공 청소기 브랜드의 명칭을 딴 '후버' (Hoover)라는 별명이 붙었다. 2009년 1월 미 해군은 S-3 바이킹을 최전선 함대 임무에서 퇴역시키고, 그 역할은 P-3 오라이온, SH-60 시호크, 보잉 F/A-18E/F 슈퍼 호넷과 같은 다른 함재기들로 대체했다. 현재는 캘리포니아 주의 벤투라 카운티 해군기지/포인트 무구 해군항공기지의 VX-30 비행 중대에서 정리와 정찰에 사용되고 있으며, 미항공우주국 글렌 연구 센터에서도 운용되고 있다. S-3 바이킹은 미 해군이 다양한 용도로 활용했던 대잠초계기이며 냉전시대의 상징과도 같은 존재다. 2003년 5월 1일에는 전투조종복 차림의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태평양 해상에서 이라크에서의 전투임무를 완수하고 본국으로 귀환 중인 미 해군 항공모함 에이브러햄 링컨(CVN-72)함을 깜짝 방문하여 S-3B Viking(해군 스페셜 마킹 Navy 1, 기체명 VS-35)에 탑승해 주목받기도 했다. 목차 1 개발 배경 2 개발 과정 3 주요 특징 3.1 그외 공중급유방식 4 대잠 체계 5 무장 6 비행제어 시스템 7 파생형 8 퇴역 및 보관 9 오버홀 재운용 10 주요 정보 11 사용자 12 각주 13 참고문헌 14 외부 링크 개발 배경[편집] 미 해군의 강력한 항모기동전단은 그 임무 특성상 전 세계를 작전지역으로 정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적의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방어 능력이 요구됐고 사전 포착이 힘든 적 잠수함의 공격은 치명적인 위협으로 간주됐다. 때문에 새로운 대잠항공기는 빠른 속도로 해상을 기동하는 항모기동전단의 이동 속도에 보조를 맞추며 광대한 주변을 경계하고 적 잠수함에 대한 정확한 탐지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했다. S-2 트래커의 후계기로 개발이 낙점된 S-3 바이킹은 최초의 디지털 음향분석 시스템을 갖춘 대잠초계기로서 기뢰원을 탐지할 수 있는 레이다를 실은 특수 임무기로 항모 함재기 운용에 최적화된 짧은 동체와 속력과 저속 운행이 우수한 주익, 그리고 커다란 수평미익과 함께 넓은 동체 공간 확보를 위해 엔진은 주익 아래로 설계되어, 전폭 20.93m, 길이 16.24m, 높이 6.93m이다. 그리고 S-3 바이킹은 군용기의 상징과도 같은 날렵함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민간 여객기 같은 동글동글한 외형을 갖게 됐다. 개발 과정[편집] S-3 바이킹은 개발단계(YS-3)를 시행하지 않고 바로 양산형을 개발하여 개발 일정을 단축하였으며 1972년 1월 1호기가 첫 비행을 하고 1974년 2월부터 배치가 시작되어 1978년까지 모두 187대가 생산되어 14개 미 해군 대잠비행대(VS)에 배치되었다. 주요 특징[편집] S-3 바이킹은 항모 운용에 적합하도록 최소한의 크기에 최대의 강도를 가지도록 설계'되었으며, 특히 '주익날개와 수직꼬리 날개는 격납 공간을 줄이기 위해 유압 폴딩이 가능하다. 주날개 하부로 엔진이 달리다보니 동체 위쪽에 주날개가 부착된 고익기며 꼬리 날개 부분 역시 전체가 금속으로 되어 있다. S-3 바이킹의 엔진은 주익 양날개에 각 1기씩 달려있어 만에 하나 한쪽의 엔진이 꺼지게 될 경우 추력이 없어진 쪽으로 기체가 회전 하려는 경향이 강해지므로 S-3 바이킹은 이러한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날기 위해선 큰 수직꼬리 날개가 필수였으나 큰 수직꼬리날개는 항공모함의 천장이 낮은 갑판아래 격납고에 집어넣기에는 너무 높은 관계로 필요시 유압장치에 의해 옆으로 접히도록 설계되었다. 수직꼬리날개가 접힌 뒤에는 조종사가 러더페달을 차도 안전을 위해 러더는 움직이지 않는다. 주익은 항속성능, 저속 특성을 고려하여 큰 에스펙트 비를 가지고 후퇴각이 작게(25% 익현에서 15도) 설계되었으며 앞전과 뒷전 폭의 80%를 플랩설치 공간으로 할애하고 있다. S-3B 바이킹은 일반 항공기와 달리 동체의 앞에서 뒤까지 길게 가로지르는 뼈대구조(용골)가 있는데 이는 '사출, 착함 충격에 대해 더 잘 버티게 하기 위한 설계'다. 복합재는 거의 쓰이지 않았으며 함재기 특성상 사출 및 착함시 기골에 걸리게 되는 응력에도 충분히 대응하기 위해 A-10 선더볼트 II와 같은 보다 튼튼한 모노코크 통금속 강골구조로 설계 제작되었다. 바이킹에는 조종사, Tactical Coordinator (TACCO), Co-Tactical Coordinator (COTAC), Sensor Operator (SENSO) 이렇게 4명의 승무원이 탑승할 수 있도록 앞뒤 좌우로 배치된 형태다. 일반적인 수송기처럼 보여서 비상탈출이 안 될 거라고 오해 받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4자리 모두 비상탈출이 가능한 사출좌석이다.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약간의 딜레이를 갖고 약간의 다른 각도로 사출되기 때문에 공중에서 사출된 승무원끼리 부딪히거나 할 염려는 없다. 조종실에는 조종사, 부조종사 겸 비 음향센서 오퍼레이터가 자리 잡고 그 뒤쪽에 TACCO(전술 운영 요원)와 SENSO(음향 센서 오퍼레이터)가 나란히 자리 잡고 있다. 캐빈의 뒤쪽은 전자장비실이며 그 아래의 앞쪽은 폭탄 창, 뒤쪽은 소노부이슈트가 설치되어 있다. 1981년 미해군은 S-3A의 WSIP(무장 시스템 개량계획) 개발을 록히드사에 발주하여 1호기 S-3B는 1984년 9월에 첫 비행한 후, 121대분의 개조 키트를 1994년까지 인도하였다. Lockheed S-3 바이킹은 별명이 Hoover로 S-3B는 AGM-86 Harpoon 대함미사일을 운용할 수 있고 기체 후미에는 접이식 Magnetic Anomaly Detector (MAD) 프로브가 장착되어 있다. 처음 개발은 대잠전 (ASW), 그리고 이후 전자전및 Carrier On Board Delivery (COD)용으로도 활용되며 항모용 공중급유임무로도 활용했다. S-3 바이킹의 엔진은 2기의 General Electric TF34-GE-400 터보팬엔진(추력 4,200 kg) 2기를 장착하여 이륙중량은 23톤으로 F/A-18 과 비슷하다. 중형여객기 및 A-10기와 동일 엔진을 사용함으로써 군수 공급적인 면에서 조달에 큰 어려움이 없다. S-3B 전투임무시 항속거리는 3,700km이고 한 시간에 800km를 이동할 수 있으며. 특히 폭풍우가 몰아치는 날씨에도 비행할 수 있으며 후미에서 바람이 불어도 이륙할 수 있는 유일한 함재기로써 착륙속도는 185 km/h로 아주 느린데 A-6 Intruder는 204 km/h, F-14 Tomcat 의 248 km/h와 비교된다. 장비로는 고성능 음향 정보처리 시스템 UYS-1 프로튜스, 역합성개구형 레이다 APS-137을 채택하여 P-3C에 버금가는 성능을 갖추고 있으며 ESM, ECM 장비도 개량되었고, AGM-84 하푼 미사일 운용 능력을 추가하였다. 미해군 항모 탑재기의 다용도화에 따라 S-3B 바이킹도 하푼 이외에 SLAM 및 MK 82 범용 폭탄을 탑재하고 대지상 공격 임무에도 사용되며, 특히 공중급유(버디방식) 임무도 담당한다. 사실 최초 목적은 대잠초계기로 탄생했지만 전자전 및 인원 수송, 공중 급유까지 S-3는 미 해군에 의해 스위스 만능 주머니 칼(Swiss Army Knife)이란 별명이 붙여질 정도로 다양한 임무를 성공적으로 완수했다. 그외 공중급유방식[편집] 버디포드 방식의 공중급유기능도 일부 S-3 바이킹중 KS-3A(공중 급유기형) 기체가 갖고 있다. 이 방식에서는, 급유기가 휘어지는 호스를 날개 끝에서 풀면, 급유기 옆에서 같이 비행하는 비행기가 그 비행기 날개 끝에 있는 특별한 잠금 장치로 이 호스를 잡도록 되어있다. 호스를 잡아서 연결이 이루어지면, 급유가 이루어진다. 이 방식은 같은 기종간의 공중급유시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별도의 공중급유기를 확보할 필요 없어 동종의 편제로도 운용이 가능하여 효율과 경제성이 높다. 대잠 체계[편집] S-3의 핵심인 대잠체계는 다음과 같다. AN/APS-137 - 반합성 개구 레이다(ISAR: Inverse Synthetic Aperture Radar) 광역수색과 움직이는 타켓(잠수함이나 해상함) 판별 (S-3B에 장착) , 초창기 한국의 P-3C에 장착된 레이다와 동일하다. R-89 - 3배율짜리 (FLIR) 광학camera가 대참초계기의 눈이다. AN/ASQ-81 (MAD:Magnetic anomaly detector)자기탐지기 시스템을 꼬리에 장착 AN/ASN-92 관성항법 시스템, 도플러식 레이다와 통신시스템을 갖는 네비게이션시스템 장착 & 전술항공항법 시스템(TACAN:Tactical Air Navigation) 60발짜리 소노부이를 장착하고 이와관련된 수신장치도 갖추고 있다. 내부에 소노부이 리시버/프로세서와 같은 음향 센서와 레이다, ESM, MAD, FLIR와 같은 비음향 센서가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유니 백사제 AYK-10GPDC(범용 디지털 컴퓨터)와 연결되어 있다. AN/APS-116 해상수색 레이다(최대수색거리278km) OR-89 FLIR 카메라(3배zoom) AN/ARS-2 음탐부표(sonobuoy) 수신기 대잠 데이터 처리/통제 및 시현 시스템 - 다용도 디지털 컴퓨터 - 음향데이터 처리기 - 음탐부표(sonobuoy) 수신기 - 지령신호 발생기 & 아날로그 테입(analog tape) 기록 장치. 비음향 탐측 장치 - AN/APS-116 고해상 레이다 - OR-89/AA FLIR - AN/ASQ-81 자기 이상 탐측장비 & 교정장비 - ALR-47 피동전자대항 수신기 & instantaneous frequency 측량 장치. AYS-1 음향신호 처리기 구성 - AN/OL-320/AYS 데이터 처리 기억 모듈 채택, AN/OL-320/AYS는 IBM社의 AN/UYS-1와 일체화 되어있음. - AYK-10A 대기(大氣) 데이터 컴퓨터 채택, AYK-10A는 하푼 대함유도탄 및 기타 통제 시스템과 서로 연결되어 있음. - AN/ARP-78 음탐부표 수신기 시스템 장착 - AN/AQH-7 아날로그 테입(analog tape) 기록장치 - AN/ARS-2 음탐부표(sonobuoy) 기준 시스템 - AN/APS-137 역합성 개구 레이다(ISAR:Inverse Synthetic Aperture Radar) - AN/ALE-39 채프/플레어 발사장치. 무장[편집] 최대무장장착량: 2220 kg 무장장착대: 내부4개, 외부2개. 장착가능 무장 종류 및 수량 - Mk82 폭탄10발 - Mk83 폭탄2발. - Mk84 폭탄2발. - CBU-100 클러스터 폭탄6발. - Mk50 어뢰2발. - Mk46 어뢰4발. - 기뢰 혹은 폭뢰6발. - B57 핵폭탄2발. - AGM-65E/F 메버릭 유도탄2발. - AGM-84D 하푼 대함유도탄2발 - AGM-84H/K SLAM-ER 유도탄1발 비행제어 시스템[편집] 기본적으로 모든 주 조종면은 유압으로 작동한다. 롤(Roll) 제어를 위해서는 날개 위/아래를 가로지르는 긴 스포일러를 좌우 비대칭으로 사용. 피치(Pitch)제어는 수평꼬리날개를 사용하나 초음속 전투기가 아닌 관계로 승강타와 수평안정판이 분리되어있으며, 수평꼬리날개 뒤쪽 일부만 움직이는 구조다. 방향타는 일반 항공기들과 마찬가지로 수직꼬리날개 일부 영역에만 설치되어 있다. 다만 트림조작을 위해 수평꼬리날개 전체가 일정범위 내에서 각도가 변하는 형태이며, 이 외에도 승강타와 방향타에 트림(trim)제어용 탭(tab)이 따로 또 달려 있다. 이·착함 시 사용하는 플랩은 날개 후방에 상당부분의 공간을 차지하며, 틈새가 있는 파울러 형태의 플랩이다. 후방플랩이 다 펼쳐지면 날개 앞전 플랩도 작동한다. 주요 항법장비 - ASW-92(V) 관성항법기 - AN/APN-200 도플러 대지(對地)속도 시스템(Doppler ground speed system) - AYN-5 공중 속도/고도 계산장비 - ASN-107 자세 비행방향 기준 시스템 - ARS-2 음탐부표 기준 시스템 - APN-201 레이다 고도계 & 고도 경보 시스템 - ARN-83 저주파(LF) 무선 나침반(컴퍼스) & ARA-50 UHF 무선 나침반(컴퍼스) 항법장비 - ARN-84 TACAN(Tactical Air Navigation) & 교란장치. 통신장비 - ARC-153 고주파(HF) 송/수신기 - AN/ARC-63 수신/암호해독 장치, 데이터 단말 장비. - OK-173 종합 기내 통화장치 - APX-72 적아식별 장치 - AN/ASW-25B 자동착함 시스템 통신장치 파생형[편집] 파생형으로는 KS-3A(공중 급유기형), US-3A(COD 수송형, 6대 개조) EA-3B를 대체하는 함상 SIGINT기인 ES-3A(16대 개조)가 있으며 그밖에 특수 임무기인 아웃트로 바이킹(장거리 함선 탐지기), 올카 S-3B(기뢰원 탐지기)가 소수 존재한다. 퇴역 및 보관[편집] S-3 바이킹은 2009년 함대 임무를 완수하고 대부분 퇴역했으며, 이에 따라 S-3 바이킹을 운용했던 기존 비행대대들 역시 2004년 4월부터 순차적으로 해체됐다. 기존 S-3 바이킹이 수행하던 임무는 2개의 F/A-18E/F 슈퍼호넷 비행대대에 의해 일부 대체됐으며, 주야간 감시 및 전자전, 지휘·통제·통신 임무 등은 향후 F-35C 라이트닝 II에 의해 수행될 예정이다. 아래는 2013년 미 남서부 애리조나주 데이비스몬선 공군기지(Davis-Monthan AFB)의 보관창고와 애리조나 투손에 위치한 아막(AMARC - 309th Aerospace Maintenance & Regeneration Center)에 보관중인 미 해군 퇴역 바이킹 항공기 현황이다. 항공기 명칭 현재 대수 록히드 S-3A 바이킹 29대 록히드 S-3B 바이킹 82대 록히드 ES-3A(전자전기) 바이킹 15대 록히드 US-3A(수송기형) 바이킹 4대 오버홀 재운용[편집] 재운용시 비행 가능시간: 사막에 보관중인 S-3는 대략 1만에서 1만2000시간을 더 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군사 전문가들이 얘기하고있다. 미 해군은 FRCSE(Fleet Readiness Center Southeast) 정비센터에서 S-3B 바이킹 퇴역기중 3대를 수명연장을 위한 오버홀을 완료후 2010년 미 해군 30 시험평가비행대대(VX-30)에서 3기 모두 인수하여 재운용중이다. S-3B 바이킹의 긴 항속력과 레이다, 랜턴포드를 이용하여, 재탄생한 VX-30은 미사일 실험 등을 수행하는 캘리포니아 포인트 무구 해군 항공전 센터 해역감시 용도로 활용하고 있다. - <3>: 미 해군에서 현역으로 활동 중인 VX-30 소속 S-3B 바이킹, 《유용원의 군사세계》 2013-05-29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의 홉킨스 국제공항에 위치한 NASA 글렌 연구센터에서도 폭풍우가 몰아치는 날씨에도 비행할 수 있는 S-3B 바이킹의 전천 후 비행성능을 이용한 항공기상 및 악천후 비행에 대한 연구기체로, 퇴역한 S-3B 바이킹 3기를 오버홀하여 재 운용 중이다. 2014년 4월 9일 미 워싱턴DC 외곽에서 미 해군협회 (Navy League)가 주최한 해상항공우주박람회 (Sea-Air-Space Exposition)에서 록히드 마틴은 퇴역한 S-3 바이킹을 재생해서, 미국 해군의 함상 수송기 (COD: Carrier Onboard Delivery) / 공중 급유기로 사용하는 계획을 제안하였다. 록히드 마틴사가 제안한 퇴역한 S-3 바이킹을 재사용하여 미국 해군의 함상 수송기 / 공중 급유기로 사용하는 계획을 발표하여 검토되었으나,[1] 2015년 1월 미 해군은 심각한 노후화로 인해 대체기가 절실히 요구되는 C-2 Greyhound 함상용 수송기의 후계기로 V-22 Osprey 틸트로터기를 수송 및 탐색구조 다목적용으로 개수한 HV-22로 48기를 도입하기로 결정하므로써 S-3B의 오버홀 계획은 백지화 되었다.[2] 대한민국 S-3B 도입 오버홀 : S-2 트래커 일명 '바다의 추적자' 총 31대를 1970년도부터 1981년도까지 도입하여 2001. 3.31까지 해상초계 및 대 잠수함 공격용으로 운용한 바 있으나, 태 부족한 해상조계의 강화를 위하여 2013년 대한민국 해군 에서 대잠초계기로 S-2 트래커의 후속기종인 S-3B 퇴역기 30여대(예비 부품용 활용 10여대 포함)를 오버홀 전력화하는 방향으로 소요 결정하였으며, 당시 S-3 도입 오버홀 예상 비용 및 댓수는 기체 1기당 가격 100억원과 기골보강을 포함한 국산전자기기 오버홀비용 200억원등 대당 총 300억원으로 예비 부품용기체까지 포함하더라도 총 1조원 이내로 30~40여대가 목표였다. 그러나 한국의 도입결정 추진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지연되면서 도입결정이 이루어진 2015년 8월말에는 대당 2배인 S-3B 기체가격 300억원에 개량비용 300억원인 도합 600억원으로 상승하였고, 예산규모도 축소된 약 7천200억원 정도로, 도입댓수도 당초 소요제기 댓수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12대로 대폭 축소결정하여 2018년도에 도입 오버홀을 추진하게 되었다. <1>: 한국軍, 美 해상초계기 '바이킹' 12대 도입 추진키로, 《연합뉴스》, 2015-09-06 . <2>: 한국 軍, 퇴역 기체 ‘S-3 바이킹’ 구입하는 이유? 《채널A》, 2015-09-07 대한민국 해군(R.O.K Navy)에 의해 부활 예정인 S-3 Viking 영상 주요 정보[편집] 길이: 16.26 m 높이: 6.93 m 폭 : 주날개를 펼쳤을 때: 20.93 m, 주날개를 접었을 때: 9 m 익면적: 55.56m² 자체중량: 12,090 kg 적재중량: 17,324 kg 최대이륙중량: 23,831 kg 최대착륙중량: 20,826 kg 최대착함중량: 17,098 kg 무장장착(내부 + 외부 2개 하드 포인트): 최대 2,220 kg (4,900 파운드) 최대속도: 795 km/h(海面), 828 km/h(고도6,100 m) 익면하중: 334 kg/m² 순항속도: 680 km/h 초계속도: 296 km/h 착륙속도: 185 km/h 상승속도: 26.0 m/s (5,120 피트 / 분) 작전반경(항속거리): 5,121 km 승조원: 4명(조종사, 항법사2명, 탐측장치 조작병/TFO) 상승한도: 12,465 m (4,0900피트) 제작(개발)사: Lockheed Martin 엔진: General Electric TF34-GE-400 터보팬엔진 2발(단발추력: 4,200 kg A-10 선더볼트 II와 동일) 사용연료: JP-5 내부연료용량: 7,320 L (1,933 갤런) 외부연료용량: 외부탱크 2발 총1,136 L (330 갤런) 사용자[편집] 미국 미국 해군 미국 항공우주국 각주[편집] ↑ http://news.usni.org/2014/04/08/lockheed-pitching-revamped-viking-fill-carrier-cargo-tanking-roles ↑ http://breakingdefense.com/2015/01/navy-decides-to-buy-v-22-ospreys-for-carrier-delivery 참고문헌[편집] Winchester, Jim, ed. Military Aircraft of the Cold War (The Aviation Factfile). London: Grange Books plc, 2006. ISBN 1-84013-929-3. 외부 링크[편집] 한국 軍, 퇴역 기체 ‘S-3 바이킹’ 구입하는 이유는? 한국軍, 美 해상초계기 '바이킹' 12대 도입 추진키로 미 해군에서 현역으로 활동 중인 VX-30 소속 S-3B 바이킹, 《유용원의 군사세계》 2013-05-29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S-3 바이킹 S-3B Viking fact file and S-3 Viking history page on Navy.mil 록히드 마틴사가 제안한 퇴역한 S-3 바이킹을 재생 미국 해군의 함상 수송기 / 공중 급유기 사용 계획 Navy Decides to Buy V-22 Ospreys for Carrier Delivery 미 해군, C-2 함상수송기 후계기로 HV-22 틸트로터기 도입 vdeh사용 중인 미국의 군용기전투기 AV-8B 해리어 II F-15 F-15E F-16 F/A-18 호넷 F/A-18E/F 슈퍼 호넷 F-22 랩터 F-35 라이트닝 II 폭격기 B-52 스트래토포트리스 B-1 랜서 B-2 스피릿 정찰기 GNAT-750 MQ-1 프레데터 RQ-2 파이오니어 RQ-4 글로벌 호크 RQ-7 섀도 MQ-9 리퍼 록히드 U-2 MQ-1C 워리어 수송기 C-2 그레이하운드 C-5 갤럭시 C-9 스카이트레인II C-17 글로브마스터III C-20 걸프스트림III C-21 리어젯 보잉 C-22 보잉 C-32 C-37 걸프스트림V C-40 클리퍼 C-130 허큘리스 C-130J 슈퍼 허큘리스 C-135 스트래토리프터 조기경보기 E-2 호크아이 E-3 센트리 E-8 조인트스타스 훈련기 T-1 제이호크 T-37 트윗 T-38 탤론 보잉 T-43 T-6 텍산 II T-34 멘터 T-39 사브렐라이너 T-2 버크아이 T-44 페가수스 T-45 고스호크 헬기 SH-3 시킹 SH-60B/F 시호크 AH-1 코브라 AH-6J 리틀버드 AH-64 아파치 CH-46 시나이트 CH-47D/F 치누크 CH-53E 슈퍼스탤리온 MH-6J/M 리틀버드 MH-47G 스페셜 오퍼레이션 치누크 MH-53J/M 페이브로우 III/IV MH-60K/L/M 블랙호크 MH-60S 시호크 OH-58A/C/D HH-60G 페이브호크 HH-60H 시호크 MH-68A 스팅레이 VH-3A/D 시킹/마린원 VH-53D 시스탤리온/마린원 VH-60L 블랙호크 VH-60N 나이트호크/마린원 UH-1 이로쿼이 UH-3H 시킹 UH-60A/L 블랙호크 V-22 오스프리 공격기 A-10 썬더볼트 II A-37 드래곤플라이 공중급유기 KC-135 스트래토탱커 보잉 KC-767 KC-45 KC-10 익스텐더 KCS-3 바이킹 기타 S-3 바이킹 보잉 VC-25A 에어포스원 EP-3E 에어리즈II 보잉 E-4B 나이트워치 E-6 머큐리 EA-6B 프라울러 TH-57A 시레인저 TH-67A 크리크 P-3 오라이온 보잉 YAL-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S-3_바이킹&oldid=24071808" 분류: 초계기공중급유기미국의 군용기1972년 첫 비행한 항공기쌍발 제트기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5년 9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lovenščinaSvenskaไทยTürkçe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22: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S-3 바이킹(S-3 Viking)은 미 해군에서 대잠수함전용으로 사용되었던 4인승 쌍발 엔진 터보팬 추진 제트기이다. S-2 트래커의 뒤를 잇는 비행기로, 록히드 마틴사와 LTV사의 기술협력으로 개발한 세계 최초의 항공모함 탑재용 제트엔진 대잠기이다. 1990년대 후반, S-3 바이킹의 주요 임무는 수상전과 공중 급유였다. S-3 바이킹은 또한 항공모함의 앞에 전자전과 지상 정찰이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아음속, 전천후, 다용도, 원거리의 함상기로, 자동화된 무기 체계를 탑재하고 있으며, 공중 급유로 연료를 보충할 수 있다. S-3 바이킹의 엔진이 진공 청소기와 비슷한 소리를 내어 진공 청소기 브랜드의 명칭을 딴 '후버' (Hoover)라는 별명이 붙었다. 2009년 1월 미 해군은 S-3 바이킹을 최전선 함대 임무에서 퇴역시키고, 그 역할은 P-3 오라이온, SH-60 시호크, 보잉 F/A-18E/F 슈퍼 호넷과 같은 다른 함재기들로 대체했다. 현재는 캘리포니아 주의 벤투라 카운티 해군기지/포인트 무구 해군항공기지의 VX-30 비행 중대에서 정리와 정찰에 사용되고 있으며, 미항공우주국 글렌 연구 센터에서도 운용되고 있다. S-3 바이킹은 미 해군이 다양한 용도로 활용했던 대잠초계기이며 냉전시대의 상징과도 같은 존재다. 2003년 5월 1일에는 전투조종복 차림의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태평양 해상에서 이라크에서의 전투임무를 완수하고 본국으로 귀환 중인 미 해군 항공모함 에이브러햄 링컨(CVN-72)함을 깜짝 방문하여 S-3B Viking(해군 스페셜 마킹 Navy 1, 기체명 VS-35)에 탑승해 주목받기도 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S-3 바이킹의 개발 배경은 무엇일까? Assistant: 미 해군의 강력한 항모기동전단은 그 임무 특성상 전 세계를 작전지역으로 정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적의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방어 능력이 요구됐고 사전 포착이 힘든 적 잠수함의 공격은 치명적인 위협으로 간주됐다. 때문에 새로운 대잠항공기는 빠른 속도로 해상을 기동하는 항모기동전단의 이동 속도에 보조를 맞추며 광대한 주변을 경계하고 적 잠수함에 대한 정확한 탐지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했다. S-2 트래커의 후계기로 개발이 낙점된 S-3 바이킹은 최초의 디지털 음향분석 시스템을 갖춘 대잠초계기로서 기뢰원을 탐지할 수 있는 레이다를 실은 특수 임무기로 항모 함재기 운용에 최적화된 짧은 동체와 속력과 저속 운행이 우수한 주익, 그리고 커다란 수평미익과 함께 넓은 동체 공간 확보를 위해 엔진은 주익 아래로 설계되어, 전폭 20.93m, 길이 16.24m, 높이 6.93m이다. 그리고 S-3 바이킹은 군용기의 상징과도 같은 날렵함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민간 여객기 같은 동글동글한 외형을 갖게 됐다. Human: 아래 김명성_(1946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명성 (1946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명성 (1946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명성 Kim Myeong-Seong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1946년 9월 3일(1946-09-03) 출신지 부산광역시 사망일 2001년 7월 24일 (54세) 선수 정보 수비 위치 투수 경력 선수 경력 한국전력공사 (실업) 코치 경력 롯데 자이언츠 투수코치 (1982 ~ 1983) 청보 핀토스 투수코치 (1986 ~ 1987) 태평양 돌핀스 투수코치 (1988) 삼성 라이온즈 투수코치 (1989 ~ 1990) 빙그레 이글스 투수코치 (1991 ~ 1993) LG 트윈스 투수코치 (1994 ~ 1996) 롯데 자이언츠 투수코치 (1998 ~ 1998.6.16) 감독 경력 롯데 자이언츠 감독 대행 (1998.6.17 ~ 1998.10) 롯데 자이언츠 감독 (1999 ~ 2001.7.24)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아시아선수권 1969, 1971 서울 메달 기록 대한민국의 선수 남자 야구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금 1971 서울 야구 김명성(金明成, 1946년 9월 3일 ~ 2001년 7월 24일)은 대한민국의 야구 감독이다. 목차 1 생애 1.1 학창 시절 1.2 짧은 현역 시절, 코치생활 1.3 감독 부임 1.4 사망 1.5 김명성의 급서 후 롯데에 찾아온 암흑기 2 평가 생애[편집] 학창 시절[편집] 부산 출신으로, 주된 포지션은 투수였고, 부산공업고등학교, 동아대학교를 졸업했다. 짧은 현역 시절, 코치생활[편집] 실업 야구 팀 한국전력공사에서 선수 생활을 하며 1970년에 실업 야구 리그 다승왕을 차지했다. 1977년에 은퇴하여 코치 생활을 시작하였고 롯데 자이언츠의 창단 투수코치를 맡아 프로야구 생활을 시작했으며 1984년부터 KBS 라디오 야구해설위원으로 맡았다가 1986년 청보 핀토스 투수코치를 맡아 현장에 돌아왔고 태평양으로 팀명이 바뀐 1988년까지 몸담았지만 그 해 말 김성근 감독이 부임하면서 코치진을 물갈이하여 태평양을 떠나 1989년 삼성 라이온즈 2군 투수코치로 옮겼고[1] 1990년 말 김성근 감독이 부임하면서 또다시 코치진을 물갈이하자 1991년 빙그레 이글스로 이적했다. 그 뒤, 1993년 시즌 후 팀이 한화로 바뀌면서 LG 트윈스 투수코치로 자리를 옮겼고 이 과정에서 이광환 감독을 보좌하여 그동안 KBO 리그에서 생소했던 선발-셋업-마무리의 투수 분업 구조를 완성하는 데 기여했다. 이후 연고 팀 롯데 자이언츠의 투수 코치로 부임했다. 1998년 6월 김용희 감독이 성적 부진으로 중도 하차하자 감독 대행을 맡았고 이듬해 정식 감독이 되었다. 감독 부임[편집] 1999년 드림 리그 2위라는 호성적으로 삼성 라이온즈를 플레이오프에서 꺾고 1999년 한국시리즈에 진출했지만 한화 이글스에 패해 준우승을 차지했다. 2000년 매직 리그 2위로 포스트 시즌에 진출하지만, 매직 리그 1위 팀이었던 LG 트윈스가 드림 리그 3위 삼성 라이온즈보다 승률이 낮은 바람에 삼성 라이온즈와 치른 준 플레이오프에서 패해 플레이오프에 올라가지 못했다. 2001년의 시즌은 다시 단일 리그로 환원되어 4위부터 8위의 게임 차가 2게임밖에 안되는 난전이었다. 사망[편집] 성적 부담에 대한 스트레스 때문에 폭음과 줄담배가 잦았었다. 여기에 과로가 겹쳐 시즌이 한창이었던 2001년 7월 24일에 경상남도 남해군에 있는 친구집에 갔다가 집으로 귀가하던 중 급성 심근경색으로 갑자기 쓰러져 급서하였다. 향년 56세였다. 김명성의 급서 후 롯데에 찾아온 암흑기[편집] 그가 급사한 이후 2001년에 롯데 자이언츠는 팀 분위기가 하락하게 되어 그 해 최하위를 기록했고, 이후 8-8-8-8-5-7-7로 대표되는 암흑기를 맞이하게 되어 2007년까지 하위권을 전전하며 포스트 시즌에 나가지 못했다. 평가[편집] 온화한 인품으로 선수단을 규합하는 지도력을 발휘하여 약팀이었던 롯데 자이언츠를 일약 상위권으로 올려놓았고, 투수 코치로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전임김용희 제8대 롯데 자이언츠 감독1998년 6월 16일 - 2001년 7월 24일 후임우용득 vdehLG 트윈스 - 1994년 한국시리즈 우승 (정규시즌 1위)감독 77 이광환코치 76 천보성 | 82 김명성 | 93 김용달 | 97 최정우 | 98 신언호투수 1 정삼흠 | 18 차동철 | 19 민원기 | 21 강봉수 | 24 김기범 | 34 인현배 | 35 김태원 | 41 김용수 | 47 이상훈포수 2 김동수 | 12 김정민 | 27 서효인내야수 3 김선진 | 6 유지현 | 9 한대화 | 15 이종열 | 16 윤찬 | 45 허문회 | 62 서용빈 | 67 박종호외야수 7 김재현 | 8 최훈재 | 17 박준태 | 30 노찬엽 | 40 김영직최우수 신인상 유지현 | 한국시리즈 MVP 김용수 vdeh롯데 자이언츠 감독 박영길 (1982-1983) 강병철 (1983-1986) 성기영 (1987) 어우홍 (1988-1989) 김진영 (1990) 도위창C (1990) 강병철 (1991-1993) 김용희 (1994-1998) 김명성 (1998-2001) 우용득 (2001-2002) 김용희C (2002) 백인천 (2002-2003) 김용철C (2003) 양상문 (2004-2005) 강병철 (2006-2007) 제리 로이스터 (2008-2010) 양승호 (2011-2012) 권두조C (2012) 김시진 (2013-2014) 이종운 (2015) 조원우 (2016-2018) 양상문 (2019-현재) C: 감독 대행 vdeh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1971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우승 감독 김영조 코치 김영덕 투수 김호중 김명성 강용수 한광홍 김인복 유백만 윤동복 포수 정동진 우용득 최재봉 내야수 김응용 강병철 장원순 한동화 김동률 강태정 하일 외야수 박영길 황성록 김우열 최흥표 하갑득 최주현 vdeh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1969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감독 김진영 코치 박현식 투수 김병우 김명성 임신근 윤동복 유백만 한광홍 포수 정동진 최재봉 내야수 김응용 한동화 강태정 강병철 김동률 박재영 외야수 박영길 이재우 김태녕 함응렬 ↑ “金明成(김명성)씨 삼성 코치로”. 동아일보. 1989년 3월 14일. 2019년 6월 1일에 확인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명성_(1946년)&oldid=24356010" 분류: 1946년 태어남2001년 죽음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대한민국의 야구 감독롯데 자이언츠 감독부산광역시 출신구 부산기계공업고등학교 동문동아대학교 동문심장질환으로 죽은 사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1일 (토) 11:3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명성(金明成, 1946년 9월 3일 ~ 2001년 7월 24일)은 대한민국의 야구 감독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명성이 은퇴 후 코치를 시작한 건 언제부터야? Assistant: 1977년
Human: 아래 가라쓰성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가라쓰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가라쓰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라쓰 성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가라쓰 성의 전경 지도 가라쓰 성 일본어식 한자 표기: 唐津城 가나 표기: からつ じょう 국립국어원 표준 표기: 가라쓰 성 통용 표기: 카라쓰 조 로마자: Karatsu jō 일본 포털 역사 포털 문화유산 포털 가라쓰 성(일본어: 唐津城[*])은 사가현 가라쓰 시 히가시시로 내에 있는 연곽식 평산성이다. 마이즈루성(舞鶴城)이라는 이명을 가지고 있다. 목차 1 개요 2 역사 3 관광 4 외부 링크 개요[편집] 가라쓰 시내 북부에 위치해 있는 미쓰시마 산에 위치해 있다. 미쓰시마 산은 마쓰우라 강이 가라쓰 만으로 흘러들어가는 하구의 왼편에 위치해 있다. 가라쓰 만에 솟아 오른 미쓰시마 산정상에 혼마루를 배치했으며, 그 서쪽에 니노마루, 산노마루가 일렬로 배치된 연곽식 평산성이다. 성은 가라쓰 만이 인접해 있기 때문에 해성(海城)으로도 불리며, 하기 성과 더불어 바다면에 직접 석벽을 조성한 성이다. 마쓰우라 강 우측에는 니지노마쓰바라로 불리는 송림이 넓게 펼쳐져 있어 마치 두루미가 날개를 펼친 모습으로 입지해 있다. 아울러 가라쓰 성 부분은 두루미의 머리부분에 해당되며 성은 학이 춤추는 것 같다 하여 마이즈루성(舞鶴城:무학성)으로 불린다. 폐성후, 혼마루는 공원으로 정비되었으며, 니노마루 어전 터에는 중고등학교가 들어설 예정이다. 또, 니노마루와 산노마루는 시가지로 조성되었고, 성의 유구로는 해자와 석벽, 그리고, 재건된 천수와 여러 건물이 지어져 있다. 역사[편집]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 ~ 에도 시대 1595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가신 데라자와 히로타카가 이 지역에 입봉되어 부임해 온다. 이전 데라자와 히로타카는 1592년부터 시작된 조선 침략의 전초기지인 히젠 나고야 성 건설에 봉행으로 파견되었었다. 덧붙여 나고야 성도 이 지역에 입지해 있었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동군에 속해 자신의 영지를 존속시킬 수 있었으며, 이에 더해 히고 국 아마쿠사 군 4만석이 가증되어 도합 12만 3천 석의 도자마 다이묘가 되었다. 1602년부터 미쓰시마 산에 가라쓰 성을 축성하기 시작해 1608년 완성하였다. 축성 때 가라쓰 동쪽과 육지로 이어져 있던 미쓰시마 산을 육지와 분리해 마쓰라 강이 가라쓰 만으로 흐르도록 유로를 변경하였다. 또,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후, 폐성되었던 히젠 나고야 성의 부재를 사용했으며, 규슈의 여러 다이묘의 도움을 받아 축성했다. 그때 협력했던 규슈의 여러 다이묘의 번명은 사가 해자, 히고 해자 등의 해자 명칭으로 남아 있다. 니노마루에 번청 겸 어전을 조영했고, 산노마루에 무가저택을 조성했다. 축성 당시 천수를 지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1627년 막부의 기록에 따르면 천수는 존재하지 않다. 막부를 고려해 천수대만 조성하고, 천수를 건립하지 않았다고도 생각할 수 있다. 현재 재건된 천수는 게이초 연간에 천수가 있었을 것으로 상정해 1966년 지어진 것이다. 2대 번주 데라자와 가타타카 대에 오면, 기리시탄에 대한 강경책과 아버지 대에서부터 이어진 노역으로 인해 영민들의 불만이 차 있던 차에 1637년 멀리 떨어진 자신의 소령 아마쿠사와 인접 시마바라 번에서 시마바라의 난이 일어나게 된다. 이 난은 1여 년 후 진압되지만, 가라쓰 번은 막부로부터 문책되어 아마쿠사 4만 석의 영지가 몰수되었다. 1647년 2대 번주 가타타카는 아마쿠사 영지의 몰수와 심적동요로 인해 에도 번저에서 자살하였고, 대를 이을 서장자가 없었기 때문에 데라자와 가문의 영지는 무가제법도에 따라 몰수되었다. 가라쓰 번은 잠시동안 막부직할령에 편입되었지만, 1649년 하리마 국 아카시 번에서 오쿠보 다다모토가 성주로 부임한 것을 시작으로 오쿠보 가문(1649년 ~ 1678년), 오규 마쓰다이라 가문(1678년 ~ 1691년), 도이 가문 (1691년 ~ 1762년), 미즈노 가문(1762년 ~ 1817년), 오가사와라 가문(1817년 ~ 1871년)의 5가문이 번주로 역임한 후다이 다이묘의 거성이었다. 메이지 시대 이후 1871년(메이지 4년) 폐번치현에 따라 성은 폐성되어 성은 민간에 불하되었다. 1877년(메이지 10년) 성터 주변은 마이즈루 공원으로 정비되었고, 1966년(쇼와 41년)에는 5층5계의 모의천수를 비롯 성문과 망루가 재건되었다. 1989년(헤세 원년) 가라쓰 시청 앞의 히고 해자와 석벽을 복원하였고, 1992년(헤세 4년), 1993년(헤세 5년)에는 니노마루 터에 도키노 다이코 망루(時の太鼓)와 산노마루의 다쓰미 망루(辰巳櫓)가 복원되었다. 관광[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가라쓰성 교통 JR 규슈 가라쓰 역에서 하차, 도보로 20분소요 주변 문화시설 및 관광명소 히젠 나고야 성 니지노마쓰바라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가라쓰 성 (아시코시 규슈) vdeh속일본 100 명성홋카이도 시노리관 가미노쿠니 가쓰야마관 도호쿠 지방 나미오카성 구노헤성 시로이시성 와키모토성 아키타성 쓰루가오카성 요네자와성 미하루성 무카이하구로산성 간토 지방 가사마성 쓰치우라성 가라사와산성 나구루미성 누마타성 이와비쓰성 오시성 스기산성 스가야관 모토사쿠라성 오타키성 다키산성 시나가와다이바 고즈쿠에성 이시가키산성 고신에쓰 지방 신푸성 요가이산성 다쓰오카성 다카시마성 무라카미성 다카다성 사메가오성 호쿠리쿠 지방 도야마성 마스산성 도리고에성 후쿠이성 오노성 구니요시성 겐바오성 도카이 지방 하치만성 나에기성 가나야마성 오가키성 고코쿠지성 스와하라성 다카텐진성 하마마쓰성 고마키산성 후루미야성 요시다성 쓰성 기타바타케씨관 다마루성 아카기성 긴키 지방 가마하성 하치만산성 후쿠치야마성 아쿠타가와산성 이모리성 기시와다성 이즈시성·아리코산성 구로이성 스모토성 고리야마성 마쓰야마성 신구성 주고쿠 지방 와카사오니가성 요나고성 하마다성 다카마쓰성 미하라성 니타카산성 오우치씨관·고노미네성 시코쿠 지방 쇼즈이성 이치노미야성 히케타성 노시마성 가고노모리성 오코성 규슈 지방 고쿠라성 미즈키 구루메성 기이성 가라쓰성 가네다성 후쿠에성 하라성 기쿠치성 야쓰시로성 나카쓰성 쓰노무레성 우스키성 사이키성 노베오카성 사도와라성 시부시성 지란성 류큐 제도 자키미성 가쓰렌성 같이 보기 일본 100 명성 좌표: 북위 33° 27′ 13″ 동경 129° 58′ 41″ / 북위 33.453539° 동경 129.978194°  / 33.453539; 129.97819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가라쓰성&oldid=24479539" 분류: 사가현의 성가라쓰시의 건축물가라쓰번데라자와씨오쿠보씨오규 마쓰다이라 씨도이 씨미즈노 씨후추 오가사와라 씨속일본 100 명성가라쓰시의 역사사가현의 박물관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EuskaraFrançais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5일 (화) 14:3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가라쓰성(일본어: 唐津城)은 사가현 가라쓰시 히가시시로 내에 있는 연곽식 평산성이다. 마이즈루성(舞鶴城)이라는 이명을 가지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가라쓰성의 위치는? Assistant: 가라쓰 시내 북부에 위치해 있는 미쓰시마 산에 위치해 있다. 미쓰시마 산은 마쓰우라 강이 가라쓰 만으로 흘러들어가는 하구의 왼편에 위치해 있다. 가라쓰 만에 솟아 오른 미쓰시마 산정상에 혼마루를 배치했으며, 그 서쪽에 니노마루, 산노마루가 일렬로 배치된 연곽식 평산성이다. 성은 가라쓰 만이 인접해 있기 때문에 해성(海城)으로도 불리며, 하기 성과 더불어 바다면에 직접 석벽을 조성한 성이다. 마쓰우라 강 우측에는 니지노마쓰바라로 불리는 송림이 넓게 펼쳐져 있어 마치 두루미가 날개를 펼친 모습으로 입지해 있다. 아울러 가라쓰 성 부분은 두루미의 머리부분에 해당되며 성은 학이 춤추는 것 같다 하여 마이즈루성(舞鶴城:무학성)으로 불린다. Human: 아래 김요협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요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요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요협출생 1833년조선 전라남도 장성군사망 1909년조선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국적 조선, 대한제국 본관 울산별칭 자는 원중, 호는 낙재직업 금부도사, 영릉참봉, 화순·진안·군위군의 군수종교 유교(성리학)부모 김명환, 김인후의 10대손배우자 정씨자녀 김경중, 김기중친척 손자 김성수, 형 김요문(金堯汶), 형 김요윤(金堯允), 장인 정계량, 손자 김연수 김요협(金堯莢, 1833년 ~ 1909년)은 조선 말기의 문신, 관료, 정치인이다. 인촌 김성수와 김연수의 할아버지이다. 인촌 김성수와 기업인 김연수의 친할아버지로 김성수 집안의 가계를 실질적으로 일으킨 사람이라 한다.[1] 가난한 선비의 자제였으나 전라북도 부안군의 부호 정계량의 딸과 결혼하여 집안을 일으켰고, 후일 자손들의 출세의 발판이 되었다. 관직은 선공감감역으로 나가 금부도사 등을 거쳐 비서원승, 시종원부경을 거쳐 가선대부에 이르렀다. 자는 원중(元中), 호는 낙재(樂齎) 하서 김인후의 11대손, 본관은 울산. 목차 1 생애 2 가족 3 각주 4 관련 항목 생애[편집] 김요협은 1833년 절충장군 중추부첨지사를 지내고 사후 증 가선대부 내부협판에 추증된 김명환(金明煥)과 부인 전의이씨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2] 아버지 김명환은 노인직으로 통정대부 첨지중추부사가 되었다. 따라서 실직은 아니므로 그의 가계는 가난하였다.[3] 신체가 건장하였으나 가난하게 자랐다 한다.[3] 부친에 의해 전라북도 고창군의 부자 정씨의 무남독녀 딸과 혼인하였다. 이후 처가가 있는 전북 고창으로 이주했다.[2] 이후 처가의 재력을 바탕으로 그는 몰락한 가문을 다시 일으킨다. 1872년(고종 9년) 선공감 감역으로 관직에 올랐다. 이후 참봉, 봉사, 도사(都事), 별제, 주부(注簿) 등의 경관직을 지냈다.[3] 그 뒤 민씨 정권 하에서 금부도사·영릉참봉·상서원별제·사옹원주부를 지내다가 통훈대부로 승진, 1888년 전라남도 화순군수로 부임하였다. 이후 전라북도 행진안현감(行鎭安縣監)·경상북도 군위군수 등을 지냈다. 1894년 이후 중추원의관·비서원승·시종원 부경에 임명되었다.[2] 그 뒤 첨지중추부사를 거쳐 최종 관직은 종2품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이르렀다.[4] 김요협은 두 아들에게 유산을 분배할 때 장남인 김기중에게는 1천 석의 농토를, 차남인 김경중에게는 2백석을 물려주었으나 이재에 능한 김경중은 형보다 더 많은 토지를 갖게 되었다 한다. 가족[편집] 할아버지 : 김도휴(金道休) 아버지 : 김명환(金命煥) -절충장군 중추부첨지사, 사후 증 가선대부 내부협판에 추증 어머니 : 전의이씨 - 증 정부인 형님 : 김요문(金堯汶) 형님 : 김요윤(金堯允) 부인 : 증 정부인 연일정씨(延日鄭氏, 1831년 ~ 1911년) 장남 : 김기중(金祺中, 1859년 ~ 1933년) 손자 : 김성수(金性洙) -언론인 겸 독립운동가, 제2대 부통령 역임 손자 : 김재수(金在洙) 차남 : 김경중(金暻中, 1863년 ~ 1945년) 손자 : 김연수(金䄵洙) 장인 : 정계량(鄭季良) 각주[편집] ↑ 인촌 김성수의 애족사상과 그 실천(동아일보사, 동아일보사, 1982) 20페이지 ↑ 가 나 다 친일파 김성수는 어떻게 재산을 축적했을까 - 오마이뉴스 ↑ 가 나 다 인촌김성수의 애족사상과 그 실천(동아일보사, 동아일보사, 1982) 20 ↑ 안현 돋음볕 마을 관련 항목[편집] 김기중 김경중 김성수 김인후 정계량 김연수 이아주 신단 이문용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요협&oldid=23580010" 분류: 1833년 태어남1909년 죽음조선의 문신조선의 정치인대한제국의 정치인대한제국의 관료장성군 출신김성수 (1891년)병사한 사람울산 김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1월 30일 (수) 04: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요협(金堯莢, 1833년 ~ 1909년)은 조선 말기의 문신, 관료, 정치인이다. 인촌 김성수와 김연수의 할아버지이다. 인촌 김성수와 기업인 김연수의 친할아버지로 김성수 집안의 가계를 실질적으로 일으킨 사람이라 한다.가난한 선비의 자제였으나 전라북도 부안군의 부호 정계량의 딸과 결혼하여 집안을 일으켰고, 후일 자손들의 출세의 발판이 되었다. 관직은 선공감감역으로 나가 금부도사 등을 거쳐 비서원승, 시종원부경을 거쳐 가선대부에 이르렀다. 자는 원중(元中), 호는 낙재(樂齎) 하서 김인후의 11대손, 본관은 울산.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요협이 유산을 분배할때 김경중에게는 얼마만큼의 농초를 물려주었을까? Assistant: 2백석
Human: 아래 필터_버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필터 버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필터 버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필터 버블'이라는 용어는 인터넷 활동가 엘레 패리저가 자신의 이름과 동일한 이름의 책에서 창조하였다. 필터 버블(filter bubble)은 개인화된 검색의 결과물의 하나로, 사용자의 정보(위치, 과거의 클릭 동작, 검색 이력)에 기반하여 웹사이트 알고리즘이 선별적으로 어느 정보를 사용자가 보고싶어 하는지를 추측하며[1][2][3] 그 결과 사용자들이 자신의 관점에 동의하지 않는 정보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하면서 효율적으로 자신만의 문화적, 이념적 거품에 가둘 수 있게 한다.[4] 목차 1 개요 2 우려 3 같이 보기 4 각주 5 외부 링크 개요[편집]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등의 인터넷 정보제공자가 이용자에 맞추어 필터링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이용자가 이미 필터링된 정보만을 접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같은 단어를 검색하여도 이용자에 따라 다른 정보가 화면에 등장하는 것이다. 이 단어는 미국의 정치 참여 시민단체 '무브온'의 이사장인 엘리 프레이저(Eli pariser)의 <생각 조종자들(원제 The Filter Bubble)>이라는 저서에서 등장하였다. 인터넷 정보제공자들은 이용자의 개인적 성향이나 관심사, 사용 패턴, 검색 기록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각 기업이 가진 알고리즘을 통해 이용자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데이터에 따라 우선적으로 노출시킬 정보를 선별한다. 따라서 인터넷 정보제공기업에 있어서는 이용자의 데이터를 정확히 분석하여 이용자들이 더 만족할 만한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페이스북, 구글, 왓챠, 야후 등이 이러한 구조로 선별적인 정보 제공을 한다. 우려[편집] 필터버블이라는 용어의 창시자인 엘리 프레이저는 필터버블의 위험성을 지적한다. 그는 자신의 저서 <생각 조종자들>에서 정보를 필터링하는 알고리즘에 정치적 혹은 상업적 논리가 개입되면, 필터링을 거친 정보만을 받아보는 정보 이용자들은 모르는 사이에 정보 편식을 하게 되고 그로인해 자신도 모르는 사이 타의에 의해 가치관 왜곡이 일어날 수 있음을 우려한다. 또한 사람인 담당자가 어떠한 정보를 제공할 것인지 취사선택하던 시절과 다르게 개개인의 필터버블을 만드는 알고리즘은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윤리성이나 가치판단을 할 수 없음을 지적한다. 더불어 알고리즘이 제대로 작동하는가의 문제는 차치하더라도, 필터버블은 한정된 정보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반대 성향을 가진 사람들의 글이나 새로운 정보, 평소에 보지 않던 분야의 뉴스 등을 접할 기회를 아예 박탈당하기 때문에, 이용자들의 지식과 가치관 확대를 방해할 수 있다고 말한다.[5] 엘리 프레이저는 2011년 TED 강연에서도 필터버블에 대한 우려를 표하였다. 그는 진보적 성향을 가진 자신의 페이스북 '피드'에 보수적 성향의 게시글이 올라오지 않는 것이 페이스북이 자신의 인터넷 사용 기록을 분석하여 필터링하였기 때문이라고 말하며, 그로인해 정치색이 다른 사람들의 생각을 알 수 없게 되었음을 지적한다. 또한 엘리 프레이저는 그 강연에서 필터링되어 개인의 입맛에 맞춰진 정보를 정크푸드에 비유하기도 하였다. 같이 보기[편집] 확증편향 각주[편집] ↑ Bozdag, Engin (2013년 6월 23일). “Bias in algorithmic filtering and personalization”. 《Eth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 15 (3): 209–227.  ↑ Web bug (slang) ↑ Website visitor tracking ↑ “The Huffington Post "Are Filter-bubbles Shrinking Our Minds?"”. 2016년 11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26일에 확인함.  ↑ 엘리 프레이저, 생각 조종자들 (당신의 의사결정을 설계하는 위험한 집단), 알키, 2011. 외부 링크[편집] Filter bubbles in internet search engines, Newsnight / BBC News, June 22, 2011 네이버 지식백과 - 필터버블 “검색 서비스의 진실”. 《네이버캐스트》.  TED - Eli pariser : Beware online "filter bubbles" vdeh역정보유형 대안적 사실 큰 거짓말 순환인용 기만 이중화법 에코챔버 현상 완곡어법 팩토이드 가짜뉴스 오류 무고 위장술책 필터 버블 가스라이팅 절반의 진실 악희 프레이밍 인터넷 조작 여론조작 탈진실 선전 몰맥락한 인용 날조 중상모략 Social bot 스핀 황색언론 역정보 공작 1995년 CIA 역정보 논란 CIA 케네디 암살 음모론 무선경기 하부시 서한 로드맵 첩보작전 Jihadunspun.com 존스타운 음모론 K-1000급 전함 마프카라트 알 이슬람 게지 공원 시위 관련 검열과 역정보 모하메드 아타와 프라하 커넥션 니제르 우라늄 조작사건 인펙티온 작전 해왕성 작전 쇼커 작전 큰부리새 작전 교황 비오 12세와 러시아 러시아의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개입 12좌 작전 긴장전략 인터넷 연구국 미육군 야전교범 30-31B호 웹 여단 노란 비 사건 역정보 대응 능동방법실무단 오정보대응반 해외 선전 및 역정보 대응법 동방전략사령반 FactCheck.org 폴리티팩트 Snopes.com 미국 정보국(USIA) 관련 연속기획: {{사기}}  · {{여론조작}}  · {{선전}} 이 글은 인터넷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필터_버블&oldid=24196294" 분류: 인터넷 검열여론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인터넷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РусскийSvenska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22: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필터 버블(filter bubble)은 개인화된 검색의 결과물의 하나로, 사용자의 정보(위치, 과거의 클릭 동작, 검색 이력)에 기반하여 웹사이트 알고리즘이 선별적으로 어느 정보를 사용자가 보고싶어 하는지를 추측하며 그 결과 사용자들이 자신의 관점에 동의하지 않는 정보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하면서 효율적으로 자신만의 문화적, 이념적 거품에 가둘 수 있게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필터 버블이라는 말어는 어떤 책에서 처음 등장했습니까? Assistant: <생각 조종자들(원제 The Filter Bubble)& Human: 아래 선거공영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선거공영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선거공영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선거공영제란 유권자들이 후보자의 자질과 능력을 고려하여 선거를 치러야 하며, 후보자 또는 정당의 정치자금 내지 재력에 의존하지 않아야 한다는 원칙 하에[1] 선거관련 비용을 국가가 부담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해 당선자 내지 일정 비율 이상의 득표를 한 후보자에 대해서는 선거비용의 전액 또는 일부를 보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거비용의 부담이 후보자로 나서는 것을 가로막지 못하게 하고 있다[2]. 목차 1 선거비용의 보전 사건 2 선거공영제에 대한 비판 3 각주 4 참고문헌 5 같이 보기 선거비용의 보전 사건[편집] 선거비용의 보전 사건은 공직선거법 제122조의2 등 위헌확인에 대한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판례이다. 선거공영제의 내용과 선거비용 보전의 요건은 우리의 선거문화의 풍토, 정치문화 및 국가의 재정상황과 국민의 법감정 등 여러 가지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입법자가 정책적으로 결정할 사항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선거비용 보전의 요건과 내용을 규정하는 것은 입법자에게 넓은 입법형성권이 인정되는 사항이므로, 이 사건 법률조항이 평등권을 침해하는지 여부를 심사함에 있어서는 차별취급이 재량권의 한계를 벗어나는지 여부에 관한 합리성 심사를 하면 족하다. 선거는 국가의 존속과 국민 전체의 이익을 위하여 국가의 공적 업무를 수행할 국민의 대표자를 선출하는 행위이므로 이에 소요되는 비용은 원칙적으로 국가가 부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거에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이를 부담할 국가의 재정상황을 고려하여야 함은 물론 현재의 정치상황과 선거문화를 고려하여 국가가 부담하는 비용이 무분별하게 사용되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하는 것이다. 진지한 공직 취임의 의사가 없거나 선거를 개인적인 목적에 악용하려는 사람들이 자유롭게 입후보할 수 있게 되어 후보자가 난립하게 된다. 다만 선거공영제의 취지에 반하여 그 기준이 자의적으로 지나치게 높게 설정한 것이 아닌지 문제되는데 이 사건 법률조항이 설정하고 있는 기준이 자의적으로 높은 것이라거나 그로 인하여 선거공영제의 취지에 위배된 결과를 초래한다고 할 수 없다. 이 사건 법률조항으로 인하여 후보자가 보전받지 못하게 되는 선거비용은 후보자가 개인적으로 지출한 것이고, 국가가 직접 부담한 선거비용까지 후보자의 부담으로 되는 것은 아니다. 선거공영제에 대한 비판[편집] 선거공영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 후보자에 대한 선거비용 부담을 완화하는 데 성공했지만, 정작 정치적으로 악용되고 있어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왜냐하면 해당 제도가 바로 각 후보자에 대한 불법선거자금을 예방한다는 취지에서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선거공영제의 본질에 대해서 조금만 깊게 생각해보아도, 유권자인 국민으로서 이미 불필요한 제도라고 간주되고 있다. 선거에 출마하는 후보에게는 좋은제도이지만, 정작 그 후보를 당선시키는 국민으로서는 정치계에 대한 뿌리깊은 불신을 생각하면 스스로에게는 국민의 혈세로서 국가가 각 후보에게 자금을 지원하는 백해무익한 제도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서, 2017년 대선에서 각 후보에게 지출된 선거자금의 정확한 금액은 알 수 없지만, 대략 다음과 같다고 한다. 1번 후보: 선거지원금(120억원) + 선거보전금(500억원) + 선거후원금(측정불가) 2번 후보: 선거지원금(120억원) + 선거보전금(500억원) + 선거후원금(측정불가) 3번 후보: 선거지원금(80억원) + 선거보전금(500억원) + 선거후원금(측정불가) 4번 후보: 선거지원금(80억원) + 선거보전금(500억원) + 선거후원금(측정불가) 5번 후보: 선거지원금(80억원) + 선거보전금(500억원) + 선거후원금(측정불가) 상기한 금액은 다름아닌 국민의 혈세이다. 게다가 각 후보들은, 특히 국회의원이 소속한 정당에서 출마한 후보의 경우에는 각 정당이 선거자금으로 후원받는 선거후원금만으로도 여유있게 선거활동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한 선거지원금과 선거보전금으로 지원되는 3,500억원을 굳이 각 후보와 정당에게 지원할 필요도 이유도 없는 것이다. 미국을 예로 들면, 모든 선거는 각 정당이 자신들의 후원자와 후원기업으로부터 받는 선거후원금와 당비로만 선거활동을 한다. 하지만 현재 한국은 각 정당과 후보에게 과분할 정도로 많은 선거지원금과 선거보전금을 주고 있고, 그 결과 선거활동을 하는 정당에는 선거 후에 막대한 자금이 남게 되는데, 이들 자금은 주로 고가의 빌딩으로 건설되어 탈바꿈하는 국민들이 보기에는 씁쓸한 결과로 나타난다. 국민으로서 냉정하고, 진지하게 생각해야 할 때가 되었다. 국민 각자가 국가에 바친 세금이 상기한 바와 같이 선거활동 지원이라는 명목으로 각 정당과 후보에게 전달되지만, 정작 선거활동에 쓰이는 경우는 드물며 오히려 각 정당의 자산만 증식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렇게 희한하고 어이가 없으며 순기능보다는 역기능이 짙은 선거공영제는 지금이라도 당장 폐지되어야 하며, 다른 대안을 찾는 것이 마땅하지만, 현재 국회의 특권을 고려하면 어려워 보인다. 그런데도, 해당제도는 전 세계 국가에서 한국만 유일하게 시행하는 희한한 제도이고, 언젠가는 국민을 진정으로 생각하는 정치인이 나타나서 철폐해야한다. 얼마 안 있으면 지선이 시작되는데, 벌써부터 과연 이번 선거에 얼마나 많은 국민 혈세가 선거지원이라는 명목으로 낭비될지 걱정하고, 국가에 그 정도 예산이 있으면 차라리 생활이 어려운 국민에게 생활보조비로 더 보태주면 얼마나 좋겠냐고 푸념하는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린다. 결과적으로 정당의 이속만 챙기고, 국민은 외면하고 가난에 허덕이게 하는 선거공영제가 과연 이대로 괜찮은지 냉정하게 반성해야 한다. 각주[편집] ↑ 2008헌마491 ↑ 2008헌마491 참고문헌[편집] p 653-656, 정회철, 최근 5년 중요헌법판례 200, 여산, 2012. 헌법재판소 판례 2010.5.27. 2008헌마491 같이 보기[편집] 선거비용보전제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선거공영제&oldid=24068479" 분류: 선거 제도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17: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선거공영제란 유권자들이 후보자의 자질과 능력을 고려하여 선거를 치러야 하며, 후보자 또는 정당의 정치자금 내지 재력에 의존하지 않아야 한다는 원칙 하에 선거관련 비용을 국가가 부담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해 당선자 내지 일정 비율 이상의 득표를 한 후보자에 대해서는 선거비용의 전액 또는 일부를 보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거비용의 부담이 후보자로 나서는 것을 가로막지 못하게 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선거공영제를 시행하는 나라는 어디야? Assistant: 한국
Human: 아래 서기원_(1930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서기원 (1930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기원 (1930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서기원徐基源 출생일 1930년 10월 24일 출생지 일제 강점기 경성부 종로방 송월정 사망일 2005년 7월 30일 (74세) 사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본관 대구(大邱) 별명 호(號)는 산남(山南) 종교 유교(성리학) 정당 무소속 배우자 성기원(成耆媛) 자녀 슬하 3남 1녀 복무 대한민국 공군 복무 기간 1950년 11월 ~ 1955년 11월 최종 계급 대한민국 공군 대위 근무 대한민국 공군 항공사령부 지휘 정훈장교 주요 참전 한국 전쟁 서훈 내역 대한민국 금성화랑무공훈장 대한민국 현대문학 신인상 대한민국 동인문학상 대한민국 1977년의 한국문학상 대한민국 은관문화훈장 대한민국 예술원상 문학부문상 기타 이력 소설가 겸 언론인 정치가 겸 기업가 관료 겸 사회운동가 수필가 겸 대학 교수 KBS 한국방송공사 사장 한국공연예술진흥협의회 회장 한국공연예술진흥협의회 상임위원장 자유민주연합 문화예술행정특임위원 추계예술대학교 초빙교수 서기원(徐基源, 1930년 10월 24일 ~ 2005년 7월 30일)은 대한민국 공군 군인으로 복무한 전력이 있는 6·25 한국 전쟁 참전유공자(예비역 대한민국 공군 대위)이며 대한민국의 소설가, 언론인, 정치가, 관료, 기업가, 사회운동가, 수필가, 대학 교수이다. 목차 1 생애 1.1 일생 1.2 학력 1.3 주요 경력 1.4 수상 2 작품 2.1 소설 2.2 수필 3 작품의 유명세 4 가족 관계 5 외부 링크 생애[편집] 일생[편집] 그의 본관(관향)은 대구(大邱)이고 일제 강점기 경성부 종로방 송월정에서 출생하였고 이후 중화민국 장쑤 성 상하이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8·15 광복 이후 고국에 귀국을 하여 이후 미 군정 남조선 과도정부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과 미 군정 남조선 과도정부 충청남도 공주군 공주읍에서 청소년기를 보내었으며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중퇴 이후 1950년 11월에는 공군사관후보생 6기로 대한민국 공군 소위 임관을 하여 한국 전쟁에 참전하였고 이듬해 1951년 6월 공군 중위 진급하였으며 2년 후 1953년 3월 공군 대위 진급을 하였고 그로부터 2년 후 1955년 11월에는 대한민국 공군 대위 예편 이후 이듬해 1956년 11월 28일에는 2년 연하의 성기원(成耆媛)과 결혼하여 그녀와의 사이에서 슬하 3남 1녀를 두었다. 생전 그의 신장은 165cm이고 체중은 62kg이었으며 1957년 7월 단편 소설 《암사지도(暗射地圖)》로 문단에 첫 등단을 하였다. 그 후 언론인 겸 기업가로도 활약을 하였으며 국무총리 비서실 공보비서관과 대통령 비서실 공보수석비서관(1979년 사퇴) 등 정치 분야에서도 활동하였다. 1990년에는 KBS 한국방송공사 사장을 지낸 바 있다. 이후 1999년까지 한국공연예술진흥협의회 회장을 지냈다. 학력[편집] 충청남도 공주고등보통학교(前) → 경성제2고등보통학교 졸업(1949년)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 중퇴(1950년)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2기(1957년) 주요 경력[편집] 1956년 동화통신 기자(1956년 3월). 1957년 조선일보 기자(1957년 5월). 1957년 〈현대문학〉에 《암사지도》로 소설가 등단(1957년 7월). 1959년 서울신문 기자(1959년 5월). 1962년 서울경제신문 기자(1962년 7월). 1965년 서울신문 일본 주재 특파원(1965년 3월). 1967년 동화통신 경제부 부장(1967년 6월). 1970년 중앙일보 논설위원(1970년 7월). 1973년 경제기획원 대변인. 1976년 국무총리 비서실 공보비서관(1979년 대통령 비서실 공보수석비서관 겸 청와대 대변인 이임). 1979년 대통령 비서실 공보수석비서관 겸 청와대 대변인(1979년 사퇴). 1980년 행정개혁위원회 상임위원. 1982년 서울신문 상임감사. 1987년 서울신문 상임감사 직위 사퇴. 1988년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원장. 1988년 서울올림픽조직위원회 위원. 1988년 서울신문 사장. 1988년 행정개혁위원회 사회문화분과위원장(1989년 사퇴). 1988년 한국신문협회 회장(1990년 사퇴). 1990년 KBS 한국방송공사 사장(1993년 퇴임). 1990년 한국방송협회 회장(1991년 퇴임). 1991년 교육정책자문회의 자문위원(1992년 퇴임). 1991년 연합통신 비상임이사(1994년 퇴임). 1991년 수필가 등단. 1991년 아시아신문재단 대한민국위원회 이사장(1994년 퇴임). 1992년 안중근 의사 기념사업추진위원회 고문(1993년 퇴임). 1992년 서암학술장학재단 이사장(1999년 퇴임). 1992년 94한국방문의해 추진위원회 자문위원(1993년 퇴임). 1993년 한국낚시진흥회 회장(2001년 퇴임). 1995년 96 문학의해 조직위원회 위원장(1996년 퇴임). 1995년 호암상위원회 자문위원(1998년 퇴임). 1996년 대한민국 예술원 문학분과 회원. 1997년 한국공연예술진흥협의회 회장(1999년 퇴임). 1998년 한국공연예술진흥협의회 상임위원장(2000년 퇴임). 1998년 추계예술대학교 초빙교수(1999년 퇴임). 수상[편집] 1960년 현대문학상 1961년 동인문학상 1975년 한국문학상 작품[편집] 소설[편집] 암사지도(단편) - 1955년 안락사론(단편) - 1956년 여자의 다리(단편) - 1957년 오늘과 내일(단편) - 1958년 전야제(중편) - 1959년 사금파리의 무덤(중편) - 1960년 혁명(장편) - 1961년 김옥균(장편) - 1962년 조선백자 마리아상(장편) - 1977년 광화문(전7권) - 1978년 왕조의 제단(장편) - 1984년 마록열전(장편) - 1985년 이 성숙한 밤의 포옹(단편) - 1986년 수필[편집] 물따라 고기따라 - 1991년 작품의 유명세[편집] 그가 1977년에 집필 완료 발표한 소설 《조선백자 마리아상》이라는 작품은 1988년 KBS 한국방송공사에서 2부작 성탄특집 사극 드라마 각색 제작되기도 하였다. 가족 관계[편집] 본인: 서기원(徐基源) 배우자: 성기원(成耆媛) 딸: 서동숙(徐東淑) 장남: 서동준(徐東浚) 차남: 서동한(徐東漢) 삼남: 서동철(徐東澈) 외부 링크[편집] 마이고 인물정보 - 예비역 대한민국 공군 대위 서기원 前 한국공연예술진흥협의회 회장 조인스 인물정보 - 예비역 대한민국 공군 대위 서기원 前 한국공연예술진흥협의회 회장 두산대백과사전 - 예비역 대한민국 공군 대위 서기원 前 한국공연예술진흥협의회 회장 전임서영훈 제9대 KBS 한국방송공사 사장1990년 4월 ~ 1993년 3월 후임홍두표 전임서영훈 제7대 한국방송협회 회장1990년 5월 28일 ~ 1993년 3월 26일 후임홍두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서기원_(1930년)&oldid=23730508" 분류: 1930년 태어남2005년 죽음서울특별시 출신대구 서씨한국방송공사 사람대한민국의 소설가대한민국의 언론인대한민국의 수필가중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타이완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대한민국의 저술가추계예술대학교 교수대한민국의 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대한민국 공군 대위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대한민국의 반일 감정대한민국의 반공주의자20세기 대한민국 사람21세기 대한민국 사람대한민국의 참전유공자경복고등학교 동문국방대학교 동문자유민주연합 당원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유교 신자현대문학상 수상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Français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9일 (화) 00: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서기원(徐基源, 1930년 10월 24일 ~ 2005년 7월 30일)은 대한민국 공군 군인으로 복무한 전력이 있는 6·25 한국 전쟁 참전유공자(예비역 대한민국 공군 대위)이며, 대한민국 소설가, 언론인, 정치인, 관료, 기업인, 사회운동가, 수필가, 대학 교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서기원이 문단에 등단하게 된 작품은 무엇일까요? Assistant: 암사지도(暗射地圖) Human: 아래 조조의_서주_침공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조조의 서주 침공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조의 서주 침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서주 침공후한말의 일부청나라 때 그려진 삼국지연의의 해당 부분 삽화.날짜193년 ~ 194년장소후한 서주 일대(오늘날의 중국 장쑤 성)결과 조조군의 승리교전국 연주군벌 서주군벌지휘관 조조 도겸유비전해공융병력 불명 5,000 명 이상피해 규모 불명 민간인 100,000 명 이상 vdeh후한말 180년대 황건적의 난 양주의 난 흑산적의 난 십상시의 난 190년대 동탁 토벌전 형양 전투 양성 전투 계교 전투 형양 전투 봉구 전투 서주대학살 복양 전투 삼보의 난 강동 평정 완성 전투 하비 전투 역경 전투 원술 토벌전 200년대 관도 전역 두씨진 전투 백마 전투 연진 전투 관도 대전 창정 전투 신야 전투 박망파 전투 하구 전투 하북 전역 여양 전투 업 전투 남피 전투 백랑산 전투 강하 전투 신야성 전투 적벽 전역 장판 전투 적벽 대전 이릉 전투 육현의 난 제1차 합비 전투 강릉 전투 남군 전투 210년대 동관 전투 유수구 전투 기현 전투 유비의 입촉 양평관 전투 한중 전투 파서 전투 정군산 전투 한수 전투 제2차 합비 전투 번성 전투 형주 공방전 삼국시대 → 서주 침공(徐州侵攻)은 후한말의 군벌 조조가 서주자사 도겸이 자기 아버지 조숭을 죽인 것을 빌미로 서기 193년에서 194년에 걸쳐 서주에 대한 토벌을 행한 사건이다. 침공은 193년과 194년에 걸쳐 두 번 이루어졌으며, 두 번 모두 서주의 여러 고을을 점령한 조조군은 민간인을 상대로 한 학살을 저질러 모두 합해 10만 명 이상의 민간인이 사망했다. 목차 1 배경 2 제1차 서주 침공 3 제2차 서주 침공 4 결과 5 각주 6 참고 자료 배경[편집] 조조의 아버지 조숭은 은퇴한 이후 고향인 초(譙; 오늘날의 안휘성 보저우) 땅에 살고 있었는데, 동탁 토벌전 때 그 일대가 전쟁터가 되자 조숭은 싸우러 나간 조조를 제외한 다른 식구들을 데리고 서주 낭야(琅邪; 오늘날의 산동성 린이)로 이사갔다. 조조는 193년 연주 일대에 근거지를 마련한 군벌로 성장했고, 아버지를 자기 영지로 모셔오려 했다. 그러나 조숭을 비롯한 조씨 가문 사람들은 연주와 서주의 주 경계 부근에서 살해당했다. 조숭의 죽음에 관해서는 두 가지 기록이 있는데, 하나는 서주자사 도겸이 부하를 보내 조숭을 죽였다고 하고, 다른 기록에서는 도겸이 조조를 두려워해 조숭을 지키라고 부하들을 보냈는데 그 부하들이 조숭의 재물을 노리고 조숭을 죽인 뒤 도망갔다고 한다. 어쨌든 조조는 아버지의 복수를 하기 위해 서주로 칼끝을 향했다.[1] 제1차 서주 침공[편집] 193년 여름 또는 가을 조조는 병력 불상의 군대를 이끌고 서주를 공격하여 10개 이상의 성을 함락시켰다.[2][3][4] 서주자사 공관 소재지인 팽성(彭城; 오늘날의 강소성 쉬저우)을 함락한 조조는 10,000 명 이상을 죽였다. 도겸은 섬성(剡; 오늘날의 산동성 린이시 담성현)으로 도망갔다.[2][3] 도겸을 잡아 죽이는 데 실패하고 식량도 떨어지자 조조는 군사를 돌렸고,[5] 철수하는 길에 취려(取慮), 수릉(睢陵), 하구(夏丘)를 약탈했다.[6] 팽성에서 도망쳐 나온 난민들이 이들 외곽 지역으로 몰려들었었는데, 조조는 남녀 합쳐 민간인 100,000 명을 죽였고 그들의 시체로 인해 사수(泗水) 강물이 막힐 지경이었다. 조조군은 민가의 닭과 개를 잡아먹고 집을 허물어 촌락들을 폐허로 만들고 연주로 돌아갔다.[7][8] 제2차 서주 침공[편집] 194년 봄, 조조군은 서주를 재침했고, 도겸은 청주자사 전해에게 구원을 청했다. 전해는 구원병 수천 명을 파견했는데 그 지휘관은 유비였다. 도겸은 조조의 포위망 남쪽을 뚫고자 하여,[9] 유비를 예주자사로 추대하고 4,000 명의 군사를 그에게 딸려 보냈다.[10][11] 유비는 도겸의 부하 조표와 함께 담(郯) 동쪽에 주둔했다.[12][13] 조조군은 낭야와 동해(東海; 오늘날의 산동성 탄청 현 근교)를 약탈하면서, 지나가는 길에 있는 모든 것을 파괴했다. 그리고 서쪽으로 돌아가는 길에 유비가 이끄는 도겸군과 조우하여 이를 무찔렀다.[12][13] 유비를 패퇴시킨 후 조조는 근처의 양륙(襄賁)도 점령했다.[14] 조조에 의해 속수무책으로 짓밟히던 서주는, 조조의 근거지인 연주에서 장막과 진궁이 조조를 배신하여 여포를 조조와 대립하게 함으로써 살아날 수 있었다. 근거지가 여포에 의해 불안정하게 되자, 조조는 도겸에 대한 복수를 포기하고 여포를 치기 위해 군사를 돌렸다.[15] 결과[편집] 조조가 돌아간 뒤 유비는 전해에게 돌아가지 않고 도겸 곁에 남아 있다가 194년 도겸이 사망하자 도겸의 유언에 의해 서주자사직을 위임 받았다.[16] 결과적으로 이득을 본 군벌은 공손찬, 전해 등의 밑을 전전하다가 독립 근거지를 마련하게 된 유비뿐이었다.[17] 각주[편집] ↑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1.11, biography of Cao Cao: 興平元年春,太祖自徐州還,初,太祖父嵩去官後還譙,董卓之亂,避難琅邪,為陶謙所害,故太祖志在復讎東伐。 ↑ 가 나 Zizhi Tongjian, 60.1945: 秋,操引兵擊謙,攻拔十餘城,至彭城,大戰,謙兵敗,走保郯。 ↑ 가 나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8.249, biography of Tao Qian: 初平四年,太祖征謙,攻拔十餘城,至彭城大戰。謙兵敗走,死者萬數,泗水為之不流。謙退守剡。 ↑ History of Chinese Warfare, vol. 4, p 67 ↑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8.249, biography of Tao Qian: 太祖以糧少引軍還。 ↑ Book of the Later Han, 73.2367: 謙退保郯,操攻之不能克,乃還。過拔取慮、雎陵、夏丘,皆屠之。 ↑ Book of the Later Han, 73.2367: 凡殺男女數十萬人,雞犬無餘,泗水為之不流,自是五縣城保,無復行迹。 ↑ Zizhi Tongjian, 60.1945: 初,京、雒遭董卓之亂,民流移東出,多依徐土,遇操至,坑殺男女數十萬口於泗水,水為不流。 ↑ To Establish Peace, 1.13 n 6 ↑ Zizhi Tongjian, 61.1949–50: 陶謙告急於田楷,楷與平原相劉備救之。備自有兵數千人,謙益以丹陽兵四千,備遂去楷歸謙,謙表為豫州刺史,屯小沛。曹操軍食亦盡,引兵還。 ↑ History of Chinese Warfare, 4.68 ↑ 가 나 Zizhi Tongjian, 61.1950: 曹操使司馬荀彧、壽張令程昱守甄城,復往攻陶謙,遂略地至琅邪、東海,所過殘滅。還,擊破劉備於郯東。謙恐,欲走歸丹陽。 ↑ 가 나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8.249, biography of Tao Qian: 興平元年,復東征,略定琅邪、東海諸縣。謙恐,欲走歸丹楊。會張邈叛迎呂布,太祖還擊布。 ↑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1.11, biography of Cao Cao: 太祖擊破之,遂攻拔襄賁,所過多所殘戮。 ↑ Zizhi Tongjian, 61.1950: 會陳留太守張邈叛操迎呂布,操乃引軍還。 ↑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8.250 n 2, biography of Tao Qian: 謙二子:商、應,皆不仕。 ↑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32.873, biography of Liu Bei: 謙病篤,謂別駕麋笁曰:「非劉備不能安此州也。」謙死,笁率州人迎先主,先主未敢當。 ... 先主遂領徐州。 참고 자료[편집] Chen Shou, 三國志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280s or 290s. Pei Songzhi, annotation, 429. Hong Kong: Zhonghua Publishing, 1971. 5 vols. de Crespigny, Rafe (2004). To Establish Peace (PDF) 1 internet판.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Faculty of Asian Studies.  Fan Ye, et al., 後漢書 (Book of the Later Han), 445. Beijing: Zhonghua Publishing, 1965. 12 vols. Sima Guang, et al., 資治通鑒 (Zizhi Tongjian), 1084. Hu Sanxing, annotation, 1286. Beijing: Zhonghua Publishing, 1956. 20 vols. Wu Guoqing; Mu Zhongyue. 《中國戰爭史》 [History of Chinese Warfare] 4. Beijing: Gold Wall Press.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조의_서주_침공&oldid=21587824" 분류: 193년 중국194년 중국삼국지와 관련된 한나라 전투중국의 학살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Bahasa Indonesia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6월 18일 (월) 08: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서주 침공(徐州侵攻)은 후한말의 군벌 조조가 서주자사 도겸이 자기 아버지 조숭을 죽인 것을 빌미로 서기 193년에서 194년에 걸쳐 서주에 대한 토벌을 행한 사건이다. 조조가 저지른 서주 민간인 학살에 초점을 맞춰서 서주 대학살이라는 명칭으로도 통용된다. 침공은 193년과 194년에 걸쳐 두 번 이루어졌으며, 두 번 모두 서주의 여러 고을을 점령한 조조군은 민간인을 상대로 한 학살을 저질러 모두 합해 10만 명 이상의 민간인이 사망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조조의 부친의 이름은 뭐야? Assistant: 조숭
Human: 아래 아시카가_요시노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아시카가 요시노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시카가 요시노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아시카가 요시노리 아시카가 요시노리(足利義教, 1394년~1441년)는 일본 무로마치 시대 중기에 재임한 무로마치 막부 제 6대 쇼군이다(재위:1428년~1441년). 제 3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의 삼남으로, 모친은 요시미쓰의 측실 후지와라 요시코(藤原慶子)로, 제 4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모치(足利義持)의 동복 동생이다. 당초 출가하여 기엔(義円)이라고 불렸으나, 가독을 잇기 위해 환속하여 요시노부(義宣)라 칭하였다. 그러나, 후에 개명을 결의하여 조정에서 하사한 요시토시(義教)라는 이름도 거절하고, 최종적으로는 요시노리(義教)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 목차 1 생애 1.1 쇼군 취임 1.2 막부 권위 부흥을 위하여 1.3 신명재판 정치 1.4 엔랴쿠지와의 항쟁 1.5 에이쿄의 난 1.6 간토 평정과 중앙집권의 실현 1.7 「만인 공포(万人恐怖)」 1.8 최후 2 요시노리의 헨기(偏諱)를 받은 사람 3 외부 링크 생애[편집] 쇼군 취임[편집] 오에이 원년(1394년) 6월 14일, 아시카가 요시미쓰의 삼남으로 태어났다. 오에이 10년(1403년), 아시카가 막부 쇼군 가독 상속자 이외의 자식으로서, 관례대로 불문에 들어가 기엔이라는 법명을 받고 쇼렌인(青蓮院)의 문적이 되었다. 오에이 26년(1419년) 11월에는 153대 천태종 좌주(天台座主)가 되어 '천태종 개벽 이래의 일재(逸材, 아주 뛰어난 인물)'이라 불리며 장래가 촉망되는 승려였다. 오에이 32년(1425년), 형인 제 4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모치(足利義持)의 자식인 제 5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카즈(足利義量)가 급서하고, 요시모치도 쇼초 원년(1428년)에 중태에 빠졌다. 그러나 요시모치 자신이 후계자 지명을 거부하였기 때문에, 각료들이 모여 평정을 개최한 결과, 이와시미즈 하치만 궁(石清水八幡宮)에서 제비 뽑기 의식을 거행하여 요시모치의 동생인 가지이 기쇼(梶井義承)·다이카쿠지 기쇼(大覚寺義昭)·고잔 에이류(虎山永隆)·기엔 중에서 쇼군을 결정하기로 하였다. 1월 17일, 이와시미즈 하치만 궁에서 제비를 뽑아, 그 다음날 쇼군 요시모치 사망 후에 개봉한 결과, 기엔이 후계자로 결정되었다. 제비 뽑기에 관해서는 신을 믿었던 중세의 일이었기 때문에 공정했을 것이라는 설 혹은 사전에 산보인 만사이(三宝院満済)가 손을 써서 부정했을 것이라는 설 등이 존재한다. 여하튼 이렇게 무로마치 막부 제 6대 쇼군으로 취임한 요시노리는 제비뽑기 쇼군(籤引き将軍)이라는 별칭을 가지게 되었다. 요시노리는 쇼군에 취임을 즉각 응낙하지는 않고, 취임 전에 간레이를 돌아가면서 차지하는 중앙 정부의 실력자들인 시바 가문(斯波氏), 하타케야마 가문(畠山氏), 호소카와 가문(細川氏)에게 ‘쇼군을 뒷전에 두고 멋대로 행동하지 않겠다’라는 서약서를 받아 내고 나서야 취임을 승낙하였다. 막부 권위 부흥을 위하여[편집] 쇼군 취임을 마친 요시노리의 목표는 실추된 막부 권위의 부흥과 쇼군 친정체제의 부활이었다. 부친 요시미쓰를 시책의 모범으로 삼은 것으로 여겨지며, 그 시발점으로 쇼초 원년(1428년), 쇼코 천황 사후의 천황위 계승 문제에 개입하였다. 고하나조노 천황의 신속고킨와카슈(新続古今和歌集)는 요시노리가 상주한 것이다. 산보인 만사이를 정치 고문으로 삼아 예의와 소송 수속 등을 요시미쓰 시대의 형식으로 되돌리고, 참가자의 신분과 가문이 정해져 있는 기존의 의결기관(효조슈(評定衆) 등)을 대신하여 쇼군이 스스로 주재하며 참가자를 지명하는 비공식 평정인 고젠사타(御前沙汰)를 협의기관으로 삼아 간레이의 권한을 제한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리고 요시모치 대에 중단되었던 명과의 감합무역을 재개하여 재정 정책을 손보는 등 막부 권력의 강화에 힘썼다. 또한 신사·사찰 세력에도 적극적으로 개입하였다. 군사적으로도 쇼군 직할의 치안 담당 기관 호코슈(奉公衆)를 정비하는 등 군제 개혁을 감행하여 군사력을 얻었다. 그리고 가마쿠라 구보 아시카가 모치우지(足利持氏)가 쇼초에서 에이쿄로 연호를 개원한 것을 무시하고 계속 쇼초 연호를 사용하고 가마쿠라 5산의 주지를 멋대로 결정하는 등 전횡을 일삼자, 이를 구실로 가마쿠라 구보 토벌을 시도하였다. 이는 간토 간레이 우에스기 가문(杉氏)의 반대로 단념하였으나, 대신 오우치 모리미(大内盛見)에게 규슈 정벌을 명하였다. 모리미는 전사하였으나, 모리미의 뒤를 이은 조카 오우치 모치요(大内持世)가 야마나 가문(山名氏)의 힘을 빌려 시부카와 가문(渋川氏)·쇼니 가문(少弐氏)·오토모 가문(大友氏)를 격파하고, 요시노리 자신의 심복이 된 모치요를 규슈 단다이에 임명하여 규슈를 쇼군의 영향력 하에 두었다. 신명재판 정치[편집] 요시노리는 영지 다툼과 신사의 인사 문제 등이 일어나면 스스로 심리하지 않고, 제비 뽑기 등의 신명재판(神明裁判)에 맡겼다. 이에 대해서는 신의 권위를 빌려 중신과 구게 등의 반론을 제압하고, 스스로의 독재 권력을 확립하기 위한 것이라는 설과, 스스로가 신의 뜻에 의해 무로마치 쇼군이 되었다는 왕권신수 의식에 따른 것이었다는 설 등이 주장되고 있다. 이러한 신명재판은 주로 영지 경제 문제와 조정 관련 문제에 한정되어, 슈고 인사와 군사면에서는 시행하지 않았다. 엔랴쿠지와의 항쟁[편집] 본래 천태종 좌주였던 요시노리는 환속 후 바로 동생 기쇼(義承)를 천태종 좌주에 임명하고, 천태종 세력을 포섭하려고 했다. 에이쿄 5년(1433년)에 엔랴쿠지(延暦寺) 승도들이 막부의 부교의 부정을 비판하는 12개조의 탄핵소송을 제기하였다. 만사이와 간레이 호소카와 모치유키(細川持之)가 유화책을 주장하였기 때문에, 요시노리는 부교를 유배하는 것으로 사건을 수습하였다. 그러나 히에이 산 승도들은 승소의 기세를 몰아 소송 결과에 동조하지 않고 온조지(園城寺)까지 불태우는 사건이 일어났다. 요시노리는 격노하여 스스로 병사를 이끌고 온조지 승병과 함께 히에이 산을 포위하였다. 이에 히에이 산 측이 즉각 항복하여 일단 화목이 성립되었다. 그러나 이듬해(1434년) 7월, 엔랴쿠지가 가마쿠라 구보 아시카가 모치우지와 내통하여 요시노리를 저주하고 있다는 소문이 퍼졌다. 요시노리는 즉시 오미 슈고 교고쿠 모치타카(京極持高)·롯카쿠 미쓰쓰나(六角満綱)에게 명하여, 히에이 산 일대를 포위하여 물자의 유입을 막았다. 더욱이 11월에는 군사가 히에이 산 산하 마을인 사카모토(坂本)의 민가에 방화하여 주민이 히에이 산으로 피난하는 소동이 일어났다. 엔랴쿠지 측이 항복 의사를 밝히고, 간레이 호소카와 모치유키 등 막부의 중신들도 사면 요청을 하였으나, 요시노리는 좀처럼 승낙하지 않았다. 12월 10일, 모치유키 등 막부 중신 5인이 “히에이 산 사면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저희의 교토 저택을 불태우고 영지로 돌아가겠습니다”라고 강경한 요청을 거듭하였다. 12일, 요시노리는 뜻을 꺾고 화해에 응하여 엔랴쿠지 대표 4인을 알현한 뒤 군대를 물렸다. 그러나 요시노리는 엔랴쿠지를 진심으로 용서하지 못하고, 에이쿄 7년(1435년) 2월, 앞서 온 엔랴쿠지 대표 4인을 교토로 초빙하였다. 그들은 요시노리의 저의를 의심하여 좀처럼 상락하려고 하지 않았으나, 간레이 모치유키가 맹세장을 보내왔기 때문에 교토로 출두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출두하자마자 참수당했고, 이 사실을 들은 엔랴쿠지 신도들은 격앙하여, 이 처사에 대한 항의의 표시로 근본중당(根本中堂)에 방화하고, 24인의 신도가 분신자살하였다. 불길은 교토에서도 보여 세간이 소란스러워졌다. 요시노리는 히에이 산에 대한 소문을 이야기하는 자는 참수형에 처한다는 명령을 내렸다. 그 뒤, 엔랴쿠지 대표 후임으로 친막부파의 승려가 새로이 임명되고, 반년 뒤에는 근본중당 재건도 개시되었다. 에이쿄의 난[편집] 가마쿠라 구보 아시카가 모치우지는 요시모치의 동생들은 모두 승적에 들었으나, 자신은 승적이 들지 않았기 때문에 요시모치 사후 자신이 쇼군에 취임했어야 했다고 믿고 있어 요시노리를 원망하고 있었다. 전술한 연호 문제는 타협으로 수습되었으나, 히에이 산 저주 문제에 에이쿄 10년(1438년)에 모치우지의 적남 아시카가 요시히사(足利義久)의 관례 때 요시노리를 무시하고 멋대로 이름을 붙여준 것(당시에는 쇼군에게 한 글자를 받는 것이 관례였다) 등 문제를 일으켜 모치우지와 막부와의 관계는 일촉즉발의 상황이 되었다. 이러한 때에 때때로 모치우지에게 충고를 해주던 간토 간레이 우에스기 사다자네(上杉憲実)가 모치우지가 자신을 소원하게 여기는 것에 신변의 위험을 느껴 영지 고즈케 국으로 도망가고, 모치우지가 사다자네 토벌군을 일으키기에 이르렀다. 요시노리는 이를 호기로 여겨 사다자네와 손을 잡고, 간토의 제 다이묘를 모치우지 포위망을 결성하여, 토벌 칙령을 받고 모치우지를 조정의 적으로 인정받아, 이듬해 에이쿄 11년(1439년)에 간토 토벌군을 일으켰다(에이쿄의 난). 모치우지는 대패하고 삭발, 공순의 자세를 보였으나, 요시노리는 사다자네의 구명 탄원에도 아랑곳않고 모치우지 일족을 살해하였다. 그 뒤 간토에서 자신의 세력권을 넓히기 위하여 친아들을 새로운 가마쿠라 구보로 내려보냈으나, 이는 우에스기 가문(上杉氏)의 반대에 부딪혀 좌절되었다. 또한, 요시노리의 아들 아시카가 요시마사 대에 아시카가 마사토모(足利政知)가 막부 공인 가마쿠라 구보로서 간토로 부임하여 요시노리의 계획이 실행되기에 이르렀으나, 결국 마사토모는 가마쿠라에 들어가지 못한 채 이즈 국 호리고에(堀越)에 머무르며 호리고에 구보(堀越公方)라고 칭하게 된다. 간토 평정과 중앙집권의 실현[편집] 요시노리는 가마쿠라를 평정하였으나, 에이쿄 12년(1440년)에 도망친 모치우지의 아들 안오마루(安王丸)·슌오마루(春王丸) 형제가 유키 우지사다에게 가담하여 판란을 일으켰다(유키 전투(結城合戦)). 요시노리는 은거하고 있던 사다자네에게 토벌을 명하였으나, 간토 제장의 완강한 반항에 직면하여 무작정 공세에세 병량 공세로 전환하여 다음해 가키쓰 원년(1441년) 4월에는 진압에 성공하였다. 모치우지의 두 아들은 교토로 호송되던 중에 참수되었다. 또한 야마토 에이쿄의 난(大和永享の乱)에서 유력 고쿠진과 후남조(後南朝) 세력을 토벌하였다. 이러한 난 진압 때 요시노리는 조정의 윤지를 받아 상대를 ‘조정의 적’으로 삼아 토벌하였는데, 이것이 센고쿠 시대에 조정의 권위 회복의 한 요인이 되었다는 설도 있다. 또한 요시노리는 유력 슈고 다이묘들의 가독 계승에 적극적으로 간섭하여, 오우치 모치요와 아카마쓰 사다무라(赤松貞村) 등 자신의 심복을 당주로 밀어 지배력을 강화하는 정책을 펼쳤다. 요시노리의 뜻을 거스른 슈고 다이묘 잇시키 요시쓰라(一色義貫)와 도키 모치요리(土岐持頼)는 자객의 손에 목숨을 잃었다. 요시노리 시대에는 쇼초 도잇키(正長の土一揆)와 후남조 세력의 반란 등 무로마치 막부를 둘러싼 정치·사회 정세가 불온하였는데, 요시노리는 규슈 평정, 종교 세력 간섭, 후남조 토벌, 간토 평정, 슈고 다이묘 간섭 등에서 성과를 거두어 권력의 중앙 집권화에 어느 정도 성공하였다. 「만인 공포(万人恐怖)」[편집] 요시노리는 가혹한 측면을 가지고 있어, 사소한 것에 격노하여 심하게 처단하는 경우가 많았다. 주요한 예는 아래와 같다. 에이쿄 2년, 구게 히가시보조 마스나가(東坊城益長)가 의식이 한창일 때 싱긋 웃는 얼굴 표정을 지었다. 이에 요시노리는 ‘감히 쇼군을 비웃다니!’하고 격노하여 마스나가의 영지를 몰수하고 본인은 칩거시켰다. 에이쿄 4년, 이치조 가네요시(一条兼良)의 저택에서 닭싸움이 벌어져 많은 사람들이 이를 구경하러 몰려들었다. 이 때문에 쇼군의 행렬이 통과하지 못하는 일이 생기자, 격노한 요시노리는 닭싸움을 일절 금지하고 교토 안에 있는 모든 닭을 도시 밖으로 추방하였다. 요시노리는 측실 히노 시게코(日野重子)의 오빠 히노 요시스케(日野義資)에게 쇼렌인 문적 시절부터 원한을 품고 있어, 쇼군에 취임하자 요시스케의 영지를 몰수하고 근신 처분을 내렸다. 에이쿄 6년, 시게코가 아들 아시카가 요시카쓰(足利義勝)를 낳자, 아이의 숙부가 되는 요시스케에게도 하례객이 방문하였다. 이를 불쾌하게 여긴 요시노리는 방문객에게 모두 처벌을 내렸다. 더욱이 6월 8일에는 요시스케가 누군가에게 참살당하였다. 요시노리의 사주라는 소문이 돌았으나, 그 소문을 흘린 산기 다카쿠라 나가후지(高倉永藤)는 이오지마(硫黄島)으로 유배되었다. 히에이 산 근본중당(根本中堂)의 화재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것도 엄하게 금지하여, 그 금령을 어긴 상인은 참수되었다. 술을 따르는 것이 서투르다는 이유로 쇼나곤 국의 시녀를 죽을 정도로 매질하고, 삭발시켜 비구니가 되게 하였다. 자신에게 설교하려고 한 니치렌슈(日蓮宗) 승려 닛신(日親)을 끓는 솥에 머리부터 담구어 두번 다시 이야기할 수 없도록 혀를 잘랐다. 이에 머물지 않고 ‘헌상받은 매화 가지를 꺾었다’‘요리가 맛이 없다’는 사소한 이유로 정원사와 요리사를 벌한 것이 당시의 기록에 다수 남겨져 있다. 에이쿄 6년(1434년) 6월, 나카야마 사다치카(中山定親)가 자신의 일기 《삿카이키(薩戒記)》에 요시노리에게 처벌 받은 사람 수를 헤아린 것을 보면, 공경 59인, 신관 3인, 승려 11인, 궁녀 7인이 처벌받았다고 한다. 그 중에는 천황의 생모, 황족, 간파쿠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수는 무가와 서민은 포함되지 않은 수로, 이 외에도 상당수일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사적은 요시노리가 공포정치를 지향한 것과, 가학성을 가지고 있던 것을 보이는 일화로 전해져온다. 사다후사 친황(貞成親王)은 《간몬닛키(看聞日記)》에 전술한 소문을 흘린 상인의 참수를 언급하며 “만인이 공포에 떠나니, (소문은) 말하지 마라, 말하지 마라”고 기록하였다. 이 때문에 ‘만인 공포’를 요시노리 시대를 상징하는 말로 보는 경우도 많다. 최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가키쓰의 난입니다. 에이쿄 9년(1437년) 즈음부터 쇼군 요시노리가 아카마쓰 미쓰스케(赤松満祐)를 토벌하려 한다는 소문이 퍼져나갔다. 가키쓰 원년(1441년) 6월 24일, 아카마쓰 미쓰스케는 ‘새끼 오리가 다수 출몰’한 것과 간토의 가마쿠라 구보 모치우지 정벌을 마친 것을 위로한다는 명목으로 요시노리에게 자신의 관에 방문하여 축연을 올리게 해 줄 것을 소청하였다. 당시, 쇼군이 가신의 관으로 가 축연을 베푸는 것은 중요한 정치 의식이었다. 요시노리는 소수의 측근을 대동하고 아카마쓰 저택으로 가 축연에 참석하였으나, 축연이 한창일 때 암살당하였다. 향년 48세. 주인을 잃은 막부는 혼란에 빠져서 토벌대를 보내지 못하고 우왕좌왕하는 사이, 아카마쓰 미쓰스케·노리야스(教康) 부자는 영지 하리마로 귀국하였다. 같은 해 7월 11일이 되어서야 막부는 토벌군을 편성하여, 호소카와 모치쓰네(細川持常)·야마나 소젠(山名宗全) 등이 아카마쓰 가문을 토벌하여 멸망시켰다. 이를 가키쓰의 난이라 부른다. 후시미노미야 사다후사 친왕(貞成親王)은 ‘자업자득의 말로는 이리도 무력한 것인가. 쇼군이 이러한 개죽음을 당한 것은 고래에 그 예를 들어본 적이 없나니’(《간몬닛키(看聞日記)》)라고 평하였다. 이 사건의 결과, 요시노리에 의해 부흥되었던 쇼군 권력은 결국 약해져 가게 되었으나, 요시미쓰의 기타야마 문화(北山文化)를 받쳐준 쇼군의 중앙 집중 권력이 요시노리 대에 다시 한번 확립된 것도 사실이다. 또한 요시노리가 설립한 호코슈 제도는 쇼군 권력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기구가 되어 오닌의 난(応仁の乱)을 거쳐 메이오 정변(明応の政変)에 이르기까지 쇼군 권력을 유지해 나가는 데 일조하게 된다. 요시노리의 헨기(偏諱)를 받은 사람[편집] 아카마쓰 노리야스(赤松教康) 잇시키 노리치카(一色教親) 오우치 노리히로(大内教弘) 오우치 노리유키(大内教幸) 고노에 노리모토(近衛教基) 쇼니 노리요리(少弐教頼) 호소카와 노리하루(細川教春) 야마나 노리키요(山名教清) 야마나 노리토요(山名教豊) 야마나 노리유키(山名教之) 기타바타케 노리후사(北畠教具) 이마데가와 노리스에(今出川教季, 기쿠테이 노리스에)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아시카가 요시노리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전임아시카가 요시카즈 제6대 무로마치 막부 쇼군1428년 ~ 1441년 후임아시카가 요시카쓰 vdeh무로마치 막부의 정이대장군관련항목 : 무로마치 막부 - 무로마치 시대 - 무로마치 도노 - 아시카가 씨 - 정이대장군 1338년 ~ 1358년:아시카가 다카우지1358년 ~ 1367년:아시카가 요시아키라1368년 ~ 1394년:아시카가 요시미쓰1394년 ~ 1423년:아시카가 요시모치1423년 ~ 1425년:아시카가 요시카즈1429년 ~ 1441년:아시카가 요시노리 1442년 ~ 1443년:아시카가 요시카쓰1449년 ~ 1473년:아시카가 요시마사1473년 ~ 1489년:아시카가 요시히사1490년 ~ 1494년:※아시카가 요시키1494년 ~ 1508년:아시카가 요시즈미1508년 ~ 1521년:아시카가 요시타네 1521년 ~ 1546년:아시카가 요시하루1546년 ~ 1565년:아시카가 요시테루1568년:아시카가 요시히데1568년 ~ 1588년:※아시카가 요시아키 ※ 연도는 재임년도이다. 아시카가 요시키와 요시타네는 동일인이며, 아시카가 요시아키의 장군으로서의 직권이 사실상 정지된 해는 1573년이다.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51355451 LCCN: n2012042720 ISNI: 0000 0003 7504 5935 GND: 1169093752 NDL: 0091493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시카가_요시노리&oldid=22205797" 분류: 1394년 태어남1441년 죽음암살된 사람아시카가 요시미쓰무로마치 막부의 정이대장군일본의 승려환속한 사람노 (연극)14세기 일본 사람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еларуская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4일 (화) 15: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아시카가 요시노리(足利義教, 1394년 ~ 1441년)는 일본 무로마치 시대 중기에 재임한 무로마치 막부 제 6대 쇼군이다(재위:1428년~1441년). 제 3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의 삼남으로, 모친은 요시미쓰의 측실 후지와라 요시코(藤原慶子)로, 제 4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모치(足利義持)의 동복 동생이다. 당초 출가하여 기엔(義円)이라고 불렸으나, 가독을 잇기 위해 환속하여 요시노부(義宣)라 칭하였다. 그러나, 후에 개명을 결의하여 조정에서 하사한 요시토시(義教)라는 이름도 거절하고, 최종적으로는 요시노리(義教)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아시칸가 요시노리의 시대에 어떤 막부의 정세가 불안했던거야? Assistant: 무로마치 막부 Human: 아래 강릉지역_무장공비_침투사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강릉 무장 공비 침투 사건한반도 분쟁의 일부장소강원도 강릉결과 북한 승조원 1명 생포, 24명 사망(15명 사살)한국 군인 11명 외 6명 사망교전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지휘관 김동진 대장 미상 vdeh한국 전쟁 북의 공세 폭풍 작전 춘천 제1차 서울 고랑포 개성·문산 대한해협 옹진 의정부 수원 비행장 공중전역 안동 주문진항 오산 스미스 특수임무부대 평택 천안 조치원 대전 상주 영동 황간 하동 노치 부산 교두보 마산 포항 대구 제1차 낙동강 볼링장 전투고지 경주 함안 남강 가산 다부동 영산 제2차 낙동강 UN군의 반격 해주 인천 제2차 서울 282 고지 1950년 10월 12일 사리원 평양 영변 구진 정주 중공군 개입 온정 은산 박천 청천강 와원 장진호 페이스 특수임무부대 제3차 서울 의정부 채궁현 제1, 2차 원주 선더볼트 작전 쌍둥이굴 횡성 지평리 제3차 원주 주암리 원산 봉쇄 킬러 작전 리퍼 작전 매화산 코리지어스 작전 토마호크 작전 러그드 작전 불굴 작전 춘계공세 임진강 율동 가평 소양강 전선 교착 피의 능선 민덴 작전 펀치볼 단장의 능선 한강 코만도 작전 제1차 마량산 학당리 보통비행 작전 제2차 마량산 이리 고지 올드발디 고지 섬광 작전 백마고지 삼각고지 제1차 후크 고지 제2차 후크 고지 잣골 베가스 전초기지 포크찹 고지 제3차 후크 고지 해리 전초기지 금성 사미천 정전 협정 공중전 북한 폭격 MIG 협곡 순천 교살 작전 수풍댐 폭격 전후 분쟁 D.M.Z. 분쟁 1·21 사태 EC-121 격추 사건 판문점 강릉 무장공비 서해교전 여수 제1차 연평 제2차 연평 대청 천안함 제3차 연평 판문점 선언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江陵地域武裝共匪侵透事件)은 1996년 9월 북한 상어급 잠수함이 강릉시 부근에서 좌초된 후 잠수함에 탑승한 인민무력부 정찰국 소속 특수부대원 26명이 강릉 일대로 침투한 사건이다. 이에 대한민국 육군은 49일간 소탕 작전을 벌였으며, 그 과정에서 다수의 잠수함 승조원들과 대한민국 군인, 민간인들이 사망하고 승조원 1명이 생포되었다.[1] 육군 28개 부대, 해군 1개 함대, 공군 1개 전투비행단, 수십만의 예비군,경찰병력이 참여한 이 작전은 평균 일일 전투병력 4만 2천, 연일 전투인원은 150만에 이르는 거대한 작전이였다. 하지만 군인 12명, 예비군 1명, 경찰 1명, 민간인 4명 등이 사망하였고 부상자는 27명에 달하고 민간 손실액은 2천억원에 달한다고 한다.[2] 김영삼 대통령은 5박6일간의 청남대 연휴를 마치고, 국정현안 및 청남대 구상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3] 목차 1 참전 부대 2 배경 3 사건 경위 3.1 함정 및 탑승자 3.2 좌초 및 침투 3.3 검거 및 교전 4 상황일지 4.1 침투 4.2 탐지 및 신고 4.3 검거 및 사살 5 원인 분석 및 논란 5.1 원인 5.2 논란 6 사후 처리 및 여파 7 기타 8 각주 9 같이 보기 10 참고문헌 11 외부 링크 참전 부대[편집] 육군 특수전사령부 제3공수특전여단(비호부대) 제1야전군사령부 제36향토보병사단(백호부대) 제11기계화보병사단(화랑부대) 제8군단 제22보병사단(율곡부대) 제68동원보병사단(동해충용부대)(현. 제23보병사단(철벽부대)) 제102보병여단(일출부대)(현재 제102기갑여단으로 개편) 제3군단 제703특공연대(가리산특공대) 제2보병사단(노도부대) 제12보병사단(을지부대) 제2군단 제27보병사단(이기자부대) 배경[편집] 생포된 간첩의 증언에 의하면, 북한은 1994년부터 간첩 활동에 잠수함을 투입하였고, 1995년 9월에는 서귀포의 간첩 침투를 지원하기도 했다.[4] 1996년 2월 초, 동해에서 한국과 미국의 합동 훈련이 실시되었다.[5] 4월 4일, 북한은 남한 내에서 시행된 한미연합훈련에 대한 불만을 표하면서, 인민군 판문점대표부 담화를 통해 비무장지대와 관련된 규정들을 따르지 않겠다고 선언하고, 수일 간 판문점에서 무력시위를 벌였다.[6][7] 일부에서는 이를 북한의 식량난으로 인하여 북한 붕괴의 가능성과 흡수통일이 논의되고 있는 것에 대한 북한내의 위기의식이 표출된 것으로 보고, 확전의 위험성을 예측하였다.[8] 4월 19일, 북한의 경비정 2척이 서해 북방한계선을 넘어 기동훈련을 실시하였고,[9] 5월 17일에는 중부전선에서 무장한 북한군 7명이 비무장지대를 넘었다가 돌아갔다.[10] 5월 23일 새벽에는 북한 경비정 5척이 서해 북방 한계선을 넘었고,[11] 6월 14일에는 북한 경비정 3척이 북방 한계선을 넘었다.[12] 8월 14일에는 미군과 러시아군이 동해 북쪽 두만강 국경 부근 연안에서 합동으로 상륙과 구조 및 운송 훈련을 실시하였는데, 한반도의 유사시에 대비한 것으로 추측되었다.[13] 북한은 1996년 초부터 미군의 유해 송환과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었고, 9월 21일에는 미국의 대표가 북한을 방문할 계획이었다.[14][15] 사건 경위[편집] 함정 및 탑승자[편집] 상어급 잠수함 보도에 의하면, 상어급 잠수함은 북한에서 1986년부터 자체적으로 개발하였고, 사건 당시 10척을 보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16] 상어급 잠수함은 길이 23.5m, 폭 3.7m에 325톤급으로, 수상 7노트, 수중 12노트로 항해가 가능하다. 승조원은 11명이고, 10명이 추가로 승선할 수 있다. 무장으로는 어뢰 4발과 기뢰가 있다. 선체는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레이다나 음향탐지기로 탐지하기 어려우며, 잠수 및 부상 속도가 빨라 비정규전이나 특수공작에 이용된다.[17] 일부 언론에서는 고위 공직자의 언급을 인용하여 좌초 당시 남한 영해를 포함한 동해에서는 또 다른 2척의 상어급 잠수함이 활동하며 교신 중이었음이 미국 공군에 포착되었다고 보도되었다. 대한민국 국방부에서는 이같은 사실을 공식적으로 통보받지 못했다고 밝혔다.[18] 탑승 인원 대한민국 국방부와 국가안전기획부의 발표와 증언에 의하면, 잠수함에 탑승한 인원은 모두 26명이며, 북한 인민무력부 정찰부 소속으로, 대좌와 상좌 등 고위급 장교를 포함하며, 소위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19] 그중 19명이 승조원인 것으로 파악되었다.[20] 좌초 및 침투[편집] 사건을 시간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최초 발견 및 신고 9월 18일 새벽 1시 30분경 택시운전사가 강릉 해안 20m 해상에 좌초된 잠수함을 발견하여 파출소에 신고하였다.[21][22] 내부 조사 및 수색 대한민국 군에서는 2시경에 해안 초소에서 잠수함을 확인하였고, 부대의 전병력이 투입되었다. 3시 40분에는 침투의 흔적을 발견하고 ‘진돗개 하나’를 발령하였고, 5시경에는 전군 경계령이 내려졌다. 7시 20분에는 부근 도로에서 권총, 구명조끼 등의 유류품이 발견되었고, 19시부터 다음날 6시까지 동해안 일대의 통행이 금지되었다.[21][22] 4시 55분부터 경비함과 대잠초계기를 동원한 수색이 시작되었다. 7시 25분에 구조 대원이 잠수함 내부로 진입하였으며, 내부에서 AK소총과 실탄, 체코제 기관총이 발견되었다.[21][22] 잠수함은 9월 22일에 동해시로 예인되었다.[23] 국방부 성명 대한민국의 국방부는 대변인 성명에서 이 사건을 북한의 대남도발이며 중대한 정전협정 위반 사항이라고 발표하였다.[21] 검거 및 교전[편집] 수색과 검거 16시 45분에 동해 고속도로 부근에서 청바지를 입고 권총과 실탄을 소지한 승조원 1명이 주민 신고로 출동한 경찰과 격투 끝에 생포되었고, 민간인 복장을 한 11명이 청학산 정상에서 사체로 발견되었다.[22][24][25] 달아난 인원은 모두 13명으로 파악되었으며, 이후 이들은 곳곳에서 수색대와 교전을 벌였다.[26] 19일에는 동원된 4만여 명의 군·경찰·예비군과 헬리콥터 5대가 합동 수색을 벌였다.[27] 결과 수색은 9월 18일부터 11월 5일까지 49일간 계속되었고, 연인원 200만 명이 투입되었다.[28] 그 결과 잠수함에 탑승했던 26명중 살해된 11명을 발견하였고, 13명은 사살하고, 1명은 생포하였다. 수색대측은 장교를 포함한 11명의 군인, 경찰 1명과 예비군 1명을 포함한 민간인 6명이 교전 또는 사고로 사망하였다.[28][29] 상황일지[편집] 잠수함이 출발한 이후부터 사건이 마무리되기까지의 일지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30][31][32] 침투[편집] 잠수함이 발견되기 전의 상황은 생포된 승조원의 증언을 참고하였다.[33] 9월 13일 5시 : 승조원과 전투원 등 28명이 잠수함을 타고 함경남도 원산항 출발 9월 15일 2시 : 강릉 부근 해안에 3명 상륙 9월 17일 22시 : 전투 요원 복귀를 위해 접근 도중 좌초 탐지 및 신고[편집] 9월 18일 잠수함을 빠져나온 무장공비는 해안에서 30m 높이의 절벽을 타고 도로로 올라와 곧바로 괘방산으로 도주. 대부분 남쪽으로 향했으며 나머지는 정동천으로 도주 오전 1시 30분 경 : 강원도 강릉시 안인진리 대포동 해변에서 약 30m 떨어진 지점에서 소형잠수함이 좌초되어 있는 것을 택시기사가 발견하고 인근 강동경찰서에 "바다위에 소형 잠수함이 떠 있고, 그 안에서 섬광이 번뜩이고 비명이 들린다"고 신고 오전 1시 45분 경 : 신고를 받은 경찰과 택시기사가 해안경비를 담당하고 있는 인근 해안초소에 잠수함 발견사실 신고 오전 2시 5분 : 해안경계부대가 모든 병력을 잠수함 발견현장에 투입 오전 2시 15분 : 현장지휘관(중대장)과 5분 대기부대 출동 오전 2시 58분 : 현지연대장 "잠수정으로 추정된다"고 상부에 보고 오전 3시 40분 : 간첩 발자국 발견, 현지부대 '진돗개 하나' 발령 오전 4시 49분 : 해군 1함대 작전과장이 미확인물체는 "잠수정"으로 확인됐다고 보고 오전 4시 55분 : 해군 1함대 외곽차단조치 (경비함 5척, P-3CK 대잠초계기 1대) 검거 및 사살[편집] 9월 18일 오후 4시 30분 경 : 강동면 청학산 정상에서 청바지와 운동화 차림의 무장간첩 11명이 권총으로 자살한 시체를 수색대가 발견 오후 4시 45분 경 : 강릉시 모전1리 동해고속도로 굴다리 밑 숲속에서 이광수(31)가 인근 농민과 얘기를 나누다가 주민신고로 출동한 경찰에 붙잡혀 생포 오전 5시 : 1군 관할지역 전체에 진돗개 하나 발령 오전 5시 10분 : 전군 경계태세 발령, 합참 위기조치반 소집 오전 5시 11분 : 공군 비상전력 대기 오후 7시 경 : 동해안 일대 통행 금지 발령 9월 19일 오전 10시 30분 : 강릉시 강동면 언별리 단경골에서 은신중이던 간첩 4명 중 3명 사살 오후 2시 10분 경 : 칠성산 부근에서 3명 사살 오후 4시 10분 경 : 괘일재에서 1명 사살 9월 20일 오후 9시 경 : 강동면 임곡1리 민가에 권총을 든 간첩 1명이 들어와 옥수수등 음식을 빼앗아 달아남 오후 9시 30분 경 : 신석동 섬석교 부근에 무장간첩 2명 출현, 군과 교전 오후 9시 45분 경 : 강릉비행장 부근에서 총격전 발생, 도주 9월 21일 9시 30분 : 강동면 언별리 칠성산 망기봉 일대에서 도주 간첩 2명 발견, 교전 중 특전사 소속 이병희 중사(25)가 간첩의 조준사격으로 머리에 총상을 입고 사망 9월 22일 6시 15분 : 언별리 칠성산 계곡에서 무장간첩 2명 발견, 교전 후 사살. 교전 중 노도부대 소속 송관종 일병(21), 화랑부대 소속 강정영 상병(21)이 중상을 입고 병원으로 후송되던 중 사망 9월 23일 오전 6시 30분 : 칠성산 군경합동수색대 간첩소탕작전에서 민간인 1명이 오인 사격으로 사망, 군인 2명 중상[34] 9월 28일 오전 6시 45분 경 : 성산면 어흘리 왕제산 정상부근에서 잠수함 부함장 유림 사살 9월 29일 오후 8시 경 : 고성군 간성읍 진부리에서 을지부대 소속 한대성 병장(21)이 야간매복근무중 근무지를 무단이탈, 오인사격으로 사망 9월 30일 오후 3시 18분 : 왕산면 도마리 칠성산 서쪽에서 무장간첩 김영일 상위 발견, 교전 후 사살 10월 9일 오후 2시 50분 : 평창군 진부면 탑동리 활산목 인근에서 버섯을 채취하던 민간인 3명이 피살체로 발견 군은 "M16탄피 4개가 발견됐으나 탄피에는 일련번호가 없다"며 "무장간첩의 잔당에 의해 살해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힘 10월 12일 오후 8시 40분 경 : 연곡면에서 매복작전 중이던 철벽부대 중대장 홍동진 대위(26)가 오인사격으로 사망 11월 4일 오후 3시 경 : 인제군 서화면 서화2리 민통선 북방에서 거동수상자 2명 발견 11월 5일 오전 4시 28분 : 인제군 북면 용대리에서 무장간첩 2명과 교전. 교전 중 오영안 대령(49), 강민성 상병 등 4명 전사, 13명 부상. 우황룡 소위는 숙영지로 귀환 도중 무장공비의 총격을 받아 중상을 입었으나 후송되어 생존 오전 10시 30분 : 2명 사살 원인 분석 및 논란[편집] 원인[편집] 생포된 승조원은 잠수함이 기관 고장을 일으켰다고 주장하였으나, 대한민국의 군당국은 북한이 무장간첩을 남파한 것으로 보았다.[35] 침투 9월 16일에서 18일까지 동해안 일대에서는 대한민국 해군 함대가 기동 훈련 중이었다.[33] 대한민국의 군당국은 생포된 승조원이 인민무력부 정찰국 소속인 점, 표류로 보기에는 해류의 속도가 느린 점을 들어 좌초된 잠수함이 무장간첩을 침투시키고 귀환하려던 중 좌초한 것으로 추측하였고, 남북간 대화 거부를 부각시켜 미국과의 대화를 유도하기 위해 간첩을 파견한 것으로 보았다. 일부에서는 남북관계의 경색을 그 원인으로 추측하였다.[35] 북한은 이에 대하여 9월 23일 인민무력부 담화를 통해, ‘원산항을 출발한 잠수함이 훈련중 표류하였으며, 강릉 앞바다 해안에서 좌초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발표하였다.[36] 좌초 생포된 승조원의 진술에 의하면, 잠수함은 강릉 해안에서 300 ~ 400 m 떨어진 연해에서 잠수하던 중 좌초되었다.[37] 인양 작업 중의 보도에 의하면, 스크루에는 해초가 단단히 감겨 있었고,[38] 스크루 커버는 암초에 걸려 있었다.[39] 논란[편집] 잠수함의 침투와 한 발 늦은 수색으로 경비 태세의 허점과 신속하지 못한 대응이 지적되었다.[40] 북한이 한국과 국제 사회의 도움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무장 간첩을 남파한 것이 이치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었다.[41] 사후 처리 및 여파[편집] 3대 재난 강원도 도민들은 4월의 고성 산불, 7월 철원의 홍수 피해와 함께 추석(9월 27일)을 앞두고 일어난 무장공비 침투 사건으로 생활에 어려움을 겪었다.[42][43] 한 언론의 보도에 의하면, 관광 수입 감소, 농림어업 손실 등으로 입은 민간인의 피해가 모두 2,5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28] 생존자 유일하게 생포된 이광수(1965~)는 조사를 받은 뒤 대한민국으로 전향, 1997년 해군에 입대해 2013년 기준으로 군무원으로 근무하고 있다.[44] 조사를 받는 중에 '광어회와 쇠고기가 먹고 싶다'고 한 일화가 있다.[45] 시신 송환 1996년 12월 29일, 북한은 이례적으로 잠수함 사고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고 재발 방지 노력을 약속하는 공식적인 사과 성명을 발표하였고,[46] 그 다음날인 12월 30일 사망한 24명의 시신이 판문점을 통해 북한에 송환되었다. 이들 시신은 통상 적군묘지에 안장되지만, 북한의 송환 요구로 보관하던 중 화장하였다. 생존자에 의해 확인된 유골에는 이름이 붙여졌고, 나머지는 키와 몸무게와 혈액형을 기재하여 식별할 수 있게 하였다. 이날 있었던 시신 송환은 남북한 사이의 첫 시신 송환으로 기록되었다.[47] 통일공원 1997년 7월, 국방부는 사고 현장에 공원을 조성하여 좌초된 잠수함을 영구적으로 전시할 것을 발표하였다.[48] 15주년 행사 2011년 9월에는 강릉 잠수함 침투 사건 15주년을 맞이하여 대한민국 육군은 당시 상황을 재현하는 대규모 훈련을 실시하였다.[49] 기타[편집] 내무반 총기 난사 사건 수색이 진행되던 9월 22일 강원도 양구군의 한 부대에서 소속 병사가 초소로 이동 중 이탈, 내무반에 총기를 난사하고 민통선 북쪽 방향으로 탈영한 사건이 발생하였다.[50] 이 사고로 9명이 중경상을 입었으며, 다음날 오후 군 병력과 대치하던 탈영병의 자수로 31시간여 만에 사건이 종결되었다.[51] 각주[편집] ↑ 96년 강릉 침투사건, 《동아일보》, 1998.6.23 ↑ "강릉 무장간첩 침투사건 기록들", 《동아일보》, 1996.11.6 ↑ "김영삼 대통령 청남대구상, 대북문제, 경제난 극복대책 나올듯", 《매일경제》, 1996.09.30 ↑ "北「간첩 잠수함」 94년부터 침투", 《경향신문》, 1996.9.21 ↑ 한미해군 연합 기동훈련, 《한겨레》, 1996.2.10 ↑ 北"비무장지대 불인정", 《동아일보》, 1996.4.5 ↑ 북한이 문제삼고 있는'남한 군사활동', 《한겨레》, 1996.4.8 ↑ 북한내부의 최신정보, 《동아일보》, 1996.4.12 ↑ "판문점도발 연장아니냐"촉각, 《동아일보》, 1996.4.21 ↑ 무장北韓軍 7명 군사분계선 침범, 《동아일보》, 1996.5.18 ↑ 北경비정 5척 침범 어제 새벽, 《동아일보》, 1996.5.24 ↑ 북한 고속경비정 3척 한때 북방한계선 넘어, 《매일경제》, 1996.6.15 ↑ 동해북부서 미·러 합동 군사훈련, 《한겨레》, 1996.8.19 ↑ "北-美 관계개선 極祕합의", 《동아일보》, 1996.1.7 ↑ 리처드슨 21일 재방북, 《한겨레》, 1996.9.12 ↑ 어뢰장착 요원침투용, 《경향신문》, 1996.9.19 ↑ 작전수심 100m…특수공작용 北잠수함 제원, 《동아일보》, 1996.9.19 ↑ 北잠수함 2척 더있었다, 《경향신문》, 1996.9.24 ↑ 무장간첩 파장 고위장교 왜왔나 6.25후 침투론 최고계급, 《동아일보》, 1996.9.21 ↑ 무장간첩 침투 6인의 정체·행적 공작원 3명 투수임무 받은 要員, 《경향신문》, 1996.9.21 ↑ 가 나 다 라 무장간첩 잔당8명 交戰, 《경향신문》, 1996.9.19 ↑ 가 나 다 라 시간대별 상황, 《경향신문》, 1996.9.19 ↑ 北잠수함 동해시 예인, 《동아일보》, 1996.9.23 ↑ 잔당2명 민가출몰, 《경향신문》, 1996.9.19 ↑ 남루한 청바지에"간첩"예감, 《경향신문》, 1996.9.19 ↑ 7명射殺 6명 추적 어제, 《동아일보》, 1996.9.20 ↑ 잔당추적 장기화 조짐, 《경향신문》, 1996.9.21 ↑ 가 나 다 49일간 延200만 투입, 《경향신문》, 1996.11.6 ↑ 무장간첩사건의 시작과 끝, 《동아일보》, 1996.11.6 ↑ 무장간첩 침투일지, 《경향신문》, 1996.11.6 ↑ 강릉무장간첩 사건일지, 《동아일보》, 1996.9.25 ↑ 共匪사건 일지, 《매일경제》, 1996.11.6 ↑ 가 나 잠수함 떠나며 기밀문서 태워, 《경향신문》, 1996.9.20 ↑ 민간인1명 총맞아 사망, 《동아일보》, 1996.9.24 ↑ 가 나 북 의도 뭔가 무장간첩 침투 미국과 직접접촉 노린 충격요법, 《한겨레》, 1996.9.19 ↑ 北 인민무력부 담화 〈全文〉, 《동아일보》, 1996.9.24 ↑ "南韓함정 피해 유유히 침투", 《경향신문》, 1996.10.30 ↑ 강릉주민들 이틀째"불안한 밤", 《경향신문》, 1996.9.20 ↑ 北잠수함 스크루 인양, 《경향신문》, 1996.9.25 ↑ 구멍뚫린 육·해상 방어망, 《매일경제》, 1996.9.19 ↑ 溫情 대가가 무장間諜인가, 《경향신문》, 1996.9.19 ↑ 高城산불 폭우수해 간첩침투 강원도민「3災(재)」한숨, 《경향신문》, 1996.9.24 ↑ 수해 산불 간첩 3災에 가슴저민 江原 "시련은 삶의 담금질", 《경향신문》, 1996.12.31 ↑ 〔그리고 그후] 잠수함 무장공비 출신 이광수씨, 《조선일보》, 2007.5.25 ↑ "李광수「광어회」발언 암호아니다", 《동아일보》, 1996.10.17 ↑ 사과성명 전문, 《경향신문》, 1996.12.30 ↑ 간첩유골 첫 판문점송환 기록, 《동아일보》, 1996.12.31 ↑ 강릉침투 북한잠수함 현지에 영구 보존전시, 《경향신문》, 1997.8.1 ↑ 강릉 잠수함 침투 사건 15년…재현 훈련 실시, 《연합뉴스》, 2011.9.21 ↑ 내무반에 총난사뒤 탈영, 《동아일보》, 1996.9.23 ↑ 총난사 탈영병 대치하다 자수, 《한겨레》, 1996.9.24 같이 보기[편집]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 (1968년) 속초 잠수정 침투 사건 (1998년) 로버트 김 사건 참고문헌[편집] 세계일보 1996년 11월 6일자 외부 링크[편집] 강릉 잠수함 침투 사건 - 남북관계 지식사전, 통일부, 2013.10.5 통일공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강릉시 - 좌초된 잠수함을 전시하기 위해 조성된 공원이다. 1996년 9월 18일 뉴스데스크 vdeh 대한민국의 군사 사건1940년대 여순 사건 (1948년) 문경 양민 학살 사건 (1949년) 1950년대 국민방위군 사건 (1951년) 거창 양민 학살 사건 (1951년) 연천 사단장 살해 사건 (1959년) 1960년대 5·16 군사 정변 (1961년) 최영오 일병 사건 (1962년) 무장군인 법원 난입 사건 (1964년) 무장군인 김해경찰서 습격 사건 (1965년) 무장군인 고려대학교 난입 사건 (1965년) 해병대 공군비행학교 습격사건 (1966년) 해군 56함 침몰 사건 (1967년) 1·21 사태 (1968년)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 (1968년) 1970년대 대한민국 해군 방송선 피랍 사건 (1970년) 실미도 사건 (1971년) 충무 앞바다 YTL정 침몰 사고 (1974년)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년) 12·12 군사 반란 (1979년) 1980년대 5·17 비상 계엄 (1980년) 5·18 광주민주화운동 (1980년) 남해군 무장공비 간첩선 침투 사건 (1980년) 다대포 무장간첩 침투 사건 (1983년) 1990년대 혜화동 무장 탈영병 총격 난동사건 (1993년)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사고 (1993년) 양주 군부대 총기 난사 사건 (1994년)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년) 민주지산 특전사 동사 사고 (1998년) 속초 잠수정 침투 사건 (1998년) 여수 반잠수정 침투 사건 (1998년) 제1연평해전 (1999년) 2000년대 제2연평해전 (2002년) 육군훈련소 인분 사건 (2005년) 연천 530GP 사건 (2005년) 대추리 사태 (2006년) 2007년 강화 총기 탈취 사건 (2007년) 철원 군부대 수류탄 폭발 사고 (2008년) 대청해전 (2009) 2010년대 천안함 침몰 사건 (2010년) 연평도 포격 (2010년) 해병대 민항기 오인 사격 사건 (2011년) 강화도 해병대 총기 난사 사건 (2011년) 연천 후임병 구타사망 사건 (2014년) 강원도 고성 군부대 총기 난사 사건 (2014년) 서울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 총기 난사 사건 (2015년) 2015년 DMZ 지뢰폭발사건 (2015년) 서부전선 포격 사건 (2015년) 국군기무사령부 계엄령 준비 사건 (2017년) 포항 수리온 추락 사고 (2018년) 살인 사건 철도 사고 항공 사고 해양 사고 도로 사고 화재 사고 군사 사건 성범죄 사건 아동 학대 사건 폭발 사고 붕괴 사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강릉지역_무장공비_침투사건&oldid=24448652" 분류: 1996년 대한민국199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해군김영삼 정부1996년 남북 관계강릉시의 역사잠수함 사고1996년 9월1996년 10월1996년 11월1996년 분쟁1996년 해양 사고경찰관 순직 사건군인 순직 사건1966년 9월1966년 10월1966년 11월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Françaisעברית日本語Русский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9일 (수) 12: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江陵地域武裝共匪浸透事件)은 1996년 9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상어급 잠수함이 대한민국 강원도 강릉시 부근에서 좌초된 후 잠수함에 탑승한 인민무력부 정찰국 소속 특수부대원 26명이 강릉 일대로 침투한 사건으로 이에 대한민국 육군은 49일간 소탕 작전을 벌였으며 그 과정에서 다수의 잠수함 승조원들과 대한민국 군인, 민간인들이 사망하고 승조원 1명이 생포되었다.육군 28개 부대, 해군 1개 함대, 공군 1개 전투비행단, 수십만의 예비군, 경찰병력이 참여한 이 작전은 평균 일일 전투병력 4만 2천, 연일 전투인원은 150만에 이르는 거대한 작전이였지만 군인 12명, 예비군 1명, 경찰 1명, 민간인 4명이 사망하였고 부상자는 27명이며 민간 손실액은 2천억원에 달한다고 한다.김영삼 대통령은 9월 25일부터 30일까지 5박 6일간의 청남대 연휴를 보냈으며 국정현안 및 청남대 구상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고 전해진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상어급 잠수함에 타고 있었던 인원은 총 몇명이야? Assistant: 26명
Human: 아래 피핀_3세_(베르망두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피핀 3세 (베르망두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피핀 3세 (베르망두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피핀 3세(Pepin III, 844년/846년 - 893년/931년 1월 28일)는 프랑크 왕국의 왕족이자 서프랑크 왕국의 귀족으로, 베르망두아와 상리스, 페로네 백작 피핀 2세의 아들이었다. 샤를마뉴 대제의 둘째 아들 피피노 카를로만의 증손자였다. 목차 1 생애 2 가족 관계 3 참고 자료 4 각주 생애[편집] 출생년도는 불분명하여 844년생 설, 846년생 설, 840년생 설 등이 있다. 페로네와 생 캉탱, 상리스, 베르망두아의 백작 피핀 2세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이름 미상의 어머니는 카를 마르텔의 이복 혹은 동복 동생인 킬데브란트 1세 백작의 후손인 니벨룽기드 가문 출신의 여성이었다. 아버지 피핀 2세는 프랑크 왕국과 서로마 황제 샤를마뉴 대제의 손자인 롬바르디아의 왕 베른하르트 1세의 서자였다. 850년경 이후 아버지 피핀 2세의 사망으로 혹은 886년부터 베르망두아백작직을 계승했다. 877년 대머리 카를 2세에 의해 발루아 경(lord of Valois)에 임명되었다.[1] 후에 892년에 백작으로 승급되어 그의 영지는 백작령이 되었다. 877년 대머리 카를 2세에 의해 상리스의 백작에 임명되었다 한다. 그러나 일설에는 뚱보왕 카를 3세가 884년에 그를 상리스의 백작에 임명했다고 한다. 877년의 어느 시점부터는 북부파리의 영주도 겸하였다. 바이킹 족을 외드, 로베르 1세 형제가 격퇴하면서 서프랑크의 귀족들 중 외드 지지파와 샤를 3세 지지파가 나뉘어지자 892년부터 그는 형제인 헤르베르트 1세와 함께 말더듬이왕 루이 2세의 유복자였던 샤를 3세 생쁠의 지지파로 활동하였다. 893년 1월 28일 랭스에서 사망하였다. 그의 재산과 지위는 대부분 동생 헤르베르트 1세에게 상속되었다. 일설에는 그가 931년에 사망했다는 설도 있다. 훗날 상리스 백작을 역임한 그의 손자 베른하르트 2세(Bernard II of Senlis)는 친척인 베르망두아백작 헤르베르트 2세와 함께 서프랑크 왕국의 중부, 북부의 강력한 귀족이었다고 전하나, 자세한 행적은 기록이 전하지 않는다. 가족 관계[편집] 아버지 : 피핀 2세(810/815 - 850) 어머니 : 이름 미상 형 : 베른하르트 2세(Bernard II de Laon, 844년/845년 - 893년 이전) 동생 : 헤르베르투스 1세(Herbert I of Vermandois, 848년/850년 - 907년 11월 6일) 부인 : 레네스의 쿠니군데(Cunégonde de Rennes, ? - ?), 브르타뉴인 구르반드 레네스(Gurvand de Rennes)의 딸로, 친정어머니는 이름미상의 에리스포에의 딸 아들 : 피핀 2세 또는 피핀 3세(876년 - 922년, 상리스 백작) 며느리 : 쿠네군데(Cunegonde) 손자 : 베른하르트 2세(Bernard II of Senlis, 919년/893년 - 947년) 손자며느리 : 베르타 드 베르망두아(Bertha De Vermandois) 증손자 : 베른하르트 3세(Bernard III of Senlis, 1018년 사망) 증손녀 : 아델레(Adele) 증손자 : 상리스의 로베르 1세(Robert I of Senlis, 955년경 - 1034년 사망) 증손부 : 아델라이드 혹은 홀로이즈(Adelise / Heloise) 4대손 : 상리스와 페로네의 로베르 2세(Robert II of Senlis and Peroone, 1028년 사망), 남자 후손 단절 5대손녀 : 아델라이드 드 페로네(Adelaide de Peroone) 4대손 : 외드(Eudes de Peroone) 증손자 : 테오도리히(Theodoric, 985년 사망) 아들 : 후베르트(880년 - 907년 11월) 딸 : 발루아의 포파(Poppa of Valois) 사위 : 롤로(Rollo, 846년경 - 930년경) 외손자 : 윌리엄 1세 롱스워드(William I de Normandy, 893 - 942년 11월 17일) 참고 자료[편집] Dunbabin, Jean (2000). France in the making, 843-1180. Oxford University Press. McKitterick, Rosamond (1999). The Frankish Kingdoms under the Carolingians. Pearson Education Limited. 각주[편집] ↑ McKitterick, Rosamond (1999). The Frankish Kingdoms under the Carolingians. Pearson Education Limited, p. 360-361. 베르망두아 백작850년/886년 - 892년 후임헤르베르트 1세 전임피핀 2세 상리스 백작877년/884년 - 893년 후임피핀 4세 전임피핀 2세 발루아 경877년 - 892년 후임피핀 3세(백작으로 승격) 전임피핀 3세(발루아 경) 발루아 백작892년 - 893년 후임헤르베르트 1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피핀_3세_(베르망두아)&oldid=19884184" 분류: 846년 태어남893년 죽음프랑크 왕국의 왕족프랑크 왕국의 귀족헤르베르투스 왕조발루아 백작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Hrvatski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7년 10월 30일 (월) 00:0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피핀 3세(Pepin III, 844년/846년 - 893년/907년/931년 1월 28일)는 프랑크 왕국의 왕족이자 서프랑크 왕국의 귀족으로, 베르망두아와 상리스, 페로네 백작 피핀 2세의 아들이었다. 샤를마뉴 대제의 둘째 아들 피피노 카를로만의 증손자였다. 일부 견해로는 그가 이탈리아 남부 아브루초주의 토착 귀족가문인 베라르디 가문의 선조라는 설도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877년 피핀 3세는 카를 2세에 의해 어떤 직위에 임명되었나? Assistant: 발루아 경 Human: 아래 초한전쟁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초한전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초한전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초한시대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초한전쟁날짜기원전 206년~기원전 202년장소중국결과 한나라의 승리교전국 한 초지휘관 유방한신장량소하조참팽월번쾌 등 항우범증종리말용저 등 vdeh초한전쟁 거록 대전 신안대학살 홍문연 분봉조란 환정삼진 팽성 대회전 경색 전투 중원·형양 전역 형성 전투 팽월요초 한신의 북벌 안읍 전투 정형 전투 유수 전투 광무 대치 홍구 화약 해하 전투 초한전쟁(楚漢戰爭)은 기원전 206년 진나라의 멸망 후 서쪽의 초나라 패왕 항우와 한나라 왕 유방과의 5년에 걸친 전쟁을 뜻한다. 목차 1 개요 1.1 진나라의 붕괴 1.1.1 항우와 유방 1.2 관중으로 들어가기 위한 사투 1.2.1 홍문의 회 1.3 양쯔강의 비극 1.4 초한 전쟁의 배경 1.5 초한 전쟁 2 중요 전투들 2.1 삼진왕 vs. 유방 2.2 팽성대전 2.3 해하전투 3 관련 항목 4 참고 문헌 개요[편집] 진나라의 붕괴[편집] 진나라(秦)의 급격한 통일 정책과 농민에 대한 과중한 부역(賦役)으로 기원전 210년 시황제의 죽음 이후 각지에 반란이 일어나게 된다. 기원전 206년 옛 6국 중의 초나라(楚) 귀족인 항우(項羽)가 진나라를 타도했다. 이후 항우와 그의 협력자였던 유방(劉邦)과의 5년간에 걸친 사투(死鬪)가 벌어졌다. 항우와 유방[편집] 진나라가 혼란해지자 항우는 숙부 항량(項梁)과 함께 군사를 일으켰다. 유방도 패현에서 군사를 일으켰다. 항량과 항우는 초나라 왕의 후손 웅심을 회왕(懷王)으로 추대하였다. 기원전 207년 항우와 유방은 각각 진나라의 수도 함양(咸陽)으로 진격하였다. 회왕은 먼저 들어간 사람을 관중(關中)의 왕으로 봉한다고 약속했다. 관중으로 들어가기 위한 사투[편집] 유방과 항우는 의형제를 맺고 관중으로 출발한다. 항우는 힘으로 성을 점령하는 반면, 유방은 항복을 무혈로 얻어내어 순식간에 먼저 관중을 포위한다.그리고 결국 진나라의 자영은 항복하였고, 진나라는 멸망하고 만다. 한편, 항우는 뒤늦게 관중에 도착했으나 약속을 깨고 왕이 된다. 홍문의 회[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홍문의 회입니다. 함양에 항우보다 먼저 입성한 유방은 삼장악법을 공포해 진나라의 법을 바꿨는데 늦게 입성한 항우는 이것을 보고받고 홍문에 유방을 불렀는데, 이 홍문에서의 연회는 범증의 계책이었다. 범증은 세 가지 계책을 세워 유방을 죽이려 하였다. 첫째는 유방이 함양 입성 후 한 일들을 죄묻는 것으로 제대로 대답을 하지 못할 때 죽이는 것이고 둘째는 항우가 패를 들면 숨은 군사들이 나와 유방을 죽이는 것이고 셋째는 유방은 술을 잘 못하는 것을 이용해 술 취해 있을 때 실수를 저지르면 죽이는 것이 마지막 계책이다. 하지만 홍문의 연회가 했을 때 유방은 장량의 도움으로 살았고 둘째는 항우의 마음이 변해 죽이지 못했고 셋째는 임무를 맡은 진평이 유방에게는 조금만 주고 항우에게 는 술을 많이 주어 항우가 오히려 취했다. 그러자 다급해진 범증이 항우의 사촌 항장을 불러 검무(검을 이용한 춤)를 추다 암살하려 하였으나 항백이 유방에게 도움을 주어 성공을 못 하고 위험을 느낀 장량이 번쾌를 불러 항우와 술을 같이 하게 만들어, 결국 항우가 취해 유방 암살 계획은 실패로 끝났다. 양쯔강의 비극[편집] 항우는 초(楚) 의제(義帝)에게 팽성(彭珹)으로 수도를 이동할것을 요청했으나, 의제가 이를 거부하자, 화가 난 항우는 영포를 불러 의제를 양쯔강을 건너도록 하고 의제를 죽이라고 명령한다. 결국, 영포는 의제를 죽이고 배를 침몰시켰으나, 이를 지켜보던 백성들에게 큰 비난을 받았고, 백성들은 의제의 시체를 찾아 묻어 주었다. 그리고 이것은 훗날, 거의 모든 나라들이 항우에게 등을 돌리고 항우의 실패에 큰 원인이 된다. 초한 전쟁의 배경[편집] 항우는 진나라에 의해서 비롯된 중앙집권체제를 부정하고, 중국 전토에 여러 장수들을 봉건(封建)하여 전국시대(戰國時代)의 구질서를 부활시키는 방법을 택했다. 즉 회왕(懷王)을 받들어 의제(義帝)라 일컫고 침(郴)에 옮긴 후에 이를 죽였으며, 자신은 서초(西楚)의 패왕(覇王)이라 일컫고, 팽성(彭珹)에 도읍을 장하여 강소(江蘇), 안휘(安徽) 등지의 9군(郡)을 지배했다. 그리고 여러 장수에 대해서는 군공(軍功)과 협력의 정도에 의거하여 각 지역을 분봉(分封)했다. 유방에게는 파군, 촉군, 한중군의 땅을 떼어 주어 한왕(漢王)이라 하고, 기원전 206년 4월에는 군대를 해산하여 각각 봉국(封國)으로 철수시켰다. 그러나 항우가 실시한 논공행상(論功行賞)은 많은 불만을 남겼다. 특히 회왕(懷王)의 약속에 위반하여 벽지(僻地)의 한왕에 봉해진 유방은 가장 불만이 큰 사람이었다. 초한 전쟁[편집] 그해 8월, 유방은 관중을 공격하러 나섰다. 순식간에 관중 일대를 정복하여 역양에 도읍을 정한 유방은 이듬해 3월에는 의제의 복수를 주장하고 반초 세력을 결집하여 항우와 대결하게 되었다. 그 후 약 2년여에 걸쳐 항우와 유방은 상양 부근을 끼고서 동서에 대치하여 격투를 계속했다. 그동안, 유방은 싸움이라는 싸움에서는 모두 다 항우에게 패했으나, 진평(陳平) 등의 반간계략(反間計略)을 써서 교묘하게 항우의 여러 장수들을 이반시키는 한편, 한신을 제왕에 봉하여 배후에서 항우를 겨누게 했다. 또한 팽월에게 명하여 초나라의 양도를 끊게 하는 등, 서서히 항우를 괴롭혔다. 기원전 203년 8월에 일단 화의가 성립됐으나, 유방은 이를 어기고 항우를 추격하여, 그해 12월 항우는 사면초가 속에서 자살하고, 초·한의 싸움은 한나라의 승리로 돌아갔다. 중요 전투들[편집] 삼진왕 vs. 유방[편집] 기원전 206년 4월, 유방은 산지이자 귀양지인 파촉을 얻는다. 얼마 뒤, 천하통일의 최고공신인 한신을 얻고, 그해 8월, 마침내 관중을 향해 공격을 시작한다. 한신은 번쾌를 잔도 보구 현장에 내보내어 적들을 방심하게 만든 뒤, 기습 공격하여 삼진왕을 결국 모두 꺾고 이 전투는 유방의 대승으로 끝났다. 한편, 유방은 마침내 함양을 공격해 함락시켰다. 그러나 그 이후 유방은 가장 큰 패배였던 팽성대전을 맞게 된다. 팽성대전[편집] 팽성대전은 기원전 205년, 팽성에서 초나라와 한나라의 대규모 충돌을 말한다.당시 장량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불구하고 56만 대군을 일으킨 유방은 많은 반대 속에 유표를 대장군으로 삼고 팽성을 함락시킨다. 그러나 그 뒤 유방은 매일 연회를 열고, 점점 군기는 무너지고 있었다. 한편, 항우는 이 소식을 듣고 수수강변에 진을 치고 한나라와 충돌한다. 그러나, 군기가 무너진 한나라와 군기가 제대로 사로잡힌 초나라와의 싸움은 손쉽게 초나라의 승리로 끝났고, 그 뒤 엄청난 대패를 당한 유방은 힘겹게 도망치다가 겨우 형양성으로 피신할 수 있었다. 해하전투[편집] 팽성대전 이후 수많은 전쟁을 겪어오던 양국은 결국 기원전 203년 8월, 평화협정을 체결한다. 이 내용은 항우는 동쪽, 유방은 서쪽으로 다시 들어가고, 태공 등 유방의 가족들을 유방에 넘긴다는 내용이였다. 당시 불리한 상황에 놓여있던 항우는 이 제의를 당연히 수락하지만, 유방은 이를 어기고 서쪽으로 물러가지 않은 채 병사를 훈련시켰다. 한편, 항우는 거의 놀기만 하다 이 소식을 듣고 서서히 군사를 훈련시키고, 결국 유방은 선전포고문을 항우에게 보낸다. 그렇게 협정은 완전히 깨지고 다시 양국은 전투에 들어가나, 한신의 교묘한 전략을 도저히 이기지 못하고 결국 팽성은 함락되고, 한신의 계략으로(한신은 초의 진지의 초나라의 노래를 퍼뜨렸고, 결국 고향 생각에 서로잡힌 병사들은 단체로 한나라에 투항한다.)28명의 병사만 남고, 한신에게는 100만의 군사가 있었다.그러나 결국 수많은 포위망을 뚫고, 2명이 죽고 단 26명은 해하에서 최후의 싸움을 벌이나, 패배하여 결국 25명의 군사는 전부 죽고 항우만 남았다. 이때, 여마통과 항우는 전투중 만났고, 이미 항우의 군사가 전멸당한 상태였다.여마통은 옛 정으로 마지막 1개의 소원을 들어주겠다고 했으나, 항우는 결국 오강에서 자결하고 만다. 관련 항목[편집] 초한지 (楚漢志) 장기 참고 문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vdeh초한전쟁의 주요 인물황제 초 의제 열국 서초(西楚) 한(漢) 구강(九江) 형산 임강 옹(雍) 새(塞) 적(翟) 제(齊) 제북(齊北) 교동(膠東) 연(燕) 요동(遼東) 상산(常山) 대(代) 서위(西魏) 은(殷) 한(韓) 하남 서초군주 항적 장수 환초 영포 우영 우자기 종리말 계포 용저 주란 장한 사마흔 동예 옹치 참모 범증 항백 진평 한군주 유방 장수 한신 번쾌 주발 관영 조참 기신 왕릉 팽월 영포 하후영 참모 장량 소하 육가 역이기 진평 괴철 이좌거 수하 제후서초 옹왕 장한 새왕 사마흔 적왕 동예 구강왕 영포 서위왕 위표 하남왕 신양 은왕 사마앙 제왕 전광 한 회남왕 영포 양왕 팽월 한왕 한신 조왕 장이 제왕 한신 vdeh한조통사 초한전쟁 홍문연 전한 백등지위 여씨의 난 오초칠국의 난 한흉전쟁 고조선-한 전쟁 한의 남방 팽창 민월 정복 남월 정복 전 정복 제1차 중국의 베트남 지배 쯩 자매의 난 제2차 중국의 베트남 지배 신 적미 녹림 고구려-한 전쟁 현한 후한 당고의 화 오두미도 황건적의 난 후한말 행정제도사 황제 목록 가계도 삼공구경 삼공 구경 제후왕 한사군 서역도호부 서역장사부 관작 목록 사회문화사 사기 전한서 동분마 회남자 회남팔선 마왕퇴백서 춘추번로 이물지 고문경 한의 시문학 부 경제사 비단길 고대 중국의 주화 중국-로마 관계 과학기술사 장형 화타 주비산경 산수서 구장산술 황제내경 금궤요략 상한론  « 십팔제후왕국 삼국시대 »  기원전 206년-기원후 220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초한전쟁&oldid=23975455" 분류: 초한전쟁 관련자초한전쟁한나라의 전쟁기원전 3세기 중국전한 고제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English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ไทย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6일 (토) 10: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초한전쟁(楚漢戰爭)은 기원전 206년 진나라의 멸망 후 서쪽의 초나라 패왕 항우와 한나라 왕 유방과의 5년에 걸친 전쟁을 뜻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초한전쟁중 항우가 자결한 곳은 어디야? Assistant: 오강
Human: 아래 김기현_(1959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기현 (1959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기현 (1959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기현 대한민국의 제6대 울산광역시장 임기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전임 박맹우 후임 송철호 신상정보 국적 대한민국 출생일 1959년 2월 21일(1959-02-21) (60세) 출생지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북구 강동동 본관 김해 학력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 석사 경력 부산지방법원 울산지원 판사 정당 자유한국당 배우자 이선애 자녀 슬하 1남 3녀 종교 개신교 웹사이트 김기현 홈페이지 김기현기본 정보국적 대한민국출생 1959년 2월 21일(1959-02-21) (60세)대한민국 울산광역시 북구 강동동본관 김해학력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 석사경력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간사한나라당 원내수석부대표국회운영위원회 간사한나라당 제4정책조정위원장국회 여성가족위원회 간사새누리당 정책위원회 의장제6대 울산광역시장 배우자 이선애자녀 1남 3녀군복무 육군대위 전역종교 개신교의원 선수 3의원 대수 17·18·19정당 자유한국당지역구 前 울산 남구 을 김기현(金起炫, 1959년 2월 21일 ~ )은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법조인, 정치인이다. 제17·18·19대 국회의원과 민선 6기 울산광역시장을 지냈다. 목차 1 학력 2 경력 3 의정 활동 4 수상 5 논란 5.1 정치후원금 편법수수 의혹 6 역대 선거 결과 7 각주 8 외부 링크 학력[편집] 1977년 부산동고등학교 졸업 1981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학사 1990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 석사 경력[편집] 제25회 사법시험 합격 부산지방법원 울산지원 판사 울산광역시 고문변호사 울산 YMCA 이사장 울산 종합자원봉사센터 이사장 민선 6기 울산광역시장 제11대 전국시도지사협의회 부회장 2019년 6월 ~ : 자유한국당 신정치혁신특별위원회 부위원장 겸 당혁신소위원회 위원 의정 활동[편집] 2004년 5월 30일 ~ 2014년 5월 15일 : 제17대 ~ 제19대 국회의원 (울산 남구 을) 국회 산업자원위원회 간사 국회 행정자치위원회 위원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위원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국회 정치관계법특별위원회 위원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간사 한나라당 원내수석부대표 한나라당 제4정책조정위원장 한나라당 중앙교육원 원장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위원 새누리당 정책위원회 의장 수상[편집] 2004년~2010년 7년 연속 국정감사 우수의원 (NGO 모니터단 선정) 2004년, 2006년 바른사회시민회의 선정 국정감사 우수의원 2006년, 2007년 국회 선정 입법우수의원 2006년 한나라당 선정 국정감사 우수의원 2007년 한나라당 모범의정상 수상 2011년 우수 국회의원연구단체 시상식 우수상 2011년 제18대 국회 대한민국 헌정대상 2011년 제3회 화학산업의 날 명예화학산업인상 논란[편집] 정치후원금 편법수수 의혹[편집] 건설회사로부터 쪼개기 방식으로 수천만원의 정치자금을 수수한 의혹이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건설업자는 김기현 시장의 요청으로 회사 직원들과 부인의 명의를 빌려 수백만원씩 나눠 김기현 시장의 국회의원 시절 후원회 계좌에 입금하였다고 하였으며 이에 김기현 시장은 후원금을 관리하는 통장에 건설업자가 송금한 사실은 맞지만 자신은 모르는 일이었다고 답변하였다.[1][2]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 대수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총선 17대 국회의원 울산 남구 을 한나라당 29,347 표 45.57% 1위 초선 총선 18대 국회의원 울산 남구 을 한나라당 30,077 표 62.00% 1위 재선 총선 19대 국회의원 울산 남구 을 새누리당 38,054 표 56.58% 1위 3선 지방 선거 6대 시장 울산광역시 새누리당 306,311 표 65.42% 1위 초선, 민선 6기 지방 선거 7대 시장 울산광역시 자유한국당 240,475 표 40.07% 2위 낙선 민선 7기 각주[편집] ↑ 김준호 (2018년 3월 21일). “김기현 울산시장측 정치후원금 편법수수 의혹”. 경상일보. 2018년 3월 25일에 확인함.  ↑ 권승혁. “김기현 울산시장 측근 '정치자금법 위반' 의혹에 또 '잠적'”. 부산일보. 2018년 3월 2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김기현 홈페이지 김기현 페이스북 전임박맹우박성환(권한대행) 제6대 울산광역시장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후임송철호 전임이주영 제3대 새누리당 정책위원회 의장2013년 5월 14일 ~ 2014년 3월 21일 후임유일호 전 임 (울산 남구)최병국 제17대 국회의원(울산 남구 을)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한나라당 (울산 남구 갑)최병국 후 임 (울산 남구 갑)최병국(울산 남구 을)김기현 전 임 (울산 남구 갑)최병국(울산 남구 을)김기현 제18대 국회의원(울산 남구 을)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한나라당 → 새누리당 (울산 남구 갑)최병국 후 임 (울산 남구 갑)이채익(울산 남구 을)김기현 전 임 (울산 남구 갑)최병국(울산 남구 을)김기현 제19대 국회의원(울산 남구 을) 2012년 5월 30일 ~ 2014년 5월 15일 새누리당 (울산 남구 갑)이채익 후 임 박맹우 vdeh 대한민국 광역지방자치단체장    특별시장 서울특별시장 박원순 광역시장 부산광역시장 오거돈 대구광역시장 권영진 인천광역시장 박남춘 광주광역시장 이용섭 대전광역시장 허태정 울산광역시장 송철호 특별자치시장 세종특별자치시장 이춘희 도지사 경기도지사 이재명 강원도지사 최문순 충청북도지사 이시종 충청남도지사 양승조 전라북도지사 송하진 전라남도지사 김영록 경상북도지사 이철우 경상남도지사 김경수 특별자치도지사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원희룡 vdeh울산광역시장 현직 시장: 송철호 (7대, 민선 7기) 1·2 심완구 3·4·5 박맹우 6 김기현 7 송철호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기현_(1959년)&oldid=24408485" 분류: 대한민국의 제17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18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19대 국회의원울산광역시장1959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울산광역시 출신대한민국의 판사부산동고등학교 동문부산중앙중학교 동문양정초등학교 동문20세기 대한민국 사람21세기 대한민국 사람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문대한민국 육군 대위서울대학교 대학원 동문홍준표자유한국당 당원대한민국의 개신교도김해 김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0일 (월) 23:2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기현(金起炫, 1959년 2월 21일~)은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법조인, 정치인이다. 제17·18·19·21대 국회의원이다. 민선 6기 울산광역시장을 지냈다. 현재 국민의힘의 당대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법조인 김기현은 몇 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였는가? Assistant: 제25회 Human: 아래 세계의_불가사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세계의 불가사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세계의 불가사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7년 6월) 고대 7대 불가사의 (왼쪽부  오른쪽 하단): 기자의 피라미드, 바빌론의 공중정원, 에베소의 아르테미스 사원의  올림피아 제우스, 마우솔레움, 로도스의 거상에 등 알렉산드리아의 등대다. 세계의 불가사의(世界- 不可思議, 영어: Wonders of the World)에 대한 목록이다. 목차 1 불가사의 고대 세계 2 시대마다 다른 목록  3 최근에 추가된 목록들  3.1 세계 7대 자연경관 3.2 뉴세븐원더스(New7Wonders) 도시 4 태양계의 7대 불가사의  불가사의 고대 세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세계 7대 불가사의입니다. 기자의 피라미드 ,고대 7대 불가사의 건축물 중에 유일하게 보존되어 있다. 콜로세움 만리장성 하기아 소피아 스톤헨지 마추픽추 타지 마할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골든 게이트 브리지  빅토리아 폭포는 세계에서 물을 많이 떨어뜨린다.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CN 타워 예루살렘의 구시가지 The Aurora Borealis 또는 북부 조명 그랜드 캐년  런던의 하수 시스템은' 원래의 수도원의  펌프장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기자의 대피라미드 바빌론의 공중 정원 올림피아의 제우스 상 에베소의 아르테미스 사원 마우솔로스의 영묘 로도스의 거상 알렉산드리아의 등대 기자의 피라미드는 고대 7대 불가사의 건축물 중에 유일하게 보존되어 있다. 시대마다 다른 목록 [편집] 주요 중세시대 이전에 지어진 유명한 건축물들 스톤헨지 콜로세움 콤엘 쇼카파의 카타콤브 만리장성 탑 난징 하기아 소피아 피사의 사탑 다른 사이트에 때때로 포함되어 있는 목록: 타지마할 카이로의 요새 엘리 대성당 파크 애비 최근에 추가된 목록들 [편집] 세계 7대 자연경관[편집] 세계 7대 자연경관 (2007-11), 새로운 세계 7대 불가사의에서 주최한 세계 투표로 새로운 7대 자연경관을 뽑았다. 이과수 폭포 제주도 코모도 섬 푸에르토 프린세사 지하강 테이블 산 할롱만 아마존 열대우림 뉴세븐원더스(New7Wonders) 도시[편집] 뉴세븐원더스 도시는 세 번째 세계 투표를 통해 결정되었다. 더반, 남아프리카 공화국 비간, 필리핀 아바나, 쿠바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베이루트, 레바논 도하, 카타르 라파스, 볼리비아 태양계의 7대 불가사의 [편집] 1999년에 천문학 잡지에서 태양계의 불가사의를 발표하였다. 엔셀라두스  큰 붉은 색 반점 합 성  태양의 표면  바다 의 땅  반지의 Saturn 올림푸스 몽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세계의_불가사의&oldid=22760585" 분류: 고대사문화에 관한 목록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7년 6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العربيةمصرىБългарскиবাংলা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Nordfriiskગુજરાતીעבריתहिन्दीHrvatski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ಕನ್ನಡLimburgs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नेपालीNederlands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hqipСрпски / srpskiతెలుగు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alonייִדיש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11일 (목) 13:0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세계의 불가사의(世界- 不可思議, 영어: Wonders of the World)에 대한 목록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세계 7대 자연경관은 무엇이 있을까? Assistant: 이과수 폭포 제주도 코모도 섬 푸에르토 프린세사 지하강 테이블 산 할롱만 아마존 열대우림
Human: 아래 부여_서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부여 서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부여 서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부여 서씨(扶餘 徐氏) 관향 충청남도 부여군 시조 부여융(扶餘隆) 주요 중시조 서존(徐存) 주요 집성촌 충청남도 논산시 가야곡면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광석리평안남도 개천군 주요 인물 서익, 서필원, 서성, 서승진 인구(2015년) 17,145명 백제의 왕족 부여 서씨(扶餘 徐氏)는 충청남도 부여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백제 의자왕의 아들 부여융(扶餘隆)이다. 목차 1 역사 2 인물 3 과거 급제자 4 본관 5 사성 연원에 대한 학계 평가 6 이천 서씨와의 관계 논란 7 집성촌 8 같이 보기 9 각주 역사[편집] 시조는 백제 의자왕의 첫째(혹은 셋째 아들이라고도 함, 아직도 학계의 설이 분분함) 아들 부여융(扶餘隆)이다. 660년(의자왕 20)에 백제가 나당(羅唐) 연합군에 패한 뒤에 멸망되어 의자왕과 태자 등 2,000여명은 당나라에 압송되었다. 당나라 고종은 의자왕에게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의 품계를 내리고, 아들 부여융에게 서씨의 성을 하사하여 본국으로 보냈다고 한다. 부여서씨의 문호는 열렸으나, 그 후 세계는 알 수 없었는데 서융의 원손으로 고려 때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내고 태원군(太源君)에 봉해진 서존(徐存)을 1세조로 받들고 부여를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서존의 11대손은 서수손(徐秀孫)이다. 인물[편집] 서익(徐益, 1542 ~ 1587년) : 본관은 부여(扶餘). 자 군수(君受), 호 만죽(萬竹), 만죽헌(萬竹軒). 아버지는 진사 서진남(徐震男)이며, 어머니는 광주이씨(廣州李氏)로 직제학 이약해(李若海)의 딸이다. 1554년(명종 9) 13세 때 향시(鄕試)에 장원하고, 1564년 생원시에 1등 5인중에 2위으로에 합격하였다. 1569년(선조 2)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조, 병조·이조좌랑, 병조정랑, 교리,수찬,군기경차관, 종부시첨정, 함경북도 순문관, 사인(舍人)을 역임하고, 외직으로 고창현감, 안동부사, 평양서윤, 서천군수·의주목사 등을 지냈다. 문장과 도덕, 그리고 기절(氣節)이 뛰어나 삼당시인, 팔문장, 정철과 더불어 이십팔숙회라 칭하여졌고, 이이(李珥)·정철(鄭澈)로부터 지우(志友)로 인정받았으며, 1585년 5월 의주목사 재직시 박순, 정철, 이이 등 변호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동인의 탄핵을 받아 벼슬을 내렸놓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충청남도 은진(恩津)의 갈산사(葛山사)에 배향되었다가 임진왜란으로 불타 우암 송시열이 현 가야곡면 산노리에 효암서원에 배향되었다가 다시 가야곡면 육곡리 행림사에 모셔져 있다. 저서로는 『만죽헌집(萬竹軒集)』 1권과 시조 2수가 있다. 유품으로 장검1점, 옥피리 1점이 전해지고 있으며 시조2수는 청구영언, 국조시산, 기아 등 실려있으며 야담 및 일화 다수가 야사로 전해지고 있다. 서필원(徐必遠, 1614년 ~ 1671) : 1648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669년 형조판서를 거쳐 1671년 병조판서가 되었다. 왕에게 직언을 잘하여 당대의 오직(五直)이라 불렸다. 시호는 정의(貞毅)이다. 서성(徐晟, 1942년 ~ ) : 대법원 대법관 서한범(徐漢範, 1945년 ~ ) : 단국대학교 국악과 교수 서승직(徐承稷, 1949년 ~ ) : 인하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서승진(徐承鎭, 1953년 ~ ) : 대한민국 제24대 산림청장 서의식(徐毅植, 1956년 ~ ) :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서희석(徐熙錫, 1968년 ~ ) : 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과거 급제자[편집] 부여 서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5명을 배출하였다.[1] 문과 서희려(徐希呂) 서익(徐益) 서필원(徐必遠) 서도유(徐道裕) 서정훈(徐鼎勳) 무과 서경은(徐慶殷) 서귀남(徐貴男) 서내원(徐來遠) 서대인(徐大仁) 서시현(徐時賢) 서인일(徐仁一) 서필후(徐必厚) 서행보(徐行輔) 서행진(徐行進) 서호인(徐好仁) 생원시 서경복(徐景福) 서규훈(徐奎勳) 서내석(徐來碩) 서내익(徐來益) 서병기(徐秉箕) 서상민(徐相民) 서상훈(徐尙勳) 서석록(徐錫祿) 서영로(徐榮老) 서응로(徐應魯) 서익(徐益) 서정민(徐廷民) 서희적(徐希積) 진사시 서경성(徐敬成) 서기도(徐基道) 서병규(徐秉奎) 서병덕(徐秉德) 서병호(徐秉浩) 서복일(徐福一) 서숭수(徐嵩壽) 서승교(徐承敎) 서영택(徐榮宅) 서필원(徐必遠) 율과 서경식(徐慶植) 서병숙(徐秉璹) 서응호(徐應浩) 서종건(徐終健) 서홍선(徐弘選) 서홍수(徐弘遂) 서홍적(徐弘迪) 서홍진(徐弘進) 본관[편집] 부여(扶餘)는 백제의 마지막 수도로 660년(백제 의자왕 20)에 나당(羅唐) 연합군에 의해 백제가 멸망하면서 신라에 예속되어 672년(신라 문무왕 12)에 부여도독부가 설치되었으며, 751년(경덕왕 10)에 이르러 부여현(扶餘縣)이라고 개칭되었다. 757년(경덕왕 16)에 부여군으로 고치고 웅주(熊州) 영현에 두었다. 1018년(고려 현종 9) 공주에 예속되었다가, 1172년(명종 2)에 감무(監務)를 두면서 독립하여 부여현으로 조선 말까지 유지되다가 1896년에 충청남도 부여군이 되었다. 사성 연원에 대한 학계 평가[편집] 《부여서씨세보(夫餘徐氏世譜)》의 분파계도에 따르면, 서씨의 사성(賜姓) 연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시조 서융은 의자왕의 아들로 태자에 책봉됐으나 나라가 망해 당나라에 호송됐다. 이어 당나라 고종이 본래의 성인 ‘부여(扶餘)’를 ‘서(徐)’로 바꾸어주고 웅진도독으로 삼아 본국으로 돌려보냈다.[2] 이후 수세대(數世代)를 알지 못하여 병부상서 서존(徐存)을 1세조(一世祖)로 삼았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당 고종이 부여융에게 성을 부여씨에서 서씨로 바꾸어주었다는 내용에 대해 신빙성이 떨어진다고 평가한다. 부여융과 손녀 부여태비는 계속 부여씨를 썼고,[3] 중국 역사서의 기록에 당 고종이 부여씨를 서씨로 고쳐 하사했다는 내용을 고증할 기록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중국 낙양의 북망산에서 출토된 융의 묘지석에는 ‘부여융(扶餘隆)’이라 쓰였고,[4] 중국 산시성에서 발견된 의자왕의 손녀 묘지명에도 ‘부여태비(扶餘太妃)’라는 칭호가 쓰였다.[5] 그럼에도 백제 왕족의 후손들이 ‘부여(扶餘)’ 씨에서 ‘서(徐)’씨로 성을 바꾸었을 것이란 주장에 대해서는 신빙성이 있다고 평가한다. 백제가 멸망한 뒤, 한반도에서 살아남았던 왕족은 신라의 지배 아래 사람들의 이목을 피해야 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백제의 왕족이‘부여(扶餘)’씨가 ‘부여(夫餘)’씨, 그리고 ‘서(徐)’씨로 글자를 변형시켰을 것이란 이야기다.[2] 이천 서씨와의 관계 논란[편집] 1742년 이천 서씨 문중에서 간행된 족보인 《임술보(壬戌譜)》 서문에는 “무릇 나뭇가지가 천이라도 뿌리는 하나요, 물 갈래가 백이라도 근원은 하나이니 우리나라에 달성, 대구, 부여, 평당, 장성, 연산, 남평, 남양, 당성의 서씨 중에 누가 아간공(阿干公)을 조상으로 해서 나뉜 자가 아니랴. 아간공의 줄거리는 이천(利川)이다”라고 쓰여 있어, 부여 서씨가 이천 서씨의 한 갈래라고 주장하였다.[6] 1924년 간행된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도 부여 서씨가 다른 서씨와 마찬가지로 이천 서씨로부터 나왔다고 쓰여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1763년 간행된 이천서씨 족보인 《계미보서》(癸未譜序)에는 조선시대 서씨(徐氏) 성을 지닌 시조가 태어난 관향(貫鄕)을 크게 세 곳으로 꼽고 있다.[利川徐氏敎理公派譜編纂委員會, 1989, 〈癸未譜序〉, 《利川徐氏敎理公派譜》 卷之一, p.28-31] “우리나라 서씨(徐氏)의 관향(貫鄕)에 두드러진 것이 세 곳이다. 이천(利川)은 아간공(阿干公)을, 부여(扶餘)는 온조왕(溫祚王)을, 달성(達成)은 소윤공(少尹公)을 선조로 삼았다. (중략) 이천 서씨(利川 徐氏)는 기자의 40세손 준(準)이 난을 피해 이천 서하성(徐河城)에서 살았으므로 자손이 그 지명을 취해 성을 서씨(徐氏)라 했으니 이것이 노담(老聃 : 주나라 철학자)이 성을 얻은 것과 같고 가장 오래된 일이다. 부여 서씨(扶餘 徐氏)는 고구려 동명왕(東明王)의 아들이 난을 피해 남으로 와서 부여성(扶餘城)에 도읍을 정했다. 그의 30세 의자왕에 이르러 신라와 당나라 장수 소정방의 의해 백제가 멸망했다. 그 뒤 태자 부여융은 당나라에 들어가니, 당에서는 부여융의 여(餘)란 글자를 고쳐 서(徐)라는 성을 주었으니 이것이 원백(袁伯)이 성을 전한 것과 같고 가장 근래의 일이다. 달성 서씨(達成 徐氏)의 선조는 고려 말에 일어났으니 선조 윗대에 반드시 성을 얻은 이유가 있을 것이지만 따져 볼 길이 없다." 1983년 발간된 《만성대동보(萬姓大同譜)》는 부여 서씨의 시조가 백제 의자왕의 아들인 부여융이라고 적고 있다. 이어 부여융은 나라가 망해 당나라로 갔을 때, 당 고종이 성을 서(徐)로 고쳐 하사한 뒤 웅진도독에 임명해 본국으로 보냈다고 돼 있다. 그 뒤 부여융에 대한 가계 기록은 남아있지 않아 알 수 없고, 고려 시대에 병부상서를 지낸 서존이 중시조로 기록된 다음부터 세계(世系)가 나와 있어 부여를 본관으로 하는 부여 서씨가 등장한 것은 고려 때의 일이다.[2] 1996년 발간된 《부여서씨세보》에는 조선 숙종 때인 1683년부터 1996년까지 쓰여진 족보 10편의 서문과 신도비문, 묘지명이 수록돼 있다. 이 가운데 1925년 쓰여진 《보계변(譜系辨)》은 서씨의 연원을 기자(箕子)의 40대 후손인 기준(箕準)이나 단군시대 여수기(余守己)설에 대한 비판과 함께 부여 서씨를 이천 서씨의 계보 안에 포함시키는 태도는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했다.[2] 다시 말해 부여 서씨는 이천 서씨와 본(本)이 다르다고 밝힌 것이다. 집성촌[편집] 충청남도 논산시 가야곡면 강청리, 육곡리 삼전리 등 부여서씨 재실(夫餘徐氏 齋室)이 있다. 같이 보기[편집] 의령 여씨 이천 서씨 각주[편집] ↑ 부여 서씨 - 한국학중앙연구원 ↑ 가 나 다 라 양종국, 2004, 《의자왕 후예들의 과거와 현재》, 백제문화, 제33권, p159-188 ↑ 〈부여융묘지명〉. 김영관, 〈백제 의자왕 회손녀 태비 부여씨 묘지〉, 《백제학보》no.1, 백제학회, 2010 ↑ 《자치통감》(資治通鑑), 권 202, 唐紀 18, 儀鳳 2년 2월 조 ↑ 윤완준 기자 (2008년 11월 14일). “백제 의자왕 증손녀 부여태비 묘비석 中서 발견”. 동아일보.  ↑ 利川徐氏敎理公派譜編纂委員會, 1989, 〈壬戌譜序〉, 《利川徐氏敎理公派譜》 卷之一, p.25~2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부여_서씨&oldid=23063287" 분류: 부여 서씨서씨백제의 왕족충청남도 소재 성씨부여군백제의 가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1월 20일 (화) 11: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부여 서씨(扶餘 徐氏)는 충청남도 부여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백제 의자왕의 아들 부여융(扶餘隆)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부여 서씨의 시조는 누구인가? Assistant: 서융 Human: 아래 조윤정_(테니스_선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조윤정 (테니스 선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윤정 (테니스 선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윤정 국가 대한민국 거주지 대한민국 서울 출생일 1979년 4월 2일(1979-04-02) (40세) 출생지 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 신장 167 cm 체중 55 kg 프로 데뷔 은퇴 2008년 10월 26일 사용손 오른손잡이, 양손 백핸드 통산 상금 US$ 603,590 단식 통산 전적 255승 180패 통산 타이틀 0 최고 랭킹 45위 (2003년 7월 14일) 그랜드 슬램 호주 오픈 3R (2005) 프랑스 오픈 1R (2001, 2002, 2003, 2005) 윔블던 3R (2002) US 오픈 3R (1998, 2002, 2005) 기타 메이저 대회 복식 통산 전적 116승 84패 통산 타이틀 1 최고 랭킹 98위 (2003년 9월 22일) 기타 메이저 대회 혼합 복식 기타 메이저 대회 마지막 업데이트: 2009년 6월 12일 조윤정(趙倫貞, 1979년 4월 2일~)은 대한민국의 은퇴한 여자 테니스 선수이다. 개인 통산 1개의 WTA 투어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다(2004년 한솔 코리아 오픈). 그녀의 그랜드 슬램 최고 성적은 2005년 US 오픈에서 3회전에 진출한 것이다. 이 대회 1회전에서 그녀는 아란차 파라 산토냐에게 2-1로 승리했으며 2회전에서는 27번 시드의 기셀라 둘코를 꺾었다. 그리고 3회전에서 당시 세계 랭킹 7위였던 쥐스틴 에넹에게 0-6, 6(4)-7로 패했다. 단식 최고 랭킹은 2003년 7월 기록한 45위이며, 복식 최고 랭킹은 2003년 9월 기록한 98위이다. 단식 세계 랭킹 45위는 역대 한국 여자 테니스 선수 중 최고 기록이다.[1] 2006년 3월 허리 부상으로 정상적인 기량을 유지하지 못했던 조윤정은 2007년 US 오픈을 마지막으로 투어 활동을 중단했다. 2008년에는 챌린저급 대회 복식에 다섯 차례 출전해 두 번 준우승했으며, 제89회 전국체육대회 테니스 단체전에 대구 대표로 출전했다. 2008년 10월 26일 송파구 방이동 올림픽공원 테니스코트에서 공식 은퇴식을 갖고 은퇴하였으며, 이후 소속팀인 삼성증권에서 코치로서 새로운 활동을 시작하였다.[1] 목차 1 WTA 투어 결승 (5) 1.1 복식 우승 (1) 1.2 단식 준우승 (3) 1.3 복식 준우승 (1) 2 그랜드 슬램 성적 연대표 2.1 단식 2.2 복식 3 각주 4 외부 링크 WTA 투어 결승 (5)[편집] 대회 종류 그랜드 슬램 타이틀 (0) WTA 투어 대회 (0) 티어 I (0) 티어 II (0) 티어 III (0) 티어 IV-V (1) 복식 우승 (1)[편집] No. 일시 대회 코트 파트너 결승 상대팀 스코어 1. 2004-10-03 한솔 코리아 오픈, 서울 하드 전미라 좡자룽 셰수웨이 6–3, 1–6, 7–5 단식 준우승 (3)[편집] No. 일시 대회 개최지 코트 결승 상대 스코어 1. 2002년 11월 10일 파타야 여자 오픈 파타야 하드 안젤리크 위자야 6–2, 6–4 2. 2003년 1월 5일 ASB 클래식 오클랜드 하드 엘레니 다닐리두 6–4, 4–6, 7–6(2) 3. 2006년 1월 13일 리차드 루튼 프로퍼티스캔버라 인터내셔널 캔버라 하드 아나벨 메디나 가리게스 6–4, 0–6, 6–4 복식 준우승 (1)[편집] No. 일시 대회 개최지 코트 파트너 결승 상대팀 스코어 1. 2003년 7월 27일 뱅크 오브 더 웨스트 클래식 스탠포드 하드 프란체스카 스키아보네 카라 블랙 리사 레이몬드 7–6(5), 6–1 그랜드 슬램 성적 연대표[편집] 단식[편집] 연도 호주 오픈 프랑스 오픈 윔블던 US 오픈 2001 - - - 1회전 (64강) E. 데멘티에바 2002 1회전 (64강) S. 쿠즈네초바 1회전 (64강) 찬다 루빈 - 3회전 (16강) 모니카 셀레스 2003 2회전 (32강) M. 말리바 1회전 (64강) I. 마욜리 2회전 (32강)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1회전 (64강) 마구이 세르나 2005 - 1회전 (64강) P. 슈나이더 2회전 (32강) K. 스레보트니크 3회전 (16강) 쥐스틴 에넹 2006 1회전 (64강) 킴 클리스터스 - - - 2007 - - - 1회전 (64강) L. D. 리노 ※ 왼쪽은 최종 진출 라운드, 오른쪽은 마지막 경기 상대 선수를 나타냄. 복식[편집] 연도 호주 오픈 프랑스 오픈 윔블던 US 오픈 1998 - - 1회전 (32강) 박성희 M. 드레이크 L. 오스털로 1회전 (32강) 박성희 M. 드 슈워츠 D. 그래햄 1999 1회전 (32강) 박성희 L. 코트와 D. 빌리어스 - - - 2003 - - - 2회전 (16강) S. 스토서 P. 먼둘러 P. 바르투쉬 2004 - - 1회전 (32강) L. 그랜빌 S. 쿠즈네초바 I. 리코브체바 - 2005 - 1회전 (32강) A. 모리가미 E. 르와트 N. 프랫 - - 2006 1회전 (32강) A. 나카무라 S. 브레몽 S. 스파르 - - - ※ 왼쪽은 최종 진출 라운드 및 파트너, 오른쪽은 마지막 경기의 상대팀을 나타냄. 각주[편집] ↑ 가 나 “테니스 조윤정 26일 은퇴..삼성증권 코치로 새 출발”. 연합뉴스. 2008년 10월 21일. 2009년 8월 1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영어) 조윤정 - 여자 테니스 협회 (영어) 조윤정 프로필 - CBS Sports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윤정_(테니스_선수)&oldid=22163580" 분류: 1979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여자 테니스 선수2004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대한민국의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2000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아시안 게임 테니스 메달리스트1998년 아시안 게임 테니스 참가 선수2002년 아시안 게임 테니스 참가 선수1998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2002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은메달리스트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동메달리스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فارسیSuomiFrançais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8월 31일 (금) 01: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조윤정(趙倫貞, 1979년 4월 2일~)은 대한민국의 은퇴한 여자 테니스 선수이다. 개인 통산 1개의 WTA 투어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다(2004년 한솔 코리아 오픈). 그녀의 그랜드 슬램 최고 성적은 2005년 US 오픈에서 3회전에 진출한 것이다. 이 대회 1회전에서 그녀는 아란차 파라 산토냐에게 2-1로 승리했으며 2회전에서는 27번 시드의 기셀라 둘코를 꺾었다. 그리고 3회전에서 당시 세계 랭킹 7위였던 쥐스틴 에넹에게 0-6, 6(4)-7로 패했다. 단식 최고 랭킹은 2003년 7월 기록한 45위이며, 복식 최고 랭킹은 2003년 9월 기록한 98위이다. 단식 세계 랭킹 45위는 역대 한국 여자 테니스 선수 중 이덕희 다음 기록이다.2006년 3월 허리 부상으로 정상적인 기량을 유지하지 못했던 조윤정은 2007년 US 오픈을 마지막으로 투어 활동을 중단했다. 2008년에는 챌린저급 대회 복식에 다섯 차례 출전해 두 번 준우승했으며, 제89회 전국체육대회 테니스 단체전에 대구 대표로 출전했다. 2008년 10월 26일 송파구 방이동 올림픽공원 테니스코트에서 공식 은퇴식을 갖고 은퇴하였으며, 이후 소속팀인 삼성증권에서 코치로서 새로운 활동을 시작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01년부터 2007년까지 조윤정 선수는 단식 경기에서 어떤 성적을 거뒀을까? Assistant: 연도 호주 오픈 프랑스 오픈 윔블던 US 오픈 2001 - - - 1회전 (64강) E. 데멘티에바 2002 1회전 (64강) S. 쿠즈네초바 1회전 (64강) 찬다 루빈 - 3회전 (16강) 모니카 셀레스 2003 2회전 (32강) M. 말리바 1회전 (64강) I. 마욜리 2회전 (32강)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1회전 (64강) 마구이 세르나 2005 - 1회전 (64강) P. 슈나이더 2회전 (32강) K. 스레보트니크 3회전 (16강) 쥐스틴 에넹 2006 1회전 (64강) 킴 클리스터스 - - - 2007 - - - 1회전 (64강) L. D. 리노
Human: 아래 코파_아메리카_센테나리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 대회 개요개최국 미국개최 기간 6월 3일 ~ 6월 26일참가국 16개국경기장 10개 (10개 도시) 최종 순위● 우승국 칠레 (2번째 우승)● 준우승국 아르헨티나● 3위 콜롬비아● 4위 미국통계총 경기수 32경기득점 총합 88골 (경기당 3.03골)총 관중수 1,317,365명 (경기당 45,426명)최다 득점 선수 에두아르도 바르가스 (6골)최우수 선수 알렉시스 산체스이전 대회 / 다음 대회 ← 2015 2019 → v • d • e • h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스페인어: Copa América Centenario)는 코파 아메리카 100주년을 기념하는 의미에서 2016년 6월 3일부터 6월 26일까지 미국에서 특별히 개최된 남미 및 북중미 지역 국가 간의 축구 대회이다. 남미 축구 연맹(CONMEBOL) 소속 10개국과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 소속의 6개국이 경쟁을 펼친다. 이 대회 우승팀은 201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의 진출 자격이 주어지지는 않는다. 컨페더레이션스컵에는 2015년 코파 아메리카 우승팀인 칠레가 참가한다. 결승전 결과 칠레가 무승부 후 승부차기(4-2) 끝에 우승 하였다. 칠레는 지난 대회에 이어 두 번째 우승이며, 아르헨티나는 두 차례 연속으로 준우승을 기록했다. 목차 1 개최국 선정 2 개최 도시 및 경기장 3 참가국 4 시드 배정 5 선수 명단 6 조별 리그 6.1 A조 6.2 B조 6.3 C조 6.4 D조 7 결선 토너먼트 7.1 8강전 7.2 4강전 7.3 3,4위전 7.4 결승전 8 우승 9 수상 10 베스트 XI 11 최종 순위 12 득점 선수 13 기록 13.1 팀 득점 기록 13.2 팀 실점 기록 14 마케팅 14.1 후원 14.2 매치볼 14.3 주제곡 15 각주 16 외부 링크 개최국 선정[편집] 본래 멕시코가 유치하려고 했으나, 재정상의 문제로 무산되었다. 그 결과 미국이 개최지로 선정되었다.[1] 개최 도시 및 경기장[편집] 개최 도시 경기장 수용 인원 패서디나 (로스앤젤레스) 로즈볼 92,542 이스트러더퍼드 (뉴욕) 메트라이프 스타디움 82,566 휴스턴 NRG 스타디움 71,795 필라델피아 링컨 파이낸셜 필드 69,176 폭스버러 (보스턴) 질레트 스타디움 68,756 샌타클래라 (샌프란시스코) 리바이스 스타디움 68,500 시애틀 센추리링크 필드 67,000 글렌데일 (피닉스) 유니버시티 오브 피닉스 스타디움 63,400 시카고 솔저 필드 63,500 올랜도 캠핑 월드 스타디움 60,219 참가국[편집] 대회는 남미 축구 연맹 소속 10개 팀과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의 6개 팀이 참가한다. 미국과 멕시코는 자동 진출이며, 중앙아메리카 축구 연맹의 2014년 코파 센트로아메리카나 우승팀인 코스타리카와 카리브 축구 연맹의 2014년 카리브컵 우승팀인 자메이카에도 출전권이 주어졌다. 나머지 두 자리는 2015년 CONCACAF 골드컵에서 진출권을 얻지 못한 상위 4개 팀 간의 플레이오프를 거쳐 아이티와 파나마가 진출했다. 남미 축구 연맹 (10개국)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6개국) 베네수엘라 볼리비아 브라질 아르헨티나 에콰도르 우루과이 칠레 콜롬비아 파라과이 페루 자동 진출 미국 (개최국) 멕시코 예선 통과 코스타리카 (2014년 코파 센트로아메리카나 우승 팀) 자메이카 (2014년 카리브컵 우승 팀) 파나마 (플레이오프 승리) 아이티 (플레이오프 승리) 시드 배정[편집] 본선 조 추첨은 2016년 2월 21일에 미국 뉴욕에서 열렸다. 미국은 A조, 브라질은 B조, 멕시코는 C조, 아르헨티나는 D조에 배정되었다. 대회에 참가한 팀들의 시드는 2015년 12월 FIFA 랭킹을 기준으로 하여 배정되었다. 포트 1 포트 2 포트 3 포트 4 아르헨티나 (1위, D조에 배정됨) 브라질 (6위, B조에 배정됨) 멕시코 (22위, C조에 배정됨) 미국 (32위, 개최국, A조에 배정됨) 칠레 (3위) 콜롬비아 (8위) 우루과이 (11위) 에콰도르 (13위) 코스타리카 (37위) 자메이카 (54위) 파나마 (64위) 아이티 (77위) 파라과이 (46위) 페루 (47위) 볼리비아 (68위) 베네수엘라 (83위) 선수 명단[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 선수 명단입니다. 조별 리그[편집] A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미국 3 2 0 1 5 2 +3 6 콜롬비아 3 2 0 1 6 4 +2 6 코스타리카 3 1 1 1 3 6 −3 4 파라과이 3 0 1 2 1 3 −2 1 2016년 6월 3일 18:30 UTC-07(21:30 UTC-04) 미국 0 – 2 콜롬비아 리바이스 스타디움, 샌타클래라 관중수: 67,439 심판: 로베르토 가르시아 오로스코 리포트 사파타  8'로드리게스  42' (페널티골) 2016년 6월 4일 17:00 UTC-04 코스타리카 0 – 0 파라과이 캠핑 월드 스타디움, 올랜도 관중수: 14,334 심판: 파트리시오 루스토 리포트 2016년 6월 7일 19:00 UTC-05(20:00 UTC-04) 미국 4 – 0 코스타리카 솔저 필드, 시카고 관중수: 39,642 심판: 로디 삼브라노 뎀프시  9' (페널티골)존스  37'우드  42'주시  87' 리포트 2016년 6월 7일 19:30 UTC-07(22:30 UTC-04) 콜롬비아 2 – 1 파라과이 로즈볼, 패서디나 관중수: 42,766 심판: 헤베르 로페스 바카  12'로드리게스  30' 리포트 아얄라  71' 2016년 6월 11일 19:00 UTC-04 미국 1 – 0 파라과이 링컨 파이낸셜 필드, 필라델피아 관중수: 51,041 심판: 훌리오 바스쿠냔 뎀프시  27' 리포트 2016년 6월 11일 20:00 UTC-05(21:00 UTC-04) 콜롬비아 2 – 3 코스타리카 NRG 스타디움, 휴스턴 관중수: 45,808 심판: 호세 아르고테 파브라  7'모레노  73' 리포트 베네가스  2'파브라  34' (자책골)보르헤스  58' B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페루 3 2 1 0 4 2 +2 7 에콰도르 3 1 2 0 6 2 +4 5 브라질 3 1 1 1 7 2 +5 4 아이티 3 0 0 3 1 12 −11 0 2016년 6월 4일 16:30 UTC-07(19:30 UTC-04) 아이티 0 – 1 페루 센추리링크 필드, 시애틀 관중수: 20,190 심판: 혼 피티 리포트 게레로  61' 2016년 6월 4일 19:00 UTC-07(22:00 UTC-04) 브라질 0 – 0 에콰도르 로즈볼, 패서디나 관중수: 53,158 심판: 훌리오 바스쿠냔 리포트 2016년 6월 8일 19:30 UTC-04 브라질 7 – 1 아이티 캠핑 월드 스타디움, 올랜도 관중수: 28,241 심판: 마크 가이거 코치뉴  14', 29', 90+2'아우구스투  35', 86'가브리엘  59'리마  67' 리포트 마르셀린  70' 2016년 6월 8일 19:00 UTC-06(22:00 UTC-04) 에콰도르 2 – 2 페루 유니버시티 오브 피닉스 스타디움, 글렌데일 관중수: 11,937 심판: 윌마르 롤단 E. 발렌시아  39'볼라뇨스  48' 리포트 쿠에바  5'플로레스  13' 2016년 6월 12일 18:30 UTC-04 에콰도르 4 – 0 아이티 메트라이프 스타디움, 이스트러더퍼드 관중수: 50,976 심판: 헤리 바르가스 E. 발렌시아  11'J. 아요비  20'노보아  57'A. 발렌시아  78' 리포트 2016년 6월 12일 20:30 UTC-04 브라질 0 – 1 페루 질레트 스타디움, 폭스버러 관중수: 36,187 심판: 안드레스 쿤아 리포트 루이디아스  75' C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멕시코 3 2 1 0 6 2 +4 7 베네수엘라 3 2 1 0 3 1 +2 7 우루과이 3 1 0 2 4 4 0 3 자메이카 3 0 0 3 0 6 −6 0 2016년 6월 5일 16:00 UTC-05(17:00 UTC-04) 자메이카 0 – 1 베네수엘라 솔저 필드, 시카고 관중수: 25,560 심판: 빅토르 카릴로 리포트 마르티네스  15' 2016년 6월 5일 17:00 UTC-07(20:00 UTC-04) 멕시코 3 – 1 우루과이 유니버시티 오브 피닉스 스타디움, 글렌데일 관중수: 60,025 심판: 엔리케 카세레스 A. 페레이라  4' (자책골) 마르케스  85' 에레라  90+2' 리포트 고딘  74' 2016년 6월 9일 19:30 UTC-04 우루과이 0 – 1 베네수엘라 링컨 파이낸셜 필드, 필라델피아 관중수: 23,000 심판: 파트리시오 루스토 리포트 론돈  36' 2016년 6월 9일 19:00 UTC-07(22:00 UTC-04) 멕시코 2 – 0 자메이카 로즈볼, 패서디나 관중수: 83,263 심판: 윌튼 삼파리오 에르난데스  18' 페랄타  81' 리포트 2016년 6월 13일 19:00 UTC-05(20:00 UTC-04) 멕시코 1 – 1 베네수엘라 NRG 스타디움, 휴스턴 관중수: 67,319 심판: 야델 마르티네스 J. M. 코로나  80' 리포트 벨라스케스  10' 2016년 6월 13일 19:00 UTC-07(22:00 UTC-04) 우루과이 3 – 0 자메이카 리바이스 스타디움, 샌타클래라 관중수: 40,166 심판: 윌슨 라모록스 에르난데스  21' 왓슨  66' (자책골) 코루소  88' 리포트 D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아르헨티나 3 3 0 0 10 1 +9 9 칠레 3 2 0 1 7 5 +2 6 파나마 3 1 0 2 4 10 −6 3 볼리비아 3 0 0 3 2 7 −5 0 2016년 6월 6일 19:00 UTC-04 파나마 2 – 1 볼리비아 캠핑 월드 스타디움, 올랜도 관중수: 13,466 심판: 리카르도 몬테로 페레스  11', 87' 리포트 아르세  54' 2016년 6월 6일 19:00 UTC-07(22:00 UTC-04) 아르헨티나 2 – 1 칠레 리바이스 스타디움, 샌타클래라 관중수: 69,451 심판: 다니엘 페도르추크 디 마리아  51'바네가  59' 리포트 푸엔살리다  90+3' 2016년 6월 10일 19:00 UTC-04 칠레 2 – 1 볼리비아 질레트 스타디움, 폭스버러 관중수: 19,392 심판: 자이르 마루포 비달  46', 90+10' (페널티골) 리포트 캄포스  61' 2016년 6월 10일 20:30 UTC-05(21:30 UTC-05) 아르헨티나 5 – 0 파나마 솔저 필드, 시카고 관중수: 53,885 심판: 호엘 아길라르 오타멘디  7'메시  68', 78', 87'아궤로  90' 리포트 2016년 6월 14일 20:00 UTC-04 칠레 4 – 2 파나마 링컨 파이낸셜 필드, 필라델피아 관중수: 27,260 심판: 로디 삼브라노 바르가스  15', 43'산체스  50', 89' 리포트 카마고  5'아로요  75' 2016년 6월 14일 19:00 UTC-07(22:00 UTC-04) 아르헨티나 3 – 0 볼리비아 센추리링크 필드, 시애틀 관중수: 45,753 심판: 빅토르 카릴로 라멜라  13'라베시  15'쿠에스타  32' 리포트 결선 토너먼트[편집] 8강전 준결승전 결승전                     6월 16일 - 시애틀           미국  2 6월 21일 - 휴스턴   에콰도르  1     미국  0 6월 18일 - 폭스버러     아르헨티나  4     아르헨티나  4 6월 26일 - 이스트러더퍼드   베네수엘라  1     아르헨티나  0(2) 6월 17일 - 이스트러더퍼드     칠레 (PSO)  0(4)   페루  0(2) 6월 22일 - 시카고   콜롬비아 (PSO)  0(4)     콜롬비아  0 3·4위전 6월 18일 - 샌타클래라     칠레  2     멕시코  0   미국  0   칠레  7     콜롬비아  1 6월 25일 - 글렌데일 8강전[편집] 2016년 6월 16일 18:30 UTC-07(21:30 UTC-04) 미국 2 – 1 에콰도르 센추리링크 필드, 시애틀 관중수: 47,322 심판: 윌마르 롤단 뎀프시  22' 자르데스  65' 리포트 아로요  74' 2016년 6월 17일 20:00 UTC-04 페루 0 – 0 (연장전) 콜롬비아 메트라이프 스타디움, 이스트러더퍼드 관중수: 79,194 심판: 파트리시오 로우스타우 리포트     승부차기   루이디아스 타피아 트라우코 쿠에바 2 – 4 로드리게스 콰드라도 모레노 페레스   2016년 6월 18일 19:00 UTC-04 아르헨티나 4 – 1 베네수엘라 질레트 스타디움, 폭스버러 관중수: 59,183 심판: 로베르토 가르시아 오로스코 이과인  7', 27' 메시  59' 라멜라  70' 리포트 론돈  69' 2016년 6월 18일 19:00 UTC-07(22:00 UTC-04) 멕시코 0 – 7 칠레 리바이스 스타디움, 샌타클래라 관중수: 70,547 심판: 헤베르 로페스 리포트 푸치  16', 88' 바르가스  43', 52', 57', 74' 산체스  49' 4강전[편집] 2016년 6월 21일 20:00 UTC-05(21:00 UTC-04) 미국 0 – 4 아르헨티나 NRG 스타디움, 휴스턴 관중수: 70,858 심판: 엔리케 카세레스 리포트 라베시  2'메시  31'이과인  49', 85' 2016년 6월 22일 19:00 UTC-05(20:00 UTC-04) 콜롬비아 0 – 2 칠레 솔저 필드, 시카고 관중수: 55,423 심판: 호엘 아길라르 리포트 아랑기스  7' 푸엔살리다  11' 3,4위전[편집] 2016년 6월 25일 17:00 UTC-07(20:00 UTC-04) 미국 0 – 1 콜롬비아 유니버시티 오브 피닉스 스타디움, 글렌데일 관중수: 30,000 심판: 다니엘 페도르추크 리포트 바카  31' 결승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 결승전입니다. 2016년 6월 26일 20:00 UTC-04 아르헨티나 0 – 0 (연장전) 칠레 메트라이프 스타디움, 이스트러더퍼드 관중수: 82,026 심판: 헤베르 로페스 리포트     승부차기   메시 마스체라노 아궤로 비글리아 2 – 4 비달 카스티요 아랑기스 보세주르 실바   우승[편집]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 우승 칠레2번째 우승 수상[편집] 골든 부츠 골든 글러브 골든 볼 페어 플레이 에두아르도 바르가스 (6골) 클라우디오 브라보 알렉시스 산체스 아르헨티나 베스트 XI[편집] 골키퍼 수비수 미드필더 공격수 클라우디오 브라보 장 보세주르 가리 메델 니콜라스 오타멘디 마우리시오 이슬라 차를레스 아랑기스 하비에르 마스체라노 아르투로 비달 알렉시스 산체스 에두아르도 바르가스 리오넬 메시 최종 순위[편집] 순위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승점 1 칠레 6 4 1 1 16 5 +11 13 2 아르헨티나 6 5 1 0 18 2 +16 16 3 콜롬비아 6 3 1 2 7 6 +1 10 4 미국 6 3 0 3 7 8 -1 9 5 페루 4 2 2 0 4 2 +2 8 6 베네수엘라 4 2 1 1 4 5 -1 7 7 멕시코 4 2 1 1 6 9 -3 7 8 에콰도르 4 1 2 1 7 4 +3 5 9 브라질 3 1 1 1 7 2 +5 4 10 코스타리카 3 1 1 1 3 6 -3 4 11 우루과이 3 1 0 2 4 4 0 3 12 파나마 3 1 0 2 4 10 -6 3 13 파라과이 3 0 1 2 1 3 -2 1 14 볼리비아 3 0 0 3 2 7 -5 0 15 자메이카 3 0 0 3 0 6 -6 0 16 아이티 3 0 0 3 1 12 -11 0 승부차기는 FIFA 규정상 무승부로 간주된다. 득점 선수[편집] 6 골 에두아르도 바르가스 5 골 리오넬 메시 4 골 곤살로 이과인 3 골 필리피 코치뉴 클린트 뎀프시 알렉시스 산체스 2 골 헤나투 아우구스투 호세 페드로 푸엔살리다 아르투로 비달 하메스 로드리게스 에네르 발렌시아 블라스 페레스 에리크 라멜라 에세키엘 라베시 살로몬 론돈 에디손푸치 1 골 세르히오 아궤로 에베르 바네가 빅토르 쿠에스타 앙헬 디 마리아 니콜라스 오타멘디 후안 카를로스 아르세 하스마니 캄포스 가브리엘 바르보사 루카스 리마 차를레스 아랑기스 카를로스 바카 프랑크 파브라 마를로스 모레노 크리스티안 사파타 셀소 보르헤스 요한 베네가스 미차엘 아로요 하이메 아요비 밀러 볼라뇨스 크리스티안 노보아 안토니오 발렌시아 제임스 마르셀린 헤수스 코로나 하비에르 에르난데스 엑토르 에레라 라파엘 마르케스 오리베 페랄타 압디엘 아로요 미구엘 카마고 빅토르 아얄라 크리스티안 쿠에바 에디손 플로레스 파올로 게레로 라울 루이디아스 저메인 존스 바비 우드 기야시 자르데스 그레이엄 주시 마티아스 코루소 디에고 고딘 아벨 에르난데스 호세프 마르티네스 호세 마누엘 벨라스케스 자책골 프랑크 파브라 (코스타리카 전) 제본 왓슨 (우루과이 전) 알바로 페레이라 (멕시코 전) 기록[편집] 팀 득점 기록[편집] 18골 아르헨티나 16골 칠레 7골 미국 브라질 에콰도르 콜롬비아 6골 멕시코 4골 베네수엘라 우루과이 파나마 페루 3골 코스타리카 2골 볼리비아 1골 아이티 파라과이 0골 자메이카 팀 실점 기록[편집] 12실점 아이티 10실점 파나마 9실점 멕시코 8실점 미국 7실점 볼리비아 6실점 자메이카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5실점 베네수엘라 칠레 4실점 우루과이 에콰도르 3실점 파라과이 2실점 브라질 아르헨티나 페루 마케팅[편집] 후원[편집] 후원사 안호이저-부시 인베브 (브라마, 버드와이저, 코로나, 킬메스) 코카콜라 델타항공 (아에로멕시코 (미국-멕시코 전노선 공동운항), GOL 항공 (브라질 대표팀 경기에 한정해 광고)) 포드 자동차 마키타 마스터카드 나이키 프록터 앤 갬블 (아리엘, 질레트, 헤드 앤 쇼울더스, 오랄B, 팸퍼스, 빅스) PPG 인더스트리즈 (코맥스 그룹) 삼성전자 스코티아방크 스테이트 팜 보험 스프린트 타크호이어 토탈 매치볼[편집] 나이키 오르뎀 시엔토는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의 공인구이다.[2] 주제곡[편집] "Superstars" 노래 핏불 featuring 베키 G : 공식 주제곡.[3] "Breaking All the Rules" 노래 피터 프램튼. 각주[편집] ↑ 코파 아메리카, 2016년 미국서 개최?, 《골닷컴》, 2012년 7월 5일. ↑ “Nike 2016 Copa America Centenario Ball Released”. footyheadlines.com. 2016년 2월 22일에 확인함.  ↑ “Grammy-Winning Artist Pitbull Teams Up with Becky G for 2016 Copa America Centenario Official Song”. 《Copa América Centenario》. Chicago. 2016년 5월 26일.  외부 링크[편집] CONCACAF - 공식 사이트 CONMEBOL - 공식 사이트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에 대하여 vdeh코파 아메리카본선 아르헨티나 1916년 우루과이 1917년 브라질 1919년 칠레 1920년 아르헨티나 1921년 브라질 1922년 우루과이 1923년 우루과이 1924년 아르헨티나 1925년 칠레 1926년 페루 1927년 아르헨티나 1929년 페루 1935년 아르헨티나 1937년 페루 1939년 칠레 1941년 우루과이 1942년 칠레 1945년 아르헨티나 1946년 에콰도르 1947년 브라질 1949년 페루 1953년 칠레 1955년 우루과이 1956년 페루 1957년 아르헨티나 1959년 에콰도르 1959년 볼리비아 1963년 우루과이 1967년 개최지 없음 1975년 개최지 없음 1979년 개최지 없음 1983년 아르헨티나 1987년 브라질 1989년 칠레 1991년 에콰도르 1993년 우루과이 1995년 볼리비아 1997년 파라과이 1999년 콜롬비아 2001년 페루 2004년 베네수엘라 2007년 아르헨티나 2011년 칠레 2015년 미국 2016년 브라질 2019년 아르헨티나/콜롬비아 2020년 에콰도르 2024년 결승전 1975년 1979년 1983년 1987년 1989년 1991년 1993년 1995년 1997년 1999년 2001년 2004년 2007년 2011년 2015년 2016년 2019년 선수 명단 1916년 1917년 1919년 1920년 1921년 1922년 1923년 1924년 1925년 1926년 1927년 1929년 1935년 1937년 1939년 1941년 1942년 1945년 1946년 1947년 1949년 1953년 1955년 1956년 1957년 1959년 ARG ECU 1963년 1967년 1975년 1979년 1983년 1987년 1989년 1991년 1993년 1995년 1997년 1999년 2001년 2004년 2007년 2011년 2015년 2016년 2019년 코파 센테나리오 레볼루시온 데 마요 (1910년) vdeh 미국에서 개최된 국제 스포츠 경기 대회국가급종합경기대회올림픽 1904년 하계 올림픽 1932년 하계 올림픽 1932년 동계 올림픽 1960년 동계 올림픽 1980년 동계 올림픽 1984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 2002년 동계 올림픽 2028년 하계 올림픽 패럴림픽 1984년 하계 패럴림픽 1996년 하계 패럴림픽 2002년 동계 패럴림픽 2028년 하계 패럴림픽 월드 게임 1981년 월드 게임 팬아메리칸 게임 1959년 팬아메리칸 게임 1987년 팬아메리칸 게임 유니버시아드 1972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199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개별경기대회동계스포츠 1996년 아이스하키 월드컵 2009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미식축구 2015년 미식축구 월드컵 축구 1991년 CONCACAF 골드컵 1993년 CONCACAF 골드컵 1994년 FIFA 월드컵 1996년 CONCACAF 골드컵 1998년 CONCACAF 골드컵 1999년 FIFA 여자 월드컵 2000년 CONCACAF 골드컵 2002년 CONCACAF 골드컵 2003년 CONCACAF 골드컵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 2005년 CONCACAF 골드컵 2007년 CONCACAF 골드컵 2009년 CONCACAF 골드컵 2011년 CONCACAF 골드컵 2013년 CONCACAF 골드컵 2015년 CONCACAF 골드컵 2016년 코파 아메리카 2017년 CONCACAF 골드컵 2026년 FIFA 월드컵 태권도 1977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육상 1987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2014년 세계 주니어 육상 선수권 대회 2016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202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수영 2004년 세계 쇼트 코스 수영 선수권 대회 자전거 2015년 세계 도로 자전거 선수권 대회 필드 하키 2009 여자 주니어 하키 월드컵 농구 1985년 FIBA U-19 세계 여자 농구 선수권 대회 2002년 FIBA 세계 남자 농구 선수권 대회 배구 1981년 FIVB U-20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 2015년 FIVB 배구 월드그랑프리 비치발리볼 1997년 FIVB 세계 비치발리볼 선수권 대회 레슬링 1962년 세계 남자 자유형 레슬링 선수권 대회 1962년 세계 남자 그레코로만형 레슬링 선수권 대회 1966년 세계 남자 자유형 레슬링 선수권 대회 1966년 세계 남자 그레코로만형 레슬링 선수권 대회 1979년 세계 남자 자유형 레슬링 선수권 대회 1979년 세계 남자 그레코로만형 레슬링 선수권 대회 1995년 세계 남자 자유형 레슬링 선수권 대회 2003년 세계 여자 자유형 레슬링 선수권 대회 2014년 FILA 레슬링 월드컵 2015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 2015년 레슬링 월드컵 2016년 레슬링 월드컵 야구 1974년 아마추어 월드 시리즈 1981년 AAA 세게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1982년 AAA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1983년 AAA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1985년 AAA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1995년 AAA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1998년 AA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2018년 여자 야구 월드컵 프로급골프 US 오픈 육상 보스턴 마라톤 시카고 마라톤 뉴욕 마라톤 호놀룰루 마라톤 테니스 US 오픈 마이애미 마스터스 신시내티 마스터스 인디언웰스 마스터스 그리스 | 벨기에 | 스웨덴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러시아 | 독일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스위스 | 스페인 | 영국 | 이탈리아 | 프랑스 | 핀란드 | 폴란드 | 오스트리아 | 터키 | 크로아티아 | 대한민국 | 아랍에미리트 | 인도 | 일본 | 중화인민공화국 | 카자흐스탄 | 카타르 | 태국 | 오스트레일리아 | 미국 | 캐나다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칠레 | 콜롬비아 | 멕시코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코파_아메리카_센테나리오&oldid=23877559" 분류: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코파 아메리카2016년 축구2016년 미국2016년 6월CONCACAF 주관 대회CONMEBOL 주관 대회미국에서 개최된 축구 대회숨은 분류: 스페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Avañe'ẽ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ietuviųLatviešuमराठीBahasa MelayuनेपालीNederlands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činaSvenskaதமிழ்ไทย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7일 (일) 22:5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스페인어: Copa América Centenario)는 코파 아메리카 100주년을 기념하는 의미에서 2016년 6월 3일부터 6월 26일까지 미국에서 특별히 개최된 남미 및 북중미 지역 국가 간의 축구 대회이다. 남미 축구 연맹(CONMEBOL) 소속 10개국과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 소속의 6개국이 경쟁을 펼친다. 이 대회 우승팀은 201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의 진출 자격이 주어지지는 않는다. 컨페더레이션스컵에는 2015년 코파 아메리카 우승팀인 칠레가 참가한다. 결승전 결과 칠레가 무승부 후 승부차기(4-2) 끝에 우승 하였다. 칠레는 지난 대회에 이어 두 번째 우승이며, 아르헨티나는 두 차례 연속으로 준우승을 기록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의 후원사로 대한민국에서 가장유명한 기업은 어디일까? Assistant: 코맥스 그 Human: 아래 이영호_(1992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영호 (1992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영호 (1992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영호 (李泳浩) KT 롤스터 소속 선수 시절 이영호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출생 1992년 7월 5일(1992-07-05) (27세)대한민국 대전직할시 서구(現 대전광역시 서구) 프로게이머 정보 종족 테란 아이디 FlaSh 별명 신(神), 최종병기, 갓영호, 꼼딩, 어린괴물, 속도의 이영호, 바이오닉천재 키보드 Razer Blackwidow Tournament Edition 마우스 Razer Krait 메달 기록 대한민국의 선수 월드 사이버 게임즈 (WCG) 금 2010 미국 로스앤젤레스 스타크래프트 메달 기록 대한민국의 선수 2009년 실내 아시안 게임 금 2009 베트남 하노이 스타크래프트 메달 기록 대한민국의 선수 2013년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은 2013 대한민국 인천 스타크래프트 II 이영호(李泳浩, 1992년 7월 5일 ~ )는 대한민국의 前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테란 선수로서 FlaSh라는 아이디를 사용한다. 2012년, KeSPA 랭킹 1위, WP 랭킹 1위를 차지 했으며 임요환, 이윤열, 최연성과 함께 역대 최강의 테란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E스포츠 역사상 누구도 해내지 못했던 골든 그랜드 슬램 및 골든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하였다. 이영호의 골든 그랜드 슬램 달성 이력은 다음과 같다. 2010년 9월 11일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결승전에서 라이벌 이제동을 3:1로 꺾고 골든 마우스를 차지한다. 이어 WCG 2010 스타크래프트 부분 그랜드 파이널에서 김구현을 2:0으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 ABC마트 MSL 2011 결승전에서 김명운을 3:0으로 꺾고 금배지까지 차지한 이영호는 프로게이머 최초로 골든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다. 이후, MSL이 폐지되면서 이 골든 그랜드 슬램은 '최초이자 최후'의 골든 그랜드슬램이 된다.[1] 이후 2017년 11월 12일,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최초 공식대회인 ASL 시즌4를 우승함으로써 스타리그 3회 우승, MSL 3회 우승, ASL 3회 우승을 달성하여 3-3-3 클럽 최초 가입과 골든 트리플 크라운 을 달성함 과 동시에 골든마우스, 금뱃지, 골든트로피, 금메달을 보유한 전세계 최초이자 유일한 선수가 되었다. 목차 1 선수 이력 1.1 아마추어 시절 1.2 데뷔 초기 1.3 첫 번째 우승을 안겨준 박카스 스타리그 2008 1.4 소년가장 시절, KTF의 부진 그리고 부활의 신호탄 1.5 스타리그 두 번째 우승 그리고 MSL 첫 준우승 1.6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 위너스리그 우승, MVP 1.7 골든 마우스 획득 좌절, 그리고 MSL 첫우승 1.8 3연속 양대리그 결승 진출 1.9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우승, MVP 1.10 스타리그 골든 마우스 1.11 양대리그 조기 탈락 1.12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과 위너스리그에서의 활약 1.13 MSL 3회 우승, 금배지 획득, 최초이자 최후의 골든 그랜드 슬램 1.14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우승, 결승전 MVP 1.15 손목 부상과 11-12 프로리그에서의 활약 1.16 7회 우승의 좌절, 최초의 스타리그 15회 연속 진출 달성 1.17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2에서의 미비한 부진 1.18 스타크래프트 II 에서의 새로운 가능성 1.19 12-13 프로리그에서의 활약 1.20 첫 GSL Code S 진출 1.21 개인리그에서의 선전과 부진 1.22 프로게이머 데뷔 이후 첫 예선 추락, 예상치 못한 프로토스전의 부진 1.23 2014년 중반기, 부활의 서막을 알리다 1.24 스타크래프트 II 프리미어급 대회 첫 우승 1.25 2015년 부진 그리고 비상 1.26 2015년 프로리그 10시즌 연속 2자리승수 대기록 달성 1.27 2015년 시즌, 은퇴 1.28 2016년,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다. 1.29 자신의 자리를 되찾기 위한 도전 2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의 최후의 테란 우승자 3 주요 기록 3.1 통산 전적 3.2 TvsP 공식전 최다 연승 3.3 TvsT 공식전 최다 연승 3.4 프로리그 에이스 결정전 최다 연패 공동 1위 3.5 위너스리그 대장전 32연승 기록 3.6 등장 BGM 3.7 우승 관련 기록 3.8 수상 이력 3.8.1 스타크래프트 3.8.2 스타크래프트 II 3.9 협회 수상 4 출연 프로그램 5 기록 6 같이 보기 7 각주 8 외부 링크 선수 이력[편집] 아마추어 시절[편집] 이영호는 초등학교 시절 자신의 친형이 스타크래프트를 하는 것을 보고 처음 스타크래프트를 즐기기 시작하였다. 한참 즐길무렵에는 집에서 컴퓨터를 없앴을 정도로 부모님은 게임을 전혀 하지 못하게 하였다고 한다. 중학교 2학년 여름 방학에 이영호는 부모님께 프로게이머를 하고싶다는 꿈을 말씀드렸고, 부모님은 크게 반대하였다. 이영호는 부모님을 설득하기 위해 1달만에 준프로게이머 자격을 취득하겠다고 약속했고, 약속대로 1달만에 극적으로 준프로자격을 취득 하였다. 그 이후로 온게임넷 스파키즈와 팬택 EX(현 위메이드 폭스)의 연습생으로 활동하였다. 당시 팀에 들어간 뒤 1~ 2달 이후 랭킹전을 했는데, 이후 6개월 동안 계속 1위를 할 정도로 강력한 유망주였다고 한다. 하지만 연습만 있을 수 없어서 KTF와 전속계약을 하면서 본격적인 프로게이머 생활이 시작되었다. 따라서 이영호는 폭스출신이 아니라 순수 KTF에서부터 프로게이머 생활을 시작한 선수로 보면 된다.[2] 데뷔 초기[편집] 2007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KTF 매직엔스(현 KT 롤스터)의 추천선수로 입단하였다. 데뷔 직후 첫 개인리그인 다음 스타리그 2007에 진출하여 8강에서 김택용(당시 MBC게임 히어로, 현 SK텔레콤 T1)을 2:0으로 셧아웃시키는 파란을 일으키며 4강까지 진출하였다. 비록 4강에서는 김준영(당시 한빛 스타즈, 현재 은퇴)에게 2:3으로 석패하여 로열로더의 꿈은 이루지 못했으나, 주목받는 신인으로 떠오르게 된다. 하지만 겁없는 신예 이영호의 앞길을 번번히 가로막는 선수가 있었으니 바로 삼성전자의 송병구였다 다음 스타리그 2007 3,4위전에서 이영호는 송병구의 캐리어에 시종일관 휘둘리며 3:0 완패를 당하게된다. 그 후 EVER 스타리그 2007 8강에서도 2:1로 패하며 당시에는 송병구와의 천적관계가 형성되었다. 첫 번째 우승을 안겨준 박카스 스타리그 2008[편집] 곰TV 스타 인비테이셔널에서 오영종(당시 르카프 OZ(현재 은퇴)), 이제동(당시 화승 OZ) 등을 연파하며 결승에 오른 이영호는 송병구를 상대로 5세트까지 가는 접전 끝에 3:2 신승을 거두었다. 그 날 결승에서 이영호는 흔히 업테란이라고 불리는, 메카닉 병력의 업그레이드와 골리앗 양산을 중시한 안티캐리어 빌드를 들고와 송병구의 캐리어를 무력화시켰다. 그리고 박카스 스타리그 2008 4강에서도 안티캐리어 빌드를 활용해 김택용을 3:1로 물리치게 된다. 2주 후, 박카스 스타리그 2008 결승에서 송병구와 다시 만난 이영호는 캐리어 빌드를 준비한 송병구를 심리전에서 완승하여 3:0 셧아웃시키며 자신의 첫 메이저 개인리그 타이틀을 가져감과 동시에 만 15세 8개월 10일의 나이로 양대 방송사를 통틀어 최연소 개인리그 우승 기록을 세웠다. 종전까지의 기록은 2007년 11월 17일, 곰TV MSL 시즌3에서 우승했던 박성균(당시 위메이드 폭스, (현재 KT 롤스터)), (만 16세 1개월 14일)이었으며, (그 결과 박성균의 팬들로부터 많은 비난을 받기도 했다.) 이 최연소 우승의 기록은 현재(2012.12.27)까지도 깨지지 않고 있다. 박카스 스타리그 2008에서 이영호는 8강에서 이제동, 4강에서 김택용, 결승전에서 송병구를, 즉 택뱅리를 제압함으로써 많은 주목을 받게 되었다. 소년가장 시절, KTF의 부진 그리고 부활의 신호탄[편집] 스타리그 우승 이후 치뤄진 경기들에서 상승세를 타며 11연승을 기록하는 등 높은 승률을 이어가던 이영호는 아레나 MSL 4강에서 탈락한 이후 개인리그 8강의 벽을 넘지 못하며 개인리그에서 슬럼프를 겪었다. 특히 저그전에 난조를 보이며 박찬수, 박명수, 김준영, 한상봉 등에게 패배하였다. 이영호가 기량만큼의 커리어를 쌓지 못하는 데에는 빡빡한 스케줄과 컨디션의 난조가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2009년 6월 30일에 있었던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시즌 삼성전자 칸과의 경기, 에이스 결정전 이성은과의 대결에서, 거의 이길 수 없는 상황을 엄청난 근성으로 맵의 모든 자원이 바닥이 날 때까지 버티다가 결국은 이성은의 마지막 병력을 3방향으로 공격하여 몰살시키고 최고의 역전승을 일궈내면서 부활의 신호탄을 쏘았다. 이영호는 프로리그 정규시즌에서 54승을 기록하면서 다승왕을 수상하게 되었으나, 팀 동료들의 부진으로 KT 매직엔스의 포스트시즌 진출은 좌절되었다. 이 시기에는 주로 이영호가 혼자 승리하고 다른 선수들은 패배하여 결국 팀도 패배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이영호에게는 '소년가장'이라는 비운의 별명이 생겼다. 개인리그에서는 부진하였어도 프로리그에서는 좋은 경기력으로 많은 승리를 거두었으나, 백업 선수가 부족해 팀의 순위는 하위권을 맴돌았고 포스트시즌 진출을 문 앞에서 놓치는 등(5위, 7위 기록) 팀이 부진하던 시기였다. 2009년 7월,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시즌3에서 11승 전승로 결승에 진출했으며, 변형태와 치른 결승전에서 3:1로 승리를 거두면서 우승을 차지했다. 이 우승을 계기로 이영호는 다시 한번 부활의 신호탄을 쏘아올린다. 스타리그 두 번째 우승 그리고 MSL 첫 준우승[편집] 2009년 12월, EVER 스타리그 2009 8강전에서 이영호는 숙적 이제동에게 2:0으로 승리를 거두고 4강에 진출한다. NATE MSL 2009 16강에서는 김명운을 2:1로, 8강에서는 천적 도재욱을 3:0으로 물리치고 4강에서는 한상봉에게 3:1로 승리하여 지난 패배를 설욕하였다. 이영호는 양대 개인리그 결승에 진출했을뿐만 아니라, 프로리그에서도 전무후무한 대 테란전 22연승을 기록하는 등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당대 최강의 프로게이머임을 입증하고 있었다. EVER 스타리그 2009결승에서는 로열로더 후보이자 강민 이후로 첫 CJ의 프로토스 결승 진출자인 진영화를 3:1로 제압하며 스타리그에서 두 번째 우승을 차지한다. 첫 번째 우승 이후 개인리그에서 다소 부진하며 소년가장 역할을 했던 이영호에게는 근 2년간만의 우승이었으며, 마음고생이 심했던 탓에 스타리그 첫 번째 우승에서도 보이지 않았던 눈물을 보였다. 이렇게 스타리그의 2회 우승자의 대열에 합류한 이영호는, 라이벌 이제동과의 NATE MSL 2009 결승전 1:1 동점 상황에서 치열한 3경기 도중에 발생한 초유의 정전사태(온풍기의 과열로 인한 것으로 밝혀짐)로 인해 허무한 판정패를 당하고, 연이어 4경기에서도 패배하며 3:1으로 준우승에 그치고 양대리그 우승에는 실패하게 된다.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 위너스리그 우승, MVP[편집]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에서 이영호는 47전 41승 6패라는 87.2%의 경이적인 승률을 기록하며 위너스리그 랭킹 1위로 팀을 결승전 자리에 올려놓았다. 2010년 4월 3일, MBC게임 HERO를 위너스리그 결승전 상대로 맞이하여 자신의 팀이 1 대 3으로 몰리고 있는 상황에서 대장으로 출전, 염보성, 박수범, 김재훈을 차례대로 꺾어내며 KT 롤스터가 창단 10년 만에 우승을 차지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그리고 그 공로를 인정받아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 결승전 MVP를 수상하였다. 골든 마우스 획득 좌절, 그리고 MSL 첫우승[편집] 하나대투증권 MSL 2010 결승전에 출전한 이영호 이영호는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 결승전에서 우승한 후에 개인리그에서도 승승장구하며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과 하나대투증권 MSL 2010 4강에서 각각 박세정과 윤용태를 연이어 3대0으로 연파하면서 결승까지 올랐다.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 결승전에서 이영호는 김정우를 상대로 2:0 까지 몰아붙였으나 내리 3세트를 내주며 변형태, 정명훈에 이어 역대 스타리그 결승 통산 3번째 리버스 스윕(패패승승승)의 희생자가 되면서 골든마우스 획득에 실패했다.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에서의 2:3 패배 이후 잠시 주춤 거리는듯 싶었으나, 라이벌 이제동과의 하나대투증권 MSL 2010 결승전에서 3:0으로 셧아웃시키고 우승하여 이제동의 금배지 획득을 좌절시키고 본인의 첫 MSL 우승을 달성하게 되었다. 이로써 이영호는 프로게이머 가운데 8번째로 개인리그 3회 우승에 성공한 선수가 되었으며, 7번째로 양대리그 정상을 밟는 선수가 되면서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 결승전에서의 역전패의 충격을 극복하고, 5전제 리쌍록에서 처음으로 이제동에게 승리를 거두게 되었다. 3연속 양대리그 결승 진출[편집] 이영호는 역대 최초 2연속 양대리그 결승 진출이라는 엄청난 기록을 달성하며 골든마우스의 도전에 성공하는 듯 했으나,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에서 김정우에게 역스윕을 당해 골든마우스를 얻는데 실패했다. 그러나, 이후 하나대투증권 MSL 2010에서 이제동을 3:0으로 완벽하게 꺾으면서 MSL 첫 우승라는 영광을 얻게 되었다. 이후 이영호는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와 빅파일 MSL 2010의 결승에 오르며 3회연속 양대리그 결승진출이라는 대기록을 세우게 되었다. MSL에서는 이제동을 3:2의 성적으로 승리를 거두었고, 이어서 대한항공 스타리그 Season 2 또한 이제동을 상대로 3:1의 스코어를 만들며 우승하였다.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우승, MVP[편집]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에서 이영호는 73전 57승 16패, 승률 78.1%로 다승1위를 차지하며 팀이 정규시즌 1위로 광안리 결승전에 진출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2010년 8월 7일, SK텔레콤 T1과의 광안리 결승전에서 이영호는 6세트에 출전해 박재혁에게 승리하면서 5년만의 통신사더비에서 팀을 우승시키고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결승전 MVP를 받았다. 이로써 KT 롤스터는 10년 무관의 한을 풀고 정규시즌, 위너스리그, 결승전 우승으로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를 통합우승하였다. 이영호는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다승왕 및 MVP,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 MVP,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결승전 MVP를 싹쓸이함으로써 09-10시즌을 자신의 해로 만들었다. 스타리그 골든 마우스[편집]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결승에서 라이벌 이제동을 3:1로 꺾어내며 골든 마우스를 차지하였다. 전무후무한 포스를 내뿜는 이영호를 보고 갓이라고 부르게 된다. WCG 2010 한국대표 선발전 스타크래프트 부문 에서는 이제동에게 1:2로 패해 준우승에 그쳤지만 WCG 2010 그랜드 파이널 스타크래프트 부문 에서는 4강에서 이제동을 다시 만나 2:1로 꺾고 결승에서는 김구현을 2:0으로 꺾으며 첫 WCG 금메달을 획득하게 된다. 이로써 이영호는 MSL 3회 우승에 해당하는 금배지를 제외한 모든 커리어를 획득하면서 명실상부 최강의 프로게이머가 되었다. 양대리그 조기 탈락[편집] 3연속 양대리그 결승 진출, 10개월 연속 KeSPA랭킹 1위, 최근의 양대리그를 우승하며 최고의 기량을 뿜고 있던 이영호는 갑자기 양대리그 조기 탈락의 굴욕을 맛보게 된다. 박카스 스타리그 2010 16강에서는 1경기에서 김구현에게 패하고 2경기에서 정경두를 잡아냈지만 3경기에서 박재혁에게 패배하였다. 1승 2패의 상황에서 재경기를 바라는 상황이었으나 김구현이 정경두에게 승리하면서 자동으로 16강에서 탈락하였다. 피디팝 MSL 2010 32강에서는 개막전인 12월 16일 최호선에게 패배하면서 불안한 출발을 보이더니 뒤이어 패자전에서도 김도우에게 패하면서 2패로 32강 탈락이라는 치욕적인 결과를 얻어내면서 양대리그 이변의 희생자가 되고 말았다.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과 위너스리그에서의 활약[편집]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1,2라운드에서 이영호는 20전 18승 2패라는 엄청난 성적을 내며 팀의 에이스다운 면모를 보여주었다. 특히 2010년 11월 30일 경기에서는 박대호를 꺾음으로써 에이스 결정전에서의 연패를 끊어내었다. 또한 위너스리그에서는 30전 25승 5패의 성적을 거두면서 팀의 결승 진출에 큰 영향을 끼쳤다. 또한 SK전 역3킬, 하이트전 역3킬, MBC게임전 역3킬, 위메이드전 역올킬이라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위너스리그 대장전 32연승이 전태양에게 저지당했고, 결승전에서는 이승석의 올킬을 저지하였으나 뒤이어 출전한 김택용에게 전진게이트의 초반피해로 크게 흔들렸고, 이를 극복하기위해 타이밍 조이기를 시도하지만, 자원력을 바탕으로한 프로토스의 한방병력을 막아내지못해 패배하게 되어 팀도 준우승에 머무르게 된다 MSL 3회 우승, 금배지 획득, 최초이자 최후의 골든 그랜드 슬램[편집] 2011년 6월 11일 ABC마트 MSL 2011에서 결승에서 웅진의 김명운을 만난 이영호는 자신의 장기인 대저그전의 강력함을 어김없이 뽐내며 김명운을 3:0으로 셧아웃 시키고 MSL 3번째 우승을 차지하였다. 이로써 이영호는 MSL 3회 우승의 상징인 금배지를 포함해, 스타리그 3회 우승(골든마우스)과 WCG 2010 우승(금메달)을 모두 차지하며 역대 프로게이머 중 최초로 골든 그랜드 슬램이라는 경이로운 칭호를 받게된다. 또한 통산 6회 우승으로 이전에 이윤열이 가진 우승 횟수와 동일한 기록을 갖게 되었다. 이 대회를 끝으로 MSL 대회가 폐지됨으로써 이영호가 갖게된 골든 그랜드 슬램이라는 기록은 최초이자 최후의 기록이 되었다. 더해서 모든 기록이 최단기간에 달성한 최연소 기록이므로 이윤열을 넘어서 스타1 최고의 자리에 우뚝 섯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우승, 결승전 MVP[편집] 서울 어린이 대공원에 있는 능동 숲 속의 무대에서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결승전을 치룬 이영호는 자신을 겨냥한 스나이핑 카드 도재욱을 2번 꺾어내고 프로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위너스 리그의 설욕을 갚았다. 이날 결승전에서의 MVP는 이영호가 차지했으며 2년 연속 프로리그 결승전 MVP라는 기록을 세우게 된다. 특히 5세트에서는 3연벙(상대방의 본진의 앞멀티(일명 앞마당)에다 3개의 벙커를 연속으로지어 본진의 앞멀티를 파괴하면서 적군의 유닛들을 제압하는 전략)을 성공시키며 도재욱의 기를 완벽하게 꺾어놓았으며, 에이스 결정전에서는 200 대 200 물량 전투에서도 압승을 거두고 도재욱의 물량을 완전히 제압해냈다. 이로 인해 기존에 6:5로 뒤지던 도재욱 과의 상대 전적을 6:7로 벌려놓으면서 천적 관계를 하나 해소해냈다. 프로토스로써 이영호에게 상대전적이 앞서는 선수는 공군 손석희가 유일하다. (1:2로 이영호가 조금 밀림.) 손목 부상과 11-12 프로리그에서의 활약[편집] 프로리그에서 뛰어난 활약으로 51승 15패(다승 2위)의 성적을 거둔 이영호였지만, 많은 연습량으로 인해 손목부상이 찾아오면서 고생하게된다. 2011년 3월부터 손목에 통증을 호소한 이영호는 팀의 위너스리그 우승 좌절과 케스파랭킹 1위 유지 실패, 이후 5~6라운드에서의 잦은 패배 등으로 예전의 활약에 비해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프로리그에서 5연패로 부진을 겪는 듯 했으나 손목 부상에도 불구하고 ABC마트 MSL을 우승하고 프로리그 결승전에서 팀을 우승으로 이끄는 등 여전히 많은 활약을 하였다. 진에어 스타리그에서도 3승으로 8강에 진출하는 좋은 모습을 보였으나 8강에서 허영무에게 1:2로 패배하면서 탈락하게 되었다. 이후 2011년 9월 손목 수술이 진행되었고, 성공적으로 수술을 끝마치고 강원도에서 재활기간을 보낸 이영호는 새로운 프로리그를 맞이하게 된다.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에서 이영호는 매끄러운 경기력으로 프로리그에서 14연승을 기록하며 손목 부상 이후 화려한 부활을 알렸다. 특히 이 시기에 이영호의 BGM은 'electric romeo'로서 이영호의 절대강자 포스에 걸맞다는 평을 받았다. 연승기록은 STX의 신예 백동준의 준비된 전략(이영호의 스캔 뿌리는 습관까지 조사하여 빌드를 짰다고 한다)에 패배해 멈추었으나, 14연승이라는 대기록을 달성해내며 현존 프로게이머 1위의 위엄을 유감없이 보여주었다. 이번 프로리그에서 이영호는 최단기 프로리그 200승을 거두었고, e스포츠대상에서 테란 최우수선수상과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하였다. 또한 프로리그 5주차, 1라운드 MVP까지 선정되며 상승세를 타는 모습이었다. 2012년 3월 4일 신상문과의 대결에서 승리하여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의 다승왕으로 선정되었고(15승), 프로토스전 2패를 제외하면 테란, 저그전은 100% 승률을 기록하였다. 또한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1 MVP도 수상하며 팀을 결승전까지 진출시키는데 크게 활약했다. 2012년 4월 8일 프로농구 서울 SK 나이츠의 홈 경기장인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치뤄진 결승전에서 SK텔레콤 T1의 정명훈과 김택용(에이스결정전)을 상대로 최고의 경기력을 보였으나 경기에는 패배하며 팀의 3연속 우승을 견인하는 데 실패하고 준우승에 그쳤다. 7회 우승의 좌절, 최초의 스타리그 15회 연속 진출 달성[편집] 이영호의 개인리그(스타리그+MSL) 6회 우승 기록은 이윤열의 6회 우승과 타이 기록이었기 때문에, 스타1으로 열리는 마지막 스타리그인 Tving 스타리그 2012에서 이영호의 전무후무한 7회 우승이 가능할 것인지가 주목되었다. 16강에서 허영무, 이신형에게 패하며 1승 2패로 탈락의 문턱에 있었지만 재경기를 치루며 8강에 진출하였다. 8강에서는 삼성의 '태풍' 이영한과의 경기에서 불미스러운 재경기 판정에도 불구하고 3:1로 깔끔하게 상대를 제압하는 모습을 보이며 우승의 기대감을 높였다. 하지만 4강에서 단단히 칼을 갈고 나온 정명훈에게 3:0으로 셧아웃당하여 결승 진출에 실패하고 7회 우승이 좌절되고 만다. 이영호는 스타리그 첫 데뷔를 했던 다음 스타리그 2007을 시작으로 무려 15시즌동안 단 한번도 본선탈락을 한 적이 없을 정도로 스타리그에 꾸준히 진출하였다. 그 결과 스타리그 3회 우승과 1회 준우승이라는 값진 기록도 얻게 되었다. 새롭게 전환된 스타크래프트2로 열린 옥션 스타리그 2012 듀얼예선에서 이영호는 이병렬, 김성현을 꺾고 2승을 거두며 14연속 스타리그 진출에 성공하였다. 이 기록은 이영호만의 단독 기록이며, 현재 진행형이다. 이영호는 데뷔 이후 현재까지 단 한번도 스타리그 예선전으로 떨어진 적이 없다.(듀얼예선과 본선 예선은 제외) 13연속 진출을 한 송병구를 제치고 단독으로 기록을 갱신하였다. 2013년 WCS로 전환된 스타리그에도 진출 성공하면서 무려 15회 연속 진출이라는 대업을 달성하게 된다.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2에서의 미비한 부진[편집] 스타1과 스타2가 병행하여 진행되는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시즌 2에서 이영호는 개막전에서 자신의 천적인 김정우에게 패배하였으나, 이후 3연승을 하면서 건재함을 과시했다. 하지만 병행이 진행되면서 이전의 프로리그에 비해서는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이게 되었다. 특히 스타2 종목에서는 6승 8패로 이영호로서는 아쉬운 성적을 냈다. 이영호는 프로리그 경기에서 주로 트리플 사령부를 가져가는 자원중심적인 전략으로 허무하게 패배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무작정 기존의 전략을 따라하기보다는 스타1에서의 자신의 장점을 스타2에 접목시키며 자신만의 스타일을 만들어내려는 노력을 보였다. 하지만 스타1과 병행을 하다보니 스타2의 경기력이 아직은 미완성이었고, 이영호의 부진으로 팀은 연패를 이어가면서 포스트시즌 진출이 좌절되었다. 스타크래프트 II 에서의 새로운 가능성[편집] 이영호는 지난 프로리그에서 스타2에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불안하게 출발했지만, 각종 개인리그 등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이며 스타1 네임드로서는 이제동, 정윤종 등 과 더불어 거의 유일하게 꾸준한 활약을 보여주고 있다. 스타2로 진행된 옥션 스타리그 2012에서는 듀얼예선을 뚫고 본선에 진출하여 스타리그 14회 연속 진출이라는 대기록을 달성하였다. 16강에서는 당시 프로토스가 테란에 강세를 보이던 시기에 3 프로토스조에 배치되어 걱정을 샀으나 강초원, 도재욱, 장민철 3명의 프로토스에게 모두 승리하며 '이영호는 재능과 노력을 모두 겸비한 선수'라는 평을 받게 된다. 8강에서는 STX의 김성현을 만나 2:0까지 몰아붙이고 스타리그 99승을 달성하였지만 1승을 눈앞에 두고 2:3으로 역스윕 당하며 탈락하였다. 기존에 곰tv에서 진행되고있던 스타2 리그인 핫식스 GSL 시즌4에도 참가하게 되는데, 스타1 네임드들이 줄줄이 예선탈락하는 가운데 이영호는 전승으로 코드A 예선을 통과하며 역시 이영호라는 평가를 받게 된다. 코드A 1라운드에서 신상호를 제압하고 2라운드에 진출하였으나 변현제에게 1:2로 패하여 승격강등전에으로 가게된다. 승격강등전에서 안상원, 김동원, 김영진, 최진솔과 한 조가 되어 경기를 치루고 좋은 경기력으로 2승 2패를 하였지만, 승자승 원칙에 의해 코드S 진출에는 실패하고 코드A에 잔류하게 되었다. 핫식스 GSL 시즌5에서는 코드A 1라운드에서 승리하였고, 2라운드에서 전태양을 만나 1:2로 패배하여 또다시 승격강등전에 가게되었다. 2012년 11월 3일-5일 미국에서 개최된 스타2 대회인 MLG Fall Championship 2012에 시드를 받고 참가하게 된다. 쟁쟁한 선수들과 경쟁하여 8강에 진출한 이영호는 바로 직전 시즌인 핫식스 GSL 시즌4의 우승자이자 최연소 GSL 우승자인 이승현과 맞붙게 된다. 당시 테란전이 매우 강력한 이승현의 일방적인 승리가 예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영호는 뛰어난 경기력으로 2:0 승리를 거두고 이승현을 패자조로 떨어뜨리고 4강에 진출한다. 갓영호를 찬양하는 글들이 커뮤니티를 뒤덮었으나, 패자조에서 다시 올라온 이승현에게 2:0 스코어에서 연이어 4경기를 내주며 2:4로 패배하였다. 하지만 MLG Fall Championship 3위라는 좋은 성적을 거두며 이영호가 앞으로 더 좋은 모습을 보여줄 것이라는 기대감을 주게 되었다. 2013년 1월 6일 프로리그에서 EG-TL을 상대로 올킬을 기록하며 스타2 첫 올킬을 기록한다. 그러나 같은 날 치루어진 GSL 승격강등전에서 이제동, 장민철, 최용화, 최병현, 서성민과 한 조가 되어 3승 2패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지난 시즌과 같이 승자승 원칙에 밀려 아쉽게 코드S에 진출에 실패한다. 이 날 승격강등전에서 치루어진 이제동과의 경기는 스타2로 이루어진 첫 리쌍록이었으며, 이제동의 끊임없는 공격에 패배하여 상대전적이 좁혀지게 되었다. 2013년 9월 6일 인터뷰에선 스타크래프트2는 스타크래프트:브루드워만큼 집중해 연습할 수 있을 만큼 흥미가 생기지 않았다,라고얘기했고 많은선수들이 은퇴를 ( 허영무.도재욱.김재훈, 김택용 )선택하였고 자신도 프로게이머 생활을 계속해야 하는지에 대한 회의감이 들었고 많은 고민을 했다고 전해진다. 심란한 마음을 한번에 정리해준 것은 동료들의 격려였다. 황병영, 김성대, 임정현, 고강민, 주성욱, 박성균, 김대엽 등과 함께 한 태국 파타야 여행을 통해 이영호는 마음을 다잡았고 한국으로 돌아와 다시 마우스를 잡고 연습에 몰두할 수 있었다고 고백했다. 12-13 프로리그에서의 활약[편집] 스타2로 완전 전환되어 진행되는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에서 이영호는 다시 에이스의 모습을 되찾아 팀의 승리를 견인하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위너스리그로 진행된 2라운드에서는 EG-TL을 상대로 올킬을 기록하였고, SK텔레콤 T1을 상대로는 3킬을 기록하는 등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프로리그 전적 42승 19패로 다승왕을 차지하였으며, 역대 프로게이머 중 가장 많은 다승왕 기록을 보유하게 되었다.(통산 5회) 첫 GSL Code S 진출[편집] 스타2로 종목이 전환 된후 이영호는 GSL 예선전을 한번에 통과하여 Code A에 진출하였다. 비록 승강전 방식에 의해 코드 S 진출에 2번이나 실패하였으나, 2013년 2월 27일 SK텔레콤의 주전이자 가장 강한 프로토스인 정윤종을 상대로 엄청난 스피드와 견제로 2:0으로 제압하고 처음으로 GSL Code S에 진출하는데 성공하였다. 개인리그에서의 선전과 부진[편집] 2013 MLG Winter Championship과 인천 실내무도아시아경기대회 스타크래프트 II 부문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이영호였지만 국내 개인리그에서는 생각보다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2013 망고식스 GSL 코드 S 16강, 2013 옥션 올킬 스타리그 16강, 2013 조군샵 GSL 16강으로 3연속 개인리그 16강 탈락을 기록했다. 또한 WCG 2013 한국 대표 선발 예선전에서는 아마추어 게이머인 김동균에게 패배하기도 했다. 해외대회인 IEM과 드림핵에서도 각각 16강과 32강에서 탈락,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프로게이머 데뷔 이후 첫 예선 추락, 예상치 못한 프로토스전의 부진[편집] 프로게이머로 데뷔하면서 이제까지 스타크래프트와 스타크래프트2 개인리그에서 한번도 예선으로 떨어지지 않은 이영호였으나 2014년 1월 16일 2014 WCS 코리아 시즌 1 핫식스 GSL 코드 A 48강에서 최용화와 노준규에게 연패를 기록하며 예선으로 떨어졌다. 그중 프로토스에게 가장 많이 패배하였고, 예선에 떨어지기 전에도 프로토스에게 패배하였다. 다만 스타리그는 아직 듀얼 시드 자리에 있으므로, 해당되지 않는다. 이후 핫식스 GSL 시즌2 예선전에 참가, 4강 첫 경기에서는 신인 박진혁에게 패배하였지만 이후 패자전에서는 채도준을, 최종전에서는 저번 시즌에 자신을 탈락시킨 노준규를 만나 각각 2:0으로 승리하며 본선에 다시 진출하였다. 하지만 코드 A 첫 경기에서 신동원에게 0:2로 패하였고 패자전에서는 한재운을 상대로 2:0 승리를 거뒀으나 최종전에서 이영한에게 1:2로 패배, 또 다시 예선으로 떨어지게 되었다. 2014년 중반기, 부활의 서막을 알리다[편집] 2014년 7월에 열린 GSL 코드A 시즌3 예선전에서 조 1위로 코드 A 복귀에 성공한 이영호는 코드 A 경기에서도 첫 경기 상대인 강동현을 2:1로, 승자전 상대인 변영봉을 2:0으로 제압하고 세 시즌 만에 GSL 코드 S에 복귀했다. 2014년 7월 29일 프로리그 통합 포스트시즌에서는 김유진을 상대로 승리하기도 했으며 동년 8월 9일에 열린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통합 결승전에서는 천적 원이삭에게 승리하여 팀의 우승에 큰 공헌을 했다. 이 경기로 이영호는 통합 결승전의 MVP로 등극하기도 했다. 2014년 8월 11일과 12일에 펼쳐진 IEM Season IX - Toronto 예선전에 참가한 이영호는 1차 예선에서 김기현, 고병재, 백동준, 조성주를 상대로 승리하며 2차 예선에 진출했으며, 2차 예선에서는 승자 4강전에서 같은 팀 프로토스인 주성욱에게 패배했으나 어윤수, 김지성, 김도우, 김준호, 양희수를 상대로 각각 승리하며 본선에 진출했다. 2014년 8월 18일에 열린 2014 KeSPA컵 예선에서는 송현덕, 박수호, 김민철, 신노열, 조성주, 김정우가 속한 죽음의 조에서 살아남으며 본선 진출에 성공, 기세를 이어갔다. 스타크래프트 II 프리미어급 대회 첫 우승[편집] 파일:IEM 토론토 우승.jpg IEM 토론토에서 주성욱을 4:1로 꺾고 스타크래프트2 개인리그 첫 번째 우승을 달성한 이영호. IEM Season IX - Toronto에 참가한 이영호는 16강 첫 경기에서 장민철에게 1:2로 패배, 패자전으로 내려갔지만 이후 패자전에서 'Scarlett' 사샤 호스틴에게 2:0으로 승리한 후 최종전에서 장민철을 다시 만나 2:0으로 승리, 복수에 성공하며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는 김준호와 김유진을 격파한 'Snute' 얀스 아스가드를 만나 초반 2연패를 하며 0:2 스코어로 분위기가 좋지 않았으나 나머지 세 경기를 모두 승리하며 '패패승승승'을 기록, 4강에 진출했다. 4강에서는 윤영서를 상대로 3:1로 승리하고 결승에 진출했으며 결승전에서는 같은 팀 소속 선수인 주성욱을 만나게 되었다. 결승전에서는 4:1로 주성욱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영호는 IEM Season IX - Toronto의 우승을 차지함으로써 이제동에 이어 두 번째로 스타크래프트: 브루드워 개인리그 우승자 출신 선수로 스타크래프트 II 프리미어급 대회 우승에 성공한 선수가 되었다. 2015년 부진 그리고 비상[편집] 2014년 막바지 이후 핫식스컵, 스타리그, 프로리그 등 공식전에서 11연패를 기록하고 2015년 초반 개인리그에서 부진하며 최악의 부진에 빠졌지만, 2015 프로리그에서 프라임의 최종혁을 꺾고 11연패에서 탈출했다. 그 후 케스파컵에서 4강에 오르면서 아쉽게 어윤수(저그)에게 패배를 했지만 프로리그 부진을 씻는데 주요했다 특히 양대개인리그 우승과 4강진출한 김도우(프로토스)-이원표(저그)를 잡아내면서 클라스를 입증한다. 이후에 프로리그에서 김준호를 만나 2연승을 거두고 코드A에서 김준혁(저그)를 완파하면서 올라갔다. 그후 프로리그에서 연패를 다시 함으로 분위기가 조금은 가라앉았지만. GSL 16강에 복귀를 하면서 한층 분위기가 올라가고 있다 이번 32강에서 이신형(테란)-양희수(프로토스)-이원표(저그) 강력한조에서 살아남는데 성공했다. 특히 첫경기 이신형(테란)에 완패를 당하면서 위축이 되지않을까 했으나 패자전-최종전 내리 잡으며 16강 복귀에 성공했다. 그러나 또다시 16강 징크스를 넘지 못하고 최종전에서 임즈모드를 시전하며 탈락했다.하지만 이후 프로리그에서도 11승을 달성해 내며 팀의 4라운드 우승 및 통합 포스트시즌 진출에 기여했고, 10 시즌 연속 두 자리수 승수 달성이라는 전무후무한 대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2015년 프로리그 10시즌 연속 2자리승수 대기록 달성[편집] 2015년 8월 17일 2015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4라운드 3세트에 출격하여 황규석(프라임)선수를 제압하고 10시즌연속 2자리 승수를 달성하였다. 또한 이영호는 이경기를 통해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2015시즌 4라운드 5주차 MVP를 수상하였다. 모든 기록을 갈아치우며 최강선수로 군림했던 이영호선수는 철저한 자기관리로 10연속 프로리그 시즌 2자리 승수를 챙기며 대기록을 달성하였다. 왠지 앞으로 다른선수가 깰수도 있겠으나 그럴 가능성은 희미할정도로 엄청난 대기록을 세웠다. 2015년 시즌, 은퇴[편집] 2015년 12월 1일 자신의 소속팀인 KT롤스터와 계약을 해지하며 프로게이머로서의 은퇴를 선언했다. 스타크래프트1 역대 전적 706전 504승 202패 (71.4%) 스타판 최강 2010년 전적 2010년 202전 156승 46패 (77.2%) 2016년,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다.[편집] 2015년 12월 은퇴식을 가진 이후 여러 커뮤니티 사이트에서는 '이영호가 아프리카 TV에 온다.' 라는 소문이 유행하였다. 이후 여러 언론에서도 일제히 이영호의 아프리카 TV 진출에 관한 기사들을 쏟아내었고 여러 프로게이머들도 이영호가 아프리카 TV에 진출하는 것이 사실이라고 언급하였다. 그러던 중 2016년 새해가 되어 아프리카 TV 측이 공식적으로 이영호의 아프리카 TV 페이지를 개설해 줌과 동시에 이영호의 아프리카 TV 진출 선언 공식 인터뷰 영상까지 게재하였다. 그 후 이영호는 2016년 2월 아프리카 TV에서 공식적으로 첫 개인방송을 시작하였고, 처음 시작은 2010년 전성기만큼의 실력은 아니었지만, 이후에 자신의 실력을 점점 끌어올리며 프로게이머들과의 스폰전 컨텐츠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기 시작한다. 이후 컨텐츠를 확대하여 아프리카 TV 파트너 BJ 및 상위 20인 안에 드는 성과를 거두었다. 자신의 자리를 되찾기 위한 도전[편집] 이영호는 2016년부터 방송을 시작하면서 여러 프로게이머 BJ들을 차례대로 꺾어가며 점점 예전의 자신의 모습을 되찾고 있었다. 2013년부터 시작된 개인리그에서의 부진과 스타크래프트2에서 이루지 못하였던 자신의 성공에 대한 아쉬움이 가장 컸기 때문에 이영호는 새로운 도전에 대한 열망이 늘 존재하였고, 때마침 상황도 대외적으로 스타크래프트1 리그가 2012년 이후로 다시 성행하는 분위기였기 때문에 이영호는 더욱더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한 열의를 불태우게 된다. 그리고 마침내 2015년 반트 대국민 스타리그에 이어 아프리카 TV가 주관하는 ASL 시즌1이 개막한다는 것을 듣고 이영호는 다시 자신의 왕좌를 되찾기 위해 도전을 시작한다. 2015 반트 대국민 스타리그에 이어 아프리카 TV가 주관하는 2번째 시즌인 ASL 시즌1이 2016년 6월 25일부터 예선전을 시작으로 3개월간의 대장정에 돌입하였다. 이영호는 서울 지역 예선에 출전하여 당일 무서운 기세로 예선을 통과하고, 이후 7월 17일부터 시작된 본선 16강에서 C조에서 김명운, 박성균, 염보성과 한조가 되어 김명운(승), 염보성(패), 박성균(승)의 성적을 거두고 8강에 진출한다. 하지만 8강에서 ASL 시즌1 전승가도를 달리고 엄청난 기세를 탄 김성현에게 3:0으로 4강 진출에 실패한다. 이후 이영호는 몇달동안의 휴식기를 갖고 다시 마음을 다잡아 재충전하여 다시 ASL 시즌2를 준비하게 된다. 2017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2에서 8강에서 김승현을 3:1로 잡고, 4강에서 최고의 라이벌 이제동을 3:2로 잡고, 결승에서 염보성을 3:1로 잡고 우승하고,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3에서도 시즌1에서 자신을 떨어뜨렸던 김성현을 8강에서 3:0으로 잡고, 김민철을 3:2로, 이영한을 3:0으로 잡고 우승을 차지하였다. 2017년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출시 축하 행사인 GG 투게더의 이벤트 경기에서 김택용, 이제동과 맞붙어 2승을 거두었다.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의 최후의 테란 우승자[편집] 이영호는 ABC마트 MSL 2011에서 우승하며 스타크래프트1:브루드워로 진행된 개인리그 최후의 테란 우승자라는 값진 타이틀을 얻었다. 참고로 최후의 저그 우승자는 신동원이고, 프로토스는 허영무이다. 허영무는 최후의 개인리그 우승자이기도 하다. 주요 기록[편집] 통산 전적[편집] 스타1 통산전적 (12.08.26(마지막 스타1 경기일)기준, 스타2 전적 제외) 경기 승-패 승률 대 테란 231 168–63 72.7% 대 저그 249 179–70 71.9% 대 프로토스 227 158–69 69.6% 총합 707 505–202 71.4% 통산전적 (15.12.01 기준, 스타2 전적 포함) 경기 승-패 승률 대 테란 324 221–103 68.2% 대 저그 404 275–129 68.1% 대 프로토스 375 247–128 65.9% 총합 1100 743–360 67.4% 이영호는 프로게이머 가운데 역대 최고의 승률을 자랑하고 있다. 유지하기 힘든 트리플 70에 육박한 고승률을 통산전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이미 여러번 트리플 70% 승률을 유지했던 적이 있다. TvsP 공식전 최다 연승[편집] 이영호는 데뷔 때부터 프로토스전에 두각이 뛰어났었다. 상대가 누구든 이영호는 가리지 않고 많은 프로토스 선수들을 제압하였다. 또한 안티 캐리어라는 빌드로 프로토스의 가장 강력한 유닛인 캐리어를 무력화 시킬정도였다. 09-10 프로리그부터 개인리그전까지 13연승을 달성하였다. 특히 거의 비슷한 날짜에 열린 개인리그 4강에서 프로토스를 모두 3:0으로 제압하는 등 프로토스전에 상당히 강력한 모습을 보였다. 연승기록은 CJ 장윤철에게 패배함으로 끊겼다. 하지만 이후에 장윤철을 두번 더 제압하였다. 2010년 3월 10일 vs 김윤중 승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3R)→ 대 프로토스전 연승 시작 2010년 3월 10일 vs 김구현 승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3R) 2010년 4월 3일 vs 박수범 승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 결승전) 2010년 4월 3일 vs 김재훈 승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 결승전) 2010년 4월 13일 vs 김구현 승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4R) 2010년 4월 14일 vs 김구현 승 (대한항공 스타리그 16강) 2010년 4월 19일 vs 윤용태 승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4R) 2010년 5월 7일 vs 박세정 승 (대한항공 스타리그 4강} 2010년 5월 7일 vs 박세정 승 (대한항공 스타리그 4강} 2010년 5월 7일 vs 박세정 승 (대한항공 스타리그 4강} 2010년 5월 13일 vs 윤용태 승 (하나대투증권 MSL 4강) 2010년 5월 13일 vs 윤용태 승 (하나대투증권 MSL 4강) 2010년 5월 13일 vs 윤용태 승 (하나대투증권 MSL 4강) 2010년 5월 16일 vs 장윤철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 대 프로토스전 연승 종료 TvsT 공식전 최다 연승[편집] 이영호는 2009년 5월 10일,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4라운드에서 조병세에게 승리한 이후 테란 대 테란 공식전 22연승을 거뒀으나 2010년 1월 10일,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라운드에서 박상우에게 패하면서 대 테란전 연승행진은 22연승에서 끝나게 되었다. 이것은 공식전 특정종족전 최다연승 신기록이다.(이전 기록은 최연성의 대 저그전 18연승) 많은 테란선수들이 기록에 도전을 하고 있으나 결코 깨기 힘든 기록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 기록을 세운 이영호 본인을 제외한다면 이 기록을 깨긴 거의 불가능해 보인다. 또한 10-11 프로리그와 개인리그를 합쳐 테란전 17연승을 기록하기도 하였다. 이영호의 테란전은 상대가 누구든 거의 승리할만큼 승률이 아주 높은 편이다. 전적 또한 거의 다 앞서가는 편이다. 염보성, 박성균, 신상문, 이재호, 구성훈, 정명훈을 상대로도 앞서가고 있다. 이영호의 대 테란전 승리 능력은 가히 최강이다. 1:9의 상황에서도 역전을 하고, BBS vs 노배럭 더블 같은 아주 큰 빌드 차이가 났음에도 이기는등 대 테란전의 승리 능력은 단연 최고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데뷔한 해인 07년 테테전 승률 65%를 기록하고 이후 08년에서 11년까지 4년연속으로 70%이상의 고승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테테전 통산승률도 74,1%로 경이적인 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2009년 05월 10일 - vs 조병세 승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4R)→ 대 테란전 연승 시작 2009년 05월 13일 - vs 김경효 승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4R) 2009년 05월 23일 - vs 정명훈 승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4R) 2009년 06월 06일 - vs 신상문 승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5R) 2009년 06월 09일 - vs 정종현 승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5R) 2009년 06월 15일 - vs 변형태 승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5R) 2009년 06월 20일 - vs 김창희 승 (아발론 MSL 32강 G조 2경기) 2009년 06월 20일 - vs 고인규 승 (아발론 MSL 32강 G조 승자전) 2009년 06월 24일 - vs 김도우 승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5R) 2009년 06월 30일 - vs 이성은 승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5R) 2009년 10월 10일 - vs 박상우 승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2009년 10월 20일 - vs 이성은 승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2009년 10월 28일 - vs 구성훈 승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2009년 11월 09일 - vs 정명훈 승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2009년 11월 21일 - vs 민찬기 승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2009년 11월 24일 - vs 박성균 승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2009년 12월 01일 - vs 김동건 승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2009년 12월 09일 - vs 구성훈 승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R) 2009년 12월 14일 - vs 염보성 승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R) 2009년 12월 19일 - vs 한동욱 승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R) 2009년 12월 22일 - vs 박성균 승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R) 2010년 01월 04일 - vs 이성은 승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R) 2010년 01월 10일 - vs 박상우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R) → 대 테란전 연승 종료 프로리그 에이스 결정전 최다 연패 공동 1위[편집] 2010년 양대 리그 동시 우승, WCG 금메달을 차지하며 명실상부 최고의 프로게이머라 불리는 이영호는 유독 에이스 결정전에서는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09-10 시즌 중후반부에 에이스 결정전에서의 연패를 거듭하며 에이스 결정전 7연패를 기록하며, 신노열과 함께 에이스 결정전 최다 연패 공동 1위를 하였었다. 그러나 2010년 11월 30일 삼성전자 칸의 신예 박대호를 상대로 승리하며 에이스 결정전 연패를 끊어 내는데 성공했다. 이후 에이스 결정전에서 패배하는 모습은 거의 보인적이 없다. 대표적으로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결승 에이스 결정전에서 도재욱을 격침시킴으로써 팀 우승을 확정지었다. 하지만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 결승 에이스 결정전에서는 김택용에 패했다. 그러나 이 경기를 제외한다면 에이스 결정전에서 패한 적이 드물다. 2010년 05월 16일 - vs 장윤철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4R) → 에이스 결정전 연패 시작 2010년 06월 01일 - vs 구성훈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5R) 2010년 06월 07일 - vs 민찬기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5R) 2010년 06월 13일 - vs 전태양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5R) 2010년 06월 20일 - vs 조병세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5R) 2010년 06월 23일 - vs 박상우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5R) 2010년 10월 16일 - vs 도재욱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1R) 2010년 11월 30일 - vs 박대호 승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2R) → 에이스 결정전 연패 종료 위너스리그 대장전 32연승 기록[편집] 위너스리그 도입 후 이영호는 대장(최종보스)로 출전해 승리 하였고 무려 32연승이라는 어마어마한 기록을 세웠다. 연승 기록은 폭스의 전태양에게 패배함으로써 끊겼다. 대장전 전적 기록은 총 32승 1패이다. 김택용, 이제동 등의 특급 선수들도 대장전 연승 기록이 10승이 채 안 되는것을 보면 이영호의 대장전 32연승 기록은 전무후무한 기록이 될 가능성이 높다.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에서는 위너스리그가 없어지면서 기록으로 남게 되었다가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서 위너스리그가 부활하면서 새로운 기록을 세울 수도 있게 되었다. 등장 BGM[편집] Immediate music - Electric Romeo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용감한 녀석들 - I 돈 care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2) 우승 관련 기록[편집] 박카스 스타리그 2008 우승 (2008.3.15) 양대 개인리그 최연소 우승자 (만15세8개월10일) 결승전 2세트는 유닛을 한기도 잃지 않고 승리 8강에서 이제동, 4강에서 김택용, 결승에서 송병구를 꺾고 우승 생애 첫 개인리그 우승이자, KT 소속 테란으로는 이윤열이후 6년만에 우승 정확히 데뷔 1년만에 우승 EVER 스타리그 2009 우승 (2010.01.17) 통산 7번째 스타리그 2회 이상 우승자(임요환-김동수-이윤열-박성준-최연성-이제동-이영호) 스폰서의 저주(스폰서에 관계된 팀이나 선수는 우승못한다는 징크스)를 무너뜨리고 우승 하나대투증권 MSL 2010 우승 (2010.05.29) 5전제 리쌍록에서 처음으로 승리 NATE MSL의 결승전 패배 설욕 통산 6번째 양대리그 우승이자 대열에 합류(임요환-이윤열-강민-최연성-이제동-이영호) 빅파일 MSL 2010 우승 (2010.08.28) 통산 5번째 MSL 2회 우승 (이윤열-최연성-김택용-이제동-이영호) 통산 4번째 MSL 연속 우승 (이윤열-최연성-김택용-이영호) 5전제 리쌍록 2연승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우승 (2010.09.11) 4번째 골든마우스 수상자 (이윤열-박성준-이제동-이영호), 비로열로더로써는 최초의 수상자 이윤열 이후 7년만에 양대 개인리그 동시 석권 (빅파일 MSL 2010 &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5전제 리쌍록3연승 연간 개인리그 최다우승 신기록 (4회우승) 2010년 개인리그에서 상금 2억 2000만원 수령 (최다 상금 수령기록 경신) EVER 스타리그 2009 우승 4000만원 NATE MSL 2009 준우승 2000만원 하나대투증권 MSL 2010 우승 5000만원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 준우승 2000만원 빅파일 MSL 2010 우승 5000만원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우승 4000만원 총 2억 2000만원 수령 ABC마트 MSL 2011 우승 (2011.06.11) 4번째 금배지 수상자 (이윤열-최연성-김택용-이영호) 이윤열 이후 2번째로 골든 마우스와 금배지 동시 소유 e스포츠 사상 최초이자 최후의 골든 그랜드 슬램(스타리그 골든 마우스, MSL 금배지, WCG 금메달) 달성 수상 이력[편집] 스타크래프트 : 메이저 개인리그 우승 6회, 준우승 2회[3], 블리자드 공인 개인리그 우승 3회[4] 스타크래프트 II : 프리미어 개인리그 우승 1회, 준우승 2회[5] 스타크래프트[편집] 2006년 제26회 커리지 매치 입상 2007년 2007년 2007년 다음 스타리그 2007 4위(vs 0:3 송병구) 2007년 e스타즈 서울 2007 스타크래프트 256강전 128강(vs 0:2 박대경) 2007년 곰TV MSL 시즌3 32강 2007년 EVER 스타리그 2007 8강 (vs 1:2 송병구) 2008년 2008년 곰TV MSL 시즌4 8강(1:3 이제동) 2008년 곰TV 스타 인비테이셔널 우승 (vs 3:2 송병구) 2008년 박카스 스타리그 2008 우승 (vs 3:0 송병구) 2008년 MBC게임 올스타 스킨스 매치 승리(vs 4:3 마재윤) 2008년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1 특별전 우승 (vs 3:1 박성균) 2008년 EVER 스타리그 2008 8강(vs 0:2 박찬수) 2008년 아레나 MSL 2008 3위(vs 1:3 박지수) 2008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개인전 다승왕(17승) 2008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정규시즌 MVP 2008년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1 준우승 (vs 0:3 이제동) 2008년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8강 (vs 1:2 김준영) 2008년 클럽데이 온라인 MSL 2008 32강 2008년 WCG 2008 한국대표 선발전 스타크래프트 부문 8강 2008년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2 8강 (vs 1:2 김택용) 2008년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2 최다세트 연승상 (7연승, 허영무와 공동수상) 2009년 2009년 BATOO 스타리그 08~09 16강 2009년 로스트사가 MSL 2009 16강 (vs 1:2 신상문) 2009년 박카스 스타리그 2009 16강 2009년 아발론 온라인 MSL 2009 16강 (vs 1:2 한상봉) 2009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정규시즌 다승왕 (54승, 이제동과 공동수상) 2009년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3 우승 (vs 3:1 변형태) 2009년 WCG 2009 한국대표 선발전 스타크래프트 부문 8강(vs 1:2 김택용) 2009년 제3회 하노이 실내 아시안 게임 스타크래프트 부문 우승 (금메달) (vs 2:0 정명훈) 2010년 2010년 EVER 스타리그 2009 우승 (vs 3:1 진영화) 2010년 NATE MSL 2009 준우승 (vs 1:3 이제동) 2010년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 우승 (KT 롤스터) 2010년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 결승전 MVP 2010년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 준우승 (vs 2:3 김정우) 2010년 하나대투증권 MSL 2010 우승 (vs 3:0 이제동) 2010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정규시즌 우승 (KT 롤스터) 2010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정규시즌 다승왕(57승) 2010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정규시즌 MVP 2010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결승전 우승 (KT 롤스터) 2010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결승전 MVP 2010년 WCG 2010 한국대표 선발전 스타크래프트 부문 준우승 (vs 1:2 이제동) 2010년 빅파일 MSL 2010 우승 (vs 3:2 이제동) 2010년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우승 (vs 3:1 이제동) 2010년 WCG 2010 그랜드 파이널 스타크래프트 부문 우승 (금메달) (vs 2:0 김구현) 2010년 박카스 스타리그 2010 16강 2010년 피디팝 MSL 2010 32강 2011년 2011년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10-11 준우승 (KT 롤스터) 2011년 ABC마트 MSL 2011 우승 (vs 3:0 김명운) 2011년 진에어 스타리그 2011 8강 (vs 1:2 허영무) 2011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결승전 우승 (KT 롤스터) 2011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결승전 MVP 2012년 2012년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정규시즌 다승왕(15승) 2012년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정규시즌 MVP 2012년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결승전 준우승 (KT 롤스터) 2012년 Tving 스타리그 2012 4강 2012년 e스포츠 명예의 전당 헌액 2016년 2016년 ASL 시즌1 8강 (vs 0:3 김성현) 2017년 2017년 KT GIGA 인터넷 ASL 시즌2 우승 (vs 3:1 염보성) 2017년 다방 ASL 팀배틀 준우승 2017년 KT GIGA 인터넷 ASL 시즌3 우승 (vs 3:0 이영한) 2017년 KT GIGA 인터넷 ASL 시즌4 우승 (vs 3:1 조일장) 스타크래프트 II[편집] 2012년 2012년 MLG Starcraft II Invitational 초청전 우승(vs 2:0 김택용) 2012년 MvP 인비테이셔널 프로리그 진영 4강 2012년 MLG Fall Championship 3위 2012년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 8강 (vs 2:3 김성현) 2012년 핫식스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4 Code A 32강 2012년 핫식스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5 Code A 32강 2012년 MLG Tournament of Champions 4강 2013년 2013년 핫식스 2013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 Code A 12강 2013년 2013 MLG Winter Championship 준우승 (vs 2:4 이승현) 2013년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더 스페셜 우승(택뱅리쌍) 2013년 2013 WCS 코리아 시즌 1 망고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Code S 16강 2013년 제4회 인천 실내무도아시아경기대회 스타2 부문 국가대표 선발전 4강 - (이승현의 기권으로 대신 국가대표 자격 획득) 2013년 제4회 인천 실내무도아시아경기대회 스타크래프트 II 부문 준우승 (은메달) 2013년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 정규시즌 다승왕(42승) 2013년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 정규시즌 테란부문 MVP 2013년 2013 WCS 코리아 시즌 2 옥션 올킬 스타리그 16강 2013년 2013 DreamHack Open: Bucharest 32강 2013년 2013 WCS 코리아 시즌 3 조군샵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Code S 16강 2013년 IEM Season VIII - New York 16강 2013년 2013 GSL Awards 인기상 2014년 2014년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1라운드 우승 (KT 롤스터) 2014년 2014 WCS 코리아 시즌 1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Code A 48강 2014년 2014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Global Tournament 16강 2014년 2014 WCS 코리아 시즌 2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Code A 48강 2014년 SanDisk SHOUTcraft Invitational 준우승 (vs 2:4 김준호) 2014년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통합 결승전 우승 (KT 롤스터) 2014년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통합 결승전 MVP 2014년 IEM Season IX - Toronto 우승 (vs 4:1 주성욱) 2014년 2014 WCS 코리아 시즌 3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Code S 16강 2014년 2014 KeSPA컵 4강 (vs 0:3 김준호) 2014년 MSI Beat IT 2014 8강 2014년 HomeStory Cup X 준우승 (vs 3:4 원이삭) 2014년 2014 핫식스컵 라스트 빅매치 16강 2014년 2015 네이버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시즌 1 챌린지 32강 2015년 2015년 IEM Season IX - World Championship 16강(vs 2:3 조성호) 2015년 2015 스베누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시즌 2 챌린지 24강 2015년 2015 스베누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 Code S 32강 2015년 롯데홈쇼핑 2015 KeSPA컵 시즌2 4강 (vs 1:3 어윤수) 2015년 2015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3 Code S 16강 2015년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4라운드 우승 (KT 롤스터) 2015년 GPL 2015 International Challenge 6강 2015년 GPL 2015 International Challenge Archon Mode 우승 협회 수상[편집] 2008년 2007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신인상 2008년 2007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테란 최우수선수상 2009년 2009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테란 최우수 선수상 2010년 2010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10대 스타상 2010년 2010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테란 최우수 선수상 2010년 2010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올해의 선수상 2011년 2011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올해의 테란 상 2011년 2011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SK텔레콤 올해의 선수 상 2013년 2012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스타크래프트: 브루드워 테란 최우수 선수상 출연 프로그램[편집] 2008년 11월 23일에 방송된 KBS 2TV 1대100에 프로게이머 대표 5인으로 출연하였다. 2010년 2월 27일에 방송된 KBS 1TV 과학카페에서 이영호 선수가 출연하기도 하였다.[6] 2010년 10월 대한민국에서 열린 G20 홍보영상에 이영호가 프로게이머 대표로 출연하였다. 2012년 1월 17일에 방송된 SBS 생방송 투데이에서 이영호, 박정석 선수 등 KT의 간판 선수들이 출연했다.[7] 기록[편집] 스타크래프트 개인리그 10-10 클럽 달성 (스타리그 본선 13회, MSL 본선 11회 진출) 역대 최연소 캐스파랭킹1위(만15세7개월) 캐스파랭킹포인트 최고득점신기록, 4천점돌파,종전기록 스스로 갱신(4200점) 역대 일곱번째 5개월연속 캐스파랭킹1위 역대 세번째 13개월연속 캐스파랭킹1위 역대 세번째 14개월연속 캐스파랭킹1위 역대 최다 캐스파랭킹1위 최연소 듀얼토너먼트예선통과(만14세9개월) 최연소 스타리그 첫승(만14세10개월) 최연소 스타리그결승진출 최연소 개인리그우승(만15세8개월) 최연소 골든마우스획득 (만 17세 9개월, 박카스 스타리그 - 에버 스타리그 - 대한항공S2 스타리그) 최연소 금뱃지 획득 (만 18세 6개월, 하나대투증권 MSL - 빅파일 MSL - ABC마트 MSL) 3시즌 연속 스타리그 결승진출 역대 2번째기록 (임요환,이영호) 3시즌 연속 MSL 결승진출 역대 5번째기록 (이윤열,최연성,김택용,이제동,이영호) 역대 4번째 골든마우스(이윤열,박성준,이제동,이영호) 역대 4번째 금뱃지(이윤열,최연성,김택용,이영호) 통산 17번째 스타리그 100전돌파 불멸의 양대리그 3시즌연속 동시결승진출 사상초유 천하통일 (신한09-10프로리그 - 빅파일 MSL - 대한항공시즌2 OSL - 2010WCG) 역대 2번째 양대리그 동시제패위업 (이윤열,이영호) 역대최초 1년단위 전대회 결승진출(09-10EVER 09-10네이트 대한항공시즌1,2 하나대투자증권 빅파일) 역대최초 1년단위 최다우승 신기록(4회우승 : EVER스타리그,하나투자MSL,빅파일MSL,대한항공시즌2스타리그) 프로리그 최연소(만17세5개월),최소경기(139경기),최단기간(2년6개월14일)100승돌파 프로리그 최연소(만19세),최소경기(269경기),최단기간(4년8개월7일)200승돌파 역대최초 프로리그 3년연속 다승왕 역대최초 3시즌연속 50승 돌파 대기록 역대최초 2시즌연속 프로리그 결승전 MVP 통산프로리그 전적 역대다승1위,다전1위,최고승률 통산프로리그 포스트시즌 전적 역대다승2위,다전1위 플토전 13연승신기록 테란전 22연승신기록 저그전 15연승 프로리그 14연승 공식전 14연승 위너스리그대장전 32연승신기록(10년1월 ~ 11년3월) 5전제 10연승 신기록 역대 단일시즌(09-10)최소경기(41)최연소(만17세 7개월)공식전 50승(경기당 1.21승,최고승률87.7%) 역대최초 1년통산승률7할, 전종족전 트리플7할대기록 달성 역대최연소(만18세6개월),최단기간(4년6개월) 공식전 500전 돌파(최고승률 71.8%) 프로리그 최초 10시즌 연속 2자리승수 달성 스타리그 100승 달성(임요환, 홍진호, 송병구에 이은 4번째, 최연소, 최소경기, 최후) 최연소, 최단기 스타리그 진출 최연소 프로리그 첫 승 최연소 스타리그 첫 승 연간 개인리그 최다우승 신기록 (4회우승) 역대2번째 양대리그6회 우승 최연소 프로리그 100승 달성(17세 5개월) - 최단기간(2년 6개월 14일) - 최소경기(139경기) 최연소 프로리그 200승 달성(19세 4개월) - 최단기간(4년 8개월) - 최소경기(269경기) 역대2번째 공식전 400승 달성 최연소 - 최단기간(5년 2개월 12일) - 최소경기(558경기) 브루드 워 우승자 출신 중 두 번째로 스타크래프트 2 WCS 글로벌 대회 우승 e스포츠 사상 최초이자 최후의 골든 그랜드 슬램(스타리그 골든 마우스, MSL 금배지, WCG 금메달) 달성 같이 보기[편집] 리쌍록 이제동 이승현 각주[편집] ↑ 다만 종목이 스타2로 바뀌며 협회 선수들이 WCG에 참가할 수 있게 되었고, GSL이 스타리그 외의 최대규모 스타2리그로 자리를 잡아가면서 GSL을 통해 골든 그랜드슬램이 다시 생길 가능성도 생겼다. 관건은 협회가 GSL을 인정하느냐의 문제.하지만 이후 스타리그와 wcg가 폐지되 오직 이영호만의 기록으로 남게된다 ↑ 라이브인터뷰, 3년차 프로게이머 이영호, '최종병기 스토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포모스》, 2009년 10월 30일 ↑ 스타리그 3회 우승, 1회 준우승. MSL 3회 우승, 1회 준우승. ↑ ASL 3회 우승 ↑ IEM 1회 우승. MLG 1회 준우승. HomeStory Cup 1회 준우승. ↑ KT Rolster 이영호 선수, KBS-1TV 과학카페 출연 (게임메카) ↑ 이영호, 박정석 선수 등 KT의 간판 선수들 출연, SBS 생방송 투데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포모스) 외부 링크[편집] 이영호 e-Sports 수입에 이영호 팀리퀴드 프로필 이영호 아프리카TV 이영호 유튜브 스타리그 골든마우스 수상자 이전 이영호 다음 이제동 - EVER 스타리그 2007 BATOO 스타리그 08~09 박카스 스타리그 2009 우승 박카스 스타리그 2008 EVER 스타리그 2009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우승 MSL 금배지 수상자 이전 이영호 다음 김택용 없음 곰TV MSL 시즌1 곰TV MSL 시즌2 클럽데이 온라인 MSL 2008 우승 하나대투증권 MSL 2010 빅파일 MSL 2010 ABC마트 MSL 2011 우승 리그 폐지 이 전 이제동 제24대 스타리그 우승자 박카스 스타리그 2008 다 음  박성준  이 전 이제동 제29대 스타리그 우승자 EVER 스타리그 2009 다 음  김정우  이 전 이제동 제23, 24대 MSL 우승자 하나대투증권 MSL 2010빅파일 MSL 2010 다 음  신동원  이 전 김정우 제31대 스타리그 우승자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다 음  정명훈  이 전 이제동 제11대 WCG 스타크래프트 부문 우승자 WCG 2010 다 음  종목 전환  이 전 신동원 제26대 MSL 우승자 ABC마트 MSL 2011 다 음  리그 폐지  vdehe스포츠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명예의 전당 입상자테란 임요환 이윤열 최연성 서지훈 이영호¹ 정명훈¹ 저그 홍진호 조용호 박성준 박태민 이제동¹ 프로토스 박정석 기욤 패트리 김동수 강민 박용욱 오영종 송병구¹ 김택용¹ 허영무¹ ¹ : 명예의 전당 헌액 당시 현역이었던 선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영호_(1992년)&oldid=24249743" 분류: 199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e스포츠 선수스타리그 우승자MSL 우승자대전광역시 출신골든마우스 수상자MSL 금배지 수상자스타크래프트 개인리그 10-10 클럽대한민국의 불교 신자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테란 선수KT 롤스터의 선수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잘못된 파일 링크가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ItalianoLietuviųPortuguêsРусский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0일 (월) 14: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영호(李泳浩, 1992년 7월 5일 ~ )는 대한민국의 전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테란 선수로서 FlaSh라는 아이디를 사용한다. 2012년, KeSPA 랭킹 1위, WP 랭킹 1위를 차지 했으며 임요환, 이윤열, 최연성과 함께 역대 최강의 테란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E스포츠 역사상 누구도 해내지 못했던 골든 그랜드 슬램 및 골든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영호는 어떤 선수를 이기고 11연패에서 탈출했을까? Assistant: 최종혁
Human: 아래 꼬마_여신_카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꼬마 여신 카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꼬마 여신 카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꼬마여신 카린かみちゃまかりん 장르 학원 마법소녀 소녀만화 판타지 만화: 꼬마여신 카린 작가 코게돈보* 출판사 고단샤 학산문화사 레이블 KCDX 메이퀸코믹스 연재 기간 나카요시 2002년 12월호 ~ 2005년 10월호 권수 전7권 만화: 꼬마여신 카린chu 작가 코게돈보* 출판사 고단샤 학산문화사 레이블 KC나카요시, KC프리미엄 메이퀸코믹스 연재 기간 나카요시 2006년 6월호 ~ 2008년 5월호 권수 전7권 현재 4권까지 발매 만화: 꼬마여신 카린+(플러스) 작가 코게돈보* 출판사 코단샤,브로콜리 그 외 코미데지+와 나카요시 러블리에서 연재하고 있다. TV 애니메이션 원작 코게돈보* 감독 안노 타카시 제작 사테라이트, 포니 캐논, TV 도쿄, NAS 방송사 TV 도쿄 카툰 네트워크 코리아 방영 기간 2007년 4월 6일 ~ 2007년 9월 28일 화수 전26화 저작권 표기 ⓒ 코게돈보*·코단샤/신화(神化)계획·TV 도쿄 틀 - 토론 《꼬마여신 카린》(かみちゃまかりん)은 코게돈보*의 만화 혹은 그것을 원작으로 한 TV 애니메이션이다. 대한민국에서는 2008년에 카툰 네트워크 코리아에서 방영되었다. 목차 1 개요 2 등장인물 3 용어 3.1 지금까지 신화를 한 인물 4 서적 4.1 일본 4.1.1 꼬마여신 카린 4.1.2 꼬마여신카린chu 4.2 한국 4.2.1 꼬마여신카린 4.2.2 꼬마여신카린chu 5 애니메이션 5.1 스탭 5.2 주제가 5.3 각화명리스트 5.4 원작과의 다른 점 6 관련 상품 6.1 DVD 7 비고 8 각주 9 외부 링크 개요[편집] 나카요시의 2002년 12월호부터 연재되었다. 코믹스는 전 7권으로 당초에는 전,후편의 단편작품이었지만 후에 연재화 되었다. 2006년 6월호부터 꼬마여신 카린chu로 제목을 바꾸어 속편을 연재하고, 2008년 5월호로 7년간 연재를 했다. 2007년 4월 6일부터 TV 도쿄에서 애니메이션화가 되었다. 또 거기에 맞추어서 코미데지+의 vol.7과 vol.9에서 예외편이 되는 꼬마여신 카린+를 연재했다. (다만 vol.9에 게재된 최종이야기가 페이지의 차례가 어긋나서 vol.10에서 사과 만화와 함께 재게재 되었다.) 덧붙여 연재 종료후에도, 나카요시 러블리에서 번외편이 게재되고 있다. 등장인물[편집] 성우는 애니메이션의 성우이며 왼쪽은 일본판, 오른쪽은 한국판이다. 하나조노 카린(花園 花鈴) C.V. 나카하라 마이/이지영 본 작품의 주인공. 세이에이학원 사쿠라가오카중학부 1학년. 7월 3일생으로 14세의 게자리. O형으로 부모가 어릴 적에 사망하여 이모에게서 길러졌다. 공부든 운동이든 별로 특기라 할 만한 것이 없어 매일같이 이모에게 꾸중을 받고 자랐다가 사랑하는 애완동물인 시짱마저 죽어서 풀죽어 있었던 도중, 카즈네를 만나 카즈네의 집에서 살게 되었다. 어느 날, 부모에게 물려받은 반지의 힘으로 신이 되어버렸다(=신화(神化)). 신으로 변할 때 하는 대사는 "아이 엠 갓!!"(사실 여신(goddess)이지만, 작가가 멍청하게 보이기 위해서 신(god)이라고 썼다고 한다.[1])힘을 빌리고 있는 신은 아테나(지혜의 여신)과 아프로디테(사랑의 여신, chu에서부터.). 히메카와 친구로 카즈네와 함께 히메카를 지키기 위해서 카라스마와 싸운다. 언제나 머리를 묶고 있는 머리끈(chu에서는 날개가 붙어 있다)은 히메카에게 받은 물건. 밝고 적극적이며 이모부에게 가라테를 배웠다고 한다. 초기에는 고로케라고 하는 미확인 생물을 만들어 카즈네와 히메카를 경악시켰지만, chu로 가면서 카즈네와 자신의 식사를 만들 수 있게 되는 등 능숙해졌다. 취미는 만화를 그리는 것이며 chu에서 보이즈 러브 만화를 남몰래 숨겨 그렸던 것이 발각되었다. 사실은 쿠조 카즈토의 아내인 쿠조 스즈카이며, 히메카의 친엄마이다. 카즈네와는 태어나기 전부터 부부라는 것이 된다. 다만 카즈네는 쿠조 교수의 복사이지만 카린은 복사가 아닌 실험체이며, 반지의 힘에 의해서 이전의 기억이 없는 상태로 어려졌다. chu에서의 미래에서는 카즈네와 결혼해 스즈네라고 하는 아이가 있다.(미래의 카린은 카오스의 씨앗에 온갖 방법을 써서 대항하고 있어서 바쁘기 때문에, 지금의 카린들에게 스즈네를 맡기고 있다.) 새로운 미래에서는 수험에 합격해서 고교생이 되었다. 쿠조 카즈네(九条 和音) C.V. 사와시로 미유키/손정아 세이에이학원 사쿠라가오카중학부 1학년. 카린이 이모와 살고있을 때에 만난 소년을 2월 1일생의 13세 물병자리 A형. 왼손잡이이며 학원에서는 카즈네즈라는 팬클럽이 있을 정도로 인기가 있다. 다만 벌레를 싫어해서 자주 기절을 한다. 벌레가 싫어진 것은 어릴 적에 히메카와 함께 숲에 놀러 갔을 때, 히메카가 벌레에 습격당해 그것을 쫓아버리려고 했을 때에 함정에 빠져 다양한 벌레에게 습격당했던 것이 계기가 된다. 카린과 같이 신화를 한다. 힘을 블리고 있는 신은 아폴론(태양신)과 chu에서는 삼귀신(三貴紳)중 한명인 우라노스(천공신). 남존여비발언등이 많기 때문에 카린과는 자주 싸우지만, 솔직 해질 수 없는 것뿐으로 카린을 누구보다 소중히 생각한다. 신화용으로 개조되었지만 어중간했기 때문에 신화했을 때에 발휘하는 능력은 상당히 높지만 그것을 장시간 지속시키지 못하고 또 신화 후에는 쓰러져 버린다. (chu에서는 조금 편해진 것 같다.)신화하는 것을 싫어하고 있지만, 카린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계속하고 있다. 초등학생때에는 궁도부에 소속하고 있어서 궁도 초무도의 마음가짐이 있다. 성적도 우수하고 학년으로 5등 이내에는 들어가고 있다. 지금과는 정반대로 어릴 적에는 심약하고 괴롭힘을 당하고 히메카가 대신 복수를 해주었을 정도였지만 자신의 정체를 안 것으로 인해 히메카에게 "강해진다."라고 맹세해 변하게 되었다. 카린을 만나기 전부터 카린과 히메카 두사람을 지키려고 하는 의사는 강했던 것 같다. 또 어릴 적에는 엉뚱한 일로 타임 슬립을 한 카린과 만난 일이 있었다. 이 때는 지금의 카즈네와는 달리 매우 솔직하고 귀여운 성격으로, 카메라건이 계기로 카린과 사이가 좋아져서 따르고있다. 이때의 카즈네도 카린에 강한 호의를 안고 있었다고 생각한다.(단, 현대의 카즈네는 어릴 적에 만난 소녀가 카린본인인 것을 모르며, 카린도 타임 슬립 때 만난 아이를 카즈네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술에 약하고, 어린이용 샴페인이나 술의 냄새만으로도 취해버린다. 한 번 그렇게 되면 뭘 할지 모르기 때문에 꽤나 위험. 최근에는 연령 제한에 빠듯한 행동을 취한 우려가 있었다. 거짓말을 할때에는 비스듬히 아래를 보는 버릇이 있다. 실은 쿠조 카즈토의 클론이며(다만 카즈토의 기억은 일부 밖에 없다.)히메카의 부친이며 딸인 히메카와 아내인 카린을 지키려고 하고있다. 자신이 클론인것에 컴플렉스를 가지고있다. chu에서의 미래에서는 처음 카즈네는 다른 여자와 나갔다고 말해졌지만, 사실은 싸움으로 힘을 다 써 버려 쇠약해져버려 스즈네가 태어나자마자 사망해버렸다는 것이 밝혀졌다. 새로운 미래로는 카린과 결혼해, 아빠의 길을 걷는다. 쿠조 히메카(九条 姫香) C.V. 시타야 노리코/하미경 카즈네의 사촌이라고하는 차분하고 상냥하며 사랑스러운 미소녀. 3월 14일 생의 14세 물고기 자리. AB형으로 조금 천연바보로 요리가 특기. 카즈네와 반대로 벌레를 너무 좋아한다. 좋아하는 음식은 커틀릿 계통의 반찬. 어조는 느리며 조금 어미를 펴서 이야기하거나 한다. 신시리즈는 에피소드0부터 영국으로 유학을 가버린다. 카즈네의 말로는 반쪽 존재로 키리오들에게 있는 히메카가 또 다른 반쪽. 그 탓으로 키리오에게 표적이 되고 있었다. 히메카(姫香)와 히메카(妃路)는 두 사람이 연동하고 있어, 히메카(姫香)쪽이 상태가 좋으면, 반대로 히메카(妃路)쪽의 상태가 나빠진다. 어릴 적에는 꽤 강한 여자여서 카즈네를 괴롭히는 아이들에게 지켜주거나했다. 카즈네에게는 특별히 강한 구상을 안고 있어서 자신을 위해서 언제나 터무니 없는 짓을하는 카즈네를 항상 걱정하고 있다. chu에서는 3권의 마지막에서 영국 유학에서 돌아왔다. 그러나, 카라스마 리카등에 의해서 사라져 버린다. 실은 쿠조 카즈토와 쿠조 스즈카 사이의 딸이며 카즈네와 카린의 딸이된다. 쿠조 교수의 연구 성과가 새겨져 있으면 카라스마동언의 부활과 제우스의 반지의 재생에 필요한 것 같다. 카라스마 키리오(烏丸 キリオ) C.V. 아사누마 신타로/정명준 카라스마 키리카(烏丸 霧火) C.V. 카이다 유키/이명선 냐케/시짱 (ニャケ / しーちゃん) C.V. 카토 나나에/이윤희 니시키오리 미치루 (錦織 みちる) C.V. 이시다 아키라, 와카쇼 미유키(6살)/김광국 이미영 (李 美永) C.V. 무라이 카즈사 사쿠라이 유우키(桜井 優生) C.V. 요시노 히로유키/김광국 카라스마 히메카(烏丸 妃路) C.V. 요시즈미 코즈에/하미경 아미(愛美) 쿠조 카즈토(九条 和人) C.V. 시무라 토모유키→치바 스스무 카라스마 키리히코(烏丸 桐彦) C.V. 키리이 다이스케 카즈사(和佐) C.V. 미야자키 우이 큐짱(キューちゃん) C.V. 아카키 스스무 여기서부터는 꼬마여신 카린 chu에서부터 등장하는 인물들이다. 스즈네(鈴音) C.V. 코야마 키미코 쿠가 진(久我 神) C.V. 스즈키 타츠히사 카라스마 리카(烏丸 リカ) C.V. 요시즈미 코즈에/이명선 츠츠미 신겐(堤 信玄) 외의 인물들 카즈네즈(和音ーズ) 밋치리앙(ミッチリアン) jin's 용어[편집] 신화(神化) 신화(神化)반지로 신으로 변신을 하는 능력. 신화(神化)반지 신화를 하기 위해서 쓰는 반지. 쿠조 카즈히토가 신화(神化)데이터를 카라스마 키리히코에게서 히메카를 지키기 위해 만들었다. 카오스의 씨앗 chu에서 등장하는 씨앗으로, 카라스마 리카가 사용하며 카오스의 꽃으로 성장을 한다. 크로노스의 시계 chu에서 등장하며, 애니메이션 오프닝에서도 등장한다. 미래와 과거로 이동할 수 있으며, 카린은 chu에서 신화(神化)반지를 제외하고도 이 물건이 있어야만 변신을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신화를 한 인물[편집] 하나조노 카린 (아테네,chu에서는 아프로디테애니메이션과 원작 7권 마지막에서 제우스의 반지로 변신을 하기도 한다.) 쿠조 카즈네 (아폴로,우라노스) 냐케(니케) 카라스마 키리오(아레스) 카라스마 키리카(닉스) 카즈사(카즈네의 반지를 빌려서 가끔 아폴로로 신화, 본체인 새는 아르테미스) 니시키오리 미치루(넵투누스) 쿠가 진(하데스) 서적[편집] 일본[편집] 꼬마여신 카린[편집] KC디럭스 꼬마여신 카린(1)ISBN 4-06-334759-1- 2003년9월5일발행 꼬마여신 카린(2)ISBN 4-06-334830-X- 2003년12월5일발행 꼬마여신 카린(3)ISBN 4-06-334858-X- 2004년3월5일발행 꼬마여신 카린(4)ISBN 4-06-334895-4- 2004년7월2일발행 꼬마여신 카린(5)ISBN 4-06-334951-9- 2004년12월6일발행 꼬마여신 카린(6)ISBN 4-06-372005-5- 2005년4월30일발행 꼬마여신 카린(7)ISBN 4-06-372108-6- 2005년12월6일발행 꼬마여신카린chu[편집] 나카요시KC 초회에는 컬러일러스트가 한점 있다. 꼬마여신카린chu(1)ISBN 4-06-364119-8- 2006년9월6일발행 꼬마여신카린chu(2)ISBN 4-06-364133-3- 2006년12월28일발행 꼬마여신카린chu(3)ISBN 4063641455 {{isbn}}의 변수 오류: 유효하지 않은 ISBN.- 2007년4월6일발행 꼬마여신카린chu(4)ISBN 4063641523 {{isbn}}의 변수 오류: 유효하지 않은 ISBN.- 2007년7월6일발행 꼬마여신카린chu(5)ISBN 4063641639 {{isbn}}의 변수 오류: 유효하지 않은 ISBN.- 2007년9월20일발행 꼬마여신카린chu(6)ISBN 4063641752 {{isbn}}의 변수 오류: 유효하지 않은 ISBN.- 2008년2월6일발행 꼬마여신카린chu(7)ISBN 4063641882 {{isbn}}의 변수 오류: 유효하지 않은 ISBN.- 2008년7월4일발행 프리미엄KC 클리어케이스, 소책자가 붙는다. 컬러일러스트 2점. 꼬마여신카린chu(1)특장판 ISBN 4-06-362063-8- 2006년9월6일발행 꼬마여신카린chu(2)특장판 ISBN 4-06-362072-7- 2006년12월28일발행 꼬마여신카린chu(3)특장판 ISBN 4063620764 {{isbn}}의 변수 오류: 유효하지 않은 ISBN.- 2007년4월6일발행 꼬마여신카린chu(4)특장판 ISBN 4-06-362083-2- 2007년7월6일발행 꼬마여신카린chu(5)특장판 ISBN 4063620931 {{isbn}}의 변수 오류: 유효하지 않은 ISBN.- 2007년9월20일발행 꼬마여신카린chu(6)특장판 ISBN 4063620993 {{isbn}}의 변수 오류: 유효하지 않은 ISBN.- 2008년2월6일발행 꼬마여신카린chu(7)특장판 ISBN 4063621167 {{isbn}}의 변수 오류: 유효하지 않은 ISBN.- 2008년7월4일발행 ※소책자 대신에 소책자수납케이스를 준다 한국[편집] 꼬마여신카린[편집] 메이퀸코믹스 꼬마여신카린(1)- 2003년 12월 29일발행 꼬마여신카린(2)- 2004년 2월 16일발행 꼬마여신카린(3)- 2004년 4월 13일발행 꼬마여신카린(4)- 2004년 8월 25일발행 꼬마여신카린(5)- 2005년 2월 25일발행 꼬마여신카린(6)- 2005년 6월 25일발행 꼬마여신카린(7)- 2006년 1월 15일발행 꼬마여신카린chu[편집] 메이퀸코믹스 통상판이 아닌 특장판을 편집해서 출판중. 꼬마여신카린chu (1) - 2009년 3월 30일발행 꼬마여신카린chu (2) - 2009년 4월 25일발행 꼬마여신카린chu (3) - 2009년 5월 발행 꼬마여신카린chu (4) - 2009년 6월 발행 애니메이션[편집] 2007년 4월 6일부터 동년 9월 28일까지 TV 도쿄계에서 매주 금요일 오후 5:30 ~ 저녁 6:00에 방영. 원작과의 다른 점은 무인과 chu를 혼합한 스토리라는 것이다. 스탭[편집] 원작:코게돈보*(코단샤〈나카요시〉연재《꼬마여신 카린》・《꼬마여신 카린chu》) 기획:古川陽子,佐藤道明 기획협력:코단샤〈나카요시〉편집부(松本智,五味秀晴),松下卓也,堀謙太郎,山谷奈久留,園部幸夫 감독:안노 타카시 시리즈구성:柿原優子 캐릭터디자인:篠原健二 게스트캐릭터디자인:아오이 사요 소품 디자인:宮本崇 총제작감독:石橋有希子,野口孝行 미술감독,미술설정:春日礼児 색체설계:木村聡子 촬영감독:岩崎敦 음악감독:明田川進 음악:辻陽 음악프로듀서:伊藤善之,斎藤滋 프로듀서:吉野文,高橋知子,高畑裕一郎 애니메이션프로듀서:兼坂勝利 애니메이션제작:사테라이트 제작:TV도쿄,NAS,포니캐년 주제가[편집] 오프닝테마《암흑천국(暗黒天国)》(1화〜26화) 노래:ALI PROJECT,작사:宝野アリカ,작곡・편곡:片倉三起也 1~25화까지는 오프닝의 마지막 부분의 사진이 태워진 사진과 찢겨진 사진이 있었으나, 26화에서는 원래의 모습이 나온다. 엔딩테마1《아네모네(アネモネ)》(1화〜13화) 노래:나카하라 마이,작사・작곡:micco,편곡:菊池達也 엔딩테마2《공중정원(空中迷路)》(14화〜26화,26화는 2절까지) 노래:marble,작사・작곡:micco,편곡:菊池達也 각화명리스트[편집] 화수 서브타이틀 각본 그림콘티 연출 작화감독 1 카린짱의 신비한 반지다시 花鈴ちゃんのふしぎな指輪だしー 柿原優子 安濃高志 臼田美夫 2 카린짱, 신으로 변신이다시 花鈴ちゃん、かみちゃまに変神だしー 夕澄慶英山口武志 清水一伸 清水智子栗原学服部憲知 3 히메카짱의 비밀다시 姫香ちゃんの秘密だしー 広田光毅 柳瀬雄之 輿石暁 4 시짱과의 재회다시 しーちゃんとの再会だしー 竹内利光 泉明宏 泉明宏浅見松雄 青鉢芳信増谷三郎 5 카즈네군의 중간고사 대작전다시 和音くんの中間テスト大作戦だしー 山崎茂 こかいゆうじ 6 엄청 굉장한, 사랑하는 학원제다시 どすこい、恋する学園祭だしー 広田光毅 池田重隆 張誠浩 7 서둘러라, 춤추는 학원제다시 はっけよい、踊る学園祭だしー 柿原優子 木宮茂 清水一伸 栗原学服部憲知清水智子 8 반지를 잃어버렸다시 指輪が消えちゃったんだしー 須永司 安濃高志 臼田美夫 9 수수께끼의 전학생, 엄청멋있다시 なぞの転校生、かっこいいんだしー 広田光毅 福冨博 黒田晃一郎 山本道隆井上義勝宮下雄次栗原基彦 10 밋치의 두근두근 온천투어다시 ミッチーのドキドキ温泉ツアーだしー 竹内利光 柳瀬雄之 輿石暁 11 신비한 빛에 찰싹이다시 不思議な光でぴったんこだしー 渡辺浩成 長尾粛 田中保臼田美夫輿石暁 12 아듀~ 카린의 첫사랑아다시 アデュー、花鈴ちゃんの初恋だしー 広田光毅 山崎茂 こかいゆうじ 13 카즈네군과 러브러브 데이트!?다시 和音くんとラブラブデート!? だしー 柿原優子 木宮茂 斉藤博子 中野彰子 14 물가다시 渚だしー 広田光毅 政木伸一 山田徹 向山祐治佐久間健藤田正幸 15 섬머타임블루스다시 サマータイムブルースだしー 竹内利光 森田稔 臼田美夫 16 프레젠트는 수수께끼의 반지다시 プレゼントは謎の指輪だしー 柿原優子 柳瀬雄之 輿石暁 17 키리카선배의 고백이다시 霧火先輩の告白だしー 長尾粛 宮下雄次栗原基彦 18 라이벌은 카즈네왕자다시 竹内利光 西澤きぬこ 山田徹 藤田正幸 19 사랑의 극장, 기다릴 수 없어다시 愛の劇場、待ったなしだしー 広田光毅 奥村吉昭 山崎茂 こかいゆうじ 20 밋치, 어서~와♪다시 ミッチー、いらっしゃ~い♪だしー 福島一三 斉藤博子 中野彰子 21 히메카짱과 점쟁이 안경잡이다시 姫香ちゃんと占いメガネっ子だしー 竹内利光 石田暢 小野田雄亮 臼田美夫 22 카즈네군? 축제다시 和音くん? とお祭りだしー 柿原優子 西澤きぬこ 山田徹 向山祐治藤田正幸佐久間健 23 카라스마네 집, 방문이다시 烏丸さんち、お宅はいけんだしー 竹内利光 柳瀬雄之 輿石暁 24 저쪽도 이쪽도 안경잡이다시 あっちもこっちもメガネッ子だしー 広田光毅 福島一三 斉藤博子 中野彰子 25 제우스의 반지의 미궁이다시 ゼウスの指輪の迷宮だしー 柿原優子 山崎茂 小野田雄亮 こかいゆうじ 26 시간과 공간의 미아들 時空の迷い子たち 安濃高志 森田稔 臼田美夫柳昇希石橋有希子野口孝行こかいゆうじ篠原健二 원작과의 다른 점[편집] 꼬마여신카린에 꼬마여신카린chu의 요소를 포함하는 등 일부 설정이 변경되었다. 애니메이션과 원작에서는 크로노스의 시계,신화 반지,지팡이, 아테나의 신화복, 신화시 때의 카린의 머리 모양이 다소 다르다. 카린과 스즈네의 첫 대면이, 애니메이션과 원작에서 너무 차이가 난다. 원작에서는 chu 제 1화에서 카린이 자고 있던 침대에서 돌연 등장하나, 애니메이션에서는 제8화에서 카린이 뛰다가 넘어진 스즈네를 본 것으로 시작한다. 최종화에서 카린이 미치루에게 받은 반지의 신화 모습이 다르다. (디자인은 원작자인 코게돈보*가 하였다.) 관련 상품[편집] DVD[편집] 꼬마여신카린 (1) PCBG-51075 - 2007년 7월 20일 발매 초회한정특전특별부록:꼬마여신 카린 엑스트라 에디션(코게돈보*가 새로 그린 단편만화와 설정자료등을 첨부한 소책자 44p) 영상특전:오프닝〈암흑천국〉 논크레딧 버전 꼬마여신카린 (2) PCBG-51076(셀),PCBG-71076(렌탈) - 2007년 8월 17일 발매 초회한정특전부록:DVD박스 영상특전:엔딩〈아네모네〉 논크레딧 버전 꼬마여신카린 (3) PCBG-51077(셀),PCBG-71077(렌탈) - 2007년 9월 19일발매 초회한정특전부록:미니캐릭터스티커 영상특전:오프닝〈암흑천국〉 논크레딧 온 에어 버전 꼬마여신카린 (4) PCBG-51078(셀),PCBG-71078(렌탈) - 2007년 10월 17일발매 초회한정특전부록:미니캐릭터스티커 영상특전:엔딩〈공중미로〉 논크레딧 버전 꼬마여신카린 (5) PCBG-51079(셀),PCBG-71079(렌탈) - 2007년 11월 21일발매 초회한정특전부록:미니캐릭터스티커 영상특전:DVD TVCM집 1 꼬마여신카린 (6) PCBG-51080(셀),PCBG-71080(렌탈) - 2007년 12월 19일발매 초회한정특전부록:미니캐릭터스티커 영상특전:DVD TVCM집 2 꼬마여신카린 (7) PCBG-51080(셀), PCBG-71080(렌탈) - 2007년 12월 28일발매 초회한정특전부록:꼬마여신 카린 엑스트라 에디션 (사랑과 정의의 학생회장 키리오 vs 애송이신, 꼬마여신카린+ 파이널 로 코믹스 미수록의 단편만화) 영상특전:오프닝〈암흑천국〉 최종화 논크레딧 버전, 엔딩〈아네모네〉 최종화 논크레딧 버전, 논텔롭오프닝(가사추가),방송영상집 비고[편집] 애니메이션 잡지 아니메디아의 2007년 1월호에 "애니메이션화 했으면 하는 원작 작품 랭킹"에서 8위정도 랭킹했던 적이 있다. 각주[편집] ↑ 1권 1/3스페이스 참고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デジなか --なかよし公式サイト--(디지나카—나카요시 공식 사이트--) (일본어) KOGE2 HOUSE(코게돈보* 본인 사이트) (일본어) 애니TV 꼬마여신 카린 공식사이트 vdeh코게돈보*장편소녀만화 꼬마여신 카린 꼬마여신 카린 chu 두근두근! 타마땅 소년만화 피타텐 죽은 소녀를 위한 파반 비정기연재 콩콩코콩 꼬마여신 카린+ 꼬마여신 카린 chu+ 중편 코이히메 이야기 스모왕 유키,코토,키쿠. 단편 화환둔갑술장 옛날… 외의 작품캐릭터 디자인 작은 눈의 요정 슈가 디지캐럿 일러스트 담당 디지캐럿 아쿠에리언에이지 게임 및 소설 삽화 프린세스 콘체르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꼬마_여신_카린&oldid=23686923" 분류: 일본의 만화2007년 애니메이션나카요시TV 도쿄 계열 애니메이션연애 만화학원 만화중학교를 배경으로 한 애니메이션카툰 네트워크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PolskiРусскийTagalog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2일 (화) 09:3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꼬마여신 카린》(かみちゃまかりん)은 코게돈보*의 만화 혹은 그것을 원작으로 한 TV 애니메이션이다. 대한민국에서는 2008년 1월 14일부터 카툰 네트워크 코리아에서 방영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꼬마 여신 가린의 제 1편 DVD가 발매된 것은 언제입니까? Assistant: 2007년 7월 20일 Human: 아래 요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요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요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프레이야를 끌고가는 요툰 파프네르와 파솔트. 요툰(고대 노르드어: jǫtunn [ˈjɔtunː])이란 노르드 신화에서 널리 발견되는 존재들로, 곧 노르드의 거인이다. 복수형으로 요트나르(고대 노르드어: jǫtnar), 영어식으로는 에틴(Ettin)이라 한다. 요트나르는 신적 존재로, 에시르나 바나르와는 구분되는 존재지만 그 힘과 능력은 그들과 필적했다. 흔히 문헌상에서 요트나르는 에시르나 바나르의 적대자로 등장하지만, 에시르, 바나르와 결혼하거나 비적대적으로 접촉한 요툰도 상당수 존재한다. 신족과 거인족의 복잡한 관계가 《고 에다》와 《신 에다》의 내용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목차 1 어원 2 거인족의 기원 3 요트나르의 특징 4 자연과의 관계 5 라그나로크 6 주 어원[편집] 고대 노르드어에서 "거인"을 의미하는 말로는 요툰(jǫtunn)과 리시(risi), 수르스(þurs)가 있으며, 복수형 형태는 각각 요트나르(jǫtnar), 리사르(risar), 수사르(þursar)이다. 거인들의 종류로는 레이르요트나르(leirjötnar→점토 거인, i.e. 흐룽그니르, 아우겔미르), 엘드요트나르(eldjötnar→불의 거인, i.e. 수르트, 무스펠), 베르그리사르(bergrisar→산의 거인), 쇼리사르(sjórisar→바다 거인, i.e. 에기르, 란), 흐림수르사르(hrímþursar→서리 거인), 빈드수르사르(vindþursar→바람 거인, i.e. 카리, 흐레스벨그) 등이 있다. 여성 거인은 귀그르(gýgr) 또는 이비댜(íviðja)라고도 하며, 그 복수형은 각각 귀갸르(gýgjar)와 이비듀르(íviðjur)이다. 거인족의 기원[편집] 노르드 인류학 역사 민족 고토 역사 노르드 석기시대 노르드 청동기시대 전로마 철기시대 로마 철기시대 게르만 철기시대 민족 대이동 바이킹 시대 신화 신들 에시르 바니르 요트나르 시구르드 시그문드 볼룬드 베티르 알파 도크알프와 료스알프 스바르트알프 드베르그 에인헤랴르 펜리르 헬 디시르 노르니르 발퀴류르 요르문간드 아스크와 엠블라 우주관 아스가르드 바나헤임 미드가르드 비그리드 비프로스트 폴크방 긴눙가가프 헬헤임 무스펠스헤임 니플헤임 미미스브룬느 흐베르겔미르 우르다르브룬느 위그드라실 발홀 요툰헤임 의례와 숭배행위 블로트 세이드 노르드 장례 율 발푸르기스의 밤 하지제 호르그 게르만의 신전 베이 고디 게르만력 룬 마술 볼바 갈드 노르드 이교의 죽음 개념 사회 노르드 법률 야를 펠라그 팅 연회장 홀름강가 고대 노르드어 니드스탕 니드 에르기 베르세르크 사건 아스-반 전쟁 핌불베트르 라그나로크 빌데야크트 문헌 고 에다 신 에다 티르핑 대계 볼숭 대계 사가 룬돌 기원 인도유럽조어 종교 게르만 이교 v • d • e • h 태고의 혼돈 긴눙가가프에서 처음 생겨난 생물은 무지막지한 크기의 거인 위미르였다. 니플헤임의 얼음 안개와 무스펠스헤임의 열기가 만나 그 가운데 위미르가 만들어졌다. 스노리 스툴루손의 〈길피의 속임수〉에 위미르의 탄생 이야기가 실려 있다. 냉기가 올라오고 모든 것들이 암울한 니플헤임과, 뜨겁가 밝은 무스펠이 마주보고 있었는데, 긴눙가가프는 바람 한 점 없이 고요했다. 그리고 상고대와 훈기가 만나 녹아 떨어졌고, 열기의 근원의 힘으로 인해 그 떨어짐은 가속되었다. 그리고 떨어진 물방울들이 한 남자의 형상을 만들었으니, 그의 이름은 위미르였다.[1] 위미르는 잠을 잤는데, 그의 양쪽 겨드랑이에서 남녀 요툰들이 탄생했고, 그의 발에서는 머리가 여섯 개 달린 괴물들이 태어났다. 이 세 존재들은 흐림수르사르, 곧 서리 거인족을 형성했고 니플헤임에 살았다. 한편 신들은 위미르가 아닌 부리에게서 탄생했다고 하는데, 부리의 손자들인 오딘과 빌리와 베이가 위미르를 죽였다. 위미르의 피가 니플헤임을 가득 채워 홍수를 일으켜 베르겔미르 부부를 제외한 모든 거인들이 익사했다.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에 보면, 그 이후 “위미르의 살로 대지를 만들었고, 그 피로 바다를 만들었고, 그 뼈로 구릉을 만들었고, 그의 머리칼로 초목을 만들었고, 그의 해골로 하늘을 만들었다.”[2] 요트나르의 특징[편집] 〈그로티의 노래〉에 삽화로 실린 여자 거인 펜야와 멘야(1886년 그림) 요트나르 중 일부는 갈고리 손발톱, 엄니, 기형의 외모 등 흉측한 모습을 하고 있었다. 머리가 아홉 개 달린 스리발디처럼 머리가 여러 개 달린 것도 있었고, 스타르카드처럼 팔이 여럿 달린 이도, 흐레스벨그처럼 아예 인간의 형상이 아닌 것도 있었다. 많은 요트나르는 아름답다고 하는데, 예컨대 스카디는 “신들의 아름다운 신부”라고 불렸다.[3] 또한 몸집이 커다란 요트나르가 일부 있기는 했지만, 대부분의 요트나르는 거인족이라고는 해도 에시르나 바니르 같은 신족들과 몸집 차이가 없었다.[4] 자연과의 관계[편집] 산맥을 그리워하는 스카디. 많은 거인들은 자연 세계에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때로는 자연 요소의 신들로 생각되기도 한다.[4] 오딘과 그 형제들은 위미르의 시체로 물질 세계를 창조했다. 수리의 형상을 한 요툰 흐레스벨그는 세계의 북쪽 끝에서 날개를 펄럭여 바람을 만들어낸다. 토르의 어머니인 여성 거인 요르드는 동식물의 어미이며 비옥한 생식력을 가지고 있다. 여성 거인 걀프는 강에 발을 담그고 수위를 높여서 홍수를 일으킨다. 에기르와 란 부부는 바다 자체가 거인의 모습으로 의인화된 것이다. 또한 여름과 겨울, 밤, 태양과 달이 모두 요트나르로 인해 만들어진 것이라 한다. 민담에서는 악천후, 심지어 땅의 형성까지 거인들의 탓으로 돌리기도 한다.[5] 종합해 보면 거인들은 산맥을 옮기고 만들어낼 수 있으며, 호수를 만들어내고 섬을 옮기고 나무를 뿌리째 뽑는다. 강풍으로 인해 박살난 짓다 만 건물들은 거인들이 입으로 불어서 그렇게 된 것이라 했다. 요트나르는 에시르보다 열등한 것으로 줄곧 묘사되지만, 그들의 자연의 힘은 무시할 수 없는 것이었다. 라그나로크[편집] 라그나로크 때 요툰헤임의 요트나르와 헬헤임의 망자들의 군단이 신들을 공격한다. 그리고 수르트가 영도하는 무스펠스헤임에 사는 불의 거인("엘드요툰")들이 몰려와 라그나로크의 마지막 단계에 불을 지른다. 그 결과 극히 일부의 신들을 제외하고 쌍방이 모두 죽게 된다. 주[편집] ↑ translated, Snorri Sturluson; Faulkes, edited by Anthony (1995). “Gylfaginning”. Edda Reissue.판. London: Dent. ISBN 978-0-460-87616-2.  ↑ Orchard, translated by Andrew (2010). “Vafthrúdnismál”. The poetry of the Elder Edda. London: Penguin Classics. ISBN 978-0-140-43585-6.  ↑ Orchard, translated by Andrew (2010). “Grímnismál”. The poetry of the Elder Edda. London: Penguin Classics. ISBN 978-0-140-43585-6.  ↑ 가 나 Motz, Lotte (1982). “Giants in Folklore and Mythology: A New Approach”. Folklore 93 (1): 70–84. doi:10.1080/0015587x.1982.9716221.  ↑ Broderius, John R. (1932). The Giant in Germanic Tradi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Libraries.  vdeh노르드 신화등장인물에시르 델링그 로두르 로키 마니 메일리 모디와 마그니 발드르 발리 브라기 비다르 빌리와 베이 오드 오딘 울르 토르 튀르 크바시르 포르세티 헤르모드 헤임달 호드 회니르 아쉬뉴르 게르드 게푠 그나 난나 뇨룬 란 로픈 린드 바르 보르 빌 사가 솔 쇼픈 쉰 스노트라 스루드 스카디 시귄 시프 에이르 요르드 이둔 이르파 일름 토르게르드 홀가브루드 프리그 풀라 흘린 바니르 굴베이그 뇨르드 뇨르드의 처 프레이 프레이야 요트나르 군늘로드 그리드 라우페위 로기 미미르 바우기 바프스루드니르 베르겔미르 벨리 소크 수르트 수퉁그 스륌 신마라 야른삭사 에기르 우트가르다로키 위미르 샤치 휘미르 흐레스벨그 흐로드 흐룽그니르 흐륌 괴물 가름 니드호그 라타토스크 베드르폴니르와 수리 아우둠블라 요르문간드 펜리르 헬 요정 드베르그 알프 도크알프 료스알프 스바르트알프 디시르 노른 우르드 베르단디 스쿨드 발키리 브륀힐드 시그룬 … 인간 리프와 리프트라시르 아스크와 엠블라 에인헤랴르 인간 영웅들 군나르 라그나르 시구르드 시그문드 아틀리 헬기 호그니 … 그 외 뤼티르 베티르 보르 볼룬드 부리 스킨팍시와 흐림팍시 장소 긴눙가가프 니다벨리르 나스트론드 니플헤임 니플헬 무스펠스헤임 미드가르드 바나헤임 발홀 비그리드 비프로스트 스바르트알파헤임 아스가르드 우물들 미미스브룬느 흐베르겔미르 우르다르브룬느 우트가르드 위그드라실 요툰헤임 알프헤임 폴크방 헬헤임 사건 아스-반 전쟁 햐드닝가비그 핌불베트르 라그나로크 문헌 《데인인의 사적》 룬스톤 에다 《고 에다》 《신 에다》 사가 티르핑 대계 뵐숭 대계 사트르 스칼드 고대 노르드어 철자법 대중문화 사회 블로트 펠라그 게르만의 역법 헤이티 호르그 케닝그 욜 연회장 니드 종교의례 Numbers 세이드 스칼드 바이킹 시대 볼바 스캴드메르 참조 신 목록 북유럽 신화의 인물, 보물, 장소 목록 게르만 이교 아사트루 vdeh앵글로색슨 종교 및 신화신적 존재 베오와 에오스트레 프리게 게피온 흐레사 잉 새악스노트 투노르 튜 와다 웨일랜드 우오덴 영웅 에길 베오와 에오르멘리크 고드울프 헹기스트와 호르사 스케파 왈데레 위드시스 다른 존재들 코프고드 엘프 이데스 드웨오르 에오텐/투르스 마레 왤키르게 위그트 장소 미단게아르드 네오륵스나왕 문헌 《앵글로색슨 연대기》 앵글로색슨 역법 《앵글로색슨 룬 시가》 《베오울프》 《시간의 계산》 《데오르의 비탄》 《에알루스케르웬》 핀네스버그 파편 프랑크스 손궤 《앵글인의 교회사》 《아홉 약초의 주문》 고대 영어 스퐁 언덕 《위드 패르스티케》 《애케르보트》 기원 게르만 이교 앵글족 프리시족 유트족 색슨족 사회와 문화 앵글로색슨 법률 앵글로색슨 룬 앵글로색슨의 장례 베오트 블로탄 역법 폴크무트 프리스 해르그 메이폴 무트 언덕 스콥 심벨 세근 팅그 실레 웨레길드 위케 윌웨오르숭가 위르드 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요툰&oldid=24146103" 분류: 요툰숨은 분류: 고대 노르드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Boarisch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ietuviųNederlandsNorsk nynorskNorskDeitsch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4일 (토) 10:3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요툰(고대 노르드어: jǫtunn [ˈjɔtunː])이란 노르드 신화에서 널리 발견되는 존재들로, 곧 노르드의 거인이다. 복수형으로 요트나르(고대 노르드어: jǫtnar), 영어식으로는 에틴(Ettin)이라 한다. 요트나르는 신적 존재로, 에시르나 바나르와는 구분되는 존재지만 그 힘과 능력은 그들과 필적했다. 흔히 문헌상에서 요트나르는 에시르나 바나르의 적대자로 등장하지만, 에시르, 바나르와 결혼하거나 비적대적으로 접촉한 요툰도 상당수 존재한다. 신족과 거인족의 복잡한 관계가 《고 에다》와 《신 에다》의 내용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토르의 어머니 이름은 뭐야?? Assistant: 요르드
Human: 아래 미인아_(BONAMANA)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미인아 (BONAMANA)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인아 (BONAMANA)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일본 싱글에 대해서는 美人 (BONAMANA)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미인아 (BONAMANA) 슈퍼주니어의 정규 음반발매일 2010년 5월 13일 (A버전)2010년 5월 20일 (B버전)2010년 6월 28일 (C버전)장르 댄스 팝, 펑크, 일렉트로니카언어 한국어, 영어레이블 SM엔터테인먼트프로듀서 이수만슈퍼주니어 연표 Sorry, Sorry(2009년) 미인아 (BONAMANA)(2010년) Mr. Simple(2011년) 《미인아 (BONAMANA)》는 슈퍼주니어의 정규 4집 음반이다. 2010년 5월 13일에 A버전을 발매하였다. A, B 버전의 수록곡은 동일하며, 앨범커버와 그리고 앨범속지, 초회발매판에 포함된 포토카드가 다르다. 5월 10일 타이틀 곡〈미인아 (BONAMANA)〉가 선공개 되었고, 5월 12일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었다. 전체적인 음악색깔은 미디움 템포, 일렉트로닉 신스, Groove 등의 다양한 장르를 사용하여 3집의 연장선상에 있다. 목차 1 수록곡 1.1 수록곡 2 차트 기록 2.1 가온차트 2.2 가요 프로그램 수상 2.2.1 미인아 (BONAMANA) 2.2.2 너 같은 사람 또 없어 (No Other) 3 에피소드 3.1 미인아 (BONAMANA) 3.2 너 같은 사람 또 없어 (No Other) 4 방송 출연 목록 5 각주 6 외부 링크 수록곡[편집] A, B 버전 # 제목작사작곡편곡 재생 시간 1. 미인아 (BONAMANA)  유영진유영진유영진 3:58 2. 나쁜 여자 (Boom Boom)켄지Hayden Bell, Wayne Beckford, Ray Lavender켄지 3:15 3. 응결 (Coagulation)박창현박창현박창현 4:20 4. 나란 사람 (Your Eyes)김정배켄지켄지 3:41 5. My Only Girl  홍지유Brandon Fraley, Joshua Welton유한진 3:09 6. 사랑이 이렇게 (My All Is In You)권윤정Luther “Squeak” Jackson, Stephen Beckham김태성, Noday 3:35 7. Shake It Up!  김영후Ryan Jhun. Antwann Frost,Ronald Frost,Micheal Muncie,C-2Ryan Jhun. Antwann Frost,Ronald Frost,Micheal Muncie,C-2 3:03 8. 잠들고 싶어 (In My Dream)권윤정김지후김지후 5:03 9. 봄날 (One Fine Spring Day)권윤정MAGNUS ANDERSSONMAGNUS ANDERSSON 3:56 10. 좋은 사람 (Good Person)유희열유희열켄지 4:04 11. Here We Go  김이나Carl Utbult, Tebey Ottoh, Fredrik Hult황성제 3:50 C 버전 # 제목작사작곡편곡 재생 시간 1. 미인아 (BONAMANA)유영진유영진유영진 3:58 2. 너 같은 사람 또 없어 (No Other)  켄지Reefa, Ryan Jhun, C-2Reefa, Ryan Jhun.,C-2, 김태성 4:16 3. Shake It Up! (Remix Ver.)김영후Ryan Jhun. Antwann Frost,Ronald Frost,Micheal Muncie,C-2Chance of One way, Ichiro "I.T.K" 3:03 4. 진심 (All My Heart)홍지유이특, 헨리김태성, Noday 3:43 5. 여행 (A Short Journey)은혁동해김태성, Noday, 김은영 3:43 6. 나쁜 여자 (Boom Boom)켄지Hayden Bell, Wayne Beckford, Ray Lavender켄지 3:15 7. 응결 (Coagulation)박창현박창현박창현 4:20 8. 나란 사람 (Your Eyes)김정배켄지켄지 3:41 9. My Only Girl  홍지유Brandon Fraley, Joshua Welton유한진 3:09 10. 사랑이 이렇게 (My All Is In You)권윤정Luther “Squeak” Jackson, Stephen Beckham김태성, Noday 3:35 11. Shake It Up!  김영후Ryan Jhun. Antwann Frost,Ronald Frost,Micheal Muncie,C-2Ryan Jhun. Antwann Frost,Ronald Frost,Micheal Muncie,C-2 3:03 12. 잠들고 싶어 (In My Dream)권윤정김지후김지후 5:03 13. 봄날 (One Fine Spring Day)권윤정MAGNUS ANDERSSONMAGNUS ANDERSSON 3:56 14. 좋은 사람 (Good Person)유희열유희열켄지 4:04 15. Here We Go  김이나Carl Utbult, Tebey Ottoh, Fredrik Hult황성제 3:50 곡 당 파트 열외 멤버 (참여한 멤버) 곡 제목 곡 당 파트 열외 멤버 (참여한 멤버) 미인아 (BONAMANA) - 너 같은 사람 또 없어 (No Other) - Shake It Up! 신동, 시원 진심 (All My Heart) 강인, 신동 여행 (A Short Journey) (예성, 강인, 동해, 려욱, 규현) 나쁜 여자 (Boom Boom) 신동 응결 (Coagulation) (예성, 려욱, 규현) 나란 사람 (Your Eyes) (예성, 규현) My Only Girl 강인, 신동 사랑이 이렇게 (My All Is In You) 희철, 강인, 신동, 은혁 잠들고 싶어 (In My Dream) (예성, 성민, 동해, 려욱, 규현) 봄날 (One Fine Spring Day) (려욱) 좋은 사람 (Good Person) 신동, 시원 Here We Go 희철, 신동, 시원 본 앨범 활동 및 자켓 촬영에 참여한 멤버들에 한해서 작성. 수록곡[편집] 트랙 번호는 리패키지 기준 트랙 3번 Shake It Up! (Remix Ver.)은 4집 트랙 7번(리패키지 11번) Shake It Up!의 리믹스 버전으로 동해가 리믹스하였다.[1] 트랙 4번 진심 (All My Heart)은 이특과 슈퍼주니어-M의 헨리가 함께 작곡한 발라드 곡이며 이특이 데뷔 후 정식 공개한 첫 자작곡이다. 트랙 5번 여행 (A Short Journey)은 동해의 자작곡으로 은혁이 작사했으며 강인이 입대 전에 참여한 노래이다. 디지털 음원 수익금은 전액 기부, 어려운 이웃과 소외계층을 돕는데 사용하였다.[2] 트랙 7번 응결 (Coagulation)은 슈퍼주니어-K.R.Y가 부른 노래이다. 트랙 8번 나란 사람 (Your Eyes)는 예성과 규현의 듀엣곡이다. 트랙 13번 봄날 (One Fine Spring)은 려욱의 솔로곡이다. 트랙 14번 좋은 사람 (Good Person)은 토이의 곡인 좋은 사람을 리메이크한 곡이다. 차트 기록[편집] 가온차트[편집] 곡명 디지털 종합 차트 앨범 차트 미인아 (BONAMANA) 8위 1위 너 같은 사람 또 없어 (No Other) 20위 - 가요 프로그램 수상[편집] 미인아 (BONAMANA)[편집] 5월 21일 KBS 《뮤직뱅크》 K-Chart 1위(1주) 5월 28일 KBS 《뮤직뱅크》 K-Chart 1위(2주) 6월 4일 KBS 《뮤직뱅크》 K-Chart 1위(3주)[3] 5월 30일 SBS 《인기가요》뮤티즌송(1주) 6월 6일 SBS 《인기가요》뮤티즌송(2주) 6월 13일 SBS 《인기가요》뮤티즌송(3주)[4] 너 같은 사람 또 없어 (No Other)[편집] 7월 9일 KBS 《뮤직뱅크》 K-Chart 1위(1주)[5] 7월 11일 SBS 《인기가요》뮤티즌송(1주) 에피소드[편집] 미인아 (BONAMANA)[편집] 이번 정규앨범 4집에서는 지난 2009년 음주 운전 사고 후 군 입대를 결정한 강인을 제외한 10명이 음반 참여를 했다. 5월 10일, 타이틀곡 선공개를 시작으로 12일에는 뮤직비디오 공개, 13일에 정식발매되었다. 5월 14일 KBS《뮤직뱅크》를 시작으로 15일 MBC 《음악중심》, 16일《SBS 인기가요》로 컴백했다. 미인아의 포인트 춤은 스케이팅 댄스 혹은 피겨 댄스다. 볼까말까 볼까말까하는 부분에서 왼팔을 허리에, 오른손을 위로 아래로 하는 것으로 김연아의 피겨스케이팅 장면에서 나온 춤이다.[6] 5월 18일, 시원이 침샘 염증 제거 수술을 받았다. 음악방송 출연은 꾸준히 했지만 기자간담회에는 불참했다.[7] 6월 3일, 규현이 학창시절부터 앓아오던 중이염 수술을 받아 6월 대부분의 음악방송에 출연하지 못했다.[8] 규현은《뮤직뱅크》2010년 상반기 결산특집을 시작으로 활동을 재개했고,[9]6월 4일 방송분 및 인기가요 6월 13일 방송에서 멤버들은 1위 앵콜송을 부르면서 미인아를 규현아로 개사해서 불렀다.[10][11] 6월 20일, 중이염으로 휴식 중인 규현을 제외하고 멤버 전원이 야행성에 출연했다.[12] 6월 27일, 신동과 성민, 동해가《환상의 짝꿍》에 게스트로 출연했다. 성민이 원피스 잠옷을 입고 잔다는 동해의 발언이 화제가 되었다.[13] 《SBS 인기가요》에서 3주 연속 뮤티즌송을 수상했다.[14] 6월 마지막 주를 끝으로 미인아 활동을 마무리하였다. 너 같은 사람 또 없어 (No Other)[편집] 후속곡인 너 같은 사람 또 없어 (No Other)는 6월 25일 음원 선공개를 시작으로 28일에 전격 발매되었다. 7월 첫째 주《뮤직뱅크》를 시작으로《음악중심》과《인기가요》에서 후속곡 무대를 펼쳤다. 7월 6일과 7월 13일에 시원, 동해, 규현이《강심장》(이특, 은혁, 신동은 고정패널)에 출연했다.[15] 희철과 시원을 제외한 모든 멤버들이 7월 18일에 방송된 유희열의 스케치북에 출연했다.[16] 그리고 7월 23일, 24일, 25일 음악방송을 끝으로 공식적인 4집 활동을 마무리 짓고 2010년 8월에 아시아 투어 SUPER SHOW 3를 시작하였다. 방송 출연 목록[편집] 이 목록을 보려면 오른쪽의 '보이기' 버튼을 누르세요! 방영 일자 프로그램 비고 음악 프로그램 2010년 5월 14일 KBS 2TV 뮤직뱅크 핫2슈 + 나쁜 여자 (Boom Boom) + 미인아 (BONAMANA) 2010년 5월 15일 MBC 쇼! 음악중심 나쁜 여자 (Boom Boom) + 미인아 (BONAMANA) 2010년 5월 16일 SBS 인기가요 인터뷰 + 나쁜 여자 (Boom Boom) + 미인아 (BONAMANA) 2010년 5월 21일 KBS 2TV 뮤직뱅크 인터뷰 + 미인아 (BONAMANA) + 1위 2010년 5월 22일 MBC 쇼! 음악중심 미인아 (BONAMANA) 2010년 5월 28일 KBS 2TV 뮤직뱅크 미인아 (BONAMANA) + 1위 2010년 5월 29일 MBC 쇼! 음악중심 미인아 (BONAMANA) 2010년 5월 30일(15일 녹화) KBS 1TV 열린음악회 Sorry, Sorry + 멘트 + 미인아 (BONAMANA) 2010년 6월 4일 KBS 2TV 뮤직뱅크 (규현 제외) 인터뷰 + 미인아 (BONAMANA) + 1위 2010년 6월 5일 MBC 쇼! 음악중심 (규현 제외) 미인아 (BONAMANA) 2010년 6월 11일 KBS 2TV 뮤직뱅크 (규현 제외) 대기실 + 미인아 (BONAMANA) 2010년 6월 12일 MBC 쇼! 음악중심 (규현 제외) 미인아 (BONAMANA) 2010년 6월 13일 SBS 인기가요 (규현 제외) 미인아 (BONAMANA) + 1~3주차 뮤티즌송 수상 2010년 6월 19일 MBC 쇼! 음악중심 (규현 제외) 미인아 (BONAMANA) 2010년 6월 20일 SBS 인기가요 (규현 제외) 미인아 (BONAMANA) 2010년 6월 25일 KBS 2TV 뮤직뱅크 상반기 결산 신동, 은혁 - 널 붙잡을 노래 + 미인아 (BONAMANA) 2010년 6월 27일(20일 녹화) Y-star 라이브 파워 뮤직 - 한마음 빅 콘서트 (희철, 규현 제외) 미인아 (BONAMANA) 2010년 7월 2일 KBS 2TV 뮤직뱅크 대기실 + 너 같은 사람 또 없어 (No Other) 2010년 7월 3일 MBC 쇼! 음악중심 너 같은 사람 또 없어 (No Other) 2010년 7월 9일 KBS 2TV 뮤직뱅크 인터뷰 + 너 같은 사람 또 없어 (No Other) + 1위 2010년 7월 11일 SBS 인기가요 너 같은 사람 또 없어 (No Other) + 뮤티즌송 2010년 7월 16일 KBS 2TV 뮤직뱅크 인터뷰 + 너 같은 사람 또 없어 (No Other) 2010년 7월 18일(10일 녹화) Y-star 라이브 파워 뮤직 (희철 제외) 너 같은 사람 또 없어 (No Other) + 멘트 + 미인아 (BONAMANA) 2010년 7월 23일 KBS 2TV 뮤직뱅크 대기실 + 너 같은 사람 또 없어 (No Other) 2010년 7월 24일 MBC 쇼! 음악중심 너 같은 사람 또 없어 (No Other) + 미인아 (BONAMANA) 2010년 7월 25일 SBS 인기가요 너 같은 사람 또 없어 (No Other) + 미인아 (BONAMANA) 2010년 7월 25일(현지 시각 6일 녹화) KBS 1TV 열린음악회 - 중국 글로벌 한상 대회 기념 (희철, 시원, 규현 제외) 너 같은 사람 또 없어 (No Other) + 멘트 + 미인아 (BONAMANA) 2010년 12월 17일 KBS 2TV 뮤직뱅크 대기실 + 미인아 (BONAMANA) 2010년 12월 19일 SBS 인기가요 너 같은 사람 또 없어 (No Other) + 미인아 (BONAMANA) 2010년 12월 25일(사전 녹화) MBC 쇼! 음악중심 미인아 (BONAMANA) 예능 프로그램 2010년 5월 4일 SBS 강심장 이특, 희철, 신동, 은혁 2010년 5월 11일 SBS 강심장 이특, 희철, 신동, 은혁 2010년 5월 31일 MBC 유재석 김원희의 놀러와 - 국위선양 아이돌 특집 이특, 희철, 신동, 동해, 규현 2010년 6월 24일 KBS 2TV 해피투게더 이특, 은혁 2010년 7월 6일 SBS 강심장 이특, 신동, 은혁, 동해, 시원, 규현 2010년 7월 13일 SBS 강심장 이특, 신동, 은혁, 동해, 시원, 규현 2010년 7월 23일 KBS 2TV 유희열의 스케치북 희철, 시원 제외 2010년 7월 25일 SBS 도전 1000곡 예성, 은혁, 려욱 2010년 7월 31일 MBC 세바퀴 예성, 동해, 규현 2010년 8월 1일 SBS 도전 1000곡 예성, 은혁, 려욱 2010년 8월 14일 KBS 2TV 연예가중계 SUPER SHOW 3 서울 공연 현장 2010년 9월 23일(16일 녹화) MBC 추석특집 라디오스타 슈퍼쇼 이특, 신동, 성민, 은혁, 동해, 려욱, 규현 2010년 11월 30일 SBS 강심장 이특, 신동, 은혁, 동해 2010년 12월 5일 SBS 일요일이 좋다 런닝맨 희철 2010년 12월 7일 SBS 강심장 이특, 신동, 은혁, 동해 2010년 12월 19일 SBS 일요일이 좋다 런닝맨 시원 2011년 1월 3일 MBC 유재석 김원희의 놀러와 - '지금은 효녀시대' 특집 이특, 예성 2011년 5월 6일 tvN 오천만의 대질문 이특, 희철, 예성, 신동 라디오 출연 특집 프로그램 및 시상식 2010년 7월 25일 2010 미스코리아 선발대회 (tvN 생중계) 미인아 (BONAMANA) 2010년 12월 9일 2010 골든디스크상 MSN 아시아 인기상 + 본상 + Sorry, Sorry + 미인아 (BONAMANA) 2010년 12월 29일 2010 SBS 가요대전 미인아 (BONAMANA) 2010년 12월 30일 2010 KBS 가요대축제 SUPERMAN + 미인아 (BONAMANA) 2011년 1월 1일 2010 MBC 가요대제전 U (With f(x)) + 희철 슈프림팀 콜라보 무대 + Sorry, Sorry + 미인아 (BONAMANA) 각주[편집] ↑ 윤태희 (2010년 6월 25일). “슈주, 4집 리패키지 출시 예정..멤버 참여 자작곡 '눈길'”. 아시아경제. 2012년 6월 2일에 확인함.  ↑ 강수진 (2010년 6월 5일). “강인, 4집 리패키지 목소리 넣어! 음원수익금은 전액 기부!”. 스포츠경향. 2012년 6월 2일에 확인함.  ↑ 오나래 (2010년 6월 4일). “슈퍼주니어 '미인아', 3주 연속 '뮤뱅' 1위”. 한국경제. 2012-06-021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도움말) ↑ 김형우 (2010년 6월 13일). “슈주 '미인아' 인기가요 뮤티즌송 3주 연속 1위 '트리플 크라운 기염!'”. 뉴스엔. 2012년 6월 2일에 확인함.  ↑ 최준용 (200년 7월 11일). “'인기가요 1위' 슈주, 컴백 1주일 만에 지상파 석권 기염”. 아시아경제. 2012년 6월 2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허민녕 (2010년 5월 24일). “슈주 "미인아 속에 김연아 있다"”. 동아일보. 2014년 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6월 2일에 확인함.  ↑ 이은정 (2010년 5월 20일). “슈주 시원, 침샘 염증 제거 수술”. 연합뉴스. 2012년 6월 2일에 확인함.  ↑ 이정아 (2010년 6월 3일). “슈퍼주니어 규현, 오늘 중이염 수술”. osen. 2012년 6월 2일에 확인함.  ↑ 양승준 (2010년 6월 24일). “'중이염 수술' 규현, 25일 슈주 활동 복귀”. 이데일리. 2012년 6월 2일에 확인함.  ↑ 넌 알까말까 알까말까 너무 예쁜 규현아, 날 미쳤다고 말해도 난 니가 좋다 규현아, 넌 가타부타 가타부타 말 좀 해봐 규현아로 개사해서 불렀다. ↑ 뉴스팀 (2010년 6월 4일). “슈퍼주니어, '미인아' 대신 '규현아'로 개사”. 서울신문. 2012년 6월 2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김지윤 (2010년 6월 17일). “슈주, 멤버 전원 '야행성' 출연…규현만 제외 '왜?'”. 뉴스엔. 2012년 6월 2일에 확인함.  ↑ 백지현 (2010년 6월 27일). “슈주 성민 "잠자리 분홍색 원피스 입고 자" 폭탄 고백”. 뉴스엔. 2012년 6월 2일에 확인함.  ↑ 5월 30일에는 드림콘서트 녹화분 방송으로, 6월 6일에는 현충일 때문에 결방되었다. ↑ 특기가요 때는 세 사람 과거 사진이 공개되었는데 동해는 연습생 시절 사진, 규현은 교복사진(공개되자마자 사진을 광속격파함.), 시원은 문제의 여장사진(별명: 엘프시원)이 공개되어 시청자들을 폭소케 만들었다. 규현은 방송 처음으로 2007년 4월의 교통사고를 언급했고(부제: 두 번 살다) 동해는 눈물의 연대기와 강심장송을 공개해 눈길을 끌었다(부제: 눈물의 제왕). 또한 시원은 오 마이 레이디 촬영 때 발연기와 유덕화와의 인연을 소개했으며 시원이한테 이건 좀 힘들다.라는 말만 나오면 욱시원으로 돌변한다는 얘기를 해 눈길을 끌었다. (부제: 오! 마이 발연기, 건들면 터져!) ↑ 이언혁 (2010년 7월 24일). “슈퍼주니어 의견조율 비법은? "대세를 따른다"”. 뉴스엔. 2012년 6월 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미인아 (BONAMANA)》 티저비디오 - 유튜브 / SM 공식 채널 《미인아 (BONAMANA)》 뮤직비디오 - 유튜브 / SM 공식 채널 《너같은 사람 또 없어 (No Other)》 뮤직비디오 - 유튜브 / SM 공식 채널 vdeh슈퍼주니어 이특 희철 예성 강인 신동 성민 은혁 시원 동해 려욱 규현이전 멤버 : 한경 기범 유닛 구성5개 조 슈퍼주니어-K.R.Y. 슈퍼주니어-T 슈퍼주니어-M 슈퍼주니어-Happy 슈퍼주니어-D&E 객원 멤버 조미M 정규 앨범대한민국 Super Junior05 (2005) Don't Don (2007) Sorry, Sorry (2009) 미인아 (BONAMANA) (2010) Mr. Simple (2011) Sexy, Free & Single (2012) MAMACITA (2014) PLAY (2017) 일본 Hero (2013) 기타 Show Me Your Love (With 동방신기) (2005) U (2006) Devil (2015) One More Time (2018) 콘서트 SUPER SHOW (2008/2009) SUPER SHOW 2 (2009/2010) SUPER SHOW 3 (2010/2011) SUPER SHOW 4 (2011/2012) SUPER SHOW 5 (2013/2014) SMTOWN WEEK - Treasure Island (2013) SUPER SHOW 6 (2014/2015) SUPER CAMP (2015/2016) SUPER SHOW 7 (2017/2018/2019) TV 슈퍼주니어 쇼 (2005) 미스터리 추적 6 (2006) 프린세스 다이어리 (2006) 슈퍼주니어의 풀하우스 (2006) 미소년 합숙 대소동 (2006) 대결! 슈퍼주니어의 자작극 (2006) 인체탐험대 (2007) 아이돌 군단의 떴다! 그녀 시즌1 (2008) 슈퍼주니어의 미라클 (2009) 슈퍼주니어의 선견지명 (2010) 슈퍼주니어와 씨스타의 헬로 베이비 (2011) 슈퍼주니어M의 게스트하우스 (2014~2015) 관련 문서 음반 목록 콘서트 목록 그외 활동 목록 경력·수상 목록 슈퍼주니어의 키스 더 라디오 꽃미남 연쇄 테러사건 SM 엔터테인먼트 이수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미인아_(BONAMANA)&oldid=24279981" 분류: 2010년 음반슈퍼주니어의 음반SM 엔터테인먼트 음반대한민국의 음반가온 앨범 차트 1위 음반숨은 분류: 인용 오류 - 날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PolskiPortuguês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6일 (일) 01: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미인아 (BONAMANA)》는 슈퍼주니어의 정규 4집 음반이다. 2010년 5월 13일에 A버전을 발매하였다. A, B 버전의 수록곡은 동일하며, 앨범커버와 그리고 앨범속지, 초회발매판에 포함된 포토카드가 다르다. 5월 10일 타이틀 곡〈미인아 (BONAMANA)〉가 선공개되었고, 5월 12일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었다. 전체적인 음악색깔은 미디움 템포, 일렉트로닉 신스, Groove 등의 다양한 장르를 사용하여 3집의 연장선상에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미인아의 수록곡 중 멤버 희철, 신동, 시원이 파트 열외된 곡의 제목은 무엇인가? Assistant: Here We Go Human: 아래 제1정규형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제1정규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1정규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1정규형(1NF 또는 최소형)은 데이터베이스 정규화에서 사용하는 정규형중 하나이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이 1NF이면 최소한 테이블은 관계[1] 이며, 중복되는 항목이 없어야 한다[2] 이다. "중복되는 항목이 없다"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주장이 조금씩 달라서, 1NF를 만족하는 테이블에 대해서의 정확한 정의는 없다. 대부분의 학자들(에드거 F. 커드, Ramez Elmasri, Shamkant B. Navathe[3])은 1NF를 만족하는 테이블은 관계 값을 가지는 항목(테이블 내 테이블)을 허용하지 않으나, 일부 학자들(크리스토퍼 J. 데이트 등)은 이를 허용하기도 한다. 제1정규형은 다음 표준을 요구한다. 각 테이블에서 중복을 제거한다. 각각 관계된 데이터 모임을 위하여 분리된 테이블을 만든다. 각각 관계된 데이터 모임을 기본키로 식별한다. 목차 1 관계를 의미하는 1NF 테이블 2 중복되는 항목 2.1 영역과 값 2.2 행을 가로지르며 중복되는 항목 2.3 행 내에서의 중복되는 항목 2.4 1NF를 충족하는 디자인 3 원자성(Atomicity) 4 1NF 이상의 정규화 5 참고 자료 6 인용 자료 7 더 읽을거리 8 외부 링크 관계를 의미하는 1NF 테이블[편집] 크리스토퍼 J. 데이트에 의하면 테이블은 "어떤 관계와 동일 구조"이면 1NF 이다. 이는 아래의 5가지 조건을 충족한다는 의미이다: 열에는 위-아래의 순서가 없다. 행에는 좌-우의 순서가 없다. 중복되는 열이 없다. 모든 열과 행의 중복지점에는 (열과 행의)해당되는 분야에서 한 개의 값을 가진다. 모든 행은 규칙적이다. [즉, 열은 열ID, 오브젝트ID, 숨어있는(hidden) 타임 스탬프등과 같은 숨어있는 요소(행)를 가지지 않는다.] -- Chris Date, "What First Normal Form Really Means", pp. 127–8[4] 이런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테이블은 엄격히 보면 관계형이 아니라는 의미이며, 1NF가 아니다. 1NF의 정의를 충족하지 못하는 테이블(또는 뷰)의 예제들을 보자면, 유니크 키가 없다. 이런 테이블은 열의 중복을 허용하기 때문에, 3번 조건을 위배한다. 뷰의 결과가 특정한 순서를 가지게 정의한 뷰. 뷰의 측면에서 열의 정렬이 본질적이고 의미가 있을 경우.[5] 이는 1번 조건을 위배한다. 관계에서의 튜플은 서로간의 순서가 없다. 최소한 하나의 Null 속성을 가지는 테이블. Null 속성은 모든 행의 영역에서 꼭 한 개의 값만을 가져야 하는 4번 조건을 위배한다. 하지만 4번 조건은 논란이 많은데, 에드거 F. 커드는 최근의 관계형 모델에 관한 견해에서 Null에 대한 명시적인 조항을 만들었었다.[6][7] 중복되는 항목[편집] 많은 사람들이 1NF를 정의하는 특성이라고 생각하는[8] 에드거 F. 커드의 4번째 조건은 중복되는 항목에 관한 조건이다. 아래의 시나리오들은 데이터베이스 디자인이 1NF를 위배하는 중복되는 항목을 가지는 경우이다. 영역과 값[편집] 초보 디자이너가 고객의 이름과 전화번호를 기록하고자 한다. 그는 아래와 같이 테이블을 정의하였다: Customer Customer ID First Name Surname Telephone Number 123 Robert Ingram 555-861-2025 456 Jane Wright 555-403-1659 789 Maria Fernandez 555-808-9633 디자이너는 이후에 어떤 고객들은 전화번호를 여러개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는 아래와 같이 단순히 가장 간단한 방법을 생각하여 "전화번호"항목에 여러 개의 값을 두었다: Customer Customer ID First Name Surname Telephone Number 123 Robert Ingram 555-861-2025 456 Jane Wright 555-403-1659555-776-4100 789 Maria Fernandez 555-808-9633 하지만 전화번호 행에는 전화번호가 아닌 전화번호와 유사한 도메인(12개의 길이를 가지는 문자열)이 정의되게 된다. 1NF(그 점에 있어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도 마찬가지로)는 행 도메인에서 정확하게 한 개의 값만을 허용하기 때문에 위의 테이블은 1NF가 아니다. 행을 가로지르며 중복되는 항목[편집] 그래서 이 디자이너는 이번에는 이 제한을 충족하기 위해 여러개의 전화번호 행을 두었다: Customer Customer ID First Name Surname Tel. No. 1 Tel. No. 2 Tel. No. 3 123 Robert Ingram 555-861-2025 456 Jane Wright 555-403-1659 555-776-4100 555-403-1659 789 Maria Fernandez 555-808-9633 하지만 이 디자인 역시 Null값을 가지는 행이 있기 때문에 크리스토퍼 J. 데이트의 1NF정의에 위배된다. 뷰가 Null 행을 허용하여도 이 디자인은 엄격히 보자면 1NF가 아니다. Tel. No. 1, Tel. No. 2., Tel. No. 3. 행은 완전히 동일한 도메인과 의미를 가진다. 위와 같이 전화번호 행을 3개로 인위적으로 나누게 된다면 아래와 같은 논리적인 문제들을 낳게 된다: 테이블 질의시 어려움. "어느 고객이 전화번호 X를 가지고 있는가?", "어떤 고객들끼리 같은 전화번호를 공유하는가?" 질의들은 답하기 어렵다. RDBMS에서 고객-전화번호의 유일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고객 789가 실수로 Tel. No. 2값이 Tel. No. 1값과 동일한 값이 들어갈 수 있다. 전화번호 개수의 제한. 어떤 고객이 4개의 전화번호를 가진다면 4번째 전화번호는 기록될 수 없다.이는 데이터베이스 디자인이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제한하고 있다는 의미인데, 사실 이상적으로는 반대가 되어야 한다. 행 내에서의 중복되는 항목[편집] 그래서 이 디자이너는 이번에는 이 제한을 충족하기 위해 한개의 전화번호 행을 두면서 전화번호 행 길이를 여러개의 전화번호를 기록하기 충분한 길이로 변경하였다 : Customer Customer ID First Name Surname Telephone Numbers 123 Robert Ingram 555-861-2025 456 Jane Wright 555-403-1659, 555-776-4100 789 Maria Fernandez 555-808-9633 이 디자인은 1NF와 일치하지만, 디자인상의 문제점이 여러개 있다.전화번호는 의미상으로 모호해져서 전화번호를 표현할 수도, 전화번호들의 리스트를 표현할 수도, 심지어는 아무거나 표현할 수도 있다."어떤 고객들이 같은 전화번호를 공유하는가?" 질의는 답하기 더욱 어려워 졌으며, 전화번호와 전화번호들의 리스트를 수집해야 할 필요성이 생겼다. RDBMS 내에서 전화번호에 대한 의미적인 제한을 정의하는 것 또한 어려워 졌다. 1NF를 충족하는 디자인[편집] 1NF 측면에서 모호하지 않은 디자인은 2개의 테이블을 이용하는 것이다: 고객 명 테이블과 고객 전화번호 테이블이다. Customer Name Customer ID First Name Surname 123 Robert Ingram 456 Jane Wright 789 Maria Fernandez Customer Telephone Number Customer ID Telephone Number 123 555-861-2025 456 555-403-1659 456 555-776-4100 789 555-808-9633 이 디자인에서는 전화번호들의 중복되는 항목은 나오지 않는다. 대신 고객 대 전화번호의 연결이 레코드에 나온다. 고객 ID가 키 항목으로, "부모-자식" 또는 "일대 다(1:M)" 관계가 2개의 테이블사이에 존재하게 되는데, 이는 ("부모" 테이블에 있는) 고객 열이 ("자식" 테이블에 있는) 전화번호 열을 여러개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이 디자인은 제 2 정규형과 제 3 정규형을 충족하기도 한다. 원자성(Atomicity)[편집] 에드거 F. 커드는 1NF의 정의에서 원자성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에드거 F. 커드는 "관계가 정의된 도메인의 값은 DBMS에 대하여 원자성을 가져야 한다."[9] 고 하였다. 에드거 F. 커드는 원자성을 갖는 값은 "(특수한 어떤 함수를 제외하고) DBMS에 의해서 더 작은 값으로 쪼개 지지 않는다"[10] 고 하였다. 이는 한 항목이 하나 이상의 자료형으로 나뉘면서 DBMS가 분리된 다른 부분에 대해서 의존적이지 않아야 한다는 의미이다. 허그 다윈과 크리스토퍼 J. 데이트는 에드거 F. 커드의 "원자성을 갖는 값"의 정의가 모호하며, 이런 모호성이 1NF를 이해하는데 크게 방해된다고 제안하였다.[11][12] "값이 나뉘지 않아야 한다"라는 정의에 해당하는 데이터형이 아래와 같은 이유로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문제가 많다: 문자열도 원자성이 없다. RDMS가 일반적으로 작은 문자열로 나눌 수 있는 연산자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고정 소수점 수자도 원자성이 없다. RDBS가 일반적으로 이를 정수와 나머지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 연산자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크리스토퍼 J. 데이트는 "원자성이란 절대적인 정의가 없다":[13] 고 하였다. 값은 목적에 따라서 원자성을 가질 수 도 있으며, 다른 목적을 위해서 나뉠 수도 있다. 이런 의견을 받아들이면 1NF의 정의에 원자성은 관련이 없어진다. 임의의 편한 자료형(문자열, 숫자형, 배열, 테이블 등)으로 정의된 행이라도 1NF 테이블일 수 있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예를 들어서, 고객 이름을 성과 이름으로 나누어야 할 때가 있다.) 크리스토퍼 J. 데이트는 심지어 관계 값을 갖는 속성, 즉 항목 안에 테이블이 있는 경우도 드문 경우에 유용하다고 하였다.[14] 1NF 이상의 정규화[편집] 어떤 테이블이 제 2 정규형(2NF)이거나 그 이상이면 정의에 따라서 1NF이기도 하다.(어떤 정규형이라도 그 이전 정규형의 충분조건이 된다.) 반대로 어떤 테이블이 1NF이면 2NF가 아닐수도 있다. 2NF이면 제 3 정규형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1NF 이상의 정규형은 디자인 문제로 인하여 그 안의 데이터의 완전성을 절충해야 하는 상황을 고려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아래의 테이블은 1NF이지만 2NF가 아니며, 이에 따라서 논리적 불일치에 있어서 취약하다: Subscriber Email Addresses Subscriber ID Email Address Subscriber First Name Subscriber Surname 108 steve@aardvarkmail.net Steve Wallace 252 carol@mongoosemail.org Carol Robertson 252 crobertson@aardvarkmail.net Carol Robertson 360 hclark@antelopemail.com Harriet Clark 이 테이블의 키 는 {Subscriber ID, Email Address} 이다. Carol Robertson이 결혼을 해서 성을 바꾼다면, 2개의 열을 변경하여야 한다. 1개의 열만 변경할 경우, 모순이 생긴다: "고객 252의 이름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 2개의 혼란스러운 답변이 생긴다. 2NF는 이 문제를 해결한다. Carol Robertson의 레코드는 그녀가 1개 이상의 이메일 주소를 사용함에 따라서 테이블에서 2개로 나타나는 것을 주목하기 바란다. 1NF 이상의 정규화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은 레코드(행)들과 엔티티(테이블) 또는 속성(열)의 관계에 대해서 끊임없이 질문해 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용자 레코드가 많은 이메일 주소 레코드와 관계가 있는가? 하나의 이메일 주소가 많은 이용자들과 관계가 있는가? 위의 테이블에서는 Carol Robertson이 하나 이상의 이메일 주소를 가지고 있었다. 하나의 이용자는 다수의 이메일 주소를 가질수 있고, 다수의 이메일 주소는 하나의 이용자를 가질수 있으므로 위의 테이블운 이용자와 이메일 주소간에 일대다(1:M) 관계가 있다고 답할 수 있다. 이제 ID, 성, 이름을 가지고 ID를 주 키로 하는 "이용자 테이블" 과 ID, 이메일을 가지고 ID를 주 키로 하는 "이용자 이메일 테이블" 이라는 두 테이블이 있다면 ID를 주 키로 하는 "이용자 테이블" 과 ID를 외래 키로 하는 "이용자 이메일 테이블" 간에 1대 다 관계가 생기며, 이 테이블들도 1NF이게 된다. 참고 자료[편집]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제2정규형 제3정규형 보이스-코드 정규형 인용 자료[편집] ↑ "[T]he overriding requirement, to the effect that the table must directly and faithfully represent a relation, follows from the fact that 1NF was originally defined as a property of relations, not tables." Date, C. J. "What First Normal Form Really Means" in Date on Database: Writings 2000-2006 (Springer-Verlag, 2006), p. 128. ↑ "First normal form excludes variable repeating fields and groups." Kent, William. "A Simple Guide to Five Normal Forms in Relational Database Theory", Communications of the ACM 26 (2), Feb. 1983, pp. 120-125. ↑ Elmasri, Ramez and Navathe, Shamkant B. Fundamentals of Database Systems, Fourth Edition (Addison-Wesley, 2003), p. 315. ↑ Date, C. J. "What First Normal Form Really Means" pp. 127–128. ↑ Such views cannot be created using SQL that conforms to the SQL:2003 standard. ↑ "Codd first defined the relational model in 1969 and didn't introduce nulls until 1979" Date, C. J. SQL and Relational Theory (O'Reilly, 2009), Appendix A.2. ↑ The third of Codd's 12 rules states that "Null values ... [must be] supported in a fully relational DBMS for representing missing information and inapplicable information in a systematic way, independent of data type." Codd, E. F. "Is Your DBMS Really Relational?" Computerworld, October 14, 1985. ↑ Date, C. J. "What First Normal Form Really Means" p. 128. ↑ Codd, E. F. The Relational Model for Database Management Version 2 (Addison-Wesley, 1990). ↑ Codd, E. F. The Relational Model for Database Management Version 2 (Addison-Wesley, 1990), p. 6. ↑ Darwen, Hugh. "Relation-Valued Attributes; or, Will the Real First Normal Form Please Stand Up?", in C. J. Date and Hugh Darwen, Relational Database Writings 1989-1991 (Addison-Wesley, 1992). ↑ "[F]or many years," writes Date, "I was as confused as anyone else. What's worse, I did my best (worst?) to spread that confusion through my writings, seminars, and other presentations." Date, C. J. "What First Normal Form Really Means" in Date on Database: Writings 2000-2006 (Springer-Verlag, 2006), p. 108 ↑ Date, C. J. "What First Normal Form Really Means" p. 112. ↑ Date, C. J. "What First Normal Form Really Means" pp. 121–126. 더 읽을거리[편집] Litt's Tips: Normalization Rules Of Data Normalization Date, C. J., & Lorentzos, N., & Darwen, H. (2002). Temporal Data & the Relational Model[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st ed.). Morgan Kaufmann. ISBN 1-55860-855-9. Date, C. J. (1999), An Introduction to Database Systems (8th ed.). Addison-Wesley Longman. ISBN 0-321-19784-4. Kent, W. (1983) A Simple Guide to Five Normal Forms in Relational Database Theory,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26, pp. 120–125 Date, C. J., & Darwen, H., & Pascal, F. Database Debunkings 외부 링크[편집] Database Normalization Basics by Mike Chapple (About.com) An Introduction to Database Normalization by Mike Hillyer. Normalization by ITS, University of Texas. Rules of Data Normalization by Data Model.org A tutorial on the first 3 normal forms by Fred Coulson Description of the database normalization basics by Microsoft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제1정규형&oldid=24042299" 분류: 데이터베이스데이터 모델링데이터베이스 정규화관계 대수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Bahasa Melayu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தமிழ்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6일 (화) 13: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제1정규형(1NF 또는 최소형)은 데이터베이스 정규화에서 사용하는 정규형중 하나이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이 1NF이면 최소한 테이블은 관계이며, 중복되는 항목이 없어야 한다이다. "중복되는 항목이 없다"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주장이 조금씩 달라서, 1NF를 만족하는 테이블에 대해서의 정확한 정의는 없다. 대부분의 학자들(에드거 F. 커드, Ramez Elmasri, Shamkant B. Navathe)은 1NF를 만족하는 테이블은 관계 값을 가지는 항목(테이블 내 테이블)을 허용하지 않으나, 일부 학자들(크리스토퍼 J. 데이트 등)은 이를 허용하기도 한다. 제1정규형은 다음 표준을 요구한다. 각 테이블에서 중복을 제거한다. 각각 관계된 데이터 모임을 위하여 분리된 테이블을 만든다. 각각 관계된 데이터 모임을 기본키로 식별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고객 108의 이메일 주소는 무엇인가요? Assistant: steve@aardvarkmail.net
Human: 아래 김보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보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보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보지(金保之, ? - ?)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이다. 평안도찰방, 길주판관(吉州 判官), 충청도도사(忠淸道都事)를 거쳐 세조 때 좌익원종공신(左翼原從功臣)에 녹훈되었다. 조선후기의 문신 김상로, 김재로, 김약로, 김치인, 김종수 등과 독립운동가 김규식의 방계 조상이다.[1] 본관은 청풍이다. 목차 1 생애 2 가족 관계 3 관련 항목 4 각주 5 외부 링크 생애[편집] 판봉상시사 김중방의 손자이자 호조참의(戶曹參議)를 지낸 김관(金灌)의 아들이다. 일찍이 관직에 올라 진무(鎭撫)를 역임하였다.[2] 경기도와 충청도 경계선 연로에 도둑이 나타나 밤이면 원우(院宇)에 들어가서 사람의 재물을 겁탈하니, 1436년(세종 18년) 4월 세종대왕의 명을 받아 장력이 있고 용기가 있는 군사 30여 명을 인솔하고 가서 체포하게 하였다.[2] 이후 평안도찰방(平安道察訪)을 거쳐 1441년 왕명을 받고 길주 판관(吉州 判官)으로 부임하였다. 세종대왕은 친히 그를 인견하여 “길주는 경계가 북방과 연접하여 방어에 가장 긴요한 곳이니, 가거든 마음과 힘을 다하여 내 뜻에 부응하게 하라.[3]”고 명하였다. 충청도도사(忠淸道都事) 등을 거쳐 판관 등을 역임하였다. 1450년(문종 1) 문종 즉위 후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겸임하였다.[4] 그러나 세종대왕의 국상(國喪) 중에 한 기생을 사랑하였다가 비판을 받기도 했다. 그에 의하면 '음탕 방종하여 행검(行檢)이 없어서 충청도 도사가 되어 국상의 졸곡(卒哭) 전에 청주(淸州)의 기생을 지나치게 사랑했으며, 또 청렴하지 못하다는 비난이 있었는데, 이때에 와서 대관(臺官)에 임명하니, 뭇사람의 평판이 크게 놀랍게 여겼다.[4]'한다. 그해 사직(司直)을 지냈다. 그러나 세종대왕 국상 중에 기생을 가까이한게 문제되어 1451년 탄핵을 받기도 했다.[5] 이후 고사(庫使)로 재직 중[6], 세조 즉위 후 좌익원종공신(左翼原從功臣)에 녹선되었다. 가족 관계[편집] 안종례는 안당의 종증조부이자 안구의 숙부이다. 할아버지 : 김중방, 판봉상시사 아버지 : 김관(金灌), 호조참의 역임 형 : 김흔지(金俒之) 동생 : 김의지(金儀之) 조카 : 김리(金理) - 김상로, 김재로, 김치인, 김종수, 김규식의 조상 조카 : 김후(金珝) 조카 : 김진(金瑱) 조카 : 김오(金珸) 조카 : 김수(金琇) 동생 : 김억지(金億之) 부인 : 순흥 안씨, 안종례(安從禮)의 딸 아들 : 김순동(金順仝) 아들 : 김한동(金漢仝) 관련 항목[편집] 계유정난 세조 찬위 좌익공신 안구 안당 각주[편집] ↑ 그의 동생 김의지의 후손들이다. ↑ 가 나 세종실록 72권, 세종 18년(1436 병진 / 명 정통(正統) 1년) 4월 1일(정유) 4번째기사 "김보지 등에게 명하여 경기 충청의 도둑을 체포하게 하다" ↑ 세종실록 92권, 세종 23년(1441 신유 / 명 정통(正統) 6년) 2월 28일(을미) 1번째기사 "길주 판관 김보지가 하직하다" ↑ 가 나 문종실록 3권, 문종 즉위년(1450 경오 / 명 경태(景泰) 1년) 9월 10일(신해) 3번째기사 "이견기·박연·김의지·연경·허눌·이언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문종실록 5권, 문종 1년(1451 신미 / 명 경태(景泰) 2년) 1월 5일(을사) 6번째기사 "이보인·김맹·김보지·이인우가 국상 중 창기를 간통한 죄로 추신케 하다" ↑ 세조실록 2권, 세조 1년(1455 을해 / 명 경태(景泰) 6년) 12월 27일(무진) 3번째기사 "의정부에 전지하여 연창위 안맹담 등을 원종 공신에 녹훈하다" 외부 링크[편집] 김보지 청풍김씨 상계도 조선왕조실록 이 글은 한국 사람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조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보지&oldid=23070471" 분류: 조선의 무신조선의 군인조선의 정치인청풍 김씨서울특별시 출신숨은 분류: 한국 사람에 관한 토막글조선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21일 (수) 13: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보지(金保之, ? - ?)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이다. 평안도찰방, 길주판관(吉州 判官), 충청도도사(忠淸道都事)를 거쳐 세조 때 좌익원종공신(左翼原從功臣)에 녹훈되었다. 조선후기의 문신 김상로, 김재로, 김약로, 김치인, 김종수 등과 독립운동가 김규식의 방계 조상이다. 본관은 청풍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보지의 가족관계는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할아버지 : 김중방, 판봉상시사 아버지 : 김관(金灌), 호조참의 역임 형 : 김흔지(金俒之) 동생 : 김의지(金儀之) 조카 : 김리(金理) - 김상로, 김재로, 김치인, 김종수, 김규식의 조상 조카 : 김후(金珝) 조카 : 김진(金瑱) 조카 : 김오(金珸) 조카 : 김수(金琇) 동생 : 김억지(金億之) 부인 : 순흥 안씨, 안종례(安從禮)의 딸 아들 : 김순동(金順仝) 아들 : 김한동(金漢仝) Human: 아래 김보라_(배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보라 (배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보라 (배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보라 (1995년)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보라 출생 1995년 9월 28일(1995-09-28) (23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직업 배우활동 기간 2004년 ~ 현재소속사 모먼트글로벌 학력 인하대학교 연극영화과형제자매 언니 2명웹사이트 김보라 - 인스타그램 김보라(1995년 9월 28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목차 1 학력 2 출연작 2.1 드라마 2.2 영화 2.3 뮤직 비디오 3 CF 4 홍보대사 5 외부 링크 학력[편집] 인천예일고등학교 (졸업) 인하대학교 연극영화과 (휴학 출연작[편집] 드라마[편집] 2005년 KBS2 월화드라마 《웨딩》 2006년 KBS2 주말연속극 《소문난 칠공주》 ... 구슬비 역 2006년~2007년 MBC 아침드라마 《있을 때 잘해!!》 ... 하유미 역 2008년~2009년 KBS1 TV소설 《큰 언니》 ... 지윤 역 2010년 KBS2 청소년 드라마 《정글피쉬 2》 ... 윤공지 역 2011년 MBC 수목드라마 《로열 패밀리》 2011년 SBS 특별기획 《여인의 향기》 2011년 OCN 일요드라마 《뱀파이어 검사》 ... 연지 역 2012년 MBC 기획특집드라마 《못난이 송편》 ... 서유민 역 2012년~2013년 KBS2 주말연속극 《내 딸 서영이》 ... 이연희 역 2013년 JTBC 월화드라마 《그녀의 신화》 ... 고등학생 은정수 역 2013년 SBS 드라마스페셜 《주군의 태양》 ... 하유진 역 (특별출연) 2013년~2014년 KBS2 수목드라마 《예쁜 남자》 ... 귀지 역 2014년 KBS2 장애이해교육 드라마 《하늘벽에 오르다》 ... 유진 역 2014년 MBC 일일특별기획 《엄마의 정원》 ... 김수아 역 2014년 KBS Drama 수목드라마 《S.O.S 나를 구해줘》 ... 정유이 역 2014년 EBS 통일 기획 드라마 《슴슴한 그대》 ... 보라 역 2015년 KBS2 월화드라마 《후아유 - 학교 2015》 ... 서영은 역 (1회~3회) 2015년 MBC 월화드라마 《화려한 유혹》 ... 어린 강일주 역 (2회~4회) 2016년 MBC every1 목요드라마 《웹툰히어로 툰드라쇼 시즌 2 - 꽃가족》 ... 독고억새 역 2017년 tvN 수목드라마 《부암동 복수자들》 ... 백서연 역 2018년~2019년 JTBC 금토드라마 《SKY 캐슬》 ... 김혜나 역 2018년 네이버TV 웹드라마 《피어나》 ... 강유나 역 2019년 라이프타임 웹드라마 《귀신데렐라》 ... 민아 역 2019년 tvN 수목드라마 《그녀의 사생활》 ... 신디(김효진) 역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06 호로비츠를 위하여 민희 2007 전설의 고향 어린 소연 이장과 군수 어린 향순 좋지 아니한가 강변 학생 1 2012 청포도 사탕: 17년 전의 약속 여은 천국의 아이들 조성아 용의자X 윤아 2013 미생 프리퀄 안영이 2014 몬스터 박은정 2015 내 심장을 쏴라 은이 2016 시간이탈자 최현주 삼례 희인 보고싶다 - 소년, 소녀를 만나다 큰 하진 2019 굿바이 썸머 수민 뮤직 비디오[편집] 2012년: K.will - 니가 필요해 2015년: 베리굿 - 내 첫사랑 CF[편집] 페브리즈 한국야쿠르트 오유(OU) KTF - 아이러브요금 싸이월드 드림캠페인 요하임 광동제약 비타500 홍보대사[편집] 2013년: 제16회 부천국제만화축제 홍보대사 2015년: 제17회 서울국제청소년영화제 홍보대사 외부 링크[편집] 김보라 - 인스타그램 김보라 미니홈피 - 싸이월드 vdehiHQ (싸이더스HQ)경영진 전용주 (대표이사·사장) 배우현재 소속 (남성) 권영민 김영재 김우빈 박건태 박선호 박현우 백성현 손준호 엄기준 연준석 오광록 장혁 지은성 최영민 학진 허지원 윤주빈 박솔로몬 황제성 류담 제이쓴 김한종 박상남 현재 소속 (여성) 김다예 김수정 김유정 김지영 김하늘 오아린 이고은 이미숙 연지후 조보아 차현정 김혜윤 홍현희 조아영 한가림 이유진 이채영 과거 소속 (남성) 박윤재 이영석 임종인 임형준 장경업 조경훈 조동혁 최필립 칼윤 공유 권오중 권영기 김광일 김기수 김병옥 김기방 김남진 김수로 김성수 김수겸 김응수 김정준 김학래 김영준 나윤 데니안 류승수 마동석 박보검 박신양 박준형 박진택 박선호 백도빈 서배준 서진호 설경구 성동일 손창민 송중기 송종호 신성록 신승환 신주아 양진우 여욱환 예학영 이범수 이상엽 이종혁 이수혁 이승하 이영석 오건우 유남규 오재무 유태성 유하준 윤계상 장동혁 전재형 정상윤 정윤민 정수근 정우성 정은찬 조상기 조인성 조영규 조형기 지진희 차태현 최원형 하정우 한태민 한상진 한재석 황정민 홍경인 현우 과거 소속 (여성) 남규리 박희본 이유비 송채윤 이가령 이승하 채림 한다감 황하나 김보라 고준희 공효진 고은미 공현주 구지성 김경화 김민지 김선아 김서형 김성은 김소현 김정화 김채은 김혜수 김혜진 김화주 문 블러드굿 명세빈 박기영 박미소 박민영 박잎선 박주미 박윤희 박수진 박소현 반소영 배진아 서신애 선우선 성유리 송혜교 신민아 심이영 예지원 염정아 이경화 이미연 이은주 이청아 임수정 임현경 오지은 유선 윤해영 윤주희 장희진 정유미 정주연 조윤희 전도연 전지현 차수연 최지우 한고은 한보배 한예슬 한유이 황정음 가수현재 소속 현진영 투아이즈 god 모노그램 솔비 과거 소속 문희준 소울스타 써드코스트 박재범 LUV 임슬옹 방송인·희극인과거 소속 김신영 김숙 맹승지 박미선 박은지 박소현 심권호 이봉원 이영자 임백천 드라마 작가현재 소속 김영현 박상연 임성한 이경희 김규원 채널 코미디TV 드라맥스 K-STAR AXN CUBE TV Life N 관련 문서 싸이더스 HQ의 드라마 싸이더스FNH 싸이더스 픽처스의 제작 영화 목록 싸이더스 픽처스의 배급 영화 목록 싸이더스 HQ의 음반 딜라이브 큐브 엔터테인먼트 SK텔레콤 CU미디어 정훈탁 (전 대표이사) 이 글은 한국 배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보라_(배우)&oldid=24550519" 분류: 1995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2004년 데뷔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어린이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인천예일고등학교 동문인하대학교 동문숨은 분류: 한국 배우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Português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9일 (화) 22: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보라(金寶羅, 1995년 9월 28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06연도에 김보라가 출연한 영화제목은 무엇인가? Assistant: 호로비츠를 위하여
Human: 아래 바닐라_루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바닐라 루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바닐라 루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바닐라 루시Vanilla Lucy 기본 정보 국가 대한민국 장르 일렉트로니카, 크로스오버 활동 시기 2010년 ~ 소속사 한맥 엔터테인먼트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 구성원 혜라, 소라, 지연, 은화 이전 구성원 다해 바닐라 루시(Vanilla Lucy)는 대한민국의 4인조 음악 그룹이다. 그룹 이름은 '바닐라'와 다이아몬드 별로 불리는 '루시'의 합성어로, 부드럽고 감미로운 현악기의 선율을 바탕으로 다이아몬드처럼 강한 비트로 영원히 잊혀지지 않을 감동을 선사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1] 2010년 4월 13일 디지털 싱글 〈비행(飛行) 소녀〉로 데뷔하였으며, 5월 14일 KBS 뮤직뱅크에서 정규 1집 Vanilla Shake의 타이틀 곡 "French Love"를 공개하며 데뷔 무대를 가졌다. 목차 1 구성원 1.1 전 구성원 2 음반 2.1 싱글 2.2 정규 음반 2.3 싱글 2.4 싱글 3 방송 활동 4 각주 5 외부 링크 구성원[편집] 혜라 본명 : 유혜라 생년월일 : 1981년 8월 16일(1981-08-16) (37세) 학력 : 경희대학교, 기악과 학사 포지션 : 리더, 첼로 지연 본명 : 오지연 생년월일 : 1985년 10월 21일(1985-10-21) (33세) 학력 :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기악과 학사 포지션 : 바이올린 소라 본명 : 정소라 생년월일 : 1988년 2월 24일(1988-02-24) (31세) 학력 :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기악과 학사 포지션 : 색소폰 은화 본명 : 이은화 생년월일 : 1986년 9월 14일(1986-09-14) (32세) 학력 : 동덕여자대학교 실용음악과 학사 포지션 : 보컬 2011년 1월 영입 전 구성원[편집] 배다해(다해) 본명 : 배다해 생년월일 : 1983년 9월 7일(1983-09-07) (35세) 학력 : 연세대학교 성악과 학사 포지션 : 보컬 음반[편집] 싱글[편집] 앨범 # 앨범 정보 트랙 리스트 1 비행(飛行) 소녀 발매일 : 2010년 4월 13일 트랙 리스트 01. 비행(飛行) 소녀 02. 비행(飛行) 소녀 (Inst.) 정규 음반[편집] 앨범 # 앨범 정보 트랙 리스트 1 Vanilla Shake 발매일 : 2010년 6월 3일 트랙 리스트 01. Intro (비갠뒤 오후) 02. Lover tonight 03. French Love 04. 비행(飛行) 소녀 05. Lucid Dream 06. Listen to the music 07. French Love (Eng.Ver) 08. Listen to the music (Inst.) 09. Sky in my heart 10. Outro (romantist) 싱글[편집] 앨범 # 앨범 정보 트랙 리스트 1 해피쏭 (Happy Song) (Digital Single) 발매일 : 2011년 5월 27일 트랙 리스트 01. 해피쏭 (Happy Song) (Original Ver.) 02. 해피쏭 (Happy Song) (Acoustic Ver.) 싱글[편집] 앨범 # 앨범 정보 트랙 리스트 1 Vanilla Party 발매일 : 2011년 6월 14일 트랙 리스트 01. Vanilla Party 02. 해피쏭 (Happy Song) (Original Ver.) 03. 해피쏭 (Happy Song) (Acoustic Ver.) 04. Vanilla Party (Inst.) 05. 해피쏭 (Happy Song) (Inst.) 방송 활동[편집] 보컬 배다해는 2010년 7월 18일 KBS2 해피 선데이의 남자의 자격 - 합창단 선발 오디션에 참가해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 의 수록곡인 'Think Of Me'를 불러 호평받았다.[2] 각주[편집] ↑ “여성4인조 신예그룹 '바닐라 루시' 데뷔”. 경향신문. 2010년 5월 11일.  ↑ “'바닐라루시' 배다해, 천상의 목소리에 박칼린 마음 흔들~”. 시사서울. 2010년 7월 25일.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편집] 공식 웹사이트 혜라 트위터 소라 트위터 다해 트위터 지연 트위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바닐라_루시&oldid=23081253" 분류: 대한민국의 걸 그룹2010년 결성된 음악 그룹2010년 데뷔4인조 음악 그룹대한민국의 음악 그룹여성 음악 그룹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Bahasa Indonesia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23일 (금) 06: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바닐라 루시(Vanilla Lucy)는 대한민국의 4인조 음악 그룹이다. 그룹 이름은 '바닐라'와 다이아몬드 별로 불리는 '루시'의 합성어로, 부드럽고 감미로운 현악기의 선율을 바탕으로 다이아몬드처럼 강한 비트로 영원히 잊혀지지 않을 감동을 선사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2010년 4월 13일 디지털 싱글 〈비행(飛行) 소녀〉로 데뷔하였으며, 5월 14일 KBS 뮤직뱅크에서 정규 1집 Vanilla Shake의 타이틀 곡 "French Love"를 공개하며 데뷔 무대를 가졌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바닐라 루시의 음반 중 Vanilla Party 앨범의 발매 연월일은 언제인가? Assistant: 2011년 6월 14일 Human: 아래 박시창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박시창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시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박시창朴始昌 출생일 1903년 11월 5일 출생지 대한제국 경기도 시흥군 (現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금천구) 사망일 1986년 6월 7일 (82세) 사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본관 밀양(密陽) 별명 호(號)는 산남(山南)·국강(國剛) 종교 대종교 정당 무소속 부모 박은식(양부) 연안 이씨 부인(양모) 박해겸(생부) 경주 김씨 부인(생모) 배우자 최윤신 자녀 슬하 2남 4녀 장남 박유철(사회기관단체인) 친척 양누이 3명 친형 2명 친누이 2명 박용호(양조부) 노씨 부인(양조모) 양기탁(사돈) 복무 대한독립군 한국광복군 대한민국 육군 복무 기간 1927년 ~ 1959년 3월 29일 최종 계급 대한민국 육군 소장 근무 육군 수도사단 육군 제1사단 육군종합학교 육군본부 육군 제1군사령부 육군 제2군사령부 육군 제3군단 육군 제3사단 육군 제8사단 육군 제1군단 지휘 육군 수도사단 예하 연대장 육군 제1사단장 직무대리 육군본부 정훈감 육군종합학교 전차과 과장 육군본부 헌병감 육군본부 포병감 육군본부 보병감 육군본부 정병감 육군본부 병참감 육군본부 휼병감 육군본부 경리감 육군 제1군사령부 정훈처 처장 육군 제2군사령부 작전처 처장 육군 제3군단 경리과 과장 육군본부 경리국 국장 육군본부 포병국 국장 육군본부 정훈참모부 부장 육군 제3사단장 직무대리 육군 제8사단장 육군 제1군단 부군단장 주요 참전 중일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서훈 내역 건국훈장 독립장 기타 이력 한국독립당 초급군사행정위원 한국독립당 전임고문 겸 최고위원 광복회 회장 박시창(朴始昌, 1903년 11월 5일 ~ 1986년 6월 7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군인이자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소장이며 사회운동가 겸 사회기관단체장이었다. 목차 1 생애 1.1 일생 1.2 독립 운동 2 학력 3 함께 보기 4 각주 5 참고 자료 6 외부 링크 생애[편집] 일생[편집]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통령을 지낸 백암 박은식(白巖 朴殷植)의 양자이며 그의 생부 박해겸(朴海謙)은 양부 박은식(朴殷植)의 6촌 동생이다. 그는 경기도 시흥에서 생부 박해겸(朴海謙)과 생모 경주 김씨 부인(慶州 金氏 夫人) 사이에서 슬하 3남 2녀 중 막내로 출생하였고 한때 한성부와 경기도 인천 제물포와 경기도 파주와 경기도 양주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1906년 경기도 시흥에 귀향하여 성장하였고 이후 6세 때였던 1908년에 슬하 3녀만을 두었던 7촌 재종숙 박은식(朴殷植)에게 입양되어 이후 황해도 황주에서 성장하였다. 그는 일찍이 대한독립군에 투신하였고 한국광복군에서도 복무하였으며 8·15 조선 광복 후에는 대한민국 육군 창설에도 참여하여 한국 전쟁에도 참전하였고 이후에도 대한민국 육군에서 대한민국 육군 수도사단 예하 연대장·육군본부 정훈참모부장·육군 제3사단장 직무대리·육군 제8사단장 등을 거쳐 육군 제1군단 부군단장을 두루 역임하다가 1959년 대한민국 육군 소장으로 예편하였다. 그 후 1976년 광복회 회장을 지냈다. 그의 첫째아들은 국가보훈처 처장을 지낸 박유철(朴維徹)이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령을 지낸 양기탁(梁起鐸)의 손녀 양준자(梁俊子)와 결혼하였다. 그는 1986년 6월 7일을 기하여 향년 84세로 별세하였으며 그의 유해는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어 있다. 현재는 그의 장남 박유철(朴維徹) 또한 광복회 회장을 지내고 있다.[1] 독립 운동[편집] 박시창은 1923년경 남경 중앙대학에 수학하다가 휴학하였다. 그 원인은 학비 등 생활고 때문으로 보인다. 남경에서 상해로 돌아온 선생은 조선인청년동맹회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상해지역의 청년 회원 117명을 보유한 동맹회의 목적은 혁명적 정신을 고취하고 단합적 행동을 훈련함으로써 민족독립을 완성한다는 것이었다. 한편 1925년 11월, 박시창이 독립운동에 열중하고 있을 무렵 부친이자 독립운동계의 원로였던 박은식이 평소 소원이던 조국광복을 보지 못하고 망명지 상해에서 파란 많은 생애를 마감하였다. 임시정부의 2대 대통령을 지냈던 그에 대한 장례는 국장례로 거행되었다. 이후 1926년경, 박시창은 근대적인 군사교육을 받기 위해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인 황포군관학교 제5기 포병과에 입교하였다. 이곳에 수학하던 박시창은 1926년 7월 중국의 제1차 북벌전쟁이 시작되자 중국 국민혁명군 포병대에 편입되어 참전하게 되었다. 한편 1926년 10월 중국 국민혁명군이 무한(武漢)에 입성하고 이곳에 북벌군의 초급 간부 확충을 목적으로 황포군관학교 무한분교가 설립되게 되었다. 이때 무한은 한국인 장교와 각처에서 모여든 독립운동가들이 일시에 운집하여 혁명운동의 중심지가 되었는데, 한국 학생들 다수가 이 무한분교에 입교하는 동시에 북벌에 참가하였다. 1927년 7월 황포군관학교를 졸업한 선생은 이후 군인의 길을 걸으면서 한편으로는 한국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 박시창은 한국독립운동사에서 혁혁한 업적을 세운 의열단과도 관계를 맺고 활동하였다. 이는 박시창이 후일 의열단이 주축이 되었던 민족혁명당과 조선의용대에 참여한 계기가 되었다. 1919년 창설된 의열단은 1926년 이후 단의 주력이 혁명의 성지였던 광동성 광주(廣州)로 집결하고 있었다. 이곳에서 의열단은 한인 운동자들과 황포군교 입교생들 가운데 다수의 신입자를 충원함으로써 조직세가 크게 신장되었다. 그리고 국민혁명군의 북벌 이후 점령되었던 무창(武昌)과 남창(南昌)에도 의열단 지부를 두게 되었다. 무창에는 이미 많은 한인청년들이 활동하고 있었다. 이때 박시창은 황포군관학교 무한분교에 다녔던 진공목, 진갑수, 안재환, 김영재, 송욱동, 장기준, 그리고 중국군 기술교관으로 있었던 백득림, 홍의균, 권준, 전창무, 노세방 등과 같이 무한한인혁명청년회를 조직하게 된다. 혁명청년회는 안으로는 동지들에 대한 훈련에 치중하는 한편 밖으로는 독립운동의 선전사업을 펼치는 등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는데, 조직이 점점 확장되어 후에 의열단 무창지부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그 후 박시창은 1928년 남경의 군관단(軍官團) 입대를 거쳐 1929년에는 국민혁명군 경위군(警衛軍)에서 8년 동안 복무하였다. 경위단은 나중에 제87사단으로 명칭이 바뀌는데, 제87사단은 1932년의 상해사변에 투입되었던 정예부대였다. 상해사변은 1931년 만주를 점령한 일제가 그 다음해 장갑차로 무장한 해군육전대를 앞세워 상해를 공격한 사건으로, 중국 정부는 중국군에서도 가장 정예부대로 일컬어지는 제5군을 대일항전에 투입하였다. 이때 박시창은 육군 대위의 계급으로 중국군 제5군 제87사단 예하의 중대장으로 참전하였다. 박시창이 속한 중국군은 2달 이상 용감하게 저항하였지만 일본군의 막강한 화력에 후퇴하지 않을 수 없었다. 전승에 취한 일본군이 ‘천장절’을 기하여 홍구공원에서 ‘전승기념식’을 거행하려다가 윤봉길 의사의 폭탄 투척으로 응징된 것이 바로 이 무렵의 일이었다.[2] 학력[편집] 경성 오성보통학교 졸업 경성 오성고등보통학교 졸업 중국 장쑤 성 난징 중앙대학교 사학과 중퇴 중국 황푸 군관학교 졸업 중국 후베이 성 우한 육군위륭군대학교 졸업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특2기(1946년) 조선경비보병학교 졸업(1947년) 통위부 보병학교 졸업(1948년)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 졸업(1949년) 대한민국 육군포병학교 졸업(1951년) 대한민국 육군기갑학교 졸업(1952년)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1기(1956년) 함께 보기[편집] 박은식 양기탁 각주[편집] ↑ 박유철 광복회장 누구인가? 뉴시스(2012.08.14) 기사 참조 ↑ 국가보훈처 공훈심사과 독립운동가(박시창) 자료 참조 참고 자료[편집] 「한국민족운동과 민족문제」, 북만주와 연해주 지역 항일전적지, 한국민족운동사연구회 저, 국학자료원(1999년, 560~567p) 외부 링크[편집]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공훈자 보유 목록 -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소장 박시창 前 광복회 회장 vdeh2007년 선정 이 달의 독립운동가 1월 임치정 2월 김광제·서상돈 3월 권동진 4월 손정도 5월 조신성 6월 이위종 7월 구춘선 8월 정환직 9월 박시창 10월 권득수 11월 주기철 12월 윤동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박시창&oldid=24194403" 분류: 1903년 태어남1986년 죽음한국의 독립운동가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대한민국 임시 정부 시대 육군 장교한국계 중국 군인광복군 관련자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대한민국 육군 소장병참감대한민국의 공공기관장한국독립당 (1930년)한국독립당의 당원대한민국의 대종교인20세기 대한민국 사람밀양 박씨중동중학교 동문중동고등학교 동문육군사관학교 동문육군포병학교 동문조선경비보병학교 동문지난 대학 (광저우시) 동문통위부 보병학교 동문우한 대학 동문육군보병학교 동문육군기갑학교 동문육군기계화학교 동문국방대학교 동문중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타이완에 거주한 대한민국인홍콩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9:2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박시창(朴始昌, 1900년 2월 5일(1900-02-05) 대한제국 경기도 시흥 출생 ~ 1986년 6월 7일(1986-06-07) 대한민국 서울에서 별세.)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군인이자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소장 출신이며 사회운동가 겸 사회기관단체장이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윤봉길 의사의 폭탄 투척 사건이 발생한 곳은 어디일까? Assistant: 홍구공원
Human: 아래 한국비알티자동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한국비알티자동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비알티자동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한국비알티자동차 주식회사brtKOREA Corporation 산업 분야 운수업 창립 2004년 6월 9일 국가 대한민국 본사 소재지 대한민국서울특별시 송파구헌릉로 870 (장지동) 사업 지역 진관 영업소 :서울특별시 은평구통일로 1190 (진관동)진관공영차고지 내도봉 영업소 :서울특별시 도봉구도봉로 961 (도봉동)도봉공영차고지 내 핵심 인물 이강식 (대표이사) 자본금 2,062,500,000원 (2018.12) 매출액 38,002,117,288원 (2018) 영업이익 1,758,940,463원 (2018) 순이익 1,851,715,397원 (2018) 자산총액 10,874,497,005원 (2018.12) 주요 주주 남성교통주식회사: 20%서울버스주식회사: 20%신길운수주식회사: 20%신촌교통주식회사: 20%우정목: 18%우도환: 2% 종업원 461명 (2018.12) 웹사이트 한국비알티자동차 한국비알티자동차, 줄여서 한국brt는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으로 제일여객, 동아운수, 서울버스, 신길운수, 남성교통 등 지분을 출자하여 설립된 컨소시엄 업체로, 본사는 장지동이며, 도봉동 도봉공영차고지와 진관동 진관공영차고지에 영업소가 있다. 목차 1 운행 노선 2 과거 운행 노선 3 본사 및 영업소 4 보유차량 5 사진 6 각주 7 같이 보기 운행 노선[편집] 2017년 9월 30일 기준이다.[1] 운행노선 운행구간 배차간격(분) 인가대수 비고 140번 도봉공영차고지 ↔ AT센터 4~8 46 2004년 7월 1일 신설. 2018년 3월 16일 노선 단축. 360번 송파공영차고지 ↔ 여의도환승센터 4~7 53 2004년 7월 1일 신설 701번 진관공영차고지 ↔ 을지로2가 8~13 22 2004년 7월 1일 신설 708번 진관공영차고지 ↔ 광화문 8~12 16 2018년 10월 15일 신설 741번 진관공영차고지 ↔ 세곡동 6~9 35 구 471번. 2018년 10월 15일 471번 노선변경 및 분리. N13번 송파공영차고지 ↔ 상계주공7단지 20~25 4 흥안운수와 공동배차로 운행한다. N37번 진관공영차고지 ↔ 송파공영차고지 25~40 4 제일여객과 공동배차로 운행하며, 송파 측 배차를 맡고 있다. 과거 운행 노선[편집] 간선버스 ● 100번: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 무교동(현재 한성여객에서 운행하는 100번과는 무관 / 2010년 1월 8일 폐선) ● 400번: 송파공영차고지 ↔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현재 삼성여객에서 운행하는 400번과는 무관, 2005년 8월 6일 폐선) ● 471번: 진관공영차고지 ↔ 세곡동사거리(2018년 10월 15일 노선변경 및 분리) 순환버스 ● 41번: 종합운동장역 ↔ 신사역 (2005년 4월 10일 동아운수·동성교통·신길운수·신성교통에서 운행하던 노선을 인수받아 단축, 2006년 4월 21일 운행에서 철수.[2]) 맞춤버스 ● 8360번: 송파공영차고지 ↔ 여의도 (남성교통 / 동성교통과 공동 배차)《맞춤버스 / 2009년 12월 21일 폐선》 본사 및 영업소[편집] 송파공영차고지 본사 (360번, N13번, N37번) 진관공영차고지 영업소 (701번, 708번, 741번, N37번) 도봉공영차고지 영업소 (140번) 보유차량[편집] 자일대우버스 대우 BS110CN 저상버스 현대자동차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사진[편집] 서울 구 100번 시내버스 서울 360번 시내버스 서울 구 471번 시내버스 서울 701번 시내버스 각주[편집] ↑ 2017년 9월 시내버스 인가현황, 서울교통정보과, 2017년 11월 7일 작성. ↑ http://www.sbus.or.kr/change/view.htm?inseq=924 같이 보기[편집] 남성교통 동성교통 동아운수 서울버스 신길운수 신성교통 제일여객 vdeh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기업주간선 컨소시엄 시내버스 기업 다모아자동차 메트로버스 서울교통네트웍 한국비알티자동차 일반 시내버스 기업 경성여객 공항버스 관악교통 군포교통 김포교통 남성교통 대성운수 대원교통 대원여객 대진여객 대흥교통 도선여객 도원교통 동성교통 동아운수 동해운수 범일운수 보광교통 보광운수 보성운수 보영운수 북부운수 삼성여객 삼양교통 삼화상운 상진운수 서부운수 서울버스 서울승합 서울운수 선일교통 선진운수 세풍운수 송파상운 신길운수 신인운수 신촌교통 신흥기업 아진교통 안양교통 양천운수 영신여객 영인운수 우신버스 우신운수 유성운수 제일여객 중부운수 진아교통 진화운수 태릉교통 태진운수 한남운수 한서교통 한성여객 한성운수 현대교통 흥안운수 마을버스 전환 시내버스 기업 성원여객 원버스 정평운수 공항버스 한정면허 시내버스 기업 공항리무진 KAL 리무진 서울공항리무진 한국도심공항 시티 투어버스 기업 서울시티투어버스 마을버스 기업 전체 보기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vdeh신성교통의 계열사경기도 신성교통 하성마을버스 (친인척) 한일운수 대중교통 서울특별시 제일여객 신인운수 (친인척) 한국비알티자동차 (제일여객 컨소시엄 참여) 경영부문 문산시외버스터미널 신성가스공업 (친인척) 인수 및 계열사 분리 강화운수 관산교통 대성여객·서부여객 서울서부시외버스터미널 선진버스 선진운수 선진여객 선진교통 신성교통 (서울 법인) 신성운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국비알티자동차&oldid=24167992" 분류: 2004년 설립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기업신성여객 계열사서울 송파구의 교통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8일 (수) 15: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한국비알티자동차, 줄여서 한국brt는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으로 제일여객, 동아운수, 서울버스, 신길운수, 남성교통 등 지분을 출자하여 설립된 컨소시엄 업체로, 본사는 장지동이며, 도봉동 도봉공영차고지와 진관동 진관공영차고지에 영업소가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한국비알티자동차에서 운행하는 노선 중 배차 간격이 가장 긴 노선은 무엇인가? Assistant: N37번 Human: 아래 브르타뉴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브르타뉴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브르타뉴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브르타뉴어Brezhoneg 사용 국가 프랑스 사용 지역 브르타뉴 언어 인구 210,000명(2018년) 문자 로마자 언어 계통 인도유럽어족 켈트어파  도서 켈트어군   브리소닉어    브리튼어     남서부 브리소닉어      브르타뉴어 언어 부호 ISO 639-1 br ISO 639-2 bre ISO 639-3 bre 브르타뉴어(Brezhoneg)는 브리소닉어에 속하는 켈트어파 언어 가운데 하나이다. 프랑스 브르타뉴에서 쓰인다. 프랑스어 발음으로 브르타뉴를 브르통이라 하므로 브르통어라고도 부른다. 유럽 대륙에 있는 켈트어이나, 대륙 켈트어가 아니고 섬 켈트어이다. 콘월어나 웨일스 및 브리튼 제도의 브리소닉어계 언어가 5세기부터 6세기 동안 걸쳐서 브르타뉴로 들어와 현지의 라틴어 및 프랑스어의 영향을 받아 변한 것이다. 예전부터 프랑스어의 압력 때문에 브르타뉴어를 말하는 사람 수는 계속 줄고 있다. 지금은 약 21만 명 쯤이다. 프랑스 정부의 공식 승인 언어는 아니지만, 복권을 꾀하고 있다. 목차 1 역사 2 문법 2.1 소유형 2.2 자음교체 3 음운 4 어휘 비교 5 같이 보기 6 외부 링크 역사[편집] 브르타뉴어는 갈리아어와 같이 대륙 켈트어군의 사촌뻘되는 언어가 아니고(일부 낱말이 갈리아어에서 유래된 정도) 브리튼에서 온 로만영국인을 통해 전해진 섬 켈트어군의 사촌뻘되는 언어인 브리튼어에서 비롯되었다. 또는 3세기 마지막에 브르타뉴로 옮겨온 사람들이 가져온 말인지도 모른다. 현대 브르타뉴어는 콘월어, 웨일스어에 더 가깝다. 문법[편집] 브르타뉴어 문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소유형[편집] 브르타뉴어 서웨일스어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게일어 한국어 한국어 번역 ul levr zo ganin mae gen i lyfr tá leabhar agam tha leabhar agam 나는 책 하나를 가지고 있다.(이하 직역) 책은 나와 같이 있다.(이하 직역) ur banne zo ganit mae gennyt ti ddiod tá deoch agat tha deoch agad 너는 마시는 것을 가지고 있다. 마시는 것은 너와 같이 있다. un urzhiataer zo gantañ mae ganddo fe gyfrifiadur tá ríomhaire aige tha coimpiutair aige 그는 컴퓨터 한 대를 가지고 있다. 컴퓨터는 그와 같이 있다. ur bugel zo ganti mae ganddi hi blentyn tá páiste aici tha pàisde aice 그녀는 한 명의 아이가 있다. 한 아이는 그녀와 함께 있다. ur c'harr zo ganimp (or ganeomp) mae gennym ni gar tá carr againn tha càr againn 우리는 차 한대를 가지고 있다. 차는 우리와 같이 있다. un ti zo ganeoc'h mae gennych chi dŷ tá teach agaibh tha taigh agaibh 너는 집 한채를 가지고 있다. 집은 너와 같이 있다. arc'hant zo ganto (or gante) mae ganddyn nhw arian tá airgead acu tha airgead aca 그들은 돈을 가지고 있다. 돈은 그들과 같이 있다. 자음교체[편집] 브르타뉴어는 말머리의 자음이 자음 교체되는 현상이 있다. 브르타뉴어의 자음 교체 기본 약하게 마찰음 크게 혼합 p b f t d z k g c'h b v p v d z t t g c'h k c'h gw w kw w m v v 음운[편집]   순음 순치음 치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순구개음 성문음 파열음 pʰ  b   tʰ  d   cʰ  ɟ kʰ  ɡ     비음 m   n   ɲ ŋ     전동음     r           마찰음   f  v s  z ʃ  ʒ   x   h 접근음         j  ɥ   w   설측음     l   ʎ       어휘 비교[편집] 브르타뉴어로 쓰여진 표지판 브르타뉴어 한국어 degemer mat 환영합니다. deuet mat oc'h 천만에요. Breizh 브르타뉴 지방 brezhoneg 브르타뉴어 ti, "ty" 집 ti-kêr 시청 kreiz-kêr 타운센터 da bep lec'h 사방 skol 학교 skol-veur 대학교 bagad 파이프 밴드 kenavo 잘가 krampouezh 팬케이크 chistr 사이다 chouchen 브르타뉴 특산 벌꿀 war vor atao 늘 바다에 같이 보기[편집] 브르타뉴 아모니카 아모니카니 브리튼어 웨일스어 콘월어 외부 링크[편집] 브르타뉴어 위키백과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브르타뉴어 온라인으로 브르타뉴어 배우기 브르타뉴어 레슨 및 포룸 브르타뉴어 브르타뉴어, 영어, 프랑스어 단어 비교 영어 - 아일랜드어 - 브르타뉴어 -일본어 발음 비교 vdeh켈트어파대륙켈트어 갈리아어† 레폰티어† 갈라티아어† 이베리아켈트어† 노리쿰어† 고이델어 아일랜드어 갤러웨이어† 맨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브리소닉어 브르타뉴어 콘월어 브리튼어† 쿰브리아어† 이베르니아어† 픽트어† 웨일스어 혼합 언어 셸타어 번지어† † 사어 (언어의 사멸) vdeh켈트족고대 켈트족켈트학민족 게일인 브리튼인 픽트인 갈리아인 이베리아 켈트인 갈라티아인 장소 에린 달리어타 / 알바 철기 시대 브리튼 / 브리타니아 / 로마 이후의 브리튼 둠노니아 철기 시대 갈리아 / 로마령 갈리아 / 브르타뉴 갈라에키아 브리토니아 갈리아 키살피나 발칸 트란실바니아 갈라티아 종교 다신교 기독교 애니미즘 신화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브리튼 브르타뉴 콘월 사회 역법 법률 전쟁 전쟁 주화 미술 브리튼 제도 픽트 브로치 카르닉스 아르드크로스 인터레이스 매듭 미로 삼중와선 타라니스 근대 켈트족켈트 복고주의 켈트 국가 범켈트주의 켈트 협의회 켈트 동맹 음악 록 신이교주의 재건주의 켈틱 위카 신드루이드교 언어 이탈로켈트어 켈트 조어 도서 켈트어군 브르타뉴어 고이델어 대륙 켈트어군 켈티베리아어 갈리아어 갈라티아어 갈라에키아어 레폰트어 노리쿰어 세시풍속 서우인/칼란 가에아프 이몰륵/그윌 파이르 발타너/칼란 마이 루너서/칼란 아우스트 관련 목록 인물 부족 신 켈트 어원의 영어 낱말 켈트 어원의 스페인어 낱말 켈트 어원의 갈리치아어 낱말 갈리아 어원의 프랑스어 낱말 vdeh범켈트주의국가켈트 동맹의 정의 브르타뉴 콘월 아일랜드 맨섬 스코틀랜드 웨일스 기타 주장 아스투리아스 오베르뉴 칸타브리아 컴브리아 갈리시아 노르트 어 울라드바 국민주의 브르타뉴 국민주의 콘월 국민주의 웨일스 국민주의 스코트 국민주의 아일랜드 국민주의 (아일랜드 공화주의) 맨 국민주의 범켈트주의 단체 켈트 협의회 켈트 동맹 우마르트 콜름 킬러 언어 브리소닉어 브르타뉴어 콘월어 웨일스어 고이델어 아일랜드어 맨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혼합어 셸타어 붕기 크레올 민족 브리튼인 브르타뉴인 콘월인 웨일스인 게일인 아일랜드인 아일랜드 유랑민 맨인 고지 스코트인 스코틀랜드 유랑민 문화 브르타뉴 콘월 아일랜드 맨 섬 스코틀랜드 웨일스 켈트 미술 음악 브르타뉴 콘월 아일랜드 맨 섬 스코틀랜드 웨일스 축제 로리앙 국제켈트 축제 범켈트 축제 헤브리디스 켈트 축제 켈틱 커넥션 켈트 미디어 축제 체육 반도 카마그 크나판 콘월 헐링 콘월 레슬링 컬링 게일릭 풋볼 게일릭 핸드볼 고우렌 라운더스 하일랜드 게임스 헐링 로드볼링 신티 전거 통제 LCCN: sh85016753 GND: 4120162-0 BNF: cb11931078n (데이터) NDL: 00561087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브르타뉴어&oldid=24016578" 분류: 브르타뉴어켈트어파브르타뉴소멸위기언어프랑스의 언어VSO형 언어브르타뉴의 역사숨은 분류: 브르타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Boarisch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rezhonegCatalàکوردی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VõroFøroysktFrançaisArpetanNordfriiskFurlanFryskGaeilgeGàidhligGalegoGaelg客家語/Hak-kâ-ngîעבריתFiji HindiHrvatskiHornjoserbsce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Перем КомиКомиKernowekLatinaLingua Franca NovaLimburgsLigureLumbaart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मराठीBahasa MelayuمازِرونیPlattdüütschNedersaksies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vialNouormandOccitanKapampanganPicardDeitsch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umantsch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eeltersk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VènetoVepsän kel’Tiếng ViệtWest-VlamsWalon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2일 (금) 15:4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브르타뉴어(Brezhoneg)는 브리소닉어에 속하는 켈트어파 언어 가운데 하나이다. 프랑스 브르타뉴에서 쓰인다. 프랑스어 발음으로 브르타뉴를 브르통이라 하므로 브르통어라고도 부른다. 유럽 대륙에 있는 켈트어이나, 대륙 켈트어가 아니고 섬 켈트어이다. 콘월어나 웨일스 및 브리튼 제도의 브리소닉어계 언어가 5세기부터 6세기 동안 걸쳐서 브르타뉴로 들어와 현지의 라틴어 및 프랑스어의 영향을 받아 변한 것이다. 예전부터 프랑스어의 압력 때문에 브르타뉴어를 말하는 사람 수는 계속 줄고 있다. 2018년에 조사한 바에 따르면 현재 이 언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약 21만 명 쯤이다. 프랑스 정부의 공식 승인 언어는 아니지만, 복권을 꾀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브르타뉴어 breizh는 한국어로 무슨 뜻일까? Assistant: 브르타뉴 지방
Human: 아래 이시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시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시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시애(李施愛, ? ~ 1467년 8월 12일)는 조선 초기의 무신이자, 군인, 반란자이다. 본관은 길주(吉州). 함경도 길주 출생이며, 경흥진 병마절제사를 거쳐 첨지중추부사, 판회령부사를 역임했다. 함길도에 대한 지역차별과 단종 폐위 등에 반발하여 형제 이시합, 매부 이명효, 함길도지역의 지역 유향소 등과 결탁, 이시애의 난을 일으켰다. 처음에는 함경도 토호들과 많은 농민의 호응에 따라 기세를 올렸으나, 결국 정부군에 체포되어 거열되었다. 지방의 호족으로 조선 초 북방민 회유정책으로 중용되어 호군 등을 지냈다. 이징옥의 난 이후 세조가 함경도 출신을 관직을 부여하는 것을 억제하고 중앙에서 직접 지방관을 파견하여 중앙 집권 및 왕권 강화를 꾀하자 자신의 지위에 큰 위협을 느꼈다. 이에 아우 이시합, 매부 이명효 등과 역모를 꾀하였다. 얼마 후에 모친상으로 잠시 휴직 중인 기회를 활용, 그해 양력 5월에 절도사이던 강효문을 죽이고 난을 일으켰다. 민심을 선동, 세력을 크게 과시하여 함흥까지 함락하였다. 한편 세조에게 거짓 장계를 올려 이간책을 활용, 조정의 내부를 크게 분열시켰다. 그의 군세가 강성하여 도통사 신면이 전사하기까지 했다. 그러나 구성군 준(浚( 혹은 귀성군이라고도 부른다.)과 장군 남이 등의 대대적인 토벌 공격에 의해 북청에서 두 차례에 걸쳐 크게 대패, 여진 부락으로 도주하던 중 조정에서 비밀리에 급파한 처조카 허유례의 계교로 부하 장수인 이주 · 이운로 등에게 체포되었다. 곧이어 토벌군의 진지 앞에서 아우 이시합 등과 함께 거열당하고 머리는 각 도(道)를 돌며 효시되었다. 함경남도 출신. 목차 1 생애 1.1 초기 활동 1.2 관료 생활 1.3 이시애의 난 1.3.1 반란 초반 1.3.2 관군과의 교전 1.3.3 전란 전반 1.3.4 세조의 강경책 1.3.5 불리한 전황과 허유례의 배신 1.4 패전과 최후 1.5 사후 2 가족 관계 3 관련 작품 3.1 드라마 4 함께 보기 5 관련 서적 6 각주 7 외부 링크 생애[편집] 초기 활동[편집] 이인화(李仁和)의 아들이다. 본관은 길주(吉州)라고 전하나 그의 선대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전하지 않는다. 할아버지는 함경도첨절제사와 문하부사(門下府事)를 검교(檢校)한 이원경(李原京)이고, 아버지 이인화는 함길도첨절제사(咸吉道僉節制使, 첨사)와 판영흥대도호부사(判永興大都護府事)를 지냈으며, 그의 집안은 대대로 길주에서 살아온 지방 호족 출신이었다. 관료 생활[편집] 일찍이 군관이 되었으며 조선초에 대북방민회유정책 아래 중용되어 1451년(문종 1년) 호군이 되고 여러 지방관을 역임했다. 1458년(세조 4년) 경흥진(慶興鎭) 병마절도사를 거쳐 첨지중추원사, 판회령부사를 역임하고 1461년 행지중추원사가 되었다. 그러나 왕권을 확립한 세조가 차차 북방민 등용을 억제하고 지방관을 직접 중앙에서 파견하여 중앙집권 체제를 강화하자 자신의 지위에 불안을 느끼게 되었다. 또한 세조의 정책에 불만을 품게 된다. 세조의 호패법 부활과 함길도의 지방관에 함길도 지역인사를 임명하지 않고 외지인을 임명했으며, 함길도인들에 대한 지역 차별이 계속되자 함길도의 토호였던 이시애 역시 자신들의 지위확보에 불안을 느끼고 있던 중, 1467년 어머니의 상을 당하여 관직을 사퇴하고 3년상을 하였다. 집안에 머무르고 있는 동안 그는 동생 이시합(李施合)과 매부 이명효(李明孝)와 모의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이시애의 난[편집] 반란 초반[편집] 1467년 모친상으로 휴직중인 기회를 이용, 북도의 민심을 선동하고 같은 해 12월 동북 지방의 군권을 쥐고 있던 함길도 절도사 강효문(康孝文) 등을 살해한 뒤 반란을 일으켰다. 이시애는 길주로부터 단천, 북청, 홍원으로 남하하면서 중앙에서 파견된 그곳 지방관들을 모두 죽이고 자기 스스로 왕명을 받은 절도사라 칭하여 거병하였다. 이시애는 '함길도의 절도사(節度使)가 진장(鎭將)들과 함께 반역을 음모하고 있다'고 선동하여 절도사 강효문(康孝文), 함경도관찰사 신면, 길주목사(吉州牧使) 설징신(薛澄新) 등을 죽이고 체찰사 윤자운(尹子雲)을 사로잡았다. 이어 '방금 남도의 군대가 바다와 육지로 쳐올라와서 함길도 군민(軍民)을 다 죽이려 한다'고 선동하자 흥분한 함길도의 군인과 민간인들이 유향소를 중심으로 일어나 타 지역 출신인 이 곳 수령들을 살해하는 등 함길도는 대혼란에 휩싸이게 되었다.[1] 그는 함길도인들에 대한 지역 차별 철폐와 단종 폐위 문제를 구실삼아 회령에서 거병하였다. 이들은 남도의 군사가 해륙양방으로 쳐들어와 북도의 군민을 죽이려 한다는 소문을 퍼뜨려 지방민을 선동하여 민심을 혼란시키는 한편, 당시 동북지방의 군권을 쥐고 있던 함길도절도사 강효문(康孝文)과 그 휘하 군관들을 살해하고 각 지방의 수령들을 살육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조정에는 거짓 장계를 올려 강효문을 역모죄로 처형하였다고 허위보고하였다. 이시애는 본도 절도사가 제진장(諸鎭將)과 함께 반역을 도모하여 이들을 처형하였다고 보고하여 자신들의 반란을 합리화하고, 그 당인(黨人)으로 하여금 지금 각 읍의 인민이 모두 화를 입을까 두려워하여 와언(訛言)이 분분하다고 상서하게 하는 한편, 본도인으로써 본도의 각 수령을 삼을 것을 요구하였다. 난이 일어나자 도내 각지의 유향소의 토호들과 농민들이 이에 호응하여 거대한 반란세력을 형성하게 되었다. 그는 스스로 절도사를 사칭, 북도민의 환심을 사 차차 세력을 확보한 뒤 단천(端川), 북청(北靑), 홍원(洪原) 등을 공략하고 함흥(咸興)을 점거하였다. 관군과의 교전[편집] 이 보고를 조정에서 접하자 세조는 특별히 구성군 준(龜城君 浚)을 4도(四道) 병마도총사로 임명하여 4도의 군권을 주고, 호조판서 조석문(曺錫文)을 부총사, 허종(許琮)을 함길도절도사로 삼고, 강순(康純)‧어유소(魚有沼)‧남이(南怡) 등을 대장으로 삼아 3만의 관군을 동원시켜 반란군을 진압하게 하였다. 세조는 이들을 출동시켜 투항을 종용하였으나, 이시애는 반란이 아님을 상계하고 항복에 불응, 북도민의 중용을 거듭 요구하였다. 조정에서는 어유소, 귀성군, 남이 등에게 소수의 토벌대를 이끌고 출정시켰다. 그러나 반군의 기세가 거세자 귀성군 이준의 관군은 철원까지 퇴각했고 더 이상 진격하지 못하였다. 반란군은 함길도와 평안도까지도 영향을 넓혀가고 있었다. 세조는 다시 도총관 강순을 진북대장(鎭北大將)으로 삼아 평안도병력 3천명의 지휘권을 주어 영흥으로 나아가게 하고, 병조참판 박중선(朴仲善)을 평로장군(平虜將軍)으로 임명하여 황해도 병사 1천명을 이끌고 문천군으로 들어가게 하였다. 장군 어유소에게는 한성부 소속 경병(京兵) 1천명을 보내 구성군군을 돕게 하였다. 이시애는 중앙에서도 연락통을 띄워 '병마절도사 강효문 등이 한성부의 한명회(韓明澮), 신숙주(申叔舟) 등과 결탁하여 함길도 군대를 이끌고 서울로 올라가서 모반하려 하여 민심이 흉흉하니 함길도 사람을 고을의 수령으로 삼기 바란다'는 등 모략전술을 폈다. 세조는 이에 속아 한명회, 신숙주 등을 한때 투옥하였다가, 신면, 강효문 등이 처형된 소식을 접하고는 곧 구성군 준(龜城君 浚)을 병마도총사(兵馬都摠使)로 삼아 토벌군을 출동시켰다. 전란 전반[편집] 1467년 5월 15일 귀성군은 겨우 강원도 북부에 있던 이시애군을 패퇴시키고 회양(淮陽)으로 나아갔다. 세조는 5월부터 각종 효유문(曉諭文)을 내려 보내고 지금이라도 항복하면 처벌하지 않겠다는 조건을 내세웠으나, 통지문을 들고 간 사자는 죽임당했다. 동시에 반군 지휘자들을 체포하는 자들에게는 현상금을 조건으로 걸었다. 6월 1일 억류되었던 체찰사 윤자운이 병사 한 사람과 옷을 갈아입고 극적으로 이시애의 진영에서 탈출해오자 귀성군은 윤자운을 호송한 뒤 철령을 넘어 안변에 진을 쳤고, 허종은 영흥으로 들어가 반군과 교전하였다. 그 동안에도 이시애는 때로 2백~5백여명의 군졸을 이끌고 마곡역(麻谷驛)에 나오기도 하고, 이시합은 홍원군 하탄동에서 귀성군의 부장 차운혁(車云革)에게 사로잡혔으나 거짓 속임수로 빠져나가기도 하였다. 관군의 공격을 받아 북청에서 두 차례 격전을 벌였으나 대패하였다. 처음 세조는 단천인 최윤손(崔潤孫)을 그에게 보내어 위무하고자 하였으나, 최윤손은 도리어 그에게 붙어 조정의 밀사(密事)를 모두 고하는 등 조정내부에서도 반란군과 내응하는 세력이 있었고, 또 한명회(韓明澮)‧권람(權擥)‧신숙주(申叔舟) 등의 중신들이 자기네와 내응하고 있다고 거짓 선전하여 반군토벌에 적지않은 혼란과 차질이 초래되었다. 세조의 강경책[편집] 세조는 효유문으로 마무리 지으려고 하였던 정책을 거두고, 궐내에 금고했던 신숙주 등의 중신을 풀어주는 동시에, 친정(親征)을 계획하는 등 강경책을 강구하였다. 이시애는 이같은 세조의 강경정책에 당황해 북청을 거쳐 이성(利城, 지금의 이원군) 다보동으로 본부를 옮겼다가 다시 북청군으로 근거지를 옮겼다. 이시애의 후퇴로 구성군의 관군은 6월 19일 함흥을 점령하고 홍원으로 나아가 서쪽인 함관령(咸關嶺) 아래 신원(新原)에 새 막사를 짓고 근거지로 하여 전군을 지휘하였다. 구성군은 강순을 북청 공략의 선봉으로 삼고 종개(鐘介), 산개(山介)의 두 산에 진지를 구축하게 하였다. 귀성군의 군사는 안변에서 평안도 지역의 이시애군을 격퇴하는 한편 강순은 박중선, 허종, 어유소 등과 더불어 종개령을 넘어 북청 앞의 평포(平浦)에서 이시애군을 궤멸시키고 진을 쳤다. 6월 19일 이시애군은 북청을 떠나 퇴각하고, 이시합은 2만여 명의 군졸을 북청 근처인 여주을현(汝注乙峴)에 주둔시키는 한편, 자신은 단천 이북의 여러 진군(鎭軍)과 여진족 500여 명을 합쳐 이성 고사리포(高沙里浦)에서 북청 어소(於所)로 나아가 관군을 협공하려 했다. 이를 모르는 관군은 북청성으로 진격해 들어갔다가 이시애군은 없었고, 주변에 있던 이시합군에 의해 포위되었다. 강순은 마침내 김교(金嶠)의 건의에 따라 목책(木柵)을 두르고, 또 밖에는 녹각(鹿角 : 사슴뿔과 같이 대나무로 짜서 만든 적을 막는 물건)을 늘어놓는 한편, 성 밖에는 갱도를 파고 그위를 평지처럼 하여 적군의 침략에 대비하였다. 6월 24일 새벽 총공격을 내렸으나 강순은 성문을 잠그고 버텼다. 관군은 이시애에게 대궐에 나아가 자수(自首)할 것을 권하였으나 듣지 않았다. 북청에서 패퇴한 이시애군은 다시 군세를 정비하였다. 7월 14일 이시애는 자신의 사위인 이명효(李明孝)로 하여금 홍원·북청·갑산·삼수의 백성들을 모아 탕구령(湯口嶺)을 넘어 홍원 서쪽인 신익평(申翌坪)에 주둔해 관군의 함흥과 북청 통로와 보급로를 차단하였다. 이시합은 이성 이북의 백성을 이끌고 마어령(磨於嶺)을 넘어 2진을 형성하게 하는 동시에, 이시애 자신은 회령 이북의 백성을 이끌고 대문령(大門嶺)을 넘어 열여문평에 진을 쳐서 장기전을 펴고 관군의 자멸을 기다렸다. 한편, 관군은 북청에 있는 군사를 홍원으로 후퇴시키려 하여 1·2·3진으로 나누어 이시애군을 뚧고 나가 장기전에 대비하였다. 이시애는 이 틈을 타서 북청을 점령하였다. 그 동안에도 관군은 이시애 등에게 효유에 나섰으나 이시애가 듣지 않자 결국 장기전으로 나가게 되었다. 불리한 전황과 허유례의 배신[편집] 7월말 전세가 상당히 불리해지자, 밀리던 이시애는 여진족과도 내통, 여진족을 끌어들여 대항하였으나 여진족에 파견했던 사자가 당도하기도 전에 신숙주, 허종(許琮), 강순, 어유소(魚有沼), 남이(南怡) 등이 이끄는 3만 군대가 함경남도 홍원(洪原), 북청(北靑)에 주둔하던 이시애군을 격파하고 이원군의 만령(蔓嶺)에서 반란군 주력부대를 분쇄하였다. 7월 31일 이시애는 중봉을 거점으로 2천 명의 병력으로 3중 포열을 한 뒤 결사적으로 버텼다. 그날 유시(酉時[2])에 이르러 만령 동봉에서 어유소군이 이시애군이 중봉으로 간 것을 접하고, 이시애군의 좌측 허를 찔러 방어선의 일각을 통과함으로써 방어선을 무너트렸다. 이어 관군은 육탄전으로 이시애군을 패퇴시켰다. 결국 이시애는 야음을 틈타 이성 쪽으로 도망쳤다. 8월 1일 관군은 이시애군을 추격해 이성까지 쫓아갔으나 이시애군은 이성군의 객사, 창고 등을 불사르고 다시 북으로 패주하였다. 8월 8일 이성을 출발한 귀성군 등의 관군은 마운령(磨雲嶺)을 넘어 영제원으로 나아가고, 이시애는 단천에 진을 쳐서 남대천(南大川)을 사이에 두고 저항을 시도하였으나 다시 패주하여 길주로 달아났다. 8월 12일 관군 연합군은 이시애군을 추격하여 단천에서 교전하여 패퇴시키고 탈환, 다시 마천령(磨天嶺)을 넘어 영동역(嶺東驛)까지 이시애군을 밀고 나갔다. 이 때 이시애는 허종 휘하의 허유례(許惟禮)의 계교에 빠져 이시합과 함께 체포되었다. 패전과 최후[편집] 그러나 세조의 유서(諭書)로 반란임을 알게 된 백성들이 협력하지 않고 조정에서 논상절목(論賞節目)이 반포되어 부하 장수들의 동요가 계속되었다. 그리하여 반란이 일어난 지 3개월이 지난 8월에 이르러서야 관군의 전열이 가다듬어져서 홍원‧북청‧이원 등지의 전투에서 관군이 크게 승리하자, 이에~ 이시애는 처조카이자 조정에서 밀파된 길주 출신인 허유례(許惟禮)의 계교로 부하인 이주(李珠)·이운로(李雲露)·황생(黃生) 등에 의하여 체포된다. 길주를 거쳐 경성(鏡城)으로 퇴각하여 여진으로 도망치려 하였으나, 이시애의 처조카인 사옹원별좌(司饔院別坐) 허유례는 자기 아버지가 억지로 이시애의 일파에게 끌려갔다는 소식을 듣고는, 부하인 이주(李珠), 황생(黃生) 등을 포섭한다. 허유례는 자신의 아버지가 이시애의 수하에서 길주권관(吉州權管)으로 있음을 알고서, 거짓 항복하는 척 하고는 경성 운위원(雲委院)으로 들어가 아버지와 이시애의 수하인 이주(李珠)·이운로(李雲露)·황생(晃生) 등을 설득해 이시애와 이시합 등을 체포게 했다. 이들을 설득하여 자연스럽게 이시애 형제에게 접근하여 이시애 형제를 묶어 남이 등 토벌군에게 인계하였다. 8월 12일 토벌군 진지에서 처형당한다. 사후[편집] 1467년 8월 12일 토벌군의 진지 귀성군의 진영에서 이시합 등과 함께 거열형에 처해진 뒤 수급과 시신은 각 도에 효수되었다가 버려졌다. 가족 관계[편집] 할아버지 : 이원경(李原京) 아버지 : 이인화(李仁和) 어머니 : 이름 미상 동생 : 이시합(李施合) 누이 : 이씨 매부 : 이명효(李明孝) 부인 : 양천 허씨 처조카 : 허유례 관련 작품[편집] 드라마[편집] 《한명회》 (KBS2, 1994년~1994년 배우:이성웅) 《왕과비》 (KBS1, 1998년~2000년 배우:유종근) 《공주의 남자》 (KBS2, 2011년~2011년 배우:차광수) 《인수대비》 (JTBC, 2011년~2012년 배우:위창복) 함께 보기[편집] 김종서 이시애의 난 이징옥의 난 이징옥 남이 관련 서적[편집] 이가원, 이조명인열전, 을유문화사, 1965 차문섭, 한국의 인간상, 신구문화사, 1965 이덕일, 사화로 보는 조선 역사, 도서출판 석필, 2002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 실록, 들녘, 1998 각주[편집] ↑ 이후 함길도를 임지로 꺼리는 현상까지 나타나게 되었다. ↑ 오후 5시∼7시 외부 링크[편집] 이시애[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시애&oldid=22959637" 분류: 생년 미상1467년 죽음조선의 무신조선의 군인조선의 정치인조선 단종조선 세조한명회신숙주참수된 사람효수된 사람함경남도 출신한국의 장군조선의 반란자길주 이씨한국의 반역죄 사형수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9일 (금) 16: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시애(李施愛, ? ~ 1467년 8월 12일)는 조선 초기의 무신이자, 군인, 반란자이다. 본관은 길주(吉州). 함경도 길주 출생이며, 경흥진 병마절제사를 거쳐 첨지중추부사, 판회령부사를 역임했다. 함길도에 대한 지역차별과 단종 폐위 등에 반발하여 형제 이시합, 매부 이명효, 함길도지역의 지역 유향소 등과 결탁, 이시애의 난을 일으켰다. 처음에는 함경도 토호들과 많은 농민의 호응에 따라 기세를 올렸으나, 결국 정부군에 체포되어 거열되었다. 지방의 호족으로 조선 초 북방민 회유정책으로 중용되어 호군 등을 지냈다. 이징옥의 난 이후 세조가 함경도 출신을 관직을 부여하는 것을 억제하고 중앙에서 직접 지방관을 파견하여 중앙 집권 및 왕권 강화를 꾀하자 자신의 지위에 큰 위협을 느꼈다. 이에 아우 이시합, 매부 이명효 등과 역모를 꾀하였다. 얼마 후에 모친상으로 잠시 휴직 중인 기회를 활용, 그해 양력 5월에 절도사이던 강효문을 죽이고 난을 일으켰다. 민심을 선동, 세력을 크게 과시하여 함흥까지 함락하였다. 한편 세조에게 거짓 장계를 올려 이간책을 활용, 조정의 내부를 크게 분열시켰다. 그의 군세가 강성하여 도통사 신면이 전사하기까지 했다. 그러나 구성군 준(浚( 혹은 귀성군이라고도 부른다.)과 장군 남이 등의 대대적인 토벌 공격에 의해 북청에서 두 차례에 걸쳐 크게 대패, 여진 부락으로 도주하던 중 조정에서 비밀리에 급파한 처조카 허유례의 계교로 부하 장수인 이주 · 이운로 등에게 체포되었다. 곧이어 토벌군의 진지 앞에서 아우 이시합 등과 함께 거열당하고 머리는 각 도(道)를 돌며 효시되었다. 함경남도 출신.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시애의 엄마는 언제 돌아가셨어? Assistant: 1467년 Human: 아래 미국_중부사령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미국 중부사령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국 중부사령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국 중부 사령부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미국 중부 사령부United States Central Command 앰블럼 활동 기간 1983년 1월 1일 ~ 현재 국가 미국 종류 통합전투사령부 명령 체계 미국 국방부 본부 플로리다주 탬파 맥딜 공군 기지 별명 CENTCOM중부군중앙군 표장 육군용 SSI 미국 중부 사령부(United States Central Command)는 미국 국방부의 중앙아시아 지역을 전담하는 통합전투사령부이다. 플로리다주 탬파 맥딜 공군기지에 본부를 두고 있다. 1983년 1월 1일, 전신 조직인 신속전개합동임무대(RDJTF)가 재편성되어 설립되었다. 2014년 12월 28일, 국제안보지원군의 활동이 공식적으로 종결되고 확고한 지원 임무로 중앙아시아에 대한 군사원조작전이 2015년 1월 1일부터 이어졌다. 목차 1 편성 1.1 현존 1.2 이전 2 전쟁 계획 3 전투/전쟁 4 역대 사령관 5 장식 6 참고 7 외부 링크 편성[편집] 미국 중부 육군/제3군 (USARCENT)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쇼 공군기지 미국 해군 중부사령부 (USNAVCENT) 바레인, 바레인 해군기지 미국 공군 중부사령부 (USAFCENT)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쇼 공군기지 미국 해병대 중부사령부(USMARCENT) 플로리다주, 맥딜 공군기지 미국 중부특수작전사령부 (USSOCCENT) 플로리다 주, 맥딜 공군기지 현존[편집] 중부사령부, 요르단 전방본부 (Central Command Forward - Jordan (CF-J)); ? ~ ? 미국 아프가니스탄 주둔군(USFOR-A); ? ~ 현재 JTF 레바논 (JTF-Lebanon) CJTF 내재된 결단 작전 (CJTF–OIR); 2014년 10월 10일 ~ 현재 동맹군지상구성사령부(CFLCC); 2003년 3월 ~ 6월 13일, 2015년 ~ 현재 이전[편집] 국제안보지원군(ISAF), 2001년 12월 20일 ~ 2014년 12월 28일 CJTF-7; 2003년 6월 14일 ~ 2004년 5월 13일 이라크 다국적군(MNF–I), 2004년 5월 14일 ~ 2009년 12월 31일, USF-I로 대채됨. 이라크 다국적군단(MNC–I), 2004년 5월 14일 ~ 2009년 12월 31일 이라크 다국적안보전이사령부(MNSTC-I), 2004년 6월 ~ 2009년 12월 31일, USF-I로 대채됨. 미국 이라크 주둔군(USF-I), 2010년 1월 1일 ~ 2011년 12월 15일, 해체 CJTF 아프리카의 뿔(CJTF-HOA) - 미국 아프리카 사령부로 이전됨; 2002년 10월 19일 ~ 2008년 9월 30일 전쟁 계획[편집] 개념 계획 (CONPLAN) 1010, 2003년 7월 1015-98, 한국을 위해 OPLAN 5027에 가능한 지원을 한다. 1991년 3월 15일 1017, 1999년 1020 1067, 화학전에 대응. CONPLAN 1100-95, 1992년 3월 31일 작전 계획 (OPLAN) 1002, 아라비아 반도 방어? 그 외 OPORDER 01-97, 무력 보호 SOCEUR SUPPLAN 1001-90, 1989년 5월 9일 전투/전쟁[편집] 어니스트 윌 작전 - 걸프 만에서 유조선 호위, 1987년 7월 프레잉 맨티스 작전 - 이란 해군에 대응, 1988년 4월 걸프 전쟁, 1990년 8월 2일 ~ 1991년 2월 28일 사막 방패 작전 - 사우디 아라비아를 방위했다. 1990년 8월 해상 요격 작전 - 이라크에 대한 엠바고 제재. 1990년 8월 사막 폭풍 작전 - 이라크에게서 쿠웨이트를 해방시켰다. 1991년 1월 서던 와치 작전 - 이라크에 대한 제재 시행 1992년 8월 구호 제공 작전 - 소말리아와 케냐에서 기아 구호, 1992년 8월 희망 회복 작전 - 소말리아 구호을 위한 보안 노력, 1992년 11월 빌리언트 워리어 작전 - 이라크 전개 대응, 1994년 10월 연합 방패 작전 - UNOSOM II 의 철수 지원, 1995년 2월 빌리언트 센티넬 작전 - 이라크 전개 대응, 1996년 8월 내재된 결단 작전 - 2014년 6월 15일 ~ 현재 확고한 지원 임무 - 아프가니스탄 정부를 도와서 중앙아시아 지역 안보를 재건한다. 2014년 12월 28일 ~ 현재 역대 사령관[편집] # 사진 성명 군별 취임일 이임일 1 대장 로버트 킹스턴 육군 1983년 2월 1일 1985년 11월 27일 2 대장 조지 B. 크리스트 해병대 1985년 11월 27일 1988년 11월 23일 3 대장 H. 노먼 슈왈츠코프 육군 1988년 11월 23일 1991년 8월 9일 4 대장 조지프 P. 호어 해병대 1991년 8월 9일 1994년 8월 5일 5 대장 J. H. 빈포드 페이 3세 육군 1994년 8월 5일 1997년 8월 13일 6 대장 앤서니 지니 해병대 1997년 8월 13일 2000년 7월 6일 7 대장 토머스 프랭크스 육군 2000년 7월 6일 2003년 7월 7일 8 대장 존 아비자이드 육군 2003년 7월 7일 2007년 3월 16일 9 제독 윌리엄 J. 펠론 해군 2007년 3월 16일 2008년 3월 28일 대리 중장 마틴 E. 뎀프시 육군 2008년 3월 28일 2008년 10월 31일 10 대장 데이비드 H. 페트라우스 육군 2008년 10월 31일 2010년 8월 11일 대리 중장 존 R. 엘런 해병대 2010년 7월 30일 2010년 8월 1일 11 대장 제임스 메티스 해병대 2010년 8월 11일 2013년 3월 22일 12 대장 롤로이드 오스틴 육군 2013년 3월 22일 2016년 3월 30일 13 대장 조지프 보텔 육군 2016년 3월 30일 재임중 장식[편집] 스트리머 기간 참고 합동우수부대표창 1990년 8월 2일 ~ 21 April 1991년 4월 21일 미국 육군부 일반명령 (DAGO) 1991-22 & 1992-34[1] 1992년 8월 1일 ~ 1993년 5월 4일 미국 육군부 일반명령 (DAGO) 1994-12 & 1996-01 1994년 10월 8일 ~ 1995년 3월 16일 미국 육군부 일반명령 (DAGO) 2001–25 1996년 9월 1일 ~ 1997년 1월 6일 합동참모부 영구명령 (JSPO) J-ISO-0012-97 1997년 10월 1일 ~ 1998년 7월 15일 합동참모부 영구명령 (JSPO) J-ISO-0241-98 1998년 7월 16일 ~ 1999년 11월 1일 합동참모부 영구명령 (JSPO) J-ISO-0330-99 / DAGO 2001–25 1999년 11월 2일 ~ 2001년 3월 15일 2001년 9월 11일 ~ 2003년 5월 1일 미국 육군부 일반명령 (DAGO) 2005–09 2003년 5월 2일 ~ 2005년 12월 31일 2006년 1월 1일 ~ 2008년 3월 1일 합동참모부 영구명령 (JSPO) J-ISO-0061-08 2008년 3월 2일 ~ 2010년 7월 1일 2010년 7월 2일 ~ 2012년 7월 31일 참고[편집] ↑ “Department of the Army General Orders”. United States Army Publications Directorate. 2011년 4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4월 30일에 확인함.  (Army Knowledge Online account may be required.) Cordesman, Anthony (1998년 8월). “USCENTCOM Mission and History” (PDF). 국제 전략 연구소. 2015년 12월 11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외부 링크[편집] (영어/아랍어/러시아어/페르시아어/…) 미국 중부사령부 - 공식 웹사이트 미국 중부사령부 - 페이스북 vdeh미국의 통합전투사령부현재지역 남부 북부 알래스카 아프리카 유럽 중부 아프가니스탄 인도-태평양 한국 일본 기능 사이버 수송 전략 특수작전 과거지역 극동 대서양 북동 태평양 베트남 타이완 태국 필리핀 이라크 기능 우주 타격 합동전력 국군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해안경비대 특수부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미국_중부사령부&oldid=23797297" 분류: 1983년 설립미국의 통합전투사령부중앙아시아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Italiano日本語NorskPortuguêsРусскийSlovenščinaSvenska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일 (토) 21: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미국 중부사령부(United States Central Command)는 미국 국방부의 통합전투사령부로, 중동과 아프리카의 이집트, 중앙아시아 지역을 담당하고 있다. 플로리다주 탬파 맥딜 공군기지에 본부를 두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미국 중부사령부의 역대 사령관 중 로버트 킹스턴의 취임일은 언제였는가? Assistant: 1983년 2월 1일
Human: 아래 몬테네그로의_국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몬테네그로의 국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몬테네그로의 국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오, 5월의 밝은 새벽이여(몬테네그로어: Oj, svijetla majska zoro)는 몬테네그로의 국가이다. 몬테네그로는 세르비아와는 달리 라틴 문자를 더 많이 사용한다. 목차 1 가사 2 해석 3 실제로 부를 때 4 외부 링크 가사[편집] Oj svijetla majska zoro Majko naša Crna Goro Sinovi smo tvog stijenja I čuvari tvog poštenja Volimo vas, brda tvrda, I stravične vaše klance Koji nikad ne poznaše Sramotnoga ropstva lance. Dok lovćenskoj našoj misli Naša sloga daje krila, Biće gorda, biće slavna Domovina naša mila. Rijeka će naših vala, Uskačući u dva mora, Glas nositi okeanu, Da je vječna Crna Gora. 해석[편집] 오! 우리 몬테네그로의 어머니이신 5월의 밝은 새벽이 오는구나! 그대의 정직을 지키는 그대의 아들이 바위에서 노래를 부르고 있도다. 우리는 그대와 바위와 언덕을 사랑하리. 그리고 그대의 두려운 협곡은 누가 모르게 할지라도 결코 부끄러운 노예 상태로 돌아가지 않으리라. 실제로 부를 때[편집] 국가의 선율이 전통적인 몬테네그로의 리듬을 사용하기 때문에, 실제로 부를 때에는 다음과 같이 가사가 여러 번 반복되면서 불린다. 몬테네그로어 - Cyrillic 몬테네그로어 - Latin 영어 해석 1. Ој свијетла мајска зоро Ој свијетла мајска зоро Мајко наша Црна Горо Мајко наша Црна Горо Синови смо твог стијења Синови смо твог стијења И чувари твог поштења И чувари твог поштења Волимо вас, брда тврда И стравичне ваше кланце Који никад не познаше Срамотнога ропства ланце Мајко наша Црна Горо Мајко наша Црна Горо 2. Ој свијетла мајска зоро Ој свијетла мајска зоро Мајко наша Црна Горо Мајко наша Црна Горо Док ловћенској нашој мисли Наша слога даје крила, Биће горда, биће славна Домовина наша мила. Ријека ће наших вала Ускачући у два мора Глас носити океану Да је вјечна Црна Гора! Глас носити океану Да је вјечна Црна Гора! Да је вјечна Црна Гора! 1. Oj svijetla majska zoro Oj svijetla majska zoro Majko naša Crna Goro Majko naša Crna Goro Sinovi smo tvog stijenja Sinovi smo tvog stijenja I čuvari tvog poštenja I čuvari tvog poštenja Volimo vas, brda tvrda, I stravične vaše klance Koji nikad ne poznaše Sramotnoga ropstva lance Majko naša Crna Goro Majko naša Crna Goro 2. Oj svijetla majska zoro Oj svijetla majska zoro Majko naša Crna Goro Majko naša Crna Goro Dok lovćenskoj našoj misli Naša sloga daje krila Biće gorda, biće slavna Domovina naša mila Rijeka će naših vala Uskačući u dva mora Glas nositi okeanu Da je vječna Crna Gora! Glas nositi okeanu Da je vječna Crna Gora! Da je vječna Crna Gora! 1. Oh, bright dawn of May Oh, bright dawn of May Our mother Montenegro Our mother Montenegro We are sons of your rocks We are sons of your rocks and keepers of your honesty and keepers of your honesty We love you, the rocky hills And your awesome gorges That never came to know The chains of shameful slavery. Our mother Montenegro Our mother Montenegro 2. Oh, bright dawn of May Oh, bright dawn of May Our mother Montenegro Our mother Montenegro While our unity gives wings to our Lovćen cause Proud shall be, celebrated will be Our dear homeland. A river of our waves, Jumping into two seas, Will bear voice to the ocean, May eternal be our Montenegro! Will bear voice to the ocean, May eternal be our Montenegro! May eternal be our Montenegro! 외부 링크[편집] 국가 듣기(MP3 파일) vdeh유럽의 국가 국가 국기 국장 통화 행정 구역 독립 국가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라트비아 러시아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모나코 몬테네그로 몰도바 몰타 바티칸 시국 벨기에 벨라루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산마리노 세르비아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아르메니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안도라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영국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 이탈리아 조지아 체코 카자흐스탄 코소보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터키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미승인 국가 또는 기타 지역 올란드 제도(핀란드) 바스크(스페인) 카탈루냐(스페인) 브르타뉴(프랑스) 잉글랜드(영국) 체첸 공화국(러시아) 페로 제도(덴마크) 지브롤터(영국) 북아일랜드(영국) 맨섬(영국) 건지섬(영국) 저지섬(영국) 시랜드 공국(영국) 마케도니아(그리스) 크림 자치 공화국(러시아) 카렐리야 공화국(러시아) 압하지야 바이에른 주(독일) 아르차흐 공화국(아제르바이잔) 스릅스카 공화국(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스코틀랜드(영국) 스발바르 제도(노르웨이) 타타르 공화국(러시아) 트란스니스트리아(몰도바) 가가우지아(몰도바) 북키프로스(키프로스) 웨일스(영국) 플란데런(벨기에) 왈롱(벨기에) 이치케리아 체첸 공화국(러시아) 아스투리아스 크라스노다르 아라곤 발레아레스 제도 코르시카 시칠리아(이탈리아) 아디게야 공화국(러시아) 갈리시아 마드리드 나바라 남오세티야 북오세티야 에스트레마두라 아메리카 (남아메리카의 국가 북아메리카의 국가 남아메리카의 국기 북아메리카의 국기 남아메리카의 국장 북아메리카의 국장 아메리카의 통화 남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북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아시아 (아시아의 국가 아시아의 국기 아시아의 국장 아시아의 통화 아시아의 행정 구역)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국가 아프리카의 국기 아프리카의 국장 아프리카의 통화 아프리카의 행정 구역) 오세아니아 (오세아니아의 국가 오세아니아의 국기 오세아니아의 국장 오세아니아의 통화 오세아니아의 행정 구역) 유럽 (유럽의 국가 유럽의 국기 유럽의 국장 유럽의 통화 유럽의 행정 구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몬테네그로의_국가&oldid=21839001" 분류: 몬테네그로의 음악몬테네그로의 국가몬테네그로의 상징숨은 분류: 세르비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osanskiČeštinaЧӑвашла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Hornjoserbsce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Къарачай-малкъарLietuviųМакедонскиDorerin Naoero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Yorùbá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7월 23일 (월) 01: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오, 5월의 밝은 새벽이여(몬테네그로어: Oj, svijetla majska zoro)는 몬테네그로의 국가이다. 몬테네그로는 세르비아와는 달리 라틴 문자를 더 많이 사용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몬테네그로의 국가 노래를 영문으로 번역하면? Assistant: 1. Oh, bright dawn of May Oh, bright dawn of May Our mother Montenegro Our mother Montenegro We are sons of your rocks We are sons of your rocks and keepers of your honesty and keepers of your honesty We love you, the rocky hills And your awesome gorges That never came to know The chains of shameful slavery. Our mother Montenegro Our mother Montenegro 2. Oh, bright dawn of May Oh, bright dawn of May Our mother Montenegro Our mother Montenegro While our unity gives wings to our Lovćen cause Proud shall be, celebrated will be Our dear homeland. A river of our waves, Jumping into two seas, Will bear voice to the ocean, May eternal be our Montenegro! Will bear voice to the ocean, May eternal be our Montenegro! May eternal be our Montenegro! Human: 아래 클레멘스_프리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클레멘스 프리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클레멘스 프리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클레멘스 프리츠 개인 정보전체 이름 Clemens Fritz출생일 1980년 12월 7일(1980-12-07) (38세)출생지 동독 튀링겐주 에르푸르트키 1.83m포지션 라이트 백 / 수비형 미드필더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1999–2001 2001–2003 2003–2006 2006–2017 합계 로트바이스 에르푸르트 카를스루에 SC 바이어 레버쿠젠 베르더 브레멘 057 0(14) 061 00(7) 043 00(2) 288 00(5) 431 0(28)국가대표팀 기록2001 2002 2006–2008 독일 U-21 독일 팀 2006 독일 001 00(0) 001 00(0) 022 00(2)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클레멘스 프리츠 (Clemens Fritz, 1980년 12월 7일, 에르푸르트 ~) 는 독일의 전 축구 선수로, 선수 생활 초반에는 주로 풀백 포지션에서 활약 했으나 후반부에는 주로 중앙 미드필더와 윙어으로 활약하고 있다. 그는 페이싱, 패스, 팀워크십에 뛰어난 선수로 알려져 있다. 목차 1 클럽 경력 2 국가대표 경력 2.1 UEFA 유로 2008 3 수상 4 기록 5 외부 링크 클럽 경력[편집] 프리츠는 레기오날 리가에 속해 있는 FC 로트바이스 에르푸르트에서 프로 데뷔를 경기를 치렀다. 2001년 여름, 그는 2 분데스리가의 클럽 카를스루에 SC로 이적하여 32경기 출장, 5골을 기록하였다. 2003년, 그는 바이어 04 레버쿠젠에 입단하였으나, 그는 주전으로 뛰기 위해 친정 카를스루에로 다시 임대되었다. 그는 2003-04 시즌에 레버쿠젠 1군에 돌아와, 시즌 초반에는 2군에서, 시즌 후반에는 1군에서 활약을 하였다.프리츠는 그 시즌 1군에서 14경기 이상 출장하였고, 레버쿠젠은 다음 시즌에 UEFA 챔피언스리그 진출을 하였다. 2004년, 그는 로트바이스 에센과의 프리시즌에서 다리가 골절되어, 시즌 전체를 결장하였다. 이후 2006년 여름에 SV 베르더 브레멘으로 이적해 지금 까지 활약하고 있으며, 2011-12 시즌 부터는 브레멘의 주장으로 임명되어 활약하고 있다. 프리츠는 당초 2015-16시즌이 종료되면 선수 생활에서 은퇴 하겠다고 선언 했었으나, 2016년 4월 28일 은퇴를 번복하고 2017년까지로 계약을 1년 연장했다. 국가대표 경력[편집] 프리츠는 2006년 10월 7일 조지아와의 경기에서 독일 대표팀 데뷔 경기를 치렀고, 이후 2008년까지 독일 국가대표로 A매치에 출전했다. UEFA 유로 2008[편집] 프리츠는 오스트리아와 스위스에서 열린 UEFA 유로 2008의 독일 국가대표 최종 23인 엔트리에 발탁되었다. 그는 독일의 조별리그 1라운드인 폴란드전에 출장하였고, 팀은 2-0으로 승리하였다. 그는 이어지는 크로아티아와의 2차전 경기에도 출장하였으나, 1-2로 패하였다. 수상[편집] SV 베르더 브레멘 분데스리가 준우승: 2008-09 DFB-포칼 우승 : 2008-09 준우승 : 2009-10 DFB-리가포칼 우승 : 2005-06 UEFA컵 준우승 : 2008-09 국가대표팀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 : 2008 기록[편집] 클럽 시즌 리그 컵 유럽 합계 리그 출장 골 출장 골 출장 골 출장 골 로트바이스 에르푸르트 2000–01 남부 레기오날 리가 32 10 1 0 – 33 10 카를스루에 SC 2001–02 2. 분데스리가 31 5 1 0 – 32 5 2002–03 30 2 1 0 – 31 2 카를스루에 SC 합계 61 7 2 0 – 63 7 바이어 레버쿠젠 2003–04 분데스리가 14 1 1 0 – 15 1 2004–05 0 0 0 0 1 0 1 0 2005–06 29 1 1 0 2 0 32 0 바이어 레버쿠젠 합계 43 2 2 0 3 0 48 2 베르더 브레멘 2006–07 분데스리가 32 1 0 0 12 1 44 2 2007-08 23 1 0 0 8 0 31 1 2008–09 24 0 6 0 12 0 42 0 2009–10 30 1 6 0 18 0 54 1 2010–11 29 0 2 0 6 1 37 1 2011–12 32 1 1 0 – 33 1 2012–13 22 0 1 0 – 23 0 2013–14 22 0 1 0 – 23 0 2014–15 27 0 3 1 – 30 1 2015–16 29 1 4 0 – 33 1 2016–17 18 0 1 0 – 19 0 브레멘 합계 288 5 25 1 56 2 369 8 클럽경력 합계 406 24 29 1 59 2 494 27 외부 링크[편집] (독일어) 공식 홈페이지 (독일어) Clemens Fritz Werder.de vdeh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 UEFA 유로 2008 준우승 1 레만 2 얀젠 3 A. 프리드리히 4 프리츠 5 베스테르만 6 롤페스 7 슈바인슈타이거 8 프링스 9 고메스 10 뇌빌 11 클로제 12 엥케 13 발라크 (주장) 14 트로호프스키 15 히츨슈페르거 16 람 17 메르테자커 18 보로프스키 19 오동코어 20 포돌스키 21 메첼더 22 쿠라니 23 아들러 감독: 뢰프 전거 통제 VIAF: 160051208 GND: 142801003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클레멘스_프리츠&oldid=22972037" 분류: 1980년 태어남독일의 축구 선수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FC 로트바이스 에르푸르트의 축구 선수카를스루에 SC의 축구 선수바이어 04 레버쿠젠의 축구 선수베르더 브레멘의 축구 선수UEFA 유로 2008 참가 선수살아있는 사람축구 풀백축구 윙어축구 수비수독일 U-21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데스리가의 축구 선수2. 분데스리가의 축구 선수숨은 분류: 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Malagasy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Plattdüütsch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lovenščina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1일 (일) 02: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클레멘스 프리츠(Clemens Fritz, 1980년 12월 7일, 에르푸르트 ~)는 독일의 전 축구 선수로, 선수 생활 초반에는 주로 풀백 포지션에서 활약 했으나 후반부에는 주로 중앙 미드필더와 윙어으로 활약하고 있다. 그는 페이싱, 패스, 팀워크십에 뛰어난 선수로 알려져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클레멘스 프리츠가 카를스루로 이적한 것은 몇년도 입니까? Assistant: 2001년
Human: 아래 부케팔로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부케팔로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부케팔로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부케팔라스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셀레우코스 1세 주화에 묘사된 부케팔로스 부케팔로스(고대 그리스어: Βουκέφαλος, 기원전 355년경 ~ 기원전 326년) 또는 부케팔라스 (Βουκεφάλας)는 알렉산더 대왕의 말이자 고전 고대 역사상 실제하는 가장 유명한 말이다.[1] 부케팔로스는 그리스어로 βούς(소)와 κεφαλή(머리)를 조합한 단어로 "소머리"라는 뜻이다. 부케팔로스는 기원전 326년 히다스페스 전투 후에 죽었고, 젤룸 바깥쪽에 있는 잘랄푸르 샤리프라는 마을에 묻혔다.[2] 목차 1 부케팔로스 길들이기 2 알렉산더와 부케팔로스 3 같이 보기 4 각주 5 외부 링크 부케팔로스 길들이기[편집] 부케팔로스를 길들이고 있는 알렉산더 부케팔로스는 온몸에 검은 털을 두르고, 이마에 커다란 흰색 별모양이 있으며, 몸집과 머리가 매우 크고 사나운 말로 묘사되고 있다. 플루타르크의 《플루타르크 영웅전》에는 기원전 344년 12살[3]의 알렉산더가 부케팔로스를 어떻게 길들이는지 전하고 있다.[4] 필로니쿠스라는 이름의 테살리아 말 장수는 마케도니아의 왕 필리포스 2세에게 13 달란트에 부케팔로스를 팔겠다고 제안했지만, 아무도 사나운 부케팔로스를 길들일 수 없었기 때문에, 필리포스 2세는 그 말에 관심이 없었다. 그러나, 필리포스 2세의 아들 알렉산더가 자신이 그 말을 길들여 보겠다고 나섰다. 알렉산더는 만약 자신이 그 말을 길들이지 못하면, 말 값을 대신 지불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어루만지듯 부드럽게 부케팔로스에게 다가가서, 부케팔로스를 태양 쪽으로 향하게 돌려세웠다. 그래서 부케팔로스가 더 이상 자신의 그림자를 보지 못하게 했는데, 그 그림자가 부케팔로스를 흥분시킨 원인이었기 때문이다. 태양을 등지고 있던 부케팔로스는 태양을 정면으로 바라보자 얌전해졌다. 자신의 펄럭이는 망토를 벗고 말 등에 올라타서 공터를 한바퀴 돌고 난 뒤, 알렉산더는 부케팔로스를 성공적으로 길들였다. 플루타르크 영웅전에는 필리포스 2세가 이 사건에 매우 감동하여 "오 나의 아들아, 네게 맞는 왕국은 너 스스로 찾아라, 마케도니아는 네게 너무 작은 것 같구나."라고 말했다고 전한다.[4] 알렉산더와 부케팔로스[편집] 폼페이 유적에서 발견된 그림에 등장하는 알렉산더와 부케팔로스 부케팔로스는 알렉산더 대왕의 애마이자 군마로서, 수많은 전투에서 알렉산더와 함께했다. 폼페이 유적에서 발견된 그림에서도 알렉산더는 부케팔로스를 타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부케팔로스는 히다스페스 전투에서 치명상을 입어서 기원전 326년 6월 30살의 나이에 죽었다. 알렉산더 대왕은 부케팔로스를 기리기 위하여 알렉산드리아 부케팔로스라는 도시를 건설하였다. 그 도시는 현재 젤룸 강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5] 부케팔로스는 현재 젤룸 외곽에 있는 잘랄푸르 샤리프라는 마을에 매장되었다고 한다.[6] 알렉산더와 연관되어 있는 부케팔로스의 전설 중에는 그들이 동시에 태어났다는 허구도 있다. 알렉산더 로망스 중에 어떤 것은 그들의 죽음을 동일시하기도 한다.[7] 같이 보기[편집] 적토마 각주[편집] ↑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페가소스, 나무로 만들어진 트로이 목마, 로마 황제 칼리굴라가 가장 아끼는 말인 인키타투스 제외 ↑ The primary (actually secondary) accounts are two: Plutarch's Life of Alexander, 6, and Arrian's Anabasis Alexandri V.19. ↑ 13살이라는 설도 있다. ↑ 가 나 Arthur Hugh Clough (editor), John Dryden (translator), Plutarch's 'Lives', vol. II, Modern Library, 2001. ISBN 0-375-75677-9 ↑ Rolf Winkes, "Boukephalas", Miscellanea Mediterranea (Archaeologia Transatlantica XVIII) Providence 2000, pp. 101–107. ↑ Michael Wood, "In the footsteps of Alexander the Great". ↑ Andrew Runni Anderson, "Bucephalas and His Legend" The American Journal of Philology 51.1 (1930:1–210.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부케팔로스 Bucephalus, the Conqueror's Horse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부케팔로스&oldid=24412268" 분류: 기원전 355년 태어난 동물기원전 326년 죽은 동물알렉산드로스 대왕고대 그리스군마유명한 말숨은 분류: 고대 그리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기타 외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Frysk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मराठीNederlandsNorskOccitanਪੰਜਾਬੀPolski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1일 (화) 18:2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부케팔로스(고대 그리스어: Βουκέφαλος, 기원전 355년경 ~ 기원전 326년) 또는 부케팔라스(Βουκεφάλας)는 알렉산더 대왕의 말이자 고전 고대 역사상 실제하는 가장 유명한 말이다. 부케팔로스는 그리스어로 βούς(소)와 κεφαλή(머리)를 조합한 단어로 "소머리"라는 뜻이다. 부케팔로스는 기원전 326년 히다스페스 전투 후에 죽었고, 젤룸 바깥쪽에 있는 잘랄푸르 샤리프라는 마을에 묻혔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사나운 말로 알려진 부케팔로스를 누가 길들였을까? Assistant: 알렉산더 Human: 아래 씽_(음악_그룹)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씽 (음악 그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씽 (음악 그룹)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씽XING 기본 정보 국가 대한민국 장르 K-pop 댄스 팝 활동 시기 2006년 ~ 2009년 소속사 씽 엔터테인먼트 이전 구성원 유메천혜성마루미르케빈팝핀드래곤젠화이트허스키윤건기파랑라이징소울김완철진현진황두환김진완 씽(XING)은 대한민국의 보이 그룹이었다. 목차 1 멤버 1.1 1기 1.2 2기 1.3 3기 1.4 4기 1.5 5기 2 음반 목록 3 외부 링크 멤버[편집] 1기[편집] 이름 소개 유메 출생일과 나이: 1988년 5월 6일(1988-05-06) (31세) 본명은 김영경 드라마 《멘탈사수》 (2014) 출연 천혜성 출생일과 나이: 1990년 5월 4일(1990-05-04) (29세) 본명은 최성수 《보이스 코리아》 (2012) 출연 마루미르 출생일과 나이: 1990년 12월 29일(1990-12-29) (28세) 본명은 김기범 유키스로 데뷔 케빈 출생일과 나이: 1991년 11월 25일(1991-11-25) (27세) 유키스로 데뷔 2기[편집] 이름 소개 유메 천혜성 케빈 팝핀드래곤 출생일과 나이: 1989년 12월 19일(1989-12-19) (29세) 본명은 용준형 비스트로 데뷔 젠 출생일과 나이: 1990년 6월 12일(1990-06-12) (29세) 본명은 남진현 현재 현대무용가로 활동중 《댄싱9》 (2013) 출연 2011년 전국수리무용콩쿠르 현대무용 부문 대상 2011년 그리스 헬라스 국제무용 콩쿠르 금상 3기[편집] 이름 소개 케빈 젠 화이트 출생일과 나이: 1990년 6월 28일(1990-06-28) (29세) 본명은 이수훈 미카라는 이름으로 대국남아 데뷔 허스키 출생일과 나이: 1991년 7월 22일(1991-07-22) (27세) 본명은 우현민 현민이라는 이름으로 대국남아 데뷔 윤 출생일과 나이: 1990년 6월 20일(1990-06-20) (29세) 본명은 김지상 2014년 젝시(XXXY)라는 이름으로 솔로 데뷔 건 출생일과 나이: 1992년 5월 28일(1992-05-28) (27세) 본명은 신광철 《얼짱시대》 (2009) 출연 딩동댕 유치원 밴드 출신 기파랑 출생일과 나이: 1994년 3월 31일(1994-03-31) (25세) 본명은 전지환 Jay라는 이름으로 대국남아 데뷔 4기[편집] 이름 소개 케빈 젠 화이트 허스키 윤 건 기파랑 라이징 출생일과 나이: 1991년 6월 28일(1991-06-28) (28세) 본명은 박현철 가람이라는 이름으로 대국남아 데뷔 소울 출생일과 나이: 1992년 3월 9일(1992-03-09) (27세) 본명은 이인준 인준이라는 이름으로 대국남아 데뷔 5기[편집] 이름 소개 황두환 출생일과 나이: 1994년 1월 30일(1994-01-30) (25세) 두환이라는 이름으로 Apeace 데뷔 김완철 출생일과 나이: 1992년 4월 13일(1992-04-13) (27세) 완철이라는 이름으로 Apeace 데뷔 진현진 출생일과 나이: 1993년 7월 20일(1993-07-20) (25세) 진이라는 이름으로 엑스파이브 데뷔 김진완 출생일과 나이: 1995년 9월 7일(1995-09-07) (23세) 설후라는 이름으로 엑스파이브 데뷔 진완라는 이름으로 루커스 (현 L.A.U) 데뷔 음반 목록[편집] In Your Hands (2006년, 1기) My Girl (2007년, 2기) My Girl (2008년, 3기) T Express (2008년, 3기) Memorize (2008년, 4기, 씽 오페라) In Your Hands (2008년, 씽 하모니) 사랑 (2009년, 씽 아리아) Hi-Five Xing Opera (2009년, 씽 오페라) 외부 링크[편집] 이 글은 음악 그룹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씽_(음악_그룹)&oldid=24256885" 분류: 대한민국의 팝 음악 그룹대한민국의 댄스 음악 그룹2006년 결성된 음악 그룹2009년 폐지대한민국의 보이 밴드K-pop 음악 그룹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음악 그룹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ไทย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1일 (화) 20: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씽(XING)은 대한민국의 보이 그룹이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씽의 맴버 김완철의 나이는? Assistant: 1992
Human: 아래 캔버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캔버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캔버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캔버라 Canberra 캔버라남위 35° 18′ 29″ 동경 149° 07′ 28″ / 남위 35.30806° 동경 149.12444°  / -35.30806; 149.12444좌표: 남위 35° 18′ 29″ 동경 149° 07′ 28″ / 남위 35.30806° 동경 149.12444°  / -35.30806; 149.12444 행정 나라 오스트레일리아 지역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준주 행정구역 7구 역사 설립 1913년 3월 12일 인구 인구 403,468 명 (2016년) 인구밀도 428.6 명/km2 지리 면적 814.2 km2 기타 시간대 UTC+10UTC+11 캔버라 시 의회 캔버라(영어: Canberra, [kænb(ə)rə], [kænbɛrə][1], 문화어: 캔베라)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수도이다. 오스트레일리아 내륙에서 가장 큰 도시이며, 전국에서는 8번째로 큰 도시이다. 이 도시는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준주의 북쪽 끝에 있으며, 시드니에서 남서쪽으로 280 km, 멜버른에서 북동쪽으로 660 km 떨어진 곳에 자리잡고 있다. 캔버라의 거주민을 "캔버런(Canberran)"이라고 한다.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정부가 있는 도시이며 오스트레일리아 국회의사당을 포함하여 연방 정부 산하 행정기관 대부분이 이 도시에 자리하고 있다. 목차 1 역사 2 지리 3 기후 4 행정 5 도시 구조 6 문화 6.1 문화시설 6.2 스포츠 7 교통 7.1 항공 7.2 철도 7.3 도시철도 7.4 시외버스 7.5 도로 7.6 대중교통 8 교육 9 자매도시 10 각주 11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01년 오스트레일리아가 대영제국의 자치령이 됐을 때, 수도의 자리를 놓고, 멜버른과 시드니가 충돌하였다. 1908년에 오스트레일리아의 양대 대도시인 시드니와 멜버른이 타협 끝에 캔버라 땅을 국가 수도 입지로 선정하였다. 1911년에 이 두 도시 간의 자본 싸움을 끝내기 위해, 캔버라의 건설이 시작되어, 캔버라는 뉴사우스웨일즈 주에서 분리되었다. 멜버른과 시드니 사이에 직선을 뺀 거의 중간 지점에 있기 때문에 이 땅에 캔버라가 건설되었다. 캔버라는 브라질의 수도 브라질리아와 더불어 계획 도시로 유명하다. 도시 설계를 놓고 국제 경연을 열어 시카고의 건축가 월터 벌리 그리핀과 매리언 매호니 그리핀이 선정되었으며 1913년에 도시 건설이 시작되었다. 캔버라의 설계는 전원 도시 운동에서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도시내에 넓은 자연 초지를 받아들여 캔버라는 "숲이 우거진 수도"(Bush Capital)란 별명을 얻었다. 1915년 저비스 베이 준주는 연방수도의 바다에 밖으로 연방 정부에 이양되었다. 1927년 임시 수도 멜버른에서 캔버라로 천도하고 1929년에 처음으로 캔버라 국회가 열렸다. 1960년에 일단 캔버라는 완성되었다. 캔버라는 미국인 건축가 월터 벌리 그리핀에 의해 설계된 인공 도시이며, 그의 이름 붙여진 인공 호수 벌리 그리핀 호수가 있다. 세계 대전과 대공황으로 캔버라의 발전이 지체되기도 하였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번영하는 도시로 부상하였다. 1989년 ACT는 내부의 자치를 확립했다. 지리[편집] 캔버라의 인구는 311,000명(2001년 인구 조사)으로, 국내 제 8위 규모이지만, 해상 교통이 없는 내륙 도시로는 아주 규모가 큰 도시에 속한다. 계획적으로 부도심 위성 지구를 개발하고 있다. ACT 영역 내에서 개발 지구가 아닌 도시라고 할 수 있는 대규모 취락은 없다. 경계를 넘어가면 뉴사우스 웨일즈 퀴인비얀이 계획되지 않은 위성 도시가 되고 있다. 표준시는 뉴사우스 웰일스 주와 같은 오스트레일리아 동부 표준시이다. 즉 UTC+10시간으로 서머타임이 적용되는 10월의 첫 번째 일요일 아침부터 다음 해 4월의 첫 번째 일요일 이른 아침까지는 1시간 빨리 시간을 계산한다. 기후[편집] 캔버라는 비교적 건조한 대륙성 기후로 내륙의 고원 지대에 있기 때문에 따듯하고, 더운 여름과 호주에서 가장 추운 도시로 한겨울에는 영하의 기온으로 내려가는 경우도 많다.[2] 캔버라 공항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최고기온기록 °C (°F) 41.4 (106.5) 42.2 (108) 37.5 (99.5) 32.6 (90.7) 24.5 (76.1) 20.1 (68.2) 19.7 (67.5) 24.0 (75.2) 28.6 (83.5) 32.7 (90.9) 38.9 (102) 39.2 (102.6) 42.2 (108) 평균최고기온 °C (°F) 28.0 (82.4) 27.1 (80.8) 24.5 (76.1) 20.0 (68) 15.6 (60.1) 12.2 (54) 11.3 (52.3) 13.0 (55.4) 16.2 (61.2) 19.4 (66.9) 22.7 (72.9) 26.1 (79) 19.7 (67.5) 평균최저기온 °C (°F) 13.2 (55.8) 13.1 (55.6) 10.7 (51.3) 6.7 (44.1) 3.2 (37.8) 1.0 (33.8) −0.1 (31.8) 1.0 (33.8) 3.2 (37.8) 6.1 (43) 8.8 (47.8) 11.4 (52.5) 6.5 (43.7) 최저기온기록 °C (°F) 1.8 (35.2) 3.0 (37.4) −1.1 (30) −3.7 (25.3) −7.5 (18.5) −8.5 (16.7) −10.0 (14) −8.5 (16.7) −6.4 (20.5) −3.3 (26.1) −1.8 (28.8) 1.1 (34) −10.0 (14) 평균 강수량 mm (인치) 58.5 (2.3) 56.4 (2.22) 50.2 (1.98) 46.4 (1.83) 44.1 (1.74) 40.7 (1.6) 41.2 (1.62) 46.0 (1.81) 52.2 (2.06) 61.2 (2.41) 63.9 (2.52) 53.8 (2.12) 615.5 (24.23) 평균강수일수 7.3 6.7 6.9 7.3 8.3 9.8 10.4 11.0 10.3 10.4 9.7 7.8 105.9 평균 월간 일조시간 294.5 254.3 251.1 219 186 156 179.8 217 231 266.6 267 291.4 2,813.7 출처: [3] 행정[편집] 오스트레일리아 정부의 소재지인 캔버라에는 의회 의사당과 오스트레일리아 고등 법원을 비롯하여 수많은 정부 관청이 있다. 그 밖에도 오스트레일리아 전쟁 기념관,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미술관,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박물관,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도서관과 같은 국가 수준의 여러 사회 문화 기관도 이 곳에 있다. 연방 정부는 수도 준주의 총생산에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캔버라에서 단일 기관으로는 가장 규모가 큰 고용처이다. 도시 구조[편집] 의회 삼각지 등 그리핀의 계획 중 일부를 보여주고 있는 캔버라 내부 지도. 캔버라 위성 사진. 수도 캔버라, 도시 정면 사진 캔버라는 계획 도시로, 미국의 건축가 월터 벌리 그리핀이 설계하였다.[4] 주요 도로는 격자꼴이 아닌 바퀴와 바퀴살 모양으로 뻗어있다.[5] 도심지는 두 수직축에 자리잡고 있는데, 수변축은 벌리 그리핀 호이며, 의례적 육지축은 캐피털 힐의 의회 의사당에서 북동쪽으로 앤잭 대로를 따라 애인슬리 산 기슭 오스트레일리아 전쟁 기념관으로 뻗은 축이다.[6] 벌리 그리핀의 세 축을 통하여 의회 삼각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 축은 캐피털 힐에서 연방 대로를 따라 시티 힐 주변 공무 중심지로 이어지며, 두 번째는 이 곳에서 헌법 대로를 따라 러셀 힐의 국방부 구역까지이고, 마지막으로 여기서 킹스 대로를 따라 다시 캐피털 힐에 이른다.[6] 캔버라의 도시 배치는 더 넓게 보면 도시 주변 세 산봉우리인 애인슬리 산, 블랙 산, 레드 힐에 기반을 두고 있다. 앤잭 대로와 애인슬리 산-빔버리 봉 사이의 대략적인 선이 도시의 주요 대칭축을 이루고 있다. 수도 준주에서 가장 높은 산인 빔버리 봉은 캔버라에서 남서쪽으로 대략 52 km 떨어져 있다. 앤잭 대로의 정확한 위치는 애인슬리 산과 캐피털 힐(과거의 쿠라종 힐) 사이이다. 그리핀 부부는 애인슬리 산, 블랙 산, 레드 힐에 정신적인 가치를 부여하였으며, 원래 꽃으로 각 산을 뒤덮을 계획이었다. 세 산에 덮을 꽃은 각자 단일하게 원색으로 정하여 정신적인 가치를 나타낼 생각이었던 것이다. 이 부분은 실행되지 않았다. 사실 제1차 세계 대전으로 도시 건설 공사가 중단되었으며, 전후 다툼이 벌어져 그리핀의 계획을 실시하기 어려워졌다. 그렇지만 캔버라는 모범적인 도시 설계로 들어섰으며, 도중에 스키장과 해변 사이에 건설되었다. 지리적인 요소 덕분에 자연 냉각의 덕을 보았다. 캔버라의 도시 지역은 산업 단지나 마을을 비롯하여 구역, 도심, 공동체 중심지, 지역 교외의 위계로 나뉘어 조직되었다. 캔버라에는 일곱 구역이 있는데, 각 구역은 교외 지역으로 구획되었으며, 교외지 대부분은 각자 도심을 두고 있으며 이곳은 상업과 사회 활동의 장으로 주로 쓰인다. 캔버라의 각 구역은 설립 시간 순서대로 배열하면 다음과 같다. 캔버라센트럴 구 노스캔버라,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사람들이 정착하여 1960년대까지 확대되어 지금은 14개 교외지를 두고 있다. 사우스캔버라, 1920년대부터 1960년대 사이에 사람들이 정착하였다. 13개 교외지. 워든밸리 구, 1963년에 처음으로 사람들이 정착. 12개 교외지. 벨커넨 구, 1967년에 처음으로 사람들이 정착 25개 교외지. 웨스턴크리크 구, 1969년에 사람들이 정착. 8개 교외지. 터게라농 구, 1974년에 사람들이 정착. 19개 교외지. 건갈린 구, 1990년대 초에 사람들이 정착. 18개의 교외지가 있으나 이 가운데 12곳만 개발되었거나 개발 중이다. 몰롱글로밸리 구, 2009년에 개발이 시작되었다. 12개 교외지가 계획되어 있다. 문화[편집] 문화시설[편집] 호주 국립 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호주 국립 박물관 (National Museum of Australia) 호주 국립 미술관 (National Gallery of Australia) 국립 과학 기술 센터(QUESTACON : 미술관 / 박물관) 스포츠[편집] 오스트레일리아 스포츠 연구소의 본부 및 주요 시설이있다. 럭비유니온 슈퍼 14: : 부럼비즈 럭비 리그 NRL: : 캔버라 레이더스 농구 WNBL : : 캔버라 캡피탈즈, AIS 교통[편집] 캔버라 국제공항 터미널 캔버라 철도역 항공[편집] 캔버라 국제공항에서 동부 근교에 위치한 뉴사우스 웨일즈 남부와 시드니, 멜버른, 브리즈번, 애들레이드, 퍼스 사이에 정기 항공편이 운항한다. 철도[편집] 시내 남동부 킹스톤 캔버라 역(Canberra railway station)은 캔버라의 건설에 필요한 자재를 수송했다. 현재는 시드니와 여객 특급 열차가 운행하고 있다. 도시철도[편집] 캔버라 도시철도 는 2018년 8월 개통예정인 도시철도 체계이다. 시외버스[편집] 도심지역의 졸리몬트 관광객 센터 (Jolimont Tourist Centre)는 고속 버스터미널에서 시드니와 멜버른에 노선이 발착한다. 도로[편집] 고속도로는 뉴사우스 웨일즈 남부의 각 도시에 방사상으로 뻗어있다. 시드니 - 멜버른 사이 내륙 쪽을 연결하는 흄 하이웨이에 접속 지점은 캔버라 북쪽 야스이다. 대중교통[편집] 캔버라 시내의 많은 대중 교통은 국영 호주 수도 특별 자치구의 버스 네트워크(Australian Capital Territory Internal Omnibus Network, ACTION 영어 공식)이다. 교육[편집] 호주국립대학교 캔버라에는 두 개의 4년제 국공립대학이 있다. 첫째는 호주국립대학교이다. 호주국립대학교는 연방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유일한 대학이다. 강력한 정부지원 속에 급성장하여, GO8 중 멜번대학과 함께 최고 대학으로 평가 받고 있다. 또 다른 대학은 수도 대학인 캔버라 대학교이다. 캔버라 대학교는 공중보건, 디자인, 건축, 교육학, 정치학, 공공정책, 응용생태학, 커뮤니케이션이 주요 프로그램이며, 특히 교육학 프로그램은 캔버라 및 ACT 지역의 공립 초/중/고등학교의 교사양성 및 재교육을 전담하고 있고, 공중보건 프로그램내의 간호사 양성프로그램은 인기가 높다. 캔버라에 위치한 대학교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호주국립대학교 캔버라 대학교 그외 호주 국방 대학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부속) 자매도시[편집] 미국 애틀란타 일본 나라 시 중국 베이징 시 각주[편집] ↑ Macquarie ABC Dictionary, The Macquarie Library Pty Ltd, 2003, p.144, isbn 0 876429 37 2. ↑ “Climate of Canberra Area”. Bureau of Meteorology. 2010년 5월 13일에 확인함.  ↑ “Climate statistics for Australian locations”. 오스트레일리아 기상청. 2010년 3월 19일에 확인함.  ↑ Wigmore, pp. 60–63. ↑ Wigmore, p. 67. ↑ 가 나 Wigmore, p. 64. 외부 링크[편집] (영어) 공식 웹사이트 캔버라 한인회 캔버라 - 세계기상정보서비스 날씨 예보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캔버라 vdeh오스트레일리아의 수도와 주도수도 준주노던 준주뉴사우스웨일스빅토리아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퀸즐랜드태즈메이니아 캔버라 다윈 시드니 멜버른 애들레이드 퍼스 브리즈번 호바트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40704500 LCCN: n79021725 GND: 4085133-3 BNF: cb11994778j (데이터) NDL: 00650639 NKC: ge43242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캔버라&oldid=24181180" 분류: 캔버라오스트레일리아 수도 준주오스트레일리아의 주도오세아니아에 위치한 수도계획도시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문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cèhАдыгабзэ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বাংলাབོད་ཡིགBrezhonegBosanskiCatalàMìng-dĕ̤ng-ngṳ̄НохчийнCebuanoکوردیČeštinaСловѣньскъ / ⰔⰎⰑⰂⰡⰐⰠⰔⰍⰟ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ArpetanFryskGaeilgeGàidhligGalegoHausa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Hornjoserbsce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Bahasa IndonesiaInterlingue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QaraqalpaqshaTaqbaylitҚазақшаKalaallisutKurdîКыргызчаLatinaLadinoLëtzebuergeschLigureLumbaartLietuviųLatviešuमैथिलीMalagasyОлык марийMāori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Dorerin Naoero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ଓଡ଼ିଆИронਪੰਜਾਬੀPapiamentuDeitschNorfuk / Pitkern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संस्कृतम्Саха тылаSicilianuScotsسنڌي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Gagana SamoaChiSho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eelterskSvenskaKiswahiliŚlůnskiதமிழ்TetunТоҷикӣไทยTagalogTok Pisin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TwiReo tahitiУдмурт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epsän kel’Tiếng ViệtVolapükWinaray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VahcuenghZeêuws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19: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캔버라(영어: Canberra, [ˌkænˈb(ʔəɦ)rə], [ˌkænˈbɛrə])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수도이다. 오스트레일리아 내륙에서 가장 큰 도시이며, 전국에서는 8번째로 큰 도시이다. 이 도시는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준주의 북쪽 끝에 있으며, 시드니에서 남서쪽으로 280 km, 멜버른에서 북동쪽으로 660 km 떨어진 곳에 자리잡고 있다. 캔버라의 거주민을 "캔버런(Canberran)"이라고 한다.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정부가 있는 도시이며 오스트레일리아 국회의사당을 포함하여 연방 정부 산하 행정기관 대부분이 이 도시에 자리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계획 도시 캔버라는 누가 설계하였는가? Assistant: 월터 벌리 그리핀 Human: 아래 한국기독교군선교연합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한국기독교군선교연합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기독교군선교연합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5년 12월) 한국기독교군선교연합회 설립일 1972년 5월 29일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6길 70 군선교연합회관 예산 10,230,000,000원(2014년) 기관장 이사장 곽선희 목사 산하기관 * 한국군선교연구소 한국군선교신학회 비전2020실천운동본부 한국군선교교육원 한국군상담심리코칭학회 군선교신문사 국내 16개 지회, 해외 10개 지회 웹사이트 한국기독교군선교연합회 - 공식 웹사이트 한국기독교군선교연합회(Military Evangelical Association of Korea, 약칭: MEAK)는 대한민국 군대 내에서의 개신교 선교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국군의 중앙선교행정기관으로, 1972년 5월 29일 발족했다. 현재 이사장은 곽선희 목사이다. 이 단체는 월간지 《군선교신문》을 발행하고 있고 각종 군선교 관련 책자와 홍보물 등 대외적으로 군선교를 위하여 사역하고 있다. 목차 1 역사 2 목적 3 주요 사업 3.1 진중세례 3.2 예배당건축 3.3 선샤인 캠패인(Sunshine Campaign) 3.3.1 5대 실천사항 3.4 비전2020실천운동 4 비판 5 외부 링크 역사[편집] 대한민국의 군선교는 1948년 9월 15일 해군에서 정달빈 목사로부터 시작됐다. 당시 한국군에는 군종제도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군종제도는 한국전쟁 중 최초로 실시됐다. 한국의 군종제도는 한국전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던 중 한 카투사가 이승만 대통령에게 “우리 군에도 성직자가 들어와 전투에 임하는 장병들의 가슴에 신앙의 철판으로 무장시키고, 기도로 죽음의 두려움을 없게 하여 주시고 믿음을 갖고 죽게 하옵소서”라고 편지를 썼고 이승만 대통령에 의해 1951년 2월 7일 군종제도가 창설되었다. 당시 한국군에서는 32명의 군종목사가 최초로 임명되어 활동했으며 현재는 260여명의 군종목사들이 육·해·공군·해병대에서 군선교 사역을 하고 있다. 한국기독교군선교연합회(MEAK)는 한국군의 군목제도가 창설되면서부터 한국교회적으로 군내군종활동을 지원하기 위해서 서서히 태동하기 시작됐다. 한국기독교군선교연합회는 군 복음화를 위한 한국 기독교 종단의 공식대표 기관이며 초교파 범교회적으로 지난 1972년 한경직 목사를 중심으로 설립되었다. 1976년 군복음화후원회로 개칭한 한국기독교군선교연합회는 1999년에 이르러 현재 명칭을 갖게 됐다. 군선교 공식 법인 기관인 군선교연합회는 대한민국 국방부 공식 지정 대한민국의 군선교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종합적인 총 관리센터이다. 16개의 국내지회와 10개 국외지회와 함께 군선교의 핵심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군선교연합회는 장병전도와 진중세례식, 예배당건축 사업을 위하여 한국교회와 성도들의 후원으로 수많은 열매를 맺고 있으며 군복음화는 물론 민족복음화를 향하여 증진해 나가고 있다. 회원교회와 개인회원을 관리하는 업무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한국교회 군선교 사역은 예수님의 지상명령인 마태복음 28:19~20 말씀인 "너희는 가서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고 내가 너희에게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는 이 말씀을 핵심가치로 삼아 운영되고 있다. 목적[편집] *거룩한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위하여 예수님의 지상명령을 실천하고 전민족 및 인류구원을 위하여 정진한다. 사랑하는 조국 대한민국을 건강한 나라로 만들기 위하여 바른 신앙으로 20대 청년장병들을 복음화하여 인생관, 사상관, 국가관을 확립시키고 모범국민, 모범가정, 모범기독인 배출하여 기독문화를 전파한다. 주요 사업[편집] 진중세례[편집] 연무대 기네스북 등제 기록적 세례식 전경 한반도에서 군사적인 긴장이 고조되고 있던 1970년 초반부터 전군신자화운동을 시작으로 군선교사역이 본격적으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 군에서 전군신자화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되자 교회지도자들은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지원 방법을 논의하였고 사역을 지원하기 위한 공식창구의 설립을 결의했다. 1971년 그 결과로 최초의 진중세례식이 최전방 육군대대에서 시행되었고 154명의 병사 및 지휘관이 세례를 받았다. 그해 11월에는 1,460명이 세례를 받았다. 1972년, 20사단에서는 한국교회를 대표하는 지도자 한경직 목사가 세례식을 집례, 3,478명의 군인들이 세례를 받았다. 한편 제1차 진중세례 운동이 군내 사정으로 중단되었다가, 1990년 육군훈련소에서 다시 점화되어 전군으로 확산 되었는데 이를 제2차 진중세례운동으로 명명하였으며, 한국교회는 21세기 청년전도의 절대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군종목사 파송교단의 공식 후원사업이 되도록 하여 현재까지 셀 수 없는 장병들이 세례를 받았다. 1992년부터 지금[언제?]까지의 집계로는 3,872,154(2015년 3월 기준)명이 세례를 받은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2012년 5월 19일에는 진중세례식 시작 40주년을 기념해 이날 논산 육군훈련소에서 9,519명에게 세례를 베풀었다. 이 세례식은 최대의 수세인원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예배당건축[편집] 한국기독교군선교연합회 산하기관 군선교신문 한국기독교군선교연합회는 군과 민간인을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하고 있다. 군에서 여러 가지 지원요청이 왔을 때 연합회는 한국교회와 회원들에게 후원을 요청, 군에서 요청한 것들이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지원되도록 돕고 있다. 한국기독교군선교연합회는 진중 성전건축(신축, 구조 변경, 보수)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 군선교에 있어 기초가 되는 성전건축을 비롯해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영성훈련, 신학세미나, 제자훈련, 문서선교, 장비지원, 군목지원 등의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그들 노력의 초점은 군인들을 위문하고 기독문서지원, 설교자료 지원, 영상지원, 문서선교 등을 통해 격려하고 있다. 군선교연합회는 현재 최대 성전 건축사업인 연무대교회를 짓고 있다. 선샤인 캠패인(Sunshine Campaign)[편집] 선샤인캠페인 5대 실천사항 선샤인캠페인은 선한 사마리아인의 약자이다. 1004군인교회의 건강한 기독교장병은 선샤인이 된다. 그들은 어려운 장병들에게 다가가 다섯 가지 실천사항으로 그들의 어려움을 나누고 도와주게 된다. 이것은 군대 안의 잘못된 문화와 악습을 개선하는 특별캠페인이다. 5대 실천사항[편집] 선한마음(누가복음 10:30)- 인사하기: 웃으며 인사하기/ 눈을 맞추며 인사하기/ 악수하며 인사하기/ 이름을 부르며 인사하기 정확한 진단(누가복음 10:34)- 경청하기: 마음으로 공감하며 경청하기/ 귀로 집중하며 경청하기/ 입으로 맞장구치며 경청하기/ 눈으로 행동 관찰하며 경청하기 응급조치(누가복음 10:34)- 동행하기: 예배하며 동행하기. 기도하며 동행하기/ 운동하며 동행하기/ 놀이하며 동행하기/ 계속치료(누가복음 10:34)- 칭찬하기: 결과보다 과정을 칭찬하기/ 구체적으로 칭찬하기/ 공개적으로 칭찬하기/ 적절하게 칭찬하기 사후관리(누가복음 10:35)- 선행하기: 부대생활을 친절하게 가르쳐 주는 선행하기/ 힘든 업무 도와주는 선행하기/ 부적응 장병을 식별하여 지휘라인으로 보고하는 선행하기/ 자살을 용이하게 하는 물품 제거하는 선행하기 비전2020실천운동[편집] 구체적이고, 유일한 선교전략인 비전2020실천운동은 인구수의 75%인 3,700만 명을 2020년까지 신자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운동은 21세기 기독교운동으로 한국교회의 부흥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민족복음화, 통일한국 더 나아가 세계복음화를 목표로 하는 운동이다. 이 운동을 통해 군선교연합회는 매년 약 20망명의 진중세례신자들을 회원교회와 연결하고 있다. 세례 받은 신자들의 명단을 받은 회원교회들은 그들이 군생활을 하는 동안 돌보아 준다. 비판[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외부 링크[편집] 한국기독교군선교연합회 - 공식 웹사이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국기독교군선교연합회&oldid=23747183" 분류: 대한민국의 개신교 선교단체대한민국의 사단법인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5년 12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위키데이터에 없는 공식 웹사이트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모호한 표현이 구체적으로 지적된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2월 21일 (목) 17: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韓國基督敎敎會協議會)는 한국 기독교계의 일치 정신을 구현하고 에큐메니컬 운동을 위하여 창설된 범기독교 협의체를 말한다. 1924년 9월 24일 당시 장로교와 감리교의 선교 연합 구축을 위하여 결성된 조선예수교연합공의회에서 시작되었으며 일제의 간섭으로 활동하지 못하였다가 1946년 재발족하였다. 약칭은 NCCK(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이며, 현재 8개의 한국 개신교 교단과 한국 정교회 등 총 9개 교단이 가입해 있다. 제주 4.3항쟁 70주년을 맞이한 2018년 4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정의평화위원회와 인권센터가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제주 4·3 역사 정의와 화해를 위한 기도회’를 열고 제주 4.3 유족들과 국민에게 기독교인이 학살에 동참했던 과거를 사죄했다. 에큐메니컬 운동을 위해 창설된 협의체기 때문에 WCC(세계교회협의회)와도 상당히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사단에서 1972년에 군인들에게 세례를 준 목사의 이름은 무엇인가? Assistant: 한경직
Human: 아래 천이_(생물학)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천이 (생물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천이 (생물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왼쪽 사진은 산불이 나고 한 해가 지난 사진이고, 오른쪽 사진은 두 해가 지난 사진이다. 이렇듯 환경 변화에 따라 생물 군락이 변해 가는 과정을 천이라고 한다. 천이(遷移)는 생물학 분야에서 어떤 생물 군락이 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식물 군락으로 변해가는 과정을 말한다. 예를 들어 산사태나 홍수가 지나간 곳이나 벌목 등으로 생긴 붉은 맨땅은 방치해 두면 어느새 초본류가 자라며, 나무의 싹도 트게 되어 처음에 생긴 식물 군락은 다른 군락으로 바뀌게 된다. 목차 1 천이의 시작 2 천이의 진행 2.1 건생 천이와 습생 천이 2.2 1차 천이와 2차 천이 3 천이와 물질의 생산·축적 4 참고 자료 5 외부 링크 천이의 시작[편집] 천이가 어떤 군락에서 시작하는가는 초기 환경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면, 화산이 폭발하여 새로 흘러나온 용암·속돌·화산재 등이 퇴적된 곳의 지면에는 죽은 생물체로부터 생기는 유기물이나 식물의 씨 또는 포자가 없을 뿐만 아니라, 토지는 비가 내려도 그것을 흙 속에 저장하는 힘(보수력)이 아주 적으므로 건조하기 쉽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좋지 못한 환경에서는 한정된 종류의 식물만이 자랄 수 있다. 즉, 용암의 틈새와 같이 습기가 적은 곳에서 자랄 수 있는 것은 소수의 지의류와 이끼류뿐이다. 이와 같이, 용암 등이 퇴적되는 시기에는 초본류나 목본류가 다소 침입하기는 하나, 주로 지의·이끼류가 자라므로, 이 시기를 ‘선태 지의기’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이 시기의 식물은 포자나 씨가 다른 곳에서 옮겨와 자라므로, 대부분이 날개나 갓털을 이용하여 바람에 날리는 씨를 가지고 있다. 참억새(갓털을 가진 씨), 호장근이나 사방오리(날개를 가진 씨) 등은 초기에 침입하는 종자식물의 예이다. 이러한 초기 식물들은 빗물이나 용암으로부터 녹아나오는 무기 염류를 흡수하여 살아간다. 이와 같은 천이의 첫 번째 식물을 ‘개척자’라고 한다. 천이의 진행[편집] 초기의 군락은 환경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데, 특히 용암 지대의 천이에서는 열이나 빗물에 의한 물리적·화학적인 풍화 작용에 의한다. 즉, 용암이 태양에 의해 데워졌다가 밤에 식게 되면 표면에 작은 틈새가 생긴다. 그 속에 빗물이 들어가거나 녹으면 틈새가 커지게 되어 식물이 쉽게 뿌리를 내릴 수 있다. 또 빗물이 틈새에 들어가면 용암 표면으로부터 무기 염류가 약간 녹아 용암이 풍화되므로 식물이 더욱 쉽게 자랄 수 있게 된다. 그렇지만 이 후에 천이를 진행시키는 원동력은 식물의 반작용이다. 즉, 그 곳에 뿌리를 내린 식물들은 적은 수분과 양분을 이용하여 생장하며 말라죽는 과정을 되풀이하면서 조금씩 부식질을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식물의 뿌리는 점차 틈새에 깊이 파고들어 그 틈을 넓힘으로써 더욱 자라기 쉬운 환경을 만들게 된다 한편, 부식질이 쌓이면 그것을 먹는 진딧물 등의 토양 동물이나 세균류(박테리아)가 살게 되므로 흙이 조금씩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수분의 양도 전보다 많아져 식물의 생장이 활발해지며, 이에 따라 환경 조건 또한 유리하게 된다. 건생 천이와 습생 천이[편집] 천이가 시작되는 초기 환경에 따라서 천이는 몇 가지 종류로 나뉜다. 용암 위에서 시작되는 천이는 건조한 환경에서 시작되므로 '건생 천이(건성 천이)'라 하며, 식물 군락이 천이를 시작해서 안정된 군락으로 되기까지의 변천 과정은 '건생 천이 계열'이라고 한다. 이와 반대로 수중 환경에서 시작되는 천이도 있다. 예를 들면, 산사태로 강이 막혀 만들어진 호수라든가 새로 만들어진 댐이나 호수에서 시작되는 천이가 바로 그것인데, 이것을 '습생 천이(습성 천이)'및 '습생 천이 계열'이라 한다. 이러한 곳에는 주변에서 조금씩 흘러들어오는 흙·모래가 퇴적되며, 물 속에는 플랑크톤이나 수초가 들어와 자리잡게 된다. 수초는 그 생활 모습에 따라 부생 식물·침수 식물·부엽 식물·정수 식물 등으로 나뉜다. '부생 식물'이란 수면에 뜬 상태로 살아가는 식물을 말하는 것으로, 개구리밥이나 생이가래 등이 그것이다. '침수 식물'은 통발 등과 같이 몸 전체가 물 속에 잠겨 있는 식물을 말한다. 한편 '부엽 식물'은 순채나 수련처럼 물 밑의 흙 속에 뿌리를 내리고 잎을 수면에 띄우는 식물이며. '정수 식물'은 부엽 식물과 마찬가지로 뿌리는 물 밑의 흙 속에 내리나 줄기나 잎은 수면 위의 공중에 나와 있는 식물로, 검정말이나 부들 등이 속한다. 이러한 식물들이 생장하며 말라죽는 것을 되풀이하므로 물 밑에는 부식질이 쌓이고, 따라서 호소가 얕아져 습원화되므로 결국은 새로운 식물로 바뀌게 된다. 이와 같은 육지화가 더 진행되면 식물 군락은 관목으로 천이되는데, 이때 천이를 진행시키는 원동력은 바로 식물의 반작용이다. 2차 천이:목본류가 경작하지 않는 초원을 잠식해 오고 있다. 1차 천이와 2차 천이[편집] 식물에서 만들어진 유기물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환경에서 시작되는 천이를 '1차 천이'라고 하며, 그 계열을 '1차 천이 계열'이라 한다. 앞에서 설명한 용암 위에서의 건생 천이는 1차 천이의 좋은 예이다. 이에 대해서 유기물이 있는 환경에서 시작되는 천이는 '2차 천이'라고 하며, 그 계열을 '2차 천이 계열'이라고 한다. 그러나 1차 천이와 2차 천이는 정확히 구별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습생 천이에서는 약간의 유기물이 물과 물 밑의 흙탕에 포함되어 있지만 보통 1차 천이에 포함시킨다. 한편. 2차 천이의 좋은 예는 경작을 중지한 밭이나 산불이 난 자리에서 시작되는 천이이다. 이러한 곳의 토양에는 식물에서 만들어진 유기물이 포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식물의 씨도 들어 있어서 1차 천이보다 쉽게 식물의 침입이 일어나므로, 천이는 1차 천이의 초기 단계를 넘어선 초원에서부터 시작된다. 이 시기에는 귀화 식물이 일시적으로 군락의 우점종이 되는 경우가 많다. 우리 나라의 귀화식물은 개망초·개자리·미루나무·아카시아 등인데, 이들은 다음 시기에 재래 식물 군락으로 바뀌며 이어 관목 군락으로 천이되어 간다. 천이와 물질의 생산·축적[편집] 식물은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와 뿌리에서 흡수한 물을 원료로 하고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탄수화물을 합성한다. 또한, 뿌리에서 흡수한 무기염류(질소·인·칼륨·황·철·마그네슘·염소 등)와 탄수화물을 결합시켜 식물체 안의 원형질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물질 생산은 식물의 생활을 유지시켜줄 뿐만 아니라, 식물을 먹는 초식 동물과 그 동물을 먹는 육식 동물, 또 토양 속의 유기물을 먹고 사는 지렁이나 진딧물·곰팡이·세균류 등의 토양 생물을 존속시켜주고 있다. 천이 초기의 군락에서는 식물체가 작고 성글어 물질 생산량이 적지만 생산된 유기물은 모두 식물체를 이루게 된다. 그 후 유기물의 일부는 떨어진 낙엽이나 나뭇가지에 의해 흙으로 되돌아가고, 또 일부는 동물에게 먹혀 그 몸을 만들게 된다. 이렇게 하여 적은 양이지만 생태계에 꾸준히 유기물이 축적되므로 환경이 변화되어 천이가 진행되는 것이다. 천이가 초본기에서 관목 군락기·양수림기로 진행됨에 따라 순생산량은 증가하여 식물의 뿌리·줄기, 잎의 형태로 축적되며, 그 생물량(현존량)도 증가하므로 군락의 높이는 점차 높아진다. 한편, 축적되어 있는 물질의 일부와 그 해에 생산된 물질의 일부는 동물에게 먹히며, 또 일부는 낙엽·낙지가 되어 땅으로 되돌아가 토양 생물에 의해 분해된다. 유기물이 분해되면 탄수화물은 물과 이산화탄소가 되고 무기 염류는 토양에 들어가서 다시 뿌리로부터 식물체 안으로 흡수된다. 천이 도중에는 생산된 물질 중 동물에게 먹히는 양과 말라죽는 양이 적어서 그만큼 축적되므로 군락의 생물량은 더욱 커지게 된다. 그러나 극상에 이르면 그 순생산량이 말라죽는 양과 동물에게 먹히는 양을 더한 것과 거의 같게 되므로 군락은 더이상 커지지 않는다. 또한, 죽은 생물체가 분해되는 양도 말라죽는 양과 거의 비슷하므로, 무기 염류는 식물체 ,죽은 동식물체·토양 사이를 과부족 없이 순환하게 된다. 따라서, 극상 군락이란 식물의 종류가 더이상 교체되지 않는 안정된 군락을 말하는 것으로, 이 때에는 물질 생산·축적·고사(말라죽음)의 순환이 평형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한편, 1년마다의 생산량과 고사량은 일정하지 않지만, 그것은 극상의 평균 상태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상태에서 변동되므로, 장기적으로는 평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풀을 베는 초원의 참억새 군락은 해마다 풀을 벤다는 조건 아래에서 안정되는데, 이것은 식물(주로 참억새)의 순생산량이 베는 양과 말라죽는 양을 더한 값과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방목으로 안정되어 있는 잔디 군락에서도 띠와 마찬가지로 식물(주로 잔디)의 순생산량이 가축에게 먹히는 양과 말라죽는 양을 더한 값과 일치하므로 안정이 유지된다. 이러한 곳에서 풀베기나 방목을 중지한다면 곧 천이가 시작되어 목본 군락으로 교체될 것이다. 참고 자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천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천이_(생물학)&oldid=21374101" 분류: 생물학생태학생물학 용어환경 용어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taliano日本語JawaҚазақшаКыргызча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پښتو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5월 23일 (수) 07: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천이(遷移, succession)는 생물학 분야에서 어떤 생물 군락이 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식물 군락으로 변해가는 과정을 말한다. 예를 들어 산사태나 홍수가 지나간 곳이나 벌목 등으로 생긴 붉은 맨땅은 방치해 두면 어느새 초본류가 자라며, 나무의 싹도 트게 되어 처음에 생긴 식물 군락은 다른 군락으로 바뀌게 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용암 위에서 일어나는 건생 천이와 같이 식물에서 유래한 유기물이 전혀 없는 환경에서 시작하는 천이를 무엇이라고 할까요? Assistant: 1차 천이 Human: 아래 와이즈캠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와이즈캠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와이즈캠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에는 여러 문제가 있습니다. 문서를 편집하여 수정하시거나 토론 문서에서 의견을 나눠주세요. 이 문서는 미공개 또는 계획만 발표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불확실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3월) WISECAMP주소 http://www.wisecamp.com/사이트 종류 교육용 사이트 소유자 와이즈캠프닷컴제작자 와이즈캠프닷컴시작일 2000년현재 상태 운영중 와이즈캠프(WISECAMP)는 2000년 2월에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 초등 온라인 학습 제공 업체이다. 업계 최초 초등 전과목 스토리텔링 학습을 시작하였고, 사이처(담임교사) 서비스를 통한 개인별 학습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기본 교과학습 외 1:1 서술형 첨삭, 논술, 한자 특강 등 특별 학습 서비스와 월간 문제집도 제공하고 있다. 목차 1 연혁 2 교육철학 3 선생님관리 4 외부 링크 5 주의사항 6 그 외 연혁[편집] 2000년 2월 : 와이즈캠프닷컴(주) 설립 2001년 3월 : 온라인학습 서비스 개시 2001년 1월 : 한국 교육 학슬정보원의 우수 인증 획득 2002년 2월 : 네이버 학습 컨텐츠 제공 및 공조 제휴 2004년 4월 : 정보통신부 주관 디지털콘텐츠 대상 수상 2005년 12월 : 올해의 인터넷 기업상 수상 2006년 9월 : 한국 이러닝 산업협회 주관 '이러닝 기업' 등록 2007년 12월 : 이러닝 컨테스트 컨텐츠 부문 최우수상 수상 2007년 12월 : 대한민국 교육 산업 경영인 대상 2010년 1월 : ‘도란도란 한국사’ 애니메이션 학습 오픈 2010년 3월 : LG U+ 제휴, 교사용 학습 컨텐츠 공급 2011년 4월 : 동아일보 학동이 컨텐츠 제공 2012년 7월 : ‘비상교육’ 사업제휴 협약 2012년 12월 : 어린이 전자도서관 ‘북토비’ 학습컨텐츠 공급 2013년 3월 : 교과서 받아쓰기앱 출시 2013년 5월 : ‘통큰 세계사’ 애니메이션 학습 오픈 2013년 8월 : 스피드연산게임앱 출시 2013년 12월 : 스피드연산게임앱 스마트앱어워드 우수상 수상 2014년 3월 : KT olleh IPTV 한국사/세계사 콘텐츠 공급계약 2014년 4월 : ‘너구리연구소’ 사회과학 요점앱 출시 2014년 4월 : 공부습관 연구소 론칭 2014년 5월 : 메가스터디 초등 컨텐츠 제휴 ‘마스터잉글리쉬’ 2014년 6월 : 메가스터디 연합 초등 공부비법 설명회 개최 2014년 8월 : 스마트러닝 ‘너구리연구소’ 출범 2014년 12월 : 인문학캠프 프리미엄 학습 오픈(한국지리, 세계지리) 2015년 1월 : 심화학습 교재 와플Ⅱ 발간 2015년 1월 : 전범위 학습 서비스 오픈 2015년 2월 : 학부모알리미앱 출시 2015년 5월 : 경남 서민자녀 교육지원 바우처 사업 참여 2016년 4월 : 경남 서민자녀 교육지원 바우처 사업 참여 2016년 4월 : Btv 한국사 삼국지 세계사 콘텐츠 공급 계약 2016년 4월 : 케이블VOD 한국사 삼국지 세계사 콘텐츠 공급 계약 2016년 5월 : 클래스팅 러닝카드 콘텐츠 공급 계약 2016년 11월 : 애니쿤앱 스마트앱어워드 대상 수상 2016년 11월 : 사회과학요점앱 스마트앱어워드 최우수상 수상 2016년 12월 : 이대성대표 대한민국을 빛낸 한국인물대상 수상 2017년 4월 : 경남 서민자녀 교육지원 바우처 사업 참여 2017년 7월 : (주)비상교육과 인수 합병 계약 체결 교육철학[편집] 학생 스스로 공부하게 하고 공부한 만큼 성취하게 한다! 매일 규칙적인 학습과 담임 선생님의 동기부여 코칭을 통해 올바른 공부습관을 형성하고 공부한 만큼 성취의 기쁨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자는 것이 와이즈캠프의 교육 철학이다 865659598특강 제공, 논술/수학/영어/통합/사회/과학 특강 제공 서술형 첨삭 : 전문 선생님이 채점, 1:1 피드백이 가능한 서술형 첨삭 학습 제공 프리미엄 학습 : 초등 인문교양 애니메이션으로 지리/역사/코딩교육에 대한 배경지식 함양 제공89984 선생님관리[편집] 사이버클래스 : 온라인 상에서 담임선생님과 같은 학년 친구들이 만나 즐겁게 학습 하는 사이버 클래서 서비스 제공 숙제도우미 : 모르는 문제를 질문하면 전문 선생님이 꼼꼼하게 답변 외부 링크[편집] 와이즈캠프 홈페이지 주의사항[편집] 구글 크롬,모질라 파이어폭스 등으로 들어가면 일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들어가야 한다. 그 외[편집] [[YES24][교보문고][인터파크]]에서 책을 구입하면 와이즈캠프 7일 무료체험 쿠폰이 같이 온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와이즈캠프&oldid=23313261" 분류: 진행 중ㅣ2000년 설립대한민국의 웹사이트숨은 분류: 불확실한 내용을 다루는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3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2월 23일 (일) 12:4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와이즈캠프(WISECAMP)는 2000년 2월에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 초등 온라인 학습 제공 업체이다. 업계 최초 초등 전과목 스토리텔링 학습을 시작하였고, 사이처(담임교사) 서비스를 통한 개인별 학습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기본 교과학습 외 1:1 서술형 첨삭, 논술, 한자 특강 등 특별 학습 서비스와 비상의 월간 문제집도 제공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와이즈캠프에서 처음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출시한 연도는? Assistant: 2013
Human: 아래 레이디_앤터벨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레이디 앤터벨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레이디 앤터벨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레이디 앤터벨룸 2012년 레이디 앤터벨룸 (왼쪽부터 찰스 켈리, 데이브 헤이우드, 힐러리 스콧) 기본 정보 장르 컨트리, 컨트리 팝 활동 시기 2006년 ~ 현재 레이블 캐피톨 내슈빌, 코발트 관련 활동 짐 브릭만, 린다 데이비스, 조쉬 켈리, 폴 월리, 마룬 5, 다리우스 러커 웹사이트 ladyantebellum.com 구성원 힐러리 스콧 찰스 켈리데이브 헤이우드 레이디 앤터벨룸(영어: Lady Antebellum 레이디 엔터벨럼[*])은 미국 테네시 출신의 컨트리 밴드이다. 구성원은 리더이자 보컬인 찰스 켈리, 공동 리더이자 보컬인 힐러리 스캇, 보컬이며 기타리스트이자 피아노리스트인 데이브 헤이우드이다. 2011년 그래미상 시상식에서 5개의 상을 수상하였다.[1] 목차 1 활동 1.1 2007-09: Lady Antebellum 1.2 2009-11: Need You Now 1.3 2011–12: Own the Night 그리고 On This Winter's Nigh 1.4 2013–16: Golden, 747, 휴식기 1.5 2017–현재: Heart Break 2 구성원 3 자선 4 수상 및 후보 4.1 그래미 상 5 음반 목록 6 각주 7 외부 링크 활동[편집] 레이디 앤터벨룸 2011년 4월 레이디 앤터벨룸은 2006년, 미국 테네시주 내슈빌에서 찰스 켈리, 데이비드 헤이우드, 힐러리 스캇으로 결성되었다.[2] 힐러리 스콧은 컨트리 음악 가수인 린다 데이비스의 딸이며, 찰스 켈리는 역시 음악가 조쉬 켈리의 동생이다. 힐러리 스캇은 테네시 도넬슨에 있는 도넬슨 기독교 아카데미를 다녔다. 한편 켈리는 2005년 중반에 노스캐롤라이나주의 윈스턴 세일럼에서 건축일을 하다가 내슈빌로 거처를 옮겼다. 그리고 성공적인 음악가가 되기 위해 그의 중학교 친구였던 데이브 헤이우드에게 같이 음악활동을 하자고 설득했다. 그리하여 2006년에 데이브 헤이우드도 내슈빌로 오게 된다. 그 직후, 켈리는 마이스페이스에서 스콧을 알게 되어 그들은 같이 내슈빌 음악클럽에서 이야기를 하게 된다. 켈리는 스캇에게 데이브 헤이우드와 자신의 그룹에 같이 활동하자고 제안한다. 레이디 앤터벨룸이란 이름은 그들이 마이스페이스의 페이지에 사진을 올리기 위해 Antebellum이란 맨션 앞에서 홍보촬영을 하고 난 후에 밴드 이름을 지은 것에서 유래한다. 이들은 2007년, Capitol Records과 녹음계약하기 전에 내슈빌 지역 공연장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2007-09: Lady Antebellum[편집] 2008년 레이디 앤터벨룸의 콘서트 (찰스 켈리, 힐러리 스콧) 그들은 레이블에 서명 직후, 음악가 짐 브릭만은 자신의 앨범 Never Alone에 레이디 앤터벨룸과 같이 작업했다. 또한 2007년 중반에는 더 힐즈에 대한 노래도 썼다.[3] 2007년 9월에 "Love Don't Live Here"가 발매되었다. 이 곡은 그들의 데뷔 앨범으로 리드 싱글곡이였다. 2008년 4월 15일에 발매된 앨범 "Lady Antebellum"은 빅토리아 쇼와 더불어 폴 월리가 제작하였다. "Love Don't Live Here"는 빌보드 핫 컨트리 차트 3위에 도달했다. 이 앨범은 처음으로 새로운 듀오 또는 그룹으론 발매 첫 주에 빌보드 톱 컨트리 앨범 판매차트에 1위, 빌보드 톱 200 앨범 차트에선 4위를 차지했다.[4] 두 번째 싱글인 "Lookin' for a Good Time"은 2008년 6월에 발매가 되었고 12월에 빌보드 핫 컨트리 차트에서 11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레이디 앤터벨룸은 AT&T Team USA Soundtrack에도 "I Was Here"란 곡으로 활동을 기여했다. 세 번째 싱글인 "I Run to You"은 2009년 1월에 발매가 되었는데 이 곡은 결국 그룹의 첫 번째 히트곡이 되었다. 빌보드 컨트리, 핫 컨트리 뮤직차트에서 1위, 핫 100 차트에선 27위를 기록했다. 2009년 10월 7일, 그들의 데뷔 앨범은 미국에서 100만 복사본 판매량을 미국 음반 산업 협회의 플래티넘을 인증했다. 헤이우드와 켈리는 같은 레이블 소속인 루크 브라이언의 2009년 앨범인 "Do I"을 공동작업했다. 또한 켈리는 백 보컬로도 참여했다. 이 곡은 2009년 10월 6일에 발매된 브라이언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 "Doin' My Thing"의 첫 번째 싱글이다. 2009-11: Need You Now[편집] 레이디 앤터벨룸은 2009년 8월에 그들의 네 번째 리드 오프 싱글인 "Need You Now"를 발표한다. 이 곡은 빌보드 핫 컨트리 차트에서 50위로 데뷔하였고 2009년 11월 네 번째 주 동안 그들의 두 번째 히트곡이 되었다. 이 노래는 빌보드 핫 100차트에서 2위를 달성하고 어덜트 컨템포러리 차트에서 정상을 차지했다. 앨범의 두 번째 곡인 "American Honey"는 2010년 1월 11일, 세 번째 곡 "Our Kind of Love"은 2010년 5월 10일에 발매가 되었다. 네 번째 곡인 "Hello World"는 2010년 10월 4일에 공식 발매가 되었다. Need You Now 앨범은 2010년 1월 26일에 발매가 되었고, 480,922장을 팔며 2010년 2월 첫째 주동안 빌보드 핫100 차트 1위, 톱 컨트리 앨범에서 1위를 하였다.[5] 발매 4주 후엔 미국 음반 산업 협회의 플래티넘 인증이 되었다. 2010년 4월 28일 아메리칸 아이돌 결과쇼에서 "Need You Now"를 공연하기도 했다. 2010년 9월 20일, 이들은 그들의 첫 번째 투어인 "Need You Now 2010"를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시작했다. 2010년 10월 28일엔 2010년 월드 시리즈 2차전 전에 애국가를 열창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2010년 11월 10일, 제 44회 Annual Country Music Awards에 출연했다. 2011–12: Own the Night 그리고 On This Winter's Nigh[편집] 2011년 5월 2일에 곧 이어 나오는 앨범의 첫 번째 곡인 "Just a Kiss"를 발표한다. 그리고 아메리칸 아이돌 결과쇼에서 공연을 했다. 이 곡은 가장 높은 데뷔로 빌보드 핫100에서 7위를 기록했다. 빌보드 핫 컨트리 차트에서도 정상을 차지해 그들이 5번째 히트곡이 되었다. 세 번째 앨범의 이름인 "Own the Night"을 2011년 6월 7일에 발표하고 앨범커버와 트랙리스트는 7월 18일에, 그리고 2011년 9월 13일에 발매가 되었다. 2012년 10월 1일엔 Saturday Night Live에 뮤직 게스트로도 출연하였다. 2012년 10월 22일엔 첫 번째 크리스마스 앨범인 "On This Winter's Night "를 발매했다.[6] 2013–16: Golden, 747, 휴식기[편집] 2013년 1월 22일에 새로운 앨범이자 첫 번째 곡인 "Downtown"이 country radio에서 발표가 되었다. 이 곡은 2013년 2월 5일부터 아이튠즈에서 이용할 수 있었다. 그리고 2013년 4월 Country Airplay 차트에서 넘버원을 차지했다. 그리고 새로운 앨범인 "Golden"이 2013년 5월 7일에 발매가 되었다. 앨범의 두 번째 곡인 "Goodbye Town"은 2013년 5월 13일에 country radio에서 발표되고 Country Airplay 차트에서 11위를 달성했다. 세 번째 곡 "Compass"은 2013년 10월 1일에 아이튠즈 스토어에 출시하고 2014년 3월 Country Airplay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이 곡은 2013년 11월 12일에 발매된 "Golden"의 디럭스 에디션의 새로운 곡들 중에 하나다. 또한 레이디 앤터벨룸은 다리우스 러커의 2013년 초 싱글 "Wagon Wheel"에서 백 보컬로 참여하기도 했다. "Bartender"는 차기 6번째 앨범의 리드 싱글곡으로 2014년 5월 12일에 출시되었다. 5월 9일에는 디지털 유통업체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2014년 9월 30일에 다섯 번째 앨범인 "747"이 발매가 되었다.[7] 2015년 10월 굿모닝 아메리카(Good Morning America)에 출연하는 동안 그룹은 휠 업 투어(Wheel Up Tour)를 마치면 잠시 쉰다고 발표했다. 그들의 휴식 시간에 찰스 켈리는 솔로 활동을 할 생각이며, 켈리는 그룹 레이디 앤터밸룸이 우선적이지만 혼자서 일하기를 원한다고 밝혔다. 그는 2015년 9월 28일 솔로 데뷔곡 "The Driver"을 발표하였고, 힐러리 스콧은 7월 9일 고스펠 앨범인 Love Remains을 발표했다. 2017–현재: Heart Break[편집] 2017년 1월 19일, "You Look Good"이 발표되었고, 6월 9일에 발매된 7번째 앨범, "Heart Break"의 리드 싱글곡이다. 구성원[편집] 레이디 앤터벨룸 Charlotte 2012 (왼쪽부터 데이브 헤이우드, 힐러리 스콧, 찰스 켈리 이름 소개 사진 힐러리 스콧 본명 : 힐러리 스콧 (Hillary Scott) 생년월일 : 1986년 4월 1일(1986-04-01) (33세) 출생지 : 미국 테네시주 내슈빌 포지션 : 리더, 보컬 찰스 켈리 본명 : 찰스 켈리 (Charles Kelley) 생년월일 : 1981년 9월 11일(1981-09-11) (37세) 출생지 : 미국 조지아주 오거스타 포지션 : 리더, 보컬, 기타 데이브 헤이우드 본명 : 데이브 헤이우드 (Dave Haywood) 생년월일 : 1982년 7월 5일(1982-07-05) (37세) 출생지 : 미국 조지아주 오거스타 포지션 : 보컬, 기타, 피아노 자선[편집] 2012년 1월 이래로, 레이디 앤터벨룸은 그룹의 인식 제고와 아이티 고아와 장애인들을 위한 시설을 제공 하는 myLifespeaks 자선단체와 협력하고 있다. 수상 및 후보[편집] 레이디 앤터벨룸 (2010년 4월 Annual Grammy Awards) 레이디 앤터벨룸은 2008년 컨트리 음악 협회상에서 신인상을 받았으며, 2010 그래미상 Best Country Duo/Group Performance을 포함하여 7개 이상의 수상을 받았다. 2010년 컨트리 음악 협회상 역사상 2년 연속 올해 명예의 싱글상을 받은 최초의 아티스트가 되었다.[8] 또한 레이디 앤터벨룸은 제55회 Annual Grammy Awards에서 에미넴과 리한나가 부른 "Love The Way You Lie"를 꺽고 올해의 노래상을 받았다.[9] 2012 Academy Of Country Music Awards에선 올해의 보컬 그룹을 수상했다.[10] 그래미 상[편집] 연도 수상 상 결과 2009 Lady Antebellum Best New Artist 후보 "Love Don't Live Here" Best Country Performance by a Duo or Group with Vocals 후보 2010 "I Run to You" Best Country Performance by a Duo or Group with Vocals 수상 Best Country Song 후보 2011 Need You Now Album of the Year 후보 Best Country Album 수상 "Need You Now" Record of the Year 수상 Song of the Year 수상 Best Country Performance by a Duo or Group with Vocals 수상 Best Country Song 수상 2012 Own the Night Best Country Album 수상 기울어진 글씨: 앨범, ""표시: 노래 음반 목록[편집] 정규 앨범 Lady Antebellum (2008) Need You Now (2010) Own The Night (2011) On This Winter's Night (2012) Golden (2013) 747 (2014) Heart Break (2017) EP 앨범 A Merry Little Christmas (2010) On This Winter's Night (2012) 컨트리 차트 1위 싱글 "I Run to You" (2009) "Need You Now" (2009–2010) "American Honey" (2010) "Our Kind of Love" (2010) "Just A Kiss" (2011) "We Owned The Night" (2011) 각주[편집] ↑ 레이디 앤티벨럼, 그래미상 5관왕 국민일보 2011년 2월 14일 ↑ Allmusic. Retrieved January 7, 2008. ↑ “Country Standard Time.com. July 5, 2007. Retrieved November 6, 2007.”. 2012년 3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6일에 확인함.  ↑ Businesswire.com. April 25, 2008. Retrieved 2011-02-15. ↑ Roughstock. Retrieved February 8, 2010.[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Lady Antebellum. Retrieved 2012-10-22.”. 2012년 10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Roughstock. Retrieved 21 July 2014.”. 2014년 7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21일에 확인함.  ↑ “Country Music Association. Retrieved November 11, 2010.”. 2011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International Business Times AU. Retrieved February 15, 2011.”. 2014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21일에 확인함.  ↑ Hollywoodlife.com. Retrieved 2012-10-22.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레이디 앤터벨룸 레이디 앤터벨룸 - 공식 웹사이트 (영어) Lady Antebellum - 마이스페이스 Lady Antebellum at Billboard.com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57603739 LCCN: no2008044928 ISNI: 0000 0001 1551 3800 GND: 16098078-1 SUDOC: 157156524 BNF: cb16217092q (데이터) 뮤직브레인즈: 0eedfc95-e79a-4fd9-832a-cd816a0b3fda NKC: xx014088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레이디_앤터벨룸&oldid=23012941" 분류: 그래미상 수상자2010년대 음악 그룹2000년대 음악 그룹3인조 음악 그룹캐피틀 레코드 아티스트2006년 결성된 음악 그룹테네시주 출신 음악 그룹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تۆرکجهکوردیCymraeg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LietuviųLatviešuनेपालीNederlandsChi-ChewaOccitan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činaSvenska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4일 (수) 14: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레이디 A(영어: Lady A)는 미국 테네시주 출신의 컨트리 밴드이다. 구성원은 리더이자 보컬인 찰스 켈리, 공동 리더이자 보컬인 힐러리 스캇, 보컬이며 기타리스트이자 피아노리스트인 데이브 헤이우드이다. 2011년 그래미상 시상식에서 5개의 상을 수상하였다.2020년 6월, 밴드명을 레이디 앤터벨룸(Lady Antebellum)에서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했다. 조지 플로이드 사망 항의 시위의 영향을 받아 흑인 노예제와 앤터벨럼 사우스(Antebellum South) 시기를 연상시키는 '앤터벨룸' 문구를 지우기 위해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레이디 앤터벨룸이 만들어지게 된 계기와 유래는 무엇입니까? Assistant: 레이디 앤터벨룸은 2006년, 미국 테네시주 내슈빌에서 찰스 켈리, 데이비드 헤이우드, 힐러리 스캇으로 결성되었다.[2] 힐러리 스콧은 컨트리 음악 가수인 린다 데이비스의 딸이며, 찰스 켈리는 역시 음악가 조쉬 켈리의 동생이다. 힐러리 스캇은 테네시 도넬슨에 있는 도넬슨 기독교 아카데미를 다녔다. 한편 켈리는 2005년 중반에 노스캐롤라이나주의 윈스턴 세일럼에서 건축일을 하다가 내슈빌로 거처를 옮겼다. 그리고 성공적인 음악가가 되기 위해 그의 중학교 친구였던 데이브 헤이우드에게 같이 음악활동을 하자고 설득했다. 그리하여 2006년에 데이브 헤이우드도 내슈빌로 오게 된다. 그 직후, 켈리는 마이스페이스에서 스콧을 알게 되어 그들은 같이 내슈빌 음악클럽에서 이야기를 하게 된다. 켈리는 스캇에게 데이브 헤이우드와 자신의 그룹에 같이 활동하자고 제안한다. 레이디 앤터벨룸이란 이름은 그들이 마이스페이스의 페이지에 사진을 올리기 위해 Antebellum이란 맨션 앞에서 홍보촬영을 하고 난 후에 밴드 이름을 지은 것에서 유래한다. 이들은 2007년, Capitol Records과 녹음계약하기 전에 내슈빌 지역 공연장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Human: 아래 안재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안재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안재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같은 이름을 가진 배우에 대해서는 안재현 (1981년)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안재현 출생 1987년 7월 1일(1987-07-01) (31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직업 모델, 배우, 디자이너활동 기간 2009년 ~ 현재소속사 HB엔터테인먼트 배우자 구혜선웹사이트 HB엔터테인먼트 안재현안재현 - 인스타그램안재현 - 트위터 안재현(1987년 7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이자 쥬얼리 디자이너이다. 목차 1 생애 및 경력 2 학력 3 패션쇼 4 출연 작품 4.1 드라마 4.2 영화 4.3 텔레비전 프로그램 4.4 뮤직 비디오 5 음반 6 광고 7 수상 및 후보 8 참고 문헌 9 각주 10 외부 링크 생애 및 경력[편집] 안재현은 2009년 대한민국 섬유패션대전, 2010년 제28회 대한민국 패션 대전 (최범석) 등을 시작으로 패션 모델로 데뷔해, 2012년 프레타포르테 부산 2013 S/S 컬렉션, 2013년 2013/14 F/W 서울 패션 위크 등 다수의 패션쇼와 화보를 통해 재능과 매력을 인정받았다. 2009년 제4회 아시아모델상시상식 신인모델상, 2013년 제8회 아시아모델상시상식 패션모델상을 수상했다. 그는 모델 활동뿐만 아니라 자신의 브랜드를 론칭, 주얼리 디자이너로도 활동 중이다. 그는 병역은 보충역으로 해결했다. 모델로 주목받던 그는 2011년 JTBC 《이수근 김병만의 상류사회》, 《도전! 수퍼모델 코리아 시즌3》 등 방송에 진출을 시작했으며, 2013년 SBS 《별에서 온 그대》에서 전지현이 연기한 한류 톱스타 천송이의 동생 천윤재 역할을 맡아 연기자로 데뷔하였다. 이 작품으로 연기자로서 대중에게 입지를 다진 이후, SBS 《너희들은 포위됐다》등에 출연했다. 안재현은 2014년 제7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남자신인상과 SBS 연기대상 뉴스타상을 받기도 했으며 단숨에 스타로 떠올랐다. 이어 《엠카운트다운》 MC로도 활약하며, 드라마 《블러드》, 《설련화》에 출연하며 연기 활동을 이어나갔다. 안재현은 2015년부터 나영석 PD의 《신서유기》에서 군대에 간 이승기에 이어 새로운 멤버로 합류해 기존 멤버의 강호동, 이수근, 은지원과 함께 호흡을 맞추고 있다. 결혼 2016년 3월 11일, 안재현은 《블러드》에서 호흡을 맞춘 배우 구혜선과 드라마 종영 직후 좋은 관계로 발전해, 1년째 교제 중”이라고 열애 사실을 인정하였다. 그리고 이후 동년 5월 21일, 구혜선과 결혼을 공식 발표하였다. 두 사람은 결혼식을 가족식으로 소박하게 진행하며 예식에 들어갈 비용은 소아병동에 기부하기로 했다고 밝혔고, 그는 구혜선에게의 꽃다발 프로포즈 현장을 공개해 많은 화제를 모았다.[1]결혼식 비용은 소아과에 기부해 큰 화제를 끌고 있다.[2] 학력[편집] 선정고등학교 패션쇼[편집] 2009년 대한민국 섬유패션대전 2010년 제 28회 대한민국 패션 대전 (최범석) 2011년 코리아 헤리티지 패션쇼 (장광효) 2012년 프레타포르테 부산 2013 S/S 컬렉션 2013년 S/S 패션위크 송혜명쇼 2013년 2013/14 F/W SOLID HOMME 25주년 컬렉션 2013년 2013/14 F/W 서울 패션 위크 2013년 F/W 플랙진 패션쇼 출연 작품[편집] 드라마[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비고 2013 - 2014 SBS 《별에서 온 그대》 천윤재 21부작 2014 《너희들은 포위됐다》 박태일 20부작 2015 KBS 《블러드》 박지상 20부작 SBS 《설련화》 마문재 2부작 2016 tvN 《신데렐라와 네명의 기사》 강현민 16부작 2017 SBS 《다시 만난 세계》 차민준 40부작 2018 JTBC 《뷰티 인사이드》 류은호 16부작 2019 MBC 《하자있는 인간들》 이강우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14 《패션왕》 김원호 《웨딩 다이어리》 2015 《내 별자리는 처녀자리》 렁안 중국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비고 2011 - 2012 JTBC 《이수근 김병만의 상류사회》 택배맨 1회~53회 출연 2012 tvN 《롤러코스터 2 - 닥치고! 꽃남》 On Style 《도전! 수퍼모델 코리아 시즌 3》 MBC every1 《싱글즈 트렌드 메이커》 게스트 3회 출연 《2012 멜론 뮤직 어워드》 시상자 2013 MBC MUSIC 《뮤직톡톡 마블링》 MC 117부작 On Style 《스타일 로그 NOW》 2014 Mnet 《엠카운트다운》 MC 중국 스촨위성TV 《명성가족적2천1야》 중국판 1박 2일 2016 tvN 《신서유기 2》 고정 2017 《신서유기 3》 고정 《신혼일기》 6부작 《신서유기 4》 고정 《강식당》 고정 2018 tvN 《신서유기 5》 고정 뮤직 비디오[편집] 연도 가수 제목 비고 2012 백아연 느린 노래 케이윌 이러지마 제발 2013 씨스타19 있다 없으니까 조용필 Hello 티저 2014 소유, 어반 자카파 틈 음반[편집] 2013년 달샤벳 〈어쩜〉 내레이션 2014년 너희들은 포위됐다 OST 〈그게 너였다〉 광고[편집] 2011년 SKY VEGA LTE 2011년 SKY VEGA LTE M 2012년 SMART 교복 2012년 SKY VEGA RACER 2 2012년 Canon EOS-M 2012년 현대카드 한국관광공사 한국홍보 LG U+ 2014년 카카오게임 에브리타운 2017년 롯데제과 드림카카오 2018년 기네스맥주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09 제4회 아시아모델상시상식 신인모델상 빈칸 수상 2013 제8회 아시아모델상시상식 패션모델상 빈칸 수상 2014 제7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남자신인상 별에서 온 그대 수상 SBS 연기대상 뉴스타상 별에서 온 그대, 너희들은 포위됐다 수상 2016 제9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글로벌 스타상 신데렐라와 네 명의 기사 수상 남자 최우수상 수상 2017 SBS 연기대상 수목드라마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다시 만난 세계 후보 참고 문헌[편집] 텐아시아 - My name is... (2012년 8월 1일) 텐아시아 - 에펠탑보다 너 (2012년 8월 1일) 큐비즘매거진 - 미디어와 패션계가 가장 주목하는, 팔색조 같은 모델 안재현 (2012년 12월 30일) 이투뉴스 - 모델 안재현 "모델로 기억되고 싶다" (2013년 1월 25일) 이투뉴스 - 모델 안재현 "꿈은 멋진 아빠, 행복한 가정" (2013년 1월 25일) 각주[편집] ↑ 김, 소영 (2016년 5월 6일). “안재현, 구혜선 프러포즈 현장 공개…"꽃다발 프러포즈"”. 2015년 5월 6일에 확인함.  ↑ 김, 나현 (2016년 5월 21일). “구혜선-안재현, 예식비용 소아과 기부…"용기와 희망 주고 싶어"”. 2016년 5월 2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에스팀 공식 사이트에 의한 프로필 안재현 - 트위터 안재현 - 인스타그램 안재현 미니홈피 - 싸이월드 안재현 다음 공식팬카페 안재현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안재현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안재현 - 한시네마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안재현&oldid=24491226" 분류: 1987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비디오 자키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대한민국의 남자 모델서울특별시 출신 배우선정고등학교 동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Españolفارسی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Bahasa MelayuPolskiPortuguêsதமிழ்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7일 (목) 16: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안재현(1987년 7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이자 주얼리 디자이너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안재현이 2018년 찍은 맥주광고는? Assistant: 기네스맥주
Human: 아래 야마토급_전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야마토급 전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야마토급 전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야마토급 전함 스쿠모 만 해상 표주간에서 공시 중인 야마토1941년 10월 30일 촬영 함급 개요 함종 전함 함명 구 국명 전급 기이급 전함 차급 카이 야마토급 전함 및 초 야마토급 전함 동형함 야마토, 무사시, 시나노 (항모로 개장), 111호함 준공 1941년 12월 16일 (야마토)1942년 8월 5일 (무사시)1944년 11월 19일 (시나노)개전 후 건조 중지, 해체 (111호함) 침몰 1945년 4월 7일 (야마토)1944년 10월 24일 (무사시)1944년 11월 29일 (시나노) 성능 제원(계획 수치) 배수량 기준 : 64,000t공시 : 68,200t만재 : 72,800t 전장 263.40m 선폭 38.9m 평균 흘수선 10.4m (공시 상태) 주 보일러 로호 함본식 중유 전소 수관 보일러 12기 주 기관 함본식 터빈 4기 4축 150,000마력 속력 27 kt (50km/h) 항속거리 16 kt (29km/h)로 7,200해리(13,370km) 승무원 약 2,500명 무장 45구경 46cm 3연장포 3기60구경 15.5cm 3연장포 4기40구경 12.7cm 연장고각포 6기25m개m 3연장 기총 8기13mm 연장 기총 2기캐터펄트 2기0식 수상 정찰기・0식 수상 관측기 등 최대 7기(수치는 모두 준공 당시) 장갑 현측 410mm갑판 230mm주포 방패 650mm (수치는 모두 최대치) 야마토급 전함(일본어: 大和型戦艦 야마토가타센칸[*])은 일본 제국 해군이 건조한 최후의 전함으로 배수량, 주포 구경 모두 역사상 가장 큰 전함이다. 목차 1 개요 2 건조 3 주요 제원 3.1 함체 형태 3.1.1 벌버스 바우(구상 선수) 3.1.2 주부타(舵)의 구성 3.1.3 운행 성능 3.1.4 최상부 갑판 3.1.5 복원성 3.1.6 장루 4 전투 5 군함 목록 6 각주와 참고 자료 개요[편집] 일본 제국은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 런던 해군 군축 조약 연장에 응하지 않았고 열강 각국이 해군 증강을 줄이고 있던 해군의 휴일은 끝났다. 야마토급 전함은 군함 수가 많은 미국 및 영국에 질적으로 이기기 위해 제 3차 해군 군비 보충 계획에 당시 모든 건조 기술을 모아 건조한 전함이다. 당시 미국은 워싱턴 해군 군촉 조약에서 규정된 35,000톤 전후의 전함을 건조하고 있었으나, 야마토급 전함은 46cm 포를 장비하게 되면서 기준 배수량은 이를 능가하는 64,000톤이 되었고 세계 최대의 전함으로 건조되었다. '양적 부족을 메꾸기 위해선 질적으로 능가하는 방법 밖엔 없다.'라는 발상으로 개발된 전함인 것이다. 1929년 히라가 유즈루가 제안한 곤고 대체함급 전함의 영향이 컸다고 보기도 한다. 1934년 나온 신 전함 요구안에서는 '제공권 하의 함대결전'에서 이용되도록 하고 있다. 일본 해군에서는 전함에게 일본 구 국명이 명명되는데 '야마토'는 나라현의 구 국명에서 따온 것 뿐만 아니라 '일본'의 별칭이라는 의미도 있다. 같은 취지로 건조 당시 세계 최대의 전함이었던 후소(일본의 미명)와 야마시로(교토부의 구 국명)가 있다. 1번함 야마토 및 2번함 무사시 모두 대전 중에 취역했다. 현재 전함 야마토는 일본 국민에게 가장 잘 알려진 군함이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지만 태평양 전쟁 중에는 존재 자체가 최고 군사 기밀이었기 때문에(해군 관계자에 따르면 함명만은 언제부터인가 퍼져있었다고 한다.) 당시 국민에게는 나가토급 전함의 나가토와 무츠가 해군의 상징으로써 익숙했다. 그 후 일본 군함 역사상 최대라는 위용을 자랑하면서도 활약할 기회가 거의 없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때문인지 다양한 매체(영화, 만화, 애니메이션, 프라모델 등)에서 폭 넓은 연령층에 잘 알려져 있다. 건조[편집] 1930년대 일본 제국과 서양 열강 간의 대립은 깊어져 가고 있었다. 1934년 2월 8일 연합함대 사령장관 스에쓰구 노부마사 중장은 후소급 전함 1번함 '후소'를 시찰했을 때 '(서양 열강에 비해) 비행기 발전이 늦다.', '5만 톤의 전함 두 척이라고 만드는 편이 미국은 파나마 운하로 인해 지장이 있기 때문에 경쟁이 되지 않아 좋지 않나 싶다.' 등을 발언했다. 같은 시기 1937년 런던 해군 군축 조약의 기한이 끝나면서 영국 · 미국 · 프랑스 · 이탈리아 등 열강이 새로운 대형 전함을 건조할 것이 예상되었다. 유럽에서는 이미 신형 전함이 등장하였고 독일은 포켓 전함(도이칠란트급 장갑함)을, 프랑스는 덩케르크급 전함을 투입하였다. 미국에서는 속력 26노트 정도의 고속전함을 건조할 것이라는 정보가 있어 군령부도 주목하고 있었다. 한편 일본 해군의 전함은 구식 전함을 대체할 예정이었던 88함대의 카가급 전함이나 키이급 전함을 건조할 수 없었기 때문에, 조약 체결 직전 겨우 완성한 나가토급 전함 2척(나가토, 무츠)를 제외하면 대부분 함령이 20년을 넘는 구식 전함 뿐이어서 아무라 근대화 개장을 진행한다 해도 조약에 제한을 받지 않는 최신예 전함에 대응하는 건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1934년 9월 25일 군령부는 신형 고속 전함 2척에 대해 배수량 65,000톤, 속력 34노트를 상정하였고 이후 요구 속력은 30노트로 낮춰졌다. 이어서 10월 열강의 새 전함에 대응하는 것을 목적으로 군령부는 함정본부로 '18.1인치(46cm) 포 8문 이상, 15.5cm 3연장 4기 12문 혹은 20cm 연장포 4기 8문 이상, 속력 30노트, 항속거리 18노트로 8,000마일'이라는 대형 전함 건조 요구서를 제출하였다. 1935년 11월 2일 나카무라 료조 해군대장 겸 함정본부장은 신형 전함의 설계 방침을 구체적으로 지시하였다. 이를 통해 1936년 12월 26일에 열린 제 70회 제국 회의에서 신형 전함 'A140-F5(A는 전함, 140은 140번째 계획이라는 의미)' 2척(1척 당 9,800만 엔)의 예산이 제출되었다. 예산 규모로부터 군함의 크기를 외국이 추정할 수 없도록 가상의 구축함 3척(1,350만 엔), 을형 잠수함 1/2척(609만 엔) 예산을 포함시켰고, 1억 1,759만 엔이 실제 A140F5함 예산이었다. 그러나 대형 수상함용 디절 기관을 잠수모함 '다이게이'에 먼저 탑재해 본 결과 고장이 많이 일어났기 때문에 결국 통상 증기 터빈 기관을 탑재하기로 결정하였다. 이 때문에 의회 개최 중 A140F5는 주 기관을 증기 터빈 전용으로 하는 제 2차 기본 계획 'A140-F6'으로 변경했고 1억 793억 3,075엔(실제는 1억 2,898만 3,091엔)으로 건조가 승인되었다. 이와 더불어 개장 중이었던 곤고급 전함 '히에이'나 항공모함 '히류'의 예산 일부를 이용하게 되었다. 열강은 야마토급 전함 건조에 대해 확신했었는데 40cm 포를 탑재한 45,000톤 정도로 추정하고 있었다. 1937년 3월 29일 계획명을 'A140-F6'에서 '제 1호함', '제 2호함'으로 가칭을 지었다. 제 1호함='야마토'는 같은 해 11월 4일 구레 해군 공창에서 기공하였고 1941년 12월 16일 취역하였다. 제 2호함='무사시'는 1938년 3월 29일 미쓰비시 중공업 나가사키 조선소에서 기공하였고 1942년 8월 5일 취역하였다. 이후 제 4차 해군 군비 충실 계획으로 동형함 2척을 추가로 건조하기로 결정되면서 '제 110호함', '제 111호함'으로 가칭을 지었다. 제 110호함='시나노'는 1940년 5월 4일 요코스카 해군 공창에서 기공하였고 건조 도중 일시적으로 건조를 중지하였다가, 미드웨이 해전에서 주력 항공모함을 한번에 4척이나 잃게 되면서 계획 변경으로 항공모함으로 개장되어 1944년 11월 19일 취역하였다. 그러나 바로 10일 뒤 남은 의장을 완성시키기 위해 구레 해군 공창으로 회항하는 도중 미국 잠수함에게 격침되었다. 제 111호함은 1940년 11월 7일 구레 해군 공창에서 기공했으나 1942년 건조 중지, 해체되었다. 이렇게 일본 해군에는 야마토급을 차기 주력 전함으로써 정비한다는 의도가 있었고 4~5척 전후를 건고하여 최종적으로 개량 · 발전형인 초 야마토급 전함까지 계획하고 있었다. 일본의 야마토급 전함 건조 계획에 대해 미국은 1940년 노스캐롤라이나급 전함 2척, 사우스다코타급 전함 4척, 아이오와급 전함 4척의 건조를 시작하였고 이러한 동향 및 각 함의 성능은 일본도 파악하고 있었다. 주요 제원[편집] 전함 '무사시'를 함수에서 바라본 모습 야마토급과 다른 선박 및 건물을 비교한 이미지. 맨 위부터 퀸 메리2, 엔터프라이즈, 힌덴부르크호, 야마토,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노크 네비스, 뒤에 그려진 5각형은 펜타곤이다. 함체 형태[편집] 야마토급 전함 함형의 모체가 된 건 유르케비치(Yourkevitch)선 함형이었다. 함형 시험을 반복하여 이를 군령부가 요구한 전함에 맞춰서 야마토급의 함체가 계획되었다. 용골 하단에서 최상부 갑판 현측까지의 깊이는 18.965m로 10층의 갑판이 겹쳐져 있다. 구조는 최상부 갑판, 상부 갑판, 중앙 갑판, 하부 갑판, 최하부 갑판, 제 1선창 갑판, 제 2선창 갑판, 선창 갑판, 함저(2중저)로 구성되어있다. 마키노 시게루(야마토급 설계자 중 한 사람)는 '야마토급 전함은 평갑판으로 되어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모가미급 중순양함과 닮았다고 할 수 있다. 야마토의 중앙 절단면은 모가미와 상당히 닮아있다'고 평가했다. 벌버스 바우(구상 선수)[편집] 일본 군함 중에서는 쇼카쿠급 항공모함에 이어 벌버스 바우를 채용했다. 이는 선체가 물에서 나아갈 때 생기는 파도와 벌버스 바우가 만드는 파도가 상호 간섭해서 조파 저항을 감쇠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이를 채용하면서 유효 마력으로 속력 27노트일 때 8.2% 정도로 저항을 줄였고, 배수량 환산으로 약 300톤, 흘수선 부근에서 함체를 3m 줄이는 효과를 얻었다. 이는 축 마력으로 환산하면 11,000마력의 기관을 하나 더 탑재한 것과 같은 효과인 것이다. 게다가 프로펠러 스트럿의 선체 이음쇠 각도, 빌지부 킬의 선체 이음쇠 위치와 각도를 검토한 결과 벌버스 바우의 효과와 함께 15,820마력을 절약하게 되었다. 이는 배수량으로 환산하면 1,900톤을 절약하는 것으로 대형 구축함 1척 분의 배수량에 필적한다. 벌버스 바우는 25mm 갑판 2중 구조로, 갑판을 3차원적으로 단조하여 구부림으로써 하나로 만들 수 있다. 같은 시기 설계된 쇼카쿠급 항공모함과는 크기가 다른데, 이는 쇼카쿠급에서는 34노트, 야마토급에서는 27노트에서 조파 저항이 가장 최소가 되도록 최적화했기 때문이다. 또한 벌버스 바우의 함저에는 대 잠수함용 수중 소나가 장비되었다. 이는 30개의 수중 마이크를 긴 반지름 4m, 짧은 반지름 3m의 타원형으로 배열한 것으로 안에는 해수가 차 있었다. 이 소나는 야마토가 최고 속력으로 항행 중에 주포 사격 시험을 했을 때 30,000~40,000m에서 포탄이 수면에 충돌하는 소리를 탐지할 수 있을 정도였다. 그러나 함내 각 부분에서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해 듣기 힘든 것도 있었고 특히 주포탑 회전 때 수압기 소음이 방해됐다고 한다. 또한 이 수중 청음기를 장비하게 되면서 최고 속력이 0.3노트 정도 저하하게 되었다. 주부타(舵)의 구성[편집] 통상적으로는 2장 키(2枚舵)로, 나가토급 전함에 이르기까지 모든 일본 전함은 이 방식을 채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독일 전함 비스마르크처럼 어뢰 1발 만으로 조타 불능 상태에 빠지게 되는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처음에는 키 1장을 함수에 장비한다는 안건도 있었지만 결국 함선의 중심선 상 15m의 간격을 벌려 주타(主舵)와 부타(副舵)를 설치하게 되었다. 곤고급 등에도 이러한 병렬 2장 키를 장비했다. 하라 가쓰히로는 키의 형태가 영국 순양전함 후드과 상당히 닮아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양 키를 동시에 사용했을 시 성적은 매우 좋았다. 부타만으로도 일단 선회는 가능했으나 야마토급의 타력(惰力)은 예상 외로 컸기 때문에 부타만으로는 조타 불능이었다. 함수부에 격납식 평형타를 추가로 장비하는 대응안도 고려됐으나 전쟁 판도 악화로 공사는 할 수 없었다. 해군 기술 연구조 조선 연구부는 전함용 더블 스케그(double skeg)의 연구도 진행됐었으나 이도 야마토급에 장비하지 못했다. 오키나와 특공 당시에는 거대한 응급타를 탑재하고 있었다. 노무라 부함장에 의하면 오키나와 특공 당시 야마토는 전투 중 조타 장치가 고장났기 때문에 조타 장치실에 응급 조타를 부탁했다고 말했다. 조타 장치실에 어뢰가 명중하여 기능 불능 상태에 빠지자 야마토는 좌선회를 할 수 없었다고 한다. 이와 같이 통상적으로는 전기 이동이었으나 전원이 끊긴 후에는 축전지 혹은 인력으로 조타할 수 있었다. 운행 성능[편집] 함선의 기본적인 조종 성능은 다음 3개의 관점에서 평가받는다. 1. 추종성 : 조타에 대해 함선의 방향 전환이 용이한가 2. 선회성 : 정상 선회 시 선회 반경이 작으며 빠르게 선회가 가능한가 3. 침로 안정성 : 잠시 키를 잡지 않아도 함선이 직진하는 안정적인 함선인가 야마토급 전함은 큰 배수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전장, 넓은 선폭인 비대선형이었다. 선회성은 열강 전함 중에서도 최상에 속했지만 키에 관련된 연구가 충분치 않았기 때문에 추종성은 좋지 않았고, 비대선형이기 때문에 침로 안정성도 본질적으로는 좋지 않았다. '야마토급은 둔중한 선체로도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로 좋은 운행 성능을 발휘했다'라는 건 주로 선회성에 관해 서술한 것이다. 해군에서는 선회 성능의 표준을 '선회 직경 ÷ 함선의 흘수선 길이'로 나타내고 있다. 이 수치는 종적와 횡적에서 약간 차이가 있는데 횡적 선회 성능 표준은 전함 3, 대형 순양함 4, 경순양함 5, 구축함 6이고 종적으로는 전함 3, 대형 순양함 3.5, 경순양함 4, 구축함 4.5이다. 야마토급의 선회 성능은 횡적으로 2.43, 종적으로 2.23로 괜찮은 수치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선회 반경 자체도 다른 전함보다 좋았다. 야마토급의 선회 직경은 26노트에서 가로 640m · 세로 589m(횡 2.43, 종 2.23)로, 나가토급 전함 가로 530m · 세로 631m(횡 2.36, 종 2.81), 곤고급 전함 가로 826m, 세로 871m(횡 3.7, 종 3.91)에 비해 선체 크기를 생각한다면 상당히 좋은 선회 성능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거기에 선회 시 선체의 경사도 야마토급 9도, 나가토급 10.5도, 곤고급 11.5도로 안정성 또한 좋았다고 할 수 있다. 타국 전함의 선회권은 노스캐롤라이나급 526m(2.36), 킹 조지 5세급 850m(3.74)로 어느 속력에서의 선회권인가는 불명확하다. 회피 기동 중인 야마토를 하늘에서 찍은 사진을 보면 주위 해면이 폭탄으로 인해 솟아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대형 함선의 작은 선회 반경의 효과를 뒷받침하는 사진이라고 할 수 있다. 필리핀 해전, 레이테 만 해전, 구레 군항 공습에서 야마토는 미군기가 투하한 어뢰, 폭탄의 대다수를 피할 수 있었다. 한편 추종성에 관해서는 키를 돌린 후 함수가 움직이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90초로 상당히 길었다. 이케다 사다에(무사시 항해장)은 100초라고 증언했다. 1943년 야마토 항해과 소위였던 사토 스미오(이후 노와키 항해장)은 한 번 야마토를 조종해보고 '선체가 거대한 대야같아서 함수가 움직이지 않고, 움직이기 시작하면 원하는 침로로 돌릴 수 없었다.'라고 진술했다. 또한 함선을 돌리게 되면 속력은 급격하게 떨어졌다. 공시에서는 12노트에서 키를 돌리라고 명령해도 함수가 움직이지 시작할 때까지 약 40초가 필요했고, 급강하 폭격기나 잠수함 어뢰 회피에는 1분 전부터 조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되었다. 함형은 간단하게 변경할 수 없어서 키 성능에 맡길 수 밖에 없었는데, 키 면적 배수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았다. 건조에 참여한 마키노 시게루는 키 면적 확대를 했어야 한다고 후회했다. 침로 안정성에 대해서는 불명확하다. 또한 위에서 서술한 3요소 외에 항만 등에서 운행하기 쉬움을 나타낸 저속에서의 조종 성능이나 정지 성능 등의 요소도 포함하여 함선의 운행 성능을 평가한다. 최상부 갑판[편집] 최상부 갑판을 바로 옆에서 바라보면, 제 1주포탑 앞을 기준점으로 하여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함수로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야마토 언덕). 이는 함상 구조물에서 가장 무거운 포탑의 위치를 아래쪽으로 내리고 함수부에 큰 곡선을 줌으로써 함선의 중심을 낮추고 능파성을 좋게 한다는 상반된 두 성질을 모두 가질 수 있었다. 또한 높은 건현은 큰 예비 부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해줬다. 시나노, 111호함에서는 능파성을 중시하여 이 곡선을 조금 완만하게 설계를 바꿨다. 타이완 히노키를 사용한 목제 갑판 아래에는 현측 35mm, 중앙부 50mm의 CNC갑판이 둘러져 있었다. 복원성[편집] 마이즈루 사건, 제 4함대 사건의 교훈을 반영하여 설계된 야마토급은 복원성, 능파성 모두 좋다. 슬래밍이 많이 발생하는 파도의 파장이나 대부분의 거친 파도의 파장보다도 함선의 전장이 긴 것도 있어서 강풍이나 거친 파도에서의 전투는 특히 유리했다고 생각된다. 장루[편집] 야마토의 함교 복원 모델 세트,구레 해사 박물관 2013년 8월 야마토급 전함 '무사시'의 함교 비스듬한 버팀대로 지탱하던 기둥에 망루를 더한 기존의 일본 전함 장루(파고다 마스트)와는 다르게, 46cm 주포의 폭풍도 있어서 완전 폐쇄 형태로 변경했다. 설계에 앞서 전함 히에이를 개장하고 측거의의 위치, 구조 등을 시험한 후 실물 크기의 모형을 만들어 최소한으로 필요한 크기를 찾을 수 있도록 노력했다. 전면 부분이 몇 군데 도려낸 듯한 모양이 된 이유는 사격 지휘 장치나 대공 화기의 시야를 넓히기 위함이다. 시공에 관해서는 블록 공법이 채용되어 함선을 몇 부분으로 나눠 육상에서 만든 후 접합하였다. 노무라(레이테 만 해전 당시 야마토 포술장)에 의하면 기존의 일본 전함 함교에 비해 안정성이 매우 개선되어서 주포 발포 시에도 진동을 거의 느끼지 않았다고 한다. 함교는 중앙 갑판부터 13층, 최상부 갑판부터 10층으로 구성되었다. 작전 행동 시 중요한 방은 독가스에 대비해 밀폐 구조로 되어있었다. 구조적으로는 중심부의 2중의 파이프로 전체를 지탱하고 있다. 구조를 지탱하는 안쪽 파이프는 직경 1.5m, 20mm DS강철로 만들어졌으며 파이프 내부에는 전선이나 배선이 지나가 주포 사격 장치를 지지하고 있었다. 안쪽 파이프와 바깥쪽 파이프 사이에는 계단과 미쓰비시제 엘리베이터가 지나갔다. 3명 혹은 4~5명이 탈 수 있다는 설이 많았으나 종전으로 도면이 소각 처분되면서 관계자의 증언일 뿐 정확한 건 모른다. 엘리베이터는 상급 사관만 이용할 수 있었으나 예외로 함교 옆쪽(제 2함교 위쪽, 부포 사격 지휘소 뒤)의 93식 13mm 연장 기총의 탄약 운반원이 이용 가능했고 제 1함교 부근에 대기소가 있던 비행과 탑승원도 이용이 허락되었다는 증언이 있었다. 지하야 마사타카(무사시 의장원)에 의하면 장관 사무실이 있는 중앙 갑판에서 제 1함교까지를 이어, 속도가 빠를 뿐만 아니라 속도 조절 장치 효과가 뭔가 부족해서 '익숙해진 사람이라도 한번 왕복하게 되면 기분이 안좋아진다.'라는 성능이라고 말했다. 도이 가즈오(연합함대 참모)는 2인승이었다고 회상했다. 1943년 쇼와 천황이 방문했을 때 고가 미네이치 연합함대 장관과 천황이 둘이서만 함교 엘리베이터에 탔고 고가는 어린 사관처럼 엘리베이터를 조작했다고 한다. 장루 상부가 제 1함교, 장루 아래는 제 2함교(야전 함교)로, 그 아래에는 두께 500mm의 장갑이 둘러진 사령탑이 있었다. 사령탑은 조타실, 방어 지휘소, 주포 사령탑 사격소(주포용 선회 방위판 설치) 3구획으로 나눠져 있었다. 노무라의 회상에 따르면 전투 중 부함장은 방어 지휘소에 있었다. 사령탑 상부에 제 2함교가 있는데 내부 구조는 제 1함교와 다르지 않다. 그 위에는 부포 사격 지휘소, 전탐실, 전령병 대기소, 함장 휴게실 갑판, 작전실 등 각종 방과 층이 있고 제 1함교로 다다른다. 수상 전투 시 함장이나 사령관은 이 제 1함교에서 지휘를 하게 된다. 함교의 특수 유리는 내리는 것도 가능했다. 전투[편집] 독일 전함 틸피츠와 같이, 야마토함과 무사시함은 전쟁 중 직접적인 전투가 적었다. 무사시함은 전쟁 중 연합군 전함과 교전한 적이 없고, 야마토함은 1944년 10월, 레이테만 전투에서 미국의 호위 항공모함과 구축함에 발포하는 데에 그쳤다. 이 전투가 야마토급 전함이 적함과 교전한 것이 처음이자 마지막이 되었다. 당시 야마토함은 46cm 함포 104발을 발사해 호위 항공모함 1척과 구축함 1척을 격침시켰다. 야마토함과 무사시함은 항공기의 공격을 받아 격침되었다. 무사시함은 1944년 10월 24일 레이테만 전투에서 반복적인 항공기의 공격을 받아 격침되었다. 약 17기의 어뢰와 20개의 폭탄을 맞고 2,400명의 승무원 중 1,700명이 무사시함과 운명을 같이했다. 야마토급 전함의 마지막 전투로, 야마토함과 9척의 일본 군함은 보우노사키 해전에서 연합군에 자살 공격을 감행한다. 텐고 작전이라고 불리는 이 계획의 목표는 오키나와로 돌입해 그대로 해안에 좌초시킨 후 포대로서 사용하고 수병들은 육전대로 활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오키나와를 향해 가던 도중 보우노사키 해협에서 미군의 공습을 받아 호위함들이 격침되고 야마토도 피해를 입자 오키나와에 돌입하는 것을 포기하고 근처 섬에 좌초시키려고 했지만 재차 공습이 실시되어 15개의 폭탄과 최소 13기의 어뢰가 명중되어 대폭발을 일으키며 침몰하였다. 3,332명의 승무원 중 300명 미만만이 생존하였다. 군함 목록[편집] 함번 이름 제작 건조 진수 취역 기타 1 야마토 쿠레 조선소 1937년 11월 4일 1940년 8월 8일 1941년 12월 16일 1945년 4월 7일 텐고 작전 중 격침 2 무사시 미쓰비시 나가사키 조선소 1938년 3월 29일 1940년 11월 1일 1942년 8월 5일 1944년 10월 24일 레이테만 전투 중 격침 110 시나노 요코스카 조선소 1940년 5월 4일 1942년에 중단되어 9월에 항공모함으로 전환됨 111 키 쿠레 조선소 1940년 11월 7일 1942년 3월에 중단되어 폐기됨. 고철은 전함 이세와 전함 휴가에 사용됨 797 A150 Project 1942년 6월에 취소 각주와 참고 자료[편집] Nakamura, Masao, ed. Yamato-gata Senkan (Yamato Class Battleships). GAKKEN, Tokyo ISBN 4-05-601261-X Daiji Katagiri, Ship Name Chronicles of the Imperial Japanese Navy Combined Fleet, Kōjinsha (Japan), June 1988, ISBN 4-7698-0386-9 vdeh일본 제국 해군의 전함·순양전함장갑함 (이등전함)후소전노급 전함후지급 후지 야시마 시키시마급 시키시마 아사히 하쓰세 미카사 준노급 전함가토리급 가토리 가시마 사쓰마급 사쓰마 아키 순양전함쓰쿠바급 쓰쿠바 이코마 구라마급 구라마 이부키 노급 전함가와치급 가와치 셋쓰 초노급 전함곤고급 곤고 히에이 하루나 기리시마 후소급 후소 야마시로 이세급 이세 휴가 나가토급 나가토 무쓰 야마토급 야마토 무사시 미완성가가급 가가 도사 아마기급 아마기 아카기 다카오 아타고 기이 기이 오와리 11호함 12호함 13호급 8호함 9호함 10호함 11호함 야마토급 시나노 111호함 페이퍼 플랜 곤고 대체함형 B65급 카이 야마토급 초 야마토급 전리함철갑함(이등전함) 진원 이키 전노급함 이와미 히젠 단고 스오 사가미 투르굿 레이스 노급전함 나사우 올덴부르크 전함 항공모함 순양함 (방호순양함 장갑순양함 경순양함 중순양함) 구축함 잠수함 일본 제국 해군 함정 목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야마토급_전함&oldid=24126528" 분류: 야마토급 전함일본의 전함전함 함급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sturianu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Mirandé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lovenčin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30일 (화) 18:1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야마토급 전함(일본어: 大和型戦艦 야마토가타센칸[*])은 일본 제국 해군이 건조한 최후의 전함으로 배수량, 주포 구경 모두 역사상 가장 큰 전함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무사시함이 격침된 날짜는? Assistant: 1944년 10월 24일 Human: 아래 아르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아르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르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아르곤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아르곤(18Ar) 개요 영어명 Argon표준 원자량 (Ar, standard) 7001399480000000000♠39.948(1)주기율표 정보 Ne↑Ar↓Kr Cl ← Ar → K 원자 번호 (Z) 18족 18족주기 3주기구역 p-구역화학 계열 비활성기체전자 배열 [Ne] 3s2 3p6준위별 전자 수 2, 8, 8물리적 성질겉보기 무색상태 (STP) 기체녹는점 83.80 K끓는점 87.80 K밀도 (STP) 1.784 g/L융해열 1.18 kJ/mol 기화열 6.43 kJ/mol 몰열용량 20.786 J/(mol·K) 증기 압력 압력 (Pa) 1 10 100 1 k 10 k 100 k 온도 (K) 47 53 61 71 87 원자의 성질산화 상태 0전기 음성도 (폴링 척도) 자료 없음 이온화 에너지 1차: 1520.6 kJ/mol 2차: 2665.8 kJ/mol 3차: 3931 kJ/mol 원자 반지름 71 pm (실험값) 71 pm (계산값) 공유 반지름 97 pm 판데르발스 반지름 188 pm 스펙트럼 선 그 밖의 성질결정 구조 면심 입방정계 (fcc) 음속 (기체, 27 °C) 323 m/s 열전도율 17.72 m W/(m·K) CAS 번호 7440-37-1 동위체 존재비 반감기 DM DE(MeV) DP 36Ar 0.337% 안정 37Ar 합성 35d ε ? 37Cl 38Ar 0.063% 안정 39Ar 합성 269y β- 0.565 39K 40Ar 99.600% 안정 42Ar 합성 32.9y β- 0.600 42K 보기 • 토론 • 편집 | 출처 아르곤(←독일어: Argon 아르곤[*], 영어: Argon 아곤[*])은 주기율표의 화학 원소로 기호는 Ar(←라틴어: Argon 아르곤[*])이고 원자 번호는 18이다. 18족에 속하는 비활성 기체로 지구 대기의 약 0.93%를 차지하며, 비활성 기체 중 지구에서 가장 흔하다. 1894년 영국의 레일리에 의해 발견되었다. 상온에서는 무색,무취의 기체이다. 목차 1 특성 2 역사 3 존재 4 동위 원소 5 공업적 제조방법 6 용도 7 제조회사 및 시장상황 8 위험성 9 각주 10 외부 링크 특성[편집] 아르곤은 고체, 액체, 기체 상태 모두 무색, 무취인 불연성의 기체이다. 물에 대한 용해도는 산소와 비슷하며, 질소보다는 약 2.5배가량 더 용해된다. 대부분의 경우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하여 화합물을 형성하지 않는다. 그러나 극저온에서는 일부 아르곤 화합물이 관찰된 적이 있다. 2000년 핀란드 헬싱키 대학에서 발견된 아르곤 플루오로하이드라이드(HArF)가 대표적이다. 또한 반응성이 큰 플루오린과 염소와도 결합을 잘 하지 못한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물 분자들 사이에 들어가 결합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역사[편집] 아르곤은 그리스어로 '비활성'을 뜻하는 αργον에서 이름이 붙여졌다. 1785년 헨리 캐번디시는 공기 중에 전류를 흘려 질산을 생성시키는 실험을 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소량의 기체가 반응하지 않고 남아있는 것을 관찰했다. 1882년 두 과학자가 독자적으로 공기 중에 포함된 원소의 스펙트럼을 분석하던 중 새로운 선 스펙트럼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으나, 어떤 원소에 의한 것인지는 설명하지 못했다. 이후 1894년 레일리와 윌리엄 램지는 순수한 질소 기체와 공기 중의 질소 기체 사이에 약 0.5% 정도의 질량 차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다른 원소가 섞여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들은 런던대학교 UCL에서 불순물을 제거한 공기를 액화시킨 후 이를 분별 증류하여 아르곤을 순수한 상태로 분리하였다. 1957년까지는 원소 기호가 A 였으나 이후 Ar로 바뀌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존재[편집] 아르곤은 대기 중에 부피 비율로는 약 0.934%, 질량 비율로 약 1.288%가 포함되어 있다. 지각 속에는 1.2ppm, 해수 속에는 0.45ppm 정도 포함되어 있다. 동위 원소[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아르곤 동위 원소입니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아르곤의 대부분은 아르곤-40(존재 비율 99.6%)이며, 이외에 아르곤-36, 아르곤-38 등이 미량 존재한다. 자연 상태에서는 칼륨-40이 베타 붕괴하면서 약 11.2%가 아르곤-40으로 변하는 과정이 일어난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한 칼륨-아르곤 연대 측정법은 암석의 연대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또, 아르곤은 태양계 내에서도 행성에 따라 동위 원소의 존재 비율이 다르다. 이는 지구형 행성의 경우에는 암석 속의 칼륨-40이 베타 붕괴하여 생성된 아르곤-40이 대부분인 반면, 목성형 행성에서는 항성의 핵융합으로 생성된 아르곤-36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공업적 제조방법[편집] 초저온냉동공학을 이용한 공기분리공장에서 주로 생산된다. 공기분리공장에서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질소와 산소를 액화시켜 끓는점 차를 이용하여 분리하는데 이 중 아르곤은 산소와 끓는점이 유사하여 액체산소의 상위층에 많이 분포하게 되며, 이를 별도의 분별 증류를 이용하여 농축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매년 전 세계에서 70만 톤의 아르곤이 생산된다. 용도[편집] 고온에서 2원자 물질인 질소가 불안정한데 반하여, 1원자 물질인 아르곤은 고온에서도 안정하다. 따라서 고온에서의 비활성 기체(inert gas)가 요구되는 곳에 많이 사용된다. 철강 제조시 고급제련강을 제조하는 경우에 주로 쓰이며, 그 외에도 TIG용접, MIG용접시에도 불활성가스로 사용된다. (가운데 I는 Inert를 의미함.) 또한 네온과 함께 PDP (플라즈마 액정 표시장치)의 내부에 플라즈마 형성을 위해 사용되고, 백열등 내부에서 텅스텐 필라멘트가 산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충전가스로도 사용된다. 한편 최근 반도체, LCD 제조의 90nm 이하의 공정에서 ArF(플로오르화 아르곤)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및 광원제조에 사용되기도 한다. 청록색의 아르곤 레이저는 종양 제거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며, 잠수부들이 사용하는 산소통의 혼합기체로 사용되기도 한다. 반감기가 269년인 아르곤-39는 빙하나 지하수의 연대를 측정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제조회사 및 시장상황[편집] 고압가스 및 특수고압가스를 제조, 공급하고 있는 에어프로덕츠코리아, 에어코리아, 대성산업가스, BOC 코리아, 프락스에어 코리아 등에서 주로 제조된다. 최근 수요처에 직접 공장을 설립하여 파이프라인을 통해 공급하는 온사이트 방식이 활성화되는 추세이다. 위험성[편집] 아르곤 자체의 독성은 없지만, 공기보다 무겁고 바닥에 가라앉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밀폐된 공간에서 아르곤 누출 시 산소 결핍으로 인한 질식을 유발할 수 있다.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와 분류가 있습니다. 아르곤 (분류) 위키낱말사전에관련된 항목이 있습니다. 아르곤 “아르곤”. 《네이버캐스트》.  (영어) 아르곤 - WebElements.com vdeh주기율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 H He 2 Li Be B C N O F Ne 3 Na Mg Al Si P S Cl Ar 4 K Ca Sc Ti V Cr Mn Fe Co Ni Cu Zn Ga Ge As Se Br Kr 5 Rb Sr Y Zr Nb Mo Tc Ru Rh Pd Ag Cd In Sn Sb Te I Xe 6 Cs Ba La Ce Pr Nd Pm Sm Eu Gd Tb Dy Ho Er Tm Yb Lu Hf Ta W Re Os Ir Pt Au Hg Tl Pb Bi Po At Rn 7 Fr Ra Ac Th Pa U Np Pu Am Cm Bk Cf Es Fm Md No Lr Rf Db Sg Bh Hs Mt Ds Rg Cn Nh Fl Mc Lv Ts Og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란타넘족 악티늄족 전이 금속 전이후 금속 준금속 다원자 비금속 이원자 비금속 비활성 기체 화학적특성 불명 전거 통제 LCCN: sh85007108 GND: 4142990-4 BNF: cb119700051 (데이터) NDL: 0057551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르곤&oldid=24166789" 분류: 아르곤비활성 기체화학 원소숨은 분류: 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낱말사전과 연결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አማርኛAragoné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বাংলাབོད་ཡིགBrezhonegBosanskiCatalàMìng-dĕ̤ng-ngṳ̄CebuanoکوردیCorsuČeštinaСловѣньскъ / ⰔⰎⰑⰂⰡⰐⰠⰔⰍⰟ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NordfriiskFurlanFryskGaeilge贛語GàidhligGalegoAvañe'ẽગુજરાતીGaelg客家語/Hak-kâ-ngîHawaiʻi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La .lojban.JawaქართულიKabɩyɛҚазақшаಕನ್ನಡКоми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igureLumbaartLietuviųLatviešuMāori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Кырык марыBahasa Melayuမြန်မာဘာသာЭрзяньPlattdüütsch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Diné bizaadOccitanLivvinkarjalaଓଡ଼ିଆਪੰਜਾਬੀKapampanganPapiamentuपालिPolski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Armãneashti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संस्कृतम्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eelterskBasa Sunda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Vepsän kel’Tiếng ViệtWinaray吴语ХальмгייִדישYorùbá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8일 (수) 11: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아르곤(←독일어: Argon 아르곤[*], 영어: Argon 아곤[*])은 주기율표의 화학 원소로 기호는 Ar(←라틴어: Argon 아르곤[*])이고 원자 번호는 18이다. 18족에 속하는 비활성 기체로 지구 대기의 약 0.934%를 차지하며, 비활성 기체 중 지구에서 가장 흔하다. 1894년 영국의 레일리에 의해 발견되었다. 상온에서는 무색,무취의 기체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아르곤과 아르곤 레이저의 용도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Assistant: 고온에서 2원자 물질인 질소가 불안정한데 반하여, 1원자 물질인 아르곤은 고온에서도 안정하다. 따라서 고온에서의 비활성 기체(inert gas)가 요구되는 곳에 많이 사용된다. 철강 제조시 고급제련강을 제조하는 경우에 주로 쓰이며, 그 외에도 TIG용접, MIG용접시에도 불활성가스로 사용된다. (가운데 I는 Inert를 의미함.) 또한 네온과 함께 PDP (플라즈마 액정 표시장치)의 내부에 플라즈마 형성을 위해 사용되고, 백열등 내부에서 텅스텐 필라멘트가 산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충전가스로도 사용된다. 한편 최근 반도체, LCD 제조의 90nm 이하의 공정에서 ArF(플로오르화 아르곤)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및 광원제조에 사용되기도 한다. 청록색의 아르곤 레이저는 종양 제거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며, 잠수부들이 사용하는 산소통의 혼합기체로 사용되기도 한다. 반감기가 269년인 아르곤-39는 빙하나 지하수의 연대를 측정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Human: 아래 광주_재진입_작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광주 재진입 작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광주 재진입 작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광주 재진입 작전(光州再進入作戰)은 1980년 5월 27일 5.18 민주화운동 당시 신군부 수뇌부가 계엄군을 투입해 전남도청에서 항전하는 광주 시민들을 진압하기 위해 펼친 작전이다. 계엄군 측 공식 작전명은 상무충정작전(尙武忠正作戰)이다. 목차 1 배경 2 작전 수립 경위 3 계엄군의 도청 진입 4 피해 5 각주 6 같이 보기 7 외부 링크 배경[편집] 1980년 5월 21일, 광주 시내 주요 시설에 배치된 계엄군은 전남도청 집단발포 사건 이후 상부의 지시에 따라 광주시 외곽으로 철수했다. 광주 시내에서 철수한 계엄군은 21일부터 광주외곽봉쇄작전을 펼쳤다. 작전 도중 계엄군의 발포가 수 차례 발생해 사상자가 많이 발생했다. 계엄군이 물러난 광주 시내에는 '시민 자치 시대'가 열렸다. 같은 달 21일 밤, 광주 시내에서는 '학생수습위원회' , '시민수습위원회'가 구성됐다. 시민수습위원회는 주로 군부와의 협상과 시민 설득을 담당했으며, 학생수습위원회는 무기회수, 치안유지 등의 업무를 맡았다. 22일 오후 1시 지역유지, 종교인, 각계인사 15명은 정부에 평화적인 사태 수습을 위해 협상을 요청했고 7개항[1] 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책임자인 소준열 전교사령관은 "계엄사령관과 협의하는데 시간이 필요하다"면서 협상을 거부했다. 22일 오후부터 광주 시내에서는 무기회수 작업이 시작됐고, 광주 시민들은 자체적인 방범 활동을 했다. 26일 새벽 5시, 탱크가 광주 시내로 진출하기 시작했다. 시민 수습위원들이 일단 탱크 앞으로 행진해 탱크 진입을 막아냈다. 계엄군 측에서는 27일 새벽부터 작전이 시행될 것을 경고했다. 작전 수립 경위[편집] 1980년 5월 23일 오전 9시 계엄사령관 이희성은 육군참모총장실에서 진종채 2군사령관으로부터 외곽으로 물러나 있던 병력의 광주 재진입작전 계획을 보고받는 자리에서 황영시 육군참모차장, 계엄사 참모장 나동원 및 계엄사 참모들과 광주재진입작전을 논의하였고, 곧이어 정호용 특전사령관이 합석하여 광주재진입작전의 구체적 실행방법을 의논하고 현지 지휘관의 가용시간 등을 고려하여 같은달 25일 이후에 작전 개시하도록 결정하였다. 23일 전두환은 정호용을 통해 소준열 전교사령관에게 "공수부대의 기를 죽이지 마시오. 희생이 따르더라도 광주사태를 조기에 수습해주십시오."라는 내용이 포함된 친필 메모를 전달하여 광주 민주화 운동에 대한 강경한 진압을 주문했다.[2] 이에 소준열이 김순현 전교사 전투발전부장에게 광주 재진입작전 계획인 '상무충정계획'을 마련하도록 지시했다. 이희성은 5월 25일 오전 4시경 김재명 작전참모부장에게 광주 재진입작전 계획을 수립하라고 지시하여 육본 작전지침인 '상무충정작전'을 만들어 같은 날 오후 12시 15분 국방부 내 육군회관에서 전두환, 주영복, 이희성, 황영시, 노태우, 류병현 등이 참석한 가운데 상무충정작전을 5월 27일 0시 이후 실시하기로 최종 결정했다.[3] 계엄군의 도청 진입[편집] 정호용은 5월 26일 오전 전두환을 방문해 재진입작전에 필요한 가발, 군복을 지원받고 전두환에게 작전 내용을 보고했다. 같은 날 오후 14시경 이희성을 방문해 충격용 수류탄과 항공사진을 지원받고 21시에 장비를 가지고 광주비행장에 도착, 예하 부대원을 격려함으로써 재진입작전 준비를 마쳤다.[3] 26일 오후, 광주 시민은 최후의 항전을 준비하기 위해 '학생시민투쟁위원회'를 구성했다. 계엄군의 작전이 시작되기 이전, 광주 시민군 측에서는 여자나 중학생 등을 대피시켰고 도청에서 157명만이 남아 끝까지 항전하기로 결의했다. 계엄군 측에서는 27일 새벽, 47개 대대 2만 317명으로 편성한 계엄군을 5개 방면을 통해 일제히 진입했다. 그 중 각 공수여단별로 특공조를 편성하여 전남도청 등 목표지점을 점령 하도록 계획됐다. 3공수여단 특공조인 11대대 1지역대 장교 13명, 부사관과 병[4] 66명은 5월 27일 오전 4시경 전남도청에 도착, 후문을 넘어 최후 항쟁을 결의하고 남아 있는 무장 시위대에 무차별 총격을 가하면서 진입하여 5월 27일 오전 5시 21분경 도청을 점령했다. 7공수여단 특공조인 33대대 8, 9지역대 6개 중대 장교 20명, 부사관과 병[4] 181명은 오전 5시 6분 광주공원을 점령하고, 11공수여단 특공조인 61대대 4중대 장교 4명, 부사관과 병[4] 33명은 오전 4시 46분 제1목표인 전일빌딩과 관광호텔을 저항 없이 점령하였다.이어 6시 20분 여자기독교청년회(YWCA) 건물을 총격전 끝에 점령했다.[3] 피해[편집] 5월 27일 오후, 계엄군의 첫 발표에서는 시민 2명 사망, 군인 2명 사망이라고 발표했지만, 곧 도청에서 13명, 광주공원에서 2명, YWCA에서 2명으로 광주 시민 17명 사망으로 발표 내용을 정정했다. 1995년 검찰의 수사 결과, 작전 중 사망한 무장 시위대의 수가 18명으로 밝혀졌다. 총격전 뿐만 아니라 오인사격, 교전 도중 유탄에 의한 총상, 수하 불응 도주 사격 등의 이유로 사망한 비무장 시민 9명과 실종자로 분류되었다. 2001년 신원불상자로 분류됐다 신원이 밝혀진 고등학생을 포함해 이 날 공식적으로 희생된 것으로 알려진 희생자의 수는 28명으로 밝혀졌다.[5] 하지만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실종자 의혹도 여전히 제기되고 있기 때문에 이보다 희생자가 더 많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각주[편집] ↑ 1. 사태수습 전에는 군을 투입하지 말 것 2. 연행자를 전원 석방할 것 3. 군의 과잉 진압을 인정할 것 4. 사후 보복을 금지할 것 5.상호 책임을 면제할 것 6. 사망자에 대해 보상할 것 7. 이상의 요구가 관철되면 무장을 해제하겠음 ↑ 12.12 5.18 수사기록 입수 ↑ 가 나 다 12.12 5.18 사건 1심, 항소심, 상고심 판결문 ↑ 가 나 다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사병이란 단어 대신 이들을 구별하여 부른다. ↑ 광주사태사망자검시조서 (광주지검, 1980년 6월 초 작성) 같이 보기[편집]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광주외곽봉쇄작전 전두환 정호용 이희성 김재명 신군부 외부 링크[편집] 광주 재진입 작전 관련 영상 vdeh5·18 광주 민주화 운동배경 10·26 사건 12·12 군사 반란 K-공작계획 충정훈련 사북 사건 서울의 봄 서울역 회군 5·17 쿠데타 김대중 내란 음모 사건 1980년 언론 통폐합 관련 인물배경인물계엄당국 전두환 노태우 이희성 황영시 주영복 차규헌 박준병 정치인 최규하 신현확 김대중 김영삼 김종필 계엄군특전사령부 정호용 최웅 최세창 신우식 전교사 및 향토사단 윤흥정 김기석 소준열 정웅 전라남도 경찰국 안병하 광주시시민군 박남선 정상용 윤상원 김영철 그 외 홍남순 위르겐 힌츠페터 김경철 박관현 윤한봉 김의기 조비오 삼성그룹 사건 광주 민주화 운동 송암동 학살 주남마을 미니버스 총격 사건 광주외곽봉쇄작전 광주 재진입 작전 미디어논픽션 《80년 5월 광주》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문학 《26년》 《꽃잎처럼》 《윤상원 평전》 《봄날》 《소년이 온다》 《푸른 눈의 목격자》 영상매체영화 《오! 꿈의 나라》 《부활의 노래》 《꽃잎》 《박하사탕》 《화려한 휴가》 《26년》 《포크레인》 《택시운전사》 드라마 《밀항 탈출》 《모래시계》 《제4공화국》 《낮에도 별은 뜬다》 《제5공화국》 다큐멘터리 《어머니의 노래》 《광주는 말한다》 《멍에》 《김군》 음악 《임을 위한 행진곡》 《오월의 노래》 《광주여 영원히!》 관련장소 광주 전라남도청 구 본관 국립5·18민주묘지 망월묘지공원 금남로 광주광역시 5·18민주화운동기록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광주_재진입_작전&oldid=21243763" 분류: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5월 11일 (금) 15: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광주 재진입 작전(光州再進入作戰)은 1980년 5월 27일 5.18 민주화운동 당시 신군부 수뇌부가 계엄군을 투입해 전남도청에서 항전하는 광주 시민들을 진압하기 위해 펼친 작전이다. 계엄군 측 공식 작전명은 상무충정작전(尙武忠正作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95년 검찰이 수사한 결과는 ? Assistant: 1995년 검찰의 수사 결과, 작전 중 사망한 무장 시위대의 수가 18명으로 밝혀졌다. 총격전 뿐만 아니라 오인사격, 교전 도중 유탄에 의한 총상, 수하 불응 도주 사격 등의 이유로 사망한 비무장 시민 9명과 실종자로 분류되었다. 2001년 신원불상자로 분류됐다 신원이 밝혀진 고등학생을 포함해 이 날 공식적으로 희생된 것으로 알려진 희생자의 수는 28명으로 밝혀졌다.[5] 하지만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실종자 의혹도 여전히 제기되고 있기 때문에 이보다 희생자가 더 많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Human: 아래 막돼먹은_영애씨_7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막돼먹은 영애씨 7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막돼먹은 영애씨 7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막돼먹은 영애씨 7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tvN 방송 기간 2010년 5월 14일 ~ 2010년 9월 24일 방송 시간 매주 금요일 밤 11시 방송 분량 43분 ~ 50분 방송 횟수 20부작 기획 김현철 책임프로듀서 신형관 (1회 ~ 10회)염성호 (11회 ~ 20회) 편집 백은자 제작사 CJ E&M 연출 박준화, 백승룡, 최규식 조연출 노지혜, 홍두표, 이세나 극본 명수현, 백선우, 임수미 출연자 김현숙 외 해설 박형욱 음악 서성원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전편 막돼먹은 영애씨 6 후편 막돼먹은 영애씨 8 외부 링크  공식 홈페이지 《막돼먹은 영애씨 7》은 tvN에서 2010년 5월 14일부터 2010년 9월 24일까지 방영했으며, 《막돼먹은 영애씨》 시리즈 중 일곱 번째 드라마다. 목차 1 등장 인물 1.1 영애네 사무실 1.2 영애네 가족 1.3 그 외 2 회차별 부제 3 외부 링크 등장 인물[편집] 영애네 사무실[편집] 김현숙 : 이영애 역 - 디자이너 유형관 : 유형관 역 - 그린기획 팀장, 아름다운 사람들 사장 윤서현 : 윤서현 역 - 그린기획 영업과장, 아름다운 사람들 영업과장 임서연 : 변지원 역 - 그린기획 계약직 경리, 아름다운 사람들 경리 정지순 : 정지순 역 - 그린기획 영업사원, 아름다운 사람들 영업대리 김산호 : 김산호 역 - 그린기획 디자이너 이해영 : 장동건 역 - 대기업 디자이너 영애네 가족[편집] 송민형 : 이귀현 역 - 아버지 김정하 : 김정아 역 - 어머니 고세원 : 김혁규 역 - 이영채의 남편 이용주 : 이용주 역 - 김혁규의 친구 김현정 : 이영민 역 - 동생 강소라 : 강소라 역 - 이영민의 아내 그 외[편집] 최원준 : 최원준 역 이형석 : 이형석 역 - 그린기획 디자이너, 김산호의 친구 이상이 박종보 김강희 김도연 : 김도연 역 - 아름다운 사람들 디자이너 회차별 부제[편집] 2010년 회차 방송일자 부제 제1회 5월 14일 태어나길 잘했어 제2회 5월 21일 물로 쓴 사표 제3회 5월 28일 러브 버라이어티 1박2일 제4회 6월 4일 변한건 내가 아냐 제5회 6월 11일 오늘 생일 제6회 6월 18일 상처 위로 또 상처 제7회 6월 25일 나는 오늘 그 남자를 버렸다 제8회 7월 2일 더 늦기 전에, 다시 시작 제9회 7월 9일 외롭지 안아. . .줘 제10회 7월 16일 명함도 못 내미는 여자 제11회 7월 23일 백수가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제12회 7월 30일 이영애라 쓰고 불효녀라 읽는다. 제13회 8월 6일 아찔한 소개팅 제14회 8월 13일 백수탈출! 솔로탈출? 제15회 8월 20일 이영애, 행복돋네 제16회 8월 27일 난 괜찮아, 애인이 있으니까 제17회 9월 3일 환) 장서방 (영 제18회 9월 10일 내 여자 친구는 곰이오 제19회 9월 17일 오늘밤을 기대해 제20회 9월 24일 아직 할 이야기가 남았다 외부 링크[편집] 막돼먹은 영애씨 7기 홈페이지 tvN 금요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위기일발 풍년빌라(2010년 3월 5일 ~ 2010년 5월 7일)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7(2010년 5월 14일 ~ 2010년 9월 24일) 기찰비록(2010년 8월 20일 ~ 2010년 10월 29일) vdeh막돼먹은 영애씨 시리즈 막돼먹은 영애씨 1 (2007) 막돼먹은 영애씨 2 (2007) 막돼먹은 영애씨 3 (2008) 막돼먹은 영애씨 4 (2008) 막돼먹은 영애씨 5 (2009) 막돼먹은 영애씨 6 (2009) 막돼먹은 영애씨 7 (2010) 막돼먹은 영애씨 8 (2010) 막돼먹은 영애씨 9 (2011) 막돼먹은 영애씨 10 (2012) 막돼먹은 영애씨 11 (2012) 막돼먹은 영애씨 12 (2013) 막돼먹은 영애씨 13 (2014) 막돼먹은 영애씨 14 (2015) 막돼먹은 영애씨 15 (2016) 막돼먹은 영애씨 16 (2017) 막돼먹은 영애씨 17 (2019) vdeh 금토드라마2000년대 후반2007년금요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1》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2》 2008년금요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3》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4》 《맞짱》 2009년금요 《미스터리 형사》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5》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6》 2010년대 전반2010년금요 《위기일발 풍년빌라》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7》 《조선X파일 기찰비록》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8》 《원스 어폰어타임 인 생초리》 2011년금요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9》 2012년금요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10》 2013년금토 《응답하라 1994》 2014년금요 《꽃할배 수사대》 금토 《응급남녀》 《갑동이》 《연애 말고 결혼》 《아홉수 소년》 《미생》 2010년대 후반2015년금요 《미생물》 《초인시대》 금토 《하트 투 하트》 《슈퍼대디 열》 《구여친클럽》 《오 나의 귀신님》 《두번째 스무살》 《응답하라 1988》 2016년금토 《시그널》 《기억》 《디어 마이 프렌즈》 《굿 와이프》 《THE K2》 《도깨비》 2017년금토 《내일 그대와》 《시카고 타자기》 아침 | 월화 | 수목 | 금토 | 토일 | 불금불토 vdeh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현재와 예정)스케치 코미디 및인포테인먼트 《코미디빅리그》 《프리한 19》 리얼리티 쇼 《강식당2》 《고교급식왕》 《놀라운 토요일》 《서울메이트3》 《슈퍼히어러》 《신서유기7》 《씬의 퀴즈》 《유 퀴즈 온 더 블럭》 《짠내투어》 《플레이어》 《현지에서 먹힐까? - 미국 편》 토크 쇼 《곽승준의 쿨까당》 《문제적 남자》 《쇼! 오디오자키》 《수미네 반찬》 《어쩌다 어른》 드라마 월화 《60일, 지정생존자》 수목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www》 불금 《쌉니다 천리마마트》 토일 《아스달 연대기》 《드라마 스테이지》 다큐멘터리 《tvN 스페셜》 《리틀빅 히어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막돼먹은_영애씨_7&oldid=24100222" 분류: TvN 금토드라마2010년 드라마201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TvN의 심야 드라마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25일 (목) 15:0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막돼먹은 영애씨 7》은 tvN에서 2010년 5월 14일부터 2010년 9월 24일까지 방영했으며, 《막돼먹은 영애씨》 시리즈 중 일곱 번째 드라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막돼먹은 영애씨의 등장 인물로 디자이너 이영애를 연기한 여자 희극인인 이 사람은 누구인가? Assistant: 김현숙
Human: 아래 애드웨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애드웨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애드웨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1년 12월) 애드웨어(adware, advertising-supported software)는 특정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 또는 설치 후 자동적으로 광고가 표시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프리웨어인 경우 불가피하게 광고 수익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애드웨어라고 반드시 악성 소프트웨어에 속하는 것은 아니다. 목차 1 정의 2 문제점과 특징 3 예방법 4 같이 보기 5 외부 링크 정의[편집] 애드웨어는 소프트웨어 자체에 광고를 포함하거나 아니면 같이 묶어서 배포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것은 프로그래머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면서 개발 비용을 애드웨어를 통해서 충당할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며, 어떤 경우는 사용자가 무료 또는 아니면 할인된 가격으로 프로그램을 사용하도록 하는 조건으로 광고를 삽입하기도 한다. 광고를 통해 얻은 수입은 프로그래머가 소프트웨어 제품을 작성, 유지 또는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한다. 어떤 애드웨어는, 셰어웨어이기도 한데, 이 말은 일반적인 셰어웨어 프로그램과 구분해야 한다. 일반적인 셰어웨어 프로그램과의 차이점은 이런 프로그램들은 주로 광고를 통해서 지원을 받는다는 점이다. 이런 경우 광고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일정 비용을 지불하고 "등록"해야만 한다. 문제점과 특징[편집] 애드웨어가 문제가 되는 이유는 스파이웨어의 특징을 어떤 애드웨어들이 가지고 있기 때문인데, 이러한 애드웨어들은 사용자에게 동의를 구하거나 통보없이 사용자의 활동을 기록하고 보고한 다음에 때로는 재판매되기도 한다. 가장 더 큰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맬웨어인데, 다른 소프트웨어의 기능의 작동을 방해하거나, 아니면 컴퓨터 사용자에게 특정 웹사이트를 방문하라고 강요한다. "애드웨어"와 "스파이웨어" 그리고 "맬웨어"에 대한 사용자들의 혼란은 최근 들어 크게 일반적인 일은 아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용자가 기록을 수집하는 것을 동의함과 동시에 컴퓨터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했다면 "애드웨어"이고, 다른 이용자가 그 컴퓨터에 방문한다면 "애드웨어"는 "스파이웨어"가 된다. 그리고 "애드웨어"에 의해 사용자 기록이 사용자 동의 없이 수집된다면 "맬웨어"가 된다. 최근 스파이웨어는 전자 프라이버시 정보 센터[1]를 포함한 컴퓨터 보안이나 프라이버시 단체에게서 받는 강한 항의에 자극받고 있다. 가끔, 스파이웨어는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의 사용 습관을 광고주에게 보내 사용자의 관심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광고를 보여주기도 한다. 하지만 애드웨어는 스파이웨어와 달리 몰래 사적인 정보나 활동 기록을 컴퓨터가 동의하지 않으면 수집하거나 업로드하지 않는다. 어떤 개발사들의 애드웨어들은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을 제품의 사용 약관의 특정 조항에 포함시키는 방식으로 미리 알려주기도 한다. 또한 컴퓨터 사용자들의 애드웨어 검색과 제거를 도와주기 위한 몇몇 소프트웨어들이 제공되고 있다. 예방법[편집] 스파이웨어를 발견, 검역 그리고 제거하는 많은 프로그램들이 보급되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스파이웨어 제거에 목표를 두고 개발된 만큼 컴퓨터 바이러스를 치료하는 데는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같이 보기[편집] 스파이웨어 맬웨어 외부 링크[편집] (영어) 애드웨어와 스파이웨어 - Curlie (DMOZ 기반) vdeh소프트웨어 배포사용권 비어웨어 자유 자유-오픈 소스 오픈 소스 사유 퍼블릭 도메인 보상 모형 상용 소프트웨어 크리플웨어 셰어웨어 내그웨어 포스트카드웨어 프리웨어 케어웨어 도네이션웨어 애드웨어 크라우드펀딩 Freemium 제공 방식 디지털 배급 번들 사전 설치 소프트웨어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플러스 서비스 직접설치 파일 공유 사기 및 불법 베이퍼웨어 셔블웨어 스케어웨어 악성 소프트웨어 랜섬웨어 스파이웨어 웜 트로이 목마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소프트웨어 유지 보수 어밴던웨어 장기 지원 복제 방지 디지털 권한 관리 소프트웨어 저작권 소프트웨어 특허 제품 키 제품 활성화 하드웨어 제한 vdeh악성 소프트웨어 주제감염성 웜 목록 컴퓨터 바이러스 컴퓨터 바이러스와 웜의 연표 은폐성 루트킷 백도어 좀비 컴퓨터 중간자 클릭재킹 트로이 목마 이윤 목적 랜섬웨어 봇넷 사생활 침해 소프트웨어 스파이웨어 애드웨어 웹 공격 키로깅 Fraudulent dialer Malbot 스케어웨어 운영 체제별 리눅스 악성 소프트웨어 매크로 바이러스 모바일 바이러스 팜 OS 바이러스 보호 네트워크 보안 바이러스 검사 소프트웨어 방어적 컴퓨팅 방화벽 브라우저 보안 스마트폰 보안 안티 키로거 인터넷 보안 자료 손실 예방 소프트웨어 침입 탐지 시스템 대응 허니팟 안티 스파이웨어 충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애드웨어&oldid=23676924" 분류: 인터넷 광고 방식애드웨어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1년 12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umbaartLatviešuМакедонски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0일 (일) 15: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애드웨어(adware, advertising-supported software)는 특정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 또는 설치 후 자동적으로 광고가 표시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프리웨어인 경우 불가피하게 광고 수익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애드웨어라고 반드시 악성 소프트웨어에 속하는 것은 아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에드웨어로 인해 사용자 동의없이 사용자 기록이 수집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Assistant: 맬웨어 Human: 아래 카이랄성_(화학)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카이랄성 (화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이랄성 (화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알라닌의 두 거울상 이성질체 화학에서 카이랄성 또는 손대칭성은 거울상 영상에 서로 겹쳐질 수 없는 분자 구조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용어이다. 사람의 손은 카이랄성을 설명하는 데 가장 쉬운 예제이다. 즉, 서로 거울에 비친 형태를 하고 있는 두 손의 경우, 두 손을 아무리 돌리고 방향을 바꾸고 하더라도 두 손은 서로 겹쳐지지 않는다. 따라서 카이랄성은 손대칭성이라고도 불리며, 카이랄성을 지닌 거울상 이성질체 혹은 광학 이성질체의 경우 이러한 오른손, 왼손에 비유하여 왼손잡이성(left-handedness) 내지는 오른손잡이성(right-handedness)으로 구분짓기도 한다. 두 거울상 이성질체가 동일한 양이 섞여있는 혼합물을 라세미 혼합물이라고도 한다. 분자구조에 있어서의 카이랄성은 입체화학에서 매우 중요한 특성이다. 브로모클로로플로오로메테인의 두 거울상 이성질체 목차 1 역사 2 명명법 2.1 구조에 따른 명명법: R/S 명명법 2.2 광학 활성도에 따른 명명법: (+)/(-) 명명법 2.3 구조에 따른 명명법: D/L 명명법 3 생물학에서의 카이랄성 4 의약품에서의 카이랄성 5 무기 화학에서의 카이랄성 6 아민의 카이랄성 7 문학에서의 카이랄성 8 참조 문헌 9 외부 링크 역사[편집] 광학 활성도라는 말은 카이랄성을 지닌 물질이 편광에 대해 어떠한 반응을 보이는가를 설명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즉, (-) 형의 광학 이성질체의 용액은 편광면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 형의 용액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편광면의 회전 현상은 1815년 장-밥티스테 비오가 처음으로 관찰하였다[1]. 이후 광학 활성도는 설탕 제조 공정, 분석 화학, 약학 등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1848년 루이 파스퇴르는 이러한 편광면의 회전 현상은 분자의 차이에 기인한 것이라는 것을 추론해내었다[2]. 명명법[편집] 구조에 따른 명명법: R/S 명명법[편집] R/S 명명법은 글리세르알데하이드와 같이 기준 분자가 없는 거울상 이성질체를 나타내는 데 주요하게 사용되는 명명법이다. R/S 명명법은 카이랄 중심에 붙어 있는 치환기를 원자 번호에 기반을 둔 칸-인골드-프렐로그 순위 규칙에 따라 우선 순위를 붙이고, 이에 따라 R 내지는 S라는 방식으로 표기를 하는 것이다. 우선, 카이랄 중심을 회전시켜, 4개 중에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지니는 치환기를 관측자 관점에서 먼 쪽으로 가도록 한다. 그러면 가장 낮은 우선 순위의 치환기는 카이랄 중심에 가려서 보이지 않게 되며, 나머지 3개의 치환기만이 보이게 된다. 이 상태에서 남은 3개의 치환기의 우선 순위가 오른쪽으로 감소하는지, 왼쪽으로 감소하는지를 따져서 구분짓게 된다. 오른쪽, 즉 시계방향으로 감소할 경우 R(오른쪽을 뜻하는 라틴어 Rectus), 반시계방향으로 감소할 경우 S(왼쪽을 뜻하는 라틴어 Sinister)로 구분짓는다. 이 방식을 사용하면, 분자의 각 카이랄 중심에 대해서 R이나 S로 구분지을 수 있다. 따라서 D/L 체계보다 훨씬 일반적으로, 부분입체이성질체와 같은 경우에 (R, R)과 (R, S)와 같이 구분할 수도 있다. R/S 체계는 (+)/(-) 체계와 대응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R 이성질체는 치환기에 따라 우회전성일수도, 좌회전성일수도 있다. 또한, R/S 체계는 D/L 체계와 대응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예로서, 세린의 곁사슬은 하이드록시기(-OH)를 지니고 있다. 만약 해당 하이드록시기가 싸이올기(-SH)로 치환된다면, D/L 명명법에 의한 분자명은 정의에 따라 치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하지만, 이러한 교환이 있게 된다면, 교환 전의 CH2OH 는 CO2H 보다 우선순위가 낮은 반면 교환 후의 CH2SH 는 CO2H 보다 우선순위가 높게 되어 R/S 명명법에 의한 분자식의 이름은 바뀌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D/L 명명법은 아미노산이나 탄수화물을 다루는 일부 생화학 분야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이는 생명체에게서 흔히 발견되는 구조에게 동일한 이름을 부여하는 것이 보다 편리한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다시말해, D/L 명명법을 사용한다면 일반적으로 생명체에서 발견되는 아미노산은 L-형으로 명명 가능하다. 하지만, R / S 명명법을 사용한다면, 비록 많은 수는 S형으로 명명 가능해도, 많은 예외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광학 활성도에 따른 명명법: (+)/(-) 명명법[편집] 거울상 이성질체는 편광면을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구분지을 수도 있다. 빛의 진행방향에서 쳐다본 관측자에 있어 빛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면, 해당 거울상 이성질체는 (+)로 구분되고, 그에 반하는 분자는 (-)로 표시된다. (+) 와 (-) 이성질체는 우회전성(우선성)을 뜻하는 dextrorotatory와 좌회전성(좌선성)을 뜻하는 levorotatory로부터 각각 d-와 l-로 표기되기도 한다. 이러한 표기법은 아래의 D/L 표기법과 쉽게 혼동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구조에 따른 명명법: D/L 명명법[편집] 과당의 두 거울상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는 원자의 부분적인 배치에 의해서 명명될 수도 있다.D/L 명명법은 분자를 글리세르알데하이드와 비교해서 명명하는 방법이다. 글리세르알데하이드는 자체로 카이랄성을 지니고 있으며, 두 개의 거울상 이성질체는 각각 D 와 L로 구분지어진다. 피셔 투영도 상에서 D-글리세르알데하이드의 하이드록시기는 오른쪽에, L-글리세르알데하이드에서는 왼쪽에 붙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피셔 투영도 상에서 하이드록시기의 위치에 따라 D/L로 구분짓기도 한다.[3] 따라서 그림과 같은 프럭토스의 두 거울상 이성질체는 구분된다. D/L 표기법은 (+)/(−) 표기법 내지는 d/l 표기법과 관계가 없다. 즉, D가 반드시 d- 라거나 L 이 반드시 l- 인 것은 아니다. 단백질에서 흔히 발견되는 19개의 L-아미노산 중 9개는 d- 즉 우회전성이며, D-프럭토스는 다른 이름으로 l-프럭토스 즉 좌회전성이다. L-트레오닌 일반적인 α-아미노산에 있어 D/L을 구분짓는 다른 방법은 일명 "CORN" 규칙을 적용하는 것이다. α-아미노산은 아미노기(-NH2), 카복시기(-COOH)가 하나의 탄소 원자에 붙어 있는 아미노산으로, 해당 탄소 원자가 입체중심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CORN 규칙은, 카이랄 중심인 탄소 주변에 카복시기(COOH), 치환기(R), 아미노기(NH2)의 순서를 따지는 것이다. 만약 수소 원자를 관측자에서 멀리 두었을때, 해당 순서가 시계방향이라면, D형 거울상 이성질체이며, 반시계방향이라면 L형 거울상 이성질체이다. 그림의 트레오닌에 있어 탄소 원자를 중심으로 카복시기, 치환기, 아미노기가 반시계 방향이므로, L-트레오닌이 된다. 생물학에서의 카이랄성[편집] 자연 발생하는 아미노산이나 당류를 비롯한 생물에서 사용되는 많은 분자는 카이랄성을 지닌다. 놀랍게도, 생물체에서 사용되는 화합물은 D/L 분류법으로 보았을 때, 대부분 같은 카이랄성을 지닌다. 대부분의 아미노산은 L형이며, 당류는 D형이다. 일반적으로 L형 아미노산을 이용해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단백질은 왼손잡이성 단백질이라고 하며, D형 아미노산을 사용해 형성된 단백질은 오른손잡이성 단백질이라고 한다. 생물학에서 이러한 단일 카이랄성은 많은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다.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지구 생명체의 이러한 카이랄성의 선택은 단순히 임의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만약 탄소 기반의 외계 생명체가 존재한다면, 반대의 카이랄성을 지닐 수 있을 수도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일부 과학자들은 이러한 편향성에 대한 약한 상호작용과 같은 과학적인 이유를 찾고자한다[4]. 효소 역시 카이랄성을 지니며, 카이랄성을 지닌 기질의 두 거울상 이성질체를 구분할 수 있다. 예로, 주머니처럼 생겨서 기질을 감싸안는 효소를 생각해보자. 만약 주머니의 구조가 대칭성이 아니라면, 기질의 형태에 따라 하나의 이성질체는 모양에 들어 맞는 반면, 다른 형태의 이성질체는 맞지 않을 것이다. D형 아미노산은 단 맛이 나며, L형은 대개 무미하다. 스피어민트 잎과 캐러웨이 씨앗은 각각 L-카르본과 D-카르본을 지니고 있다. 이 두 분자는 서로 다른 향이 나며, 이 이유는 인간의 후각 기관이 거울상 이성질체에 서로 다르게 반응하는 카이랄 분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의약품에서의 카이랄성[편집] 카이랄성을 지니는 의약품은 쌍을 이루는 거울상 이성질체의 잠재적인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높은 순도로 제조되어야 한다. 물론 쌍을 이루는 거울상 이성질체가 부작용이 있는 것이 아닌 단순히 효과가 없는 경우일 수도 있다. 탈리도마이드: 탈리도마이드는 라세미 혼합물이다. 하나의 거울상 이성질체는 조병에 효과가 있는 반면, 다른 거울상 이성질체는 기형아를 유발한다. 불행히도, 하나의 거울상 이성질체만을 정제하여 사용한다고 해도 기형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탈리도마이드는 인체 내부에서 쌍을 이루는 거울상 이성질체로 서로 변하게 되며, 따라서 한 종류의 이성질체만을 투여한다고 하더라도 인체 내부에는 두 종류의 탈리도마이드가 존재하게 된다. 에탐부톨: 한 종류는 결핵에 효과가 있는 반면, 다른 종류는 실명을 유발한다. 나프록센: 한 종류는 관절염 등에 효과가 있는 진통제인 반면, 다른 종류는 진통 효과도 없으며 간에 독성을 유발한다. 스테로이드 수용체는 입체 이성질체 특이성을 보인다. 페니실린의 작용은 입체선택성을 지닌다. 항생물질은 세균의 세포벽 내부에 존재하는 D-알라닌의 펩타이드 고리에만 작용한다. 하지만 인간은 이러한 D-아미노산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페니실린을 사용하여 세균만을 죽일 수 있다. L-프로프라노롤은 강력한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인 반면 D-프로프라노롤은 그렇지 않다. 하지만, 둘 모두 부분 마취 효과는 있다. 아드레날린 수용체와 반응하는 제제인 S(-) 카르베디롤은 R(+) 이성질체보다 100배 정도 베타 차단제로서 효과가 있다. 하지만 알파 차단제로서의 효과는 둘 모두 비슷하다. 무기 화학에서의 카이랄성[편집] 많은 배위 화합물은 카이랄성을 지니고 있다. 예로, 잘 알려진 [Ru(2,2'-bipyridine)3]2+ 착물은 3개의 바이피리딘 리간드가 카이랄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 경우, 루테늄(Ru) 원자는 입체중심이 된다. 두 거울상 이성질체는 3개의 리간드의 방향에 따라 왼손잡이성일경우 Λ, 오른손잡이성일경우 Δ으로 표기된다. 아민의 카이랄성[편집] 그림과 같은 삼차 아민은 탄소 화합물과 유사하게 카이랄성을 지니고 있다. 즉 고립전자쌍까지 고려한다면, 중앙의 질소 원자에 네 개의 치환기가 달려있는 형태인 것이다. 하지만, 입체중심의 질소 반전에 필요한 에너지 장벽은 대략 30 kJ/mol 정도로, 상온에서 두 이성질체는 서로 빠른 속도로 변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NHRR' 형태의 아민은 광학적으로 구분될 수 없으며, NRR'R" 형태의 아민이라 하더라도 R, R', R"의 치환기가 순환 구조일 때만 구분될 수 있다. 문학에서의 카이랄성[편집] 루이스 캐럴의 생전에는 카이랄성이 그다지 연구된 것은 아니었지만, 《거울 나라의 앨리스》에서 앨리스가 고양이에게 "거울에 비친 우유는 몸에 나쁠거야" 라며 거울상 물질의 생물학적 차이에 대한 추측을 하였다. 제임스 블리시의 《스타 트렉》소설인 《Spock Must Die!》에서는 거울상의 스팍이 등장하는데, 거울상으로 되어버린 물질대사로 인해 거울상 이성질체인 아미노산을 합성해서 사용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참조 문헌[편집] ↑ Lakhtakia, A. (ed.) (1990). Selected Papers on Natural Optical Activity (SPIE Milestone Volume 15). SPIE ↑ Pasteur, L. (1848). "Researches on the molecular asymmetry of natural organic products", English translation of French original, published by Alembic Club Reprints (Vol. 14, pp. 1-46) in 1905, facsimile reproduction by SPIE in a 1990 book ↑ "《유기화학 제 2 판》", John McMurry, Simanek Eric, 1993 ↑ Castelvecchi, Davide. (2007). Alien Pizza, Anyone?, Science News vol. 172, pp. 107-109. (references Archived 2007년 12월 13일 - 웨이백 머신) 외부 링크[편집] http://www.chemguide.co.uk/basicorg/isomerism/optical.html#top http://www.nature.com/horizon/chemicalspace/highlights/s5_nonspec1.html IUPAC nomenclature for amino acid configurations. Michigan State University's explanation of R/S nomenclature Quack: Chiral Skin Care by Charlatans, from Melbourne Dermatology Online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카이랄성_(화학)&oldid=24524357" 분류: 입체화학카이랄성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עבריתHrvatskiMagyarInterlingua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4일 (목) 19: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카이랄성(영어: chirality)은 화학에서 거울상 영상에 서로 겹쳐질 수 없는 분자 구조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용어이다. 분자 비대칭성(分子非對稱性), 키랄성, 손대칭성이라고도 한다. 사람의 손은 카이랄성을 설명하는 데 가장 쉬운 예제이다. 즉, 서로 거울에 비친 형태를 하고 있는 두 손의 경우, 두 손을 아무리 돌리고 방향을 바꾸고 하더라도 두 손은 서로 겹쳐지지 않는다. 따라서 카이랄성은 손대칭성이라고도 불리며, 카이랄성을 지닌 거울상 이성질체 혹은 광학 이성질체의 경우 이러한 오른손, 왼손에 비유하여 왼손잡이성(left-handedness) 내지는 오른손잡이성(right-handedness)으로 구분짓기도 한다. 두 거울상 이성질체가 동일한 양이 섞여있는 혼합물을 라세미 혼합물이라고도 한다. 분자구조에 있어서의 카이랄성은 입체화학에서 매우 중요한 특성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자연 속에서 존재하는 대부분의 아미노산은 어떤 형의 카이랄성을 지니는가? Assistant: L형
Human: 아래 노경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노경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노경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노경은 Noh Kyung-Eun 두산 베어스 시절의 노경은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1984년 3월 11일(1984-03-11) (35세) 출신지 대한민국 전라남도 함평군[1] 신장 186 cm 체중 90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우타 수비 위치 투수 프로 입단 연도 2003년(두산 베어스) 드래프트 순위 2003년 1차 지명(두산 베어스) 첫 출장 KBO / 2003년 9월 4일 잠실 대 LG 전 구원 획득 타이틀 * 2012년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기량 발전상 계약금 3억 5,000만원 연봉 1억원 (2018년) 경력 두산 베어스 (2003년 ~ 2016년) 롯데 자이언츠 (2016년 ~ 2019년)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WBC 2013년 대만 월드컵 2009년 EU 노경은(盧景銀[2], 1984년 3월 11일 ~ )은 KBO 리그 전 롯데 자이언츠의 투수이다. 목차 1 아마추어 시절 2 두산 베어스 시절 2.1 2015년 한국시리즈 3 롯데 자이언츠 시절 4 논란 5 국가대표 경력 6 별명 7 통산 기록 8 각주 9 외부 링크 아마추어 시절[편집] 서울화곡초등학교와 성남중학교를 거쳐 성남고등학교에 입학하였다. 성남고등학교 3학년 때인 2002년에는 동산고등학교의 송은범, 광주제일고등학교의 김대우와 함께 고교 야구 투수 빅 3로 손꼽혀서 메이저 리그 스카우트들의 관심을 얻기도 하였다.[3] 두산 베어스 시절[편집] 2003년 두산 베어스의 1차 지명을 받아 입단하였으나 입단 초기에 어깨 부상으로 후반기에 들어와서야 1군에 올라왔다. 2004년 두산 베어스 구단에서 부상과 병역에 관한 마찰로 인해 임의 탈퇴 여부까지 고려된 일이 있었고, 그 해 팔꿈치 수술을 받았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병역비리까지 연루되어 2005년에 공익근무요원으로 입대했다.[4] 소집 해제된 이후에도 넷상 마찰 등 불미스러운 사건 등을 일으켜 기회를 많이 얻지 못했다. 포스트 시즌에는 투수 지승민과 함께 2009년 플레이오프 때 처음으로 엔트리에 들어갔으나, 등판하지 못했고 2012년 준플레이오프를 통해 포스트 시즌에 처음 선발로 등판하게 되었다. 이후 가끔씩 1군에 올라오다가 2011년 투수진에서 누수가 대거 생기게 되어 불펜으로 많이 등판하였고, 그의 재기에는 당시 투수 코치였던 김진욱이 도움을 많이 주었다.[5] 부활을 이끌었던 스승인 김진욱이 감독으로 부임하게 된 2012년에는 임태훈의 부상으로 선발에 복귀하여 선발 승도 거두었다.[6] 2012년 9월 6일 넥센 히어로즈전에서 프로 데뷔 첫 완봉승을 기록했고[7] 2012년 9월 19일 KIA 타이거즈전에서 데뷔 첫 두 자릿수 승을 거두었다.[8] 이후 2012년 9월 26일 한화 이글스전에서 개인 통산 2번째이자 시즌 2번째 완봉승을 기록했다.[9] 그와 함께 33이닝 연속 무실점을 기록하다가 2012년 10월 2일 넥센 히어로즈전에서 34이닝으로 연속 무실점 이닝 기록을 마감했다. 이는 프로 통산 역대 3위의 기록이다.[10] 그는 이 날 경기에서 승리를 챙기면서 2012 시즌 12승(선발 10승)을 기록했다. 팀이 2012년 포스트 시즌에 진출하여, 롯데 자이언츠와의 준 플레이오프에서 2차전 선발로 등판하였다. 경기에서 6.1이닝 107구 6피안타(2탈삼진, 3사사구), 1실점으로 호투하였다.[11] 2013 시즌에는 이용찬이 팔꿈치 뼛조각 수술을 받아 전력에서 이탈하고, 김선우가 부진한 모습을 보여 니퍼트와 원투펀치를 이루었다. 아울러 유희관이 2012 시즌의 그와 비슷한 모습을 보여 주었다. 2015년 한국시리즈[편집] 2015년 10월 30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한국시리즈 4차전에서 선발 이현호 다음으로 등판하여 5.2이닝 무실점으로 그 동안의 부진을 씻은 인생 투구를 하며 승리 투수가 되었다. 롯데 자이언츠 시절[편집] 2016년 5월 31일 당시 두산 베어스 소속이었던 그와 롯데 자이언츠 소속이었던 고원준의 1:1 트레이드를 통해 이적하였다. 2016년 6월 22일 KIA전에서 5이닝 4실점을 하며 이적 후 첫 승리 투수가 되었다.[12] 또한, 2016년 6월 28일 이적 이후의 부진을 씻어내리는 6이닝 무실점 투구를 하였다. 2019년 1월 28일 FA계약에서 협상 결렬되며 롯데 자이언츠를 떠나게 되었다. 보상선수까지 줘가면서 그를 영입할 구단은 없을것으로 보인다. 2018년 그는 9승 6패 4.08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였다. [1] 논란[편집] 2009년 7월 3일 LG전에 선발로 등판하여 3이닝 동안 3피홈런을 기록하며 패전의 빌미를 제공했다. 이전에도 기대치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성적에 은퇴 파동을 일으킨 전력이 있던 그에 대한 팬들의 감정이 호의적이지 않았고, 이에 몇몇 두산 팬들은 그의 싸이월드 홈페이지에 악플을 달았다. 이에 그 또한 노골적으로 열을 올리며 해당 팬의 홈페이지에 찾아가 댓글을 남기며 말싸움을 벌였고, 그의 프로 선수답지 못한 대응을 지적하는 팬들에게까지 화살을 돌린 후 카트라이더를 한다며 사라져 화제가 되었다. 7월 7일에는 그에 대한 간접적인 비아냥을 담은 현수막이 잠실에 잠시 걸렸고, 이를 두고 팬들 사이에서도 논란이 일었다. 하지만 카트라이더 사건은 이것으로 끝이 아니었다. 7월 8일 2군으로 강등된 그는 잠시 닫았던 싸이월드 홈페이지를 다시 열면서 인터넷 상에서 떠돌던 카트라이더 게임 화면에 자신의 얼굴이 합성된 사진을 메인 화면으로 걸어놓고 비꼬는 듯한 글을 올리며 전혀 자숙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아 일말의 동정론까지 사그라들게 만들었다. 이 사건으로 그에게 '노카트'라는 달갑지 않은 별명이 붙었다.[13] 이후 2011년 중간 계투로 많이 등판하고 2012년에도 중간 계투로 등판하다가 선발로 엄청난 활약을 보여 팀 공헌도가 증가하면서 이러한 시선은 줄어들었다. 2016년 5월 10일 현역 은퇴 의사를 밝혔다. 이에 두산 베어스는 그의 요청을 받아들여, 현역 은퇴 즉, 임의 탈퇴 처리하였다.[14] 갑작스러운 은퇴 선언에 네티즌들은 안타까운 반응을 주로 보이던 중 2016년 5월 13일 갑자기 본인이 임의 탈퇴를 원하지 않아 철회해달라고 공식 입장을 발표하였다.[15] 결국 KBO는 2016년 5월 14일 임의탈퇴로 공시된 그의 임의 탈퇴를 공식적으로 철회하여 다시 소속팀으로 복귀하였다.[16] 17일 후 5월 31일 고원준과 트레이드됐다.[17] 국가대표 경력[편집]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다. 별명[편집] 위 에피소드에서 언급된 '노카트', 이름을 두 글자로 줄여서 '노갱'이라고 불린다. 2017년 6월 16일 넥센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롯데 자이언츠 측의 오더 실수로 이대호와 최준석의 포지션을 혼동하여 지명타자였던 최준석이 1루수 수비를 하고, 1루수였던 이대호가 덕아웃에 있으면서 4번 타자 자리에는 투수가 들어가게 됐다. 이 사건으로 인해 투수와 타자를 겸해 월등한 활약을 펼치는 오타니 쇼헤이의 이름을 본따 '조선의 4번 투수', '노타니', '노타니 쇼헤이'등으로 불렸다. 통산 기록[편집] 연도 팀명 평균자책점 경기 완투 완봉 승 패 세 홀 승률 타자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2003 두산 4.12 5 0 0 3 1 0 0 0.750 79 19.2 12 2 12 2 8 9 9 2004 6.89 20 0 0 2 2 0 0 0.500 244 49.2 65 11 31 2 35 41 38 2007 4.67 29 0 0 1 2 0 1 0.333 199 44.1 45 2 25 3 21 25 23 2008 6.23 3 0 0 0 1 0 0 0.000 43 8.2 12 0 5 1 7 8 6 2009 4.50 9 0 0 0 2 0 0 0.000 107 24 18 4 19 2 11 14 12 2010 13.50 6 0 0 0 0 0 0 - 47 9.1 17 1 1 1 8 14 14 2011 5.17 44 0 0 5 2 2 3 0.714 290 62.2 71 3 36 2 53 39 36 2012 2.53 42 2 2 12 6 0 7 0.667 608 146 106 6 69 8 133 46 41 2013 3.84 30 0 0 10 10 0 0 0.500 765 180.1 171 16 75 6 153 88 77 2014 9.03 29 0 0 3 15 0 0 0.167 530 109.2 147 14 69 1 74 117 110 2015 4.47 47 0 0 1 4 4 0 0.200 267 58.1 57 6 37 5 41 33 29 2016 롯데 6.85 22 0 0 3 12 0 0 0.200 454 94.2 128 13 48 5 52 79 72 2017 11.66 9 0 0 0 2 0 0 0.000 76 14.2 25 4 8 1 8 19 19 2018 4.08 33 0 0 9 6 0 0 0.600 547 132.1 127 18 30 4 89 65 60 통산 14시즌 5.15 328 2 2 49 65 7 11 0.430 4256 954.1 1001 100 465 43 693 597 546 각주[편집] ↑ 노경은 “WBC 발탁, 이제야 실감” - 일간스포츠 ↑ 한국야구위원회, 2012 가이드북 ↑ 다저스 "제2의 박찬호 찾아라" 《한국일보》, 2002년 4월 23일 작성 ↑ 돌아온 노경은 깜짝 호투 - 쿠키뉴스 ↑ 두산 "김진욱 감독 소통력 높게 평가" - 연합뉴스 ↑ 노경은, 김진욱 감독에게 바친 선발승 - 매일경제 ↑ ‘데뷔 첫 완봉' 노경은, 10년 만에 피운 꽃 - OSEN ↑ '만년 유망주' 꼬리표 뗀 두산 노경은의 성공시대 - 마이데일리 ↑ '2번째 완봉' 노경은 "'넌 다르다'는 독려, 힘이 됐다"- OSEN ↑ 노경은, '발'에 걸려 중단된 연속 이닝 무실점 - OSEN ↑ 준PO 화려한 가을 데뷔 노경은, 두산 중심 됐다 - OSEN ↑ '노경은 선발승' 롯데, 26안타로 KIA에 18-5 승 -아시아경제 ↑ 노경은, “내 성공 기준은 오랜 선수 생활” - OSEN ↑ 노경은 은퇴 의사... 두산도 임의탈퇴 처리 -OSEN ↑ 노경은 임의탈퇴 철회 요청, 두산 "빨리 결정할 것" -스포츠서울 ↑ KBO, "두산의 노경은 임의탈퇴 철회 수용" -OSEN ↑ 롯데 고원준-두산 노경은, 전격 트레이드 합의 -마이데일리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노경은 노경은 - KBO 투수별 기록 노경은 - 스탯티즈 노경은 싸이월드 미니 홈페이지 노경은 - 네이버 인물검색 노경은 - 다음 인물백과 vdeh롯데 자이언츠 - 현재 명단감독 79 양상문 코치 70 공필성 (수석) 72 윤재국 (외야수비) 73 김태룡 (내야수비) 74 최기문 (배터리) 76 주형광 (투수) 82 최만호 (작전) 83 이영준 (트레이닝) 84 김종훈 (컨디셔닝) 86 손인호 (타격보조) 87 장재영 (트레이닝) 91 임경완 (불펜) 95 김승관 (타격) 퓨처스 감독 97 강진규 퓨처스 코치 71 손용석 (내야수비) 75 이우민 (작전/외야수비) 80 정호진 (배터리) 81 프랑코 (타격) 88 김성진 (컨디셔닝) 93 류호진 (컨디셔닝) 98 홍민구 (투수) 99 이용훈 (불펜) 잔류군 코치 08 장경호 (컨디셔닝) 77 신민기 (수비) 78 강영식 (재활) 89 박재용 (타격) 90 이정민 (투수) 96 윤여훈 (컨디셔닝) 투수 05 송창현 1 손승락 14 정태승 15 오현택 18 윤성빈 19 홍성민 21 송승준 22 구승민 23 고효준 28 장시환 29 이승헌 32 박세웅 34 김원중 35 이인복 38 노경은 40 박진형 41 김대우 42 김건국 45 최영환 46 레일리 47 최하늘 48 진명호 49 배장호 50 다익손 51 윤길현 56 정성종 59 차재용 60 송주은 61 박근홍 62 박시영 64 정종진 67 조무근 109 김현 119 한승혁 포수 2 안중열 26 김사훈 27 나종덕 44 김준태 62 정보근 내야수 02 오윤석 4 오윤석 5 황진수 6 문규현 7 신본기 10 이대호 12 이찬건 13 배성근 17 채태인 25 한동희 36 전병우 52 김동한 54 강로한 66 김상호 69 윌슨 105 박정현 110 최승훈 외야수 0 나경민 3 민병헌 8 전준우 9 정훈 16 이병규 24 김문호 31 손아섭(주장) 33 허일 53 조홍석 58 정준혁 112 조준영 군입대 선수 강동관 강동호 김대륙 김도규 김동우 김민수 김유영 김재유 김종환 김훈호 나원탁 박종무 박한길 손준영 이예찬 이재욱 이준형 이지원 이호연 장두성 최민국 홍지훈 2019년 신인지명 선수 39 서준원(1차지명) 57 고승민(2차 1라운드 지명) 85 강민성(2차 2라운드 지명) 43 김현수(2차 3라운드 지명) 94 박진(2차 4라운드 지명) 107 박영완(2차 5라운드 지명) 92 김동규(2차 6라운드 지명) 118 김현우(2차 7라운드 지명) 101 오영욱(2차 8라운드 지명) 100 김민수(2차 9라운드 지명) 68 신용수(2차 10라운드 지명) vdeh두산 베어스 - 2015년 한국시리즈 우승 (정규시즌 3위)감독 88 김태형코치 74 유지훤 | 75 권명철 | 76 장원진 | 77 전형도 | 81 강동우 | 82 강인권 | 86 강석천 | 87 박철우 | 89 한용덕투수 15 오현택 | 28 장원준 | 29 유희관 | 35 진야곱 | 38 노경은 | 40 니퍼트 | 42 윤명준 | 48 이현승 | 56 허준혁 | 57 이현호 | 61 함덕주 | 64 남경호포수 12 최재훈 | 25 양의지내야수 3 로메로 | 7 최주환 | 13 허경민 | 14 고영민 | 17 오재원 (주장) | 22 홍성흔 | 36 오재일 | 52 김재호 | 66 김동한외야수 31 정수빈 | 37 박건우 | 49 민병헌 | 50 김현수 | 62 장민석한국시리즈 MVP 정수빈 vdeh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2009년 야구 월드컵감독 74 김학용코치 70 윤학길  · 75 정기조  · 76 천보성투수 11 김희걸  · 15 손승락  · 16 노경은  · 18 유원상  · 20 허준혁  · 21 노성호  · 29 윤지웅  · 37 박현준  · 42 노병오  · 47 신재영  · 61 강병완포수 24 양의지  · 39 이희근내야수 1 강명구  · 6 허경민  · 7 노진혁  · 51 정병곤  · 52 최용규  · 54 조영훈  · 56 신본기외야수 9 이호신  · 14 김헌곤  · 31 고종욱  · 33 정진호 vdeh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감독 75 류중일코치 76 유지현 · 77 한용덕 · 78 박정태 · 79 양상문 · 80 김동수 · 86 김한수투수 1 손승락 · 11 박희수 · 17 유원상 · 18 노경은 · 21 오승환 · 23 차우찬 · 26 서재응 · 28 윤석민 · 38 정대현 · 48 장원삼 · 57 장원준 · 66 윤희상 · 91 송승준포수 20 진갑용 · 47 강민호내야수 7 김상수 · 8 정근우 · 13 손시헌 · 14 최정 · 16 강정호 · 25 이대호 · 36 이승엽 · 52 김태균외야수 9 전준우 · 15 이용규 · 31 손아섭 · 35 이진영 · 50 김현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노경은&oldid=24288643" 분류: 1984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전라남도 출신함평군 출신KBO 리그 투수롯데 자이언츠 선수서울화곡초등학교 동문성남중학교 (서울) 동문성남고등학교 (서울) 동문교하 노씨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두산 베어스 선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7일 (월) 15: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노경은(盧景銀, 1984년 3월 11일 ~ )은 KBO 리그 SSG 랜더스의 투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노경은은 부상과 병역등으로 성적이 좋지 못했는데 최초로 선발로 서게된 년도는 무엇일까? Assistant: 2012년 Human: 아래 전주우체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전주우체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주우체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5° 48′ 51″ 동경 127° 06′ 18″ / 북위 35.814276° 동경 127.1049578°  / 35.814276; 127.1049578 전주우체국 기본 정보종류 우체국위치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원로 99(효자동2가 1245-4)관할지역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현황 홈페이지 전주우체국 홈페이지 전주우체국(全州郵遞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 전북지방우정청 소속의 우편물 취급기관이다.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원로 99(효자동2가)에 있다. 목차 1 기본 정보 2 연혁 3 관할 우체국 4 조직 5 각주 6 외부 링크 기본 정보[편집] 주소: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원로 99(효자동2가) 우편번호: 54966 연혁[편집] 1896년: 전주우체사 개국 2001년 11월 30일: 전주중인우편취급소 폐국[1] 2011년 11월 30일: 전주현대빌딩우편취급국, 전구광진우편취급국 위탁계약 해지[2] 2012년 4월 9일: 전주현대빌딩우편취급국을 전주현대우편취급국으로 명칭 변경 및 청사 이동[3] 2014년 1월 1일: 우편구역을 다음과 같이 고시[4] 전주우체국 관할 우편구역 배달국 배달구역 구역번호 전주우체국 완산구 전지역, 완주군 구이면 · 상관면 · 이서면 54865 ~ 5486654870 ~ 5487554877 ~ 5488054940 ~ 5498154984 ~ 549875498954991 ~ 5500055002 ~ 5500755010 ~ 5501155032 ~ 55144(단, 54861 ~ 54862, 54865 ~ 54866, 54870, 54873 ~ 54874, 54879, 54991 ~ 54993, 55002 ~ 55004, 55010 ~ 55011 중 덕진구 지역은 제외)55358 ~ 55368 동전주우체국 덕진구 전지역 54800 ~ 5487054873 ~ 5487454876, 5487954881 ~ 5493954982 ~ 549835498854990 ~ 5499355001 ~ 5500455008 ~ 55031(단, 54861 ~ 54862, 54865 ~ 54866, 54870, 54873 ~ 54874, 54879, 54991 ~ 54993, 55002 ~ 55004, 55010 ~ 55011 중 완산구 지역은 제외) 2014년 7월 4일: 전주대학교우체국, 전주교육대학우체국 폐국[5] 2014년 7월 7일: 전주대학교우편취급국 설치[6] 2014년 8월 1일: 전주농촌진흥청우체국 개국[7] 2014년 10월 21일: 전주코아우편취급국과 전주양지우편취급국의 우편환·대체업무 폐지[8] 2015년 7월 1일: 전주다가동우체국 폐국[9] 2016년 12월 23일: 전주장동우체국 신설로 인해 전주농촌진흥청우체국 업무를 동전주우체국으로 이관하고 폐국[10] 2017년 10월 20일: 전주우전우편취급국 폐국[11] 2018년 1월 1일: 전주양지우편취급국 폐국[12] 관할 우체국[편집] 우체국명 사진 주소 비고 전북도청출장소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로 225(효자동3가) 전주경원동우체국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전라감영5길 20(경원동1가) 전주광진우편취급국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성지산로 67(효자동1가) 전주교동우편취급국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향교길 105(교동) 전주교육대학우체국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학로 50(동서학동) 2014년 7월 4일 폐국 전주근영우편취급국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중화산로 98(중화산동2가) 전주기전대학우편취급국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전주서천로 267 (중화산동1가) 전주농촌진흥청우체국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농생명로 300(중동) 2014년 8월 1일 신설2016년 12월 23일 폐국 전주다가동우체국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전라감영로 29(다가동1가) 2015년 7월 1일 폐국 전주대학교우체국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천잠로 303(효자동2가) 2014년 7월 4일 폐국 전주대학교우편취급국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천잠로 303(효자동2가) 2014년 7월 7일 신설 전주동부우편취급국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동문길 59(풍남동1가) 전주삼천동우체국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거마중앙로 47(삼천동1가) 전주서부우편취급국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하거마2길 28-5(삼천동1가) 전주서신동우체국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신천변14길 6-5(서신동) 전주서원우편취급국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신봉5길 6(효자동1가) 전주서학동우체국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팔달로 15(서서학동) 전주시청출장소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노송광장로 10(서노송동) 전주양지우편취급국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잿뜸2길 7-13(서신동) 2018년 1월 1일 폐국 전주우전우편취급국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우전로 104(효자동2가) 2017년 10월 20일 폐국 전주중노송동우체국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인봉북로 2(중노송동) 전주중인우편취급소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중인동 856-1 2001년 11월 30일 폐국 전주중화산동우체국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백제대로 280(중화산동2가) 전주태평동우체국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태평3길 35(태평동) 전주평화동우체국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평화로 164(평화동 2가) 전주현대빌딩우편취급국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기린대로 209 (서노송동 568-113) 2012년 4월 9일 폐국 전주효자3동우체국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천변2길 15(효자동1가) 전주효자4동우체국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곡로 94(효자동 3가) 전주효자동우체국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용머리로 127(효자동1가) 조직[편집] 우편물류과 소포실 운용실 지원과 경영지도실 영업과 고객지원실 각주[편집] ↑ 전북체신청고시 제2001-13호, 2001년 11월 23일. ↑ 전북지방우정청고시 제2011-6호, 2011년 12월 2일. ↑ 전북지방우정청고시 제2012-1호, 2012년 3월 27일. ↑ 전북지방우정청고시 제2013-5호, 2013년 12월 31일. ↑ 전북지방우정청공고 제2014-34호, 2014년 6월 13일. ↑ 전북지방우정청고시 제2014-3호, 2014년 6월 16일. ↑ 전북지방우정청공고 제2014-43호, 2014년 7월 9일. ↑ 전북지방우정청고시 제2014-9호, 2014년 10월 22일. ↑ 전북지방우정청공고 제2015-33호, 2015년 5월 18일. ↑ 전북지방우정청고시 제2016-3호, 2016년 11월 25일. ↑ 전북지방우정청고시 제2017-4호, 2017년 9월 26일. ↑ 전북지방우정청고시 제2017-6호, 2017년 12월 8일. 외부 링크[편집] 전주우체국 웹사이트 vdeh 우정사업본부본부 직속 우정공무원교육원 우정사업정보센터 우정사업조달센터 지방우정청서울지방우정청국제우편물류센터 우체국 서울중앙 서울강남 서울광진 서울강서 광화문 서대문 동대문 서울마포 서울관악 서울은평 여의도 서울금천 서울성북 서울강동 서울송파 서울양천 서울동작 서울서초 서울용산 서울노원 서울중랑 서울도봉 서울구로 우편집중국 동서울 경인지방우정청안양우편물류센터 우체국 부천 인천 서인천 인천계양 남인천 인천남동 의정부 수원 동수원 군포 안양 성남 성남분당 안산 고양일산 고양덕양 남양주 시흥 광명 용인수지 평택 용인 화성 화성동탄 부평 서수원 이천 안성 포천 경기광주 파주 김포 구리 강화 가평 양평 여주 동두천 연천 백령 오산 하남 우편집중국 부천 의정부 안양 고양 성남 수원 부산지방우정청부산국제우체국 우체국 부산 동래 남부산 부산사상 부산금정 부산사하 해운대 북부산 부산연제 울산 남울산 마산 창원 진주 김해 부산진 양산 동부산 부산영도 통영 진해 거제 거창 기장 부산강서 동울산 거창 고성 남해 마산합포 밀양 사천 산청 의령 창녕 하동 함안 함양 합천 우편집중국 부산 진주 울산 창원 충청지방우정청우체국 대전 서대전 대전유성 대전대덕 대전둔산 천안 공주 청주 서청주 충주 제천 아산 동천안 세종 서산 논산 금산 홍성 예산 서천 당진 청양 부여 보령 태안 단양 괴산 진천 옥천 음성 영동 보은 우편집중국 대전 청주 천안 전남지방우정청우체국 광주 북광주 서광주 광주광산 목포 여수 순천 광양 나주 해남 강진 고흥 곡성 구례 담양 무안 보성 영광 영암 완도 장성 장흥 진도 함평 화순 우편집중국 광주 영암 경북지방우정청우체국 대구 동대구 서대구 북대구 대구달서 대구수성 포항 경주 안동 구미 경산 영주 상주 달성 김천 영천 의성 문경 울진 예천 영덕 봉화 칠곡 청도 청송 성주 군위 영양 고령 울릉 우편집중국 대구 안동 포항 전북지방우정청우체국 전주 동전주 군산 익산 정읍 김제 완주 남원 부안 무주 임실 진안 순창 고창 장수 우편집중국 전주 강원지방우정청우체국 춘천 원주 강릉 삼척 동해 속초 양구 양양 영월 인제 정선 철원 태백 평창 홍천 화천 횡성 우편집중국 원주 강릉 제주지방우정청우체국 제주 서귀포 우편집중국 제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전주우체국&oldid=23771773" 분류: 전라북도 소재의 우체국전주시 소재의 관공서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2월 26일 (화) 07: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전주우체국(全州郵遞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 전북지방우정청 소속의 우편물 취급기관이다.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원로 99(효자동2가)에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동전주우체국이 배달하는 관할구역은 어디일까? Assistant: 덕진구 전지역
Human: 아래 일본계_브라질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일본계 브라질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본계 브라질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일본계 브라질인Nipo-brasileiros日系ブラジル人 언어 포르투갈어, 일본어 종교 주로 로마 가톨릭교 소수: 불교, 신토, 개신교, 무종교 민족계통 근연민족 일본인 20세기 초반 일본에서 일본인의 브라질 이민을 권장하기 위해 제작된 포스터 일본계 브라질인(포르투갈어: Nipo-brasileiro 니푸 브라질레이루[*], 영어: Japanese Brazilian, 일본어: 日系ブラジル人)은 브라질로 이민으로 간 일본인[1]과 그 후손을 지칭한다. 브라질은 세계 최대의 재외일본인 거주지로서 일본인 및 그 혈통을 가진 사람이 약 150만 명 이상 거주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닛케이 브라질인'(日系ブラジル人)이라고 부른다. 목차 1 개요 2 일본계 브라질인의 역이민 3 언어 4 문화 5 종교 6 유명 일본계 브라질인 7 관련항목 8 각주 개요[편집] 상파울루의 일본인 거리 일본에서 브라질으로의 이민은 1908년에 일단의 이민자들이 고베 항을 떠난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당시 브라질에서는 광대한 토지에서 일할 농업 노동자가 부족한 반면, 일본의 농촌에서는 좁은 농토에 궁핍한 생활을 하고 있어 일본은 브라질 이민을 장려했고, 브라질에서는 일본 이민들을 환영하였다. 이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브라질로 건너갔으며, 브라질은 미국을 제치고 일본 사람이 가장 많이 이민을 떠난 나라가 되었다. 여러 주 동안 배를 타고 브라질까지 건너간 일본인 이주자들은 상파울루 주변의 커피 농장에 특히 집중적으로 정착하였고, 일본과 완전히 다른 풍토에 인종차별까지 당하는 등 악조건 속에서 갖은 고생을 하며 기반을 닦아 나가 차츰 경제적으로 성공을 거두며, 브라질 이민사회의 모범이 되었다. 그러는 가운데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자 연합국으로 참전한 브라질은 일본과 국교를 단절했고, 일본어 신문의 발간과 일본인 학교의 설립을 금지하는 등 일본인들을 탄압하기도 하였다. 전후 탄압은 끝나고 이민도 재개되었으나, 일본의 경제적 성장이 계속되면서, 그 이전보다는 크게 수가 줄어들었다. 그러나 브라질에 완전히 정착한 일본계 브라질인들은 특유의 근면함으로 더욱 기반을 닦아 나갔으며, 일부는 아르헨티나 등의 주변국으로까지 진출하기도 하였다. 이민 시작 이후 브라질로 이주해 간 일본인들의 전체 합계는 25만 명에 이르렀고, 그 자손인 2세, 3세, 4세가 불어나면서 현재 150만 명 이상인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브라질의 동양계 주민 중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일본계 브라질인들은 특유의 근면함과 높은 교육열로 국회의원이나 의사, 농장주등 사회적 지위가 높은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많다. 일본계 브라질인은 여러 세대가 지나면서 타 인종과의 혼혈도 늘어나고 있으며, 초기에는 상파울루 주변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이후 파라나 주에도 많이 정착했으며, 최근에는 브라질 전국 각지로도 진출하고 있다. 2008년 일본의 브라질 이민 역사는 100년을 맞이하여, 브라질 이민 10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가 성대하게 열리고 있다.[2] 일본계 브라질인의 역이민[편집] 일본계 브라질인의 일부는 세계적인 경제대국이 된 조상의 나라 일본으로 경제적인 목적으로 건너가고 있다. 일본 정부에서도 노동력 부족을 이유로 이들을 환영하고 있으며, 이민자 후손에게 영주권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출처 필요] 이들의 상당수는 일본인들이 기피하는 소위 3D 업종 등의 노동에 종사하고 있다. 이들의 수는 최근 급격히 증가하여 일본 내에 분포하는 외국계 주민 중 브라질계가 30만 명에 달하여 한국계와 중국계 다음으로 그 수가 많아졌다.[출처 필요] 브라질계의 상당수는 물론 일본계 혈통을 지녔으며, 일본으로 건너온 이들 일본계 브라질인의 상당수는 일본어를 할 수 없어 취업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으며, 자녀들도 일본 학교에 친숙해 지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아예 취학도 할 수 없는 경우도 많다. 이에 이들의 일본어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사회보장제도를 정비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으나, 이들을 차별하는 사람까지 생기는 등 사회문제화되고 있다. 언어[편집] 포르투갈어를 사용하며, 일본어 사용자도 있다. 또한, 스페인어 사용자도 간혹 볼수 있으며, 포르투갈어(브라질식 포르투갈어) 사용자에 비해서는 적은 편이며, 교육을 받은자는 영어 구사자도 있다. 문화[편집] 브라질의 영향을 받아서 브라질과 흡사하지만, 일본의 문화도 섞여 있다. 종교[편집] 로마 가톨릭을 믿는 신도도 있지만, 신토 신도도 있는 편이다. 유명 일본계 브라질인[편집] 다니엘리 스즈키 - 여배우 마르시아 - 일본계 브라질인 3세, 여배우·가수 미나미 카나코 - 가수 세르지오 에치고 - 축구 해설가 다나카 마르쿠스 툴리오 - 축구 선수, 현재는 일본으로 귀화 오노 리사(小野リサ) - 보사노바 가수 료토 마치다 - 종합격투기 선수 관련항목[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일본계 브라질인 일본인 일본계 러시아인 한국계 일본인 재일 브라질인 일본의 민족문제 각주[편집] ↑ Gonzalez, David (2013년 9월 25일). “Japanese-Brazilians: Straddling Two Cultures”. 《Lens Blog》 (The New York Times). 2013년 9월 27일에 확인함.  ↑ 브라질 이민 100주년 맞은 일본 :: 네이버 뉴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일본계_브라질인&oldid=24195993" 분류: 일본계 브라질인숨은 분류: 포르투갈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08년 6월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다른 위키공용분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zərbaycanca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Bahasa MelayuРусскийTagalog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21: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일본계 브라질인(브라질 포르투갈어: Nipo-brasileiro 니푸 브라질레이루, 영어: Japanese Brazilian, 일본어: 日系ブラジル人)은 브라질로 이민으로 간 일본인과 그 후손을 지칭한다. 브라질은 세계 최대의 재외일본인 거주지로서 일본인 및 그 혈통을 가진 사람이 약 200만 명 이상 거주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닛케이 브라질인'(일본어: 日系ブラジル人)이라고 부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일본인이 브라질로 이주하기 시작한 것은 몇년인가? Assistant: 1908년 Human: 아래 안토니우_호드리구_노게이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안토니우 호드리구 노게이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안토니우 호드리구 노게이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안토니우 호드리구 노게이라 기본 정보별명 Minotauro국적 브라질출생일 1976년 6월 2일(1976-06-02) (43세)출생지 브라질신장 191cm체중 109kg 체급 헤비급손끝 거리 196cm격투 기반 브라질 유술, 복싱, 유도스탠스 오른손잡이소속팀 블랙 하우스 (2006-현재)브라질리안 탑 팀 (1999-2006)팀 노게이라인테르나시오나우랭크    브라질 유술 검은띠 6단    유도 검은띠 2단활동 연도 1999 - 2015종합격투기 전적총시합수 46  승 34    KO승 3    항복승 21    판정승 10  패 10    KO패 3    항복패 2    판정패 5  무승부 1  무효 1 안토니우 호드리구 노게이라 (Antonio Rodrigo Nogueira) 는 브라질의 종합격투기 선수다. 2015년, 격투계에서 은퇴를 선언하였다. 목차 1 프라이드 파이팅 챔피언십 이전의 경력들 2 프라이드 파이팅 챔피언십 경력들 3 얼티밋 파이팅 챔피언십 경력들 4 팀 노게이라 5 각주 6 외부 링크 프라이드 파이팅 챔피언십 이전의 경력들[편집] 23세 WEF로 종합격투기에 데뷔한 노게이라는, WEF에서 3차례, Rings에서 10차례 경기를 가진다. 당시 그의 전적은 11승 1무 1패이다. 그는 제레미 혼, 발렌타인 오브레임, 볼크 한 등과의 경기를 승리로 가져갔으며, 댄 헨더슨과의 첫 만남에서 패배한다. 프라이드 파이팅 챔피언십 경력들[편집] 2001년 PRIDE 15 - Raging Rumble 에서 노게이라는 프라이드 파이팅 챔피언십(이하 프라이드FC) 데뷔 무대를 가진다. 그는 20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게리 굿리지와의 경기에서 경기 초반 트라이앵글 초크를 성공시키며 손쉽게 데뷔 무대를 승리로 장식하였다. 2개월 뒤 프라이드FC 초대 그랑프리 챔피언인 마크 콜먼 역시 트라이앵글 초크로 잠재운 그는, 그 해 늦가을 히스 헤링과 초대 헤비급 타이틀 매치를 벌이게 된다. 이 경기에서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둔 노게이라는 초대 프라이드FC 헤비급 챔피언에 오르게 된다. 이후 밥 샙, 세미 슐트, 댄 헨더슨 등 유명 선수들을 제압하며 승승장구하던 그는 2003년 3월 16일 PRIDE 25 - Body Blow에서 첫 타이틀 방어전을 치르게 된다. 하지만 첫 방어전인 이날 경기에서 도전자인 표도르 에멜리아넨코 에게 판정 패배를 당하며 타이틀을 잃게 된다. 그는 다음 경기에서 UFC 챔피언 출신 리코 로드리게즈에게 승리를 거두지만 이후 판정 논란이 일어난다.[1] 2003년 11월 9일 K-1 스타 파이터 출신의 미르코 크로캅에게 역전 암바 승을 거두며 명예와 헤비급 잠정 타이틀을 획득한 그는 2004년, 프라이드FC 헤비급 그랑프리에서 연승하며 4강전에 안착한다. 2004년 8월 15일, 4강전에서 러시아의 세르게이 하리토노프를 누른 그는 결승전에서 또 한번 표도르 에멜리아넨코를 만나게 되지만 경기도중 표도르의 이마에 컷이 생겨 연말로 경기가 미뤄지고 만다. 연말 남제 2004에서 그는 표도르와 헤비급 타이틀, 헤비급 그랑프리 타이틀을 동시에 걸고 경기를 가지지만 결국 판정패한다. 2006년 프라이드FC 무제한급 그랑프리에서도 4강에 안착하지만 미국의 조쉬 바넷에게 2:1 판정패를 당하며 결국 우승의 기회를 놓친다. 얼티밋 파이팅 챔피언십 경력들[편집] 2006년 연말 조쉬 바넷과의 두 번째 경기에서 리벤지에 성공한 그는 2007년 초 UFC Fight Night 9에 모습을 드러낸다. 그는 이 날 자신의 UFC 진출을 공식 발표하였다. 같은 해 7월, 그는 이미 두 차례 이긴 바 있는 히스 헤링과의 3차전에서 승리하며 데뷔 무대를 승리로 장식한다. 그는 2008년 2월 UFC 81 - Breaking Point 메인 이벤터로 나서 팀 실비아에게 역전 길로틴 초크를 성공시키며 잠정 헤비급 타이틀을 얻게 된다. 하지만 UFC 92 - The Ultimate 2008 대회에서 챔피언 경력이 있는 프랭크 미어 에게 생애 첫 KO패배를 당하며 잠정 타이틀을 상실한다. 이후 예전부터 지적되어 왔던 백내장으로 인한 시력 문제와,[2] 펀치드렁크가 있다는 루머 등으로 이제 전성기 기량을 회복하기 힘들다는 평가를 듣게 된다. 그는 불리한 여론 속에서도 2009년 UFC 102 - Couture vs. Nogueira 에서 UFC 의 전설 랜디 커투어 와의 경기에서 명승부를 펼치며 재기에 성공하였다. 하지만 2010년 2월 21일 호주 시드니 에이서 아레나에서 개최된 UFC 110 Nogueira vs. Velasquez 에서 케인 벨라스케즈에게 1라운드 KO패배를 당하며 또 한번 챔피언 도전이 무산된다. 그러나 노게이라는 2011년 8월 28일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HSBC 아레나에서 개최된 UFC 134 Silva vs. Okami 에서 TUF 시즌 10 준우승자인 브랜든 샤웁을 1라운드 KO승을 거두면서 재기를 노리려 했다. 2011년 12월 10일 캐나다 토론토 에어 캐나다 센터에서 개최된 UFC 140 Jones vs. Machida 에서 프랭크 미어와 다시 만났다. 1라운드 중반 노게이라가 펀치로 미어를 제압한 듯 했다. 그러나 노게이라는 서브미션에 너무 집착하면서 프랭크 미어에게 기무라 록을 내주었고 항복하지 않고 버티다가 팔이 부러지면서 생애 첫 서브미션 패배를 당하며 오랫동안 수술과 재활을 거쳐야 했다. 그리고 10개월 후 오랜 재활 끝에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HSBC 아레나에서 개최된 UFC 153 Silva vs. Bonar 에서 데이브 허먼과 만났다. 느려진 스피드와 불어진 몸때문에 1라운드에서는 고전했지만 2라운드 종료 50초전에 노게이라의 특유의 암바로 서브미션 승을 거두면서 노장은 건재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덤으로 노게이라는 서브미션 오브 나이트 보너스 까지 얻게된다. 2013년 6월 8일 TUF 브라질 시즌2의 피날레 대회이자 브라질 포르탈레자 파울로 사라사테 아레나 에서 개최된 UFC ON FUEL 10에서 상대팀 코치인 2006년 프라이드 시절 판정승을 거두었던 파브리시우 베르둥과 다시 만났으나 2라운드 2분41초 만에 왼팔에 암바에 걸리면서 서브미션 패배를 당하게된다. 팀 노게이라[편집] 노게이라는 자신의 이름을 딴 팀 노게이라(Team Nogueira)의 대표 선수다. 노게이라의 쌍둥이 동생 안토니우 호제리우 노게이라 역시 한 팀에서 훈련하는 종합격투기 파이터로 최근 UFC로 이적해왔다. 현 UFC 미들급 챔피언인 안데르송 시우바 는 팀 노게이라에서 훈련하고 있다. 그는 노게이라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UFC 103 에서 미르코 크로캅을 상대로 좋은 기량을 보여준 주니오르 두스 산투스 역시 팀 노게이라의 촉망받는 기대주이다. 그 외 일본의 DREAM에서 좋은 활약을 보여주고 있는 안드레 갈벙 등 여러 좋은 선수들이 팀 노게이라와 관계를 가지고 있다. 각주[편집] ↑ PRIDE Judge Matt Hume Defends Nog vs Ricco Decision ↑ 블러디 엘보우 Luke Thomas 외부 링크[편집] 공식 웹사이트 Sherdog의 노게이라 프로필 UFC 프로필 전거 통제 WorldCat VIAF: 90582868 LCCN: no200909845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안토니우_호드리구_노게이라&oldid=24197852" 분류: 1976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브라질의 종합격투기 선수헤비급 종합격투기 선수일란성 쌍둥이 스포츠인브라질의 쌍둥이숨은 분류: 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Hrvatski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venska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00:0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안토니오 호드리고 노게이라(Antonio Rodrigo Nogueira)는 브라질의 종합격투기 선수다. 2015년, 격투계에서 은퇴를 선언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안토니우 호드리구 노게이라가 UFC에 데뷔한 해는 언제야? Assistant: 2007년
Human: 아래 베드르지흐_스메타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베드르지흐 스메타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베드르지흐 스메타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베드르지흐 스메타나 베드르지흐 스메타나기본 정보출생 1824년 3월 2일 체코 리토미슐사망 1884년 5월 12일 (60세) 체코 프라하직업 작곡가, 피아노 연주자, 지휘자장르 교향곡, 오페라악기 피아노, 오르간 베드르지흐 스메타나(체코어: Bedřich Smetana, 문화어: 베드리흐 스메따나, 1824년 3월 2일 ~ 1884년 5월 12일)는 체코의 가장 유명한 작곡가 중의 하나이다. 대표작으로 교향시인 《나의 조국》과 오페라인 《리부셰》, 《팔려간 신부》가 있다. 목차 1 생애 2 음악 3 주요 작품 3.1 오페라 3.2 관현악곡 3.3 실내악 3.4 피아노 3.5 합창 3.6 가곡 4 각주 5 참고 자료 생애[편집] 스메타나는 보헤미아 북부의 리토미슐에서 1남 17녀 중 외동아들로 태어났다.[1] 아마추어 음악가였던 맥주 양조 기사 아버지의 반대를 무릅쓰고 일찍이 프라하에 나가 프록시에게 피아노와 음악 이론을 배웠다. 4세 때 바이올린을, 6세 때 피아노를 연주하여 신동이란 말을 들었다. 19세 때 프라하로 가서 부잣집의 음악 선생을 하며 음악 공부를 하였으며, 프라하를 방문한 리스트의 피아노 연주를 듣고 감동하여 그와 친분을 맺기도 했다.[2] 스메타나는 당초 피아노 연주자가 될 것을 꿈꾸었으나, 당시 오스트리아 제국의 지배하에 있었던 체코슬로바키아에서는 민중 사이에 저항운동이 확산되고 있었다. 1848년 오스트리아 2월 혁명의 여파로 프라하에도 6월에 혁명운동이 일어나자 민족의식에 눈뜬 그는 국민의용군에 가담하여 국민의용군 행진곡 등을 작곡하였으며, 민족운동에서의 작곡가의 역할을 새삼 자각하게 되었다. 이 시절 리스트의 도움을 받아 프라하에 음악 학교를 세우고 후배를 양성하였다. 그의 작품은 과도한 민족주의에 빠지지 않고 서정적인 면이 짙었으며, 보헤미안 민족 음악의 시조로 불린다. 그러나 혁명 실패 이후의 반동정치에서는 자유로운 음악활동이 억압되었기 때문에 친구의 권유로 1856년 스웨덴으로 건너가 5년간 예테보리에서 음악학교를 개설하였으며, 괴텐보르크 필하모닉의 지휘자가 되었다.[2] 바이마르에서 리스트와 재회하여 교향시 3편을 쓰는 등[2] 작곡가·피아니스트로 활동하였다. 1860년대 오스트리아 정부의 탄압이 느슨해지자 체코슬로바키아 민족운동이 되살아나자마자 귀국하여 민족운동의 선두에 서서 지휘자·작곡가·평론가로서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유럽을 순회하여 피아노 연주를 하기도 했다.[2] 1862년 체코슬로바키아 국민극장의 전신인 가극장(假劇場)이 프라하에 건립되자 이 극장을 위해 작곡한 오페라 《팔려간 신부》를 상연하여 큰 성공을 거두고 체코슬로바키아 국민 음악의 기초를 확립한 그는, 그해 가을에는 이 가극장의 지휘자로 임명되어 여러 면에서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는 오스트리아의 지배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독립 운동을 음악을 통하여 호소하였다. 1874년 50세의 한창 나이에 매독으로 인한 숙환인 환청(幻聽)이 악화되어 극장 지휘자를 그만두었다.[2] 10월에는 귀가 전혀 들리지 않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조국에 대한 깊은 사랑을 나타낸 교향시 <나의조국> 중 <블타바(몰다우)>를 작곡하기까지도 했다. 그 후, 그는 모든 공적 활동을 중지하고 프라하 교외에 은퇴하였다. 1883년 말부터는 정신착란 증세까지 나타났으며, 1884년 프라하의 정신병원에서 사망하였다. 음악[편집] 그는 오페라에 민족적 제재를 많이 쓰고 음악에는 폴카·프리안트 등 민족무용의 리듬을 많이 도입하였으나, 국민오페라에서는 민요를 도입하지 않고, 정신면에서 체코적인 요소를 만들어 나가는 데 전념하였다. 또 교향시에는 프란츠 리스트 등 신독일파의 수법을 도입하여 민족적인 음악을 창조하는 데 성공하였다. 주요 작품[편집] 오페라[편집] 보헤미아의 브란덴부르크 사람들(1862~3) 달리보르(1865~7) 팔려간 신부(1866) 리부셰(1869~72) 두 개의 창(1873~4) 입맞춤(1875~6) 비밀(1877~8) 악마의 벽(1879~82) 관현악곡[편집] 축전 서곡 라장조 Op.4(1848~9) 축전 교향곡 마장조 Op.6(1853~4) 교향시 리처드 3세 가단조 Op.11(1857~8) 교향시 발렌슈타인의 진영 라장조 Op.14(1858~9) 교향시 하콘 야를 다단조 Op.16(1860~1) 셰익스피어 축제를 위한 장엄 행진곡 마장조 Op.20(1864) 리부셰의 판단(1869) 교향시 나의 조국 비셰흐라트 내림 마장조(1872~4) 블타바 마단조(1874) 사르카 가단조(1875) 보헤미아의 숲과 들판에서 사단조(1875) 타보르 라단조(1878) 블라니크 라단조(1879) 프라하 사육제(1882~3) 실내악[편집] 피아노 3중주 사단조 Op.15(1855) 현악 4중주 1번 마단조 "나의 생애에서"(1876) 나의 고향에서(바이올린&피아노, 가장조와 사단조 두 개의 소품)(1879~80) 현악 4중주 2번 라단조(1882~3) 피아노[편집] 바가텔과 즉흥곡 Op.6(1844) 피아노 소나타 사단조(1846) 네 손을 위한 6개의 전주곡(1846) 6개의 성격 소품 Op.1(1847~8) 두 대의 피아노(여덟 손)을 위한 소나타 악장 마단조(1849) 해변에서 올림 사단조 Op.17(1861) 체코 민요에 의한 환상곡 나장조(1862) 꿈들 (1874~5) 체코 모음곡 1번 (1877) 체코 모음곡 2번 Op.21(1879) 합창[편집] 자유의 노래 JB1:38(1848) 체코 노래 JB1:78(1860) 농부의 노래 JB1:94(1868) 가곡[편집] 저녁 노래 JB1:116(1879) 각주[편집] ↑ 박종호, 《내가 사랑하는 클래식》, 시공사, p.43, 2004 ↑ 가 나 다 라 마 박준용, 《세상의 모든 클래식》 마고북스, 2004, p.172, ISBN 89-90496-15-2 참고 자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vdeh낭만주의국가별 덴마크 잉글랜드 프랑스 독일 노르웨이 폴란드 러시아 스코틀랜드 사조 보헤미아니즘 반계몽주의 암흑낭만주의 뒤셀도르프 학파 총체예술 고딕물 고딕 복고양식 허드슨강 학파 인디언주의 나사렛 운동 오시안 낭만적 영웅 과학과 낭만주의 국민낭만주의 아편과 낭만주의 초월주의 초낭만주의 발렌로트주의 문필가 하차투르 아보비안 호세 디 알렌카르 비토리오 알피에리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루트비히 아힘 폰 아르님 베티나 폰 아르님 알바레스 데 아제베도 니콜로즈 바라타슈빌리 예브게니 바라틴스키 애나 리티셔 바르볼드 콘스탄틴 바튜시코프 샤를 보들레르 미하엘 베어 알루아지우스 베르트랑 윌리엄 블레이크 흐리스토 보테프 클레멘스 브렌타노 윌리엄 쿨렌 브리안트 로버트 번스 조지 고든 바이런 카밀루 카스텔루 브랑쿠 안토니우 펠리시아누 디 카스틸류 자크 카조트 프랑수아르네 드 샤토브리앙 자작 알렉산데르 차브차바드제 존 클레어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 제임스 페니모어 쿠퍼 토머스 드 퀸시 곤살베스 디아스 알렉상드르 뒤마 요제프 폰 아이헨도르프 남작 랠프 월도 에머슨 미하이 에미네스쿠 호세 디 에스프론케다 프리드리히 드 라 모테 푸케 우고 포스콜로 알메이다 가헤트 테오필 고티에 요한 볼프강 폰 괴테 그림 형제 카를 구츠코프 빌헬름 하우프 너새니얼 호손 하인리히 하이네 이온 헬리아데 랴둘레스쿠 알렉산드레 에르쿨라누 에른스트 호프만 프리드리히 횔덜린 빅토르 위고 보이슬라브 일리치 워싱턴 어빙 두라 야크시치 장 파울 부크 카라지치 니콜라이 카람진 존 키츠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 지그문트 크라신스키 알퐁스 드 라마르틴 마리아노 호세 드 라라 자코모 레오파르디 미하일 레르몬토프 제임스 러셀 로웰 카렐 히네크 마하 아라과이아 자작 곤살베스 디 마갈량이스 안토니 말크제프스키 알레산드로 만초니 찰스 마투린 아담 미츠키에비치 알프레드 드 뮈세 미카엘 날바디안 제라르 드 네르발 잘스 노디어 치프리안 노르비드 노발리스 아담 욀렌슐레게르 그리골 오르벨라니 에드거 앨런 포 존 윌리엄 폴리도리 얀 포토츠키 프란체 프레셰렌 알렉산드르 푸시킨 하콥 멜리크 하코비안 프리드리히 실러 구스타프 슈바프 월터 스콧 애나 시워드 메리 셸리 퍼시 비시 셸리 타라스 셰우첸코 율리우시 스워바츠키 제르멘 드 스탈 스탕달 루트비히 티크 표도르 튜체프 루트비히 우흘란트 뵈뢰스마르티 미할리 표트르 뱌젬스키 윌리엄 워즈워스 바실리 주콥스키 호세 소리야 이 모랄 음악가 아돌프 아당 샤를 발랑탱 알캉 다니엘 오베르 루트비히 판 베토벤 빈첸초 벨리니 윌리엄 스턴데일 베넷 엑토르 베를리오즈 루이스안젤리크 베르탱 프란스 베르발드 요하네스 브람스 안톤 브루크너 프레데리크 쇼팽 알렉산드르 다르고미시스키 펠리시앙 다비드 페르디난트 다비드 가에타노 도니체티 존 필드 세자르 프랑크 로베르트 프란츠 미하일 글린카 호세 멜코르 고미스 프로멩탈 알레비 프리드리히 칼크브레너 프란츠 리스트 구스타프 말러 카를 뢰베 하인리히 마르슈너 산티아고 마사르나우 페르난데스 에티엔 메율 파니 멘델스존 펠릭스 멘델스존 아메데 메로 자코모 마이어베어 스타니스와프 모니우슈코 이그나츠 모셸레스 모데스트 무소륵스키 루이스 니더마이어 조르주 옹슬로 니콜로 파가니니 에밀 프뤼덴 안톤 레이차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 조아키노 로시니 안톤 루빈시테인 프란츠 슈베르트 클라라 슈만 로베르트 슈만 베드르지흐 스메타나 페르난도 소르 루이스 슈포어 가스파레 스폰티니 지기스몬트 탈베르크 주세페 베르디 얀 바츨라프 보리셰크 리하르트 바그너 카를 마리아 폰 베버 사상가 표트르 차다예프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 루트비히 포이어바흐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 요한 볼프강 폰 괴테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알렉세이 코마코프 아담 뮐러 알브레히트 리츨 장자크 루소 프리드리히 실러 아우구스트 빌헬름 슐레겔 카를 빌헬름 프리드리히 슐레겔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루트비히 티크 빌헬름 하인리히 바켄로더 미술가 이반 아이바좁스키 알베르트 비어슈타트 윌리엄 블레이크 리처드 파크스 보닝턴 카를 브률로프 테오도르 샤세리오 프레더릭 에드윈 처치 존 컨스터블 토머스 콜 장바티스트카미유 코로 요한 크리스티안 달 다비드 당제 외젠 들라크루아 카스파르 다비트 프리드리히 요한 하인리히 퓌슬리 테오도르 제리코 안루이 지로데 드 루시트리오종 얀 네포무첸 그와바츠키 프란시스코 고야 한스 구데 프란체스코 아예츠 안프랑수아루이 장모 토머스 존스 오레스트 키프렌스키 요제프 안톤 코흐 프란치스체크 크사베리 람피 에마누엘 로이체 필리프자크 드 루테르부르 루돌프 마이존 존 마틴 (화가) 피오트르 미하와프스키 새뮤얼 팔머 산투앙겔루 남작 마누엘 디 아라우조 포르투알레그리 앙투안오귀스탱 프레오 피에르 레볼 플뢰리 프랑수아 리샤르 프랑수아 뤼드 필리프 오토 룽게 라덴 살레 아리 셰퍼 보이시에흐 스타틀러 미하엘 스트로이 아돌프 티데만트 바실리 트로피닌 조지프 말로드 윌리엄 터너 필리프 파이트 제임스 워드 앙투안 비르츠  « 계몽주의 사실주의 »  전거 통제 WorldCat VIAF: 95207407 LCCN: n50053339 ISNI: 0000 0001 2144 1890 GND: 118615017 SUDOC: 032202997 BNF: cb138998513 (데이터) BIBSYS: 90229639 뮤직브레인즈: 6eb5695e-cf7b-4b94-b441-a09901127ef9 NLA: 35966945 NDL: 00621485 NKC: jk01120043 BNE: XX101525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베드르지흐_스메타나&oldid=24249816" 분류: 1824년 태어남1884년 죽음체코의 작곡가오페라 작곡가청각 장애 음악가국민악파19세기 클래식 작곡가체코의 클래식 작곡가낭만주의 작곡가숨은 분류: 체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문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rezhoneg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àidhligGalegoGaelgעבריתFiji Hindi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atinaLëtzebuergesch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मराठी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VolapükWinaray吴语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0일 (월) 14:1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베드르지흐 스메타나(체코어: Bedřich Smetana [ˈbɛdr̝ɪx ˈsmɛtana][*], 1824년 3월 2일 ~ 1884년 5월 12일)는 보헤미아 왕국의 가장 유명한 체코인 작곡가 중 한명이다. 대표작으로 교향시인 《나의 조국》과 오페라인 《리부셰》, 《팔려간 신부》가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베드르지흐 스메타나의 주요 관현악곡 중 가장 오래된 곡은? Assistant: 축전 서곡 라장조 Op.4 Human: 아래 애프터매스_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애프터매스 엔터테인먼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애프터매스 엔터테인먼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08년 9월) 애프터매스 엔터테인먼트(Aftermath Entertainment)는 힙합 아티스트이자 프로듀서인 닥터 드레가 설립한 미국의 레코드 레이블이다. 이는 유니버셜 뮤직 그룹의 보조 단체로 기능하며, 그 안에 분포되어 있다. 현재 소속 멤버로는 닥터 드레, 에미넴, 켄드릭 라마, 존 코너, 저스틴 모를레 등이 있고, 전 멤버로는 50센트, 버스타 라임즈, 게임, 랙원, 이브, 라킴 등이 있다. 이들은 발매된 20장의 앨범 중 16장의 앨범에서 플래티넘이나 그 이상 등급의 RIAA certifications을 취득하였다. 목차 1 초창기 2 성공 3 소속 아티스트 4 탈퇴 맴버 초창기[편집] 데스 로우 레코드를 나온 닥터 드레는 1996년 6월 자신의 새 힙합 레이블을 인터스코프 레코드를 통해 설립했다. 첫 번째로 그의 앨범 'Dr. Dre Presents the Aftermath'이라는 컴필레이션 앨범을 발매했고, 이 앨범에 여러랩퍼들을 참여시키면서 에프터매스를 알리게 되었다. 1997년 프로젝트 그룹 The Firm( AZ, Foxy Brown, 나스, Nature)에 앨범을 제작해주기도 했다. 성공[편집] 그 후 King Tee를 영입하고, 앨범을 같이 했던 라킴을 영입하려 했으나, 계약이 성립되지 않았다. 1998년 에미넴을 영입, 'The Slim Shady LP'라는 첫 앨범을 발매하여, 빌보드차트에 오르게되며, '플래티늄급 앨범'이 되었다. 또한 1999년 닥터 드레도 '2001'을 발매하며, 더블 플래티늄 앨범을 받았다. 2003년 Slim Shady Record와 같이 50 Cent의 첫앨범 'Get Rich Or Die Tryin'을 발매하며, 빌보드 1위, 4위, 5위에 곡을 진입하며, 더블 플래티늄이라는 상과 기네스북에 오르기도 했다. 또한 같은 해 2003년 더 게임을 인터스코프 레코드와 G-Unit Record와 함께 영입하며 2005년 'The Documentary'앨범 발매에 큰 성공을 거두게 된다. 2008년 7월 17일에 버스타 라임즈가 탈퇴했다. 소속 아티스트[편집] 닥터 드레 50 Cent 에미넴 더 게임 Stat Quo Marsha Ambrosius Bishop Lamont 켄드릭 라마 Anderson .Paak Jon connor 탈퇴 맴버[편집] 버스타 라임즈 Tiffany Villarreal Joell Ortiz Eve 렉원 G.A.G.E. Dion Brooklyn Joe Beast Antonio 라킴 Shaunta Truth Hurts Hittman Aimee Terrin RBX Dawn Robinson Last Emperor King T. vdeh닥터 드레디스코그래피정규 음반 The Chronic (1992) 2001 (1999) Compton (2015) 컴필레이션 Concrete Roots (1994) First Round Knock Out (1996) Back 'n the Day (1996) Dr. Dre Presents the Aftermath (1996) Chronicle: Best of the Works (2002) Chronicles: Death Row Classics (2006) 싱글 "Deep Cover" "Nuthin' but a 'G' Thang" "Fuck wit Dre Day" "Let Me Ride" "Natural Born Killaz" "Keep Their Heads Ringin'" "Been There, Done That" "Zoom" "Still D.R.E." "Forgot About Dre" "The Next Episode" "The Watcher" "Bad Intentions" "The Wash" "Kush" "I Need a Doctor" 피쳐링 싱글 "We're All in the Same Gang" "Funky Flute" "Let's Play House" "California Love" "No Diggity" "Ghetto Fabulous" "Guilty Conscience" "Hello" "Just Be a Man About It" "The Knoc" "Symphony in X Major" "Encore" "Crack a Bottle" "Old Time's Sake" "Hell Breaks Loose" "The Recipe" "New Day" "Stronger" 다른 노래 "Bitches Ain't Shit" "Fuck You" "Xxplosive" "Let's Get High" "Put It on Me" "3 Kings" 관련 문서 데스 로 레코드 애프터매스 엔터테인먼트 지펑크 더 워시 N.W.A 월드 클래스 레킹 크루 비츠 일렉트로닉스 Detox vdeh에미넴정규 음반 Infinite The Slim Shady LP The Marshall Mathers LP The Eminem Show Encore Relapse Recovery The Marshall Mathers LP 2 컴필레이션 Music from and Inspired by the Motion Picture 8 Mile Straight from the Lab The Singles Curtain Call: The Hits Eminem Presents: The Re-Up Shady XV EP Steppin' onto the Scene Still in the Bassmint Soul Intent Slim Shady EP Hell: The Sequel 비디오 음반 The Up in Smoke Tour E All Access Europe All Access Europe Eminem Presents: The Anger Management Tour 책 The Way I Am My Son Marshall, My Son Eminem 콘서트 투어 Up in Smoke Tour(with various artists) Anger Management Tour The Recovery Tour The Home & Home Tour(with Jay-Z) The Rapture Tour 출연 영화 Da Hip Hop Witch Up in Smoke Tour The Slim Shady Show 8마일 Pauly Shore Is Dead 관련 문서 D12 배드 미츠 이블 셰이디 레코드 닥터 드레 vdeh유니버설 뮤직 그룹인터스코프 게펀 A&M 인터스코프 레코드(222 레코드, 애프터매스 엔터테인먼트, 셰이디 레코드, 배드 보이 레코드) 게펀 레코드 A&M 레코드 폴리도르 레코드(픽션 레코드) 캐피틀 뮤직 그룹 캐피틀 레코드(임페리얼 레코드) EMI 크리스찬 뮤직 그룹 (투스 앤드 네일 레코드) 블루 노트 레코드(나라다 프로덕션) 버진 레코드 모타운 리퍼블릭 레코드 카사블랑카 레코드 캐시 머니 레코드(영 머니 엔터테인먼트) 아일랜드 레코드 머큐리 레코드 데프 잼 레코딩스 GOOD 뮤직 D.T.P Record 로커펠라 레코드 버브 뮤직 그룹 버브 레코드 버브 포어캐스트 레코드 GRP 레코드 임펄스! 레코드 엠알시 레코드 데카 레이블 그룹 데카 레코드 도이체 그라모폰 필립스 레코드 ECM 레코드 버진 EMI 레코드 EMI 레코드 버진 레코드 버티고 레코드 유니버설 뮤직 재팬 데프 잼 레코딩스 e-SUM RECORDS 파 이스턴 트라이브 레코드 선더볼 667 버진 뮤직 ZERO-A 관련 항목 비방디 유니버설 스튜디오 시그램 파나소닉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애프터매스_엔터테인먼트&oldid=21626550" 분류: 미국의 음반사힙합 레코드 레이블비방디의 자회사1996년 설립닥터 드레에미넴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08년 9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lovenčinaSvenskaKiswahiliTürkçe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6월 24일 (일) 00:3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애프터매스 엔터테인먼트(Aftermath Entertainment)는 힙합 아티스트이자 프로듀서인 닥터 드레가 설립한 미국의 레코드 레이블이다. 이는 유니버셜 뮤직 그룹의 보조 단체로 기능하며, 그 안에 분포되어 있다. 현재 소속 멤버로는 닥터 드레, 에미넴, 켄드릭 라마, 존 코너, 저스틴 모를레 등이 있고, 전 멤버로는 50 센트, 버스타 라임즈, 더 게임, 랙원, 이브, 라킴 등이 있다. 이들은 발매된 20장의 앨범 중 16장의 앨범에서 플래티넘이나 그 이상 등급의 RIAA certifications을 취득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애프터매스 엔터테인먼트가 에미넴을 영입한 년도는. Assistant: 1998년
Human: 아래 슈퍼스타K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슈퍼스타K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슈퍼스타K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슈퍼스타 K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슈퍼스타K (시즌 1)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슈퍼스타K》는 대한민국의 케이블 방송 엠넷의 대국민 공개 오디션 프로그램이다. 대한민국 전국 8개의 지역뿐만 아닌 해외에서 또한 예선이 이루어지며 최종 통과자는 서울 슈퍼위크에서 TOP 10(시즌 2와 시즌 3.시즌 6에서는 TOP 11, 시즌4에서는 TOP 12, 시즌5,시즌7 에서는 TOP10)을 가려 생방송 무대에서 서바이벌 오디션을 치르게 된다. 우승자는 Mnet의 연말 시상식인 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에 참여한다. 목차 1 논란 2 역대 우승자 3 영향력 4 기수별 시즌 목록 5 동일 소재 프로그램 6 각주 7 외부 링크 논란[편집] 《슈퍼스타K》가 케이블 방송이라 입상한 가수들이 지상파에 차별받는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슈퍼스타K》의 대표적인 스타인 서인국, 허각, 존 박, 장재인 등은 음원 차트에서 상위권을 차지하며 인기를 끌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상파 방송 출연을 거의 못하고 있다. 특히 MBC는 방송되고 있는 《위대한 탄생》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써 지상파 방송사들이 출신을 이유로 부적절하게 차별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허각은 《개그콘서트》에 출연하기도 했는데 왕비호(윤형빈)는 여기서 "케이블 출신이라고 공중파에서 잘 안 불러준다며? 허각이 무슨 죄냐"라며 지상파 방송사들의 차별을 언급하기도 했다.[1] 또한 ‘악마의 편집’이라고 불리는 슈퍼스타K만의 편집 기술은 흥행만을 위하여 자극적인 요소 위주로 편집하여 논란을 증폭시켰다. 실제로 다른 오디션 프로그램과는 차별화된 편집 기술이 시청자들의 채널을 고정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지만 자신의 의도와 전혀 다르게 편집된 방송을 보고 한 참가자가 이의를 제기하면서 오디션 프로그램의 편집 조작이 도마 위에 올랐다. 역대 우승자[편집] 슈퍼스타K 1 우승자 : 서인국 준우승 : 조문근 슈퍼스타K 2 우승자 : 허각 준우승 : 존 박 슈퍼스타K 3 우승자 : 울랄라 세션 준우승 : 버스커버스커 슈퍼스타K 4 우승자 : 로이킴 준우승 : 딕펑스 슈퍼스타K 5 우승자 : 박재정 준우승 : 박시환 슈퍼스타K 6 우승자 : 곽진언 준우승 : 김필 슈퍼스타K 7 우승자 : 케빈 오 준우승 : 천단비 슈퍼스타K 2016 우승자 : 김영근 준우승 : 이지은 영향력[편집] 《슈퍼스타K》가 케이블 방송의 한계를 뚫고 기적적인 시청률을 기록하면서 대한민국 메이저 방송사에도 엄청난 오디션 열풍이 일었다. 가장 먼저 MBC의 《위대한 탄생》이 2010년 말부터 방송되었으며, 3월부터 《일요일 일요일 밤에》에서 MBC의 새로운 아나운서를 뽑는 《아나운서 공개채용 신입사원》이 방송되었다. KBS도 하와이에서 두뇌, 체력, 순발력 등을 경쟁하는 《휴먼 서바이벌 도전자》를 방송하였다.[2] 또한 SBS는 6월 글로벌 연기자 오디션 프로그램인 《기적의 오디션》을 기획하였고, 케이블 채널 tvN도 갓 탤런트 시리즈의 대한민국 버전인 《코리아 갓 탤런트》를 방송하여[3] 대한민국 방송사들 사이에서 오디션 열풍이 일었다.[4] 또한 2013년 04월 19일 ‘슈퍼스타K’ 방송 포맷이 중국으로 수출돼 화제가 되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중국 후베이(湖北)위성은 한국 오디션 방송 프로그램의 원조격인 CJ E&M 엠넷의 슈퍼스타K 방송 포맷을 토대로 ‘슈퍼스타 차이나’가 후베이위성과 함께 제작에 참여하여, 1회 평균 1.39%, 최고 1.5%의 높은 시청률(중국 시청률 조사기관 CMS 央视索福瑞媒介有限公司 기준/ 개인기준 시청률)을 기록하며 중국에서 인기 콘텐츠의 기준으로 평가 받는 시청률 1%의 벽을 넘었다. 기수별 시즌 목록[편집] 슈퍼스타K (시즌 1) - 서인국 (우승자), 조문근 (준우승자) 슈퍼스타K 2 - 허각 (우승자), 존 박 (준우승자) 슈퍼스타K 3 - 울랄라 세션 (우승팀), 버스커 버스커 (준우승팀) 슈퍼스타K 4 - 로이킴 (우승자), 딕펑스 (준우승팀) 슈퍼스타K 5 - 박재정 (우승자), 박시환 (준우승자) 슈퍼스타K 6 - 곽진언 (우승자), 김필 (준우승자) 슈퍼스타K 7 - 케빈 오 (우승자), 천단비 (준우승자) 슈퍼스타K 2016 - 김영근 (우승자), 이지은 (준우승자) 동일 소재 프로그램[편집] 아메리칸 아이돌 (미국 폭스 TV,2002~2016) 스타 오디션 위대한 탄생 (MBC,2010~2012) 슈퍼탤런트 오브 더 월드 K팝 스타 (SBS,2011~2017) 보이스 코리아 오페라스타 코리아 갓 탤런트 슈퍼스타 차이나 PRODUCE 101 각주[편집] ↑ 왕비호 마지막 독설 ‘이경규-허각’…무서워서vs케이블 출신 TV리포트 2011년 1월 3일 ↑ 식지 않는 오디션 프로 인기… 왜? 세계일보 2011년 ↑ 박칼린, 리얼리티쇼 심사위원 발탁 + '위대한탄생' 객원멘토…독설 예고 서울신문 2011년 2월 26일 ↑ KBS, 대규모 ★오디션 전격 개최 "가수는 제외" 스타뉴스 2011년 2월 22일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슈퍼스타K 슈퍼스타K - 공식 웹사이트 vdeh슈퍼스타K시즌 1 2 3 4 5 6 7 8 진행자 임창정 (1) 김성주 (1~8) 안혜경 (슈퍼메신저, 1~5) 최희 (슈퍼메신저, 6~7) 심사위원 이승철 (1~6) 양현석 (1) 이효리 (1) 윤종신 (2~3, 5~7) 엄정화 (2) 윤미래 (3~4) 싸이 (4) 윤건 (4) 이하늘 (5) 김범수 (6~8) 백지영 (6~7) 성시경 (7) 거미 (8) 길 (8) 김연우 (8) 에일리 (8) 용감한 형제 (8) 한성호 (8) 우승자 서인국 허각 울랄라세션 로이킴 박재정 곽진언 케빈 오 김영근 준우승자 조문근 존 박 버스커 버스커 딕펑스 박시환 김필 천단비 이지은 그 외 참가자 길학미 박태진 션 리 김보경 박세미 수지 이호원 김현지 장재인 강승윤 김지수 박보람 김그림 김소정 이보람 김도현 민훈기 투개월 예리밴드 정준영 홍대광 유승우 에디 킴 현승희 허니지 테이커스 네이브로 임도혁 송유빈 버스터리드 이해나 한경일 미스터 파파 장우람 장원기 임형우 자밀 킴 김나영 민서 볼빨간사춘기 보이스퍼 진원 정국 김민석 모모 참가자 목록 1 2 3 4 5 6 7 8 관련 문서 슈퍼스타K 3의 음반 목록 슈퍼스타 차이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슈퍼스타K&oldid=24183708" 분류: 슈퍼스타K엠넷에서 방영하는 프로그램대한민국의 리얼리티 텔레비전 프로그램대한민국의 음악 텔레비전 프로그램대한민국의 음악 경연회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日本語PolskiSimple EnglishTürkçe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23: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슈퍼스타K》는 대한민국의 케이블 방송 엠넷의 대국민 공개 오디션 프로그램이다. 대한민국 전국 8개의 지역뿐만 아닌 해외에서 또한 예선이 이루어지며 최종 통과자는 서울 슈퍼위크에서 TOP 10(시즌 2와 시즌 3. 시즌 6에서는 TOP 11, 시즌4에서는 TOP 12)을 가려 생방송 무대에서 서바이벌 오디션을 치르게 된다. 우승자는 Mnet의 연말 시상식인 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에 참여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슈퍼스타K가 지적받고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Assistant: 《슈퍼스타K》가 케이블 방송이라 입상한 가수들이 지상파에 차별받는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슈퍼스타K》의 대표적인 스타인 서인국, 허각, 존 박, 장재인 등은 음원 차트에서 상위권을 차지하며 인기를 끌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상파 방송 출연을 거의 못하고 있다. 특히 MBC는 방송되고 있는 《위대한 탄생》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써 지상파 방송사들이 출신을 이유로 부적절하게 차별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허각은 《개그콘서트》에 출연하기도 했는데 왕비호(윤형빈)는 여기서 "케이블 출신이라고 공중파에서 잘 안 불러준다며? 허각이 무슨 죄냐"라며 지상파 방송사들의 차별을 언급하기도 했다.[1] 또한 ‘악마의 편집’이라고 불리는 슈퍼스타K만의 편집 기술은 흥행만을 위하여 자극적인 요소 위주로 편집하여 논란을 증폭시켰다. 실제로 다른 오디션 프로그램과는 차별화된 편집 기술이 시청자들의 채널을 고정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지만 자신의 의도와 전혀 다르게 편집된 방송을 보고 한 참가자가 이의를 제기하면서 오디션 프로그램의 편집 조작이 도마 위에 올랐다. Human: 아래 송도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송도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송도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평안북도의 역에 대해서는 송도역 (평북)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송도 역사 역명판 개괄 관할 기관 코레일 수도권서부본부 송도관리역 소재지 인천광역시 연수구 비류대로 175 개업일 구역 : 1937년 8월 5일신역 : 2012년 6월 30일 폐지일 구역 : 1994년 9월 1일 역 번호 K259 종별 관리역 등급 3급 승강장 구조 2면 4선 비고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노선 수인선 오이도 기점 13.1 km ■ 수인선 ← 연수 (2.7 km) 학익(개통예정) →(2.4 km) 송도역(松島驛)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연수구 옥련동에 있는 수인선의 전철역이다. 2021년부터는 인천발 KTX의 시·종착역이 될 예정이며, 이 사업은 국토교통부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 기본계획에 반영되어 있다.[1] 목차 1 역사 2 역 구조 2.1 승강장 3 역 주변 4 명칭과 관련된 이야기 5 이용객 변동 6 사진 7 인접한 역 8 각주 9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37년 8월 5일 : 정차장 등급으로 영업 개시[2] 1973년 7월 14일 : 남인천 ~ 송도 구간 폐지로 수인선 시·종착역이 됨[3] 1988년 10월 25일 : 영업거리표 개정 (수원 기점 47.0km→46.3km)[4] 1992년 7월 20일 : 연수택지지구 개발로 영업 중지[5] 1994년 9월 1일 : 송도 ~ 한대앞 구간의 폐지와 함께 폐역[6] 2012년 6월 30일 : 수인선 오이도 ~ 송도 구간 재개통과 함께 전철역으로 영업 개시[7] 2016년 2월 27일 : 수인선 송도 ~ 인천 연장 구간 개통 및 중간역으로 전환[8][9] 역 구조[편집] 전철화 이후에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화물 처리에 대비한 선로 증설 부지가 있으나 현재 선로는 없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KTX의 출발지가 될 선로도 없다. 승강장[편집] ↑ 연수 | 43 | | 21 | 인하대 ↓ 1·2 ■ 수인선 인하대·숭의·신포·인천 방면 3·4 연수·원인재·소래포구·오이도 방면 역 주변[편집] 인천광역시립박물관 인천상륙작전기념관 송도고등학교 옥련여자고등학교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옥련중학교 인송중학교 함박중학교 송도초등학교 인천축현초등학교 인천옥련초등학교 인천능허대초등학교 인천해양경찰서 명칭과 관련된 이야기[편집] 이 곳은 원래 옥련이라는 지명으로 불려 왔으나, 송도라는 명칭은 동학 농민 운동 이후 인천항을 수시로 드나들었던 일본 제국 해군의 방호순양함인 마쓰시마함(松島, 송도의 훈독)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한일 합방 조약 체결 이후에 조선을 식민 통치하고 있던 일본 제국이 이 군함을 기리는 의미로 해당 지역을 “송도”로 개명한 것이며, 광복 후 일제 청산의 목적으로 옥련동으로 환원시켰고 한편으로는 이후 인근의 해상을 매립하여 새 매립지 부분이 송도국제도시란 이름으로 개발되었다. 고로 일제의 잔재인 지명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이 역이 소재한 옥련동 일대와 송도국제도시의 중심 관청인 인천경제자유구역청는 직선 거리로 4km나 떨어져 있다. 이 역의 명칭인 “송도역”은 단지 일제 강점기부터 있던 역이며 증축 및 개축을 통해 같은 위치에 새로 건설한 역이라 하여 이를 계승하기 위한다는 명목만으로 역 이름을 유지한 것 뿐으로 결코 송도국제도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고로 옥련동 일대의 기존 주민의 "송도"에 대한 인식은 단지 이 송도역 인근을 말하는 것으로 국한된다. 이로 인해 송도국제도시를 가려던 사람이 역명만 보고 혼동해서 이 역으로 잘못 오는 경우가 생긴다. 이용객 변동[편집] 2012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2년 6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85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수인선 승차 2,172 2,896 3,390 3,574 [10] 하차 2,302 2,960 3,440 3,619 사진[편집]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전) 대합실 플랫폼 마무리 공사중이던 역사 회차선에서 역 구내로 진입하는 전동차 (연장 개통 전및 전동차 도색변경전) 인접한 역[편집] 수인선 K258 연수오이도 방면 ■ 수인선완행 K261 인하대인천 방면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송도역 ↑ '인천서 KTX 타고 광주·부산 가요' 인천발 KTX 확정, 《연합뉴스》, 2016.07.10. ↑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사설철도운수영업개시, 1937년 8월 6일 ↑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34호, 1973년 7월 11일 ↑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33호, 1988년 10월 25일 ↑ 수인철도 소래~송도구간 내년말까지 운행중단, 《동아일보》, 1992.07.15. ↑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994-44호, 1994년 8월 23일 ↑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327호, 2012년 6월 22일 ↑ 대한민국관보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620호, 2015년 9월 4일 ↑ 당초 2015년 12월에 개통할 예정이였지만, 마무리 공사가 늦어지는 관계로 두 달 순연되어, 2016년 2월 27일부터 중간역으로 전환하였다. ↑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외부 링크[편집] 한국철도공사 송도역 vdeh한국철도 수인선 (1937~1996)수원 - 고색 - 오목 - 어천 - 야목 - 빈정 - 사리 - 일리/한대앞 - 중앙(성두) - 고잔 - 원곡/안산 - 신길 - 군자 - 달월 - 소래 - 논현 - 남동 - 문학 - 송도 - 용현 - 인천항/수인/남인천 vdeh수도권 전철 수인선오이도 - 달월 - 월곶 - 소래포구 - 인천논현 - 호구포 - 남동인더스파크 - 원인재 - 연수 - 송도 - 인하대 - 숭의 - 신포 - 인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송도역&oldid=24440731" 분류: 수인선인천 연수구의 전철역인천 연수구의 교통인천 연수구의 건축물1937년 개업한 철도역1994년 폐지된 철도역2012년 개업한 철도역숨은 분류: 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Magyar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7일 (월) 15:4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송도역(Songdo station, 松島驛)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연수구 옥련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전철역이다. 2025년부터 인천발 KTX와 경강선 일반열차의 시·종착역이 될 예정이며, 이 사업은 국토교통부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 기본계획에 반영되어 있다. 이 역에만 지상 구간이다. 이 역과 연수역 사이에는 일부 지하 구간이 존재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송도역은 원래 어떤 지명으로 불려왔을까? Assistant: 옥련
Human: 아래 대한민국의_아이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한민국의 아이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의 아이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한민국의 아이돌은 연예 기획사에 의하여 10대 청소년 또는 20대 초반의 나이에 대한민국에서 데뷔하여 활동하는 가수이자 연예인이다. 목차 1 용어와 개념 2 역사 2.1 1930–70년대: 초기의 보컬 그룹 2.2 1980–90년대: 댄스 가수 2.3 1990년대: 1세대 아이돌 2.4 2000년대: 2세대 아이돌 2.5 2010년대: 3세대 아이돌 3 관련 문화 3.1 팬덤 3.2 굿즈 4 비판 4.1 성 상품화 관련 4.2 레퍼런스 관련 5 목록 6 각주 7 참고 문헌 8 같이 보기 용어와 개념[편집] 대한민국에서 ‘아이돌’이라는 말은 서양의 아이돌 개념과 일본의 아이돌 개념이 융합된 개념이다. 서양의 ‘틴 아이돌(Teen Idol)’은 10대에게 우상화되어 인기를 끄는 가수·배우·운동선수 등을 모두 지칭하며, 일본의 ‘아이도루(アイドル)’는 기획사에 의하여 육성되며 젊은 세대에게 인기를 끄는 가수를 뜻하는데, 대한민국의 아이돌 그룹은 후자에 가깝다.[1] 그러나 음악 활동이 연예계 활동 중 하나인 일본 대부분의 아이도루와 달리, 대한민국의 아이돌은 비록 드라마나 예능 프로그램 등에 출연하여 대중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더라도 ‘배우’나 ‘연예인’이기에 앞서서 ‘노래와 춤 모두를 잘하는 가수’여야 한다는 인식이 있다.[2][3] 대한민국 내에서 아이돌이라는 개념에 부합하는 최초의 가수 그룹은 1996년에 데뷔한 H.O.T.이다.[4] 역사[편집] 아래에서는 대한민국의 아이돌의 역사에 대하여 10년 단위로 구분하여 다룬다. 문단명에 표기한 연대는 대략적인 구분이다. 1930–70년대: 초기의 보컬 그룹[편집] 멀게는 1930년대, 가깝게는 1950년대 이래로 가창과 퍼포먼스를 동시에 보여주며 공연한 초기의 보컬 그룹을 아이돌의 원류로 보기도 한다. 이 시각에 따르면 최초의 걸그룹은 1939년경에 데뷔한 저고리시스터즈이며, 보이그룹은 아리랑보이즈였다.[5][6] 해외에 진출한 최초의 아이돌은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미국과 대한민국에서 활동한 3인조 걸그룹인 김시스터즈이다.[7][8] 김시스터즈가 큰 인기를 끌면서, ‘자매’형 걸그룹이 다수 등장하였다. 1954년 데뷔한 은방울자매[9], 1950년대 중반 데뷔한 현시스터즈와 정시스터즈, 1962년 데뷔한 이시스터즈[10], 1969년 데뷔한 릴리시스터즈[11], 1971년 데뷔한 바니걸스[12], 1981년 데뷔한 국보자매[13] 등이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1990년대 이후 데뷔하여 한류·K-pop과 연관된 아이돌의 개념과는 거리가 있으며, 실질적으로 현재와 같은 보이그룹과 걸그룹의 시초로 꼽히는 것은 각각 1980년대에 데뷔한 소방차와 세또래이다. 1980–90년대: 댄스 가수[편집] 1970년대 중반부터 대한민국에 유입된 디스코·소울·펑크 등을 바탕으로 형성된 ‘댄스음악’이라는 독립된 장르가 1980년대 중후반부터 크게 유행하였다.[14] 댄스음악 가수나 그룹은 서양의 댄스음악을 바탕으로 신나는 음악과 화려한 춤을 결합한 퍼포먼스를 선보였으며[14], 대표적으로 소방차, 세또래, 김완선, 나미 등이 있었다. 1990년대 초반부터 대한민국에서는 하우스·테크노·트랜스 등 전자 댄스음악의 반복적인 리듬 패턴에 트로트의 느낌을 주는 멜로디가 결합되고, 여기에 더하여 미국 힙합의 영향으로 간단한 랩이 추가된 형태의 음악이 특히 10대에게 유행하였다.[15] 이러한 음악 구성은 ‘신세대 댄스음악’으로 불리며 현재의 아이돌 음악으로 사실상 계승되었다.[15] 나아가 이들 젊은 세대는 대한민국 내에 소개되지 않은 당대의 다양한 최신 음악을 찾아 듣기 시작하였다.[16] 이들은 무허가 수입되거나 불법 복제된 CD를 구매하였고[17], 접시형 안테나로 홍콩과 일본의 위성방송을 청취하였으며[18], 1990년대 중반부터 등장한 PC통신 대중음악 동호회의 오프라인 ‘공개 상영회’에 참여하여 음악을 공유하기도 하였다.[19] 신세대 댄스음악 가수로는 대표적으로 서태지와 아이들, 잼, 듀스, 노이즈, 룰라, 쿨, 투투, DJ DOC, R.ef 등이 있다. 이들의 인기는 1세대 아이돌의 등장으로 사그라들었다. 1990년대: 1세대 아이돌[편집] 1989년 설립[20]된 SM기획은 ‘춤꾼’으로 잘 알려져 있던 현진영을 발탁하여 소속 최초의 가수로 데뷔시키지만 1993년 현진영이 필로폰 투약 혐의로 입건되면서 재정난을 겪었고, 이에 새로운 방식의 가수 육성 체계를 시도하였다.[21] 오디션을 통하여 선발한 청소년들에게 노래와 춤 연습을 시킨 뒤 가수로 데뷔시키고, 데뷔 과정에서 투자한 자본을 음반 판매와 공연 활동으로 회수하는 전략적 시스템이 바로 그것이다.[22] 이러한 체계 하에서 SM기획이 처음으로 등장시킨 아이돌이 바로 H.O.T.였다.[4] 1세대 아이돌은 대체로 5명 전후의 인원으로 구성된 그룹으로서, 각 인원은 리드 보컬·서브 보컬·댄서·래퍼 등으로 역할을 분담하였다.[23] 무대에서는 노래를 부르면서 ‘군무’라고 불릴 만큼 통일된 안무를 췄으며, 이 안무는 이전의 댄스음악에 비하여 어려웠지만 그와 동시에 청소년들이 쉽게 따라할 수 있는 ‘포인트 안무’를 포함하였다.[24] 음반 활동은 보통 수록된 노래 가운데 ‘타이틀곡’과 ‘후속곡’으로 불리는 두세 곡에 한하여서만 이뤄졌으며, 그 곡들에는 멤버 각각의 특성을 보여줄 수 있는 뮤직비디오가 제작되었다.[25] 몇 달간의 음반 활동이 끝나면 휴식기를 보낸 뒤 다음 음반으로 활동을 재개하였다.[22] 이러한 체계는 이후의 2, 3세대 아이돌을 이루는 바탕이 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1세대 아이돌은 대체로 인기를 잃었다. 이들은 안무에 중점을 두어 공연하다 보니 립싱크로 노래를 부르는 일이 잦았으며, 더군다나 그 음원조차 아이돌 본연의 목소리가 아니라 디지털 기법으로 보정된 음원임을 대다수 청중이 인지하고 있다 보니, 가수로서의 역량 문제가 제기되었던 것이다.[26] 그 밖에도 아이돌 멤버와의 계약이나 수익 정산 등에서 잇따라 논란이 불거졌고[27], 아이돌 양성 시스템은 음원 시장이 디지털 중심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여전히 지상파 방송에 의존하고 있었다.[28] 결국 2000년 젝스키스[29], 2001년 H.O.T.[30], 2002년 S.E.S.가 해체하였고[31], 핑클은 2002년 팀 활동 중단을 선언하였다.[32] 1세대 아이돌 그룹은 SM기획과 대성기획의 양강 구도로 전개되었는데, SM기획은 신비로운 이미지의 아이돌을, 대성기획은 현실적인 이미지의 아이돌을 기획하는 경향이 있었다.[28] 보이그룹의 경우 SM의 H.O.T.와 대성의 젝스키스가 경쟁하였는데, 두 그룹 모두 사회 비판적 가사의 곡으로 데뷔하는 동시에 경쾌한 댄스곡으로 활동하여 인기를 끌었다.[33] 신화는 섹슈얼한 남성적 이미지와 더불어 팬들의 자발적인 결속력에 힘입어 그룹의 정체성을 유지하였고, god는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고 여러 세대가 공감할 만한 곡으로 활동함으로써 친근한 이미지를 구축하였다.[34] 걸그룹 역시 SM의 S.E.S.와 대성의 핑클이 귀엽고 순수한 소녀의 이미지를 표방하며 경쟁하였는데, 나중에 가서는 S.E.S.는 비현실적이고 신비한 소녀의 이미지를, 핑클은 실존할 법한 친근한 소녀의 이미지를 내세웠다.[35] 베이비복스와 디바는 강인한 여성상을 표방하여 인기를 끌었다.[36] 1세대 보이그룹으로는 H.O.T., 젝스키스, 신화, god, NRG, 태사자, 클릭비, Fly to the sky 등이 있으며, 걸그룹으로는 S.E.S., 핑클, 베이비복스, 디바, 티티마, 샤크라 등이 있다. 혼성 그룹으로는 샵, 코요태, 영턱스클럽 등이 있다. 대표곡으로는 H.O.T.의 <캔디>, 젝스키스의 <커플>, god의 <거짓말>, S.E.S.의 <I'm your girl>, 핑클의 <영원한 사랑> 등이 있다. 2000년대: 2세대 아이돌[편집] 2000년대 초반 들어 1세대 아이돌이 쇠퇴하고, 보아, 비, 세븐 등 대형 기획사 소속 솔로 가수와, 강타, 문희준, 바다, 옥주현, 이효리 등 과거에 그룹으로 활동하였던 솔로 가수가 인기를 끌었다,[37] 2004년 아카펠라 그룹으로서 동방신기가 데뷔하였고[38], 2005년 SS501· 슈퍼주니어[39], 2006년 빅뱅이 데뷔하지만[40], 이들은 1세대 아이돌만큼의 유행을 선도하지 못하였다.[41] 그러나 2007년 원더걸스의 첫 정규 앨범 《The Wonder Years》의 타이틀곡 〈Tell Me〉가 전국적으로 ‘신드롬’이라 명명될 만큼 큰 인기를 끌면서[42][43][44], ’2세대 아이돌‘이라고 불리는 아이돌의 유행이 다시 시작되었다.[45] 앞서 데뷔한 동방신기·SS501·슈퍼주니어·빅뱅 등도 원더걸스가 촉발시킨 인기에 합류하였다.[45] 2세대 아이돌은 주로 6인 이상의 인원으로 구성되며, 유닛이라는 ‘그룹 속 그룹’을 결성하여 그룹 활동과 유닛 활동을 병행한다.[46] 기획사는 1세대 시절보다 소속 아이돌의 관리를 철저히 하여, 음악 내외적인 문제가 생기는 일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정기적으로 연습생의 노래와 춤 능력을 평가하여 실력이 늘지 않았거나 현저히 떨어질 경우 연습생과의 계약을 파기한다.[47] 사생활 논란을 우려하여 기획사 대표가 연습생들에게 인성을 강조하는가 하면[48], 실제로 인성 논란이 불거진 연습생은 방출되기도 한다.[49] 음악은 짧은 후렴구가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훅송이 주를 이루며[50], 대한민국 국외 시장을 겨냥하기 위하여 일부러 서양 팝 음악과 유사하게 작곡되기도 한다.[51] 음원 시장의 디지털화에 따라 앨범을 자주 발매하여 대중에 지속적으로 노출시켜야 기획사로서 수익을 최대화할 수 있기에, 정규 앨범보다는 수록곡이 적은 싱글 앨범과 미니 앨범(EP)이 보편화되었다.[52] 이미지 유지를 위하여 주로 신비주의 전략을 채택하였던 1세대 아이돌과는 달리 2세대 아이돌은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무대에서의 이미지’와는 다른 ‘무대 밖에서의 친근한 이미지’를 구축하였고, 이를 통하여 중장년층도 아이돌에 대하여 자연스러운 느낌을 받게 함으로써 팬을 확대하는 전략을 취하였다.[53] 그 결과 30-40대 남성 팬덤을 뜻하는 ‘삼촌팬’이 등장하였다. 또 ‘여덕’이라고 불리는, 걸그룹을 좋아하는 여성 팬의 존재가 비교적 자연스러워졌다.[54] 콘셉트와 음악 장르가 다양하게 분화되어, 1세대 아이돌과 같은 적극적인 라이벌 구도는 잘 형성되지 않았다.[51] 2007년에 데뷔한 원더걸스와 소녀시대는 라이벌 관계로 인식되며 인기를 끌었으나[55], 그 이후 많은 아이돌 그룹이 데뷔하였기 때문에 라이벌로 불리는 경우는 거의 등장하지 않았다. 원더걸스, 카라, 소녀시대는 남성의 시선이 반영된 소녀 이미지를 추구하였으며, 특히 카라는 핑클, 소녀시대는 S.E.S.의 이미지를 계승하였다.[56] 브라운아이드걸스는 그들만의 음악적 특색을 내세워 남녀 모두에게 인기를 끌었으며, 포미닛, 2NE1, f(x), 미쓰에이는 베이비복스와 디바의 주체적이고 당당한 여성 이미지를 계승하였다.[57] 씨스타, 걸스데이, AOA는 섹시 콘셉트를[58], 에이핑크는 청순 콘셉트를[59] 추구하였다. 동방신기와 빅뱅은 독창성과 높은 완성도를 보이는 음악을 추구한다는 측면에서 종래의 아이돌과 다르다고 평가받았으며, 특히 동방신기는 나라마다 앨범을 달리하는 전략으로 관심을 끌었다.[60] SS501 과 슈퍼주니어 는 아이돌의 예능 프로그램 출연을 자연스럽게 만들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61] 샤이니는 미소년 이미지를, 2PM은 ‘짐승돌’으로 불릴 정도의 남성적 소년 이미지를 구축하였다.[62] FT아일랜드와 씨엔블루는 밴드형 아이돌 그룹이었다.[60] 2세대 보이그룹으로는 동방신기, SS501, 슈퍼주니어, 빅뱅, FT아일랜드, 샤이니, 2PM, 2AM, 엠블랙, 비스트, 씨엔블루, 인피니트 등이 있으며, 걸그룹으로는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브라운아이드걸스, 원더걸스, 카라, 소녀시대, 포미닛, 2NE1, 티아라, f(x), 시크릿, 애프터스쿨, 레인보우, 미쓰에이, 씨스타, 걸스데이, 에이핑크, AOA, EXID 등이 있다. 대표곡으로는 빅뱅의 <거짓말>, 원더걸스의 <Tell Me>, 소녀시대의 <Gee>, 카라의 <미스터>, 포미닛의 <거울아 거울아>, SS501의 < U R Man >, 동방신기의 <주문>, 슈퍼주니어의 <쏘리 쏘리>, 샤이니의 <링딩동>,2PM의 <Heartbeat>, 비스트의 <Fiction>, 인피니트의 <내꺼하자> 등이 있다. 2010년대: 3세대 아이돌[편집] 대략 2010년대에 데뷔한 아이돌을 3세대 아이돌이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보이그룹은 활동 양상에서 이전과 큰 차이를 보인 엑소를 3세대의 기점으로 삼는다.[63] 걸그룹은 2009년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연예기획사와 연기자 간의 전속계약 기간을 최대 7년으로 규정한 연예인 전속계약서 표준약관에 의하여 데뷔 7년 이후 팀 해체를 결정하는 사례가 많아, 2세대 걸그룹이 해체하기 시작한 즈음인 2014년 이후에 데뷔한 이들을 3세대로 본다.[64] 기준을 더욱 세분하여, 2세대 걸그룹 가운데 2010년 이후에 데뷔한 경우를 2.5세대로 구분하는 입장[65]도 있다.[주 1] 아이돌의 친근화 전략은 디지털 매체의 보급에 힘입어 더욱 다양해졌는데, TV 예능 프로그램에 그치지 않고 유튜브, 아프리카 TV, 네이버 V앱 등을 통한 가공되지 않은 자체제작 콘텐츠가 등장한 것이다.[66] 심지어 아이돌 멤버가 SNS에 직접 글을 올리면서 팬들과의 거리를 더욱 가깝게 하고 있다.[67] 기획 측면에서는 기존과 같이 국가별로 다른 앨범을 발매하거나 다른 언어를 사용하여 공연하는 방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대한민국 국적이 아닌 멤버를 그룹에 포함시키는 방식으로 대한민국 국외에서 활동하는 ‘현지화’ 전략이 본격화되었다.[67] 2010년대 초반부터 유행한 서바이벌형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의 포맷을 적용하여, 아이오아이나 워너원처럼 아이돌이 TV 프로그램을 통하여 선발되고 데뷔하는 사례가 생겨났다.[68] 한편 2010년대 중반 들어 2·3세대 아이돌들이 그룹 활동 휴식기를 이용하여 그룹의 특색과는 다른 음반을 솔로 가수로서 발표하는 사례가 늘었다.[69] 팬들의 취향이 개인화함에 따라 3세대 아이돌은 이전에 비하여 더욱 세부적으로 분화된 콘셉트를 내세우고 있다.[70] 특히 원더걸스 이후 적극적으로 나타난 ‘걸그룹의 여성 팬들’의 취향이 점차 섬세해지면서, 이러한 여성층을 겨냥한 걸그룹이 늘었다.[71] 이를테면 마마무는 가창력과 ‘비글돌’[주 2]이라는 이미지 외에, 미니 앨범 《Pink Funky》의 타이틀곡 〈음오아예〉 활동에서 남장을 시도하여 ‘걸 크러시’ 이미지를 얻고 여성 팬덤의 지지를 받았다.[72] 러블리즈는 ‘소년의 시선에서 본 소녀’가 아닌 ‘소녀의 시선에서 본 소녀’를 콘셉트로 하였다.[73] 여자친구는 S.E.S.·핑클·소녀시대의 청순한 이미지를 계승하면서 ‘건강한 청춘’을 연상시키는 콘셉트를 잡았다.[74][75][76] 3세대 보이그룹으로는 EXO, 방탄소년단, 워너원, 세븐틴, 갓세븐, 위너, 비투비, iKON, NCT, 몬스타엑스, 업텐션, 스누퍼, 아스트로, 크나큰, SF9, 펜타곤, 빅톤,AB6IX 등이 있으며, 걸그룹으로는 트와이스, 레드벨벳, 블랙핑크, 마마무, 여자친구, 아이오아이, 오마이걸, CLC, 우주소녀, 구구단, 다이아, 위키미키, 프리스틴, 러블리즈, 모모랜드, 아이즈원 등이 있다. 대표곡으로는 EXO의 <으르렁>, 트와이스의 <CHEER UP>, 방탄소년단의 <DNA>, 여자친구의 <시간을 달려서>, 레드벨벳의 <빨간 맛>, 블랙핑크의 <뚜두뚜두>, 위너의 <REALLY REALLY>, 아이오아이의 <너무너무너무>, 워너원의 <에너제틱>, 모모랜드의 <뿜뿜>, iKON의 <사랑을 했다> 등이 있다. 관련 문화[편집] 팬덤[편집] 조용필 등의 가수에 대한 팬 문화는 아이돌 가수에게도 그대로 흡수되었다. 아이돌 팬덤이 자발적으로 돈을 모아 그들이 지지하는 아이돌에게 선물을 주는 ‘조공’과 ‘서포트’ 문화가 일반화되었으며, 역으로 아이돌이 팬덤에게 소통의 의미에서 선물을 전하는 ‘역조공’ 문화도 생겨났다.[77] 조공 문화는 지하철역에 스타를 응원하는 광고를 게시하는 것이나[78], 숲 조성, 쌀 기부, 국제 원조 등의 공익적 활동으로도 발전하였다.[79][80] 2010년대 들어 SNS의 등장으로 아이돌의 일상을 담은 실시간 온라인 방송이나 SNS 게시글이 보편화되어, 팬들과 아이돌 간의 심리적인 거리가 가까워졌다.[81] 이에 따라 팬덤의 영향력이 확대되어, 소속사나 아이돌이 팬을 단순히 돈벌이의 대상으로만 여기거나 데뷔 이후 쌓아온 이미지에 어긋나는 행위를 할 경우, 팬덤은 그들에 대하여 보이콧을 하는 사례가 늘었다.[80] 2009년 엠넷의 슈퍼스타 K가 인기를 끈 뒤 식스틴, 프로듀스 101 1·2 등 오디션형 아이돌 육성 프로그램이 여럿 등장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팬들은 자신이 원하는 아이돌을 연예기획사와 함께 직접 만드는 권한을 받음으로써 단순한 소비자에서 벗어나 주체성을 부여받은 위치가 되었다.[80][81] 2세대 아이돌에 이르러, 중년 남성인 ‘삼촌팬’이 주요 팬층의 하나로 등장하였다. 삼촌팬을 바라보는 시각은 상반된 두 가지가 존재하는데, 긍정적인 시각으로는 민주화 이후 자유가 증대하면서 나타난 비-권위주의적인 취향이자 가수와의 교류를 추구하는 방식으로 분석하였다.[82][83] 반면 부정적인 시각으로는 삼촌팬의 등장을 사회 주기에 적응하지 못한 일부의 피터팬 콤플렉스에 따른 퇴행이나[84], 미성년자에 대한 성적 욕망의 표출로 분석하였다.[85][86] 보이그룹은 여성이, 걸그룹은 남성이 좋아하는 것이 보통이었으나, 2000년대 중후반에 들어서서 소위 ‘여덕’이라고 하는 걸그룹의 여성 팬층이 크게 성장하였다.[54] 남성 팬에 비하여 여성 팬은 특정 아이돌에 대한 지속적인 지지와 구매력이 높은 편으로, 걸그룹과 그 기획사는 이성(異性)적인 면이 아니라 인간적인 면으로 여덕들에게 지지를 소구하고 있다.[87][88] 이들은 남성 지향적인 가사의 걸그룹 음악에 불만족하기도 하는데, 실제로 소녀시대의 두 번째 정규 앨범 《Oh!》의 타이틀곡 〈Oh!〉의 ‘오빠를 사랑해’라는 가사를 ‘Oh, 빠[주 3]를 사랑해’로 바꿔 해석[54]하기도 할 정도이다. 굿즈[편집] 굿즈(goods)는 본래 애니메이션이나 영상물 등과 관련된 파생 상품을 뜻하며, 각 기획사에서는 음반 판매와 음원 수입, 공연 등으로는 충당하지 못하는 수익을 굿즈 판매를 통하여 얻고 있다.[89] 아이돌마다 서로 다른 색상과 디자인으로 제작되는 응원봉이 대표적이며, 아이돌의 이름이 붙은 식품에서부터 각종 의류, 피규어, 교통카드에 이르기까지 다종다양한 굿즈가 생산되고 있다.[89][90] 아이돌 굿즈 시장은 연간 1000억 원대로 추정될 정도로 성장하였으며[89], 이러한 성장은 일상에서의 작은 사치를 누리며 잉여소비를 하려는 사회적 분위기에 기인하였다고 보인다.[91] 아이돌 굿즈는 제품의 가격이 지나치게 비싸게 책정되거나 수량이 적게 생산되는 등 팬덤에 대한 기획사의 상술이라고 비판하는 시각도 있다.[90] 비판[편집] 성 상품화 관련[편집] 1세대 걸그룹의 이미지는 성애적 요소가 전혀 없고 ‘흰색’과 같은 요소를 채용하여 ‘순수한 소녀’에 제한되어 있는데, 이러한 요소들은 걸그룹 멤버의 실제 나이와 결합됨으로써 그들의 나이가 ‘소녀’를 초과하면 걸그룹은 해체되었다.[92] 반면 2세대 걸그룹은 사랑에 관한 가사, 특정 신체 부위를 강조하여 보여주는 안무, 제복을 채용하거나 지나치게 길이가 짧은 의상 등의 요소로서 성애적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55] 이는 남성이 여성의 몸을 대상화하여 소비하는 일을 공연히 허용하는 것이라는 비판이 있다.[93] 레퍼런스 관련[편집] 원더걸스의 〈Tell Me〉가 전국적인 유행을 이룬 이후 2010년대 초반에 이르기까지 아이돌 음악은 훅송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50] 그러나 아이돌 그룹의 수는 급증하는데 작곡가는 한정된 상황에서, 이미 이전에 발표된 곡의 분위기를 ‘레퍼런스’(reference)라는 개념으로서 참고하여 노래가 작곡되는 경향이 잦아, 결국 아이돌 음악은 획일적인 음악의 재생산에 지나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다.[94] 레퍼런스는 ‘원하는 분위기나 느낌을 전달하기 위해 제시되는 자료’로서의 음악을 의미하는데, 작곡의 결과물이 대중이 느끼기에 레퍼런스를 참고한 것인지 또는 법적인 표절에 해당하는 것인지의 경계가 모호하다는 지적이 있다.[95] 독일의 사회학자 아도르노는 대중음악의 산업화와 표준화에 대하여 경계하였다. 목록[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의 아이돌 그룹 목록입니다. 각주[편집] 내용주 ↑ 이 입장에 따르면 씨스타, 걸스데이, 에이핑크, AOA 등을 2.5세대 걸그룹으로 볼 수 있다. ↑ 개 품종의 하나인 비글이 활동량이 높아 잘 뛰어다니는 모양에서 착안하여, 활발하고 장난기가 많은 사람을 ‘비글미(美)’가 있다고 표현한다. ‘비글돌’은 ‘비글미 있는 아이돌’을 줄인 말이다. ↑ 이 경우, ‘빠’가 함의하는 부정적인 의미를 오히려 자조적으로 변용하여 사용한 사례이다. 참조주 ↑ 이규탁 2016, 105-107쪽. ↑ 이동연 외 2011, 98-101쪽. ↑ 이규탁 2016, 108-109쪽. ↑ 가 나 이동연 외 2011, 97쪽. ↑ 이길범 (1973년 3월 21일). “演藝手帖(연예수첩) 半世纪(반세기) 歌謠界(가요계) (33) 初期(초기)의 그룹싱거들”. 동아일보. 2017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정진영 (2015년 8월 18일). “국내 최초 걸그룹은 1939년 ‘저고리 시스터즈’”. 헤럴드경제. 2017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이희용 (2017년 1월 23일). “[이희용의 글로벌시대] K팝의 창세기 쓴 김시스터즈”. 연합뉴스. 2017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이종길 (2017년 2월 3일). “한국 최초 걸그룹 언니들이 돌아왔다”. 아시아경제. 2017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박성기 (2005년 11월 11일). “[포토]홀로 남은 은방울자매의 눈물”. 스타뉴스. 2017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임희윤 (2012년 5월 17일). “[Narrative Report]“엄마는 왕년에 걸그룹… 하지만 내 인기보다 아픈 네가 소중했단다””. 동아일보. 2017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가장 나이어린쌍동자매 보컬팀 릴리시스터즈”. 경향신문. 1970년 2월 21일. 2017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봉 (1975년 1월 1일). “"춤추며 노래하자 토끼해는 우리해" 쌍동이「듀엣」바니걸스의 꿈과現實(현실)”. 매일경제. 2017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디스크街(가) 신인가수들 出盤(출반)활발”. 동아일보. 1981년 11월 7일. 2017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가 나 이규탁 2016, 55쪽. ↑ 가 나 이규탁 2016, 58-59쪽. ↑ 이규탁 2016, 65쪽. ↑ 이규탁 2016, 67쪽. ↑ 이규탁 2016, 68-69쪽. ↑ 이규탁 2016, 72-73쪽. ↑ 이현미 (2013년 1월 4일). “K-팝의 세계화 ‘SM사단 성공신화’”. 세계일보. 2017년 7월 2일에 확인함.  ↑ 이규탁 2016, 111쪽. ↑ 가 나 이동연 외 2011, 120쪽. ↑ 이규탁 2016, 113쪽. ↑ 이규탁 2016, 114쪽. ↑ 이동연 외 2011, 122쪽. ↑ 이규탁 2016, 116-117쪽. ↑ 이규탁 2016, 118쪽. ↑ 가 나 이동연 외 2011, 123쪽. ↑ 이광형 (2000년 5월 18일). “인기 그룹 '젝스키스' 해체”. 국민일보. 2017년 7월 2일에 확인함.  ↑ 김혜수 (2001년 5월 13일). “[프리즘] 댄스그룹 H.O.T 해체됐다 .. 장우혁등 3인 소속사 옮겨”. 한국경제. 2017년 7월 2일에 확인함.  ↑ 황정우 (2002년 12월 25일). “S.E.S 슈 SM사와 재계약 체결”. 연합뉴스. 2017년 7월 2일에 확인함.  ↑ 김영록 (2017년 5월 12일). “"핑클, 성년이 되다"…옥주현, 데뷔 19주년 자축”. 스포츠조선. 2017년 7월 2일에 확인함.  ↑ 이동연 외 2011, 125쪽. ↑ 이동연 외 2011, 126-127쪽. ↑ 이동연 외 2011, 129쪽. ↑ 이동연 외 2011, 130쪽. ↑ 이동연 외 2011, 136-137쪽. ↑ 문학수 (2004년 2월 25일). “[커버스토리]천상의 울림 향한 五口同聲 ‘동방신기’”. 경향신문. 2017년 7월 2일에 확인함.  ↑ 이해리 (2005년 11월 2일). “SM이 만든 12인조 그룹 "슈퍼주니어", 6일 데뷔앨범 발표”. 노컷뉴스. 2017년 7월 2일에 확인함.  ↑ 강승훈 (2006년 7월 6일). “YG 신생그룹 '빅뱅', '곰TV' 통해 다큐 공개”. 마이데일리. 2017년 7월 2일에 확인함.  ↑ 이동연 외 2011, 137쪽. ↑ 남상석 (2007년 11월 7일). “"너도 나도 텔미~"…세대초월한 '텔미 신드롬'”. SBS. 2008년 1월 26일에 확인함.  ↑ 디지털뉴스팀 (2007년 11월 27일). “원더걸스 `텔미` 신드롬… 각계에서 `텔미` 버전 재생산”. 한국경제. 2008년 1월 26일에 확인함.  ↑ 배국남 (2007년 12월 17일). “‘무한도전’‘원더걸스’ 2007 10대히트 상품!”. 마이데일리. 2011년 2월 28일에 확인함.  ↑ 가 나 이규탁 2016, 119쪽. ↑ 이동연 외 2011, 143쪽. ↑ 이규탁 2016, 125-128쪽. ↑ 이경남 (2015년 6월 17일). “'식스틴' 박진영 "JYP는 실력보다 인성이 중요"”. 뉴스1. 2017년 7월 2일에 확인함.  ↑ 디지털콘텐츠팀 (2017년 3월 17일). “'프로듀스 101 시즌2' 청양고추 씹던 마루기획 한종연, 과거엔 담배 좀 씹었네”. 부산일보. 2017년 7월 2일에 확인함.  ↑ 가 나 이동연 외 2011, 149쪽. ↑ 가 나 이동연 외 2011, 148쪽. ↑ 이동연 외 2011, 144-146쪽. ↑ 이규탁 2016, 147-150쪽. ↑ 가 나 다 김성윤 2016, 38쪽. ↑ 가 나 이동연 외 2011, 223-224쪽. ↑ 이동연 외 2011, 151-152쪽. ↑ 이동연 외 2011, 152-153쪽. ↑ 미묘 외 2016, 142쪽. ↑ 서병기 (2017년 6월 28일). “에이핑크 ‘청순미’ 설명서”. 헤럴드경제. 2017년 7월 2일에 확인함.  ↑ 가 나 이동연 외 2011, 156쪽. ↑ 이동연 외 2011, 155쪽. ↑ 이동연 외 2011, 154쪽. ↑ 이정현 (2015년 4월 11일). “[올댓뮤직] 엑소 후속타가 필요하다, 아이돌 세대교체 2세대→3세대”. 스포츠한국. 2017년 7월 2일에 확인함.  ↑ 이재훈 (2017년 5월 23일). “'씨스타' 마저...아이돌 그룹 '7년 징크스' 왜?”. 뉴시스. 2017년 7월 2일에 확인함.  ↑ 박경은 (2017년 2월 1일). “지금의 가요차트가 말해주는 것들”. 경향신문. 2017년 7월 2일에 확인함.  ↑ 박영웅 외. 2015, 108-111쪽. ↑ 가 나 정해욱 (2014년 5월 30일). “다국적·멀티·소통..3세대 아이돌의 조건 셋”. 뉴스토마토. 2017년 7월 2일에 확인함.  ↑ 김지원 (2017년 6월 20일). “끝나지 않은 ‘101 신드롬’ ‘아이돌 서바이벌’ 뜬다”. 경향신문. 2017년 7월 2일에 확인함.  ↑ 미묘 외 2016, 134-139쪽. ↑ 미묘 외 2016, 158-163쪽. ↑ 미묘 외 2016, 144-147쪽. ↑ 박영웅 외. 2015, 20-24쪽. ↑ 박영웅 외. 2015, 283-285쪽. ↑ 황효진 (2016년 3월 11일). “여자친구 제작자 소성진 대표 “여자친구는 섹시한 콘셉트로 영원히 가지 않을 거다””. ize. 2017년 7월 2일에 확인함.  ↑ 강명석 (2015년 7월 29일). “여자친구가 소녀시대에게 배운 것”. ize. 2017년 7월 2일에 확인함.  ↑ 미묘 (2016년 2월 1일). “여자친구, 낮은 데로 달려온 ‘파워수수’ 걸 그룹”. ize. 2017년 7월 2일에 확인함.  ↑ 윤새흰 (2016년 7월 18일). “연예인에 '억대 선물'…조공과 서포트 문화, 어디까지 가나”. 노컷뉴스. 2017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김유아 (2017년 12월 31일). “지하철역 광고시장 '큰손' 등장한 아이돌 팬클럽..일부 불만도”. 파이낸셜뉴스. 2017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구교형 (2016년 5월 9일). “밥차에서 쌀 9t 기부로…‘팬들 조공’의 진화”. 경향신문. 2017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김예슬 (2017년 8월 7일). “[BZ시선] ‘팬덤’에서 ‘프로슈머’로…아이돌 산업의 진화”. 비즈엔터. 2017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가 나 남궁민; 김고금평 (2017년 7월 22일). “"내 새끼 내가 키운다"…모성애로 진화한 '팬덤'의 빛과 그늘”. 머니투데이. 2017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김성윤 2016, 78-85쪽. ↑ 이장원 (2010년 7월 22일). “[경향신문을 읽고]‘삼촌팬’이 어른스럽지 못하다는 생각은 편견”. 경향신문. 2017년 7월 2일에 확인함.  ↑ 김성윤 2016, 50-51쪽. ↑ 김성윤 2016, 54-56쪽. ↑ 김종목 (2010년 7월 13일). “‘삼촌팬’ 위장한 이성애적 욕망”. 경향신문. 2017년 7월 2일에 확인함.  ↑ 편집국 (2014년 10월 16일). “팬덤의 세계⑤ 걸그룹 여덕들의 대담, “여자를 좋아하는 게 어때서요?” (인터뷰)”. 텐아시아. 2017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박소영 (2015년 8월 14일). “걸그룹 뜨고 싶니?…'여덕'을 모아봐[걸그룹 입덕기②]”. OSEN. 2017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조현정 (2017년 8월 1일). “"'엑소 라면' 주세요"…1000억 규모 '아이돌 굿즈'의 세계”. 조선비즈. 2017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가 나 박성의 (2017년 8월 8일). “'1000억 시장 잡아라'...'아이돌 굿즈' 출시 열 올리는 유통家”. 이데일리. 2017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이재훈 (2017년 12월 31일). “여자친구 굿즈 논란…달라진 팬덤문화”. 뉴시스. 2017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이동연 외 2011, 221-222쪽. ↑ 이동연 외 2011, 225쪽. ↑ 박영웅 외. 2015, 176-182쪽. ↑ 미묘 (2015년 1월 26일). “[스.압.주.의] 아이돌, 했네 했어, 레퍼런스”. weiv. 2017년 7월 2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편집] 김성윤 (2016). 《덕후감》. 경기: 북인더갭. ISBN 9791185359106.  미묘 외 (2016). 《아이돌 연감 2015》. 서울: 아이돌로지. ISBN 9791195772209.  박영웅; 임희윤; 엄동진; 김윤하 (2015). 《K-POP으로 보는 대중문화 트렌드 2016》. 서울: 마리북스. ISBN 9788994011608.  이규탁 (2016). 《케이팝의 시대》. 경기: 한울아카데미. ISBN 9788946059085.  이동연 외 (2011). 《아이돌: HOT에서 소녀시대까지 아이돌 문화 보고서》. 서울: 이매진. ISBN 9788993985467.  같이 보기[편집] K-pop 포털 아이돌 아이돌 가수 대한민국의 아이돌 그룹 목록 K-pop K-pop 음악가 목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한민국의_아이돌&oldid=24542480" 분류: 대한민국의 아이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PortuguêsไทยTiếng Việt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8일 (월) 10: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대한민국의 아이돌은 연예 기획사에 의하여 대한민국에서 데뷔하여 활동하는 가수이자 연예인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조공' 문화의 반댓말은? Assistant: 역조공 Human: 아래 루시_(영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루시 (영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루시 (영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루시Lucy 감독 뤼크 베송 제작 크리스토페 랑베르 뤼크 베송 각본 뤼크 베송 출연 스칼렛 요한슨 모건 프리먼 최민식 암르 와케드 필로우 아스베크 촬영 티에리 아르보가스트 음악 에리크 세라 제작사 유로파코프 배급사 유로파코프 유니버설 픽처스 개봉일 2014년 8월 8일 국가 프랑스 언어 영어 제작비 4,000만 달러[1] 수익 $463,360,063 《루시》(Lucy)는 2014년에 공개된 프랑스의 SF 액션 영화이다. 뤼크 베송의 연출 작품. 목차 1 개요 2 배역 3 각주 4 외부 링크 개요[편집] 타이완 타이베이 시에서 유학 중이던 루시는 남자친구 리처드의 꼬임에 빠져 호텔에 있는 조직 두목 미스터 장에게 서류가방을 전달하는 심부름을 하게 된다. 호텔에 도착하여 미스터 장을 찾는 사이에 그녀의 남자친구 리차드는 살해되고, 로비에서 루시는 미스터 장의 폭력배들에게 호텔방으로 끌려 올라간다. 루시가 호텔방에 도착하여 정신을 잃은 사이 미스터 장의 무리들은 그녀의 복부를 절개하고 마약류의 화학물질인 CPH4가 담긴 비닐 주머니를 넣어 꿰맨 다음, 미국으로 운반하라고 시킨다. 미국행을 기다리던 루시가 어디론가 끌려가 감금되어 있던 중 남자 감시원에게 저항하다가 복부를 차이면서 그 안에 CPH4가 담겨있던 비닐 주머니가 터져 다량의 CPH4가 몸 안에 투여된다. 그 결과, 루시의 두뇌 활용력이 점점 높아져 새로운 능력이 생긴다. 뇌의 활용량 24%, 신체의 완벽한 제어. 뇌의 활용량 40%, 모든 상황의 제어 가능. 뇌의 활용량 62%, 타인의 행동을 조종. 이렇게 점차 능력이 높아져가며 결국 뇌의 활용량이 24%가 넘은 루시는 감금장소를 탈출해 전사로 변신하여 미스터 장을 비롯한 폭력배에게 복수를 하며, 프랑스를 방문 중이던 뇌 과학자 노먼 교수를 찾아가 자문을 구하기도 한다. 그리고 더 많은 CPH4를 투약할 수록 루시의 뇌의 활용량은 점점 높아만 가며 결국은 두뇌를 99% 사용할 수 있게 되나, 인간적인 감정은 잃는다는 것을 알게 된다. 결국 루시는 자신조차도 통제 불능의 상태가 된 채, '신'이자 '시간'이 되어 인간 세상에서 가장 확실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자신의 지식을 메모리카드(USB)에 담아 전달한 채로 어디론가로 사라진다. 루시를 추적하던 미스터 장도 현지경찰 피에르 델 리오에게 살해당한다. 또한 사라진 후 루시는 과거의 루시와 마주쳐 100%의 활용을 할 수 있게 된다. 배역[편집] 스칼렛 요한슨 - 루시 역 모건 프리먼 - 노먼 교수 역 최민식 - 미스터 장 역 암르 와케드 - 피에르 델리오 역 줄리언 린드텃 - 라이미 역 필로우 아스베크 - 리처드 역 애널리 팁턴 - 캐럴라인 역 니콜라 퐁페트 - 질 역 각주[편집] ↑ “Lucy” (영어). boxofficemojo.com. 2014년 9월 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영어) 루시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vdeh뤼크 베송감독 《마지막 전투》 (1983) 《서브웨이》 (1985) 《그랑블루》 (1988) 《니키타》 (1990) 《아틀란티스 : 바다의 오페라》 (1991) 《레옹》 (1994) 《제5원소》 (1997) 《잔 다르크》 (1999) 《엔젤-A》 (2005) 《아더와 미니모이: 제1탄 비밀 원정대의 출정》 (2006) 《아더와 미니모이 2: 셀레니아 공주 구출 작전》 (2009) 《아더와 미니모이 3: 두 세계의 전쟁》 (2010) 《블랑섹의 기이한 모험》 (2010) 《더 레이디》 (2011) 《위험한 패밀리》 (2013) 《루시》 (2014) 《발레리안: 천 개 행성의 도시》 (2017) 《안나》 (2019) 제작 《마지막 전투》 (1983) 《서브웨이》 (1985) 《니키타》 (1990) 《아틀란티스 : 바다의 오페라》 (1991) 《콜드 문》 (1991) 《닐 바이 마우스》 (1997) 《택시》 (1998) 《택시 2》 (2000) 《키스 오브 드래곤》 (2001) 《와사비: 레옹 파트 2》 (2001) 《혼돈과 욕망》 (2002) 《트랜스포터》 (2002) 《팡팡 튤립》 (2003) 《코틀레트》 (2003) 《미셀 베이앙》 (2003) 《택시 3》 (2003) 《13구역》 (2004) 《택시: 더 맥시멈》 (2004) 《리볼버》 (2005) 《멜키아데스 에스트라다의 세번의 장례식》 (2005) 《트랜스포터: 엑스트림》 (2005) 《더 독》 (2005) 《엔젤-A》 (2005) 《아더와 미니모이: 제1탄 비밀 원정대의 출정》 (2006) 《밴디다스》 (2006) 《러브 & 트러블》 (2006) 《황금의 문》 (2006) 《텔 노 원》 (2006) 《더 시크릿》 (2007) 《택시 4》 (2007) 《히트맨》 (2007) 《테이큰》 (2008) 《트랜스포터: 라스트 미션》 (2008) 《13구역: 얼티메이텀》 (2009) 《홈》 (2009) 《스태튼 아일랜드》 (2009) 《아더와 미니모이 2: 셀레니아 공주 구출 작전》 (2009) 《아더와 미니모이 3: 두 세계의 전쟁》 (2010) 《프롬 파리 위드 러브》 (2010) 《22 블렛》 (2010) 《콜롬비아나》 (2011) 《소스: 아내들의 파업》 (2011) 《파리의 유령》 (2011) 《더 레이디》 (2011) 《락아웃: 익스트림미션》 (2012) 《테이큰 2》 (2012) 《인터섹션 (영화)》 (2013) 《쿠크하트: 시계심장을 가진 소년》 (2013) 《쓰리데이즈 투 킬》 (2013) 《위험한 패밀리》 (2013) 《브릭 맨션: 통제불능 범죄구역》 (2014) 《더 홈즈맨》 (2014) 《테이큰 3》 (2015) 《트랜스포터: 리퓰드》 (2015) 《워리어스 게이트》 (2016) 《레니게이드》 (2017) 《발레리안: 천 개 행성의 도시》 (2017) 《안나》 (2019) 각본 《택시》 (1998) 《택시 2》 (2000) 《키스 오브 드래곤》 (2001) 《와사비: 레옹 파트 2》 (2001) 《야마카시》 (2001) 《트랜스포터》 (2002) 《팡팡 튤립》 (2003) 《택시 3》 (2003) 《미셀 바이앙》 (2003) 《크림슨 리버 2 - 요한 계시록의 천사들》 (2004) 《13구역》 (2004) 《리볼버》 (2005) 《트랜스포터: 엑스트림》 (2005) 《더 독》 (2005) 《밴디다스》 (2006) 《택시 4》 (2007) 《테이큰》 (2008) 《트랜스포터: 라스트 미션》 (2008) 《13구역: 얼티메이텀》 (2009) 《프롬 파리 위드 러브》 (2010) 《콜롬비아나》 (2011) 《락아웃: 익스트림미션》 (2012) 《테이큰 2》 (2012) 《쓰리데이즈 투 킬》 (2014) 《브릭 맨션: 통제불능 범죄구역》 (2014) 《루시》 (2014) 《테이큰 3》 (2015) 《트랜스포터: 리퓰드》 (2015) 《워리어스 게이트》 (2016) 《호수 (영화)》 (2016) 《발레리안: 천 개 행성의 도시》 (2017) 《안나》 (2019) TV 시리즈 《노 리밋》 (2012) 《택시 브루클린》 (2014) 같이 보기 작품 목록 유로파코프 이 글은 영화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루시_(영화)&oldid=23896520" 분류: 2014년 영화영어 영화 작품프랑스의 스릴러 영화프랑스의 SF 영화프랑스의 액션 영화액션 영화초능력을 소재로 한 영화마약을 소재로 한 영화타이완을 배경으로 한 영화파리를 배경으로 한 영화아이맥스 영화뤼크 베송 감독 영화유니버설 픽처스 영화타이완에서 촬영한 영화프랑스에서 촬영한 영화19세기를 배경으로 한 영화2014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바이오펑크 영화SF 액션 영화과학 판타지 영화시간 여행 영화SF 스릴러 영화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영화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বাংলাکوردی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Fiji Hind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ҚазақшаКыргызчаLietuviųLatviešuNederlands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hqipСрпски / srpski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ייִדיש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2일 (금) 00: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루시》(Lucy)는 2014년에 공개된 프랑스의 SF 액션 영화이다. 뤼크 베송의 연출 작품.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사라진 루시를 찾던 미스터 장을 살해한 현지경찰의 이름은? Assistant: 피에르 델 리오
Human: 아래 온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온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온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나이지리아의 지명에 대해서는 온도 주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몰바이데 투영 도법에서의 월간 지표면 기온을 나타낸 세계 지도. 온도(溫度, 라틴어·스페인어·포르투갈어: Temperatura, 독일어: Temperatur, 영어·프랑스어: temperature)는 물질의 뜨겁고 찬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이다. 온도는 물리학에서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물리량 중 하나이다. 온도는 일반적으로 다음 두 가지 방법으로 정의된다. 일반적인 정의의 온도는 온도의 경험적인 개념과, 독립적인 온도의 존재성을 보장하는 열역학 법칙중 제 0법칙에 기초한다. 일반적인 정의의 온도는 온도의 기준을 통해 만들어진 온도계로 측정되는 값이다. 열역학적 정의의 온도는 19세기 중반 열기관과 열역학에서 이어지는 통계역학이 발전되면서 에너지와 엔트로피간의 이해가 높아지면서 파생되어 나왔다. 열역학적 정의의 온도는 에너지를 엔트로피로 편미분한 값으로 나타내지며, 다양한 기초적인 물리법칙과 근본적으로 관련되어있다. 열역학적 정의의 온도는 계의 평형이 이뤄지지 않으면 정의할 수 없다. 온도의 국제 단위는 켈빈(K)이다. 켈빈은 물의 삼중점의 열역학적 온도의 1/273.16으로 정의된다. 일반적인 정의에 사용되는 온도 기준에 열역학적 정의의 온도를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인 정의의 온도라도 물리학적인 의미, 다양한 기초적인 물리법칙과의 관련성을 만들 수 있다. 목차 1 정의 1.1 온도의 개념 1.2 온도의 일반적인 정의 1.2.1 온도의 일반적인 정의가 갖는 성질 1.2.2 온도의 일반적인 정의의 문제점 1.3 온도의 열역학적 정의 1.4 열역학적 정의의 일반적인 정의의 관계 1.5 온도의 일반적인 정의와 열역학적 정의가 둘 다 필요한 이유 2 온도의 역사 2.1 고대의 온도 정의 2.2 18세기의 온도 정의 2.2.1 셀시우스의 온도 단위 2.2.2 요한 람베르트의 온도계 2.2.3 파렌하이트의 온도 단위 2.3 고정점의 안정성에 대한 논란 2.3.1 런던 왕립학회의 토의 2.3.2 데루크의 이의 제기 2.4 19세기의 온도 정의 2.4.1 열소론적 정의 2.4.2 분자 운동론적 정의 2.4.3 샤를의 법칙과 게뤼사크의 절대 영도 2.4.4 카르노의 열기관 고안 2.4.5 톰슨의 절대 온도 2.4.6 랭킨의 온도 단위 2.5 현대 온도 정의의 확립 2.5.1 1930년대의 단위 조정 2.5.2 국제 도량형 총회의 온도 확립 3 온도와 운동, 에너지간의 관계 3.1 병진운동와 운동에너지 3.2 흑체복사 4 온도의 과학에서의 쓰임 4.1 화학 4.1.1 반응의 자발성 4.1.2 반응속도 4.2 생물 4.2.1 효소 4.3 천문학 4.3.1 유효온도 4.3.2 색온도 4.3.3 밝기온도 4.3.4 운동온도 5 온도의 예 6 측정방법 6.1 접촉법 6.2 비접촉법 7 단위 7.1 섭씨, 화씨, 켈빈, 랭킨 간의 환산 관계 8 음의 온도 9 주거환경 10 온도 범위 11 함께 읽기 12 각주 13 외부 링크 정의[편집] 온도의 개념[편집] 온도의 개념은 우리의 경험에 비롯한 뜨겁고 차가움의 정도이다.[1]:4 우리는 경험적으로 뜨거운 물체와 차가운 물체를 접촉시키게 되면 뜨거운 물체로부터 차가운 물체로 자발적으로 에너지가 열의 형태로 흐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온도의 개념은 "자발적으로 에너지를 밖으로 배출하려고 하는 성질의 정도" 이며, 편의 상 온도가 높을수록 에너지를 많이 방출하려고 하는 성질이 크다고 정의한다. 온도의 일반적인 정의[편집] 겨울철에 기온을 측정하는 셀시우스 온도계. 일반적인 온도의 정의는 정해진 온도 기준에 의하여 만들어진 온도계에서 측정되는 값이다. 열역학 제 0법칙은 "어떤 계 A와 B가 열적 평형상태에 있고, B와 C가 열적 평형상태에 있으면, A와 C도 열평형상태에 있다."이다. 이는 앞서 말한 온도의 개념을 생각해본다면 온도, 즉 "자발적으로 에너지를 밖으로 배출하려고 하는 성질의 정도"가 외부에 접촉한 계와 상관없이 독립적인 물리량으로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기준이 되는 계 몇 개를 정하고 다른 계들을 그 계와 접촉시켜 열이 흐르는 방향을 봄으로써 계의 온도의 상대적인 높낮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대적인 높낮음을 절대 온도( K)나 섭씨 온도( °C)와 같이 기준을 만들어 정한다면 어떠한 계의 온도는 그 기준 내에서 이론적으로 정의가 된다. 온도의 기준과 온도에 따른 부가적인 성질들(알코올의 부피증가, 흑체복사 등)을 통해서 온도계를 만들 수 있고, 온도의 일반적인 정의는 "정해진 온도의 기준에 의하여 만들어진 온도계에서 측정되는 값"이라고 할 수 있다.[1]:5 온도의 일반적인 정의가 갖는 성질[편집] 온도의 일반적인 정의는 그 자체로 다음을 보장한다. 첫째, 온도가 다른 물체를 열 교환이 일어날 수 있도록 접촉시켰을 때 온도가 높은 물체에서 낮은 물체로 자발적으로 열이 흐르게 된다. 둘째, 두 물체가 충분한 열 교환을 통해서 열 평형에 이르렀을 때 두 물체의 온도는 같게 된다. 온도의 일반적인 정의의 문제점[편집] 온도의 일반적인 정의는 다음과 같은 개념에서 애매모호함이 있다. 첫째, 온도의 일반적 정의는 절대적 물리량으로서의 온도의 존재성을 보장하는 열역학 제 0법칙 "어떤 계 A와 B가 열적 평형상태에 있고, B와 C가 열적 평형상태에 있으면, A와 C도 열평형상태에 있다."을 근본적으로 설명하지 못한다. 즉, 일반적인 정의의 온도는 열역학 제 0법칙에 기초해야한다. (반면 뒤에 열역학적 정의는 열역학 제 0법칙과 아무런 관련이 없으며, 열역학적 정의는 오히려 열역학 제 0법칙을 증명할 수 있다) 둘째, 일반적인 온도를 정의함에 있어서 온도의 상대적인 높낮음을 통해서 온도의 기준을 정의하였는데, 그 기준에 물리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 없다. 즉 일반적인 온도의 온도기준은 온도의 상대적인 높낮음에 순서를 나타낼 뿐 물리적인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온도의 열역학적 정의[편집] 내부적으로 열 평형 상태에 이른 물리적 계의 열역학적 온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1]:88 T = ∂ U ∂ S {\displaystyle T={\frac {\partial U}{\partial S}}} 또는 1 T = ∂ S ∂ U {\displaystyle {\frac {1}{T}}={\frac {\partial S}{\partial U}}} 열역학적 정의의 일반적인 정의의 관계[편집] 온도의 열역학적 정의는 일반적인 정의가 보장하는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잘 보장한다. 온도가 다른 물체를 열 교환이 일어날 수 있도록 접촉시켰을 때 온도가 높은 물체에서 낮은 물체로 자발적으로 열이 흐르게 된다. 두 물체가 충분한 열 교환을 통해서 열 평형에 이르렀을 때 두 물체의 온도는 같게 된다. 내부적으로 열 평형 상태에 있는 두 계 A,B가 접촉되어있어 열 교환이 자유롭게 일어난다고 하자. 열역학 제 2 법칙에 따르면 시간이 흐름에 따라 두 계의 엔트로피의 합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열이 이동하며 열 평형상태에 도달하였을 때 전체 엔트로피는 최댓값에 도달한다. 각 계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Ua, Ub라고 하자. 계 B로부터 계 A로 미소 에너지 흐름 dQ이 발생하였다고 할 때 dUa와 dUb, dStotal은 다음과 같다. d U A = d Q , {\displaystyle dU_{A}=dQ,} d U B = − d Q {\displaystyle dU_{B}=-dQ} d S t o t a l = d S A + d S B {\displaystyle dS_{total}=dS_{A}+dS_{B}} 두 계가 열 평형을 이루고 있을 때 총 엔트로피는 최댓값을 가지므로 미소 dQ에 대하여 dStotal가 0이어야 한다. d S t o t a l d U = ( d S A d U A + d S B d U B ) = ( d S A d Q − d S B d Q ) = ( 1 T A − 1 T B ) = 0 {\displaystyle {\frac {dS_{total}}{dU}}=\left({\frac {dS_{A}}{dU_{A}}}+{\frac {dS_{B}}{dU_{B}}}\right)=\left({\frac {dS_{A}}{dQ}}-{\frac {dS_{B}}{dQ}}\right)=\left({\frac {1}{T_{A}}}-{\frac {1}{T_{B}}}\right)=0} , 평형상태에서 따라서, T A = T B {\displaystyle T_{A}=T_{B}} 위 식은 두 계가 열 평형에 있을 때 두 계의 온도는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온도의 일반적인 정의와 열역학적 정의가 둘 다 필요한 이유[편집] 정해진 온도 기준에 기반하는 일반적인 온도의 정의는 19세기 중반 열역학이 발전하여 온도와 열, 엔트로피에 대한 이해가 되기 전까지 확립이 되었다. 이때의 온도의 기준은 보통 열용량, 부피팽창, 흑체복사등에 기초하여 왜 그런지는 알지 못하지만 관계가 있는 물리량들에 기초하여 선형적으로 정의를 하였다. 반면 열역학이 발전하면서 열역학적 정의의 온도는 일반적인 온도의 정의와 다르게 그 자체로 기초적인 물리법칙과 물리량에 연관이 되어 물리적으로 큰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열역학적 정의의 온도는 일반적인 온도의 정의와 다르게 그 자체로 물리적으로 큰 의미를 지니게 되지만, 이론에 기초하여 정의가 되므로 실제로 정확하게 측정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온도를 정의할 때 사용되는 온도 기준을 열역학적 정의의 온도에서 따온다면 그렇게 정의된 일반적인 정의의 온도는 열역학적 정의의 온도와 같이 물리적인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이는 우리가 일반적인 정의의 온도와 열역학적 정의의 온도의 상호적인 필요성을 부각시킨다.[2] 온도의 역사[편집] 고대의 온도 정의[편집] BC 485년 파르메니데스(Parmenides)는 그의 논문 <자연에 관하여>에서 프리멈 프리지덤(primum frigidum)이라는 가상의 물질을 만들어 이것이 세상의 모든 냉각을 가져온다고 주장했다.[3] 파르메니데스의 논문을 온도에 공식적으로는 최초로 접근한 것이라 할 수 있다. 18세기의 온도 정의[편집] 1702-1703년 길리암 아몬톤(Guillaume Amontons)은 외삽법을 통해 기압이 0이 될 때는 열이 없을 것이라 생각하고 이 때의 온도를 0으로 한 아몬톤 온도를 만들어 절대 온도의 개념을 만들고자 한다. 실제로 그가 만든 아몬톤 온도에서의 절대 0도는 지금의 섭씨 온도로 환산하면 -240 °C 정도로 현재의 절대 온도로 쓰이는 -273.15 °C와도 33.15 °C의 차이만을 보인다. 온도를 정의하기 위해서 과거의 과학자들은 고정점(Fixed point)의 필요성을 느꼈다. 고정점(Fixed point)이란 온도의 기준점이 될 수 있도록 항상 같은 온도에서 관찰할 수 있는 현상을 말한다. 고정점에 따라서 온도의 기준이 달라지므로 고정점에 따라서 온도의 정의도 달라졌다. 각자의 고정점과 방법으로 온도를 정의하려 한 과학자들을 살펴보자. 인물 연도 제시한 고정점 산크토리우스(Sanctorius) 1600 촛불의 불꽃과 눈 아카데미아 델 시멘토(Accademia del Cimento) 1640 가장 추운 겨울의 추위와 가장 더운 여름의 더위 오토 본 게리크(Otto Von Guericke) 1660 첫 서리 로버트 후크(Robert Hooke) 1663 증류수의 냉각 로버트 보일(Robert Boyle) 1665 증류수의 냉각 크리스티안 하위헌스(Christiaan Huygens) 1665 물의 응고와 기화 호노르 파브리(Honore Fabri) 1669 눈과 최고의 여름 더위 프란세스코 에스치나르디(Francesco Eschinardi) 1680 얼음의 융해와 물의 기화 호아침 달렌스(Joachim Dalence) 1688 물의 응고와 버터의 융해 또는 얼음과 지하고 에드먼드 헬리(Edmond Halley) 1693 깊은 동굴과 끓어오르는 영혼 카를로 레날디니(Carlo Renaldini) 1694 얼음의 융해와 물의 끓음 아이작 뉴턴(Issac Newton) 1701 눈의 융해와 혈액의 열 길라암 아몬톤(Guilaume Amontons) 1702 끓는 물 올레 뢰머 1702 눈과 염의 혼합물과 끓는 물 필리프 데 라 이레(Phillippe de la Hire) 1708 어는 물과 파리 천문대의 지하고 다니엘 파렌하이트 1720 얼음, 물, 염의 혼합물 & 얼음, 물 혼합물 & 건강한 체온 존 파울러(John Fowler) 1727 어는 물과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가장 뜨거운 물 레아무어(R.A.F. de Reamur) 1730 어는 물 조제프 니콜라스 드 이슬레(Joseph-Nicola D l’Isle) 1733 끓는 물 안데르스 셀시우스(Anders Celsius) 1741 얼음의 융해와 끓는 물 J. B. 미켈리 두 크레스트 1741 파리 천문대 지하고와 끓는 물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1771 어는 물과 밀랍 셀시우스의 온도 단위[편집] 안드레스 셀시우스(Anders Celsius, 1701년 ~ 1744년) 안데르스 셀시우스(Anders Celsius)는 최초로 국제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표준 온도 단위를 만들고자 시도했다. 그는 그의 논문 <온도계의 두 고정된 온도에 대한 관찰(“Observations of two persistent degrees on a thermometer “)>에서 물의 어는점은 기압에 무관하지만 끓는점은 기압에 의존한다는 실험 관찰 결과를 밝힌다. 현대의 측정 결과와 비교해봐도 손색없을 정도로 그의 측정은 정확했으며 표준 기압에서 벗어나는 압력에 의한 온도 변화를 보정할 수 있는 방법도 고안하여 온도의 단위를 제시했다. 그는 그의 온도를 스웨덴의 웁슬라 왕립학회(Royal Society of Sciences in Uppsala)에 제안하여 물의 끓는점을 0 °C로, 어는 점을 100 °C로 정의했다. 하지만 이후 1745년에 칼 리네우스(Carolus Linnaeus)에 의해 편의상 물의 어는점이 0 °C로, 끓는 점이 100 °C로 바뀌어 정의된다. 요한 람베르트의 온도계[편집] 1777년 요한 람베르트(Johann Heinrich Lambert)는 그의 저서 피로메트리에(Pyrometrie)에서 일정한 부피를 가진 기체에서의 압력과 온도의 관계를 이용한 절대 온도계를 만들었다. 이 온도계를 이용해 람베르트는 기체의 압력이 0에 다다랐을 때의 온도를 절대 영도로 정의하고 외삽법을 통해 절대영도를 -270 °C라는 현대의 값과 매우 가까운 값을 얻어낸다. 파렌하이트의 온도 단위[편집] 다니엘 가브리엘 파렌하이트 (독일어: Daniel Gabriel Fahrenheit, 1686년~1736년) 1724년 다니엘 가브리엘 파렌하이트는 세 가지 고정점을 이용했다. 가장 먼저 얼음, 물, 염화암모늄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이 평형을 이뤘을 때의 온도를 0 °F로 정의했다. 물의 어는 점을 두 번째 고정점, 32 °F로 이용했고 마지막으로 세 번째 고정점, 96 °F는 사람의 체온으로 정의했다. 이후에 파렌하이트는 자신의 온도를 이용하면 600도 부근에서 수은의 끓는점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리고 물은 어는점보다 약 180도 높은 온도에서 끓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하지만 파렌하이트가 정의했던 온도에서는 물의 끓는점이 32도보다 약 180도보다 높은, 애매모호한 온도에서 나타났기 때문에 훗날에는 물의 끓는점이 212 °F가 되도록 화씨 온도가 새롭게 정의됐다. 고정점의 안정성에 대한 논란[편집] 이렇게 고정점을 기준으로 온도를 정의했기 때문에 기준으로 삼은 자연 현상이나 상태는 확실하게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4] 런던 왕립학회의 토의[편집] 1776년 런던 왕립학회에서는 온도를 정의하는데 필요한 고정점들에 대한 제안받기 위한 위원회를 구성한다. 물이 끓는 현상을 고정점으로 하는 과학자들이 당시에도 많았는데 물의 끓음 현상은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먼저, 물의 끓음 현상은 기압에 의존했기 때문에 기압에 대해서는 고정이 되지 안 됐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왕립학회의 위원회에서 제안된 것은 29.8inHg(=756.9mmHg=0.996atm)의 기압을 기준으로 하자는 것이었다. 두 번째 문제점은 온도계 내부의 열 전달 문제였다. 당시에는 수은온도계가 사용됐었는데 온도계의 구부에 있는 수은의 온도와 온도계의 수은기둥의 수은의 온도가 다르기 때문에 정확히 측정하고자 하는 온도가 측정되지 않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런던 왕립학회는 온도계를 구부는 물론이고 온도계 전체를 물에 담그면 된다는 해결책을 내놓았다. 데루크의 이의 제기[편집] 제안 안드레 데루크 (Jean-André Deluc or de Luc,1727년~1817년) 하지만 가장 심각한 문제점은 물이 정확히 고정된 온도에서 끓는 것이 아니라 끓으면서 온도변화를 한다는 것이었다. 온도에 따라서 그 끓음의 정도도 다르게 나타났다. 스위스의 지질학자이자 기상학자였던 제안 안드레 데루크(Jean-Andre Deluc)는 “물이 끓기 시작할 때, 물이 가질 수 있는 최대의 열을 가지고 끓지 않는다. 그러기 위해서는 물 전체, 즉 용기의 바닥부터 물의 표면까지 가장 격렬한 상태로 끓어야 한다. 물이 끓기 시작할 때부터 가장 격렬하게 끓는 상태까지 물의 온도는 1도 이상의 열을 흡수한다”고 얘기했다. 데루크(Jean-Andre Deluc)를 비롯하여 조제프 루이 게이뤼삭, 프랑코이 마르셋(Francois Marcet), 프랑코이 마리에 루이(Francois Marie Louis), 루이 듀포어(Louis Dufour), 조지 크렙스(Georg Krebs)가 물의 끓음 현상과 온도의 관계를 탐구했다. 이들 모두 일반적으로 정의된 끓는점은 물이 정확하게 끓게 하는 온도가 아니라는 것에는 동의했지만 실제로 어떤 상태로 물이 끓는지에 관해서는 모두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4]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물의 끓음 현상은 이후에도 고정점으로서의 의미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는 끓는 점을 초과하는 온도에서도 완전한 끓음이 시작되면 온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 끓는 점을 초과하는 온도에서 끓는 현상은 가장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물을 끓임으로써 해결할 수 있었다.[4] 물의 끓음 현상을 고정점으로 사용하면서 끓음 현상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끓어서 생긴 수증기의 온도를 재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1777년 헨리 캐번디시는 “끓는점을 보정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방법은, 온도계를 물에 넣는 것이 아니라 닫혀 있는 용기의 수증기에 노출시키는 것이다.”라고 했으나 같은 해에 이에 대해 데루크(Jean-Andre Deluc)은 “이론적인 것을 떠나, 수증기와 물은 수증기가 생성되기 전에 섞여 있기 때문에 서로의 온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증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나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나 그 문제점은 그대로 드러난다”라고 반박했다. 하지만 1842년에 프랑코이 마르셋(Francois Marcet)은 물은 105 °C에서도 끓지만 증기의 온도는 이 때 1 °C범위 내에서 초과한다는 실험을 통해 증기의 온도를 재는 방법이 해결책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한다. 이후로 게뤼사크를 비롯하여 프랑코이 마르셋(Francois Marcet), 루이 듀포어(Louis Dufour), 마셸 에밀레 베르뎃(Marchel Emile Verdet), 데시르 게르네즈(Desire Gernez), 샤를 톰린슨(Charles Tomlinson) 등의 사람들의 다양한 방법으로 온도와 물의 끓음에 대한 연구를 계속했다. 1880~1881년에 존 에이켄(John Aitken)은 수증기의 온도는 물의 끓는 온도만큼이나 불안정하게 고정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존 에이켄(John Aitken)에 따르면 증기의 온도가 안정된 고정점처럼 보였던 이유는 공기 중의 먼지 때문이었고 먼지가 걸러지면 물의 끓는점을 측정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것을 보였다.[5] 이후 데루크(Jean-Andre Deluc)의 제안대로 의해 온도를 수은온도계로 재는 것을 정의로 하는 방향으로 흘러간다. 19세기의 온도 정의[편집] 열소론적 정의[편집] 이후에는 온도를 열소론으로 정의하려는 윌리엄 어바인(William Irvine), 레느 저스트 하위(René Just Haüy), 피에르시몽 라플라스(Pierre-Simon Laplace) 등이 등장했다. 윌리엄 어바인(William Irvine)은 열소(caloric)이라는 물질이 열의 원인 또는 열 그 자체라고 주장했다. 그의 이론에 따르면 열소의 양은 열용량과 절대온도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따라서 열용량은 물체가 열소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으로 정의했고 절대온도는 열소의 정량적인 값으로 정의했다. 잠열은 열용량이 변할 때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열로 정의했다. 이후 1808년 존 돌턴은 뜨거운 물과 차가운 물을 섞을 때 부피의 합보다 합쳐진 부피가 작기 때문에 열용량이 작아져 열소의 양을 유지하기 위해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는 이론을 내놓았다. 앙투안로랑 드 라부아지에(1743~1794) 이후 앙투안 라부아지에(Antoine Lavoisier)는 결합 열소(combined caloric)를 물질과 화학적으로 결합된 열소로 온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열소로 분류했고 자유 열소(free caloric)를 물질과 결합되지 않은 열소로 온도에 영향을 주는 열소로 분류했다. 레느 저스트 하위(René Just Haüy)는 1803년 <자연철학에 관한 논문>(Elementary Treatise on Natural Philosophy)에서 물체가 열을 받아 팽창할 때 부피 팽창은 결합 열소 때문이고 온도 상승은 자유 열소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또, 낮은 온도에서는 분자간 거리가 작아 더 큰 인력이 필요하므로 결합 열소가 더 많이 결합되어야 한다. 피에르시몽 라플라스(1749~1827) 1821년에는 피에르시몽 라플라스(Pierre-Simon Laplace)는 결합 열소를 분자에 결합된 열소로 척력이 작용하지 않는 열소로 재정의했고 자유 열소는 분자에 결합된 열소로 척력이 작용하는 열소로 정의했다. 공간의 자유 열소는 물질에 결합하지 않은 열소이고 최종적으로 온도는 공간에 존재하는 자유 열소의 밀도로 정의했다. 분자 운동론적 정의[편집] 온도에 대한 역학적 이론들이 등장을 하는데 이 이론들은 열을 입자들의 움직임으로 해석했다. 벤저민 톰프슨(Benjamin Thompson)은 분자들은 고정점들에 대해 진동을 하고 있고 온도는 이 진동의 진동수로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진동하는 분자들은 에너지 손실이 없고 그렇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0°가 되는 온도도 없다고 주장했다. 존 헤라패스(John Herapath)는 온도가 분자의 속도에 비례한다고 주장했지만 존 와터슨(John Waterston)은 온도가 분자의 m v 2 {\displaystyle mv^{2}} 에 비례한다고 주장했다. 샤를의 법칙과 게뤼사크의 절대 영도[편집] 자크 알렉상드르 세사르 샤를(1746~1823) 1802년 자크 알렉상드르 세사르 샤를은 일정한 압력에서 온도에 따른 기체의 부피 변화를 연구한다. 그는 그의 발견을 출판하지 않았지만 기체의 온도와 부피가 선형적으로 비례한다는 샤를의 법칙을 발견한다. V 1 T 1 = V 2 T 2 {\displaystyle {\frac {V_{1}}{T_{1}}}={\frac {V_{2}}{T_{2}}}} 조제프 루이 게이뤼삭은 실험 자료를 바탕으로 절대 영도가 -273 °C에 있을 것이라 예측했고 기체 팽창 계수에 대해 처음으로 273이라는 수를 쓰기 시작했다. 카르노의 열기관 고안[편집] 니콜라 레오나르 사디 카르노(Nicolas Léonard Sadi Carnot, 1796 ~ 1832) 카르노 순환의 압력-부피 그래프 1824년에 사디 카르노는 고온에서 저온으로 열이 흐르면서 일을 할 수 있는 열기관을 고안해낸다. 이 열기관은 카르노 순환을 따르는데 카르노 순환이란 과정 1에서 기체가 고온 A에서 열을 받아 등온 과정을 거쳐 팽창하며 과정 2에서는 A를 제거하고 단열 과정을 거쳐 팽창한다. 그 다음 과정 3에서는 저온 B에 열을 내보내며 다시 등온 과정을 거치며 수축한다. 마지막으로 과정 4에서는 B를 제거한 후 단열 과정으로 수축시켜 다시 초기 상태로 되돌리고 이 순환과정을 카르노 순환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카르노 순환을 따르는 열기관의 효율은 고온의 온도와 저온의 온도에만 의존한다는 것을 보인다. 톰슨의 절대 온도[편집] 윌리엄 톰슨(William Thomson, 1st Baron Kelvin, 1824년~1907년) 앞선 아몬톤의 시도, 카르노와 클레이페론의 이론에 영향을 받아 1848년에 윌리엄 톰슨은 절대온도를 물질에 관계없이 1도를 카르노 순환에서 단위일을 하는데 필요한 열의 양으로 정의한다. 이 때 제임스 줄은 열과 일이 상호변환 가능하며 그렇기 때문에 열기관에서 고온에서 열기관으로 흘러들어온 열은 일부 일로 변환되고 남은 열이 저온으로 흘러나간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1854년에 톰슨은 이를 받아들여 카르노의 이론을 재정립하고 절대 온도에 대한 두 번째 이론을 만들어낸다. W = Q μ ⋅ d T {\displaystyle W=Q\mu \cdot dT} μ = J T {\displaystyle \mu ={\frac {J}{T}}} 윌리엄 톰슨은 그의 논문 <온도의 단위에 대하여>(On the Thermometric Scale)에서 절대 영도의 정의와 그를 기준으로 한 온도 단위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그는 자크 알렉상드르 세사르 샤를과 조제프 루이 게이뤼삭의 앞선 연구에서 얻어낸 온도에 따른 기체의 팽창 계수 0.00366의 역수에 음의 값을 취한 -273.22 °C를 절대 영도로 정의하고 섭씨 온도의 눈금 크기를 사용하는 새로운 온도의 단위를 만들고 이를 켈빈이라 정의했다. 랭킨의 온도 단위[편집] 윌리엄 랭킨(William John Macquorn Rankine)은 윌리엄 톰슨의 온도 단위와 거의 같은 온도를 정의했으나 그는 섭씨 온도의 눈금 크기를 사용하는 대신 화씨 온도의 눈금 크기를 사용했다. 현대 온도 정의의 확립[편집] 1930년대의 단위 조정[편집] 1930년대에 기체의 온도에 따른 부피 팽창 실험을 정밀하게 한 결과 물의 어는점을 0 °C라 했을 때 절대 영도는 -273.15 °C로 나타났다.[3] 국제 도량형 총회의 온도 확립[편집] 1948년 제 9회 국제 도량형 총회(CGPM: Conférence Générale des Poids et Mesures, General Conference on Weights and Measures)의 세 번째 안건에 따르면 물의 삼중점을 정확히 0.1 °C로 약속했다. 그리고 이후 1954년 제 10회 국제 도량형 총회의 세 번째 안건에 따르면 캘빈 온도의 눈금 크기를 확립하기 위해서 물의 삼중점(0.01 °C)을 273.16K으로 약속했다. 즉, 물의 어는점과 삼중점의 온도차를 0.1K으로 약속한 것이다. 1967-1968년 제 13회 국제 도량형 총회의 네 번째 안건에서는 캘빈 온도의 눈금 크기를 물의 삼중점의 1 273.16 {\displaystyle {\frac {1}{273.16}}} 으로 정의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국제 도량형 위원회(CIPM: Comité international des poids et mesures, International Committee for Weights and Measures)는 엄밀한 정의를 위해 비엔나의 표준 물(Vienna Standard Mean Ocean Water)과 같은 성분을 가진 물의 삼중점을 273.16K으로 정의했다.[3] 온도와 운동, 에너지간의 관계[편집] 병진운동와 운동에너지[편집] 분자의 병진운동 충분히 큰 계(통계역학적으로 충분한 입자 수를 갖추고 있는)의 열역학적 온도는 입자들의 병진운동 속도의 평균 평방근에 비례한다. 입자의 병진운동은 x,y,z 총 세 개의 자유도를 통해 움직인다. 이 특정한 형태의 운동에너지를 역학적 온도라고도 정의한다. 병진운동은 열역학적 온도뿐만 아니라 압력과 부피에도 관계를 가지는데, 특히 이상기체에서 이상기체 상태방정식 P V = n R T {\displaystyle PV=nRT} 를 유도해 낼 수 있다.[1]:238~240 병진 운동에너지 뿐만이 아니라 진동운동이나 회전운동과 같이 에너지가 미시상태를 나타내는 변수의 제곱에 비례하는 자유도일 경우 그 자유도가 가지는 한 입자의 평균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온도와 볼츠만 상수의 곱의 절반으로 정해지게 된다. E f = 1 2 k T {\displaystyle E_{f}={\frac {1}{2}}kT} 이는 에너지 등분배법칙 : “이차식 형태 에너지의 한 자유도에 대한 평균 에너지는 1 2 k T {\displaystyle {\frac {1}{2}}kT} 이다.” 으로, 고전적 통계역학의 가장 중요한 결과중 하나이다. 이는 온도와 계의 운동에너지의 상관관계를 의미한다.[1]:238~240 흑체복사[편집] 온도에 따른 플랑크곡선 온도를 가진 물체가 다른 온도를 가진 물체와 열 교환을 하는 방식에는 전도, 대류, 복사 이렇게 크게 세 가지가 있다. 전도는 열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두 계의 분자들이 직접 충돌하여 에너지를 교환하는 방식이고, 대류는 온도가 다른 두 계에서 분자들이 직접 움직이며 섞임으로써 에너지를 교환하는 방식이다. 복사는 분자들이 가진 온도에 의해 방출되는 빛을 통해 에너지를 교환하는 방식인데, 이상적인 흑체의 경우에는 진동수 혹은 파장에 따른 빛의 세기는 플랑크 법칙을 따른다. 온도가 T인 흑체에서 방출되는 복사에서 진동수가 ν이고 파장이 λ인 빛의 세기는 다음과 같다. I ( ν , T ) = 2 h ν 3 c 2 1 e h ν k T − 1 {\displaystyle I(\nu ,T)={\frac {2h\nu ^{3}}{c^{2}}}{\frac {1}{e^{\frac {h\nu }{kT}}-1}}} I ( λ , T ) = 2 h c 2 λ 5 1 e h c λ k T − 1 {\displaystyle I(\lambda ,T)={\frac {2hc^{2}}{\lambda ^{5}}}{\frac {1}{e^{\frac {hc}{\lambda kT}}-1}}} 온도의 과학에서의 쓰임[편집] 온도는 물리학 외의 다른 과학 분야에서도 많이 쓰이는 물리량이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은 화학에서의 반응속도, 생물학에서의 효소의 활성온도, 천문학에서의 천체의 표면온도 등이 있다. 화학[편집] 아래는 화학에 대한 내용이다.[6] 반응의 자발성[편집] 화학반응의 자발성은 기브스 자유 에너지에 의해 결정되는데, 그 식은 아래와 같다. Δ G = Δ H − T Δ S {\displaystyle \Delta G=\Delta H-T\Delta S} 따라서 온도에 따른 엔탈피 변화량과 엔트로피 변화량이 주어져 있다면 어떤 특정 온도에서 그 반응의 자발성을 예측할 수 있는데, Δ G < 0 {\displaystyle \Delta G<0} 이면 정반응이 자발적으로 일어나고, Δ G > 0 {\displaystyle \Delta G>0} 이면 역반응이 자발적으로 일어난다. Δ G = 0 {\displaystyle \Delta G=0} 이면 반응은 평형 상태에 있게 된다. 반응속도[편집] a A + b B → c C + d D {\displaystyle aA+bB\to cC+dD} 위와 같은 화학반응에서 반응속도는 아래와 같다. v = k [ A ] a [ B ] b {\displaystyle v=k[A]^{a}[B]^{b}} 여기에서 [A]는 A의 몰 농도, [B]는 B의 몰 농도이고, k는 반응속도상수라고 한다. 반응속도상수는 온도에 의존하는 값인데, 아레니우스 식에 의해 결정된다. k = A exp ⁡ ( − E a R T ) {\displaystyle k=A\exp(-{\frac {E_{a}}{RT}})} R {\displaystyle R} 은 기체 상수, T {\displaystyle T} 는 반응이 일어날 때의 절대온도, E a {\displaystyle E_{a}} 는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 그리고 A {\displaystyle A} 는 빈도계수 또는 빈도인자라고 한다. 따라서 온도가 증가할수록 반응속도상수가 증가한다. 생물[편집] 효소[편집] 효소는 생명체 내부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을 매개하는 단백질 촉매이다. 촉매 작용을 하는 원리는 기질과 결합하여 촉매-기질 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화학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어 반응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이다. 하지만 효소는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온도가 변하면 단백질이 변형되어 기질과 잘 결합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효소의 활성도는 온도에 의존한다. 인체 내부에 있는 아밀라아제는 α-아밀라아제인데, 최적온도는 체온 부근이다. 반면에 β-아밀라아제의 경우에는 박테리아, 곰팡이, 그리고 여러 식물들에 존재하는 효소인데, 최적온도는 약 섭씨 60도 부근이다. 이처럼 같은 효소라 할 지라도 구조가 다르면 최적온도가 다를 수 있다. 천문학[편집] 천문학에서 온도는 천체를 종류별로 분류하는 데에 쓰이거나 우주 공간에 존재하는 복사의 종류를 나타낼 때 쓰인다. 천체들은 모두 흑체로 가정하며, 천체를 온도별로 분류하는 방법은 Harvard spectral classification이 있다. 주로 쓰이는 온도의 종류에는 아래와 같이 네 가지가 있다.[7] 유효온도[편집] 별에서 방출되는 플럭스를 전 파장에 걸쳐 합친 플럭스, 즉 관측된 전체 플럭스와 동일한 양의 플럭스를 방출하는 흑체의 온도를 유효온도라고 한다. F = σ T e f f 4 {\displaystyle F=\sigma {T_{eff}}^{4}} 따라서 유효온도는 아래와 같이 된다. T e f f = F σ 4 {\displaystyle T_{eff}={\sqrt[{4}]{\frac {F}{\sigma }}}} 색온도[편집] 두 파장 대에서 관측된 복사 세기의 비와 동일한 비의 복사를 방출하는 흑체의 온도를 색온도라 한다. F λ 1 F λ 2 = B λ 1 ( T c ) B λ 2 ( T c ) = ( λ 2 λ 1 ) 5 exp ⁡ ( h c λ 2 k T ) − 1 exp ⁡ ( h c λ 2 k T ) − 1 {\displaystyle {\frac {F_{\lambda _{1}}}{F_{\lambda _{2}}}}={\frac {B_{\lambda _{1}}(T_{c})}{B_{\lambda _{2}}(T_{c})}}=\left({\frac {\lambda _{2}}{\lambda _{1}}}\right)^{5}{\frac {\exp \left({\frac {hc}{\lambda _{2}kT}}\right)-1}{\exp \left({\frac {hc}{\lambda _{2}kT}}\right)-1}}} 위의 식은 플랑크 법칙에 따른 것이며 식을 따르는 T c {\displaystyle T_{c}} 가 바로 천체의 색온도가 된다. 밝기온도[편집] 밝기온도는 관측된 표면 밝기와 동일한 밝기를 가지는 흑체의 온도이다. I v = B v ( T b ) {\displaystyle I_{v}=B_{v}(T_{b})} 위 식을 만족하는 T b {\displaystyle T_{b}} 가 바로 천체의 밝기온도이며, 우변은 플랑크 법칙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운동온도[편집] 일정한 온도를 가지는 분자들은 열운동을 한다. 그 열운동에 의해 생기는 속도 때문에 분자들 사이에 속도 차이가 생기게 되고, 도플러 효과가 생기는데 이 효과를 열적 도플러 확장이라 한다. 열적 도플러 확장에서 파장 변화는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Δ λ λ 0 = Δ v c {\displaystyle {\frac {\Delta \lambda }{\lambda _{0}}}={\frac {\Delta v}{c}}} 이렇게 해서 계산된 분자들의 열운동에 의한 속도 차이는 분자들의 평균 속력 또는 평균 평방근(root mean square) 속력의 두 배가 된다. 그 속도 차이가 평균 평방근 속력의 두 배라고 가정한다면 기체 분자의 운동에너지 식에 따라 운동온도는 아래와 같이 된다. T k = m v r m s 2 3 k , v r m s = Δ v 2 {\displaystyle T_{k}={\frac {mv_{rms}^{2}}{3k}},v_{rms}={\frac {\Delta v}{2}}} 온도의 예[편집] 온도 흑체복사시 최대의 에너지를 가지는 파장[8]  K  °C 절대온도 0 K −273.15 °C 정의될 수 없음 인간이 도달한 최소 온도[9] 100 pK −273.149999999900 °C 29,000 km 가장 차가운 보스 아인슈타인 응축(Bose-Einstein condensation)[10] 450 pK −273.14999999955 °C 6,400  1 mK 0.001 K −273.149 °C 2.89777 m(radio, FM band)[11] 물의 삼중점 273.16 K 0.01 °C 10,608.3 nm(long wavelength I.R.) 물의 끓는점 373.1339 K 99.9839 °C 7,766.03 nm(mid wavelength I.R.) 백열전구 2500 K ≈2,200 °C 1,160 nm(near infrared) 태양의 표면 5,778 K 5,505 °C 501.5 nm(green-blue light) 번개 28 kK 28,000 °C 100 nm(far ultraviolet light) 태양의 핵 16 MK 16 million °C 0.18 nm (X-rays) 열핵폭탄[12] 350 MK 350 million °C 8.3×10−3 nm(gamma rays) 거대한 별의 폭발 전 핵[13] 3 GK 3 billion °C 1×10−3 nm(gamma rays) 대형중이온충돌기[14] 1 TK 1 trillion °C 3×10−6 nm(gamma rays) CERN의 양성자 vs 핵 충돌[15] 10 TK 10 trillion °C 3×10−7 nm(gamma rays) 빅뱅 후 5.391×10−44 s 뒤의 우주 1.417×1032 K(Planck tempearature) 1.417×1032 °C 1.616×10−26 nm(Planck Length)[16] 알코올 온도계 측정방법[편집] 온도를 측정하는 기구를 온도계라고 부른다. 온도계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나눠보면 일반적으로 온도를 감지하는 측온부 (온도검출단)와 측온부에서 감지한 온도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수신계기), 측온부와 표시부를 연결시켜 주는 도선 또는 배관으로 이뤄져 있다. 뿐만 아니라 액체 글라스 온도계와 같이 측온부와 표시부가 일체형으로 된 것도 있다. 온도계는 측정 방법에 의해 측온부를 피측정 물체에 직접 접촉시켜 온도를 측정하면 접촉법, 그리고 접촉시키지 않고 측정하면 비접촉법으로 분류한다. 바이메탈식 온도계 접촉법[편집] 열은 고온에서 저온으로 이동하고, 온도가 두개 이상의 물체에 접촉시켜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면 접촉된 물체들은 온도가 같게 되는 열평형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열역학 제 0법칙에 의해, 임의 두 물체가 각각 제3의 물체와 열평형을 이룬다면 임의 두 물체도 열평형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온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피측정 물체에 측온부를 접촉시켜 피측정 물체와 측온부가 열평형 상태에 이르렀을 때 감온부의 변화량을 측정함으로써 피측정 물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에 의한 온도 계에서는 감온부와 측정대상의 접촉의 정도에 따라 측정정도 크기가 좌우된다. 그래서 측온부를 측정대상에 접촉 할 수 없는 경우는 측정이 불가능하며, 접촉에 의해서 측정대상이 영향을 받게 되는 경우는 큰 오차가 생긴다. 이와 같이 접촉방식을 이용한 온도계로는 유리제온도계, 압력식온도계, 열전대, 바이메탈식 온도계, 저항식 온도계 등이 있다. 비접촉법[편집] 피측정 물체에 감온부를 직접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피측정 물체로부터 나오는 빛 또는 열을 감지하여 온도와 빛, 열 에너지와의 일정한 관계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방식이다. 측정대상으로부터 방출된 에너지의 강도는 절대온도의 4승에 비례하기 때문에 1000 ℃ 이하의 온도 범위에서는 측정정도가 나쁘나, 장점으로는 움직이는 피측정 대상 및 검출하고자 하는 대상이 보이기만 하면은 쉽게 접촉하지 않고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비접촉 방식에 의한 온도계측에 사용되는 것으로는 방사온도계,광고온계,색온도계,적외선온도계(열선) 등이 있다. 단위[편집] 온도의 단위로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현재 국제 표준화 기구(ISO) 에서는 국제단위계(International System of Unit, SI)로 켈빈(K)을 사용하고 있다. 켈빈(K)은 절대 온도를 측정하므로, 0K은 절대 영도(이상 기체의 부피가 0이 되는 온도)이다. 이뿐만 아니라 각자 측정방법에 따라 기준을 다르게 잡아 섭씨(℃), 화씨(°F) 라는 온도 단위도 있다. 섭씨온도는 1742년 스웨덴의 천문학자 안데르스 셀시우스가 처음으로 제안하였으며 이는 1atm 에서의 물의 어는점을 0℃, 끓는점을 100℃로 두고 그 사이를 100등분 하여 정한 것이다. 화씨온도는 독일의 다니엘 가브리엘 파렌하이트의 이름을 딴 온도 단위이며, 이는 1atm에서 물이 어는 온도를 32 °F, 물이 끓는 온도를 212 °F로 두고 이 사이의 온도를 180등분 하여 정한 것이다. 섭씨, 화씨, 켈빈, 랭킨 간의 환산 관계[편집] 섭씨→화씨 : °F = °C × (9/5) + 32 섭씨→켈빈 : K = °C + 273.15 화씨→섭씨 : °C = (°F - 32) x (5/9) 화씨→켈빈 : K = (°F - 32) / 1.8 + 273.15 화씨→랭킨 : °R = °F + 459.2 켈빈→섭씨 : °C = K - 273.15 켈빈→화씨 : °F = (K - 273.15) × 1.8 + 32 켈빈→랭킨 : 1 K= 1.8 °R 음의 온도[편집] 음의 온도란 절대 영도(0K)보다 낮은 온도를 말한다. 열역학 제3법칙에 따르면 절대 0도보다 낮은 온도는 존재할 수 없다. 하지만 가능한 에너지의 상태가 제한되어 있는 전자와 핵의 스핀을 양자역학적 관점에서 봤을 때, 절대 영도보다 작은 음의 온도를 만드는 것은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다만 이것은 거시적 관점에서의 온도에는 해당되지 않고, 에너지 등분배의 법칙에 따라 에너지를 서로 교환하거나 하지 않는 고립된 특별한 자유도에 대해서만 해당하는 것이다. 음의 온도는 바닥 상태에 있는 스핀들에 대해서 밀도 반전 (population inversion) 을 일으키는 “Radio Frequency Technique”[17][18]를 통해서 실험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높은 에너지 준위를 가지는 상태의 수가 많아지면 계 전체의 에너지가 증가하고, 계의 무질서도가 증가하면서 엔트로피 또한 증가하게 된다. 결국 계 전체의 에너지가 일정 값이 되면 높은 에너지 준위를 가지는 상태의 수와 낮은 에너지 준위를 가지는 상태의 수가 같게 되어 엔트로피가 최대가 되고, 높은 에너지 준위를 갖는 상태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계 전체의 에너지가 증가하면 계의 상태가 정돈되고, 엔트로피가 다시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계의 총 에너지와 엔트로피에 대한 그래프는 위로 볼록한 함수의 꼴을 띠게 된다. 여기에서 온도의 열역학적 정의에 따라 T = ( ∂ S ∂ U ) − 1 {\displaystyle T=\left({\frac {\partial S}{\partial U}}\right)^{-1}} 이고, 극대점에서 그래프의 기울기는 0이므로 극대점에서 온도는 특이점(singularity)이 된다. 또한 극대점 이후에서는 그래프의 기울기는 음이므로 이 부분에서는 음의 온도가 생긴다. 계의 에너지가 계속 커지면 음의 온도는 0에 수렴하게 된다. 밀도 반전 상태에서 생기는 음의 온도는 에너지가 높은 상태이므로 양의 온도보다 오히려 더 뜨거운 상태이며, 음의 온도를 가지고 있는 계와 양의 온도를 가지고 있는 계가 접촉을 하게 된다면 음의 온도를 가지고 있는 계의 에너지가 양의 온도를 가지고 있는 계로 흘러갈 것이다. 주거환경[편집] 사람이 살고 있는 주거환경은 지역의 기후와 풍토에 적응한 생활양식과 함께 개선되어왔다. 체온조절의 부담이 가장 적은 온도, 다시 말하면 덥지도 춥지도 않는 최적온도는 18℃ 정도이며, 15.6~20℃ 정도에서 쾌적함을 느낄 수 있다고 한다. 사람이 주변환경으로부터 쾌적함을 유지하려면 온도 외에도 습도를 고려해야 하는데, 습도가 30% 미만이거나 80% 이상이면 좋지 않고, 약 40~60% 정도면 대체로 쾌적함을 느낄 수 있다. 실제로 쾌적함을 주는 습도는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15℃에서는 약60%정도, 18~20℃에서는 약50%, 21~23℃에서는 약40%, 24℃ 이상에서는 대략 35%정도에서 적당한 습도로 여겨진다. 사람이 느끼는 춥고 덥다는 감각은 겨울은 추위에 대하여, 여름은 더위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는 편이다. 또 같은 기온이라 하더라도 봄에는 가을보다 보통 두껍게 옷을 입고 있는점을 감안하면 이와 같은 사항들이 복합되어 최적온도는 겨울에는 낮아지고 여름에는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19] 이처럼 체온조절을 위한 온도만큼이나 습도는 면역력을 유지하고 건강한 신체활동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할수있다. 한편 겨울철 실내온도에 대한 적정 온도는 18℃~20℃라고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발표한바있는데 이 역시 외부 온도와의 차이 그리고 내복이나 방한용품 착용을 활용한 체온조절 그리고 쾌적한 습도의 유지가 용이함등 현대적으로 개선되어온 과학적인 생활양식을 반영하고 있다.[20] 온도 범위[편집] 국립환경과학원은 환경시험기준에서 온도표시에대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사용하고있다.[21] 온도표시 온도 범위 비고 냉수 15 ℃ 이하 상온 15 ℃ ∼ 25 ℃ 온수 60 ℃ ∼ 70 ℃ 열수 약100℃ 끓는물 함께 읽기[편집] 국제 도량형 총회 기온 기브스 자유 에너지 끓는점 대류 앙투안 라부아지에 조제프 루이 게이뤼삭 맥스웰의 도깨비 볼츠만 상수 사디 카르노 삼중점 색온도 섭씨 어는점 에너지 등분배법칙 에너지 엔탈피 엔트로피 열 열기관 열역학 열전도 온도계 유효온도 일 자유도 자크 알렉상드르 세사르 샤를 절대 영도 절대온도 켈빈 통계물리 피에르시몽 라플라스 헬름홀츠 자유 에너지 흑체복사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마 Daniel V.schroeder. 《An Introduction to thermal physics》. Addison Wiesley Longman.  ↑ “Why do we need both thermodynamic and practical temperature scales?”. 2012년 8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Thermodynamic Temperature-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Wikimedia Foundation, Inc.  ↑ 가 나 다 Hasok Chang. 《Inventing Temperature》. Oxford University Press.  ↑ Hasok Chang. 《Inventing Temperature》. Oxford University Press.  ↑ “네이버 지식백과”. 2008.  ↑ Zeilik, Gregory (1998). 《Introductory Astronomy & Astrophysics, 4e》. BROOKS/COLE. ISBN 0-03-006228-4.  ↑ 《The cited emission wavelengths are for black bodies in equilibrium. CODATA 2006 recommended value of 2.8977685(51)×10−3 m K used for Wien displacement law constant b.》.  ↑ 《"World record in low temperatures". Retrieved 2009-05-05》.  ↑ 《A temperature of 450 ±80 pK in a Bose–Einstein condensate (BEC) of sodium atoms was achieved in 2003 by researchers at MIT. Citation: Cooling Bose–Einstein Condensates Below 500 Picokelvin, A. E. Leanhardt et al., Science 301, 12 Sept. 2003, p. 1515. It's noteworthy that this record's peak emittance black-body wavelength of 6,400 kilometers is roughly the radius of Earth.》.  ↑ 《The peak emittance wavelength of 2.89777 m is a frequency of 103.456 MHz》.  ↑ 《The 350 MK value is the maximum peak fusion fuel temperature in a thermonuclear weapon of the Teller–Ulam configuration (commonly known as a hydrogen bomb). Peak temperatures in Gadget-style fission bomb cores (commonly known as an atomic bomb) are in the range of 50 to 100 MK. Citation: Nuclear Weapons Frequently Asked Questions, 3.2.5 Matter At High Temperatures. Link to relevant Web page. All referenced data was compiled from publicly available sources.》.  ↑ 《Core temperature of a high–mass (>8–11 solar masses) star after it leaves the main sequence on the Hertzsprung–Russell diagram and begins the alpha process (which lasts one day) of fusing silicon–28 into heavier elements in the following steps: sulfur–32 → argon–36 → calcium–40 → titanium–44 → chromium–48 → iron–52 → nickel–56. Within minutes of finishing the sequence, the star explodes as a Type II supernova.》.  ↑ 《Based on a computer model that predicted a peak internal temperature of 30 MeV (350 GK) during the merger of a binary neutron star system (which produces a gamma–ray burst). The neutron stars in the model were 1.2 and 1.6 solar masses respectively, were roughly 20 km in diameter, and were orbiting around their barycenter (common center of mass) at about 390 Hz during the last several milliseconds before they completely merged. The 350 GK portion was a small volume located at the pair's developing common core and varied from roughly 1 to 7 km across over a time span of around 5 ms. Imagine two city-sized objects of unimaginable density orbiting each other at the same frequency as the G4 musical note (the 28th white key on a piano). It's also noteworthy that at 350 GK, the average neutron has a vibrational speed of 30% the speed of light and a relativistic mass (m) 5% greater than its rest mass (m0).》.  ↑ 《Results of research by Stefan Bathe using the PHENIX detector on the Relativistic Heavy Ion Collider at Brookhaven National Laboratory in Upton, New York, U.S.A. Bathe has studied gold-gold, deuteron-gold, and proton-proton collisions to test the theory of quantum chromodynamics, the theory of the strong force that holds atomic nuclei together.》.  ↑ 《The Planck frequency equals 1.85487(14)×1043 Hz (which is the reciprocal of one Planck time). Photons at the Planck frequency have a wavelength of one Planck length. The Planck temperature of 1.41679(11)×1032 K equates to a calculated b /T = λmax wavelength of 2.04531(16)×10−26 nm. However, the actual peak emittance wavelength quantizes to the Planck length of 1.61624(12)×10−26 nm.》.  ↑ 《Physical Review 81, 279》. 1951.  ↑ Pertti Hakonen, Olli V. Lounasmaa (1994년 9월 23일). 《Science 265, 1821-1825》.  ↑ [참고] (기상청, 실내 적정온도와 습도 )http://web.kma.go.kr/notify/epeople/faq.jsp?bid=faq&mode=view&num=63 (공공누리 오픈자료) ↑ [참고] (동아사이언스 - 겨울철 실내 적정온도 18~20도, 왜?)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10070 ↑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ES 04000.d 총칙 2017)http://qaqc.nier.go.kr/qaqcnew/standard/standarddetail.do#n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온도 (영어) An elementary introduction to temperature aimed at a middle school audience 전거 통제 GND: 4059427-0 NDL: 0056882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온도&oldid=24180404" 분류: 온도물리학의 기본 개념일본제 한자어연속체역학상태 함수숨은 분류: 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Aragonésالعربيةঅসমীয়াAsturianuAzərbaycancaБашҡортсаBoarisch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বাংলাབོད་ཡིག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Cebuano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VõroFrançaisNordfriiskFryskGaeilgeGàidhligGalegoAvañe'ẽગુજરાતીעבריתहिन्दी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PatoisJawaქართულიTaqbaylitҚазақшаಕನ್ನಡKurdî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umbaart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PlattdüütschNedersaksies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ardu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ChiSho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alonWinaray吴语Хальмгייִדיש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17: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온도(溫度, 라틴어·스페인어·포르투갈어: temperatura, 독일어: Temperatur, 영어·프랑스어: temperature)는 물질의 뜨겁고 찬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이다. 온도는 물리학에서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물리량 중 하나이다. 온도는 일반적으로 다음 두 가지 방법으로 정의된다. 일반적인 정의의 온도는 온도의 경험적인 개념과, 독립적인 온도의 존재성을 보장하는 열역학 법칙중 제 0법칙에 기초한다. 일반적인 정의의 온도는 일정한 기준을 통해 만들어진 온도계로 측정되는 값이다. 열역학적 정의의 온도는 19세기 중반 열기관과 열역학에서 이어지는 통계역학이 발전되면서 에너지와 엔트로피간의 이해가 높아지면서 파생되어 나왔다. 열역학적 정의의 온도는 에너지를 엔트로피로 편미분한 값으로 나타내지며, 다양한 기초적인 물리법칙과 근본적으로 관련되어있다. 열역학적 정의의 온도는 계의 평형이 이뤄지지 않으면 정의할 수 없다. 온도의 국제 단위는 켈빈(K)이다. 켈빈은 물의 삼중점의 열역학적 온도의 1/273.16으로 정의된다. 일반적인 정의에 사용되는 온도 기준에 열역학적 정의의 온도를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인 정의의 온도라도 물리학적인 의미, 다양한 기초적인 물리법칙과의 관련성을 만들 수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ISO에서 정한 절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단위는 무언인가 Assistant: 켈빈(K) Human: 아래 히어로즈_오브_더_스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Heroes of the Storm 개발사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플랫폼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OS X출시일 2015년 5월 20일 오픈베타 2015년 6월 3일 정식 서비스장르 멀티플레이어 온라인 배틀 아레나모드 멀티 플레이어미디어 패키지, 디지털 결제입력장치 컴퓨터 자판, 마우스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Heroes of the Storm, 약칭: 히오스)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개발한 실시간 전략 게임이다. 2013년 11월 8일 블리즈컨행사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한국에서는 2014년 10월 15일 테크니컬 알파 테스트가 시작되었고, 2015년 1월 15일 클로즈 베타 테스트가 시작되었고 , 2015년 5월 20일 오픈 베타가 시작되었다. 2015년 6월 3일에 정식 서비스를 실시하였다.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게임들인 워크래프트, 디아블로, 스타크래프트, 오버워치, 블리자드 고전 게임에 등장하는 영웅들이 함께 나오는 게임이다. 목차 1 개발 2 게임플레이 2.1 영웅 2.2 전장 3 출처 4 외부 링크 개발[편집] 블리즈컨 2010에서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의 아케이드 사용자 지정 맵으로 "Blizzard DOTA"가 발표되었다.[1] 당시에는 스타크래프트 II의 모딩 능력을 보여주는 목적으로 개발된 맵에 불과했으나,[2] 2011년 다시 개발을 시작하면서 블리즈컨 2011에서 "Blizzard All-Stars"라는 이름으로 시연되었다.[3][4] 2012년 6월, 스타크래프트 II의 개발자인 더스틴 브로더가 Blizzard All-Stars의 출시 예정 일자는 확실히 정해지지 않았으나 스타크래프트 II: 군단의 심장 출시 이후일 것이라고 발표했다.[5] 2013년 2월, 액티비전 블리자드의 2012년 4분기 실적 보고서에서 "Blizzard All-Stars"에 지속적인 투자를 할 것이라고 발표했다.[6] 2013년 10월 17일, 게임의 명칭이 "Heroes of the Storm"으로 변경되었다.[7] 2014년 3월 13일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의 테크니컬 알파 테스트가 시작되었고[8] 2014년 9월 22일 테스트가 중단 되었다가,[9] 2014년 10월 7일 북미, 남미, 동남아시아, 호주 및 뉴질랜드 지역에서 테스트가 재개되었다. 이틀 뒤 유럽, 한국, 중국과 대만 지역에서도 테스트가 재개되었다.[10] 테크니컬 알파 테스트는 2015년 1월 13일 클로즈 베타가 시작될 때까지 계속되었다.[11] 2015년 2월까지 9백만명 이상의 유저가 베타 테스트 신청을 하였다.[12] 북미 기준 2015년 5월 19일 오픈 베타가 시작되었고, 2015년 6월 2일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이 정식 출시되었다.[13] 게임플레이[편집] 영웅[편집]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게임들인 워크래프트, 디아블로, 스타크래프트, 오버워치, 블리자드 고전 게임에서 등장하는 영웅들이 등장하며 각 역할에 따라 크게 전사, 암살자, 지원가, 전문가로 나뉜다. 암살자는 단일 또는 다수의 대상에게 특화된 여러 기술로 막대한 피해를 주지만, 그만큼 몸이 약한 영웅들이다. 전사는 자신을 치유하는 능력이나 피해를 감소시키는 능력으로 대량의 피해를 견뎌내며 전투에서 팀의 선봉에 서는 영웅들이다. 지원가는 아군을 치유하거나 강화 효과를 부여하거나 전장을 혼란시켜서 전투의 흐름을 아군에게 유리하게 이끄는 영웅들이다. 전문가는 보다 특화된 역할로 팀에 또 다른 개성을 부여한다.보통 2~3주 내에 한 영웅이 출시되며, 가장 많이 출시되는 세계관은 워크래프트이다. 가끔식 중~대규모 업데이트 때 새로운 전장을 내놓는다. 전장[편집]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에는 대부분의 멀티플레이어 온라인 배틀 아레나 게임과 다르게 여러 개의 전장이 있다. 각각의 전장에는 각각 다른 오브젝트가 있어서, 오브젝트를 차지하면 아군에게 유리하거나 적군에게 불리한 보상이 주어진다. 각각의 전장은 블리자드의 다른 게임들에서 볼 수 있는 맵을 모티프로 제작하였다 평가통합 점수통합사점수메타크리틱86/100[14]평론 점수평론사점수디스트럭토이드9.5/10[15]게임 레볼루션[17]게임스팟9/10[16]게임스레이다[18]IGN6.5/10[19]PC 게이머 (미국)84/100[20]폴리곤7.5/10[21]The Escapist[22] 출처[편집] ↑ Funk, John (2010년 10월 22일). “BlizzCon 2010: Hands-On Blizzard DotA, Left 2 Die, Starjeweled”. The Escapist Magazine. 2010년 10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Blizzard DotA - BlizzCon 2010 - Matt Gotcher, StarCraft II Level Designer”. YouTube.com. 2010년 10월 23일. 2013년 3월 2일에 확인함.  ↑ Yin-Poole, Wesley (2011년 8월 22일). “Blizzard DOTA "completely rebooted"”. Eurogamer.net. 2013년 3월 2일에 확인함.  ↑ “StarCraft II – Blizzard All Stars & Mod Tools Panel”. Blizzard Entertainment. 2011년 10월 22일. 2013년 3월 2일에 확인함.  ↑ Browder, Dustin (2012년 6월 15일). 《Dustin Browder Interview - MLG Anaheim 2012》. 인터뷰어: StarCraft: Legacy - KDraconis. 2012년 10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Bramblet, Matthew (2013년 2월 7일). “Activision Blizzard Q4 2012 Earnings Report”. diablo.somepage.com. 2013년 3월 2일에 확인함.  ↑ Narcisse, Evan (2013년 10월 17일). “Blizzard’s Diablo/Starcraft/WoW Crossover Has a New Name”. Kotaku.  ↑ “The Heroes of the Dorm Technical Alpha is Now LIVE!”. Blizzard Entertainment. 2014년 3월 13일. 2014년 3월 14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Final Phase of Technical Alpha Coming”. Blizzard Entertainment. 2014년 9월 9일. 2015년 2월 10일에 확인함.  ↑ “Technical Alpha is Back Online!”. Blizzard Entertainment. 2014년 10월 7일. 2015년 4월 14일에 확인함.  ↑ “Heroes Closed Beta Announced at BlizzCon 2014”. Blizzard Entertainment. 2014년 11월 11일. 2014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Activision Blizzard (ATVI) Earnings Report: Q4 2014 Conference Call Transcript”. TheStreet.com. 2015년 2월 6일. 2015년 2월 10일에 확인함.  ↑ “Blizzard’s Worlds Collide When Heroes of the Dorm Launches June 2 - Everyone’s invited to join the battle for the Nexus when open beta testing begins on May 19”. 2015년 4월 20일. 2015년 4월 20일에 확인함.  ↑ “Heroes of the Storm”. 2015년 6월 5일에 확인함.  ↑ Carter, Chris (2015년 6월 2일). “Review: Heroes of the Storm”. 《Destructoid》. 2015년 6월 5일에 확인함.  ↑ Hicks, Tyler (2015년 6월 8일). “Heroes of the Storm Review”. 《GameSpot》. 2016년 2월 5일에 확인함.  ↑ Leack, Jonathan (2015년 6월 2일). “Heroes of the Storm Review”. 《Game Revolution》. 2015년 6월 5일에 확인함.  ↑ Sullivan, Lucas (2015년 6월 3일). “Heroes of the Storm Review”. 《GamesRadar》. 2015년 6월 5일에 확인함.  ↑ Dyer, Mitch (2015년 6월 2일). “Heroes of the Storm Review”. 《IGN》. 2015년 6월 5일에 확인함.  ↑ Thursten, Chris (2015년 6월 3일). “Heroes of the Storm”. 《PC Gamer》. 2015년 6월 5일에 확인함.  ↑ Gies, Arthur (2015년 6월 2일). “Heroes of the Storm Review: Into The Breach”. 《Polygon》. 2015년 6월 5일에 확인함.  ↑ Miozzi, CJ (2015년 6월 2일). “Heroes of the Dorm Review - Totally Not A MOBA”. 《The Escapist》. 2015년 6월 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공식 웹사이트 vdeh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워크래프트 시리즈 워크래프트: 오크와 인간 워크래프트 II: 어둠의 물결 (어둠의 문을 넘어서) 워크래프트 III: 혼돈의 시대 (얼어붙은 왕좌)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오리지널 확장팩 (불타는 성전, 리치 왕의 분노, 대격변, 판다리아의 안개, 드레노어의 전쟁군주, 군단, 격전의 아제로스) 하스스톤 하스스톤 (고블린 대 노움, 대 마상시합, 고대 신의 속삭임) 디아블로 시리즈 디아블로 디아블로 II (파괴의 군주) 디아블로 III (영혼을 거두는 자)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고스트, 리마스터)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 (군단의 심장, 공허의 유산, 노바 비밀작전)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오버워치 오버워치 다른 게임들 길 잃은 바이킹 슈퍼맨의 죽음과 귀환 로큰콜 레이싱 블랙쏜 저스티스 리그 태스크 포스 기타 액티비전 블리자드 배틀넷 블리즈컨 월드와이드 인비테이셔널 MPQ 월드 챔피언쉽 시리즈 워크래프트: 전쟁의 서막 vdeh오버워치 게임 방식 개발 계절별 이벤트 캐릭터 겐지 둠피스트 D.Va 레킹볼 리퍼 메이 메르시 모이라 브리기테 솔저: 76 솜브라 시메트라 위도우메이커 윈스턴 트레이서 한조 e스포츠대회 오버워치 월드컵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오버워치 리그 2018년 2019년 플레이어 미키 감수 게구리 제이크 쪼낙 네코 시걸 xQc 김효종 이충희 미디어 애니메이션 미디어 디지털 코믹 포르노그래피 관련 항목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제프리 캐플런 크리스 멧젠 알리사 웡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타이탄 분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히어로즈_오브_더_스톰&oldid=24197050" 분류: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의 게임멀티플레이어 온라인 배틀 아레나다중 사용자 온라인 게임2015년 비디오 게임MacOS 게임윈도우 게임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단일 플랫폼 모드로 비디오 게임 평점 틀을 사용하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Dansk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Magyar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23: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영어: Heroes of the Strom, 약칭: 히오스, HotS)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개발한 실시간 전략 게임이다. 2013년 11월 8일 블리즈컨 행사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한국에서는 2014년 10월 15일 테크니컬 알파 테스트가 시작되었고, 2015년 1월 15일 클로즈 베타 테스트가 시작되었고 , 2015년 5월 20일 오픈 베타가 시작되었다. 2015년 6월 3일에 정식 서비스를 실시하였다.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게임들인 워크래프트, 디아블로, 스타크래프트, 오버워치, 블리자드 고전 게임에 등장하는 영웅들이 함께 나오는 게임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블리자드에서 개발한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의 서비스가 안정적으로 출시될 때 까지의 과정은? Assistant: 2013년 10월 17일, 게임의 명칭이 "Heroes of the Storm"으로 변경되었다.[7] 2014년 3월 13일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의 테크니컬 알파 테스트가 시작되었고[8] 2014년 9월 22일 테스트가 중단 되었다가,[9] 2014년 10월 7일 북미, 남미, 동남아시아, 호주 및 뉴질랜드 지역에서 테스트가 재개되었다. 이틀 뒤 유럽, 한국, 중국과 대만 지역에서도 테스트가 재개되었다.[10] 테크니컬 알파 테스트는 2015년 1월 13일 클로즈 베타가 시작될 때까지 계속되었다.[11] 2015년 2월까지 9백만명 이상의 유저가 베타 테스트 신청을 하였다.[12] 북미 기준 2015년 5월 19일 오픈 베타가 시작되었고, 2015년 6월 2일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이 정식 출시되었다.[13]
Human: 아래 교토_대학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교토 대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교토 대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교토대학교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일본어 위키백과의 京都大学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신뢰성 있고 확인할 수 있는 출처가 제시되도록 번역하여 주십시오. 번역을 완료한 후에는 {{번역된 문서}} 틀을 토론창에 표기하여 저작자를 표시하여 주십시오. 문맥상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 문서를 같이 번역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번역을 확장할 필요가 있는 다른 문서를 보고 싶으시다면 분류:번역 확장 필요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교토 대학京都大学Kyoto University 표어 자유로운 학풍 종류 국립설립 1897년총장 야마기와 주이치학부생 수 13,227[1]대학원생 수 9,427[1]국가 일본위치 교토부 교토시 사쿄구 요시다혼마치캠퍼스 요시다 캠퍼스(교토부 교토시 사쿄구)우지 캠퍼스(교토부 우지시)가쓰라 캠퍼스(교토부 교토시 니시쿄구)교색 다크블루      웹사이트 교토 대학 공식 홈페이지 교토 대학의 위치 교토 대학 일본어식 한자 표기: 京都 大学 가나 표기: きょうと だいがく 국립국어원 표준 표기: 교토 대학 로마자: Kyōto Daigaku 교토 대학(일본어: 京都大学, 영어: Kyoto University)은 일본 교토시 사쿄구에 있는 국립 대학이다. 1897년에 설립되었고, 과거에는 교토 제국대학(일본어: 京都帝国大学)으로 불렸다. 대학의 약칭은 교다이(일본어: 京大)이다. 대학 설립 초기부터 자유로운 연구 학풍을 중시해 일본 최초의 노벨상 수상자를 비롯해 10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고 있다. 목차 1 개관 1.1 역사 1.2 건학 정신(교훈·이념) 2 교육 및 연구 2.1 대표 연구기관 및 시설 2.2 학풍 및 특색 3 평가 4 한국 대학과의 관계 5 각주 6 외부 링크 개관[편집] 역사[편집] 교토대학의 기원은 일본 최초의 서양식 국립병원인 나가사키 양생소(1861년 개원)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이후 정득관(精得館)으로 개칭되었다. 1868년에 정득관의 물리화학교를 오사카로 옮겨 1869년에 「사밀국(舍密局)」으로 개칭해 개교했다. 이듬해 사밀국은 이학소(理學所)로 개칭되었다. 1869년 오사카에서 개교한 양학교(洋學校)와 합병하여 1870년에 개성소(開成所)로 개칭되었고 이후 제3고등중학교(법·문과계, 이·공과계, 의과계 설치)라 개칭한다. 1889년 8월 1일에 교토시 사쿄구 요시다혼마치(吉田本町)로 이전하였고 1894년 고등학교 포고령이 공포되자 제3고등학교(법학부, 의학부, 공학부 설치)로 개칭되었다. 이후 1895년에 청일 전쟁 배상금의 일부를 도쿄와 교토제국대학의 기본금으로 교부하고 교토제국대학을 설치하자는 사이온지 긴모치 문부대신의 제안이 수용되어 교토제국대학 설치에 관한 칙령이 제정되면서 1897년 6월 18일에 교토제국대학이 발족했다. 이러한 경위로 인해 창립년은 제3고등학교의 전신인 사밀국이 설치된 1869년, 설립년은 교토제국대학이 탄생한 1897년으로 하고 있다. 초대 총장으로는 문부성 학무 국장을 지낸 기노시타 히로지, 사무국장에 해당하는 「서기관」에는 나카가와 고주로가 취임했다. 창설시 계획에서는 법대를 먼저 설치할 예정이었으나, 공과 지망자의 급증으로 1897년 이과 대학으로 출발하였다. 그 후 10년에 걸쳐 법대 및 의대(1899년), 문과대(1906년) 등의 분과 대학 설립을 완성하였다. 「학문의 자유」를 존중한다는 이 대학의 설립시 학풍은 이후 현재까지 「자유로운 연구 학풍」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1919년에는 학과제가 학부제로 바뀌고 1899년부터 법과대학에 소속되어 있던 정치경제학과가 일본의 대학 가운데 최초로 경제학부로 독립하였다. 1923년에는 교토대학의 상징이 된 시계탑을 포함한 대학 본관 건물이 완성되고 농학부 등의 학부 추가 증설이 이루어졌다. 1926년에는 교토대학 최초의 부설 연구소인 화학연구소가 설치되었다. 쇼와 시대에는 사상의 억압이 강화되었던 당시 세태를 반영하듯 교토대학에서도 사상관련 사건이 잇따른다. 1928년 경제학자인 카와카미 하지메 교수를 사직시키라는 문부성의 요구를 교수회가 수용, 카와카미 교수가 대학을 떠났다. 또한 1933년에는 하토야마 이치로 문부대신이 법학부 다키카와 유키토키 교수의 형법 이론에 사상문제를 제기해 휴직 처분을 내린 일로 법학부 교직원과 총장이 사표를 제출하였지만 문부성의 압력으로 다키카와를 포함한 교직원 7명이 대학을 떠난 이른바 「다키카와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전시체제의 강화에 수반해 일본 정신사(문학부), 동아 경제정책 원론(경제학부), 항공학·연료 화학(공학부)등의 국책에 따른 강좌가 설치되었고, 1943년에는 문과 학생의 징병 유예가 정지되어 학생이 잇달아 전장으로 가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결 후, 다키카와 사건으로 대학을 떠나 있었던 다키카와 유키토키교수가 대학에 복귀했다. 창립 50주년에 즈음한 1947년에는 대학명에서 「제국」이 사라지고 교토대학으로 개칭되었다. 1949년에는 이학부의 교수인 유카와 히데키가 일본인 최초로 노벨상을 수상하였고 이를 기념하여 유카와 기념관을 설치하였다. 그 이후 유카와 기념관은 유카와 기초물리학 연구소(YITP)로 개편되었다. 이후 물리학, 화학, 생리의학 분야에서 10명의 노벨상 수상자가 배출되었다. 그리고 이토 키요시교수는 이토 보제(補題)로 유명한 확률미분방정식을 확립해 현대 금융공학이론을 진보시키는데 크게 공헌하였고 블랙숄즈방정식을 도출하는데 중요한 기초를 만들었다. 그 공로로 2006년에 필즈상과 더불어 수학분야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가우스상을 수상하였다. 1968년 청년의사연합 교토대 지부가 주도한 의대 대학원 입시 거부에 참여하지 않은 수험생과 청의련 멤버가 대립한 이른바 「청의련사건」을 계기로 교양학부가 파업에 들어가 학생회가 타격을 받았다. 도쿄대학과 같은 입시 중지의 사태는 면했지만, 종전 이후 처음으로 졸업식이 중지되어 그 다음해 9월까지 일부 건물이 폐쇄되기도 하였다. 1992년 종합인간학부가 설치되고 다음 해에는 교양학부가 폐지되는 등의 대학 조직의 개편이 있었다. 1997년에 창립 100주년을 맞이하였으며, 2003년에는 국립대학에 국립대학법인을 설치하게 한 국립대학법인법이 제정되면서 국립대학법인이 설치되었다. 건학 정신(교훈·이념)[편집] 창립 이래 「자유로운 연구 학풍」을 건학 정신으로 하고 있다. 교육 및 연구[편집] 학부 및 대학원 외에 연구소 14개, 연구센터 17개로 2006년 3월 현재 일본의 대학 중 가장 많은 연구 기관을 거느리고 있다. 그 중 9개의 연구소와 연구 센터는 다른 대학이나 연구기관에 연구 설비를 제공하는 「전국 공동 이용 연구소」·「전국 공동 이용 연구 센터」이다. 이 「전국 공동 이용 연구소」의 구조를 처음으로 채용한 것은 교토대학의 기초 물리학 연구소이다. 이러한 사실에 대해 교토 대학의 관계자는 "폭넓은 분야에 있어 일본을 대표하는 학술 연구 거점이 되어 온 교토대학의 사회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라고 견해를 드러내었다. 이 대학 출신으로 10명의 노벨상 수상자와 2명의 필즈상 수상자, 1명의 가우스상 수상자, 1명의 라스커상 수상자가 있다. 대표 연구기관 및 시설[편집] 수리해석연구소 화학연구소 경제연구소 바이러스 · 재생의과학연구소 에너지이공학연구소 기초물리학연구소 영장류연구소 인문과학연구소 방재연구소 생존권(生存圈)연구소 동남아시아지역연구연구소 복합원자력과학연구소 iPS 세포 연구소 교토대학 고등연구원(KUIAS) 학풍 및 특색[편집] 학문추구에 있어서 전통적으로 「자유로운 연구 학풍」을 표방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는 현재까지도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도쿄대학의 경우 엘리트관료를 배출하는 대학의 이미지가 강한 반면 교토대학의 경우 자유로운 연구 학풍에 기초해 창의력이 풍부한 우수한 연구자를 배출하는 대학의 이미지가 강하다. 평가[편집] 2004년 ARWU 세계대학평가에서 세계 21위를 기록하였다. 2006년 ARWU 세계대학평가에서 세계 22위를 기록하였다. 2010년 ARWU 세계대학평가에서 세계 24위를 기록하였다. 2015년 ARWU 세계대학평가에서 세계 26위를 기록하였다. 2007년 뉴스위크 세계100대 글로벌대학평가에서 세계 29위를 기록하였다. 2010년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세계대학평가에서 세계 25위를 기록하였다. 2013년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세계대학평가에서 세계 35위를 기록하였다. 2018년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세계대학평가에서 세계 35위를 기록하였다. 한국 대학과의 관계[편집] 경북대학교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포항공과대학교 각주[편집] 일본 포털 교육 포털 ↑ 가 나 “보관 된 사본” (PDF). 2012년 7월 2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0월 3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교토 대학 (일본어) 교토 대학 공식 홈페이지 vdeh동아시아연구중심대학협의회|대한민국 서울 포항공과 한국과학기술원 |일본 도쿄 교토 도쿄 공업 도호쿠 쓰쿠바 오사카 |중국 베이징 칭화 난징 중국과학기술 푸단 |중화민국 국립 칭화 국립 타이완 |홍콩 홍콩 과기 vdeh환태평양 대학 협회대한민국 고려 서울 연세 일본 게이오 교토 오사카 도호쿠 도쿄 와세다 중국 푸단 홍콩 과기 난징 베이징 칭화 홍콩 중국과학기술 저장 러시아 극동 연방 말레이시아 말라야 싱가포르 싱가포르 국립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타이 쭐랄롱꼰 타이완 국립 타이완 필리핀 필리핀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멜버른 시드니 뉴사우스웨일스 뉴질랜드 오클랜드 대학교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멕시코 몬태레이 공대 멕시코 국립 자치 미국 캘리포니아 공과 스탠퍼드 UC버클리 UC데이비스 UC어바인 UC로스앤젤레스 UC샌디에이고 UC샌타바버라 오리건 서던캘리포니아 워싱턴 하와이 마노아 칠레 칠레 vdeh슈퍼 글로벌 대학Top형 홋카이도 대학 도호쿠 대학 쓰쿠바 대학 도쿄 대학 도쿄 의과치과대학 도쿄 공업대학 나고야 대학 교토 대학 오사카 대학 히로시마 대학 규슈 대학 게이오기주쿠 대학 와세다 대학 글로벌화 견인(牽引)형 지바 대학 도쿄 외국어대학 도쿄 예술대학 나가오카 기술과학대학 가나자와 대학 도요하시 기술과학대학 교토 공예섬유대학 나라 선단과학기술대학원대학 오카야마 대학 구마모토 대학 국제교양대학 아이즈 대학 국제 기독교 대학 시바우라 공업대학 조치 대학 도요 대학 호세이 대학 메이지 대학 릿쿄 대학 소카 대학 고쿠사이 대학 리쓰메이칸 대학 간세이 가쿠인 대학 리쓰메이칸 아시아 태평양 대학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53631143 LCCN: n79090108 ISNI: 0000 0001 0946 2736 GND: 37566-4 SUDOC: 033102953 BNF: cb124003379 (데이터) NLA: 35286439 NDL: 00289990 NKC: ko2007248491 BNE: XX220978 좌표: 북위 35° 01′ 34″ 동경 135° 46′ 51″ / 북위 35.026212° 동경 135.780842°  / 35.026212; 135.78084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교토_대학&oldid=24426830" 분류: 교토 대학1897년 설립교토부의 대학교교토시의 교육교토시의 건축물일본의 국립 대학일본의 구제대학교토시의 중요문화재일본의 국보 (서적·전적·고문서)숨은 분류: 번역 확장 필요 문서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বাংলা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עבריתहिन्दी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മലയാളംBahasa MelayuNederlandsਪੰਜਾਬੀPolskiپنجابیPortuguêsРусскийScotsසිංහලSimple English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inaray吴语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4일 (금) 15: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교토 대학(일본어: 京都大学, 영어: Kyoto University)은 일본 교토시 사쿄구에 있는 국립 대학이다. 1897년에 설립되었고, 과거에는 교토 제국대학(일본어: 京都帝国大学)으로 불렸다. 대학의 약칭은 교다이(일본어: 京大)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06년 3월을 기준으로 교토 대학 산하의 연구 센터는 총 몇 개입니까? Assistant: 17개 Human: 아래 리윈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리윈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리윈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리윈디(중국어 간체자: 李云迪, 정체자: 李雲迪, 병음: Lǐ Yúndí, 한자음: 이운적, 1982년 10월 7일 ~ )는 중국의 서양 고전 음악 피아니스트이다. 윈디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그는 18세였던 2000년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우승하여 이 대회 최연소 우승자가 된 것으로 유명하다. 현재 홍콩에 거주하고 있다. 목차 1 유년기 2 수상 2.1 주요 수상 이력 3 연주 및 음반 경력 4 각주 유년기[편집] 리윈디는 중국 쓰촨성 충칭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리촨과 어머니 장샤오루는 모두 쓰촨성 충칭 철강 그룹에서 근무했다.[1] 음악적 내력이 없는 가정에서 태어났지만, 리윈디는 일찍부터 음악을 접했다. 그가 3살 때 쇼핑몰에서 아코디언을 연주하는 사람에게 매료되어 자리를 떠나려 하지 않는 것을 본 그의 아버지는 그에게 아코디언을 안겨 주었다.[2] 그는 중국의 음대 교수인 탄젠민에게 배워, 4살 때 아코디언을 마스터했다. 그로부터 1년 후 그는 충칭 어린이 아코디언 대회에서 1위를 했다.[3] 리윈디는 7살 때부터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다. 2년 후, 그의 피아노 선생님은 그를 중국에서 손꼽히는 피아노 교사였단 단자오이에게 소개했고 리윈디는 그에게 9년간 수학했다.[4] 전문 피아니스트가 되는 것이 꿈이었던 리윈디는, 1994년 광둥성에 위치한 선전 예술 학교에 입학하여 본격적으로 피아노 콩쿠르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이후에 그는 독일 하노버에 위치한 하노버 음악연극미디어대학교에 입학했다. 수상[편집] 리윈디는 많은 콩쿠르에서 1위로 입상했다. 그는 1994년 베이징 어린이 피아노 콩쿠르에서 우승했으며,[3] 1995년에는 스트라빈스키 국제 청소년 콩쿠르에서 1위를 차지했다. 1998년에는 미주리주 남부 국제 피아노 콩쿠르(Missouri Southern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청소년 부문에서 우승했다. 이듬해에는 위트레흐트에서 열린 국제 프란츠 리스트 피아노 콩쿠르에서 3위로 입상했고 중국 국제 피아노 콩쿠르와 지나 바샤우어 영 아티스트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1위의 성적을 거두었다.[5] 2000년 10월, 중국 문화부의 독려 하에 리윈디는 바르샤바에서 열린 제14회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 참가하여 우승하였다. 그는 이 대회에서 15년만에 나온 우승자였으며, 역대 최연소 우승자(18세)이자 최초의 중국인 우승자였다. 그는 이 콩쿠르에서의 연주로 쇼팽 소사이어티로부터 ‘폴로네이즈 상’(Polonaise award)을 수여 받았다. 얼마 후, 리윈디는 아리 바르디(Arie Vardi)에게 사사하기 시작하였고, 중국의 부모 곁을 떠나 독일 하노버의 예술학교로 유학하게 되었다.[3] 주요 수상 이력[편집] 1994년 《베이징 어린이 피아노 콩쿠르》 1위 1995년 《스트라빈스키 국제 유스 콩쿠르》 1위 1998년 《미주리 남부 국제 피아노 콩쿠르》 (청소년 부문) 3위 1999년 《국제 프란츠 리스트 피아노 콩쿠르》 3위 1999년 《중국 국제 피아노 콩쿠르》 1위 1999년 《지나 바샤우어 영 아티스트 국제 피아노 콩쿠르》 1위 2000년 《제14회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 1위 연주 및 음반 경력[편집] 리윈디의 데뷔 공연은 2003년 6월 미국의 카네기 홀에서 열린 스타인웨이 창립 150주년 기념 갈라 행사의 연주자 중 한 명으로 참여한 것이었다. 7월에는 쇼팽 피아노 협주곡 1번으로 미국에서의 협주곡 데뷔 무대를 가졌다. 주미중국대사는 리윈디의 미국 방문을 환영하는 특별 환영 행사를 대사관저에서 열었으며, 여러 미국 국무부 관리들의 참석 하에 리윈디가 피아노를 연주하였다. 리윈디는 독일의 고전 음악 전문 레이블인 도이체 그라모폰과 독점 계약을 맺고 2008년 11월까지 음반 활동을 하였다. 2003년 8월 발매된 그의 두 번째 리스트 연주 음반은 뉴욕 타임스로부터 “올해 최고의 CD”라는 평가를 받았다. 쇼팽의 4개 스케르초와 3개 즉흥곡으로 구성된 그의 세 번째 음반은 2004년 말 발매되었다. 그는 도이치 그라모폰을 통해 2012년 말 베토벤 소나타 음반을 발매할 예정이었다.[6] 그는 비엔나의 유명한 무지크페라인 콘서트 홀에서 연주회를 갖고 모차르트, 스카를라티, 슈만, 리스트의 곡을 연주하였다. 리윈디는 2006년 11월 우수 인재 이민 정책(QMAS)의 최초 수혜자 집단 중 한 명으로서 홍콩 영주권을 얻었다.[7] 리윈디는 2008년 “The Young Romantic: Yundi Li” 제하의 장편 다큐멘터리의 주인공으로 다루어졌다.[4] 같은 해 그는 배턴루지 교향악단이 정기적으로 유명 연주자를 초청해 협연하는 “Pennington Great Performers”에도 초청되어 연주하였다. 2010년 1월 리윈디는 EMI 클래식과 독점 계약을 맺고 쇼팽의 독주곡 전체의 녹음을 계획하였다.[8] 리윈디는 2010년 3월 16일 런던의 로열 페스티벌 홀에서 단독 연주회를 가졌다. 이 연주회에서 그는 쇼팽의 레퍼토리들을 연주하였으며, 전 객석이 매진되었다.[9] 각주[편집] ↑ (영어) Chan, Vivien Pik-Kwan (2000년 10월 21일). “Shenzhen pianist shows forte”.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홍콩). 1면.  ↑ (영어) Bargreen, Melinda (2005년 4월 10일). “Piano prodigy loves what he is doing, as his brilliance attests”. 《Seattle Times》. J1면.  ↑ 가 나 다 Kishinami, Yukiko (2001년 5월 3일). “Piano prodigy restores luster to Chopin competition”. 《요미우리 신문》. 1면.  ↑ 가 나 (영어) Eatock, Colin (2008년 2월 13일). “Pianist as pop star. Is Yundi Li better than Lang Lang? He says he doesn't care”. 《Globe and Mail》 (캐나다). R1면. 2008년 2월 14일에 확인함.  ↑ (영어) “Charity show for Shenzhen pianist”.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홍콩). 2000년 12월 1일. 5면.  ↑ (영어) "Pianist Yundi is back with Deutsche Grammophon", Gramophone, May 4, 2012 ↑ (영어) “Pianist Li Yundi becomes a Hong Kong resident”. 《South China Morning Post》 (홍콩). 2007년 1월 16일. 2면.  ↑ (영어) “EMI Classics Signs Chinese Pianist Yundi”. LSM Newswire. 2010년 3월 22일. 2010년 7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3월 22일에 확인함.  ↑ (영어) “Review: Piano Maestro Li Yundi, Royal Festival Hall”. The London Insider. 2010년 3월 16일. 2010년 3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3월 18일에 확인함.  전거 통제 WorldCat VIAF: 85686475 LCCN: no2003086667 ISNI: 0000 0001 0921 8194 GND: 135279194 SUDOC: 078077095 BNF: cb14071197w (데이터) 뮤직브레인즈: 30112b10-43cc-40bc-a6fc-537f09413eb6 NKC: xx0059864 BNE: XX4919573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리윈디&oldid=24219489" 분류: 198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중국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충칭시 출신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 우승자숨은 분류: 중국어 정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간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PolskiРусскийSimple EnglishSvenskaไทย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4일 (화) 15: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리윈디(중국어 간체자: 李云迪, 정체자: 李雲迪, 병음: Lǐ Yúndí, 한자음: 이운적, 1982년 10월 7일 ~ )는 중국의 클래식 피아니스트이다. 2010년 EMI로 옮기면서 윈디(Yundi)로 개명했다. 그는 18세였던 2000년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우승하여 이 대회 최연소 우승자가 된 것으로 유명하다. 현재 홍콩에 거주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리윈디의 유년기는 어떠했는가? Assistant: 리윈디는 중국 쓰촨성 충칭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리촨과 어머니 장샤오루는 모두 쓰촨성 충칭 철강 그룹에서 근무했다.[1] 음악적 내력이 없는 가정에서 태어났지만, 리윈디는 일찍부터 음악을 접했다. 그가 3살 때 쇼핑몰에서 아코디언을 연주하는 사람에게 매료되어 자리를 떠나려 하지 않는 것을 본 그의 아버지는 그에게 아코디언을 안겨 주었다.[2] 그는 중국의 음대 교수인 탄젠민에게 배워, 4살 때 아코디언을 마스터했다. 그로부터 1년 후 그는 충칭 어린이 아코디언 대회에서 1위를 했다.[3] 리윈디는 7살 때부터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다. 2년 후, 그의 피아노 선생님은 그를 중국에서 손꼽히는 피아노 교사였단 단자오이에게 소개했고 리윈디는 그에게 9년간 수학했다.[4] 전문 피아니스트가 되는 것이 꿈이었던 리윈디는, 1994년 광둥성에 위치한 선전 예술 학교에 입학하여 본격적으로 피아노 콩쿠르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이후에 그는 독일 하노버에 위치한 하노버 음악연극미디어대학교에 입학했다.
Human: 아래 6월_15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6월 15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6월 15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6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6번째(윤년일 경우 167번째) 날에 해당한다. 5월 - 6월 - 7월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2019년 기준모두 보기 6월 15일 2044년: 수요일 2043년: 월요일 2042년: 일요일 2041년: 토요일 2040년: 금요일 2039년: 수요일 2038년: 화요일 2037년: 월요일 2036년: 일요일 2035년: 금요일 2034년: 목요일 2033년: 수요일 2032년: 화요일 2031년: 일요일 2030년: 토요일 2029년: 금요일 2028년: 목요일 2027년: 화요일 2026년: 월요일 2025년: 일요일 2024년: 토요일 2023년: 목요일 2022년: 수요일 2021년: 화요일 2020년: 월요일 2019년: 토요일 2018년: 금요일 2017년: 목요일 2016년: 수요일 2015년: 월요일 2014년: 일요일 2013년: 토요일 2012년: 금요일 2011년: 수요일 2010년: 화요일 2009년: 월요일 2008년: 일요일 2007년: 금요일 2006년: 목요일 2005년: 수요일 2004년: 화요일 2003년: 일요일 2002년: 토요일 2001년: 금요일 2000년: 목요일 1999년: 화요일 1998년: 월요일 1997년: 일요일 1996년: 토요일 1995년: 목요일 목차 1 사건 2 문화 3 탄생 4 사망 5 기념일 6 우관련 항목 사건[편집] 기원전 763년 - 메소포타미아 역사의 연대기를 수정하는 데 사용되었던 일식을 아시리아인들이 기록하다. 844년 - 루트비히 2세가 교황 세르지오 2세에 의해 이탈리아의 왕이 되다. 1099년 - 1차 십자군이 예루살렘을 점령하다 1215년 - 마그나 카르타가 승인되다. 1752년 - 벤저민 프랭클린이 번개가 전기라는 것을 밝혀내다. 1888년 - 빌헬름 2세가 즉위하다. 1999년 - 제1연평해전 발생. 2000년 -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위원장 이 6·15 남북 공동선언을 발표하다. 2005년 - 수도이전반대 국민연합은 공주시, 연기군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이 위헌이라며 헌법소원을 제출하였다. 2006년 -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빌 게이츠 회장은 2008년 7월부터 일상적인 회사업무에서 손을 떼고 자선사업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2009년 - 영국 바클레이즈 그룹의 자산운용사 '바클레이즈 글로벌 인베스터스(BGI)'가 미국 글로벌 자산운용사 블랙록에 3억8천만 파운드(한화 약 7천873억원)에 매각 되었다고 월스트리트저널 인터넷판이 전했다. 대한민국에 있는 STX조선은 유럽선주로부터 탱커 4척을 모두 2천128억원에 수주했다고 공시했다. 2010년 - 간 나오토 일본 총리가 재임 중 야스쿠니 신사에 참배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대한민국과 터키 정부가 터키 북부 시노프 지방에 한국형 원전 2기(각 1400MW급)를 짓는 원전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2011년 - 대한민국에서 연평도와 백령도 등 서북 5개 도서의 방어를 전담하는 서북도서방위사령부 (서방사)가 창설식을 열고 공식적인 임무 수행에 돌입하였다. 2012년 - 수원 토막 살인 사건의 범인 우위안춘에 대해 법원이 사형을 선고하다. 2013년 - 한국일보의 사측이 노사 갈등 끝에 편집국을 폐쇄하다. 2014년 - 케냐 라무 섬 인근 해안 소도시 음페케토니에서 테러가 발생해 48명이 사망하였다. 문화[편집] 1954년 - 유럽 축구 연맹이 스위스 바젤에서 결성되었다. 2004년 - 한국 정교회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결정에 따라 수도 대교구로 승격됐다. 탄생[편집] 1330년 - 잉글랜드 국왕 에드워드 3세의 장남 흑태자 에드워드. 1569년 - 조선의 의사, 관료 이희헌. 1594년 - 프랑스의 화가 니콜라 푸생. 1843년 - 노르웨이의 작곡가 겸 피아노 연주자 에드바르 그리그. 1914년 - 소련의 정치인 유리 안드로포프. 1940년 - 대한민국의 배우 최불암. 1946년 - 네덜란드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요하네스 본프레러. 1949년 - 미국의 배우 짐 바니. 1953년 - 중화인민공화국 최고권력자 겸 중국공산당 총서기 시진핑. 1954년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허장회. 1964년 - 덴마크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미카엘 라우드루프. 1967년 - 일본의 성우 우에다 유지. 1968년 - 대한민국의 배우 오달수. 1969년 - 독일의 전 축구 선수 올리버 칸. 1970년 - 대한민국의 배우 조민희. 1979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최환인. 1981년 - 대한민국의 뮤직 비디오 감독 쿨케이. 1983년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박샤론. 1986년 - 미국의 배우 스토야. 1987년 - 미국의 야구 선수 조쉬 린드블럼. 1988년 - 스웨덴의 축구 선수 한나 폴케손. 1995년 - 대한민국의 래퍼 버피 (매드타운). 1996년 - 대한민국의 가수 호시 (세븐틴). 사망[편집] 1849년 - 미국의 제11대 대통령 제임스 K. 포크 1861년 - 조선의 가톨릭 신부 최양업 1888년 - 독일 제국의 제2대 황제 프리드리히 3세 1889년 - 루마니아의 시인 미하이 에미네스쿠 1971년 - 미국의 화학자 웬들 메러디스 스탠리 1994년 - 대한민국의 화가 박영선 2000년 - NRG의 김환성 2002년 - 태권도의 창시자 최홍희 2013년 - 제2차 세계대전의 유일한 소련군 조선인 참전자 정상진 2019년 - 이탈리아의 영화감독 프랑코 체피렐리 기념일[편집] 세계 풍력의 날 리유니온 데이(국기의 날): 덴마크 발데마르 2세가 1219년 린다니스 전투에서 승전한 것을 기념하는 날. 연방편입일: 아칸소주 식목일: 코스타리카 카가얀데오로 헌장의 날: 필리핀 카가얀데오로 우관련 항목[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6월 15일 전날: 6월 14일 다음날: 6월 16일 - 전달: 5월 15일 다음달: 7월 15일 음력: 6월 15일 모두 보기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6월_15일&oldid=24442490" 분류: 6월 15일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Аҧсшәа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অসমীয়াAsturianuАвар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বাংলাবিষ্ণুপ্রিয়া মণিপুরী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Mìng-dĕ̤ng-ngṳ̄НохчийнCebuanoکوردیCorsuČeštinaKaszëbsczi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ZazakiދިވެހިބަސްΕλληνικάEmiliàn e rumagnòl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VõroFøroysktFrançaisArpetanFurlanFryskGaeilgeGagauz贛語GàidhligGalegoAvañe'ẽBahasa HulontaloગુજરાતીGaelg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Hornjoserbsce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nterlingueIgbo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TaqbaylitҚазақшаKalaallisutಕನ್ನಡКъарачай-малкъарRipoarischKurdîКоми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umbaartລາວLietuviųLatviešuमैथिलीBasa BanyumasanMalagasyОлык марий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ЭрзяньNāhuatlNapulitanoPlattdüütschNedersaksies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uormandSesotho sa LeboaOccitanLivvinkarjalaଓଡ଼ିଆਪੰਜਾਬੀPangasinanKapampanganPolskiپنجابیپښتوPortuguêsRuna SimiRomânăArmãneashti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संस्कृतम्Саха тылаSicilianuScots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KiswahiliŚlůnsk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ürkmençe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дмурт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est-VlamsVolapükWalonWinarayХальмг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VahcuenghZeêuws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7일 (월) 23: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6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6번째(윤년일 경우 167번째) 날에 해당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마그나 카르타가 승인된 것은 몇 년도의 일인가? Assistant: 1215년 Human: 아래 그레이트_블루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그레이트 블루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그레이트 블루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그레이트 블루홀은 벨리즈의 벨리즈 시티 근처이다 우주에서 본 라이트하우스 리프(Lighthouse Reef). 그레이트 블루홀이 사진 중앙 근처에 보인다. 그레이트 블루홀은 벨리즈 해안 근처에서 볼란수블이는이. 이 곳은 라이트하우스 리프의 중앙 근처에 있으며, 본토와 벨리즈 시티로부터 70 km (43 mi) 떨어진 곳에 위치한 작은 환초지대이다. 구멍은 원의 형태를 띄며 지름 300 m (984 ft)에 깊이 124 m (407 ft)이다.[1] 그레이트 블루홀은 플라이스토세 빙하기 동안 해수면이 매우 낮았을 때 형성된 것으로 보이며, 종유석을 분석해보면 153,000년 전과 66,000년 전, 그리고 60,000년 전과 15,000년 전에 걸쳐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2] 해수면이 다시 상승하자 동굴은 침수되었다.[3] 그레이트 블루홀은 벨리즈 산호초 보호지역에 속해 있으며 유네스코(UNESCO)에 [[세계자연유산 ]]으로 등록되어 있다.[4] 목차 1 설명 2 깊이 3 이름의 유래 4 기타 5 관련 항목 6 참조 설명[편집] 이 장소는 이곳이[5]세계 스쿠버 다이빙 장소 베스트 10 중 한 곳이라 알린 자크 쿠스토에 의해 유명해졌다. 1971년 그는 그의 칼립소 호를 타고 구멍의 깊이를 그래프화하기 위해 그레이트 블루홀을 방문했다.[5] 이 탐사에서 이루어진 조사에 따르면이 구멍은 전형적인 석회암 지층의 카르스트 지형이 그 기원이며, 해수면이 상승하기 전에 적어도 4단계에 걸쳐 형성되었다. 21 m (69 ft)와 49 m (161 ft), 그리고 91 m (299 ft)의 깊이에 튀어나온 부분이 남아있다. 물 속에 잠겨 있던 동굴에서 채취한 종유석을 통해서 해수면 위에서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종유석들 중 일부는 일관된 방향으로 5도 정도 수직으로부터 기울어져 있는데, 이는 어떤 과거의 지질학적 변화가 있었고 고원과 같은 기울어진 지형이었다가 현재 평평한 면인 상태로 오랜 시간이 흘렀음을 나타낸다. 깊이[편집] 그레이트 블루홀에서 최초로 측정된 깊이는 125 m (410 ft) 인데, 이는 지금까지 가장 많이 인용되고 있다. 1997년에 캄브리아기 재단(Cambrian Foundation)에서 이루어진 탐사에서는 구멍의 가장 깊은 곳까지의 깊이를 124 m (407 ft)[1][2]로 측정했다. 두 측정 값의 차이는 측정의 부정확함 때문일 수도 있고 혹은 바다 속의 침강 현상이 계속 진행 중이기 때문일 수도 있다. 탐사의 목적은 코어 샘플(드릴 등으로 땅을 파서 샘플 채취)을 블루홀의 지층에서 채취하는 것과 동굴 시스템에 관한 자료 수집이었다.[6]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모든 다이버들은 동굴 다이빙 자격을 갖췄고 트라이믹스(Trimix, 호흡용 혼합 가스) 를 준비했다.[6] 이름의 유래[편집] 그레이트 블루홀이라는 이름은 영국 다이버이자 작가인 네드(Ned Middleton)가 이 나라에서 6개월을 보낸 후 그레이트 블루홀이라 이름 붙였다. 그는 이곳의 자연 경관에 반해 그의 저서 《물 밑에서 10년(Ten Years Underwater)》(Immel Publishing 1988, ISBN 0907151434)에서 “호주가 그레이트배리어리프 를 가지자, 벨리즈는 평등하게 그레이트 블루홀을 가졌다.”라 비유했다. 비록 두 장소가 크기가 다르기는 하지만 동일한 산호초 지형 등 유사한 점이 있어 이런 비유를 했다고 본다. 이러한 그의 생각은 그의 다음 저서인 《다이빙 벨리즈(Diving Belize)》에서 더욱 강해졌다(AquaQuest publishing, USA 1994 ISBN 1881652017). 기타[편집] 2012년 디스커버리 채널에서 《지구에서 가장 놀라운 장소 베스트 10》에 그레이트 블루홀이 선정되었다[7]. 관련 항목[편집] 블루홀 벨리즈 산호초 보호지역 환초 벨리즈 시티 벨리즈 참조[편집] ↑ 가 나 《The Great Blue Hole of Lighthouse Reef Atoll, Belize, Central America: Deep Technical Diving to Collect Sea-Level Records》. Transactions of the Fifteenth Caribbean Geological Conference.  ↑ 가 나 “Great Blue Hole”. Wondermondo.  ↑ “Belize Blue Hole reef”. NASA.  ↑ “World Heritage Nomination - IUCN Summary Belize Barrier Reef Reserve System (Belize)” (PDF). IUCN/WCMC.  ↑ 가 나 Jacques-Yves Cousteau (1973). 《Galapagos – Titicaca – The Blue Holes (Hole)》. London: Cassell.  ↑ 가 나 Tysall, Terrance N (1999). “The Belize Blue Hole Exploration Project.”. 《In: Hamilton RW, Pence DF, Kesling DE, eds. Assessment and Feasibility of Technical Diving Operations for Scientific Exploration.》 (American Academy of Underwater Sciences). 2011년 1월 8일에 확인함.  ↑ Robert Lamb; Amanda Arnold (2012). “The 10 Most Amazing Places on Earth”. Discovery Channel. 2012년 11월 9일에 [dsc.discovery.com/tv-shows/curiosity/topics/10-amazing-geological-features.htm 원본 문서]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17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좌표: 북위 17° 18′ 55″ 서경 87° 32′ 4″ / 북위 17.31528° 서경 87.53444°  / 17.31528; -87.5344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그레이트_블루홀&oldid=24405288" 분류: 해식동돌리네벨리즈의 지형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인용 오류 - URL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БеларускаяবাংলাCatalàCebuanoČeština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FrançaisGalego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urdîLietuvių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TürkçeУкраїнськаWinaray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0일 (월) 11: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그레이트 블루홀은 벨리즈 해안 근처에서 볼 수 있다. 이 곳은 라이트하우스 리프의 중앙 근처에 있으며, 본토와 벨리즈 시티로부터 70 km (43 mi) 떨어진 곳에 위치한 작은 환초지대이다. 구멍은 원의 형태를 띠며 지름 300 m (980 ft)에 깊이 124 m (407 ft)이다. 그레이트 블루홀은 플라이스토세 빙하기 동안 해수면이 매우 낮았을 때 형성된 것으로 보이며, 종유석을 분석해보면 153,000년 전과 66,000년 전, 그리고 60,000년 전과 15,000년 전에 걸쳐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해수면이 다시 상승하자 동굴은 침수되었다. 그레이트 블루홀은 벨리즈 산호초 보호지역에 속해 있으며 유네스코(UNESCO)에 세계자연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자크 쿠스토가 그레이트 블루홀이 얼마나 깊은지 조사하기위해 직접 찾아간 때는 언제일까? Assistant: 1971년
Human: 아래 백종원의_3대천왕의_에피소드_목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백종원의 3대천왕의 에피소드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백종원의 3대천왕의 에피소드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아래는 SBS TV의 예능 프로그램 《백종원의 3대천왕》의 에피소드 목록이다. 목차 1 시리즈 개요 2 에피소드 목록 2.1 2015년 2.2 2016년 2.3 2017년 3 각주 시리즈 개요[편집] 연도 에피소드 방송 기간 시작 종영 2015 17회 2015년 8월 28일 2015년 12월 25일 2016 50회 2016년 1월 1일 2016년 12월 31일 2017 28회 2017년 1월 7일 2017년 7월 14일 에피소드 목록[편집] 2015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방송 음식 게스트 1회 8월 28일 돼지 불고기 김윤상, 김선재, 김우주, 리아 2회 9월 4일 닭볶음탕 밍스, 김윤상, 윤현진 3회 9월 11일 떡볶이 에이프릴 4회 9월 18일 돈가스 유니콘 5회 9월 25일 칼국수 소나무 6회 10월 2일 낙지볶음 짜리몽땅 7회 10월 9일 비빔밥 멜로디데이 8회 10월 16일 치킨 이혜승, 윤현진, 소유미 9회 10월 23일 짬뽕 베리굿 10회 11월 6일 매콤 돼지고기 타히티 11회 11월 13일 국밥 라붐 12회 11월 20일 부대찌개 세븐틴 13회 11월 27일 전 트와이스 14회 12월 4일 짜장면 베스티 15회 12월 11일 양념치킨 퍼펄즈 16회 12월 18일 국수 러블리즈 17회 12월 25일 떡볶이 2탄 여자친구 2016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방송 음식 게스트 18회 1월 1일 삼겹살 홍윤화, 라붐 19회 1월 8일 족발 홍진영, 에이프릴 20회 1월 15일 해장국 EXID 21회 1월 22일 다시 보고 싶은 명인 특집 트와이스, 홍윤화 2016년 1월 30일부터 토요일 오후 6시 10분 시간대 변경 22회 1월 30일 돼지갈비[1] 피에스타 23회 2월 6일 만두 레드벨벳 24회 2월 13일 순대 달샤벳 25회 2월 20일 탕수육 차오루, 이수민, 라붐 26회 2월 27일 국수 2탄 매드타운, 권소현, 남지현 27회 3월 5일 삼겹살 2탄 김지민, 트와이스 28회 3월 12일 곰탕 김지민, 피에스타, 뉴이스트 29회 3월 19일 닭갈비 바로 (B1A4), 홍윤화, 오마이걸 30회 3월 26일 돈가스 2탄 김환, 김윤상, 윤현진, 유영미, 이병희 (SBS 아나운서) 31회 4월 2일 김밥 마마무, 장도연 32회 4월 9일 빵 은가은, 우주소녀 33회 4월 16일 짜장면 2탄 혜이니, 라붐 34회 4월 23일 오징어 김지민, 레이디스 코드 35회 4월 30일 불고기 김지민, 비투비 36회 5월 7일 치킨 2탄 김지민, 트와이스, CLC 37회 5월 14일 라면 김지민, 앤디, 틴탑 38회 5월 21일 냉면 김지민, B1A4 39회 5월 28일 물회 김지민, 빅스 40회 6월 4일 닭 김지민, 오마이걸, 김환 (SBS 아나운서) 41회 6월 11일 여름국수 김지민, 소년공화국, 박보람 42회 6월 18일 인생밥상 김지민, 이윤아, 김환, 김선재 (SBS 아나운서) 43회 6월 25일 감자탕 김지민, 김환 (SBS 아나운서), 라붐 44회 7월 2일 짝꿍 특집 김지민, 최화정, 김환 (SBS 아나운서) 45회 7월 9일 여름휴가 특집 김지민, 김환 (SBS 아나운서) 46회 7월 16일 분식 김지민, 김환 (SBS 아나운서), 우주소녀, 소유 (씨스타) 47회 7월 23일 시장 특집 김지민, 김환 (SBS 아나운서), 다이아 48회 7월 30일 시네마 천국 김지민, 김환 (SBS 아나운서), 구구단 49회 8월 6일 올림픽 특집 김지민, 김환 (SBS 아나운서), 브레이브 걸스 50회 8월 13일 소방관 특집 김지민, 김환 51회 8월 20일 1주년 특집[2] 김지민, 김환, 라붐 52회 8월 27일 족발 vs 닭발 하재숙, 강남 53회 9월 3일 해물칼국수 vs 어탕 54회 9월 10일 전 vs 피자 최정우, 알베르토 몬디 55회 9월 24일 만두 vs 수제비 샘 오취리, 권혁수 56회 10월 8일 짜장 vs 짬뽕 이국주, 허영지 (카라) 57회 10월 15일 떡볶이 vs 순대 지상렬, 전효성 (시크릿) 58회 10월 22일 부산특집 김광규, 보라 (씨스타) 59회 10월 29일 돼지갈비 vs 보쌈 김광규, 성소 (우주소녀) 60회 11월 5일 우동 vs 돈가스 김준호, 다현, 채영 (트와이스) 61회 11월 19일 찜닭 vs 치킨[3] 이준혁, 정은지, 오하영 (에이핑크) 62회 12월 3일 겨울 분식 데프콘, 산들 (B1A4) 63회 12월 10일 해장국 2탄 민진웅, 공명 (서프라이즈) 64회 12월 17일 라면 vs 햄버거 박철민, 테이, 유아 (오마이걸) 65회 12월 24일 곱창 vs 낙지 강민경 (다비치), 오대환 66회 12월 31일 파스타 vs 함박 스테이크 (송년 특집) 진영 (B1A4), 김윤아 (자우림) 2017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방송 음식 게스트 67회 1월 7일 전주 맛 파이브 진, 제이홉 (방탄소년단) 68회 1월 14일 세계 국수 정채연, 김세정 (아이오아이), 천둥 (엠블랙) 69회 1월 21일 전국 찌개 토니안 (H.O.T.), 유수영 (S.E.S.) 70회 1월 28일 겨울 보양식 (설 특집) 정시아, 초아, 민아 (AOA) 71회 2월 4일 밥도둑 강남, 전혜빈 72회 2월 11일 대구 맛 골목 김민경, key (샤이니), 아이린 (레드벨벳) 73회 2월 18일 소고기 김완선, 김종민, 딘딘, 김동준 (제국의아이들) 74회 2월 25일 꼬치 박나래, 김준호, 후지이 미나 75회 3월 4일 대학가 맛집 육성재, 신원호, 프니엘, 홍진영 76회 3월 11일 봄특집 최민용, 제시, 에릭 남, 예린, 유주 (여자친구) 77회 3월 18일 매운맛 특집 산다라박, 정용화, 신동 (슈퍼주니어), 솔빈 (라붐), 다원 78회 3월 25일 제주도 특집 소진, 민아, 유라, 혜리 (걸스데이) 79회 4월 1일 기사식당 특집 장윤정, 효연 (소녀시대), 민규, 승관 (세븐틴) 80회 4월 8일 등산로 특집 김동현, 윤택, 예정화, 나라 (헬로비너스) 2017년 4월 14일부터 금요일 밤 11시 20분 시간대 변경 81회 4월 14일 학교 분식 슬기, 아이린 (레드벨벳), 로이킴, 딘딘 82회 4월 21일 남도 기행 손호영 (god), 정진운 (2AM), 강승윤, 이승훈 (위너) 83회 4월 28일 강원도의 맛 노사연, 홍수현, 피오 (블락비) 84회 5월 5일 돼지 파티 김용만, 이정신 (씨엔블루), 지민 (AOA), 로운 (SF9) 85회 5월 12일 포장맛차 오윤아, 육중완, 강준우 (장미여관) 86회 5월 19일 아재 입맛 특집 나연, 정연, 모모, 사나, 지효, 미나, 다현, 채영, 쯔위 (트와이스) 87회 5월 26일 O맥 특집 용준형, 이기광, 양요섭, 손동운 (하이라이트) 88회 6월 2일 세계요리 페스티벌 김태우 (god), 박소현, 조현 (베리굿) 89회 6월 9일 냉국수 특집 거미, 최윤영, 허경환 90회 6월 16일 도쿄 특집 김영철, 세정, 나영 (구구단) 91회 6월 23일 홍콩 특집 김민종, 황치열, 솔라 (마마무) 92회 6월 30일 소 한마리 특집 박재정, 경리 (나인뮤지스), 이홍기, 최종훈 (FT아일랜드) 93회 7월 7일 중화요리 짝꿍세트 강수지, 채연, 김진환, BOBBY (iKON) 94회 7월 14일 다시찾은 3대천왕 맛집로드 BEST 2017년 7월 21일부터 《백종원의 푸드트럭》으로 제목 변경 및 방송 각주[편집] ↑ 시간대 변경, 하니 MC 투입 ↑ 하니 MC 하차 ↑ 이휘재 MC 하차, 11월 26일은 《특집 SBS 8 뉴스》로 인해 결방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백종원의_3대천왕의_에피소드_목록&oldid=23090891" 분류: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에피소드 목록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1월 24일 (토) 22: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아래는 SBS TV의 예능 프로그램 《백종원의 3대천왕》의 에피소드 목록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텔레비전 프로그램 '백종원의 3대천왕'의 2017년 에피소드 목록은 어떨까? Assistant: 회차 방송일 방송 음식 게스트 67회 1월 7일 전주 맛 파이브 진, 제이홉 (방탄소년단) 68회 1월 14일 세계 국수 정채연, 김세정 (아이오아이), 천둥 (엠블랙) 69회 1월 21일 전국 찌개 토니안 (H.O.T.), 유수영 (S.E.S.) 70회 1월 28일 겨울 보양식 (설 특집) 정시아, 초아, 민아 (AOA) 71회 2월 4일 밥도둑 강남, 전혜빈 72회 2월 11일 대구 맛 골목 김민경, key (샤이니), 아이린 (레드벨벳) 73회 2월 18일 소고기 김완선, 김종민, 딘딘, 김동준 (제국의아이들) 74회 2월 25일 꼬치 박나래, 김준호, 후지이 미나 75회 3월 4일 대학가 맛집 육성재, 신원호, 프니엘, 홍진영 76회 3월 11일 봄특집 최민용, 제시, 에릭 남, 예린, 유주 (여자친구) 77회 3월 18일 매운맛 특집 산다라박, 정용화, 신동 (슈퍼주니어), 솔빈 (라붐), 다원 78회 3월 25일 제주도 특집 소진, 민아, 유라, 혜리 (걸스데이) 79회 4월 1일 기사식당 특집 장윤정, 효연 (소녀시대), 민규, 승관 (세븐틴) 80회 4월 8일 등산로 특집 김동현, 윤택, 예정화, 나라 (헬로비너스) 2017년 4월 14일부터 금요일 밤 11시 20분 시간대 변경 81회 4월 14일 학교 분식 슬기, 아이린 (레드벨벳), 로이킴, 딘딘 82회 4월 21일 남도 기행 손호영 (god), 정진운 (2AM), 강승윤, 이승훈 (위너) 83회 4월 28일 강원도의 맛 노사연, 홍수현, 피오 (블락비) 84회 5월 5일 돼지 파티 김용만, 이정신 (씨엔블루), 지민 (AOA), 로운 (SF9) 85회 5월 12일 포장맛차 오윤아, 육중완, 강준우 (장미여관) 86회 5월 19일 아재 입맛 특집 나연, 정연, 모모, 사나, 지효, 미나, 다현, 채영, 쯔위 (트와이스) 87회 5월 26일 O맥 특집 용준형, 이기광, 양요섭, 손동운 (하이라이트) 88회 6월 2일 세계요리 페스티벌 김태우 (god), 박소현, 조현 (베리굿) 89회 6월 9일 냉국수 특집 거미, 최윤영, 허경환 90회 6월 16일 도쿄 특집 김영철, 세정, 나영 (구구단) 91회 6월 23일 홍콩 특집 김민종, 황치열, 솔라 (마마무) 92회 6월 30일 소 한마리 특집 박재정, 경리 (나인뮤지스), 이홍기, 최종훈 (FT아일랜드) 93회 7월 7일 중화요리 짝꿍세트 강수지, 채연, 김진환, BOBBY (iKON) 94회 7월 14일 다시찾은 3대천왕 맛집로드 BEST 2017년 7월 21일부터 《백종원의 푸드트럭》으로 제목 변경 및 방송 Human: 아래 루이스_이나시우_룰라_다_시우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룰라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룰라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Luiz Inácio Lula da Silva 룰라 다 시우바 대통령(2007년) 브라질의 제35대 대통령 임기 2003년 1월 1일 ~ 2010년 12월 31일 부통령 조제 알렝카르 전임: 페르난두 엔히키 카르도주(제34대)후임: 지우마 호세프(제36대) 신상정보 출생일 1945년 10월 27일(1945-10-27) (73세) 출생지 브라질 페르남부쿠주 정당 노동자당(PT) 배우자 마리자 레티시아 종교 로마 가톨릭(해방신학) 웹사이트 http://www.presidencia.gov.br/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포르투갈어: Luiz Inácio Lula da Silva, 문화어: 루이스 이나씨오 룰라 다 씰바, 1945년 10월 27일 - )는 브라질의 노동운동가, 전 정치인으로, 대외적으로 룰라(Lula)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2002년 대통령 선거에 당선된 이후 2003년 브라질의 제35대 대통령에 취임했으며 2006년 선거에서 재선되었다. 목차 1 초기 생애 1.1 금속노동자가 되다 1.2 노동운동에 뛰어들게 되다 2 노동 운동 2.1 금속노조 위원장 2.2 브라질 가톨릭 교회의 연대 3 대통령 3.1 2002년 대통령 선거 3.2 집권 1기 (2003 ~ 2007) 3.2.1 중도좌파노선 3.2.2 정책 배경 3.2.3 복지정책 및 토지개혁 3.2.4 복지국가 만들기 3.2.4.1 볼사 파밀리아 3.2.5 복지와 토지개혁의 성공 3.3 집권 2기 (2007 ~ 2011) 4 부정부패 혐의 5 같이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초기 생애[편집] 금속노동자가 되다[편집] 룰라는 1945년 10월 6일 브라질 동북부 페르남부쿠주의 궁벽한 농촌 마을 카에치스(Caetes)에서 8남매 중 7번째로 태어났다. 본명은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로 룰라는 어릴 적부터 부르던 애칭이었다. 룰라라는 이름은 성인이 된 후 정식 이름에 덧붙였다. 대가족을 거느렸으나 가난했던 그의 부모는 루이스와 다른 가족을 데리고 상파울루주 산투스로 이주했고, 곧 상파울루 시로 옮겼다. 루이스는 어려운 집안 형편 때문에 10세가 되어서야 학교에 들어갈 수 있었고, 그 때까지 문맹 상태였다. 집안 형편은 나아지지 않아 학교를 4학년 때 그만두어야 했었으므로, 초등학교 4학년의 학력이 배움의 전부이다. 그 후 그는 상파울루의 거리에서 행상과 구두닦이를 하며 돈을 벌다가 금속 공장에 들어갈 기회를 얻게됐다. 그는 금속 공장에 다니면서 기술 학교에서 일을 배웠고, 18세 때는 금속을 깎아서 가공하는 기술인 선반 자격증도 취득했으나, 공장에서 사고를 당해 왼쪽 새끼 손가락을 잃었다. 노동운동에 뛰어들게 되다[편집] 산업 재해로 손가락을 잃은 것을 계기로 노동 운동에 관심을 갖게 됐다. 그는 공장에서 자신의 지위를 차츰 확보해 나가면서 어느 정도 생활의 여유를 갖게 됐고, 1968년에는 같은 공장에서 근무하던 여성과 결혼했다. 그러나 부인은 간염에 걸려 그 다음 해 뱃속의 아기와 함께 치료도 못 받고 죽었는데, 미리 아기 옷을 준비할 만큼 부인의 출산을 기다리던 룰라에게는 상처가 되는 일이었다. 부인의 병은 열악한 작업 환경에서 악화된 것으로 여겨졌고, 적절한 치료만 받았으면 충분히 나을 수 있는 것이었기에 룰라는 노동 운동에 본격적으로 참여해, 노조의 활동가가 됐다. 1974년 노조 활동을 하며 알게 된 여사무원 마리자 레티시아와 재혼했다. 노동 운동[편집] 금속노조 위원장[편집] 1975년 브라질 금속노조 위원장에 당선되면서 10만명 이상의 노조원의 대표가 되었다. 룰라 평전인 《브라질의 선택 룰라》(박원복 옮김, 가산)에 의하면 룰라는 노동자들과 소통하는 노동운동가였다. 그는 금속노조 위원장으로 일하던 시기에 노동자들의 요구를 귀담아들었다. 항상 사무실을 열어두어 노동자들과 그 가족들의 이야기를 커피를 대접하면서 귀담아들었으며, 퇴직금 정산을 시작으로 노동자들의 권리를 위해 일했다. 당연히 노동자들은 룰라 위원장을 신뢰하였다. 1978년에는 한국의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쌍용자동차같은 완성차 업체들의 금속노동자들이 정부의 임금정책을 거부하고 사용자와의 단체교섭을 요구하는 파업투쟁을 전개하였다. 완성차 업체 금속노동자들의 투쟁은 전국적인 총파업투쟁으로 발전하였으며 1979년,1980년에도 그러하였다. 노동자들의 이러한 권리의식은 신 노동조합운동 형성 및 브라질 노동자당(PT)창당 곧 노동자의 정치세력화로 발전하였다.노동자당은 지주 및 중산층 위주의 지방의회에서 주민 참여예산제를 주장하는 등 기존정당들과 다른 목소리를 내었다.[1] 브라질 가톨릭 교회의 연대[편집] 브라질의 전통교회인 가톨릭교회에서는 해방신학 노선의 성직자들이 노동운동과 연대했다. 브라질 교회에서는 파업투쟁을 하는 노동자들과의 연대로써 해방신학을 실천하였으며, 룰라가 노동운동하다가 경찰에 잡혀갔을 때에는 가톨릭교회 주교들이 발빠르게 이 사실을 널리 알림으로써, 결국 군사독재정권은 여론의 압력에 굴복하여 룰라를 석방할 수 밖에 없었다.[2] 대통령[편집] 2002년 대통령 선거[편집] 2002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기전에 룰라는 체 게바라 셔츠와 그의 무성한 턱수염으로 잘 알려진 공격적인 노동운동 지도자였다. 선거를 위한 캠페인에서 그는 그의 점잖지 못한 옷차림과 함께 브라질의 외채 상환을 그의 공약에서 포기하겠다고 했다. 그러한 선언은 세계경제에 거대한 파문효과를 준 아르헨티나 디폴트 선언의 뒤를 잇는 브라질의 부분적인 디폴트 선언을 두려워한 경제학자와 사업가, 은행들을 걱정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모범적으로 외채를 줄여감으로써 현실적인 외채정책을 실시하였으므로 이들의 걱정은 기우였다. 정치적 자문 두다 멘돈카(Duda Mendonca)의 조언을 따라 보다 미디어 친화적인 이미지를 추구한 룰라는 PSDB(브라질 사회민주당)의 후보자 조제 세하(Jose Serra)를 2002년 10월 27일 대통령선거에서 물리치고 브라질의 35번째 대통령이 되었다. 집권 1기 (2003 ~ 2007)[편집] 브라질을 방문한 대한민국의 노무현 대통령과 함께(2004년) 중도좌파노선[편집] 그의 대통령으로서의 정치적 경력을 시작한 뒤로부터 룰라는 그의 원래 아이디어 중 일부를 변경하고 그의 정치적 포지션을 중도좌파로 유연하게 바꿈으로써 시대의 흐름에 적응했다. 룰라는 취임연설에서 열광이 아닌,단계적으로 사회를 바꾸어가겠다고 말하였다.[3] 과거에 주장한 사회주의 노선의 사회변화(기간산업의 국유화, 외채지불 중지, 급진적 토지개혁)대신 룰라정권은 브라질 사회를 단계를 밞아감으로써 바꿔가는 사회민주주의 노선을 선택했다. 새로운 은퇴, 세금, 노동 관련의 법을 통과시켰으며 또한 대학교 교육의 변화에 대해 토론했다. 브라질 노동당의 몇몇 분파가 이러한 중도좌파노선을 거부하고 노동조직당이나 사회주의적 노동자 연합당, 자유사회당 같은 급진정당으로 이탈했다. 하지만 룰라의 현실에 근거한 정책은 노동자들로부터는 지지를 받았다. 정책 배경[편집] 룰라는 그가 선출된 이래 그의 공약가운데 복지 프로그램을 최우선적으로 실시했다. 군부독재정권 시기에 다국적 자본들이 경제원조한다는 구실로 외채를 빌려주어 브라질을 경제적으로 지배하는 외채문제, 소수의 지주들이 토지를 독점하여 대다수의 농민들이 무토지 농민인 심각한 빈부의 격차 등으로 인해 브라질 민중들이 가난으로 고통받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 왜 부자들을 돕는 것은 '투자'라고 하고, 가난한 이들을 돕는 것은 '비용'이라고 말하는가? ” — 룰라 복지정책 및 토지개혁[편집] 페르난두 엔히키 카르도주(Fernando Henrique Cardoso) 행정관에 의해 이미 시도된 바 있는, 굶주림을 근절시키자는 캠페인을 보다 확대시켜 포미제루 (Fome Zero)라는 이름의 캠페인으로 시도했다. 이 프로그램은 브라질에서의 굶주림을 끝장내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다른 일련의 프로그램과 함께 시행되었다. 브라질의 세라투(Serato)에서 건조지역 물탱크 건설, 청소년 임신 반대 운동, 가족 농업 강화[4], 빈민층에 대한 지원금 등등 과거 캄피나스(Campinas)의 조제 호베르투 마갈량이스 테이셰이라(Jose Roberto Magalhaes Teixeira) 시장에 의해 처음으로 도입된 조건부 학습 지원 프로그램 보우사 이스콜라(Bolsa Escola)→학습 허가 프로그램을 볼사 파밀리아 라는 이름으로 확대하여 실시했다. 이것은 그의 정책중 가장 큰 규모의 사회 프로그램이었다. 복지국가 만들기[편집] 룰라정권은 사회민주주의 정권으로서, 남미에서 가장 심각한 빈부의 격차를 복지국가를 만들어감으로써 줄이고자 하였다. 룰라정권이 선거로써 출범하기 직전인 2001년에서 2002년 브라질의 빈곤층은 전 인구의 31-35%였으며, 1985년에는 빈곤선 이하(생존하려면 있어야 하는 열랑인 2천 1백칼로리보다 먹지 못하는 빈곤층)가 5,492만명이었고, 군사독재정권이 끝나고 민주주의가 뿌리내린 후에도 비슷했다. 이들은 주로 대도시와 북동부지역에 밀집했다. 볼사 파밀리아[편집] 볼사 파밀리아란 빈곤층을 취학지원, 음식구입지원, 연료비 지원, 음식구입카드 입금제로써 배려하는 가족지원금 정책을 뜻한다. 2003년 시작했고, 1인당 수입이 월 50헤아우 이하인 가족들에게는 월 50헤아우를 지원하고, 월 1백 헤아우보다 수입이 낮은 가족은 미취학어린이 1인당 15헤아우씩 최대 45헤아우까지 지급했다. 수급자는 자녀들을 학교에 보내고 예방접종을 맞게 해야 하고, 읽고 쓰는 공부, 직업교육등을 해야 하였다.[5] 복지와 토지개혁의 성공[편집] 포미제루는 국가예산외에 국제사회로부터의 기부금으로 운영되었다. 볼사 파밀리아는 그것이 선거를 위한 무기 라는 내부적 비판에도 불구하고 그 업적으로 인해 국제적으로 칭송받았다. 포미 제루와 보우사 파밀리아 같은 프로젝트 보다 룰라행정부의 최우선 프로그램은 PAC 경제 성장 가속 프로그램이었다. 그것은 브라질의 기간사업을 강화 시키고 결과적으로 경제를 자극시켜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는 것이 사실이다. 집권 2기 (2007 ~ 2011)[편집] 리우데자네이루 구세주 예수상 앞에서 리우데자네이루 주지사 세르지우 카브라우 필류와 함께 (2007년) 좌파인 룰라의 재임기간동안 브라질은 높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해 채무국에서 채권국으로 전환됐고, 세계 8위 경제국으로 성장했다. 또한 빈민들에 대한 식량 무상제공, 저소득층 생계비 지원, 빈곤한 노동빈곤층의 임금향상, 미취학 아동이 있는 가정의 경우 취학을 전제로 한 생계비 지원, 최저임금의 현실화 등의 복지정책 등이 높은 호응을 얻었다. 룰라는 보수세력을 러닝메이트로 지목했고, 우파정당과 정책연합을 구성하는 등 반대 성향의 세력들과의 소통에도 노력했다.[6] 2010년 12월 29일 여론조사기관 센수스·이보페가 룰라의 퇴임을 앞두고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룰라 대통령에 대한 브라질 사람들의 지지율은 87%였다. 상파울루주의 지지율은 95%를 넘었다.[7] 부정부패 혐의[편집] 좌파와 가톨릭교회의 적극적 지지를 받은 룰라는 하지만 뒤로는 여러 가지 부정부패 행위를 저질러 퇴임 후 검찰에 기소되었다. 브라질 연방검찰은 2016년 12월 15일 룰라와 그 아들 루이스 클라우지우 등 4명을 부당한 영향력 행사와 돈세탁 등 부패 혐의로 기소했다. 룰라 전 대통령의 부인 마리자 레치시아와 대형 건설업체 오데브레시의 최고경영자(CEO)를 지낸 마르셀루 오데브레시, 안토니우 팔로시 전 재무장관 등도 함께 기소됐다. 룰라는 스웨덴 다국적 기업 사브와 그리펜NG 전투기 구매 계약을 맺는 과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했다는 혐의로 기소되었다. 또 지우마 호세프 전 대통령 정부에 영향력을 행사해 자동차 업체들에 세제 혜택을 연장해줬다는 혐의도 받고 있다. 룰라는 또 M&M이라는 컨설팅 회사의 의뢰를 받아 두 건에 개입했고, M&M은 그 대가로 룰라의 아들 클라우지우가 운영하는 스포츠 마케팅 회사에 255만 헤알(약 8억8천만 원)을 전달했다.[8] 또 룰라는 대통령직에서 퇴임하면서 국영에너지회사 페트로브라스에서 450억원을 받았다는 건설업자의 폭로도 나왔다.[9] 한때 룰라가 2018년 1월 1일에 실시하는 대통령선거에 출마할 가능성이 점쳐졌으나,[10] 뇌물 수수 및 돈세탁 혐의로 1심에서 징역 9년 6개월 형을 선고받았고[11] 2018년 1월 말 열린 2심 재판에서 12년 1개월 징역형을 선고받고 4월 7일 체포영장이 발부되어 수감되었다. 그의 대선 출마는 사실상 좌절되었다. [12] 같이 보기[편집] 볼사 파밀리아(en:Bolsa Família) 각주[편집] ↑ 중남미 좌파집권경험과 사회변혁의 과제,진보신당 경기도당 부천당원협의회 당원교양강좌 교재 ↑ 《탐욕의 시대》/장 지글러 지음/양영란 옮김/갈라파고스 ↑ 《브라질의 선택 룰라》/브리뚜 알비스 지음/박원복 옮김/가산 ↑ 무토지 농민 곧 소작인에게 무상으로 농사를 지을 수 있는 토지를 제공하고 농업기술을 가르침으로써 지주의 착취에 의한 소작인들의 만성빈곤을 개혁하는 토지개혁. 브라질 가톨릭교회의 해방신학자 동 엘데르 카마라 대주교는 대다수의 농민들이 무토지 농민으로 지주의 착취에 의해 비참한 생활을 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무토지 농민들이 토지를 점거하는 등 계급간의 갈등이 심각할 수밖에 없었다. ↑ 《브라질에서 진보의 길을 묻는다》/조돈문 지음/후마니타스 320-321쪽 ↑ 브라질 '룰라', 성공한 좌파 대통령[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mbc 2010년 12월 31일 ↑ 8년만에 빈곤층 11%P 감소…브라질 역사 바꿨다 한국경제 2010년 12월 30일 ↑ 브라질 연방검찰, 룰라 전 대통령 부패혐의로 추가 기소 연합뉴스 2016년 12월 16일 ↑ 브라질 뇌물 스캔들 “룰라, 450억 원 챙겨” KBS뉴스 2017년 4월 14일 ↑ 브라질 룰라 "존재감 여전"…2018년 대선 출마설 ↑ “룰라 브라질 前대통령 징역 9년6월刑… 내년 大選구도 급변”. 《문화일보》. 2017년 7월 13일. 2017년 7월 17일에 확인함.  ↑ “룰라 브라질 前대통령 수감…대선출마 사실상 좌절”. 《연합뉴스》. 2018년 4월 8일. 2018년 4월 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와 분류가 있습니다.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분류) 지식채널e - 룰라 다 시우바 전임페르난두 엔히키 카르도주 제35대 브라질의 대통령2003년 1월 1일 ~ 2010년 12월 31일 후임지우마 호세프 전임페르난두 엔히키 카르도주 브라질의 국가 원수2003년 1월 1일 ~ 2010년 12월 31일 후임지우마 호세프 vdeh브라질의 대통령구 공화국 데오도루 다 폰세카 플로리아누 페이쇼투 프루덴치 지 모라이스 캄포수 살레스 호드리게스 아우베스 아폰수 페나 니우루 페차냐 에르미스 다 폰세카 벤세슬라우 브라스 데우핑 모레이라 에피타시우 페수아 아르투르 베르나지스 와싱통 루이스 줄리우 프레스치스 메나 바레투 이사이아스 지 노로냐 바르가스 시대 아우구스투 프라구수 제툴리우 바르가스 조제 리나레스 1946년의 공화국 에우리쿠 가스파르 두트라 제툴리우 바르가스 주앙 카페 필류 카를루스 코임브라 다 루스 네레우 지 올리베이라 주셀리누 쿠비체크 자니우 쿠아드루스 하니에리 마실리 주앙 굴라르 군사 독재 하니에리 마실리 카스텔루 브랑쿠 아르투르 다 코스타 이 시우바 아우렐리우 지 리라 타바레스 아우구스투 하데마케르 마르시우 멜루 에밀리우 가라스타주 메디시 에르네스투 가이젤 주앙 바프티스타 지 올리베이라 피게이레두 신 공화국 탕크레두 네베스 조제 사르네이 페르난두 콜로르 이타마르 프랑쿠 페르난두 엔히키 카르도주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지우마 호세프 미셰우 테메르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거 통제 WorldCat VIAF: 98020187 LCCN: n82021520 ISNI: 0000 0001 2144 7694 GND: 120309858 SELIBR: 91937 SUDOC: 078995906 BNF: cb12505169r (데이터) BIBSYS: 10074933 NLA: 35761290 NKC: vse2008445795 BNE: XX100149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루이스_이나시우_룰라_다_시우바&oldid=24475685" 분류: 1945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페르남부쿠주 출신브라질의 정치인브라질의 대통령노동 운동가브라질의 사회주의자브라질의 로마 가톨릭교도브라질 노동자당의 정치인브라질의 장애인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포르투갈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문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kanAlemannisch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islamaBahasa BanjarBrezhoneg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Словѣньскъ / ⰔⰎⰑⰂⰡⰐⰠⰔⰍⰟ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miliàn e rumagnòl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ArpetanGaeilgeGalegoAvañe'ẽGaelgעבריתहिन्दीHrvatskiHornjoserbsce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LatinaLëtzebuergeschLumbaartLietuviųLatviešuMalagasy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Mirandésمازِرونی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Papiamentu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ArmãneashtiРусскийKinyarwanda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Tetun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吴语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4일 (월) 21:1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브라질 포르투갈어: Luiz Inácio Lula da Silva, 문화어: 루이스 이나씨오 룰라 다 씰바, 1945년 10월 27일~)는 브라질의 제35대, 제39대 대통령이다. 2002년과 2006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어 총 8년의 임기를 마치고 퇴임하였으나 2022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에 재출마 후 당선되어 13년 만에 브라질 최초의 3선 대통령이 되었다.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난 룰라는 가족과 함께 페르남부쿠에서 상파울루로 이주했다. 룰라는 금속노동자 및 노동조합 운동가로 일했으며, 자신의 이름 루이스의 단축형 이름인 룰라라는 별명을 얻었다. 극우 군사독재정권 시절 ABC 파울리스타에서 대규모 노동자 파업을 주도했으며, 1980년 노동자당 창당을 주도했다. 1985년 군사독재정권이 붕괴되면서 브라질 정부는 이듬해 총선이 열릴 것이라 선언되었고, 1986년, 룰라는 기록적인 득표율로 상파울루 주 연방 하원의원에 선출되었다. 1989년, 처음으로 브라질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2차 투표에서 페르난두 콜로르 지 멜루에게 53-47%로 패했다. 룰라는 또한 1994년, 1998년에 두 차례 더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1차 투표에서 페르난두 엔히키 카르도주에게 패했다. 2002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에서는 2차 투표에서 조제 세하를 꺾고 승리하여 2003년 1월, 브라질의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2006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에서는 2차 투표에서 제라우두 아우키민을 상대로 승리한 후 재선에 성공했다. 룰라 행정부는 보우사 파밀리아와 포미 제루와 같은 사회 프로그램 도입을 이정표로 삼았다. 두 번에 걸친 대통령 임기 동안 룰라는 브라질에서 사회 경제 변화를 가져온 일련의 개혁과 변화에 착수하여 브라질의 1인당 국내총생산은 3배로 증가하고 국가 신용 등급이 상승했다. 외교 정책에서는 이란의 핵 문제, 지구 온난화, 메르코수르, 브릭스와 관련된 활동을 포함하여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룰라는 브라질 역사상 가장 인기 있는 정치인으로 평가 받았으며, 대통령으로서도 큰 인기를 누렸다. 룰라의 후계자 지우마 호세프는 2010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에서 조제 세하를 물리쳤으며, 2014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에서는 아에시우 네브스를 물리치고 재선에 성공했다. 룰라는 대통령 퇴임 이후에도 정치 현장에서 계속 활동했으며, 한동안 브라질과 해외에서 강의 활동을 했다. 2016년 3월, 지우마 호세프의 지시로 룰라는 수석장관에 임명되었지만, 브라질 대법원의 반발로 임명이 보류되었다. 2017년 7월, 브라질 연방 판사 세르지우 모루는 라바 자투 작전의 일환으로 룰라에게 부패 및 자금 세탁 혐의를 적용해 징역형 9년 6개월을 선고하였다. 2심에서 형이 확정되면서 형이 더 높아졌으며, 2018년 4월에는 체포되어 브라질 연방경찰에 인도되었다. 2019년 11월, 룰라는 브라질 연방대법원이 최종적이고 항소할 수 없는 결정에 따라서만 형 집행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결정한 지 하루 만에 석방되었다. 2021년 3월, 브라질 연방대법원 (STF) 대법관 에드송 파친이 라바 자투에 대한 유죄 판결을 취소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룰라의 정치 복권이 이루어졌다. 또한 2021년 3월, 브라질 연방대법원은 세르지우 모루 전 판사가 룰라에게 실형을 선고한 것은 편파적이었다고 판결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와 관련된 부정부패 혐의는 무엇이있나요? Assistant: 좌파와 가톨릭교회의 적극적 지지를 받은 룰라는 하지만 뒤로는 여러 가지 부정부패 행위를 저질러 퇴임 후 검찰에 기소되었다. 브라질 연방검찰은 2016년 12월 15일 룰라와 그 아들 루이스 클라우지우 등 4명을 부당한 영향력 행사와 돈세탁 등 부패 혐의로 기소했다. 룰라 전 대통령의 부인 마리자 레치시아와 대형 건설업체 오데브레시의 최고경영자(CEO)를 지낸 마르셀루 오데브레시, 안토니우 팔로시 전 재무장관 등도 함께 기소됐다. 룰라는 스웨덴 다국적 기업 사브와 그리펜NG 전투기 구매 계약을 맺는 과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했다는 혐의로 기소되었다. 또 지우마 호세프 전 대통령 정부에 영향력을 행사해 자동차 업체들에 세제 혜택을 연장해줬다는 혐의도 받고 있다. 룰라는 또 M&M이라는 컨설팅 회사의 의뢰를 받아 두 건에 개입했고, M&M은 그 대가로 룰라의 아들 클라우지우가 운영하는 스포츠 마케팅 회사에 255만 헤알(약 8억8천만 원)을 전달했다.[8] 또 룰라는 대통령직에서 퇴임하면서 국영에너지회사 페트로브라스에서 450억원을 받았다는 건설업자의 폭로도 나왔다.[9] 한때 룰라가 2018년 1월 1일에 실시하는 대통령선거에 출마할 가능성이 점쳐졌으나,[10] 뇌물 수수 및 돈세탁 혐의로 1심에서 징역 9년 6개월 형을 선고받았고[11] 2018년 1월 말 열린 2심 재판에서 12년 1개월 징역형을 선고받고 4월 7일 체포영장이 발부되어 수감되었다. 그의 대선 출마는 사실상 좌절되었다. [12]
Human: 아래 건축회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건축회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건축회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건축기업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940년대의 건축 사무소 건축회사는 건축 종사자들이 건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회사는 자격을 가진 건축가를 고용하거나 개인 건축가들과 계약한다. 목차 1 역사 2 자격증 획득과 법률적 양식 3 대표자 4 조직 5 같이 보기 6 각주 역사[편집] 건축가는 역사가 기록되기 시작한 시기부터 존재해왔다. 기록된 최초의 건축가들은 기원전 2600년의 임호텝과 기원전 1470년의 세네무트를 포함한다. 이 건축가들이 어떻게 그들의 작업을 계획했는지에 대한 기록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들이 귀족으로서 그들의 작업을 다듬고 실행하기 위해 보조 직원과 하인을 가지고 있었으리라고 가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남겨진 건축에 관한 제일 오래된 책인 De architectura는 로마 건축가 비트루비우스에 의해 쓰여졌는데, 이 책은 마을, 건물, 시계, 기계의 건설과 설계에 대해 묘사하지만, 건축가의 보조원의 조직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는다. 전반적인 인류의 역사에서 대부분의 건축가는 일차적인 소득을 설계 외의 활동에서 얻고 설계를 시간제의 소일거리로서 즐기며 프로젝트별로 보조원들을 고용하는 부유한 개인들로 알려져 있다. 건축이 풀타임으로 일하는 전문직이 되고 특정한 훈련과 인증이 제공되기 시작한 것은 불과 19세기부터였다. 미국에서 찰스 불핀치는 최초의 풀타임 전문 건축가로 알려져 있다. 헨리 홉슨 리차드슨은 아마 건축 사무실을 가진 최초의 사람들 중 한 명일 것이고 McKim, Mead, and White는 최초의 크고 현대적인 건축회사 중 하나일 것이다.[1] 미국의 활동 중인 건축회사 중 제일 오래된 것은 디트로이트의 SmithGroup과 루이스빌의 Luckett and Farley인데 둘 다 1853년에 설립되었다. 영국에서는 요크주에 설립된 Brierley Groom 이 제일 오래된 회사다. 이들은 아마 세계에서 제일 오래된 활동 중인 건축회사일 것이다. 자격증 획득과 법률적 양식[편집] 영국과 다른 여러 나라들에서 건축회사는 사업자 등록을 해야 한다. 회사는 온전한 건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조직 내에 한 명 이상의 자격을 가진 전문 건축가가 있어야 한다. 전문인배상책임보험도 필수적이다. 대표자[편집] 인 (법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영국과 다른 여러 나라들에서 건축회사의 대표자는 회사의 활동에 대한 책임이 있다. 대표자는 보통 자격을 가진 건축가, 건축기술자, 공학자나 건축설계사이다. 조직[편집] 5명보다 적은 직원이 있는 소형 회사는 보통 공식적인 조직도가 없고, 일을 조직하는 데 대표자와 고용인들의 개인적인 관계에 의존한다. 5명에서 50명 사이의 직원이 있는 중형 회사는 보통 설계, 생산, 사업 개발, 건축 관리와 같이 분야별로 부서들이 조직된다. 50명이 넘는 직원이 속한 대형 회사는 부서별로, 지역별로, 또는 프로젝트의 종류에 특화한 작업실별로 조직될 수 있다. 다른 조합 또한 존재한다.[2] 정보기술의 발달은 기업이 세계의 다른 장소에 사무실을 열거나 다른 기업과 연합을 맺는 일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는 예를 들자면 작업의 어떤 부분은 미국이나 영국에서 행해지고, 다른 부분은 멕시코나 인도에서 행해지는 것을 가능하도록 했다. 아시아의 인건비가 낮고 고도로 숙련된 전문가들을 추가하면, 어떤 회사들은 2교대나 3교대로 작업을 할 수 있다.[출처 필요] 인도와 중국의 늘어나는 개발업자들이 미국과 유럽의 기업을 지역 개발에 고용하고 있다는 것 또한 중요하다. 실제로 미국과 유럽에 외주를 주고 있으며 건축 기업들에 의해 협동이나 하청이 자주 일어난다. 최근의 시장 상황은 이러한 경향을 가속시켜왔고, 늘어나고 있는 중국과 인도의 건축회사들은 이제 서양의 건축가에게 외주를 맡기고 있다.[출처 필요] 이러한 전 세계에서 찾아볼 수 있는 건축기업들의 시도의 장기적인, 확산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지켜보아야 할 것이다. 같이 보기[편집] 건축회사의 목록 건축가의 목록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건축회사 ↑ Stanny: The Gilded Life of Stanford White, Paul Baker, 1989 ↑ Demkin, Joseph;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2001). 《The Architect's Handbook of Professional Practice, 13th Ed.》. John Wiley and Sons. ISBN 0-471-41969-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건축회사&oldid=21332987" 분류: 건설 기업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8년 3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日本語Nederlands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5월 21일 (월) 15: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건축회사는 건축 종사자들이 건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회사는 자격을 가진 건축가를 고용하거나 개인 건축가들과 계약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몇 명 이상의 직원이 있어야 대형 회사일까? Assistant: 50명 Human: 아래 장단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장단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단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장단군(長湍郡)은 경기도 북서부에 있었던 군이다. 한국 전쟁 이후 군사분계선 이남의 전 지역이 민간인출입통제구역으로 설정되어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다가, 1972년 12월 28일에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을 제외하고는 폐지되었다. 1945년 광복 당시 장단군은 면적 722 km², 인구 6만7천여 명으로, 10면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군청은 장단면 도라산리(都羅山里)에 소재하였다. 대한민국 이북5도위원회에서는 장단군을 포함해 개성시, 개풍군 등 경기도 북부 3개시·군에 대해 명예시장·군수 및 면·동장을 임명하고 있다.[1][2] 현재 이 지역에는 파주시에 편입된 4개면(장단면·군내면·진동면·진서면)을 관할하는 파주시 장단출장소(군내면 백연리 소재)와 연천군에 편입된 장남면을 관할하는 연천군 장남면사무소가 설치되어 있고, 장도면과 대강면 지역은 연천군 백학면에서 관할한다.[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할 지역은 개풍군 영북면 월고리 및 연천군 서남면 지역을 합쳐 장풍군이 설치되어 있다. 목차 1 역사 1.1 미군정 및 대한민국 1.2 소련군정 및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 교통 3 이북5도위원회의 행정구역 4 함께 보기 5 각주 역사[편집] 삼한시대 : 습천군(濕川郡) 삼국시대 고구려 : 장천성현(長淺城縣)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 장단현(長湍縣) 1001년(고려 목종 4) : 단주(湍州) 1018년(고려 현종 9) : 장단현 1414년(조선 태종 14년) : 임단현(臨湍縣) 1419년(조선 세종 1년) : 장단현 1456년(조선 세조 2년) : 임진현(臨津縣) 1459년(조선 세조 5년) : 장단군 승격 1469년(조선 예종 1년) : 장단도호부 승격 1895년 : 23부제 시행으로 개성부 장단군이 됨 1896년 : 경기도 장단군 1906년 : 개성부 대남면, 소남면을 편입. 장동면, 강동면을 마전군으로 이관. 1914년 : 진현내면·진북면을 군내면으로, 하도면·상도면·중서면을 진남면으로, 송남면·송서면을 진서면으로, 강서면·강북면을 강상면으로, 강남면·대위면을 대강면으로, 서도면·동도면·장북면을 장도면으로, 장서면 일부·고남면·장현내면을 장남면으로, 진동면·장서면 일부를 진동면으로 각각 통합 1938년 1월 1일 : 진남면을 장단면으로 개칭.[4] 1945년 9월 2일 : 미국과 소련이 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함으로써 장단면·군내면·장남면·진동면·진서면은 미군정 관할 아래, 38선 이북인 강상면·대강면·대남면·소남면·장도면은 소련군정 관할 아래 들아갔다. (10면 → 5면) 미군정 및 대한민국[편집] 1945년 11월 4일 : 장도면과 개풍군 영남면의 38선 이남지역이 진서면에 편입되었다.[5] 1953년 7월 27일 : 한국 전쟁의 결과, 군(郡)의 거의 전지역이 민간인출입통제구역으로 설정되어 사실상 행정구역의 기능을 상실했다. 판문점이 위치하는 진서면 대부분이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이 되고 대강면과 장도면은 극히 일부가 수복되었는데, 대강·장도면의 수복지구와 군사분계선 이남의 진서면은 모두 비무장지대 안에 위치하고 있다.[6] 1954년 11월 17일 : 대강면, 장도면 등의 수복지구가 연천군에 편입되었다.[7]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장단군 강상면의 수복지구(실제로는 면 전체가 미수복지구) 연천군 왕징면 일부 장단군 대강면, 장도면의 수복지구와 장남면 판부리 연천군 백학면 일부 1963년 1월 1일 : 군내면이 파주군 임진면에, 장남면이 연천군 백학면에 각각 편입되었다.[8] 1965년 5월 1일 : 연천군 백학면 원당리(장남면)에 원당출장소가 설치되었다.[9] 1972년 12월 28일 : 진동면 및 장단면·진서면의 수복지구가 파주군에 편입되어 장단군이 폐지되고, 파주군 군내면이 면으로 복구되었다.[10] 1979년 5월 1일 : 파주군 군내면에 군내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89년 4월 1일 : 연천군 원당출장소가 장남면으로 승격하였다.[11] 2011년 5월 1일 : 파주시 군내출장소가 장단출장소로 개칭되었다.[12] 소련군정 및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장풍군 및 판문군입니다. 1945년 9월 : 38선 이북의 장단군(강상면·대강면·대남면·소남면·장도면)과 개풍군(영남면·영북면·북면)을 합쳐 황해도 장풍군 설치. 1952년 12월 : 장단군 진서면과 개풍군 봉동면·상도면·중면·흥교면·임한면에 판문군 신설. 2002년 11월 : 판문군 폐지. 교통[편집] 서울과 개성 · 평양 · 신의주를 잇는 길목으로 주요 도로(국도 제1호선)와 철도(경의선)가 지나며, 경의선에는 장단역이 있었다. 남북 간에 다시 경의선이 연결되면서 현재 장단군 지역에는 남측에 도라산역이 다시 설치되었으나, 장단역은 비무장지대(DMZ) 내에 위치하고 있어 복구되지 못하고 있다. 이북5도위원회의 행정구역[편집] 장단군은 10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읍면 면적(km2) 리의 수 리(里) 비고 장단면(長湍面) 10 도라산(都羅山) 동장(東場) 노상(蘆上) 노하(蘆下) 서장(西場)정동(井洞) 덕산(德山) 거곡(巨谷) 석곶(石串) 강정(江井) 파주시에 편입군내면 백연리에 출장소 설치장단면 서장리·덕산리 미수복 군내면(郡內面) 7 읍내(邑內) 점원(點元) 방목(芳木) 정자(亭子) 백련(白蓮)[13]송산(松山) 조산(造山) 진동면(津東面) 5 하포(下浦) 동파(東波) 서곡(瑞谷) 초(哨) 용산(龍山) 진서면(津西面) 8 눌목(訥木) 분지(芬芝) 금릉(金陵) 어룡(魚龍) 경릉(景陵)전제(田齊) 선적(仙跡) 대원 금릉리, 어룡리파주시에 편입 장남면(長南面) 5 고랑포(高浪浦) 원당(元堂) 반정(伴程) 판부(板浮) 자작(自作) 연천군에 편입원당리에 면사무소 설치 장도면(長道面) 10 고읍(古邑) 사시(沙是) 석주원(石柱院) 중(中) 상(上) 하(下)오음(梧陰) 항동(項洞) 매현(梅峴) 두매(杜梅) 항동리, 매현리, 오음리연천군 백학면에 편입 대강면(大江面) 5 청정(靑廷) 나부(羅浮) 포춘(浦春) 우근(禹勤) 독정(篤正) 포춘리연천군 백학면에 편입 강상면(江上面) 7 구화(九化) 마성(馬城) 덕적(德積) 갈운(葛雲) 임강(臨江)자하(紫霞) 솔랑(率浪) 전 지역 미수복 대남면(大南面) 5 위천(渭川) 성곡(聖谷) 석촌(石村) 장좌(長佐) 가곡(佳谷) 소남면(小南面) 5 유덕(有德) 지금(知琴) 홍화(弘化) 박연(朴淵) 두곡(斗谷) 함께 보기[편집] 장단군의 국회의원 장단경찰서 각주[편집] ↑ 미수복경기 이북5도위원회 홈페이지. 연천군에 편입된 장남면이 1989년에 복구된 것을 간과하고 있다. ↑ 장남면 홈페이지 ↑ “파주 민통선마을 관할 출장소명 '군내→장단' 변경”. 연합뉴스. 2011년 5월 16일.  ↑ 군청소재 면명을 군명에 따라 개정 동아일보, 1937.12.16. ↑ 군정법령 제22호 시도직제 (1945년 11월 3일) ↑ 장단군 지도 (1945년 8월 15일) Archived 2016년 3월 17일 - 웨이백 머신 민족문화대백과, 2017년 7월 3일 확인. ↑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1954년 10월 21일) ↑ 법률 제1178호 수복지구와동인접지구의행정구역에관한임시조치법 (1962년 11월 21일) ↑ 연천군 군조례 제111호 (1965년 4월 30일) ↑ 법률 제2395호 수복지구와동인접지구의행정구역에관한임시조치법 (1972년 12월 28일) ↑ 연천군 군조례 제2026호 (1989년 3월 30일) ↑ 파주시 조례 제939호 행정기구 및 정원조례 (2011년 4월 15일) ↑ 독음이 '백연리'로 변경되었다. vdeh이북5도의 행정 구역황해도3시 사리원시 송림시 해주시 17군 곡산군 금천군 벽성군 봉산군 서흥군 송화군 수안군 신계군 신천군 안악군 연백군 옹진군 은율군 장연군 재령군 평산군 황주군 평안남도2시 진남포시 평양시 14군 강동군 강서군 개천군 대동군 덕천군 맹산군 성천군 순천군 안주군 양덕군 영원군 용강군 중화군 평원군 평안북도1시 신의주시 19군 강계군 구성군 박천군 벽동군 삭주군 선천군 영변군 용천군 운산군 위원군 의주군 자성군 정주군 창성군 철산군 태천군 초산군 후창군 희천군 함경남도3시 원산시 함흥시 흥남시 16군 갑산군 고원군 단천군 문천군 북청군 삼수군 신흥군 안변군 영흥군 이원군 장진군 정평군 풍산군 함주군 홍원군 혜산군 함경북도3시 나진시 성진시 청진시 11군 경성군 경원군 경흥군 길주군 명천군 무산군 부령군 온성군 종성군 학성군 회령군 미수복 시·군강원도 김화군 이천군 통천군 평강군 회양군 경기도 개성시 개풍군 장단군 이외에도 강원도 철원군 마장면 전부, 내문면·북면 대부분, 인목면 일부, 어운면·묘장면 극히 일부, 양구군 수입면 대부분, 동면 극히 일부, 인제군 서화면 일부, 고성군 장전읍·외금강면·서면 전부, 고성읍·수동면 일부 및 경기도 연천군 서남면·삭녕면 대부분, 왕징면 극히 일부가 군사분계선 이북에 있다. 반면, 강원도 김화군의 남부(김화읍·서면·근남면 전부, 근북면·원남면 일부, 근동면·원동면·임남면 극히 일부)와 평강군 남면 정연리, 경기도 장단군의 남부(진동면·장남면 전부, 군내면·장단면 대부분, 진서면·장도면·대강면 극히 일부)는 군사분계선 이남으로, 각각 철원군과 파주시·연천군에 편입되어 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장단군&oldid=24269772" 분류: 1469년 폐지1895년 설치1972년 폐지경기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연천군의 역사파주시의 역사장단군장풍군금천군개성특급시분단된 지역대한민국의 폐지된 군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폐지된 군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4일 (금) 11: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장단군(長湍郡)은 경기도 북서부에 있었던 군이다. 6.25 전쟁 이후 군사분계선 이남의 전 지역이 민간인출입통제구역으로 설정되어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다가, 1972년 12월 28일에 폐지되었다. 군사분계선 이북에서도 1945년 11월 개풍군과 함께 장풍군이 설치되어 폐지되었다. 1945년 광복 당시 장단군은 면적 722 km2, 인구 6만7천여 명으로, 10면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군청은 장단면 도라산리(都羅山里)에 소재하였다. 대한민국 이북5도위원회에서는 장단군을 포함해 개성시, 개풍군 등 경기도 북부 3개시·군에 대해 명예시장·군수 및 면·동장을 임명하고 있다.현재 이 지역에는 파주시에 편입된 4개면(장단면·군내면·진동면·진서면)을 관할하는 파주시 장단면 행정복지센터(군내면 백연리 소재)와 연천군에 편입된 장남면을 관할하는 연천군 장남면사무소가 설치되어 있고, 장도면과 대강면 지역은 연천군 백학면에서 관할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할 지역은 개풍군 영북면 월고리 및 연천군 서남면 지역을 합쳐 장풍군이 설치되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장단군은 모두 10개의 면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면의 세부사항은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읍면 면적(km2) 리의 수 리(里) 비고 장단면(長湍面) 10 도라산(都羅山) 동장(東場) 노상(蘆上) 노하(蘆下) 서장(西場)정동(井洞) 덕산(德山) 거곡(巨谷) 석곶(石串) 강정(江井) 파주시에 편입군내면 백연리에 출장소 설치장단면 서장리·덕산리 미수복 군내면(郡內面) 7 읍내(邑內) 점원(點元) 방목(芳木) 정자(亭子) 백련(白蓮)[13]송산(松山) 조산(造山) 진동면(津東面) 5 하포(下浦) 동파(東波) 서곡(瑞谷) 초(哨) 용산(龍山) 진서면(津西面) 8 눌목(訥木) 분지(芬芝) 금릉(金陵) 어룡(魚龍) 경릉(景陵)전제(田齊) 선적(仙跡) 대원 금릉리, 어룡리파주시에 편입 장남면(長南面) 5 고랑포(高浪浦) 원당(元堂) 반정(伴程) 판부(板浮) 자작(自作) 연천군에 편입원당리에 면사무소 설치 장도면(長道面) 10 고읍(古邑) 사시(沙是) 석주원(石柱院) 중(中) 상(上) 하(下)오음(梧陰) 항동(項洞) 매현(梅峴) 두매(杜梅) 항동리, 매현리, 오음리연천군 백학면에 편입 대강면(大江面) 5 청정(靑廷) 나부(羅浮) 포춘(浦春) 우근(禹勤) 독정(篤正) 포춘리연천군 백학면에 편입 강상면(江上面) 7 구화(九化) 마성(馬城) 덕적(德積) 갈운(葛雲) 임강(臨江)자하(紫霞) 솔랑(率浪) 전 지역 미수복 대남면(大南面) 5 위천(渭川) 성곡(聖谷) 석촌(石村) 장좌(長佐) 가곡(佳谷) 소남면(小南面) 5 유덕(有德) 지금(知琴) 홍화(弘化) 박연(朴淵) 두곡(斗谷)
Human: 아래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알츠하이머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알츠하이머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6년 4월) 알츠하이머병 일반인의 뇌 (왼쪽)와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 (오른쪽)의 비교. ICD-10 G30, F00 ICD-9 331.0, 290.1 질병DB 490 MeSH D000544 MedlinePlus 000760 OMIM 104300 알츠하이머병을 발견한 알로이스 알츠하이머(Alois Alzheimer) 알츠하이머병(영어: Alzheimer's disease, AD 또는 Alzheimer's)은 치매의 가장 흔한 형태이며 75%의 치매 환자가 알츠하이머병이다. 현대 의학에서는 치료할 수 없는 질병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증상이 악화되며 결과적으로 죽음에 이른다. 1906년 독일의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인 알로이스 알츠하이머(Alois Alzheimer)에 의해 알려졌다.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 70%정도는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발병하였다. 다른 원인으로는 두부 손상, 우울증, 고혈압 등이 있다. 일부 치료는 증상을 일시적으로 개선 할 수 있지만 증상을 멈추거나 진행을 역전시킬 수는 없다. 환자는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을 받기 위해 점점 더 의존하며 종종 간병인에게 부담을 준다. 그 부담은 사회적, 심리적, 물리적, 경제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 프로그램을 통해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며 잠재적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치매로 인한 행동문제 또는 정신병은 항정신병약으로 치료가 되지만 조기 사망의 위험이 있을 경우 약물 치료를 권장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경우 알츠하이머병은 65세가 넘어 발병하지만, 드물게 그 이전에 발병할 수 있다. 미국에서는 65~74세 인구의 약 3%, 75~84세 인구의 약 19%, 85세 이상 인구의 50%가 이 병을 앓고 있다. 한국에서는 최근 한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한 연구 보고에 의하면, 농촌 지역 60세 이상의 인구에서 약 21%가 치매 양상을 보이고, 이 중 63%가 알츠하이머형 치매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006년 전 세계 26.6만명이 가진 질병이다. 2050년에는 85명중 1명꼴로 발병될 것으로 예측된다. 목차 1 증상 1.1 치매전 1.2 초기 2 치료 3 프리온질병과의 유사성 4 신경병리학 5 생화학 6 질병 기전 7 같이 보기 8 외부 링크 증상[편집] 질병의 특성은 개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나지만 일부 공통적인 증상을 가진다. 초기증상은 노화에 의한 단순한 증상이나 스트레스에 의한 증상으로 오해되는 경향이 있다. 발병 초기에는 이름·날짜·장소와 같은 것들이 기억에서 사라지는 공통된 단기 기억 상실을 겪는다. 질병이 악화되면, 혼란, 격한 행동, 조울증, 언어장애, 장기기억상실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신체기능이 상실되고, 죽음에 이른다. 개개인마다 증상이 다르기 때문에 질병이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예측하는 것은 어렵다. 알츠하이머병이 의심되면 보통 생각하거나 행동하는 능력을 검사하는 진단이 행해지고 가능한경우 뇌검사가 이루어진다. 하지만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뇌신경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알츠하이머병이 발병해도 완전히 확인될때까지는 보통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진단이 내려지지 않은 채로 수년간 병이 진행될 수 있다. 발병할 경우 평균 기대 수명은 7년이며 3%미만이 진단 이후 14년을 넘긴다. 알츠하이머병은 신경변성 질환으로 분류된다. 질병의 발병 원인은 완전히 이해되지 않은 상태이며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정상 알츠하이머 단백질을 변형시켜 플라크 덩어리를 형성해 고유기능을 잃어버리게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조직병리학적으로는 뇌의 전반적인 위축, 뇌실의 확장, 신경섬유의 다발성 병변과 초로성 반점 등의 특징을 보인다. 질병은 네개의 단계로 나누어져 인지적 기능적장애가 나타나게 된다 치매전[편집] 첫번째 증상은 종종 노화 또는 스트레스에 의한 것으로 잘못 인식된다. AD진단을 위한 임상적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8년동안 경미한 장애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초기 증상은 일상생활에 복잡한 영향을 줄 수 있다. 가장 눈에 띄는 결손은 단기기억상실으로 최근 배운 사실과 새로운 정보를 습득하고 기억하기 어려워진다. 초기[편집] 알츠하이머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학습과 기억력의 손상이 증가함에 따라 결국 확실한 진단을 받게 된다. 적은 비율로 기억력보다 말하기 인지기능 또는 운동능력에서의 문제가 더 두드러진다. 치료[편집] 현재 고안된 치료법은 모두 대증요법뿐이다. 질병을 멈출 수 있는 치료법은 없다. 2012년, 알츠하이머병에 영향을 미치는 화합물을 실험하기위해 1000여건 이상의 임상 치료가 시행되거나 조직되었다. 노인층 환자의 증상의 진행을 늦추기 위해 정신적 자극, 운동, 균형잡힌 식사가 제안되었지만 이의 효과를 입증할 명확한 근거는 없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료될 수 없는 퇴행성 뇌질환이기 때문에, 환자는 다른이에게 점차 의존하게된다. 환자는 보호자에게 굉장한 짐이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질병은 보호자의 삶에 사회적, 생리적, 물리적, 경제적 측면을 포함한 넓은 범위의 부담을 가져온다. 선진국에서 알츠하이며병은 사회적으로 가장 많은 비용이 드는 질환이기도 하다. 노년인구의 증가와 함께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이 질환은 환자 자신과 가족, 그리고 의학적·사회적인 측면에서의 다각적인 접근이 강구되어야 할 질환이다. 유전적 요인으로 볼 때의 원인염색체는 15번 염색체이다. 프리온질병과의 유사성[편집] 뇌의 정상 프리온단백질이 악성 프리온에 의해 변성되어 기능을 상실하는 매커니즘과 유사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알츠하이머 유전자로부터 알츠하이머 단백질이 생성되는데, 알츠하이머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정상 알츠하이머 단백질을 변성시켜 하나의 큰 녹지않는 아밀로이드 플라크를 생성한다. 또한 프리온과 알츠하이머 단백질이 같은 염료에 반응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프리온과는 다르게 일반적인 조직 주사로 전염이 되지 않는다. 알츠하이머 플라크의 전염성은 보고된바없다. 신경병리학[편집] 알츠하이머병은 대뇌 피질 및 특정 피질 아래의 영역에서 뉴런과 시냅스의 소실이 특징이다. 이러한 손실은 측두엽, 두정엽과 전두엽 피질과 띠모양의 회전부 (cingulate gyrus) 부분의 변성을 포함한 피해 지역의 총 위축을 가져온다. 변성은 또한 파란색 반점 핵 (locus coeruleus) 같은 뇌간 핵에도 존재한다. MRI와 PET를 이용한 연구는 경도의 인지 장애에서 알츠하이머병으로 진행됨에 따라, 그리고 건강한 노인에서의 비슷한 이미지와 비교할 때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에서 특정 뇌 영역의 크기 감소를 보고하고 있다. 아밀로이드 반점들(plaques)과 신경 섬유 엉킴은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의 뇌에서 현미경으로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반점들은 베타-아밀로이드 펩타이드와 뉴런의 외부나 주위의 세포 물질로 구성된 조밀하고 대부분 불용성인 적체물이다. 엉킴(신경 섬유 엉킴 tangles)은 과인산화된 미세소관-관련 타우(tau) 단백질과 세포 자체의 내부 축적물의 응집체이다. 많은 노인들에게서 노화의 결과로 일부 플라크와 엉킴이 발생하지만,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는 측두엽 같이 특정 뇌 영역에서 더 ​​많은 수가 존재한다. 레비체(Lewy bodies)는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의 뇌에서 드물지 않다. 생화학[편집] 알츠하이머병은 비정상적으로 접힌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반점 축적과 뇌에 있는 타우 단백질로 인한 단백질의 잘못된 접힘 질환 (proteopathy)로 확인되었다. 반점은 베타 아밀로이드 (Aβ)라고 불리는, 길이가 39~43 개의 아미노산인 작은 펩타이드로 구성된다. Aβ는 더 큰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APP)의 조각이다. APP는 신경 세포의 세포막을 관통하는 막전이 단백질이다. APP는 신경 세포의 성장, 생존 및 손상 후 복구에 매우 중요하다. 알츠하이머병에서, 감마 분비효소(secretase)와 배타분비효소는 함께 단백질 분해과정에 관여하여 APP가 작은 조각으로 나뉘게 한다. 이러한 조각 중 하나는 베타 아밀로이드의 섬유화를 일으키고, 이는 다시 뉴런의 외부에 노인성 반점으로 알려진, 고밀도도 축적된 덩어리를 형성한다. 알츠하이머병은 또한 타우 단백질의 이상 응집에 의한 타우 병증으로 간주된다. 모든 신경 세포는 세포 골격, 즉, 부분적으로 미세 소관이라는 구조물로 만들어진 내부 지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미세 소관은 세포의 몸체에서 영양소와 분자를 안내해서 축삭의 끝까지 그리고 다시 되돌아 오게 하는 트랙과 같은 역할을 한다. 타우라 불리는 단백질은 인산화되었을 때 미세 소관을 안정화시키므로 미세 소관-연관된 단백질이라 불린다. 알츠하이머병에서 타우는 과인산화되는 화학적 변화를 겪게 된다. 그 후 다른 미세 선들과 쌍을 이루기 시작하여 신경 섬유의 엉킴을 만들고 신경전달계를 붕괴시킨다. 질병 기전[편집] 정확히 어떻게 생산 및 베타-아밀로이드 펩티드의 생산과 응집의 교란이 알츠하이머병의 병리를 야기시키는 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아밀로이드 가설은 전통적으로 신경세포의 퇴화를 야기시키는 중요 사건으로서 뉴런베타-아밀로이드 펩티드의 축적을 지적한다. 세포의 칼슘 이온의 항상성 교란을 일으키는 단백질의 독성 형태로 여겨지는 응집된 아밀로이드 섬유의 축적은 프로그램 된 세포 사멸 (apoptosis)를 유도한다. 또한 Aβ는 알츠하이머에 걸린 뇌 세포내의 미토콘드리아에서 선택적으로 증가하고 그것은 또한 특정 효소의 기능 및 신경 세포에 의한 포도당의 사용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다양한 염증 과정과 사이토카인 또한 알츠하이머병의 병리에서 역할을 한다. 염증은 어느 질병에서나 조직 손상의 일반적인 표지자이므로, 알츠하이머병에서 조직 손상의 2차적 반응이거나 면역반응의 표지자일 수 있다. 뇌에서 신경세포와 면역기전 사이의 강한 상호 작용이 있다는 증거가 늘어나고 있다. 비만과 전신 염증은 질병의 진행을 촉진하는 면역학적 과정을 간섭할 수 있다. 다른 신경 강화 인자의 분포와 뇌 유래 신경 강화인자 (BDNF)와 같은 신경 강화 인자의 수용체 발현의 변화가 알츠하이머병에서 보고되어 왔다. 같이 보기[편집] 치매 혈관성 치매 두통 아이스크림 두통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알츠하이머병 (영어) 알츠하이머병 - Curlie (DMOZ 기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알츠하이머병&oldid=24486080" 분류: 알츠하이머병치매독일어계 외래어신경변성질환실어증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6년 4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Aragonésالعربيةঅসমীয়াAsturianuAzərbaycancaБашҡортса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eilge贛語Galego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Patois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ភាសាខ្មែរಕನ್ನಡLatinaLëtzebuergeschLingua Franca NovaLimburgs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Bahasa Melayuမြန်မာဘာသာمازِرونی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ଓଡ଼ିଆਪੰਜਾਬੀPolskiپنجابیپښتو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Саха тыла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inaray吴语ייִדיש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6일 (수) 14:0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알츠하이머병(영어: Alzheimer's disease, AD 또는 Alzheimer's)은 치매의 가장 흔한 형태이며 75%의 치매 환자가 알츠하이머병이다. 현대 의학에서는 치료가 전혀 불가능한 질병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증상이 악화되며 결과적으로 죽음에 이른다. 1906년 독일의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인 알로이스 알츠하이머(Alois Alzheimer)에 의해 알려졌다. 거슬러 올라가면 미국의 40대 대통령을 역임했던 로널드 레이건(1981년 1월 20일~1989년 1월 20일·7년·2,556일), 1982년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콜롬비아), 영국 최초의 여성 총리를 역임했던 마거릿 대처(1979년 5월 4일~1990년 11월 28일·11년 6개월 24일·4,226일) 등의 유명 인사들도 알츠하이머로 고생하다 유명을 달리하였다.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 70%정도는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발병하였다. 다른 원인으로는 두부 손상, 우울증, 고혈압 등이 있다. 일부 치료는 증상을 일시적으로 개선 할 수 있지만 증상을 멈추거나 진행을 역전시킬 수는 없다.환자는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을 받기 위해 점점 더 의존하며 종종 간병인에게 부담을 준다. 그 부담은 사회적, 심리적, 물리적, 경제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 프로그램을 통해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며 잠재적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치매로 인한 행동문제 또는 정신병은 항정신병약으로 치료가 되지만 조기 사망의 위험이 있을 경우 약물 치료를 권장하지 않는다.대부분의 경우 알츠하이머병은 65세가 넘어 발병하지만, 드물게 그 이전에 발병할 수 있다. 미국에서는 65~74세 인구의 약 3%, 75~84세 인구의 약 19%, 85세 이상 인구의 50%가 이 병을 앓고 있다. 국내에서 최근 한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한 연구 보고에 의하면, 60세 이상의 인구에서 약 21%가 치매 양상을 보이고, 이 중 63%가 알츠하이머형 치매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006년 기준, 전 세계 2,660만 명이 가진 질병이다. 2050년에는 85명중 1명꼴로 발병할 것으로 예측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알츠하이머 환자들의 뇌신경계에서 발견되는 특징들은 무엇입니까? Assistant: 알츠하이머병은 대뇌 피질 및 특정 피질 아래의 영역에서 뉴런과 시냅스의 소실이 특징이다. 이러한 손실은 측두엽, 두정엽과 전두엽 피질과 띠모양의 회전부 (cingulate gyrus) 부분의 변성을 포함한 피해 지역의 총 위축을 가져온다. 변성은 또한 파란색 반점 핵 (locus coeruleus) 같은 뇌간 핵에도 존재한다. MRI와 PET를 이용한 연구는 경도의 인지 장애에서 알츠하이머병으로 진행됨에 따라, 그리고 건강한 노인에서의 비슷한 이미지와 비교할 때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에서 특정 뇌 영역의 크기 감소를 보고하고 있다. 아밀로이드 반점들(plaques)과 신경 섬유 엉킴은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의 뇌에서 현미경으로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반점들은 베타-아밀로이드 펩타이드와 뉴런의 외부나 주위의 세포 물질로 구성된 조밀하고 대부분 불용성인 적체물이다. 엉킴(신경 섬유 엉킴 tangles)은 과인산화된 미세소관-관련 타우(tau) 단백질과 세포 자체의 내부 축적물의 응집체이다. 많은 노인들에게서 노화의 결과로 일부 플라크와 엉킴이 발생하지만,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는 측두엽 같이 특정 뇌 영역에서 더 ​​많은 수가 존재한다. 레비체(Lewy bodies)는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의 뇌에서 드물지 않다. Human: 아래 파이널_데스티네이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데스티네이션 3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시리즈에 대해서는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시리즈) 문서를, 원제가 Final Destination인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에 대해서는 데스티네이션 (영화)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파이널 데스티네이션Final Destination 3 감독 제임스 웡 제작 글렌 모건크레이그 페리제임스 웡워런 자이드 각본 글렌 모건제임스 웡 출연 메리 엘리자베스 윈스티드라이언 메리먼 촬영 로버트 매클래클런 편집 크리스 G. 윌링엄 음악 셜리 워커 제작사 뉴 라인 시네마 배급사 뉴 라인 시네마 개봉일 미국 2006년 2월 10일 대한민국 2006년 5월 11일 시간 93 분 국가 미국 언어 영어 제작비 $34,000,000 수익 $117,719,158[1] 《파이널 데스티네이션》(Final Destination 3)은 2006년에 개봉한 초자연 공포 영화이다. 원제에 맞추어 《데스티네이션 3》 또는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3》로도 불린다.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의 감독이었던 제임스 웡이 다시 감독을 맡았다.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시리즈의 세 번째 작품으로, 주인공이 놀이공원에서의 롤러코스터 사고를 예지하여 자신과 친구들의 죽음을 막지만, 그 후 생존자들이 차례로 죽어가는 것을 보고 이러한 죽음의 고리를 끊으려는 주인공 일행을 다룬 영화이다. 목차 1 줄거리 2 출연 3 제작 3.1 개발 3.2 촬영 4 발매 4.1 극장 상영 4.2 홈 미디어 4.3 소설화 5 평가 6 각주 7 외부 링크 줄거리[편집] 주인공 웬디 크리스츤슨(메리 엘리자베스 윈스티드)과 친구들은 고등학교 졸업을 기념하여 놀이동산을 방문한다. 친구들과 함께 데블스 플라이트(Devil's Flight)라는 롤러코스터에 오른 웬디는 모든 탑승자가 운행 도중에 사고로 사망할 것이라는 예감을 느낀다. 예감에서 깨어난 후 아직 출발하지 않은 열차 위에서 그녀는 공포에 질려 롤러코스터에서 내린다. 그녀의 가장 친한 친구 캐리 드레이어(지나 홀든)의 남자친구인 케빈 피셔(라이언 메리먼)가 그녀를 진정시키러 내리고, 애슐리 프룬드(첼런 시먼스), 애슐린 핼퍼린(크리스털 로우), 프랭키 칙스(샘 이스턴), 루이스 로메로(텍사스 배틀), 에린 울머(알렉스 존슨), 이언 매킨리(크리스 렘키)가 사건에 휘말려 모두 내리게 된다. 잠시 후 롤러코스터는 예감했던 대로 추락하고, 내리지 못하였던 캐리 그리고 웬디의 남자친구인 제이슨 와이즈(제시 모스)는 사망한다. 사고 후 학교에 잠깐 들른 웬디는 케빈을 만나는데, 케빈은 전에 일어났던 이와 비슷한 사고인 180편 폭발 사고에 대하여 말해준다. 웬디는 이를 무시하지만, 얼마 되지 않아 애슐리와 애슐린이 인공 태닝 기계 위에서 산 채로 불에 타서 사망하게 된다. 장례식장에서 케빈과 웬디는 다시 만나고, 둘은 웬디가 놀이공원에서 찍었던 이상한 전조들이 남겨진 사진들을 바탕으로 다른 생존자들을 구하기에 나선다. 하지만 프랭키는 드라이브 스루 식당에서 자동차 엔진에 의해 머리의 뒷부분이 갈려 사망하고, 그 다음으로 운동하고 있는 루이스를 구하러 가지만, 그들의 이야기를 믿지 않는 그는 결국 웨이트 기구에 얼굴이 눌려 사망한다. 다음으로 그들은 고스족 커플인 이언과 에린을 구하려 그들이 일하는 철물점에 방문하지만, 이언과 에린 역시 둘의 경고에 냉소적인 태도를 취한다. 잠시 후 이언은 나무 막대와 판자에 의해 죽을 뻔 한 위기를 케빈과 웬디의 도움으로 벗어나지만, 에린은 이 과정에서 날아온 톱밥들로 인해 뒤로 쓰러지고, 네일 건에서 발사된 여러 발의 못이 그녀의 머리를 관통하여 사망한다. 둘은 롤러코스터에 앉아 있던 자리의 순서에 따라 사람들이 사망한다고 생각하고, 자신들이 그 다음 순서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집에 돌아온 웬디는 사진을 뒤지던 도중 여동생 줄리(아만다 크루)가 롤러코스터에 타고 있었으며, 줄리와 그녀의 옆에 앉아 있던 사람이 다음 차례라는 것을 발견한다. 웬디는 동생을 쫓아 마을의 축제에 가게 되고, 케빈도 안전요원으로 그 축제에 참가한다. 축제 도중 놀란 말이 줄리의 목에 밧줄을 묶어 그녀를 끌고 다니며 줄리가 죽을 위기에 처하지만 케빈에 의해서 구조된다. 줄리 옆에 앉은 사람이 줄리의 친구인 페리 말리놉스키(매기 마)라는 것을 알게 되지만, 곧바로 말에 의해 날아온 깃대가 그녀의 배를 관통한다. 다음으로 케빈이 폭발에 의해 사망할 뻔 하지만, 웬디가 그를 구한다. 사람들이 도망가는 도중 이언이 나타나 모든 사건을 그녀의 탓으로 돌리며, 자신의 차례는 지나갔기 때문에 안전하다고 말한다. 하지만 폭죽에 맞은 크레인이 무너지며 이언을 압사시킨다. 다섯 달 후, 줄리와 케빈 그리고 웬디는 우연히 지하철 열차 내에서 만난다. 웬디는 지하철이 탈선하며 탑승자들이 모두 사망하고, 자신은 맞은 편에서 다가오는 열차에 치이게 될 것이라는 예감을 느낀다. 예감에서 깨어난 그녀와 줄리, 케빈은 열차를 멈추려 하지만 실패하고, 열차가 탈선하는 소리만을 들려준 채로 화면이 어두워진다. 출연[편집] 메리 엘리자베스 윈스티드 - 웬디 크리스츤슨(Wendy Christensen) 역 라이언 메리먼 - 케빈 피셔(Kevin Fischer) 역 크리스 렘키 - 이언 매킨리(Ian McKinley) 역 알렉스 존슨 - 에린 울머(Erin Ulmer) 역 텍사스 배틀 - 루이스 로메로(Lewis Romero) 역 첼런 시먼스 - 애슐리 프룬드(Ashley Fruend) 역 크리스털 로우 - 애슐린 핼퍼린(Ashlyn Halperin) 역 샘 이스턴 - 프랭키 칙스(Frankie Cheeks) 역 제시 모스 - 제이슨 와이즈(Jason Wise) 역 지나 홀든 - 캐리 드레이어(Carrie Dreyer) 역 아만다 크루 - 줄리 크리스츤슨(Julie Christensen) 역 매기 마 - 페리 말리놉스키(Perry Malinowski) 역 엑스타샤 샌더스 - 앰버 리건(Amber Regan) 역 토니 토드 - 목소리 제작[편집] 개발[편집] 시리즈의 첫 번째 영화에서 이미 감독을 한 번 맡았던 제임스 웡은 가장 어려웠던 부분이 오프닝 사고를 정하는 것이라고 밝혔다.[2] 영화의 오프닝 사고 장면인 롤러코스터 사고는 제작자 중 한 명인 리처드 브레너가 제안하였다.[2][3] 영화 내의 사고들을 고안해내기 위하여 제작자 중 한 명인 글렌 모건은 실제로 선셋 대로에 있는 철물점에 하루에 세 시간씩 사나흘간을 보냈으며, 밀실공포증을 가진 아내의 추천을 받아 인공 태닝 기계도 확인해보았다.[4] 인공 태닝 장면에서는 조금 더 실감나는 사망 장면을 만들기 위해 높은 수위의 노출을 보이게 되었다.[5] 전편들과 다른 신선한 부분을 만들어 내기 위해 추가된 부분이 죽음의 실마리를 담고 있는 사진이었다.[2][3][5] 또한 "죽음" 외에도 어떤 면에서는 위협이 될 수 있을 만한 인간의 요소를 집어넣으려 했고, 그래서 등장인물 중 이언을 여자친구의 죽음으로 정신적 문제가 생겨 웬디에게 위협을 가하게 되는 등장인물로 만들었다.[2] 주인공 웬디의 경우 "통제력의 부재"(loss of control)를 테마로 삼았다.[3] 완전히 새로운 등장인물들을 가지고 진행하려 하였기 때문에 전편의 생존자들을 다시 등장시키지 않기로 하였다.[3] 지난 두 전 편 모두에 등장하였던 토니 토드 역시 제작 초기에서부터 영화에 등장시키지 않도록 결정하였다. 이는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시리즈가 지난 두 편에서 벗어나서 이 영화에서와 같이, 비슷한 상황이지만 새로운 등장인물들을 가지고 진행할 수 있을 지를 보기 위해서였으며,[6] 또한 대본 상의 배경이 위치적으로 전작들과 다른데 그를 또 등장시키는 것이 다소 비논리적일 수 있으며, 토니 토드의 캐릭터가 "규칙"에 관해서 설명하는 장면이 영화의 흐름을 늦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2][3][5] 하지만 마무리 단계에서 그의 목소리를 등장시키는 것이 제안되었고,[2] 토니 토드는 결국 롤러코스터 앞에 있는 악마상의 목소리와 지하철 방송의 목소리로 등장하게 되었다.[6] 원래 영화는 이언이 사망하고, 남은 생존자들은 그냥 가버리며 화면이 어두워지는 것으로 결말이 날 예정이었다.[7][8] 하지만 시사회에서 결말에 대한 관객들의 반응이 좋지 않았고, 관객들의 반응이 나오기 이전에도 제작자들은 결말이 너무 갑작스럽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었기에 재촬영을 결정하게 되었다.[6] 시사회 전에 제임스, 크레이그, 글렌이 모여 이야기를 하였고, 크레이그가 전편인 《데스티네이션 2》에 등장했던 생존자들을 다시 등장시키는 것을 제안하였으며, 또한 제임스는 지하철 장면을 제안하여 지하철 장면으로 결말을 맺기를 결정하였다.[6] 지하철 장면에 전편의 생존자도 탑승시켜 라이언과 메리의 캐릭터가 하는 이야기를 그들이 엿듣게 하려는 아이디어도 있었으나, 스케줄이 맞지 않아 실행되지 못 하였다.[6] 촬영[편집] 롤러코스터 사고 촬영이 이루어진 콕스크루 롤러코스터 영화의 대부분의 촬영은 캐나다 밴쿠버에서 이루어졌다.[9] 제임스는 롤러코스터 사고를 촬영하기 위해 놀이공원의 허락을 받는 것이 어려운 부분이었다고 밝혔다. 제작진들은 미국 전역에 걸쳐서 롤러코스터를 사용할 수 있는 놀이공원을 찾으려 했으나, 라스베이거스에 있는 한 곳에서만 허락을 받을 수 있었다.[2] 하지만 놀이공원 측에서 대본을 읽어본 후 거절하였고, 결국 밴쿠버에 있는 80 피트 높이의 롤러코스터를 사용해야 했다.[2] 롤러코스터 사고 장면은 밴쿠버에 위치한 놀이동산인 플레이랜드(Playland)의 스틸 롤러코스터인 콕스크루(Corkscrew)에서 촬영되었다.[9] 계획상으로는 실제 롤러코스터의 높이보다 높은 200 피트의 하강 구간이 필요하였기 때문에 롤러코스터는 CGI를 이용하여 원래의 크기보다 더 크게 표현되었다.[9][10] 영화에 등장한 롤러코스터 앞에 있는 큰 악마상은 영화를 위해서 새로 지어진 것이며, 스티로폼으로 만들어졌다.[9][10] 놀이공원 장면을 찍는 데에만 2주일이 걸렸으며,[9] 배우들은 롤러코스터를 스무 번 이상 타야 했고,[11] 또한 현실성을 높이기 위해 8피트 가량의 높이에서 안전장치를 느슨히 하고 거꾸로 매달린 상태로 연기하기도 하였다.[9] 촬영하는 동안 놀이동산은 폐장되었으나, 놀이기구들은 촬영을 위해 작동되었다.[9] 본 촬영은 약 3개월이 걸려[9] 2005년 7월에 끝났으며, 결말의 수정을 위하여 같은 해 11월부터 밴쿠버에서 재촬영을 하게 되었다.[7] 새로이 바뀐 결말인 지하철 장면은 《맨 인 블랙 2》의 벌레가 지하철 열차를 먹는 장면에서 나온 열차를 구하여 밴쿠버로 옮긴 후 촬영하였다.[8] 실감나는 지하철 사고 장면을 위하여 열차는 양방향으로 60도 회전할 수 있도록 올려졌고, 또한 지하철역과 터널 세트장도 영화 촬영을 위해서 새로 지어졌다.[8] 3D로 촬영될 계획도 있었으나, 최신 3D 기술을 이용하기 위해서 스크린을 다시 꾸미는 데에 필요한 비용이 지나친 탓에 3D 계획은 취소되었으며,[3][5] 후속작인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4》에서 3D 기술이 적용되었다. 발매[편집] 극장 상영[편집] 미국에서는 2006년 2월 10일 개봉하였으며, 미국 내에서 개봉 첫 주말에 2880 개의 스크린에서 개봉되어 1920만 달러의 수입을 올리며 《핑크 팬더》에 이어 박스 오피스 2위에 올랐다. 다음 주에는 5위, 다다음주에 7위에 오르며 3주간 주말 박스오피스 순위 10위권 내에 들었다.[12] 미국 내 마지막 상영일인 2006년 4월 16일까지 66일 동안 총 5410만 달러의 수입을 올렸으며, 미국 밖에서는 약 6360만 달러의 수입을 올려 전 세계적으로 약 1억 1770만 달러의 수입을 올렸다.[1] 홈 미디어[편집] 두 장의 디스크로 이루어진 "스릴 라이드" 에디션 DVD가 2006년 7월 25일에 2.35:1의 와이드스크린으로 발매되었다. 이 에디션에서는 시청자가 직접 영화 내의 몇몇 상황에서 선택을 하여 영화의 내용을 극장 상영판과는 다르게 진행하게 할 수 있게 해주는 "Choose Their Fate" 옵션이 포함되었다.[13] 이 옵션을 만들기 위해서 제임스 웡은 25 페이지의 대본을 추가로 썼으며, 70만 달러에서 100만 달러 가량이 추가로 소요되었다.[13] 그 외에도 90분 분량의 〈Kill Shot〉이라는 제목의 메이킹 필름, 우연과 확률 그리고 죽음에 대한 짧은 애니메이션인 〈It's All Around You〉, 제임스 웡, 글렌 모건, 로버트 매클래클런의 코멘터리 등이 포함되었다.[14] 소설화[편집] 2006년에 크리스타 파우스트(Christa Faust)에 의해서 《Final Destination III: The Movie》 ISBN 978-1-84416-319-9 로 소설화되었다. 평가[편집] 《파이널 데스티네이션》은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평가 집계 사이트인 로튼 토마토에 의하면 114개의 평 중에서 45%에 해당하는 51개의 평이 영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점수로는 5.1/10을 받았다.[15] 또 다른 평가 집계 사이트인 메타크리틱에서는 28개의 평에 근거하여 41/100의 점수를 받았다.[16] 제임스 버라디넬리(James Berardinelli)는 오프닝 사고는 시리즈 중에서 가장 좋았으며,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시리즈의 팬이라면 아마 실망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히며 2.5/4 점을 주었다.[17] 《보스턴 글로브》의 웨슬리 모리스(Wesley Morris) 역시 3/4점을 주며 시리즈 중 최고의 영화였다고 밝혔다.[18] 반면 로저 이버트(Roger Ebert)는 감독 제임스 웡과 촬영을 맡은 로버트 매클래클런에 대해서는 좋은 평을 주었으나, "누가 죽을 지, 그리고 어떤 순서로 죽을 지가 모든 사람들에게 확실하기 때문에, 극적인 내용이 공식에 박힌 것이 문제"라고 지적하며, 2/4점을 주었다.[19] 《디트로이트 뉴스》의 톰 롱(Tom Long)은 이 영화가 돈이 되기만 하면,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시리즈의 마지막편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며, 그것이 바로 이 영화에서 가장 역겨운 것이라고 혹평하며 D를 주었다.[20] 1/5의 점수를 준 BBC의 스텔라 파파마이클(Stella Papamichael)은 영화 내의 9·11 테러에 대한 언급이나 등장인물들의 빈약함 등을 비판하였으며, "진짜 비극은 유망한 젊은 여배우인 메리 엘리자베스 윈스티드가 이 고문을 견뎌야 한다는 것"이라고 쓰며 혹평하였다.[21] 각주[편집] ↑ 가 나 “Final Destination 3 (2006)”. 《Box Office Mojo》. 2011년 8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JoBlo (2006년 2월 9일). “INT: James Wong”. 《JoBlo.com》. 2011년 8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Gilbert, Ammon (2005년 5월 3일). “Set Visit: Final Destination (2/3)”. 《JoBlo.com》. 2011년 8월 9일에 확인함.  ↑ Gilbert, Ammon (2005년 5월 5일). “Set Visit: Final Destination (3/3)”. 《JoBlo.com》. 2011년 8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Mr. Disgusting. “Final Destination 3 Set Visit: A Ride You'll Never Forget”. 《Bloody Disgusting》. 2011년 8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Spooky Dan. “Final Destination 3: Director James Wong”. 《Bloody Disgusting》. 2011년 8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Spooky Dan. “Final Destination 3: Stars Mary Winstead, Ryan Merriman”. 《Bloody Disgusting》. 2011년 8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Spooky Dan. “Final Destination 3: Producer Craig Perry”. 《Bloody Disgusting》. 2011년 8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B. Alan Orange (2006년 2월 7일). “SPLATTER SHOCKS: The Final Destination 3 Kids Speak!”. 《MovieWeb.com》. 2011년 8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Gilbert, Ammon (2005년 4월 20일). “Set Visit: Final Destination (1/3)”. 《JoBlo.com》. 2011년 8월 9일에 확인함.  ↑ JoBlo (2006년 2월 8일). “INT: Winstead/Merriman”. 《JoBlo.com》. 2011년 8월 9일에 확인함.  ↑ “Final Destination 3 (2006) - Weekend Box Office Results”. 《Box Office Mojo》. 2011년 8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Yamato, Jen (2006년 4월 4일). “Choose Your Own "Final Destination" Adventure!”. 《Rotten Tomatoes》. 2011년 8월 9일에 확인함.  ↑ Young, Travis (2006년 7월 27일). “Final Destination 3 DVD Review”. 《MovieWeb.com》. 2011년 8월 9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Final Destination 3 - Rotten Tomatoes”. 《Rotten Tomatoes》. 2011년 8월 9일에 확인함.  ↑ “Final Destination 3 Reviews, Ratings, Credits, and More at Metacritic”. 《Metacritic》. 2011년 8월 9일에 확인함.  ↑ Berardinelli, James. “Final Destination 3”. 《Reelviews》. 2011년 8월 9일에 확인함.  ↑ Morris, Wesley (2006년 2월 10일). “Final Destination 3 Movie Review”. 《The Boston Globe》. 2011년 8월 9일에 확인함.  ↑ Ebert, Roger (2006년 2월 10일). “Final Destination 3”. 《rogerebert.com》. 2011년 8월 9일에 확인함.  ↑ “Final Destination - Rotten Tomatoes - Top Critics”. 《Rotten Tomatoes》. 2011년 8월 9일에 확인함.  ↑ Papamichael, Stella (2006년 2월 9일). “BBC - Movies - review - Final Destination 3”. 《BBC》. 2011년 8월 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영어)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 로튼 토마토 (영어)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 메타크리틱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이널_데스티네이션&oldid=22975328" 분류: 펜실베이니아주를 배경으로 한 영화2006년 영화속편 영화슬래셔 영화미국의 십대 영화미국의 공포 영화놀이공원을 배경으로 한 작품2005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뉴 라인 시네마 영화제임스 웡 감독 영화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ΕλληνικάEmiliàn e rumagnòl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ščina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1일 (일) 09: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파이널 데스티네이션(Final Destination)은 다섯편의 영화, 2편의 만화, 9편의 소설로 이루어진 미국의 호러물이다.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영화)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2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3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4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5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파이널 데스티네이션은 어떤 지역에서 대부분 촬영을 했을까? Assistant: 캐나다 밴쿠버
Human: 아래 민주국민당_(1949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민주국민당 (1949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민주국민당 (1949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민주국민당民主國民黨 이념 보수자유주의자유민주주의민주화 스펙트럼 우익 역사 창당 1949년 2월 10일(설립)1955년 9월 19일(해체) 선행조직 한국민주당 대한국민당 후계정당 민주당 민주국민당(民主國民黨, Democratic National Party)은 1949년 2월 10일에 조직된 정당이다. 한국민주당의 후신으로 창당된 정당으로 약칭은 민국당이다. 목차 1 개요 2 역대 정당 당원 3 주요 선거 결과 3.1 역대 대선 결과 3.2 역대 부통령 선거 3.3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3.4 역대 지방선거 결과 4 각주 개요[원본 편집] 한국민주당과 대한국민당이 통합하여 창당되었고 한국독립당의 일부를 포섭하였다. 추가적으로 당시 제헌국회 활동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출신 의원 12명이 민주국민당에 합류하였다. 당초 최고위원 여러 명이 합의해서 당을 이끌어가는 집단 지도 체제로 출범하였으나, 1953년 당헌을 개정하고 1인의 위원장이 당을 대표하는 단일 지도 체제로 전환하였다. 위원장에 신익희, 조남윤, 부위원장에 김도연, 이영준, 고문에 백남훈, 서상일, 조병옥으로 1. 민족의 권리 확보, 2 만민 평등의 민주정치 구현 3. 경제적 기회 균등을 원칙으로 한 자주경제 수립, 4 민족문화의 양양을 위한 세계문화에의 공헌, 5 인류의 자유와 행복을 기초로 한 세계평화의 수립 등 5개 강령과 10개 정책을 발표 조직했다.[1] 민국당은 창당 초부터 야당으로 출발해 수차에 걸친 개헌 파동 등 난관과 억압을 받다가 1955년 9월 19일 민주당 (대한민국, 1955년)에 흡수되었다.[1] 역대 정당 당원[원본 편집] 분류:민주국민당 (1949년) 당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주요 선거 결과[원본 편집] 역대 대선 결과[원본 편집] 실시년도 대수 후보자 득표 득표율 결과 당락 1952년 2대 이시영 764,715표 10.9% 3위 낙선 역대 부통령 선거[원본 편집] 실시년도 대수 후보자 득표 득표율 결과 당락 1952년 3대 조병옥 575,260표 8.1% 3위 낙선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원본 편집] 실시년도 선거 지역구 비례대표 정원 당선자 수 당선비율 당선자 수 득표율 당선자 수 당선비율 1950년 2대 24/210 11.43% 24/210 11.43% 1954년 3대 15/203 7.39% 15/203 7.39% 역대 지방선거 결과[원본 편집] 실시년도 선거 시장 읍장 면장 도의원 시의원 읍의원 면의원 당선자 수 당선비율 당선자 수 당선비율 당선자 수 당선비율 당선자 수 당선비율 당선자 수 당선비율 당선자 수 당선비율 당선자 수 당선비율 1952년 1952년 지방선거 4/306 1.3% 7/378 1.9% 7/1115 0.6% 21/16051 0.1% 각주[원본 편집] ↑ 가 나 한국사대사전(2004, 발행인 박영근, 고려출판사 발행) 497 vdeh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역사1945년 ~ 1980년 고려민주당 (1945년 8월 18일 ~ 1945년 8월 28일) → 조선민족당 조선민족당 (1945년 8월 28일 ~ 1945년 9월 16일) 한국국민당 (1945년 9월 2일 ~ 1945년 9월 16일) 한국민주당 (1945년 9월 16일 ~ 1949년 2월 10일) → 민주국민당 (1949년 2월 10일 ~ 1955년 9월 18일) 민주당 (1955년 9월 18일 ~ 1961년 5월 16일) → 해산 통일당 (1957년 11월 18일 ~ 1961년 5월 16일) → 해산 신민당 (1960년 12월 14일 ~ 1963년 6월 28일) → 민정당 (1963년 6월 28일 ~ 1965년 5월 8일) → 민중당 (1965년 5월 11일 ~ 1967년 2월 7일) → 신민당 (1967년 2월 7일 ~ 1980년 10월 27일) → 신한민주당 민주당 (1963년 7월 18일 ~ 1965년 5월 3일) 국민의당 (1963년 8월 1일 ~ 1964년 9월 17일) 신한당 (1966년 5월 30일 ~ 1967년 2월 7일) 민중당 (1967년 ~ 날짜 미상) → 해산 국민당 (1971년 1월 6일 ~ 1972년 10월 17일) → 해산 민주통일당 (1973년 1월 27일 ~ 1980년 10월 27일) → 해산 1980년 ~ 1997년 민주한국당 (1981년 1월 18일 ~ 1988년 4월 26일) → 등록 취소 신한민주당 (1985년 1월 18일 ~ 1988년 4월 26일) 통일민주당 (1987년 4월 ~ 1990년 1월 22일) → 민주자유당 평화민주당 (1987년 10월 29일 ~ 1991년 4월 15일) → 신민주연합당 (1991년 4월 15일 ~ 1991년 9월 16일) → 민주당 (1991년 9월 16일 ~ 1995년 12월 21일) → 통합민주당 (1995년 12월 21일 ~ 1997년 11월 21일) → 신한국당 민주당 (1990년 6월 18일 ~ 1991년 9월 16일) → 민주당 새정치국민회의 (1995년 9월 11일 ~ 2000년 1월 20일) → 새천년민주당 1997년 ~ 현재 새천년민주당 (2000년 1월 20일 ~ 2005년 5월 6일) → 민주당 (2005년 5월 6일 ~ 2007년 6월 27일) → 중도통합민주당 (2007년 6월 27일 ~ 2007년 8월 3일) → 민주당 (2007년 8월 3일 ~ 2008년 2월 15일) → 민주당 (2008년 2월 17일 ~ 2011년 12월 23일) → 민주통합당 (2011년 12월 16일 ~ 2013년 5월 3일) → 민주당 (2013년 5월 3일 ~ 2014년 3월 26일) → 새정치민주연합 (2014년 3월 26일 ~ 2015년 12월 28일) → 더불어민주당 (2015년 12월 28일 ~ 현재) 개혁국민정당 (2002년 8월 29일 ~ 2004년 9월 13일) →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2003년 11월 11일 ~ 2007년 8월 20일) → 대통합민주신당 (2007년 8월 5일 ~ 2008년 2월 11일) → 통합민주당 중도개혁통합신당 (2007년 5월 7일 ~ 2007년 6월 27일) → 중도통합민주당 창조한국당 (2007년 10월 30일 ~ 2012년 4월 26일) → 등록 취소 평화민주당 (2010년 4월 8일 ~ 2012년 2월 14일) → 국민행복당 시민통합당 (2011년 12월 7일 ~ 2011년 12월 16일) → 민주통합당 국민행복당 (2011년 12월 13일 ~ 2012년 4월 12일) → 등록 취소 정통민주당 (2012년 3월 12일 ~ 2012년 3월 16일) → 등록 취소 새정치연합 (2014년 2월 17일 ~ 2014년 3월 25일) → 새정치민주연합 민주당 (2014년 9월 21일 ~ 2016년 10월 19일) → 더불어민주당 국민회의 (2015년 12월 11일 ~ 2016년 1월 25일) → 국민의당 통합신당 (2016년 1월 10일 ~ 2016년 1월 27일) → 국민의당 국민의당 (2016년 2월 2일 ~ 2018년 2월 13일) →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2018년 2월 6일 ~ 현재) 이 글은 한국 근현대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민주국민당_(1949년)&oldid=24410637" 분류: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 원내정당1949년 설립된 정당1955년 폐지김성수 (1891년)박중양신익희조병옥이시영 (1868년)윤보선이갑성윤치영민주당 (대한민국)대한민국의 자유주의숨은 분류: 한국 근현대사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1일 (화) 13:1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민주국민당(民主國民黨, Democratic National Party)은 1949년 2월 10일 한국민주당과 대한국민당이 통합하여 결성된 대한민국의 정당이다. 한국민주당의 후신으로, 약칭은 민국당이다. 민주국민당은 1949년 창당 초에는 국회 내 69석을 차지하여 한국민주당을 이어 원내 제1당의 지위를 유지하였으나, 여수·순천 사건 당시 이승만 정부에 대한 견제, 농민들에게 불리한 농지개혁법 제정 노력, 반민족행위처벌법 공소시효 단축 결의 등으로 민심이 떠나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24석을 차지하였고 당세가 크게 위축되었다. 이후 1952년과 1954년에 개헌 파동을 겪었다. 1954년 호헌동지회에 참여하였고, 1955년 9월 19일 민주당(1955)에 흡수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민국당이 민주당에 흡수된 날짜는 언제일까? Assistant: 1955년 9월 19일 Human: 아래 여의도광장_차량질주_사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여의도광장 차량질주 사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여의도광장 차량질주 사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용제 출생 1970년 사망 1997년 12월 30일(28세)서울구치소 직업 무직 혐의 살인 죄값 사형 범행동기 시력장애로 인한 사회의 불만 여의도광장 차량질주 사건(汝矣島廣場車輛疾走事件)은 1991년 10월 19일, 시력장애를 앓던 20대 남자가 훔친 차량을 몰고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의 여의도광장 (지금의 여의도공원)으로 돌진, 질주하여 23명의 사상자(사망 2명, 부상 21명)를 낸 사건이다. 목차 1 사건 개요 2 사건 경위 3 유사 사건 4 참고 자료 사건 개요[편집] 범인 김용제(당시 21세)는 시력이 나쁘다는 이유로 직장에서 해고당한 것에 대해 앙심을 품고 자신이 근무했던 모 양말공장 사장의 프라이드 승용차를 훔친 뒤, 1991년 10월 19일 서울 여의도광장에 차를 몰고 나온 직후, 오후 4시 35분 경 그곳에 나와있는 시민들을 향해 시속 100km로 돌진했다. 이 사고로 자전거를 타고 놀던 윤신재(당시 6세)와 지현일(당시 12세) 등 2명이 목숨을 잃었고, 김신중(당시 15세) 등 21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김용제는 차가 멈춘 직후 밖으로 나와 여중생 1명을 흉기로 위협, 인질극을 벌이다 시민들에게 격투 끝에 붙잡혔다. 사건 경위[편집] 경찰 조사에서 김용제는 "시력이 나쁘다는 이유로 일하는 직장마다 빈번히 쫓겨나 주위 사람들이 자신을 무시하고 냉대하는 것 같아서 사회에 복수하고 죽고 싶었다", '자신은 언제나 입에 풀칠하기도 바쁜데 남들은 호의호식하고 행복해하는 현실에 좌절, 범행을 결심했다"라고 진술했다. 실제 김용제는 중국집 배달원, 나이트클럽에서 인사하는 웨이터, 공장 직공등으로 일했는데 약시때문에 직장마다 해고되고 말았다. 김용제의 차량질주로, 귀엽게 세발자전거를 타고 놀다가 죽임당한 여섯살 어린이의 할머니 한 분이 손자와 며느리를 사고와 마음의 병으로 잃은 고통을 극복하고 용서했다. 할머니는 “공포에 떨고 있는 용제의 모습을 보고는 그러한 범행을 저지르게 한 책임이 우리 사회에도 있구나 하는 생각을 떨칠 수가 없었습니다.”라고 생각했다. 시력이 나쁜 김용제를 배려해서 안경을 맞추고, 김수환 추기경과 함께 선처를 요구했다. 김용제는 1992년 6월, 대법원으로부터 사형 확정판결을 받았고, 5년 6개월뒤인, 1997년 12월 30일 사형이 집행되어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현재 김용제는 사형이 사실상 없어진, 한국의 마지막 사형수중 하나이다.[1] 유사 사건[편집] 1992년 8월 16일 같은 장소에서 정신질환을 앓던 택시기사 이봉주(당시 35세)가 자신이 운전하던 스텔라 택시를 몰고 돌진하여 22명에게 부상을 입혔다. 아키하바라 살인 사건 참고 자료[편집] 훔친 車로 "殺人돌진" - 1991년 10월 20일 경향신문 15면 ↑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15291.html 김형민의 ‘응답하라 1990’ ⑩ 마지막 사형수, 김용제 ‘3심 내내 사형’ 여의도 묻지마 차량 돌진 살인자 김용제 6살 손자 잃은 할머니 “그를 내 손자로 여기고 사랑을”] vdeh 대한민국의 살인 사건1940년대 송진우 피살 사건 (1945년) 윤명선 피습 사건 (1946년) 장덕수 피살 사건 (1947년) 1950년대 김창룡 저격 사건 (1956년) 1960년대 최영오 일병 사건 (1962년) 1970년대 정인숙 피살사건 (1970년) 춘천 강간살인 조작 사건(1972년) 육영수 저격 사건 (1974년) 김대두 연쇄 살인 사건 (1975년) 이팔국 아내 살인 사건 (1975년) 판문점 도끼 살인 사건 (1976년) 박흥숙 사건 (1977년) 골동품상 부부 납치 살해 사건 (1979년) 10·26 사건 (1979년) 1980년대 이윤상 유괴 살해 사건 (1980년) 우범곤 순경 총기 난사 사건 (1982년) 사진작가 죽음 연출 사건 (1982년)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1982년) 형제복지원 사건 (1975년 ~ 1987년)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 (1987년) 김훈 중위 사건 (1988년) 설인종 고문 치사 사건 (1989년) 화성 연쇄 살인 사건 (1986년 ~ 1991년) 1990년대 서울 노량진 살인 사건 (1990년) 부산 새마을금고 권총강도 살인 사건 (1990년) 양평 일가족 생매장 사건 (1990년) 김정수 거성관 방화 사건 (1991년) 여의도광장 차량질주 사건 (1991년) 이형호 유괴 살해 사건 (1991년) 김보은 김진관 사건 (1992년) 윤금이 피살 사건 (1992년) 원주 왕국회관 화재 (1992년) 혜화동 무장 탈영병 총격 난동사건 (1993년) 지존파 사건 (1993년 ~ 1994년) 온보현 택시 연쇄 살인 사건 (1994년) 박한상 부모 살해 사건 (1994년) 영생교 사건 (1994년) 양주 군부대 총기 난사 사건 (1994년) 치과의사 모녀 살인 사건 (1995년) 이종권 고문 치사 사건 (1996년) 이석 치사 사건 (1997년) 대구 이승수 연쇄살인 사건 (1997년) 이태원 햄버거 가게 살인 사건 (1997년) 박나리 유괴 살해 사건 (1997년) 대구 아동 황산테러 사건 (1999년) 완주 삼례 나라슈퍼 3인조 강도 사건 (1999년) 정두영 연쇄살인 사건 (1999년 ~ 2000년) 2000년대 김신혜 아버지 존속 살인 (2000년) 익산 약촌오거리 택시 기사 살인 사건 (2000년) 김해선 사건 (2000년) 김도룡의 나주 여고생 살인 사건 (2001년) 개구리 소년 사건 (1991년 ~ 2002년) 대구 지하철 방화 사건 (2003년) 포천 여중생 납치 피살 사건 (2003년) 유영철 연쇄 살인 사건 (2003년 ~ 2004년) 정남규 연쇄 살인 사건 (2004년 ~ 2006년) 정성현 군포 부녀자 살인 사건 (2004년) 연천 530GP 사건 (2005년) 부산개성중학교 폭행 치사 사건 (2005년) 신정동 연쇄살인사건 (2005년 ~ 2006년) 용산 초등학생 살해 사건 (2006년) 강호순 경기도 부녀자 연쇄살인 사건 (2006년 ~ 2008년) 제주 초등학생 성추행 살해 사건 (2007년) 버지니아 공대 총기 난사 사건 (2007년) 수원 노숙소녀 살인 사건 (2007년) 2007년 강화 총기 탈취 사건 (2007년) 안양 초등학생 납치 살해 사건 (2007년) SBS 외주작가 투신 자살 사건 (2008년) 마포 일가족 실종 사건 (2008년) 대구 어린이 납치 살해 사건 (2008년) 안양 관양동 존속 살해 사건 (2008년) 논현동 고시원 살인 사건 (2008년) 강화도 모녀 납치 살해 사건‎ (2008년) 제주 보육교사 살인 사건 (2009년) 2010년대 김길태 사건 (2010년) 만삭 의사 부인 사망 사건 (2011년) 울산 울주군 여아 학대 사망사건 (2011년 ~ 2013년) 강화도 해병대 총기 난사 사건 (2011년) 수원 토막 살인 사건 (2012년) 강남 술집 칼부림 사건 (2012년) 서울 신촌 대학생 피살 사건 (2012년) 제주도 올레길 살인 사건 (2012년) 통영 초등학생 살인 사건 (2012년) 울산 자매 살인 사건 (2012년) 2013년 대구 여대생 살인 사건 (2013년) 용인 엽기 살인 사건 (2013년) 칠곡 계모 아동학대 살인사건 (2013년) 강원도 고성 군부대 총기 난사 사건 (2014년) 울산 삼산동 묻지마 살인 사건 (2014년) 포천 빌라 고무통 변사 사건 (2014년) 김해 여고생 살인 사건 (2014년) 울산 입양아동 학대 사망사건 (2014년) 연천 후임병 구타사망 사건 (2014년) 수원 팔달산 토막 살인 사건 (2014년) 인천 가방 속 시신 사건 (2014년) 포천 농약 음독 사건 (2011년 ~ 2014년) 청주 크림빵 뺑소니 사건 (2015년) 시화호 토막살인 사건 (2015년) 서울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 총기 난사 사건 (2015년) 상주 농약 음료수 음독 사건 (2015년) 김일곤 트렁크 살인 사건 (2015년) 용인 벽돌 살인 사건 (2015년) 부천 초등학생 토막 살인 사건 (2012년 ~ 2015년) 부천 여중생 백골 살인 사건 (2015년 ~ 2016년) 평택 아동 살해 암매장 사건 (2013년 ~ 2016년) 청송 농약 소주 음독 사건 (2016년) 청주 아동학대 암매장 사건 (2011년 ~ 2016년) 대부도 토막시신 살인사건 (2016년) 강남역 화장실 살인사건 (2016년) 시흥 악귀 살인사건 (2016년) 김학봉 수락산 살인 사건 (2016년) 오패산터널 총격 사건 (2016년) 인천 초등학생 살해 사건 (2017년) 이영학의 중랑구 여중생 살인 사건 (2017년) 김성관의 용인 일가족 살인 사건 (2017년) 고준희 양 살인사건 (2017년) 종로 여관 방화 사건 (2018년) 제주 게스트하우스 살인 사건 (2018년) 정읍 존속살인 사건 (2018년) 봉화군 소천면 사무소 엽총 난사 사건 (2018년) 서울대공원 토막 살인 사건 (2018년) 부산 사하구 일가족 살인사건 (2018년) 거제 폭행 살인 사건 (2018년) 서울 강서구 PC방 살인 사건 (2018년) 서울 강서구 아파트 전처 살인 사건 (2018년) 인천 중학생 추락사 사건 (2018년) 강북삼성병원 정신과 의사 살인 사건 (2018년) 화성 동탄 원룸 살인사건 (2019년) 이희진 부모 피살 사건 (2019년) 진주 가좌주공아파트 방화 살인 사건 (2019년) 광주 의붓딸 살인 사건 (2019년) 전직 김포시의회 의장의 아내 살해 사건 (2019년) 고유정의 전 남편 토막 살인 사건 (2019년) 살인 사건 철도 사고 항공 사고 해양 사고 도로 사고 화재 사고 군사 사건 성범죄 사건 아동 학대 사건 폭발 사고 붕괴 사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여의도광장_차량질주_사건&oldid=20617415" 분류: 대한민국의 살인 사건1991년 대한민국대한민국의 범죄서울특별시의 범죄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2월 1일 (목) 16:2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여의도광장 차량질주 사건(汝矣島廣場車輛疾走事件)은 1991년 10월 19일, 시력장애를 앓던 20대 남자가 훔친 차량을 몰고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의 여의도광장 (지금의 여의도공원)으로 돌진, 질주하여 23명의 사상자(사망 2명, 부상 21명)를 낸 사건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할머니와 함께 선처를 요구한 추기경의 이름은? Assistant: 김수환 추기경
Human: 아래 평화의_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평화의 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평화의 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평화의 댐(平和의 dam)은 대한민국 강원도 화천군 화천읍 동촌리의 북한강에 위치한 댐이다. 2차 완공 후의 현재 길이는 601 m, 높이는 125 m이며 최대 저수량은 26억 3천만 t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금강산댐 건설에 따른 수공(水攻)과 홍수 예방을 위해 1987년 2월에 착공하여 1989년 1월에 1차 완공(당시 높이 80 m)된 뒤, 2002년부터 2단계 증축 공사를 하여 2005년 10월에 최종 완공되었다. 평상시에는 물을 가두지 않는 건류댐으로 운영되고 있다. 댐 위로는 지방도 제460호선이 지나간다. 건설 과정에서 제5공화국 정권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공 위협을 과장하고, 이를 토대로 국민에게 불안감을 조성하여 댐을 정치적으로 이용하였다는 정황이 이후 제13대 국가안전기획부장 장세동의 증언과 감사원 조사 등을 통해 밝혀졌다. 이 때문에 제6공화국 이후 대국민 사기극이었다는 비판을 받았다.[1] 평화의 댐의 저수량 26억 3천만 톤은 금강산댐의 저수량보다 1천만 톤이 더 많으며, 소양강 댐(29억 톤), 충주댐(27.5억 톤)에 이어 셋째로 많은 저수량을 가지며, 댐 높이는 대한민국에서 제일 높다. 목차 1 건설 배경 2 논란 3 건설 이후 4 같이 보기 5 각주 6 참고 자료 건설 배경[편집] 1986년 10월 30일 이규효 당시 대한민국 건설부 장관은 《대 북한 성명문》을 발표해 북한에게 금강산 댐의 건설 계획을 멈추라고 했다.[2] 금강산 댐이 북한강을 통해 휴전선 이남으로 흘러들어가는 연간 18억 t의 물 공급을 차단할 것이고, 금강산 댐을 붕괴시켜 200억 t의 물이 하류로 내려가면 물이 “63빌딩 중턱까지 차오를 수 있다”며 북한이 이를 이용해 1988년 하계 올림픽을 방해할 수 있다는 것이 대한민국 정부측의 이야기였다. 결정적으로 이기백 국방부 장관의 발표가 국민들을 공포에 떨게 만들었다. “200억t 물로 수공작전을 전개하면 그 위력이 핵무기보다 크다.”[1] 금강산댐 착공 시기는 외부적으로는 아웅산 폭파사건, KAL기 격추사건등 북한의 적대적 도발이 감행되던 시기이며, 내부적으로는 5.3 인천 사태, 10.28 건국대 항쟁 등으로 정국이 불안정한 상태였다. 금강산 댐 착공은 88올림픽을 앞둔 대한민국 사회에 수공이라는 큰 위기감을 조성하였고, 이에 대한 대응으로 장세동 국가안전기획부장의 주도로 기획된 평화의 댐 건설은[3] 국민의 민주화에 대한 관심을 돌리려던 전두환 정권이 위기를 극복하도록 하는 대응조치의 기능을 했다. 1986년 11월 26일 국방부·건설부·문화공보부·통일원 장관이 합동 담화문을 발표해 평화의 댐을 건설할 계획을 밝히면서 시작된 공사는, 총 공사비는 1700억원이며 이 중 639억여원은 6개월 동안 모인 국민 성금으로 충당했다. 그러나 성금 모금 과정에서 횡령 사례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고,[4] 성금 모금 과정에서 정부는 기업의 매출에 따라 사실상 최소 700만원에서 최대 10억 원을 강제로 할당하였다. 평화의 댐은 1987년 2월 28일 착공하여 1989년에 1단계 댐이 완공되었다. 논란[편집] 그러나 평화의 댐 건설 당시 모금한 성금의 사용내역과 금강산 댐의 실체에 대한 논란이 일자 김영삼 대통령은 감사원에 진상규명을 지시했다.[5] 1993년 감사원 감사 결과 금강산 댐의 위협과, 이를 대비하기 위한 평화의 댐의 필요성도 부풀려진 것으로 드러났다. 금강산 댐의 구체적인 위치와 규모에 관한 1차 분석결과는 한국전력 직원 1명에 의해 이뤄진 결과로 매우 허술하였다. 또한 첩보를 수집하여 정확한 위치와 규모를 파악한 후에도 이를 정정하지 않고 최소 70억 t, 최대 200억t 이라는 건설 불가능한 수치를 발표하여 대북공세와 국민경각심 고취에 이용하였다. 실제 금강산 댐의 규모는 많아도 59.4억 t 으로 그 위협은 3배 이상 과장된 것이었고, 금강산 댐이 최대치인 59.4억 t의 상태에서 물을 방류하여도 이것은 실제로는 서울 한강변의 일부 저지대만을 침수시키는 정도의 위력이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현재 금강산 댐의 저수량은 26.2억 t임).[6] 정부의 금강산 댐에 대한 대응은 진지한 대책수립보다는 국민단합과 시국안정을 꾀하는 것이었고, 이를 위해 정보분석 결과를 과장한 것은 국민들의 불안심리를 도리어 자극하였다. 공사 과정에서 시공사를 경쟁입찰하지 않고 수의계약식으로 하여 공사비를 과다지급, 절감할 수 있었던 건설비를 낭비하였다.[7] 또한 정부 재정을 이용하여 건립할 수 있었음에도 국민성금을 이용한 건립방식을 고집하여 기업과 국민들의 재정적 부담을 가중시켰으며, 소외계층에게 전달되어야 할 성금의 감소를 초래하였다.[8] 전두환 대통령은 감사원 조사과정에서 댐 건설의 최종 결정에 개입한 정황이 포착되었고 이에 대해 "국가안보를 위한 대응책으로서 모든 가능성을 검토하고 결정한 일"이라고 해명했으며[9][10] 이후 시민단체로부터 사기와 공갈 혐의로 고발당했으나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11] 평화의 댐 건설을 지지하고 공사계획에 참여했던 선우중호 서울대 총장은 북한의 수공 위협이 과장되었음이 밝혀지자 학생들에게 사과했다.[12] 대한민국의 평화의 댐공사가 쾌속도로 진정되어 88올림픽 이전에 높이 80m의 1단계 평화의 댐이 완성되자 북한은 어떤 사정에서인지 금강산 댐 시공을 중단하였다가 약 10년 후인 1999년에야 본격적으로 재착공하여 2003년에 완공되었다. 건설 이후[편집] 대국민 사기극이었다는 비판과는 별개로, 건설된 평화의 댐은 홍수조절전용댐으로써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1996년 홍수 때와, 1999년 여름에 700~800mm가 내린 대폭우에는 이 댐이 일부 물을 가두어 당시 화천댐이 범람 위기에서 모면할 수 있게 하여 북한강 수계의 홍수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또한 2002년 1월 공사를 재개한 금강산댐에서 초당 206t씩 흙탕물이 쏟아져 내리는 일이 발생했는데, 약 19일에 걸쳐 3억 5000만t의 물폭탄이 쏟아져 북한강 수계 가장 선두에 있던 평화의 댐이 붕괴 위기까지 갈 뻔했다. 이 일로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방류 중단과 공동조사를 요구했으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이에 응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국가안전보장회의를 통해 평화의 댐을 125m로 높이는 보강 및 증축공사를 시행하기로 했다.[13] 정부는 2002년 5월에 평화의 댐 2단계 증축공사를 결정하고 같은 해 9월에 공사에 들어가 2005년 10월 19일에 완공했다. 증축공사에는 2329억원이 들었으며, 1단계 비용을 합쳐 총 모두 3995억원이 들어갔다. 그러나 댐이 완공되고 나서 본래 완공식에 국무총리가 참석하는 것으로 예정되어 있었지만 실제로는 주무장관까지도 오지 않았고, 한국수자원공사 사장과 원주국토관리사무소장만 참석하는데 그쳤다. 이후 2009년 전두환 전 대통령이 평화의 댐 건설 후 처음으로 방문하였으며, 방문 당시 "내가 잘못 만든 댐이 아니구먼"이라고 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13] 같이 보기[편집] 임남댐 각주[편집] ↑ 平和(평화)의댐 詐欺(사기)였나 엄포였나 5共(공) 拙作(졸작)┉이제 眞實(진실) 밝힐때다 <동아일보> 1991/05/18 ↑ “"金剛山水電댐건설 中止하라" / 李건설장관 對北韓성명 통해 촉구” (PDF). 동아일보. 1986년 10월 30일. 1면. 2008년 3월 29일에 확인함.  ↑ "「北水攻(북수공)위협」규탄대회 安企部(안기부) 지원" <동아일보> 1993/09/09 ↑ 平和(평화)의댐 誠金(성금)등 횡령 市場(시장)새마을分會長(분회장)구속 <동아일보> 1987/10/03 ↑ <特輯> 平和의 댐 의혹 연합뉴스, 1993/06/15 ↑ (서화숙 칼럼) 평화의 댐을 기억하라 Archived 2012년 4월 4일 - 웨이백 머신《한국일보》2008/01/09 18:54:10 ↑ 88년「평화댐」감사 예산낭비등 적발 <동아일보> 1993/06/20 ↑ 평화의 댐 감사 결과 요지 <동아일보> 1993/09/01 ↑ "平和(평화)댐 早期(조기)착공 全前(전전)대통령 개입"李(이)감사원장 <동아일보> 1993/09/05 ↑ <全斗煥씨 평화의 댐 해명요지>-1 연합뉴스, 1993/08/26 ↑ 평화의댐건설 관련 全前(전전)대통령 무혐의 "사기 공갈의도 없다" <동아일보> 1995/09/14 ↑ 鮮于서울대 총장, "평화의 댐 발언 유감" 연합뉴스 1996/03/11 ↑ 가 나 [최보식 칼럼] '평화의 댐' 사기극과 진실, 조선일보, 2011년 7월 7일 작성. 참고 자료[편집] 평화의 댐 - WAMIS 국가수자원관리종합시스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평화의_댐&oldid=23305062" 분류: 한강대한민국의 댐대한민국 국가안전기획부2005년 완공된 건축물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Français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21일 (금) 21:3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평화의 댐(平和의 dam)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화천읍 동촌리의 북한강에 위치한 댐이다. 2차 완공 후의 현재 길이는 601 m, 높이는 125 m이며 최대 저수량은 26억 3천만 t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금강산댐 건설에 따른 수공(水攻)과 홍수 예방을 위해 1987년 2월에 착공하여 1989년 1월에 1차 완공(당시 높이 80 m)된 뒤, 2002년부터 2단계 증축 공사를 하여 2005년 10월에 최종 완공되었다. 평상시에는 물을 가두지 않는 건류댐으로 운영되고 있다. 댐 위로는 지방도 제460호선이 지나간다. 건설 과정에서 제5공화국 정권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공 위협을 과장하고, 이를 토대로 국민에게 불안감을 조성하여 댐을 정치적으로 이용하였다는 정황이 이후 제13대 국가안전기획부장 장세동의 증언과 감사원 조사 등을 통해 밝혀졌다. 이 때문에 제6공화국 이후 대국민 사기극이었다는 비판을 받았다.평화의 댐의 저수량 26억 3천만 톤은 금강산댐의 저수량보다 1천만 톤이 더 많으며, 소양강 댐(29억 톤), 충주댐(27.5억 톤)에 이어 셋째로 많은 저수량을 가지며, 댐 높이는 대한민국에서 제일 높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86년 한국의 건설부 장관의 이름은? Assistant: 이규효 Human: 아래 술레만_디아와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술레만 디아와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술레만 디아와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술레만 디아와라 개인 정보전체 이름 Souleymane Diawara출생일 1978년 12월 24일(1978-12-24) (40세)출생지 세네갈 다카르키 1.87m포지션 수비수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1998–2003 2003–2006 2006–2007 2007–2009 2009–2014 2014-2015 르아브르 소쇼 찰턴 애슬레틱 보르도 마르세유 니스 00010400(2) 00008400(4) 00002300(0) 00006300(2) 00015400(9) 000014 00(0)국가대표팀 기록‡2002–2012 세네갈 00004800(0)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12년 1월 23일 기준이다.‡ 국가대표팀의 출장수와 골은 2010년 6월 26일 기준이다. 술레만 디아와라 (Souleymane Diawara, 1978년 12월 24일, 다카르 ~) 는 세네갈의 전 축구 선수이다. 목차 1 경력 2 수상 2.1 클럽 3 각주 4 외부 링크 경력[편집] 디아와라는 리그 1의 르아브르 AC에서 5시즌 중 2시즌을 강등당하기 전까지 있었다. 그는 리그 2에서의 3년 후인 2003년, FC 소쇼 몽벨리아르로 이적하였다. 2002년 11월 19일, 그는 남아프리카 공화국과의 친선 경기에서 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 데뷔를 하였다. 2006년, 그는 찰턴 애슬레틱 FC으로 이적하였다. 이듬해, 그는 FC 지롱댕 드 보르도에 합류하여 마크 플라뉘스와 1쌍이 되며, 중앙 수비를 보강하였다. 디아와라는 2006년 8월에 코트디부아르와의 친선경기를 앞두고 징계로 인해 명단에 제외되었다.[1] 2009년 7월, 그는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와 계약을 체결하였다. 이적료는 €7M으로 책정되었다. 8월 8일, 그는 그르노블 푸트 38과의 경기에서 마르세유 소속으로 첫 출전하였고, 마르세유는 2-0 승리를 거두었다. 2011년 4월 23일, 마르세유는 쿠프 드 라 리그 2연패를 거두었다. 술레만 디아와라는 그에 따라, 이 대회에서 4번의 우승을 거두어, 선수로써는 이 부문 최다 우승 기록을 세웠다. 수상[편집] 클럽[편집] FC 소쇼 몽벨리아르 쿠프 드 라 리그: 2004 FC 지롱댕 드 보르도 리그 1: 2008-09 쿠프 드 라 리그: 2009 트로페 데 샹피옹: 2009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리그 1: 2009–10 쿠프 드 라 리그: 2010, 2011 트로페 데 샹피옹: 2010, 2011 각주[편집] ↑ “Senegal expel Diawara”. 《BBC Sport》. 2006년 8월 16일. 2007년 8월 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술레만 디아와라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공식 프로파일 vdeh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 –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 콩둘 2 고미스 3 사니 4 디아카테 5 디아와라 6 망가네 7 소우 8 니앙 9 카마라 10 디아 11 은도예 12 살 13 파티 14 D. 은디아예 15 시세 16 K. 은디아예 17 다프 18 은다우 19 바 20 AR. 트라오레 21 디아메 22 음벵게 23 P. L. 은디아예 감독: AM. 트라오레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술레만_디아와라&oldid=24099469" 분류: 1978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세네갈의 축구 선수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르아브르 AC의 축구 선수FC 소쇼-몽벨리아르의 축구 선수찰턴 애슬레틱 FC의 축구 선수FC 지롱댕 드 보르도의 축구 선수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의 축구 선수OGC 니스의 축구 선수축구 수비수프랑스의 외국인 축구 선수잉글랜드의 외국인 축구 선수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참가 선수200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참가 선수200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참가 선수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참가 선수세네갈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리그 1의 축구 선수리그 2의 축구 선수프리미어리그의 축구 선수잉글랜드에 거주한 세네갈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Hrvatski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atinaLietuviųMalagasy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Türkçe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5일 (목) 11: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술레만 디아와라(Souleymane Diawara, 1978년 12월 24일, 다카르 ~)는 세네갈의 전 축구 선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술레만 디아와라의 국적은 아프리카 어느 나라입니까? Assistant: 세네갈
Human: 아래 제5회_전국동시지방선거_서울특별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제5회 지방 선거 서울특별시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한민국 제5회 지방 선거의 서울특별시 선거는 서울특별시의 서울특별시장, 서울특별시의회의원, 구청장, 구의회의원,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감,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위원을 선출하는 선거로, 2010년 6월 2일에 진행되었다. 목차 1 선거구 1.1 광역자치의회의원 1.2 교육의원 1.3 기초의회의원 1.3.1 강남구 1.3.2 강동구 1.3.3 강북구 1.3.4 강서구 1.3.5 관악구 1.3.6 광진구 1.3.7 구로구 1.3.8 금천구 1.3.9 노원구 1.3.10 도봉구 1.3.11 동대문구 1.3.12 동작구 1.3.13 마포구 1.3.14 서대문구 1.3.15 서초구 1.3.16 성동구 1.3.17 성북구 1.3.18 송파구 1.3.19 양천구 1.3.20 영등포구 1.3.21 용산구 1.3.22 은평구 1.3.23 종로구 1.3.24 중구 1.3.25 중랑구 2 서울특별시장 3 기초자치단체장 3.1 강남구 3.2 강동구 3.3 강북구 3.4 강서구 3.5 관악구 3.6 광진구 3.7 구로구 3.8 금천구 3.9 노원구 3.10 도봉구 3.11 동대문구 3.12 동작구 3.13 마포구 3.14 서대문구 3.15 서초구 3.16 성동구 3.17 성북구 3.18 송파구 3.19 양천구 3.20 영등포구 3.21 용산구 3.22 은평구 3.23 종로구 3.24 중구 3.25 중랑구 4 서울특별시의회 4.1 비례대표 4.2 지역구 4.2.1 강남구 4.2.1.1 제1선거구 4.2.1.2 제2선거구 4.2.1.3 제3선거구 4.2.1.4 제4선거구 4.2.2 강동구 4.2.2.1 제1선거구 4.2.2.2 제2선거구 4.2.2.3 제3선거구 4.2.2.4 제4선거구 4.2.3 강북구 4.2.3.1 제1선거구 4.2.3.2 제2선거구 4.2.3.3 제3선거구 4.2.3.4 제4선거구 4.2.4 강서구 4.2.4.1 제1선거구 4.2.4.2 제2선거구 4.2.4.3 제3선거구 4.2.4.4 제4선거구 4.2.5 관악구 4.2.5.1 제1선거구 4.2.5.2 제2선거구 4.2.5.3 제3선거구 4.2.5.4 제4선거구 4.2.6 광진구 4.2.6.1 제1선거구 4.2.6.2 제2선거구 4.2.6.3 제3선거구 4.2.6.4 제4선거구 4.2.7 구로구 4.2.7.1 제1선거구 4.2.7.2 제2선거구 4.2.7.3 제3선거구 4.2.7.4 제4선거구 4.2.8 금천구 4.2.8.1 제1선거구 4.2.8.2 제2선거구 4.2.9 노원구 4.2.9.1 제1선거구 4.2.9.2 제2선거구 4.2.9.3 제3선거구 4.2.9.4 제4선거구 4.2.9.5 제5선거구 4.2.9.6 제6선거구 4.2.10 도봉구 4.2.10.1 제1선거구 4.2.10.2 제2선거구 4.2.10.3 제3선거구 4.2.10.4 제4선거구 4.2.11 동대문구 4.2.11.1 제1선거구 4.2.11.2 제2선거구 4.2.11.3 제3선거구 4.2.11.4 제4선거구 4.2.12 동작구 4.2.12.1 제1선거구 4.2.12.2 제2선거구 4.2.12.3 제3선거구 4.2.12.4 제4선거구 4.2.13 마포구 4.2.13.1 제1선거구 4.2.13.2 제2선거구 4.2.13.3 제3선거구 4.2.13.4 제4선거구 4.2.14 서대문구 4.2.14.1 제1선거구 4.2.14.2 제2선거구 4.2.14.3 제3선거구 4.2.14.4 제4선거구 4.2.15 서초구 4.2.15.1 제1선거구 4.2.15.2 제2선거구 4.2.15.3 제3선거구 4.2.15.4 제4선거구 4.2.16 성동구 4.2.16.1 제1선거구 4.2.16.2 제2선거구 4.2.16.3 제3선거구 4.2.16.4 제4선거구 4.2.17 성북구 4.2.17.1 제1선거구 4.2.17.2 제2선거구 4.2.17.3 제3선거구 4.2.17.4 제4선거구 4.2.18 송파구 4.2.18.1 제1선거구 4.2.18.2 제2선거구 4.2.18.3 제3선거구 4.2.18.4 제4선거구 4.2.18.5 제5선거구 4.2.18.6 제6선거구 4.2.19 양천구 4.2.19.1 제1선거구 4.2.19.2 제2선거구 4.2.19.3 제3선거구 4.2.19.4 제4선거구 4.2.20 영등포구 4.2.20.1 제1선거구 4.2.20.2 제2선거구 4.2.20.3 제3선거구 4.2.20.4 제4선거구 4.2.21 용산구 4.2.21.1 제1선거구 4.2.21.2 제2선거구 4.2.22 은평구 4.2.22.1 제1선거구 4.2.22.2 제2선거구 4.2.22.3 제3선거구 4.2.22.4 제4선거구 4.2.23 종로구 4.2.23.1 제1선거구 4.2.23.2 제2선거구 4.2.24 중구 4.2.24.1 제1선거구 4.2.24.2 제2선거구 4.2.25 중랑구 4.2.25.1 제1선거구 4.2.25.2 제2선거구 4.2.25.3 제3선거구 4.2.25.4 제4선거구 5 기초 의회 5.1 강남구의회 5.1.1 비례대표 5.1.2 지역구 5.2 강동구의회 5.2.1 비례대표 5.2.2 지역구 5.3 강북구의회 5.3.1 비례대표 5.3.2 지역구 5.4 강서구의회 5.4.1 비례대표 5.4.2 지역구 5.5 관악구의회 5.5.1 비례대표 5.5.2 지역구 5.6 광진구의회 5.6.1 비례대표 5.6.2 지역구 5.7 구로구의회 5.7.1 비례대표 5.7.2 지역구 5.8 금천구의회 5.8.1 비례대표 5.8.2 지역구 5.9 노원구의회 5.9.1 비례대표 5.9.2 지역구 5.10 도봉구의회 5.10.1 비례대표 5.10.2 지역구 5.11 동대문구의회 5.11.1 비례대표 5.11.2 지역구 5.12 동작구의회 5.12.1 비례대표 5.12.2 지역구 5.13 마포구의회 5.13.1 비례대표 5.13.2 지역구 5.14 서대문구의회 5.14.1 비례대표 5.14.2 지역구 5.15 서초구의회 5.15.1 비례대표 5.15.2 지역구 5.16 성동구의회 5.16.1 비례대표 5.16.2 지역구 5.17 성북구의회 5.17.1 비례대표 5.17.2 지역구 5.18 송파구의회 5.18.1 비례대표 5.18.2 지역구 5.19 양천구의회 5.19.1 비례대표 5.19.2 지역구 5.20 영등포구의회 5.20.1 비례대표 5.20.2 지역구 5.21 용산구의회 5.21.1 비례대표 5.21.2 지역구 5.22 은평구의회 5.22.1 비례대표 5.22.2 지역구 5.23 종로구의회 5.23.1 비례대표 5.23.2 지역구 5.24 중구의회 5.24.1 비례대표 5.24.2 지역구 5.25 중랑구의회 5.25.1 비례대표 5.25.2 지역구 6 서울특별시교육감 7 교육의원 7.1 제1선거구 7.2 제2선거구 7.3 제3선거구 7.4 제4선거구 7.5 제5선거구 7.6 제6선거구 7.7 제7선거구 7.8 제8선거구 선거구[원본 편집] 광역자치의회의원[원본 편집] 선거 선거구 지역 강남구 제1선거구 논현1동, 논현2동, 신사동, 압구정동, 청담동 제2선거구 도곡1동, 도곡2동, 삼성1동, 삼성2동, 역삼1동, 역삼2동 제3선거구 대치1동, 대치2동, 대치4동, 일원2동 제4선거구 개포1동, 개포2동, 개포4동, 세곡동, 수서동, 일원1동, 일원본동 강동구 제1선거구 강일동, 고덕제1동, 고덕제2동, 암사제1동, 암사제2동, 암사제3동 제2선거구 길동, 명일제1동, 명일제2동, 상일동 제3선거구 천호제1동, 천호제2동, 천호제3동 제4선거구 둔촌제1동, 둔촌제2동, 성내제1동, 성내제2동, 성내제3동 강북구 제1선거구 번제1동, 번제2동, 수유제2동, 수유제3동 제2선거구 수유제1동, 우이동, 인수동 제3선거구 삼각산동, 삼양동, 송천동 제4선거구 미아동, 번제3동, 송중동 강서구 제1선거구 발산제1동, 화곡제1동, 화곡제2동, 화곡제3동, 화곡제8동 제2선거구 등촌제2동, 우장산동, 화곡본동, 화곡제4동, 화곡제6동 제3선거구 가양제1동, 공항동, 방화제1동, 방화제2동, 방화제3동 제4선거구 가양제2동, 가양제3동, 등촌제1동, 등촌제3동, 염창동 관악구 제1선거구 보라매동, 신림동, 은천동, 중앙동, 청룡동 제2선거구 낙성대동, 남현동, 성현동, 인헌동, 청림동, 행운동 제3선거구 난곡동, 난향동, 미성동, 신사동, 조원동 제4선거구 대학동, 삼성동, 서림동, 서원동, 신원동 광진구 제1선거구 중곡제1동, 중곡제2동, 중곡제3동, 중곡제4동 제2선거구 광장동, 구의제2동, 군자동, 능동 제3선거구 구의제1동, 구의제3동, 자양제1동, 자양제2동 제4선거구 자양제3동, 자양제4동, 화양동 구로구 제1선거구 가리봉동, 구로제3동, 구로제4동 제2선거구 구로제1동, 구로제2동, 구로제5동, 신도림동 제3선거구 개봉제1동, 개봉제2동, 개봉제3동, 고척제1동, 고척제2동 제4선거구 수궁동, 오류제1동, 오류제2동 금천구 제1선거구 가산동, 독산제1동, 독산제2동, 독산제3동, 독산제4동 제2선거구 시흥제1동, 시흥제2동, 시흥제3동, 시흥제4동, 시흥제5동 노원구 제1선거구 월계1동, 월계2동, 월계3동 제2선거구 공릉1·3동, 공릉2동 제3선거구 하계1동, 중계본동, 중계1동, 중계4동 제4선거구 하계2동, 중계2·3동, 상계6·7동 제5선거구 상계2동, 상계3·4동, 상계5동 제6선거구 상계1동, 상계8동, 상계9동, 상계10동 도봉구 제1선거구 창1동, 창4동, 창5동 제2선거구 쌍문1동, 쌍문3동, 창2동, 창3동 제3선거구 쌍문2동, 쌍문4동, 방학3동 제4선거구 방학1동, 방학2동, 도봉1동, 도봉2동 동대문구 제1선거구 용신동, 제기동, 청량리동 제2선거구 회기동, 휘경제1동, 휘경제2동, 이문제1동, 이문제2동 제3선거구 전농제1동, 전농제2동, 답십리제1동 제4선거구 답십리제2동, 장안제1동, 장안제2동 동작구 제1선거구 노량진제1동, 노량진제2동, 상도제2동, 상도제4동 제2선거구 상도제3동, 대방동, 신대방제1동, 신대방제2동 제3선거구 상도제1동, 사당제3동, 사당제4동, 사당제5동 제4선거구 흑석동, 사당제1동, 사당제2동 마포구 제1선거구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신수동 제2선거구 공덕동, 아현동, 도화동 제3선거구 서강동, 서교동, 합정동, 망원1동 제4선거구 망원2동, 연남동, 성산1동, 성산2동, 상암동 서대문구 제1선거구 충현동, 천연동, 북아현동, 신촌동 제2선거구 연희동, 홍제제1동, 홍제제2동 제3선거구 홍제제3동, 홍은제1동, 홍은제2동 제4선거구 남가좌제1동, 남가좌제2동, 북가좌제1동, 북가좌제2동 서초구 제1선거구 잠원동, 반포1동, 반포3동, 반포4동 제2선거구 반포본동, 반포2동, 방배본동, 방배1동, 방배4동 제3선거구 서초2동, 서초4동, 양재1동, 양재2동, 내곡동 제4선거구 서초1동, 서초3동, 방배2동, 방배3동 성동구 제1선거구 금호1가동, 금호2·3가동, 금호4가동, 옥수동 제2선거구 응봉동, 성수1가제1동, 성수1가제2동, 성수2가제1동, 성수2가제3동 제3선거구 왕십리도선동, 왕십리제2동, 행당제1동, 행당제2동 제4선거구 마장동, 사근동, 송정동, 용답동 성북구 제1선거구 성북동, 삼선동, 동선동, 돈암제2동, 안암동, 보문동 제2선거구 정릉제1동, 정릉제2동, 정릉제3동, 정릉제4동, 길음제1동 제3선거구 돈암제1동, 길음제2동, 종암동, 월곡제1동, 월곡제2동 제4선거구 장위제1동, 장위제2동, 장위제3동, 석관동 송파구 제1선거구 풍납1동, 풍납2동, 잠실4동, 잠실6동 제2선거구 방이1동, 방이2동, 오륜동, 송파1동, 송파2동 제3선거구 삼전동, 잠실본동, 잠실2동, 잠실3동, 잠실7동 제4선거구 석촌동, 가락1동, 문정2동 제5선거구 오금동, 가락본동, 가락2동, 문정1동 제6선거구 거여1동, 거여2동, 마천1동, 마천2동, 장지동 양천구 제1선거구 목2동, 목3동, 목4동, 목5동 제2선거구 목1동, 신정1동, 신정2동, 신정6동, 신정7동 제3선거구 신월1동, 신월3동, 신월4동, 신월5동, 신월7동 제4선거구 신월2동, 신월6동, 신정3동, 신정4동 영등포구 제1선거구 영등포본동, 도림동, 문래동, 신길제3동 제2선거구 영등포동, 당산제1동, 당산제2동, 양평제1동, 양평제2동 제3선거구 여의동, 신길제1동, 신길제4동, 신길제5동, 신길제7동 제4선거구 신길제6동, 대림제1동, 대림제2동, 대림제3동 용산구 제1선거구 남영동, 청파동, 원효로제1동, 원효로제2동, 효창동, 용문동, 한강로동, 이촌제1동, 이촌제2동 제2선거구 후암동, 용산2가동, 이태원제1동, 이태원제2동, 한남동, 서빙고동, 보광동 은평구 제1선거구 녹번동, 응암제1동, 응암제2동, 응암제3동 제2선거구 증산동, 수색동, 신사제1동, 신사제2동 제3선거구 갈현제2동, 구산동, 갈현제1동, 진관동 제4선거구 불광제1동, 불광제2동, 대조동, 역촌동 종로구 제1선거구 청운효자동, 사직동, 삼청동, 부암동, 평창동, 무악동, 교남동, 가회동 제2선거구 종로1·2·3·4가동, 종로5·6가동, 이화동, 혜화동, 명륜3가동, 창신제1동, 창신제2동, 숭인제1동, 숭인제2동 중구 제1선거구 소공동, 명동, 광희동, 을지로동, 신당제1동, 신당제5동, 신당제6동, 황학동, 중림동 제2선거구 회현동, 필동, 장충동, 신당제3동, 신당제3동, 신당제4동 중랑구 제1선거구 면목제3·8동, 면목제4동, 면목제7동, 망우제3동 제2선거구 면목본동, 면목제2동, 면목제5동, 상봉제2동 제3선거구 중화제1동, 중화제2동, 묵제1동, 묵제2동 제4선거구 상봉제1동, 망우본동, 신내제1동, 신내제2동 교육의원[원본 편집] 선거구 지역 제1선거구 강북구, 성북구, 종로구, 중구 제2선거구 마포구, 서대문구, 용산구, 은평구 제3선거구 노원구, 도봉구, 중랑구 제4선거구 광진구, 동대문구, 성동구 제5선거구 강서구, 양천구, 영등포구 제6선거구 관악구, 구로구, 금천구 제7선거구 강남구, 동작구, 서초구 제8선거구 강동구, 송파구 기초의회의원[원본 편집] 강남구[원본 편집] 선거구 지역 정원 가선거구 신사동, 압구정동 2 나선거구 논현1동, 논현2동, 청담동 2 다선거구 삼성1동, 삼성2동, 역삼1동 2 라선거구 역삼2동, 도곡1동, 도곡2동 3 마선거구 대치1동, 대치4동 2 바선거구 대치2동, 일원2동 2 사선거구 개포1동, 개포4동 2 아선거구 개포2동, 일원본동, 일원1동, 수서동, 세곡동 3 합계 18 강동구[원본 편집] 선거구 지역 정원 가선거구 강일동, 고덕제1동, 고덕제2동 2 나선거구 암사제1동, 암사제2동, 암사제3동 2 다선거구 상일동, 명일제2동 2 라선거구 명일제1동, 길동 2 마선거구 천호제1동, 천호제3동 2 바선거구 천호제2동 2 사선거구 성내제1동, 성내제2동, 성내제3동 2 아선거구 둔촌제1동, 둔촌제2동 2 합계 16 강북구[원본 편집] 선거구 지역 정원 가선거구 번제1동, 번제2동, 수유제1동, 수유제3동 3 나선거구 수유제1동, 우이동, 인수동 3 다선거구 삼양동, 송천동, 삼각산동 3 라선거구 미아동, 송중동, 번제3동 3 합계 12 강서구[원본 편집] 선거구 지역 정원 가선거구 화곡제1동, 화곡제3동, 발산제1동 3 나선거구 화곡제2동, 화곡제8동 2 다선거구 등촌제2동, 화곡제4동 2 라선거구 화곡본동, 화곡제6동, 우장산동 3 마선거구 가양제1동, 공항동, 방화제1동 2 바선거구 방화제2동, 방화제3동 2 사선거구 등촌제1동, 등촌제3동 2 아선거구 염창동, 가양제2동, 가양제3동 2 합계 18 관악구[원본 편집] 선거구 지역 정원 가선거구 보라매동, 은천동, 신림동 3 나선거구 중앙동, 청룡동 2 다선거구 성현동, 청림동, 행운동 3 라선거구 낙성대동, 인헌동, 남현동 2 마선거구 신사동, 조원동, 미성동 3 바선거구 난곡동, 난향동 2 사선거구 서원동, 신원동, 서림동 2 아선거구 삼성동, 대학동 2 합계 19 광진구[원본 편집] 선거구 지역 정원 가선거구 중곡제1동, 중곡제2동, 중곡제3동, 중곡제4동 3 나선거구 능동, 구의제2동, 광장동, 군자동 3 다선거구 구의제1동, 구의제3동, 자양제1동, 자양제2동 3 라선거구 자양제3동, 자양제4동, 화양동 3 합계 12 구로구[원본 편집] 선거구 지역 정원 가선거구 구로제3동, 구로제4동, 가리봉동 2 나선거구 신도림동, 구로제5동 2 다선거구 구로제1동, 구로제2동 2 라선거구 고척제1동, 고척제2동, 개봉제1동 3 마선거구 개봉제2동, 개봉제3동 2 바선거구 오류제1동, 오류제2동, 수궁동 3 합계 14 금천구[원본 편집] 선거구 지역 정원 가선거구 가산동, 독산제1동 2 나선거구 독산제2동, 독산제3동, 독산제4동 3 다선거구 시흥제1동, 시흥제4동 2 라선거구 시흥제2동, 시흥제3동, 시흥제5동 2 합계 9 노원구[원본 편집] 선거구 지역 정원 가선거구 월계1동, 월계2동, 월계3동 3 나선거구 공릉1·3동, 공릉2동 3 다선거구 하계1동, 중계본동, 중계1동, 중계4동 3 라선거구 하계2동, 중계2·3동, 상계6·7동 3 마선거구 상계2동, 상계3·4동, 상계5동 3 바선거구 상계8동, 상계10동 2 사선거구 상계1동, 상계9동 2 합계 19 도봉구[원본 편집] 선거구 지역 정원 가선거구 창1동, 창4동, 창5동 3 나선거구 쌍문1동, 쌍문3동, 창2동, 창3동 3 다선거구 쌍문2동, 쌍문4동, 방학3동 2 라선거구 도봉1동, 도봉2동 2 마선거구 방학1동, 방학2동 2 합계 12 동대문구[원본 편집] 선거구 지역 정원 가선거구 용신동 2 나선거구 제기동, 청량리동 2 다선거구 회기동, 휘경제1동, 휘경제2동 2 라선거구 이문제1동, 이문제2동 2 마선거구 전농제1동 2 바선거구 전농제2동, 답십리제1동 2 사선거구 답십리제2동, 장안제2동 2 아선거구 장안제1동 2 합계 16 동작구[원본 편집] 선거구 지역 정원 가선거구 노량진제1동, 노량진제2동 2 나선거구 상도제2동, 상도제4동 2 다선거구 상도제3동, 대방동 2 라선거구 신대방제1동, 신대방제2동 2 마선거구 상도제1동, 사당제5동 2 바선거구 사당제3동, 사당제4동 2 사선거구 흑석동, 사당제1동, 사당제2동 3 합계 15 마포구[원본 편집] 선거구 지역 정원 가선거구 용강동, 신수동 2 나선거구 대흥동, 염리동 2 다선거구 공덕동 2 라선거구 아현동, 도화동 2 마선거구 서강동, 합정동 2 바선거구 서교동, 망원1동 2 사선거구 망원2동, 연남동, 성산1동 2 아선거구 성산2동, 상암동 2 합계 16 서대문구[원본 편집] 선거구 지역 정원 가선거구 충현동, 천연동, 북아현동, 신촌동 3 나선거구 연희동 2 다선거구 홍제제1동, 홍제제2동 2 라선거구 홍제제3동, 홍은제1동, 홍은제2동 3 마선거구 남가좌제1동, 남가좌제2동, 북가좌제1동, 북가좌제2동 3 합계 13 서초구[원본 편집] 선거구 지역 정원 가선거구 잠원동, 반포1동, 반포3동, 반포4동 3 나선거구 반포본동, 반포2동, 방배본동, 방배1동, 방배4동 3 다선거구 서초2동, 서초4동 2 라선거구 양재1동, 양재2동, 내곡동 2 마선거구 서초1동, 서초3동, 방배2동, 방배3동 3 합계 13 성동구[원본 편집] 선거구 지역 정원 가선거구 금호1가동, 금호2·3가동, 금호4가동, 옥수동 3 나선거구 응봉동, 성수1가제1동, 성수1가제1동, 성수2가제1동, 성수2가제3동 3 다선거구 왕십리도선동, 왕십리제2동, 행당제1동, 행당제2동 3 라선거구 마장동, 사근동, 송정동, 용답동 3 합계 12 성북구[원본 편집] 선거구 지역 정원 가선거구 성북동, 삼선동 2 나선거구 동선동, 돈암제2동, 안암동, 보문동 3 다선거구 정릉제2동, 정릉제3동, 정릉제4동 3 라선거구 정릉제1동, 길음제1동 2 마선거구 돈암제1동, 종암동 2 바선거구 길음제2동, 월곡제1동, 월곡제2동 3 사선거구 장위제1동, 장위제2동 2 아선거구 장위제3동, 석관동 2 합계 19 송파구[원본 편집] 선거구 지역 정원 가선거구 풍납1동, 풍납2동, 잠실4동, 잠실6동 3 나선거구 방이2동, 오륜동 2 다선거구 방이1동, 송파1동, 송파2동 2 라선거구 잠실본동, 잠실2동, 잠실7동 3 마선거구 삼전동, 잠실3동 3 바선거구 석촌동, 가락1동, 문정2동 2 사선거구 오금동, 가락본동 2 아선거구 가락2동, 문정1동 2 자선거구 거여1동, 마천1동, 마천2동 2 차선거구 거여2동, 장지동 2 합계 23 양천구[원본 편집] 선거구 지역 정원 가선거구 목2동, 목3동 2 나선거구 목4동, 목5동 2 다선거구 목1동, 신정1동, 신정2동 2 라선거구 신정6동, 신정7동 2 마선거구 신월1동, 신월3동, 신월5동 2 바선거구 신월4동, 신월7동 2 사선거구 신월2동, 신정4동 2 아선거구 신월6동, 신정3동 2 합계 16 영등포구[원본 편집] 선거구 지역 정원 가선거구 영등포본동, 신길제3동 2 나선거구 도림동, 문래동 2 다선거구 영등포동, 당산제2동 2 라선거구 당산제1동, 양평제1동, 양평제2동 2 마선거구 여의동, 신길제1동 2 바선거구 신길제4동, 신길제5동, 신길제7동 2 사선거구 신길제6동, 대림제1동, 대림제2동, 대림제3동 3 합계 15 용산구[원본 편집] 선거구 지역 정원 가선거구 남영동, 청파동, 효창동 2 나선거구 원효로제1동, 원효로제2동, 용문동 2 다선거구 한강로동, 이촌제1동, 이촌제2동 2 라선거구 후암동, 용산2가동, 이태원제2동 2 마선거구 이태원제1동, 한남동, 서빙고동, 보광동 3 합계 11 은평구[원본 편집] 선거구 지역 정원 가선거구 녹번동, 응암제1동 2 나선거구 응암제2동, 응암제3동 2 다선거구 증산동, 수색동 2 라선거구 신사제1동, 신사제2동 2 마선거구 갈현제2동, 구산동 2 바선거구 갈현제1동, 진관동 2 사선거구 불광제1동, 불광제2동 2 아선거구 대조동, 역촌동 2 합계 16 종로구[원본 편집] 선거구 지역 정원 가선거구 청운효자동, 사직동, 무악동, 교남동 2 나선거구 삼청동, 부암동, 평창동, 가회동 2 다선거구 종로1·2·3·4가동, 이화동, 혜화동, 명륜3가동 2 라선거구 종로5·6가동, 창신제1동, 창신제2동,창신제3동, 숭인제1동, 숭인제2동 3 합계 9 중구[원본 편집] 선거구 지역 정원 가선거구 소공동, 명동, 광희동, 을지로동,신당제1동, 중림동 2 나선거구 신당제5동, 신당제6동, 황학동 2 다선거구 회현동, 필동, 장충동, 신당제2동 2 라선거구 신당제3동, 신당제4동 2 합계 8 중랑구[원본 편집] 선거구 지역 정원 가선거구 면목제3·8동, 망우제3동 2 나선거구 면목제4동, 면목제7동 2 다선거구 면목본동, 면목제2동, 면목제5동, 상봉제2동 3 라선거구 묵제1동, 묵제2동 2 마선거구 중화제1동, 중화제2동 2 바선거구 상봉제1동, 신내제2동 2 사선거구 망우본동, 신내제1동 2 합계 15 서울특별시장[원본 편집] 지역별 서울특별시장 선거 결과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오세훈 한나라당 2,086,127 47.43% 2 2 한명숙 민주당 2,059,715 46.83% 3 7 노회찬 진보신당 143,459 3.26% 4 3 지상욱 자유선진당 90,032 2.04% 5 8 석종현 미래연합 18,339 0.41% 투표율 53.90% 합계 4,426,182 무효율 무효 28,510 기권 3,785,279 0.64% 기초자치단체장[원본 편집] 지역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강남구청장 1 신연희 한나라당 100,906 44.23% 강동구청장 2 이해식 민주당 123,902 59.73% 강북구청장 2 박겸수 민주당 82,708 59.31% 강서구청장 2 노현송 민주당 127,350 53.23% 관악구청장 2 유종필 민주당 128,306 54.62% 광진구청장 2 김기동 민주당 61,155 38.99% 구로구청장 2 이성 민주당 100,544 54.20% 금천구청장 2 차성수 민주당 47,516 46.43% 노원구청장 2 김성환 민주당 139,714 53.69% 도봉구청장 2 이동진 민주당 76,871 50.34% 동대문구청장 2 유덕열 민주당 83,866 53.17% 동작구청장 2 문충실 민주당 98,384 54.27% 마포구청장 2 박홍섭 민주당 83,653 49.17% 서대문구청장 2 문석진 민주당 83,033 57.56% 서초구청장 1 진익철 한나라당 110,407 60.25% 성동구청장 2 고재득 민주당 68,128 53.25% 성북구청장 2 김영배 민주당 95,951 47.57% 송파구청장 1 박춘희 한나라당 139,620 48.49% 양천구청장 2 이제학 민주당 76,577 36.16% 영등포구청장 2 조길형 민주당 65,841 37.23% 용산구청장 2 성장현 민주당 48,842 47.39% 은평구청장 2 김우영 민주당 100,331 54.16% 종로구청장 2 김영종 민주당 36,836 48.36% 중구청장 2 박형상 민주당 21,127 35.51% 중랑구청장 1 문병권 한나라당 82,611 50.15% 강남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신연희 한나라당 100,906 44.23% 2 2 이판국 민주당 66,922 29.33% 3 7 맹정주 무소속 58,508 25.65% 4 8 지태자 무소속 1,761 0.77% 투표율 51.22% 합계 228,097 무효율 무효 3,805 기권 220,842 1.64% 강동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이해식 민주당 123,902 59.73% 2 1 최용호 한나라당 83,523 40.26% 투표율 54.08% 합계 207,425 무효율 무효 2,299 기권 178,055 1.10% 강북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박겸수 민주당 82,708 59.31% 2 1 김기성 한나라당 56,731 40.68% 투표율 51.42% 합계 139,439 무효율 무효 2,569 기권 134,163 1.81% 강서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노현송 민주당 127,350 53.23% 2 1 김재현 한나라당 106,133 44.36% 3 7 김근미 평화민주당 5,719 2.39% 투표율 53.35% 합계 239,202 무효율 무효 3,584 기권 212,261 1.48% 관악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유종필 민주당 128,306 54.62% 2 1 오신환 한나라당 82,899 35.29% 3 7 이봉화 진보신당 13,323 5.67% 4 3 허증 자유선진당 7,599 3.23% 5 8 권태오 평화민주당 2,776 1.18% 투표율 53.93% 합계 234,903 무효율 무효 3,492 기권 203,654 1.46% 광진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김기동 민주당 61,155 38.99% 2 1 구혜영 한나라당 48,679 31.03% 3 8 정송학 무소속 36,039 22.97% 4 7 조상훈 국민참여당 10,964 6.99% 투표율 52.72% 합계 156,837 무효율 무효 2,161 기권 142,605 1.36% 구로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이성 민주당 100,544 54.20% 2 1 양대웅 한나라당 80,169 43.22% 3 7 강신일 평화민주당 4,761 2.56% 투표율 55.35% 합계 185,474 무효율 무효 2,490 기권 185,474 1.32% 금천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차성수 민주당 47,516 46.43% 2 1 이종학 한나라당 32,371 31.63% 3 7 한인수 무소속 14,168 13.84% 4 3 김훈 자유선진당 4,600 4.49% 5 5 이승무 민주노동당 2,516 2.45% 6 8 강성현 무소속 1,149 1.12% 투표율 52.61% 합계 102,320 무효율 무효 1,372 기권 93,388 1.32% 노원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김성환 민주당 139,714 53.69% 2 1 이노근 한나라당 120,464 46.30% 투표율 56.14% 합계 260,178 무효율 무효 3,865 기권 206,282 1.46% 도봉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이동진 민주당 76,871 50.34% 2 1 김영천 한나라당 65,393 42.82% 3 8 손동호 무소속 5,639 3.69% 4 7 권중길 미래연합 4,787 3.13% 투표율 54.63% 합계 152,690 무효율 무효 7,275 기권 132,877 4.55% 동대문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유덕열 민주당 83,866 53.17% 2 1 방태원 한나라당 63,818 40.46% 3 8 김재전 무소속 5,722 3.62% 4 7 김영환 친박연합 4,314 2.74% 투표율 54.00% 합계 157,720 무효율 무효 2,770 기권 136,716 1.73% 동작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문충실 민주당 98,384 54.27% 2 1 이재순 한나라당 70,881 39.10% 3 8 정기철 무소속 6,290 3.47% 4 7 김영재 무소속 5,699 3.14% 투표율 56.58% 합계 181,254 무효율 무효 2,960 기권 141,344 1.61% 마포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박홍섭 민주당 83,653 49.17% 2 1 권종수 한나라당 68,176 40.07% 3 7 김철 국민참여당 18,290 10.75% 투표율 55.14% 합계 170,119 무효율 무효 2,796 기권 140,664 1.62% 서대문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문석진 민주당 83,033 57.56% 2 1 이해돈 한나라당 61,220 42.43% 투표율 55.00% 합계 144,253 무효율 무효 2,572 기권 120,125 1.75% 서초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진익철 한나라당 110,407 60.25% 2 2 곽세현 민주당 72,830 39.74% 투표율 54.44% 합계 183,237 무효율 무효 2,726 기권 155,636 1.47% 성동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고재득 민주당 68,128 53.25% 2 1 이호조 한나라당 59,804 46.74% 투표율 54.05% 합계 127,932 무효율 무효 7,354 기권 115,030 5.44% 성북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김영배 민주당 95,951 47.57% 2 1 서찬교 한나라당 90,620 44.93% 3 7 엄윤상 국민참여당 15,101 7.48% 투표율 53.37% 합계 201,672 무효율 무효 2,989 기권 178,847 1.46% 송파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박춘희 한나라당 139,620 48.49% 2 2 박병권 민주당 129,185 44.86% 3 7 성기청 국민참여당 19,116 6.63% 투표율 54.19% 합계 287,921 무효율 무효 4,516 기권 247,207 1.54% 양천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이제학 민주당 76,577 36.16% 2 8 추재엽 무소속 68,396 32.30% 3 1 권택상 한나라당 64,943 30.67% 4 7 김유성 무소속 1,819 0.85% 투표율 56.20% 합계 211,735 무효율 무효 3,145 기권 167,478 1.46% 영등포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조길형 민주당 65,841 37.23% 2 1 양창호 한나라당 62,750 35.48% 3 9 김형수 무소속 31,778 17.97% 4 7 정호진 진보신당 13,395 7.57% 5 8 김학중 미래연합 3,062 1.73% 투표율 54.75% 합계 176,826 무효율 무효 3,525 기권 149,028 1.95% 용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성장현 민주당 48,842 47.39% 2 1 지용훈 한나라당 45,415 44.07% 3 3 서정호 자유선진당 5,208 5.05% 4 7 정재진 미래연합 2,559 2.48% 5 8 김복남 평화민주당 1,024 0.99% 투표율 53.03% 합계 103,048 무효율 무효 1,972 기권 93,024 1.88% 은평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김우영 민주당 100,331 54.16% 2 1 김도백 한나라당 75,646 40.83% 3 8 노양학 무소속 7,276 3.92% 4 7 박수천 평화민주당 1,976 1.06% 투표율 51.26% 합계 185,229 무효율 무효 7,716 기권 183,440 4.00% 종로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김영종 민주당 36,836 48.36% 2 1 정창희 한나라당 32,646 42.86% 3 9 유미영 무소속 3,943 5.17% 4 8 김성은 무소속 1,924 2.52% 5 7 이태희 자유평화당 817 1.07% 투표율 56.02% 합계 76,166 무효율 무효 1,650 기권 61,101 2.12% 중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박형상 민주당 21,127 35.51% 2 1 황현탁 한나라당 19,171 32.22% 3 8 정동일 무소속 15,785 26.53% 4 9 이학봉 무소속 2,624 4.41% 5 7 김길원 평화민주당 783 1.31% 투표율 55.75% 합계 59,490 무효율 무효 1,274 기권 48,236 2.10% 중랑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문병권 한나라당 82,611 50.15% 2 2 김준명 민주당 82,098 49.84% 투표율 50.11% 합계 164,709 무효율 무효 7,558 기권 171,543 4.39% 서울특별시의회[원본 편집] 비례대표[원본 편집] 서울특별시의회의원 비례대표 지역별 선거 결과 순위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후보 비고 후보 비고 후보 비고 후보 비고 후보 비고 1 1 한나라당 1,807,719 41.38% 김정재 고만규 이진화 강신표 이차순 김소영 황유정 박철수 유현숙 김종석 2 2 민주당 1,790,556 40.99% 한명희 이상호 김명신 정용림 장정숙 김남배 정현자 장경태 3 8 국민참여당 212,307 4.86% 황주영 오윤석 4 7 진보신당 169,137 3.87% 최은희 이원교 5 5 민주노동당 168,821 3.86% 오석순 추성호 이은정 김동희 조윤숙 6 3 자유선진당 143,282 3.28% 이화용 김천희 7 11 친박연합 46,435 1.06% 정은주 8 9 미래연합 13,472 0.30% 이은숙 최화엽 9 12 평화민주당 13,209 0.30% 박영단 10 10 사회당 3,295 0.07% 문미정 합계 4,368,233 무효 57,965 기권 3,785,263 투표율 53.90% 무효율 1.31% 지역구[원본 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지역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강남구 제1선거구 1 주영길 한나라당 33,289 66.27% 강남구 제2선거구 1 김진수 한나라당 42,171 63.02% 강남구 제3선거구 1 성백열 한나라당 28,693 60.97% 강남구 제4선거구 1 김현기 한나라당 34,457 54.43% 강동구 제1선거구 2 이정훈 민주당 28,877 49.86% 강동구 제2선거구 1 김영철 한나라당 22,955 40.81% 강동구 제3선거구 2 양준욱 민주당 22,975 59.13% 강동구 제4선거구 1 윤규진 한나라당 22,168 41.49% 강북구 제1선거구 2 김기옥 민주당 18,955 51.57% 강북구 제2선거구 2 김정중 민주당 16,251 50.39% 강북구 제3선거구 2 신승호 민주당 22,419 62.33% 강북구 제4선거구 2 박진형 민주당 20,726 59.93% 강서구 제1선거구 2 이창섭 민주당 35,836 56.76% 강서구 제2선거구 2 김형식 민주당 33,649 56.28% 강서구 제3선거구 2 김용성 민주당 28,210 52.66% 강서구 제4선거구 2 김상현 민주당 34,714 55.94% 관악구 제1선거구 2 박준희 민주당 33,724 59.12% 관악구 제2선거구 2 서윤기 민주당 38,313 56.91% 관악구 제3선거구 2 이행자 민주당 30,885 56.85% 관악구 제4선거구 2 신언근 민주당 25,704 46.06% 광진구 제1선거구 2 김기만 민주당 22,730 63.31% 광진구 제2선거구 2 문종철 민주당 23,191 57.72% 광진구 제3선거구 2 김선갑 민주당 26,462 58.29% 광진구 제4선거구 2 박래학 민주당 20,157 59.27% 구로구 제1선거구 2 정승우 민주당 14,141 47.98% 구로구 제2선거구 2 조규영 민주당 33,703 59.84% 구로구 제3선거구 2 김종욱 민주당 33,589 50.88% 구로구 제4선거구 2 김명수 민주당 17,803 53.77% 금천구 제1선거구 2 오봉수 민주당 29,614 58.82% 금천구 제2선거구 2 이원기 민주당 23,783 46.25% 노원구 제1선거구 2 서영진 민주당 23,408 57.80% 노원구 제2선거구 2 문상모 민주당 20,515 54.61% 노원구 제3선거구 2 오승록 민주당 27,035 56.02% 노원구 제4선거구 2 김생환 민주당 20,762 45.41% 노원구 제5선거구 2 김광수 민주당 19,973 54.60% 노원구 제6선거구 2 곽종상 민주당 22,115 43.27% 도봉구 제1선거구 2 김용석 민주당 23,478 58.39% 도봉구 제2선거구 2 김광수 민주당 21,530 58.49% 도봉구 제3선거구 2 정세환 민주당 100% 무투표 도봉구 제4선거구 2 김동욱 민주당 22,935 48.18% 동대문구 제1선거구 2 전철수 민주당 21,177 56.81% 동대문구 제2선거구 2 백금산 민주당 28,584 61.73% 동대문구 제3선거구 2 김인호 민주당 16,143 56.52% 동대문구 제4선거구 2 인택환 민주당 23,520 53.32% 동작구 제1선거구 2 강희용 민주당 21,223 44.38% 동작구 제2선거구 2 장환진 민주당 27,845 56.06% 동작구 제3선거구 2 박기열 민주당 26,074 58.65% 동작구 제4선거구 2 서영갑 민주당 19,401 49.42% 마포구 제1선거구 1 박태규 한나라당 13,320 37.51% 마포구 제2선거구 2 김창수 민주당 14,874 43.03% 마포구 제3선거구 2 채재선 민주당 24,039 54.06% 마포구 제4선거구 2 김기덕 민주당 20,930 37.61% 서대문구 제1선거구 2 신원철 민주당 18,909 53.04% 서대문구 제2선거구 2 박운기 민주당 21,576 54.58% 서대문구 제3선거구 2 김태희 민주당 16,940 49.21% 서대문구 제4선거구 2 조상호 민주당 18,680 54.09% 서초구 제1선거구 1 김진영 한나라당 26,921 59.53% 서초구 제2선거구 1 이지현 한나라당 27,304 62.69% 서초구 제3선거구 1 최호정 한나라당 27,215 57.44% 서초구 제4선거구 1 김용석 한나라당 22,864 49.16% 성동구 제1선거구 2 곽재웅 민주당 17,667 52.03% 성동구 제2선거구 1 이상묵 한나라당 17,141 45.81% 성동구 제3선거구 2 김희전 민주당 18,399 55.29% 성동구 제4선거구 2 박양숙 민주당 16,758 58.96% 성북구 제1선거구 2 임형균 민주당 28,633 56.16% 성북구 제2선거구 2 김문수 민주당 23,559 45.19% 성북구 제3선거구 2 이미성 민주당 26,536 48.08% 성북구 제4선거구 2 이경애 민주당 21,702 50.55% 송파구 제1선거구 1 주찬식 한나라당 22,017 49.96% 송파구 제2선거구 1 전종민 한나라당 23,723 50.22% 송파구 제3선거구 1 진두생 한나라당 33,050 51.75% 송파구 제4선거구 1 강감창 한나라당 13,173 45.92% 송파구 제5선거구 1 류수철 한나라당 26,104 48.42% 송파구 제6선거구 2 최조웅 민주당 28,556 57.34% 양천구 제1선거구 1 정문진 한나라당 25,078 45.29% 양천구 제2선거구 2 이정찬 민주당 31,323 50.69% 양천구 제3선거구 2 허광태 민주당 21,145 49.88% 양천구 제4선거구 2 이명영 민주당 23,027 45.32% 영등포구 제1선거구 2 최웅식 민주당 24,397 56.08% 영등포구 제2선거구 2 김정태 민주당 27,138 54.76% 영등포구 제3선거구 1 김춘수 한나라당 23,463 51.14% 영등포구 제4선거구 2 유광상 민주당 18,803 49.71% 용산구 제1선거구 1 김제리 한나라당 28,869 48.27% 용산구 제2선거구 1 이종필 한나라당 20,032 46.87% 은평구 제1선거구 2 이재식 민주당 24,033 52.58% 은평구 제2선거구 2 김미경 민주당 22,723 57.58% 은평구 제3선거구 2 이강무 민주당 23,970 50.35% 은평구 제4선거구 2 정희석 민주당 29,446 51.96% 종로구 제1선거구 1 남재경 한나라당 18,719 48.45% 종로구 제2선거구 2 오필근 민주당 21,865 59.65% 중구 제1선거구 2 최강선 민주당 13,693 48.47% 중구 제2선거구 2 김연선 민주당 16,397 52.92% 중랑구 제1선거구 2 성백진 민주당 21,064 53.70% 중랑구 제2선거구 2 공석호 민주당 21,298 57.75% 중랑구 제3선거구 2 김동승 민주당 24,713 56.64% 중랑구 제4선거구 2 윤명화 민주당 22,336 45.14% 강남구[원본 편집] 제1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주영길 한나라당 33,308 66.27% 2 2 이경희 민주당 16,952 33.72% 투표율 46.45% 합계 50,260 무효율 무효 861 기권 58,933 1.68% 제2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김진수 한나라당 42,206 63.02% 2 2 김동수 민주당 24,757 36.97% 투표율 46.45% 합계 50,260 무효율 무효 1192 기권 71,601 1.75% 제3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성백열 한나라당 28,705 60.96% 2 2 윤자유 민주당 18,378 39.03% 투표율 55.91% 합계 47,083 무효율 무효 888 기권 37,828 1.85% 제4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김현기 한나라당 34,469 54.42% 2 2 유시수 민주당 28,864 45.57% 투표율 55.25% 합계 63,333 무효율 무효 1,379 기권 52,423 2.13% 강동구[원본 편집] 제1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이정훈 민주당 28,877 49.86% 2 1 조상원 한나라당 24,271 41.91% 3 7 어민규 무소속 4,763 8.22% 투표율 54.90% 합계 57,911 무효율 무효 1,063 기권 48,448 1.80% 제2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김영철 한나라당 22,955 40.81% 2 2 안동규 민주당 21,478 38.18% 3 8 이국희 무소속 6,977 12.40% 4 9 윤동환 무소속 3,623 6.44% 5 10 이번송 무소속 1,214 2.15% 투표율 56.82% 합계 56,247 무효율 무효 870 기권 43,404 1.52% 제3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양준욱 민주당 22,975 59.13% 2 1 이광국 한나라당 15,875 40.86% 투표율 48.58% 합계 38,850 무효율 무효 648 기권 41,810 1.64% 제4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윤규진 한나라당 22,168 41.49% 2 2 이은숙 민주당 17,873 33.45% 3 5 이주현 민주노동당 7,966 14.91% 4 7 이자철 무소속 5,415 10.13% 투표율 55.04% 합계 53,422 무효율 무효 809 기권 44,297 1.49% 강북구[원본 편집] 제1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김기옥 민주당 18,955 51.57% 2 1 이복근 한나라당 14,548 39.58% 3 7 조천휘 무소속 3,246 8.83% 투표율 50.78% 합계 36,749 무효율 무효 613 기권 36,214 1.64% 제2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김정중 민주당 16,251 50.39% 2 1 신기철 한나라당 14,199 44.02% 3 7 정희일 무소속 1,800 5.58% 투표율 50.81% 합계 32,250 무효율 무효 585 기권 31,791 1.78% 제3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신승호 민주당 22,419 62.33% 2 1 박종대 한나라당 13,549 37.66% 투표율 51.74% 합계 32,250 무효율 무효 673 기권 34,174 1.84% 제4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박진형 민주당 20,726 59.93% 2 1 강성언 한나라당 13,853 40.06% 투표율 51.74% 합계 34,579 무효율 무효 655 기권 31,920 1.86% 강서구[원본 편집] 제1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이창섭 민주당 35,836 56.76% 2 1 김기철 한나라당 27,289 43.23% 투표율 51.14% 합계 63,125 무효율 무효 940 기권 61,197 1.47% 제2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이창섭 민주당 33,649 56.28% 2 1 김기철 한나라당 26,136 43.71% 투표율 51.14% 합계 59,785 무효율 무효 915 기권 55,186 1.51% 제3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김용성 민주당 28,210 52.66% 2 1 심근수 한나라당 25,359 47.33% 투표율 51.14% 합계 53,569 무효율 무효 1,181 기권 48,955 2.16% 제4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김상현 민주당 34,714 55.94% 2 1 박마루 한나라당 27,333 44.05% 투표율 57.45% 합계 62,047 무효율 무효 1,255 기권 46,892 1.98% 관악구[원본 편집] 제1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박준희 민주당 33,724 59.12% 2 1 김금희 한나라당 18,983 33.28% 3 7 만연식 무소속 4,332 7.59% 투표율 52.89% 합계 62,047 무효율 무효 1,030 기권 51,720 1.99% 제2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서윤기 민주당 38,313 56.91% 2 1 박범수 한나라당 22,213 32.99% 3 7 박현식 무소속 4,654 6.91% 4 3 김갑생 자유선진당 2,141 3.18% 투표율 56.25% 합계 53,183 무효율 무효 1,047 기권 53,183 1.53% 제3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이행자 민주당 30,885 56.85% 2 1 김강산 한나라당 20,591 37.90% 3 7 진상주 평화민주당 2,846 5.23% 투표율 56.67% 합계 54,322 무효율 무효 906 기권 49,634 1.64% 제4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신언근 민주당 25,704 46.06% 2 1 현진호 한나라당 18,277 32.75% 3 7 남상덕 무소속 6,182 11.07% 4 8 김순미 무소속 3,617 6.48% 5 7 김용섭 자유선진당 2,024 3.62% 투표율 53.69% 합계 55,804 무효율 무효 1,030 기권 49,013 1.81% 광진구[원본 편집] 제1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김기만 민주당 22,730 63.31% 2 7 이재홍 무소속 13,168 36.68% 투표율 50.86% 합계 35,898 무효율 무효 1,576 기권 36,209 4.21% 제2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문종철 민주당 23,191 57.72% 2 1 손준용 한나라당 16,986 42.27% 투표율 55.09% 합계 40,177 무효율 무효 630 기권 33,261 1.54% 제3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김선갑 민주당 26,462 57.29% 2 1 김찬경 한나라당 18,933 41.70% 투표율 52.99% 합계 40,177 무효율 무효 799 기권 40,974 1.73% 제4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박래학 민주당 20,157 59.27% 2 1 정관훈 한나라당 13,848 40.72% 투표율 51.84% 합계 34,005 무효율 무효 561 기권 32,118 1.62% 구로구[원본 편집] 제1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정승우 민주당 14,141 47.98% 2 1 김중일 한나라당 8,720 29.59% 3 5 문승진 민주노동당 4,945 16.78% 4 7 한형교 무소속 1,663 5.64% 투표율 51.66% 합계 29,469 무효율 무효 556 기권 28,097 1.85% 제2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조규영 민주당 33,703 59.84% 2 1 홍상필 한나라당 22,610 40.15% 투표율 57.07% 합계 56,313 무효율 무효 844 기권 42,989 1.48% 제3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김종욱 민주당 33,589 50.88% 2 1 정대근 한나라당 26,355 39.92% 3 7 한일수 무소속 6,065 9.18% 투표율 55.38% 합계 66,009 무효율 무효 556 기권 54,143 1.76% 제4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김명수 민주당 17,803 53.77% 2 1 이우진 한나라당 15,304 46.22% 투표율 56.13% 합계 33,107 무효율 무효 554 기권 26,304 1.65% 금천구[원본 편집] 제1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오봉수 민주당 29,614 58.82% 2 1 김중일 한나라당 20,728 41.17% 투표율 50.69% 합계 50,342 무효율 무효 965 기권 49,909 1.88% 제2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이원기 민주당 23,783 46.25% 2 1 이병철 한나라당 19,883 38.66% 3 5 송정순 민주노동당 4,695 9.13% 4 7 임부재 자유선진당 3,057 5.94% 투표율 54.68% 합계 51,418 무효율 무효 999 기권 43,447 1.91% 노원구[원본 편집] 제1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서영진 민주당 23,408 57.80% 2 1 조달현 한나라당 17,088 42.19% 투표율 55.43% 합계 40,496 무효율 무효 717 기권 33,136 1.74% 제2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문상모 민주당 20,515 54.61% 2 1 박환희 한나라당 17,049 45.38% 투표율 55.54% 합계 37,564 무효율 무효 622 기권 30,568 1.63% 제3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오승록 민주당 27,035 56.02% 2 1 부두완 한나라당 21,222 43.97% 투표율 57.91% 합계 48,257 무효율 무효 798 기권 35,657 1.63% 제4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김생환 민주당 20,762 45.41% 2 1 박경규 한나라당 17,869 39.08% 3 5 강호원 민주노동당 6,100 13.34% 4 7 전영돈 미래연합 985 2.15% 투표율 57.14% 합계 45,716 무효율 무효 858 기권 34,936 1.84% 제5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김광수 민주당 19,973 54.60% 2 1 김희겸 한나라당 16,602 45.39% 투표율 52.44% 합계 36,575 무효율 무효 670 기권 33,780 1.80% 제6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곽종상 민주당 22,115 43.27% 2 1 이종은 한나라당 20,493 40.10% 3 7 허섭 진보신당 8,492 16.61% 투표율 57.64% 합계 51,100 무효율 무효 758 기권 38,117 1.46% 도봉구[원본 편집] 제1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김용석 민주당 23,478 58.39% 2 1 문명희 한나라당 16,727 41.60% 투표율 58.68% 합계 40,205 무효율 무효 616 기권 28,750 1.51% 제2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김광수 민주당 21,530 58.49% 2 1 서종태 한나라당 15,277 41.50% 투표율 52.54% 합계 36,807 무효율 무효 678 기권 33,861 1.81% 제3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정세환 민주당 100.00% 제4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김동욱 민주당 22,935 48.18% 2 1 이기석 한나라당 19,952 41.91% 3 7 고삼호 국민참여당 4,709 9.89% 투표율 52.27% 합계 47,596 무효율 무효 927 기권 44,301 1.91% 동대문구[원본 편집] 제1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전철수 민주당 21,177 56.81% 2 1 최병조 한나라당 16,097 43.18% 투표율 52.79% 합계 37,274 무효율 무효 678 기권 34,085 2.21% 제2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백금산 민주당 28,584 61.73% 2 8 고정균 무소속 12,830 27.71% 3 7 서성민 무소속 4,885 10.55% 투표율 54.04% 합계 46,299 무효율 무효 2,122 기권 41,181 4.38% 제3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김인호 민주당 16,143 56.52% 2 1 남기만 한나라당 12,416 43.47% 투표율 54.38% 합계 28,559 무효율 무효 641 기권 24,496 2.20% 제4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인택환 민주당 23,520 53.32% 2 1 신재학 한나라당 20,586 46.67% 투표율 54.85% 합계 44,106 무효율 무효 713 기권 36,888 1.59% 동작구[원본 편집] 제1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강희용 민주당 21,223 44.38% 2 1 김원표 한나라당 18,499 38.69% 3 7 김익수 국민참여당 4,625 9.67% 4 9 이태범 무소속 1,645 3.44% 5 10 김숭환 무소속 1,330 2.78% 6 8 박종민 평화민주당 491 1.02% 투표율 55.90% 합계 47,813 무효율 무효 892 기권 38,429 1.83% 제2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장환진 민주당 27,845 56.06% 2 1 김황기 한나라당 21,821 43.93% 투표율 57.87% 합계 49,666 무효율 무효 851 기권 36,781 1.68% 제3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박기열 민주당 26,074 58.65% 2 1 박덕경 한나라당 18,378 41.34% 투표율 57.20% 합계 44,452 무효율 무효 742 기권 33,823 1.64% 제4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서영갑 민주당 19,401 49.42% 2 1 최형용 한나라당 15,191 38.69% 3 7 이진식 무소속 4,665 11.88% 투표율 55.34% 합계 39,257 무효율 무효 647 기권 32,205 1.62% 마포구[원본 편집] 제1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박태규 한나라당 13,230 37.51% 2 2 소영철 민주당 12,233 34.68% 3 8 이매숙 무소속 5,413 15.34% 4 7 홍성문 국민참여당 4,389 12.44% 투표율 55.14% 합계 35,265 무효율 무효 711 기권 29,268 1.98% 제2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김창수 민주당 14,874 43.03% 2 1 정춘희 한나라당 14,481 41.90% 3 7 이봄철 국민참여당 2,812 8.13% 4 8 송준호 무소속 1,219 3.52% 5 3 이윤중 자유선진당 1,173 3.39% 투표율 55.88% 합계 34,559 무효율 무효 758 기권 27,889 2.15% 제3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채재선 민주당 24,039 54.06% 2 1 정해원 한나라당 15,233 34.26% 3 7 김재범 무소속 5,189 11.67% 투표율 53.19% 합계 44,461 무효율 무효 736 기권 39,770 1.63% 제4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김기덕 민주당 20,930 37.61% 2 1 이재필 한나라당 20,253 36.40% 3 5 이수정 민주노동당 14,456 25.98% 투표율 56.33% 합계 55,639 무효율 무효 785 기권 43,738 1.39% 서대문구[원본 편집] 제1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신원철 민주당 18,909 53.04% 2 1 박동빈 한나라당 13,883 38.94% 3 7 김용만 무소속 2,857 8.01% 투표율 53.57% 합계 35,649 무효율 무효 739 기권 31,534 2.03% 제2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박운기 민주당 21,576 54.58% 2 1 서연범 한나라당 17,952 45.41% 투표율 56.85% 합계 39,528 무효율 무효 730 기권 30,562 1.81% 제3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김태희 민주당 16,940 49.21% 2 1 송주범 한나라당 15,024 43.65% 3 7 박경규 국민참여당 2,453 7.12% 투표율 55.49% 합계 34,417 무효율 무효 687 기권 28,160 1.96% 제4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조상호 민주당 18,680 54.09% 2 1 김수철 한나라당 15,851 45.90% 투표율 54.03% 합계 34,531 무효율 무효 561 기권 29,852 1.60% 서초구[원본 편집] 제1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김진영 한나라당 26,921 59.53% 2 2 박찬선 민주당 18,297 40.46% 투표율 52.06% 합계 45,218 무효율 무효 763 기권 42,340 1.66% 제2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이지현 한나라당 27,304 62.69% 2 2 정석현 민주당 16,246 37.30% 투표율 57.07% 합계 43,550 무효율 무효 671 기권 33,261 1.52% 제3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최호정 한나라당 27,215 57.44% 2 2 전경일 민주당 20,160 42.55% 투표율 54.36% 합계 47,375 무효율 무효 930 기권 40,550 1.93% 제4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김용석 한나라당 22,864 49.16% 2 7 김병현 국민참여당 14,588 31.37% 3 8 김덕배 무소속 9,048 19.45% 투표율 54.62% 합계 46,500 무효율 무효 986 기권 39,455 2.08% 성동구[원본 편집] 제1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곽재웅 민주당 17,667 52.03% 2 1 이주수 한나라당 16,285 47.96% 투표율 53.86% 합계 33,952 무효율 무효 730 기권 29,712 2.10% 제2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이상묵 한나라당 17,141 45.81% 2 2 정지권 민주당 16,272 43.48% 3 5 박영천 민주노동당 4,004 10.70% 투표율 53.51% 합계 37,417 무효율 무효 597 기권 33,028 1.57% 제3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김희전 민주당 18,399 55.29% 2 1 전종국 한나라당 14,877 44.70% 투표율 56.00% 합계 33,276 무효율 무효 688 기권 26,690 2.03% 제4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박양숙 민주당 16,578 58.96% 2 1 송영오 한나라당 11,539 41.03% 투표율 52.89% 합계 28,117 무효율 무효 561 기권 25,548 1.96% 성북구[원본 편집] 제1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임형균 민주당 28,633 56.16% 2 1 나주형 한나라당 22,350 43.83% 투표율 53.25% 합계 50,983 무효율 무효 983 기권 45,614 1.89% 제2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김문수 민주당 23,559 45.19% 2 1 천상영 한나라당 18,671 35.81% 3 8 이대일 무소속 5,564 10.67% 4 7 박경원 진보신당 4,336 8.31% 투표율 55.57% 합계 52,130 무효율 무효 820 기권 42,341 1.55% 제3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이미성 민주당 26,536 48.08% 2 1 안훈식 한나라당 21,169 38.35% 3 7 조덕섭 국민참여당 5,344 9.68% 4 8 강성희 무소속 2,139 3.87% 투표율 55.16% 합계 55,188 무효율 무효 1,027 기권 45,696 1.83% 제4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이경애 민주당 21,702 50.55% 2 1 최계락 한나라당 16,940 39.46% 3 7 안희옥 무소속 2,841 6.61% 4 3 김도곤 자유선진당 1,443 3.36% 투표율 49.17% 합계 42,926 무효율 무효 698 기권 45,102 1.60% 송파구[원본 편집] 제1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주찬식 한나라당 22,017 49.96% 2 2 서창열 민주당 22,017 40.31% 3 3 장금성 자유선진당 4,284 9.72% 투표율 57.39% 합계 44,065 무효율 무효 768 기권 33,293 1.71% 제2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전종민 한나라당 23,723 50.22% 2 2 김상진 민주당 23,508 49.77% 투표율 54.40% 합계 47,231 무효율 무효 847 기권 40,299 1.76% 제3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진두생 한나라당 33,050 51.75% 2 2 강은영 민주당 23,006 36.02% 3 7 이상무 국민참여당 7,800 12.21% 투표율 54.37% 합계 63,856 무효율 무효 1,112 기권 54,532 1.71% 제4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강감창 한나라당 13,173 45.92% 2 2 송인문 민주당 12,383 43.17% 3 7 조영래 국민참여당 2,154 7.50% 4 3 김영근 자유선진당 973 3.39% 투표율 52.49% 합계 28,683 무효율 무효 474 기권 26,396 1.63% 제5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류수철 한나라당 26,104 48.42% 2 2 이규석 민주당 24,928 46.24% 3 7 이정현 미래연합 2,871 5.32% 투표율 54.95% 합계 53,903 무효율 무효 908 기권 44,937 1.66% 제6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최조웅 민주당 28,556 57.34% 2 1 김원태 한나라당 21,244 42.65% 투표율 51.52% 합계 49,800 무효율 무효 867 기권 47,673 1.71% 양천구[원본 편집] 제1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정문진 한나라당 25,078 45.29% 2 2 조영희 민주당 22,878 41.31% 3 7 이혜경 무소속 7,416 13.39% 투표율 57.38% 합계 55,372 무효율 무효 1,073 기권 41,923 1.90% 제2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이정찬 민주당 31,323 50.69% 2 1 최용주 한나라당 30,460 49.30% 투표율 60.70% 합계 61,783 무효율 무효 1,383 기권 40,898 2.19% 제3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허광태 민주당 21,159 49.87% 2 1 백금만 한나라당 18,529 43.67% 3 7 서성환 무소속 2,735 6.44% 투표율 52.43% 합계 42,423 무효율 무효 828 기권 39,248 1.91% 제4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이명영 민주당 23,051 45.32% 2 1 정만섭 한나라당 18,591 36.55% 3 5 김훈미 민주노동당 7,347 14.44% 4 7 김희걸 평화민주당 1,863 3.66% 투표율 53.50% 합계 50,852 무효율 무효 1,269 기권 45,306 2.43% 영등포구[원본 편집] 제1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최웅식 민주당 24,397 56.08% 2 1 허만섭 한나라당 19,104 43.91% 투표율 55.96% 합계 43,501 무효율 무효 936 기권 34,967 2.11% 제2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김정태 민주당 27,138 54.76% 2 1 권영하 한나라당 22,420 45.23% 투표율 56.26% 합계 49,558 무효율 무효 910 기권 39,240 1.80% 제3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김춘수 한나라당 23,463 51.14% 2 2 김경석 민주당 19,137 41.71% 3 7 김용승 무소속 3,271 7.13% 투표율 54.35% 합계 45,871 무효율 무효 933 기권 39,310 1.99% 제4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유광상 민주당 18,803 49.71% 2 1 이종해 한나라당 14,234 37.63% 3 7 김송정 국민참여당 4,788 12.65% 투표율 52.18% 합계 37,825 무효율 무효 865 기권 35,463 2.24% 용산구[원본 편집] 제1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김제리 한나라당 28,869 48.27% 2 2 전충일 민주당 27,750 46.40% 3 3 김관국 자유선진당 3,187 5.32% 투표율 55.63% 합계 59,806 무효율 무효 1,371 기권 48,802 2.24% 제2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이종필 한나라당 20,032 46.87% 2 2 문광덕 민주당 19,877 46.51% 3 3 구교광 자유선진당 2,824 6.60% 투표율 56.33% 합계 42,733 무효율 무효 1,166 기권 44,166 2.66% 은평구[원본 편집] 제1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이재식 민주당 24,033 52.58% 2 1 주영미 한나라당 17,494 38.27% 3 8 김민 무소속 2,525 5.52% 4 7 김희춘 친박연합 1,654 3.61% 투표율 49.25% 합계 45,706 무효율 무효 915 기권 48,042 1.96% 제2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김미경 민주당 22,723 57.58% 2 1 김우태 한나라당 14,775 37.44% 3 7 김판수 무소속 1,960 4.96% 투표율 52.99% 합계 39,458 무효율 무효 508 기권 35,452 1.27% 제3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이강무 민주당 23,970 50.35% 2 1 소심향 한나라당 22,271 46.78% 3 7 김유곤 미래연합 1,361 2.85% 투표율 53.49% 합계 47,602 무효율 무효 928 기권 42,203 1.91% 제4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정희석 민주당 29,446 51.96% 2 1 나영섭 한나라당 23,788 41.97% 3 6 조계원 창조한국당 3,436 6.06% 투표율 50.07% 합계 56,670 무효율 무효 1,195 기권 57,706 2.07% 종로구[원본 편집] 제1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남재경 한나라당 18,719 48.45% 2 2 강지원 민주당 16,242 42.04% 3 8 김양희 국민참여당 3,430 8.87% 4 7 정재복 건국당 240 0.62% 투표율 58.81% 합계 38,631 무효율 무효 773 기권 27,594 1.96% 제2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오필근 민주당 21,865 59.65% 2 1 김권 한나라당 13,797 37.64% 3 7 이석재 무소속 993 2.70% 투표율 53.44% 합계 36,655 무효율 무효 1,781 기권 33,483 4.63% 중구[원본 편집] 제1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최강선 민주당 13,693 48.47% 2 1 임용혁 한나라당 12,073 42.73% 3 8 박영한 미래연합 2,039 7.21% 4 7 이래원 국제녹색당 443 1.56% 투표율 55.36% 합계 28,248 무효율 무효 788 기권 23,414 2.71% 제2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김연선 민주당 16,397 52.92% 2 1 류재택 한나라당 14,586 47.07% 투표율 56.13% 합계 30,983 무효율 무효 760 기권 24,807 2.39% 중랑구[원본 편집] 제1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성백진 민주당 21,064 53.70% 2 1 최윤준 한나라당 15,307 39.02% 3 7 윤기성 무소속 2,850 7.26% 투표율 49.03% 합계 39,221 무효율 무효 736 기권 41,546 1.84% 제2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공석호 민주당 21,298 57.75% 2 1 유창균 한나라당 15,577 42.24% 투표율 46.16% 합계 36,875 무효율 무효 682 기권 43,802 1.82% 제3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김동승 민주당 24,713 56.64% 2 1 황승철 한나라당 18,917 43.35% 투표율 50.53% 합계 43,630 무효율 무효 797 기권 43,488 1.79% 제4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윤명화 민주당 22,336 45.14% 2 1 오종관 한나라당 19,157 38.72% 3 7 김철환 무소속 7,982 16.13% 투표율 54.16% 합계 49,475 무효율 무효 915 기권 42,643 1.82% 기초 의회[원본 편집] 강남구의회[원본 편집] 비례대표[원본 편집] 순위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후보 비고 후보 비고 후보 비고 후보 비고 1 1 한나라당 340,178 57.32% 오옥근 이종열 박태순 임웅빈 2 2 민주당 85,816 37.50% 문인옥 송정애 3 3 자유선진당 11,815 5.16% 이민정 합계 228,790 무효 3,113 기권 220,841 투표율 51.22% 무효율 1.34% 지역구[원본 편집] 지역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강남구 가선거구 1-가 김동현 한나라당 8,123 39.24% 1-나 이학기 한나라당 6,308 30.47% 강남구 나선거구 1-가 우창수 한나라당 12,310 42.15% 2 송만호 민주당 10,648 36.46% 강남구 다선거구 2 최현진 민주당 9,833 32.53% 1-가 김명옥 한나라당 9,290 30.73% 강남구 라선거구 1-가 이재진 한나라당 15,961 43.86% 2 이관수 민주당 9,899 27.20% 1-나 조성명 한나라당 7,374 20.26% 강남구 마선거구 2 이경옥 민주당 7,094 38.23% 1-가 김길영 한나라당 6,398 34.48% 강남구 바선거구 1-가 김영호 한나라당 8,996 31.68% 2 김현석 민주당 8,150 28.70% 강남구 사선거구 2 최영주 민주당 6,787 35.56% 1-가 오완진 한나라당 6,288 32.94% 강남구 아선거구 2 윤선근 민주당 14,154 32.21% 1-가 전공석 한나라당 10,150 23.10% 1-다 유만희 한나라당 6,074 13.82% 강동구의회[원본 편집] 비례대표[원본 편집] 순위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후보 비고 후보 비고 1 1 한나라당 92,935 44.89% 차혜진 유병태 2 2 민주당 91,814 44.34% 송명화 한복희 3 8 국민참여당 11,638 5.62% 이민진 4 7 진보신당 10,639 5.13% 김도희 김주현 합계 207,026 무효 2,709 기권 178,044 투표율 54.09% 무효율 1.29% 지역구[원본 편집] 지역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강동구 가선거구 1-가 김재환 한나라당 7,878 30.03% 2 이종태 민주당 7,046 26.85% 강동구 나선거구 1-가 박재윤 한나라당 9,626 30.93% 2-나 성임제 민주당 8,209 26.38% 강동구 다선거구 2 박찬호 민주당 9,641 43.95% 1-가 김종희 한나라당 7,431 33.87% 강동구 라선거구 1-가 김용철 한나라당 12,476 37.46% 2 임춘희 민주당 12,474 37.45% 강동구 마선거구 2-가 임인택 민주당 7,187 30.83% 1-가 제갑섭 한나라당 6,429 27.58% 강동구 바선거구 2 문영주 민주당 6,929 45.92% 1-가 조동탁 한나라당 4,950 32.80% 강동구 사선거구 1-가 고종덕 한나라당 9,436 30.65% 2-가 황인구 민주당 9,033 39.24% 강동구 아선거구 2 안병덕 민주당 7,886 35.45% 1-가 김정숙 한나라당 6,689 30.07% 강북구의회[원본 편집] 비례대표[원본 편집] 순위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후보 비고 후보 비고 1 2 민주당 82,334 58.88% 김도연 2 1 한나라당 57,499 41.11% 강남연 석정하 합계 139,833 무효 2,217 기권 134,121 투표율 51.44% 무효율 1.56% 지역구[원본 편집] 지역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강북구 가선거구 2-가 김동식 민주당 11,965 33.66% 1-가 이순영 한나라당 9,390 26.41% 1-나 박성열 한나라당 5,631 15.84% 강북구 나선거구 1-가 이성희 한나라당 8,661 27.38% 2-가 김용욱 민주당 6,723 21.25% 2-나 이백균 민주당 5,369 16.97% 강북구 다선거구 7 최선 진보신당 8,328 23.55% 1-가 이종순 한나라당 7,778 22.00% 2-가 이영심 민주당 7,300 20.65% 강북구 라선거구 2-가 박문수 민주당 10,364 30.44% 1-가 유군성 한나라당 9,386 27.57% 5 구본승 민주노동당 4,193 12.31% 강서구의회[원본 편집] 비례대표[원본 편집] 순위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후보 비고 후보 비고 1 2 민주당 117,008 48.80% 최영자 2 1 한나라당 98,150 40.93% 한자선 신찬호 3 7 진보신당 14,398 6.00% 구현정 4 3 자유선진당 10,187 4.24% 김인실 합계 239,743 무효 3,015 기권 212,289 투표율 53.35% 무효율 1.24% 지역구[원본 편집] 지역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강서구 가선거구 1-가 강석주 한나라당 12,374 28.23% 2-가 권오복 민주당 11,000 25.09% 2-나 고재익 민주당 5,660 12.91% 강서구 나선거구 2-가 박상구 민주당 6,863 37.02% 1 김기홍 한나라당 6,300 33.98% 강서구 다선거구 2 김병진 민주당 8,678 46.99% 1-가 김선경 한나라당 5,505 29.81% 강서구 라선거구 1-가 황동현 한나라당 12,458 30.66% 2-가 신창욱 민주당 10,859 26.73% 2-나 장상기 민주당 7,907 19.46% 강서구 마선거구 1 정장훈 한나라당 12,732 42.04% 2-가 박성호 민주당 10,238 33.80% 강서구 바선거구 1 황준환 한나라당 9,812 42.06% 2-가 송영섭 민주당 7,922 33.96% 강서구 사선거구 1-가 이명호 한나라당 8,294 31.98% 2-가 이영철 민주당 6,971 26.88% 강서구 아선거구 2-가 이연구 민주당 12,767 36.44% 1-가 장계자 한나라당 8,613 24.58% 관악구의회[원본 편집] 비례대표[원본 편집] 순위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후보 비고 후보 비고 후보 비고 1 2 민주당 105,314 44.72% 왕정순 김정애 2 1 한나라당 78,079 33.15% 정예숙 허진욱 이종분 3 7 진보신당 15,112 6.41% 이빈파 4 8 국민참여당 13,678 5.80% 김금숙 5 5 민주노동당 13,171 5.59% 박미선 박정열 6 3 자유선진당 8,612 3.65% 이은경 강도영 7 9 평화민주당 1,499 0.63% 이은주 김동인 합계 235,465 무효 2,903 기권 203,681 투표율 53.92% 무효율 1.22% 지역구[원본 편집] 지역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관악구 가선거구 1-가 임춘수 한나라당 10,327 29.18% 2-가 송도호 민주당 9,590 27.10% 5 이동영 민주노동당 6,447 18.21% 관악구 나선거구 2-가 전익찬 민주당 7,378 34.69% 1 임창빈 한나라당 6,146 28.90% 관악구 다선거구 2-가 장현수 민주당 12,223 32.31% 1-가 이복례 한나라당 8,260 21.83% 1-나 김태동 한나라당 6,269 16.57% 관악구 라선거구 2 김원개 민주당 10,451 36.04% 1 권오식 한나라당 9,938 34.27% 관악구 마선거구 2-가 소남열 민주당 10,028 30.35% 1-가 조규화 한나라당 10,017 30.32% 2-나 주순자 민주당 6,776 20.51% 관악구 바선거구 2 길용환 민주당 7,786 37.62% 1-가 천범룡 한나라당 6,025 29.11% 관악구 사선거구 2 이상철 민주당 11,816 38.53% 7 나경채 진보신당 6,848 22.33% 관악구 아선거구 2 박동석 민주당 7,033 28.04% 1-가 이정희 한나라당 5,242 20.90% 광진구의회[원본 편집] 비례대표[원본 편집] 순위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후보 비고 후보 비고 1 2 민주당 89,902 57.36% 김기란 이현정 2 1 한나라당 66,816 42.63% 남옥희 합계 156,718 무효 2,260 기권 142,625 투표율 52.71% 무효율 1.42% 지역구[원본 편집] 지역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광진구 가선거구 2 조영옥 민주당 16,110 45.27% 1-가 공영목 한나라당 10,329 29.02% 1-나 안문환 한나라당 5,650 15.87% 광진구 나선거구 1-가 이종만 한나라당 11,711 29.53% 2 김기수 민주당 10,267 25.89% 1-가 박성연 한나라당 6,115 15.42% 광진구 다선거구 2-가 박삼례 민주당 14,327 31.95% 1-가 최금손 한나라당 13,050 29.10% 2-나 김수범 민주당 7,470 16.66% 광진구 라선거구 2-가 김창현 민주당 8,685 25.99% 1-가 유성희 한나라당 8,178 24.47% 1-나 지경원 민주당 7,179 21.48% 구로구의회[원본 편집] 비례대표[원본 편집] 순위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후보 비고 후보 비고 1 2 민주당 101,877 54.95% 김준희 최관용 2 1 한나라당 72,734 39.23% 김복희 김원순 3 3 자유선진당 10,769 5.80% 김정연 합계 185,380 무효 2,586 기권 151,602 투표율 55.35% 무효율 1.38% 지역구[원본 편집] 지역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구로구 가선거구 2-가 박칠성 민주당 9,653 32.87% 1 박용순 한나라당 7,890 26.86% 구로구 나선거구 2 박종현 민주당 11,650 37.05% 1-가 허성근 한나라당 8,062 25.64% 구로구 다선거구 2-가 김병훈 민주당 11,401 46.62% 1 류정숙 한나라당 8,356 34.17% 구로구 라선거구 1-가 황규복 한나라당 12,050 30.77% 2-가 윤수찬 민주당 11,299 28.86% 7 홍준호 진보신당 4,313 11.01% 구로구 마선거구 2 박동웅 민주당 8,588 34.72% 1-가 강태석 한나라당 6,433 26.01% 구로구 바선거구 2-가 김명조 민주당 7,043 21.54% 1-가 곽윤희 한나라당 6,526 19.96% 1-다 김남광 한나라당 4,322 13.22% 금천구의회[원본 편집] 비례대표[원본 편집] 순위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후보 비고 후보 비고 1 2 민주당 56,278 55.15% 우성진 2 1 한나라당 39,108 38.33% 이정현 신옥희 3 3 자유선진당 6,643 6.51% 양덕자 합계 102,029 무효 1,632 기권 93,419 투표율 52.60% 무효율 1.57% 지역구[원본 편집] 지역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금천구 가선거구 2-가 채인묵 민주당 8,172 38.51% 1-가 류은무 한나라당 5,195 24.48% 금천구 나선거구 2-가 김영섭 민주당 9,656 34.19% 1-가 정병재 한나라당 6,407 22.69% 2-나 강태섭 민주당 5,054 17.89% 금천구 다선거구 1-가 강구덕 한나라당 7,685 33.83% 2-가 서복성 민주당 7,338 32.31% 금천구 라선거구 1-가 박만선 한나라당 8,250 29.45% 2-가 김두성 민주당 7,144 25.50% 노원구의회[원본 편집] 비례대표[원본 편집] 순위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후보 비고 후보 비고 1 2 민주당 120,917 46.44% 봉양순 조남수 2 1 한나라당 103,736 39.84% 마은주 고창재 3 5 민주노동당 23,122 8.88% 강시원 4 3 자유선진당 9,329 3.58% 박슬기 5 7 미래연합 3,265 1.25% 김정모 합계 260,369 무효 3,642 기권 206,314 투표율 56.13% 무효율 1.38% 지역구[원본 편집] 지역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노원구 가선거구 2-가 정병옥 민주당 9,925 25.95% 1-가 배준경 한나라당 9,179 24.00% 1-나 강병태 한나라당 6,996 18.29% 노원구 나선거구 1-가 김영순 한나라당 9,591 25.84% 2-가 정도열 민주당 8,379 22.58% 1-나 임재혁 한나라당 6,354 17.12% 노원구 다선거구 2 최성준 민주당 19,065 39.83% 1-가 이순원 한나라당 13,936 29.11% 1-나 김우일 한나라당 8,945 18.68% 노원구 라선거구 1-가 김성환 한나라당 14,464 32.07% 2-가 김승애 민주당 12,243 27.14% 2-나 이경철 민주당 8,319 18.44% 노원구 마선거구 1-가 원기복 한나라당 10,751 29.89% 2-나 김치환 민주당 8,272 23.00% 2-가 김운종 민주당 7,790 21.66% 노원구 바선거구 1 이한국 한나라당 6,712 31.50% 2-가 송인기 민주당 6,215 29.17% 노원구 사선거구 2 황동성 민주당 11,136 37.59% 1-가 이상례 한나라당 7,750 26.16% 도봉구의회[원본 편집] 비례대표[원본 편집] 순위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후보 비고 후보 비고 1 2 민주당 69,124 43.90% 서영혜 고금숙 2 1 한나라당 66,650 42.33% 차명자 3 7 국민참여당 11,832 7.51% 이혜경 4 5 민주노동당 9,843 6.25% 홍승희 합계 157,449 무효 2,488 기권 132,905 투표율 54.62% 무효율 1.56% 지역구[원본 편집] 지역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도봉구 가선거구 1-가 안병건 한나라당 10,061 25.36% 2-가 이영숙 민주당 10,013 25.24% 1-나 이경숙 한나라당 6,570 16.56% 도봉구 나선거구 1-가 엄성현 한나라당 8,672 23.87% 2-가 김원철 민주당 7,812 21.50% 2-나 박진식 민주당 7,596 20.91% 도봉구 다선거구 2 조숙자 민주당 10,087 31.08% 1-가 이석기 한나라당 9,586 29.54% 도봉구 라선거구 1-가 신창용 한나라당 7,506 30.20% 2-가 이성희 민주당 6,742 27.12% 도봉구 마선거구 1-가 김용운 한나라당 6,665 30.09% 2-가 이태용 민주당 6,345 28.64% 동대문구의회[원본 편집] 비례대표[원본 편집] 순위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후보 비고 후보 비고 1 2 민주당 75,217 47.63% 유혜경 2 1 한나라당 66,003 41.80% 한숙자 이규서 3 7 국민참여당 10,266 6.50% 김양숙 4 3 자유선진당 6,408 4.05% 이금화 합계 157,894 무효 2,567 기권 157,894 투표율 53.99% 무효율 1.60% 지역구[원본 편집] 지역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동대문구 가선거구 1-나 이병윤 한나라당 3,767 28.23% 2-가 김홍채 민주당 3,402 25.49% 동대문구 나선거구 2 최경주 민주당 8,730 36.91% 1-가 주정 한나라당 7,348 31.06% 동대문구 다선거구 2 이동옥 민주당 10,005 44.43% 1-가 오세찬 한나라당 8,113 36.03% 동대문구 라선거구 1-가 김학두 한나라당 7,427 30.54% 2-가 박승구 민주당 6,687 27.50% 동대문구 마선거구 1-나 남궁역 한나라당 3,154 27.25% 2-가 서창문 민주당 3,041 26.29% 동대문구 바선거구 2-가 송광석 민주당 4,021 24.35% 1-가 황보희득 한나라당 3,933 23.81% 동대문구 사선거구 2-가 김수규 민주당 8,464 30.10% 1-가 신복자 한나라당 6,942 24.69% 동작구의회[원본 편집] 비례대표[원본 편집] 순위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후보 비고 후보 비고 1 2 민주당 105,133 57.85% 김영미 김종덕 2 1 한나라당 76,593 42.14% 정유나 김원옥 합계 181,726 무효 2,481 기권 141,351 투표율 56.58% 무효율 1.35% 지역구[원본 편집] 지역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동작구 가선거구 2-나 정재천 민주당 6,286 27.32% 1-가 김동연 한나라당 5,744 24.97% 동작구 나선거구 1-가 김명기 한나라당 6,132 25.23% 2-가 박필영 민주당 6,132 25.23% 동작구 다선거구 2 유태철 민주당 16,451 57.84% 1-가 김채원 한나라당 7,710 27.10% 동작구 라선거구 2 손화정 민주당 9,597 45.55% 1-가 홍운철 한나라당 5,341 25.35% 동작구 마선거구 1 김현상 한나라당 10,597 41.91% 2-가 문오현 민주당 9,440 37.33% 동작구 바선거구 2-가 최정춘 민주당 4,612 24.52% 1-가 최정아 한나라당 4,471 23.77% 동작구 사선거구 1-가 황동혁 한나라당 11,659 30.04% 2-가 강한옥 민주당 7,631 19.66% 2-나 박원규 민주당 7,213 18.58% 마포구의회[원본 편집] 비례대표[원본 편집] 순위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후보 비고 후보 비고 1 2 민주당 79,746 46.83% 이필례 용영미 2 1 한나라당 68,001 39.93% 김수진 고용식 3 7 국민참여당 22,518 13.22% 송인숙 합계 170,265 무효 2,613 기권 140,701 투표율 55.13% 무효율 1.51% 지역구[원본 편집] 지역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마포구 가선거구 1-가 서종수 한나라당 6,512 32.24% 2-가 마동환 민주당 4,184 20.71% 마포구 나선거구 1-가 박영길 한나라당 3,729 25.28% 2-가 정형기 민주당 3,435 23.29% 마포구 다선거구 2-가 장영숙 민주당 4,295 27.35% 1-가 조영덕 한나라당 3,529 22.47% 마포구 라선거구 1 조남진 한나라당 8,139 43.44% 2-가 김순금 민주당 5,906 31.52% 마포구 마선거구 2-가 유동균 민주당 5,636 26.71% 1-가 송병길 한나라당 5,363 25.41% 마포구 바선거구 1-가 윤동현 한나라당 6,585 28.73% 2-가 한일용 민주당 5,399 23.55% 마포구 사선거구 1-가 차재홍 한나라당 7,586 28.37% 2-가 김효철 민주당 7,009 26.21% 마포구 아선거구 1-가 강성국 한나라당 6,920 24.37% 2-가 이병만 민주당 5,954 20.97% 서대문구의회[원본 편집] 비례대표[원본 편집] 순위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후보 비고 후보 비고 1 2 민주당 68,071 47.07% 정안순 이순녀 2 1 한나라당 58,400 40.38% 김다순 윤선경 3 8 국민참여당 9,353 6.46% 고향희 4 7 진보신당 8,769 6.06% 백연주 합계 144,593 무효 2,219 기권 120,138 투표율 55.00% 무효율 1.51% 지역구[원본 편집] 지역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서대문구 가선거구 2-가 류상호 민주당 8,893 25.29% 1-가 김영원 한나라당 8,152 23.19% 2-나 변녹진 민주당 5,825 16.57% 서대문구 나선거구 2 김호진 민주당 8,894 47.08% 1-가 김재관 한나라당 6,120 32.39% 서대문구 다선거구 2-가 서정순 민주당 9,088 44.24% 1 이문복 한나라당 7,147 34.79% 서대문구 라선거구 2-가 황춘하 민주당 9,308 28.30% 1-나 홍길식 한나라당 7,430 22.59% 1-가 오성자 한나라당 5,968 18.15% 서대문구 마선거구 1-가 이기돈 한나라당 10,433 30.86% 2-가 백인기 민주당 10,426 30.84% 2-나 윤유현 민주당 5,569 16.47% 서초구의회[원본 편집] 비례대표[원본 편집] 순위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후보 비고 후보 비고 후보 비고 1 1 한나라당 106,333 57.96% 백윤남 박정아 강정옥 2 2 민주당 77,105 42.03% 안종숙 장옥준 합계 183,438 무효 2,626 기권 155,535 투표율 54.47% 무효율 1.41% 지역구[원본 편집] 지역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서초구 가선거구 1-가 강성길 한나라당 15,337 34.23% 2 이진규 민주당 15,195 33.91% 1-다 노태욱 한나라당 8,955 19.98% 서초구 나선거구 2 김안숙 민주당 15,266 35.31% 1-가 김학진 한나라당 15,235 35.24% 1-나 최병홍 한나라당 6,248 14.45% 서초구 다선거구 1-가 김병민 한나라당 8,255 34.87% 1-나 최정규 한나라당 6,022 25.43% 서초구 라선거구 1-가 김수한 한나라당 8,304 35.20% 7 황일근 국민참여당 4,776 20.24% 서초구 마선거구 2 용덕식 민주당 16,014 34.62% 1-가 권영중 한나라당 14,611 31.59% 1-다 김익태 한나라당 7,284 15.74% 성동구의회[원본 편집] 비례대표[원본 편집] 순위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후보 비고 후보 비고 1 2 민주당 74,076 55.63% 조복심 박현주 2 1 한나라당 59,070 44.36% 윤순영 합계 133,146 무효 2,122 기권 115,048 투표율 54.04% 무효율 1.57% 지역구[원본 편집] 지역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성동구 가선거구 2-가 임종기 민주당 10,319 30.84% 1-가 이길경 한나라당 8,404 25.12% 1-나 전계석 한나라당 3,751 11.21% 성동구 나선거구 1-가 김화목 한나라당 11,327 30.73% 2-가 김현주 민주당 9,594 26.03% 2-나 윤종욱 민주당 6,055 16.42% 성동구 다선거구 1-가 정영철 한나라당 9,114 27.93% 2-가 김종곤 민주당 7,086 21.72% 2-나 김기대 민주당 5,958 18.26% 성동구 라선거구 1-가 최준화 한나라당 6,415 23.21% 2-가 김달호 민주당 6,386 23.10% 2-나 박경준 민주당 4,201 15.20% 성북구의회[원본 편집] 비례대표[원본 편집] 순위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후보 비고 후보 비고 후보 비고 1 2 민주당 86,499 42.84% 이인순 이윤희 2 1 한나라당 78,900 39.08% 권영애 박종훈 이영순 3 8 국민참여당 13,340 6.60% 김아란 4 7 진보신당 8,627 4.27% 유경순 5 5 민주노동당 7,958 3.94% 고은선 6 3 자유선진당 6,568 3.25% 조순정 합계 201,892 무효 2,761 기권 178,855 투표율 53.36% 무효율 1.35% 지역구[원본 편집] 지역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성북구 가선거구 2 임태근 민주당 8,039 40.44% 1 박계선 한나라당 7,084 35.64% 성북구 나선거구 1-가 신재균 한나라당 8,760 28.49% 2-가 소정환 민주당 7,299 23.74% 2-나 김춘례 민주당 5,018 16.32% 성북구 다선거구 2-가 목소영 민주당 9,502 31.98% 1-가 윤이순 한나라당 7,007 23.58% 1-나 김원중 한나라당 4,663 15.69% 성북구 라선거구 1 이감종 한나라당 7,615 34.73% 2-가 윤정자 민주당 5,630 25.67% 성북구 마선거구 2-가 박순기 민주당 8,922 36.14% 1-가 나영창 한나라당 8,602 34.84% 성북구 바선거구 2-가 정형진 민주당 9,308 31.28% 1-가 민병웅 한나라당 8,195 27.54% 1-나 이일준 한나라당 3,735 12.55% 성북구 사선거구 2-가 김일영 민주당 6,404 33.53% 1-가 김대종 한나라당 5,082 26.61% 성북구 아선거구 1 김태수 한나라당 9,253 39.45% 2-가 강정식 민주당 7,718 32.90% 송파구의회[원본 편집] 비례대표[원본 편집] 순위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후보 비고 후보 비고 후보 비고 1 1 한나라당 134,734 46.63% 임정진 김순애 이성매 2 2 민주당 112,330 38.88% 이성자 정용주 3 7 국민참여당 19,086 6.60% 김지원 4 5 민주노동당 12,047 4.17% 정지윤 5 3 자유선진당 10,699 3.70% 최해연 합계 288,896 무효 3,557 기권 247,191 투표율 54.19% 무효율 1.22% 지역구[원본 편집] 지역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송파구 가선거구 2 노승재 민주당 15,138 34.47% 1-가 이경애 한나라당 9,449 21.51% 1-나 이승구 한나라당 6,298 14.34% 송파구 나선거구 1 이배철 한나라당 8,218 42.63% 2 이정미 민주당 7,007 36.35% 송파구 다선거구 2 이양우 민주당 10,649 38.05% 1-가 남창진 한나라당 7,486 26.75% 송파구 라선거구 2 안성화 민주당 10,369 32.03% 1-가 이명재 한나라당 8,170 25.24% 1-다 원내선 한나라당 5,021 15.51% 송파구 마선거구 2 박용모 민주당 10,707 34.27% 1-가 이혜숙 한나라당 8,861 28.36% 7 박재현 국민참여당 4,083 13.07% 송파구 바선거구 2 김상채 민주당 11,930 41.85% 1-가 임춘대 한나라당 9,972 34.98% 송파구 사선거구 2 이정인 민주당 13,883 48.56% 1-가 최윤순 한나라당 9,665 33.80% 송파구 아선거구 2 김형대 민주당 11,268 44.82% 1-가 박인섭 한나라당 10,573 42.05% 송파구 자선거구 2 나봉숙 민주당 8,546 37.35% 1-가 김철한 한나라당 6,862 29.99% 송파구 차선거구 2 구자성 민주당 11,957 44.60% 1 권오철 한나라당 10,717 39.97% 양천구의회[원본 편집] 비례대표[원본 편집] 순위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후보 비고 후보 비고 1 2 민주당 116,472 55.14% 강연숙 2 1 한나라당 94,749 44.85% 나상희 이강명 합계 211,221 무효 3,615 기권 167,522 투표율 56.19% 무효율 1.68% 지역구[원본 편집] 지역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양천구 가선거구 2 위형운 민주당 11,841 51.62% 1-가 박태문 한나라당 7,466 32.55% 양천구 나선거구 2 김경자 민주당 12,239 37.99% 1-가 최진표 한나라당 10,459 32.46% 양천구 다선거구 2 이동만 민주당 14,171 41.08% 1-나 조재현 한나라당 10,126 29.35% 양천구 라선거구 2 박순주 민주당 10,599 39.11% 1-가 임옥연 한나라당 7,600 28.04% 양천구 마선거구 2 심광식 민주당 9,398 40.73% 1-가 강웅원 한나라당 6,440 27.91% 양천구 바선거구 2-가 이강길 민주당 5,530 30.03% 1-가 김영주 한나라당 5,271 28.62% 양천구 사선거구 2 장영기 민주당 10,292 41.18% 1-가 오진환 한나라당 6,629 26.52% 양천구 아선거구 2 신상균 민주당 11,066 42.71% 1-가 고덕철 한나라당 8,002 30.88% 영등포구의회[원본 편집] 비례대표[원본 편집] 순위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후보 비고 후보 비고 후보 비고 1 1 한나라당 74,240 41.83% 오현숙 마숙란 노효선 2 2 민주당 74,041 41.72% 정선희 오경순 3 8 국민참여당 8,664 4.88% 최지현 4 7 진보신당 7,678 4.32% 장혜영 5 3 자유선진당 6,822 3.84% 장해정 6 5 민주노동당 6,020 3.39% 박지아 합계 177,465 무효 2,881 기권 149,033 투표율 54.75% 무효율 1.60% 지역구[원본 편집] 지역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영등포구 가선거구 2 최재문 민주당 8,622 43.81% 1-가 이재형 한나라당 5,289 26.87% 영등포구 나선거구 2 고기판 민주당 11,956 50.07% 1-가 김주범 한나라당 6,086 25.49% 영등포구 다선거구 2 김길자 민주당 10,771 47.69% 1-가 김용범 한나라당 7,120 31.92% 영등포구 라선거구 2 윤준용 민주당 13,947 52.29% 1-가 오인영 한나라당 9,386 35.19% 영등포구 마선거구 2 신흥식 민주당 8,927 36.30% 1-나 김종태 한나라당 7,273 29.58% 영등포구 바선거구 2 김화영 민주당 9,158 43.40% 1-가 권영식 한나라당 6,298 29.85% 영등포구 사선거구 2-가 윤동규 민주당 9,832 26.26% 1-가 신현도 한나라당 8,049 21.50% 7 박정자 무소속 6,778 18.10% 용산구의회[원본 편집] 비례대표[원본 편집] 순위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후보 비고 후보 비고 1 1 한나라당 49,368 47,82% 이상순 손광진 2 2 민주당 44,817 43.41% 왕향자 3 7 진보신당 9,040 8.75% 이정신 합계 103,225 무효 1,767 기권 93,052 투표율 53.01% 무효율 1.68% 지역구[원본 편집] 지역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용산구 가선거구 1-가 김정재 한나라당 6,235 35.36% 2-가 권용하 민주당 5,493 31.15% 용산구 나선거구 2-가 손병헌 민주당 5,076 28.80% 1-가 오천진 한나라당 4,815 27.32% 용산구 다선거구 2 김철식 민주당 8,566 35.45% 1-가 오세철 한나라당 8,190 33.90% 용산구 라선거구 2-가 장정호 민주당 4,392 23.46% 1-가 박길준 한나라당 4,102 21.91% 용산구 마선거구 1-가 이미재 한나라당 6,713 28.14% 1-나 박석규 한나라당 4,581 19.20% 5 설혜영 민주노동당 3,316 13.90% 은평구의회[원본 편집] 비례대표[원본 편집] 순위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후보 비고 후보 비고 1 2 민주당 92,984 48.89% 이용선 2 1 한나라당 75,684 39.79% 유명란 박동규 3 7 진보신당 11,425 6.00% 유이분 4 3 자유선진당 6,362 3.34% 이윤덕 5 6 창조한국당 3,725 1.95% 황남연 합계 190,180 무효 2,715 기권 183,490 투표율 51.25% 무효율 1.41% 지역구[원본 편집] 지역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은평구 가선거구 2 박용근 민주당 10,108 36.86% 1-가 채근배 한나라당 7,061 25.74% 은평구 나선거구 2 성흠제 민주당 8,482 46.40% 1 장윤건 한나라당 6,594 36.07% 은평구 다선거구 1 이승한 한나라당 6,523 35.16% 2-가 우영호 민주당 6,328 34.11% 은평구 라선거구 2 장창익 민주당 9,485 45.87% 1-가 김종선 한나라당 5,888 28.47% 은평구 마선거구 2 장우윤 민주당 11,082 45.67% 1-가 남기정 한나라당 7,272 29.97% 은평구 바선거구 2 이연옥 민주당 10,471 45.28% 1-가 고영호 한나라당 8,222 35.56% 은평구 사선거구 2 이현찬 민주당 13,004 48.55% 1-가 신래호 한나라당 7,485 27.94% 은평구 아선거구 2 정병휘 민주당 12,521 42.08% 1-가 이선복 한나라당 8,282 27.83% 종로구의회[원본 편집] 비례대표[원본 편집] 순위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후보 비고 후보 비고 1 2 민주당 42,366 55.43% 경점순 김원용 2 1 한나라당 34,056 44.56% 강민경 합계 76,422 무효 1,378 기권 76,422 투표율 56.00% 무효율 1.77% 지역구[원본 편집] 지역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종로구 가선거구 2-가 오금남 민주당 6,144 30.86% 1-가 최경애 한나라당 5,815 29.21% 종로구 나선거구 2 안재홍 민주당 8,392 45.57% 1-가 현택정 한나라당 7,150 38.83% 종로구 다선거구 2-가 박노섭 민주당 5,696 35.97% 1-가 이숙연 한나라당 4,965 31.35% 종로구 라선거구 2-가 정인훈 민주당 5,044 23.89% 1-가 이상근 한나라당 4,787 22.67% 2-다 김복동 민주당 3,657 17.32% 중구의회[원본 편집] 비례대표[원본 편집] 순위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후보 비고 후보 비고 1 2 민주당 32,703 55.10% 송희 2 1 한나라당 26,648 44.89% 권도연 이영건 합계 59,351 무효 1,396 기권 48,253 투표율 55.73% 무효율 2.30% 지역구[원본 편집] 지역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중구 가선거구 2-가 김영선 민주당 5,065 34.85% 1-가 허수덕 한나라당 3,787 26.05% 중구 나선거구 2-가 조영훈 민주당 3,742 27.82% 1-가 소재권 한나라당 3,324 24.71% 중구 다선거구 2-가 김수안 민주당 4,148 29.32% 1-가 황용헌 한나라당 3,822 27.02% 중구 라선거구 1-가 이혜경 한나라당 4,753 28.77% 2-가 박기재 민주당 3,351 20.28% 중랑구의회[원본 편집] 비례대표[원본 편집] 순위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후보 비고 후보 비고 1 2 민주당 94,604 55.78% 은승희 박점자 2 1 한나라당 74,986 44.21% 황판남 김진영 합계 169,590 무효 2,648 기권 171,572 투표율 50.10% 무효율 1.54% 지역구[원본 편집] 지역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중랑구 가선거구 2-가 김시현 민주당 6,875 36.73% 1-가 신하균 한나라당 6,038 32.26% 중랑구 나선거구 2-가 서인서 민주당 5,744 28.84% 1-가 신정일 한나라당 4,466 22.42% 중랑구 다선거구 1-가 홍성욱 한나라당 11,991 33.07% 2-가 조희종 민주당 10,168 28.04% 1-나 김규환 한나라당 4,840 13.34% 중랑구 라선거구 2 김근종 민주당 10,787 47.18% 1-가 이윤재 한나라당 6,897 30.17% 중랑구 마선거구 2-가 강대호 민주당 6,489 32.04% 1-가 김영숙 한나라당 5,596 27.63% 중랑구 바선거구 1-가 송화영 한나라당 6,451 29.78% 2-가 김정례 민주당 5,383 24.85% 중랑구 사선거구 1-가 김수자 한나라당 8,045 29.71% 2-가 최성식 민주당 7,273 26.86% 서울특별시교육감[원본 편집] 순위 기호 후보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6 곽노현 1,459,535 34.34% 당선 2 1 이원희 1,411,752 33.22% 3 4 김영숙 517,640 12.18% 4 2 남승희 502,396 11.82% 5 7 권영준 178,592 4.20% 6 3 김성동 125,457 2.95% 7 5 이상진 53,742 1.26% 투표율 53.92% 합계 4,249,114 무효 178,390 기권 3,783,957 교육의원[원본 편집] 제1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후보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정상천 127,884 28.13% 당선 2 김대성 113,495 24.97% 3 정영배 113,119 24.89% 4 정영택 85,490 18.81% 5 권영준 14,475 3.18% 투표율 합계 454,463 무효 30,942 기권 422,191 제2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후보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최보선 152,903 26.38% 당선 2 임종달 149,872 25.86% 3 이종석 145,963 25.18% 4 구본순 130,782 22.56% 투표율 합계 579,520 무효 38,182 기권 537,256 제3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후보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김덕영 168,648 30.72% 당선 2 이부영 147,080 26.79% 3 김익수 82,917 15.10% 4 박헌화 50,334 9.16% 5 하홍모 36,046 6.56% 6 박춘엽 32,516 5.92% 7 오영규 31,389 5.71% 투표율 합계 548,930 무효 47,514 기권 510,533 제4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후보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한학수 189,811 44.44% 당선 2 이 건 180,933 42.36% 3 구덕길 56,321 13.18% 투표율 합계 427,065 무효 27,807 기권 394,253 제5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후보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김형태 141,609 23.82% 당선 2 임헌만 137,866 23.21% 3 서동목 92,966 15.65% 4 신동성 70,348 11.84% 5 이주명 66,045 11.12% 6 김동래 44,485 7.49% 7 정채동 40,507 6.82% 투표율 합계 593,826 무효 44,255 기권 528,703 제6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후보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최홍이 146,882 29.33% 당선 2 김주현 133,486 26.65% 3 김홍민 118,748 23.71% 4 양인자 101,656 20.29% 투표율 합계 500,772 무효 29,311 기권 448,614 제7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후보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최명복 162,630 29.77% 당선 2 정관희 112,193 20.53% 3 이광양 73,588 13.47% 4 장길호 73,349 13.42% 5 박문영 64,432 11.79% 6 김병철 60,067 10.99% 투표율 합계 546,259 무효 55,888 기권 517,754 제8선거구[원본 편집] 순위 후보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김영수 136,481 29.31% 당선 2 황수연 120,886 25.96% 3 정병수 72,728 15.62% 4 강호봉 55,938 12.01% 5 최재규 45,002 9.66% 6 김용신 34,455 7.40% 투표율 합계 465,490 무효 36,772 기권 425,161 vdeh 대한민국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0년) 2010년 지방선거 2014년 지방선거 2018년 지방선거 2022년 지방선거 선거별 광역자치단체장 광역자치의회의원 기초자치단체장 기초자치의회의원 교육감 교육의원 선거구별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제5회_전국동시지방선거_서울특별시&oldid=21550161" 분류: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서울특별시의 선거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6월 12일 (화) 08:1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 문서는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 지역 투·개표 결과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당시 서울특별시는 어떤 선거군들로 이루어져 있었을까? Assistant: 선거구 지역 정원 가선거구 신사동, 압구정동 2 나선거구 논현1동, 논현2동, 청담동 2 다선거구 삼성1동, 삼성2동, 역삼1동 2 라선거구 역삼2동, 도곡1동, 도곡2동 3 마선거구 대치1동, 대치4동 2 바선거구 대치2동, 일원2동 2 사선거구 개포1동, 개포4동 2 아선거구 개포2동, 일원본동, 일원1동, 수서동, 세곡동 3 합계 18 Human: 아래 카이우_펠리피_곤사우베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카이우 펠리피 곤사우베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이우 펠리피 곤사우베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이우펠리피곤사우베스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카이우 개인 정보전체 이름 카이우 펠리피 곤사우베스로마자 표기 Kaio Felipe Gonçalves출생일 1987년 7월 6일(1987-07-06) (32세)출생지 브라질 쿠리치바키 187cm포지션 공격수클럽 정보현 소속팀 리장 자위하오청소년 클럽 기록1995-2000 2000-2004 J.말루셀리 파라나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2005-2010 2007 2008-2009 2010 2011-2013 2013-2014 2014 2015 2016 2017 2018-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 과나바라 (임대) → 세레소 오사카 (임대) → 요코하마 FC (임대) 요코하마 FC 알와슬 → 전북 현대 모터스 (임대) 수원 삼성 블루윙즈 부리람 유나이티드리장 자위하오 교토 상가 005 0(0) 053 (18) 017 0(6) 072 (25) 000 0(0) 032 0(9) 021 0(4) 022 0(5) 009 0(2) 015 0(4)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19년 1월 3일 기준이다. 카이우 펠리피 곤사우베스 (포르투갈어: Kaio Felipe Gonçalves, 1987년 7월 6일 ~ )는 브라질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공격수이다. 현재 J2리그 교토 상가 FC 소속이다. 목차 1 선수 생활 1.1 유스 경력 1.2 클럽 경력 2 기록 2.1 클럽 3 수상 3.1 클럽 4 기타 5 출처 6 외부 링크 선수 생활[편집] 유스 경력[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클럽 경력[편집]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에서 프로 무대에 데뷔하였다. 2008년 세레소 오사카로 임대 이적하며 어머니의 모국인 일본으로 적을 옮겼다. 세레소 생활 이후 요코하마 FC로 임대 이적하여 일본 무대에서의 활약을 이어갔으며 2011년 요코하마로 완전 이적하였다. 2013년 아랍에미리트의 알와슬로 이적하였고 2014년 전북 현대 모터스로 임대 이적하였다.[1]. 2015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이적하였다.[2]. 2016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 구단과 상호합의하에 이뤄진 계약해지 후 타이 프리미어리그의 부리람 유나이티드로 이적하였다.[3] 기록[편집] 클럽[편집] 2016년 01월 25일 기준 클럽 시즌 리그 국내 컵 리그 컵 대륙 대회 합계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2005 0 0 0 0 - 0 0 0 0 2006 0 0 0 0 - 0 0 0 0 2007 3 0 0 0 - 0 0 3 0 Guanabara 2007 - - - - - - - -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2008 2 0 0 0 - 0 0 2 0 세레소 오사카 2008 16 8 2 0 - - 18 8 2009 37 10 1 0 - - 38 10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2010 0 0 0 0 - - 0 0 요코하마 FC 2010 17 6 2 1 - - 19 7 2011 29 9 1 0 - - 30 9 2012 26[4] 10 2 1 - - 28 11 2013 0 0 0 0 - - 0 0 알와슬 FC 2013 0 0 0 0 - - 0 0 전북 현대 모터스 2014 32 9 3 4 - 6 0 41 13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15 21 4 1 0 - 6 1 28 5 부리람 유나이티드 FC 2016 0 0 0 0 0 0 0 0 0 0 통산 183 56 12 6 0 0 12 1 0 0 수상[편집] 클럽[편집] 전북 현대 모터스 현대오일뱅크 K리그 클래식 2014 우승 기타[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출처[편집] ↑ 하성룡 (2014년 1월 27일). “전북, 브라질 출신 마르코스-카이오 영입”. 스포츠조선.  ↑ 박상현 (2015년 1월 31일). “브라질 폭격기’ 카이오, 수원삼성 팀 훈련 합류”. 블루윙즈미디어.  ↑ 최만식 (2016년 1월 25일). “수원 브라질 용병 카이오 태국 부리람 이적”. 스포츠조선.  ↑ J리그 승격 플레이오프 1경기 포함 외부 링크[편집] 카이우 펠리피 곤사우베스 K리그 기록 - 한국프로축구연맹 vdeh 전북 현대 모터스 - 2014년 K리그 클래식 우승 (3회) 1 권순태 2 이규로 3 이재명 4 김기희 5 정인환 6 최보경 7 한교원 8 리치 9 카이오 10 레오나르도 11 이승기 13 김인성 14 이승렬 15 정혁 16 이상협 17 이재성 18 윌킨슨 19 박원재 20 이동국 (주장) 21 이범수 22 신형민 23 정훈 24 박세직 25 최철순 26 이승현 27 권경원 28 이강진 29 권영진 30 조영준 31 김민식 32 이주용 33 정종희 34 문진용 35 김동찬 36 주현탁 37 최근종 37 최정규 55 김남일 감독: 최강희 수석 코치: 신홍기 코치: 박충균, 김상식 골키퍼 코치: 최은성 피지컬 코치: 파비오 스카우트: 차종복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카이우_펠리피_곤사우베스&oldid=24449620" 분류: 1987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일본계 브라질인브라질의 축구 선수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의 축구 선수세레소 오사카의 축구 선수요코하마 FC의 축구 선수알와슬 FC의 축구 선수전북 현대 모터스의 축구 선수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축구 선수부리람 유나이티드 FC의 축구 선수교토 상가 FC의 축구 선수K리그1의 축구 선수리우데자네이루 출신브라질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아랍에미리트의 외국인 축구 선수일본의 외국인 축구 선수태국의 외국인 축구 선수J2리그의 축구 선수타이 리그1의 축구 선수중국의 외국인 축구 선수대한민국에 거주한 브라질인중국에 거주한 브라질인중국 갑급리그의 축구 선수UAE 아라비안 걸프 리그의 축구 선수숨은 분류: 포르투갈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Dansk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Norsk nynorskPolski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Tiếng Việt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9일 (수) 15: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카이우 펠리피 곤사우베스(포르투갈어: Kaio Felipe Gonçalves, 1987년 7월 6일 ~ )는 브라질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공격수이다. 현재 UAE 프로리그 에미리트 클럽 소속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카이우 펠리피 곤사우베스는 2005시즌 어떤 클럽 소속이였을까? Assistant: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Human: 아래 고아성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고아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아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고아성 출생 1992년 8월 10일(1992-08-10) (26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직업 배우활동 기간 2004년 ~ 현재종교 무종교소속사 아티스트컴퍼니 학력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휴학형제자매 3녀 중 막내웹사이트 아티스트컴퍼니 고아성고아성 미니홈피 - 싸이월드 고아성(高我星[1], 1992년 8월 10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목차 1 생애 및 경력 2 학력 3 출연 작품 3.1 드라마 3.2 영화 3.3 뮤지컬 3.4 텔레비전 프로그램 3.5 라디오 프로그램 3.6 음반 3.7 기타 경력 4 수상 및 후보 5 각주 6 외부 링크 생애 및 경력[편집] 고아성은 6살 때인 1997년 길거리 캐스팅을 통해 외환카드 광고 아역 모델로 연예계 데뷔했다.[2] 이후 그는 2004년 어린이 드라마 《울라불라 블루짱》의 타이틀롤을 맡아 배우로서 정식 데뷔했다. 2006년 봉준호 감독의 영화 《괴물》에서 박강두(송강호)의 딸 역을 연기하며 이름을 알렸다. 그의 연기는 평단의 호평을 받아 대한민국영화연기대상 영스타상,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 디렉터스 컷 시상식 올해의 신인연기자상을 수상하였다. 2015년 SBS 드라마 《풍문으로 들었소》으로 브라운관에 복귀한 고아성은 성인 연기자로 변신에 성공했고,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등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다. 2017년 MBC 드라마 《자체발광 오피스》으로 드라마 첫 주연을 맡았다.[3] 학력[편집] 서울금양초등학교 졸업 선린중학교 졸업 중경고등학교 졸업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휴학 출연 작품[편집] 드라마[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비고 2004 KBS2 울라불라 블루짱 노다지 (블루스톤 공주) 182부작 2005 MBC 슬픈 연가 어린 차화정 20부작 MBC 떨리는 가슴 김보미 3화 〈슬픔〉 편, 5화~6화 2010 KBS2 공부의 신 길풀잎 16부작 2015 SBS 풍문으로 들었소 서봄 30부작 2017 MBC 자체발광 오피스 은호원 16부작 2018 OCN 라이프 온 마스 윤나영 16부작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감독 비고 2006 괴물 박현서 봉준호 제59회 칸국제영화제 감독주간 초청작 2007 즐거운 인생 주희 이준익 2008 라디오 데이즈 순덕 2009 여행자 예신 우니 르콩트 한국-프랑스 합작 영화제62회 칸국제영화제 특별상영 초청작 결혼식 후에 김미래 김윤철 한국-일본 합작 영화 2010 식스틴[4] 허유나 미쟝센 단편 영화제 상영작 2012 듀엣 낸시 이상빈 2013 설국열차 요나 봉준호 2014 우아한 거짓말 이만지 이한 2015 뷰티 인사이드 김우진 백종열 오피스 이미례 홍원찬 제68회 칸국제영화제 심야상영 초청작 지금은맞고그때는틀리다 염보라 홍상수 2016 오빠생각 박주미 이한 2017 더 킹 김양 한재림 2019 항거: 유관순 이야기 유관순 조민호 뮤지컬[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02 피터팬 텔레비전 프로그램[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비고 2015 채널CGV 나도 영화 감독이다 2 고정 출연 5부작[5] 2017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게스트 (야구르지롱 돌직구 야구소녀) [6] 라디오 프로그램[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비고 2014 SBS 파워FM 장기하의 대단한 라디오 게스트 2014년 3월 12일 KBS 2FM 최다니엘의 팝스 팝스 스페셜 DJ 2014년 12월 15일~2014년 12월 21일[7] 2016 MBC FM4U 2시의 데이트 박경림입니다 게스트 2016년 1월 21일 음반[편집] 연도 음반명 2010 공부의 신 OST 어니스트 '달려' (피처링 참여) 2012 듀엣 OST 'Nobody Knows', 'Light On My Shoulder', 'Blue Blue Night', 'Wings of Rod' (참여) 2015 곽태훈 부반장의 Limited Edition '홍대입구' (참여) 기타 경력[편집] 연도 홍보대사명 2007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남선녀 홍보모델 위촉 2011 알코올 클린 캠퍼스 조성 건전음주 홍보대사 위촉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06 제5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여우조연상 괴물 후보 제27회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 수상 제9회 디렉터스 컷 시상식 올해의 연기자상 수상 2007 제43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후보 제33회 새턴상 최우수 아역상 후보 제44회 대종상 여우조연상 후보 제1회 대한민국 영화연기대상 영스타상 수상 2010 제46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공부의 신 후보 KBS 연기대상 여자 신인연기상 후보 2013 제50회 대종상 여우조연상 설국열차 후보 제34회 청룡영화상 여우조연상 후보 제33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여우조연상 후보 2014 제3회 모엣 라이징 스타 어워드 모엣 라이징 스타 수상 제50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조연상 후보 2015 제51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풍문으로 들었소 수상 제4회 에이판 스타 어워즈 장편드라마부문 여자 우수연기상 후보 SBS 연기대상 중편드라마부문 여자 우수연기상 수상 뉴스타상 수상 제25회 판시네 판타스틱 영화제 여우주연상 오피스 수상 2016 제36회 황금촬영상 촬영감독들이 뽑은 여자인기상 수상 2017 MBC 연기대상 미니시리즈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자체발광 오피스 후보 2018 제6회 아시아태평양 스타 어워즈 중편드라마부문 여자 우수연기상 라이프 온 마스 수상 제2회 더 서울어워즈 드라마부문 여우조연상 후보 2019 제55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항거: 유관순 이야기 후보 각주[편집] ↑ 김지윤 (2009년 10월 22일). “고아성 “영화 ‘여행자’ 찍으면서 다리가 굵어졌어요~” (인터뷰 ②)”. 《뉴스엔》. 2016년 1월 9일에 확인함.  ↑ 이정현 (2017년 5월 16일). “'자체발광' 고아성 "은호원으로 희로애락 다 펼쳐…시즌2 희망"”. 연합뉴스. 2017년 9월 7일에 확인함.  ↑ 조은별 (2017년 5월 24일). “고아성 “부당한 경험 있어...은호원에게 감정이입했죠””. 브릿지경제. 2017년 9월 7일에 확인함.  ↑ “2010 미쟝센 단편 영화제 국내초청부문 - 식스틴”. 2016년 1월 9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고승아 (2015년 11월 16일). “‘나도 영화 감독이다2’ 박성웅-고아성, 영화 제작자로 변신..열정 가득”. 한국경제. 2017년 9월 7일에 확인함.  ↑ 김현정 (2017년 3월 20일). “[엑's 인터뷰] '복면가왕' 고아성 "노래 계속 부르고 싶다…즐거운 경험"”. 엑스포츠뉴스. 2017년 9월 7일에 확인함.  ↑ 신나라 (2014년 12월 15일). “고아성, '최다니엘의 팝스팝스' 스페셜 DJ”. TV리포트. 2017년 9월 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고아성 미니홈피 - 싸이월드 고아성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고아성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vdeh아티스트컴퍼니경영진 대표이사: 김병선 이사: 이정재·정우성 소속 배우남성 이정재 정우성 하정우 김의성 민무제 배성우 장우혁 정원중 차래형 한성천 손민호 신정근 여성 염정아 고아라 고아성 손지현 박소담 이솜 이엘 이수민 이시아 김예원 과거 소속 배우남성 하정우 고아성의 수상 목록vdeh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신인연기1970년대 이효춘, 김영애 (1974) - (1975) 오미연 (1976) 고두심 (1977) 김보연 (1978) 김윤미 (1979) 1980년대 정애리, 이경진 (1981) 이혜숙, 권기선 (1982) 선우은숙 (1983) 강수연 (1984) 최명길 (1985) 허윤정, 최선아 (1986) 한애경, 김희애 (1987) 박순애 (1988) 윤유선 (1989) 1990년대 채시라 (1990) 오연수, 장서희 (1991) 고현정, 이진아 (1992) 유호정, 권소정 (1993) 심은하, 김정난 (1994) 신은경, 김선민 (1995) 김희선 (1996) 이혜영 (1997) 김지영 (1998) 명세빈 (1999) 2000년대 채림 (2000) 하지원 (2001) 공효진 (2002) 장나라 (2003) 한지혜 (2004) 이다해 (2005) 이영아 (2006) 고아라 (2007) 이지아 (2008) 윤아 (2009) 2010년대 황정음 (2010) 유인나 (2011) 유이 (2012) 정은지 (2013) 백진희 (2014) 고아성 (2015) 김고은 (2016) 이세영 (2017) 허율 (2018) 김혜윤 (2019) 대상 | 작품상 | 남자최우수연기 | 여자최우수연기 | 남자조연 | 여자조연 | 남자예능 | 여자예능 | 남자신인연기 | 여자신인연기 vdeh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 수상자1960년대 - (1963) 주연 (1964) 문희 (1965) 남정임 (1966) - (1967) - (1969) 1970년대 김창숙 (1970) 오유경, 김청자 (1971) 나하영, 임지성, 박지영 (1972) 우연정, 전영 (1973) 1990년대 최진실 (1990) 김금용 (1991) 오연수 (1992) 오정해 (1993) 정선경 (1994) 이지은 (1995) 이정현, 이혜은 (1996) 전도연 (1997) 김여진 (1998) 이재은 (1999) 2000년대 배두나 (2000) 이요원 (2001) 문소리 (2002) 임수정 (2003) 수애 (2004) 김지수 (2005) 고아성 (2006) 정려원 (2007) 한예슬 (2008) 박보영, 김꽃비 (2009) 2010년대 이민정 (2010) 문채원 (2011) 김고은 (2012) 박지수 (2013) 김새론 (2014) 이유영 (2015) 김태리 (2016) 최희서 (2017) 김다미 (2018) 최우수작품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남우 | 신인여우 vdeh디렉터스 컷 시상식 올해의 여자연기1990년대 심은하 (1998) 전도연 (1999) 2000년대 이미연 (2000) 장진영 (2001) 김윤진 (2002) 문소리, 염정아 (2003) 전도연 (2004) 이영애, 전도연 (2005) 배두나, 고아성 (2006) 전도연 (2007) 공효진 (2008) 김혜자 (2009) 2010년대 서영희 (2010) 심은경 (2014) 전도연 (2015) 김민희 (2016) 나문희 (2017) 김태리 (2018) 감독 | 남자연기 | 여자연기 | 신인감독 | 남자신인연기 | 여자신인연기 전거 통제 WorldCat VIAF: 51503650 LCCN: no2008091843 ISNI: 0000 0000 4681 2507 GND: 1037028937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고아성&oldid=24441915" 분류: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수상자199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어린이 배우2004년 데뷔서울특별시 출신 배우서울금양초등학교 동문선린중학교 동문중경고등학교 동문성균관대학교 동문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Galego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Tagalog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7일 (월) 21: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고아성(高我星, 1992년 8월 10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고아성의 영화 출연작품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Assistant: 연도 제목 역할 감독 비고 2006 괴물 박현서 봉준호 제59회 칸국제영화제 감독주간 초청작 2007 즐거운 인생 주희 이준익 2008 라디오 데이즈 순덕 2009 여행자 예신 우니 르콩트 한국-프랑스 합작 영화제62회 칸국제영화제 특별상영 초청작 결혼식 후에 김미래 김윤철 한국-일본 합작 영화 2010 식스틴[4] 허유나 미쟝센 단편 영화제 상영작 2012 듀엣 낸시 이상빈 2013 설국열차 요나 봉준호 2014 우아한 거짓말 이만지 이한 2015 뷰티 인사이드 김우진 백종열 오피스 이미례 홍원찬 제68회 칸국제영화제 심야상영 초청작 지금은맞고그때는틀리다 염보라 홍상수 2016 오빠생각 박주미 이한 2017 더 킹 김양 한재림 2019 항거: 유관순 이야기 유관순 조민호 Human: 아래 얼음과_불의_노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얼음과 불의 노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얼음과 불의 노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얼음과 불의 노래(A Song of Ice and Fire)는 미국의 소설가이자 극작가인 조지 R. R. 마틴(George R. R. Martin)이 쓴 서사 판타지 소설 시리즈이다. 마틴은 1991년에 소설을 쓰기 시작하였고 첫 번째 작품은 1996년에 발간되었다. 원래 계획은 3부작이었으나, 현재는 5부이며(5부는 2011년 7월 12일에 발간) 두 개의 작품이 더 나올 계획이다. 또한 세 개의 속편과 주작품에서 발췌된 내용으로 이루어진 시리즈도 몇 개 예정돼 있다. 이들 중 하나는 휴고상을 수상했다. '얼음과 불의 노래' 시리즈는 20여개의 언어로 번역되었고 4부는 뉴욕타임즈 베스트셀러 리스트에서 1위를 하였다. 전체적으로, '얼음과 불의 노래' 시리즈는 미국에서 6백만부 이상이 발간되었고, 세계적으로 1500만부 이상 판매되었다. 국내에서는 '은행나무' 출판사가 번역, 출간을 맡았으나 오역 논란 등으로 재발간이 이루어지기도 했다.[1] 이야기는 주로 허구의 세계인 '웨스테로스'(Westeros)라 불리는 대륙과 '에소스'(Essos)라 알려진 동쪽의 거대한 대륙 위에서 펼쳐진다. 대부분의 인물들은 사람이지만 시리즈가 진행되면서 먼 북쪽의 위협적인 '아더'(Others) 그리고 동쪽의 불을 뿜는 용 같은 다른 종족들도 소개되며, 각 종족들은 이야기 상에서는 인간들이 멸종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시리즈는 세 가지 큰 줄거리로 엮이는데, 웨스테로스의 주도권을 둘러싼 가문들간의 왕권다툼을 다룬 연대기와 웨스테로스 북쪽 경계에 있는 얼음으로 된 거대한 벽(The Wall) 너머의 '아더'(Others/White Walkers)의 위협 그리고 15년 전에 내전으로 인해 살해된 왕의 딸인 대너리스 타르가르옌(Daenerys Targaryen)이 자신이 추방당한 웨스테로스를 향해 왕권 회복을 도전하는 것, 이 세 가지로 이루어진다. 이 소설은 각 챕터마다 해당 등장인물들의 관점을 통해 서술되며 진행된다. 보통 한 챕터당 한 명이 할당되고 4부의 마지막 즈음에는 여러 챕터에 17명의 등장인물들이 나온다. 높은 인기로 인해 1부 '왕좌의 게임'(Game of Throne)은 HBO사에 의해 TV 드라마(왕좌의 게임 참조)로 각색되었다. 파일럿 에피소드는 2009년에 제작되었고 나머지 9개의 에피소드가 2010년 3월에 제작되었다. 2011년 4월 17일부터 시즌1이 방영되었고 시즌2는 2012년 4월 1일부터 방영되었다. 한 시즌당 10부작으로 제작되며 2013년 3월 31일부터 시즌3가 시작되었고, 2013년 6월 9일로 시즌3도 종결되었다. 2014년 6월 15일부터 시즌4가 종결되었고, 2015년 4월 12일부터 시즌5 종결되었다. 2016년 6월 26일에 시즌6이 종결되었고, 2017년 7월 16일에 시즌7에 방영이 종영되었다. 2019년 시즌8 방영이 확정된 상태이다[2] 목차 1 줄거리 2 출판 2.1 한국어 출판 3 얼음과 불의 노래의 특징 3.1 장르 3.2 집필 과정 3.3 서사 구조 3.4 캐릭터 개발 4 파생 작품 4.1 중편 소설 4.2 TV 시리즈 5 각주 6 외부 링크 줄거리[편집] 얼불노의 세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얼음과 불의 노래'는 한 계절이 여러 해 동안 지속되는 가상 공간에서 펼쳐진다. 1권 시점에서 수백년 전, 웨스테로스(Westeros) 대륙의 칠왕국(Seven Kingdoms)은 타르가르옌 왕조에 의해 통일됐다. 하지만 타르가르옌 왕조의 마지막 왕은 로버트 바라테온(Robert Baratheon)이 이끄는 봉건 영주들에게 살해되고, 로버트가 새로운 왕이 된다. 줄거리는 로버트 왕이 사망한 이후 '철왕좌'(Iron Throne)를 둘러싼 권력 다툼을 중심으로 이어진다. 1권인 왕좌의 게임(A Game of Thrones)에서 로버트 왕이 사망한 뒤 그의 장자인 조프리 바라테온(Joffery Baratheon]]이 외가인 라니스터 가문의 도움으로 철왕좌에 오른다. 한편, 로버트 왕의 수관(Hand, 현대의 국무총리에 해당)인 에다드 스타크(Eddard Stark)는 조프리와 그의 남매가 로버트 왕의 적통이 아니라 왕비인 서시 라니스터와 쌍둥이 남동생인 제이미 라니스터 사이에 나온 자식이라는 점을 알게 된다. 하지만 서시가 먼저 선수를 쳐서 에다드는 반역죄로 처형되고, 로버트의 동생인 스타니스 바라테온(Stannis Baratheon)과 렌리 바라테온(Renly Baratheon)은 각각 왕위 계승권을 주장하게 된다. 에다드의 장자인 롭 스타크(Robb Stark)는 북부의 왕을 자칭하고, 발론 그레이조이(Balon Greyjoy) 또한 자신의 영지인 강철군도(Iron Islands)에서 칭왕을 하게 된다. 이렇게 시작된 '다섯 왕의 전쟁'이 2권 왕들의 전쟁(Clash of Kings)의 중반까지 이어진다. 렌리 바라테온은 스타니스 바라테온과 멜리산드레(Mellisandre)의 마법으로 인해 죽게 되고, 롭 스타크는 붉은 결혼식(The Red Wedding)에서 왈더 프레이(Walder Frey)와 루스 볼튼(Roose Bolton)이 타이윈 라니스터(Tywin Lannister)와 음모하여 배신하여 죽임을 당하고, 발론 그레이조이는 폭풍우 속에서 다리를 건너다 떨어져 죽음으로써 2명밖에 남지 않는다. 두번째 이야기 줄기는 웨스테로스의 북부 경계선에서 진행된다. 이곳에는 8000년된 얼음 성벽(The Wall)이 아더(Others)로부터 웨스테로스를 막아주고 있다. 이 성벽을 지키는 자들은 나이트워치(Night's Watch)라 불리는 집단이다. 성벽 너머에는 아더 뿐만 아니라 자유민(Free Folk) 또는 야인(Wildlings)이라 불리는 인간들과 숲의 아이들(Children of the forest)도 살고 있다. 나이트워치의 이야기는 에다드 스타크의 서자로 알려진 존 스노우(Jon Snow)의 시각에서 전개된다. 3권인 검의 폭풍(A Storm of Swords)에서 나이트워치의 이야기와 웨스테로스의 내전이 서로 연결된다. 세번째 이야기 줄기는 웨스테로스 동부에 위치한 대륙인 에소스(Essos)에서 활동하는 대너리스 타르가르옌(Daenerys Targaryen)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대너리스는 정략결혼의 희생자로 출발하지만, 3마리의 용의 탄생과 언설리드(Unsullied) 군대로 강력하고 지적인 지도자로 성장하여 아스타포(Astapor), 윤카이(Yunkai), 미린(Meeren)을 정복하고 노예들을 해방한다. 하지만 주변 자유도시들이 노예 해방에 반발하여 서로 힘을 합처 대너리스를 공격하고, 아스타포와 윤카이는 함락되고 미린은 포위된다. 반면 대너리스의 3마리의 용들은 점점 통제를 벗어나게 되며 민간인들 까지 죽이고 먹는다. 5권의 끝에는 대너리스가 가장 큰 용 드로곤은 타고 먼 곳으로 가고, 일시적이었던 평화는 깨지며 바리스탄(Barristan Selmy)은 공격을 준비한다. 그 외에도 아리아 스타크(Arya Stark)는 흑백의 집(House of Black and White)에서 얼굴 없는 자들(Faceless Men)이 되기 위한 훈련을 받는다. 산사 스타크(Sansa Stark)는 베일(Vale)에서 페티어 배일리시(Petyr Baelish)의 사생아 엘레인 스톤(Alayne Stone)으로 위장하여 생활한다. 출판[편집] 얼불노의 번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얼음과 불의 노래는 총 7부로 구성될 예정이며, 1996년부터 현재 5부까지 출간됐다. 작가는 6부의 일부 챕터를 자신의 홈페이지에 공개했다.[3] 한국어 등 3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어 있으며, 아래의 출간 날짜는 미국에서의 초판 출간 날짜다. 1부 : 왕좌의 게임 : 1996년 8월 2부 : 왕들의 전쟁 : 1999년 2월 3부 : 검의 폭풍 : 2000년 11월 4부 : 까마귀의 향연 : 2006년 11월 5부 : 드래곤과의 춤 : 2011년 7월 6부 : 겨울의 바람 : 출간예정 7부 : 봄을 그리는 꿈 : 출간예정 한국어 출판[편집] 대한민국에서는 은행나무 출판사에서 2000년부터 번역본을 출간했다. 2001년까지 2부가 발행됐으나 오역 문제 등이 불거져 재번역본이 발매되기도 했다. 1, 2부 번역비만 4000만원이 들었지만 초판 2000부 중 1500부가 반품될 정도로 판매가 되지 않자 은행나무 측은 3부 발간을 포기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독자들의 성원으로 2005년 은행나무는 3부를 발행하게 됐다. 출판사의 적자 누적으로 4부는 다른 번역가를 기용해 2008년 출간했는데 오역 논란이 불거졌다. 이후 2011년 HBO에서 드라마 왕좌의 게임을 반영하면서 입소문을 타고 얼불노의 판매량도 늘어났다. 2014년 7월 기준으로 번역본의 누적 판매량은 30만 부를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다.[4] 1부 : 왕좌의 게임, 서계인 역, 2000년 11~12월 재번역 : 최진영, 이은심 등 역, 2005년 4월 2부 : 왕들의 전쟁, 서계인 역, 2001년 2~6월 재번역 : 서계인 역, 2006년 1월 3부 : 성검의 폭풍, 서계인 역, 2005년 3월 4부 : 까마귀의 향연, 기선정 역, 2008년 6월 재번역 : 서계인 역, 2012년 3월 5부 : 드래곤과의 춤, 서계인 역, 2013년 9월 얼음과 불의 노래의 특징[편집] 장르[편집] 작가인 조지 R. R. 마틴은 어린 시절의 경험이 가장 큰 영향을 줬다고 믿는다. 어린 시절부터 조지 마틴은 하워드 필립스 러브크래프트, 로버트_E._하워드, 로버트 A. 하인라인, 에릭 프랭크 러셀, 안드레 노튼, 아이작 아시모프, 프리츠 리버, 머빈 피크 등의 작품을 읽었다. 하지만 마틴은 이런 작품등을 SF, 판타지, 공포물 등으로 구별짓지 않았고, 결과적으로 여러 장르의 글을 쓸 수 있었다고 한다. 마틴 스스로는 얼불노를 서사 판타지(epic fantasy)로 분류하고 있다. 서사 판타지 장르에서 중세 시대가 배경으로 나오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 마틴은 특히 중세를 배경으로 한 역사물의 경우 다른 판타지 소설에 비해 훨씬 재미와 현실감이 있다고 봤다. 마틴은 월간 뉴저지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은 현대 판타지 작품과 역사 소설의 장점을 결합한 책을 쓰고 싶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마틴은 역사 소설의 현실감과 판타지 작품의 마법을 결합시키는 한편, 전투와 정치게임에서 마법의 영향력은 감소시켰다. 또한 마틴은 판타지 장르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선악 구도를 회피하려 노력했다. 마틴의 얼불노에는 성인물에 나올 법한 근친상간, 소아성애, 간통 등의 소재가 등장하면서 판타지 소설 장르의 범주를 늘렸다는 평가가 있다. 집필 과정[편집] 애초 마틴은 800쪽 가량의 3권의 책을 구상했다. 1990년대 마틴은 1년 안에 마감하는 조건으로 책을 쓰곤 했지만, 얼불노의 경우 서사시 규모의 작품으로 구상되면서 그보다 많은 시간이 필요했다. 2000년, 마틴은 한 권당 18~24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계획하고 6권 중 아직 출간되지 않은 3권은 5~6년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봤다. 하지만 얼불노 시리즈는 애초 예상된 것보다 규모가 커지면서 2014년 현재까지 아직 2권의 책이 출간되지 않은 상황이다. 마틴은 뉴멕시코주의 산타페의 작업실에서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 또한 마틴은 도스 컴퓨터에서 워드스타 프로그램으로 작업하고 있다. 아침 10시에 작업을 시작해 전날 작업을 퇴고하고, 하루종일 무언가 쓰는 일을 하고 있다. 삭제된 장면과 과거 버전의 부분들 역시 만약을 대비해 저장하고 있다. 마틴은 톨킨의 작품처럼 얼불노의 이야기를 가상 세계 안에서 진행시키고 있다. 하지만 반지의 제왕을 쓰기 이전에 중간계의 언어와 역사, 신화를 완성시킨 톨킨과 달리 마틴은 자신의 세계에 대한 간단한 구상만을 한 뒤 집필을 시작했다. 마틴은 자신의 집필 과정에 대해 "몽상의 과정에 가깝다"고 묘사하고 있으며, 제작 과정에 필요한 대부분의 정보는 머릿 속에만 보관하고 있다. 또한 마틴은 출간된 소설만 공인된 것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제작과정에서 쓴 노트에 대해서는 얼불노 시리즈가 마무리된 이후에도 출간할 계획이 없다고 한다. 얼불노에 등장하는 사건들은 실제 역사에서 벌어진 사건에서 영감을 받은 경우가 많다. 영어만 할줄 아는 미국인인 마틴에게 있어 영국의 중세 역사는 접근하기 가장 좋은 소스였다. 예를 들어 네드 스타크와 롭 스타크의 경우 제3대 요크 공작 리처드와 그 아들 에드워드 4세와 비슷하며, 서시 왕비의 경우 앙주의 마거릿와 비슷하다. 이 외에도 백년 전쟁, 십자군, 알비 십자군, 장미 전쟁 등이 얼불노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물론 마틴은 역사적 사실, 인물과 소설 속의 사건, 인물이 일대일 대응시키진 않고 있다. 서사 구조[편집] 얼불노의 각 책은 또다시 장으로 나뉜다. 또한 각 장은 3인칭 시점으로 서술되면서도 특정 캐릭터의 관점(point of view)으로 진행된다. 이는 마틴이 언론학 학생일 때 배운 것이다. '관점 캐릭터'들은 서로 다른 장소에서 행동한다. 일례로 1부 왕좌의 게임에서는 총 9명의 관점 캐릭터가 등장한다. 하지만 5부까지 진행된 상황에서 관점 캐릭터는 총 31명으로 늘어났다. 1회성으로 등장하는 관점 캐릭터의 경우 대부분 프롤로그와 에필로그에 등장한다. 타임지의 레프 그로스맨은 이런 구조가 독자로 하여금 "웨스테로스에서 벌어지는 투쟁을 한번에 모든 방향에서 경험할 수 있게 한다"며 "모든 싸움이 승리이자 비극이며, 모든 인물이 영웅이자 악당"이라고 말했다. 반지의 제왕처럼 얼불노는 한 장소에 모인 작은 그룹의 사람들에서부터 시작한다. 더네어리스를 제외한 모든 중요 인물들은 윈터펠에 모여 있다가 흩어지며 독립된 이야기를 만들어 낸다. 이야기는 다시 한 점에 모이도록 되어 있는데, 복잡한 시리즈의 분기점을 찾아내기 어렵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마틴의 집필 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다. 여러 관점 캐릭터들이 엮어내는 이야기 구조는 마틴이 1985년부터 편집하고 있는 와일드 카드(Wild Cards)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와일드 카드는 여러 작가가 하나의 세계관을 공유하며 쓴 시리즈다. 하지만 얼불노의 작가는 마틴 한 사람이다. 마틴은 새 책을 시작할 때마다 각 장의 순서에 따라 윤곽을 만들어 놓지만 그 순서대로 책을 쓰는 것은 아니다. 특정 캐릭터의 관점으로 몇 개의 장을 쓰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런 뒤에 각 장을 재배치하고, 퇴고하는 등의 과정을 통해 하나의 책이 완성된다. 여러 사람이 각 관점 캐릭터의 시각을 집필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내기 위한 장치로 보인다. 또한 마틴은 과거 TV, 영화 각본 제작 경험을 살려 각 장의 마지막 순간에는 독자들이 집중할 수 있을 만한 장치를 삽입한다. 긴장감이 도는 장면이나, 어떤 사실이 발견되는 장면을 넣는 식이다.(클리프 행어) 이는 TV 시리즈에서도 쓰이는 방식이다. 영화 작가 당시의 경험으로 마틴은 퇴고 과정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쳐내는 방식을 습득했는데, 5부 '드래곤의 춤'에서는 마지막 퇴고 과정에서 80페이지 가량을 줄였다고 한다. 캐릭터 개발[편집] 얼불노의 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처음부터 마틴은 얼불노에 수많은 인물을 등장시킬 생각이었다. 4부 '까마귀의 향연'에는 63페이지에 걸친 인물 목록이 나와 있는데, 지나치듯 언급만 된 인물도 수천 명에 달한다. 마틴의 캐릭터는 역사 속의 인물에서 아이디어를 얻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역사 인물을 그대로 소설 속으로 '번역'해 등장시키진 않는다. 또한 마틴의 친구들, 지인들, 널리 알려진 인물에서 아이디어를 얻기도 한다. 마틴은 자신의 캐릭터를 선과 악, 고귀함과 이기심을 동시에 갖고 있는 실제 인간처럼 만들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마틴의 캐릭터의 이름은 여러 유럽 가문의 작명 방식을 반영한다. 어떤 캐릭터는 왕실의 이름을 차용하기도 한다. 로버트 왕에 대한 존경심의 표시로 아이의 이름을 '로버트'로 짓기도 한다. 스타크 가문의 경우 가문의 개창자인 '건설자 브랜든'을 기리기 위해 각 세대별로 '브랜든'이란 이름을 가진 자손이 등장한다. 라니스터 가문의 경우 이름에 'Ty'란 음절을 쓰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인물의 성(family name)은 혈통과 관련이 있다. 웨스테로스 북부의 최초인(First Men) 혈통의 가문은 '스타크', '스트롱' 등 상대적으로 간략한 성을 사용한다. 반대로 안달인(Andals)의 후손들은 보다 정교한 성(라니스터, 아린)을 사용한다. 에소스 대륙의 후손들은 이국적인 성(타르게리언)을 사용한다. 얼불노의 등장인물들은 각자의 시각으로 사건을 전개한다. 얼불노의 주된 사건은 라니스터 가문과 스타크 가문의 대결로 진행되지만, 선악 구도로 정확히 나뉜 것은 아니며, 이에 따라 독자들도 어느 편의 인물에게도 공감할 수 있는 공간이 생긴다. 또한 얼불노의 등장인물들은 다른 서사 판타지의 인물들과 달리 쉽게 죽기도 하며, 꼭 '선역'이 승리한다는 보장도 없다. 선악 구별 없이 등장인물의 시각으로 서사가 전개되기 때문에 악역으로 보이는 인물도 어느 정도는 독자의 공감을 사기도 한다. 독자들로부터 가장 많은 반응을 얻는 인물로는 아리아 스타크, 티리언 라니스터, 존 스노우, 더네어리스 타르게리언 등이 있다. 마틴은 이 중에서 교활함과 위트가 있지만 가장 잿빛이 감도는 티리언을 가장 좋아하며, 집필 과정에서도 티리온의 부분을 쓰는 것이 가장 재밌다고 한다. 브랜 스타크의 경우 가장 집필이 어려운 캐릭터로 꼽힌다. 브랜은 마법과 가장 연관이 깊은 인물이며, 책의 초자연적인 부분과 관련이 깊기 때문에 조심스레 다뤄져야 한다. 파생 작품[편집] 중편 소설[편집] 책의 일부 장들이 3권의 중편 소설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1부에 나오는 더네어리스의 장은 1996년 7월 '드래곤의 피'(Blood of the Dragon)로 출간됐고, 3부에 나오는 장은 2000년 12월 '드래곤의 길'(Path of the Dragon)로 출간됐다. 4부의 강철군도와 관련된 장들은 '크라켄의 문장'(Arms of Kraken)으로 2003년 3월 출간됐다. 또한 마틴은 얼불노의 시작으로부터 90년 전의 사건을 다룬 덩크와 에그의 이야기(Tales of Dunk and Egg)를 쓰기도 했다. 이 소설은 '키 큰 던컨'과 그의 종자인 '에그'(훗날의 에이곤 타르게리언 5세)를 중심으로 진행되며, 얼불노의 사건과 직접적인 연관은 없다. 다만 얼불노의 3부와 4부에 이들의 이름이 언급되긴 한다. 덩크와 에그의 이야기의 1부라 할 수 있는 '방랑 기사'(The Hedge Knight)는 1998년에, 2부인 '맹세한 검'(Sworn Sword)는 2003년에 판타지 소설 모음집을 통해 발표됐다. 나중에 그래픽 노블로도 발표됐다. 3부인 '신비한 기사'(The Mystery Knight)는 2010년 판타지 소설 모음집을 통해 발표됐으며, 역시 그래픽 노블로도 나올 예정이다. 마틴은 앞으로도 8회 분량의 덩크와 에그 이야기 시리즈가 계획되어 있다고 밝혔다. 관련 7번째 중편 소설인 '공주와 왕비, 또는 흑색과 녹색'(The Princess and the Queen or, the Blacks and the Greens)가 2013년 출간됐다. 이는 얼불노 세계관의 역사적 사건인 '드래곤의 춤'(Dance of the Dragons)을 그린 것이다. 또한 2014년에는 '악한 왕자, 또는 왕의 동생'이 출간됐다. 이는 '공주와 왕비' 이야기의 전편에 해당된다. TV 시리즈[편집] 왕좌의 게임 (드라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얼불노의 인기가 올라가자 HBO는 2007년, 얼불노의 TV판을 제작하기로 했다. TV판의 이름은 얼불노 1부와 같은 '왕좌의 게임'으로 결정됐으며, 2009년 말부터 제작이 시작됐다. 2011년 4월 '왕좌의 게임' 1회가 방영됐고, HBO는 시즌2 제작을 결정했다. 왕좌의 게임 시즌1은 에미상 13개 부문에 후보로 올랐다. 2012년 4월 시즌2가 공개됐고, HBO는 10일 뒤에 시즌3 제작을 발표했고, 2013년 3월 시즌3 공개 이후에는 시즌 4 제작이 결정됐다. 2014년 4월에는 시즌 4가 공개됐다. HBO는 이번에는 시즌5와 6의 제작을 함께 발표했다. 현재 시즌 7까지 방영되었다. 각주[편집] ↑ http://weekly.donga.com/docs/magazine/weekly/2011/07/18/201107180500019/201107180500019_1.html ↑ “Game of Thrones - Season 8 Returns in 2019” (영어). 2018년 1월 24일에 확인함.  ↑ http://www.georgerrmartin.com/if-sample.html ↑ http://news.donga.com/3/all/20140716/65205584/1 외부 링크[편집] 위키인용집에 이 문서와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얼음과 불의 노래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얼음과 불의 노래 (영어) 조지 R.R. 마틴 - 작가 공식 홈페이지 (영어) 조지 R.R. 마틴 - 작가 블로그 (영어) 얼음과 불의 노래 팬페이지 (영어) TV드라마 '왕좌의 게임' 공식 홈페이지 vdeh조지 R. R. 마틴의 얼음과 불의 노래 시리즈소설 왕좌의 게임 (1996) 왕들의 전쟁 (1998) 성검의 폭풍 (2000) 까마귀의 향연 (2005) 드래곤과의 춤 (2011) 겨울의 바람 (예정) TV 시리즈 에피소드 목록 시즌 1 2 3 4 5 등장인물 타이틀 시퀀스 음악 수상내역 등장인물 피터 베일리쉬 타스의 브리엔 티리언 라니스터 존 스노우 아리아 스타크 네드 스타크 산사 스타크 더네어리스 타르게리언 마르저리 티렐 언어 도트래키 어 벌리리아 어 파생 작품 덩크와 에그의 이야기 (1998-2010) 공주와 왕비 (2013) 악당 왕자 (2014) 만화 시리즈 카드 게임 보드 게임 기타 세계 팬덤 주제 번역 분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얼음과_불의_노래&oldid=24196404" 분류: 얼음과 불의 노래하이 판타지용을 소재로 한 작품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인용집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lemannisch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ગુજરાતી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urdî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मराठीNederlandsNorskଓଡ଼ିଆ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తెలుగు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ייִדיש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22:1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얼음과 불의 노래(A Song of Ice and Fire)는 미국의 소설가이자 극작가인 조지 R. R. 마틴(George R. R. Martin)이 쓴 서사 판타지 소설 시리즈이다. 마틴은 1991년에 소설을 쓰기 시작하였고 첫 번째 작품은 1996년에 발간되었다. 원래 계획은 3부작이었으나, 현재는 5부이며(5부는 2011년 7월 12일에 발간) 두 개의 작품이 더 나올 계획이다. 또한 세 개의 속편과 주작품에서 발췌된 내용으로 이루어진 시리즈도 몇 개 예정돼 있다. 이들 중 하나는 휴고상을 수상했다. '얼음과 불의 노래' 시리즈는 20여개의 언어로 번역되었고 4부는 뉴욕타임즈 베스트셀러 리스트에서 1위를 하였다. 전체적으로, '얼음과 불의 노래' 시리즈는 미국에서 6백만부 이상이 발간되었고, 세계적으로 1500만부 이상 판매되었다. 국내에서는 '은행나무' 출판사가 번역, 출간을 맡았으나 오역 논란 등으로 재발간이 이루어지기도 했다.이야기는 주로 허구의 세계인 '웨스테로스'(Westeros)라 불리는 대륙과 '에소스'(Essos)라 알려진 동쪽의 거대한 대륙 위에서 펼쳐진다. 대부분의 인물들은 사람이지만 시리즈가 진행되면서 먼 북쪽의 위협적인 '아더'(Others) 그리고 동쪽의 불을 뿜는 용 같은 다른 종족들도 소개되며, 각 종족들은 이야기 상에서는 인간들이 멸종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시리즈는 세 가지 큰 줄거리로 엮이는데, 웨스테로스의 주도권을 둘러싼 가문들간의 왕권다툼을 다룬 연대기와 웨스테로스 북쪽 경계에 있는 얼음으로 된 거대한 벽(The Wall) 너머의 '아더'(Others/White Walkers)의 위협 그리고 15년 전에 내전으로 인해 살해된 왕의 딸인 대너리스 타르가르옌(Daenerys Targaryen)이 자신이 추방당한 웨스테로스를 향해 왕권 회복을 도전하는 것, 이 세 가지로 이루어진다. 이 소설은 각 챕터마다 해당 등장인물들의 관점을 통해 서술되며 진행된다. 보통 한 챕터당 한 명이 할당되고 4부의 마지막 즈음에는 여러 챕터에 17명의 등장인물들이 나온다. 높은 인기로 인해 1부 '왕좌의 게임'(Game of Throne)은 HBO사에 의해 TV 드라마(왕좌의 게임 참조)로 각색되었다. 파일럿 에피소드는 2009년에 제작되었고 나머지 9개의 에피소드가 2010년 3월에 제작되었다. 2011년 4월 17일부터 시즌1이 방영되었고 시즌2는 2012년 4월 1일부터 방영되었다. 한 시즌당 10부작으로 제작되며 2013년 3월 31일부터 시즌3가 시작되었고, 2013년 6월 9일로 시즌3도 종결되었다. 2014년 6월 15일부터 시즌4가 종결되었고, 2015년 4월 12일부터 시즌5 종결되었다. 2016년 6월 26일에 시즌6이 종결되었고, 2017년 7월 16일에 시즌7에 방영이 종영되었다. 2019년 시즌8 방영이 확정된 상태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스타크 가문을 개창한 사람은 누구일까? Assistant: 건설자 브랜든
Human: 아래 대한민국의_박물관과_미술관_목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한민국의 박물관과 미술관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의 박물관과 미술관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목록은 언제든 바뀔 수 있는 주제로, 내용이 완벽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만약 사실과 다른 내용이 있거나 빠진 내용이 있다면 직접 편집해 주세요. 대한민국의 박물관과 미술관 목록을 가나다 순으로 정렬한 표이다. 국립, 공립, 사립, 대학교, 지역별 등의 구분은 맨 아래 부분에 위치한 각 지역별 문서를 참고. 목차 1 ㄱ 2 ㄴ 3 ㄷ,ㄹ 4 ㅁ 5 ㅂ 6 ㅅ 7 ㅇ 8 ㅈ 9 ㅊ ~ ㅍ 10 ㅎ 11 외부 링크 ㄱ[편집] 박물관 종류 주소 웹사이트 가일미술관 사립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북한강로 1549 [1][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가천박물관 사립 인천광역시 연수구 청량로102번길 40-9 [2] 가회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12길 17 [3] 간송미술관 사립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강릉시오죽헌시립박물관 공립 강원도 강릉시 율곡로3139번길 24 [4] 강릉원주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강원도 강릉시 죽헌길 7 본관 4층 [5][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강원대학교 중앙박물관 대학교 강원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1 [6] 강진청자자료박물관 공립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청자촌길 33 [7] 거제민속박물관 사립 경상남도 거제시 연초면 대금산로 339-7 거제박물관 사립 경상남도 거제시 거제대로 3791 거창박물관 공립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수남로 2181 [8] 건강과 성박물관 사립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일주서로 1611 [9] 건국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120 [10] 결성농요내포농사박물관 사립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구성남로 91 [11] 경기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광교산로 154-42 [12] 경기도미술관 공립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동산길 36 [13] 경기도박물관 공립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 [14] 경기도자박물관 공립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경충대로 727 [15] 경남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학로 7 [16] 경기도어린이 박물관 공립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 상길근린공원 [17] 경보화석박물관 사립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동해대로 3763 [18] 경북과학대학박물관 대학교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지산로 634 [19] 경북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 80 [20] 경북대학교 자연사박물관 대학교 경상북도 군위군 효령면 경북대로 2228 [21] 경상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 501 [22] 경성대미술관 대학교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110-1 [http:// 경성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314-79 [23] 경운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 29 경기여고내 [24] 경주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경상북도 경주시 태종로 188 [http:// 경찰박물관 국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41 [25] 경희대학교 중앙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희대로 26 [26] 경희대학교 자연사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희대로 26 [27] 경희대학교 혜정박물관 대학교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덕영대로 1732 [28] 계명대학교 행소박물관 대학교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29] 계룡산자연사박물관 사립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임금봉길 49-25 [30] 계성종이역사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194 [http:// 고려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31] 고성공룡박물관 공립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자란만로 618 [32] 고성탈박물관 사립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율대2길 23 [33] 공군사관학교박물관 대학교 충청북도 청원군 남일면 쌍수리 사서함 335-1 [http:// 공주교대박물관 대학교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로 27 [http:// 공주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충청남도 공주시 공주대학로 56 [http:// 공주민속극박물관 사립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돌모루2길 17-15 [http:// 관동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강원도 강릉시 범일로579번길 24 [34] 관세박물관 국립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721 [35][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광주광역시립미술관 공립 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52 [36]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 공립 광주광역시 북구 서하로 48-25 [37]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박물관 대학교 광주광역시 북구 필문대로 55 [http:// 교과서박물관 사립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내판리 산25-1 [38] 국립경주박물관 국립 경상북도 경주시 일정로 186 [39] 국립고궁박물관 국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2 [40] 국립공주박물관 국립 충청남도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41] 국립광주박물관 국립 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110 [42] 국립김해박물관 국립 경상남도 김해시 가야의길 190 [43] 국립대구박물관 국립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21 [44] 국립등대박물관 국립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해맞이로150번길 20 [45] 국립민속박물관 국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37 [46] 국립부여박물관 국립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47] 국립어린이과학관 국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215 [48] 국립전주박물관 국립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쑥고개로 249 [49] 국립제주박물관 국립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일주동로 17 [50] 국립중앙과학관 국립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481 [51] 국립중앙박물관 국립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52] 국립진주박물관 국립 경상북도 진주시 남강로 626-35 [53] 국립청주박물관 국립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로 143 [54] 국립춘천박물관 국립 강원도 춘천시 우석로 70 [55] 국립해양유물전시관 국립 전라남도 목포시 남농로 136 [56] 국립현대미술관 국립 경기도 과천시 광명로 313 [57] 국민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로 77 [58] 군산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전라북도 군산시 대학로 558 [59] 국악박물관 국립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64 [60][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군립의령박물관 공립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의병로24길 25-7 [61][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금구원조각전시관 사립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조각공원길 31 [62] 금오민속박물관 사립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상무로 1227-8 [63] 금호미술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18 [64] 김영갑갤러리두모악미술관 사립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삼달로 137 [65] 김포다도박물관 사립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애기봉로275번길 187-49 [http:// ㄴ[편집] 박물관 종류 주소 웹사이트 나절로미술관 사립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진도대로 3886 나주배박물관 공립 전라남도 나주시 금천면 영산로 5838 [66] 남송미술관 사립 경기도 가평군 북면 백둔로 322 [67] 남진미술관 사립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하미길 39 남철미술관 사립 대전광역시 서구 갈마로 173-1 [68] 남포미술관 사립 전라남도 고흥군 영남면 팔영로 1081 [69] 남해향토역사관 공립 경상남도 남해군 서면 남서대로1687번길 28-12 [70][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농업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중구 새문안로 16 [71] ㄷ,ㄹ[편집] 박물관 종류 주소 웹사이트 다산미술관 사립 전라남도 화순군 남면 다공길 25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대학교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로 152 [72] 당림미술관 사립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로1182번길 34-19 [73] 대관령박물관 공립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대관령옛길 1 [74] 대구가톨릭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하양로 13-13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박물관 대학교 대구광역시 남구 중앙대로 219 [75] 대구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로 201 [76] 대구한의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경상북도 경산시 한의대로 1 [77] 대림미술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4길 21 [78] 대성동고분박물관 공립 경상남도 김해시 가야의길 126 [79] 대원사티벳박물관 사립 전라남도 보성군 문덕면 죽산길 520-1 [80] 대전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대전광역시 동구 대학로 62 대전보건대학박물관 대학교 대전광역시 동구 충정로 21 [81] 대전시립미술관 공립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대로 155 [82] 대전역사박물관 공립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안대로 398 [83] 대청댐물문화관 사립 대전광역시 대덕구 대청로 618-136 더리미미술관 사립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 선원사지로51번길 14 덕성여자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도봉구 삼양로144길 33 [84] 덕수궁미술관 국립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85] 덕포진교육박물관 사립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덕포진로103번길 90 [86] 도갑사성보관 사립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사로 306 도산안창호기념관 사립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45길 18 [87] 독도박물관 공립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약수터길 90-17 [88] 독립기념관 사립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삼방로 95 [89] 동국대학교 경주박물관 대학교 경상북도 경주시 동대로 123 동국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로1길 30 [90] 동덕여자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성북구 화랑로13길 60 동산도기박물관 사립 1관: 대전광역시 서구 조달청길 36 2관: 대전광역시 대덕구 중리로 31 [91] 동신대학교 문화박물관 대학교 전라남도 나주시 건재로 185 동아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3가 1 동의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엄광로 995 동진수리민속박물관 사립 전라북도 김제시 화동길 112 두루뫼박물관 사립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초리골길 278 [92] 둥지박물관 사립 경기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후평로 165-15 [93] 디 아모레 뮤지움 사립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용구대로 1920 [94] 떡부엌살림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돈화문로 71 [95] 로댕갤러리 사립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55 삼성생명빌딩 1층 롯데월드민속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240 ㅁ[편집] 박물관 종류 주소 웹사이트 마가미술관 사립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문형동림로101번길 37 [96] 마사박물관 사립 경기도 과천시 경마공원대로 107 KRA 마사박물관 [97] 마산시립문신미술관 공립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문신길 147 [98][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만해기념관 사립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남한산성로792번길 24-7 [99] 만해문학박물관 사립 강원도 인제군 북면 만해로 91 백담사 만해마을 명지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명지로 116 [100] 모란미술관 사립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경춘로2110번길 8 [101] 목아박물관 사립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이문안길 21 [102] 목암미술관 사립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호국로1907번길 150 [103] 목인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11길 20 [104] 목포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전라남도 무안군 청계면 영산로 1666 [105] 목포자연사박물관 공립 전라남도 목포시 남농로 135 [106] 무릉박물관 사립 강원도 원주시 흥업면 사제로 399-10 [107] 무애원도예박물관 사립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고려산로 119 [http:// 무의자미술관 사립 경기도 남양주시 평내로 9 [http:// 문경새재박물관 공립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상초리 242-1 [http:// 문경석탄박물관 공립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왕능길 112 [108] 미륵사지 유물전시관 공립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미륵사지로 362 [109] 미리벌민속박물관 사립 경상남도 밀양시 초동면 초동중앙로 439 [110] 밀알미술관 사립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로 90 [111] 밀양시립박물관 공립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대공원로 100 [112] ㅂ[편집] 박물관 종류 주소 웹사이트 바탕골미술관 사립 경기도 양평군 강하면 강남로 50 [113] 방림원 사립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용금로 864 [114] 배다리술박물관 사립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수역이길 120-24 [115] 배재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대전광역시 서구 배재로 155-40 [http:// 백남준아트센터 공립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백남준로 10 [116] 백범기념관 사립 서울특별시 용산구 임정로 26 [117] 별난물건롤링볼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길 3 경향신문 빌딩 2층 [118] 보나장신구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길 9 [119] 보령석탄박물관 공립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성주산로 508 [120] 보성군립백민미술관 공립 전라남도 보성군 문덕면 죽산길 168-14 [http:// 복권박물관 사립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문암로 283 국민은행연수원 내 [http:// 복천박물관 공립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로 66 [121] 부경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부산광역시 남구 용소로 45 [http:// 부산광역시립미술관 공립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APEC로 58 [122] 부산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63번길 2 [123] 부산박물관 공립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124] 부산여자대학교 茶박물관 대학교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진남로 506 [http:// 부천교육박물관 공립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소사로 482 부천종합운동장 내 [125] 부천로보파크전시관 사립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평천로 655 [126] 부천수석박물관 공립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소사로 482 부천종합운동장 내 [127] 부천유럽자기박물관 공립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소사로 482 부천종합운동장 내 [128] 북촌미술관 사립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7길 4 청남문화원 1F [129] 분당자연박물관 사립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253 주택전시관 3층 [http:// ㅅ[편집] 박물관 종류 주소 웹사이트 사람박물관 얼굴 사립 경기도 광주시 남종면 분원길 3-6 [130] 사비나미술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49-4 산림박물관 국립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광릉수목원로 415 [131] 삼성교통박물관 사립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에버랜드로376번길 171 [132] 삼성미술관 Leeum 사립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133] 삼성어린이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송파구 신천동 7-26 삼성출판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비봉길 2-2 [134] 삼육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815 삼척시립박물관 공립 강원도 삼척시 엑스포로 54 [135] 상명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문화로 151 상원미술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31길 27 [136] 상주자전거박물관 시립 경상북도 상주시 용마로 415 [137] 샬트르성바오로수녀회역사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길 74-2 샬트르성바오로수녀회 [138] 생명과학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동로 206-1 [139] 서강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마포구 백범로 35 서귀포감귤박물관 공립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효돈순환로 441 [140] 서귀포시기당미술관 공립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성중로153번길 15 [141] 서귀포시립이중섭미술관 공립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태평로371번길 7 [142] 서귀포이승만자료관 사립 제주특별자도 서귀포시 칠십리로 228-13 서대문자연사박물관 공립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박물관길 25 [143] 서울교육사료관 공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길 19 [144] 서울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디자인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덕궁5길 22-8 서울보건대범석박물관 대학교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대로 553 서울시립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서울시립대로 163 서울시립미술관 공립 서울특별시 중구 덕수궁길 61 [145] 서울시립미술관경희궁분관 공립 서울특별시 중구 새문안로 45 [146] 서울시립미술관남서울분관 공립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2076 [147] 서울여자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621 서울역사박물관 공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148] 서울올림픽기념관 사립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24 [149] 서원대학교 한국교육자료박물관 대학교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구 흥덕구 모충동) 무심서로 377-3 [150] 석봉도자기미술관 사립 강원도 속초시 엑스포로 156 [151] 석부작테마공원 사립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일주동로 8941 [152] 선바위미술관 사립 경기도 과천시 무네미길 34 [http:// 선암사성보박물관 사립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길 450 [153] 선화기독교미술관 사립 대전광역시 서구 계룡로264번길 2 선화교회 [http:// 설록차뮤지엄오설록 사립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신화역사로 425 [154] 성곡미술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희궁길 42 [155] 성균관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41 [156] 성신여자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로34다길 2 [157] 성암고서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21길 22 [http:// 성호기념관 공립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호로 131 [158][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세계 장신구 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5나길 2 [159] 세종대왕유적관리소 국립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영릉로 269-50 [160] 세종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209 [http:// 세중옛돌박물관 사립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대로 155 [161] 소리섬박물관 사립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문관광로110번길 15 [http:// 소마미술관 사립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24 [162] 소전미술관 사립 경기도 시흥시 소래산길 41 [http:// 송광매기념관 사립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로 225-34 [http:// 송광사성보박물관 사립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쇳대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이화장길 100 [163] 수덕사근역성보관 사립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수덕사안길 79 수원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와우안길 17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47길 100 숙명여자대학교 정영양자수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47길 100 순천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전라남도 순천시 중앙로 255 술박물관 리쿼리움 사립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정안길 12 [164]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369 [165][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쉼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검정로 209-17 [166] 스페이스 몸 미술관 사립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풍년로 162 시안미술관 사립 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가래실로 364 [167] 신라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부산광역시 사상구 백양대로700번길 140 [168] 신문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계천로 1 동아미디어센터 3,4층 [169] 신미술관 사립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호국로97번길 30 신세계한국상업사박물관 사립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화곡로 77 [170] 신영영화박물관 사립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태위로 536 [171] 실학박물관 공립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다산로747번길 16 [172] ㅇ[편집] 박물관 종류 주소 웹사이트 아주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월드컵로 206 [173] 아천미술관 사립 전라남도 영암군 신북면 하정길 12-7 [174] 안동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경상북도 안동시 경동로 1375 [175] 아트선재미술관 사립 경상북도 경주시 신평동 370 아트선재센터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3길 87 [176] 아트센터나비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린동 99 SK본사빌딩 4층 아프리카박물관 사립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포동 1833 안동소주박물관 사립 경상북도 안동시 수상동 280 안동시립민속박물관 공립 경상북도 안동시 민속촌길 13 [177] 안성맞춤박물관 공립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 서동대로 4726-15 [178] 양구군립박수근미술관 공립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정림리 131-1 양구선사박물관 공립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박수근로 265-15 [179] 에디슨사이언스뮤지엄 사립 강원도 강릉시 송정동 216-15 여성생활사박물관(채현천연염색연구소) 사립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강천로 324-20 여주박물관(구 여주군향토사료관) 공립 경기도 여주시 천송동 545-1 여주잠사민속박물관 사립 경기도 여주시 교동 299-5 여진불교미술관 사립 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 624 [180] 연기향토사료관 사립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양대길 34-4 [181] 연세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연세대학교 원주박물관 대학교 강원도 원주시 흥업면 연세대길 1 연세대학교 의과대학동은의학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영남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경상북도 경산시 대학로 292 [182] 영동난계국악박물관 공립 충청북도 영동군 심천면 국악로 9 [183] 영월책박물관 사립 강원도 영월군 한반도면 광전리 271-2 영은미술관 사립 경기도 광주시 쌍령동 8-1 영인문학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 474-27 영일민속박물관 공립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성내리 39-8 영집궁시전시관 사립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법흥 2리 242-5 예뿌리민속박물관 사립 충청북도 청원군(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금거1길 10 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406 예술의전당 한가람디자인미술관 사립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남부순환로 2406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사립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406 옛터민속박물관 사립 대전광역시 동구 산내로 321-35 [184] 온양민속박물관 사립 충청남도 아산시 온양3동 403-1 옹기민속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1동 497-15 왈츠&닥터만 커피박물관 사립 경기 남양주시 조안면 삼봉리 272 외교박물관 국립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2동 1376-2 외교안보연구원 [185] 외도보타니아 사립 경상남도 거제시 일운면 와현리 산109 용인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삼가동 470 우리은행 은행사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로 51 우리은행 본점 [186] 우정박물관 국립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유량동 정보통신 공무원교육원 [187] 우제길미술관 사립 광주광역시 동구 운림동 647 운보미술관(전 운향미술관) 사립 충청북도 청원군(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형동2길 92-41 운우판화미술관 사립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55-1 울산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울산광역시 남구 무거2동 산29 울트라건축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1동 1031-7 메디바이오플렉스 B1 웅진초등교육박물관 사립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내산리 446-5 원광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전라북도 익산시 신용동 344-2 원불교역사박물관 사립 전라북도 익산시 신룡동 344-2 월전미술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팔판동 35-1 월정사성보박물관 사립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63 위덕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유금리 525 육군사관학교육군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 사서함 77-1 의재미술관 사립 광주광역시 동구 운림동 85-1 의학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28 서울대학교병원내 이영미술관 사립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221 이응노미술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 512-2 이천시립박물관 공립 경기도 이천시 엑스포길 93 (관고동 418-3)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26 (대현동 11-1) 이화여자대학교 자연사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대현동 11-1 인천광역시립박물관 공립 인천광역시 연수구 옥련동 산525 인천어린이박물관 사립 인천광역시 남구 문학동 482 문학경기장내 인하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인천광역시 남구 용현동 253 일민미술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39 (동아일보 광화문사옥) 일본군위안부역사관 사립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원당리 65 임립미술관 사립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봉곡길 77-13 [188] ㅈ[편집] 박물관 종류 주소 웹사이트 자연사박물관 우석헌 사립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587 자연생태박물관 공립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춘의동 381 자연생태박물관(들꽃수목원) 사립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오빈리 365-5 자연염색박물관 사립 대구광역시 동구 중대동 467 자유수호평화박물관 공립 경기도 동두천시 상봉암동 162-10 잠사과학박물관 공립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61 장신회신학대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 353 전곡선사박물관 공립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곡리 76-1 전기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1355 전남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 300 전라남도농업박물관 공립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면 나불리 307 전라남도옥과미술관 공립 전라남도 곡성군 옥과면 옥과리 산1-3 전북대학교 부속박물관 대학교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1가 664-14 전원미술관 사립 인천광역시 강화군 송해면 솔정리 502-2 전쟁기념관 공립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 1-8 전주교대박물관 대학교 전북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128 전주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3가 1200 전주역사박물관 공립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2가 892-2 제비울미술관 사립 경기도 과천시 갈현동 산 38-1 제주교육박물관 공립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도2동 539-14 제주금오당미술관 사립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연동 252-20 제주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라1동 1 제주민속박물관 사립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사석로 289호 제주민속촌박물관 사립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표선리 40-1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 공립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일도2동 996-1 조명박물관(필룩스) 사립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석우리 624-8 조선관요박물관 사립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삼리 산26-9 조선대학교 미술관 대학교 광주광역시 동구 서석동 375 조선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광주광역시 동구 서석동 375 조흥금융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중구 태평로1가 62-12 종이미술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장충동1가 62-35 종이나라빌딩 3층 죽포미술관 사립 경기도 여주시 산북면 고촌길 26-10 중남미문화원병설박물관 사립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고양동 302-1 중앙대박물관 대학교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 내리 산72-1 증권박물관 사립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백석동 1328 증권예탁결제원 6층 지구촌민속교육박물관 공립 서울특별시 중구 회현동1가 100-177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2층, 3층 지적박물관 사립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양화리 623 직지성보박물관 사립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216 종박물관 공립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장관리 710 짚풀생활사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 2가 8-4 ㅊ ~ ㅍ[편집] 박물관 종류 주소 웹사이트 참소리축음기에디슨박물관 사립 강원도 강릉시 저동 36-1 창녕박물관 공립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 87-1 창원대박물관 대학교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소나무5길 65 (사림동 9) 창조자연사박물관 사립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 184-7 철도박물관 국립 경기도 의왕시 월암동 374-1 [189] 철박물관 사립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행리 97 청암미술관 사립 서울특별시 광진구 화양동 307 청강문화산업대만화역사박물관 대학교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해월리 37 청주고인쇄박물관 공립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 866 흥덕사지 청주교대박물관 대학교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수곡1동 135(서원구 청남로 2065) 청주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내덕동 36(청원구 대성로 298) 청주백제유물전시관 공립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신봉동 139-6 청주옹기박물관 사립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 80-6 체신기념관 국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견지동 39-7 [190] 초전섬유퀼트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중구 남산동1가 20 초콜릿박물관 사립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일과리 551 농공단지 춘천교육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강원도 춘천시 석사동 339 충남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대전광역시 유성구 궁동 220 [191] 충남대학교 자연사박물관 대학교 대전광역시 유성구 궁동 220 [192][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충남전기통신박물관 사립 대전광역시 중구 산성동 279-11 남대전지점 3층 충북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개신동 12(서원구 내수동로 52) 충주박물관 공립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중앙탑길 112-28 충청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충청북도 청원군 강내면 월곡리 330(흥덕구 강내면 월곡리 38) 충현박물관 사립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 1085-16 치악민속박물관 사립 강원도 원주시 행구동 75-4 치악산명주사고판화박물관 사립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황둔리 1706-6 치우금속공예관 사립 서울특별시 서초구 우면동 610-11 칠백의총기념관 국립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의총리 216 [193][깨진 링크([194] 과거 내용 찾기])] 코리아나화장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 627-8 태백석탄박물관 공립 강원도 태백시 소도동 166 태영민속박물관 사립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하금리 364-2 테디베어뮤지엄 사립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색달동 2889 테마동물원 Zoozoo 사립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관산동 290 토지주택박물관 사립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217 [195] 토탈미술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 465-16 통도사성보박물관 사립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583 통영옻칠미술관 사립 경남 통영시 용남면 화삼리 658 판소리박물관 공립 전북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24-1 팬아시아종이박물관 사립 전라북도 전주시 팔복동 2가 180 평강성서유물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2동 150-15 제주전쟁역사평화박물관 사립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청수리 1166 포스코미술관 사립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4동 892 포스코센터 서관 2층 포스코역사박물관 사립 경북 포항시 남구 괴동동 1 풀무원김치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159 코엑스몰 지하 2층 ㅎ[편집] 박물관 종류 주소 웹사이트 하남역사박물관 공립 경기도 하남시 역말로 71 [196] 하회동탈박물관 사립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전서로 206 [197] 한광미술관 사립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130 (중앙동4가 82-1) [198] 한국가구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성북구 대사관로 121 (성북동 330-577) [199] [200] 한국고건축박물관 사립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홍덕서로 543 (대동리 152-18) [201]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대학교 충청북도 청원군 강내면 태성탑연로 250 (다락리 산 7) 한국교원대학교 내 [202] 한국교통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 대학로 50 (검단리 123) 한국교통대학교 충주캠퍼스 내 [203] [204] 한국기독교역사박물관 사립 경기도 이천시 대월면 대평로214번길 10-13 (초지리 474-2) [205] 한국등잔박물관 사립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능곡로56번길 8 (능원리 258-9) [206] 한국만화박물관 공립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길주로 1 (상동 529-2) 영상문화단지 내 [207] 한국미술관 사립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로 244-2 (마북동 73-1) [208] 한국미술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원서동 108-4 한국민속촌박물관 사립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라동 107 한국미술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원서동 108-4 한국스키박물관 사립 강원 고성군 간성읍 흘리 106-28 한국외대박물관 대학교 경기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왕산리 산89 한국은행화폐금융박물관 국립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3가 110 [209] 한국문인인장박물관 사립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운산리 256-2 한국자수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89-4 한국잠사박물관 사립 충청북도 청원군 내수읍 청주역로 213-52 (강내면 학천리 175) 충북농업기술원 잠사균이시험장내 [210] 한국잡지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1 잡지회관내 지하1층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 사립 대전 유성구 가정동 30 한국카메라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본동 10-632 한국해양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1 한국현대문학관 사립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동2가 186-210 한국현대의상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중구 남산동3가 13-21 한남대학교 자연사박물관 대학교 대전광역시 대덕구 오정동 133 한남대학교 중앙박물관 대학교 대전광역시 대덕구 오정동 133 한독의약박물관 사립 충북 음성군 대소면 대풍리 37 한림민속박물관 사립 경상남도 김해시 한림면 퇴래리 1107 한미사진미술관 사립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 45 한미타워 20층 한밭교육박물관 공립 대전광역시 동구 삼성1동 113-1 한상수자수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가회동 11-32 한신대박물관 대학교 경기도 오산시 양산동 411 한양대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동 17 한얼테마박물관 사립 경기도 여주시 대신면 대신1로 298 한원미술관 사립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1449-12 합덕수리민속박물관 공립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덕평로 379-9 (합덕리 327) [211] 항공우주박물관 대학교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전동 200-1 한국항공대학교 내 항공우주박물관 사립 경상남도 사천시 사남면 유천리 802 향암미술관 사립 경북 울진군 온정면 소태리 472-2 (백암온천) 해강도자미술관 사립 경기 이천시 신둔면 수광리 330-1 해군사관학교박물관 대학교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앵곡동 사서함 88-2-6 해금강테마박물관 사립 경남 거제시 남부면 갈곶리 262-5 해인사성보박물관 사립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10 해인사 성보박물관 허준박물관 공립 서울특별시 강서구 가양2동 26-5 현대도자미술관 사립 경기도 여주시 현암동 379 현충사관리소 국립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 100 [212] 협성대성서고고학박물관 대학교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상리 14 혜곡 최순우 기념관 사립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2동 126-20 호림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관악구 미성동 1707 호암미술관 사립 경기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가실리 204 홍성민속테마박물관 사립 충청남도 홍성군 구항면 황곡리 85-2 [213] 홍익대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수동 72-1 화정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 273-1 화폐박물관 사립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동 35 한국조폐공사 환기미술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부암동 환기미술관1길 23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대한민국의 박물관과 미술관 목록 (사단법인)한국박물관협회, 한국의 박물관 미술관[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한국사립박물관협회, 회원현황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사이트 국내 코리아 인터넷 갤러리 전시관 정보 vdeh대한민국의 박물관과 미술관박물관 종류 국립 박물관 공립 박물관 사립 박물관 대학 박물관 시별 박물관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도별 박물관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한민국의_박물관과_미술관_목록&oldid=24542272" 분류: 대한민국의 박물관 목록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Русский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8일 (월) 09:0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대한민국의 박물관과 미술관 목록을 가나다 순으로 정렬한 표이다. 국립, 공립, 사립, 대학교, 지역별 등의 구분은 맨 아래 부분에 위치한 각 지역별 문서를 참고.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대한민국의 박물관과 미술관 목록 중 ㄷ,ㄹ로 시작하는 곳들은? Assistant: 박물관 종류 주소 웹사이트 다산미술관 사립 전라남도 화순군 남면 다공길 25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대학교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로 152 [72] 당림미술관 사립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로1182번길 34-19 [73] 대관령박물관 공립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대관령옛길 1 [74] 대구가톨릭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하양로 13-13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박물관 대학교 대구광역시 남구 중앙대로 219 [75] 대구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로 201 [76] 대구한의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경상북도 경산시 한의대로 1 [77] 대림미술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4길 21 [78] 대성동고분박물관 공립 경상남도 김해시 가야의길 126 [79] 대원사티벳박물관 사립 전라남도 보성군 문덕면 죽산길 520-1 [80] 대전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대전광역시 동구 대학로 62 대전보건대학박물관 대학교 대전광역시 동구 충정로 21 [81] 대전시립미술관 공립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대로 155 [82] 대전역사박물관 공립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안대로 398 [83] 대청댐물문화관 사립 대전광역시 대덕구 대청로 618-136 더리미미술관 사립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 선원사지로51번길 14 덕성여자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도봉구 삼양로144길 33 [84] 덕수궁미술관 국립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85] 덕포진교육박물관 사립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덕포진로103번길 90 [86] 도갑사성보관 사립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사로 306 도산안창호기념관 사립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45길 18 [87] 독도박물관 공립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약수터길 90-17 [88] 독립기념관 사립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삼방로 95 [89] 동국대학교 경주박물관 대학교 경상북도 경주시 동대로 123 동국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로1길 30 [90] 동덕여자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서울특별시 성북구 화랑로13길 60 동산도기박물관 사립 1관: 대전광역시 서구 조달청길 36 2관: 대전광역시 대덕구 중리로 31 [91] 동신대학교 문화박물관 대학교 전라남도 나주시 건재로 185 동아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3가 1 동의대학교 박물관 대학교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엄광로 995 동진수리민속박물관 사립 전라북도 김제시 화동길 112 두루뫼박물관 사립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초리골길 278 [92] 둥지박물관 사립 경기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후평로 165-15 [93] 디 아모레 뮤지움 사립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용구대로 1920 [94] 떡부엌살림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종로구 돈화문로 71 [95] 로댕갤러리 사립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55 삼성생명빌딩 1층 롯데월드민속박물관 사립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240 Human: 아래 만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만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만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주)만도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주식회사 만도Mando Corporation 형태 주식회사 창립 2014년 9월 2일 시장 정보 한국: 204320 국가 대한민국 본사 소재지 대한민국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하만호길 32 핵심 인물 정몽원 (대표이사 회장)송범석 (대표이사 부사장) 사업 내용 자동차부품 자본금 46,957,120,000원 (2018.12) 매출액 5,664,832,721,067원 (2018) 영업이익 197,410,787,374원 (2018) 순이익 112,927,632,658원 (2018) 자산총액 4,437,275,124,272원 (2018.12) 주요 주주 주식회사 한라홀딩스 외 특수관계인: 30.30%국민연금공단: 13.44% 종업원 4,402명 (2018.12) 웹사이트 만도 만도는 자동차 샤시부품을 전문으로 제조하는 코스피 상장기업이다. 자동차 샤시는 자동차를 움직이기 위한 동력원 및 동력 전달장치, 제동장치 등이 포함된 자동차의 핵심 부분이다. 2014년 9월 2일 지주회사인 ″한라홀딩스와 제조사업 부문인 ″만도로 분리되어 재상장되었다. 회사분할 전에는 만도가 코스피200 종목이었으나, 분할 후에는 만도는 제외되고 한라홀딩스가 코스피200에 편입되었다.[1] 목차 1 제품 2 회사 3 기업분할 논란 4 연혁 5 참고문헌 6 각주 제품[편집] 만도가 생산하는 부품은 제동장치, 조향장치, 현가장치 등이다. 제동장치(Brake System)는 주행하는 자동차를 감속 또는 정지시키는 장치이며, 조향장치(Steering System)란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운전자가 컨트롤하게 해주는 장치이다. 현가장치(Suspension)란 노면에서 받는 충격이 차체로 전달되지 않도록 해주는 완충장치이다.[2] 최근에는 자동차 부품이 전자화됨에 따라 전자제어 방식의 제품을 주로 생산하고 있다. 회사[편집] 만도는 시가총액 2조 5천억원 규모의 대기업이며, 매년 5조원에서 6조원 사이의 매출을 내는 우량 기업이다(회사분할 전 기준). 국민연금공단이 가장 많이 보유한 종목 중 하나로 증시에서 잘 알려져 있었다.[3] 매출은 대한민국, 중국, 미국에서 각각 3:1:1 가량의 비율로 나오고 있다. 기업분할 논란[편집] 만도는 2014년 들어 지주회사인 한라홀딩스와 사업회사인 만도로 분리하는 내용의 기업 분할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2대주주인 국민연금은 회사의 사업분할이 주주가치를 훼손할 것이라며 반대했다. 국민연금 주식 의결권 행사 전문위원회는 '이번 사업분할 목적이 지배구조의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한 지주회사 전환이라고 하지만 유상증자로 현금소진이 높은 상황에서 회사채 발행으로 조성한 자금을 사업분할에 활용하는 것은 주주가치를 훼손할 우려가 있다'고 반대 이유를 설명했다.[4] 그러나 최대주주 우호 지분(한라 17.29%, 정몽원 회장 7.71%, 우리사주조합 2.47%)의 지지로 오랜 논란 끝에 기업분할안은 통과가 확정되었다. 2014년 10월 6일 지주회사는 한라홀딩스로, 제조부문은 만도로 나뉘어 재상장되었다. 연혁[편집] 1962년 주식회사 현대양행 창립 1979년 자동차부품 연 15만대 생산규모로 증설 1980년 만도기계(주)로 상호 변경 1984년 자동차부품 연 30만대 생산규모로 증설 1988년 5천만불 수출탑 수상(무역의 날 기념) 1989년 억불 수출탑 수상(무역의 날 기념) 1997년 GM사와 자동차 조향장치 6천 7백만불 규모의 공급계약 체결 1999년 ㈜만도로 新회사 출범 2008년 만도-독일헬라합작 만도헬라 일렉트로닉스 설립 2012년 닛산·GM에 5,500억 규모 수주 2014년 9월 2일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 2014년 10월 6일 한라홀딩스와 만도로 나뉘어 분할상장 참고문헌[편집] 만도 홈페이지 다음 증권 각주[편집] ↑ "거래소, 코스피200 특별변경 방식 변경 아쉽다", 연합뉴스 2014/08/29 ↑ 자동차 섀시의 구성, 브리태니커 (다음 백과사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국민연금, 만도·LS 등 4종목 지분 10% 돌파, Daum 금융, Sep 8, 2013 ↑ 국민연금 ‘만도 기업분할’ 반대표 던진다, 파이낸셜뉴스 2014.07.25 vdeh한라그룹지주회사 한라홀딩스 자동차 만도 만도브로제 만도신소재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 한라스택폴 건설 한라 한라개발 한라오엠에스 한라세라지오 목포신항만운영 한라앤컴 교육·스포츠 한라대학교 안양 한라 아이스하키단 이전 계열사 한라중공업 한온시스템 만도기계 한라시멘트 관련 항목 정주영 정인영 정몽원 정세영 정상영 정몽필 정몽구 정몽근 정몽우 정몽헌 현정은 정몽준 정몽윤 vdeh 코스피200 지수 구성 종목 (가나다 순) 코스피 지수 한국거래소 건설 대림산업 대우건설 동양 삼성엔지니어링 쌍용양회 아이에스동서 한일홀딩스 한전기술 현대건설 GS건설 HDC HDC현대산업개발 KCC LG하우시스 금융 기업은행 메리츠종금증권 미래에셋대우 삼성생명 삼성증권 삼성카드 삼성화재 신한지주 우리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한국금융지주 한화생명 현대해상 BNK금융지주 DB손해보험 KB금융 NH투자증권 경기소비재 강원랜드 금호타이어 기아차 넥센타이어 대교 롯데쇼핑 롯데하이마트 만도 삼성물산 세방전지 신세계 쌍용차 에스엘 영원무역 코웨이 쿠쿠홀딩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한국테크놀로지그룹 한라홀딩스 한샘 한섬 한세실업 한온시스템 현대리바트 현대모비스 현대백화점 현대위아 현대차 현대홈쇼핑 호텔신라 GKL LF S&T모티브 SK네트웍스 산업재 대한항공 두산 에스원 팬오션 포스코대우 한국단자 한국항공우주 한전KPS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글로비스 CJ대한통운 LG상사 LIG넥스원 LS LS산전 생활소비재 남양유업 농심 대상 동서 동원F&B 락앤락 롯데지주 롯데칠성 롯데푸드 무학 빙그레 삼양사 삼양홀딩스 아모레G 아모레퍼시픽 오뚜기 오리온 오리온홀딩스 이마트 코스맥스 팜스코 하이트진로 한국가스공사 한국전력 한국콜마 현대그린푸드 BGF BGF리테일 CJ CJ제일제당 GS리테일 KT&G LG생활건강 SPC삼립 에너지/화학 금호석유 남해화학 대한유화 롯데케미칼 롯데정밀화학 유니드 코오롱인더 태광산업 한국쉘석유 한솔케미칼 한화 한화케미칼 효성 효성중공업 후성 휴켐스 AK홀딩스 GS LG화학 OCI S-Oil SK SKC SK디스커버리 SK이노베이션 SK케미칼 정보기술 대덕전자 삼성SDI 삼성SDS 삼성전기 삼성전자 일진머티리얼즈 DB하이텍 LG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SK하이닉스 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두산인프라코어 두산밥캣 두산중공업 삼성중공업 한진중공업 현대로템 현대미포조선 현대엘리베이터 현대중공업 현대중공업지주 철강/소재 고려아연 고려제강 동국제강 동원시스템즈 세아베스틸 영풍 풍산 현대제철 POSCO 커뮤니케이션서비스 넷마블 엔씨소프트 이노션 제일기획 카카오 CJ CGV KT LG유플러스 NAVER SBS SK텔레콤 헬스케어 녹십자 녹십자홀딩스 대웅제약 동아쏘시오홀딩스 동아에스티 보령제약 부광약품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영진약품 유한양행 일양약품 종근당 한미사이언스 한미약품 한올바이오파마 JW중외제약 JW홀딩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만도&oldid=24228018" 분류: 한국거래소 상장 기업대한민국의 자동차 부품 기업2014년 설립된 기업한라그룹대한민국의 제조 기업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5일 (수) 22: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HL만도는 자동차 샤시부품을 전문으로 제조하는 코스피 상장기업이다. 자동차 샤시는 자동차를 움직이기 위한 동력원 및 동력 전달장치, 제동장치 등이 포함된 자동차의 핵심 부분이다. 2014년 9월 2일 지주회사인 "한라홀딩스"와 제조사업 부문인 "만도"로 분리되어 재상장되었다. 회사분할 전에는 만도가 코스피200 종목이었으나, 분할 후에는 만도는 제외되고 한라홀딩스가 코스피200에 편입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만도씨는 몇년도에 주식회사 현대양행을 창립하였는가? Assistant: 1962년
Human: 아래 최연성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최연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최연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최연성(崔然星) 프링글스 MSL에 출전한 최연성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출생 1983년 11월 5일(1983-11-05) (35세)대한민국 전라북도 익산시 프로게이머 정보 종족 테란 아이디 iloveoov, KT.MGW)Quetrin 별명 머슴테란, 괴물테란, 빌드 깎는 노인 소속팀 아프리카 프릭스 키보드 삼성DT-35 화이트 키보드 마우스 로지텍 Mx300 -> 로지텍 미니옵티컬 웹사이트 아프리카 프릭스 선수단 소개 메달 기록 대한민국의 선수 월드 사이버 게임즈 (WCG) 금 2006 이탈리아 몬자 스타크래프트 최연성 (崔然星, 1983년 11월 5일 ~ )은 iloveoov또는 KT.MGW)Quetrin라는 아이디를 사용하는, 전 SK텔레콤 T1 소속의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출신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감독이다. 주종족은 테란이며, 임요환과 2003년부터 2007년 12월까지 SK텔레콤 T1에서 같이 활동하였다. 2008년 1월 샤워 도중 손목에 입은 가벼운 부상으로 인해 선수에서 코치로 전환, 은퇴를 결정하였으나 2008년 10월 28일 플레잉 코치로 보직을 변경하여 잠시동안 프로게이머 생활을 했다. 이미 같은 해 4월 30일, 프로게이머로 활동하던 시절 자신의 팬이었던 여성과 결혼을 발표한 바 있다.[1] 또한 스타리그 최고령 우승 기록(만 22세 4개월)을 보유한 적도 있었으며 양대 리그 우승자 중 유일하게 준우승이 없다. 2008년 10월 28일부터 2011년 8월 27일까지 플레잉코치로 활동하였다. 2011년 12월 20일에 입대하여 상근예비역으로 복무를 마친 뒤 2013년 9월 17일에 제대하였다. 2013년 9월 26일 임요환 감독이 건강상의 이유로 사임, SK텔레콤 T1의 수석코치 겸 감독 대행으로 임명되었다. 2013년 11월 6일 SK텔레콤 T1의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2016년 10월 SK텔레콤 T1의 스타크래프트 II 종목 팀 해체로 무소속 신분이 되었다가 같은 해 11월 30일 아프리카 프릭스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의 감독으로 선임되어 팀의 2018 LCK 스프링 준우승을 이끌었다. 2019년 5월 26일 아프리카 프릭스 게임단의 총감독으로 승격되었다. 목차 1 개요 1.1 시대를 앞서간 빌드 1.2 MSL 3연속 우승 1.3 스타리그 결승 진출 좌절 1.4 스타리그 첫 우승 1.5 갑작스럽게 찾아온 슬럼프와 부활의 신호탄 1.6 이중계약 논란 1.7 스타리그 2회 우승과 WCG 금메달 1.8 은퇴 1.9 빌드 깎는 노인 2 최종 전적 3 주요 기록 3.1 팀단위 리그 3.2 협회 수상 3.3 코치, 감독 경력 4 각주 5 외부 링크 개요[편집] 시대를 앞서간 빌드[편집] 그당시 본진플레이를 하였던 시점에서 의 관념을 타파해 더블커맨드를 활용한 대량 물량 운영을 선보이며 수비형 테란의 앞서나간 빌드를 개척해냈다 MSL 3연속 우승[편집] 2004 하나포스 센게임 MSL 결승전에서 당시 가장 강력한 테란이였던 이윤열과 결승에서 만났다. 당시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케스파 랭킹 1위였던 이윤열의 승리를 예상하였다. 그러나 최연성은 앞서가는 물량과 힘으로 최고의 테란 대 테란전 명경기를 손보이며 3:2로 이윤열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다. 이 우승으로 최연성은 이전 대회인 TG삼보배MSL과 차기대회인 스프리스MSL까지 3연속 우승이라는 기록을 세우게 된다. 스타리그 결승 진출 좌절[편집] 최연성은 무대를 옮겨 질레트 스타리그 2004에도 진출하게 되었다. 스타리그에서도 엄청난 경기력으로 4강까지 올라가는 기염을 토했다. 여기서 당시 신예인 투신 박성준과 만나게 된다. 당시 MSL 2연속 우승과 저그전 승률 90%의 성적에도 불구하고 박성준에게 2:3으로 패, 스타리그 결승 진출 좌절을 맛봤다. 스타리그 첫 우승[편집] MSL에서는 3연속 우승을 차지한 최연성이었지만 유독 온게임넷의 스타리그에서는 상대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던 최연성은 EVER 스타리그 2004 본선에 올라가게 된다. 이 대회에서 8강 상대인 이윤열에게 2:1로 승리하였고 4강에선 박정석 3:2로 꺾으며 처음으로 스타리그 결승 진출을 기록했다. 결승전 상대는 같은팀 소속임 동시에 자신의 스승이었던 임요환이었다. 임요환과의 결승전 대결에서 최고의 명경기를 선보이며 3:2로 승리, 스타리그 첫 우승을 달성하였다, 갑작스럽게 찾아온 슬럼프와 부활의 신호탄[편집] 2004년 최고의 전성기를 만들었던 최연성 또한 슬럼프가 찾아왔다. 늘 결승문턱까지 가는 성적을보이던 최연성이 당신은 골프왕 MSL 2004 8강, 아이옵스 스타리그 04~05 16강, EVER 스타리그 2005 8강 등 아쉬운 모습을 여러차례 보이며 팬들 또한 `임요환,이윤열과 똑같이 슬럼프를 극복하지 못하는구나` 라는 소리까지 나올정도로 최연성답지 않은 성적을 기록했다. 하지만 2005년말 비공식 대회였던 CKCG 2005 스타크래프트 대회 결승전에 진출하며 당시 아이옵스 스타리그 우승자였던 이윤열을 2:1로 이기며 조금식 기량을회복, 부활을 알리기 시작하였다. 이중계약 논란[편집] 2005년 최연성에게도 프로게이머로써 위기가 찾아왔다. KTF 매직엔스와 SK텔레콤 T1 사이의 이중계약으로 인해 프로게이머 박탈이라는 중징계까지 몰렸다가 결국 '프로리그 2005 시즌 전기리그 출전 금지'의 징계를 받아 프로게이머로 활동할 수 없었다. 스타리그 2회 우승과 WCG 금메달[편집] 점차 기량이 회복하던 최연성은 우주닷컴 MSL 2005 4위, So 1 스타리그 2005 3위를 달성하였으나 CYON MSL 2005에선 마재윤에게 0-5관광을 당하며 3위를 기록하여 기세가 꺽이는 듯 했지만 프로리그 결승에서 변은종과 조용호를 완파했다. 또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에서 엄청난 경기력을 보여주며 부활을 알렸다. 8강에서 또 다시 만난 스승과 제자의 대결에서 임요환을 상대로 2:1로 승리하며 4강에 진출했다. 4강에서 신예 한동욱과 장기전 승부 끝에 3:2로 승리하며 스타리그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투신 박성준을 상대로 3:0이라는 압도적인 스코어로 승리를 하며 질레트 스타리그 4강에 복수를 성공하면서 스타리그 2회 우승을 기록하게 되었다. WCG 2006 스타크래프트 그랜드 파이널 결승전에서 또 다시 박성준을 만나 2:0으로 승리함으로써 금메달을 수상하게 되었다. 은퇴[편집] 2007년 갑작스럽게 찾아온 손목부상으로 인해 경기력이 하락하였으며 손목부상 이후 자신감도 떨어지며 프로게이머 데뷔 이후 최고의 위기를 맞았다. 2008년 1월 최연성은 은퇴를 선언하였고 팀의 코치로 활약하였다. 이후 잠시동안 플레잉 코치로 전환하여 경기에도 출전했다. 빌드 깎는 노인[편집] 최연성은 이후 SKT팀 코치로 활약했는데 그의 빌드는 프로토스 대 테란전의 T1빌드라는 유명한 빌드를 만들었다. 임요환,최연성,정명훈으로 이어지는 테란 라인에 당시 바이오닉에 미흡했던 정명훈과 레이트 메카닉이라는 혁명적인 빌드를 만들었다.(이 빌드는 정명훈 혼자서 만들었다는 말과 공동으로 만들었다는 말이 있는데 정명훈이 혼자서 만들었다고 해도 최연성의 코치가 있었음이 당연하므로 최연성의 영향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여러가지 빌드를 만들어 완성형 스타크래프트, 사실상 이영호라는 괴물을 만드는데에도 어느정도 일조 했다. (당시에 테란 대 저그전은 테란의 초반부를 버티고 저그가 4가스를 어떻게든 먹으면 디파일러+울트라로 역전하는 경기가 나왔었다. '이영호vs김준영'다음스타리그 4강 참고 그랬던 저그전이 이 '레이트 메카닉'이라는 빌드 때문에 다시 테란이 후반부에도 밀리지 않고 저그를 압도하는 상성이 완성됐다. ) 이런 최연성을 사람들은 '빌깍노' 빌드 깎는 노인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최종 전적[편집] 통산전적 (08.03.01 기준) 경기 승-패 승률 대 테란 184 112–72 60.9% 대 저그 178 124–54 69.7% 대 프로토스 160 102–58 63.7% 총합 522 338–184 64.8% 주요 기록[편집] 메이져 개인리그 우승 5회[2] 2003년 iTV 신인왕전 2003 우승 (3:0 차재욱) 2003년 TG삼보 MSL 2003 우승 (3:0 홍진호) 2004년 하나포스 센게임 MSL 2004 우승 (3:2 이윤열) 2004년 iTV 랭킹전 7차리그 준우승 (1:3 박성준) 2004년 질레트 스타리그 3위 2004년 스프리스 MSL 2004 우승 (3:2 박용욱) 2004년 EVER 스타리그 2004 우승 (3:2 임요환) 2004년 당신은 골프왕 MSL 2004 8강 2005년 아이옵스 스타리그 04~05 16강 2005년 UZOO MSL 2005 4위 2005년 EVER 스타리그 2005 8강 2005년 So1 스타리그 2005 3위 2005년 CKCG 2005 스타크래프트 부문 우승 (2:1 이윤열) 2005년 WEF 2005 스타크래프트 부문 준우승 (0:2) 2006년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 우승 (3:0 박성준) 2006년 CYON MSL 2005 3위 2006년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1 24강 2006년 프링글스 MSL 시즌1 8강 2006년 IEF 2006 스타크래프트 부문 준우승 (1:2 이윤열) 2006년 WCG 2006 스타크래프트 그랜드 파이널 우승 (2:0 박성준) 2007년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3 16강 2007년 Daum 스타리그 2007 16강 2007년 곰TV MSL 시즌2 16강 2007년 IEF 2007 스타크래프트 부문 3위 2007년 곰TV MSL 시즌3 16강 2008년 곰TV MSL 시즌4 32강 2009년 e스타즈 서울 2009 스타크래프트 헤리티지 본선 (기권) 2009년 IeSF 스타 인비테이셔널 클래식 8강 2012년 e스포츠 명예의 전당 헌액 팀단위 리그[편집] 2003년 KTF EVER 온게임넷 프로리그 우승 (동양 오리온) 2003년 KTF EVER 온게임넷 프로리그 신인왕 2003년 KTF EVER 온게임넷 프로리그 개인전 다승왕 2004년 LG IBM MBC게임 팀리그 우승 (4U) 2004년 SKY 프로리그 2004 1라운드 준우승 (SK 텔레콤 T1) 2004년 투싼배 MBC게임 팀리그 우승 (SK 텔레콤 T1) 2005년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우승 (SK 텔레콤 T1) 2005년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우승 (SK 텔레콤 T1) 2005년 SKY 프로리그 2005 그랜드 파이널 우승 (SK 텔레콤 T1) 2006년 SKY 프로리그 2006 전기리그 우승 (SK 텔레콤 T1) 2007년 SKY 프로리그 2006 그랜드 파이널 준우승 (SK 텔레콤 T1) 2009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우승 (SK 텔레콤 T1) 2010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준우승 (SK 텔레콤 T1) 협회 수상[편집] 2006년 2005 대한민국 e-SPORTS 대상 최우수 테란상 2006년 2005 대한민국 e-SPORTS 대상 최고의 물량상 2006년 2005 대한민국 e-SPORTS 대상 최다승 상 (공동) 2006년 2005 대한민국 e-SPORTS 대상 최우수 선수상 2015년 2015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스타크래프트 II 최우수 e스포츠 지도자상 코치, 감독 경력[편집] 2008년 7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3위 2008년 8월 경남-STX컵 마스터즈 2008 3위 2009년 3월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8-09 4위 2009년 8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우승 2009년 8월 경남-STX컵 마스터즈 2009 우승 2010년 8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준우승 2010년 8월 경남-STX컵 마스터즈 2010 우승 2014년 2월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1라운드 준우승 2014년 5월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3라운드 우승 2014년 7월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4라운드 준우승 2014년 8월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감독상 2014년 8월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통합 준우승 2015년 2월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1라운드 우승 2015년 4월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2라운드 4위 2015년 7월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3라운드 우승 2015년 9월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4라운드 준우승 2015년 10월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감독상 2015년 10월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통합 우승 2016년 3월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6 1라운드 우승 2016년 5월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6 2라운드 3위 2017년 4월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7 5위 2017년 8월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2017 5위 2017년 11월 2017 LoL KeSPA컵 12강 2018년 4월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8 준우승 2018년 8월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2018 3위 2018년 10월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8 8강 각주[편집] ↑ SK텔레콤 T1 최연성 코치, 5월 24일 결혼, 파이터포럼, 2008년 4월 30일. ↑ 스타리그 2회 우승. MSL 3회 우승. 외부 링크[편집] 공식 웹사이트 MSL 금배지 수상자 이전 최연성 다음 이윤열 김택용 2002년 리복배 KPGA 투어 2차리그, 2002년 펩시트위스트배 KPGA 투어 3차리그, 2002년 스타우트 & 배스킨라빈스배 KPGA 투어 4차리그 우승 TG삼보 MSL 2003, 하나포스 센게임 MSL 2004, Spris MSL 2004 우승 곰TV MSL 시즌1, 곰TV MSL 시즌2, 클럽데이 온라인 MSL 우승 이 전 강민 제6,7,8대 MSL 우승자 TG삼보 MSL 2003하나포스 센게임 MSL 2004Spris MSL 2004 다 음  박태민  이 전 박성준 제14대 스타리그 우승자 EVER 스타리그 2004 다 음  이윤열  이 전 오영종 제18대 스타리그 우승자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 다 음  한동욱  이 전 이재훈 제7대 WCG 스타크래프트 부문 우승자 WCG 2006 다 음  송병구  이 전 임요환 제4대 SK텔레콤 T1 감독 최연성 2013년 9월26일~ 다 음    vdeh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리그리그개인전 스타리그 MBC게임 스타리그 곰TV 클래식 소닉 스타리그1 아프리카TV 스타리그1 SSL 시리즈1 단체전 프로리그 (1군) 드림리그 (2군) MBC게임 팀리그 위너스리그 경남 - STX컵 마스터즈 조직협회 한국e스포츠협회 게임 개발사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게임 배급사 한빛소프트 방송국 OGN MBC 게임 곰TV 아프리카TV SPOTV GAMES 경기장 용산 e-Sports 스타디움 (온게임넷→OGN, 철거됨) 히어로센터 (MBC 게임, 철거됨) 곰TV 목동 스튜디오 (곰TV, 철거됨) ITV 랭킹전 iTV 스튜디오/인천 종합문화예술회관 야외 특설무대(iTV 경인방송, 철거됨) 프릭 업 스튜디오 (아프리카TV) 넥슨 아레나 (SPOTV GAMES) 방송인OGN 정소림 엄재경 김정민 아프리카TV 박상현 이승원 임성춘 SPOTV GAMES 김철민 한승엽 이성은 과거 게임단 KT 롤스터 STX SouL 웅진 스타즈 SK텔레콤 T1 CJ 엔투스 삼성 칸 제8프로게임단 공군 ACE 이스트로 위메이드 폭스 온게임넷 스파키즈 MBC게임 히어로 화승 OZ 기타 e스포츠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명예의 전당 골든 마우스 MSL 금배지 KeSPA컵 1KeSPA 비공인 리그2012년 9월 22일부로 대한민국의 모든 KeSPA 공인 스타크래프트 리그가 완전히 종료됨. 단, KeSPA 비공인 리그는 열리고 있음. vdehe스포츠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명예의 전당 입상자테란 임요환 이윤열 최연성 서지훈 이영호¹ 정명훈¹ 저그 홍진호 조용호 박성준 박태민 이제동¹ 프로토스 박정석 기욤 패트리 김동수 강민 박용욱 오영종 송병구¹ 김택용¹ 허영무¹ ¹ : 명예의 전당 헌액 당시 현역이었던 선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최연성&oldid=24394672" 분류: 198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e스포츠 선수대한민국의 e스포츠 코치대한민국의 e스포츠 감독스타리그 우승자MSL 우승자로열로더MSL 금배지 수상자대한민국의 개신교도전주 최씨익산시 출신테란 선수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SK텔레콤 T1의 선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ItalianoPortuguês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7일 (금) 21: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최연성 (崔然星, 1983년 11월 5일 ~ )은 iloveoov 또는 KT.MGW)Quetrin라는 아이디를 사용하는, 전 SK텔레콤 T1 소속의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출신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감독이다. 주종족은 테란이며, 임요환과 2003년부터 2007년 12월까지 SK텔레콤 T1에서 같이 활동하였다. 2008년 1월 샤워 도중 손목에 입은 가벼운 부상으로 인해 선수에서 코치로 전환, 은퇴를 결정하였으나 2008년 10월 28일 플레잉 코치로 보직을 변경하여 잠시동안 프로게이머 생활을 했다. 이미 같은 해 4월 30일, 프로게이머로 활동하던 시절 자신의 팬이었던 여성과 결혼을 발표한 바 있다. 또한 스타리그 최고령 우승 기록(만 22세 4개월)을 보유한 적도 있었으며 양대 리그 우승자 중 유일하게 준우승이 없다. 2008년 10월 28일부터 2011년 8월 27일까지 플레잉코치로 활동하였다. 2011년 12월 20일에 입대하여 상근예비역으로 복무를 마친 뒤 2013년 9월 17일에 제대하였다. 2013년 9월 26일 임요환 감독이 건강상의 이유로 사임, SK텔레콤 T1의 수석코치 겸 감독 대행으로 임명되었다. 2013년 11월 6일 SK텔레콤 T1의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2016년 10월 SK텔레콤 T1의 스타크래프트 II 종목 팀 해체로 무소속 신분이 되었다가 같은 해 11월 30일 아프리카 프릭스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의 감독으로 선임되어 팀의 2018 LCK 스프링 준우승을 이끌었다. 2019년 5월 26일 아프리카 프릭스 게임단의 총감독으로 승격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최연성이 스타리그 2회 우승을 어떻게 거머쥐었어? Assistant: 점차 기량이 회복하던 최연성은 우주닷컴 MSL 2005 4위, So 1 스타리그 2005 3위를 달성하였으나 CYON MSL 2005에선 마재윤에게 0-5관광을 당하며 3위를 기록하여 기세가 꺽이는 듯 했지만 프로리그 결승에서 변은종과 조용호를 완파했다. 또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에서 엄청난 경기력을 보여주며 부활을 알렸다. 8강에서 또 다시 만난 스승과 제자의 대결에서 임요환을 상대로 2:1로 승리하며 4강에 진출했다. 4강에서 신예 한동욱과 장기전 승부 끝에 3:2로 승리하며 스타리그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투신 박성준을 상대로 3:0이라는 압도적인 스코어로 승리를 하며 질레트 스타리그 4강에 복수를 성공하면서 스타리그 2회 우승을 기록하게 되었다. Human: 아래 전갈자리_18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전갈자리 18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갈자리 18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갈자리18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전갈자리 18 관측 정보 별자리 전갈자리 적경(α) 16h 15m 37s 적위(δ) -08º 22' 06″ 겉보기등급(m) + 5.50 절대등급(M) + 4.77 위치천문학 연주시차 71.30 ± 0.89 밀리초각 거리 45.7 ± 0.6 광년(14 ± 0.2 파섹) 성질 광도 1.08 L☉ 분광형 G2 Va 추가 사항 질량 1.01 ± 0.03 M☉ 표면온도 5800 K {\displaystyle K}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전갈자리 18은 전갈자리 북쪽 경계면에 자리 잡고 있는, 지구에서 45.7광년 떨어져 있는 항성이다. 전갈자리 18은 태양과 많은 물리적 제원이 흡사하다. Cayrel de Strobel(1996년)과 Porto de Mello & da Silva(1997년)은[1] 전갈자리 18을 쌍둥이 태양이라고 결론지었다.[2] 따라서 일부 과학자들은 이 항성 주위에 생명체가 살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믿고 있다. 목차 1 항성의 특징 2 생명체의 존재 여부 3 함께 보기 4 참고 문헌 5 외부 링크 항성의 특징[편집] 전갈자리 18은 분광형 G2Va의 황색 왜성이다.[3] Meléndez와 Ramírez (2007년)는 이 항성의 중원소 함량이 태양의 104퍼센트라고 밝혔다.[4] 록우드(2002년)에 따르면 이 별은 측광학적 활동이 태양과 매우 유사하다고 한다.[5] 이 별의 밝기 변화량은 전체 활동 주기에 걸쳐 볼 때 0.09%이다. 이는 최근의 태양 활동 주기 중 밝기 변화량과 거의 같은 값이다.[6] 지만-도플러 화상법을 이용하여 페티트 연구진(2008년)은 이 별의 표면 자기장을 감지해 냈으며, 그 강도와 기하학적 특성이 대규모 태양 자기장과 매우 유사함을 보여주었다.[7] 그러나 전갈자리 18의 활동주기는 태양에 비해 매우 짧으며, 채층 활동량 또한 태양보다 훨씬 더 크다.[6][8] 전갈자리 18은 단독성이며 시선속도 측정으로 아직 이 별 주위를 도는 행성의 존재를 밝히지 못했다.[9] 전갈자리 18은 태양보다 근소하게 중원소 함량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리튬 함량은 태양의 세 배에 이른다. 이 때문에, Meléndez와 Ramírez (2007년)는 전갈자리 18을 ‘준 쌍둥이 태양’으로 부를 것을 제안했다. ‘쌍둥이 태양’(예: HIP 56948)은 모든 매개변수가 태양과 근사한 존재에 붙여야 한다는 것이다.[4] 생명체의 존재 여부[편집] 2003년 애리조나 대학교 우주생물학자 마가렛 턴불은 전갈자리 18을 그녀가 작성한 항성목록 HabCat에 의거하여, 생명체를 품고 있을 유력한 후보 중 하나로 지목하였다. 함께 보기[편집] 항성 목록 가까운 별 목록 쌍둥이자리 37 행성 거주가능성 쌍둥이 태양 우주 식민화 HD 98618 참고 문헌[편집] ↑ Cayrel de Strobel, G. (1996). “Stars Resembling the Sun”. 《Astronomy & Astrophysics Review》 7 (3): 243–288. doi:10.1007/s001590050006.  ↑ Porto de Mello, G. F., and da Silva, L. (1997). “HR 6060: The Closest Ever Solar Twin?”. 《The Astrophysical Journal》 482 (2): L89–L92. doi:10.1086/310693.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Porto de Mello, G. F., & da Silva, L. (1997). “HR 6060: The Closest Ever Solar Twin?”. 《The Astrophysical Journal》 545 (2): L89–L92. doi:10.1086/310693.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가 나 Meléndez, J., & Ramírez, I. (2007). “HIP 56948: A Solar Twin with a Low Lithium Abundance”. 《The Astrophysical Journal》 669 (2): L89–L92. doi:10.1086/523942.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G. W. Lockwood; 외. (May 2002). “Gauging the Sun: Comparative photometric and magnetic activity measurements of sunlike stars, 1984-2001” (PDF). 《Bulletin of the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34: 651. 2006년 9월 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0월 19일에 확인함.  CS1 관리 - et al.의 직접적인 사용 (링크) ↑ 가 나 Hall, J. C., & Lockwood, G. W. (2007). “The Sun-Like Activity of the Solar Twin 18 Scorpii”. 《The Astronomical Journal》 133 (5): 2206–2008. doi:10.1086/513195.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Petit, P., Dintrans, B.; 외. (2008). “Toroidal versus poloidal magnetic fields in Sun-like stars : a rotation threshold”.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8 (1): 80.  CS1 관리 - et al.의 직접적인 사용 (링크)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Hall, J. C., & Lockwood, G. W. (2000). “Evidence of a Pronounced Activity Cycle in the Solar Twin 18 Scorpii”. 《The Astrophysical Journal》 545 (2): L43–L45. doi:10.1086/317331.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Marcy, G. W.; 외. (2005). “Five New Extrasolar Planets”. 《The Astrophysical Journal》 619 (1): 570–584. doi:10.1086/426384.  CS1 관리 - et al.의 직접적인 사용 (링크) 외부 링크[편집] NASA article on 18 Scorpii 18 Scorpii entry in the stellar database Astronomers Measure Sun-Like Brightness Changes of the Solar Twin, 18 Scorpii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전갈자리_18&oldid=22286461" 분류: 전갈자리G형 주계열성플램스티드 천체숨은 분류: CS1 관리 - 여러 이름CS1 관리 - et al.의 직접적인 사용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sturianuCatalà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lovenčinaதமிழ்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8일 (토) 21: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전갈자리 18은 전갈자리 북쪽 경계면에 자리 잡고 있는, 지구에서 45.7광년 떨어져 있는 항성이다. 전갈자리 18은 태양과 많은 물리적 제원이 흡사하다. Cayrel de Strobel(1996년)과 Porto de Mello & da Silva(1997년)은 전갈자리 18을 쌍둥이 태양이라고 결론지었다. 따라서 일부 과학자들은 이 항성 주위에 생명체가 살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믿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전갈자리 18은 무슨 색 왜성입니까? Assistant: 황색
Human: 아래 천문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천문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천문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천문대(天文臺)는 천체를 관측, 연구하는 곳이다. 천문대는 주요 목적에 따라 위치천문학(位置天文學)을 위주로 하는 천문대와 천체물리학을 위주로 하는 천문대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목차 1 목적에 따른 분류 2 입지 조건 3 고대의 천문대 3.1 동아시아의 천문대 3.1.1 한국의 천문대 3.1.1.1 조선시대의 천문관측기구 3.1.2 캄보디아의 천문대 3.2 유럽의 천문대 3.3 아메리카의 천문대 3.4 아프리카의 천문대 4 현대의 천문대 4.1 한국의 연구용 천문대 4.1.1 국공립 천문대 4.1.2 사설 천문대 4.2 세계의 천문대 5 같이 보기 6 참고 문헌 7 외부 링크 목적에 따른 분류[편집] 위치천문학을 위한 천문대는 망원경 기타의 보유시설이 대체로 소규모이고, 천체물리학을 위한 천문대는 거대한 망원경을 자랑하는 대규모의 것이 많다. 두 목표를 같은 정도로 겸하여 갖는 천문대는 별로 많지 않은데, 그 예로는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 러시아의 풀코바 천문대, 프랑스의 파리 천문대, 미국의 워싱턴 해군천문대, 오스트레일리아의 스트로믈로산 천문대, 일본의 도쿄 천문대 등을 들 수 있다. 위치천문학 위주의 천문대 위치천문학 관계 천문대의 망원경은 자오환을 제1로 하고, 사진천정통(寫眞天頂筒)·천정의(天頂儀)·자오의·아스트롤라베(astrolabe) 등 이외에 사진굴절 적도의에 의한 항성의 고유운동·시차(視差)·태양계 천체의 운동·인공위성 관측 등도 포함된다. 위치천문학만을 단독 목표로 하는 천문대는 표준시(標準時)의 결정·보시(保時)·보시(報時) 등의 필요에서 규모·내용의 차는 있으나 각국에 적어도 1개소는 있다. 천체물리학 위주의 천문대 천체물리학의 연구는 근년에 특히 두드러지게 발달해 온 분야로, 이에 대응하여 각 천체물리 천문대는 하나같이 망원경의 거대화·정밀화를 다투고 있다. 이 분야의 천문 연구에 가장 힘을 기울이고 있는 나라는 미국이며, 유럽의 여러 나라도 독자적으로 또는 국제협력의 형태로 대망원경 건설을 진척시키고 있다. 입지 조건[편집] 일반적인 천문대의 입지조건(立地條件)은 다음과 같다. 도시의 조명등화로부터 격리되어 있을 것 하늘의 투명도가 좋고, 대기의 흔들림이 적을 것 지반(地盤)이 안정되어 있을 것 등 각국이 모두 도시의 팽창·공업의 발달이 두드러지므로, 대도시의 한가운데나 근교에 있는 역사가 오래된 천문대에서는 관측이 어렵게 되었다. 1675년 이래의 전통을 갖는 그리니치 천문대는 허스트몬소로 옮겼으며, 여전히 그리니치 천문대의 이름을 유지하고 있다. 파리 천문대도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나 지금은 모든 돔(dome)이 텅 비어 있고 망원경은 상미셸로 옮겨졌다. 고대의 천문대[편집] 동아시아의 천문대[편집] 한국의 천문대[편집] 첨성대를 북쪽에서 본 모습 고대의 천문대는 대부분 주변의 건물이나 나무가 시야를 가리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거주지역 부근에 세워졌다. 주로 일관이나 역관에 의해 운영되었고, 태양과 행성, 별의 위치나 운행, 혜성, 유성 등 천체의 모양을 관측하여 보고하였다. 참성단 - 마니산 정상에 있는 제단으로, 고조선 시대에 세워졌다고 전해진다. 조선 시대에는 천문관측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첨성대 - 선덕여왕 때에 세워진 천문대 관천대 - 조선 시대의 천문대. 천문대 위에 대가 있어 관측기구를 설치하였다. 비교적 작은 크기의 관천대가 현재 창경궁과 현대그룹 본사 앞에 놓여 있다. 대간의대 - 경복궁 경회루 북쪽에 세워진 대형 천문대. 조선시대의 천문관측기구[편집] 조선 시대에는 천문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였으며, 세종 이후로 다양한 천문.기상관측기구가 개발되었다. 천상열차분야지도 간의 혼천의 일정성시의 앙부일구 풍기대 측우기 캄보디아의 천문대[편집] 앙코르와트 유럽의 천문대[편집] 스톤헨지 - 영국의 고대 천문대. 놓여있는 돌들이 일년 중의 절기를 표시하고 있다. 아메리카의 천문대[편집] 달의 피라밋 아프리카의 천문대[편집] 아부심벨 사원 - 이집트의 천문대이다. 현대의 천문대[편집] 현대의 천문대는 주로 천체망원경, 전파망원경 등 광학기기를 중심으로 운영되며, 대부분 대기가 안정되고 기상여건이 좋은 산 정상 부근에 세워진다. 비행기 내부나 인공위성을 이용하기도 한다. 영국 왕립 그리니치 천문대 한국의 연구용 천문대[편집] 보현산 천문대(한국천문연구원) - 경북 영천시 소재. 소백산 천문대(한국천문연구원) 레몬산 천문대 (한국천문연구원) 충북대학교 천문대 국공립 천문대[편집] 충주고구려천문과학관 - 충청북도 충주시 소재. 별마로천문대 - 강원도 영월 소재. 김해천문대 - 경상남도 김해 소재. 대전 시민 천문대 - 대전 광역시 소재. 보현산 천문과학관 - 경상북도 영천시 소재. 제주별빛누리과학공원 - 제주도 제주시 소재. 서귀포천문문화과학관 - 제주도 서귀포시 소재. 순천만 천문대 - 전라남도 순천시 소재. 정남진 천문과학관 - 전라남도 장흥군 소재. 곡성 섬진강 천문대 - 전라남도 곡성군 소재. 남원항공우주천문대 - 전라북도 남원시 소재. 국토정중앙천문대 - 강원도 양구 소재. 칠갑산 천문대 - 충청남도 청양군 소재 영양 반딧불이 천문대 - 경상북도 영양군 소재 무주 반디별 천문대 - 전라북도 무주군 소재 조경철천문대 - 강원도 화천군 소재 부산시민천문대(구 금련산천문대) - 부산시 수영구 소재 사설 천문대[편집] 송암스페이스센터 - 경기도 양주 소재. 세종 천문대 - 경기도 여주 소재. 어린이 천문대 - 경기도 일산 소재. 중미산 천문대 - 경기도 양평 소재. 안성 천문대 - 경기도 안성 소재. 나일성 천문관 - 경북 예천 소재. 만행산 천문체험관 광양 해달별 천문대 - 광양시 봉강면 조령리 소재. 제천 별새꽃돌 과학관 - 제천시 봉양읍 소재. 세계의 천문대[편집] 그리니치 천문대 조드럴 뱅크 천문대 아레시보 천문대 쯔진산 천문대 라 실라 천문대 라스 캄파나스 천문대 우주 망원경 같이 보기[편집] 망원경 참고 문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천문대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보현산천문대 송암스페이스센터 유럽남천천문대(ESO) 전거 통제 NDL: 0057283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천문대&oldid=23976732" 분류: 천문대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zərbaycancaCatalàČeština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uskaraFrançaisGaeilgeGalegoHrvatski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КыргызчаLëtzebuergeschNederlandsOccitanPolski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Kiswahili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6일 (토) 14: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천문대(天文臺, 영어: observatory)는 천체를 관측, 연구하는 곳이다. 천문대는 주요 목적에 따라 위치천문학(位置天文學)을 위주로 하는 천문대와 천체물리학을 위주로 하는 천문대로 크게 나눌 수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조선 시대에 개발된 천문관측기구는 무엇이 있는가? Assistant: 천상열차분야지도 간의 혼천의 일정성시의 앙부일구 풍기대 측우기 Human: 아래 산성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산성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산성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전라북도 남원시의 역에 대해서는 산성역 (남원)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남한산성역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남한산성입구역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비슷한 이름의 삼성역, 삼송역에 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산성 역명판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서울교통공사 소재지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정로 지하365 좌표 북위 37° 27′ 24.9″ 동경 127° 9′ 0.1″ / 북위 37.456917° 동경 127.150028°  / 37.456917; 127.150028 개업일 1996년 11월 23일 역 번호 821 승강장 구조 2면 2선 노선 서울 지하철 8호선 암사 기점 12.9 km ■ 서울 지하철 8호선 ← 복정 (2.7 km) 남한산성입구 →(1.3 km) 산성역(山城驛)은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서울 지하철 8호선의 전철역이다. 1996년 11월 23일 개통 당시의 역명은 남한산성역(南漢山城驛)이었으나, 1998년 10월 1일에 현재 역명으로 변경되었다. 목차 1 역사 2 역 구조 2.1 승강장 3 역 주변 4 사진 5 이용객 변동 6 인접한 역 7 각주 8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96년 11월 23일 : 서울 지하철 8호선 개통과 함께 남한산성역으로 영업 개시 1998년 10월 1일 : 남한산성역에서 산성역으로 역명 변경 역 구조[편집] 이 역은 고지대 주변에 있는 관계로 역 깊이가 상당히 깊으며(심도 55.4m), 대한민국에서 심도가 두 번째로 깊은 역이다. (1위는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만덕역이다.)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있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아현역처럼 가운데가 막혀있어 반대편 승강장을 볼 수 없는 상대식 승강장이다. 2면 2선의 곡선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편집] 복정 ↑ 하 | 벽 | 상 ↓ 남한산성입구 상행 ■ 서울 지하철 8호선 복정 · 가락시장 · 잠실 · 암사 방면 하행 남한산성입구 · 신흥 · 수진 · 모란 방면 역 주변[편집] 성남북초등학교 창성중학교 한국폴리텍1대학 성남캠퍼스 신흥주공아파트 수정구청 남한산성 성남시수정도서관 산성동행정복지센터 산성파출소 사진[편집] 역이용 및 비상 대피 안내도. 그림에서 보듯 승강장은 아주 깊은 곳에 있으나, 층수로는 지하 3층이다. 지하 3층과 지하 2층을 연결하는 계단. 계단의 길이가 매우 긴 편이다. 지하 2층 대합실. 안쪽 계단이 암사역 방면, 인접해 있는 계단이 모란역 방면이다. 경사형 엘리베이터. 이 역의 엘리베이터는 층간을 수직으로 연결하지 않고 경사면을 따라 연결한다. 3번 출입구. 주변 환경(산성역 사거리). 한 쪽이 산자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역명판 (개정 전, 현재는 다른 역명판으로 교체되었다.) 이용객 변동[편집]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8호선 승차 7,083 7,623 7,830 7,874 7,626 7,160 7,010 7,179 7,353 7,228 [1] 하차 6,969 7,417 7,599 7,679 7,399 6,989 6,836 6,964 7,147 6,962 승하차 14,051 15,040 15,429 15,553 15,025 14,149 13,847 14,143 14,500 14,190 노선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8호선 승차 7,229 7,403 7,479 7,499 7,666 7,667 7,450 6,338 하차 7,071 7,200 7,258 7,284 7,533 7,481 7,285 6,195 승하차 14,301 14,604 14,737 14,783 15,199 15,148 14,735 12,533 인접한 역[편집] 서울 지하철 8호선 820 복정암사 방면 ■ 서울 지하철 8호선 822 남한산성입구모란 방면 각주[편집] ↑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외부 링크[편집] 산성역 소개 (서울교통공사 사이버 스테이션 홈페이지) vdeh서울 지하철 8호선암사 - 천호 - 강동구청 - 몽촌토성 - 잠실 - 석촌 - 송파 - 가락시장 - 문정 - 장지 - 복정 - 산성 - 남한산성입구 - 단대오거리 - 신흥 - 수진 - 모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산성역&oldid=24186613" 분류: 서울 지하철 8호선성남시의 전철역1996년 개업한 철도역숨은 분류: 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Ido日本語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5: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산성역(Sanseong station, 山城驛)은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서울 지하철 8호선의 전철역이다. 이 역부터 모란역까지 지하 구간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0년 산성역 8호선의 하루평균 승하차 인원은 몇명이었을까? Assistant: 14,301
Human: 아래 율리우스력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율리우스력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율리우스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율리우스력은 고대 로마의 정치가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기원전 46년에 제정해 기원전 45년부터 시행한 양력(陽曆) 역법이다. 율리우스력의 1년은 365일 또는 366일(4년에 한번)이다. 기원전 46년 이전까지 고대 로마에서는 태음력을 사용하였으며, 점차 계절의 변화(즉, 태양의 일주)를 고려해 태음력과 태양력을 섞어서 년(年)과 월(月)을 계산하였다. 이에 따라 특히 달을 계산하는 데 적지 않은 혼란과 계산의 착오가 생겼으며, 이러한 착오는 제사장이 임의로 수정하였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채택한 달력은 태양력을 기준으로 2월을 제외한 달은 모두 30일 또는 31일로 정함으로써 이전에 있던 번거로움을 한꺼번에 해소하였다. 율리우스력은 4년마다 2월 29일을 추가하는 윤년을 두어 율리우스력의 한 해 길이는 365.25일이다. 이는 365.2422일인 태양년보다 0.0078일(11분 14초)이 길어서 128년마다 1일의 편차가 났기 때문에, 1582년부터 보다 정확한 그레고리력으로 점차 대체되었다. 현재(1900년 ~ 2099년), 그레고리력과 율리우스력의 차이는 13일이다.(그레고리력 1월 14일은 율리우스력으로 1월 1일이다) 목차 1 율리우스력 제정 이전과 이후의 월별 날짜 현황 2 동방 정교회의 교회력 3 각주 4 참고 문헌 5 같이 보기 율리우스력 제정 이전과 이후의 월별 날짜 현황[편집] 월 라틴어 기원전 46년 이전 기원전 45년 이후 1월 Ianuarius[1] 29 31 2월 Februarius 28 (23/24) 28 (29) 3월 Martius 31 31 4월 Aprilis 29 30 5월 Maius 31 31 6월 Iunius[1] 29 30 7월 Quintilis (Julius) 31 31 8월 Sextilis (Augustus) 29 31 9월 September 29 30 10월 October 31 31 11월 November 29 30 12월 December 29 31 - Intercalaris (27) (폐지) 동방 정교회의 교회력[편집] 그레고리력을 교회력으로 채택하고 있는 서방 교회(천주교와 개신교)와 달리 동방 교회는 율리우스력을 교회력으로 쓰고 있다. 동방 정교회의 성탄절은 율리우스력 12월 25일로, 이는 그레고리력으로 1월 7일이다. 각주[편집] ↑ 가 나 J는 16세기까지 도입되지 않았다. 참고 문헌[편집] 《시간의 지도 : 달력》 E.G.리처즈 지음, 이민아 옮김, 까치, 2003 중 "제16장, 로마력과 율리우스력" 같이 보기[편집] 그레고리력 율리우스일 베르베르력 vdeh시간주요 개념 시간 영원 불로장생 영생 깊은 시간 역사 과거 현재 미래 미래학 시간의 측정과 표준 시간 측정 협정 세계시 (UTC) 세계시 (UT) 국제원자시 (TAI) 초 분 시 항성시 태양시 시간대 역표시 시계 시계학 계시 장치의 역사 아스트라리움 해상 시계 해시계 물시계 손목 시계 역법 날 주 달 년 태양일 항성일 태양년(회귀년) 항성년 태양력 태음태양력 그레고리력 태음력 윤초 윤주 윤달 윤년 메톤 주기(장법 · 19년 7윤법) 율리우스력 율리우스일 24시간제 12시간제 연대학 천문연대학 지질시대 지질학적 역사 지질연대학 연대 측정법 기년법 연호 연대기 연표 신화와 종교 불교의 시간 칼라 칼라차크라 예언 드림타임 철학 인과관계 영원회귀 사건 인속 이론 편속 이론 4차원주의 물리학 물리학에서의 시간 시공간 절대 시공간 T-대칭 시간의 화살 크로논 4차원 플랑크 시대 플랑크 시간 대통일 시대 시간 영역 상대성 이론 시간 팽창 중력 시간 팽창 조정 시간 고유 시간 생물학 시간생물학 일주기 생체 리듬 심리학 심리시간 분석법 반응 시간 시간 지각 표면적 현재 (가현재) 사회학과 인류학 미래학 시간 사용 연구 경제학 화폐의 시간 가치 시간 화폐 관련 항목 공간 타임 캡슐 시간 여행 박자 기호 시스템 시간 미터법 시간 단위 16진 시간 표기법 카르페 디엠 전거 통제 LCCN: sh85018840 GND: 4318310-4 BNF: cb11952376f (데이터) BNE: XX558693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율리우스력&oldid=24059422" 분류: 태양력율리우스 카이사르이탈리아의 발명품숨은 분류: 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العربيةܐܪܡܝܐ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БашҡортсаBoarisch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CatalàНохчийнCebuano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NordfriiskFryskGaeilgeGàidhlig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lokanoГӀалгӀай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Къарачай-малкъарKurdîKernowek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igureLietuviųLatviešuमैथिलीMalagasyМакедонски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Саха тылаSard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inaray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02: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율리우스력(Julian calendar)은 고대 로마의 정치가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기원전 46년에 제정해 기원전 45년부터 시행한 양력(陽曆) 역법이다. 율리우스력의 1년은 365일 또는 366일(4년에 한번)이다. 기원전 46년 이전까지 고대 로마에서는 태음력을 사용하였으며, 점차 계절의 변화(즉, 태양의 일주)를 고려해 태음력과 태양력을 섞어서 년(年)과 월(月)을 계산하였다. 이에 따라 특히 달을 계산하는 데 적지 않은 혼란과 계산의 착오가 생겼으며, 이러한 착오는 제사장이 임의로 수정하였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채택한 달력은 태양력을 기준으로 2월을 제외한 달은 모두 30일 또는 31일로 정함으로써 이전에 있던 번거로움을 한꺼번에 해소하였다. 율리우스력은 4년마다 2월 29일을 추가하는 윤년을 두어 율리우스력에서 평균 한 해 길이는 365.25일이다. 이는 365.2422일인 평균 태양년보다 0.0078일(11분 14초)이 길어서 128년마다 1일의 편차가 났기 때문에, 1582년부터 보다 정확한 그레고리력으로 점차 대체되었다. 현재(1901년 ~ 2100년) 그레고리력과 율리우스력의 차이는 13일로, 그레고리력 1월 14일은 율리우스력으로 1월 1일이 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B.C. 45년 이후 1월의 날짜는 몇 일이 되었는가? Assistant: 31 Human: 아래 바이에른_공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바이에른 공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바이에른 공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바이에른 공국 Herzogtum Bayern ← 555년 경 – 1623년 → 국기 문장 동 프랑크 왕국과 독일 왕국의 부족공국 (843년-962년) 신성 로마 제국의 제후 독일 왕국내의 바이에른 공국 (붉은색, 오스트리아 변경백령 포함)수도 레겐스부르크(1255년까지) 뮌헨 (1505년 이후 ) 정치정부 형태 봉건제역사역사   • 최초로 기록된 공작 가리발트 1세 555년 경 • 변경백 아르눌프가 공작을 맡음 907년 • 케른텐 분리 976년 • 오스트리아 분리 1156년 • 비텔스바흐 가문 상속 1180년 • 재통합 1503년 • 선제후령으로 승격 1623년 현재 국가 독일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슬로베니아 바이에른 공국 (Herzogtum Bayern)은 6세기부터 8세기 동안에 메로빙거 왕국의 남동쪽 변경 지역이였다. 바이에른인 부족들이 이곳에 정착하고 프랑크 왕국의 지배권 하에 있는 공작 (수령)들의 통치를 받았다. 9세기 말 카롤링거 제국의 쇠퇴 시기에 이 지역에서 새로운 공국이 만들어졌다. 독일 왕국과 신성 로마 제국으로 발전하는 동 프랑크 왕국의 부족공국 중 하나가 되었다. 오토 왕조 시기의 내부 갈등으로, 바이에른 지역은 976년에 새롭게 생겨난 케른텐 공국의 분리로 상당히 줄어들었다. 1070년과 1180년 사이 신성 로마 황제들은 다시 바이에른, 특히 공작 가문 벨프 가문과 겨루었다. 벨프 가문과 호엔슈타우펜 가문 사이의 최후의 분쟁에서 하인리히 사자공은 추방당했고 그의 바이에른과 작센 영지들을 신성 로마 황제 프리드리히 바르바로사에게 몰수당했다. 프리드리히 1세는 바이에른을 1918년까지 보유했던 비텔스바흐 가문에게 넘겨주었다. 바이에른 공작들은 1623년 30년 전쟁 기간에 선제후로 승격했다. 목차 1 지리 2 역사 2.1 옛 부족공국 2.1.1 아기롤핑거 가문 2.2 카롤링거 2.3 신 부족공국 2.3.1 루이트폴딩거 가문과 오토 왕조 2.3.2 벨프 가문 2.4 비텔스바흐 가문 3 같이 보기 4 각주 지리[편집] 중세 바이에른 부족공국은 오늘날의 독일 남부와 도나우 강을 따라있는 오스트리아 대부분, 동쪽으로 라이타 강 지류를 따라 뻗어있는 헝가리 국경까지에 해당했다. 노르트가우 변경백령 (이후 오버팔츠)과 같이 오늘날 바이에른 주의 알트바이에른이 포함되었으며, 슈바벤과 프랑켄 지역들을 제외되었다. 976년 케른텐 공국의 분리는 오늘날 슬로베니아의 인접한 크란스카 지역 뿐만 아니라 오늘날 오스트리아의 케른텐주와 슈타이어마르크주를 포함한 넓은 동알프스 지역들의 상실을 일으켰다. 동쪽의 오스트리아 변경백국 - 현재의 니더외스터라이히와 대략적 일치 - 역시도 1156년에 자신들만의 권리를 갖고 공국으로 승격했다. 수 세기가 흘러, 옛 부족공국에 있던 지역에서 티롤 백작령 또는 잘츠부르크 대주교령등이 제국 칙령을 얻어 분리독립을 하였다. 1500년부터 이 제국의 제후국들은 바이에른 관구의 회원국이다. 역사[편집] 바이에른의 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옛 부족공국[편집] 옛 바이에른 공국의 기원은 551/555년으로 추적해볼 수 있다. 연대기 작가 요르다네스의 저술서 게티카에서 그가 서술하길: "슈바벤인들의 지역은 동쪽으로는 바르바리이족, 서쪽으로는 프랑크족들이 있다 ..." 아기롤핑거 가문[편집] 제1공국이 막을 내릴때까지, 그곳의 모든 통치자들은 아기롤핑거 가문의 후손들이였다. 바이에른인들은 노르트가우 변경백령에서 나프 강을 따라 동쪽으로는 엔스 강까지 남쪽으로는 브레너 고개를 넘어 오늘날 남티롤의 아디제 강 상류에 해당하는 지역들을 식민화하였다. 처음으로 기록된 공작은 프랑크족 계열의 아기롤핑거 가문의 후예 바이에른의 가리발트 1세로, 넓은 자치성을 가진 메로빙거 왕조의 봉신으로서 555년부터 다스렸다. 동쪽 국경에 568년 인접한 지역인 보헤미아 숲 너머로 서슬라브족의 부족인 체코인들의 정착과 더불어 같은 시기 판노니아 유역에서 이탈리아 북부로 향하는 서게르만족의 부족 롬바르드족들의 이주와 잇따른 아바르족의 이주등 변화가 일어났다. 743년 경에 바이에른 공작 오딜로는 아바르족의 침입으로부터 보호를 요청하던 카란타니야 (이후 케른텐 변경백령과 거의 유사)의 슬라브족 유력자들을 봉신화시켰다. 넓은 자치권을 지닌 아기롤핑거 공작들의 거처는 도나우 강에 있는 과거 로마의 도시 카스트라 레기나 (Castra Regina)인 레겐스부르크였다. 기독교화 기간에 주교 코르비니아노는 724년 이전에 시간이 흘러 프라이징 교구의 토대를 세웠고; 7세기에 성 킬리안은 당시 튀링겐 공작이 다스리던 북쪽의 프랑켄 지역 선교를 했고, 742년 보니파시오가 그곳에 뷔르트부르크 교구를 세웠다. 레히 강 서쪽의 인접한 알레만니족 (슈바벤인)의 땅인 아우구스부르크는 주교구였다. 보니파시오가 739년 파사우 교구를 설립할 당시에 그는 지역에 초기 기독교 전통을 이전에 설립하는게 가능했었다. 남쪽에서는 성 루프레히트는 696년에 잘츠부르크 교구를 세웠으며, 아마 이후 그는 레겐스부르크에 있는 바이에른 공작의 궁정에서 바이에른의 테오도 2세를 세례를 해주며, “바이에른의 사도”가 되었다. 798년 교황 레오 3세는 잘츠부르크를 관구장으로, 레겐스부르크, 파사우, 프라이징, 사벤 (이후 브릭센)을 속교구로 하는등의 바이에른의 관구들을 신설했다. 카롤링거[편집] 카롤링거 왕조의 프랑크 제국의 부흥과 함께, 메로빙거 왕조 시절의 바이에른 공작들의 자치권은 사라졌다: 716년에 카롤링거 왕들은 튀링겐 공작이 한때 지녔던 북쪽의 프랑켄 지역들을 합병하였고, 그것으로 뷔르츠부르크 주교들이 높은 위치를 얻었다. 서쪽에서는 카롤링거 왕조의 궁재 카를로마누스는 746년 칸슈타트 피의 재판으로 알레만니인들의 최후의 반란을 진압했다. 바이에른 공작 타실로 3세가 롬바르드족들과의 동맹을 통해 자치권을 유지하려던 헛된 노력을 한 뒤, 바이에른은 768년에 마지막으로 통합된 옛 부족공국이 되었다. 샤를마뉴의 랑고바르드 왕국 정복은 타실로의 몰락을 수반했고, 788년에 폐위됐다. 바이에른은 프랑크족 행정관의 관리를 받았다. 신 부족공국[편집] 788년 경의 바이에른 817년 상속 협정으로, 샤를마뉴의 아들이자 후계자 루도비쿠스 1세 피우스는 카롤링거 제국의 통합을 유지하려 노력했다:그의 죽음으로 제국의 권위는 그의 맏아들 로타리우스 1세에게 넘겨진 반면에 어린 동생들은 제국 아래에 있는 왕국들을 받았다. 825년부터 루도비쿠스 2세 게르마니쿠스는 그의 권력의 중림지가 되었던 바이에른의 영지에서 “바이에른의 왕”이라 칭하였다. 형제들이 843년 베르됭 조약으로 제국을 나눌때, 바이에른은 루도비쿠스 2세 게르마니쿠스가 다스리는 동 프랑크 왕국의 일부가 되었고, 그 사후에 바이에른의 왕실 작위는 876년 그의 맏아들 카를로마누스에게 전해졌다. 옛 카란티야에서 자란 카를로마누스의 친아들 아르눌푸스 카린티아에는 880년 그의 아버지가 사망할 때 케른텐 변경백령 영토를 얻었고 887년에는 동 프랑크 왕국의 왕이 되었다. 케른텐와 바이에른은 정권의 본거지가 있는 레겐스부르크와 함께 그의 권력의 기반이였다. 바이에른인들의 지원으로 인하여, 아르눌푸스는 887년에 카롤루스를 상대로 야전에서 이길 수 있었고 다음 해 독일왕으로서 그의 선출을 확고히 했다. 899년 바이에른은 통치시기에 번번히 헝가리인들의 약탈이 일어났던 루도비쿠스 4세 인판스에게 넘어갔다. 이 습격에 대한 저항은 점점 약해졌고, 907년 7월 5일 거의 모든 바이에른 부족들이 그 무시무시한 적들을 상대로 프레스부르크 전투에서 몰살 당했다. 루도비쿠스 4세 인팍스 통치 시기, 바이에른의 넓은 영지를 보유한 샤이에른 백작 루이트폴트는 바이에른 방어를 위해 남동쪽 변경에 세워진 케른텐 변경백령을 다스렸다. 그가 907년 대전투에서 전사한 후, “악한” 이라는 별칭을 지닌 그의 아들 아르눌프는 동맹을 맺은 헝가리인들과 남은 바이에른 부족들을 결집하여 911년 바이에른 공작이 되었으며, 그의 통치하에서 바이에른과 케른텐이 하나로 합쳐졌다. 독일왕 콘라두스 1세는 아르눌프가 그의 왕의 우위성을 인정하는걸 거부하자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루이트폴딩거 가문과 오토 왕조[편집] 오스트리아, 케른텐, 베로나 변경백령을 지닌 976년의 바이에른 동 프랑크 왕국의 카롤링거 왕조의 통치는 아르눌푸스의 아들 루도비쿠스 4세 인판스가 후계자를 두지 못하고 사망하며 막을 내렸다. 중앙 정권의 부재는 독일의 부족공국들의 권력 증대를 불러왔다. 그 당시 동 프랑크 왕국, 특히 엔스 강 너머 바이에른의 오스트리아 변경백령 (marchia orientalis)은 헝가리인들의 침입으로 인한 커져가는 위협에 노출되어 있었다. 907년 바이에른 변경백 루이트폴트의 병력들이 프레스부르크 전투애서 괴멸을 당했다. 루이트폴트는 전투 중에 전사했고 그의 아들 아르눌프는 공작 작위를 맡아, 루이트폴딩거 가문 출신의 첫 바이에른 공작이 되었다. 하지만 오스트리아 변경백령은 헝가리인들에게 점령된 상태였고 판노니아 영토를 영영 상실하고 말았다. 그럼에도 자신감 넘치는 바이에른 공작들은 새롭게 세워진 독일 왕국과 분쟁을 겪고 있었다: 공작 아르눌프의 아들 에버하르트는 938년 독일의 왕 오토 1세에게 폐위를 당했으며, 그의 자리는 막내 동생 베르톨트가 이어받았다. 948년 오토는 결국엔 루이트폴링거 가문의 영향력을 박탈하고 그의 막내 동생 하인리히 1세를 바이에른 공작으로 세웠다. 늦은 베르톨트 공작의 미성년자 후계자인 하인리히 3세는 바이에른의 궁중백이라는 직위로 얼렁뚱땅 넘어가졌다. 루이트폴딩거 가문의 영향력을 되찾으려는 마지막 시도로서 참여한 오토의 아들인 슈바벤 공작 리우돌프의 반란은 954년에 진압되었다. 952년 공작 하인리히 1세는 오토 1세가 이탈리아의 베렌가리우스 2세에게서 차지한 베로나 변경백령을 받았다. 그는 여전히 헝가리인들의 위험을 대처해야할 필요가 있었고, 이들의 위협은 955년 레히펠트 전투에서 오토의 승리가 있을때까지 완전히 제거되지 못 했다. 마자르족들이 라이타 강과 모라바 강 너머로 퇴각하면서, 오늘날의 니더외스터라이히, 이스트리아, 크란스카 지역들로의 독일인들의 두번째 동방식민운동의 물결이 촉진되었다. 색슨 왕가의 분가 중 하나인 하인리히 1세의 오토 왕조 후손들의 통치에도 불구하고, 독일 (962년부터는 신성 로마 제국)왕궁에서의 바이에른 공작 분쟁은 계속되었다: 976년 신성 로마 황제 오토 2세는 그의 반항적이던 사촌인 바이에른 공작 하인리히 2세를 폐위시켜버리고 옛 바이에른의 영토에 케른텐 공국을 세우고 옛 루이트폴딩거 가문 출신의 궁정백 하인리히 3세에게 주었고, 동시에 그는 베로나 변경백이 되었다. 하인리히 2세가 985년에 오토의 미망인 테오파누와 화해하고 그의 공국을 되찾았음에도, 바이에른 공작들의 영향력은 오스트리아 변경백령을 통치하며 점점 더 독립성이 높아지던 프랑켄의 바벤베르크 가문의 성장으로 인해 더욱 감소하였다. 벨프 가문[편집] 벨프 가문의 문장 마지막 오토 왕조 출신 공작, 하인리히 2세의 아들 하인리히 3세가 1002년 로마인의 왕으로 선출됐다. 하인리히의 잘리어 후계자들이 유지한 전통에서 종속된 공작이나 심지어는 황제의 아들에 의해 여러번 바이에른 공국은 동군연합으로 독일왕들의 통치를 받았다. 이 시기는 안데흐 백작이나 비텔스바흐 가문 같은 많은 귀족 가문들의 성장이 있었다. 1061년 황후 푸아투의 아녜스는 작센 백작 노르트하임의 오토에게 봉토 하사를 했다. 그런데 그녀의 아들 로마왕 하인리히 4세는 불합리적인 곳에 있는 공국을 다시 차지했고 이것은 궁극적으로 1073년 작센 봉기을 일으켰다. 하인리히는 바이에른을 베로나의 후작이던 에스테 가문의 후손 중 한 명이자 앞으로 110년을 간헐적으로 공국을 통치한 벨프 가문의 조상인 벨프에게 맡겼다. 하인리히 4세에 의해 1070년부터 공작으로서의 벨프 가문의 통치 설립은 바이에른 공작의 재출현뿐이였다. 이 시기는 황제와 교황 사이의 서임권 투쟁이 특징이다. 교황의 편에 서면서 벨프 가문의 통치가 강해졌다. 로마인의 왕 선출에서 슈바벤의 호엔슈타우펜 가문과의 분쟁은 호엔슈타우펜의 콘라트 3세를 택해지고 1139년에 바이에른이 바벤베르크 가문에게 주어진 것으로 끝이 났다. 슈바벤 지역은 호엔슈타우펜 가의 통치 기간에 넓은 농촌이였다. 프랑켄도 점점 호엔슈타우펜의 힘의 중심지가 되어갔다. 프랑켄은 밤베르크 교구를 세우며 뷔르츠부르크 주교의 우위권을 얻었고, 새로운 세속 통치자는 벨프와의 화해[1]를 시도한 호엔슈타우펜의 프리드리히 1세에게 패배했고 1156년에 오스트리아 변경백령을 제외한 바이에른을 벨프 가문 하인리히 사자공에게 돌려주었다. 떨어져나간 오스트리아 변경백령은 이후 오스트리아 (Ostarrichi)의 중심이 되는 특권을 지닌 새로운 공국이며 바벤베르크 가문의 소유였다. 사자공 하인리히는 1158년에 뮌헨을 포함한 많은 도시들을 세웠다. 작센과 바이에른 두 공국의 통치자라는 강력한 그의 지위에도 불구하고, 프리드리히 1세 바르바로사와의 분쟁으로 이어졌다. 사자공 하인리히의 추방과 1180년에 사적 공국으로서 슈타이어마르크의 분리는 신 부족공국은 끝이 났다. 비텔스바흐 가문[편집] 보겐, 나중에는 비텔스바흐 가문의 문장 1180년부터 1918년까지, 비텔스바흐 가문은 공작, 이후에는 선제후, 왕으로서 바이에른의 통치자였다. 비텔스바흐 가문의 궁정백 오토 6세가 1180년 바이에른 공작 오토 1세가 되었고, 비텔스바흐 가문의 재산은 훨씬 나빴다. 하지만 다음 해 쟁취, 혼인, 상속을 통해 증가되었다. 새롭게 획득한 영토는 더이상 봉지로 주어지지 않고, 하인들에 의해 관리되었다. 또한 안데흐 백작들 같은 강력한 가문들이 이 시기에 사라졌다. 오토의 아들 비텔스바흐의 루트비히 1세는 1214년에 라인 궁정백령을 받았다. 이 당시 많은 곳들과는 반대로, 비텔스바흐 가문에게 장자 계승에 대한 선호가 없었기 때문에, 1255년에 팔츠(궁정백령)와 노르트가우 (뮌헨 중심)가 있는 상바이에른과 하바이에른 (란츠후트와 부르크하우젠 위치)의 분열이 있었다. 오늘날까지 상, 하바이에른이 구별된다 (예시: Regierungsbezirke). 잠깐의 재통합을 겪은 후 다시 분열이 되었음에도 바이에른은 1328년에 비텔스바흐 가문 출신 첫 신성 로마 황제가 된 루트비히 4세로 새로운 높은 권력을 얻었다. 그러나 새롭게 획득한 브란덴부르크 (1323년), 티롤 (1342년), 네덜란드의 홀란트, 제일란트, 프리슬란트, 에노 지역들은 그의 후임자들 시기에 상실하고 만다. 1369년에 티롤은 셰르딩 조약으로 합스부르크 가문에게 내주고 만다. 룩셈부르크 지역도 1373년에 네덜란드의 백작령들도 1436년에 부르고뉴 공국에게 잃고 만다. 1329년 파비아 조약에서 황제 루트비히는 팔츠 지역을, 라인팔츠와 이후 오퍼팔츠라고 불리게 될 지역으로 그의 소유권을 분할했다. 그럼에 따라, 궁중백에게 주어지는 선제후 작위를 상실했다. 1275년 바이에른 공작의 제한적인 통치를 인정하던 바이에른의 잘츠부르크는 최종적 단계에 이르렀다. 잘츠부르크 대주교는 1328년 그들만의 법령을 발표했고, 잘츠부르크는 신성 로마 제국내 넓은 독립 국가가 되었다. 1392년 분열 이후 바이에른의 영지 비텔스바흐 가문의 문장 14, 15세기에 상, 하바이에른은 반복적으로 분할되었다. 1392년 분열 이후에는 바이에른슈트라우빙, 바이에른란츠후트, 바이에른잉골슈타트, 바이에른뮌헨등 4개의 공국이 존재했다. 이 공작들은 서로를 상대로 자주 전쟁을 벌였다. 바이에른뮌헨 공작 알브레히트 4세가 전쟁, 장자 상속제를 통해 1503년 바이에른을 통일해냈다. 하지만 티롤의 쿠프슈타인, 키츠뷔엘, 라텐베르크에 있는 본래 바이에른의 직위들을 1504년에 상실하였다. 1506년 칙령에도 불구하고, 알브레히트의 장자 빌헬름 4세는 1516년에 동생 루트비히에게 바이에른을 공유할 것을 강요받았고, 이 합의는 1545년 루트비히가 사망할 때까지 지속됐다. 빌헬름은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왕 페르디난트 1세와 린츠 조약을 맺은 1534년까지 합스부르크 가문을 적대시하는 비텔스바흐 가문의 전통을 따랐다. 이 관계는 보헤미아 왕위 계승 사태에서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를 지지하며 슈말칼덴 동맹 기간 바이에른 공작의 도움을 얻은 1546년에 더욱 강해졌고, 라인 궁정백이 갖고 있는 선제후권을 누렸다. 빌헬름에게도 바이에른 지역의 가톨릭교회를 지켜내는데 중요한 시기이기도 했다. 개혁 교리는 공작이 교황으로부터 주교들과 수도원들에 대한 추가 권한을 얻었을때 공국 내에서 상당한 진척이 있었다. 그후로 그는 신교도들을 억누르를 조치를 취하였고, 많은 신교도들이 추방당했으며, 반면에 1541년에 그가 초청한 예수회 성직자들은 독일 지부의 본부인 잉골슈타트 예수회 학교를 세웠다. 1550년 3월에 빌헬름이 사망했고, 페르디난트 1세의 딸과 혼인한 그의 아들 알브레히트 5세가 그 뒤를 이어받았다. 그의 통치 초기 시절에 여전히 바이에른에서 강력한 이들이던 신교도들에 일부 허가를 했었다. 하지만 1563년에 그는 트리엔트 공의회의 칙령들을 지지하며 자세를 바꾸어, 반종교 개혁 활동을 추진했다. 예수회의 손에서 서서히 교육이 실시되면서, 개신교의 진행은 바이에른에서 효과적으로 멈추었다. 다음 공작이자 알브레히트의 아들 빌헬름 5세는 예수회의 교육을 받았고 예수회 교리에 열중한 관심을 보여주었다. 그는 1583년에 형제 에른스트를 위해 쾰른 대주교직을 마련해주었고, 이 직위는 200년 가까이 그의 가문에 유지되었다. 1597년 그는 아들 막시밀리안 1세를 위해 퇴위하였다. 막시밀리안은 1세는 바이에른 공국이 빚과 혼란으로 가득차 있음을 발견하고, 그의 강력한 통치 10년간은 눈에 띄울 만한 변화를 가져왔다. 재정과 사법 체계가 재조직되었고, 몇몇 작은 지역들은 공작의 권한 하에 들어갔다. 이에 대한 결과는 공국 내 통합과 질서였고 이것은 막시밀리안 1세가 30년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게 했다. 30년 전쟁 초기에 그는 1356년 이래로 비텔스바흐 본가가 누리던 선제후 직위와 오버팔츠를 차지하며 큰 성공을 거뒀다. 그렇게 세워진 바이에른 선제후령은 오늘날의 오버바이에른, 니더바이에른, 오버팔츠의 대부분으로 구성되었다. 같이 보기[편집] 바이에른 역대 통치자 각주[편집] ↑ Görich, Knut: Die Staufer. Herrscher und Reich. Munich 2006. p. 41. vdeh 신성 로마 제국의 바이에른 관구 (1500년–1806년)교권 제후국 베르히테스가덴 프라이징 니더뮌스터 오버뮌스터 파사우 레겐스부르크 잘츠부르크 성 에메람 수도원 세속 제후국 바이에른 브라이테네그 에렌펠스 하크 호엔발데크 뢰슈텐베르크 팔츠노이부르크 오르텐부르크 레겐스부르크 슈퇴른슈타인 팔츠줄츠바흐 줄츠뷔르그퓌르바움 1500년의 관구: 바이에른, 슈바벤, 라인강 상류, 라인강 하류–베스트팔렌, 프랑켄, 작센1512년의 관구: 오스트리아 관구, 부르고뉴, 오버작센, 선제후 라인강     ·     비관구 소속 영토 vdeh 슈바벤 동맹 (1488–1534) 자유제국도시 알렌 아우크스부르크 비버라흐 보핑겐 딘켈스뷔흘 도나우뵈르트 에슬링겐 깅겐 하일브론 이즈니 카우프보이렌 켐프텐 로이트키르히 린다우 메밍겐 뇌르틀링겐 풀렌도르프 라펜스부르크 로이틀링겐 슈베비슈그뮌트 슈베비슈할 위베를링겐 울름 방겐 바일 빔펜 귀족성 이외르겐 방패회영방국가 안스바흐 바덴 바이에른 바이로이트 팔츠 헤센 마인츠 트리어 뷔르템베르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바이에른_공국&oldid=24215915" 분류: 바이에른 공국유럽의 옛 나라신성 로마 제국의 공국907년 설립독일의 중세사숨은 분류: 정비가 필요한 옛 나라 문서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sturianu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FrançaisFryskGalegoעבריתHrvatski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Nederlands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3일 (월) 19:5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바이에른 공국(Herzogtum Bayern)은 6세기부터 8세기 동안에 메로빙거 왕국의 남동쪽 변경 지역이였다. 바이에른인 부족들이 이곳에 정착하고 프랑크 왕국의 지배권 하에 있는 공작 (수령)들의 통치를 받았다. 9세기 말 카롤링거 제국의 쇠퇴 시기에 이 지역에서 새로운 공국이 만들어졌다. 독일 왕국과 신성 로마 제국으로 발전하는 동 프랑크 왕국의 부족공국 중 하나가 되었다. 오토 왕조 시기의 내부 갈등으로, 바이에른 지역은 976년에 새롭게 생겨난 케른텐 공국의 분리로 상당히 줄어들었다. 1070년과 1180년 사이 신성 로마 황제들은 다시 바이에른, 특히 공작 가문 벨프 가문과 겨루었다. 벨프 가문과 호엔슈타우펜 가문 사이의 최후의 분쟁에서 하인리히 사자공은 추방당했고 그의 바이에른과 작센 영지들을 신성 로마 황제 프리드리히 바르바로사에게 몰수당했다. 프리드리히 1세는 바이에른을 비텔스바흐 가문에게 넘겨주었고 비텔스바흐 가문은 선제후국을 거쳐 바이에른 왕국이 멸망하는 1918년까지 바이에른을 보유하게 되었다. 바이에른 공작들은 1623년 30년 전쟁 기간에 선제후로 승격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하인리히 3세»는 언제 왕으로 선출됐을까? Assistant: 1002년
Human: 아래 WWE_페이퍼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WWE 페이퍼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WE 페이퍼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7월) 레슬매니아 26의 한장면 WWE 페이퍼뷰는 WWE에서 진행하는 페이퍼뷰를 말한다. 거의 한 달에 1회씩 진행되며, 레슬매니아를 제외한 나머지 페이퍼뷰는 모두 2시간 이상 진행이 된다. 목차 1 역사 2 진행 중인 페이 퍼 뷰(pay-per-view) 3 과거의 페이 퍼 뷰(pay-per-view) 4 인터내셔널 페이 퍼 뷰(pay-per-view) 5 최다 페이퍼뷰 메인이벤트 참가선수 역사[편집] 과거 WWWF시절에는 페이퍼뷰가 없었다면 70~80년 부터 페이퍼뷰가 시작되었다.또WWE역사상 최초로 알려진 페이 퍼 뷰는 WWF 시절 1985년 11월에 시카고에서 열린 더 레슬링 클래식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같은 해 3월에 펼치진 첫 번째 레슬마니아가 첫 페이 퍼 뷰이다. 처음 두 해의 레슬매니아가 성공가도를 달리게 되면서 레슬매니아 3가 프로레슬링 역사상 가장 유명해지게 되었고 페이 퍼 뷰 시스템의 확장으로 이어진다. 1987년 11월 29일 첫 번째 서바이벌 시리즈는 NWA의 최대 페이 퍼 뷰인 스타케이드와 대결을 하게 된다. WWE는 케이블 채널들이 스타케이드를 방영할 경우 앞으로 있을 WWE 페이 퍼 뷰 방영을 금지하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대부분의 메이저급 채널들은 서바이벌 시리즈를 방영하게 되었고 그 결과 스타케이드가 시청률이 저조해지면서 짐 크로켓 프로모션을 파산하게 된다. 1988년 1월 USA 네트워크를 통해 첫 번째 로얄 럼블이 방영되었는데 USA 네트워크 역사상 최고의 시청률을 자랑하면서 로얄럼블은 1989년부터 페이 퍼 뷰가 된다. 1988년 8월 메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첫 번째 서머슬램이 개최된다. 1993년에 로얄럼블은 1월, 레슬매니아는 3월 또는 4월, 썸머슬램은 8월, 서바이벌 시리즈는 11월에 열리면서 한 해를 대표하는 페이 퍼 뷰가 된다. (그 해 6월에 킹 오브 더 링이 첫 선을 보인다.) 1995년 5월에 WWE는 월마다 페이 퍼 뷰를 개최하기로 하지만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였다. 우선, WWE는 인 유어 하우스라는 브랜드를 도입하였는데 이는 1996년에 서로 인 유어 하우스라는 이름하에 서로 다른 부재를 가지고 시작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배드 블러드, 노 웨이 아웃) 최근에 WWE가 완벽한 월간 페이 퍼 뷰 시스템을 도입하기까지는 90년대 후반부터 2003년까지 1년에 12번의 페이 퍼 뷰가 개최되었다. 2004년에는 13번의 페이 퍼 뷰를, 2005년에는 14번의 페이 퍼뷰, 2006년에는 16번의 페이 퍼 뷰, 2007년에 14번의 페이 퍼 뷰를 개최하였다. 2008년에는 뉴 이어즈 레볼루션이 폐지되고 페이 퍼 뷰는 총 14번 개최하게 되었다. 미국에서는 인 디멘드, 디시 네트워크, DirecTV를 통해 방송하고 있다. WWE는 2003년까지 12번의 정식 페이 퍼 뷰 외에도 영국에서의 페이 퍼뷰를 개최하였으나, 브랜드 분리가 되면서 영국의 페이 퍼 뷰는 폐지가 되고 영국에서도 TV 쇼 녹화, 인터내셔널 투어 (하우스 쇼)가 펼쳐지게 된다. 현재 WWE는 레슬매니아 직후에 레슬매니아 리벤지 투어, 서바이벌 시리즈 투어를 연말에 영국에서 개최한다. 또한 러와 스맥다운 녹화도 이루어지고 있다. 호주에서는 메인에벤트 채널을 통해서 방영된다. 영국과 아일랜드에서는 스카이 스포츠1 채널과 스카이 박스오피스를 통해 방영된다. 2008년 로얄럼블을 시작으로 WWE 페이 퍼 뷰는 북미지역에서 HD 방송이 시작되고 영국과 아일랜드에서는 레슬매니아 26부터 HD 방식으로 방송되고 있다. 진행 중인 페이 퍼 뷰(pay-per-view)[편집] 2003년 6월 WWE는 브랜드 분리의 일한으로 브랜드별 페이 퍼 뷰를 진행한다. (러, 스맥다운, 2006년부터는 ECW 포함) 그러나 4대 페이 퍼 뷰라고 하는 로얄 럼블, 레슬매니아, 섬머슬램, 서바이벌 시리즈는 브랜드 분리와는 별개로 진행되었다. 2005년 후반부터 페이 퍼 뷰에서 브랜드간 교류전이 진행된다. 2007년 3월에 WWE는 예전 방식으로 3대 브랜드 통합으로 페이 퍼 뷰를 개최한다고 발표하고 2007년 백래쉬 (레슬매니아 XXIII 다음 페이 퍼 뷰)부터 시행된다. 2016년 7월 RAW, 스맥다운을 다시 분리하기로 결정하면서 2016년 9월을 기점으로 다시 브랜드별 페이 퍼 뷰를 진행하였으나, 2018년 5월부터 다시 PPV만 통합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날짜 이벤트명 장소 경기장 2018년 1월 28일 로열 럼블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웰스 파고 센터 2018년 2월 25일 일리미네이션 체임버 네바다주 패러다이스 T-모바일 아레나 2018년 3월 11일 패스트 레인 오하이오주 콜럼버스 네이션와이드 아레나 2018년 4월 8일 레슬매니아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 메르세데스-벤츠 슈퍼돔 2018년 4월 27일 그레이티스트 로열 럼블 메카 주 지다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2018년 5월 6일 백래시 뉴저지주 뉴어크 프루덴셜 센터 2018년 6월 17일 머니 인 더 뱅크 일리노이주 시카고 올스테이트 아레나 2018년 7월 15일 익스트림 룰스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PPG 페인츠 아레나 2018년 8월 19일 서머슬램 뉴욕주 브루클린 바클레이스 센터 2018년 9월 16일 헬 인 어 셀 텍사스주 샌안토니오 AT&T 센터 2018년 10월 6일 슈퍼쇼-다운 빅토리아주 멜버른 멜버른 크리켓 그라운드 2018년 10월 28일 에볼루션 뉴욕주 유니언데일 나소 베터런스 메모리얼 콜리시엄 2018년 11월 2일 크라운 주얼 리야드 주 리야드 킹 파흐드 국립 경기장 2018년 11월 18일 서바이벌 시리즈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스테이플스 센터 2018년 12월 16일 TLC: 테이블, 레더, 체어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 SAP 센터 앳 새너제이 과거의 페이 퍼 뷰(pay-per-view)[편집] 이벤트명 개최년도 참고사항 더 레슬링 클래식 1985년 빈칸 디스 튜즈데이 인 텍사스 1991년 빈칸 킹 오브 더 링 1985년~1989년1991년1993년~2002년2006년2008년2010년2015년 빈칸 인 유어 하우스 1995년~1999년 빈칸 오버 더 에지 1998년~1999년 오웬 하트의 추락사 이후 폐지. 풀리 로디드 1998년~2000년 빈칸 인베이젼 2001년 빈칸 배드 블러드 1997년2003년~2004년 빈칸 원 나잇 스탠드 2005년~2008년 2009년에는 익스트림 룰스로 명칭 변경됨. 디셈버 투 디스멤버 2006년 ECW만의 유일한 페이 퍼 뷰. 시청률 및 구매율 부진으로 폐지. 뉴 이어즈 레볼루션 2005년~2007년 WWE에서 페이 퍼 뷰 숫자를 다시 줄이면서 폐지. 언포기븐 1998년~2008년 빈칸 노 머시 1999년~2008년2016년~2017년 빈칸 사이버 선데이 2004년~2008년 타부 튜브데이 2004년~2005년사이버 선데이 2006년~2008년 아마게돈 1999년~2000년2002년~2008년 2001년 9.11테러 사건으로 인해 1년간 폐지시켰다가 2002년에 다시 개최.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2001년~2015년 벤전스 2001년~2007년, 2011년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2008년~2015년 노 웨이 아웃 1998년2000년~2009년2012년 빈칸 노 홀즈 바 1989년 영화와 페이퍼뷰가 함께 함. 저지먼트 데이 1998년2000년~2009년 빈칸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시 2004년~2009년 2009년에는 더 배시로 명칭 변경됨. 브레이킹 포인트 2009년 빈칸 브래깅 라이츠 2009년~2010년 빈칸 오버 더 리밋 2010년~2012년 빈칸 페이탈 4웨이 2010년 빈칸 캐피털 퍼니시먼트 2011년 빈칸 페이백 2013년~2017년 빈칸 배틀그라운드 2013년~2017년 빈칸 NXT 어라이벌 2014년 NXT 첫 페이퍼 뷰. 로드블럭 2016년 빈칸 그레이트 볼스 오브 파이어 2017년 빈칸 클래시 오브 챔피언스 2016년~2017년 빈칸 인터내셔널 페이 퍼 뷰(pay-per-view)[편집] 이벤트명 개최년도 참고사항 원 나이트 온리 1997년 1997년에 영국에서 개최. 유럽과 캐나다에서만 시청 가능. 캐피털 캐니지 1998년 1998년 영국에서 12월에 개최. 노 머시 (영국) 1999년 5월에 개최. 영국에서 개최되었으며 같은 해 미국에서 개최된 노 머시와는 다른 페이 퍼 뷰. 리벨리온 1999년~2002년 1999년과 2002년 10월에 개최됨. 2001년에는 11월, 2000년에는 12월에 개최. 인서렉션 2000년~2003년 2000년부터 2002년 5월에 개최됨. 2003년에는 6월에 개최. 더 비스트 인 이스트 2015년 7월에 개최. 일본에서 개최되었다. 최다 페이퍼뷰 메인이벤트 참가선수[편집] 순위 레슬러 참가 횟수 첫번째 페이퍼뷰 메인이벤트 마지막 페이퍼뷰 메인이벤트 1 디 언더테이커 68회 1991년 2017년 존 시나 2003년 3 트리플 H 67회 1998년 2016년 4 숀 마이클스 48회 1989년 2010년 5 랜디 오턴 44회 2003년 2017년 6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41회 1997년 2002년 7 케인 38회 1998년 2016년 8 더 락 33회 2013년 9 크리스 제리코 30회 2000년 2017년 10 에지 26회 1999년 2010년 바티스타 2003년 2014년 vdehWWE프로그램텔레비전 러 스맥다운 WWE 믹스드 매치 챌린지 NXT 메인이벤트 NXT UK 205 라이브 토탈 디바스 디바 서치 터프이너프 트리뷰트 투 더 트루프스 인터넷 메인이벤트 애프터번 보텀라인 익스피리언스 프리 포 올 빈티지 페이퍼뷰 로열 럼블 일리미네이션 체임버 패스트 레인 레슬매니아 머니 인 더 뱅크 WWE 슈퍼쇼-다운 스톰핑 그라운즈 익스트림 룰스 서머슬램 헬 인 어 셀 클래시 오브 챔피언스 서바이벌 시리즈 TLC: 테이블, 레더, 체어 NXT 페이퍼뷰 NXT 테이크오버 WWE 네트워크 스페셜 WWE 유나이티드 킹덤 챔피언십 라이브 WWE 크루저웨이트 클래식 더스티 로즈 태그팀 클래식 WWE 유나이티드 킹덤 챔피언십 토너먼트 WWE 매영 클래식 스타케이드 WWE 그레이티스트 로열 럼블 WWE 크라운 주얼 사라진 페이퍼뷰 뉴 이어스 레벌루션 벤전스 페이백 언포기븐 그레이트 볼스 오브 파이어 배틀 그라운드 사이버 선데이 아마게돈 노 머시 노 웨이 아웃 저지먼트 데이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시 디셈버 투 디스멤버 더 레슬링 클래식 디스 튜즈데이 인 텍사스 로드블럭 인 유어 하우스 오버 더 에지 풀리 로디드 인베이젼 노 홀즈 바 브레이킹 포인트 브래깅 라이츠 오버 더 리밋 원 나이트 온리 캐피털 캐니지 노 머시 (영국) 리벨리온 에볼루션 백래시 인서렉션 캐피털 퍼니시먼트 페이탈 4웨이 NXT 어라이벌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더 비스트 인 더 이스트 라이브 프롬 매디슨 스퀘어 가든 킹 오브 더 링 배드 블러드 로드블록 과거 제휴 단체 플로리다 챔피언십 레슬링 딥 싸우스 레슬링 하트랜드 레슬링 어소시에이션 인터내셔널 레슬링 어소시에이션 멤피스 챔피언십 레슬링 얼티메이트 프로 레슬링 오하이오 밸리 레슬링 인물 동창생 명예의 전당 관련 행사 WWE 드래프트 관련 사업 WBF (구) XFL XFL WWE 스튜디오 WWE 네트워크 브랜드별 챔피언 타이틀러 WWE 유니버셜 챔피언십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 WWE 러 태그팀 챔피언십 WWE 러 위민스 챔피언십 스맥다운 WWE 챔피언십 WWE 인터콘티넨털 챔피언십 WWE 스맥다운 태그팀 챔피언십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 205 라이브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유나이티드 킹덤 (UK) WWE 유나이티드 킹덤 챔피언십 WWE UK 태그팀 챔피언십 NXT UK 우먼스 챔피언십 NXT UK 태그팀 챔피언십 NXT WWE NXT 챔피언십 WWE NXT 노스 아메리칸 챔피언십 WWE NXT 태그팀 챔피언십 WWE NXT 위민스 챔피언십 기타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 WWE 24/7 챔피언십 트리플 크라운 챔피언십 그랜드 슬램 챔피언십 앙드레 더 자이언트 기념 배틀 로얄 사라진 챔피언 타이틀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E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WWE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WWE 유러피언 챔피언십 WWE 하드코어 챔피언십 (구)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WWE 위민스 챔피언십 WWE 디바스 챔피언십 밀리언 달러 챔피언십 WWE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WWF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WWE_페이퍼뷰&oldid=24016748" 분류: WWE 페이퍼뷰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7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CatalàDansk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ItalianoNederlands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ไทย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2일 (금) 16:1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WWE 페이퍼뷰는 WWE에서 진행하는 페이퍼뷰를 말한다. 거의 한 달에 1회씩 진행되며, 레슬매니아를 제외한 나머지 페이퍼뷰는 모두 2시간 이상 진행이 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첫 로얄럼블이 방송된 연도가 언제야? Assistant: 1988년 Human: 아래 나주_기오정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나주 기오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나주 기오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나주 기오정(羅州 寄傲亭) 전라남도의 문화재자료 종목 문화재자료 제266호 (2008년 4월 11일 지정)수량 1동시대 조선시대위치 나주 회진리주소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회진리 74-1(동촌마을 영산강변)좌표 북위 34° 59′ 56″ 동경 126° 40′ 13″ / 북위 34.99889° 동경 126.67028°  / 34.99889; 126.67028좌표: 북위 34° 59′ 56″ 동경 126° 40′ 13″ / 북위 34.99889° 동경 126.67028°  / 34.99889; 126.67028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나주 기오정(羅州 寄傲亭)은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회진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2008년 4월 11일 전라남도의 문화재자료 제266호로 지정되었다. 목차 1 개요 2 현지 안내문 3 각주 4 참고 자료 개요[편집] 나주 기오정은 영산강 강안의 높직한 대지위에 건립되어 주변의 경치를 관상하기에 좋다. 기오정은 반남박씨 박세해(朴世楷, 1615-1698)가 1669년(현종 10)에 처음 건립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남박씨는 이 지역에 시조묘를 둔 성관이지만, 관직 등으로 이곳을 떠나 거주하다가, 17세기 중반 경에 박세해가 나주 회진에 시거(始居)한다. 박세해는 회진 시거 이후 기오정을 건립하고 문인과 교류하고 후학을 지도하면서 지냈다. 1693년(숙종 19) 79세에 부부가 함께 회혼연때 박세채(1631-1695, 재종제), 박세당(1629-1703, 삼종재), 유상운(1636-1707), 최석정(1646-1715), 이건명(1663-1722), 임영(1649-1696) 등이 축하시를 지었다고 한다. 박세해의 교지 9매도 후손가에 전해지고 있다. 기오정은 정면 4칸 측면 3칸의 규모로 팔작지붕집이다. 공간구성은 서쪽 2칸은 마루이며 동쪽 2칸은 방과 툇마루로 구성되었다. 1669년 처음 건립한 이후 1745년(영조 21)과 1934년경, 1981년경에 각각 중수를 하였다. 안에는 중수기문 2개, 유상운(柳尙運, 1636~1707)을 비롯한 문인과 후손의 현판 9개가 걸려 있다. 나주 기오정은 영산강변에 위치한 여러 정자들과 함께 문인 교류와 후학 강학의 장소로 쓰였던 공간이다. 원래는 조선시대 후기(17세기)에 건립하였으며 몇 차례 중수를 거쳤다. 높직한 대지위에 건립되었으며 방과 마루를 갖춘 4칸의 재실형 정자로서 의미가 있다. 현지 안내문[편집] 영산강 주변의 수려한 경관을 관망할 수 있는 곳에는 어김없이 정자가 서 있다. 기오정은 반남 박씨 박세해가 55세 되는 해인 1669년(현종 10)에 지은 정자이다. 현판은 이광사의 친필로 전해지며 정자 이름은 중국 도연명의 귀거래사에서 땄다고 한다. 현재의 건물은 1981년에 부분 보수한 것이다. 박세해는 1615년(광해군7) 정지중추부사 박호(남평현감 역임)의 둘째아들로 태어나 4살 때 어머니를 여의고 23세 때 중병을 얻어 벼슬길에 나아갈 수 없어 세거지인 양주를 떠나 요양 차 나주 회진으로 이주하여 정자를 짓고 자연과 더불어 살았다. 정자는 반남박씨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다.[1] 각주[편집] ↑ 현지 안내문 인용 참고 자료[편집] 나주기오정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이 문서에는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한 국가문화유산포털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vdeh 대한민국의 누정서울 경회루 낙천정 망원정 보신각 부용정 봉황각 석파정 세검정 아소정 오운정 용양봉저정 용왕정 탑골공원 팔각정 향원정 황학정 부산 노을정 망미루 모연정 세심정 야망정 영가대 하마정 해월정 대구 관수정 동계정 봉무정 소계정 수월루 압로정 이노정 태고정 하목정 하엽정 원호루 인천 연미정 광주 만귀정 만취정 부용정 양과동정 취가정 풍암정 풍영정 호가정 환벽당 대전 백운루 삼매당 옥류각 취백정 울산태화루세종 독락정 경기 금수정 대성원 반구정 보산정 봉황정 사은정 산영루 세심정 애련정 영월루 육괴정 택승정 항미정 화석정 강원 경포대 고석정 금강정 금란정 방해정 소양정 오성정 요선정 운암정 월파정 의상대 자규루 조양루 죽서루 천학정 청간정 학음정 해암정 합강정 해운정 호해정 충북 가학루 관란정 관어대 경호정 금남루 금병헌 금호루 낙건정 독락정 동고정 무농정 봉양정 빙옥정 삼호정 세심정 양신정 여의정 월송정 읍청루 응청각 채하정 청녕각 침강정 탁사정 팔영루 한벽루 한천정 함벽정(영동) 함벽정(청주) 화수루 화수정 충남 공북루 광복루 경이정 노은정 반월루 백화정 사송정 사자루 쌍수정 석송정 수북정 여민루 여하정 영남루 영일루 우화루 원산정 이수정 임리정 진남루 청허정 팔괘정 화암정 전북 고무정 광제정 광한루 구암정 귀래정 낙덕정 만취정 무진정 벽남정 사계정 송정 쌍계정 수덕정 수선루 수운정 쌍벽루 아석정 어은정 어필각 연파정 영광정 영모정 영월정 양요정 오괴정 오리정 운서정 월파정 육모정 자락정 자천대 추천대 취석정 태고정 퇴수정 풍욕정 피향정 학남정 한벽당 한풍루 함벽루 함벽정 전남 거연정 고사정 관어정 광풍각 기영정 기오정 낙민루 남극루 남휘루 남희정 독수정 동백정 만호정 면앙정 명옥헌 물염정 방춘정 방호정 벽류정 부춘정(영암) 부춘정(화순) 사인정 상월정 석문정 세연정 송강정 송석정 식영정(담양) 식영정(무안) 쌍계정 여택정 연계정 영벽정 영보정 영팔정 용호정 운조루 운흥정 자형정 장범루 장암정 장춘정 정수루 죽림정 척서정 청계정 초연정 침계정 침류정 한후정 함허정 호은정 환산정 회사정 회선정 경북 경체정 관가정 귀래정 귀애정 낙강정 뇌풍정 도암정 동계정 만귀정 만세루 만우정(안동) 만우정(청송) 만휴정 망미정 망양정 매학정 모은정 방초정 백운정 벽송정 벽절정 병암정 봉황대 부나원루 분옥정 사미정 산수정 삼괴정 삼귀정 삼휴정 선몽대 소류정 송만정 수봉정 시북정 만취정 야일당 야옹정(봉화) 야옹정(예천) 약천정 영이정 옥간정 월송정 용암정 일신재 일우정 조양각 천운정 청간정 청암정 초간정 침락정 침류정 쾌재정 태고정 포석정 화수루 경남 거연정 건계정 계림정 관수루 관수정 광암정 광풍루 교수정 기양루 농산정 농월정 뇌룡정 망경루 무진정 문암정 벽한정 봉명정 부사정 부용정 비봉루 삼은정 소천정 심소정 쌍계루 수암정 악양루 악양정 연화대 영남루 오연정 완재정 요수정 우곡정 월연정 일원정 정암루 청학루 촉석루 취수정 팔영루 학사루 함벽루 함화루 현산정 호연정 제주 관덕정 연북정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나주_기오정&oldid=20145027" 분류: 대한민국의 누정전라남도의 문화재자료나주시의 문화재나주시의 건축물반남 박씨1669년 완공된 건축물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공공누리 제1유형 저작물을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7년 11월 26일 (일) 23:5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나주 기오정(羅州 寄傲亭)은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회진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2008년 4월 11일 전라남도의 문화재자료 제266호로 지정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기오정을 처음 건립한 인물은 누구일까? Assistant: 박세해
Human: 아래 이면상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면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면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운정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면상/리면상기본 정보예명 이운정출생 1908년 4월 8일 대한제국 함경남도 함주군사망 1989년 6월 2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직업 작곡가장르 트로트,혁명송가, 혁명가극활동 시기 1930년대 ~ 1970년대 이면상(李冕相, 문화어: 리면상, 일본식 이름: 街村冕相, 1908년 4월 8일 ~ 1989년 6월 25일[1])은 일제 강점기부터 대중음악 작곡가로 활동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음악인이다. 이운정(李雲亭)이라는 예명도 사용했다. 목차 1 생애 2 같이 보기 3 참고자료 4 각주 생애[편집] 함경남도 함주군 출생이다. 함흥부의 2년제 사범학교를 졸업하고 원산부에서 보통학교 교사로 일하면서 민요와 동요를 연구했다. 광주학생운동과 관련된 벌교노동조합 총회에서의 사상고취 사건에 연루[2] 되어 교직을 그만두게 되자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다. 일본에서 본격적으로 음악 공부를 하고 1933년 서울로 돌아온 이후 민요를 작곡하며 활발히 활동했다. 초기에는 주로 서정적인 내용에 민족 의식이 은근히 담긴 민요풍의 음악을 작곡했다. 1933년에 만들어진 〈폐허에서〉가 민족적 정서를 담은 현실 비판적 가사 때문에 금지곡 판정을 받은 것이 그 예이다.[3] 그러나 중일 전쟁 발발 후인 1930년대 후반부터 시국 가요를 창작[4] 해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선정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음악 부문에 포함되었다. 1937년 열린 '황국위문조성 조선문예회 신작발표애국다교대회’에 시국 가요 네 편을 출품한 기록이 있으며, 이후 〈종군간호부의 노래〉, 〈정의의 사여〉, 〈총후의남(銃後義男)〉등 군국 가요를 잇따라 발표했다. 태평양 전쟁 종전 후 고향인 함흥에서 활동하면서 자연스럽게 월북 예술인이 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함남 음악건설동맹 위원장에 오른 것을 시작으로 북조선음악건설동맹 위원장을 지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대표하는 음악인으로 활동했다. 1948년 최고인민회의 초대 대의원에도 뽑혔다. 이면상은 김순남 등 몰락한 것으로 알려진 남로당 계열의 월북 음악인들과는 달리 정치적으로도 크게 성공했다. 평양음악대학 총장을 역임하고 1971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의 위원을 맡았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민예술가 칭호를 받았다. 묘지는 애국렬사릉에 마련되어 있다.[5] 일제 강점기에 작곡한 신민요 음악으로는 김상희가 다시 불러 널리 알려진 〈울산 큰애기〉가 유명하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빛나는 조국〉, 〈김일성 원수님 만세〉, 〈눈이 내린다〉, 〈영광의 땅 보천보〉를 비롯하여 정치적인 내용을 담은 노래를 다수 창작했다. 혁명가극의 대표격인 《피바다》(1971) 창작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가극혁명을 주도하기도 했다. 같이 보기[편집] 피바다 참고자료[편집] 강옥희,이영미,이순진,이승희 (2006년 12월 15일). 《식민지시대 대중예술인 사전》. 서울: 소도. 248~250쪽쪽. ISBN 978-89-90626-26-4.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유윤종 (2000년 6월 14일). “'울산 아가씨' 작곡가 北이면상 작품으로 밝혀져”. 동아일보.  각주[편집] ↑ 강은지 (2003년 4월 1일). ““‘만고강산 유람할 제…’못다한 노래 불러주고 싶었다””. 민족21. 2005년 1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5월 5일에 확인함.  ↑ 광주학생독립운동 기념회관, 벌교노동조합총회시사상고취사건 (1928년) ↑ 홍정규 (2006년 12월 6일). “일제시대 `검열 통제 실태` 한눈에”. 연합뉴스.  ↑ 이준희 (2003년 7월 25일). “일제 침략전쟁에 동원된 유행가, ‘군국가요’ 다시 보기 (8) - 〈종군간호부의 노래〉”. 오마이뉴스. 2008년 7월 3일에 확인함.  ↑ 차문석 (2006년 8월 13일). “북한의 열사릉, 그 상징과 폭력: 혁명열사릉과 애국열사릉”. 프로메테우스. 2013년 1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5일에 확인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면상&oldid=24170438" 분류: 1908년 태어남1989년 죽음일제 강점기의 작곡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작곡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애국렬사친일인명사전 수록자함경남도 출신숨은 분류: 문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CS1 관리 - 여러 이름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9일 (목) 01: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리면상(李冕相, 표준어: 이면상, 일본식 이름: 街村冕相, 1908년 4월 8일 ~ 1989년 6월 25일)은 일제강점기부터 대중음악 작곡가로 활동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음악인이다. 이운정(李雲亭)이라는 예명도 사용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면상의 곡 <폐허에서>가 금지곡이 된 이유가 뭐야? Assistant: 민족적 정서를 담은 현실 비판적 가사 때문에 Human: 아래 조병갑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조병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병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병갑(趙秉甲, 1844년 5월 15일 ~ 1911년 5월 23일)은 조선 후기,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초기의 문신이고 부패한 탐관오리이자 동학 농민 운동의 원인 제공 관련자이다. 본관은 양주(楊州). 목차 1 생애 2 같이 보기 3 가계 4 관련 작품 5 각주 6 외부 링크 생애[편집] 조규순의 서자, 조두순의 서조카. 1892년 고부 군수 재직 중 농민들을 강제로 동원해 만석보를 쌓았다. 그는 이곳의 물을 받는 논에 첫해에는 수세를 물리기 않겠다는 약속을 어기고 이를 징수하였다. 약속을 어긴것에 격분한 농민들은 1894년 1월 관아를 습격하고 헐어버렸다.[1] 그 뒤 자신의 모친상 때 부조금 2000냥을 안 거둬 주었다는 이유로 전창혁(전봉준의 아버지)에게 곤장형을 가하여 때려죽였다.[2] 악행, 악정(惡政)으로 굶주린 주민들을 쥐어뜯었다. 불효를 포함한 희한한 죄명을 만들어 보석금을 내게 하고 대동미를 쌀 대신에 돈으로 거두고 그것으로 저질의 쌀을 사서 중앙에 상납하고 차액은 횡령, 착복했다. 이는 전봉준 등 농민들의 반발을 초래했고 동학 농민 운동을 초래하였다. 전라북도 고부 지역에서 시작된 동학 농민 운동은 주변지역으로 삽시간에 확대됐다.[3] 중앙 정계에 든든한 배경을 갖고 있었던 그는 동학 농민 운동으로 1년여 동안 (당시 강진군) 고금도에서 근신하는 척하다가 복권되었다.[4] 그 뒤 동학교주 최시형에게 사형을 선고하는 고등재판관으로 승진하였다.[4] 같이 보기[편집] 전봉준 동학 농민 운동 김개남 최시형 최제우 조기숙 가계[편집] 조부 : 조진익(趙鎭翼) 조모 : 반남박씨, 박종악의 딸 아버지 : 조규순(趙奎淳), 태인 군수를 지냄 어머니 : 미상 형님 : 조병섭(趙秉燮) 교관, 조두순(趙斗淳)에게 입양 형님 : 조병협(趙秉協, 1830~?) 대교 전처 : 전주 이씨 이병양(李秉兩), 판서 이병문(李秉文)의 딸 장남 : 조강희(趙岡熙, 1889~?) 손자 : 조중완(趙重完) 후처 : 청송 심씨, 부사 심영규(沈永奎)의 딸 차남 : 조찬희(趙瓚熙, 1880~?) 진사 역임 장녀 : 김태규(金泰圭)에게 시집 감 아래의 아들들은 어느 배우자와의 사이에서 낳은 자식인지 정확히 알 수 없음. 삼남 : 조창희(趙昌熙, 1876~?, 생원시 급제[5]) 사남 : 조승희(趙昇熙) 오남 : 조정희(趙晶熙)[6] 관련 작품[편집] 《녹두꽃》 (SBS, 2019년; 배우: 장광) 각주[편집] ↑ 만석보에 테마공원 세운다 - 1등 인터넷뉴스 조선닷컴 ↑ 月刊朝鮮 monthly.chosun.com ↑ ::: 미디어오늘 ::: ↑ 가 나 밤중에 받은 뇌물, 아침이면 소문나 - 오마이뉴스 ↑ 조창희의 사마방목, 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SA_6JOc_1891_038710&curSetPos=3&curSPos=0&isEQ=true&kristalSearchArea=B ↑ 위의 조승희와 조정희는 조창희의 사마방목에 조창희의 아우로 기재되어 있다. 외부 링크[편집] 조병갑 두산백과사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조병갑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병갑&oldid=24477962" 분류: 1844년 태어남1911년 죽음조선의 문신동학농민운동 관련자대한제국의 관료일제 강점기의 관료양주 조씨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5일 (화) 11: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조병갑(趙秉甲, 1844년 5월 15일 ~ 1912년 5월 23일)은 조선 후기,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초기의 문신이고 부패한 탐관오리이자 동학농민운동의 원인 제공 관련자이다. 본관은 양주(楊州)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전봉준의 아버지는 누구입니까? Assistant: 전창혁
Human: 아래 MQ-9_리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MQ-9 리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MQ-9 리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MQ-9 리퍼 종류 UCAV원산국 미국제조사 제너럴 아토믹스 에어로노티컬 시스템첫 비행 2001년 2월 2일주요 사용자 미국 공군미국 국경수비대 영국 공군 Aeronautica Militare 생산 대수 57사업 비용 118억달러[1]단가 1억 5440만달러(2011) - 무인기 4대(대당 3035만달러(2011)[1]), 지상통제소, 인공위성 링크 포함 가격개발 원형 MQ-1 프레데터 리퍼는 조종사와 센서 담당자 2명이 원격조종한다. MQ-9 리퍼(영어: General Atomics MQ-9 Reaper)는 미국의 UAV이다. 원래는 프레데터 B(영어: Predator B)라고 불렸다. 미국 공군, 미국 해군, 영국 공군을 위해 개발되었다. MQ-9은 장시간, 고고도 체공을 하는 최초의 hunter-killer UAV 이다.[2] 최대이륙중량 1톤, 최대고도 10 km인 MQ-1 프레데터를 4.7톤, 15 km으로 크게 개조한 것이다. 글로벌 호크는 10톤, 20 km이다. MQ-1 프레데터의 지상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MQ-9 리퍼는 950마력의 엔진을 사용한다. MQ-1 프레데터의 115마력 엔진보다 8배 이상의 고출력이다. 이러한 고출력은 15배 더 무거운 무장을 가능하게 하며, 순항속도를 3배 더 빠르게 한다.[2] 프레데터가 60억원인데 비해, 리퍼는 360억원이다. 목차 1 해외수출 1.1 네덜란드 1.2 프랑스 1.3 이탈리아 1.4 스페인 1.5 영국 2 사용자 3 사고기록 4 제원 5 더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해외수출[편집] 네덜란드[편집] 2013년 11월 21일, 네덜란드 국방부는 새로운 MALE UAV로 MQ-9 리퍼를 선택했다고 발표했다. 지상국 1대, 4대의 리퍼를 수입할 것이며, 2대는 합성개구레이다(SAR), 2대는 광학카메라를 장착했다. 프랑스[편집] 2013년 5월 31일, 장-이브 르 드리안 프랑스 국방장관은 EADS 하르팡을 대체하기 위해, 2대의 리퍼를 연말까지 도입한다고 확인했다. 2013년 6월 27일, 미국 국방부 국방안보협력국(DSCA)은 프랑스에 16대의 비무장 리퍼를 15억 달러에 수출할 것이라고 의회에 통보했다. 이탈리아[편집] 2008년 8월 1일, 이탈리아는 미국 국방부 국방안보협력국(DSCA)에 대외군사판매(FMS) 요청을 하였다. 4대의 리퍼, 4대의 지상국, 5년의 정비유지를 포함해 3억 3천만 달러어치의 계약이다. 스페인[편집] 2015년 8월 6일, 스페인 국방부는 리퍼 4대와 지상국 2대를 2016년 2500만 유로 (2700만 달러)에, 5년 동안 1억 7100만 유로에 구매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영국[편집] 2006년 9월 27일, 미국 국방부 국방안보협력국(DSCA)는 영국에 2대의 리퍼를 수출한다고 미국 의회에 통보했다. 2007년에 3번째 리퍼를 계약했다. 2011년 5월 현재, 리퍼 5대가 작전중이며, 5대를 추가 계약했다. 사용자[편집] 미국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네덜란드 사고기록[편집] 2011년 12월 13일, 아프리카 동부 인도양의 세이셸의 미군 드론 기지에서 MQ-9 리퍼가 착륙에 실패했다. 2012년 4월 5일 세이셸의 미군 드론 기지에서 MQ-9 리퍼가 착륙에 실패했다. 2015년 11월 24일, 아프가니스탄 바그람 공군 비행장 근처에서 MQ-9 리퍼가 추락했다. 2016년 2월 21일, 아프가니스탄 칸다하르 공군 비행장에서 MQ-9 리퍼가 추락했다. 제원[편집] MQ-9 리퍼 일반 특성 승무원: 없음 착륙 방식: 활주로 이륙 방식: 활주로 길이: 36 ft (11 m) 날개폭: 66 ft (20 m) 높이: 12.5 ft (3.6 m) 기체중량: 4,900 lb (2,223 kg) 연료량: 4,000 lb (1,800 kg) 최대이륙중량: 10,500 lb (4,760 kg) 엔진: Honeywell TPE331-10 터보프롭 엔진, 900 마력(671 kW), 디지털 엔진 제어[3] 성능 최고속도: 260 노트 (482 km/h, 300 mph) 순항속도: 150–170 노트 (276–313 km/h, 172–195 mph)[4] 항속거리: 3,200 nmi (5,926 km, 3,682 mi) 지속시간: 14–28 시간 (14 시간, 완전무장)[5] 화물: 3,800 lb (1,700 kg) 내부: 800 lb (360 kg) 외부: 3,000 lb (1,400 kg) 최대고도: 50,000 ft (15 km) 작전고도: 25,000 ft (7.5 km)[6] 센서 AN/APY-8 Lynx II radar[7] AN/DAS-1 MTS-B Multi-Spectral Targeting System[8] 무장 하드포인트 7개 최대 1,500 lb (680 kg), 양쪽 날개 안쪽[9] 최대 750 lb (340 kg), 양쪽 날개 가운데[9] 최대 150 lb (68 kg), 양쪽 날개 바깥쪽[9] AGM-114 헬파이어 공대지 미사일 14발 또는 AGM-114 헬파이어 공대지 미사일 4발과 500 lb (230 kg) GBU-12 페이브웨이 II 레이저유도 폭탄 2발 페이브웨이 대신 500 lb (230 kg) GBU-38 JDAM 가능 AIM-92 스팅어 공대공 미사일 더 보기[편집] MQ-1 프레데터 한국형 중고도 무인기 개발사업 RQ-3 다크스타 코랙스 다소 nEUROn EADS 바라쿠다 각주[편집] ↑ 가 나 http://costofwar.com/en/publications/2011/analysis-fiscal-year-2012-pentagon-spending-request/ ↑ 가 나 “'Reaper' moniker given to MQ-9 unmanned aerial vehicle”. 2012년 5월 27일에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27일에 확인함.  ↑ Tech Spotlight – TPE331-10 Turboprop - Honeywell Aerospace Engineering. Honeywell.com. Retrieved on 2010-09-08. ↑ Reaper UAV To Receive Improved Targeting From Raytheon : Satnews Publishers. Satnews.com (2008-09-24). Retrieved on 2010-09-08. ↑ MQ-9 Reaper Hunter/Killer UAV Archived 2010년 11월 22일 - 웨이백 머신. Defense-update.com. Retrieved on 2010-09-08. ↑ “Field Army ISTAR Handbook (Restricted)” (PDF). 2008년 5월 1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5월 5일에 확인함.  ↑ Lynx / AN/APY-8 Archived 2010년 1월 5일 - 웨이백 머신. Defense-update.com (2006-08-23). Retrieved on 2010-09-08. ↑ AN/DAS-1 Multi-spectral Targeting System (MTS) - B (United States) - Jane's Electronic Mission Aircraft. Janes.com (2010-03-15). Retrieved on 2010-09-08. ↑ 가 나 다 A.F T.O. 1Q9(M)A-1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MQ-9 리퍼 MQ-9 "Reaper" Predator B UAV Defense Update Reaper - Global Security General Atomics MQ-9 Reaper (Predator B) - Designation Systems Balad Air Base, Iraq Missile strike emphasizes Al-Qaida Photo of an RAF Reaper vdeh사용 중인 미국의 군용기전투기 AV-8B 해리어 II F-15 F-15E F-16 F/A-18 호넷 F/A-18E/F 슈퍼 호넷 F-22 랩터 F-35 라이트닝 II 폭격기 B-52 스트래토포트리스 B-1 랜서 B-2 스피릿 정찰기 GNAT-750 MQ-1 프레데터 RQ-2 파이오니어 RQ-4 글로벌 호크 RQ-7 섀도 MQ-9 리퍼 록히드 U-2 MQ-1C 워리어 수송기 C-2 그레이하운드 C-5 갤럭시 C-9 스카이트레인II C-17 글로브마스터III C-20 걸프스트림III C-21 리어젯 보잉 C-22 보잉 C-32 C-37 걸프스트림V C-40 클리퍼 C-130 허큘리스 C-130J 슈퍼 허큘리스 C-135 스트래토리프터 조기경보기 E-2 호크아이 E-3 센트리 E-8 조인트스타스 훈련기 T-1 제이호크 T-37 트윗 T-38 탤론 보잉 T-43 T-6 텍산 II T-34 멘터 T-39 사브렐라이너 T-2 버크아이 T-44 페가수스 T-45 고스호크 헬기 SH-3 시킹 SH-60B/F 시호크 AH-1 코브라 AH-6J 리틀버드 AH-64 아파치 CH-46 시나이트 CH-47D/F 치누크 CH-53E 슈퍼스탤리온 MH-6J/M 리틀버드 MH-47G 스페셜 오퍼레이션 치누크 MH-53J/M 페이브로우 III/IV MH-60K/L/M 블랙호크 MH-60S 시호크 OH-58A/C/D HH-60G 페이브호크 HH-60H 시호크 MH-68A 스팅레이 VH-3A/D 시킹/마린원 VH-53D 시스탤리온/마린원 VH-60L 블랙호크 VH-60N 나이트호크/마린원 UH-1 이로쿼이 UH-3H 시킹 UH-60A/L 블랙호크 V-22 오스프리 공격기 A-10 썬더볼트 II A-37 드래곤플라이 공중급유기 KC-135 스트래토탱커 보잉 KC-767 KC-45 KC-10 익스텐더 KCS-3 바이킹 기타 S-3 바이킹 보잉 VC-25A 에어포스원 EP-3E 에어리즈II 보잉 E-4B 나이트워치 E-6 머큐리 EA-6B 프라울러 TH-57A 시레인저 TH-67A 크리크 P-3 오라이온 보잉 YAL-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MQ-9_리퍼&oldid=24188717" 분류: 정찰기미국의 무인 항공기무인전투기2001년 첫 비행한 항공기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Fryskעבריתहिन्दी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മലയാളംBahasa MelayuNederlands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lovenčinaSlovenščinaSvenskaТоҷикӣ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0: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MQ-9 리퍼(영어: General Atomics MQ-9 Reaper)는 미국의 UAV이다. 원래는 프레데터 B(영어: Predator B)라고 불렸다. 미국 공군, 미국 해군, 영국 공군을 위해 개발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MQ-9 리퍼의 최고속도는 몇 노트인가? Assistant: 260 노트 Human: 아래 리소나_은행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리소나 은행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리소나 은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주식회사 리소나 은행Resona Bank, Limited. 형태 주식회사 산업 분야 은행업 창립 1918년 5월 15일 (오사카 노무라 은행) 국가 일본 본사 소재지 일본오사카부 오사카 시 주오 구 빈고마치 니쵸메 2번 1호 자본금 2,799억 2,800만 엔 (2015년 3월 31일 기준) 순이익 연결: 1,537억 55백만 엔 단독: 1,499억 83백만 엔 (2015년 3월 기준) 자산총액 연결: 43.1조 엔 신탁 재산: 23.9조 엔 (2015년 3월 31일 기준) 주요 주주 리소나 홀딩스 100% 자회사 사이타마리소나은행,긴키은행 종업원 연결: 9,525 명 단독: 9,265 명 (2015년 3월 31일 기준) 웹사이트 [1] 주식회사 리소나 은행(일본어: 株式会社りそな銀行, 영어: Resona Bank, Limited.)는 일본의 시중은행 중 하나이다. 리소나 홀딩스를 모회사로 두고 있으며, 일본의 법령상 '도시은행'에 속하는 은행 중에 신탁은행 부문도 영업하고 있는 유일한 은행이다. 본점은 오사카부 오사카 시 주오 구에 위치하고 있다. 목차 1 개요 2 영업 거점 3 경영통합까지의 경위 4 연혁 5 주된 상품・서비스 6 각주 7 외부 링크 개요[편집] 구 노무라 재벌 산하의 재벌 계열 도시 은행이었던 노무라 은행(野村銀行), 이후 다이와은행(大和銀行으로 바뀜)과, 지방 저축은행에서 도시은행으로 커온 아사히은행(あさひ銀行, 도쿄 지역의 지방은행이었던 교와은행(協和銀行)과 옛 사이타마 은행(埼玉銀行)의 합병 은행)이 합병하여 탄생한 기업이다. 이 은행의 전신인 옛 다이와 은행은, 2차대전 전부터 일관되게 신탁업무를 병행하여 영업해온 전력이 있으며, 이는 현재의 리소나 은행에서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신탁 부문은, 리소나 신탁은행(りそな信託銀行, 옛 다이와긴 신탁은행(大和銀信託銀行))으로 한때 분사하였으나, 2009년 재통합되었다. 리소나 은행의 '리소나'는 라틴어의 resona(동사 resono(울리다, 말하다)의 2인칭 단수 명령법 현재형)에서 따왔다고 한다.[1] 옛 다이와 은행 시절부터 일본의 국회의사당 내부에 '중의원 지점' 및 '참의원 지점'을 두고 있는 유일한 은행으로, 국회의원 대상의 융자 등을 통해 일본 정계와 관계가 깊은 은행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자민당 대상의 투자액은, 2002년말에는 약 5억엔 정도였으나, 일본 정부로부터 2조엔의 공적 자금을 받은 이후의 2005년 말에는 약 54억엔으로, 3년 내에 10배 이상 늘어났다. 리소나 홀딩스의 주력 은행으로, 옛 아사히은행의 사이타마 지역 영업망은 사이타마 리소나 은행이 계승했다. 영업 거점[편집] 2015년 9월 현재, 리소나 은행은 일본 전국 47곳의 도도부현 중 26곳에 339개의 지점을 두고 있으며, 이중 도쿄도에 116지점, 오사카부에는 113지점이 설치되어 있다. 리소나 홀딩스 산하의 사이타마 리소나 은행, 긴키 오사카 은행은 은행 거래 상 동일 은행으로 취급하고 있어, 이들의 지점을 전부 합하면 수도권(특히 사이타마) 및 교토,오사카,고베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오사카 영업부 (본점) 오사카 부 오사카 시 주오 구에 있는 리소나 은행 본점 빌딩에 본점이 위치한다. 등기상의 본점은 이곳이다. 홀딩스의 등기상 주소는 도쿄에 위치한다. 리소나 은행의 전신이었던 옛 노무라 은행은 노무라 재벌의 중심 회사였다. 신 나라(新奈良) 영업부 나라현 나라 시에 있는 JR나라역 NK빌딩에 위치한다. 전신 중 하나인 구 나라은행 본점 영업부가 있었다. 도쿄 영업부 도쿄도 분쿄 구 고라쿠에 있는 스미토모 부동산 이이다바시 퍼스트 빌딩에 위치한다. 전신 중 하나인 구 아사히 은행 본점이 있었다. 신도심 영업부 경영통합까지의 경위[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연혁[편집] 1918년 (다이쇼 7년) 6월 - 오사카 노무라 은행(大阪野村銀行)이 설립됨 1926년 - 오사카 노무라 은행의 증권부문이 분리하여 노무라 증권이 탄생함. 1927년 - 오사카 노무라 은행의 상호가 노무라 은행(野村銀行)으로 변경 1943년 7월 - 사이타마 지역에 있던 부슈 은행(武州銀行), 하치쥬고 은행(八十五銀行), 시노부 상업 은행(忍商業銀行) 및 이이노 은행(飯能銀行)이 합병되어, '사이타마 은행'(埼玉銀行)이 됨. 1944년 5월 사이타마 은행이 야스다은행(安田銀行, 이후의 후지은행(富士銀行), 현 미즈호 은행)으로부터 도쿄 도 내의 다수의 지점을 인수. 이로인해 도쿄 도 내에 기반을 쌓게 되어, 이후 도시은행 전환의 발판이 됨. 8월 - 노무라 은행이 노무라 신탁(野村信託)을 합병함. 1945년 5월 - 도쿄의 5개의 저축은행, 오사카의 오사카 저축은행 포함 3곳, 나고야의 일본저축은행 등 3대 도시권의 9곳의 저축은행이 합병하여, '일본저축은행'(日本貯蓄銀行)이 됨. 일본 국영의 우편예금을 제외하면 당시 일본 최대 규모의 저축은행. 1948년 7월 - 일본저축은행이 '교와 은행'(協和銀行)으로 상호를 변경하며, 보통은행으로 전환, 도시은행이 됨. 10월 - 재벌해체로 인해 노무라 은행이 '다이와 은행'(大和銀行)으로 상호를 변경함. 1958년 2월 - 인도네시아에 Perdina Bank(현 리소나 Perdina Bank)을 설립함. 1969년 12월 - 사이타마 은행이 도시은행이 됨. 1991년 4월 - 교와 은행과 사이타마 은행이 합병하여, '교와사이타마 은행'(協和埼玉銀行)이 됨. 1992년 9월 - 교와사이타마 은행이 '아사히 은행'(あさひ銀行)으로 상호를 변경함. 1996년 3월 6일 - 아사히 신탁은행(あさひ信託銀行)이 설림됨. 2001년 12월 - 다이와 은행 및 긴키오사카 은행(近畿大阪銀行) 및 나라 은행(奈良銀行)이 주식 이전으로 '주식회사 다이와긴 홀딩스'(株式会社大和銀ホールディングス, 현 리소나 홀딩스)을 설립하며 자회사가 됨. 동시에 다이와 은행은 신탁 업무를 분할하여 다이와 신탁은행(大和銀信託銀行)을 설립함. 2002년 3월 1일 - 아사히 은행이 주식 교환으로 다이와긴 홀딩스의 자회사가 됨. 6월 18일 - 아사히 신탁은행이 다이와긴 홀딩스의 자회사가 됨. 10월 1일 - 다이와 은행을 존속회사로 아사히 신탁은행을 합병. 다이와 신탁은행이 '리소나 신탁은행'(りそな信託銀行)으로 명칭을 변경. 2003년 3월 1일 - 아사히 은행의 사이타마 현 내의 영업 기능을 사이타마 리소나 은행으로 양도함. 다이와 은행을 존속회사로 아사히 은행을 합병하여, '리소나 은행'(りそな銀行)으로 상호를 변경함. 2006년 1월 1일 - 나라 은행을 흡수 합병함. 2007년 11월 - 리소나 은행, 사이타마 리소나 은행, 긴키오사카 은행 간의 시간외 수수료를 무료화함. 2009년 4월 1일 - 리소나 신탁은행을 흡수 합병함. 주된 상품・서비스[편집] 종합통장 - '리소나 리테일 계좌'(보통 예금용 'くらしの通帳', 종합통장 담보 정기 예금 및 적립 통장 'ゆとりの通帳') 무통장 보통 예금 계좌 - TIMO ( 2004년 3월부터 취급 ) 인터넷 뱅킹 - '리소나 다이렉트'(りそなダイレクト), mygate[2] 포인트 서비스 리소나 클럽[3]。 현금인출 카드 - 생체인증 IC캐쉬카드(일반카드), 리소나 카드 + S(크레디세존 제휴 신용카드 ), RESONART 카드 신용카드 - Visa 데빗카드/JMB 카드 리소나 스마트 구좌 - JAL 마일리지 뱅크 연계 서비스로 인터넷 전용 계좌. 스마트폰으로 계좌의 개설, 이체, 조회가 가능 각주[편집] ↑ Risona Holdings. “ブランドコンセプト(名前の由来)”. 2017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http://www.resona-gr.co.jp/resonabank/direct/index.html 리소나 다이렉트] 리소나 은행 홈페이지 ↑ りそなクラブ りそな銀行公式サイト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공식 웹사이트 vdeh 일본의 은행중앙은행 일본은행 시중은행 미즈호 은행 미쓰비시도쿄UFJ은행 미쓰이스미토모 은행 리소나 은행 사이마타 리소나 은행 지방은행도호쿠 아오모리 은행 미치노쿠 은행 아키타 은행 호쿠토 은행 쇼나이 은행 야마가타 은행 이와테 은행 도호쿠 은행 77 은행 도호 은행키라야카 은행 기타닛폰 은행 센다이 은행 후쿠시마 은행 다이토 은행 간토·도쿄 군마 은행 아시카가 은행 조요 은행 츠쿠바 은행 무사시노 은행 지바 은행 지바 쿄고 은행 도쿄 토민 은행 요코하마 은행도와 은행 도치기 은행 케이요 은행 히가시닛폰 은행 도쿄 스타 은행 가나가와 은행 야치요 은행 고신에쓰·호쿠리쿠 다이시 은행 호쿠에츠 은행 야마나시 추오 은행 하치주니 은행 호쿠리쿠 은행 도야마 은행 호쿠호쿠 은행 후쿠이 은행 다이코 은행 나가노 은행 도야마 제일은행 후쿠오 은행 도카이 시즈오카 은행 스루가 은행 시미즈 은행 오가키 쿄리츠 은행 주로쿠 은행 미에 은행 햐쿠고 은행 긴키 시가 은행 교토 은행 긴키 오사카 은행 센슈 이케다 은행 난토 은행 키요 은행 타지마 은행 간사이 우라반 은행 다이쇼 은행 미나토 은행 주고쿠 돗토리 은행 산인고도 은행 주고쿠 은행 히로시마 은행 야마구치 은행 시마네 은행 토마토 은행 모미지 은행 사이쿄 은행 시코쿠 아와 은행 휴쿠쥬시 은행 이요 은행 시코쿠 은행 도쿠시마 은행 가가와 은행 에히메 은행 고치 은행 규슈 후쿠오카 은행 니시니혼 시티 은행 치쿠호 은행 기타큐슈 은행 사가 은행 쥬하치 은행 신와 은행 히고 은행 오이타 은행 미야자키 은행 가고시마 은행 후쿠오카 추오 은행 사가 쿄에이 은행 나가사키 은행 구마모토 은행 호와 은행 미야자키 타이요 은행 미나미닛폰 은행 오키나와홋카이도 류큐 은행 오키나와 은행 홋카이도 은행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리소나_은행&oldid=24193824" 분류: 일본의 은행1918년 설립된 기업일본의 기업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8:3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주식회사 리소나 은행(일본어: 株式会社りそな銀行, 영어: Resona Bank, Limited.)는 일본의 시중은행 중 하나이다. 리소나 홀딩스를 모회사로 두고 있으며, 일본의 법령상 '도시은행'에 속하는 은행 중에 신탁은행 부문도 영업하고 있는 유일한 은행이다. 본점은 오사카부 오사카시 주오구에 위치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일본의 영업부 위치는? Assistant: 오사카 영업부 (본점) 오사카 부 오사카 시 주오 구에 있는 리소나 은행 본점 빌딩에 본점이 위치한다. 등기상의 본점은 이곳이다. 홀딩스의 등기상 주소는 도쿄에 위치한다. 리소나 은행의 전신이었던 옛 노무라 은행은 노무라 재벌의 중심 회사였다. 신 나라(新奈良) 영업부 나라현 나라 시에 있는 JR나라역 NK빌딩에 위치한다. 전신 중 하나인 구 나라은행 본점 영업부가 있었다. 도쿄 영업부 도쿄도 분쿄 구 고라쿠에 있는 스미토모 부동산 이이다바시 퍼스트 빌딩에 위치한다. 전신 중 하나인 구 아사히 은행 본점이 있었다. 신도심 영업부
Human: 아래 두근두근_스파이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두근두근 스파이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두근두근 스파이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두근두근 스파이크 장르 로맨스, 스포츠 방송 국가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 방송 채널 소후티비 방송 기간 2016년 6월 3일 방송 횟수 20부작 책임프로듀서 김경미, Coco MA 프로듀서 신나리, 관영 제작사 (주)김종학프로덕션, 소후닷컴 제작자 손기원, Charles Zhang, Deng ye 연출 김진영 작가 최지연 출연자 송재림, 황승언, 이태환 외 후편 두근두근 스파이크 2 《두근두근 스파이크》은 김종학 프로덕션의 2번째 한중 합작 웹드라마이다. 목차 1 줄거리 2 등장 인물 2.1 주요 인물 2.2 그외 인물들 2.3 특별출연 3 회차별 부제 4 OST 5 외부 링크 줄거리[원본 편집] 대한민국 배구 여신 강세라!, 슬럼프로 갈피를 잡지 못하는 그녀에게 내려진 새로운 미션! 고교배구 꼴찌팀을 대한민국 1위로 만들어라? 엉성매력 강세라와 사고뭉치 배구선수들의 요절복통 고교 1위 탈환기! 등장 인물[원본 편집] 주요 인물[원본 편집] 송재림 : 황재웅 역 황승언 : 강세라 역 이태환 : 백우진 역 그외 인물들[원본 편집] 손호영 : 김기준 역 김병세 : 백정욱 역 차광수 : 허교장 역 김병춘 : 손병주 역 서예화 : 김미진 역 하승리 : 손수빈 역 신현수 : 이한솔 역 이호 : 조원룡 역 배진웅 : 표진하 역 강희 : 박현성 역 유성균 : 김성균 역 박태현 : 정일영 역 특별출연[원본 편집] 조윤호 남창희 김철민 회차별 부제[원본 편집] 회차 부제 런닝 타임 1화 만남 16:19 2화 재회 19:40 3화 승부 16:29 4화 해체 15:18 5화 징계 15:16 6화 위기 15:08 7화 기회 16:01 8화 단합 15:56 9화 함정 16:59 10화 계략 16:17 11화 의혹 16:00 12화 견제 15:20 13화 오해 17:07 14화 고백 14:41 15화 대답 15:55 16화 거절 15:26 17화 진실 15:21 18화 약속 15:14 19화 필승 15:55 20화 기적 18:02 OST[원본 편집] 그대가 보여요 - Darcy 현재진행형 - 밀크티 외부 링크[원본 편집] 두근두근 스파이크 - 공식 웹사이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두근두근_스파이크&oldid=19872060" 분류: 2016년 드라마대한민국의 웹드라마중화인민공화국의 웹드라마배구를 소재로 한 작품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7년 10월 27일 (금) 16:2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두근두근 스파이크》은 김종학 프로덕션의 2번째 한중 합작 웹드라마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4화의 부제목은 무엇인가? Assistant: 고백 Human: 아래 노원구의_행정_구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노원구의 행정 구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노원구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노원구의 행정 구역은 5개의 법정동과 이것을 관리하는 19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원구의 면적은 35.44 km²로 서울시 전체 면적의 5.85%를 차지한다. 인구는 2012년 8월 1일을 기준으로 223,957 세대, 600,515 명이다.[1] 목차 1 행정 구역 2 법정동 3 연혁 4 각주 5 외부 링크 행정 구역[편집] 2012년 8월 1일 기준으로 면적, 인구 현황과 행정동은 다음과 같다. 행정동 한자 면적 세대 인구 월계1동 月溪洞 1.16 9,520 23,335 월계2동 1.94 12,389 30,814 월계3동 1.17 13,579 36,099 공릉1동 孔陵洞 1.41 16,618 40,321 공릉2동 6.82 17,368 46,759 하계1동 下溪洞 1.55 11,330 30,687 하계2동 0.51 8,730 25,934 중계본동 中溪洞 1.97 9,976 30,044 중계1동 0.63 9,436 30,342 중계4동 1.70 8,289 22,744 중계2·3동 0.90 15,620 42,311 상계1동 上溪洞 5.62 15,746 44,251 상계2동 0.61 8,663 22,728 상계3·4동 5.62 16,342 39,396 상계5동 0.44 9,600 24,449 상계6·7동 1.11 14,401 37,220 상계8동 0.67 9,621 27,519 상계9동 0.81 8,888 24,856 상계10동 0.80 7,841 20,817 노원구 蘆原區 35.44 223,957 600,515 법정동[편집] 행정동 법정동 설명 월계1동 월계동(月溪洞) 1914년 4월 1일 양주군 노원면 월계리에 녹천리, 해등촌면 창동리 각 일부를 편입하여 양주군 노해면 월계리로 개편되었다. 월계2동 월계3동 공릉1동 공릉동(孔陵洞) 1914년 4월 1일 양주군 노원면 무수동(無愁洞)에 조동리, 공덕리, 망우리면 묵동리 각 일부를 편입하여 양주군 노해면 공덕리로 개편되었다. 공릉2동 하계1동 하계동(下溪洞) 1914년 4월 1일 양주군 노원면 용동리(龍洞里), 상곡리(上谷里), 가좌동(佳佐洞)에 공덕리, 오목리, 양재동 각 일부를 편입하여 양주군 노해면 하계리로 개편되었다. 하계2동 중계본동 중계동(中溪洞) 1914년 4월 1일 양주군 노원면 광석리(廣石里), 은행리(銀杏里), 납대동(納大洞), 전주리(全州里)에 오목리, 양재동 각 일부를 편입하여 양주군 노해면 중계리로 개편되었다. 중계1동 중계2·3동 중계4동 상계동(上溪洞) 1914년 4월 1일 양주군 노원면 간촌리(間村里), 온수동(溫水洞), 둔야면 조암동(鳥岩洞)에 녹천리, 별비면 덕동리 각 일부를 편입하여 양주군 노해면 상계리로 개편되었다. 상계1동 상계2동 상계3·4동 상계5동 상계6·7동 상계8동 상계9동 상계10동 연혁[편집] 여기에 기술하는 역사는 1988년 구 설치 이후의 역사만을 다룹니다. 현재의 노원구에 속하는 지역에 관한 1988년 이전의 역사는 양주군, 성북구, 도봉구 또는 향후 만들어질 동별(洞別) 단위의 항목이나 설명에서 다룹니다. 노원구에 속하는 모든 법정동인 월계동, 공릉동, 하계동, 중계동, 상계동은 각각 조선 초까지는 경기도 양주목 노원면에 속했으며, 1914년 경기도 양주군 노해면 관할이 되었다. 1963년 성북구에 편입되었고, 1973년 도봉구를 거쳐 1988년 노원구가 신설되면서 이에 편입되었다. 노원구청 청사상계6·7동 소재 1988년 1월 1일 도봉구 중 도봉동·상계동·하계동·중계동·월계동·공릉동·창동을 관할로 노원구가 분리·설치되었다.[2] (16행정동 7법정동) 1988년 7월 1일 월계1동을 월계1동, 월계3동으로, 상계2동을 상계2동, 상계6동, 상계7동으로 분동하였다. (19행정동) 1989년 1월 1일 창동, 도봉동이 도봉구로 재편입되었다.[3] (14행정동 5법정동) 1989년 6월 1일 상계8동을 신설하였다.[4] (15행정동) 1989년 9월 1일 하계2동, 중계2동, 상계9동, 상계10동을 신설하였다.[5] (19행정동) 1991년 9월 1일 중계3동을 신설하였다.[6] (20행정동) 1992년 7월 1일 중계1동을 중계본동, 중계1동, 중계4동으로 분동하였다.[7] (22행정동) 1994년 11월 1일 월계2동을 월계2동, 월계4동으로 분동하였다.[8] (23행정동) 1995년 9월 20일 여권과를 신설하였다.[9] 1996년 10월 1일 공릉1동을 공릉1동, 공릉3동으로 분동하였다.[10] (24행정동) 2008년 1월 1일 공릉1동과 공릉3동을 공릉1·3동으로, 상계3동과 상계4동을 상계3·4동으로, 상계6동과 상계7동을 상계6·7동으로 합동하였다.[11] (21행정동) 2009년 1월 1일 월계4동을 말소하고, 중계2동과 중계3동을 중계2·3동으로 합동하였다.[12] (19행정동) 2011년 6월 23일 공릉1·3동을 공릉1동으로 개칭하였다.[13] 각주[편집] ↑ 노원구 주민등록인구통계, 2012년 8월 25일 확인 ↑ 대통령령 제12367호 서울특별시송파구등13개구설치와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7년 12월 31일) ↑ 대통령령 제12557호 ↑ 노원구 조례 제86호 ↑ 노원구 조례 제95호 ↑ 노원구 조례 제161호 ↑ 노원구 조례 제188호 ↑ 노원구 조례 제263호 ↑ 노원구 규칙 제220호 ↑ 노원구 조례 제340호 ↑ 노원구 조례 제785호 행정기구설치조례 (2008년 1월 1일) ↑ 노원구 조례 제818호 행정기구설치조례 (2008년 12월 2일) ↑ 노원구 조례 제943호 외부 링크[편집] 노원구 주민등록인구통계 노원구 통계연보 vdeh서울특별시 노원구의 행정 구역 구청소재지: 상계6.7동 공릉1동 공릉2동 상계10동 상계1동 상계2동 상계3.4동 상계5동 상계6.7동 상계8동 상계9동 월계1동 월계2동 월계3동 중계1동 중계2.3동 중계4동 중계본동 하계1동 하계2동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노원구의_행정_구역&oldid=22421338" 분류: 서울 노원구의 행정 구역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9월 16일 (일) 08: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노원구의 행정 구역은 5개의 법정동과 이것을 관리하는 19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원구의 면적은 35.44 km2로 서울시 전체 면적의 5.85%를 차지한다. 인구는 2012년 8월 1일을 기준으로 223,957 세대, 600,515 명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노원구는 지금까지 행정 구역이 어떻게 바뀌었을까? Assistant: 1988년 1월 1일 도봉구 중 도봉동·상계동·하계동·중계동·월계동·공릉동·창동을 관할로 노원구가 분리·설치되었다.[2] (16행정동 7법정동) 1988년 7월 1일 월계1동을 월계1동, 월계3동으로, 상계2동을 상계2동, 상계6동, 상계7동으로 분동하였다. (19행정동) 1989년 1월 1일 창동, 도봉동이 도봉구로 재편입되었다.[3] (14행정동 5법정동) 1989년 6월 1일 상계8동을 신설하였다.[4] (15행정동) 1989년 9월 1일 하계2동, 중계2동, 상계9동, 상계10동을 신설하였다.[5] (19행정동) 1991년 9월 1일 중계3동을 신설하였다.[6] (20행정동) 1992년 7월 1일 중계1동을 중계본동, 중계1동, 중계4동으로 분동하였다.[7] (22행정동) 1994년 11월 1일 월계2동을 월계2동, 월계4동으로 분동하였다.[8] (23행정동) 1995년 9월 20일 여권과를 신설하였다.[9] 1996년 10월 1일 공릉1동을 공릉1동, 공릉3동으로 분동하였다.[10] (24행정동) 2008년 1월 1일 공릉1동과 공릉3동을 공릉1·3동으로, 상계3동과 상계4동을 상계3·4동으로, 상계6동과 상계7동을 상계6·7동으로 합동하였다.[11] (21행정동) 2009년 1월 1일 월계4동을 말소하고, 중계2동과 중계3동을 중계2·3동으로 합동하였다.[12] (19행정동) 2011년 6월 23일 공릉1·3동을 공릉1동으로 개칭하였다.[13]
Human: 아래 김법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법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법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법래출생 1970년 7월 24일(1970-07-24) (48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국적 대한민국직업 배우, 뮤지컬 배우소속사 후너스엔터테인먼트 웹사이트 후너스엔터테인먼트 김법래 김법래(1970년 7월 24일 ~ )은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다. 경희대학교 성악과를 졸업하고 오페라 가수를 꿈꾸며 외국 유학을 준비하다 연기도 배울 겸 아르바이트삼아 서울예술단에 들어가면서 뮤지컬과 인연을 맺었다.[1][2] 1995년 음악극 《살짜기 옵서예》로 데뷔했고, 이듬해에 《아틀란티스 2045》로 한국뮤지컬대상 신인남우상을 수상했다.[1] 2005년에는 KBS1 드라마시티 《다함께 차차차》에 출연하며 브라운관에도 데뷔했다.[3] 목차 1 인물 2 학력 3 출연작 3.1 영화 3.2 드라마 3.3 예능 3.4 뮤지컬 3.5 뮤직비디오 4 수상 5 각주 6 외부 링크 인물[편집] 베이스 음역대의 낮고 중후한 음색과 풍부한 성량이 특징이다. 주위를 압도하는 성량 때문에 연출자에게 퇴짜를 맞거나, 음향 담당자가 마이크 소리를 줄여 대사전달력이 떨어진다는 오해를 사기도 했다는 일화가 있다.[1] 신인 시절 제작사로부터 개런티를 받지 못해 보이콧을 선언한 일로 수년간 출연에 지장을 받기도 했으나 여전히 뮤지컬 배우들의 권익 보호에 관심과 열의를 가지고 있다.[4] 학력[편집] 경희대학교 성악과 학사 출연작[편집] 영화[편집] 《간첩》 (2012년) - 수하 1 역 《사랑의 가위바위보》 (2013년) - 바바리코트남 역 (특별출연) 《은밀하게 위대하게》 (2013년) - 국정원 국장 역 《악인은 살아 있다》 (2015년) - 송찬혁 역 《남한산성》 (2017년) - 칸 역 《인랑》 (2018년) - 박무영 특기대장 역 드라마[편집] 《드라마시티 - 다 함께 차차차》 (KBS2, 2005년) - 도끼 역 《투윅스》 (MBC, 2013년) - 황대준 역 《트로트의 연인》 (KBS2, 2014년) 《앙큼한 돌싱녀》 (MBC, 2014년) - 사채업자 역 《삼총사》 (tvN, 2014년) - 윤정국 역 《닥터 프로스트 (OCN, 2014년) - 박도철 역 《빛나거나 미치거나》 (MBC, 2015년) - 곽장군 역 《징비록》 (KBS1, 2015년) - 권준 역 《가면》 (SBS, 2015년) - 양 과장 역 《화려한 유혹》 (MBC, 2015년) - 강일도 역 《옥중화》 (MBC, 2016년) - 조선 중종 역 《미씽9》 (MBC, 2017년) - 장도팔 역 《품위있는 그녀》 (JTBC, 2017년) - 서문탁 역 《미워도 사랑해》 (KBS1, 2017년) - 구충서 역 《한여름의 추억》 (JTBC, 2017년) - 한여름의 맞선남 역 《붉은 달 푸른 해》 (MBC, 2018년) - 송호민 역 《동네변호사 조들호 2: 죄와 벌》 (KBS 2, 2019년) - 유창호 역 《이몽》 (MBC, 2019년) - 두월성 역 《시크릿 부티크》 (SBS, 2019년) - 도준섭 역 예능[편집] 2013년 TVN 《퍼펙트 싱어VS》 2017년 MBC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2017년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얼굴 찌푸리지 말아요! 아코디언맨! 2018년 KBS 《해피투게더4》 - 엄유민법특집 뮤지컬[편집]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2000) - 알베르트 역 《포기와 베스》(2000) - 포기 역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2001) - 알베르트 역 《카르멘시타》(2001) - 에스카미오 역 《토미》(2001) - 워커대위 역 《한여름밤의 꿈 - 신라의 달밤》(2001) - 도깨비대왕 역 《몽유도원도》(2002) - 여경 역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2002) - 알베르트 역 《아가씨와 건달들》(2003) - 스카이 역 《유린타운》(2003) - 클로드웰 역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2003) - 알베르트 역 《브로드웨이 42번가》(2004) - 줄리안 역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2004) - 빌라도 역 《루나틱》(2005) - 정상인 역 《카르멘, 더 뮤지컬》(2005) - 에스까미오 역 《아가씨와 건달들》(2005) - 스카이 역 《바람의 나라》(2006) - 해명 역 《명성황후》(2006) - 미우라 역 《이》(2006) - 연산 역 《명성황후》(2007) - 미우라 역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2007) - 알베르트 역 《노트르담 드 파리》(2007) - 콰지모도 역 《사랑은 비를 타고》(2007) - 동욱 역 《노트르담 드 파리》(2008) - 콰지모도 역 《로미오 앤 베르나뎃》(2008) - 펜자 역 《클레오파트라》(2008) - 시저 역 《진짜진짜 좋아해》(2008) - 구감독 역 《삼총사》(2009) - 포르토스 역 《브로드웨이 42번가》(2009) - 줄리안 마쉬 역 《잭 더 리퍼》(2009, 2010, 2011) - 먼로 역 《잭 더 리퍼》(2012, 2013, 2019) - 잭 역 《브로드웨이 42번가》(2010) - 줄리안 마쉬 역 《삼총사》(2010) - 포르토스 역 《사랑은 비를 타고》(2011) - 동욱 역 《삼총사》(2011) - 포르토스 역 《캐치 미 이프 유 캔》(2012) - 칼 해너티 역 《삼총사》(2013) - 포르토스 역 《보니앤클라이드》(2013) - 테드 역 《삼총사》(2014) - 포르토스 역 《보니앤클라이드》(2014) - 벅 역 《보이첵》(2014) - 군악대장 역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2015) - 레트 버틀러 역 뮤직비디오[편집] 비 - Love story (2008년) 수상[편집] 1996년 제2회 한국뮤지컬대상 남우신인상 2008년 제14회 한국뮤지컬대상 남우주연상 2008년 제2회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 최고의스타상 각주[편집] ↑ 가 나 다 파이낸셜 뉴스 (2008년 10월 23일). “뮤지컬대상 남우주연상 김법래,‘시저’변신 전성시대”. 2012년 5월 30일에 확인함.  ↑ “뮤지컬 ‘삼총사’의 매력 덩어리 김법래와 민영기”. CNB저널. 2011년 12월 12일. 2012년 5월 30일에 확인함.  ↑ 스타뉴스 (2005년 7월 29일). “뮤지컬스타 김법래, 안방극장 도전”. 2012년 5월 30일에 확인함.  ↑ “[Ki-Z 人터뷰] 김법래 “뮤지컬배우도 권익을…노조 필요성 절실””. 2011년 1월 22일. 2012년 5월 3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김법래 - 트위터 김법래 미니홈피 - 싸이월드 vdeh후너스 엔터테인먼트경영진 홍성광 (대표이사) 가수현재 그룹 제노티 (상도 · 호준 · 제로 · 비쥬 · 상원) 엘리스 (벨라  · 혜성  · 유경  · 소희 · 가린) 로미오 (윤성  · 현경  · 카일 · 승환  · 민성  · 마일로  · 강민) 과거 그룹 제노티 (키도 · 서궁 · 곤 · 제니씨 · 아톰 · P군 · 낙타 · 한솔) 배우현재 소속 곽정욱 박윤재 진예솔 이종박 유하은 설정환 이장우 이윤미 강기둥 김법래 윤다경 김기무 임주은 윤사봉 과거 소속 박세영 관련문서후너스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법래&oldid=24441964" 분류: 1970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서울특별시 출신 배우경희대학교 동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17일 (월) 21:3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법래(1970년 7월 24일~)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경희대학교 성악과를 졸업하고 오페라 가수를 꿈꾸며 외국 유학을 준비하다 연기도 배울 겸 아르바이트삼아 서울예술단에 들어가면서 뮤지컬과 인연을 맺었다. 1995년 음악극 《살짜기 옵서예》로 데뷔했고, 이듬해에 《아틀란티스 2045》로 한국뮤지컬대상 신인남우상을 수상했다. 2005년에는 KBS1 드라마시티 《다함께 차차차》에 출연하며 브라운관에도 데뷔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법래는 토미에서 어떤 역할을 맡았을까? Assistant: 워커대위 Human: 아래 적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적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적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적도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0° 적도 적도가 지나가는 나라(빨강)와 본초 자오선이 지나가는 나라(파랑) 적도(赤道, 영어: equator)는 지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지구의 자전축에 수직인 평면이 지표를 나누는 선을 말한다. 북극점과 남극점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곳이다. 적도는 위도의 기준이 되며, 정의상 적도의 위도는 0°이다. 그러므로 적도의 북쪽을 북반구라 하며, 남쪽은 남반구가 된다. 적도는 태양의 직사광선이 많이 받는 일이 많아 상승기류가 생기고, 적도무풍대를 형성하여 높은 온도와 습기가 많은 열대우림기후가 생긴다. 목차 1 개요 2 기후 3 적도가 지나는 나라 4 함께 보기 5 각주 개요[편집] 한자어로 "적도"(赤道)라는 말은 고대 중국의 천문학에서 태양이 바로 위를 통과하는 지점을 천구 그림으로 표현 때 빨간 선을 이용한 것에서 유래한다. 적도는 지구 자전축을 기준으로 북반구에서 90도, 남반구에서 90도를 이루는 점들의 연장선이다. 자전축은 외권에서 봤을때, 제자리에서 자전하는 두 점을 잇는 가상의선분 이다. 적도의 전체 원둘레는 약 40,075km에 달한다. 춘분과 추분의 연 2회, 태양이 머리 위에 온다. 적도는 세계 유일의 태양이 천정에서 천저까지 똑바로 지는 장소이다. 그리고 그런 장소는 이론적으로 낮의 길이와 밤의 길이가 모두 연중 12시간이다. 그러나 실제로 대기권이 태양광을 굴절시키기 때문에, 2, 3분 차이가 난다. 매우 엄격하게 말하면, 적도는 이론대로 위치에 제대로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 적도면은 항상 반드시 지구의 자전축에 수직을 이루고 있다. 이 자전축은 "비교적" 안정되어 있다. 극 운동 현상은 자전축이 일년에 걸쳐 반경 약 9m의 원형을 그린다. 그래서 적도 면이나 적도도 적지만 움직인다. 그러나 이 움직임은 섬세한 과학 조사로만 파악할 수 있을 정도의 미세한 움직임이다. 지구에서 가장 온도가 높은 지역을 열적도에 있다고 한다. 열적도는 계절에 따라 이동한다. 북반구가 겨울이면 적도 부근에 있지만, 여름에는 북위 20도 부근까지 이동한다. 기후[편집] 적도는 연간을 통한 일사량(면적당 일사량)이 가장 크다. 따라서 온난하며 강한 상승 기류를 발생하고 있다. 이 상승 기류를 위해 저기압 지역(적도 수렴대)를 내고 강우량이 풍부한 열대 기후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적도 부근의 상승 기류는 격렬한 소용돌이 기류를 동반한 열대성 저기압이 되며, 태풍과 사이클론, 허리케인 등으로 온대 지역에 파급된다. 남아메리카 브라질 마카파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평균최고기온 °C (°F) 29.7 (85.5) 29.2 (84.6) 29.3 (84.7) 29.5 (85.1) 30.0 (86) 30.3 (86.5) 30.6 (87.1) 31.5 (88.7) 32.1 (89.8) 32.6 (90.7) 32.3 (90.1) 31.4 (88.5) 30.71 (87.28) 일평균기온 °C (°F) 26.4 (79.5) 26.2 (79.2) 26.3 (79.3) 26.5 (79.7) 26.8 (80.2) 26.8 (80.2) 26.8 (80.2) 27.4 (81.3) 27.8 (82) 28.1 (82.6) 27.9 (82.2) 27.4 (81.3) 27.03 (80.65) 평균최저기온 °C (°F) 23.0 (73.4) 23.1 (73.6) 23.2 (73.8) 23.5 (74.3) 23.5 (74.3) 23.2 (73.8) 22.9 (73.2) 23.3 (73.9) 23.4 (74.1) 23.5 (74.3) 23.5 (74.3) 23.4 (74.1) 23.29 (73.92) 평균 강수량 mm (인치) 299.6 (11.8) 347.0 (13.66) 407.2 (16.03) 384.3 (15.13) 351.5 (13.84) 220.1 (8.67) 184.8 (7.28) 98.00 (3.858) 42.60 (1.677) 35.50 (1.398) 58.40 (2.299) 142.5 (5.61) 2,571.5 (101.24) 평균강수일수 (≥ 0.1 mm) 23 22 24 24 25 22 19 13 6 5 6 14 203 평균 월간 일조시간 148.8 113.1 108.5 114.0 151.9 189.0 226.3 272.8 273.0 282.1 252.0 204.6 2,336.1 출처: 세계 기상 기구 (UN)[1], 홍콩 기상청[2] 아시아 인도네시아 폰티아낙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평균최고기온 °C (°F) 32.4 (90.3) 32.7 (90.9) 32.9 (91.2) 33.2 (91.8) 33.0 (91.4) 33.2 (91.8) 32.9 (91.2) 33.4 (92.1) 32.6 (90.7) 32.6 (90.7) 32.2 (90) 32.0 (89.6) 32.7 (90.9) 일평균기온 °C (°F) 27.6 (81.7) 27.7 (81.9) 28.0 (82.4) 28.2 (82.8) 28.2 (82.8) 28.2 (82.8) 27.7 (81.9) 27.9 (82.2) 27.6 (81.7) 27.7 (81.9) 27.4 (81.3) 27.2 (81) 27.7 (81.9) 평균최저기온 °C (°F) 22.7 (72.9) 22.6 (72.7) 23.0 (73.4) 23.2 (73.8) 23.4 (74.1) 23.1 (73.6) 22.5 (72.5) 22.3 (72.1) 22.6 (72.7) 22.8 (73) 22.6 (72.7) 22.4 (72.3) 22.7 (72.9) 평균 강수량 mm (인치) 260 (10.2) 215 (8.5) 254 (10) 292 (11.5) 256 (10.1) 212 (8.3) 201 (7.9) 180 (7.1) 295 (11.6) 329 (13) 400 (15.7) 302 (11.9) 3,196 (125.8) 평균강수일수 (≥ 0.1 mm) 15 13 21 22 20 18 16 25 14 27 25 22 238 출처: 세계 기상 기구 (UN)[3] 아프리카 가봉 리브레빌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평균최고기온 °C (°F) 29.5 (85.1) 30.0 (86) 30.2 (86.4) 30.1 (86.2) 29.4 (84.9) 27.6 (81.7) 26.4 (79.5) 26.8 (80.2) 27.5 (81.5) 28.0 (82.4) 28.4 (83.1) 29.0 (84.2) 28.58 (83.44) 일평균기온 °C (°F) 26.8 (80.2) 27.0 (80.6) 27.1 (80.8) 26.6 (79.9) 26.7 (80.1) 25.4 (77.7) 24.3 (75.7) 24.3 (75.7) 25.4 (77.7) 25.7 (78.3) 25.9 (78.6) 26.2 (79.2) 25.95 (78.71) 평균최저기온 °C (°F) 24.1 (75.4) 24.0 (75.2) 23.9 (75) 23.1 (73.6) 24.0 (75.2) 23.2 (73.8) 22.1 (71.8) 21.8 (71.2) 23.2 (73.8) 23.4 (74.1) 23.4 (74.1) 23.4 (74.1) 23.30 (73.94) 평균 강수량 mm (인치) 250.3 (9.85) 243.1 (9.57) 363.2 (14.3) 339.0 (13.35) 247.3 (9.74) 54.10 (2.13) 6.600 (0.2598) 13.70 (0.539) 104.0 (4.09) 427.2 (16.82) 490.0 (19.29) 303.2 (11.94) 2,841.7 (111.88) 평균강수일수 (≥ 0.1 mm) 17.9 14.8 19.5 19.2 16.0 3.70 1.70 4.90 14.5 25.0 22.6 17.6 177.4 평균 월간 일조시간 176.7 182.7 176.7 177.0 158.1 132.0 117.8 89.90 96.00 111.6 135.0 167.4 1,720.9 출처: 세계 기상 기구 (UN)[4], 홍콩 기상청[5] 적도가 지나는 나라[편집] 적도는 14개 나라의 영토 또는 영해를 지나간다. 본초 자오선에서 시작해서 동쪽 방향으로 다음 지역을 지난다. 좌표 나라, 지역, 해역 주석 북위 0° 동경 0°  / 북위 0° 동경 0°  / 0; 0 (본초 자오선) 대서양 기니 만 북위 0° 0′ 동경 6° 31′  / 북위 0.000° 동경 6.517°  / 0.000; 6.517 (상투메 프린시페) 상투메 프린시페 롤라스 섬 북위 0° 0′ 동경 6° 31′  / 북위 0.000° 동경 6.517°  / 0.000; 6.517 (대서양) 대서양 기니 만 북위 0° 0′ 동경 9° 21′  / 북위 0.000° 동경 9.350°  / 0.000; 9.350 (가봉) 가봉 북위 0° 0′ 동경 13° 56′  / 북위 0.000° 동경 13.933°  / 0.000; 13.933 (콩고 공화국) 콩고 공화국 북위 0° 0′ 동경 17° 46′  / 북위 0.000° 동경 17.767°  / 0.000; 17.767 (콩고 민주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북위 0° 0′ 동경 29° 43′  / 북위 0.000° 동경 29.717°  / 0.000; 29.717 (우간다) 우간다 북위 0° 0′ 동경 32° 22′  / 북위 0.000° 동경 32.367°  / 0.000; 32.367 (빅토리아 호) 빅토리아 호 우간다 영토의 섬을 지나간다. 북위 0° 0′ 동경 34° 0′  / 북위 0.000° 동경 34.000°  / 0.000; 34.000 (케냐) 케냐 북위 0° 0′ 동경 41° 0′  / 북위 0.000° 동경 41.000°  / 0.000; 41.000 (소말리아) 소말리아 북위 0° 0′ 동경 42° 53′  / 북위 0.000° 동경 42.883°  / 0.000; 42.883 (인도양) 인도양 몰디브의 후바두 환초와 푸바물라 섬 사이를 지난다. 북위 0° 0′ 동경 98° 12′  / 북위 0.000° 동경 98.200°  / 0.000; 98.200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바투 제도와 수마트라 섬, 링가 제도를 지난다. 북위 0° 0′ 동경 104° 34′  / 북위 0.000° 동경 104.567°  / 0.000; 104.567 (카리마타 해협) 카리마타 해협 북위 0° 0′ 동경 109° 9′  / 북위 0.000° 동경 109.150°  / 0.000; 109.150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보르네오 섬 북위 0° 0′ 동경 117° 30′  / 북위 0.000° 동경 117.500°  / 0.000; 117.500 (마카사르 해협) 마카사르 해협 북위 0° 0′ 동경 119° 40′  / 북위 0.000° 동경 119.667°  / 0.000; 119.667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섬 북위 0° 0′ 동경 120° 5′  / 북위 0.000° 동경 120.083°  / 0.000; 120.083 (토미니 만) 토미니 만 북위 0° 0′ 동경 124° 0′  / 북위 0.000° 동경 124.000°  / 0.000; 124.000 (말루쿠 해) 말루쿠 해 북위 0° 0′ 동경 127° 24′  / 북위 0.000° 동경 127.400°  / 0.000; 127.400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카요아 섬과 할마헤라 섬 북위 0° 0′ 동경 127° 53′  / 북위 0.000° 동경 127.883°  / 0.000; 127.883 (할마헤라 해) 할마헤라 해 북위 0° 0′ 동경 129° 20′  / 북위 0.000° 동경 129.333°  / 0.000; 129.333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그베 섬 북위 0° 0′ 동경 129° 21′  / 북위 0.000° 동경 129.350°  / 0.000; 129.350 (태평양) 태평양 인도네시아의 와이게오 섬 570 m 북쪽, 키리바시의 아라누카 환초 13 km 남쪽, 미국령 군소 제도의 베이커 섬 21 km 남쪽을 지난다. 북위 0° 0′ 서경 91° 35′  / 북위 0.000° 서경 91.583°  / 0.000; -91.583 (에콰도르) 에콰도르[6] 갈라파고스 제도의 이사벨라 섬을 지난다. 북위 0° 0′ 서경 91° 13′  / 북위 0.000° 서경 91.217°  / 0.000; -91.217 (태평양) 태평양 북위 0° 0′ 서경 80° 6′  / 북위 0.000° 서경 80.100°  / 0.000; -80.100 (에콰도르) 에콰도르 수도인 키토 24 km 북쪽을 지난다. 북위 0° 0′ 서경 75° 32′  / 북위 0.000° 서경 75.533°  / 0.000; -75.533 (콜롬비아) 콜롬비아 페루와의 국경 4.3 km 북쪽을 지난다. 북위 0° 0′ 서경 70° 3′  / 북위 0.000° 서경 70.050°  / 0.000; -70.050 (브라질) 브라질 아마조나스주 호라이마주 아마조나스 주 파라 주 아마파주 파라 주 - 아마존 강 하구의 섬들. 북위 0° 0′ 서경 49° 20′  / 북위 0.000° 서경 49.333°  / 0.000; -49.333 (대서양) 대서양 적도 기니는 나라 이름에 적도가 들어있지만, 영토나 영해로 적도가 지나가지 않는다. 적도 기니의 안노본 섬은 적도 남쪽 155 km에 있으며, 나머지 영토는 적도 북쪽에 위치한다. 함께 보기[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적도 북극권 북회귀선 남회귀선 남극권 본초 자오선 적도 수렴대 적도제 각주[편집] ↑ “마카파 기상정보”.  ↑ Climatological Information for Macapa, Brazil - Hong Kong Observatory ↑ “폰티아낙 기상정보”.  ↑ “리브레빌 기상정보”.  ↑ Climatological Information for Libreville, Gabon - 홍콩 기상청 ↑ 나라 이름의 뜻이 적도이다. vdeh지리 좌표계: 위선과 경선 적도 북회귀선 남회귀선 북극권 남극권 적도 북회귀선 남회귀선 북극권 남극권 적도 북회귀선 남회귀선 북극권 남극권 W 0° E 30° 60° 90° 120° 150° 180° 30° 60° 90° 120° 150° 180° 5° 15° 25° 35° 45° 55° 65° 75° 85° 95° 105° 115° 125° 135° 145° 155° 165° 175° 5° 15° 25° 35° 45° 55° 65° 75° 85° 95° 105° 115° 125° 135° 145° 155° 165° 175° 10° 20° 40° 50° 70° 80° 100° 110° 130° 140° 160° 170° 10° 20° 40° 50° 70° 80° 100° 110° 130° 140° 160° 170°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 20° 30° 40° 50° 60° 70° 80° 90° 5° N 15° 25° 35° 45° 55° 65° 75° 85° 5° S 15° 25° 35° 45° 55° 65° 75° 85° 45x90 45x90 45x90 45x9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적도&oldid=23949303" 분류: 위선구면천문학열대측지학항법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Aragonésالعربيةঅসমীয়া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বাংলাBrezhonegBosanskiCatalàMìng-dĕ̤ng-ngṳ̄Cebuanoکوردی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Dolnoserbs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NordfriiskFurlanFryskGaeilgeGalego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HrvatskiHornjoserbsce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ភាសាខ្មែរಕನ್ನಡKurdî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umbaartLingálaລາວLietuviųLatviešuमैथिलीBasa BanyumasanMalagasyBaso Minangkaba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Plattdüütsch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olski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Саха тылаSarduSicilianuScots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ChiSho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eelterskBasa SundaSvenskaKiswahiliŚlůnskiதமிழ்తెలుగు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est-VlamsWinarayWolof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일 (월) 17:0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적도(赤道, 영어: equator)는 지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지구의 자전축에 수직인 평면이 지표를 나누는 선을 말한다. 북극점과 남극점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곳이다. 적도는 위도의 기준이 되며, 정의상 적도의 위도는 0°이다. 적도의 북쪽을 북반구라 하며, 남쪽은 남반구가 된다. 적도는 태양의 직사광선이 많이 받는 일이 많아 일년 내내 덥고 상승기류가 생기며, 적도무풍대를 형성하여 높은 온도와 습기가 많은 열대 우림 기후가 생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적도에서 태양이 머리 바로 위에 위치하는 것은 일 년에 몇 회입니까? Assistant: 2회
Human: 아래 난창_창베이_국제공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난창 창베이 국제공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난창 창베이 국제공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난창 창베이 국제공항南昌昌北国际机场Nanchang Changbei International Airport 난창 창베이 국제공항 IATA: KHN – ICAO: ZSCN 개요 운영기관 江西机场集团有限公司 지역 난창 시 위치 중국 장시 성 해발고도 44 m / 143 ft 좌표 북위 28° 51′ 54″ 동경 115° 54′ 00″ / 북위 28.86500° 동경 115.90000°  / 28.86500; 115.90000 웹사이트 www.jxairport.com 지도 KHN 활주로 방향 면적(m*m) ILS 표면 길이 폭 03R/21L 2,800 III b 포장 난창 창베이 국제공항(중국어: 南昌昌北国际机场/南昌昌北國際機場)은 중화인민공화국 장시 성 난창 시에 있는 공항이다. IATA 코드는 KHN, ICAO 코드는 ZSCN이다. 난창에서 북쪽으로 28km 떨어진 곳에 자리를 잡고 있으며, 1996년 10월에 공사가 시작되었고, 1999년 9월 10일에 문을 열었다. 난창 창베이 국제공항은 원래 민군 공용으로 사용되던 난창 솽탄 공항을 대체하였다. 현재는 하나의 활주로만 있으며, 길이는 2800m에 6개의 게이트를 가진 하나의 터미널 건물이 있다. 난창 창베이 국제공항은 주로 국내선용으로 사용되며, 그 외에도 홍콩 등을 연결하고 있다. 2004년에 국제공항의 지위를 얻어 국제공항의 역할을 시작하였다. 2009년 현재는 대한민국의 인천국제공항에 취항이 예정되어 있다. 목차 1 운항 노선 1.1 국제선 1.2 국내선 2 교통 3 외부 링크 운항 노선[편집] 국제선[편집] 항공사목적지 중국동방항공 제주, 타이베이(도원), 가오슝, 방콕(수완나품) 홍콩 항공 홍콩 선전 항공 타이베이(도원) 원동항공 가오슝 스프링 항공 방콕(수완나품) 중화항공 타이베이(도원), 가오슝 오리엔트 타이 항공 방콕(돈므앙) 타이 에어아시아 파타야 아시아나항공 전세편: 서울(인천) 국내선[편집] 항공사목적지 중국국제항공 베이징(서우두), 충칭, 청두 중국동방항공 광저우, 충칭, 귀이양, 하이커우, 진장, 쿤밍, 난징, 상하이(훙차오), 선전, 시안, 샤먼 중국남방항공 광저우, 난징, 난닝, 선전 상하이 항공 상하이(훙차오) 선전 항공 선전 쓰촨 항공 청두, 닝보 샤먼 항공 충칭, 다롄, 푸저우, 항저우, 칭다오, 촨저우, 진장, 상하이(훙차오), 시안, 구이양 교통[편집] 공항버스 1번 난창 역과 공항 사이를 왕복한다. 공항버스 2번 홍청루에 있는 공항호텔과 공항을 왕복한다. 남 홍쿠탄에 있는 펑허 인터체인지에서 한 번 스탑을 한다. 공항버스 3번 고속철도 역인 난창서역과 공항 사이를 왕복한다. 외부 링크[편집] 장시성 공항그룹 공사 vdeh 중화인민공화국의 공항북부 지방 베이징 난위안 베이징 수도 스자좡 정딩 타이위안 우수 톈진 빈하이 후허하오터 바이타 북동 지방 다롄 저우수이쯔 무단장 하이랑 선양 타오셴 옌지 차오양촨 지시 싱카이 창춘 룽자 하얼빈 타이핑 동부 지방 난징 루커우 난창 창베이 닝보 리서 상하이 푸둥 상하이 훙차오 샤먼 가오치 수난 수우팡 양저우 타이저우 옌청 옌타이 펑라이 우이산 원저우 영창 웨이하이 다슈이보 이우 지난 야오창 창저우 번뉴 취안저우 진장 칭다오 류팅 푸저우 창러 항저우 샤오산 허페이 신차오 남부 중앙 지방 광저우 바이윈 구이린 량장 난닝 우수 마카오 선전 바오안 싼야 펑황 우한 톈허 이창 산시야 장자제 허화 정저우 신정 주하이 진완 지에양 창순 창사 황화 포산 사디 하이커우 메이란 헝양 난웨 홍콩 츠례자오 후이저우 핑탄 남서 지방 구이양 룽둥바오 라싸 공가 리장 싼야 시솽반나타 가사 아리 구사 주자이 황룡 청두 솽류 충칭 장베이 쿤밍 창수이 북서 지방 란자우 자오좡 시닝 차오자바오 시안 셴양 우루무치 디워푸 인촨 히동 카슈가르 계획공항 간난 샤허 나취 다그링 다롄 싱타이 다오청 야딩 더링허 런화이 마오타이 루구호 루이양 린펀 치얼리 베이징 다싱 사오관 구이투우 상라오 싼칭산 선눙자린 시옌 무당산 신양 밍간 싼밍 싼시안 오대산 우한 씬팡그 이춘 밍양시안 자거다치 자싱 장자커우 쭌이 신저우 청더 츠저우 주화산 친황다오 베이다이허 카이리 황핑 퉁화 싼야푼 푸윈 한중 청구 허츠 비제 헝양 난유 홍위안 후타구우 폐쇄된 공항 광저우 바이윈 파얀 시안 시구안 옌타이 라이산 창춘 다팡선 쿤밍 우자바 허페이 뤄강 홍콩 치더 중화민국의 공항은 제외., 굵은 글씨로 표기된 것은 국제공항이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난창_창베이_국제공항&oldid=23157327" 분류: 장시성의 공항난창시의 건축물난창시의 교통1999년 개항한 공항숨은 분류: 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ebuanoČeštinaEnglishEuskaraفارسیFrançais贛語GalegoBahasa Indonesia日本語Bahasa MelayuPolskiSvenskaТоҷикӣ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4일 (화) 18: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난창 창베이 국제공항(중국어: 南昌昌北国际机场)은 중화인민공화국 장시성 난창 시에 있는 공항이다. IATA 코드는 KHN, ICAO 코드는 ZSCN이다. 난창에서 북쪽으로 28km 떨어진 곳에 자리를 잡고 있으며, 1996년 10월에 공사가 시작되었고, 1999년 9월 10일에 문을 열었다. 난창 창베이 국제공항은 원래 민군 공용으로 사용되던 난창 샹탄 공항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현재는 하나의 활주로만 있으며, 길이는 2800m에 6개의 게이트를 가진 하나의 터미널 건물이 있다. 난창 창베이 국제공항은 주로 국내선용으로 사용되며, 그 외에도 홍콩 등을 연결하고 있다. 2004년에 국제공항의 지위를 얻어 국제공항의 역할을 시작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난창 창베이 국제공항의 국내선 운항노선 중 목적지가 선전인 항공사는 어느 항공사입니까? Assistant: 선전 Human: 아래 하얀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하얀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하얀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하얀섬은 비주얼샤워(VisualShower)에서 제작하여, 일렉트로닉 아츠 모바일 코리아(EA Mobile Korea)에서 배급을 담당한 미스터리, 스릴러 장르의 모바일 어드벤처 게임이다. 2009년 8월 27일 KT, SKT, LGT의 이동통신 3사에 동시 론칭되었다. 대한민국 남해에 실존하는 섬인 '백도'를 배경으로 시나리오를 제작하였으나 실존하는 인물, 사건들과는 연관이 없는 픽션임을 게임 초반부에 명기하고 있다. 시즌1에선 '한지훈'이, 시즌2에선 '조현태'가 각각 주인공으로써 시점이 되어 게임플레이를 할수있지만 스토리 특정상 주기적으로 시점이 바뀐다. 목차 1 스토리 2 게임플레이 3 Player Side 3.1 시즌 1: 죽음에 이르는 꽃 3.2 시즌 2: 부서진 납 심장 4 비밀 요소들 4.1 비밀의 전화기 모드 4.2 순교자의 탑 5 감독판 6 하얀섬2 7 화이트아일랜드 8 등장인물 8.1 시즌 1: 죽음에 이르는 꽃 8.1.1 한국대학교 8.1.2 백도섬 주민들 8.1.3 포춘시커 연구소 8.1.4 기타 8.2 시즌 2: 부서진 납 심장 8.2.1 서장 ~ 5장 8.2.2 6장 ~ 12장 9 외부 링크 스토리[편집] 한국대학교 민속학과 교수 남원규는 매년 여름 흰 꽃이 필 때마다 사람이 죽는다는 백도의 전설을 연구하기 위해 백도에 간 이후 연락이 두절된다. 1999년 8월 17일. 한국대학교 학생인 한지훈, 강재욱, 안서현, 홍진아는 실종된 교수 남원규를 찾기 위해 백도행 배를 타게 된다. 예정된 시간보다 늦게 도착하게 된 백도에서 지훈과 재욱 일행은 형사들을 만나 백도의 이장이 실종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백도에서 무엇인가 이상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게임플레이[편집] 하얀섬은 전형적인 어드벤처 게임의 포인트&클릭 방식을 따른다. 관찰/행동/대화로 입력을 세분화하였으며, 상황에 맞게 적합한 행동을 선택하여 게임을 진행해 나가게 된다. 기존의 모바일 어드벤처 게임들과는 다르게 소지한 아이템이 게임 플레이 화면 내부에 존재하여 아이템 사용시에도 게임의 몰입도를 떨어뜨리지 않게끔 하였다. 선택할 수 있는 행동이 나뉘어 있다는 점과 아이템 사용시의 조작 등 UI부분에서 여러가지로 새로운 시도들이 이루어졌으나, 사용자 편의적인 측면에서는 터치스크린이 지원되는 모바일기기와 그렇지 않은 모바일기기 사이에 의견이 분분하여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다. Player Side[편집] 시즌 1: 죽음에 이르는 꽃[편집] 서장 ~ 4장, 8장 : 한지훈 5장 ~ 7장 : 강재욱 9장 ~ 10장 : 민해선 11장 ~ 12장 : 안서현 13장 : 애쉬 시즌 2: 부서진 납 심장[편집] 서장 ~ 5장 : 조현태 6장 ~ 12장 : 강재욱 비밀 요소들[편집] 비밀의 전화기 모드[편집] 한지훈 루트에서 동굴의 하얀 꽃을 행동 모드로 계속 클릭하면 비밀의 전화기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후 5, 6, 7챕터에서 낚시꾼 웅이 죽어있는 방의 전화기를 사용하여 숨겨진 이벤트를 볼 수 있다. 순교자의 탑[편집] 강재욱 루트에서 동굴의 하얀 꽃을 대화 모드로 계속 클릭하면 숨겨진 힌트를 볼 수 있게 된다. 이후 9챕터에서 백도 식당의 차림표를 조사하면 과거를 돌릴 수 있다는 메시지와 함께 '순교자의 탑'이라는 키워드와 37, 33, 40, 30, 126, 58, 08, 89의 여덟 숫자로 구성된 '숨겨진 엔딩에 대한 힌트'를 읽어볼 수 있다. (하얀섬 원판의 경우고, 감독판에서는 굳이 조사 모드를 활성화시키지 않아도 공사 현장 사무소의 화이트보드에서 확인 가능하다.) 게임 출시 후 약 8개월 간 해당 힌트를 해독하고 숨겨진 엔딩을 본 사람은 극소수뿐이었으며, 풀이법도 공개되어있지 않았으나, 제작사 비주얼샤워가 '순교자의 탑'을 찾는 이벤트를 개최, 기존의 힌트를 좀 더 쉽게 해독할 수 있도록 하는 추가적인 힌트를 제공함으로써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숨겨진 엔딩의 비밀을 풀 수 있게 되었다. 감독판[편집] 하얀섬 감독판은 한정된 용량에 맞춰져 제작된 기존의 하얀섬을 용량에 구애받지 않고 제거된 스토리나 그래픽들을 복원하여 다시 제작한 게임이다. 일렉트로닉 아츠 모바일 코리아를 통해 배급되었고, 2010년 6월 21일에 LGT, 6월 23일에 KT, 6월 24일에 SKT에서 론칭되었다. 감독판에는 기존에 제거되었던 내용들이 복원됨에 따라, 새로운 스토리와 게임 오버를 포함한 멀티 엔딩, 새로운 일러스트, 새로운 아이템 등이 일부 추가되었으며, 기존의 하얀섬 유저들도 새로움을 느낄 수 있도록 게임 내 등장하는 퍼즐의 풀이 방법을 일부 변경했다. 이용기준에 따라 성인 버전과 12세 이용가 버전이 있으며, 성인 버전에서는 피나 상처의 묘사에서의 흑백 처리가 사라지고, 시체나 샤워 장면 등에서의 모자이크 또한 사라진다. 하지만 게임 진행 상 추가되는 점은 없다. 하얀섬 감독판의 히든엔딩인 '체크메이트'에 대한 추리는 현재 밝혀진 상태이다. 하지만 버그로 인해 그 히든엔딩은 일부만 볼 수 있게 되어서 많은 유저들의 원성을 샀다. 결국 비주얼샤워측에서 히든엔딩의 동영상을 올리면서 일단락되었다. 이용요금은 3000원으로 재욱 루트를 지훈루트를 풀지 않고 진행하려고 할 시에만 500원이 추가되고 지훈 루트를 클리어하면 재욱 루트는 자동으로 개방이 된다. 그리고 진동 힌트를 구매할 경우 500원의 추가요금이 발생한다. 하얀섬2[편집] 하얀섬2는 하얀섬1의 후속작으로써 배경은 한강 인공섬에서 펼쳐지는 사건을 추리하는 어드벤쳐 게임이다. 일렉트로닉 아츠 모바일 코리아를 통해 배급되었고, 2010년 8월 26일에 SKT, 2010년 8월 27일에 LGT, 2010년 9월 20일에 KT에서 론칭되었다. 하얀섬2는 총 3개의 스토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첫 번째 스토리는 기억을 잃은 주인공이 나오며, 두 번째 스토리는 김지운이라는 경찰이 주인공으로 나온다. 그래픽은 하얀섬1의 어두운 배경과 달린 밝고 넓은 인공섬 내부를 표현하였다. 하얀섬2는 피나 상처의 묘사가 그대로 드러나 있어서 12세이용가 판정을 받았다. 하얀섬2의 히든엔딩 역시 감독판과 마찬가지로 엔딩을 볼 수 없게 되었다. 역시 이것도 비주얼샤워의 동영상이 올라왔다. 하얀섬2의 이용요금은 4000원으로 진동힌트를 구매시 500원의 추가요금과 환풍구 내부에서 자동이동을 사용할 시에는 100원의 추가요금이 발생한다. 화이트아일랜드[편집] 화이트아일랜드는 아이폰버전으로 재개발된 새로운 버전의 하얀섬1이며 아이폰의 특성에 맞게 여러가지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었다. 등장인물[편집] 시즌 1: 죽음에 이르는 꽃[편집] 한국대학교[편집] 한지훈 게임의 주인공. 한국대학교 민속학과. 서현과는 연인 사이. 어느날, 실종된 교수님을 찾으러 백도로 나가겠다는 여자친구가 걱정되어 따라나섰고 이후 백도에서 연이어 벌어지는 의문의 살인사건과 방화, 실종사건들을 연이어 보고나선 서현은 물론이고 같이 따라온 친구들의 걱정이 사무치기 시작한다. 그래서 교수님도 찾고 모두가 무사히 섬밖을 빠져나가기 위해 고군분투 한다. 강재욱 한국대학교 민속학과. 지훈과는 고교시절부터 절친한 친구였다. 서현과 지훈이 백도에 간다는 소식을 듣고는 마찬가지로 그들을 걱정하며 따라나섰다. 유독 진아와 많이 티격거리는 편이다. 초반에는 같이 다녔다가 어느 순간 혼자 다니기 시작했고 한동안 안보이다가 손에 흙을 잔뜩 묻힌채 낯선 여자애를 대동하고 다시 나타났다. 혼자 다닌 그의 행적은 5장 '짙은 악의'에서부터 낱낱이 밝혀진다. 안서현 한국대학교 민속학과. 지훈의 여자친구. 지훈의 사진이 걸린 펜던트를 소중히 걸고있다. 민속학과 남원규 교수가 백도에 갔다 사라졌고 경찰에서도 미지근한 반응을 보이자 직접 백도까지 갈 생각을 하는 보기하곤 달리 결단력이 강인하다. 이후 눈앞에서 살인과 방화를 목격하게 되자 흩어진 친구들의 걱정이 커지기 시작한다. 홍진아 한국대학교 화확과. 고교시절부터 재욱의 소개로 알게된 지훈의 친구. 유독 재욱하고 많이 티격거리는 편이다. 만났다 하면 으르렁대는 앙숙이지만 날마다 같이다니는것 보면 싫지는 않는듯. 친구들이 교수를 찾으러 백도에 간다는 이야길 들었을때도 MT가는것마냥 옷도 한껏 빼입고 과자를 잔뜩 사오는가 하면 교수를 찾는 일도 성의를 보이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 애초에 백도섬을 온게 그냥 생각없이 친구들을 따라온듯 하다. 남원규 한국대학교 민속학과 교수. 게임의 시발점. 오래전부터 백도에서 벌어지는 기이한 전설을 알아내기 위해 백도로 떠난뒤 돌아오지 않았다. 이는 평화로운 삶을 살던 네 사람이 포춘시커라는 돌아올 수 없는 길을 걷는 계기가 된다. 백도섬에서 사라졌으니 당연히 백도섬안에 갇혀있을거란 추측이 예상됐지만 네사람이 교수를 찾기위해 마을곳곳을 돌아다니고 조용한 마을이 살인, 방화 등으로 발칵 뒤집힐동안에도 한번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고 끝내 생사여부가 밝혀지지 않았다. 백도섬 주민들[편집] 민해선 백도의 이장 민장호의 딸. 어릴적부터 마을 지하에 숨겨진 포춘시커 지하연구소에 갇혀 '인간'이 아닌 '실험체'로써 살아왔고 의지할 사람이라고는 같은 실험체인 장민정과 두 아이들을 실험체가 아닌 인간으로 대해주는 남궁정숙 소장이 전부다. 어느날, 마을 보건소 침대밑에 숨어있다가 재욱과 강민혁 형사에게 발견됐고 자신을 자상하게 챙겨주는 재욱을 금세 친오빠처럼 좋아하고 따르기 시작한다. 남궁정숙 백도의 보건소 소장...이자 포춘시커 바이러스 개발사업의 책임자. 딸이 하나 있었다고 알려져있었지만 단지 바이러스 면역자라는 이유 하나로 포춘시커에게 아이를 빼앗겼고 하나뿐인 딸이 온갖 실험에 이용당하는걸 봐야만 했다. 그래서 어린 나이부터 실험체의 삶을 살게된 해선과 민정을 친딸처럼 자상하게 돌봐준다. 하지만 이런 그녀를 엄마처럼 의지하고 따르는 해선과는 달리 민정은 그녀를 멀리한다. 김대한 형사 여수경찰서 수사과 형사. 백도섬에서 사람이 실종됐다는 신고가 연이어 접수되자 수상함을 느끼고 동료인 강민혁과 백도섬에 들어온다. 그래서 처음 등장때부터 이장집에서 조사를 하고있는것으로 나온다. 마을회관 방화사건을 계기로 주인공 일행을 만났고 이후 행동을 같이한다. 처음엔 범인잡는 일을 최우선으로 여겼지만 같이 다니던 사람들이 연이어 다치고 살인사건까지 벌어지자 범인검거를 뒤로미루고 섬에서 탈출하는 법부터 알아보는 등 강력형사다운 적극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강민혁 형사 여수경찰서 수사과 형사. 표준어를 쓰는 대한과는 달리 여수토박이인지 전라도 사투리를 쓴다. 체격은 레슬링 국가대표로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수상했을 정도로 뛰어나지만 머리가 따라주지 않아 모든 수사는 대한에게 맡기고 자신은 보조만 하는 편. 험악한 인상과는 달리 속내는 순박하다. 김서동, 장웅 백도에 낚시를 하러 온 낚시꾼들....이라고 본인들은 말하지만 낚시대 중앙에 금이 가 있는데다 낚시꾼들 치고는 낚시 실력도 생전 낚시 안해본 초짜들과 맞먹는 수준이라 주인공 일행들을 의심케 했지만 낚시를 시작한지 얼마안된 초보라는 하면서 의심을 피하게 됐다. 어부 주인공 일행들을 거문도항에서 백도섬까지 태워다준 어부. 그냥 이름도 없는 엑스트라 같아 보이지만 실은 그도 백도섬 주민이며 3장 '독사의 송곳니'편에서 피습을 당해 심각한 부상을 입은것으로 나온다. 하지만 지훈고 서현, 김대한 형사가 보건소로 옮기는 사이 상처가 심해져서 침대에 눕히자마자 숨을 거두었다. 민장호 백도섬의 이장이자 해선의 아버지. 대한과 민혁이 찾고있는 인물. 초반에는 교수와 마찬가지로 흔적조차도 나오지 않아 행방이 묘연한것으로 그려졌지만 3장 '독사의 송곳니'편, 마을 동굴안에 숨겨진 포춘시커 실험실에서 시체로 발견됐다. 참고로 아내 이름은 '김자연'이다. 등장은 없고 동굴 안에 있는 낙서로 이름만 나온다. 포춘시커 연구소[편집] 안명선 포춘시커의 이사. 자신의 목적을 이뤄내기 위해서라면 무슨짓이든 마다치 않으며 심지어는 어린아이들조차도 실험을 위한 도구로밖에 보지 않는 비열한 면모를 가졌다. 그래서 실험체에 불과한 아이들을 친딸처럼 챙겨주는 남궁정숙과는 사사건건 대립하는 유형이다. 장민정 해선과 같은 실험체. 해선보다는 2살이나 많으며 피한방울 안섞인 해선과는 친자매같은 사이다. 세상물정 모르는 어리숙한 해선과는 달리 일찍부터 포춘시커의 실체를 깨닫고는 자신과 해선을 자상하게 돌봐주는 남궁정숙조차도 포춘시커와 한패라며 적대시한다. 켈리 앤더슨 포춘시커병원의 의사. 외국에서 왔고 한국말을 열심히 배워서인지 발음은 무척이나 정확하지만 말투를 적응하지 못했는지 존댓말과 반말을 섞어서 쓴다. 명선이 입원한 날, 병원 건물이 정전되자 서현과 같이 움직이게 된다. 기타[편집] 해머 13장에서 등장하는 쉐이드 요원. 쉐이드가 하는일을 정의라고 믿으며 때로는 과격한 행동도 마다치 않는다. 동료요원인 애쉬를 포춘시커 실험실에서 구원해준 장본인이며 항상 그녀와 붙어다닌다. 안서현을 제압하려다 뒤에서 나타난 강재욱의 총에 맞고 죽는다. 모자장수 본 게임에서 가장 미스터리한 인물. 정보를 거래하는 정보상인이며 말로는 안명선과 협력하고 있다지만 실상은 누구의 편도 들지않는 중립적인 인물이다. 시즌 2: 부서진 납 심장[편집] 서장 ~ 5장[편집] 조현태(24세) 한지훈을 잇는 새로운 주인공. 지훈과 마찬가지로 평범한 대학생이며 3년전 사고로 부모를 여읜후 남은 가족이라고는 9살 터울의 은화가 전부다. 어느날, 동생이 입원한 병원에서 정체모를 시체 무더기들을 발견하고는 공포감에 사로잡혀 은화를 데리고 병원밖을 빠져나가려 했지만 정체모를 테러리스트 집단에게 사로잡히면서 실패. 이후 테러리스트의 수장 애쉬로부터 병원 어딘가에 숨겨진 비밀통로를 찾아내지 못하면 눈앞에서 동생을 없애겠다는 협박을 받고 숨겨진 비밀통로를 찾기위해 병원 곳곳을 돌아다니기 시작한다. 조은화(15세) 은화의 여동생. 열다섯밖에 안된 나이에 암에 걸렸고 포춘시커의 후원으로 병원에 입원해 오빠의 신장을 이식받는다. 이후 입원한 병원이 테러조직에게 붙잡혀 인질이 됐지만 오빠의 도움으로 풀려났고 그때부터 오빠와 붙어다니며 행동을 같이 하지만 일순 흩어지게 된다. 이유진 포춘시커 병원의 간호사. 테러조직에게 부상을 당해 생명이 위급한 상황이라 이를 발견한 현태에게 SOS를 청한다. 현태는 자신도 동생이 인질로 잡혀있어서 남구할 처지가 못되는지라 그냥 가려고 했지만 애원을 뿌리치지 못하고 결국 여자를 부축해서 병실로 옮겨주었고 이후 여러 도구들을 손에 쥐어주며 상처를 회복했다. 그때부터 테러조직을 무력화시키기 위해 현태와 은화 남매와 동행하게 된다. 애쉬 포춘시커 병원을 점거한 테러조직의 수장. 단발머리를 한 젊은 여성이지만 테러조직을 총괄하는 수장답게 사람의 목숨도 우습게 여기는 냉혈인으로 묘사된다. 처음에는 자기말에 언제나 불복하는 현태를 건방진 녀석이라고 생각하며 못마땅해하지만 나중에는 생전 안하던 꼬맹이 소리까지 하며 사뭇 다르게 대한다. 의문의 남자 테러조직을 피해 병원 곳곳을 헤메고 다니던 현태, 은화, 유진을 감금해버리며 나타난 남자. 포춘시커 실험체였는지 구속복 차림의 마스크까지 쓰고있다. 감금상태에서 빠져나온 세 사람이 그를 잡기위해 사람이 지나다닐수 있는 길목은 모조리 차단해버리자 스스로 모습을 드러낸다. 하지만 무슨 이유에서인지 자신은 적이 아니라고 말하며 현태의 총구를 보고도 놀라는 기색을 보이지 않는다. 안서현 포춘시커의 수장. 5장에서 시체로 가득한 병실안 소파에 앉아 펜던트를 바라보다 이를 알고 들어온 현태와 마주친다. 하지만 수상한 사람을 보면 이유막론하고 총부터 들었을 다른 요원들과는 달리 사람 죽이는 일은 더는 하고싶지 않다며 못본척해줄테니 얼른 사라지라고 한다. 하지만 현태에게서 남자친구 이야길 듣자 백팔십도 돌변해 보고있던 펜던트를 건네주며 남자친구를 만나면 전해달라고 한다. 6장 ~ 12장[편집] 강재욱 포춘시커 테러사건으로부터 1년후, 문제의 사건에 위장잠입한다. 이런 위험천만한 일을 벌이는 이유는 딱 하나. 포춘시커의 화물을 가로채고 흩어진 친구들과의 사이를 에전처럼 되돌려놓기 위함이었다. 조력자인 해선의 도움을 받아 안우진이란 이름으로 위장해 쉐이드 청소부 일을 시작한다. 그러면서도 틈틈이 포춘시커의 정보를 알아보는데 몰두하기 시작하던 도중 뜻밖의 인물들과 마주하면서 예상치 못한 사건을 접하게 된다. 민해선 재욱의 조력자. 낯선사람을 경계하고 세상물정 모르던 전작의 어리숙함은 온데간데 없이 씩씩하고 당찬 이미지로 바뀌었다. 초반에는 영상통화만 하느라 직접적으로 나오진 않는데 정보를 알아내고 조작하는 일에 능숙한것으로 보아 IT계열쪽으로 전문이 된듯하다. 10장 '벗어날 수 없는 우리'편에서 화면이 아닌 직접적을 모습을 드러냈다. 나시호 포춘시커 여성요원. 통칭 나팀장. 기울어지는 트럭을 맨손으로 잡아 붙잡는다든가 비오는날 미끄러운 산벼랑을 맨몸으로 기어올라오는등 남자들도 벅찬 일을 아무렇지도 않게 해내는 괴력의 소유자. 괴력에 걸맞게 사람 죽이는 일을 아무렇지도 않게 저지르는 악랄한 면모를 가지고 있다. 자기밑으로 새로 들어온 안우진(으로 위장한 강재욱)을 처음에는 종종 수상하게 여기긴 하지만 별다른 수상한 점을 찾아내진 못한다. 구연수 포춘시커 청소부. 화물을 운반하는 역할이다. 예상외로 커피애호가라서 일 때문에 밤을 세워야 하는 날이면 어김없이 커피를 달고산다. 9장 '짐승의 뱃속'편에선 누군가에게 피습을 당한 모양인지 정신이 반쯤 나간 상태로 나시호가 묻는 말에만 기계적으로 대답하다 끝내 숨이 끊어지고 말았다. 인간적인 면모라고는 하나도 찾아볼수없는 악인들만 가득한 포춘시커 일원들 중 몇안되는 정상인. 이태준 포춘시커 병원 환자. 전신마비를 앓고있어서 말도 못하며 손에 들린 호출기 신호로 말을 대신한다. 원래 포춘시커 병원과 의문의 거래를 한 유명건축가로 알려졌으나 돌연 행방불명된 인물. 어쩌다 전신마비상태로 병원에 입원해있는지는 불명 8장 '침묵 속의 진실'편에서 누군가에게 살해당하고 팔목에 그려져있던 바코드까지 탈취당한다. 차지선 포춘시커 병원 환자. 딸 하나와 둘이서 병원생활을 하고있다. 남편의 죽음때문에 포춘시커에게 강한 적대감을 품고있으며 그 때문에 호의롭게 접근한 재욱도 포춘시커와 똑같은 인간이라고 간주하며 상대해주지 않았지만 그가 나쁜 사람이 아니란걸 알곤 적대를 푼다. 임하나 지선의 딸. 공감각자라서 색깔을 소리로 표현하는 아이다. 시호가 화물을 어디로 옮겼는지 우연히 창문을 통해 보게됐다. 이 때문에 알게된 재욱에게 금세 호의를 품고는 비오는 날에도 같이 가자며 쫓아다닌다. 기하도 이태준 담당의사. 하지만 하는 행적을 보면 어떻게 의사면허를 땄는지도 의심스럽다. 허구헌날 침대에 누워 모니터 화면으로 인터넷 방송을 보고있는게 일상이며 태준이 부를때마다 무척이나 짜증을 낸다. 그게 어느정도냐면 자신을 귀찮게 한다는 이유로 환자가 물을 달라고 하자 대충 수돗물을 떠다줄 정도. 김정원 포춘시커 소속 의사. 하지만 인체실험을 아무렇지도 않게 여기는 인간말종을 넘어선 사이코패스. 나시호와는 사이가 안좋은지 그녀를 코끼리라고 부른다. 클락 어느날 포춘시커 병원에 나타나 사람들을 하나씩 살해하고 정보를 훔쳐가는 미스터리한 인물. 재빠른 몸놀림과 민첩함으로 포춘시커를 따돌렸고 그 솜씨는 천하의 나시호조차도 인정해주었다. 하지만 재욱만은 쉽사리 죽이지 않으며 거래를 하자고 제안한다. 외부 링크[편집] 제작사 비주얼샤워의 홈페이지 하얀섬 공식 게시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하얀섬&oldid=24002301" 분류: 모바일 게임안드로이드 게임IOS 게임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9일 (화) 23:3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하얀섬은 비주얼샤워(VisualShower)에서 제작하여, 일렉트로닉 아츠 모바일 코리아(EA Mobile Korea)에서 배급을 담당한 미스터리, 스릴러 장르의 모바일 어드벤처 게임이다. 2009년 8월 27일 KT, SKT, LGT의 이동통신 3사에 동시 론칭되었다. 대한민국 남해에 실존하는 섬인 '백도'를 배경으로 시나리오를 제작하였으나 실존하는 인물, 사건들과는 연관이 없는 픽션임을 게임 초반부에 명기하고 있다. 시즌1에선 '한지훈'이, 시즌2에선 '조현태'가 각각 주인공으로써 시점이 되어 게임플레이를 할 수 있지만 스토리 특정상 주기적으로 시점이 바뀐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하얀섬 감독판을 배급한 배급사의 이름은 무엇인가? Assistant: 일렉트로닉 아츠 모바일 코리아
Human: 아래 생태_피라미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생태 피라미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생태 피라미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생태 피라미드에 대해 설명한다. 먹이 사슬에서 각 생물군이 차지하고 있는 단계를 영양 단계라 하는데, 대부분의 생태계에서 1차 영양 단계의 생체량은 매우 많다. 그러나 이 생체량이 모두 2차 영양 단계로 전환되지는 않는다. 이것은 식물 중 극히 일부만이 1차 소비자에게 먹히기 때문이다. 또한 배설과 호흡 등을 통해 상당량의 에너지가 소비된다. 따라서, 먹이 사슬의 각 영양 단계의 생체량이나 에너지를 비교해 보면, 생산자 단계에서 1차 소비자, 2차 소비자 단계로 이전함에 따라 전체적인 모양이 피라미드형으로 되는 것을 생태 피라미드라고 한다. 생물의 에너지량, 생물량, 개체수로 나뉜다. 목차 1 생태 피라미드의 분류 2 에너지 피라미드(pyramid of energy) 3 수적 피라미드(pyramid of number) 4 생체량의 피라미드(pyramid of biomass) 5 출처 생태 피라미드의 분류[편집] 에너지 피라미드 수적 피라미드 생체량의 피라미드[1][2][3] 에너지 피라미드(pyramid of energy)[편집] 생태계를 에너지적 관점으로 볼때, 두 가지 근본적인 물리적 에너지 법칙이 중요하다. 열역학 제 1 법칙에서는 에너지는 만들어지지도 없어지지도 않는다고 한다. 그것은 우리가 각 영양 단계에서 에너지의 양을 서술할 수 있어야 하며, 연속적인 영양단계를 통해 에너지가 흐를 때 에너지를 따라갈 수 있음을 강조한다. 열역학 제 2 법칙에서는 에너지가 한 형태에서 다른 형태로 전환될 때, 일부 에너지는 주변에 열로 방출될 수 있다고 말한다. 이는 한 영양단계에서 다른 영양단계로 지나갈때, 생물에서 에너지 양은 감소하고 그들 주변의 열의 양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생태계 내에서 에너지는 여러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는데 한가지 단순한 방법은 어떤 영양 단계에 존재하는 모든 생물들을 채집해서 태우는 것이다. 이런 과정을 통해 생산자와 초식동물 사이의 에너지 변화량은 비교하고, 생산자에서 초식동물로 갈 때 얼마나 많은 에너지의 양이 열로써 손실되었는지 알 수 있게 된다. 존재하는 에너지를 결정하는 다를 방법은 광합성 양과 생산자 그룹의 호흡률을 측정하는 것이다. 호흡률과 광합성 차이는 식물의 살아있는 물질에서 포획한 양이다. 에너지의 흐름을 강조한 것이 에너지 피라미드이다. 즉, 생태계에서 에너지는 한 방향으로만 흐르는데, 어떤 군집에서 영양 단계별로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나타낸 것이 에너지 피라미드이다. 생태 피라미드에서 개체수나 생체량의 경우에는 군집에 따라 역삼각형이 될 수도 있으나, 에너지 피라미드는 반드시 삼각뿔 모양으로 나타난다. 한편, 영양 단계가 증가할수록 개체의 크기는 증가하며, 에너지의 이동량은 감소하지만 에너지의 효율은 증가하게 된다. 수적 피라미드(pyramid of number)[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생체량의 피라미드(pyramid of biomass)[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출처[편집] ↑ Puja, Mondal. “3 Major Types of Ecological Pyramids-Pyramid of Number, Biomass and Energy”. 《your article library》.  ↑ Kindersley, Dorling. “Ecology Education Consulting”. 《Ecological Pyramids in an Ecosystem》 (Owl on Book).  ↑ “Ecological Pyramid”. 《tutorvista》.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생태_피라미드&oldid=23749798" 분류: 생태계숨은 분류: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DeutschEnglishEestiSuomiFrançaisGalegoKreyòl ayisyenBahasa Indonesia日本語JawaҚазақшаКыргызча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22일 (금) 06:4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먹이 사슬에서 각 생물군이 차지하고 있는 단계를 영양 단계라 하는데, 대부분의 생태계에서 1차 영양 단계의 생체량은 매우 많다. 그러나 이 생체량이 모두 2차 영양 단계로 전환되지는 않는다. 이것은 식물 중 극히 일부만이 1차 소비자에게 먹히기 때문이다. 또한 배설과 호흡 등을 통해 상당량의 에너지가 소비된다. 따라서, 먹이 사슬의 각 영양 단계의 생체량이나 에너지를 비교해 보면, 생산자 단계에서 1차 소비자, 2차 소비자 단계로 이전함에 따라 전체적인 모양이 피라미드형으로 되는 것을 생태 피라미드라고 한다. 생물의 에너지량, 생물량, 개체수로 나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생태계의 에너지가 한 방향으로만 흐르기 때문에 에너지 피라미드는 항상 어떤 모양을 가져? Assistant: 삼각뿔 모양 Human: 아래 등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등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등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등지 (오호 십육국)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등지(鄧芝, 178년[1] ~ 251년)는 중국 삼국시대의 촉나라의 장수이다. 자는 백묘(伯苗)이고 의양군 신야현 출신이며, 후한의 공신 등우(鄧禹)의 후손이다.[2] 목차 1 생애 2 《삼국지연의》에서 등지 3 등지의 친족 관계 4 참고 자료 생애[편집] 후한 말, 등지는 촉으로 들어갔으나 중용되지 못하였고, 파서태수 방희의 밑으로 들어갔다. 유비(劉備)가 익주를 평정한 후, 출행하여 비현으로 왔을 때, 등지와 대화를 나누어 보고는 그가 범상치 않다고 생각하고, 그를 비현의 현령으로 발탁했다. 후에 광한태수로 승진하여 임지에서 쌓은 공적으로 중앙에 들어가 상서가 되었다. 유비가 영안성에서 죽은 후, 제갈량(諸葛亮)은 오나라에 등지를 파견하였다. 등지는 손권(孫權)과 우호 관계를 맺고 장예(張裔)의 석방 협상에 성공했다. 제갈량이 북벌을 위해 한중에 주둔할 때, 등지는 중감군, 양무장군으로 임명되었다. 제갈량의 제1차 북벌에서, 등지는 조운(趙雲)을 보좌하는 역할을 맡았다. 제갈량이 죽은 후, 전군사, 전장군으로 승진했고, 서기 243년에는 거기장군으로 승진하였다. 서기 248년에 부릉국 백성들이 도위를 죽이고 반란을 일으키자, 등지는 군대를 인솔하여 반란을 진압하였다. 서기 251년에 세상을 떠났다. 《삼국지연의》에서 등지[편집] 등지가 오에 사신으로 파견되었을 때, 손권은 펄펄 끓는 기름을 가득 담아놓은 거대한 솥을 준비한 후 등지를 맞이했다. 등지는 자신을 희생해서라도 촉과 오의 동맹을 이룰 수 있다면 기꺼이 목숨을 바치겠다며 솥으로 달려갔다. 손권은 급히 등지를 제지하였고, 등지는 오와의 동맹을 이루는 데 성공한다.[3] 등지의 친족 관계[편집] 등량 (아들) 참고 자료[편집] ↑ 촉서 종예전에 의하면 247년에 등지가 나이 60세이면 군역을 지지 않는다면서 병권을 받았으니 어찌된 것입니까?라고 묻자, 종예는 공께서는 나이 70세에도 병권을 물리지 않는데 나라고 60세에 받지 못겠습니까?라고 말했다. 이로 보아 등지는 247년에 70세였으므로 178년에 태어난 것이 확실하다. ↑ 삼국지 촉서 - 등지전 ↑ 삼국지 연의 -제 41회- 등지가 교묘하게 동오군을 물리치다 전임오의 촉한의 거기장군243년~251년 후임하후패 vdeh삼국지와 삼국지연의의 주요 등장인물군주한 영제 소제 헌제 위 조조 조비 조예 조방 조모 조환 촉 유비 유선 오 손견 손책 손권 손량 손휴 손호 진 사마염 기타 공손연 공손찬 도겸 동탁 마등 여포 원소 원술 유언 유장 유표 장각 장로 한수 참모 문관한 공융 교현 양표 왕윤 채옹 위 가후 곽가 곽회 동소 사마사 사마소 사마의 순욱 순유 양수 왕랑 왕숙 유엽 정욱 종요 종회 진군 화흠 촉 간옹 동윤 등지 마량 마속 미축 방통 법정 비의 손건 양의 유파 이적 장완 제갈량 진지 오 감택 고옹 노숙 반준 보즐 여범 우번 육손 장굉 장소 장제 제갈각 제갈근 주유 진 가충 순욱 장화 진수 기타 곽도 괴량 괴월 봉기 심배 이유 장송 저수 전풍 진궁 채모 허유 무장한 노식 동승 주준 하진 황보숭 위 가규 등애 방덕 만총 서황 손례 악진 우금 이전 장합 장료 전예 전위 조인 조진 조창 조홍 조휴 하후돈 하후연 학소 허저 촉 강유 관우 관평 마대 마초 엄안 오의 왕평 요화 위연 이엄 장비 장익 조운 주창 진도 하후패 황권 황충 오 감녕 능통 미방 반장 서성 육항 여몽 장흠 전종 정보 정봉 제갈정 주치 주태 주환 진무 태사자 하제 한당 황개 진 두예 문앙 문호 석포 양호 왕준 기타 고순 곽사 기령 맹달 문추 안량 양봉 이각 장임 제갈탄 화웅 여인한 당희 동태후 하태후 초선 헌목황후 위 견황후 곽귀인 양휘유 왕원희 장춘화 하후휘 촉 감부인 미부인 목황후 황월영 오 대교 소교 보연사 손노반 손부인 오부인 진 양염 양지 기타 채부인 채염 축융부인 비한족 가비능(선비) 구력거(오환) 답돈(오환) 동천왕(고구려) 맹획(남만) 어부라(흉노) 히미코(일본) 기타 관로 남화노선 사마휘 예형 우길 좌자 화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등지&oldid=23144043" 분류: 178년 태어남251년 죽음삼국지 촉나라의 정치인삼국지 촉나라의 장군삼국지와 관련된 한나라 사람허난성 출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EnglishFrançaisHrvatski日本語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ไทยTiếng Việt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3일 (월) 20: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등지(鄧芝, 178년 ~ 251년)는 중국 삼국시대의 촉나라의 장수이다. 자는 백묘(伯苗)이고 의양군 신야현 출신이며, 후한의 공신 등우(鄧禹)의 후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등지를 비현 현령으로 발탁한 사람의 이름은? Assistant: 유비(劉備)
Human: 아래 양천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양천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양천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양천현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옛 양천 개략도 양천군(陽川郡)은 지금의 서울특별시 양천구와 강서구의 1914년 이전의 행정구역이다. 양천군의 중심지는 현재의 강서구 가양동이었다. 백제·고구려 때는 제차파의현(齊次巴衣縣)이라 불렸고, 통일신라와 고려 때는 공암현(孔巖縣)으로 불렸다.[1] 목차 1 유래 2 역사 3 같이 보기 4 각주 유래[편집] 백제 때의 제차파의(齊次巴衣)는 순우리말의 음을 따서 표기한 것이고, 통일신라 때의 공암(孔巖)은 이를 한역(漢譯)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다면 '파의(巴衣)'는 바위[巖]를 의미함이 분명하다. '제차(齊次)'가 무엇을 뜻하는 말인지, '공(孔)'의 뜻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는 의견이 분분하다. 현재는 孔巖이라는 한자 표기만 좇아 '구멍바위'로 해석하는 게 일반적인데, 가양동에는 허가바위라는 바위굴이 있다.[2] 역사[편집] 《대동여지도》 옛 양천군 지역은 서울특별시 강서구와 양천구가 되어 지금에 이른다. 백제 시대 : 제차파의현(齊次巴衣縣)이었다. 초기부터 백제의 세력권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 행정제도 개편으로 공암현(孔巖縣)으로 개칭된 후 율진군(栗津郡)의 영현이 되었다. 1018년(고려 현종 9년) : 수주(지금의 인천광역시 부평구)의 속현이 되었고, 고려 시대에 여러 이름으로 자주 바뀌었다. 1301년(충선왕 2년) : 치소가 지금의 강서구 가양동에서 양천구 신정3동 일대의 연의골(延義洞)로 옮기면서 현령이 파견되었고, 이때부터 양천현(陽川縣)으로 개칭되었다. 1414년(조선 태종 14년) : 금천현과 통합해 금양현(衿陽縣)으로 이름을 붙였다가, 2년 만에 재분할하였다. 1895년 : 23부제로 행정구역이 재편되면서 현(縣) 제도가 폐지되어 군(郡)으로 승격되었고, 인천부 관할 양천군이 되었다가 1년 만에 13도제가 실시되어 경기도 양천군이 되었다. 1914년 4월 1일 : 일제에 의한 행정구역 대개편으로 통진군과 함께 김포군에 편입되었고, 옛 양천군 산하의 5개면이 양동면과 양서면의 2면으로 통폐합되었다. 1936년 4월 1일 : 양동면 양화리가 경성부에 편입되었다. 1963년 1월 1일 : 서울특별시가 행정구획을 대거 확장하면서 양동면, 양서면 전체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편입되어 양동출장소와 양서출장소가 설치되었다.[3] 1967년 12월 31일 : 양동출장소가 폐지되었다. 1977년 9월 1일 : 영등포구에서 강서구가 분구, 신설되었다.[4] 1988년 1월 1일 : 강서구에서 양천구가 분구, 신설되었다. 같이 보기[편집] 양천 허씨 김포시 강서구 양천구 각주[편집] ↑ 孔巖縣, 本高句麗濟次巴衣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35卷-志4-地理2-01《三國史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법률 제1172호 양동출장소, 양서출장소 설치 ↑ 대통령령 제9666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양천군&oldid=24360927" 분류: 한국의 옛 지명한국의 폐지된 행정 구역경기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1895년 설치1914년 폐지김포시의 역사서울 강서구의 역사서울 양천구의 역사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일 (일) 12:1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양천군(陽川郡)은 지금의 서울특별시 양천구와 강서구의 1914년 이전의 행정구역이자 과거 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한 군이다. 양천군의 중심지는 현재의 강서구 가양동이었다. 백제·고구려 때는 제차파의현(齊次巴衣縣)이라 불렸고, 통일신라와 고려 때는 공암현(孔巖縣)으로 불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양천군의 역사는 어떻게 될까? Assistant: 옛 양천군 지역은 서울특별시 강서구와 양천구가 되어 지금에 이른다. 백제 시대 : 제차파의현(齊次巴衣縣)이었다. 초기부터 백제의 세력권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 행정제도 개편으로 공암현(孔巖縣)으로 개칭된 후 율진군(栗津郡)의 영현이 되었다. 1018년(고려 현종 9년) : 수주(지금의 인천광역시 부평구)의 속현이 되었고, 고려 시대에 여러 이름으로 자주 바뀌었다. 1301년(충선왕 2년) : 치소가 지금의 강서구 가양동에서 양천구 신정3동 일대의 연의골(延義洞)로 옮기면서 현령이 파견되었고, 이때부터 양천현(陽川縣)으로 개칭되었다. 1414년(조선 태종 14년) : 금천현과 통합해 금양현(衿陽縣)으로 이름을 붙였다가, 2년 만에 재분할하였다. 1895년 : 23부제로 행정구역이 재편되면서 현(縣) 제도가 폐지되어 군(郡)으로 승격되었고, 인천부 관할 양천군이 되었다가 1년 만에 13도제가 실시되어 경기도 양천군이 되었다. 1914년 4월 1일 : 일제에 의한 행정구역 대개편으로 통진군과 함께 김포군에 편입되었고, 옛 양천군 산하의 5개면이 양동면과 양서면의 2면으로 통폐합되었다. 1936년 4월 1일 : 양동면 양화리가 경성부에 편입되었다. 1963년 1월 1일 : 서울특별시가 행정구획을 대거 확장하면서 양동면, 양서면 전체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편입되어 양동출장소와 양서출장소가 설치되었다.[3] 1967년 12월 31일 : 양동출장소가 폐지되었다. 1977년 9월 1일 : 영등포구에서 강서구가 분구, 신설되었다.[4] 1988년 1월 1일 : 강서구에서 양천구가 분구, 신설되었다. Human: 아래 장정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장정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정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장정석 Jang Jeong-Seok 키움 히어로즈 No.40 고척스카이돔 주차장에서 싸인하고 있는 모습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1973년 5월 14일(1973-05-14) (46세) 출신지 대한민국 전라북도 남원시 신장 177 cm 체중 76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좌타 수비 위치 외야수 프로 입단 연도 1996년 드래프트 순위 1996년 2차 3순위(현대 유니콘스) 첫 출장 KBO / 1996년 마지막 경기 KBO / 2003년 10월 12일 문학 대 SK전 계약금 2억원 연봉 2억원 (2018년) 경력 선수 경력 현대 유니콘스 (1996년 ~ 2002년) KIA 타이거즈 (2002년 ~ 2004년) 프런트 경력 현대 유니콘스 스카우트 (2005년 ~ 2007년) 넥센 히어로즈 스카우트 (2008년 ~ 2014년) 넥센 히어로즈 운영팀장 (2015년 ~ 2016년) 넥센 히어로즈 사외이사 (2017년 ~ 2018년) 감독 경력 넥센 히어로즈 감독 (2017년 ~ 2018년) 키움 히어로즈 감독 (2019년 ~ 현재) 장정석(張政錫, 1973년 5월 14일 (1973년 음력 4월 12일) - )은 전 KBO 리그 KIA 타이거즈의 외야수이자, 현재 KBO 리그 키움 히어로즈의 감독이다. 목차 1 선수 시절 1.1 현대 유니콘스 시절 1.2 KIA 타이거즈 시절 2 야구선수 은퇴 후 2.1 넥센 히어로즈 & 키움 히어로즈 감독 시절 3 등번호 4 에피소드 5 출신 학교 6 통산 기록 7 각주 선수 시절[편집] 현대 유니콘스 시절[편집] 주로 백업 외야수와 대타로 활동했다. KIA 타이거즈 시절[편집] 2002년 시즌 중 최익성을 상대로 트레이드됐으며, 2004년에 은퇴했다. 선수 시절 통산 580경기에 출전해 타율 0.215, 176안타, 7홈런, 75타점으로 주목받을만한 성적을 남기지 못했다. 야구선수 은퇴 후[편집] 넥센 히어로즈 & 키움 히어로즈 감독 시절[편집] 오랜 기간 팀의 프런트 임원으로 일하며 활동하다가 2016년 준플레이오프 종료후 사퇴한 염경엽의 후임으로 발탁되어 2017년부터 감독으로 활동했다. 2017년 3월 31일 LG와 감독 데뷔 첫 경기를 치렀지만 아쉽게 패배했고, 이 경기를 시작으로 4월 6일까지 창단 첫 5연패라는 불명예 기록을 남겼다. 이로 인해 '바지 감독'이라는 비난을 들었다. 2017년 4월 7일 두산전에서 서건창이 구단 최초이자 데뷔 첫 사이클링 히트에 힘입어 감독 데뷔 첫 승을 기록하였다. 2017년 4월 30일 한화전에서 앤디 밴 헤켄의 부상으로 인해 대체 선발로 투입된 양훈이 5이닝 1실점으로 승리 투수가 되면서 최원태(4월 27일)-신재영(4월 28일)-조상우(4월 29일)에 이어 창단 이후 두 번째 4경기 연속 국내 투수 선발 승이라는 뜻깊은 기록을 달성하였다. 2018년에 넥센 히어로즈가 포스트시즌 진출을 하게 되자, '바지 감독' 이라는 비난은 줄어들게 되었다. 등번호[편집] '46' - 현대 유니콘스 (선수) '8' - KIA 타이거즈 (선수) '40' - 키움 히어로즈 (감독) 에피소드[편집] 아들 장재영 또한 야구 선수로 활동하고 있다. 중학교 시절 최대어였으며, 피지컬과 구속도 좋다. 현재 고등학교 1학년 중에서는 1순위로 평가받고 있다. 출신 학교[편집] 서울영일초등학교 우신중학교 덕수정보산업고등학교 중앙대학교 통산 기록[편집] 연도 팀명 타율 경기 타수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루타 타점 도루 도실 볼넷 사구 삼진 병살 실책 1996 현대 0.196 105 163 18 32 3 1 3 46 19 1 3 20 2 39 2 0 1997 0.214 80 103 11 22 4 0 0 26 7 3 2 6 1 23 1 1 1998 0.228 99 228 28 52 10 1 1 67 23 4 2 12 1 46 1 1 1999 0.203 50 59 13 12 0 0 1 15 5 1 0 10 1 18 0 0 2000 0.206 39 34 5 7 3 0 1 13 5 2 1 2 2 8 1 1 2001 0.303 46 33 5 10 4 0 0 14 3 0 0 2 0 9 0 0 2002 KIA 0.225 75 102 11 23 5 0 1 31 7 5 2 8 1 17 1 0 2003 0.188 86 96 14 18 3 0 0 21 6 3 1 10 1 21 0 1 통산 8시즌 0.215 580 818 105 176 32 2 7 233 75 19 11 70 9 181 6 4 각주[편집] vdeh키움 히어로즈 - 현재 명단감독 40 장정석 코치 72 허문회 (수석) 71 나이트 (투수) 73 오윤 (외야/1루 주루) 74 조재영 (작전/3루 주루) 77 강병식 (타격) 78 홍원기 (수비) 80 마정길 (불펜) 87 이건우 (트레이닝) 89 박도현 (배터리) 퓨처스 감독90 스펜서퓨처스 코치 70 김동우 (배터리) 75 권도영 (수비) 76 오규택 (외야/주루) 83 노병오 (투수) 88 김태완 (타격) 잔류군 코치 81 송신영 (투수) 투수 1 한현희 8 브리검 10 신재영 11 조상우 15 오주원 17 김동준 19 문성현 20 최원태 21 김성민 24 김상수(주장) 26 이상민 28 박주성 30 조덕길 33 이승호 35 김재웅 37 김한별 38 윤영삼 39 양현 41 안우진 42 이찬석 43 요키시 47 이보근 48 이재승 49 김선기 50 손동욱 54 서의태 55 하영민 59 신효승 60 조영건 61 임규빈 64 이영준 65 양기현 67 김인범 68 조재건 97 노윤상 99 윤정현 포수 2 배현호 12 김종덕 22 주효상 27 박동원 32 주성원 44 정동욱 56 이지영 63 박준형 내야수 3 김혜성 5 정현민 6 김주형 7 김하성 13 김지수 14 서건창 23 장영석 34 임지열 46 김수환 52 박병호 57 송성문 66 이명기 81 조범준 94 김준연 95 김은성 96 김상현 외야수 0 임병욱 9 박정음 25 박성민 29 이택근 31 허정협 36 김규민 45 샌즈 51 이정후 53 예진원 58 변상권 62 추재현 92 조병규 93 김신회 군입대 선수 김웅빈 김재현 김정인 박주현 송우현 오윤성 이병규 정대현 최규보 2020년 신인지명 선수 -- 박주홍(1차지명) 전임염경엽 제4대 키움 히어로즈 감독2016년 10월 27일 ~ 후임현직 vdehKBO 리그 감독 염경엽 (SK 와이번스) 김태형 (두산 베어스) 한용덕 (한화 이글스) 장정석 (키움 히어로즈) 김기태 (KIA 타이거즈) 김한수 (삼성 라이온즈) 양상문 (롯데 자이언츠) 류중일 (LG 트윈스) 이강철 (kt 위즈) 이동욱 (NC 다이노스) vdeh현대 유니콘스 - 1998년 한국시리즈 우승 (정규시즌 1위)감독 70 김재박코치 74 김용철 | 75 정진호 | 77 김일권 | 79 김시진 | 80 신언호 | 85 양승관투수 11 김홍집 | 18 위재영 | 20 정민태 | 21 조규제 | 27 스트롱 | 28 정명원 | 30 김수경 | 41 조웅천 | 45 최원호포수 25 장광호 | 26 박경완 | 37 이재주내야수 00 김경기 | 4 이명수 | 5 염경엽 | 7 박진만 | 12 쿨바 | 31 박종호 | 55 권준헌외야수 1 전준호 | 8 김인호 | 10 이숭용 | 33 김광림 | 46 장정석 | 62 박재홍승률왕, 신인왕 김수경 | 최우수 평균자책점 정명원 | 한국시리즈 MVP 정민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장정석&oldid=24493118" 분류: 197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전라북도 출신남원시 출신KBO 리그 외야수현대 유니콘스 선수KIA 타이거즈 선수키움 히어로즈 감독서울영일초등학교 동문우신중학교 동문덕수정보산업고등학교 동문중앙대학교 동문장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8일 (금) 02: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장정석(張政錫, 1973년 5월 14일 ~ )은 전 KBO 리그 KIA 타이거즈의 외야수이다. 그의 아들은 KBO 리그 키움 히어로즈의 투수인 장재영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장정석이 감독이 되어 한 첫 경기일은 언제야? Assistant: 2017년 3월 31일
Human: 아래 지포스_400_시리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지포스 400 시리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지포스 400 시리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지포스 400 시리즈(GeForce 400 Series)는 엔비디아에서 개발된 그래픽 카드 제품군이다. 원래는 2009년 11월에 출시 예정이었지만 약간 연기되어 2010년 3월 26일 출시되었다. 실제 구매는 2010년 4월부터 가능하였다. 목차 1 개요 2 역사 3 제품 스펙 4 각주 5 외부 링크 개요[편집] 엔비디아 내부에서 이탈리아 물리학자 엔리코 페르미에서 이름을 딴 페르미를 아키텍처 이름으로 썼다. 엔비디아는 페르미 아키텍처가 G80를 잇는 차기작이라고 한다. 페르미는 TSMC에서 만들어진 512 스트림 프로세서, 30억개의 트랜지스터를 가진 거대한 40나노미터 프로세서이다. 페르미는 OpenGL 4.0과 Direct3D 11을 지원하는 엔비디아의 첫 번째 제품이다. 출시시점에 모든 스트림 프로세서가 활성화되지 않았다. GTX 480은 하나의 그룹이 비활성화되었고, GTX 470은 두개의 그룹과 하나의 메모리 컨트롤러가 비활성화되었고, GTX 465는 5개의 그룹과 2개의 메모리 컨트롤러가 비활성화되었다. 최종 지포스 카드들은 각 GDDR5 메모리 컨트롤러당 256MB를 붙였다. 각각 1.5, 1.25, 1.0GB이다. 테슬라 C2050은 6개의 각 컨트롤러는 512MB를 달고 있고, 테슬라 C2070은 컨트롤러당 1024MB를 달고 있다. 두 테슬라 카드는 14개의 활성화된 스트림프로세서 그룹을 가졌다. 테슬라는 메모리에 ECC보호를 적용할 수 있고, 두배 정밀한 실수 연산을 한다. 지포스 카드들은 DP연산이 제한된다. 역사[편집] 2009년 9월 30일에 아키텍처를 설명하는 문서를 발표했다[1] 제품 스펙[편집]    제품명    CUDA 코어수 그래픽 클럭(MHz) 프로세서(MHz) 텍스처 필 레이트(billion/sec) 메모리 클럭(MHz)  표준 메모리 환경  메모리 인터페이스(bit) 메모리 대역폭(GB/sec) 최대 전력(W) 지포스 GTX 480 480 700 1401 42.0 1848 1536 MB GDDR5 384 177.4 250 지포스 GTX 470 448 607 1215 34.0 1674 1280 MB GDDR5 320 133.9 215 지포스 GTX 465 352 607 1215 26.7 1603 1024 MB GDDR5 256 102.6 200 지포스 GTX 4601 336 675 1350 37.8 1800 1024 MB GDDR5 256 115.2 160 지포스 GTX 4602 336 675 1350 37.8 1800 768 MB GDDR5 192 86.4 160 지포스 GTX 460OEM 336 650 1300 36.4 1800 1024 MB GDDR5 256 108.8 160 지포스 GTS 450 192 783 1566 25.1 1804 1024 MB GDDR5 128 57.7 106 지포스 GTS 450OEM 144 790 1580 19.0 2000 1.5 GB GDDR5 192 96 106 지포스 GT 440OEM 144 594 1189 14.3 800 or 900 1.5 or 3.0 GB GDDR5 192 43.2 56 지포스 GT 430 96 700 1400 11.2 800 - 900 1024 MB DDR3/GDDR5 128 25.6 - 28.8 49 지포스 GT 430OEM 96 700 1400 11.2 800 or 900 2.0 GB DDR3 128 28.8 60 지포스 GT 420OEM 48 700 1400 5.6 900 2.0 GB DDR3 128 28.8 50 각주[편집] ↑ http://www.nvidia.com/content/PDF/fermi_white_papers/NVIDIA_Fermi_Compute_Architecture_Whitepaper.pdf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지포스 400 시리즈 (영어) The Next Generation of Nvidia GeForce vdeh엔비디아GPU 목록초기의 칩셋 NV1 NV2 리바 시리즈 리바 128 리바 TNT 리바 TNT2 지포스 시리즈 지포스 256 지포스2 지포스3 지포스4 지포스 FX 지포스 6 지포스 7 지포스 8 지포스 9 지포스 100 지포스 200 지포스 300 지포스 400 지포스 500 지포스 600 지포스 700 지포스 800 지포스 900 지포스 10 지포스 20 기술 SLI 터보캐시 모바일 PCI 익스프레스 모듈 (MXM) 메인보드 엔포스 칩셋 아이온 엔포스 220/415/420 엔포스2 사운드스톰 엔포스3 엔포스4 엔포스 500 엔포스 600 엔포스 700 엔포스 칩셋 기술 EPP 2.0 워크스테이션 및 HPC 쿼드로 쿼드로 플렉스 테슬라 게임기 NV2A RSX 엔비디아 쉴드 MID 고포스 테그라 오픈KODE: (오픈GL ES 2.0) 드라이버 포스웨어 시스템 도구: (nTune) CUDA PhysX 개발 및 기타 ESA 플랫폼 소프트웨어 가속: (Gelato 퓨어비디오) Cg 합병 / 인수 3dfx 에이지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지포스_400_시리즈&oldid=21373715" 분류: 그래픽 카드엔비디아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ČeštinaDeutschEnglishSuomiעבריתItaliano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lovenčin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5월 23일 (수) 07: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지포스 400 시리즈(GeForce 400 Series)는 엔비디아에서 개발된 그래픽 카드 제품군이다. 원래는 2009년 11월에 출시 예정이었지만 약간 연기되어 2010년 3월 26일 출시되었다. 실제 구매는 2010년 4월부터 가능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지포스 카드에서 제한되는 연산은 뭐야? Assistant: DP연산 Human: 아래 박정민_(배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박정민 (배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정민 (배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박정민출생 1987년 3월 24일(1987-03-24) (32세)대한민국 충청북도 충주시직업 배우활동 기간 2011년 ~ 현재소속사 샘컴퍼니 웹사이트 브런치 '박정민(1987년 3월 24일 (음력 2월 25일)[1]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2] 목차 1 학력 2 생애 및 경력 3 출연 작품 3.1 영화 3.2 드라마 3.3 무대 4 연기 외 활동 4.1 텔레비전 프로그램 4.2 뮤직비디오 4.3 음반 4.3.1 Byunsan Monologue 4.4 홍보대사 4.5 광고모델 4.6 저서 5 수상 및 후보 6 각주 6.1 내용주 6.2 참조주 학력[편집] 한일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자퇴)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연기과 (졸업) 생애 및 경력[편집] 박정민은 충청북도 충주시에서 태어났으며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을 거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서 성장하였다. 박정민은 전국구로 모집하는 기숙사학교 공주시 한일고등학교에 진학한다. 중학교 시절, 박정민은 친구들과 우연히 강원도에 놀러갔다가 배우 박원상을 만나게 되었는데 박원상 자신이 연극배우이며 곧 '와이키키 브라더스'(2001)가 개봉한다면서 해당 작품을 꼭 보러와달라는 부탁을 했다. 이를 기억하고 후에 영화를 찾아서 봤는데, 인터뷰에서 이를 계기로 하여 연기에 매력을 느끼게 되었다고 밝혔다.[3] 박정민은 고등학생 당시에도 연기를 해야겠다고 생각했지만 타지에서 학교를 다닐 뿐더러 근처에 연기학원이 없어 독학으로 배울 수 있는 연출을 공부했다. 그는 연출을 공부하며 자신이 직접 영화를 찍어 출연하자는 생각을 했다고 한다. 그렇게 3년동안 시놉시스를 쓰고 영화를 보며 공부를 한 후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 시험에 응시했지만 불합격을 받고 그 해 고려대학교 안암캠퍼스 인문학부에 입학한다. 그러나 연기를 전공으로 배우고 싶었던 박정민은 입학한지 몇달만에 중퇴를 결심하고 다시 시험을 봐서 이듬해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에 입학하게 된다.[4] 인터뷰에서 말하길,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영화 연출을 배우면서도 연기에 대한 갈증이 해소되지 않았다고 한다. 연극을 준비하면 할수록 무대에 서고 싶다는 열망이 강해졌고 촬영이 시작되는 동시에 무대에서 사라지는 자신이 힘들었다고 한다. 결국 연극과로 전과를 하자는 결심을 했지만 각 과의 특색이 강한 한예종에서의 전과는 매우 어렵고 영화과에서 연극과로 전과를 한 사례가 없었기에 주변의 시선이 좋지는 않았다고 한다. 박정민은 먼저 연극을 부전공으로 신청하고는 모든 연극과 수업을 들었다. 그리고 부전공인 연극과 시험에서 올A+를 받아 교수님이 좋게 봐주시기 시작했고, 전과 입시시험을 볼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5] 2011년 독립영화 《파수꾼》으로 데뷔했다. 이후 《전설의 주먹》, 《감기 (영화)》, 《사춘기 메들리》, 《너희들은 포위됐다》, 《들개 (2014년 영화)》 등에 출연하며 작품활동을 이어오다가 2016년 영화 《동주》에서 독립운동가 송몽규 열사 역을 맡아 열연하며 그해 청룡영화상, 백상예술대상, 황금촬영상의 신인상을 수상하였다.[6] 또한 《응답하라 1988》에도 단역으로 출연했는데 10분 남짓한 출연에도 뛰어난 연기력으로 존재감을 드러냈다. 2017년도에 개봉한 《그것만이 내 세상》에서 서번트 증후군을 앓는 피아노 천재 '진태' 역을 열연하며 호평을 받았고, 2018년도 《변산 (영화)》에서 뛰어난 랩실력을 보여주며 배우로서의 능력과 함께 노력이 더해진 연기파 배우로서 작품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출연 작품[편집] 영화[편집] 연도 제목 활동 역할 관객수 비고 2011 주연 백희준 2만명 독립영화 2012 댄싱퀸 조연 뽀글이 405만명 2013 전설의 주먹 조연 어린 임덕규 174만명 감기 조연 차철교 311만명 2014 피끓는 청춘 조연 황규 167만명 들개 주연 이효민 3천명 신촌좀비만화 주연 비젠/보현 단편영화 <유령> 편 2015 태양을 쏴라 조연 첸 1만명 오피스 조연 이원석 44만명 2016 동주 주연 송몽규 116만명 순정 조연 용수 23만명 무서운 이야기 3: 화성에서 온 소녀 주연 동근 9만명 <로드레이지> 편 2017 더 킹 조연 허기훈 531만명 아티스트: 다시 태어나다 주연 재범 임금님의 사건수첩 특별출연 의경세자 163만명 2018 그것만이 내 세상 주연 오진태 341만명 염력 조연 김정현 98만명 변산 주연 김학수 49만명 2019 사바하 주연 정나한 239만명 사냥의 시간 (가제) 주연 상수 타짜-원 와이드 잭 주연 도일출 2020 시동 주연 고택일 드라마[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활동 역할 비고 2011 KBS2 드라마 스페셜-휴먼 카지노 조연 차태오 MBC 심야병원 단역 박재범 2012 MBC 신들의 만찬 조연 정미소 골든타임 조연 장영우 2013 KBS2 사춘기 메들리 주연 신영복 2014 SBS 너희들은 포위됐다 주연 지국 웹드라마 모모살롱 주연 김창균 보기 tvN 일리있는 사랑 조연 장기태 2015 tvN 응답하라 1988 특별출연 박종훈 2016 tvN 안투라지 주연 이호진 2018 tvN 미스터 션샤인 특별출연 안창호 보기 무대[편집] 연도 제목 역할 2011~13 키사라기 미키짱 스네이크 2014 G코드의 탈출 남자 2016~17 로미오와 줄리엣 로미오 연기 외 활동[편집] 텔레비전 프로그램[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비고 2015 채널CGV 나도 영화 감독이다2 2017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 SBS 나이트라인 초대석 보기 런닝맨 (텔레비전 프로그램)[주 1] tvN 현장토크쇼 TAXI 아티스트: 다시 태어나다 2018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 런닝맨 (텔레비전 프로그램)[주 2][주 3] 2019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 SBS 나이트라인 초대석 보기 YTN 뉴스 Q 보기 뮤직비디오[편집] 연도 가수 노래 2012 수정선(신재진) <butterfly> 2018 아이유 <잊어야 한다는 마음으로> 음반[편집] 제목 정보 비고 《Byunsan Monologue》 발매일: 2018년 07월 04일 레이블: (주)인터파크 포맷: 디지털 다운로드 변산 (영화) Byunsan Monologue[편집] 트랙 제목 작사 작곡 편곡 1 Hero(With. 김고은, 얀키(Yankie)) 박정민, 얀키(Yankie) 프라이머리(Primary) , 얀키(Yankie) 프라이머리(Primary) 2 노을 박정민 얀키(Yankie) Padi 3 심뻑 박정민, 얀키(Yankie) 박정민, 얀키(Yankie) 얀키(Yankie) 4 야야야 박정민, 얀키(Yankie) 얀키(Yankie) 얀키(Yankie) 5 Done 박정민, 얀키(Yankie), 김재호 얀키(Yankie) 얀키(Yankie) 6 식탁(With. 얀키(Yankie)) 박정민, 얀키(Yankie) Avec Plaisir Avec Plaisir 7 에라이 박정민 Avec Plaisir Avec Plaisir 8 Slow Driver 박정민 Avec Plaisir Avec Plaisir 9 향수 박정민 Avec Plaisir Avec Plaisir 홍보대사[편집] 연도 홍보대사 2011 제5회 상록수다문화국제단편영화제 광고모델[편집] 연도 기업명 제품명 종류 공동 출연 2011 동아제약 박카스 비타음료 2016 삼성물산 빈폴 아웃도어 의류 서강준 2017 기아자동차 ALL NEW 모닝 자동차 진경, 심은경 2019 롯데그룹 칸타타 콘트라베이스 커피 이병헌 저서[편집] 박정민曰 "'글을 말로 옮기는 배우' 일을 하다 말을 또 글로 표현해보고 싶어서 이 일을 시작하게 됐다" 평소에 책을 좋아하고 고려대학교 인문학부에 입학했던 박정민은 작가로서의 팬도 상당히 보유하고 있다. 박정민은 영화 파수꾼의 홍보용 블로그[7]의 '귀여운 베키의 일기' 코너에 촬영 비하인드 스토리를 연재하면서 글 좀 쓰는 배우로 이름을 알렸다. 이후 2013년부터 4년동안 매거진 《topclass》에 '언희(言喜)'라는 필명으로 칼럼을 실으며 재치있고 유머러스한 필력으로 독자층을 넓혀 갔다. 그 후 이 때 쓴 글을 책으로 묶어 출판 했으며, 제목은 '쓸 만한 인간'.[8] 《쓸 만한 인간》 : 박정민 산문집 (2016년) 《쓸 만한 인간》 (스페셜 에디션)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11 제20회 부일영화상 신인 남자연기상 《파수꾼》 후보 2013 제50회 대종상 신인남우상 《전설의 주먹》 후보 2014 제9회 맥스무비 최고의 영화상 최고의 남자신인배우상 후보 2016 제16회 디렉터스 컷 어워즈 올해의 신인남자연기상 《동주》 수상 제36회 황금촬영상 신인남우상 수상 제52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남자 신인연기상 수상 2016년 한국영화를 빛낸 스타상 신인남우상 수상 제16회 디렉터스 컷 시상식 올해의 남자신인연기자상 수상 제25회 부일영화상 신인 남자연기상 후보 남우조연상 후보 제37회 청룡영화상 신인남우상 수상[9] 2017 제4회 들꽃영화상 남우주연상 후보 제22회 춘사영화상 남우조연상 수상 제1회 신필름예술영화제 상업영화부문부문 배우상 빈칸 수상 2018 제19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남우주연상 《변산》 수상 각주[편집] 내용주[편집] ↑ 2017년 3월 19일 방영분(342회) ↑ 2018년 4월 22일 방영분(397회) ↑ 2018년 8월 5일 방영분(412회) 참조주[편집] ↑ 박정민의 사랑, 그리고 연애 "더 신중해질 수밖에요" ↑ “박정민 :: 네이버 인물검색”.  ↑ 김지혜 (2018년 7월 16일). “[스브수다] 박정민의 도장깨기”. 《SBS 뉴스》. 2018년 10월 21일에 확인함.  ↑ 김연지 (2016년 7월 22일). “[취중토크③] 박정민 "연기 제대로 하고 싶어 고려대 자퇴"”. 2018년 12월 8일에 확인함.  ↑ 정시우 (2016년 2월 29일). “‘동주’ 박정민, 과정이 아름다운 당신(인터뷰)”. 2018년 12월 8일에 확인함.  ↑ 이소담 (2017년 2월 1일). “[팝업★]늦게 뜰 거란 황정민 예상 앞당긴 박정민의 힘”. 2018년 12월 8일에 확인함.  ↑ “파수꾼 홍보용 블로그”. 2018년 12월 8일에 확인함.  ↑ 강대호 (2018년 6월 27일). “박정민 ‘저예산 영화의 송강호’…작가로도 호평”. 2018년 12월 8일에 확인함.  ↑ 심사위원 만장일치 수상이다. 박정민의 수상 목록vdeh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남우주연2000년대 송강호, 이병헌 (2000) 최민식 (2001) 설경구 (2002) 신하균 (2003) 정재영 (2004) 조승우 (2005) 황정민 (2006) 송강호 (2007) 김윤석 (2008) 하정우 (2009) 2010년대 윤제문 (2010) 유준상 (2011) 이병헌 (2012) 하정우 (2013) 이경영 (2014) 유해진 (2015) 정우성 (2016) 권해효 (2017) 박정민 (2018) * 2010년 이후 남우주연상과 남우조연상을 남자연기자상으로 통합대상 | 최우수작품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남우 | 신인여우 vdeh춘사영화상 남우조연1990년대 - (1990) 이경영 (1991) 이경영 (1992) 이일웅 (1993) 이경영 (1994) 이해룡 (1995) - (1999) 2000년대 신하균 (2000) - (2001) 강신일 (2002) 박노식 (2003) 정두홍 (2004) 박용우 (2005) 이범수, 장항선 (2006) 오달수, 조한선 (2007) 김영철 (2008) 성동일, 박희순 (2009) 2010년대 고창석, 유준상 (2010) - (2014) - (2015) 조진웅 (2016) 박정민 (2017) 김동욱 (2018) 최우수작품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남우 | 신인여우 vdeh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남자 신인연기1960년대 김석강 (1965) - (1966) - (1967) 오영일 (1968) - (1969) 1970년대 김희라 (1970) 하명중 (1971) 신영일 (1972) 박지훈 (1973) - (1974) 유영국, 김추련 (1975) 민철 (1976) 진유영 (1977) 김흥기 (1978) - (1979) 1980년대 - (1980) 김성찬 (1981) 이영호 (1982) - (1983) 김수철 (1984) 강석우 (1985) 임성민 (1986) 박중훈 (1987) 민규 (1988) 최민수 (1989) 1990년대 김보성 (1990) 문성근 (1991) 이일재 (1992) 조재현 (1993) 김병세 (1994) 이정재 (1995) 한석규 (1996) 박신양 (1997) 임창정 (1998) 이성재 (1999) 2000년대 설경구 (2000) 여현수 (2001) 정운택 (2002) 권상우 (2003) 배용준 (2004) 윤계상 (2005) 이준기 (2006) 정지훈 (2007) 장근석 (2008) 소지섭, 강지환 (2009) 2010년대 이민기 (2010) 최승현 (2011) 김성균 (2012) 지대한 (2013) 김수현 (2014) 박유천 (2015) 박정민 (2016) 류준열 (2017) 구교환 (2018) 김영광 (2019) 대상 | 작품상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자조연 | 여자조연 | 남자신인연기 | 여자신인연기 vdeh청룡영화상 신인남우1960년대 - (1963) - (1964) - (1965) - (1966) 오영일 (1967) - (1969) 1970년대 고강일 (1970) 노우현, 하명중 (1971) - (1972) 신일룡 (1973) 1990년대 박상민 (1990) 최진영 (1991) 조재현 (1992) 김명수 (1993) 여균동 (1994) 이정재 (1995) 박신양 (1996) 장동건 (1997) 안재욱 (1998) 이성재 (1999) 2000년대 김래원 (2000) 차태현 (2001) 황정민 (2002) 배용준 (2003) 재희 (2004) 천정명 (2005) 류덕환 (2006) 다니엘 헤니 (2007) 강지환, 소지섭 (2008) 양익준 (2009) 2010년대 최승현 (2010) 이제훈 (2011) 조정석 (2012) 여진구 (2013) 박유천 (2014) 최우식 (2015) 박정민 (2016) 도경수 (2017) 남주혁 (2018) 최우수작품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남우 | 신인여우 vdeh디렉터스 컷 시상식 올해의 남자신인연기1990년대 - (1998) - (1999) 2000년대 신하균 (2000) 김명민 (2001) 황정민 (2002) 박해일, 봉태규 (2003) 강동원 (2004) 하정우 (2005) 류덕환 (2006) 장근석 (2007) 유아인 (2008) 김동욱 (2009) 2010년대 송새벽 (2010) 여진구 (2014) 안재홍 (2015) 박정민 (2016) 최귀화 (2017) 도경수 (2018) 감독 | 남자연기 | 여자연기 | 신인감독 | 남자신인연기 | 여자신인연기 vdeh황금촬영상 신인남우1980년대 최민수 (1987) 1990년대 강석현 (1990) 이병헌 (1996) 김의성 (1997) 2000년대 설경구 (2000) 김태우 (2001) 차태현 (2002) 박해일 (2003) 원빈 (2004) 강동원 (2005) 이준기 (2006) 온주완 (2007) 다니엘 헤니, 진구 (2008) 김지석, 차승우 (2009) 2010년대 정경호 (2014) 강하늘, 유연석 (2015) 박정민, 이호원 (2016) 이주원, 김희진 (2017) 김신의, 백서빈 (2018) 작품상 | 감독 | 연기대상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남우 | 신인여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박정민_(배우)&oldid=24534291" 분류: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남자 신인연기상 수상자살아있는 사람1987년 태어남충주시 출신2011년 데뷔한일고등학교 동문한국예술종합학교 동문20세기 대한민국 사람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21세기 대한민국 사람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Bahasa Indonesi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6일 (토) 18:0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박정민(한국 한자: 朴正民, 1987년 3월 24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배우 박정민은 어떤 작품을 보고 연기에 매력을 느꼈을까? Assistant: 와이키키 브라더스
Human: 아래 소목장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소목장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목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6월) 소목장 (小木匠)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번호 국가무형문화재 제55호 지정일 1975년 1월 29일 전승지 경기도 전승자 박명배 (朴明培) 소목장 (小木匠) 경기도의 시도무형문화재 지정 번호 시도무형문화재 제14호 지정일 1995년 8월 7일 2002년 11월 25일 (14-1호) 2006년 3월 20일 (14-2호) 전승지 경기도 전승자 창호분야 - 김순기 백골분야 - 김의용 (14-1호) 가구분야 - 권우범 (14-2호) 소목장 (小木匠) 충청남도의 시도무형문화재 지정 번호 시도무형문화재 제18호 지정일 1996년 2월 27일 전승지 충청남도 예산군 전승자 조찬영 소목장 (小木匠) 대구광역시의 시도무형문화재 지정 번호 시도무형문화재 제10호 지정일 1996년 5월 27일 전승지 대구광역시 전승자 엄태조 화류소목장 (樺榴小木匠) 광주광역시의 시도무형문화재 지정 번호 시도무형문화재 제13호 지정일 1996년 12월 24일 전승지 광주광역시 전승자 조기종 목가구(소목장) (木家具(小木匠)) 전라북도의 시도무형문화재 지정 번호 시도무형문화재 제19호 지정일 1998년 1월 9일 전승지 전라북도 전주시 전승자 조석진 소목장 (小木匠) 대전광역시의 시도무형문화재 지정 번호 시도무형문화재 제7호 지정일 1999년 5월 26일 전승지 대전광역시 전승자 방대근 소목장 (小木匠) 서울특별시의 시도무형문화재 지정 번호 시도무형문화재 제26호 지정일 2001년 10월 13일 전승지 서울특별시 전승자 김창식(金昌植) 소목장(통영소반) (小木匠(統營小盤)) 경상남도의 시도무형문화재 지정 번호 시도무형문화재 제24호 지정일 2002년 4월 4일 전승지 경상남도 통영시 전승자 추용호 소목장 (小木匠) 경상남도의 시도무형문화재 지정 번호 시도무형문화재 제29호 지정일 2004년 10월 21일 전승지 경상남도 진주시 전승자 정진호 소목장 (小木匠) 충청북도의 시도무형문화재 지정 번호 시도무형문화재 제15호 지정일 2006년 5월 26일 전승지 충청북도 음성군 전승자 박근영 소목장(小木匠)이란 목재로 세간들을 만드는 기능자를 말한다. 대목장이 가옥이나 절 등 건축물을 제작한다면 소목장은 장롱(欌籠), 궤함(櫃函) 등을 비롯하여 문방구(文房具) 등 세간들과 각종 농기구 및 수레, 가마 등 일반 생활 용품을 만들어 왔다. 목차 1 제작 과정 2 역사 3 기능 보유자 3.1 국가무형문화재 3.2 경기도 3.3 경상남도 3.4 광주광역시 3.5 대구광역시 3.6 대전광역시 3.7 서울특별시 3.8 전라북도 3.9 충청남도 3.10 충청북도 제작 과정[편집] 소목 제작은 만들고자 하는 작품을 축소하여 종이에 도안을 그리는 것으로 시작된다. 도안이 완성되면, 각 부분 별로 축소 비율에 따른 길이를 측정하여 몸통자에 칼금으로 표시해 둔다. 소목 작품의 제작에는 톱과 여러 종류의 대패, 망치, 칼 등의 다양한 도구가 사용된다. 실질적인 소목제작의 첫 공정으로, 먼저 원목을 크기에 맞게 재단하는 과정이다. 소목에는 보통 단단한 느티나무가 많이 사용된다. 원목을 켤 때에는 어떤 부분으로 쓰이는가에 따라 나뭇결의 문양을 고려하여 재단해야 한다. 원목이 각 부분별로 모두 재단되면 대패로 표면을 다듬어 굴곡이 없이 수평이 되도록 편편하게 만든다. 재비촉과 꼴구멍을 파내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짜 맞출 수 있게 한다. 우리의 전통가구는 이 재비촉과 꼴구멍으로만 연결되므로 각 부분이 정확하게 들어맞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기둥이나 동자 같이 앞으로 튀어나오는 부분은 둥근 대패를 이용하여 완만한 곡선이 되도록 다듬는다. 연결 홈 내기는 옆판과 뒷판을 맞물려 끼우기 위하여 홈을 파내는 작업이다. 각 부분별 작업이 모두 끝나면 이를 하나하나 연결하여 짜 맞춘다. 이때 못을 사용되지 않고 일일이 하나씩 홈을 맞추어 나간다. 앞면이 모두 완성되면 옆판과 뒷판을 끼워 몸통을 조립한다. 이때 풀이 다 마를 때까지 쇠틀에 끼워 고정시킨다. 풀이 모두 굳었으면 틀을 제거한 후 몸통을 뒤집어 윗판을 붙인다. 그리고 다시 풀이 마를 때까지 쇠틀에 끼워 건조시킨다. 이처럼 정교한 과정을 거쳐 머릿장의 형태가 완성되면 표면을 사포로 곱게 다듬어 나뭇결을 정리한다. 나뭇결 사이의 빈틈을 메우고 자연스런 색을 입히기 위하여 황토가루에 석회와 물을 섞어 토분을 만들어 전체에 고루 바른다. 그리고 토분 바른 것이 모두 건조되면 다시 한번 사포로 갈아내어 표면을 고르게 한다. 소목 제작의 마지막 공정으로 옻칠을 하여 나뭇결에 은은한 색을 입힌다. 투명한 옻칠 위로 화려한 나무결 문양이 피어올라 소박한 멋을 지닌 우리의 소목 작품이 완성된다. 역사[편집] 기록상으로 보면, 목수는 신라때부터 있었고, 소목장이라는 명칭은 고려 때부터 불리었다. 조선 전기까지는 목가구가 주로 왕실과 상류계층을 위해 만들어졌으나, 조선 후기에는 민간에 널리 보급되어 자급자족에 따른 지역적 특성이 나타나게 되었다. 조선시대의 소목장은 조각장, 나전장 등과 더불어 중상서에 예속되어 있었다. 조선시대 경국대전에서는 일괄하여 목장(木匠)이라 하였다. 그 대신 세분화하여 수레장, 선장, 통장, 표통장, 마조장, 풍물장, 안자장, 목소장, 목영장을 따로 두어 경공장의 전문직종으로 명시되어 있었다. 기능 보유자[편집] 소목장은 1975년에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이후, 무형문화재로서 각 시도별로 총 10건의 문화재가 지정되어 있다. 국가무형문화재[편집]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로 천상원이 처음 지정된 후로 송추만, 강대규, 정돈산, 설석철, 박명배에 이어 2014년 엄태조, 소병진이 소목장 보유자로 추가 인정되었다. 경기도[편집] 경기도 소목장 기능 보유자는 창호분야에 김순기, 백골분야에 김의용, 가구분야에 권우범이 지정되어 있다. 경상남도[편집]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24호 소목장(통영소반)은 통영지역에서 소반을 만드는 소반장을 일컫는데, 소반장은 목제의 세간들을 만드는 소목장(小木匠)에 속한다. 특히 ‘통영소반’은 전남 나주의 ‘나주반’, 황해도 해주의 ‘해주반’과 함께 유명하다. 통영소반은 역사적으로 그 명성이 뛰어난 공예품으로, 기능보유자 추용호는 옛 공구를 이용한 전통적 제작방법으로 소반의 맥을 이어오는 유일한 장인이다. 또다른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29호 소목장의 기능보유자는 정진호로 소목에 관계된 모든 작품을 제작한다. 광주광역시[편집] 현재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로 인정된 조기종씨는 목재로 모과나무만을 고집하며, 제작기법은 통가구에 연귀짜임의 승법을 이용한다. 제작과정은 원목의 사용에서부터 끝마무리 과정에 이르기까지 모든 공정이 전통기법에 충실하고 있다. 예컨데 모과나무를 이용한 통가구, 연귀짜임의 기법, 풀칠이나 못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점, 가구자체에 어울리는 각종 장석의 자체 개발과 도구의 개발, 마무리 단계에서 전통 목도의 사용 등은 조기종씨에게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특징이다. 대구광역시[편집] 기능보유자 엄태조 씨는 40여 년간 소목가구 제작에 종사하여 오면서 철저한 장인정신을 발휘하여 전통가구의 맥을 오늘날까지 잇고 있으며, 특히 그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나무의 선별과 오랜 건조기간·정밀한 사개귀짜임·연귀짜임·마대짜임 장식조각·상감기법·옻칠 등은 전통가구의 기법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대전광역시[편집]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7호 소목장의 기능보유자는 방대근으로 현재까지 그 맥을 이어가고 있다. 서울특별시[편집]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26호 소목장 기능보유자 김창식은 12살 때부터 40여 년간 소목장의 맥을 이어오고 있다. 1960년대 화초장 고 박춘석 선생에게 전통기법을 전수받은 김창식은 현재에 이르기까지 전통기법으로 화초장을 비롯한 각종 소목 제품들을 제작해오고 있다. 전라북도[편집] 보유자 김재중은 창호제작에 있어 세밀한 처리와 함께 줄마무리가 건실하고 시각적인 중후함을 자연스럽게 표현하고 있으며, 전통 창호 제작 및 원형 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충청남도[편집] 소목장 기능보유자 조찬영은 안건사 가구공장에 발을 들여놓은 후 크고 작은 30여 건의 공사를 맡으면서 10여 년에 걸쳐 솜씨를 다듬었다. 전통적인 도구를 이용하고 적절한 재료를 선발하여 전통기법을 계승하는데 노력한 흔적이 뚜렷하다. 충청북도[편집] 박근영이 현재 기능보유자로 지정되어 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소목장&oldid=16960117" 분류: 경기도의 국가무형문화재경기도의 무형문화재경상남도의 무형문화재광주광역시의 무형문화재대구광역시의 무형문화재대전광역시의 무형문화재서울특별시의 무형문화재전라북도의 무형문화재충청남도의 무형문화재충청북도의 무형문화재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6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6년 7월 24일 (일) 05: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소목장(小木匠, joiner)이란 목재로 세간들을 만드는 기능자를 말한다. 대목장이 가옥이나 절 등 건축물을 제작한다면 소목장은 장롱(欌籠), 궤함(櫃函) 등을 비롯하여 문방구(文房具) 등 세간들과 각종 농기구 및 수레, 가마 등 일반 생활 용품을 만들어 왔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소목을 제작할때 주로 쓰이는 원목은 어떤게 있어? Assistant: 단단한 느티나 Human: 아래 스파이_명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스파이 명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파이 명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스파이 명월 장르 액션, 드라마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KBS 2TV 방송 기간 2011년 7월 11일 ~ 2011년 9월 6일 방송 시간 월, 화 밤 9시 55분 ~ 11시 5분 방송 분량 1시간 10분 방송 횟수 18부작 + 스페셜 1부작 책임프로듀서 정성효 프로듀서 임규용, 김진우 제작자 이김프로덕션조윤정 연출 황인혁, 김영균 조연출 손윤경, 안창현 극본 김은영, 김정아 출연자 문정혁, 한예슬, 이진욱 외 음성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아날로그)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자막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스파이 명월 홈페이지 《스파이 명월》은 대한민국의 방송 채널 KBS 2TV에서 방영된 월화 미니시리즈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한류 단속반'이란 가상의 부서에서 첩보요원으로 일하던 스파이 한명월이 한류스타 강우와 3개월안에 결혼하여 북으로 데려오라는 지령을 받고 위장잠입을 하면서 벌어지는 로코물. 킬러와 타깃으로 만난 두 남녀가 이리저리 부대끼다 결국 사랑에 빠진다는 다소 뻔한 내용이지만 그간 다른 드라마에서 딱딱한 첩보물로만 그려오던 남북관계를 유쾌발랄한 로코물로 풀어냈다는 점에서 많은 팬들을 기대하게 만들었다. 배우들도 방송전 인터뷰에서 '32%정도의 시청률을 예상하고 있다'며 대히트를 예언했지만 첫방송부터 맥락없는 보여주기식 전개가 도마위에 올랐고 이후에는 개연성없는 전개와 한예슬의 어색한 북한말투 등이 연이어 문제되며 결국 한자릿수 시청률로 참패했다. 뿐만아니라 촬영내내 7일동안 3회분을 촬영하는 살인적인 스케줄이 계속되자 극의 타이틀 역할을 맡고있는 한예슬은 촬영을 거부하고 돌연 미국으로 떠났다가 하루만에 돌아와 공식적인 사과를 하는 촌극이 벌어지기도 했다. 목차 1 등장 인물 1.1 주요 인물 1.2 주변 인물 1.3 특별출연 2 연장 및 연속 방송 3 OST 3.1 곡 목록 4 논란과 결방 5 시청률 6 경쟁 프로그램 7 각주 8 외부 링크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문정혁 : 강우 역 한예슬 : 한명월 역 이진욱 : 최류 역 장희진 : 주인아 역 주변 인물[편집] 이병준 : 유정식 역 이덕화 : 주회장 역 유지인 : 리순옥 역 조형기 : 한희복 역 김가영 : 주경주 역 손은서 : 유다해 역 이켠 : 이대강 역 박현숙 : 경제인 역 이지훈 : 곽기태 역 차승준 : 장한수 역 김하균 : 김영탁 역 정다혜 : 김은주 역 차승준 : 장한수 역 문시혁 이재욱 최대성 최제헌 특별출연[편집] 신승환 : 방극봉 역 민송아 : 리포터 역 박태원 : 라디오 DJ 역 김성오 : 강우를 추적하는 형사 역 양재희 : 다방 아가씨 역 케이윌 : 선배 가수 역 손민지 : 여고생 역 연장 및 연속 방송[편집] 2011년 8월 11일 : 스파이 명월의 방영 분량이 16부작에서 2회 연장되어 18부작으로 변경.확정되었다.[1] 2011년 9월 6일 : 밤 10시부터 2회 연속방송 (17회, 18회) OST[편집] 스파이 명월 OSTVarious Artists의 사운드트랙 음반발매일 2011년 8월 8일장르 드라마음악포맷 CD, 디지털 음원언어 한국어레이블 로엔 엔터테인먼트 곡 목록[편집] 스파이 명월 OST - CD Track # 제목작사작곡가수 재생 시간 1. 사랑이 무서워 (Title)조은희신인수바비 킴   2. 세상 그 누구보다    박정현   3. 더 사랑한다면    려욱   4. 사랑할 수 있을때    바비 킴,길학미   5. 이 느낌    Various Artists   6. 스파이 명월 (Main Theme)  Various Artists   7. 하루    Various Artists   8. 사랑할 수 있을때 ((Inst.))  Various Artists   9. 더 사랑한다면 ((Inst.))  Various Artists   10. 세상 그 누구보다 ((Inst.))  Various Artists   11. 사랑이 무서워 ((Inst.))  Various Artists   논란과 결방[편집] 2011년 8월 14일 한명월 역의 한예슬은 KBS 드라마 《스파이 명월》 11회 방송분 촬영을 예고없이 불참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한예슬은 제작진과의 녹화일정 등을 놓고 갈등을 빚은 것으로 알려졌다. 최초 소속사는 한예슬이 몸상태가 좋지 않아 곧 참여할 것이라는 답변을 내놓았으나[2] 촬영 당일에도 연락이 닿지 않았다. 제작진은 한예슬이 안나오는 부분만 촬영하고 있으나 한예슬 없이는 결방이 불가피했다.[3] 한예슬과 직접 연락이 닿지 않아 '한예슬이 PD교체를 요구했다'는 등의 알 수 없는 소문이 나돌기도 했다. KBS 드라마 제작팀과 제작사들은 긴급 회의를 가지고 비상대기하면서 대책을 논의했다. 한예슬은 2011년 8월 12일에도 오전 6시 30분으로 예정된 《스파이 명월》 녹화에 9시간 늦은 오후 3시 30분께 나타난 적이 있고 PD와 갈등이 있어왔다.[4] 결국 8월 15일 11회는 결방되고 그동안의 내용을 모아놓은 《스파이 명월 스페셜》로 대체됐다.[5] 한편 미국으로 떠났다는 소문이 나돌기도 했으나 드라마 제작사는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했다.[6] 시청률[편집] 최저 시청률과 최고 시청률은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1년 회차 방송일 TNmS 시청률[7] AGB 시청률[8]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제1회 7월 11일 9.6% 10.6% 9.6% 10.1% 제2회 7월 12일 7.6% 7.8% 8.3% 8.6% 제3회 7월 18일 5.9% 6.3% 6.7% 7.5% 제4회 7월 19일 6.4% 7.3% 5.9% 6.2% 제5회 7월 25일 8.3% 10.0% 8.4% 9.2% 제6회 7월 26일 7.6% 8.7% 7.9% 8.7% 제7회 8월 1일 6.8% 7.3% 7.2% 8.4% 제8회 8월 2일 7.3% 8.4% 7.8% 제9회 8월 8일 6.8% 7.8% 6.9% 7.1% 제10회 8월 9일 8.1% 10.1% 8.2% 스페셜1 8월 15일 5.6% 6.8% 5.3% 6.8% 제11회 8월 16일 5.9% 6.9% 7.4% 제12회 8월 22일 5.8% 7.7% 6.3% 7.2% 제13회 8월 23일 6.6% 7.8% 6.8% 7.6% 제14회 8월 29일 5.3% 6.5% 5.6% 6.7% 제15회 8월 30일 6.3% 7.4% 5.9% 제16회 9월 5일 5.6% 6.5% 4.9% 5.1% 제17회 9월 6일 6.1% 7.9% 6.4% 7.9% 제18회 6.0% 7.8% 5.2% 6.7% 평균 시청률 6.7% 7.9% 6.8% 7.6% 경쟁 프로그램[편집] 미스 리플리 (MBC) 계백 (MBC) 무사 백동수 (SBS) 각주[편집] ↑ 온라인뉴스팀 (2011년 8월 11일). “KBS2 스파이명월, 결국 2회 연장 , 연장방송 결정”. 스포츠서울닷컴.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한예슬 녹화 펑크 '스파이 명월' 자폭 모드로 뉴시스 2011년 8월 ↑ 한예슬 녹화펑크 '스파이 명월' 결방 초읽기 뉴시스 2011년 8월 ↑ 한예슬, 버티기 한판승? '스파이 명월' 결방 불가피 뉴시스 2011년 8월 ↑ 한예슬, 출연거부 녹화펑크…'스파이명월' 결방 뉴시스 2011년 8월 ↑ 대단한 한예슬, 스파이명월 녹화거부 미국행? 뉴시스 2011년 8월 ↑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2012년 1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1월 18일에 확인함.  ↑ AGB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외부 링크[편집] KBS 스파이 명월 홈페이지 한국방송공사 월화 미니시리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동안미녀(2011년 5월 2일 ~ 2011년 7월 5일) 스파이 명월(2011년 7월 11일 ~ 2011년 9월 6일) 포세이돈(2011년 9월 19일 ~ 2011년 11월 8일) vdeh 월화드라마2000년대 전반2000년 《나는 그녀가 좋다》 《성난 얼굴로 돌아보라》 《바보같은 사랑》 《RNA》 《가을동화》 《눈꽃》 2001년 《귀여운 여인》 《비단향꽃무》 《인생은 아름다워》 《쿨》 《순정》 《미나》 2002년 《겨울연가》 《햇빛 사냥》 《거침없는 사랑》 《러빙유》 《천국의 아이들》 《고독》 2003년 《아내》 《여름향기》 《상두야, 학교가자》 《그녀는 짱》 2004년 《낭랑 18세》 《백설공주》 《북경 내 사랑》 《구미호 외전》 《오!필승 봉순영》 《미안하다, 사랑한다》 2000년대 후반2005년 《쾌걸춘향》 《열여덟 스물아홉》 《러브홀릭》 《그녀가 돌아왔다》 《웨딩》 《이 죽일 놈의 사랑》 2006년 《안녕하세요 하느님》 《봄의 왈츠》 《미스터 굿바이》 《포도밭 그 사나이》 《구름계단》 《눈의 여왕》 2007년 《꽃피는 봄이 오면》 《헬로! 애기씨》 《꽃 찾으러 왔단다》 《한성별곡》 《아이 엠 샘》 《얼렁뚱땅 흥신소》 《못된 사랑》 2008년 《싱글파파는 열애 중》 《강적들》 《살아가는 동안 후회할 줄 알면서 저지르는 일들》(단막) 《최강칠우》 《연애결혼》 《그들이 사는 세상》 2009년 《꽃보다 남자》 《남자이야기》 《결혼 못하는 남자》 《2009 전설의 고향》 《공주가 돌아왔다》 《천하무적 이평강》 2010년대 전반2010년 《공부의 신》 《부자의 탄생》 《국가가 부른다》 《구미호: 여우누이뎐》 《성균관 스캔들》 《매리는 외박중》 2011년 《드림하이》 《강력반》 《동안미녀》 《스파이 명월》 《포세이돈》 《브레인》 2012년 《드림하이 2》 《사랑비》 《빅》 《해운대 연인들》 《울랄라 부부》 《학교 2013》 2013년 《광고천재 이태백》 《직장의 신》 《상어》 《굿 닥터》 《미래의 선택》 《총리와 나》 2014년 《태양은 가득히》 《빅맨》 《트로트의 연인》 《연애의 발견》 《내일도 칸타빌레》 《힐러》 2010년대 후반2015년 《블러드》 《후아유 - 학교 2015》 《너를 기억해》 《별난 며느리》 《발칙하게 고고》 《오 마이 비너스》 2016년 《무림학교》 《베이비시터》(단막) 《동네변호사 조들호》 《백희가 돌아왔다》(단막) 《뷰티풀 마인드》 《구르미 그린 달빛》 《우리집에 사는 남자》 《화랑》 2017년 《완벽한 아내》 《개인주의자 지영씨》(단막) 《쌈 마이웨이》 《학교 2017》 《란제리 소녀시대》 《마녀의 법정》 《저글러스》 2018년 《라디오 로맨스》 《우리가 만난 기적》 《너도 인간이니?》 《러블리 호러블리》 《최고의 이혼》 《땐뽀걸즈》 2019년 《동네변호사 조들호 2: 죄와 벌》 《국민 여러분!》 《퍼퓸》 《너의 노래를 들려줘》 《조선로코 녹두전》 TV 소설 | 1TV 아침 | 2TV 아침 | 1TV 일일 | 2TV 일일 | 월화 | 수목 | 금요 | 금토 | 주말 (연속극  · 특별기획) | 대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스파이_명월&oldid=24226744" 분류: 2011년 드라마한국방송공사 월화드라마가공의 간첩첩보 드라마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Bahasa IndonesiaBahasa Melayu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5일 (수) 17: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스파이 명월》은 2011년 7월 11일부터 2011년 9월 6일까지 방영된 KBS 월화 미니시리즈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주인공 한예슬이 예고없이 불참하여 논란이 생겼던 드라마의 제목은? Assistant: 스파이 명월
Human: 아래 켐페고우다_국제공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켐페고우다 국제공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켐페고우다 국제공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벵갈루루 국제공항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켐페고우다 국제공항ಕೆಂಪೇಗೌಡ ಅಂತರರಾಷ್ಟ್ರೀಯ ವಿಮಾನ ನಿಲ್ದಾಣKempegowda International Airport 켐페고우다 국제공항 전경 IATA: BLR – ICAO: VOBL 개요 운영기관 Bangalore International Airport Limited 지역 벵갈루루 위치 인도 벵갈루루 거점 항공사 블루다트 항공 데칸 항공 킹피셔 항공 해발고도 15,126 ft / 4,200 m 좌표 북위 13° 11′ 56″ 동경 077° 42′ 20″ / 북위 13.19889° 동경 77.70556°  / 13.19889; 77.70556좌표: 북위 13° 11′ 56″ 동경 077° 42′ 20″ / 북위 13.19889° 동경 77.70556°  / 13.19889; 77.70556 웹사이트 http://www.bengaluruairport.com 지도 BLR벵갈루루 국제공항 위치 활주로 방향 면적(m*m) ILS 표면 길이 폭 09/27 15,126 4,200 YES 아스팔트 통계 (2011) 여객 12,698,343 출처 : AAI[1][2] 켐페고우다 국제공항(영어: Kempegowda International Airport, 칸나다어: ಕೆಂಪೇಗೌಡ ಅಂತರರಾಷ್ಟ್ರೀಯ ವಿಮಾನ ನಿಲ್ದಾಣ)은 인도 벵갈루루에 있는 국제공항으로 인도의 저가 항공사인 킹피셔 항공이 허브 공항에 속한다. 목차 1 운항 노선 1.1 국제선 1.2 국내선 1.3 화물 노선 2 연계 교통 2.1 도로 교통 2.2 철도 교통 3 각주 4 외부 링크 운항 노선[편집] 국제선[편집] 항공사목적지 일본항공 도쿄(나리타) (2020년 3월 31일 신규취항) 에어아시아 쿠알라룸푸르 에어 모리셔스 모리셔스 타이 항공 방콕(수완나품) 영국 항공 런던(히드로) 홍콩 드래곤 항공 홍콩 에미레이트 항공 두바이 에티하드 항공 아부다비 에어 아라비아 샤르자 중국국제항공 청두 에어 프랑스 파리(샤를 드 골) 루프트한자 프랑크푸르트 말레이시아 항공 쿠알라룸푸르 오만 항공 무스카트 에어 인디아 말레, 무스카트, 두바이 카타르 항공 도하 사우디아 항공 리야드 실크에어 싱가포르 싱가포르 항공 싱가포르 국내선[편집] 항공사목적지 에어 인디아 첸나이, 델리, 고아, 하이데라바드, 코치, 콜카타, 뭄바이, 트리반드룸 에어 인디아 리저널 아가티, 첸나이 고우 에어 아마다바드, 델리, 자이푸르, 잠무, 뭄바이, 푸네, 스리 인디고 항공 아마다바드, 부바네슈와르, 첸나이, 델리, 하이데라바드, 인도르, 자이푸르, 코치, 콜카타, 러크나우, 뭄바이, 나그푸르, 파트나, 푸네, 라이푸르, 트리반드룸, 바도다라 제트 커넥트 아마다바드, 델리, 가우하티, 임팔, 콜카타, 러크나우 킹피셔 항공 첸나이, 델리, 후블리다르와르, 망갈로르, 뭄바이, 푸네[3] 스페이스 제트 아가르탈라, 아마다바드, 코지코드, 첸나이, 델리, 가우하티, 하이데라바드, 자이푸르, 콜카타, 마두라이, 뭄바이, 나그푸르, 푸네, 스리, 비사카파트남 화물 노선[편집] 항공사목적지 에어로로직 방콕(수완나품), 싱가포르, 라이프치히(할레) 에어 인디아 카고 아마다바드, 첸나이, 코임바토르, 다르맘, 델리, 프랑크푸르트, 고아, 하이데라바드, 코치, 콜카타, 코지코드, 러크나우, 뭄바이, 트리반트룸 블루다트 항공 아마다바드, 첸나이, 하이데라바드, 뭄바이, 델리 캐세이퍼시픽 항공 델리, 홍콩 데칸 360 아마다바드, 코치 에티하드 크리스탈 카고 아부다비 페덱스 익스프레스 두바이, 광저우 루프트한자 카고 프랑크푸르트 카타르 항공 카고 도하[4] 싱가포르 항공 카고 싱가포르, 암스테르담 연계 교통[편집] 도로 교통[편집] 자동차 버스 택시 철도 교통[편집] ● 벵갈루루 하이스피드 라인 : 공항역 각주[편집] 항공 포털 ↑ “보관 된 사본” (PDF).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4일에 확인함.  ↑ “보관 된 사본”. 2012년 8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8월 9일에 확인함.  ↑ “보관 된 사본” (PDF). 2012년 5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3월 23일에 확인함.  ↑ “QR Cargo to BLR”. 2011년 4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4월 1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켐페고우다 국제공항 공식 웹사이트 BMTC Airport Shuttle Bus Services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켐페고우다_국제공항&oldid=24393260" 분류: 카르나타카주의 공항벵갈루루의 건축물벵갈루루의 교통2008년 개항한 공항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칸나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অসমীয়াবাংলাCebuano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हिन्दी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ಕನ್ನಡമലയാളംमराठी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தமிழ்తెలుగు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7일 (금) 14: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켐페고우다 국제공항(영어: Kempegowda International Airport, 칸나다어: ಕೆಂಪೇಗೌಡ ಅಂತರರಾಷ್ಟ್ರೀಯ ವಿಮಾನ ನಿಲ್ದಾಣ)은 인도 벵갈루루에 있는 국제공항으로 인도의 저가 항공사인 킹피셔 항공이 허브 공항에 속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켐페고우다 국제공항에서 이용할 수 있는 국내선으로 어디를 갈 수 있을까? Assistant: 항공사목적지 에어 인디아 첸나이, 델리, 고아, 하이데라바드, 코치, 콜카타, 뭄바이, 트리반드룸 에어 인디아 리저널 아가티, 첸나이 고우 에어 아마다바드, 델리, 자이푸르, 잠무, 뭄바이, 푸네, 스리 인디고 항공 아마다바드, 부바네슈와르, 첸나이, 델리, 하이데라바드, 인도르, 자이푸르, 코치, 콜카타, 러크나우, 뭄바이, 나그푸르, 파트나, 푸네, 라이푸르, 트리반드룸, 바도다라 제트 커넥트 아마다바드, 델리, 가우하티, 임팔, 콜카타, 러크나우 킹피셔 항공 첸나이, 델리, 후블리다르와르, 망갈로르, 뭄바이, 푸네[3] 스페이스 제트 아가르탈라, 아마다바드, 코지코드, 첸나이, 델리, 가우하티, 하이데라바드, 자이푸르, 콜카타, 마두라이, 뭄바이, 나그푸르, 푸네, 스리, 비사카파트남 Human: 아래 AB6IX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AB6IX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AB6IX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AB6IX에이비식스 기본 정보 국가 대한민국 장르 K-pop 댄스 팝 랩 힙합 R&B 발라드 EDM 활동 시기 2019년 ~ 현재 레이블 워너뮤직코리아 소속사 브랜뉴뮤직 구성원 임영민 전웅 김동현 박우진 이대휘 AB6IX(에이비식스)는 2019년 5월 22일 데뷔한 대한민국 브랜뉴뮤직 소속의 5인조 보이 그룹이다. 그룹명 AB6IX는 ABSOLUTE SIX와 ABOVE BRANDNEW SIX의 약자이며 5명의 멤버와 팬덤이 합쳐져 비로소 완전해지는 브랜뉴보이즈의 절대적 완전체, 브랜뉴뮤직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갈 5명의 멤버와 팬덤의 초월적 결합의 뜻을 담고 있다. 임영민, 김동현, 박우진, 이대휘는 2017년 Mnet에서 방송된 《프로듀스 101 시즌2》을 통해 브랜뉴보이즈로(BRANDNEW BOYS) 얼굴을 알린바 있으며, 이후 임영민, 김동현은 MXM과 YDPP로 유닛활동을, 박우진, 이대휘는 워너원으로 데뷔해 활동한 바 있다. 2019년 4월 마지막 멤버인 전웅이 공개되었다. 2019년 5월 22일 1ST EP인 《B:COMPLETE》를 발매하며 정식 데뷔하였다. 공식 팬클럽명은 ‘ABNEW (에비뉴)’이다. 목차 1 구성원 2 음반 3 음반 외 활동 4 콘서트 5 수상 목록 6 각주 7 외부 링크 구성원[편집] 이름 사진 소개 임영민 본명 : 임영민 (林煐岷)[1] 생년월일 : 1995년 12월 25일(1995-12-25) (23세) 출생지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 학력 : 글로벌사이버대학교 방송연예학과 (재학) 포지션 : 리더 · 리드 래퍼 유닛활동 : MXM 전웅 본명 : 전웅 생년월일 : 1997년 10월 15일(1997-10-15) (21세) 출생지 :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학력 : 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 실용무용과 (졸업) 포지션 : 메인 보컬 · 리드 댄서 김동현 본명 : 김동현 (金東賢)[1] 생년월일 : 1998년 9월 17일(1998-09-17) (20세) 출생지 :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학력 : 글로벌사이버대학교 방송연예학과 (재학) 포지션 : 서브 보컬 · 서브 래퍼 유닛활동 : MXM 박우진 본명 : 박우진 (朴佑鎭)[2] 생년월일 : 1999년 11월 2일(1999-11-02) (19세) 출생지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학력 : 글로벌사이버대학교 방송연예학과 (재학) 포지션 : 메인 래퍼 · 메인 댄서 이대휘 본명 : 이대휘 (李大輝)[2] 생년월일 : 2001년 1월 29일(2001-01-29) (18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학력 : 글로벌사이버대학교 방송연예학과 (재학) 포지션 : 리드 보컬 음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AB6IX의 음반 목록입니다. 음반 외 활동[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AB6IX의 음반 외 활동 목록입니다. 콘서트[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AB6IX의 콘서트 투어 목록입니다. 수상 목록[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AB6IX의 수상 및 후보 목록입니다. 각주[편집] ↑ 가 나 “임영민/김동현 한자”. 2017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일에 확인함.  ↑ 가 나 “브랜뉴뮤직 한자”. 2017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AB6IX - V LIVE AB6IX - 트위터 (브랜뉴뮤직) AB6IX - 트위터 (AB6IX) AB6IX - 페이스북 AB6IX - 유튜브 AB6IX - 인스타그램 vdeh브랜뉴뮤직경영진 라이머 현재 소속 B.N.R. (MasterKey) 한해 트로이 (범키, 칸토, 재웅, 창우) 애즈 원 (크리스탈, 이민) Miss $ (제이스, 강민희) 이루펀트 (키비, 마이노스) 태완 이강 헤니 양다일 DJ IT DJ 쥬스 MC그리 키디비 제피 양동근 멜리 Assbrass 루달스 AB6IX (임영민 전웅 김동현 박우진 이대휘) 707 (임영훈, 최영수) 옌자민 에스나 빈센트 블루 요다영 과거 소속 채은정 제이켠 스컬 킵루츠 스윙스 시진 현승민 오유미 허인창 피타입 프리티브라운 (현중, 구인회) 키겐 DJ Universe 에스비 새벽공방 (희연, 여운) MOOK 비즈니즈 산체스 챈슬러 산이 버벌진트 배급사 카카오엠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워너 뮤직 그룹 관련 문서 브랜뉴뮤직의 음반 스타덤 엔터테인먼트 브랜드 뉴 프로덕션 역시 스트라이크 vdehAB6IX 임영민 전웅 김동현 박우진 이대휘 음반미니 B:COMPLETE (2019) 노래타이틀곡 BREATHE (B:COMPLETE) 공연 AB6IX 1ST EP 'B:COMPLETE' SHOWCASE (2019) AB6IX 1ST FANMEETING '1st ABNEW' (2019) 방송 BRANDNEWBOYS (2019) 관련 문서 브랜뉴뮤직 라이머 워너원 MXM YDPP 음반 음반 외 활동 콘서트 투어 수상 및 후보   분류   위키공용 AB6IX의 수상 목록vdeh2019년 더 쇼 초이스 수상자1월 여자친구 - 해야 (1월 22일) 아스트로 - All Night (전화해) (1월 29일) 2월 CLC No (2월 12일 · 2월 19일) 몬스타엑스 - Alligator (2월 26일) 3월 엔플라잉 - 옥탑방 (3월 9일) 투모로우바이투게더 - 어느날 머리에서 뿔이 자랐다 (CROWN) (3월 12일) 마마무 - 고고베베 (3월 19일) 모모랜드 - I'm So Hot (3월 26일) 4월 모모랜드 - I'm So Hot (4월 2일) 아이즈원 - 비올레타 (4월 9일 · 4월 16일) 슈퍼주니어-D&E - 땡겨 (4월 23일) 5월 더 보이즈 - Bloom Bloom (5월 7일) 오마이걸 - 다섯 번째 계절 (5월 14일) 김재환 - 안녕하세요 (5월 28일) 6월 AB6IX - BREATHE (6월 4일) 우주소녀 - Boogie Up (6월 11일 · 6월 18일) 에이티즈 - WAVE (6월 25일) 7월 (여자)아이들 - Uh-Oh (7월 2일) vdeh2019년 쇼 챔피언 챔피언송 수상자1월 청하 - 벌써 12시 (1월 9일) 에이핑크 - %% (응응) (1월 16일) 여자친구 - 해야 (1월 23일) 세븐틴 - Home (1월 30일) 2월 세븐틴 - Home (2월 13일) 태민 - Want (2월 20일) 몬스타엑스 - Alligator (2월 27일) 3월 (여자)아이들 - Senorita (3월 6일) 하성운 - BIRD (3월 13일) 투모로우바이투게더 - 어느날 머리에서 뿔이 자랐다 (CROWN) (3월 20일) 마마무 - 고고베베 (3월 27일) 4월 모모랜드 - I'm So Hot (4월 3일) 아이즈원 - 비올레타 (4월 10일 · 4월 17일) 방탄소년단 -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4월 24일) 5월 트와이스 - Fancy (5월 1일) 뉴이스트 - BET BET (5월 8일) 오마이걸 - 다섯 번째 이야기 (5월 15일) 김재환 - 안녕하세요 (5월 29일) 6월 AB6IX - BREATHE (6월 5일) NCT 127 - Superhuman (6월 12일) 우주소녀 - Boogie Up (6월 19일) 레드벨벳 - 짐살라빔 (6월 26일) 7월 청하 - Snapping (7월 3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AB6IX&oldid=24520155" 분류: AB6IX브랜뉴 뮤직 음악가2010년대 음악 그룹2019년 데뷔2019년 결성된 음악 그룹5인조 음악 그룹K-pop 음악 그룹한국어 음악 그룹대한민국의 아이돌 그룹대한민국의 보이 밴드대한민국의 팝 음악 그룹대한민국의 댄스 음악 그룹대한민국의 힙합 그룹SBS MTV 더 쇼 초이스 수상자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송 수상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Bahasa Indonesia日本語ไทย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3일 (수) 21:3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AB6IX(에이비식스)는 2019년 5월 22일 데뷔한 대한민국 브랜뉴뮤직 소속의 4인조 보이 그룹이다. 그룹명 AB6IX는 ABSOLUTE SIX와 ABOVE BRANDNEW SIX의 약자이며 4명의 멤버와 팬덤이 합쳐져 비로소 완전해지는 브랜뉴보이즈의 절대적 완전체, 브랜뉴뮤직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갈 4명의 멤버와 팬덤의 초월적 결합의 뜻을 담고 있다. 공식 팬클럽명은 ‘ABNEW (에비뉴)’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임영민의 생일은 언제일까? Assistant: 95년 12월
Human: 아래 대한민국_문화관광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한민국 문화관광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문화관광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문화관광부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문화관광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소속 기관에 대해서는 중화인민공화국 문화관광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문화관광부文化觀光部 설립일 1998년 2월 28일 전신 문화체육부 해산일 2008년 2월 28일 후신 문화체육관광부 산하기관 문화재청 (99.05 ~ 08.02) 문화관광부(文化觀光部, Ministry of Culture & Tourism)는 문화·예술·영상·광고·출판·간행물·체육 및 관광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었다. 1998년 2월 28일 문화체육부를 개편하여 발족하였으며 2008년 2월 28일 문화체육관광부로 개편되면서 폐지되었다. 목차 1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2 연혁 3 조직 3.1 외청 4 역대 장·차관 4.1 문화관광부 장관 4.2 문화관광부 차관 5 각주 6 외부 링크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편집] 정부조직법 [법률 제5529호, 1998.02.28 전부개정] 제26조 및 제35조[1] 문화관광부와그소속기관직제 [대통령령 제15722호, 1998.02.28 폐지제정] 제3조[2] 연혁[편집] 1998년 2월 28일 - 문화체육부를 폐지하고 문화관광부를 신설. 1999년 5월 24일 - 외청으로 문화재청을 설치. 2008년 2월 28일 - 문화관광부를 폐지하고 문화체육관광부를 신설. 조직[편집] 감사관 ( 1998.02 ~ 2008.02 ) 공보관 ( 1998.02 ~ 2005.03 ) 관광국 ( 1998.02 ~ 2007.09 ) 관광레저도시추진기획단 ( 2005.03 ~ 2007.09 ) 국립국악원 ( 1998.02 ~ 2008.02 ) 국립국어연구원 ( 1998.02 ~ 2004.11 ) 국립국어원 ( 2004.11 ~ 2008.02 ) 국립민속박물관 ( 1998.02 ~ 2008.02 ) 국립영상제작소 ( 1998.02 ~ 1999.05 ) 국립중앙극장 ( 1998.02 ~ 2008.02 ) 국립중앙도서관 ( 1998.02 ~ 2008.02 ) 국립중앙박물관 ( 1998.02 ~ 2008.02 ) 국립중앙박물관건립추진기획단( 1997.02 ~ 2003.11 ) 국립현대미술관 ( 1998.02 ~ 2008.02 ) 기획관리실 ( 1998.02 ~ 2005.03 ) 대한민국예술원 ( 1998.02 ~ 2008.02 ) 문화미디어국 ( 2004.11 ~ 2007.09 ) 문화산업국 ( 1998.02 ~ 2007.09 ) 문화정책국 ( 1998.02 ~ 2008.02 ) 문화중심도시조성추진기획단 ( 2004.02 ~ 2010.12 ) 세종대왕유적관리소 ( 1998.02 ~ 1999.05 ) 예술국 ( 1999.05 ~ 2008.02 ) 예술원사무국 ( 1998.02 ~ 2003.10 ) 예술진흥국 ( 1998.02 ~ 1999.05 ) 정부간행물제작소 ( 1998.02 ~ 1999.05 ) 정책홍보관리실 ( 2005.03 ~ 2008.02 ) 종무실 ( 1998.02 ~ 2008.02 ) 청소년국 ( 1998.02 ~ 2005.04 ) 체육국 ( 1998.02 ~ 2008.02 ) 총무과 ( 1998.02 ~ 2006.04 ) 칠백의총관리소 ( 1998.02 ~ 1999.05 ) 한국방문의해기획단 ( 1999.03 ~ 2008.02 ) 한국예술종합학교 ( 1998.02 ~ 2008.02 ) 해외문화홍보원 ( 1998.02 ~ 1999.05 ) 행정지원과 ( 2006.04 ~ 2006.09 ) 행정지원팀 ( 2006.09 ~ 2008.02 ) 현충사관리소 ( 1998.02 ~ 1999.05 ) 외청[편집] 문화재청 역대 장·차관[편집] 문화관광부 장관[편집] 정부 대수 이름 임기 출신지 출신학교 비고 국민의 정부 5대 신낙균(申樂均) 1998년 3월 3일 ~ 1999년 5월 23일 경기 남양주 이화여대 제15·18대 국회의원&민주통합당 최고위원&국회 여성위원회 위원장&한국방송공사 이사 6대 박지원(朴智元) 1999년 5월 23일 ~ 2000년 9월 19일 전남 진도 광주교대&단국대 대통령비서실 공보수석비서관·정책기획수석비서관&대통령비서실장&제14·18·19대 국회의원&민주통합당 최고위원&한국인권문제연구소 이사장 7대 김한길(金한길) 2000년 9월 20일 ~ 2001년 9월 18일 일본 도쿄 건국대 대통령비서실 정책기획수석비서관&제15·16·17·19대 국회의원&민주통합당 최고위원&국회 운영위원회 위원장 8대 남궁진(南宮鎭) 2001년 9월 19일 ~ 2002년 7월 10일 충남 논산(현 전북 익산) 고려대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제14·15대 국회의원 9대 김성재(金聖在) 2002년 7월 11일 ~ 2003년 2월 26일 경북 영일(현 경북 포항) 한국신학대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미래문화연구원 이사장&한국학술진흥재단 이사장&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회장&장애인권익문제연구소 이사장 참여 정부 10대 이창동(李滄東) 2003년 2월 27일 ~ 2004년 6월 30일 경북 대구(현 경북과 분리) 경북대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11대 정동채(鄭東采) 2004년 7월 1일 ~ 2006년 3월 6일 전남 광주(현 전남과 분리) 경희대 대통령비서실 정무특별보좌관&제15·16·17대 국회의원 12대 김명곤(金明坤) 2006년 3월 27일 ~ 2007년 5월 7일 전북 전주 서울대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국립중앙극장장&전국민족극협의회 의장 13대 김종민(金鍾民) 2007년 5월 8일 ~ 2008년 2월 28일 충북 영동 서울대 대통령비서실 민정비서관&문화체육부 차관&강원발전연구원장&한국관광공사 사장&서울올림픽 조직위원회 위원장 문화관광부 차관[편집] 정부 대수 이름 임기 출신지 출신학교 비고 국민의 정부 5대 신현웅(辛鉉雄) 1998년 3월 9일 ~ 1999년 5월 25일 충북 괴산 서울대 문화체육부 문화정책국장·어문출판국장·차관보&웅진재단 이사장 6대 김순규(金順珪) 1999년 5월 26일 ~ 2001년 4월 1일 경북 의성 국민대 문화체육부 예술국장·문화정책국장·청소년정책실장&문화관광부 기획관리실장&제11대 국회의원&대구문화재단 대표이사 7대 윤형규(尹逈奎) 2001년 4월 2일 ~ 2002년 7월 18일 경기 경성(현 서울) 고려대 주 오사카 총영사 8대 박문석(朴紋奭) 2002년 7월 19일 ~ 2003년 3월 2일 전북 남원 고려대 문화관광부 문화정책국장·종무실장·기획관리실장 참여 정부 9대 오지철(吳志哲) 2003년 3월 3일 ~ 2004년 7월 2일 서울 서울대 대통령비서실 정책특별보좌관&문화체육부 국제체육국장&문화관광부 문화산업국장·문화정책국장·기획관리실장&한국관광공사 사장 10대 배종신(裵鍾信) 2004년 7월 3일 ~ 2006년 1월 30일 서울 서울대 문화관광부 체육국장·차관보&체육인재육성재단 이사장&태권도진흥재단 이사장&월드컵 준비기획단 기획실장 11대 유진룡(劉震龍) 2006년 1월 31일 ~ 2006년 8월 8일 경기 인천(현 경기와 분리) 서울대 문화관광부 문화산업국장·정책홍보관리실장·기획관리실장&문화체육관광부 장관 12대 박양우(朴良雨) 2006년 8월 9일 ~ 2008년 2월 29일 전남 광주(현 전남과 분리) 중앙대 문화관광부 관광국장·문화산업국장·정책홍보관리실장&주 뉴욕 한국문화원장&한국예술경영학회장&한국영상산업협회장 각주[편집] ↑ ① 문화관광부장관은 문화·예술·방송행정·출판·간행물·체육·청소년·해외문화홍보 및 관광에 관한 사무를 장리한다. ↑ 문화관광부는 문화·예술·방송행정·출판·간행물·체육·청소년·해외문화홍보 및 관광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외부 링크[편집] 문화관광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vdeh 대한민국의 폐지된 중앙행정기관원 경제기획원 국무원 국토통일원 심계원 재정경제원 통일원 부 건설교통부 건설부 공보부 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적자원부 교통부 국가안전기획부 국토해양부 내무부 노동부 농림부 농림수산부 농림수산식품부 농수산부 동력자원부 문교부 문화공보부 문화관광부 문화부 문화체육부 미래창조과학부 보건복지가족부 보건부 보건사회부 부흥부 사회부 산업자원부 상공부 상공자원부 안전행정부 여성부 외교통상부 외무부 재무부 재정경제부 정보통신부 중앙정보부 지식경제부 체신부 체육부 체육청소년부 통상산업부 행정자치부 실 공보실 국무총리실 기획조정실 내각수반비서실 대통령경호실 대통령실 무임소장관실 정무장관(제3)실 정무장관(제2)실 정무장관(제1)실 제2무임소장관실 제1무임소장관실 특임장관실 행정조정실 위원회 감찰위원회 경제위원회 고시위원회 공안위원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국가비상기획위원회 국가청렴위원회 국가청소년위원회 국민고충처리위원회 군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금융감독위원회 금융개혁위원회 기획예산위원회 노사정위원회 대일항쟁기피해조사 및 지원위원회 방송위원회 부패방지위원회 부흥위원회 비상기획위원회 사정위원회 사회정화위원회 언론윤리위원회 여성특별위원회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정부혁신추진위원회 제2의건국범국민추진위원회 종합유선방송위원회 중소기업특별위원회 중앙경제위원회 중앙인사위원회 중앙정보연구위원회 중화학공업추진위원회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청소년보호위원회 청소년위원회 청소년육성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탄핵심판위원회 해외협력위원회 행정개혁위원회 행정개혁조사위원회 행정쇄신위원회 헌법위원회 처 과학기술처 국민안전처 국정홍보처 기획예산처 기획처 내각사무처 외자구매처 원호처 환경처 공보처 총무처 청 공업단지관리청 공업진흥청 관재청 국토건설청 군사원호청 노동청 소방방재청 수산청 식품의약품안전청 예산청 외자청 원자력청 임시외자관리청 전매청 중소기업청 철도청 항만청 해무청 해운항만청 환경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한민국_문화관광부&oldid=22720320" 분류: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대한민국의 폐지된 중앙행정기관1998년 설립2008년 폐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0월 8일 (월) 13: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문화관광부(文化觀光部, Ministry of Culture & Tourism)는 문화·예술·영상·광고·출판·간행물·체육 및 관광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었다. 1998년 2월 28일 문화체육부를 개편하여 발족하였으며 2008년 2월 28일 문화체육관광부로 개편되면서 폐지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대한민국 문화관광부의 역대 차관들의 임기와 출신정보는 어떠한가요? Assistant: 정부 대수 이름 임기 출신지 출신학교 비고 국민의 정부 5대 신현웅(辛鉉雄) 1998년 3월 9일 ~ 1999년 5월 25일 충북 괴산 서울대 문화체육부 문화정책국장·어문출판국장·차관보&웅진재단 이사장 6대 김순규(金順珪) 1999년 5월 26일 ~ 2001년 4월 1일 경북 의성 국민대 문화체육부 예술국장·문화정책국장·청소년정책실장&문화관광부 기획관리실장&제11대 국회의원&대구문화재단 대표이사 7대 윤형규(尹逈奎) 2001년 4월 2일 ~ 2002년 7월 18일 경기 경성(현 서울) 고려대 주 오사카 총영사 8대 박문석(朴紋奭) 2002년 7월 19일 ~ 2003년 3월 2일 전북 남원 고려대 문화관광부 문화정책국장·종무실장·기획관리실장 참여 정부 9대 오지철(吳志哲) 2003년 3월 3일 ~ 2004년 7월 2일 서울 서울대 대통령비서실 정책특별보좌관&문화체육부 국제체육국장&문화관광부 문화산업국장·문화정책국장·기획관리실장&한국관광공사 사장 10대 배종신(裵鍾信) 2004년 7월 3일 ~ 2006년 1월 30일 서울 서울대 문화관광부 체육국장·차관보&체육인재육성재단 이사장&태권도진흥재단 이사장&월드컵 준비기획단 기획실장 11대 유진룡(劉震龍) 2006년 1월 31일 ~ 2006년 8월 8일 경기 인천(현 경기와 분리) 서울대 문화관광부 문화산업국장·정책홍보관리실장·기획관리실장&문화체육관광부 장관 12대 박양우(朴良雨) 2006년 8월 9일 ~ 2008년 2월 29일 전남 광주(현 전남과 분리) 중앙대 문화관광부 관광국장·문화산업국장·정책홍보관리실장&주 뉴욕 한국문화원장&한국예술경영학회장&한국영상산업협회장 Human: 아래 베리굿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베리굿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베리굿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베리굿Berry Good 기본 정보 결성 지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장르 댄스 팝 활동 시기 2014년 ~ 현재 레이블 CJ E&M (CJ E&M Music)KT 뮤직kakao M (현재) 소속사 JTG 엔터테인먼트 관련 활동 베리굿 하트하트 구성원 조현서율다예세형고운 이전 구성원 수빈이라나연태하 베리굿(Berry Good)은 대한민국의 5인조 걸 그룹으로, JTG 엔터테인먼트 소속이다. 목차 1 구성원 1.1 이전 구성원 1.2 멤버 변천사 2 음반 목록 2.1 정규 앨범 2.2 미니 앨범 2.3 싱글 앨범 2.4 사운드트랙 3 출연 작품 3.1 텔레비전 3.2 영화 3.3 드라마 3.4 라디오 4 수상 목록 5 각주 6 외부 링크 구성원[편집] 이름 소개 조현 본명 : 신지원 (申知原[1]) 생년월일 : 1996년 4월 14일(1996-04-14) (23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성남시 분당구[2] 학력 : 동덕여자대학교 방송연예과[2] 포지션 : 서브래퍼 활동기간 : 2016년 11월 1일 ~ 서율 본명 : 서유리 (徐侑里[3]) 생년월일 : 1997년 11월 26일(1997-11-26) (21세) 출생지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2] 학력 : 세종대학교 글로벌지식평생교육원 실용무용학과 포지션 : 리드보컬 활동기간 : 2015년 2월 11일 ~ 다예 본명 : 김현정 (金賢貞[3]) 생년월일 : 1998년 2월 25일(1998-02-25) (21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2] 학력 : 서울공연예술고등학교 실용음악과 (졸업) 포지션 : 메인래퍼, 서브보컬 활동기간 : 2015년 2월 11일 ~ (종아리 근육 파열의 이유로 활동 중단) 세형 본명 : 강세형 (姜世馨[3]) 생년월일 : 1998년 12월 13일(1998-12-13) (20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2] 학력 : 서울공연예술고등학교 실용음악과 (졸업) 포지션 : 리드래퍼, 서브보컬 유닛활동 : 베리굿 하트하트 활동기간 : 2015년 2월 11일 ~ 고운 본명 : 문유정 (文裕晸[3]) 생년월일 : 1998년 12월 28일(1998-12-28) (20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성남시 분당구[2] 학력 : 서울공연예술고등학교 실용음악과 (졸업) 포지션 : 메인보컬 유닛활동 : 베리굿 하트하트 활동기간 : 2014년 5월 22일 ~ 이전 구성원[편집] 이름 소개 수빈 본명 : 김수빈 생년월일 : 1994년 9월 4일(1994-09-04) (24세) 출생지 : 대한민국 포지션 : 리드래퍼 활동기간 : 2014년 5월 22일 ~ 2015년 1월 23일 이라 본명 : 정이라 생년월일 : 1995년 4월 10일(1995-04-10) (24세) 출생지 : 대한민국 포지션 : 메인래퍼 활동기간 : 2014년 5월 22일 ~ 2015년 1월 23일 나연 본명 : 김나연 생년월일 : 1996년 5월 15일(1996-05-15) (23세) 출생지 : 대한민국 학력 : 서울공연예술고등학교 (졸업) 포지션 : 리드보컬 활동기간 : 2014년 5월 22일 ~ 2015년 1월 23일 특이사항 : 엠넷 아이돌학교 출연 태하 본명 : 유주 (柳州[3]) 생년월일 : 1995년 10월 5일(1995-10-05) (23세) 출생지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2] 학력 : 서울공연예술고등학교 (졸업) 포지션 : 리더, 메인보컬 유닛활동 : 베리굿 하트하트 활동기간 : 2014년 5월 22일 ~ 2019년 5월 27일 멤버 변천사[편집] 멤버 2014년 2015년 2016년 2018년 2019년 현재 5월 1월 2월 11월 9월 4월 5월 수빈 이라 나연 태하 [4] 고운 서율 다예 [5] 세형 [6] 조현 음반 목록[편집] 정규 앨범[편집] # 정규 앨범 트랙 1st 《FREE TRAVEL》 발매일:2018년 08월 16일 레이블: JTG 엔터테인먼트, kakao M 풋사과 Mellow Mellow 빨주노초파남보 Give It Away 미안해 언니 나와나의날 Fly 다시 꿈꿀수있을까 그놈의 사랑 풋사과 (Inst.) Mellow Mellow (Inst.) 미니 앨범[편집] 제목 정보 순위 판매량 KOR[7][8] Very Berry 발매일: 2016년 4월 20일 레이블: 아시아브릿지엔터테인먼트, JTG 엔터테인먼트, CJ E&M 23[9] KOR: 1,307+[10] Glory 발매일: 2016년 11월 1일 레이블: JTG 엔터테인먼트, CJ E&M 25[11] KOR: 1,450+[12] Fantastic 발매일: 2019년 5월 25일 레이블: JTG 엔터테인먼트, CJ E&M - KOR: - "—" : 순위에 들지 못함 싱글 앨범[편집] 제목 정보 순위 판매량 KOR[7][8] 러브레터 발매일: 2014년 5월 22일 레이블: 아시아브릿지엔터테인먼트, KT 뮤직 — KOR: 요즘 너 때문에 난 발매일: 2015년 2월 9일 레이블: 아시아브릿지엔터테인먼트, KT 뮤직 — KOR: 내 첫사랑 발매일: 2015년 9월 23일 레이블: 아시아브릿지엔터테인먼트, KT 뮤직 — KOR: 비비디바비디부 발매일: 2017년 4월 16일 레이블: JTG 엔터테인먼트, CJ E&M — KOR: "—" : 순위에 들지 못함 사운드트랙[편집] 제목 연도 멤버 순위 판매량 음반 KOR 하나의 사랑 2015 고운 — 어머님은 내 며느리 OST Part 4 힘을 내 2016 베리굿 — 사랑은 방울방울 OST Part 1 Hello 2017 — 우리 갑순이 OST Part 15 사랑해요 서율, 다예, 세형, 고운 — 도둑놈, 도둑님 OST Part 6 "—" : 순위에 들지 못함 출연 작품[편집] 텔레비전[편집] 《Real Fun World》 (EBS, 2015년) - 고운 고정 진행 《비밀병기 그녀》 (MBC every1, 2015년) - 다예, 태하 고정 출연, 세형 특별 출연 《SNL 코리아 시즌 7》 (tvN, 2016년) - 고운, 다예, 태하, 세형 특별 출연 《SNL 코리아 시즌 8》 (2016년, tvN) - 조현 카메오 《런드리 데이》 (on style, 2016년) - 특별 출연 《한국인상》 (SMG, 2016년) - 세형 고정 진행 《도전 고수! 우리가 간다》 (SeeU TV, 2017년) - 세형 고정 진행 《비디오스타》 (MBC every1, 2017년) - 태하 특별 출연 《베리굿TV》 (티비텐플러스, 2017년) 《믹스나인》 (JTBC, 2017년) - 조현, 서율, 다예 출연 《아프리카 TV 최군 방송》(2018년) - 베리굿 유닛 하트하트 (태하, 세형, 고운) 영화[편집] 《그래, 가족》 (2017년) - 걸그룹 역 (특별출연) 《커피빵》 (2017년) - 다예 (특별출연) 드라마[편집] 《써클: 이어진 두 세계》 (2017년) - 태하 (최수빈 역 3화, Part.2), 조현 (특별출연) 《아이돌마스터.KR - 꿈을 드림》 (2017년) - 고운 (특별출연 22회 - 봄이 역) 라디오[편집] 《K-poppin' Ugly Truth》 (아리랑 라디오, 2015년-2016년) - 고운 고정 진행 수상 목록[편집] 연도 수상 내역 2017년 《LBMA 스타 어워즈》 LBMA 루키스타상 각주[편집] ↑ “[ON+자소서] 6인조 재탄생 베리굿, 매력만점 소개서도 베리굿”. 2016년 11월 4일.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ON+자소서] 6인조 재탄생 베리굿, 매력만점 소개서도 베리굿”. 전자신문. 2016년 11월 4일. 2017년 8월 17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베리굿 한자이름 ↑ 컴백 이틀만에 계약만료로 탈퇴. ↑ 종아리 근육 파열의 이유로 활동 중단. ↑ 발목 골절로 활동 중단. ↑ 가 나 “Gaon Album Chart”. 《Gaon Chart》. Korea Music Content Industry Association. 2015년 2월 4일에 확인함.  ↑ 가 나 “Gaon Digital Chart”. 《Gaon Chart》. Korea Music Content Industry Association. 2015년 2월 4일에 확인함.  ↑ “2016년 17주차 Album Chart”. 2016년 4월 29일에 확인함.  ↑ “Gaon Monthly chart April 2016 (see #46)”. 2016년 5월 12일에 확인함.  ↑ “2016년 45주차 Album Chart”. 2016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Gaon Monthly chart November 2016 (see #90)”. 2016년 12월 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베리굿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베리굿 - 인스타그램 베리굿 - 페이스북 베리굿 - 트위터 전거 통제 ISNI: 0000 0004 6942 9972 뮤직브레인즈: 57393b6c-8464-4fec-b429-afcbd1525817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베리굿&oldid=24444777" 분류: 대한민국의 걸 그룹대한민국의 댄스 음악 그룹대한민국의 팝 음악 그룹K-pop 음악 그룹2014년 데뷔5인조 음악 그룹대한민국의 아이돌 그룹2014년 결성된 음악 그룹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로컬에는 없지만 위키데이터에는 있는 그림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Italiano日本語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Türkçe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8일 (화) 13: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베리굿(Berry Good)은 대한민국의 걸 그룹으로, JTG 엔터테인먼트 소속이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베리굿의 미니 앨범 Glory가 발배된 날짜는 언제인가? Assistant: 2016년 11월 1일
Human: 아래 가장_어려운_논리_퍼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가장 어려운 논리 퍼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가장 어려운 논리 퍼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가장 어려운 논리 퍼즐은 미국의 철학자이자 논리학자인 조지 불로스가 이탈리아의 한 신문에 실었던 다음의 논리 퍼즐을 가리킨다. 세 신 A, B, C의 이름은 '참', '거짓', '랜덤' 인데 무엇이 누구의 이름인지는 모른다. '참'은 언제나 참말만을 하고 '거짓'은 언제나 거짓말을 한다. '랜덤'은 완전히 무작위로 참말이나 거짓말을 한다. 목표는 단 3번의 참/거짓 질문을 하여 A, B, C의 이름을 알아내는 것이다. 각각의 질문은 한 번에 한 신에게만 해야 한다. 신들은 우리의 언어를 알아듣지만 대답은 '예' 혹은 '아니오'의 뜻을 지닌 그들의 언어 'da'와 'ja'로 주어지는데 어떤 단어가 '예'이고 어떤 단어가 '아니오'인지는 모른다. 불로스의 보충 설명은 다음과 같다.[1] 한 신에게 두 번 이상 질문할 수 있다(그렇게 되면 질문을 받지 못하는 신도 생긴다). 첫 번째 질문의 답변에 따라 두 번째 질문의 내용과 대상을 지정할 수 있다. (세 번째 질문도 마찬가지) '랜덤'이 참말을 할지 거짓말을 할지는 그의 머릿속에서 던진 동전의 앞뒷면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앞면이라면, 참말을 한다. 뒷면이라면 거짓말을 할 것이다. '랜덤'은 참/거짓 질문을 들으면 'da'나 'ja' 로 대답할 것이다.[1] 목차 1 역사 2 풀이 3 '랜덤'의 행동 4 신의 머리 폭발하다 5 같이 보기 6 참고 문헌 7 외부 링크 역사[편집] 불로스에 따르면 이 퍼즐의 원작자는 레이먼드 스멀리언 Raymond Smullyan이고 'da'와 'ja'의 뜻을 모른다는 부분은 컴퓨터 과학자 존 매카시가 추가했다고 한다. 비슷한 퍼즐을 스멀리언의 책 이곳저곳에서 찾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책의 제목은 무엇인가?'에서 스멀리언은 가상의 섬 하나를 이야기하는데 그 섬 인구의 절반은 항상 거짓말을 하는 좀비이고 나머지 반은 항상 참말을 하는 인간이다. 문제는, 그 섬 주민들은 영어를 알아듣지만, 그들 고유의 언어 이외의 말을 하면 안 된다는 터부가 있다는 것이다.따라서 그들은 참/거짓 질문에 'Bal'과 'Da'라고 대답하는데 어느 것이 '예'이고 어느 것이 '아니오'인지는 모른다. The Riddle of Scheherazade에 다른 관련된 퍼즐이 실려 있다. 더 일반적으로 이 퍼즐의 원조는 스멀리언의 유명한 기사와 악당 퍼즐들이다. (무대가 되는 상상의 섬의 모든 주민은 기사 혹은 악당인데 기사는 항상 참말만을 하고 악당은 항상 거짓말만 한다. 섬을 방문한 외지인은 참/거짓 질문을 하여 원하는 정보를 얻어내야 한다.) 이 퍼즐의 한 버전은 1980년대의 판타지 영화 Labyrinth에 등장해 유명해졌다. 문 2개 앞에 각각 보초가 서 있는데, 한 명은 참말을 하고 나머지 한명은 거짓말을 한다. 문 하나는 성으로 통하고 또 하나는 '죽음'에 이른다. 퍼즐은 보초 1명에게 참/거짓 질문 한 번만을 하여 성으로 통하는 문을 알아내는 것이다. 영화에서의 답은 "다른 보초라면 이 문이 성으로 통한다고 대답해 줄까요?"였다. 이 경우 아니오라는 대답을 한 보초가 지키고 있는 문이 성으로 통하는 문이다. 풀이[편집] 불로스는 같은 글에서 해답을 제시했다. "처음으로 할 일은 '랜덤'이 아니라고 확신할 수 있는 신을 찾아내는 것이다. 그러면 그는 '참' 아니면 '거짓'이다."[1] 다양한 질문으로 이것을 해낼 수 있다. 한 가지 전략은 복잡한 논리적 연결식(logical connectives 수정 바람)을 이용하는 것이다. 불로스의 질문은 이렇다: 'da'가 '예'를 뜻하는 것과 당신이 '참'인 것과 B가 '랜덤'인 것은 모두 동치입니까? 혹은 같은 의미로: "당신은 '거짓'이다", "'ja'는 '예'를 뜻한다", "B는 '랜덤'이다"의 세 문장 중 참인 것이 홀수개입니까? counterfactuals(수정 바람)을 이용한 보다 간단한 풀이가 있다.[2][3] 풀이의 열쇠는, 임의의 참/거짓 질문 Q에 대해서 다음의 참/거짓 질문 당신에게 Q를 물으면 당신은 'ja'라고 대답하겠습니까? 에 대한 대답은 Q에 대한 옳은 답이 '예'라면 'ja' 이고 '아니오'라면 'da' 일 것이라는 사실이다. 그 이유는 다음의 8가지 가능한 경우에 대해 생각해 보면 알 수 있다. 'ja'가 '예'이고 'da'가 '아니오'를 뜻한다고 가정하자. '참'에게 질문했고 'ja'라는 대답을 들었다면, 그는 참말을 하기 때문에 Q에 대한 옳은 답은 '예'이다. '참'에게 질문했고 'da'라는 대답을 들었다면, 그는 참말을 하기 때문에 Q에 대한 옳은 답은 '아니오'이다. '거짓'에게 질문했고 'ja'라는 대답을 들었다면, 그는 거짓말을 하기 때문에 그에게 Q를 물었다면 'da'라고 대답했을 것이다. 그는 거짓말쟁이이므로 Q에 대한 옳은 답은 'ja', 즉 '예'이다. '거짓'에게 질문했고 'da'라는 대답을 들었다면, 그는 거짓말을 하기 때문에 그에게 Q를 물었다면 'ja'라고 대답했을 것이다. 그는 거짓말쟁이이므로 Q에 대한 옳은 답은 'da', 즉 '아니오'이다. 'ja'가 '아니오'이고 'da'가 '예'를 뜻한다고 가정하자. '참'에게 질문했고 'ja'라는 대답을 들었다면, 그는 참말을 하기 때문에 Q에 대한 옳은 답은 '예'이다. '참'에게 질문했고 'da'라는 대답을 들었다면, 그는 참말을 하기 때문에 Q에 대한 옳은 답은 '아니오'이다. '거짓'에게 질문했고 'ja'라는 대답을 들었다면, 그는 거짓말을 하기 때문에 그에게 Q를 물었다면 'ja'라고 대답했을 것이다. 그는 거짓말쟁이이므로 Q에 대한 옳은 답은 'da', 즉 '예'이다. '거짓'에게 질문했고 'da'라는 대답을 들었다면, 그는 거짓말을 하기 때문에 그에게 Q를 물었다면 'da'라고 대답했을 것이다. 그는 거짓말쟁이이므로 Q에 대한 옳은 답은 'ja', 즉 '아니오'이다. 이 사실을 이용해서 다음처럼 진행할 수 있다.[2] B에게 "당신에게 'A가 '랜덤'인가요?' 라고 물으면 'ja'라고 대답하겠습니까?" 라고 묻는다. B가 'ja'라고 대답한다면 그것은 '랜덤'인 B의 무작위 대답이거나, 혹은 B가 '랜덤'이 아니고 위의 논의에 의하여 A가 '랜덤'이라는 결론에 이른다. 어느 쪽이건 C는 '랜덤'이 아니다. B가 'da'라고 대답한다면 마찬가지로 B가 랜덤이거나, 그렇지 않다면 B가 랜덤이 아니고 따라서 A가 '랜덤'이 아니다. 어느 쪽이건 A는 '랜덤'이 아니다. 앞의 질문에서 '랜덤'이 아닌 것으로 밝혀진 신(A 또는 C)에게 가서 "내가 당신에게 '당신이 '참'인가요?'라고 물으면 'ja'라고 대답하겠습니까?"라고 묻는다. 그는 '랜덤'이 아니므로 대답이 'ja'라면 그는 '참'일 것이고 'da'라면 '거짓'일 것이다. 같은 신에게 "내가 당신에게 'B가 '랜덤'인가요?'라고 물으면 'ja'라고 대답하겠습니까?"라고 묻는다. 그 대답을 들으면 B의 이름을 알 수 있고, 나머지 한 신의 이름은 자동으로 남은 하나로 정해진다. '랜덤'의 행동[편집] 대부분의 독자들은 '랜덤'이 완전히 무작위의 답을 제시할 거라고 가정한다. 하지만 불로스의 보충 설명 3번째를 보면 그렇지 않다. '랜덤'이 참말을 할지 거짓말을 할지는 그의 머릿속에서 던진 동전의 앞뒷면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앞면이라면, 참말을 한다. 뒷면이라면 거짓말을 할 것이다. 이것은 '랜덤'이 무작위적으로 '참말쟁이' 나 '거짓말쟁이' 가 된다는 뜻이지, 무작위적으로 'da' 나 'ja'라고 대답한다는 뜻이 아니다. 즉 사실은 '랜덤'에게 "현재의 마음 상태의 당신에게 Q를 물으면 당신은 'ja'라고 대답하겠습니까?"라고 물으면 우리가 원하는 대답을 할 수밖에 없다. ('참'이건 '거짓'이건 저 질문으로 원하는 답을 얻었던 것을 생각해 보라.) 이렇게 되면 문제가 매우 쉬워진다. 불로스의 세 번째 보충 설명을 다음과 같이 수정하면 #풀이장의 끝에서 이야기했던 방법이 필요해진다. '랜덤'이 'ja'라고 대답할지 'da'라고 대답할지는 그의 머릿속에서 던진 동전의 앞뒷면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앞면이라면, 'ja'라고 말한다. 뒷면이라면 'da'라고 대답한다. 신의 머리 폭발하다[편집] A simple solution to the hardest logic puzzle ever[2]에서, B. Rabern 과 L. Rabern 은 신이 줄 수 있는 대답이 'ja'와 'da'뿐만이 아님을 지적했다. 때로는 신이 아예 대답할 수 없을 때도 있다. 예를 들면, "당신은 이 질문에 '아니오'라는 뜻을 가진 단어로 대답할 것입니까?"라는 질문을 '참'에게 던진다면 그는 'ja'로도 'da'로도 대답할 수 없다. (논문은 이것을 가리켜 '머리 폭발'이라고 표현했다. "...그들은 신이고 오류가 있을 수 없다! 그들에게 주어진 선택은 하나이다. - 머리가 폭발한다.") 이 "머리 폭발"을 허용하면 변형된 퍼즐('랜덤'이 실제 무작위로 대답하도록)의 새로운 풀이를 줄 수 있으며, 원래의 퍼즐을 질문 2번만으로 (3번이 아님)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저자들은 유사하지만 간단한 다음 퍼즐을 질문 2번만 써서 풀어낸다. 세 신 A, B, C의 이름은 각각 Zephyr, Eurus, Aeolus 인데 누가 누구인지는 모른다. 각 신은 항상 참말만을 한다. 이제 참/거짓 질문 3번만 해서 누가 누구인지 알아내어라. 단, 각 질문은 한 번에 한 명에게만 할 수 있다. 신은 영어를 이해하고 영어로 대답할 것이다. 이 퍼즐은 (당연히) 질문 3번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제 질문 2번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보조정리를 쓴다. Tempered Liar Lemma. A에게 "{[(당신은 이 질문에 '아니오'라고 대답한다) 그리고 (B는 Zephyr이다)] 또는 (B가 Eurus이다)}인 것이 사실입니까?" 라고 묻는다고 하자. 대답이 '예'라면 B가 Eurus 이고, '아니오'라면 Aeolus 일 것이며 A의 머리가 폭발한다면 B는 Zephyr일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질문 한 번만으로 B가 누구인지 알아낼 수 있다. 이 보조정리를 쓰면 이 퍼즐을 질문 2번만에 푸는 것은 간단하다. 비슷한 방법을 쓰면 원래의 퍼즐을 질문 2번으로 해결할 수 있다. 같이 보기[편집] 조지 불로스 레이먼드 스멀리언 기사와 악당 논리 퍼즐 참고 문헌[편집] ↑ 가 나 다 George Boolos, The Hardest Logic Puzzle Ever (Harvard Review of Philosophy, 6:62-65, 1996). ↑ 가 나 다 Brian Rabern and Landon Rabern, A simple solution to the hardest logic puzzle ever, (Analysis 68 (298), 105–112, April 2008). ↑ T.S. Roberts, Some thoughts about the hardest logic puzzle ever (Journal of Philosophical Logic 30:609–612(4), December 2001). George Boolos, The hardest logic puzzle ever (The Harvard Review of Philosophy, 6:62–65, 1996). T.S. Roberts, Some thoughts about the hardest logic puzzle ever (Journal of Philosophical Logic 30:609–612(4), December 2001). Brian Rabern and Landon Rabern, A simple solution to the hardest logic puzzle ever (Analysis 68 (298), 105–112, April 2008). Raymond Smullyan, What is the Name of This Book?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J, 1978). Raymond Smullyan, The Riddle of Sheherazade (A. A. Knopf, Inc., New York, 1997). 외부 링크[편집] George Boolos. The hardest logic puzzle ever. The Harvard Review of Philosophy, 6:62–65, 1996. T.S. Roberts. Some thoughts about the hardest logic puzzle ever. Journal of Philosophical Logic, 30:609–612(4), December 2001. Brian Rabern and Landon Rabern. A simple solution to the hardest logic puzzle ever. Analysis 68 (298), 105–112, April 2008.[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Tom Ellis. Even harder than the hardest logic puzzle ever.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가장_어려운_논리_퍼즐&oldid=24203426" 분류: 논리학퍼즐논리 퍼즐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FrançaisՀայերենItaliano日本語Nederlands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12:0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가장 어려운 논리 퍼즐은 미국의 철학자이자 논리학자인 조지 불로스가 이탈리아의 한 신문에 실었던 다음의 논리 퍼즐을 가리킨다. 세 신 A, B, C의 이름은 '참', '거짓', '랜덤' 인데 무엇이 누구의 이름인지는 모른다. '참'은 언제나 참말만을 하고 '거짓'은 언제나 거짓말을 한다. '랜덤'은 완전히 무작위로 참말이나 거짓말을 한다. 목표는 단 3번의 참/거짓 질문을 하여 A, B, C의 이름을 알아내는 것이다. 각각의 질문은 한 번에 한 신에게만 해야 한다. 신들은 우리의 언어를 알아듣지만 대답은 '예' 혹은 '아니오'의 뜻을 지닌 그들의 언어 'da'와 'ja'로 주어지는데 어떤 단어가 '예'이고 어떤 단어가 '아니오'인지는 모른다.불로스의 보충 설명은 다음과 같다. 한 신에게 두 번 이상 질문할 수 있다(그렇게 되면 질문을 받지 못하는 신도 생긴다). 첫 번째 질문의 답변에 따라 두 번째 질문의 내용과 대상을 지정할 수 있다. (세 번째 질문도 마찬가지) '랜덤'이 참말을 할지 거짓말을 할지는 그의 머릿속에서 던진 동전의 앞뒷면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앞면이라면, 참말을 한다. 뒷면이라면 거짓말을 할 것이다. '랜덤'은 참/거짓 질문을 들으면 'da'나 'ja' 로 대답할 것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세계적으로 어렵다고 인정받은 한 논리 퍼즐의 유래는 어떠할까? Assistant: 더 일반적으로 이 퍼즐의 원조는 스멀리언의 유명한 기사와 악당 퍼즐들이다. (무대가 되는 상상의 섬의 모든 주민은 기사 혹은 악당인데 기사는 항상 참말만을 하고 악당은 항상 거짓말만 한다. 섬을 방문한 외지인은 참/거짓 질문을 하여 원하는 정보를 얻어내야 한다.) 이 퍼즐의 한 버전은 1980년대의 판타지 영화 Labyrinth에 등장해 유명해졌다. 문 2개 앞에 각각 보초가 서 있는데, 한 명은 참말을 하고 나머지 한명은 거짓말을 한다. 문 하나는 성으로 통하고 또 하나는 '죽음'에 이른다. 퍼즐은 보초 1명에게 참/거짓 질문 한 번만을 하여 성으로 통하는 문을 알아내는 것이다. 영화에서의 답은 "다른 보초라면 이 문이 성으로 통한다고 대답해 줄까요?"였다. 이 경우 아니오라는 대답을 한 보초가 지키고 있는 문이 성으로 통하는 문이다. Human: 아래 파이널_컷_스튜디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파이널 컷 스튜디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파이널 컷 스튜디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파이널 컷 스튜디오 개발자 애플 운영 체제 맥 OS X 종류 비선형 편집 시스템 라이선스 사유 웹사이트 파이널 컷 스튜디오 파이널 컷 스튜디오 포장상자. 파이널 컷 스튜디오(Final Cut Studio)는 애플이 만든, 영상·소리 제작을 위한 전문가용 소프트웨어 제품군이다. 맥 오에스 텐에서 작동한다. 목차 1 구성 요소 2 역사 2.1 발표 역사 3 마케팅 3.1 고선명 비디오 3.2 포장 3.3 사례 연구 4 통합 5 같이 보기 6 외부 링크 구성 요소[원본 편집] 파이널 컷 스튜디오 3에는 6가지 주요 응용 프로그램이 들어 있으며, 기타 영상 편집용으로 여러 자잘한 응용 프로그램이 들어 있다. 주요 응용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파이널 컷 프로 7(Final Cut Pro 7) - "DV, SD, HD, 영화를 위한 실시간 편집기." 모션 4(Motion 4) - "실시간 모션 그래픽스 디자인 " 사운드트랙 프로 3(SoundTrack Pro 3) - "고급 오디오 편집 및 사운드 디자인" DVD 스튜디오 프로 4 (DVD Studio Pro 4) - 인코더, DVD 저작, 굽기. 컬러 1.5 (Color 1.5) - 실리콘 컬러 사의 파이널터치(FinalTouch)에서 유래한 컬러 그레이딩 응용 프로그램. 콤프레서 3 (Compressor 3) - 여러 종류의 포맷으로 프로젝트를 출력해 주는 비디오 인코딩 도구. 파이널 컷 스튜디오 3는 파워맥(G4와 G5)을 지원하지 않는다. 파이널 컷 스튜디오 2까지만 파워맥을 지원한다. 추가적인 응용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시네마 툴스 4.5 - 필름 프로세싱에 특화된 도구. 큐마스터 3 - 분산 처리(distributed processing) 도구. 역사[원본 편집] 파이널 컷 스튜디오는 2005년 4월 전미국 방송협회 쇼에서 전시되었다. 파이널 컷 스튜디오는 프로덕션 스위트의 후속작이었으며, 모든 프로덕션 스위트 응용 프로그램의 후속 버전이 들어 있었다. 또한 파이널 컷 프로(Final Cut Pro)에 들어 있던 사운드트랙(SoundTrack)의 새로운 버전인 사운드트랙 프로(SoundTrack Pro)와 같은 새로운 프로그램도 들어 있었다. 2006년 1월, 애플은 각 주요 응용 프로그램 각각을 따로 구매하지 못하게 막기 시작했고, 사람들은 주요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려면 파이널 컷 스튜디오를 사야만 했다. 2006년 3월, 애플은 유니버설 바이너리 버전을 출시하였다. 이 때, 애플은 파이널 컷 프로의 버전 번호를 모든 제품군에 적용시켰다. 파이널 컷 스튜디오 5.1 버전으로 출시하였다. 발표 역사[원본 편집] 발표 일자 발표 제품 NAB 1999년 파이널 컷 프로 맥월드 콘퍼런스 앤드 엑스포 2001년 DVD 스튜디오 프로 2001년 3월 파이널 컷 프로 2 [1] 2001년 12월 파이널 컷 프로 3 [2] 2002년 4월 시네마 툴즈(Cinema Tools) [3] NAB 2002년 DVD 스튜디오 프로 1.5 [4] NAB 2003년 파이널 컷 프로 4 [5], DVD 스튜디오 프로 2 [6], LiveType, 사운드트랙, 콤프레서 NAB 2004년 파이널 컷 프로 HD [7], DVD 스튜디오 프로 3 [8], 모션 [9], LiveType 1.2, 사운드트랙 1.2, 콤프레서 1.2 2004년 8월 프로덕션 스위트(Production Suite) [10] NAB 2005년 파이널 컷 스튜디오 [11]: 파이널 컷 프로 5, DVD 스튜디오 프로 4, Motion 2, LiveType 2, Soundtrack Pro [12], 콤프레서 2 2006년 3월 파이널 컷 스튜디오. 유니버설 바이너리 응용 프로그램으로 공개. [13]. 2007년 파이널 컷 스튜디오 2 [14]: 파이널 컷 프로 6, DVD 스튜디오 프로 4, 모션 3, 라이브타입 2, 사운드트랙 프로 2, 컬러, 콤프레서 3 마케팅[원본 편집] 파이널 컷 스튜디오에는 영화, 모션 그래픽스, 오디오 후반 작업 도구가 한 제품군 안에 모두 들어 있어서, 하나의 작업 흐름에서 일을 처리할 때 쓰는 제품군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삼는 iLife 제품군과 같은 성격이다. 파이널 컷 프로에 해당하는 것은 iMovie이다. GarageBand 3는 로직(Logic)의 소비자(consumer)용 버전이다. iDVD는 DVD 스튜디오 프로의 컷-다운 버전이다. Motion과 마찬가지로, iMovie는 실시간으로 적용될 수 있는 코어 이미지 이펙트를 내장한다. 고선명 비디오[원본 편집] 2005년도 맥월드 콘퍼런스 앤드 엑스포에서, 스티브 잡스 – 애플의 CEO –는 2005년을 "고선명 비디오의 해"로 선언하였다. 이 때까지만 해도, 파이널 컷 스튜디오의 HD 기능이 강조되었다. 조그마한 HD 로고가 각 스튜디오 응용 프로그램 포장 상자에 인쇄되었으며, 파이널 컷 스튜디오 포장상자에도 인쇄되었다. 파이널 컷 프로는 거의 모든 고선명 비디오 포맷(HDV, DVCPRO HD, AVCHD, 비압축 HD)을 지원한다. 사운드트랙 프로 및 모션도 이러한 포맷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비디오를 외부 모니터 상에서 재생할 수 있다. DVD 스튜디오 프로는 HDDVD 1.0 스펙을 지원한다. DVD 스튜디오 프로 항목을 참고하라. 포장[원본 편집] 각 응용 프로그램의 포장과 웹사이트들은 NAB 2005년도 쇼에서 보여줬던 데모 비디오와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 비디오는 셰이크 4도 언급하고 있다. 이것은 하이엔드급의 디지털 합성 응용 프로그램이다. 파이널 컷 프로와는 연동되나 파이널 컷 스튜디오에는 들어 있지 않은 응용 프로그램이다. 사례 연구[원본 편집] 파이널 컷 스튜디오 구성 요소를 마케팅하기 위해, 애플은 응용 프로그램의 실제 사용 예로서 사례 연구 문서 몇 건을 작성하였다. 파이널 컷 프로에 관해서는, 버님-머레이 프로덕션즈라는 프로덕션 사가 《리얼 월드》라는 제목의 리얼리티 텔레비전 쇼에서 이를 사용한 사례를 내세웠다. 사운드트랙 프로에 관해서는, 월터 머치를 사운드트랙 프로의 "옹호자"로서 내세웠다. – 그는 《콜드 마운틴 (영화) 》및 《대부》에서 작업하였던 영화 편집자이자 사운드 디자이너이다. 모션에 관하여서는, 애플은 메커니즘(Mekanism)의 사례를 들었다. 젊은 사람들로 하여금 투표하도록 권장하는 TV 스폿 광고를 예로 들었다. DVD 스튜디오 프로에 관하여서는, Relevant의 사례를 들었다. 이 응용 프로그램은 독특한 인터렉티브(interactive) 영화인 《백우즈 투 브룩클린》을 제작하는 데 쓰였다. 통합[원본 편집] 응용 프로그램들은 한 제품군(suite) 안에 통합되어 있다. 사용자들은 한 개의 작업 흐름(workflow) 상에서 작업할 수 있다. 특히: 파이널 컷 프로 시퀀스는 사운드트랙 프로로 내보낼 수 있다. 파이널 컷 프로 시퀀스는 콤프레서로 내보낼 수 있다. 외부 포맷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파이널 컷 프로 시퀀스는 모션으로 내보낼 수 있다. 모션 그래픽스 오버레이를 입히기 위해서다. 아니면, 제목 오버레이에 특화된 응용 프로그램인 라이브타입으로 내보낼 수 있다. LiveType 프로젝트는 파이널 컷 프로에서 열 수 있다. "내보내기"를 먼저 하지 않아도 된다. 모션 프로젝트는 DVD 스튜디오 프로 메뉴에 추가할 수 있다. "내보내기"를 먼저 하지 않아도 된다. LiveType에서 만든 LiveFonts는 Motion에서 사용할 수 있다. 파이널 컷 프로 및 모션은 셰이크에 통합할 수 있다. 셰이크 또한 애플이 제작한 디지털 콤포징 패키지이다. 같이 보기[원본 편집] Final Cut Pro X 비선형 영상 편집 파이널 컷 서버 파이널 컷 프로 외부 링크[원본 편집] 파이널 컷 스튜디오 공식 웹사이트 vdeh애플의 소프트웨어운영 체제 다윈 IOS 버전 역사 1 2 3 4 5 6 7 8 9 10 11 12 MacOS 공개 베타 "치타" "퓨마" "재규어" "팬더" "타이거" "레퍼드" "스노 레퍼드" "라이언" "마운틴 라이언" "매버릭스" "요세미티" "엘카피탠" "시에라" "하이 시에라" "모하비" TvOS WatchOS 고객 아이북스 오서 아이클라우드 아이라이프 아이무비 개러지밴드 아이워크 키노트 페이지 넘버 클립스 프로페셔널 파일메이커 파이널 컷 스튜디오 파이널 컷 프로 X 모션 컴프레서 로직 스튜디오 로직 프로 메인스테이지 교육 클래스룸 스쿨워크 번들 캘린더 아이튠즈 역사 메일 메시지 포토 부스 포토 퀵타임 사파리 버전 역사 TextEdit 서버 애플 원격 데스크톱 macOS 서버 WebObjects Xsan 개발자 대시코드 인스트루먼츠 인터페이스 빌더 쿼츠 컴포저 엑스코드 iAd 프로듀서 중단 .Mac 애퍼처 애플웍스 벤토 맥 OS의 역사 시스템 1 6 7 8 9 컬러 DVD 스튜디오 프로 파이널 컷 익스프레스 프런트로 하이퍼카드 아이챗 iDVD 아이포토 iWeb 로직 익스프레스 맥드로 맥페인트 맥프로젝트 맥터미널 맥라이트 모바일미 ResEdit 셰이크 사운드트랙 프로 vdeh애플창립자 스티브 잡스 스티브 워즈니악 로널드 웨인 이사회 윌리엄 캠벨 밀러드 드렉슬러 앨 고어 앤드리아 정 아서 D. 레빈슨 팀 쿡 하드웨어 애플 TV (1세대 · 2세대 · 3세대) 아이패드 1세대 2 3세대 4세대 에어 에어 2 5세대 6세대 아이패드 미니 1세대 2세대 3세대 4세대 아이폰 1세대 3G 3GS 4 4S 5 5S 5C 6 6+ 6s 6s+ SE 7 7+ 8 8+ X XS / XS 맥스 XR 아이팟 터치 클래식 나노 셔플 맥 (아이맥, 맥북 (에어, 프로), 미니, 프로, 엑서브) 애플 워치 주변기기 에어포트 시네마 디스플레이 애플 마우스 매직 마우스 매직 트랙패드 애플 키보드 타임 캡슐 소프트웨어 제품 애퍼처 벤또 파일메이커 프로 파이널 컷 스튜디오 개러지밴드 아이라이프 iOS (버전 목록) IPadOS WatchOS 아이튠스 아이워크 모션 로직 스튜디오 메인스테이지 맥 OS X (서버) 퀵타임 사파리 Xsan 아이무비 스토어 및 서비스 ADC Siri 애플케어 애플 스페셜리스트 애플 스토어 앱 스토어 증명서 프로그램 게임 센터 지니어스 아이북스 스토어 · 아이튠스 스토어 아이워크 아이클라우드 모바일미 원투원 프로케어 · 에어플레이 홈킷 애플 TV+ 임원 팀 쿡 피터 오펜하이머 필 실러 조너선 아이브 론 존슨 시나 타마돈 스콧 포스톨 · 밥 맨스필드 산하 회사 이매직 핑거웍스 인트린시티 라라 넥스트 낫띵리얼 P.A. 세미 폴리9 실리콘 컬러 Siri Spruce 테크놀리지 쿼트로 와이어레스 해외 지사 같이 보기 애플 디자인 어워드 역사 iOS 탈옥 광고 1984 Think Different Get a Mac 아이팟 슬로건 브래번 캐피탈 필름메이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이널_컷_스튜디오&oldid=22353948" 분류: 매킨토시용 소프트웨어애플의 소프트웨어2005년 도입MacOS 소프트웨어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Català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Íslenska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РусскийSvensk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2일 (수) 11: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파이널 컷 스튜디오(Final Cut Studio)는 애플이 만든, 영상·소리 제작을 위한 전문가용 소프트웨어 제품군이다. 맥 오에스 텐에서 작동한다. 레거시 박스 버전의 파이널 컷 스튜디오는 애플의 전화 판매를 통해서만 마지막으로 구매가 가능하므로 온라인이나 애플 스토어에서 구매가 불가능하다. 2017년 기준으로 파이널 컷 프로 7은 더 이상 macOS 하이시에라 이상에서 동작하지 않는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파이널 컷 스튜디오에 들어있는 분산 처리 도구는 무엇일까요? Assistant: 큐마스터 3
Human: 아래 다리우스력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다리우스력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리우스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리우스 달력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리우스력(Darian Calender)은 화성의 보시(補時: timekeeping)를 위해서 제안된 체계로, 미래의 화성의 화성으로의 유인 미션을 위하여 디자인되었다. 항공우주 엔지니어 정치학자인 토마스 강게일(Thomas Gangale) 이 1985년에 제작하였고, 그의 아들의 이름인 다리우스(Darius)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 목차 1 달력의 모습 2 Other Darian calendars 3 같이 보기 4 참조 5 외부 링크 달력의 모습[편집] 한 해는 24개의 달로 나뉜다. 매 분기의 첫 다섯 달은 28 솔(화성일) 이며, 마지막 달은 윤년의 마지막 달이 마지막 솔로서 윤일을 가질때가 아니면 27솔이다. 달력은 7솔을 한 주(週)로 유지한다. 그러나 주는 매 달의 첫 솔에 새로 시작한다. 만약에 한 달이 27솔로 되어있다면, 마지막 솔은 생략될 것이다. 이것은 부분적으로 정돈된 모습을 위한 것이다. 또 평균 화성의 주 길이와 지구의 주 길이를 유사하게 하기 위해서 합리화된다. 28 지구일은 거의 27+1/4 화성 솔과 비슷하지만 27+5/6 Martian sols과는 비슷하지 않다는 것을 기억하면 된다. 다음 표에서, 한 주는 솔 솔리스 (Sol Solis), 솔 루나에 (Sol Lunae), 솔 마르티우스 (Sol Martius), 솔 메르쿠리 (Sol Mercurii), 솔 요비스 (Sol Jovis), 솔 베네리스 (Sol Veneris), 그리고 솔 사투르니 (Sol Saturni) 로 구성된다. 이는 지구의 일요일,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과 대응된다. 매 달의 이름은 Sagittarius (궁수자리), Dhanus (샨스크리트어의 궁수자리), Capricornus (염소자리), Makara (힌두어의 염소자리), Aquarius (물병자리), Kumbha (샨스크리트어의 물병자리) 등으로, 별자리를 땄으며, 각각 라틴어와 샨스크리트어가 반복된다. Sagittarius   Dhanus   Capricornus So Lu Ma Me Jo Ve Sa So Lu Ma Me Jo Ve Sa So Lu Ma Me Jo Ve Sa 1 2 3 4 5 6 7 1 2 3 4 5 6 7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8 9 10 11 12 13 14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15 16 17 18 19 20 21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2 23 24 25 26 27 28 22 23 24 25 26 27 28           Makara   Aquarius   Kumbha So Lu Ma Me Jo Ve Sa So Lu Ma Me Jo Ve Sa So Lu Ma Me Jo Ve Sa 1 2 3 4 5 6 7 1 2 3 4 5 6 7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8 9 10 11 12 13 14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15 16 17 18 19 20 21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2 23 24 25 26 27 28 22 23 24 25 26 27             Pisces   Mina   Aries So Lu Ma Me Jo Ve Sa So Lu Ma Me Jo Ve Sa So Lu Ma Me Jo Ve Sa 1 2 3 4 5 6 7 1 2 3 4 5 6 7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8 9 10 11 12 13 14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15 16 17 18 19 20 21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2 23 24 25 26 27 28 22 23 24 25 26 27 28           Mesha   Taurus   Rishabha So Lu Ma Me Jo Ve Sa So Lu Ma Me Jo Ve Sa So Lu Ma Me Jo Ve Sa 1 2 3 4 5 6 7 1 2 3 4 5 6 7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8 9 10 11 12 13 14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15 16 17 18 19 20 21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2 23 24 25 26 27 28 22 23 24 25 26 27             Gemini   Mithuna   Cancer So Lu Ma Me Jo Ve Sa So Lu Ma Me Jo Ve Sa So Lu Ma Me Jo Ve Sa 1 2 3 4 5 6 7 1 2 3 4 5 6 7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8 9 10 11 12 13 14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15 16 17 18 19 20 21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2 23 24 25 26 27 28 22 23 24 25 26 27 28           Karka   Leo   Simha So Lu Ma Me Jo Ve Sa So Lu Ma Me Jo Ve Sa So Lu Ma Me Jo Ve Sa 1 2 3 4 5 6 7 1 2 3 4 5 6 7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8 9 10 11 12 13 14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15 16 17 18 19 20 21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2 23 24 25 26 27 28 22 23 24 25 26 27             Virgo   Kanya   Libra So Lu Ma Me Jo Ve Sa So Lu Ma Me Jo Ve Sa So Lu Ma Me Jo Ve Sa 1 2 3 4 5 6 7 1 2 3 4 5 6 7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8 9 10 11 12 13 14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15 16 17 18 19 20 21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2 23 24 25 26 27 28 22 23 24 25 26 27 28           Tula   Scorpius   Vrishika So Lu Ma Me Jo Ve Sa So Lu Ma Me Jo Ve Sa So Lu Ma Me Jo Ve Sa 1 2 3 4 5 6 7 1 2 3 4 5 6 7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8 9 10 11 12 13 14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15 16 17 18 19 20 21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2 23 24 25 26 27 28 22 23 24 25 26 27 28 브리시카 (Vrishika)의 마지막 날은 매년 존재하지 않는 윤일이다. Other Darian calendars[편집] 1998년에 강게일은 다리우스 달력을 네개의 목성의 갈릴레이 위성에 적용했다.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그리고 칼리스토. 2003년에, 그는 2003년에 토성의 위성 타이탄에서 사용될 변형 달력을 만들었다. 같이 보기[편집] 화성에서의 천문학 화성에서의 보시(補時:timekeeping) 참조[편집] Gangale, Thomas. (1986-06-01). "Martian Standard Time". Journal of the British Interplanetary Society. Vol. 39, No. 6, p. 282-288 Gangale, Thomas. (1997-02-01). "Mare Chronium: A Brief History of Martian Time". American Astronautical Society. AAS 90-287. The Case for Mars IV: The International Exploration of Mars. Ed. Thomas R. Meyer. San Diego, California. Univelt, Incorporated. Gangale, Thomas. (1999-07-01). "The Darian Calendar". Mars Society. MAR 98-095. Proceedings of the Founding Convention of the Mars Society. Volume III. Ed. Robert M. Zubrin, Maggie Zubrin. San Diego, California. Univelt, Incorporated. 13-Aug-1998. Gangale, Thomas, and Dudley-Rowley, Marilyn. (2004-07-01). "The Architecture of Time: Design Implications for Extended Space Missions"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SAE 2004-01-2533. SAE Transactions: Journal of Aerospace. Gangale, Thomas, and Dudley-Rowley, Marilyn. (2005-12-01). "Issues and Options for a Martian Calendar". Planetary and Space Science. Vol. 53, pp. 1483-1495. Gangale, Thomas. (2006-07-01). "The Architecture of Time, Part 2: The Darian System for Mars."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SAE 2006-01-2249. Sakers, Don. (2004-01-01). The Sf Book of Days, pp. 7, 19, 31, 53, 81, 103, 113, 123, 135, 145-149. Speed-Of-C Productions. Smith, Arthur E. (1989-01-01). Mars: The next step, p. 7. Taylor & Francis. 외부 링크[편집] Thomas Gangale's website, starting at Darian calendar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다리우스력&oldid=24012645" 분류: 1985년화성제안된 달력1985년 작품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Françaisहिन्दी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MirandésNederlands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தமிழ்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1일 (목) 20:4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다리우스력(Darian Calender)은 화성의 보시(補時: timekeeping)를 위해서 제안된 체계로, 미래의 화성의 화성으로의 유인 미션을 위하여 디자인되었다. 항공우주 엔지니어 정치학자인 토마스 강게일(Thomas Gangale) 이 1985년에 제작하였고, 그의 아들의 이름인 다리우스(Darius)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다리우스력은 1년을 몇 개의 달로 나누는가? Assistant: 24개 Human: 아래 서울종합운동장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서울종합운동장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울종합운동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7° 30′ 57.2″ 동경 127° 04′ 21.9″ / 북위 37.515889° 동경 127.072750°  / 37.515889; 127.072750 한강에서 바라본 올림픽 주경기장 잠실 야구장 정신여자고등학교에서 바라본 학생 체육관 서울종합운동장(서울綜合運動場)은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하계 올림픽을 위하여 지은 스포츠 경기장 종합 단지이다. 이곳이 개장하면서 서울운동장의 이름이 동대문운동장으로 바뀌었다. 2008년 10월 10일부터 10월 30일까지 서울디자인올림픽이 열렸다. 올림픽주경기장은 입석까지 포함하여 10만 명을 수용할 수 있도록 건설되었으며 좌석수는 69,950석이다. 1976년 잠실체육관부터 건립이 시작되어 1977년 올림픽주경기장 등의 본격적인 건설이 시작되었고 1984년 9월 완공되었다. 올림픽주경기장을 비롯 잠실보조경기장, 잠실야구장, 잠실체육관, 잠실제1수영장 등등 모든 시설을 합쳐 약 1030억 내외의 건립비용이 소요되었다.[1] 2025년까지 리모델링이 진행된다.[2] 목차 1 역사 1.1 건설 2 시설 3 갤러리 4 같이 보기 5 각주 6 외부 링크 역사[편집] 건설[편집] 1975년 10월 16일 잠실 지역에 종합운동장 건립 계획을 시작으로[3] 1976년 9월 22일 박정희 대통령이 주경기장과 보조경기장, 실내체육관 2개, 야구장과 정구장을 주요 시설로 하는 종합운동장을 건설하도록 지시했으며 이에 따라 잠실종합운동장 기본계획이 마련되었다.[4] 1976년 10월 5일 박정희 대통령이 잠실종합운동장 기본계획을 승인하였고 1976년 11월 1일부로 종합운동장 건설본부가 설치되었다.[5] 그 후 대한탁구협회가 건설할 계획이었던 사라예보 세계탁구제패 기념관을 흡수하여 이를 종합운동장 내의 실내체육관으로 확장 건설할 것을 결정, 1976년 12월 1일에 착공하면서 본격적인 시설물 공사가 시작되었다. 주경기장(메인스타디움) 등 제반 시설의 건설계획도 종합 확정되었으며 1977년 11월 28일 주경기장 및 실내수영장 착공을 하였으며[6][7] 12월 20일에 구자춘 당시 서울시장등이 참석한 기공식을 가졌다.[8][9](기공식은 공사 시작을 알리는 행사의 의미로 실제 계약서 등등에 공식 기재되는 법적인 공사 착공 일자와는 일치 안 할 수 있음) 잠실실내체육관(7,098m2 : 수용능력 2만 명)은 1979년 4월에 준공 ·개관하였고, 실내수영장(8,073m2 : 8,000명 관람)도 1980년 12월에 완공하였다. 1981년 9월과 11월에 제24회 올림픽경기대회 및 제10회 아시아경기대회의 서울 개최가 확정되면서, 필요시설로서 서울종합운동장 건설사업은 박차가 가해졌다. 1982년 7월 야구장(26,331m2 : 5만 명 수용능력)이 준공되었고, 시설면적 4만 평에 수용인원 10만 명, 2층 구조 관람석을 갖춘 주경기장도 1984년 9월에 29일 개장하였다 참고로 서울종합운동장 내 잠실학생체육관은 종합운동장건설계획과 무관하게 1972년 11월 착공하여 1977년 4월에 개관한 체육 시설이다. 시설[편집] 올림픽주경기장 보조경기장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잠실실내체육관 잠실학생체육관 잠실제1수영장 잠실제2수영장 잠실탁구장 올림픽전시관 갤러리[편집] 같이 보기[편집] 올림픽공원 서울올림픽주경기장 종합운동장역 각주[편집] ↑ “자기형의 아주 최대 메인스타디움 잠실종합경기장 위용을 본다”. 매일경제신문. 1984년 9월 26일.  ↑ “리모델링 설계로 재탄생하는 2025 잠실운동장”. 《도시 읽어주는 남자》. 2018년 2월 1일. 2018년 2월 4일에 확인함.  ↑ “잠실에 종합경기장 총1백32억원 들여”. 매일경제신문. 1974년 10월 16일.  ↑ “박대통령 지시 잠실에 대규모종합운동장”. 동아일보. 1976년 9월 23일.  ↑ “본부장에 도지훈씨 종합운동장 건설본부 설치”. 동아일보. 1976년 11월 2일.  ↑ “10만 환성 담을 아시아 최대 주경기장”. 동아일보. 1988년 8월 26일.  ↑ “서울올림픽 투입,산출의 백서”. 매일경제신문. 1988년 9월 19일.  ↑ “남서울운동장 주경기장 착공”. 동아일보. 1977년 12월 20일.  ↑ 영상역사관 (1977년 12월 30일). “남서울대운동장 기공”. 대한뉴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서울종합운동장 서울특별시 체육시설관리사업소 서울종합운동장 안내 "1988 서울 올림픽 공식 리포트" 리모델링 설계로 재탄생하는 2025 잠실운동장 vdeh서울특별시의 스포츠 시설 팀 시설 종합운동장 목동운동장 서울종합운동장 다목적경기장 목동운동장 주경기장 서울올림픽주경기장 효창운동장 축구전용경기장 마들스타디움 서울월드컵경기장 야구전용경기장 목동야구장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신월야구공원 고척스카이돔 실내경기장 목동아이스링크 잠실실내체육관 잠실학생체육관 잠실제1수영장 장충체육관 KBS스포츠월드 SK올림픽핸드볼경기장 올림픽체조경기장 훈련 시설 태릉선수촌 기타 시설 태릉 국제 스케이트장 없어진 시설 동대문운동장 동대문야구장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서울종합운동장&oldid=24501325" 분류: 1984년 설립1988년 하계 올림픽 경기장서울 송파구의 건축물서울특별시의 스포츠 시설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9일 (토) 23: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서울종합운동장(서울綜合運動場, Seoul Sports Complex)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에 있는 스포츠 시설 단지이다. 흔히 잠실종합운동장으로 불린다.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하계 올림픽을 개최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서울종합운동장이 개장하면서 서울운동장의 이름이 동대문운동장으로 바뀌었다. 2008년 10월 10일부터 10월 30일까지 서울디자인올림픽이 열렸다. 올림픽주경기장은 입석까지 포함하여 10만 명을 수용할 수 있도록 건설되었으며 좌석수는 69,950석이다. 1976년 잠실체육관부터 건립이 시작되어 1977년 올림픽주경기장 등의 본격적인 건설이 시작되었고 1984년 9월 완공되었다. 올림픽주경기장, 잠실보조경기장, 잠실야구장, 잠실체육관, 잠실제1수영장 등 모든 시설을 합쳐 약 1030억 원 내외의 건립비용이 소요되었다. 2025년까지 리모델링이 진행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서울종합운동장에는 무슨 전시관이 있을까? Assistant: 올림픽전시관
Human: 아래 인천광역시의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인천광역시의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천광역시의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7° 27′ 23″ 동경 126° 42′ 23″ / 북위 37.456262° 동경 126.706422°  / 37.456262; 126.706422 인천광역시의회 인천광역시의회 의회 체제개회 1991년 7월 8일의회 체제 단원제조직의장 이용범 (더불어민주당)부의장 김진규 (더불어민주당) 부의장 안병배 (더불어민주당)구성정원 35석의원임기 4년 정당구성     더불어민주당 (34)     자유한국당 (2)     정의당 (1) 선거이전 선거 2018년 6월 13일의사당 인천광역시 남동구 정각로 29 (구월동)웹사이트 인천광역시의회 인천광역시의회는 인천광역시에 제출된 의견이나 법안을 처리하기 위해 설치된 의회이다.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동에 있다. 목차 1 조직 1.1 의장단 1.1.1 역대 의장단 1.2 위원회 1.3 사무기구 2 역대 의회 2.1 초대 인천직할시의회 2.2 2대 인천광역시의회 2.3 3대 인천광역시의회 2.4 4대 인천광역시의회 2.5 5대 인천광역시의회 2.6 6대 인천광역시의회 2.7 7대 인천광역시의회 2.8 8대 인천광역시의회 3 정당별 의석 수 3.1 교섭단체 4 같이 보기 5 각주 6 외부 링크 조직[편집] 의장단[편집] 의장 부의장 2명 역대 의장단[편집] 대수 이름 정당 임기 부의장/정당 초대 전반기 이기상 민주자유당 1991년 7월 8일 - 1993년 7월 7일 이명복/민주자유당 장순상/민주자유당 후반기 심상길 1993년 7월 8일 - 1995년 6월 30일 박형칠/민주자유당 원현철/민주자유당 2대 전반기 신맹순 민주당 1995년 7월 19일 - 1997년 1월 19일 강부일/민주당 김춘식/민주자유당 후반기 김춘식 신한국당 1997년 1월 20일 - 1998년 6월 30일 정명환/신한국당정구성/한나라당 이병화/민주당/이영호/민주당 3대 전반기 강부일 새정치국민회의 1998년 7월 2일 - 2000년 7월 6일 이복식/새정치국민회의 이영환/새정치국민회의 후반기 이영환 새천년민주당 2000년 7월 7일 - 2002년 6월 30일 김영주/새천년민주당 박승숙/한나라당 4대 전반기 신경철 한나라당 2002년 7월 11일 - 2004년 7월 8일 박창규/한나라당 김성호/민주당 후반기 박승숙 2004년 7월 9일 - 2006년 6월 30일 신영은/한나라당 노경수/무소속 5대 전반기 박창규 2006년 7월 4일 - 2008년 7월 3일 고진섭/한나라당 후반기 고진섭 2008년 7월 4일 - 2010년 3월 22일 이근학/한나라당 유천호/한나라당 강창규 2010년 4월 12일 - 2010년 6월 30일 김을태/한나라당 6대 전반기 김기신 민주당 2010년 7월 6일 - 2011년 6월 13일 김기홍/민주당 이재호/한나라당 류수용 2011년 6월 14일 - 2012년 7월 5일 후반기 이성만 민주통합당 2012년 7월 6일 - 2014년 6월 30일 김영분/민주통합당 이상철/새누리당 7대 전반기 노경수 새누리당 2014년 7월 2일 - 2016년 6월 30일 박승희/새누리당 이용범/새정치민주연합 후반기 제갈원영 2016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황인성/새누리당 이강호/더불어민주당 8대 전반기 이용범 더불어민주당 2018년 7월 1일 - 김진규/더불어민주당 안병배/더불어민주당 위원회[편집] 상임위원회 의회운영위원회 기획행정위원회 문화복지위원회 산업경제위원회 건설교통위원회 교육위원회 특별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윤리특별위원회 사무기구[편집] 사무처[1] 총무담당관실[2] 의사담당관실[2] 입법정책담당관실[2] 전문위원 역대 의회[편집] 초대 인천직할시의회[편집] 1990년 12월 31일 개정된 지방자치법에 따라 1991년 6월 20일 실시된 광역자치의회 의원 선거로 인천시의원 27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 당선자수 민주자유당 20 신민주연합당 1 민주당 3 무소속 3 총합 27 2대 인천광역시의회[편집]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로 2대 인천시의원 35명이 선출되었고, 비례대표제가 도입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의석 민주자유당 13 2 15 민주당 18 1 19 무소속 1 1 총합 32 3 35 정당별 득표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인 민주자유당 357,336 39% 2 민주당 360,400 39.3% 1 자유민주연합 96,421 10.5% 무소속 102,101 11.1% 총합 916,258 3 3대 인천광역시의회[편집] 1998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29명의 인천시의원을 선출하였다. 정당별 의석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의석 한나라당 4 1 5 새정치국민회의 20 1 21 자유민주연합 1 1 2 무소속 1 1 총합 26 3 29 정당별 득표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인 한나라당 162,432 24% 1 새정치국민회의 306,801 45.3% 1 자유민주연합 152,954 22.6% 1 국민신당 45,290 6.7% 무소속 9,578 1.4% 총합 677,055 3 4대 인천광역시의회[편집] 2002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29명의 인천시의원을 선출하였다. 정당별 의석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의석 한나라당 23 2 25 새천년민주당 2 1 3 무소속 1 1 총합 24 3 29 정당별 득표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인 1 한나라당 377,969 54.42% 2 2 새천년민주당 206,895 29.79% 1 3 자유민주연합 24,700 3.55% 4 한국미래연합 13,746 1.97% 5 녹색평화당 18,037 2.59% 6 민주노동당 43,610 6.28% 7 사회당 9,461 1.36% 총합 694,418 3 5대 인천광역시의회[편집] 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33명의 인천시의원을 선출하였다. 정당별 의석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의석 열린우리당 1 1 한나라당 30 2 32 총합 30 3 33 정당별 득표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인 1 열린우리당 175,031 20.64% 1 2 한나라당 490,415 57.85% 2 3 민주당 58,864 6.94% 4 민주노동당 116,147 13.7% 6 희망사회당 7,256 0.85% 총합 847,713 3 6대 인천광역시의회[편집] 2010년 6월 2일에 실시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33명의 인천시의원을 선출하였다. 정당별 의석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의석 한나라당 5 1 6 민주당 21 2 23 민주노동당 1 1 국민참여당 1 1 무소속 2 2 총합 30 3 33 정당별 득표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인 1 한나라당 429,816 40.98% 1 2 민주당 441,035 42.05% 2 3 자유선진당 29,458 2.8% 5 민주노동당 55,585 5.68% 7 진보신당 34,763 3.31% 8 국민참여당 44,737 4.26% 9 사회당 2,130 0.2% 10 평화민주당 7,285 0.69% 총합 1,048,809 3 7대 인천광역시의회[편집] 2014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35명의 인천시의원을 선출하였다. 정당별 의석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의석 새누리당 21 2 23 새정치민주연합 10 2 12 총합 31 4 35 정당별 득표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인 1 새누리당 618,628 50.58% 2 2 새정치민주연합 498,874 40.79% 2 3 통합진보당 36,999 3.02% 4 정의당 47,587 3.89% 5 노동당 10,369 0.84% 6 녹색당 10,399 0.85% 총합 1,222,856 4 8대 인천광역시의회[편집]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37명의 인천시의원을 선출하였다. 정당별 의석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의석 더불어민주당 32 2 34 자유한국당 1 1 2 정의당 1 1 총합 33 4 37 정당별 득표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인 1 더불어민주당 733,691 55.27% 2 2 자유한국당 350,909 26.43% 1 3 바른미래당 88,093 6.63% 4 민주평화당 8,909 0.67% 5 정의당 122,539 9.23% 1 6 민중당 5,645 0.42% 7 대한애국당 4,566 0.34% 8 노동당 4,979 0.37% 9 녹색당 7,900 0.59% 총합 1,348,769 4 정당별 의석 수[편집] ↓ 1 31 2 정의당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교섭단체[편집] 인천광역시의회는 교섭단체에 대한 명문화된 규정이 없다.[3] 같이 보기[편집] 인천광역시 의원 목록 인천광역시청 각주[편집] ↑ 지방이사관 또는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 가 나 다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 조현경 (2018년 4월 4일). “교섭단체 구성 조례 물거품… 시의회 '유종의 미'는 없었다”. 기호일보. 2018년 7월 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인천광역시의회 - 공식 웹사이트 vdeh 대한민국의 지방자치기관지방의결기관 서울특별시의회 부산광역시의회 대구광역시의회 인천광역시의회 광주광역시의회 대전광역시의회 울산광역시의회 세종특별자치시의회 경기도의회 강원도의회 충청북도의회 충청남도의회 전라북도의회 전라남도의회 경상북도의회 경상남도의회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지방집행기관 서울특별시청 부산광역시청 대구광역시청 인천광역시청 광주광역시청 대전광역시청 울산광역시청 세종특별자치시청 경기도청 강원도청 충청북도청 충청남도청 전라북도청 전라남도청 경상북도청 경상남도청 제주특별자치도청 지방교육기관 서울특별시교육청 부산광역시교육청 대구광역시교육청 인천광역시교육청 광주광역시교육청 대전광역시교육청 울산광역시교육청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경기도교육청 강원도교육청 충청북도교육청 충청남도교육청 전라북도교육청 전라남도교육청 경상북도교육청 경상남도교육청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인천광역시의회&oldid=24198125" 분류: 대한민국의 광역자치의회인천 남동구 소재의 관공서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00: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인천광역시의회는 인천광역시에 제출된 의견이나 법안을 처리하기 위해 설치된 의회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대 인천광역시의회에서 정당들은 각각 몇표를 얻었을까? Assistant: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인 민주자유당 357,336 39% 2 민주당 360,400 39.3% 1 자유민주연합 96,421 10.5% 무소속 102,101 11.1% 총합 916,258 3 Human: 아래 2010년_FIFA_월드컵_북중미카리브_지역_예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10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0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0년 FIFA 월드컵 북아메리카 지역 예선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0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은 4단계로 이루어진 예선이다. 1차 예선은 35개 팀 중 2차 예선에 직행하는 13개 팀을 제외한 22개의 팀을 11개 그룹으로 나누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치르는 방식으로, 1차 예선의 승자 11개 팀은 2차 예선에 진출하게 되며, 2차 예선은 24개 팀(1차 예선의 승자 11개 팀과 2차 예선에 직행한 13개 팀)을 12개 그룹으로 나누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치르는 방식으로, 2차 예선의 승자 12개 팀은 3차 예선에 직행하게 된다. 3차 예선은 2차 예선을 통과한 12개 팀을 3개 그룹으로 나누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르는 방식으로, 각 조의 1, 2위를 기록한(두 팀이 똑같은 전적과 골득실차를 남겼을 경우, 그 해 12월이나 다음 해 1월에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는데, 2010년 월드컵 예선에는 그런 조가 하나도 없었다.) 6개 팀은 최종 예선에 진출한다. 최종 예선은 3차 예선을 통과한 6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르는 방식인데, 풀리그 방식으로 치러진다. 최종 예선에서 1, 2, 3위를 기록한 3개 팀은 본선에 직행하게 되며, 최종 예선에서 4위를 기록한 팀은 남미 지역 예선 5위를 기록한 팀과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는데, 대륙간 플레이오프의 승자는 본선에 진출하게 된다. 목차 1 참가국 및 시드 배정 2 대진표 3 1차 예선 4 2차 예선 5 3차 예선 5.1 1조 5.2 2조 5.3 3조 6 최종 예선 7 대륙간 플레이오프 8 본선 진출 9 외부 링크 참가국 및 시드 배정[편집] 포트 A(2차 예선 직행)(1위~3위) 포트 B(2차 예선 직행)(4위~6위) 포트 C(2차 예선 직행)(7위~12위) 멕시코 미국 코스타리카 온두라스 파나마 트리니다드 토바고 자메이카 쿠바 아이티 과테말라 캐나다 가이아나 포트 D(2차 예선 직행)(13위) 포트 E(1차 예선)(14위~24위) 포트 F(1차 예선)(25위~35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바베이도스 수리남 버뮤다 앤티가 바부다 세인트키츠 네비스 도미니카 공화국 엘살바도르 바하마 니카라과 그레나다 세인트루시아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도미니카 연방 케이맨 제도 푸에르토리코 앵귈라 벨리즈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몬트세랫 아루바 대진표[편집] 대진표 추첨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차 예선은 팀 2와 팀 3의 대결로 이루어지며, 2차 예선은 팀 1과 1차 예선에서 승리한 팀의 대결로 이루어진다. 3차 예선은 2차 예선에서 승리한 팀이 미리 배정된 조에서 경기를 치른다. 굵은 글씨는 시드 순위가 1위에서 12위까지인 팀을 의미한다. 1조 팀 1 팀 2 팀 3 미국 바베이도스 도미니카 연방 과테말라 세인트루시아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트리니다드 토바고 버뮤다 케이맨 제도 쿠바 앤티가 바부다 아루바 2조 팀 1 팀 2 팀 3 멕시코 세인트키츠 네비스 벨리즈 자메이카 바하마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온두라스 도미니카 공화국 푸에르토리코 캐나다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부전승) 3조 팀 1 팀 2 팀 3 코스타리카 그레나다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가이아나 수리남 몬트세랫 파나마 엘살바도르 앵귈라 아이티 니카라과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1차 예선[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0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1차 예선입니다.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1조 도미니카 연방 1-2 바베이도스 1-1 0-1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2-3 세인트루시아 2-1 0-2 버뮤다 4-2 케이맨 제도 1-1 3-1 아루바 0-4 앤티가 바부다 0-3 0-1 2조 벨리즈 4-2 세인트키츠 네비스 3-11 1-1 바하마 3-3 (a)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1-1 2-22 도미니카 공화국 0-1 푸에르토리코 없음 0-13(연장)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부전승 없음 없음 없음 3조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0-10 그레나다 없음 0-104 수리남 7-1 몬트세랫 없음 7-15 엘살바도르 16-0 앵귈라 12-0 4-06 니카라과 0-3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0-1 0-2 1 벨리즈는 세인트키츠 네비스와의 홈 경기를 과테말라 과테말라 시티에서 치렀다. 2 영국령 버진아일랜드는 바하마와의 홈 경기를 바하마 나소에서 치렀다. 3 도미니카 공화국과 푸에르토리코와의 경기는 푸에르토리코 바야몬에서 단판 승부로 치렀다. 4 미국령 버진아일랜드와 그레나다와의 경기는 그레나다 세인트조지스에서 단판 승부로 치렀다. 5 수리남과 몬트세랫과의 경기는 트리니다드 토바고 마코야에서 단판 승부로 치렀다. 6 앵귈라는 엘살바도르와의 홈 경기를 미국 워싱턴에서 치렀다. 2차 예선[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0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2차 예선입니다.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1조 미국 9-0 바베이도스 8-0 1-0 과테말라 9-1 세인트루시아 6-0 3-11 트리니다드 토바고 3-2 버뮤다 1-2 2-0 앤티가 바부다 3-8 쿠바 3-4 0-4 2조 벨리즈 0-9 멕시코 0-22 0-7 자메이카 13-0 바하마 7-0 6-03 온두라스 6-2 푸에르토리코 4-0 2-2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1-7 캐나다 0-3 1-4 3조 그레나다 2-5 코스타리카 2-2 0-3 수리남 3-1 가이아나 1-0 2-1 파나마 2-3 엘살바도르 1-0 1-3 아이티 1-0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0-0 1-0 1 세인트루시아는 과테말라와의 홈 경기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치렀다. 2 벨리즈는 멕시코와의 홈 경기를 미국 휴스턴에서 치렀다. 3 바하마는 자메이카와의 홈 경기를 자메이카 트렐로니 교구에서 치렀다. 3차 예선[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0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3차 예선입니다. 보기 색상 기준 최종 예선에 진출한 조 1위 및 2위 팀 예선에서 탈락한 조 3위 및 4위 팀 1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미국 6 5 0 1 14 3 +11 15 트리니다드 토바고 6 3 2 1 9 6 +3 11 과테말라 6 1 2 3 6 7 -1 5 쿠바 6 1 0 5 5 18 -13 3   미국 – 3-0 2-0 6-1 트리니다드 토바고 2-1 – 1-1 3-0 과테말라 0-1 0-0 – 4-1 쿠바 0-1 1-3 2-1 – 2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온두라스 6 4 0 2 9 5 +4 12 멕시코 6 3 1 2 9 6 +3 10 자메이카 6 3 1 2 6 6 0 10 캐나다 6 0 2 4 6 13 -7 2   온두라스 – 1-0 2-0 3-1 멕시코 2-1 – 3-0 2-1 자메이카 1-0 1-0 – 3-0 캐나다 1-2 2-2 1-1 – 3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코스타리카 6 6 0 0 20 3 +17 18 엘살바도르 6 3 1 2 11 4 +7 10 아이티 6 0 3 3 4 13 -9 3 수리남 6 0 2 4 4 19 -15 2   코스타리카 – 1-0 2-0 7-0 엘살바도르 1-3 – 5-0 3-0 아이티 1-3 0-0 – 2-2 수리남 1-4 0-2 1-1 – 최종 예선[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0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최종 예선입니다. 보기 색상 기준 본선에 진출한 조 3위 이상 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조 4위 팀 예선에서 탈락한 5위 이하 팀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미국 10 6 2 2 19 13 +6 20 멕시코 10 6 1 3 18 12 +6 19 온두라스 10 5 1 4 17 12 +5 16 코스타리카 10 5 1 4 15 15 0 16 엘살바도르 10 2 2 6 9 15 -6 8 트리니다드 토바고 10 1 3 6 10 23 -12 6   미국 – 2-0 2-1 2-2 2-1 3-0 멕시코 2-1 – 1-0 2-0 4-1 2-1 온두라스 2-3 3-1 – 4-0 1-0 4-1 코스타리카 3-1 0-3 2-0 – 1-0 4-0 엘살바도르 2-2 2-1 0-1 1-0 – 2-2 트리니다드 토바고 0-1 2-2 1-1 2-3 1-0 – 대륙간 플레이오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입니다. 북중미 지역 최종 예선 4위 팀은 남미 지역 예선 5위 팀과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어 있는데, 대륙간 플레이오프의 승자는 본선에 진출한다.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코스타리카 1-2 우루과이 0-1 1-1 본선 진출[편집] 다음 팀이 2010년 FIFA 월드컵에 북중미카리브 대표로 출전하는 3개 팀이다. 미국 온두라스 멕시코 외부 링크[편집] (영어/프랑스어/독일어/스페인어) FIFA(국제 축구 연맹)의 2010년 FIFA 월드컵 북중미 예선 페이지 vdeh 2010년 FIFA 월드컵예선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플레이오프 본선 A조 B조 C조 D조 E조 F조 슬로바키아 대 이탈리아 G조 포르투갈 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H조 결선 토너먼트 결승전 일반 정보 논란 시드 배정 선수 명단 일정 통계 경고 기록 심판 중계권 공식 상징 자블라니 (공식 경기구) 자쿠미 (공식 마스코트)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식 비디오 게임) 화제 문어 파울 부부젤라 vdeh2010년 FIFA 월드컵 예선남미 최종 예선 북중미카리브 1차 예선 2차 예선 3차 예선 최종 예선 아시아 1차 예선 2차 예선 3차 예선 최종 예선 플레이오프 아프리카 1차 예선 2차 예선 최종 예선 오세아니아 1차 예선 (남태평양 게임) 최종 예선 (OFC 네이션스컵) 유럽 최종 예선 1조 2조 3조 4조 5조 6조 7조 8조 9조 플레이오프 아일랜드 대 프랑스 플레이오프 대륙간 플레이오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0년_FIFA_월드컵_북중미카리브_지역_예선&oldid=23969179" 분류: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2010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BosanskiCatalàČeštinaDansk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SuomiFrançaisHrvatskiMagyarItaliano日本語LietuviųमराठीBahasa MelayuMalti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5일 (금) 00: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10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은 4단계로 이루어진 예선이다. 1차 예선은 35개 팀 중 2차 예선에 직행하는 13개 팀을 제외한 22개의 팀을 11개 그룹으로 나누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치르는 방식으로, 1차 예선의 승자 11개 팀은 2차 예선에 진출하게 되며, 2차 예선은 24개 팀(1차 예선의 승자 11개 팀과 2차 예선에 직행한 13개 팀)을 12개 그룹으로 나누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치르는 방식으로, 2차 예선의 승자 12개 팀은 3차 예선에 직행하게 된다. 3차 예선은 2차 예선을 통과한 12개 팀을 3개 그룹으로 나누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르는 방식으로, 각 조의 1, 2위를 기록한(두 팀이 똑같은 전적과 골득실차를 남겼을 경우, 그 해 12월이나 다음 해 1월에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는데, 2010년 월드컵 예선에는 그런 조가 하나도 없었다.) 6개 팀은 최종 예선에 진출한다. 최종 예선은 3차 예선을 통과한 6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르는 방식인데, 풀리그 방식으로 치러진다. 최종 예선에서 1, 2, 3위를 기록한 3개 팀은 본선에 직행하게 되며, 최종 예선에서 4위를 기록한 팀은 남미 지역 예선 5위를 기록한 팀과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는데, 대륙간 플레이오프의 승자는 본선에 진출하게 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0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의 대진표는 어떻게 짜였나요? Assistant: 1조 팀 1 팀 2 팀 3 미국 바베이도스 도미니카 연방 과테말라 세인트루시아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트리니다드 토바고 버뮤다 케이맨 제도 쿠바 앤티가 바부다 아루바 2조 팀 1 팀 2 팀 3 멕시코 세인트키츠 네비스 벨리즈 자메이카 바하마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온두라스 도미니카 공화국 푸에르토리코 캐나다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부전승) 3조 팀 1 팀 2 팀 3 코스타리카 그레나다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가이아나 수리남 몬트세랫 파나마 엘살바도르 앵귈라 아이티 니카라과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Human: 아래 청해_이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청해 이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청해 이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청해 이씨 (青海 李氏) 관향 함경남도 북청군 청해리 시조 이지란 (李之蘭) 주요 인물 이근 인구(2000년) 12,002명 (329위) 청해이씨 종친회 청해 이씨(青海李氏)는 함경남도 북청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이지란(李之蘭)은 여진족 출신으로 조선 개국공신이 되었다.[1] 목차 1 역사 2 본관 3 과거 급제자 4 집성촌 5 같이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역사[편집] 시조는 고려시대 여진족 출신인 이지란(李之蘭, 1331년(고려 충혜왕 1년) ~ 1402년(조선 태종 2년))이다. 본명은 쿠란투란티무르(古倫豆蘭帖木兒)이다. 이지란의 아버지 아라부카(阿羅不花)는 여진(女眞)의 금패천호(金牌千戶)였다. 아버지에 이어 천호가 되었다가 원나라 말기 1371년(고려 공민왕 20) 많은 부하를 이끌고 귀화하여 함경도 북청(北靑)에 거주하면서 이성계 휘하에 들어가 이씨 성을 하사 받았으며, 이어 조선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고 청해백(靑海伯)에 봉해졌다. 청해는 북청의 별호이다. 조선 태조 이성계(李成桂, 1335년 ~ 1408년)보다 4년 먼저 태어났지만 늘 전장을 함께 하면서 주군으로 모셨다. 뒷날 종묘배향공신이 되었다. 이지란의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이지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이지란의 아들 화영(和英)은 세종 초 우군부판사(右軍府判事)가 되었고 7세손 인기(麟奇)는 선조대에 중추부동지사가 되었다. 이외에 인기의 아들 중로(重老), 중추부첨지사 핵의 아들 유민(裕民), 삼도수군통제사를 지낸 수민(壽民)등이 유명하다.[1] 본관[편집] 청해(靑海)는 남옥저 이후 고구려 영토였으며, 698년 발해의 남경남해부(靑海土城)를 설치하였고, 1258년(고려 고종 45)에 쌍성총관부를 설치했으며, 1392년(공양왕 2)에 북청으로 개칭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1398년(태조 7) 청주부로 고쳤다가 얼마 후 다시 북청으로 고쳤고, 1427년(세종 9)에는 도호부로 승격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북청군이 되었고, 1896년 함경남도에 속하게 되었다. 현재 함경남도 북청군 청해리 일대이다. 과거 급제자[편집] 청해 이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8명, 무과 급제자 16명을 배출하였다. 문과 이광도(李廣道) 이근(李根) 이승헌(李承憲) 이우규(李羽逵) 이유민(李裕民) 이재석(李在祏) 이정호(李挺豪) 이진석(李晉錫) 무과 이규년(李奎年) 이빈(李䎙) 이수남(李守男) 이애남(李愛男) 이억봉(李億奉) 이언방(李彦邦) 이영규(李榮逵) 이유(李有) 이인귀(李麟貴) 이준연(李俊沿) 이중로(李重老) 이천빈(李天彬) 이태수(李台壽) 이해룡(李海龍) 이해빈(李海賓) 이해용(李海容) 생원시 이경태(李慶泰) 이문준(李文俊) 이성규(李星逵) 이승은(李承恩) 이재혁(李在爀) 이주석(李柱錫) 이청(李淸) 이항(李𦐄) 진사시 이광도(李廣道) 이면술(李冕述) 이성년(李聖年) 이원성(李元性) 이인기(李麟奇) 이정석(李貞錫) 이정호(李梃豪) 이주성(李胄性) 이학년(李鶴年) 이홍규(李鴻逵) 집성촌[편집]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면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추동리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동/동빙고동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용정리 경기도 오산시 가수동 강원도 이천군 용포면 월암리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소송리 전라북도 임실군 청웅면 옥석리 평안남도 양덕군 양덕면 인평리 같이 보기[편집] 이지란 각주[편집] ↑ 가 나 「우리 역사를 바꾼 귀화 성씨」, 여진족 이지란(청해 이씨), 박기현 저, 역사의아침(2007년, 92~107p) 외부 링크[편집] 청해이씨 종친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청해_이씨&oldid=24537908" 분류: 이씨청해 이씨북청군함경남도 소재 성씨여진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7일 (일) 13:1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청해 이씨(青海李氏)는 함경남도 북청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이지란(李之蘭)은 여진족 출신으로 조선 개국공신이 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청해 이씨는 어떻게 시작 되었을까? Assistant: 시조는 고려시대 여진족 출신인 이지란(李之蘭, 1331년(고려 충혜왕 1년) ~ 1402년(조선 태종 2년))이다. 본명은 쿠란투란티무르(古倫豆蘭帖木兒)이다. 이지란의 아버지 아라부카(阿羅不花)는 여진(女眞)의 금패천호(金牌千戶)였다. 아버지에 이어 천호가 되었다가 원나라 말기 1371년(고려 공민왕 20) 많은 부하를 이끌고 귀화하여 함경도 북청(北靑)에 거주하면서 이성계 휘하에 들어가 이씨 성을 하사 받았으며, 이어 조선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고 청해백(靑海伯)에 봉해졌다. 청해는 북청의 별호이다. 조선 태조 이성계(李成桂, 1335년 ~ 1408년)보다 4년 먼저 태어났지만 늘 전장을 함께 하면서 주군으로 모셨다. 뒷날 종묘배향공신이 되었다. Human: 아래 글로벌_스타크래프트_II_팀_리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GSTL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GSTL) 종목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2011년 2월 ~ 2012년 12월)스타크래프트 II: 군단의 심장(2013년 3월 ~ 2013년 8월) 나라 대한민국 주관 곰TV 리그 개시 2011년 2월 7일 참가팀 스타테일,FXOpen,아주부,SouL,엑시옴-에이서 참가자 수 Code S 32명 + Code A 40(+24)명 + Code B 예선 최근우승팀 엑시옴-에이서 (2013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시즌 2) 최다우승팀 SlayerS, FXOpen, LG-IM (2회 우승) 홈페이지 http://kr.gomtv.net/gsl/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Global STARCRAFT II Team League, GSTL)는 곰TV가 주최하고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후원하는 세계 최초의 스타크래프트 II 공식 팀 리그 대회이다. 곰TV의 인터넷 방송 플랫폼을 통하여 전 세계 180여개국에 동시 생중계 된다. 2014년 1월 28일 E스포츠 연맹이 해체됨에 따라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목차 1 진행 방식 2 역대 리그 3 각주 4 외부 링크 진행 방식[편집] 2011 GSTL Feb. ~ 2011 GSTL May. : 승자연전방식으로 경기 당 7전 4선승제 결승은 9전 5선승제로, 8강 토너먼트로 진행했다. 2011 GSTL Season 1 : 12개 팀이 6개 팀으로 주피터 리그와 비너스 리그로 나뉘어 페넌트레이스 / 포스트 시즌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포스트 시즌은 6강 플레이오프로 진행되었으며 주피터 2위 vs 비너스 3위, 주피터 3위 vs 비너스 2위로 진행하고 승리 팀이 각각 주피터 1위, 비너스 1위 팀과 맞붙어 4강 플레이오프를 진행하고 이 경기에서 승자팀들이 최종 결승에서 맞붙는다. 승자연전방식으로 경기 당 7전 4선승제로 진행했다. 단 플레이오프나 결승전의 경우 9전 5선승제로 진행했다. 2012 GSTL Season 1 ~ 2012 핫식스 GSTL Season 3 : 전 경기가 9전 5선승제로 진행했다. 2013 GSTL Season 1 ~ 2013 GSTL Season 2 : 2011 GSTL Season 1의 방식과 동일해졌다. 단 포스트 시즌은 5강 플레이오프로 진행된다. 역대 리그[편집] 회차 기간 리그 명칭 우승팀 경기 결과 준우승팀 1 2011년 2월 7일 ~ 10일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February IM 5 : 4 STARTALE 2 2011년 3월 21일 ~ 24일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March SlayerS 5 : 4 IM 3 2011년 5월 16일 ~ 19일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May SlayerS 5 : 4 MVP 4 2011년 2011 GSTL 시즌 1 MVP 5 : 3 Prime 5 2012년 2012 GSTL 시즌 1 Prime 5 : 2 STARTALE 6 2012년 2012 핫식스 GSTL 시즌 2 FXOpen 5 : 0 SlayerS_EG 7 2012년 2012 핫식스 GSTL 시즌 3 FXOpen 5 : 3 MVP 8 2013년 2013 벤큐 GSTL 시즌 1 LG-IM 5 : 3 MVP 9 2013년 2013 핫식스 GSTL 시즌 2 엑시옴 - 에이서 1:1[1] 아주부 각주[편집] ↑ 엑스트라메치(에이스결정전)에서 이신형이 승리함으로써 엑시옴-에이서가 우승하게되었다. 외부 링크[편집]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공식 홈페이지 vdeh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II 리그리그개인전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아프리카TV)) SSL 시리즈 (SPOTV 게임즈) 스타리그 (OGN, 폐지) 단체전 프로리그 (한국e스포츠협회, 폐지)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e스포츠 연맹, 폐지) 기타 KeSPA컵 조직종목사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관련 단체 한국e스포츠협회 e스포츠 연맹 (해체) 방송국 SPO TV 게임즈 아프리카TV(GSL 2016 시즌 1부터 주관중) OGN 곰eXP(GSL 2015 시즌 3까지 주관) 경기장 넥슨 아레나 프릭 업 스튜디오 신도림 TG e스타디움 게임단 진에어 그린윙스 MVP 아프리카 프릭스 ZeNEX oGs SlayerS 공군 ACE TSL NS호서 웅진 스타즈 fOu SouL AZUBU LongZhu 프라임 스베누 삼성 갤럭시 CJ 엔투스 KT 롤스터 SK텔레콤 T1 방송인SPOTV 게임즈 성승헌 채민준 김익근 유대현 고인규 안준영 정인호 아프리카TV 박상현 황영재 박진영 채정원 vdeh역대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2011년 ~ 2012년 2011 팀 리그 시즌 1 팀 리그 시즌 1 핫식스 팀 리그 시즌 2 핫식스 팀 리그 시즌 3 2013년 ~ 2014년 벤큐 팀 리그 시즌 1 핫식스 팀 리그 시즌 2 vdeh 대한민국의 프로스포츠 남자 농구: KBL 여자 농구: WKBL 바둑 : 한국바둑리그 배구: V-리그 아이스하키 : 아시아리그 야구: KBO 리그 축구: K리그1 K리그2 e스포츠: 챔피언스 코리아 리그 오브 레전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글로벌_스타크래프트_II_팀_리그&oldid=21572632" 분류: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Português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6월 16일 (토) 03:5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Global STARCRAFT II Team League, GSTL)는 곰TV가 주최하고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후원하는 세계 최초의 스타크래프트 II 공식 팀 리그 대회이다. 곰TV의 인터넷 방송 플랫폼을 통하여 전 세계 180여개국에 동시 생중계 된다. 2014년 1월 28일 E스포츠 연맹이 해체됨에 따라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2년 글로벌 스타 2 팀리그는 어떤 승패결정 방식을 차용하였는가? Assistant: 9전 5선승제
Human: 아래 alan_(가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alan (가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alan (가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알란 (가수)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알란 도쿄 게임 쇼, 2008년기본 정보출생 1987년 7월 25일(1987-07-25) (31세) 중국 쓰촨 성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국적 중국직업 가수장르 J-pop활동 시기 2007년 ~ 현재 레이블 에이벡스소속사 위에화 엔터테인먼트 알란(alan, 본명: 알란 다와 돌마(티베트어: ཨ་ལན་ཟླ་བ་སྒྲོལ་མ་, 중국어 간체자: 阿兰·达瓦卓玛, 정체자: 阿蘭·達瓦卓瑪, 병음: Ālán Dáwǎzhuómǎ 아란 다와줘마[*]), 1987년 7월 25일 ~ )은 일본에서 활동하는 티베트족 출신의 중국인 여성 가수이다. 목차 1 발자취 2 음반 목록 2.1 일본 발매 음반 2.1.1 싱글 2.1.2 앨범 2.2 중국 발매 음반 3 외부 링크 발자취[편집] 2007년 11월, 각본가 노지마 신지가 작사를 담당한 《明日への讃歌》로 데뷔했다. 2008년, 영화 《적벽대전: 거대한 전쟁의 시작》의 전 세계 주제가를 노래했다. 2009년 3월 4일에 첫 번째 정규 음반인 《Voice of EARTH》를 발매했다. 음반 목록[편집] 일본 발매 음반[편집] 싱글[편집] 明日ヘの讚歌 (2007년 11월 21일) ひとつ (2008년 3월 5일) 懷かしい未来 ~longing future~ (2008년 7월 2일) 空唄 (2008년 8월 13일) 風の手紙 (2008년 9월 10일) RED CLIFF ~心·戦~ (2008년 10월 15일) 영화 《적벽대전 - 거대한 전쟁의 시작》 주제가 惠みの雨 (2008년 11월 12일) 群青の谷 (2009년 2월 4일) 久遠の河 (2009년 4월 8일) 영화 《적벽대전 2 - 최후의 결전》 주제가 BALLAD ~名もなき恋のうた~ (2009년 9월 2일) Swear (2009년 11월 4일) Diamond/Over the clouds (2010년 2월 3일) 風に向かう花 (2010년 7월 7일) 悲しみは雪に眠る (2010년 10월 13일) みんなでね 〜PANDA with Candy BEAR's〜/「生きる」 (2011년 6월 29일) DREAM EXPRESS 〜夢現空間超特急〜 (2013년 8월 21일) 道標 (2015년 11월 6일) 앨범[편집] Voice of EARTH (2009년 3월 4일) my life (2009년 11월 25일) JAPAN PREMIUM BEST (2011년 3월 2일) 중국 발매 음반[편집] 心・战 〜RED CLIFF〜 (2008년 6월 20일) 心的東方 (2009년 7월 10일) 蘭色〜Love Moon Light〜 (2010년 4월 15일) Love Song (2012년 6월 18일) 蓦兰 (2014년 7월 14일)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alan 공식 사이트 (영어) 영어 프로필 (중국어) 중국어 프로필 (일본어) 블로그 전거 통제 뮤직브레인즈: dded0177-e235-474e-8529-a812b89f806c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Alan_(가수)&oldid=23140488" 분류: 1987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중국의 여자 가수중국의 여자 모델티베트의 여자 가수쓰촨성 출신에이벡스 그룹 음악가위에화 엔터테인먼트 소속숨은 분류: 티베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정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간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བོད་ཡིགMìng-dĕ̤ng-ngṳ̄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客家語/Hak-kâ-ngî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3일 (월) 18:0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알란(alan, 본명: 알란 다와 돌마(티베트어: ཨ་ལན་ཟླ་བ་སྒྲོལ་མ་, 중국어 간체자: 阿兰·达瓦卓玛, 정체자: 阿蘭·達瓦卓瑪, 병음: Ālán Dáwǎzhuómǎ 아란 다와줘마[*]), 1987년 7월 25일 ~ )은 일본에서 활동하는 티베트족 출신의 중국인 여성 가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alan이 2007년 11월에 발매한 싱글 앨범의 이름은? Assistant: 明日ヘの讚歌 Human: 아래 오발탄_(영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오발탄 (영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발탄 (영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오발탄 감독 유현목 제작사 대한영화사 개봉일 1961년 4월 13일 시간 107분 국가 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오발탄》(誤發彈)은 이범선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이다. 유현목 감독, 나소운·이종기 각색, 최무룡·김진규·문정숙 주연의 흑백 35밀리 영화로, 1961년 제작되었다. 목차 1 내용 2 감상 3 출연 4 외부 링크 내용[편집] 정신이상(精神異常)이 생긴 어머니는 단말마(斷末魔)적으로 '가자! 가자!'를 외치고, 영양 실조에 걸린 만삭의 아내와 상이군인인 동생(최무룡), 그리고 양공주가 된 여동생……또한 고무신을 사달라고 매일같이 성화를 부리는 자식 등, 이렇게 처자 권속을 거느린 채 박봉으로 살아가는 계리사(김진규)가 주인공이다. 그래서, 치통으로 고생하면서도 그것 하나 고칠 심적·경제적 여유가 없는 몸이다. 그런 절박한 상황 가운데서 동생은 은행을 털다가 들키고, 여동생마저 오빠의 가슴에 못질을 한다. 쥐꼬리만한 월급 봉투를 손에 든 김진규는, 우선 앓던 이부터 뽑는다. 그리고 딸에게 줄 고무신 한 켤레를 산다. 남은 돈으로 술을 마셨다. 잔뜩 취한 그는 택시에 올라탄다. "어디로 모실까요?"라는 택시운전사의 물음에 대해 김진규는, "마음대로 가라"고 지시한다. 이미, 어디로 가야 할지 방향 감각을 상실했기 때문이었다. 감상[편집] 첫째, 동일화면(同一畵面) 속에서 시간성(時間性)과 공간성을 강조하는 입체적인 몽타주, 즉 단일 몽타주 속에서 리얼리티를 강조하는 수법을 썼고, 둘째, 스토리 텔링(story telling)에서 벗어나 화면 그 자체를 응시(凝視)하는 데서 오는 분위기 설정(設定), 셋째, 대사가 배제된 대신, 영상(映像)의 시각성(視覺性)에 주력한 점 등, 영화 《오발탄》이 나옴으로써 한국영화는 비로소 영상시대(映像時代)의 막(幕)을 열게 되었다. 출연[편집] 김진규 - 철호 최무룡 - 영호 문정숙 - 아내 외부 링크[편집] 오발탄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오발탄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오발탄_(영화)&oldid=21017456" 분류: 대한민국의 영화 작품1961년 영화소설을 바탕으로 한 영화사회적 사실주의 영화유현목 감독 영화대한민국의 범죄 영화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فارسیFrançaisBahasa IndonesiaРусский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3월 30일 (금) 01: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오발탄"(誤發彈)은 이범선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이다. 유현목 감독, 나소운·이종기 각색, 최무룡·김진규·문정숙 주연의 흑백 35mm 영화로, 1961년 제작되었다. 1960년 완성되었으나, 상영이 보류, 1961년에 개봉되었다. 이 영화의 특징은 대사 위주를 지양하고 영상주의적인 표현을 시도한 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오발탄에서 김진규의 아내가 걸린 질병은 뭐야? Assistant: 영양 실조
Human: 아래 땅꾼자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땅꾼자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땅꾼자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뱀주인자리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땅꾼자리Ophiuchus 땅꾼자리의 항성 목록 학명 Ophiuchus 약자 Oph 소유격 Ophiuchi 상징 뱀주인 적경 17h 2m 적위 −2°21′ 남중 7월 25일 오후 9시 (지방시) 관측 가능 위도 +80°에서 −80° 사이 넓이 948 평방도 (11위) 별의 수(등급<3.00m) 5 가장 밝은 별 라스 알하게 (α Oph)(2.08 등성) 유성우  ????  ??? 이웃 별자리 허큘리스자리 뱀자리 천칭자리 전갈자리 궁수자리 독수리자리 밤하늘의 뱀주인자리 땅꾼자리(라틴어: Ophiuchus, 그리스어: Ὀφιοῦχος)[1] 또는 뱀주인자리는 뱀을 들고 있는 형상의 별자리로, 프톨레마이오스의 48별자리 중 하나였다. 황도대에 있어 황도13궁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 별자리는 천구의 적도 부근, 은하수 중심의 북서쪽에 위치한 큰 별자리로, 독수리자리, 뱀자리, 헤라클레스 사이에 놓여 있다. 남쪽에는 전갈자리가 서쪽에, 궁수자리가 동쪽에 있다. 동아시아의 별자리에서는, 이 영역은 천시원의 안쪽과 남쪽 입구 부근에 해당된다. 목차 1 특징 2 별과 천체 2.1 어두운 천체들 3 역사 4 신화 5 각주 6 같이 보기 7 외부 링크 특징[편집] 이 별자리는 오리온자리의 반대편에 있으며, 여름 저녁 하늘에서 주로 볼 수 있다. 뱀주인자리의 중간이 뱀자리를 둘(Serpens Caput, Serpens Cauda)로 나눈다. (물론, 뱀자리는 하나의 별자리로 간주된다.) 별과 천체[편집] 가장 밝은 별은 α성인 라스 알하게(Rasalhague)이다. 뱀주인자리 λ성(마르피크, Marfic)은 삼중성으로, 뱀주인의 팔꿈치 부근에 있다. 뱀주인자리 RS성은 주기적으로 폭발하는 신성(반복신성)으로, 밝기가 불규칙적으로 며칠만에 수백배 정도 증가한다. 이 별은 지금까지 6회 폭발이 관측되었고 Ia형 초신성이 되기 직전으로 보인다. 바너드별은 약 5.9광년 떨어져 있어, 알파 센타우리 이중성과 프록시마 센타우리 다음으로 태양에서 가깝다. β성 왼쪽에 위치한다. 2007년 4월, 천문학자들은 스웨덴이 제작한 '오딘(Odin)' 위성이 뱀주인자리에서 산소 분자의 구름을 처음으로 찾아냈다고 발표하였다.[2] 이 외에, 이름이 붙여진 별은 다음과 같다. β성: 세발라이 (Cebalrai) γ성: 물리페인 (Muhlifain) δ성: 예드 프리어 (Yed Prior) ε성: 예드 포스테리어 (Yed Posterior) η성: 사빅 (Sabik) 어두운 천체들[편집] 산개성단: IC 4665, NGC 6633, 구상성단: M9, M10, M12, M14, M19, M62, M107 성운: IC 4603-4604 은하계 충돌 잔해(이중은하): NGC 6240 ρ성 부근은 활발하게 별이 형성되는 분자운이 있으며, 사진에는 암흑성운으로 나온다. M9 구상성단 M10 구상성단 M12 구상성단 M14 구상성단 M19 구상성단 M62 구상성단 M107 구상성단 NGC 6240 X-선 사진 역사[편집] 뱀주인자리를 같은 의미의 라틴어인 Serpentarius라 부르기도 했다. 황도대 중에서 뱀주인자리만이 점성술에서 빠졌다. 요하네스 케플러의 뱀주인자리 그림 뱀주인자리에서 있었던 일 중 역사상 가장 중요한 것은 1604년의 초신성이다. 그 폭발은 뱀주인자리 θ성 부근에서 1604년 10월 9일에 처음 관측되었다. 요하네스 케플러는 10월 16일 이를 처음 보았고, 많은 연구를 하여 이 초신성은 '케플러 초신성'이라 불리게 되었다. 그는 이 발견을 《뱀주인자리의 발 부분에 있는 신성》(De stella nova in pede Serpentarii)라는 제목으로 출간하였다. 갈릴레오는 이 잠시 동안의 출현을 하늘은 변하지 않는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가르침을 반박하는 데에 이용하였다. 신화[편집] 뱀주인자리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이야기가 있다. 가장 최근의 해석은, 뱀주인자리는 의술의 신인 아스클레피오스(Asclepius)라는 것이다. 그는 뱀이 다른 뱀에게 치료용 약초를 가져다 주는 것을 관찰한 후, 죽음을 다가오지 못하게 하는 비밀을 얻었다고 한다. 제우스는, 아스클레피오스의 보살핌 속에 전 인류가 불사신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 그를 죽였으나, 그의 선행을 기리기 위해 그의 모습을 하늘에 두었다고 한다. 뱀주인자리는 궁수자리에 매우 근접하여 있으므로, 한 때는 센타우루스와 관련이 있는 케이론(Chiron)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케이론은 아스클레피오스의 스승이다.) 다른 이야기는, 별자리가 트로이아의 승려 라오콘(Laocoön)의 모습이라고도 한다. 그는 트로이 사람들에게 트로이 목마를 들여 놓지 말 것을 경고한 후에 신이 보낸 두 마리의 바다뱀에 의해 죽는다. 이 일은 후에 조각가들에 의해 대리석에 조각되었다. 세 번째 이야기는, 아폴론이 델포이의 신탁을 장악하기 위해 비단뱀과 함께 격투를 하였다는 것이다. 테살로니키 사람 포바스(Phorbas)가 로도스 섬의 사람들을 뱀들에 의한 재난으로부터 구하고 그의 행적을 기려 하늘에 자리를 마련하였다는 이야기도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이야기에서는, 트립톨레모스가 카르나본의 집에 들렀을 때, 카르나본이 트립톨레모스의 용 한 마리를 죽이고, 다른 한 마리까지 죽이려 들자, 데메테르가 그를 용을 붙잡는 모습 그대로 별자리로 만들었다고도 한다.. 각주[편집] ↑ 한국천문학회 《천문학용어집》 254쪽 우단 6째줄 ↑ Molecular Oxygen Detec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Interstellar Medium 같이 보기[편집] 뱀자리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땅꾼자리 The Deep Photographic Guide to the Constellations: Ophiuchus Star Tales – Ophiuchus vdeh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 거문고 게 고래 궁수 까마귀 남쪽왕관 남쪽물고기 독수리 돌고래 마차부 목동 물고기 물병 바다뱀 백조 뱀 땅꾼 북쪽왕관 사자 삼각형 센타우루스 컵 쌍둥이 아르고 안드로메다 양 에리다누스 염소 오리온 용 이리 작은개 작은곰 전갈 제단 조랑말 처녀 천칭 카시오페이아 세페우스 큰개 큰곰 토끼 페가수스 페르세우스 허큘리스 화살 황소 vdeh현대의 88개 별자리 거문고 게 고래 고물 공기펌프 공작 궁수 그물 극락조 기린 까마귀 나침반 날치 남십자 남쪽물고기 남쪽삼각형 남쪽왕관 도마뱀 독수리 돌고래 돛 두루미 마차부 망원경 머리털 목동 물고기 물뱀 물병 바다뱀 방패 백조 뱀 땅꾼 봉황 북쪽왕관 비둘기 사냥개 사자 살쾡이 삼각형 세페우스 센타우루스 시계 쌍둥이 안드로메다 양 에리다누스 여우 염소 오리온 외뿔소 용 용골 육분의 이리 인디언 작은개 작은곰 작은사자 전갈 제단 조각가 조각칼 조랑말 직각자 처녀 천칭 카멜레온 카시오페이아 컴퍼스 컵 큰개 큰곰 큰부리새 테이블산 토끼 파리 팔분의 페가수스 페르세우스 허큘리스 현미경 화가 화로 화살 황새치 황소 vdeh천문학 | 황도대의 별자리 | 점성술    양자리백양궁 황소자리금우궁 쌍둥이자리쌍아궁 게자리거해궁 사자자리사자궁 처녀자리처녀궁 천칭자리천칭궁 전갈자리천갈궁 (땅꾼자리)(사견궁) 궁수자리인마궁 염소자리마갈궁 물병자리보병궁 물고기자리쌍어궁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땅꾼자리&oldid=23544592" 분류: 땅꾼자리남반구의 별자리프톨레마이오스의 별자리아스클레피오스숨은 분류: 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그리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བོད་ཡིགBrezhonegBosanskiCatalàMìng-dĕ̤ng-ngṳ̄Corsu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LatinaLëtzebuergesch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Picard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аха тыла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inaray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26일 (토) 21: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땅꾼자리(라틴어: Ophiuchus 오르피우추스[*])는 뱀을 들고 있는 형상의 별자리로, 프톨레마이오스의 48별자리 중 하나였다. 황도대에 있어 황도13궁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 별자리는 천구의 적도 부근, 은하수 중심의 북서쪽에 위치한 큰 별자리로, 독수리자리, 뱀자리, 헤라클레스 사이에 놓여 있다. 남쪽에는 전갈자리가 서쪽에, 궁수자리가 동쪽에 있다. 동아시아의 별자리에서는, 이 영역은 천시원의 안쪽과 남쪽 입구 부근에 해당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땅군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의 이름은? Assistant: 라스 알하게(Rasalhague) Human: 아래 예지학원_화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예지학원 화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예지학원 화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예지학원 화재사건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예지학원 화재 사고는 2001년 5월 16일 밤 10시 42분경 경기도 광주시 송정동에 위치한 5층짜리 예지학원 건물에서 수업하던 도중 담뱃불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화재 사고이다.[1] 목차 1 사고 결과 2 기본 정보 3 외부 링크 4 같이 보기 5 각주 사고 결과[편집] 이 사고로 10명이 숨지고 22명이 다쳤다. 동년 5월 18일에 학원장 김 모(당시 60세), 직원 2명, 건물주 최 모(당시 53세) 등 4명이 업무상 과실치사 및 건축법 위반 등 혐의로 구속되었다. 원장 김 모는 5층 창고건물을 교실로 불법 용도변경한 사실을 시인했으나 건물주인 최 모는 이를 부인했다.[2] 그리고 동년 5월 21일에는 광주교육청 김 모(당시 31세)와 하남소방서 전 모(당시 31세)도 직무유기 및 허위공문서 작성 혐의로 구속되었다. 김 모는 2000년 2월 예지학원으로 부터 시설변경 승인신청을 받아 현장에 갔으나, 5층 창고가 강의실로 불법 용도변경돼 사용되고 있는데도 아무런 시정명령없이 돌아온 뒤 허위 출장복명서를 작성했다. 또 전 모는 2000년 9월 이 학원 특별소방점검 당시 5층 창고가 강의실로 불법 용도변경되고 피난시설이 없음에도 점검부 건물구조란과 위험시설란에 '4층', '피난시설 적정함'이라고 허위기재를 했다. 이 밖에 교육청직원 J 등 공무원 4명 및 학원강사 복 모(당시 27세)도 입건되었다.[3] 한편 5월 24일 화재사고 희생자의 합동영결식이 광주시청 광장에서 열렸다. 화재사고의 희생자들은 성남시립화장장에 묻혔다.[4] 5월 23일 희생자 유족 대표와 광주시 사고대책본부는 사망자 1인당 보상금 1억8000만원과 장례비를 지급하고 추모비를 건립하였다. 한편 화재사고로 숨진 최형기(당시 19세)의 사촌형 최윤기는 예지학원 화재사건 추모 커뮤니티를 개설하였다.[5] 10년 후 2011년 5월 16일에는 추모식 10주기를 맞이해 뜻 깊은 의미를 갖고자 200만원의 성금을 모아 불우 청소년들을 위해 써 달라며 광주시민 장학회 장학기금으로 기탁했다. 기탁 받은 성금은 탄벌초등학교 4학년생으로 급성골수 백혈병으로 투병중인 문성진(당시 11세)에게 전달되었다.[6] 건물 근처에는 광주브라운스톤아파트가 들어서 있다. 기본 정보[편집] 건물 구조 : 6층짜리 철근 구조물 1층 : 교육 연구시설 2~5층 : 학원 및 기숙사 6층 : 창고 피해 규모 인명 피해 : 사망 10명, 부상 22명 (32명) 물적 피해 : 400만원 (5층 창고 115.5평방미터 소실, 컴퓨터, 가전제품, 책상, 의자, 집기류 등의 소실) 외부 링크[편집] 예지학원 화재사건 추모 커뮤니티[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같이 보기[편집] 경기여자기술학원 화재 인현동 호프집 화재 참사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 사건 각주[편집] ↑ 예지 학원 불…7명 사망 25명 중경상 ↑ 예지학원장 등 4명 '구속영장' ↑ 예지학원 관련, 공무원 2명 사전영장 ↑ 예지학원 희생자 합동영결식 ↑ 사망자 1인당 1억8천만원 지급 ↑ 예지학원 화재사고 유가족, 불우청소년돕기 성금 기탁 vdeh 대한민국의 화재1940년대 영등포역 열차 충돌 사고(1946년) 1950년대 부산역전 대화재(1953년) 부산역 열차 화재(1955년) 태신호 화재(1956년) 1960년대 부산 국제고무공장 화재(1960년) 대구 서문시장 화재(1967년) 1970년대 대연각호텔 화재(1971년) 서울시민회관 화재(1972년) 뉴남산호텔 화재(1974년) 대왕코너 화재(1974년) 남대문시장 화재(1977년) 장성탄광 화재(1977년) 은성탄광 화재(1979년) 1980년대 광주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1980년)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1982년) 광주 미국문화원 제2차 방화 사건(1982년) 대아호텔 화재(1984년) 극동호 화재(1987년) 1990년대 거성관 화재(1991년) 원주 왕국회관 화재(1992년) 논산정신병원 화재(1993년) 충주호 유람선 화재(1994년) 경기여자기술학교 화재(1995년) 고성 산불(1996년) 부산 범창콜드프라자 화재(1998년)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1999년) 인현동 화재(1999년) 2000년대 동해안 산불(2000년) 홍제동 주택 화재(2001년) 예지학원 화재(2001년) 대구 지하철 화재(2003년) 청도 대흥농산 화재(2003년) 칠곡 시온글러브 화재(2005년) 낙산사 화재(2005년) 서문시장 화재(2005년) 여수출입국관리사무소 화재(2007년) 이천 냉동창고 화재(2008년) 숭례문 화재(2008년) 논현동 고시원 방화 살인 사건(2008년) 이천 물류창고 화재(2008년) 용산4구역 철거현장 화재(2009년) 화왕산 화재(2009년) 부산 실내사격장 화재(2009년) 2010년대 우신골든스위트 화재(2010년) 포항 요양원 화재(2010년) 부산 노래방 화재(2012년) 정부중앙청사 화재(2012년) 고양종합터미널 화재(2014년) 장성 요양병원 화재(2014년) 대봉그린아파트 화재(2015년) 서문시장 화재(2016년) 동탄 메타폴리스 홈플러스 화재(2017년)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2017년) 종로 여관 방화 사건(2018년) 밀양 세종병원 화재(2018년) 인천 세일전자 화재(2018년) 고양 저유소 유증기 폭발 사고 (2018년) 종로 고시원 화재 (2018년) KT 아현지사 통신구 화재 (2018년) 천안 라마다 호텔 화재 (2019년) 강원도 산불 (2019년) 진주 가좌주공아파트 방화 살인 사건 (2019년) 살인 사건 철도 사고 항공 사고 해양 사고 도로 사고 화재 사고 군사 사건 성범죄 사건 아동 학대 사건 폭발 사고 붕괴 사고 이 글은 사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예지학원_화재&oldid=22891826" 분류: 2001년 대한민국광주시대한민국의 인재 사고대한민국의 건축물 화재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사고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0월 31일 (수) 21: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예지학원 화재는 2001년 5월 16일 밤 10시 42분경 경기도 광주시 송정동에 위치한 5층짜리 예지학원 건물에서 수업하던 도중 담뱃불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화재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예지학원 화재로 사망한 사람은 몇명이야? Assistant: 10
Human: 아래 부트_섹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부트 섹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부트 섹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부트 섹터(boot sector)는 디스크의 다른 부분에 저장되는 부팅 프로그램(보통 운영 체제 자체를 뜻하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님)을 담을 수 있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또는 비슷한 기억 장치의 섹터를 말한다. 시동 섹터(문화어: 초기적재프로그람기억령역) 또는 부트블록(bootblock)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부트 섹터는 IBM PC 호환기종에 사용되는 반면, 부트블록은 썬 시스템과 같이 어떠한 다른 종류의 컴퓨터를 일컬을 때 사용된다. 목차 1 종류 2 부트 섹터와 컴퓨터 바이러스 3 같이 보기 4 외부 링크 종류[편집] 부트 섹터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종류가 있다. 볼륨 부트 레코드: 파티션되지 않은 기억 장치의 첫 섹터 또는 파티션된 기억 장치의 개별 파티션의 첫 섹터를 말한다. 파티션 또는 해당 장치에 설치된 운영 체제나 독립형 프로그램을 불러오는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부트 섹터를 사용하려면, 2바이트 16진수 0xAA55 (부트 섹터 서명)가 섹터 맨 끝에 존재해야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바이오스나 MBR 코드는 오류 메시지를 보고하고 운영 체제의 부트스트랩 과정을 중단한다. 마스터 부트 레코드: 파티션된 기억 장치의 첫 섹터이다. 대부분의 바이오스 코드는 MBR 섹터가 메모리로 로드되거나 코드를 실행하기 앞서 MBR 섹터가 바이트 0xAA 뒤를 따르는 바이트 0x55로 이루어져 있는 유효한 서명을 가질 것을 요구한다. MBR 섹터는 활성화된 파티션을 지정하고 볼륨 부트 레코드를 불러오는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부트 섹터와 컴퓨터 바이러스[편집] 부트 섹터는 컴퓨터 바이러스가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들어진 구조이다. 부트 섹터 감염 바이러스는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에 관계 없이 부트 섹터 안에 있는 부트스트래핑 코드를 바이러스 성질을 가진 코드로 바꾼다. 같이 보기[편집] 마스터 부트 레코드 볼륨 부트 레코드 외부 링크[편집] Mary Landesman. “Boot sector viruses”.  Microsoft. “How to Protect Boot Sector from Viruses in Windows”. 《KnowledgeBase》.  Denny Lin. “Inexpensive boot sector virus detection and prevention techniques”. 2005년 1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22일에 확인함.  Kaspersky Lab. “Boot sector viruses”. 《Virus Encyclopedia / Malware Descriptions / Classic Viruses》. 2007년 8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22일에 확인함.  Arman Catacutan. “Glossary of Virus Terms”. 《Boot Viruses》. 2006년 1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1월 7일에 확인함.  Greg O'Keefe. “Sample to build a boot program on x86 real mode”.  Susam Pal. “Writing boot sector code using GNU tools”. 2010년 8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22일에 확인함.  Pierre Ancelot. “Bootsector assembly code with detailed explanation”. 2013년 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월 20일에 확인함.  이 글은 운영 체제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부트_섹터&oldid=24093394" 분류: 파일 시스템숨은 분류: 문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운영 체제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HrvatskiItaliano日本語Кыргызча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lovenčinaSvenskaไทย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4일 (수) 03: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부트 섹터(boot sector)는 디스크의 다른 부분에 저장되는 부팅 프로그램(보통 운영 체제 자체를 뜻하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님)을 담을 수 있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또는 비슷한 기억 장치의 섹터를 말한다. 시동 섹터(문화어: 초기적재프로그람기억령역) 또는 부트블록(bootblock)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부트 섹터는 IBM PC 호환기종에 사용되는 반면, 부트블록은 썬 시스템과 같이 어떠한 다른 종류의 컴퓨터를 일컬을 때 사용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부트 섹터의 유형은 어떤 것이 있습니까? Assistant: 볼륨 부트 레코드: 파티션되지 않은 기억 장치의 첫 섹터 또는 파티션된 기억 장치의 개별 파티션의 첫 섹터를 말한다. 파티션 또는 해당 장치에 설치된 운영 체제나 독립형 프로그램을 불러오는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부트 섹터를 사용하려면, 2바이트 16진수 0xAA55 (부트 섹터 서명)가 섹터 맨 끝에 존재해야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바이오스나 MBR 코드는 오류 메시지를 보고하고 운영 체제의 부트스트랩 과정을 중단한다. 마스터 부트 레코드: 파티션된 기억 장치의 첫 섹터이다. 대부분의 바이오스 코드는 MBR 섹터가 메모리로 로드되거나 코드를 실행하기 앞서 MBR 섹터가 바이트 0xAA 뒤를 따르는 바이트 0x55로 이루어져 있는 유효한 서명을 가질 것을 요구한다. MBR 섹터는 활성화된 파티션을 지정하고 볼륨 부트 레코드를 불러오는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Human: 아래 중도_(불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중도 (불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도 (불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불교 佛敎 “ 가자 가자 피안으로.피안으로 아주 가자,영원한 깨달음으로. ”   — 《반야심경》 교의와 용어 사성제 팔정도 깨달음 삼법인 사법인 법 번뇌 업 오온 윤회 수행 열반 연기 중도 선정 반야 마음 마음작용 진여 법성 색 공 유식 여래장 인물 석가 십대제자 용수 역사와 종파 원시불교 부파불교 상좌부 불교 대승불교 경전 경장 율장 논장 팔리어 한역 티베트 성지 룸비니 부다가야 사르나트 라지기르 슈라바스티 산카샤 바이샬리 쿠시나가르 지역별 불교 한국 미얀마 스리랑카 인도 일본 중국 태국 티베트 v • d • e • h 중도(中道)는 불교에서 치우치지 아니하는 바른 도리를 말한다. 고타마 붓다는 29세에 출가하여 35세에 깨달음을 얻어 불타로 될 때까지의 6년간 그 대부분을 가혹한 고행의 길에 정진하였다. 그러나 그 고행도 고타마 붓다에 있어서는 몸을 괴롭게 하는 것뿐으로서 참된 인생 문제의 해결은 되지 않았다. 출가 전의 고타마 붓다는 왕자로서 물질적으로는 풍족하여 즐거움에 찬 생활을 보내고 있었으나 그러한 물질적인 풍족함만으로는 인간은 구원받지 못한다는 것도 알고 있었다. 그리하여 고타마 붓다는 출가 전의 쾌락(樂行)도 출가 후의 고행도 모두 한편에 치우친 극단이라고 하며 이것을 버리고 고락 양면을 떠난 심신(心身)의 조화를 얻은 중도(中道)에 비로소 진실한 깨달음의 길이 있다는 것을 스스로의 체험에 의해서 자각하였다. 성도(成道) 후 그때까지 함께 고행을 하고 있던 5인의 비구(比丘)들에게 가장 먼저 설교한 것이 중도의 이치였다. 중도는 팔정도라고 하는 구체적인 실천에 의해서 지탱되는 준엄한 도이며, 여기서는 나태 · 번뇌 · 노여움 · 어리석음에 의해서 부지 중 어떤 것에 집착하려고 하는 어떠한 치우침도 모두 버려야 할 것이 강조된다. 목차 1 중도·연기·공 2 이제합명중도설 3 지관수행 4 공가중 5 함께 보기 6 각주 7 참고 문헌 중도·연기·공[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공 (불교)입니다. 불교, 특히 대승불교의 공 사상(空思想)에서는, 공(空)을 관조하는 것이 곧 연기(緣起)의 법칙을 보는 것이며 또한 진실한 세계인 중도(中道)의 진리에 눈을 뜨는 것이라고 주장한다.[1] 그리고 이러한 관점은 또한 대승불교 실천의 기초가 된다고 주장한다.[1] 이에 대해서는 특히 대승경전 중 《반야경(般若經)》과 이에 입각하여 용수(龍樹)가 저술한 논서인 《중론(中論)》에서 명백하게 밝혀 두고 있다.[1] 《중론》 제24장 〈관사제품(觀四諦品)〉에는 아래와 같은 유명한 "인연소생법(因緣所生法: 법 · 존재 또는 현상은 인과 연에 의해 생겨난다)"의 게송이 있다. 諸法有定性。則無因果等諸事。如偈說。  眾因緣生法  我說即是無  亦為是假名  亦是中道義  未曾有一法  不從因緣生  是故一切法  無不是空者 眾因緣生法。我說即是空。何以故。 眾緣具足和合而物生。是物屬眾因緣故無自性。 無自性故空。空亦復空。但為引導眾生故。 以假名說。離有無二邊故名為中道。 是法無性故不得言有。亦無空故不得言無。 若法有性相。則不待眾緣而有。 若不待眾緣則無法。是故無有不空法。 각각의 법이 고정된 성품(定性)을 지니고 있다면 곧 원인과 결과 등의 모든 일이 없어질 것이다. 때문에 나는 다음과 같은 게송으로 설명한다.  여러 인(因)과 연(緣)에 의해 생겨나는 것이 법(法: 존재)이다.  나는 이것을 공하다(無)고 말한다.  그리고 또한 가명(假名)이라고도 말하며,  중도(中道)의 이치라고도 말한다.  단 하나의 법(法: 존재)도 인과 연을 따라 생겨나지 않은 것이 없다.  그러므로 일체의 모든 법이 공하지 않은 것이 없다. 여러 인(因)과 연(緣)에 의해 생겨나는 것인 법(法: 존재)을 공하다(空)고 나는 말한다. 왜 이렇게 말하는가? 여러 인과 연이 다 갖추어져서 화합하면 비로소 사물이 생겨난다. 따라서 사물은 여러 인과 연에 귀속되는 것이므로 사물 자체에는 고정된 성품(自性 · 자성)이 없기 때문이다. 고정된 성품(自性 · 자성)이 없으므로 공(空)하다. 그런데 이 공함도 또한 다시 공한데, (이렇게 공함도 다시 공하다고 말할 수 있는 이유는, 사물이 공하다고 말한 것은) 단지 중생을 인도하기 위해서 가명(假名)으로 (공하다고) 말한 것이기 때문이다. (사물이 공하다고 말하는 방편과 공함도 공하다고 말하는 방편에 의해) "있음(有)"과 "없음(無)"의 양 극단(二邊)을 벗어나기에 중도(中道)라 이름한다. 법(法: 존재)은 고정된 성품(性 · 自性 · 자성)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법(法: 존재)을 "있음(有)"이라고 말할 수 없다. 또한 법(法: 존재)은 공한 것도 아니기 때문에 법(法: 존재)을 "없음(無)"이라고 말할 수도 없다. 어떤 법(法: 존재)이 고정된 성품(性相 · 성상 · 自性 · 자성)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면, 그 법은 여러 인과 연에 의존하지 않은 채 존재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연기의 법칙에 어긋난다). 여러 인과 연에 의존하지 않는다면 (연기의 법칙에 어긋나므로 생겨날 수 없고, 따라서) 그 법(法: 존재)은 없는 것(존재할 수 없는 것)이다. (연기의 법칙에 의해 지금 존재하고 있는 것을 존재하고 있지 않다고 말하는 것은 자가당착이다. 이러한 모순이 일어나지 않으려면 다음을 대전제로 인정할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공하지 않은 법(즉, 연기하지 않는 존재 또는 고정된 성품을 가진 존재)이란 존재할 수 없다. — 《중론(中論)》 4권 24장 〈관사제품(觀四諦品)〉, 대정신수대장경[2] 공은 사마타 명상, 연기는 위빠사나 명상을 말한다. 이 두 명상을 최고 경지로 완성하면 이를 중도라고 말한다. 이제합명중도설[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승랑 및 이제합명중도설입니다. 이제합명중도설(二諦合明中道說)은 6세기 경 고구려의 승랑(僧朗: fl. 500년 전후)이 제창한 인식 방법으로 그의 대표적인 사상이다.[3][4] "이제합 명중도 설"로 띄어 읽는데,[5] 문자 그대로의 뜻은 "이제(二諦)를 종합하여 중도를 밝힌다"이다. 중도를 밝히는 방법으로 세제(世諦)와 진제(眞諦)의 이제(二諦)를 합명(合明)하는 방법, 즉 정반합지양(正反合止揚)시키는 방법을 쓴 것을 이제합명중도설(二諦合明中道說)이라 한다.[4][5] 승랑의 활동 당시, 삼론과 함께 《성실론》을 공부하고 있던 당시의 학승들은 모두 이제를 중시하여, 부처는 항상 이제에 의하여 설법했으며, 모든 경전은 이제를 벗어나지 않으며, 이제를 밝히면 모든 경전을 해득하게 된다는 견해를 가졌다. 당시의 학승들은 《성실론》의 영향을 받아 이제(二諦)를 이(理: 진리) 또는 경(境: 경지)으로 보는 약리이제설(約理二諦說)의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6] 반면 승랑은 이제(二諦)를 교(敎: 방편 또는 수단)로 보는 약교이제설(約敎二諦說)의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6] 약리이제설(約理二諦說)은 이제를 어떤 고귀한 "이"(理: 진리) 또는 "경"(境: 경지)으로 봄으로써 이제를 어떤 고정된 실체로 여기게 되고 이에 집착하게 되는 결함을 가지고 있었다.[6] 반면 승랑의 약교이제설에서는 이제를 "교", 즉 고정된 성품이 있다는 집착을 타파하여 중도를 밝히는 "방편"으로 보기 때문에, 이제를 실체로 여기는 결함 없이 이제를 통해(즉, 이제를 사용하여) 고정된 성품이 있다는 집착을 제거함으로써 제1의제(第一義諦)인 중도, 즉 진정한 이(理: 진리)가 밝히 드러나게 할 수 있었다.[6] 당시에 승랑의 약교이제설은 공과 중도에 대한 용수의 견해에 진실로 합치하는 것이라고 여겨졌으며, 당시의 중국의 삼론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지관수행[편집] 천태종애서 중요시 하는 것은 지관수행으로, 지법수행은 사마타, 관법수행은 위빠사나라고 부른다. 선한 삼매에 머물러서 온갖 법을 관찰하는 것을 선한 지혜의 모양이라 하고, 삼매의 모양과 지혜의 모양이 다른 줄로 보지 않는 것을, 버리는 모양[捨相]이라 이름한다. 색의 모양[色相]을 취하고, 색의 항상하거나 무상한 모양을 관찰하지 아니하면 삼매라 이름하고, 색의 항상하거나 무상한 모양을 관찰하면, 지혜라 이름하고 삼매와 지혜가 평등하게 온갖 법을 관찰하면 이것을 버리는 모양이라 이름한다. 사마타(奢摩他)는 능히 없앤다[能滅] 이름하나니 온갖 번뇌를 없애는 연고며, 또 사마타는 능히 조복한다 이름하나니 모든 근의 악하고 선하지 못한 것을 조복하는 연고며, 또 사마타는 고요하다 이름하나니 3업을 고요하게 하는 연고며, 또 사마타는 멀리 여읜다 이름하나니 중생으로 하여금 5욕락을 멀리 여의게 하는 연고며, 또 사마타는 능히 맑힌다 이름하나니 탐욕·성내는 일·어리석음의 흐린 법을 맑히는 연고니라. 이런 뜻으로 선정의 모양[定相]이라 이름한다. 비바사나(毘婆舍那)는 바르게 본다[正見] 이름하며, 또 분명히 본다[了見] 이름하며, 또 능히 본다[能見] 이름하며, 두루 본다[遍見]·차례로 본다[次第見]·딴 모양으로 본다[別相見] 이름하나니, 이것을 지혜라고 한다. 우필차(憂畢叉)는 평등이라 이름하며, 다투지 않는다[不諍] 이름하며, 관찰하지 않는다[不觀] 이름하며, 행하지 않는다[不行] 이름하며, 이것을 사(捨)라 한라.[대반열반경] 이 우필차의 경지를 중도라고 부른다. 즉 사마타 명상과 위빠사나 명상을 둘 다 완성한 경지이다. 공가중[편집] 대승불교를 창시한 용수존자는 중론에서 공, 가, 중을 설명했다. 공관은 사마타, 가관은 위빠사나, 중관은 두 관법을 모두 완성한 관법으로서, 중도를 말한다. 팔정도 수행을 모두 완성하면 부처가 된다고 하는데, 팔정도 중에서 정견, 정념을 위빠사나 명상, 정사유, 정어, 정업, 정명, 정정진, 정정을 사마타 명상이라고 한다.(사제론) 따라서, 펄정도의 8가지를 모두 각각 완성하면 부처가 된다는 말은, 다른 말로, 사마타 명상과 위빠사나 명상을 둘 다 완성하면, 둘의 어디에도 치우치지 않은 중도를 이루어 부처가 된다고 표현한다. 함께 보기[편집] 팔정도 연기 공 반야 보리 각주[편집] ↑ 가 나 다 세계사상 > 사 상 용 어 > 동양사상 관계 > 불교 관계 > 공,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CBETA. T30n1564_p0033b10(00) - T30n1564_p0033b22(04) ↑ 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불교의 사상 > 승랑의 사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가 나 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불교의 사상 > 2체합명중도설,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가 나 안계현 (1983), 《한국불교사상사연구》, 동국대학교 출판부, p.5. ↑ 가 나 다 라 고익진 (1989). 《 한국 고대 불교 사상사》, 동국대학교 출판부, pp. 89-92. 참고 문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근본불교의 사상 > 중도"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vdeh 불교 붓다 여래 탄생일 사문유관 삼십이상호 가족 《슈도다나(아버지) 마야 부인(어머니) 야소다라(부인) 라후라(아들)》 기본 사상 윤회 깨달음 《 해탈 열반 반야 보리 성불》 삼보 《 불 법 승》 사성제 팔정도 중도 세계관삼계 욕계 색계 무색계 십법계미계(迷界) 3계 내의 육도 윤회: 지옥도 축생도 아귀도 아수라도 인간도 천상도 오계(悟界) 성문계 연각계 보살계 불계 경전삼장 경장 율장 논장 대장경 팔리어 대장경 한역대장경 고려대장경 신수대장경 티베트 대장경 경장 금강경 능가경 반야경 법화경 화엄경 유마경 승만경 율장 사분율 논장 구사론 대비바사론 대승기신론 대지도론 중론 유가사지론 청정도론 부처님 당시붓다와* 십대제자 고타마 붓다 ① 가전연 ② 대가섭 ③ 나후라 ④ 목건련 ⑤ 부루나 ⑥ 사리불 ⑦ 수보리 ⑧ 아나률 ⑨ 아난타 ⑩ 우바리 부처 과거 칠불 《비바시불 시기불 비사부불 구류손불 구나함모니불 가섭불 연등불》 석가모니불 보살 관세음보살 문수보살 미륵보살 보현보살 지장보살 기타 인물 난타 마하파자파티 참마 우파라반나 부다고사 나가세나 종파 원시 불교 상좌부 부파 불교 대승 《일련종 정토종 중관파 유가행파 천태종》 선종 《임제종 조동종》 금강승 《티베트 불교 진언종》 수행수행 일반수행 귀의 신심 신행 공덕 진언 염불 참배 기도 삼십칠도품 사념처 사정근 사여의족 오근 오력 칠각지 팔정도 사무량심 자 비 희 사 삼학 계 정 혜 계율 오계 사홍서원 출가계율 소승 불교상좌부 불교 마음챙김 사마타 위빠사나 바와나 위빠사나 까마타나 수념(隨念) 안반수의 부파 불교 아비달마 십바라밀 보시 지계 출리 지혜 정진 인욕 진실 결의 자애 평온 대승 불교대승 불교 지관(止觀) 육바라밀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반야(지혜) 십바라밀 방편 원 역 지 최상승선 불교간화선 선(禪)수행 참선 간화선·화두 공안 좌선 그 외 묵조선 염불선 국가별 수행법티베트 불교 탄트라 만다라 스마라나 통렌 수행 계위각자(覺者) 성문불 연각불 보살 부처 사과 수다원 사다함 아나함 아라한 상가사부중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 칠부중 사미 식차마나 사미니 역사 연표 결집 인도불교사 인도 불교의 쇠퇴 아소카 대왕 간다라 불교 불교와 로마 제국 비단길을 통한 불교의 전파 불교 탄압 문화건축 사찰 사원(왓) 탑파 기념일 부처님 오신 날 마카부차 포살 미술 간다라 미술 불상 탱화 포대화상 상징 깃발 법륜 윤회의 바퀴 인 성지 룸비니(탄생) 부다가야(성도) 녹야원(설법) 쿠시나가르(열반) 마하보디 사원 보리수 수행과 생활 가사 기도통 달력 안거 염주 음식 《채식주의》 진언 《옴 마니 파드메 훔》 기타 시 음악 국가별 네팔 라오스 러시아 말레이시아 몽골 미얀마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스리랑카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인도 일본 중국 중동 《이란》 캄보디아 타이완 태국 티베트 파키스탄 한국 서양 《미국 영국 프랑스 호주》 철학 경제학 논리학 무정부주의 불학 사회주의 신 십사무기 실천불교 실재론 아비달마 윤리 원자론 인본주의 종말론 진화 기타 전등(傳燈) 범천 마라 경 의식용 언어 《팔리어 산스크리트어》 법구경 법문 겁 삼명 유루·무루 유위·무위 육신통 비교 종교 기독교 나스티시즘 동아시아 종교 신지학 자이나교 힌두교 과학 심리학 개념 갈애 공 견성 묘각 도리 마음 마음작용 무명 반열반 번뇌 범부와 성인 보리심 보살 불성 삼법인 《일체개고 제행무상 제법무아》 삼성《 선 악 무기》 삼신《 법신 보신 화신》 상속심 업 연기 열 가지 족쇄·10결 오개 오근 오온 유루와 무루 유위와 무위 윤회 족첸(대구경) 죄 지혜 진속이제 진여 행 환생 목록 부처 이십팔불 보살 인물 불경 도서 사찰 한국의 사찰 《가나다순 지역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중도_(불교)&oldid=24178931" 분류: 불교 사상불교 용어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불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বাংলাDansk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हिन्दी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日本語ភាសាខ្មែរमराठीNederlandsNorsk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ไทย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14: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중도(中道)는 불교에서 '치우치지 아니하는 바른 도리'를 말한다. 고타마 붓다는 29세에 출가하여 35세에 깨달음을 얻어 불타로 될 때까지의 6년간 그 대부분을 가혹한 고행의 길에 정진하였다. 그러나 그 고행도 고타마 붓다에 있어서는 몸을 괴롭게 하는 것뿐으로서 참된 인생 문제의 해결은 되지 않았다. 출가 전의 고타마 붓다는 왕자로서 물질적으로는 풍족하여 즐거움에 찬 생활을 보내고 있었으나 그러한 물질적인 풍족함만으로는 인간은 구원받지 못한다는 것도 알고 있었다. 그리하여 고타마 붓다는 출가 전의 쾌락(樂行)도 출가 후의 고행도 모두 한편에 치우친 극단이라고 하며 이것을 버리고 고락 양면을 떠난 심신(心身)의 조화를 얻은 중도(中道)에 비로소 진실한 깨달음의 길이 있다는 것을 스스로의 체험에 의해서 자각하였다. 성도(成道) 후 그때까지 함께 고행을 하고 있던 5인의 비구(比丘)들에게 가장 먼저 설교한 것이 중도의 이치였다. 중도는 팔정도라고 하는 구체적인 실천에 의해서 지탱되는 준엄한 도이며, 여기서는 나태 · 번뇌 · 노여움 · 어리석음에 의해서 부지 중 어떤 것에 집착하려고 하는 어떠한 치우침도 모두 버려야 할 것이 강조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우필차의 경지는 어떤 두가지를 완성한 경지를 말하는 거야? Assistant: 사마타 명상과 위빠사나 명상
Human: 아래 프랑스_육군_계급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프랑스 육군 계급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프랑스 육군 계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프랑스 육군의 계급이다. 목차 1 원수 2 장교 2.1 Généraux - 장성 2.2 Officiers supérieurs - 선임 장교 2.2.1 Colonel (대령) 2.2.2 Lieutenant-Colonel (중령) 2.2.3 Commandant (소령) 2.3 Officiers subalternes - 후임 장교 2.3.1 Capitaine (대위) 2.3.2 Lieutenant (중위) 2.3.3 Sous-Lieutenant (소위) 2.3.4 Aspirant (소위 후보생) 3 병사 및 부사관 3.1 Sous-officiers - 부사관 3.2 Militaires du rang - 병 4 Ingénieurs du service du matériel 5 육군 병참장교 계급 원수[편집] Maréchal de France: 프랑스 원수: 사실상 프랑스 육군 중에서는 가장 높은 계급이다. 공식적인 계급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단장(중장) 중에서 임명된다. 원수 계급은 별의 개수가 7개이며, 원수계급을 상징하는 바통을 소지할 수 있다. 유명한 프랑스 원수로는 튀렌, 보방, 조아생 뮈라, 미셸 네, 프랑수아 아실 바젠, 기욤 브륀, 루이 니콜라 다부, 앙드레 마세나, 필리프 르클레르 드 오트클로크, 장 드 라트르 드 타시니, 마리 피에르 코닉, 필리프 페탱과 알퐁스 쥐앵이 있다. 그 중 필리프 페탱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프랑스를 지켜 낸 공로로 원수 계급을 수여받았으나,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비시 정부에 협력하여 전후 원수 계급이 박탈되었다. 6명의 프랑스 원수, 비론, 레디기에레, 튀렌, 빌라르, 삭스와 술트는 더 높은 계급인 프랑스 대원수(Maréchal général)가 되었다. 장교[편집] 장교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정규군 장교 병참 장교 기술장교 및 행정장교 이들의 계급장에는 별도의 휘장이나 타이틀이 따로 그려져 있다. Généraux - 장성[편집] Général d'armée: 육군 대장 (대장): 군 단위를 통솔하는 계급이다. 이 계급은 공식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사단장(중장) 중에서 임명된다. Général de corps d'armée: 군단장 (중장): 군단 단위를 통솔하는 계급이다. 이 계급은 공식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사단장(중장) 중에서 임명된다. Général de division: 사단장 (중장): 사단 단위를 통솔하는 계급이다. 공식적으로는 이 계급이 최고 계급이다. Général de brigade: 여단장 (소장): 육군에서는 여단 단위를 통솔하는 계급이며, 국가헌병대에서는 헌병단(légion)을 통솔하는 계급이다. 자유 프랑스의 지도자이자 프랑스 대통령을 역임했던 샤를 드 골은 여단장이었다. 프랑스에서는 준장 계급이 없다. 여단장은 소장, 사단장과 군단장은 중장, 육군대장은 대장에 해당된다. 옛날 프랑스에서는 총사령관(프랑스어: Capitaine général 까삐뗀느 제네랄[*]) 계급도 존재하였다. 이 계급은 프랑스 원수, 프랑스 대원수보다도 높은 계급이었으며, 1602년에 폐지되었다. 위관 장교나 영관 장교는 보병은 금색, 기병은 은색으로 병과를 구분한다. 그러나, 장군 계급은 병과의 구분 없이 은색이다. Officiers supérieurs - 선임 장교[편집] Colonel (대령)[편집] 보병 기병 Lieutenant-Colonel (중령)[편집] 보병 기병 Commandant (소령)[편집] 'Commandant' 계급은 보병에서는 chef de bataillon으로, 기병이나 포병에서는 chef d'escadrons, 육군 경항공대에서는 'chef de'scadrille로 부른다. 보병 기병 Officiers subalternes - 후임 장교[편집] Capitaine (대위)[편집] 'Capitaine' 계급은 중대 단위를 지휘하는 계급이다. 보병에서는 Compagnie, 기병에서는 escadron, 포병에서는 batterie로 표기한다. 보병 기병 Lieutenant (중위)[편집] 'Lieutenant' 계급은 반(班) 단위를 지휘하는 계급이다. 보병에서는 section, 기병에서는 peloton, 국가헌병대에서는 brigade로 표기한다. 보병 기병 Sous-Lieutenant (소위)[편집] Sous-lieutenant: same prerogatives as the lieutenant 보병 기병 Aspirant (소위 후보생)[편집] Aspirant: 소위 후보생 계급이다. Eleve Officier: 사관생도 계급이다. 생시르 육군사관학교 혹은 École militaire interarmes 혹은 프랑스 국가헌병대 사관학교 재학생에게 부여되는 계급이다. 병사 및 부사관[편집] Sous-officiers - 부사관[편집] Militaires du rang - 병[편집] Ingénieurs du service du matériel[편집] Ingénieur général de première classe (사단장-중장) Ingénieur général de deuxième classe (여단장-소장) Ingénieur en chef de première classe (대령) Ingénieur en chef de deuxième classe (중령) Ingénieur principal (소령) Ingénieur de première classe (대위) Ingénieur de deuxième classe (중위) Ingénieur de troisième classe (소위) 육군 병참장교 계급[편집]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프랑스_육군_계급&oldid=23901645" 숨은 분류: 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Italiano日本語LietuviųNederlandsไทย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3일 (토) 01: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프랑스 육군의 계급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프랑스 육군에서 원수는 별의 개수가 몇개인가? Assistant: 7 Human: 아래 몬스타엑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몬스타엑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몬스타엑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Monsta X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몬스타엑스MONSTA X 기본 정보 결성 지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장르 댄스, 랩, 힙합 활동 시기 2015년 5월 14일 ~ 현재 레이블 로엔 엔터테인먼트 소속사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구성원 셔누원호민혁기현형원주헌아이엠 몬스타엑스(MONSTA X)는 대한민국의 남성 7인조 아이돌 그룹으로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소속이다. 2015년에 Mnet에서 리얼리티 생존 쇼 "NoMercy"를 통해 첫 공개 되었다. 이 그룹은 셔누, 원호, 민혁, 기현, 형원, 주헌, 아이엠으로 구성되어있다. 2015년 5월 13일 데뷔 쇼케이스로 데뷔 무대를 가졌고, 본격적인 활동시작은 5월 14일 엠카운트다운에서 첫 데뷔하였다. 또한 이 날 첫 미니앨범 TRESPASS가 공개 되었다. 목차 1 구성원 2 음반 목록 3 음반 외 활동 목록 3.1 뮤직비디오 3.2 MIXTAPE 3.3 예능 3.3.1 프로그램 3.3.2 단체 출연 3.3.3 개별 활동 3.4 드라마 3.4.1 개별 활동 3.5 광고 4 수상 목록 4.1 시상식 4.2 TV 가요 차트 프로그램 1위 5 단독 공연 5.1 콘서트 & 월드투어 5.1.1 MONSTA X THE FIRST LIVE "X-CLAN ORIGINS" 5.1.2 MONSTA X The First World Tour 'Beautiful' 5.1.3 2018 MONSTA X WORLD TOUR 'THE CONNECT' 5.2 팬미팅 5.3 쇼케이스 6 각주 7 외부 링크 구성원[편집] 이름 소개 셔누 본명 : 손현우 (孫賢祐[1]) 생년월일 : 1992년 6월 18일(1992-06-18) (27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도봉구 학력 : 창동고등학교 (졸업) 포지션 : 리더, 리드보컬, 메인댄서 활동기간 : 2015년 5월 14일 ~ 원호 본명 : 이호석 (李虎錫[2]) 생년월일 : 1993년 3월 1일(1993-03-01) (26세)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안양시 포지션 : 리드보컬, 리드댄서 활동기간 : 2015년 5월 14일 ~ 민혁 본명 : 이민혁 (李玟爀[3]) 생년월일 : 1993년 11월 3일(1993-11-03) (25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학력 : 덕수고등학교 (졸업) 포지션 : 서브보컬 활동기간 : 2015년 5월 14일 ~ 기현 본명 : 유기현 (柳基現[4]) 생년월일 : 1993년 11월 22일(1993-11-22) (25세)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 학력 :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방송연예학과 포지션 : 메인보컬 활동기간 : 2015년 5월 14일 ~ 형원 본명 : 채형원 (蔡亨願[4]) 생년월일 : 1994년 1월 15일(1994-01-15) (25세) 출생지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광산구 학력 : 송원대학교 경영학과 포지션 : 서브보컬 활동기간 : 2015년 5월 14일 ~ 주헌 본명 : 이주헌 (李周憲[4]) 생년월일 : 1994년 10월 6일(1994-10-06) (24세)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남구 학력 : 현대고등학교 (졸업) 포지션 : 메인래퍼 활동기간 : 2015년 5월 14일 ~ 아이엠 본명 : 임창균 (任創均[4]) 생년월일 : 1996년 1월 26일(1996-01-26) (23세) 출생지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광산구 학력 :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포지션 : 리드래퍼 활동기간 : 2015년 5월 14일 ~ 음반 목록[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몬스타엑스 음반 목록입니다. 음반 외 활동 목록[편집] 뮤직비디오[편집] 발매일 앨범 정보 곡명 구분 링크 2015년 5월 14일 《TRESPASS》 무단침입 (Trespass) MV 유튜브 2015년 9월 7일 《RUSH》 신속히 (RUSH) MV 유튜브 Performance MV 유튜브 HERO Performance MV 유튜브 2016년 5월 18일 《THE CLAN pt.1 `LOST`》 걸어 (All in) MV 유튜브 Performance MV 유튜브 네게만 집착해 (Stuck) MV 유튜브 2016년 10월 4일 《THE CLAN pt.2 `GUILTY`》 Fighter MV 유튜브 Performance MV 유튜브 2017년 3월 21일 《THE CLAN pt.2.5 `BEAUTIFUL`》 아름다워 (Beautiful) MV 유튜브 Choreography MV 유튜브 2017년 6월 19일 《SHINE FOREVER》 SHINE FOREVER MV 유튜브 2017년 7월 27일 《NEWTON》 뉴튼 (NEWTON) MV 유튜브 2017년 11월 7일 《THE CODE》 Dramarama MV 유튜브 Performance MV 유튜브 2018년 3월 26일 《THE CONNECT : DEJAVU》 Destroyer MUSIC FILM 유튜브 Jealousy MV 유튜브 2018년 10월 22일 《ARE YOU THERE?》 Shoot Out MV 유튜브 Performance MV 유튜브 2019년 2월 18일 <WE ARE HERE> Aligator MV 유튜브 Performance MV 유튜브 Play it cool (Feat. Steve Aoki) MV 유튜브 MIXTAPE[편집] 구분 발매일 앨범 정보 곡명 링크 아이엠 2016년 5월 5일 《WHO AM I》 WHO AM I (feat.YESEO) 유튜브 주헌 2017년 1월 17일 《Rhythm》 Rhythm 유튜브 주헌, 아이엠 2017년 7월 21일 《친구해 (Be My Friend)》 친구해 (Be My Friend) 유튜브 아이엠 2018년 2월 20일 《Fly With Me》 Fly With Me 유튜브 주헌 2018년 8월 31일 《DWTD》 RED CARPET 유튜브 해야해 (Should I do) 유튜브 예능[편집] 프로그램[편집] 연도 방송사 프로그램 제목 출연 멤버 비고 2014 Mnet 《NO.MERCY》 몬스타엑스 2016 Mnet 《몬스타엑스의 롸잇나우》 몬스타엑스 2017 JTBC2 《몬스타 엑스레이》 몬스타엑스 2017 JTBC2 《몬스타 엑스레이 2》 몬스타엑스 2018 JTBC2 《몬스타 엑스레이 3》 몬스타엑스 단체 출연[편집] 날짜 방송사 프로그램 제목 출연 멤버 비고 2015년 5월 25일 Mnet 《야만TV》 몬스타엑스 19화 2015년 5월 27일 MBC every1 《주간아이돌》 몬스타엑스 200화 2015년 9월 16년 MBC every1 《주간아이돌》 몬스타엑스 216화 2015년 9월 16일 Mnet 《오늘하룸》 몬스타엑스 7화 2016년 4월 2일 Mnet 《팬심공략》 몬스타엑스 2017년 4월 5일 MBC every1 《주간아이돌》 몬스타엑스 297화 2018년 3월 28일 MBC every1 《주간아이돌》 몬스타엑스 348화 2018년 4월 1일 JTBC 《투유 프로젝트 - 슈가맨》 시즌2 몬스타엑스 11화 2018년 10월 23일 JTBC 《아이돌룸》 몬스타엑스 24화 2018년 11월 7일 MBC every1 《주간아이돌》 몬스타엑스 380화 2018년 11월 9일 KBS2 《유희열의 스케치북》 몬스타엑스 618화 개별 활동[편집] - - 연도 날짜 방송사 프로그램 제목 출연 멤버 비고 2015년 6월 26일 ~ 7월 17일 Mnet 《쇼미더머니4》 주헌 시리즈, 1화 ~ 4화 7월 7일 ~ 7월 14일, 9월 22일 KBS2 《우리동네 예체능》 셔누 113화 ~ 114화, 124화 8월 5일 MBC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주헌 단발, 437화 9월 14일 KBS2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주헌 단발, 242화 2016년 1월 3일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기현 단발, 40화 [내가 용왕이라고 전해라] 3월 18일 ~ 4월 1일 MBC 《나의 머니 파트너 : 옆집의 CEO들》 기현 시리즈, 13화 ~ 15화 4월 1일 ~ 5월 27일 JTBC 《힙합의 민족》 주헌 시리즈, 총 10화 4월 19일 ~ 7월 19일 MBC 드라마넷 《취향저격 : 뷰티플러스》 기현 시리즈, 총 11화 4월 19일 ~ 5월 5일 네이버TV 《꽃미남 브로맨스》 주헌 시리즈, 총 6화 주헌 & 잭슨 (GOT7) 6월 3일 ~ 6월 24일 SBS 《정글의 법칙》 in 파푸아뉴기니 셔누 시리즈, 217화 ~ 219화 10월 18일 ~ 2017년 1월 17일 JTBC 《힙합의 민족 시즌 2》 주헌 시리즈, 총 144화 12월 1일 ~ 2017년 2월 16일 On Style 《립스틱 프린스》시즌1 셔누 시리즈, 총 12화 2017년 3월 30일 ~ 6월 1일 On Style 《립스틱 프린스》시즌2 셔누 시리즈, 총 10화 11월 16일 ~ 12월 20일 JTBC 《믹스앤더시티》 형원 시리즈, 총 6회 11월 28일 MBC 에브리원 《비디오스타》 셔누 단발, 73화 비너스와 셔라클레스 특집 2018년 1월 11일 JTBC2 《소유x하니의 뷰티뷰》 민혁, 기현 단발, 2화 1월 21일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셔누 단발, 137화 [이즈댓트루? 예스! 오키동키요] 2월 2일 ~ 3월 2일 SBS 《정글의 법칙》 in 파타고니아 민혁 시리즈, 302화 ~ 305화 3월 29일 K-STAR 《식신로드》시즌4 민혁, 기현 단발, 173화 6월 26일 ~ 7월 17일 tvN 《나의 수학 사춘기》 민혁 시리즈, 총 4화 9월 10일 MBC 《섹션TV 연예통신》 셔누, 민혁 단발, 932화 10월 22일 KBS2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셔누, 기현 단발, 385화 11월 23일 ~ 2019년 1월 18일 MBC 《진짜사나이 300》 셔누 시리즈, 9화 ~ 17화 2019년 1월 25일 Mnet 《너의 목소리가 보여》시즌6 기현 단발, 2화 2월 4일 KBS2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민혁, 기현 단발, 399화 3월 17일 ~ 4월 7일 tvN 《쇼! 오디오자키》 원호, 민혁, 기현, 주헌 1회 ~ 4회 3월 29일 ~ 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 V2》 셔누 1회 ~ 드라마[편집] 몬스타엑스 구분 켄텐츠 연도 제작, 방송사 제목 비고 몬스타엑스 드라마 (웹드라마) 2015 중국 소후 닷컴 (주)김종학프로덕션 《고품격 짝사랑》 몬스타엑스 전 멤버 출연 몬스타엑스 드라마 (웹드라마) 2016 《선생님, 좋은 밤이에요》 몬스타엑스 전 멤버 출연 몬스타엑스 드라마 2017 KBS 《최고의 한방》 특별출연 개별 활동[편집] 구분 연도 켄텐츠 방송사 제목 배역 주연 형원 2017 드라마 KBS, 웹드라마 《그녀를 찾아줘》 익수 役 광고[편집] KT Y틴 (2016) 카파 (2017) 신스타임즈 (2017) 토니모리 (2018) 수상 목록[편집] 시상식[편집] 연도 날짜 주최 시상식 부문 비고 2015년 11월 7일 멜론 《멜론 뮤직 어워드》 1theK 퍼포먼스상 12월 5일 Mnet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 (MAMA)》 넥스트 제너레이션 아시안 아티스트상 12월 10일 Arirang TV 《Simply K-Pop》 The Best Performance Rising Star Boy Group상 (신인상)[5] 2016년 1월 14일 스포츠서울 제25회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댄스 퍼포먼스상 1월 20일 일간스포츠 제30회 《골든 디스크 어워즈》 음원부문 넥스트 제너레이션상 2017년 1월 13일 일간스포츠 제31회 《골든 디스크 어워즈》 음반부문 본상 9월 20일 소리바다 제1회《소리바다 베스트 케이뮤직 어워즈》 본상 11월 15일 스타뉴스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AAA)》 베스트 엔터테이너상 11월 29일 CJ E&M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즈 (MAMA)》 베스트 콘서트 퍼포머상 2018년 1월 11일 일간스포츠 제32회 《골든 디스크 어워즈》 음반부문 본상 1월 25일 스포츠서울 제27회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올해의 발견상 8월 30일 소리바다 《소리바다 베스트 케이뮤직 어워즈》 본상 신한류 아티스트상 11월 28일 스타뉴스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AAA)》 베스트 아이콘상 12월 12일 CJ E&M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즈 (MAMA)》 스타일 인 뮤직 Worldwide Fans' Choice Top 10 2019년 1월 6일 일간스포츠 제33회 《골든 디스크 어워즈》 음반부문 본상 1월 15일 스포츠서울 제28회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본상 TV 가요 차트 프로그램 1위[편집] 연도 수상 내역 (총 10회) 2017년 (총 1회) Dramarama (총 1회) 11월 14일 SBS MTV 《더 쇼 시즌5》 더 쇼 초이스 2018년 (총 5회) Jealousy (총 1회) 4월 17일 SBS MTV 《더 쇼 시즌5》 더 쇼 초이스 Shoot Out (총 4회) 10월 30일 SBS MTV 《더 쇼 시즌5》 더 쇼 초이스 10월 31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 송 11월 1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11월 2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2019년 (총 4회) Alligator (총 4회) 2월 26일 SBS MTV 《더 쇼 시즌5》 더 쇼 초이스 2월 27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 송 2월 28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3월 1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단독 공연[편집] 콘서트 & 월드투어[편집] MONSTA X THE FIRST LIVE "X-CLAN ORIGINS"[편집] 날짜 공연장 도시 국가 2016년 7월 16일 ~ 7월 17일 블루스퀘어 아이마켓홀 서울 한국 MONSTA X The First World Tour 'Beautiful'[편집] 날짜 공연장 도시 국가 2017년 6월 17일 ~ 6월 18일 올림픽공원 올림픽홀 서울 한국 2017년 7월 8일 ASIAWORLD-EXPO HALL 10 홍콩 2017년 7월 12일 ROSEMONT THEATER 시카고 미국 2017년 7월 14일 PLAYSTATION THEATER 뉴욕 2017년 7월 16일 COBB ENERGY PERFORMING ARTS CENTER 애틀랜타 2017년 7월 19일 VERIZON THEARTER 댈러스 2017년 7월 21일 WARFIELD THEATER 샌프란시스코 2017년 7월 23일 THE NOVO LA LIVE 로스앤젤레스 2017년 7월 30일 THUNDER MUANG THONG THANI 방콕 태국 2017년 8월 9일 L'OLYMPIA 파리 프랑스 2017년 8월 11일 TEMPODROM 베를린 독일 2017년 8월 13일 STADIUM LIVE CLUB 모스크바 러시아 2017년 9월 12일 LUNA PARK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2017년 9월 14일 MOVISTAR ARENA 산티아고 칠레 2017년 9월 17일 AUDITORIO BLACKBERRY 멕시코시티 멕시코 2018 MONSTA X WORLD TOUR 'THE CONNECT'[편집] 날짜 공연장 도시 국가 2018년 5월 26일 ~ 5월 27일 장충체육관 서울 한국 2018년 6월 17일 EVENTIM APOLLO HAMMERSMITH 런던 영국 2018년 6월 20일 AFAS LIVE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2018년 6월 23일 PALACIO VISTALEGRE 마드리드 스페인 2018년 6월 30일 THUNDER DOME 방콕 태국 2018년 7월 10일 KITEC STAR HALL 홍콩 2018년 7월 14일 TAIPEI NANGANG EXHIBITION CENTER 타이베이 대만 2018년 7월 20일 ROSEMONT THEATRE 시카고 미국 2018년 7월 22일 NEW JERSEY PERFORMING ARTS CENTER 뉴어크 2018년 7월 25일 COBB ENERGY PERFORMING ARTS CENTRE 애틀랜타 2018년 7월 27일 VERIZON THEATRE 댈러스 2018년 7월 29일 SMART FINANCIAL CENTRE 휴스턴 2018년 8월 1일 WARFIELD THEATRE 샌프란시스코 2018년 8월 3일 MICROSOFT THEATER 로스앤젤레스 2018년 8월 5일 AUDITORIO PABELLON M 몬테레이 멕시코 2018년 8월 8일 ESTADIO OBRAS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2018년 8월 10일 MOVISTAR ARENA 산티아고 칠레 2018년 8월 12일 ESPACO DAS AMERICAS 상파울루 브라질 2018년 8월 25일 ~ 8월 26일 SK 올림픽 핸드볼 경기장 서울 한국 팬미팅[편집] 연도 날짜 공연명 공연장 도시 국가 2016년 8월 15일 몬스타엑스 공식팬클럽 ‘MONBEBE’1기 창단식 [소풍] 연세대학교 대강당 서울 한국 2017년 8월 16일 MONSTA X, JAPAN Official Fan Meeting Vol.1 ~ Beautiful Days ~ Zepp Nagoya 나고야 일본 8월 17일 Zepp Namba 오사카 8월 21일 ~ 22일 Zepp Tokyo 도쿄 12월 19일 ~ 20일 MONSTA X, Christmas Party 2017 도쿄 국제 포럼 홀 A 도쿄 일본 2018년 1월 21일 몬스타엑스 FAN-CON[소풍]with MONBEBE 이화여자대학교 대강당 서울 한국 2019년 1월 5일 몬스타엑스 FAN-CON[소풍]with MONBEBE 경희대학교 평화의전당 서울 한국 쇼케이스[편집] 연도 날짜 공연명 공연장 도시 국가 2015년 5월 13일 DEBUT SHOWCASE 롯데카트 아트센터 서울 한국 9월 7일 러쉬(RUSH) 쇼케이스 일지아트홀 서울 한국 2016년 5월 18일 <THE CLAN PART.1 LOST> 쇼케이스 예스24라이브홀 서울 한국 2017년 11월 7일 MONSTA X THE CODE SHOW-CON 장충체육관 서울 한국 각주[편집] ↑ 셔누 한자 이름 ↑ 원호 한자 이름 ↑ “민혁 한자 이름”. 2017년 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12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몬스타엑스 한자 이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2015년 12월 11일 Arirang TV Simply K-Pop The Best Performance Rising Star Boy Group 부문 몬스타엑스 수상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몬스타엑스 몬스타엑스 - 공식 웹사이트 몬스타엑스 - 트위터 몬스타엑스 - 페이스북 몬스타엑스 - 인스타그램 몬스타엑스 - V LIVE 몬스타엑스 - 시나 웨이보 몬스타엑스의 채널 - 유튜브 몬스타엑스의 채널 - 유튜브 / VEVO 몬스타엑스의 수상 목록vdeh2019년 더 쇼 초이스 수상자1월 여자친구 - 해야 (1월 22일) 아스트로 - All Night (전화해) (1월 29일) 2월 CLC No (2월 12일 · 2월 19일) 몬스타엑스 - Alligator (2월 26일) 3월 엔플라잉 - 옥탑방 (3월 9일) 투모로우바이투게더 - 어느날 머리에서 뿔이 자랐다 (CROWN) (3월 12일) 마마무 - 고고베베 (3월 19일) 모모랜드 - I'm So Hot (3월 26일) 4월 모모랜드 - I'm So Hot (4월 2일) 아이즈원 - 비올레타 (4월 9일 · 4월 16일) 슈퍼주니어-D&E - 땡겨 (4월 23일) 5월 더 보이즈 - Bloom Bloom (5월 7일) 오마이걸 - 다섯 번째 계절 (5월 14일) 김재환 - 안녕하세요 (5월 28일) 6월 AB6IX - BREATHE (6월 4일) 우주소녀 - Boogie Up (6월 11일 · 6월 18일) 에이티즈 - WAVE (6월 25일) 7월 (여자)아이들 - Uh-Oh (7월 2일) vdeh2019년 쇼 챔피언 챔피언송 수상자1월 청하 - 벌써 12시 (1월 9일) 에이핑크 - %% (응응) (1월 16일) 여자친구 - 해야 (1월 23일) 세븐틴 - Home (1월 30일) 2월 세븐틴 - Home (2월 13일) 태민 - Want (2월 20일) 몬스타엑스 - Alligator (2월 27일) 3월 (여자)아이들 - Senorita (3월 6일) 하성운 - BIRD (3월 13일) 투모로우바이투게더 - 어느날 머리에서 뿔이 자랐다 (CROWN) (3월 20일) 마마무 - 고고베베 (3월 27일) 4월 모모랜드 - I'm So Hot (4월 3일) 아이즈원 - 비올레타 (4월 10일 · 4월 17일) 방탄소년단 -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4월 24일) 5월 트와이스 - Fancy (5월 1일) 뉴이스트 - BET BET (5월 8일) 오마이걸 - 다섯 번째 이야기 (5월 15일) 김재환 - 안녕하세요 (5월 29일) 6월 AB6IX - BREATHE (6월 5일) NCT 127 - Superhuman (6월 12일) 우주소녀 - Boogie Up (6월 19일) 레드벨벳 - 짐살라빔 (6월 26일) 7월 청하 - Snapping (7월 3일) vdeh2019년 엠카운트다운 1위 수상자1월 위너 - MILLlONS (1월 3일) 청하 - 벌써 12시 (1월 10일) 에이핑크 - %% (응응) (1월 17일) 여자친구 - 해야 (1월 24일) 세븐틴 - Home (1월 31일) 2월 세븐틴 - Home (2월 7일 · 2월 14일) ITZY - 달라달라 (2월 21일) 몬스타엑스 - Alligator (2월 28일) 3월 ITZY - 달라달라 (3월 7일) 투모로우바이투게더 - 어느날 머리에서 뿔이 자랐다 (CROWN) (3월 14일) 마마무 - 고고베베 (3월 21일 · 3월 28일) 4월 스트레이 키즈 - MIROH (4월 4일) 아이즈원 - 비올레타 (4월 11일 · 4월 18일) 방탄소년단 -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4월 25일) 5월 트와이스 - Fancy (5월 2일) 뉴이스트 - BET BET (5월 9일) 오마이걸 - 다섯 번째 계절 (5월 16일) 위너 - 아예 (5월 23일) 6월 이하이 - 누구없소 (6월 6일) 우주소녀 - Boogie Up (6월 13일) 에이티즈 - WAVE (6월 20일) 레드벨벳 - 짐살라빔 (6월 27일) 7월 청하 - Snapping (7월 4일) vdeh2019년 뮤직뱅크 K-차트 1위 수상자1월 EXO - Tempo (1월 4일) 위너 - MILLlONS (1월 11일) 청하 - 벌써 12시 (1월 18일) 여자친구 - 해야 (1월 25일) 2월 세븐틴 Home (2월 1일 · 2월 8일 · 2월 15일) 태민 - Want (2월 22일) 3월 몬스타엑스 - Alligator (3월 1일) ITZY - 달라달라 (3월 8일 · 3월 15일) 에픽하이 - 술이 달다 (3월 22일) 마마무 - 고고베베 (3월 29일) 4월 박지훈 - L.O.V.E (4월 5일) 아이즈원 - 비올레타 (4월 12일) 방탄소년단 -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4월 19일 · 4월 26일) 5월 방탄소년단 -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5월 3일 · 5월 17일 · 5월 24일) 뉴이스트 - BET BET (5월 10일) 6월 NCT 127 - Superhuman (6월 7일) 방탄소년단 -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6월 14일 · 6월 21일) 레드벨벳 - 짐살라빔 (6월 28일) 7월 청하 - Snapping (7월 5일) vdeh카카오엠음원 유통카카오엠 유통 음반 목록콘텐츠 제작메가몬스터 하트 투 하트 울지 않는 새 가화만사성 우리 헤어졌어요 붉은 달 푸른 해 진심이 닿다 크리스피 스튜디오 [썸-명서] [네 남자의 푸드트럭] [뒷TALKS] [취중젠담] [취중젠담 시즌 2] [오늘도 무사히] [오늘도 무사히 시즌 2] [카카오멜론] [My Ex Diary] [크리스피 스튜디오 X 데일리 호텔] [크리스피 스튜디오 X 나일론 코리아] [이나뷰티] [낮술남녀] [Work & Love Balance] 매니지먼트카카오엠 아이유 지아 플레이엠 엔터테인먼트 허각 에이핑크 (박초롱, 윤보미, 정은지, 손나은, 김남주, 오하영) 빅톤 (한승우, 강승식, 허찬, 임세준, 도한세, 최병찬, 정수빈) 송경일 나도균 김시형 장이정 원태연 원더나인 (전도염, 이승환, 정진성) 임지민 크래커 엔터테인먼트 더보이즈 (상연, 제이콥, 영훈, 현재, 주연, 케빈, 뉴, 큐, 주학년, 활, 선우, 에릭) 문화인 박정현 우효 윤현상 앤츠 (최유, 도재) 알레프 크래커 (대감, 이두) 서교동의 밤 에버루아 헤이맨 (도영, 공탄, 테리킴) 로지 유라 E&T 스토리 엔터테인먼트 김소현 박한들 스타쉽 엔터테인먼트스타쉽 엔터테인먼트 케이윌 소유 다솜 듀에토 (백인태, 유슬기) 마인드유 (고닥, 김재희) 몬스타엑스 (셔누, 원호, 민혁, 기현, 형원, 주헌, 아이엠) 우주소녀 (엑시, 설아, 보나, 수빈, 루다, 다원, 은서, 성소, 선의, 미기, 여름, 다영, 연정) 정세운 아이즈원 (안유진, 장원영) 스타쉽 엑스 유승우 샵건 브라더수 주영 킹콩 by 스타쉽 김범 김지원 박희순 송승헌 송하윤 유연석 이광수 이동욱 이미연 임수정 조윤희 채수빈 최원명 강은아 박민우 오아연 오혜원 이종화 조윤우 지일주 한민 이엘리야 정준원 장정연 최희진 신승호 정주연 정원창 김민지 지우 하이라인 엔터테인먼트 DJ소다 키겐 dress DJ Vanto 장석훈 leon fka 송민재 BH 엔터테인먼트 이병헌 유지태 고수 진구 박성훈 이희준 션 리차드 변우석 우효광 박해수 박정우 이진욱 한효주 한가인 한지민 김고은 추자현 이지아 김용지 카라타 에리카 공승연 안소희 박지후 매니지먼트 숲 공유 공효진 김재욱 서현진 이천희 전도연 정유미 남지현 유민규 이재준 정가람 김지수 김태금 전소니 최우식 배수지 제이와이드 컴퍼니 이상윤 이보영 김소연 강예원 김태리 백진희 정혜성 최다니엘 천호진 배종옥 김태우 김희정 배해선 조달환 이영은 오민석 손여은 이미도 김진우 민성욱 김사희 전여빈 신재하 전재형 진현빈 임지현 한지선 홍경 유수빈 최수인 허정은 정화 와이드에스 컴퍼니 김영광 이도겸 최태환 관련 항목 YBM SK그룹 카카오 메가몬스터 크리스피 스튜디오 레디 엔터테인먼트 나일론코리아미디어 플레이엠엔터테인먼트 문화인 이앤티스토리 엔터테인먼트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킹콩 엔터테인먼트 비에이치엔터테인먼트 매니지먼트 숲 제이와이드컴퍼니 와이드에스컴퍼니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몬스타엑스&oldid=24404002" 분류: 7인조 음악 그룹K-pop 음악 그룹한국어 음악 그룹2010년 결성된 음악 그룹2010년대 음악 그룹대한민국의 보이 밴드대한민국의 힙합 그룹스타쉽 엔터테인먼트 소속몬스타엑스2015년 데뷔2015년 결성된 음악 그룹유니버설 뮤직 그룹 음악가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로컬에는 없지만 위키데이터에는 있는 그림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Dansk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ไทยTürkçe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0일 (월) 00: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몬스타엑스(MONSTA X)는 대한민국의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소속 6인조 아이돌 그룹으로, 멤버는 셔누, 민혁, 기현, 형원, 주헌, 아이엠으로 구성되어 있다. 데뷔 이전인 2015년 Mnet 리얼리티 생존 쇼 "NoMercy"를 통해 첫 공개됐다. 2015년 5월 13일 데뷔 쇼케이스로 데뷔 무대를 가졌고, 5월 14일 엠카운트다운에서 첫 데뷔하였다. 또한 이 날 첫 미니앨범 TRESPASS가 공개됐다.현재 멤버 민혁, 기현, 주헌은 병역을 이행 중에 있다. (2023년 10월 3일 기준)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그룹 몬스타엑스의 뮤직비디오 발매 이력은 어떠한가요? Assistant: 발매일 앨범 정보 곡명 구분 링크 2015년 5월 14일 《TRESPASS》 무단침입 (Trespass) MV 유튜브 2015년 9월 7일 《RUSH》 신속히 (RUSH) MV 유튜브 Performance MV 유튜브 HERO Performance MV 유튜브 2016년 5월 18일 《THE CLAN pt.1 `LOST`》 걸어 (All in) MV 유튜브 Performance MV 유튜브 네게만 집착해 (Stuck) MV 유튜브 2016년 10월 4일 《THE CLAN pt.2 `GUILTY`》 Fighter MV 유튜브 Performance MV 유튜브 2017년 3월 21일 《THE CLAN pt.2.5 `BEAUTIFUL`》 아름다워 (Beautiful) MV 유튜브 Choreography MV 유튜브 2017년 6월 19일 《SHINE FOREVER》 SHINE FOREVER MV 유튜브 2017년 7월 27일 《NEWTON》 뉴튼 (NEWTON) MV 유튜브 2017년 11월 7일 《THE CODE》 Dramarama MV 유튜브 Performance MV 유튜브 2018년 3월 26일 《THE CONNECT : DEJAVU》 Destroyer MUSIC FILM 유튜브 Jealousy MV 유튜브 2018년 10월 22일 《ARE YOU THERE?》 Shoot Out MV 유튜브 Performance MV 유튜브 2019년 2월 18일 <WE ARE HERE> Aligator MV 유튜브 Performance MV 유튜브 Play it cool (Feat. Steve Aoki) MV 유튜브
Human: 아래 워런_스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워런 스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워런 스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워런 스판 Warren Spahn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No.21 (영구 결번) 기본 정보 국적 미국 생년월일 1921년 4월 23일(1921-04-23) 출신지 미국 뉴욕주 버펄로 사망일 2003년 11월 24일 (82세) 선수 정보 투구·타석 좌투좌타 수비 위치 투수 프로 입단 연도 1940년 아마추어FA로 보스턴 브레이브스와 계약 첫 출장 1942년 4월 19일 뉴욕 자이언츠전 마지막 경기 1965년 10월 1일 신시내티 레즈전 경력 보스턴 브레이브스 밀워키 브레이브스 (1942년, 1946년 ~ 1964년)[1] 뉴욕 메츠 (1965년)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1965년) 미국 야구 전당 전당 헌액자 선출년 1973년 득표율 82.89% 선출방법 BBWAA 선출 워런 에드워드 스판(영어: Warren Edward Spahn, 1921년 4월 23일 ~ 2003년 11월 24일)은 전 메이저 리그의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에서 활약한 전설적인 투수이다. 좌완투수로, 통산 363승을 기록하였다. 1973년에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목차 1 경력 2 수상 경력 3 연도별 투구 성적 4 각주 5 외부 링크 경력[편집] 뉴욕주에 있는 버펄로에서 태어났으며, 1940년에 보스턴 브레이브스(현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와 아마추어FA로 계약을 맺는다. 1942년에는 4월 19일에 홈인 브레이브스 필드에서 있었던 뉴욕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 중간에 계투로 나와서 0.2이닝을 막는다. 하지만, 다음 해인 1943년부터 1945년까지 3년간은 병역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서 육군에 입대하며 야구와는 잠시 떨어진다. 이 때 유럽 전선에서 부상 당한 것을 전공으로 인정받아 퍼플 하트 훈장과 동성 무공 훈장을 받는다. 스판(오른쪽)과 자니 세인(왼쪽) 야구계로 복귀한 후에는 현역시절의 대부분을 브레이브스에서 보냈으며, 팀의 연고지가 보스턴에서 밀워키로 이전하는 경험도 한다. 월드 시리즈는 1948년, 1957년, 1958년에 출장하였으며, 1946년부터 1948년에 걸쳐서는 20승 투수 중의 한 명인 자니 세인과 함께 1947년에 보스턴의 지역신문에 「Saphn and Sain and pray for rain.」(스판과 세인이 등판한 후에는 비가 오기를.)라는 표제가 실릴정도로 괴물같은 원투펀치를 형성하여 활약한다. 특히, 1948년에는 팀을 34년만에 리그 우승으로 이끈다. 1953년에는 투수로서 처음으로 연봉 10만 달러를 손에 넣는데, 이는 스판이 관객동원에 대해서 인센티브 계약을 구단과 맺고 있던 중에 팀이 밀워키로 이전하면서 비약적으로 관객동원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1965년에는 뉴욕 메츠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에 소속되어 경기에 나서고, 시즌이 끝난 후에는 메이저 리그에서 은퇴를 하지만, 그 후 수년간은 멕시칸 리그에서 던진다. 현역으로 활동했던 21년간 그는 엄청난 기록을 남겼다. 20승 이상을 달성한 것은 13회 이상이며, 그 중 42살에 23승을 달성하는 등, 긴시간 동안 활약했다. 특히, 그가 달성한 통산 363승은 좌완투수로서는 역대 1위의 기록이며, 전체를 봐도 사이 영의 511승, 월터 존슨의 417승, 그로버 클리블랜드 알렉산더의 373승, 크리스티 매튜슨의 373승, 폴 거빈의 364승에 이은 역대 6위라는 기록이다. 1974년에는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다. 그는 현역시절,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레전드인 스탠 뮤지얼이 "절대로 스판이 전당에 들어가는 일은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는 영원히 던질 것이기 때문이다."라는 발언을 했는데, 이 말을 뒷받침하는 듯한 긴 현역생활 끝의 전당 헌액이었다. 또, 브레이브스는 은퇴한 1965년에 스판의 등번호인 『21』을 브레이브스의 첫 영구 결번으로 지정한다. 현역을 은퇴한 후인 1975년에는 일본의 야구 팀인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스프링 캠프에서 임시 투수코치를 맡기도 했다. 1999년에는 스포팅 뉴스의 기획인 ‘위대한 야구선수 100인’에서 21위에 뽑혔으며, 20세기 최고의 선수를 선발한 팀에 뽑히기도 했다. 또, 시즌에서 가장 좋은 활약을 한 좌완투수에게 주어지는 상인 워런 스판 상이 창설되었다. 랜디 존슨, 클레이튼 커쇼가 이 상을 수상한 대표적인 좌완투수들이다. 2003년 11월 24일에 여생을 보내고 있었던 오클라호마주에 있는 자택에서 노쇠화하여 생을 마감했다. 수상 경력[편집] 사이 영 상 1회 : 1957년 방어율 1위 3회 : 1947년, 1953년, 1961년 다승 1위 8회 : 1949년, 1950년, 1953년, 1957년 ~ 1961년 탈삼진 1위 4회 : 1949년 ~ 1952년 메이저 리그 올스타전 선출 14회 : 1947년, 1949년 ~ 1954년, 1956년 ~ 1959년, 1961년, 1962년 노 히트 노런 2회 통산 363승 (역대 6위, 좌완투수 1위) 투수 통산 35홈런 (역대 3위) 명예의 전당 입성 : 1973년 연도별 투구 성적[편집] 연도 소속 등판 선발 완투 완봉 무볼넷 승리 패전 세이브 홀드 승률 상대타자 투구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고의사구 몸맞 탈삼진 폭투 보크 실점 자책점 평자책 WHIP 1942년 BSNMLN 4 2 1 0 -- 0 0 0 -- ---- 79 15.2 25 0 11 -- 0 7 0 0 15 10 5.74 2.30 1946년 24 16 8 0 -- 8 5 1 -- .615 514 125.2 107 6 36 -- 1 67 4 0 46 41 2.94 1.14 1947년 40 35 22 7 -- 21 10 3 -- .677 1174 289.2 245 15 84 -- 1 123 5 0 87 75 2.33 1.14 1948년 36 35 16 3 -- 15 12 1 -- .556 1064 257.0 237 19 77 -- 1 114 4 0 115 106 3.71 1.22 1949년 38 38 25 4 -- 21 14 0 -- .600 1258 302.1 283 27 86 -- 3 151 4 0 125 103 3.07 1.22 1950년 41 39 25 1 -- 21 17 1 -- .553 1217 293.0 248 22 111 -- 1 191 8 0 123 103 3.16 1.23 1951년 39 36 26 7 -- 22 14 0 -- .611 1289 310.2 278 20 109 -- 1 164 7 1 111 103 2.98 1.25 1952년 40 35 19 5 -- 14 19 3 -- .424 1190 290.0 263 19 73 -- 6 183 5 0 109 96 2.98 1.16 1953년 35 32 24 5 -- 23 7 3 -- .767 1055 265.2 211 14 70 -- 1 148 3 2 75 62 2.10 1.06 1954년 39 34 23 1 4 21 12 3 -- .636 1175 283.1 262 24 86 -- 1 136 3 1 107 99 3.14 1.23 1955년 39 32 16 1 2 17 14 1 -- .548 1025 245.2 249 25 65 4 2 110 4 0 99 89 3.26 1.28 1956년 39 35 20 3 4 20 11 3 -- .645 1113 281.1 249 25 52 12 3 128 7 0 92 87 2.78 1.07 1957년 39 35 18 4 1 21 11 3 -- .656 1111 271.0 241 23 78 4 2 111 2 0 94 81 2.69 1.18 1958년 38 36 23 2 4 22 11 1 -- .667 1176 290.0 257 29 76 7 2 150 2 1 106 99 3.07 1.15 1959년 40 36 21 4 5 21 15 0 -- .583 1203 292.0 282 21 70 9 1 143 2 0 106 96 2.96 1.21 1960년 40 33 18 4 0 21 10 2 -- .677 1110 267.2 254 24 74 9 4 154 1 0 114 104 3.50 1.23 1961년 38 34 21 4 2 21 13 0 -- .618 1064 262.2 236 24 64 1 4 115 4 0 96 88 3.02 1.14 1962년 34 34 22 0 3 18 14 0 -- .563 1088 269.1 248 25 55 4 3 118 4 0 97 91 3.04 1.13 1963년 33 33 22 7 0 23 7 0 -- .767 1037 259.2 241 23 49 4 0 102 4 0 85 75 2.60 1.12 1964년 38 25 4 1 0 6 13 4 -- .316 759 173.2 204 23 52 4 2 78 6 0 110 102 5.29 1.47 1965년 NYM 20 19 5 0 1 4 12 0 -- .250 543 126.0 140 18 35 1 2 56 1 0 70 61 4.36 1.39 SF 16 11 3 0 0 3 4 0 -- .429 303 71.2 70 8 21 1 1 34 1 0 34 27 3.39 1.27 '65계 36 30 8 0 1 7 16 0 -- .304 846 197.2 210 26 56 2 3 90 2 0 104 88 4.01 1.35 통산:21년 750 665 382 63 26 363 245 29 -- .597 21547 5243.2 4830 434 1434 60 42 2583 81 5 2016 1798 3.09 1.19 각년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BSN(보스턴 브레이브스)은 1953년에 MLN(밀워키 브레이브스)으로 팀명은 변경함. 각주[편집] ↑ 보스턴 브레이브스는 1953년 연고지를 밀워키로 옮겼다가 다시 1966년에 애틀랜타로 옮겼는데, 그것이 현재의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이다. 외부 링크[편집] '최다승 좌완투수' 워렌 스판 vdeh루 게릭 메모리얼 어워드 1955: 다크 1956: 리즈 1957: 뮤지얼 1958: 맥도걸드 1959: 호지스 1960: 그로트 1961: 스판 1962: 로버츠 1963: 리처드슨 1964: 보이어 1965: 로 1966: 로빈슨 1967: 뱅크스 1968: 칼라인 1969: 로즈 1970: 에런 1971: 킬브루 1972: 파커 1973: 산토 1974: 스타젤 1975: 벤치 1976: 서턴 1977: 브록 1978: 케싱어 1979: 니크로 1980: 페레즈 1981: 존 1982: 세이 1983: 슈미트 1984: 가비 1985: 머피 1986: 브렛 1987: 섯클리프 1988: 벨 1989: 스미스 1990: 데이비스 1991: 허벡 1992: 립켄 주니어 1993: 매팅리 1994: 라킨 1995: 실링 1996: 버틀러 1997: 몰리터 1998: 그윈 1999: 맥과이어 2000: 스톨마이어 2001: 프랑코 2002: 그레이브스 2003: 모이어 2004: 토미 2005: 스몰츠 2006: 호프먼 2007: 팀린 2008: 빅토리노 2009: 푸홀스 2010: 지터 2011: 짐머맨 2012: 지토 2013: 해밀턴 2014: 벨트레 2015: 그랜더슨 2016: 알투베 2017: 보토 vdeh사이 영 상 수상자양대리그 1956년 돈 뉴컴 1957년 워런 스판 1958년 밥 털리 1959년 얼리 윈 1960년 번 로 1961년 화이티 포드 1962년 돈 드라이스데일 1963년 샌디 쿠팩스 1964년 딘 챈스 1965년 샌디 쿠팩스 1966년 샌디 쿠팩스 내셔널 리그 1967년 마이크 매코믹 1968년 밥 깁슨 1969년 톰 시버 1970년 밥 깁슨 1971년 퍼거슨 젱킨스 1972년 스티브 칼턴 1973년 톰 시버 1974년 마이크 마샬 1975년 톰 시버 1976년 랜디 존스 1977년 스티브 칼턴 1978년 게일로드 페리 1979년 브루스 수터 1980년 스티브 칼턴 1981년 페르난도 발렌수엘라 1982년 스티브 칼턴 1983년 존 데니 1984년 릭 섯클리프 1985년 드와이트 구든 1986년 마이크 스캇 1987년 스티브 베드로시안 1988년 오렐 허샤이저 1989년 마크 데이비스 1990년 덕 드라벡 1991년 톰 글래빈 1992년 그레그 매덕스 1993년 그레그 매덕스 1994년 그레그 매덕스 1995년 그레그 매덕스 1996년 존 스몰츠 1997년 페드로 마르티네스 1998년 톰 글래빈 1999년 랜디 존슨 2000년 랜디 존슨 2001년 랜디 존슨 2002년 랜디 존슨 2003년 에릭 가녜 2004년 로저 클레멘스 2005년 크리스 카펜터 2006년 브랜던 웨브 2007년 제이크 피비 2008년 팀 린스컴 2009년 팀 린스컴 2010년 로이 할러데이 2011년 클레이튼 커쇼 2012년 R. A. 디키 2013년 클레이튼 커쇼 2014년 클레이튼 커쇼 2015년 제이크 아리에타 2016년 맥스 슈어저 2017년 맥스 슈어저 2018년 제이컵 디그롬 아메리칸 리그 1967년 짐 론보그 1968년 데니 맥클레인 1969년 마이크 쿠엘라, 데니 맥클레인 1970년 짐 페리 1971년 바이다 블루 1972년 게일로드 페리 1973년 짐 파머 1974년 캣피쉬 헌터 1975년 짐 파머 1976년 짐 파머 1977년 스파키 라일 1978년 론 기드리 1979년 마이크 플래너건 1980년 스티브 스톤 1981년 롤리 핑거스 1982년 피트 불코비치 1983년 라마르 호이트 1984년 윌리 헤르난데스 1985년 브렛 세이버하겐 1986년 로저 클레멘스 1987년 로저 클레멘스 1988년 프랭크 비올라 1989년 브렛 세이버하겐 1990년 밥 웰치 1991년 로저 클레멘스 1992년 데니스 에커슬리 1993년 잭 맥도웰 1994년 데이비드 콘 1995년 랜디 존슨 1996년 팻 핸트겐 1997년 로저 클레멘스 1998년 로저 클레멘스 1999년 페드로 마르티네스 2000년 페드로 마르티네스 2001년 로저 클레멘스 2002년 배리 지토 2003년 로이 할러데이 2004년 요한 산타나 2005년 바톨로 콜론 2006년 요한 산타나 2007년 CC 사바시아 2008년 클리프 리 2009년 잭 그레인키 2010년 펠릭스 에르난데스 2011년 저스틴 벌랜더 2012년 데이비드 프라이스 2013년 맥스 슈어저 2014년 코리 클루버 2015년 댈러스 카이클 2016년 릭 포셀로 2017년 코리 클루버 2018년 블레이크 스넬 1956년부터 시상된 사이 영 상은 1966년까지는 통합리그로 진행되어 한 명만 수상하였고, 그 이후로는 리그를 나누어 리그 당 한 명씩 수상하였다. 최다 수상 로저 클레멘스 (7회) | 최다 연속 수상 그레그 매덕스, 랜디 존슨 (4회) vdeh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의 헌액자투수 갤빈 고메즈 고시지 그라임스 그로브 글래빈 깁슨 뉴하우저 니콜스 니크로 데이 드라이스데일 디히고 딘 라이언 라이온스 래드번 러핑 레몬 로간 로버츠 루시 릭시 마르티네스 마리첼 마쿼드 매덕스 매슈슨 맥기니티 멘데스 반스 버닝 벤더 M. 브라운 R. 브라운 블라일레븐 서턴 수터 스몰츠 스미스 스판 시버 알렉산더 에커슬리 영 워델 월시 웰치 윈 윌리스 윌리엄스 윌헬름 젱킨스 조스 R. 존슨 W. 존슨 체스브로 칼턴 커밍스 코벨레스키 쿠퍼 쿠팩스 클락슨 키프 파머 페리 페이지 페노크 페이버 펠러 포드 B. 포스터 R. 포스터 플랭크 핑거스 허벨 헌터 헤인스 호이트 포수 깁슨 디키 롬바디 매키 베라 벤치 브레스나한 산토프 쇼크 유잉 카터 캄파넬라 코크런 페럴 피스크 피아자 하넷 화이트 1루수 게릭 그린버그 레너드 마이즈 맥코비 머레이 바텀리 베클리 브루서스 서틀스 세페다 시슬러 앤슨 챈스 켈리 코너 킬브루 테리 테일러 페레스 폭스 2루수 게링거 고든 그랜트 도에르 라제리 라조이 로빈슨 매저로스키 모건 맥피 비지오 샌드버그 쇼인딘스트 알로마 에버스 커루 콜린스 폭스 프리슈 허먼 혼즈비 3루수 댄드리지 로빈슨 린드스톰 매슈스 베이커 보그스 브렛 슈미트 윌슨 존슨 켈 콜린스 트레이너 유격수 데이비스 라킨 로이드 리주토 리즈 립켄 매런빌 밴크로프트 뱅크스 본 부드로 슈얼 스미스 아파리시오 애플링 와그너 욘트 워드 월리스 웰스 잭슨 제닝스 크로닌 트래멜 팅커 외야수 고슬린 그리피 그윈 더피 델라한트 도비 도슨 J. 라이스 S. 라이스 레인스 로빈슨 루스 루시 디마지오 마누시 매카시 맨틀 메드윅 메이스 뮤지얼 버켓 벨 브라운 브록 스나이더 스타젤 스턴스 스피커 슬로터 시먼스 애시번 야스트렘스키 어빈 에런 에이버릴 영스 오루케 오트 와그너 워너 윈필드 B. 윌리엄스 T. 윌리엄스 윌슨 잭슨 찰스턴 칼라인 커레이 커일러 J. 켈리 K. 켈리 콤스 콥 크로퍼드 키너 킬러 클라크 클레멘테 클레인 토리엔테 톰프슨 퍼켓 플릭 하피 해밀턴 헤일먼 헨더슨 후퍼 휘트 힐 감독 더로셔 라 루사 라소다 로빈슨 로페스 매카시 맥 맥그로 맥케시니 사우스워스 셀리 스텡걸 올스턴 앤더슨 위버 윌리엄스 콕스 토리 포스터 해리스 허긴스 허조그 핸런 운영 / 공로 그리피스 드레이퍼스 J. 라이트 H. 라이트 랜디스 리키 La. 맥파일 Le. 맥파일 맨리 배로 벌커리 빅 스팰딩 오맬리 요키 웨이스 윌킨슨 자일스 존슨 채드윅 챈들러 카트라이트 코미스키 쿤 포시 폼페스 프릭 해리지 헐버트 화이트 심판 맥가원 발릭 에번스 차일락 코널리 콘런 클렘 하비 허버드 vdeh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센추리 팀투수 놀런 라이언 샌디 쿠팩스 사이 영 로저 클레멘스 밥 깁슨 월터 존슨 워런 스판 크리스티 매슈슨 레프티 그로브 포수 조니 벤치 요기 베라 내야수 루 게릭 마크 맥과이어 재키 로빈슨 로저스 혼즈비 마이크 슈미트 브룩스 로빈슨 칼 립켄 주니어 어니 뱅크스 호너스 와그너 외야수 베이브 루스 행크 에런 테드 윌리엄스 윌리 메이스 조 디마지오 미키 맨틀 타이 콥 켄 그리피 주니어 피트 로즈 스탠 뮤지얼 vdeh300 승 클럽 사이 영 월터 존슨 크리스티 매슈슨 그로버 클리블랜드 알렉산더 워런 스판 퍼드 갤빈 키드 니콜스 그레그 매덕스 로저 클레멘스 팀 키프 스티브 칼턴 존 클락슨 에디 플랭크 놀런 라이언 돈 서턴 필 니크로 게일로드 페리 톰 시버 찰스 래드번 미키 웰치 톰 글래빈 랜디 존슨 레프티 그로브 얼리 윈 vdeh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영구 결번 3 데일 머피 6 보비 콕스 10 치퍼 존스 21 워런 스판 29 존 스몰츠 31 그레그 매덕스 35 필 니크로 41 에디 매튜스 44 행크 에런 47 톰 글래빈 vdeh밀워키 브레이브스 - 1957년 월드 시리즈 우승 1 델 크랜돌 4 레드 쇼인딘스트 5 펠릭스 만틸라 7 델 라이스 9 조 애드콕 10 밥 불 12 밥 헤이즐 14 프랭크 토리 15 칼 사와츠키 16 데이브 졸리 17 테일러 필립스 18 존 드메릿 20 돈 맥마혼 21 워런 스판 (사이 영 수상) 22 진 콘리 23 조니 로건 25 니피 존스 30 밥 트로브리지 32 어니 존슨 33 루 버뎃 (월드 시리즈 MVP) 34 후안 피사로 41 에디 매슈스 43 웨스 코빙턴 44 행크 에런 (NL MVP) 48 앤디 패프코 감독 2 프레드 해니 코치 3 조니 리들 8 코니 라이언 31 찰리 루트 35 밥 킬리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1486502 LCCN: n91073692 ISNI: 0000 0000 2818 494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워런_스판&oldid=23720328" 분류: 1921년 태어남2003년 죽음미국의 야구 선수보스턴 브레이브스 선수밀워키 브레이브스 선수뉴욕 메츠 선수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선수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사이 영 상 수상자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투수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영구 결번버펄로 (뉴욕주) 출신뉴욕주 출신 야구 선수미국 육군 장교미국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300 승 클럽내셔널 리그 올스타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연도별 투수 성적을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sturianu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Italiano日本語MalagasyPolskiРусскийWinaray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7일 (일) 11: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워런 에드워드 스판(영어: Warren Edward Spahn, 1921년 4월 23일 ~ 2003년 11월 24일)은 전 메이저 리그의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에서 활약한 전설적인 투수이다. 좌완투수로, 통산 363승을 기록하였다. 1973년에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워런 스판의 등에 써있던 번호는 뭐야? Assistant: 21 Human: 아래 가라만테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가라만테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가라만테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가라만테스인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하드리아누스 (117년-138년) 시기 로마 제국의 지도이며, 아프리카 속주 (튀니지, 리비아) 남쪽의 사막 지역에 가라만테스 왕국의 위치를 보여준다. 가라만테스(Garamantes)는 헤로도토스가 언급한 고대 민족이다. 이들은 고대 리비아 남서쪽에 거주했던 철기시대 베르베르족과 일치한다고 여겨진다. 가라만테스는 대략 기원전 500년과 서기 700년 사이에 지방 세력을 구축했다. 그들은 지하 관개 체계를 사용했고, 리비아 페잔 지역과, 사하라 사막에 상당한 왕국이나 도시 국가들을 세웠다. 이들에 대한 문헌 정보는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이들이 남긴 비문은 "...오늘날 투아레그족의 문자인 티피나그 문장의 조상격 언어로써, 여전히 거의 해석할 수가 없다."[1] 이들의 또다른 중요한 정보는 부족정 성장 이전 시기의 삶을 자주 나타낸 많은 암면 미술이다.[출처 필요] 목차 1 역사 2 사회 3 고고학적 유적 4 각주 5 참고 문헌 6 추가 문헌 역사[편집] 이슬람 정복 이전인 서기 600년경 페잔에 가라만테스의 위치. 가라만테스는 기원전 1000년 쯤 페잔에 부족 형태로 있었을 것이다. 그들은 기원전 5세기에 처음으로 기록에서 나타나는데, 헤로도토스에 의하면 이들은 소들을 키우고 과거부터 농사를 지어온 “거대한 국가”이며, 4마리 말이 이끄는 전차를 타고, 사막에 살던 트로글로디타이족 (동굴 거주자들)을 사냥했다고 한다.[2] 로마인들의 묘사에서는 그들이 의식 목적의 상처들과 문신을 지녔다고 기록했다. 타키투스는 이들이 타크파리나스의 반란을 돕고 로마의 해안 도시들을 약탈했다고 썼다. 대 플리니우스에 의하면 로마인들은 가라만테스들의 약탈을 참다 못 참았고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발부스에게 하여금 기원전 19년에 그들의 도시 15곳을 점령하게 했다. 서기 202년에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가라만케스의 수도 가르마 (Garama)를 점령했다.[3] 서기 150년경에 가르만테스 왕국 [오늘날 중부 리비아 (페잔)]은 오늘날 남부 리비아 지역 180,000 평방 킬로미터를 차지하고 있었다. 기원전 400년부터 서기 600년 사이까지 존재했었다. 가라만테스 문화의 쇠퇴는 기후 상태 악화나, 수자원 과사용과 연관이 있었을 것이다.[4] 오늘날의 사막은 한때 풍요로운 농업 용지였고 1500년 전 가라만테스의 관개 체계로 한층 더 상태가 좋았을 것이다. 가라만테스 왕국이 여섯 세기를 보내면서, 비재생 자원인 화석수 같은 지하수들은 바닥을 드러냈다.[5] 가라만테스 왕국은 쇠퇴하고 분열되었다. 사회[편집] 1960년대 고고학자들은 오늘날 게르마 (세바에서 서쪽 150km 떨어짐)에서 가라만테스의 수도 일부를 발굴해냈고 가라마 (Garama, 훨씬 이전의 수도 진체크라는 후기 수도 가르마에서 그리 멀지 않다)라고 이름 붙였다. 최근 연구에서 가라만테스들은 8개의 주요 도시들이 있었다고 나타났으며, 그들 중 세 개는 발굴되었다2004년 기준[update]. 추가로 이들은 다른 많은 도시들도 있었다. 가라마는 4천명 정도의 인구가 있었고, 반경 5 km 내에 다른 도시들에는 인구 6천명이 거주했다 . 가라만테스들은 농부이자 상인이었다. 이들의 식단은 포도, 무화과, 보리, 밀로 이뤄졌다. 수입품들인 포도주, 올리브유, 호롱, 로마제 식탁 기구를 대가로 밀, 소금, 노예 등을 교역했다. 스트라본과 플리니우스에 의하면, 가라만테스들은 티베스티산맥에서 천하석을 채석했다고 한다. 2011년에 에프티미아 니키타 (Efthymia Nikita)는 가라만테스들의 골격이 전투나 활발한 활동이 일반적이지 않음을 나타낸다고 보고했다. "가라만테스들은 업무에 적은 성적 이형성을 나타냈는데, 이는 농업민들에게서 나타나는 패턴과 유사하고 전쟁과 건축 작업에서 남성의 종사가 특별히 부각되지 않았음을 암시한다. [...] 가라만테스는 덜 거친 환경에 사는 다른 북아프리카인들 보다 체계적으로 더 호전적인 모습을 나타내지 않았고, 사하라에서 생존이 매일 강렬한 활동을 요구하지 않음을 나타낸다."[6] 고고학적 유적[편집] 가라만테스 왕국과 관련된 고고학 유적지에는 다양한 무덤, 오시, 매장지들이 포함된다. 가라만테스는 사막 모래 아래 석회암층 아래에 있는 화석수를 이용하는 지하 터널과 샤프트를 건설했다. 이 포그가라의 역사는 논란중이나, 기원전 200년 사이에서 서기 200년 사이에 나타나, 서기 7세기까지 계속 사용되었고 그 후로도 쓰였을 것이다.[7] 이 터널 체계는 베르베르인들에게 포그가라라고 알려졌다. 이 체계는 농업을 번창하게 해줬고, 이것을 유지하는 데에 노예 노동력이 사용되었다. 각주[편집] ↑ Werner, Louis. “Libya's Forgotten Desert Kingdom”. 《saudiaramcoworld.com》. Saudi Aramco World. 2011년 6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15일에 확인함. May/June 2004; Volume 55, Number 3  ↑ 헤로도토스의 역사. 제4권 Melpomene. ↑ Birley (1999), p. 153. ↑ Fall of Gaddafi opens a new era for the Sahara's lost civilisation, Guardian, retrieved 5/11/2011 ↑ Fentress and Wilson (2016) ↑ Nikita, Efthymia (2011). “Activity patterns in the Sahara Desert: An interpretation based on cross-sectional geometric propertie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 146: 423–434. doi:10.1002/ajpa.21597.  ↑ David Mattingly (ed.). 2003. Archaeology of Fazzan. Volume 1, Synthesis. London 참고 문헌[편집] Birley, Anthony R. (1999) [1971]. 《Septimius Severus: The African Emperor》. London: Routledge. ISBN 0-415-16591-1.  N. Barley (Review). Reviewed work(s): Les chars rupestres sahariens: des syrtes au Niger, par le pays des Garamantes et des Atlantes by Henri Lhote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런던 대학교, Vol. 48, No. 1 (1985), pp. 210–210 E.Fentress and A. Wilson: 'The Saharan Berber diaspora and the southern frontiers of Vandal and Byzantine North Africa', in J. Conant and S. Stevens (eds),North Africa under Byzantium and Early Islam, ca. 500 – ca. 800 (Dumbarton Oaks Byzantine Symposia and Colloquia. Washington, D.C.: Dumbarton Oaks Research Library and Collection). 41-63. 추가 문헌[편집] Timothy F. Garrard. Myth and Metrology: The Early Trans-Saharan Gold Trade The Journal of African History, Vol. 23, No. 4 (1982), pp. 443–461 Ulrich Haarmann. The Dead Ostrich Life and Trade in Ghadames (Libya) in the Nineteenth Century. Die Welt des Islams, New Series, Vol. 38, Issue 1 (March 1998), pp. 9–94 R. C. C. Law . The Garamantes and Trans-Saharan Enterprise in Classical Times The Journal of African History, Vol. 8, No. 2 (1967), pp. 181–200 Daniel F. McCall. Herodotus on the Garamantes: A Problem in Protohistory History in Africa, Vol. 26, (1999), pp. 197–217 Count Byron Khun de Prorok. Ancient Trade Routes from Carthage into the Sahara Geographical Review, Vol. 15, No. 2 (April 1925), pp. 190–205 Brent D. Shaw. Climate, Environment and Prehistory in the Sahara. World Archaeology, Vol. 8, No. 2, Climatic Change (October 1976), pp. 133–149 Richard Smith. What Happened to the Ancient Libyans? Chasing Sources across the Sahara from Herodotus to Ibn Khaldun. Journal of World History - Volume 14, Number 4, December 2003, pp. 459–500 John T. Swanson. The Myth of Trans-Saharan Trade during the Roman Era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frican Historical Studies, Vol. 8, No. 4 (1975), pp. 582–600 Belmonte, Juan Antonio; Esteban, César; Perera Betancort, Maria Antonia; Marrero, Rita. Archaeoastronomy in the Sahara: The Tombs of the Garamantes at Wadi el Agial, Fezzan, Libya. Journal for the History of Astronomy Supplement, Vol. 33, 2002 Raymond A. Dart . The Garamantes of central Sahara. African Studies, Volume 11, Issue 1 March 1952, pages 29 – 34 Bryn Mawr Classical Review of David. J. Mattingly (ed.), The Archaeology of Fazzan. Volume 2. Site Gazetteer, Pottery and Other Survey Finds. Society for Libyan Studies Monograph 7. London: The Society for Libyan Studies and Socialist People's Libyan Arab Jamahariya Department of Antiquities, 2007. Pp. xxix, 522, figs. 760, tables 37. ISBN 1-900971-05-4. Karim Sadr (Reviewer): WHO WERE THE GARAMANTES AND WHAT BECAME OF THEM? The Archaeology of Fazzan. Volume I: Synthesis. Edited by DAVID J. MATTINGLY. London: Society for Libyan Studies, and Tripoli: Department of Antiquities, 2003. (ISBN 1-90097-102-X) Review in The Journal of African History (2004), 45: 492-493 Victor Paul Borg. The Garamantes masters of the Sahara. Geographical, Vol. 79, August 2007. Gabriel Camps. Les Garamantes, conducteurs de chars et bâtisseurs dans le Fezzan antique. Clio.fr (2002). Kevin White, David Mattingly. Ancient lakes of the Sahara. American Scientist. January–February 2006. Théodore Monod, L’émeraude des Garamantes, Souvenirs d’un Saharien. Paris: L’Harmattan. (1984). Eamonn Gearon. The Sahara: A Cultural History. Signal Books, UK, 2011.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USA, 201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가라만테스&oldid=24020968" 분류: 아프리카의 옛 나라베르베르의 역사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8년 10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БългарскиCatalàCymraeg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SuomiFrançais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Türkçe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3일 (토) 04: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가라만테스(Garamantes)는 헤로도토스가 언급한 고대 민족이다. 이들은 고대 리비아 남서쪽에 거주했던 철기시대 베르베르족과 일치한다고 여겨진다. 가라만테스는 대략 기원전 500년과 서기 700년 사이에 지방 세력을 구축했다. 그들은 지하 관개 체계를 사용했고, 리비아 페잔 지역과, 사하라 사막에 상당한 왕국이나 도시 국가들을 세웠다. 이들에 대한 문헌 정보는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이들이 남긴 비문은 "...오늘날 투아레그족의 문자인 티피나그 문장의 조상격 언어로써, 여전히 거의 해석할 수가 없다." 이들의 또다른 중요한 정보는 부족정 성장 이전 시기의 삶을 자주 나타낸 많은 암면 미술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가라만테스들의 생활 환경은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가? Assistant: 가라만테스들은 농부이자 상인이었다. 이들의 식단은 포도, 무화과, 보리, 밀로 이뤄졌다. 수입품들인 포도주, 올리브유, 호롱, 로마제 식탁 기구를 대가로 밀, 소금, 노예 등을 교역했다. 스트라본과 플리니우스에 의하면, 가라만테스들은 티베스티산맥에서 천하석을 채석했다고 한다. 2011년에 에프티미아 니키타 (Efthymia Nikita)는 가라만테스들의 골격이 전투나 활발한 활동이 일반적이지 않음을 나타낸다고 보고했다. "가라만테스들은 업무에 적은 성적 이형성을 나타냈는데, 이는 농업민들에게서 나타나는 패턴과 유사하고 전쟁과 건축 작업에서 남성의 종사가 특별히 부각되지 않았음을 암시한다. [...] 가라만테스는 덜 거친 환경에 사는 다른 북아프리카인들 보다 체계적으로 더 호전적인 모습을 나타내지 않았고, 사하라에서 생존이 매일 강렬한 활동을 요구하지 않음을 나타낸다."[6]
Human: 아래 카를_1세_(오스트리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카를 1세 (오스트리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를 1세 (오스트리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카를 1세 지위 오스트리아 황제 재위 1916년 11월 21일~1918년 11월 12일 대관식 1916년 12월 30일 후임자 공화정 수립 (오토 합스부르크로트링겐) 헝가리 사도왕 재위 1916년 11월 21일~1918년 11월 16일 전임자 페렌크 요세프 후임자 호르티 미클로시 (섭정) 신상정보 출생일 1887년 8월 17일(1887-08-17) 출생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퍼센베우그 고트도르프 사망일 1922년 4월 1일 (34세) 사망지 포르투갈 마데이라 가문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가 배우자 부르봉파르마의 치타 카를 1세(독일어: Karl I, 체코어: Karel I. 카렐 1세[*], 헝가리어: I. Károly 카로이 1세[*], 슬로바키아어: Karol I. 카롤 1세, 크로아티아어: Karlo I. 카를로 1세, 1887년 8월 17일 ~ 1922년 4월 1일)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마지막 황제, 오스트리아의 마지막 황제, 헝가리의 마지막 왕, 보헤미아의 마지막 왕, 크로아티아와 슬라보니아, 달마티아의 마지막 왕이자 트란실바니아 마지막 대공이었다. 보헤미아의 국왕 카렐 3세(체코어: Karel III.),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국왕 카로이 4세(헝가리어: IV. Károly, 슬로바키아어: Karol IV., 크로아티아어: Karlo IV.)에 해당한다. 목차 1 생애 1.1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1.2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2 자녀 3 외부 링크 생애[편집] 제1차 세계 대전 이전[편집] 카를 1세는 카를 루트비히 폰 외스터라이히 대공의 차남 오토 프란츠 폰 외스터라이히 대공(1865~1906)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는 그의 종조부였다. 프란츠 요제프 1세는 아들 루돌프 황태자가 자살한 뒤 조카인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을 후계자로 삼았는데 그 또한 사라예보에서 암살되고 말았다. 프란츠 페르디난트는 신분이 낮은 여성과 귀천결혼을 한 상태였기 때문에 그 자식들에겐 제위 계승권이 없었다. 결국 프란츠 페르디난트의 조카인 카를이 합스부르크의 상속자로 책봉되었다. 카를 1세는 평화주의자였는데, 유럽의 각국들과 협상을 통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전쟁을 피해갈 수 있도록 하려했지만, 이탈리아에게 조금도 영토를 내주려하지 않아 그의 노력은 물거품이 되었다. 또한, 그는 프랑스의 알자스-로렌 권리 주장을 옹호하였는데, 이로 인해서 그는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신망을 잃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편집] 제1차 세계 대전 기간동안, 오스트리아의 각 민족들은 민족주의에 영향을 받아 분리독립을 열망했는데, 카를 1세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연방 국가로 만들려고 했지만, 그러기엔 너무 늦은 대처였고, 결국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오스트리아,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유고슬라비아, 폴란드 등의 여러 신생국가로 분할됐다. 1918년 11월 16일 그는 오스트리아의 모든 정무에서 손을 떼었고, 1919년에 스위스로 망명하였다. 그 후 오스트리아 의회는 그를 폐위시켰다. 그 후 헝가리의 국왕 복위를 2번 시도했지만, 제1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의 반대, 헝가리의 호르티 미클로시 섭정의 비협조에 의해서 실패하고, 결국 그는 포르투갈의 마데이라 제도에서 망명하여 그 곳에서 폐렴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지난날 오스트리아에 지배당했던 폴란드 출신의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하여 2004년 10월 3일 복자가 되었다. 자녀[편집] 카를 1세는 치타(1892-1989)와의 사이에 5남 3녀를 두었다. 오토 합스부르크-로트링겐 (1912-2011) - 레기나 폰 작센마이닝겐과 혼인 아델하이트 (1914-1971) 로베르트 카를 루트비히 (1915-1996) - 마르게리타 사보이아와 혼인 펠릭스 프리드리히 (1916-2011) - 안나 오이게니 폰 에렌버크와 혼인 카를 루트비히 합스부르크 (1918-2007) - 욜란데(Yolande) 폰 레지나와 혼인 루돌프 시링구스 합스부르크 (Syringus. 1919-2010) 샤를로테(1921-1998) - 메클렌부르크 공작 게오르크와 혼인 엘리자베트 샤를로테(1922-1993) - 리히텐슈타인 공자(Prinz) 하인리히와 혼인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카를 1세 Filmaufnahmen Karls im Anschluss an die Hochzeit mit Zita von Bourbon-Parma (1911) Porträt Kaiser Karls von Hannes Scheucher 전임프란츠 요제프 1세 오스트리아 황제1916년 11월 21일 ~ 1918년 11월 12일 후임-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 전임페렌츠 요제프 1세 헝가리 사도왕크로아티아 국왕1916년 11월 21일 ~ 1918년 11월 16일 후임호르티 미클로시 전임신설 명목상의오스트리아 황제1918년 11월 12일 ~ 1922년 4월 1일 후임오토 폰 합스부르크 전임신설 명목상의헝가리, 보헤미아, 크로아티아 국왕1918년 11월 16일 ~ 1922년 4월 1일 후임오토 황태자 vdeh오스트리아의 군주바벤베르크 가 레오폴트 1세 (976–994) 하인리히 1세 (994–1018) 알브레히트 (1018–1055) 에른스트 (1055–1075) 레오폴트 2세 (1075–1095) 레오폴트 3세 (1095–1136) 레오폴트 4세 (1137–1141) 하인리히 2세 (1141–1177) 레오폴트 5세 (1177–1194) 프리드리히 1세 (1195–1198) 레오폴트 6세 (1198–1230) 프리드리히 2세 (1230–1246) 대공위 시대 모라비아의 블라디슬라우스 (권리 요구 1246–1247) 바덴 후작 헤르만 6세 (권리 요구 1248–1250) 바덴 후작 프리드리히 1세 (권리 요구 1250–1268) 보헤미아의 오타카르 2세 (권리 요구 1251–1278) 합스부르크 가오스트리아 루돌프 1세 (1278–1282) 알브레히트 1세 (1282–1308) 루돌프 2세 (1282–1283) 루돌프 3세 (1298–1307) 프리드리히 3세 (1308–1330) 레오폴트 1세 (1308–1326) 알브레히트 2세 (1330–1358) 오토 (1330–1339) 프리드리히 4세 (1339–1344) 레오폴트 2세 (1339–1344) 루돌프 4세 (1358–1365) 레오폴트 3세 (1365-1379) 알브레히트 3세 (1365-1395) 알브레히트 4세 (1395-1404) 알브레히트 5세 (1404–1439) 라디슬라우스 포스투무스 (1440–1457) 프리드리히 5세 (1457–1493) 막시밀리안 1세 (1493–1519) 카를 1세 (1519–1521) 페르디난트 1세 (1521–1564) 막시밀리안 2세 (1564–1576) 루돌프 5세 (1576–1608) 마티아스 (1608–1619) 알브레히트 7세 (1619) 페르디난트 3세 (1590, 1619–1637) 페르디난트 4세 (1637–1657) 레오폴트 5세 (1623–1632) 페르디난트 카를 (1632–1662) 지기스문트 프란츠 (1662–1665) 레오폴트 6세 (1657, 1665–1705) 요제프 1세 (1705–1711) 카를 3세 (1711–1740) 마리아 테레지아 (1740–1780) 프란츠 1세 (1740–1765) 요제프 2세 (1765–1790) 레오폴트 7세 (1790–1792) 프란츠 2세 (1792–1804) 프란츠 1세(프란츠 2세) (1804–1835) 페르디난트 1세 (1835–1848) 프란츠 요제프 1세 (1848–1916) 카를 1세 (1916–1918) vdeh헝가리의 군주아르파드 왕조(대공, 850년 ~ 1000년) 알모시 (850–895) 아르파드 (895–907) 졸탄 (907–950) 퍼이스 (950–955) 턱쇼니 (955–972) 게저 (972–997) 이슈트반 1세 (997–1000) 아르파드 왕조(왕, 1000년 ~ 1301년) 이슈트반 1세 (1000–1038) 페테르 (1038–1041; 1044–1046) 샤무엘 (1041–1044) 언드라시 1세 (1046–1060) 벨러 1세 (1060–1063) 셜러몬 (1063–1074) 게저 1세 (1074–1077) 라슬로 1세 (1077–1095) 칼만 (1095–1116) 이슈트반 2세 (1116–1131) 벨러 2세 (1131–1141) 게저 2세 (1141–1162) 이슈트반 3세 (1162–1172) 라슬로 2세 (1162–1163) 이슈트반 4세 (1163–1165) 벨러 3세 (1172–1196) 임레 (1196–1204) 라슬로 3세 (1204–1205) 언드라시 2세 (1205–1235) 벨러 4세 (1235–1270) 이슈트반 5세 (1270–1272) 라슬로 4세 (1272–1290) 언드라시 3세 (1290–1301) 프르셰미슬 왕조 벤첼 (1301–1305) 비텔스바흐 왕조 오토 (1305–1307) 앙주 왕조 카로이 1세 (1308–1342) 러요시 1세 (1342–1382) 마리어 1세 (1382–1385; 1386–1395) 카로이 2세 (1385–1386) 룩셈부르크 왕조 지그몬드 (1387–1437) 합스부르크 왕조 얼베르트 (1437–1439) 라슬로 5세 (1440–1457) 야기에우워 왕조 울라슬로 1세 (1440–1444) 후녀디 왕조 마차시 1세 (1458–1490) 야기에우워 왕조 울라슬로 2세 (1490–1516) 러요시 2세 (1516–1526) 서포여이 왕조 야노시 (1526–1540) 야노시 지그몬드 (1540–1570) 합스부르크 왕조 페르디난드 1세 (1526–1564) 믹셔 (1564–1576) 루돌프 (1576–1608) 마차시 2세 (1608–1619) 페르디난드 2세 (1619–1637) 페르디난드 3세 (1637–1657) 페르디난드 4세 (1647–1654) 리포트 1세 (1657–1705) 요제프 1세 (1705–1711) 카로이 3세 (1711–1740) 마리어 2세 테레지어 (1740–1780)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요제프 2세 (1780–1790) 리포트 2세 (1790–1792) 페렌츠 (1792–1835) 페르디난드 5세 (1835–1848) 페렌츠 요제프 (1848–1916) 카로이 4세 (1916–1918) vdeh보헤미아 군주프르셰미슬조(공작, 870년경-1198년) 보르지보이 1세 스피티흐네프 1세 브라티슬라프 1세 바츨라프 1세 볼레슬라프 1세 볼레슬라프 2세 볼레슬라프 3세 블라디보이 볼레슬라프 4세 야로미르 올드르지흐 브르제티슬라프 1세 스피티흐네프 2세 브라티슬라프 2세 콘라트 1세 브르제티슬라프 2세 보르지보이 2세 스바토플루크 블라디슬라프 1세 소베슬라프 1세 블라디슬라프 2세 베드르지흐 소베슬라프 2세 콘라트 2세 바츨라프 2세 오타카르 1세 브르제티슬라프 3세 블라디슬라프 3세 프르셰미슬조(국왕, 1198년-1306년) 오타카르 1세 바츨라프 1세 오타카르 2세 바츨라프 2세 바츨라프 3세 비왕조 인드르지흐 코루탄스키 루돌프 1세 루쳄부르스키조 얀 맹인왕 카렐 4세 (카렐 1세) 바츨라프 4세 지크문트 합스부르크조 알브레흐트 라디슬라프 포흐로베크 비왕조 이르지 스 포데브라트 마티아시 1세 (마티아시 코르빈) 야기에우워조 블라디슬라프 2세 루드비크 합스부르크조 페르디난트 1세 막스밀리안 루돌프 2세 마티아시 2세 페르디난트 2세 프리드리흐 페르디난트 3세 페르디난트 4세 레오폴트 1세 요세프 1세 카렐 2세 카렐 알베르트 마리에 테레지에 합스부르크로트링겐조 요세프 2세 레오폴트 2세 프란티셰크 1세 페르디난트 5세 프란티셰크 요세프 1세 카렐 3세 vdeh크로아트인의 왕크로아티아 공작(카롤루스 제국의 봉신) (전대 이름 미상) 포르가 비셰슬라브 보르나 블라디슬라프 미슬라브 트르피미르 1세 도마고이 일리코? 즈데슬라브 브라니미르 문치미르 토미슬라브 트르피미로비치조 토미슬라브 트르피미르 2세 크레시미르 1세 미로슬라브 미하일로 크레시미르 2세 & 옐레나 스체판 드르지슬라브 스베토슬라브 수로냐 고이슬라브 & 크레시미르 3세 스체판 1세 페타르 크레시미르 4세 대왕 드미타르 즈보니미르 스체판 2세 스바치치조(명목왕) 페타르 스바치치 아르파드조(헝가리와 동군연합) 옐레나 리예파 라디슬라브 1세 아르파도비치 알모시 (공작) 콜로만 애독왕 스체판 3세 벨라 2세 맹인왕 게이자 2세 스체판 4세 라디슬라브 2세 스체판 5세 벨라 3세 에메리크 라디슬라브 3세 안드리야 1세 벨라 4세 스체판 6세 라디슬라브 4세 안드리야 2세 카페조(헝가리·나폴리와 동군연합) 카를로 마르텔 카를로 1세 로베르트 루도비크 1세 대왕 마리야 1세 안주빈스카 카를로 2세 드라츠키 룩셈부르크조(헝가리·보헤미아와 동군연합) 지그문드 1세 룩셈부르슈키 야기에우워조(폴란드·보헤미아와 동군연합) 블라디슬라브 1세 야겔로비치 블라디슬라브 2세 야겔로비치 루도비크 2세 후녀디가(보헤미아와 동군연합) 마티야 1세 까마귀왕 합스부르크조(오스트리아·헝가리·보헤미아와 동군연합) 알베르트 1세 라디슬라브 5세 유복자왕 페르디난드 1세 합스부르슈키 막시밀리얀 1세 루돌프 1세 마티야 2세 페르디난드 2세 페르디난드 3세 레오폴드 1세 요시프 1세 카를로 3세 마리야 2세 테레지야 합스부르크로트링겐조(오스트리아·헝가리·보헤미아와 동군연합) 요시프 2세 레오폴드 2세 프라뇨 1세 페르디난드 4세 프라뇨 요시프 1세 카를로 4세 vdeh오스트리아 대공1세대 프리드리히 5세 알브레히트 6세 지기스문트 2세대 크리스토퍼 대공 막시밀리안 1세 요한 대공 볼프강 대공 3세대 펠리페 1세 프란츠 대공 4세대 카를로스 1세 페르디난트 1세 5세대 펠리페 2세¹ 막시밀리안 2세 페르디난트 2세 페르난도 대공¹ 후안 대공¹ 요한 대공 페르난도 대공¹ 카를 2세 6세대 아스투리아스 공 돈 카를로스¹ 페르디난트 대공 루돌프 5세 에른스트 대공 마티아스 막시밀리안 3세 알브레히트 7세 벤첼 대공 프리드리히 대공 카를 대공 아스투리아스 공 페르난도¹ 페르디난트 대공 카를로스 로렌소 대공¹ 아스투리아스 공 디에고¹ 펠리페 3세¹ 페르디난트 3세 카를 대공 막시밀리안 에른스트 대공 레오폴트 5세 카를 대공 7세대 카를 대공 펠리페 4세¹ 필리프 대공 요한카를 대공 알브레히트 대공 카를 대공¹ 페르디난트 4세 페르난도 대공¹ 알폰소 마우리시오 대공 레오폴트 빌헬름 대공 페르디난트 카를 대공 지기스문트 프란츠 대공 8세대 아스투리아스 공 발타사르 카를로스¹ 페르디난드 4세 프란치스코 페르난도 대공¹ 필리프 아우구스트 대공 막시밀리안 토마스 대공 레오폴트 6세 카를 요제프 대공 페르디난트 요제프 알로이스 대공 아스투리아스 공 펠리페 프로스페로¹ 페르난도 토마스 대공¹ 카를로스 2세¹ 9세대 페르디난트 벤첼 대공 요한 레오폴트 대공 요제프 1세 레오폴트 요제프 대공 카를 3세 10세대 레오폴트 요제프 대공 레오폴트 요한 대공 11세대 요제프 2세² 카를 루트비히 대공² 레오폴트 7세² 브라이스가우 공작 페르디난트² 쾰른 대주교 막시밀리안 프란츠² 12세대 프란츠 2세² 페르디난도 3세² 테셴 공작 카를² 헝가리 부왕 레오폴트 대공² 헝가리 부왕 요제프 대공² 안톤 빅토어 대공² 요한 대공² 레니에르 요제프 대공² 루트비히 대공² 루돌프 대공² 요제프 프란츠 대공³ 프란체스코 4세³ 페르디난트 카를 요제프³ 막시밀리안 대공³ 헝가리 대주교 카를³ 13세대 페르디난트 1세 프란체스코 레오폴도 대공² 레오폴도2세² 요제프 프란츠 대공 프란츠 카를 대공 요한 네푸모크 대공 테셴 공작 알브레히트 대공 헝가리 부왕 슈테판 카를 페르디난트 대공 프란체스코 5세³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 대공 오스트리아에스테 대공 페르디난트 카를 빅토어³ 루돌프 대공 레오폴트 루트비히 대공 에른스트 카를 대공 알렉산더 대공 지기스문트 레오폴트 대공 레니에르 페르디난트 대공 빌헬름 프란츠 대공 하인리히 안톤 대공 막시밀리안 카를 대공 요제프 카를 14세대 프란츠 요제프 1세 막시밀리아노 1세 카를 루트비히 대공 루트비히 빅토어 대공 페르디난도 4세² 카를 잘바토어² 레니에르 대공² 루트비히 잘바토어 대공² 요한 잘바토어 대공² 카를 대공 프란츠 요제프 대공 프리드리히 대공 카를 슈테판 대공 오이겐 대공 요제프 아우구스트 대공 라디슬라우스 대공 15세대 루돌프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³ 오토 프란츠 대공 페르디난트 카를 대공 레오폴도 페르디난도 대공² 요제프 페르디난도 대공² 피터 페르디난도 대공² 하인리히 페르디난도 대공² 로베르토 페르디난도 대공² 레오폴도 잘바토어 대공² 프란츠 잘바토어² 알브레히트 잘바토어 대공² 레니에르 잘바토어 대공² 페르디난트 잘바토어 대공² 테셴 공작 알브레히트 프란츠 대공 카를 알브레히트 대공 레오 카를 바실 비슈비아니 요제프 프란츠 대공 라디슬라우스 요제프 대공 마티아스 대공 16세대 카를 1세 막시밀리안 오이겐 대공 가트프리트 대공² 게오르크 대공² 레니에르 대공² 레오폴트 마리아 대공² 안톤 대공² 프란츠 요제프 대공² 카를 피우스 대공² 프란츠 카를 대공² 휴베르트 잘바토어 대공² 테오도르 잘바토어 대공² 클레멘스 잘바토어 대공² 요세프 아라파드 대공 이슈트반 대공 게저 대공 미카엘 콜로만 대공 17세대 오토 황태자 로베르트 대공³ 펠릭스 대공 카를 루트비히 대공 루돌프 대공 페르디난트 카를 대공 하인리히 마리아 대공 레오폴도 프란츠 대공² 군트람 대공² 라트보트 대공² 요한 대공² 게오르크 대공² 슈테판 대공² 도미니크 대공² 프리드리히 잘바토어 대공² 안드레아스 잘바토어 대공² 마르쿠스 대공² 요한 대공² 미하엘 대공² 프란츠 잘바토어 대공² 카를 잘바토어 대공² 요제프 카를 대공 안드레아스 아우구스틴스 대공 니콜라스 프란츠 대공 요한 제이콥 대공 에두아르트 카를 대공 파울 루돌프 대공 18세대 카를 대공 게오르크 대공 로렌츠 대공³ 게르하르트 대공³ 마르틴 대공³ 카를 필리프 대공 레이먼드 요제프 대공 이슈트반 대공 루돌프 대공 카를 크리스티안 대공 카를 피터 대공 시메온 대공 요하네스 대공 막시밀리안 하인리히 대공 필리프 요아힘 대공 프란츠 카를 대공 콘라드 대공 시기즈먼드² 게오르크 대공² 군트람 대공² 레오폴트 대공² 알렉산더 잘바토어 대공² 타디우스 잘바토어 대공² 카지미르 잘바토어 대공² 마티아스 대공² 요하네스 대공² 베른하르트 대공² 베네딕트 대공 요제프 알브레히트 대공 파울 레오 대공 프리드리히 키프리안 대공 베네딕트 알렉산더 대공 니콜라스 대공 산티아고 대공 파울 베네딕트 대공 19세대 페르디난트 즈보니미르 대공 카를 콘스탄틴 대공 아마데오 대공³ 조아생 대공³ 바르톨로메오스 대공³ 에마누엘레 대공³ 펠릭스 카를 대공 안드레아스 프란츠 대공 파울 요하네스 대공 카를 크리스티안 대공 요하네스 대공 토마스 대공 프란츠 루트비히 대공 미하엘 대공 요제프 대공 임레 대공 임레 대공 크리스토프 대공 알렉산더 대공 로렌츠 카를 대공 빌헬름 대공 요하네스 대공 루트비히 대공 필리프 대공 니콜라스 대공 콘스탄틴 대공 제이콥 막시밀리안 대공 레오폴트 아마데오 대공² 막시밀리안 대공² 레오폴트 대공² 콘스탄틴 잘바토어 대공² 파울 잘바토어 대공² ¹스페인 왕자 겸임/ ²토스카나 공자 겸임 / ³모데나 공자 겸임 전거 통제 WorldCat VIAF: 76310427 LCCN: n50046481 ISNI: 0000 0000 6635 219X GND: 118560077 SELIBR: 302517 SUDOC: 027668444 BNF: cb11886669d (데이터) NDL: 01114655 NKC: jn20000700856 BNE: XX177846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카를_1세_(오스트리아)&oldid=24228781" 분류: 1887년 태어남1922년 죽음로마 가톨릭교도 군주오스트리아의 군주오스트리아 대공헝가리의 군주보헤미아의 군주크로아트인의 왕합스부르크로트링겐가프라하 카렐 대학교 동문흑수리 훈장 수훈자푸르 르 메리트 군사훈장 수훈자대십자 막스 요제프 군사훈장 수훈자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시복한 복자오스트리아의 로마 가톨릭교도포르투갈에 거주한 오스트리아인숨은 분류: 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체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헝가리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슬로바키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크로아티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rezhonegBosanski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atinaLëtzebuergeschLietuviųLatviešuمازِرونی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est-Vlams吴语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6일 (목) 06: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카를 1세(독일어: Karl I, 체코어: Karel I. 카렐 1세[*], 헝가리어: I. Károly 카로이 1세[*], 슬로바키아어: Karol I. 카롤 1세, 크로아티아어: Karlo I. 카를로 1세, 1887년 8월 17일 ~ 1922년 4월 1일) 또는 카를 8세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마지막 황제, 오스트리아의 마지막 황제, 헝가리의 마지막 왕, 보헤미아의 마지막 왕, 크로아티아와 슬라보니아, 달마티아의 마지막 왕이자 트란실바니아 마지막 대공이었다. 보헤미아의 국왕 카렐 3세(체코어: Karel III.),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국왕 카로이 4세(헝가리어: IV. Károly, 슬로바키아어: Karol IV., 크로아티아어: Karlo IV.)에 해당한다. 2004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로마 가톨릭 복자로 시복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카를에게 합스부르크의 상속권이 넘어간 이유는 무엇인가? Assistant: 카를 1세는 카를 루트비히 폰 외스터라이히 대공의 차남 오토 프란츠 폰 외스터라이히 대공(1865~1906)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는 그의 종조부였다. 프란츠 요제프 1세는 아들 루돌프 황태자가 자살한 뒤 조카인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을 후계자로 삼았는데 그 또한 사라예보에서 암살되고 말았다. 프란츠 페르디난트는 신분이 낮은 여성과 귀천결혼을 한 상태였기 때문에 그 자식들에겐 제위 계승권이 없었다. 결국 프란츠 페르디난트의 조카인 카를이 합스부르크의 상속자로 책봉되었다. Human: 아래 다카기_요시카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다카기 요시카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카기 요시카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카기요시카즈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카기 요시카즈高木 由一 Yoshikazu Takagi 기본 정보 국적 일본 생년월일 1949년 3월 13일(1949-03-13) (70세) 출신지 가나가와현 아이코 군 아이카와 정 신장 178 cm 체중 82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좌투좌타 수비 위치 우익수 프로 입단 연도 1971년 드래프트 순위 드래프트 번외 첫 출장 1972년 9월 2일 마지막 경기 1987년 6월 18일 경력 선수 경력 사가미하라 시청 다이요 웨일스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1972 ~ 1987) 감독·코치 경력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요코하마 베이스타스(1988 ~ 2009) 톈진 라이언스(2010)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2011 ~ 2013) 다카기 요시카즈 일본어식 한자 표기: 高木 由一 가나 표기: たかぎ よしかず 국립국어원 표준 표기: 다카기 요시카즈 통용 표기: 타카기 요시카즈 로마자: Yoshikazu Takagi 다카기 요시카즈(일본어: 高木 由一, 1949년 3월 13일 ~ )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야구 지도자이다. 1976년까지는 등록명을 高木 好一(동음), 1982년까지는 高木 嘉一(동음)로 하고 있었고 현역 시절의 별명은 톳짱(とっつぁん), 프로 야구계에서는 드물게 지방공무원 출신으로 알려져 있다. 목차 1 인물 2 상세 정보 2.1 출신 학교 2.2 선수 경력 2.3 지도자 경력 2.4 개인 기록 2.4.1 첫 기록 2.4.2 기록 달성 경력 2.4.3 기타 2.5 등번호 2.6 등록명 2.7 연도별 타격 성적 3 각주 인물[편집] 고교 시절은 2학년 때부터 야구부에 소속됐는데 고등학교 야구부원이 10명 정도 밖에 없었고 감독도 없는 팀이었다. 사가미하라 시청을 거쳐 입단 테스트를 통해서 1971년 드래프트 번외로 다이요 웨일스에 입단해 현역 시절에는 중거리 타자로서 활약했고 당초에는 대타로서의 출전이 많았다. 1973년의 시즌 종료 후 전력외 선수로 분류되었지만 당시 소속하고 있던 클리트 보이어가 구단에 담판을 지어 잔류하게 됐다. 보이어는 다카기에게 관심을 갖게돼 퇴단할 시에는 자신의 등번호를 양보했다. 1977년 주전 외야수였던 에지리 아키라가 머리 부분에 사구를 받아 전력에서 이탈된 것을 계기로 주전을 차지해 이후에는 팀의 핵심이 되어 마쓰바라 마코토가 방출된 이후에는 4번 타자로서 활약했다. 현역 말년에는 대타로서 자주 출전했고 1987년에는 현역에서 은퇴했다. 1988년부터 2009년까지 팀의 전신인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요코하마 베이스타스를 통해서 22년간 코치를 역임했는데 1998년 요코하마가 우승할 당시에는 ‘머신건 타선의 아버지’라고 불리었고 입단 이후부터 38년간 단 한 번도 구단이나 현장에서 떨어지는 일도 없이 소속됐다. 1군 타격 코치(1993년 ~ 2001년, 2003년), 2군 타격 코치(1988년 ~ 1992년), 2군 수석 코치(2008년), 2군 수석 겸 타격 코치(2009년), 육성 코치(2004년 ~ 2007년), 2군 종합 코치(2002년) 등을 두루 맡았다. 특히 1군 타격 코치 시절인 1997년부터 1998년에는 스즈키 다카노리, 1999년에는 로버트 로즈, 2000년에는 긴조 다쓰히코 등의 타자들을 4년 연속 수위 타자를 배출했다. 2009년에는 2군 팀인 쇼난 시렉스 수석 겸 타격 코치를 맡고 있었지만 1군 감독인 오야 아키히코가 5월 18일 부로 감독직에서 물러나면서 쇼난 시렉스 감독인 다시로 도미오가 1군 감독 대행으로 승격한 것에 의해 쇼난 시렉스 감독 대행으로 부임하여 시즌 종료 때까지 맡았다. 2010년부터는 구단 프런트에 이동, 베이스타스에 소속하면서 우호 구단인 중국야구리그 톈진 라이언스 감독(총교련)으로서 파견돼 1년간 지휘를 맡았다. 2011년에는 8년 만에 요코하마에 복귀하여 1군 타격 코치를 맡았고 2012년에는 2군 타격 코치, 2013년에는 2군 타격 수석 코치를 맡았다. 2013년 10월 1일에 구단으로부터 코치 계약을 맺지 않겠다는 통보를 받고 나카네 히토시와 함께 퇴단했다.[1] 상세 정보[편집] 출신 학교[편집] 아자부 대학부속 후치노베 고등학교 선수 경력[편집] 사가미하라 시청 다이요 웨일스·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1972년 ~ 1987년) 지도자 경력[편집]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2군 타격 코치(1988년 ~ 1992년)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1군 타격 코치(1993년 ~ 2001년, 2003년, 2011년) 쇼난 시렉스 종합 코치(2002년) 쇼난 시렉스 육성 코치(2004년 ~ 2007년) 쇼난 시렉스 수석 코치(2008년) 쇼난 시렉스 수석 겸 타격 코치(2009년) 쇼난 시렉스 감독 대행(2009년) 톈진 라이언스 감독(2010년)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2군 타격 코치(2012년)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2군 타격 수석 코치(2013년) 개인 기록[편집] 첫 기록[편집] 첫 출장·첫 선발 출장 : 1972년 7월 2일, 대 주니치 드래건스 22차전(가와사키 구장), 1번·좌익수로서 선발 출장 첫 타석·첫 안타 : 상동, 1회말에 이나바 미쓰오로부터 우중간 2루타 첫 타점 : 1975년 7월 16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18차전(고라쿠엔 구장), 9회초에 오가와 구니카즈로부터 우전 적시타 첫 홈런 : 1976년 5월 12일, 대 야쿠르트 스왈로스 7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5회초에 와타나베 다카히로로부터 솔로 홈런 기록 달성 경력[편집] 통산 1000경기 출장 : 1985년 6월 4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10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 7회말에 가케하타 미쓰노리의 대타로서 출장 ※역대 254번째 통산 100홈런 : 1985년 8월 15일, 대 주니치 드래건스 16차전(나고야 구장), 6회초에 가시마 다다시로부터 좌월 솔로 홈런 ※역대 140번째 기타[편집] 올스타전 출장 : 2회(1977년, 1978년) 등번호[편집] 81(1972년) 35(1973년 ~ 1974년) 63(1975년 ~ 1976년) 6(1977년 ~ 1987년) 99(1988년 ~ 1992년)[2] 78(1993년 ~ 2009년, 2011년 ~ 2013년) 등록명[편집] 高木 好一(1972년 ~ 1976년) 高木 嘉一(1977년 ~ 1982년) 高木 由一(1983년 ~ ) 연도별 타격 성적[편집] 연도 소속 경기 타석 타수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루타 타점 도루 도루자 희생번 희생플 볼넷 고의사구 몸맞 삼진 병살타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1972년 다이요 7 13 13 1 1 1 0 0 2 0 0 0 0 0 0 0 0 6 0 .077 .077 .154 .231 1974년 2 2 2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000 .000 .000 .000 1975년 12 25 22 1 6 4 0 0 10 1 0 1 0 0 2 0 1 6 0 .273 .360 .455 .815 1976년 94 215 201 25 56 13 0 7 90 24 3 1 1 1 11 1 1 40 6 .279 .318 .448 .766 1977년 125 484 433 68 140 28 0 20 228 73 3 3 4 0 45 1 2 68 6 .323 .390 .527 .916 1978년 126 518 451 78 147 30 2 23 250 80 2 4 4 4 56 1 3 58 10 .326 .401 .554 .955 1979년 89 308 274 32 77 12 2 6 111 40 1 1 2 1 30 1 1 56 5 .281 .353 .405 .758 1980년 128 517 460 62 130 24 3 12 196 56 5 6 3 5 47 2 2 88 12 .283 .348 .426 .774 1981년 115 432 382 44 103 17 1 9 149 50 7 8 2 1 43 3 4 69 4 .270 .349 .390 .739 1982년 92 326 289 33 82 12 6 10 136 35 0 4 4 1 30 1 2 45 4 .284 .354 .471 .825 1983년 78 221 195 25 72 13 0 6 103 36 1 2 0 2 24 1 0 21 5 .369 .434 .528 .963 1984년 100 309 271 26 74 11 1 6 105 35 0 1 0 0 37 8 1 40 14 .273 .362 .387 .750 1985년 93 168 147 12 44 7 1 3 62 17 1 1 0 0 20 3 1 33 5 .299 .387 .422 .809 1986년 69 102 91 3 22 6 0 0 28 14 1 0 0 1 10 3 0 15 3 .242 .314 .308 .621 1987년 17 16 16 0 3 0 0 0 3 2 0 0 0 0 0 0 0 4 1 .188 .188 .188 .375 통산 : 15년 1147 3656 3247 410 957 178 16 102 1473 463 24 32 20 16 355 25 18 550 75 .295 .366 .454 .820 1973년은 1군 출장 없음. 각주[편집] ↑ 관련 내용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2013년 10월 1일 ↑ 만화 등의 창작물에서는 1960년대 후반 무렵부터 1970년대에 걸쳐 방송된 《거인의 별》에서는 다이요의 선수로서 등장하고 있던 사몬 호사쿠의 등번호로서 사용됐고 그 후 1986년부터 1988년에 걸쳐 만화 《남자의 자화상》으로 등장한 가가 후미아키의 등번호로 사용되고 있었지만 같은 구단에 소속된 선수가 실제로 사용한 것은 이것이 처음이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다카기_요시카즈&oldid=22933562" 분류: 1949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일본의 야구 선수일본 프로 야구 외야수다이요 웨일스 선수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선수일본의 야구 감독가나가와현 출신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연도별 타격 성적을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6일 (화) 17:4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다카기 요시카즈(일본어: 高木 由一, 1949년 3월 13일 ~ )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야구 지도자이다. 1976년까지는 등록명을 高木 好一(동음), 1982년까지는 高木 嘉一(동음)로 하고 있었고 현역 시절의 별명은 톳짱(とっつぁん), 프로 야구계에서는 드물게 지방공무원 출신으로 알려져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다카기 요시카즈가 다이요 웨일스에 입단했던 해는 언제인가요? Assistant: 1971년
Human: 아래 넥슨_카트라이더_리그_시즌_제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제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제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제로 리그 기간 2014년 2월 8일 ~ 2014년 3월 29일 주최 넥슨 주관 넥슨, SPO TV 게임즈 후원사 넥슨 참가 팀 8팀 참가 선수 32명 리그 우승 서한-퍼플 모터스포트(최영훈, 정재훈, 박인재, 이은택) 게임 버전 카트라이더 총 상금 48,000,000원 (시즌 넘어가기) ←이전다음→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제로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SEASON ZERO는 첫 번째 SPO TV 게임즈 카트라이더 리그이며, 기존 온게임넷에서 열렸던 리그를 포함하면 18번째 카트라이더 리그이나, 기존에 열렸던 리그와 차별성을 두기 위해 '18차리그'라는 명칭 대신, '시즌 제로'로 명칭을 정하였다.[1] 목차 1 기간 1.1 예선 1.2 본선 2 특이사항 3 트랙 3.1 스피드전 3.2 아이템전 4 상금 5 참가선수 6 경기진행 방식 6.1 1세트 스피드전 6.2 2세트 아이템전 6.3 3세트 랜덤전 7 리그 본선 8 대회 결과 9 중계진 10 각주 기간[편집] 예선[편집] 온라인 신청: 2014년 1월 3일 ~ 2014년 1월 12일 일정: 2014년 1월 18일 ~ 2014년 1월 19일 장소: 신도림 인텔 e스타디움 본선[편집] 리그일정 : 2014년 2월 8일 ~ 2014년 3월 29일 방송시간 : 매주 토요일 오후 7시(단, 2014년 3월 1일은 오후 2시) 장소: 강남 넥슨 아레나 특이사항[편집] 온게임넷에서 SPO TV 게임즈로 주관 및 방송사가 변경되었다. 카트라이더 리그가 비공인 리그로 전환되었다. 이와 동시에 카트라이더 리그 최초로 HD로 전환되었다. 카트라이더 정규리그 최초로 스피드전과 아이템전이 동시에 열렸다. 온라인 신청은 예선(그랑프리 등)으로 선발하는 것에서 홈 페이지에서 신청하면 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다만 신청자가 너무 많을 경우 RP 기준으로 각각 오프라인 예선에 참가할 512명을 선발한다. 실제 활동 중인 8개의 F-1 카트레이서 선수가 감독 자격으로 리그를 참여 및 프런트 역할을 한다. 팀 구성은 감독, 매니저(레이싱 모델), 스피드전 선수 3명, 아이템전 선수 1명 총 6명이 한 팀을 이룬다. 매주 카트 인 피트라는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방영한다. 8강에서 단 1경기도 3세트 랜덤전이 열리지 않았으며, 모두 2:0으로 경기가 끝났다. 전대웅, 이중선, 강진우의 충격적인 8강 탈락* 유영혁,박인재 2연속 동시 결승전 진출 박인재의 2연속 우승(17차리그, 시즌제로) 95경기를 치뤘음 박인재 선수의 문호준, 유영혁을 이은 역대 3번째 3회 우승과 문호준,유영혁에 이은 역대 3번째 2회 연속 우승 트랙[편집] 스피드전[편집] 비치 해변 드라이브 빌리지 손가락 동화 잠자는 숲속의 거인 포레스트 대관령 광산 꼬불꼬불 다운힐 차이나 서안 병마용 차이나 상해 동방명주[2] 놀이동산 360 타워 WKC 브라질 서킷 WKC 투어링 랠리 아이템전[편집] 광산 뽀글뽀글 용암굴 공동묘지 유령의 계곡 해적 어질어질 부둣가 빌리지 시계탑[3] 노르테유 허공의 갈림길 아이스 신나는 하프파이프 동화 카드왕국의 미로 팩토리 핀저의 위험한 적재소 브로디 거대한 에너지 생산기 상금[편집] 총상금 : 4800만원 우승 : 2400만원 2위 : 1200만원 3위 : 800만원 4위 : 400만원 참가선수[편집] 팀명 감독 매니저 선수 (스피드) 선수 (아이템) CJ 레이싱 최해민 한채이 전대웅, 원상원, 노종환 한동훈 E-레인 오한솔 류지혜 김성록,이중대,조성제 장진형 Team 106 정연일 김하율 이동민, 신동이, 유영혁 홍석현 인제 스피디움 김동은 최별이 한주성, 문민기, 이중선 김형태 SL 모터스포트 임민진 조상히 박건웅, 안성수, 김승래 김강산 팀 챔피언스 김현철 이효영 김주원, 이준성, 박현호 신현준 서한-퍼플 모터스포트 장현진 방은영 최영훈, 정재훈, 박인재 이은택 모터타임 장진성 김하음 최성연, 정현우, 강진우 박천원 경기진행 방식[편집] 8개의 팀이 출전하며,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 1세트, 2세트는 7전 4선승제이며, 3세트는 3전 2선승제이다. 같은 팀 내에서는 동일한 카트바디의 탑승이 불가능하다. 1세트 스피드전[편집] 1경기부터 3경기까지는 스피드 선수 3:3으로 진행하며, 4경기부터 7경기까지는 각 팀의 아이템 선수 2명이 추가로 출전, 4:4로 진행한다. 점수 합산은 카트라이더 스피드 팀전의 팀 포인트 정산 방식을 그대로 적용한다. 1등 10점, 2등 8점, 3등 6점, 4등 5점, 5등 4점, 6등 3점, 7등 2점, 8등 1점, Retire 0점 매 경기마다 모든 팀원의 순위 합산을 해서 점수가 가장 높은 팀이 승리를 거두게 되는데, 합산된 팀 포인트가 동일할 경우 1위를 한 선수가 속한 팀이 승리한다. 2세트 아이템전[편집] 1경기는 각 팀의 감독과 매니저가 출전하며, 2:2로 경기를 진행한다. 트랙은 빌리지 시계탑만 사용한다. 2경기부터 7경기까지는 각 팀의 선수가 4:4로 진행한다. 스피드전과 달리 아이템전은 1등을 한 선수의 팀이 승리하는 방식이다. 3세트 랜덤전[편집] 1경기는 아이템전, 2경기는 스피드전, 3경기는 스피드 개인전 1:1로 진행한다. 트랙은 아이템전(1경기)과 스피드전(2, 3경기) 트랙 중 1개를 랜덤으로 지정하여 진행한다. 3경기는 각 팀에서 에이스로 꼽히는 선수 1명을 내보내어, 1:1 에이스 결정전으로 진행한다. 리그 본선[편집] 8강전 준결승전 결승전                               CJ 레이싱  0   E-Rain  2    E-Rain  1    Team 106  2     Team 106  2   인제 스피디움  0    Team 106  1    서한-퍼플 모터스포트  2   SL 모터스포츠  2   팀 챔피언스  0    SL 모터스포츠  0 3·4위전    서한-퍼플 모터스포트  2     서한-퍼플 모터스포트  2  E-Rain  2   모터타임  0    SL 모터스포츠  0 대회 결과[편집] 우승 : 서한-퍼플 모터스포트 준우승 : Team 106 3위 : E-Rain 4위 : SL 모터스포츠 중계진[편집] 캐스터 : 성승헌 해설 : 정준, 김대겸 VJ : 김하음[4] 카트걸 : 장은서[5] 각주[편집] ↑ “보관 된 사본”. 2014년 3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3월 15일에 확인함.  ↑ 4강부터 공식 맵으로 사용하였다. 사막 피라미드 탐험 이후로 역대 두 번째로 리그 스피드전에 쓰이는 아이템전 트랙이다. ↑ 단, 이 맵은 2세트(아이템전) 1경기 팀장과 매니저와의 2:2 경기에만 사용한다.(3세트 제외) ↑ 카트 인 피트 5회까지 출연 ↑ 카트 인 피트 6회부터 출연 SPO TV 게임즈 카트리그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넥슨 카트라이더 17차리그 (2012.12.13 ~ 2013.2.17)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제로 (2014.2.8~2014.3.29)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배틀로얄 (2014.9.27~2014.11.29) vdeh카트라이더 리그2005년 ~ 2008년 1차리그 2차리그 3차리그 4차리그 5차리그 6차리그 7차리그 8차리그 9차리그 10차리그 2010년 ~ 2013년 11차리그 12차리그 13차리그 팀 스피릿 14차리그 15차리그 16차리그 17차리그 2014년~ 시즌 제로 배틀 로얄 에볼루션 버닝 타임 듀얼 레이스 듀얼 레이스 시즌 2 듀얼 레이스 시즌 3 2019 시즌 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넥슨_카트라이더_리그_시즌_제로&oldid=23712581" 분류: 카트라이더 리그2014년 이스포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2월 16일 (토) 02: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SEASON ZERO는 첫 번째 SPO TV 게임즈 카트라이더 리그이며, 기존 온게임넷에서 열렸던 리그를 포함하면 18번째 카트라이더 리그이나, 기존에 열렸던 리그와 차별성을 두기 위해 '18차리그'라는 명칭 대신, '시즌 제로'로 명칭을 정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제로에서 CJ 레이싱은 어떤 선수가 아이템전에 출전했을까? Assistant: 한동훈 Human: 아래 서울_내곡동_예비군_훈련장_총기_난사_사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서울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 총기 난사 사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울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 총기 난사 사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서울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 총기 난사 사건날짜 2015년 5월 13일시간 10시 37분 (KST)위치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참여자 최 아무개 피해사망자 3명부상자 2명 서울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 총기 난사 사건(內谷洞豫備軍訓鍊場銃器亂射事件)은 2015년 5월 13일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의 예비군 훈련장에서 사격훈련 도중 예비군 최 아무개가 동료 예비군 4명에게 총기를 난사하여 사상자가 발생한 사건이다. 사건 직후 가해자는 자살하였고 그의 옷에서 유언과 범행 계획을 적은 유서가 발견되었다. 목차 1 사건 개요 2 사건 경과 3 사망자 및 부상자 명단 4 사건이 일어나게 된 원인 및 논란 4.1 허술한 사격 훈련 관리 4.2 예비군 병력 관리 5 사건 여파 5.1 정치권 반응 5.2 예비군 반응 6 기타 7 같이 보기 8 참고 사건 개요[편집] 동원훈련 이틀째인 13일 오전 10시 37분경, 제52보병사단 제210연대 제2대대 제5~7중대 소속 예비군들이 25m 거리의 '수준 유지' 사격 훈련을 받던 중이었다. 사격 대상 예비군들은 K-2 소총과 총탄 10발이 든 탄창을 지급받았다. 7중대 소속 최 아무개(23)가 맨 왼쪽에 있는 1사로(사격 구역)에서 표적을 향해 한 발을 쏜 후, 갑자기 일어서서 1사로 부사수와 오른쪽 2, 3, 5사로 예비군들에게 총탄 7발을 난사했다. 그는 총기 난사 직후 9번째 총탄을 자신의 이마에 쏘아 현장에서 자살하였다. 부상자들은 삼성의료원, 국군수도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에 이송되었으나 이들 가운데 3사로 사수였던 박 아무개(24)는 머리를 관통해 현장에서 이미 심정지한 뒤였고, 윤 아무개(24)도 폐 등을 크게 다쳐, 응급 수술을 했지만 과다출혈 및 허혈성뇌손상으로 이날 오후 9시 40분쯤 사망했다. 가해자를 포함하여 이번 예비군 총기사고로 사망한 사람은 당초 두 명에서 세 명으로 늘었다. 다른 부상자 황 아무개(22), 안 아무개(25)도 크게 다쳤다. 사건 경과[편집] 2015년 5월 13일 (사건발생일) 10시 37분 총기 난사 발생. 통제 중대장 대피 방송. [1] 10시 37~38분 5사로 부상 예비군(황 아무개) 응급 처치. 10시 38분 210연대 대기 응급차에 있던 의무부사관 환자 조치. 10시 42분 210연대 구급차 환자 이송 시작(2사로 예비군 안 아무개 후송). 10시 47분 210연대 구급차 부대 정문 통과, 국군수도병원으로 후송.대위급 장교들이 119 구급차 요청 및 인접 부대(211연대) 구급차 요청. 10시 57분 119 구급차 부대 정문 통과. 5사로 예비군 황 아무개를 강남세브란스 병원으로 후송. 11시 4분 구급차 5대 도착. 11시 10분 211연대 구급차 부대 정문 통과. 3사로 예비군 박 아무개를 삼성서울병원으로 후송. 11시 13분 119 구급차 부대정문 통과. 1사로 부사수 윤 아무개를 삼성서울병원으로 후송. 11시 28분 총 사망자 1명, 부상자 4명, 중태 2명. 11시 30분 삼성의료원으로 이송된 박 아무개 사망 판정. 총 사망자 2명, 부상자 3명. 15시 30분 국방부 브리핑. "사건을 의혹 없이 조사하겠다." 희생자에게 애도 표시. [2] 16시 5분 총 사망자 2명, 부상자 3명.(중태 1명, 의식불명 2명) 21시 37분 삼성서울병원에서 윤 아무개 사망. 총 사망자 3명, 부상자 2명. 사망자 및 부상자 명단[편집] 사망자 (3명) 최 아무개 (23세/1992년생/가해자) : 1사로 사수. 현장에서 자살. 박 아무개 (24세/1991년생/피해자) : 3사로 사수. 뒷머리 오른쪽에 총알을 맞고 심정지 상태로 심폐소생술을 받아가며 오전 11시 26분 삼성서울병원으로 이송되었으나 이미 뇌손상이 심각해 소생의 의미가 없다고 판단. 도착 직후 오전 11시 30분 사망 판정. 윤 아무개 (24세/1991년생/피해자) : 1사로 부사수. 오전 11시 24분 삼성서울병원으로 이송되었고, 가슴 부위에 총을 맞았는데 사건 당시 매우 위중한 상태였다. 의료진은 오른쪽 쇄골 부위로 총알이 들어갔으며, 폐 부분에 조각난 상태로 여전히 박혀 있다고 발표하였다. 윤 씨는 병원에 도착했을 때부터 심장이 멈춰 있어서 심폐소생술을 했으며, 8분간의 심폐소생술을 통해 심정지상태에서 회복되었으나 혈압이 매우 낮은 상태였다. 의료진은 여러 차례 수술을 하였지만 상태가 매우 심각해 생존확률은 1%로 윤씨가 오늘 안에도 사망할 수 있는 상태라고 설명하였다.[1] 결국 밤 9시 37분, 총상에 의한 과다출혈과 허혈성 뇌손상으로 인한 사망 판정을 받았다.[2] 부상자 (2명) 안 아무개 (25세/1990년생/피해자) : 2사로 사수. 오른쪽 폐에 좌상. 황 아무개 (22세/1993년생/피해자) : 5사로 사수. 왼쪽 얼굴과 우측 눈 부위 부상. 사건이 일어나게 된 원인 및 논란[편집] 허술한 사격 훈련 관리[편집] 사격 시 엎드려 쏴 자세에서 몸을 일으키면 곧바로 조교가 제압해야 하지만 이 수칙이 지켜지지 않았고, 해당 예비군 훈련장의 사로에는 총구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돌릴 수 없도록 거치대와 연결된 안전고리 형태의 안전장치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담당 조교가 결합 여부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3] 해당 예비군 훈련장은 총 20개의 사로가 있었는데, 사고 당시에는 20개 사로 모두 사용했다. 야전교범(Field Manual)대로 한다면 1개 사수마다 1명의 사격통제요원이 배치되어야 하지만 예비군 훈련은 훈련인원이 워낙 많아 교범대로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상당히 많았다. 이번 사건의 경우도 현역 기간병 6명만이 20개 사로를 통제하고 있었다.[4] 또한, 현역 기간병 6명 중에 3명은 이등병이었다. [5] 예비군 동원훈련에서 수준 유지 사격을 할 때는 실탄 3발을 지급해 25m 앞의 표적지를 조준해 영점사격을 하도록 하고, 이어 실탄 6발을 지급해 측정사격을 하는 순으로 진행한다.[6] 하지만 부대마다 실탄 지급 방식이 달라 어떤 훈련장은 실탄 10발을 한꺼번에 지급하는 등 예비군 사격 훈련 총기 실탄 관리가 미흡했다는 의견이 나왔다. 사건이 일어난 강동·송파 예비군 훈련장도 10발들이 탄창을 지급했다고 한다.[7] 예비군 병력 관리[편집] 가해자 최 아무개 (1992년 생)는 제5보병사단에서 군복무를 하다 2013년 전역했으며 현역 시절 중등도의 우울증과 인터넷 중독으로 B급 관심병사로 분류되었다고 한다.[8] 현역시절 복무관리를 예비군 부대로 넘겨받지 못해 가해자의 군 생활 당시의 정신질환 확인이 불가능하여 이와 같은 참사를 막지 못했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정신질환으로 현역 복무 부적합 판정을 받은 병사나 의병전역한 군 간부도 본인 스스로 별도로 병무청에서 재검(신체검사를 다시 하는 것)을 하지 않는 이상, 예비군 훈련에 참가하기 때문에 별다른 제지 없이 사격훈련이 가능한 것으로 밝혀져 충격을 주고 있다.[9] 사건 여파[편집] 정치권 반응[편집] 2015년 5월 14일, 국회 국방위원회는 국방부로부터 전날 예비군 훈련장 총기 난사 사건과 관련해 사고 경위 등 현안을 보고받고 재발 방지 대책을 모색했다. 이번 사건은 위의 문제점을 언급한대로 예비군 훈련 현장에서 안전관리 규정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은 점에 대해 집중 질타한 것으로 알려졌다.[10] 예비군 반응[편집] 사상 최초로 예비군 훈련장 총기난사 사건이 일어난 만큼 사건 현장을 목격한 예비군들과 앞으로 훈련받을 예정인 예비군들은 불안감 및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실제로 이번 사건의 여파로 예비군 훈련을 연기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났다.[11] 또한 예비군 제도의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도 확산되고 있다.[12] 기타[편집] 배우 정석원, 방송인 장수원도 해당 예비군 훈련장에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방송인 장수원은 사고시 옆 교장에서 훈련을 받고있었고 안전하게 집에 간 것으로 보도되었다.0 가수 싸이는 이 날 사고가 난 강남·서초 예비군훈련장에서 2089부대 2대대가 주관하는 향방작계훈련을 받았으나 일정 문제로 사고 발생 20분 전 교장을 떠났다고 한다.[13] 같이 보기[편집] 2015년 찰스턴 교회 총격 사건 버지니아 공대 총기 난사 사건 오이코스 대학 총기 난사 사건 2011년 노르웨이 테러 참고[편집] ↑ 삼성의료원 "총기난사 부상자, 생존확률 1% 미만" 뉴스원 2015-05-13 18:47 ↑ '예비군 총기 난사' 부상자 1명 끝내 사망 오마이뉴스 2015-05-14 10:38 ↑ 김경필 (2015년 5월 14일). “육군 중수단, "'몸 일으키면 제압'이 수칙인데…현장 통제 장병 모두 대피"”. 조선일보.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김귀근 (2015년 5월 13일). “'관심병사' 출신에 실탄…"통제요원 6명이 20명 맡았다"(종합2보)”. 연합뉴스.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박병진 (2015년 5월 16일). “총기난사 때 조교 6명 중 3명이 이등병”. 세계일보.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3발들이 탄창을 먼저 지급하는 것은 우발적인 사고를 막으려는 의도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최선 (2015년 5월 13일). “실탄 10발 지급· 총기 거치대 이탈’ 총기·탄약관리 구멍”. 이데일리.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총기 난사 예비군…알고보니 관심병사 출신”. 《MBN》. 2015년 5월 13일.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김선영 (2015년 5월 17일). “정신질환 의병전역자도 '통제 사각지대'”. 세계일보.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국방위 "예비군 총기사고, 사상초유…안전규정 이행 미흡" 아시아경제 2015-05-14 11:14 ↑ “훈련에 목숨 못건다” 예비군 꼬리문 연기신청 경인일보 2015년 05월 14일 22:10:32 ↑ 총기 사고 발생! 예비군 사격 훈련 폐지 목소리 더팩트 2015년 05월 13일 12:55:00 ↑ 싸이, 총기사고 현장서 예비군 훈련…"사고 전 퇴소" 연합뉴스 2015.05.13 오후 12:41 vdeh 대한민국의 살인 사건1940년대 송진우 피살 사건 (1945년) 윤명선 피습 사건 (1946년) 장덕수 피살 사건 (1947년) 1950년대 김창룡 저격 사건 (1956년) 1960년대 최영오 일병 사건 (1962년) 1970년대 정인숙 피살사건 (1970년) 춘천 강간살인 조작 사건(1972년) 육영수 저격 사건 (1974년) 김대두 연쇄 살인 사건 (1975년) 이팔국 아내 살인 사건 (1975년) 판문점 도끼 살인 사건 (1976년) 박흥숙 사건 (1977년) 골동품상 부부 납치 살해 사건 (1979년) 10·26 사건 (1979년) 1980년대 이윤상 유괴 살해 사건 (1980년) 우범곤 순경 총기 난사 사건 (1982년) 사진작가 죽음 연출 사건 (1982년)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1982년) 형제복지원 사건 (1975년 ~ 1987년)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 (1987년) 김훈 중위 사건 (1988년) 설인종 고문 치사 사건 (1989년) 화성 연쇄 살인 사건 (1986년 ~ 1991년) 1990년대 서울 노량진 살인 사건 (1990년) 부산 새마을금고 권총강도 살인 사건 (1990년) 양평 일가족 생매장 사건 (1990년) 김정수 거성관 방화 사건 (1991년) 여의도광장 차량질주 사건 (1991년) 이형호 유괴 살해 사건 (1991년) 김보은 김진관 사건 (1992년) 윤금이 피살 사건 (1992년) 원주 왕국회관 화재 (1992년) 혜화동 무장 탈영병 총격 난동사건 (1993년) 지존파 사건 (1993년 ~ 1994년) 온보현 택시 연쇄 살인 사건 (1994년) 박한상 부모 살해 사건 (1994년) 영생교 사건 (1994년) 양주 군부대 총기 난사 사건 (1994년) 치과의사 모녀 살인 사건 (1995년) 이종권 고문 치사 사건 (1996년) 이석 치사 사건 (1997년) 대구 이승수 연쇄살인 사건 (1997년) 이태원 햄버거 가게 살인 사건 (1997년) 박나리 유괴 살해 사건 (1997년) 대구 아동 황산테러 사건 (1999년) 완주 삼례 나라슈퍼 3인조 강도 사건 (1999년) 정두영 연쇄살인 사건 (1999년 ~ 2000년) 2000년대 김신혜 아버지 존속 살인 (2000년) 익산 약촌오거리 택시 기사 살인 사건 (2000년) 김해선 사건 (2000년) 김도룡의 나주 여고생 살인 사건 (2001년) 개구리 소년 사건 (1991년 ~ 2002년) 대구 지하철 방화 사건 (2003년) 포천 여중생 납치 피살 사건 (2003년) 유영철 연쇄 살인 사건 (2003년 ~ 2004년) 정남규 연쇄 살인 사건 (2004년 ~ 2006년) 정성현 군포 부녀자 살인 사건 (2004년) 연천 530GP 사건 (2005년) 부산개성중학교 폭행 치사 사건 (2005년) 신정동 연쇄살인사건 (2005년 ~ 2006년) 용산 초등학생 살해 사건 (2006년) 강호순 경기도 부녀자 연쇄살인 사건 (2006년 ~ 2008년) 제주 초등학생 성추행 살해 사건 (2007년) 버지니아 공대 총기 난사 사건 (2007년) 수원 노숙소녀 살인 사건 (2007년) 2007년 강화 총기 탈취 사건 (2007년) 안양 초등학생 납치 살해 사건 (2007년) SBS 외주작가 투신 자살 사건 (2008년) 마포 일가족 실종 사건 (2008년) 대구 어린이 납치 살해 사건 (2008년) 안양 관양동 존속 살해 사건 (2008년) 논현동 고시원 살인 사건 (2008년) 강화도 모녀 납치 살해 사건‎ (2008년) 제주 보육교사 살인 사건 (2009년) 2010년대 김길태 사건 (2010년) 만삭 의사 부인 사망 사건 (2011년) 울산 울주군 여아 학대 사망사건 (2011년 ~ 2013년) 강화도 해병대 총기 난사 사건 (2011년) 수원 토막 살인 사건 (2012년) 강남 술집 칼부림 사건 (2012년) 서울 신촌 대학생 피살 사건 (2012년) 제주도 올레길 살인 사건 (2012년) 통영 초등학생 살인 사건 (2012년) 울산 자매 살인 사건 (2012년) 2013년 대구 여대생 살인 사건 (2013년) 용인 엽기 살인 사건 (2013년) 칠곡 계모 아동학대 살인사건 (2013년) 강원도 고성 군부대 총기 난사 사건 (2014년) 울산 삼산동 묻지마 살인 사건 (2014년) 포천 빌라 고무통 변사 사건 (2014년) 김해 여고생 살인 사건 (2014년) 울산 입양아동 학대 사망사건 (2014년) 연천 후임병 구타사망 사건 (2014년) 수원 팔달산 토막 살인 사건 (2014년) 인천 가방 속 시신 사건 (2014년) 포천 농약 음독 사건 (2011년 ~ 2014년) 청주 크림빵 뺑소니 사건 (2015년) 시화호 토막살인 사건 (2015년) 서울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 총기 난사 사건 (2015년) 상주 농약 음료수 음독 사건 (2015년) 김일곤 트렁크 살인 사건 (2015년) 용인 벽돌 살인 사건 (2015년) 부천 초등학생 토막 살인 사건 (2012년 ~ 2015년) 부천 여중생 백골 살인 사건 (2015년 ~ 2016년) 평택 아동 살해 암매장 사건 (2013년 ~ 2016년) 청송 농약 소주 음독 사건 (2016년) 청주 아동학대 암매장 사건 (2011년 ~ 2016년) 대부도 토막시신 살인사건 (2016년) 강남역 화장실 살인사건 (2016년) 시흥 악귀 살인사건 (2016년) 김학봉 수락산 살인 사건 (2016년) 오패산터널 총격 사건 (2016년) 인천 초등학생 살해 사건 (2017년) 이영학의 중랑구 여중생 살인 사건 (2017년) 김성관의 용인 일가족 살인 사건 (2017년) 고준희 양 살인사건 (2017년) 종로 여관 방화 사건 (2018년) 제주 게스트하우스 살인 사건 (2018년) 정읍 존속살인 사건 (2018년) 봉화군 소천면 사무소 엽총 난사 사건 (2018년) 서울대공원 토막 살인 사건 (2018년) 부산 사하구 일가족 살인사건 (2018년) 거제 폭행 살인 사건 (2018년) 서울 강서구 PC방 살인 사건 (2018년) 서울 강서구 아파트 전처 살인 사건 (2018년) 인천 중학생 추락사 사건 (2018년) 강북삼성병원 정신과 의사 살인 사건 (2018년) 화성 동탄 원룸 살인사건 (2019년) 이희진 부모 피살 사건 (2019년) 진주 가좌주공아파트 방화 살인 사건 (2019년) 광주 의붓딸 살인 사건 (2019년) 전직 김포시의회 의장의 아내 살해 사건 (2019년) 고유정의 전 남편 토막 살인 사건 (2019년) 살인 사건 철도 사고 항공 사고 해양 사고 도로 사고 화재 사고 군사 사건 성범죄 사건 아동 학대 사건 폭발 사고 붕괴 사고 vdeh 대한민국의 군사 사건1940년대 여순 사건 (1948년) 문경 양민 학살 사건 (1949년) 1950년대 국민방위군 사건 (1951년) 거창 양민 학살 사건 (1951년) 연천 사단장 살해 사건 (1959년) 1960년대 5·16 군사 정변 (1961년) 최영오 일병 사건 (1962년) 무장군인 법원 난입 사건 (1964년) 무장군인 김해경찰서 습격 사건 (1965년) 무장군인 고려대학교 난입 사건 (1965년) 해병대 공군비행학교 습격사건 (1966년) 해군 56함 침몰 사건 (1967년) 1·21 사태 (1968년)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 (1968년) 1970년대 대한민국 해군 방송선 피랍 사건 (1970년) 실미도 사건 (1971년) 충무 앞바다 YTL정 침몰 사고 (1974년)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년) 12·12 군사 반란 (1979년) 1980년대 5·17 비상 계엄 (1980년) 5·18 광주민주화운동 (1980년) 남해군 무장공비 간첩선 침투 사건 (1980년) 다대포 무장간첩 침투 사건 (1983년) 1990년대 혜화동 무장 탈영병 총격 난동사건 (1993년)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사고 (1993년) 양주 군부대 총기 난사 사건 (1994년)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년) 민주지산 특전사 동사 사고 (1998년) 속초 잠수정 침투 사건 (1998년) 여수 반잠수정 침투 사건 (1998년) 제1연평해전 (1999년) 2000년대 제2연평해전 (2002년) 육군훈련소 인분 사건 (2005년) 연천 530GP 사건 (2005년) 대추리 사태 (2006년) 2007년 강화 총기 탈취 사건 (2007년) 철원 군부대 수류탄 폭발 사고 (2008년) 대청해전 (2009) 2010년대 천안함 침몰 사건 (2010년) 연평도 포격 (2010년) 해병대 민항기 오인 사격 사건 (2011년) 강화도 해병대 총기 난사 사건 (2011년) 연천 후임병 구타사망 사건 (2014년) 강원도 고성 군부대 총기 난사 사건 (2014년) 서울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 총기 난사 사건 (2015년) 2015년 DMZ 지뢰폭발사건 (2015년) 서부전선 포격 사건 (2015년) 국군기무사령부 계엄령 준비 사건 (2017년) 포항 수리온 추락 사고 (2018년) 살인 사건 철도 사고 항공 사고 해양 사고 도로 사고 화재 사고 군사 사건 성범죄 사건 아동 학대 사건 폭발 사고 붕괴 사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서울_내곡동_예비군_훈련장_총기_난사_사건&oldid=24226616" 분류: 2015년 대한민국2015년 5월대한민국의 난사 사건서울특별시의 범죄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5일 (수) 17: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서울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 총기 난사 사건(內谷洞豫備軍訓鍊場銃器亂射事件)은 2015년 5월 13일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의 예비군 훈련장에서 사격훈련 도중 예비군 최 아무개가 동료 예비군 4명에게 총기를 난사하여 사상자가 발생한 사건이다. 사건 직후 가해자는 자살하였고 그의 옷에서 유언과 범행 계획을 적은 유서가 발견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 총기 난사로인한 사망자는 몇명일까? Assistant: 세 명
Human: 아래 구글의_역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구글의 역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구글의 역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구글의 역사에 대해 다룬다. 목차 1 구글의 시작 2 초창기 투자 및 IPO 3 각주 4 외부 링크 구글의 시작[편집] 구글 공동 창업자 세르게이 브린과 래리 페이지 1996년 1월, 스탠퍼드 대학의 박사과정 대학원생이었던 래리 페이지가 연구 프로젝트로서 구글을 시작하였다.[1] 곧, 래리 페이지의 가까운 친구이자 같은 과 박사과정 대학원생이었던 세르게이 브린이 프로젝트에 합류했다. 래리 페이지는 기존 방법에 비해 웹사이트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검색 엔진이 더 나은 결과를 산출해 낼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보통 기존의 검색 엔진들은 특정 키워드가 웹페이지 내에 얼마나 많이 출현하는가에 따라 웹페이지의 순위를 매겼다.)[2] 이 프로젝트의 원래이름은 백럽(BackRub)이었다. 웹사이트의 중요도를 그 사이트로 연결되는 백링크를 따져 결정했기 때문이다.[3] 당시 리얀홍이라는 사람의 랭크덱스(RankDex)라는 작은 검색 엔진이 이미 같은 기법을 사용하고 있었지만 말이다.[4] 다른 관련 있는 웹페이지로부터 가장 많은 링크가 들어오는 페이지가 검색과 가장 관련 있는 페이지일 것이라는 가정하에,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은 이 가설을 그들의 연구를 수행하면서 시험해보았다. 이 가설은 훗날 그들이 만든 검색 엔진의 기초가 되었다. 초창기에 이 검색 엔진은 스탠퍼드 대학교 웹사이트를 이용하였는데, 도메인 이름은 "google.stanford.edu"였다. 이후, 도메인 "google.com"은 1997년 9월 15일 등록되었다. 1998년 9월 7일, 페이지와 브린은 캘리포니아주 먼로 파크에 있는 친구집 차고에서 그들의 회사인 "Google Inc."를 공식 창립을 한다. "구글"이라는 명칭은 "구골"이라는 단어의 철자를 잘못 쓴 것이다.[5][6] 여기서 구골은 10100(1 뒤에 0이 100개 붙는다.)을 의미한다. 2006년, 일상 생활에서의 사용이 늘어나자, "구글하다 (동사)"(google)가 메리엄 웹스터 사전 및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등재되었다. "구글하다 (동사)"는 "구글을 이용하여 인터넷의 정보를 검색하다"라는 뜻이다.[7][8] 1999년 3월, 이 회사는 팰러앨토 유니버시티 애비뉴 165번지로 사무실을 옮겼다. 이 주소는 다른 실리콘 밸리 벤처기업들의 요람이라 말할 수 있을 만한 곳이었다.[9] 두어 군데를 옮겨다니며 성장한 후, 1999년 구글은 마운틴 뷰 앰피시어터 파크웨이 1600번지에 있는 건물을 실리콘 그래픽스(SGI)로부터 임대하였다.[10] 이 회사는 이후로 여기에 계속 머물렀다. 이 복합단지에는 구글플렉스(Googleplex)라는 이름이 붙었다. (구골플렉스라는 단어를 가지고 장난친 것이다. 1 뒤에 구골 개의 0이 붙는 수이다.) 2006년, 구글은 이 곳을 실리콘 그래픽스로부터 3억 1900만 달러에 사들였다.[11] 초창기 투자 및 IPO[편집] 1999년 당시의 구글 서버. 회사로서의 구글에 대한 최초의 펀딩은 앤디 벡톨샤임이 하였다. 1998년 8월 하순, 스탠퍼드 대학의 박사 과정 학생이었던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은 당시 구글이 가지고 있던 인덱스보다 더 큰 인덱스를 확보하려고 노력 중이었다. 그들에겐 하드웨어가 필요했고, 그들은 투자를 갈망하고 있었다. 그들은 스탠퍼드 대학 교수인 데이비드 채리턴(David Cheriton)의 소개로 선 마이크로시스템즈의 공동 창업자 중 한 사람이었던 앤디 벡톨샤임을 만나게 됐다. 이 자리에서 앤디 벡톨샤임은 10만 달러의 투자를 하였다.[12] 6개월 뒤, 구글은 더 큰 규모의 펀딩(라운드 오브 펀딩)을 받게 됐다. 당시 벤처 캐피털 업계에서 선두 자리에 있던 두 업체인 클라이너 퍼킨스 코필드 & 바이어스 및 세쿼이아 캐피털로부터였다.[12] 1999년 7월 7일 브린과 페이지는 클라이너 퍼킨스 코필드 & 바이어스와 세쿼이아 캐피털이 구글에 2500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결정했다는 보도자료를 내보냈다. [13] 2003년 10월, IPO가 논의되고 있었다. 이때 마이크로소프트가 구글에 접근하여 제휴 관계나 합병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아무런 거래도 구체화되지는 않았다. 2004년 1월 구글은 모건 스탠리와 골드만 삭스 그룹을 통해 IPO를 준비 중이라고 발표하였다. IPO를 통해 40억 달러를 끌어모을 계획이었다. 각주[편집] ↑ Google Corporate History. ↑ Page, Lawrence; Brin, Sergey; Motwani, Rajeev; Winograd, Terry. "The PageRank Citation Ranking: Bringing Order to the Web Archived 2008년 9월 12일 - 웨이백 머신." November 11, 1999. ↑ Battelle, John. "The Birth of Google." 와이어드 메거진 2005년 8월. ↑ Li, Yanhong. "Toward a qualitative search engine." Internet Computing, IEEE. 2 (4), July-August 1998, 24-29. ↑ Koller, David. "Origin of the name, "Google." 스탠퍼드 대학교 2004년 1월 ↑ Hanley, Rachael. "From Googol to Google: Co-founder returns Archived 2006년 12월 14일 - 웨이백 머신." 더 스탠퍼드 데일리. 2003년 2월 12일. 2006년 7월 14일 접속확인. ↑ Harris, Scott D. "Dictionary adds verb: to google." San Jose Mercury News. 2006년 7월 7일. Retrieved on 2006년 7월 7일 ↑ Bylund, Anders. "To Google or Not to Google." The Motley Fool via MSNBC. 2006년 7월 5일, 2006 2006년. Retrieved on 2006년 7월 7일. ↑ Fried, Ian. (2002년 10월 4일). “A building blessed with tech success”. 《CNET》. 2012년 7월 18일에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Olsen, Stefanie (2003년 7월 11일). “Google's movin' on up]”. 《CNET》. 2012년 12월 5일에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10일에 확인함.  ↑ Staff Writer (2006년 6월 16일). “Google to buy headquarters building from Silicon Graphics”. 《Silicon Valley / San Jose Business Journal》. 2007년 2월 25일에 확인함.  ↑ 가 나 Kopytoff, Verne; Fost, Dan. "For early Googlers, key word is $$$." 샌 프란시스코 크로니클. 2004년, 4월 29일. 2007년 2월 25일 접속 확인. ↑ 데이비드 A. 바이스; 마크 맬시드 (우병현 옮김). 《구글, 성공 신화의 비밀》. 서울: 황금부엉이. ISBN 89-90729-87-4 03320.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초판일자= (도움말);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외부 링크[편집] (영어) 구글의 역사 - 공식 웹사이트 (영어) On the 구글의 기원 vdeh구글개요 알파벳 역사 인수한 기업 목록 제품 비판 개인정보 문제 검열 도메인 이스터 에그 Don't Be Evil 광고 애드몹 애드스케이프 애드센스 애드워즈 애널리틱스 컨트리뷰터 파트너 더블클릭 더블클릭 포 퍼블리셔스 월렛 커뮤니케이션 알로 알리미 앱 스크립트 듀오 캘린더 주소록 G메일 역사 인터페이스 구글+ 그룹스 행아웃 Inbox 싱크 텍스트 음성 변환 번역 Transliteration 보이스 소프트웨어 어시스턴트 (렌즈) 크롬 안드로이드용 iOS용 크롬 웹 스토어 앱 확장 프로그램 클라우드 프린트 어스 스카이 문 마스 가젯 지보드 고글스 IME 병음 일본어 포토 킵 뉴스와 날씨 나우 오픈리파인 검색 툴바 플랫폼 계정 안드로이드 버전 역사 소프트웨어 개발 안드로이드 오토 구글 페이 안드로이드 TV 안드로이드 웨어 OTP Body 도서 도서관 프로젝트 Caja 가상현실 카드보드 데이드림 캐스트 크롬캐스트 크롬 OS 크롬빗 크롬북 크롬박스 크롬 존 클라우드 플랫폼 앱 엔진 빅쿼리 빅테이블 컴퓨트 엔진 스토리지 콘택트 렌즈 커스텀 서치 다트 데이드림 어스 엔진 핏 GFS 글래스 Go G 스위트 클래스룸 홈 잼보드 마켓플레이스 네이티브 클라이언트 넥서스 온허브 오픈소셜 픽셀 플레이 북 게임 무비 & TV 음악 뉴스스탠드 퍼블릭 DNS 월렛 와이파이 개발 도구 AJAX API App Inventor Closure Tools 디벨로퍼스 en:GData 구글봇 Guava Guice GWS KML Kythe 맵리듀스 미디어봇 사이트맵스 Summer of Code 웹 툴킷 Search Console Website Optimizer Swiffy 퍼블리싱 블로거 북마크 드라이브 문서, 시트, 슬라이드, 폼 드로잉 퓨전 테이블 도메인 피드버너 맵 메이커 사이트 유튜브 유튜브 인스턴트 유튜브 레드 VEVO 저갯 서베이 검색(연표) Appliance 블로그 검색 도서 Ngram Viewer Custom Search 파이낸스 Flights 이미지 맵스 My Maps 마스 문 스카이 스트리트 뷰 Coverage Competition Privacy concerns 뉴스 아카이브 Patents Public Data 학술 검색 쇼핑 유즈넷 비디오 알고리즘 페이지랭크 판다 펭귄 허밍버드 기능 웹 히스토리 Personalized 실시간 순간 검색 세이프서치 음성 검색 분석 Insights for Search 트랜드 지식 그래프 지식 금고 서비스 중단됨 Aardvark Answers 브라우저 싱크 베이스 버즈 체크아웃 크롬 프레임 클릭 투 콜 클라우드 커넥트 Code Search Currents 데스크톱 사전 디렉터리 닷지볼 Fast Flip Friend Connect Gears GOOG-411 구글 TV 자이쿠 놀 Health IGoogle Image Labeler 랩스 Latitude Lively Mashup Editor 노트북 Offers 오르컷 팩 Page Creator 파노라미오 피카사 피카사 웹 앨범 en:Picnik 파워미터 Q & A 리더 Script Converter 서치위키 사이드위키 슬라이드 Squared 토크 Updater Urchin 비디오 웨이브 Web Accelerator 인물 앨 고어 앨런 유스터스 en:Alan Mulally en:Amit Singhal en:Ann Mather David Drummond 에릭 슈밋 제프 딘 en:John Doerr en:John L. Hennessy en:Krishna Bharat en:Matt Cutts en:Patrick Pichette 폴 오텔리니 en:Omid Kordestani Rachel Whetstone en:Rajen Sheth en:Ram Shriram en:Ray Kurzweil en:Ruth Porat en:Salar Kamangar en:Shirley M. Tilghman 선다 피차이 수전 보이치츠키 en:Urs Holzle 빈트 서프 en:Hal Varian 설립자 래리 페이지 세르게이 브린 기타 아트 앤드 컬처 Calico Current Chrome Experiments Code-in Code Jam Developer Day 구글 비즈니스 그룹 en:Made with Code Data Liberation Takeout Google Developer Expert Google for Work 무인 자동차 어스 아웃리치 파이버 GV "구글" 구글 차이나 구글 익스프레스 en:Googlization Grants Google.org 루나 X 프라이즈 프로젝트 Fi 머티리얼 디자인 모토로라 모빌리티 와이파이 X 행사 Science Fair Searchology I/O Developer Day AtGoogleTalks 코드 잼 Highly Open Participation Contest 코드인 프로젝트 아라 룬 탱고 선루프 부동산 111 Eighth Avenue 구글플렉스 로고 Doodle4Google 구글 두들 관련 항목 AI 챌린지 폭탄 구제 en:Monopoly City Streets Unity 분류 웹사이트: google.com google.co.kr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구글의_역사&oldid=23996728" 분류: 구글기업의 역사인터넷의 역사숨은 분류: 중복된 인수를 사용한 틀의 호출을 포함한 문서인용 오류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فارسیItalianoKurdîРусскийதமிழ்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9일 (화) 07: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 문서는 구글의 역사에 대해 다룬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도메인 'google.com' 은 언제 등록되었을까? Assistant: 1997년 9월 15일 Human: 아래 에다노_유키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에다노 유키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에다노 유키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하여야 합니다. 검토 후 최신 사건이 반영되도록 문서를 수정해 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에다노 유키오 에다노 유키오 (일본어: 枝野幸男, 1964년 5월 31일 ~ )는 일본의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2019년 기준 입헌민주당 소속 중의원 겸 대표이다. 과거엔 간 내각 제2차 개조내각의 내각관방장관,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오키나와 및 북방 대책 담당),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행정 쇄신 담당), 민주당 간사장, 민주당 정책 조사회장 등을 역임한 바 있다. 목차 1 인물과 경력 2 역대 선거 결과 3 같이 보기 4 각주 5 외부 링크 인물과 경력[편집] 도치기현의 우쓰노미야 시 출신으로, 도호쿠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변호사가 되어 도쿄의 법률 사무소에 취직하였다. 1993년 일본 신당에 입당해, 그 해 치러진 제4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구 (舊) 사이타마 5구에 출마했으며, 당시 신생당 소속이었던 우에다 기요시 (上田清司, 2011년 기준으로 사이타마현 지사) 의 뒤를 잇는 2위로 중의원 의원에 첫 당선되었다. 1994년 자민당, 사민당, 신당 사키카케가 연립한 무라야마 내각이 출범하자, 에다노는 신당 사키카케에 합류해 정책조사회 부회장이 되었다. 1996년 구 민주당에 참여했으며, 그 해 총선거에서 사이타마 5구에서 비례 부활로 당선되었다. 1997년 구 민주당 정조 회장이 되었으며, 1998년 민주당 결성에 참여해 정책조사회 필두 부회장이 되었다. 2000년 제4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중의원 의원에 세 번째 당선되었으며, 2004년 당 헌법 조사회장이 되었다. 2005년 제44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5번째 당선됐으며, 같은 해 정권 전력 및 보도 담당 간사장 대리가 되었다. 2009년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6번째 당선되었다. 2009년 9월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이 출범하면서 당초 각료로 기용될 견해가 강했으나 기용되지 않았으며, 같은 해 10월 당시 행정쇄신담당대신이었던 센고쿠 요시토에 의해 내각부에 설치된 행정쇄신회의 (行政刷新会議) 의 사업구분팀 통괄역에 임명되었다. 사업 구분에서는 예산 편성 과정을 공개해 일본 국민의 주목을 끎으로써 하토야마 내각의 지지율 하한선을 유지하였다. 2010년 1월, 센고쿠 요시토가 국가전략담당대신을 겸임하게 되었고, 에다노는 행정쇄신담당대신에 기용되었다. 그 해 5월 말 하토야마 내각이 퇴진하자, 후임으로 마에하라 세이지, 오카다 가쓰야와 함께 간 나오토를 지지하였고, 6월에는 간 나오토 밑에서 간사장이 되었다. 9월 내각 개조와 동시에 간사장에서 물러났으며, 후임 간사장 오카다 가쓰야의 요청으로 간사장 대리가 되었다. 2011년 1월 행해진 내각 개조에 의해 간 내각 제2차 개조 내각의 내각관방장관이 되었으며, 3월 마에하라 세이지가 현금 문제로 사임하자 외무대신을 겸하기도 하였다. 2011년 3월 11일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과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발생하자 사태 해결 지휘와 정부 대변인 역할을 맡고 있다. 2011년 4월, 에다노는 지방 선거 참패에 따른 간 나오토의 총리 퇴진 가능성을 일축했으며[1],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뒤늦은 조처와 은폐 의혹으로 계속해서 국내외의 비난을 받자 사태를 심각한 수준에 이르게 한 데 대해 국제 사회와 시민들에게 사과하였다.[2][3][4] 이후 2012년, 2014년에서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민주당 (일본, 1998년) 후보로 당선되었지만 2016년 민진당으로 옮긴 후 2017년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입헌민주당(일본어: 立憲民主党) 후보로 출마해 사이타마현 제5구에서 당선되었고 10월에는 입헌민주당(일본어: 立憲民主党)의 초대 대표가 되었다.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 대수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총선거 40회 중의원 의원 사이타마현 제5구 일본신당 96,926 표 16.1% 2위 중선거구제 총선거 41회 중의원 의원 사이타마현 제5구 민주당 51,425 표 25.2% 3위 석패율 당선 총선거 42회 중의원 의원 사이타마현 제5구 민주당 106,711 표 45.5% 1위 총선거 43회 중의원 의원 사이타마현 제5구 민주당 95,626 표 56.4% 1위 총선거 44회 중의원 의원 사이타마현 제5구 민주당 103,014 표 48.7% 1위 총선거 45회 중의원 의원 사이타마현 제5구 민주당 130,920 표 59.2% 1위 총선거 46회 중의원 의원 사이타마현 제5구 민주당 93,585 표 45.4% 1위 총선거 47회 중의원 의원 사이타마현 제5구 민주당 90,030 표 46.1% 1위 총선거 48회 중의원 의원 사이타마현 제5구 입헌민주당 119,091 표 57.4% 1위 같이 보기[편집] 일본 신당 오카다 가쓰야 간 나오토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 간 내각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앞바다 지진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 각주[편집] ↑ 日 에다노 관방장관, 간 총리 퇴진 가능성 일축 ↑ 한달 걸려 4→5→7... 일 정부 '방사능 심각성' 은폐 의혹 ↑ 정보은폐, 독단적 결정' 소통부재 위험 수준...국내외 불신 '쓰나미' ↑ 日원전사고, 뒤늦은 '최악 7등급'…의도적으로 축소했나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에다노 유키오 - 공식 웹사이트 공직 이전 후지무라 오사무임시 대리 제16대 경제산업대신2011년 9월 12일~2012년 12월 26일 이후모테기 도시미쓰 이전 센고쿠 요시토 제79대 내각관방장관2011년 1월 14일~2011년 9월 2일 이후후지무라 오사무 정당 내부직 이전 신설 제1대 입헌민주당의 대표2017년 10월 3일~ 이후현직 이전 신설 제1대 민진당의 간사장2016년 3월 30일~2016년 9월 26일 이후노다 요시히코 이전 오하타 아키히로 제15대 민주당의 간사장2014년 9월 19일~2016년 3월 27일 이후폐지 이전 오자와 이치로 제10대 민주당의 간사장2010년 6월 8일~2010년 9월 17일 이후오카다 가쓰야 전 임 사와다 히로시후쿠나가 노부히코와다 가즈히토 제40회 중의원 의원 (사이타마현 제5구)1993년 7월 19일 ~ 1996년 9월 27일 일본신당 → 무소속 → 신당 사키가케 → 민주당 우에다 기요시, 와카마쓰 가네시게, 후쿠나가 노부히코 후 임 (폐지) 전 임 ' 제41회 중의원 의원 (비례 기타칸토 블록)1996년 10월 21일 ~ 2000년 6월 2일 민주당 (1996년) → 민주당 (1998년) 후 임 ' 전 임 후쿠나가 노부히코 제42회 중의원 의원 (사이타마현 제5구)2000년 6월 26일 ~ 2003년 10월 10일 민주당 후 임 에다노 유키오 전 임 에다노 유키오 제43회 중의원 의원 (사이타마현 제5구)2003년 11월 10일 ~ 2005년 8월 8일 민주당 후 임 에다노 유키오 전 임 에다노 유키오 제44회 중의원 의원 (사이타마현 제5구)2005년 9월 12일 ~ 2009년 7월 21일 민주당 후 임 에다노 유키오 전 임 에다노 유키오 제45회 중의원 의원 (사이타마현 제5구)2009년 8월 31일 ~ 2012년 11월 16일 민주당 후 임 에다노 유키오 전 임 에다노 유키오 제46회 중의원 의원 (사이타마현 제5구)2012년 12월 17일 ~ 2014년 11월 21일 민주당 후 임 에다노 유키오 전 임 에다노 유키오 제47회 중의원 의원 (사이타마현 제5구)2014년 12월 15일 ~ 2017년 9월 28일 민주당 → 민진당 → 입헌민주당 후 임 에다노 유키오 전 임 에다노 유키오 제48회 중의원 의원 (사이타마현 제5구)2017년 10월 23일 ~ 입헌민주당 후 임 (현직) vdeh 역대 일본의 내각관방장관내각서기관장 다나카 미쓰아키 고마키 마사나리 스후 고헤이 히라야마 시게노부 이토 미요지 다카하시 겐조 히라야마 시게노부 사메지마 다케노스케 다케노비 도키토시 야스히로 반이치로 사메지마 다케노스케 시바타 가몬 이시와타 빈이치 미나미 히로시 시바타 가몬 미나미 히로시 에기 다스쿠 야마노우치 가즈쓰구 에기 다스쿠 고다마 히데오 다카하시 미쓰타케 -미쓰치 주조 미야타 미쓰오 가바야마 스게히데 고바시 이치다 에기 다스쿠 쓰카모토 세이지 하토야마 이치로 스즈키 후지야 가와사키 다쿠키치 모리 가쿠 시바타 센사부로 호리키리 센지로 가와다 이사오 요시다 시게루 시로네 다케스케 후지누마 쇼헤이 오하시 하치로 가자미 아키라 다나베 하루미치 오타 고조 엔도 류사쿠 이시와타 소타로 도미타 겐지 호시노 나오키 미우라 가즈오 다나카 다케오 히로세 히세타다 이시와타 소타로 사코미즈 히사쓰네 오가타 다케토라 쓰기타 다이자부로 나라하시 와타루 하야시 조지 내각관방장관 (비인증관) 하야시 조지 니시오 스에히로 도마베치 기조 사토 에이사쿠 마스다 가네시치 오카자키 가쓰오 호리 시게루 오가타 다케토라 후쿠나가 겐지 네모토 류타로 이시다 히로히데 아이치 기이치 아카기 무네노리 시나 에쓰사부로 오히라 마사요시 구로가네 야스미 내각관방장관 (인증관) 구로가네 야스미 스즈키 젠코 하시모토 도미사부로 내각관방장관 (국무대신) 하시모토 도미사부로 아이치 기이치 후쿠나가 겐지 기무라 도시오 호리 시게루 다케시타 노보루 니카이도 스스무 다케시타 노보루 이데 이치타로 소노다 스나오 아베 신타로 다나카 로쿠스케 이토 마사요시 미야자와 기이치 고토다 마사하루 후지나미 다카오 고토다 마사하루 오부치 게이조 시오카와 마사주로 야마시타 도쿠오 모리야마 마유미 사카모토 미소지 가토 고이치 고노 요헤이 다케무라 마사요시 구마가이 히로시 이가라시 고조 노사카 고겐 가지야마 세이로쿠 무라오카 가네조 노나카 히로무 아오키 미키오 나카가와 히데나오 후쿠다 야스오 호소다 히로유키 아베 신조 시오자키 야스히사 요사노 가오루 마치무라 노부타카 가와무라 다케오 히라노 히로후미 센고쿠 요시토 에다노 유키오 후지무라 오사무 스가 요시히데 vdeh 역대 일본의 경제산업대신 (통상산업대신)통상산업대신 이나가키 헤이타로 이케다 하야토 다카세 소타로 요코오 시게미 다카세 소타로 이케다 하야토 오가사와라 산쿠로 오카노 기요히데 아이치 기이치 이시바시 단잔 미즈타 미키오 마에오 시게사부로 다카사키 다쓰노스케 이케다 하야토 이시이 미쓰지로 시나 에쓰사부로 사토 에이사쿠 후쿠다 하지메 사쿠라우치 요시오 미키 다케오 간노 와타로 시나 에쓰사부로 오히라 마사요시 미야자와 기이치 다나카 가쿠에이 나카소네 야스히로 고모토 도시오 다나카 다쓰오 고모토 도시오 에사키 마스미 사사키 요시타케 다나카 로쿠스케 아베 신타로 야마나카 사다노리 우노 소스케 오코노기 히코사부로 무라타 게이지로 와타나베 미치오 다무라 히로시 미쓰즈카 히로시 가지야마 세이로쿠 마쓰나가 히카루 무토 가분 나카오 에이이치 와타나베 고조 모리 요시로 구마가야 히로시 하타 에이지로 하시모토 류타로 쓰카하라 신페이 사토 신지 호리우치 미쓰오 요사노 가오루 후카야 다카시 히라누마 다케오 경제산업대신 히라누마 다케오 나카가와 쇼이치 니카이 도시히로 아마리 아키라 니카이 도시히로 나오시마 마사유키 오하타 아키히로 가이에다 반리 하치로 요시오 에다노 유키오 모테기 도시미쓰 오부치 유코 미야자와 요이치 하야시 모토오 세코 히로시게 전거 통제 VIAF: 254483339 ISNI: 0000 0003 7697 8331 GND: 108971128X 뮤직브레인즈: 9fffb7b3-40bb-4a02-ac4f-7eb759711ad8 NDL: 00682588 CiNii: DA1617312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에다노_유키오&oldid=24290540" 분류: 1964년 태어남도치기현 출신도호쿠 대학 동문살아있는 사람민주당 (일본, 1998년)의 정치인일본의 경제산업대신일본의 변호사입헌민주당 (일본)의 정치인정당 창당자일본의 내각관방장관숨은 분류: 날짜 매개변수 없이 낡음 틀이 쓰인 글낡은 정보를 포함한 모든 문서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Eesti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PolskiРусский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7일 (월) 19:1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에다노 유키오(일본어: 枝野 幸男 えだの ゆきお[*], 1964년 5월 31일~)는 일본의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현 입헌민주당 소속 중의원 의원이며 대표을 역임했다. 과거엔 간 제2차 개조 내각의 내각관방장관,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오키나와 및 북방 대책 담당, 행정 쇄신 담당), 경제산업대신, 민주당 간사장, 민주당 정책 조사회장 등을 역임한 바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에다노 유키오는 어디에서 태어났을까? Assistant: 도치기현의 우쓰노미야 시
Human: 아래 직접_민주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직접 민주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직접 민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직접민주주의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정치 관련 시리즈 정부의 형태 권력 구조에 따른 분류 분리주의 자유연합 자치령 군장국가 연방주의 연방제 연합제 권력하방 초국민주의 패권 제국 단방제 권력의 양태에 따른 분류 민주정(다수의 지배) 직접 민주제 간접 민주제 준민주정 기타 과두정(소수의 지배) 귀족정 군부정 금권정 군사정 훈벌정 신권정 판관정 당주정 전제정(단독의 지배) 독재정 비자유 민주정 준권위정 권력의 소재에 따른 분류 군주국 vs. 공화국 전제군주국 입헌군주국 위원회공화국 의회공화국 이원집정부제 대통령중심제 권력 이념 권위주의 vs. 자유지상주의 (사회경제적 이념) 자본주의 식민주의 공산주의 분배주의 봉건주의 사회주의 무정부주의 vs. 국가주의 (시민자유적 이념) 무정부 최소국가주의 전체주의 세계 vs. 지역 (지리문화적 이념) 중앙정부 도시국가 거국중립내각 세계정부 정치 포털 v • d • e • h 직접 민주제(直接民主制, 영어: direct democracy, pure democracy)는 대표자 없이 구성원 전체가 직접 정치에 참여하여 의사결정을 하는 민주주의 제도이다. 대표자를 선출하는 간접 민주제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과거 고대 그리스 아테네에서 시민권을 가진 남자들의 다수결원칙 아래 정치적 결정에 직접 권한을 행사하는 정부형태로 실시되었다. 현대에는 이 제도를 그대로 채용하는 국가가 거의 없으며, 직접 민주제를 채용하는 국가로는 스위스가 대표적이다. 목차 1 직접 민주제적 요소 2 판례 3 각주 4 같이 보기 직접 민주제적 요소[편집] 직접 민주제는 대의제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다. 직접 민주제적 요소로는 국민 투표 제도, 국민 발안 제도, 국민 소환 제도가 있다. 대한민국은 국민 투표 제도를 채택하여, 국가 안위에 관한 중요 정책을 국민투표로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에서는 주민 소환제도 시행하고 있다.[1] 2018년 3월 22일 대한민국 정부가 발의한 개헌안에는 국민주권을 강화하는 국민소환제와 국민발안제가 포함됐다. 이 개헌안에 국민발안제를 제안한 취지는 국민의 권한을 확대한 것으로 헌정사상 처음으로 권력의 감시자로서 국민이 직접 법률안을 발의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을 신설하고, 직접민주제 확대를 통해 대의제를 보완하고 민주주의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리라 생각 때문이다. 대한민국의 9차 개헌 헌법은 국민발안제도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헌법 제52조 '법률안 제출권'은 국회의원과 정부에게만 부여돼 있다.[2] 직접 민주제적 요소만으로는 국민의 요구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정책을 파악하는데 여전히 한계가 있다. 이를 보안하기 위해 전자 민주주의와 숙의 민주주의 등이 논의되고 있다.[3] 판례[편집] 직접 민주제는 대의제가 안고 있는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예외적으로 도입된 제도라 할 것이므로 법률에 의하여 직접 민주제를 도입하는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대의제와 조화를 이루어야 하고, 대의제의 본질적인 요소나 근본적인 취지를 부정하여서는 안된다.[4] 각주[편집] ↑ 김왕근 외 5인, 2014년, 《고등학교 법과 정치》, 42쪽, 천재교육 ↑ 국민이 법안 만드는 국민발안제, '갑론을박' 거세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뉴스핌 ↑ 김왕근 외 5인, 2014년, 《고등학교 법과 정치》, 43쪽, 천재교육 ↑ 2007헌마843 같이 보기[편집] 참여 민주주의 권력 의지 대의제 아나키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직접_민주제&oldid=24532254" 분류: 직접민주주의민주주의정치 제도직접행동국민주권아나키스트 이론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lemannischAragonésالعربيةAsturianu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گیلکیAvañe'ẽ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LumbaartLingála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6일 (토) 08: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직접 민주제(直接民主制, 영어: direct democracy, pure democracy)는 대표자 없이 구성원 전체가 직접 정치에 참여하여 의사결정을 하는 민주주의 제도이다. 대표자를 선출하는 간접 민주제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과거 고대 그리스 아테네에서 시민권을 가진 남자들의 다수결원칙 아래 정치적 결정에 직접 권한을 행사하는 정부형태로 실시되었다. 현대에는 이 제도를 그대로 채용하는 국가가 거의 없으며, 직접 민주제를 채용하는 국가로는 스위스가 대표적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대한민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직접 민주제적 제도에는 무엇이 있을까? Assistant: 대한민국은 국민 투표 제도를 채택하여, 국가 안위에 관한 중요 정책을 국민투표로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에서는 주민 소환제도 시행하고 있다. Human: 아래 이리나_셰이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리나 셰이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리나 셰이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리나 셰이크Irina Shayk 2012년 셰이크본명 이리나 발레리예브나 셰이흘리슬라모바Irina Valeryevna Shaykhlislamova[1]출생 소련 러시아 SFSR 첼랴빈스크주 예만젤린스크[2]국적 러시아직업 모델키 178cm 모색 다크 브라운눈 색깔 그린치수 (US) 34-23-35; (EU) 86-58-88드레스 사이즈 (US) 4; (EU) 34신발 크기 (US) 7; (EU) 37에이전시 The Lions: 뉴욕, 로스앤젤레스 Elite Model Management: 파리, 바르셀로나 Select Model Management: 런던 Modelwerk: 함부르크 배우자 브래들리 쿠퍼 (2015-2019년, 결별)자녀 1녀 (레아 쿠퍼)웹사이트 www.irinashaykofficial.com 이리나 발레리예브나 셰이흘리슬라모바(영어: Irina Valeryevna Shaykhlislamova, 러시아어: Ирина Вале́рьевна Шайхлисламова[2], 1986년 1월 6일 ~ )는 간단히 이리나 샤크(영어: Irina Shayk, 러시아어: Ири́на Шейк)로 잘 알려진 러시아의 모델이다. 셰이크는 2007년 이탈리아의 유명 란제리 의류 인티미시미의 뮤즈로 독점 계약을 맺고 국제적으로 얼굴을 알렸다. 그녀는 또한 2011년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의 커버 모델로 발탁 된 첫 번째 러시아 모델이 되었다. Models.com은 그녀를 "산업 아이콘"으로 평가하였다.[3] 목차 1 성장 과정 2 경력 2.1 모델 2.1.1 초기 경력 2.1.2 2010–현재 2.2 연기 3 사생활 4 자선 활동 5 출연 작품 5.1 영화 5.2 텔레비전 5.3 뮤직 비디오 5.4 비디오 게임 6 수상 및 후보 7 각주 8 외부 링크 성장 과정[편집] 셰이크는 1986년 1월 6일, 소련 러시아 SFSR 첼랴빈스크주 예만젤린스크에서 광부의 타타르인 아버지 발레리 셰이흘리슬라모브와 유치원 음악 교사의 러시아인 어머니 올가 사이에서 태어났다.[4] 그녀의 성씨인 셰이흘리슬라모바는 셰이흘리슬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셰이흘리슬람은 문자 그대로 아버지와 러시아 여성 성 접미사 ova의 이슬람 타타르 기반으로 인해 "이슬람 학자"(셰흐 알이슬람)를 의미한다. 그녀는 아버지로부터 그녀의 외모를 물려 받았고, 사람들은 종종 그녀가 남미 사람인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아버지는 타타르 계였기 때문에 어두운 피부색이었고, 때로는 타타르인들이 브라질인처럼 보일 수도 있다. 또한 나는 어머니에게서 푸른 눈을 물려 받았다."[4] 그녀에게는 형제가 하나 있는데, 타티아나라는 언니가 있다. 셰이크는 6세 때 피아노 연주를 시작했다. 9세 때 음악 학교에 입학하여 7년 동안 피아노를 연주하였고, 그녀의 어머니가 음악 공부를 원했기 때문에 합창단에서 노래를 불렀다.[5] 셰이크의 아버지는 그녀가 14세 때 폐렴의 합병증으로 사망했으며, 가족들에게 약간의 재산만을 남긴 탓에 어머니는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두 가지 일을 해야만 했다고 한다.[4] 고등학생이 된 셰이크는 마케팅 공부를 하였으나,[5] 실패하고 그녀의 언니와 미용학교에 들어갔다. 재학 중인 동안, 셰이크는 그녀의 아름다운 외모에 주목한 지역의 모델링 에이전시의 눈에 띄게 되었다. 그녀는 2004년 첼랴빈스크 미인 대회에 참가할 것을 권유 받았고, 그녀는 최종 우승을 하였다.[6] 경력[편집] 모델[편집] 초기 경력[편집] 2007년, 셰이크는 아나 베아트리스 바후스를 대체하는 이탈리아의 유명 란제리 의류 인티미시미의 뮤즈와, 같은 해에 연간의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Sports Illustrated Swimsuit Issue)에서 데뷔했다. 그때 이후로, 그녀는 상트페테르부르크, 나폴리, 그레나다와 칠레에서 촬영한 모든 연간 판에 출연하였다. 3년 동안 인티미시미의 이미지를 거친 셰이크는 2010년에 브랜드의 공식 대사가 되었다.[5][7] 그녀의 다른 모델 계약에는 비치 버니 스윔웨어(2009),[8] 게스 S/S 2009가 있다.[9] 다른 일로는 빅토리아 시크릿 카탈로그, 라코스테, 체사레 파치오티, 모렐라또가 있다.[2][10] 그녀는 〈애나벨〉, 〈볼레로〉, 〈우먼〉, 〈트웰브〉, 〈잘루즈〉와 〈파리스 캐피탈〉을 포함한 잡지 표지 모델로 등장했다.[2] 그녀는 2009년 5월에 모델 에이전시 IMG와 계약했다.[11] 2010–현재[편집] 셰이크는 아르마니 익스체인지 S/S 2010 캠페인 모델이 되었다.[12] 그녀는 또한 영화 감독의 예술가 마르코 브람빌라가 연출한 칸예 웨스트의 "Power" 뮤직 비디오에 출연했다.[13] 그녀는 〈오션 드라이브〉와 〈GQ〉의 남아프리카 공화국판 8월호 표지에 등장했다.[14][15] 그녀는 〈콤플렉스〉 잡지에서 발표한 "50 가장 매력있는 러시아 여성" 목록에서 1위를 차지했다.[16] 그녀는 스윔웨어에서 하이 패션으로 변경하고 스페인판 〈하퍼스 바자〉, 스페인판 〈엘르〉의 2010년 11월호 표지를 장식했다.[17] 스페인판 〈글래머〉는 그녀에게 "2010년 최고의 해외 모델" 상을 수여했다.[18] 같은 해 말 그녀는 〈GQ〉의 스페인판 12월 호에서 누드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그녀는 사진 촬영을 하지 않았으며 잡지에 란제리를 제거하기 위해 이미지를 디지털로 변경했다고 주장했다.[19] 2011년 2월 14일, 《레이트 쇼 위드 데이비드 레터먼》의 에피소드에서, 셰이크는 2011년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의 표지 모델이 된 것이 〈빌보드〉를 통해 공개 되었다. 그녀는 처음으로 표지에 등장한 러시아인이다.[20][21] 셰이크는 스윔웨어 브랜드 룰리 파마의 2011년 광고 캠페인과 룩 북의 얼굴이 되었다.[22][23] 그녀는 또한 존 존 데님의 광고 캠페인에도 등장했다.[24] 2011년, 그녀는 러시아판 〈태틀러〉, 〈트웰브〉, 스페인판 〈코스모폴리탄〉, 멕시코판 〈GQ〉, 스페인판 〈글래머〉, 이탈리아판 〈아미카〉와 크리스마스 특별판의 스페인판 〈엘르〉 등의 잡지 표지를 장식했다. 그녀는 바 라파엘리를 대체하여, 램페이지, 리플레이 진과 XTI 같은 많은 브랜드의 모델로 일했다.[25] 그녀는 Models.com의 "섹시한 모델 Top 2" 목록에서 14위를 차지했다.[26] 같은 해 그녀는 헝가리 잡지 〈페리오디카〉에서 발표한 "세상에서 가장 섹시한 여성"으로 선정 되었다.[27] 2012년에는 영국판 〈에스콰이어〉, 아라비아판 〈하퍼스 바자〉, 우크라이나판 〈마리끌레르〉, 스페인, 러시아와 독일판 〈GQ〉, 러시아판 〈글래머〉, 〈코스모폴리탄〉의 전 세계 14개국의 봄 표지 모델로 등장했다. 그녀는 또한 스페인판 〈S Moda〉과 〈The Sunday Times Style〉의 표지를 장식했다. 그녀는 이외에도 이탈리아판 〈베니티 페어〉에 실렸다. 같은 해, 그녀는 모렐라또, 아구아 벤디타와 블랑코의 광고 캠페인에 출연했다.[25][28] 셰이크는 또한 브랜드 라 클로버와 에이본 슈퍼 드라마 마스카라의 새로운 얼굴이기도 하다. 2012년 9월, 〈L' Express Styles〉 잡지 표지를 장식하면서 마리오 테스티노와 함께 작업했다.[25] 11월, 셰이크는 잡지 〈트웰브〉와, 앤 비알리치나에 이어 두 번째로 커버를 장식했다.[29] 같은 달에 그녀는 마리오 테스티노와 작업한 스페인판 〈보그〉 12월호에 실렸다.[30] 그 해 11월 27일, 그녀는 Top Model po-russki의 네 번째로 발표 되었다. 2013년 2월, 그녀는 잡지 〈Vs.〉에 앤 비알리치나와 표지에 등장하였고, 같은 달에 브루스 위버가 촬영하고 카린 로이펠드가 스타일링한 CR 패션 북 2호에 실렸다. 같은 달 뉴욕 패션 위크에서 제레미 스콧의 런웨이 모델로 섰다. 2013년 3월에는 파리 패션 위크에서 지방시 런웨이를 섰다.[28] 또한 2013년 셰이크는 미국판 〈하퍼스 바자〉에 여러 차레 메인으로 등장하였다. 그녀는 CR 패션 북 3호에서 두 번째로 선정 되었다. 9월, 그녀는 러시아판 〈얼루어〉 표지를 장식했다.[31] 그녀는 또한, 지암파올로 스구라가 촬영한 그녀의 첫 보그 표지로서, 스페인판 〈보그〉 표지 모델로 등장했다.[32] 2014년, 그녀는 2014년 동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러시아 선수단의 플래 카드 전달자가 되었다.[33] 그 후에 그녀는 유명한 러시아 TV 쇼 《Evening Urgant》에 출연하여 그녀의 성공적인 모델링 경력에 대해 이야기했다. 2015년 10월, 그녀는 로레알 파리의 새로운 앰버서더가 되었다.[34] 셰이크는 미우 미우, 막스마라, 버버리, 제레미 스콧, 보테가 베네타, 마크 제이콥스, 모스키노, 베르사체, 지방시, 다이앤 본 퍼스텐버그, 자일스 디콘, 데시구엘, 프로노비아스, 필립 플레인과 망고의 런웨이 모델로 일했다. 2016년, 그녀는 빅토리아 시크릿 패션쇼에 섰다. 그녀는 알베르타 페레티, 지방시, 베르사체, 버버리, 마크 제이콥스, 장 폴 고티에, 라 페를라, 로베르토 카발리, 인티미시미, 라 센자, 모렐라또, 베베, 로드 앤드 타일러, VIGOSS, 블루마린, 린다페로우, 라코스테, 아르마니 익스체인지, 게스, 엘렌 트레이시, 발리, 쿠플스, 미쏘니, XTI, 리플레이 진, H&M, 삭스 피프스 에비뉴, 빅토리아 시크릿과, 에이본의 광고 캠페인 모델로 일했다. 2018년 12월, 그녀는 마크 제이콥스 뷰티의 새로운 앰버서더가 되었다.[35] 연기[편집] 셰이크는 2014년 영화 《허큘리스》에서 메가라 역할로 연기 데뷔를 하였다.[36][37] 사생활[편집] 셰이크는 줄리어스 시저의 이름을 딴 시저(Caesar)라는 래브라도의 애완견을 키우고 있다. 셰이크는 2010년부터 2015년 1월까지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와 연인 관계였다. 2015년 초부터, 셰이크는 미국의 배우 브래들리 쿠퍼와 연인 관계이다.[38] 2015년 11월, 쿠퍼는 그녀의 뉴욕 웨스트 빌리지의 아파트로 이사를 왔다.[39] 2017년 3월 21일, 셰이크와 쿠퍼는 그들의 첫 아이이자 딸 레아(Lea de Seine Shayk Cooper)을 로스앤젤레스에서 출산했다.[40][41] 셰이크와 쿠퍼가 2019년 6월 결별한 것이 보도 되었다.[42] 자선 활동[편집] 셰이크는 그녀의 고향인 예만젤린스크의 산부인과 병원을 지원하고 있다. 그녀와 그녀의 언니는 어린이 병동 재건축을 지원하고, 어린이 환자들을 돌보는 러시아 자선단체인 〈포모기〉 홍보대사로 활동하고 있다.[4] 최근 적십자사와 함께 여러 국제 문제에도 관심과 지지를 보내고 있으며, 미국 동물 보호단체인 〈ASPCA〉와도 함께 일하고 있다.[43] 출연 작품[편집]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14 허큘리스Hercules 메가라 텔레비전[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16 인사이드 에이미 슈머Inside Amy Schumer 아내 시즌 4, 에피소드: "Psychopath Test" 뮤직 비디오[편집] 연도 제목 가수 비고 2010 "Power" 칸예 웨스트 2014 "Yo También" 로미오 산토스 feat. 마크 앤서니 비디오 게임[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11 니드 포 스피드: 더 런Need for Speed: The Run 밀라 베로바 목소리 출연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상 부문 작품 결과 2010 스페인 글래머 매거진 어워드 최우수 해외 모델상 자신 수상 2011 마리끌레르 Prix de la Mode 어워드 올해의 모델상[44] 수상 2014 러시아 글래머 매거진 어워드 올해의 여성상 수상 각주[편집] ↑ Malle, Chloe. “Hot! Supermodel Shayk's Perry Street Condo”. 《New York Observer》. 2012년 7월 26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Irina Sheik”. Fashion Model Directory.  ↑ {{웹 인용|url=https://models.com/rankings/ui/IndustryIcons/3031#3031%7Ctitle=Industry Icons|work=Models.com ↑ 가 나 다 라 Cohen, Stefanie (2010년 8월 15일). “Shayk, rattle and roll!”. NY Post. 2010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Fernández de Angulo, Javier (2010년 12월 10일). “Desmontando a Irina”. GQ. 2011년 2월 15일에 확인함.  ↑ http://uralpress.ru/show_article.php?id=56680 ↑ “Shayk it baby! Ronaldo's stunning model girlfriend Irina smoulders in Italian lingerie | Mail Online”. London: Dailymail.co.uk. 2010년 10월 8일. 2010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Videos”. Beach Bunny Swimwear. 2010년 10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Guess Jeans S/S 09 (Guess)”. Models.com. 2010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Cristiano Ronaldo’s new girlfriend – Irina Sheik - Glamour Vanity”. 《www.glamourvanity.com》. 2017년 5월 14일에 확인함.  ↑ Aboutaleb, Britt (2009년 7월 23일). “Irina Shayk: Superstar”. fashionista.com.  ↑ Marr, Madeleine (2010년 6월 12일). “It's good to be Irina Shayk”. Miami Herald.  ↑ “Kanye West's Artistic "Power" Video”. Celebrity-gossip.net. 2010년 8월 6일.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Sexy lingerie model Irina Shayk covers August GQ South Africa – Lingerie Pics, Lingerie Tips, Hot Lingerie”. LingerieWeapon.com. 2010년 7월 21일. 2010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Swim Fan :: Articles :: Ocean Drive Magazine”. Oceandrive.com. 2010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Irina Shayk (Ирина Шейк) | The 50 Hottest Russian Women”. Best.complex.com. 2010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Chernikoff, Leah. “Irina Shayk Goes from Swim to High Fashion Model Thanks to Kanye?”. fashionista.com.  ↑ “Premios top Glamour. La revista entregó sus galardones Women of the Year 2010” (스페인어). Glamour España. 2010년 11월 12일. 2010년 11월 14일에 확인함. Una impresionante Irina Shayk recogió el premio a la Mejor Modelo Internacional  ↑ Ronaldo's girlfriend Irina Shayk attacks GQ for Photoshopping her images to appear nude, Daily Mail, 25 November 2010 ↑ Finn, Natalie (2011년 2월 15일). “Five Things to Know About Sports Illustrated Swimsuit Cover Hottie Irina Shayk”. 《E! News》.  ↑ Satherley, Jessica (2011년 2월 15일). “Cristiano Ronaldo's girlfriend Irina Shayk lands the 2011 Sports Illustrated annual Swimsuit Issue cover”. 《Daily Mail》 (London: Associated Newspapers Ltd). 2011년 2월 15일에 확인함.  ↑ “Tennis Catherine?... Bernard Arnault's Wealth Estimated a Cool $28.6B...”. 《Women's Wear Daily》. 2010년 7월 9일.  ↑ Odell, Amy (2010년 7월 9일). “See Cristiano Ronaldo's Girlfriend Model Swimsuits Before and After Photoshopping”. 《New York Magazine》. 2011년 2월 15일에 확인함.  ↑ “Irina Shayk for John John Denim Campaign”. 2014년 6월 2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Irina Shayk”. fmd.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MODELS.com's Top Sexiest Models”. 《models.com》. 2017년 5월 14일에 확인함.  ↑ Aboutaleb, Britt (2011년 7월 11일). “Ismét megválasztották a világ legszebb színésznőjét és legszexisebb színészét”. premierfilm.hu. 2011년 1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29일에 확인함.  ↑ 가 나 “Irina Shayk biography”. models.com.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Irina Shayk”. FMD. 2014년 6월 21일에 확인함.  ↑ “The fashion spot”. 2017년 4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21일에 확인함.  ↑ “Allure Russia September 2013 Cover”. models.com. 2014년 6월 21일에 확인함.  ↑ “Vogue Spain November 2013”. 2014년 6월 21일에 확인함.  ↑ Tousignant, Lauren (2014년 2월 8일). “Russian supermodel sizzles at Sochi Opening Ceremony”. nypost.com. 2015년 8월 20일에 확인함.  ↑ “L’Oréal Signs Up Irina Shayk”. 2015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Tietjen, Alexa. “Irina Shayk Is Marc Jacobs Beauty’s Newest Face”. 2018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Irina Shayk goes Hollywood in 'Hercules'”. 《USA Today》. 2014년 8월 19일에 확인함.  ↑ “Timeline Photos”. Facebook.com. 2014년 6월 21일에 확인함.  ↑ “Bradley Cooper and Irina Shayk are dating”. 《Hellomagazine.com》. 2015년 5월 5일. 2016년 1월 11일에 확인함.  ↑ “Bradley Cooper quits apartment hunt, moves in with Irina Shayk”. 《New York Daily News》. 2015년 11월 23일. 2016년 8월 29일에 확인함.  ↑ “Bradley Cooper and Irina Shayk Welcome Daughter Lea De Seine”. 《people.com》. 2017년 4월 11일. 2017년 5월 14일에 확인함.  ↑ “Bradley Cooper and Irina Shayk's First Child's Name and Sex Revealed”. 《eonline.com》. 2017년 5월 14일에 확인함.  ↑ Fernandez, Alexia; Merrett, Robyn (2019년 6월 6일). “Bradley Cooper and Irina Shayk Split After 4 Years Together”. 《PEOPLE.com》 (영어). 2019년 6월 7일에 확인함.  ↑ “Irina Shayk, the good will ambassador of POMOGI”. 유튜브. 2014년 8월 19일에 확인함.  ↑ “Irina Shayk Is Marie Claire's Model Of The Year”. Perez Hilton.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이리나 셰이크 이리나 셰이크 - 공식 웹사이트{{깨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링크|url=http://www.irinashaykofficial.com/%7D%7D[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영어) 이리나 셰이크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이리나 셰이크 - 패션 모델 디렉터리 이리나 샤크 - Models.com 이리나 셰이크 - 인스타그램 이리나 셰이크 - 페이스북 이리나 셰이크 - 트위터 Irina Shayk in Dom Models MAG Irina Shayk: Model Life – slideshow by Life Irina Shayk at The Fashion Styles Irina Shayk Sports Illustrated Swimsuit Edition 2016 vdeh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SI) 스윔수트 커버 모델1960년대 바베트 마치 슈 피터슨 써니 빕퍼스 마릴린 틴달 투리아 마우 재미 베커 1970년대 셰릴 티그스 타니아 루니아노 셸리아 로스코 데일 헤이든 앤 사이먼턴 셰릴 티그스 이베뜨 & 이본 실밴더 레나 캔스보드 마리아 주앙 크리스티 브링클리 1980년대 크리스티 브링클리 크리스티 브링클리 캐롤 앨트 셰릴 티그스 폴리나 포리스코바 폴리나 포리스코바 엘 맥퍼슨 엘 맥퍼슨 엘 맥퍼슨 캐시 아일랜드 1990년대 주딧 마스코 애슐리 리차드슨 캐시 아일랜드 벤델라 커시봄 캐시 아일랜드, 레이첼 헌터 & 엘 맥퍼슨 다니엘라 페스토바 발레리아 마자 & 타이라 뱅크스 타이라 뱅크스 하이디 클룸 레베카 로미즌 2000년대 다니엘라 페스토바 엘사 베니테즈 야밀라 디아즈 페트라 넴코바 베로니카 바레코바 캐롤린 머피 베로니카 바레코바, 엘 맥퍼슨, 레베카 로미즌, 레이첼 헌터, 다니엘라 페스토바, 엘사 베니테즈, 캐롤린 머피 & 야밀라 디아즈 비욘세 마리사 밀러 바 라파엘리 2010년대 브루클린 데커 이리나 샤크 케이트 업튼 케이트 업튼 니나 아그달, 릴리 앨드리지 & 크리시 타이겐 한나 제터 론다 라우시/애슐리 그레이엄/헤일리 클라우슨 케이트 업튼 대니엘 헤링턴 vdeh2010년대 빅토리아 시크릿 패션 쇼 모델 (첫 출연)2010년 그라시 카르발류 예카테리나 도만코바 릴리 도널드슨 마그달레나 프라츠코비아크 헤로이제 게랭 콩스탕스 자블롱스키 재클린 자블론스키 라이스 히베이루 파비아나 셈프레봉 마르타 스트렉 2011년 제시카 클라크 토니 가른 허쑤이 브레혀 헤이넌 엘사 호스크 칼리 클로스 이에바 라구나 아나이스 말리 카롤리네 브라슈 닐센 카르멘 페다루 캐머런 러셀 샤니나 샤이크 조앤 스몰스 2012년 카라 델레바인 샤란 디니즈 조던 던 바르바라 피알류 프리다 구스타프손 제시카 하트 바트 요르겐슨 바바라 팔빈 슈 페이 친 힐러리 로다 재스민 툭스 마우트 벨전 2013년 시그리드 아그렌 마리아 보르즈스 신디 브뤼나 말라이카 퍼스 켈리 게일 마사 헌트 모니카 야가치아크 사라 삼파이우 조세핀 스크리베르 카시아 스트러스 데번 윈저 밍시 2014년 다니엘라 브라가 케이트 그리고리예바 이만 하맘 테일러 힐 유미 랑베르 그레이스 마하리 스텔라 맥스웰 미헐리크 에니쾨 블랑카 파디야 이리나 샤리포바 로메이 스트레이트 2015년  레오미 앤더슨 지지 하디드 레이철 힐버트 폴린 오아로 켄달 제너 발레리 카우프만 브루나 리리오 브리짓 맬컴 레일라 엔다 메건 퓰러리 비타 시도르키나  사너 플룻 2016년 알난나 애링턴 딜론 그레이스 엘리자베스 조지아 파울러 라메카 폭스 루마 그로치 벨라 하디드 쥐샤오원 매기 레인 케케 린드가드 플라비아 루시니 라이스 올리베이라 헤리에스 폴 브룩 페리 주다나 필립스 카밀 로우 이리나 샤크 주리 티비 메간 윌리엄스 2017년 프리다 아센 자빌 버마넬리 그레이스 볼 에스텔 첸 에이든 커티스 로스마린 데 코크 아밀리나 에스테바오 알레시나 그레이엄 빅토리아 리 나딘 레오폴드 바네사 무디 알레시아 모라이스 이젤라 올리베이라 원 왕이 씬잉 2017년 미르테 볼트 조시 칸세코 샤이엔 마야 카티 마이아 코튼 윌로우 핸드 위니 할로우 아이샤 호지스 수바 코즈 켈시 메리트 이실다 모레이라 새디 뉴먼 마요와 니콜라스 로레나 래이 소피 로벤스틴 더키 토트 멜리 티아코 앨라나 월트 야스민 바이날둠 2018년 미르테 볼트 조시 칸세코 체이 카티 마이아 코튼 윌로우 핸드 위니 할로우 아이샤 호지스 사바 코이 켈시 메리트 이실다 모레이라 섀디 뉴먼 마요와 니콜라스 로레나 래 소피 로벤스틴 더키 도트 멜리 티아코 앨라나 월튼 야스민 바이날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리나_셰이크&oldid=24517440" 분류: 1986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러시아의 여자 모델타타르계 러시아인미국에 거주한 러시아인숨은 분류: CS1 - 스페인어 인용 (es)CS1 - 영어 인용 (en)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러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کوردی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हिन्दी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ҚазақшаNederlands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3일 (수) 11:1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리나 발레리예브나 셰이흘리슬라모바(영어: Irina Valeryevna Shaykhlislamova, 러시아어: Ирина Вале́рьевна Шайхлисламова, 1986년 1월 6일 ~ )는 간단히 이리나 샤크(영어: Irina Shayk, 러시아어: Ири́на Шейк)로 잘 알려진 러시아의 모델이다. 셰이크는 2007년 이탈리아의 유명 란제리 의류 인티미시미의 뮤즈로 독점 계약을 맺고 국제적으로 얼굴을 알렸다. 그녀는 또한 2011년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의 커버 모델로 발탁 된 첫 번째 러시아 모델이 되었다.Models.com은 그녀를 "산업 아이콘"으로 평가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리나 셰이크는 2011년에 어떤 시상식에서 모델상을 받았는가? Assistant: 마리끌레르 Prix de la Mode 어워드
Human: 아래 월경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월경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월경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그림 1) C의 주권이 B에 속해 있으며, B의 경계를 넘어 존재하기 때문에 C는 B의 월경지이다. 이에 대해 C는 A의 영토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A의 위요지이다. (그림 2) C는 B의 월경지이지만, A와 D가 국경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위요지는 아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레소토(빨강 부분)를 완전히 감싸고 있다. 월경지(越境地)[1]는 특정 국가나 특정 행정구역에 속하면서 본토와는 떨어져, 주위를 다른 나라·행정구역 등에 둘러싸여 격리된 곳을 말한다. 월경지 외에 비지(飛地)·비입지(飛入地)·포령(包領) 등의 용어도 쓰인다. 이들은 개념상 모두 영어의 “exclave”(엑스클레이브, 엑스클라베)와 대응하고 있다. 만약 둘러싸인 땅이 그 자체로 독립정체(政體)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월경지라 부르지 않으며, 하나의 땅이 주변을 완전히 다른 국가의 영토에 둘러싸여 있을 때는 위요지(圍繞地; enclave: 엔클레이브, 엔클라베)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레소토의 국경은 모두 남아프리카공화국에 둘러싸여 있는데, 레소토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대해 위요지 관계에 있다. 그러나 레소토는 다른 국가에 속하는 부속령이 아니라 그 자체로 독립국가이므로, 월경지는 아니다. 목차 1 월경지, 위요지의 유형에 따른 분류 2 월경지에 준하는 경우 3 위요지의 예 4 국제 월경지의 예 4.1 현재 4.2 과거 5 나라별 행정 구역상의 월경지의 예 5.1 대한민국 5.1.1 현재 5.1.1.1 시군구/읍면동 단위의 월경지 5.1.1.2 실질월경지 또는 읍면동내 월경지 5.1.2 과거 5.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5.3 일본 5.4 중화인민공화국 5.5 중화민국 5.6 미국 5.7 독일 5.8 벨기에 5.9 스위스 5.10 오스트리아 5.11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5.12 기타 6 각주 7 참고문헌 8 같이 보기 9 외부 링크 월경지, 위요지의 유형에 따른 분류[편집] 참 월경지 참 월경지란 월경지가 속한 국가는 독립 국가이지만, 타국 영토를 거치지 않고는 도달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 대표적인 예로 서베를린이 있다. 독일 통일 이전에 서베를린은 서독의 월경지였으며 동독에 둘러싸인 월경지였다(이 중 서베를린에 속하는 슈타인슈튀켄 등 일부 지역은 이 서베를린 본토에서도 떨어져 있는 월경지로 존재하였다). 내륙국(위요지 국가) 레소토는 주위를 남아공 한나라에 완전히 둘러싸인 국가이나 별도의 국가에 소속되어 있는 속령이 아니므로 월경지는 아니다. 산마리노나 바티칸, 과거 대한민국의 청원군 통합 이전의 청주시 등도 같은 유형에 속한다. 임시 월경지 특정한 상황에서 특별한 목적으로 한 나라가 타국에 자국 영토의 일부의 영유권을 임시로 양도한 경우에 생기는 월경지를 말한다. 현재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명목상의 국왕인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는 본래 왕실 일가가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영국으로 망명해있던 도중인 1945년에 태어났다. 그런데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왕위 계승법상 유고슬라비아 국적을 갖지 않은 사람은 왕위 계승자가 될 수 없었고, 유고슬라비아는 출생지주의를 택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가 영국 영토에서 태어나 영국 국적을 갖게 될 경우, 왕위 계승권이 박탈될 수 있었다. 그래서 영국 정부는 특별히 그가 태어나기 전에, 유고슬라비아 왕실 일가가 묵고 있던, 런던의 클라리지 호텔(Claridge's Hotel)의 212호실의 영유권을 잠시 유고슬라비아에 양도하여 이 방은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임시 월경지가 되었다. 이윽고, 알렉산다르 왕세자가 태어나자, 곧바로 이 방의 영유권은 영국에 반환되었다. 여객기 팬암 103호 폭파사건 때 이들 테러범들을 조사하기 위한 영국의 임시법원(스코틀랜드 법률의 적용을 받는)이 네덜란드의 위트레흐트 부근에 있는 캠프 차이스트(Zeist)에 설치된 일이 있다. 따라서 이 임시 법원은 네덜란드 영토 안에 있는 영국(스코틀랜드)의 월경지가 되었다. 법원은 1999년 소집되어 2002년에 네덜란드에 반환됨으로써 월경지가 소멸되었다. 실질 월경지 및 준 월경지 실질 월경지란 본래적 의미의 월경지에는 해당되지 않지만, 본토와 산, 강 등 자연적 장애물로 막혀 있어 실질적으로 타 영토/행정구역을 지나야만 동일 영토/행정구역 간 왕래가 가능한 경우를 말한다. 또한 본래적 의미의 월경지에 해당되지만, 그 영토의 독립성이 떨어지는 경우(본토와 매우 인접한 경우 등)를 준 월경지라 한다. 치외법권 지역 대사관이나 외국 주둔 군대의 군사기지는 보통 주재국(駐在國) 법률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 이 권리를 치외법권이라고 한다. 치외법권 지역은 엄밀하게는 월경지가 아니기 때문에 그 주권은 어디까지나 주재국에 있다. 대사관 및 군대 주둔지 이외의 치외법권 지역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미국 뉴욕에 있는 유엔 본부: 유엔에 속함. 팔라초 말타(Palazzo Malta): 로마에 있으며 몰타 기사단에 속함. 트리폴리 대한민국 대사관: 리비아에 있으며 대한민국에 속함. 민족 월경지 민족 월경지란 특정 민족집단(ethnic group)이 모여 사는 지구를 말한다. 코리아타운, 차이나타운, 리틀 이탈리아 등이 민족 월경지에 속한다. 이들 지역은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지니고 있으며 자체적으로 작동하는 경제 시스템도 보유하고 있다. 양외지(讓外地) 특별한 사유에 의해서 어떤 나라의 영토내에 다른 나라가 소규모의 땅이나 건물을 관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양외지라고 한다. 양외지에는 종종 면세 등 그 나라 법률상의 특혜가 적용된다. 양외지는 일반적인 의미의 월경지에는 속하지 않으며, 치외법권 지역과도 다르다. 양외지의 예로는 다음이 있다. 영국령인 세인트 헬레나 섬에 있던 옛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묘는 프랑스의 양외지이다. 영국령 채널 제도의 건지 섬에 있는 빅토르 위고의 집은 프랑스의 양외지이다. 하와이 제도에 있는 제임스 쿡의 묘지는 영국의 양외지이다. 그리스의 테살로니키에 있는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의 생가는 터키의 양외지이다. 포클랜드 제도에서 사는 주민들 중 자신의 국적이 아르헨티나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집은 모두 아르헨티나의 양외지이다. 또한 영국이라고 주장하면 그 사람의 집 역시 영국의 양외지이다. 참고로 그렇게 아르헨티나의 양외지가 된 지역의 주민은 아르헨티나 정부에서 1인당 100,000 미국 달러를 지급해 주며 이 돈을 받은 사람들은 국적을 변경할 수 없다.[출처 필요] 외국 영토를 지나는 특정국가의 국유도로 1963년에서 2002년 사이에 독일령 젤프칸트를 경유하여 루르몬트와 헤를렘을 연결하는 N274도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네덜란드령으로 합병되었다가 1963년 독일로 반환되었다. 월경지에 준하는 경우[편집] 감비아는 바다에 접해 있는 한쪽 면을 제외하면 세네갈에 완전히 둘러싸여 있는 일방면해국이다 일방 면해지(一方面海地) 일방면해지란 지역의 좁은 영역이 바다에 면해 있는 반면, 나머지는 특정 국가(또는 타행정구역)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 땅을 말한다. 감비아(세네갈에 둘러싸임), 모나코(프랑스에 둘러싸임), 브루나이(말레이시아에 둘러싸임) 등은 일방면해지에 속한다. 중화민국 신주 시는 서쪽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는 전부 신주 현에 둘러싸여 있다. 위요지의 예[편집] 산마리노와 바티칸 시국은 이탈리아에 둘러싸여 있다. 레소토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둘러싸여 있다. 독일 브레멘, 베를린은 각각 니더작센주, 브란덴부르크주에 둘러싸여 있다. 일본 히로시마현 후추 정은 히로시마 시에 둘러싸여 있는 위요지이다. 군 내의 읍이 부(1949년 이후 시)로 승격될 경우 많은 부(시)들이 군에 둘러싸여 있었다.(2014년까지의 통합 전 청주시와 청원군이 대표적인 예) 광주광역시는 전라남도에 둘러싸여 있는 위요지이다. 중화민국의 자이 시는 자이 현에 둘러싸인 위요지이다. 말레이시아의 쿠알라룸푸르와 푸트라자야는 슬랑오르주에 둘러싸인 위요지이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준주는 뉴사우스웨일스주에 둘러싸인 위요지이다. 국제 월경지의 예[편집] 현재[편집] 무산담 주: 오만의 영토인 무산담 주는 아랍에미리트의 북동쪽 끝에 위치하여 아랍에미리트의 영토에 둘러싸여 있다. 호르무즈 해협에 위치한 지정학적 요충지이다. 칼리닌그라드주: 러시아의 영토인 칼리닌그라드 주는 리투아니아와 폴란드에 둘러싸여 있다. 산코보메드베제: 러시아의 영토인 브랸스크주 즐린콥스키 군 산코보메드베제는 벨라루스 호멜 주 도브루시 지역에 둘러싸여 있다. 바를러나사우(네덜란드)와 바를러헤르토흐(벨기에): 바를러의 네덜란드 영토에 해당하는 바를러나사우 지방은 따로 떨어져 있는 22개의 벨기에 영토를 둘러싸고 있다. 그리고 벨기에 영토인 바를러헤르토흐 역시 또 네덜란드 영토인 월경지를 둘러싸고 있다. 뷔징겐: 독일의 영토인 뷔징겐은 스위스 샤프하우젠주에 의해 독일 본토와 떨어져 있다. 또 샤프하우젠주는 세 조각으로 갈라져 있다. 펜반(Vennbahn) : 베르사유 조약에서 오이펜-말메디 지역과 함께 벤반 철도를 벨기에 땅으로 할양하면서 독일의 월경지가 생겼다.[2][3] 캄피오네디탈리아: 이탈리아의 영토인 캄피오네디탈리아는 스위스의 영토에 둘러싸여 있다. 이비아: 스페인의 영토인 지로나 주 이비아는 프랑스 랑그도크루시용 피레네조리앙탈주에 둘러싸여 있다. 나히체반 자치 공화국: 아제르바이잔 영토로 이란과 아르메니아에 둘러싸여 있다. 카빈다 주: 앙골라의 카빈다 주는 콩고 공화국과 콩고 민주 공화국에 둘러싸여 있는 일방면해지(一方面海地)이다. 알래스카주: 알래스카 주는 미국 관할이지만 육로로는 캐나다를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다. 오에쿠시 현: 티모르 섬에서 인도네시아령 서티모르 지역에 가로막힌 동티모르령 지역이다. 다만 북부는 바다와 접하는 일방면해지여서 육로가 아닌 선박이나 항공기를 이용하면 딜리로 통할 수 있으나 시간이 오래 걸린다. 틈부롱 구: 브루나이의 틈부롱 구는 브루나이 본토와는 전혀 붙어있지 않고, 말레이시아에 둘러싸여 있다. 리히텐슈타인의 하위 행정구역은 대부분이 월경지이다. 코키나: 남키프로스에 둘러싸인 북키프로스의 옛 마을이자 군사기지 지역이다. 북부는 바다와 접하는 일방면해지이다. 과거[편집] 중국 춘추 전국 시대에는 월경지가 많이 존재했다. 특히 진(晉)나라가 조(趙), 위(魏), 한(韓)으로 분할되었을 때 삼국 모두 국경을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월경지가 많았다. 특히 위나라는 전성기 때 영토를 확장하면서 너무 많은 월경지가 형성되었고 주변 국가들의 압박으로 쉽게 몰락하였다. 서베를린 : 역사적으로 서베를린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이 통일될 때까지 동독에 둘러싸여 있었다. 서베를린 바깥에도 동독 영토에 둘러싸여 서베를린으로 가려면 동독 영토를 거쳐야 하는 또다른 월경지들이 있었다. 슈타인슈튀켄(Steinstücken): 서독의 월경지이면서, 또한 서베를린의 월경지였다. 미국·영국·프랑스·소련 4개국의 독일 분할 점령 이후 1972년까지는 확실한 월경지였다. 1971년 4개국간 협정(Four Power Agreement on Berlin)에 따라, 서베를린 ‘본토’와 슈타인슈튀켄 사이를 잇는 기다란 땅을 동독에서 떼어내서 서베를린으로 편입하고 그곳에 도로인 베른하르트 바이어 가(Bernhard-Beyer-Straße)를 만들게 되었다. 서베를린은 그 대가로 사람이 없는 6개의 월경지를 동독에 양도하고 또한 400만 서독 마르크를 지급하였다. 그런데 이 도로에 속한 다리 밑으로 기존 동독 국영철도가 지나가서 문제가 됐다. 그래서 이 철도가 통과하는 구간은 다리와 다리 위 영공은 서독 서베를린에, 이 다리 아래의 땅(철도 포함)과 영공은 동독에 속하게 하여 타협하였다. 1972년 이 도로가 개통되어 서베를린에 편입됨에 따라 슈타인슈튀켄이 월경지인지 아닌지 모호해졌다. 동프로이센: 1차 세계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하여 신생국 폴란드에 일부 영토를 할양하면서,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의 동프로이센은 폴란드 회랑에 의하여 독일 본토와 분리되어 있었다. 동파키스탄 : 파키스탄은 인도에 의해 서부(서파키스탄, 현재의 파키스탄)와 동부(동파키스탄, 현재의 방글라데시)로 분리되어 있었다. 1971년 동파키스탄이 방글라데시로 독립하면서 소멸되었다. 전라남도 서남부 : 후삼국 시대 태봉은 900년대 초 왕건을 보내 수군으로 나주시, 진도 등을 거점으로 현재 전라남도의 남서부를 정복하였다. 육로로는 후백제가 사이에 있어 떨어져 있었다. 이는 고려의 건국 이후에도 지속되었다가 928년 후백제가 되찾아 소멸하였으나, 935년초 유금필의 출병으로 고려가 되찾았다. 곧 이 월경지로 견훤이 항복해온 이후 936년 후삼국이 통일되어 소멸하였다. 동프로이센 : 제 1차 세계대전 이후 폴란드 회랑의 설정에 의해 독일 본토에서 떨어지게 되었다. 현재의 러시아령 칼리닌그라드주(州) 북부에 해당하는 지역. 아랍 연합 공화국 : 이집트와 시리아. 1958년에서 1961년까지. 자다르 : 전간기(戰間期: interwar period) 달마티아 지방(오늘날 크로아티아)에 있던 이탈리아령의 일방면해지. 과다르 : 1783년 오만의 술탄이 이 곳을 차지하면서부터 오만의 영토로 남아있었지만 1958년 오만이 파키스탄에 300만 영국 파운드를 받고 매각하면서 파키스탄의 영토가 됨. 월비스베이 : 나미비아(당시 남서아프리카)에 있던 남아프리카의 일방면해지. 1994년 나미비아에 반환. 인도와 방글라데시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지역에 인도-방글라데시 월경지라는 많은 월경지가 존재했다. 2015년 8월 1일에 월경지가 교환되어 국경 문제가 해소되었다.[4] 나라별 행정 구역상의 월경지의 예[편집] 대한민국[편집] 현재[편집] 시군구/읍면동 단위의 월경지[편집]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하빈면 : 1981년 7월 1일 경상북도 달성군 월배읍, 성서읍이 대구직할시에 편입되면서 월경지가 되었다. 1995년 달성군 전역이 대구광역시에 편입되긴 했으나 다사읍, 하빈면은 다른 달성군 지역과 여전히 이격된 월경지이다(1957년~1963년 동안 공산면, 월배면, 성서면, 동촌면, 가창면이 대구시에 편입되었던 당시에도 월경지였다). 인천광역시 강화군 : 원래 경기도 소속일 당시에는 경기도 김포시와 맞닿아 월경지가 아니었으나, 1995년 인천광역시 관할로 편입되면서 인천광역시의 실질월경지가 되었다. 향후 강화도-신도-영종도를 잇는 영종-강화 연도교 건설 계획이 있고, 군 내부에서 경기도로 환원하려는 여론도 있어 어느 방향으로 추진되든간에 월경지 문제는 해소될 전망이다.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 경기도 안산시 대부도와 연륙교인 선재대교로 연결되어 있다. 영흥화력발전소 건설 전까지 인천 중구와 페리선으로 연결되었으나 건설 후 모든 여객선 노선이 폐지되었고, 옹진군의 다른 섬들로 가는 여객선도 운항되지 않아 관할 수역으로만 이어진 실질월경지가 되었다. 경기도 김포시 : 경기도 전체로 보면 한강을 건너는 김포대교와 일산대교로 고양시와 연결되어 있어 월경지가 아닐수 있으나 실제로는 경기도 남부청사 관할이므로, 행정적으로는 북부 관할을 제외한 남부 관할 구역에서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를 사이에 두고 경기도의 다른 지역과 떨어져 있는 월경지이다.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 : 대부도는 주변이 경기도 시흥시, 화성시, 인천광역시 옹진군에 둘러싸여 있다. 원래 경기도 옹진군 소속이었으나, 1995년 옹진군이 인천광역시에 편입될 때, 이 지역은 인천광역시가 아닌 경기도에 잔류하였다(안산시 편입: 1994년 12월 26일). 특히 풍도동은 대부도와 함께 행정상 대부동에 속해 있으나, 대부도는 물론 안산시 모든 지역에서 직접 갈 방법이 없는 실질 월경지였으나 지금은 인천에서 출발하는 배가 대부도의 방아머리항을 경유하기 때문에 월경지가 아니다. 대부도는 인천광역시(옹진군)으로의 편입을 원하는 지역 여론도 있고, 안산시에서는 자체적으로 시화호 뱃길[5]을 추진하고 있어, 어느 쪽으로 추진되든 월경지 문제가 부분적으로 해소될 전망이다. 전라북도 완주군 이서면 : 전주시와 김제시에 둘러싸여 있다. 1989년 인접해 있던 완주군 구이면의 4개 리(중인리, 용복리, 석구리, 원당리)가 전주시 완산구에 편입되면서 월경지가 되었다.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반송동 : 동 전체가 의창구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성산구의 월경지이다.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두대동 창원스포츠파크 일대: 창원스포츠파크 서쪽 도로인 충혼로의 지적이 성산구 중앙동으로 등록되어 있다. 나머지 삼면도 전부 성산구에 면하고 있어 창원스포츠파크 일대가 성산구의 위요지, 의창구의 월경지가 된다. 실질월경지 또는 읍면동내 월경지[편집]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독산동의 각 일부 : 시흥동 일부(광명테크노파크 부근)와 독산동 일부(금천교 부근 독산공원, 독산주공 14단지 및 독산한신아파트단지)는 안양천으로 나뉘어 있는 실질월경지이다. 안양천의 직강화(直江化) 이후 행정구역 경계 조정이 되지 않아 발생한 월경지이다.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행정동 철산1동의 일부)과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의 각 일부 : 철산동(롯데광명물류센터 및 신구로유수지 쪽) 일부가 안양천으로 나뉘어 있는 실질월경지로 상기 금천구 시흥동의 사유처럼 안양천의 직강화(直江化) 이후 발생하였다. 철산동 본토 최북단(고가도로 진입로 인근)쪽에도 구로동의 월경지가 약간 있다. 서울특별시 구로구 신도림동 282-38, 구로동 614-63, 양천구 신정동 871-9 등: 위의 사례와 마찬가지로 직강화된 안양천과 행정 경계가 일치하지 않아 발생한 실질월경지들이다.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동 1, 2번지 일대: 효창동 1, 2번지 일대는 청파동의 관할 지역에 완전히 둘러싸여 있는 청파동의 위요지로, 효창동의 월경지이다.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6가 일부 : 용산동6가 451번지(한강 반포지구 마리나제페) 일원은 용산구의 다른 지역과 한강으로 나뉘어 있어 서초구 반포동을 거쳐야 용산구의 다른 지역으로 갈 수 있는 실질월경지이다.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 일부 : 법정동 오륜동의 동부지역은 회동저수지의 동쪽에 있어서 육로로 오륜동의 다른 지역에 갈 수 없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 화원읍, 옥포읍과 접해 있어 행정구역상으로는 완전한 월경지가 아니나, 비슬산에 막혀 있는데다 가창면과 달성군의 다른 지역을 잇는 도로가 없어 지리적으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 실질월경지이다. 대구광역시 북구 금호동 일부: 금호동 일부가 금호강에 의해 남북으로 격리된 실질 월경지이다. 인천광역시 서구 세어도 등: 황해의 섬 중 인천광역시 서구에 속한 섬은 전부가 원창동의 지번을 부여받아 신현원창동에 속해 있다. 이들 섬과 원창동 본토를 직접 오가는 정기 운행하는 선박은 전무하다. 세어도의 경우 수도권 매립지 방조제의 세어도선착장에서 출발하는 배편이 존재한다. 대전광역시 대덕구 신탄진동(행정동) 일부 : 대청호에 의해 소하천의 하구가 깊게 잠겨 대청호의 일부가 됨으로써 갈전동, 부수동, 황호동의 중간이 잠겨 갈전동, 부수동, 황호동의 각 일부 지역이 대청호 동편에 위치한 실질월경지가 되었다.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소호리 : 고헌산과 백운산으로 막혀 있는 실질월경지이다. 상북면 소재지로 가려면 경상북도 경주시 산내면 대현리를 거쳐야 한다. 울주군이나 울산광역시 관할 전체에서도 월경지가 된다.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 천전리 : 연화산과 대곡댐 수몰지구로 인해 막혀있다. 두동면의 타 지역으로 가려면 주로 두서면소재지를 경유하게 된다. 인접한 삼정리를 연결하는 도로 또한 언양읍 대곡리를 경유한다. 경기도 김포시 : 경기도 전체로 보면 한강을 건너는 김포대교와 일산대교로 고양시와 연결되어 있어 월경지가 아니나, 행정적으로는 북부 관할을 제외한 남부 관할 구역에서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를 사이에 두고 경기도의 다른 지역과 떨어져 있는 월경지이다. 경기도 과천시 주암동 일부: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을 비롯한 일대 장군마을 지역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에서만 통행이 가능하여 실질 월경지인 상태이다. 경기도 광명시 학온동, 시흥시 과림동의 각 일부: 목감천의 직강화로 실질월경지가 생겼다. 경기도 광주시 남종면 이석리, 삼성리: 팔당호와 경안천이 있어 남종면의 다른 지역으로 직접 갈 수 없는 남종면의 실질월경지이다. 경기도 군포시 금정동 1번지 일대 : 군포시 산본동(산본1동)과 안양시 동안구 호계동(호계1동)에 의해 금정동의 나머지 부분과 나뉘어 있다. 경기도 남양주시 수석동 일부 : 구리시의 분리 이후 왕숙천을 경계로 하게 되었으나, 왕숙천의 직강화 후 시경계가 바뀌지 않아 실질월경지가 되었다.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구암리 일부 : 구암3리 지역은 산지로 가로막혀 화도읍의 다른 지역과 직접 연결되는 도로가 없어 구운천을 건너 가평군 청평면 대성리를 통과해야만 왕래할 수 있는 실질월경지이다. 경기도 부천시 역곡3동 : 법정동인 괴안동의 일부 지역과 옥길동의 일부 지역을 관할하고 있으며, 두 지역은 범박동 및 서울특별시 구로구 항동을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있다. 동주민센터는 괴안동에 있다.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일부 : 탄천이 수정구를 둘로 나누고 있으며 서울공항으로 인해 탄천 서쪽의 수정구 지역과 탄천 동쪽의 수정구 지역을 잇는 다리가 없어 실질월경지가 존재한다. 양쪽 지역을 오가는 다리인 둔전교는 중원구 성남동에 걸쳐 있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1동 일부: 구미1동의 구미동과 동원동 지역을 잇는 도로가 중간에 금곡동을 통과한다.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청룡리 : 서운면의 인접한 다른 리와는 서운산으로 가로막혀 연결 도로가 없으며,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도림리를 거쳐야 서운면의 다른 지역으로 갈 수 있는 실질월경지이다. 서운면, 안성시 뿐만 아니라 경기도 전체의 입장에서도 실질월경지이다. 경기도 양평군 단월면 명성리 대부분, 석산리 일부: 소리산으로 인해 단월면의 다른 지역과 직접 통행이 불가하며 강원도 홍천군 서면을 통과해야만 하는 경기도, 양평군 및 단월면의 실질월경지이다.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백석리섬: 한강의 하중도로, 교량이 대신면 방향으로만 연결되어 있다. 경기도 연천군 백학면 항동리, 매현리, 오음리 : 접경지역이며, 장남면으로 인하여 백학면의 다른 지역과는 갈라져 있다.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늘목리·간파리, 신답리 : 지리적으로는 갈라져 있지 않으나, 도로 사정상 어떤 식으로든 각각 파주시 적성면 적암리, 청산면·연천읍을 통과하지 않고는 전곡읍의 다른 지역으로 갈 수 없다. 전자의 경우 연천군의 실질월경지가 된다.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 325-228, 325-230 : 경부고속도로를 무단횡단하지 않고는 동천동의 타 지역으로 갈 수 없으며 실질월경지가 된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능원리, 동림리, 오산리 : 영역이 덤벨처럼 동과 서의 두 덩이로 나뉘어 있는 데다, 산지로 인해 동서가 분리되어 있어, 광주시 오포읍 문형리를 거쳐야만 왕래할 수 있는 실질월경지이다. 모현읍 서부의 3개리는 처인구 관할 전체로 따져도 마찬가지로 월경지이다. 경기도 용인시 서농동 일부와 신갈동 일부 : 기하적으로는 용인시에 연결돼 있으나, 농서동 서측 일부와 서천동 및 하갈동의 경희대학교 부지는 신갈저수지가 있어 도로상 수원시나 화성시를 거치지 않고는 용인시의 다른 지역과 왕래할 수 없는 실질 월경지이다. 경기도 이천시 중리동 일부 : 고담동, 단월동, 대포동, 장록동은 본래 대월면에 속하여 있다가 이천시 승격 직후 중리행정동 관할에 편입된 지역으로 중리동 관내 다른 지역과 복하천을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는 실질월경지이며, 직접 연결되는 도로가 없고 부발읍 가좌리와 신하리를 거치거나 혹은 국도 제42호선 우회도로를 통해 호법면 유산리를 거쳐야 중리동 관내 다른 지역으로 갈 수 있다.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노탑리 일부(노탑4리): 청미천을 경계로 노탑리의 다른 지역 및 장호원읍, 이천시 전체와 지리적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인근 음성군 감곡면을 거쳐야만 갈 수 있다. 인근 도로인 성주로는 대부분 노탑리와 감곡면 왕장리, 단평리에 걸쳐 있다. 경기도 하남시 위례동 등 : 위례신도시의 하남시 지역인 학암동(하남 위례동)은 남한산 서쪽 줄기와 성남골프클럽 골프장에 의해 다른 하남시와 분리되어 실질월경지가 된다.[6] 성남시와 접한 남한산성로 주변 지역은 버스 정류장의 전산상으로만 하남시인 곳으로 여전히 도보로도 빠져나갈 수 없는 완벽한 실질월경지이다. 창덕여자고등학교 운동장 일부 (216-1, 432-1 번지)는 감일동에 속하지만 학교 담장에 막혀 하남시의 타 지역으로 갈 수 없다. 초이동의 천호대로 이북 일부 지역은 천호대로로 인해 건너편과 단절되어 있다.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노성리 432 - 중간에 둔포천이 있어서 충청남도 아산시를 거쳐가야한다.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국화리 (국화도, 입파도) : 우정읍에서는 갈 수 없고, 서신면 궁평항· 전곡항이나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 장고항에서만 오갈 수 있는 우정읍의 실질월경지이다. 경기도 화성시 정남면 괘랑리 일부 : 황구지천으로 인해 정남면의 나머지 부분으로 넘어갈 수 없는 실질월경지이다.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하가등리 : 땅거스러미인데다가 봉담읍의 다른 지역과 군 골프장으로 단절된 실질월경지다. 경기도 화성시 금곡동 : 동탄6동의 관할 구역 중에, 오산천으로 단절되어 있는 실질월경지이다. 도로는 동탄2동(반송동)과 오산시 은계동으로만 통해 있다. 경기도 화성시 반정동 일부: 일부 지역이 수원시에 둘러싸여 있어 도로상으로 화성시의 다른 지역으로 접근할 수 없는 실질 월경지이다. 이 구역 중 일부가 신동택지개발지구로 지정되어 수원시와 분쟁의 요인이 되고 있다.[7] 경기도 화성시 진안동 : 진안행정동은 진안동과 접해있지 않은 지역인 법정동 능동의 일부를 관할한다. 2007년 1월 능동의 대부분이 신설 행정동인 동탄동에 편입되어 현재와 같이 되었다.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정연리 : 평강군에서 편입된 지역이다. 처음 편입된 직후에는 연접하고 있었지만 토지 정리 과정에서 동송읍, 김화읍에 의해 떨어져 갈말읍의 다른 지역과 사합점으로 접하게 되었다. 강원도 철원군 임남면 : 서쪽으로 원동면과 접하고는 있으나 원동면과의 사이에 북한강이 흐르고, 이를 건너는 교량은 남쪽으로 군 경계를 넘어 화천군에 있기에 실질월경지에 속한다. 강원도 원주시 판부면 : 세 법정리인 금대리, 서곡리, 신촌리 사이에 연결된 도로가 없는 실질월경지이며, 일찍이 옛 원주시에 편입되어 동으로 승격된 관설동을 거쳐야 세 리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이런 연유로 실제 판부면사무소는 관설동에 위치하고 있다. 관설동이 판부면에서 분리된 1973년부터 신촌리가 판부면에 편입된 1982년 사이에는 금대리와 서곡리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어 서로 완전한 월경지이었다. 강원도 원주시 호저면 만종리 : 원래는 호저면의 다른 지역과 이어져 있었으나, 1973년 호저면 가현리가 원주시 우산동과 태장동에 분할 편입되면서 호저면 본토와 분리되었다. 1938년 사천리, 1955년 우산리가 먼저 원주시에 편입되면서, 가현리와는 이어져 있지만 산으로 가로막힌 실질월경지 상태였다.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방하리 일부 : 남이섬은 행정구역상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방하리에 속하여 있으나 북한강을 사이에 두고 방하리 본토와 분리되어 있으며, 배편이 연결되는 선착장은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달전리에 있고 생활권도 가평에 속하는 실질월경지이다. 강원도 춘천시 북산면: 소양강휴게소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이 실질월경지가 된다. 소양호 이서 지역 및 대곡리, 대동리는 춘천시의 다른 지역으로 접근하는 도로가 없어 춘천시의 실질월경지가 되며, 또한 북산면 자체가 소양호의 동서 양쪽에 자리잡고 있어 대동리, 조교리와 물로리가 각각 북산면의 실질월경지가 된다. (대곡리는 외부로 연결되는 도로가 전혀 없으며, 나룻배로 소양강을 건너면 북산면의 소양호 이서 지역과 연결된다.) 강원도 태백시 삼수동 일부: 삼수동의 관할 법정동인 적각동, 창죽동, 원동, 상사미동, 하사미동, 조탄동은 매봉산 및 대덕산으로 인해 나머지 관할 법정동인 황지동 및 화전동으로 직접 갈 수 없으며 가는 길 중간에 황연동을 거치게 된다. 강원도 태백시 문곡동: 문곡소도동의 관할 법정동 중 문곡동은 태백산 줄기로 인해 소도동 및 혈동으로 직접 가는 도로가 없으며, 가는 길에 상장동을 거치게 된다.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판문리, 한소리 : 지리적으로는 하장면 어리, 대전리와 접하여 있으나 지형적 문제로 통하는 도로가 없어 하장면 타 리로 가기 위해서는 태백시나 정선군을 거쳐야 하는 삼척시와 하장면의 실질월경지이다. 강원도 영월군 무릉도원면 두산리, 운학리 : 산지로 인해 무릉도원면의 다른 지역과 연결 도로가 없어 무릉도원면의 다른 리로 가기 위해서는 원주시 신림면 송계리를 거쳐야 하는 실질월경지이다.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일부 : 충주호로 인해 충주호 건너편 지역을 서로 오갈 수 없다. 충청북도 보은군 회남면 서탄리 일부 : 대청호로 인해 리의 대부분 지역이 다른 서탄리는 물론 다른 보은군 지역과 떨어져 오갈 수 없는 실질월경지이다. 충청북도 옥천군 군북면 막지리, 용호리 : 1973년 안내면에서 군북면으로 편입되었으나 대청호로 인해 군북면의 다른 지역과 연결되는 도로가 없어 여전히 안내면을 거쳐야 군북면의 다른 리와 왕래할 수 있는 실질월경지이다.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 매산리 행담도 및 평택·당진항 서부두: 서해대교가 지나는 행담도는 다른 신평면 지역으로 갈 수 없고, 평택시나 송악읍과만 다리(서해대교)로 연결되어 있다. 평택·당진항 서부두 또한 행담도와 유사한 상황이었으며, 2015년 5월 4일 행정자치부의 결정으로 서부두 중 서해대교가 통과하는 구간을 비롯한 일부 필지가 평택시로 편입되어[8][9] 당진시 신평면 매산리 976 일원은 당진시와 연결된 어떠한 교량으로도 접근할 수 없는 실질월경지가 되었다.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방우리 : 부리면 수통리와 북서쪽으로 접하고는 있으나 갈선산으로 가로막혀 연결 도로가 없으며 금강을 사이에 두고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대차리와 연결된 잠수교와 무주읍 내도리 앞섬마을로 연결된 임도만이 존재하여 무주읍을 거쳐야만 부리면 관내 다른 지역과 왕래할 수 있고 생활권도 무주에 속하는 실질월경지이다. 금산군 뿐만 아니라 충청남도 전체와도 실질월경지인 상태로, 무주군으로의 편입을 원하는 지역 주민들의 여론도 있고 금산군에서는 자체적으로 수통리와 방우리 간 연결도로 계획을 추진하고 있어 어떠한 방향으로든 향후 지리적 단절 문제가 해소될 전망이다.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외부리, 내부리, 호티리 : 군북면 천을리와 북동쪽으로 접하고는 있으나 내부리와 천을리를 연결하는 도로는 제원면 명곡리를 통과하기 때문에 외부리, 내부리, 호티리는 군북면의 실질월경지가 된다.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 면사무소가 있는 교촌리, 동서리, 상중리 지역과 나머지 지역이 예당저수지로 갈라져 있어 육로로 서로 왕래할 수 없는 실질월경지이다.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 옥도면 관할구역은 섬으로만 이루어져 있고, 각 섬마다 연락선이 원활하지 못한 관계로 사실상의 행정구역의 상당 구역들은 옥도면 내에서 각각의 월경지 관계에 있다. 실제로 옥도면사무소는 옥도면이 아닌 시내에 위치하고 있다.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구만리: 만경강 북쪽에 있는 봉동읍 대부분의 지역과 달리 구만리는 만경강 남쪽에 있으며, 구만리에서 봉동읍 중심지로 가기 위해서는 봉동읍 지역만을 지나는 농로 하나를 제외하면 반드시 용진읍을 거쳐야 하는 봉동읍의 실질월경지이다. 전라북도 익산시 춘포면 춘포리 일부: 만경강 북쪽에 있는 춘포면 대부분의 지역과 달리, 춘포리의 마전마을과 구담마을은 만경강 남쪽에 있으며, 이들 마을에서 춘포리 중심지로 가기 위해서는 전주시 덕진구 강흥동을 거쳐야 하는 익산시, 춘포면의 실질월경지이다.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비안도리 495, 496 (가력도) : 김제시의 구역인 새만금 2호 방조제와 부안군의 구역인 가력배수갑문에 의해 행정구역이 분리되어있다.[10]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신시도리 267(신시 수질측정소) : 본래 신시도의 일부였으나, 신시배수갑문으로 흘러가는 물길을 내기 위해 신시도의 일부가 포락지가 되었고, 새만금 2호 방조제가 김제시의 행정구역으로 획정되면서[11] 새만금호를 사이에 둔 군산시의 실질월경지가 되었다. 전라북도 김제시 새만금 2호 방조제 (진봉면 심포리 2413~2444): 새만금 내부 매립 이후 연륙되는 모양을 반영하여 내부지역의 행정구역이 획정되기 전에 방조제의 행정구역이 결정되면서 월경지가 되었다. 내부매립이 끝나면 김제시와 연결되어 월경지에서 벗어난다.[10] 2016년 5월 김제시에서는 진봉면 심포리로 2호방조제의 세부 행정구역을 획정하고[12] 2016년 6월에 지적도에 등재되어[13][14] 이 지역은 진봉면의 월경지이자 심포리의 월경지이기도 하다.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세풍리 2195~2227: 율촌1일반산업단지의 일부로, 세풍리 본토와는 관할 수역으로만 연결되어 있는 광양시, 광양읍의 실질월경지이다.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시산리 : 시산도 및 일부 도서에 해당하는 시산리의 바로 옆에는 금산면에 위치한 거금도라는 섬이 접하고 있어 도양읍의 다른 지역과는 실질 월경지이다. 역시 관할 수역으로만 이어져 있다.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좌사리 일부 : 리의 대부분 지역이 지리산 능선으로 인해 좌사리의 나머지 지역은 물론 산동면의 다른 지역과도 갈라져 있고 직접 연결하는 도로가 없어 이곳에서 산동면의 다른 지역으로 가려면 광의면을 거쳐야 하는 실질월경지이다. 전라남도 나주시 공산면 일부, 동강면 진천리 : 영암군 시종면과의 경계를 이루는 삼포강의 직강화로 발생한 월경지이다.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수영마을 : 주변 논지역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식만동에 속해 있다. 가락면이 부산에 편입될 때 주민들은 김해시에 남기를 원해 마을을 둘러싼 논이 부산광역시에 편입되어 월경지가 되었다. 경상북도 김천시 남면 초곡리, 농소면 신촌리 : 2014년 남면·농소면 일부가 율곡동으로 분리되어, 남면 최북단의 초곡리, 농소면 최북단의 신촌리가 실질월경지가 되었다. 각각 남면 봉천리, 농소면 월곡리와 관할 구역은 이어져 있으나, 산으로 막혀 있어 남면 또는 농소면의 다른 지역으로 가려면 율곡동을 거쳐가야 한다. 경상북도 김천시 조마면 삼산리, 신왕리, 대방리 : 실질월경지로, 조마면 소재지인 강곡리를 비롯한 조마면의 다른 지역으로 가려면 감천면을 거쳐가야 한다. 경상북도 상주시 거동동, 인평동, 서곡동: 동성동의 관할 구역 중 월경지로, 동성동의 다른 관할 구역인 성하동 및 성동동과 한 점으로만 접하고 있다. 경상북도 상주시 도남동 : 상주시 동문동의 관할 구역 중 실질월경지로, 병성천으로 인해 직접 갈 수 없으며 왕래하려면 사벌면을 거쳐야 한다.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대송면 옥명리 일부: 남구 장흥동에 편입된 필지 때문에 월경지를 갖고 있다.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 같은 예천군의 지보면과 낙동강을 마주보며 접해 있지만 연결 도로가 삼강~회룡포 강변길에 속하는 인도교인 비룡교와 산행로뿐이어서 도보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예천군 관할 내 다른 읍면으로 가려면 문경시 영순면이나 의성군 다인면을 거쳐야만 하는 예천군의 실질 월경지이다. 경상남도 진주시 대평면 상촌리 일부, 신풍리: 대평면 중 진양호의 동쪽에 위치한 지역은 진양호 서쪽의 대평면 다른 리로 가려면 명석면으로 돌아가야 하는 대평면의 실질월경지이다. 경상남도 양산시의 웅상출장소 관할구역(서창동, 소주동, 평산동, 덕계동) : 1906년 울산군(현재의 울산광역시) 웅상면이 양산군(현재의 양산시)에 편입되었으며 천성산으로 양산시내와 가로막혀 있어서 정관면과 동면을 거쳐야만 양산시내로 갈 수 있다. 1995년 기장군이 양산군에서 분리되어서 웅상은 양산군의 나머지 지역과 지리적으로 완전히 분리가 되었으며,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월평리를 경유하지 않으면 양산 도심은 물론 양산시 다른 지역으로 갈 수 없는 실질월경지가 되었다. 이 지역은 양산시의 다른 지역보다 울산, 부산에 가까운 생활권이다.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일부: 양산 시가지와 연담되어 있는 석산리·금산리와, 가산리 일대에서는 금정산과 경부고속도로로 인해 동면의 나머지 지역을 곧바로 오갈 수 없으며, 반드시 다방동을 거쳐야 한다. 경상남도 사천시 축동면 배춘리 일부와 구호리 일부, 사천읍 중선리 일부 : 축동면 배춘리의 일부는 중선포천 남쪽에 있어 다른 축동면 지역에서 도로로 갈 수 없다. 이곳은 사천공항 부지의 일부이다. 반대로 사천읍 중선리 일부는 중선포천 이북에 있으며 인도교도 없어서 다른 사천읍 지역에서 도로로 갈 수 없다. 중선포천 하구에 있는 축동면 구호리 일부는 다른 축동면 지역과 달리 중선포천 동쪽에 있어서 사천읍과만 이어져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송산동: 동홍천과 정방폭포, 행정동 동홍동의 주위로 동부(동홍, 토평, 보목동)와 서부(서귀동)가 끊어져 있다. 과거[편집] 옹진반도: 분단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경계가 38도선으로 일괄확정되었기 때문에 남쪽으로 삐져나온 당시 황해도의 옹진반도 및 그 부속도서들이 대한민국의 월경지가 되었다. 한국전쟁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차지함으로써 월경지는 소멸되었다. 황해도 벽성군: 분단으로 동쪽의 옹진반도 지역과 해주에 붙은 지역이 갈라져 월경지가 되었다. 황해도를 폐지하면서 서쪽의 옹진반도는 옹진군에, 동쪽은 연백군에 편입하여 소멸하였다. 한국전쟁 이후 이북 5도 행정 체계상 구 벽성군의 옹진반도 3개면은 옹진군수 예하에서 면장을 임명하지만 해주시 이동 지역은 벽성군수 아래에서 면장을 임명한다. 경기도 고양군 뚝도면 : 지금의 서울특별시 광진구 전역과 성동구 성수동, 송정동, 동대문구 장안동, 중랑구 면목동 및 송파구 잠실동, 신천동 지역에 해당한다. 1936년에 고양군의 일부 (한지면, 용강면, 은평면, 연희면 전역, 숭인면 일부)가 경성부에 편입되면서 고양군의 나머지 지역과 분리되어 월경지가 되었다. 1949년에 숭인면과 함께 이 지역 또한 서울특별시에 편입되면서 소멸되었다.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 : 지금의 서울특별시 강북구, 성북구 전역과 동대문구(장안동 제외), 성동구 용답동 지역에 해당한다. 1936년 일부가 경성부에 편입된 이후 북한산 능선으로 인해 고양군의 인접 지역과 직접 연결되는 도로가 없어 실질월경지가 되었다. 1949년 뚝도면과 함께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어 소멸되었다. 경기도 부천군 : 1940년 군의 문학면, 남동면, 부내면, 서곶면이 인천부에 편입되면서 부천군의 도서 지역(지금의 옹진군과 인천광역시 중구 영종동, 용유동)이 부천군의 월경지가 되었다. 1973년에 소사읍의 부천시 승격과 동시에 도서 지역은 옹진군에 편입되고 나머지 지역은 김포군, 시흥군 등으로 분할 편입되어 소멸되었다. 경기도 양주군 : 1963년 군 중앙부의 의정부읍이 의정부시로 승격되고 노해면과 구리면 일부가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편입되면서, 지금의 구리시 및 남양주시 일대가 양주군의 월경지가 되었다. 1980년에 이 지역을 남양주군으로 분리 신설함으로써 소멸되었다. 물론 이 지역에 해당됐던 면인 내동면 고산리, 입암리, 별비곡면 덕동리 등도 월경지였는데 각각 지금의 진접읍 지역과 상계동 지역을 관할했었다고 한다. 경기도 시흥군 : 1973년 군 중앙부의 안양읍이 안양시로 승격되면서, 지금의 과천시, 군포시, 의왕시 일대가 시흥군의 월경지가 되었다. 1989년에 시흥군이 시흥시, 군포시, 의왕시로 분할 승격됨으로써 소멸되었다. 인천광역시 서구 청라도 일대: 2010년 검암동, 경서동, 연희동, 원창동 일부 지역을 청라동으로 분리하면서 청라도 등 청라국제도시의 구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서동 지역이 검암경서동의 월경지가 되었다. 2018년 7월 1일 법정동 청라동의 설치와 동시에 해당 월경지는 전부 청라3동에 편입되어 소멸되었다. 세종특별자치시 한솔동(행정동) :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할 때 세종시의 모든 법정동을 관할하는 행정동으로 한솔동이 설치되었다. 법정동들이 금강 남쪽과 북쪽에 모두 설치되어 있으며 금강 수역의 행정 구역은 연기면 세종리로 설정되었기 때문에 한솔동 행정동은 형식 상 연기면으로 인해 양분되어있는 월경지였다. 2017년 금강 이남의 법정동들을 관할하는 행정동인 보람동이 신설되어 월경지가 소멸되었다.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국곡리 : 산지로 인해 반포면의 인접한 다른 리로 연결되는 도로가 전혀 없어 연기군 금남면 두만리를 거쳐야 하는 실질월경지였다.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출범과 함께 금남면에 편입되어 소멸되었다. 충청남도 대덕군 진잠면, 기성면, 탄동면 : 1983년 군의 유성읍 전역, 진잠면, 탄동면 대부분 및 기성면 일부가 대전시에 편입되면서 대덕군의 다른 지역과 분리되어 월경지가 되었다. 1989년에 대덕군 전역이 대전직할시에 편입되면서 소멸되었다. 충청남도 대덕군 신탄진읍 장동리 : 1961년 주한 미군 기지 캠프 에임스가 조성되면서 신탄진읍(당시 북면)의 다른 지역과 직접 연결되는 유일한 도로가 단절되어 회덕면(1983년 대전시 동구에 편입)을 거쳐야만 신탄진읍 관내 다른 지역으로 갈 수 있는 실질월경지가 되었다. 회덕동과도 계족산으로 가로막혀 장동고개를 넘어야 왕래할 수 있어 자연 지형이 아닌 군사 시설에 의해 월경지가 된 드문 사례로, 1989년 대덕군이 대전직할시에 편입될 때 장동리 일원을 신탄진동 대신 회덕1동에 편입하면서 소멸되었다. 경상북도 달성군 공산면, 해안면(1940년 동촌면으로 개칭) : 1938년 군의 성북면, 달서면, 수성면이 대구부에 편입되면서, 공산면과 해안면이 달성군의 월경지가 되었다. 두 면은 1957년 대구시에 편입되었으나, 공산면은 1963년 다시 달성군으로 환원되어 여전히 달성군의 월경지로 남았다가 1981년 최종적으로 대구직할시에 편입되어 소멸되었다. 함경북도 경흥군 풍해면 : 1936년 경흥군 나진읍이 나진부로 승격되면서 풍해면(豊海面)은 나머지 경흥군과 산으로 이어진 실질월경지가 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쓰고 있는 행정구역으로는 1949년에 부령군의 동부 지역과 경흥군 풍해면이 라진시와 합쳐 라진군으로 강등되면서 소멸되었으나, 대한민국의 명목상 행정구역으로서는 여전히 유효하다. 제주도 북제주군 : 1946년에 제주도가 설치됨과 동시에 제주읍이 제주시로 승격되면서 나머지 지역이 제주시의 사이를 두고 월경지가 된다. 2006년에 제주특별자치도의 출범에 따라 제주시와 통합되면서 소멸되었다. 제주도 남제주군 : 1981년에 서귀읍과 중문면이 서귀포시로 승격되면서 나머지 지역이 서귀포시의 사이를 두고 월경지가 된다. 2006년에 제주특별자치도의 출범에 따라 서귀포시와 통합하면서 소멸되었다. 경기도 광명시 광명동, 서울특별시 구로구 개봉동, 천왕동의 각 일부 : 목감천의 직강화로 발생한 실질월경지였지만, 1973년과 1995년의 행정구역 경계 조정에 따라 소멸되었다. 경기도 광명시 옥길동 : 행정동인 광명6동 관할하에 있는 옥길동은 1983년 광명시로 편입되었으나 광명시의 다른 지역과 목감천으로 나뉘어져 있는데다 연결되는 다리조차 없어서 서울특별시 구로구 천왕동을 거쳐서 가거나 경기도 시흥시 과림동을 거쳐서 가야만 광명시의 다른 지역으로 갈 수 있는 실질월경지였다. 당시 광명시내로 가는 화영운수 3번 시내버스 역시 구로구 천왕동과 오류동, 개봉동을 거쳐서 갔다. 하지만 1990년대 광명6동과 옥길동 간 연결다리인 광화교와 광남1교가 개통되면서 실질월경지에서 벗어났다.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 일부 : 1995년 2월 28일까지는 철산동 일부(철산교 서울구간 근방)가 안양천으로 나뉘어 있는 실질월경지였고, 안양천의 직강화(直江化) 이후 발생하였다. 1995년 3월 1일 행정구역 조정으로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으로 편입되면서 소멸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도림동 (현 구로구 신도림동과 영등포구 대림동) : 1949년 서울특별시 편입 이후, 신도림동 중간이 구로동에 가로막힌 월경지였으나, 1980년 구로구 분구로 법정동 신도림동 중 영등포구 잔류지역이 법정동 대림동이 되면서 소멸했다. 충청남도 계룡시 두마면 일부 (현 엄사면): 2003년 논산시 두마면이 계룡시로 승격되면서 행정 구역이 두마면, 남선면, 금암동으로 삼분할되었다. 금암동의 분리로 인해 잔여 두마면의 영의 동과 서가 산지로 분리되어 있어 양 지역 사이에 연결되는 도로가 없는 실질월경지였다. 2006년 서부 지역이 엄사면으로 분리되어 실질월경지가 소멸되었다. 익산군 오산면 : 1974년 7월 1일 익산군 북일면을 이리시에 편입하여 월경지가 되었다. 1995년 이리시와 익산군을 익산시로 통합하여 소멸했다. 창원군(의창군) : 창원시, 진해시, 마산시의 승격으로 군역이 3개로 쪼개져 월경지가 되었다. 동쪽의 월경지는 1983년 웅동면을 진해시로, 천가면(가덕도)를 부산직할시로 편입하여 소멸했다. 이후 1995년 북쪽의 월경지를 창원시로, 서쪽을 마산시로 통합, 창원군을 폐지해 월경지가 소멸했다. 전라남도 승주군 해룡면 : 순천군 순천읍, 도사면과 해룡면 왕지리, 조례리, 연향리가 순천시로 승격되어 월경지가 되었다. (관할 수역으로 이어져 있었다.) 1995년 순천시와 승주군을 통합하여 소멸되었다.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연일읍 강북 지역: 1957년에 달전면이 폐지되면서 달전동, 학전동, 자명동, 유강동 이상 4개동이 연일읍(당시 연일면)에 편입되었는데, 1983년에 연일읍 일부가 포항시에 편입되면서 4개동은 형산강으로 막혀 포항시를 경유하지 않으면 연일읍소재지로 갈 수 없는 실질월경지가 되었다. 2006년에 유강대교가 개통하면서 소멸되었다. 경상북도 영일군 : 포항시를 사이에 두고 군역이 남북으로 쪼개졌다. 흥해읍과 연일읍이 가늘게 연결되어 있었으나 연일읍의 4개동과 다른 연일읍 사이에 형산강이 흘러 포항시를 경유하지 않으면 갈 수 없는 실질 월경지였다. 1995년에 포항시와 영일군이 통합하면서 월경지는 소멸되고 남쪽 월경지는 포항시 남구에, 북쪽은 북구에 편입되었다. 충청남도 아산시 삼일아파트 일원: 음봉면 산동리에 속한 삼일아파트 102동부터 111동과 달리 101동만은 탕정면 동산리에 속하였는데, 도로상으로는 음봉면 지역을 거치지 않고는 탕정면의 다른 지역으로 갈 수 없는 탕정면의 월경지였다. 그러나 이 구역을 음봉면으로 편입하면서 월경지가 소멸되었다. 경상남도 울산군(울주군) : 1962년에 울산군이 울산시와 울주군으로 분리되면서 농소면과 강동면은 울산시를 경유하지않으면 다른 울주군 지역으로 갈 수 없는 실질월경지가 되었다. 1995년에 울산시·군이 통합한 뒤에도 울주구의 실질월경지였다가, 1997년에 울산시가 광역시로 승격하면서 신설 북구에 편입되어 소멸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편집] 함경북도에서 청진시가 청진직할시로 승격되면서 무산군을 편입하여 남북으로 갈라져 월경지가 되었다. 청진직할시가 폐지되면서 월경지가 소멸되었다. 함경남도 함흥시 래일로동자구: 2001년 8월 함주군 상창리와 평안남도 대흥군 흑수리 일부를 함흥시에 편입하였다.[15] 일본[편집] 일본은 행정구역 합병을 많이 했는데, 그 과정에서 월경지가 되도록 편입시키는 경우가 잦다. 군 또한 월경지를 갖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현상이 일반적일 뿐만 아니라, 군은 행정 상 실질적인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여기에 일일이 나열하지는 않았다. 일본 가고시마현 가고시마 시 사쿠라지마(옛 사쿠리지마 정)는 1914년의 대규모 분화('다이쇼 대분화')로 사이의 바다가 메워져 가고시마 시와 반대편인 오스미 반도(다루미즈 시)로만 육지로 연결되어 있었다. 1950년 동부지역이 가고시마에 편입되었고[16], 2004년에는 서부지역이 가고시마 시에 편입되어 월경지가 되었다.[17][18] 그러나 24시간 운항되는 페리를 통해 가고시마 시와 연결된다.[19] 일본 가나가와현 가와사키 시 아사오 구의 오카가미는 도쿄도 마치다 시와 가나가와 현 요코하마 시에 둘러싸여 있는 월경지이다. 일본 군마현 다카사키 시의 신마치는 후지오카 시, 다마무라 정, 사이타마현에 둘러싸여 있는 월경지이다. 일본 군마 현 기류 시는 미도리 시에 의해 양분되어 있다. 일본 기후현 오가키 시는 구 오가키 시와 접하지 않는 곳들을 합병하여 시의 영역이 3개로 쪼개져 서로 월경지가 되었다. 일본 아오모리현 고쇼가와라 시, 나카도마리 정, 소토가하마 정은 각각 월경지를 보유하고 있다. (각각 옛 시우라 촌 영역, 옛 나카사토 정/고도마리 촌 영역, 옛 민마야 촌 영역) 일본 오사카부 이즈미사노 시, 센난 군 다지리 정, 센난 시는 각각 간사이 국제공항에 월경지를 보유하고 있다.[20][21] 일본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 군의 기타야마 촌 전체는 나라현과 미에현에 둘러싸인 월경지로, 지자체 전체가 다른 현에 둘러싸인 경우는 이 곳이 유일하다. 일본 와카야마 현 신구 시 중 옛 구마노가와 정에 해당하는 지역 또한 나라 현과 미에 현에 둘러싸인, 와카야마 현과 신구 시의 월경지이다. 일본 히로시마현 히로시마 시 아키 구의 야노 정 지구(옛 아키 군 야노 정)는 아키 군 가이타 정을 지나지 않고는 갈 수 없는 실질월경지이다. 일본 히로시마 현 오타케 시는 하쓰카이치 시에 둘러싸인 월경지(위요지)를 여럿 보유하고 있다. 일본 홋카이도 구시로 종합진흥국 구시로 시의 옛 온베쓰 정 영역 일본 홋카이도 히야마 진흥국은 오시마 종합진흥국에 의해 양분되어 있다. 중화인민공화국[편집]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 성 랑팡 시는 베이징 시와 톈진 시에 끼인 월경지를 가지고 있다. 이 월경지는 랑팡 시의 월경지이면서 허베이 성의 월경지이기도 하다. 중화민국[편집] 타이완 성 지룽 시는 신베이 시(직할시)에 둘러싸인 타이완 성의 월경지이다. 미국[편집] 미국 켄터키주의 켄터키 벤드는 미주리주와 미시시피 강에 둘러싸여 켄터키주 내의 다른 지역에서 미주리주 또는 테네시주를 거치지 않고는 갈 수 없는 월경지이다. 미국 뉴욕 리버티 섬은 뉴저지주 수역에 둘러싸여 있다.[22][23] 독일[편집] 독일의 브레멘주는 브레멘 시와 브레머하펜으로 갈라져 있다. 그리고 니더작센주에 둘러싸여 각각 위요지와 일방면해지로 되어 있다. 벨기에[편집] 벨기에 독일어 공동체 : 남북으로 관할 구역이 나뉘어 있다.[24] 스위스[편집] 스위스의 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스위스 상당수의 주는 월경지를 보유하고 있다. 오스트리아[편집] 티롤주 - 동티롤(리엔츠 군): 제1차 세계대전 이후 티롤의 일부 지역이 오스트리아에서 이탈리아의 영토로 편입되어 동티롤 지역은 북티롤과 분리된 월경지가 되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편집] 오자크 : 스릅스카 공화국과 크로아티아 사이에 끼여 있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및 포사비나 주의 월경지이다. 포사비나 주의 나머지 지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과 스릅스카 공화국 양쪽에 속한 브르치코 행정구와 접해 있다. 기타[편집] 파나마의 엠베라워우난 특구는 관할 구역이 둘로 나뉘어 있다. 천주교 서울대교구는 천주교 의정부교구를 사이에 둔 월경지 형태의 관할 구역을 가지고 있다(황해감목대리구). 각주[편집] ↑ 본디 소속 군현이나 읍을 벗어나 다른 군현이나 읍의 영역 안에 들어가 있는 땅을 가리키는 고려와 조선시대 행정구역상의 지리용어이며, 영어 enclave의 대역어로 쓰인다. 남영우(2006)에서는 폐쇄적 월경지(gated enclave), 호화 월경지(luxury enclave), 요새적 월경지(fortified enclave) 등의 번역용례가 있다. ↑ “보관 된 사본” (PDF). 2016년 8월 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22일에 확인함.  ↑ [1] ↑ 인도-방글라 68년만에 국경문제 해결…162개 마을 교환 ↑ 안산~대부도 '시화호 뱃길' 시동 ↑ [2] ↑ 신동지구 행정구역 경계조정 '기싸움' ↑ 매립지 등이 속할 지방자치단체 결정 공고, 행정자치부 공고 제2015-100호, 2015년 5월 4일 ↑ 평택·당진항 매립지, 평택과 당진으로 분할하여 귀속, 행정자치부, 2015년 4월 13일 ↑ 가 나 1호 방조제는 부안, 2호는 김제… 새만금 땅주인 5년만에 조정, 조선일보, 2015년 10월 27일 작성. ↑ 행정자치부 공고 제2015-319호 매립지 등이 속할 지방자치단체 결정 공고, 2015년 11월 13일. ↑ [3] ↑ 새만금방조제 전 구간 지적등록 완료 ↑ 새만금방조제 지번 부여 논란…군산 반발, 김제시는 환영 ↑ [http://www.cybernk.net/infoText/InfoAdminstList.aspx?ac=A0801001&mc=AD0101&direct=1 북한지역정보넷, 함경남도 함흥시 내일노동자구 ↑ 昭和25年10月17日総理府告示第301号 (in 일본어). 위키문헌.  ↑ 平成16年総務省告示第591号(市町の廃置分合、平成16年7月18日告示、原文) ↑ 『角川日本地名大辞典 46 鹿児島県』 p.307 ↑ 가고시마 시 사쿠라지마 페리 홈페이지 ↑ 浅井建爾 (2008), 《日本列島飛び地の謎》, 廣済堂出版, ISBN 978-4331513477  ↑ 다지리 정 홈페이지 지도 ↑ 《허드슨 주 뉴저지 도로 지도》. Hagstrom Map Company, Inc 제작. 2008. ISBN 0-88097-763-9.  ↑ “자주 하는 질문 – 자유의 여신상”. National Park Service 제작. 2010년 2월 1일에 확인함.  ↑ [4] 참고문헌[편집] 백지국(2008), 조선시대 창원도호부권역의 월경지에 대한 일검토, 경남대학교 대학원 남영우(2006), 폐쇄적 공동체의 성립과 발달(The Formation and Classification of Gated Communities), 한국도시지리학회지 같이 보기[편집] 사합점 내륙국 한 나라와만 국경을 맞대고 있는 나라 땅거스러미 격외영토 언어섬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세계 월경지영토 연구회 - 요시다 이치로(吉田一郞)의 홈페이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월경지&oldid=24469239" 분류: 월경지정치지리학국경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1년 5월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CymraegDanskΕλληνικάEnglishفارسیFrançaisGàidhligעבריתहिन्दीMagyarՀայերենItaliano日本語LatinaNorsk nynorskNorsk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ไทยTürkçeTiếng Việt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3일 (일) 11: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월경지(越境地)는 특정 국가나 특정 행정구역에 속하면서 본토와는 떨어져, 주위를 다른 나라·행정구역 등에 둘러싸여 격리된 곳으로 비지(飛地)·비입지(飛入地)·포령(包領) 등의 용어도 쓰인다. 이들은 개념상 모두 영어의 “exclave”(엑스클레이브, 엑스클라베)와 대응한다. 만약 둘러싸인 땅이 그 자체로 독립정체(政體)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하지 않으며, 하나의 땅이 주변을 완전히 다른 국가의 영토에 둘러싸여 있을 때는 위요지(圍繞地; enclave: 엔클레이브, 엔클라베)라 부른다. 예를 들어 레소토의 국경은 모두 남아프리카공화국에 둘러싸여 있는데, 레소토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위요지이다. 레소토는 특정 국가의 일부가 아니므로 월경지는 아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로마에 있는 팔라초 말타는 어디에 속하는가? Assistant: 몰타 기사단에 Human: 아래 정헌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정헌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헌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정헌주(鄭憲柱, 1915년 9월 23일 ~ 1999년 5월 21일)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본관은 진주이며, 경상남도 고성군 출신이다. 목차 1 생애 2 약력 3 기타 4 같이 보기 5 역대 선거 결과 6 참고 자료 생애[편집] 1960년 국무원 사무처장, 교통부 장관을 지냈다. 민주당 구파 출신이었으나 뒤에 정파를 초월하여 친 장면 인사가 됐다. 제2대 국회의원에 당선된 뒤 4,5,8,9대 국회의원 등 5선을 역임했다. 종교는 천주교이며 세례명은 바오로이다. 내각총리를 지낸 장면의 최측근 인사였다 약력[편집] 일본 주오 대학 법학부 졸업 남양학원 이사장 1948년 5월 10일 : 제헌 국회의원(경남 사천) 낙선 1960년 : 내각책임제 개헌안 기술위원회 위원장 제2공화국 헌법기초위원장 교통부 장관 국무원 사무처장 1961년 : 5.16으로 사퇴 1967년 : 신민당 창당에 참가 1967년 : 신민당 정책심의위원회 의장 신민당 경상남도 당위원장 1976년 : 신민당 전당대회 의장 민주당ㆍ신민당 정책심의회의장 제28차 UN총회 한국대표 제61차 IPU 한국대표이사 신민당 전당대회의장 운석 장면 기념사업회 회장 기타[편집] 장면의 권고로 가톨릭에 입교하였다. 같이 보기[편집] 제2공화국 제1공화국 국무원 국토건설단 장면 윤보선 곽상훈 선우종원 송원영 김판술 박순천 장준하 정일형 현석호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제1대 총선 국회의원(경남 사천군) 1대 대한독립촉성국민회 23.68% 11,301표 2위 낙선 제2대 총선 국회의원(경남 사천군) 2대 무소속 18.65% 8,912표 1위 제3대 총선 국회의원(경남 사천군) 3대 무소속 33.50% 16,565표 2위 낙선 제4대 총선 국회의원(경남 사천군) 4대 민주당 56.23% 18,387표 1위 제5대 총선 국회의원(경남 사천군) 5대 민주당 49.62% 16,821표 1위 제6대 총선 국회의원(경남 삼천포시·사천군·하동군) 6대 민주당 11.93% 11,806표 3위 낙선 제8대 총선 국회의원(전국구) 8대 신민당 44.4% 4,969,050표 전국구 7번 제9대 총선 국회의원(경남 진주시·진양군·삼천포시·사천군) 9대 신민당 17.90% 25,219표 1위 제10대 총선 국회의원(경남 진주시·진양군·삼천포시·사천군) 10대 신민당 11.93% 20,849표 5위 낙선 참고 자료[편집] 정헌주 - 대한민국헌정회 “역대 정부부처 장차관 - 건설교통부”. 동아일보. 2007년 8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2월 25일에 확인함.  전임석상옥 제10대 교통부 장관1960년 8월 23일 ~ 1960년 9월 12일 후임박해정 전임오위영 제9대 국무원 사무처장1960년 9월 12일 ~ 1961년 5월 18일 후임(내각사무처장)김병삼 전 임 최범술 제2대 국회의원(사천군) 1950년 5월 31일 ~ 1954년 5월 30일 무소속 후 임 정갑주 전 임 정갑주 제4대 국회의원(사천군) 1958년 5월 31일 ~ 1960년 7월 28일 민주당 후 임 정헌주 전 임 정헌주 제5대 국회의원(사천군) 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 민주당 후 임 김용순 vdeh신민당 제8대 국회의원 전국구 1번 유진산 7번 정헌주 13번 이상조 19번 유성범 2번 김대중 8번 이종남 14번 신도환 20번 정규헌 3번 홍익표 9번 이세규 15번 김재화 21번 이대우 4번 김홍일 10번 편용호 16번 김용성 22번 오홍석 5번 김의택 11번 김준섭 17번 강필선 23번 박종율 6번 유청 12번 채문식 18번 오세응 24번 김윤덕 전 임 (진주시·진양군)구태회(삼천포시·사천군)최세경 제9대 국회의원(진주시·진양군·삼천포시·사천군)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신민당 최세경 후 임 구태회·이상치 이 글은 한국 사람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정치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정헌주&oldid=22211346" 분류: 대한민국의 제2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4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5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8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9대 국회의원1915년 태어남1999년 죽음진주 정씨고성군 (경상남도) 출신주오 대학 동문대한민국 중앙정보연구위원회대한민국의 교통부 장관장면 내각의 국무위원윤보선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숨은 분류: 한국 사람에 관한 토막글정치인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9월 5일 (수) 02:2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정헌주(鄭憲柱, 1915년 9월 23일 ~ 1999년 5월 21일)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본관은 진주이며, 경상남도 고성군 출신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정헌주가 졸업한 일본 대학은 어디인가? Assistant: 일본 주오 대학
Human: 아래 페르난두_페소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페르난두 페소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페르난두 페소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페르난두 페소아(Fernando António Nogueira Pessoa, 1888년 6월 13일 - 1935년 11월 30일) 는 포르투갈의 시인이자 작가, 문학 평론가, 번역가, 철학가이며 20세기 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이자 포르투갈어 최고의 시인으로 손꼽힌다. 그는 영어와 프랑스어로도 글을 썼고 번역했다. 페소아는 자신의 실명뿐만 아니라 대략 75개의 다른 이름으로 많은 글을 썼다. 그는 이를 “필명”이 아닌 “이명”이라 불렀는데, 이는 각 개인의 진정한 지성을 그가 파악하지 못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목차 1 더반에서 보낸 어린 시절 2 리스본에서 보낸 성인 시절 3 산책자로서의 페소아 4 일생을 쓰다 5 이명들 6 간략한 작품 설명 6.1 메시지 6.2 문학 에세이 6.3 철학 에세이 7 작품 목록 8 각주 더반에서 보낸 어린 시절[편집] Pessoa's birthplace: a large flat at São Carlos Square, just in front of Lisbon's opera. 페소아는 리스본에서 태어났다. 1893년 7월 13일, 페소아가 다섯 살이었을 때 아버지 조아킹이 폐결핵으로 사망하였고 이듬해 1월 2일 한 살이었던 남동생 조지도 사망하였다. 1893년 12월 31일, 어머니 마리아 마달레나가 두 번째 결혼을 한 이후 페소아는 양아버지와 함께 살기 위해 남아프리카로 향했다. 양아버지는 당시 영국의 식민지였던 나탈의 수도, 더반에 주재하는 포르투갈 영사였다. Last year in Lisbon before moving to Durban, 1894, aged 6. 그는 후에 다음과 같이 서술했다. 어렸을 적의 일 중 나의 방향을 바꿀 수 있을 만큼 명확하고 중요했던 일은 단 하나, 아버지의 죽음이었다. 어머니의 두 번째 결혼은 내가 정확하게 기억할 수 있는 또다른 일 중 하나인데, 더반 주재 포르투갈 영사였던 양아버지로 인해 더반에서 받게 된 영국식 교육은 내 삶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 내 운명을 좌우한다는 점에서 나에게도 중요한 일이었다. 위의 일들과 관련이 있는 항해 날짜는 (기억나는 대로 썼다.) 처음으로 아프리카에 간 날 - 1896년 1월 초에 리스본을 떠났다. 돌아온 날 - 1901년 8월 1일 오후에 더반을 떠났다. 두 번째로 아프리카에 간 날 - 1902년 9월 20일 즈음 리스본을 떠났다. 돌아온 날 - 1905년 8월 20일에 더반을 떠났다. [1] 페소아는 어린 시절 아일랜드와 프랑스 수녀들에 의해 운영되던 요셉 성모학교에서 교육받았다. 1899년 4월에는 더반 고등학교로 전학하였고, 영어에 능숙해지면서 영문학에 대한 인식을 키워나갔다. 케이프타운 대학에서 치른 대학 입시 시험에서는 최고의 영어 에세이에 수여되는 빅토리아 여왕 기념상을 받았다. 대학 입학 준비를 하던 때에 야간으로 1년간 더반 상업 고등학교에 다니기도 하였다. Pessoa in Durban, 1898, aged 10. 그와 동시에 페소아는 영어 단편을 쓰기 시작했는데, 그 중 몇몇은 데이빗 머릭이라는 이명으로 쓰였고 대부분이 미완성이다. 열여섯 살 무렵 C.R.애넌 이라는 이명으로 쓰인 그의 시 "Hillier did first usurp the realms of rhyme…" 가 The Natal Mercury (1904년 7월 6일자) 에 실렸고, 12월에는 더반 고등학교 교지에 그의 에세이 “매콜리” 가 실렸다. 1905년 2월부터 6월, The Natal Mercury의 “The Main in the Moon” 섹션에는 그의 소네트가 네 편 이상 실렸는데, "조지프 체임벌린", "영국에 I", "영국에 II" 그리고 “자유" 였다. 페소아는 종종 시에서 애넌이라는 이름을 여러 방법으로 차용했다. 그는 어렸을 때부터 이명을 사용하였는데, 가장 처음으로 사용한 것은 어린 시절, 아마도 프랑스 귀족에게서 차용한 듯한 슈발리에 드 파 라는 이름이었다. 찰스 로버트 애넌과 데이빗 머릭에 이어, 페소아는 호레이스 제임스 파버, 알렉산더 서치등의 다른 이명도 사용하기 시작했다. 불안의 책의 서문에서, 페소아는 자신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서술했다. 그는 지켜야 할 의무라곤 없는 사람이었다. 어렸을 때부터 혼자 자랐다. 어느 집단에도 속해본 적이 없었다. 학교를 다닌 적도 없었다. 어떤 단체의 일원이 된 적도 없었다. 많은 사람이 그러하듯 - 생각해보면 다들 그렇지 않은가? - 그가 인생에서 맞닥뜨린 우연한 상황들은 희한하게도, 무기력과 고립된 본능의 형상을 따라 본능의 모양대로 잘 맞아떨어졌던 것이다. [2] Pessoa in 1901, aged 13. 페소아의 동창 중 한 명은 어린 시절의 페소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이야기했다. 그를 얼마간 알고 지냈는지 정확하게 말하는 건 힘들지만, 그와 함께 학교를 다녔던 1904년 1년 내내 그에 대해선 감탄 뿐이었다. 그때 그가 몇 살이었는지는 모르나, 아마 15, 16살 즈음이었을 것이다 […] 그는 창백하고 말랐으며 어딘가 결함이 있어 보였다. 몸집이 작았고 늘 구부정하게 서있었다. 기이한 자세로 걸었으며, 시력이 나쁜 탓에 눈도 어쩐지 기이하게 보였고 눈꺼풀은 눈 위로 지나가는 듯 했다 […] 그는 어렸을 때부터 영어를 배운 게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빠르게 익혀 대단한 성과를 보였기 때문에 주위로부터 똑똑하다는 평을 들었다. 같은 학급의 다른 학생들보다 어렸지만 그들과 어울리거나 앞지르는 데에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그는 나이에 비해 깊고 넓게 생각했으며, 언젠가 나에게 썼던 편지에서 “대부분의 특수한 불리함이 주는 여러가지 부담”에 대해 토로하곤 했었다 […] 그는 체력을 기르는 스포츠는 하지 않았으며 여가 시간엔 책을 읽는 것 같았다. 우리는 그가 너무 열심히 공부하고 있어서 몸이 상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3] 아프리카에 온 지 10년이 지나 열일곱 살이 된 그는 리스본으로 돌아갔다. 이 여정에서 받았던 영감은 훗날 알바루 드 캄푸스의 이름으로 1915년 3월 오르페우 1호[4] 에 실린 시 “Opiário" (시인이자 작가였던 그의 친구 마리우 드 사카르네이루에게 헌정되었다.) 와 1915년 6월 오르페우 2호[5] 에 실린 시 "Ode Marítima” (미래파 화가 산타 리타 핀토르 에게 헌정되었다.)에 영향을 미쳤다. 리스본에서 보낸 성인 시절[편집] "Ibis Enterprise", the first firm established by Pessoa, in 1909. 그의 가족은 모두 남아프리카에서 있었지만, 페소아는 외교를 배우기 위해 1905년 리스본에 돌아왔다. 그러나 병치레와 더불어 2년간 아무런 성과를 얻지 못했고, 주앙 프랑코 수상의 독재에 대항한 동맹 휴교로 인해 그의 학업은 끝이 났다. 그 때부터 페소아는 도서관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며 끊임없이 읽고 홀로 공부하기 시작한다. 1907년 8월 그는 R.G. Dun & Company (현재 D&B, Dun & Bradstreet) 라는 미국의 상업 회사에서 일하게 된다. 9월에는 조모가 사망하여, 물려받은 약간의 유산으로 독립 출판사 Empreza Ibis 를 설립하였는데, 이 사업은 비록 실패로 돌아가 1910년에 문을 닫았지만 ibis[6]라는 이름은 지금도 그의 중요한 상징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페소아는 제대로 끝내지 못한 자신의 학문으로 돌아와, 그가 받은 영국식 교육에 스스로 공부한 포르투갈 문화를 덧붙였다. 이전에 페소아의 의붓삼촌 산토스 로사가 어린 페소아에게 포르투갈 문학, 특히 19세기의 낭만주의와 상징주의에 대해 알려주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1908년에 벌어진 찰스 1세와 황태자 루이스 필립의 암살을 둘러싼 혁명 직전의 분위기와 1910년 10월 5일 혁명으로 인한 애국심의 표출은 페소아의 문학이 싹트는 데에 영향을 주었다.[7] 1912년 페소아는 문화 잡지 아기아에 한 편의 비평을 기고하며 문학의 세계로 들어섰는데, 당시 이 비평이 포르투갈의 지식인들 사이에 불러일으킨 토론은 세기적이었다. 1915년, 페소아와 마리우 드 사카르네이루, 알마다 네그리로스를 비롯한 예술가들과 시인들은 문학 잡지 오르페우[8]를 창간하여 모더니즘 문학을 포르투갈에 소개하기 시작했다. 단 두 호가 발간되었으며 (1915년 1분기와 2분기) 자금 사정으로 인해 3호는 발간되지 못하다가 여러 해가 지나 1984년에서야 출간되었다.[9] 오르페우에는 페소아 자신의 실명과 모더니즘을 대표하는 이명 알바루 드 캄푸스의 작품들이 실렸다. 이후 예술가 루이 바즈와 함께 아테나[10] (1924–25)라는 또다른 예술 저널을 창간하였으며, 여기에는 이명 알베르투 카에이루와 히카르두 헤이스의 작품이 실렸다. 그는 작가, 번역가, 문학 비평가, 정치 평론가로서 A Águia (1912–13), Teatro (1913), A Renascença (1914), O Jornal (1915), Orpheu (1915), Exílio (1916), Centauro (1916), Terra Nossa (1916), Portugal Futurista (1917), Acção (1919-20), Ressurreição (1920), Contemporânea (1922–26), Athena (1924–25), Diário de Lisboa (1924–35), Revista de Comércio e Contabilidade (1926), Sol (1926), O Imparcial (1927), Presença (1927 -34), Notícias Ilustrado (1928-30), Girassol (1930), Revolução (1932), Descobrimento (1932), Fama (1932–33), Fradique (1934), Sudoeste (1935) 등의 다양한 잡지와 신문에 기여했다. Pessoa's last home, from 1920 till his death, in 1935, currently the Fernando Pessoa Museum 산책자로서의 페소아[편집] Pessoa, a flâneur in the streets of Lisbon. 열일곱살이 되어 포르투갈로 돌아온 페소아는 이후 리스본 밖으로 거의 나가지 않았는데, 알바루 드 캄푸스의 이명으로 쓴 시 “다시 돌아온 리스본" (1923 and 1926) 에는 이 시기에 받은 영감들이 잘 드러난다. 1905년부터 1920년, 양아버지의 죽음으로 그의 가족이 프리토리아에서 돌아오기 전까지 페소아는 경제 사정과 개인적인 문제들 때문에 열네번의 이사를 했다.[11] 페소아는 자신의 이명 중 하나인 베르나르두 소아르스에 객관적인 산책자의 시선을 불어넣었다.[12] 소아르스는 두라도스 가의 사무실에 앉아 바스케스 사장 밑에서 일하는 회계사로 그려졌다. 또한 소아르스는 페소아가 오랫동안 프리랜서 번역가로서의 경력을 쌓아왔던 바로 그 번화가에 산다고 설정되어 있었다. 1907년부터 1935년에 사망하기 전까지 페소아는 스물한 군데의 회사에서 일했는데, 두 세 군데를 동시에 다니는 일도 있었다.[13] 불안의 책에서 베르나르두 소아르스는 이 장소들이 풍겼던 분위기에 대해 묘사하고 있다. 1910년 오르페우에 기여한 젊은 작가들과 예술가들의 성지 중 하나였던 A Brasileira 앞에는 페소아가 탁자에 앉아있는 모양의 동상이 있다. 시아두의 고급 지역에 위치한 이 카페는 오페라 하우스 앞에 있는 페소아의 출생지[14]와도 매우 가깝다.[15] 나중에 그는 코메르시우 광장에 있는 카페 Martinho da Arcada 의 단골이 되었는데, 백 년 넘게 이어져 온 이 카페는 1920-1930년대에 걸쳐 그가 개인적인 사무를 보거나 친구를 만나는 등 거의 자기 사무실처럼 썼던 곳이다. Coffee house "A Brasileira", established in 1905, the year Pessoa returned to Lisbon. 1925년, 페소아는 리스본에 대한 안내 책자를 영어로 쓰기도 하였다.[16][17] 일생을 쓰다[편집] Pessoa in 1929, drinking a glass of wine in a tavern of Lisbon's downtown. 젊었을 적 그는 셰익스피어, 밀턴, 포프 등의 고전파와 셸리, 바이런, 키츠, 워즈워스, 콜리지, 테니슨과 같은 낭만주의 시인들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다.[18] 1905년 리스본에 돌아온 이후에는 프랑스의 샤를 보들레르와 스테판 말라르메, 그리고 포르투갈의 시인 안테루 드 켄탈, 안토니우 고메스 레알, 세자리우 베르드, 안토니우 노브르 등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나중에는 W.B.예이츠, 제임스 조이스, 에즈라 파운드, T. S.엘리엇 등의 모더니즘 작가들에게도 영향을 받았다.[19] 그는 서른 살 전후로 보였다. 여위고 키가 큰 편으로, 앉아 있을 때는 몸이 심하게 구부정했지만 서 있을 때는 그렇지도 않았다. 옷차림을 보면 아무렇게나 걸쳐 입은 듯하지만 그렇다고 아주 아무렇게나 입은 것은 아니었다. 창백하고 별 특징 없는 얼굴에는 호기심을 일으킬 정도는 아니지만 뭔가 고뇌의 흔적이 어려 있었는데, 어떤 종류의 고뇌인지 알아채기 어려웠다. 결핍, 번민, 그리고 이미 많은 고통을 겪은 자의 체념에서 오는 괴로움 등의 여러 감정을 나타내는 듯했다. - 불안의 책 서문에서[20] 1차 세계 대전이 벌어지던 무렵 페소아는 출판사에 찾아가 자신의 영문시집 “성난 연주자”(이 시집은 살아생전 발간되지 못했다)를 출판하고 싶다고 했으나 거절당했다. 그러나 시집에 있던 시 중 한 편은 1920년, 권위 있는 문학 잡지 중 하나인 아테네움에 실렸으며 그 후에도 페소아는 “안티노오스”[21]와 “서른 다섯 편의 소네트”[22]등의 영문시집을 발간하였다.[23][24] 몇 친구들과 함께 그는 또 다시 출판사를 차렸는데, 올리시포 라는 이름의 이 출판사에서는 페소아의 영문시집 1-2와 3, 알마다 네그리오스의 “화창한 날의 발명”, 안토니우 보토의 “노래들”, 라울 레알의 “신격화된 소돔”[25] 등이 발간되었다. 그러나 페소아가 잡지 “동시대”에 기고했던 “안토니우 보토와 포르투갈의 미학적 이상” 이라는 논문이 “소돔의 문학”이라 알려진 논쟁을 불러일으키면서, 올리시포는 1923년에 문을 닫게 된다.[26] 페소아는 자신을 “신비스러운 애국주의자” 라고 생각했으며, 비록 군주제에 동조했으나 군주제의 부활을 반기지는 않았다. 페소아는 자기 자신을 영국 전통에 맞는 보수적인 사람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거침없는 지식인이었으며 공산주의와 사회주의와 파시즘과 가톨릭을 반대했다.[27] 1917년과 1926년에 일어난 군사 쿠데타를 지지했으며 1928년 군사 독재를 지지하는 평론을 쓰기도 하였으나 1933년 포르투갈 제2공화국이 들어서자 정권에 환멸을 느끼고 1935년에는 살라자르와 파시즘을 비판하는 글을 썼다. 그리고 1935년 초, 프리메이슨에 대한 글을 쓴 것을 이유로 살라자르 정권에 의해 탄압을 받기도 하였다.[28][29] 1935년 11월 29일 복통과 고열로 인해 병원에 실려 온 페소아는 다음과 같은 유서를 남겼다. “내일이 무엇을 가져다 줄지 나는 알지 못한다”. 그는 다음 날인 30일 오후 8시 즈음 사망하였는데, 이 때 그의 나이 47세였다. 사인은 지금도 논란거리 중 하나로, 알코올 중독[30][31][32] 에 의한 간경변이나 췌장염[33][34]으로 추정되고 있다.[35] 살아생전 그는 영어로 네 권, 포르투갈어로 단 한 권의 책을 출판하였다. 그러나 그가 남기고 간 미완성 원고와 아직 출판되지 못한 글, 개요만 있는 채로의 글들이 어마어마하게 쌓여 있고 지금도 이를 정리하는 작업이 진행 중에 있다. (포르투갈 국립 도서관에서 1988년까지 정리한 결과만 해도 25,574 페이지에 달한다고 한다.)[35] 사후 50년이 흘러 1985년 페소아의 유골은 바스코 다 가마, 루이스 드 카몽이스 등의 포르투갈 문호들이 묻혀 있는 제로니무스 수도원으로 옮겨졌다.[36] 그의 초상화는 100이스쿠두 지폐에도 그려져 있다. Pessoa's tomb in Lisbon, at the cloister of the Hieronymites Monastery since 1985. 이명들[편집] Pessoa's statue outside Lisbon's famous coffeehouse «A Brasileira». 페소아가 6살에 처음으로 사용했던 이명은 슈발리에 드 파 였다. 페소아의 또다른 자아가 된 찰스 로버트 애넌의 이름과 더불어 그는 어린 시절 판크라시오 박사, 데이빗 머릭 등의 이명을 사용하였다. 1905년 7월, 그가 리스본 대학의 학생이었을 때는 알렉산더 서치가 애넌의 자리를 대체하였다. 서치는 영국 이름이었지만 리스본에서 탄생하였으며, 페소아가 포르투갈의 문화에 제대로 적응하기까지 사용했던 과도기의 이명을 상징했다. 1910년 10월 5일 혁명 이후의 애국적인 분위기 속에서 페소아는 알바루 드 캄푸스라는, 타비라에서 태어나고 글래시고에서 졸업한 포르투갈 해군 기사를 만들어내기에 이른다. 번역가 리처드 제니스는 페소아가 최소한 72개의 이명을 만들었다고 서술했다.[37] 페소아 그 자신의 말에 따르면 그는 알베르투 카에이루, 알바루 드 캄푸스 그리고 히카르두 헤이스 이 세 가지 이명을 주로 사용했다. 이명들은 모두 다른 역사와 기질, 철학, 외모, 문체를 지니고 있었으며 심지어 서명까지도 달랐다고 한다.[38] 간략한 작품 설명[편집] 메시지[편집] Mensagem, first edition, 1934. 메세지[39]는 포르투갈어로 쓰였으며, 세 파트[40]로 구성되어 44편의 짧은 시가 실린 상징적인 작품이다. 첫 번째 파트 “문장”은 포르투갈의 문장과 관련된 각 분야의 역사적 주인공들을 다뤘다. 가장 앞에 실린 두 편 “성채들”과 “문장이 그려진 방패들” 은 포르투갈의 여러 면에서 받은 영감을 그려내고 있다. 나머지 시들은 모두 역사적인 인물과 관련되어 있으며, 대부분이 대항해시대로 이어진다. 두 번째 파트 “포르투갈 해”는 대항해시대, 그리고 세바스티앙 왕의 죽음으로 몰락한 포르투갈 제국에 대해 말한다. 페소아는 마치 과거의 꿈에서 깨어나 이뤄질 수 없는 미래의 꿈에 빠져든 것처럼, 세바스티앙 왕의 생환과 더욱 부강해진 제국의 풍경 속으로 독자들을 데려 간다. 세 번째 파트 “숨겨진 사람”은 페소아가 바라보는 미래의 평화와 다섯 번째 제국(세바스티앙 왕이 생환할 것이라는 믿음에서 시작된 메시아적인 신화로, 포르투갈에 의해 전 세계가 정신적으로 통합될 것이라는 내용)에 대해 그리고 있다. “숨겨진 사람”, 즉 세바스티앙 왕에 의해 과학과 이성의 시대에 직관적이고 신비로운 부분이 합쳐지게 된다는 뜻이다. 이 세 번째 장에서는 신에 의해 포르투갈이 인류의 운명을 이끌어 가기를 바라는 소망이 표현되고 있다. “메시지”에 세 파트 모두에 등장하는 이 세바스티앙 왕은, 꿈을 크게 꾸는 것과 그 꿈을 이룰 수 있다고 믿는 것 등을 상징한다. 두 번째 파트의 시 “어린 아이”의 첫 구절 “신은 바라며, 사람은 꿈꾸고, 작품은 태어난다” 는 “메시지”에서 가장 유명한 인용문이다. 또한 “율리시스”의 첫 구절 “신화는 아무 것도 아니며 모든 것이다” 도 잘 알려져있다. 이 시는 이타카의 왕이었던 율리시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41] A Águia, journal of the Portuguese Renaissance, nr. 4, April 1912. 문학 에세이[편집] 문화 잡지 아기아는 “포르투갈 르네상스”라는 공화당 협회에 의해 1910년 12월 오포르투에서 만들어 졌는데, 페소아는 이 잡지에 상당 수의 에세이를 기고하였다.[42] 아기아를 창간한 사람들은 작가이자 시인이었던 테세이라 드 파스쿠스를 중심으로 철학자 레오나르도 코임브라와 역사학자 제이미 코르테사우 등이 있었는데, 이들의 목적은 포르투갈 문화의 부흥이었다.[43] 페소아 또한 여러 편의 논문을 기고하여 이 잡지에 기여하였는데 “사회학적으로 고려된 새로운 포르투갈 시문학”, “재발한…”, “포르투갈 시문학의 심리학적 양상” 등이 있었다. 페소아는 이 글들을 통헤 포르투갈의 옛 향수가 느껴지는 문학을, 특히 테세이라 드 파스쿠스와 마리오 베이리우의 시를 찬미하였다. 페소아는 이 논문들을 시작으로 현대 유럽 문학의 감정가이자 문학의 첨단을 걷는 전문가로서 알려지게 된다. 반면, 그는 분석하는 방법이나 관념사의 문제에 대해서는 별다른 신경을 쓰지 않았다. 그는 포르투갈에 머지 않아 카몽이스의 뒤를 이을 훌륭한 시인이 탄생하여 유럽 문화에, 나아가 인류에 중대한 기여를 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았다.[44] 철학 에세이[편집] 1905년부터 1912년 사이에 페소아가 남긴 철학 노트들에 의하면 그는 오래된 고전을 직접 읽기보다는 해설을 통해 철학 역사에 대해 배운 것처럼 보인다.[출처 필요] 그가 다룬 문제들은 모든 철학적 분야와 관계가 있으며 방대한 개념을 다루고 있어서, 여섯 줄짜리 글도 있는가 하면 여섯 페이지에 달하는 글도 있고 깊이 역시 천차만별이다. A passage from his famous poem "Mar Português" from "Message", in the city of Lagos, Portugal. 페소아는 철학 시스템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상대적인 유심론과 상대적인 물질주의는 경험과 자료를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로 “정신”이나 “물질”을 꼽는다. 절대적인 유신론자와 절대적인 물질주의자는 경험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의 객관적 실재를 부정한다. 스피노자가 주장한 물질주의적 범신론과 말브랑슈가 주장한 유신론적 범신론은 경험이 그 핵심에 물질도 정신도 없는 모든 것들의 징후임을 인정한다. 물질과 정신 모두 “환상에 불과한 징후”라고 여기는 데에서 초월주의가 등장한다. 쇼펜하우어가 물질에 대한 초월주의를 주장했고, 베르그송은 정신에 대한 초월주의를 주장했다. “제한된 형이상학의 정점” 이라는 마지막 체계는 급진적으로 오지 않을 것이다. 대신 모든 분류에 대해 “전체의 핵심”이라는 모순을 취해 “진실성의 확인이 모순보다 더 진실되다”고 변호한다. 초월주의는 반드시 분류를 넘어서 받아들여져야 한다. 페소아는 이러한 범신론적 초월주의를 사용하여, 포르투갈의 옛 정취를 찾고자 하는 시문학 운동이 기존의 모든 체계를 포용하고 초월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라고 정의했고 나아가 형이상학과 종교성이 체계 너머의 모든 것을 탐구하기 위한 것이라고 암시했다. 작품 목록[편집] 불안의 책, 오진영 번역, 문학동네, 2015, ISBN 9788954625760 불안의 책, 김효정 번역, 까치, 2012, ISBN 9788972915232 페소아의 리스본, 박소현 번역, 컬쳐그라퍼, 2017, ISBN 9788970599076 페소아와 페소아들, 김한민 번역, 워크룸프레스, 2014, ISBN 9788994207421 각주[편집] ↑ Letter to British Journal of Astrology, W. Foulsham & Co., 61, Fleet Street, London, E.C., February 8, 1918.In Pessoa, Fernando (1999). Correspondência 1905–1922, ed. Manuela Parreira da Silva. Lisboa: Assírio & Alvim, p. 258, ISBN 978-85-7164-916-3. ↑ 불안의 책 (2015) ISBN 9788954625760. ↑ Clifford E. Geerdts, letter to Dr. Faustino Antunes, April 10, 1907.In Pessoa, Fernando (2003). Escritos Autobiográficos, Automáticos e de Reflexão Pessoal, ed. Richard Zenith. Lisboa: Assírio & Alvim, pp. 394–398. ↑ Orpheu nr.1 ↑ 《Orpheu》 (2), Project Gutenberg . ↑ Ibe name "ibis" has a very long literary tradition: the elegiac poem Ibis by Ovid was inspired in the lost poem of the same title by Callimachus. ↑ Zenith, Richard (2008), 《Fernando Pessoa》, Fotobiografias do Século XX (포르투갈어), Lisboa: Círculo de Leitores, 78쪽 . ↑ Ferro, António, 편집. (Jan–Mar 1915), 《Orpheu》 (포르투갈어) (1–2), Lisboa: Orpheu, Lda. . ↑ Saraiva, Arnaldo (편집.), 《Orpheu》 (포르투갈어) (3), Lisboa: Edições Ática . ↑ Ruy Vaz, Fernando Pessoa, 편집. (Oct 1924 – Feb 1925), 《Athena》 (포르투갈어) (1–5), Lisboa: Imprensa Libanio da Silva  ↑ Zenith, Richard (2008), Fotobiografias do Século XX: Fernando Pessoa. Lisboa: Círculo de Leitores, pp. 194–195. ↑ Guerreiro, Ricardina (2004), De Luto por Existir: a melancolia de Bernardo Soares à luz de Walter Benjamin. Lisboa: Assírio & Alvim, p. 159. ↑ Sousa, João Rui de (2010), Fernando Pessoa Empregado de Escritório, 2nd ed. Lisboa: Assírio & Alvim. ↑ Teatro Nacional de São Carlos, Lisbon's Opera House. ↑ Dias, Marina Tavares (2002), 《Lisboa nos Passos de Pessoa: uma cidade revisitada através da vida e da obra do poeta》 [Lisbon in Pessoa's footsteps: a Lisbon tour through the life and poetry of Fernando Pessoa], Lisboa: Quimera . ↑ Pessoa, Fernando (2006) [1992], 《Lisboa: o que o turista deve ver》 (포르투갈어 and 영어) 3판, Lisboa: Livros Horizonte  ↑ Pessoa, Fernando (2008), 《Lisbon: what the tourist should see》, Exeter, UK: Shearsman Books . ↑ Zenith, Richard (2008), 《Fotobiografias do Século XX: Fernando Pessoa》, Lisboa: Círculo de Leitores, 40–41쪽 . ↑ Zenith, Richard (2008), Fotobiografias Século XX: Fernando Pessoa, Lisboa: Círculo de Leitores. ↑ 《불안의 책》. 문학동네. 2015. ISBN 9788954625760.  ↑ 《Antinous》, at the Portuguese National Library f. ↑ 35 Sonnets at the Portuguese National Library. ↑ Terlinden, Anne (1990), 《Fernando Pessoa, the bilingual Portuguese poet: A Critical Study of "The Mad Fidler"》, Bruxels: Facultés Universitaires Saint-Louis, ISBN 978-2-8028-0075-0 . ↑ The Times Literary Supplement, September 19, 1918. Athenaeum, January 1919. ↑ Pessoa translated into English the poetry book Songs by António Botto (The Songs of António Botto, translated by Fernando Pessoa) and left unfinished the translation of The invention of the clear day by Almada Negreiros ↑ Contemporanea, May–July 1922, pp. 121–126. ↑ Serrão (int. and org.), Joel (1980), 《Fernando Pessoa, Ultimatum e Páginas de Sociologia Política》, Lisboa: Ática.  ↑ Darlene Joy Sadlier An introduction to Fernando Pessoa: modernism and the paradoxes of authorship, University Press of Florida, 1998, pp. 44–7. ↑ Maconaria.net ↑ "Fernando Pessoa, Poet, Publisher, and Translator", British Library Journal, R. W. Howes, 1983, p. 162 ↑ Fernando Pessoa & His Heteronyms, by Carmela Ciuraru ↑ Will the real Pessoa step forward?, The Independent, Kevin Jackson, 30 May 1995 ↑ "Fernando Pessoa and Co.: Selected Poems", Richard Zenith, 2007, ISBN 978-0-80219851-8, p. 163 ↑ Ferreira, Francisco Manuel da Fonseca, O Hábito de Beber no Contexto Existencial e Poético de Femando Pessoa. Oporto: Laboratorios Bial, 1995. ↑ 가 나 Cruz, Ireneu (1997). “A propósito da morte de Fernando Pessoa. O diagnóstico diferencial da cólica hepática.” [The death of Fernando Pessoa.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liver colic.]. 《Acta Med Port.》 (포르투갈어) 10 (2-3 (Feb/Mar)): 221–224. PMID 9235856.  ↑ Mosteiro dos Jerónimos Fernando Pessoa ↑ The Book of Disquiet, tr. Richard Zenith, Penguin classics, 2003. ↑ Letter to Adolfo Casais Monteiro, January 13, 1935. ↑ Pessoa, Fernando (2016). Freitas, Eduardo, 편집. 《A Mensagem: Editado por Eduardo Filipe Freitas》. 《amazon.com》 (포르투갈어)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ISBN 978-1-535-19909-4.  ↑ Message, Tr. by Jonathan Griffin, Exeter: Shearsman Books, 2007. ↑ Mensagem 1st. edition, 1934, at the Portuguese National Library. ↑ Martins, Fernando Cabral (coord.) (2008). Dicionário de Fernando Pessoa e do Modernismo Português. Alfragide: Editorial Caminho. ↑ The Portuguese Republic was founded by the revolution of October 5, 1910, giving freedom of association and publishing. ↑ Pessoa, Fernando (1993). Textos de Crítica e de Intervenção. Lisboa: Edições Ática. 전거 통제 WorldCat VIAF: 95155847 LCCN: n50016857 ISNI: 0000 0001 2103 1824 GND: 118740113 SELIBR: 83375 SUDOC: 026667673 BNF: cb11887252t (데이터) BIBSYS: 90243945 뮤직브레인즈: f3ac2a9c-07b4-4d13-907e-5bbaa03eae40 NLA: 35418570 NDL: 00452582 NKC: jn19990006477 ICCU: IT\ICCU\CFIV\020915 BNE: XX88660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페르난두_페소아&oldid=24199602" 분류: 1888년 태어남1935년 죽음포르투갈의 시인포르투갈의 수필가포르투갈의 철학자포르투갈의 불가지론자포르투갈의 비술사모더니스트 작가장미십자회 회원리스본 출신리스본 대학교 동문간경변으로 죽은 사람20세기 시인20세기 철학자필명숨은 분류: CS1 - 포르투갈어 인용 (pt)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8년 1월14 종류의 전거 통제 정보를 포함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B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ragoné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rezhonegCatalàCorsu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FrançaisFurlanGaeilgeGalegoAvañe'ẽ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IdoÍslenskaItaliano日本語LatinaLëtzebuergesch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Bahasa MelayuMirandésNapulitano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imple English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etunTürkçeУкраїнськаVèneto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02:2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페르난두 안토니우 노게이라 페소아(포르투갈어: Fernando António Nogueira Pessoa, 포르투갈어 발음: [fɨɾˈnɐ̃du pɨˈsoɐ], 1888년 6월 13일~1935년 11월 30일)는 포르투갈의 시인, 작가, 문학 평론가, 번역가, 철학가이며 20세기 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이자 포르투갈어 최고의 시인으로 손꼽힌다. 그는 영어와 프랑스어로도 글을 썼고 번역했다. 페소아는 자신의 실명뿐만 아니라 대략 75개의 다른 이름으로 많은 글을 썼다. 그는 이를 “필명”이 아닌 “이명”이라 불렀는데, 이는 각 개인의 진정한 지성을 그가 파악하지 못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페르난두 페소아가 만든 이명은 어떤 게 있을까? Assistant: 페소아가 6살에 처음으로 사용했던 이명은 슈발리에 드 파 였다. 페소아의 또다른 자아가 된 찰스 로버트 애넌의 이름과 더불어 그는 어린 시절 판크라시오 박사, 데이빗 머릭 등의 이명을 사용하였다. 1905년 7월, 그가 리스본 대학의 학생이었을 때는 알렉산더 서치가 애넌의 자리를 대체하였다. 서치는 영국 이름이었지만 리스본에서 탄생하였으며, 페소아가 포르투갈의 문화에 제대로 적응하기까지 사용했던 과도기의 이명을 상징했다. 1910년 10월 5일 혁명 이후의 애국적인 분위기 속에서 페소아는 알바루 드 캄푸스라는, 타비라에서 태어나고 글래시고에서 졸업한 포르투갈 해군 기사를 만들어내기에 이른다. 번역가 리처드 제니스는 페소아가 최소한 72개의 이명을 만들었다고 서술했다.[37] 페소아 그 자신의 말에 따르면 그는 알베르투 카에이루, 알바루 드 캄푸스 그리고 히카르두 헤이스 이 세 가지 이명을 주로 사용했다. 이명들은 모두 다른 역사와 기질, 철학, 외모, 문체를 지니고 있었으며 심지어 서명까지도 달랐다고 한다.[38] Human: 아래 출구_전략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출구 전략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출구 전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출구 전략(出口戰略, 영어: exit strategy)은 대개 좋지 못한 상황에서 벗어나는 수단을 일컫는다. 원래 임무를 완수한 군대의 퇴각 시나리오를 지칭하는 데서 유래했지만, 경제에서는 경제정책의 기조를 원상복구하는 것을 의미한다.[1] 목차 1 전쟁에서의 출구 전략 2 경영에서의 출구 전략 3 경제정책에서의 출구 전략 4 같이 보기 5 참조 전쟁에서의 출구 전략[편집] 베트남 전쟁 때 미국 국방부 부서 내에서 사용된 것이 시작이다. 그 후로도 패세 혹은 손실이 심각한 상황이 지속될 때 인명이나 물자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군대를 철수시키는 검토나 그 시행에 대해서 출구 전략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경영에서의 출구 전략[편집] 출구 전략은 경영 용어에도 사용되어 시장 혹은 기업의 경영, 소유를 포기할 때 경제적 손실을 최소한으로 하는 전략을 가리킨다. 또 투자한 자본을 최대한으로 회수하는 일도 출구 전략이라고 부른다. 제삼자에 대한 전매나 주식 공개 등이 철회된다. 경제정책에서의 출구 전략[편집] 경제정책에서의 출구 전략은 주로 경제 위기가 왔을 때 그를 극복하기 위해 내렸던 금리 등의 형태로 나타난 과잉 유동성이나 각종 완화정책을 경제에 큰 부담이 가지 않게 서서히 거두는 경제적 전략을 일컫는다. 정부가 취할 수 있는 경제적인 출구 전략은 금리 인상과 정부의 지출 축소 그리고 채권 매각과 세원을 확대하는 정책의 실시 그리고 규제를 강화하여 과잉 공급된 통화를 환수하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금리 인상은 가장 빠르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정책이지만, 경제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신중하게 시행된다. 장기간의 경기침체로부터 경기회복의 조짐이 경제지표를 통해 나타날 때, 타이밍을 잘 맞추어 시행하는 경제 전략이다. 다른 경제정책들과 마찬가지로 출구전략에도 리스크와 부작용이 따르게 되기 마련이다. 예를 들어, 정부 당국이 유동성 증가를 위해 풀어놓은 돈이 효과를 발휘하기도 전에 출구전략을 사용하면, 경제회복 정책이 유명무실하게 되며, 너무 늦게 실시하면 부작용들(더블딥, 버블, 인플레이션 등)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시기가 적절해야 한다. [2] 같이 보기[편집] 테이퍼링(tapering) 참조[편집] ↑ 최선의 출구 전략은 시장 신뢰 《조선일보》, 2009년 8월 21일 작성 ↑ 권재원 (2010년 10월 22일). “출구 전략은 원래 군사용어”. 매일경제신문.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출구_전략&oldid=22910954" 분류: 경제학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فارسیFrançaisItaliano日本語Polski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2일 (금) 13: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출구 전략(出口戰略, 영어: exit strategy)은 대개 좋지 못한 상황에서 벗어나는 수단을 일컫는다. 원래 임무를 완수한 군대의 퇴각 시나리오를 지칭하는 데서 유래했지만, 경제에서는 경제정책의 기조를 원상복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출구전략은 주로 어떤 상황에서 활용해? Assistant: 경제 위기
Human: 아래 유럽_연합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유럽 연합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럽 연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럽연합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EU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EU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유럽 연합 24개 언어 그리스어: Ευρωπαϊκή Ένωση 네덜란드어: Europese Unie 덴마크어: Den Europæiske Union 독일어: Europäische Union 라트비아어: Eiropas Savienība 루마니아어: Uniunea Europeană 리투아니아어: Europos Sąjunga 몰타어: Unjoni Ewropea 불가리아어: Европейски съюз 스웨덴어: Europeiska unionen 스페인어: Unión Europea 슬로바키아어: Európska únia 슬로베니아어: Evropska unija 아일랜드어: An tAontas Eorpach 영어: European Union 에스토니아어: Euroopa Liit 이탈리아어: Unione europea 체코어: Evropská unie 크로아티아어: Europska unija 포르투갈어: União Europeia 폴란드어: Unia Europejska 프랑스어: Union européenne 핀란드어: Euroopan unioni 헝가리어: Európai Unió 유럽기 표어 In varietate concordia (라틴어: 다양성 속의 통일)국가 유럽가 수도 브뤼셀 (사실상)[1]룩셈부르크 (사법재판소 소재)스트라스부르 (의회 소재)최대 도시 런던 정치공용어 24개[2]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위원장유럽 이사회 의장유럽 의회 의장유럽 사법 재판소 소장 장클로드 융커도날트 투스크안토니오 타야니바실리오스 스쿠리스역사설립   • 마스트리흐트 조약 1993년 11월 1일 • 리스본 조약 2009년 12월 1일지리면적 4,324,782km2 (7 위)내수면 비율 3.08%시간대 (UTC0 ~ 2)DST 1인구2015년 어림 508,191,116명 (3위)인구 밀도 115.8명/km2경제GDP(PPP) 2015년 어림값 • 전체 $19.035조원 (1위) • 일인당 $37,607 (19위)HDI 0.876 2011년 조사)통화 유로 (€) (화폐 단위:유로}기타도메인 .eu 유럽 연합(영어: European Union) 약칭 EU는 주로 유럽에 위치한 28개의 회원국 간의 정치 및 경제 통합체이다.[3] 유럽 연합의 인구수는 5억 1,300만 명으로, 영토는 4,475,757 km2이다. 유럽 연합은 회원국 전체에 적용되는 표준화된 법을 통해 유럽 단일 시장을 발전시키고 있다. 유럽 연합의 정책은 사람, 상품, 자본, 그리고 서비스가 국내 시장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4] 국내 문제와 정의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5] 농업,[6] 어업 그리고 지역 개발에서 공동 정책을 채택한다.[7] 솅겐 지역에서의 여행에서, 유럽 연합은 출입국관리를 폐지했다.[8] 1999년 유로존이 설립되어 2002년 발효되었으며, 유로를 통화로 사용하는 19개의 회원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럽 연합과 유럽 시민권은 1993년 마스트리흐트 조약이 발효되었을 때 설립되었다.[9] 유럽 연합의 기원은 1951년 파리 조약으로 창설된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와 1957년 로마 조약으로 창설된 유럽 경제 공동체이다. 유럽의 공동체를 창립한 것으로 알려진 회원국은 벨기에,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서독 6개국으로, 이들을 합쳐 이너 식스라고 부른다. 위원회와 그들의 계승자들은 새로운 회원국이 가입하면서 확장되었다. 유럽 연합의 헌법적 기초에 대한 마지막 주요 합의사항은 2009년 리스본 조약에서 체결되었다. 아직 유럽 연합에서 탈퇴한 국가는 없지만, 영국이 2016년 6월 유럽 연합에서 탈퇴하는 것을 결정했고, 2019년 3월 29일을 목표로 브렉시트 협상을 개시 중이다. 전 세계 인구의 7.3%을 차지하는 유럽 연합의[10] 2017년 기준 국내총생산은 19조 6700억 달러로, 전세계 GDP의 24.6%를 차지한다.[11] 또한 유럽 연합 회원국 모두는 인간 개발 지수에서 높은 수치를 보유하고 있다. 2012년 유럽 연합은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기도 했다.[12] 공동 외교 및 보안 정책을 통해 유럽 연합은 외국과의 무역 및 영토 방어의 역할을 발전시켰다. 유럽 연합은 세계 곳곳에 정치 사절단을 파견했으며, 유엔, 세계 무역 기구, G7, G20 등에 대표단을 보내기도 한다. 유럽 연합의 세계적 영향력 때문에, 유럽 연합은 종종 신흥 강대국으로 묘사되기도 한다.[13] 목차 1 명칭 2 역사 3 언어 4 종교 5 회원국 5.1 브렉시트 5.1.1 영국 국민 투표 6 기구 및 기관 6.1 유럽 이사회 6.2 유럽 연합 이사회 6.3 유럽 의회 6.4 그 외 기구와 기관 7 같이 보기 8 각주 9 참고 문헌 10 외부 링크 명칭[편집] 유럽 연합의 언어는 가입국 각각의 공용어로 정해져 있어서 2013년 7월 1일 이후에는 총 공용어 수가 24개나 된다. 따라서 유럽 연합 이사회의 정식 명칭도 공용어와 같은 수만큼 있다. 그리스어: Ευρωπαϊκή Ένωση 에브로파이키 에노시[*] 네덜란드어: Europese Unie 외로페서 위니[*] 덴마크어: Den Europæiske Union 덴 에우로페이스케 우니온[*] 독일어: Europäische Union 오이로페이셰 우니온[*] 라트비아어: Eiropas Savienība 에이로파스 사비에니바 루마니아어: Uniunea Europeană 우니우네아 에우로페아너[*] 리투아니아어: Europos Sąjunga 에우로포스 사융가 몰타어: Unjoni Ewropea 우니오니 에우로페아 불가리아어: Европейски съюз 에브로페이스키 서유스 스웨덴어: Europeiska unionen 에우로페이스카 우니오넨[*] 스페인어: Unión Europea 우니온 에우로페아[*] 슬로바키아어: Európska únia 에우롭스카 우니아 슬로베니아어: Evropska unija 에브롭스카 우니야 아일랜드어: An tAontas Eorpach 안 틴타스 오르파흐 에스토니아어: Euroopa Liit 에우로파 리트 영어: European Union 유러피언 유니언[*] 이탈리아어: Unione europea 우니오네 에우로페아[*] 체코어: Evropská unie 에브롭스카 우니에[*] 크로아티아어: Europska unija 에우롭스카 우니야 포르투갈어: União Europeia 우니앙 이우로페이아[*] 폴란드어: Unia Europejska 우니아 에우로페이스카[*] 프랑스어: Union européenne 위니옹 외로페엔[*] 핀란드어: Euroopan unioni 에우로판 우니오니[*] 헝가리어: Európai Unió 에우로퍼이 우니오[*] 역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유럽 연합의 역사입니다. 시간 순서에 따라 바뀌는 EU의 범위      유럽 경제 공동체      유럽 연합 유럽 연합의 기원은 1946년 9월 19일 영국 수상 윈스턴 처칠이 스위스의 취리히에서 한 유명한 유럽에 관한 연설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 연설에서 윈스턴 처칠은 유럽에 유엔과 유사한 기구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1950년 5월 9일 장 모네가 구상한 석탄 및 철광석 채굴을 위한 프랑스-서독 간의 공동 사무소 설치에 관한 계획을 당시 프랑스의 외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있던 로베르 쉬망이 쉬망 선언(Déclaration Schuman)을 통해 공식적으로 건의함으로써 최초로 유럽 공동체에 대한 생각이 중앙 유럽 국가 간에 토론되기 시작하였다 (이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5월 9일은 유럽의 날로 지정되어 있다). 1951년 4월 18일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6개국은 석탄 및 철광석 채굴에 관한 조약을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ECSC) 체결함으로써 유럽 내의 시장권을 거의 장악하였다. 2000년대에 들어 기존 회원국인 서유럽 국가들보다 상대적으로 낙후된 중앙유럽 국가들이 가입하면서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저렴한 중앙유럽의 노동력이 서유럽으로 몰려오면서 서유럽 국가들은 실업난을 겪고 있으며, 중앙유럽 국가들은 자국의 우수한 인재들이 서유럽으로 빠져나가 국가 발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유럽 연합은 경제 통합을 넘어 정치적 통합을 이루는 과정으로서, 2009년 12월 1일 발효된 리스본 조약에 의해, 순번의장 제도가 폐지되고 상임의장인 유럽 이사회 의장 자리가 신설되어, 2009년 11월 19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특별정상회의에서 27개국 정상이 만장일치로 헤르만 반 롬푀이 총리를 초대 상임의장에 선출되어, 2009년 12월 1일부터 헤르만 반 롬푀이가 의장을 맡고 있다.[14][15][16] 2012년에 독일과 프랑스 등 EU의 주요국들이 유럽연방의 직전 단계에 해당되는 새로운 EU 통합안의 골격을 내놓았다. 하지만 권고안이 되었고 EU 통합에 부정적인 영국은 처음부터 논의에서 빠졌다.[17] 언어[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유럽 연합의 언어입니다. 유럽​​ 연합(EU)은 유럽 연합 회원국 내에서 사용되는 많은 언어와 방언 중에서 24개의 언어를 공식 언어 및 실무 언어로 정하고 있다. 이에 해당하는 언어는 그리스어, 네덜란드어, 덴마크어, 독일어, 라트비아어, 루마니아어, 리투아니아어, 몰타어, 불가리아어, 스웨덴어, 스페인어, 슬로바키아어, 슬로베니아어, 아일랜드어, 에스토니아어, 영어, 이탈리아어, 체코어, 크로아티아어, 포르투갈어, 폴란드어, 프랑스어, 핀란드어, 헝가리어이다. 유럽 의회는 문서와 본회의 관련 자료등을 모든 언어로 번역한다. 일부 기관 내부 실무 언어와 같은 경우 소수 언어(갈리시아어, 게일어, 바스크어, 웨일스어, 카탈루냐어)를 사용하지만 이들 언어는 공식 언어가 아니다. 유럽 연합(EU)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외국어 비율을 계산하면 영어가 인구의 38%로 가장 많고 독일어가 12% 프랑스어가 11%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종교[편집] 종교 구성(유럽 연합) 로마 가톨릭    48% 불가지론    16% 개신교    12% 동방 정교회    8% 무신론자    7% 그외 기독교    4% 이슬람교    2% 유로 바로미터(Eurobarometer)에 의해 실시된 2012년 유럽 연합의 종교성에 대한 새로운 여론 조사에 따르면, 기독교는 유럽 연합 시민의 72%를 차지하는 유럽 연합에서 가장 큰 종교이다. 개신교는 12%를 차지하는 반면 천주교는 48%의 EU 시민을 차지, 유럽 연합에서 가장 큰 기독교 교파였다. 그리고 동방 정교회는 8%를 구성하고, 다른 기독교인들은 유럽 연합 인구의 4%를 차지한다. 비 신자로는 불가지론 16%, 무신론자 7%, 이슬람교 2%이다.[18] 회원국[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유럽 연합 회원국입니다.      회원국     탈퇴 신청국: 영국     솅겐 조약 가입국: 노르웨이, 스위스, 아이슬란드 (EU 미가입)     후보국: 알바니아, 북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터키     신청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EUAA(유럽 연합과의 협력 협정) 체결국: 조지아, 우크라이나, 몰도바     신청 잠재 후보국: 코소보     비가입국 1957년 창립 회원국은 네덜란드, 서독(현재의 독일), 룩셈부르크, 벨기에, 이탈리아, 프랑스 총 여섯 국가이다. 이후 1973년에는 그린란드[19]를 제외한 덴마크, 아일랜드, 영국이, 1981년에는 그리스가, 1986년에는 스페인, 포르투갈이 가입했다. 1990년에는 동서독 통일로 인해 옛 동독이 서독에 합병되면서 유럽 연합의 회원국이 되었다. 1995년에는 스웨덴, 오스트리아, 핀란드가, 2004년 5월 1일에는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몰타,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에스토니아, 체코, 키프로스[20], 폴란드, 헝가리가 가입했으며, 2007년 1월 1일에는 루마니아, 불가리아가 가입했다. 2013년에는 크로아티아가 28번째 회원국이 되었다. 2016년 6월 23일 영국이 탈퇴를 신청하였다. 또한 유럽은 아니지만 몇몇 유럽 연합 회원국의 속령도 유럽 연합의 일부이다. 스페인의 카나리아 제도, 세우타와 멜리야 (아프리카) 포르투갈의 아조레스 제도와 마데이라 제도(아프리카) 프랑스의 과들루프(서인도 제도 - 소앤틸리스 제도), 레위니옹(아프리카), 마요트(남아프리카), 마르티니크(서인도 제도 - 소앤틸리스 제도), 프랑스령 기아나(남아메리카) 브렉시트[편집] 영국 국민 투표[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브렉시트 및 2016년 영국 유럽 연합 회원국 국민투표입니다. 2016년 2월 20일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는 영국의 유럽 연합 회원국 지위를 두고 2016년 6월 23일 투표에 부치기로 결정했다. 이 날 영국은 유럽 연합에서 탈퇴하기로 결정했다. 유럽 연합의 탈퇴는 영국 독립당에 의해 적극 추진되었다. 국민투표 결과, 2016년 6월 24일에 4%p 차로 영국의 유럽 연합 탈퇴가 결정되었다.[21][22] 이 사건을 브렉시트(Brexit)라고 한다. 이후 유럽 연합은 영국의 회원국 자격을 심사하게 된다. 기구 및 기관[편집] 유럽 연합 이념 유럽통합주의 내셔널리즘 자유시장경제 사회민주주의 기독교민주주의 유럽의회주의 관련단체 유럽 의회 유럽 정당 - 유럽 인민당 - 사회민주진보동맹 - 녹색당-유럽자유동맹 - 유럽 보수와 개혁 - 유럽연합좌파 - 자유와 민주주의의 유럽 유럽 이사회 유럽 위원회 유럽 각료이사회 유럽 사법재판소 유럽 중앙 은행 역사 및 상징 윈스턴 처칠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유럽 경제 공동체 리스본 조약 니스 조약 로마 조약 유럽 통합화 유로 v • d • e • h 유럽 이사회[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유럽 이사회입니다. 유럽 이사회(European Council) 또는 EU 정상 회의는 유럽 연합 회원국의 국가 원수 또는 정부 장관(각료)과 유럽 이사회 의장,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위원장으로 구성되고 마스트리흐트 조약에 규정이 있는 기관이다. 이사회 회의에는 EU 외교·안보 정책 대표도 참석하며, 이사회 의장이 의사 진행을 한다. 입법 권한은 주어지지 않지만 유럽 이사회는 중요한 문제를 다루는 기관이며, 또한 여기서 이루어진 결정은 EU의 일반적인 정치 지침을 정하는 기본이 된다. 이사회는 반년 동안 적어도 2회 정도 회의를 가지며, 주 회의 장소는 브뤼셀의 유스투스 립시우스 빌딩이다. 유럽 연합 이사회[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유럽 연합 이사회입니다. 유럽 연합 이사회(Council of the European Union) 또는 EU 각료 회의는 유럽 연합의 입법·정책 결정 기관이다. 이사회 회원국들의 각료 1명씩으로 구성된 집단체로서, 회원 각국의 국익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고 대변하는 정부간 기구이다. 그 구성은 다루는 주제(외무,농무,재무 등)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일반적 사항을 다룰 때는 보통 각국의 외무 장관으로 구성되고, 전문적 사항을 다룰 때만 소관업무의 담당 장관들로 구성된다. 유럽 연합본부는 벨기에의 브뤼셀에 있다. 하지만 4월, 6월 및 11월에 개최되는 각료급 회담은 룩셈부르크의 수도인 룩셈부르크시에서 열린다. 유럽 의회[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유럽 의회입니다. 유럽 의회(European Parliament)는 유럽 연합의 입법 기관이다. 27개 유럽 연합 회원국의 시민들에 의해 5년에 한 번씩 직접선거로 선출된다. 본부는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 있다. 주요한 입법기능은 각료 이사회가 주로 행사하지만, 마스트리흐트 조약 이후로는 입법기능과 정치적 영향력이 점차 강화되고 있다. 유럽 의회는 주도적으로 입법을 할 수는 없지만 많은 정책 영역에서 수정 요구나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 특정 정책에 대해서 조언만 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유럽 의회는 또한 유럽 집행 위원회를 감독하며 집행 위원 임명 동의를 하며 불신임 투표를 통해 해임할 수 있다. 또한 유럽 연합의 예산 감독권을 가진다. 이전의 유럽 안보 협력 기구나 유럽 평의회, 서유럽 연합 등도 의회를 가지고 있었지만 모두 회원국의 의회에 의해 임명되었다. 하지만 유럽 의회는 1979년 이래 유일하게 시민들에 의해 직접 선출되고 있다. 국가별 연합 의회 의원 수 회원국 2007년 (니스 조약) 2009년 (니스 조약) 2014년 (리스본 조약) 2015년 (현재) 독일 99 99 96 96 프랑스 78 72 74 74 이탈리아 78 72 73 73 영국 78 72 73 73 스페인 54 50 54 54 폴란드 54 50 51 51 루마니아 35 33 33 32 네덜란드 27 25 26 26 벨기에 24 22 22 21 그리스 24 22 22 21 포르투갈 24 22 22 21 체코 24 22 22 21 헝가리 24 22 22 21 스웨덴 19 18 20 20 오스트리아 18 17 19 18 불가리아 18 17 18 17 덴마크 14 13 13 13 핀란드 14 13 13 13 슬로바키아 14 13 13 13 아일랜드 13 12 12 11 리투아니아 13 12 12 11 크로아티아 - - - 11 라트비아 9 8 9 8 슬로베니아 7 7 8 8 룩셈부르크 6 6 6 6 에스토니아 6 6 6 6 키프로스 6 6 6 6 몰타 5 5 6 6 EU-28 785 736 751 751 그 외 기구와 기관[편집] 유럽 사법재판소 유럽 중앙은행(ECB) 같이 보기[편집] 로마 조약 마스트리히트 조약 니스 조약 리스본 조약 유럽 평의회 유럽 헌법 유럽 통합화 유엔 브렉시트 각주[편집] ↑ “Brussels' EU capital role seen as irreversible”. Euractiv.com. 2012년 10월 28일에 확인함. Brussels has become the de facto capital of the European Union  ↑ 그리스어, 네덜란드어, 덴마크어, 독일어, 라트비아어, 루마니아어, 리투아니아어, 몰타어, 불가리아어, 스웨덴어, 스페인어, 슬로바키아어, 슬로베니아어, 아일랜드어, 영어, 에스토니아어, 이탈리아어, 체코어, 크로아티아어, 포르투갈어, 폴란드어, 프랑스어, 핀란드어, 헝가리어 ↑ “The EU in brief”. 《European Union》. 2016년 6월 16일.  ↑ European Commission. “The EU Single Market: Fewer barriers, more opportunities”. Europa web portal. 1 October 2007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7 September 2007에 확인함. “Activities of the European Union: Internal Market”. Europa web portal. 2007년 6월 29일에 확인함.  ↑ “Common commercial policy”. 《Europa Glossary》. Europa web portal. 2009년 1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9월 6일에 확인함.  ↑ “Agriculture and Fisheries Council”. The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 2013년 6월 3일에 확인함.  ↑ “Regional Policy Inforegio”. Europa web portal. 2013년 6월 3일에 확인함.  ↑ “Schengen area”. Europa web portal. 2011년 8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9월 8일에 확인함.  ↑ Craig & De Burca 2011, 15쪽. ↑ “European Union reaches 500 Million through Combination of Accessions, Migration and Natural Growth”. Vienna Institute of Demography. 2016년 2월 12일에 확인함.  ↑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18년 6월 7일.  ↑ “EU collects Nobel Peace Prize in Oslo”.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2년 12월 10일. 2013년 6월 3일에 확인함.  ↑ John McCormick (2006). 《The European Superpower》. ISBN 978-1-4039-9846-0.  ↑ 첫 ‘유럽 대통령’ 판롬파위 벨기에 총리 : 유럽 : 국제 : 뉴스 : 한겨레 ↑ 초대 ‘EU 대통령’ 관리자형 택했다 - 세상을 보는 눈, 글로벌 미디어 - 세계일보 ↑ [`EU 초대 대통령`에 롬푸이] 小國(소국) 우파 대통령·強國(강국) 좌파 외교장관…유럽다운 절묘한 타협<!-- 봇이 따온 제목 --> ↑ ‘하나의 유럽’ 밑그림 나왔다 ↑ http://ec.europa.eu/public_opinion/archives/ebs/ebs_393_en.pdf ↑ 그린란드는 1985년에 공동체를 떠났다. ↑ 유럽 연합은 북키프로스를 인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정부가 관할하는 지역은 유럽 연합의 영역에서 제외된다. ↑ [1] ↑ [2] 참고 문헌[편집] 존 핀더, 시몬 어셔우드 공저/도정윤 역 (2010년 12월 20일). 《EU 매뉴얼 : 유럽연합이란 무엇인가》. 한겨레출판. ISBN 978-89-8431-437-5.  강원택, 조홍식 공저 (2009년 5월 28일). 《하나의 유럽 : 유럽연합의 역사와 정책》. 푸른길. ISBN 978-89-6291-111-4.  이안 버지 등저/정흥모 역 (2006년 9월 25일). 《신유럽 정치입문》. 성균관대학교출판부(SKKUP). ISBN 978-89-7986-693-3.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유럽 연합 유럽 연합 웹사이트 주한 유럽연합 대표부 사이트 유럽 연합 의회 웹사이트 주벨기에 대한민국 대사관 겸 주유럽 연합 대한민국 대표부 vdeh유럽 연합 회원국 회원국 그리스 네덜란드 덴마크 독일 라트비아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몰타 벨기에 불가리아 스웨덴 스페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아일랜드 에스토니아 영국(탈퇴)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체코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신청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후보국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세르비아 알바니아 터키 신청 잠재 후보국 코소보 vdeh 유럽 연합 역사연표 1945년 이전 1945년–1957년 1958년–1972년 1973년–1993년 1993년–1999년 1999년–2004년 2004년–현재 공동체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ECSC, 1951-2002) 유럽 경제 공동체 (EEC, 1958–1993) 유럽 원자력 공동체 (EURATOM, 1958-현재) 타임라인 행정세 개의 기둥 I : 유럽의 공동체 II : 공동 외교 안보 정책 III : 범죄 문제의 사법 협력 기관 유럽 의회 유럽 의회 의장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위원장 유럽 이사회 유럽 이사회 의장 유럽 연합 이사회 유럽 연합 이사회 의장국 유럽 사법재판소 유럽 제1심 재판소 유럽 경제 사회 위원회 기구 유럽 사법 기구 유럽 형사 경찰 기구 유럽 환경청 유럽 우주국 정치 선거 의회 선거구 범유럽 정당 확대 통합 대외 관계 군사 법 절차 규제 명령 공법 경쟁법 저작권 지침 네 개의 자유 옵트 아웃 솅겐 협정 솅겐 지역 기본권 헌장 조약 로마 마스트리흐트 암스테르담 니스 리스본 지리 국경 극점 대도시 대도시 지역 특수 지역 경제 농업 예산 통화 동맹 유로 중앙은행 노동의 자유 이동 투자은행 투자 기금 유로존 에너지 지역 개발 수송 갈릴레오 사회 시민권 여권 인구 교육 EIT 언어 뉴스 매체 종교 스포츠 상징 유럽기 유럽가 통계 관련 목록 회원국 이사회 목록 명령 목록 마천루 vdehG20 국가 목록아시아 대한민국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인도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터키 유럽 유럽 연합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영국 러시아 아메리카 캐나다 멕시코 미국 아르헨티나 브라질 아프리카 남아프리카 공화국 오세아니아 오스트레일리아 vdeh남아시아 지역 협력 연합 (SAARC)회원국 네팔 몰디브 방글라데시 부탄 스리랑카 아프가니스탄 인도 파키스탄 참관국 대한민국 러시아 모리셔스 미국 미얀마 오스트레일리아 유럽 연합 이란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초청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vdeh지역 기구아시아 동아시아 정상회의(동아시아 공동체 동아시아 포괄적 경제 파트너십)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아세안+3) 남아시아 지역 협력 연합 걸프 협력 회의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 오세아니아 태평양 제도 포럼 남태평양위원회 남태평양공동체 사무국 유럽 유럽 연합(EU) 유럽 평의회 북유럽 이사회 동방 파트너십 유럽 자유 무역 연합(EFTA) 유럽 경제 지역(EEA) 중앙유럽 자유 무역 협정(CEFTA) 남동유럽 협력 프로세스(SEECP)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을 위한 구암 기구 러시아-벨라루스 국가 연합 비셰그라드 그룹 아프리카 아프리카 연합(AU) CFA 프랑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중앙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동아프리카 공동체 남아프리카 개발 공동체 아랍 마그레브 연합 아메리카 미주 기구(OAS) 라틴 아메리카 경제기구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남미 국가 연합 메르코수르 안데스 공동체 카리브 공동체 동카리브 국가 기구 중미 통합 체제 중남미·카리브 해 국가 공동체 라틴 아메리카 의회 카리브 국가 연합 태평양 동맹 라틴 아메리카 통합 연합(en) 대륙 간 아랍 연맹(북아프리카-아라비아 반도)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 유라시아-오세아니아-서아메리카) 이베로 아메리카 정상회의(남아메리카-스페인 포르투갈)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 / 북아메리카-유라시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 북아메리카-유럽) 독립국가연합(CIS / 구소련 국가) 유라시아 경제 연합(유라시아) 경제 협력 기구(중앙유라시아)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동유럽-중앙아시아) 상하이 협력 기구(유라시아) 아시아 인프라 투자 은행 (AIIB/유럽-아시아-오세아니아-아프리카) 지중해 연합(유럽-북아프리카-서아시아) 아시아 유럽 정상회의(ASEM / 유라아시아)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TPP / 유라시아-오세아니아) vdeh태평양 제도 포럼(PIF)회원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나우루 니우에 마셜 제도 미크로네시아 연방 바누아투 사모아 솔로몬 제도 파푸아뉴기니 팔라우 피지 통가 투발루 쿡 제도 키리바시 준회원국 누벨칼레도니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옵서버 회원국 및 기구 유엔 · 영국 연방 · 동티모르 · 왈리스 퓌튀나 · 토켈라우  · 미국령 사모아  · 괌  · 북마리아나 제도  · 중서부태평양수산위원회  · 아시아 개발 은행대화 상대국 유럽 연합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일본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중화민국 필리핀 인도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미국 캐나다 터키 쿠바 스페인 vdeh 노벨 평화상 수상자경제학상 | 문학상 | 물리학상 | 생리 의학상 | 평화상 | 화학상1901 – 1925 1901: 앙리 뒤낭 / 프레데리크 파시 1902: 엘리 뒤코묑 / 샤를 고바 1903: 윌리엄 랜들 크리머 1904: 국제법 학회 1905: 베르타 폰 주트너 1906: 시어도어 루스벨트 1907: 에르네스토 모네타 / 루이 르노 1908: 클라스 아르놀드손 / 프레드리크 바예르 1909: A. M. F. 베르나르트 / 폴 데스투르넬 드 콩스탕 1910: 국제 평화국 1911: 토비아스 아서르 / 알프레트 프리트 1912: 엘리후 루트 1913: 앙리 라퐁텐 1917: 국제 적십자 위원회 1919: 우드로 윌슨 1920: 레옹 부르주아 1921: 얄마르 브란팅 / 크리스티안 랑에 1922: 프리티오프 난센 1925: 오스틴 체임벌린 / 찰스 도스 1926 – 1950 1926: 아리스티드 브리앙 / 구스타프 슈트레제만 1927: 페르디낭 뷔송 / 루트비히 크비데 1929: 프랭크 빌링스 켈로그 1930: 나탄 셰데르블롬 1931: 제인 애덤스 / 니컬러스 버틀러 1933: 노먼 에인절 1934: 아서 헨더슨 1935: 카를 폰 오시에츠키 1936: 카를로스 사베드라 라마스 1937: 로버트 세실 1938: 난센 국제 난민 사무소 1944: 국제 적십자 위원회 1945: 코델 헐 1946: 에밀리 볼치 / 존 롤리 모트 1947: 영국 퀘이커 봉사 협회 / 미국 퀘이커 봉사 위원회 1949: 존 보이드 오어 1950: 랠프 번치 1951 – 1975 1951: 레옹 주오 1952: 알베르트 슈바이처 1953: 조지 마셜 1954: 유엔 난민 기구 1957: 레스터 B. 피어슨 1958: 도미니크 피르 1959: 필립 노엘베이커 1960: 앨버트 루툴리 1961: 다그 함마르셸드 1962: 라이너스 폴링 1963: 국제 적십자 위원회 / 국제 적십자사 연맹 1964: 마틴 루터 킹 주니어 1965: 유니세프 1968: 르네 카생 1969: 국제 노동 기구 1970: 노먼 볼로그 1971: 빌리 브란트 1973: 헨리 키신저 / 레득토 (수상 거부) 1974: 숀 맥브라이드 / 사토 에이사쿠 1975: 안드레이 사하로프 1976 – 2000 1976: 베티 윌리엄스 / 메어리드 코리건 1977: 국제사면위원회 1978: 안와르 사다트 / 메나헴 베긴 1979: 테레사 수녀 1980: 아돌포 페레스 에스키벨 1981: 유엔 난민 기구 1982: 알바 뮈르달 / 알폰소 가르시아 로블레스 1983: 레흐 바웬사 1984: 데즈먼드 투투 1985: 핵전쟁 방지 국제 의사회 1986: 엘리 위젤 1987: 오스카르 아리아스 1988: 유엔 평화유지군 1989: 제14대 달라이 라마 1990: 미하일 고르바초프 1991: 아웅산수찌 1992: 리고베르타 멘추 1993: 넬슨 만델라 / F. W. 데 클레르크 1994: 야세르 아라파트 / 시몬 페레스 / 이츠하크 라빈 1995: 퍼그워시 회의 / 조지프 로트블랫 1996: 카를루스 벨루 / 조제 하무스 오르타 1997: 지뢰 금지 국제 운동 / 조디 윌리엄스 1998: 존 흄 / 데이비드 트림블 1999: 국경없는의사회 2000: 김대중 2001 – 현재 2001: 유엔 / 코피 아난 2002: 지미 카터 2003: 시린 에바디 2004: 왕가리 마타이 2005: 국제 원자력 기구 / 무함마드 엘바라데이 2006: 그라민 은행 / 무함마드 유누스 2007: 앨 고어 /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 2008: 마르티 아티사리 2009: 버락 오바마 2010: 류샤오보 2011: 엘런 존슨설리프 / 리마 보위 / 타우왁쿨 카르만 2012: 유럽 연합 2013: 화학 무기 금지 기구 2014: 카일라시 사티아르티 / 말랄라 유사프자이 2015: 튀니지 국민 4자 대화 기구 2016: 후안 마누엘 산토스 2017: 핵무기 폐기 국제 운동 2018: 드니 무퀘게 / 나디아 무라드 vdeh←  2012년 노벨상 수상자  →물리학상 세르주 아로슈(프랑스) 데이비드 J. 와인랜드(미국) 화학상 로버트 레프코위츠(미국) 브라이언 코빌카(미국) 생리학·의학상 존 거든(영국) 야마나카 신야(일본) 문학상 모옌(중국) 평화상 유럽 연합(EU) 경제학상 앨빈 로스(미국) 로이드 섀플리(미국)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07634635 LCCN: n2004153355 ISNI: 0000 0001 2375 4495 GND: 5098525-5 SUDOC: 032486324 BNF: cb12350708p (데이터) NLA: 35383556 NDL: 00407066 NKC: kn20010711086 BNE: XX14103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유럽_연합&oldid=24546491" 분류: 1993년 설립유럽 연합유엔 총회 옵서버노벨 평화상 수상 단체G20 회원국숨은 분류: 조사를 따로 지정한 문서그리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네덜란드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덴마크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라트비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루마니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리투아니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몰타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불가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스웨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스페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슬로바키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슬로베니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아일랜드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에스토니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체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크로아티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포르투갈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폴란드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핀란드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헝가리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뉴스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АҧсшәаАдыгабзэ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ܐܪܡܝܐمصرىঅসমীয়াAsturianuАвар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Boarisch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Bamanankanবাংলা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Chavacano de ZamboangaMìng-dĕ̤ng-ngṳ̄НохчийнCebuanoکوردیCorsuQırımtatarcaČeštinaKaszëbsczi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ZazakiDolnoserbskiडोटेली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VõroFøroysktFrançaisArpetanNordfriiskFurlanFryskGaeilgeGagauzGàidhligGalego𐌲𐌿𐍄𐌹𐍃𐌺GaelgHausa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Hornjoserbsce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nterlingue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PatoisLa .lojban.JawaქართულიKabɩyɛҚазақшаKalaallisutភាសាខ្មែរಕನ್ನಡПерем КомиКъарачай-малкъарKurdîКомиKernowekКыргызчаLatinaLadinoLëtzebuergeschЛезгиLingua Franca NovaLimburgsLigureLumbaartLingálaLietuviųLatviešuमैथिलीМокшеньMalagasyОлык марийMāori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MaltiMirandésမြန်မာဘာသာمازِرونیNapulitanoPlattdüütschNedersaksies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vialNouormandChi-ChewaOccitanИронਪੰਜਾਬੀPapiamentuPicardDeitschPolskiPiemontèisپنجابیپښتوPortuguêsRuna SimiRumantschRomani čhibRomânăArmãneashtiTarandíne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KinyarwandaСаха тылаSarduSicilianuScotsسنڌي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Gagana Samo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eelterskBasa SundaSvenskaKiswahiliŚlůnskiதமிழ்తెలుగుTetun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XitsongaТатарча/tatarçaУдмурт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Vepsän kel’Tiếng ViệtWest-VlamsVolapükWalonWinaray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Zeêuws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9일 (화) 02: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유럽연합(영어: European Union, 독일어: Europäische Union, 프랑스어: Union européenne, EU)은 주로 유럽에 위치한 27개의 회원국 간의 정치 및 경제 통합체이다. 유럽 연합의 인구수는 4억 5,000만 명으로, 영토는 4,475,757 km2이다. 유럽 연합은 회원국 전체에 적용되는 표준화된 법을 통해 유럽 단일 시장을 발전시키고 있다. 유럽 연합의 정책은 사람, 상품, 자본, 그리고 서비스가 국내 시장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국내 문제와 정의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농업, 어업 그리고 지역 개발에서 공동 정책을 채택한다. 솅겐 지역에서의 여행에서, 유럽 연합은 출입국관리를 폐지했다. 1999년 유로존이 설립되어 2002년 발효되었으며, 유로를 통화로 사용하는 20개의 회원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럽 연합과 유럽 시민권은 1993년 마스트리흐트 조약이 발효되었을 때 설립되었다. 유럽 연합의 기원은 1951년 파리 조약으로 창설된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와 1957년 로마 조약으로 창설된 유럽 경제 공동체이다. 유럽의 공동체를 창립한 것으로 알려진 회원국은 벨기에,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독일(서독) 6개국으로, 이들을 합쳐 이너 식스라고 부른다. 위원회와 그들의 계승자들은 새로운 회원국이 가입하면서 확장되었다. 유럽 연합의 헌법적 기초에 대한 마지막 주요 합의사항은 2009년 리스본 조약(Treaty of Lisbon)에서 체결되었다. 현재까지 유럽 연합에서 탈퇴한 국가는 영국으로, 2020년에 탈퇴하였다. 전 세계 인구의 7.3%을 차지하는 유럽 연합의 2017년 기준 국내총생산은 19조 6700억 달러로, 전세계 GDP의 24.6%를 차지한다. 또한 유럽 연합 회원국 모두는 인간 개발 지수에서 높은 수치를 보유하고 있다. 2012년 유럽 연합은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공동 외교 및 보안 정책을 통해 유럽 연합은 외국과의 무역 및 영토 방어의 역할을 발전시켰다. 유럽 연합은 세계 곳곳에 정치 사절단을 파견했으며, 유엔, 세계 무역 기구, G7, G20 등에 대표단을 보내기도 한다. 이러한 유럽 연합의 글로벌한 영향력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강력한 힘을 가진 공동체가 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유럽 연합에서는 어떤 언어를 사용하고 있을까? Assistant: 유럽​​ 연합(EU)은 유럽 연합 회원국 내에서 사용되는 많은 언어와 방언 중에서 24개의 언어를 공식 언어 및 실무 언어로 정하고 있다. 이에 해당하는 언어는 그리스어, 네덜란드어, 덴마크어, 독일어, 라트비아어, 루마니아어, 리투아니아어, 몰타어, 불가리아어, 스웨덴어, 스페인어, 슬로바키아어, 슬로베니아어, 아일랜드어, 에스토니아어, 영어, 이탈리아어, 체코어, 크로아티아어, 포르투갈어, 폴란드어, 프랑스어, 핀란드어, 헝가리어이다. 유럽 의회는 문서와 본회의 관련 자료등을 모든 언어로 번역한다. 일부 기관 내부 실무 언어와 같은 경우 소수 언어(갈리시아어, 게일어, 바스크어, 웨일스어, 카탈루냐어)를 사용하지만 이들 언어는 공식 언어가 아니다. 유럽 연합(EU)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외국어 비율을 계산하면 영어가 인구의 38%로 가장 많고 독일어가 12% 프랑스어가 11%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Human: 아래 카르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카르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르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카르멘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896년 미국 공연 포스터 카르멘(Carmen)은 조르주 비제가 작곡한 4막의 오페라 코미크이다. 프로스페르 메리메의 동명의 이야기를 기초로 뤼도비크 알레비와 앙리 메이야크가 프랑스어 대본을 완성한 이 작품은 한 불같은 성격을 지닌 아름답고 유혹적인 집시 여인, 카르멘에 관한 이야기이다. 1875년 3월 3일 파리 오페라 코미크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이 첫 공연은 실패로 여겨져, 비평가들이 부도덕하고, 표면적이라며 비난하였다. 오늘날 이 오페라는 세계에서 가장 인기있는 오페라 중의 하나가 되었다. "Opera America"에 따르면 이 작품은 북미에서 4번째로 자주 공연되는 오페라이다. 목차 1 작품 배경 2 등장인물 3 줄거리 3.1 1막 3.2 2막 3.3 3막 3.4 4막 4 유명한 음악 5 참고 문헌 6 외부 링크 작품 배경[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등장인물[편집] 주요 배역 카르멘, 집시 여인 (메조소프라노) 돈 호세, 상등병 (테너) 미카엘라, 시골 처녀 (소프라노) 에스카밀로, 투우사 (바리톤) 조역 및 기타 모랄레스, 상등병 (바리톤) 프라스키타, 집시 여인 (메조소프라노) 메르세데스, 집시 여인 (메조소프라노) 주니가, 중위 (베이스) 레멘다도, 밀수꾼 (테너) 단카이로, 밀수꾼 (테너) Lillas Pastia, 여인숙 관리인 (대사, 오직 대사 판본에만 등장함 집시 (테너) 가이드 (대사, 오직 대사 판본에만 등장함) 오렌지 판매꾼 (소프라노,메조소프라노, 또는 알토 ) 병사 (대사, 오직 대사 판본에만 등장함) 안드레스, 중의 (테너) 병사들, 소년들, 담배 공장 여공들, 에스카밀로의 추종자들, 집시들, 상인들, 오렌지 판매꾼들, 경찰들, 투우사들, 군중들 - 합창 줄거리[편집] 때: 1820년 경 장소: 스페인의 세비야 1막[편집] 세비야의 담배 공장 앞 광장 막이 오르기 전에 경쾌한 "투우사의 노래"가 울리고 이어서 카르멘의 죽음을 암시하는 비극적인 내용의 전주곡이 연주된다. 이 곡은 단독으로 종종 연주되는 유명한 곡이다. 막이 오르면 담배 공장 앞의 광장이 보인다. "광장에서 (Sur la Place)"라는 합창이 울리는 가운데 시골처녀 미카엘라가 약혼자인 돈 호세를 찾아온다. 빈둥거리며 시간을 보내고 있던 군인들이 그녀에게 희롱을 걸지만 미카엘라는 정숙한 자태를 유지하며 눈길을 돌리지 않는다. 오직 호세가 광장에 나타나기만을 기다릴 뿐이다. 나팔소리와 함께 교대하는 기병대의 행진이 보인다. 경비 기병대의 대장 수니가와 호세가 도착한다. 마침 정오를 알리는 종소리가 울리자, 공장의 여직공들이 점심을 먹기 위해 밖으로 나온다. 그중 매혹적인 집시 카르멘이 유혹적인 목소리로 "하바네라(Habanera)"를 부르면서 호세에게 추파를 던진다. 이 노래는 "사랑은 자유로운 새 (L'amour est un oiseau rebelle)"라는 내용으로 시작해서, 매우 독특한 음성으로 "내가 당신을 사랑한다면 그때 당신은 날 조심하세요 (Si je t'aime, prends garde a toi)"라고 끝을 맺는다. 그녀는 현혹적인 춤을 추면서 차츰차츰 호세에게 접근한다. 처음에는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던 그도 카르멘의 매력적인 눈길에 마음을 뺏긴다. 여직공들이 "사랑은 자유롭다"라는 합창을 하며 공장으로 들어가고 있다. 카르멘은 호세에게 붉은 장미 한 송이를 던지고 간다. 그는 장미를 줏어들고 그윽한 향기의 아름다운 꽃이라고 중얼거린다. 그때 미카엘라가 나타나고, 호세는 얼른 그 장미꽃을 가슴에 감춘다. 그리고 "어머니의 안부를 전해줘요 (Parle-moi de ma mère)"라며 오랜만에 재회의 기쁨을 나눈다. 그녀는 그의 어머니가 보낸 애정어린 용돈과 편지를 전한다. 담배 공장에서 비수와 같은 비명이 순간 울려나오고, 공장의 여직공들이 뛰어나온다. 카르멘이 친구와 다투다가 상대의 얼굴을 칼로 상처냈기 때문이었다. 잠시 소동이 있은 후, 호세와 두 명의 병사들이 카르멘을 체포하기 위해 달려간다. 카르멘은 반항하면서도 여유있게 "트라-랄-랄"하고 콧노래를 흥얼거린다. 손이 등뒤로 포박당한 채 유치장으로 이송되기위해 대기하고 있던 그녀가 감시하는 호세를 유혹한다. 그녀는 "세빌랴의 성 가까이에서 (Seguidilla, Près des remparts de Seville)"라는 노래를 부르며 호세가 그녀의 포박을 풀어주도록 간교하게 추파를 던진다. 그는 결국 유혹에 넘어가, 손이 자유롭게 된 카르멘은 호세에게 감옥으로 호송될 때 그를 넘어뜨리고 도망갈 터이니, 실수로 놓치는 척 해달라고 부탁한다. 대장 수니가가 영장을 손에 쥐고 등장하자, 그녀는 호세를 밀어버리고 깔깔대며 군중 속으로 달아난다. 호세는 직무태만으로 두 달 동안 영창살이를 한다 2막[편집] 릴리아스 파스티아의 선술집 세빌랴 근처의 릴랴스 파스티아 술집이다. 열광적인 파티가 열리고 있다. 대장 수니가가 호세를 감옥에 집어넣고 카르멘의 마음을 차지하려고 애쓰나, 그녀는 곧 호세가 석방되리라는 사실을 알고서 냉담하게 대한다. 또한 미남 투우사 에스카밀로가 카르멘을 유혹하지만 오직 그녀는 "나의사랑은 돈 호세"하고 말해 주위 사람이 놀란다. 에스카밀로가 "당신의 축배를 내가 돌려 받을수 있을까요 (Votre toast, je peux vous le rendre)"로 시작해서 "투우사를 조심하세요 (Couplets du Toreador)"라는 후렴구를 갖는 "투우사의 노래 (Chanson du toréador)"를 하는데, 많은 오페라 아리아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곡이다. 그는 캐스터네츠를 딱딱 거리며 춤을 추는 카르멘의 야성적인 아름다움에 반하여 후일을 기약한다. 멀리서 석방되어 나오는 호세의 소리가 들린다. 카르멘은 그를 맞으며 무척 기뻐하면서 그를 위해 매혹적인 노래와 춤을 춘다. 호세는 현혹되어 넋이 빠진 모습인데, 그때 나팔소리가 울린다. 귀대를 명령하는 소리로, 마지못해 그가 일어서자 카르멘이 욕설을 퍼부으며 앙탈을 부린다. 그러자 호세는 예전에 광장에서 그녀가 던져주었던 장미꽃을 꺼내 보이면서 그 유명한 "꽃노래 (La fleur que vous m'avez jetée)"를 부르며 감옥살이 동안이 꽃이 얼마나 위안이 되었던가를 들려준다. 감동한 듯 그녀는 일순 부드러워진다. 그때 수니가 대장이 들어와 호세에게 빨리 귀대할 것을 명한다. 그러나 호세가 쉽사리 복종을 않자, 그는 말다툼 끝에 급기야 칼을 뽑아든다. 카르멘의 고함소리에 밀매업자인 집시들이 달려오고 수니가는 불리함을 느껴 달아난다. 호세는 이제 천상 귀대할 수도 없게 된 것이다. 상관에게 대들었으니 그 대가를 어찌 감당할 것인가. 차라리 밀매업자들과 산으로 들어가는 것이 현명하다고 생각한다. 3막[편집] 산 속, 밀수업자의 은신처 • 산 속, 밀수업자의 은신처 산속의 한적한 장소로, 밀매업자들이 활기찬 합창을 부르면서 한사람씩 등장한다. 호세도 그들 틈에 끼어 있었지만 결코 즐겁지는 않다. 한편 카르멘은 순간적으로 그를 좋아했기 때문에 금방 싫증을 느끼고 있었다. 그녀는 "왜 당신은 어머니가 계신 고향으로 가지 않나요? "라며 빈정댄다. "카르멘! 네 곁을 떠나라고? 한번만 더 그따위 말을 지껄인다면 죽이고 말테다" 호세가 단검을 쥐고 소리를 지르지만 그녀는 눈도 까딱 않고 웃음을 띄운다. 카르멘은 프라스키나와 메르세데스가 트럼프로 운명점을 치고 있는 곳으로 발길을 돌린다. 그러나 그녀는 계속해서 죽을 점만 나온다. 그녀는 죽음을 예고하는 스페이드 에이스를 젖히며, "도망쳐 봐야 아무 소용없지 (Envain pour eviter)"라는 아리아로 자기의 종말을 독백조로 노래한다. 이어서 그들과 트럼프의 3중창을 부른다. 호세에게 망을 보게 한 후, 다른 사람들과 밀매품을 운반하러 출발한다. 안내자의 인도를 받으며 미카엘라가 호세를 찾아 들어온다. 그녀는 매우감동적인 아리아, "이젠 두렵지 않아 (Je dis que rien ne m'épouvante)"를부른다. 그러나 허탕만 치다가 느닷없는 총소리에 놀란다. 그 총성은 호세가 정체불명의 낯선 침입자를 향해 쏜 것인데, 그 침입자는 다름아닌 에스카밀로였다. 에스카밀로는 카르멘을 못 잊어 찾아온 것이다. 호세는 그에게 칼을 주고 결투을 청한다. 에스카밀로가 열세에 몰렸을 즈음 카르멘이 돌아오고, 그는 간신히 목숨을 건진다. 에스카밀로는 사람들을 세비야에서 개최될 예정인 투우전에 초대하고 그곳을 떠난다. 이때 미카엘라가 나타나서 눈물로 호소한다. 그녀는 호세의 어머니가 병석에 누운 채 아들이 돌아오기만을 기다리며 죽어간다고 전한다. 카르멘이 경멸 섞인 소리로 고향으로 가라고 하자, 호세는 화를 벌컥 낸다. 멀리서 에스카밀로의 "투우사의 노래"가 희미하게 들려온다. 카르멘이 그쪽을 향해 달려가려 하자, 호세가 나서며 "지금은 떠나지만 다시 돌아오겠다"고 소리친다. 그는 미카엘라와 함께 산을 내려온다. 4막[편집] 세비야의 투우장 앞 세빌랴의 투우장 밖으로, 화려한 옷차림의 카르멘이 에스카밀로의 팔짱을 낀 채 군중들의 환호를 받으며 등장한다. 에스카밀로는 그녀의 행복을 비는 키스를 하면서 "카르멘, 그대가 날 사랑해 준다면 (Si tu m'aimes, Carmen)"하고 사랑의 노래를 감미롭게 부르고는 성큼성큼 투우장으로 입장한다. 카르멘의 친구인 한 밀매업자가 다가와 호세가 여기에 와 있으니 생명을 소중히 생각한다면 오래 머무르지 말 것을 충고한다. 그러나 카르멘은 코웃음을 치며 대담하게도 군중들의 틈에 끼어 투우를 관람한다. 극도로 흥분한 호세가 그때 등장한다. 그리고 카르멘에게 저놈을 사랑하느냐고 묻는다. 매정하게 그녀가 죽도록 사랑한다고 말하며 퉁명스런 어조로 이제 당신과의 관계는 끝장이라고 소리친다. 군중의 "에스카밀로, 만세! "하는 환호성이 들리자, 카르멘이 얼른 입구로 몸을 돌린다. 제정신이 아닌 호세가 순간 그녀의 등을 찌른다. 카르멘이 그의 발 아래에 쓰러진다. 호세는 절망한 목소리로 "그대가 날 묶어놓고 놓아주질 않았소. 그대를 죽인 것은 바로 나요. 오, 나의 카르멘"하고 절규한다. 공포에 질린군중이 투우장에서 몰려나온다. 그녀 시신 앞에서 호세는 자신이 카르멘을 죽였다고 하면서 막이 내린다. 유명한 음악[편집] 1막: 서곡 Avec la garde montante (합창 - "수비 임무를 하러 가며"); 거리의 소년들의 합창 L'amour est un oiseau Habanera(하바네라 - "사랑은 자유로운 새"); 카르멘 Parle-moi de ma mère ! (이중창 - "어머니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줘!"); 돈 호세 and Micaëla. Près des remparts de Séville (세퀴디야 - "세비야 성벽 근처에"); 카르멘, 돈 호세. Les tringles des sistres tintaient (집시의 노래 - "The sistrums' bars tinkled"); 카르멘, 프라스키타, 메르세데스. Votre toast, je peux vous le rendre (투우사의 노래 - "당신을 위해 축배를"); 에스카밀로 Je vais danser en votre honneur (이중창 - "이제 상으로 당신과 춤춰도 될까요"); 돈 호세, 카르멘. La fleur que tu m'avais jetée (꽃의 노래 - "이 꽃을 네가 던졌었지") Mêlons!, Coupons! (카드 노래, 트리오 - "섞어라!!"); 프라스키타, 메르세데스, 카르멘. Je dis que rien ne m'épouvante (미카엘라의 아리아 - "나는 두려워하지 않아요"); 미카엘라 Les voici, le quadrille! (합창과 챙진곡 - "Here comes the cuadrilla!"); 아이들, 남자, 여자들의 합창 C'est toi ! C'est moi! (이중창, 피날레 - "그건 당신? 그건 나!"); 카르멘, 돈 호세 참고 문헌[편집] Winton Dean (1980). “Bizet, Georges”, Sadie, Stanley: The New Grove. Macmillan. Elizabeth Forbes (1992). “Carmen”, Sadie, Stanley: The New Grove Dictionary of Opera. Macmillan. Michael Tanner (1999). “Words and Music”, Robert Ainsley: The Encyclopedia of Classical Music. Carlton. ISBN 1-85868-628-8. Batta, András (2000). Opera: Composers, Works, Performers. Könemann. ISBN 3-8290-3571-3. Dibbern, Mary (2000). Carmen: A Performance Guide. Pendragon Press. ISBN 1-57647-032-6.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카르멘 줄거리 네이버 음악사전 줄거리 (영문)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줄거리 (영문) 뉴욕시티 오페라 줄거리 (영문) Opera~Opera, Alison Jones 작성 줄거리 (영문) "NAXOS.COM" 대본, 줄거리, 하일라이트 (영어, 독어, 이탈리아어, http://www.opera-guide.ch/ 대본 (프랑스어) Libretto Homepage Carmen and other works by Mérimée in English 전체 피아노 악보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95658854 LCCN: n81120420 GND: 300020724 SUDOC: 031145701 BNF: cb12241834c (데이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카르멘&oldid=23440766" 분류: 조르주 비제의 오페라오페라 코미크프랑스어 오페라1875년 오페라숨은 분류: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zərbaycanca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TaqbaylitLatviešuമലയാളം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9일 (수) 13: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카르멘(Carmen)은 조르주 비제가 작곡한 4막의 오페라 코미크이다. 프로스페르 메리메의 동명의 이야기를 기초로 뤼도비크 알레비와 앙리 메이야크가 프랑스어 대본을 완성한 이 작품은 한 불같은 성격을 지닌 아름답고 유혹적인 집시 여인, 카르멘에 관한 이야기이다. 1875년 3월 3일 파리 오페라 코미크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이 첫 공연은 실패로 여겨져, 비평가들이 부도덕하고, 표면적이라며 비난하였다. 오늘날 이 오페라는 세계에서 가장 인기있는 오페라 중의 하나가 되었다. "Opera America"에 따르면 이 작품은 북미에서 4번째로 자주 공연되는 오페라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카르멘의 4막 중 세비야의 투우장 앞에서 발생하는 일은 무엇일까? Assistant: 세빌랴의 투우장 밖으로, 화려한 옷차림의 카르멘이 에스카밀로의 팔짱을 낀 채 군중들의 환호를 받으며 등장한다. 에스카밀로는 그녀의 행복을 비는 키스를 하면서 "카르멘, 그대가 날 사랑해 준다면 (Si tu m'aimes, Carmen)"하고 사랑의 노래를 감미롭게 부르고는 성큼성큼 투우장으로 입장한다. 카르멘의 친구인 한 밀매업자가 다가와 호세가 여기에 와 있으니 생명을 소중히 생각한다면 오래 머무르지 말 것을 충고한다. 그러나 카르멘은 코웃음을 치며 대담하게도 군중들의 틈에 끼어 투우를 관람한다. 극도로 흥분한 호세가 그때 등장한다. 그리고 카르멘에게 저놈을 사랑하느냐고 묻는다. 매정하게 그녀가 죽도록 사랑한다고 말하며 퉁명스런 어조로 이제 당신과의 관계는 끝장이라고 소리친다. 군중의 "에스카밀로, 만세! "하는 환호성이 들리자, 카르멘이 얼른 입구로 몸을 돌린다. 제정신이 아닌 호세가 순간 그녀의 등을 찌른다. 카르멘이 그의 발 아래에 쓰러진다. 호세는 절망한 목소리로 "그대가 날 묶어놓고 놓아주질 않았소. 그대를 죽인 것은 바로 나요. 오, 나의 카르멘"하고 절규한다. 공포에 질린군중이 투우장에서 몰려나온다. 그녀 시신 앞에서 호세는 자신이 카르멘을 죽였다고 하면서 막이 내린다.
Human: 아래 라이프치히_게반트하우스_관현악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관현악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관현악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관현악단(독일어: Gewandhausorchester Leipzig)은 라이프치히에 기반을 둔 독일의 관현악단이다. 목차 1 역사 2 주요 활동 3 역대 카펠마이스터 4 외부 링크 역사[편집] '게반트하우스' 는 독일어로 직물회관이라는 뜻으로, 18세기 중반부터 부유한 직물 상인들이 유능한 연주가들을 초빙해 소규모 공연을 하면서 정규 관현악단의 창설이 논의되기 시작했다. 1781년에는 첫 번째 게반트하우스가 준공되었고, 이 곳을 거점으로 하는 관현악단이 동시에 창단되었다. 초대 카펠마이스터(음악 감독)로는 요한 아담 힐러가 선출되었으며, 이후 슈흐트와 슐츠, 폴렌츠 등이 자리를 이어받았다. 1835년에는 펠릭스 멘델스존이 카펠마이스터로 임명되었고, 연주와 지휘를 겸하던 전임자들과 달리 지휘만을 전담하는 최신 체제로 전환하게 되었다. 멘델스존은 슈베르트의 《교향곡 9번》이나 바흐의 《마태 수난곡》 등을 사후 초연 또는 부활 공연하여 음악사에 크게 기여했으며, 자신의 자작곡들도 이 악단을 지휘해 선보였다. 멘델스존 사후에는 리츠와 라이네케가 뒤를 이었고, 1884년에는 새로 신축된 게반트하우스로 상주 공연장을 옮겼다. 라이네케는 악단 최장 기록인 35년 동안 재임하면서 자작곡 외에 브람스의 독일 레퀴엠을 최초로 전곡 공연하는 등의 업적을 남겼다. 라이네케의 후임으로는 아르투르 니키슈가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상임 지휘자 취임과 동시에 임명되었고, 두 악단 모두 세계적인 악단으로 성장하는 데 큰 공헌을 했다. 니키슈가 1922년에 타계한 뒤에는 빌헬름 푸르트벵글러가 니키슈와 마찬가지로 베를린 필의 상임 지휘자를 겸무하는 형식으로 후임이 되었다. 그러나 푸르트벵글러는 두 악단 외에도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정기 지휘자 겸직으로 인한 과중한 업무와 악단 경영진과의 대립 등으로 1928년에 물러났고, 후임으로 브루노 발터가 임명되었다. 그러나 유태계였던 발터는 나치스 집권 후 강제로 사임당했으며, 후임으로 쾰른에서 옮겨온 헤르만 아벤트로트가 카펠마이스터 자리를 이어받았다. 아벤트로트는 1945년까지 악단을 이끌면서 제국 방송에 많은 녹음을 남겼으며, 종전 후에도 소련군 군정의 허가를 받아 악단을 존속시키는 데 기여했다. 후임으로는 헤르베르트 알베르트와 프란츠 콘비츠니가 차례로 카펠마이스터에 임명되었으나, 1962년에 콘비츠니가 급서하면서 약 2년간 공석 상태에 있었다. 1964년에 바츨라프 노이만이 후임으로 임명되었으나, 노이만도 1968년에 망명한 카렐 안체를의 대리로 급히 체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 옮겨가면서 사임했다. 이후 하인리히 본가르츠와 쿠르트 마주어가 차례로 카펠마이스터직을 계승했으며, 마주어는 전통적인 독일계 레퍼토리 외에도 자유화 시류에 맞추어 거슈윈 등 미국 작곡가들의 작품을 과감히 다루었고, 동독 정부 말기에는 반정부 시위에 참가하는 등 진보적인 면모를 보여주었다. 통독 후에도 마주어는 직책을 계속 유지했으나, 1991년에 뉴욕 필하모닉의 음악 감독을 겸하면서 관계가 소원해지기 시작했다. 1996년에 마주어가 사임한 후 한동안 카펠마이스터 공석 상태로 활동했으며, 1998년에 헤르베르트 블롬슈테트가 신임 카펠마이스터로 임명되었다. 블롬슈테트는 2005년까지 직책을 유지했으며, 후임으로 리카르도 샤이가 임명되어 현재까지 재직 중이다. 게반트하우스가 내세우고 있는 표어는 라틴어로 'Res severa verum gaudium' 으로, 이는 연주회장 뿐 아니라 연주회장의 상주 단체로 활동하는 모든 악단에도 적용되어 있다. 한국어 번역은 '진정한 즐거움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로, 세네카의 저작에서 따온 구절이다. 주요 활동[편집] 18세기에 창단된 유서깊은 악단인 만큼 여러 역사적인 공적을 남겼으며, 위에 서술한 멘델스존의 바흐 부활 운동은 서양음악사에서 비중있게 다루어지고 있다. 니키슈 시대부터는 본격적으로 전업 지휘자들이 카펠마이스터를 맡아 연주회에 큰 비중을 두기 시작했으나, 지금도 연주회 외에 토마스 교회의 종교음악 연주회나 라이프치히 오페라극장의 관현악단 역할도 겸하고 있다. 2차 세계대전 중에는 제국 관현악단들의 하나로 인정받아 병역 면제 혜택 등을 받으며 존속했으나, 1944년에 연합군의 폭격으로 게반트하우스가 전소되는 등의 타격을 입었다. 이후 시내 영화관이나 회의장 등을 임시 공연장으로 사용했으며, 현대적인 설계로 건립된 세 번째 게반트하우스가 1981년에 준공되자 상주 악단으로 들어갔다. 신 게반트하우스는 음향 조건이 탁월해 세계적인 클래식 공연장으로 손꼽히고 있다. 녹음은 악단의 명성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늦게 시작했으며, 1930년대 초반에 토마스 교회의 칸토어 칼 슈트라우베의 지휘로 녹음한 바흐의 칸타타들이 최초 녹음으로 기록되고 있다. 아벤트로트는 2차 세계대전 시기에 제국 방송국에 여러 종류의 방송 녹음을 남겼으며, 종전 후 본격적인 상업 녹음은 콘비츠니 재임기부터 동독 국영 음반사였던 도이체 샬플라텐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노이만과 본가르츠, 마주어도 같은 음반사에서 녹음 작업을 했으며, 특히 마주어는 위에 서술한 거슈윈 등 미국 작곡가들의 작품을 음반 목록에 추가시켰다. 동독 정권 말기부터는 도이체 그라모폰이나 필립스 등 서방 음반사와 도이체 샬플라텐의 공동 작업 형식으로 음반이 제작되어 해외에도 보급되었고, 마주어는 베토벤 교향곡 전집을 페터 귤케가 새로 편집한 악보로 녹음하는 등 동시대 고증에 충실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샤이는 전속사인 데카에서 음반을 제작하고 있으며, 동시에 아이튠즈 등을 통해 온라인 음원 시장에도 연주회 실황을 제공하고 있다. 단원들이 자체 결성한 실내악단 활동과 실내 관현악단 활동도 병행되고 있으며, 라이프치히 음악원과 연계해 젊은 연주자들의 관현악 활동 교습을 위한 관현악 아카데미도 개최하고 있다. 역대 카펠마이스터[편집] 요한 아담 힐러 (1781-1785) 요한 고트프리트 슈흐트 (1785-1810) 요한 필립 크리스토프 슐츠 (1810-1827) 크리스티안 아우구스트 폴렌츠 (1827-1835) 펠릭스 멘델스존 (1835-1843) 페르디난트 힐러 (1843-1844) 펠릭스 멘델스존 (1844-1847) 율리우스 리츠 (1848-1854) 카를 라이네케 (1860-1895) 아르투르 니키슈 (1895-1922)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1922-1928) 브루노 발터 (1929-1933) 헤르만 아벤트로트 (1934-1945) 헤르베르트 알베르트 (1946-1949) 프란츠 콘비츠니 (1949-1962) 바츨라프 노이만 (1964-1968) 쿠르트 마주어 (1970-1996. 이후 계관 지휘자) 헤르베르트 블롬슈테트 (1998-2005. 이후 계관 지휘자) 리카르도 샤이 (2005-2016) 안드리스 넬손스 (2018-) 외부 링크[편집] (독일어) 게반트하우스 공식 홈페이지 (관현악단 페이지도 포함됨) vdeh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의 역대 카펠마이스터 요한 아담 힐러 (1781-1785) 요한 고트프리트 슈흐트 (1785-1810) 요한 필립 크리스토프 슐츠 (1810-1827) 크리스티안 아우구스트 폴렌츠 (1827-1835) 펠릭스 멘델스존 (1835-1843, 1844-1847) 페르디난트 힐러 (1843-1844) 율리우스 리츠 (1848-1854) 카를 라이네케 (1860-1895) 아르투르 니키슈 (1895-1922)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1922-1928) 브루노 발터 (1929-1933) 헤르만 아벤트로트 (1934-1945) 헤르베르트 알베르트 (1946-1949) 프란츠 콘비츠니 (1949-1962) 바츨라프 노이만 (1964-1968) 쿠르트 마주어 (1970-1996. 이후 계관 지휘자) 헤르베르트 블롬슈테트 (1998-2005. 이후 계관 지휘자) 리카르도 샤이 (2005-2016) 안드리스 넬손스 (201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라이프치히_게반트하우스_관현악단&oldid=19511221" 분류: 독일의 관현악단1781년 설립숨은 분류: 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venskaไทย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7년 9월 3일 (일) 03: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관현악단(독일어: Gewandhausorchester Leipzig)은 라이프치히에 기반을 둔 독일의 관현악단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관현악단은 몇세기에 창단되었는가? Assistant: 18세기 Human: 아래 조선국립교향악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조선국립교향악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선국립교향악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선국립교향악단State Symphony Orchestra of DPRK朝鮮國立交響樂團 기본 정보 국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장르 오케스트라 활동 시기 1980년 ~ 현재 조선국립교향악단(朝鮮國立交響樂團, State Symphony Orchestra of DPRK)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표적인 관현악단으로, 북한 내에서는 '평양 국립 교향악단' 또는 '국립교향악단' 으로 표기한다. 목차 1 역사 2 형태 3 음반 발매 4 악장 5 상주 공연장 6 지휘자 6.1 역대 수석 지휘자 6.2 주로 연주되는 곡 7 연주 장면을 모은 동영상 7.1 서양 명곡/외국곡 7.2 북한에서 작곡 및 편곡된 관현악곡 7.2.1 1.청산벌에 풍년이 왔네 - 김옥성 작곡 김영규 편곡 7.2.2 2.사향가(내 고향을 이별하고<추색>) - 김영규 편곡 7.2.3 3.교향곡 피바다 - 김영규,김윤봉 작곡 7.2.4 4. 죽관 3중주,피치카토 현악합주 처녀의 노래 7.3 민요 편곡 8 각주 역사[편집] 1946년 - 8월 8일에 '중앙교향악단' 이라는 명칭으로 첫 공연을 가졌다. 1947년 - 해당 해 1월에 단원을 보강해 2관편성으로 확대했다. 1948년 - 국립예술극장 산하의 연주 단체로 편입되었고, 한반도 역사상 최초의 본격 오페라인 김순남의 '인민유격대' 를 비롯한 여러 무대 작품의 공연에 참가했다. 1956년 - 독자적인 단체로 독립 1969년 - 조선예술영화촬영소의 관현악단과 통합되어 영화음악의 녹음을 위주로 활동했다. 1971년 - 피바다가극단 산하 연주 단체가 되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대표적인 관현악 작품으로 손꼽는 '아리랑환상곡', '내 고향의 정든 집', '청산벌에 풍년이 왔네', '그네뛰는 처녀',피아노 협주곡'조선은 하나다', 바이올린 협주곡 '사향가', 교향곡 '피바다'[1]등의 작품을 초연했다. 1980년 - 2차로 다시 독립해 현재의 명칭으로 고쳤다. 1982년 - 윤이상의 '광주여 영원히!' 를 작곡가가 지켜보는 가운데 연주했다. 1986년 - 폴란드 순회 공연 중 '바르샤바의 가을' 음악제에 참가했고, 윤이상의 클라리넷 협주곡과 교향곡 제1번을 연주해 호평을 받았다. 1992년 - 일본을 방문해 단독 공연하였다. 1998년 - 박범훈이 대한민국 지휘자로는 최초로 '윤이상 통일 음악회' 무대에서 이 악단을 지휘하였다. 2000년 - 북한 최고의 영예인 김일성훈장을 수상하였으며, 8월에는 북한 예술 단체로는 최초로 서울을 방문해 예술의전당 및 kbs홀에서 각각 두 차례씩의 단독 공연과 KBS 교향악단과의 합동 공연을 가졌다. 2007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기악작품 최초로 상주 공연장인 모란봉 극장에서 개인 창작음악회인 수석 지휘자 장룡식 창작음악회가 조선국립교향악단의 연주로 열렸다. 2008년 - 미국 관현악단으로서는 최초로 북한 방문을 가진 뉴욕 필하모닉과 소규모 합동 연주를 가지기도 했다. 2013년-일본인 지휘자인 이노우에 미치요시와 만수대예술단과 협연으로 베토벤 교향곡9번을 협연하였고 관현악 아리랑을 일본인 지휘자인 이노우에 미치요시가 지휘하였다. 형태[편집] 기본적으로 3관 편성의 서양 관현악단 형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평양음악대학 같은 교육 기관이나 다른 관현악단, 예술단들의 협조를 얻어 4관 편성으로도 확대가 가능하며 저대나 단소, 장새납 등 북한에서 개량한 민족관악기(죽관악기) 연주자들도 정식으로 편성되어 있다. 2000년대 후반 들어 트럼펫과 트롬본 파트에 추가 인원이 배치되기 시작했는지, 곡에 따라 각각 대여섯 명 씩의 트럼페터와 트롬보니스트가 연주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종합적이고 집약적인 공연을 위해 지휘자 외에도 작곡가, 독주자, 독창자, 무대 연출가, 녹음/녹화 기사, 응급 의료진, 극장 관리자 등 공연과 관련된 거의 모든 직책의 인물들을 정식 단원으로 기용하고 있다. 이들을 모두 합치면 거의 160명 이상이 단원으로 배속되어 있는 셈인데, 실제 관현악단 단원들은 대략 120명 가량으로 추산된다. 초기에 관현악단 단원들은 하프 연주자를 제외하고는 100% 남성들만으로 편성했는데, 2000년에 서울 공연을 했을 때도 여성 연주자는 하프 연주자 한 사람 뿐이었을 정도로 남성 연주자의 비율이 압도적이었다. 이후 2000년대 후반부터 소속 단원들 중 일부가 고령으로 은퇴하거나 은하수관현악단 등으로 재배치되어 결원이 생기게 되자, 여성 단원들도 바이올린이나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 등 현악 파트에서 몇 명씩 뽑고 있다. 음반 발매[편집] 2000년부터는 북한 유일의 음반사인 광명음악사에서 북한 창작곡 위주로 독자적인 시리즈의 음반을 출반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17종의 음반이 발매되었다. 2005년에 발매된 15-17집은 '외국음악집' 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으며, 순수 서양 곡들을 위주로 100% 연주한 음반을 발매하였으며 쇼스타코비치와 차이콥스키, 글린카, 요한 슈트라우스 2세 등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어서 주목되고 있다. 단 이 15~17집은 대한민국에서 합법적으로 수입이.가능하다고 한다. 최근에는 북한에서 처음 창단된 예술 단체라는 역사적인 이유와 김정일의 '음악정치' 라는 슬로건의 대표 악단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악장[편집] 현재 기준으로 악장은 월북 음악인인 리계성이 맡고 있었지만 리계성의 은퇴 이후 북한의 바이올리니스트이자 공훈배우인 최기혁이 맡고 있으며 2000년도 조선국립교향악단 서울 공연에서도 모습을 드러낸 바 있다. 상주 공연장[편집] 현재 조선국립교향악단의 상주 공연장은 모란봉극장으로 이곳에서 장룡식 개인 창작음악회나 각종 연주회를 열기도 하며, 때에 따라서는 회의장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지휘자[편집] 현재 수석 지휘자는 장룡식이 조선인민군공훈국가합창단 단장 겸 수석지휘자로 겸직하고 있으며, 채주혁, 허문영, 김정균 이 세사람이 부수석으로 지휘하고 있고, 조광, 최광성, 한영상, 김일진, 조정림, 방철진, 김용건, 김주혁, 리철웅, 리일찬 등이 객원 지휘자로 이름을 올렸거나 올리고 있다. 이외에도 객원 지휘자로 김일진, 조정림, 최광성, 조광, 한영상 등의 북한 내부의 알려진 지휘자들과 이준무 등의 교포 지휘자, 김홍재, 정명훈 등의 한국 지휘자, 프랜시스 트래비스,이노우에 미치요시 등의 외국 지휘자들과도 간혹 공연하고 있다. 2000년 후반 이후로는 이들 중 오스트리아의 빈 음악대학 지휘과에서 유학하고 온 젊은 지휘자인 방철진과 같은 유학파 출신으로 젊은 나이에 부수석 지휘자 위치에 올라온 채주혁이 자주 출연하고 있다. 또한 서울시립교향악단의 정명훈, 울산시립교향악단 수석 지휘자 김홍재도 방북해서 지휘를 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역대 수석 지휘자[편집] 조선국립교향악단의 역대 수석 지휘자의 경우 정확한 자료가 없기 때문에 연혁은 생략한다. 1대 김기덕 2대 허재복 3대 김병화 4대 장룡식 - 조선인민군공훈국가합창단의 단장 겸 수석지휘자로 겸직한다 주로 연주되는 곡[편집] 연주곡의 비율은 대략 조선 관현악곡(북한 창작곡)이 70%, 그 외 서양 관현악곡이나 현대음악이 30% 정도로 여겨진다. 북한 작품들도 대다수가 김정일이 음악 부문을 지도하기 시작한 1970년대 이후의 곡들이 주로 연주된다. 김정일의 자국 관현악곡의 창작 지도 방침은 완전 창작을 하는 것을 금지하고 기존 노래 선율을 최대한 살리는 편곡식 작곡을 하도록 방침을 정했다.이렇게 해서 북한 관현악곡 거의 모두는 조선인민군 공훈합창단,보천보전자악단,왕재산경음악단 등에서 작곡된 성악곡과 민요, 가요에 종속되는 2차 창작 편곡물이라는 형태를 보인다. 대부분의 자국 연주곡들은 질리도록 많이 공연한 것들이라, 가끔 지휘자 뿐 아니라 모든 단원들이 아예 악보를 외워서 공연하는 진기명기풍 암보 연주를 보여주기도 한다. 김대중 15대 대통령이 대한민국 국가원수로는 처음으로 방북했을 때 축하 공연에서도 김병화 지휘로 관현악 '아리랑' 을 암보 연주하는 장면이 뉴스에 방영된 바 있다. 2000년대 들어 주로 러시아 같은 우방국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서양 곡들의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지만,주체사상의 영향력이 강대한 탓에 그 비율이 북한 창작곡을 잡아먹는 일은 없을 듯 보인다. 그래도 과거에는 정말 연주 안할 것 같았던 적성국의 작곡/편곡 작품까지 레퍼토리에 올리고 있는 것을 보면, 이래저래 변화를 꾀하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연주 장면을 모은 동영상[편집] 대한민국에서 CD로 정발된 음악이나 연주된 곡 목록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더불어 정치적인 문제가 없는 연주 동영상을 링크한다. 서양 명곡/외국곡[편집] 북한에서 연주된 서양 명곡들을 모은 영상들이다. 이 중에는 조선국립교향악단 정식 발매 cd에 수록이 되어 있는 곡도 있다. 1.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교향시 죽음과 변용 2.차이콥스키의 교향 환상곡 '프란체스카 다 리미니' 초반부 위 두 동영상의 지휘는 아르헨티나계 이탈리아인인 루이스 라파엘 살로몬(Luis Rafael Salomon)이라는 사람이 했다고 되어 있다. 홈페이지도 있는데, 'Videoclip' 에서 더 많은 동영상을 볼 수 있다. 3.베토벤의 서곡 코리올란 4.멘델스존의 바이올린 협주곡 드보르자크의 교향곡 9번 위 두 동영상은 평양 모란봉극장을 방문한 일본의 중견 지휘자인 이노우에 미치요시가 지휘했으며, 멘델스존의 바이올린 협주곡 드보르자크의 교향곡 9번은 북한의 여성 바이올린 연주자인 정현희가 독주를 맡았다. 5.차이콥스키의 이탈리아 기상곡 45번 2005년도에 발매된 북한 조선국립교향악단 명의 cd에 수록된 서양 명곡이다. 수석 지휘자인 장룡식이 지휘했다. 6.러시아 명곡 묶음 러시아 명곡들을 모아 편곡한 명곡 묶음이다. 우리에게 흔히 잘 알려진 게임 테트리스에 사용된 음악도 묶여있는 곡이다. 다만 북한 조선국립교향악단 발매 cd수록 한정으로는 북한 서정가요인 '지새지 말아다오 평양의 밤아'가 한 곡 포함되어있으나 이 영상의 경우는 순수 러시아 100% 명곡들로만 구성되어있다.영상의 지휘는 부수석 지휘자인 채주혁이 지휘했다. 7. 베토벤 교향곡 9번 이 영상은 관현악으로 편곡된 아리랑을 먼저 연주 후에 베토벤 교향곡 9번을 공연한다. 지휘는 이노우에 미치요시가 맡았고 합창은 만수대예술단이 맡았다.. 북한에서 작곡 및 편곡된 관현악곡[편집] 북한에서 창작.작곡 및 편곡한 2차 창작물의 관현악 편곡이다. 북한에서 제작된 관현악곡은 주로 성악곡에 종속된 2차 창작 편곡물이라는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 중 가곡 및 합창곡 편곡 및 교향곡 중에서 대한민국에서 연주되거나 정식 음반이 발매된 곡을 가지고 영상을 첨부하도록 한다. 1.청산벌에 풍년이 왔네 - 김옥성 작곡 김영규 편곡[편집] 1960년대에 만들어진 집단 창작 음악극인 '청산리 사람들'에서 작곡가 김옥성이 맡은 마지막 합창 대목을 민요 풍년가를 소재로 하여 관현악으로 편곡한 작품. 원곡은 배고픈 남쪽땅(=남한)에 쌀을 보내준다러던지 풍년이 수령님 은덕 이라는 가사 때문에 여전히 남한에서는 금지곡이지만, 관현악 편곡의 경우 순수 기악곡이여서 2000년에 있었던 조선국립교향악단 서울 단독공연에서 연주되었고 역시 대한민국 관현악단들도 자주 무대에 올리고 있다. 동영상의 지휘는 수석 지휘자인 장룡식이 맡았다. 꽹과리와 징, 장새납(현재 대한민국에서는 장새납을 구할 수가 없고, 이를 구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이 곡을 연주할 시에는 모양과 소리가 비슷한 국악기인 태평소가 장새납을 대신하여 연주한다. 그러나 간혹 장새납을 구해서 연주하는 교향악단도 있다.) 이 같이 편성된 죽관악기,민속 타악기의 추가 편성의 부분 배합관현악 편제의 곡으로,중간부에서 농악 풍으로 솔로 연주를 펼치는 장새납 주자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통일부와 국가정보원의 자문을 통해 2000년도에 조선국립교향악단 상임지휘자인 김병화에게 지휘를 배운 서울특별시 청소년 교향악단의 상임지휘자 박태영이 소장한 악보에 따라서 서울시 유스 오케스트라(서울시 청소년 교향악단)를 이끌고 직접 지휘를 하였으며,처음 연주시 장새납을 구할 수가 없기때문에 서울시 국악관현악단 단원이 연주하는 장새납과 비슷한 개량하기 전의 국악기인 태평소로 연주했었다. 또한 이 곡은 취주악으로도 편곡되어 연주하는데, 장새납 부분을 클라리넷이 대신 연주하기도 한다. 2.사향가(내 고향을 이별하고<추색>) - 김영규 편곡[편집] 이 노래는 1920년대에 만들어진 가곡으로 원래 제목은 내 고향을 이별하고(추색)이다.일제강점기 시대에 독립운동가 사이에서 가장 많이 불린 곡이기도 하다.북한에서는 김일성이 이 노래를 직접 만들었다고 주장하며 '불후의 고전적 명작'으로 둔갑해 격상시켜 선전하고 있지만,실제로는 대한제국군악대 시위연대에서 플루트를 연주한 정사인의 작품으로 밝혀졌다. 2000년도에는 김영규 편곡으로 관현악(오케스트라) 편곡이 되었고 2000년도에 조선국립교향악단 서울공연 연주 목록에 포함되어 있었으며,신나라레코드에서 발매한 북한 관현악 모음집인 '임진강'에 바이올린 협주곡 버전으로도 수록이 되어 있다.하지만 이 노래의 제작자는 누구인지 아직까지도 논란이 있는 노래이다. 북한판 곡에서는 만경대라느니 그런 내용의 가사가 등장하는점 때문에 이는 주의해야 한다. 이런 2차 창작 편곡물은 모르나 북한판 사향가는 반드시 주의할 것.원래 가사는 "내고향을 떠나올때 나의 어머니 문앞에서 눈물 흘리며 잘 다녀오라 하신말씀 아 귀에 쟁쟁해"라는 내용으로,고향을 떠나서 타향살이를 하러 갈 때 어머니가 마중나오시며 눈물을 흘린다는 이야기이다. 3.교향곡 피바다 - 김영규,김윤봉 작곡[편집] 이 노래는 역시 신나라레코드에서 발매된 북한 관현악 모음집인 임진강에 수록된 연주곡이다. 이는 대한민국에서는 혁명가곡으로 알려져 부담감이 있지만,일본에서는 재일동포 지휘자이자 울산시립교향악단 상임지휘자인 김홍재가 일본에서 연주한 기록이 있으며 김홍재의 자세한 설명으로 큰 부담없이 들을 수 있는 곡이다. 김홍재의 지휘로 일본에서도 연주를 한 기록이 남아있고 또한 전라북도 전주시립교향악단이 2002년도에 이 곡을 연주를 추진하여 전주시와 문화관광부공연예술과, 전주지검,통일부,국가정보원,영상물 등급위원회등에 공연 가능성 여부를 질의해 관계당국 등의 관련 자문을 통해 연주한 기록이 있다. 1930년대 일제에 짓밟힌 온 나라가 피바다, 불바다가 된 것이 사실이고, 이 내용을 가극으로, 교향곡으로 옮긴 곡이다. 대한민국도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정권의 독재에 항거하여 현재의 대한민국이 완성이 되었고 현재에 이르듯이 이 곡은 일제강점기 때의 일본에 저항하고 항거하는 내용이기에 문제가 없는 곡이다. 영상의 지휘는 수석 지휘자인 장룡식이 지휘했다. 전체적인 내용은 가극 ‘피바다’의 가요와 아리아를 각 장의 주제로 삼아 김영규와 김윤봉이 작곡했다. 가극 ‘피바다’는 순박한 농촌 여성이었던 ‘을남 어머니’가 영웅적 독립투사로 변신하는 과정을 그리는 대표적 혁명가극이고 70년도 경에 교향곡으로 만들어진 것이 바로 이 곡이다. 이 곡은 총 3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래의 악장별 설명을 들어보면 알 수 있다. 1악장 주제  피바다 1악장은 30년대 일제 강점기 치하를 암시하듯 무겁고 느린 호른의 솔로로 시작된다.한민족의 슬픔과 아픔을 저음으로 연주하다가 당시 유행했던 가요‘피바다가’가 관현악 총주로 울려퍼진다.이어서 일제 강점기때의 일본의 만행에 국토가 유린당하는 모습을 형상화하는 강한 울림 속에서‘토벌가’가 연주되면서 끝난다. 2악장 주제  일편단심 붉은마음 간직합니다. 2악장은 투쟁의 길에 나선 을남 어머니의 내면을 숭고하게 묘사한다.가요 ‘일편단심 먹은 마음 간직합니다’의 선율을 목관이 주제로 제시하고, 이어서 관현악의 힘찬 울림이 주인공의 결의와 확신을 표현한다. 3악장 주제  혁명의 기치 3악장은 일제 강점기때의 일본에 투쟁의 깃발을 치켜들고 투쟁하는 모습을 행진곡 ‘혁명가’를 주제로 삼아 묘사하고, 관현악이 총동원된 웅장한 피날레를 연주하면서 마침표를 찍는다. 4. 죽관 3중주,피치카토 현악합주 처녀의 노래[편집] 죽관악기 3중주(저대,단소,고음단소),피치카토 현악으로 이루어진 처녀의 노래이다. 처녀를 타령하는 순수 민요풍의 서정가요이다. 지휘는 수석 지휘자인 장룡식이 지휘했다. 민요 편곡[편집] 조선국립교향악단에서 연주된 민요 편곡본의 경우는 대부분 고음저대와 중음저대, 저대, 단소, 장새납이 포함된 죽관악기 및 꽹과리등의 전통악기를 포함한 편성의 부분 배합관현악 편성을 취하고 있다. 1.최성환 편곡의 아리랑 환상곡(1), (2), (3) 북한에서 만들어진 관현악 곡 중에서 대한민국 및 전 세계 유명 오케스트라 악단 등지에서 자주 연주되는 곡이다. 특히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로린 마젤이 평양 인민문화궁전에서 공연하였고 이 곡을 직접 지휘하여 전 세계적으로 유명해진 곡이다. 원래 이 곡은 원곡이 짧은 곡이지만 선율을 다양한 변주로 전개함으로써 그토록 광대한 규모의 악곡으로 만들 수 있는 편곡자의 기술에 감동했다고 일본의 중견 지휘자인 이노우에 미치요시가 밝혔으며, 이 곡은 대한민국에서는 이를 국악관현악이나 남한식 배합관현악이라고 칭하는 퓨전 국악으로 재 편곡하여 자주 연주하기도 한다. 또한 조선국립교향악단 해외 순방공연때에는 반드시 이 곡이 필수 레퍼토리로 들어가는 것은 물론이며, 북한을 방문해 조선국립교향악단을 지휘하는 외국인 지휘자 및 외국의 교향악단,관현악단이 북한을 방문해 공연하는 경우 이 곡을 반드시 필수적으로 지휘해 주거나 연주해야만 한다고 한다.[2] 1번 동영상은 위에 서양 명곡 부분에서 언급된 일본의 중견 지휘자인 이노우에 미치요시가 지휘했으며, 2번 영상은 오스트리아 유학파이자 조선국립교향악단 부수석 지휘자인 채주혁이 지휘했으며, 세 번째 영상은 위에 언급된 지휘자 루이스 라파엘 살로몬이 지휘했다. 2.경상도 민요 옹헤야 신나라레코드에서 발매된 민요 삼천리에 수록된 연주곡이다. 꽹과리를 포함한 부분 배합관현악이 특징이다. 각주[편집] ↑ 이는 북한 관현악 모음집인 신나라레코드에서 발행된 '임진강'에 수록되어 있어서 국내에서도 들어볼 수 있다. ↑ 북한의 정치적인 행사에 초청되는 지휘자의 경우 김일성 장군의 노래나 김정일 장군의 노래가 연주되나, 그 어느 지휘자.악단이던간에, 외국곡을 지휘.공연하기 위해서 외국인 지휘자가 조선국립교향악단을 단독으로 지휘하는 경우와 악단의 경우는 반드시 이 아리랑을 지휘.공연한다. vdeh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음악단체 공훈여성기악중주조 만수대예술단 모란봉악단 보천보전자악단 삼지연관현악단 왕재산경음악단 윤이상관현악단 은하수관현악단 조선국립교향악단 조선인민군공훈국가합창단 조선인민군군악단 조선인민군협주단 청봉악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선국립교향악단&oldid=24402981" 분류: 1946년 설립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음악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관현악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SuomiFrançaisItaliano日本語Português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9일 (일) 21: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조선국립교향악단(朝鮮國立交響樂團, State Symphony Orchestra of DPRK)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표적인 관현악단으로, 북한 내에서는 '평양 국립 교향악단' 또는 '국립교향악단'으로 표기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현재 조선 국립 교향 악단의 수석 지휘자는 누구야? Assistant: 장룡식
Human: 아래 천성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천성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천성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천성관(千成寬, 1957년 10월 9일 ~ , 충청남도 논산시)은 대한민국의 법조인이다. 서울고등검찰청 차장검사, 제51대 서울중앙지방검찰청장 등을 역임했다. 본관은 영양이다. 검찰내에서 '공안통'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명박 정부에서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장으로 재직하며, 용산 철거 현장 화재 사건과 MBC 《PD수첩》 광우병 보도 수사를 지휘했다. 이명박 대통령이 다녔던 소망교회를 다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채진 전 검찰총장에 이어 검찰총장으로 내정됐으나, 비리 의혹에 연루되면서 7월 14일 내정 23일 만에 결국 사의를 표명했다. 그는 검찰총장에 대한 청문회 제도가 도입된 이후 임명되기 전 사퇴한 최초의 내정자이다. 현재 김앤장 법률사무소에서 변호사로 일하고 있다. 목차 1 주요 수사 사건 1.1 이진삼 의원 구속수사 1.2 영남위원회 사건 1.3 의료계 폐업 사건 및 낙선운동 1.4 만경대 방명록 사건 1.5 여간첩 원정화 사건 1.6 용산참사와 PD수첩 수사 1.7 노무현 대통령 구속 주장 2 검찰총장 내정 2.1 사퇴 3 청문회 및 비리 의혹 3.1 스폰서 의혹 3.2 위장 전입 3.3 장남 병역 비리 3.4 장남 결혼식 답변 4 학력 5 경력 6 가족 관계 7 각주 주요 수사 사건[편집] 이진삼 의원 구속수사[편집] 1993년 서울지검 공안1부 검사 시절 1985년 김영삼 전 대통령의 집 절도 및 1986년 양순직 당시 신민당 부총재 폭행을 지시한 혐의로 이진삼 국군 정보사령관(자유선진당 의원)을 구속 수사했다.[1] 영남위원회 사건[편집] 1998년 9월 부산지검 공안부장 시절 그는 영남위원회(일명 동창회)라는 반국가단체를 결성한 혐의로 김창현 민주노동당 울산시당위원장 등 15명을 구속 기소했는데, 2000년 1월 부산고등법원은 대법원 파기환송심에서 피고인 12명에게 무죄를 확정했다. 의료계 폐업 사건 및 낙선운동[편집] 그는 2000년부터 서울중앙지검 공안부 부장검사로 지내면서 2000년 8월에는 의료계 폐업 사건과 관련해 신상진 한나라당 의원(의권쟁취투쟁위원장)의 구속 수사를 지휘했으며, 2000년 4.13 총선에서 낙선운동을 주도한 총선연대 공동대표 최열과 박원순 상임집행위원장, 장원 대변인을 수사했고, 1심에서 1년의 징역을 구형했다. 만경대 방명록 사건[편집] 2001년에는 강정구 동국대학교 교수를 비롯한 8.15 민족통일대축전 방북단 일부가 사전 지령을 받았다는 확인되지 않은 피의사실을 연행조사단계에서 공표하였다가 이를 취소하는 소동을 벌이기도 했다.[1][2] 천성관은 강정구 교수를 만경대 방명록에 "만경대 정신을 이어받아 통일위업 이룩하자"는 내용을 적었다는 이유로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구속기소했으나 사전지령 내지 사전교감에 대한 증거는 찾지 못했다.[1] 여간첩 원정화 사건[편집] 2008년 수원지검장 재직 시에는 탈북자로 위장 입국해 군 장교와 접촉, 군사기밀을 빼낸 혐의로 고정 간첩 원정화 사건 수사를 지휘했으며 원정화는 징역 5년형을 받았다. 하지만 원정화의 조사중 기소된 원정화의 계부 김동순에 대해 1심 재판부는 "김씨가 북한을 이탈해 중국에서 6년, 한국에서 1년 7개월을 거주하는 동안 이렇다 할 간첩 활동을 했다는 구체적 직접 증거가 없어 간첩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무죄를 선고하면서, 검찰이 면밀한 수사 없이 간접 사실만을 가지고 간첩이라 지목하고 체포했다며 검찰의 수사를 비판했다.[3] 용산참사와 PD수첩 수사[편집] 2009년 서울중앙지검장 부임 직후 발생한 용산 참사 사건과 MBC의 《PD수첩》 사건을 지휘했다. 용산 참사 사건에서 천성관의 지휘를 받는 수사팀은 농성자 20명, 용역업체 직원 7명을 기소했으나, 경찰에는 책임을 묻지 않았다. 또 《PD수첩》 광우병 보도 수사에서는 방송 작가의 7년에 걸친 이메일을 압수수색하고 그 일부를 언론에 공개하여 여론 몰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4] 노무현 대통령 구속 주장[편집]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수사중 임채진 당시 검찰총장이 구속에 대한 의견을 묻자 절반 이상이 불구속을 주장했으나, 천성관은 신상규 당시 광주고검장과 함께 구속영장 청구를 주장했다.[5] 검찰총장 내정[편집] 전임 검찰총장이었던 임채진이 사법시험 19회였던 만큼, 차기 검찰총장은 20회 또는 21회에서 나올 것으로 대부분의 언론사에서 예측했으나, 조선일보에서는 천성관의 파격 발탁 가능성을 처음으로 내보였다. 예상을 뒤엎고 청와대는 22기 천성관을 내정했다. 검찰 내부에서는 "전례를 찾아보기 힘든 인사 태풍이 불어닥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고[6], 권재진 서울고검장과 김준규 대전고검장은 검찰총장 내정 발표 하루 만에 용퇴했다. 천성관은 이명박의 후견인으로 알려진 천신일과 '영양 천씨 종친회'에서 함께 간부직을 맡은 것으로 알려졌다.[7] 그는 또 학창시절 성가대 회장을 역임할 정도로 독실한 개신교 신자로 알려져 있으며, 검찰 일부에서는 이런 종교적인 부분이 검찰총장 전격 발탁에 한 몫을 한 것으로 보는 시선도 있다.[8] 한나라당 장일 부대변인은 청문회 직후 "공직생활 24년에 아파트 한 채가 전 재산인 사람을 억지 춘향으로 엄청난 부정을 저지른 것처럼 호도하는 것은 책임 있는 자세가 아니다"고 논평을 냈고, 주성영 의원은 "검사 생활 24년에 재산이 15억 원 정도면 보기 드물게 청렴하다"며 천 후보자를 옹호하였다. 아울러 청와대 측에서도 "내정을 철회할 만한 사안은 아니다"라고 옹호하였다.[9] 사퇴[편집] 그는 2009년 7월 14일에 사퇴의사를 밝혔다. 이는 이명박 대통령에게 미칠 악영향을 차단하고, 검찰조직의 위상을 떨어뜨린점에 대한 사죄의 의미로 해석되고있다. 유럽 순방을 마치고 귀국한 이명박 대통령도 참모들로부터 천 후보자와 관련된 보고를 받고 "어떻게 국회청문회에서 거짓말을 할 수가 있느냐"는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들은 천 후보자가 고가 아파트 구입과 관련해 돈을 준 박모씨와 일본에서 골프 친 사실을 거짓말한 게 치명적이었다고 평가했다. 7월 15일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무엇보다 국민의 정부에 대한 신뢰와 직결되는 문제"라며 천 후보자의 내정을 공식 철회했다. 이와 관련, 정동기 청와대 민정수석은 "검찰총장 후보자의 선정 및 검증의 불찰로 대통령에게 누를 끼친 것은 참으로 송구스럽다"며 "소관수석으로 모든 책임을 지겠다"고 사의를 표명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번 인사실패로 인해 청와대의 인사시스템 개편 논의는 불가피해보인다고 평가했다.[누가?] 또한 정부와 한나라당은 천후보에 대한 태도를 바꿔 비판받기도 한다.[9] 청문회 및 비리 의혹[편집] 그는 검찰총장에 내정된 뒤, 청문회를 전후로 하여 야당과 언론에 의해 그에 관련된 많은 비리 및 위법 의혹들이 밝혀졌다. 한편 여당은 이런 천성관에 대해 청렴한 검사라며 두둔했다. 결국 7월 14일 사퇴의사를 밝혔다. 스폰서 의혹[편집] 천성관은 2009년 3월 28억 7500만원짜리 신사동의 고가 아파트를 구입하는 과정에서 15억 5천만 원을 빌린 건설업자 박 모씨와의 스폰서 관계 의혹이 일고있다.[10] 그는 아파트 구입을 위해 은행이자보다도 낮은 이율로 박모씨에게 돈을 빌렸으며, 원래 살던 아파트는 후보 내정 이후에야 팔았다. 또 동생에게도 5억원을 무이자로 빌렸다고 해명했는데, 그 동생은 서울 구로구에서 84.5m2(26평)짜리 아파트에 살고 있다고 한다.[11] 그는 또 부인이 인테리어 업자가 리스한 차를 타고 다녔다는 의혹에 대해, 지인인 인테리어업자 석모씨 아들이 실소유자였다 유학가자 승계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실소유자가 외국에 가 있는 동안 해당 차량이 신호위반 적발 기록이 남아 있었으며, 이 범칙금을 리스회사에서 납부하였다.[12] 또 이 차는 2009년 초 ㅎ백화점에서 다른 사람 명의의 VVIP 주차카드를 발급받은 것으로 되어있어 의혹을 더 부채질하기도 했다.[13] 이런 의혹들에 대해 본인은 자세한 경위에 대해서는 모르는 일이라고 말했다.[14] 위장 전입[편집] 국회에 낸 인사청문자료에 따르면 천성관은 1998년 서울 서초구 반포동 반포아파트에 살다가 같은 해 5월, 영등포구 여의도동 공작아파트로 주소지를 옮겼다가, 한달 뒤인 6월엔 다시 지인이 살고 있던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아파트로 이전했다. 박지원 민주당 의원은 "아들이 강남의 ㄱ고교로 배정되자 마음에 들지 않아 거짓으로 여의도로 주소를 옮긴 뒤 다시 강남으로 옮기며 ㄴ고교로 전학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이는 명백한 위장전입"이라고 추궁했고, 천성관도 위장전입 사실을 시인했다. 주민등록법 제37조에 따르면 주민등록에 관해 거짓의 사실을 신고하는 경우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되어있다.[15] 장남 병역 비리[편집] 그의 장남은 모대학 경제학과를 2006년 졸업한 이후 N업체에서 산업기능요원으로 근무했다. 당시 천모씨는 관련 전공도 아니고 자격증 등이 없음에도 소프트웨어 개발 업무 관련해 산업기능요원으로 편입되었다. 천모씨의 미니홈피에는 수차례 일이 없다는 푸념이 올라오기도 했으며, 복무 중 두 차례 해외여행을 다녀왔다. N업체를 퇴사한 직원은 천모씨가 개발이 아닌 영업부서에 근무했다고 말했고 부서의 유령직원이었다고 말했으나, N업체의 관계자는 천씨가 특별한 케이스는 아니고 매우 유능했다고 반박했다.[16] 장남 결혼식 답변[편집] 천성관은 왜 결혼식 청첩장을 돌리지 않았냐며 천성관의 검소함을 부각시킨 주성영의 질문에 장남의 결혼식을 "작은 교외"에서 올렸다고 답변했으나, 곧 이은 박지원의 질문에 따라 이 "작은 교외"가 6성급의 W모 호텔의 야외였음을 곧 실토했다.[17] 학력[편집] 경기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법학과 졸업 경력[편집] 1980년 사법시험 22회 합격(사법연수원 12기 수료) 1985년 ~ 1988년 수원지방검찰청 검사 1988년 대전지방검찰청 서산지청 검사 1989년 ~ 1991년 법무부 검찰2과 검사 1991년 ~ 1993년 서울지방검찰청 검사 1992년 서울지방검찰청 검사 (고등검찰관) 1993년 9월 ~ 1995년 9월 제35대 수원지방검찰청 여주지청장 1995년 대검찰청 검찰연구관 1996년 ~ 1997년 수원지방검찰청 공안부장검사 1998년 부산지방검찰청 공안부장검사 1999년 대검찰청 공안1과장 2000년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공안2부장검사 2001년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공안1부장검사 2002년 대검찰청 공안기획관 2003년 수원지방검찰청 제2차장검사 2004년 부산지방검찰청 제2차장검사 2005년 부산지방검찰청 제1차장검사 2006년 2월 ~ 2007년 3월 울산지방검찰청 검사장 2007년 3월 ~ 2008년 3월 서울남부지방검찰청 검사장 2008년 3월 ~ 2009년 1월 수원지방검찰청 검사장 2009년 1월 ~ 2009년 7월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장 2009년 법무법인 로월드 변호사 2011년 11월 ~ 김&장 법률사무소 변호사 2016년 3월 ~ 2019년 3월 두산건설 사외이사 2019년 3월 ~ CJ 사외이사 가족 관계[편집] 부인 김영주 1남(천승범), 1녀 각주[편집] ↑ 가 나 다 '피의사실 공표' 전력자가 차기 검찰총장? - 오마이뉴스 ↑ 사법감시센터 :: 천성관 지검장, 검찰총장 지명 취소하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원정화 계부 김동순씨 간첩 아니다” : 사회일반 : 사회 : 뉴스 : 한겨레 ↑ 검찰, ‘PD수첩 작가 이메일 내용’ 수천명에 공개 발송 : 사회일반 : 사회 : 뉴스 : 한겨레 ↑ "검찰총장이 여론조사나 하고" 일선 검사들 "끓는다 끓어" - 1등 인터넷뉴스 조선닷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검찰 “전례없는 인사태풍 올 것” : 사회일반 : 사회 : 뉴스 : 한겨레 ↑ 노컷뉴스 ↑ “PTODAY - 기사내용 - 신임 검찰 총장 내정은 "하나님의 은총?"”. 2009년 6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6월 22일에 확인함.  ↑ 가 나 '의혹덩어리' 천성관 자진사퇴 … 뒷말 '무성' ↑ 천성관 후보자에 거액 빌려준 박 씨는 '스폰서'(?) ↑ “[사설] 갈수록 비틀거리는 천성관 검찰총장 후보자의 해명”.  ↑ 거액 빌려준 사업가 행방묘연 : 사회일반 : 사회 : 뉴스 : 한겨레 ↑ 노컷뉴스 ↑ http://imnews.imbc.com/replay/nw1700/article/2387340_2735.html[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천성관 후보, 위장전입·증여세법 위반 : 사회일반 : 사회 : 뉴스 : 한겨레 ↑ “천성관, 이번엔 병역특례 아들 '부실근무' 의혹”. 오마이뉴스.  ↑ “한국일보 : 천성관 아들 결혼한 "작은 교외" 알고보니 '6성급 호텔'”. 2009년 7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7월 14일에 확인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천성관&oldid=23898054" 분류: 1957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지방검찰청 검사장대한민국의 고등검찰청 검사장대한민국의 변호사경기고등학교 동문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문논산시 출신영양 천씨CJ 사람대한민국의 사외이사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모호한 표현이 구체적으로 지적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3월 22일 (금) 12: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천성관(千成寬, 1957년 10월 9일 ~ , 충청남도 논산시)은 대한민국의 법조인이다. 서울고등검찰청 차장검사, 제51대 서울중앙지방검찰청장 등을 역임했다. 본관은 영양이다. 검찰내에서 '공안통'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명박 정부에서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장으로 재직하며, 용산 철거 현장 화재 사건과 MBC 《PD수첩》 광우병 보도 수사를 지휘했다. 이명박 대통령이 다녔던 소망교회를 다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채진 전 검찰총장에 이어 검찰총장으로 내정됐으나, 비리 의혹에 연루되면서 7월 14일 내정 23일 만에 결국 사의를 표명했다. 그는 검찰총장에 대한 청문회 제도가 도입된 이후 임명되기 전 사퇴한 최초의 내정자이다. 현재 김앤장 법률사무소에서 변호사로 일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천성관 씨의 검찰 청문회에서 제기된 스폰서 논란의 내용은 무엇입니까? Assistant: 천성관은 2009년 3월 28억 7500만원짜리 신사동의 고가 아파트를 구입하는 과정에서 15억 5천만 원을 빌린 건설업자 박 모씨와의 스폰서 관계 의혹이 일고있다.[10] 그는 아파트 구입을 위해 은행이자보다도 낮은 이율로 박모씨에게 돈을 빌렸으며, 원래 살던 아파트는 후보 내정 이후에야 팔았다. 또 동생에게도 5억원을 무이자로 빌렸다고 해명했는데, 그 동생은 서울 구로구에서 84.5m2(26평)짜리 아파트에 살고 있다고 한다.[11] 그는 또 부인이 인테리어 업자가 리스한 차를 타고 다녔다는 의혹에 대해, 지인인 인테리어업자 석모씨 아들이 실소유자였다 유학가자 승계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실소유자가 외국에 가 있는 동안 해당 차량이 신호위반 적발 기록이 남아 있었으며, 이 범칙금을 리스회사에서 납부하였다.[12] 또 이 차는 2009년 초 ㅎ백화점에서 다른 사람 명의의 VVIP 주차카드를 발급받은 것으로 되어있어 의혹을 더 부채질하기도 했다.[13] 이런 의혹들에 대해 본인은 자세한 경위에 대해서는 모르는 일이라고 말했다.[14] Human: 아래 퇴각검색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퇴각검색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퇴각검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퇴각검색(영어: backtracking, 한국어: 백트래킹)은 한정 조건을 가진 문제를 풀려는 전략이다. "퇴각검색(backtrack)"이란 용어는 1950년대의 미국 수학자 D. H. 레머가 지었다. 목차 1 설명 2 구현 3 휴리스틱 4 적용 설명[편집] 문제가 한정 조건을 가진 경우 원소의 순서는 해결 방법과 무관하다. 이런 문제는 변수 집합으로 이뤄지는데, 한정 조건을 구성하려면 각각의 변수들은 값이 있어야 한다. 퇴각검색은 모든 조합을 시도해서 문제의 해를 찾는다. 이것이 장점이 될 수 있는 이유는 퇴각검색 구현 방법들이 많은 부분 조합들을 배제하기 때문이다. 결국 풀이 시간이 단축된다. 퇴각검색은 조합 탐색과 큰 관계가 있다. 구현[편집] 깊이 우선 탐색 주요 개념은 해를 얻을 때까지 모든 가능성을 시도한다는 점이다. 모든 가능성은 하나의 트리처럼 구성할 수 있으며, 가지 중에 해결책이 있다. 트리를 검사하기 위해 깊이 우선 탐색을 사용한다. 탐색 중에 오답을 만나면 이전 분기점으로 돌아간다. 시도해보지 않은 다른 해결 방법이 있으면 시도한다. 해결 방법이 더 없으면 더 이전의 분기점으로 돌아간다. 모든 트리의 노드를 검사해도 답을 못 찾을 경우, 이 문제의 해결책은 없는 것이다. 퇴각검색은 보통 재귀 함수로 구현된다. 재귀로 파생된 해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변수가 필요한데 , 이것은 현재 시점에서 적용할 수 있는 변수값들을 알고 있다. 퇴각검색은 깊이 우선 탐색과 대략 같으나 기억 공간은 덜 차지한다. 현재의 상태를 보관하고 바꾸는 동안만 차지한다. 탐색 속도를 높이기 위해, 재귀 호출을 하기 전에 시도할 값을 정하고 조건(전진 탐색의 경우)을 벗어난 값을 지우는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아니면 그 값을 제외한 다른 값들을 탐색할 수도 있다. 휴리스틱[편집] 몇몇 휴리스틱은 처리 속도를 높이려고 쓰인다. 변수는 어떤 순서로도 처리할 수 있으므로, 보통 효율적인 방법은 가장 한정된 조건을 먼저 시도하는 것이다(예를 들어 선택 사항이 적은 것). 이런 가지치기는 탐색 트리를 작게 한다(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결과를 얻는다) 조건을 검사하려고 값을 선택할 때, 많은 구현 방법은 조건을 벗어난 값을 빼려고 전진 탐색을 쓴다. 이를 예상하려고 다음 방법을 쓸 수 있다. 해결책이 가장 있을 만하거나, 해결책이 가장 없을 만한 것을 찾는다. 복잡한 퇴각검색을 구현하려고 종종 경계값 검사 함수를 쓴다. 이 검사는 현재의 부분 해결책으로 답을 얻을 수 있는지 확인한다. 부분적인 해결책이 있는지 확인하는 경계값 검사는 나은 탐색 방법이 될 수 없다. 왜냐하면 탐색 중에 때때로, 가능한 모든 조건에 대한 경계 검사의 연산 비용을 최소로 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면 알고리즘의 효율성은 그다지 향상되지 않는다. 효율적인 경계 검사 함수는 조건을 점점 느슨하게 하는 휴리스틱 함수처럼 만든다. 퇴각검색이 제한 조건이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될 경우, 이런 조건들 때문에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자체적으로 제한 조건 해결자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이런 언어일 경우, 간단한 깊이 우선 탐색은 쓸만한 방법이며, 플래너나 프롤로그가 해당한다. 덧붙여서 되돌릴 때 복구할 값들을 최소로 유지하고자, 퇴각검색은 변수 이력(variable trail)을 갖는다. 이것은 변수 값이 바뀐 내역을 보관한다. 효율적인 퇴각검색은 분기점이 없을 때의 값 변화에 대한 내역은 제거하려고 한다. 이는 분기점이 없는 조건을 하나의 연산으로 간주하고 이와 관련된 값 변화를 지워서 구현된다. 변수 이력을 대체하는 다른 방법은 변수에 마지막으로 값이 적용되었을 때의 타임 스탬프를 저장하는 것이다. 타임 스탬프는 분기점의 타임 스탬프와 비교된다. 변수의 타임 스탬프보다 분기점과 연관된 시간이 늦을 경우, 분기점으로 복귀했을 때 변수 값을 복구할 필요가 없다. 분기점에 오기 전에 값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적용[편집] 퇴각검색은 플래너나 프롤로그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구현하는 데 쓰인다. 혹은 구문 분석 분야에도 적용된다. 행위자 모델 개발에 주로 쓰이는 인공지능에 퇴각검색을 적용하려는 토론이 있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퇴각검색&oldid=23958228" 분류: 검색 알고리즘운용 과학패턴 매칭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한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עברית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3일 (수) 10: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퇴각검색(영어: backtracking, 한국어: 백트래킹)은 한정 조건을 가진 문제를 풀려는 전략이다. "퇴각검색(backtrack)"이란 용어는 1950년대의 미국 수학자 D. H. 레머가 지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퇴각검색은 보통 무엇으로 구현될까? Assistant: 재귀 함수
Human: 아래 인터넷_익스플로러_3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인터넷 익스플로러 3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터넷 익스플로러 3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인터넷 익스플로러 3 개발자 마이크로소프트 발표일 1996년 8월 13일 운영 체제 윈도우 3.1 윈도우 NT 3.51 윈도우 95 윈도우 NT 4.0 맥 OS(당시 시스템 7.5.3 R2.2) 언어 다국어 종류 웹 브라우저 라이선스 클로즈드 소스, 사유 소프트웨어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익스플로러 3(Microsoft Internet Explorer 3, IE3)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만든 그래픽 웹 브라우저로. 윈도우 버전은 1996년 8월 13일. 매킨토시 버전은 1997년 1월 8일에 출시되었다. 이 때부터 넷스케이프와의 본격적인 1차 브라우저 전쟁이 시작되었다.[1] 이것은 처음으로 널리 쓰인 인터넷 익스플로러 버전이지만 넷스케이프만큼의 점유율을 따라가지는 못했다. 그렇지만 이 때부터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점유율은 1996년 6월 3-9%의 점유율에서 1997년 말 20-30%의 점유율로 상승하였다.[2][3] 인터넷 익스플로러 3은 처음으로 CSS를 지원하기 시작했고. ActiveX 컨트롤 지원과 자바 애플릿 지원을 시작했다. 버전 3.0은 인터넷 메일과 뉴스. 마이크로스프트 넷미팅과 윈도우 주소록을 탑재하였다. 또 윈도우 95 OSR2, OSR2.1, 윈도우 NT 4.0 한국어판에 탑재된 브라우저로. 16비트와 32비트용이 따로 있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3은 처음으로 스파이글래스 소스코드를 사용하지 않은 웹 브라우저였지만. 여전히 스파이글래스의 기능은 사용하고 있었다. 그래서 스파이글래스 라이센스 정보가 프로그램 문서에 여전히 적혀 있었다. 2004년 6월 30일부터 윈도우 NT 4.0, 윈도우 2000 RTM 버전과 동시에 지원이 종료되었다. 목차 1 개요 1.1 보안 1.2 매킨토시용 인터넷 익스플로러 3.0 2 포함된 소프트웨어 3 지원 운영체제 4 암호화 5 버전 5.1 개요 6 각주 7 외부 링크 개요[편집] 인터넷 익스플로러 3은 윈도우 95 OSR2, OSR2.1과 함께 무료로 배포되었다. 버전 3.0은 인터넷 메일과 뉴스 1.0, 윈도우 주소록을 탑재했고. 인터페이스를 넷스케이프와 비슷하게 만들었으며, 넷스케이프의 플러그인 기술인 NPAPI, ActiveX, 그리고 자바스크립트를 수정한 Script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CSS도 인터넷 익스플로러 3에서 지원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많이 바뀌었는데, 버튼이 커졌고, 아이콘도 약간 바뀌었으며, 뒤에 회색 배경이 생겼다.[4] 다른 버전과 다르게 인터넷 익스플로러 3으로 업그레이드한 사용자는 이전 버전의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5] 또한 즐겨찾기를 이전 버전에서 가져올 수도 있다. 보안[편집] 프린스톤 워드 매크로 바이러스 루프홀은 인터넷 익스플로러 3 출시 9일 후인 1996년 8월 22일에 발견되었다.[6] 마이크로소프트는 다음날 이 바이러스에 대한 패치를 내놓았다. 그렇지만 사용자들은 앞으로도 더 많은 문제를 찾을 수 있다고 하였다. 매킨토시용 인터넷 익스플로러 3.0[편집] 매킨토시용 인터넷 익스플로러 3.0은 1997년 1월 8일 파워PC용으로 릴리즈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SSL과 NTLM 보안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1996년 11월 5일, 마이크로소프트는 매킨토시용 인터넷 익스플로러 3.0의 베타 버전을 출시했는데. HTML 3.2, CSS,[7]자바 애플릿, ActiveX를 지원한다. 68k는 CFM68K라는 운영체제 확장 도구에서 문제가 발견되어서. 68k 매킨토시용은 출시가 계속 지연되다가 5월 14일, 마이크로소프트는 68k용 버전 3.01을 출시했다. 이 버전은 자동 완성 등의 윈도우 버전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4.0에서 추가된 기능을 지원한다. 이것은 자바스크립트 지원도 추가하였고. HTTP 쿠키 매니저도 추가되었다. 포함된 소프트웨어[편집] 인터넷 익스플로러 3은 여러가지 소프트웨어를 통합하고 있다. 인터넷 메일과 뉴스는 뉴스를 읽고 또 메일을 볼 수 있는 클라이언트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4부터는 이 프로그램의 이름이 Outlook Express로 바뀌었다. 윈도우 주소록은 다른 사람의 주소를 보관할 수 있는 기능이다. 마이크로소프트 코믹 채팅은 텍스트로 구성된 온라인 채팅 프로그램으로. 아바타로 현재 기분과 텍스트를 표시한다. 이것은 후에 마이크로소프트 채팅 2.0 이라는 이름으로 인터넷 익스플로러 4에 추가된다. (나중에 나오는 마이크로소프트 채팅하고는 다르다.).[8] 리얼 플레이어는 음악이나 동영상을 재생하는 프로그램이다. 후에 인터넷 익스플로러 3은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마이크로소프트 넷미팅은 여러 사람들과 채팅을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여러가지 음악이나 동영상 포맷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3은 마이크로소프트 자바 VM이라는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었는데. 버전 5.5까지 탑재하다가 Sun 사와의 법적 싸움으로 6.0 버전부터는 포함하지 않는다. 새로운 기능 공개는 2001년 12월 31일까지 했으며. 2004년 6월 30일에 지원을 중단하였다. 지원 운영체제[편집] 인터넷 익스플로러 3.0은 윈도우 3.1, 윈도우 95, 윈도우 NT 3.51, 윈도우 NT 4.0을 지원하며,[9], 윈도우 95 OSR2는 버전 3.0을 탑재하고 있었지만 윈도우 98은 버전 4.0을 탑재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4는 운영 체제와 많이 통합되어서 인터넷 익스플로러 3으로 되돌아가기 힘들게 만들었다. 맥용 버전은 파워PC와 68k 맥을 지원하며. 윈도우용은 16비트와 32비트를 지원한다. 암호화[편집] 인터넷 익스플로러 3의 마지막 패치 버전은 40비트와 128비트 암호화를 지원한다. 128비트 암호화는 다음과 같은 버전에서 사용가능하다. 윈도우 NT 3.51 서비스팩 1용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익스플로러 3.03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익스플로러 3.02 매킨토시용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익스플로러 3.0 버전[편집] 다른 버전과 다르게 예전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윈도우 버전 번호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1은 4.4버전부터 시작했는데. 그 이유는 윈도우 95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의 버전 4였기 때문이다. 4.70.1155 - 인터넷 익스플로러 3.0 4.70.1158 - 인터넷 익스플로러 3.0(윈도우 95 OSR2, OSR2.1에 포함된 버전) 4.70.1215 - 인터넷 익스플로러 3.01 4.70.1300 - 인터넷 익스플로러 3.02와 3.02a. 버전 4가 출시되기 전에 버전 3.02a는 윈도우 3.1용 마지막 인터넷 익스플로러 3이었고. 맥 OS는 3.01 버전이 마지막 버전이었다. 개요[편집] 메이저 버전 마이너 버전 출시일 주요 변경사항 이 버전을 탑재한 프로그램 버전 3 3.0 알파 1 1996년 3월 HTML 테이블 및 다른 기능의 지원 향상. 3.0 알파 2 1996년 5월 VBScript와 JScript 지원 시작. 3.0 베타 1 1996년 7월 CSS와 Java 지원 시작. 3.0 1996년 8월 13일 파이널 버전. 윈도우 95 OSR2, OSR2.1 3.01 1996년 10월 버그 수정. 맥 OS 8.1 3.02 1997년 3월 20일 버그 수정 각주[편집] ↑ “Internet Explorer 3.0”. 2012년 6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8월 5일에 확인함.  ↑ http://www.ews.uiuc.edu/bstats/months/9606-month.html Archived 2001년 5월 7일 - 웨이백 머신 UIUC stats ↑ “Browser wars: High price, huge rewards”. 2007년 12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17일에 확인함.  ↑ http://www.technorhetoric.net/1.3/features/dorwick/navigate.htm Archived 2013년 7월 4일 - 웨이백 머신 IE Nav ↑ "By having IE3 rename your previous version, Microsoft gives you a fallback in case IE3 crashes. IE3 also scans for Netscape bookmarks and converts them to IE3 favorites." http://www.windowsitpro.com/article/articleid/2801/internet-explorer-30.html Archived [날짜 없음], - Archive.is ↑ “The History of Microsoft Internet Explorer”. 2011년 9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9월 12일에 확인함.  ↑ Migrating from Internet Explorer 3.0 to Internet Explorer 4.0 and Later ↑ “PC Pro: Focus: Broadband: Product Reviews: Internet Explorer 4”. 2005년 3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4월 15일에 확인함.  ↑ “Microsoft delivers Internet Explorer 3.0a for Windows 3.1 and NT 3.51”. 2010년 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8월 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Internet Explorer Architecture Internet Explorer Community — The official Microsoft Internet Explorer Community Internet Explorer History vdeh인터넷 익스플로러버전기본 1 2 3 4 5 6 7 8 9 10 11 기타 모바일 맥용 유닉스용 IEs4Linux 개요 역사 추가 기능 박스 모델 브라우저 도우미 오브젝트(BHO) 이스터 에그 확장 기능 제거 셸 기술 액셀러레이터 액티브X DHTML HTA HTML 구성 요소 favicon.ico HTML+TIME Index.dat J스크립트 MHTML MSXML RSS 플랫폼 스마트 태그 임시 인터넷 파일 벡터 마크업 언어 웹 슬라이스 WPAD XHR/XDomainRequest 소프트웨어 및 엔진 Administration Kit 개발 도구 통합 윈도우 인증 태즈먼 트라이던트 차크라 구현체 액티브 채널 액티브 데스크톱 액티브무비 채널지정형식(.cdf) 코믹 챗/챗 2.0 DirectX 미디어 인터넷 메일과 뉴스 마이크로소프트 자바 가상 머신(MSJVM) MSN 익스플로러 맥 OS X용 MSN 넷미팅 넷쇼 아웃룩 익스프레스 Server Gated Cryptography (SGC) 스파이글래스 윈도우 주소록 윈도우 데스크톱 업데이트 사건 제1차 브라우저 전쟁 제2차 브라우저 전쟁 Download.ject Eolas 대 마이크로소프트 썬 대 마이크로소프트 미국 대 마이크로소프트 인물 Tantek Celik Thomas Reardon Dean Hachamovitch Scott Isaacs Inori Aizawa vdeh웹 브라우저 비교 가벼운 웹 브라우저 역사 목록 유닉스용 연표 시장 점유율 기능 광고 차단 증강 브라우징 북마크 북마크릿 라이브 북마크 스마트 북마크 브라우저 확장 브라우저 보안 브라우저 동기화 비교 쿠키 다운로드 관리자 파비콘 증분 검색 플러그인 프라이버시 모드 탭 유니버설 편집 버튼 웹 표준 Acid 테스트 종속형 시트 HTML HTML5 자바스크립트 MathML OCSP SVG WebGL XHTML 관련 주제 BrowserChoice.eu CRL HTTP HTTPS iLoo 인터넷 스위트 맨 인 더 브라우저 모바일 웹 오프라인 리더 PAC Pwn2Own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사이트 특화 브라우저 SPDY SSL/TLS 웹소켓 위젯 월드 와이드 웹 WPAD XML 데스크톱블링크 기반 크로미엄 브레이브 크롬 드래곤 오페라 슬레이프니르 슬림젯 SR웨어 아이언 UC 브라우저 비발디 얀덱스 브라우저 Sputnik 세이프존 네이버 웨일 게코 기반 AT&T 포고* 아방트 카미노* 모질라 파이어폭스 Conkeror GNU 아이스캣 아이스드래곤 스위프트폭스* Swiftweasel* 텐포폭스 팀버울프 토르 브라우저 워터폭스 XB 브라우저* Galeon* Ghostzilla* K-멜레온 가제하카세* Kirix Strata 로터스 심포니* 루나스케이프 모질라* Beonex Communicator* Classilla 넷스케이프* 시몽키 트라이던트 기반 AOL 익스플로러* 아방트 딥넷 익스플로러* 그린브라우저 인터넷 익스플로러* 루나스케이프 맥스톤 미디어브라우저* 메뉴박스 네오플래닛* 넷캡터* 슬림브라우저 스페이스타임 울트라브라우저* 웹IE ZAC 브라우저 웹킷 기반 Arora* 아방트 Dooble 에픽 플로크* 플루이드 아이캡 캉커러 루나스케이프 맥스톤 미도리 옴니웹 Origyn Web Browser* Otter Browser QtWeb QupZilla rekonq 사파리 시이라* 슬림보트 surf Torch 유즈블 웹 웹포지티브 xombrero 텍스트 기반 ELinks Emacs/W3* 라인 모드 브라우저* 링크 링크스 W3m 기타 abaco 어마야* 아라크네* 아레나* 카론 딜로 eww Gazelle 핫자바* IBM 홈 페이지 리더* 아이브라우즈* KidZui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모자이크* Mothra* 넷포지티브* 넷서프 페일 문 모바일블링크 기반 안드로이드 브라우저 크로미엄 브레이브 크롬 오페라 모바일 실크 게코 기반 파이어폭스 모바일 MicroB* 미니모* 프레스토 기반 오페라 미니 삼지창 기반 맥스톤 웹킷 기반 BOLT 돌핀 브라우저 파이어폭스 포 iOS 맥스톤 머큐리 브라우저 S60용 웹 브라우저 Rockmelt 사파리 스틸 기타 블레이저 CM 브라우저 딥피시* ibisBrowser 인터넷 익스플로러 모바일* 아이리스 브라우저* 캉커러 임베디드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넷프론트 노키아 Xpress* Skweezer* 스카이파이어* 티샤크* 선더호크 UC 브라우저 비전 WinWAP 스무즈 Wire 브라우저 텔레비전 및 비디오 게임 콘솔게코 기반 Kylo 프레스토 기반 인터넷 채널 웹킷 기반 구글 TV 닌텐도 3DS 인터넷 브라우저 닌텐도 DS 브라우저 넷프론트 스팀 오버레이 Wii U 인터넷 브라우저 기타 MSN TV* 별표(*)로 된 부분은 더 이상 개발 중이 아닌 소프트웨어를 의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인터넷_익스플로러_3&oldid=24270833" 분류: 웹아카이브 틀 archiveis 링크인터넷 익스플로러윈도우 웹 브라우저맥 OS 웹 브라우저윈도우 구성 요소인터넷 스위트1996년 소프트웨어숨은 분류: 웹아카이브 틀 경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فارسیFrançaisItaliano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4일 (금) 15: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익스플로러 3(Microsoft Internet Explorer 3, IE3)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만든 그래픽 웹 브라우저로. 윈도우 버전은 1996년 8월 13일. 매킨토시 버전은 1997년 1월 8일에 출시되었다. 이 때부터 넷스케이프와의 본격적인 1차 브라우저 전쟁이 시작되었다. 이것은 처음으로 널리 쓰인 인터넷 익스플로러 버전이지만 넷스케이프만큼의 점유율을 따라가지는 못했다. 그렇지만 이 때부터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점유율은 1996년 6월 3-9%의 점유율에서 1997년 말 20-30%의 점유율로 상승하였다.인터넷 익스플로러 3은 처음으로 CSS를 지원하기 시작했고. ActiveX 컨트롤 지원과 자바 애플릿 지원을 시작했다. 버전 3.0은 인터넷 메일과 뉴스. 마이크로스프트 넷미팅과 윈도우 주소록을 탑재하였다. 또 윈도우 95 OSR2, OSR2.1, 윈도우 NT 4.0 한국어판에 탑재된 브라우저로. 16비트와 32비트용이 따로 있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3은 처음으로 스파이글래스 소스코드를 사용하지 않은 웹 브라우저였지만. 여전히 스파이글래스의 기능은 사용하고 있었다. 그래서 스파이글래스 라이센스 정보가 프로그램 문서에 여전히 적혀 있었다. 2004년 6월 30일부터 윈도우 NT 4.0, 윈도우 2000 RTM 버전과 동시에 지원이 종료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CSS와 JAVA 지원을 시작한 인터넷 익스플로러 3 마이너 버전은 무엇인가? Assistant: 3.0 베타 1 Human: 아래 우구데이_칸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우구데이 칸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우구데이 칸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외게데이 울루스(몽골어: ᠥᠭᠡᠳᠡᠢᠦᠯᠦᠰ Ögedei Ulus)는 오고타이 칸국(Ögödei Khan國, 窩闊台汗國)이라고도 한다. 칭기스 칸의 3남인 외게데이가 칭기스 칸에게서 영지를 받아 성립된 몽골제국의 울루스로 현재의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와 중앙아시아 지역을 다스렸다. 수십 년간 원나라와 대립했으며, 중국적 제도를 도입한 원나라와는 달리 몽골의 유목민적 전통을 고수하는 데 힘썼다. 일부에서는 외게데이 울루스를 지배한 카이두를 원에 저항한 반란세력으로 간주하여 외게데이 울루스를 인정하지 않기도 한다. 목차 1 카이두 이전 2 카이두 3 카이두 이후 4 역대 칸 5 같이 보기 카이두 이전[편집] 외게데이 울루스는 칭기스 칸의 3남인 외게데이가 칭기스 칸에게서 받은 영지로부터 시작됐다. 외게데이가 받은 영지는 현재의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 북서부 지역의 작은 땅이었다. 하지만 이 땅의 본래 주인인 외게데이는 이 울루스와는 별 연관이 없었다. 1229년, 칭기스 칸이 사망한 지 2년 만에 쿠릴타이를 통해 몽골 제국의 카안으로 선출된 외게데이는 1235년에 몽골 제국의 수도인 카라코룸을 건설하고 그 곳에 자리를 잡았다. 1241년, 외게데이가 사망하자 죄치 울루스의 바투와 외게데이 카안의 아들인 귀위크 간의 분쟁이 발생했고 결국 귀위크가 독단적으로 쿠릴타이를 개최하여 1246년에 카안에 즉위했다. 귀위크의 즉위 이후 귀위크와 바투의 대립은 더욱 격화되어 재위 3년째인 1248년에는 전쟁 직전까지 치닫았지만 귀위크의 사망으로 무산됐다. 귀위크가 사망한 이후 바투는 톨루이 계의 소르칵타니와 손을 잡고 1251년에 쿠릴타이를 개최하여 톨루이 계의 몽케를 카안에 올렸다. 몽케가 카안으로 즉위하자 귀위크의 미망인인 오굴 카이미쉬와 외게데이계의 왕자 시레문이 몽케를 제거하고 다시 외게데이계 카안을 세우려는 음모를 세웠지만 발각당해 몽케에 의해 숙청당하고 말았다. 카이두[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카이두입니다. 묑케 카안의 숙청으로 외게데이계가 사실상 멸망하자 카이두는 자신의 영지에서 복수를 준비했다. 1259년, 묑케 카안이 사망하자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여 1271년에 차가다인 울루스의 바락을 궁지로 몰아넣고 이후 차가다인 울루스를 복속시켰다. 차가다인 울루스를 복속시킨 뒤 카안 울루스 쿠빌라이 카안과 여러 차례 대립하였으나 바얀에 의해 번번이 막혔다. 1294년에 숙적인 쿠빌라이 카안 죽자 기회를 노려 1301년에 차가다인 울루스의 두아와 함께 대규모 공격을 감행하였으나 패배하고 전투에서 입은 상처가 도져 사망하였다. 카이두 이후[편집] 카이두 사후 차가다인 울루스의 칸 두아는 카이두의 유언대로 카이두의 둘째 아들 오르스를 옹립하지 않고 첫째 아들 차파르를 지지해 둘 간의 분쟁을 유도했다. 두아의 지지 덕분에 차파르는 2년 뒤인 1303년에 동생 오르스를 물리치고 칸위에 올랐다. 칸위에 오른 지 얼마 되지 않은 1304년(혹은 1305년)에 차파르는 두아의 제의에 따라 전 몽골 제국의 평화 협정에 동의했다. 하지만 평화 협정의 잉크가 마르기도 전인 1306년에 차파르와 차가다인 울루스 간의 전쟁이 다시 발발하였다. 차가다인 울루스는 외게데이 울루스의 영토를 유린했고 카안 울루스가 차가다인 울루스를 지원하고 나서자 차파르는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차가다인 울루스에 항복했다. 차파르의 항복을 받아낸 두아는 카안 울루스와 함께 외게데이 울루스의 영토를 분할한 뒤 차파르에게 작은 영지를 주었다. 하지만 두아는 차파르에게 영지를 준 지 얼마 안 돼 차파르를 쫓아내고 그의 동생인 얀기차르와 투그메에게 영지를 나눠주었다. 두아가 1307년에 죽고 차가다인 울루스 칸위를 둘러싼 내분에 휩싸이자 카이두의 네 아들 차파르, 오르스, 얀기차르, 투그메는 힘을 모아 1310년에 반란을 일으켰다. 이들이 이끄는 반란군은 알말리크 근처에서 콘첵 칸이 이끄는 차가타이 칸국의 군대와 결전을 벌였으나 대패하였고 이 패배 이후 차파르가 쿠빌라이 카안의 아들이자 몽골제국 6대 카안인 테뮈르 카안에게 투항하면서 외게데이계 울루스들은 마침내 카안 울루스에 완전히 흡수되었다.  역대 칸[편집] 1대: 오고타이 칸 2대: 귀위크 칸 3대: 카이두 칸 4대: 차파르 칸 같이 보기[편집] 주치 사한국 오고타이 차가다이 쿠빌라이 카이두 칭기스 칸 vdeh몽골 제국의 칸국 우구데이 칸국 차가타이 칸국 킵차크 칸국 일 칸국 몽골 제국용어작위와 직책 카간 칸과 카탄 지농 콩 타이지 정치와 군사 용어 얌 팍스 몽골리카 야사 쿠릴타이(대회의) 네르게 망구다이 투멘(만인대) 정치, 조직과 생활칸국 우구데이 칸국 차가타이 칸국 킵차크 칸국 일 칸국 원나라 주요 도시 카라코룸 사마르칸트 사라이 바투 사라이 베르케 타브리즈 대도(大都) 볼가르 부하라 위켁 마자르 아조프 사라이주크 아시타르한 군사 행동아시아중앙아시아 1218~1220년 화레즘 1220~1222년 카프카스의 그루지야와 쿠만족 동아시아 1205~1209년 중국 서부 (서하, 금) 1211~1234년 중국 남부 (남송) 1231~1259년 한국 (고려) 1274년 일본 (제1차) 1279년 중국 남부 (남송) 1281년 일본 (제2차) 동남아시아 1257년 베트남 (제1차) 1277년 미얀마 (제1차, 파간 왕조) 1284년 베트남 (제2차) 1287년 미얀마 (제2차) 1287년 베트남 (제3차) 1293년 자와 섬 남아시아 1292년 인도 (제1차, 델리 술탄국) 1297년 인도 (제2차) 1299년 인도 (제3차) 유럽 1222~1223년 쿠반, 아스트라한, 러시아, 우크라이나 1223년 볼가 불가리아 (제1차) 1236년 볼가 불가리아 (제2차) 1237~1238년 러시아 1239~1240년 우크라이나 1241년 폴란드, 헝가리 1242년 불가리아 1258~1259년 갈리치아·볼히니아 1259년 슬로바키아와 폴란드 러시아에 대한 제13차, 14차, 15차 보복 공격 1287년 폴란드 중동 1244년 소아시아 (셀주크 제국) 1251~1259년 페르시아와 시리아, 메소포타미아 (Timour) 1258년 바그다드 1259년 시리아 (제1차, 맘루크) 1281년 시리아 (제2차) 1299년 시리아 (제3차) 1300~1301년 시리아 (제4차) 1304년 시리아 (제5차) 인물황제와 통치자 칭기즈 칸 보르테 툴루이 오고타이 퇴레게네 귀위크 칸 몽케 칸 쿠빌라이 주요 장군 무칼리 보오르추 보로클 치라운 수부타이 제베 젤메 쿠빌라이 곽간 카이두 부룬타이 바얀 노가이 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우구데이_칸국&oldid=23294281" 분류: 몽골의 역사몽골 제국오고타이 칸국칭기즈 칸의 후예숨은 분류: 몽골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zərbaycancaDeutschEnglishFrançais日本語PortuguêsУкраїнська吴语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19일 (수) 17: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오고타이 울루스(몽골어: ᠥᠭᠡᠳᠡᠢᠦᠯᠦᠰ 외게데이 울루스), 또는 오고타이 칸국(窩闊台汗國)은 칭기스 칸의 3남인 오고타이가 칭기스 칸에게서 영지를 받아 성립된 몽골 제국의 울루스이다. 현재의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와 중앙아시아 지역을 다스렸다. 수십 년간 원나라와 대립했으며, 중국적 제도를 도입한 원나라와는 달리 몽골의 유목민적 전통을 고수하는 데 힘썼다. 일부에서는 외게데이 울루스를 지배한 카이두를 원에 저항한 반란세력으로 간주하여 오고타이 울루스를 인정하지 않기도 한다. 일각에서는 실제적인 건국자 카이두의 이름을 따 카이두 칸국, 카이두 왕국, 카이두 울루스로도 부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차파르와 차가다인 울루스 사이의 전쟁은 언제 다시 발발했어? Assistant: 1306년
Human: 아래 오헤어_국제공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오헤어 국제공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헤어 국제공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시카고 오헤어 국제공항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오헤어 국제공항오헤어 國際空港O'Hare International AirportO'Hare International Airport IATA: ORD – ICAO: KORD – FAA: ORD 개요 공항종별 민간 소유기관 시카고 시 운영기관 시카고 공항국 위치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해발고도 204 m / 668 ft 좌표 북위 41° 58′ 43″ 서경 087° 54′ 17″ / 북위 41.97861° 서경 87.90472°  / 41.97861; -87.90472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 지도 ORD오헤어 국제공항 위치 활주로 방향 면적(m*m) ILS 표면 길이 폭 4L/22R 2,286 46 YES 아스팔트 4R/22L 2,461 46 YES 아스팔트 9L/27R 2,286 46 YES 콘크리트 9R/27L 2,428 46 YES 아스팔트/콘크리트 10/28 3,962 46 YES 아스팔트/콘크리트 14L/32R 3,050 46 YES 아스팔트 14R/32L 3,962 61 YES 아스팔트/콘크리트 헬리패드 번호 길이(m) 표면 H1 61 콘크리트 통계 (2016) 이용 여객 77,960,588 운항 횟수 867,635 처리 화물 1,726,361 톤 출처 : FAA Airport Master Record for ORD 시카고 오헤어 국제공항(영어: Chicago O'Hare International Airport, IATA: ORD, ICAO: KORD)은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 있는 국제공항으로 유나이티드 항공의 허브 공항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아메리칸 항공의 두 번째 허브 공항으로 사용하고 있다. 시카고 도심에서 27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시카고 미드웨이 국제공항과 시카고 록퍼드 국제공항과 더붙어 시카고의 거점 공항으로 대한민국의 경우 인천국제공항 출발 시카고행 여객기는 오헤어로 운항한다. 목차 1 개요 2 시설 2.1 터미널 3 운항 노선 3.1 화물 노선 4 연계 교통 4.1 철도 교통 5 통계 6 이용객 추이 7 같이 보기 8 각주 9 외부 링크 개요[편집] 시카고 국제공항은 1955년 10월 민간 상용 국내선 공항으로 개항하였으며 1962년 3월 여객 터미널을 완공하였다. 1997년부터 2005년까지 세계에서 가장 교통량이 많은 공항이었으나, 항공기 연착이나 지연을 줄이기 위한 연방 정부의 규제로 애틀랜타 국제공항에 밀려났다. 공항의 이름인 오헤어는 태평양 전쟁 때 미국 해군의 전투기 조종사인 에드워드 헨리 오헤어의 이름에서 따 온 것이며, 여러대의 일본 전투기를 격추시킨 에이스로 전사한 그를 기리기 위해 그의 이름을 땄다. 장기적으로 활주로를 일부 철거해 다른 쪽으로 확장할 예정이다. 시설[편집] 터미널[편집] 오헤어 국제 공항은 현재 4개의 여객 터미널(1·2·3·5)을 가지고 있다. 각 여객 터미널 사이는 무인 철도(ATS)로 연결되어 있다. 터미널 1·2·3은 보안 구역 내의 보행 통로에 의해서도 이어지고 있다. 국제선 도착은 모두 터미널 5에 도착한다. 다만 캐나다의 편에 그 항공사가 이용하고 있는 터미널 1·2·3에 도착한다. 국제선 출발은[6], 미국계 항공사(일본계도 포함)은 그 항공사가 이용하고 있는 터미널 1·2·3에서 출발하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또한, 활주로의 재배치 공사가 끝나면 그 터서쪽에 주간 고속 도로 I-90또는 엔진 오헤어 고속 도로 위의 주소명으로 접속할 수 있는 큰 터미널 집합체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부지의 남서쪽에 있는 큰 항공 화물 건물은 터미널 5의 위치에 있던 낡은 화물 지구의 대부분을 이전함으로써 1984년에 오픈했다. 운항 노선[편집] 항공사 도착지 터미널 대한항공 서울(인천) 5M 아시아나항공 서울(인천) - (2019년 10월 27일 단항) 5M 에어 뉴질랜드 오클랜드 - 일본항공 도쿄(나리타) 5M 전일본공수 도쿄(나리타), 도쿄(하네다) 1C 중국동방항공 상하이(푸둥) 5M 하이난 항공 베이징(수도), 청두 - (2019년 6월 28일 신규취항) 5M 캐세이퍼시픽 항공 홍콩 5M 에바 항공 타이페이(도원) 5M 에어 인디아 델리, 하이데라바드 5M 에미레이트 항공 두바이 5M 에티하드 항공 아부다비 5M 로얄 요르단 항공 암만 5M 영국항공 런던(히드로) 5M 버진 애틀랜틱 항공 런던(히드로) 5M 에어링구스 더블린 5M 에어프랑스 파리(샤를 드 골) 5M 루프트한자 뒤셀도르프, 뮌헨, 프랑크푸르트 5M KLM 암스테르담 5M 스위스 국제항공 취리히 5M 알리탈리아 항공 로마(레오나르도 다 빈치) 5M 이베리아 항공 마드리드 3K 터키 항공 이스탄불(아타튀르크) 5M LOT 폴란드 항공 바르샤바 5M 스칸디나비아 항공 스톡홀름(알란다), 코펜하겐 5M 아이슬란드 항공 레이캬비크 5M 아메리칸 항공 베이징(수도), 브뤼셀, 델리, 두빌린, 런던(히스로), 멕시코시티, 파리(샤를 드 골), 상하이(푸둥), 도쿄(나리타), 토론토(피어슨), 캘거리, 캉쿤, 헬싱키, 로마(레오나르도 다 빈치), 아카풀코, 푸에르토바야르타, 오스틴, 보스턴, 댈러스, 덴버, 포트로더레일, 포트마이어스, 호놀룰루, 캔자스시티, 라스베이거스, 로스앤젤레스, 맨체스터, 마이애미, 미니애폴리스(세인트폴), 뉴올리언스, 뉴욕(JFK, 라과디아, 뉴어크), 오렌지컨트리, 올랜도, 필라델피아, 피닉스, 롤리, 레노, 세인트루이스, 산안토니오, 샌디에고, 샌프란시스코, 산호세, 시애틀(터코마), 템파, 투손, 툴사, 워싱턴D.C., 웨스트팜비치, 앵커리지, 헤이든, 잭슨홀, 몬테고베이, 팜스프링스, 산호세 3H,3K,3L 아메리칸 이글 항공 캘거리, 몬트리올, 토론토, 앨버키키, 올랜타운, 애틀랜타, 볼티모어, 블라운트빌, 버팔로, 섐페인, 트라이, 버팔로, 샴페인(어바나), 샬롯, 샬롯스빌, 채터누가, 클리블랜드, 콜럼버스, 데이튼, 덴버, 디모인, 디트로이트, 더뷰크, 에반스빌, 파고, 파예트빌, 그랜드래피즈, 그린베이, 해리스, 하트포드, 휴스턴(인터콘티넨탈), 헌츠빌, 인디애나폴리스, 잭슨빌, 칼라마주, 캔자스시티, 녹스빌, 라크로스, 렉싱턴, 리틀록, 매디슨, 맨하탄, 마르케트, 멤피스, 밀워키, 미니애폴리스(세인트폴), 몬트리올(트루), 내쉬빌, 뉴올리언스, 뉴욕(JFK, 뉴어크), 오클라호마시티, 오마하, 오타와, 펜사, 필라델피아, 피츠버그, 롤리(더럼), 래피드시티, 리치몬드, 로체스터, 로체스터(뉴욕), 솔트레이크시티, 샌안토니오, 수폴스, 스프링, 시라큐스, 톨레도, 토론토(피어슨), 트래버스, 툴사, 워싱턴D.C., 워터(토), 윌크스(바레), 스크랜턴, 윌밍턴, 엘파소 3G,3H 유나이티드 항공 포트로더데일, 웨스트팜비치, 앵커리지, 암스테르담, 베이징(수도), 브뤼셀, 캘거리, 캉쿤, 프랑크푸르트, 홍콩, 런던(히스로), 멕시코시티, 뮌헨, 파리(샤를 드 골), 푸에르토바야르타, 상파울루(구아룰루스), 상하이(푸둥), 싱가포르, 산후안, 도쿄(나리타), 토론토, 밴쿠버, 로마(레오나르도 다 빈치), 아루바, 올버니, 애틀랜타, 볼티모어, 보이즈, 보스턴, 버팔로, 샤를로트, 신시내티(노던캔터키), 클리블랜드, 콜럼버스, 댈러스(포트워스), 덴버, 디모인, 디트로이트, 그랜드래피츠, 해리츠버그, 하트포드, 호놀룰루, 도쿄(나리타), 휴스턴, 잭슨빌, 캔자스시티, 라스베이거스, 로스앤젤레스, 마이애미, 미니애폴리스(세인트폴), 뉴올랜즈, 뉴욕(라과디아, 뉴어크), 오마하, 오렌지컨트리, 올랜도, 필라델피아, 피닉스(스카이 하버), 피츠버그, 포틀랜드, 프로비던스, 롤리(더럼), 리치몬드, 로체스터, 새크라멘토, 샌디에고, 샌프란시스코, 시애틀(터코마), 템파, 워싱턴D.C., 잭슨홀 1B,1C 델타 항공 애틀랜타, 디트로이트, 미니애폴리스/세인트폴, 솔트레이크시티, 시애틀(터코마) 2E 버진 아메리카 샌프란시스코, 로스앤젤레스 3L 유나이티드 항공(유나이티드 익스프레스 운영) 클리블랜드, 찰스턴, 신시내티(노던캔터키), 콜럼비아, 콜럼버스, 디트로이트, 그린즈보로, 헌츠빌, 잭슨빌, 노퍽, 펜서콜라, 로체스터, 서배너, 사우스밴드 1B,1E 셔틀 아메리카 오타와, 몬트리올(피에르), 앨버커키, 애틀랜타, 오스틴, 보스턴, 버팔로, 시더래피츠, 샤를로트, 콜럼버스, 댈러스, 디모인, 애틀랜타, 신시내티(노던캔터키), 뉴욕(라과디아) 1B,1C,2E 고우 잭 항공 맨체스터, 몬트리올(피에르), 토론토(피어슨), 토론토, 밴쿠버, 몬트리올, 올버니, 오스틴, 버링턴, 찰스턴, 데이톤, 그린즈보로, 해리츠버그, 하트포드, 잭슨빌, 캔자스시티, 맨체스터, 멀린, 뉴올리언스, 노퍽, 오클라호마시티, 필라델피아, 피츠버그, 포틀랜드, 롤리, 로체스터, 샌안토니오, 세인트루이스, 서배너 1B,1C 대서양 사우스 이스트 항공 신시내티(노던캔터키), 멤피스 2E 리퍼블릭 항공 샬럿 2E,2F 메사 항공 애플턴, 버팔로, 버링턴, 찰스턴, 샤를로트, 데이턴, 디모인, 디트로이트, 해리츠버그, 하트포드, 휴스턴, 잭슨빌, 캔자스시티, 멤피스, 노퍽, 필라델피아, 피츠버그, 포틀랜드, 롤리, 로체스터, 샌안토니오, 사바니아, 사우스벤드, 시러큐스, 뉴욕(JFK), 솔트레이크시티 1B,1E,1F,2E 쇼토쿼 항공 신시내티(노던캔터키), 블루밍턴(노멀), 시더래피즈(아이오와), 포트웨인, 그랜드래피즈, 인디애나, 칼라마주, 라크로스, 루이스빌, 메디슨, 밀워키, 몰린(쿼드), 오클라호마시티, 피오리아, 로체스터, 톨레도, 워소(스티븐스포인트), 화이트플레인 2E,3L 스카이 웨스트 항공 오타와, 리자이나, 올랜타운, 애슈빌, 오스틴, 버밍햄, 보이시, 보즈맨, 시더래피츠, 찰스턴, 신시내티(노던캔터키), 클리블랜드, 콜로라도스프링스, 콜럼버스, 댈러스(포트워스), 데이턴, 디모인, 디트로이트, 덜루스, 오클레어, 에드몬튼, 엘페소, 파고, 페이엇빌, 포트웨인, 캘거리, 오타와, 그랜드래피츠, 그린베이, 핸콕, 인디애나폴리스, 캔자스시티, 카녹스빌, 랜싱, 렉싱턴, 링컨, 리틀록, 런던, 루이빌, 메디슨, 멤피스, 밀워키, 멀린, 머스키건, 내슈빌, 뉴올리언스, 노퍽, 오클라호마시티, 오하마, 퍼두커, 퀘벡시티, 리기나, 새기나, 솔트레이크시티, 산안토니오, 수폴스, 사우스벤드, 스포캔, 스프링필드, 트래버스시티, 툴사, 와우사, 화이트플레인, 위치토, 새스커툰, 위니펙, 미니애폴리스(세인트폴) 1B,1C,1E,2E 스피릿 항공 애틀랜타, 보스턴, 댈러스(포트워스), 디트로이트, 포트로더데일, 포트마이어스, 라스베이거스, 로스앤젤레스, 뉴욕(라과디아), 올랜도계절편 : 머틀 3L 익스프레스 잭 항공 애크런, 올버니, 올랜타운, 애플턴, 볼티모어, 버밍햄, 비즈마크, 버팔로, 버밍턴, 캐더래피츠, 신시내티(노던캔터키), 클리블랜드, 데이턴, 디모인, 디트로이트, 파고, 페이엇빌, 그랜드래피츠, 그린베이, 그린즈보로, 그린빌, 인디애나폴리스, 캔자스시티, 카녹스빌, 랜싱, 렉싱턴, 링컨, 리틀록, 루이빌, 매디슨, 내슈빌, 노퍽, 오클라호마시티, 펜서콜라, 피오리아, 피츠버그, 로어노크, 래피드시티, 로체스터, 수폴즈, 사우스벤드, 스프링필드, 시러큐스, 트래버스시티, 툴사, 위치토, 윌크스 1C,1E 에어 초이스원 버링턴, 디케이터 3L 컴에어 애틀랜타, 신시내티(노던캔터키), 디트로이트, 멤피스, 미니애폴리스(세인트폴), 뉴욕(JFK) 2E 컴패스 에어라인 디트로이트, 미니애폴리스(세인트폴), 뉴욕(JFK) 2E 콜간 항공 클리블랜드 1B 피나클 항공 멤피스 2E 트랜스 유나이티드 항공 시더래피즈, 신시내티, 콜럼버스, 데이톤, 그린즈보로, 해리스버그, 녹스빌, 매디슨, 맨체스터, 멀린, 내슈빌, 노퍽, 오마하, 퀘벡시티, 리치몬드, 로어노크, 로체스터, 세인트루이스, 서배너, 사우스벤드, 스프링필드, 시러큐스, 털사 1B,1C 에어캐나다 몬트리올(피에르), 토론토(피어슨) 2E 에어캐나다 익스프레스 (재즈 에어 운영) 몬트리올(피에르), 토론토(피어슨), 캘거리 2E 아에로멕시코 과달라하라, 멕시코시티 5M 아에로멕시코 커넥트 두란고 5M TACA 항공 괴테말라시티, 산살바도르 5M 화물 노선[편집] 항공사 도착지 대한항공 카고 서울(인천) 아시아나항공 카고 서울(인천) 중국국제항공 카고 앵커리지, 베이징 중국남방항공 카고 상하이(푸둥) 중국화물항공 상하이(푸둥), 앵커리지 양쯔강 익스프레스 앵커리지, 상하이(푸둥) 제이드 카고 인터내셔널 암스테르담, 청두, 두바이, 서울(인천), 상하이(푸둥) 케세이퍼시픽 카고 암스테르담, 앵커리지, 댈러스(포트워스), 홍콩, 휴스턴, 샌프란시스코 ANA 카고 도쿄(나리타) 일본화물항공 도쿄(나리타), 앵커리지 중화항공 카고 앵커리지, 타이페이(도원) 에바항공 카고 앵커리지, 타이베이(도원) 싱가포르 항공 카고 앵커리지, 싱가포르, 샤먼 카타르 항공 카고 암스테르담, 도하 영국항공 월드 카고(글로벌 서플라이 시스템스 운영) 휴스턴, 런던(스탠스테드), 워싱턴D.C. 에어프랑스 더블린, 글래스고(프래스트웍), 파리(샤를 드 골) 루프트한자 카고 앵커리지, 프랑크푸르트 에어로로직 애틀랜타, 라이프치히 DHL 프랑크푸르트, 뮌헨 카고룩스 앵커리지, 애틀랜타, 홍콩, 인디애나폴리스, 룩셈부르크, 뉴욕(JFK) 페덱스 익스프레스 인디애나폴리스, 멤피스, 뉴욕(뉴어크) UPS 항공 쾰른(본), 콜럼버스(리켄베커), 루이스빌, 필라델피아 ABX 에어 신시내티(노던캔터키) 서던 에어 앵커리지, 서울(인천) 아틀라스 항공 앵커리지, 멜버른, 오클랜드 칼리타 에어 뉴욕(JFK, 뉴어크) 폴라에어 카고 앵커리지, 도쿄(나리타) 월드 에어웨이즈 프랑크푸르트 아에로 유니언 멕시코시티 연계 교통[편집] 철도 교통[편집] 에어포트 트랜스트 시스템 노선으로 시카고와 일리노이 주에서 오헤어 국제공항까지 연계하며 모노레일로 운행한다. 통계[편집] 오헤어 국제공항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국제 노선 (2009년에서 2010년까지)[1] 순위 공항 승객수 운항사 1 런던(히드로) 1,108,513 아메리칸 항공, 영국 항공, 유나이티드 항공, 버진 애틀랜틱 항공 2 프랑크푸르트 919,448 루프트한자, 유나이티드 항공 3 토론토(피어슨) 747,713 에어캐나다, 아메리칸 항공, 유나이티드 항공 4 도쿄(나리타) 651,643 일본항공, 아메리칸 항공, 전일본공수, 유나이티드 항공 5 캉쿤 400,424 아메리칸 항공, 유나이티드 항공, USA 3000 항공 6 파리(샤를 드 골) 346,940 유나이티드 항공, 아메리칸 항공, 에어프랑스 7 몬트리올(피에르) 345,384 에어캐나다, 아메리칸 항공, 유나이티드 항공 8 뮌헨 318,762 루프트한자, 유나이티드 항공 9 멕시코 시티 318,063 아에로멕시코, 유나이티드 항공, 아메리칸 항공 10 상하이(푸둥) 299,351 아메리칸 항공, 유나이티드 항공 오헤어 국제공항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국내 노선(2010년 6월부터 2011년 5월까지)[2] 순위 목적지 승객수 운항사 1 뉴욕(라가디아) 1,279,000 델타 항공, 아메리칸 항공, 유나이티드 항공 2 로스앤젤레스 1,056,000 유나이티드 항공, 스피릿 항공, 아메리칸 항공, 버진 아메리카 3 샌프란시스코 912,000 아메리칸 항공, 콘티넨탈 항공, 유나이티드 항공, 버진 아메리카 4 댈러스(포트워스) 886,000 아메리칸 항공, 유나이티드 항공 5 보스턴 786,000 아메리칸 항공, 유나이티드 항공, 제트블루 항공, 스피릿 항공 6 미니애폴리스(세인트폴) 733,000 아메리칸 항공, 델타 항공, 유나이티드 항공 7 덴버 719,000 아메리칸 항공, 유나이티드 항공 8 워싱턴 D.C. 713,000 아메리칸 항공, 유나이티드 항공 9 필라델피아 669,000 아메리칸 항공, 유나이티드 항공, US 에어웨이즈 10 시애틀(터코마) 664,000 아메리칸 항공, 유나이티드 항공, 알래스카 항공 이용객 추이[편집] 비고[3]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운항(편수) 911,917 922,817 928,691 992,427 972,248 여객 (명) 67,448,064 66,565,952 69,508,672 75,533,822 76,581,146 화물 (톤) 1,413,834.4 1,436,385.7 1,601,735.5 1,685,808.0 1,701,446.1 추이 (여객/전년대비) 1.31% 4.40% 8.67% 1.38%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운항(편수) 958,643 926,973 881,566 827,899 950,119 여객 (명) 76,282,212 76,182,025 70,819,015 64,397,782 67,026,191 화물 (톤) 1,718,011.0 1,690,741.6 1,480,847.4 1,198,426.3 1,577,047.8 추이 (여객/전년대비) 0.30% 0.15% 7.03% 9.07% 3.83% 같이 보기[편집] 시카고 미드웨이 국제공항 시카고 록퍼드 국제공항 게리/시카고 국제공항 각주[편집] ↑ 오헤어 국제공항 국제선 통계 참조 ↑ 오헤어 국제공항 국내선 통계 참조 ↑ 2001~2010 오헤어 국제공항 통계 참조 (http://www.flychicago.com/BusinessInformation/Statistics/Default.aspx Archived 2010년 12월 15일 - 웨이백 머신)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오헤어 국제공항 오헤어 국제공항 - 공식 웹사이트 공항 정보: AirNav KORD 공항 정보 ASN ORD 사고 역사 FlightAware 공항 정보, 실시간 항공편 추적 NOAA/NWS ORD 기상 정보 SkyVector KORD 항공 지도 FAA ORD 지연 정보 vdeh 미국의 주요 공항 뉴욕/뉴저지(존 F. 케네디 국제공항-JFK 라과디아 공항-LGA 뉴어크 리버티 국제공항-EWR) 댈러스/포트워스(댈러스 포트워스 국제공항-DFW) 덴버(덴버 국제공항-DEN) 디트로이트(디트로이트 메트로폴리탄 웨인 카운티 공항-DTW) 라스베이거스(매캐런 국제공항-LAS) 로스앤젤레스(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LAX) 마이애미/포트로더데일(마이애미 국제공항-MIA 포트로더데일 할리우드 국제공항-FLL) 멤피스(멤피스 국제공항-MEM) 미니애폴리스/세인트폴(미니애폴리스 세인트폴 국제공항-MSP) 보스턴(로건 국제공항-BOS) 샌디에이고(샌디에고 국제공항-SAN) 샌프란시스코(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SFO) 샬롯(샬럿 더글러스 국제공항-CLT) 솔트레이크시티(솔트레이크시티 국제공항-SLC) 시애틀(시애틀 터코마 국제공항-SEA) 시카고(시카고 오헤어 국제공항-ORD) 애틀랜타(하츠필드 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ATL) 앵커리지(테드 스티븐스 앵커리지 국제공항-ANC) 올랜도(올랜도 국제공항-MCO) 워싱턴/볼티모어(로널드 레이건 워싱턴 내셔널 공항-DCA 워싱턴 덜레스 국제공항-IAD 볼티모어 워싱턴 국제공항-BWI) 탬파(탬파 국제공항-TPA) 피닉스(피닉스 스카이 하버 국제공항–PHX) 필라델피아(필라델피아 국제공항–PHL) 호놀룰루(대니얼 K. 이노우에 국제공항-HNL) 휴스턴(조지 부시 인터콘티넨털 공항-IAH) vdeh 일리노이 주의 공항국제공항 시카고 오헤어 국제공항 시카고 미드웨이 국제공항 시카고 록퍼드 국제공항 쿼드 시티 국제공항 제네럴 웨인 A. 다우닝 피오리아 국제공항 국내공항 유니벌시티 일리노이 윌러드 공항 에이브러햄 링컨 캐피탈 공항 디카터 공항 지역공항 일리노이 센터 공항 군용공항 미드 아메리카 세인트루이스 공​​항 스콧 공군 기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오헤어_국제공항&oldid=24450083" 분류: 일리노이주의 공항시카고의 교통시카고의 건축물1943년 개항한 공항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БългарскиCatalàCebuano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legoעבריתहिन्दी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KalaallisutLietuviųLatviešuമലയാളംमराठीNederlandsNorskDiné bizaadOccitanPolski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9일 (수) 16:2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오헤어 국제공항(영어: O'Hare International Airport, IATA: ORD, ICAO: KORD)은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 있는 국제공항으로, 시카고 도심에서 27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유나이티드 항공이 허브 공항으로 사용하고 있고, 아메리칸 항공은 2번째 허브 공항으로 사용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인천국제공항 노선 시카고행 여객기는 오헤어로 운항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오헤어 국제공항의 여객 터미널은 모두 몇개인가? Assistant: 4개 Human: 아래 황석정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황석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황석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황석정출생 1971년 2월 2일(1971-02-02) (48세)[1]대한민국 부산광역시국적 대한민국직업 배우활동 기간 1989년 ~ 현재소속사 풀잎이엔엠 황석정(1971년 2월 2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목차 1 이력 2 학력 3 출연작 3.1 영화 3.2 드라마 3.3 공연 4 방송 5 수상 및 후보 6 각주 7 외부 링크 이력[편집] 1989년 뮤지컬배우 첫 데뷔하였고 1991년 연극배우 데뷔하였다. 학력[편집] 부산여자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국악과 학사 (졸업) 한국예술종합학교 (졸업) 출연작[편집] 영화[편집] 2001년 《고양이를 부탁해》 - 통장 아줌마 / 거지 여인 역 2002년 《정글 쥬스》 - 갈매기 1 역 2004년 《마지막 늑대》 - 육상 코치 역 2004년 《바람의 전설》 - 간호사 희선 역 2004년 《귀신이 산다》 - 슈퍼 여주인 역 2004년 《나쁜 아들》 - 빚쟁이 여자 역 2005년 《미스터 주부 퀴즈왕》 - 양성자 주부 역 2006년 《사랑을 놓치다》 - 혜정 역 2006년 《강적》 - 황형사 역 2006년 《애정결핍이 두 남자에게 미치는 영향》 - 슈퍼녀 역 2007년 《최강 로맨스》 - 여작가 역 2008년 《기다리다 미쳐》 - 국사 선생 역 2008년 《내 사랑 유리에》 - 산도적의 여인, 미스코리아 후보, 미스코리아 사회자 역 2008년 《순정만화》 - 하주임 역 2010년 《황해》 - 달라상 역 2011년 《수상한 이웃들》 - 옥옥자 역 2012년 《아부의 왕》 - 아줌마1 역 2012년 《회사원》 - 카페주인 역 2012년 《가족시네마》 - 주인 아내 역 2012년 《사이비》 - 영선 모 역 2014년 《윤희》 - 명자 역 2014년 《우리별 일호와 얼룩소》 - 북쪽마녀, 놀이터 사람들 역 2014년 《두근두근 내 인생》 - 할렐루야1 역 2014년 《발광하는 현대사》 - 순이엄마 목소리 역 2015년 《혜경궁 홍씨》 2015년 《더 폰》 - 서광현 역 2016년 《순정》 - 개덕 모 역 2016년 《곡성》 - 닭상인 역 2016년 《서울역》 - 여인숙 주인 역 2017년 《살인자의 기억법》 - 조연주 역 2018년 《그것만이 내 세상》 - 강실장 역 2019년 《그대 이름은 장미》 - 한명희 역 드라마[편집] 2007년 MBC 《9회말 2아웃》 - 장추자 역 2007년 SUPER ACTION 《S 클리닉》 - 개작두 아내 역 2008년 OCN 《에로배우 살인사건》 - 박선생 역 2009년 EBS 《원시가족 뚜따 패밀리》 - 마뚜 역 2010년 SBS 《시크릿 가든》 - 찜질방 주인 역 2011년 KBS2 《아들을 위하여》 - 명화 역 2011년 GTV 《우리가 연애를 못하는 이유》 - 마리 역 2012년 SBS 《신사의 품격》 - 가게 사장 역 2013년 KBS2 《직장의 신》 - 한범만 역 2013년 KBS2 《비밀》 - 산드라황 역 2014년 KBS2 《참 좋은 시절》 - 최재숙 역 2014년 KBS2 《연애의 발견》 - 호프집 주인 역 2014년 MBC 《야경꾼 일지》 - 당골어미 역 2014년 tvN 《미생》 - 재무부장 역 2014년 JTBC 《선암여고 탐정단》 - 이여주 역 2014년 MBC 《전설의 마녀》 - 상가사장 부인 역 2015년 Mnet 《칠전팔기 구해라》 - 엄 작가 역 2015년 JTBC 《순정에 반하다》 2015년 tvN 《식샤를 합시다 2》 - 김미란 역 2015년 KBS1 《가족을 지켜라》 - 서림병원 조리사 역 2015년 SBS 《가면》 - 황말자 역 2015년 SBS 《너를 사랑한 시간》 - 강아지를 들고 탄 승객 역 2015년 MBC 《그녀는 예뻤다》 - 김라라 역 / 고깃집 사장 역 2015년 MBN 《엄마니까 괜찮아》 - 송민주 역 2015년 tvN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14》 ... 무당 역 2016년 tvN 《치즈인더트랩》 - 강교수 역 2016년 MBC EVERY1 《웹툰히어로 툰드라쇼 시즌 2 - 조선왕조실톡 시즌2》 - 황덕정 (45세) 역 2016년 KBS2 《동네변호사 조들호》 - 황애라 역 2016년 tvN 《도깨비》 - 점쟁이 / 이승을 떠도는 영혼 역 2016년 MBC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 - 월하매 역 2017년 웹드라마 《루비루비럽》 - 단호박 역 2017년 SBS 《초인가족 2017》 - 마정난 팀장 역 2017년 SBS 《사랑의 온도》 - 박은성 역 2017년 tvN 《이번 생은 처음이라》 - 황작가 역 2018년 KBS2 《우리가 만난 기적》 - 임도희 역 2018년 SBS 《친애하는 판사님께》 - 이하연 역 2018년 SBS 《미스 마 - 복수의 여신》 - 오회장 역 2019년 MBC 《나쁜 형사》 - 황부경 역 공연[편집] 2016년 《천변살롱》 2016년 《페스트》 방송[편집] 2014년 tvN 《강용석의 고소한 19》 2015년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2015년 MBC 《세바퀴》 2015년 OtvN 《어쩌다 어른》 2015년 JTBC 《엄마가 보고있다》 2015년 MBC 《나 혼자 산다》 2015년 MBC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2015년 tvN 《현장토크쇼 택시》 2015년 KBS W 《빨간 핸드백》 2015년 KBS2 《위기탈출 넘버원》 2015년 SBS 《힐링캠프, 기쁘지 아니한가》 2015년 MBC 《MBC 스페셜》 2015년 JTBC 《비정상회담》 2015년 KBS2 《해피투게더 시즌3》 2015년 SBS 《동상이몽, 괜찮아 괜찮아》 2015년 SBS 《런닝맨》 2015년 MBC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2015년 MBN 《전국제패》 2016년 JTBC 《님과 함께 시즌2 - 최고의 사랑》 2016년 tvN 《오 마이 갓》 2016년 KBS2 《노래싸움 - 승부》 2016년 OLIVE 《조용한 식사》 2016년 SBS 《2016 희망TV SBS》 2016년 JTBC 《말하는대로》 2016년 SBS 《씬스틸러》 2017년 EBS1 《책대로 한다》 2017년 MBC 《AD 2100 기후의 반격》 2018년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참가자 (누난 런던스타일 타워브리지) 2018년 JTBC 《차이나는 클라스》 8월 1일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15 MBC 방송연예대상 버라이어티부문 여자 우수상 나 혼자 산다 수상 MBC 연기대상 미니시리즈부문 베스트 여자 조연상 그녀는 예뻤다 수상 2016 KBS 연기대상 여자 조연상 동네변호사 조들호 후보 2017 SBS 연기대상 여자 조연상 사랑의 온도 후보 각주[편집] ↑ “황석정, 나이 공개”. 에스포츠. 2015년 5월 1일.  외부 링크[편집] 황석정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황석정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황석정 - 한시네마 vdeh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진행 김성주 역대 복면가왕 파일럿 솔지 1 ~ 2대 루나 3대 진주 4 ~ 7대 김연우 8대 이정 9대 여은 10 ~ 11대 홍지민 12대 소냐 13 ~ 16대 거미 17 ~ 21대 차지연 22 ~ 30대 하현우 31 ~ 32대 더 원 33 ~ 34대 로이킴 35대 김연지 36 ~ 39대 정동하 40 ~ 42대 알리 43 ~ 45대 신용재 46대 김명훈 47 ~ 49대 환희 50대 봉구 51 ~ 52대 이해리 53 ~ 58대 소향 59대 김조한 60대 케이윌 61 ~ 62대 옥주현 63 ~ 64대 권정열 65 ~ 69대 선우정아 70대 아이비 71 ~ 78대 손승연 79 ~ 81대 한동근 82 ~ 86대 솔지 87 ~ 89대 뮤지 90 ~ 93대 이현 94대 장은아 95 ~ 97대 해나 98 ~ 102대 이원석 103 ~ 105대 오늘 당직 나이팅게일 같이 보기 에피소드 목록 출연자 목록 일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황석정&oldid=24012556" 분류: 1971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부산광역시 출신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1989년 데뷔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창극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부산여자고등학교 동문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문한국예술종합학교 동문대한민국의 방송인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참가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Bahasa IndonesiaItalianoBahasa Melayu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1일 (목) 20:3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황석정(1971년 2월 2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황석정은 «마지막 늑대»에서 무슨 배역으로 출연했을까? Assistant: 육상 코치 역
Human: 아래 공룡메카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공룡메카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공룡메카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공룡메카드 장르 공룡 어드벤처 TV 애니메이션 기획 최종일 감독 유재운, 이순 프로듀서 책임: 김서호연출: 이순주제작: 김선태, 심혜원, 이남훈 구성 아쓰시 각본 아쓰시, 야마다 야스노리 캐릭터 디자인 유봉현 메카닉 디자인 지태옥, 김민준 총작화 감독 유봉현 음악 김정아 애니메이션 제작 파프리카엔터테인먼트 제작 초이락컨텐츠팩토리 방송사 KBS 1TV 그 외의 방송사 투니버스, 애니박스, 애니원, 재능TV, KBS키즈, 니켈로디언, 카툰 네트워크, 대교어린이TV, 애니맥스, 애니플러스, 챔프TV, 브라보키즈 방영 기간 2017년 11월 23일 ~ 2018년 12월 27일 화수 52화 영화: 공룡메카드: 타이니소어의 섬 틀 - 토론 《공룡메카드》는 터닝메카드 후속작이며 공룡을 소재로 하여, 초이락컨텐츠팩토리에서 제작하고 KBS 1TV에서 방송하는 공룡 어드벤처 애니메이션으로 《터닝메카드》에 이은 새로운 메카드 시리즈이다. 기존의 터닝메카드 시리즈와 달리 배경, 인물, 내용 전개 등이 다르다. 2차원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고 2017년 11월 23일부터 2018년 12월 27일까지 방영되었다. 목차 1 방송시간 2 속성 3 등장인물 3.1 주연 3.2 조연 3.3 악역 4 등장 타이니소어 및 관련 메카 4.1 타이니소어 4.2 캡처카 4.3 슬로프 5 보유 현황 6 방영 목록 7 목소리 출연 8 완구 제품 8.1 A 8.2 B 8.3 C 8.4 D 8.5 E 8.6 F 8.7 G 8.8 H 8.9 J 8.10 K 8.11 L 8.12 M 8.13 N 9 관련 서적 10 외부 링크 방송시간[편집]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KBS 1TV 2017년 11월 23일 ~ 2018년 2월 8일2018년 4월 12일 ~ 2018년 11월 8일 매주 목요일 오후 1:50 ~ 오후 2:20 (30분) 2018년 3월 8일 ~ 2018년 4월 5일 매주 목요일 오후 1:20 ~ 오후 1:50 (30분) 2018년 11월 14일 ~ 2018년 12월 13일 매주 수요일 ~ 목요일 오후 1:50 ~ 오후 2:20 (30분) 2018년 12월 20일 ~ 2018년 12월 27일 매주 목요일 오후 1:50 ~ 오후 2:20 (30분) 속성[편집] 단단함 ■ 날카로움 ■ 민첩함 ■ 등장인물[편집] 주연[편집] 나용찬: 밝고 건강한 개구쟁이 소년. 호기심이 강하고 낙천적이다. 강우람: 나용찬과 같은 학교에 다니는 골목대장. 몸집이 크고 성격이 거만하다. 루이킴: 글로벌 대기업 사장의 아들이고 겉모습은 멋지지만 성격이 오만하고 철 없는 채집가 도련님이다. 초신비: 공룡 마술 공연을 하며 노래를 부르는 인기 아이돌 마술사. 홍유미: 씩씩하고 활달한 소녀. 기계를 잘 다루고 공룡도 매우 좋아한다. 티라라: 수수께끼의 소녀. 겉모습은 귀엽지만 수상한 비밀을 품고 있다. 수오: 수수께끼의 소년. 정의감이 강하고 멋있지만 가끔 엉뚱한 실수를 한다. 안경준: 작은 몸집의 학구적인 소년. 컴퓨터에 능하고 아는 것이 많다. 조연[편집] 장세모: 우람이를 따르는 왜소한 소년. 겁이 많고 약하지만 그의 위세를 빌려 항상 잘난 척을 한다. 나나린: 나용찬의 여동생이며 호기심이 많다. 판치: 용찬이네 집의 반려견으로, 멍한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사람 말을 모두 알아듣는 영리한 개다. 박사: 공룡을 연구하고 있는 숲속의 과학자이자 박사님 뭐든지 만들어낼 수 있는 천재지만 실수가 많다. 용찬 엄마: 용찬이네 엄마. 일호&이호: 루이킴의 충직한 보디가드 하지만 충직함보다는 허당끼와 개그질을 보인다. 진짜 칼로비스: 티라라의 아버지로 스테노와는 과거 같은 연구를 하던 동료였다. 악역[편집] 제이(최종보스): 자칭 천재 대학생. 자신 이외의 사람은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삐딱한 나르시스트. 등장 타이니소어 및 관련 메카[편집] 타이니소어[편집] 티라노 트리 브라키오 스테고 파키케 프테라 크로노 옵탈모 니쿠스 사이카 플레시오 미크로 람베오 파키리노 안킬로 딜로포 수쿠스 스피노 카르노 살타 펜타 알로 암모 모사 아노말로 모놀로포 파라사 케찰코 수코미 델타 테리지노 사우로 친타오 아르켈론 디메트로돈 에이니오 아크로칸토 디모르 매머드 사스타 오우라노 니게르 프시타코 카르카로 둔클레오 드라코렉스 아르마딜로 투판닥 케이루스 힐라에오 기가노토 디플로 캡처카[편집] 알키온 ■ 티톤 ■ 아렌 ■ 데본느 ■ 하딘 ■ 집사 칼로비스 ■ 스테노 ■ 카브 ■ 실루아 ■ 밀리트라 ■ 프테리아 ■ 슬로프[편집] 메가티라노 ■ 메가트리케라 ■ 메가스피노 ■ 보유 현황[편집] 인간 보유 타이니소어 나용찬 트리케라, 파케케, 프테라, 람베오, 수쿠스, 카르노, 살타, 펜타, 파라사, 디메트로돈, 매머드, 투판닥 강우람 티라노, 브라키오, 플레시오, 암모, 수코미 루이킴 크로노, 옵탈모, 오우라노, 아르마딜로, 기가노토 초신비 스테고, 니쿠스, 사이카, 미크로, 파키리노, 모사, 모놀로포 홍유미 안킬로, 딜로포, 스피노, 살타, 아노말로, 친타오, 프시타코, 둔클레오, 힐라에오, 디플로 티라라 알로, 케찰코, 테리지노, 아르켈론, 아크로칸토, 사스타, 카르카로, 드라코렉스, 케이루스 수오 델타, 사우로, 에이니오, 디모르, 니게르 안경준 방영 목록[편집]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회차 방송 일자 제목 전국 시청률(증감치) 배틀에 첫 등장한 캡처카, 타이니소어 1회 2017년 11월 23일 공룡이 나타났다?! 0.3% 알키온, 티톤, 티라노, 트리케라 2회 2017년 11월 30일 타이니소어의 수수께끼 0.8% 브라키오 3회 2017년 12월 7일 새로운 채집가 0.5% 아렌, 스테고, 파키케, 프테라 4회 2017년 12월 14일 사라진 타이니소어 0.5% 크로노, 옵탈모 5회 2017년 12월 21일 학교축제의 마술사! 0.5% 데본느, 니쿠스, 사이카 6회 2017년 12월 28일 학교에 가자! 0.5% 플레시오 7회 2018년 1월 4일 타이니소어는 누구의 것? 0.5% 미크로 8회 2018년 1월 11일 루이킴의 특별훈련대작전 0.3% 람베오 9회 2018년 1월 18일 나의 사랑스러운 애완동물 0.3% 파키리노 10회 2018년 1월 25일 위험한 채집가 등장! 0.3% 하딘, 안킬로, 딜로포 11회 2018년 2월 1일 용찬이가 없으면 심심해? 0.4% 수쿠스 12회 2018년 2월 8일 놀이공원에 모인 다섯명의 채집가! 0.5% 스피노 13회 2018년 3월 8일 처음으로 하는 2vs2 배틀 0.4% 카르노 14회 2018년 3월 15일 용찬과 우람의 신경전 0.3% 15회 2018년 3월 22일 결혼기념일 대소동 0.5% 살타 16회 2018년 3월 29일 천둥번개 치던 날 (상편) 0.3% 17회 2018년 4월 5일 천둥번개 치던 날 (하편) 0.3% 암모, 아노말로 18회 2018년 4월 12일 유미가 아이돌이 된다고?! 0.5% 펜타 19회 2018년 4월 19일 유령의 집 대소동 0.5% 20회 2018년 5월 10일 이상한 나라의 나나린 0.4% 모놀로포 21회 2018년 5월 17일 최강공룡 탄생! 공포의 연구실 0.4% 파라사 22회 2018년 5월 24일 수수께끼의 소녀 티라라 0.9% 케찰코 23회 2018년 5월 31일 축제에서 타이니소어 찾기 0.4% 테리지노, 모사 24회 2018년 6월 7일 루이킴은 외로워 0.2% 알로 25회 2018년 6월 14일 안개 속의 소년 0.5% 스테노, 델타 26회 2018년 6월 21일 용찬이만 모르는 일 0.7% 수코미 27회 2018년 7월 5일 루이킴의 선물 0.5% 에이니오 28회 2018년 7월 12일 위기일발 2대1배틀! 0.7% 디모르 29회 2018년 7월 19일 용찬, 로마로 날아가다! 0.5% 아크로칸토 30회 2018년 7월 26일 거대정글, 아마존에서의 배틀 0.6% 아르켈론 31회 2018년 8월 2일 뉴욕 대소동! 0.6% 사우로 32회 2018년 8월 16일 태고로부터의 목소리 0.4% 매머드 33회 2018년 8월 30일 네시와의 우연한 만남! 0.6% 사스타 34회 2018년 9월 6일 사바나에서 살아남기 0.3% 오우라노 35회 2018년 9월 13일 수오의 정체 0.5% 메가트리케라 36회 2018년 9월 27일 잠복은 하와이에서 0.5% 37회 2018년 10월 4일 티라라가 이구아나의 친척이라고?! 0.4% 디메트로돈 38회 2018년 10월 18일 무릉도원에서의 배틀 0.4% 친타오 39회 2018년 10월 25일 메가트리케라의 결심 0.4% 프시타코 40회 2018년 11월 1일 메가트리케라는 어느 편?! 0.6% 니게르 41회 2018년 11월 8일 진짜 공룡이 나타났다?! 0.7% 42회 2018년 11월 14일 캡처카들의 배신 0.6% 케이루스 43회 2018년 11월 15일 캡처카들의 기억을 되찾아라! 0.6% 투판닥, 둔클레오, 아르마딜로 44회 2018년 11월 21일 최강의 비밀병기 등장! 0.5% 메가티라노, 메가스피노 45회 2018년 11월 22일 타임머신 타고 공룡시대로! 0.6% 46회 2018년 11월 28일 티라라와 꼬마 공룡! 0.6% 힐라에오 47회 2018년 11월 29일 안녕? 조상님! 0.4% 카르카로 48회 2018년 12월 6일 공룡들의 최후 0.5% 드라코렉스, 디플로 49회 2018년 12월 12일 진짜 칼로비스의 등장! 0.8% 기가노토 50회 2018년 12월 13일 공포의 실험 0.5% 51회 2018년 12월 20일 개조공롱의 탄생! 0.7% 52회 (최종회) 2018년 12월 27일 최후의 배틀! 그리고 지구은 운명은...? 0.5% 목소리 출연[편집] 안현서: 나용찬 한신: 알키온 서유리: 홍유미, 루이킴 엄마 정선혜: 안경준 소정환: 강우람, 하딘 김은아: 장세모, 요리 선생님(18화) 조경이: 나나린, 진지희(담임 선생님) 홍범기: 공 박사, 루이킴 아빠 양정화: 수오, 용찬 엄마, 이하늘(9화) 민승우: 용찬 아빠, 티톤, 메가티라노 심규혁: 루이킴, 사회자(18화), 카브 정혜원: 초신비 강수진: 일호 김장: 이호, 제이 안영미: 제이 애인, 우람 엄마 정주원: 우람 아빠, 아렌, 메가스피노 조세령: 데본느 여민정: 티라라, 실루아 홍진욱: 집사 칼로비스, 진짜 칼로비스 이장원: 스테노 손수호: 메가트리케라 완구 제품[편집] A[편집] DMP-A001 타이니소어 티라노 DMP-A002 타이니소어 트리케라 DMP-A003 타이니소어 브라키오 DMP-A004 타이니소어 스테고 DMP-A005 타이니소어 파키케 DMP-A006 타이니소어 프테라 DMP-A007 타이니소어 크로노 DMP-A008 타이니소어 옵탈모 DMP-A009 타이니소어 니쿠스 DMP-A010 타이니소어 사이카 DMP-A011 타이니소어 플레시오 DMP-A012 타이니소어 미크로 DMP-A013 타이니소어 람베오 DMP-A014 타이니소어 파키리노 DMP-A015 타이니소어 안킬로 DMP-A016 타이니소어 딜로포 DMP-A017 타이니소어 수쿠스 DMP-A018 타이니소어 스피노 DMP-A019 타이니소어 카르노 DMP-A020 타이니소어 살타 DMP-A021 타이니소어 펜타 DMP-A022 타이니소어 알로 DMP-A023 타이니소어 암모 DMP-A024 타이니소어 모사 DMP-A025 타이니소어 아노말로 DMP-A026 타이니소어 모놀로포 DMP-A027 타이니소어 파라사 DMP-A028 타이니소어 케찰코 DMP-A029 타이니소어 수코미 DMP-A030 타이니소어 델타 DMP-A031 타이니소어 테리지노 DMP-A032 타이니소어 사우로 DMP-A033 타이니소어 친타오 DMP-A034 타이니소어 아르켈론 DMP-A035 타이니소어 디메트로돈 DMP-A036 타이니소어 에이니오 DMP-A037 타이니소어 아크로칸토 DMP-A038 타이니소어 디모르 DMP-A039 타이니소어 매머드 DMP-A040 타이니소어 사스타 DMP-A041 타이니소어 오우라노 DMP-A042 타이니소어 니게르 DMP-A043 타이니소어 프시타코 DMP-A044 타이니소어 카르카로 DMP-A045 타이니소어 둔클레오 DMP-A046 타이니소어 드라코렉스 DMP-A047 타이니소어 아르마딜로 DMP-A048 타이니소어 투판닥 DMP-A049 타이니소어 케이루스 DMP-A050 타이니소어 힐라에오 DMP-A051 타이니소어 기가노토 DMP-A052 타이니소어 디플로 B[편집] DMP-B001 알키온 + 트리케라 DMP-B002 알키온 + 프테라 DMP-B003 티톤 + 브라키오 DMP-B004 티톤 + 티라노 DMP-B005 아렌 + 크로노 DMP-B006 아렌 + 옵탈모 DMP-B007 데본느 + 미크로 DMP-B008 데본느 + 니쿠스 DMP-B009 하딘 + 딜로포 DMP-B010 하딘 + 안킬로 DMP-B011 칼로비스 + 알로 DMP-B012 칼로비스 + 케찰코 DMP-B013 스테노 + 델타 DMP-B014 스테노 + 에이니오 DMP-B015 카브 + 코리리 DMP-B016 실루아 + 카이 C[편집] DMP-C001 카드케이스 DMP-C002 캡슐클립 DMP-C003 카슈터 블루 DMP-C004 카슈터 그린 DMP-C005 카슈터 레드 DMP-C006 메가티라노 DMP-C007 메가트리케라 DMP-C008 메가스피노 DMP-C009 타이니소어 오뚝이 D[편집] DMP-D001 SD 타이니소어 티라노 DMP-D002 SD 타이니소어 트리케라 E[편집] DMP-E001 공룡캡슐 4종 A DMP-E002 공룡캡슐 4종 B DMP-E003 공룡캡슐 4종 C DMP-E004 공룡캡슐 4종 D DMP-E005 공룡캡슐 4종 E F[편집] DMP-F001 액션피규어 티라노사우루스 DMP-F002 액션피규어 트리케라톱스 DMP-F003 액션피규어 브라키오사우루스 DMP-F004 액션피규어 스테고사우루스 DMP-F005 액션피규어 파키케팔로사우루스 DMP-F006 액션피규어 안킬로사우루스 DMP-F007 액션피규어 카르노타우루스 DMP-F008 액션피규어 알로사우루스 DMP-F009 액션피규어 파라사우롤로푸스 DMP-F010 액션피규어 케찰코아틀루스 G[편집] DMP-G001 티라노사우루스 스파크 DMP-G002 트리케라톱스 혼어택 DMP-G003 브라키오사우루스 쇼크 DMP-G004 스테고사우루스 임팩트 DMP-G005 헤딩 파키케팔로사우루스 DMP-G006 프테라노돈 애로우 DMP-G007 찰싹찰싹 크로노사우루스 DMP-G008 휘슬링 옵탈모사우루스 DMP-G009 데이노니쿠스 파티어택 DMP-G010 사이카니아 크래시 DMP-G011 플레시오사우루스 미라지 DMP-G012 미크로사우루스 호크아이 DMP-G013 람베오사우루스 파워 DMP-G014 파키리노사우루스 스피닝 DMP-G015 안킬로사우루스 디펜스 DMP-G016 버닝테일 딜로포사우루스 DMP-G017 데이노수쿠스 파워 DMP-G018 카르노타우루스 플래시 DMP-G019 펜타케라톱스 체인 DMP-G020 파라사우롤로푸스 스탠드 H[편집] DMP-H001 공룡메카드 레이더 DMP-H002 공룡메카드 시계 J[편집] DMP-J001 알키온 타이니소어 빔카 DMP-J002 티톤 타이니소어 빔카 K[편집] DMP-K001 공룡메카드 채집통 DMP-K002 폴딩 타이니소어 배틀필드 DMP-K003 하딘 트리오 배틀필드 세트 DMP-K004 공룡배틀팽이 공룡섬 DMP-K005 공룡메카드 컬렉션 LX 세트 DMP-K006 공룡배틀팽이 트릭필드 DMP-K007 트릭필드 어택세트 DMP-K008 공룡메카드 메가컬레션 세트(카르노 Ver) DMP-K009 카이 트리플스페셜세트 DMP-K010 공룡메카드 메가컬레션 세트(스피노 Ver) L[편집] DMP-L001 타이니소어 알공룡 티라노 DMP-L002 타이니소어 알공룡 트리케라 DMP-L003 타이니소어 알공룡 브라키오 M[편집] DMP-M001 더블피규어세트 티라노사우루스 DMP-M002 더블피규어세트 트리케라톱스 DMP-M003 더블피규어세트 브라키오사우루스 DMP-M004 더블피규어세트 스테고사우루스 DMP-M005 더블피규어세트 파키케팔로사우루스 DMP-M006 더블피규어세트 프테라노돈 DMP-M007 더블피규어세트 크로노사우루스 DMP-M008 더블피규어세트 옵탈모사우루스 DMP-M009 더블피규어세트 데이노니쿠스 DMP-M010 더블피규어세트 사이카니아 DMP-M011 더블피규어세트 플레시오사우루스 DMP-M012 더블피규어세트 미크로랍토르 DMP-M013 더블피규어세트 람베오사우루스 DMP-M014 더블피규어세트 파키리노사우루스 DMP-M015 더블피규어세트 안킬로사우루스 DMP-M016 더블피규어세트 딜로포사우루스 DMP-M017 더블피규어세트 데이노수쿠스 DMP-M018 더블피규어세트 스피노사우루스 DMP-M019 더블피규어세트 카르노타우루스 DMP-M020 더블피규어세트 살타사우루스 DMP-M021 더블피규어세트 펜타케라톱스 DMP-M022 더블피규어세트 알로사우루스 DMP-M023 더블피규어세트 암모나이트 DMP-M024 더블피규어세트 모사사우루스 DMP-M025 더블피규어세트 아노말로카리스 DMP-M026 더블피규어세트 모놀로포사우루스 DMP-M027 더블피규어세트 파라사우롤로푸스 DMP-M028 더블피규어세트 케찰코아틀루스 DMP-M029 더블피규어세트 수코미무스 DMP-M030 더블피규어세트 델타드로메우스 DMP-M031 더블피규어세트 테리지노사우루스 DMP-M032 더블피규어세트 사우로펠타 DMP-M033 더블피규어세트 친타오사우루스 DMP-M034 더블피규어세트 아르켈론 DMP-M035 더블피규어세트 디메트로돈 DMP-M036 더블피규어세트 에이니오사우루스 DMP-M037 더블피규어세트 아크로칸토사우루스 DMP-M038 더블피규어세트 디모르포돈 DMP-M039 더블피규어세트 매머드 DMP-M040 더블피규어세트 사스타사우루스 DMP-M041 더블피규어세트 오우라노사우루스 DMP-M042 더블피규어세트 니게르사우루스 DMP-M043 더블피규어세트 프시타코사우루스 DMP-M044 더블피규어세트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DMP-M045 더블피규어세트 둔클레오스테우스 DMP-M046 더블피규어세트 드라코렉스 DMP-M047 더블피규어세트 아르마딜로수쿠스 DMP-M048 더블피규어세트 투판닥틸루스 DMP-M049 더블피규어세트 데이노케이루스 DMP-M050 더블피규어세트 힐라에오사우루스 DMP-M051 더블피규어세트 기가노토사우루스 DMP-M052 더블피규어세트 디플로도쿠스 DMP-M053 더블피규어세트 카이 N[편집] DMP-N001 밀리트라 DMP-N002 프테리아 관련 서적[편집] 필름북은 서울문화사에서 나오고 있으며, 2019년 3월 기준으로 8권(총 32화)이 나왔다. 그 외의 퍼즐, 스티커북, 물감 색칠놀이북 등도 나오고 있다. 외부 링크[편집] 공룡메카드 홈페이지 KBS 1TV 목요일 애니메이션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꼬마농부 라비(2017년 6월 1일 ~ 2017년 11월 16일) 공룡메카드(2017년 11월 23일 ~ 2018년 12월 27일) 브레드 이발소(2019년 1월 3일 ~ 2019년 4월 4일) vdeh터닝메카드TV 애니메이션 터닝메카드 터닝메카드 W 터닝메카드 R 공룡메카드 요괴메카드 빠샤메카드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 터닝메카드 W: 블랙미러의 부활 터닝메카드 W: 반다인의 비밀 공룡메카드: 타이니소어의 섬 vdeh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음악  · 영화 · 드라마 《가요무대》 《올댓뮤직》 《이웃집 찰스》 《TV는 사랑을 싣고》 《독립영화관》 《노래가 좋아》 《전국노래자랑》 《열린음악회》 《일일연속극》(《여름아 부탁해》) 시사교양 《내고향 스페셜》 《인간극장》 《아침마당》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사사건건》 《동물의 왕국》 《6시 내고향》 《오늘밤 김제동》 《문화산책》 《우리말 겨루기》 《생활의 발견》 《KBS 네트워크 특선》 《UHD 숨터》 《시사기획 창》 《생로병사의 비밀》 《트레킹노트 세상을 걷다》 《KBS 걸작 다큐멘터리》 《사랑의 가족》 《한국인의 밥상》 《KBS 스페셜》 《KBS 중계석》 《TV비평 시청자데스크》 《열린채널》 《거리의 만찬》 《추적 60분》 《다큐세상》 《남북의 창》 《시니어토크쇼 황금연못》 《걸어서 세계속으로》 《구석구석 대한민국 행복한 지도》 《국악한마당》 《동행》 《다큐공감》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특파원 보고 세계는 지금》 《생방송 심야토론》 《일요진단 라이브》 《TV쇼 진품명품》 《도전! 골든벨》 《글로벌 다큐멘터리》 《역사저널 그날》 《저널리즘 토크쇼 J》 《KBS 바둑왕전》 《KBS 영상실록》² 《KBS 국악대상》² 뉴스 《KBS 뉴스광장》 《KBS 930 뉴스》 《KBS 뉴스 12》 《KBS 뉴스 5》 《KBS 뉴스 7》 《KBS 뉴스 9》 (《KBS 스포츠 9》) 《KBS 뉴스 (2430)》 《KBS 주말뉴스》 《KBS 뉴스특보》¹ 스포츠 · 어린이 《KBS 스포츠 중계석》 《꼬마 어사 쿵 도령 2기》 《시노스톤》 《꼬마탐정 토비와 테리 시즌2》 《쥐라기캅스 시즌2》 《출동! 애니멀 레스큐》 《KBS 창작동요대회》² 《국악동요제》² KBS1 KBS2 MBC SBS OBS EBS1 EBS2 ¹ 유동적으로 편성되는 프로그램 ² 1년에 한 번씩 방송되는 프로그램 &(KBSNEWS24와 동시중계되는 프로그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공룡메카드&oldid=24487670" 분류: 터닝메카드201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2017년 애니메이션2018년 애니메이션로봇 애니메이션공룡을 소재로 한 작품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투니버스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대원방송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재능TV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대교어린이TV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애니맥스애니플러스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6일 (수) 20: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공룡메카드》(영어: Dino Mecard)는 메카드 시리즈 중의 하나다. 공룡을 소재로 하여 초이락컨텐츠팩토리, 손오공, 메카드 컴퍼니에서 제작하고 KBS 1TV에서 방송하는 공룡 어드벤처 애니메이션으로, 《터닝메카드》에 이은 새로운 메카드 시리즈이다. 기존의 터닝메카드 시리즈와 달리 배경, 인물, 내용 전개 등이 다르다. 2차원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고 2017년 11월 23일부터 2018년 12월 27일까지 방영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공룡 메카드에 나오는 사람들이 가진 타이니소어들은 어떤것이 있는가? Assistant: 인간 보유 타이니소어 나용찬 트리케라, 파케케, 프테라, 람베오, 수쿠스, 카르노, 살타, 펜타, 파라사, 디메트로돈, 매머드, 투판닥 강우람 티라노, 브라키오, 플레시오, 암모, 수코미 루이킴 크로노, 옵탈모, 오우라노, 아르마딜로, 기가노토 초신비 스테고, 니쿠스, 사이카, 미크로, 파키리노, 모사, 모놀로포 홍유미 안킬로, 딜로포, 스피노, 살타, 아노말로, 친타오, 프시타코, 둔클레오, 힐라에오, 디플로 티라라 알로, 케찰코, 테리지노, 아르켈론, 아크로칸토, 사스타, 카르카로, 드라코렉스, 케이루스 수오 델타, 사우로, 에이니오, 디모르, 니게르 안경준 Human: 아래 수유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수유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유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수유(강북구청) 역명판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서울교통공사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지하338 (수유동 140) 개업일 1985년 4월 20일 역 번호 414 승강장 구조 2면 2선(상대식) 노선 서울 지하철 4호선 당고개 기점 6.4 km ■ 수도권 전철 4호선 ← 쌍문 (1.5 km) 미아 →(1.4 km) 수유(강북구청)역(水踰(江北區廳)驛)은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4호선의 전철역이다. 우이교 하저터널로 쌍문역과 연결된다. 목차 1 역사 2 역 구조 2.1 승강장 3 역 주변 4 이용객 변동 5 사진 6 인접한 역 7 각주 8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83년 9월 13일 : 수유역으로 역명 결정[1] 1985년 4월 20일 : 서울 지하철 4호선 상계 ~ 한성대입구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2001년 : 역사환경 개선 및 지하1층 북단-남단 연결 2010년 5월 29일 : 승강장 횡단 불가 구조로 게이트 구조 변경 2013년 1월 14일 : 3·8번 출구 에스컬레이터 개통 2013년 12월 26일 : 수유(강북구청)역으로 변경[2] 역 구조[편집]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8개다. 또한 1,2,7,8 번 출구끼리, 3,4,5,6 번 출구끼리 모여있다. 이 역은 반대방향으로 횡단이 불가능한 역이다. 승강장[편집] 쌍문 ↑ 하 | | 상 ↓ 미아 상행 ●수도권 전철 4호선 쌍문 · 창동 · 노원 · 당고개 방면 하행 혜화 · 동대문 · 명동 · 안산 · 오이도 방면 역 주변[편집] 강북노인종합복지관 강북구청 수유리시외버스정류장(KD 수유리영업소) 강북경찰서 광산사거리방면 국민연금공단 성북강북지사 대한병원 도봉도서관 북부시장 덕성여자대학교[3] 번1동 행정복지센터 4.19국립묘지 수유3동우체국 수유3동 주민센터 수유중앙시장 우이동 행정복지센터 인수동 행정복지센터 화계사 KRA 플라자 강북지점 롭스 수유점 이용객 변동[편집]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4호선 승차 48,363 51,210 51,110 49,987 49,841 47,514 46,656 46,239 45,530 45,388 [4] 하차 44,647 46,359 46,290 46,852 47,193 46,149 45,578 44,644 43,874 43,922 승하차 93,010 97,569 97,399 96,839 97,034 93,663 92,234 90,883 89,405 89,310 노선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4호선 승차 45,979 46,457 45,815 46,446 46,901 46,854 46,427 43,763 38,862 하차 44,654 45,021 44,504 45,083 45,495 45,446 45,045 42,713 38,244 승하차 90,633 91,478 90,319 91,529 92,397 92,300 91,472 86,476 77,106 사진[편집] 수유역역명판 수유(강북구청)역1번 출입구 수유(강북구청)역2번 출입구 수유(강북구청)역3번 출입구 수유(강북구청)역4번 출입구 수유(강북구청)역5번 출입구 수유(강북구청)역6번 출입구 수유(강북구청)역7번 출입구 수유(강북구청)역8번 출입구 반대편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당시) 인접한 역[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수유역 서울 지하철 4호선 413 쌍문당고개 방면 ■ 수도권 전철 4호선급행 · 완행 415 미아안산 · 오이도 방면 각주[편집] ↑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1983년 9월 13일. ↑ 서울특별시고시 제2013-469호, 2013년 12월 26일. ↑ 현재 4호선 열차 내에서 언급되고 있지만 정작 덕성여자대학교는 우이신설 도시철도의 4.19 민주묘지역과 더 가깝다. ↑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외부 링크[편집] 수유(강북구청)역 서울교통공사 사이버 스테이션 홈페이지) vdeh수도권 전철 4호선서울 지하철 4호선당고개 - 상계 - 노원 - 창동 - 쌍문 - 수유 - 미아 - 미아사거리 - 길음 - 성신여대입구 - 한성대입구 - 혜화 - 동대문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충무로 - 명동 - 회현 - 서울역 - 숙대입구 - 삼각지 - 신용산 - 이촌 - 동작 - 총신대입구 - 사당 - 남태령과천선- 남태령 - 선바위 - 경마공원 - 대공원 - 과천 - 정부과천청사 - 인덕원 - 평촌 - 범계 - 금정 -안산선- 금정 - 산본 - 수리산 - 대야미 - 반월 - 상록수 - 한대앞 - 중앙 - 고잔 - 초지 - 안산 - 신길온천 - 정왕 - 오이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수유역&oldid=24186559" 분류: 수도권 전철 4호선서울 강북구의 전철역1985년 개업한 철도역숨은 분류: 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MagyarInterlinguaItaliano日本語Русскийไทย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5:0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수유(강북구청)역(Suyu(Gangbuk-gu Office) station,水踰(江北區廳)驛)은 서울특별시 강북구 번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전철역이다. 우이교 하저터널로 쌍문역과 연결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수유역 주변에는 무슨 대학교가 있을까? Assistant: 덕성여자대학교
Human: 아래 전주완산경찰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전주완산경찰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주완산경찰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5° 48′ 56″ 동경 127° 08′ 48″ / 북위 35.8154351° 동경 127.1465572°  / 35.8154351; 127.1465572 전주완산경찰서 전주완산경찰서 청사 기본정보 주소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전라감영로 66번지(전동142-1) 지휘체계 국가 대한민국 상급기관 전라북도지방경찰청 관할구역 완산구 일원[1] 지구대파출소 남문지구대, 삼천지구대, 화산지구대 , 서산지구대, 서학파출소, 효자파출소, 서부파출소, 평화파출소 함께 읽기 웹사이트 전주완산경찰서 - 공식 웹사이트 지도 전주완산경찰서(全州完山警察署, Jeonju Wansan Police Station)는 전라북도지방경찰청이 관할하는 경찰서 중 하나이다.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일대를 관할한다.[1]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전라감영로 66번지(전동142-1)에 위치하고 있다. 서장은 경무관으로 보한다.[2] 목차 1 기본 정보 2 관할 파출소 및 지구대 3 각주 4 외부 링크 기본 정보[편집] 주소: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전라감영로 66번지(전동142-1) 우편번호: 560-711 서장 계급: 경무관 (호남 지방 최초 ) 관할 파출소 및 지구대[편집] 명칭 사진 주소 관할구역 치안센터 남문지구대 대동로 95 중앙동, 다가동1·2가, 고사동, 서노송동, 경원동, 풍남동, 전동, 중노송동, 남노송동, 교동 삼천지구대 성지산로 24 삼천동, 중인동, 용복동 화산지구대 서원로 295 중화산동, 태평동, 다가동3·4가 서산지구대 새터로 46 서신동, 상림동, 중동, 효자동3가 일부 서곡치안센터 효자지구대 용머리로 125 효자1·2동, 동완산동, 서완산동, 효자3동 일부 서학파출소 서학로 82 서서학동, 동서학동, 대성동, 색장동 서부파출소 마전들로 1 효자4동 일부 평화파출소 형화로 159 평화동, 석구동, 원당동 각주[편집] ↑ 가 나 대한민국 경찰청 (2016년 12월 5일). “경찰서의 명칭·위치 및 관할구역”.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6년 12월 22일에 확인함.  ↑ 안전행정부 (2014년 3월 11일). “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별표 2의2”. 2014년 6월 2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전주완산경찰서 공식 웹사이트 vdeh 대한민국 경찰청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 검찰청 병무청 방사청 경찰청 소방청 문화재청 농진청 산림청 특허청 기상청 행복청 새만금청 해경청 본청 소속 청장 차장 경찰병원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도서관 경찰교육훈련기관 경찰인재개발원 중앙경찰학교 경찰수사연수원 지방경찰청서울지방경찰청 중부 종로 남대문 서대문 혜화 용산 성북 동대문 마포 영등포 성동 동작 광진 서부 강북 금천 중랑 강남 관악 강서 강동 종암 구로 서초 양천 송파 노원 방배 은평 도봉 수서 직할대 101경비단 기동단 22경찰경호대 국회경비대 서울청사경비대 김포공항경찰대 경찰특공대 202경비대 부산지방경찰청 중부 동래 영도 동부 부산진 서부 남부 해운대 사상 금정 사하 연제 강서 북부 기장 대구지방경찰청 중부 동부 서부 남부 북부 수성 달서 성서 달성 강북 인천지방경찰청 중부 미추홀 남동 논현 부평 삼산 서부 계양 연수 강화 직할대 인천공항경찰대 광주지방경찰청 동부 서부 남부 북부 광산 대전지방경찰청 중부 동부 서부 대덕 둔산 유성 직할대 대전청사경비대 울산지방경찰청 중부 남부 동부 울주 경기남부지방경찰청 수원중부 수원남부 수원서부 안양동안 안양만안 과천 군포 성남수정 성남중원 분당 부천소사 부천원미 부천오정 광명 안산단원 안산상록 시흥 평택 오산 화성서부 화성동탄 용인동부 용인서부 광주 의왕 하남 이천 김포 안성 여주 양평 직할대 과천청사경비대 경기남부기동대 경기북부지방경찰청 의정부 양주 고양 일산동부 일산서부 남양주 구리 동두천 파주 포천 가평 연천 강원지방경찰청 춘천 강릉 원주 동해 태백 속초 삼척 영월 정선 홍천 평창 횡성 고성 인제 철원 화천 양구 충북지방경찰청 청주흥덕 청주상당 청주청원 충주 제천 영동 괴산 단양 보은 옥천 음성 진천 충남지방경찰청 천안서북 천안동남 서산 논산 아산 공주 보령 당진 홍성 예산 부여 서천 금산 청양 태안 세종지방경찰청 세종 직할대 세종청사경비대 전북지방경찰청 전주완산 전주덕진 군산 익산 정읍 남원 김제 완주 고창 부안 임실 순창 진안 장수 무주 전남지방경찰청 목포 여수 순천 나주 광양 고흥 해남 장흥 보성 영광 화순 함평 영암 장성 강진 담양 곡성 완도 무안 진도 구례 경북지방경찰청 경주 포항북부 포항남부 구미 경산 안동 김천 영주 영천 상주 문경 칠곡 의성 청도 영덕 울진 봉화 예천 성주 청송 영양 군위 고령 울릉 경남지방경찰청 창원중부 창원서부 마산중부 마산동부 진주 김해중부 김해서부 진해 통영 사천 거제 밀양 양산 거창 합천 창녕 고성 하동 남해 함양 산청 함안 의령 제주지방경찰청 제주동부 제주서부 서귀포 직할대 해안경비단 산하 공공기관 도로교통공단 소관기관 제주자치경찰단 경찰공제회 재향경우회 총포화약안전기술협회 관련 항목 대한민국의 경찰 대한민국의 경찰관 계급 101경비단 및 202경비대는 서울지방경찰청 소속이지만 대통령경호처가 작전지휘권을 행사한다.[1] 중심경찰서제도[2] 도입으로 서울송파경찰서, 대구성서경찰서, 수원남부경찰서, 분당경찰서, 부천원미경찰서, 청주흥덕경찰서, 전주완산경찰서, 창원중부경찰서 등 7개 경찰서는 경무관(3급 상당)이 경찰서장으로 임용된다. 이 글은 경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전주완산경찰서&oldid=24417261" 분류: 전주시 소재의 관공서전라북도의 경찰서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경찰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2일 (수) 20:0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전주완산경찰서(全州完山警察署, Jeonju Wansan Police Station)는 전라북도경찰청이 관할하는 경찰서 중 하나이다.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일대를 관할한다.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전라감영로 66에 위치하고 있다. 서장은 경무관으로 보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전주시 삼천동,중인동,용복동을 관할하는 지구대는? Assistant: 삼천지구대 Human: 아래 은하중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은하중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은하중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은하팽대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은하중심(銀河中心, galactic center)은 우리 은하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우리 은하는 이 은하중심을 기준으로 자전하고 있다. 지구에서의 거리는 은하수가 가장 밝게 보이는, 궁수자리 방향으로 약 24,800광년(7,600파섹)이다.[1] 우리 은하의 중심부에는 초대질량 블랙홀이 존재한다.[2] 2MASS 적외선 망원경으로 찍은, 은하중심 목차 1 존재 증명 및 위치 2 항성종족 3 같이 보기 4 참고 문헌 존재 증명 및 위치[편집] 시선 방향에 위치한 차가운 성간 구름 때문에 은하중심을 지구에서 가시광선, 자외선, 낮은 엑스선 파장대로 관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은하중심을 관측할 수 있는 파장 영역은 감마선, 높은 엑스선대, 적외선, 전파 파장대이다. 은하중심의 위치는 1918년 할로우 셰플리가 구상 성단 분포를 연구하면서 발견했다. 적도 좌표계에 의한 은하중심의 방위는 다음과 같다: 적경 17h 45m 40.04s, 적위 -29° 00' 28.1" (J2000 원기). 복잡한 전파원 궁수자리 A는 은하중심에 거의 정확하게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복잡하면서 극도로 밀집된 전파원 궁수자리 A*는 우리 은하 중심부에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과 같은 공간을 공유하고 있다. 블랙홀 주변에 형성되어 있을 가능성이 큰 착증 디스크는 전파원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방출하며, 자체 크기는 블랙홀보다 훨씬 더 크다. 다만 이 디스크는 현재의 관측 기구로 보기에는 너무 작다. 은하중심과 또 다른 것으로 은하의 북극점이 있다. 이 북극점은 머리털자리에 있으며, 북극의 방위는 다음과 같다: 적경 12h 51m 25s, 적위 +27˚ 07´ 48˝ 항성종족[편집] 궁수자리 A* 주변 1파섹 범위 내에는 수천 개의 항성들이 있다. 이들 대부분은 늙고 붉은 색의 주계열성들이지만, 무거운 질량을 지닌 별들도 많다. 이 곳에서 OB항성 및 울프-레이에별이 100개 이상 발견되었다. 이들은 모두가 수백만 년 전에 동시에 태어난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젊은 별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전문가들에게 있어 놀라운 사실이었다. 기존의 이론에 의하면 중심부에 있는 블랙홀의 기조력 때문에 항성이 생겨날 수 없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를 젊음의 역설(paradox of youth)이라고 부른다(S2의 경우는 궁수자리 A*에 매우 가까이 붙어 돌고 있는 항성으로, 젊음의 역설을 더욱 극명하게 보여주는 존재이다). 이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으로, 질량이 큰 성단에서 떨어져 나온 별들이 자리를 옮겨 왔거나, 또는 중심 블랙홀 근처에 형성된, 질량이 크면서 작은 크기의 착증 디스크에서 항성이 탄생했다고 보고 있다. 재미있는 점은 이들 100개 젊은 별은 중심부 블랙홀 사방으로 불규칙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이 한 면( UCLA group을 참고) 또는 두 개의 면( MPE group을 참고) 위에 분포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시점에서 이 관측 결과에 대해 확증적인 결론을 내리지는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은하중심에서 항성은 새로 태어나고 있지는 않아 보이지만, 은하중심을 도는 분자 구름의 핵주위원반지대는 항성이 탄생하기에 적합한 조건을 갖춘 곳으로 보인다. 안토니 스타크, 크리스 마틴은 2002년 은하중심 주위 400광년 이내의 가스 밀도를 지도로 그려 냈는데, 여기에는 태양 질량의 수백만 배에 이르는 고리가 있었으며 항성이 탄생하기에 충분한 밀도의 물질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들은 약 2억 년 내로 은하중심에서, 현재의 수백 배에 이르는 비율로 항성들이 빠르게 태어나고 초신성으로 일생을 마치는 스타버스트 사건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스타버스트와 함께, 물질들이 블랙홀로 떨어지면서 은하 제트 현상도 일어날 것이다. 우리 은하는 5억 년마다 한 번씩 스타버스트 사건을 겪는 것으로 생각된다. 같이 보기[편집] 은하반중심방향 은하좌표계 궁수자리 B2 참고 문헌[편집] ↑ “SINFONI in the Galactic Center: young stars and IR flares in the central light month”.  ↑ "Seeing a Star Orbit around the Supermassive Black Hole at the centre of the Milky Way", R. Schödel, et al., Nature, Vol 419, pp. 694-696, 2002-10-16 vdeh우리은하위치 우주 → 관측 가능한 우주 → 라니아케아 초은하단 → 처녀자리 초은하단 → 국부은하군 → 은하수 준은하군 → 우리은하 은하핵 우리은하의 중심 → 태양계 → 지구 나선팔 궁수자리-용골자리 팔 방패자리-남십자자리 팔 직각자자리-백조자리 팔 페르세우스자리 팔 오리온자리 팔 3킬로파섹 팔 위성 은하왜소은하 목동자리 사냥개자리 큰개자리 용골자리 용자리 화로자리 사자자리 I 사자자리 II 봉황자리 궁수자리 물병자리 조각가자리 큰곰자리 I 큰곰자리 II 작은곰자리 기타 은하 대마젤란 은하 소마젤란 은하 NGC 6822 불꽃놀이 은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은하중심&oldid=22364377" 분류: 우리은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বাংলাBosanski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LëtzebuergeschLietuviųBahasa Melayu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2일 (수) 17:5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은하중심(銀河中心, galactic center)은 우리 은하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우리 은하는 이 은하중심을 기준으로 자전하고 있다. 지구에서의 거리는 은하수가 가장 밝게 보이는, 궁수자리 방향으로 약 24,800광년(7,600파섹)이다. 우리 은하의 중심부에는 초대질량 블랙홀이 존재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미래에 은하 중심에서 항성 탄생과 은하제트 발생 예상 시나리오는? Assistant: 현재 은하중심에서 항성은 새로 태어나고 있지는 않아 보이지만, 은하중심을 도는 분자 구름의 핵주위원반지대는 항성이 탄생하기에 적합한 조건을 갖춘 곳으로 보인다. 안토니 스타크, 크리스 마틴은 2002년 은하중심 주위 400광년 이내의 가스 밀도를 지도로 그려 냈는데, 여기에는 태양 질량의 수백만 배에 이르는 고리가 있었으며 항성이 탄생하기에 충분한 밀도의 물질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들은 약 2억 년 내로 은하중심에서, 현재의 수백 배에 이르는 비율로 항성들이 빠르게 태어나고 초신성으로 일생을 마치는 스타버스트 사건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스타버스트와 함께, 물질들이 블랙홀로 떨어지면서 은하 제트 현상도 일어날 것이다. 우리 은하는 5억 년마다 한 번씩 스타버스트 사건을 겪는 것으로 생각된다.
Human: 아래 쓰바메_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쓰바메 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쓰바메 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쓰바메역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쓰바메 개괄 관할 기관 동일본 여객철도 소재지 일본 니가타현 쓰바메 시 좌표 북위 37° 40′ 2.93″ 동경 138° 55′ 42.46″ / 북위 37.6674806° 동경 138.9284611°  / 37.6674806; 138.9284611 개업일 1922년 4월 20일 승강장 구조 2면 2선 노선 ■ 야히코 선 야히코 기점 10.3km ← 니시쓰바메 (2.3 km) 쓰바메산조 →(2.6 km) 쓰바메 역(일본어: 燕駅)은 일본 니가타현 쓰바메 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야히코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목차 1 타는 곳 2 이용 현황 3 역 주변 4 인접 역 타는 곳[편집] 1 · 2 ■ 야히코 선 하행 히가시산조 방면 상행 요시다 · 야히코 방면 ■ 에치고 선 직통 운전 포함 이용 현황[편집] 승차 인원 추이 연도 1일 평균 2000 1,418 2001 1,339 2002 1,286 2003 1,245 2004 1,188 2005 1,155 2006 1,104 2007 1,126 2008 1,157 2009 1,099 2010 1,140 2011 1,184 2012 1,178 2013 1,137 2014 1,069 2015 1,040 역 주변[편집] 나카노쿠치 강 인접 역[편집] 동일본 여객철도 야히코 선 니시쓰바메야히코 방면 ■ 야히코 선 쓰바메산조히가시산조 방면 vdeh 야히코 선야히코 - 야하기 - 요시다 - 니시쓰바메 - 쓰바메 - 쓰바메산조 - 기타산조 - 히가시산조1985년 폐지 구간: 히가시산조 - 에치고오사키 - 오우라 - 에치고나가사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쓰바메_역&oldid=22132640" 분류: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니가타현의 철도역쓰바메시의 철도역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8월 28일 (화) 12:0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쓰바메역(일본어: 燕駅)은 일본 니가타현 쓰바메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야히코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쓰바메역 이용 현황 중 2005년도의 1일 평균 승차 인원은 몇 명인가? Assistant: 1,155 Human: 아래 피카르다_부에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피카르다 부에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피카르다 부에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피카르다부에리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피카르다 부에리 작위 ' 신상정보 출생일 1368년 출생지 베로나 사망일 1433년 사망지 피렌체 공화국 피렌체 가문 부에리 가문 부친 에도아르도 부에리(Edoardo Bueri) 배우자 조반니 디 비치 데 메디치 자녀 코시모 데 메디치 로렌초 일 베키오 피카르다 부에리(이탈리아어: Piccarda Bueri,1368년[1]–1433년[2])는 르네상스 시기 이탈리아 귀족여성이다. 목차 1 생애 2 자녀 3 대중 매체에서 등장 4 각주 5 출처 생애[편집] 그녀는 피렌체와 다른 도시들에 경제적 이익을 취하던 피렌체 출신의 귀족 가문의 일원인 에도아르도 부에리(Edoardo Bueri)의 딸이였다. 그녀는 1386년에 젊은 은행가인 조반니 디 비치 데 메디치와 혼인했다.[1] 그녀는 결혼에 대한 지참금으로 1,500 플로린을 가져왔다.[1] 그녀는 그녀의 미모로 유명했지만 남편은 못생긴 것으로 유명했다. 이 결혼은 그가 귀족 출신이 아니였기에, 조반니와 그의 아이들에게 존경을 가져다주었다. 그가 죽기 바로 전에, 그는 그녀에게 아이들을 잘 돌봐달라고 부탁했었다. 그녀는 사망 후 산 로렌초 성당의 구 성물안치소에 그와 함께 묻혔다.[3] 그녀의 죽음에, 카를로 마르수피니는 그녀의 칭송을 노래했던 찬사를 썼으며, 그는 피카르다와 조반니 사이의 사랑을 고대의 유명한 부부들의 사랑과 비교했다.[3][4] 그것에서 그는 그녀를 페넬로페, 아르테미시아 2세, 율리아, 포르키아 칸토니스와 비교했다. 자녀[편집] 코시모 디 조반니 데 메디치 다미아노 디 조반니 데 메디치(Damiano di Giovanni de' Medici) 로렌초 디 조반니 데 메디치 대중 매체에서 등장[편집] 피카르다 부에리는 2016년 tv 드라마 메디치: 피렌체의 주인들에서 프랜시스 바버이 연기했다.[5] 각주[편집] ↑ 가 나 다 Tomas 2003, 16쪽. ↑ Tomas 2003, 7쪽. ↑ 가 나 Pernis 2006, 9쪽. ↑ Tomas 2003, 14쪽. ↑ “Medici: Masters of Florence”. 《Internet Movie Database》. 2016년 12월 24일에 확인함.  출처[편집] Pernis, Maria Grazia; Adams, Laurie (2006). 《Lucrezia Tornabuoni de' Medici and the Medici family in the fifteenth century》. New York: Peter Lang Publishing, Inc.  Tomas, Natalie R. (2003). 《The Medici Women: Gender and Power in Renaissance Florence》. Aldershot: Ashgate. ISBN 075460777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피카르다_부에리&oldid=21802672" 분류: 1368년 태어남1433년 죽음메디치가피렌체 출신14세기 이탈리아 사람15세기 이탈리아 사람숨은 분류: 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BrezhonegEnglishEspañolFrançaisItaliano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7월 18일 (수) 10:4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피카르다 부에리(이탈리아어: Piccarda Bueri,1368년–1433년)는 르네상스 시기 이탈리아 귀족여성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피카르다 부에리는 누구랑 결혼했어? Assistant: 조반니 디 비치 데 메디치
Human: 아래 이토_히로부미_저격_사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토 히로부미 저격 사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토 히로부미 저격 사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하얼빈역 1번 플랫폼에서 안중근이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곳 하얼빈역 1번 플랫폼에서 안중근의 저격으로 이토 히로부미가 쓰러진 곳 이토 히로부미 저격 사건은 1909년 10월 26일 안중근이 하얼빈 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한 사건이다. 목차 1 배경 2 사건 과정 3 안중근 의사의 사형 4 이후 5 독립군 6 영상 필름의 존재 여부 7 외부 링크 8 각주 배경[편집] 4차례나 일제의 총리를 지낸 정치가 이토 히로부미는 1905년 대한제국과 을사늑약을 맺는 데에도 크게 역할했다. 그가 만주를 방문하여 러시아와 회담을 갖는다는 소식을 대동공보사에서 전해들은 안중근은 이토 히로부미 처단에 자원했다. 만주의 독립 운동가 안중근, 우덕순, 조도선, 유동하, 유승렬, 김성화, 탁공규는 7인 동맹을 맺고 처단을 계획했다. 10월 21일에 대동공보사 기자 이강(李剛)의 지원을 받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떠난 안중근은 우덕순과 조도선, 유동하와 함께 하얼빈에 도착했다. 당초 계획은 동청철도(東淸鐵道)의 출발지인 장춘의 남장춘(南長春), 관성자(寬城子)역과 도착지인 하얼빈, 채가구(蔡家溝)역의 4개 지점에서 암살을 시도하려 하였으나 자금과 인력이 부족하여 도착지인 하얼빈과 채가구에서 저격하기로 계획을 변경하였다. 그러나 채가구역에서의 계획은 이를 수상하게 여긴 러시아 경비병에 의해 실패했다. 당초 러시아 당국은 이토 일행의 안전을 위해 하얼빈 역 현장을 엄격히 통제할 예정이었지만 일본 총영사 가와카미 도시히코가 ‘많은 일본인들이 역 앞에서 이토 일행을 환영할 수 있도록 허용해 달라’고 요청해 경호를 강화하지 않았다.[1] 사건 과정[편집] 1909년 10월 26일 오전 9시 일본 제국의 전 총리이자 제1대 조선통감이었던 추밀원 의장 이토 히로부미는 러시아의 재무상 블라디미르 코콥초프(Vladimir Kokovtsov)와 회담하기 위해 하얼빈 역에 도착했다. 이토가 오전 9시 15분 하얼빈 역에 도착해 차내에서 약 20분 정도 코콥초프와 대화한 후, 그의 권유에 따라 명예 사령관으로서 러시아 수비병을 사열하기 위해 열차에서 내렸다.[2] 그가 수행원의 안내를 받으며 러시아 군대 앞을 막 지나가는 순간, 안중근이 총알을 발사하여 이토를 명중시켰다. 그 중 두발은 복부에 맞았다. 안중근은 혹시 이토 히로부미가 아닐 것을 대비해 다시 3발로 주위의 수행비서관 모리 다이지로, 하얼빈 주재 일본 제국 총영사 가와카미 도시히코 (川上俊彦), 만주 철도의 이사 다나카 세이타로를 쏘았다. 블라디미르 코콥초프 러시아 재무장관은 눈앞에서 일어난 사고에 당황하지 않고 쓰러진 이토를 부축했으며 이토는 그의 품에 쓰러졌다.[3] 수행원인 무로다(室田義文), 나카무라(中村是公) 등도 다급하게 이토를 껴안아 보호했다.[2] 이때 안중근은 러시아 헌병에게 체포되었다.[4] 안중근은 그 다음 에스페란토어로 '코레아 후라(한국 만세)!' 를 두어 차례 외친 뒤 러시아 헌병에게 잡혔다. 이토는 "당했다"라고 한마디 하였다.[2] 수행원들은 우선 이토를 차내로 옮기고 이토가 좋아하는 브랜디를 한잔 따라 건네주었다.[2] 이토는 이때 지팡이를 꼭 잡고 있어서 무로다가 이것을 빼내고 그의 손을 꼭 잡았다.[2] 이토 히로부미는 잠시 신음하다가 피격 30분 뒤인 오전 10시경에 사망했다.[2] 안중근 의사의 사형[편집] 안중근 의사는 만주 뤼순 감옥에 갇혀 재판을 받아 사형을, 함께 거사했던 우덕순은 3년 형, 조도선과 유동하는 1년 6개월 형을 선고받았다. 거사를 배후에서 도운 재 러시아 갑부인 교포 최재형이 러시아인 변호사를 준비시켰으나 일본은 러시아인 변호사의 접견을 금지했다. 안중근은 1910년 3월 26일 오전 10시에 교수형을 당했다. 이후[편집] 하얼빈 역 1번 플랫폼에는 거사 현장에 두 개의 도형이 그려져 있다.바닥에 안중근의 저격 지점과 이토의 피격 지점을 표시했다. 저격 지점엔 가로·세로 각각 50cm 크기의 정사각형 안에 세모를 그려 놓았다. 세모의 한 꼭짓점이 이토가 섰던 자리를 가리켰다. 이토의 피격 지점엔 정사각형 속에 또 다른 네모를 각도를 50도 정도 틀어 그려 놓았다.[5] 이토 히로부미 - 일본 제국의 추밀원 의장(전 총리. 제1대 조선통감), 3발 피격, 사망 가와카미 도시히코 - 하얼빈 총영사, 총 1발로 부상 모리 야스지로 - 궁대 대신 비서관, 총 1발로 부상 다나카 세이지로 - 만주 철도 이사, 총 1발로 부상 독립군[편집] 안중근 - 1910년 3월 26일에 교수형 우덕순 - 3년 형 선고 조도선 - 1년 6개월 형 선고 유동하 - 1년 6개월 형 선고 최재형 - 러시아의 갑부. 거사의 배후지원 영상 필름의 존재 여부[편집] 이 목록은 아직 미완성입니다. 여러분이 편집하여 채워 주세요. 2009년 10월 24일, KBS 1TV의 역사 다큐멘터리 《역사스페셜》에서 ‘[안중근 의거 100년] 이토 저격 영상을 찾아라’라는 에피소드를 방영했다. 신운용 안중근기념사업회 책임연구원은 NHK가 1995년에 제작한 다큐멘터리의 일부분에서 의거 당일 동영상을 보고 저격하는 순간의 장면이 없어서 의아해 했다. 저격 후 보도된 여러 신문 기사들 중 대한매일신보 1909년 11월 21일자에 “한 러시아인(코프지에프)이 촬영한 이 활동사진엔 안중근이 뛰어나와 7연발 단총으로 이토를 저격하는 광경과 이토의 비서관 등이 쓰러지는 모습이 정밀히 찍혀 있다” 라는 것을 보면, 어딘가에 영상의 원본이 있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제작진은 NHK에게 1995년에 제작한 다큐멘터리에 나온 의거 당일 동영상의 출처를 묻고, 원본 영상은 일본의 영자신문 자판프레스 사원인 다노모기가 샀고, 행방이 묘연해졌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NHK 다큐멘터리에 쓰인 영상이 1941년에 아사히신문사에서 제작한 〈뉴스영화발달사 약진의 흔적〉을 편집한 것이라는 것을 알자 그것의 복사본을 구입했다. 그 영상에는 NHK 다큐멘터리에 수록된 것에는 없는 장면이 나와 있었다. 하지만 저격하는 장면은 없었다. 외부 링크[편집] 사이토 슈코(斎藤充功)[6] 의 『伊藤博文を撃った男.. 革命義士安重根の原像』 時事通信社(1994). 각주[편집] ↑ 노창현, ‘한국의 복수, 이토 히로부미 죽였다’ NYT 105년 전 대서특필, 뉴시스 ↑ 가 나 다 라 마 바 나카무라, 기쿠오 (2000). 《이등박문》. 중심. ISBN 8995040432.  ↑ 김성현, 안중근 의사 하얼빈 의거 직후 정황 묘사한 러시아 신문 발견, 조선일보 ↑ 안, 중근 (2000). 《안중근 의사 자서전》. 범우사. 100쪽. ISBN 8908031820.  ↑ (안중근 의거 100년) 100년 전 역사의 현장엔 세모·네모 ‘두 암호’만 … 2009년 10월 23일 ↑ 사이토 슈코의 약력 vdeh한일 병합총론 한일 병합 대한제국 일본 제국 통감부 일제 강점기 조약 강화도 조약(1876) 제물포 조약(1882) 한성조약(1885) 한일의정서(1904.2) 제1차 한일 협약(1904.8) 한일통신협정(1905.4) 한일약정서(1905.8) 제2차 한일협약(을사조약, 1905.11) 한일신협약(정미조약, 1907) 기유각서(1909) 경찰권 피탈(1910) 한일 병합 조약(1910) 제3국과의 조약 시모노세키 조약(1895) 가쓰라-태프트 밀약(1905) 포츠머스 조약(1905) 영일 동맹 루트 다카히라 협정(1908) 간도 협약(1909) 관련 사건 청일 전쟁(1894~1895) 러일 전쟁(1904~1905) 헤이그 특사 사건(1907) 대한제국 군대 해산(1907) 이토 히로부미 저격 사건(1909) 한국 국내정치 일진회 일한합방성명서 의병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토_히로부미_저격_사건&oldid=24440398" 분류: 1909년 한국1909년 일본1909년 중국1909년 10월10월 26일한국의 독립운동하얼빈시의 역사안중근이토 히로부미저격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17일 (월) 13: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토 히로부미 저격 사건(伊藤博文暗殺事件)은 1909년 10월 26일 안중근이 하얼빈 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한 사건이다. 안중근은 정치가 이토 히로부미의 암살을 성공하는데에도 크게 기여했다. 그가 만주를 방문하여 러시아와 회담을 갖는다는 소식을 대동공보사에서 전해들은 안중근은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하는 것에 자원했다. 만주의 독립 운동가 안중근, 우덕순, 조도선, 유동하, 유승렬, 김성화, 탁공규는 7인 동맹을 맺고 처단을 계획했다. 10월 21일에 대동공보사 기자 이강(李剛)의 지원을 받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떠난 안중근은 우덕순과 조도선, 유동하와 함께 하얼빈에 도착했다. 당초 계획은 동청철도(東淸鐵道)의 출발지인 장춘의 남장춘(南長春), 관성자(寬城子)역과 도착지인 하얼빈역, 채가구(蔡家溝)역의 4개 지점에서 암살을 시도하려 하였으나 자금과 인력이 부족하여 도착지인 하얼빈과 채가구에서 저격하기로 계획을 변경하였다. 그러나 채가구역에서의 계획은 이를 안 러시아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토 히로부미가 죽은 곳은? Assistant: 하얼빈 Human: 아래 이진화_십진법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진화 십진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진화 십진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바이너리 클럭은 LED를 사용하여 이진값을 표현할 수 있다. 이 클럭에서 각 LED 컬럼은 전통적인 육십진법 시간의 이진화 십진법 수치를 보여준다. 이진화 십진법(Binary-coded decimal, BCD)은 이진수 네 자리를 묶어 십진수 한 자리로 사용하는 기수법이다. 이진수 네 자리가 십진수 한 자리에 바로 대응되기 때문에 변환이 편하나, 쓰이지 않고 버려지는 데이터가 많아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더라도 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다. 목차 1 규칙 1.1 변환 2 묶음 이진화 십진법 2.1 집적도가 더 높은 부호들 3 존 십진법 4 역사 5 같이 보기 6 외부 링크 규칙[편집] 십진법 0 1 2 3 4 5 6 7 8 9 BCD 0000 0001 0010 0011 0100 0101 0110 0111 1000 1001 이진화 십진법은 특히 숫자의 십진 출력을 요하는 전자 회로와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많이 사용되는데, 이는 순수 이진법으로 표현된 숫자를 십진법으로 출력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나눗셈 회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진화 십진법을 사용할 경우 각 자리 별로 하나씩 간단한 변환 회로를 만들어서 7세그먼트 표시 장치 등에 바로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현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일부 프로세서는 아예 BCD로 덧셈과 뺄셈 등의 간단한 연산을 할 수 있는 명령을 갖추고 있다. 그 예로 6502에는 BCD모드가 존재하며, 8086에는 BCD연산을 위한 보조 캐리 플래그가 있다. 이진화 십진법에서 십진법의 각 자리는 다음 표에 따라 네 개의 비트로 변환된다. 역변환도 동일하다. 따라서 십진법 숫자 729는 이진화 십진법으로 0111 0010 1001로 표현된다. 많은 컴퓨터가 8비트를 묶어서 1바이트로 처리하기 때문에, 이런 환경에서 이진화 십진법을 저장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한 바이트에 한 자리만을 저장하고, 남는 네 자리를 0000이나 1111(EBCDIC의 경우), 또는 0011(ASCII의 경우) 등으로 채운다. 한 바이트에 두 자리를 저장한다. 변환[편집] 이 문단은 아직 미완성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진법으로 표현된 숫자를 이진화 십진법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원래 숫자를 반복적으로 10으로 나누고 나머지를 취하는 연산이 필요하다. 이 연산은 비트 시프트 연산과 조건부 덧셈으로 나눗셈을 구현하는 시프트-더하기-3 알고리즘으로 구현할 수 있다. 묶음 이진화 십진법[편집] 묶음 이진화 십진법(Packed BCD) 또는 줄여서 묶음 십진법(Packed decimal)은 널리 쓰이는 이진화 십진법의 변형으로, 한 바이트에 두 자리를 묶어서(pack) 저장하고 마지막 자리에 해당하는 4비트를 부호로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한다. 다른 자리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부호 자리는 9보다 큰 숫자를 사용하며, 그 대응은 다음과 같다. 부호 자리 이진법 대응되는 부호 A 1010 + B 1011 - C 1100 + (선호됨) D 1101 - (선호됨) E 1110 + F 1111 + (부호 없음) 따라서 +729는 0111 0010 1001 1100 또는 16진법으로 72 9C로 표현되고, -729는 72 9D로 표현된다. 이 표현은 일반 이진화 십진법과 마찬가지로 EBCDIC이나 ASCII와의 변환이 간단하며, 한편으로는 이진화 십진법과 같이 공간 집적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집적도가 더 높은 부호들[편집] 일반적인 이진화 십진법과 묶음 이진화 십진법을 그대로 사용하면 십진법 세 자리를 나타내는 데는 12비트가 필요하다. 하지만 210 > 103이므로, 적절한 부호화 방법을 마련하면 세 자리를 10비트로 나타낼 수 있고, 따라서 공간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런 부호화 방법으로는 첸-호 부호화와 집적된 묶음 십진법이 있는데, 특히 후자의 경우 십진법 세 자리보다 더 적은 자리들도 10비트의 부분으로만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임의 자릿수의 십진법을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존 십진법[편집] IBM을 비롯한 몇몇 메인프레임 시스템은 존 십진법(Zoned decimal) 표현을 지원한다. 이 방법은 한 바이트에 한 자리를 하위 4비트로 저장하고, ‘존(zone)’이라 불리는 상위 4비트를 특정한 비트열로 채워서 문자에 대응하도록 한 것이다. EBCDIC의 경우 이 존 비트가 1111에 해당하며, ASCII의 경우 0011에 해당한다. 어느 경우든 존 비트와 하위 4비트를 합하면 해당 숫자를 나타내는 문자에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존 십진법에서 마지막, 즉 최하위 바이트의 존 비트는 부호를 나타내며, 이 부호 자리는 앞의 묶음 부호화 십진법과 동일하다. 따라서 존 십진법으로 +729는 11110111 11110010 11001001 또는 16진법으로 F7 F2 C9가 되며, -729는 F7 F2 D9가 된다. 역사[편집] IBM은 전통적으로 ‘이진화 십진법’이라는 용어를 6비트 문자 부호화 방법을 나타내는 데 사용했다. 이 방법은 이진화 십진법의 하위 4비트와 함께 상위 2비트를 사용하여 숫자, 로마자 대문자와 특수 문자를 표현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일반 숫자는 상위 2비트가 둘 다 0으로 채워졌다. 이 부호화는 IBM 1620, IBM 1400 계열 컴퓨터를 비롯한 초기 IBM 시스템에서 사용되다가 8비트 EBCDIC으로 대체되었다. 1972년에 미국 대법원은 이진화 십진법으로 부호화된 숫자를 이진법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한 특허를 인정했던 원심을 무효화하였다. (Gottschalk v. Benson을 참고하라.) 이 결정은 소프트웨어 및 알고리즘이 특허로 인정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사례로 남아 있다. 같이 보기[편집] 첸-호 부호화 집적된 묶음 십진법 그레이 부호 EBCDIC 3 초과 부호 외부 링크[편집] (영어) IBM: 첸-호 부호화 요약 (영어) IBM: 집적된 묶음 십진법 요약 (영어) 시프트-더하기-3 알고리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진화_십진법&oldid=23041000" 분류: 컴퓨터 산술기수법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미완성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বাংলা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LatviešuMirandés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සිංහල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7일 (토) 21: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진화 십진법(Binary-coded decimal, BCD)은 이진수 네 자리를 묶어 십진수 한 자리로 사용하는 기수법이다. 이진수 네 자리가 십진수 한 자리에 바로 대응되기 때문에 변환이 편하나, 쓰이지 않고 버려지는 데이터가 많아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더라도 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존 십진법의 기본적인 작동 원리는 무엇인가? Assistant: IBM을 비롯한 몇몇 메인프레임 시스템은 존 십진법(Zoned decimal) 표현을 지원한다. 이 방법은 한 바이트에 한 자리를 하위 4비트로 저장하고, ‘존(zone)’이라 불리는 상위 4비트를 특정한 비트열로 채워서 문자에 대응하도록 한 것이다. EBCDIC의 경우 이 존 비트가 1111에 해당하며, ASCII의 경우 0011에 해당한다. 어느 경우든 존 비트와 하위 4비트를 합하면 해당 숫자를 나타내는 문자에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Human: 아래 티부모형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티부모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티부모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목차 1 티부모형 2 개요 3 가정 4 참고 문헌 티부모형[편집] 티부분류(Tiebout sorting), 티부이동(Tiebout migration), 티부가설(Tiebout hypothesis)로 불리는 티부모형은 티부(Charles Tiebout)의 저서 “A Pure Theory of Local Expenditures(1956)” 에서 처음으로 제시된 긍정적 정책이론(positive political theory)모형이다. 이 모형의 논점은 지방정부에서 무임승차에 관한 비정치적 해결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개요[편집] 티부는 이모형을 무임승차문제는 반드시 정치적인 해결을 요구한다고 주장한 Richard Musgrave와 함께 대학원 세미나에서 비공식적으로 제안하였다. 후에 박사학위를 딴후 티부는 그의 가설 정리한 후 ‘Journal of Political Economy’를 통해 1956년 출간하였다. 그는 다영한 가격(세율)하에 다양한 재화(정부서비스;government services) 묶음을 제공하는 지방자치제를 설명하였다. 개인들은 각 서비스들에 대한 개인적인 가치와 세금을 지불할 능력에 따라 자신의 효용을 극대화 한다고하면 한 지역사회에서 다른지역사회로 이동할 것이라고 주어진다. 이 모형은 개인의 선택과정에 따라 최적의 인구를 구성함으로써 지역관할, 거주자들의 선호에따라 지방공공재의 균형적인 분배를 이룰 것이라고 말한다. 이 모형은 정부 공급의 두가지 주요 문제를 해결하는데 이점이 있다 : 현시선호(preference revelation)와 총량선호(preference aggregation). 가정[편집] 티부모형은 몇가지 기본 가정을 둔다. 첫번째 가정은 소비자들은 사회를 자유롭게 선택할수 있으며 완전한 정보와 완전한 이동을 갖는다. 이 의미는 핵심은 다른사회로의 이동은 비용을 초래하지 않고 지방정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세금에 대해 그들이 완전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티부모형은 많은 여러 다른 독립적인 지역사회와 더불어 교외지역에서 대부분 정확함을 보인다. 지역사회간 이동은 낮은 비용과 가능한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지방의 홍수 문제를 통해 티부분류는 더 부유한 사람이 강 제방시설에 의해 보호되는 지역에 사는 반면 더 가난한 주민들은 이러한 비싸고 보호시설의 없는 곳에 사는지 설명한다. 티부모형의 첫번째 설명에 대한 가정은 다음과 같다. 이동가능한 소비자 : 소비자들은 그들이 살곳을 마음데로 고를 수 있다. 이것엔 비용이 포함되지 않는다. 완전한 정보의 보유. 선택할수 있는 충분히 많은 사회. 통근은 논외. 공공재는 사회를 이동함에 있어서 비용편익에 있어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시의 최적 규모(optimal size)는 존재한다 : 규모의 경제 지역사회들은 “최적 규모”를 달성하려고 한다. 사회는 이성적이며 ‘나쁜(bad)’ 소비자들은 멀리하려 노력한다. 참고 문헌[편집] Tiebout, C. (1956), “A Pure Theory of Local Expenditure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64 (5), 416–424쪽, doi:10.1086/257839 . Woo, Seokjin (2005), “Tiebout Migration and Retirement of Older Workers” (PDF), 《Job market paper.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티부모형&oldid=19122688" 분류: 정치 이론경제학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FrançaisРусскийTagalogTürkçeTiếng Việt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7년 7월 25일 (화) 01: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티부분류(Tiebout sorting), 티부이동(Tiebout migration), 티부가설(Tiebout hypothesis)로 불리는 티부모형은 티부(Charles Tiebout)의 저서 “A Pure Theory of Local Expenditures(1956)”에서 처음으로 제시된 긍정적 정책이론(positive political theory)모형이다. 이 모형의 논점은 지방정부에서 무임승차에 관한 비정치적 해결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티부가 박사 학위를 딴 이후에 티부모형을 공식적으로 제안한 년도는 언제인가? Assistant: 1956년 Human: 아래 야마토_민족을_중핵으로_하는_세계정책의_검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야마토 민족을 중핵으로 하는 세계정책의 검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야마토 민족을 중핵으로 하는 세계정책의 검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야마토 민족을 중핵으로 하는 세계정책의 검토』(大和民族を中核とする世界政策の検討)는, 1943년 7월 1일부로 일본의 후생성 연구소 인구민족부 (현 국립 사회보장-인구문제 연구소)가 작성한 비밀 보고서이다. 3분책 3,137페이지로 된 보고서는 주로 인종이론을 다루고 있으며, 전시중의 타민족관의 기초 및 일본 점령 하의 아시아의 전망을 논하고 있다.[1] 기밀문서로 작성되어 100부밖에 인쇄되지 않은데다가, 전쟁 수행에 특출난 영향을 끼치지 않았기 때문에 오랫동안 잊혀져 있었는데, 1986년에 역사가 존 다워가 저서 War without Mercy: Race and Power in the Pacific War[2] (일본어역 용서없는 전쟁 - 태평양전쟁에서의 인종차별[3])에서 사료로 인용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1981년에 분쇼쇼인이 전 6권으로 복각하여, 함께 복각한 '전쟁이 인구에 끼치는 영향'의 2권과 함께 간행하고 있다. 목차 1 내용 1.1 영토확대의 논거 1.2 야마토 민족의 생존권 확보와 식민정책 1.3 인종적 우월 2 서지 3 각주 4 같이 보기 내용[편집] 영토확대의 논거[편집] 문서는 논문형식으로 되어 있고,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카를 하우스호퍼 등의 근대 독일 사회학자에 이르는 서양철학의 인종관을 개괄하고 있다. 인종 차별과 국가주의, 제국주의적 자본주의의 관련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고, 결론으로서 일본의 영토 확대가 군사-경제적 안정 뿐만 아니라 인종의식의 보전에도 기여한다는 것이, 영국 및 독일의 자료를 인용하면서 서술되고 있다. 또한 다세대를 통한 타 문화권의 문화적 동화정책에 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4] 기본적으로 일본인이 '주류 민족'으로서 아시아 전역에 정착하여 대동아 공영권 범위 내의 아시아 민중들을 해방시켜야 하는 임무를 지니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정책을 서술하고 있다. 야마토 민족의 생존권 확보와 식민정책[편집] 당시 공공연히 제창되고 있던 대동아 공영권 개념과 일치하는 부분도 존재하지만, 이 보고서의 대부분은 독일 국가사회주의의 인종, 정치, 경제 이론에 근거하고 있으며, 유대인 문제에 관한 언급이 있는 한편, 반유대주의적인 풍자화도 포함되어 있다(다만 당시 일본에 유대인은 거의 살고 있지 않았다). 논자는 뉴질랜드 및 오스트레일리아를 포함한 동반구 대부분에 대해, 1950년 경의 총 인구를 예상하면서, 그 식민지화의 이유로서 '야마토 민족의 생존권 확보'를 들고 있다. 이는 민족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의 '레벤스라움' 개념을 명확히 반영한 이론이다. 막대한 식민지 인구를 통제하기 위한 일본 내의 출산 장려 정책도 담겨 있다. 또한 이 문서에 서술되어 있는 대동아 공영권의 확장 범위는 크게 네 단계로 나뉘어 있으며, 1단계와 2단계에서는 동남아시아에 있는 모든 서구 열강들의 식민지와 중국 대륙, 3단계에는 인도와 바이칼 서쪽의 시베리아 지역, 4단계에서 중앙아시아와 서남아시아로의 확장 계획이다.[5] 인종적 우월[편집] 한편, 아시아 제 민족을 일본이 통치한다는 '공평한 불평등'의 정당화에 대해, 본 보고서는 유교와 가족의 은유를 이용해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야마토 민족과 타 민족이 가족과 같은 조화, 성호 번영, 호혜관계를 갖는다고 하면서도, 일본인을 인종적으로 우월한 종족으로서 명확한 en:Hierarchy를 설정하며, 일본인은 아시아 제 민족의 가장으로서 '영원히' 아시아를 통치해야 한다는 사명이 있다고 술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인이 세계의 제 민족을 통솔하는 존재가 되어야 하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결론을 내리고 있지는 않다.[4] 서지[편집] 원서는 일본 국립국회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야마토 민족을 중핵으로 하는 세계정책의 검토 - 특히 민족인구정책을 중심으로 하여' 제1분책, 후생성연구소 인구민족부 1943년 7월 제2분책, 후생성연구소 인구민족부 1943년 7월 제3분책, 후생대신 관방총무과, 1943년 7월 1981년에 분쇼쇼인이 복각판을 출판하였다. 후생성연구소 인구민족부 원편 '민족인구정책연구자료 - 전시하의 후생성연구소 인구민족부 자료', 분쇼쇼인 1981년 12월 - 1982년 2월 제1권 '전쟁이 인구에 미치는 영향 1' 제2권 '전쟁이 인구에 미치는 영향 2' 제3권 '야마토 민족을 중핵으로 하는 세계정책의 검토 1' 제4권 '야마토 민족을 중핵으로 하는 세계정책의 검토 2' 제5권 '야마토 민족을 중핵으로 하는 세계정책의 검토 3' 제6권 '야마토 민족을 중핵으로 하는 세계정책의 검토 4' 제7권 '야마토 민족을 중핵으로 하는 세계정책의 검토 5' 제8권 '야마토 민족을 중핵으로 하는 세계정책의 검토 6' 각주[편집] ↑ Morris-Suzuki, Tessa (Fall 2000), 《Ethnic Engineering: Scientific Racism and Public Opinion Surveys in Midcentury Japan》, east asia cultures critique - Volume 8, Number 2: Duke University Press, 499-529쪽  ↑ Dower, John W. (1986), 《War Without Mercy》, New York: Pantheon Books, 262-290쪽  다음 글자 무시됨: ‘ISBN 0-394-50030-X’ (도움말) ↑ 존 다워 저 헤이본샤, 2011년 12월, ISBN 978-4-582-76419-2 ↑ 가 나 Martel, Gordon (2004), 《The World War Two Reader》, New York: Routledge, 245-247쪽, ISBN 0415224039  ↑ Ferguson, Niall (2006), 《The War of the World: Twentieth-Century Conflict and the Descent of the West》, ISBN 0143112392 같이 보기[편집] 야마토 민족 백제주(百濟州, 일본어: 百済州 쿠다라슈[*]) 일본의 민족문제 아이누 민족 류큐 민족 대동아 공영권 vdeh 일본 제국역사 메이지 시대 다이쇼 시대 쇼와 시대 메이지 유신 사쓰마 반란 류큐 처분 청일 전쟁 러일 전쟁 한일 병합 다이쇼 민주주의 제1차 세계 대전 간토 대지진 만주 사변 중일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쟁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원자 폭탄 투하 궁성 사건 옥음방송 일본의 항복 천황 메이지 천황 다이쇼 천황 쇼와 천황 쇼와 천황의 전쟁책임 황민화 정책 만세일계 인간선언 천황기관설 식민지 타이완 (타이완) 조선 (한반도) 가라후토 청 (사할린 섬 남부) 관동주 (조차지) 남양 군도 (위임통치령) 만주국 (괴뢰 국가) 남경정부 (괴뢰 정권) 필리핀 (일시적) 정치 일본 파시즘 일본 제국 헌법 일본 제국의회 메이지 정부 국체론 원로 어전회의 특별고등경찰 치안유지법 일본의 정치극단주의 일본의 우익 단체 국민정신총동원 상징 일장기 국화문장 기미가요 기리몬 욱일기 사상 국학 부국강병 국가신도 (신도) 대동아 공영권 팔굉일우 옥쇄 신주불멸 귀축미영 황국사관 창씨개명 내선일체 일선동조론 일류동조론 일만불가분 현양사 흑룡회 일본인종개량론 화혼양재 탈아입구 대정익찬회 오족협화 복어 계획 (육족협화) 일본 제국주의 국가총동원법 교토학파 정한론 군대 일본군 일본 제국 육군 (조슈벌) 일본 제국 해군 (사쓰마벌) 일본의 전쟁 범죄 가미카제 반자이 돌격 야스쿠니 신사 100인 참수 경쟁 731 부대 난징 대학살 마닐라 대학살 숙칭 대학살 스마랑 강간 사건 위안부 가라유키상 요시와라 천인침 황도파 통제파 민족 일본의 우생학 일본인종개량론 (명예백인 & 명예 아리아인) 야마토 민족 (야마토 민족을 중핵으로 하는 세계정책의 검토) 류큐 민족 아이누 구미계도민 산가민족 한민족 (조선민족) 한족 만주족 몽골족 러시아인 필리핀인 인도네시아인 바시키르족 타타르족 탈리시족 니브흐족 윌타족 오로치인 코랴크인 타이완 원주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야마토_민족을_중핵으로_하는_세계정책의_검토&oldid=24186581" 분류: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제2차 세계대전 시기 쇼와 시대의 책일본의 범아시아주의유대인1943년 책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이름 없는 변수가 사용됨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FrançaisItaliano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5: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야마토 민족을 중핵으로 하는 세계정책의 검토』(일본어: 大和民族を中核とする世界政策の検討)는 1943년 7월 1일부로 일본의 후생성 연구소 인구민족부 (현 국립 사회보장-인구문제 연구소)가 작성한 비밀 보고서이다. 3분책3,137페이지로 된 보고서는 주로 인종이론을 다루고 있으며, 전시중의 타민족관의 기초 및 일본 점령 하의 아시아의 전망을 논하고 있다.기밀문서로 작성되어 100부밖에 인쇄되지 않은데다가, 전쟁 수행에 특출난 영향을 끼치지 않았기 때문에 오랫동안 잊혀져 있었는데, 1986년에 역사가 존 다워가 저서 War without Mercy: Race and Power in the Pacific War (일본어역 용서없는 전쟁 - 태평양전쟁에서의 인종차별)에서 사료로 인용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1981년에 분쇼쇼인이 전 6권으로 복각하여, 함께 복각한 '전쟁이 인구에 끼치는 영향'의 2권과 함께 간행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대동아 공영권의 개념은 그당시 어떻게 제창되었나? Assistant: 공공연히
Human: 아래 국도_제5호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국도 제5호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국도 제5호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계획되었거나 공사 중인 도로 노선, 나들목 또는 분기점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국도에 관한 것입니다. 다른 국가의 국도 제5호선에 대해서는 국도 제5호선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강원도 화천군을 지나고 있는 국도 제5호선 일반국도 5 거제 ~ 중강진선 국도 제5호선 노선도 총연장 1252 km(남측 구간 576.5 km) 기점 경상남도 거제시 연초면 주요경유지 경상남도 거제시경상남도 창원시경상남도 함안군경상남도 창녕군대구광역시 달성군대구광역시경상북도 칠곡군경상북도 군위군경상북도 의성군경상북도 안동시경상북도 영주시충청북도 단양군충청북도 제천시강원도 원주시강원도 횡성군강원도 홍천군강원도 춘천시강원도 화천군강원도 철원군[1]강원도 김화군강원도 평강군함경남도 안변군함경남도 원산시함경남도 문천군함경남도 고원군함경남도 영흥군함경남도 정평군함경남도 함주군함경남도 함흥시함경남도 함주군함경남도 장진군평안북도 후창군평안북도 자성군 종점 평안북도 자성군 중강면[2] 주요교차도로 당진영덕고속도로중앙고속도로서울양양고속도로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국도 제2호선국도 제4호선국도 제6호선국도 제14호선국도 제19호선국도 제25호선국도 제26호선국도 제28호선국도 제30호선국도 제34호선국도 제36호선국도 제38호선국도 제42호선국도 제43호선국도 제46호선국도 제56호선국도 제59호선국도 제77호선국도 제79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28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국도 제5호선 (거제 ~ 중강진선, 國道第五號 巨濟中江鎭線)은 경상남도 거제시 연초면 연초삼거리와 평안북도 자성군 중강면을 잇는 총 연장 1252km의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목차 1 개요 2 역사 3 주요 경유지 3.1 대한민국 구간 3.2 DMZ이후(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구간 4 노선 4.1 경상남도 4.2 대구광역시 4.3 경상북도 4.4 충청북도 4.5 강원도 5 도로명 6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7 각주 개요[편집] 안동시와 대구광역시 구간이 이른바 구안 국도라 불리며 왕복 4차선 도로로 새로 건설되어 경상북도의 주요 교통망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 영주시 - 안동시 구간 또한 확장 공사가 완료되었다. 중부내륙고속도로 중 과거 구마고속도로 구간과 중앙고속도로와 나란히 놓여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 외에 충청북도 단양군과 제천시, 강원도 원주시와 횡성군·홍천군·춘천시 간의 이동 수요가 많은 노선이기도 하다. 원주에서 홍천으로 가는 대부분의 시외버스들은 5번 국도를 많이 이용한다. 대구에서 경상남도 창녕·창원 구간도 4차선으로 잘 단장되어 있다. 현재 이순신대교를 비롯한 거제시 ~ 창원시 구간이 공사중이며, 이 구간은 2020년에 개통 할 예정이다. 예전 마산시 구간은 마산시청 앞이 시점이었으나 시점이 거제시로 바뀌고 창원시 통과구간이 이순신대교 ~ 현동교차로 ~ 쌀재터널 ~ 내서읍 중리로 변경되었다. 역사[편집] 1971년 8월 31일 :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5호선 마산 ~ 중강진선이 됨.[3] 1973년 4월 25일 : 선형 개량으로 인해 경상북도 달성군 논공면 남동리 ~ 상동리 4.863km 구간을 4.9km 로 도로구역 변경[4] 1975년 2월 13일 : 달성군 논공면 남동리 ~ 상동리 4.863km 구간 폐지[5] 1975년 10월 1일 : 원성군 신림면 금대리 총 200m 구간 개통 및 기존 총 370m 구간 폐지, 제천군 봉양면 구학리 ~ 단양군 매포면 평동리 총 700m 구간 개통 및 기존 810m 구간 폐지[6] 1976년 1월 12일 : 원성군 소초면 장양리 총 673m 구간 개통 및 기존 총 777m 구간 폐지[7] 1980년 2월 22일 : 춘성군 신동면 학곡리 ~ 동산면 원창리 1.08km 구간 개통 및 기존 1.75km 구간 폐지[8] 1986년 9월 29일 : 충주댐 건설로 인해 단양군 단양읍 북하리 ~ 상진리 11.6km 구간 도로 수몰로 폐지[9] 1987년 5월 26일 : 기존 지정 구간인 단양군 매포읍 매포리 ~ 우덕리 구간 폐지[10] 1989년 3월 11일 : 창녕군 대합면 십이리 일대 구 도로부지 폐지[11] 1992년 1월 17일 :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리 160m 구간 개통[12] 1996년 6월 29일 : 단양군 매포읍 하괴리 ~ 제천시 중앙로1가 21.4km 구간 개통, 기존 21.6km 구간 폐지[13] 1997년 10월 15일 : 단양군 대강면 장림리 1.24km 구간 개통, 기존 1km 구간 폐지[14] 1998년 2월 7일 : 의성 ~ 안동간 도로(의성군 단촌면 세촌리 ~ 안동시 옥동) 17.5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의성군 단촌면 세촌리 ~ 안동시 수상동 5.47km 구간 폐지[15] 1998년 5월 8일 : 단양군 단양읍 상진리 500m 구간 개통[16] 1999년 6월 30일 : 성산 ~ 유가간 도로(달성군 유가면 한정리 ~ 도의리) 1.65km 구간 확장 개통[17] 1999년 8월 28일 : 춘천시 서면 오월리 700m 구간 및 춘천시 사북면 오탄리 ~ 화천군 하남면 서오지리 590m 구간 개통, 기존 구 오탄교 230m 구간 폐지[18] 2000년 1월 10일 : 영주시 안정면 내줄리 ~ 풍기읍 백리 7.02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6.05km 구간 폐지[19] 2000년 5월 22일 : 경상북도 영주시 적서동 ~ 문정동 1.81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0] 2000년 5월 31일 : 경상북도 영주시 문정동 ~ 가흥동 3.974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1] 2000년 6월 5일 : 영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영주시 문수면 적동리 ~ 가흥동) 5.774km 구간 확장 개통[22] 2000년 6월 15일 : 풍산 ~ 안동간 도로(안동시 옥동 ~ 당북동 (구)농고네거리) 5.4km 구간 확장 개통[23] 2000년 12월 31일 : 군위 ~ 의성간 도로(군위군 군위읍 서부리 ~ 의성군 단촌면 세촌리) 총 8.79km 구간 확장 개통[24], 단양군 단양읍 증도리 ~ 매포읍 하괴리 5.8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구간 폐지[25], 제천시 봉양읍 연박리 ~ 주포리 3.98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4.54km 구간 폐지[26] 2001년 1월 1일 : 횡성군 횡성읍 입석리 ~ 홍천군 홍천읍 삼마치리 19.4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2.2km 구간 폐지[27] 2001년 9월 20일 : 횡성군 횡성읍 곡교리 1.54km 구간 개통, 기존 750m 구간 폐지[28] 2001년 12월 29일 : 단양군 매포읍 고양리 490m 구간 개통[29] 2002년 3월 15일 : 성산 ~ 구지간 도로 시공으로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한정리 900m 구간 개통[30] 2002년 4월 1일 : 성산 ~ 구지간 도로 시공으로 기존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한정리 1.2km 구간 폐지[31] 2002년 5월 30일 : 제천시 신동 ~ 송학면 무도리 15.6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구간 폐지[32] 2002년 8월 3일 : 원주시 관설동 ~ 봉산동 7.4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33] 2002년 11월 1일 : 평은 ~ 영주간 도로(영주시 평은면 오운리 ~ 문정동) 14.0km 구간 확장 개통[34] 2002년 11월 : 춘천시 사북면 원평리 ~ 신포리 2.04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3.71km 구간 폐지[35] 2003년 1월 1일 : 성산 ~ 유가간 도로(경상남도 창녕군 대합면 등지리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한정리) 5.4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6.8km 구간 폐지[36] 2003년 1월 8일 : 화천군 화천읍 하리 ~ 상리 1.613km 구간 및 화천터널 확장 개통, 기존 2.8km 구간 폐지[37] 2003년 1월 10일 : 영산 ~ 창녕간 도로(창녕군 영산면 죽사리 ~ 창녕읍 퇴천리) 9km 구간 확장 개통[38], 기존 5.5km 구간 폐지[39] 2003년 1월 22일 : 홍천군 홍천읍 삼마치리 ~ 북방면 상화계리 12.564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3.9km 구간 폐지[40] 2003년 12월 30일 : 창녕군 창녕읍 초막리 ~ 대지면 효정리 5.56km 구간 확장 개통[41] 2004년 12월 29일 : 창녕 ~ 성산간 도로(창녕군 창녕읍 교리 ~ 대합면 등지리) 5.56km 구간 확장 개통[42] 및 기존 창녕군 대지면 모산리 600m 구간 폐지[43] 2004년 12월 29일 : 칠원 ~ 영산간 도로(함안군 칠원면 무기리 ~ 이룡리) 9.94km 구간 확장 개통.[44] 및 기존 함안군 칠원면 구성리 ~ 칠서면 계내리 11.9km 구간 폐지[45] 2005년 9월 9일 : 현동 ~ 중리간 도로(마산시 현동 ~ 내서읍 중리) 11.0km 구간 조기 개통[46] 2005년 10월 31일 : 영주시 가흥동 ~ 안정면 신전리 5.44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47] 2005년 12월 21일 : 영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신전 ~ 가흥간 도로, 영주시 가흥동 ~ 안정면 신전리) 5.44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4.75km 구간 폐지[48] 2005년 12월 24일 : 남지 ~ 영산간 도로(함안군 칠서면 이룡리 ~ 창녕군 영산면 죽사리) 6.58km 구간 확장 개통[49], 기존 함안군 칠서면 용성리 ~ 창녕군 영산면 죽사리 7.51km 구간 폐지[50] 2005년 12월 30일 : 마현 ~ 생창간 도로(철원군 근남면 풍암리 ~ 김화읍 읍내리) 5.565km 구간 신설 개통[51] 2006년 2월 17일 : 춘천시 신북읍 천전리 ~ 발산리 2.5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52][53] 2006년 9월 27일 : 제천시 봉양읍 장평리 550m 구간 개통[54] 2006년 11월 21일 : 단양IC ~ 단양간 도로(단양군 대강면 장림리 ~ 용부원리) 1.6km 구간 확장 개통[55] 2006년 12월 19일 : 내서 ~ 중리간 도로(마산시 내서읍 중리 ~ 호계리) 2.928km 구간 개통[56], 기존 마산시 자산동 ~ 내서읍 호계리 10.77km 구간 폐지[57] 2007년 1월 18일 : 마산시 ~ 내서읍 호계리 구간을 해제하고 예곡동 현동 교차로 ~ 내서읍 경유 구간으로 노선 변경.[58] 2007년 2월 1일 : 신북 ~ 신죽간 도로(춘천시 신북읍 천전리 ~ 발산리) 구간 2.5km 확장 개통[59] 2008년 11월 17일 : 기점이 경상남도 마산시 마산시청에서 거제시 연초면으로 변경됨. 이에 따라 노선명도 '마산 ~ 중강진선'에서 '거제 ~ 중강진선'으로 변경됨.[60] 2009년 12월 29일 : 안동 ~ 서후간 도로(안동시 송현동 ~ 서후면 이송천리) 6.05km 구간 확장 개통[61] 및 기존 안동시 서후면 이송천리 400m 구간 폐지[62], 서후 ~ 평은간 도로(안동시 서후면 저전리 ~ 북후면 도촌리) 2.8km 구간 일부 확장 개통[63] 및 기존 구간 폐지[64] 2010년 9월 20일 : 서후 ~ 평은간 도로(안동시 북후면 도촌리 ~ 영주시 평은면 지곡리) 5.2km 구간 부분 확장 개통[65], 기존 구간 폐지[66] 2010년 12월 22일 : 서후 ~ 평은간 도로(영주시 평은면 지곡리 ~ 오운리) 1.875km 구간 확장 개통[67] 2011년 5월 2일 : 원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관설 ~ 봉산 ~ 장양간 도로(원주시 행구동 ~ 소초면 장양리) 9.6km 구간 신설 개통[68] 2012년 1월 25일 : 춘천시 신북읍 발산리 ~ 용산리 7.6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69] 2013년 12월 23일 : 원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관설 ~ 봉산간 도로(원주시 관설동 관설 교차로 ~ 행구동 행구 교차로) 5.3km 구간 확장 개통[70] 2014년 1월 16일 : 원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원주시 관통(원주시 관설동 ~ 소초면 장양리) 11.138km 구간 폐지[71] 2014년 12월 2일 : 신북 ~ 용산간 도로(춘천시 동내면 학곡리 ~ 신북읍 용산리) 22.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춘천시 관통 구간 폐지[72] 2015년 3월 5일 : 내서 ~ 칠원간 도로(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호계리 ~ 함안군 칠원읍 예곡리) 1.53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2km 구간 폐지[73] 2016년 1월 18일 : 화원 ~ 옥포간 도로(달성군 논공읍 상리 ~ 화원읍 성산리) 8.5km 구간 확장 개통[74] 2016년 12월 28일 : 풍기 ~ 도계간 도로(영주시 풍기읍 백신리 ~ 수철리) 5.1km 구간 확장 개통[75], 기존 2.0km 구간 폐지[76] 2017년 4월 13일 : 선형개량으로 인해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리 105m 구간 폐지[77] 2017년 11월 27일 : 내서 ~ 칠원간 도로(함안군 칠원읍 예곡리 ~ 구성리) 총 2.2km 구간 확장 개통[78][79] 2017년 12월 1일 : 단양IC ~ 단양간 도로(단양군 대강면 장림리 ~ 단양읍 증도리) 6.56km 구간 확장 개통[80] 2018년 11월 13일 : 단양군 매포읍 평동리 ~ 하시리 500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단양군 매포읍 하시리 180m 구간 폐지[81] 2018년 12월 14일 : 내서 ~ 칠원간 도로(함안군 칠원읍 예곡리 ~ 무기리) 2.1km 구간 확장 개통[82][83], 기존 함안군 칠원읍 예곡리 380m 구간 폐지[84] 주요 경유지[편집] 대한민국 구간[편집] 경상남도 거제시 (연초면 · 하청면 · 장목면) -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 덕동동 · 현동 · 우산동 · 예곡동) - 마산회원구 내서읍) - 함안군 (칠원읍 · 칠서면 · 칠북면 · 칠서면) - 창녕군 (길곡면 · 도천면 · 영산면 · 계성면 · 장마면 · 창녕읍 · 대지면 · 대합면 · 성산면)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 유가읍 · 구지면 · 현풍읍 · 유가읍 · 현풍읍 · 논공읍 · 옥포읍 · 화원읍) - 달서구 (대곡동 · 진천동 · 상인동 · 송현동) - 남구 대명동 - 달서구 (성당동 · 두류동) - 서구 (내당동 · 평리동 · 비산동) - 북구 (팔달동 · 매천동 · 태전동 · 읍내동)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 가산면) - 군위군 (효령면 · 군위읍) - 의성군 (봉양면 · 의성읍 · 단촌면) - 안동시 (일직면 · 남후면 · 수상동 · 옥동 · 태화동 · 옥동 · 송현동 · 이천동 · 서후면 · 북후면 · 서후면 · 북후면) - 영주시 (평은면 · 이산면 · 문수면 · 이산면 · 문수면 · 조암동 · 문정동 · 가흥동 · 장수면 · 상줄동 · 안정면 · 봉현면 · 풍기읍)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 단성면 · 단양읍 · 매포읍) - 제천시 (대량동 · 고명동 · 강제동 · 명지동 · 강제동 · 천남동 · 신동 · 봉양읍)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 판부면 · 관설동 · 단구동 · 개운동 · 인동 · 평원동 · 학성동 · 태장동 · 소초면) - 횡성군 (횡성읍 · 공근면) - 홍천군 (홍천읍 · 북방면) - 춘천시 (동산면 · 동내면 · 동면 · 신북읍 · 서면 · 사북면) - 화천군 (하남면 · 화천읍 · 상서면) - 철원군 (근남면 · 김화읍 · 근북면) DMZ이후(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구간[편집] 강원도 평강군 평강읍 함경남도 안변군 가익면(신고산) - 원산시 - 문천군 문천면 - 고원군 고원읍 - 영흥군 영흥읍 - 함흥시 - 장진군 (신남면(하갈) · 장진면) 평안북도 후창군 후창면(후창강구) - 자성군 중강면 노선[편집] (■):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경상남도[편집] 이름[85]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연초삼거리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지방도 제1018호선(거제대로) 거제시 연초면 지방도 제1018호선과 중복 죽토1교 연초삼거리(연초농협) 죽토로 죽전교 (중리마을) 대금산로 장터고개(덕치고개) 하청면 하청삼거리 연하해안로 (성동마을입구) 하청로 맹종죽테마공원 실전삼거리 칠천로 실전카페리부두 장동삼거리 옥포대첩로 장목면 장목농협앞삼거리 거제북로 장목초등학교해양플랜트산업지원센터큰다리드비치GC답답고개 이순신대교(거마대교) 미개통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심리 교차로 지방도 제1002호선(이순신로) 심리1터널 미개통연장 100m 심리2터널 미개통연장 120m 용호 교차로 용호로 미개통 용호터널 미개통연장 140m 난포 교차로 지방도 제1002호선(이순신로) 미개통 내포 교차로 지방도 제1002호선(이순신로) 내포터널 미개통연장 620m 내포2터널 미개통연장 633m 석곡터널 미개통연장 412m 석곡 교차로 지방도 제1002호선(이순신로) 미개통 유산터널 미개통연장 440m 유산교 미개통 마산합포구 현동1터널 미개통연장 320m 현동2터널 미개통연장 290m 현동 분기점 국도 제2호선국도 제14호선국도 제77호선국도 제79호선(밤밭고개로) 국도 제2, 14, 77, 79호선과 중복 현동 교차로 국도 제2호선국도 제77호선(남해안대로)국도 제14호선국도 제79호선(밤밭고개로) (이름 없음) 예곡길 쌀재터널 연장 1465m 마산회원구 내서읍 감천 교차로 감천로 삼계삼거리 광려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삼계사거리 삼계로중리공단로 롯데마트 삼계점 상곡사거리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광려천서로)중리공단로1길 내서교 고가도로 중리 교차로 광려천서로 상행 진출 불가하행 진입 불가 호계사거리 호계본동로 (교량 이름 미상) 함안군 칠원읍 예곡삼거리 호원로 야촌삼거리 오곡로 석전삼거리 석전1길석전2길 갈티곡고개구성교 구성사거리 삼칠로무기새길 운서 교차로 운무로 상행 진입 불가하행 진출 불가 무릉1터널 상행 연장 470m하행 연장 480m 칠서면 무릉2터널 상행 연장 602m하행 연장 580m 무릉3터널 상행 연장 600m하행 연장 550m 칠북면 칠북 교차로 유성로 덕남 교차로 계룡로 광려천교 칠서면 이룡 교차로 지방도 제1040호선(삼칠로) 낙동대교 창녕군 도천면 우강 교차로 지방도 제1022호선(낙동로) 논리 교차로 치이골길 영산천교 영산면 죽사 교차로 영산도천로 영산 나들목과 연결 계성 교차로 국도 제79호선(영산장마로) 계성면 명리 교차로 명리공단길영산계성로 계성 교차로 지방도 제1080호선(계성화왕산로) 상행 진출만 가능 신당 교차로 영산계성로 남통고개 장마면 여초 교차로 여초1길여초3길 창녕읍 초막골 교차로 여초길화전길초막2길 공설운동장삼거리 창녕대로 개산교 탐하로 송곳교 대지 교차로 지방도 제1080호선(우포2로) 대지면 왕산교 왕산사거리 억만미산로 어은삼거리 원촌어은길 모전삼거리 대합면 모전사거리 모전로석실길 수장사거리 수장퇴산로수장길 장기사거리 매탄길 농공단지삼거리 대합공단길 무솔사거리 평지퇴산로 등지 교차로 지방도 제1034호선(팔문동길)창한로 대견 교차로 대견월포로 성산면 공사 구간 (2020년 완공 예정) : 신촌 교차로 ~ 송진 교차로 ~ 대봉산터널 (1585m) ~ 이순신대교(거마대교) ~ 심리 교차로 ~ 심리1터널 (100m) ~ 심리2터널 (120m) ~ 용호 교차로 ~ 용호터널(140m) ~ 난포 교차로 ~ 내포 교차로 ~ 내포터널(620m) ~ 내포2터널 (633m) ~ 석곡터널 (412m) ~ 석곡 교차로 ~ 유산터널 (440m) ~ 유산교 ~ 현동1터널 (320m) ~ 현동2터널 (290m) ~ 현동 분기점 현재 해당 구간은 미개통이므로 다음의 노선으로 지정되어 있다. 구산면 원전항 - 심리 - 상용호삼거리 - 준고개 - 난포삼거리 - 난포리 - 반동리 - 구남중학교 - 반동삼거리 - 반동초등학교 - 신촌삼거리 - 신촌교 - 옥계리 - 옥계삼거리 - 백령치 - 안녕삼거리 - 수정삼거리(지방도 제1002호선 분기) - 수정리 - 구남중학교 구산분교장 - 구산면사무소 - 구산초등학교 - 유산리 - 유산삼거리 - 유산교 덕동동 덕동삼거리 - 덕동공영차고지 현동 묘촌입구 - 현동초등학교 - 옥동교차로(국도 제2, 14, 77, 79호선 분기) 공사 구간 (내서 ~ 칠원간 도로, 2016년 완공 예정) : 호계사거리 ~ 구성사거리 기존 구간 (2007년 이전 노선) : 마산기점 - 서성광장사거리 - 마산부림시장 - NH농협마산지점 - 북마산가구거리 - 석전사거리 - 서마산IC사거리(서마산 나들목) - 회성동주민센터 - 내서초등학교 - 마재고개삼거리 - 두척육교 - 중리삼거리 - 호계농협 기존 구간 (2015년 이전 노선) : 호계사거리 - 호계교 - 호계농협 - 예곡리 대구광역시[편집] 이름[85]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한정1교 과학남로 달성군 구지면 평촌 교차로 구지동로 평촌교 한정리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달창로) 유가읍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유곡리 비슬로64길 구지육교 국가산단북로테크노순환로 구지면 현풍읍 대구달성소방서 테크노남로비슬로96길 포산고사거리 테크노대로현풍중앙로 (달성우체국앞) 현풍서로비슬로130길 현풍3교현풍고등학교현풍중학교 북현풍 나들목 451호선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현풍동로현풍중앙로 (박석진교 동단) 논공로 (공단하수처리장앞) 논공중앙로 논공읍 논공삼거리 논공로 약산온천입구 교차로 약산덧재길 위천 교차로 국도 제26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동고령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국도 제26호선과 중복 위천삼거리 성산로 국도 제26호선과 중복 승호 교차로 삼리2길 논공읍사무소 금포1 교차로 금포로 금포2 교차로 달성군청로 강림1 교차로 시저로 옥포읍 경서중학교 강림2 교차로 비슬로387길 강림3 교차로 돌미로 옥포지하차도 돌미상업로 교항 교차로 돌미로금계길 옥포읍사무소대구옥포초등학교 본리 교차로 비슬로447길 화원옥포 나들목(화원옥포IC네거리)(기세교) 451호선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비슬로468길 (구 화원 나들목 입구) 비슬로481길 화원읍 화원고등학교 설화명곡역 성천로화암로 화원교 화원삼거리 사문진로 대구화원초등학교화원읍사무소 화원역 구라로 한남미용정보고등학교대원고등학교 대곡역 명천로비슬로543길 대구광역시 달서구 유천네거리 달서대로상화로 진천네거리(진천역) 진천로 월배시장 교차로 월배로22길월배로23길월배로24길 월배초등학교(월배역) 상인네거리(상인역) 월곡로 롯데백화점 상인점대구상원고등학교대구도시철도공사경북기계공업고등학교대서중학교 월촌역 교차로(월촌역) 송현로 송현역 가야기독병원삼거리 월배로85길 성당네거리(서부정류장역)(대구서부정류장) 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대명로)구마로 국도 제26호선과 중복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과 중복 두리봉네거리 대명천로 두류공원네거리 두류공원로성당로 두류운동장이월드두류도서관 (이름 없음) 야외음악당로 대구신흥초등학교 두류네거리(두류역) 국도 제30호선(달구벌대로) 서구 남평리네거리 평리로 신평리네거리 국채보상로 평리광명네거리 문화로 평리네거리 북비산로 평리지하차도 평리교 달서천로 대구북부정류장 교차로 서대구로62길 만평네거리(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만평역) 국도 제4호선국도 제25호선(노원로) 북:북구남:서구 국도 제4, 25호선과 중복 공단역 팔달교 교차로 신천대로 팔달교 북구 대구북부화물터미널 팔달로 교차로(팔달고가차도)(매천시장역) 매천로18길 태전역 태전삼거리 국도 제4호선(태전로) 운전면허시험장 태암남로칠곡중앙대로65길 국도 제25호선과 중복 대구과학대학 교차로 태암로 칠곡네거리(칠곡지하차도) 구암로 국도 제25호선과 중복칠곡 나들목과 연결 대구가톨릭대학교칠곡가톨릭병원 국도 제25호선과 중복 칠곡초등학교 교차로 관음중앙로 읍내동주민센터 칠곡우체국 교차로 동암로칠곡중앙대로115길 칠곡중학교 (이름 없음) 호국로 동호치안센터 경상북도[편집] 이름[85]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강북주유소 칠곡군 동명면 국도 제25호선과 중복 동명사거리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한티로)금암2길 국도 제25호선과 중복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과 중복 (이름 없음) 금암중앙길 (이름 없음) 남원로 소야고개 가산면 유학산 교차로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지방도 제923호선(다부원1길) 국도 제25호선과 중복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과 중복지방도 제923호선과 중복 다부동전승비가산초등학교가산면사무소 국도 제25호선과 중복지방도 제923호선과 중복 천평삼거리 국도 제25호선지방도 제923호선(낙동대로) 가산 나들목 55호선 중앙고속도로 하행 지하차도로 직진 (이름 없음) 지방도 제514호선(인동가산로) 지방도 제514호선과 중복 농협군위유통센터 군위군 효령면 구효령정류소 지방도 제514호선(장군로) 경북대학교 자연사박물관(구 장군초등학교) 중구삼거리 중구2길 효령교 효령삼거리 지방도 제919호선(치산효령로) 지방도 제919호선과 중복 불로삼거리 불로길 병천교 간동삼거리 지방도 제919호선(효우로) 군위학생문화예술체험장(구 군위남부초등학교) 군위읍 군위 나들목(군위IC 교차로) 55호선 중앙고속도로국도 제67호선(장천로) (이름 없음) 군청로 군위교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지방도 제927호선(도군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과 중복 (이름 없음) 대북길 의성 나들목(의성고가차도) 55호선 중앙고속도로 의성군 봉양면 도원삼거리 농공마전길 (도원리) 봉기길 도리원2교 봉양 교차로(봉양고가교) 국도 제28호선(서부로)도리원3길 국도 제28호선과 중복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과 중복 온천삼거리 지방도 제927호선(봉호로)도리원2길 국도 제28호선과 중복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과 중복지방도 제927호선과 중복 구미삼거리 지방도 제927호선(조문로) 의성군농업기술센터 국도 제28호선과 중복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과 중복 분토교 의성읍 용연리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비봉길) 용연교 용연1길 국도 제28호선과 중복 원당 교차로 국도 제28호선(동부로) 원당삼거리 지방도 제914호선(홍술로) 지방도 제914호선과 중복하행 진출 불가 의성2교 지방도 제914호선과 중복 철파사거리 지방도 제912호선(안평의성로) 재랫재 단촌면 북의성 나들목 30호선 당진영덕고속도로 세촌삼거리 신기길 지방도 제914호선과 중복 안세교 세촌 교차로 신기길 세곡1 교차로 동내개골길 세촌과선교 세촌2 교차로 광연길 안동시 일직면 망호 교차로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일직점곡로) 일직교 운산 교차로 지방도 제914호선(풍일로) 송리교 광음1교 남후면 광음 교차로 큰광음길 광음3교남루교 무릉 교차로 무릉길무릉1길 남후1교남후2교 (이름 없음) 무릉길 상행 진출 불가하행 진입 불가 사안교 강남동 무릉육교 한티 교차로 국도 제34호선(남순환로) (이름 없음) 강남로 안동대교 태화동 안동대교북단 하이마로 어가골 교차로 육사로 옥동사거리 광명로 옥동 옥동3주공 교차로 은행나무로 송하동 송현오거리 경동로 송하1길 매화골 교차로 매화길 안기동 두우교 제비원교 이송천한티길 서후면 상행 진입 불가하행 진출 불가 제비원 교차로 제비원로 상행 진출 불가하행 진입 불가 오산 교차로 지방도 제924호선(이하오산로)북평로 지방도 제924호선과 중복 서후 교차로 지방도 제924호선(풍산태사로) 도촌 교차로 북평로물한길 북후면 장기교 북후 교차로 북평로 상행 진입 불가하행 진출 불가 지곡교 영주시 평은면 지곡 교차로 지방도 제928호선(녹지로)(북평로) 고사동 교차로 경북대로2229번길 오운육교 지방도 제915호선(예봉로) 오운터널 상행 연장 662m하행 연장 622m 새터육교새터교 평은터널 상행 연장 540m하행 연장 545m 강동교 평은 교차로 천상로 내성천교 이산면 운문 교차로 간운로494번길 문수 교차로 간운로종릉로 문수면 적동과선교 적서 교차로 간운로적서로 사일교 휴천동 초곡과선교 문정교 가흥동 문정 교차로 국도 제28호선(가흥로) 가흥 교차로 국도 제36호선(경북대로)영주로 국도 제36호선과 중복 가흥육교 내줄 교차로 장안로 안정면 내줄교 신전 교차로 신재로장안로 신전육교 안정1교봉현육교 봉현면 봉현 교차로 국가지원지방도 제28호선(오현로)지방도 제931호선(소백로) 오현1육교오현2육교두산육교 풍기교 풍기읍 백리 교차로 기주로 백동 교차로 전구로 새터 교차로 죽령로1182번길 백수 교차로 죽령로죽령로1284번길 창락지하차도 곰수 교차로 죽령로1350번길 곰수골교 창락터널 국도 제36호선과 중복연장 185m 창락 교차로 죽령로1360번길 국도 제36호선과 중복 희방 교차로 죽령로1513번길 희방삼거리 죽령로1720번길 소혼교 죽령 국도 제36호선과 중복해발 696m 충청북도[편집] 이름[85]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죽령 단양군 대강면 국도 제36호선과 중복해발 696m 죽령역 용부원2길 국도 제36호선과 중복 단양 나들목(대강 교차로) 55호선 중앙고속도로 단양대강농공단지 대강농공길 대강초등학교 대강로 장림사거리 지방도 제927호선(사인암로) 대강면사무소 대강로 북상삼거리 북상1길 북하삼거리 국도 제36호선국도 제59호선(월악로) 단성면 국도 제36호선과 중복국도 제59호선과 중복 단성역삼거리 국도 제59호선과 중복 현천삼거리 현천길 단양읍 덕상삼거리 덕상후곡길 덕상1교 심곡삼거리 단양심곡길 심곡교단양역삼거리상진대교 단양삼거리(단양 교차로)(상진 교차로) 국도 제59호선(삼봉로) 적성삼거리 수양개유적로 어의곡 교차로 응실길 매포읍 하괴삼거리 삼봉로 (성신양회입구) 매포길 우덕삼거리 단양산업단지2로 하행 진출입만 가능 매포삼거리 평동로 동평교 안동삼거리 매포길 신평사거리 평동9길평동10길 평동삼거리 지방도 제532호선(평동1로) 지방도 제532호선과 중복 평동직행버스정류소매포초등학교 하시삼거리 지방도 제532호선(매포어상천로) 상시1교 상시1길 상시리 상시길 상시2교 상시3교 상시길영천길 가평1교 가평길 가평2교 (삼곡) 고양길고양1길삼곡길 고양1교 삼곡5길 고양2교단양지하차도 안동1교 고양4길고양5길 안동2교 제천시 신백동 고명역입구 단양로10길 고명 교차로 국도 제38호선(북부로) 국도 제38호선과 중복 명지 교차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청풍호로) 화산동 신동 교차로 내토로제천북로 영서동 고모 교차로(제천 나들목) 55호선 중앙고속도로 봉양읍 국도 제38호선과 중복상행 진입 불가하행 진출 불가 고산 교차로(제천 나들목) 55호선 중앙고속도로 국도 제38호선과 중복상행 진출 불가하행 진입 불가 봉양역 국도 제38호선과 중복 장평삼거리 국도 제38호선(북부로) 주포사거리 주포로제원로2길 주포삼거리 주포로7길 오작교 봉양리 팔송로 봉양삼거리 용두대로 팔송대교구학역 배론성지삼거리 배론성지길 탁사정삼거리구학교탁사정 옥전교 옥전길 시골학교캠핑장(구 옥전초등학교)학산교연교역학산리 강원도[편집] 이름[85]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용암리 원주시 신림면 (용암3리) 연봉정길종림길 용암삼거리 지방도 제597호선(구학산로) 구 지방도 제402호선 신림역 정암길 신림농협 제원로 신림삼거리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신림황둔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과 중복 신림교신림면사무소 신림119안전센터 제원로 신림초등학교창교역 치악재(가리파고개)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과 중복해발 450m 판부면 치악역치악교중간교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과 중복 금대삼거리 영원산성길 금대초등학교입구 금대길 관설교 당둔지길판부신촌길 반곡관설동 관설초등학교 영서고등학교(영서고삼거리) 강변로섭재삼보길 관설 교차로 국도 제19호선국도 제42호선(원주우회도로)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치악로) 국도 제19, 42호선과 중복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과 중복 반곡 교차로 입춘로 국도 제19, 42호선과 중복 반곡지하차도 행구1교 행구동 행구 교차로 운곡로행구로 봉산2교 봉산동 봉산터널 국도 제19, 42호선과 중복연장 870m 소초면 흥양 교차로 국도 제42호선(노루고개길) 국도 제19, 42호선과 중복 원중교신양대교 국도 제19호선과 중복 (이름 없음) 북원로 남문사거리 섬배로 원주공항 둔둔로횡성로 국도 제19호선과 중복상행 진입 불가하행 진출 불가 (이름 없음) 횡성로 횡성군 횡성읍 국도 제19호선과 중복 성남초등학교횡성여자고등학교 입석 나들목 국도 제6호선(경강로) 국도 제6호선과 중복국도 제19호선과 중복 횡성터널 국도 제6호선과 중복상행 연장 544m하행 연장 540m 횡성 나들목(학곡 나들목) 55호선 중앙고속도로한우로 국도 제6호선과 중복 신촌 나들목 국도 제6호선(경강로) 공근면 신곡교횡성농업기술센터공근초등학교 학담리 교차로 공근남로학담시장길 동면입구 교차로 지방도 제406호선(금계로) 초당교말구리고개창봉교 시동입구 교차로 지방도 제494호선(시동로) 삼마치터널 연장 780m(큰삼마치재 해발 460m) 홍천군 홍천읍 삼마치교신촌1교신촌2교장전평1교장전평2육교 장전터널 상행 연장 546m하행 연장 414m 여산곡교하오안교하오안육교 홍천대교 북방면 둔지 교차로 송학정로 화계 교차로 도둔길하화계길 화계삼거리 홍천로 북방삼거리 두개비산로 북방면사무소북방버스정류소 (이름 없음) 팔봉산로 부사원고개 춘천시 동산면 해발 340m 동산직행버스정류소 조양길 조양삼거리 원무동길 동산중학교 조양 나들목(조양IC 교차로) 60호선 서울양양고속도로 조양삼거리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종자리로) 국립춘천병원 원창삼거리 새술막길 한국폴리텍III대학 춘천캠퍼스 원창고개 해발 320m 동내면 (이름 없음) 원창고개길 학곡사거리 국도 제46호선(순환대로)영서로 국도 제46호선과 중복 춘천 나들목 55호선 중앙고속도로 (이름 없음) 거두길 만천사거리 금촌로한솔만천로 동면 강원도인재개발원 만천 분기점 순환대로 동면 나들목 국도 제56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가락재로)춘천로 국도 제46, 56호선과 중복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과 중복 소양6교 천전 나들목 신샘밭로 신북읍 신북 교차로 국도 제46호선(춘양로) 지내 교차로 지방도 제403호선(지내고탄로) 국도 제56호선과 중복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과 중복 용산 교차로 영서로 (고탄입구) 지방도 제407호선(춘화로) 춘성교 서면 춘천댐삼거리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서상로) 갈월피암터널 국도 제56호선과 중복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과 중복연장 약 80m 오월1교 국도 제56호선과 중복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과 중복 납실피암터널 국도 제56호선과 중복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과 중복연장 약 75m (이름 없음) 화악지암길 국도 제56호선과 중복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과 중복 오월피암터널 사북면 국도 제56호선과 중복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과 중복연장 약 40m (이름 없음) 말고개길 국도 제56호선과 중복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과 중복 말고개터널 국도 제56호선과 중복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과 중복연장 637m 신포교사북면사무소 국도 제56호선과 중복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과 중복 지촌삼거리 국도 제56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사내천로) 오탄교 화천군 하남면 달거리고개 (달거리) 계파로 원천교하남면사무소 묘원삼거리 장거교 논미삼거리 논미로 붕어섬삼거리 강변로 화천읍 화천터널 연장 620m 상리삼거리 상승로 신대사거리 만산동로 상서면 유목교 장촌삼거리 장촌리길 파포삼거리 지방도 제461호선(다파로) 지방도 제461호선과 중복 파포고개 노동삼거리 지방도 제461호선(노신로) 멋둔삼거리 멋둔길 산양시외버스터미널산양교 (이름 없음) 주파령로 산양초등학교 말고개 해발 690m 철원군 근남면 마현2교 용암삼거리 호국로 용암1교 용양삼거리 하오재로 김화읍 암정교 민간인 출입통제 구간 읍내삼거리 국도 제43호선(생창길) 읍내리 민간인 출입통제 구간 금곡리 근북면 백덕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구간 기존 구간 (2000년 이전 노선) 횡성군 입석 나들목 - 횡성시외버스터미널 - 횡성오거리 - (육교) - 횡성교 - 횡성 나들목 - 학곡 나들목 기존 구간 (2014년 이전 노선) 원주시 관설 교차로 - 관설사거리 - 판부면사무소 - 단구초교사거리 - 단구사거리 - 단구동주민센터 - 동일사거리 - 원주중학교 - 도말사거리 - 원주고등학교 - 치악삼거리 - 남부시장사거리 - 원주교오거리 - 원주교 - 경찰서삼거리(원주경찰서) - 학봉정삼거리 - 태학교 - 태학교사거리 - 강변교 - 강변교삼거리 - 태장삼거리 - 태장교삼거리 - 태장교 - 가현삼거리 - 원주 나들목(원주IC 교차로) - 장양초등학교 - 태장농공단지삼거리 - 장양사거리 - 장양리 기존 구간 (2014년 이전 노선) 춘천시 학곡사거리 - 춘천종점 - 태백교 남단 - 거두사거리 - 석사초등학교 - 춘천교육대학교 - 석사사거리 - 강대삼거리(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 법원삼거리(춘천지방법원, 춘천지방검찰청) - 춘천교육대학교부설초등학교 - 효자사거리 - 남부사거리 - 춘천문화예술회관 - 춘천우체국 - 봉의초등학교 - 운교사거리 - 중앙로터리(춘천시청) - 소양동주민센터 - 춘천농협 - 서부시장삼거리 - 번개시장사거리 - 호반사거리 - 소양2교 - 사우사거리 - 교육청사거리 - 강원도교육청 - 소양고등학교 - 육림랜드 - 춘천인형극장 - 인형극장사거리 - 신동초등학교 - 신동삼거리 - 102보충대 - 용산 교차로 도로명[편집] 경상남도 거제시 연초면 연초삼거리 ~ 장목면 구영리 : 거제북로 창원시 마산합포구 현동 분기점 ~ 현동 교차로 : 밤밭고개로 창원시 마산합포구 현동 교차로 ~ 창녕군 성산면 대견 교차로 북단 : 경남대로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대견 교차로 북단 ~ 한정1교 : 경남대로 달성군 구지면 한정1교 ~ 달서구 유천네거리 : 비슬로 달서구 유천네거리 ~ 남구 성당네거리 : 월배로 남구 성당네거리 ~ 두류공원네거리 : 성당로 남구 두류공원네거리 ~ 서구 두류네거리 : 두류공원로 서구 두류네거리 ~ 북구 만평네거리 : 서대구로 북구 만평네거리 ~ 팔달교 : 팔달로 북구 팔달교 ~ 동호치안센터 : 칠곡중앙대로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강북주유소 ~ 영주시 가흥동 가흥 교차로 : 경북대로 영주시 가흥동 가흥 교차로 ~ 풍기읍 죽령 : 죽령로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죽령 ~ 단양 나들목 : 죽령로 단양군 대강면 단양 나들목 ~ 제천시 신명동 고명 교차로 : 단양로 제천시 신명동 고명 교차로 ~ 봉양읍 장평삼거리 : 북부로 제천시 봉양읍 장평삼거리 ~ 학산리 : 제원로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용암리 ~ 신림삼거리 : 제원로 원주시 신림면 신림삼거리 ~ 반곡관설동 관설 교차로 : 치악로 원주시 반곡관설동 관설 교차로 ~ 소초면 장양리 : 원주우회도로 원주시 소초면 장양리 ~ 횡성군 횡성읍 성남초등학교 : 북원로 횡성군 횡성읍 성남초등학교 ~ 입석 나들목 : 횡성로 횡성군 횡성읍 입석 나들목 ~ 공근면 신촌 나들목 : 경강로 횡성군 공근면 신촌 나들목 ~ 춘천시 동내면 학곡사거리 : 영서로 춘천시 동내면 학곡사거리 ~ 신북읍 용산 교차로 : 순환대로 춘천시 신북읍 용산 교차로 ~ 철원군 김화읍 읍내삼거리 : 영서로 철원군 김화읍 읍내삼거리 ~ 남방한계선 : 생창길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편집] 아래 구간은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므로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 (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 (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경운기, 우마차, 트랙터, 손수레는 통행할 수 없다. 도로명 시점 종점 총연장(km) 차로수 지정일 경북대로 경상북도 영주시 적서동(적서 교차로) 경상북도 영주시 문정동(문정 교차로) 1.81 4 2000년 5월 22일 경상북도 영주시 문정동(문정 교차로)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동(가흥삼거리) 3.974 4 2000년 5월 31일 죽령로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동(가흥 교차로)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 신전리(신전 교차로) 5.44 4 2005년 10월 31일 북부로 충청북도 제천시 강제동(고명 교차로) 충청북도 제천시 신동(신동 교차로) 7.4 4 1998년 9월 24일 원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강원도 원주시 관설동(관설 교차로) 강원도 원주시 봉산동(봉산터널) 7.4 4 2002년 8월 3일 강원도 원주시 봉산동(봉산터널) 강원도 원주시 소초면 수암리 7.5 4 2001년 12월 27일 순환대로 강원도 춘천시 동면 만천리(만천사거리)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 천전리(천전 나들목) 6.7 4 2001년 11월 15일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 천전리(천전 나들목)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 발산리(신북 나들목) 2.5 4 2006년 2월 17일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 발산리(신북 나들목)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 용산리(용산 나들목) 7.6 4 2012년 1월 25일 각주[편집] ↑ 본래 김화군지역이나 철원군으로 배속된 상태 ↑ 남북분단으로 인하여 실질적 종점은 강원도 철원군 (구 김화군 지역)이다. ↑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1971년 8월 31일 제정. ↑ 건설부고시 제160호, 1973년 4월 25일. ↑ 건설부공고 제27호, 1975년 2월 13일. ↑ 건설부공고 제110호, 1975년 10월 1일. ↑ 건설부공고 제4호, 1976년 1월 12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호, 1980년 2월 22일. ↑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37호, 1986년 9월 29일. ↑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5호, 1987년 5월 26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5호, 1989년 3월 11일. ↑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92-4호, 1992년 1월 17일. ↑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6-175호, 1996년 6월 29일. ↑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7-321호, 1997년 10월 15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28호, 제1998-29호, 1998년 2월 7일. ↑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192호, 1998년 5월 8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115호, 1999년 5월 27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90호, 1999년 9월 6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314호, 2000년 1월 7일. ↑ 영주시공고 제2000-60호, 2000년 5월 22일. ↑ 영주시공고 제2000-203호, 2000년 5월 31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146호, 2000년 5월 26일. ↑ 안동시공고 제2000-120호, 2000년 6월 22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311호, 2000년 12월 30일. ↑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300호, 2001년 1월 8일. ↑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301호, 2001년 1월 8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3호, 2001년 1월 10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108호, 2001년 10월 11일. ↑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303호, 2002년 1월 10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54호, 2002년 3월 22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53호, 2002년 3월 22일. ↑ 제천시공고 제2002-414호, 2002년 6월 4일. ↑ 원주시공고 제2002-384호, 2002년 8월 3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308호, 2002년 10월 24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140호, 2002년 12월 3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380호, 2003년 1월 6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150호, 2003년 1월 8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381호, 2003년 1월 7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382호, 2003년 1월 7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3-10호, 2003년 1월 22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3-397호, 2004년 1월 2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587호, 2004년 12월 30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588호, 2004년 12월 30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589호, 2004년 12월 30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590호, 2004년 12월 30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223호, 2005년 9월 8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170호, 영주시공고 제2005-493호, 2005년 10월 31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211호, 제2005-212호, 2005년 12월 15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223호, 2005년 12월 22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224호, 2005년 12월 22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5-89호, 2005년 12월 30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6-7호, 2006년 2월 17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7호, 2006년 2월 21일. ↑ 대전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6-136호 Archived 2016년 3월 8일 - 웨이백 머신, 2006년 10월 27일. ↑ 대전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6-163호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2006년 11월 24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214호, 2006년 12월 21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215호, 2006년 12월 21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3호, 2007년 1월 18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7- 호 Archived 2014년 10월 20일 - 웨이백 머신, 2007년 2월 1일. ↑ 대통령령 제21124호 일반국도 노선 지정령, (2008년 11월 17일 일부개정)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317호, 2009년 12월 29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318호, 2009년 12월 29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319호, 2009년 12월 29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320호, 2009년 12월 29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185호, 2010년 9월 15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186호, 2010년 9월 15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273호, 2010년 12월 15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1-18호, 2011년 5월 2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3호, 2012년 1월 25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120호 Archived 2014년 10월 20일 - 웨이백 머신, 2013년 12월 18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1호, 2014년 1월 21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104호, 제2014-105호 Archived 2015년 10월 5일 - 웨이백 머신, 2014년 12월 2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5-20호, 2015년 3월 5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6호, 2016년 1월 20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226호, 2016년 12월 19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227호, 2016년 12월 19일. ↑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37호, 2017년 4월 13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214호, 2017년 11월 27일. ↑ 2019년 1월 22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4호를 통해 정정. ↑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157호, 2017년 11월 30일. ↑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186호, 2018년 12월 4일.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250호, 2018년 12월 17일. ↑ 2019년 1월 22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5호를 통해 정정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3호, 2019년 1월 22일. ↑ 가 나 다 라 마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vdeh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남북축 1 3 5 7 9† 11 13 15 17 19 21 23 25 27 29 31 33 35 37 39 41† 43 45 47 51† 53† 59 61† 63† 65† 67 71† 73† 75 77 79 81† 83† 87 91† 93† 95 99 동서축 2 4 6 8† 10† 12 14 16 18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42 44 46 48 50† 52† 54† 56 58 62† 64† 72† 74† 76† 78† 80† 82 88 92† 94† †: 전 구간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있어 대한민국의 관리가 불가능한 일반 국도 : 폐지된 일반 국도대한민국의 자동차 전용도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국도_제5호선&oldid=24495311" 분류: 도로 개발국도 제5호선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도로경상남도의 도로대구광역시의 도로경상북도의 도로충청북도의 도로강원도의 도로함경남도의 교통량강도의 교통자강도의 교통거제시의 교통창원시의 교통함안군의 교통창녕군의 교통달성군의 교통대구 달서구의 교통대구 서구의 교통대구 북구의 교통칠곡군의 교통군위군의 교통의성군의 교통안동시의 교통영주시의 교통단양군의 교통제천시의 교통원주시의 도로횡성군의 교통홍천군의 교통춘천시의 교통화천군의 교통철원군 (남)의 교통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8일 (금) 17: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국도 제5호선은 경상남도 통영시 도남동 미륵도와 평안북도 자성군 중강면을 잇는 총 연장 1252km의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한반도 국도 중 거리가 가장 긴 노선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국도제5호선 도로중에서 거제시에서 창원구간은 언제 개통 될까? Assistant: 2020년 Human: 아래 선유도공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선유도공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선유도공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선유도공원 선유도공원(仙遊島公園)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한강에 위치한 하중도(河中島)인 선유도에 조성된 공원이다. 선유도 전체에 해당하며, 섬의 전체 면적은 0.11 ㎢이다. 양화대교와 맞닿은 생태공원으로, 행정구역 상으로는 영등포구 당산동, 양화동에 속해 있다. 목차 1 역사 2 구성 3 각주 4 외부 링크 역사[편집] 선유도는 본래 선유봉(仙遊峰)이라는 작은 봉우리가 있던 한강의 섬이었는데, 일제강점기 때 홍수를 막고 길을 포장하기 위해 암석을 채취하면서 깎여나갔다. 1962년 6월부터 1965년 1월까지 제2한강교(현 양화대교)가 건설되면서 선유봉은 완전히 사라졌다.[1] 1978년부터 2000년까지 서울 서남부 지역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선유도 정수장으로 사용되다가 2000년 12월 정수장이 폐쇄된 뒤, 물을 주제로 한 공원으로 만들기로 하고 산업화의 증거물인 정수장 건축 시설물을 재활용하여 녹색 기둥의 정원, 시간의 정원, 물을 주제로 한 수질정화원, 수생식물원 등을 만들었다. 2002년 4월 26일 시민공원인 선유도공원으로 개장하였다. 구성[편집] 한강전시관 : 기존 송수펌프실을 재활용하여 한강의 역사, 사계, 생활사, 옛모습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영상물과 사진 등으로 이루어진 각종 자료가 전시되어 있다. 수질정화원 : 정수장의 불순물을 침전하던 침전지를 재활용한 시설로서 수생식물을 이용하여 물을 정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며 이 곳에서 정화된 물은 환경물놀이장, 수생식물원 등 공원내 시설에 그대로 공급된다. 환경물놀이터 : 수질정화원에서 정화된 물을 이용한 친수공간으로 수심(15cm이하)이 얕아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녹색기둥의 정원 : 정수된 물을 담아두던 정수지의 흔적을 볼 수 있도록 상부를 받치고 있던 기둥을 그대로 살려 담쟁이덩굴 등 덩굴성 식물을 식재하여 휴식 및 담소를 나눌 수 있는 장소이다. 수생식물원 : 모래와 자갈로 된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물 속의 불순물을 걸러내던 곳으로 수변식물로부터 습지, 정수, 부엽, 침수 식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식물을 식재하여 공원이용객들이 감상할 수 있다. 습지식물 : 구릿대, 궁궁이, 금불초, 물봉선, 동의나물, 물억새, 쇠뜨기 등 정수식물 : 골풀, 낙지다리, 노랑꽃창포, 창포, 매자기, 물옥잠, 벗풀, 보풀 등 부엽식물 : 수련, 어리연꽃, 가래, 네가래, 생이가래, 백련 등 침수식물 : 검정말, 붕어마름 등 시간의 정원 : 주제 정원들 중 기존 구조물을 가장 온전하게 남겨 활용한 공간으로 여러 종류의 생육 환경속에서 각기 다른 주제정원들이 다양한 모습의 식물을 보여줄 예정이다. 방향원 : 당귀, 향유, 배초향, 백리향 등 방향성 식물 덩굴원 : 덩굴대를 설치하여 각 종 덩굴식물 설치 색채원 : 철따라 꽃이 바뀌는 계절 초화류 식재 초록벽 정원 : 나팔꽃, 인동덩굴, 줄사철 등 만경류를 식재하여 초록의 벽과 꽃을 연출 소리의 정원 : 바람에 흔들리는 대나무잎이 내는 소리, 그리고 파리프를 이용한 오브제 설치 푸른숲의 정원 : 밀도 있는 수목식재와 교목, 관목, 지피류의 층위구조가 주는 그윽한 숲의 느낌을 가진 정원 이끼원 : 나무 그늘 하부에 암석과 이끼로 이루어진 정원 고사리·습지원 : 수로를 타고 흘러 내리는 물을 이용하여 습한 환경을 조성, 고사리류와 계곡의 물이 튀는 곳에 습지식물 식재 원형소극장 : 기존 원형 농축조를 재활용하여 만든 시설로서 공연·집회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진 약 200석 규모의 야외극장이다. 카페테리아 '나루' : 취수펌프실을 재활용한 시설로서 한강 가까이에서 한강을 바라보면서 휴식과 식음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각주[편집] ↑ 제2한강교 30% 공정달성 경향신문, 1963.7.29. 외부 링크[편집] 선유도공원 서울특별시 한강사업본부 - 양화 한강공원 본 문서에는 서울특별시에서 지식공유 프로젝트를 통해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한 저작물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vdeh 서울특별시의 공원공원 | 교통 | 도로 | 도서관 | 동굴 | 박물관 | 산 | 서원 | 섬 | 성 | 온천 | 저수지 | 종합병원 | 축제 | 하천 | 해수욕장강남구 구룡산도시자연공원 도곡공원 도산공원 봉은공원 샘터공원 청담공원 강동구 광나루한강공원 길동생태공원 동명공원 명일공원 샘터공원 샛마을공원 일자산공원 천호공원 강북구 북서울 꿈의숲 솔밭공원 오동공원 강서구 강서한강공원 구암공원 궁산공원 꿩고개공원 매화공원 방화공원 봉제산공원 염창공원 우장공원 관악구 관악산공원 낙성대공원 샘말공원 광진구 뚝섬한강공원 어린이대공원 구로구 개웅산공원 고척공원 서울푸른수목원 온수공원 금천구 감로천생태공원 금천체육공원 금천폭포공원 만수천공원 노원구 경춘선숲길 불암산공원 수락산공원 충숙공원 태릉푸른동산 도봉구 발바닥공원 서울창포원 쌍문근린공원 월천근린공원 초안산근린공원 초안산생태공원 동대문구 간데메공원 답십리공원 배봉산공원 용두공원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까치산공원 노량진공원 보라매공원 사육신공원 삼일공원 상도공원 마포구 경의선숲길 난지한강공원 망원한강공원 상암근린공원 와우공원 외국인묘지공원 월드컵공원 효창공원 서대문구 궁동공원 백련공원 북한산공원 서대문독립공원 안산공원 서초구 반포종합운동장 반포한강공원 구룡산도시자연공원 말죽거리근린공원 서리풀공원 양재시민의숲 양재시민의숲 문화예술공원 염곡느티나무형제공원 잠원한강공원 성동구 금호근린공원 달맞이근린공원 서울숲 성수공원 응봉공원 응봉근린공원 응봉산 암벽등반공원 성북구 개운산공원 성북공원 오동공원 오동근린공원 청량공원 송파구 문정근린공원 석촌호수공원 아시아공원 오금공원 올림픽공원 잠실한강공원 장지공원 천마공원 양천구 갈산공원 계남공원 서서울호수공원 용왕산근린공원 파리공원 양천공원 영등포구 선유도공원 앙카라공원 양화한강공원 여의도공원 여의도샛강생태공원 여의도한강공원 영등포공원 자매공원 중마루공원 용산구 노들텃밭 용산가족공원 응봉공원 이촌한강공원 효창공원 은평구 갈현근린공원 구파발공원(진관근린공원) 봉산공원 불광공원 종로구 경희궁 광화문시민열린마당 낙산공원 동대문성곽공원 마로니에공원 북악산공원 북한산공원 사직공원 삼청공원 세운초록띠공원 세종로공원 와룡공원 인왕산공원 청운공원 탑골공원 중구 남산공원 서울로 7017 손기정공원 장충단공원 훈련원공원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중랑구 망우리 묘지공원 봉화산공원 샘터공원 용마공원 용마폭포공원 중랑캠핑숲 기타 서울대공원* 서울랜드* *: 서울특별시가 소유·운영을 하나 부지는 경기도 과천시에 위치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vdeh 서울특별시의 섬공원 | 교통 | 도로 | 도서관 | 동굴 | 박물관 | 산 | 서원 | 섬 | 성 | 온천 | 저수지 | 종합병원 | 축제 | 하천 | 해수욕장한강의 섬 난지도 노들섬 뚝섬 무동도 무학도 반포섬 밤섬 부리도 서래섬 선유도 세빛섬¹ 여의도 잠실섬 저자도 호수의 섬 매직아일랜드¹ 와우도¹ ― : 육지화되거나 사라졌다. 1 : 인공섬이다.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선유도공원&oldid=24060371" 분류: 서울특별시의 공원서울특별시 생태경관보전지역서울특별시의 관광서울 영등포구의 지리서울특별시의 섬한강의 섬숨은 분류: 서울특별시 공개자료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04: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선유도공원(仙遊島公園)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한강에 위치한 하중도(河中島)인 선유도에 조성된 공원이다. 선유도 전체에 해당하며, 섬의 전체 면적은 0.11 ㎢이다. 양화대교와 맞닿은 생태공원으로, 행정구역 상으로는 영등포구 당산동, 양화동에 속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선유도공원에서 얕은 수심을 가진 시설로 어린이들이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은? Assistant: 환경물놀이터
Human: 아래 각궁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각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각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각궁(角弓)은 한반도의 전통적인 합성궁으로, 참나무, 산뽕나무, 물소뿔, 소힘줄, 대나무를 민어부레풀로 접합하여 만들었다. 과거 한국에는 10여 가지의 활이 존재하였지만, 현존하는 것은 각궁 하나뿐이다.[1] 목차 1 역사 2 전수 3 각주 4 외부 링크 역사[편집] 각궁은 삼국시대의 맥궁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의 활의 역사는 오래 되었지만 각궁이 언제부터 널리 보급되었는지 확실치는 않다. 다만 함흥 선원전에 태조 이성계의 유물로서 이 각궁이 보관되어 있었고, 또 경국대전에 각궁에 관한 내용이 많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 시대에 이미 각궁의 꾸밈새가 정형화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 중기 이후 각궁은 심신수련을 위해 주로 사용되었으며, 갑오경장 이후에는 국가 제식무기 편제에서 활이 제외되면서 완전히 군사무기로서의 지위를 잃게 되었다. 각궁은 영국의 롱보우에 비하면 그 길이는 짧지만 오히려 위력은 강한데 이것은 여러가지 재료를 덧대어 만든 합성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만들기가 까다롭고, 특히 물소뿔은 인도및 동남아 등지에서 수입해오는 전략 물자로 재료 자체가 절대적으로 적어 대량 생산하기에는 무리가 따랐다. 특히 습기에 약하여 장마철 습기를 먹으면 탄성이 떨어진다고 하는데 이는 각궁의 접착제로 사용하는 특수한 부레풀(민어 부레풀)의 성질에 기인한다고 한다. 초보자가 요령 없이 다루면 파손되기 쉬운 각궁은 오늘날에는 거의 개량궁으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다. 전수[편집] 1971년에 궁시장이 무형문화재로 처음으로 지정됐다. 당시 활을 만드는 장인은 서울, 경기 부천, 경북 예천에 있었는데, 장진섭, 김장환, 권영만이 각 지역의 대표적 장인이었다. 현재, 무형문화재 47호의 보유자는 활과 화살을 나누어 지정되어 있는데, 활은 김박영 궁장, 화살은 유영기, 김종국, 박호준 시장이 지정되어 있다. 김박영은 부천 활 박물관 명예관장을 맡고 있고, 유영기는 경기도 파주의 영집궁시박물관을 운영하고 있다. 김박영 궁장은 예천 계보로 입문하여 부천 활의 대표격인 김장환의 문하생으로 들어간 인물이다.[2] 각주[편집] ↑ 홀로 깨어 일어난 활의 명인 - 궁장 권영학 대구은행 사외보 향토와 문화 ↑ 박재광, 천하제일의 장기 - 조선의 각궁, 조선일보 외부 링크[편집] 대한궁도협회 국궁신문 vdeh궁술 역사 중국 터키 쇠뇌의 역사 양궁 궁수 / 플레처 / 스트링펠로우 주제 궁수의 역설 활 활의 길이 활의 모양 궁기병 활 환목궁 홀메가르드 활 강화궁 반곡궁 복합궁 화궁 장궁 웨일스 장궁 합성궁 몽고궁 각궁 쇠뇌 아버리스트 개량궁 현대 복합궁 장비 화살 화살촉 활시위 브레이서 크레스팅 머신 핑거 탭 플레칭 플루-플루 애로우 쇠뇌살 화살통 섬 링 활동 활경기 활낚시 활사냥 클라우트 궁술 필드 궁술 파핀제이 타겟 궁술 대회 세계 양궁 연맹 세계 양궁 순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궁술 월드 컵 올림픽 양궁 하계 패럴림픽 양궁 궁용어집 vdeh조선의 무기근접무기도검 장도 운검 참사검 창포검 환도 왜검 장병무기 장도 협도 언월도 기창 삼지창 당파 낭선 협도곤 장창 구창 겸창 요구창 삼아창 이두표 타격무기 편곤 철퇴 쇠도리깨 철편 철타 철척 차폭 부월 곤방 육모곤 유성추 사출무기궁시 합성궁 각궁 예궁 교자궁 고궁 복합궁 목궁 철궁 철태궁 쇠뇌 수노궁 궐장노 등자노 소노 화살 목전 철전 예전 편전 대우전 장군전 세전 유엽전 피령전 궁구 동개 시복 전통 촉도리 화기캐넌류 총통 천자총통 지자총통 현자총통 황자총통 완구 총통완구 대완구 중완구 소완구 호준포 대장군포 벽력포 서양 캐넌 불랑기포 홍이포 무적죽장군 화거 문종화거 변이중화거 융언필비 화거 목화수거 신경준화거 편상녹각거 검거 비거 구거 동거 불랑기동거 마반포거 쌍포양륜거 개인화기 캐넌류 승자총통 차승자총통 사전총통 사전장총통 세총통 정철총통 소총통 삼혈총 아쿼버스 조총 머스킷 천보총 탄약 폭탄류 진천뢰 비격진천뢰 질려포통 로켓류 신기전 방어구갑옷 군복 융복 구군복 엄심갑 찰갑 쇄자갑 경번갑 목면갑 두두미갑 두정갑 수은갑 방호갑 지갑 어린갑 식양갑 면제배갑 투구 원주 첨주 면주 간주형 투구 등두모 전립 방패 원방패 장방패 등패 삼엽팽배 총통연접팽배 생우미방패 죽패 군함 맹선 방패선 사후선 검선 전선 귀선 방선 비거도 병선 창선 해골선 협선 관련 항목: 한국의 군사사 - 조선의 군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각궁&oldid=21104401" 분류: 궁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ItalianoLietuviųTiếng Việt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4월 15일 (일) 15: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각궁(角弓)은 한반도의 전통적인 합성궁으로, 참나무, 산뽕나무, 물소뿔, 소힘줄, 대나무를 민어 부레풀로 접합하여 만들었다. 과거 한국에는 10여 가지의 활이 존재하였지만, 현존하는 것은 각궁 하나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각궁이 영국 롱보우에 비해 위력이 강한 이유는? Assistant: 여러가지 재료를 덧대어 만든 합성궁이기 때문 Human: 아래 삼호고등학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삼호고등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삼호고등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4° 45′ 03″ 동경 126° 28′ 13″ / 북위 34.7508999° 동경 126.4702973°  / 34.7508999; 126.4702973 삼호고등학교三湖高等學校Samho High School 교훈 신언서판(身言書判) 개교 2011년 설립형태 공립 교장 윤성중 교감 안태영 국가 대한민국 위치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방아제로 84 (용앙리) 학생 수 469 명 (2018년 5월 1일 기준) 교직원 수 60 명 (2018년 5월 1일 기준) 상징 교목: 느티나무, 교화: 매화 관할관청 전라남도교육청 웹사이트 http://samho.hs.jne.kr 삼호고등학교(三湖高等學校)는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용앙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다. 목차 1 학교 연혁 2 학교 동문 3 참고 자료 4 외부 링크 학교 연혁[편집] 2010년 12월 30일 : 설립인가 (6학급, 완성 18학급) 2011년 3월 1일 : 초대 이기봉 교장 취임 2011년 3월 4일 : 삼호고등학교 개교 2012년 4월 2일 : 기숙사 꿈마루 준공 2012년 11월 30일 : 우레탄 트랙공사 준공 2013년 3월 1일 : 학교폭력예방 도지정 연구학교 운영 2014년 2월 13일 : 제1회 106명 졸업 2014년 11월 4일 : 여자기숙사 온새미로 준공 2018년 3월 1일 : 제4대 윤성중 교장 부임 2019년 1월 10일 : 제6회 178명 졸업 (총 922명) 이 목록은 아직 미완성입니다. 여러분이 편집하여 채워 주세요. 학교 동문[편집] 분류:삼호고등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참고 자료[편집] 삼호고등학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교알리미 외부 링크[편집] 삼호고등학교 홈페이지 vdeh 전라남도의 고등학교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강진군 강진고 병영상고 성전고 전남생명과학고 고흥군 고흥고 고흥도화고 고흥산업과학고 고흥영주고 녹동고 곡성군 곡성고 옥과고 전남조리과학고 한울고 광양시 광양고 광양백운고 광양여고 광양제철고 광양하이텍고 광영고 중마고 한국항만물류고 구례군 구례고 전남자연과학고 나주시 광남고 금성고 나주고 나주공고 나주상고 봉황고 영산고 전남과고 전남미용고 전남외고 호남원예고 담양군 담양고 담양공고 창평고 한빛고 목포시 목상고 목포고 목포공고 목포덕인고 목포마리아회고 목포성신고 목포여고 목포여상 목포정명여고 목포제일여고 목포중앙고 목포혜인여고 목포홍일고 문태고 영흥고 무안군 남악고 무안고 백제고 전남예고 전남체고 보성군 다향고 벌교고 벌교상고 벌교여고 보성고 예당고 순천시 순천강남여고 순천고 순천공고 순천금당고 순천매산고 순천매산여고 순천복성고 순천여고 순천전자고 순천제일고 순천청암고 순천팔마고 순천효산고 순천효천고 한국바둑고 신안군 도초고 신안해양과학고 안좌고 임자고 지명고 하의고 여수시 부영여고 여남고 여수고 여수공고 여수석유화학고 여수여고 여수정보과학고 여수중앙여고 여수충무고 여수해양과학고 여수화양고 여양고 여천고 진성여고 한영고 영광군 법성고 영광고 영광공고 영광전자고 영산성지고 해룡고 영암군 구림공고 삼호고 영암고 영암낭주고 영암여고 영암전자과학고 완도군 고금고 노화고 약산고 완도고 완도금일고 완도수산고 장성군 문향고 삼계고 장성고 장성하이텍고 장흥군 장흥고 장흥관산고 정남진산업고 한국말산업고 진도군 조도고 진도고 진도국악고 진도실고 함평군 전남보건고 함평고 함평골프고 함평학다리고 해남군 송지고 해남고 해남공고 화원고 화순군 능주고 전남기술과학고 화순고 화순이양고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삼호고등학교&oldid=24073569" 분류: 전라남도의 고등학교영암군의 고등학교2011년 개교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20일 (토) 09: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삼호고등학교(三湖高等學校)는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용앙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삼호고등학교 제 6회 졸업생 수는 몇 명일까? Assistant: 922명
Human: 아래 부성여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부성여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부성여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부성여객 주식회사Buseong Passenger Co., Ltd. 산업 분야 운수업 창립 1972년 1월 24일 국가 대한민국 본사 소재지 대한민국인천광역시 서구 가좌로95번길 48 (가좌동) 핵심 인물 노재곤 (대표이사 사장) 제품 시내버스 부성여객(富盛旅客)은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이며, 차고지 및 사무실은 인천광역시 서구 가좌로95번길 48 (가좌동)에 위치해 있다. 인천광역시버스준공영제협력협회 소속 업체로, 전국에서 최초로 유일무이하게 '성범죄 안심 버스'를 운영하는 인천 서구 굴지의 시내버스 회사라 꼽힌다. 목차 1 주요 연혁 2 운행 노선 2.1 간선버스 3 과거 운행 노선 3.1 간선버스 4 보유차량 5 각주 주요 연혁[편집] 1972년 1월 24일: 회사 설립 1978년 12월 28일: 현 위치인 경기도 인천시 북구 가좌동(현 인천광역시 서구 가좌4동) 289-41로 이전. 1991년: 인천시 좌석버스를 개통하였으며, 공동배차로 운행하였다. 1992년 7월: 계양구 25번 마을버스 효성동-동서식품-대우자동차(현 한국GM)-부평역노선을 낙찰받아 운행하였다. 1995년: 계양구 25번 마을버스를 효성운수에 매각하였다. 1998년 10월: 보유했던 좌석버스를 강인여객에 매각하였다. 1999년 9월: 경인여객의 폐업으로 경인여객이 보유했던 버스 6대를 받았으나, 부성여객이 보유했던 전 차량이 현대자동차 버스였기에, 당시 제물포버스의 보유했던 현대자동차 버스 6대를 부성여객에 주었고, 부성여객이 가져갈 경인여객 버스 6대를 제물포버스가 가져갔다. 2000년 3월 26일: 인천시내버스 1차 고정배차제시행으로 28번, 33번, 36번, 64번 시내버스를 배정받아 운행하였다. 2003년 4월: 28번 시내버스 당시 "연안부두-인천역-만석동-남구청-인천고등학교-주안북부역-가좌동-서구청" 노선을 세원교통에 매각하였다. 2003년 9월: 64번 시내버스 당시 "연안부두-옥련지구-송도역-인천여자고등학교-선학역-인천터미널-간석5거리" 노선을 도영운수에 매각하였으나 2004년 폐선되었다. 2007년: 33번과 36번 시내버스에 노약자 장애인의 대중교통 편의를 위해 저상버스를 도입하여 운행하였다. 2015년 10월 12일 ~ 2016년 2월 21일: 파행운행으로 면허가 취소된 인천여객의 4번 시내버스를 공동배차 운행하였다. 2016년 7월 30일: 인천시내버스 노선 개편으로 33번 시내버스가 서창지구로 연장이 결정되었다. 운행 노선[편집] 간선버스[편집] ● 33번: 연안부두 - SK LPG충전사업소 - 라이프아파트 - 연안어시장 - 인천수산물센터 - 인천종합수산물센터 - 수협[1] - 정기무역 - 남항부두 - 연안아파트 - 항운아파트 - 신선초등학교 - 조달청 비축기지 - 인하대학교 병원 - 숭의역(CJ제일제당 1공장) - 숭의로터리 - 장안예식장 - 숭의2동 주민센터 - 미추홀구청 입구 - 제물포역 - 수봉공원 입구 - 도화초등학교 - 도화IC - 제일시장 - 시민공원 - 경인상가(주안 현대아파트) - 석바위 - 석바위시장역 - 인천교회 - 현대아파트 - 극동,금호아파트 - 인천광역시청 후문 - 구월중학교 - 길병원 - 길병원4거리 - 남인천세무서 - 구월 아시아드6단지 - 구월 아시아드아파트 - 소구월4거리 - 성문아파트 - 벽산아파트 - 남동구청 후문 - 삼환아파트 - 남동구청 - 남동초등학교 - 삼익,광명아파트 - 남동중학교 - 남동아시아드 럭비경기장 - 서창도서관 - 서창2지구 15블럭 - 이마트 서창점 - 신한프라자 - 서창 휴먼시아 11블럭 - 임마누엘교회 - 서창2지구(종점) ● 36번: 연안부두 - SK LPG충전사업소 - 풍물시장 - 연안여객터미널 - 연안여객터미널 입구 - 라이프쇼핑앞 - 연안초등학교 - 우리자동차 - 남항부두 - 연안아파트 - 항운아파트[2] - 신선초등학교 - 조달청 비축기지 - 인하대학교 병원 - 조달청(한양2차아파트) - 금호어울림아파트(새한아파트) - 용현동 상가주택[3] - 삼은교회 - 토지금고 - 용현초등학교 입구 - 굴다리 입구 - 유원아파트 - 백운프라자 - 엑슬루타워(CJ제일제당 1공장) - 숭의역 - 미추홀퍼스트 3단지 - 미추홀퍼스트 2단지 - 용현4거리 - 용현3동 행정복지센터(인천보훈병원) - 독정이 고개 - 용일초등학교 - 용남시장 - 용일4거리 - 인천소방안전본부 - 주안3동 행정복지센터 - 주안7동 행정복지센터(신기시장) - 쌍용아파트 - 진흥아파트 - 한신아파트 - 신라아파트 - 삼영아파트 - 남인천여자중학교 - 인천순복음교회 - 롯데백화점(인천터미널) - 농산물도매시장 - 인천보훈지청 - 남동공단 입구 - 구월동 팬더아파트 - 소구월4거리 - 롯데캐슬 아파트(모래내시장) - 효성상아아파트 - 현광아파트 - 만수주공 정문 - 만수주공4단지 - 만수치안센터 - 조동초등학교 - 만수북중학교 - 숭덕여자중학교(숭덕여자고등학교)(반환시: 만수종합시장 - 만수주공 후문 - 만수5동 행정복지센터 - 만수동 하이웨이주유소) 과거 운행 노선[편집] 간선버스[편집] ● 28번: 연안부두 - 전통게장길조 앞 - 인천국제여객터미널 - 연안여객터미널 - 라이프쇼핑 앞 - 연안초등학교 - 대양자동차운전전문학원 - 남항부두 - 연안아파트 - 항운아파트 - 신선초등학교 - 조달청 비축기지 - 인하대학교 부속병원 - 구)터미널(대우아파트) - 강원연탄 - 신흥시장 - 중구노인복지회관 - 신흥초등학교(송도중학교) - 신포동주민센터 - 동인천 등기소 - 중구청 - 인천역(차이나타운) - 송월시장 - 동일방직 - 만석동주민센터(동구선거관리위원회) - 영풍아파트 - 회도진공원 - 화도고개 - 화평철교 - 동인천역 - 배다리청과물시장 - 인천정보산업고등학교 - 도원동주민센터 - 도원역(인천세무서) - 숭의목공예마을 - 미추홀구청 - 숭의초등학교 - 용현시장 - 독정이고개 - 용일초등학교 - 용남시장 - 석락아파트 - 새안의원 - 신기4거리(국민건강보험 인천남부지사) - 주안남초등학교 - 인천고등학교 체육관(승기4거리) - 인천고등학교 - 석바위시장 - 더월드스테이트아파트 - 광명아파트 - KB국민은행 주안북지점 - 주안역 북부 - 공단시장 - 6공단 입구 - 롯데기공 - 한국폴리텍2대학 남인천캠퍼스 - LS산전 - 한미반도체 - 공단본부 - 공단자동차 - 코스모스화학 - 가재울4거리 - 가좌교회 - 가좌4동 주민센터 - 가좌초등학교 - 가좌주공아파트 - 한신휴아파트 - 범양아파트 - 범양상가 - 미주탕 - 석남중학교 - 쌍마아파트 - 거북시장 - 대은교회 - 석남고가4거리 - 성민병원 - 강남시장 - 신현동 주민센터 - 신현쇼핑 - 이편안한,하늘채아파트 - 가정5거리 - 현광아파트 - 서인천농협 - 인재개발원 - 심곡초등학교 - 대동아파트 - 광명아파트 - 공촌마을 - 연희4거리(반환시: 중앙아파트 - 서인천세무서 - 태영아파트 - 서구보건소 - KT서인천지사 - 심곡극동아파트 - kepco 서인천변전소 - 가정5거리 "이후동일") <2000년 3월 26일 ~ 2003년 4월말까지 운행후 세원교통에 매각.> ● 64번: 연안부두 - 전통게장길조 앞 - 인천국제여객터미널 - 풍물시장 - 라이프아파트 - 연안부두 어시장 - 라이프쇼핑 - 인천종합수산물센터 - 수협 - 정기무역 - 남항부두 - 연안아파트 - 항운아파트 - 신선초등학교 - 조달청 비축기지 - 인하대학교 부속병원 - 현대아이파크 아파트 - 한양2차 아파트 - 정비단지 - ITV경인방송 - 송도채석장 -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 GS자이 아파트 - 원흥아파트 - 백산아파트 - 우성2차 아파트 - 축현초등학교 - 호불사 입구 - 송도재래시장 - 송도역 - 송도영남아파트 - 청학아파트 - KEPCO남인천지사 - 성호아파트 - 용담마을 - 동남스포피아 - 문남마을 - 연수1동 주민센터 - 태경,유천아파트 - 연수우체국 - 가천대학교 - 인천여자고등학교 - 선학4거리(연수병원) - 선학역 - 문학경기장 - 신세계백화점(인천터미널) - 이토타워 - 인천지방경찰청 - 중앙공원 - 인천광역시청(인천광역시 교육청) - 주원고개 - 동암역 남광장입구 - 간석오거리역(반환시: 간석5거리 - 경복예식장 "이후동일") <2000년 3월 26일 ~ 2003년 9월까지 운행후 도영운수에 매각.> 2004년 폐선. 보유차량[편집] 현대자동차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현대 블루시티 각주[편집] ↑ 상 · 하행 왕복 운행 구간: 인천해양경찰청 ↑ (숭덕여중 발 - 연안부두 행: 항운아파트 미경유) ↑ 숭덕여중 발 - 연안부두 행: 하나로쇼핑 - 인하대학교 병원 vdeh인천광역시의 버스 기업시내버스 강인교통 강인여객 강화선진버스 공영급행 대인교통 대한여객 더월드교통 도영운수 동화운수 마니교통 명진교통 미래교통 부성여객 삼성여객 삼환교통 삼환여객 삼환운수 선진여객 성민버스 성산여객 성원운수 세운교통 송도버스 수정관광화물 시영운수 신강교통 신동아교통 신화여객 신흥교통 영풍운수 원진운수 인강여객 인천교통공사 인천선진교통 인천스마트 인천제물포교통 정희운수 청라교통 청룡교통 코레일네트웍스 태양여객 하이버스 해성운수 마을버스·공영버스 대곡교통 영풍운수 예성교통 인천교통공사 강화마을버스 5업체 옹진공영버스 8개 위원회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인천광역시 | 대구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부성여객&oldid=24456583" 분류: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인천 서구의 교통1972년 설립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0일 (목) 20: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부성여객(富盛旅客)은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이며, 차고지 및 사무실은 인천광역시 남동구 수현로 9에 위치해 있다. 인천광역시버스준공영제협력협회 소속 업체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부성여객의 간선버스인 33번, 36번 버스의 노선은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 33번: 연안부두 - SK LPG충전사업소 - 라이프아파트 - 연안어시장 - 인천수산물센터 - 인천종합수산물센터 - 수협[1] - 정기무역 - 남항부두 - 연안아파트 - 항운아파트 - 신선초등학교 - 조달청 비축기지 - 인하대학교 병원 - 숭의역(CJ제일제당 1공장) - 숭의로터리 - 장안예식장 - 숭의2동 주민센터 - 미추홀구청 입구 - 제물포역 - 수봉공원 입구 - 도화초등학교 - 도화IC - 제일시장 - 시민공원 - 경인상가(주안 현대아파트) - 석바위 - 석바위시장역 - 인천교회 - 현대아파트 - 극동,금호아파트 - 인천광역시청 후문 - 구월중학교 - 길병원 - 길병원4거리 - 남인천세무서 - 구월 아시아드6단지 - 구월 아시아드아파트 - 소구월4거리 - 성문아파트 - 벽산아파트 - 남동구청 후문 - 삼환아파트 - 남동구청 - 남동초등학교 - 삼익,광명아파트 - 남동중학교 - 남동아시아드 럭비경기장 - 서창도서관 - 서창2지구 15블럭 - 이마트 서창점 - 신한프라자 - 서창 휴먼시아 11블럭 - 임마누엘교회 - 서창2지구(종점) ● 36번: 연안부두 - SK LPG충전사업소 - 풍물시장 - 연안여객터미널 - 연안여객터미널 입구 - 라이프쇼핑앞 - 연안초등학교 - 우리자동차 - 남항부두 - 연안아파트 - 항운아파트[2] - 신선초등학교 - 조달청 비축기지 - 인하대학교 병원 - 조달청(한양2차아파트) - 금호어울림아파트(새한아파트) - 용현동 상가주택[3] - 삼은교회 - 토지금고 - 용현초등학교 입구 - 굴다리 입구 - 유원아파트 - 백운프라자 - 엑슬루타워(CJ제일제당 1공장) - 숭의역 - 미추홀퍼스트 3단지 - 미추홀퍼스트 2단지 - 용현4거리 - 용현3동 행정복지센터(인천보훈병원) - 독정이 고개 - 용일초등학교 - 용남시장 - 용일4거리 - 인천소방안전본부 - 주안3동 행정복지센터 - 주안7동 행정복지센터(신기시장) - 쌍용아파트 - 진흥아파트 - 한신아파트 - 신라아파트 - 삼영아파트 - 남인천여자중학교 - 인천순복음교회 - 롯데백화점(인천터미널) - 농산물도매시장 - 인천보훈지청 - 남동공단 입구 - 구월동 팬더아파트 - 소구월4거리 - 롯데캐슬 아파트(모래내시장) - 효성상아아파트 - 현광아파트 - 만수주공 정문 - 만수주공4단지 - 만수치안센터 - 조동초등학교 - 만수북중학교 - 숭덕여자중학교(숭덕여자고등학교)(반환시: 만수종합시장 - 만수주공 후문 - 만수5동 행정복지센터 - 만수동 하이웨이주유소) Human: 아래 빈_카페하우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빈 카페하우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빈 카페하우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카페 그린슈타이들 외부 카페 슈바르첸베르크 내부 빈 카페하우스 문화: 대리석 탁자, 신문, 유리 물잔과 커피 빈 카페하우스(독일어: Wiener Kaffeehaus, 오스트로바이에른어: Weana Kafäähaus)는 오스트리아 빈의 문화를 빚는 데 큰 역할을 하는 공간이다. 도시 곳곳에 오랜 역사를 간직한 카페하우스가 1200여 개 자리한다.[1][2] 커피집의 대리석 탁자와 토네트 의자가 역사주의적 세부 장식과 어울려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 빈은 사람들이 앉아 커피를 마시는 카페하우스들을 둘러싸고 지어진 도시이다. (Wien ist eine Stadt, die um einige Kaffeehäuser herum errichtet ist, in welchen die Bevölkerung sitzt und Kaffee trinkt.) ”   — 베르톨트 브레히트 2011년에 빈 카페하우스 문화(독일어: Wiener Kaffeehauskultur)가 유네스코(UNESCO)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3][4] 목차 1 역사 2 음료 3 유명한 카페하우스 4 사진 갤러리 5 각주 역사[편집] 빈의 커피와 카페하우스 문화는 17세기 말 침략한 오스만 제국 군대가 남기고 간 커피콩으로부터 시작되었다.[5][4] 15개 나라와 5000만명이 훨씬 넘는 인구를 거느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수도였던 19세기 당시 빈은 인구 200만의 대도시였으며, 시민 절반 이상은 타지에서 온 사람들로, 독일어와 체코어를 비롯한 10여개 언어가 혼용되는 곳이었다.[6] 도망 중인 반체제 인물들이 안전하게 숨을 수 있는 공간이었던 빈의 지식인 공동체는 아주 작아서, 모든 이들이 서로를 알았으며, 이곳의 카페하우스는 문화적 경계를 뛰어넘어 토론과 대화가 오가는 공간이었다.[6] 원두를 구하기 어려웠던 시기 카페하우스는 상류층 남성들만 이용할 수 있었으며, 이들은 카페하우스에 비치된 신문을 읽고 당구나 체스 등 사교 활동을 즐겼다.[7] 이후 카페하우스는 가난한 예술가가 예술적 영감을 얻는 장소이기도 했다.[7] 카페하우스에 드나들던 대표적 명사로 지그문트 프로이트, 레프 트로츠키, 당시 화가를 꿈꾸던 아돌프 히틀러 등이 있다.[7][2]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에 걸쳐 카페하우스는 시인이나 소설가, 극작가 등 여러 문학인의 창작 공간이 되기도 하였다. 카를 크라우스의 잡지 《횃불》이 많은 부분 카페하우스에서 쓰였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 외에도 유명한 카페하우스 저술가로 아르투어 슈니츨러, 알프레트 폴가어, 프리드리히 토르베르크, 에곤 에르빈 키슈 등이 있다. 시인 페터 알텐베르크는 심지어 우편물 배달 주소를 카페 첸트랄로 해두기도 하였다. 카페하우스에서 쓰인 문학 작품을 카페하우스 문학이라 부르기도 한다. 음료[편집] 모카(Mokka) 카페하우스에서는 커피에 물 한 잔을 곁들여 낸다.[4] 터키 커피와 비슷한 진한 블랙 커피가 모카(Mokka)라 불리며, 모카를 베이스로 여러 가지 커피 음료가 만들어졌다. 멜랑슈(Melange): 우유 거품을 올린 밀크 커피이다. 모차르트(Mozart): 키르슈바서를 넣고 휩트 크림을 얹은 뒤 피스타치오를 뿌린 커피이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이름을 땄다. 모카(Mokka): 터키 커피와 비슷한 진한 블랙 커피이다. 2~30초 안에 고온·고압으로 추출하는 이탈리아식 에스프레소보다 추출 시간이 두 배 이상 길며, 따라서 향과 바디감도 훨씬 부드럽다.[7] 모카를 베이스로 여러 가지 커피 음료가 만들어졌다. 비더마이어(Biedermeier): 애프리콧 브랜디를 넣고 휩트 크림을 얹은 커피이다. 아이스카페(Eiskaffee): 아이스크림을 넣고 휩트 크림을 얹은 아이스 커피이다. 아인슈페너(Einspänner): 휩트 크림을 올린 커피이다. 카페 마리아 테레지아(Kaffee Maria Theresia): 오렌지 리큐어를 넣고 휩트 크림을 얹은 커피이다. 마리아 테레지아의 이름을 땄다. 클라이너 브라우너(Kleiner Brauner): 밀크 커피이다. 페를렝게르터(Verlängerter): 물을 탄 커피이다. 카페 아메리카노와 비슷하다. 헤페를카페(Häferlkaffee): 커피를 약간 넣은 우유이다. 우유 거품을 올려 내며 라테 마키아토와 비슷하다. 유명한 카페하우스[편집] 카페 첸트랄과 페터 알텐베르크 아이다(Aida): 체인점이다. 카페 그린슈타이틀(Café Griensteidl): 레프 트로츠키가 가장 좋아했던 카페하우스이다. (2017년 7월 폐점) 카페 데멜(Café Demel) 카페 란트만(Café Landtmann):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가장 좋아했던 카페하우스이다.[6] 카페 무제움(Café Museum) 카페 브로이너호프(Café Bräunerhof) 카페 첸트랄(Café Central): 페터 알텐베르크가 가장 좋아했던 카페하우스이다. 카페 슈바르첸베르크(Café Schwarzenberg) 카페 슈페를(Café Sperl) 카페 알트 빈(Kaffee Alt Wien) 카페 자허(Café Sacher) 카페 프라우엔후버(Café Frauenhuber): 1788년 개업 당시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가 기념연주를 했다.[2] 카페 하벨카(Café Hawelka) 사진 갤러리[편집] 카페 그린슈타이틀 내부 (1896년) 카페 첸트랄 내부 각주[편집] ↑ 박종현 (2010년 1월 28일). “비엔나, 예술의 향기가 흐르는 낭만의 도시”. 《세계일보》. 2019년 2월 14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박강섭 (2014년 11월 20일). “중세의 거리서 모차르트를 만나다”. 《국민일보》. 2019년 2월 14일에 확인함.  ↑ “빈 카페하우스 문화(Wiener Kaffeehauskultur)”. 《유네스코오스트리아위원회(Österreichische UNESCO-Kommission)》 (독일어). 2019년 2월 14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이병학 (2014년 9월 3일). “100년 전 골목 카페에서 프로이트와 커피 한잔을”. 《한겨레》. 2019년 2월 14일에 확인함.  ↑ 권재현 (2006년 8월 5일). “[문학예술]커피향을 따라가는 9일간의 추리기행…‘커피향기’”. 《동아일보》. 2019년 2월 14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임병선 (2016년 12월 30일). “히틀러 트로츠키 티토 프로이드 스탈린이 함께 머물렀던 도시는?”. 《서울신문》. 2019년 2월 14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류효진 (2014년 9월 17일). “커피향 깃든 예술의 도시 빈(Wien). 그리고 비 & 나”. 《한국일보》. 2019년 2월 14일에 확인함.  vdeh커피주제 경제학 공정 무역 역사 생산 커피 생산 커피 생산량에 따른 나라 목록 커피 벨트 종 및 변종 커피나무/아라비카 S795 커피 차리에리아나 리베리카 로부스타 성분 카페스톨 카페산 카페인 커피콩 가공 커피 로스팅 커피 폐수 디카페인 커피 홈 로스팅 준비 넉박스 달라 드립 모카 포트 시럽 에스프레소 머신 에어로프레스 인스턴트 저버나 제즈베 초레아도르 퍼콜레이터 커피메이커 진공식 콜드 브루 프렌치 프레스 핸드프레소 커피 음료 가로투 갈랑 까페 스어 다 까페 쯩 라테 마키아토 레드 아이 롱 블랙 뤼데스하이머 커피 리스트레토 리큐르 커피 마자그란 멜랑슈 밀크 커피 비체린 비카 아랍 커피 아이리시 커피 아이스 아인슈페너 아포가토 에스프레소 룽고 리스트레토 원앙차 이포 화이트 커피 인디언 필터 커피 카라히요 카스크 카페 데 오야 카페 라테 카페 마키아토 카페 모카 카페 샤케라토 카페 아메리카노 카페 오 레 카페 코레토 카페 콘 레체 카페 콘 판나 카페 콩 셰이리뉴 카페 투바 카푸치노 커피 우유 커피 튜브럭 코르타도 코피 루왁 쿠바 에스프레소 터키 커피 테놈 커피 프라페 프라푸치노 플랫 화이트 화이트 커피 관련 단체 목록 커피 기업 커피집 생활 양식 바리스타 카페 소스페소 커피 브레이크 커피 소스 커피 세레모니 커피콘 커피 문화 커피 커핑 커피 팰리스 커피집 피카 코피 티암 라테 아트 빈 카페하우스 대용품 보리차 베를레이컵 카로 치커리 민들레차 잉카 포스텀 키시르 그레인 커피 기타 커피와 도넛 커피 젤리 커피 잎녹병 커피의 제3의 물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빈_카페하우스&oldid=23793256" 분류: 빈의 문화커피 문화숨은 분류: CS1 - 독일어 인용 (de)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기타 외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ragonésBoarisch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SuomiFrançaisעברית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Bahasa IndonesiaItalianoქართული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일 (토) 03: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빈 카페하우스(독일어: Wiener Kaffeehaus, 오스트로바이에른어: Weana Kafäähaus)는 오스트리아 빈의 문화를 빚는 데 큰 역할을 하는 공간이다. 도시 곳곳에 오랜 역사를 간직한 카페하우스가 1200여 개 자리한다. 커피집의 대리석 탁자와 토네트 의자가 역사주의적 세부 장식과 어울려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2011년에 빈 카페하우스 문화(독일어: Wiener Kaffeehauskultur)가 유네스코(UNESCO)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빈 카페하우스의 커피 음료에는 무엇이 있을까? Assistant: 멜랑슈(Melange): 우유 거품을 올린 밀크 커피이다. 모차르트(Mozart): 키르슈바서를 넣고 휩트 크림을 얹은 뒤 피스타치오를 뿌린 커피이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이름을 땄다. 모카(Mokka): 터키 커피와 비슷한 진한 블랙 커피이다. 2~30초 안에 고온·고압으로 추출하는 이탈리아식 에스프레소보다 추출 시간이 두 배 이상 길며, 따라서 향과 바디감도 훨씬 부드럽다.[7] 모카를 베이스로 여러 가지 커피 음료가 만들어졌다. 비더마이어(Biedermeier): 애프리콧 브랜디를 넣고 휩트 크림을 얹은 커피이다. 아이스카페(Eiskaffee): 아이스크림을 넣고 휩트 크림을 얹은 아이스 커피이다. 아인슈페너(Einspänner): 휩트 크림을 올린 커피이다. 카페 마리아 테레지아(Kaffee Maria Theresia): 오렌지 리큐어를 넣고 휩트 크림을 얹은 커피이다. 마리아 테레지아의 이름을 땄다. 클라이너 브라우너(Kleiner Brauner): 밀크 커피이다. 페를렝게르터(Verlängerter): 물을 탄 커피이다. 카페 아메리카노와 비슷하다. 헤페를카페(Häferlkaffee): 커피를 약간 넣은 우유이다. 우유 거품을 올려 내며 라테 마키아토와 비슷하다.
Human: 아래 장합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장합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7월) 장합 장합(張郃, ? ~ 231년)은 중국 후한 말 ~ 삼국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준예(儁乂)이며 기주 하간국 막현(鄚縣) 사람이다. 오장군 중의 한 명이다. 그는 위나라 장수들중 유일하게 제갈량의 북벌군을 모두 막아낸 명장이기도 하다. 목차 1 생애 1.1 원소의 수하시절 1.2 조조의 휘하가 되다 1.3 촉한과의 대결 1.4 최후 2 인물 3 정서거기장군(征西車騎將軍)에 대해서 4 장합의 친족관계 5 각주 생애[편집] 원소의 수하시절[편집] 젊은 시절에 황건적의 난에서 반란군 진압의 모병에 응하여 한복(韓馥)의 휘하에서 활약하였다. 한복의 몰락 후에는 원소(袁紹)을 섬겨 교위(校尉)에 임명되었다. 공손찬(公孫瓚)과의 싸움 등에서 활약한 공적으로 영국중랑장(寧國中郞將)까지 출세하였다. 200년, 관도대전(官渡)의 오소(烏巢) 공방전에서 조조(曹操)의 군세는 강하므로, 오소를 지키는 순우경(淳于瓊)에게 원군을 보내야 한다고 원소에게 진언하였으나, 동료인 곽도(郭圖)는 반대하며 조조의 본진을 공격하는 것이 좋다고 진언하였다. 장합은 조조군의 본진을 간단히 함락시킬 수 없다고 이견을 내었으나, 원소는 경기병만을 오소의 원군으로 보내고, 대군으로 조조군의 본진을 공격하게 했다. 하지만 원소와 곽도의 예상과는 반대로 오소가 먼저 조조에게 넘어갔다. 순우경이 패했다는 소식을 접한 장합은 고람(高覽)과 함께 원소를 배신하여 그를 공격하고 진영을 불태운 뒤 조조에게 투항하였다. 이로 인해 총대장의 생사마저도 불확실해진 원소군은 대혼란에 빠져 사실상 붕괴되었다. 조조의 휘하가 되다[편집] 조홍(曹洪)과 순유(荀攸)는 조조에게서 본진의 수비를 임명받아 지키고 있었다. 조홍은 장합의 항복을 괴이하게 여기고 받아들이지 않으려 했으나, 순유는 “장합이 항복하는 것은 자신의 계략이 채택되지 않은 것에 분노해서 항복하는 것입니다.”라고 말하고 장합을 맞이하게 했다. 또한 순우경의 패배가 자신의 잘못이라 느낀 곽도가 “장합은 패배를 기뻐하고, 불손한 말을 내뱉었습니다.”라고 참언을 했기 때문에 장합은 후환이 두려워 조조에게 항복했다는 설도 있다.[1] 조조는 장합의 항복을 기뻐하고 “오자서(伍子胥)는 자신이 잘못된 군주를 섬긴 것을 뒤늦게 알았기 때문에 불행한 최후를 맞이했다. 그대가 나에게 항복한 것은 미자계(微子啓)가 은나라를 배신하고 주나라를 섬긴 것과, 한신이 항우를 버리고, 유방을 섬긴 것처럼 올바르고 정당한 행동이다.”라고 극찬하며 편장군(偏將軍)에 임명하고 도정후(都亭侯)에 임명했다. 그 후 조조 휘하의 장군으로서 고람과 함께 원상(袁尙)과 원담(袁譚)과의 싸움에서 공적을 쌓았고, 207년 오환(烏丸)과의 전투에서는 장료(張遼)와 더불어 선봉을 맡아, 그 공적으로 평적장군(平狄將軍)에 임명되었고, 이후에도 각지의 전투에 참여했다. 촉한과의 대결[편집] 211년부터 마초(馬超)와 한수(韓遂)의 연합군과의 싸움에서도 양추(楊秋)를 항복시키는 등 공적을 세웠다. 215년 장로(張魯)와의 싸움에서도 주령(朱靈)과 함께 저족을 격파하여 본군이 이동할 길을 만들어냈다. 장로는 조조에게 항복하고, 장합은 하후연(夏侯淵)과 함께 한중의 수비를 맡았다(총대장은 하후연). 장합은 하후연에게 촉 정벌을 건의하지만 조홍의 반대로 인해 군령장을 쓴 후 비로소 3만 군을 이끌고 촉의 파군 지역으로 진출한다. 파동(巴東), 파서(巴西)의 두 군을 항복시키고, 그곳 주민을 한중으로 이동시켰지만, 촉에서 출전한 장비에게 격퇴당했다. 장합은 먼저 고지대를 선점하였으나, 산 아래 진을 치고 보급로를 끊은 장비에 패해 전군을 잃고 곽회와 더불어 몇몇 수하만을 데리고 한중으로 돌아간다. 출전하기 전 써놓은 군령장으로 인해 처형을 당할 위기에 놓이나, 조조가 직접 사면령을 내려 처벌을 면하게 된다. 219년, 하후연은 유비(劉備)군의 황충(黃忠)에게 쓰러졌다. 총대장을 잃어버린 위군은 혼란에 빠졌다. 그때 하후연의 막료였던 곽회(郭淮)가 “장합 장군은 국가의 명장으로서, 적장인 유비도 두려워 하고 있다. 이 사태는 장합 장군 없이는 타개할 수 없을 것이다.”라고 전군에게 명령하여 장합을 총대장으로 선별하였다.[2] 장합은 전군을 격려하여 동요을 가라앉히자, 모든 장수도 또한 장합의 명령에 따랐다. 그 후 조조가 직접 한중에 도착하여 유비군과 대치하게 되었지만, 대규모 충돌은 일어나지 않았고, 조조는 한중에서 철수했다. 장합은 한중과 장안(長安)의 중간에 있는 진창(陳倉)에 주둔하였다. 220년, 조조의 아들 조비(曹丕)가 왕위에 오르자, 좌장군(左將軍)으로 임명되었고, 제위에 오르자 막후(鄚侯)에 봉해졌다. 그 후에도 조진(曹眞)과 함께 노수호(盧水胡)와 동강(東羌)을 토벌하고, 오(呉)와의 싸움에서 공적을 세웠다. 조진, 하후상(夏侯尙)등과 함께 오의 강릉(江陵)을 공격할때, 함대를 통솔하여 손성(孫盛)을 격파하고 장강(長江) 중주(中州)의 요새를 점령하였다. 228년의 가정 전투(街亭)에서, 촉한(蜀漢)의 제갈량(諸葛亮)이 이끄는 북벌군의 선봉대장 마속(馬謖)은 산에 포진하고 요새를 세우지도 않자, 장합은 마속을 산 아래에서 포위한 뒤 마속군의 식수로를 끊은 후 공격하여 크게 격파했고, 촉한군은 철수했다. 그리고 촉한군에게 항복한 천수(天水), 남안(南安),안정(安定)의 삼군을 평정하였다. 이 전공으로 식읍이 1,000호 증가하여, 예전것과 합쳐 4,300호가 되었다. 후에 정서거기장군(征西車騎將軍)에 임명되었다. 최후[편집] 231년, 제갈량이 이끄는 촉한의 군세가 기산(祁山)에서 전면 철수를 개시할 때, 근처 낙양(略陽)에 있던 사마의(司馬懿)는 장합에게 추격을 명하였다. 《위략》에 따르면, 장합은 “군법에도 적을 포위할 때에도 항상 한쪽을 열어두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궁지에 빠져 퇴각하는 군대를 추격하는 일은 할 수 없습니다.”라고 발언하였으나 사마의는 듣지 않았다. 별수 없이 출격한 때에, 촉군의 복병에게 공격을 받았다. 교전 중 오른쪽 무릎(《위략》에서는 오른쪽 장딴지)에 화살을 맞아 그것이 원인이 되어 과다출혈로 사망하였다. 당시 위의 황제 조예(曹叡; 명제(明帝))는 역전의 노장인 장합의 타계를 깊이 슬퍼하여 장후(壯侯)란 시호(諡號)를 주었다. 인물[편집] 장합은 변화의 법칙을 잘 깨우치고 있었으며, 진영의 통솔에 능하고, 상황이나 지형을 고려하여 계략을 만들곤 하였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제갈량 이하의 촉의 장병은 모두 장합을 두려워 하였다 한다. 또한 유학자를 고용하여 큰일이 있을 때마다 동향의 비담(卑湛)을 천거하기도 했다. 정서거기장군(征西車騎將軍)에 대해서[편집] 장합이 임명된 정서거기장군이라는 관위는 《삼국지》 장합전(張郃傳)에서만 등장하는 것으로, 정동거기장군(征東車騎將軍)이나 정남거기장군(征南車騎將軍) 등의 예는 찾아볼 수 없다. 그 때문에 이 기술에 대해서는, ‘표기가 틀렸다,’ ‘정서의 명을 잇는 거기장군(車騎將軍)이라는 의미일 것이다.’ 등의 지적이 있다. 즉 진서(晋書) 선제기(宣帝紀)에서 장합은 거기장군(車騎將軍)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장합의 친족관계[편집] 합(郃)┳웅(雄)    ┣ □    ┣ □    ┣ □    ┗ □ 각주[편집] ↑ 장합과 고람이 순우경의 패배를 듣고 원소를 배반한 것은 《삼국지》의 무제기와 원소전에 따른 것이고, 이것은 장합전에 따른 것이다. ↑ (《위략》(魏略)에 따르면, 유비는 장합을 두려워하고, 하후연을 얕보았다고 한다. 하후연 전사 소식을 듣고 “대장은 쓰러졌다, 그렇다고 하여 다음의 수가 나오지 않지는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다.) vdeh오자양장 장료 악진 우금 장합 서황 vdeh삼국지와 삼국지연의의 주요 등장인물군주한 영제 소제 헌제 위 조조 조비 조예 조방 조모 조환 촉 유비 유선 오 손견 손책 손권 손량 손휴 손호 진 사마염 기타 공손연 공손찬 도겸 동탁 마등 여포 원소 원술 유언 유장 유표 장각 장로 한수 참모 문관한 공융 교현 양표 왕윤 채옹 위 가후 곽가 곽회 동소 사마사 사마소 사마의 순욱 순유 양수 왕랑 왕숙 유엽 정욱 종요 종회 진군 화흠 촉 간옹 동윤 등지 마량 마속 미축 방통 법정 비의 손건 양의 유파 이적 장완 제갈량 진지 오 감택 고옹 노숙 반준 보즐 여범 우번 육손 장굉 장소 장제 제갈각 제갈근 주유 진 가충 순욱 장화 진수 기타 곽도 괴량 괴월 봉기 심배 이유 장송 저수 전풍 진궁 채모 허유 무장한 노식 동승 주준 하진 황보숭 위 가규 등애 방덕 만총 서황 손례 악진 우금 이전 장합 장료 전예 전위 조인 조진 조창 조홍 조휴 하후돈 하후연 학소 허저 촉 강유 관우 관평 마대 마초 엄안 오의 왕평 요화 위연 이엄 장비 장익 조운 주창 진도 하후패 황권 황충 오 감녕 능통 미방 반장 서성 육항 여몽 장흠 전종 정보 정봉 제갈정 주치 주태 주환 진무 태사자 하제 한당 황개 진 두예 문앙 문호 석포 양호 왕준 기타 고순 곽사 기령 맹달 문추 안량 양봉 이각 장임 제갈탄 화웅 여인한 당희 동태후 하태후 초선 헌목황후 위 견황후 곽귀인 양휘유 왕원희 장춘화 하후휘 촉 감부인 미부인 목황후 황월영 오 대교 소교 보연사 손노반 손부인 오부인 진 양염 양지 기타 채부인 채염 축융부인 비한족 가비능(선비) 구력거(오환) 답돈(오환) 동천왕(고구려) 맹획(남만) 어부라(흉노) 히미코(일본) 기타 관로 남화노선 사마휘 예형 우길 좌자 화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장합&oldid=24214609" 분류: 162년 태어남231년 죽음조조 휘하의 장군삼국지 위나라의 거기장군좌장군원소와 주변 인물작전 중 사망자창저우시 (허베이성) 출신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7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DeutschEnglishFrançais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orsk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ไทยTiếng Việt吴语中文文言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3일 (월) 14: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장합(張郃, ? ~ 231년)은 중국 후한 말 ~ 삼국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준예(儁乂)이며 기주 하간국 막현(鄚縣) 사람이다. 오자양장 중의 한 명이다. 그는 위나라 장수들중 유일하게 제갈량의 북벌군을 모두 막아낸 명장이기도 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장합이 영국중랑장까지 가기 전 시절에 무슨 일이 있었는가? Assistant: 젊은 시절에 황건적의 난에서 반란군 진압의 모병에 응하여 한복(韓馥)의 휘하에서 활약하였다. 한복의 몰락 후에는 원소(袁紹)을 섬겨 교위(校尉)에 임명되었다. 공손찬(公孫瓚)과의 싸움 등에서 활약한 공적으로 영국중랑장(寧國中郞將)까지 출세하였다. Human: 아래 프로바이오틱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프로바이오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프로바이오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프로바이오틱스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적당량을 섭취했을 때 인체에 이로움을 주는 살아있는 세균을 총칭하는 말로 우리 몸에 유익(有益)을 주는 균(菌)을 말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대부분의 프로바이오틱스는 유산균이다.[1][2][3] 프로바이오틱스인 유산균이나 이로운 세균들은 몸 안의 위산과 담즙산에서 살아남아서 소장까지 도달하여 장에서 증식하고 정착한다. 정착한 장 안에서 건강에 이로운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프로바이오틱스는 독성이 없고 비병원성이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은 젖당(락토오스)을 발효하여 젖산이나 알코올을 생성시켜 만든 발효유 제품으로 섭취된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치즈와 요구르트로부터 김치와 된장에 이르기까지 발효를 이용한 음식들에 많이 들어있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식품, 특히 발효식품을 통하여 섭취하는 것부터 최근에는 건강기능식품을 통해 섭취하기까지 다양한 경로가 있다.[4] 최근에는 유산균(Lactobacillus), 비피더스균(Bifidobacterium), 엔테로콕쿠스(Enterococcus)등 이로운 균주를 포함하고 있는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을 발효유, 과립, 분말 등의 형태로 판매하고 있다. 목차 1 작용원리 2 효능 3 프로바이오틱스가 함유된 식품 3.1 프로바이오틱스의 더 효과적인 섭취 4 의약품 5 연구결과 6 각주 작용원리[편집] 프로바이오틱스는 섭취되어 장에 도달하였을 때에 장내 환경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균주를 말한다. 즉, 장에 도달하여 장 점막에서 생육할 수 있게 된 프로바이오틱스는 젖산을 생성하여 장내 환경을 산성으로 만든다. 산성 환경에서 견디지 못하는 유해균들은 그 수가 감소하게 되고 산성에서 생육이 잘 되는 유익균들은 더욱 증식하게 되어 장내 환경을 건강하게 만들어 주게 되는 것이다(Ouwehand 등, 2002).[5] 효능[편집] 우리의 몸속에 사는 세균의 무게는 무려 2kg으로 약 80%의 세균이 장에서 서식한다. 장 내에 각종 유해균이 서식하게 되면 비만, 당뇨병 등의 대사증후군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하지만 장에 유해균이 아닌 유익균을 기르게 되면, 유익균은 사람의 건강과 면역기능에 이로움을 줄 수 있다. 유산균은 유익균으로 우리 몸의 장 속에 주로 서식하며 면역력을 높이고 생체 순환에 큰 역할을 한다. 나이가 들면서 점차 유익균은 감소하고 장내 유해균은 증가하게 된다(Homma 등, 1998). 이러한 정상적인 노화 과정에서 장내 균총의 분포를 건강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프로바이오틱스의 기능이다. 프로바이오틱스의 섭취는 사람이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이 외에도 유아, 과민성 대장 증후군, 염증성 장질환 등 다양한 질병의 개선에도 도움을 준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유당불내증(유당을 섭취하는 것에 의하여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을 가져오는 질환)을 개선하고 결장암을 예방하며 콜레스테롤 및 혈압을 낮춰준다. 그리고 면역기능 개선, 감염예방, 스트레스로 인한 유해한 세균의 성장 방지, 과민성대장증후군과 결장염 개선 등의 역할을 한다. 또한 프로바이오틱스의 섭취는 면역시스템을 강하게 하며, 캔디다증과 관련된 장의 치료와 항생제로서 권고되어 왔다. 프로바이오틱스는 항생제 사용, 과잉의 알콜, 스트레스, 질병, 독성물질에 노출 등의 상황에 우리 몸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우리의 건강을 저해하고 유해한 경쟁자가 성장하지 못하도록 활동한다.[6] 프로바이오틱스가 함유된 식품[편집] 몸 안의 장에 살고 있는 세균들은 우리의 식생활에 따라 구성이 바뀌게 되는데, 과일이나 채소의 섬유소를 섭취할 경우 유익균의 수가 증가하는 반면 육류, 인스턴트식품 등을 먹으면 장 속의 유해균이 증가해 이들의 독성물질로 인해 염증이 생길 수 있다. 프로바이오틱스의 더 효과적인 섭취[편집] 1. 프로바이오틱스는 약 60˚C 이상의 온도에서 살지 못하므로 효과적으로 섭취하기 위해서는 김치나 된장 등의 발효 식품을 익혀 먹지 않는 게 좋다. 2. 프로바이오틱스의 효과를 더 높이기 위해서는 채소와 함께 섭취하는 것이 좋다. (예 : 바나나를 곁들인 요구르트, 치즈 채소샐러드, 나물 된장무침 등) 3. 단기간에 효과를 보려 하지 말고 적어도 3주 이상 꾸준히 섭취하는 게 좋다. 4. 건강기능성식품을 섭취할 때는 프로바이오틱스의 함량이 최소한 1억 마리(10⁸CFU/일) 이상인지를 확인하고, 제품의 권장량에 따라 섭취하는 게 좋다.[7] 의약품[편집] 덴마크에서 프로바이오틱스는 흔히 처방되는 약 중 하나이다. 특히 항생제를 먹는 환자에게 권해지는데 항생제 섭취시 유해균은 물론 유익균까지 죽게된다. 따라서 보충제로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하면 항생제로 인해 감소된 유익균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로바이오틱스는 식품을 통한 섭취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식품으로 섭취할 수 있도록 시중에서 판매도 되고 있다.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이 살아서 장까지 이동할 수 있는 기술과, 동양인과 서양인의 장 모양과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그 사람에게 적합한 균주인지 체크해보고 먹을 수 있는 다양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들이 출시되었다. 또한, 90도의 온도에서도 생존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아이를 위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들도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다. 연구결과[편집] Fukushima 등(1997)은 9명의 건강한 어린이에게 B. bifidum를 8.8×108 CFU씩 20일간 섭취시킨 결과, 분변의 Bifidobacterium 중 섭취균이 27%를 차지하고 있으며 부패성 대사물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Saito 등(2002)은 유제품에서 분리한 helveticus GCL1001을 건강한 성인 남녀에게 84×108 CFU, 252×108 CFU 섭취시킨 결과, Bifidobacterium이 증가하고 Clostridium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 외에도 Nobaek 등(2000)은 IBS 환자들에게 Lactobacillus plantarum을 섭취시킨 결과 피험자의 장내에서 Lactobacillus plantarum이 발견되고 복통 등이 감소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이처럼 Lactobacillus와 Bifidobacteria의 단일 균주 또는 혼합 균주의 분말이나 발효유를 1일 108 CFU 이상 섭취하는 것은 장에서 유익한 유산균인 Lactobacillus와 Bifidobacteria를 증가시키고, 유해균인 대장균(E. coli) 혹은 Clostridium를 감소시킨다는 것이 여러 연구에서 확인되고 있다.[5] 각주[편집] ↑ "장건강을 위한 2가지 키워드 ‘프로바이오틱스 VS 프리바이오틱스"《하이닥》, 2013년 03월 19일 ↑ "장이 속 썩인다고요?…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효과적"《한국경제》, 2013년 03월 25일 ↑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으로 장내 미생물균총 균형 조절… 경희대 김동현 교수 연구 분석"《국민일보》, 2013년 03월 11일 ↑ “한국야쿠르트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www.yakult.co.kr》. 2016년 6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프로바이오틱스”. 《terms.naver.com》. 2016년 6월 9일에 확인함.  ↑ “프로바이오틱스”. 《terms.naver.com》. 2016년 6월 9일에 확인함.  ↑ “프로바이오틱스 제대로 섭취하기”. 《navercast.naver.com》. 2016년 6월 9일에 확인함.  전거 통제 LCCN: sh2006003499 GND: 4338112-1 SUDOC: 050517147 BNF: cb12231769j (데이터) NDL: 01201136 BNE: XX55099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프로바이오틱&oldid=24507003" 분류: 세균학소화계통숨은 분류: 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हिन्दी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lovenščina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alon吴语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02:3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프로바이오틱(probiotic)은 적당량을 섭취했을 때 인체에 이로움을 주는 살아있는 균을 총칭하는 말로 우리 몸에 유익(有益)을 주는 균(菌)을 말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대부분의 프로바이오틱은 유산균이다. 프로바이오틱인 유산균이나 이로운 세균들은 몸 안의 위산과 담즙산에서 살아남아서 소장까지 도달하여 장에서 증식하고 정착한다. 정착한 장 안에서 건강에 이로운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프로바이오틱은 독성이 없고 비병원성이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프로바이오틱 제품은 젖당(락토오스)을 발효하여 젖산이나 알코올을 생성시켜 만든 발효유 제품으로 섭취된다. 프로바이오틱은 치즈와 요구르트로부터 김치와 된장에 이르기까지 발효를 이용한 음식들에 많이 들어있다. 프로바이오틱은 식품, 특히 발효식품을 통하여 섭취하는 것부터 최근에는 건강기능식품을 통해 섭취하기까지 다양한 경로가 있다.최근에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엔테로콕쿠스(Enterococcus)등 이로운 균주를 포함하고 있는 프로바이오틱 제품을 발효유, 과립, 분말 등의 형태로 판매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환자들이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을 먹고 복통이 감소된 이 실험은 몇 년도일까? Assistant: 2000
Human: 아래 평강공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평강공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평강공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아차산 입구의 온달과 평강공주 동상 평강공주(平岡公主, ? ~ ?)는 고구려 평원왕의 딸이다. ‘평강’은 평원왕의 이칭인 평강상호왕(平崗上好王)에서 따온 것으로 원래 이름은 알 수 없다. 남편 온달과의 설화가 《삼국사기》에 수록되어 있다. 목차 1 전설 2 가계 3 같이 보기 4 참고 문헌 전설[편집] 어려서 자주 울어 그때마다 평원왕이 바보 온달에게 시집보내겠다고 놀렸다. 16세 때 평원왕이 상부(上部)의 고씨 가문에 출가시키려 하자 이를 거역하고 홀로 궁궐을 뛰쳐나와 온달을 찾아갔다. 장님이었던 온달의 노모는 평강공주의 향기를 맡고 부드러운 손을 만져보고는 매우 귀하신 분 같다며 우리 모자는 찢어지게 가난하니 계실 곳이 아니라고 하였다. 마침 배고픔에 느릅나무 껍질을 지고 오던 온달 역시 어린 여자 사람이 할 행동이 아니라며 강하게 거부하였다. 평강공주는 사립문 아래에서 밤을 보낸 후 다음날 아침 일찍부터 모자를 다시 설득한 끝에 마침내 온달과 혼인하였다. 평강공주는 가져온 값비싼 팔찌를 팔아 살림을 장만하고 말을 정성스레 길렀다. 온달은 그 말을 타고 북주와의 전투에서 큰 공을 세워 이름이 높아졌다. 590년 온달이 아단성(阿旦城)에서 신라와 싸우다 전사하고 관에 들어갔는데 옮기려 해도 움직여지지 않았다. 평강공주가 관을 어루만지며 이미 생사가 정해졌으니 돌아가자고 해서야 옮길 수가 있었다. 가계[편집] 아버지 : 평원왕 남편 : 온달 오빠: 영양왕 같이 보기[편집] 위키문헌에 이 글과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조선상고사/제9편 낙랑공주 평강, 고구려의 어머니, 2018년, 홍남권, 온하루출판사 참고 문헌[편집] 《삼국사기》45권 열전 제5 온달 vdeh삼국시대의 국왕을 제외한 주요 인물1 ~ 2세기고구려 괴유 호동 명림답부 을파소 백제 비류 신라 김알지 기타 공손탁 3 ~ 4세기고구려 밀우 유유 창조리 백제 왕인 목라근자 신라 석우로 기타 관구검 모용외 아도 5 ~ 6세기고구려 온달 백제 곤지 백가 신라 박제상 이차돈 이사부 사다함 거칠부 세종 기타 우륵 7세기고구려 을지문덕 연개소문 안시성주(양만춘) 연남생 검모잠 안승 백제 성충 계백 예식진 부여효 부여융 부여풍 복신 도침 흑치상지 신라 비담 알천 김유신 김인문 강수 원광 원효 기타 우중문 소정방 설인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평강공주&oldid=22951002" 분류: 6세기 태어남몰년 미상고구려의 왕족온달횡성 고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1월 8일 (목) 11: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평강공주(平岡公主, 생몰년 미상)는 고구려 평원왕(平原王)의 딸이다. ‘평강’(平崗)은 평원왕(平原王)의 이칭인 평강상호왕(平崗上好王)에서 따온 것으로 원래 이름은 알 수 없다. 남편(男便) 온달(溫達)과의 설화(說話)가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수록되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왕은 왜 평강공주를 바보 온달에게 보내겠다고 했어? Assistant: 어려서 자주 울어 Human: 아래 형제복지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형제복지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형제복지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형제복지관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형제복지원 대한민국 제5공화국의 일부위치 부산직할시 북구 주례동 산18번지발생일 1975년 ~ 1987년종류 납치, 강제 수용소, 무자유 노동사망자 531명 이상공격자 박인근 동기 금전적 이득(지원금 절취 및 포탈) 사회복지법인 형제복지원(社會福祉法人兄弟福祉院)은 1975년부터 1987년까지 대한민국 부산직할시 북구 주례동 산 18번지(현재 부산광역시 사상구 백양대로 372) 일대에 위치했던 부랑자 강제수용소로, 3,146명이 수용 가능한 대한민국 최대의 부랑인 수용시설이었다. 1987년 3월 22일 직원의 구타로 원생 1명이 숨지고, 이에 35명이 탈출함으로써 그 내부에서 일어난 인권유린이 드러나게 되었다. 1975년 내무부훈령 제410호, 그리고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하계 올림픽을 앞두고 대한민국 정부가 대대적인 부랑인 단속에 나선 것이 형제복지원 설립의 배경이었다.[1][2][3][4] 형제복지원은 폐쇄 이후, 세상에 떠들썩하게 알려졌지만, 이후 빠르게 잊혔다. 27년 뒤, 1984년 입소하여, 1987년 폐쇄당시 전원조치된 피해자인 한종선이 2012년 5월 국회 앞에서 1인시위를 통해 세상에 알리고, 전규찬과의 공저 <살아남은 아이>(한종선, 전규찬, 박래군)의 책을 통해 형제복지원에서의 실상을 글과 그림으로 증언하며 세상에 알려졌다. 이후 형제복지원진상규명을위한 대책위원회, 형제복지원피해생존자모임이 결성되었다. 2014년 3월 22일, SBS '그것이 알고싶다-홀로코스트 그리고 27년:형제복지원의 진실'에서는 27년 간 감춰져 온 이 사건의 의혹과 진실이 방영되었는데, 이 복지원에서는 수용자들의 중노동은 물론 수용자들에 대한 구타와 감금 그리고 성폭행까지 자행됐으며, 12년 동안 500명이 넘는 인원이 사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5] 문무일 검찰총장은 2018년 11월 27일에 한종선씨 등 형제복지원 피해자 30여명을 만나 "검찰이 외압에 굴복해 수사를 조기에 종결하고 말았다는 과거사 위원회의 조사결과를 무겁게 받아 들인다"고 하면서 "검찰이 진상을 명확히 규명하였다면 형제복지원 전체의 인권침해 사실이 밝혀지고, 인권침해에 대한 적절한 후속조치도 이루어졌을 것"이라며 "피해사실이 제대로 밝혀지지 못하고, 현재까지 유지되는 불행한 상황이 발생한 점에 대하여 마음깊이 사과드린다"고 했다.[6] 목차 1 사건 개요 2 재판 2.1 1심 2.2 항소심 2.3 상고심 2.4 파기환송심 2.5 재상고심 2.6 비상상고 3 사건 결과 4 폐쇄 이후 5 한종선 6 관련 서적 7 관련 연극 8 관련 방송 9 같이 보기 10 각주 11 외부 링크 사건 개요[편집] 부산직할시 북구 주례동[7]에 위치한 <부산 형제복지원>은 부랑인 선도를 목적으로 해마다 20억 원씩 국고의 지원을 받고 있는 곳이었다. <부산 형제복지원>은 부랑인 선도를 명목으로 역이나 길거리에서 주민등록증이 없는 사람이나 노숙자, 기차역에서 TV를 보고 있거나, 시장에서 음식을 먹던 무고한 시민 등을 부랑인으로 생각하고 아무도 모르게 무조건 끌고 가서 불법 감금 시키고 강제노역을 시켰으며,여성은 강간 까지 당했다 저항하면 굶기고 구타 하거나 심지어는 죽이고 암매장까지 했다.인원수만큼 국가에서 지원금이 나오기 때문이었다. 이런 식으로 12년 동안 무려 589명 사망했고, 일부 시신은 300~500만 원에 의과대학의 해부학 실습용으로 팔려나갔다. 또한 원장 박인근(당시 58세)은 자신의 땅에 운전교습소를 만들기 위해 원생들을 축사에 감금했고,하루 10시간 이상의 중노동을 시켰다.[8][2] 재판[편집] 1심[편집] 박인근(58세 형제복지원장) 징역10년 벌금 6억8천178만원 김돈영(50세 형제복지원 총무) 징역1년 성태운(48세 형제복지원 소대장) 징역1년 이충렬(27세 형제복지원 소대장) 징역3년 주영은(48세 형제복지원 사무장) 징역2년 집행유예3년 임채홍(48세 형제복지원 소대장) 징역1년 집행유예2년 박두선(30세 박인근 아들, 형제요양원 총무) 징역3년 항소심[편집] 대구고등법원 형사2부는 특수감금죄 등 5개 죄목으로 피고인들에 대해 유죄를 인정했으나 정상을 참작하여 감경하면서 박두선에 대해 "아들로 아버지의 범법행위에 대해 알고는 있었지만 직접 가담하거나 방조한 사실이 없다"고 했다.[9] 박인근 징역4년 김돈영 징역1년 성태운 징역8월 이충렬 징역1년6월 주영은 징역1년 집행유예2년 임채홍 징역8월 집행유예2년 박두선 무죄 상고심[편집] 대법원 형사1부(주심 황선당)는 1988년 3월 9일에 "특수감금죄와 형법상의 정당행위의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며 파기환송했다.[10] 파기환송심[편집] 대구고등법원 제1형사부(재판장 정용인)는 "적법한 허가를 받은 시설로 볼 수 없다는 점에서 강제수용은 감금죄에 해당한다"고 했다.[11] 박인근 징역3년 김돈영 징역1년 재상고심[편집] 대법원 형사1부(주심 배만운)은 1989년 7월 13일 "울주사업장에 수용 중인 부랑인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취침시간에 자물쇠로 철문을 잠그고 행동의 제한을 한 것은 사회복지사업 등 법령에 따른 정당한 직무로서 감금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며 박인근에게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 횡령죄만 적용하여 징역2년6월, 김돈영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12] 비상상고[편집] 문무일 검찰총장은 2018년 11월 20일 형제복지원장의 특수감금죄 등에 무죄를 선고한 기존 법원 판결에 대해 당시 형제복지원이 부랑자 등을 강제수용한 근거가 됐던 ‘내무부 훈령’이 △법률의 위임을 받지 않은 훈령이면서 △부랑인의 개념이 지극히 모호하여 명확성의 원칙에 반할 뿐만 아니라 △수용자들의 신체의 자유 및 거주 이전의 자유를 명백히 침해하여 과잉금지원칙에 위반되고 신체의 자유를 법에 근거하지 않고 침해하여 적법절차원칙에 반하는 것이어서‘법령 위반’이라 판단하여 대한민국 대법원에 비상상고를 했다.[13] 사건 결과[편집] 이 사건 담당 검사는 김용원이었고, 이 사건으로 인해 <부산 형제복지원> 원장 박인근과 직원 주영은(당시 48세) 등 5명이 구속되었다.[14][8][2] 이 사건은 당시 민주화 진행 과정에서 낙후된 대한민국 내 복지시설의 수준과 참상을 보여줬다. 이후 <부산 형제복지원>은 없어지고 그 지역에 아파트 단지가 생겼다.[15] 사건을 수사하던 김용원 검사는 당시 부산지방검찰청 검사장 이었던 박희태에게 사건 축소 및 외압 등의 지시를 받았다.[16] 원장 박인근은 횡령죄 등으로 가벼운 처벌을 받았을 뿐 불법구금, 폭행, 살인 등에 대해서는 재판조차 받지 않았다. 원장이 횡령한 국고보조금이 12억 원에 이르지만 검찰은 7억에 대해서만 기소하였다. 그는 항소심을 거쳐 징역 2년 6개월형을 선고받았다.[17] 폐쇄 이후[편집] 형제복지원 폐쇄 이후 수용자(需用者)들은 노숙자가 되고, 채혈(採血) 후 헌혈차에서 주는 빵으로 생활한 이도 있었다. 당시 12~15세의 소년과 소녀도 많았는데, 너무 오래 갇힌 채 피동적인 삶을 살아서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박인근은 출소 후 형제복지원 부지를 매각하고 기존에 형제복지원을 재인수하여 1000억 원대의 재산을 보유하고 있다.[17] 형제복지원은 형제복지지원재단으로 똑같이 존재한다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곰내길 483(달산리 985-2)에 시설을 세웠다. 박인근의 셋째 아들은 이 재단에 대표로 있으면서 실로암의 집을 운영하였다. 27년 뒤, 1984년 입소하여, 1987년 폐쇄당시 전원조치된 피해자인 한종선이 2012년 5월 국회 앞에서 1인 시위를 통해 세상에 알리고, 전규찬과의 공저 < 살아남은 아이>(한종선, 전규찬, 박래군)의 책을 통해 형제복지원에서의 실상을 글과 그림으로 증언하며 그 진상이 세상에 알려졌다. 한편 한종선 외 형제복지원 피해자들은 2013년 12월 24일 국가를 상대로 인권침해에 대한 진상 조사와 배상을 요구했다. 결국 2018년 10월 비상상고 결정이 내려졌다[18] 한편 이 사건과 관련해 박인근 원장은 1981년 4월 20일 국민포장을 받았고, 1984년 5월 11일에는 국민훈장 동백장을 받았으나, 2018년 7월 10일 행정안전부는 '부적절한 서훈 취소(안)'을 심의·의결해 서훈을 취소했다.[19] 2018년 10월 현재 검찰위는 이 사건에 비상상고 권고를 내린 상태다. 한종선[편집] 한종선은 형제복지원 사건의 피해자이자 《살아남은 아이》의 저자이다. 1987년 폐쇄 이후 아무도 믿지 않는 형제복지원 사건을 알리기 위해, 2012년 5월 국회 앞에서 1인 시위를 하던 중 전규찬 교수를 만나 형제복지원의 실상을 밝힌 책인 《살아남은 아이》를 발간하게 되었다. 2012년에 나온 《살아남은 아이》는 1988년에 나온 《형제복지원:생지옥의 낮과 밤》의 뒤를 잇는 형제복지원 피해자의 2번째 책이다. 관련 서적[편집] 김영욱.《형제복지원:생지옥의 낮과 밤》. 청사. 1988년. ISBN 2006466001474 김용원. 《브레이크 없는 벤츠》. 예하. 1993년. ISBN 89-7385-718-5 전규찬·한종선·박래군. 《살아남은 아이》. 문주. 2012년. ISBN 978-89-967670-4-6 관련 연극[편집] 《성지에서 복지로》(극단 자갈치(채희완 연출))(1987년)[20] 《우리는 난파선을 타고 유리바다를 떠돌았다》(에피소드 스튜디오(장지연 연출)/제15회 서울변방연극제 공식초청작)(2013년)[21][22] 《해피투게더》(이수인 연출)(2013년)[23] <못찾겠다 꾀꼬리>(프로젝트 업라이트)(2018년)[24] 관련 방송[편집] 2013년 11월 3일 - MBC 시사매거진 2580 2012년 10월 24일 - KBS 추적60분 2014년 3월 22일, 2015년 3월 21일 - SBS 그것이 알고 싶다 2018년 5월 2일 - TV CHOSUN 탐사보도 세븐 2019년 2월 7일 - JTBC 이규연의 스포트라이트 같이 보기[편집] 박희태 김용원 박인근 삼청교육대 형제복지지원재단 각주[편집] ↑ 이재근. 부산 형제복지원 사건 발생. 매일신문. 2008년 3월 22일. ↑ 가 나 다 정은주. '누나는 성폭행·아빠는 정신병원' 살아남은 아이는 묻는다. 한겨레신문. 2013년 2월 9일. ↑ 김민경. 26년 전 생지옥에서 살아남아 싸우는 아이. 한겨레신문. 기사입력 2013년 11월 9일. 기사수정 2013년 11월 15일. ↑ 정락인. ‘형제복지원 사건’ 아직 끝나지 않았다. 시사저널. 2016년 11월 17일. ↑ ‘그것이 알고싶다’ 형제복지원, 12년간 513명 사망…무슨 일이?. 해럴드경제. 2014년 3월 23일. ↑ [1] ↑ 사건 당시에는 북구에 속해 있었다. ↑ 가 나 구영식. '인권유린' 형제복지원 사망자 38명 추가 확인. 연합뉴스. 2014년 3월 21일. ↑ [2] ↑ [3] ↑ [4] ↑ [5] ↑ [6] ↑ 형제복지원 사건 抗訴審(항소심) 결심공판 ↑ 「형제복지원」터 아파트 곧 착공 ↑ http://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118916# ↑ 가 나 변상욱, '형제복지원, 국가가 국민을 짐승으로 만들었다', CBS ↑ 부산 형제복지원 사건 피해자 인권위 집단 진정 ↑ 박성민 (2018년 7월 10일). “5·18 진압자·간첩조작 유공자 등 훈포장·표창 무더기 박탈”. 《연합뉴스》. 2018년 7월 10일에 확인함.  ↑ 극단 자갈치 [7] Archived 2016년 1월 9일 - 웨이백 머신 ↑ 서울변방연극제[8] Archived 2018년 11월 5일 - 웨이백 머신 ↑ 월간 객석 공연평 (평론가 이은경)[9] ↑ 박정환. 26년 전, 부산에 실재했던 '생지옥'을 보여드립니다. 오마이스타. 2013년 11월 12일. ↑ “[인터뷰] 연극 연출가 한승훈”. 2018년 11월 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뉴스타파M 1회 - 최후변론. 뉴스타파. 2013년 3월 6일. 아직도 끝나지 않은 형제복지원 사태 30년 - 한종선 공동대표(형제복지원생존자, 실종자 유가족 모임), 진선미 의원(더불어민주당). (CBS표준FM)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2017년 3월 22일. 형제복지원 사건 진실규명 및 해결방안 모색을 위한 토론회 자료집 (2013, 한국장애인재활협회)[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vdeh 대한민국의 살인 사건1940년대 송진우 피살 사건 (1945년) 윤명선 피습 사건 (1946년) 장덕수 피살 사건 (1947년) 1950년대 김창룡 저격 사건 (1956년) 1960년대 최영오 일병 사건 (1962년) 1970년대 정인숙 피살사건 (1970년) 춘천 강간살인 조작 사건(1972년) 육영수 저격 사건 (1974년) 김대두 연쇄 살인 사건 (1975년) 이팔국 아내 살인 사건 (1975년) 판문점 도끼 살인 사건 (1976년) 박흥숙 사건 (1977년) 골동품상 부부 납치 살해 사건 (1979년) 10·26 사건 (1979년) 1980년대 이윤상 유괴 살해 사건 (1980년) 우범곤 순경 총기 난사 사건 (1982년) 사진작가 죽음 연출 사건 (1982년)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1982년) 형제복지원 사건 (1975년 ~ 1987년)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 (1987년) 김훈 중위 사건 (1988년) 설인종 고문 치사 사건 (1989년) 화성 연쇄 살인 사건 (1986년 ~ 1991년) 1990년대 서울 노량진 살인 사건 (1990년) 부산 새마을금고 권총강도 살인 사건 (1990년) 양평 일가족 생매장 사건 (1990년) 김정수 거성관 방화 사건 (1991년) 여의도광장 차량질주 사건 (1991년) 이형호 유괴 살해 사건 (1991년) 김보은 김진관 사건 (1992년) 윤금이 피살 사건 (1992년) 원주 왕국회관 화재 (1992년) 혜화동 무장 탈영병 총격 난동사건 (1993년) 지존파 사건 (1993년 ~ 1994년) 온보현 택시 연쇄 살인 사건 (1994년) 박한상 부모 살해 사건 (1994년) 영생교 사건 (1994년) 양주 군부대 총기 난사 사건 (1994년) 치과의사 모녀 살인 사건 (1995년) 이종권 고문 치사 사건 (1996년) 이석 치사 사건 (1997년) 대구 이승수 연쇄살인 사건 (1997년) 이태원 햄버거 가게 살인 사건 (1997년) 박나리 유괴 살해 사건 (1997년) 대구 아동 황산테러 사건 (1999년) 완주 삼례 나라슈퍼 3인조 강도 사건 (1999년) 정두영 연쇄살인 사건 (1999년 ~ 2000년) 2000년대 김신혜 아버지 존속 살인 (2000년) 익산 약촌오거리 택시 기사 살인 사건 (2000년) 김해선 사건 (2000년) 김도룡의 나주 여고생 살인 사건 (2001년) 개구리 소년 사건 (1991년 ~ 2002년) 대구 지하철 방화 사건 (2003년) 포천 여중생 납치 피살 사건 (2003년) 유영철 연쇄 살인 사건 (2003년 ~ 2004년) 정남규 연쇄 살인 사건 (2004년 ~ 2006년) 정성현 군포 부녀자 살인 사건 (2004년) 연천 530GP 사건 (2005년) 부산개성중학교 폭행 치사 사건 (2005년) 신정동 연쇄살인사건 (2005년 ~ 2006년) 용산 초등학생 살해 사건 (2006년) 강호순 경기도 부녀자 연쇄살인 사건 (2006년 ~ 2008년) 제주 초등학생 성추행 살해 사건 (2007년) 버지니아 공대 총기 난사 사건 (2007년) 수원 노숙소녀 살인 사건 (2007년) 2007년 강화 총기 탈취 사건 (2007년) 안양 초등학생 납치 살해 사건 (2007년) SBS 외주작가 투신 자살 사건 (2008년) 마포 일가족 실종 사건 (2008년) 대구 어린이 납치 살해 사건 (2008년) 안양 관양동 존속 살해 사건 (2008년) 논현동 고시원 살인 사건 (2008년) 강화도 모녀 납치 살해 사건‎ (2008년) 제주 보육교사 살인 사건 (2009년) 2010년대 김길태 사건 (2010년) 만삭 의사 부인 사망 사건 (2011년) 울산 울주군 여아 학대 사망사건 (2011년 ~ 2013년) 강화도 해병대 총기 난사 사건 (2011년) 수원 토막 살인 사건 (2012년) 강남 술집 칼부림 사건 (2012년) 서울 신촌 대학생 피살 사건 (2012년) 제주도 올레길 살인 사건 (2012년) 통영 초등학생 살인 사건 (2012년) 울산 자매 살인 사건 (2012년) 2013년 대구 여대생 살인 사건 (2013년) 용인 엽기 살인 사건 (2013년) 칠곡 계모 아동학대 살인사건 (2013년) 강원도 고성 군부대 총기 난사 사건 (2014년) 울산 삼산동 묻지마 살인 사건 (2014년) 포천 빌라 고무통 변사 사건 (2014년) 김해 여고생 살인 사건 (2014년) 울산 입양아동 학대 사망사건 (2014년) 연천 후임병 구타사망 사건 (2014년) 수원 팔달산 토막 살인 사건 (2014년) 인천 가방 속 시신 사건 (2014년) 포천 농약 음독 사건 (2011년 ~ 2014년) 청주 크림빵 뺑소니 사건 (2015년) 시화호 토막살인 사건 (2015년) 서울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 총기 난사 사건 (2015년) 상주 농약 음료수 음독 사건 (2015년) 김일곤 트렁크 살인 사건 (2015년) 용인 벽돌 살인 사건 (2015년) 부천 초등학생 토막 살인 사건 (2012년 ~ 2015년) 부천 여중생 백골 살인 사건 (2015년 ~ 2016년) 평택 아동 살해 암매장 사건 (2013년 ~ 2016년) 청송 농약 소주 음독 사건 (2016년) 청주 아동학대 암매장 사건 (2011년 ~ 2016년) 대부도 토막시신 살인사건 (2016년) 강남역 화장실 살인사건 (2016년) 시흥 악귀 살인사건 (2016년) 김학봉 수락산 살인 사건 (2016년) 오패산터널 총격 사건 (2016년) 인천 초등학생 살해 사건 (2017년) 이영학의 중랑구 여중생 살인 사건 (2017년) 김성관의 용인 일가족 살인 사건 (2017년) 고준희 양 살인사건 (2017년) 종로 여관 방화 사건 (2018년) 제주 게스트하우스 살인 사건 (2018년) 정읍 존속살인 사건 (2018년) 봉화군 소천면 사무소 엽총 난사 사건 (2018년) 서울대공원 토막 살인 사건 (2018년) 부산 사하구 일가족 살인사건 (2018년) 거제 폭행 살인 사건 (2018년) 서울 강서구 PC방 살인 사건 (2018년) 서울 강서구 아파트 전처 살인 사건 (2018년) 인천 중학생 추락사 사건 (2018년) 강북삼성병원 정신과 의사 살인 사건 (2018년) 화성 동탄 원룸 살인사건 (2019년) 이희진 부모 피살 사건 (2019년) 진주 가좌주공아파트 방화 살인 사건 (2019년) 광주 의붓딸 살인 사건 (2019년) 전직 김포시의회 의장의 아내 살해 사건 (2019년) 고유정의 전 남편 토막 살인 사건 (2019년) 살인 사건 철도 사고 항공 사고 해양 사고 도로 사고 화재 사고 군사 사건 성범죄 사건 아동 학대 사건 폭발 사고 붕괴 사고 vdeh 대한민국의 성범죄 사건1950년대 박인수 사건 (1955년)1 1960년대 용화교 사건 (1962년) 1980년대 부천서 성고문 사건 (1986년) 화성 연쇄 살인 사건 (1986년 ~ 1991년) 부산 형제복지원 사건 (1975년 ~ 1987년) 변월수 사건 (1988년) 1990년대 김부남 사건 (1991년) 김보은 김진관 사건 (1992년) 온보현 택시 연쇄 살인 사건 (1994년) 함평 여고생 성폭행 사건 (1997년) 서울대 우 조교 성희롱 사건 (1998년) 2000년대 김해선 사건 (2000년) 진도 에이즈 사건 (2002년) 제천 에이즈 사건 (2003년 ~ 2009년) 밀양 여중생 집단 성폭행 사건 (2004년) 용산 초등학생 살해 사건 (2006년) 은지 사건 (2006년 ~ 2008년) 제주 초등학생 성추행 살해 사건 (2007년) 안양 초등학생 납치 살해 사건 (2007년) 지적장애 소녀 일가족 성폭행 사건 (2008년) 일산 초등학생 납치 미수 사건 (2008년) 강화도 모녀 납치 살해 사건 (2008년) 민주노총 조합원 성폭행 미수 사건 (2008년) 조두순 사건 (2008년) 2010년대 김길태 사건 (2010년) 김수철 사건 (2010년) 광주인화학교 성폭력 사건 (2005년 ~ 2011년) 고려대 의대생 성추행 사건 (2011년) 수원 토막 살인 사건 (2012년) 통영 초등학생 살인 사건 (2012년) 2012년 나주 초등학생 성폭행 사건 (2012년) 청송 고등학교 교사 여학생과의 성관계 사건 (2013년) 연천 후임병 구타사망 사건 (2014년) 가재울고등학교 성추행 사건 (2015년) 평택 지적장애인 감금 성고문 사건 (2015년) 신안 초등여교사 집단 성폭행 사건 (2016년) 이윤택 여성 연극인 성폭력 사건 (2018년) 살인 사건 철도 사고 항공 사고 해양 사고 도로 사고 화재 사고 군사 사건 성범죄 사건 아동 학대 사건 폭발 사고 붕괴 사고1. 현재 위헌 결정으로 폐지된 죄로 처벌된 사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형제복지원&oldid=24496412" 분류: 대한민국의 인권 침해인신매매1987년 대한민국부산광역시의 범죄부산 사상구강제 수용소대한민국의 사회복지법인대한민국 제5공화국1975년 설립1987년 폐지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Русский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8일 (금) 22:5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사회복지법인 형제복지원(社會福祉法人兄弟福祉院)은 1975년부터 1987년까지 대한민국 부산직할시 북구 주례동 산 18번지(현재 부산광역시 사상구 백양대로 372) 일대에 위치했던 부랑자 강제수용소로, 3,146명이 수용 가능한 대한민국 최대의 부랑인 수용시설이었다. 1987년 3월 22일 직원의 구타로 원생 1명이 숨지고, 이에 35명이 탈출함으로써 그 내부에서 일어난 인권유린이 드러나게 되었다. 1975년 내무부훈령 제410호, 그리고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하계 올림픽을 앞두고 대한민국 정부가 대대적인 부랑인 단속에 나선 것이 형제복지원 설립의 배경이었다.형제복지원은 폐쇄 이후, 세상에 떠들썩하게 알려졌지만, 이후 빠르게 잊혔다. 27년 뒤, 1984년 입소하여, 1987년 폐쇄당시 전원조치된 피해자인 한종선이 2012년 5월 국회 앞에서 1인시위를 통해 세상에 알리고, 전규찬과의 공저 <살아남은 아이>(한종선, 전규찬, 박래군)의 책을 통해 형제복지원에서의 실상을 글과 그림으로 증언하며 세상에 알려졌다. 이후 형제복지원진상규명을 위한 대책위원회, 형제복지원피해생존자모임이 결성되었다. 2014년 3월 22일, SBS '그것이 알고싶다-홀로코스트 그리고 27년:형제복지원의 진실'에서는 27년 간 감춰져 온 이 사건의 의혹과 진실이 방영되었는데, 이 복지원에서는 수용자들의 중노동은 물론 수용자들에 대한 구타와 감금 그리고 성폭행까지 자행됐으며, 12년 동안 500명이 넘는 인원이 사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문무일 검찰총장은 2018년 11월 27일에 한종선씨 등 형제복지원 피해자 30여명을 만나 "검찰이 외압에 굴복해 수사를 조기에 종결하고 말았다는 과거사 위원회의 조사결과를 무겁게 받아 들인다"고 하면서 "검찰이 진상을 명확히 규명하였다면 형제복지원 전체의 인권침해 사실이 밝혀지고, 인권침해에 대한 적절한 후속조치도 이루어졌을 것"이라며 "피해사실이 제대로 밝혀지지 못하고, 현재까지 유지되는 불행한 상황이 발생한 점에 대하여 마음깊이 사과드린다"고 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부산 형제복지원 사건 당시 복지원의 원장은 누구인가? Assistant: 박인근
Human: 아래 홍남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홍남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홍남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홍남기洪楠基 대한민국의 제8대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임기 2018년 12월 10일 ~ 대통령 문재인 총리 이낙연 전임 김동연 후임 (현직) 대한민국의 제4대 국무조정실장 임기 2017년 5월 11일 ~ 2018년 11월 9일 전임 이석준 후임 노형욱 대한민국의 제2대 미래창조과학부 제1차관 임기 2016년 1월 18일 ~ 2017년 5월 10일 대통령 박근혜 전임 이상목 후임 이진규 신상정보 출생일 1960년 7월 29일(1960-07-29) (58세) 출생지 대한민국 강원도 춘천시 본관 남양 (南陽) 학력 솔퍼드 대학교 대학원 개발경제학 석사 정당 무소속 군사 경력 군복무 제2국민역 (만성 간염)[1] 홍남기(洪楠基, 1960년 7월 29일 ~ , 강원도 춘천시)는 대한민국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맡고 있는 공무원이다. 목차 1 생애 1.1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2 정책관 3 학력 4 경력 5 각주 6 외부 링크 생애[편집] 홍남기는 1960년 7월 29일 대한민국 강원도 춘천시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원산시와 해주시 출신으로, 한국 전쟁을 피해 부산시로 피란을 갔다가 춘천시에 정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1979년 춘천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84년에 한양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했으며, 1986년 행정고시에 합격했다. 1983년 병역판정검사에서 결핵으로 재검 대상으로 분류됐으며, 1985년 3월에 1급 현역병 입영 판정을 받았으나 10월 공무원 채용 신체검사에서 간염 보균자 판정을 받았고, 1986년 12월에 다시 검사를 받은 결과 만성 간염이 6개월 이상 이어져 제2국민역으로 편입됐다.[2] 1986년에 경제기획원의 대외경제조정실 행정사무관으로 공직생활을 시작했다. 1986년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금융증권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고, 1992년에는 영국 솔퍼드 대학교 대학원에서 개발경제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2] 1999년에는 미국 워싱턴주 정부 예산성에 1년동안 파견돼 근무했다.[2][3] 노무현 정부에서 2003년 박봉흠 기획예산처 장관 비서관, 2006년 변양균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보좌관을 역임했다. 이명박 정부에서 2010년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 사무처장 시절 당첨금을 20년간 분할 지급하는 연금복권520 발행을 주도했다. 2011년 기획재정부 대변인과 2012년 기획재정부 정책조정실장을 거쳐 2013년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경제1분과에 파견됐다. 박근혜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정책조정수석비서관실 기획비서관, 미래창조과학부 제1차관을 역임했다.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편집] 2017년 5월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자 국무조정실장으로 임명되었고, 2018년 11월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지명되었다.[4][5] 12월 4일 인사청문회가 실시되었으며, 12월 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 청문보고서가 채택되었다.[6] 이어 12월 10일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취임해 임기를 시작하였다.[7] 홍 부총리는 김수현 청와대 정책실장과 매주 금요일 의견을 조율하기로 하였으며, 자영업자, 소상공인, 기업, 노동계, 시민단체 등 다양한 계층과의 소통을 약속하였다.[8] 최저임금을 단일한 위원회(최저임금위원회)가 아닌 2개의 위원회가 결정하는 방식으로 개편하는 구상을 검토하였다. 홍 부총리는 12월 27일 "가장 비중 있게 중점적으로 검토되는 것이 '구간설정위원회'와 '결정위원회'로의 이원화"라고 말했다. 구간설정위원회가 최저임금 인상 구간을 정하고, 결정위원회가 이 구간 내에서 최저임금액을 결정하는 시스템이다.[9] 정책관[편집]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성장론에 대해서 "소득 분배 왜곡, 양극화, 계층 이동 단절 등 우리 경제의 구조적 문제 해결을 위해 계속 추진해 나갈 필요가 있다", "생활비를 줄이고 사회안전망을 확충하는 것도 실질 소득 증대를 위한 중요한 방향"이라고 옹호하였다.[10] 그러나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주 52시간 단축에 대해서는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11] 또한 공무원 증원에는 찬성하는 입장을 밝혔고, 부동산 과세와 관련해서는 "보유세 인상은 찬성, 거래세 인하는 신중"이라는 입장을 밝혔다.[10] 학력[편집] 춘천고등학교 한양대학교 경제학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 영국 솔퍼드 대학교 대학원 개발경제학 석사 경력[편집] 1986년: 제29회 행정고시 합격 1986년 4월 ~ 1991년 9월: 경제기획원 대외경제조정실 협력정책과 행정사무관 1999년 6월: 기획예산처 예산총괄과 서기관 2001년 10월 ~ 2002년 2월: 기획예산처 성과주의예산업무지원팀장 2002년 2월 ~ 2003년 4월: 기획예산처 예산기준과 과장 2003년 4월 ~ 2004년 3월: 기획예산처 장관 비서관 2004년 3월 ~ 2005년 1월: 대통령비서실 정책조정수석비서관실 행정관 2005년 1월 ~ 2006년 7월: 대통령비서실 정책조정수석비서관실 선임행정관 2006년 7월 ~ 2007년 7월: 대통령비서실 정책조정수석비서관실 정책보좌관 2007년 7월 ~ 2010년 9월: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공사 참사관 2010년 10월 ~ 2011년 7월: 복권위원회 사무처장 2011년 7월 ~ 2012년 1월: 기획재정부 대변인 2012년 1월 ~ 2013년 2월: 기획재정부 정책조정국장 2013년 1월 ~ 2013년 2월: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경제1분과 전문위원 2013년 2월 ~ 2015년 2월: 대통령비서실 국정기획수석비서관실 국정기획조정비서관 2015년 2월 ~ 2016년 1월: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실 정책보좌관 2016년 1월 ~ 2017년 5월: 미래창조과학부 제1차관 2017년 5월 ~ 2018년 11월: 국무조정실장 2018년 12월 ~ : 제8대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2018년 12월 ~ :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당연직위원 2018년 12월 ~ : 대통령직속 자치분권위원회 재정분권 분과위원회 위원 2018년 12월 ~ : 국민경제자문회의 당연직위원 2019년 5월 ~ : 국가기후환경회의 위원(정부) 각주[편집] ↑ 박태근 (2018년 11월 9일). “홍남기 “군면제, 공직 생활하며 가슴 속에 늘 부담” …만성간염 때문”. 《동아일보》. 2018년 12월 11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가 나 다 라 김디모데 (2018년 12월 11일). “[Who Is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비즈니스포스트》. 2018년 12월 11일에 확인함.  ↑ 임화섭 (2017년 5월 11일). “'국정조정 사령탑' 홍남기 국무조정실장…경험 풍부한 정책통”. 《연합뉴스》. 2018년 12월 11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성혜미 (2018년 11월 9일). “[일문일답] 홍남기 "경제영역 협치 노력하겠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서울). 2018년 12월 10일에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차지연 (2018년 11월 27일). “국회, 12월 4일 홍남기 부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 개최”. 《연합뉴스》. 연합뉴스. 2018년 12월 10일에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차지연 (2018년 12월 7일). “국회 기재위, 홍남기 경제부총리 후보 인사청문보고서 채택”. 《연합뉴스》. 연합뉴스 (서울). 2018년 12월 10일에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홍남기 부총리 10일 취임…내년 경제정책방향·인사폭 관심”. 2018년 12월 9일.  ↑ “홍남기 취임 일성 "최저임금 보완…김수현 매주 만나겠다"”. 2018년 12월 12일.  ↑ “홍남기 "최저임금 결정구조 이원화, 비중있게 검토 중"”. 연합뉴스. 2018년 12월 28일.  ↑ 가 나 “홍남기 "소득주도 성장 계속 해야… 최저임금 방향 맞지만 과속엔 우려"”. 2018년 12월 3일.  ↑ “홍남기 후보자 “최저임금·근로시간 단축이 경제에 악영향””. 2018년 12월 4일.  외부 링크[편집] 홍남기 - 네이버 인물검색 홍남기 - 다음 인물백과 전임이상목 2대 미래창조과학부 제1차관2016년 1월 18일 ~ 2017년 5월 10일 후임이진규 전임이석준 제4대 국무조정실장2017년 5월 11일 ~ 2018년 11월 9일 후임노형욱 전임김동연 제8대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2018년 12월 11일 ~ 후임(현직) vdeh 대한민국의 부총리제3공화국(1963 ~ 1972)경제부총리 김유택 장기영 박충훈 김학렬 태완선 제4공화국(1972 ~ 1981)경제부총리 태완선 남덕우 신현확 이한빈 김원기 신병현 제5공화국(1981 ~ 1988)경제부총리 신병현 김준성 서석준 신병현 김만제 정인용 노태우 정부(1988 ~ 1993)경제부총리 나웅배 조순 이승윤 최각규 통일부총리 최호중 최영철 김영삼 정부(1993 ~ 1998)경제부총리 이경식 정재석 홍재형 홍재형 나웅배 한승수 강경식 임창열 통일부총리 한완상 이영덕 이홍구 송영대(직무대행) 김덕 나웅배 권오기 김대중 정부(1998 ~ 2003)경제부총리 진념 전윤철 교육부총리 한완상 이상주 노무현 정부(2003 ~ 2008)경제부총리 김진표 이헌재 한덕수 권오규 교육부총리 윤덕홍 안병영 이기준 김영식(직무대행) 김진표 김병준 이종서(직무대행) 김신일 서남수(직무대행) 과기부총리 오명 김우식 박근혜 정부(2013 ~ 2017)경제부총리 현오석 최경환 유일호 사회부총리 황우여 이준식 문재인 정부(2017 ~ )경제부총리 김동연 홍남기 사회부총리 김상곤 유은혜 vdeh 대한민국 중앙행정기관의 장원장 감사원장 최재형 국정원장 서훈 장관 기재부 장관 홍남기 교육부 장관 유은혜 과기정통부 장관 유영민 외교부 장관 강경화 통일부 장관 김연철 법무부 장관 박상기 국방부 장관 정경두 행안부 장관 진영 문체부 장관 박양우 농식품부 장관 이개호 산업부 장관 성윤모 복지부 장관 박능후 환경부 장관 조명래 고용부 장관 이재갑 여가부 장관 진선미 국토부 장관 김현미 해수부 장관 문성혁 중기부 장관 박영선 실장 대통령비서실장 노영민 국가안보실장 정의용 국무조정실장 노형욱 국무총리비서실장 정운현 위원장 방송통신위원장 이효성 공정거래위원장 김상조 금융위원장 최종구 국민권익위원장 박은정 원자력안전위원장 엄재식 처장 경호처장 주영훈 보훈처장 피우진 인사처장 황서종 법제처장 김형연 식약처장 이의경 외청장 국세청장 한승희 관세청장 김영문 조달청장 정무경 통계청장 강신욱 검찰총장 문무일 병무청장 기찬수 방사청장 왕정홍 경찰청장 민갑룡 소방청장 정문호 문화재청장 정재숙 농진청장 김경규 산림청장 김재현 특허청장 박원주 기상청장 김종석 행복청장 김진숙 새만금청장 김현숙 해경청장 조현배 감사원장, 기획재정부 장관 및 교육부 장관은 부총리급 대우를 받는다. 국무총리비서실장,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 처장 및 외청장은 차관급 대우를 받는다. 단, 국가보훈처장과 검찰총장은 장관급 대우를 받는다. 그 외의 직책은 모두 장관급 대우를 받는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홍남기&oldid=24390516" 분류: 1960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남양 홍씨 (당홍)춘천시 출신춘천고등학교 동문한양대학교 동문5급 국가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출신대한민국의 별정직공무원대한민국의 미래창조과학부 차관대한민국의 국무조정실장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장관대한민국의 부총리문재인 정부의 국무위원숨은 분류: 인용 오류 - 날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7일 (금) 00: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홍남기(洪楠基, 1960년 7월 29일 ~ )는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다. 박근혜 정부에서 제3대 미래창조과학부 차관, 문재인 정부에서 제4대 국무조정실장, 제5대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을 역임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홍남기 부총리는 기획재정부 장관에 동시에 취임해 어떤 활동을 했는가 Assistant: 2017년 5월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자 국무조정실장으로 임명되었고, 2018년 11월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지명되었다.[4][5] 12월 4일 인사청문회가 실시되었으며, 12월 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 청문보고서가 채택되었다.[6] 이어 12월 10일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취임해 임기를 시작하였다.[7] 홍 부총리는 김수현 청와대 정책실장과 매주 금요일 의견을 조율하기로 하였으며, 자영업자, 소상공인, 기업, 노동계, 시민단체 등 다양한 계층과의 소통을 약속하였다.[8] 최저임금을 단일한 위원회(최저임금위원회)가 아닌 2개의 위원회가 결정하는 방식으로 개편하는 구상을 검토하였다. 홍 부총리는 12월 27일 "가장 비중 있게 중점적으로 검토되는 것이 '구간설정위원회'와 '결정위원회'로의 이원화"라고 말했다. 구간설정위원회가 최저임금 인상 구간을 정하고, 결정위원회가 이 구간 내에서 최저임금액을 결정하는 시스템이다.[9] Human: 아래 ㅋㄷㅋㄷ코딩TV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ㅋㄷㅋㄷ코딩TV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ㅋㄷㅋㄷ코딩TV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ㅋㄷㅋㄷ코딩TV 장르 어린이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KBS 2TV 방송 기간 2017년 9월 8일 ~ 2019년 3월 8일 방송 시간 매주 금요일 오후 3시 30분 ~ 4시 방송 분량 30분 방송 횟수 52부작 기획 KBS 교양 문화국 책임프로듀서 송영석 제작사 KBS 코딩로봇문화산업전문회사 연출 기훈석, 심하원, 김은곤, 김현지 조연출 백민경, 이현우 작가 안영은, 박정은, 김다희 출연자 양띵, 삼식, 콩콩, 서넹, 루태, 헤이지니, 럭키강이 자막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ㅋㄷㅋㄷ코딩TV 홈페이지 《ㅋㄷㅋㄷ코딩TV》는 2017년 9월 8일부터 2019년 3월 8일까지만 종영되는 KBS 2TV 코딩•어린이 프로그램이다. 목차 1 출연자 2 방송 시간 3 코너 3.1 양띵×코딩 TV 3.2 지니×코딩 TV 3.3 네오봇 마스터 4 에피소드 목록 5 시청률 6 외부 링크 출연자[편집] 양띵 삼식 콩콩 서넹 루태 헤이지니 럭키강이 방송 시간[편집]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비고 KBS 2TV 2017년 9월 8일 ~ 2017년 9월 29일 금요일 오후 3시 20분 ~ 3시 50분 파일럿 (4부작) 2018년 3월 2일 ~ 2019년 3월 8일 금요일 오후 3시 30분 ~ 4시 정규 편성 코너[편집] 양띵×코딩 TV[편집] 크리에이터 양띵과 삼식, 콩콩, 서넹, 루태가 출연했다. 지니×코딩 TV[편집] 크리에이터 헤이지니와 럭키강이가 출연했다. 네오봇 마스터[편집] 20년 뒤의 2037년을 배경으로 했으며, 지누가 코딩 아카데미에서 여러 고난과 음모를 극복하여 최고의 코딩 프로그래머이자 로봇 조종사인 네오봇 마스터가 되는 과정을 그린 애니메이션이다. 에피소드 목록[편집] 회차 방송일 코너 파일럿 1회 2017년 9월 8일 양띵×코딩 TV (세상의 모든 입출력) 지니×코딩 TV (코딩으로 젠가 춤을 춰요!) 네오봇 마스터 (새로운 시대) 파일럿 2회 2017년 9월 15일 양띵×코딩 TV (양띵의 코딩 게임) 지니×코딩 TV (색깔 패턴 맞추기) 네오봇 마스터 (네오봇 아카데미) 파일럿 3회 2017년 9월 22일 양띵×코딩 TV (명령어 샌드위치 만들기) 지니×코딩 TV (나만의 랜덤 피자 만들기) 네오봇 마스터 (진정한 배틀) 파일럿 4회 2017년 9월 29일 시청률[편집] 회차 방송일 시청률 파일럿 1회 2017년 9월 8일 0.2% 파일럿 2회 2017년 9월 15일 0.1% 파일럿 3회 2017년 9월 22일 0.2% 파일럿 4회 2017년 9월 29일 0.2% 1회 2018년 3월 2일 0.4% 2회 2018년 3월 9일 0.3% 3회 2018년 3월 23일 0.1% 4회 2018년 3월 30일 0.1% 5회 2018년 4월 6일 0.3% 6회 2018년 4월 13일 0.1% 7회 2018년 4월 20일 0.2% 8회 2018년 4월 27일 0.1% 9회 2018년 5월 4일 0.1% 10회 2018년 5월 11일 0.3% 11회 2018년 5월 18일 0.2% 12회 2018년 5월 25일 0.2% 13회 2018년 6월 1일 0.2% 14회 2018년 6월 8일 0.3% 15회 2018년 6월 15일 0.2% 16회 2018년 6월 22일 0.1% 17회 2018년 6월 29일 0.3% 18회 2018년 7월 6일 0.1% 19회 2018년 7월 13일 0.3% 20회 2018년 7월 20일 0.1% 21회 2018년 7월 27일 0.1% 22회 2018년 8월 3일 0.3% 23회 2018년 8월 10일 0.3% 24회 2018년 8월 17일 0.1% 25회 2018년 8월 24일 0.2% 26회 2018년 8월 31일 0.3% 27회 2018년 9월 7일 미집계 28회 2018년 9월 14일 미집계 29회 2018년 9월 21일 미집계 30회 2018년 9월 28일 미집계 31회 2018년 10월 5일 0.4% 32회 2018년 10월 12일 미집계 33회 2018년 10월 19일 0.3% 34회 2018년 10월 26일 미집계 35회 2018년 11월 2일 0.2% 36회 2018년 11월 9일 0.2% 37회 2018년 11월 16일 미집계 38회 2018년 11월 23일 미집계 39회 2018년 11월 30일 미집계 40회 2018년 12월 7일 미집계 41회 2018년 12월 14일 미집계 42회 2018년 12월 21일 미집계 43회 2018년 12월 28일 0.4% 44회 2019년 1월 4일 미집계 45회 2019년 1월 11일 0.3% 46회 2019년 1월 18일 미집계 47회 2019년 1월 25일 미집계 48회 2019년 2월 1일 미집계 49회 2019년 2월 8일 미집계 50회 2019년 2월 15일 미집계 51회 2019년 2월 22일 0.6% 52회 2019년 3월 8일 미집계 외부 링크[편집] ㅋㄷㅋㄷ코딩TV - 공식 웹사이트 vdeh 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드라마 일일드라마 (《태양의 계절》) 월화드라마 (《퍼퓸》) 리얼 오피스 드라마 (《회사 가기 싫어》) 수목드라마 (《단, 하나의 사랑》) 주말드라마 (《세상에서 제일 예쁜 내 딸》) 예능 《옥탑방의 문제아들》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썸바이벌 1+1》 《살림하는남자들》 《해피투게더》 《뮤직뱅크》 《연예가중계》 《으라차차 만수로》 《유희열의 스케치북》 《영화가 좋다》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배틀 트립》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슈퍼맨이 돌아왔다》 《개그콘서트》 《연예대상》¹ 《가요대축제》¹ 《연기대상》¹ 시사교양 《생방송 아침이 좋다》 《그녀들의 여유만만》 《2TV 생생정보》 《제보자들》 《세상의 모든 다큐》 《영상앨범 산》 《KBS 재난방송센터》 《다큐멘터리 3일》 뉴스  · 스포츠 《KBS 아침뉴스타임》(《주간연예수첩》) 《지구촌 뉴스》 《KBS 뉴스타임 (1400)》 《KBS 경제타임》 《KBS 글로벌 24》 《비바! K리그》 《스포츠 하이라이트》 어린이 《자동공부책상 위키 2》 《TV유치원》 《파파독 시즌 2》 《쉿! 내 친구는 빅파이브》 《핑크퐁 원더스타》 《누가누가 잘하나》 《또봇 V》 재방송 일일연속극 (《여름아 부탁해》) 《걸어서 세계속으로》 《다큐공감》 《사랑의 가족》 《생활의 발견》 《인간극장》 《트레킹노트 세상을 걷다》 《ㅋㄷㅋㄷ코딩TV》 《TV는 사랑을 싣고》 KBS1 KBS2 EBS1 EBS2 MBC OBS SBS †현재 잠정 중단된 프로그램 ¹ 연중 1회 방송되는 프로그램 ² 유동적으로 편성되는 프로그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ㅋㄷㅋㄷ코딩TV&oldid=24332794" 분류: 한국방송공사의 어린이 텔레비전 프로그램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30일 (목) 14: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ㅋㄷㅋㄷ코딩TV》는 2017년 9월 8일부터 2019년 3월 8일까지 방영된 KBS 2TV 어린이 코딩 프로그램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코딩TV의 코너는 어떤것들이 있나요? Assistant: 회차 방송일 코너 파일럿 1회 2017년 9월 8일 양띵×코딩 TV (세상의 모든 입출력) 지니×코딩 TV (코딩으로 젠가 춤을 춰요!) 네오봇 마스터 (새로운 시대) 파일럿 2회 2017년 9월 15일 양띵×코딩 TV (양띵의 코딩 게임) 지니×코딩 TV (색깔 패턴 맞추기) 네오봇 마스터 (네오봇 아카데미) 파일럿 3회 2017년 9월 22일 양띵×코딩 TV (명령어 샌드위치 만들기) 지니×코딩 TV (나만의 랜덤 피자 만들기) 네오봇 마스터 (진정한 배틀) 파일럿 4회 2017년 9월 29일
Human: 아래 대우_맵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우 맵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우 맵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오펠 카데트#카데트 C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우 맵시(Daewoo Maepsy) 또는 새한 맵시(Saehan Maepsy)는 1982년에 새한자동차(현 한국GM)에서 출시되어, 1989년까지 생산된 후륜구동 방식의 소형 승용차이다. 이름인 '맵시'는 한국어로 '아름답고 보기 좋은 모양새'를 뜻한다. 목차 1 맵시(1982년 2월~1983년 9월) 2 맵시-나(1983년 9월~1986년 7월) 3 각주 4 외부 링크 맵시(1982년 2월~1983년 9월)[편집] 새한 맵시 정측면 1982년 2월에 선보였다. 기존 제미니의 페이스 리프트 차종이라 기본적인 골격은 크게 변한 것이 없었으나, 차체 크기를 더 키워 안전성과 경제성 등을 개선했다. 새한자동차(현 한국GM)는 맵시의 스타일, 경제성, 성능, 안전성 등을 내세웠으나, 기존 제미니를 개조한 차종이라는 인식이 박히는 바람에 제미니의 인상을 지우지 못했고 그 무렵 현대자동차가 출시한 포니 Ⅱ에 밀려 높은 판매 대수를 기록하지 못했다. 자동차 공업 합리화 조치로 인해 기아산업(현 기아자동차)이 승용차를 생산하지 못하게 되어 기아 브리사의 생산이 중단되자 브리사의 마쓰다제 TC형 엔진을 탑재한 1.3ℓ의 맵시를 선보이기도 했다. 전장(mm) : 4,205 전폭(mm) : 1,580 전고(mm) : 1,365 축거(mm) : 2,405 윤거(전, mm) : 1,300 윤거(후, mm) : 1,305 승차정원 : 2명(픽업)/5명 변속기 : 수동 4단 구동형식 : 후륜 구동 구분 1.3 1.5 연료 가솔린 가솔린 배기량(cc) 1,272 1,492 최고출력(ps/rpm) 87/6,000 85/5,400 최대토크(kg*m/rpm) 11.0/3,500 12.5/3,000 맵시-나(1983년 9월~1986년 7월)[편집] 대우 맵시-나 정측면 1983년 1월 새한자동차는 대우자동차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같은 해 4월에는 자체 개발한 4기통 1.5ℓ XQ 엔진을 발표하였고, 이에 맞춰 9월에는 맵시에 XQ 엔진을 장착하여 맵시-나로 판매하였다. 이 때부터 맵시가 두각을 드러냈다. 또한 같은 해 말에는 제미니를 베이스로 해왔던 픽업 트럭 맥스도 베이스를 맵시-나로 변경하여 판매하기 시작했다. 가, 나, 다 순을 붙여 2번째 맵시라는 뜻을 가진 맵시-나는 1985년 3월에 고급 트림인 하이 디럭스가 라인업에 추가되었으며, 대시보드가 대폭 변경되었고, 오디오 안테나의 위치를 운전석 A 필러 근처에서 조수석 앞 펜더 근처로 옮겼다. 하이 디럭스는 로얄 살롱과 비슷한 느낌의 격자형 라디에이터 그릴, 헤드 램프 몰딩, 와이드 범퍼와 로얄 살롱에 적용되었던 오토 리버스 카 스테레오 등을 적용해 고급스러운 느낌을 강조했다. 1986년 7월에 후속 차종인 전륜구동 방식의 르망이 출시되었지만, 영업용(택시)으로 한동안 병행 생산되었다. 1987년 3월에는 론지 LPG 엔진을 장착한 맵시 시그마 택시가 출시되었으며, 1989년 2월까지 생산되었다. 맵시와 맵시-나는 1982년 2월 출시 이후 1986년 7월까지 42,729대가 생산되었다.[1] 전장(mm) : 4,262 전폭(mm) : 1,612 전고(mm) : 1,365 축거(mm) : 2,405 윤거(전, mm) : 1,300 윤거(후, mm) : 1,305 승차정원 : 2명(맥스 픽업)/5명 변속기 : 수동 4단, 자동 3단 구동형식 : 후륜 구동 구분 1.5 연료 가솔린 배기량(cc) 1,492 최고출력(ps/rpm) 85/5,400 최대토크(kg*m/rpm) 12.5/3,000 각주[편집] ↑ 국산車「원조」들「노익장」과시 동아일보, 1997년 2월 3일 외부 링크[편집] 한국GM 홈페이지 보배드림 컬렉션/자동차 - 대우 맵시나 Hi-DLX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대우 맵시 vdeh신진자동차(1955~1972)/GM코리아(1972~1976)/새한자동차(1976~1983)/대우자동차(1983~2002)/대우중공업(대우국민차)승용차 마티즈 레간자 프린스 제미니 시보레 1700 레코드 카미나 캬라반 누비라 에스페로 레조 르망 아카디아 브로엄 로얄 매그너스 넥시아 씨에로 티코 맵시 맵시-나 슈퍼 살롱 칼로스 라노스 임페리얼 트럭/승합차 바네트 다마스 라보 엘프 차세대 트럭 새마을 트럭 맥스 대형트럭 버스 BM BR BS BC BV BH BF BU BL BD vdeh한국GM의 흐름, 1955년~ Type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5 6 7 8 9 0 1 2 3 4 5 6 7 8 9 0 1 2 3 4 5 6 7 8 9 0 1 2 3 4 5 6 7 8 9 0 1 2 3 4 5 6 7 8 9 0 1 2 3 4 5 6 7 8 9 0 1 2 3 4 5 6 7 8 9 0 1 2 3 4 5 6 7 8 9 경차 퍼블리카/퍼블리카 왜건 티코 마티즈/마티즈 Ⅱ 올 뉴 마티즈/마티즈 클래식 마티즈 크리에이티브/스파크/스파크 EV 더 넥스트 스파크/더 뉴 스파크 소형차 새나라/신성호 시보레 1700/카미나/캬라반 제미니/맵시/맵시-나 르망/씨에로/넥시아 라노스/라노스 Ⅱ 칼로스/젠트라 아베오 준중형차 로얄 디젤/로얄 XQ/로얄 듀크 에스페로 누비라/누비라 Ⅱ 라세티 라세티 프리미어/크루즈/어메이징 뉴 크루즈 올 뉴 크루즈 볼트 중형차 코로나 레코드/레코드 로얄 로얄 프린스/프린스/뉴 프린스 레간자 매그너스(이글&클래식)/토스카 말리부 올 뉴 말리부/더 뉴 말리부 준대형차 로얄 살롱/로얄 살롱 슈퍼/슈퍼 살롱/브로엄 알페온 임팔라 대형차 크라운 임페리얼 아카디아 체어맨 스테이츠맨 베리타스 스포츠카 G2X 카마로 카마로 콜벳 MPV 레조/뉴 레조 올란도 소형 SUV 시발 트랙스/더 뉴 트랙스 준중형 SUV 코란도 윈스톰 맥스 중형 SUV 뉴 무쏘 윈스톰/캡티바 승합차 에이스 미니버스 바네트 코치 이스타나 픽업트럭 랜드크루저 픽업 새마을 트럭 맥스 경상용차 다마스/라보 소형 트럭 에이스 트럭 바네트 트럭/슈퍼 X 준중형 트럭 시보레 2.5톤 트럭 엘프 엘프 Ⅱ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우_맵시&oldid=23647605" 분류: 대우자동차의 차종새한자동차의 차종세단픽업후륜구동소형 승용차1980년대 자동차1977년 도입된 자동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FrançaisPolskiScots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6일 (수) 19:3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대우 맵시(Daewoo Maepsy) 또는 새한 맵시(Saehan Maepsy)는 1982년에 새한자동차에서 출시되어, 1989년까지 생산된 후륜구동 방식의 소형 승용차로, 르망의 선배뻘이다. 이름인 '맵시'는 한국어로 '아름답고 보기 좋은 모양새'를 뜻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대우 맵시-나 모델의 엔진 성능은 어떠했습니까? Assistant: 구분 1.5 연료 가솔린 배기량(cc) 1,492 최고출력(ps/rpm) 85/5,400 최대토크(kg*m/rpm) 12.5/3,000 Human: 아래 팔레스타인_(지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팔레스타인 (지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팔레스타인 (지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스라엘과 남동 지중해 지역의 주요한 지리학적 특징들 팔레스타인(아랍어: فلسطين 필라스틴 / 팔라스틴[*], 히브리어: פלשתינה 팔레스티나, 문화어: 팔레스티나)은 지중해와 요르단 강 사이의 땅과 그 인근 지역을 일컫는 여러 역사적인 지명 가운데 하나이다. 팔레스타인의 지리적 정의는 시대에 따라 조금씩 변해왔지만, 대체로 현재의 이스라엘 영토와 팔레스타인국의 구역(요르단 강 서안 지구 및 가자 지구) 일대를 가리킨다. 목차 1 개요 2 명칭 3 역사 3.1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 (기원전 60만년 - 기원전 4천년) 3.2 순동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 3.3 철기 시대 (기원전 500년 - 기원전 330년) 3.3.1 히브리 왕국 시대 (기원전 1050년 - 기원전 586년) 3.3.2 페르시아의 지배 (기원전 538년 - 기원전 330년) 3.4 클래식 시대 (기원전 330년 - 63년) 3.4.1 헬레니즘 계열 왕국의 지배 (기원전 330년 - 기원전 63년) 3.4.2 로마 제국의 지배 (기원전 63년 - 638년) 3.4.2.1 비잔티움 천도 이전 (기원전 63년 - 330년) 3.4.2.2 비잔티움 제국의 지배 (330년 - 638년) 3.5 아랍 칼리파의 지배 (638년 - 1516년) 3.6 오스만 제국의 지배 (1516년 - 1920년) 3.7 영국의 지배와 제1차 중동전쟁 (1920년 - 1948년) 3.8 현재 4 인구 4.1 1920년 이전 4.2 현재 5 함께 보기 6 각주 7 참고 문헌 개요[편집] 팔레스타인 지방은 현재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국이 자리잡고 있는 지중해 동안(東岸) 지역으로, 북쪽으로 레바논과 시리아, 동쪽으로 요르단, 남쪽으로 이집트의 시나이반도에 접해 있다. 면적은 대략 2만6,000 km2이며, 특별한 천연자원은 없다. 요르단강 서안인 동부는 황무지가 전개되어 있지만, 지중해 연안인 서부는 경작지 및 목초지대가 있어서 농축산물이 생산된다. 언어로는 이스라엘에서는 히브리어와 아랍어를, 팔레스타인국의 구역에서는 아랍어를 사용하며, 영국의 위임통치령이었던 관계로 영어도 널리 통용되고 있다. 이스라엘인들의 종교는 유대교, 이슬람교, 동방 정교회 등으로 다양하며, 팔레스타인인들의 종교는 이슬람으로 알려져 있으나, 동방 정교회 신자들도 상당수 존재한다. 명칭[편집] 팔레스타인은 필리스틴(פְּלְשְׁתִּים)이란 단어에서 근원되었다. 필리스틴은 미케네 문명 당시 남부 그리스에서 이주했던 필리시테인(블레셋 사람)을 가리키던 명칭이다.[1][2] 이들은 현재의 가자지구 등 팔레스타인의 지중해 연안에 살았다. 팔레스타인은 "성지" (Holy Land)라고도 불린다. 고대 이집트 때 쓰여진 글들에서는 이 지역을 r-t-n-u (retenu; 레테누)라고 가리킨다. 성경에 나타난 팔레스타인 히브리 성경에 따르면 히브리인들은 이스라엘을 세우기 전에 이곳을 카난(כּנען, 가나안)이라고 불렀고, 그 후에는 이스라엘이라고 일컬었다. 히브리의 땅이라는 명칭과 더불어 "우유와 꿀이 흐르는 땅, 성지, 주님의 땅, 약속의 땅"과 같은 시적인 묘사들도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민수기는 카난의 지리와 국경을 자세하게 묘사한다.(민수기 34:1) 여호수아에서는 레바논을 묘사하는 부분도 찾아볼 수 있다.(여호수아 13:5) 히브리 전통에 따르면 카난(가나안)은 아브라함의 후손들이 이어받은 땅이었다. 기독 신약성서의 복음서들은 모두 팔레스타인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꾸란에서는 모세가 이스라엘의 자손들에게 이스라엘로 돌아가라고 선언한 부분부터 성지(아랍어: الأرض المقدس)라는 단어가 대략 일곱 번 나온다.(수라 5:21: 백성들이여 하느님이 너희에게 명령한 성역으로 들어가라 그리고 뒤돌아서지 말라 그리하면 손실자로써 전복되니라) 역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팔레스타인의 역사입니다.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 (기원전 60만년 - 기원전 4천년)[편집] 예리코에서 발굴된 주거 갈릴리 호수 근처에서 발굴된 유적에 따르면 대략 60만년 전부터 이 지역에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3] 베들레헴과 라말라에 있는 동굴들에서도 돌, 나무와 동물 뼈다귀로 만든 무기와 도구들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기원전 1만2,500년에서 1만200년쯤 존재했던 나투피안 문화의 유적들로,[3] 이 시대의 유적들은 텔 아부 후레이와와 예리코에서도 발견되었다. 기원전 1만년부터 5천년까지 사이에는 농업 공동체가 세워졌다. 예리코에서 발견된 진흙으로 만든 벽돌, 도자기 조각 등 이러한 흔적들이 남아 있다.[4] 순동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편집] 팔레스타인 최초의 도시는 카난인(가나안 사람)들이 세우기 시작했다. 이들은 도시를 보호하기 위해서 진흙벽돌로 만든 성벽을 세웠고, 도시 주변에서 식량을 제공 받았다. 카난인들은 이집트 및 시리아 등 주변지역과 무역을 했으며, 고대 이집트, 시리아, 페니키아 및 메소포타미아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철기 시대 (기원전 500년 - 기원전 330년)[편집] 기원전 1,250년 남부 그리스에서 필리시테인(한글성서에서는 블레셋 사람이라고 부른다.)들이 왔다. 이들은 팔레스타인에서 살고 있던 사람들에게 마차와 철제 무기들을 소개한 것으로 추정되고,[5] 여러 세대를 거치면서 팔레스타인에서 이미 살고 있던 사람들과 서로 동화되었다. 히브리 왕국 시대 (기원전 1050년 - 기원전 586년)[편집] 이스라엘의 12부족 사이에 나뉜 성지. 히브리 성서 시대는 기원전 15세기말에서 14세기쯤 시작하는데, 히브리인들이 이집트에서 이주했는지 오래전부터 팔레스타인 지역에 살았었는지는 불확실하다. 히브리 성서에 따르면 히브리 민족은 기원전 1406년에 연합 이스라엘 왕국을 세웠다고 하며, 기원전 1050년 사울이 왕국의 첫 왕이 되었다.[6] 기원전 1010년 통일된 이스라엘의 왕이 된 다윗이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하였고, 기원전 970년경에 즉위한 솔로몬 왕이 첫 성전을 지은 것으로 전해진다.[6] 기원전 930년 경 이스라엘은 북 이스라엘과 남 유다로 나뉘었다. 기원전 722년에 사이 북쪽의 이스라엘 왕국이 아시리아에 의해 멸망하였고, 기원전 586년에는 남쪽의 유다 왕국이 바빌로니아에 멸망하였다. 바빌로니아가 유다 왕국을 점령하면서 첫 성전과 예루살렘은 파괴되었고, 남쪽의 히브리인들은 거의 바빌로니아 왕국의 노예가 되었다. 페르시아의 지배 (기원전 538년 - 기원전 330년)[편집] 페르시아 제국이 팔레스타인 지역을 통치하면서 유대인들은 이 지역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페르시아는 약간의 자치를 허락해 이 당시 유대인들은 예루살렘에서 두 번째 성전을 지을 수 있었다.[5] 유대인들 중 일부는 페르시아 제국의 군인이 되었고 나머지는 농업에 종사했다. 기원전 4세기부터 나바테아인들이 네게브에서 따로 문명을 시작해 106년까지 500년 가까이 지속되었다.[5] 클래식 시대 (기원전 330년 - 63년)[편집] 헬레니즘 계열 왕국의 지배 (기원전 330년 - 기원전 63년)[편집]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페르시아 제국을 멸망시키면서 팔레스타인은 고대 그리스의 손에 넘어왔다. 이 당시 팔레스타인 지방은 유다로 불렸다. 알렉산스로스 대왕이 죽은 후 그가 점령한 지역은 여러 조각으로 나눠졌는데, 팔레스타인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와 셀레우코스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이 시기에 팔레스타인은 빠른 속도의 발전을 이루어 도시 개발 계획으로 튼튼하게 요새화된 도시들이 만들어졌다. 무역과 상업이 왕성하게 이루어졌고 필리시테인의 전통을 흡수한 도자기가 만들어졌다. 기원전 2세기쯤 그리스 문화의 영향으로 유대문화와 그리스의 문화가 융화되기 시작했고, 할례(포경수술)의 흔적을 숨기려는 유대인들도 생겨났다.[7] 이 시기에 고위 성직자들 간의 다툼이 내전으로 이어지기도 했으며, 유대인들에 대한 박해로 마카베오의 반란이 일어나기도 했다.[7] 로마 제국의 지배 (기원전 63년 - 638년)[편집] 비잔티움 천도 이전 (기원전 63년 - 330년)[편집] 기원전 63년부터 폼페이우스가 팔레스타인을 지배했지만, 헤로데가 로마에 의해 분봉왕이 되면서 로마 제국의 지배가 강화되기 시작했다.[8] 예수가 태어날 쯤부터 팔레스타인은 혼란에 빠졌고 이후 유대인들과 기독교인들은 박해를 받았는데,[8] 이는 제1차 유대-로마 전쟁의 발단이 되었다. 66년부터 73년까지 계속된 전쟁에서 로마의 황제 티투스는 예루살렘을 점령하고, 통곡의 벽을 제외한 두 번째 성전 전체를 파괴했다. 132년부터 135년까지의 바르 코크바의 반란이 실패한 후, 모든 유대인들은 로마 제국에 의해 예루살렘에서 추방되었고, 일부는 팔레스타인 밖으로 쫓겨났다. 로마 제국은 팔레스타인의 지역명을 유다에서 시리아 팔레스티나로 바꾸었다. 132년 로마의 황제 하드리아누스는 예루살렘의 이름을 바꾸고 로마신화의 최고신 유피테르를 위한 성전들을 지었다.[8] 그러나, 기독교는 비밀리에 계속되었다. 비잔티움 제국의 지배 (330년 - 638년)[편집] 콘스탄티누스 1세가 기독교에 대한 특전을 베풀면서 기독교는 팔레스티나의 공식 종교가 되었다.[9] 이 시기에 예수가 십자가형을 당하고 그 시신이 묻혔다는 곳에 성묘 교회가 지어졌고, 강림교회와 예수 승천 교회도 지어졌다. 352년 유대인들은 또다시 티베리아스에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비잔티움 제국은 잔인하게 진압했다.[9] 390년쯤 팔레스티나는 세 부분으로 나뉘었다. 아랍 칼리파의 지배 (638년 - 1516년)[편집] 야르무크 전투에서 비잔티움 제국을 격파한 정통 칼리파 아랍 무슬림 세력의 지배가 시작되면서, 유대인들은 로마 제국에 의해 쫓겨난 지 500여년 만에 조건부로 예루살렘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우마이야 왕조(661-750년)의 지배 아래 유대인들과 기독교인들은 이슬람교와 유대교, 기독교가 공유하고 있는 공통점을 강조하기 위해 경전의 민족이라고 불렸다.[10] 이 시기에 예루살렘에는 알 악사 모스크(المسجد الاقصى)가 지어졌다.[11] 1099년, 제1차 십자군이 예루살렘을 점령한 뒤 예루살렘 왕국을 수립하였다. 예루살렘 왕국은 100년 가까이 팔레스타인 전역을 통치하였으나, 1187년 이슬람의 영웅 살라흐 앗 딘이 예루살렘을 탈환하였다. 이후 예루살렘 왕국은 아크레와 그 인근 갈릴리 호수 북쪽 지역에서 다시 100여년 동안 명맥을 유지하다가 1291년에 맘루크 왕조에 의해 멸망하였다. 오스만 제국의 지배 (1516년 - 1920년)[편집] 1516년, 이 지역을 점령한 오스만 제국은 '팔레스타인'이란 명칭을 공식적으로는 사용하지 않았다. 19세기부터 급격히 국력이 쇠하기 시작한 오스만 제국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함께 동맹국으로 참전하여 패전함으로써 현재의 터키를 제외한 중동 지역 대부분을 영국과 프랑스에 내주게 되었다.(세브르 조약) 영국의 지배와 제1차 중동전쟁 (1920년 - 1948년)[편집] 1947년 유엔은 팔레스타인 분할안을 제안하였다. 영국이 이 지역을 통치하면서 팔레스타인이라는 명칭이 공식적으로 다시 쓰이기 시작했고, 영어, 히브리어와 아랍어가 이 지역의 공식 언어가 되었다. 이 당시 팔레스타인은 라파(가자 지구 남부 도시)부터 리타니 강(레바논 남부의 강)까지의 지역을 가리켰다. 다만, 네게브 사막(이스라엘 남동부의 사막)은 팔레스타인 지역에 포함되지 않았다. 19세기 말 동유럽에서 시작된 포그롬과 유럽 전체에서 악화된 반유대주의는 시온주의의 발단이 되었다. 이 시기부터 유럽에 살던 유대인들은 팔레스타인 지역으로 귀환하기 시작했다. 나치 독일에 의해 자행된 유대인 대학살은 유대인들의 귀환을 더욱 부채질했다. 유대인들은 민병대를 조직해서 팔레스타인인들과 분쟁을 일으켰다. 영국은 제2차 세계대전 중 시온주의자들을 키프로스에 있는 난민촌 등으로 보내는 등 유대인의 이 지역 이민을 제한하기도 했으나 대체로 아랍인들보다 유대인들과 보다 우호적인 관계에 있었고, 이 지역에 10만명의 군대를 두는 것은 경제적으로 무리였기 때문에 철수를 서둘렀다.[12] 결국 1947년 초 영국 정부는 팔레스타인 통치를 끝내겠다고 선언했고, 팔레스타인의 운명을 유엔에 떠맡겼다. 아랍인들과 유대인들의 사이가 점점 악화되자 1947년 유엔은 주민 투표로 팔레스타인 분할안을 채택했다. 유대인들은 이 결의안을 환영했으나, 아랍인들은 이에 반대하여 예루살렘에서 폭동을 일으키고 유대인 밀집지역을 공격하였다. 1948년 5월 14일 유대인들은 이스라엘의 독립을 선언했고, 다음 날 영국의 통치는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이스라엘의 독립 선언 이후에 아랍 연맹의 공격으로 제1차 중동 전쟁이 시작되었다. 그 결과로 팔레스타인 분할안은 실행되지 않았다. 현재[편집] 팔레스타인의 현재 모습 1949년 정전협정에 따라 예루살렘은 반으로 나뉘었고, 동예루살렘과 요르단 강 서안 지구는 요르단에, 가자 지구는 이집트에 귀속되었다. 제1차 중동 전쟁 때문에 70만명이 넘는 팔레스타인인들이 이스라엘에서 추방당하거나 피난하여 요르단 등 인근 아랍국가로 이주했으며, 무슬림 국가에 거주하던 80만 명의 유대인들 중 대략 60만명이 이스라엘로 이주하고 나머지는 미국이나 유럽으로 이주했다.[13] 이스라엘은 제3차 중동 전쟁(1967년)에서 승리한 뒤 요르단 강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를 점령하였다가, 2005년에 가자지구에서 완전 철수했다. 그러나, 요르단 강 서안 지구는 현재까지도 이스라엘이 지역의 절반 가량을 점령 중에 있으며, 1993년부터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가 존재한다. 이 지역에서 이스라엘 정부는 유대인 정착촌 확대와 8m 높이의 분리 장벽 설치를 강행해 국제적 비난을 받고 있다. 인구[편집] 1920년 이전[편집] 팔레스타인에서 쫓겨나기 전 유대인의 인구는 확실하지 않다. 오스만 제국이 팔레스타인을 지배했을 당시 역사가 Volney는 1785년 당시 팔레스타인에는 20만명 정도가 거주하고 있었다고 한다.[14][15] 프린스턴 대학 교수 버나드 루이스는 오스만 제국이 이 지역을 정복했던 초기 대략 30만명 정도가 살고 있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16] 저스틴 매카시의 통계의 따르면 19세기 초에는 대략 35만 명 정도가 거주했었다고 한다. 1860년에는 41만 명 정도로 늘어났고 1900년에는 60만 명이 되었다. 당시 주민의 약 94%는 아랍인이었다고 한다.[17] 현재[편집] 2014년 말을 기준으로 이스라엘에는 830만 명이 살고 있으며, 77%는 유대인, 19%는 아랍인, 4%는 "기타"로 분류된다. 유대인 중 68%는 이스라엘에서 태어났으며, 22%는 유럽과 미국, 10%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중동 포함)에서 이주했다.[18][19] 팔레스타인국의 구역에는 440만 명에 이르는 팔레스타인인(요르단 강 서안 지구: 약 270만 명, 가자 지구: 약 170만 명)이 거주하고 있다. 이스라엘에 거주하는 160만 명을 포함해 팔레스타인 지역에 살고 있는 팔레스타인인의 수는 약 600만 명이고, 요르단 인구의 거의 절반에 이르는 팔레스타인 출신(약 320만 명)과 그 밖의 여러 나라에 거주하는 이주민·난민 등(약 300만 명)을 합한 팔레스타인인 전체 인구는 약 1천220만 명으로 추산된다. 함께 보기[편집] 가자 지구 요르단 강 서안 지구 가자 이스라엘 요르단 중동 전쟁 자유 가자 운동 각주[편집] ↑ Hansen, 2000, p. 130. ↑ Killebrew, 2005, p. 231. ↑ 가 나 Shahin (2005), p. 3. ↑ 샤힌 (2005), p. 4. ↑ 가 나 다 Shahin (2005), p. 6. ↑ 가 나 “Facts about Israel:History”. Israeli Ministry of Foreign Affaits. 05.10.2007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도움말) ↑ 가 나 존슨, 2004, p. 186. ↑ 가 나 다 샤힌 (2005), p. 7. ↑ 가 나 샤힌 (2005), p. 8. ↑ Ahl al-Kitab. (2007). In Encyclopædia Britannica. Retrieved August 12, 2007, from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 Rizwi Faizer (1998). “The Shape of the Holy: Early Islamic Jerusalem”. Rizwi's Bibliography for Medieval Islam. 2002년 2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7월 14일에 확인함.  ↑ “Documents show UK post-WWII dilemma over Jewish refugees”. 2008년 5월 16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5월 16일에 확인함.  ↑ 스틸맨, 2003, p. xxi. ↑ C.F.C Conte de Volney: Travels through Syria & Egypt in the years 1783, 1784, 1785 (London, 1798). Vol II p. 219 ↑ Katz, 115 ↑ Bernard Lewis, Studies in the Ottoman Archives--I,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Vol. 16, NO. 3, pp. 469-501, 1954 ↑ 매카시, 1990. ↑ “The World Factbook - Jordan”. 미국 중앙정보국. 2007년 6월 19일. 2007년 7월 8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Assessment for Palestinians in Jordan”. 메릴랜드 대학. 2003년 12월 31일. 2016년 1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7월 8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참고 문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38926424 LCCN: n80009667 GND: 4044381-4 HDS: 41644 NDL: 00569050 NKC: ge13036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팔레스타인_(지역)&oldid=22406467" 분류: 팔레스타인레반트서아시아아시아의 지역이스라엘시온주의분단된 지역숨은 분류: 인용 오류 - 날짜아랍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히브리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문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cèh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العربيةܐܪܡܝܐ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বিষ্ণুপ্রিয়া মণিপুরীBrezhonegBosanskiᨅᨔ ᨕᨘᨁᨗCatalàMìng-dĕ̤ng-ngṳ̄Нохчийнکوردی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डोटेली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FryskGaeilgeGalegoHausa客家語/Hak-kâ-ngîहिन्दीHrvatskiMagyarInterlinguaBahasa IndonesiaInterlingue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TaqbaylitҚазақшаKalaallisutಕನ್ನಡКъарачай-малкъарKurdîKernowek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igureLietuviųLatviešuमैथिलीBaso Minangkaba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مازِرونیNāhuatl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ИронਪੰਜਾਬੀDeitschPolskiپنجابیپښتوPortuguêsRuna SimiRomani čhib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Gagana Samo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Тоҷикӣ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alonWinarayWolof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5일 (토) 17: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팔레스타인(아랍어: فلسطين 필라스틴 / 팔라스틴[*], 히브리어: פלשתינה 팔레스티나, 문화어: 팔레스티나)은 지중해와 요르단 강 사이의 땅과 그 인근 지역을 일컫는 여러 역사적인 지명 가운데 하나이다. 팔레스타인의 지리적 정의는 시대에 따라 조금씩 변해왔지만, 대체로 현재의 이스라엘 영토와 팔레스타인의 구역(요르단강 서안 지구 및 가자 지구) 일대를 가리킨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예루살렘 왕국의 수립부터 멸망에 이르기까지 국가의 통치 세력은 어떻게 변했습니까? Assistant: 1099년, 제1차 십자군이 예루살렘을 점령한 뒤 예루살렘 왕국을 수립하였다. 예루살렘 왕국은 100년 가까이 팔레스타인 전역을 통치하였으나, 1187년 이슬람의 영웅 살라흐 앗 딘이 예루살렘을 탈환하였다. 이후 예루살렘 왕국은 아크레와 그 인근 갈릴리 호수 북쪽 지역에서 다시 100여년 동안 명맥을 유지하다가 1291년에 맘루크 왕조에 의해 멸망하였다.
Human: 아래 큰고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큰고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큰고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긴수염고래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큰고래 알래스카의 케나이 피오르드에 부상하는 큰고래 사람(1.8m)과 비교한 크기(22m) 큰고래의 소리 보전 상태 위기(EN), IUCN 3.1[1] 생물 분류 역: 진핵생물 계: 동물계 아계: 진정후생동물아계 상문: 후구동물상문 문: 척삭동물문 아문: 척추동물아문 상강: 네발동물 강: 포유강 아강: 수아강 하강: 진수하강 상목: 로라시아상목 목: 우제목/경우제목 아목: 경하마형아목 하목: 고래하목 소목: 수염고래소목 과: 수염고래과 속: 대왕고래속 종: 큰고래 학명 Balaenoptera physalusLinneus, 1758 큰고래의 분포도 큰고래(또는 긴수염고래, 학명: Balaenoptera physalus, 영어: fin whale, finback whale 또는 common rorqual)는, 수염고래소목에 속하는 고래이다. 대왕고래 다음으로 큰 해양 포유류이다.[2] 가장 큰 것으로 알려진 길이는 27.3 m (89.6 ft).[3] 공식적 최대 길이는 25.9 m (85 ft)[4]이며, 최대 기록 중량은 74 tonne (73 롱톤; 82 쇼트톤)이다.[5] 최대 체중 추정치는 114 tonne (112 롱톤; 126 쇼트톤)이다. 몸은 전체적으로 길고 날씬하며, 밤색을 띠고 배 쪽은 색이 옅다. 적어도 두 가지 분명한 아종이 북대서양과 남극에 있다. 전 세계의 대양, 극지방, 열대 지방에 걸쳐 분포하지만 극지방의 빙산 지역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개체 밀도는 온대 지방에서 가장 높다.[6] 무리 지어 다니는 작은 물고기 및 오징어, 크릴새우 같은 갑각류를 먹는다. 다른 대형 고래처럼 큰고래 또한 대규모 포경업의 대상에 포함되었다. 하지만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보호 대상으로 지정되어 IWC에서 포경 제한을 촉구했다.[7] 아이슬란드와 일본에서 임의로 이들을 다시 포획하고 있어 개체 수가 줄고 있는 상황이었다가 2008년에 포획량이 50마리로 규정되었다. 고래잡이뿐만 아니라 선박과의 충돌, 소음 공해가 이들의 생존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이다. 목차 1 분류 2 외관과 행동 방식 2.1 생애 2.2 먹이 2.3 행동 2.4 큰고래 게놈 2.5 노래 3 서식처와 이동 경로 4 개체 수와 현재 상황 4.1 북대서양 4.2 북태평양 4.3 남극 지방 5 인간과의 관계 6 같이 보기 7 각주 7.1 참고 자료 8 외부 링크 분류[편집] 큰고래와 다른 동물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림 큰고래는 분류학자들에게 오랫동안 알려져 왔으며, 1675년 프레드릭 마텐즈가 처음 묘사했고, 그 뒤인 1725년에 폴 더들리가 다시 설명한 바가 있다. 그들의 묘사는 린네가 묘사한 것에 기초를 했다.[8] 큰고래는 수염고랫과에 속하는데, 이 과에는 혹등고래, 대왕고래, 쇠정어리고래, 보리고래 같은 대형 고래가 포함되어 있다. 수염고랫과는 수염고래소목에서 분화하여 중신세에 갈라진 것으로 여겨진다.[9] 하지만 정확히 언제 갈라졌는지는 알 수가 없다. 대왕고래와의 잡종이 북대서양에서 드물게 일어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으며,[10] 북태평양에서도 잡종이 발견되었다.[11] 2014년 한국에서 최초로 밍크고래의 표준게놈을 해독하고, 그것과 같이 긴수염고래의 게놈이 해독이 되었는데, 그때, 긴수염고래의 게놈 다양성이 타 고래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저자들은 이것을 대왕고래와 교잡을 하기 때문에 생긴 것으로 보고 했다. 이것은 긴수염고래가 오랫동안 자주 교잡해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2006년에는 외형과 노래가 구분되는 아종이 발견되었다. 북방큰고래(B. p. physalus (Linnaeus 1758))가 북대서양에서, 남극큰고래(B. p. quoyi (Fischer 1829))가 남극 지방에서 발견되었다.[12] 많은 전문가들은 북태평양에 분포하는 큰고래를 이름 붙여지지 않은 세 번째 아종으로 여기고 있다.[6] 전 세계적으로 이들 세 그룹이 섞이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외관과 행동 방식[편집] 큰고래는 전체적으로 몸통이 길고 날씬하므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암컷과 수컷의 평균 몸길이는 각각 19에서 20미터 정도이다. 북반구에 분포하는 아종은 24미터까지 자랄 수 있으며, 남극 지방의 아종은 최대 26.8미터나 된다.[2] 성체의 몸무게를 직접 계량한 적은 없지만, 추측치로 몸길이 25미터의 개체는 70톤이 나갈 수 있다는 결과가 있다. 완전히 성숙하는 데에는 상당한 기간이 필요한데 25년에서 30년이 걸린다.[13] 최대 94년까지 산 것이 확인된 적이 있다.[13] 갓 태어난 큰고래의 몸길이는 6.5미터 정도이며, 몸무게는 1,800킬로그램 정도이다.[14] 이들의 어마어마한 크기는 그들을 다른 고래들과 구분하기에 충분하며, 때때로 대왕고래나 보리고래 같은 다른 대형 고래와 혼동될 뿐이다. 큰고래의 등 부분은 밤회색이며, 배 쪽은 하얗다. 튀어나온 두 쌍의 숨구멍이 있으며, 납작하고 넓은 주둥이를 가지고 있다. 두 개의 밝은 색 문양이 숨구멍 뒤에서 시작해 몸의 측면으로 따라가 꼬리로 이어진다.[2] 오른쪽 턱에 하얀색 무늬가 있으며, 왼쪽은 회색 또는 검은색이다.[14] 이러한 비대칭성은 쇠정어리고래에게도 종종 발견되지만, 큰고래들에게는 비대칭성이 진부하며, 다른 고래에게는 이러한 특성을 찾아볼 수 없으므로 다른 고래들과 구분하는 한 가지 척도가 되고 있다. 비대칭성은 그들이 돌 때 오른쪽으로 돌아 그렇게 됐다는 가설이 있지만, 실제로는 왼쪽으로도 돌기도 한다. 아직까지 이러한 비대칭성을 자세히 설명할 만한 가설은 없다.[15] 큰고래는 턱에서 몸 밑의 중앙부까지 이어지는 56에서 100개의 주름을 지니고 있는데, 먹이를 잡을 때 목을 팽창시키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의 등지느러미의 길이는 60센티미터 정도이다. 가슴지느러미는 아주 작으며, 꼬리는 넓고 V자 모양이며 끝은 뾰족한 편이다.[2] 이들이 수면에 떠오를 때 분출 후 곧 등지느러미가 보인다. 분출은 수직이며 가늘고 최대 높이는 6미터 정도이다.[14] 수면 위로 떠오를 때 여러 번 분출을 하며, 1분 30초 동안 머문다. 꼬리는 언제나 물속에 잠겨 있다. 그들의 잠수 깊이는 최대 250미터이며, 잠수 시간은 10 ~ 15분이다. 때때로 다른 고래들처럼 점프를 함으로써 몸 전체를 들어 올리고는 한다.[14] 생애[편집] 짝짓기는 겨울에 저위도, 온대 지방에서 일어나며, 임신 기간은 11개월에서 1년 정도이다. 새끼는 출생한 지 6개월에서 7개월 후에 젖을 떼며, 이때의 몸길이는 11~12 미터가 된다. 그 뒤에도 새끼는 먹이를 찾아 어미를 따라다닌다. 암컷은 2~3년에 한 번씩 번식하며, 보통 한 마리씩 낳지만, 6마리까지 낳는 경우도 있다. 암컷은 3~12년이면 성적으로 성숙한다.[14] 먹이[편집] 위에서 내려다본 큰고래 큰고래는 수염을 이용해 먹이를 걸러 먹으며, 그들의 먹이가 되는 동물은 작은 물고기, 오징어, 크릴, 갑각류 등이다.[14] 먹을 때는 비교적 빠르게 헤엄치면서(시속 11킬로미터) 동시에 턱을 크게 벌리며,[16] 이에 따라 약 70 세제곱미터의 바닷물을 머금는다. 바닷물을 머금은 후에는 이를 수염을 통해서 뱉어내며, 그 후 입 속에는 먹이가 남는다. 성체는 입의 양쪽에 262에서 473개의 수염판이 있다. 각 판은 케라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서 부드러운 털 같은 수염이 생성된다. 각 판의 길이는 76센티미터이며, 너비는 30센티미터 정도이다.[2] 이들은 종종 200미터 이상까지 잠수하는데, 여기서 주로 크릴 떼를 섭취한다. 한번 머금을 때마다 10킬로그램 정도의 크릴을 얻을 수 있다.[16] 한 개체는 최대 1,800킬로그램의 먹이를 먹을 수 있으며[2], 그에 따라 과학자들은 이들이 인간과 비슷하게 하루 3시간을 하루에 필요한 만큼의 음식을 섭취하는 데에 사용한다고 결론지었다. 먹이의 밀도가 높지 않거나 너무 깊은 수심에 있으면 더 적절한 먹이를 찾으러 돌아다닌다.[16] 돌고래처럼 큰고래 또한 빠른 속도로 물고기 떼를 한 곳으로 몰아 섭취하는 것이 목격되었다.[2] 행동[편집] 큰고래는 가장 빠른 고래류 중의 하나이며, 시속 최대 37킬로미터까지 속력을 낼 수 있다.[14] 이에 따라 “바다의 그레이하운드”라고 불리기도 한다.[17] 다른 수염고랫과에 속하는 종보다 더 군집하는 경향이 있으며, 보통 6~10마리가 한 그룹을 이루지만, 먹이가 많은 지역에서는 100마리 가량이 한꺼번에 목격된 적도 있다.[13] 큰고래 게놈[편집] 2014년 세계 최초로 한국의 과학자들에게 의해 큰고래의 게놈이 해독이 되어서 공개 되었다. 노래[편집] 많은 고래류처럼, 수컷이 길면서 크고 진동수가 낮은 소리를 내는 것이 목격되었다.[14] 대왕고래와 큰고래의 노래는 다른 동물의 것보다도 훨씬 낮은 편에 속한다.[18] 대부분의 소리는 인간의 가청 수준 이하부터 그보다 조금 높은 수준이며, 주파수는 16에서 40헤르츠 정도이다. 각 소리는 1에서 2초 정도 지속되며, 의사 표현을 위한 소리의 독특한 조합은 7에서 15분 동안 지속된다. 이들은 며칠 동안 지속된다.[19] 조합의 음향의 크기는 주변 1미터 반경을 기준으로 184~186데시벨이며,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도 감지될 수 있다.[20] 미국의 생물학자들이 큰고래의 노래를 처음 녹음했을 때는 그 소리가, 고래가 내는 소리라는 사실을 몰랐다. 처음에는 장비의 오작동, 지질 활동, 심지어는 소련의 잠수함 탐지술 때문에 발생한다고 여겨졌다. 하지만 결국에 생물학자들은 그것들이 큰고래의 노래라는 사실을 밝혀냈다.[18] 번식기에 주로 발생하는 것과 수컷만이 노래를 부른다는 사실 때문에 노래가 구애의 수단이라는 추측이 있다.[21][22] 최근 100년 동안 선박 통행의 증가와 해군의 증강이 소음 공해를 일으켜 수컷이 암컷에게 전하는 구애 신호를 방해하여 큰고래의 개체 수 회복 속도가 느려졌을 수 있다는 추론도 있다.[23] 서식처와 이동 경로[편집] 큰고래의 몸길이는 26.8미터까지 이를 수가 있다. 다른 수염고랫과의 종들처럼 큰고래는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이들은 모든 대양에서 발견되며, 분포 지역은 극지방에서 열대 지방까지로 넓은 편이다. 얼음판이 덮고 있는 극 지역에서는 보이지 않으며, 홍해를 비롯하여 아라비아 해, 지중해 동쪽 및 발트 해에도 분포하지 않는다. 가장 개체 밀도가 높은 곳은 온대 지방과 한대 지방의 바다이다. 열대 지역에서는 많이 분포하지 않는다. 얕은 곳보다는 대륙붕보다 깊은 곳을 선호한다. 북대서양큰고래의 분포 범위는 넓은 편으로 멕시코 만에서 지중해, 북쪽으로는 북극해 근처까지 퍼져 있다. 큰고래는 보통 위도 30도 이상의 지역에서 더 많이 분포하지만, 이남 지역에서는 다른 고래와 곧잘 혼동되고는 한다.[24] 선박으로 이루어진 대대적인 조사 결과 북대서양의 아종은 여름에 먹이를 위해 주로 북도 41도 20분에서 51도 사이의 바다를 방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25] 북태평양에 분포하는 아종은 여름에 캘리포니아에서 일본까지 펴져 있으며, 북으로는 북극해까지 간다.[26] 그들의 밀도가 가장 높은 곳은 5월에서 10월까지 알래스카 만과 남동 베링 해이며, 베링 해를 통해 들어가거나 나가기도 한다.[27] 11월과 1월 사이에 캘리포니아 남부에서 추적 장치를 단 개체는 캘리포니아 중부, 오리건, 브리티시컬럼비아, 알래스카 만에서 죽음을 당했다.[26] 하와이에서도 먹이를 위해 5월 중순에 드나드는 것이 목격되었으며, 겨울에도 여러 번 발견되었다.[28] 어떤 연구자들은 이 지역에 그들이 주로 가을과 겨울 사이에 이동해 온다고 주장한다.[29] 큰고래가 이주성이라는 것은 확실하지만, 고위도 지방에서 사라지고 들어오는 등 전반적인 이동 경향은 잘 알려진 바가 없다. 조사에 따르면 북대서양에 분포하는 아종은 이들의 남쪽으로의 회유 경로가 가을에 뉴펀들랜드 지역에서 남으로 버뮤다와 서인도제도에 있다고 한다.[30] 고위도 지방에서 연중 내내 머물러 있는 개체도 있다.[30] 태평양의 아종의 이동 패턴은 이해하기가 어렵다. 캘리포니아 만에서 항시 머물러 있지만, 겨울과 봄에는 가파른 개체 증가가 있다.[31] 남극 지방의 아종은 여름에 고위도 지방에 거주하다가 겨울이 되어서 저위도 지방으로 이주하며, 그곳에서 번식을 한다. 그들이 겨울을 어디서 보내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는데, 그들이 주로 원양에 거주함으로써 생기는 연구의 어려움 때문이다.[6] 개체 수와 현재 상황[편집] 접근하는 큰고래 그들의 회유 패턴을 이해하기 힘들고 개체 수를 제대로 조사하지 않아 과거와 현재의 개체 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다. 오랫동안 지속된 포경업은 포경업 개시 전 개체 수 짐작을 어렵게 했다. 하지만 개체 수 측정은 그들의 개체 수 회복률을 측정하는 데 중요한 척도가 된다. 북대서양[편집] 국제 포경 위원회는 북대서양에는 분포하는 아종을 다음과 같은 7가지 그룹으로 나누었다. 노바스코샤 뉴펀들랜드 서그린란드 페로산 우표에 그려져 있는 큰고래. 2001년 9월 17일에 발행. 동그린란드에서 아이슬란드 북부 노르웨이 영국령 제도-스페인-포르투갈 이동 경로를 조사한 결과 어떤 개체는 그룹의 경계를 넘어 이동하는 것이 발견되었으며, 그에 따라 그룹들이 완전히 나뉘어 있지 않음이 확인되었다.[25] 시구르욘손(J. Sigurjónsson)은 1995년에 상업 포경 개시 이전의 북대서양 아종의 개체 수를 5만 마리에서 10만 마리로 추산했지만,[32] 그의 연구는 뒷받침하는 자료와 설명 부족 때문에 비판 받고 있다.[6] 한편 1977년에 서전트(D.E. Sergeant)는 3만 마리에서 5만 마리로 추정했다.[33] 그중에서 약 8,000에서 9,000 마리는 뉴펀들랜드와 노바스코샤에 살았으리라 여겨지며, 여름에 이남으로 회유하는 개체 수는 포함되지 않았다.[6][34] 브레이윅(J.M. Breiwick)은 1964년 노바스코샤에서 포경 가능한 개체의 수를 1,500에서 1,600마리로 추정했으며, 1973년에는 325마리로 극감했다고 했다.[35] 1970년대부터 캐나다 상공에서 이루어진 2번의 항공 조사에 따르면 동부뉴펀들랜드에는 79마리에서 926마리,[36] 세인트로렌스 만에는 수백 마리가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37] 여름에 서부 그린란드에 분포하는 큰고래의 개체 수는 500에서 2,000마리로 추산되며,[38] 1974년에 욘가드(Jonsgard)는 노르웨이 서부와 페로 제도에서는 큰고래의 개체 수가 “전쟁 후 아마도 남획으로 상당히 고갈되었다.”라고 하였다.[39] 아이슬란드 부근에서는 상황이 비교적 나은 편으로, 1981년에 1960년대보다 약간의 감소가 있었을 뿐이다.[40] 1987년과 1989년 사이의 추정에 따르면 그린란드 동부와 노르웨이에는 10,000에서 11,000마리의 큰고래가 있다.[41] 이것은 1976년 추정치인 6,900마리에 비하면 상당한 증가로 여겨지며, 1948년 이후 약간의 감소를 거친 것을 볼 때 의미가 있다.[42] 여름의 영국령 제도-에스파냐-포르투갈에 걸쳐 분포하는 개체의 어림치는 7,500마리이며,[43] 17,000마리 이상으로 추정하기도 한다.[44] 북대서양에 분포하는 개체 수의 총합의 측정치는 다양한데, 40,000마리[45] 에서 56,000마리까지 있다.[10] 북태평양[편집] 큰고래의 외골격 포경 전의 북태평양에는 42,000에서 45,000마리의 큰고래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그중에 동부 지역에는 25,000에서 27,000마리가 있었으리라 여겨진다.[46] 1975년에는 추정치가 8,000에서 16,000으로 급감했다.[47][48] 1991년 및 1993년, 1996년, 2001년에 이루어진 조사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에는 1,600에서 3,200마리가 있으며, 오리건에는 280에서 320마리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49] 〈2005년 미 태평양 해양포유류 개체 수 평가〉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주-오리건주-워싱턴주에 분포하는 큰고래의 개체 수는 최소 2,500마리로 추정된다.[50] 베링 해 가까이에 있는 프리빌로프 제도에서 이루어진 조사에 따르면 1975년~1978년과 1987년~1989년에 지역 개체 수가 급증했다고 한다.[51] 1984년에는 북태평양의 개체 수는 포경 전의 숫자의 38퍼센트 미만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52] 남극 지방[편집] 남극 지방에서는 포경 전 개체 수와 현재 개체 수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많이 알려진 바가 없다. 국제 포경 위원회는 남반구에 있던 포경 전 개체 수를 40만 마리로 공식적으로 추산했으며, 여전히 대규모로 포경업이 이루어진 1979년에는 85,200마리로 추정했다.[53] 포경 전 추정치와 현재 추정치는 모두 정확하지 못한 수치로 여겨지고 있는데, 부적절한 측정법과 조작된 자료 때문이다.[6] 다른 통계에 따르면 1980년대 후반과 1990년 전반 사이의 개체 수는 5,000마리를 넘지 않으며, 더 낮게 2,000에서 3,000마리일 수도 있다고 추정하였다.[14] 아직까지 과학적으로 입증될 만한 추정치나 경향은 나오지 않고 있다.[6] 인간과의 관계[편집] 19세기 초에도 그들에 대한 포경업은 진행되었지만 다른 종에 비해서는 비교적 안전했는데, 그 당시 포경법이 원시적이고 그들이 곧잘 도망치고, 죽더라도 빨리 가라앉아 회수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19세기 중반에 등장한 증기선, 화약을 폭발시켜 작살을 쏘는 효과적인 포경포(捕鯨砲)는 대왕고래, 보리고래, 큰고래 같은 대형 고래를 죽이면서 회수가 용이하였기 때문에 수난이 시작되었다. 남획으로 고래의 숫자가 줄어들면서, 포경업자들은 당시 비교적 풍부한 큰고래로 상대를 돌렸다.[54] 주로 지방질, 고래기름, 고래수염을 얻기 위해 포획되었다. 대략 70만4천 마리가 1904년에서 1975년까지 남극 지방에서 잡혔다.[55] 1925년에 고래를 쉽게 격납할 수 있는 경사진이 포경선에 설치되면서 연간 포획량은 더욱더 증가하였다. 그럼에 따라 1937년 한해에는 무려 28,000마리 이상의 개체가 잡혔다. 1953년부터 1961년까지의 포획량은 연간 평균 25,000마리였다. 1962년부터 큰고래의 개체 수가 감소하자 다른 종으로 관심사를 돌리기도 했다. 1974년까지는 연간 포획량이 1,000마리로 줄어들었다. 1976년 국제 포경 위원회는 남반구에서 큰고래의 포획을 금했다.[55] 북태평양에서는 1947년부터 1987년까지 약 46,000마리가 상업적으로 포획되었다고 보고되었다.[56] 소련이 북반구에서 불법 포경업을 한 사실을 인정한 것을 보면 그보다 많은 수가 잡혔을 것을 의미한다.[57] 북태평양에서는 국제 포경 위원회가 1976년 보호 지침을 내렸으며, 북대서양에는 1987년에 적용되었다.[14] 하지만 원주민들이 소규모로 포경업을 하는 것과 연구 목적의 포획은 허용했다.[14] 전 세계에 분포하는 모든 개체는 미국 수산청을 비롯한 국제 자연보호 연맹, CITES에서 위기종으로 분류하고 있다.[14][58][59][60] 현재 국제 포경 위원회의 지침에 따라 북반구에서 큰고래의 포경이 이루어지는 곳은 그린란드이다. 그들의 고기와 제품은 그린란드 역내(域內)에서만 팔리고, 외부로의 수출은 금지되어 있다. 정확한 개체 밀도가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국제 포경 위원회는 그린란드에서의 연당 포획 분량을 19마리로 정했다. 아이슬란드와 노르웨이는 국제 포경 위원회의 지침에 애초부터 반대했으므로 따르지 않는다.[6] 2006년 10월에 아이슬란드 수산부는 큰고래 9마리의 포획을 2007년 8월까지 허용했다.[61] 일본은 자체 계획에 따라 남반구에서 2005년~2006년과 2006년~2007년에 연간 10마리를 잡았다.[62] 2007년~2008년 사이의 계획에 따르면 포획 분량은 연간 50마리로 늘어나지만,[6] 2008년 4월 현재까지는 단 한 마리도 잡히지 않았다.[63] 배와의 충돌도 큰고래를 죽일 수 있는 요소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그들과의 충돌이 잦다. 대륙붕 근처에서 빠르고 큰 배와 충돌할 때 큰고래는 가장 치명적인 상처를 입게 된다.[64] 같이 보기[편집] 범고래 쇠정어리고래 각주[편집] ↑ 국제 자연보호 연맹. “Cetacean Update of the 2008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PDF). 2008년 8월 2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Balaenoptera physalus Fin Whale”. MarineBio.org. 2007년 10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Mackintosh, N. A.; Wheeler, J. F. G. (1929). “Southern blue and fin whales”. 《Discovery Reports》 I: 259–540.  ↑ Mackintosh, N. A. (1943). “The southern stocks of whalebone whales”. 《Discovery Reports》 XXII: 199–300.  ↑ Lockyer C (1976). “Body weights of some species of large whales”. 《J. Cons. int. Explor. Mer.》 36 (3): 259–273. doi:10.1093/icesjms/36.3.259.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2006). 《Draft recovery plan for the fin whale (Balaenoptera physalus)》 (pdf). Silver Spring, Maryland: 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 “Revised Management Scheme”. International Whaling Commission. 2006년 11월 7일에 확인함.  ↑ Linnaeus, Carolus (1758).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Tomus I. Editio decima, reformata.》. Holmiae. (Laurentii Salvii). p.824쪽. 2015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26일에 확인함.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Gingerich, P (2004). 〈Whale Evolution〉. 《McGraw-Hill Yearbook of Science & Technology》. The McGraw Hill Companies. 0071427848.  ↑ 가 나 Bérubé, M.; A. Aguilar (1998). “큰고래와 대왕고래와의 새로운 잡종: 빈도와 잡종이 나타내는 의미”. 《Mar. Mamm. Sci.》 14: pp.82–98. doi:10.1111/j.1748-7692.1998.tb00692.x.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Doroshenko, V.N. (1970). “큰고래와 대왕고래의 특징을 지니는 고래 (러시아어)”. 《Izvestia TINRO》 70: pp.225–257.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ITIS(국제분류정보시스템)에 의해 ID = 180527, 분류= Balaenoptera physalus, 년도 = 2006, 쪽 = 23. ↑ 가 나 다 Martin, Anthony R. (1991). 《고래와 돌고래들》. London: Salamander Books.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Fox, David (2001). “Balaenoptera physalus (fin whale)”. Animal Diversity Web. 2006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Tershy, B. R.; D. Wiley (992). “Asymmetrical pigmentation in the fin whale: a test of two feeding related hypotheses”. 《Marine Mammal Science》 8 (3): pp.315–318. doi:10.1111/j.1748-7692.1992.tb00416.x.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가 나 다 Lin, Brian (2007-06-07). “Whale Has Super-sized Big Gulp”.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2007년 6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8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Fin Whale”. nature.ca: Canadian Museum of Nature. 2006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가 나 Payne, Roger (1995). 《고래중에서》. 뉴욕: Scribner. p.176쪽. ISBN 0-684-80210-4.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큰고래”. Bioacoustics Research Program, Cornell Lab of Ornithology. 2006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W. J. Richardson, C. R. Greene, C. I. Malme and D. H. Thomson, Marine Mammals and Noise (Academic Press, San Diego, 1995). ↑ Croll, D.A.; Clark, C.W., Acevedo, A., Flores, S., Gedamke, J., and Urban, J. (2002). “수컷 큰고래만이 큰소리의 노래를 부른다.” (pdf). 《네이쳐》 417 (6891): p.809. doi:10.1038/417809a.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Watkins, W.; Tyack, P., Moore, K., Bird, J. (1987). “큰고래(Balaenoptera physalus)의 20HZ 신호”.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82 (6): pp.1901–1902. doi:10.1121/1.395685.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Segelken, R. (2002-06-19). “Humanity's din in the oceans could be blocking whales' courtship songs and population recovery”. 코넬 대학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accessed= (도움말);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Mead, J.G. (1977). “Records of Sei and Bryde's whales from the Atlantic Coast of the United States, the Gulf of Mexico, and the Caribbean”. 《Rep. int. Whal. Commn》. Spec. Iss. 1: pp.113–116. ISBN 0-906975-03-4.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가 나 Mitchell, E. (1974). 〈Present status of Northwest Atlantic fin and other whale stocks〉. W.E. Schevill (ed.). 《고래 문제: 상황보고》. Cambridge, MA: 하버드대학 출판. pp.108–169쪽. ISBN 0-674-95075-5.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가 나 Rice, D.W. (1974). 〈Whales and whale research in the eastern North Pacific〉. W.E. Schevill (ed.). 《The Whale Problem: A Status Report》. Cambridge, MA: 하버드 대학 출판. pp.170–195쪽. ISBN 0-674-95075-5.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Reeves, R.R.; M.W. Brown (1985). “Whaling in the Bay of Fundy”. 《Whalewatcher》 19 (4): pp.14–18.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Mobley, J.R., Jr.; M. Smultea, T. Norris and D. Weller (1996). “Fin whale sighting north of Kaua'i, Hawai'i”. 《Pacific Science》 50 (2): pp.230–233.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Thompson, P.O.; W.A. Friedl (1982). “A long term study of low frequency sound from several species of whales off Oahu, Hawaii”. 《Cetology》 45: pp.1–19.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가 나 Clark, C.W. (1995). “Application of US Navy underwater hydrophone arrays for scientific research on whales”. 《Rep. Int. Whal. Commn》 45: pp.210–212.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Tershy, B.R.; D. Breese and C.S. Strong (1990). “Abundance, seasonal distribution and population composition of balaenopterid whales in the Canal de Ballenas, Gulf of California, Mexico”. 《Rep. Int. Whal. Commn》. Spec. Iss. 12: pp.369–375. ISBN 0-906975-23-9.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Sigurjónsson, J. (1995). 〈On the life history and autecology of North Atlantic rorquals〉. A.S. Blix, L. Walløe, and Ø. Ulltang (ed.). 《Whales, Seals, Fish and Man》. Elsevier Science. pp.425–441쪽. ISBN 0-444-82070-1.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Sergeant, D.E. (1977). “북대서양의 큰고래(Balaenoptera physalus) 의 개체 수”. 《Rep. Int. Whal. Commn》 27: pp.460–473.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Allen, K.R. (1970). “A note on baleen whale stocks of the north west Atlantic”. 《Rep. Int. Whal. Commn》 20: pp.112–113.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Breiwick, J.M. (1993). “Population dymanics and analyses of the fisheries for fin whales (Balaenoptera physalus) in the northwest Atlantic Ocean”. (Ph.D. thesis)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310 pp.  ↑ Hay, K. (1982). “Aerial line-transect estimates of abundance of humpback, fin, and long-finned pilot whales in the Newfoundland-Labrador area”. 《Rep. Int. Whal. Commn》 31: pp.373–387.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Kingsley, M.C.S.; R.R. Reeves (1998). “Aerial surveys of cetaceans in the Gulf of St. Lawrence in 1995 and 1996”. 《Marine Mammal Science》 17 (1): pp.35–75. doi:10.1139/cjz-76-8-1529.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Larsen, F. (1995). “Abundance of minke and fin whales off West Greenland”. 《Rep. Int. Whal. Commn》 45: pp.365–370.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Jonsgard, A. (1974). 〈On whale exploitation in the eastern part of the North Atlantic Ocean〉. W.E. Schevill (ed.). 《The Whale Problem: A Status Repor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p.97–107쪽. ISBN 0-674-95075-5.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Rørvik, C.J.; J. Sigurjónsson (1981). “A note on the catch per unit effort in the Icelandic fin whale fishery”. 《Rep. Int. Whal. Commn》 31: pp.379–383.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Buckland, S.T.; K.L. Cattanach and Th. Gunnlaugsson (1992). “아이슬란드와 페로제도 에서 측정된 큰고래의 풍부함 ; NASS-87 와 NASS-89 자료에 기초”. 《Rep. Int. Whal. Commn》 42: pp.645–651.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Rørvik, C.J.; J. Jónsson, O.A. Mathisen, and Å. Jonsgård (1976). “Fin Whales, Balaenoptera physalus (L.), Off the West Coast of Iceland. Distribution, Segregation by Length and Exploitation”. 《Rit Fiskideildar》 5: pp.1–30. ISSN 0484-9019.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Goujon, M.; J. Forcada and G. Desportes (1995). “Fin whale abundance in the eastern temperate North Atlantic for 1993.”. 《Rep. Int. Whal. Commn》 45: pp.287–290.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Buckland, S.T.; K.L. Cattanach and S. Lens (1992). “Fin whale abundance in the eastern North Atlantic, estimated from Spanish NASS-89 data”. 《Rep. Int. Whal. Commn》 42: pp.457–460.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Bérubé, M.; Aguilar, A., Dendanto, D., Larsen, F., Notarbartolo di Sciara, G., Sears, R., Sigurjónsson, J., Urbán-R, J. and Palsbøll, P.J. (1998).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North Atlantic, Mediterranean Sea and Sea of Cortez Fin Whales, Balaenoptera physalus (Linnaeus 1758): analysis of mitochondrial and nuclear foci”. 《Molecular Ecology》 7: pp.585–599. doi:10.1046/j.1365-294x.1998.00359.x. ISSN 1471-8278.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Ohsumi, S.; S. Wada (1974). “1972년도 현재 북태평양의 고래 개체 수 상황”. 《Rep. Int. Whal. Commn》 24: pp.114–126.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Rice, D.W. (1974). 〈Whales and whale research in the eastern North Pacific〉. W.E. Schevill (ed.). 《The Whale Problem: A Status Report》. Cambridge, MA: 하버드 대학 출판. pp.170–195쪽. ISBN 0-674-95075-5.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Chapman, D.G. (1976). “Estimates of stocks (original, current, MSY level and MSY)(in thousands) as revised at Scientific Committee meeting 1975”. 《Rep. Int. Whal. Commn》 26: pp.44–47.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Barlow, J. (2003). “Preliminary estimates of the Abundance of Cetaceans along the U.S. West Coast: 1991–2001”. Administrative report LJ-03-03, available from Southwest Fisheries Science Center, 8604 La Jolla Shores Dr., La Jolla CA 92037.  ↑ Caretta, J.V., K.A. Forney, M.M. Muto, J. Barlow, J. Baker, B. Hanson, and M.S. Lowry (2006). “U.S. Pacific Marine Mammal Stock Assessments: 2005” (PDF). U.S. Department of Commerce Technical Memorandum, NOAA-TM-NMFS-SWFSC-388.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Baretta, L.; G.L. Hunt, Jr. (1994). “Changes in the numbers of cetaceans near the Pribilof Islands, Bering Sea, between 1975–78 and 1987–89” (PDF). 《Arctic》 47: pp.321–326.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Mizroch, S.A.; D.W. Rice, and J.M. Breiwick (1984). “큰고래, Balaenoptera physalus”. 《Mar. Fish. Review》 46: pp.20–24.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국제 포경 위원회 (1979). “Report of the sub-committee on protected species. Annex G, Appendix I”. 《Rep. Int. Whal. Commn》 29: pp.84–86.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American Cetacean Society Fact Sheet: Fin Whale, Balaenoptera physalus”. 미국고래류사. 2006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월 30일에 확인함.  ↑ 가 나 국제 포경 위원회 (1995). “과학위원회에서의 보고”. 《Rep. Int. Whal. Commn》 45: pp.53–221.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Barlow, J., K. A. Forney, P.S. Hill, R.L. Brownell, Jr., J.V. Caretta, D.P. DeMaster, F. Julian, M.S. Lowry, T. Ragen, and R.R. Reeves (1997). “U.S. Pacific Marine Mammal Stock Assessments: 1996” (PDF). NOAA Technical Memo NMFD-SWFSC-248.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Yablokov, A.V. (1994). “Validity of whaling data”. 《네이쳐》 367: p.108. doi:10.1038/367108a0.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Balaenoptera physalus”. 국제 자연보호 연맹. 1996. 2478.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downloaded= (도움말);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assessors= (도움말) Database entry includes justification for why this species is endangered ↑ “UNEP-WCMC Species Database: CITES-Listed Species”. UNEP-WCMC. 2006년 10월 23일. 2006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Species Profile for Finback whale”. U.S. Fish & Wildlife Service. 2006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아이슬란드가 포경업을 재개함에 따라 국제적 규제를 무시하다.”. Bloomberg.com. 2006년 10월 18일. 2006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미국이 일본의 남극해 조업에 반대성명을 내다.”. Bureau of International Information Programs, U.S. Department of State. 2006년 11월 20일. 2006년 11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1월 27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Less food for hungry migrants”. The Dominion Post. 2008년 6월 21일. 2008년 6월 21일에 확인함.  ↑ Laist, D.W.; Knowlton, A.R., Mead, J.G., Collet A.S., and Podesta, M. (2001). “선박과 고래들과의 충돌” (PDF). 《Marine Mammal Science》 17: pp.35–75. doi:10.1111/j.1748-7692.2001.tb00980.x. 2013년 5월 2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7월 18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참고 자료[편집] National Audubon Society Guide to Marine Mammals of the World, Reeves, Stewart, Clapham and Powell, ISBN 0-375-41141-0 Whales & Dolphins Guide to the Biology and Behaviour of Cetaceans, Maurizio Wurtz and Nadia Repetto. ISBN 1-84037-043-2 Encyclopedia of Marine Mammals, editors Perrin, Wursig and Thewissen, ISBN 0-12-551340-2 외부 링크[편집] 위키생물종에 관련된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큰고래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큰고래 ARKive - 큰고래(Balaenoptera physalus)의 사진과 영상 큰고래의 노래 국제 자연보호 연맹의 레드리스트IUCN Red List entry 바다밑에 있는 큰고래를 찍은 사진 고래뛰기하는 큰고래의 사진 vdeh현존하는 고래하목의 종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하강: 진수하강 상목: 로라시아상목 목: 우제목/경우제목 수염고래소목참고래과북극고래속 북극고래 참고래속 남방참고래 북대서양참고래 북태평양참고래 수염고래과대왕고래속 밍크고래(북방쇠정어리고래) 남극밍크고래(남방쇠정어리고래) 보리고래 브라이드고래 에덴고래 대왕고래 오무라고래 큰고래 혹등고래속 혹등고래 귀신고래과귀신고래속 귀신고래 꼬마긴수염고래과꼬마긴수염고래속 꼬마긴수염고래 이빨고래소목보토과보토속 아라과이아강돌고래 볼리비아강돌고래 아마존강돌고래 프란시스카나과프란시스카나속 프란시스카나 양쯔강돌고래과양쯔강돌고래속 양쯔강돌고래 인도강돌고래과인도강돌고래속 인도강돌고래 참돌고래과흑백돌고래속 머리코돌고래 칠레돌고래 하비사이드돌고래 헥토르돌고래 참돌고래속 긴부리참돌고래 짧은부리참돌고래 들고양이고래속 들고양이고래 거두고래속 들쇠고래 참거두고래 큰코돌고래속 큰코돌고래 사라왁돌고래속 사라왁돌고래 낫돌고래속 대서양흰줄무늬돌고래 흰부리돌고래 필돌고래 모래시계돌고래 낫돌고래 흰배낫돌고래 고추돌고래속 북방고추돌고래 남방고추돌고래 강거두고래속 강거두고래 오스트레일리아강거두고래 범고래속 범고래 고양이고래속 고양이고래 흑범고래속 흑범고래 정글참돌고래속 투쿠시 기아나돌고래 혹등돌고래속 인도태평양혹등고래 인도혹등돌고래 오스트레일리아혹등돌고래 대서양혹등돌고래 중국흰돌고래 알락돌고래속 범열대알락돌고래 클리멘돌고래 줄무늬돌고래 대서양알락돌고래 긴부리돌고래 뱀머리돌고래속 뱀머리돌고래 큰돌고래속 남방큰돌고래 부르난큰돌고래 큰돌고래 외뿔고래과흰돌고래속 흰돌고래 외뿔고래속 외뿔고래 쇠돌고래과상괭이속 상괭이 쇠돌고래속 안경돌고래 쇠돌고래 바키타 버마이스터돌고래 까치돌고래속 까치돌고래 향고래과향고래속 향고래 꼬마향고래과꼬마향고래속 쇠향고래 꼬마향고래 부리고래과부리고래속 아르누부리고래 망치고래 병코고래속 북방병코고래 남방병코고래 열대병코고래속 열대병코고래 이빨부리고래속 소워비부리고래 앤드류부리고래 허브부리고래 혹부리고래 제르베부리고래 은행이빨부리고래 그레이부리고래 헥토르부리고래 데라냐갈라부리고래 끈모양이빨고래 트루부리고래 페린부리고래 꼬마부리고래 큰이빨부리고래 부채이빨부리고래 셰퍼드부리고래속 셰퍼드부리고래 민부리고래속 민부리고래 고래류의 종 목록 생물 분류 식별자 Wd: Q179020 ADW: Balaenoptera_physalus ARKive: balaenoptera-physalus EoL: 328573 EPPO: BLNPPH 화석연구데이터베이스: 64490 GBIF: 2440718 iNaturalist: 41562 IRMNG: 10940699 ITIS: 180527 IUCN: 2478 MSW: 14300023 NCBI: 9770 NZOR: 9525b5ab-ca71-4ed2-934b-f888ab1eaa05 Species+: 9445 SPRAT: 37 WoRMS: 13709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큰고래&oldid=24183212" 분류: IUCN 적색 목록 위기종수염고래과1758년 기재된 동물아프리카의 포유류유럽의 포유류EDGE 종숨은 분류: 중복된 인수를 사용한 틀의 호출을 포함한 문서CS1 관리 - 추가 문구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인용 오류 - 날짜인용 오류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CS1 관리 - 여러 이름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알찬 글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From 변수가 없는 생물 분류 식별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생물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rezhonegCatalàCebuanoČeštinaCymraeg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igureLietuviųLatviešuമലയാളം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پنجابی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inaray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23: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참고래(학명: Balaenoptera physalus 발라에노프테라 피살루스[*])는 수염고래소목에 속하는 고래이다. 대왕고래 다음으로 큰 해양 포유류이다. 가장 큰 것으로 알려진 길이는 27.3 m (89.6 ft). 공식적 최대 길이는 25.9 m (85 ft)이며, 최대 기록 중량은 74 tonne (73 롱톤; 82 쇼트톤)이다. 최대 체중 추정치는 114 tonne (112 롱톤; 126 쇼트톤)이다. 몸은 전체적으로 길고 날씬하며, 밤색을 띠고 배 쪽은 색이 옅다. 적어도 두 가지 분명한 아종이 북대서양과 남극에 있다. 전 세계의 대양, 극지방, 열대 지방에 걸쳐 분포하지만 극지방의 빙산 지역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개체 밀도는 온대 지방에서 가장 높다. 무리 지어 다니는 작은 물고기 및 오징어, 크릴새우 같은 갑각류를 먹는다. 다른 대형 고래처럼 참고래 또한 대규모 포경업의 대상에 포함되었다. 하지만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보호 대상으로 지정되어 IWC에서 포경 제한을 촉구했다. 아이슬란드와 일본에서 임의로 이들을 다시 포획하고 있어 개체 수가 줄고 있는 상황이었다가 2008년에 포획량이 50마리로 규정되었다. 고래잡이뿐만 아니라 선박과의 충돌, 소음 공해가 이들의 생존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큰고래의 노래 주파수는 낮을까요? Assistant: 대왕고래와 큰고래의 노래는 다른 동물의 것보다도 훨씬 낮은 편에 속한다. Human: 아래 김재욱_(희극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재욱 (희극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재욱 (희극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재욱출생 1979년 8월 17일(1979-08-17) (39세)국적 대한민국활동 영역 희극인(개그맨, 코미디언) & 가수 & 배우데뷔일 2005년데뷔작(곡) KBS 개그맨 20기 공채 대표작 <뮤지컬>소속사 쇼타임엔터테인먼트 쇼그맨엔터테인먼트장르 가요 & 트로트 & 캐롤 & 댄스 팝 & 힙합 & 일렉트로니카배우자 박세미 (스튜어디스)가족 아들 김지우종교 개신교[1]웹사이트 김재욱 미니홈피 김재욱(1979년 8월 17일 ~ )은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다. 인덕대학에서 방송연예와 동양대학교에서 연극영화를 졸업했으며, 소속사는 쇼타임엔터테인먼트다. 2005년에는 KBS 20기 공채 개그맨으로 데뷔했다. 데뷔 전인 2004년 KBS 《전국노래자랑》 - 서울시 성북구편에서 인기상을 수상했던 경력도 있다. 개그맨들이 뭉친 개그돌 그룹 '지존'의 멤버이기도 하다. 2013년 10월 20일 스튜어디스 박세미와 결혼했다. 목차 1 연기 활동 1.1 방송 1.2 케이블 방송 1.3 뮤지컬 2 홍보대사 3 앨범 4 유행어 5 외부 링크 연기 활동[편집] 방송[편집] 《개그콘서트》 (KBS2) 〈봉숭아학당〉제니퍼, 나일출 역 〈뮤지컬〉 〈노래교실 살리고〉 〈집으로〉삼촌 역 〈매직퍼모먼스〉 〈테러 진압 아이리스〉 〈참으show〉 〈귀신이 산다〉 〈이런 붕~닭〉 〈달려라 울언니〉 〈노 브레인〉 〈언발라드〉 〈생각대로 쇼!〉 〈슈퍼스타 KBS〉일출스님, 뽕브라더스 역 〈파라킹홈쇼핑〉 〈그땐 그랬지〉할머니 역 〈호랭이언니들〉 〈멘붕스쿨〉납득이 역 〈피곤한 가족〉 〈아빠와 아들〉 〈건달의 조건〉 〈댄수다〉막시무스 역 〈시청률의 제왕〉 〈"... ..."〉 〈전설의 레전드〉 〈두근두근〉 〈사건의 전말〉미스터 K 역 〈예뻐! 예뻐?〉김승혜의 남자친구 역 〈이.개.세 (이 개그맨들이 사는 세상)〉 〈닭치高〉반반치킨 역 〈핫이슈〉 〈리액션 야구단〉 2005년 《폭소클럽》 (KBS2) 2009년 《해피선데이》(KBS2) 〈1박2일〉《시청자투어 편》 2010년 《체험 삶의 현장》(KBS2) 〈860회 아이들과 함께한 하루〉 2012년 《출발드림팀 시즌 2》 (KBS2) 2016년 《천상의 약속》 (KBS2) 2017년 《웃찾사 - 레전드 매치》 (SBS) 〈오빠가 너무해 〉(2017.03.22 ~ ) 2018년 《반짝반짝 들리는》 (KBS2) 케이블 방송[편집] 《내가 매일 기쁘게》 (CTS, 2008년) 《소녀시대의 Hello Baby》 (KBS Joy, 2009년) 《하쿠나마타타》 (MBC Every1, 2010년) 《게임정보상황실 GP》 (Ongamenet, 2011년) 《코미디 빅리그》 (tvN, 2011년) 《뉴스 & 이슈》 (YTN, 2012년) 《환상거탑》 (tvN, 2013년) 《트로트X》 (Mnet, 2014년) 뮤지컬[편집] 2007년 《날아라 슈퍼보드》 2009년 《우리는 개그맨이다》 홍보대사[편집] 2008년 서울인형전시회 홍보대사 2012년 헌혈 홍보대사 앨범[편집] 2007 개그콘서트 캐롤앨범 (2007년). 〈Santaclaus Is Coming To Town〉 〈트롯캐롤 제니퍼〉 개그캠프 (2007년). G-Zone - 그룹 '지존' (2008년). Show Time - 그룹 '지존' (2010년). 2010 재미있는 Gag 크리스마스 Carol (2010년). 〈Trot Carol〉 거짓말쟁이 (2011년). 유행어[편집] 하이 헬로우 안녕~? 21세기를 함께하는 미디어 아티스트 제니퍼에요~!, 아티스트 제니퍼와 함께하면~호랑이기운이 솟아나요~, 누구 맘대로? 제니퍼 맘대로~!, 휘리릭 뿅~ 퓨전!(봉숭아학당) 일출 일출!, 안녕하세요! 일출이에요!(봉숭아학당) 아 납득이 안 돼요 진짜 납득이!, 아 진짜 어떡하지? 진짜, ~여친 사귀는 거 어렵지 않아요!, 이게 컨셉!, 임펙트!, 게임 오바! 디 엔드~!(멘붕스쿨) 띠아오 무채시모!, 00할 수 있으니까!(댄수다) 안돼! 안돼!(사건의 전말) 반반치킨 입니다. (닭치高) 외부 링크[편집] 김재욱 - 트위터 김재욱 미니홈피 - 싸이월드 Daum 포털 내 팬카페 vdeh비엠엔터플랜·쇼타임엔터테인먼트소속 연예인 김재욱 김혜선 노우진 박은영 송준근 송필근 신윤승 안소미 오나미 이동윤 이상민 이상호 이성동 이찬 임우일 정승환 정진영 크리스 한슬아 과거 소속 연예인 김대성 김병만 류담 ↑ [[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재욱_(희극인)&oldid=24177164" 분류: 개그콘서트대한민국의 방송인대한민국의 희극인1979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인덕대학 동문동양대학교 동문김해 김씨대한민국의 개신교도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11: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재욱(1979년 8월 17일 ~ )은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자, 가수다. 인덕대학에서 방송연예와 동양대학교에서 연극영화를 졸업했으며, 소속사는 쇼타임엔터테인먼트다. 2005년에는 KBS 20기 공채 개그맨으로 데뷔했다. 데뷔 전인 2004년 KBS 《전국노래자랑》 - 서울특별시 성북구편에서 인기상을 수상했던 경력도 있다. 개그맨들이 뭉친 개그돌 그룹 '지존' (G-Zone)의 멤버이기도 하다. 2013년 10월 20일 스튜어디스 박세미와 결혼했다. 2020년대 들어서 트로트 가수 김재롱으로 활동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MBC Every1의 2010년 방영 프로그램으로, 김재욱이 출연한 이것의 제목은? Assistant: 하쿠나마타타
Human: 아래 사우스_파크_(영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사우스 파크 (영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우스 파크 (영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극장판 사우스 파크South Park: Bigger, Longer & Uncut 감독 트레이 파커 제작 트레이 파커맷 스톤 각본 트레이 파커맷 스톤Pam Brady 음악 트레이 파커 & 마크 샤이먼 배급사 워너브라더스 (non-USA) 개봉일 1999년 6월 30일(미국) 시간 78 분 (워너 홈페이지에 있는 DVD정보)85 분(미국) 언어 영어 제작비 $21,000,000 극장판 사우스 파크(South Park: Bigger, Longer & Uncut)는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시리즈 《사우스 파크》에 기초로 1999년에 만들어진 장편 풍자 만화 영화이다. 이 영화는 흔히들 줄여서 《South Park: The Movie》나 더 줄여서 SP:BLU라고 부른다. 영어 제목을 직역해 보면 《사우스 파크: 더 크고, 더 길고, 덜 자른》이 되는데 이 제목은 영화자체에 대한 설명이면서 남근에 대한 연상을 의도한 제목이다. 목차 1 줄거리 2 논쟁 3 정치 4 영화 음악 4.1 음악 목록 5 이 영화에만 나오는 등장인물 5.1 야데일의 그레고리(Gregory of Yardale) 5.2 두더지(The Mole) 6 불타는 엉덩이(Asses of Fire) 7 평가 8 관련 항목 9 각주 10 외부 링크 줄거리[편집] 이 작품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8살짜리 사우스 파크 소년 네 명이, 가상의 캐나다 사람으로 설정되어 있는 코미디 듀오 테렌스와 필립이 주인공인, 욕설로 가득한 불타는 엉덩이(Asses of Fire)란 영화를 보려고 숨어든 것으로 시작한다. 이 영화를 본 뒤 소년들은 욕을 하기 시작하고, 부모와 선생들 사이의 분노는 미국과 캐나다 사이의 국제 분쟁을 일으키다가, 결국은 전쟁으로 치닫게 된다. 영화의 부차적인 줄거리는 지옥에서 시작된다. 교활한 사담 후세인이 동성애 연인인 사탄의 도움으로 세계를 지배하려고 한다. 후세인이 영화가 시작되기 6주 전에 "미친 멧돼지 떼에 받혀 죽었다"라는 뉴스를 볼 수 있다. 테렌스와 필립이 죽으면, 후세인과 사탄이 지옥에서부터 올라와 세계를 지배하게 된다. 게다가, 각 소년들은 저마다의 부차적인 줄거리를 갖고 있다: 스탠은 여자 친구 웬디 테스타버거를 그녀의 새 남자 친구 그레고리로부터 되찾으려고 한다. 이를 위해 찾기 힘든 클리토리스를 찾으려고 한다. 카일은 "캐나다에 반대하는 어머니회"운동의 지도자인 그의 엄마에 맞서려고 한다. 카트먼은 뇌안에 V-chip을 이식당했는데, 이것은 그가 욕을 하려고 하면 전기 충격을 준다. 케니는 영화의 초반에 죽어서 지옥으로 간다. 여기서 그는 동성애 남자친구인 사담 후세인으로부터 정서적으로 학대받는 사탄을 도우려 한다. 야데일의 그레고리와 두더지를 비롯한 소수의 등장인물만이 새로 나온다. 두더지는 시리즈에서 카메오처럼 몇 차례 나온 적이 있었는데, 한 에피소드에서는 텔레비전 토크 쇼에 나온 적이 있다. 이 영화는 1991년작 《미녀와 야수》같은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희화화 하는 뮤지컬이다. 트레이 파커와 마크 샤이먼(Marc Shaiman)이 작곡한 열두 곡의 노래가 나온다. 이른바 덜 불경스럽기 때문에, "Blame Canada" 노래가 아카데미상의 주제가상 후보작으로 올랐다. 실제로는 "Up There" 는 불경스러운 단어가 전혀 없었으나, 역설적으로 동성애에 "불타는" 사탄을 묘사했다. 불경스러운 단어를 가지고 오스카상에 후보로 오른 네 곡의 노래중 두 번째였다(첫 번째 노래 "Mean Green Mother From Outer Space"는 1986년에 제작된 영화 Little Shop of Horrors에 나온 것이며, 우연히도 Beauty and the Beast(디즈니의 애니메이션 '미녀와 야수' 주제가)를 쓴 앨런 맨킨과 하워드 애쉬먼이 쓴 노래이다. 세 번째는 2000년작 영화 《8마일》에서 에미넴이 부른 "8 Mile"이다. 그는 이 노래로 아카데미상을 탔다. 가장 최근 노래는 2006년작 Hustle and Flow에 나왔던 "It's Hard Out Here for a Pimp"이다). 원래 이 노래는 아카데미 수상식에서 성우인 매리 케이 버그먼(Mary Kay Bergman)이 부를 예정이었다. 그녀는 이 영화에 나오는 대부분의 여성의 목소리를 냈다. 그러나 알려지지 않은 정신적인 질환을 앓고 있던 버그만은 영화 개봉 후 몇 달 만에 자살했다. 텔레비전 방송에선 로빈 윌리엄스가 많은 합창단과 함께 노래를 불렀다. 논쟁[편집] 《극장판 사우스 파크》는 가장 불경스러운 영화 중 하나로 간주된다. 이 영화에는 "Uncle Fucka"라는 제목의 노래가 나오는데, fuck이라는 단어가 1분 조금 넘는 시간 동안 24번 나온다. 이 노래는 원래 "삼촌"대신 "엄마"를 쓸 예정(즉, "Mother Fucka")이었는데, (NC-17대신) R 등급을 받기 위해 바꿨다. 제작자들은 "엄마"보다 "삼촌"이 더 웃기게 들린다고 말했다. 이 영화는 과도한 욕 사용으로 (2001년판) 기네스 북의 "애니메이션 영화에서 가장 많은 욕" 부문에 올랐다. 욕설이 399번 나왔고, "fuck"을 146번 사용했으며, 128번의 모욕적인 몸짓과 221번의 폭력 행위가 나왔다. 그러나 영화사상 "fuck"의 횟수로 따져 보면 61위에 그친다. 그러나 영화에 내재된 주제는 부모와 감시자들이 부적당하다고 생각하는 것에서 어린이들을 보호하는 것은 그들의 책임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또한 무엇이든 (특히 영화나 텔레비전에 대한) 검열은 비난을 면하기 위해 부모들이 사용하는 도구라는 것이다. (이것은 "Blame Canada"노래의 절정 부분에서 나타나는데, 한 무리의 부모들이 다음처럼 노래한다: "누군가 우리를 비난하기 전에/우리는 그들을 비난해야 하네/그리고 소동을 일으켜야 한다네") 또 하나의 풍자가 이어진다. 카일의 엄마가 연설하는 동안, 아이들은 부모들에게 캐나다와 전쟁을 일으키지 말라고 한다. 그녀는 카일을 무시한다. 역설적으로 그녀는 부모들로 이루어진 청중들에게 그 자식들을 보호하고,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 줘야 한다고 연설하던 중이었다. 종종 이 영화의 원래 제목은 "사우스 파크: 활짝 열린 지옥"이며 미국영화예술아카데미(MPAA)가 제목을 바꾸라고 강요했다고 주장된다. 등장인물의 제작자인 트레이 파커와 맷 스톤이 《사우스 파크: 더 굵고, 더 길고, 잘리지 않은》을 다시 제안했다는 것이다. 이 제목은 상스러운 중의법이다 ("잘리지 않은"은 "포경수술받지 않은"의 의미도 있다). 이런 이야기는 파커와 스톤에게서 직접 나왔다. MPAA의 대변인인 리처드 테일러(Richard Taylor)는 그런 제목의 영화가 접수된 적이 없으며, MPAA는 제목에 "지옥"을 넣었다고 거부하지도 않는다고 했다. 예를 들면 《프롬 헬》, 《헬보이》, 《헬레이저》 같은 영화들이 있다. 이런 대사들은 이 영화의 예고편에서 쓰였다. 이 영화는 사담 후세인을 사탄의 동성애 상대로 묘사해서, 이라크에선 상영이 금지됐다.[1] 역설적으로, 2006년 사담이 인종 청소혐의로 기소되었을 때, 맷 스톤은 미군이 전직 독재자에게 이 영화를 반복적으로 보여줬을 것이라고 농담했다.[2] 그러나, 영화 비평가들은 영화가 구사하는 정치풍자의 지적인 면과 유희적인 면에 대해 일반적으로 열광적이었다.[3]. 예를 들면 글로브 앤드 메일(The Globe and Mail)지는 이 영화의 모든 것이 최고이기 때문에 별 네개를 줬으며, 나쁜 취향의 것도 없었으며, 위대한 작품이라고 했다. 노래 Blame Canada를 비롯해서 캐나다를 놀림거리로 삼았지만, 정작 캐나다에서 이 영화에 대한 논쟁이 거의 없었다. 캐나다 총리인 킴 캠벨(Kim Campbell)이 노래에 대해 질문 받았을 때, 그녀는 영화가 캐나다를 진지하게 모욕하려한 것이 아니라, 장난일 뿐이기 때문에 전혀 불쾌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이 노래에는 유명한 캐나다인 가수 앤 머레이(Anne Murray)를 "bitch"로 부르기도 하지만, 머레이는 놀림조 가사로 상처 받지 않았다고 말했다. 머레이는 오스카 수상식 텔레비전 방송에 이 노래를 부르도록 초청 받았으나, 선약이 있다는 이유로 사양했다. 정치[편집] 이 영화는 인종 차별, 전쟁, 검열을 다룬다. 이 영화는 명백하게 검열에 반대한다. "카트먼의 불결하고 X같은 입"이 궁극적으로 세상을 구하는 것으로 이것을 보여준다. 영화에서 카일의 어머니는 붙타는 엉덩이라는 제목의 캐나다 영화를 검열하는 캠페인을 시작한다. 이것은 캐나다와 미국사이의 전쟁을 불러일으킨다. 이것은 시덥지 않은 이유로 국가끼리 전쟁을 일으키려는 것에 대한 비판이다. 카일의 의붓 동생 아이크(Ike)가 캐나다 출신이라는 것은 역설적이다. 인종 차별에 대한 주제는 한 부분에만 나온다. 한 무리의 병사들이 "인간 방패 작전"에 지명되는데, 이들은 모두 흑인들이다. 다른 부대는 거의 백인들로 구성되는데 이들은 "유색인 뒤에 숨는 작전"을 수행하게 된다. 한 장면에서 미국 대사와 캐나다 대사가 테렌스와 필립의 체포에 대한 논쟁을 하는데, 언론 앞에서 캐나다인들은 항상 "about"대신 "aboot"이라고 발음한다. 이것은 많은 사람들이 갖고 있는 캐나다인에 대한 편견이다. 이 영화보다 뒤에 만들어진, 《사우스 파크》 쇼는 줄거리와 주제에서 더 개방된 (특히, 자유주의 성향의) 정치적 견해를 표현하기 시작한다. 영화 음악[편집] 《극장판 사우스 파크》는 "Uncle Fucka"와 "Blame Canada"등 많은 노래로 뮤지컬 영화에 대해 겉으로는 진지하지만 비뚤어진 헌사를 보냈다. "Blame Canada"는 아카데미상에 후보작으로 지명되어 수상식 중에 로빈 윌리엄스가 불렀다. 이 영화의 오스카상을 받을 만한 노래 중에서 "Blame Canada"가 뽑힌 이유는 가사가 (불경스러운 점이 두 군데 뿐이어서) 상대적으로 건전해서 텔레비전에서 방송하기 적합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었다. (사탄이 부른) "Up There"는 욕설이 전혀 없었지만, 종교적인 상식과는 반대로 가사 안에 사탄의 저주받은 묘사와 악의 정당화에 대한 역설을 만들어 냈다. 그러나 막상 오스카상은 디즈니사의 《타잔》(Tarzan) (1999)에서 "You'll be in my Heart"를 부른 필 콜린스가 탔다. 이 때문에 "Timmy 2000" 에피소드에 필 콜린스에 대한 농담이 많이 들어갔다. 이 영화의 여러 노래는 디즈니 만화의 주제곡을 풍자한 것이다. 예를 들면 〈Mountain Town〉은 1991년 영화 《미녀와 야수》(Beauty and the Beast)에서 “벨”이 부른 노래와 매우 비슷하다. 〈Up There〉는 1996년 영화 《노틀담의 꼽추》(The Hunchback of Notre Dame)의 〈Out There〉와 1989년 영화 《인어공주》(The Little Mermaid)의 〈Part of Your World〉의 패러디이다. 〈La Resistance Medley〉는 뮤지컬 《레미제라블》(Les Miserables)의 〈One Day More〉와 《웨스트사이드 스토리》의 주제가 〈Tonight〉를 패러디한다. 제작진 소개에 언급되진 않았지만. 메탈리카의 제임스 헷필드가 〈Little Boy, You're Going to Hell〉을 불렀다. 이 영화의 영화 음악 앨범은 1999년 6월 22일 아틀란틱 레코드사에서 발매되었다. 씨디에는 앞의 열두 곡만이 실제 영화에서 쓰였다고 되어 있다. (나머지 노래들은 영화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쓰여 있으며, 주로 열두 곡의 노래를 편곡한 것이다). 그러나 DVDA의 "브라이언 보이타노라면 어떻게 했을까? 2부(What Would Brian Boitano Do? Pt. II)" 노래는 마지막 제작진 소개에 자주 사용된다. "지옥은 그다지 좋지 않아(Hell Isn't Good)"는 헤비 메탈 밴드 메탈리카의 제임스 헷필드가 보컬로 참여했다. 메탈리카의 나머지 멤버들은 참여하지 않았다. D.V.D.A가 그 음악을 연주했다. 파라마운트 픽쳐스사는 공식적으로 트레이 파커가 보컬리스트라고 했다. 2000년 2월, 헷필드가 메탈리카 점 컴의 게시판에 자신이 보컬로 참여했음을 인정했다. 영화에 나왔던 노래들은 음반에 완전한 길이로 수록되었다. 일부 노래들은 영화에선 일부만 사용되었다. 이런 예 중 하나가 "나도 바뀔수 있어(I Can Change)"라는 노래이다. 영화에선, 사탄이 일절만 부르는데, 앨범에선 이절까지 부른다. 영화에서 "But what if you never change?"라는 가사가 있는데, 앨범에서는 후세인이 반복되는 "I can change, I can change!" 코러스로 부른다. 두 경우 모두 사탄의 가사 "What if you remain a randy little butt hole?"가 따라 붙는다. 음악 목록[편집] "Mountain Town" "Uncle Fucka" "It's Easy, M'kay" "Blame Canada" "Kyle's Mom's A Bitch" "What Would Brian Boitano Do?" : 디즈니 뮤지컬 《Newsies》의 패러디이다. Up There : 1989년작 디즈니 영화 《인어 공주》(The Little Mermaid )의 노래 Part of your world와 1996년작 디즈니 영화 《노틀담의 꼽추》(The Hunchback of Notre Dame)의 노래 Out There를 패러디 한 것이다. La Resistance : 뮤지컬 《레 미제라블》(Les Miserables)의 노래 One Day More의 (멜로디)를 직접적으로 패러디했다. "Eyes Of A Child" : 마이클 맥도날드(Michael McDonald)가 불렀다. I Can Change I'm Super Mountain Town (반복) Good Love - (아이작 헤이즈가 쉐프의 노래를 부른다) Shut Yo Face (Uncle Fucka) - Trick Daddy가 부름, Featuring Trina & Tre Riches To Rags (MMMKay) - Nappy Roots Kyle's Mom's A Big Fat Bitch - (Joe C.가 부름, featuring Kid Rock) "What Would Brian Boitano Do? Pt. II" - D.V.D.A. "I Swear It (I Can Change)" - Violent Femmes Super - (RuPaul) kenny goes to hell "O Canada" - (Geddy Lee와 Rush밴드의 Alex Lifeson이 부름, featuring Terrance and Phillip) 이 영화에만 나오는 등장인물[편집] 야데일의 그레고리(Gregory of Yardale)[편집] 그는 다른 아이들과 같은 장면에서 나온다. 아이스 스케이트하는 이 장면은 찰리 브라운을 패러디한 것이다; 그는 야데일에서 사우스 파크로 방금 이사왔다고 말한다 (야데일은 아마도 예일과 하버드의 합성어이다). 그는 또한 야데일에서 평점 4.0을 받았다고 한다. 외모와 매너를 보면, 그는 장 발장을 연기한 배우 콤 윌킨슨의 패러디로 보인다. 그는 희미하게 영국식 억양으로 말하며, 매우 지적이지만 약간 속물처럼 보인다. 그는 "라 레지스탕스" 운동의 사실상의 지도자 역할을 한다. 스탠 마시의 여자 친구 웬디 테스타버거의 관심을 끌게 되면서, 스탠의 경쟁자가 된다. 이야기의 마지막 즈음에, 스탠에게 속물처럼 굴자, 그녀는 그를 더이상 좋아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그녀는 "그레고리는 엿먹으라 그래.(Fuck Gregory. Fuck him right in the ear!)" 라고 말한다. 그는 이 영화에만 나옴에도 불구하고, 팬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두더지(The Mole)[편집] 두더지의 진짜 이름은 크리스토프(Christophe)이다. 그는 스탠 마시, 카일 브로플로프스키와 에릭 카트먼이 테렌스와 필립을 구해내는 것을 돕는 비밀 요원이다. 세 소년들은 테렌스와 필립의 처형을 막으려고 미국 군사시설에서 둘을 탈출시키려고 한다. 소년들의 학교 친구인 야데일의 그레고리가 두더지와 소년들을 접선시켜준다(그레고리는 소년들보다 정치와 군사학을 잘 알고 있다). 소년들은 두더지가 그들과 같은 어린이임을 알고 놀란다. 그는 경박하고 빈정거리는 성격이다. 두더지는 소년들이 군사 기지에 잠입하는 것을 돕겠다고 결심한다. 병사들이 미군 위문 협회(United Service Organizations, USO)의 쇼에 정신을 팔고 있을 때 테렌스와 필립을 구하려고 한다. 카트먼이 계획을 망쳐서(부분적으로 유령이 된 케니의 책임도 있다), 두더지는 경비견에 물려 치명상을 입고 죽게 된다. 두더지는 땅굴 파기와 터널 안내를 전문을 하는 용병이다. 이 때문에 두더지라는 별명이 붙었다. 그는 프랑스계이며, 프랑스식 억양으로 말하지만, 영어를 유창하게 한다. 그러나 그는 짐작하는 것처럼 프랑스계 캐나다인이 아니다. 왜냐하면 극중 다른 캐나다인들과는 달리 머리가 한 조각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의 말에 따르면, 그의 어머니는 두더지가 태어나기 전에 인공 유산시키려고 했으나 실패했다고 한다. 그의 어머니는 신에 대한 모독을 참지 않는다는 것밖에 알려진 것이 없다. 두더지는 프랑스식 실존주의자의 상투적인 모습이다. 그는 때때로 신에 대한 경멸적인 말을 해서, 외출금지당한다. 그는 영화가 개봉된 다음 "Two Guys Naked in a Hot Tub" 에피소드에서 (스탠이 채널을 돌리는 동안) 텔레비전에 잠깐 나온다. 케니의 소원대로 다른 사람들과 함께 부활한다. 그레고리와 함께, 크리스토프는 상당한 인기를 얻고 있으나, 영화와 일부 눈에 띄지 않는 장면에만 제한적으로 출연했다. 또한 두더지는 (예를 들면 fanfiction.net과 같은) "fan fiction"에서 팬층을 거느리고 있다. 불타는 엉덩이(Asses of Fire)[편집] 불타는 엉덩이는 영화속의 영화이며, 테렌스와 필립이 주연한 장편 영화이다. 이 영화는 사우스 파크마을에서 엄청난 논쟁을 촉발시켰다. 영화에 포함된 지나친 욕설이 어른과 아이 모두에게 영향을 줘서, 영화에 나왔던 욕을 실생활에서 무의식적으로 쓰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불타는 엉덩이는 이 영화에 대한 보수적인 관점을 패러디한 것이다. 테렌스와 필립의 텔레비전 쇼는 《사우스 파크》 텔레비전 시리즈에도 나온다. 이것도 역시 《사우스 파크》에 대한 보수주의적 관점에 대한 패러디이다. 불타는 엉덩이가 들어 있는 사우스 파크 영화처럼, 이 영화도 뮤지컬 영화이다. 상스러운 노래인 "Uncle Fucka"가 들어 있다. 이 노래의 가사에는 fuck이라는 단어가 30번 정도 들어 있을 뿐 아니라, 테렌스와 필립이 각자 삼촌과의 근친상간적인 성관계를 묘사하고 있다. 이 노래는 2000년 MTV Movie Award의 Best Musical Performance부문 상을 받았다. 2002년에 방송된 《사우스 파크》의 에피소드 "The New Terrance and Phillip Movie Trailer"에 따르면, 이 영화의 속편 불타는 엉덩이 2: 경련들의 역습(Asses of Fire II: Attack of the Cramps)이 제작되었다. 이것은 아마 《스타워즈 에피소드 II》(Star Wars: Episode II - Attack of the Clones)의 패러디이다. "Terrance and Phillip in Not Without My Anus" 에피소드는 또 다른 텔레비전용 테렌스와 필립 영화이다. 평가[편집] 이 영화는 미국 영화 연구소(American Film Institute)가 만드는 위대한 미국 뮤지컬의 목록에 후보로 올랐다.[4] 2006년 《극장판 사우스 파크》는 영국 채널 4에서 실시한 50대 위대한 코미디 영화 투표에서 5등을 차지했다.[5] 2000년 영국의 영화 잡지 Total Film의 독자들이 뽑은 역사상 13번째로 위대한 코미디 영화로 뽑혔다. 미국 Bravo 텔레비전 방송에서 뽑은 "100대 코미디 영화"에서 5등을 차지했다. 관련 항목[편집] 《사우스 파크》 뮤지컬 각주[편집] ↑ South Park: Bigger Longer & Uncut (1999) - Trivia ↑ “보관 된 사본”. 2006년 1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http://www.rottentomatoes.com/m/south_park_bigger_longer_and_uncut/ 81% at Rotten Tomatoes ↑ http://www.afi.com/docs/tvevents/pdf/musicals_ballot.pdf ↑ channel4.com - 50 Greatest Comedy Films vote from channel4.com/film 외부 링크[편집] (영어) South Park: Bigger Longer & Uncut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South Park: Bigger, Longer & Uncut movie transcript vdeh사우스 파크주요 등장인물 스탠 마시 카일 브로플로브스키 에릭 카트먼 케니 매코믹 버터스 스토치 셰프 허버트 개리슨 핍 랜디와 샤론 마시 부부 웬디 테스타버거 제럴드와 실라 브로플로프스키 부부 아이크 브로플로프스키 짐보 컨 스튜어트와 캐롤 매코믹 부부 리안 카트먼 스티븐과 린다 스토치 부부 테렌스와 필립 예수 사담 후세인 사탄 빅토리아 교장 미스터 매키 마빈 마시 사우스 파크를 기반으로 한 작품들 DVD 극장판 Chef's Luv Shack 사우스 파크 랠리 비디오 게임 핀볼 XBLA 크리스마스의 정신 사우스 파크 액션 피규어 제작자와 성우들 트레이 파커 맷 스톤 아이작 헤이스 아드리엔 비어드 메리 케이 버그먼 존 핸슨 제니퍼 하월 모나 마셜 엘리자 슈나이저 에이프릴 슈트어트 에릭 스토 조지 마에스트리 마크 오헤어 에미 상 수상작 "Imaginationland" (I, II, III) (2008) "Make Love, Not Warcraft" (2007) "Trapped in the Closet" (후보, 2006) "Best Friends Forever" (2005) "Christmas in Canada" (후보, 2004) "Osama Bin Laden Has Farty Pants" (후보, 2002) "Chinpokomon" (후보, 2000) "Big Gay Al's Big Gay Boat Ride" (후보, 1998) 에피소드 목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사우스_파크_(영화)&oldid=22250225" 분류: 1999년 애니메이션 영화미국의 영화 작품애니메이션 영화사우스 파크콜로라도주를 배경으로 한 영화트레이 파커 감독 영화미국의 풍자 영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Boarisch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עברית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atviešuМакедонски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hqipSvenskaTürkçeOʻzbekcha/ўзбекч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7일 (금) 19:1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극장판 사우스 파크(South Park: Bigger, Longer & Uncut)는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시리즈 《사우스 파크》에 기초로 1999년에 만들어진 장편 풍자 만화 영화이다. 이 영화는 흔히들 줄여서 《South Park: The Movie》나 더 줄여서 SP:BLU라고 부른다. 영어 제목을 직역해 보면 《사우스 파크: 더 크고, 더 길고, 덜 자른》이 되는데 이 제목은 영화자체에 대한 설명이면서 남근에 대한 연상을 의도한 제목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불타는 엉덩이의 주연배우는? Assistant: 테렌스와 필립 Human: 아래 정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정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정분출생 1394년사망 1454년사인 교형(絞首刑)국적 조선 본관 진주(晋州)별칭 자 자유(子㕀)호 애일당(愛日堂)학력 태종16년(1416년)친시문과(親試文科) 을과2등(乙科)으로 급제경력 都體察使우의정직업 문관, 정치가부모 夫:정 이오(鄭以吾).母:안동 權氏 정분(鄭苯), (1394년 ~ 1454년)은 조선초기 세종.문종.단종때의 문신이며 3 상신(相臣:우의정1452.12.11~1453.10.11) 중 한명이고 문종의 고명대신이다. 자는 자유(子㕀), 호는 애일당(愛日堂), 시호는 충장(忠莊), 본관은 진주(晉州)이다. 할아버지는 정신중(鄭臣重).아버지는 판충추부사 정이오(鄭以吾)의 외아들 이고, 부인은 하동 정씨 정흥인의 딸이며 정인지의 누나이고 1452년 이전에 사별(死別)했으며 이 사이에는 아들이 없었다. 지정(池淨)은 생질(甥姪)이고 정지산은 종질[1]이며 봉사손이다. 정분(鄭苯)은 정치적 수완이나 권력 탐욕(貪慾)에는 관심이 없었고,문신 으로는 드물게 토목.건축에 뛰어난 관리 능력을 발휘 하였다. 하3도[2]도제찰사로 임무 수행 중 계유정난(癸酉靖難)을 맞아 충주에서 낙안으로 압송되어 이듬해 교형을 당했으며, 영조 22년(1746년) 복관된 후 시호는 곧은 충성(忠)과 기개와 큰 절의(莊)로 충장(忠莊)이니,우의정 충장공 정분(右議政忠莊公 鄭苯)으로 공주 요당서원(公州 蓼堂書院)에 제향되고 장릉(단종)배식록에 수록 되었다. 목차 1 생애 1.1 숭례문(남대문) 1.1.1 토목(건축) 1.1.2 왜인(倭人)과 축성 1.1.3 계유정난(癸酉靖難) 1.2 관직생활 1.2.1 정이오(鄭以吾)[12]의 아들 1.3 의정부(議政府)활동 1.3.1 6조 반열(六曹班列) 1.3.2 훈민정음 1.4 인간 세종 1.4.1 숭례문과 내불당 공사 1.4.2 세종의 불심(佛心) 1.4.3 토목의 변 1.4.4 문종 즉위 1.4.5 탄핵(彈劾) 1.4.6 3道도제찰사(都體察使) 1.4.7 고명대신 1.5 생애 후반 1.5.1 우의정 정분(右議政 鄭苯) 1.5.2 산릉 제조(山陵提調)부실책임 1.5.3 치사(致仕)를 청하다 1.6 삭탈관직(削奪官職) 1.6.1 계유정난(癸酉靖難)희생자 1.6.2 외방 종편(外方從便) 1.7 정난공신(靖難功臣) 1.7.1 정분(鄭苯)과 한명회(韓明澮) 1.7.2 갑자사화(甲子士禍) 1.7.3 사초(史草)에 기록된 정분(鄭苯)의 죽음 1.7.4 사후(死後) 314년 1.7.5 후손에 대한 평가 2 같이 보기 = 3 각주 생애[편집] 숭례문(남대문)[편집] Namdaemun1904 국보1호 숭례문(崇禮門)[3]은 세종29년(1447년) 최고 책임자에 의정부좌참찬 겸 판호조사 정분(議政府左參贊 兼 判戶曹事 鄭苯:정2품)이 행정및 역사(工師) 감독으로 임명 되면서 2년여 보수끝에 신작이라 기록된 만큼 대대적인 공사로 지금의 웅장한 모습으로 신축 되었으며, 상량묵서에는 세종 30년(1448) 3월 입주(立柱)한 것으로 되어 있고 같은 해 5월에 공역이 끝났다.정 남쪽의 문은 "崇禮門"이니 속칭 남대문[4]이라 태조5년 부터 불렀고, 편액의 글씨는 양녕대군[5]이 쓴 글씨라고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되어 있다.[6] 토목(건축)[편집] 정분(鄭苯)은 성격이 침착하면서도 재능과 도량(器局)이 있어,문신 이지만 토목에 조예가 깊었고 대간(臺諫)들이 자주 말하기를 "높고 크면서(高大) 웅장하고 화려함(壯麗)이 지나치게(僭濫)도 궁궐(宮禁)에 비길 만 하다"했다. 정분은 재능이 있어서 일을 잘 처리 했고,민신(閔伸)은 부지런하고 소심하므로, 대체로 건축이 있을 때에는 이 두 사람으로 하여금 관장하게 하였다.[7] 또 대신들은 "정분(鄭苯)은 정부(議政府)의 관리이니, 친히 토목공사를 감독함은 옳지 못합니다." 하였으나, 정분은 선공 제조(繕工提調)가 되어 토목 공사(土木工事)를 맡아 볼 때,모든 일을 사양하지 아니하고 손에다 지팡이를 들고 지시하며 계략하여 꾸미기(規畫)를 전문가(工師)처럼 하였다.[8] 1894년 한성의 모습(앞쪽 서십자각,일렬로 광화문,흥례문,근정문,근정전이 정연하게 보인다) 왜인(倭人)과 축성[편집] 1426년 (세종 8년 1월)[9]왜인(倭人)들에게 내이포(金海府乃而浦).부산포(東莱県富山浦).염포(蔚山塩浦)등 3포를 열어 무역할 것을 허락 하였다. 3포에는 각각 왜관을 두어 왜인 60명에 한하여 거주를 허락 하였으나 차츰 허가 포구를 벗어나, 소금.기와.명주.목재등 거래 품목을 확대 하면서 부당한 요구와 횡포로 서울까지 오게 되니 드디어 1450년 윤1월 세종이 이르기를[10] “ "외객인(倭客人)의 단목(丹木)·동납(銅鑞)을 서울로 올라오지 말게 하고, 포구(浦口)에 머물러 무역하도록 함이 내가 처음부터 정한 뜻인데, 옳지 않은 데가 있지 않겠느냐.명주 1만 필을 허락된 포소(浦所)에 보내어 무역하게 하되,그 형편을 시험하여 보아서 거래가 활발하지 않으면 모두 서울에 가져와 같은 가격에 팔면 서울에서 거래해도 별 이익이 없다는 방안을 만들어 허가구역을 벗어나지 못하게 하라" ” 문종때"왜인(倭人) 20여 인이 와서 내이포·부산포·염포등지에 거주하는데, 혹시 변(變)을 일으킬까 염려되니,정분(鄭苯)으로 하여금 그 정상을 자세히 살펴보고 오게 하소서. 또 왜인(倭人)이 와서 거주한 지가 이미 오래 되어 갑자기 돌아가게 할 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적의 침입을 막을(守禦) 방책과 접대할 계략(計謀)을 늦출 수는 없습니다." 하니, 임금이 말 하기를,"충청·전라·경상도 도체찰사(下三道都體察使)를 보내는 것은 이러한 일을 겸하여 살피려는 것이다." 하였다, 18세기 부산포 동래 초량왜관도 정분(鄭苯)은 직접 살피고 보고 하기를 “ 내이포(乃而浦)에 항상 거주하는 왜인(倭人)뿐만 아니라 여러 섬의 다른 왜인들(客倭)도 폭주(輻輳)하여 환란(患亂)이 털끝만큼 짧은(毫忽)시간에 달려 있습니다. ” 단종때에도 정분(鄭苯)은 하삼도 도체찰사를 자청하여 해안 전역의 순회를 마치고 충청도에 이를때 창졸간에 계유정란을 맞았다. 계유정난(癸酉靖難)[편집] 단종 1년 10월 10일(1453년) 수양대군(首陽大君:李瑈:세조)이 어린 단종을 보필 하라고 문종의 고명을 받은 원로 대신인 황보인(皇甫仁:영의정)·김종서(金宗瑞:좌의정) 등 수십 인을 살해하여 제거하고 정권을 잡은 사건인데 계유년에 일어나서 집권세력이 붙이기를 정난(靖難)이라 하며, "난리를 안정시켰다."라는 뜻으로 계유정난[11](癸酉靖難)이라 하는데, 다음날 정분(鄭苯)은 충주(忠州)용안역 부근에 이르렀고 이때 전 교리 이현로(李賢老)가 난(難)을 피하여 급하게 내려와 서울서 일어난 소식을 전하였고,그래도 내가 할 일은 궁궐 아래에 복명하는 것이니 비록 죽음이 앞에 기다린다 하더라도 지체할 수 없다고 결심하고 서울을 향하여 가던 중 "전지요(傳旨:임금의 명령서)" 외치는 경관을 만나 예를 갖추면서, 그 자리에서 죽임을 당하는 줄 알고“길가에서 죽는 것이 모양이 흉하니 역관(驛館)에 가도 관계없지 아니한가?” 하고 물었다. “아니요, 소인은 전지를 받아 대감을 적소(謫所)로 압송하려 왔소이다.” 이현로(李賢老)는 용안역(用安驛:충주시 신니면 용원리(-현 신니면 사무소 부근-외룡마을)에 호송된 후 말에서 끌어 내려져 즉시 교살(絞殺)을 당하였고, 지정(池淨)은 새로 충청도 절제사(忠淸道節制使)로 제수되어 아직 부임지에 나타나지 않았으며 정분은 낙안[1] (樂安:순천시 낙안면 남대리)으로 압송되었다. 관직생활[편집] 경조오부도 정이오(鄭以吾)[12]의 아들[편집] 조선시대는 신분사회 였고 아버지가 높은 관직에 있었기에 문음(門蔭)으로 벼슬에 나아 갔으나 이에 만족하지 않고 과거에 응시하여 태종16년(1416년)친시문과(親試文科) 을과2등(乙科)으로 급제하였다. 1420년 이조 좌랑이 되었고 이어 승문원(承文院) 교리(校理)가 되었을때 광효전 집사(廣孝殿 執事)를 보내지 않은 실수로 의금부에 갇히게 되자 상관이던 이조판서 맹사성이 자기도 책임이 있다하여 출근하지 아니하고 업무를 보지 않으니 세종이 직소(職所)에 나오라 명하였다. 1422년 정분도 풀려나면서 우헌납(右獻納)으로 삼았고 1423년 좌헌납(左獻納)에 이어 병조정랑 의정부사인에 올랐다.집현전 응교(集賢殿應敎)정인지(鄭麟趾)와 같이 업무를 보게 되는데 훗날 문종때 상피(相避)[13]문제가 거론된다. 1430년 집의(執義)로 재직시 정분 외 여러명이 사간원(司諫院)의 요청으로 의금부에 갇히게 되는데, 죄목은 태종의 후궁인 숙선옹주 안씨가 영평군 윤계동(尹季童)과 집터를 가지고 다투다가 제출한 고소장인데, 남지가 고소인[狀氏]이란 어귀를 지우고 임금에게 보고 하려다 중간에 정분을 만나 조언을 들으려 사실을 말했는데 이를 누설이란 죄목으로 의금부에 갇힌 사건이다.[14] 애매한 죄목으로 옥살이를 하게되자 판부사로 치사(致仕)한 아버지 정이오(鄭以吾)가 임금께 말씀 올리기를(세종 12년 11월) , “ 신은 지금 늙고 병들어서 생명이 얼마 남지 않았사오나, 다만 외아들인 분(苯)이 죄를 짓고 지방에 추방되어 있으므로 다시 약으로 구호할 자가 없사오니, 인자하신 마음으로 경기(京畿)에 옮겨 놓게 하시와 약을 계속하여 쓰게 하시기를 바라옵니다. ” 하니, 임금이 말하기를[15] “ 정분(鄭笨)은 사리를 아는 사람인데, 남지의 일은 말을 누설시킨 것이 아니라 사간원에서 얘기한 것이고, 중간에 정분을 만나 조언을 구하니 일을 잘못 처리 했다는 것을 말한 것 뿐 이므로 나는 이를 가볍게 생각하는 바이다." ” 이 청을 받아 양주(楊州)에 옮겨 놓도록 명하였고.(세종 12년 11월) 숙선옹주 소송 문제의 누설에 관련된 사건은 혐의 없음으로 석방되었다. 이후 좌부대언 우승지가 되었고, 이어 1434년 좌승지로 관직을 제수 받았으나 세조16년 8월 9일 아버지 병으로써 사직을 원 하였으나 어의(御醫)로 대신 시약(侍藥)하게 할테니 업무에 전념하라 명하고 윤허하지 않았다.[16] 세종 16년 8월 11일(1434년)이버지 정이오의 친상(親喪)을 당하니 임금이 이르기를[17] “ "판우군도총제부사로 치사(致仕)한 정이오(鄭以吾)가 졸(卒)하였다. 이오의 자는 수가(粹可)요, 호는 교은(郊隱)이니, 경상도 진주 사람이다. 홍무(洪武) 갑인년에 급제하여 높은 벼슬에 오름에 미쳐서는 항상 대제(待製)의 직책을 띠었다. 그의 시문(詩文)은 준신아려(駿迅雅麗)하여 시험 과정의 작품[試科程品]에 이르러서도 조금도 그릇됨이 없었다. 시호는 문정(文定)이니,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묻기를 좋아함은 문(文)이요, 행실이 순수하여 어기지 아니함은 정(定)이다. 아들이 하나인데, 정분(鄭苯)이다." 세종 16년 10월 9일 죽은 판우군 도청제부사로 치사(致仕)한 정이오(鄭以吾)에게 치제(致祭)하였으니, 그 교서에 이르기를,[18] "늙은 옛 신하가 이미 기쁘고 슬픈 일을 함께 하였으니, 애도(哀悼)와 영총(榮寵)의 은전(恩典)이 어찌 살고 죽음에 간격이 있으랴. 아아, 연치(年齒)와 덕망이 함께 높았으니 영특하고 어진 이가 간 것을 슬퍼하고, 은혜와 분의가 이미 두터웠으니 조상하고 불쌍히 여김을 특별히 더함이 마땅하도다." ” 하였다. 의정부(議政府)활동[편집] 6조 반열(六曹班列)[편집] 1436년 "전 승지 정분(鄭笨)이 감사의 임무에 적합합니다, 지금 흉년을 구제해야 할 시기를 당하여 반드시 장건(壯健)한 사람이라야만 능히 돌아다니면서 진제(賑濟)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하니, 임금이 정분을 충청도 감사로 삼았다. 직 전임자는 정인지(鄭麟趾)였고 아버지의 상사(喪事)를 당해 사직 하였다. 1438년 이조 참판(吏曹:從二品)의 관직이 제수되고, 1439년 평안도 도관찰사(平安道都觀察使)[19]로 5년여 동안 관련 정사에 임한 후 가정 대부(嘉靖大夫) 공조참판으로 승진하여 서울로 돌아왔다. 1443년 공조 참판(工曹參判) 정분(鄭苯)은 북경에 주문사[20](奏聞使)로 명나라에 가게 되었고,정분으로 하여금 강관토(江官土) 등과 면대해서 조선에서 쓰는 관직명(官號)과 이름(人名)이 다르고 언어(音韻)가 같지 않아 직접 심문 하도록 허락을 받았으며,왜구의 침략 행위가 심하다는 내용을 알리기 위해서 다녀왔다. 1444년 예조 참판을 거치고 1445년 6조[21](六曹)반열에 오르니 이때 의정부 인사를 보면, 영의정 황희·좌의정 신개·우의정 하연·좌참찬 이숙치·우참찬 정인지·이조 판서 한확·공조 판서 최부·호조 판서 정분·병조 판서 안숭선·예조 참판 윤형·형조 참판 허후였다. 1446년 4월 19일 세종의 왕비 소헌왕후 심씨(昭憲王后 沈氏)가 52세로 사망하여 국상기간이 이어 지면서 장마가 계속 되어 드디어 7월 1일 국장일을 정하였고, 산릉(묘지)역사 적임자로 정분(鄭苯)이 지명되어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22]으로 승직이 되고 공역에 8천명이 필요 했으나 4천명으로 줄이게 되는데 이때부터 정분의 산릉제조에 탁월한 관리능력을 인정 받았다. 훈민정음[편집] 훈민정음언해 1446년 9월에 《훈민정음(訓民正音)》[23]이 완성되어 반포하였다. 어제(御製)에, “ 나랏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漢字)와 서로 통하지 아니하므로, 우매한 백성들이 말하고 싶은 것이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잘 표현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 이를 딱하게 여기어 새로 28자(字)를 만들었으니, 사람들로 하여금 쉬 익히어 날마다 쓰는 데 편하게 할 뿐이다. ” 한글은 1443년(세종25년) 훈민정음 28자를 연구·창제하고 3년 동안 다듬고 실제로 써본 후, 1446년 음력 9월 29일(세종 28년) 에 이를 반포하면서『훈민정음 해례본(訓民正音 解例本)』을 통하여 쓰기편한 문자와 천지인(天地人)을 바탕으로 하는 음양오행(陰陽五行)의 관계가 설명 되어있다. 글자를 만들면서 창제동기를 밝힌것은 한글이 유일하며 유네스코(UNESCO)[24]가 선정한 가장 과학적인 문자이고, 정보화 시대에 전혀 문제가 안되는 표현 문자이다.최고 학부(最高學部)집현전[25]은 모든 학문 즉 천문학(天文學), 기상학(氣象學), 역사학(歷史學), 지리학(地理學), 문학(文學), 예술(藝術), 철학(哲學), 의학(醫學), 본초학(本草學), 농학(農學) 역학(譯學=번역등語學)등의 학자들을 적극 양성하면서,실용정신이 시대적 과제였기에 과학 기술에도 두루 관심을 기울여 신분을 뛰어넘어 노비출신 장영실(1390~1450)등 인재를 등용하고 육성하여 혼천의, 앙부일구, 자격루, 측우기 등의 발명을 전폭적으로 지원했다, 인간 세종[편집] 세종은 통치 능력과.총명한 두뇌.성실성.추진력.포용력의 리더십을 갖춘 탁월한 군주 였으나 인간세종은 불운하였다,부왕인 태종때 장인 심온의 처형과 관노비가 된 장모, 맏딸 정소공주, 다섯째 아들 광평대군의 죽음, 세자빈 휘빈 김씨의 엽기적 행동(악귀 쫓는다고 신발태움)으로 퇴출, 다시 들인 2번째 세자빈 순빈 봉씨의 동성애 사건으로 사과문 발표에 이어, 후궁으로 들어왔다 3번째 세자빈이 되었던 현덕왕후 권씨(단종의 어머니)마저도 출산 후 사망하여 며느리 복도 없었다. 또 건강이 안 좋았으며 운동은 싫어하고 육식을 즐겨먹는 식습관 때문에 종기(背浮腫)·소갈증(消渴症)·풍질(風疾)·한쪽 눈은 거의 실명이고 비만통증에 다리가 늘 아픈 상태에서 정사를 돌봐야 하는 고통이 따랐다. 이를 극복하려고 불심(佛心)에 의지하게 되고 궐내 불당을 짓기로 하면서 대신들의 반대가 심했으며, 그 이유는 조선의 건국 이념은 유교 성리학이었기에 이런 논란 속에 성품에 흠결(欠缺)이 없고 뚝심있게 추진할 토목, 건축 행정의 적임자가 필요했고 이 일을 정분(鄭苯)에게 일임하였다. 고상하고 품격있는 논쟁(高論)을 일삼는 집현전 학자들이나 대신들의 편에서 보면, 대목이나 석수, 조각수 그리고 차출된 군인 등 일꾼들과 어울림은 체신머리가 없다고 놀렸으나 나라의 큰 틀(大體)을 몰라서 하는 말들이라고 일축하고 임금의 뜻에 따랐다. 숭례문과 내불당 공사[편집] 1447년 (세종 29년) 8월 30일 숭례문(崇禮門)[26]을 새로 짓는데, "정헌대부 의정부 좌참찬 겸 판호조사 정분(正憲大夫 議政府左參贊 兼 判戶曹事 鄭苯)[27]"으로써 삼고 그 역사를 감독하게 하였다. "분(苯)이 오로지 토목(土木)의 일을 자기의 소임으로 삼아서, 영선(營繕)하는 일이 연해 계속되고 미리미리 임금의 뜻에 맞도록 하니, 재물과 인력이 동나게 되었다"[28]고 기록된 걸 보면 이 공사와 내불당 신축에 상당한 자재와 인럭이 동원 됐음을 알 수 있다. 조력자로는 형조판서 민신.선공감 직장 이명민.부사직 김부흥등 대목과 좌변목수.우변목수.도석수.조각장.노야장등 기타 인력으로 구성 되었고,토목(土木).영선(營繕)의 관리 감독 관청은 선공감(이명민;종3품)이였다. 1448년 세종 30년 11월 8일 이때 세종은 병이 중하여 궁궐밖 금성대군 집으로 이어하여[29] 조참(朝參)하고 불심(佛心)으로 건강을 지탱하려는 세종의 마음이 다급하니, 숭례문 공사와 또 내불당(內佛堂)[30]을 짓는 일 까지 정분(鄭苯)에 일임한 후 세종이 이르기를 "경(정분)이 부득이 불당을 영조하는 일까지 맡았는데, 지금 천기가 추워지는 것 같으니 빨리 하지 않을 수 없다. 지금 경기(京畿)의 선군(船軍:水軍) 4천 명을 역사시키려고 하나, 그 수가 너무 많으므로, 이달에 1천 명을 역사시키고 내달에 1천 명을 역사시키는 것이 어떠한가." 하니, 정분(鄭苯)이 대답하기를,"절터가 조금 높고 궁성이 낮으므로, 마땅히 쌓아서 높이게 되어 공사가 작지 않으나, 불당 짓는 것이 13간 밖에 안되어 빠른 시일내 완성할 수 있으므로, 선군을 역사시킬 것이 없습니다." 막대한 자재와 인력동원 때문에 숭례문 공사가 잠정 지연 되었고 마침내 1448년 말 궁궐내 불당(佛堂)[31]이 이룩되니 세종은 친히 불상을 안치하는 행사를 가졌다. 내불당: 세종(世宗) 30년(1448) 경복궁 안에 세워진 불당. 태조(太祖) 때부터 불교(佛敎)를 배척했기 때문에 세종도 처음에는 억불정책(抑佛政策)을 폈으나, 만년에는 불교를 보호하게 되었다. 모든 유생(儒生)들의 반대를 물리치고, 세종은 궁정 안에 화려한 불당을 짓고, 그 안에 황금불(黃金佛) 3구(軀)를 안치하여 불교를 보호하였다.<<종교학대사전 >>[[2]]1418년(세종 즉위년) 경복궁 안의 문소전(文昭殿) 뒤에 세우고 흥천사(興天寺) 석탑에 안치되어 있던 석가모니의 진신사리 4과(顆)와 두골 ·패엽경(貝葉經) ·가사 등을 옮겨 봉안하였다. 세조 때에는 법회 ·법석(法席) ·간경회(看經會) 등이 베풀어져 크게 일어났고, 성종 ·중종 등은 이 절의 특별 보호를 명하였다. 그 후에는 억불숭유정책의 영향을 받은 듯하며, 임진왜란 이후 폐쇄된 것으로 보인다. <<두산백과>> 세종의 불심(佛心)[편집] 세종은 병세가 악화되자 영응대군(永膺大君)집으로 이궁하기 위해 웅장하게 짓게 하였고 이 일도 정분에게 맞겨 대신들의 질타가 이어지기도 하였다. 정분(鄭苯)·허후(許詡)·민신(閔伸)·이사철(李思哲)에게 명하여 진관사(眞觀寺)에 가서 수륙사(水陸社)를 베풀게 하였다. 분(苯)은 속이 트이고 사리에 밝아 재상(宰相)의 기국(器局)이 있고, 잘 큰 일을 결단(決斷)하여 임금의 위임(委任)하는 바가 되었다. 선공 제조(繕工提調)가 되어 토목 공사(土木工事)를 맡아 볼 때, 모든 집을 짓는 데 힘써 크고 아름답게 하였다. 불당(佛堂)을 짓는 역사를 분(苯)이 신(伸)과 함께 감독하였다. 분(苯)이 짧은 옷을 입고 막대를 잡아 공장(工匠)을 지휘하니, 보는 사람이 그 대신(大臣)의 체모를 잃는 데 분하게 여겼다. 토목의 변[편집] 1449년 명나라는 큰 변이 일어났다. 몽골계 부족인 오이라트(Oirāt)가 명나라 변방에 침입하였다.정통제(正統帝)는 오이라트족을 직접 50만의 군대를 이끌고 북진 했으나 포위 당하여 황제인 본인이 잡혀갔다. 1450년에 명나라 조정에 송환되어 돌아 왔으나 이미 이복동생인 경태제(景泰帝)가 즉위하여 황제가 되었으므로 정통제는 태상황(太上皇)되어 궁에 유폐되었다.이 사건을 중국에서는 토목의 변이라고 한다 명나라의 정변으로 정통황제가 잡혀가서 후임의 황제관련 내용으로 조선에 조사(詔使)가 왔다. 세종 31년 10월 18일(1449년) 임금이 하연(河演)·황보인(皇甫仁)·정분(鄭苯)·정갑손(鄭甲孫)과 승문원 제조 정인지(鄭麟趾)·허후(許詡)·김청(金聽)을 불러 이르기를, “ "중국의 변(變)은 천고에 없었던 바이며, 황제를 송환한다는 것도 뜻밖의 일이다. 야선(也先)의 생각이라 여겨지는 것은 하나는, 정통 황제가 도로 들어가게 되면 반드시 경태(景泰)와 시새움이 있게 되어 내란이 있을 것이요, 이렇게 되면 서서히 그 형세를 보아서 그들의 계책을 실시하고자 하는 것이겠고, 또 하나는 중국에서 정통 황제의 아우를 세워서 황제로 삼았으니, 비록 구류(拘留)하여 돌려보내지 않는다 하더라도 결국은 이익이 없기 때문이라 할 것이다. 생각하건대, 이 두 가지에 벗어나지 않을 것이니, 이런 이유에서 헤아린다면, 중국에서 황태후의 명령으로 다시 정통 황제를 세울 수도 있을 듯한데, 만일 그렇게 되면, 정조(正朝)의 표전(表箋)에다 경태(景泰)로서 연호를 기록하는 것은 매우 절실하지 못하니, 어떻게 처리해야 하겠느냐." ” 조정 에서는 정통제(正統帝)가 포로로 잡혀있는 상황인데 연호를 계속 쓸 것인가 경태제(景泰帝) 연호로 바꿀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는 내용이다. 좌참찬 정분(鄭苯)·우참찬 정갑손(鄭甲孫)이 의논하여 말하기를, “ "정통제(太上王)는 경태제(大行王)와 비교할 수 없는데, 이제 새 황제가 즉위하여 조사(詔使)를 맞이함에 이미 행하던 이전예법(舊禮)을 폐지하시오면 어찌 마음이 편안 하겠습니까. 만일 그것을 폐지하실 경우 짓궂게 훼방(防礙)을 놓아 염려되는 바가 많을 것입니다. 영조(迎詔)[임금의 조서(詔書)와 그것을 가지고 오는 사신(使臣)을 맞이함]하여 조서를 읽을(開讀) 때, 궁중음악(鼓吹)을 연주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고, 국빈을 대접하는 잔치(宴享)에 음악을 사용함도 그만둘 수 없을 것이오니, 이제 황제의 표문(拜表)을 받을때 고취(鼓吹)를 씀이 마땅하옵니다." ” 문종 즉위[편집] 1450년 3월 30일(음력 2월 17일) 세종이 당뇨병 합병증과 중풍등의 후유증으로 인하여 54세를 일기로 영응대군의 사택인 동별궁에서 승하하였다.[32] 이날 문종이 계승하여 정부와 육조에 명하여 함께 의논하게 하니, 황보인(皇甫仁)·남지(南智)·박종우(朴從愚)·정분(鄭苯) 등이 아뢰기를,"바로 지금 중국(中國)이 크게 어지러우니, 우리 나라 후문(後門)의 방비를 염려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국가에서 일이 많은 것은 오늘날과 같은 적이 없습니다. 더구나 일본(日本) 국왕(國王)의 사신도 또한 왔으니, 전하(殿下)께서 그 큰 일[大事:상사(喪事즉 국상).의 어려움을 생각하시고 조리(調理)를 잘 하시어 대효(大孝)를 마쳐야 할 것입니다." 1450년각 대저 진관사(津寬寺)의 수륙사(水陸社)를 짓는 것은 곧 세종(世宗)께서 조종(祖宗)을 위한 일이었으므로 폐지할 수는 없습니다. 이 때를 기다리던 각돈(覺頓)[33]이란 중은 세종을 위한다는 명분으로 횡포가 심하였다. 탄핵(彈劾)[편집] 1450년 7월 호조(戶曹)에 전지(傳旨)하기를,"모든 저축(儲蓄)·구황(救荒)·영선(營繕) 등에 관한 일은 우찬성(右贊成) 정분(鄭苯)과 상의하여 시행하라."하였다.이는 정부가 보유한 자원을 총괄하여 관리하는 중책이였다.이어 인사를 단행하니, 정분(鄭苯)을 의정부 우찬성(議政府右贊成) 겸 판이조사(兼判吏曹事)로 좌참찬에서 승진하고, 정인지(鄭麟趾)를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으로 하니,단행전에 정분(鄭苯)은 반차가 정인지(鄭麟趾)의 아래에 있었는데, 뛰어서 찬성(贊成)으로 제수하니, 사론(士論:선비들의 공론) 이 좋지 못하였다. 다음날 좌참찬(左參贊) 정인지(鄭麟趾)가 아뢰기를, “ "우찬성(右贊成) 정분(鄭苯)의 전처(前妻)는 신의 맏누이입니다. 맏누이가 비록 아들이 없이 죽었으나 법에 아들이 없는 전처도 그 신주를 사당에 승부(升祔)하게 되어 있으며, 신과 정분(鄭苯)과는 의절(義絶)된 것도 아니니, 동료(同僚)가 될 수 없습니다." ” 하였다. 임금이 정부(政府)에 명하여 의논하여 올리게 하니, 정부에서 의논하여 아뢰기를,"정인지와 정분과는 아직 의가 끊어지지 않은 것이 과연 아뢴 바와 같습니다."하였고 상피(相避)문제가 생기니 "고치라"하였다. 1450년 9월 우찬성(右贊成) 정분(鄭苯)을 충청(忠淸)·전라(全羅)·경상(慶尙)의 도체찰사(都體察使)로 삼고,삼면이 해변이서 왜적(倭賊)이 수시로 출몰하니 남방 해변의 성보(城堡)를 쌓는일이 다급 하였다.그러나 축성의 본질을 이해못한 대신들이 인사문제의 상서(上書)가 이어지니 10월 정분은 사직상서를 올리면서, “ "신은 본래 공적도 없이 성상의 은혜를 잘못 입어서 오랫동안 정부의 반열(班列)을 차지하고 겸하여 전선(銓選:이조(吏曹)나 병조(兵曹)에서 인재를 뽑음) 을 맡아 보았습니다. 곡식을 저축하여 구황(救荒)에 대비하고, 토목(土木)을 영선(營繕)하는 따위의 일은 권도(權道:목적 달성을 위하여 그때그때의 형편에 따라 일을 처리하는 방도) 여서 번잡하고 무거우므로 비방하고 헐뜯음이 뒤따르니, 소임을 다하지 못하는 환(患)이 있을까 두렵습니다. 어제 말하는 자가 정유(情由)를 아뢰었으니, 빌건대 전조(銓曹:이조나 병조) 를 파면하소서. 오히려 허물을 부르고 누(累)를 가져올까 염려하였는데, 과연 말하는 자가 〈임금의 뜻에〉 영합(迎合)한다고 배척하였으니, 고식적(姑息的)이고 외람(猥濫)되다는 비난을, 신은 본래 용렬하므로 진실로 감수(甘受)해야 마땅하나, 신이 정부(政府)의 자리를 차지하여 그 외람되다는 비난에 수치스러운 마음을 참고서 뻔뻔스러운 얼굴로 조정(朝廷)에 참여하여서 성조(聲朝)의 치화(治化)에 누(累)를 끼칠 수가 없습니다. 엎드려 바라건대 전하(殿下)는 신이 비방을 받는 욕됨을 살피시고 신의 뼈에 사무치는 부끄러움을 불쌍히 여기시어, 신의 작명(爵命:벼슬)을 거두시고 명하여 산직(散職)에 두도록 하소서." ” 하였으나, 임금이 윤허하지 않고 말하기를,"헌부(憲府)의 말이 옳다면 사직하는 것이 옳겠지만, 그 말이 옳지 않은데, 어찌 인혐(引嫌)할 것이 있겠는가?"하였고 오히려 1451년 1월 정분(鄭苯)을 황해도 도체찰사(黃海道都體察使)로,사조(辭朝)하니, 임금이 인견(引見)하고 각각 궁시(弓矢)와 이엄(耳掩)을 내려 주었다. 3道도제찰사(都體察使)[편집] 충청·전라·경상도 도체찰사(忠淸全羅慶尙道都體察使)임명되어 정분(鄭苯)이 길을 떠났으니,성터[城基]를 살펴서 정(定)하기 위함이었다. 1451년 9월 임금에게 보고하니, “ 그대로 둘 각 고을과, 물려서 쌓아야 할 각 고을과, 또 모름지기 개축(改築)을 요하는 각 고을을 마감(磨勘) 하여 올립니니다. 그대로 둘 곳. 順天府邑城[3].樂安郡邑城.寶城郡邑城.靈巖郡邑城.光陽縣邑城.興陽縣邑城.務安縣邑城.康津縣.내상성(內廂城).萬頃縣邑城.臨陂縣邑城.咸悅縣邑城. 물려서 쌓아야 할 곳. 古阜郡邑城.茂長縣邑.扶安縣邑城.沃溝縣邑城.[4] 개축(改築)하여야 할 곳. 長興府邑城.靈光郡邑城.羅州牧邑城[5].龍安縣.興德縣. 같은달 경상도 심찰 후 계(啓)를 올리니, 그대로 둘 곳. 慶州府邑城.金海府邑城[6].昌原府內廂城.昆陽郡邑城.機張縣邑城.東萊縣邑城[7].固城縣邑城.南海縣邑城.河東縣邑城[8]. 시기(時期)에 미치도록 개축(改築)할 곳. 蔚山郡內廂城.泗川縣邑城[9].鎭海縣邑城. 뒤에 쌓을 수 있는 곳. 晉州牧矗石[10].密陽府邑城.咸安郡邑山城.梁山郡邑城.彦陽縣.漆原縣.庇仁縣邑城.藍浦縣邑城.保寧縣邑城.海美縣內廂城 서산 해미읍성(瑞山 海美邑城) 대한민국의 사적 종목 사적 제116호 (1963년 1월 21일 지정)면적 194,102.24m2시대 조선 시대소유 국유·사유위치 해미읍성주소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읍내리 16좌표 북위 36° 42′ 46″ 동경 126° 32′ 55″ / 북위 36.7129135° 동경 126.5485266°  / 36.7129135; 126.5485266좌표: 북위 36° 42′ 46″ 동경 126° 32′ 55″ / 북위 36.7129135° 동경 126.5485266°  / 36.7129135; 126.5485266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11]. 唐津縣邑城.沔川郡邑城.洪州牧邑城.林川郡山城.韓山郡山城.舒川郡邑城. 추후하여 쌓을 수 있는 곳. 瑞山郡山城[12].扶餘縣山城.牙山縣山城.[13] ” 위와 같이 의정부에 보고 하였고 이무렵 당대에 재상인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로서 치사(致仕)한 황희(黃喜)가 졸(卒)하였다. 황희는 장수현(長水縣) 사람인데, 자(字)는 구부(懼夫)이며, 판강릉부사(判江陵府事) 황군서(黃君瑞)의 아들이고, 현재 파주시 문산읍 반구정(伴鷗亭)에서 89세까지 말년을 보냈다. 고명대신[편집] 1452년 6월 31일(음력 5월 14일) 경복궁(景福宮) 천추전(千秋澱)동녘 방에서 문종이 붕어(崩御)하여 그 형제들은 수양(首陽), 안평(安平), 광평(廣平), 금성(錦城), 평원(平原), 영응(永膺)이고, 영의정 황보인(領議政皇甫仁), 우의정 김종서(右議政金宗瑞), 좌찬성 정분(左贊成鄭笨), 우찬성 이양, 이조 판서 이사철, 호조 판서 윤형, 예조 판서 이승손,병조 판서 민신, 지신사 강맹경, 집현전제학 신석조, 등을 부르고 세자를 보좌(輔佐)해주길 고명(顧命)하였다.고명인 이름은 도승지 강맹경, 입직 승지(承旨) 신숙주,성삼문이 기록 하였다.<政院日記>[34] 1452년 10월 남지를 영중추원사로, 정분을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으로,정인지(鄭麟趾)를 병조 판서(兵曹判書)로 제수하니 원래 정인지(鄭麟趾)는 좌목이 정분(鄭笨)의 위에 있었으나, 문종(文宗)이 정분을 발탁하여 1품(一品)으로 삼았는데 사람들이 정인지가 뒤졌다 하여. 황보인(皇甫仁)·김종서(金宗瑞)가 물의(物議)를 싫어하여 정인지를 이때 1품으로 올렸다. 생애 후반[편집] 우의정 정분(右議政 鄭苯)[편집] 1452년 12월 11일 좌의정 남지(南智)가 신병으로 오랫동안 정사(政事)를 못보게 되자, 김종서(金宗瑞)를 좌의정(左議政)으로, 정분(鄭苯)을 우의정(右議政)으로, 한확(韓確)을 좌찬성(左贊成)으로, 정인지(鄭麟趾)를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로, 허후(許詡)를 좌참찬(左參贊)으로, 이사철(李思哲)을 우참찬(右參贊)으로, 조극관(趙克寬)을 병조 판서(兵曹判書)로, 권맹손(權孟孫)을 공조 판서(工曹判書)로 삼았다" 황보인·김종서가 권력을 마음대로 하였으며 이때 황표정사[35]란 말이 생겨났다. 이당시 나라의 토목공사만 전담하던 임시 관청이 있었고 명칭은 도청(都廳)이다. "선공감관(繕工監官)을 나누어 영선(營繕)을 오로지 관장하는 것을 도청(都廳)이라 부르고, 정분(鄭苯)과 민신(閔伸)을 그 제조(提調)로 삼고, 그 당여(黨與)인 직장(直長) 이명민(李命敏)으로 하여금 이를 관장하게 하였다. 이명민은 음흉하고 간사하였는데[36], 과연 일을 처리하는 데 있어서 정분과 민신에게 아부하였으며, 도청의 전권을 맡아서는 삼군(三軍) 방패(防牌)와 섭육십(攝六十)[37]및 여러 공장(工匠)을 마음대로 부리고 조종하는 권한을 오로지 장악하였다" 산릉 제조(山陵提調)부실책임[편집] 우의정 정분은 이때 부터 세조 편에 선 정인지.신숙주.김질.정창손등 집현전 출신들과 상신집정(上臣執政:3정승)에 불만을 가진 정치세력 들로부터 소위 "현릉사토(顯陵莎土:)사건"으로 정쟁에 휘말리게 되었다. 지평(持平) 신자승(申自繩)이 본부(本府:사헌부)와 의논하여 임금에 아뢰기를, "황보인(皇甫仁)·김종서(金宗瑞)·정분(鄭笨)은 모두 제조(提調)로서 산릉(山陵)의 역사를 맡았는데, 마침내 〈봉분의 흙이〉 무너지고 말았으니, 불경(不敬)하기가 이를 데 없습니다. <1차 사직상서> 2월 19일. 다만 빗물이 스며들까 염려하여 봉분을 만들 때에 체제(體制)를 좀 높이 하였을 뿐입니다. 이때에 천기(天氣)가 갑자기 차가워져서 사토(莎土)가 힘이 없어지고 눈비가 크게 쌓여 겨울을 지나면서 얼었다 녹았다 하다가, 봄비가 내리자 무너져 내리게 된 것입니다. <2차 사직상서> 3월 13일 전하께서 비록 용서하여 묻지 않는다고 하지만, 그러나 구차하게 죄책을 면하는 것을 신은 실로 이를 부끄럽게 여깁니다. 단종1년 3월16일(1453년) 정분(鄭苯)을 관직(官職)에 나오도록 명하니, 정분이 아뢰기를, “ "주상께서 당초에 신의 용렬함을 알지 못하시고 산릉의 일을 관장하도록 명하시니, 신은 이미 중(重)한 명을 받들었고, 또 문종 대왕께서 문득 승하하여 보필(補弼)의 효력이 없음을 슬퍼하며 산릉에 마음을 다하려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반드시 먼저 소신의 죄를 다스린 연후에야 거의 신민의 마음이 쾌(快)할 것입니다." ” 하니, 전지하기를,"혐의하지 말라."하였다. 치사(致仕)를 청하다[편집] 황보인은 원로하여 정사를 김종서에 일임 하였고 김종서의 독선적인 인사및 황표정사(黃票政事)에 정인지가 불만이 가장 많았다.정분은 실권이 없었고 소위 현릉사토 문제를 정쟁으로 삼으니 두번의 사직상서와 추핵(推劾)을 받고져 입궐하지 않았지만 어린 단종의 생각은 정분에게 의지하고 싶었다. 치사(致仕)를 청하여도 받아주지 않자 전라·경상·충청도 도체찰사(全羅慶尙忠淸道都體察使)로 자청하게 되었고,단종1년 8월 6일(1453년) "정분(鄭笨)은 길 떠나기에 앞서 하직인사(辭朝)를 드리니 궁전(弓箭)과 마장(馬粧)을 하사 하면서 도승지(都承旨) 박중손(朴仲孫)에게 명하여 정분(鄭笨)을 교외(郊外)에서 전송하게 하였다." “ 노산군(魯山君)이 어려서, 일의 대소가 없이 모두 의정부에 자문(咨問)하였는데, 정분이 멀리 나가기를 자청하니, 이때의 논의는 이를 비난하기도 하고, 혹은 그가 황보인과 김종서의 집권(執權)[38]을 피하는 것이 아닌가 의심하기도 하였다. 이때 조정 안 사대부(士大夫)들의 전송하는 자의 수레와 말이 도성의 문에서 한강까지 꽉 찼고, 이정(離亭)의 주석(酒席)에서는 돌아보아 술을 받지 못한 자도 많았었다. ” 이날 전송을 마지막으로 정쟁(政爭)의 중심에서 벗어나고 싶어 했으며, 5년전 선공 제조(繕工提調)가 되어 토목 공사(土木工事)를 맡아 볼 때 힘써 크고 아름답게 완공한 그 숭례문(崇禮門:남대문)을 지나 갔지만 영원히 돌아오지 못했다. 삭탈관직(削奪官職)[편집] 계유정난(癸酉靖難)희생자[편집] 영의정부사영경연서운관사겸판이병조사(首陽大君;領議政府事領經筵書雲觀事兼判吏兵曹事).수양대군 한 사람이 가진 관직이다. {영의정은 백관의 으뜸이고,집현전과 예문관을 장악해서 수양대군을 찬양하는 교서를 선포해야 되며,인사권인 호조판서와 병력을 통솔하는 병조판서,궁궐과 도성을 수비하고 전국의 모든 군마와 연락망을 통제하여 이용(안평대군)과 관련된 자들을 검거하여, 정란(靖亂)의 당위성과 역적의 누명을 쒸우려면 필요한 권력을 다 쥐어야 했다.세조가 실권을 잃은 단종에게 아뢰고 승지 최항을 시켜 명패(命牌)를 내게하여 쥔 권력이다.}단종 즉위년 12월 11일 기해(1452년) "자준(子濬:한명회)이는 나의 자방(張子房)이다." 세조가 극찬할 정도로 이 모든 계획은 한명회와 권남(權擥)이 세웠고,우참찬에서 좌의정이 된 정인지(鄭麟趾).예조판서에서 우의정이 된 한확(韓確:인수대비父).한명회의 살생부(殺生簿)대로 움직여 준 수하 건달들 홍달손.홍윤성.양정.유수.봉석주.임자번(林自蕃)등이 1.2등 공신들이다. 전날 으스럼한 초생달이 뜨는 시간부터 살육이 시작되니,세조는 일이 절박하여 김종서를 먼저 제압하여 죽였다고 임금께 아뢰고, 다른 대신들은 왕명으로 입궐하라 명하여 늦은밤 입궐하는 대로 한명회와 수하 무사들이 죽(殺)이고 살(生)렸다. 좌의정 김종서(金宗瑞)세조가 직접가서 죽이고.(깨어서 입궐 하려다 결국 아들 김승벽 처가에서 살해), 영의정 황보인(皇甫仁)입궐3문에서, 병조판서 민신(閔伸) 현릉(顯陵:문종) 비석소 현장에서 이일을 감독하고 있었다. 이명민(李命敏)집에 무사를 보내서,(깨어서 도망가다 살해) 이양(李穰),윤처공(尹處恭),조번(趙藩),김연(金衍)등은 무사를보내 죽였다. 다음날 즉,세조가 영의정이 된날.정분(鄭苯)은 하삼도 도체찰사(下三道都體察使)의 임무 수행중 충청도에 다다르고,전지에 따라 졸지에 용안에서 낙안(樂安)으로 압송 되었고.세조의 조력자 한명회의 살생부(殺生簿)에 의해 진행 되니 그 계획은 성공 하였다. 세조가 영의정이 된날.정분(鄭苯)은 하삼도 도체찰사(下三道都體察使)의 임무를 마치고 충청도에 다다르고,전지에 따라 졸지에 용안에서 낙안(樂安)으로 압송 되었다. 외방 종편(外方從便)[편집] 정란이후 8~9개월이 지난 이때 경기 각 고을에 인심이 소동(騷動) 하였고 서강(西江)에 사는 사람들이 황보인.김종서는 죄가 있다지만 정분은 애매한 누명을 쓰고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39]안평대군을 죽인 후 도리어 정분에게 민심이 쏠려 동경과 존경을 받는 중심 인물이 되었고,또 한 그의 덕행과 절개에도 동정의 근원이 되었다. 정분을 죽여야 된다고 사헌부의 말을 권남.한명회가 세조에게 아뢰어 그 근주(根株)를 없애야 민심을 안정 시킬수 있으니 하루라도 빨리 죽이자고 하였다. 단종 1년 10월 15일 (1453년), 세조가 친히 태조와 문종의 능에 추석제를 모시고 환궁 하다가 중량포(中良浦)의 주점터에서 잠깐 쉬면서 좌승지 박원형.우승지 권자산이 "간당(姦黨)을 베어 없애소서."아뢰니 즉시 하교(下敎)하기를,[40]정분(鄭苯)등을 법에 의하여 처치하라.이날 정분은 교형에 처해졌다.[41] 이제부터 간당(姦黨)의 근본이 영원히 근절되었으니,대략 46명이 함께 처형 되는데,그 근주(根株)를 모두 멸 하였다. “ "부모(父母)·아들·아직 출가(出家)하지 아니한 딸·처첩(妻妾)·조부모(祖父母)·손자(孫子)·형제(兄弟)·아직 출가하지 아니한 자매(姊妹)·아들의 처첩(妻妾)은 원방(遠方)의 관노비(官奴婢)로 영속(永屬)시키고, 백부(伯父)·숙부(叔父)와 형제(兄弟)의 아들은 원방에 안치(安置)하되, 나이가 아직 16세가 되지 못한 자는 나이가 차기를 기다려서 예(例)에 의하여 시행하라."하였다. ” 의금부에 가두어 둔 난신에 연좌된 부녀를 대신들에게 나누어 주게 하였고,[42] 10년후(1464년)관련자의 숙질(叔姪:아저씨와 조카)등을 거주하는 그 지방에서 편한대로 살게 하면서,난신(亂臣)정분에 연좌(緣坐)[43]된 사람으로 정분(鄭苯)의 조카 정세존(鄭世存)·정옥수(鄭玉守)·정효동(鄭孝同)·정옥동(鄭玉同),을 방면하였다.[44] 유배시킨 죄인을 그 위치(謫所)에서 풀어주어 외방에 편리한 대로 살게(安置)하던 제도(外方從便)에 의해 숙질(叔姪)이상의 기타 가족들은 서울을 떠나 살게하여 거제.남해.진도등 지방으로 흩어져 살게 되었다.[45] 14년 집권을 끝으로 세조는 계유정란 당시와 이후 관련된 난신의 숙질(叔姪)과 자매(姉妹)의 연좌자(緣坐者)를 무릇 2백여 인을 한명회.정인지.신숙주등과 의논하여 방면한 것이다.이때 세자(世子:예종)는 어찌 할 바를 알지 못하여 대신들이 의논 하는대로 따랐다.[46]이틀 후 세조는 경복궁에 있던 면복(冕服)을 가지고 오게 하여, 친히 세자(世子:예종)에게 내려 즉위(卽位)하게 하고 수강궁(壽康宮)의 정침(正寢)에서 훙(薨)하였다. [47]세조 14년 9월 6일 1468년 정난공신(靖難功臣)[편집] 정분(鄭苯)과 한명회(韓明澮)[편집] 경덕궁(개성.태조의 사저) 궁직이였던 한명회를 친구 권람이 세조에게 소개했고 대면해 보니 비범한 인물임을 알았으며, 단종 즉위년 10월 세조가 북경에 사신으로 자청하여 가기전 한명회에게 비밀리에 안평대군과 황보인.김종서.정분등의 종적을 염탐할 것을 지시한다.[48]그래도 이용(안펑대군)이 중신들과 결탁하여 변을 일으킬까 걱정하여 신숙주와 황보인의 아들 황보석.김종서의 아들 김승규를 대동하여 다녀왔다. 한명회는 세조 저택의 "종(奴) 조득림(趙得琳)으로 하여금 이용(李瑢)의 종 및 여러 소인들과 교제를 맺게 하여 행적을 밟으니, 황보인은 미복(微服)으로 이용의 첩의 집을 왕래하고, 또 이용은 김종서·정분·허후·민신(閔伸)등과 더불어 밤에 자주 잔치를 벌이고 술을 마셨다. 황보인이 이용에게 백옥대(白玉帶)를 보내니, 이용은 황금침향대(黃金沈香帶)로 보답하고, 또 김종서와 정분에게는 서대(犀帶)를 각각 1요(腰)씩 주고, 진귀한 물건과 서화(書畫)도 여러 사람에게 나누어 주었다."이런 내용을 빠짐없이 보고한다. (서대는 1품 이상의 관리가 관복에 갖추어 차던 허리띠)[49] 드디어 환명회는 세조를 찾아가 10월10일 의거 하기로 약속일을 정하니 이미 세조는 1년 전부터 조카 단종을 제거할 계획을 세웠고 찾아간 날은 계유정란 열흘 전 이였다.[50] 정란공신으로 군기사(軍器寺) 녹사(錄事)가 첫 관직이고 세조의 참모로 모든 정사에 관여하게 된다. 승진 할수록 한명회는 자신과 함께 정난에 가담했던 인물들과 정략적 혼인으로 친인척 관계를 만들어 기반을 다지고 요직을 장악해 나가면서,무소불위(無所不爲)의 권력을 휘둘러 한명회와 그 주변 인물들과 줄을 대지 못하면 벼슬을 할 수 없어 돈을주고 관직을 사는(賣官賣職)[51]등 조선왕조 역사상 크나큰 인사 폐단과 혼란을 초래 하였다. 갑자사화(甲子士禍)[편집] 정리하여 보면,장녀(1녀)는 신숙주 큰아들 신주의 처를 만들고,3녀는 예종(8대왕)의 비(正妃)를 만들어 세조와 사돈이 되고,4녀는 성종(9대왕)의 비(正妃)가 되니 세조의 손자 며느리가 되며,손자 한경침은 성종의 첩(妾)에서 나은 딸(공신옹주)과 혼인시켜 손자 며느리로 삼고, 동생 한명진 처는 권남의 여동생으로 친구와 사돈이 되었다. 세조와 겹사돈 관계에서 한명회는 세도정치의 중심이 되고 살육으로 왕위를 찬탈한 세조가 14년(1468년)이라는 그리 길지않은 시대가 끝나고 세조의 둘째 아들 예종(조선 8대왕)이 14개월(1469년)만에 단명하니, 인수대비(소혜왕후:의경세자 妻)와 신숙주.정창손 등과 함께 성종을(자을산군 혈:인수대비子)왕으로 추대하였고 한명회 4녀와 혼인을 시켰지만 젊은 나이에 아이없이 죽었다, 여색을 좋아한 성종은 십수명의 후궁과 30여명의 자녀가 있었는데 그 후궁 중 함안윤씨가 연산군의 생모(제헌왕후)이고, 질투심으로 남편 성종의 얼굴에 손찌검으로 상처를 낸게 빌미가 되어 시어머니 인수대비의 미움을 사 폐출되어 사약을 내려 죽인 비밀을 아들 연산군(조선 10대왕)에게 알린자는 임사홍이다. 임사홍:【사홍은 성종조(成宗朝)에 죄를 얻어 폐기(廢棄)된 채 등용되지 못하다가, 연산조(燕山朝)에 와서 그 아들 임숭재(任崇載)가 부마(駙馬)로 임금의 총애를 얻자, 사홍이 그 연줄로 간사한 꾀를 부려 기 높은 품계(品階)에 올랐다. 갑자(연산군 10년)이후로는 앞서 자기를 비난한 자에게 일일이 앙갚음하였고, 이미 죽은 사람까지도 모두 참시(斬屍:죽은 사람의 시체를 베임) 하였다. 온 조정이 그를 승냥이나 호랑이처럼 두려워하여 비록 두 신씨(愼氏:신수근 신수영 형제를 지칭)라 할지라도 또한 조심스럽게 섬겼다. 연산군은 하고 싶은 일이 있으면 곧 그에게 쪽지로 통지하고, 사홍은 곧 들어가 지도하여 뒤미처 명령이 내려지니, 그가 부도(不道)를 몰래 유치(誘致)한 일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그 아들 임희재(任熙載)가 피살되던 날에도 평일과 다름이 없이 그의 집에서 연회를 베풀고 고기를 먹으며 풍악을 울리니, 연산군이 사람을 시켜 이를 엿보고는 더욱 신임과 총행(寵幸)을 더하여, 한결같이 그의 계교를 따랐다. 그가 임금에게 아첨하여 총애를 취함이 모두 이와 같았다. 그때 사람이 다음과 같은 시(詩)를 지어 읊었다. "작은 소인(小人) 숭재, 큰 소인 사홍이여! 천고에 으뜸가는 간흉이구나! 천도(天道)는 돌고 돌아 보복이 있으리니, 알리라, 네 뼈 또한 바람에 날려질 것을.[小任崇載大任洪千古姦兇是最雄天道好還應有報從知汝骨亦飄風]" 이는 당시 죄인의 뼈를 부수어 바람에 날리는 형벌이 있었기 때문에 한 말이다. 숭재는 일찍이 녹수(綠水)를 간통했었는데, 녹수가 연산군의 총애를 받게 되자, 일이 탄로날까 두려워 몰래 녹수에게 부탁하기를, "만약 평소의 일에 대한 말이 나오거든, 마땅히 희재가 한 일이라고 대답해야 한다. 그러면 반드시 나를 믿고 시기함이 없을 것이며, 너도 보전될 것이다." 하였다. 이 때문에 화가 그 형에게 미친 것이다. 그런데, 숭재는 사홍보다 앞서 죽었으므로 처형을 모면할 수 있었다. 수근은 신씨(愼氏:연산군의 비)의 오라비이기 때문에 총애를 얻어 세력과 지위가 극히 융성하니, 권세가 한때를 휩쓸었다. 오랫동안 전조(銓曹:이조(吏曹)) 를 맡아 거리낌없이 방자하였으며, 뇌물이 폭주(輻湊)하여 문정(門庭)이 저자와 같았고, 조그만 원수도 남기지 않고 꼭 갚았다. 주인을 배반한 노비(奴婢)들이 다투어 와서 그에게 투탁(投托)하였으며, 호사(豪奢)를 한없이 부려 참람됨이 궁금(宮禁)에 비길 만했으니, 죽음을 당하게 된 것이 마땅하다. 수영은 수근의 아우이니, 또한 외척(外戚)이라는 연줄로 갑자기 요직에 올라, 총애를 믿고 제멋대로 하였다. 어떤 사람이 언문을 섞어 시사(時事)를 비방하는 내용으로 익명의 글을 지어 그의 집에 던졌다. 그가 곧 연산군에게 고발하니, 연산군이 극노(極怒)하여 죄인(罪人)의 족친(族親)이 한 것으로 여기고 신국(訊鞫)을 더욱 각심하게 했기 때문에 억울하게 죽은 사람을 이루 헤아릴 수 없었다. 사대부들에게 미친 화가 이로부터 더욱 참혹해졌다. 그래서 사람들이 모두 이를 갈며 울분에 차서 살을 씹어 먹고자 하였다.[중종1년9월2일1506년]】 연산군의 복수 심리를 역 이용하여 사초를 열람하게 하였고,연산군 역시 종횡으로 포진한 공신들 즉 한명회 일파의 훈구세력(勳舊派)을 이 기회에 탄압하는 동시에 어머니 윤씨의 원한을 풀어줄 결심을 하게 되어,폐출을 방조한 죄로 한명회(韓明澮).정창손(鄭昌孫)등 당시 죽은 자들까지 무덤을 파헤쳐 부관 참시한 사건이며 1504년 선비가 화를 입었다 하여 갑자사화(甲子士禍)[52]라 한다. 사초(史草)에 기록된 정분(鄭苯)의 죽음[편집] 성종은 훈구파의 견제 세력인 사림파를 끌어들여 균형을 유지하려 노력했고 이때 사림파는 중앙정부 진출 기회를 갖게되며,그 중심 인물이 된 김종직이 언론3사(홍문관.사헌부.사간원)등에 사림파가 포진하게 되었고 훈구파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부각 시키면서 세력을 넓혀 나가게 되니 훈구파의 비판 여론이 형성되게 되었다. 훈구파 이극돈이 성종실록을 편찬하는 과정에 사초(史草)를 열람하게 되며,사림파 김일손(1464~1498)이 기록한 내용중 이극돈 자신의 비리가 적혀 있는것을 발견하게 되고 앙심을 품어 선비를 싫어하는 연산군에게 두가지 내용을 고변하였다. 김종직과 제자가 쓴 "조의제문(弔義帝文)"은 단종을 찬위하는 글이니 세조에 대한 불충(不忠)이고, 「나는 초(楚)나라 회왕(懷王:의제)의 손자 심(心)인데, 서초 패왕(西楚霸王:항우)에게 살해 되어 빈강(郴江)에 잠겼다.」[53] 세조에게 권좌를 뺐기고 죽음을 당한 단종(端宗)을 의제에 비유하여 세조의 왕위 찬탈을 은근히 비난한 글이다. (연산4년7월17일)] 정분(鄭苯)은 난신(亂臣)인데 충신으로 기록한 내용을 고변하여 김일손의 동료여창을 불러 심문하니 답하기를 “ "같은 때의 정승 이었으나 김종서와 황보인은 반역을 도모한 것이 명백하기 때문에 모두 참형(斬刑)에 처했는데, 정분만은 광양(光陽)으로 귀양가서 종말에 단지 교형(絞刑)에 처했으며, 정분(鄭苯)또한 형(刑)에 임하자 말하기를 "죽는 것은 마찬 가지지만 명절(名節)은 다름이 있다." 하였사온즉, 종서 등과 더불어 공모하지 않았는데 죄 없이 죽은 것 같으므로, 마땅히 전(傳:어떤 사람의 독특한 행적을 기록함)을 지어야 하였기에 써서 보내 준 것입니다."[54](연산4년7월20일.1498년) ” 앞서 연산군이 어서(御書)로 묻기를,사초(史草)란 사실을 그대로 기록함이 아니더냐? 탄(坦)이라는 선사(禪師)가 지켜본 정분(鄭苯)의 교형당시 내용을 보니 황당한 내용이 많은데 그 의도는 뭐냐? 답 하기를 "중이란 본시 농담이 많아서 믿기가 어려울 뿐더러 그래도 일부 취신(取信)할 내용이 있다면 사초(史草)[55]이니 참고 하라고 쓰고, 중의 말을 꼭 믿을 수는 없다고 말미에 달았습니다."[56] 세조에 의해 단종(端宗)의 억울한 죽음과, 충신으로 기록 된 정분(鄭苯)을 문제삼아 김종직은 부관참시(剖棺斬屍)[57]를 당하였고, 김일손 등참수(斬首)된, 정여건은, 기굉필오등화유498년)[58]이며,역사를 제대로 쓴 사람들이 화를 입었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사후(死後) 314년[편집] "단묘조(端廟朝)의 세 대신(大臣)을 복관(復官)한 뒤에, 정분(鄭苯)의 자손 가운데 확실한 자를 찾지 못하였습니다. 요즘 듣건대 장흥(長興) 정성(鄭姓) 사람이 마가(馬哥)와 송사(訟事)함으로 인하여 관에서 정성 사람의 선대(先代)의 묘(墓)를 파 보니 지석(誌石) 두 조각을 찾았는데, 바로 정광로(鄭光露)의 묘이고 정광로는 바로 정분의 아들입니다. 대저 정광로가 당시의 일이 어려움을 알고 거짓으로 미쳐서 자취를 숨겼는데, 그가 죽음에 이르러 그 아들이 비록 지석(誌石)을 묻었으나 유계(遺戒)로 인하여 그 내력을 비밀로 하였기 때문에 손자 이후로부터는 누구의 자손인지를 아득히 알지 못하였습니다. 지금 수백년 뒤에 비로소 옛 정승의 혈손(血孫)임을 알았으니, 조가(朝家)에서 표이(表異)의 거조가 있어야 마땅합니다."하니, 임금이 말하기를,"기이한 일이다. 결원을 기다려서 조용(調用)하라."하였다.[59] 후손에 대한 평가[편집] 정분(鄭苯)은 고관대작(高官大爵)이였다.문과급제 후 좌찬성(左贊成).우의정이란 높은 자리에 오를때 까지 37년간 요직을 두루 거치며 흠결없이 관직 생활을 어어온 매우 충직한 사람이다.당시의 신분 사회에서 자식 잘되기를 비는 심성은 만고의 진리인데, 생몰(生歿/生沒)흔적이 어디에도 없다가 아득히 314년 후 사료적 가치로 인정받지 못하는 지석 두조각 글자에서 후손이 발견됐다 하니, 뒷받침 되는 실존 흔적을 문중록(門中錄)이 아닌 사록(史錄)에서 찾아 내야한다.미관말직(微官末職)이거나 미천한 집안에서 있을법한 "참으로 기이한 일이다." 장릉(莊陵)배식록 수록자(영월 단종의 묘) 육종영:안평대군 이용,금성대군 이유,회의군 이영,한남군 이어,영풍군 이천,하령군 이양, 사의척:판돈영부사 송현수,예조판서 권자신,영양위 정종,돈영부판관 권완. 삼상신:영의정 황보인,좌의정 김종서,우의정 정분. 삼중신:이조판서 민신,병조판서 조극관,이조판서 김문기. 양운검:도충부도총관 성승,증병조판서 박정. 사육신:우승지 성삼문,형조참판 박팽년,직재학 이개,예조참판 하위지,성균사예 유성원,도층부부총관 유흥부. 기타:형조판서 박중림,지평 하박,좌참찬 허후,수찬 허조,증이조참판 박계우,순흥부사 이호흠,도진무 정효전,영월호장 엄홍도. 같이 보기 =[편집] 숭례문 정이오 계유정난 황보인 김종서 각주[편집] ↑ 從姪;5촌 조카 ↑ 충청.전라.경상 ↑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98&contents_id=26192 ↑ http://sillok.history.go.kr/id/kaa_10509024_002 ↑ 정남쪽 문을 숭례문(崇禮門)이라 하는데, 겹처마요 양녕대군(讓寧大君)이 현판 글씨를 썼으며 민간에서 남대문이라 부른다.(신증동국여지승람 제2권) ↑ 양녕이 비록 실덕(失德)을 하여 폐함을 당하였지만 미친 체하고 방랑하는 것이 실로 태백(泰伯)과 같다고 하였다. 지금 남대문 현판인 숭례문(崇禮門) 석 자는 그가 쓴 글씨로서, 웅장하고 뛰어남은 그의 사람됨을 상상할 수 있게 한다. 《축수편》 ↑ http://sillok.history.go.kr/id/kda_13111019_001 ↑ http://sillok.history.go.kr/id/kda_13111019_001 ↑ http://sillok.history.go.kr/id/kda_10801018_003 ↑ http://sillok.history.go.kr/id/kda_13201115_001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60972&cid=40942&categoryId=31778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24572&cid=46649&categoryId=46649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74077&cid=49630&categoryId=49797 ↑ http://sillok.history.go.kr/id/kda_11210010_003 ↑ http://sillok.history.go.kr/id/kda_11210011_002 ↑ http://sillok.history.go.kr/id/kda_11210011_002 ↑ http://sillok.history.go.kr/id/kda_11608011_003 ↑ http://sillok.history.go.kr/id/kda_11610009_002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16288&cid=50826&categoryId=50826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50055&cid=46622&categoryId=46622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57457&cid=40942&categoryId=31667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72141&cid=42922&categoryId=42922 ↑ https://ko.wikipedia.org/wiki/%ED%9B%88%EB%AF%BC%EC%A0%95%EC%9D%8C ↑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47XXXXXXXX44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45229&cid=40942&categoryId=31667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4403&cid=46656&categoryId=46656 ↑ http://sillok.history.go.kr/id/kda_12904006_001 ↑ http://sillok.history.go.kr/id/kda_12908030_002 ↑ http://sillok.history.go.kr/id/kda_13011008_001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33316&cid=46648&categoryId=46648 ↑ http://sillok.history.go.kr/id/kda_13012005_001 ↑ http://sillok.history.go.kr/id/kda_13202017_001 ↑ http://sillok.history.go.kr/id/kda_13105004_002 ↑ http://waks.aks.ac.kr/dir/achieveView.aspx?dataID=G002+AKS+KSM-WM.1680.0000-20101008.B044a_067_00275_YYY@AKS-2008-BBA-2101_DES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55782&cid=40942&categoryId=31667 ↑ http://sillok.history.go.kr/id/kfa_10012011_001 ↑ http://sillok.history.go.kr/id/kfa_10012011_001 ↑ http://sillok.history.go.kr/id/kfa_10108006_001 ↑ http://sillok.history.go.kr/id/kfa_10208007_001 ↑ http://sillok.history.go.kr/id/kfa_10208015_001 ↑ http://sillok.history.go.kr/id/kfa_10208015_001 ↑ http://sillok.history.go.kr/id/kga_10209007_004 ↑ http://sillok.history.go.kr/id/kga_11409006_003 ↑ http://sillok.history.go.kr/id/kga_11008026_002 ↑ http://sillok.history.go.kr/id/kga_11409006_003 ↑ http://sillok.history.go.kr/id/kga_11409006_003 ↑ http://sillok.history.go.kr/id/kga_11409008_001 ↑ http://sillok.history.go.kr/id/kfa_10010005_003 ↑ http://sillok.history.go.kr/id/kfa_10103021_002 ↑ http://sillok.history.go.kr/id/kfa_10109029_004 ↑ http://dic.daum.net/word/view.do?wordid=kkw000084355&supid=kku000104709#kku000104709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5205&cid=46622&categoryId=46622 ↑ http://sillok.history.go.kr/id/kja_10407017_002 ↑ http://sillok.history.go.kr/id/kja_10407020_002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08003&cid=40942&categoryId=33382 ↑ http://sillok.history.go.kr/id/kja_10407019_003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iknn&logNo=60205731828&beginTime=0&jumpingVid=&from=search&redirect=Log&widgetTypeCall=true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94978&cid=40942&categoryId=31778 ↑ http://sillok.history.go.kr/id/kua_14412023_003 vdeh장릉배식록 수록자육종영 안평대군 이용 금성대군 이유 화의군 이영 한남군 이어 영풍군 이천 하령군 이양 사의척 판돈녕부사 송현수 예조판서 권자신 영양위 정종 돈녕부판관 권완 삼상신 영의정 황보인 좌의정 김종서 우의정 정분 삼중신 이조판서 민신 병조판서 조극관 이조판서 김문기 양운검 도총부도총관 성승 증병조판서 박정 육신부 형조판서 박중림 사육신 우승지 성삼문 형조참판 박팽년 직제학 이개 예조참판 하위지 성균사예 유성원 도총부부총관 유응부 육신자 지평 하박 탁절신 좌참찬 허후 수찬 허조 증이조참판 박계우 순흥부사 이보흠 도진무 정효전 영월호장 엄흥도 증이조판서 권절 증이조참판 이수형 생육신 증이조판서 김시습 증이조판서 성담수 증이조판서 남효온 증이조판서 원호 증이조판서 이맹전 증이조판서 조여 참고 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정분&oldid=24470681" 분류: 1454년 죽음조선의 문신과거 급제자계유정난 관련자진주 정씨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3일 (일) 18: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정분(鄭苯, 1394년~1454년)은 조선초기 세종.문종.단종때의 문신이며 3 상신(相臣) 중 한명이고 문종의 고명대신이다. 자는 자유(子㕀), 호는 애일당(愛日堂), 시호는 충장(忠莊), 본관은 진주(晉州)이다. 할아버지는 정신중(鄭臣重).아버지는 판충추부사 정이오(鄭以吾)의 외아들 이고, 부인은 하동 정씨 정흥인의 딸이며 정인지의 누나이고 1452년 이전에 사별(死別)했으며 이 사이에는 아들이 없었다. 지정(池淨)은 생질(甥姪)이고 정지산은 종질이며 봉사손이다. 정분(鄭苯)은 정치적 수완이나 권력 탐욕(貪慾)에는 관심이 없었고,문신 으로는 드물게 토목.건축에 뛰어난 관리 능력을 발휘하였다. 하3도도제찰사로 임무 수행 중 계유정난(癸酉靖難)을 맞아 충주에서 낙안으로 압송되어 이듬해 교형을 당했으며, 영조 22년(1746년) 복관된 후 시호는 곧은 충성(忠)과 기개와 큰 절의(莊)로 충장(忠莊)이니,우의정 충장공 정분(右議政忠莊公 鄭苯)으로 공주 요당서원(公州 蓼堂書院)에 제향되고 장릉(단종)배식록에 수록 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정분의 삶에 대한 흔적은 어떻게 남아있습니까? Assistant: 정분(鄭苯)은 고관대작(高官大爵)이였다.문과급제 후 좌찬성(左贊成).우의정이란 높은 자리에 오를때 까지 37년간 요직을 두루 거치며 흠결없이 관직 생활을 어어온 매우 충직한 사람이다.당시의 신분 사회에서 자식 잘되기를 비는 심성은 만고의 진리인데, 생몰(生歿/生沒)흔적이 어디에도 없다가 아득히 314년 후 사료적 가치로 인정받지 못하는 지석 두조각 글자에서 후손이 발견됐다 하니, 뒷받침 되는 실존 흔적을 문중록(門中錄)이 아닌 사록(史錄)에서 찾아 내야한다.미관말직(微官末職)이거나 미천한 집안에서 있을법한 "참으로 기이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